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1

1.

화학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답지 구분 화학 변화 물리 변화


물질의 성질이 전혀 물질 고유의 성질은 변
정답 및 해설 정의 다른 새로운 물질로 하지 않으면서 모양,
001. ㄴ, ㄹ 002. ㄱ, ㄴ, ㄷ, ㄹ, ㅁ 변하는 현상

상태가 변하는 현상

003. (1) X (2) X (3) O ·(4) X 004. ② 005. ⑤ . 철로 된 대문에
녹이 슬었다.(부식)
. 젖은 빨래가 말랐
다.(증발)
006. (1) 화학 변화 (2) 물리 변화 ㄹ. 음식물이 몸속에 ㄴ. 향수 냄새가 방 안
007. (!) 화 (2)물 (3) 물 (4) 화 008. ⑤ 예 서 소화된다.(소화) 에 퍼진다.(확산)
009. (1) X (2) O (3) O (4) X 010. 화학 반응 ㅂ. 강철 솜을 연소시 ㅁ. 소금을 물에 녹이
켰더니 검게 변하였 면 소금물이 된다.(용
011. (1) X (2) O (3) X (4) O 012. 화학 반응식
다.(연소) 해)
013. (1) X (2) X (3) O 014. ㄴ, ㄹ
015. 2H2O2  2H2O + O2
016. (1) 3 (2) 1, 2 (3) 2 017. ④ 018. (다) 006. (1) 원자의 배열이 변하여 새로운 분자가 생기므
019. ㄴ, ㄷ, ㅁ 020. ㉠, ㉣ 021.④ 로 화학 변화이다.
022. ① 023. ㄱ 024. ② 025. ⑤ (2) 분자 자체는 변하지 않고 분자의 배열이 변하
026. ② 027. ④ 028. ③ 029. ④ 므로 물리 변화이다.
030. ③ 031. ③ 032. ④ 033. ①
034. ② 035. 2, 2, 1 036. ④ 037. ② 007. (2), (3) 모양 변화, 상태 변화는 물리 변화이다.
038. ② 039. ④ 040. ③ 041. ④
(1), (4) 못이 녹스는 현상, 종이를 태우는 현상은
042. ③ 043. ③ 044. ② 045. ⑤, ⑦
046. ④
화학 변화이다.
047. 해설 참조 048. 해설 참조
049. 해설 참조 050. 해설 참조 051. 해설 참조
052. 해설 참조 053. 해설 참조 054. 해설 참조 008. 화학 변화는 원자의 배열이 달라지고. 물리 변화
는 분자의 배열이 달라진다. ①~④는 물리 변화가
001. ㄱ, ㄷ은 화학 변화이다. 일어나는 현상이고. ⑤는 화학 변화가 일어나는 현
상이다.
002. 화학 변화가 일어나면 성질이 다른 새로운 물질
이 생성되며, 기체 발생, 냄새나 색깔의 변화, 빛과 009. (가)에서는 물 분자의 배열이 변하는 물리 변화
열의 발생, 앙금 생성 등의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가 일어나고, (나)에서는 물 분자를 이루는 원자의
배열이 변하여 수소 분자와 산소 분자가 생성되는
003. (1), (3) 화학 변화는 성질이 다른 새로운 물질이 화학 변화가 일어난다.
생성되는 변화이다.
(2), (4) 화학 변화가 일어날 때 원자의 종류와 수 013. (1) 화학식을 이용하여 화학 반응을
는 변하지 않고, 원자의 배열이 변하여 새로운 분자 나타낸 것을 화학 반응식이라고 한다. 화학 반응식
가 생성되고 분자의 수가 변한다. 을 쓸 때 화살표의 왼쪽에는 반응물을, 오른쪽에는
생성물을 쓴다.
004. 김치가 시어지거나 오래된 우유에서 신맛이 나 (2) 화학 반응 전후에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기 화
는 것은 화학 변화이다. 학식 앞의 계수를 맞춘다.
② 화학 변화가 일어나면 본래의 성질과는 전혀 다
른 새로운 물질이 생성된다.
014. ㄱ, ㄷ. 화학 반응식에서 반응물과 생
① 물리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성물의 질량, 분자의 크기는 알 수 없다.
③, ④, ⑤ 화학 변화가 일어날 때 원자의 종류와
수는 변하지 않고, 원자의 배열이 달라진다. 따라서 016. 화학 반응 전후에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게 화학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의 종류와 수도 변한다. 식 앞의 계수를 맞춘다. 이때 계수는 간단한 정수로
나타낸다.
005. 보기의 현상을 화학 변화와 물리 변화로 구분하
면 다음과 같다. 017. 물리 변화에서는 원자의 배열은 달라지지 않고
분자의 배열만 달라지며, 화학 변화에서는 원자의
배열이 달라져 분자의 종류와 수가 변한다.
018. (다) 기화된 양초가 산소와 반응하여 새로운 물 없다.
질인 물과 이산화 탄소가 생성되므로 화학 변화이 ㄴ. (나)는 과산화 수소가 분해되어 발생한 산소에
다. (가)는 융해, (나)는 기화, (라)는 응고 현상으로 의한 현상이므로 화학 변화이다.
물리 변화에 해당한다.
028. ③ 설탕을 태우면 원자의 배열이 달라
019. 원자의 배열이 달라지는 변화는 화학 변화이다. 서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는 화학 변화가 일어난다.
연소(ㄴ), 부패(ㄷ), 발효(ㅁ)는 화학 변화이다. 따라서 설탕과 설탕을 태우고 남은 물질은 다른 물
융해(ㄱ), 용해(ㄹ), 증발(ㅂ), 확산(ㅅ), 질이다.
액화(ㅇ)는 모두 물질의 모양, 크기, 상태만 변하는
물리 변화이므로 원자의 종류, 개수, 배열이 변하지 029. (가)에서 물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않는다. (나)에서 이산화 탄소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의 성분 원소는 수소, 산소이고, 이산화
020. 원자의 배열이 달라지는 것은 화학 변화이다. ㉠ 탄소의 성분 원소는 탄소, 산소이다. 하지만 양초
과 ㉣은 원자의 배열이 달라져 반응 전 물질과 다 가 산소와 반응하여 물과 이산화 탄소가 생성되었
른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는 화학 변화이고, ㉡과 ㉢ 으므로, 산소가 양초에 반드시 포함된 성분 원소
은 상태 변화, ㉤은 모양 변화이므로 물리 변화이다. 인지는 이 실험으로 확인할 수 없다.

