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40

함수 164

여러 가지 함수 178
– 대응
– 함수
–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 서로 같은 함수
– 순서쌍과 곱집합
– 함수의 그래프

– 일대일함수
– 일대일대응
– 항등함수
– 상수함수
함수의 뜻

대응
X Y
춘분 봄 왼쪽 그림과 같이 두 집합
하지 여름
X = {춘분, 하지, 추분, 동지}, Y = {봄, 여름, 가을, 겨울}
추분 가을
동지 겨울 에 대하여 집합 X 의 원소 ‘24절기’에 집합 Y 의 원소 ‘절기가 포함된 계절’을 짝지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5.1. 집합 X 에서 Y 로의 대응 이와 같이 두 집합 X, Y 에 대하여 집합 X 의 원소에 집합 Y 의 원소가 짝지어지는 것을 집합 X
에서 집합 Y 로의 대응이라 한다. 이때, 집합 X 의 원소 x에 집합 Y 의 원소 y 가 짝지어지면 x에
y 가 대응한다고 하고, 이를 기호로
x −→ y

와 같이 나타낸다.

정의 대응
하 5.1
두 집합 X, Y 에 대하여
• 집합 X 의 원소에 집합 Y 의 원소가 짝지어지는 것을 집합 X 에서 집합 Y
로의 대응이라 한다.
• 집합 X 의 원소 x에 집합 Y 의 원소 y 가 짝지어지면 x에 y 가 대응한다고
하고, 이를 기호로 x −→ y 와 같이 나타낸다.

보기 5.1 두 집합 X = {5, 6, 7}, Y = {1, 2, 3}에 대하여 다음 대응을 나타내시오.


(1) X 의 원소에 그 수를 4로 나눈 나머지인 Y 의 원소를 대응시킨다.
(2) X 의 원소에 그 수보다 5가 작은 Y 의 원소를 대응시킨다.
보기 정답
(3) X 의 원소가 짝수이면 짝수인 Y 의 원소를, X 의 원소가 홀수이면 홀수인
5.1 (1) X Y (2) X Y
5 1 5 1 Y 의 원소를 대응시킨다.
6 2 6 2
7 3 7 3

집합 X 에서 집합 Y 로의 대응은 위의 보기와 같이 집합 X 의 한 원소에 집합 Y 의 원소가 두


(3) X Y
5 1 개 이상 대응할 수도 있고, 집합 X 의 한 원소 중에서 집합 Y 의 원소가 대응하지 않는 것도 있다.
6 2
7 3

164 05. 함수
함수

‘24절기’ 집합 X 의 모든 원소는

춘분 −→ 봄, 하지 −→ 여름, 추분 −→ 가을, 동지 −→ 겨울

과 같이 집합 Y 의 원소에 오직 하나씩 대응한다. 이와 같이 대응 중에서 집합 X 의 각 원소에


집합 Y 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할 때, 이 대응 f 를 X 에서 Y 로의 함수라 하고, 이를 기호로

f : X −→ Y 일반적으로 함수를 영어의 알파벳


소문자 f, g, h, . . .로 나타낸다.
와 같이 나타낸다.

정의 함수
하 5.2 집합 X 에서 집합 Y 로의 함수 f
두 집합 X, Y 에 대하여 집합 X 의 각 원소에 집합 Y 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할 때, 이 대응 f 를 X 에서 Y 로의 함수라 하고, 이를 기호로 f
f : X −→ Y
X Y
와 같이 나타낸다.
와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집합 X 에서 집합 Y 로의 대응이 함수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때에는 X 의 각 원소에 Y 의 원소


가 오직 하나씩 대응하는지를 확인하면 된다. 예를 들어, 다음 대응들은 X 에서 Y 로의 함수가
아니다.

X Y X Y
1 a 1 a
2 b 2 b
3 c 3 c

(1) (2)

• (1)의 경우, X 의 원소 중 3은 Y 의 원소에 하나도 대응하지 않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 (2)의 경우, X 의 원소 중 2는 Y 의 원소 a, b에 모두 대응하고 있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05-1. 함수 165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정의역 공역 함수 f : X −→ Y 에 대하여 집합 X 를 함수 f 의 정의역, 집합 Y 를 함수 f 의 공역이라 한다.


f
X Y
또한 정의역 X 의 원소 x에 공역 Y 의 원소 y 가 대응할 때, 이것을 기호로

y = f (x)
x f(x)
와 같이 나타내고, f (x)를 함수 f 에 대한 x의 함숫값이라 한다. 함숫값 전체의 집합
치역
{f (x) | x ∈ X}
그림 5.2. 함수 f 의 정의역, 공역, 치역
를 함수 f 의 치역이라 한다. 따라서 함수 f : X −→ Y 의 치역은 공역 Y 의 부분집합이다.

정의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함수의 정의역과 공역이 따로 명시되어 하 5.3
집합 X 에서 집합 Y 로의 함수 f 에 대하여
있지 않으면 정의역은 함숫값이 정의
되는 실수 전체의 집합, 공역은 실수 • 집합 X 를 함수 f 의 정의역, 집합 Y 를 함수 f 의 공역이라 한다.
전체의 집합으로 생각한다. • 함숫값 전체의 집합 {f (x) | x ∈ X}를 함수 f 의 치역이라 한다.

예시 오른쪽 그림과 같은 두 집합
f
X = {1, 2, 3}, Y = {a, b, c, d} X Y
a
에 대하여 집합 X 의 각 원소에 집합 Y 의 원소가 1
오직 하나씩 대응하므로 X 에서 Y 로의 대응 f 는 b
2
c
함수이다. 이때 함수 f 의 정의역은 X , 공역은 Y 3 d
이고, 함숫값이
f (1) = b, f (2) = b, f (3) = c
이므로 함수 f 의 치역은 {b, c}이다.

보기 5.2 다음 대응 중에서 집합 X 에서 집합 Y 로의 함수를 찾고, 함수인 것은 치역을


구하시오.
(1) f (2) f
X Y X Y
1 a 1 a
2 b 2 b
3 c 3 c

(3) f (4) f
X Y X Y
1 a 1 a
2 b 2 b
3 c 3 c

보기 정답

5.2 (1) {a, c} (2) 함수가 아니다.


(3) {b} (4) {a, b, c}

166 05. 함수
서로 같은 함수

정의역과 공역이 각각 X, Y 로 같은 두 함수

f : X −→ Y, g : X −→ Y

라고 하자. 정의역 X 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 (x) = g(x)일 때, 두 함수 f, g 는 서로 같다고


하고, 이를 기호로
f =g

와 같이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정의역이 X = {−1, 0, 1}, 공역이 Y = {x | x는 실수}인 두 함수

f (x) = x, g(x) = x3

의 함숫값을 구해보면 함수의 관계식은 다르지만 서로 같은 함수


두 함수 f, g 가 서로 같은지를 판단하는
f (−1) = g(−1) = −1, f (0) = g(0) = 0, f (1) = g(1) = 1
것은 함수의 관계식이 같은지 비교하
이므로 정의역의 모든 원소에 대하여 두 함수의 함숫값이 같다. 따라서 f = g 이다. 는 것이 아니다. 정의역의 각 원소의
함숫값이 같은지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f g
X Y X Y
-1 -1 -1 -1
0 0 0 0
1 1 1 1

정의 서로 같은 함수
하 5.4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1) 정의역과 공역이 서로 같다.
(2)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 (x) = g(x)이다.
를 모두 만족시키면 두 함수 f, g 는 서로 같다고 하고, 이를 기호로 f = g 와
같이 나타낸다.


한편 두 함수 f, g 가 서로 같은 함수 p.167 의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면 두 함수
f, g 는 서로 같지 않다고 하고, 이를 기호로 f 6= g 와 같이 나타낸다.

보기 5.3 정의역이 X = {−1, 1}이고 공역이 실수 전체의 집합인 네 함수


1
f (x) = x, g(x) = |x|, h(x) = x2 , k(x) = (x+1)2 −1
2
에 대하여 서로 같은 함수를 구하시오.

보기 정답

5.3 f = k, g = h

05-1. 함수 167
함수의 그래프
한 걸음 더

순서쌍과 곱집합

두 집합 X, Y 에 대하여 X 의 원소 x와 집합 Y 의 원소 y 를 선택하여, 순서를 생각해서 만든


x와 y 의 쌍 (x, y)를 순서쌍이라 한다. 또한 두 집합 X, Y 로부터 만들어지는 모든 순서쌍의
집합을 집합 X 와 집합 Y 의 곱집합이라 하고, 이를 기호로

X ×Y = {(x, y) | x ∈ X, y ∈ Y }

와 같이 나타낸다. 예를 들어, 집합 X, Y 가

X = {1, 2, 3}, Y = {−1, 1}


y
X#Y 일 때, X 의 원소 x와 집합 Y 의 원소 y 의 모든 순서쌍 (x, y)는
1
(1, −1), (1, 1), (2, −1), (2, 1), (3, −1), (3, 1)
O 1 2 3 x
이다. 따라서 집합 X 와 집합 Y 의 곱집합은
-1
X ×Y = {(1, −1), (1, 1), (2, −1), (2, 1), (3, −1), (3, 1)}
그림 5.3. 곱집합 X ×Y
이고, 집합 X ×Y 의 원소를 좌표평면 위의 점으로 나타내면 그림 5.3과 같다.

정의 순서쌍과 곱집합
하 5.5
두 집합 X, Y 에 대하여
• X 의 원소 x와 집합 Y 의 원소 y 를 선택하여, 순서를 생각해서 만든 x와 y
의 쌍 (x, y)를 순서쌍이라 한다.
• 두 집합 X, Y 로부터 만들어지는 모든 순서쌍의 집합을 집합 X 와 집합 Y
의 곱집합이라 하고, 이를 기호로
X ×Y = {(x, y) | x ∈ X, y ∈ Y }
와 같이 나타낸다.

예시 두 집합 X = {0, 1, 2, 3}, Y = {1, 2}에 대하여


1. X 의 원소 x와 집합 Y 의 원소 y 로 만든 모든 순서쌍 (x, y)는
(0, 1), (0, 2), (1, 1), (1, 2), (2, 1), (2, 2), (3, 1), (3, 2)
이다. 따라서 곱집합 X ×Y 는
X ×Y = {(0, 1), (0, 2), (1, 1), (1, 2), (2, 1), (2, 2), (3, 1), (3, 2)}
이고, n(X ×Y ) = 8이다.
2. Y 의 원소 y 와 집합 X 의 원소 x로 만든 모든 순서쌍 (y, x)는
(1, 0) , (1, 1), (1, 2), (1, 3), (2, 0), (2, 1), (2, 2), (2, 3)
이다. 따라서 곱집합 Y ×X 는
Y ×X = {(1, 0) , (1, 1), (1, 2), (1, 3), (2, 0), (2, 1), (2, 2), (2, 3)}
이고, n(Y ×X) = 8이다.

168 05. 함수
함수의 그래프

함수 f : X −→ Y 에 대하여 정의역 X 의 원소 x와 그 함숫값 f (x)의 순서쌍 (x, f (x)) 전체의


집합을 G라 할 때 함수 f : X −→ Y 의 그래프 G는
곱집합 X ×Y 의 부분집합이다. 즉,
G = {(x, f (x)) | x ∈ X}
G ⊂ X ×Y
를 함수 f 의 그래프라 한다. 예를 들어, 정의역이 X = {1, 2, 3}, 공역이 Y = {0, 1}인 함수 이다.
f (x) = −(x−2)2 +1에 대하여 X 의 원소 x와 그 함숫값 f (x)의 모든 순서쌍 (x, f (x))는

(1, 0), (2, 1), (3, 0) y


1
이다. 따라서 함수 f 의 그래프는

G = {(1, 0), (2, 1), (3, 0)} O 1 2 3 x

이고, 이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그림 5.4와 같다. 그림 5.4. G = {(x, f (x)) | x ∈ X}

정의 함수의 그래프
하 5.6
함수 f : X −→ Y 에 대하여 정의역 X 의 원소 x와 그에 대응하는 함숫값
f (x)의 순서쌍 (x, f (x))를 원소로 하는 집합을 G라 할 때
G = {(x, f (x)) | x ∈ X}
를 함수 y = f (x)의 그래프라 한다.

함수 f : X −→ Y 는 정의역 X 의 각 원소에 대응하는 공역 Y 의 원소가 오직 하나뿐이다. 따라


서 함수 f 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었을 때, 정의역의 각 원소 a에 대하여 직선 x = a와
오직 한 점에서 만난다. 반대로, 실수 a에 대하여 직선 x = a와 주어진 그래프가 오직 한 점에서
만나면, 그 그래프는 a를 원소로 하는 집합을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의 그래프이다.

예시 다음 네 그래프가 함수의 그래프인지 판단해 보자.


(1) y (2) y
(1, 2) 3
(-1, 2)
(2, 1)
(-2, 0) O x -3 O 3 x
(-1, -1)
(3) y (4) y
2
1
O 1 x O x
-1

(1) −1에 −1과 2 두 개의 원소가 대응하고 있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2) 정의역이 {x | −3 ≤ x ≤ 3}이고 치역이 {y | 0 ≤ y ≤ 3}인 함수이다.
(3) 1에 −1과 1 두 개의 원소가 대응하고 있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4)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 치역은 {2}인 함수이다.

05-1. 함수 169
함수의 정의

예제 두 집합 X = {0, 1, 2}, Y = {−1, 0, 1}에 대하여 X 에서 Y 로의 함수인 것만을

01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f : x −→ x ㄴ. g : x −→ x−1
2
ㄷ. h : x −→ (x−1) ㄹ. k : x −→ x−|x−1|

길잡이 두 집합 X, Y 에 대하여 집합 X 에서 집합 Y 로의 대응이


• 집합 X 의 모든 원소에 집합 Y 의 원소가 대응하고
• 집합 X 의 각 원소에 집합 Y 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할 때
이 대응을 X 에서 Y 로의 함수라 한다.

풀이

대응 p.164 각각의 대응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낸다.


ㄱ. f ㄴ. g
X Y X Y
0 -1 0 -1
1 0 1 0
2 1 2 1

ㄷ. h ㄹ. k
X Y X Y
0 -1 0 -1
1 0 1 0
2 1 2 1

함수 p.165 각 대응 중에서 Y 의 원소가 하나씩 대응되는 것을 찾는다.


ㄱ은 X 의 원소 2에 대응하는 Y 의 원소가 없다. 따라서 주어진 대응 중 X 에서 Y 로의
함수인 것은 ㄴ, ㄷ, ㄹ이다.

정답 ㄴ, ㄷ, ㄹ

돌다리 두드리기

두 집합 X = {−1, 0, 1}, Y = {0, 1, 2}에 대하여 X 에서 Y 로의 함수인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돌다리 두드리기 ㄱ. f : x −→ |x| ㄴ. g : x −→ x2 +1 ㄷ. h : x −→ x2 −1


|답| ㄱ, ㄴ
ㄱ. f ㄴ. g ㄷ. h
ㄱ, ㄴ, ㄷ의 대응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ㄷ은 X 의 원소 0에 대응 X Y X Y X Y
하는 원소가 없다. 따라서 X 에서 Y 로의 함수가 아니다. 따라서 주어진 대응 중 X 에서 Y -1 0 -1 0 -1 0
170 05. 함수 로의 함수는 ㄱ, ㄴ이다. 0 1 0 1 0 1
1 2 1 2 1 2
정답 및 풀이 p.436

유제 01-1

집합 X = {−1, 0, 1}에 대하여 X 에서 X 로의 함수인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f : x −→ x ㄴ. g : x −→ |x|
3

ㄷ. h : x −→ −x +x ㄹ. k : x −→ x

각각의 대응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ㄷ. h ㄹ. k


X X X X
ㄱ. f ㄴ. g
X X X X -1 -1 -1 -1
-1 -1 -1 -1 0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ㄹ은 X 의 원소 −1에 대응하는 원소가 없으므로 주어진 대응 중 X 에서 X 로의 함수인
것은 ㄱ, ㄴ, ㄷ이다.
답 ㄱ, ㄴ, ㄷ

유제 01-2

두 집합 X, Y 가
X = {x | x는 4 이하의 자연수}, Y = {y | y 는 10 이하의 짝수}
일 때, X 에서 Y 로의 함수인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f : x −→ x+6 ㄴ. g : x −→ 2x−2
ㄷ. h : x −→ 2|x+1| ㄹ. k : x −→ (x−2)2 +x

X = {1, 2, 3, 4}이고 Y = {2, 4, 6, 8, 10}이므로 각각의 대응 관계를 그림으로 ㄷ. h ㄹ. k


X Y X Y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2 1 2
ㄱ. f ㄴ. g 4 4
X Y X Y 2 2
6 6
2 2 3 8 3 8
1 1
4 4 4 10 4 10
2 2
6 6
3 8 3 8 이다. ㄱ은 X 의 원소 1, 3에 대응하는 Y 의 원소가 없고 ㄴ은 X 의 원소 1에 대응하는
4 10 4 10
Y 의 원소가 없으므로 주어진 대응 중 X 에서 Y 로의 함수인 것은 ㄷ, ㄹ이다.
답 ㄷ, ㄹ

유제 01-3 대응 p.164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함수 f 가


(
2x (x는 유리수)
f (x) =
1 (x는 무리수)

라 할 때, f (2)+f ( 2)+f (π)의 값을 구하시오.
√ √
2는 유리수이므로 f (2) = 2·2 = 4이고 2, π 는 무리수이므로 f ( 2) = 1,
f (π) = 1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f (2)+f ( 2)+f (π) = 4+1+1 = 6
답 6

05-1. 함수 171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예제 두 집합

02 X = {x | x는 −1 ≤ x ≤ 2인 정수}, Y = {y | y 는 10 이하의 짝수}


에 대하여 X 에서 Y 로의 함수 f (x) = 2x+4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함수 f 의 정의역, 공역을 각각 구하시오.
(2) 함수 f 의 치역을 구하시오.
(3) 2f (1)+f (2)의 값을 구하시오.
(4) f (a) = 4인 집합 X 의 원소 a의 값을 구하시오.

길잡이 집합 X 에서 집합 Y 로의 함수 f : X −→ Y 에 대하여
• 집합 X 를 함수 f 의 정의역이라 한다.
• 집합 Y 를 함수 f 의 공역이라 한다.
• 원소 x에 대응되는 공역 Y 의 원소를 함수 f 에 대한 x의 함숫값이라 한다.
• 함숫값 전체의 집합 {f (x) | x ∈ X}를 함수 f 의 치역이라 한다.

풀이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집합의 표현 p.14 두 집합 X, Y 를 원소나열법으로 각각 나타내면
X = {−1, 0, 1, 2}, Y = {2, 4, 6, 8, 10}
이다. 이를 이용하면

정의역: X = {−1, 0, 1, 2}, 공역: Y = {2, 4, 6, 8, 10}

f (−1) = 2, f (0) = 4, f (1) = 6, f (2) = 8이므로 함수 f 의 치역은 {2, 4, 6, 8}이다.

f (1) = 6, f (2) = 8이므로 2f (1)+f (2) = 20이다.

f (a) = 2a+4 = 4이므로 2a = 0에서 a = 0이다.

정답 (1) 정의역 : {−1, 0, 1, 2}, 공역 : {2, 4, 6, 8, 10}


(2) {2, 4, 6, 8} (3) 20 (4) 0

돌다리 두드리기
돌다리 두드리기
|답| 정의역 : {−1, 0, 1}, 두 집합 X = {−1, 0, 1}, Y = {−1, 0, 1, 2}에 대하여 함수 f (x) = x2 일 때, 함수 f 의
공역 : {−1, 0, 1, 2},
정의역, 공역, 치역을 각각 구하시오.
치역: {0, 1}

f (−1) = 1, f (0) = 0, f (1) = 1이므로 정의역은 X = {−1, 0, 1},


공역은 Y = {−1, 0, 1, 2}, 치역은 {0, 1}이다.
172 05. 함수
정답 및 풀이 p.437

유제 02-1

함수 f : X −→ Y 의 대응 관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f


X Y
물음에 답하시오. 1 -2
2 -1
(1) 함수 f 의 정의역, 공역을 각각 구하시오.
3 0
(2) 함수 f 의 치역을 구하시오. 4 1
5 2
(3) f (a) = 0인 집합 X 의 원소 a의 값을 모두 구하시오.

(1) 정의역은 X = {1, 2, 3, 4, 5}, 공역은 Y = {−2, −1, 0, 1, 2}이다.


(2) f (1) = 0, f (2) = −2, f (3) = 1, f (4) = 1, f (5) = 0이므로 치역은
{−2, 0, 1}이다.
(3) 문제의 그림에서 1, 5가 0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f (a) = 0인 a의 값은 1, 5이다.

답 (1) 정의역 : {1, 2, 3, 4, 5}, 공역 : {−2, −1, 0, 1, 2}


(2) 치역 : {−2, 0, 1} (3) 1, 5

유제 02-2 차집합 p.48

두 집합 X = {1, 3, 5, 7, 9}, Y = {1, 2, 3, 4, 5}에 대하여 X 에서 Y 로의 함수 f 가


f (x) = (x를 6으로 나눈 나머지)
일 때, 함수 f 의 공역을 A, 치역을 B 라 하자. 집합 A−B 를 구하시오.
함수 f 의 공역은 집합 Y , 즉 A = Y = {1, 2, 3, 4, 5}이고
f (1) = 1, f (3) = 3, f (5) = 5, f (7) = 1, f (9) = 3
이므로 함수 f 의 치역은 B = {1, 3, 5}이다. 따라서 구하는 집합은
A−B = {2, 4}
답 {2, 4}

유제 02-3 집합의 표현 p.14

함수 f 가 임의의 실수 x, y 에 대하여 f (x+y) = f (x)+f (y)를 만족시키고 f (2) = 8일 때,


f (5)의 값을 구하시오.
주어진 식의 양변에 x = 1, y = 1을 대입하면
f (2) = f (1)+f (1) = 2f (1)
이고 f (2) = 8이므로 f (1) = 4이다. 또한 주어진 식의 양변에 x = 2, y = 1을 대입하

f (3) = f (2)+f (1) = 12
이므로 구하는 값은 주어진 식의 양변에 x = 3, y = 2를 대입하면
f (5) = f (3)+f (2) = 12+8 = 20
답 20

05-1. 함수 173
서로 같은 함수

예제 집합 X = {1, α, β}를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03 f (x) = x3 +ax2 , g(x) = x−3


가 있다. f = g 일 때, 서로 다른 세 상수 α, β, a에 대하여 a2 +α2 +β 2 의 값을
구하시오.

길잡이 두 함수 f, g 가 서로 같은 함수, 즉 f = g 이면
• 두 함수 f, g 의 정의역과 공역이 서로 같다.
•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 (x) = g(x)이다.

풀이

서로 같은 함수 p.167 두 함수 f, g 가 서로 같은 함수임을 이용한다.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f = g 이므로
f (α) = g(α), f (β) = g(β), f (1) = g(1) ···㉠
이 성립한다.

서로 같은 함수 p.167 f (1) = g(1)임을 이용하여 상수 a의 값을 구한다.


f (1) = g(1)에서 1+a = 1−3이므로 a = −3이다.

서로 같은 함수 p.167 ㉠임을 이용하여 α, β 의 값을 구한다.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p.228 ㉠에서 1, α, β 는 방정식 f (x) = g(x), 즉 방정식
곱셈 공식의 변형 I p.23
f (x)−g(x) = x3 −3x2 −x+3 = 0
의 서로 다른 세 근이므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에 의하여
(세 근의 합) = 1+α+β = 3
(두 근의 곱의 합) = α+β +αβ = −1
(세 근의 곱) = αβ = −3
이고 α+β = 2, αβ = −3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a2 +α2 +β 2 = a2 +(α+β)2 −2αβ = (−3)2 +22 −2·(−3) = 19

정답 19

돌다리 두드리기

X = {2, α}를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f (x) = x2 +x, g(x) = x−a
돌다리 두드리기
가 있다. f = g 일 때, 두 상수 a, α에 대하여 aα의 값을 구하시오.
|답| 8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f = g 이므로 f (2) = g(2)에서 4+2 = 2−a이고 a = −4이
2 2
다. 또한 f (α) = g(α)에서 α +α = α+4이고 α = 4이므로 α = −2이다. 따라서
174 05. 함수
구하는 값은 aα = (−4)·(−2) = 8이다.
정답 및 풀이 p.437

유제 03-1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p.228

집합 X = {1, 2}를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f (x) = x+a, g(x) = x2 +bx+4에 대하여


f = g 일 때, 두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f = g 이므로 f (1) = g(1), f (2) = g(2)에서
1+a = 1−b+4 ➭ a−b = 4
2+a = 4+2b+4 ➭ a−2b = 6
이고 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 = 2, b = −2이므로 구하는 값은 ab = −4이다.
답 −4

유제 03-2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p.228

집합 X = {−1, 1}을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두 함수가 서로 같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 (
f (x) = x2 f (x) = −x2 +1
ㄱ. ㄴ.
g(x) = 1 g(x) = x2 −1
( (
f (x) = |x+1| f (x) = x3 −x
ㄷ. ㄹ.
g(x) = |x−1| g(x) = x2 +x

ㄱ. (참) f (−1) = g(−1) = 1, f (1) = g(1) = 1이므로 f, g 는 서로 같은 함수이다.


ㄴ. (참) f (−1) = g(−1) = 0, f (1) = g(1) = 0이므로 f, g 는 서로 같은 함수이다.
ㄷ. (거짓) f (−1) = 0, g(−1) = 2이므로 f (−1) 6= g(−1)이다. 따라서 f, g 는
서로 같은 함수가 아니다.
ㄹ. (거짓) f (1) = 0, g(1) = 2이므로 f (1) 6= g(1)이다. 따라서 f, g 는 서로 같은
함수가 아니다.

유제 03-3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p.228
답 ㄱ, ㄴ 부분집합 p.24

공집합이 아닌 집합 X 를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f (x) = x2 +x, g(x) = −x2 +5x+6
에 대하여 f, g 가 서로 같은 함수가 되도록 하는 집합 X 를 모두 구하시오.
f = g 가 되려면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 (x) = g(x)이어야 한다. 즉,
x2 +x = −x2 +5x+6이고
2x2 −4x−6 = 2(x+1)(x−3) = 0
에서 x = −1, x = 3이다. 따라서 집합 X 는 집합 {−1, 3}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이므로 구하는 집합 X 는
{−1}, {3}, {−1, 3}

답 {−1}, {3}, {−1, 3}

05-1. 함수 175
함수의 그래프

예제 두 집합 X = {0, 1, 2, 3}, Y = {−2, −1, 0, 1}에 대하여 X 에서 Y 로의 두 함수

04 f (x) = x2 −3x, g(x) = 1−|x−1|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두 함수 f, g 의 그래프를 각각 집합으로 나타내시오.
(2) 두 함수 f, g 의 그래프를 각각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시오.

길잡이 함수 f : X −→ Y 에 대하여 정의역 X 의 원소 x와 그에 대응하는 함숫값 f (x)의 순서쌍


(x, f (x))를 원소로 하는 집합
{(x, f (x)) | x ∈ X}
를 함수 y = f (x)의 그래프라 한다. 함수 f 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정의역의
각 원소 a에 대하여 직선 x = a와 오직 한 점에서 만난다.

풀이

함수의 그래프 p.169


순서쌍과 곱집합 p.168 두 함수 f, g 의 함숫값을 각각 구하면
(1) f (0) = 0, f (1) = −2, f (2) = −2, f (3) = 0
(2) g(0) = 0, g(1) = 1, g(2) = 0, g(3) = −1

두 함수 f, g 의 그래프를 각각 G1 , G2 라 하면
(1) G1 = {(0, 0), (1, −2), (2, −2), (3, 0)}
(2) G2 = {(0, 0), (1, 1), (2, 0), (3, −1)}

두 함수 f, g 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y y
O 1 2 3 1
x
3
O 1 2 x
-1
-2
G1 G2

정답 (1) 풀이 참조 (2) 풀이 참조

돌다리 두드리기
|답|

y
2 돌다리 두드리기

두 집합 X = {−1, 0, 1}, Y = {0, 1, 2}에 대하여 X 에서 Y 로의 함수 f (x) = x+|x|의


-1 O 1 x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시오.

함수 f 의 그래프는 {(−1, 0), (0, 0), (1, 2)}이므로 이를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왼쪽


그림과 같다.
176 05. 함수
정답 및 풀이 p.437

유제 04-1

집합 X = {1, 2, 3, 4}에서 정의된 대응을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 [보기]에서 함수의 그래프


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y ㄴ. y ㄷ. y
4 4
3 3
2 2 2
1 1 1
O 1 2 3 4 x O 1 2 3 4 x O 1 2 3 4 x

ㄱ. 집합 X 의 원소 1에 대응하는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의 그래프가 아니다.


ㄴ. 집합 X 의 각 원소에 공역의 원소가 하나씩 대응하므로 함수의 그래프이다.
ㄷ. 집합 X 의 원소 2, 4에 대응하는 원소가 각각 2개이므로 함수의 그래프가 아니다.

답 ㄴ

유제 04-2
순서쌍과 곱집합 p.168
함수 p.165

[보기]의 대응 중 X 에서 Y 로의 함수인 것만을 고르고 그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시오.
[보기]
ㄱ. X Y ㄴ. X Y ㄷ. X Y ㄹ. X Y
-1 -1 -1 1 -1 -1 0
2 2
0 0 0 0 0 1
3 4
1 1 1 1 1 2
4

ㄴ. y ㄹ. y
ㄱ. 집합 X 의 원소 0에 대응하는 원소가 2개이므로 함수가 아니다.
3
ㄴ. 집합 X 의 각 원소에 공역의 원소가 하나씩 대응하므로 함수이다.
ㄷ. 집합 X 의 원소 0에 대응하는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2
ㄹ. 집합 X 의 각 원소에 공역의 원소가 하나씩 대응하므로 함수이다. 1 1
따라서 함수인 것은 ㄴ, ㄹ이고 함수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1 O 1 x -1 O 1 x
답 풀이 참조
유제 04-3 순서쌍과 곱집합 p.168

[보기]의 그래프 중 함수의 그래프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y ㄴ. y ㄷ. y ㄹ. y

O x O 1 x O x O x

정의역의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직선 x = a가 주어진 그래프와 오직 한 점에서 만나


면 함수의 그래프이다.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인 것은 ㄱ, ㄷ이다.
답 ㄱ, ㄷ

05-1. 함수 177
일대일함수와 일대일대응

일대일함수

두 집합 X = {1, 2, 3}, Y = {3, 4, 5, 6}에 대하여 왼쪽 그림과 같은 함수 f : X −→ Y 는

f (1) = 5, f (2) = 3, f (3) = 6


f
X Y 이다. 이때, f (1), f (2), f (3) 중에서 어느 두 값을 비교해도 서로 같지 않음을 알 수 있다.
1 3 이와 같이 함수 f : X −→ Y 에서 정의역 X 의 임의의 두 원소 x1 , x2 에 대하여
4
2
5 x1 6= x2 이면 f (x1 ) 6= f (x2 )
3 6
일 때, 함수 f 를 X 에서 Y 로의 일대일함수라 한다.
그림 5.5. 일대일함수 y = f (x)

정의 일대일함수
하 5.7
함수 f : X −→ Y 에서 정의역 X 의 임의의 두 원소 x1 , x2 에 대하여
x1 6= x2 이면 f (x1 ) 6= f (x2 )
일 때, 함수 f 를 X 에서 Y 로의 일대일함수라 한다.

함수 f 가 일대일함수임을 보이려면 정의에 따라 명제

x1 6= x2 이면 f (x1 ) 6= f (x2 )
하 하
가 참임을 보이면 된다. 이때, 명제와 그 대우의 참, 거짓p.97이 서로 같으므로 대우p.96

f (x1 ) = f (x2 )이면 x1 = x2

가 참임을 보여도 된다.

예시 1. 함수 f (x) = 2x+1은 임의의 두 실수 x1 , x2 에 대하여


f (x1 ) = f (x2 ) ➭ 2x1 +1 = 2x2 +1
에서 x1 = x2 이다. 따라서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다.
2. 함수 f (x) = x2 은 f (−1) = f (1) = 1이므로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그러나 정의역이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인 함수 f (x) = x2 은 임의의 두 실수
x1 , x2 에 대하여
f (x1 ) = f (x2 ) ➭ (x1 −x2 )(x1 +x2 ) = 0
이다. 이때 x1 > 0, x2 > 0이므로 x1 +x2 6= 0이다. 따라서 x1 −x2 = 0, 즉
x1 = x2 이다. 따라서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다.

178 05. 함수
일대일대응 f
X Y

두 집합 X = {1, 2, 3}, Y = {4, 5, 6}에 대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은 함수 f : X −→ Y 는 일 1 4


하 2 5
대일함수이면서 치역과 공역이 서로 같다p.26. 이와 같이 함수 f : X −→ Y 가 일대일함수이면서
3 6
치역과 공역이 서로 같으면 함수 f 를 X 에서 Y 로의 일대일대응이라 한다.

그림 5.6. 일대일대응 y = f (x)


정의 일대일대응
하 5.8
함수 f : X −→ Y 에서
(1) X 의 임의의 두 원소 x1 , x2 에 대하여 x1 6= x2 이면 f (x1 ) 6= f (x2 )이다. (1)은 일대일함수의 정의이다.
(2) 치역과 공역이 서로 같다.
를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 f 를 X 에서 Y 로의 일대일대응이라 한다.

일대일대응은 일대일함수 중에서 치역과 공역이 같은 함수이다. 따라서 명제


함수
함수 f : X −→ Y 가 일대일대응이면 일대일함수이다.
일대일함수

가 참이고, 대우인 일대일대응

함수 f : X −→ Y 가 일대일함수가 아니면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도 참이다. 그러나 일대일함수라 해서 일대일대응인 것은 아니다.


그림 5.7. 함수, 일대일함수, 일대일대응의
예시 그림 5.5의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지만 치역 {3, 5, 6}이 공역 Y 와 서로 같지 않으 포함 관계
므로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예시 함수 f (x) = 2x+1은 일대일함수이다. 또한 치역과 공역이 모두 실수 전체의 집합으


로 같다. 따라서 f (x) = 2x+1은 일대일대응이다.

한 걸음 더

함수의 개수

두 집합 X, Y 의 원소의 개수가 각각 m, n일 때, 함수 f : X −→ Y 에 대하여


• 함수 f 의 개수: n×n×· · ·×n = nm
| {z }
m개
• 일대일함수 f 의 개수: n×(n−1)×(n−2)×· · ·×(n−m+1) (단, m ≤ n)
• 일대일대응 f 의 개수: n×(n−1)×(n−2)×· · ·×2×1 (단, m = n)

예시 두 집합 X = {a, b}, Y = {1, 2, 3}에 대하여


1. 함수 f : X −→ Y 의 개수는 32 = 9이다.
2. 일대일함수 f : X −→ Y 의 개수는 3×2 = 6이다.

05-2. 여러 가지 함수 179
항등함수와 상수함수

항등함수

집합 X = {1, 2, 3}에 대하여 왼쪽 그림과 같은 함수 f : X −→ X 는 집합 X 의 각 원소에 자기

f 자신을 대응시킨다. 즉,
X X
f (1) = 1, f (2) = 2, f (3) = 3
1 1
2 2 이다. 이와 같이 정의역과 공역이 서로 같은 함수 f : X −→ X 에서 정의역 X 의 임의의 원소
3 3 x에 그 자신 x가 대응할 때, 즉
f (x) = x
그림 5.8. 항등함수 f (x) = x
인 함수 f 를 X 에서의 항등함수라고 한다.

두 집합 X = {1, 2, 3}, Y = {2, 3, 4}에 대하여 두 함수 f : X −→ X, g : Y −→ Y 가 모두


항등함수라 하자. 이때

f (1) = 1, f (2) = 2, f (3) = 3 g(2) = 2, g(3) = 3, g(4) = 4

이므로 f (x) = x, g(x) = x와 같이 함수의 식이 모두 x로 동일하다. 그러면 함수의 식이 같은


두 함수 f 와 g 는 서로 같은 함수인가? 두 함수의 정의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두 함수는 서로
같지 않다. 즉, f 6= g 이다.

이와 같이 함수의 식이 동일한 항등함수들은 정의역으로 함수를 구분한다. 따라서 정의역이


항등함수를 표현하는 I 는 identity func-
X 인 항등함수는
tion의 첫 글자를 딴 것이다.
IX : X −→ X, IX (x) = x

와 같이 정의역을 함께 나타낸다. 또한 두 집합 X 6= Y 이면 IX 6= IY 이다.

정의 항등함수
하 5.9
정의역과 공역이 서로 같은 함수 f : X −→ X 에서 정의역 X 의 임의의 원소
x에 그 자신 x가 대응할 때, 즉
f (x) = x (x ∈ X)
인 함수 f 를 X 에서의 항등함수라 한다.

예시 정의역에 따른 항등함수 f (x) = 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 X = {1, 2, 3} (2) X = {x | 1 ≤ x ≤ 3} (3) X = {x | x는 실수}
y y y
y = f(x) y = f(x) y = f(x)
3 3
2
1 1
O 1 2 3 x O 1 3 x O x

180 05. 함수
상수함수

두 집합 X = {1, 2, 3}, Y = {4, 5, 6}에 대하여 왼쪽 그림과 같은 함수 f : X −→ Y 는 정의


f
X Y
역 X 의 모든 원소에 공역 Y 의 단 하나의 원소 5를 대응시킨다. 즉,
1 4
f (1) = f (2) = f (3) = 5 2 5
3 6
이다. 이와 같이 함수 f : X −→ Y 에서 정의역 X 의 모든 원소에 공역 Y 의 단 하나의 원소만
대응할 때, 즉
그림 5.9. 상수함수 y = f (x)
f (x) = c (c ∈ Y , c는 상수)

인 함수 f 를 상수함수라 한다.

정의 상수함수
하 5.10
함수 f : X −→ Y 에서 정의역 X 의 모든 원소에 공역 Y 의 단 하나의 원소만
대응할 때, 즉
f (x) = c, (c ∈ Y , c는 상수)
인 함수 f 를 상수함수라 한다.

예시 정의역에 따른 상수함수 f (x) = 1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 X = {1, 2, 3} (2) X = {x | 1 ≤ x ≤ 3} (3) X = {x | x는 실수}
y y y
y = f(x) y = f(x) y = f(x)
1 1 1
O 1 2 3 x O 1 2 3 x O x

보기 5.4 다음 그래프에 대하여 함수, 일대일대응, 항등함수, 상수함수의 그래프인 것만을


각각 고르시오.
(1) y (2) y (3) y

1
O
O x
1 x
O x

(4) y (5) y (6) y

O x
O x O x

보기 정답

5.4 함수: (1), (2), (4), (5), (6)


일대일대응: (1), (4) 항등함수: (1)
상수함수: (5)

05-2. 여러 가지 함수 181
일대일대응

예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 (x) = ax+|x−2|+3이 일대일대응이
05 되도록 하는 상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길잡이 함수 f : X −→ Y 가 일대일대응이려면
• X 의 임의의 두 원소 x1 , x2 에 대하여 x1 6= x2 이면 f (x1 ) 6= f (x2 )이다.
• 치역과 공역이 서로 같다.
를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즉, 치역과 공역이 같은 일대일함수를 일대일대응이라 한다.

풀이

절댓값과 부호 p.155 주어진 함수의 절댓값 안의 식이 0이 되는 값을 기준으로 정의역의 범위를 나눈다.


함수 f (x)의 절댓값 안의 식 x−2가 0이 되는 값을 기준으로 범위를 나누면 x < 2,
x ≥ 2이다. 따라서
(
(a−1)x+5 (x < 2)
f (x) =
(a+1)x+1 (x ≥ 2)

일대일대응 p.179 주어진 함수가 일대일대응이 되기 위한 조건을 찾는다.


주어진 함수가 일대일대응이 되기 위해서는
(i) x < 2일 때의 직선 y = (a−1)x+5의 기울기와 x ≥ 2일 때의 직선 y = (a+1)x+1의
기울기가 모두 양수이거나 모두 음수이어야 한다.
(ii) (i) 조건을 만족시킬 때, 두 직선 y = (a−1)x+5, y = (a+1)x+1이 점 (2, 2a+3)을
지나면 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i), (ii)에 의하여 (a−1)(a+1) > 0이므로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a < −1 또는 a > 1이다.
y y
y = f (x )
2a + 3
O 2
x
2a + 3

O 2 x
y = f (x)

정답 a < −1 또는 a > 1

돌다리 두드리기
(
(a−1)x (x < 0)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 (x) = 이 일대일대응이
(a+3)x (x ≥ 0)
돌다리 두드리기
|답| a < −3 또는 a > 1 되도록 하는 상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주어진 함수가 일대일대응이 되기 위해서는 x < 0, x ≥ 0일 때, 두 직선


y = (a−1)x, y = (a+3)x의 기울기가 모두 양수이거나 모두 음수가 되어야 한다.
182 05. 함수 따라서 (a−1)(a+3) > 0이므로 a < −3 또는 a > 1이다.
정답 및 풀이 p.437

유제 05-1 절댓값과 부호 p.155

두 집합 X = {1, 2, 3}, Y = {4, 5, 6}에 대하여 X 에서 Y 로의 일대일대응을 모두


구하시오.
X 에서 Y 로의 일대일대응은 다음과 같이 6가지가 있다.

