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내부 탑승자의 쾌적성 평가를 위한 초기 냉방운전 성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9

Transactions of KSAE, Vol. 18, No. 5, pp.

115-123 (2010) Copyright Ⓒ 2010 KSAE


1225-6382/2010/1 07-17

차량 내부 탑승자의 쾌적성 평가를 위한 초기 냉방운전 성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김 윤 기1)․양 장 식2)․백 제 현3)․김 경 천4)․지 호 성*4)
부산대학교 기계공학과1)․부산대학교 화력발전에너지분석기술센터2)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3)․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4)

Numerical Analysis on the Initial Cool-down Performance Inside


an Automobile for the Evaluation of Passenger's Thermal Comfort
Yoon Kee Kim1)․Jang Sik Yang2)․Je Hyun Baek3)․Kyung Chun Kim4)․Ho Seong Ji*4)
1)
Graduate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609-390, Korea
2)
Clean Coal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609-390, Korea
3)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609-390, Korea
4)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POSTECH, Gyeongbuk 790-784, Korea
(Received 13 January 2010 / Accepted 3 March 2010)

Abstract : Cool-down performance after soaking is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passenger's thermal comfort. The
cooling capacity of HVAC system determines initial cool down performance in most cases, the performance is also
affected by location, and shape of panel vent, indoor seat arrangement. Therefore, optimal indoor designs are required
in developing a new car. In this paper, initial cool down performance is predicted by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Experimental time-averaging temperature data are used as inlet boundary condition. For more
reliable analysis, real vehicle model and human FE model are used in grid generation procedure. Thermal and aero-
dynamic characteristics on re-circulation cool vent mode are investigated using CFX 12.0. Thermal comfort represented
by PMV(predicted mean vote) is evaluated using acquired numerical data. Temperature and velocity fields show that
flow in passenger's compartment after soaking is considerably unstable at the view point of thermodynamics.
Volume-averaged temperature is decreased exponentially during overall cool down process. However, temperature
monitored at different 16 spots in CFX-Solver shows local variation in head, chest, knee, foot. The cooling speed at the
head and chest nearby panel vent are relatively faster than at the knee and foot. Horizontal temperature contour shows
asymmetric distribution because of the location of exhaust vent. By evaluating the passenger's thermal comfort, slowest
cooling region is found at the driver's seat.

Key words : Thermal comfort(쾌적성), Cooling cycle(냉동사이클),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전산유체역학),


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system(공기조화 시스템)

Nomenclature 1) Subscripts
2
q : Heat flux, W/m o : Outside
G : Incident radiation heat flux density, W/m2 w : Surface of vehicle
hc :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W/m 2°C