021. ④ 어항 속의 물이 증발(기화)하여 물의 양이 점 030. ① 촛농이 생기는 것은 고체 양초가 액체로 변


점 줄어드는 현상은 물리 변화에 해당한다. 하는 상태 변화이고, 촛농이 굳는 것은 액체가 고
체로 변하는 상태 변화이므로 물리 변화이다.
022. (가)에서 양초가 빛과 열을 내면서 타는 것(연 ②, ④, ⑤ (가)에서 물을 확인할 수 있고, (나)에
소)은 화학 변화이고, (나)에서 양초가 녹아 촛농이 서 이산화 탄소를 확인할 수 있다. 양초가 연소하
되고 (다)에서 흘러내린 촛농이 굳는 것은 물리 변 면 새로운 물질인 물과 이산화 탄소가 생성되므로
화이다. 양초의 연소는 화학 변화이다.
③ (가)에서 푸른색 염화 코발트 종이가
023. 화학 변화는 원자의 종류와 개수, 질량은 변하 붉게 변하는 것으로 물을 확인할 수 있다. 산소는
지 않고, 배열만 변한다. 또 새로운 분자가 생성되 꺼져가는 불씨를 가까이 할 때 다시 타오르는 것
므로 물질의 성질이 변한다. 으로 확인할 수 있다.
ㄴ, ㄷ 물리 변화는 분자의 종류와 수는
변하지 않으므로 물질의 성질이 변하지 않는다. 031. (가)는 분자의 배열만 변하므로 물리 변화이고,
(나)는 원자가 재배열하여 분자의 종류가 변하므로
024. 물질 변화가 일어날 때 원자의 배열은 변하지 않 화학 변화이다. (가)는 물이 수증기로 변하는 현상
고 분자의 배열만 변하는 것은 물리 변화에 해당한 이고, (나)는 물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는 반응이
다. 설탕이 물에 녹아 설탕물이 되는 현상(용해)는 다.
물리 변화이다.
032. ④ 화학 반응식에서 원자나 분자의 크
025. 고체 상태의 이산화 탄소인 드라이아이스가 기 기, 질량, 모양 등은 알 수 없다.
체 상태의 이산화 탄소로 승화하는 상태 변화가 일
어나므로 물리 변화이다. 033.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원자의 종류와 수는 변하
지 않고, 원자의 배열만 바뀌어 새로운 분자가 생성
026. 액체 상태의 메테인이 기체 상태로 변하는 상태 된다.
변화 모형으로 물리 변화를 나타내며, 이때 분자의
배열이 달라진다. 034. ② 수소 분자와 산소 분자가 반응하
여 물 분자가 생성되므로 분자의 종류가 변한다.
027. ㄱ. (가)에서 철과 황의 화합물인 황화 철이 생
성되므로 자석을 갖다 대어도 자석에 붙는 물질이 035. 화학 반응 전과 후에 원자의 종류와 개수는 변
하지 않는다. 즉, 반응물과 생성물의 원자의 종류 존재하므로 O2로 나타내야 한다.
와 수가 같게 화학식 앞에 숫자(계수)를 붙여야 한
다. 제시된 화학 반응식을 완성하면 다음과 같다. 043. ②, ③ 탄산음료에는 이산화 탄소 기체가 녹아
2CuO + C  2Cu + CO2 있는데, 온도가 높아지면 기체의 용해도가 감소하
므로 이산화 탄소 기체가 빠져나온다. 이것은 물리
변화이다.
036. ④ CH3OH + 2O2
 CO2 + 2H2O
044. C 속 물질은 철과 황의 혼합물이므로 각각의 성
질을 지니고 있고, D 속 물질은 철과 황의 화합물
037. ② 반응 전과 후에 질소 원자 수는 인 황화 철이므로 철과 황의 성질을 지니지 않으며
2 개로 같지만, 수소 원자 수는 반응 전이 4 개, 새로운 성질을 지닌다.
반응 후가 6 개로 다르다. 수소 원자 수를 맞추면
③ D에 묽은 염산을 넣으면 황화 수소
다음과 같다. N   3H   2NH  기체가 발생한다.
④ E에서는 자석에 철 가루가 끌려온다.

