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6

종교ㆍ신학 연구

제9호

ISSN : 1225-0600(Print)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조철수

To cite this article : 조철수 (1996)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종교ㆍ신학 연구, 9, 175-
199

① earticle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학술교육원은 각 저작물의 내


용을 보증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② earticle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민, 형사상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www.earticle.net

Download by : 155.230.47.218 Accessed : Tuesday, May 18, 2021 11:56 AM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조철수*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메소포타미아는 현재 이라크의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사이 지역을 말한

다. 기원전 약 3200년경부터 이 두 강의 하류 지역에 문자를 쓰기 시작한 문명


이 있었다. 이 문자문명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文書를 기록하기 시작했던 수
메르 문명으로 밝혀졌다 수메르 사람들은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생기는 많은

경제적 · 정치적 · 종교적인 활동이나 神들과 영웅들에 대한 이야기들을 점토판


(clay tablets) 에 기록했다. 점토판은 깨어지지 않는 한 오래 보존할 수 있었고
점토를 어디에서나 쉽게 구할 수 있었으며 또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었다. 그

래서 누구한테 몇 마리의 양을 받았다는 영수증이나 누구의 땅을 얼마에 샀다


www.earticle.net
는 계약서를 써서 보존하는 데 적합했다. 그러나 수메르 사람들이 경제적이나

행정적인 사건들을 토판에 기록하기 시작한 지 500~600년이 지난 후에야 수


십 행이 넘는 문학작품을 볼 수 있다.

지난 15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이러한 수메르어로 씌어진 토판에 관하여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현재는 전세계의 많은 박물관에 전시된 수메르 사람들의 석
상이나 부상(浮像), 원통형 인장 (cylinder seal) 등에서 그들의 모습을 또한
나귀가 끄는 네 바퀴 달린 전차(戰車)나 손가락으로 횡기는 하프 같은 악기 등
에서 그들의 뛰어난 물질문명을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인간이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로 들어선 것은 수메르 사람들의 문자문명에 起因한다. 그들이 집 ·
땅 · 가축 · 노예 등을 사고 판 계약서나 직업명을 기록한 목록 마귀를 쫓아내

* 전 히브리대 아시리아학과 교수
l 고대 이집트 문자 문명도 수메르보다 약 200-300년 후에 생겼다

175
려는 목적으로 써놓고 읽은 뻐文 (incantation) , 神願을 찬양핸 詩, 아버지가
아들에게 가르친 잠언, 정의사회를 구현하겠다는 사회개혁 칙령 등을 토관11
기록했다. 이러한 전통을 기반으로 기원전 21세기초부터 약 100여 년간의 수
메르 문학 전성기에 신들의 이야기, 신과 왕에 대한 찬양시, 영웅들을 배경으
로 펼쳐지는 서사시, 사회의 기준을 확립한 법전 등 많은 작품이 쏟아져 나왔
다. 이러한 작품들 중 많은 이야기들이 고대 근동의 여러 주변 사람들에게 알
려지고 그들의 언어로 번역되고 전승되었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학작품 중에 하나인 2500년경에 씌어진 토판의


시작 부분에 아래와 같은 구절이 있다 .2

지혜롭고 지식있는 수메르에 사는 슈루파크는 그의 아들에게 가르쳤다.


“(내가가라겠다. 주의뼈 들어라}
도둑질을 하지 말라.... / (남의) 집을 […] 하지 말라 ...
살인하지 말라. … / 간음(?)하지 말라 ...
(남의) 여자를 템뀌지 말라.... / 맹세를 하지 말라 ...
www.earticle.net
언쟁을 일으키지 말라.... / 거짓을 〔불리지〕 말라'"

이러한 슈루파크의 가르침은 이보다 적어도 1. 500년 후에 기록으로 남은 구약


성서의 십계명 중 “부모를 공경하라. 살인을 하지 말라. 간음하지 말라. 도둑
질을 하지 말라. 거짓 증언을 하지 말라. 남의 집을 탐내지 말라’ (출애굽기 20

2 슈루파크가그의 아들지우쑤드라에게 준 ..슈루파크의 가르침”인 이 작품을기록한아부


짤라비크 토판은 앞뒤로 180칸이 넘게 씌어 있다. 이 부분은 토판 3단 3 행 -4단 5 행이다
아부짤라비크 토판의 내용을 근간으로 기원전 1800년경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와서 다시
편집되었고 고정화되었다. Alster, B., The Instructions 01 Suruppak. A Sumerian Proverb
Collection , Copenhagen, 1974; Ibid. , Additionallines identified in the Early Dynastic Version,
Ze itschriftfür Assyriologie 80 (1990) , pp.15-9.
3 이 부분은 아부짤라비크 토판의 앞연 l 단 8행에 나오는 구절이다 고대 바벌로니아 시
대에 고정된 슈루파크의 가르침에 더 자세히 설명한다(1 0-13 행) ’ ‘지우쑤드라, 내가 너에게
말을하겠다. 주의하여라. 내 가르칭을포기하지 말라. 내가~한말을어기지 말라. 아버지의
가르침은 귀중한 것이다. 그것에 네 목을 걸(고 지킬) 것이다 ..

176 조절수
장 12-17절)에서도 그 유사함을 읽을 수 있다 4

수메르 사람들이 물건을 사고 팔 때 토판~1 계약서를 써서 보관할 당시인 기


원전 32세기경에 그들은 이미 강가에 성벽을 쌓고 도시를 만들었으며, 그들의

사회구조는 도시국가 체제였고 왕조 시대를 형성했다. 수메르 사람들은 두 강

사이에 많은 수로를 만들어 경작지를 넓혔고 연간 두세 차례의 수확으로 富를


축적했다. 궁전과 신전을 건축했으며 도시 가운데 신전 근처에는 성서에서 “바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벨탑”이라고 불리는 높은 탑을 쌓았다. 흙벽돌로 높이 쌓은 탑인 지구라트는

5 , 00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우르 등 여러 옛 도시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수


메르 사람들의 생존과 번영이 달린 가장 중요한 일은 해마다 범람하는 두 강을
잘 이용히는 것이었다. 두 강에 연결된 수많은 수로를 통뼈 농사를 짓기 위해
수로 바닥에 끊임없이 침전되는 흙을 파내야만 했다. 외부의 침입이나 내란 등

으로 이 일을 게을리 하면 농토뿐만 아니라 도시 안까지 물이 넘쳐흐르는 엄청

난 홍수의 피해를 막을 수가 없었다. 이러한 그들의 생활을 반영한 이야기가 슈


루파크의 아들인 지우쑤드라의 홍수 이야기 이다 5 이 토판은 앞뒤 3단으로 씌

어져 약 300행쯤 되는 이야기인데 불행히도 위쪽으로 3분의 2가 부서져 중간중


www.earticle.net
간에 상당한 부분이 빠져 있으나 이러한 간격들은 다른 작품들과 비교하여 이해
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약 45행부터 아래와 같은 이야기가 전개된다.

안(하늘 神) , 엔렬(바람 神), 엔키(지혐: 神)와 닌후르쌍(山女神)은


검은 머리(즉, 인간)를 만들었다.
땅 밑에서 (올라오는) 작은 기는 것들이 늘어났다.

4 십계명 5 항인 “부모를 공경하라”의 “공경하다”는 「그:l(카베드)


이다. “부모는 귀중하다’로 이해할 수 있다. 앞의 각주에 인용한 “아버지의 가르침은 귀중한
것이다 그것에 네 목을 걸(고 지킬) 것이다”와 비교하면 “부모의 가르침은 귀중하다”로 이
해할 수 있다. 즉, 모세를 통해 주는 야훼 하느님의 말씀인 ” ‘살인, 도둑질, 칸음 둥을 하지
말라’ 는 가르침은 귀중하다. 네 목숨을 걸고 지킬 것이다”

5 Jacobsen, T. , “The Eridu Genesis", Journal 01 Biblical Literature 100 (1 981) , pp.5 13-29.
안성립/조철수"사람이 없었다 神도 없었다』 창세기 1-11 장과 고대 메소포타미아. 서울:
서운관. 1995 , 137-48쪽.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177


들짐승과 네 다리 달린 동물들이
들판(eden)에서 서로 즐겁게 놀았다 6

그 이후 왕권이 하늘로부터 내려와 도시가 생기고 도시의 거룩한 곳에 흙벽돌


을 쌓았다. 큰 신들은 디섯 도시들에 이름을 주었고 사람들에게 배급 그릇을

나누어 주었다. 사람들은 흙으로 막힌 곳에 수로를 파서 물이 잘 흘러가게 했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고 좁은 운하를 깨끗이 파서 풍성한 수확을 얻게 했다. 그러나 사람들의 노역


이 심해지자 불평불만이 많아졌다. 신들의 왕인 엔렬은 사람들의 시끄러운 소

리 때문에 쉴 수가 없으니 인간을 없애버리자고 신들의 모임에서 말했다. 그


때 지혜의 신 엔키는 지우쑤드라의 환영 (i影)에 나타나 큰 신들이 홍수를 일

으켜 배급 그릇을 모두 휩쓸어 버리겠다는 결정을 알려주고 큰 배를 만들어 생


명을 구하라고 말한다. 지우쑤드라는 엔키의 조언대로 배를 만들어 온갖 생명
의 씨앗, 각종 동물과, 그의 모든 것을 배에 실었다. 그후,

거세고 거센 바람 거친 폭풍이 모두 한곳에 모였다.


www.earticle.net
홍수는 배급 그릇들을 휩쓸어 버렸다.