*
Corresponding author, E-mail: hsji@pusan.ac.kr

115
김윤기․양장식․백제현․김경천․지호성

1. 서 론 그러나 많은 선행 연구가 수행 되었음에도 불구


하고, 다양한 형상과 기하학적 구조를 지니고 있는
자동차 내부의 공조시스템(Heating, Ventilating,
실제 차량의 구조적 복잡성으로 인하여 정확한 예
Air conditioning system; HVAC)은 실내 온도 및 공기
측과 평가를 위한 격자 생성의 어려움이 존재하여
의 질을 제어해 주는 매우 중요한 시스템으로 자동
단순화된 모델을 사용하거나 내부 유동구조에 지배
차의 부가가치 향상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
적 영향을 미치는 벤트의 크기와 모양을 실제와 다
한 공조시스템은 덥거나 추운 외부환경에 상관없
르게 적용하는 등 해석방법에 대한 몇가지 문제점
이, 차량 내부 탑승자에게 쾌적한 상태를 제공하는
이 제기되었다. 자동차의 경우, 밀폐된 좁은 공간에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자동차 실내 환기에 따른
서 속도나 온도의 비균일성이 매우 크게 나타나므
열적 쾌적성은 자동차 개발 시 매우 중요한 평가 지
로, 모델의 단순화 정도에 따라 정확하게 유동 구조
표가 되며, 이를 평가하기 위해 cool-down 또는
를 예측할 수 없으며, 실험과의 비교도 어려움이 따
warm-up 테스트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새
른다.
로운 개발 차량의 부가가치 상승에 대한 공기조화
본 연구에서는 승객이 느낄 수 있는 열적 쾌적성
설비의 최적사양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에 지배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세한 유동 구
수행하는 것은 과다한 연구비용의 투입이 요구될
조를 수치 해석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자동차 실
수 있기 때문에, 전자산업의 급격한 발달에 힘입어
차모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벤트의 위치
고성능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해석적 연구를 통한
및 크기도 실제 자동차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적용
개발 기간의 단축과 관련된 기술적 노력이 이루어
하였고, 승객실과 자동차 차체에 대해 각각 도메인
지고 있다.
을 생성하여 이를 연동시키는 Coupling해석을 통해
자동차 내부의 열 유동 해석 및 쾌적성 평가와 관
차체가 가지는 열용량에 따른 효과를 해석과정에
련된 다양한 선행 연구들은 HVAC 시스템의 개발과
반영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를 토대로 Fanger7)의 식
함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Hara 등1)
을 이용한 열적 쾌적성을 평가하였고, 각 위치별 쾌
은 4만개의 격자를 사용하여 자동차 내부 승객실의
적성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자동차 내부 열유동
비정상 유동에 의한 자동차 내부의 온도 분포를 수
연구의 기초자료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치해석적 기법으로 구하였다. Currle2)은 k-ɛ 난류모
델, 300만개의 격자를 사용하여 자동차 내부의 유동
3) 2. 해석방법
을 해석하고 운전자의 쾌적성을 평가하였다. Lin 등
은 공기유량, 벤트의 위치 및 유리의 특성 등 설계 2.1 지배방정식
변수를 활용하여, k-ɛ 난류모델, 20만개의 격자를 사 본 수치해석 연구는 아래와 같이 비정상RANS 방
용하여 자동차 내부의 열적 쾌적성을 평가하였다. 정식(Unsteady Reynolds Averaged Navier Stokes
Chien 등4)은 k-ɛ 난류모델, 약 5만개의 격자를 사용 equation)을 지배방정식으로 적용하였다.
9)

하여, ε-NTU법에 의한 입구벤트의 온도를 예측한 연속방정식(Continuity Equation)과 운동량방정식


후 시간에 따른 예상 평균 온열감(Predicted Mean (Momentum Equation)은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Vote; PMV)의 변화를 예측하였고, Kadel 등5)은 k-ɛ

난류모델, 35만개의 격자를 사용하여 HVAC system   ∇⋅    (1)

의 냉방 운전 조건하에서 차량 실내의 온도 변화를
수치해석적으로 예측하였다. Zhang 등6)은 k-ɛ 난류  
 ∇⋅⊗   ∇  ∇⋅    (2)
 
모델, 6만개의 격자를 사용하여 자동차 실내 cool-
down test를 모사하였고, 차량 내부에 설치한 온도감 여기서,  는 분자응력텐서이고,   는 운동량항
지 센서에서 얻은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계산결과를 (Momentum source)이다. 연속방정식은 변환되어 지
검증하였다. 지 않지만 운동량 방정식과 스칼라 수송방정식은

116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제18 권 제5 호, 2010


차량 내부 탑승자의 쾌적성 평가를 위한 초기 냉방운전 성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분자확산유동에 추가되는 난류유동항을 포함한다. Table 1 Volumetric flowrate at each vent


그리고 레이놀즈 평균 에너지 방정식(The Reynol Volumetric flowrate
Mode Air vent Flowrate Sub-Total Total
ds-Averaged Energy Equation)은 식 (3)과 같이 표현
(CMH) (CMH) (CMH)
할 수 있다. Left 128.0
L/C 112.4
   Vent 477
    ∇⋅   ∇⋅∆  (3) R/C 116.5
  Rec.
⋅    Right 120.0
Cool. 505
Left 7.2
Vent
여기서,  :열전도계수(Thermal conductivity), : L/C 8.6
Floor 28
에너지항(Energy source)을 나타내며, 평균 총 엔탈 R/C 6.5
Right 5.5
피(enthalpy,  )는 식 (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4) 어컨을 가동하였을 때, 시간에 따른 실내 온도의 변