038. NaHCO   Na  CO    H  O  CO  ⑤ F에서는 자석에 끌려오는 물질이 없다.

반응물과 생성물의 총 원자 수가 같도록 계수를


045. 에탄올이 연소하면 물과 이산화 탄소가 생성되
정해야 한다.
므로 에탄올의 연소는 화학 변화이다.
반응물의 생성물의
= ⑤ 에탄올이 연소할 때 생성된 물질인
총 원자 수 총 원자 수
나트륨(Na) 수  = 2 … ⑴ 물과 이산화 탄소는 에탄올과 전혀 다른 성질을
수소(H) 수  = 2 … ⑵ 가지는 새로운 물질이다.
탄소(C) 수  = 1+  … ⑶ ⑦ 강철 솜이 연소하면 철이 산소와 결합하여 산
산소(O) 수 3 = 3+  +2  … ⑷
화 철이 생성된다.
(1)에서 =2이다.
(2)에서 =2이므로 =1이다.
046. (가) 반응 후 은 원자가 4 개이므로 ㉠은 2이다.
(3)에서 =1+이므로 2=1+에서 =1이다.
2Ag2O  4Ag + O2
(4)에서도 3=3++2식에 , ,  값을 넣으면
(나) 반응 전 수소 원자가 4 개이므로 ㉡은 2이다.
성립한다. 따라서 반응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2H2O  2H2 + O2
수 있다.
(다) 반응 후 나트륨 원자가 2 개이므로 ㉢은 2이
2NaHCO   Na  CO   H  O  CO 
다. 이에 따라 반응 전 탄소 원자가 2 개이고, 반
따라서 계수를 더한 값은 ++=4이다. 응 후 탄소 원자는 Na2CO3에 1 개 있으므로 ㉣
은 1이 되어야 한다.
039. 반응 전 탄소 원자가 1 개이므로 ㉡은 1이고, 반 2NaHCO3  Na2CO3 + H2O + CO2
응 전 수소 원자가 4 개이므로 ㉢은 2이다. 이에 따
따라서 계수 ㉠~㉣의 합은 2+2+2+1=7이다.
라 반응 후 산소 원자가 4 개이므로 ㉠은 2이다.

047. 물리 변화는 분자의 배열이 달라지는 것이고, 화


040. ③ 반응 전에는 질소 분자 1 개와 수
학 변화는 분자를 이루는 원자의 배열이 달라지는
소 분자 3 개이고, 반응 후에는 암모니아 분자 2 개 것이다.
이므로 분자의 개수는 감소한다. 모범 답안 (가) 물리 변화, (나) 화학 변화, (가)는

041. 반응하는 분자 수의 비는 A2:B2:AB2=1:2:2이다. 물 분자의 배열이 달라져 물질의 상태가 변한 것이

분자 수의 비는 화학 반응식에서 계수의 비와 같으 고, (나)는 물 분자를 이루는 원자의 배열이 달라져


새로운 물질이 생성된 것이다.
므로 화학 반응식은 A2+2B2  2AB2이다.

048. 모범 답안 (가) 물리 변화, (나) 화학 변화.


042. ③ 산소는 산소 원자 2 개가 결합한 분자 상태로 (가) 과정에서는 초콜릿의 색과 맛이 변하지 않았
으며, (나) 과정에서는 초콜릿의 색과 맛이 변하였 정답 및 해설
기 때문이다.
055. (1) O (2) X (3) O 056. ㄴ, ㄷ, ㄹ
057. (가)+(나)=(다)+(라) 058. ㄱ, ㄴ, ㄷ
049. 모범 답안 색깔, 냄새, 맛 등이 변한다, 빛과 열이 059. (나) ⑤
060. 061. 질량비
발생한다, 새로운 기체가 발생한다, 앙금이 생성된 062. ㄱ, ㄴ, ㄷ, ㅂ 063. ① 064. ③
다 등 065. (1) O (2) X (3) O
066.(1) 2:1:2 (2) 기체 반응 법칙 (3) (가)30 mL (나)60 mL
050. (다) 푸른색 염화 코발트 종이가 붉게 변하는 것 067. 1:3:2 068.② 069. ④ 070. ③
으로 보아 물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 071. ⑤ 072.③ 073. ④ 074. ④
075. ①, ③ 076. ⑤ 077. ③ 078. ③
079. ③ 080. ①, ③ 081. ④ 082. ①, ⑤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지는 것으로 보아 이산화 탄

085. ⑤
소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083. 이산화 탄소, 11 g 084. 10.6 g
088. ⑤
모범 답안 (다), (라), 양초를 연소할 때 물과 이산
086. ㄱ 087. ㄱ, ㄴ, ㄷ, ㄹ
화 탄소가 생성된 것으로 보아 화학 변화가 일어났 089. ① 090. ④ 091. ① 092. 20 g
음을 알 수 있다. 093. 2 g 094. ③ 095. 3:8 096. 1:8
097. ⑤ 098. ④ 099. 산소, 0.28 g
100. ② 101. ② 102. 6 mL
051. 과산화 수소  물 + 산소
103. 일정 성분비 법칙 ④ 104. 105. ④
모범 답안 과산화 수소가 분해되어 산소 기체가 발 106. ⑤ 107. 3:8 108. ③ 109. 5:2
생하기 때문이다. 110. 10 개 111. ③ 112. ④ 113. ④
114. (1) 10 개 (2) 너트 10 개 115. ③ 116. 2:3
117. ⑤ 118. ⑤
052. 탄산수소 나트륨을 가열하면 탄산 나트륨, 물,
119. 기체 반응 법칙, 수소:산소:수증기 = 2:1:2
이산화 탄소로 분해된다.
120. (가) 50 mL. (나) 100 mL 121. ④
모범 답안 탄산수소 나트륨이 분해되어 발생한 이산
122. 수소: 150 mL, 질소: 50 mL 123. ② 124. ①
화 탄소 기체가 밀가루 반죽을 팽창시키기 때문이다. 125. ③ 126. ② 127. 6N 개 128. ④
129. ③ 130. ④ ④, ⑦
131.

