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1

수학 I

실력편 12 등차수열

1.� 등차수열의� 일반항


*Note � 수의� 범위를� 복소수까지� 확장하여� 생각하면,�
기본정석
이를테면�     ⋯와� 같은� 수의� 나열도� 수열로� 볼� 수�
1 등차수열,� 등차수열의� 일반항 있다.�

(1)� 첫째항에� 차례로� 일정한� 수를� 더하여� 얻어지는� 수열을�


등차수열이라� 하고,� 더하는� 일정한� 수를� 공차라고� 한다.�
보기 1 � � 수열� 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 구하여라.

일반적으로� 수열�      ⋯       ⋯이� 첫째항이�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을� 이룰� 때,� 연구     으로�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  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항은�    이다.

가� 성립한다.�   수열과� 함수�


(2)� 첫째항이�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의� 일반항(제� 항)을� 수열�  은� 각� 항의� 번호에� 그� 항이� 대응하는� 함수로� 생각할� 수�
 이라고� 하면 있다.� 이를테면� 앞면의� 수열� ①은� 자연수� 전체의� 집합� N에서� 실수�
정석        전체의� 집합� R로의� 함수�   N → R가� 있어� N 의� 임의의� 원소�
에� 대하여�
2 등차중항
   → � � � 곧,�  
세� 수�   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룰� 때,� 를�  와� 의� 으로� 정의할� 때,� 그� 함숫값을
등차중항이라고�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과� 같이� 차례로� 나열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1)�    가� 등차수열� ⇔      ⇔    � ⇦산술평균

(2)� 수열�  이� 등차수열 ⇔               ⋯

보기 2        로� 정의된� 수열의� 첫째항과� 제 항을�


  구하여라.
수열에� 관한� 여러� 가지� 용어
▶� 수열 ⋅항 ⋅일반항� -� 이를테면� 의� 에
   ⋯  ⋯ 연구 첫째항은�      ,� � � � 제  항은�      
을� 차례로� 대입하면 ▶� 유한수열 ⋅무한수열� -� 수열에서� 항이� 유한개인� 수열을�
   ⋯  ⋯ ⋯ ① 유한수열이라� 하고,� 항이� 무한히� 계속되는� 수열을� 무한수열이라고�
이다.� 이와� 같이� 어떤� 일정한� 규칙에� 따라� 차례로� 얻어지는� 수를� 한다.�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수열이라고� 하고,� 수열을� 이루는� 각� 수를� 그� 수열�  이� 유한수열일� 때� 마지막� 항이�  이면
수열의� 항이라고�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반적으로� 수열을� 나타낼� 때에는� 각� 항의� 번호를� 써서
과� 같이� 나타내고,� 수열�  이� 무한수열일� 때에는
    ⋯  ⋯� � � � � ⋯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와� 같이� 나타내고,� 앞에서부터� 차례로
과� 같이�  의� 다음에� 세� 개의� 점을� 찍어� 유한수열과� 구별해서�
첫째항,� 둘째항,� 셋째항,� ⋯ 째항,� ⋯
나타낸다.�
또는�
첫째항( 제 항),� 제  항,� 제 항,� ⋯ 제  항,� ⋯ *Note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유한수열을� 따로� 정의하고�
이라고� 한다.� 있지� 않다.
또,� 수열의� 제 항�  을� 이� 수열의� 일반항이라� 하고,� 앞면의� 수열�
②를� 일반항�  을� 써서� 간단히�  과� 같이�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앞면의� 수열� ①은� 간단히� 으로� 나타낼� 수� 있다.�

1
실력정석 수학1

  등차수열의� 일반항


1)� 등차수열�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 이를테면� 수열�     ⋯� � � � � � � � � � � � � � � � ⋯ ① (1)�       일� 때,�  을� 구하여라.

은� 첫째항이�  에� 차례로�  을� 더하여� 얻어지는� 수열이다.� 이와� 같은� � � � 또,�    을� 만족하는� 의� 값을� 구하여라.
수열을� 첫째항이� 이고�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라고� 한다.� (2)� 첫째항과� 공차가� 모두� 정수이고,�       일� 때,�  을�
� � 일반적으로� 첫째항이�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의� 제� 항을� 구하여라.
 이라고� 하면

   ⋯     ⋯ 정석연구 등차수열�  의� 첫째항을�  공차를� 라고� 하면�
║ ║ ║ ║ ║ 제 항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석       
이다.� 조건을� 써서� 와� 의� 관계식을� 구한다.�
이므로� 다음� 사실을� 알� 수� 있다.�
 � 등차수열의� 일반항�  은�       와� 같이�
� � � � � � � � � � 정석 �              
 ≠  일� 때� 에� 관한� 일차식으로� 나타내어지고,� 의� 계수가�
� � 수열� ①에서�      이므로�       를� 써서�
공차임을� 알� 수� 있다.�
제 항을� 구하면
� � � � � 정석      � ⇒ 수열� 은� 공차가� 인� 등차수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기 3 �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수열�    ⋯에서�  는� 제� 몇� 항인가?
(2)� 첫째항이� 이고,� 제  항이� 인� 등차수열의� 공차를� 구하여라.
(3)� 공차가�  이고,� 제 항이�  인� 등차수열의� 첫째항을�
유제 12-1
구하여라. 2.
(4)� 제 항이�   인� 등차수열의� 공차를� 구하여라. 2) 제  항과� 제  항은�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반대이며,� 제  항이�  인�
등차수열�  의� 첫째항과� 공차를� 구하여라.
연구 � (1)� 첫째항이�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제�

항이�  라� 하면�    ×   ∴   


∴ 제  항
(2)� 공차를� 라고� 하면�    ×   ∴    
(3)� 첫째항을�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4)� 일반항�  은�     이므로� 공차를� 라고� 하면
유제 12-2
              3.
*Note 등차수열  Pr을� AP 로�
3)� 제  항이� ,� 제  항과� 제  항의� 비가�    인� 등차수열� 의� 첫
나타내기도� 한다.� 째항과� 공차를� 구하여라.