일곱 날 일곱 밤 동안, 홍수는 이 땅을 휩쓸어 버렸고,


거센 바람으로 큰 배는 높은 물 위에 떠서 뒤흔들렸다.
태양이 떠오르자 하늘과 땅에 빛이 비쳤다.

지우쑤드라는 큰 배에 구멍을 뚫었다.

勇士 우투(太陽神)는 빛을 큰 배 속으로 비춰주었다.

6 ••_들판.의 뭇인 "에멘"(eden) 은 남쪽 메소포타미아의 유프라테스 강파 티그리스 강 사이


에, 도시와 도시 사이의 들짐승들이 사는 지역을 말한다. 구약성서의 창세기 2장 15절 “야
훼 엘로힘이 그 사랍(야담)을 데려다가, 에덴 동산에서 일구고 지키라고 그를 (거기에) 두었
다.는 내용에서 “에댄 동산." (1"~ 1l , 간 에덴)은 수메르어 명사 gan2 eden(들판의 일군 밭)과
같은 단어이다. 큰 신들이 만든 사람이 들판(에덴)에서 땅에 기는 것들(뱀)과 들짐승들과 서
로 즐겁게 살았다는 부분도 창세기 2-3 장에 나오는 에벤 동산 이야기인 아담(사람)이 에댄
동산에서 온갖 들짐숭들에게 이륨을 불러주고 뱀과도 서로 주고받으며 살았다는 이야기와도
비슷하다.

178 조철수
왕인 지우쑤드라는 우투 앞에 나가 땅에 입맞추었다.
왕은 소와 양을 잡아 제사를 지냈다.

왕인 지우쑤드라는 안과 엔렬 앞으로 가서 땅에 입맞추었다.

안과 엔렬은 지우쑤드라를 찬사했다.


그에게 신처럼 사는 생명을 주었고,
신처럼 사는 영원한 목숨이 부여되었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그때,왕인새쑤드꽤게

작은 기는 것들과 인간 종자의 이름을 보호하게 하였다.

산 너머 동쪽 먼 딜문 땅에 살게 하였다.

큰 신들이 사람을 만들어 사람들은 들판(에멘)에서 들짐승들과 즐겁게 지냈으


며, 그후 도시들이 세워지고, 노동이 심해지자 사람들은 불평했다. 이러한 소
음을 없애고자 큰 신들은 홍수를 일으켰고 홍수에서 살아남은 사람은 축복을

받았다는 이 작품의 줄거리는 구약성서 창세기 2장에서 9장까지의 ‘패초 이야


www.earticle.net
기”인 인간 창조에서 홍수 이전의 도시들, 인간의 타락, 끝내는 홍수로 이어지

고 홍수 후에 살아남은 노아(노악흐)와 하느님과의 새로운 계약으로 이어지는


맥락과 유사하다. 고대 근동 문학작품 중에 창세기의 ‘패초 이야기”인 위와 같
은 소제목들이 연결되는 작품은 ‘지우쑤드라의 홍수 이야기”뿐이다.

수메르 사회 역시 개인에게 富가 축적되고 권력자들의 권한이 팽창하면서 不


條理, 不正, 범죄가 그 사회의 큰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사회상을 2350년경에
한 도시국가의 통치자가 발표한 ‘자회개혁 칙령”에서 읽을 수 있다 .7

가난한 사람이 양어장을 만들었는데 누군가 물꾀를 잡아갔을 때,


“오 우투(태양 신)여” 하는 원성만 외쳤다 8

7 도시국가라가쉬의 통치자우루카기나의 ‘자회개혁 칙령”이라고부른다. Steible, H. , Die


altsumerischen Bau- und Weihinschriften , I-II, Wiesbaden, 1982: Urukagina 4 , 6.
8 正義의 신이며 사건의 옳고 그름을 재판하는 태양 신 우투를 부르며 외치기만 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179


(이제는) 가난한 사람이 뺑장을 만들었을 때,
누구도 물꾀를 잡아갈 수 없다.

도둑질핸 범죄를 없애고, 잃어버린 물건을 성문 앞에 전시했다.

라기쉬 시민으로 빚지고 살거나, 곡식세로 보리를 갚。싸 하거나,

도둑질이나 강도 살인으로 팔려간 가족들을 해제(解除)하고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자유를 주었다. 고아와 과부를 권력째l 게 넘겨주지 않게 하겠다고


우루께나(라-71쉬의 도시 신)는 닌기르수에거l 협을 했다.

지금부터 4, 500년 전에 도시국가의 통치자가 시민들의 사회보장을 위하여 이


와 같은 사회개혁 칙령을 기록했다는 것은 놀라운 것이다. 특히 가족 일원의
잘못으로 억울하게 팔려간 가족들에게 어머니에게 돌。F가다:' (ama-ar-gi4) 라

는 뜻인 끼F유”를 주어 사회정의를 구현하겠다는 우루카기나의 意志는 후대 통


치자들의 모범이 되었다. 약 250년 후 수메르 문화 전성기가 시작되는 우르 3
왕조 시대 초기에 기록된 인류 역사상 최초의 법전인 『우르남무 법전』 서문에
www.earticle.net
서도 이러한 통치자의 이념이 역력히 드러난다.
2335년경에 북쪽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 도시국가 키쉬의 왕 우르자바바

(Ur-Zababa)의 시종관이었던 싸르곤은 키쉬에서 멀지 않은 곳에 아카드리는


도시를 세웠다. 주변의 모든 도시국가들을 정복하여 남쪽 바다(페르샤만)에서

지중해변까지의 땅을 통치하였다. 그의 출신에 대히여 역사적 기록으로는 그의

아버지의 이름이 어떤 “라이붐:' (La’ ibum) 이었고 “수메르 왕 계보” 기록에는

그의 아버지가 “정원샤’였다고 한다. 분명한 것은 그가 왕족 혈통。1 아니었으


며 그의 이름인 sarru-kënu (정당한 왕)의 뜻이 나타내듯이 그의 왕권 계승을
정당화했다. 후대 전설에 의하면 그의 어머니는 여사제이었는데 아이를 몰래

가져 아이를 낳은 후 갈대 바구니에 담아 유프라테스 강에 떠내려 보냈다. 물

을 걷던 사람이 그 아이를 주워 여신(女神) 이쉬타르 정원의 정원사로 만들었


다. 그는 이쉬타르의 사랑과 환심을 얻어 우르자바바의 술조떨 드라는 시종(待

180 조철수
從)이 되었다 9 그후 우르자뻐}가 제의를 모독히여 신들의 분노를 사서 그의

왕권을 시종인 싸르곤에게 넘겨주었다고 한다.