화를 수치해석적 기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본
운동에너지(kinetic,  )는 다음과 같다. 연구에서 적용된 유량은 실제 차량에서 적용되는
3
 최대 토출유량의 70% 인 330CMH(m /hr)를 적용하
    (5)
 였으며, Table 1에 실제 운전모드에 따른 최대 풍량
따라서, 변수들이 추가된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과 각 duct의 배분 토출유량을 요약하여 나타내었
고, 벤트에서 나오는 냉기의 온도는 실험값을 curve

  ∇⋅  ∇⋅∆   
   (6) fitting하여 얻어진 식 (8)과 같은 함수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  
  exp    exp    
 
던 표준 k-ε모델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8)
고체에서 유동은 없고 전도와 열원에 의한 열전
차량 내부의 열유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달만 고려 대상이 되므로, 고체 도메인에서의 방정
환경은 차량 외부의 외기조건과 차체 표면 사이의
식은 다음의 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대류현상과 태양으로부터 인가되는 복사열이다. 이
 때 차체와 외기 사이에서 일어나는 열 교환량은 식
  ∇⋅∇     (7)

(9)와 같이 정의하였다.6)
여기서    에 대한 정의는 단지 고체에서의
         (9)
물리량이라는 것 이외에는 식 (3)과 동일하다.
2
여기서 q는 열유속(W/m ),  는 대류열전달 계수
2.2 해석 및 경계조건 (W/m2°C),  는 외기온도(°C),  은 차체의 바깥표면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의 초기 냉방성능을 해석하 온도(°C),  는 태양 복사 흡수율, 는 태양 열유속
2
고 평가하기 위해 외기온도 30°C의 날씨에서 1시간 (W/m )을 나타낸다.
이상 햇빛에 노출되어 내부온도가 60°C가 된 상태 차체에 축적된 열의 효과를 모델링하기 위해 유
에 있는 자동차 내 승객실을 가정하였다. 실험적 연 동 도메인과 차체에 대한 고체 도메인을 각각 생성
구에 있어서, 태양의 복사에너지가 차량의 천정에 하였으며, 이들이 상호 연동되어 해석되도록 하였
1000W 제공되도록 모사하는 조건과 동일하게 수치 고, 이에 따른 격자를 Fig. 1(a),(b)에 나타내었다. 유
해석적 연구에 적용하였으며, 제공된 복사열에 의 동장과 차체가 공유하는 면은 CFX 코드 자체 내에
해 차량 내부 공기가 가열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 서 제공하는 GGI(General Grid Interface)기법을 이용
동을 걸고 출발하여 정속주행(60km/hr)을 하면서 에 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는 노드사이의 데이터 교환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18, No. 5, 2010 117
Yoon Kee Kim․Jang Sik Yang ․Je Hyun Baek․Kyung Chun Kim ․Ho Seong Ji

는 Monte Carlo모델을 사용하였고, 복사 열유속은


2
1000W/m 로 가정하였다. 복사 열해석에 앞서, 유리
를 제외한 모든 고체표면에서의 방사율은 0.9를 , 전
후면 및 도어측 유리창에서는 0.84를 사용하였다.