  등차수열이� 되기� 위한� 조건


� � 세� 수�   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룰� 때,
� � � � � �   AP� � ⇔�       � � ⇔�     
이므로�
유제 12-3
4.
� � � 정석 �    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 ⇔      4) 등차수열�  에서�     ,�      일� 때,�
� � 일반적으로� 수열�     ⋯          ⋯에�     을� 만족하는� 의� 값을� 구하여라.
대하여�
이� A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정석 수열�  이� 등차수열� ⇔         

필수 예제 12-1
1.

2
12 등차수열

필수 예제 12-2 필수 예제 12-3
5. 7.
5) 첫째항이�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  과� 첫째항이� ,� 공차가� 7)�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 
 인� 등차수열� 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로� (1)�   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루고,�       도� 이�

나열하여� 얻은� 수열�  의� 제 항을� 구하여라.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룰� 때,�      를� 구하여라.� 단,�  ≠ 이다.
(2)� 첫째항부터� 제  항까지의� 합이�  이고,� 제곱의� 합이� 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 구하여라.�
정석연구 수열�  ,�  의� 처음� 몇� 항을� 실제로�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정석연구 � (1)�    AP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이용한다.�
� � � � � � �             ⋯
정석   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 ⇔    
� � 곧,� 수열�  은
(2)� 등차수열을� 이루는� 세� 수,� 네� 수를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석 세� 수가� 등차수열� ⇒�      
과� 같이� 첫째항이�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다.� 따라서� 제� 항은
      ×     � � � � � � � 네� 수가� 등차수열� ⇒         
� � 와� 같이� 놓으면� 중간� 계산이� 간편할� 때가� 있다.�
이다.� 일반적으로� 다음� 모범답안과� 같이� 구한다.�

유제 12-5
8.
8) 네� 수�     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 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여라.

유제 12-4
6.
유제 12-6
6) 두� 등차수열
9.
� :�     ⋯ � :�     ⋯   
9)
     이�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루면�
  
     
의� 공통으로� 나타나는� 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하여� 얻은� 수
열의� 일반항을� 구하여라.     도�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이것을� 증명하여라.

유제 12-7
10.
10) 서로� 다른� 세� 정수�   에� 대하여�   에� 대하여�
    이� 각각�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  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여라.

3
실력정석 수학1

2.� 조화수열 필수 예제 12-4


11.
기본정석
1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조화수열  
(1)� 다섯� 개의� 수�        이� 이� 순서로� 조화수열을�
 
� � 어떤� 수열의� 각� 항의� 역수가� 등차수열을� 이룰� 때,� 그� 수열을�
이루도록�    의� 값을� 정하여라.
조화수열이라고� 한다.� 곧,�
(2)�       이고,
   
정의      ⋯    ⋯ (등차수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화수열) (단,�      ⋯)


을� 만족시키는� 수열�  이� 있다.
2 조화중항
� � � �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이� 정수가� 되는� 의� 값을�
� �  이� 아닌� 세� 수�    가� 이� 순서로� 조화수열을� 이룰� 때,� 를� 구하여라.
와� 의� 조화중항이라고� 한다.�
    정석연구
 
(1)�    가� 조화수열� ⇔      ⇔    � (1)�       이� 조화수열을� 이루도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화평균 하는� 것이므로�
(2)� 수열�  이� 조화수열� 정의 � 조화수열을� 이룬다.� ⇔� 역수가� 등차수열을� 이룬다.�
   에� 착안하여,� 먼저� 역수의� 수열을� 생각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이런� 유형의� 조건식을� 변형하는� 방법은� 공식처럼� 기억해�
두어야� 한다.�

 � 조화수열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제외된� 내용이지만,� 정석 양변을�        로� 나누어� 본다.�


등차수열의� 응용으로� 다루어� 보기로� 한다.� 이를테면� 수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의� 각� 항의� 역수는�
    ⋯ ⋯ ②
와� 같이� 등차수열을� 이룬다.� 이때,� 수열� ①을� 조화수열이라고� 한다.�
따라서� 조화수열� ①의� 제� 항은� 등차수열� ②의� 제 항의� 역수와�
같다.� � 유제 12-8
12.
*Note 조화수열� Pr을� HP 로�
12)    이고,� ,�          � (단,�      ⋯)일�
나타내기도� 한다.�
때,� 수열�  의� 일반항�  을� 구하여라.