싸르곤 대왕의 아카드 제국의 새로운 국면은 모든 국정문서를 그들이 쓰던

셈어로 기록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래서 도시 아카드의 이름을 따와 “아카드


어 .. (lis삶1 akkadi) 라는 단어가 생겼으며 이것은 약 185년 지속된 이카드 왕조
의 국용어였다 10 그러나 종교적인 측면에서는 여전히 수메르어로 기록된 뻐文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이나 聖願詩 동을 답습하였으며 싸르곤의 딸 엔헤두안나는 유프라테스 강 하


류 강변에 위치한 종교도시 우르의 대사제가 되었고, 당시까지의 모든 도시의

성전시들을 편집히여 한 성전시로 편찬해 냈다. 또한 싸르곤이 숭배한 여신 이

쉬타르를 찬양하는 詩 3편을 수메르어로 쓴 인류 역사상 첫번째의 여류시인이

었다.
아카드 왕국의 말기에 왕위 다툼으로 내정이 혼란해졌고 2150년경 메소포타
미아 동쪽편 자그로스 산맥에서 내려온 구티족들의 침략으로 도시국가 아카드

는 멸망하였다. 그후 약 40년 후에 남쪽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 도시국가 우르


를 중심으로 여러 도시국가들이 번생하였으며 모든 국정문서를 다시 수메르어
www.earticle.net
로 기록했다. 한편 많은 학교들이 생겼고 그곳에서 신들과 왕들에 대한 찬양
시, 전승으로 내려온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와 같은 영웅전 등을 배웠으며, 사
희생활에 필요한 행정과 경제 전문용어 사전, 여러 종류의 야생동물과 가축,
식물 이름을 망라한 백과사전 등을 편찬하고 보존하였다. 약 100년 동안 계속
된 이 우르 3왕조 (2112-2004) 는 수메르 문화의 전성기였다.
이 왕조의 창시자인 우르남무(Ur-Nammu) 는 ‘노예가 된 사람들에게 자유를

9 구약성서 출애굽기에 서술된 모세의 출생파 출세에 관한 기록도 싸르곤의 이러한 종류


의 이야기이다.

10 아카드 왕조가 무너진 후 기원전 2112년경부터 약 110년간 계속된 우르 3 왕조 기간에


수메르 도시국가에서는 수메르어를 행정 용어로 다시 사용하였으며 수메르 문학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우르 3 왕조가 무너진 후 기원전 2100년정부터 초기 고대 바빌로니아가 시작되면
서 행청 문서를 다시 아카드어로 쓰기 시작하여 기원전 6세기말에 페르샤 사람들이 바빌론
을 지배할 때까지 아카드어는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의 공용어이었고 주변 국기들의 외교활
동의 국제어였다

고대 메소포타미마 문화의 이해 181


주고 바른 경제 시장을 확립하기 위해 도량형기를 표준화했으며 11 고아가 부자
에게, 과부가 권력자에게, 양 한 마리 가진 사람이 황소 한 마리 가진 사람에

게 넘어가지 않게 했으며 반목과 폭행과 ‘오 우투(태양 신)여 !’ 하는 원성이 사


라지게 했고 수메르에 정의를 확립했다’고 그의 법전 서문에 기록했다 w우르

남무 법전』은 법전 역사상 최초의 것으로 유명하며 이보다 250여 년 후에 씌어


진 바빌로니아의 『함무라비 법전』의 근간이 되었다. 또한 아시리아의 법과 헛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티 사람들의 법은 물론 히브리인들의 법을 편찬하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골자


를 이룬 것이다. 이 법 조항 중 몇 조항을 함무라비 법 조항과 모세의 법과 비
교하여 읽어본다 12

(1조항) 사람。1 (다른) 사람을 살인했을 경우에 13 그 사람을 죽일 것이다.

『함무라비 법전』도 살인에 관한 조항이 1조항이다 구약성서 출애굽기 20장에


십계명이 나오고 21 장부터 모세의 법이 시작된다, 21 장 앞부분은 “종에 관한
법령”이며 12절부터 사회 범죄에 관한 법틀이 기록되었다. 그 시작이 ‘’살인에
www.earticle.net
관한 법령”이다 “사람을 때려 죽였으면 그를 죽일 것이다’ (12절) ,

(4조항) 남종이 그의 요구로 여종과 결혼했는데 그 남종에게 자유가 주어질 경

우에, 그는 (주인의) 집에서 그녀를 데리고 나가지 못할 것이다.

11 이스라엘 사람들의 기록에는 모세가 이집트에서 노예생활을 했던 이스라엘 사람들을 구


하여 그들에게 법을 주었으며 또한 바른 도량형기를 쓰라고 했다고 구약성서 레위기 19장
34-36절에 있다-

12 Finkelstein , J, J" “ The Laws of Ur-Nammu" , Journal 01 Cuneiform Studies 22 (1969) ,

pp ,66-82; Römer, W. H. Ph. , “ Aus den Gesetzen des Königs Umammu von Ur, Texte aus der
Umwelt des Alten Testaments, V4, Gütersloh , 1984, pp.17-23; Szlechter, E. , Les lois sumérien
nes, Rome , 1983; Yildiz , F. , “ A Tablet of Codex Ur-Nammu from Sippar" , Orientalia 50
(1981) , pp.87-97
13 법적 용어로 사용될 경우에 ‘자람"(수메르어로 lu2; 아카드어로 awlu) 은 도시 일을 결
정하는 모임에 참여할 수 있는 자유인(自由 A) 남자를 말한다 이런 ‘자람”보다는 낮고 종보
다는 높은 위치의 중간계급이 있었는데 아차드어로 muskenu 라고 불렀다 이러한 사랍들을
“중인"(中 À) 이라고 번역한다.

182 조칠수
출애굽기 21장 4절: (남종이 자유를 얻어 나갈 때에) “(종)의 주인이 그(종)에
게 아내를 주었고 그녀가 아들들과 딸들을 낳을 경우에, 그 아내와 자식들은
그녀의 주인 것이며 그(종)는 홀몸으로 나갈 것이다"

(6조항) 처녀인 젊은이의 아내를 다른 사람이 힘을 행사하여 강간했을 경우에,

그사람을죽일것이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평균 15~18세의 남녀가 결혼 계약서를 작성하여 여

러 증인의 이름을 기록하고 공증인의 날인을 받은 다음 남자가 여자의 집에 들

어가 살며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결혼식과 부부관계를 가지는 것이 그 당시의

혼례 관습이었다 w함무라비 법전~ 130조항에 더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아직


부부관계를 가지지 않고 그녀의 아버지 집에서 살고 있는 다른 사람의 아내와

사람이 관계를 가지고 그녀의 품에 누워 있는 것을 잡았을 경우에 그 사람을

죽일 것이나 그 여자는 풀어줄 것이다. 이와 비슷한 경우를 신명기 22장 25절


에서 읽을 수 있다. ‘남자가 약혼한 처녀를 들에서 찾아 그 사람이 힘을 행사
www.earticle.net
하여 그녀와 잔 경우에 그녀와 잔 그 사람만 죽일 것이다.대

(7조항) 젊은이의 아내가 그녀의 뜻으로 다른 사람을 쫓0까 그가 그녀와 같이

갔을 경우에, 그 여자를 죽일 것이나, 그 남자는 풀어줄 것이다.

『함무라비 법전~ 129조항에는 툴 다 죽일 것이라고 기록한다. ‘자람의 아내가


다른 사람과 자는 것을 잡았을 경우에, 그들을 묶어 물에 빠뜨릴 것이다" 이
와 같은 경우가 신명기 22장 22절에 있다; ‘남자가 남편이 있는 여자와 잔 것

14 사람의 아내가 다른 남자와 잔 경우에 여자를 살릴 수 있는 경우가 『함무라비 법전』


129 조항에 있다 자람의 아내가 다른 사람과 자는 것을 잡았을 경우에, 그틀을 묶어 물에
빠뜨릴 것이다 만일 여자의 주인(즉‘ 남편)이 그의 아내의 목숨을 쌀리기를 원하면. (재판
관 역을 하는) 왕이 그의 종(즉, 그 여자)을 살릴 것이다 ..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183


을 찾았을 경우에, 그 여자와 잔 남자와 그 여자를 둘 다 죽일 것이다:' (레위기

20장 10절 참조) ,

(9.조항) 남자가 그의 아내와 이혼할 경우에 그는 銀 1마나를 그녀에게 지불할


것이다 15

(10조항) 그가 미망인과 이혼할 경우에 銀 2분의 1마나를 그녀에게 지불할 것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이다
(11조항) 남2까 결혼 계약서가 없는 미망인과 갔을 경우에, 그 남자는 지불하
지 않아도된다.

그 당시 銀 1마나로 납종과 그의 아내와 아들과 딸을 샀다. 이혼할 경우 여자

에게 위자료로 주어야 할 1마나는 큰 돈이었다. 미망인과 이혼할 경우 그 위자


료가 적은 이유는 이미 그녀에게는 전 남펀에게서 받은 상속분이 있다고 간주
했기 때문이다.

www.earticle.net
(13조항) 사람이 마술을 했다고 사람을 고소할 경우에, (고소인)이 그를 강(江)
의 신명재판(懶擬Ij)에 데려와 강의 신명재판에서 깨끗하다면 그를 데려온 사

람은 銀 3쉐캘을 지불할 것이다.