2.3 열적 쾌적성 평가
열적 쾌적성을 평가하는 지표는 PMV(Predicted
Mean Vote), ET*-DISC, HSU모델이 있다. 각각의 모
델의 장단점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가장 고전적
모델이면서 광범위한 영역에서 사용되는 PMV 지
표를 사용하였다.4),11-13) PMV는 정상상태에서의 열
적 쾌적성 평가기준이나 본 연구에서는 냉각과정
동안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각
Fig. 1 Computational domain and grid system
timestep에서의 속도와 온도값을 식 (13)에 대입하여
PMV값을 계산하였다.
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실제 차체를 구성하는 부분은 단순히 하나의 물        ×   
질로 이루어 진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열적 특성을 갖 ×          
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10) 실제 차량의 Door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는 실내 측 Trim과 외측 판넬 그리고 그 사이의 공기
           ⋅⋅  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Wire, Actuator,
  
Steel Frame 등이 존재하여 내/외부 구성품 사이의
공기 층이 Thermal Bridge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복 여기서 M 은 인체의 활동량, 은 의복 표면온도,
잡하게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체의 구조를   은 평균 복사온도,   는 공기의 온도, 은 몸의
해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차 표면적에 대한 의복을 착용하였을 때의 면적비, 
체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한 물성치(Cp, k, ρ)를 고려 은 옷의 열 저항, 는 대류 열전달 계수를 나타내며
하여 차체에 대한 등가물성치를 구하였고, 이를 계 식 (14)과 같이 표현된다.
산과정에 반영하였다. 차체를 이루는 각 물성치의
for    ≺ 
등가물성치에 대한 기여도는 각 물질의 부피에 비
례한다는 가정하에 식 (10), 식 (11), 식 (12)와 같이
 


   

for    ≥ 

(14)

표현된다. 인체의 활동량(M)은 열적으로 쾌적한 상태에서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의 1met=58.2
     ⋯  
   (10) W/m2를, 옷의 열저항( )은 1clo=0.155m 2 °C/W 를 가
     ⋯  
정하였다. 계산상 수증기압(  )은 PMV 값에 미치
       ⋯    는 정도가 무시할 정도로 작으므로 각 온도에 따른
    (11)
   ⋯ 
   포화수증기압을 기준으로 상대습도 50% 로 가정하
여 계산하였다.
    ⋯  의복 표면온도(   )는 의복 표면에서의 평균온도
   (12)
    ⋯ 
로서 식 (15)에 의해 반복계산법에 의해 결정하였고,
마지막 경계조건으로서 태양복사에 의한 고체표 계산결과를 식 (13)에 대입하여 각 시간별 PMV를
면에서의 열전달은 CFX 코드 자체에 내장되어 있 구하였다.

118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제18 권 제5 호, 2010


Numerical Analysis on the Initial Cool-down Performance Inside an Automobile for the Evaluation of Passenger's Thermal Comfort