053. 모범 답안 2Mg + O2  2MgO, 산소는 분 132. ②, ⑥, ⑦ 133. ⑤ 134. ㄱ, ㄷ, ㅁ


135. 해설 참조 136. 해설 참조 137. 해설 참조
자 상태로 존재하므로 O가 아니라 O2로 나타낸다. 138. 해설 참조 139. 해설 참조 140. 해설 참조

054. 화학 반응의 생성물로 반응물에 포함된 성분 원


055. (2) 기체가 발생하는 반응에서도 공
소를 알 수 있다.
기 중으로 날아가는 기체의 질량을 고려하면 질량
모범 답안 수소(H)와 탄소(C), 양초의 연소 반응으로
보존 법칙이 성립한다.
물(H  O)과 이산화 탄소(CO )가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056. ㄷ. 반응 전 수소와 산소의 질량의 합은


2 g+16 g=18 g이고, 생성물의 질량도 물 18 g
으로 같다.
ㄹ. 질량 보존 법칙은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원
자의 종류와 수는 변하지 않고, 원자의 배열만 달
라지기 때문에 총질량이 변하지 않아서 성립한다.
ㄱ. 질량 보존 법칙은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에서 모두 성립한다.

057. 반응물의 총질량과 생성물의 총질량은 같다. 제


시된 반응에서 반응물은 (가)와 (나)이고, 생성물
은 (다)와 (라)이므로, 질량 관계는 (가)+(나)=
(다)+(라)이다.
058. 물질이 물리 변화하거나 화학 변화하는 경우 070. 나무가 연소하면 연소 생성물인 이산화 탄소와
모두 질량은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보존된다. 수증기가 공기 중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질량이 감
소하고, 강철 솜이 연소하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
059. (나)의 강철 솜은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하여 산화 철이 생성되기 때문에 질량이 증가한다.
빛과 열을 내면서 검은색의 산화 철이 되고, 결합한
산소의 질량만큼 질량이 증가한다. 071. 강철 솜에 묽은 염산을 가하면 수소 기체가 발
생하지만, 산화 철에 묽은 염산을 가하면 수소 기
060. 질량 보존 법칙은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에서 체가 발생하지 않는다.
모두 성립한다. ㄱ, ㄷ, ㄹ은 화학 변화이고, ㄴ은
용해로 물리 변화이다. 072. ① 얼음이 융해될 때 질량은 변화 없다.
②, ④ 기체가 발생하지만 밀폐된 공간에서 실험
062. 화합물을 구성하는 성분 물질 사이에는 일정한 하면 질량은 변화 없다.
질량비가 성립하지만, 혼합물은 성분 물질의 질량 ⑤ 앙금 생성 반응은 열린 공간과 밀폐된 공간에
비가 일정하지 않다. 서 모두 질량 변화가 없다.
③ 열린 공간에서 강철 솜을 가열하면
063. 일정 성분비 법칙은 화합물에서는 성립하지만, 결합한 산소의 양만큼 질량이 증가한다.
혼합물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073. 기체 발생 반응에서 생성된 기체가 공기 중으
064. 마그네슘과 산소가 반응하여 산화 마그네슘이 로 날아가면 질량이 감소하지만, 밀폐된 공간에서
생성될 때 마그네슘의 질량이 증가하면 반응하는 실험하여 생성된 기체의 질량까지 합하면 전체 질
산소의 질량, 생성되는 산화 마그네슘의 질량이 량은 보존된다.
증가하지만, 반응하는 마그네슘과 산소의 질량비
는 3:2로 일정하다. 마그네슘의 양이 증가하면 완 074. 닫힌 공간에서 탄산 칼슘과 묽은 염산이 반응
전히 반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하면 이산화 탄소가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질량은
일정하다. 그러나 열린 공간에서 반응하면 기체가
066. (1), (2)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수증기가 생 빠져나가므로 질량이 감소한다.
성될 때 일정한 부피비(수소:산소:수증기= 2:1:2)
를 이루므로 기체 반응 법칙이 성립한다. 075. ① 양초가 연소하면 이산화 탄소와 수증기가
(3) 부피비는 수소:산소:수증기=2:1:2 발생하여 공기 중으로 날아가 질량이 감소한다.
=60mL:30mL:60mL이므로 수소 기체 60 mL와 ③ 묽은 염산에 조개껍데기를 넣으면 이산화 탄소
산소 기체 30 mL가 반응하여 수증기 60 mL가 가 발생하여 공기 중으로 날아가 질량이 감소한
생성된다. 다. 이와 같이 기체가 발생하는 반응의 경우 닫힌
용기에서만 질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067. 수소 기체 80 mL 중에서 20 mL가 남았으므로 ②, ④, ⑤는 열린 용기에서도 질량이 일정하게 유
실제로 반응에 참여한 수소 기체의 부피는 60 mL 지된다.
이다. 따라서 부피비는 질소:수소:암모니아 = 20
mL:60 mL:40 mL=1:3:2이다. 076. ㄱ, ㄴ. 수소 기체가 발생하므로 고무풍선이 크
게 부풀어 오르지만, 밀폐된 용기 안에서 반응이 일
068. 기체 반응 법칙은 반응물과 생성물이 모두 기 어나므로 반응 전과 후에 물질의 총질량은 같다.
체인 반응에서만 성립한다. ㄷ. 고무풍선을 벗기면 발생한 기체가 공기 중으로
날아가므로 반응 전보다 질량이 감소한다.
069. 탄산 나트륨 수용액과 염화 칼슘 수용액이 반
응하여 흰색의 탄산 칼슘 앙금과 염화 나트륨 수 077. ③ 탄산 나트륨과 염화 칼슘이 반응
용액이 생성된다. 앙금이 생성되어도 반응물의 총 하여 탄산 칼슘의 흰색 앙금이 생성되어 뿌옇게
질량과 생성물의 총질량은 같으므로 반응 후 질량 흐려지는 화학 변화가 일어나지만 반응 전과 후의
은 반응 전 질량과 같다. 질량은 일정하다.
078. 나무가 연소하면 이산화 탄소, 수증기 등의 기 084. 탄산수소 나트륨이 분해되는 반응에서도 질량
체가 발생하여 공기 중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처음 보존 법칙은 성립하므로 탄산수소 나트륨 16.8 g
보다 질량이 감소한다. 마그네슘이 연소하면 공기 = 탄산 나트륨  g + 이산화 탄소 4.4 g + 물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 마그네슘이 생성되므 1.8 g이다. 따라서 생성되는 탄산 나트륨의 질량
로 처음보다 질량이 증가한다. 은 10.6 g이다.