X Y X Y X Y
1 4 1 4 1 4
2 5 2 5 2 5
3 6 3 6 3 6

X Y X Y X Y
1 4 1 4 1 4
2 5 2 5 2 5
3 6 3 6 3 6

답 풀이 참조

유제 05-2

두 집합 X = {−1, 0, 1}, Y = {1, 2, 3}에 대하여 [보기]의 함수 중 일대일대응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f : X −→ Y, f (x) = −x+2 ㄴ. g : X −→ Y, g(x) = x3 +2


ㄷ. h : X −→ Y, h(x) = |x|+|x−1|

각 함수 f, g, h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ㄱ. (참) f (−1) = 3, f (0) = 2, f (1) = 1이므로 정의역의 서로 다른 두 원소에
대응하는 공역의 원소가 서로 다르고 치역과 공역이 같으므로 f 는
f g h 일대일대응이다.
X Y X Y X Y
ㄴ. (참) g(−1) = 1, g(0) = 2, g(1) = 3이므로 정의역의 서로 다른 두 원소에
-1 1 -1 1 -1 1
대응하는 공역의 원소가 서로 다르고 치역과 공역이 같으므로 g 는 일대일대응이다.
0 2 0 2 0 2
ㄷ. (거짓) h(−1) = 3, h(0) = 1, h(1) = 1이므로 h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1 3 1 3 1 3
답 ㄱ, ㄴ

유제 05-3 절댓값과 부호 p.155

두 집합 X = {x | −1 ≤ x ≤ 3}, Y = {y | 1 ≤ y ≤ a}에 대하여 X 에서 Y 로의 함수


f (x) = −x+b가 일대일대응이 되도록 하는 두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f (−1) = 1+b, f (3) = −3+b이고 −3+b < 1+b이므로 함수 y = f (x)의 치역은

{y | −3+b ≤ y ≤ b+1} ···㉠


이다. 따라서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치역 ㉠과 공역
Y = {y | 1 ≤ y ≤ a}
가 일치해야 한다. 즉, −3+b = 1, 1+b = a에서 b = 4, a = 5이므로 구하는 값은
a+b = 9이다.
답 9

05-2. 여러 가지 함수 183
항등함수와 상수함수

예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06 (1)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f 는 항등함수이고


g(x) = 3일 때, 2f (1)+3g(2)의 값을 구하시오.
(2) 공집합이 아닌 집합 X 를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 f (x) = x2 −5x+5가
항등함수가 되도록 하는 집합 X 를 모두 구하시오.

길잡이 • 함수 f : X −→ X 에서 정의역 X 의 임의의 원소 x에 그 자신 x가 대응할 때, 즉


f (x) = x (x ∈ X )
인 함수 f 를 항등함수라 한다.
• 함수 f : X −→ Y 에서 정의역 X 의 모든 원소에 공역 Y 의 단 하나의 원소만 대응할 때,

f (x) = c (c ∈ Y , c는 상수)

인 함수 f 를 상수함수라 한다.

풀이

상수함수 p.181 f (x)가 항등함수이므로 f (x) = x이다. 즉,


항등함수 p.180 f (1) = 1
이다. 또한 g(x) = 3이므로 g 는 상수함수이다. 즉, g(2) = 3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2f (1)+3g(2) = 2+9 = 11

f (x)가 항등함수이므로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x2 −5x+5 = x이다. 따라서


x2 −6x+5 = (x−1)(x−5) = 0
에서 x = 1 또는 x = 5이므로 집합 X 는 1 또는 5만을 원소로 가지는 집합이다. 즉, {1, 5}의
부분집합 중 공집합이 아닌 집합이므로 집합 X 는
{1}, {5}, {1, 5}
이다.

정답 (1) 11 (2) {1}, {5}, {1, 5}

돌다리 두드리기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f 는 항등함수이고 g(x)가 상수함


돌다리 두드리기
수일 때, f (1)+g(1) = 3이다. g(3)의 값을 구하시오.
|답| 2
주어진 함수가 항등함수이므로 f (1) = 1에서 g(1) = 2이다. g(x)가 상수함수이므로
g(1) = g(x) = 2이고 구하는 값은 g(3) = 2이다.
184 05. 함수
정답 및 풀이 p.438

유제 06-1 일대일대응 p.179

집합 X = {1, 2, 3, 4}에 대하여 다음은 함수 f : X −→ X 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낸


것이다. [보기]에서 일대일대응, 항등함수, 상수함수인 것만을 각각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y ㄴ. y ㄷ. y
4 4 4
3 3 3
2 2 2
1 1 1
O 1 2 3 4 x O 1 2 3 4 x O 1 2 3 4 x

X 에서 X 로의 일대일 대응은 ㄱ, ㄷ이고 항등함수는 ㄱ이고 상수함수는 ㄴ이다.


답 일대일대응 : ㄱ, ㄷ, 항등함수 : ㄱ, 상수함수 : ㄴ

유제 06-2 항등함수 p.180

자연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f 가 상수함수이고 2f (3)+6 = 10일 때,


f (1)+f (2)+f (3)+· · ·+f (100)
의 값을 구하시오.
2f (3)+6 = 10에서 f (3) = 2이고, f (x)가 상수함수이므로 f (x) = 2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f (1)+f (2)+f (3)+· · ·+f (100) = 2+2+2+· · ·+2 = 200
| {z }
100개

답 200

유제 06-3 상수함수 p.181

서로 다른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집합 X = {6, a, b}를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




 2x+2 (x < 0)

f (x) = 2 (0 ≤ x < 3)



c (x ≥ 3)
가 항등함수일 때, a+b+c의 값을 구하시오.
함수 f (x)가 항등함수이므로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 (x) = x이다.
(i) x < 0일 때, f (x) = 2x+2이므로 2x+2 = x에서 x = −2이다.
(ii) 0 ≤ x < 3일 때, f (x) = 2이므로 x = 2이다.
(iii) x ≥ 3일 때, f (6) = 6이므로 c = 6이다.
(i), (ii)에 의하여 X = {−2, 2, 6}이므로 a = −2, b = 2 또는 a = 2, b = −2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a+b+c = 6이다.
답 6

05-2. 여러 가지 함수 185
함수의 개수

예제 집합 X = {1, 2, 3}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를 구하시오.

07 (1) X 에서 X 로의 함수
(2) X 에서 X 로의 함수 중 일대일대응
(3) X 에서 X 로의 함수 중 상수함수
(4) X 에서 X 로의 함수 중 항등함수

길잡이 두 집합 X, Y 의 원소의 개수가 각각 m, n일 때, 함수 f : X −→ Y 에 대하여


• 함수 f 의 개수: n×n×· · ·×n = nm
| {z }
m개
• 일대일함수 f 의 개수: n×(n−1)×(n−2)×· · ·×(n−m+1) (단, m ≤ n)
• 일대일대응 f 의 개수: n×(n−1)×(n−2)×· · ·×2×1 (단, m = n)

풀이

상수함수 p.181 집합 X = {1, 2, 3}에 대하여 X 에서 X 로의 함수를 f 라 하면


항등함수 p.180 • f (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2, 3 중 하나이므로 3개이다.
일대일대응 p.179 • f (2)와 f (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도 각각 1, 2, 3 중 하나이므로 각각 3개이다.
함수 p.165
따라서 함수의 개수는 3×3×3 = 33 = 27이다.

• f (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2, 3 중 하나이므로 3개이다.


• f (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1)의 값을 제외한 2개이다.
• f (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1), f (2)의 값을 제외한 1개이다.
따라서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3×2×1 = 6이다.

f (1) = f (2) = f (3) = k라 하면 k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2, 3 중 하나이므로 3개이다. 따라서


상수함수의 개수는 3이다.

집합 X 의 모든 원소에 자기 자신이 대응하는 경우는 1가지이므로 항등함수의 개수는 1이다.

정답 (1) 27 (2) 6 (3) 3 (4) 1

돌다리 두드리기

집합 X = {1, 2}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를 구하시오.


(1) X 에서 X 로의 함수
돌다리 두드리기
(2) X 에서 X 로의 함수 중 일대일대응
|답| (1) 4 (2) 2
2
(1) X 에서 X 로의 함수의 개수는 2 = 4이다.
(2) X 에서 X 로의 함수 중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2×1 = 2이다.
186 05. 함수
정답 및 풀이 p.438

유제 07-1 항등함수 p.180

두 집합 X = {1, 2, 3, 4}, Y = {3, 4, 5, 6}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


를 구하시오.
(1) X 에서 Y 로의 함수
(2) X 에서 Y 로의 함수 중 일대일대응
(3) X 에서 Y 로의 함수 중 상수함수
두 집합 X, Y 에 대하여 X 에서 Y 로의 함수를 f 라 하면
(1) • f (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3, 4, 5, 6 중 하나이므로 4개이다.
• f (2), f (3), f (4)의 값이 될 수 있는 것도 모두 4개이다.
따라서 함수의 개수는 4×4×4×4 = 44 = 256이다.
(2) • f (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3, 4, 5, 6 중 하나이므로 4개이다.
• f (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1)의 값을 제외한 3개이다.
• f (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1), f (2)를 제외한 2개이다.
• f (4)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1), f (2), f (3)의 값을 제외한 1개이다.
따라서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4×3×2×1 = 24이다.
(3) f (1) = f (2) = f (3) = f (4) = k 라 하면 k 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3, 4, 5, 6
중 하나이므로 4개이다. 따라서 상수함수의 개수는 4이다.

답 (1) 256 (2) 24 (3) 4 상수함수 p.181


항등함수 p.180
유제 07-2
일대일대응 p.179
일대일함수 p.178

두 집합 X = {0, 1, 2}, Y = {1, 2, 3, 4, 5}에 대하여 X 에서 Y 로의 함수 중 일대일함수의


개수를 구하시오.
X 에서 Y 로의 함수를 f 라 할 때,
• f (0)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2, 3, 4, 5 중 하나이므로 5개이다.
• f (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0)의 값을 제외한 4개이다.
• f (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0), f (1)의 값을 제외한 3개이다.
따라서 일대일함수의 개수는 5×4×3 = 60이다.
답 60

유제 07-3
상수함수 p.181
항등함수 p.180

집합 X = {1, 2, 3, 4}에 대하여 X 에서 X 로의 일대일대응 중에서 f 중에서 f (1) 6= 4를


만족시키는 함수 f 의 개수를 구하시오.
• f (1) 6= 4이므로 f (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2, 3 중 하나이므로 3개이다.
• f (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1)의 값을 제외한 3개이다.
• f (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1), f (2)의 값을 제외한 2개이다.
• f (4)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1), f (2), f (3)의 값을 제외한 1개이다.
따라서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3×3×2×1 = 18이다.
답 18

05-2. 여러 가지 함수 187
05-1 함수
함수[1-7]
[1-7] 05-4
두 집합 X = {1, 2, 3}, Y = {y | 0 < y < 10, y 는 짝수}일 때, X 정의역이 {x | 0 ≤ x ≤ 3}인 함수 f (x) = (x−1)2 +a의 치역이
에서 Y 로의 함수인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y | b ≤ y ≤ 9}일 때, 두 상수 a, b의 합 a+b의 값을 구하시오.
정의역 하 p.166 {x | 0 ≤ x ≤ 3}에서 이차함수 f (x) = (x−1)2 +a는 x = 1에서
[보기]
최솟값 a를 가지고 f (0) = a+1, f (3) = a+4이므로 x = 3에서 최댓값 a+4를
2 가진다. 즉, 함수 f (x)의 치역 하 p.166 이 {y | a ≤ y ≤ a+4}이므로
ㄱ. f : x −→ 2x+2 ㄴ. g : x
(−→ |x−2|+x a = b, a+4 = 9
x −→ 2x (x는 홀수)
ㄷ. h : x −→ x −x +2 3 2
ㄹ. k : 에서 a = 5, b = 5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a+b = 10이다.
x −→ 3x (x는 짝수) 답 10

Y = {2, 4, 6, 8}이므로 주어진 대응 하 p.164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ㄱ. f ㄴ. g ㄷ. h ㄹ. k
X Y X Y X Y X Y
1 2 1 2 1 2 1 2
2 4 2 4 2 4 2 4
6 6 6 6
3 8 3 8 3 8 3 8

ㄴ과 ㄷ은 X 의 원소 3에 대응하는 Y 의 원소가 없다. 따라서 함수 하 p.165 인 것은


ㄱ, ㄹ이다.
답 ㄱ, ㄹ

05-2 05-5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함수 f 가 집합 X = {0, 1, 2}를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
x (x2 −8x+12 ≥ 0)
f (x) = f (x) = 2x+2, g(x) = x3 +ax2 +bx+c
2
1 (x −8x+12 < 0)
에 대하여 f = g 일 때 세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일 때, f (1)+f (2)+f (3)+· · ·+f (8)의 값을 구하시오.
이차부등식 x2 −8x+12 = (x−2)(x−6) ≥ 0에서 x ≤ 2 또는 x ≥ 6이고 구하시오.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f = g 하 p.167 이므로 x = 0, x = 1, x = 2에서
이차부등식 상 p.299 x2 −8x+12 = (x−2)(x−6) < 0에서 2 < x < 6이다. 따라서
함숫값 하 p.166 을 구하면 2x+2 = x3 +ax2 +bx+c ➭ x3 +ax2 +(b−2)x+(c−2) = 0
f (1) = f (3) = f (4) = f (5) = 1 이다. 즉, x에 대한 삼차방정식 x3 +ax2 +(b−2)x+(c−2) = 0의 세 근이
0, 1, 2이므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상 p.228 에 의하여
f (2) = 2, f (6) = 6, f (7) = 7, f (8) = 8
이므로 구하는 값은 (세 근의 합) = −a = 3, a = −3
f (1)+f (2)+f (3)+· · ·+f (8) = 1+2+1+1+1+6+7+8 = 27 (두 근의 곱의 합) = b−2 = 2, b=4

답 27 (세 근의 곱) = −c+2 = 0, c=2
이므로 구하는 값은 a−b+c = −3−4+2 = −5
답 −5

05-3 05-6
집합 X = {x | x는 |x+2| < 3을 만족시키는 정수}를 정의역으 집합 X = {1, 2, 3}을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
(
로 하는 함수 f 와 g 가 각각 a (x = 2)
2 f (x) =
f (x) = x+2, g(x) = x +4x x2 −x (x 6= 2)
일 때, f, g 의 치역을 각각 Y, Z 라 하자. 집합 Y ∪Z 를 구하시 와 함수 g(x) = bx+c가 서로 같은 함수일 때, 세 상수 a, b, c에
오.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x+2| < 3에서 −3 < x+2 < 3이므로 −5 < x < 1이다. 따라서 정의역 하 p.166 은 두 함수 f, g 가 서로 같은 함수 하 p.167 이므로 f = g 이고,
X = {−4, −3, −2, −1, 0} f (1) = g(1) = 0, f (2) = g(2) = a, f (3) = g(3) = 6
이다. 이때 이다. 이때
g(1) = b+c = 0, g(3) = 3b+c = 6
f (−4) = −2, f (−3) = −1, f (−2) = 0, f (−1) = 1, f (0) = 2
이므로 함수 f 의 치역 하 p.166 은 Y = {−2, −1, 0, 1, 2}이고 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 3, c = −3이므로 g(x) = 3x−3이고
g(2) = 3 = a이므로 구하는 값은 a+b+c = 3+3−3 = 3이다.
g(−4) = 0, g(−3) = −3, g(−2) = −4, g(−1) = −3, g(0) = 0
이므로 함수 g 의 치역 하 p.166 은 Z = {−4, −3, 0}이다. 따라서 구하는 집합 Y ∪Z
답 3

Y ∪Z = {−4, −3, −2, −1, 0, 1, 2}
답 {−4, −3, −2, −1, 0, 1, 2}

188 05. 함수
정답 및 풀이 p.439

05-7 05-10
집합 X 에서 집합 X 로의 함수 f 의 그래프가 집합 X = {2, 4}와 집합 Y 에 대하여 X 에서 X 로의 함수
{(1, 2), (2, a), (3, 4), (4, b)} f (x) = x2 +ax+b가 항등함수이고 X 에서 Y 로의 함수 g(x)가
상수함수이다. f (4)+g(4) = 10일 때, g(2)×(a+b)의 값을
일 때, f (1)+f (2)+f (3)+f (4)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이다.)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이다.) X 에서 X 로의 함수 f (x)가 항등함수 하 p.180 이므로 f (2) = 2, f (4) = 4이다. 따라
주어진 함수 f 가 X 에서 X 로의 함수이므로 X = {1, 2, 3, 4}이다. 또한 함수 f 의

그래프 하 p.169 에서 4+2a+b = 2, 16+4a+b = 4
f (1) = 2, f (2) = a, f (3) = 4, f (4) = b
에서 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 = −5, b = 8이다. 이때 g(x) = c로 놓으면
이고 a, b가 1, 2, 3, 4의 값을 가지므로 a = b = 1일 때, f (4)+g(4) = 4+c = 10이므로 c = 6이고 g(2) = c = 6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f (1)+f (2)+f (3)+f (4) = 2+1+4+1 = 8 g(2)×(a+b) = 6×(−5+8) = 18이다.
에서 최솟값 8을 가지고 a = b = 4일 때, 답 18
f (1)+f (2)+f (3)+f (4) = 2+4+4+4 = 14
에서 최댓값 14를 가진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8+14 = 22이다.
답 22

05-8 여러
여러가지
가지함수
함수[8-12]
[8-12] 05-11
두 집합 X = {1, a, b}, Y = {2, 3, 4}에 대하여 함수 f 는 두 집합 X, Y 에 대하여 n(X) = 3, n(Y ) = a일 때, X 에서 Y
X 에서 Y 로의 일대일대응이고 f (a) = 2f (b)를 만족시킨다. 로의 함수의 개수를 p, X 에서 Y 로의 상수함수의 개수를 q 라
f (1)×{f (a)+f (b)}의 값을 구하시오. 하자. p−q = 120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함수 f 가 X 에서 Y 로의 일대일대응 하 p.179 이므로 (i) X 에서 Y 로의 함수 하 p.165 의 개수 p는 p = a×a×a = a3 이다.
{f (1), f (a), f (b)} = {2, 3, 4} (ii) X 에서 Y 로의 상수함수 하 p.181 의 개수 q 는 집합 Y 의 원소의 개수 a와 같으므로
q = a이다.
이다. 이때
(i), (ii)에 의하여 p−q = a3 −a = 120에서
(i) f (a) = 2일 때, f (b) = 1 6∈ Y 이다.
3 a3 −a−120 = (a−5)(a2 +5a+24) = 0
(ii) f (a) = 3일 때, f (b) = 6∈ Y 이다.
2 이고 a가 자연수이므로 구하는 값은 a = 5이다.
(iii) f (a) = 4일 때, f (b) = 2 ∈ Y 이다.
(i), (ii), (iii)에서 f (a) = 4, f (b) = 2, f (1) = 3이므로 구하는 값은
답 5
f (1)×{f (2)+f (3)} = 3×(4+2) = 18이다.
답 18

05-9 05-12
집합 X = {x | 0 ≤ x ≤ 4}에 대하여 X 에서 X 로의 함수 중에서 두 집합 X = {−2, −1, 0, 1, 2}, Y = {1, 2, 3, 4, 5}에 대하여
일대일대응인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X 에서 Y 로의 함수 f 가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 (x) > x일 때,
[보기] 함수 f 의 개수를 구하시오.
함수 하 p.165 f (x)가 f (x) > x를 만족시키므로
1 1 (i) x = −2, −1, 0일 때, 집합 Y 의 원소 중 f (x)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ㄱ. f (x) = x ㄴ. g(x) = x2 ㄷ. h(x) = 2|x−2| 1, 2, 3, 4, 5이고 그 개수는 5이다.
2 4
(ii) x = 1일 때, 집합 Y 의 원소 중 f (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2, 3, 4, 5이고 그
개수는 4이다.
각 함수의 그래프 하 p.169 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iii) x = 2일 때, 집합 Y 의 원소 중 f (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3, 4, 5이고 그
ㄱ. y ㄴ. y ㄷ. y y = h(x) 개수는 3이다.
4 4 (i), (ii), (iii)에 의하여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5×5×5×4×3 = 1500이다.
y = f (x) y = g(x)
2 답 1500

O 4 x O 4 x O 2 4 x

ㄱ. 함수 f (x)의 치역은 {y | 0 ≤ y ≤ 2}로 공역과 다르므로 함수 f 는 일대일대응


하 p.179 이 아니다.
ㄴ. 함수 g(x)의 치역이 {y | 0 ≤ y ≤ 4}로 공역과 같고, g 의 두 원소 x1 , x2 에
대하여 g(x1 ) = g(x2 )이면 x1 = x2 이다. 따라서 함수 g 는 일대일대응이다.
ㄷ. 【반례】 h(0) = h(4) = 4이므로 함수 h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답 ㄴ
연습은 실전처럼 189
05-1 05-3
자연수 전체의 집합 N에서 N으로의 함수를 f 라 할 때, 집합 X = {0, 1, 2, 3}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
n (in 이 실수) X 에서 X 로의 함수 f 의 개수를 구하시오.
f (n) =
n
1 (i 이 허수)
(가) x1 ∈ X, x2 ∈ X 일 때, x1 6= x2 이면 f (x1 ) 6= f (x2 )
이다. f (2018)+f (2019)+f (2020)의 값을 구하시오.
√ 이다.
(단, i = −1)
허수단위 상 p.124 i에 대하여 i2 = −1임을 이용하면 (나) f (2) < f (3)
i = i, i2 = −1, i3 = −i, i4 = 1, i5 = i . . .
이므로 n이 홀수인 자연수일 때, in 은 실수가 아닌 복소수이고 n이 짝수인 자연수일 조건 (가)에서 함수 f 는 일대일대응 하 p.179 이다. 조건 (나)에서 f (2) < f (3)이므로
때, in 은 실수이다. 따라서 함숫값 하 p.166 은 f (2018) = 2018, (i) f (2) = 0일 때,
f (2019) = 1, f (2020) = 2020이므로 구하는 값은 • f (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2, 3이고 그 개수는 3이다.
f (2018)+f (2019)+f (2020) = 2018+1+2020 = 4039 • f (0)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2), f (3)의 값을 제외한 2개이다.
• f (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0), f (2), f (3)을 제외한 1개이다.
따라서 함수의 개수는 3×2×1 = 6이다.
답 4039 (ii) f (2) = 1일 때,
• f (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2, 3이고 그 개수는 2이다.
• f (0)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2), f (3)의 값을 제외한 2개이다.
• f (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0), f (2), f (3)을 제외한 1개이다.
따라서 함수의 개수는 2×2×1 = 4이다.
(iii) f (2) = 2일 때,
• f (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3뿐으로 그 개수는 1이다.
• f (0)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2), f (3)의 값을 제외한 2개이다.
• f (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0), f (2), f (3)을 제외한 1개이다.
따라서 함수의 개수는 1×2×1 = 2이다.
(iv) f (2) = 3일 때, f (3)의 값이 될 수 있는 집합 X 의 원소가 없다. 따라서 함수의
개수는 0이다.
(i)∼(iv)에 의하여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6+4+2 = 12이다.
답 12

05-2 05-4
함수 f 가 임의의 자연수 m, n에 대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 R의 부분집합 X 를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f (m+n) = f (m)+f (n)−mn, f (1) = 2 f, g 가
일 때, f (7)의 값을 구하시오. f (x) = x3 −ax2 +4x, g(x) = x2 −ax+4
주어진 식의 m, n에 적당한 자연수를 대입하여 x = 2, 3, 4에 대한 f 의 함숫값
하 p.165 을 구하면 이다. n(X) = 3이고 f = g 일 때, 상수 a의 값의 범위를
f (2) = f (1)+f (1)−1·1 = 2+2−1 = 3 구하시오.
f (3) = f (1)+f (2)−1·2 = 2+3−2 = 3 X 의 서로 다른 세 원소 p, q, r 에 대하여 f = g 이므로 서로 같은 함수 하 p.167 의 조건
에 의하여
f (4) = f (2)+f (2)−2·2 = 3+3−4 = 2 f (p) = g(p), f (q) = g(q), f (r) = g(r)
이고 구하는 f (7)의 값은
이 성립한다. 즉, x에 대한 삼차방정식
f (7) = f (3)+f (4)−3·4 = 3+2−12 = −7
x3 −ax2 +4x = x2 −ax+4
답 −7 에서
h(x) = x3 −(a+1)x2 +(a+4)x−4 = (x−1)(x2 −ax+4)
로 놓을 때, 방정식 h(x) = 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므로
(i)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2 −ax+4 = 0의 실근이 1이 아니어야 한다. 즉,
1−a+4 6= 0에서 a 6= 5이다.
(ii)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2 −ax+4 = 0의 판별식 상 p.166 을 D 라 할 때,
D = a2 −16 > 0에서 a < −4 또는 a > 4이다.
(i), (ii)에 의하여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a < −4 또는 4 < a < 5 또는 a > 5이다.
답 a < −4 또는 4 < a < 5 또는 a > 5

190 05. 함수
정답 및 풀이 p.440

05-5 05-7 교육청 기출


두 집합 X = {a, b, c, d}, Y = {1, 3, 4, 6}에 대하여 X 에서 Y 집합 X = {1, 2, 3, 4, 5}에 대하여 일대일대응인 함수
로의 함수 f (x) = 3x+5가 일대일대응일 때, 네 상수 a, b, c, d f : X −→ X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에 대하여 a+b+c+d의 값을 구하시오.
함수 f (x)가 일대일대응 하 p.179 이므로 치역 하 p.166 (가) f (2)−f (3) = f (4)−f (1) = f (5)
{3a+5, 3b+5, 3c+5, 3d+5} (나) f (1) < f (2) < f (4)
이 공역 Y = {1, 3, 4, 6}과 서로 같다. 즉, 두 집합의 모든 원소의 합이 서로 같다.
따라서
(3a+5)+(3b+5)+(3c+5)+(3d+5) = 1+3+4+6 = 14
f (2)+f (5)의 값을 구하시오.
함수 f 가 X 에서 X 로의 일대일대응 하 p.179 이므로
에서 3(a+b+c+d) = −6이므로 구하는 값은 a+b+c+d = −2이다.
{f (1), f (2), f (3), f (4), f (5)} = {1, 2, 3, 4, 5}
답 −2
이다. 조건 (가)의 f (2)−f (3) = f (4)−f (1) = f (5)에서
f (5) > 0 ➭ f (2) > f (3), f (4) > f (1)
이다. 또한 조건 (나)에서 f (1) < f (2) < f (4)이므로
f (3) < f (1) < f (2) < f (4)
이다. 이때 f (2)−f (3) ≥ 2이고, f (2) < f (4)이므로 f (2) ≤ 4이다. 따라서
f (2)−f (3) ≤ 3
이고 f (5) = 2 또는 f (5) = 3이다.
(i) f (5) = 2인 경우 f (3), f (1), f (2), f (4)가 이 순서대로 증가하는 4개의
자연수이므로
f (3) = 1, f (1) = 3, f (2) = 4, f (4) = 5
이다. 그런데 f (5) = 2이고 f (2)−f (3) = 4−1 = 3이므로 모순이다.
(ii) f (5) = 3인 경우 f (5) = f (2)−f (3) = f (4)−f (1) = 3이고 3이
1, 2, 3, 4, 5의 중앙값이므로
f (3) < f (1) < f (5) < f (2) < f (4)
이다. 즉, f (1) = 2, f (2) = 4, f (3) = 1, f (4) = 5, f (5) = 3이다.
(i), (ii)에 의하여 구하는 값은 f (2)+f (5) = 4+3 = 7이다.
답 7

05-6 05-8
집합 X = {1, 2, 3, . . . , n}에 대하여 X 에서 X 로의 두 함수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두 함수 f, g 가
(
f, g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a2 x (x < 0)
f (x) = 4|x−2|, g(x) =
4ax (x ≥ 0)
(가) 함수 f 는 상수함수이고 함수 g 는 항등함수이다.
일 때, 함수 h(x) = f (x)+g(x)가 일대일대응이 되도록 하는
(나) {f (1)+f (2)+f (3)+· · ·+f (n)}g(n) = 180
상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f (x)는 x < 2에서 f (x) = −4x+8이고 x ≥ 2에서 f (x) = 4x−8이다. 따라서
{g(1)+g(2)+g(3)+· · ·+g(n)}f (n)의 값을 구하시오. 
2
(a −4)x+8 (x < 0)


(단, n은 자연수이다.) h(x) = (4a−4)x+8 (0 ≤ x < 2)
함수 f 가 상수함수 하 p.181 이고 함수 g 가 항등함수 하 p.180 이므로 f (x) = m (단, m은 

(4a+4)x−8 (x ≥ 2)
1 ≤ m ≤ n인 자연수)이고 g(x) = x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이다. 함수 h(x)가 일대일대응 하 p.179 이 되려면 세 직선
{f (1)+f (2)+f (3)+· · ·+f (n)}g(n) = mn2 = 180
에서 180을 mn2 의 꼴로 나타내면 y = (a2 −4)x+8, y = (4a−4)x+8, y = (4a+4)x−8
180·12 , 45·22 , 20·32 , 5·62 의 기울기가 모두 양수이거나 모두 음수가 되어야 한다.
(i) 세 직선의 기울기가 모두 양수일 때,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m ≤ n이므로 m = 5, n = 6이고 구하는 값은
a2 −4 > 0, 4a−4 > 0, 4a+4 > 0
{g(1)+g(2)+g(3)+· · ·+g(6)}f (6) = (1+2+3+4+5+6)·5
에서
= 105 a < −2 또는 a > 2, a > 1, a > −1
답 105 이므로 a > 2이다.
(ii) 세 직선의 기울기가 모두 음수일 때,
a2 −4 < 0, 4a−4 < 0, 4a+4 < 0
에서
−2 < a < 2, a < 1, a < −1
이므로 −2 < a < −1이다.
(i), (ii)에 의하여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2 < a < −1 또는 a > 2이다.
답 −2 < a < −1 또는 a > 2

실전은 연습처럼 191


합성함수 194

역함수 208

여러 가지 함수의 그래프 222


– 합성함수
– 합성함수의 성질
– 항등함수의 합성

– 역함수
– 역함수의 성질
– 합성함수의 역함수
– 역함수를 구하는 법
– 역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 우함수와 기함수
– 가우스 기호
함수의 합성

세 집합
X = {1, 2, 3}, Y = {4, 5, 6, 7}, Z = {8, 9, 10, 11}

에 대하여 두 함수 f : X −→ Y, g : Y −→ Z 의 대응 관계가 그림과 같다고 하자.


f g
X Y Y Z
4 4 8
1
5 5 9
2
6 6 10
3
7 7 11

함수 f 에 의하여 X 의 원소 1에 Y 의 원소 6이 대응하고, 함수 g 에 의하여 Y 의 원소 6에 Z 의


원소 9가 대응한다. 이것으로부터 X 의 원소 1에 Z 의 원소 9를 대응시킬 수 있다.
h 마찬가지 방법으로 X 의 원소 2와 3에
X Z
8 f g f g
1 2 −→ 7 −→ 11, 3 −→ 4 −→ 9
9
2
10 에 따라 Z 의 원소 11과 9를 각각 대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X 에서 Z 로의 새로운 함수 h를
3
11
정의할 수 있다. 이때, 함수 h : X −→ Z 는

그림 6.1. h : X −→ Z h(1) = 9, h(2) = 11, h(3) = 9

인 함수이다. 이와 같이 세 집합 X, Y, Z 에 대하여 두 함수 f : X −→ Y, g : Y −→ Z 가 주어졌


을 때, 집합 X 의 원소 x에
f g
x −→ f (x) −→ g(f (x))

에 따라 집합 Z 의 원소 g(f (x))를 대응시켜 X 를 정의역, Z 를 공역으로 하는 새로운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g& f
f g
X Y Z

x f(x) g( f(x))

이 함수를 f 와 g 의 합성함수라 하고, 이를 기호로

g ◦f

와 같이 나타낸다. 이때, 함수 g ◦f : X −→ Z 에서 x의 함숫값을

(g ◦f )(x)

194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와 같이 나타내고, X 의 임의의 원소 x에 Z 의 원소 g(f (x))가 대응하므로

(g ◦f )(x) = g(f (x))

이 성립한다. 따라서 f 와 g 의 합성함수를

y = g(f (x))

와 같이 나타낸다.

정의 합성함수
하 6.1
두 함수 f : X −→ Y, g : Y −→ Z 의 합성함수 g ◦f 는
g ◦f : X −→ Z, (g ◦f )(x) = g(f (x)) (x ∈ X)
이다.

예시 함수 f (x) = x2 −2x, g(x) = x+1에 대하여


1. (g ◦f )(1) = g(f (1)) = g(−1) = 0
2. (f ◦g)(1) = f (g(1)) = f (2) = 0
3. (g ◦f )(x) = g(f (x)) = g(x2 −2x) = (x2 −2x)+1 = x2 −2x+1
4. (f ◦g)(x) = f (g(x)) = f (x+1) = (x+1)2 −2(x+1) = x2 −1

보기 6.1 두 함수 f (x) = 2x+1, g(x) = 3x−2에 대하여 다음 합성함수를 구하시오.


(1) g ◦f (2) f ◦g

한 걸음 더

함수의 합성 조건 f g
X Y Z W
-1 -1 2 0
0 1
두 함수 f : X −→ Y, g : Z −→ W 에 대하여 함수 f 의 치역이 함수 g 의 정의역의 부분집합이 0
1 2
1 3 3
면 합성함수 g ◦f 를 정의할 수 있다. 즉,

{f (x) | x ∈ X} ⊂ Z 그림 6.2. 합성함수 f ◦g 는 잘 정의된다.

이 성립해야 한다. 이때, Y ⊂ Z 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X = Y = {−1, 0, 1}, Z = W = {0, 1, 2, 3}

에 대하여 함수 f : X −→ Y, g : Z −→ W 가

f (x) = |x|, g(x) = 3−x

라 하면, Y 6⊂ Z 이지만 함수 f 의 치역 {0, 1} ⊂ Z 이다. 따라서 합성함수 g ◦f : X −→ Z 가 잘


정의된다.

보기 정답

6.1 (1) 6x+1 (2) 6x−3

06-1. 합성함수 195


합성함수의 성질

실수, 복소수, 다항식의 사칙연산과 같이 함수의 합성은 함수들 간에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연산이지만, 함수의 합성만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성질이 있다.

• 교환법칙 앞의 예시와 같이 두 함수 f (x) = x2 −2, g(x) = x+1에 대하여

(g ◦f )(x) = x2 −1, (f ◦g)(x) = x2 +2x−1

이므로 g ◦f 6= f ◦g 이다.
일반적으로 함수 f, g 에 대하여 두 합성함수 g ◦f, f ◦g 가 정의되어도 두 함수 g ◦f 와
f ◦g 는 서로 같지 않다. 즉, 함수의 합성에 대한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 결합법칙 네 집합 X, Y, Z, W 에 대하여 세 함수

f : X −→ Y, g : Y −→ Z, h : Z −→ W

가 주어졌을 때, 합성함수p.195의 정의에 의하여

g ◦f : X −→ Z, h◦g : Y −→ W

이므로
h◦(g ◦f ) : X −→ W, (h◦g)◦f : X −→ W

이 성립한다. 따라서 두 합성함수 h◦(g ◦f )와 (h◦g)◦f 는 모두 X 에서 W 로의 함수이다.

h &(g & f )
g& f
f g h
X Y Z W

x f(x) g( f(x)) h(g(f(x)))

h& g
( h & g) & f

이때 정의역 X 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h◦(g ◦f ))(x) = h((g ◦f )(x)) = h(g(f (x)))

((h◦g)◦f )(x) = (h◦g)(f (x)) = h(g(f (x)))

이므로, h◦(g ◦f ) = (h◦g)◦f 이다. 즉, 함수의 합성에 대한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함수의 합성에 대한 결합법칙이 성립하
므로 h◦(g ◦f )와 (h◦g)◦f 를 괄호를
생략하여
h◦g ◦f 포인트 합성함수의 성질
하 6.2
와 같이 나타내기도 한다. 세 함수 f, g, h에 대하여
•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즉, g ◦f 6= f ◦g
•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즉, h◦(g ◦f ) = (h◦g)◦f

196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예시 세 함수 f (x) = −x2 , g(x) = x+1, h(x) = 2x에 대하여
(g ◦f )(x) = −x2 +1, (h◦g)(x) = 2x+2
이다. 이때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h◦(g ◦f ))(x) = h((g ◦f )(x)) = h(−x2 +1) = 2(−x2 +1) = −2x2 +2
((h◦g)◦f )(x) = (h◦g)(f (x)) = (h◦g)(−x2 ) = 2·(−x2 )+2 = −2x2 +2
이므로 h◦(g ◦f ) = (h◦g)◦f 이다.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무조건 g ◦f 6= f ◦g 인 것은 아니다. g ◦f = f ◦g 인 경우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두 함수 f (x) = x+1, g(x) = x−1에 대하여

(g ◦f )(x) = g(f (x)) = g(x+1) = (x+1)−1 = x

(f ◦g)(x) = f (g(x)) = f (x−1) = (x−1)+1 = x

이므로 g ◦f = f ◦g 이다.

항등함수의 합성

두 집합 X, Y 에 대하여 함수 f : X −→ Y 와 두 항등함수

IX : X −→ X, IY : Y −→ Y

가 주어졌을 때, X 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f ◦IX )(x) = f (IX (x)) = f (x)

(IY ◦f )(x) = IY (f (x)) = f (x)

가 성립한다. 따라서 f ◦IX = IY ◦f = f 이다. 특히 f : X −→ X 와 IX : X −→ X 에 대하여

f ◦IX = IX ◦f = f

가 성립한다. 즉, 함수의 합성에 대한 교환법칙이 성립한다.

포인트 항등함수의 합성
하 6.3
함수 f : X −→ Y 와 두 항등함수 IX : X −→ X, IY : Y −→ Y 에 대하여
f ◦IX = f, IY ◦f = f
가 성립한다.

06-1. 합성함수 197


합성함수

예제 세 함수 f (x) = x+1, g(x) = x2 +1, h(x) = |x−1|−1에 대하여 다음 함숫값

01 또는 함수를 구하시오.
(1) (f ◦g)(2) (2) (h◦f )(−3)
(3) (f ◦f ◦f )(x) (4) (g ◦(f ◦h))(x)

길잡이 세 함수 f : X −→ Y, g : Y −→ Z, h : Z −→ W 에 대하여
• 합성함수 g ◦f : X −→ Z 의 함숫값은 f 의 함숫값을 함수 g 에 대입하여 구한다. 즉,
(g ◦f )(x) = g(f (x))
이다.
• 함수의 합성에 대한 교환법칙은 성립하지 않지만, 결합법칙은 성립한다. 즉,
f ◦g 6= g ◦f , h◦(g ◦f ) = (h◦g)◦f
이 성립한다. 이때 함수 h◦(g ◦f ) : X −→ W 의 함숫값은
h◦(g ◦f )(x) = h(g(f (x)))
이다,

풀이

합성함수의 성질 p.196 (f ◦g)(2) = f (g(2)) = f (5) = 6


합성함수 p.195
(h◦f )(−3) = h(f (−3)) = h(−2) = 2

(f ◦f ◦f ) = f (f (f (x))) = f (f (x+1))) = f ((x+1)+1) = (x+2)+1 = x+3

(g ◦(f ◦h))(x) = g(f (h(x)) = g(f (|x−1|−1))


= g(|x−1|−1+1) = g(|x−1|)
= |x−1|2 +1 = x2 −2x+2

정답 (1) 6 (2) 2 (3) x+3 (4) x2 −2x+2

돌다리 두드리기

두 함수 f (x) = x2 +x+1, g(x) = 2x+1에 대하여 다음 함숫값 또는 함수를 구하시오.


돌다리 두드리기
(1) (f ◦g)(2) (2) (g ◦f )(x)
|답| (1) 31 (2) 2x2 +2x+3

(1) (f ◦g)(2) = f (g(2)) = f (5) = 31


2 2
(2) (g ◦f )(x) = 2(x +x+1)+1 = 2x +2x+3
198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정답 및 풀이 p.442

유제 01-1 차집합 p.48

f g
두 집합 X = {1, 2, 3}, Y = {1, 2, 3, 4}에 대하여 두 함수 X Y X
1 1 1
f : X −→ Y, g : Y −→ X 2
2 2
3
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3 3
4
(1) (f ◦g)(1)+(g ◦f )(2)의 값을 구하시오.
(2) (f ◦f ◦f )(3)의 값을 구하시오.
(3) 함수 g ◦f 의 치역을 Z 라 할 때, 집합 Y −Z 를 구하시오.
(1) (f ◦g)(1) = f (g(1)) = f (2) = 3이고 (g ◦f )(2) = g(f (2)) = g(3) = 3
이므로 구하는 값은
(f ◦g)(1)+(g ◦f )(2) = 3+3 = 6
(2) (f ◦f ◦f )(3) = f (f (f (3)))이므로 구하는 값은
(f ◦f ◦f )(3) = f ((f ◦f )(3)) = f (f (f (3))) = f (f (1)) = f (2) = 3
(3) 함수 g ◦f 의 치역 Z 는 {1, 2, 3}이고 Y = {1, 2, 3, 4}이므로 Y −Z = {4}
이다.

답 (1) 6 (2) 3 (3) {4}

유제 01-2 일대일대응 p.179

집합 X = {1, 2, 3}에 대하여 두 함수 f : X −→ X, g : X −→ X 가 일대일대응이고


g(1) = 2, g(2) = 1, (g ◦f )(1) = 3, (f ◦g)(3) = 2
일 때, f (1)+2f (2)+3f (3)의 값을 구하시오.
g(1) = 2, g(2) = 1이고 g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g(3) = 3이다. 또한
(f ◦g)(3) = f (g(3)) = f (3) = 2
이다. 따라서 (g ◦f )(1) = g(f (1)) = 3에서 f (1) = 3이고 f 도 일대일대응이므로
f (2) = 1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f (1)+2f (2)+3f (3) = 3+2·1+3·2 = 11
답 11

유제 01-3 이차부등식의 해 p.299


(
x2 +4 (x2 > 2)
함수 f (x) = |x|+3, g(x) = 에 대하여 (f ◦g)(1)+(g ◦f )(−1)의 값을
−x+3 (x2 ≤ 2)
구하시오.
(i) 12 < 2이므로 g(1) = −1+3 = 2이다. 따라서
(f ◦g)(1) = f (g(1)) = f (2) = 5
(ii) (g ◦f )(−1) = g(f (−1)) = g(4)이고 42 > 2이므로 g(4) = 42 +4 = 20에서
(g ◦f )(−1) = 20
(i), (ii)에 의하여 구하는 값은
f (g(1))+g(f (1)) = 25
답 25

06-1. 합성함수 199


조건에 맞는 함수 구하기

예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02 (1) 두 함수 f (x) = −x+k, g(x) = 2x+8에 대하여 (f ◦g)(x) = (g ◦f )(x)가


항상 성립할 때, 상수 k 의 값을 구하시오.
(2) 두 함수 f (x) = 2x−1, g(x) = 4x+5에 대하여
(f ◦h1 )(x) = g(x), (h2 ◦f )(x) = g(x)
를 만족시키는 함수 h1 (x), h2 (x)를 각각 구하시오.

길잡이 • 함수의 합성은 (g ◦f )(x) = g(f (x))로부터 시작한다.