          ×   × (15) 중앙 좌우측 벤트에서는 x축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              조정하였다.
Figs 3~5는 내부 순환모드 하에서 자동차 내부 냉
3. 결과 및 토의 각 과정의 수치모사 결과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그
3.1 유동 및 열전달 해석 결과 림이다. 냉방 운전이 진행되면서 자동차 내부의 온
Fig. 2는 본 연구에 사용된 직교 좌표계 및 자동차 도분포는 시간에 따라 변화의 폭이 크게 나타나는
내부의 기하학적 제원을 나타낸 그림이다. Fig. 2(a) 반면, 속도장에 의해 정의되는 유동구조는 전체 해
에서 좌표계의 원점은 차량의 앞부분에 위치하고 석 시간동안 거의 변함없이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
있으며, 원점을 기준으로 x축은 자동차의 길이방향, 였다. Fig. 3은 일정 시간(t=1600s)이 지난 후의 차내
y축은 자동차의 너비 방향, z축은 자동차의 높이방 단면에 대한 속도장을 나타낸다. 양 측면 벤트에서
향을 가리킨다. 유동장 계산을 위한 자동차 내부는 분사된 냉기는 운전자와 조수석 승객의 어깨를 지
폭이 약 1.8m, 길이는 약 3.1m, 높이는 약 1.2m의 제 나 뒷좌석으로 유입되며, 운전자와 보조석 승객의
원을 가진다. Fig. 2(b)에서 y=0인 자동차의 중심 단 머리 위쪽으로 약 1.3m/s의 기류를 형성한다(Fig.
면에 대해 4개의 패널벤트는 z축에 대해 서로 대칭 3(a)). 이 유동은 큰 저항 없이 천정벽면을 따라 뒷좌
을 이루고 있으며 측면 벤트의 중심은 z=0.68m에 위 석으로 유입되어 흐르다가 다시 양 측면 도어 벽면
치하며, 중앙 좌우 벤트의 중심은 측면 벤트보다 을 따라 앞좌석으로 되돌아오는 순환 유동구조를
0.08m 아래인 z=0.6m에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진다(Fig. 3(b)). 중앙 좌우벤트에서 나오는 냉기
HVAC 덕트의 끝에 위치하는 그릴에 의해 조절되는 는 수평방향으로 그대로 뒷좌석까지 직진하여 다시
냉풍의 분사각도는 좌우 측면 벤트에서는 x축에 대 양 측면 도어 쪽을 통해 앞좌석으로 유입되며, 이 과
해 약 45° 각도로 위쪽을 향해 분사되도록, 그리고 정에서 약 30% 정도의 냉기는 뒷좌석으로 유입되지
않고 조수석 쪽으로 흘러 조수석 무릎쪽의 재순환
출구벤트(exhaust vent)로 유출된다. 벤트에서의 출
구 속도는 위치에 따라 0.5~0.7m/s 정도의 차이를 가
지고 있으나 평균적으로 약 3.7m/s로 계산되었고,
평균 실내 속도는 약 0.5m/s, 최저 속도는 전면유리
창에서 0.02 m/s의 속도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유동장 내부로 들어온 냉기는 주위의 더운 공
(a) General cartesian coordinate system of vehicle 기에 의해 열을 차츰 공급받아 온도가 상승하는 한
편, 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뒷좌석에서는 벤
트에서 나온 분사속도의 약 70%의 속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속도가 다른 두 유체간에 일
어나는 에너지 소산에 의한 효과로 사료되며, 이 과
정에서 유동장 내부로 분사된 차가운 공기와 정체
된 더운 공기 사이에 활발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최종적으로 열적 평형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
으로 사료된다.
Fig. 4(a)와 (b)는 각각 운전석 중앙 x-z 단면(y=
-0.365m), 조수석 중앙 x-z 단면(y=0.365m)에 대한
(b) Coordinates at front panel
Fig. 2 Coordinate system and specification of indoor panel 온도 분포를 등온도 분포 형태로 나타낸 그림이다.
vents 공통적으로 승객의 머리 위쪽에서 약 19°C 정도의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18, No. 5, 2010 119
김윤기․양장식․백제현․김경천․지호성

(a) Horizontal plane at z=0.68m


(a) Velocity field at centers of each seat

(b) Horizontal plane at z=0.6m


Fig. 5 Temperature contour at horizontal planes
(b) Velocity field at centers of each vents
Fig. 3 Velocity field at the vertical planes 낮은 온도 분포를 보이는 기류가 형성되었고, 전면
유리창에서 높은 온도 정체영역이 존재함을 확인하
였다. Fig. 4(a)와 (b)에서 조수석 line 보다는 운전석
line에서 냉각속도가 느린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좌
석 운전자 주위와 조수석 승객 주위의 온도차는
5~10°C 정도, 앞좌석과 뒷좌석의 온도차는 약 2~
5°C로 관찰되었다. 이는 HVAC 시스템 쪽으로 재순
환되는 출구벤트의 위치가 조수석 근처에 위치함에
따라 냉기가 상대적으로 출구 근처에 있는 조수석
(a) Center plane of driver's seat (y=-0.365m)
쪽으로 흐르고자 하는 공기역학적인 원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Fig. 4(a)에서 운전자의 가슴에서
발까지 최대 30°C 정도의 높은 온도를 가지는 영역
이 형성되었고, 그 주위로 3~4°C 정도의 온도편차를
가지면서 유동하는 영역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운
전석 뒷좌석에 있는 승객 주위로는 목 주위에서 국
부적으로 30°C도 정도, 주위와의 최대 온도차는 5°C
정도로 나타났다. 한편, 조수석에서는 전체적으로
(b) Center plane of assistant's seat (y=0.365m) 22°C 정도의 균일한 온도분포를 지니고 있었으나
Fig. 4 Temperature contour at vertical planes 무릎 쪽에서 약 25°C 정도의 온도 정체구간이 나타