수메르어로 did2-1u2-ru-gu2 ‘자람을 거스르는(맞서는) 강신(江神)"의 뜻인


“강의 신명재판:' (river-ordeal)은 증거나 증인이 없을 경우에 죄를 판별하기 위
해 고소당한 사람이나 고소한 사람을 강에 빠뜨려 .::ut 살아나오면 무죄이고
죽으면 죄가 있었다고 하는 방법이었다. 여기에서 ‘깨끗하다”는 돗은 ‘물에 빠

15'‘슈루파크의 가르침”에 아내와 이혼할 경우 위자료를 주어야 한다고 아버지는 그의 아


들에게 가르친다 “아내를 (빈 손으로) 쫓아내지 말라. 목을 (걸고) 소송올 제기한다. 아내
가 쫓겨간 곳에서 아우성친다. 성난 물(홍수)처럼 ‘모임(법정)에 갑시다. 욕심쟁이 부자를
한 팔로 그녀 앞에 웅크리게 합시다~ .. (252-254행),

184 조칠수
졌다가 살아나오다”는 것을 말한다. 중세기 때에는 유럽에서 이와 비슷한 방법

으로 죄를 판별하였다. 사람이 마술하는 행위를 법으로 금지하는 내용을 『함무

라비 법전』에서는 2조항에 기록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2조항)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마술했다고 고소했으나 그것을 입증하지 못하였

을 경우에, 마술했다고 고소당한 사람이 강신(江神)에게 가서 강에 빠질 것이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만일 강신이 그를 삼켜먹으면 고소한 사람이 그의 부동산을 가질 것이고, 만일


강신이 그 사람이 깨끗하다고 여겨 할}나오면 마술했다고 고소한 사람을 죽일

것이고 또한 강에 빠졌던 사람이 그의 부동산을 차지할 것이다.

이와같이 『함무라비 법전』은 『우르남무 법전』보다 더 자세히 마술에 관한 내용을

서술한다.
(18조항) 사람。1 [자기의 낫으로J (다른) 사람의 손이나 다리를 잘랐을 경우에,

銀 10쉐켈을 지불할 것이다.


(19조항) 사람이 무기로 무자비하게 (다른) 사람의 손발을 부러뜨렸을 경우에,
www.earticle.net
銀 1마나를 지불할 것이다.
(20조항) 사람이 자기의 구리 칼로 (다른) 사람의 코를 잘랐을 경우에, 銀 3분의
2마나를 지불할 것이다.
(22조항) [사람이 J (다른) 사람의 이빨을 부러뜨렸을 경우에, 銀 2쉐켈을 지불할
것이다.

이 조향을 『함무라비 법전.ll 196-200조항과 비교해 본다.

(196조항) 사람이 (다른) 사람 자식의 눈을 멀게 하였을 경우에, 그의 눈을 멀게


할 것이다(글자극대로는 “눈을 부수다~. ).

(197조항) 사람이 사람의 뼈를 부러뜨렸을 경우에 그 사람의 뼈를 부러뜨릴 것


이다(글자 그대로 뼈를 부수다~. )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185


(198조항) 사람이 중인(中 A)의 눈을 멸게 했거나 중인의 뼈를 부러뜨렸을 경우
에, 銀 1마나를 지불할 것이다.

(199조항) 사람이 사람의 종의 눈을 벌게 했거나 사람의 종의 뼈를 부러뜨렸을


경우에, 그의 가치의 반을지불할것이다.

(200조항) 사람이 사람의 이빨을 부러뜨렸을 경우에, 그의 이빨을 부러뜨릴 것

이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201조항) 사람이 중인의 이빨을 부러뜨렸을 경우에, 銀 3분의 1마나를 지불할

것이다.

『우르남무 법전』에는 동등한 위치의 사람 사이에 상해가 생겼을 경우에도 보상


제도를 택하였으나 『함무라비 법전』에는 잘 알려진 구약성서 구절인 “눈은 눈으
로, 이는 아로”라는 동태복수법(同態復警法)을 지향했다 16 ~함무라비 법전』에

기록된 위의 조항을 반영한 것이 출애굽기 21장 23-24절. 26-27절에 있다 .17

상해(廳)가 생겼을 경우에, 생명은 생명으로 주어야 할 것이다.


www.earticle.net
눈은 눈으로, 이는 이로, 손은 손으로, 발은 발로. (갚아야 할 것이다. )

사람이 그의 종의 눈이나여종의 눈을때려서 멀게 했을경우에,

눈 대신에 그에게 자유를 줄 것이다.

사람이 그의 종의 이빨이나 그의 여종의 이빨을 부러뜨렸을 경우에

이빨 대신에 그에게 자유를 줄 것이다.

‘자람의 피를 흘리게 한 사람은 그의 피를 흘려야 한다’ (레위기 9장 6절)는 동


태복수법 (lex talionis)을 모세 법에서는 매우 강조하고 있으며 『함무라비 법

16 법적 용어 lex talionis를 “동해복수볍 "C 同害復警皮)이라고 번역했으나 C~사람이 없었다


神도 없었다]. 254쪽). 서강대학교의 정양모 교수님이 “동태복수법 .. (同態復響法)으로 번역
함을訂正해 주셨음

17 레위기 23 장 19절, 신명기 19 장 21 절 참조.

186 조칠수
전』에서도 그 중요성을 나타냈지만 실상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그 판례가

드물다. 위의 『우르남무 법전』에서 읽었듯이 가능한 상해 보상제도를 지협}는

시민법을시행하였다.
이러한 법전을 기본으로 사회생활을 유지하고 사회 범죄를 처벌하였겠지만,
고대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한 생활 중의 하나가 정결례(漸鋼뽕)

를 지키는 것이었다. 정결례의 목적은 무엇보다도 악마의 저주에 걸려 병이 든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사람을 치유하려는 데 있다. 정결례의 책임자로 퍼}귀를 쫓아내는” 사제가 있


었으며 이 사제가 원어야 할 여러 종류의 주문(뻐文)이 있었다. 또한 정결례를

행하는 데 기본적인 수단은 차가운 지하수 물이었으며 그외 특별한 기름이나


여러 종류의 식물과 광물도 정결하게 해준다고 생각하였다. 예를 들어, 마귀
쫓는 사제가 거룩한 지하수 물로 악마의 저주에 걸려 있는 사람의 손이나 폼을
씻어내면서 주문을 읽음으로 마귀가 쫓겨나가게 되고 그 사람은 깨끗해진다.

정결례를 치르는 데는 반드시 환자의 병에 알맞은 주문(빠文)을 읽었다. 이미


기원전 26세기에 짧은 문구로 씌어진 여러 종류의 주문(뻐文)을 볼 수 있으며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와서 많은 종류의 주문이 편집되고 고정화되었다. 아래


www.earticle.net
인용한 주문은 “악한 우둑 귀신 의 세번째 토판의 한 부분이다 18

주문: 악한 우둑 귀신들.

악한 우둑 귀신 01 들판에서 사람을 죽인다.

15 악한 알라 귀신이 옷처럼 그를 두른다.


악한 유령과 악한 저승사자가 그의 몸을 잡는다.
덤때와 덤아 귀신이 그의 몸을 병들게 한다 19

18 “악한 우둑 귀신 .. (Udug-huI)은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16개의 토판이 한 시리즈로 편집


되었다. Geller, M. J. , Forerunner to Udug-hul. Sumerian Exorcistic lncantations , Stuttgart,
1985
19 Dimme와 Dima는 한 쌍의 귀신이다.

、、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187


들판에 À}는 허깨비들이 몰려와

당황한사람곁에 가까이 와서

20 병마로 그의 몸에 병 걸리게 했다.


악한 맹세가 그의 몽에 붙었다.
그들은 그의 옴 밖에 니쁜 가래를 뱉았다.

악한 운명 귀신이 그의 몸에 붙었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독설이 그의 몸에 붙었다.

25 저주가 그의 몸에 붙었다.
죄악이 그의 몸에 붙었다.
죄의 독설이 그의 톰 위에 붙었다.
악으로뒤집어썼다.