보기 1 � � 다음� 조화수열에서� 일반항�  을� 구하여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구 � 각� 항의� 역수는
     
        ⋯  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석 수열의� 규칙� ⇒� 각� 항의� 역수가� 이루는� 규칙도� 찾아본다.�

4
12 등차수열

3.� 등차수열의� 합 필수 예제 12-5


13.
기본정석
13)� 다음� 등차수열의� 합을� 구하여라.
등차수열의� 합의� 공식
   
첫째항이�  공차가�  제 항이� 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1)�             ⋯ ( 제 항)
   
제 항까지의� 합을�  이라고� 하면  
(2)�   
   ⋯ (제 항)
             
(1)�       
  (3)� log   log   log    ⋯ log    

 등차수열의� 첫째항을�  공차를�  제 항을� 이라고� 정석연구 � 등차수열의� 합을� 구할� 때,� 첫째항� 와� 공차� 를�
할� 때,�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  은 구하여� 아래� 첫� 번째� 공식을�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특히�
          ⋯          제 항� 을� 알� 수� 있을� 때에는� 아래� 두� 번째� 공식을� 이용하는� 것이�
이고,� 우변의� 각� 항을� 역순으로� 나열하면 편리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석       
 
이다.� 여기에서� 두� 식을� 변변� 더하면� 좌변은�  이고,� 우변은� 서로�
대응하는� 각� 항의� 합이�   이며� 이것이� 개이다.� 곧,�
� � � �            ⋯       

유제 12-9
개 14.
  14)� 다음을� 구하여라.
����������������∴   
   
(1)� 등차수열�       ⋯ 의� 제 항까지의� 합
� � 한편� 은� 제 항으로서�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등차수열�      ⋯의� 제  항까지의� 합
   
    
(3)� 등차수열� log  log  log  ⋯ 의� 제 항까지의� 합
보기 1 �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4)� 등차수열�    ⋯   의� 합
(1)� 첫째항이�  ,� 제  항이�  인� 등차수열의� 제 항까지의� 합을� (5)� 등차수열�    ⋯ 의� 합
구하여라.�
(2)� 첫째항이�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의� 제  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연구 � 첫쨰항과� 제 항이� 주어질� 때에는� 아래� 첫� 번째� 공식을,�


첫째항과� 공차가� 주어질� 때에는� 아래� 두� 번째� 공식을� 주로�
이용한다.�

정석
 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2)�     

5
실력정석 수학1

필수 예제 12-6 필수 예제 12-7
15. 17.
15) � 다음� 수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룰� 때,� 물음에� 답하여라.�
 
 
17) 등차수열� 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
    ⋯     ⋯   
   
(1)�   일� 때,� 의� 값을� 구하여라. 음에� 답하여라.� 단,� 
   으로� 계산한다.
(2)� 과� 의� 관계식을� 구하여라. (1)� 제몇� 항에서�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가?
(3)� 주어진� 수의� 총합이�  일� 때,� 의� 값을� 구하여라. (2)� 첫째항부터� 제몇� 항까지의� 합이� 최대가� 되는가?
(3)� 첫째항부터� 제몇� 항까지의� 합이�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가?

정석연구 � (1),� (2)� 주어진� 수열을


정석연구 이를테면
� � � � � �    ⋯   과�    ⋯   
의� 둘로� 나누어� 생각하면� 이들은� 공차가� 같은� 등차수열을� 등차수열� �           ⋯� � � � � � � � ⋯ ①
이룬다.� 등차수열� �           ⋯� � � � � � � � ⋯ ②
(3)� 첫째항이�   ,� 제      항이�  인� 등차수열이므로� 에서� 각각� 첫째항부터� 차례로� 더해� 보면� ①은� 제  항까지의� 합이�
  최대이고,� ②는� 제 항� 또는� 제 항까지의� 합이� 최대임을� 알� 수�
� � � � � � � � � � � � � � 정석 �    을� 이용!
 있다.�

유제 12-10 유제 12-11
16. 18.
16) � 다음� 수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루고,� 그� 합이� 일� 때,�  18) 첫째항이�  이고,� 제 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  인� 등차수
의� 값과� 공차� 를� 구하여라. 열�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      ⋯   (1)� 제몇� 항에서�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가?
(2)� 첫째항부터� 제몇� 항까지의� 합이� 최대가� 되는가?� 또,� 이때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6
12 등차수열

필수 예제 12-8 4.� 수열의� 합과� 일반항의� 관계


19.
기본정석
19)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의� 한�
수열의� 합과� 일반항의� 관계
변� AB를�  등분한� 다음,� 각� 분점에서� 변�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을�  이라고� 하면
BC에� 평행한� 직선을� 그어� 생긴� 부분을� 위
에서부터� 교대로� 색칠하였다. � � � � � � � � � � � � � �    ,

� 색칠한� 부분의� 넓이와� 색칠하지� 않은� 부분        � (단,�      ⋯ )


의� 넓이의� 비를� 구하여라.

      ⋯일� 때,
정석연구 등차수열의� 합의� 공식을� 유도할� 때와� 같은� 방법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이용한다.�
      ⋯       ⋯ ②
정석 � 도형에서� 등차수열의� 합은� ⇒� 공식의� 유도과정을� 응용해�
① ②하면� �        � (단,�      ⋯)
본다.�
한편� 첫째항�  은� 제 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   이다.
� � 위의� 관계는� 등차수열뿐만� 아니라� 모든� 수열에� 적용된다.
*Note        은�  ≥  일� 때� 성립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보기 1 �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  이�


유제 12-12 
    일� 때,�    을� 구하여라.�
20.
20) 
AB 인� 삼각형� ABC가� 있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변� CA를� 등
연구       ×  
분하는� 점을� 각각� P  P ⋯ P ,�          ×    × 
변� CB를�  등분하는� 점을� 각각�
Q  Q ⋯ Q 라고� 할� 때,�

PQ  
PQ ⋯ 
P Q 의� 값을� 구 필수 예제 12-9
21.
하여라.�
21) 두� 수열�  ,�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 각각

  ,�   이다.�    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여라.