120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제18 권 제5 호, 2010


차량 내부 탑승자의 쾌적성 평가를 위한 초기 냉방운전 성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났고, 이러한 경향은 조수석 뒷좌석에서도 관찰되


고 있다. 자동차 내부에서 이와 같이 국부적으로 큰
온도차가 나타나는 원인은 공기조화 시스템에 의해
차 실내의 공기가 냉방되고 있는 중에도 천정과 도
어쪽 벽면을 통해 복사에 의한 열전달이 계속 이루
어지기 때문이다.
Fig. 5(a)와 (b)는 승객실 내 x-y 단면에 대한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 Fig. 5(a)는 바닥으로부터 z=0.68m
에 위치한 양 측면 벤트의 중앙단면에 대한 온도분
포를, Fig. 5(b)는 이보다 0.08m 아래에 위치한 z=
0.6m 에서 중앙좌우 벤트의 중앙단면에 대한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Fig. 5(a)와 (b)에서 가장 높은
Fig. 6 Temperature variation as a function of time domain
온도가 운전석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다. 중앙 좌우 벤트에서 나오는 냉풍도 운 영역에서 냉각속도가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전석으로 거의 침투되지 못하고 있다. 운전석에서 전체적으로 냉기가 직접 전달되는 가슴과 머리 쪽
의 평균온도는 대략 27~30°C,로 나타나고 있는 반 에서의 온도가 무릎이나 발쪽에서보다 더 빨리 냉
면, 조수석에서의 온도는 20~23°C로 국부적인 온도 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운전석과 운
전석 뒷좌석보다 조수석과 뒷좌석에서 더 낮은 온 3.2 쾌적성 평가
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조수석 뒷좌석에서의
Fig. 7은 유동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온도가 운전석에서보다 평균적으로 약 3~4°C 더 낮 PMV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제 Fanger의 식에
게 나타나고 있다. 서의 PMV값은 ±3의 범위를 가지면서 +3은 매우 더
Fig. 6은 자동차 내부의 온도 검출 위치에 따른 16 운 상태를, -3은 매우 추운 상태를 그리고 0은 가장
개의 지점에서의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나타 쾌적한 상태를 지수로 표시하였다. 그러나 매우 덥
낸 그래프이다. 그래프 안의 그림은 16개의 온도검 거나 매우 추운 극한의 상태에서 PMV를 계산해 보
출 위치를 나타내며 운전자, 운전석 뒷좌석 승객, 보 면 PMV 값이 ±3의 범위를 벗어남을 볼 수 있다. 본
조석 뒷좌석 승객, 보조석 승객순으로 1~4의 번호를 계산에서도 초기온도가 60°C일 때의 PMV값은 계
붙였고, 각 승객의 머리, 가슴, 무릎, 발 에서의 온도 산구간에 따라 12.5~15.9의 범위를 가지고 있는 것
검출 위치를 나타낸다. 초기에는 모든 지점에서 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PMV값이 +3보다 클
60°C의 온도값을 가지고 있으나, 냉풍이 토출 그릴 때에는 이미 쾌적성을 평가할 열적 상태를 벗어났
을 따라 유동장 내부로 들어옴에 따라 내부 온도는 다고 판단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러므로 PMV
점차 감소하며, 국부적인 온도의 불균일성이 최대 가 ±3의 범위 안에 얼마만의 시간 내에 도달하는지
10°C 정도의 값을 가지고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모 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앞 절에서, 냉각속
든 위치에서 온도는 지수 함수의 형태로 처음에는 도가 가장 느린 것으로 분석되었던 운전석에서의
감소폭이 크게 나타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MV를 나타내는 Fig. 7(a)의 경우, 냉방운전을 가동
점차 온도 변화폭이 줄어들었고, 일정시간이 경과 하여 약 10분이 경과한 후, 머리와 가슴에서 각각
한 이후 각 위치에서 온도값의 순서가 바뀌지 않는 2.3, 2.89로 +3의 범위 안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러나
일관성을 보였다. 조수석의 냉각속도는 다른 위치 무릎과 발쪽은 각각 3.37, 3.69로 아직도 범위를 벗
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진행되었으며, 운전 어나 있음을 볼 수 있다. 반면, 같은 시각에서 조수
자의 발이 위치하는 가속 페달과 제동 페달이 있는 석에서의 PMV 지수는 모두 3 이하가 되었으며, 특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18, No. 5, 2010 121
Yoon Kee Kim․Jang Sik Yang ․Je Hyun Baek․Kyung Chun Kim ․Ho Seong Ji