• 조건에 맞는 함수를 구하는 문제는 함수의 합성 순서에 따라 구하는 방법이 다르다.
– (f ◦h1 )(x) = g(x)을 만족하는 함수 h1 (x)는 f (h1 (x)) = g(x)이므로 f (x) = 2x−1
의 x에 h1 (x)을 대입하고 h1 (x)에 대하여 정리하여 구한다.
– (h2 ◦f )(x) = g(x)을 만족하는 함수 h2 (x)는 h2 (f (x)) = g(x)이므로 t = f (x)로
치환하고, x를 t의 식으로 정리하여 h2 (t)를 구한다.

풀이

합성함수의 성질 p.196 f (x) = −x+k, g(x) = 2x+8이므로


합성함수 p.195
(f ◦g)(x) = f (g(x)) = f (2x+8) = −(2x+8)+k = −2x+k −8
항등식의 성질 I p.49
(g ◦f )(x) = g(f (x)) = g(−x+k) = 2(−x+k)+8 = −2x+2k +8
이다. 따라서 모든 x에 대하여 (f ◦g)(x) = (g ◦f )(x)이려면
−2x−8+k = −2x+2k +8
이고 항등식의 성질에 의하여 k = −16이다.

(f ◦h1 )(x) = f (h1 (x)) = 2h1 (x)−1 = g(x)에서


2h1 (x)−1 = 4x+5 ➭ h1 (x) = 2x+3
t+1
또한 (h2 ◦f )(x) = h2 (f (x)) = h2 (2x−1) = g(x)에서 2x−1 = t로 치환하면 x = 이다.
2
따라서
 
t+1 t+1
h2 (t) = g = 4· +5 = 2t+7
2 2
에서 h2 (t) = 2t+7이고 t를 x로 바꾸면 h2 (x) = 2x+7이다.

정답 (1) −16 (2) h1 (x) = 2x+2, h2 (x) = 2x+7

돌다리 두드리기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두 함수 f (x) = 2x+1, g(x) = 4x+k 에 대하여 (f ◦g)(x) = (g ◦f )(x)가 항상
성립할 때, 상수 k 의 값을 구하시오.
(2) 두 함수 f (x) = 2x+4, g(x) = −6x+8에 대하여 (f ◦h)(x) = g(x)를 만족시키는
돌다리 두드리기
함수 h(x)를 구하시오.
|답| (1) 3 (2) −3x+2

(1) (f ◦g)(x) = f (g(x)) = 2(4x+k)+1 = 8x+2k +1이고


(g ◦f )(x) = g(f (x)) = 4(2x+1)+k = 8x+k +4에서
200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f ◦g)(x) = (g ◦f )(x) ⇒ 8x+2k +1 = 8x+k +4
이므로 k = 3이다.
(2) (f ◦h)(x) = f (h(x)) = 2h(x)+4이고 g(x) = −6x+8이므로
2h(x)+4 = −6x+8에서 h(x) = −3x+2이다.
정답 및 풀이 p.442

유제 02-1

두 함수 f (x) = 2x+4, g(x) = ax+b에 대하여 f ◦g = g ◦f 가 항상 성립하고 g(−2) = 2일


때, g(2)의 값을 구하시오.
f (x) = 2x+4, g(x) = ax+b이므로
(f ◦g)(x) = f (g(x)) = 2(ax+b)+4 = 2ax+2b+4
(g ◦f )(x) = a(2x+4)+b = 2ax+4a+b
이고 f ◦g = g ◦f 이므로
2b+4 = 4a+b ➭ 4a = b+4 ···㉠
이고 g(−2) = 2에서
−2a+b = 2 ···㉡
이다. ㉠과 ㉡을 연립하여 풀면 a = 3, b = 8이므로 g(x) = 3x+8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g(2) = 14이다.
답 14

유제 02-2

두 함수 f (x) = 2x+4, g(x) = −x+4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함수 h(x)를 구하시오.

(1) (h◦g)(x) = f (x) (2) (h◦g ◦f )(x) = g(x)


1
(1) (h◦g)(x) = f (x)에서 h(g(x)) = h(−x+4) = f (x)에서 −x+4 = t로 이므로 −2x = t로 치환하면 x = − t이다. 따라서 h(t) = h(−2x) = g(x)
치환하면 x = −t+4이다. 따라서 h(t) = 2(−t+4)+4 = −2t+12에서 2
1 1
h(t) = −2t+12이므로 h(x) = −2x+12이다. 에서 h(t) = −x+4 = t+4에서 h(x) = x+4이다.
2 2
(2) (h◦g ◦f )(x) = g(x)이고
1
(h◦g ◦f )(x) = h(g(f (x))) 답 (1) h(x) = −2x+12 (2) h(x) = x+4
2
= h(g(2x+4))
= h(−(2x+4)+4)
= h(−2x)

유제 02-3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 가 f (−2x+7) = x−1을 만족시킬 때, f (4x+3)을


구하시오.
−t+7
f (−2x+7) = x−1에서 −2x+7 = t로 치환하면 x = 이다. 따라서
2
−t+7 t 5
f (t) = −1 = − +
2 2 2
이다. t에 4x+3을 대입하면 구하는 값은
4x+3 5
f (4x+3) = − + = −2x+1
2 2

답 −2x+1

06-1. 합성함수 201


f n 꼴의 합성함수
f
예제 집합 X = {1, 2, 3}에 대하여 함수 f : X −→ X 가 오른쪽 X X
1 1
03 그림과 같고
f 1 = f, f n+1 = f ◦f n (n은 자연수)
2 2
3 3
으로 정의할 때, f 50 (1)+3f 100 (2)의 값을 구하시오.

길잡이 f n 꼴의 합성함수는
f 1, f 2, f 3, . . .

를 차례로 구하여 규칙성을 파악한다.

풀이

합성함수의 성질 p.196 함수 f 1 , f 2 , f 3 을 구한다.


함수 f 를 반복하여 합성하면 그림과 같다.

f f f
X X X X

1 1 1 1

2 2 2 2

3 3 3 3

항등함수 p.180 f n 의 규칙성을 찾는다.


이때 f 3 (x) = x이므로
f 3 (x) = x, f 6 (x) = x, f 9 (x) = x, . . . , f 3k (x) = x (단, k는 자연수)

항등함수의 합성 p.197 f n 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f 50 (1)과 f 100 (2)의 값을 구한다.


f 48 (x) = x이므로
f 50 (1) = (f ◦f 49 )(1) = f (f 49 (1))
= f ((f ◦f 48 )(1)) = f ((f (f 48 (1)))
= f (f (1)) = f (3) = 2
99
이고 f (x) = x이므로
f 100 (2) = (f ◦f 99 )(2) = f (f 99 (2))
= f (2) = 1
50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f (1)+3f 100 (2) = 2+3·1 = 5이다.

정답 5

돌다리 두드리기

집합 X = {1, 2, 3}에 대하여 함수 f : X −→ X 를


f (1) = 3, f 1 = f, f n+1 = f ◦f n (n은 자연수)
돌다리 두드리기
으로 정의하자. f 4 (x) = x일 때, f 20 (1)+4f 21 (1)의 값을 구하시오.
|답| 13
f 4 (x) = x이므로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f
20
(1)+4f 21 (1) = 1+4·3 = 13이다.
4 8 12 4k
202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f (x) = x, f (x) = x, f (x) = x, . . . , f (x) = x (단, k는 자연수)
20
이다. 이때 f (x) = x이므로
20 21 20 20
f (1) = 1, f (1) = (f ◦f )(1) = f (f (1)) = f (1) = 3
정답 및 풀이 p.443

유제 03-1
항등함수 p.180
항등함수의 합성 p.197

함수 f (x) = x+2에 대하여


f 1 = f, f n+1 = f ◦f n (n은 자연수)
으로 정의할 때, f 50 (5)의 값을 구하시오.
f (x) = x+2에 대하여 f 1 (x), f 2 (x), f 3 (x), . . .를 차례로 구해보면
f 1 (x) = f (x) = x+2
f 2 (x) = (f ◦f )(x) = f (f (x)) = (x+2)+2 = x+4
f 3 (x) = (f ◦f 2 )(x) = f (f 2 (x)) = f (x+4) = (x+4)+2 = x+6
.
.
.
이다. 따라서 f n (x) = x+2n이므로 f 50 (x) = x+100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f 50 (5) = 5+2·50 = 105이다.
답 105

유제 03-2
항등함수 p.180
항등함수의 합성 p.197

함수 f (x) = x−3에 대하여


f 1 = f, f n+1 = f ◦f n (n은 자연수)
으로 정의할 때, f k (k) = −14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 의 값을 구하시오.
f (x) = x−3에 대하여 f 1 (x), f 2 (x), f 3 (x), . . .를 차례로 구해보면
f 1 (x) = f (x) = x−3
f 2 (x) = (f ◦f )(x) = f (f (x)) = (x−3)−3 = x−6
f 3 (x) = (f ◦f 2 )(x) = f (f 2 (x)) = f (x−6) = (x−6)−3 = x−9
.
.
.
이다. 따라서 f k (k) = k −3k = −2k = −14이므로 k = 7이다.
답 7

유제 03-3
(
x+1 (x2 = 1)
집합 X = {−1, 0, 1, 2}에 대하여 함수 f : X −→ X 가 f (x) = 이고
−x+1 (x2 6= 1)
f 1 = f, f n+1 = f ◦f n (n은 자연수)
으로 정의할 때, f 2018 (1)+f 2021 (2)의 값을 구하시오.
함수 f (x)를 4번 합성한 그림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f 2018 (1)+f 2021 (2) = (−1)+(−1) = −2이다.
답 −2
f f f f
X X X X X
-1 -1 -1 -1 -1
0 0 0 0 0
1 1 1 1 1
2 2 2 2 2

따라서 f 4 (x) = x이고 자연수 k 에 대하여 f 4k (x) = x이므로


f 2018 (1) = (f ◦f ◦f 2016 )(1) = (f ◦f )(f 2016 (1)) = (f ◦f )(1)
= f (f (1)) = f (2) = −1
2021
f (2) = (f ◦f 2000 )(2) = f (f 2000 (2))
= f (2) = −1
06-1. 합성함수 203
함수의 그래프와 합성함수의 함숫값

예제 오른쪽 그림은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를 y y = f (x )

04 나타낸 것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모든 점선은 x축 또는 y 축에 평행하다.)
y=x

(1) (f ◦f )(e)의 값을 구하시오.


(2) (f ◦f ◦f )(d)의 값을 구하시오.
O
(3) (f ◦f ◦f )(x) = b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하시오. a b c d ex

길잡이 직선 y = x 위의 점의 x좌표와 y 좌표가 같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함수의 함숫값


을 구해보자.

풀이

합성함수의 성질 p.196
합성함수 p.19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y = x 위의 점의 x좌표와 y 좌표가 서로 같음을 y y = f (x )
함수의 그래프
y=x
p.169 이용하면 d

f (b) = a, f (c) = b, f (d) = c, f (e) = d c


b
이다. 이를 이용하면
a
O
a b c d ex

f (e) = d, f (d) = c이므로 구하는 값은


(f ◦f )(e) = f (f (e)) = f (d) = c

f (d) = c, f (c) = b, f (b) = a이므로 구하는 값은


(f ◦f ◦f )(d) = (f ◦f )(f (d)) = (f ◦f )(c) = f (f (c)) = f (b) = a

(i) (f ◦f ◦f )(x) = f ((f ◦f )(x)) = b이므로 (f ◦f )(x) = c이다.


(ii) (f ◦f )(x) = f (f (x)) = c이므로 f (x) = d이다.
(iii) f (x) = d이므로 x = e이다.
(i)∼(iii)에 의하여 (f ◦f ◦f )(x) = b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은 e이다.

정답 (1) c (2) a (3) e

돌다리 두드리기
y y = f (x)
오른쪽 그림은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를
y=x
나타낸 것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모든 점선은 11
x축 또는 y 축에 평행하다.) 7
(1) f (7)의 값을 구하시오. 3

돌다리 두드리기 (2) (f ◦f )(13)의 값을 구하시오. O


|답| (1) 3 (2) 7 3 7 1113 x

문제의 그림에서 f (13) = 11, f (11) = 7, f (7) = 3이므로


(1) f (7) = 3이다.
204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2) (f ◦f )(13) = f (f (13)) = f (11) = 7이다.
정답 및 풀이 p.443

유제 04-1
y y=x
오른쪽 그림은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를 나타낸
y = f (x )
것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e
d
(단, 모든 점선은 x축 또는 y 축에 평행하다.) c

(1) (f ◦f )(c)의 값을 구하시오. b

(2) (f ◦f ◦f )(x) = d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하시오. O


a b c de x
그림과 같이 직선 y = x 위의 점의 x좌표와 y 좌표가 서로 같음을 이용하면
f (a) = b, f (b) = c, f (c) = d, f (d) = e
이다. 이를 이용하면
(1) f (c) = d, f (d) = e에서
(f ◦f )(c) = f (f (c)) = f (d) = e이다.
(2) (i) (f ◦f ◦f )(x) = f ((f ◦f )(x)) = d이므로
(f ◦f )(x) = c이다.
(ii) (f ◦f )(x) = f (f (x)) = c이므로
f (x) = b이다.
(iii) f (x) = b이므로 x = a이다.
(i), (ii), (iii)에 의하여 구하는 x의 값은 a이다.

답 (1) e (2) a
유제 04-2

오른쪽 그림은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를 나타낸 y y = f (x)


y=x
것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e
d
(단, 모든 점선은 x축 또는 y 축에 평행하다.) c
(1) (f ◦f )(e)의 값을 구하시오. b
(2) (f ◦f ◦f )(d)의 값을 구하시오.
O b c d e x
(3) (f ◦f )(x) = b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하시오.
그림과 같이 직선 y = x 위의 점의 x좌표와 y 좌표가 서로 같음을 이용하면 (3) (i) (f ◦f )(x) = f (f (x)) = b이므로 f (x) = c이다.
f (b) = a, f (c) = b, f (d) = c, f (e) = d (ii) f (x) = c이므로 x = d이다.
(i), (ii)에 의하여 구하는 x의 값은 d이다.
이므로
(1) f (e) = d, f (d) = c이므로 (f ◦f )(e) = f (d) = c이다. 답 (1) c (2) a (3) d
(2) f (d) = c, f (c) = b, f (b) = a이므로 구하는 값은
(f ◦f ◦f )(d) = (f ◦f )(f (d))
= (f ◦f )(c) = f (f (c)) = f (b) = a

유제 04-3

오른쪽 그림은 함수 y = f (x)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y


y = f (x )
4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모든 점선은 x축 또는 y 축에 평행하다.)
3
(1) (f ◦f ◦f )(2)의 값을 구하시오.
2
(2) (f ◦f )(a) = 4를 만족시키는 모든 a의 개수를 구하시오.
1
(단, 0 ≤ a ≤ 4이다.)
O 1 2 3 4 x
(1) f (0) = 2, f (1) = 0, f (2) = 1이므로 구하는 값은
(f ◦f ◦f )(2) = (f ◦f )(f (2)) = (f ◦f )(1) = f (f (1)) = f (0) = 2
(2) f (a) = t라 하면 (f ◦f )(a) = f (f (a)) = f (t) = 4에서 0 ≤ a ≤ 4이므로
t = f (a) = 3이다. 또한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3이 0 ≤ x ≤ 4에서 두
점에서 만나므로 f (f (a)) = 4를 만족하는 a의 개수는 2이다.

답 (1) 2 (2) 2

06-1. 합성함수 205


합성함수의 그래프
y y = f (x )
예제
05 함수 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합성함수
(f ◦f )(x)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2

O 2 4 x

길잡이 함수 y = f (x)가 x의 값의 범위에 따라 함수식이 다르면 함수 y = g(x)와의 합성함수


f ◦g 는 g(x)의 함숫값에 따라 함수식이 결정된다.

풀이

합성함수 p.195 함수 f (x)의 그래프의 꺾인 점을 기준으로 식을 구한다.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함수 y = f (x)의 그래프의 꺾인 점을 기준으로 합성함수 (f ◦f )(x)의 식을 구하면
(
−f (x)+2 (f (x) < 2)
(f ◦f )(x) =
f (x)−2 (f (x) ≥ 2)

합성함수 p.195 f (x) < 2, f (x) ≥ 2가 되는 범위를 나누고 범위별로 합성함수 (f ◦f )(x)의 함수식을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구한다.
f (x) < 2일 때, 0 < x < 4이고 f (x) ≥ 2일 때, x ≤ 0 또는 x ≥ 4이므로
(i) x ≤ 0일 때, f (x) = −x+2이고 f (x) ≥ 2이므로
(f ◦f )(x) = f (x)−2 = (−x+2)−2 = −x
(ii) 0 < x < 2일 때, f (x) = −x+2이고 f (x) < 2이므로
(f ◦f )(x) = −f (x)+2 = −(−x+2)+2 = x
(iii) 2 ≤ x < 4일 때, f (x) = x−2이고 f (x) < 2이므로
(f ◦f )(x) = −f (x)+2 = −(x−2)+2 = −x+4
(iv) x ≥ 4일 때, f (x) = x−2이고 f (x) ≥ 2이므로
(f ◦f )(x) = f (x)−2 = (x−2)−2 = x−4

함수의 그래프 p.169 각 범위별로 합성함수 (f ◦f )(x)의 그래프를 그린다.



−x (x ≤ 0) y


 y = (f & f) (x)


 x (0 < x < 2) 2
(f ◦f )(x) =


 −x+4 (2 ≤ x < 4)


 x−4 (x ≥ 4) -2 O 2 4 6 x

이므로 합성함수 (f ◦f )(x)의 그래프를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정답 풀이 참조

돌다리 두드리기
|답|
y 돌다리 두드리기
=((ff&% ff))((xx))
yy =
y
3 y = (yf =
% ff)(x)

2 2
함수 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합성함수
(f ◦f )(x)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1
-1 O 1 x
-1 O 1 x
(
−f (x)+1 (f (x) < 0)
(f ◦f )(x) = 이다. 이때 f (x) ≥ 1이므로 이다. 따라서 합성함수 (f ◦f )(x)의 그래프를 그리면 왼쪽 그림과 같다.
f (x)+1 (f (x) ≥ 0)
206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
−x+2 (x < 0)
(f ◦f )(x) =
x+2 (x ≥ 0)
정답 및 풀이 p.444

유제 05-1

함수 (
x+1 (x < 1)
f (x) =
2 (x ≥ 1)

(
에 대하여 합성함수 (f ◦f )(x)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f (x)+1 (f (x) < 1) (i), (ii), (iii)에 의하여 함수 (f ◦f )(x)는 y
(f ◦f )(x) = 이고 f (x) < 1일 때, x < 0이고
2 (f (x) ≥ 1)
(
x+2 (x < 0) y = (f & f) (x)
2
(f ◦f )(x) =
f (x) ≥ 1일 때, x ≥ 0이므로 2 (x ≥ 0)
(i) x < 0일 때, f (x) = x+1이고 f (x) < 1이므로
이고 함수 f ◦f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f ◦f )(x) = f (f (x)) = f (x+1) = (x+1)+1 = x+2 -2 O x
(ii) 0 ≤ x < 1일 때, f (x) = x+1이고 f (x) ≥ 1이므로
(f ◦f )(x) = f (f (x)) = f (x+1) = 2
(iii) x ≥ 1일 때, f (x) = 2이고 f (x) ≥ 1이므로
(f ◦f )(x) = f (f (x)) = f (2) = 2 답 풀이 참조

유제 05-2
y
함수 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고 g(x) = −x+3일 때, y = f (x)
3
합성함수 (f ◦g)(x)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2

O
( ( 1 2 x
2x (x < 1) 2g(x) (g(x) < 1) y
f (x) = 에서 (f ◦g)(x) = 이다.
x+1 (x ≥ 1) g(x)+1 (g(x) ≥ 1)
g(x) < 1일 때, x > 2이고 g(x) ≥ 1일 때, x ≤ 2이므로 4
y = (f & g) (x)
(i) x ≤ 2일 때, (f ◦g)(x) = f (−x+3) = (−x+3)+1 = −x+4
(ii) x > 2일 때, (f ◦g)(x) = f (−x+3) = 2(−x+3) = −2x+6 2
(i), (ii)에 의하여 함수 (f ◦g)(x)는
(
−x+4 (x < 2) O 2 3 x
(f ◦g)(x) =
−2x+6 (x ≥ 2)
이고 함수 (f ◦g)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답 풀이 참조

유제 05-3
y
함수 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고 g(x) = −x2 +2일 때,
y = f (x)
합성함수 (f ◦g)(x)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1

O
1 x

(
x (x < 1) y
f (x) = 이고 함수 g(x)에서 이차부등식 g(x) ≥ 1 즉, −x2 +2 ≥ 1을 y = (f & g) (x)
1 (x ≥ 1)
풀면 1
−x2 +1 ≥ 0 ➭ (x+1)(x−1) ≤ 0
2
에서 −1 ≤ x ≤ 1이다. 즉, −1 ≤ x ≤ 1에서 g(x) ≥ 1이고 같은 방법으로 x < −1 -1 O 1 x
또는 x > 1에서 g(x) < 1이다. 따라서
( - 2
g(x) (g(x) < 1)
(f ◦g)(x) = 답 풀이 참조
1 (g(x) ≥ 1)
이고 g(x) = −x2 +2이므로
(
−x2 +2 (x < −1 또는 x > 1)
(f ◦g)(x) =
1 (−1 ≤ x ≤ 1)
이다. 따라서 합성함수 (f ◦g)(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06-1. 합성함수 207


역함수

역함수의 정의

두 집합 X = {1, 2, 3}, Y = {4, 5, 6}에 대하여 오른쪽 f


X g Y
그림과 같은 함수 f : X −→ Y 는 일대일대응이고, X 의 각
1 4
원소의 함숫값은 2 5
3 6
f (1) = 4, f (2) = 6, f (3) = 5

이다. 이제 집합 Y 의 임의의 원소 y 에 대하여 f (x) = y 인


집합 X 의 원소 x를 짝지어주는 대응을 생각해보자. 이 대응을 g 라 하면, g 에 의하여 Y 의 각
원소 4, 5, 6에 대응되는 X 의 원소는
g
f (1) = 4 ➭ 4 −→ 1
g
f (2) = 6 ➭ 6 −→ 2
g
f (3) = 5 ➭ 5 −→ 3

와 같다. 이때 Y 의 각 원소 원소에 X 의 원소를 오직 하나씩 대응되므로 대응 g 는 Y 에서 X


로의 함수이다. 즉, g : Y −→ X 이다.


이와 같이 함수 f : X −→ Y 가 일대일대응 p.179 이면 Y 의 임의의 원소 y 에 대하여 f (x) = y 인
X 의 원소 x는 오직 하나만 존재한다. 따라서 Y 의 원소 y 에 f (x) = y 인 X 의 원소 x를 대응시
X Y 켜 Y 를 정의역, X 를 공역으로 하는 새로운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 새로운 함수를 함수 f 의
f 역함수라 하고, 이를 기호로
x y = f(x)
f −1
-1
f
와 같이 나타낸다. 즉, f −1 : Y −→ X, x = f −1 (y)이다.

그림 6.3. 함수 f 의 역함수 f −1
정의 역함수
하 6.4
함수 f : X −→ Y 가 일대일대응일 때, 집합 Y 의 원소 y 에 f (x) = y 를 만족

f −1 은 f 의 역함수 또는 f inverse라 하는 집합 X 의 원소 x를 대응시키는 함수를 함수 f 의 역함수라 한다. 이를


읽는다. 기호로 f −1 과 같이 나타내고,
f −1 : Y −→ X, x = f −1 (y)
이다.

208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보기 6.2 함수 f (x) = 3x+1의 역함수 f −1 가 존재할 때, 다음 값을 구하시오.
(1) f −1 (1) (2) f −1 (10) (3) (f −1 ◦f )(2)

역함수의 존재 조건

함수 f 의 역함수를 정의할 때,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라는 가정이 필수적이다. 다음의 두


함수 f, g 를 살펴보자.

f g
X Y X Z
4
1 1 4
5
2 2
6 5
3 3
7

• 함수 f : X −→ Y 는 일대일함수이지만 함수 f 의 치역과 공역 Y 가 같지 않으므로 일대일


대응이 아니다. 이 경우 Y 의 원소 y 에 f (x) = y 를 만족하는 X 의 원소 x를 짝지어주는
대응을 생각할 때, 치역에 포함되지 않는 Y 의 원소 4는 f (x) = 4를 만족하는 X 의 원소가
없다. 즉, 이 대응은 함수가 될 수 없다.
• 함수 g : X −→ Z 의 치역과 공역이 일치하지만 g(1) = g(2) = 4이므로 일대일함수가 아
니다. 이 경우 Z 의 원소 z 에 f (x) = z 를 만족하는 X 의 원소 x를 짝지어주는 대응을
생각할 때, Z 의 원소 4는 X 의 원소 1과 2가 대응된다. 즉, 이 대응은 함수가 될 수 없다.

따라서 함수 f 가 역함수를 갖기 위한 필요충분조건p.107은 f 가 일대일대응이다.

역함수의 성질

함수 f : X −→ Y 가 일대일대응이면 f 의 역함수 f −1 : Y −→ X 도 일대일대응이다. 따라서


f −1 의 역함수
(f −1 )−1 : X −→ Y f
X Y
f -1
가 존재한다. X 의 임의의 원소 x에 대응하는 Y 의 원소는 y = f (x)이고, 역함수 f −1
의 정의에
x y
의하여 x = f −1
(y)이다. 마찬가지로 역함수 (f ) 의 정의에 의하여
−1 −1
=

-1
f (y) ( f -1)-1 -1 -1
(f ) (x)
y = (f −1 )−1 (x)

이다. 따라서 두 함수 f 와 (f −1 )−1 는 정의역과 공역이 같고,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x의 함숫값 그림 6.4. (f −1 )−1 = f

같으므로 서로 같은 함수p.167이다. 즉, (f )
−1 −1
= f 이다.

보기 정답

6.2 (1) 0 (2) 3 (3) 2

06-2. 역함수 209


함수 y = f (x)의 역함수가 존재하면

y = f (x) ⇐⇒ x = f −1 (y)

이므로 다음 성질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f −1 ◦f )(x) = f −1 (f (x)) = f −1 (y) = x (x ∈ X)

(f ◦f −1 )(y) = f (f −1 (y)) = f (x) = y (y ∈ Y )

X f Y X f -1 Y

x y x y

=
-1
f -1(f (x)) f f -1(y) f f (f -1(y))
f(x)

함수 f : X −→ Y 에 대하여 두 함수
따라서 합성함수 f −1 ◦f 는 X 에서의 항등함수이고, f ◦f −1 는 Y 에서의 항등함수이다.
f −1 ◦f, f ◦f −1
는 모두 항등함수이지만, X 6= Y 이면 즉, f −1 ◦f = IX , f ◦f −1 = IY 이다.
정의역이 서로 다르므로
f −1 ◦f 6= f ◦f −1
일대일대응인 두 함수 f : X −→ Y, g : Y −→ X 에 대하여
이다.
g ◦f = IX , f ◦g = IY ⇐⇒ g = f −1 (또는 f = g −1 )

이다. 만약 g = f −1 이면

(g ◦f )(x) = (f −1 ◦f )(x) = x (x ∈ X)

(f ◦g)(y) = (f ◦f −1 )(y) = y (y ∈ Y )
g ◦f = IX , f ◦g = IY 이면 g = f −1
임을 보이는 것은 한 걸음 더 에서 설명할 이므로 g ◦f = IX , f ◦g = IY 이다. 같은 방법으로 f = g −1 일 때에도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것이다.

포인트 역함수의 성질
하 6.5
(1) 일대일대응인 함수 f : X −→ Y 와 그 역함수 f −1 : Y −→ X 에 대하여
• (f −1 )−1 = f
• f −1 ◦f = IX , 즉 (f −1 ◦f )(x) = x (x ∈ X)
• f ◦f −1 = IY , 즉 (f ◦f −1 )(y) = y (y ∈ Y )
(2) 일대일대응인 두 함수 f : X −→ Y, g : Y −→ X 에 대하여
• (f ◦g)(y) = y ⇐⇒ g = f −1 (또는 f = g −1 )
• (g ◦f )(x) = x ⇐⇒ g = f −1 (또는 f = g −1 )

210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합성함수의 역함수

두 함수 f : X −→ Y, g : Y −→ Z 가 일대일대응이고, 그 역함수가 각각 f −1 , g −1 이라 하자.


두 함수 g ◦f : X −→ Z, f −1 ◦g −1 : Z −→ X 에 대하여

(f −1 ◦g −1 )◦(g ◦f ) = f −1 ◦(g −1 ◦g)◦f ← 함수의 합성의 결합법칙

= f −1 ◦IY ◦f ← IY 는 Y 에서의 항등함수

= f −1 ◦f = IX ← IX 는 X 에서의 항등함수

이고, 두 함수의 순서를 바꾸어 합성하면

(g ◦f )◦(f −1 ◦g −1 ) = g ◦(f ◦f −1 )◦g −1 ← 함수 합성의 결합법칙

= g ◦IY ◦g −1 ← IY 는 Y 에서의 항등함수

= g ◦g −1 = IZ ← IZ 는 Z 에서의 항등함수

이므로 함수 g ◦f 와 함수 f −1 ◦g −1 은 서로 역함수 관계에 있다. 즉, (g ◦f )−1 = f −1 ◦g −1


이다.

포인트 합성함수의 역함수


하 6.6
두 함수 f : X −→ Y, g : Y −→ Z 가 일대일대응이고, 그 역함수가 각각
f −1 , g −1 일 때
(g ◦f )−1 = f −1 ◦g −1
이다.

한 걸음 더

역함수의 유일성

일대일대응인 두 함수 f : X −→ Y, g : Y −→ X 에 대하여

g ◦f = IX , f ◦g = IY ⇐⇒ g = f −1 (또는 f = g −1 )

이다. 앞서 우리는 g = f −1 이면 g ◦f = IX , f ◦g = IY 임을 보였다. 이제 g ◦f = IX , f ◦g = IY


을 만족시키는 함수 g 는 g = f −1 임을 보일 것이다.

proof1.jpg
g ◦f = IX , f ◦g = IY 를 가정하자.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 f −1 이 존재하고,

역함수의 성질 p.210에 의하여
f −1 ◦f = IX , f ◦f −1 = IY
이다. 따라서
g = g ◦IY = g ◦(f ◦f −1 ) = (g ◦f )◦f −1 = IX ◦f −1 = f −1
proof2.jpg
이 성립한다.

06-2. 역함수 211


역함수를 구하는 법

일반적으로 함수를 나타낼 때 정의역의 원소를 x, 치역의 원소를 y 로 나타내므로 함수


y = f (x)의 역함수 x = f −1 (y)의 경우에도 x와 y 를 서로 바꾸어

y = f −1 (x)

와 같이 나타낸다. 따라서 함수 y = f (x)의 역함수가 존재할 때, 역함수 y = f −1 (x)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y = f (x) x = f -1(y) y = f -1(x)


x에 대하여 푼다. x와 y를 서로 바꾼다.

함수 f 의 치역은 함수 f −1 의 정의역이 되고, 함수 f 의 정의역은 역함수 f −1 의 치역이 된다.


따라서 함수 f 의 정의역이 특정하게 정해질 때에는 함수 f 의 치역도 특정하게 정해지므로 함수
f −1 의 정의역을 반드시 나타내야 한다.

포인트 역함수를 구하는 법


하 6.7
함수 y = f (x)의 역함수 y = f −1 (x)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① 함수 y = f (x)가 일대일대응인지 확인한다.
② y = f (x)를 x에 대하여 풀어 x = f −1 (y)의 꼴로 나타낸다.
③ x와 y 를 서로 바꾸어 y = f −1 (x)의 꼴로 나타낸다.
④ f −1 의 정의역(=함수 f 의 치역)을 확인한다.

예시 함수 y = 3x+2의 역함수를 구해보자.


① 함수 y = 3x+2는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일대일대응이다. 따라서
역함수가 존재한다.
1
② y = 3x+2에서 x를 y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x = (y −2)이다.
3
1 2
③ x와 y 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 = x− 이다.
3 3
④ 함수 f 의 치역이 R이므로 역함수 f −1 의 정의역은 R다.

예시 정의역이 {x | x ≥ 0}인 함수 y = 3x+2의 역함수를 구해보자.


① 함수 y = 3x+2는 집합 {x | x ≥ 0}에서 집합 {y | y ≥ 2}로의 일대일대응이다.
따라서 역함수가 존재한다.
1
② y = 3x+2에서 x를 y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x = (y −2)이다.
3
1 2
③ x와 y 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 = x− 이다.
3 3
④ 함수 f 의 치역이 {y | y ≥ 2}이므로 역함수 f −1 의 정의역은 {x | x ≥ 2}이다.

보기 정답
보기 6.3 다음 함수의 역함수를 구하시오.
6.3 (1) f −1 (x) = x−5
(1) f (x) = x+5 (2) f (x) = 2x−4
1
(2) f −1 (x) = x+2
2

212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역함수의 그래프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역함수 y = f −1 (x)의 그래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자. 역함수가 y y = f(x) y = x
존재하는 함수 y = f (x)의 그래프 위의 한 점을 (a, b)라 하면
(a, b)
b = f (a) ⇐⇒ a = f −1 (b) b y = f -1(x)
이다. 따라서 점 (a, b)가 함수 y = f (x)의 그래프 위의 점이면 점 (b, a)는 함수 y = f −1 (x) a
(b, a)
의 그래프 위의 점이다. 이때 점 (a, b)와 점 (b, a)는 직선 y = 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함수
O a b x
y = f (x)의 그래프와 역함수 y = f −1 (x)의 그래프는 직선 y = x에 대하여 대칭이다.

그림 6.5. 함수 y = f (x)와 함수
포인트 역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y = f −1 (x)의 대칭성
하 6.8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역함수 y = f −1 (x)의 그래프는 직선 y = x에
대하여 대칭이다.

y y = 2x + 2
2 y=x
예시 함수 y = 2x+2의 역함수의 그래프를 그려보자.
1
1. 역함수를 직접 구하는 방법 y = 2x+2를 x에 대해 풀면 x = y −1이다.
2
1 -2 -1
이제 x와 y 를 서로 바꾸면 역함수는 y = x−1이다. O 2 x
2
2. y = x의 대칭을 이용하는 방법 함수 y = 2x+2의 그래프 위의 두 점 (−1, 0) -1

과 (0, 2)를 각각 직선 y = x에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0, −1)과 (2, 0)이므로


-2
함수 y = 2x+2 역함수는 두 점 (0, −1)과 (2, 0)을 지나는 직선이다. 따라서
1 그림 6.6. 함수 y = 2x+2와 그 역함수의
역함수는 y = x−1이다.
2 그래프

한 걸음 더

두 함수 y = f (x), y = f −1 (x)의 그래프의 교점

역함수가 존재하는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의 교점의 x좌표는 방정식 f (x) = x


를 만족한다. 방정식의 해를 x = α라 하면 교점의 좌표는 (α, α)이고, 역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f (α) = α ⇐⇒ α = f −1 (α)
두 함수 y = f (x), y = f −1 (x)의 그래
을 만족하므로 점 (α, α)는 함수 y = f −1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의 교점이다. 즉, 함수 프의 교점을 찾을 때에는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의 교점은 두 함수 y = f (x), y = f −1 (x)의 그래프의 교점이다. 1. 먼저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의 교점을 구한다.
2. 두 함수 y = f (x), y = f −1 (x)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두 함수 y = f (x), y = f −1 (x)의 그래프의 교점이 반드시 직선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교점 중 직선
y = x 위에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함수 y = −x의 역함수는 y = −x이므로 두 함수의 y = x 위에 있지 않는 것이 있다면,
방정식 f (x) = f −1 (x)을 풀어
그래프의 교점은 직선 y = −x 위의 모든 점이고, (0, 0)을 제외하면 직선 y = x 위에 있지 않다. 다른 교점을 구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함수 y = f (x)가 x의 값이 증가할 때 y 의 값도 증가하는 경우에는 두 함수


y = f (x), y = f −1 (x)의 그래프의 교점은 모두 직선 y = x 위에 있다. 따라서 y = f (x)의 그래
프와 직선 y = x의 교점만 구하면 두 함수 y = f (x), y = f −1 (x)의 그래프의 모든 교점을 찾을
수 있다.

06-2. 역함수 213


역함수

예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06 (1) 함수 f (x) = 2x+a의 역함수 f −1 (x)가 f −1 (3) = 2를 만족할 때, 역함수


f −1 (x)를 구하고 그 그래프를 그리시오.
(2) 함수 f (x) = ax+b (a 6= 0)의 역함수를 g(x)라 하고 f (1) = 4, g(1) = 2일
때, 두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길잡이 함수 f : X −→ Y 가 일대일대응일 때, y = f (x)의 역함수를 y = f −1 (x)라 하면


y = f (x) ⇐⇒ x = f −1 (y)
이다. 이를 이용하면 함숫값 f −1 (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역함수 f −1 (x)의 식을 구한 후 x = a를 대입한다.
• b = f −1 (a)라 하면 a = f (b)이므로, 방정식 a = f (x)의 해를 구한다.

풀이

역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p.213 역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f −1 (3) = 2이므로 f (2) = 3이다. 즉, y
y = 2x - 1 y = x
역함수를 구하는 법 p.212
f (2) = 4+a = 3 ➭ a = −1
역함수의 성질 p.210
1 1
역함수 p.208 에서 f (x) = 2x−1이다. y = 2x−1을 x에 대하여 풀면 x = y + 이고
2 2
1 1 1 1
x와 y 를 서로 바꾸면 y = x+ 이다. 따라서 구하는 역함수는 O f -1(x) = 2 x + 2
2 2
1 1 x
f −1 (x) = x+
2 2
이고 역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f (1) = 4에서
a+b = 4 ···㉠

이고 g(1) = 2에서 f (2) = 1이므로


2a+b = 1 ···㉡

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 = −3, b = 7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a−b = −3−7 = −10이다.

1 1
정답 (1) f −1 (x) = x+ (2) −10
2 2

돌다리 두드리기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함수 f (x) = 2x−4에 대하여 f −1 (4)의 값을 구하시오.
(2) 함수 f (x) = ax+b (a 6= 0)의 역함수를 g(x)라 하고 f (3) = 1, g(4) = 2일 때, 두
돌다리 두드리기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답| (1) 4 (2) −13

(1) f
−1
(4) = k라 하면 f (k) = 4이므로 4 = 2k −4에서 구하는 k의 값은 4이다.
(2) f (3) = 1이므로 3a+b = 1이고 g(4) = 2에서 f (4) = 2이다. 따라서
−1
214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2a+b = 4이다. 따라서 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 = −3이고 b = 10이므로
구하는 값은 a−b = −13이다.
정답 및 풀이 p.444

유제 06-1 역함수의 성질 p.210

다음 함수의 역함수를 구하고, 그 그래프를 그리시오.


(1) y = x+1 (2) y = 3x−4
y y
(1) 주어진 함수는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1) (2)
존재한다. y = x+1에서 x에 대하여 정리하면 x = y −1이다. x와 y 를 서로
바꾸면 y = x−1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역함수는 y = x−1이다. y= x+1 4
(2) 주어진 함수는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1 4 3
y = 3x+ 3
1 4 O O
y + 이다. x와 y 를 서로
존재한다. y = 3x−4에서 x에 대하여 정리하면 x =
3 3 x -4 4 x
1 4 1 4 3
바꾸면 y = x+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역함수는 y = x+ 이다. y= x-1
3 3 3 3 -4 y = 3 x - 4
y=x y=x

1 4
답 (1) y = x−1 (2) y = x+
3 3

유제 06-2

함수 f (x) = ax+b의 역함수를 g(x)라 할 때, g(1) = 2, g(3) = 5이다. f (8)의 값을


구하시오.
g(x)가 f (x)의 역함수이고 g(1) = 2, g(3) = 5에서 f −1 (1) = 2, f −1 (3) = 5이므
로 f (2) = 1, f (5) = 3이다. 따라서
f (1) = 2a+b = 1, f (5) = 5a+b = 3
2 1 2 1
이고 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 = , b = − 이다. f (x) = x− 이므로 구하는
3 3 3 3
값은 f (8) = 5이다.
답 5

역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p.213


유제 06-3
역함수를 구하는 법 p.212
합성함수 p.195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 가 f (2x+3) = 4x+7을 만족시킬 때, f −1 (3)의 값을


구하시오.
t−3
f (2x+3) = 4x+7에서 2x+3 = t로 놓으면 x = 이다. 따라서
2
t−3
f (t) = 4· +7 = 2t+1
2
이고 t를 x로 바꾸면 f (x) = 2x+1이다. f −1 (3) = k라 하면 f (k) = 3이므로
2k +1 = 3에서 k = 1이다. 즉 f (1) = 3이므로 f −1 (3) = 1이다.
답 1

06-2. 역함수 215


역함수가 존재할 조건

예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 (x) = a|x−1|+2x+1의 역함수가 존재할
07 때,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길잡이 •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일 때 함수 f (x)의 역함수가 존재한다.


• 절댓값 함수의 경우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0이 되는 수를 기준으로 범위를
나누어 그래프를 그린 후 일대일대응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풀이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0이 되는 수를 기준으로 x의 값의 범위를 나누어 f (x)를 구


절댓값과 부호 p.155 한다.
절댓값 기호 안의 식 x−1의 값이 0이 되는 수 1을 기준으로 함수 f (x)를 구하면
(
(2−a)x+a+1 (x < 1)
f (x) =
(a+2)x−a+1 (x ≥ 1)
이다.

역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p.213 함수 f (x)의 그래프를 그리고 역함수가 존재할 조건을 이용하여 실수 k 의 값의 범위를
일대일대응 p.179 구한다.
이차부등식의 해 p.299 함수 f (x)의 역함수가 존재할 때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x < 1일 y
때와 x ≥ 1일 때의 함수 y = f (x)의 그래프의 기울기의 부호가 같아야
3 y = f (x)
한다. 즉
(2−a)(a+2) > 0 ➭ (a−2)(a+2) < 0

에서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2 < a < 2이다.