정석연구 � 합�  이� 주어질� 때,� 제 항�  은� 다음� 정석에�


의하여� 구한다.�
정석    ,�        � (단,�      ⋯)

유제 12-13
22.
22)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  이�

      일� 때,� 는� 제몇� 항인가?

7
실력정석 수학1

필수 예제 12-10
23.
23) �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  이�     인� 수열�

의� 일반항�  을� 구하여라.


(2)�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  이�       인� 수열�

이� 등차수열일� 조건을� 구하여라.



정석연구  으로부터�  을� 구할� 때에는

� � � � � � 정석 � �    ,�        � (단,�      ⋯)
을� 이용한다.
� � 특히�        에는�  ≥  라는� 조건이� 붙는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 ≥ 일� 때,� � �    일� 때
로� 나누어� 생각해야� 한다.

유제 12-14
24.
24) �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  이�     인� 수열� 
은� 어떤� 수열인가?

8
12 등차수열

연습문제 12-4 기본
28.
연습 문제 28) 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의� 등차중항과� 조화중항을�
두� 근으로� 하는� 에� 관한� 이차방정식을� 구하여라.
연습문제 12-1 기본
25.
25) 등차수열�  의� 처음� 다섯� 항의� 합이�  이고� 곱이�  일�
때,� 첫째항을� 구하여라.� 단,�  의� 각� 항은� 실수이다.

연습문제 12-2 기본
26.
26) 에� 관한� 삼차방정식�          의� 세� 근이� 등차수 29. 연습문제 12-5 기본

열을� 이룰� 때,� 상수� 의� 값과� 세� 근을� 구하여라. 29) 첫째항이�  ,� 제 항이�   인� 등차수열�  이� 있다.

      ⋯   의� 값을� 구하여라.

연습문제 12-3 기본
27.
27)∠A  °인� 직각삼각형� ABC의� 꼭짓점� A 에서� 변� BC에� 내
린� 수선의� 발을� D라고� 할� 때,� ∆ABD ,� ∆ACD,� ∆ABC의� 넓이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이때,� 다음을� 구하여라. 연습문제 12-6 기본
30.
(1)� ∆ABD  ∆ACD  ∆ABC� � � � � � (2)� 
AB  
AC  
BC
 
30) 어떤� 등차수열에서� 제 항이�  이고,� 제 항이�  일� 때,� 이�
 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단,� ≠ 이다.

9
실력정석 수학1

연습문제 12-7 기본 연습문제 12-10 기본


31. 34.
31) � 세� 자리� 자연수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34)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을�  이라고� 하자.� 수
(1)� 로도�  으로도� 나누어� 떨어지는� 수의� 합을� 구하여라. 열�   은� 공차가�   인� 등차수열이고,� 수열�  은� 공차가�
(2)�  또는�  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의� 합을� 구하여라.
 인� 등차수열이다.�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여라.
(3)� 로도�  으로도�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의� 합을� 구하여라.

연습문제 12-11 실력
35.
연습문제 12-8 기본 
32. 35) log   log   log   이�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

32) 과� 서로소인� 자연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하여� 얻은� 수
룰� 때,� 의� 값과� 공차� 를� 구하여라.� 단,� 는� 자연수이다.�
열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연습문제 12-12 실력
36.
36)� 다음을� 증명하여라.

(1)� 세� 수� 
 
  
 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루지� 않는다.
연습문제 12-9 기본 
  
  
33. (2)�  을� 모두� 항으로� 가지는� 등차수열은� 존재하지�
않는다.
33) 등차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  이�

   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이� 등차수열의� 첫째항이�  이고,�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과�
첫째항부터� 제  항까지의� 합이� 같을� 때,� 상수�  ,� 의� 값을�
구하여라.
(2)� 위의� (1)의� 등차수열에서�  이� 최대일� 때,� 의� 값과� 이때의�
최댓값을� � 구하여라.

10
12 등차수열

연습문제 12-13 실력 연습문제 12-16 실력


37. 40.
37) 에� 관한� 사차방정식�          의� 네� 실근이� 40)      인� 자연수� 에� 대하여� 다음�  의� 최솟값을� 구하여
등차수열을� 이룰� 때,� 네� 실근을� 구하여라.� 단,� 은� 정수이다. 라.
           ⋯    

연습문제 12-17 실력
41.
연습문제 12-14 실력
38. 41) 공차가� 양수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항� 중에서�
38) �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등차수열을� 이룰� 때,� 삼각형의� 내 홀수� 번째� 항의� 합은� ,� 짝수� 번째� 항의� 합은� 일� 때,� 의� 값을�
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 수열의� 공차와� 같음을� 증명하여라. 구하여라.

연습문제 12-15 실력 연습문제 12-18 실력


39. 42.
39) 
AB 
AC 인� ∆ABC에서� ∠A의� 내각의� 이등분선이� 변� BC와� 42) 에서�  까지의� 홀수� 중� 서로� 다른� 개를� 뽑아� 더하여� 나올�
만나는� 점을� D라� 하고,� ∠A의� 외각의� 이등분선이� 변� BC의� 연장 수� 있는� 모든� 값을� 원소로� 하는� 집합을�  라고� 할� 때,�  의� 원소의�

선과� 만나는� 점을� E라고� 할� 때,� 


BD ,� 
BC ,� 
BE는� 이� 순서로� 어떤� 합을� 구하여라.