079. 발생한 기체가 고무풍선에 모여 날아가지 못하 085. ⑤ 질량 보존 법칙은 모든 물리 변화


므로 기체 발생 전후에 질량은 일정하다. 와 화학 변화에서 성립한다.

080. ① 황산 나트륨+염화 바륨 086. ㄱ. 나무의 연소 반응 시 수증기와 이산화 탄소


 황산 바륨(흰 앙금)+염화 나트륨 기체가 생성되어 날아가므로 질량이 감소한다.
③ 앙금이 생성되는 화학 변화가 일어나도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087. 질량 보존 법칙은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에서

② 황산 바륨의 앙금이 생성되며, 기체 모두 성립한다.

는 생성되지 않는다.
④ 앙금 생성 반응은 열린 용기와 닫힌 용기에서 088. ⑤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원자의 종
모두 반응 전후에 질량이 변하지 않는다. 류와 개수는 변하지 않고, 원자의 배열이 달라진다.
⑤ 화학 반응이 일어났으므로 반응 후 생성된 물
질은 반응 전 물질과 성질이 다르다. 089. 구리 1.0 g이 산소 0.25 g과 반응하여 산화 구
리(Ⅱ)를 생성하였으므로 구리와 산소의 질량비는
081. 나무젓가락과 강철 솜은 열린 용기에서 연소시 4:1이다.
키고, 양초는 닫힌 용기에서 연소시키고 있다.
구분 화학 반응 질량 변화 090. 구리와 산소의 질량비가 4:1이므로 구리 6 g이
발생한 기체가 공기 산소 1.5 g과 반응하여 7.5 g의 산화 구리(Ⅱ)가
나무+산소 → 수증기
나무젓가락 중으로 빠져나가므 생성된다.
+이산화 탄소+재
로 질량 감소
열린 용기에서 산소
강철 솜+산소 091.
강철 솜 가 결합하므로 질량
→ 산화 철 구리(g) 2.0 4.0 6.0 8.0 10.0
증가
닫힌 용기에서는 발 산화
2.5 5.0 7.5 10.0 12.5
양초+산소 → 수증 생한 기체가 공기 구리(Ⅱ)(g)
양초 산소(g) 0.5 1.0 1.5 2.0 2.5
기 +이산화 탄소 중으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질량 일정 구리 2.0 g이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 구리(Ⅱ) 2.5 g
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산소 0.5 g이 반응했음을
082. 각 반응에서의 질량 변화는 다음과 같다. 알 수 있다. 따라서 질량비는 산소:산화 구리(Ⅱ) =
구분 용기 반응의 특징 질량 변화 1:5이다. 1:5 = 산소의 질량:30 g, 따라서 반응하는
① 닫힌 용기 기체 발생 일정 산소의 질량은 6 g이다.
⑤ 닫힌 용기 기체 발생 일정