O 1 x

정답 −2 < a < 2

돌다리 두드리기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함수


(
2x (x < 0)
f (x) = 2
(k −1)x (x ≥ 0)
돌다리 두드리기
|답| k < −1 또는 k > 1 의 역함수가 존재할 때, 실수 k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함수 f (x)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함수 f (x)는 일대일대응이다. x < 0인 부분에서


직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x ≥ 0인 부분에서의 기울기도 양수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216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k2 −1 > 0에서 구하는 k의 값의 범위는 k < −1 또는 k > 1이다.
정답 및 풀이 p.445

절댓값과 부호 p.155
유제 07-1
이차부등식의 해 p.299
집합과 원소 p.12

정의역이 X = {x | −2 ≤ x ≤ a}, 공역이 Y = {y | b ≤ y ≤ 9}인 함수 f (x) = 3x+3의 역함수


가 존재할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함수 f (x)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함수 f (x)는 일대일대응이다. 또한 직선 y = f (x)
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x의 값이 증가하면 y 의 값도 증가한다. 따라서
f (−2) = −6+3 = −3 = b
f (a) = 3a+3 = 9
에서 a = 2, b = −3이므로 구하는 값은 ab = −6이다.
답 −6

유제 07-2
이차부등식의 해 p.299
부등식 ax > b의 풀이 p.281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 (x) = k|x+1|+(k −3)x+k 의 역함수가 존재할 때,


실수 k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절댓값 기호 안의 식 x+1의 값이 0이 되는 수 −1을 기준으로 함수 f (x)를 구하면
(
−3x (x < −1)
f (x) =
(2k −3)x+2k (x ≥ −1)
이다. 또한 함수 f 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함수 f 는 일대일대응이다. 함수 f (x)의 그래
프가 x < −1인 부분에서 직선의 기울기가 음수이므로 x ≥ −1인 부분에서의 기울기도
3
음수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2k −3 < 0에서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k < 이다.
2
3
답 k<
2

이차부등식의 해 p.299
절댓값과 부호 p.155
유제 07-3
집합과 원소 p.12
함수의 최대, 최소 p.202

집합 X = {x | x ≥ a}에 대하여 X 에서 X 로의 함수 f (x) = x2 +2x−6의 역함수가 존재할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함수 f (x)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함수 f (x)는 일대일대응이다. 먼저
f (x) = x2 +2x−6 = (x+1)2 −7
이고 a ≥ −1이다. 또한 치역과 공역이 같으면 f (x)의 최솟값이 a이다. 즉, f (a) = a
이다. 따라서
a2 +2a−6 = a ➭ a2 +a−6 = (a−2)(a+3) = 0
에서 a = −3 또는 a = 2이다. 이때 a ≥ −1이므로 구하는 값은 a = 2이다.
답 2

06-2. 역함수 217


합성함수의 역함수

예제 두 함수 f (x) = x−1, g(x) = 3x−6에 대하여 다음 값 또는 함수를 구하시오.


08 (1) (f ◦g)−1 (x) (2) (f −1 ◦g −1 )(x) (3) (g ◦(g ◦f )−1 ◦g)(2)

길잡이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g ◦f )−1 는


(g ◦f )−1 = f −1 ◦g −1
임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 합성함수 g ◦f 을 먼저 구한 다음 그 역함수 (g ◦f )−1 를 구한다.
• f −1 , g −1 를 각각 구한 다음 합성함수 f −1 ◦g −1 를 구한다.

풀이

역함수를 구하는 법 p.212 (f ◦g)(x) = f (g(x)) = (3x−6)−1 = 3x−7이므로 함수 (f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합성함수의 역함수 p.211 y 7
R로의 일대일대응이고 역함수가 존재한다. y = 3x−7로 놓을 때, x에 대하여 풀면 x = +
역함수의 성질 p.210 3 3
x 7
역함수 p.208 이고 x와 y 를 서로 바꾸면 y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함수 (f ◦g)−1 (x)는
3 3
1 7
(f ◦g)−1 (x) = x+
3 3

두 함수 f (x),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 함수 f (x) = x−1에 대하여
f −1 (x) = x+1
이다. 또한 함수 g(x) = 3x−6에 대하여 y = 3x−6으로 놓을 때, x에 대하여 풀면
1 1
x = y +2이고 x와 y 를 서로 바꾸면 y = x+2이다. 따라서
3 3
1
g −1 (x) = x+2
3
이다. 따라서 구하는 함수 (f −1 ◦g −1 )(x)는
(f −1 ◦g −1 )(x) = f −1 (g −1 (x))
 
1 1
= x+2 +1 = x+3
3 3

항등함수를 I 라 할 때, 역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g ◦(g ◦f )−1 ◦g = g ◦(f −1 ◦g −1 )◦g = g ◦f −1 ◦g −1 ◦g ← 결합법칙


= (g ◦f −1
)◦(g −1
◦g)
= (g ◦f −1
)◦I = g ◦f −1
이다. f −1 (2) = k 라 하면 f (k) = 2에서 k = 3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g ◦(g ◦f )−1 ◦g)(2) = (g ◦f −1 )(2) = g(f −1 (2)) = g(3) = 3·3−6 = 3

1 7 1
정답 (1) (f ◦g)−1 (x) = x+ (2) (f −1 ◦g −1 )(x) = x+3 (3) 3
3 3 3

돌다리 두드리기
돌다리 두드리기
1 3 두 함수 f (x) = x+1, g(x) = 2x−4에 대하여 다음 함수를 구하시오.
|답| (1) (f ◦g)−1 (x) = x+
2 2
1 (1) (f ◦g)−1 (x) (2) (f −1 ◦g −1 )(x)
(2) (f −1 ◦g −1 )(x) = x+1
2
(1) (f ◦g)(x) = f (g(x)) = (2x−4)+1에서 (f ◦g)(x) = 2x−3이므로 함수 (2) 두 함수 f (x),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f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일대일대응이고 역함수가 존재한다. 1
218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1 3 존재한다. f
−1
(x) = x−1, g −1 (x) =
x+2이므로 구하는 함수는
y = 2x−3으로 놓을 때, x에 대하여 풀면 x = y + 이다. x와 y 를 서로 2 
2 2 1

1
1 3 1 3 (f
−1
◦g )(x) = f (g (x)) =
−1 −1 −1
x+2 −1 = x+1
바꾸면 y = x+ 이므로 구하는 함수는 (f ◦g) (x) = x+ 이다.
−1
2 2 2 2 2 2
정답 및 풀이 p.445

유제 08-1

함수 f (x) = x+6과 역함수가 존재하는 함수 g(x)에 대하여 ((g ◦f )−1 ◦g ◦f −1 )(2)의 값을


구하시오.
항등함수를 I 라 할 때, 역함수와 합성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g ◦f )−1 ◦g ◦f −1 = f −1 ◦g −1 ◦g ◦f −1
= f −1 ◦I ◦f −1
= f −1 ◦f −1
이다. 이때 y = x+6을 x에 대하여 정리하면 x = y −6이므로 f −1 (x) = x−6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g ◦f )−1 ◦g ◦f −1 )(2) = (f −1 ◦f −1 )(2)
= f −1 (f −1 (2))
= f −1 (−4) = −10
답 −10

유제 08-2
(
−x+2 (x < 0)
두 함수 f (x) = , g(x) = 4x−8에 대하여 (f ◦(g ◦f −1 )−1 )(8)의 값을
−2x+2 (x ≥ 0)
구하시오.
합성함수와 역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f ◦(g ◦f −1 )−1 = f ◦(f −1 )−1 ◦g −1 = f ◦f ◦g −1
y
이다. 이때 y = 4x−8에서 x에 대하여 정리하면 x = +2에서 x와 y 를 서로 바꾸면
4
x x
y = +2이다. 따라서 g −1 (x) = +2이므로 구하는 값은
4 4
(f ◦(g ◦f −1 )−1 )(8) = (f ◦f ◦g −1 )(8)
= (f ◦f )(g −1 (8))
= (f ◦f )(4)
= f (f (4)) = f (−6) = 8
답 8

유제 08-3 서로 같은 함수 p.167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세 함수 f, g, h에 대하여 f (x) = 3x−5, g(x) = x+6일 때,


(f −1 ◦g −1 ◦h)(x) = x를 만족시키는 함수 h(x)를 구하시오.
I 를 항등함수라 할 때, f −1 ◦g −1 ◦h = I 에서 (g ◦f )−1 ◦h = I 이므로 합성함수와
역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h = ((g ◦f )−1 )−1 = g ◦f
이다. 따라서 구하는 함수 h(x)는
h(x) = (g ◦f )(x)
= g(f (x)) = g(3x−5) = (3x−5)+6 = 3x+1
답 3x+1

06-2. 역함수 219


그래프를 이용한 역함수의 함숫값 구하기
오른쪽 그림은 역함수가 존재하는 함수 y = f (x)의 y y=x
예제
y = f (x)
09 그래프와 직선 y = x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모든 점선은 x축 또는 y 축에 평행하다.)
e
d
c
(1) f −1 (x) = b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하시오. b
(2) (f ◦f ) −1
(d)의 값을 구하시오. a

O x

길잡이 함수 f 의 역함수 f −1 이 존재할 때,


y = f (x) ⇐⇒ x = f −1 (y)
이 성립하므로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역함수 y = f −1 (x)의 그래프는 직선 y = x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따라서 함수 y = f (x)의 그래프가 (a, b)를 지나면 역함수 y =
f −1 (x)의 그래프는 (b, a)를 지난다.

풀이

역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p.213


합성함수의 역함수 p.2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y = x 위의 점의 x좌표와 y 좌표가 서로 같음을 y y=x
역함수의 성질 p.210 이용하면 y = f (x)
e
역함수 p.208 d
f (a) = b, f (b) = c, f (c) = d, f (d) = e c
b
이다. 또한 역함수 f −1 (x)의 성질에 의하여
a
f −1 (b) = a, f −1 (c) = b, f −1 (d) = c, f −1 (e) = d O
a b c de x
이다. 이를 이용하면

f −1 (x) = b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은 c이다.

역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구하는 값은

(f ◦f )−1 (d) = (f −1 ◦f −1 )(d) = f −1 (f −1 (d)) = f −1 (c) = b

정답 (1) c (2) b

돌다리 두드리기
y y=x
오른쪽 그림은 역함수가 존재하는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y = f (x)
직선 y = x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모든 c
점선은 x축 또는 y 축에 평행하다.) b

(1) f −1 (x) = c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하시오. a


돌다리 두드리기 (2) (f ◦f ) −1
(b)의 값을 구하시오. O
|답| (1) b (2) d a b c dx

문제의 그림에서 f (b) = a, f (c) = b, f (d) = c이므로 (2) 역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구하는 값은
(f ◦f ) (b) = (f ◦f )(b) = f (f (b)) = f (c) = d
−1 −1 −1 −1 −1 −1
f (a) = b, f (b) = c, f (c) = d
−1 −1 −1
220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이다. 이를 이용하면
(1) f
−1
(x) = c를 만족시키는 x는 b이다.
정답 및 풀이 p.445

유제 09-1 집합과 원소 p.12

오른쪽 그림은 집합 X = {1, 2, 3, 4}에 대하여 함수 f : X −→ X 의 y


4
그래프이다. 함수 f (x)의 역함수 f −1
(x)에 대하여
3
(f −1 ◦f −1 )(1)+(f −1 ◦f −1 ◦f −1 )(3)
2
의 값을 구하시오. 1

O 1 2 3 4 x
함수 f (x)의 그래프에서 (f −1 ◦f −1 )(1)+(f −1 ◦f −1 ◦f −1 )(3) = 1+3 = 4
f (1) = 1, f (2) = 4, f (3) = 2, f (4) = 3 답 4
이므로
f −1 (1) = 1, f −1 (2) = 3, f −1 (3) = 4, f −1 (4) = 2
이다. 따라서
(f −1 ◦f −1 )(1) = f −1 (f −1 (1)) = f −1 (1) = 1
(f −1
◦f −1 ◦f −1 )(3) = f −1 (f −1 (f −1 (3)))
= f −1 (f −1 (4)) = f −1 (2) = 3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유제 09-2

역함수가 존재하는 함수 f (x)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y


y = f (x )
(f −1
◦f −1
)(2)의 값을 구하시오. 4
(단, 모든 점선은 x또는 y 축에 평행하다.)
2
1

O 1 2 x
문제의 그림에서
f (0) = 1, f (1) = 2, f (2) = 4
이므로
f −1 (1) = 0, f −1 (2) = 1, f −1 (4) = 2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f −1 ◦f −1 )(2) = f −1 (f −1 (2)) = f −1 (1) = 0
답 0

유제 09-3

함수 f (x)와 함수 g(x)의 그래프와 직선 y = x가 오른쪽 그림과 y y = f (x )


y=x
같을 때, y = g (x )
c
f −1 (a)+(f −1 ◦g)(0)+(f −1 ◦g −1 )(c)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모든 점선은 x또는 y 축에 평행하다.) a


g(0)
O
a b c x
그림과 같이 직선 y = x 위의 점의 x좌표와 y 좌표가 서로 같음을 이용하면
f (a) = g(0), f (b) = a, f (c) = g(c) = c
이다. 따라서
f (a) = g(0) ➭ f −1 (g(0)) = a
f (b) = a ➭ f −1 (a) = b
f (c) = g(c) = c ➭ f −1 (c) = g −1 (c) = c
에서 구하는 값은
f −1 (a)+(f −1 ◦g)(0)+(f −1 ◦g −1 )(c) = b+a+c = a+b+c
답 a+b+c

06-2. 역함수 221


한 걸음 더

대칭함수

우함수와 기함수
y = f(x) y
f(- a) = f(a)
함수의 그래프 중에서 특별히 y 축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의 그래프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의 그래프가 있다. 이런 함수들의 특징을 알아보자.
• 함수 f (x) = x2 은 f (−x) = (−x)2 = x2 이므로 f (−x) = f (x)이 성립한다. 즉, 함수
-a O a x y = f (x)의 그래프와 이 그래프를 y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함수 y = f (−x)의 그래프가
서로 일치한다. 이와 같이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그림 6.7. 우함수의 그래프
f (−x) = f (x)

를 만족시키는 함수를 우함수라 한다.


y y = f(x)
• 함수 f (x) = x3 은 f (−x) = (−x)3 = −x3 이므로 f (−x) = −f (x)이 성립한다. 즉, 함수
f ( a)
y = f (x)의 그래프와 이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함수 y = −f (−x)의 그래
-a
O a x 프가 서로 일치한다. 이와 같이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 (- a) = - f (a) f (−x) = −f (x)

를 만족시키는 함수를 기함수라 한다.


그림 6.8. 기함수의 그래프

정의 우함수와 기함수
하 6.9
•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 (−x) = f (x)를 만족시키는 함수를
짝함수와 홀함수
n
다항함수 f (x) = x (n은 자연수)에서 우함수라 한다. 우함수의 그래프는 y 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 n이 짝수이면 f (−x) = f (x)를 •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 (−x) = −f (x)를 만족시키는 함수를
만족하는 우함수이다. 따라서
우함수를 짝함수라고도 한다. 기함수라 한다. 기함수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 n이 홀수이면 f (−x) = −f (x)를
만족하는 기함수이다. 따라서
기함수를 홀함수라고도 한다. 예시 1. 함수 f (x) = 2x4 은 f (−x) = 2·(−x)4 = 2x4 = f (x)이므로 우함수이다.
2. 함수 f (x) = 3x는 f (−x) = 3·(−x) = −3x = −f (x)이므로 기함수이다.

한 걸음 더

선대칭, 점대칭 함수

함수 y = f (x)의 그래프를 직선 x = a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함수의 그래프는 y = f (2a−x)이


고, 함수 y = f (x)의 그래프가 직선 x = a에 대하여 대칭이면 두 함수 y = f (x)와 y = f (2a−x)
는 서로 같다. 즉, f (x) = f (2a−x)이다. 한편 이 식에 x = a−t를 대입하고, t를 x로 바꾸면

222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f (a−x) = f (a+x)이다. 따라서 함수 y = f (x)가

f (x) = f (2a−x) 또는 f (a−x) = f (a+x)

를 만족하면 함수 y = f (x)의 그래프는 직선 x = a에 대하여 대칭이다.

함수 y = f (x)의 그래프를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y = 2b−f (2a−x)이고, 함수


y = f (x)의 그래프가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면 두 함수 y = f (x)와 y = 2b−f (2a−x)는
서로 같다. 즉, f (x) = 2b−f (2a−x)에서 f (x)+f (2a−x) = 2b이다. 한편 이 식에 x = a−t를
대입하고, t를 x로 바꾸면 f (a−x)+f (a+x) = 2b이다. 따라서 함수 y = f (x)가
f (a−x)+f (a+x)
f (x)+f (2a−x) = 2b 또는 =b
2
를 만족하면 함수 y = f (x)의 그래프는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다.

한 걸음 더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


실수 x에 대하여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를 [x]와 같이 나타내고, [ ]를 가우스 기호라
한다. 따라서 정수 n에 대하여

n ≤ x < n+1일 때, [x] = n · · · (6.3.1)

이 성립한다. 예를 들어,

[1] = 1, [1.2] = 1, [0.3] = 0, [−1] = −1, [−1.2] = −2, . . .

이다. 또한 (6.3.1)으로부터 [x] ≤ x < [x]+1, 0 ≤ x−[x] < 1이 성립한다.

정의 가우스 기호
하 6.10
실수 x에 대하여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 정수이다. 즉, 정수 n에 대하여
가우스 기호 [x]를 포함한 함수 y = [x]
n ≤ x < n+1일 때, [x] = n이다. 를 최대정수함수라고도 한다.

전체 실수의 집합을 R라 할 때, f (x) = [x]라 하면 함수 f 는 집합 R에서 R로의 함수이다. 이


때, 함수 f 의 치역은 정수 전체의 집합이다. 이 함수의 그래프는 정수 n에 대하여 n ≤ x < n+1
일 때, [x] = n이므로 x가 정수가 되는 값을 경계로 범위를 나누어 함숫값 [x]의 값을 계산하면
.. .. 4 y
. . 3
−1 ≤ x < 0이면 [x] = −1 2
1
x
0 ≤ x < 1이면 [x] = 0
-4 -3 -2 -1 1 2 3 4
-1
1 ≤ x < 2이면 [x] = 1
-2
.. .. -3
. .
-4
이다. 따라서 함수 f (x) = [x]의 그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그림 6.9. 함수 y = [x]의 그래프

06-3. 여러 가지 함수의 그래프 223


우함수와 기함수

예제 두 함수 f (x), g(x)에 대하여 함수 f (x)가 우함수이고 함수 g(x)가 기함수일 때,

10 [보기]에서 우함수와 기함수를 판별하시오.


[보기]

ㄱ. f (x)g(x) ㄴ. f (x)+xg(x)
ㄷ. (f ◦g)(x) ㄹ. (g ◦f )(x)

길잡이 특정 함수가 우함수인지, 기함수인지를 판별하는 방법은 판별할 함수를 F (x)로 놓고,
F (−x)를 구하여
• F (−x) = F (x)이면 우함수이다.
• F (−x) = −F (x)이면 기함수이다.

풀이

우함수와 기함수 p.222


합성함수 p.195 함수 f (x)가 우함수, 함수 g(x)가 기함수이므로
f (x) = f (−x), g(x) = −g(−x)
가 성립한다.

F (x) = f (x)g(x)로 놓으면


F (−x) = f (−x)g(−x) = f (x){−g(x)} = −f (x)g(x) = −F (x)
이므로 함수 f (x)g(x)는 기함수이다.

F (x) = f (x)+xg(x)로 놓으면


F (−x) = f (−x)+(−x)·g(−x) = f (x)−x·{−g(x)} = f (x)+xg(x) = F (x)
이므로 함수 f (x)+xg(x)는 우함수이다.

F (x) = (f ◦g)(x)로 놓으면


F (−x) = (f ◦g)(−x) = f (g(−x)) = f (−g(x)) = f (g(x)) = (f ◦g)(x) = F (x)
이므로 함수 (f ◦g)(x)는 우함수이다.

F (x) = (g ◦f )(x)로 놓으면


F (−x) = (g ◦f )(−x) = g(f (−x)) = g(f (x)) = (g ◦f )(x) = F (x)
이므로 함수 (g ◦f )(x)는 우함수이다.

정답 우함수 : ㄴ, ㄷ, ㄹ 기함수 :ㄱ

돌다리 두드리기

함수 f (x)가 기함수일 때, 다음 함수가 우함수인지 기함수인지를 판별하시오.


돌다리 두드리기
(1) (f ◦f )(x) (2) {f (x)}2
|답| (1) 기함수 (2) 우함수
2
함수 f (x)가 기함수이므로 f (x) = −f (−x)가 성립한다. (2) G(x) = {f (x)} 으로 놓으면
(1) F (x) = (f ◦f )(x)로 놓으면 2
224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G(−x) = {f (−x)} = {f (−x)}·{f (−x)}
F (−x) = (f ◦f )(−x) = f (f (−x))
2
= f (−f (x)) = −(f ◦f )(x) = −F (x) = {−f (x)}·{−f (x)} = {f (x)} = G(x)
이므로 함수 G(x)는 우함수이다.
이므로 함수 (f ◦f )(x)는 기함수이다.
정답 및 풀이 p.446

유제 10-1

두 함수 f (x), g(x)에 대하여 f (x)는 우함수, g(x)는 기함수이다. f (2) = 5, g(2) = 2일 때,


f (−2)+2g(−2)의 값을 구하시오.
함수 f (x)가 우함수이므로 f (−x) = f (x)이고 함수 g(x)가 기함수이므로
g(−x) = −g(x)이다. 따라서
f (−2) = f (2) = 5
g(−2) = −g(2) = −2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f (−2)+2g(−2) = 5+2·(−2) = 1
답 1

유제 10-2 절댓값과 부호 p.155

[보기]의 함수 중 우함수인 것과 기함수인 것을 고르시오.


[보기]

ㄱ. g(x) = x4 ㄴ. g(x) = x2 −6x


ㄷ. h(x) = −x3 +6x ㄹ. k(x) = x|x|

ㄱ. f (−x) = (−x)4 = x4 = f (x)이므로 함수 f (x)는 우함수이다.


ㄴ. g(−x) = (−x)2 −6(−x) = x2 +6x에서
g(−x) 6= g(x), g(−x) 6= −g(x)
이므로 함수 g(x)는 우함수도 기함수도 아니다.
ㄷ. h(−x) = −(−x)3 +6(−x) = x3 −6x = −h(x)이므로 함수 h(x)는
기함수이다.
ㄹ. k(−x) = −x|−x| = −x|x| = −k(x)이므로 함수 k(x)는 기함수이다.
따라서 우함수는 ㄱ이고 기함수는 ㄷ, ㄹ이다.
답 우함수 : ㄱ 기함수 : ㄷ, ㄹ

유제 10-3

세 함수 f, g, h에 대하여 함수 f 가 우함수이고 함수 g 가 기함수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xf (x)+g(x)는 기함수이다.
ㄴ. 함수 f (x)+h(x)가 우함수이면 함수 g(x)−h(x)는 기함수이다.
ㄷ. 함수 f (x)·h(x)가 기함수이면 함수 g(x)·h(x)는 우함수이다. (단, f 6= 0)

함수 f (x)가 우함수, 함수 g(x)가 기함수이므로 ㄷ. (참) 함수 f (x)·h(x)가 기함수이면


f (x) = f (−x), g(x) = −g(−x) f (−x)h(−x) = f (x)h(−x) = −f (x)h(x)
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즉, h(−x) = −h(x)이므로 함수 h(x)는 기함수이다. 따라서
ㄱ. (참) (−x)f (−x)+g(−x) = (−x)·{f (x)}−g(x) g(−x)h(−x) = −g(x)·{−h(x)} = g(x)h(x)
= −xf (x)−g(x) = −{xf (x)+g(x)} 이므로 함수 g ·h는 우함수이다.
이다. 따라서 함수 xf (x)+g(x)는 기함수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ㄴ. (거짓) 함수 f (x)+h(x)가 우함수이면
답 ㄱ, ㄷ
f (−x)+h(−x) = f (x)+h(−x) = f (x)+h(x)
가 성립한다. 즉, h(−x) = h(x)이다. 따라서
g(−x)−h(−x) = −g(x)−h(x)
06-3. 여러 가지 함수의 그래프 225
이다. 이때 h(x) 6= 0이면 h(−x) 6= −h(x)이므로 함수 g(x)−h(x)는
기함수가 아니다.
가우스 기호

예제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11 (1) y = x−[x] (−2 ≤ x ≤ 2) (2) y = [x2 ] (−1 ≤ x ≤ 2)

길잡이 가우스 기호 [ ]를 포함한 함수는


‘실수 x에 대하여 n ≤ x < n+1 ⇐⇒ [x] = n (단, n은 정수)’
를 이용하여 가우스 기호 [ ] 안의 식의 값이 정수가 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범위를 나누
어 함숫값을 차례로 계산한다.

풀이

가우스 기호 p.223 함수 y = x−[x]에서 가우스 기호 안의 x가 정수가 되는 값을 범위로 y


함수의 그래프 p.169 나누어 함수를 구하면 y = x - [x ]
1
−2 ≤ x < −1이면 [x] = −2이므로 y = x+2
−1 ≤ x < 0이면 [x] = −1이므로 y = x+1
-2 -1 O 1 2 x
0 ≤ x < 1이면 [x] = 0이므로 y=x
1 ≤ x < 2이면 [x] = 1이므로 y = x−1
x = 2이면 [x] = 2이므로 y = x−2
이다. 따라서 함수 y = x−[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함수 y = [x2 ]에서 가우스 기호 안의 x2 이 정수가 되는 값을 범위로


나누어 함수를 구하면
y y = f (x )
x = −1이면 [x2 ] = 1이므로 y = 1 3
−1 < x < 1이면 [x2 ] = 0이므로 y = 0
√ 3
1 ≤ x < 2이면 [x2 ] = 1이므로 y = 1
√ √ 2
2 ≤ x < 3이면 [x2 ] = 2이므로 y = 2
√ 1
3 ≤ x < 2이면 [x2 ] = 3이므로 y = 3
x = 2이면 [x2 ] = 4이므로 y = 4 x
-1 O 1 2 2
이다. 따라서 함수 y = [x2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3

정답 풀이 참조

돌다리 두드리기
|답| y
2
y = 52x?
1
돌다리 두드리기

O 1 1 x 0 ≤ x ≤ 1에서 함수 y = [2x]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2
정수이다.)

가우스 기호 안의 2x가 정수가 되는 값을 범위로 나누어 함숫값을 계산하면 x = 1이면 [2x] = 2이므로 y = 2
1 이다. 따라서 함수 y = [2x]의 그래프는 왼쪽 그림과 같다.
226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0≤x< 이면 [2x] = 0이므로 y = 0
2
1
≤ x < 1이면 [2x] = 1이므로 y = 1
2
정답 및 풀이 p.446

유제 11-1
√ √
− 2 < x < 2에서 함수 y = x2 −[x2 ]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y

함수 y = x2 −[x2 ]에서 가우스 기호 안의 x2 이 정수가 y = x2 - 5x2?


되는 값을 범위로 나누어 함숫값을 계산하면 1

− 2 < x ≤ −1이면 [x2 ] = 1이므로 y = x2 −1
−1 < x < 1이면 [x2 ] = 0이므로 y = x2
√ -1 O 1 2 x
1 ≤ x < 2이면 [x2 ] = 1이므로 y = x2 −1 - 2
이다. 따라서 함수 y = x2 −[x2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답 풀이 참조

유제 11-2

0 ≤ x < 3에서 함수 y = x[x]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


이다.)
함수 y = x[x]에서 가우스 기호 안의 x−2이 정수가 y
y = x 5x?
되는 값을 범위로 나누어 함숫값을 계산하면 6
0 ≤ x < 1이면 [x] = 0이므로 y = 0
4
1 ≤ x < 2이면 [x] = 1이므로 y = x
2 ≤ x < 3이면 [x] = 2이므로 y = 2x 2
이다. 따라서 함수 y = x[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1
같다.
O 1 2 3 x
답 풀이 참조

유제 11-3 합성함수 p.195

f (x) = x−1, g(x) = [x]일 때, −2 < x < 2에서 함수 y = (f ◦g ◦f )(x)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합성함수의 성질을 이용하면 y
(f ◦g ◦f )(x) = f (g(f (x))) = f (g(x−1)) -2 -1 O 1 2
x
= f ([x−1])−1 = [x−1]−1 -1
이다. 함수 y = [x−1]−1에서 가우스 기호 안의 x−1 -2
이 정수가 되는 값을 범위로 나누어 함숫값을 계산하면
-3
−2 < x < −1이면 [x−1] = −3이므로 y = −4
-4
−1 ≤ x < 0이면 [x−1] = −2이므로 y = −3 y = 5x - 1? - 1
0 ≤ x < 1이면 [x−1] = −1이므로 y = −2
1 ≤ x < 2이면 [x−1] = 0이므로 y = −1
이다. 따라서 함수 (f ◦g ◦f )(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답 풀이 참조

06-3. 여러 가지 함수의 그래프 227


06-1 합성함수
합성함수[1-5]
[1-5] 06-4 y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두 함수 f, g 가 정의역이 {x | 0 ≤ x ≤ 4}인 함수 y = f (x )
( 4 7
−x+4 (|x−1| > 2) y = 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y= 2
2 3
f (x) = x −1, g(x) =
x−2 (|x−1| ≤ 2) 같을 때, 방정식 (f ◦f )(x) = 2의 서로 2 y=2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다른 실근의 개수를 구하시오. 1 1
y= 2
(1) (f ◦g)(2) (2) (g ◦f )(−3) (3) (g ◦g ◦g)(1)
O 1 2 3 4 x
합성함수 하 p.195 의 정의를 이용하면
1 7
(1) (f ◦g)(2) = f (g(2)) = f (0) = −1 (f ◦f )(x) = 2에서 f (f (x)) = 2이고 이를 만족시키는 f (x)의 값은 , 2, 이다.
(2) (g ◦f )(−3) = g(f (−3)) = g(8) = −4 2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3) (g ◦g ◦g)(1) = (g ◦g)(g(1)) = (g ◦g)(−1) = g(g(−1)) = g(−3) = 7 1 1
(i) f (x) = 에서 함수 y = f (x)의 그래프 하 p.169 와 직선 y = 이 만나는 점의
답 (1) −1 (2) −4 (3) 7 2 2
개수가 1이다.
(ii) f (x) = 2에서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2가 만나는 점의 개수가 3
이다.
7 7
(iii) f (x) = 에서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이 만나는 점의 개수가 2
2 2
이다.
(i), (ii), (iii)에서 각각의 점의 x좌표가 모두 다르므로 방정식 (f ◦f )(x) = 2를 만족시
키는 서로 다른 x의 개수는 6이다.

06-2 06-5 답 6
세 함수 f, g, h에 대하여 2
두 함수 f (x) = x −4x+3, g(x) = −2x+1에 대하여
2
(h◦g)(x) = 3x+1, (h◦g ◦f )(x) = 6x −3x+1 −1 ≤ x ≤ 2에서 정의된 합성함수 (f ◦g)(x)의 최댓값과 최솟값
일 때, f (4)의 값을 구하시오. 의 합을 구하시오.
합성함수 하 p.195 (f ◦g)(x)를 구하면
합성함수 하 p.195 의 정의에 의하여 (h◦g ◦f )(x) = (h◦g)(f (x))임을 이용하면
(f ◦g)(x) = f (g(x)) = f (−2x+1)
(h◦g ◦f )(x) = 6x2 −3x+1 ···㉠
(h◦g)(f (x)) = 3f (x)+1 ···㉡ = (−2x+1)2 −4(−2x+1)+3
에서 ㉠=㉡이므로 = 4x2 +4x = (2x+1)2 −1
2 2 이고 정의역 하 p.166 이 −1 ≤ x ≤ 2이므로
6x −3x+1 = 3f (x)+1 ➭ f (x) = 2x −x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f (4) = 2·42 −4 = 28이다. 1
f (−1) = 0, f − = −1, f (2) = 24
답 28 2
이다. 따라서 최댓값은 24, 최솟값은 −1 상 p.203 이고 구하는 값은 24+(−1) = 23
이다.
답 23

06-3 06-6 역함수


역함수[6-10]
[6-10]
집합 X = {1, 2, 3, 4}에 대하여 X 에서 X 로의 두 함수 f, g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되는 일차함수 f (x) = ax−4와
y y
y = f (x) y = g (x) 역함수 f −1 이 서로 같을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4 4 f = f −1 이므로 역함수의 성질 하 p.210 에 의하여 f ◦f = I (단, I 는 항등함수 하 p.180 )
이다. 즉, f (f (x)) = x이다. 따라서
3 3
f (f (x)) = a(ax−4)−4 = x a2 x−x−4a−4 = 0
2 2 이다. 따라서 a2 = 1, −4a−4 = 0에서 구하는 값은 a = −1이다.
1 1 답 −1

O 1 2 3 4 x O 1 2 3 4 x
100
와 같고 h(x) = (g ◦f )(x)일 때, h (1)의 값을 구하시오.
(단, h = h이고 자연수 n에 대하여 hn+1 = h◦hn 이다.)
1

합성함수 하 p.195 에 의하여 h1 (1), h2 (1), h3 (1), h4 (1), h5 (1), . . .의 값은


h1 (1) = 2, h2 (1) = 3, h3 (1) = 4, h4 (1) = 1, h5 (1) = 2, . . .
이고 hn (1)의 값은 2, 3, 4, 1, 2, 3, 4, 1, 2 . . .와 같이 반복된다. 즉, 음이 아닌 정
수 k 에 대하여 n = 4k +1일 때, hn (1) = 2이고 n = 4k +2일 때, hn (1) = 3이고
n = 4k +3일 때, hn (1) = 4이고 n = 4k +4일 때, hn (1) = 1이다. 100 = 4×25
이므로 구하는 값은 h100 (1) = h4 (1) = 1이다.
답 1

228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정답 및 풀이 p.447

06-7 06-10
집합 X = {1, 2, 3}에 대하여 함수 f : X −→ X 의 역함수가 오른쪽 그림은 역함수가 존재하는 함수 y = f (x) y
y =- x
존재하고 f (1) = 2, (f ◦f )(2) = 1일 때 (f ◦f )(3)+f −1
(3)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를 e
나타낸 것이다. 이때 d
값을 구하시오.
f 가 역함수 하 p.208 가 존재하므로 f 는 일대일대응 하 p.179 f c
이다. f (2) = k 라 할 때 X X f (−f (−e))+f −1 (−f −1 (b)) b
1 1
f (f (2)) = f (k) = 1 a
2 2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모든 점선은 x축
에서 f (1) = 2이므로 k 6= 1, k 6= 2이다. 따라서 -e -d -c -b O x
3 3
k = 3이므로 또는 y 축에 평행하다.)
f (2) = 3, f (3) = 1 그림의 함수 y = f (x)의 그래프 하 p.169 에서 직선 y = −x를 이용하면
이고 함수 f 의 대응 하 p.164 관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때 f (−b) = a, f (−c) = b, f (−d) = c, f (−e) = d
(f ◦f )(3) = f (1) = 2, f −1 (3) = 2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f (−f (−e)) = f (−d) = c
이므로 구하는 값은
(f ◦f )(3)+f −1
(3) = 2+2 = 4 이다. 또한 역함수의 성질 하 p.210 에 의하여

답 4 f −1 (a) = −b, f −1 (b) = −c, f −1 (c) = −d, f −1 (d) = −e


이므로
f −1 (−f −1 (b)) = f −1 (c) = −d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f (−f (−e))+f −1 (−f −1 (b)) = c−d이다.

06-8 06-11 여러
여러가지
가지함수의
함수의그래프
그래프[11-12]
[11-12] 답 c−d

두 일차함수 f (x) = ax+3, g(x) = x−6에 대하여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일차함수 f (x)가 기함수이고 최고차항
(f ◦(g ◦f ) −1
◦f )(x) = 4x+b 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g(x)가 우함수이다. g(x)의 최솟값이
3일 때, (f −1 ◦g)(3)의 값을 구하시오.
이 성립할 때, 두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f (x) = 2x+a라 할 때, f (x)가 기함수 하 p.222 이므로 f (−x) = −f (x)이다. 따라
역함수의 성질 하 p.210 에 의하여

(f ◦(g ◦f )−1 ◦f ) = (f ◦(f −1 ◦g −1 )◦f ) −2x+a = −2x−a
= (f ◦f −1
)◦(g −1
◦f ) = g −1
◦f 1 1
에서 a = 0이다. 이때 y = 2x에서 x = y 이므로 f −1 (x) = x이다. 또한
이다. y = x−6을 x에 대한 식으로 바꾸면 x = y +6이므로 g −1 (x) = x+6이다.
2 2
g(x) = x2 +bx+c라 할 때, g(x)가 우함수 하 p.222 이므로 g(−x) = g(x)이다. 따
따라서
라서
(f ◦(g ◦f )−1 ◦f )(x) = (g −1 ◦f )(x) = g −1 (f (x)) x2 −bx+c = x2 +bx+c
g −1 (ax+3) = (ax+3)+6 = ax+9 에서 항등식의 성질 상 p.50 에 의하여 b = 0이다. 이때 g(x) = x2 +c는 x = 0에서
이다. (f ◦(g ◦f )−1 ◦f )(x) = 4x+b에서 최솟값 c를 가지므로 c = 3이고 g(x) = x2 +3이다. 구하는 값은
ax+9 = 4x+b ➭ a = 4, b = 9 (f −1 ◦g)(3) = f −1 (g(3)) = f −1 (12) = 6
이므로 구하는 값은 a+b = 13이다. 답 6
답 13

06-9 06-12
일차함수 f (x) = ax+b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 = f −1 (x)의 교 x에 대한 방정식 [x−2] = x+k 의 실근이 존재할 때, 상수 k
점이 오직 하나만 존재하고 그 x좌표가 3이다. 함수 y = f −1
(x)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의 그래프가 점 (5, 4)를 지날 때, f (5)의 값을 구하시오. 정수이다.)
일차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 = f −1 (x)의 그래프 하 p.213 의 교점은 일 함수 y = [x−2]에서 가우스 기호 하 p.223 안의 x가 y
차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의 교점과 같다. 즉 일차방정식 ax+b = x 정수가 되는 값을 범위로 나누어 함숫값을 계산하면
의 해가 3이므로 3a+b = 3에서 b = −3a+3이다. 즉, . . 1
. .
. . 1 2
f (x) = ax+(−3a+3) ···㉠
0 ≤ x < 1이면 [x−2] = −2 O 3 4 x
또한 함수 y = f −1 (x)의 그래프가 점 (5, 4)를 지나므로 f −1 (5) = 4이므로 -1
f (4) = 5이다. 따라서 x = 4를 ㉠에 대입하면 1 ≤ x < 2이면 [x−2] = −1
-2 y = [x - 2 ]
f (4) = 4a+(−3a+3) = 5 ➭ a = 2 2 ≤ x < 3이면 [x−2] = 0
이고 b = −3이다. 따라서 f (x) = 2x−3이므로 구하는 값은 3 ≤ x < 4이면 [x−2] = 1
f (5) = 10−3 = 7이다.
. .
. .
답 7 . .
이다. 따라서 함수 y = [x−2]의 그래프 하 p.169 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방정식
[x−2] = x+k의 실근이 존재할 때, 직선 y = x+k와 함수 y = [x−2]의 그래프
가 만나야 한다. 즉, 구하는 k 의 값의 범위는 −3 < k ≤ −2이다.
답 −3 < k ≤ −2

연습은 실전처럼 229


06-1 06-3
함수 f (x)의 역함수를 g(2x), 함수 f (x−1)의 역함수를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함수
h(x)라 하자. g(6) = 4일 때, h(3)의 값을 구하시오. f (x) = ax+|3x−3|+2
p(x) = x−1라 하면
p −1
(x) = x+1
에 대하여 f (x)의 역함수가 존재하기 위한 실수 a의 값의
이고 f (x−1) = f (p(x)) = (f ◦p)(x)의 역함수 하 p.208 는
범위를 구하시오.
h(x) = (f ◦p)−1 (x) = (p−1 ◦f −1 )(x) 함수 f (x)가 일대일대응 하 p.179 일 때 역함수 하 p.208 가 존재한다. 함수 f (x)의 절댓값
= p−1 (g(2x)) = g(2x)+1 상 p.155 안의 식 3x−3이 0이 되는 값을 기준으로 범위를 나누면 x < 1, x ≥ 1이므
로 (
이다. 따라서 구하는 함숫값은 (a−3)x+5 (x < 1)
f (x) =
h(3) = g(6)+1 = 4+1 = 5 (a+3)x−1 (x ≥ 1)
답 5 이다. 주어진 함수가 일대일대응이 되기 위해서는
(i) x < 1일 때의 직선 y = (a−3)x+5의 기울기와 x ≥ 1일 때의 직선
y = (a+3)x−1의 기울기가 모두 양수이거나 음수이어야 한다.
(ii) (i) 조건을 만족시킬 때, 두 직선 y = (a−3)x+5, y = (a+3)x−1이 점
(1, a+2)을 지나면 치역 하 p.166 은 실수 전체이다.
(i), (ii)에 의하여 (a−3)(a+3) > 0이므로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a < −3 또는
a > 3이다.
답 a < −3 또는 a > 3

06-2 06-4
정의역이 {x | x ≥ 0}인 함수 f (x) = kx2 +2의 그래프가 정의역이 {x | −1 ≤ x ≤ 1}인 함수 f 가
(
역함수 y = f −1
(x)의 그래프와 만나도록 하는 k 의 값의 −2x−1 (−1 ≤ x ≤ 0)
범위를 구하시오. f (x) =
x ≥ 0에서 함수 y = f (x)의 그래프가 역함수 y = f −1 (x)의 그래프 하 p.213 와 만
−(x−1)2 (0 < x ≤ 1)
나려면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가 x ≥ 0에서 만나야 한다. 즉, 방정식 일 때, 함성함수 (f ◦f )(x)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f (x) = x에서 합성함수 하 p.195 (f ◦f )(x)는
kx2 +2 = x ➭ kx2 −x+2 = 0 (
−2f (x)−1 (−1 ≤ f (x) ≤ 0)
이고 x에 대한 방정식 kx2 −x+2 = 0이 음이 아닌 실근을 가져야 한다. (f ◦f )(x) = 2
(i) k = 0일 때, f (x) = 2이므로 f (x)는 일대일대응 하 p.179 이 아니다. 따라서
−(f (x)−1) (0 < f (x) ≤ 1)
역함수 하 p.208 f −1 (x)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다. 함수 조건에 따라 구간을 나누면
1 y
(ii) k 6= 0일 때, x에 대한 이차방정식 (i) −1 ≤ f (x) ≤ 0을 만족하는 x는 − ≤x≤1
2 2 1
kx −x+2 = 0 ···㉠ 1
i) − ≤ x ≤ 0이면, f (x) = −2x−1이므로
의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상 p.166 을 D 라 하면 방정식 ㉠의 실근이 존재하므로 2 1
D = 1−8k ≥ 0에서 f (f (x)) = −2f (x)−1 -1 - 2 1
1
k≤ = −2(−2x−1)−1 = 4x+1 O x
8
이다. 한편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을 α, β 라 할 때, 두 근이 모두 음수이면 근과 ii) 0 < x ≤ 1이면, f (x) = −(x−1)2 이므로
-1
계수의 관계 상 p.170 에 의하여 f (f (x)) = −2f (x)−1
1 2 = −2{−(x−1)2 }−1 = 2(x−1)2 −1
α+β = < 0, αβ = >0
k k 1
1 (ii) 0 < f (x) ≤ 1이면 x는 −1 ≤ x < − 이다. 이때 f (x) = −2x−1이므로
이므로 두 근이 모두 음수가 아니다. 따라서 구하는 k 의 값의 범위는 k ≤ 이다. 2
8 f (f (x)) = −{f (x)−1}2 = −(−2x−1−1)2 = −4(x+1)2
1
답 k≤
8 (i), (ii)에 의하여 구하는 함수는
  
 1


 −(2x+2)2 −1 ≤ x ≤ −


 2
 
(f ◦f )(x) = 1

 4x+1 − ≤x≤0


 2

2(x−1)2 −1 (0 ≤ x ≤ 1)

이고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 하 p.169 는 그림과 같다.