수열을� 이루는가?

11
실력정석 수학1

연습문제 12-19 실력 연습문제 12-22 실력


43. 46.
43) 으로� 나눈� 나머지가�  이고�  로� 나눈� 나머지가� 인� 모든� 자연 46) 좌표평면에서� 네� 점� A  B ,� C  D  
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한� 수열�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 ABCD의� 둘레� 및� 내부에� 있는� 점�
답하여라. P 의� 개수를� 구하여라.� 단,�  는� 정수이고,�  은� 자연수이
(1)� 첫째항�  을� 구하여라. 다.�

(2)�             ⋯임을� 보여라.


(3)�  의� 항� 중에서� 세� 자리� 수의� 개수와� 이들의� 합을� 구하여라.�

연습문제 12-20 실력
44.
44) �  은� 자연수이고,�   이다.� 과�  사이에서�  를� 분모로�
하는� 유리수� 중에서� 자연수가� 아닌� 것의� 합을� 구하여라.

연습문제 12-21 실력
45.
45) 몇� 개의� 연속한� 자연수의� 합이�  일� 때,� 이� 연속한� 자연수를�
구하여라.

12
12 등차수열

5) 필수 에제 12-2 � 답.�   


문제의� 조건으로부터
1) 필수 예제 12-1 � 답.� (1)�  � � (2)�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첫째항을� ,� 공차를� 라고� 하자.    으로� 놓으면�        � 곧,�      � � ⋯ ①
(1)�   이므로�      이� 식을� 변형하면�            ⋯②
� � �   이므로�      여기에서�  와� 은� 서로소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곧,�           ⋯


로� 놓을� 수� 있다.� 이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         ×  에서�   
이것은� 첫째항이�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2)�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중� 하나인�
와� 는� 모두� 정수이므로�  도� 정수이다.
      에� 대하여�  ×  ×   ⋯③이� 성립하므로�
∴         또는�          
① ③하여� ②를� 얻을� 수� 있다.�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은� 로� 나눈� 나머지가�  인� 자연수를,� 은� 으로� 나눈�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나머지가�  인� 이상의� 자연수를� 나열한� 것이다.� 따라서�  은�
 로� 나눈� 나머지가�  이고� 으로� 나눈� 나머지가� 인� 자연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한� 것이므로� 실력� 수학( 상)� p. 의� 방법으로도�
2) 유제 12-1 � 답.�        풀� 수� 있다.
첫째항을� ,� 공차를� 라고� 하자.
    이므로
        ∴      6) 유제 12-4 � 답.�   
  이므로�      � � 수열�  은� 첫째항이�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 �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 � 수열�  은� 첫째항이�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유제 12-2 � 답.�   ,�  
        ×    
3)  
� �    으로� 놓으면�       
첫째항을� ,� 공차를� 라고� 하자.
  이므로�     ⋯⋯①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여기에서�  과� 는� 서로소이므로
             
∴    ⋯⋯② � � 곧,�           ⋯
 으로� 놓을� 수� 있다.� 이때,
①,� ②를�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유제 12-3 � 답.�    이것은� 첫째항이� 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므로� 구하는�

첫째항을� ,� 공차를� 라고� 하자. 수열의� 일반항은�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① 7) 필수 에제 12-3 � 답.� (1)�      � (2)�      또는�
   이므로     
      (1)�   가�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   � � � � � � � � � � � � � ⋯ ①
∴      ⋯⋯②
또,�      이�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      � � ⋯ ②
①,� ②를� 연립하여� 풀면
   ,�    ②÷①하면�     
   이므로 ③을� ①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③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구하는� 네� 항을�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 ⋯①

13
실력정석 수학1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 


(1)�       이� 이� 순서로� 조화수열을� 이루려면
①에서�    � � � ∴   
   
이� 값을� ②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네� 항은�      또는�     
� � � 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루어야� 한다.
공차를� 라고� 하면� 제  항이�  이므로�       
8) 유제 12-5 � 답.�         
∴   
 ,� ,�  가�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  
     ⋯⋯① ∴         
  
� � ,�  ,�  가� 등차수열을� 이르므로
  
     ⋯⋯② ��������∴         
  
또,� 조건에서 (2)� 조건식의� 양변을�        로� 나누면
       

⋯⋯③   
    
� � ①,� ②를� ,�  를� 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면       
    ,�      ⋯⋯④   
∴    
� � ③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④에� 대입하면�    ,�   
*Note 공차를� 라고� 하면�   

따라서� 수열�  은� 등차수열이므로� 그� 공차를� 라고�

   ,�    ,�     하면

� � 이것을�         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유제 12-6 � 답.� 풀이참조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이� 정수이려면

       ∴ 
 ,�  ,�  이�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    
  
    
    12) 유제 12-8 � 답.�  

  
양변에�         를� 곱하면
� � 조건식의� 양변을�     로� 나누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도�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  


따라서� 수열�  은� 첫째항이�  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다.
10)� 유제 12-7 � 답.�          

,� ,� 와�  ,�  ,�  이� 각각�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
� � � � �      � � ⋯②   
①에서�      *Note 조건식에서�
②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면�    ≠ 이다.�
� � ,� ,� 는� 서로� 다른� � 세� 정수이므로
이때,�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곧,�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이므로� 조건식의� 양변을�

①에� 대입하면�        로� 나누어� 풀었다.�

13) 필수 예제 12-5 � 답.� (1)�  � (2)�   


 � (3)�
  
11)� 필수 예제 12-4 � 답.� (1)�            � (2)�  
    



14
12 등차수열

 
(1)� 첫째항이� 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     ,�    필수 예제 12-6 � 답.� (1)�   � (2)�        � (3)�
  15)


 ×      ×

준 식    
 
(1)�    일� 때�
    ⋯    과�     
(2)� 분모를� 유리화하면� � � �
는� 각각� 등차수열을� 이루며� 공차가�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제항
       
  ⇦� �
첫째항이� 
 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   
⇦�   
  ,   마지막 항 첫째항
공차   
 
        × 항수 
준 식       
 ∴       × � � � ∴   
(3)� 준 식      ⋯   × log   (2)�     ⋯   과�    ⋯   
⇦�         � � � 는� 각각� 등차수열을� 이루며� 공차가�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ote 첫째항이� log   공차가�  log   인� 등차수열의� (3)� 첫째항이�   ,� 제      인� 등차수열항이�  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므로� 첫째항부터� 제   항까지의� 합이� 이므로
 log      ×  log   
� � � � � � 준 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의� 결과와� 연립하며� 풀면�      
14) 유제 12-9 � 답.� (1)�
 � (2)�   
 � (3)�
 *Note � (1)에서� 세� 수�    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   log 
이루므로� 공차를� 라고� 하면

� � � � � (4)�   � (5)�       
      ∴  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을�  이라고� 하자.
 16) 유제 12-10 � 답.�      
(1)� 첫째항이� 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므로

 은� 첫째항이� 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의� 제   항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또,� 첫째항부터� 제  항까지의� 합이�  이므로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따라서� 첫째항이�   
 ,� 공차가� 
 인� 등차수열이므로 � � � � � � � � � ①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3)� log    17) 필수 예제 12-7 � 답.� (1)� 제 항� � (2)� 제 항� � (3)� 제  항
log     log  , 이� 수열의� 각� 항의� 분모를� 유리화하면
log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첫째항이�  공차가� log  인� 등차수열이므로   
×    × log 
     log  
   
 이므로� 첫째항이�  ,� 공차가�   인�
 
(4)� 첫째항이�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  을� 등차수열이다.
제 항이라고� 하면 (1)� 이� 수열의� 제 항이� 음수가� 되는�  의� 범위를�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제  항에서� 처음으로� 음수가� 된다.
  ×       
  (2)� 일반항을�  이라고� 하면�

15
실력정석 수학1

      ⋯        ⋯     ⋯    ⋯ � � ⇦첫째항�  공차� 


따라서� 첫째항부터� 제  항까지의� 합이� 최대이다. 이� 중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의� 합은� 홀수번째� 항의� 합이고,�

(3)�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 음수가� 되는� 의� 범위를� 구하면 색칠하지� 않은� 부분의� 넓이의� 합은� 짝수� 번째� 항의� 합이다.� 이를�
계산해도�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유제 12-12 � 답.�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Note 합�  이� 에� 관한� 이차식이므로� 이를� 완전제곱의�
꼴로� 변형하여� (2) 를� 해결할� 수도� 있다.� 이때,� 은� 자연수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위의� 그림과� 같이� ∆ABC를� 두� 개� 붙이면� 평행사변형이므로


18) 유제 12-11 � 답.� (1)� 제 항� (2)� 제 항,� 최댓값�  
P Q  
P Q  
PQ  
P Q
(1)� 공차를�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이므로
��������������������
P Q 
PQ    
     
   ∴    ��������������������
AB 

 ×
∴         ×        ∴ � (준� 식)    

  인�  의� 범위를� 구하면
*Note 수열� 
 
PQ 은� 첫째항과� 공차가� 모두�
� � � � � � � � � � � �       
  
 AB   인� 등차수열이므로�
∴    ××× ∴ 제  항  
(2)� ⋯          ⋯이므로� 첫째항부터�
제  항까지의� 합이� 최대이고,� 최댓값은
  
  ×     × 
� � � � � 준 식     
  

 ×      ×   
  

21) 필수 예제 12-9 � 답.�   

A    B    으로� 놓으면


19)� 필수 예제 12-8 � 답.�   
오른쪽과� 같이� ∆ABC를� 두� 개�   A  A          
붙이면� 합동인� 평행사변형을�  개�   B  B   ×   ×     
얻고,� 이� 중� 색칠한� 것은�  개,� 문제의� 조건에서�    이므로�       
색칠하지� 않은� 것은�  개이다. ∴        ∴ 
따라서� 문제의�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S ,� 색칠하지� 않은�
부분의� 넓이를� S′ 이라고� 하면 22) 유제 12-13 � 답.� 제  항
S  S ′  S  S ′      ≥  일� 때,� �
 변� AB를�  등분한� 점을�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P  ⋯ P 이라� 하고,� 이� 점을� � � � �    
지나고� 변� BC에� 평행한� 직선이� 변� AC와� 제 항이�  라고� 하면�
만나는� 점을� 각각�      ∴   
Q  Q  ⋯ Q 이라고� 하자.� ∴ 제  항