092. 마그네슘 0.3 g이 산소와 반응하면 산화 마그


083. 탄산수소 나트륨  네슘 0.5 g이 생성된다. 이때 반응한 산소가 0.2
반응물 물+탄산 나트륨+이산화 탄소 g이므로 산화 마그네슘:산소의 질량비는 5:2이다.
생성물 따라서 산화 마그네슘 50 g을 얻기 위해 필요한
반응물의 총질량과 생성물의 총질량이 같아야 하 산소는 최소 20 g이다.
므로 이산화 탄소의 질량을 라고 한다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093. 반응하는 구리와 산소의 질량비는 4:1이므로
42 g = 4.5 g + 26.5 g +  g, ∴=11(g) 구리 8 g을 모두 반응시키기 위해 필요한 산소의
최소 질량()은 4:1 = 8:, =2 g이다.
094. 반응하는 질량비는 구리:산소:산화 구리(Ⅱ) = 101. ② 시험관 A~C에는 반응하지 않은
4:1:5이므로 산화 구리(Ⅱ) 30 g 속에 들어 있는 아이오딘화 칼륨 수용액이 남아 있다.
구리()와 산소()의 질량은 4:1:5 = : :30에서
구리는 24 g, 산소는 6 g이다. 102. 아이오딘화 칼륨 수용액 6 mL에 질산 납 수용
액을 6 mL 이상 넣어 주어도 앙금이 더 이상 생
095. 반응하는 구리와 산소의 질량비는 4:1 = 8:2이 기지 않으므로 아이오딘화 칼륨 수용액 6 mL와
고, 반응하는 마그네슘과 산소의 질량비는 3:2이 완전히 반응하는 질산 납 수용액은 6 mL이다.
므로 일정량의 산소와 결합하는 마그네슘과 구리
의 질량비는 3:8이다. 103. 농도가 같은 용액의 일정 부피 안에 들어 있는
아이오딘화 칼륨과 질산 납의 질량이 일정하므로
096. 실험 1에서 반응하는 수소:산소의 질량비 = 질량비도 일정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성분
0.3 g:(3.0-0.6) g = 0.3 g:2.4 g = 1:8이다. 비 법칙이 성립한다.
실험 2에서 반응하는 수소:산소의 질량비=
(1.0-0.4) g:4.8 g = 0.6 g:4.8 g = 1:8이다. 104. 질산 납과 아이오딘화 칼륨은 일정한 질량비로
결합하므로 일정량의 질산 납이 아이오딘화 칼륨
097. 수소 기체와 산소 기체가 반응하여 물을 생성 과 모두 반응하면 아이오딘화 칼륨을 더 넣어 주
할 때 수소:산소:물은 1:8:9의 질량비가 성립한다. 어도 반응할 질산 납이 없기 때문에 아이오딘화
따라서 물 36 g이 생성되기 위해 필요한 수소와 납이 더 이상 생성되지 않는다.
산소의 질량은 각각 수소 4 g, 산소 32 g이다.
105. 아이오딘화 칼륨 수용액 6.0 mL가 모두 반응
098. 실험 1에서 반응하는 기체의 질량비는 수소 : 할 수 있는 질산 납 수용액의 부피는 6.0 mL이므
산소 = 0.2 g:1.6 g(=2.0 g-0.4 g) = 1:8이다. 로, 아이오딘화 칼륨 수용액과 질산 납 수용액은
① 실험 2에서 반응하는 기체의 질량비는 수소:산 1:1의 부피비로 반응함을 알 수 있다. 즉, 시험관
소 = 1:8 = 0.3 g(=0.4 g-0.1 g):2.4 g이다. 따라 5에서는 아이오딘화 칼륨이 남아 있지 않으므로
서 남는 기체 (가)는 수소 0.1 g이다. 질산 납 수용액을 더 넣어도 반응이 일어나지 않
② 실험 3에서 반응하는 기체의 질량비는 수소:산 기 때문에 앙금의 높이는 일정하다.
소 = 1:8 = 0.6 g: g에서 반응하는 산소의 질량
()은 4.8 g이므로 (나)는 4.8 g + 0.2 g=5.0 g 106. 실험 1에서 반응한 물질 A와 B의 질량비를 구
이다. 하면 A:B=(3.8-0.2):2.4=3:2이므로 A 0.6 g과 반
③, ⑤ 수소와 산소의 질량비는 1:8이므로 수소와 응하는 B의 질량은 3:2=0.6:, =0.4 g이다. 따
산소가 반응하여 물이 생성되는 반응은 일정 성분 라서 생성되는 AB의 질량은 1.0 g(=0.6 g+0.4g)
비 법칙이 성립한다. 이다.
④ 물을 합성하는 반응에서 질량비가
수소:산소:물 = 1:8:9이므로 물을 분해할 때 생성 107. 탄소 6 g과 산소 16 g(= 이산화 탄소 22 g -
되는 수소와 산소의 질량비도 수소:산소:물 = 탄소 6 g)이 반응하여 이산화 탄소 22 g을 생성
1:8:9이다. 따라서 물 7.2 g을 분해하면 7.2 g × 하므로 탄소와 산소의 질량비는 6(g):16(g) = 3:8
  이다.
 =0.8 g의 수소와 7.2 g×  =6.4 g의 산소가 얻
 
어진다. 108. 반응하는 철과 황의 질량비가 7:4이므로 황화

철 22 g이 생성될 때, 철은 22 g×  =14 g이
099. (가)에서 수소 기체 0.12 g과 산소 기체 1.20 
g이 반응하여 산소 기체 0.24 g이 남았으므로 반 
반응하고, 황은 22 g×  = 8 g이 반응한다.

응한 수소:산소의 질량비는 1:8이다. 따라서 (나)
에서 수소 기체 0.24 g과 반응하는 산소 기체는 109. 10 g의 철과 반응하는 산소의 질량은 4 g(=14
1.92 g이므로 산소 기체 0.28 g과 반응하지 않고 g-10 g)이므로 철:산소의 질량비는 10 g:4 g =
남는다. 5:2이다.
110. 볼트 10 개와 너트 20 개가 반응하여 BN2 10 119. 기체 반응 법칙에 따라 수소:산소:수증기=2:1:2
개를 만들고 볼트 10 개가 남는다. 의 부피비가 성립한다.

111. 화합물 1 개를 구성하는 볼트의 질량은 6 g이 120. 수증기 생성 반응에서 부피비는 수소:산소:수증
고, 너트의 질량은 2×2 g이므로 볼트와 너트의 기 = 2:1:2이므로 수소 기체 100 mL를 완전히 반
질량비는 6(g):4(g) = 3:2이다. 응시킬 때 (가) 반응하는 산소의 부피는 50 mL이
고, (나) 생성되는 수증기의 부피는 100 mL이다.
112. 암모니아 분자 1 개를 구성하는 수소와 질소의
질량비는 3×1(g):14(g) = 3:14이다. 따라서 질소 121. 위 반응에서 수소:질소:암모니아 기체의 부피
56 g을 반응시키기 위해 필요한 수소의 질량은 사이에는 3:1:2의 정수비(부피비)가 성립하며, 이
다음과 같다. 3:14 = 수소의 질량:56 g, 수소의 것은 기체 반응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질량 = 12 g이다.
122. 수소:질소:암모니아 기체의 부피 사이에는
113. 그림은 볼트 1 개와 너트 3 개가 결합한 모형 3:1:2의 정수비(부피비)가 성립하므로 암모니아
이다. 따라서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100 mL를 얻기 위해서는 수소 150 mL와 질소
B+3N  BN3 이고 B:N의 질량비는 50 mL가 필요하다.

10 (g):3×2(g) = 5:3이다.
123. 기체의 부피비가 A:B:C = 2:1:2이므로 A 40 mL
는 B 20 mL와 모두 반응하여 C 40 mL를 만든다.
114. 볼트와 너트는 1:2의 개수비로 결합하므로 볼
트 10 개와 너트 20 개가 결합하여 화합물 10 개
124. 기체의 부피비가 수소:산소:수증기 = 2:1:2 = 10
를 만들고, 너트 10 개가 남는다.
mL:5 mL:10 mL의 부피비가 성립하므로 수증기
10 mL를 얻기 위해 필요한 산소의 부피는 5 mL
115. 볼트(B)와 너트(N)가 1:3의 비율로 반응하여
이다.
화합물이 만들어진다.