답 풀이 참조
230 06. 합성함수와 역함수
정답 및 풀이 p.449

06-5 06-7 교육청 기출


함수  집합 S = {n | 1 ≤ n ≤ 100, n은 9의 배수}의 공집합이 아닌
 1 x−1 (x < 0)
부분집합 X 와 집합 Y = {0, 1, 2, 3, 4, 5, 6}에 대하여 함수
f (x) = 2

2x−1 (x ≥ 0) f : X −→ Y 를
의 역함수를 f −1 (x)라 할 때,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함수 f (n)은 n을 7로 나눈 나머지
y = f −1 (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하시오. 로 정의하자. 함수 f (n)의 역함수가 존재하도록 하는 집합 X 의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역함수 y = f −1 (x)의 y y=x
그래프 하 p.213 가 직선 y = 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함수 y = f -1(x) 1 개수를 구하시오.
y = f (x)와 역함수 y = f −1 (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f (n)을 차례대로 구해보면
부분의 넓이는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 -2 f (9) = f (72) = 2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의 2배이다. 함수 y = f (x) O 1 x
f (18) = f (81) = 4
의 그래프와 직선 y = 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 -1
1 y = f (x) f (27) = f (90) = 6
라 하자. 직선 y = x−1이 x < 0에서 직선 y = x와 -2
2 f (36) = f (99) = 1
만나는 점은 (−2, −2)이고 직선 y = 2x−1이 x ≥ 0 f (45) = 3, f (54) = 5, f (63) = 0
에서 직선 y = x와 만나는 점은 (1, 1)이므로
함수 f (n)의 역함수 하 p.208 가 존재하려면 함수 f 가 일대일대응 하 p.179 이어야 하므로
1 1 3
S = ·1·2+ ·1·1 = f −1 (0) = 63, f −1 (3) = 45, f −1 (5) = 54이고
2 2 2
3 f −1 (1) = 36 또는 f −1 (1) = 99,
에서 구하는 넓이는 2S = 2× = 3이다.
2
f −1 (2) = 9 또는 f −1 (2) = 72,
답 3
f −1 (4) = 18 또는 f −1 (4) = 81
f −1 (6) = 27 또는 f −1 (6) = 90이다.
이다. 따라서 집합 X 는 45, 54, 63을 반드시 포함하고 9와 72, 18과 81, 27과 90,
36과 99는 각각 둘 중 하나씩만을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집합의 개수는
2×2×2×2 = 16
답 16

06-6 06-8
두 함수 f (x) = x2 +2x−8, g(x) = x2 +ax+4일 때, 모든 실수 집합 X = {1, 2, 3, 4, 5}의 두 부분집합 A, B 가 다음 조건을
x에 대하여 부등식 (f ◦g)(x) ≥ 0이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만족할 때, 함수 f : A −→ B 중에서 역함수가 존재하는 함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f 의 개수를 구하시오.
(f ◦g)(x) ≥ 0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f ◦g)(x) = {g(x)}2 +2g(x)−8 (가) A∪B = X
= {g(x)−2}{g(x)+4}
(나) A∩B = {3}
에서 g(x) ≤ −4 또는 g(x) ≥ 2이다.
(i) g(x) ≤ −4일 때, x2 +ax+4 ≤ −4에서 x2 +ax+8 ≤ 0이고 이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 함수 f 의 역함수 하 p.208 가 존재하려면 함수 f 가 일대일대응 하 p.179 이어야 한다.
(ii) g(x) ≥ 2일 때, x2 +ax+4 ≥ 2에서 x2 +ax+2 ≥ 0이고 이 부등식 상 p.300 따라서 n(A) = n(B)이고 조건 (가), (나)를 만족시키므로 n(A) = n(B) = 3이다.
이 항상 성립하기 위해서는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2 +ax+2 = 0의 따라서 집합 A는
판별식 상 p.166 D 가 D ≤ 0을 만족해야 한다. 즉, {1, 2, 3}, {1, 3, 4}, {1, 3, 5}, {2, 3, 4}, {2, 3, 5}, {3, 4, 5}
√ √
D = a2 −8 = (a+2 2)(a−2 2) ≤ 0 중 하나로 정할 수 있고 집합 A의 원소에 따라 집합 B 도 결정된다.
√ √
에서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2 2 ≤ a ≤ 2 2이다. A = {1, 2, 3}이고 B = {3, 4, 5}일 때,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 √ • f (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3, 4, 5 중 하나이므로 3개이다.
답 −2 2 ≤ a ≤ 2 2 • f (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1)의 값을 제외한 2개이다.
• f (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 (1), f (2)의 값을 제외한 1개이다.
따라서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3×2×1 = 6이다. 같은 방법으로 집합 A의 나머지
경우도 각각 6개의 일대일대응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6×6 = 36이다.
답 36

실전은 연습처럼 231


유리식 234

유리함수 248
– 유리식
– 유리식의 성질
–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
– 유리식의 곱셈과 나눗셈
– 부분분수
– 비례식

– 유리함수
k
– 함수 y = (k 6= 0)의 그래프
x
k
– 함수 y = +q (k 6= 0)의 그래프
x−p
ax+b
– 함수 y = (c 6= 0, ad−bc 6= 0)의 그래프
cx+d
유리식

유리식의 뜻
a
두 정수 a, b (b 6= 0)에 대하여 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를 유리수라 한다. 마찬가지의 방법
b
A
으로 두 다항식 A, B (B 6= 0)에 대하여 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식을 유리식이라 한다. 예를
B
들어,
1 x+1 x2 +2 x−2
, , , , x2 +x+1 · · · (7.1.1)
x x +1
2 2−x 5
는 모두 유리식이다.

A A
유리식 에서 B 는 분모, A는 분자라 한다. 이때, 다항식 B 가 0이 아닌 상수이면 는 다항
B B
식이 된다. 따라서 다항식도 유리식이며, 다항식이 아닌 유리식은 분수식이라 한다. 예를 들어,
유리식 (7.1.1)은
x−2
, x2 +x+1
다항식:
5
유리식 1 x+1 x2 +2
분수식: , ,
다항식 x x +1
2 2−x
와 같이 다항식과 분수식으로 구분된다.

분수식 정의 유리식
하 7.1
그림 7.1. 유리식과 다항식, 분수식의 포함 A
관계 두 다항식 A, B (B 6= 0)에 대하여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식을 유리식
B
이라 한다. 이때 B 가 0이 아닌 상수이면 다항식, 다항식이 아닌 유리식을
분수식이라 한다.

유리식의 성질

유리수와 마찬가지로 유리식에서도 분모와 분자에 같은 0이 아닌 다항식을 곱하거나 나누어


도 식의 값이 변하지 않는다. 즉, 세 다항식 A, B, C (B 6= 0, C 6= 0)에 대하여 등식
A A×C A A÷C
= , =
B B ×C B B ÷C
가 성립한다.

234 07. 유리함수


포인트 유리식의 성질
하 7.2
세 다항식 A, B, C (B 6= 0, C 6= 0)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A A×C A A÷C
• = • =
B B ×C B B ÷C


분수의 약분과 같이 유리식의 성질 p.235 을 이용하여 분수식에서 분자와 분모를 인수분해했을
때, 각각을 공통인 인수로 나누어 간단히 하는 것을 약분한다고 한다. 특히, 분모와 분자를 더
이상 약분할 수 없는 유리식을 기약분수식이라 한다.

예시 3x2 y 3
1. 유리식 은
6x4 y

= ✁ ·
3x2 y 3 3 x2 y ×y 2 y2
·✁ = 2
6x y ✁3×2 x ×x2 2x
4
✁y
2

과 같이 약분할 수 있다.
x2 +3x+2
2. 유리식 는
x2 +2x
x2 +3x+2 (x+1)✘ ✘✘ x+1
(x+2)
x +2x
2
=
x✘ ✘✘
(x+2)
=
x
과 같이 분모, 분자를 각각 인수분해하여 약분할 수 있다.

보기 7.1 다음 유리식을 간단히 하시오.


(x−1)(x+1) x−1 (x+2)(x−1)
(1) (2) (3)
x+1 (x−1)(x+1) (x+1)(x−1)

또한 유리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유리식을 분모가 같은 식으로 고치는 것을 통분


A C
이라 한다. 즉, 네 다항식 A, B, C, D (B 6= 0, D 6= 0)에 대하여 두 유리식 , 는
B D
A A×D C C ×B
= , =
B B ×D D D ×B
와 같이 분모와 분자에 각각 다항식 D 와 B 를 곱하여 분모가 같은 유리식을 만들 수 있다.

예시 x+2 x
1. 두 유리식 , 를 통분하면
x x+2
x+2 (x+2)2 x x2
= , =
x x(x+2) x+2 x(x+2)
과 같다.
x x−1
2. 두 유리식 , 에서
x2 −4 x2 −x−6
2
x −4 = (x+2)(x−2), x2 −x−6 = (x+2)(x−3)
이므로 두 유리식을 통분하면
x x(x−3) x−1 (x−1)(x−2)
= , =
x2 −4 (x+2)(x−2)(x−3) x2 −x−6 (x+2)(x−3)(x−2)
와 같다.
보기 정답
1 x+2
7.1 (1) x−1 (2) (3)
보기 7.2 다음 유리식을 통분하시오. x+1 x+1
1 3 x 1 x+2 3x
7.2 (1) ,
(1) , (2) , x(x+2) x(x+2)
x x+2 x−1 x+1
x2 +x x−1
(2) ,
(x−1)(x+1) (x−1)(x+1)

07-1. 유리식 235


유리식의 사칙연산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에서 분모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에서와 같이 분


모를 통분하여 계산한다. 이때 계산 결과의 분모, 분자에 공통인 인수가 있는 경우에는 약분하여
기약분수식으로 나타낸다.

포인트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


하 7.3
세 다항식 A, B, C (C 6= 0)에 대하여
A B A+B A B A−B
• + = • − =
C C C C C C

예시 2x+1 2x+3 4x+4 4✘ ✘✘ 4


(x+1)
1. + 2 = 2 =
x +x x +x x +x x✘
2 ✘✘ = x
(x+1)
x+2 x x2 +4x+4 x2 4x+4
2. − = − =
x x+2 x2 +2x x2 +2x x2 +2x

보기 7.3 다음 식을 계산하시오.
1 3 x 1
(1) + (2) −
x x+2 x−1 x+1

유리식의 곱셈과 나눗셈

유리식의 곱셈과 나눗셈도 유리수와 같은 방법으로 한다. 유리식의 곱셈은 분자는 분자끼리,
분모는 분모끼리 곱하여 계산한다. 유리식의 나눗셈은 나누는 식의 분모와 분자를 바꾸어 곱
한다. 이때 계산 결과의 분모, 분자에 공통인 인수가 있는 경우에는 약분하여 기약분수식으로
나타낸다.

포인트 유리식의 곱셈과 나눗셈


하 7.4
네 다항식 A, B, C, D (B 6= 0, D 6= 0)에 대하여
A C A×C AC
• × = =
B D B ×D BD
A C A D AD
• ÷ = × = (단, C 6= 0)
B D B C BC

예시 x+2 x+1 ✘ ✘✘
(x+2)(x+1) x+1
보기 정답
1.
x
×
x+2
=
x✘ ✘✘ = x
(x+2)
4x+2 x2 +1 x+2 x+1 x+2 x+2 (x+2)(x+2) (x+2)2
7.3 (1) (2) 2 2. ÷ = × = =
x +2x
2 x −1 x x+2 x x+1 x(x+1) x(x+1)

236 07. 유리함수


보기 7.4 다음 식을 계산하시오.
1 3 x 1
(1) × (2) ÷
x x+2 x−1 x+1

한 걸음 더

번분수식

분자 또는 분모가 분수식을 포함한 유리식을 번분수식이라 한다. 두 정수 m, n (n 6= 0)에 대하


m
여 유리수 = m÷n인 것처럼 번분수식도 분자의 유리식을 분모의 유리식으로 나눈 것으로
n
생각할 수 있다. 즉, 네 다항식 A, B, C, D (B 6= 0, C 6= 0, D 6= 0)에 대하여
A
B = A ÷ C = A × D = AD
C B D B C BC
D
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예시 x2
x+1 x2 x x2 x−1 x(x−1)
1. = ÷ = × =
x x+1 x−1 x+1 x x+1
x−1
2
2 2 x−1 2 x 2x
2. = 1 = ÷ = × =
1− 1 x−1 1 x 1 x−1 x−1
x x

유리식의 변형

다항식의 나눗셈과 유리식

두 다항식 A, B 에 대하여 A를 B 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각각 Q, R라 하면 다항식



의 나눗셈p.39에 의하여

A = BQ+R, (R의 차수)<(B 의 차수)


A
이다. 따라서 유리식 는
B
A BQ+R BQ R R
= = + = Q+
B B B B B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유리식은 분자의 차수를 분모의 차수보다 낮은 유리식으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은 분자의 차수가 분모의 차수보다 높거나 같은 유리식의 덧셈
과 뺄셈의 경우 매우 유용하다.

보기 정답
3 x2 +x
7.4 (1) (2)
x2 +2x x−1

07-1. 유리식 237


예시 x+2 x+3
유리식 − 을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해보자.
x x+1
1. 통분하여 계산하면
x+2 x+3 (x+2)(x+1) (x+3)x
− = −
x x+1 x(x+1) (x+1)x
x2 +3x+2 x2 +3x 2
= − =
x(x+1) x(x+1) x(x+1)
2. 다항식의 나눗셈을 이용하여 분자의 차수를 분모의 차수보다 낮은 유리식으로
변형하면
x+2 2 x+3 2
= 1+ , = 1+
x x x+1 x+1
이므로
   
x+2 x+3 2 2
− = 1+ − 1+
x x+1 x x+1
2 2 2
= − =
x x+1 x(x+1)

한 걸음 더

부분분수

두 다항식 A, B 에 대하여
1 1 B −A
− =
A B AB
이 성립한다. 이때 A 6= B 이면
 
1 1 1 1
= − · · · (7.1.1)
AB B −A A B
이다. 즉, 분모가 두 개 이상의 인수의 곱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 식 (7.1.1)과 같이 부분분수를
이용하면 하나의 유리식을 간단한 분모를 가지는 유리식으로 분리할 수 있다.

포인트 부분분수
하 7.5
두 다항식 A, B 에 대하여 (단, A 6= B )  
1 1 1 1
= −
AB B −A A B
이 성립한다.

예시 1. 두 다항식 x, x+2에 대하여 (x+2)−x = 2이므로


 
1 1 1 1 1
= = −
x2 +2x x(x+2) 2 x x+2
2. 두 다항식 x2 +1, x2 −1에 대하여 (x2 +1)−(x2 −1) = 2이므로
1 1
=
(x−1)(x+1)(x2 +1) (x2 −1)(x2 +1)
 
1 1 1
= −
2 x2 −1 x2 +1

238 07. 유리함수


한 걸음 더

비례식

비례식의 뜻
a
두 수 또는 양 사이의 배수관계를 비라 한다. a의 b에 대한 비를 a : b와 같이 나타내고 를
b
비의 값이라 한다. 또한 두 개의 비 a : b와 c : d의 비의 값이 같을 때, 즉
a c
=
b d
일 때 a : b = c : d와 같이 나타내고, 이를 비례식이라 한다.

세 개의 비 a : d, b : e, c : f 의 비의 값이 같을 때, 즉
a b c
= =
d e f
일 때 a : d = b : e = c : f 와 같이 나타내기보다

a:b:c=d:e:f

와 같이 나타낸다.

비례식의 연산

비례식에서 그 비의 값은 일정하므로, 조건이 비례식으로 주어지면 비의 값을 상수 k (k 6= 0)


라 하고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즉,
a c
a:b=c:d ⇐⇒ = =k ⇐⇒ a = bk, c = dk
b d
a b c
a : b : c = d : e : f ⇐⇒ = = = k ⇐⇒ a = dk, b = ek, c = f k
d e f
와 같이 각 문자를 k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후 식에 대입하여 계산한다.

포인트 비례식
하 7.6
조건이 비례식으로 주어진 경우
a c
• a:b=c:d ⇐⇒ = =k ⇐⇒ a = bk, c = dk
b d
a b c
• a : b : c = d : e : f ⇐⇒ = = = k ⇐⇒ a = dk, b = ek, c = f k
d e f
와 같이 각 문자를 k (k 6= 0)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 계산한다.

예시 a b 조건이 비례식으로 주어졌을 때, 식의 값


a : b = 1 : 3이면 = = k (k 6= 0)라 하자. 즉, a = k, b = 3k이다. 이때,
1 3 을 계산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분자와
a2 +b2 k2 +(3k)2 10k2 5 분모의 차수가 동일할 때이다.
= = =
(a+b)2 (k +3k)2 16k2 8
이다.

07-1. 유리식 239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

예제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01 (1)
2
+
3
x−1 x+2
(2)
x−2
+
x2 +x x+1
1

1 1 1 1 x+1 x+3 x+5 x+7


(3) − + − (4) − − +
x−1 x−2 x−3 x−4 x x+2 x+4 x+6

길잡이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은 분모를 통분하여 계산한다. 즉, 다항식 A, B, C, D 에 대하여


A C AD BC AD ±BC
± = ± = (복호동순)
B D BD BD BD
이다. 또한 분자의 차수가 분모의 차수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분자의 차수를 분모의 차수
보다 낮게 변형하면 계산이 쉽다.

풀이
2 3 2(x+2)+3(x−1)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 p.236 (주어진 식) = + =
x−1 x+2 (x−1)(x+2)
유리식의 성질 p.235
2x+4+3x−3 5x+1
= =
(x−1)(x+2) (x−1)(x+2)

x−2 1 x−2 1
(주어진 식) = + = +
x2 +x x+1 x(x+1) x+1
(x−2)+x 2x−2
= =
x(x+1) x(x+1)
   
1 1 1 1
(주어진 식) = − + −
x−1 x−2 x−3 x−4
−1 −1 −(x−3)(x−4)−(x−1)(x−2)
= + =
(x−1)(x−2) (x−3)(x−4) (x−1)(x−2)(x−3)(x−4)
−2x2 +10x−14 −2(x2 −5x+7)
= =
(x−1)(x−2)(x−3)(x−4) (x−1)(x−2)(x−3)(x−4)
       
1 1 1 1
(주어진 식) = 1+ − 1+ − 1+ + 1+
x x+2 x+4 x+6
 
1 1 1 1 4 4
= − − − = −
x x+4 x+2 x+6 x(x+4) (x+2)(x+6)
4(x+2)(x+6)−4x(x+4) 16(x+3)
= =
x(x+2)(x+4)(x+6) x(x+2)(x+4)(x+6)

5x+1 2x−2
정답 (1) (2)
(x−1)(x+2) x(x+1)
−2(x2 −5x+7) 16(x+3)
(3) (4)
(x−1)(x−2)(x−3)(x−4) x(x+2)(x+4)(x+6)

돌다리 두드리기
돌다리 두드리기
5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답| (1)
x(x−2) x+3 1 1 1 1 1
2(x2 −x+1) (1) − (2) − + −
(2) x −2x x
2 x−2 x−1 x x+1
x(x+1)(x−1)(x−2)
x+3 1 x+3 x−2 1 1 1 1
(1) (주어진 식) = − = − (2) (주어진 식) = − + −
x2 −2x x x(x−2) x(x−2) x−2 x−1 x x+1
240 07. 유리함수
(x+3)−(x−2) 5 1 1 2(x2 −x+1)
= = = + =
x(x−2) x(x−2) (x−1)(x−2) x(x+1) x(x+1)(x−1)(x−2)
정답 및 풀이 p.451

유제 01-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b a a b+4
(1) + (2) − 2
a−b a+3b a −3a b +5b+4
2

b(a+3b)+a(a−b) a2 +3b2
(1) (주어진 식) = =
(a−b)(a+3b) (a−b)(a+3b)
a b+4 1 1
(2) (주어진 식) = − = −
a(a−3) (b+1)(b+4) a−3 b+1
(b+1)−(a−3) −a+b+4
= =
(a−3)(b+1) (a−3)(b+1)
a2 +3b2 −a+b+4
답 (1) (2)
(a−b)(a+3b) (a−3)(b+1)

유제 01-2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1 1 1 1 a−2 a−4 a a−6
(1) − − + (2) + − −

2x−3 2x−1
 
2x+1 2x+3

a−4 a−6 a−2  a−8       
1 1 1 1 2 2 2 2
(1) (주어진 식) = − − − (2) (주어진 식) = 1+ + 1+ − 1+ − 1+
2x−3 2x−1 2x+1 2x+3 a−4 a−6 a−2 a−8
2 2 2 2 2 2
= − = − + −
(2x−1)(2x−3) (2x+1)(2x+3) a−4 a−2 a−6 a−8
2(2x+1)(2x+3)−2(2x−1)(2x−3) 4 4
= = −
(2x+1)(2x−1)(2x+3)(2x−3) (a−2)(a−4) (a−6)(a−8)
32x 4(a−6)(a−8)−4(a−2)(a−4)
= =
(2x+1)(2x−1)(2x+3)(2x−3) (a−2)(a−4)(a−6)(a−8)
32(a−5)
=−
(a−2)(a−4)(a−6)(a−8)
32x
답 (1)
(2x+1)(2x−1)(2x+3)(2x−3)
32(a−5)
(2) −
(a−2)(a−4)(a−6)(a−8)

유제 01-3 곱셈 공식 I p.22

1 1 2 4
− − − 를 간단히 하시오.
x−1 x+1 x2 +1 x4 +1
곱셈공식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하면
(x+1)−(x−1) 2 4
(주어진 식) = − 2 −
(x+1)(x−1) x +1 x4 +1
2 2 4
= − −
x2 −1 x2 +1 x4 +1
2(x2 +1)−2(x2 −1) 4
= − 4
x4 −1 x +1
4 4 4(x4 +1)−4(x4 −1)
= 4
− 4 =
x −1 x +1 (x4 −1)(x4 +1)
8
=
x8 −1
8

x8 −1

07-1. 유리식 241


유리식의 곱셈과 나눗셈

예제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02 (1)
(x+2)(x−4) (x−2)(x+3)
x2 −2x−15
×
x2 −4
(2)
x3 −1 x3 −9x
× 2
x +3x x +2x−3
2
2 3
x −4x+4 x −4x x−2 x2 −3x+2 x2 +x−2
(3) 2 ÷ (4) × ÷
x +2x+1 x2 −x−2 x+2 x2 +3x+2 x2 −x−2

길잡이 유리식의 곱셈은 분자는 분자끼리, 분모는 분모끼리 곱하여 계산하고, 유리식의 나눗셈은
나누는 식의 분모와 분자를 바꾸어 곱한다. 즉, 네 다항식 A, B, C, D 에 대하여
A C A×C AC A C A D AD
× = = , ÷ = × =
B D B ×D BD B D B C BC
이다. 이때 계산 결과는 약분하여 기약분수식으로 나타낸다.

풀이
(x+2)(x−4) (x−2)(x+3) x−4
유리식의 곱셈과 나눗셈 p.236 (주어진 식) = × =
(x+3)(x−5) (x+2)(x−2) x−5
유리식의 성질 p.235

(x−1)(x2 +x+1) x(x+3)(x−3)


(주어진 식) = ×
x(x+3) (x−1)(x+3)
(x2 +x+1)(x−3)
=
x+3

x2 −4x+4 x2 −x−2
(주어진 식) = × 3
x2 +2x+1 x −4x
(x−2)2 (x−2)(x+1) (x−2)2
= × =
(x+1) 2 x(x+2)(x−2) x(x+1)(x+2)

x−2 x2 −3x+2 x2 −x−2


(주어진 식) = × ×
x+2 x2 +3x+2 x2 +x−2
x−2 (x−1)(x−2) (x+1)(x−2) (x−2)3
= × × =
x+2 (x+1)(x+2) (x−1)(x+2) (x+2)3

x−4 (x2 +x+1)(x−3)


정답 (1) (2)
x−5 x+3
(x−2)2 (x−2)3
(3) (4)
x(x+1)(x+2) (x+2)3

돌다리 두드리기
돌다리 두드리기
(x+1)(x+4)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답| (1)
x(x−3) x2 −16 x2 −1 x3 −1 x2 +2x+1
(x2 +x+1)(x2 −x+1) (1) × 2 (2) ÷
(2) x −4x+3 x −4x
2 x2 −1 x3 +1
(x+1)2
(x+4)(x−4) (x+1)(x−1) (x+1)(x+4) (x−1)(x2 +x+1) (x+1)(x2 −x+1)
(1) (주어진 식) = × = (2) (주어진 식) = ×
(x−1)(x−3) x(x−4) x(x−3) (x+1)(x−1) (x+1)2
242 07. 유리함수
(x2 +x+1)(x2 −x+1)
=
(x+1)2
정답 및 풀이 p.451

유제 02-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x2 +2xy +y 2 x2 −y 2 a2 +ab−2b2 a2 −b2
(1) × 3 (2) ÷
x2 −xy x +y 3 a2 +5ab+6b2 a2 +4ab+3b2
(x+y)2 (x+y)(x−y) (x+y)2
(1) (주어진 식) = × =
x(x−y) (x+y)(x −xy +y ) x(x −xy +y 2 )
2 2 2
a2 +ab−2b2 a2 +4ab+3b2
(2) (주어진 식) = ×
2
a +5ab+6b 2 a2 −b2
(a−b)(a+2b) (a+b)(a+3b)
= × =1
(a+2b)(a+3b) (a+b)(a−b)
(x+y)2
답 (1) (2) 1
x(x −xy +y 2 )
2

유제 02-2

x2 +4x+3 x2 +2x x2 −3x−10


× 2 ÷ 을 간단히 하시오.
x2 +4x x −1 x2 +7x+12
x2 +4x+3 x2 +2x x2 +7x+12
(주어진 식) = × 2 × 2
x2 +4x x −1 x −3x−10
(x+1)(x+3) x(x+2) (x+3)(x+4)
= × ×
x(x+4) (x+1)(x−1) (x+2)(x−5)
(x+3)2
=
(x−1)(x−5)
(x+3)2

(x−1)(x−5)

유제 02-3 인수분해 공식 III p.82

4 2 2 4 4 4
x +x y +y x −y
× 3 을 간단히 하시오.
x +y
3 3 x −y 3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하면
(주어진 식)
(x2 +xy +y 2 )(x2 −xy +y 2 ) (x+y)(x−y)(x2 +y 2 )
= ×
(x+y)(x2 −xy +y 2 ) (x−y)(x2 +xy +y 2 )
= x2 +y 2
답 x2 +y 2

07-1. 유리식 243


부분분수와 번분수식

예제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03 (1)
1
+
1
+
1
+
1
(x−4)(x−2) (x−2)x x(x+2) (x+2)(x+4)
1 1 1
(2) 2 + (3) 1+
x +x x2 +3x+2 1
1+
1
1+
x

길잡이 • 분모가 인수분해되면 식 전체를 통분하지 않고


 
1 1 1 1
= − (A 6= B)
AB B −A A B
와 같이 부분분수로 변형하면 계산이 쉬워진다.
• 번분수식은 분자의 유리식을 분모의 유리식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즉, 네 다항식
A, B, C, D (B 6= 0, C 6= 0, D 6= 0)에 대하여
A
B = A ÷ C = A × D = AD
C B D B C BC
D

풀이
       
1 1 1 1 1 1 1 1 1 1 1 1
부분분수 p.238 (주어진 식) = − + − + − + −
2 x−4 x−2 2 x−2 x 2 x x+2 2 x+2 x+4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 p.236  
유리식의 성질 p.235 1 1 1 4
= − =
2 x−4 x+4 (x−4)(x+4)
   
1 1 1 1 1 1
(주어진 식) = + = − + −
x(x+1) (x+1)(x+2) x x+1 x+1 x+2
1 1 2
= − =
x x+2 x(x+2)

1 1 1 x+1 3x+2
(주어진 식) = 1+ = 1+ x = 1+ 2x+1 = 1+ 2x+1 = 2x+1
1 1+
1+ x+1
x+1 x+1
x

4 2 3x+2
정답 (1) (2) (3)
(x−4)(x+4) x(x+2) 2x+1

돌다리 두드리기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1 1
1 1 −
(1) 2 + 2 (2)
x+2 x−2
돌다리 두드리기 x −x x +x 1 1
2 2 +
|답| (1) (2) − x+2 x−2
(x+1)(x−1) x
1 1 1 1 1 1 (x−2)−(x+2)
   
(1) (주어진 식) = + = − + −
x(x−1) x(x+1) x−1 x x x+1 (x−2)(x+2) −4(x−2)(x+2) 2
244 07. 유리함수 (2) (주어진 식) = = =−
2 (x+2)+(x−2) 2x(x−2)(x+2) x
=
(x+1)(x−1) (x−2)(x+2)
정답 및 풀이 p.451

유제 03-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y z
(1) +
x(x+y) (x+y)(x+y +z)
1 2 3
(2) + +
(x+1)(x+2) (x+2)(x+4) (x+4)(x+7)
   
1 1 1 1 y +z
(1) (주어진 식) = − + − =
x x+y x+y
  x+y +z   x(x+y +z) 
1 1 1 1 1 1
(2) (주어진 식) = − + − + −
x+1 x+2 x+2 x+4 x+4 x+7
1 1 6
= − =
x+1 x+7 (x+1)(x+7)
y +z 6
답 (1) (2)
x(x+y +z) (x+1)(x+7)

유제 03-2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a+b
+1 1
(1)
a−b (2) 1−
a−b 1
1− 1−
a+b 1
1−
x
2a
a−b a(a+b)
(1) (주어진 식) = =
2b b(a−b)
a+b
1 1
(2) (주어진 식) = 1− = 1− x
1 1−
1−
x−1 x−1
x
1
= 1− = 1+x−1 = x
1

x−1
a(a+b)
답 (1) (2) x
b(a−b)
유제 03-3

다음 식의 분모가 0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1 1 1 b
+ 2 + 2 =
x −3x x −9x+18 x −15x+54 x(x+a)
2

일 때, 두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주어진 식의 좌변을 부분분수로 변형하여 간단히 하면
1 1 1
+ +
x2 −3x x2 −9x+18 x2 −15x+54
1 1 1
= + +
x(x−3) (x−3)(x−6) (x−6)(x−9)
     
1 1 1 1 1 1 1 1 1
=− − − − − −
3 x x−3 3 x−3 x−6 3 x−6 x−9
 
1 1 1 x−(x−9) 3
= − = =
3 x−9 x 3x(x−9) x(x−9)
이고 항등식의 성질에 의하여 a = −9, b = 3이다.
답 a = −9, b = 3

07-1. 유리식 245


비례식

예제 x : y : z = 1 : 2 : 4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04 (1) + +
y z x
x y z
xy +yz +zx
(2) 2
x +y 2 +z 2
xyz x2 +y 2 +z 2
(3) (4)
(x−y)(y −z)(z −x) (x−y)2 +(y −z)2 +(z −x)2

길잡이 조건이 비례식으로 주어진 계산은 비의 값을 상수 k(k 6= 0)라 하고 계산한다. 즉,


a b c
a : b : c = d : e : f ⇐⇒ = = = k ⇐⇒ a = dk, b = ek, c = f k
d e f
와 같이 각 문자를 k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풀이

비례식 p.239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 p.236 x : y : z = 1 : 2 : 4이므로 실수 k (k 6= 0)에 대하여
유리식의 성질 p.235
x = k, y = 2k, z = 4k
이다.

2k 4k k 1 17
(주어진 식) = + + = 2+2+ =
k 2k 4k 4 4

k ·2k +2k ·4k +4k ·k 14k2 2


(주어진 식) = = =
k2 +(2k)2 +(4k)2 21k2 3

k ·2k ·4k 8k3 4


(주어진 식) = = 3=
(k −2k)(2k −4k)(4k −k) 6k 3

k2 +(2k)2 +(4k)2 21k2 3


(주어진 식) = = =
(k −2k)2 +(2k −4k)2 +(4k −k)2 14k2 2

17 2 4 3
정답 (1) (2) (3) (4)
4 3 3 2

돌다리 두드리기

x : y : z = 2 : 1 : 3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돌다리 두드리기
x+y +z (x+y +z)2
(1) (2) 2
3 18 x−y +z x +y 2 +z 2
|답| (1) (2)
2 7
x y z (2k +k +3k)2 36k2 18
= = = k (k 6= 0)로 놓으면 x = 2k, y = k, z = 3k이다. 따라서 (2) (주어진 식) = = =
2 1 3 (2k)2 +k2 +(3k)2 14k2 7
246 07. 유리함수 2k +k +3k 6k 3
(1) (주어진 식) = = =
2k −k +3k 4k 2
정답 및 풀이 p.452

유제 04-1 미지수가 3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의 풀이 p.250

x+y y +z z +x
0이 아닌 세 실수 x, y, z 에 대하여 = = 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5 6 7
x2 +y 2 +z 2 xyz
(1) (2)
xy +yz +zx x +y 3 +z 3
3

x+y y +z z +x
= = = k (k 6= 0)로 놓으면
5 6 7
x+y = 5k, y +z = 6k, z +x = 7k ···㉠
이고 ㉠의 세 식을 변끼리 더하면
2(x+y +z) = 18k ⇒ x+y +z = 9k ···㉡
이다. 따라서 ㉠, ㉡을 연립하여 풀면
x = 3k, y = 2k, z = 4k
이다. 이를 이용하면
(3k)2 +(2k)2 +(4k)2 29k2 29
(1) (주어진 식) = = =
3k ·2k +2k ·4k +4k ·3k 26k2 26
3k ·2k ·4k 24k3 8
(2) (주어진 식) = = =
(3k)3 +(2k)3 +(4k)3 99k3 33
29 8
답 (1) (2)
26 33
유제 04-2

1 1 1 (x+y +z)2
: : = 3 : 2 : 4일 때, 2 의 값을 구하시오.
x y z x +y 2 +z 2
1 1 1 1 1 1
: : = 3 : 2 : 4에서 x : y : z = : : = 4 : 6 : 3이다.
x y z 3 2 4
x y z
따라서 = = = k (k 6= 0)로 놓으면
4 6 3
x = 4k, y = 6k, z = 3k
이므로 구하는 값은
(4k +6k +3k)2 169
=
(4k)2 +(6k)2 +(3k)2 61
169

61

유제 04-3 미지수가 3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의 풀이 p.250

x(y +z)
0이 아닌 세 실수 x, y, z 에 대하여 x = 2y, 3y = 4z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y(z +x)
3 3
x = 2y 이고 z = y 이므로 x : y : z = 2y : y : y = 8 : 4 : 3이다.
4 4
x y z
따라서 = = = k (k 6= 0)로 놓으면
8 4 3
x = 8k, y = 4k, z = 3k
이고 구하는 값은
8k ·(4k +3k) 14
=
4k ·(3k +8k) 11
14

11

07-1. 유리식 247


유리함수의 뜻

함수 y = f (x)에서 f (x)가 x에 대한 유리식일 때, 이 함수를 유리함수라 한다. 예를 들어,


유리함수 1 x+1 x2 +2 x−2
y= , y= 2 , y= , y= , y = x2 +x+1
x x +1 2−x 5
다항함수
은 모두 유리함수이다. 특히 함수 y = f (x)에서 f (x)가 x에 대한 다항식일 때, 이 함수를 다항
함수라 한다. 다항식은 유리식이므로 다항함수도 유리함수이다. 또한 다항함수가 아닌 유리함

분수함수 수를 분수함수라 한다. 즉, 위 유리함수들은


x−2
그림 7.2. 유리함수와 다항함수, 분수함수 , y = x2 +x+1
다항함수: y =
5
의 포함 관계
1 x+1 x2 +2
분수함수: y = , y = 2 , y=
x x +1 2−x
와 같이 다항함수와 분수함수로 구분된다.
다항함수의 정의역

정의역이 따로 주어져있지 않을 때, 다항 유리함수에서 정의역p.166이 따로 주어져있지 않은 경우에는 분모가 0이 되는 값을 제외한 실수
함수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한다.

정의 유리함수
하 7.7
• f (x)가 x에 대한 유리식일 때, y = f (x)는 유리함수이다.
• f (x)가 x에 대한 다항식일 때, y = f (x)는 다항함수이다.

예시 1
1. 함수 y = 의 정의역은 {x | x 6= 2인 실수}이다.
x−2
2. 함수 y = x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x2
3. 함수 y = 의 정의역은 {x | x 6= 0인 실수}이다.
x
−2x
4. 함수 y = 2 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x +1

한 걸음 더
x2
y = x와 y = 은 같은 함수일까?
x

x2
함수 y = x은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이다. 하지만 함수 y =
은 x 6= 0
x
인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이다. 따라서 두 함수 모두 정의역에서 함수의

표현식은 y = x로 동일하지만, 정의역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같은 함수p.167가 아니다.

248 07. 유리함수


x2
함수 y = 은 다항함수인가? 다음 명제를 생각해보자.
x

명제: 함수 y = f (x)의 정의역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함수 y = f (x)가 다항함수이면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이 명제의 대우는

대우: 함수 y = f (x)의 정의역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정의역이 실수 전체의 집합이 아니면 함수 y = f (x)는 다항함수가 아니다.

x2
이다. 이때 주어진 명제가 참이므로 그 대우도 참이다. 따라서 함수 y = 은 정의역이 따로
x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x 6= 0인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하므로 다항함수가 아니다.

유리함수의 그래프

1
함수 y = 의 그래프
x
1
먼저 함수 y = 의 그래프를 그려보자.
x y
1. 다음과 같이 x에 0이 아닌 실수를 대입하여 함숫값을 구한다. 4
x ··· −2 −1 − 12 ··· 1
2
1 2 ··· 2 1
y ··· − 1
−1 −2 ··· 2 1 1
··· y= x
2 2 -4 -2
2. 위에서 구한 x, y 의 순서쌍 (x, y)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낸다. O 2 4 x

3. 좌표평면 위의 점들을 부드러운 곡선으로 연결한다. -2

1 -4
오른쪽 그림의 함수 y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한다.
x 1
그림 7.3. y = 의 그래프
• 정의역은 0이 아닌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x

• 치역은 0이 아닌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 제1, 3사분면에 있는 한 쌍의 곡선이다.
•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y
• x의 절댓값이 커질수록 그래프 위의 점이 x축에 가까워진다.
• x의 절댓값이 작아질수록 그래프 위의 점이 y 축에 가까워진다. 점근선

O x
이와 같이 그래프 위의 점이 어떤 직선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이 직선을 그래프의 점근선이라
1
한다. 함수 y = 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x축과 y 축이다.
x
1
그림 7.4. 함수 y = 의 점근선
x

07-2. 유리함수 249


k
함수 y = (k 6= 0)의 그래프
x

1 k
함수 y = 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함수 y = (k 6= 0)의 그래프를 k 의 값에 따라 나타내면
x x

k>0 y k=2 k = -2 y k<0


1 k=1 k = -1 1
k= k =- 2
2 1 1

k = 0이면 y = 0으로 상수함수 p.180 이다. -1 1 x
O 1 x -1 O
-1 -1
1 1
k=1 k= 2 k =- 2 k = -1
k=2 k = -2
k<0 y k>0
와 같고,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한다.

• 정의역과 치역은 0이 아닌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O x • k 의 부호에 따라 곡선이 나타나는 사분면이 달라진다. 즉 k 가 양수이면 제1, 3사분면에,


k 가 음수이면 제2, 4사분면에 나타난다.
• |k|의 값이 커질수록 그래프는 원점에서 멀어진다.
k
k • f (x) = 라 하면
그림 7.5. 함수 y = (k 6= 0)의 그래프 x
x k k
f (−x) = = − = −f (x)
−x x

y 이므로 원점에 대하여 대칭p.222이다.
y =- x y=x

• 도형의 대칭이동p.456에 의하여 두 직선 y = x, y = −x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다.
• x의 절댓값이 커질수록 그래프 위의 점이 x축에, x의 절댓값이 작아질수록 그래프 위의

x 점이 y 축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즉, x축과 y 축이 점근선이다.


O

k
함수 y = (k 6= 0)의 그래프
k
y= x 포인트 x
하 7.8
k • 정의역: {x | x 6= 0인 실수}, 치역: {y | y 6= 0인 실수}
그림 7.6. 함수 y = (k 6= 0)의 대칭성
x
• k > 0이면 제1, 3사분면에, k < 0이면 제2, 4사분면에 나타난다.
• |k|의 값이 커질수록 그래프는 원점에서 멀어진다.
•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 두 직선 y = x, y = −x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다.
• 점근선은 x축과 y 축이다.