� � ∆AP Q ∽� ∆APkQk 이고� 닮음비가�


  이므로� ∆AP Q  a 라고� 하면
23) 필수 예제 12-10 � 답.� (1)�
∆APkQk  ka           ⋯� (2)�   
 
∴ PkPk Qk  Qk  k   a  k a  k  a
(1)�     에서
따라서� 문제에서� 삼각형을� 분할한� 도형의� 넓이는� 위에서부터�
 ≥  일� 때� :�       
차례로�
                   

16
12 등차수열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Note    이� 삼차방정식의� 근이므로�


이것은� 위의�      에�    을� 대입한� 것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27) 연습문제 12-3 � 답.� (1)�     � � � (2)�
(2)�     에서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1)�
          
      ⋯①
따라서�     ⋯ 는�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다
그러므로�       ⋯가� 등차수열일� 조건은�     
그런데� ①에서�    이고,�       이므로 ∆ABD  S  ∆ACD  S ∆ABC  S
       ∴  � � � 이라고� 하면� 문제의� 조건으로부터�
S  S S ⋯①
 일반적으로�     인� 수열은
S  S  S ⋯②
  이면� ⇒� 첫째항부터� 등차수열을� 이룬다.
 ≠ 이면� ⇒� 둘째항부터� 등차수열을� 이룬다. ②를� ①에� 대입하면� S  S S  S � � �
∴ S  S
���∴ S  S  S  S � � � � �
24) 유제 12-14 � 답.� 첫째항이�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
∴ S  S  S      
 ≥  일� 때
(2)� ∆ABD,� ∆ACD,� ∆ABC는� 닮은� 삼각형이고,� 닮음비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곱의� 비는� 넓이의� 비와� 같으므로
� � �   일� 때�             
AB   AC BC   S  S  S      
� � 이때,�   는� � ①의�      에�    을� 대입한� 것과� 같다. 
∴ AB  
AC  
BC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수열�  은� 첫째항�  ,� 공차�  인� 등차수열
28) 연습문제 12-4 � 답.�       

      의� 두� 근을�  라고�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로부터


25) 연습문제 12-1 � 답.�      � � � � � �     ,�   � � �
공차를� 라고� 하면� 처음� 다섯� 항은�   
∴ 등차중항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조화중항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②
①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에서�           ∴       
  을� 대입하고� 정리하면�         
는� 실수이므로�   ± � � � ∴         
29) 연습문제 12-5 � 답.� 

공차를� 라고� 하면� � �         ∴ 


26) 연습문제 12-2 � 답.�     ∴         ×    

세� 근을�       라고�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로부터 따라서�    인� 의� 범위는�


        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곧,� 제  항까지가� 음수인� 수열이므로� 구하는� 합을�  라고� 하면
       ⋯③      
①에서�     ×        ×
그런데�      
②에� 대입하면�  ± 
③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또,� 세� 근은�     

17
실력정석 수학1

∴        항과� 짝수� 번째� 항을� 각각� 묶어서� 계산하면
        ⋯  제항 �
     ⋯ 제항

30) 연습문제 12-6 � 답.�      ×    ×  ×    ×

 �� 
 
첫째항을� ,� 공차를�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33) 연습문제 12-9 � 답.� (1)�    ,�   � � �
두� 식을�  에� 관하여� 연립하여� 풀면�
� (2)� �    또는� 일� 때� 최대이고,� 이때�     
 
      (1)�    에서�     이므로�    
 
따라서� 구하는� 합�   은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2)�          
  
 


은� 자연수이므로�    또는�   일� 때� 최대이고,
31)� 연습문제 12-7 � 답.� (1)�  � � (2)�  � � (3)�
이때�     

*Note  ≥  일� 때
세� 자리� 자연수� 중� 자연수� 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의� 합을�
  이라고� 하자.       

(1)� 구하는� 합은� 와�  의� 최소공배수인�  로� 나누어� 떨어지는� � � � � � �             
수의� 합이다. � � � � � �     
    인� 의� 범위는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자연수이므로�  ≤  ≤  � � � 이때,�   ,�    이므로�
  일� 때�    ,�    또는�   
   일� 때�    � � 일� 때,�  이� 최대이다.�
이고,�      이므로�
 34) 연습문제 12-10 � 답.� 
        

수열�   은�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2)� (1)과� 같은� 방법으로�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수열�  은�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의�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 
(3)� 로도�  으로도�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의� 합은
� � � (세� 자리� 자연수� 전체의� 합)-(  또는� 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연습문제 12-11 � 답.�  log 
35)
수의� 합)
주어진� 세� 수가�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그런데� 세� 자리� 자연수� 전체의� 합은

 ×  log   log  log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합은� ������������∴  
   
     � � 우변이� 자연수이므로� 좌변도� 자연수가� 되려면�   ( 는�
자연수)꼴이어야� 한다.� 곧,�
          ×
32)� 연습문제 12-8 � 답.� 
∴        ×
 과� 서로소인� 자연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         ×
      ⋯
는� 자연수이므로�
이�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 항까지의� 합을�  라� 하고,� 홀수� 번째�
            

18
12 등차수열

���∴          
∴  ∴     
38) 연습문제 12-14 � 답.� 풀이참조

��∴    log   log    log 
 세� 변의� 길이를�             라고� 하면� 피타고라스�
정리로부터
36)� 연습문제 12-12 � 답.� (1)� 풀이참조� � � (2)� 풀이참조         ∴    ∴   
(1)� 등차수열을� 이룬다고� 가정하면� � � � 따라서� 세� 변의� 길이는�   이다