악한사람, 악한눈, 악한입, 악한혀


30 악한 ("'J으로 그는 통곡한다.
산을 향해 깨진 단지처럼 외치고 있다.
악한짓들을그의 입에 넣었다.
www.earticle.net
독설로그의 혀가붙잡혔다.
위대한 주 엔키가 나가자 악한 신들이

35 큰 거리에서 그 사람을 괴롭혔다.


나는 엔키의 사람이다. 나는 담갈눈나의 사람이다.
나는 그의 사자(使者)이다.

그사람의 병을낫게 하기 위해
위대한 주 엔키가 나를 그에게 보냈다.

40 그의 거룩한 주문이 내 주문이 되었고


그의 거룩한 입이 내 입이 되었다.
그의 거룩한 주문이 내 주문이 되었고
그의 거룩한 기.Ð} 내 기화 되었다.
À}~l(四뾰)를 괴롭히는 것들이 아픈 사람의 몸 안에 있다.

188 조칠수
엔키가 말한 주문으로 이 악한 것들을 뽑아버릴 것이다

하늘의 훌륭한 무기인 작대기가 내 손에 있다2û

45 쿨아바의 통보자 피싼우누가


나의 안전한 생명을 내 뒤에서 지켜준다 21

선한 우둑 귀선이 내 오른쪽에서 그와 동행한다‘


선한 람마 귀선이 내 왼쪽에서 그와 통행한다,잉

“아라리”의 훌륭한 서사(書士) 게쉬틴안나가잉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거룩한 노래와 거룩한 주문을 옮는다.

너는 무기의 왕 닌기르수(전쟁 신)에게 맹세할 것이다.

50 악한 귀신들이 내 몸에 가까이 오지 말라.


내 뒤를 따라오지 말라. 내 집에 들어오지 말라.
내 집 지붕으로 넘나들지 말라.

내가 거주하는 집에 몰래 들어오지 말라.

하늘에 목숨을 걸고 맹세하라. 땅에 목숨을 걸고 맹세하라.

www.earticle.net
이외 많은 기도문의 주제도 죄지은 사람들의 정결례에 관한 것이다.
우르 3왕조 때 메소포타미아 북서쪽에 살며 셈어를 사용했던 아모리족이 메

소포타미아의 거의 모든 도시에 들어와 살았다. 우르 3왕조의 왕 슈씬 (Shu­

Sin) 이나 이비씬 (Ibbi-Sin)의 이름뿐만 아니라 그의 가족들의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미 많은 왕족의 이름이 셈어인 아카드어 이름이었다. 마지막 왕

이비씬이 그의 가장 가까운 신하인 이쉬비에라(Ishbi-Erra) 에게 속임을 딩해

ω 이러한 ‘작대기”로 귀신을 쫓아낸다.

21 “피싼우누’ (Pisanunu) 는 “우루크의 바구니”의 뜻을 가진 작은 선.

강 선한 “우둑”이나 “람마’ (Lamma) 는 사람을 보호하는 귀신(수호신)이다

ι3 “두무지의 죽음’에 두무지는 그의 누이 게쉬틴안나를 서사라고 부르며 “인안나의 저승


여행” 이야기 마지막에 두무지와 게쉬틴안나는 서로 반 년씩 저승에 잡혀 았는 운명이 된다
.‘아라리는 들판의 한 끝에 위치한 무너진 신전 터로 저숭으로 가는 길목에 있다. “두무지의
죽음에 그가 그곳에 숨었다가 결국은 잡혀 죽임을 당한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189


결국 실권을 잃었고 배반한 이쉬비에라는 기원전 2017년경 도시 이씬에 왕조
를 세웠다 24 이씬 왕조 때를 초기 고대 바빌로니아라고 부르며 이때에 점차적

으로 행정 문서를 아카드어로 다시 장1 시작하였다. 그후 많은 도시국가들은


바빌론을 세운 함무라비 왕을 중심으로 연맹체를 형성했으며 거의 모든 행정,
외교 문서는 물론 문학작품도 아카드어로 쓰기 시작했다. 또한 주요 도시의 많
은 학교에서는 수메르어와 수메르어로 씌어진 작품을 집중적으로 가르쳤고 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웠으며, 여러 수메르 작품을 아카드어로 번역하여 이중어(二重語) 사본을 만들


었다. 현재 。씨리아학 학자들이 편집하는 수메르 문학작품 가운데 대부분이

주로 이 기간(古바빌로니아)에 학교에서 배운 수만 개의 토판을 근거로 한다.

수메르 문학작품의 내용은 30여 편의 신화 15편의 영웅전 500여 편의 찬양


시, 수백여 편의 哀歌, 20편이 넘는 잠언집, 수없이 많은 여러 종류의 뻐文 등
거의 십만 행에 달한다. 이러한 수메르의 지적 문화가 바벌로니아와 아시리아

로 전승되었고, 그 주변의 문화인 헛티, 우가리트, 히브라 고대 그리스 등으


로 퍼져나가 성서와 서양 문화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를 이해하는 데 수메르 큰 신들의 이름과 그들의 역


www.earticle.net
할이 매우 중요하다. 기원전 3200~2800년경의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에 이미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사이에 크고 작은 많은 도시국가들이 성장하였

다. 여러 도시의 통치자들은 두 강 사이의 땅을 경작하기 위해 수로를 만들고

수로 밑에 퇴적된 침전토를 파내거나 동쪽 산맥에서 침략하는 산적들을 대항하


기 위해 서로 협력하려는 목적으로 모임을 가졌다. 그러한 모임을 “도시 主들

이 (모인) 자리" 수메르어로 ki-en-gir라고 불렀다.염 이러한 수메르의 각 도시

% 우르에 여러 해 큰 가뭄이 들어 곡식 가격이 폭등하였다 이때 이비씬은 마리 (Mari) 출


신의 이쉬비에라에게 북쪽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곡식을 사오라고 거액을 주었다 이쉬비
에라는 곡식을 산 후 아씬에 저장하고 이비씬에게는 아모리족틀이 유프라테스 강을 접령하
고 있어 곡식을 운반할 수가 없다고 못 간다는 펀지만 보냈다 이후 우르에 폭동이 일어났고
내란으로 우르 3 왕조는 망했다.

잉 。}차드의 왕 싸르곤의 비문(陣文) 중 이중어 기록에 남쪽 메소포타미아 도시국가들의


연맹체인 ki εn-glf를 Su-me-ru 라고 번역했다 현재에도 이 번역을 기준으로 남쪽 메소포타미
아에 있었던 도시국가들을 Sumer 혹은 Shumer라고 부른다,

190 조칠수
마다 그 도시를 대표하는 수호신이 있었으며 주요 도시의 도시 신들이 통치자

들의 모임에서 큰 신들이 되었다. 도시 사이에 관계가 서로 활발해지면서 한


도시에 그도시 신의 신전 이외에 주요도시의 큰신들의 신전도지었으며, 통
치자들은 다른 도시의 신전으로 순례를 갔다. 그외 매우 오래된 여러 작은 도

시들의 수호신들이 있었다. 큰 도시 신들을 보좌하는 시종신 (f혐制$)들과 많은


직종의 수호신들 등을 작은 신이라고 부르며 수메르 신들의 모임에서 큰 신들
과 작은 신들로 니뉘어진다. 고(古)바빌로니아 시대에 일곱 개의 토판으로 고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정화된 수메르 “신 목록”에 기록된 신들의 수는 2.000이 넘는다.