보기 7.5 좌표평면에서 제1, 3사분면에 그래프가 나타나는 함수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


시오.
1 1 |−2| −2
ㄱ. y = ㄴ. y = − ㄷ. y = ㄹ. y =
2x 2x x x

보기 정답

7.5 ㄱ, ㄷ

250 07. 유리함수


k
함수 y = +q (k 6= 0)의 그래프
x−p

k k
함수 y = +q (k 6= 0)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x−p x
y 축의 방향으로 q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 y 함수 y = f (x)를 x축의 방향으로 p만
k>0 k k<0
y = x-p +q 큼, y 축의 방향으로 q 만큼 평행이동하면
y −q = f (x−p)
이다.
q (p, q)
(p, q) q

O p x O p x
k
y = x-p +q

k
따라서 함수 y = +q 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한다.
x−p
• 정의역은 {x | x 6= p인 실수}, 치역은 {y | y 6= q 인 실수}이다.
• |k|의 값이 커질수록 그래프는 점 (p, q)에서 멀어진다.
• 점 (p, q)에 대하여 대칭이다.
• 두 직선 y = x, y = −x를 각각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 축의 방향으로 q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
y −q = x−p, y −q = −(x−p)

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다.
• 점근선은 두 직선 x = p, y = q 이다.

k
함수 y = +q (k 6= 0)의 그래프
포인트 x−p
하 7.9
k
• 함수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 축의 방향으로 q 만큼
x
평행이동한 것이다.
• 정의역: {x | x 6= p인 실수}, 치역: {y | y 6= q 인 실수}
• |k|의 값이 커질수록 그래프는 점 (p, q)에서 멀어진다.
• 점 (p, q)에 대하여 대칭이다.
• 두 직선 y −q = x−p, y −q = −(x−p)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다.
y
1
• 점근선은 두 직선 x = p, y = q 이다. y= x
1
y = x -3 +2
2

예시 1 1
함수 y = +2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2
x−3 x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O 3 x
3
• 정의역은 {x | x 6= 3인 실수}, 치역은 {y | y 6= 2인 실수}이다.
• 점 (3, 2)에 대하여 대칭이다. 1
• 두 직선 y = x−1, y = −x+5에 대하여 대칭이다. 그림 7.7. 함수 y = +2의 그래프
x−3
•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3, y = 2이다.
보기 정답

3 7.6 정의역: {x | x 6= 1인 실수}


보기 7.6 함수 y = +1의 정의역, 치역, 점근선의 방정식을 각각 구하시오. 치역: {y | y 6= 1인 실수}
2x−2
점근선: x = 1, y = 1

07-2. 유리함수 251


ax+b
함수 y = (c 6= 0, ad−bc 6= 0)의 그래프
cx+d

a bc−ad
다항식 ax+b를 다항식 cx+d로 나누면 몫이 이고 나머지가 이다. 즉,
c c
ax+b a bc−ad
함수 y = 는 ax+b = (cx+d)+
cx+d c c
c = 0이거나 ad−bc = 0 ax+b
이다. 따라서 함수 y = (c 6= 0, ad−bc 6= 0)는
이면 분수함수가 아니다. cx+d
• c = 0인 경우, a bc−ad
y=
ax+b a
= x+
b ax+b c (cx+d)+ c a bc−ad 1
cx+d d d = = + · · · · (7.2.1)
cx+d cx+d c c2 d
이므로 일차함수이다. x+
• ad−bc = 0인 경우, (7.2.1)에 의하여
c
ax+b a 과 같다. 이때,
y= = bc−ad d a
cx+d c k=, p=− , q=
이므로 상수함수이다. c2 c c
ax+b k
라 하면, 함수 y = 는 y= +q (k 6= 0)의 꼴로 변형할 수 있다.
cx+d x−p
ax+b
함수 y = (c 6= 0, ad−bc 6= 0)의 그래프
포인트 cx+d
하 7.10
ax+b k
• 함수 y = 의 그래프는 y = +q (k 6= 0)의 꼴로 변형하여
cx+d x−p
나타낸다.
b의 값이 변해도 점근선의 방정식은 d a
• 점근선은 두 직선 x = − , y = 이다.
변하지 않는다. c c

예시 2x−5
함수 y = 는
x−3
2x−5 2(x−3)+1 1
y= = = +2
x−3 x−3 x−3
2x−5 1
이므로 함수 y = 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x−3 x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3, y = 2
이다.

보기 7.7 다음 함수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2x−3 3x+1
(1) y = (2) y =
x+1 2x+1

유리함수의 역함수
ax+b
함수 f (x) = (c 6= 0, ad−bc 6= 0)의 정의역과 치역은 각각
cx+d
  n o
d a
보기 정답
정의역: x x 6= − 인 실수 , 치역: y y 6= 인 실수
c c
7.7 (1) x = −1, y = 2 이다. 이때, 공역을 실수 전체의 집합이 아니라 치역과 같은 집합으로 제한하면 함수 y = f (x)
1 3
(2) x = − , y = 하
는 일대일대응p.179이 된다. 즉, 역함수가 존재한다.
2 2

252 07. 유리함수


하 ax+b
이제 역함수를 구하는 법 p.212 에 따라 함수 y = (c 6= 0, ad−bc 6= 0)의 역함수를 구해
cx+d
보자. 먼저 주어진 식의 양변에 cx+d를 곱한 뒤 x에 대하여 정리하면

y(cx+d) = ax+b ➭ (cy −a)x = −dy +b


a
이고, 이때 y 6= 이므로 양변을 cy −a로 나누면
c
−dy +b
x=
cy −a
이다. 이제 x와 y 를 서로 바꾸면
−dx+b
y=
cx−a
ax+b
이다. 따라서 함수 f (x) = (c 6= 0, ad−bc 6= 0)의 역함수를 f −1 이라 하면
cx+d
−dx+b ax+b
f −1 (x) = 함수 f (x) = 에서
cx−a cx+d
이다. 또한 역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은 각각 ax + b
  f (x) = cx + d
n a o d
정의역: x x 6= 인 실수 , 치역: y y 6= − 인 실수
c c - dx + b
f -1(x) = cx - a
이다.
와 같이 a와 d의 위치와 부호를 모두
바꾸면 역함수를 바로 구할 수 있다.
보기 7.8 다음 함수의 역함수를 구하시오.
1 2x−5
(1) y = +2 (2) y =
x−3 x−3

한 걸음 더

유리함수의 역함수를 간단히 구하는 법

k
함수 f (x) = +q (k 6= 0)의 꼴로 주어진 경우 점근선을 이용하면 역함수 f −1 (x)를 간단
x−p
히 구할 수 있다.
k
• 함수 f (x) = +q (k 6= 0)의 점근선은 두 직선 x = p, y = q 이다.
x−p
• 함수 f (x)와 그 역함수는 직선 y = 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 (x)의 점근선을 각각 직선
y = 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역함수의 두 점근선이 된다. 즉,
y = x 대칭 y = x 대칭
x = p −−−−−−−→ y = p, y = q −−−−−−−→ x = q

이므로 역함수의 점근선은 x = q, y = p이다.


• 역함수의 점근선이 x = q, y = p이므로 역함수 f −1 (x)는
k
f −1 (x) = +p
x−q
이다.
k
따라서 함수 f (x) = +q (k 6= 0)에서 p와 q 의 위치만 바꾸면 역함수를 쉽게 구할 수 있다.
x−p

보기 정답
1 3x−5
7.8 (1) y = +3 (2) y =
x−2 x−2

07-2. 유리함수 253


유리함수의 그래프

예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x+3
05 (1) 함수 y =
x+1
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고 정의역, 치역,
점근선의 방정식을 각각 구하시오.
3x−5
(2)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 축의 방향으로 b만큼
x−1
c
평행이동하였을 때, 함수 y = 의 그래프와 겹쳐진다. 세 상수 a, b, c에
x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ax+b k
길잡이 함수 y = 는 y= +q (k 6= 0)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 함수의
cx+d x−p
k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 축의 방향으로 q 만큼 평행이동
x
ax+b d a
한 것이다. 이때, 함수 y = 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 , y = 이다.
cx+d c c
풀이

ax+b 2x+3
함수 y = (c 6= 0, ad−bc 6= 0)의 함수 y = 에 대하여 y
cx+d x+1
그래프 p.252 2x + 3
2x+3 2(x+1)+1 1 y = x+1
도형의 대칭이동 p.456 y= = = +2
x+1 x+1 x+1 3
1 2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x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3 -1 O x
-2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정의역 : {x | x 6= −1인 실수}, 치역 : {y | y 6= 2인 실수}
점근선의 방정식 : x = −1, y = 2
이다.
3x−5
함수 y = 에 대하여 y
x−1
3x−5 3(x−1)−2 2 5 3x - 5
y= = =− +3 y = x-1
x−1 x−1 x−1
2 3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 = − 의 그래프를 x축의
x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그 O 1 4 x
3x−5 3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y = 의 그래프를
x−1
2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면 함수 y = − 의 그래프와
x
겹치므로 a = −1, b = −3, c = −2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a+b+c = −6이다.

돌다리 두드리기 정답 (1) 풀이 참조 (2) −6


|답|
y
-x - 1
y = x+2
O
-2 -1 x
-1
돌다리 두드리기

−x−1
정의역 : {x | x 6= −2인 실수} 함수 y = 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고 정의역, 치역, 점근선의 방정식을
x+2
치역 : {y | y 6= −1인 실수}
각각 구하시오.
점근선의 방정식 : x = −2, y = −1
−x−1 1 1
y= = −1+ 에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 = 를 x축의
x+2 x+2 x
254 07. 유리함수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는 왼쪽 그림과 같고 구하는 범위와 방정식은 정의역 : {x | x 6= −2인 실수}
치역 : {y | y 6= −1인 실수}, 점근선의 방정식 : x = −2, y = −1이다.
정답 및 풀이 p.452

k
유제 05-1 함수 y =
x−p
+q (k 6= 0)의 그래프 p.251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고 정의역, 치역, 점근선의 방정식을 각각


구하시오.
4 −x−4
(1) y = +2 (2) y =
x−3 x+2
4 4 y 4 −x−4 −(x+2)−2 2
(1) 함수 y = +2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y = x-3 +2 (2) y = = =− −1에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x−3 x x+2 x+2 x+2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 축의 방향으로 y
2
함수 y =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 - x - 4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는 2 x x+2
오른쪽 그림과 같고 y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정의역 : {x | x 6= 3인 실수} O 1 3 x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4
정의역 : {x | x 6= −2인 실수} -2 O x
치역 : {y | y 6= 2인 실수}
-1
치역 : {y | y 6= −1인 실수}
점근선의 방정식 : x = 3, y = 2 -2
점근선의 방정식 : x = −2, y = −1
답 풀이 참조

유제 05-2
8x−6 ax+3
두 함수 y = , y= 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서로 같을 때, 두 상수 a, b에 대하여
2x−3 x−b
a+4b의 값을 구하시오.
8x−6
함수 y = 은 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b, y = a이다. 주어진 두 함수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2x−3 3
서로 같으므로 a = 4, b = 이고 구하는 값은 a+4b = 10이다.
8x−6 4(2x−3)+6 6 2
y= = = +4
2x−3 2x−3 2x−3 답 10
8x−6 3 3
이므로 함수 y = 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만큼,
2x−3 x 2
y 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3 ax+3
x = , y = 4이다. 한편, 함수 y = 은
2 x−b
ax+3 a(x−b)+ab+3 ab+3
y= = = +a
x−b x−b x−b

유제 05-3
1
[보기]의 함수 중에서 평행이동에 의하여 함수 y = 의 그래프와 겹쳐질 수 있는 것만을
x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2x−3 x+1 −3x−2 −3x−10


ㄱ. y = ㄴ. y = ㄷ. y = ㄹ. y =
x−2 x−1 x+1 x+3

2x−3 2(x−2)+1 1 2x−3 −3x−2 −3(x+1)+1 1 −3x−2


ㄱ. (참) y = = = +2이므로 함수 y = 의 ㄷ. (참) y = = = −3이므로 함수 y = 의
x−2 x−2 x−2 x−2 x+1 x+1 x+1 x+1
1 1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x x
평행이동한 것이다.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x+1 (x−1)+2 2 x+1 −3x−10 −3(x+3)−1 1
ㄴ. (거짓) y = = = +1이므로 함수 y = 의 ㄹ. (거짓) y = = =− −3이므로 함수
x−1 x−1 x−1 x−1 x+3 x+3 x+3
2 −3x−10 1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의 그래프는 함수 y =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x x+3 x
평행이동한 것이다.
y 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답 ㄱ, ㄷ
07-2. 유리함수 255
유리함수의 식 구하기
y
예제
ax+b
06 함수 f (x) =
x+a
x+c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3
2
함수 y = 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시오. O 1 x
cx+b
ax + b
y = x+c

길잡이 점근선의 방정식이 x = p, y = q 인 유리함수는


k
y= +q (단, k 6= 0)
x−p
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에 그래프가 지나는 한 점의 좌표를 대입하여 k 의 값을
구한다.

풀이
k
k 점근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주어진 함수를 f (x) = +2로 놓을 수 있다.
함수 y = +q (k 6= 0)의 그래프 x−1
x−p
p.251 주어진 유리함수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 = 1, y = 2이므로
k
f (x) = +2 (단, k 6= 0)
x−1
로 놓을 수 있다.

k 함수의 그래프가 지나는 점을 이용하여 k 의 값을 구한다.


함수 y = +q (k 6= 0)의 그래프
x−p 함수 y = f (x)의 그래프가 점 (0, 3)을 지나므로
p.251
k
f (0) = +2 = 3 ➭ k = −1
0−1
이다.

px+q
ax+b 함수 f (x)를 f (x) = 의 꼴로 정리하여 세 상수 a, b, c의 값을 구한다.
함수 y = (c 6= 0, ad−bc 6= 0)의 rx+s
cx+d
그래프 p.252 −1 2x−2−1 2x−3
f (x) = +2 = = 이므로 a = 2, b = −3, c = −1이다.
x−1 x−1 x−1

x+a
ax+b 함수 y = 의 그래프를 그린다.
함수 y = (c 6= 0, ad−bc 6= 0)의 cx+b y
cx+d
그래프 p.252 구하는 함수는
x+2 −(−x−3)−1 1
y= = = −1 O
−x−3 −x−3 x+3
-3 -2 x
1
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y = 의 그래프를 x축으로 −3만큼, -1
x
y 축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구하는 함수의 그래프 x+2
y = -x - 3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정답 풀이 참조

돌다리 두드리기

ax+b
함수 f (x) = 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 = −2, y = −3이고 점 (1, 1)을 지날 때,
돌다리 두드리기 x+c
세 상수 a, b, c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답| a = −3, b = 6, c = 2
k
주어진 유리함수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 = −2, y = −3이므로 f (x) = −3
x+2 12 −3x−6+12 −3x+6
256 07. 유리함수 (단, k 6= 0)으로 놓을 수 있다. 함수 y = f (x)의 그래프가 점 (1, 1)을 지나므로 f (x) = −3 = =
x+2 x+2 x+2
k
f (1) = −3 = 1 ➭ k = 12 이므로 a = −3, b = 6, c = 2이다.
1+2
이다. 따라서
정답 및 풀이 p.453

유제 06-1
k y
함수 f (x) = +b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x+a
세 상수 a, b, k 에 대하여 a+b+k 의 값을 구하시오. 4
1
O 2 x
k
y = x+a +b
주어진 유리함수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 = 2, y = 4이므로
k
f (x) = +4 (단, k 6= 0)
x−2
로 놓을 수 있다. 이때 함수 y = f (x)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므로
k 6
1= +4에서 k = 6이다. 따라서 f (x) = +4이고 a = −2, b = 4이므로
0−2 x−2
구하는 값은 a+b+k = 8이다.
답 8

유제 06-2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의 풀이 p.249

ax+1
함수 f (x) = 의 그래프가 두 점 (2, 1), (4, 3)을 지날 때, 함수 y = f (x)의 그래프의
x−b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함수 y = f (x)의 그래프가 두 점 (2, 1), (4, 3)을 지나므로
2a+1
=1 2a+b = 1 ···㉠
2−b
4a+1
=3 4a+3b = 11 ···㉡
4−b
이고 ㉠, ㉡을 연립하여 풀면 a = −4, b = 9이다. 따라서
−4x+1 −4(x−9)−35 35
f (x) = = =− −4
x−9 x−9 x−9
이고 구하는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9, y = −4이다.
답 x = 9, y = −4

유제 06-3
y
k
함수 y = (k 6= 0)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 축의 방향 8
x y = f(x)
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것이 함수 y = f (x)의 그래프이고 오른쪽
5
그림과 같다. 세 상수 a, b, k 에 대하여 a+b+k 의 값을 구하시오.

-1 O x
k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 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x
것이 함수 y = f (x)의 그래프이므로
k
f (x) = +b
x−a
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a, y = b이다. 이때 그림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이 x = −1,
y = 5이므로 a = −1, b = 5이다. 한편, 함수 y = f (x)의 그래프가 점 (0, 8)을 지나
k
므로 f (0) = +5 = 8이다. 따라서 k = 3이고 구하는 값은
0+1
a+b+k = −1+5+3 = 7이다.
답 7

07-2. 유리함수 257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대칭성

예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x−1
07 (1) 함수 y =
x−2
의 그래프가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일 때, 두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3x+4
(2) 함수 y = 의 그래프가 두 직선 y = x+a, y = −x+b에 대하여 대칭일
x+2
때, 두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k
길잡이 유리함수 y = +q (단, k 6= 0)의 그래프는
x−p
• 점 (p, q)에 대하여 대칭이다.
• 점 (p, q)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두 직선
y = ±(x−p)+q
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다.

풀이

ax+b 주어진 함수는


함수 y = (c 6= 0, ad−bc 6= 0)의
cx+d
그래프 p.252 2x−1 2(x−2)+3 3
y== = +2
x−2 x−2 x−2
2x−1
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2, y = 2이다. 따라서 함수 y = 의 그래프는 점 (2, 2)에 대하
x−2
여 대칭이므로 a = 2, b = 2이다.

주어진 함수는
y
3x+4 3(x+2)−2 2 y=x+a
y= = =− +3
x+2 x+2 x+2 3
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2, y = 3이다. 따라서 함수
y = f(x)
3x+4
y= 의 그래프는 두 점근선의 교점인 점 (−2, 3)을 지나면서
x+2 -2 O x
기울기가 1 또는 −1인 두 직선
y = -x + b
y = x+a, y = −x+b

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다. 즉,
3 = −2+a, 3 = 2+b

에서 a = 5, b = 1이다.

정답 (1) a = 2, b = 2 (2) a = 5, b = 1

돌다리 두드리기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x
(1) 함수 y = 의 그래프가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일 때, 두 상수 a, b의 값을
x−5
각각 구하시오.
−2x+3
(2) 함수 y = 의 그래프가 두 직선 y = x+a, y = −x+b에 대하여 대칭일 때,
돌다리 두드리기 x−3
두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답| (1) a = 5, b = 1 (2) a = −5, b = 1
x x−5+5 5 −2x+3 −2(x−3)−3 3
(1) y = = = +1에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2) y = = =− −2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x−5 x−5 x−5 x−3 x−3 x−3
x x = 3, y = −2이다.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점 (3, −2)를 지나면서
258 07. 유리함수 방정식은 x = 5, y = 1이다. 따라서 함수 y = 의 그래프는 점 (5, 1)에
x−5 기울기가 1 또는 −1인 두 직선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다. 즉,
대하여 대칭이므로 a = 5, b = 1이다. −2 = 3+a, −2 = −3+b
에서 a = −5, b = 1이다.
정답 및 풀이 p.453

유제 07-1
ax+b
함수 y = 의 그래프가 점 (1, 2)에 대하여 대칭이고 점 (0, 3)을 지날 때,
x+c
세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단, b 6= ac)
점 (1, 2)에 대칭인 유리함수의 식을
k
y= +2 (단, k 6= 0)
x−1
라 놓자.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0, 3)을 지나므로
k
3= +2 ➭ k = −1
0−1
이다. 따라서
−1 2x−3
y= +2 =
x−1 x−1
이고 a = 2, b = −3, c = −1이므로 a+b+c = 2−3−1 = −2이다.
답 −2

유제 07-2
2x+1
함수 y = 의 그래프가 직선 y = −x+3, y = bx+c에 대하여 각각 대칭일 때,
x−a
세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단, b 6= −1)
주어진 함수는
2(x−a)+2a+1 2a+1
y= = +2
x−a x−a
2x+1
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a, y = 2이다. 따라서 함수 y = 의 그래프는
x−a
기울기가 1 또는 −1이고 점 (a, 2)를 지나는 두 직선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다. 즉,
b = 1이고 y = −x+3, y = x+c에 점 (a, 2)를 각각 대입하면
2 = −a+3 ➭ a = 1
2 = a+c = 1+c ➭ c=1
이므로 구하는 값은 a+b+c = 1+1+1 = 3이다.
답 3

유제 07-3 일차방정식과 이차방정식으로 이루어진 연립이차방정식의 풀이 p.254

ax−b
함수 y = 의 그래프가 점 (a−2, b2 )에 대하여 대칭일 때, 두 상수 a, b에 대하여
x−b
a+b의 값을 구하시오. (단, b > 0)
주어진 함수는
a(x−b)+ab−b ab−b
y= = +a
x−b x−b
ax−b
이므로 함수 y =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b, y = a이고 점 (b, a)
x−b
에 대하여 대칭이다. 즉,
b = a−2 ···㉠
a = b2 ···㉡
이고 ㉠에서 a = b+2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b2 −b−2 = 0 ➭ (b+1)(b−2) = 0
에서 b > 0이므로 b = 2이다. 따라서 a = 4이므로 구하는 값은 a+b = 4+2 = 6이다.
답 6

07-2. 유리함수 259


유리함수의 최대, 최소

예제 4x−1
함수 f (x)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x−1
08 (1) 2 ≤ x ≤ 4에서 함수 f (x)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M +m의
값을 구하시오.
(2) x ≤ a에서 함수 f (x)의 최솟값이 2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길잡이 x의 값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을 때, 유리함수의 최대, 최소는 주어진 x의 값의 범위에서


그래프를 그려서 구한다.

풀이

ax+b
함수 y = (c 6= 0, ad−bc 6= 0)의
cx+d 함수 f (x)에서
그래프 p.252
4x−1 4(x−1)+3 3
=
f (x) = = +4
x−1 x−1 x−1
3
이므로 함수 f (x)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x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고
7 y = f(x)
f (2) = 7, f (4) = 5
5
이므로 2 ≤ x ≤ 4에서 5 ≤ f (x) ≤ 7이다. 따라서 M = 7, m = 5이므로 4
구하는 값은 M +m = 12이다.
1
O 2 4 x

y
a ≥ 1이면 x ≤ a에서 함수 f (x)의 최솟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a < 1일 때, 함수 f (x)의 최솟값은 f (a)이므로
4a−1 4
f (a) = = 2 ➭ 4a−1 = 2a−2
a−1 y = f(x) 2
1 1
에서 a = − 이다.
2 1 O 1 x
-2

1
정답 (1) 12 (2) −
2

돌다리 두드리기

3x+2
−6 ≤ x ≤ −3에서 함수 f (x) = 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돌다리 두드리기 x+2
M +m의 값을 구하시오.
|답| 11
3x+2 4 3x+2 y = f(x) y
주어진 함수는 f (x) = = 3− 이므로 함수 f (x) = 의 그래 7
x+2 x+2 x+2
260 07. 유리함수 4 4
프는 함수 y =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
x 13
이동한 것이다. 즉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f (−6) = 4, f (−3) = 7에서
M = 7, m = 4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M +m = 11이다. -6 -3 O x
-2
정답 및 풀이 p.454

유제 08-1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집합의 표현 p.14

2x−8
함수 y = 의 정의역이 {x | −2 ≤ x ≤ 0 또는 3 ≤ x ≤ 6}일 때, 이 함수의 치역을
x−2
구하시오.
주어진 함수는
y
2x−8 2(x−2)−4 4
y= = =− +2 4
x−2 x−2 x−2
3
2x−8 4
이므로 함수 y = 의 그래프는 함수 y = − 의
x−2 x 2
1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3
2x−8 -2 O 2 6 x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함수 y = 의 2x - 8
x−2 -2 y = x-2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f (−2) = 3, f (0) = 4, f (3) = −2, f (6) = 1
이므로 치역은 {y | −2 ≤ y ≤ 1 또는 3 ≤ y ≤ 4}이다.
답 {y | −2 ≤ y ≤ 1 또는 3 ≤ y ≤ 4}

유제 08-2
ax+3b
함수 f (x) = 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 = −1, y = 2일 때, 0 ≤ x ≤ a에서 함수 f (x)의
x+b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하시오.
y 7 16
주어진 함수는 따라서 구하는 값은 3+ = 이다.
a(x+b)−ab+3b −ab+3b 2x + 3 3 3
y= = +a 7 y = x+1
3
x+b x+b 3 16
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b, y = a이다. 따라서 답
2 3
a = 2, b = 1이다. 이때 주어진 함수
2x+3 1
f (x) = = +2
x+1 x+1 -1 O 2 x
1
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x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그림과 같다. 한편 0 ≤ x ≤ 2에서
7 7
f (0) = 3, f (2) = 이므로 함수 y = f (x)의 최댓값은 3이고 최솟값은 이다.
3 3

유제 08-3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집합의 표현 p.14
 
−6x+1 5
정의역이 {x | a ≤ x ≤ −2}인 함수 f (x) = 의 치역이 y b≤y≤− 일 때,
3x+2 2
두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y 13
주어진 함수는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ab = −4· − = 13이다.
−6x+1 −2(3x+2)+5 5 4
y= = = −2 2
-3 답 13
3x+2 3x+2 3x+2 O
2 -4 -2 x
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 , y = −2이다. 따라서 -2
3
−6x+1 5 5
-2
함수 y = 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
3x+2 3x 13
2 - 6x + 1 - 4
를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 3x + 2
3
5
평행이동한 것이고 그림과 같다. 이때 f (−2) = b, f (a) = − 이므로
2
−6·(−2)+1 13
f (−2) = =− =b
3·(−2)+2 4
−6a+1 5
f (a) = =− ➭ a = −4
3a+2 2

07-2. 유리함수 261


유리함수의 합성함수와 역함수

예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x−3 2x+1
09 (1) 함수 f (x) =
x−2
, g(x) =
x−3
에 대하여 함수 (f ◦g)(x)를 구하시오.
x−4
(2) 함수 f (x) = 의 역함수 f −1 (x)를 구하시오.
x−2
ax
(3) 함수 f (x) = 의 역함수 f −1 (x)에 대하여 f (x) = f −1 (x)가
3x+1
성립하도록 하는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길잡이 유리함수의 역함수는 다음과 같이 간단히 구할 수 있다.


k k
f (x) = +q −→ f −1 (x) = +p
x−p x−q
ax+b −dx+b
f (x) = −→ f −1 (x) =
cx+d cx−a

풀이
2x+1 −x+10
ax+b −3
g(x)−3 x−3 −x+10 1 10
함수 y =
cx+d
(c 6= 0, ad−bc 6= 0)의
(f ◦g)(x) = f (g(x)) = = = x−3 = = − x+
그래프 g(x)−2 2x+1 7 7 7 7
p.252 −2
유리식의 곱셈과 나눗셈 p.236
x−3 x−3
역함수 p.208 x−4
합성함수 p.195 y= 로 놓고 x에 대하여 정리하면 xy −2y = x−4에서 x(y −1) = 2y −4이므로
x−2
2y −4
x=
y −1
2x−4
이다. x와 y 를 서로 바꾸면 y = 이므로 구하는 역함수 f −1 (x)는
x−1
2x−4
f −1 (x) =
x−1
ax
y= 로 놓고 x에 대하여 정리하면 3xy +y = ax에서 x(3y −a) = −y 이므로
3x+1
−y
x=
3y −a
−x −x
에서 x와 y 를 서로 바꾸면 y = 이다. 따라서 f −1 (x) = 이고 f (x) = f −1 (x)에서
3x−a 3x−a
ax −x
=
3x+1 3x−a
이므로 a = −1이다.

1 10 2x−4
정답 (1) − x+ (2) (3) −1
7 7 x−1

돌다리 두드리기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x−2
(1) 함수 f (x) = , g(x) = 2x+1에 대하여 함수 (g ◦f )(x)를 구하시오.
2x−1
돌다리 두드리기 2
4x−5 x (2) 함수 f (x) = +2의 역함수 f −1 (x)를 구하시오.
|답| (1) (2) 2x−1
2x−1 2x−4
x−2 4x−5
(1) (g ◦f )(x) = g(f (x)) = 2· +1 =
2x−1 2x−1
262 07. 유리함수 2 4x y
(2) y = +2 = 를 x에 대하여 정리하면 x = 이므로
2x−1 2x−1 2y −4
x
f −1 (x) = 이다.
2x−4
정답 및 풀이 p.454

유제 09-1
합성함수 p.195
미정계수법 p.52

−x+6 −3x+b
함수 f (x) = 의 역함수가 f −1 (x) = 일 때, 세 상수 a, b, c의 값을 각각 구하
2x+a cx+1
시오.
−x+6
y= 으로 놓고 x에 대하여 정리하면
2x+a
−ay +6
2xy +ay = −x+6 ➭ x =
2y +1
−ax+6 −ax+6
이므로 x와 y 를 서로 바꾸면 y = 에서 f −1 (x) = 이다. 이때
2x+1 2x+1
−ax+6 −3x+b
=
2x+1 cx+1
이므로 a = 3, b = 6, c = 2이다.
답 a = 3, b = 6, c = 2

유제 09-2 합성함수의 역함수 p.211

x+3 8
두 함수 f (x) = , g(x) = 에 대하여 함수 (f ◦g −1 )−1 (x)를 구하시오.
x+1 x−1
x+3
역함수의 성질을 이용하면 (f ◦g −1 )−1 (x) = (g ◦f −1 )(x)이다. y = 으로
x+1
y −3 x−3
놓고 x에 대하여 정리하면 x = − 에서 x와 y 를 서로 바꾸면 y = − 이므로
y −1 x−1
x−3
f −1 (x) = − 이다. 따라서
x−1
구하는 함수는 다음과 같다.
8
(g ◦f −1 )(x) = g(f −1 (x)) =
f −1 (x)−1
8 8 4(x−1)
= = =−
x−3 −2x+4 x−2
− −1
x−1 x−1
4(x−1)
답 −
x−2

유제 09-3
x
함수 f (x) = 에 대하여
x+1
f 1 = f, f n+1 = f ◦f n (단, n은 자연수)
일 때, f 20 (5)의 값을 구하시오.
x x
함수 f 2 (x), f 3 (x),
f 4 (x), . . .를 차례로 구하면 이므로 f n (x) =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f 20 (x) = 이므로 구하는
nx+1 20x+1
f (x) x 5 5
f 2 (x) = f (f (x)) = = 값은 f 20 (5) = = 이다.
f (x)+1 2x+1 20·5+1 101
f 2 (x) x 5
f 3 (x) = (f ◦f 2 )(x) = f (f 2 (x)) = = 답
f 2 (x)+1 3x+1 101
f 3 (x) x
f 4 (x) = (f ◦f 3 )(x) = f (f 3 (x)) = =
f 3 (x)+1 4x+1
. .
. .
. .

07-2. 유리함수 263


유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예제 x
함수 y = 의 그래프와 직선 y = kx+1이 오직 한 점에서 만날 때, 실수 k 의
10 x−1
값을 구하시오.

길잡이 유리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g(x)의 위치 관계는 직선과 유리함수의 그래프


를 그려 찾을 수 있다. 또는 두 식을 연립한 f (x) = g(x)를 이차방정식 꼴로 정리한 다음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D 를 이용하면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풀이

유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을 좌표평면에 나타낸다. y


ax+b
함수 y = (c 6= 0, ad−bc 6= 0)의 x
cx+d 주어진 함수는 y = x-1
그래프 p.252
x (x−1)+1 1 1
m의 값에 관계없이 지나는 점 p.381 y= = = 1+
x−1 x−1 x−1
x 1 O 1 x
이므로 함수 y = 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x−1 x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 = kx + 1
또한 직선 y = kx+1은 k 의 값에 관계없이 점 (0, 1)을 지난다.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p.166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하여 k 의 값을 구한다.


(i) k = 0일 때, 직선 y = kx+1은 y = 1이므로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과 일치한다. 즉
x
함수 y = 의 그래프와 만나지 않는다.
x−1
x
(ii) k 6= 0일 때, 함수 y = 와 직선 y = kx+1을 연립하면
x−1
x
= kx+1 ➭ kx2 −kx−1 = 0
x−1
이다. x에 대한 이차방정식 kx2 −kx−1 = 0의 판별식을 D 라 하면
D = (−k)2 +4k = k(k +4) = 0
이고 k 6= 0이므로 k = −4이다.
(i), (ii)에 의하여 구하는 k 의 값은 −4이다.

정답 −4

돌다리 두드리기

1
함수 y = − 의 그래프와 직선 y = kx−1이 오직 한 점에서 만날 때, 실수 k 의 값을
돌다리 두드리기 x
1 구하시오.
|답| k = 0 또는 k =
4 y
y = kx - 1 1
직선 y = kx−1은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0, −1)을 지나고 = kx−1 ➭ kx2 −x+1 = 0 이고
(ii) k 6= 0일 때, −
1 x x
264 07. 유리함수 함수 y = − 의 그래프와 직선 y = kx−1은 그림과 같다. O x에 대한 이차방정식 kx2 −x+1 = 0의 판별식을 D 라 하면 D = 0이므로
x -1
(i) k = 0일 때, 직선 y = kx−1은 직선 1
1 1 D = 1−4k = 0 ➭ k =
y = −1이므로 함수 y = − 의 그래프와 한 점에서 만난다. y =- x 4
x
정답 및 풀이 p.454

유제 10-1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p.166

2x
함수 y = 의 그래프와 직선 y = mx+m+2의 그래프가 만나지 않도록 하는 실수 m의
x+1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주어진 유리함수는 y
2x 2(x+1)−2 2 2x
y= = =− +2 y = x+1
x+1 x+1 x+1
2x 2
이므로 함수 y = 의 그래프는 함수 y = − 의
x+1 x 2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1, -1 O x
y = 2이다. 또한 직선 y = mx + m + 2
y = mx+m+2 = m(x+1)+2
는 m의 값에 관계없이 점 (−1, 2)를 지난다.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2x
y= 의 그래프와 직선이 만나지 않도록 하는 m의 값의 범위는 m ≥ 0이다.
x+1
답 m≥0

유제 10-2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p.166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 p.353

12
함수 y = +3의 그래프와 직선 y = 2x−1이 만나는 두 점을 P, Q라 할 때,
x−1
선분 PQ의 길이를 구하시오.
12
함수 y = +3의 그래프와 직선 y = 2x−1을 연립하면
x−1
12
+3 = 2x−1 ➭ 2x2 −6x−8 = 2(x+1)(x−4) = 0
x−1
에서 x = −1 또는 x = 4이므로 두 점 P, Q의 좌표는 각각 P(−1, −3), Q(4, 7)
이다. 따라서 선분 PQ의 길이는
q √ √
PQ = (4+1)2 +(7+3)2 = 125 = 5 5
이다.

답 5 5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p.166


유제 10-3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집합의 표현 p.14

3x−5
정의역이 {x | 2 ≤ x ≤ 3}인 함수 y = 의 그래프와 직선 y = mx+5가 만날 때,
x−1
실수 m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주어진 함수는 y (i) 직선 y = mx+5가 점 (2, 1)을 지날 때, 2m+5 = 1에서 m = −2
3x−5 2 y = mx + 5 (ii) 직선 y = mx+5가 점 (3, 2)를 지날 때, 3m+5 = 2에서 m = −1
y= =− +3 5
x−1 x−1 3x - 5 (i), (ii)에 의하여 m의 값의 범위는 −2 ≤ m ≤ −1이다.
y = x-1
3x−5 2 3 답 −2 ≤ m ≤ −1
이므로 함수 y = 의 그래프는 함수 y = − 의
x−1 x 2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1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2 ≤ x ≤ 3에서 O 2 3 x
3x−5 (ii)
함수 y =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i)
x−1
직선 y = mx+5가 m의 값에 관계없이 점 (0, 5)를 지난다.

07-2. 유리함수 265


07-1 유리식
유리식[1-5]
[1-5] 07-4
1 1 1 1 2
− − 2 − 2 을 간단히 하시오. 함수 f (x) = 에 대하여
a−1 a+1 a −a+1 a +a+1 x(x+2)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 하 p.236 에 의하여
    f (1)+f (2)+f (3)+· · ·+f (10)
1 1 1 1
(주어진 식) = − 2 − + 2
a−1 a +a+1 a+1 a −a+1 의 값을 구하시오.
(a2 +a+1)−(a−1) (a2 −a+1)+(a+1) 2 1 1
= − 부분분수 하 p.238 를 이용하면 f (x) = = − 이므로 구하는 값은
(a−1)(a2 +a+1) (a+1)(a2 −a+1) x(x+2) x x+2
a2 +2 a2 +2 (a2 +2){(a3 +1)−(a3 −1)} f (1)+f (2)+f (3)+· · ·+f (10)
= − = 
1
 
1 1
 
1 1
 
1 1
 
1 1

a3 −1 a3 +1 a6 −1 = 1− + − + − +· · ·+ − + −
2(a2 +2) 3 2 4 3 5 9 11 10 12
= 1 1 1 175
a6 −1 = 1+ − − =
2(a2 +2) 2 11 12 132
답 175
a6 −1 답
132

07-2 07-5
다음 식 x+y −2z y −z z
(x−3)2 x3 +9x2 +27x+27 x4 −81 0이 아닌 세 실수 x, y, z 에 대하여 = = 일
× ÷ 4 3 2 4
x −9
2 x −27
3 x +9x2 +81 x+2y +3z
때, 의 값을 구하시오.
을 간단히 하시오. x−y +z
유리식의 곱셈과 나눗셈 하 p.236 에 의하여 x+y −2z y −z z
비례식 하 p.239 의 성질에 의하여 = = = k (k 6= 0)로 놓으면
(주어진 식) 3 2 4
x+y −2z = 3k, y −z = 2k, z = 4k
(x−3)2 x3 +9x2 +27x+27 x4 +9x2 +81 이고 이를 연립하여 풀면 x = 5k, y = 6k, z = 4k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x2 −9 x3 −27 x4 −81 x+2y +3z 5k +2·(6k)+3·(4k) 29k 29
(x−3) 2 (x+3)3 (x2 −3x+9)(x2 +3x+9) = = =
= × × x−y +z 5k −6k +4k 3k 3
(x−3)(x+3) (x−3)(x2 +3x+9) (x−3)(x+3)(x2 +9) 29

(x+3)(x2 −3x+9) 3
=
(x−3)(x2 +9)
(x+3)(x2 −3x+9)

(x−3)(x2 +9)

07-3 07-6 유리함수


유리함수[6-12]
[6-12]
48 1 2x−1
= a+ 을 만족시키는 네 자연수 a, b, c, d에 함수 y = 의 그래프에 대하여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13 1
b+ x+1
1
c+ 있는 대로 고르시오.
d
대하여 a+b+c+d의 값을 구하시오. [보기]
번분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ㄱ.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1, y = 2이다.
48
= 3+
9
= 3+
1
= 3+
1
= 3+
1
= 3+
1 1
13 13 13 4 1 1 ㄴ. 평행이동에 의하여 함수 y = 의 그래프와 겹친다.
1+ 1+ 1+ x
9 9 9 1 ㄷ. 제4사분면을 지난다.
2+
4 4
에서 a = 3, b = 1, c = 2, d = 4이므로 구하는 값은 a+b+c+d = 10이다. (2x+2)−3 3 y
주어진 함수는 y = =− +2이므 2x - 1
x+1 x+1 y = x+1
답 10 2x−1 3
로 함수 y = 의 그래프 하 p.252 는 함수 y = − 2
x+1 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오른쪽 그림과 같다. O
2x−1 -1 1 x
ㄱ. (참) 함수 y =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2
x+1 -1
방정식은 x = −1, y = 2이다.
2x−1 3
ㄴ. (거짓) 함수 y = 의 그래프는 함수 y = − 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한
x+1 x
것이다.
1 2x−1
266 07. 유리함수
ㄷ. (참) 0 < x < 에서 함수 y = 의 그래프는 제4사분면 위에 있다.
2 x+1
답 ㄱ, ㄷ
정답 및 풀이 p.455

07-7 y 07-10
ax+b ax + b 1
y = x+c 좌표평면에서 함수 f (x) = +k 의 그래프를 직선 y = x
함수 y =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x+c x−5
cx+a 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함수 y = g(x)의 그래프가 점 (0, 4)를
과 같을 때, 함수 y = 의 그래프를
x+b 4 지난다. 이때, 함수 g(x)를 구하시오. (단, k 는 실수)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시오. 2 두 함수 y = f (x), y = g(x)의 그래프가 직선 y = 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함수
O 4 x y = g(x)는 함수 y = f (x)의 역함수 하 p.208 이다. g(0) = 4로부터 f (4) = 0이고
(단, a, b, c는 상수이다.)
1
k f (4) = +k = 0
점근선의 방정식이 x = 4, y = 4이므로 y = +4라 하면 그래프 하 p.252 가 4−5
x−4 1 1
k y 에서 k = 1이다. y = +1로 놓고 x에 대하여 정리하면 x = +5이고
점 (0, 2)를 지나므로 2 = +4에서 k = 8이다. x−5 y −1
−4 1
8 4x−8 x와 y 를 서로 바꾸면 y = +5이다. 따라서 함수 g(x)는
따라서 주어진 함수는 y = +4 = 이므로 O
x−1
x−4 x−4 1 8 x 1
a = 4, b = −8, c = −4이다. 이때 g(x) = f −1 (x) = +5
x−1
cx+a −4x+4 28 1 -4 1
y= = =− −4 -2
x+b x−8 x−8 답 g(x) = +5
- 4x + 4 x−1
28 y = x-8
이므로 함수 y =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x
8만큼, y 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그림과 같다.