125. 기체의 반응에서 반응하는 기체의 부피비와 분


116. 화합물 BN2는 볼트(B) 1 개와 너트(N) 2 개로
자 수의 비는 서로 같다. 수소:산소가 2:1의 부피
이루어져 있다. BN의 질량이 7 g이고, B의 질량
비로 반응하므로 반응하는 분자 수비도 수소:산소
이 4 g이므로 N의 질량은 3 g이다. 따라서 화합
= 2:1이며, 따라서 산소 기체 1분자와 반응하는
물 BN2에서 B와 N의 질량비는
수소 기체는 2분자이다.
B:N = (4 g×1):(3 g×2) = 4:6 = 2:3이다.

126. 수증기가 합성될 때 반응 부피비는 수소:산소:수


117. A 25 개와 B 40 개를 이용하여 최대로 만들
증기 = 2:1:2이므로 수소 기체 10 mL와 산소 기체
수 있는 AB2는 20 개이고, 이때 A 5 개가 남는
5 mL가 반응하여 수증기 10 mL가 생성된다.
다. 그런데 만들어진 전체의 질량이 30 g이고,B
40 개의 질량은 20 g이므로 A 20 개의 질량은
127. 분자 수 비는
10 g이다. 따라서 AB2에 들어 있는 A와 B의 질
수소:염소:염화 수소=1:1:2=3N:3N:6N이다.
량비는 A:B = 10 g:20 g = 1:2이다.

128. 과산화 수소가 분해되면 물과 산소가 생성된다.


118. ㄱ. 화합물 BN2에서 B와 N의 질량
이산화 망가니즈는 촉매로서 과산화 수소의 분해
비는 B:N = (5 g×1):( 2 g×2) = 5:4이다.
를 도와주지만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촉
ㄴ. 볼트(B) 1 개와 너트(N) 2 개가 결합하여 화
매의 질량은 고려하지 않는다.
합물 BN2 1 개가 생성되므로 B+2N → BN2로 나
과산화 수소  물 + 산소
타낸다. 너트(N) 2 개가 결합되어 N2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1 개씩 따로 존재하므로 2N으로 나 68 g = 36 g +산소의 질량, 산소의 질량= 32 g
타낸다.
129. (가) 구리가 산소와 반응하므로 결합한 산소의
질량만큼 반응 후 질량이 증가한다. 부피비는 (60-10) mL:25 mL = 2:1이다. 즉, 두
(나), (다) 달걀 껍데기와 묽은 염산이 반응하면 이 기체 A와 B는 2:1의 부피비로 반응하여 기체C 2
산화 탄소 기체가 발생하고, 과산화 수소가 분해되 부피를 생성한다.
면 산소 기체가 발생하므로 반응 후 질량이 감소 ⑤ A 40 mL와 B 15 mL가 완전히 반
한다. 응하면 A 10 mL가 남는다.
(라) 아이오딘화 칼륨 수용액과 질산 납 수용액이
반응하면 노란색 앙금인 아이오딘화 납이 생성되 134. ㄱ. 반응 후 남은 기체가 없는 C점을 통해 반
므로 반응 전후 질량이 일정하다. 응한 부피비를 알 수 있다.
ㄴ. A점, B점 모두 질소가 남는다.
130. 볼트(B) 5 개와 너트(N) 10 개로 화합물 모형 ㄹ. D점에서는 수소 18 mL가 남는다.
을 만들었을 때 볼트 2 개와 너트 1 개가 남으므
로 볼트 3 개와 너트 9 개로 화합물 모형 3 개를 135. 탄산 칼슘+묽은 염산  염화 칼슘+물+
만든 것이다. 따라서 이 화합물 1 개는 볼트 1 개
이산화 탄소
와 너트 3 개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BN3로 나타낼
열린 용기에서 기체 발생 반응이 일어나면 질량이
수 있다. 이때 볼트 5 개의 질량이 20 g이므로 볼
감소하지만, 발생한 기체를 고려하면 반응 전후
트 1 개의 질량은 4 g이고, 너트 10 개의 질량이
질량은 일정하다.
20 g이므로 너트 1 개의 질량은 2 g이다. 따라서
모범 답안 (1) 질량이 감소한다.
BN3를 이루는 B와 N의 질량비는 (1×4 g):(3×2
(2) 밀폐된 용기에 넣어 반응 전과 후의 질량을
g) = 4:6 = 2:3이다.
측정한다.