수메르의 신관에서 가장 독특한 개념으로 형성된 것은 신들 중에 가장 큰 일
곱 신이 었고 그들에게 서열이 있다는 것이며 세상의 운명을 그들이 결정했

다. 수메르어로 “운명을 결정하는 일곱 신.. (dingir-nam-tar-ra 7-bi) 인 이 일곱

신들 중에 원래는 초기 왕조 시대의 우루크 (Uruk)의 도시 신이었던 “신들의


왕.. “하늘 신” 안(An)이 g “하늘”로 올라7]77 낭F늘”에 자리잡은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여섯 신들은 수메르의 주요 도시들의 도시 신들이다. 그들을 서열순으


로 나열하면 수메르의 중앙 지역인 도시 니푸르 (Nippur)의 바람 신(風神) 엔
www.earticle.net
릴 (Enlil).28 북쪽 키쉬(Kish)의 “산등성이의 여신” 닌후르쌍(Ninhursag).29 유

프라테스 강 하류에 연못으로 둘러싸인 지역의 조금 높은 언덕에 위치했던 에

£ 우루크는 구약성서의 에레크이다 .‘안’의 뭇은 .‘하늘”이며 이 단어는 또한 ‘神”의 뜻으

로 dingir라고 원는다

% 수메르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에 하나인 우루크의 수호신인 “하늘 신” 안 (An) 은 신들


중에 가장 높은 신의 위치를 차지했다. “하늘 신 안의 女主’라는 뜻의 금성(金星)을 상정하
는 “인안나”가 우루크로 소개되면서 “안”은 하늘로 올라갔다. 기원전 3100년경 초기 왕조시
대의 경제에 관해 기록한 토판들은 주로 우루크에서 발굴되었으며 경제의 중심지로 가장 번
성했던 우루크의 도시 신이 주변의 도시 신들의 왕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a “主’라는 돗의 en과 “바람?을 뭇하는 1i12로


람을 주관한다. 엔릴은 하늘 신 안이 하늘로 올라가고 신들의 모임에서 실상 최고신 역할올
하는 신이 되었다 도시 니푸르가 수메르의 문화 · 종교 정치의 중심지가 되면서 생긴 신관
임에 틀림없다.

g 후르쌍 (hur-sag)은 메소포타미아의 북쪽과 동북쪽이 있는 자그로스 산 기숨의 작은 언


덕들을 칭하며. 이 작은 언덕들이 보이는 북쪽 도시 키쉬(Kish)는 기원전 30세기에 이미 여
신숭배의 중심지였다 닌후르쌍은 .‘신들의 어머니 .. “모든 자식들의 어머니”라는 칭호로 모
신(母神)/산파 여신(塵婆女神)인 닌투 (Nintu) 라고도 불렸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191


리두 (Eridu) 의 ‘지하수 신”이며 항상 ‘지혜의 신”으로 등장하는 엔키 (Enki) , 30
에리두 위편에 위치한 도시 우르 (Ur)의 “달 신” 난나 (Nanna) , 우루크의 동편
에 있는 라르싸(Larsa)의 ‘정의와 진리의 신”인 ‘태양 신” 우투 (Utu) , 우루크

의 ‘금성" (金星)을 상징으로 하는 사랑과 질투의 여신 인안나(Inanna) 이다. 수


메르의 큰 신들인 이 일곱의 신들이 세상의 운명을 결정했다

수메르 문화를 직접 전수받은 고(古)바빌로니아 사람들은 수메르의 이러한 신

(神) 위계질서를 유지하면서 바빌론의 수호신인 마르둑 (Ma띠uk)을 윗자리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등장시켰다 31 그 좋은 예로 『함무라비 볍전』 서문을 들 수 있다 진들의 왕 아

누(하늘 신)와 하늘과 땅의 주(主) 엘릴(바람 신)이 모든 인간을 다스리는 ‘엘릴


의 주권’ 을 에아(지하수 신)의 큰아틀 마르둑에게 주기로 결정했다(1-12) ,"잉 이

로부터 마르둑은 바빌로니아 신들 중에 높은 자리를 차지하기 시작하였다.

바벌로니아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아시리아의 수도와 그들의 수호신

의 이름이 앗슈르이었다 잃 아시리아 사람들도 기원전 18세기에 고대 근동의 문

화 중심지가 된 바빌론에 내려와 전통적인 수메르 문학과 종교제의 등을 배워

갔다 기원전 14세기부터 아시리아의 전성기가 시작되는데 아시리아 왕틀은 매


www.earticle.net
년 새 영토를 정복하기 위해서나 이미 그들의 통치력 아래 있는 도시로부터 責
物을 거둬들이기 위하여 出狂하였다.

% 수메르 어로 키 "(ki) 는 “땅”이라는 뜻이지만, 엔키 (en-ki) 의 영역은 지하수와 연못이며


이러한 영역을 다스리는 主를 말한다 엔키의 모습을 묘사하는 그럼 가운데에는 그의 어깨
위로 물줄기를 타고 물고기들이 올라가는 그림이 많다
수메르 신화에 “땅”을 뜻하는 “키”는 여신이며 하늘 신 “안”의 배우자로 그 사이에 생긴
자식이 “바람 신” 엔릴이며 하늘 신 “안”과 “지하수” 여신 ‘남무:'(Nammu) 사이에 생긴 자
식이 바로 엔키이다 엔릴과 그의 배우자 “바람 여선” 닌렬 (Ninlil) 사이에 생긴 아들이 “달
신”인 난나 (Nanna) 이고 난나와 “위대한 여주” 닌갈 (NingaI) 사이에 생긴 자식들이 “태양
산” 우투와 “금성" (金星) 인안나이다 수메르 신화 lugal-e(王이)에 엔릴과 닌후르쌍 사이에
이 이야기의 주인공 “폭풍과 뭉게구름”의 신 닌우르타 (Ninurta) 를 낳았다고 하지만 神 계보
전승에 의하면 넌후르쌍은 엔렬의 누이이다‘

31 마르둑은 ‘태양 신 우투의 송아지(혹은 새끼)" (AMAR. UTU. K) 에서 나온 이릅이다

잉 하늘 신 안 (An) 을 아차드 어로 아누 (Anu) . 엔릴을 엘렬 (Elli l) , 엔키를 에아 (Ea) 라고


불렀다

영 도시 이름과 신의 이름이 같은 앗슈르의 경우처럼 장세기 4장 17 절에 “그 도시의 이픔


을 그의 아들의 이름을 따라 하노크라고 불렀다’고 한다

192 조칠수
。μl 리아 왕 투쿨티펀우르타는 기원전 13세기맴l 바빌론을 정복했으며, 바

벌론의 수호신 마르둑의 피뼈홍과 지적 문화의 보고(寶庫)인 많은 토판들까지 앗슈


르로 옮겨갔었다 34 그러나 불화가 있었던 그의 이들이 앗슈르에서 반란을 일으

켜, 왕 스스로 앗슈르의 동쪽 티그리스 강 건너편 강변에 그 자신의 이름을 따서


“투쿨라닌우르타 향구”라는 새 수도를 세웠다. 그러나 그의 아들은 바로 이 수
도에 왕을 가둔 다음 도시 전체를 불태워버렸다. 그렇지만 투쿨티」닌우르타의 명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성은 후대에까지 널리 알려져 성서와 그리스 문학에서 그에 관한 이야기를 찾아

볼 수 있다. 창세기 10장 8-11절에도 그에 대한 기록이 있다: ‘님로드는 야훼 앞


에 용사 사냥꾼이었다 35 그래서 님로드처럼 야뷔1 앞에 용사 사냥꾼’ 이란 말이
있다. 그의 왕국의 시작은 쉰아르 땅의 바벨(바벌론)과 에레크(우루크)와 아카드
와 칼네였고, 그 땅에서 그는 앗슈르로 나왔다 "36 님로드는 닌우르타의 허브리어

잉 ‘·투쿨티 닌우르타”의 뭇은 “전쟁의 신(닌우르타)의 신임자(투쿨티 f 이며, 투쿨티-닌우


르타 1 세의 재위 기간은 기원전 1243-1207년이다. 이 전쟁에 대한 서사시인 「투쿨티-닌우
르타 서사시」는 이 일을 생생하게 묘사한다(π1e Epic of Tukulti-Ninurta).
£ 유대교의 전숭으로는 부르지 못하는 이름인 세‘ (YHVH)를 “야훼”라고 음역하는 것이
www.earticle.net
가장 원음에 가깝다고 많은 학자들이 생각한다. 한글로 ‘b뼈J"라고 음역한 것은 영어 표기인
Yahweh를 영어식인 Ya-hweh로 음절을 나누어 잘못 음역한 것이다(독일어로 Jahweh도 한
글로 음역할 때에 Ja-hweh로 잘못한 것임). 히브리어로는 첫번째 음절이 π‘ (YH) 이며 .랴’
(Yah) 라고 음역한다 히브리 성서에 이스라엘 피뺑! 이름인 ”‘(“야’ Y하1)가 야훼(π1;'‘)를 뜻하
는 이 름으로 24번 나온다(A. Even-Shoshan , A New Concordance ofthe ßible , Jerusalem 1982,
voI. 2, 813 쪽 참조) 예를 들어 출애굽기 15 장 1-2절-
나는 야훼를 찬송하리니 (;'1;'’잉 ;"‘ID~ 이쉬라 레 야훼)
그가 영광스럽게 승리하였기 때문입니다{;'~l π~l--그 키 가오 가아)
말과 기병을 바다에 처넣으셨습니다(디‘그 i10i 1그;:,-" 매 쑤쓰 훼로크보 라마 바멈
야는 나의 힘이며 찬양입니다{ëI‘ n;r.:m ‘ Tll 오지 훼점라트 야)
나에게 구원이시며 (nl1lfZi‘닝 ‘.,~‘”’1 훼에히-리 리슈아)
그는 나의 하느님입니다t~rrr 제 엘리)