07-8 답 풀이 참조 07-11
2x 8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 축의 방향 함수 f (x) = 에 대하여
x−1 x
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가 점 (6, b)에 대하여 대칭일 때, f 1 = f, f n+1 = f ◦f n (n은 자연수)
두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일 때, f 2018 (1)+f 2019 (2)의 값을 구하시오.
2x 2
주어진 함수는 y = = +2이다. 이 함수의 그래프 하 p.252 를 x축의 f (1) = 8, f (8) = 1에서 합성함수의 성질 하 p.196 의 성질을 이용하면
x−1 x−1
f 1 (1) = f (1) = 8, f 2 (1) = f (8) = 1, f 3 (1) = f (1) = 8, f 4 (1) = f (8) = 1
방향으로 a만큼, y 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면 함수
2 2 이므로 k 가 홀수일 때, f k (1) = 8이고 k 가 짝수일 때, f k (1) = 1이다. 같은 방법으
y −3 = +2 ➭ y = +5 로 f (2) = 4, f (4) = 2에서
(x−a)−1 x−a−1
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점 (a+1, 5)에 대하여 대칭이다. 즉, f 1 (2) = f (2) = 4, f 2 (2) = f (4) = 2, f 3 (2) = f (2) = 4, f 4 (2) = f (4) = 2
a+1 = 6, 5 = b 이므로 k 가 홀수일 때, f k (2) = 4이고 k 가 짝수일 때, f k (2) = 2이다. 따라서
f 2018 (1) = 1, f 2019 (2) = 4이므로 구하는 값은
에서 a = 5, b = 5이고 구하는 값은 a+b = 10이다.
f 2018 (1)+f 2019 (2) = 1+4 = 5이다.
답 10 답 5

07-9 07-12
2x−3 −x+3
함수 f (x) = 에 대하여 2 ≤ x ≤ 3에서 함수 (f ◦f )(x)의 함수 f (x) = 의 그래프가 직선 y = mx와 만나지 않을
x x−1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M +m의 값을 구하시오. 때, 실수 m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y
주어진 함수는 y 주어진 함수는
-x + 3
2x−3 3 −x+3 −(x−1)+2 2 y = x-1
2 y= = = −1
f (x) = = − +2 x−1 x−1 x−1
x x
1 1 −x+3
이므로 함수 y = f (x)의 그래프 하 p.252 는 함수 2 이므로 함수 y = 의 그래프 하 p.252 는 함수 O 1 3 x
3 O 2 3 x x−1 -1
y = − 의 그래프를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 -1 2
x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3
1 x
한 것이다. 이때 2 ≤ x ≤ 3에서 ≤ f (x) ≤ 1이고,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고 오른쪽 그림과 y = mx
2
-4 같다. 또한 직선 y = mx는 m의 값에 관계없이 상 p.381 점 (0, 0)을 지난다.
(f ◦f )(x) = f (f (x)) 하 p.195 이므로 −x+3
(i) m = 0일 때, 함수 y = 의 그래프와 직선 y = mx는 점 (3, 0)에서
−4 ≤ f (f (x)) ≤ −1 x−1
만난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다. 따라서 함수 (f ◦f )(x)의 최댓값은 −1이고 최솟값은 −4이므로 구하는 값은
−x+3
M +m = −1−4 = −5이다. (ii) m 6= 0일 때, = mx를 정리하면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1
2
mx −(m−1)x−3 = 0이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상 p.166 을 D 라 하면
답 −5
D = (m−1)2 +12m = m2 +10m+1 < 0
√ √
이므로 −5−2 6 < m < −5+2 √ 6이다. √
(i), (ii)에 의하여 m의 값의 범위는 −5−2 6 < m < −5+2 6이다.
√ √
답 −5−2 6 < m < −5+2 6

연습은 실전처럼 267


07-1 07-3
a2 −1 b2 −1 c2 −1 그림과 같이 직선 y = −2x 위의 점 y
a+b+c = 0, abc 6= 0일 때, + + 의 값을 y = -2x
bc ca ab A(−1, 2)와 x > 0에서 정의된 곡선
구하시오. 2 A 2
a+b+c = 0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계산하면 y = 위에 있는 한 점 P에 대하여 P y= 2
a(a2 −1)+b(b2 −1)+c(c2 −1) x x
(주어진 식) = 삼각형 AOP의 넓이의 최솟값을
abc
a3 +b3 +c3 −(a+b+c)
-1 O x
= 구하시오. (단, O는 원점이다.)
abc  
a3 +b3 +c3 2
= 점 P의 좌표를 a, 라 하자. (단, a > 0) 점 P에서 직선 y = −2x 위에 내린
abc a  
이다. 이때 곱셈 공식의 변형 II 상 p.23 을 이용하면
2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선분 PH의 길이는 직선 2x+y = 0과 점 a, 사이의
a
a3 +b3 +c3 −3abc = (a+b+c)(a2 +b2 +c2 −ab−bc−ca) = 0 거리 상 p.401 와 같다. 따라서
이므로 a3 +b3 +c3 = 3abc이고 구하는 값은 다음과 같다. 2
3abc 2a+
(주어진 식) = =3 a 2 1
abc PH = √ = √ a+
5 5 a
답 3 이다. a >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 하 p.128 에 의하여
r
1 1
a+ ≥2 a× =2
a a
1
이다. (단, 등호는 a =
일 때, 즉 a = 1일 때 성립한다.) 즉, 선분 PH의 길이의 최솟
a
4
값이 √ 이므로 구하는 삼각형 AOP의 넓이의 최솟값은
5
1 1 √ 4
△AOP = ×OA×PH ≥ × 5× √ = 2
2 2 5
답 2

07-2 07-4
자연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 (n)이 k
1 1 1 1 함수 y = +3의 그래프가 제4사분면을 지나지 않도록
f (n) = + + +· · ·+ x+2
1·3 3·5 5·7 (2n−1)(2n+1) 하는 실수 k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단, k 6= 0)
f (k) 41 k k
함수 y = +3 (k 6= 0)의 그래프 하 p.251 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일 때, = 이다. 자연수 k 의 값을 구하시오. x+2 x
f (2k) 42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점근선의 방정식
부분분수 하 p.238 의 성질을 이용하여 함수 f (n)의 식을 변형하면
은 x = −2, y = 3이다.
1 1 1 1 (i) k > 0일 때, 아래 그림과 같이 제4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f (n) = + + +· · ·+
1·3 3·5 5·7 (2n−1)(2n+1) (ii) k < 0일 때, 아래 그림과 같이 x = 0일 때, y ≥ 0이면 제4사분면을 지나지
     
1 1 1 1 1 1 k
= 1− + − +· · ·+ − 않는다. 따라서 +3 ≥ 0에서 k ≥ −6이므로 −6 ≤ k < 0이다.
2 3 3 5 2n−1 2n+1 0+2
1

1

n (i), (ii)에 의하여 구하는 k 의 값의 범위는 −6 ≤ k < 0 또는 k > 0이다.
= 1− =
2 2n+1 2n+1
(i) y (ii) y
이다. 문제의 조건에서
f (k) k 4k +1 4k +1 41
= × = =
f (2k) 2k +1 2k 4k +2 42
3
이므로 구하는 자연수 k 의 값은 3 k
42(4k +1) = 41(4k +2) ➭ k = 10 k y = x+2 +3
y = x+2 +3
이다.
-2 O x -2 O x
답 10

답 −6 ≤ k < 0 또는 k > 0

268 07. 유리함수


정답 및 풀이 p.457

07-5 07-7 교육청 기출


ax+b 2x y
함수 f (x) = 와 그 역함수 f −1 (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 그림과 같이 함수 f (x) = 의
x+c 6x−9 B P
킨다. 그래프 위의 점 중에서 제1사분면에
있는 점을 P, 제4사분면에 있는 점을 C
(가) 함수 y = f (x)의 그래프는 두 직선 y = x−1, O A x
Q라 할 때, 점 P에서 x축, y 축에 내린
y = −x+3에 대하여 대칭이다. D Q
  수선의 발을 각각 A, B라 하고, 점 Q에
1
(나) (f ◦f )(1) = f −1 −
5 서 x축, y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C, D라 하자. 두 사각형
OAPB, ODQC가 정사각형일 때, OP : OQ = m : n이다. m+n
f (3)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의 값을 구하시오. (단, O는 원점이고, m, n은 서로소인 자연수
함수 f (x)의 역함수 f −1 (x)가 존재하므로 함수 f (x)는 상수함수가 아니다. 또
한 조건 (가)에서 두 직선 y = x−1, y = −x+3의 교점이 (2, 1)이므로 함수 이다.)
y = f (x)의 그래프 하 p.252 는 점 (2, 1)에 대하여 대칭이다. 즉, AP = BP이므로 점 P는 직선 y = x 위에 있다. 점 P의 좌표를 P(a, a)라 하면
k 2a 11
f (x) = +1 (k 6= 0) f (a) = =a ➭ a=
x−2 6a−9 6
으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합성함수의 성질 하 p.196 에 의하여  
11 11
이므로 P , 이다. 또한 CQ = DQ이므로 점 Q는 직선 y = −x 위에 있다.
1 6 6
(f ◦f )(1) = f (f (1)) = f (−k +1) = ···㉠
k +1 점 Q의 좌표를 Q(b, −b)라 하면
 
1 1 2b 7
이고 조건 (나)와 ㉠에서 f −1 − = 이므로 역함수의 성질 하 p.210 에 의하 f (b) = = −b ➭ b =
  5 k +1 6b−9 6
1 1  
여f = − 이다. 즉, 7 7
이므로 Q ,− 이다. 따라서
k +1 5 6 6
 
1 k(k +1) 1 k(k +1) 6 OP : OQ = OA : OC = 11 : 7
f =− +1 = − ➭ =
k +1 2k +1 5 2k +1 5 이므로 m = 11, n = 7이고 구하는 값은 m+n = 11+7 = 18이다.
2 3
에서 식을 정리하면 5k −7k −6 = (5k +3)(k −2) = 0 에서 k = − 또는 k = 2 답 18
5
이다. 따라서 f (3) = k +1은 k = 2일 때, 최댓값 3을 가진다.
3
07-6 07-8

2x−3 2 ≤ x ≤ 3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함수 f (x)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 축의
x−1 3x+1
ax+3 ≤ ≤ bx+3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하면 함수 f (x)의 역함수 f −1 (x)의 x−1
그래프와 일치한다. 이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일 때, b−a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이다.)
3x+1 3(x−1)+4 4 y
y= = = +3이므로 (ii)
이다.) x−1 x−1 x−1
2x−3 1 주어진 부등식은
함수 f (x) = =− +2의 그래프 하 p.252 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4 (i)
x−1 x−1 4
y 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하면 ax ≤ ≤ bx
x−1 2
1 4
f (x−a)+b = − +b+2 ···㉠ 이다. 2 ≤ x ≤ 3에서 함수 y = 의 그래프 하 p.252 O
x−a−1 x−1 12 3 x
2x−3 y −3 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두 직선 y = ax, y = bx가 각각
이다. 한편 함수 y = 을 x에 대하여 정리하면 x = 이므로 x와 y 의 위치
x−1 y −2 a, b의 값에 관계없이 원점을 지나므로
x−3 2
를 서로 바꾸면 y = 이다. 따라서 (i) 직선 y = ax가 점 (3, 2)를 지날 때, 2 = 3a에서 a = 이다.
x−2 3
x−3 1 (ii) 직선 y = bx가 점 (2, 4)를 지날 때, 4 = 2b에서 b = 2이다.
f −1 (x) = =− +1 ···㉡
x−2 x−2 2 2 4
이고 ㉠과 ㉡의 두 함수가 서로 같은 함수 하 p.167 서로 같으므로 (i), (ii)에서 a ≤ , b ≥ 2이므로 a = , b = 2일 때, b−a는 최솟값 를 가진다.
3 3 3
−a−1 = −2,
b+2 = 1 4

에서 a = 1, b = −1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ab = −1이다.
3

답 −1

실전은 연습처럼 269


무리식 272

무리함수 278
– 무리식
– 제곱근
– 분모의 유리화

– 무리함수

– 함수 y = ± ax (a 6= 0)의 그래프
p
– 함수 y = ± a(x−p)+q (a 6= 0)의 그래프

– 함수 y = ± ax+b+c (a 6= 0)의 그래프
무리식의 뜻

근호 안에 문자를 포함하는 식 중에서



√ 2x−3 2√
x+5, , √ 1−x2 ,
4 x
등과 같이 유리식으로 나타낼 수 없는 식을 무리식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무리식은 식의 값이 실수가 되는 경우만 생각한다. 무리식의 값이 실수가 되려면


근호 안의 식의 값이 0 이상이어야 하므로 무리식을 계산할 때는
근호 안의 식의 값이 0보다 작으면 (근호 안의 식의 값) ≥ 0, (분모) 6= 0
무리식의 값은 허수이다.
이 되도록 문자의 값의 범위를 제한한다.

정의 무리식
하 8.1
• 근호 안에 문자를 포함하는 식 중에서 유리식으로 나타낼 수 없는 식을
무리식이라 한다.
• 무리식의 값이 실수가 될 조건은 다음과 같다.

(근호 안의 식의 값) ≥ 0, (분모) 6= 0


예시 1. 무리식 1−x2 이 실수의 값을 가지려면 1−x2 ≥ 0, 즉 −1 ≤ x ≤ 1이다.

2. 무리식 x2 +1에서 항상 x2 +1 ≥ 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실수의 값을
가진다.
√ 1
3. 무리식 2−x− √ 이 실수의 값을 가지려면
x−1
2−x ≥ 0, x−1 ≥ 0, x−1 6= 0
을 만족해야 하므로 1 < x ≤ 2이다.

보기 8.1 다음 무리식이 실수의 값을 가지기 위한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2x−3 2
(1) (2) √
4 x

보기 정답
3
8.1 (1) x ≥ (2) x > 0
2

272 08. 무리함수


무리식의 계산

제곱근

실수 a에 대하여 a2 은 제곱하여 a2 이 되는 수 a와 −a 중에서 음이 아닌 수이다. 따라서
√ √
a ≥ 0이면 a2 = a이고, a < 0이면 a2 = −a


이다. 또한 절댓값 p.155 의 성질에 의하여 a2 = |a|이다. 이것은 임의의 다항식 A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포인트 제곱근
하 8.2
다항식 A에 대하여 ( 제곱근 a와 a의 제곱근
√ A (A ≥ 0) √
제곱근 a는 a이며, a의 제곱근은 제곱
A = |A| =
2

−A (A < 0) 하면 a가 되는 수, 즉 ± a이다.

보기 8.2 x > 2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p p
(1) (x+1)2 (2) (1−x)2

분모의 유리화

무리수와 마찬가지로 분모에 무리식이 포함되어 있을 때, 분모와 분자에 적당한 수 또는 식을


곱하여 분모에 무리식이 포함되지 않도록 변형하는 것을 분모의 유리화라 한다.

포인트 분모의 유리화


하 8.3
두 다항식 A, B (A 6= B)에 대하여
√ √ √ √
1 A− B A− B
√ √ = √ √ √ √ =
A+ B ( A+ B)( A− B) A−B

예시 1 √ √
√ √ x+ x−1을 곱하면
의 분모와 분자에
x− x−1
√ √
1 x+ x−1
√ √ = √ √ √ √
x− x−1 ( x− x−1)( x+ x−1)
√ √ √ √
x+ x−1 x+ x−1 √ √
=√ 2 √ 2 = = x+ x−1
x − x−1 x−(x−1)

보기 8.3 다음 식의 분모를 유리화하시오.


1 1
(1) √ (2) √ √ 보기 정답
x+2 x+2+ x
8.2 (1) x+1 (2) x−1
√ √ √
x−2 x+2− x
8.3 (1) (2)
x−4 2

08-1. 무리식 273


무리식의 값이 실수일 조건

예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1
01 (1) 무리식 x2 −3x−10− √
−x+6
의 값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p
(2) 무리식 x2 −(k +2)x+2k +4의 값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항상 실수가
되도록 하는 정수 k 의 개수를 구하시오.

길잡이 무리식의 값이 실수가 되기 위해서는


(근호 안의 식의 값) ≥ 0, (분모) 6= 0
을 만족해야 한다.

풀이
√ 1
무리식 p.272 무리식 x2 −3x−10− √ 의 값이 실수가 되려면
−x+6
절대부등식 p.127
이차부등식이 항상 성립할 조건 p.300
x2 −3x−10 ≥ 0, −x+6 > 0
연립부등식의 해 p.282 이어야 한다. 이때, 부등식 x2 −3x−10 ≥ 0을 풀면
이차부등식의 해 p.299
x2 −3x−10 = (x+2)(x−5) ≥ 0 ➭ x ≤ −2 또는 x ≥ 5 ···㉠
이고 부등식 −x+6 > 0을 풀면
−x+6 > 0 ➭ x < 6 ···㉡

이다. ㉠, ㉡을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2 5 6 x

따라서 구하는 x의 값의 범위는 x ≤ −2 또는 5 ≤ x < 6이다.


p
무리식 x2 −(k +2)x+2k +4의 값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항상 실수가 되려면 부등식
x2 −(k +2)x+2k +4 ≥ 0
이 절대부등식이어야 한다. 이차방정식 x2 −(k +2)x+2k +4 = 0의 판별식을 D 라 하면
D = (k +2)2 −4(2k +4)
= k2 −4k −12 = (k +2)(k −6) ≤ 0
에서 −2 ≤ k ≤ 6이다. 따라서 구하는 정수 k 는
−2, −1, 0, 1, 2, 3, 4, 5, 6
으로 그 개수는 9이다.

정답 (1) x ≤ −2 또는 5 ≤ x < 6 (2) 9

돌다리 두드리기
돌다리 두드리기 √
3 무리식 2x−3의 값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답| x≥
2

무리식 2x−3의 값이 실수가 되려면
2x−3 ≥ 0
274 08. 무리함수
3
이어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x의 값의 범위는 x ≥ 이다.
2
정답 및 풀이 p.459

유제 01-1
절대부등식 p.127
이차부등식이 항상 성립할 조건 p.300

다음 무리식의 값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 √ √ √
(1) x−3+ 2x−1 (2) x+3+3 4−x

1 −1−x
(3) √ (4) √
−x +4x+12
2 x+5
√ √ √
(1) 무리식 x−3+ 2x−1의 값이 실수가 되려면 −1−x
(4) 무리식 √ 의 값이 실수가 되려면
1 x+5
x−3 ≥ 0, 2x−1 ≥ 0 ➭ x ≥ 3, x ≥ −1−x ≥ 0, x+5 > 0 ➭ x ≤ −1, x > −5
2
이어야 한다. 따라서 x의 값의 범위는 x ≥ 3이다. 이어야 한다. 따라서 x의 값의 범위는 −5 < x ≤ −1이다.
√ √
(2) 무리식 x+3+3 4−x의 값이 실수가 되려면 답 (1) x ≥ 3 (2) −3 ≤ x ≤ 4
x+3 ≥ 0, 4−x ≥ 0 ➭ x ≥ −3, x ≤ 4 (3) −2 < x < 6 (4) −5 < x ≤ −1
이어야 한다. 따라서 x의 값의 범위는 −3 ≤ x ≤ 4이다.
1
(3) 무리식 √ 의 값이 실수가 되려면
−x2 +4x+12
2
−x +4x+12 = −(x+2)(x−6) > 0 ➭ −2 < x < 6
이어야 한다. 따라서 x의 값의 범위는 −2 < x < 6이다.

유제 01-2
p
무리식 (k −1)x2 −2(k −1)x−k +3의 값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항상 실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k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p
무리식 (k −1)x2 −2(k −1)x−k +3의 값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항상 실수가
되려면 x에 대한 부등식
(k −1)x2 −2(k −1)x−k +3 ≥ 0
이 절대부등식이어야 한다.
(i) k = 1일 때, 2 ≥ 0이므로 성립한다.
(ii) k 6= 1일 때, k > 1이고 x에 대한 이차방정식
(k −1)x2 −2(k −1)x−k +3 = 0의 판별식을 D 라 하면
D
= (k −1)2 −(k −1)(−k +3) = 2(k −1)(k −2) ≤ 0
4
에서 실수 k 의 값의 범위는 1 < k ≤ 2이다.
(i), (ii)에 의하여 구하는 실수 k 의 값의 범위는 1 ≤ k ≤ 2이다.
답 1≤k≤2

이차부등식이 항상 성립할 조건 p.300


유제 01-3
이차부등식의 해 p.299
절댓값 기호를 1개 포함한 부등식의 풀이 p.284
p p
무리식 |x−1|−2+ 5−|x+1|의 값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p p
무리식 |x−1|−2+ 5−|x+1|의 값이 실수가 되려면 (i), (ii)에 의하여 구하는 x의 값의 범위는
|x−1|−2 ≥ 0, 5−|x+1| ≥ 0 −6 ≤ x ≤ −1 또는 3 ≤ x ≤ 4
이어야 한다. 이다.
(i) |x−1|−2 ≥ 0에서 |x−1| ≥ 2이므로 답 −6 ≤ x ≤ −1 또는 3 ≤ x ≤ 4
x−1 ≤ −2 또는 x−1 ≥ 2
이다. 따라서 구하는 x의 값의 범위는 x ≤ −1 또는 x ≥ 3이다.
(ii) 5−|x+1| ≥ 0에서 |x+1| ≤ 5이므로
−5 ≤ x+1 ≤ 5
이다. 따라서 구하는 x의 값의 범위는 −6 ≤ x ≤ 4이다.

08-1. 무리식 275


무리식의 계산

예제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q √ q √
1 1
02 (1) √ √ +√
x+1+ x

x+2+ x+1
(2) (x+ x2 )2 − (x− x2 )2

길잡이 (1) 분모에 무리식이 있을 때에는 분모를 유리화하여 간단히 계산한다.


(2) 근호 안에 제곱이 있는 경우에는
p
A2 = |A|
를 이용하여 절댓값으로 바꾸고, 절댓값 안의 값을 0으로 만드는 값으로 범위를
나누어 간단히 계산한다.

풀이
√ √ √ √
x+1− x x+2− x+1
분모의 유리화 p.273 (주어진 식) = √ √ √ √ + √ √ √ √
제곱근 p.273
( x+1+ x)( x+1− x) ( x+2+ x+1)( x+2− x+1)
√ √ √ √
무리식 p.272 x+1− x x+2− x+1
= +
절댓값과 부호 p.155 (x+1)−x (x+2)−(x+1)
√ √ √ √
x+1− x x+2− x+1
= +
1 1
√ √ √ √ √ √
= x+1− x+ x+2− x+1 = x+2− x

(i) x ≥ 0일 때 x2 = |x| = x이므로
p p p p
(주어진 식) = (x+|x|)2 − (x−|x|)2 = (x+x)2 − (x−x)2
p √
= (2x)2 − 0 = |2x| = 2x

(ii) x < 0일 때 x2 = |x| = −x이므로
p p p p
(주어진 식) = (x+|x|)2 − (x−|x|)2 = (x−x)2 − (x+x)2
√ p
= 0− (2x)2 = −|2x| = 2x
(i), (ii)에 의하여 구하는 식은 2x이다.

−|x| ≤ x ≤ |x|이므로 x+|x| ≥ 0, x−|x| ≤ 0이다. 따라서


p p
(주어진 식) = (x+|x|)2 − (x−|x|)2
= |x+|x||−|x−|x|| = x+|x|+x−|x| = 2x

√ √
정답 (1) x+2− x (2) 2x

돌다리 두드리기

돌다리 두드리기 1 1
2 무리식 √ −√ 을 간단히 하시오.
|답|
x−1 x+1
x−1
√ √
x+1 x−1
(주어진 식) = √ √ − √ √
276 08. 무리함수 ( x−1)( x+1) ( x+1)( x−1)
√ √ √ √
x+1 x−1 ( x+1)−( x−1) 2
= − = =
x−1 x−1 x−1 x−1
정답 및 풀이 p.459

유제 02-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 √
1 1 x−1 x+1
(1) √ × √ (2) √ +√
1+ x+1 1− x+1 x+1 x−1
√ √
(3) x2 −2x+1+ 4x2 +12x+9 (단, −1 < x < 1)
1
(1) (주어진 식) = √ √ (3) −1 < x < 1에서
q x−1 < 0, q
2x+3 > 0이므로
(1+ x+1)(1− x+1)
(주어진 식) = (x−1)2 + (2x+3)2
1 1 1
= √ = =−
1−( √x+1)2 1−(x+1) x = |x−1|+|2x+3|

( x−1)2 ( x+1)2 = −(x−1)+(2x+3) = x+4
(2) (주어진 식) = √ √ + √ √
( x+1)( x−1) ( x−1)( x+1) 1 2x+2
√ √ 답 (1) − (2) (3) x+4
x−2 x+1 x+2 x+1 x x−1
= +
x−1 x−1
√ √
(x−2 x+1)+(x+2 x+1) 2x+2
= =
x−1 x−1

유제 02-2 절댓값과 부호 p.155



x = 3일 때, 다음 무리식의 값을 구하시오.
√ √ √ √
x x x+1+ x−1
(1) √ +√ (2) √ √
x+1 x−1 x+1− x−1
√√ √ √ √ √
x( x−1) x( x+1) ( x+1+ x−1)2
(1) (주어진 식) = √ √ + √ √ (2) (주어진 식) = √ √ √ √
( x+1)( x−1) ( x−1)( x+1) ( x+1− x−1)( x+1+ x−1)
√ √ p
x− x x+ x 2x x+1+2 (x+1)(x−1)+x−1
= + = = √ √
x−1 x−1 x−1 ( x+1)2 −( x−1)2
√ √ √ √
2 3 2 3( 3+1) 2x+2 x2 −1
=√ = √ √ =
3−1 ( 3−1)( 3+1) (x+1)−(x−1)
√ √
2(3+ 3) √ 2x+2 x2 −1 p
= = 3+ 3 = = x+ x2 −1
3−1 2
√ q √ √ √
= 3+ ( 3)2 −1 = 3+ 2
√ √ √
답 (1) 3+ 3 (2) 3+ 2

유제 02-3 절댓값과 부호 p.155


√ √ √ √
√ √ x− y x+ y
x = 2+ 3, y = 2− 3일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x+ y x− y
√ √ √ √
( x− y)2 ( x+ y)2 x, y 에 대하여
(주어진 식) = √ √ √ √ + √ √ √ √ √ √ √ √ √
( x+ y)( x− y) ( x− y)( x+ y) x+y = (2+ 3)+(2− 3) = 4, x−y = (2+ 3)−(2− 3) = 2 3
√ √ √ √
x−2 x y +y x+2 x y +y 이므로 구하는 식의 값은 √
= + 2(x+y) 8 4 3
x−y x−y = √ =
√ √ √ √ x−y 2 3 3
(x−2 x y +y)+(x+2 x y +y)
= 이다.
x−y

2x+2y 2(x+y) 4 3
= = 답
x−y x−y 3

08-1. 무리식 277


무리함수의 뜻

함수 y = f (x)에서 f (x)가 x에 대한 무리식일 때, 이 함수를 무리함수라 한다. 예를 들어,



√ √ 2x−3 2
y = x+5, y = 1−x ,
2 y= , y= √
4 x
는 모두 무리함수이다.

무리함수에서 정의역이 따로 주어져있지 않은 경우에는 함숫값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한다. 따라서 무리식p.272의 정의에 의하여
(분모)6= 0 조건
(근호 안의 식의 값) ≥ 0, (분모) 6= 0
분모를 0으로 하는 원소는 정의역에서
제외한다. 이 되도록 하는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한다.

정의 무리함수
하 8.4
• f (x)가 x에 대한 무리식일 때, y = f (x)는 무리함수이다.
• 무리함수는 근호 안의 식의 값이 0 이상, 분모가 0이 되지 않도록 하는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한다.


서로 같은 함수 예시 1. 함수 y = 1−x2 의 정의역은 {x | −1 ≤ x ≤ 1}이다.
√ x √
두 함수 y = x, y = √ 는 정의역이 2. 함수 y = x2 +1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x √

다르기 때문에 서로 같은 함수 p.167 가 3. 함수 y = x의 정의역은 {x | x ≥ 0}이다.
x
아니다. 4. 함수 y = √ 의 정의역은 {x | x > 0}이다.
x

보기 8.4 다음 함수의 정의역을 구하시오.


√ 1 √
(1) y = x+5 (2) y = √ (3) y = 1−x
2x+4

보기 정답

8.4 (1) {x | x ≥ 0} (2) {x | x > −2}


(3) {x | x ≤ 1}

278 08. 무리함수


무리함수의 그래프


함수 y = x의 그래프

√ 1
함수 y =x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처럼 대응하는 x, y 의 순서쌍 (x, y)를 좌표로
x
하는 점들을 부드러운 곡선으로 연결하여 그릴 수 있지만, 역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면 보다
쉽게 그릴 수 있다.

√ 하
함수 y = x는 정의역이 {x | x ≥ 0}, 치역이 {y | y ≥ 0}인 일대일함수 p.178 이다. 이때 함수 y
√ 하
y = x2 (x $ 0)
y = x의 공역을 치역으로 제한하면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p.208가 존재한다. 역함수를 구하 y=x

기 위해 y = x를 x에 대하여 정리하면 y= x

x = y2 1

이고, x와 y 를 서로 바꾸면
O 1 x
y = x2

√ 그림 8.1. y = x2 (x ≥ 0)과 y = x의 그
이다. 이때 역함수 y = x2 의 정의역은 {x | x ≥ 0}이다. 따라서 함수 y = x의 그래프는 역함수 래프
y = x2 (x ≥ 0)의 그래프와 직선 y = x에 대하여 대칭인 곡선이다.
y
√ y = -x y= x

함수 y = x의 그래프를 x축, y 축,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p.456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y 축 대칭: x에 −x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y = −x의 그래프이다.

• x축 대칭: y 에 −y 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y = − x의 그래프이다. O x

• 원점 대칭: x에 −x, y 에 −y 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y = − −x의 그래프이다.

y =- - x y =- x
위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8.2. 함수 y = x의 그래프의 대칭이
함수 정의역 치역 그래프 개형 동

y= x {x | x ≥ 0} {y | y ≥ 0}

y = −x {x | x ≤ 0} {y | y ≥ 0}

y=− x {x | x ≥ 0} {y | y ≤ 0}

y = − −x {x | x ≤ 0} {y | y ≤ 0}


예시 함수 y = −x는 정의역이 {x | x ≤ 0}, 치역이 {y | y ≥ 0}인 일대일함수이다. 이때 y
√ y=x
함수 y = −x의 공역을 치역으로 제한하면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
√ y = -x
역함수를 구하기 위해 y = −x을 x에 대하여 정리하면
−x = y 2 O x
이고, x와 y 를 서로 바꾸면
y = −x2

이다. 이때 역함수 y = −x2 의 정의역은 {x | x ≥ 0}이다. 따라서 함수 y = −x의 y = -x2 (x $ 0)
2
그래프는 역함수 y = −x (x ≥ 0)의 그래프와 직선 y = x에 대하여 대칭인 곡선이다. √
그림 8.3. y = −x2 (x ≥ 0)과 y = −x
의 그래프

08-2. 무리함수 279



함수 y = ± ax (a 6= 0)의 그래프
y
y=x √ x2
y = ax
a 6= 0일 때, y = ax는 함수 y = (x ≥ 0)의 역함수임을 알 수 있다. 즉, 이 두 함수의 그래
a<0 a>0 a √
프는 직선 y = 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함수 y = ax (a 6= 0)의 그래프를 a의 값의 부호에 따라
O x2 x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a

a>0 y a<0 y
√ x2
그림 8.4. y = ax와 y = 의 그래프 a y = ax y = ax -a
a

O 1 x -1 O x

√ √
함수 y = − ax의 그래프는 함수 y = ax의 그래프와 x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함수

y = ax (a 6= 0)의 그래프를 a의 값의 부호에 따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0 y a<0 y
1 -1 O
O x x

- a y = - ax y = - ax - -a


함수 y = ± ax의 그래프를 a의 값에 따라 나타내면
y y
a = -3 a=3 -1 O 1
a = -2 a=2 x
a = -1 a=1
1
a = -1 -1 a=1
a = -2 a=2
-1 O 1 x a = -3 a=3

[무리함수 y = ax (a≠ 0)의 그래프] [무리함수 y =- ax (a ≠0)의 그래프]

와 같이 |a|의 값이 커질수록 x축에서 멀어진다.


포인트 함수 y = ± ax (a 6= 0)의 그래프
하 8.5 √
1. 함수 y = ax에 대하여
• 정의역은 a > 0일 때 {x | x ≥ 0}, a < 0일 때 {x | x ≤ 0}이다.
• 치역은 {y | y ≥ 0}이다.

2. 함수 y = − ax에 대하여
• 정의역은 a > 0일 때 {x | x ≥ 0}, a < 0일 때 {x | x ≤ 0}이다.
• 치역은 {y | y ≤ 0}이다.
3. |a|의 값이 커질수록 그래프는 x축에서 멀어진다.

280 08. 무리함수


p
함수 y = ± a(x−p)+q (a 6= 0)의 그래프

p √
함수 y = a(x−p)+q (a 6= 0)의 그래프는 함수 y = 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
큼, y 축의 방향으로 q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a>0 y y = a (x - p) + q y = a (x - p ) + q y a<0

y = ax
q y = ax q

O p x O p x

p
따라서 평행이동의 성질을 이용하면 함수 y = a(x−p)+q 는 다음의 성질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 정의역은 a > 0이면 {x | x ≥ p}, a < 0이면 {x | x ≤ p}이다.
• 치역은 {y | y ≥ q}이다.

p √
마찬가지로 함수 y = − a(x−p)+q (a 6= 0)의 그래프는 함수 y = − ax의 그래프를 x축
의 방향으로 p만큼, y 축의 방향으로 q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a>0 y y a<0
y = - a (x - p ) + q
q q
O
O p x y = - a (x - p) + q p x

y = - ax
y = - ax

p
따라서 평행이동의 성질을 이용하면 함수 y = − a(x−p)+q 는 다음의 성질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 정의역은 a > 0이면 {x | x ≥ p}, a < 0이면 {x | x ≤ p}이다.
• 치역은 {y | y ≤ q}이다.

p
포인트 함수 y = ± a(x−p)+q (a 6= 0)의 그래프
하 8.6 √
1. 함수 y = ± 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 축의 방향으로
q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p
2. 함수 y = a(x−p)+q 에 대하여
• 정의역은 a > 0일 때 {x | x ≥ p}, a < 0일 때 {x | x ≤ p}이다.
• 치역은 {y | y ≥ q}이다.
p
3. 함수 y = − a(x−p)+q 에 대하여
• 정의역은 a > 0일 때 {x | x ≥ p}, a < 0일 때 {x | x ≤ p}이다.
• 치역은 {y | y ≤ q}이다.

08-2. 무리함수 281


y p √
예시 1. 함수 y =−(x−2)+1의 그래프는 함수 y = −x의 그래프를 x축의
1+ 2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y = - (x - 2) + 1
2 • 정의역은 {x | x ≤ 2}이다.
1 • 치역은 {y | y ≥ 1}이다.
p √
2. 함수 y = − 2(x+2)+2의 그래프는 함수 y = − 2x의 그래프를 x축의
-2 O 2 x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 정의역은 {x | x ≥ −2}이다.
y =- 2 (x + 2) + 2 • 치역은 {y | y ≤ 2}이다.
p
그림 8.5. 함수 y = −(x−2)+1과
p
y=− 2(x+1)+2의 그래프

함수 y = ± ax+b+c (a 6= 0)의 그래프

함수 y = ax+b+c (a 6= 0)에서 근호 안의 식을 x의 계수 a로 묶으면
s  
√ b
ax+b+c = a x+ +c · · · (8.2.1)
a
이다. 이때,
b
p=− , q=c
a
√ p
라 하면, 함수 y = ax+b+c는 y = a(x−p)+q 의 꼴로 변형할 수 있다.

√ p
마찬가지 방법으로 함수 y = − ax+b+c는 y = − a(x−p)+q 의 꼴로 변형할 수 있다.


포인트 함수 y = ± ax+b+c (a 6= 0)의 그래프
하 8.7 √
함수 y = ± ax+b+c의 그래프는
p
y=± a(x−p)+q
의 꼴로 변형하여 나타낸다.


예시 함수 y = 5x+1+4는
s  
√ 1
y = 5x+1+4 = 5 x+ +4
5
√ √
이므로, 함수 y = 5x+1+4의 그래프는 함수 y = 5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
1
로 − 만큼, y 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5  
1
• 정의역은 x x ≥ − 이다.
5
• 치역은 {y | y ≥ 4}이다.

보기 8.5 다음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을 구하시오.


√ √
(1) y = 2x+4−1 (2) y = 6−3x+2
보기 정답

8.5 (1) 정의역: {x | x ≥ −2},


치역: {y | y ≥ −1}
(2) 정의역: {x | x ≤ 2},
치역: {y | y ≥ 2}

282 08. 무리함수


무리함수의 역함수

식 (8.2.1)으로부터 함수 f (x) =
ax+b+c (a 6= 0)의 정의역과 치역은 각각
   
b b
정의역: a > 0일 때 x x ≥ − , a < 0일 때 x x ≤ −
a a
치역: {y | y ≥ c인 실수}

이다. 이때, 일대일함수인 f 의 공역을 실수 전체의 집합이 아니라 치역과 같은 집합으로 제한



하면 함수 y = f (x)는 일대일대응p.179이 된다. 즉, 역함수가 존재한다.



이제 역함수를 구하는 법p.212에 따라 함수 y = ax+b+c (a 6= 0)의 역함수를 구해 보자.
먼저 c를 좌변으로 이항하고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y −c = ax+b ➭ (y −c)2 = ax+b

이고, a 6= 0이므로 x에 대하여 정리하면


1 b
x = (y −c)2 −
a a
이다. 이제 x와 y 를 서로 바꾸면
1 b
y = (x−c)2 −
a a

이다. 따라서 함수 f (x) = ax+b+c (a 6= 0)의 역함수를 f −1 이라 하면
1 b
f −1 (x) = (x−c)2 −
a a
이다. 또한 역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은 각각

정의역: {x | x ≥ c인 실수}
   
b b
치역: a > 0일 때 y y ≥ − , a < 0일 때 y y ≤ −
a a
이다.

예시 함수 y = x+1−2의 정의역과 치역은 각각
정의역: {x | x ≥ −1}, 치역: {y | y ≥ −2}
이다. 주어진 함수를 x에 대하여 정리하면
(y +2)2 = x+1 ➭ x = (y +2)2 −1
이고, x와 y 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다음과 같다.
y = (x+2)2 −1 (x ≥ −2)

보기 8.6 다음 함수의 역함수를 구하시오.


√ √
(1) y = 2−x+1 (2) y = − x+2

보기 정답

8.6 (1) y = −(x−1)2 +2 (x ≥ 1)


(2) y = (x−2)2 (x ≤ 2)

08-2. 무리함수 283


무리함수의 그래프

예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03 (1) 함수 y = −2x+4+3의 그래프를 그리고 정의역과 치역을 각각 구하시오.

(2) 함수 y = − 3x+9+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 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하였을 때, 함수 y = − cx의 그래프와 겹쳐진다. 세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길잡이 함수 y = ± ax+b+c를
p
y=± a(x−p)+q (a 6= 0)

의 꼴로 변형하였을 때, 이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 = ± 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 축의 방향으로 q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함수 y = ± ax+b+c
의 그래프를 그려 정의역과 치역을 알 수 있다.

풀이
√ √
함수 y = ± ax+b+c (a 6= 0)의 그래프
무리함수 y = −2x+4+3에 대하여 y
p.282
p √ p
y = - 2x + 4 + 3
함수 y = ± a(x−p)+q (a 6= 0)의 그래 y = −2x+4+3 = −2(x−2)+3
프 p.281 √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 = −2x의 그래프를
무리함수 p.278 5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다.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구하는 함수의 3
도형의 평행이동 p.451 y = - 2x
정의역과 치역은
정의역 : {x | x ≤ 2}, 치역 : {y | y ≥ 3} O 2 x

이다.

함수 y = − 3x+9+1에 대하여 y
√ p 1
y = − 3x+9+1 = −
3(x+3)+1
√ -3 O x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 = − 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2 y =- 3x

그래프이다. 따라서 함수 y = − 3x+9+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함수 y = - 3x + 9 + 1

y = − 3x의 그래프와 겹치므로 a = 3, b = −1, c = 3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a+b+c = 3−1+3 = 5이다.

정답 (1) 풀이 참조 (2) 5

돌다리 두드리기
|답| y
y = 2x + 4 - 4
-2
O 6 x
-2
-4 돌다리 두드리기
정의역 : {x | x ≥ −2} √
함수 y = 2x+4−4의 그래프를 그리고 정의역과 치역을 각각 구하시오.
치역 : {y | y ≥ −4}
√ p √
y = 2x+4−4 = 2(x+2)−4에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 = 2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따라서 함수의
284 08. 무리함수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구하는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은
정의역 : {x | x ≥ −2}, 치역 : {y | y ≥ −4}
이다.
정답 및 풀이 p.460

유제 03-1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함수 y = x+4+1의 그래프를 그리고 정의역과 치역을 각각 구하시오.

(2) 함수 y = − 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b만큼, y 축의 방향으로 c만큼

평행이동하였을 때, 함수 y = − −3x+6+4의 그래프와 겹쳐진다. 세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 √ √
(1) 함수 y = x+4+1의 그래프는 함수 y = x의 y (2) 함수 y = − −3x+6+4에 대하여 y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 축의 방향으로 y = x+4+1 √ q
4
y = − −3x+6+4 = − −3(x−2)+4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는 √ y =- - 3x + 6 + 4
오른쪽 그림과 같고 구하는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은 3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 = − −3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 O 2x
정의역 : {x | x ≥ −4}, 치역 : {y | y ≥ 1} 1 y= x
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고 오른쪽 그림과
이다.
O x 같다. 따라서 a = −3, b = 2, c = 4이므로 구하는 y =- - 3x
-4
값은 a+b+c = −3+2+4 = 3이다.

답 (1) 풀이 참조 (2) 3

유제 03-2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도형의 대칭이동 p.456

함수 y = 2−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후, y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함수의 식이 y = a bx+c+d일 때, 네 상수 a, b, c, d에 대하
여 a+b+c+d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 1)
√ y
함수 y = 2−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 y = - 2x - 2 + 4
동하면 q 대칭이동
y −4 = 2−2(x+2)
평행이동 y = 2x - 2 + 4

에서 y = −2x−2+4이다. 이 함수를 y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4
q √
y = −2(−x)−2+4 = 2x−2+4
y = 2 - 2x
이다.
O
-1 1 x

따라서 a = 1, b = 2, c = −2, d = 4이므로 구하는 값은


a+b+c+d = 1+2+(−2)+4 = 5
이다.
답 5

유제 03-3 도형의 평행이동 p.451



함수 y = − a−2x+b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고 정의역이 {x | x ≤ 2}일 때, a2 +b2 의
값을 구하시오.

함수 y = − a−2x+b에 대하여 y
s  
√ a
y = − a−2x+b = − −2 x− +b 3
2
  1
a a
이므로 정의역은 x | x ≤ 이다. 즉, = 2에서 O 2 x
2 2
a = 4이다. 따라서 주어진 함수는 y =- 4 - 2x + 3

y = − 4−2x+b
이고 점 (0, 1)을 지나므로 함수에 대입하면

1 = − 4+b ➭ 1 = −2+b
에서 b = 3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a2 +b2 = 42 +32 = 25이다.
답 25

08-2. 무리함수 285


그래프를 이용하여 무리함수의 식y 구하기
y = ax + b + c
예제 7

04 함수 y = ax+b+c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3
때, 세 상수 a, b, c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4 O 4 x


길잡이 함수 y = 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 축의 방향으로 q 만큼 평행이동한 함
수의 식은 p
y= a(x−p)+q (단, a 6= 0)

이다. 이 식에 그래프가 지나는 점의 좌표를 대입하여 a의 값을 구한다.