(a) PMV at 4 monitor points of driver's seat (b) PMV at 4 monitor points of assistant's seat

(c) PMV at 4 monitor points of rear driver's seat (d) PMV at 4 monitor points of rear assistant's seat
Fig. 7 Real time PMV plot at 16 monitor points

히 머리 쪽은 1.19로 약간 더운 정도가 되었다. Fig. 7(a) 리 쪽보다 약 0.13m/s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600초
와 (b)는 공통적으로 가슴보다 머리 쪽에서 더 낮은 후, 조수석 line 뒷좌석 승객 쪽은 머리, 가슴, 무릎,
PMV값을 가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양 측면에서 나 발 쪽에서 모두 3이하의 PMV값에 수렴하였다. 운
온 냉기가 머리 위쪽으로 형성한 기류에 의해 측정 전석 line 뒷좌석 승객쪽 역시 가슴, 무릎, 발쪽에서
하는 지점에서의 온도가 낮고, 동시에 속도도 높게 3이하의 PMV값에 수렴하였으나, 머리 쪽은 3.37 정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뒷 좌석에서의 도로 쾌적성의 범위 안에 들지 못하고 있다. 전체적
PMV 값을 나타내는 Fig. 7(c)와 (d)를 보면 공통적으 으로 종합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에어컨의 영
로 가슴보다 머리 쪽에서 더 높은 PMV 값을 가지는 향으로 PMV 지수가 낮아지며, 약 600초가 지나면
데 이는 뒷좌석에서는 머리보다는 가슴 쪽에서 더 몇 지점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쾌적성을 평
낮은 온도와 높은 속도를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 가할 수 있는 범위 안에 들게 된다. 약 1600초가 지
석된다. 계산에 의하면, 중앙 좌우벤트에서 나온 냉 났을 때의 모든 신체부위를 평균한 PMV 지수는 조
기는 앞 좌석 사이를 지나 뒷좌석으로 유입되면서 수석, 조수석 열 뒷자리, 운전석 열 뒷자리, 운전석
뒷좌석 승객의 가슴쪽 주위로 흐르게 되어, 머리쪽 순으로 높아지며, 그 값은 각각 0.712, 0.955, 1.562,
보다 약 2°C 정도 낮은 온도가 분포되고, 속도도 머 1.563으로 나타났다.

122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제18 권 제5 호, 2010


Numerical Analysis on the Initial Cool-down Performance Inside an Automobile for the Evaluation of Passenger's Thermal Comfort