g 구약성서에 쉰아르 ("~lfZi) 땅에 바벨탑이 있었고(창세기 11 장 2-3절). 쉰아르는 바빌로


니아를 가리키는 고유명사로 사용되었다(이사야 11 장 11 절; 즈가리야 5 장 11 절, 창세기 14
장 1. 9절; 여호수아 7 장 21 절; 다니엘 1 장 2절 참조). (Septuagint에도 쉰아르를 Babulonos
라 번역했다). 기원전 15 세기 때에 키쉬 왕조 (Kassite Dynasty)가 바벌로니아를 통치하고 있
을 때부터 유프라테스 강 서쪽에 살던 사랍틀은 바빌로니아를 .‘'~하라’ (Sh뻐hara) 라고도 불
렀다 동쪽 생어의 거친 “헤이 "(h) 발음은 북서쪽 셈어에서는 후음(唯륨)의 “아인"(~)으로
발음히여 “스납봐”는 “쉰아르‘’가 된 것이대Sh때hara> Shin ‘ ar). Zadok, R. , “The Origin of the
Name Shinar", Zeitschr,띠 for Assyriologie 74 (1 984) , pp.240-4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193


식 발음이었고,인 님로드는 이 유명한 용사 투쿨티」닌우르타를 줄여 부른 이름이

라고 생각된다. 또한 그리스 전설에 의하면 니노스(Ninos) 왕은 새 수도를 세워


‘나노스의 도시”라 불렀고, 그 왕은 이 도시에서 뱀 타 죽었다고 한다 38

투쿨티-닌우르타가 바벌론을 파괴하고 마르둑 신상을 약탈해 간 후 바벌론의


종교 지 B}들은 허물어진 옛 신전을 이전 것과 똑같이 재건하고 복구하는 것이
그들의 종교적이고 정치적인 사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빼앗긴 마르둑 신상을 대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치할 새로운 신상을 만들지 않았다. 오히려 그들은 그 신상이 돌아오기를 염원하


여 수많은 제의(察懷)를 행했고 언제 돌아올 수 있을까 수없이 점(古)을 쳤다.
기원전 1125년 바벌로니아 왕 네부카드레짜르 1세 (1125-1104년)가 즉위하
면서 동쪽의 엘람을 공격하여 부수고 몇 세대 전에 빼앗겨 그곳으로 옮겨간 마

르둑 신상을 탈환(養還)하였다. 이 사건은 바빌론 사랍들에게는 단순히 마르둑


신상이 원래 속했던 곳으로 돌아온 것이 아니라 마르둑 자신이 그의 원수들을
무찌르고 승리하여 귀환한 것이었다. 그는 바벌론을 보호하기 위해 다시 돌아

왔고 그가 세웠던 바로 이 도시에 호의를 베푼다는 것이다. 이러한 축제적인

분위기에서 마르둑의 권능과 업척을 찬양하는 목적으로 씌어진 찬양시가 바벌


www.earticle.net
로니아의 창조 서사시 에누마 엘리쉬라고 생각한다 39

에누마 엘리쉬는 일곱 개의 토판으로 1. 100행이 넘는 긴 작품이며 신년 축제


나흘째 날에 바벌론의 마르둑 신전에 방방독독에서 모인 순례자들 앞에서 대사

제가 에누마 엘리쉬를 처음부터 끝까지 낭독했다. 바빌로니아의 창조 서사시

에누마 엘리쉬는 아카드 문학작품 중에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며 후대에 그 영


향은 성서뿐만 아니라 그리스의 헤시오드 (Hesiod)의 Theogony 퉁에서 읽을
수 있다. 그때 위에" (에누마 엘리쉬)로 시작하는 이 창조 서 λ}시의 처음 부분

을아래와같이 번역한다.

인 즉 *Nin(u)rt(a) > *Ninrut > Nimrod.


38 H. Lewy , “ Nitokris-Naqî'a", Joumal ofNear Eastem Studies 11 (1 952), 266-7 1.
엉 안성립/조철수‘ 『사람이 없었다 神도 없었다」 창세기 1-11 장과 고대 메소포타미아, 서
울 서운관. 1995 , 111-36쪽.

194 조절수
그때 위에 하늘이 이름 지어지지 않았고,

밑에 마른 땅이 이름으로 불려지지 않았다.


처음으로 그들(신들)의 아버지 앞수(지뺨)와
그들 모두를 낳을 뭄무(母) 티야마트(바다)는
자기네들의 물을 하나로 섞고 있었다.
갈대 집이 엮어지지 짧고, 늪 있는 땅도 보이지 않았다.

그때 어떤 신들도 나타나지 않아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이름으로 불려지지 않았고, 운명도 정해지지 않았다.


신들이 그(앞수와 티빡타 섞인 물) 속에서 생겨났다.

이렇게 시작하는 태초 이야기에서 바빌로니아 사람들의 세계관을 알 수 있다.

태초에 하늘과 땅이라는 이름이 없었고 지하수인 단물과 싼 바닷물이 서로 섞


인 곳에서 세상이 시작되었으며 그때에는 사람이 있기 전이어서 갈대 집이 엮
어지지 않았고뼈 풀이 자라는 늪 있는 땅도 보이지 않았다 41 이 부분은 구약성
서 창세기의 창조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창세기 2장과 1장의 관
www.earticle.net
계된 부분을 아래와 같이 번역한다.

창세기 2장 4뼈절:

그때에 야훼 엘로힘 (하느님)이 땅과 하늘을 만들었다.

들의 어떤 초목도 땅에 아직 있기 전이고,
들의 어떤 풀도 아직 자라기 전이었다.

@ 남메소포타미아의 두 강 하류 삼각주 지역에 아랍 사람들은 아직도 마른 갈대를 엮어


집을짓고산다.

l 이곳은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의 하류 삼각주 지역이며 페르샤만의 바닷물과 두


강의 민물이 서로 섞이는 곳으로 갈대밭이나 늪이 많았던 곳이다. 중요한 사실은 고대 수메
르 문명의 발상지가 이 삼각주 지역에 인접한 도시 우루크 · 에리두 우르였고, 이 도시의
주민들은 갈대밭에서 갈대를 잘라다 집올 지었고 늪이나 연못에서 잡은 물고기나 그것올
말린 것이 그들의 주요 식량원이었다. 이렇게 생활에 가장 필요한 곳에서 신들이 태어났다
는 그들의 세계관은 실질척이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195


。냄~1 엘로힘이 땅 위에 비를 내리지 않았고,

흙을 일굴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물살이 땅에서 올라와 흙 표변을 모두 적시었다.

창세기 1장 1-2절:
처음에 엘로힘(하느님)이 하늘과땅을만들어 냈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땅은 불모지에 비었었고(토후 봐 보후 1π그1 비n)

어둠이 깊은 물(트흠1:11πn) 위에,

엘로힘의 바람이 물 위에 일고 있었다.

에누마 엘리쉬에 묘사하는 “(풀이 자라는) 늪 있는 땅도 보이지 않았고 (사람

이 있기 전이어서) 갈대 집이 엮어지지 않았다’는 두 문장이 창세기 2장에 ‘들


의 초목이나 풀도 땅에 아직 자라기 전이고 흙을 일굴 사람이 없었다’와 서로

평행하는 문장이라고 하면 창세기 1장의 구절을 땅은 (풀이 자라기 전의) 불

모지에 (사람이 있기 전이어서) 비었다’라고 이해할 수 있다 갱


www.earticle.net
에누마 엘리쉬의 “앞수(지하수)와 티야마트(바다)가 자기네들의 물을 하나로

섞고 있었다’와 창세기 1장의 ‘껴둠이 깊은 물 위에 엘로힘의 바람이 물 위에


일고 있었다’가 서로 평행한다면 ‘깊은 물’은 “바다”이며 “엘로힘의 바람이 물

위에”에서 “불’은 “단물’인 강물이나 지하수를 뜻한다.쩌 즉, 창세기 1장의 이

구절은 “어둠이 바닷물(찬물) 위에 엘로힘의 바람이 (단)물 위에 일고 있었다”

로해석된다.