131. 아이오딘화 칼륨 수용액 6 mL와 모두 반응할


136. 모범 답안 (1) 수소
수 있는 질산 납 수용액의 부피는 6 mL이므로 아
(2) 실험 전후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질량 보존
이오딘화 칼륨 수용액과 질산 납 수용액은 1:1의
법칙
부피비로 반응한다. 시험관 D는 두 물질이 모두
반응했으므로 질산 납 수용액을 더 넣어도 앙금이
137. 강철 솜을 연소시키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
더 생기지 않는다.
하여 산화 철이 생성되므로 결합한 산소의 질량만
큼 연소 후 질량이 증가한다. 나무를 연소시키면
132. ①, ③ 마그네슘의 연소 반응의 반응식은
이산화 탄소 기체와 수증기가 발생하여 공기 중으
2Mg+O2  2MgO이며, 질량 보존 법칙이
로 날아가므로 연소 후 질량이 감소한다.
성립한다. 모범 답안 강철 솜: 연소 후 질량이 증가한다.
④ 마그네슘과 산소의 질량비는 3:2이므로 마그네 나무: 연소 후 질량이 감소한다.
슘 2.4 g이 모두 연소하려면, 3:2 = 2.4:, =1.6
g의 산소가 필요하다.
⑤ 마그네슘과 산화 마그네슘의 질량비는 3:5이므 138. 모범 답안 구리와 산소가 반응하여 산화 구리(Ⅱ)
로 마그네슘 6 g이 모두 연소하면, 3:5 = 6:, 가 생성될 때 반응하는 구리와 산소의 질량비(구리:
=10 g의 산화 마그네슘이 생성된다. 산소=4:1)가 일정하기 때문이다.
② 반응하는 마그네슘과 산소의 질량비
는 3:2이다. 139. 모범 답안 산소 6 g, 실험 1에서 반응하는 질량
⑥ 마그네슘과 산화 마그네슘의 질량비는 3:5이므 비는 수소:산소=1:8이므로 실험 2에서 수소 3 g
로 산화 마그네슘 30 g을 얻으려면, 3:5 = :30, 과 산소 24 g이 반응하며, 산소 6 g이 남는다.
=18 g의 마그네슘을 연소해야 한다.
⑦ 반응하는 물질들의 질량 관계를 보고 각 물질 140. 모범 답안 110, 실험 1에서 부피비는 A:B=1:3이
의 부피비를 알 수는 없다. 므로 실험 2에서 기체 A 30 mL와 기체 B 90 mL
가 반응한다. 반응 후 기체 B 20 mL가 남았으므
133. 실험 1에서 반응한 A:B의 부피비는 (30-10) 로 반응 전 기체 B의 부피는 110 mL이다.
mL:10 mL = 2:1이고, 실험 2에서 반응한 A:B의
정답 및 해설 위해서는 에너지를 방출하는 화학 반응을 활용해

141. ㄱ, ㄴ, ㄷ 142. 방출, 높아 143. 흡수, 낮아


야 한다.

144. (1) 방출 (2) 방출 (3) 흡수


145. (1) (가) (2) (나), (다) 146. ㄷ, ㄹ 151. ㉠ 도시가스의 주성분인 메테인은 연소할 때
147. (1) X (2) O (3) X 148. ③ 149. ① 에너지를 방출한다.
150. ③ 151. ⑤ 152. ④ 153. ⑤
154. ②, ⑤ 155. ① 156. 해설 참조 152. (나) 에탄올이 기화하면서 열에너지를 흡수하므
157. 해설 참조 158. 해설 참조 로 주변이 시원해지는 것이다.
159. 해설 참조 160. 해설 참조

141. ㄹ. 산과 염기가 반응할 때에는 에너 153. ⑤ 액체 파라핀이 응고할 때 방출하는 열에너

지를 방출한다. 지로 통증 부위를 따뜻하게 찜질한다.

145. (가) 도시가스의 주성분인 메테인이 연소할 때 154. ②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열에


방출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거나 난 너지뿐만 아니라 빛에너지, 전기 에너지 등도
방을 할 수 있다. 출입한다.
(나) 잘게 부순 얼음과 소금을 3:1 정도의 질량비 ⑤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질량 보존 법칙이
로 섞어 주면 온도를 약 -21 ℃까지 낮출 수 있다.
성립한다.
(다) 베이킹소다의 주성분인 탄산수소 나트륨은 열
이 가해지면 분해되어 탄산 나트륨, 물, 이산화 탄
155. ②, ③, ④, ⑤의 화학 반응이 일
소가 생성된다. 이때 발생한 이산화 탄소 때문에
반죽이 부풀어 오른다. 어날 때에는 에너지를 흡수한다.

146. 냉각 장치에 활용할 수 있는 화학 반응은 에너 156. 모범 답안 염화 나트륨과 물이 반응할 때 에너지


지를 흡수하는 반응이다. 를 방출한다.

ㄱ, ㄴ, ㅁ은 에너지 방출하는 화학 반응
이다. 157. 모범 답안 산화 칼슘이 물과 반응할 때 에너지를
방출하여 주변의 온도가 높아지므로 구제역 바이러
스를 사멸하는 데 적합하다.
147. (1), (3) 수산화 바륨과 염화 암모늄의
반응은 에너지를 흡수하는 반응이며, 산화 칼슘과
158. 모범 답안 손난로는 철 가루가 공기 중의 산소할
물의 반응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반응이다. 따라서
때 방출하는 에너지를 활용한 발열 장치이다. 따라
산화 칼슘과 물의 반응에서는 같은 결과가 나타나
서 사용하기 전에는 철 가루와 공기 중의 산소가
지 않는다.
반응하여 손난로가 따뜻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난로를 비닐봉지로 밀봉해야 한다.
148.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항상 에너지가 출입하
며, 상태 변화와 같은 물리 변화에서도 에너지가
출입한다. 159. 모범 답안 산화 칼슘과 물이 반응할 때 방출하
는 에너지를 활용하여 음식을 데우거나 조리할
수 있다.
149. 철 가루와 공기 중의 산소가 반응할 때 에너지
를 방출하므로 부직포 주머니가 따뜻해진다.
160. 모범 답안 (1) 실험 1에서는 온도가 높아지고,
실험 2에서는 온도가 낮아진다.
150. 질산 암모늄과 물이 반응할 때 에너지를 흡수 (2) 나무판이 삼각 플라스크 바닥에 붙어서 따라
하므로 주변의 온도가 낮아진다. 이 반응을 활용 올라온다.
하여 냉각 장치를 만들 수 있다.
ㄷ. 불 없이 음식을 데우거나 조리하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