  
  
  

 
∴     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이것은� 모순이므로� 
  
  
 은� 이�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루지� 않는다.�
이� 삼각형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고� 하면� 위의�
(2)� 
 
  
 이� 공차가� 인� 어떤� 등차수열의� 세� 항이라고�
그림에서
가정하면� 어떤� 정수�  에� 대하여
∆AOB  ∆AOC ∆BOC  ∆ABC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라고�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두� 식에서� 를� 소거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곧,�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공차와� 같다.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이므로� 위의� 식의� 좌변은� 정수이고,� 우변은� 39) 연습문제 12-15 � 답.� 조화수열

무리수이다.
이것은� 모순이므로� 
  
  
 을� 모두� 항으로� 가지는�
등차수열은� 존재하지� 않는다.

연습문제 12-13 � 답.�  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에� 의하여�


37)    
 
  


AB   AC  BD  
DC  BE  
CE
네� 실근을�
             ,� 
� � � BD BC  ,� 
BE   로� 놓으면
라고� 하면� 네� 근의� 합은�  이므로 
BD  
DC  
BE  
CE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네� 실근은�      이고,� 사차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양변을�  로� 나누면�     
준� 방정식과� 동류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  
� � � 따라서� 조화수열을� 이룬다.
       
를� 소거하고� 정리하면�
      � � � 연습문제 12-16 � 답.� 
40)
∴         
      ⋯    ⋯ � �
은� 정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네� 실근은�      ⋯①
 
   
  
  
 
이것은�     일� 때� 최소이다.
*Note    를� 네� 근으로� 가지는� 사차방정식은 
             그런데� 은� 자연수이므로�    � 또는�    일� 때�  의� 값이�
최소이다.
곧,�        ⋯ 
따라서� ①에� �    (또는�    )을� 대입하면� 최솟값은
따라서�        꼴의� 사차방정식의� 네� 근의� 합은
   ×    
      

19
실력정석 수학1

*Note 이를테면�    이라고� 가정하면 � � � 이� 중에서�  으로� 나눈� 나머지가�  인� 것은�    � 뿐이다.
(1)�  에서�    일� 때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이므로�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되고,� 이것을� 일반화하여� 간단히� 한� 것이� 위의� ①식이다. (3)�  ≤       ≤ 
∴  ××≤  ≤ ××
은� 자연수이므로� 의� 개수는
41)� 연습문제 12-17 � 답.�   
� � � � � � � �     
공차가� 양수이고� 홀수� 번째� 항의� 합이� 짝수� 번째� 항의� 합보다�
� �      이므로� 세� 자리수의� 합은
크므로� 은� 홀수이다.
    
첫째항을� ,� 공차를� ,�      ( 은� 자연수)이라고� 하자.   

홀수� 번째� 항의� 합에서�
      ×
  
 연습문제 12-20 � 답.�    
44)
∴        ⋯ ①
과�  � 사이에는�
짝수� 번째� 항의� 합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합� :�   
      

 과�   사이에는
∴      ⋯②
   
                   의� 합� :�
②÷①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와�    사이에는
   
42)� 연습문제 12-18 � 답.�                         의� 합� :�
   
�  의� 원소� 중� 가장� 작은� 수는�
      
  
     ⋯      이와� 같이� 하면� 마지막의�   과�  사이에는

   
가장� 큰� 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의� 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첫째항이�   ,� 제�   항이�        인�
� 따라서� 의� 원소를� 작은� 수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첫째항이�
등차수열이므로� 구하는� 합은
 이고� 공차가� 인� 등차수열을� 이룬다.
            
이때,� 제 항이�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Note    � 꼴,�    � 꼴,�    � 꼴,�    � 꼴( 는�
   
� 따라서� 의� 원소의� 합은� 자연수)의� 합을� 각각� 구한� 다음,� 다시� 더해도� 된다.
 
  

45) 연습문제 12-21 � 답.�   ⋯   또는�
  ⋯   또는�   ⋯  
43) 연습문제 12-19 � 답.� (1)�  � � � (2)�       � � � (3)�
 을� 자연수라고� 할� 때�

     ⋯    
�  로� 나눈� 나머지가�  인� 자연수는�
 
� � � � � � � � � � � �    � ( 은� 음이� 아닌� 정수) ∴    � � �

이고,� � 여기에서� 은�
∴         ×
       � ( 는� 음이� 아닌� 정수) 여기서�
중의� 어는� 하나로� 나타내어지므로� 이것을�   의�  에� 대입하여�             
정리하면
은� 홀수이므로�      � 중� 하나는� 홀수,� 다른� 하나는�
        

20
12 등차수열

짝수이다.
� � � 가능한�  × 의� 홀수와� 짝수의� 곱은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또는�   ⋯ 

46)� 연습문제 12-22 � 답.�     

����������������

� � � 위의� 그림에서� 제 사분면의� 격자점의� 개수는



     ⋯         

제    사분면에� 격자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 � � 또,� 축� 위의� 격자점으로서� 양의� 부분의� 점의� 개수는�  ,� 음의�
부분의� 점의� 개수는� 이고,�  축� 위의� 격자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 � � 여기에� 원점도� 생각하면� 축,�  축� 위의� 격자점의� 개수는�
   이다.
이상으로부터� 점� P  의� 개수는

 ×                

2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