풀이

도형의 평행이동 p.451 무리함수의 평행이동을 이용하여 함수의 식을 세운다.



주어진 그래프는 함수 y = 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 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의 식을
p
y= a(x−4)+3 ···㉠

으로 놓을 수 있다.
p 함수의 그래프가 지나는 점을 이용하여 a의 값을 구한다.
함수 y = ± a(x−p)+q (a 6= 0)의 그래 p
프 p.281 주어진 그래프에서 함수 y = a(x−4)+3이 점 (−4, 7)을 지나므로 함수의 식에 대입하면
√ √
7 = −8a+3 ➭ −8a = 4
에서 −8a = 16이므로 a = −2이다.
√ ㉠에 a의 값을 대입하여 무리함수의 식을 구한다.
함수 y = ± ax+b+c (a 6= 0)의 그래프
p.282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는 함수
p √
y= −2(x−4)+3 = −2x+8+3
이므로 구하는 세 상수 a, b, c의 값은 a = −2, b = 8, c = 3이다.

정답 a = −2, b = 8, c = 3

돌다리 두드리기 y
√ y = ax + b + c
함수 y = ax+b+c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세 -12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O x
돌다리 두드리기 -6
|답| 33

주어진 그래프는 함수 y = 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에서 12a = 36이므로 a = 3이다.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는 함수
−6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의 식을 q √
286 y = 3(x+12)−6 = 3x+36−6
q
08. 무리함수
y= a(x+12)−6
이므로 세 상수 a, b, c는 a = 3, b = 36, c = −6이므로 구하는 값은 다음과 같다.
으로 놓을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가 원점 (0, 0)을 지나므로 함수의 식에 대입하면
√ √ a+b+c = 3+36+(−6) = 33
0= 12a−6 ➭ 12a = 6
정답 및 풀이 p.460

유제 04-1
√ y
함수 y = a −x+b+c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2
세 상수 a, b, c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O 9 x

-4 y = a -x + b + c

주어진 그래프는 함수 y = a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9만큼,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의 식을
q √
y=a −(x−9)+2 = a −x+9+2
으로 놓을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가 점 (0, −4)를 지나므로 함수의 식에 대입하면

−4 = a 9+2 ➭ 3a = −6
에서 a = −2이다.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는 함수

y = −2 −x+9+2
이므로 세 상수 a, b, c는 a = −2, b = 9, c = 2이다.
답 a = −2, b = 9, c = 2

유제 04-2
√ y
함수 y = − k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 축의
5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O 13
세 상수 k, a, b에 대하여 k +a+b의 값을 구하시오. -7 x
-5

주어진 그래프는 함수 y = − k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7만큼, y 축의 방향으
로 5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의 식을
q
y=− k(x+7)+5
으로 놓을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가 점 (13, −5)를 지나므로 함수의 식에 대입하면
√ √
−5 = − 20k +5 ➭ 20k = 10
에서 20k = 100이므로 k = 5이다. 따라서 세 상수 k, a, b의 값은 k = 5,
a = −7, b = 5이고 구하는 값은 k +a+b = 5−7+5 = 3이다.
답 3

ax+b
유제 04-3 함수 y =
cx+d
(c 6= 0, ad−bc 6= 0)의 그래프 p.252

√ y
함수 y = ax+b+c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2
cx+1 O 14 x
함수 y = 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ax+b
y = ax + b + c
(단, a, b, c는 상수이다.)
-6
√ cx+1 −6x+1 11 11
주어진 그래프는 함수 y = 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y= = =− −2 = − −2
−6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의 식을 ax+b 3x−6 3x−6 3(x−2)
q 이다. 따라서 구하는 함수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2, y = −2이다.
y = a(x−2)−6
답 x = 2, y = −2
으로 놓을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가 점 (14, 0)을 지나므로 함수의 식에 대입하면
√ √
0= 12a−6 ➭ 12a = 6
에서 12a = 36이므로 a = 3이다.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는 함수
q √
y= 3(x−2)−6 = 3x−6−6
cx+1
이므로 세 상수 a, b, c는 a = 3, b = −6, c = −6이고 유리함수 y = 은
ax+b

08-2. 무리함수 287


무리함수의 최대, 최소

예제 √
a ≤ x ≤ 1에서 함수 y = 2 −x+2+3의 최솟값이 m, 최댓값이 9이다. 상수
05 a, m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길잡이 x의 값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을 때, 무리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주어진 x의 값의 범위


p
에서 그래프를 그려 구한다. 한편 무리함수 y = a(x−p)+q 의 성질
• a > 0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 의 값이 증가한다.
• a < 0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 의 값이 감소한다.
를 이용하면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주어진 범위의 양 끝값에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풀이
√ 함수의 그래프를 그린다.
함수 y = ± ax+b+c (a 6= 0)의 그래프
y
p.282 주어진 함수의 식을 변형하면
√ p 9
y = 2 −x+2+3 = 2 −(x−2)+3

이므로 함수 y = 2 −x의 그래프를 x축으로 2만큼, y 축으로 3만큼 5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면 그림과 같다. 3

-7 O 12 x
p 주어진 범위에서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한다.
함수 y = ± a(x−p)+q (a 6= 0)의 그래
프 p.281 (i) x = 1일 때, 최솟값 m을 가지므로

m = 2 −1+2+3 = 2+3 = 5
에서 m = 5이다.
(ii) x = a일 때, 최댓값 9를 가지므로
√ √
9 = 2 −a+2+3 ➭ 3 = −a+2
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9 = −a+2이므로 a = −7이다.
(i), (ii)에 의하여 a = −7, m = 5이다.

정답 a = −7, m = 5

돌다리 두드리기

a ≤ x ≤ 6에서 함수 y = x−2의 최솟값이 1, 최댓값이 M 이다. 상수 a, M 에 대하여
돌다리 두드리기
|답| 5 a+M 의 값을 구하시오.
√ √ √
함수 y = x−2의 그래프는 함수 y = x를 x축으로 y M= 6−2 = 2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288 08. 무리함수 같다. 이때, x = a일 때 최솟값 1을 가지므로 2 a+M = 3+2 = 5
√ 1
1 = a−2 이다.
에서 a = 3이고, x = 6일 때 최댓값 M 을 가지므로 O 2a 6 x
정답 및 풀이 p.461

유제 05-1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정의역이 {x | −16 ≤ x ≤ 0}일 때, 함수 y = 5− −2x+4의 최솟값과 최댓값의 합을
구하시오.
주어진 함수의 식을 변형하면
√ q
y = 5− −2x+4 = − −2(x−2)+5

이므로 함수 y = − −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 2만큼, y 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16 ≤ x ≤ 0에서 함수 y = 5− −2x+4의 그래프를 그리면
그림과 같다.
y
5
3
-16 O
2 x
-1
p
(i) x = −16일 때 최솟값은 5−
√ −2·(−16)+4 = 5−6 = −1이다.
(ii) x = 0일 때 최댓값은 5− −2·0+4 = 5−2 = 3이다.
따라서 최솟값과 최댓값의 합은 −1+3 = 2이다.
답 2

유제 05-2

0 ≤ x ≤ 4에서 함수 f (x) = − 3x+4+k 의 최댓값이 −1이다. 함수 f (x)의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k −m의 값을 구하시오. (단, k 는 상수이다.)
주어진 함수의 식을 변형하면 (i) x = 0일 때 최댓값 −1을 가지므로
s   √
√ 4 f (0) = − 4+k = −2+k −1
f (x) = − 3x+4+k = − 3 x+ +k
3 에서 k = 1이므로 구하는 함수는

√ 4 f (x) = − 3x+4+1 ···㉠
이므로 함수 y = − 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y 축의 방향으로 k 만큼
3 이다.
평행이동한 것이다. 0 ≤ x ≤ 4에서 함수 y = f (x)의 그래프를 그리면 그림과 같다. (ii) x = 4일 때 최솟값 m을 가지므로 ㉠에 x = 4를 대입하면

y f (4) = − 3·4+4+1 = −4+1 = −3
k 이므로 m = −3이다.
O 4 (i), (ii)에 의하여 구하는 값은 k −m = 1−(−3) = 4이다.
4 x
-3 답 4
-1

유제 05-3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정의역이 {x | 3 ≤ x ≤ k}일 때, 함수 y = ax+3+2의 치역이 {y | 5 ≤ y ≤ 7}이다.
상수 a, k 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단, a > 0)
주어진 함수의 식을 변형하면 (i) x = 3일 때 최솟값 5를 가지므로
s   √
√ 3 3a+3+2 = 5 ➭ a = 2
y = ax+3+2 = a x+ +2
a 에서 구하는 함수는 √
y= 2x+3+2 ···㉠
√ 3
이므로 함수 y = ax (a > 0)의 그래프를 x축으로 − 만큼, y 축으로 2만큼 평행이
a (ii) x = k 일 때 최댓값 7을 가지므로 ㉠에 x = k 를 대입하면
√ √ √
동한 것이다. 3 ≤ x ≤ k 에서 함수 y = ax+3+2의 그래프를 그리면 그림과 같다. 7 = 2k +3+2 ➭ 2k +3 = 5
y 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2k +3 = 25이므로 k = 11이다.
(i), (ii)에 의하여 a = 2, k = 11이다.
7 답 a = 2, k = 11
5

3 O 3 k x
-a

08-2. 무리함수 289


무리함수의 역함수와 그래프의 교점

예제 무리함수 f (x) = 3x+1−1에 대하여 그 역함수를 y = g(x)라 할 때, 다음

06 물음에 답하시오.
(1) y = g(x)의 정의역과 치역을 구하시오.
(2) y = f (x)의 그래프와 y = g(x)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를 모두 구하시오.

길잡이 함수 y = f (x)가 x의 값이 증가할 때 y 의 값도 증가하는 경우에는 함수 y = f (x)와


그 역함수 y = f −1 (x)의 그래프의 교점은 모두 직선 y = x 위에 있다. 따라서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 = x의 교점
만 구하면 두 함수 y = f (x), y = f −1 (x)의 그래프의 모든 교점을 찾을 수 있다.

풀이

√ 무리함수 y = 3x+1−1에 대하여
함수 y = ± ax+b+c (a 6= 0)의 그래프
s 
p.282 
√ 1 1
역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p.213 y = 3x+1−1 = 3 x+ −1 ➭ x ≥ − , y ≥ −1
3 3
역함수를 구하는 법 p.212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이고, y +1 = 3x+1의 양변을 제곱하면
인수분해를 통한 풀이 p.156 1 1
(y +1)2 = 3x+1 ➭ x = (y +1)2 −
3 3
이다. 이때, x와 y 를 바꾸면 역함수는
1 1
y = (x+1)2 − (x ≥ −1)
3
 3

1
이고, 정의역은 {x | x ≥ −1}, 치역은 y y ≥ − 이다.
3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 = g(x)의 그래프의 교점은 함수 y = f (x)의


√ √
그래프와 직선 y = x의 교점과 같다. 3x+1−1 = x에서 3x+1 = x+1이므로
2
3x+1 = (x+1) ➭ x(x−1) = 0
이다. 따라서 x = 0 또는 x = 1이고, 구하는 교점의 좌표는 (0, 0), (1, 1)이다.

 
1
정답 (1) 정의역 : {x | x ≥ −1}, 치역 : y y≥− (2) (0, 0), (1, 1)
3

돌다리 두드리기

돌다리 두드리기
무리함수 f (x) = x+1−1과 그 역함수 y = g(x)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답| (1) 정의역 : {x | x ≥ −1} (1) y = g(x)의 정의역과 치역을 구하시오.
치역 : {y | y ≥ −1} (2) y = f (x)의 그래프와 y = g(x)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를 모두 구하시오.
(2) (−1, −1), (0, 0)
√ √
(1) y = x+1−1에서 x ≥ −1, y ≥ −1이고, y +1 = x+1의 양변을 이때, 정의역은 {x | x ≥ −1}, 치역은 {y | y ≥ −1}이다.
√ √
제곱하면 (2) x+1−1 = x에서 x+1 = x+1이므로
290 08. 무리함수 2 2
(y +1) = x+1 ➭ x = y +2y 2
x+1 = (x+1) ➭ x(x+1) = 0
이다. 이때, x와 y 를 바꾸면 역함수는 이다. 따라서 x = −1 또는 x = 0이고, 구하는 교점의 좌표는 (−1, −1), (0, 0)
2
y = x +2x (x ≥ −1) 이다.
정답 및 풀이 p.462

역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p.213


유제 06-1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인수분해를 통한 풀이 p.156

y = x−3+1의 역함수가 y = x2 +ax+b (x ≥ c)일 때,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 √
y= x−3+1에서 x ≥ 3, y ≥ 1이고, y −1 = x−3의 양변을 제곱하면
(y −1)2 = x−3 ➭ x = y 2 −2y +4
이다. 이때, x와 y 를 바꾸면 역함수는
y = x2 −2x+4 (x ≥ 1)
이다. 따라서 a = −2, b = 4, c = 1이므로 구하는 값은 −2+4+1 = 3이다.
답 3

역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p.213


역함수를 구하는 법 p.212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p.166
유제 06-2
인수분해를 통한 풀이 p.156
합성함수의 역함수 p.211

x > 1에서 정의된 두 함수


x+2 √
, g(x) = 3x−2
f (x) =
x−1
에 대하여 (f ◦(g ◦f )−1 ◦f )(2)의 값을 구하시오.
f ◦(g ◦f )−1 ◦f = f ◦f −1 ◦g −1 ◦f = g −1 ◦f 이므로
(f ◦(g ◦f )−1 ◦f )(2) = (g −1 ◦f )(2) = g −1 (4)
g (4) = k라 하면 g(k) = 4이므로
−1

3k −2 = 4 ➭ k = 6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6이다.
답 6

유제 06-3
역함수를 구하는 법 p.21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p.170

함수 f (x) = 3x+2−1에 대하여 함수 g(x)가 (f ◦g)(x) = x를 만족시킬 때,
방정식 f (x) = g(x)의 모든 근의 합을 구하시오.
두 함수 f (x), g(x)에 대하여 (f ◦g)(x) = x에서 y y=x
g(x) = f −1 (x)이므로 g(x)는 함수 f (x)의 역함수
이다. 따라서 두 함수의 그래프는 y = x에 대하여 대칭 y = g(x)
이다. 두 함수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오 y = f (x)
른쪽 √그림과 같다. 방정식 f (x) = g(x)의 근은 함수
y = 3x+2−1의 √ 그래프와 직선 y = x의 교점의
x좌표와 같으므로 3x+2 = x+1에서 양변을 제곱하
O x

3x+2 = (x+1)2 ➭ x2 −x−1 = 0
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x2 −x−1 = 0의 두 근의
합은 1이다.
답 1

08-2. 무리함수 291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y
위치 관계

예제 함수 y = ax+b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 3
07 때, 두 함수 y = ax+b, y = x+k 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 의 값의 범위를
y = ax + b

-3 O x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이다.)

길잡이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는 그래프를 그려서 확인한다. 직선 y = x+k 는


기울기가 일정하므로 y 절편 k 의 값에 따라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가 정해
진다.

풀이
p 주어진 그래프를 이용하여 무리함수의 식을 구한다.
함수 y = ± a(x−p)+q (a 6= 0)의 그래

프 p.281 주어진 그래프는 함수 y = 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
p
수의 식을 y = a(x+3)으로 놓을 수 있다. 그래프에서 점 (0, 3)을 지나므로 식에 대입하면

3 = 3a에서 3a = 9이므로 a = 3이다. 따라서 무리함수의 식은
p √
y = 3(x+3) = 3x+9
이다.
√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를 그래프를 그려서 확인한다.
함수 y = ± ax+b+c (a 6= 0)의 그래프 y
√ (i) (ii)
p.282 두 함수 y = 3x+9와 y = x+k의 그래프를 그려서 위치 관계를
한 점과 기울기가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 y = x+k
확인해보면 두 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는 경우 y = 3x + 9
p.379
3
는 직선 y = x+k 가 (i)과 (ii) 사이에 있을 때이다.

-3 O x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p.166 두 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 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 √
(i) 직선 y = x+k 와 함수 y = 3x+9의 그래프가 접하므로 x+k = 3x+9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k)2 = 3x+9 ➭ x2 +(2k −3)x+k2 −9 = 0
이다. 이차방정식 x2 +(2k −3)x+k 2 −9 = 0의 판별식을 D 라 하면
D = (2k −3)2 −4(k2 −9) = −12k +45 = 0
15
에서 실수 k 의 값은 k = 이다.
4
(ii) 직선 y = x+k 가 점 (−3, 0)을 지나므로 점을 직선에 대입하면 0 = −3+k 에서 실수 k 의
값은 3이다.
(i), (ii)에 의하여 두 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 의 값의
15
범위는 3 ≤ k < 이다.
4

15
정답 3≤k<
4

돌다리 두드리기

두 함수 y = 2x+3, y = x+k 의 그래프가 서로 만나지 않도록 하는 실수 k 의 값의
돌다리 두드리기
|답| k>2 범위를 구하시오.

두 함수 y = 2x+3, y = x+k의 그래프를 그려 y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 라 하면
서 위치 관계를 확인해보면 √ 오른쪽 그림과 같다. 직선 y = x+k D 2 2
292 08. 무리함수 y = x+k와√함수 y = 2x+3의 그래프가 접할 y = 2x + 3 = (k −1) −(k −3) = −2k +4 = 0
4
때 x+k = 2x+3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에서 실수 k의 값은 k = 2이다. 따라서 두 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만나지 않도록 하는 실수
x2 +(2k −2)x+k2 −3 = 0이다. x k의 값의 범위는 k > 2이다.
O
정답 및 풀이 p.462

유제 07-1

두 함수 y = −2x+5, y = −x+k 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두 함수 y = −2x+5, y = −x+k 의 그래프를 그 (i) (ii) y (i), (ii)에 의하여 두 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 의 값의
려서 위치 관계를 확인해보면 두 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5
y =- x + k 범위는 ≤ k < 3이다.
다른 두 점에서 만나는 경우는 직선 y = −x+k 가 (i)과 2
(ii) 사이에 있을 때이다. y = - 2x + 5 5
  답 ≤k<3
5 2
(i) 직선 y = −x+k 가 점 , 0 을 지나므로 점을 5
2 O x
2
5 5
직선에 대입하면 0 = − +k 에서 실수 k 의 값은 이다.
2 √ 2
(ii) 직선 y = −x+k
√ 와 함수 y = −2x+5의 그래프가 접하므로
−x+k = −2x+5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k)2 = −2x+5 ➭ x2 −2(k −1)x+k2 −5 = 0
이다.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2 −2(k −1)x+k 2 −5 = 0의 판별식을 D 라 하면
D
= (k −1)2 −(k2 −5) = −2k +6 = 0
4
에서 실수 k 의 값은 k = 3이다.

유제 07-2
합집합과 교집합 p.46
집합의 원소의 개수 p.15

두 집합 A = {(x, y) | y = x+1}, B = {(x, y) | y = x+k}에 대하여 n(A∩B) = 1일 때,
실수 k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y (i) (ii)
두 집합 √ A, B 에 대하여 n(A∩B) = 1이므로 두 함수 (i), (ii)에 의하여 두 함수의 그래프가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 의 값의 범위는
y = x+1, y = x+k는 한 점에서 만난다. 두 함수의 y = x + k 5
그래프를 그려서 위치 관계를 확인해보면 두 함수의 그 k= 또는 k < 1이다.
1 y = x+1 4
래프가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는 직선 y = x+k 가 (i)일 5
답 k= 또는 k < 1
때와 (ii)보다 아래에 있을 때이다. √ 4
(i) 직선 y = x+k 와 √
함수 y = x+1의 그래프가 -1 O x
접하므로 x+k = x+1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k)2 = x+1 ➭ x2 +(2k −1)x+k2 −1 = 0
이다.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2 +(2k −1)x+k 2 −1 = 0의 판별식을 D 라 하면
D = (2k −1)2 −4(k2 −1) = −4k +5 = 0
5
에서 실수 k 의 값은 k = 이다.
4
(ii) 직선 y = x+k 가 점 (−1, 0)을 지나므로 점을 직선에 대입하면 0 = −1+k 에서
실수 k 의 값은 1이다.

유제 07-3 m의 값에 관계없이 지나는 점 p.381



두 함수 y = 3x−5, y = mx+2가 만나도록 하는 실수 m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직선 y = mx+2는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y (ii)
D = (4m−3)2 −36m2 = −(10m−3)(2m+3) = 0
(0, 2)를 지난다. 두 함수 y = 3x−5, y = mx+2 y = mx + 2 이다. 그림에서 두 함수의 그래프가 접할 때 m > 0이므로 실수 m의 값은
의 그래프를 그려서 위치 관계를 확인해보면 두 함수의 3
m= 이다.
그래프가 만나는 경우는 직선 y = mx+2가 (i)과 (ii) y = 3x - 5 10
사이에 있을 때이다. (i), (ii)에 의하여 두 함수의 그래프가 만나도록 하는 실수 m의 값의 범위는

5
 2
(i) 직선 y = mx+2가 점 , 0 을 지나므로 점을 6 3
3 O 5 x − ≤k≤
5 (i) 3 5 10
직선에 대입하면 0 = m+2에서 실수 m의 이다.
3 6 3
6 답 − ≤k≤
값은 − 이다. 5 10
5
√ √
(ii) 직선 y = mx+2와 함수 y = 3x−5의 그래프가 접할 때 mx+2 = 3x−5
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mx+2)2 = 3x−5 ➭ m2 x2 +(4m−3)x+9 = 0
이다. x에 대한 이차방정식 m2 x2 +(4m−3)x+9 = 0의 판별식을 D 라 하면

08-2. 무리함수 293


08-1 무리식
무리식[1-3]
[1-3] 08-4 무리함수
무리함수[4-12]

[4-12]
자연수 n에 대하여 함수 y = 2− 3−x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1 1
f (n) = √ − √ 있는 대로 고르시오.
n n+1
[보기]
일 때, f (2)+f (3)+f (4)+· · ·+f (49)의 값을 구하시오.
주어진 무리식 하 p.272 의 값을 계산하면 ㄱ. 정의역은 {x | x ≥ 3}이다.
f (2)+f (3)+f (4)+· · ·+f (49) ㄴ. 치역은 {y | y ≤ 2}이다.
       
1 1 1 1 1 1
= √ − √ + √ − √ + √ − √ +· · ·+ √ − √
1 1 ㄷ. 그래프는 제2사분면을 지난다.
2 3 3 4 4 5 49 50 √
√ √ ㄱ. (거짓) 함수 하 p.282 y = 2− 3−x는 3−x ≥ 0일 때, 즉 x ≤ 3일 때 정의되므
1 1 2 2 2√ 로 정의역 하 p.281 은 {x | x ≤ 3}이다.
= √ −√ = − = 2 √ p
2 50 2 10 5 ㄴ. (참) 함수 y = 2− 3−x = − −(x−3)+2 y

이다. 는 y = −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
2
2√ 만큼,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
답 2
5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y = 2− 3−x
의 치역 하 p.281 은 {y | y ≤ 2}이다.
√ -1 O 3 x
ㄷ. (참) 함수 y = 2− 3−x는 제1, 2, 3사분면을
지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 ㄴ, ㄷ

08-2 √ √ 08-5 y
√ √
x+1−1 x+1+1 함수 y = ax+b+c의 그래프가 오른쪽 3
x = 3+1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x+1+1 x+1−1 그림과 같을 때, 세 상수 a, b, c의 값을
주어진 식의 분모를 유리화 하 p.273 하여 정리하면 1
√ √
( x+1−1)2 ( x+1+1)2 각각 구하시오. -2 O x
(주어진 식) = √ √ + √ √ √
( x+1+1)( x+1−1) ( x+1−1)( x+1+1)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무리함수 y = 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 √ y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 상 p.451 한 것이므로 함수 하 p.281 의 식을
x+1−2 x+1+1 x+1+2 x+1+1 2x+4
= + = q
(x+1)−1 (x+1)−1 x y= a(x+2)+1
4 이라 놓을 수 있다.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0, 3)을 지나므로
=2+ √ √
x
√ 3= 2a+1 ➭ 2a = 2 ➭ a = 2
이다. x = 3+1을 대입하면
이다. 즉 주어진 함수는
4 q √
(주어진 식) = 2+ √
3+1 y= 2(x+2)+1 = 2x+4+1
√ √
4( 3−1) 4( 3−1) 이므로 a = 2, b = 4, c = 1이다.
= 2+ √ √ = 2+
( 3+1)( 3−1) 2 답 a = 2, b = 4, c = 1
√ √
= 2+2( 3−1) = 2 3

에서 2 3이다.

답 2 3
3
08-√ √ √ √ 08-6 √
3+ 2 3− 2 함수 y = −x+1−3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x = √ √ , y = √ √ 일 때, x3 +y 3 의 값을 구하시오.
3− 2 3+ 2 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
주어진 x, y 의 값을 분모를 유리화 하 p.273 하여 정리하면
√ √ √ √
3+ 2 ( 3+ 2)2 였더니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일치하였다. 함수 f (x)의
x= √ √ = √ √ √ √
3− 2 ( 3− 2)( 3+ 2) 최댓값을 구하시오.
√ √
3+2 6+2 √ 무리함수 y = −x+1−3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상 p.456 한 도형의
= = 5+2 6 방정식은
3−2 √ √
√ √ √ √ −y = −x+1−3 ➭ y = − −x+1+3
3− 2 ( 3− 2)2
y= √ √ = √ √ √ √ 이다. 이 도형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 상 p.451 한
3+ 2 ( 3+ 2)( 3− 2)
√ 도형의 방정식은
3−2 6+2 √ q √
= = 5−2 6 (y −2) = − −(x−1)+1+3 ➭ y = − −x+2+5
3−2
이다. 이다. 따라서 함수 하 p.281 f (x)는
√ √ √
x+y = (5+2 6)+(5−2 6) = 10, f (x) = − −x+2+5
√ √ 이고, f (x)의 치역이 {y | y ≤ 5}이므로 함수 f (x)의 최댓값은 5이다.
xy = (5+2 6)(5−2 6) = 25−24 = 1
이므로 곱셈 공식의 변형 I 상 p.23 을 이용하면 구하는 식의 값은 답 5
3 3 3 3
x +y = (x+y) −3xy(x+y) = 10 −3·1·10 = 970
이다.
답 970

294 08. 무리함수


정답 및 풀이 p.463

08-7 y
08-10 √
그림과 같이 두 함수 x 함수 y = − 2x+4의 그래프가 직선 y = −x+k 와 서로 다른
y= 2
√ √
y = −kx
y = kx, y = - kx 두 점에서 만나도록
√ 하는 실수 k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y = kx 두 함수 y = − 2x+4와 y = −x+k 의 그래프를 y
|x| B A
의 그래프와 함수 y = 의 원점 그려서 위치 관계를 확인해보면 √ -2
2 (i) 함수 하 p.282 y = − 2x+4의 그래프가 O x
이 아닌 두 교점을 각각 A, B라 β O α x 직선 y = −x+k 에 접하므로 y =- 2x + 4
√ y =- x + k
하고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α, β 라 하자. αβ = −9일 때, − 2x+4 = −x+k
(i)(ii)
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양수 k 의 값을 구하시오. (단, α > β )
2x+4 = x2 −2kx+k2 ➭ x2 −2(k +1)x+k2 −4 = 0
√ √ |x|
함수 하 p.280 y = kx와 y = −kx, y = 의 그래프는 y 축에 대하여 대칭이 이다.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2 −2(k +1)x+k 2 −4 = 0의 판별식 상 p.166 을
2 D 라 하면
므로 α+β = 0이다. αβ = −9
 이므로 α = 3, β = −3이다. 따라서 두 점 A, B의
3 3 √ D 5
좌표는 각각 A 3, , B −3, 이다. 점 A가 함수 y = kx 위에 있으므로 = (k +1)2 −(k2 −4) = 2k +5 = 0 ➭ k = −
2 2 4 2
3 √ 9 (ii) 직선 y = −x+k 가 점 (−2, 0)을 지나므로 점을 직선에 대입하면
= k ·3 ➭ = 3k 0 = −(−2)+k에서 k = −2이다.
2 4
5
3 (i), (ii)에 의하여 구하는 k 의 값의 범위는 − < k ≤ −2이다.
에서 k = 이다. 2
4 5
3 답 − < k ≤ −2
답 2
4
08-8 08-11 √
ax+b x ≥ 5에서 정의된 함수 f (x) = 2x−1+1의 역함수 f −1 (x)에
함수 y =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y
x+c ax + b
y = x+c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림과 같을 때, −1 ≤ x ≤ 7에서 무리함수
√ (1) 함수 y = f −1 (x)의 정의역과 치역을 각각 구하시오.
y = ax+b+c의 최댓값 M 과 최솟값 3
(2) 함수 y = f −1 (x)를 구하시오.
m에 대하여 M 2 +m2 의 값을 구하시오. O √
2 x (1) 정의역 하 p.166 이 {x | x ≥ 5}인 함수 하 p.282 f (x) =
2x−1+1의 치역은
(단, a, b, c는 상수이다.) -2
{y | y ≥ 4}이다. 함수 f 는 일대일대응 하 p.179 이므로 역함수 f −1 가 존재하고,
k 역함수 √ y = f (x)의 정의역은 {x | x ≥ 4}이고 치역은 {y | y ≥ 5}이다.
−1
유리함수 하 p.251 의 식을 y = +q 라 놓으면 점근선이 x = 2, y = 3이므로 (2) y = 2x−1+1을 x에 대하여 정리하면 하 p.212
x−p
k √ 1 1
y= +3이다. 이 유리함수가 점 (0, −2)를 지나므로 k = 10이다. y −1 = 2x−1 ➭ x = (y −1)2 +
x−2 2 2
10 3x+4 1 1
y= +3 = 이다. 따라서 x와 y 를 서로 바꾸면 y = (x−1)2 + (x ≥ 4)이다.
x−2 x−2 2 2
에서 a = 3, b = 4, c = −2이다. 따라서 구하는 무리함수 하 p.282 의 식은 답 (1) 정의역: {x | x ≥ 4}, 치역: {y | y ≥ 5}
√ √ 1 1
y = ax+b+c = 3x+4−2 y (2) y = (x−1)2 + (x ≥ 4)
2 2
이다. 무리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면 오른쪽과 같으므로 x = 7일 3
때 최댓값은 M = 3이고 x = −1일 때 최솟값은 m = −1이다. -1
따라서 구하는 값은 M 2 +m2 = 32 +(−1)2 = 10이다. -1 7 x

08-9 √
답 10 08-12
함수 y = 3x−1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의 두 교점 x+5 √
x > 1에서 정의된 두 함수 f (x) = , g(x) = 3x−2에 대
A, B에 대하여 선분 AB의 길이를 구하시오. x−1
√ 하여
무리함수 하 p.282 y = 3x−1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 하 p.213 는 직선
f −1 (3) = a, (f ◦(f ◦g)−1 ◦f )(a) = b
√= 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교점 A, B는 모두 직선2y = x 위에 있다. 즉
y
3x−1 = x에서 양변을 제곱하여 얻은 이차방정식 x −3x+1 = 0의 두 실근이
두 교점 A, B의 x좌표이다. A(α, α), B(β, β)라 하면 두 점 사이의 거리 상 p.353 에 일 때, 상수 b의 값을 구하시오.
의하여 q √ f −1 (3) = a에서 f (a) = 3이므로
AB = 2(β −α)2 = 2|α−β| a+5
f (a) = =3 ➭ a=4
이고,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상 p.170 에 의하여 α+β = 3, αβ = 1이므로 a−1
q √ √ 이다. (f ◦(f ◦g)−1 ◦f )(a)를 합성함수의 역함수 하 p.211 를 이용하여 정리하면
|α−β| = (α+β)2 −4αβ = 9−4 = 5
(f ◦(f ◦g)−1 ◦f )(a) = (f ◦(f ◦g)−1 ◦f )(4)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q √ √ = (f ◦g −1 ◦f −1 ◦f )(4)
AB = (α−β)2 +(α−β)2 = 2|α−β| = 10
= (f ◦g −1 )(4) = f (g −1 (4)) ···㉠
이다.
√ 이다. 무리함수 하 p.282 g(x)에 대하여 g −1 (4) = k 라 하면 역함수의 성질 하 p.210 에
답 10
의하여 g(k) = 4이므로 √
3k −2 = 4 ➭ k = 6
11 11
이다. ㉠에 대입하면 f (g (4)) = f (6) =
−1 에서 b = 이다.
5 5
11

5

연습은 실전처럼 295


08-1 08-3 √ √
1 1 두 함수 y = x+9, y = x−2의 그래프와 x축 및 직선 y = 3
√ + √ 을 간단히 하시오. (단, x > 2이다.)
x+ 2x 2+ 2x 으로 둘러싸인
주어진 식의 분모를 유리화 하 p.273 하여 간단히 하면 다음과 같다. √ 넓이를 구하시오.√
√ √ 함수 하 p.281 y = x+9의 그래프는 y =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9만큼
1 1 x− 2x 2− 2x √ √
√ + √ = + 평행이동한 것이고 함수 y = x−2의 그래프는 √ y =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x+ 2x 2+ 2x x2 −2x 4−2x 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두 함수 y = x+9, y = x−2의 그래프와 직선
√ √ y = 3과의 교점을 각각 A, B라 하면 A(0, 3), B(11, 3)이고 점 B에서 x축에 내린
x− 2x 2− 2x
= + 수선의 발을 C라 하면 C(11, 0)이다.
x(x−2) −2(x−2)
√ √
−2(x− 2x)+x(2− 2x) y
= y = x+9
−2x(x−2)
√ √ A B
−(x−2) 2x 2x y=3
= = C
−2x(x−2) 2x
√ -9 O 2 11 x
2x
답 y = x-2
2x
좌표평면의 원점을 O라 하면 그림에서 두 어두운 부분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직사각형 OABC의 넓이와 같다. 즉 11×3 = 33이다.
답 33

08-2 08-4
1 √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무리식 √ 의 값이 실수가 3− −x+2 (x < 1)
kx −kx+5
2 두 함수 f (x) = √ , g(x)에 대하여
되도록 하는 정수 k 의 개수를 구하시오. 3 x−1+2 (x ≥ 1)
1
무리식 하 p.272 √ 의 값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항상 실수가 되려면 24
kx2 −kx+5 (g ◦f )(x) = 일 때, g(8)+g(0)의 값을 구하시오.
kx2 −kx+5 > 0 x+3
함수 하 p.281 y = f (x)의 그래프를 그리면 그림과 같다. y
이 절대부등식 하 p.127 이어야 한다.
f (x) = 8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 ≥ 1의 범위에 있
(i) k = 0일 때, 5 > 0이므로 성립한다.
으므로
(ii) k 6= 0일 때 k > 0이고, 이차방정식 kx2 −kx+5 = 0의 판별식 상 p.166 을 D 라 √ √
하면 3 x−1+2 = 8 ➭ x−1 = 2 2
y = f(x)
D = (−k)2 −4·k ·5 = k2 −20k = k(k −20) < 0 에서 x = 5이므로 f (5) = 8이다. 한편, f (x) = 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 < 1의 범위에 있으므로 O 1 x
에서 0 < k < 20이다. √ √
(i), (ii)에 의하여 k 의 값의 범위는 0 ≤ k < 20이므로 구하는 정수 k 의 개수는 20이다. 3− −x+2 = 0 ➭ −x+2 = 3
에서 x = −7이므로 f (−7) = 0이다. 따라서 합성함수 하 p.195 를 이용하면
답 20 24
g(8) = g(f (5)) = (g ◦f )(5) = =3
5+3
24
g(0) = g(f (−7)) = (g ◦f )(−7) = = −6
−7+3
이므로 구하는 값은 g(8)+g(0) = 3−6 = −3이다.
답 −3

296 08. 무리함수


정답 및 풀이 p.465

08-5 √ y 08-7 √
함수 y = ax+b+c의 그래프가 오른쪽 y = ax + b + c 함수 y = x−2의 그래프 위의 한 점 P와 점 A(4, 4)를 지나는
그림과 같을 때, 함수 직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을 B라 하자. 점 P가 선분 AB의 중
1 √ 점일 때, 점 P를 지나는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을
y = ( x+2+a)+c 1
b
구하시오.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O 4 x

4+k

√ √ 점 B의 좌표를 (k, 0)라 하자. 선분 AB의 중점 상 p.361 P의 좌표는 P ,2
함수 하 p.282 y = ax+b+c의 그래프는 무리함수 y = ax의 그래프를 x축의 2

방향으로 4만큼, y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의 식은 이다. 점 P는 함수 하 p.282 y = x−2 위의 점이므로
q √ s
y= a(x−4)+1 = ax−4a+1 4+k
2= −2
b 2
이다. 따라서 a < 0이고 b = −4a, c = 1이다. a = 이므로
−4 y 에서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1 √ 4+k
y = ( x+2+a)+c 22 = −2 ➭ k = 8
b 2

1 √ b
 이므로 B(8, 0), P(6, 2)이다. 점 P를 지나는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을
= x+2− +1 4−0
b 4 3 직선 l이라 하면 선분 AB의 기울기는 = −1이므로 l의 기울기는 1이다.
1√ 3
4 4−8
= x+2+ 따라서 점 P를 지나는 직선 l의 방정식을 구하면
b 4 -2 O x
1 1 √ y −2 = x−6 ➭ y = x−4
이다. b = −4a > 0에서 > 0이므로 함수 하 p.281 y = ( x+2+a)+c의 그래
b b 이다.
1 √ 3
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y = ( x+2+a)+c의 최솟값은 이다. 답 y = x−4
b 4
3

4

08-6 p 08-8 교육청 기출 √


점 (−1, 0)을 지나는 직선 l이 함수 f (x) = x+|3x|의 그래 무리함수 f (x) = x−k 에 대하여 y y = f -1(x)
9 C
프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날 때,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 좌표평면에 곡선 y = f (x)와 세 점
하자. 실수 m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A(1, 6), B(7, 1), C(8, 9)를 꼭짓점 6A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직선 l의 방정식 상 p.379 은 y = m(x+1)이다. 5
p 으로 하는 삼각형 ABC가 있다. 곡선
함수 상 p.466 y =x+|3x|를 x의 값의 범위에 따라 나타내면
(√ y = f(x)
−2x (x < 0) y = f (x)와 함수 f (x)의 역함수의 그래
1 B
f (x) = √ y
2 x (x ≥ 0) (i) 프가 삼각형 ABC와 만나도록 하는 실수 O 1 k 5 7 8 x
이므로 함수 y = f (x)의 그래프와 직선 l을 좌표평면
y = - 2x k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함수 y = f (x)의 √
그래프와 직선 l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기 위해서 y=2 x 그림과 같이 k 의 값이 증가하면 곡선 하 p.282 y = x−k 는 점 B를 지난 이후에 삼각
는 (i)와 (ii)의 사이에 있을 때이다. 형과 만나지 않고 곡선 y = f (x)가 점 B를 지날 때
√ -1 √
(i) 직선 l : y = m(x+1)이 함수 하 p.280 y = 2 x (ii) 1 = 7−k ➭ k = 6
O x √
에 접할 때 이다. 즉, k > 6이면 곡선 y = f (x)와 삼각형은 만나지 않는다. 또, y = x−k 의 역

m(x+1) = 2 x ➭ m2 x2 +2(m2 −2)x+m2 = 0 ···㉠ 함수를 구하면 하 p.212 y = x +k (x ≥ 0)이다. k 의 값이 증가하면 곡선 y = x2 +k
2

이다. x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 라 하면 가 점 A를 지난 이후 삼각형과 만나지 않고 곡선 y = x2 +k 가 점 A를 지날 때


D 6 = 12 +k ➭ k = 5
= (m2 −2)2 −m4 = −4m2 +4 = 0
4 이다. 즉, k > 5이면 곡선 y = x2 +k 와 삼각형은 만나지 않는다. 따라서 함수
에서 m2 = 1이므로 m = 1 또는 m = −1이다. 이때, m > 0이므로 m = 1 y = f (x)의 그래프와 역함수의 그래프가 삼각형과 동시에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이다. 최댓값은 5이다.
(ii) 직선 l이 점 (0, 0)을 지날 때, m = 0이다.
(i), (ii)에 의하여 실수 m의 값의 범위는 0 < m < 1이다.
답 5

답 0<m<1

실전은 연습처럼 297


1 1 1 1 √ y
1. + +
1·3 3·5 5·7
+· · ·+
13·15
의 값을 구하시오. [2점] 3. 무리함수 y = a −x+b+c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y = a -x + b + c
4

세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
2
의 값을 구하시오. [2점]
O 1x

2x−1
2. 함수 y =
x−3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 축의 4. 집합 {1, a, b}를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가 점 (4, b)에 대하여 f (x) = x3 +cx2 , g(x) = −x2 −12
대칭일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2점]
가 서로 같을 때,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3점]

5. 일차함수 f (x) = ax+b에 대하여

(f ◦f )(3) = 7, f −1 (1) = −1

일 때, f (5)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정수이다.) [3점]


√ x
6. 무리함수 f (x) = 4x−k 의 그래프와 f (x)의 역함수 9. 유리함수 f (x) =
x−1
와 직선 y = mx+2가 만나지
y = f −1 (x)의 그래프가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정수 않도록 하는 모든 정수 m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4점]
k 의 개수를 구하시오. [3점]

7. 두 집합 X = {1, 2, 3}, Y = {1, 2, 3, 4, 5}에 대하여 10. 정의역이 {x | 0 ≤ x ≤ 4}인 함수 y


y = f(x)
X 에서 Y 로의 함수 중에서 일대일함수가 아닌 것의 y = 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2

개수를 구하시오. [3점] 과 같고 g(x) = (f ◦f )(x)라 할 때,


방정식 {g(x)}2 = 2g(x)의 모든 O 1 2 3 4 x

실근의 개수를 구하시오. [4점]

8. 함수 (
−x+1 (x < 0)
f (x) =
−x2 +1 (x ≥ 0)
의 역함수를 g(x)라 할 때, (g ◦g ◦g)(k) = 2를 만족시키는
상수 k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