@ “불모지”의 뜻은 신명기 32장 10절에서 원을 수 있다 “(야웨)는 (야콩)을 광야 땅에서


찾았다 바람이 왕왕거리는 불모지(토후) 황야에서" 또한 예레미야서 4 장 23-24절과 25-26
절 “나(야훼)는 땅을 보았다. 보아라, 불모지에 비었다(토후 봐 보후) 하늘을 (보았다) 보
아라, 빛이 없었다 (23-24절): 나는 보았다 보아라, 사람이 없다 하늘의 옹갖 새는 도망갔
다" (25-26절)를 비교하면, “불모지에 비었다”를 더 묘사하여 ‘자람이 없이 (비었고 초목이
없는 불모지여서) 온갖 새가 도망갔다”로 이해할 수 있다

갱 “깊은 물"(트홈, r.l1i"1n)은 ”바다’의 뜻인 아카드어의 tiãmtu와 상관된 단어이다 티야마


트도 tiãmtu 에서 온 단어이다

196 조칠수
에누마 엘리쉬 시작에 신들이 앞수(지하수)와 티。짜트(바닷물)가 섞인 물
속에서 생겨났다라고 설명끓이 고대 메소포타미。에서는 인간 창조 이전에
선들이 생겨났다고 한다. 이에 반하여 구약성서의 태초 역사는 어떻게 신들이

있게 되었나에 대한 신들의 계보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태초의 신들이 태어난 후에 지하수에서 지하수 신인 에。까 마르둑을 낳았

다. 마르둑은 태어날 때부터 그의 神뾰은 두 배가 되었으며 그의 형상은 다른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신들보다 훨씬 컸다. 하늘 신은 그에게 四方 바람을 노리개로 주어 마르둑은


그것으로 폭풍을 일으켜 파도를 일게 하여 바다를 상정하는 티。빠트를 괴롭혔
다. 티야마트는 괴물들을 만들어 마르둑과 대적했으나 그는 티야마트와 그녀에

게 동조하는 신들을 굴복시키고 티。빡트를 죽였다. 마르둑은 그녀의 시신을


반으로 갈라 그 반을 세워 창공을 만들어 혐에 태양과 달과 별을 세우고 그

에 따라 절기를 정하게 했으며 그녀의 시신의 나머지 반으로 지붕을 만들어 땅


과 바다가 생기게 했다(즉, 어둠을 물리치고 빛을 세웠다) . 그후 티야마트를

선동하고 전쟁을 일으키게 한 그녀의 아들을 처벌하여 피를 흘리게 하고 그 피

로 사람을 만들었다. 사람들은 신들의 노역을 감딩하여 바빌론을 세우고 마르


www.earticle.net
둑의 신전을 지어 신들이 쉴 수 있는 곳을 만들었다. 이래서 마르둑은 다른 신
들 위에 우뚝 올라 진들의 왕권”을 취하게 되었으며 그에게 하늘과 땅의 주권
이 있다고 확인했다. 이 창조 서사시는 단순히 우주와 인간을 창조한 이야기만

은 아니다. 오히려 마르둑 제의를 확인하고 바빌론이 세상의 중심이라는 종교


정치적인 이데올로기를 널리 퍼뜨리기 위한 민족의 서씨이다.
적어도 기원전 6세기 즈음에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학사에 마지막으로 묵시문
학이 등장한다. 이러한 묵시문학은 티야마트와 마르둑의 “전투” 같은 웅장한
“전쟁 신화:' (combat myth) 에서 발전되었으며 세상의 “마지막 날’에 껴둠과
빛의 전쟁에서 빛이 이긴다’는 등을 주제로 한다. 바빌론에 유배생활을 했던
유대인들도 이 새로운 문학 추세에 편승하여 기원전 2세기쯤에 “다니엘서”와
같은 대표적인 묵시서를 썼다. 기원전 150년경부터 유대교 사제들 가운데 그
당시 그들의 종교적 중심지였던 예루살렘의 기득권층의 사제들의 비리에 반대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이해 197


하여 현재 요르단과 이스라엘 사이의 사해(死海) 북서편 산기숨에 정착지를 만

들고 모여 살았던 공동체가 있었다. 그들은 “마지막 날에 어둠의 자식들과 빛

의 자식들의 전쟁”을 준비하며 깨끗한 종교생활을 했고 그들을 구원할 메시아


를 기다리는 신앙으로 많은 묵시문학 작품을 썼으며 자기네 공동체의 규례 등
새로운 계약에 대하여 여러 문서를 기록했다. 68년 로마 군인들이 그들의 주거
지를 부수어 버린 후 다른 곳으로 흩어져 버렸지만 그들이 숨기고 간 양피지에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기록된 그들의 작품에서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묵시문학의 발전 과정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묵시문학은 초기 기독교 신앙의 형성과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지난 150여 년 동안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굴된 토판에 씌어진 쐐기문자의 해

독과 연구로 급속한 발전을 이룬 아시리아학 (Assyriology) 의 학문적 기여로


인류의 역사시대가 수메르에서 시작했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그후 고대 근동의

문화의 중심지가 된 바빌론이 페르샤에 의해 망하게 될 때까지 약 2.500여 년


동안 기록된 수없이 많은 토판에서 서양 문화의 근간을 이룬 고대 메소포타미
아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구약성서뿐만 아니라 그리스 문
www.earticle.net
화를 연구하는 데 아시리아학은 매우 중요하다.

참고문현

안성림/조철수~사람이 없었다 神도 없었다~ . 창세기 1-11 장과 고대 메소포타미아, 서울 서운


관 1995
Bottéro. 1.. Mythes et rites de Babylone , Paris , 1985.
Burkert, W. , The Orientalizing Revolution. Near Eastern lnfluence on Greek Culture in the
Early Archaic Age ,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 1992.
The Cambridge Ancient Histoη, third edition, I-II, Carn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1975
Crawford , H. , Sumer and the Sumerians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 1.
Foster, B. R. , Before the Muse. An Anthology of Akkadian Literature 1-11, Mary1and: CDL
Press. 1993

198 조절수
Jacobsen , Th. , The Treasures of Darkness. A Histoη of Mesopotamian Religion ,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 1976.
~ The Harps That Once ... Sumerian Poetry in Translation , New Haven: Yale Univer-
sity , 1987.
Hallo , W. W. and W. K. Simpson , The Ancient Near East: A History , New York, 197 1.
Kramer , S. N. , From the Poetry of Sumer. Creation , Glor띠cation, Adoration , Califomia:
University of Califomia Press , 1979.
~ History Begins at Sume r.‘ Thirty-nine Firsts in Man ’ s Recorded History , Philadelphia: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1.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55.230.47.218 at Tuesday, May 18, 2021 11:56 AM

Leick, G. , A Dictionaη of Ancient Near Eastern Mythology , London: Routledge , 199 1.


Nissen , H. Damerow , P. and Englund R., Archaic Bookkeeping. Early Writing and Techni-
ques of Economic Administration in the Ancient Near East ,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1993
Oates , J. , Babylon , revised edition, London: Thames and Hudson , 1986.
0 ’ Brien J. , and W. Major, In the Beginning. Creation Myths from Ancient Mesopotamia ,
Israel and Greece , Scholars Press , 1982.
Postgate, J. N. , Early Mesopotamia. Society and economy at the dawn of histoη, London:
Routledge , 1992.

Roaf, M. , Cultural Atlas of Mesopotamia and the Ancient Near E st. Facts on File , New
York , 1990.
www.earticle.net
Soden, W. von , Einführung in die Altorientalistik, Darmstadt, 1985; The Ancient Orient.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Ancient Near East, Michigan, 1994
Texte aus der Umwelt des Alten Testaments , I-IV , Gütersloh , 1984-1994.
Westbrook , R. , Studies in Biblical and Cμneψ r.m La w , Paris , 1988.
Van Seters , J. , Prologue to Histoη. The Yahwist as Historian in Genesis , Louisville: John
Knox Press , 1992
Walton , J. H. , Ancient Israelite Literature in its Cultural Context , Michigan: Zondervan
Publishing House , 1989.
Copyright 1995 조철수 . Dept. of Assyriology ,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고대 메소포타미마 문화의 이해 19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