4. 결 론 3) C. H. Lin, T. Han and C. A. Koromilas, “Effect


of HVAC Design Parameters on Passenger
자동차 내부의 열유동 현상을 규명하고 쾌적성을 Thermal Comfort,” SAE 920264, 1992.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실차모델을 4) C. H. Chien, J. Y. Jang, Y. H. Chen and S. C.
이용한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차량 내부 Wu, “3-D Numerical and Experimental Ana-
각 위치별 쾌적성 평가를 시도하여 실차에 바로 적 lysis for Airflow within a Passenger Com-
용가능한 정량적인 데이터 분석을 제시하였다. 내 partment,” Int. J. Automotive Technology,
Vol.9, No.4, pp.437-445, 2008.
부 순환모드 조건에서 비정상 열유동 해석수행 결
5) M. F. Kader, Y. M. Youn, Y. D. Jun and K. B.
과 얻어진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Lee, “Characterization of the HVAC Perfor-
1) 자동차 내부에서의 cool-down 해석을 통해 자동 mance with Defroster Grillers and Instrument
차 내부는 열적으로 비균일성이 강한 유동장임 Panel Registers,” Int. J. Automotive Techno-
을 밝혔고, 1600초 후에도 위치에 따라 10°C이상 logy, Vol.10, No.3, pp.305-312, 2009.
의 온도 편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6) H. Zhang, L. Dai, G. Xu, Y. Li, W. Chen and
W. Q. Tao, “Studies of Air-flow and Tempera-
2) 냉기 토출구 근처에 위치하는 머리나 가슴부분
ture Fields Inside a Passenger Compartment for
에서 공기가 다른 위치보다 더 신속히 냉각되고, Improving Thermal Comfort and Saving
온도의 변화가 가장 작게 나타나는 부분은 발쪽 Energy. Part I: Test/Numerical Model and Vali-
임을 확인하였다. dation,”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29,
3) 내부 순환모드 조건 하에서 출구 경계조건의 위 pp.2022-2027, 2009.
치는 내부 압력과 속도 및 온도 분포에 큰 영향을 7) P. O. Fanger, Thermal Comfort, Robert E.
Krieger Publishing Company, 1982.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8) ANSYS CFX Release 11.0, ANSYS Europe,
4) 약 600초가 경과한 이후, 계산 위치별 PMV는 국
Ltd., 1996.
부적으로 +3 범위 이내로 수렴하였고, 1600초가 9) ANSYS CFX Release 11.0, ANSYS Europe,
지났을 때 열적 쾌적성의 정도는 조수석 열에서 Ltd., 1996.
0.712로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조수석열 뒷자리 10) H. R. Shim, M. S. Kim and M. S. Oh, “A Real
에서 0.955, 운전석열 뒷자리 1.562로 나타났고 Time Numerical Analysis of Vehicle Cool-
down Performance using 1D System and 3D
가장 낮은 쾌적성을 가지는 영역은 운전석으로
Heat Transfer Simulation,” KSME Annual
그 값은 1.563으로 분석되었다.
Conference, 2006.
11) J. Y. Koh, T. W. Kang and Y. Park, “Thermal
후 기
Comfort and Air Flow Patterns for Indoor Unit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에서 시행한 자동차 핵심기 Positions and Ventilation Rates in Cooling
반기술개발 사업의 기술 개발 결과이며, 이에 감사 Operation,” Journal of SAREK, Vol.20, No.4,
드립니다. 아울러 이 연구과제 수행에 도움을 준 현 pp.221-229, 2008.
12) C. H. Lee, G. N. Bae, H. C. Choi and C. S. Lee,
대자동차에 감사드립니다.
“Characteristics of Thermal Environments and
References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in Office Buil-
ding in Summer,”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
1) J. Hara, K. Fujitani and K. Kuwahara, “Computer tute of Korea, Vol.13, No.2, pp.285-288, 1993.
Sim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 Airflow,” 13) Y. I. Kwon and S. S. Kwon, “Numerical Study
SAE 881749, 1988. for the Prediction of the Thermal Comfort in a
2) J. Currle, “Numerical Simulation of the Flow in Rectangular Enclosure Simulated as an Ondol
a Passenger Compartment and Evaluation of Cavity with the Ondol Heating System,” Journal
the Thermal Comfort of the Occupants,” SAE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Vol.4,
970529, 1997. pp.160-172, 1996.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18, No. 5, 2010 12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