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48

KP 연구 2021-01

저작권 침해 실태 개선을 위한
저작권 보호 홍보·교육 추진 전략 연구

연구수행기관: ㈜컬쳐미디어랩
연구책임자: 김숙(㈜컬쳐미디어랩 대표)

2021. 4. 23.
제 출 문

한국저작권보호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정책연구 용역과제인 “저작권 침해 실태 개선을 위한 저작

권 보호 홍보·교육 추진 전략 연구”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21년 4월 23일

○ 주관연구수행기관명 | ㈜컬쳐미디어랩
○ 연구책임자 | 김숙 (㈜컬쳐미디어랩 대표)
○ 공동연구원 |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ㆍ미디어학부 겸임교수)
정애리 (㈜컬쳐미디어랩 이사)
○ 연 구 원 | 김현선 (㈜컬쳐미디어랩 연구원)
권영은(㈜컬쳐미디어랩 연구원)

본 보고서의 내용은 정책연구 용역과제 수행사의 의견으로, 한국저작권보호원의


공식적인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요약

□ 연구 배경 및 목적

○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국에서는 우리나라 저작권 정책 종합계획 수립·추진, 합리적


인 저작물 이용체계구축, 저작권 보호 체계 강화, 저작권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및
홍보,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등 저작권 관련 국제기구, 외국 정부 및 기관과의
협력 등을 추진하고 있음

○ 최근 온라인과 모바일 중심으로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면서 콘텐츠 소비가 증가


- 실제‘2021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2020년 기준)’결과를 보면, 드라마·예능·게임 등 한
류 콘텐츠의 소비 비중은 증가했으며 해외 한류 소비자들은 주로 온라인·모바일을 통해
한류 콘텐츠를 접촉한다고 발표

○ 전 세계적으로 콘텐츠 소비가 확대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소비자의 저작권 침해


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저조한 편
- 지식재산권 전반에 걸친 보호 및 집행에 관하여 EU 집행위원회가 2006년부터 2년마다 발
행해 온 2020년도 “제3국에서의 지식재산권 보호 및 집행에 관한 보고서(Report on the
protection and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ird countries)”는 저작권
에 관한 불법복제, 특히 온라인상의 불법복제는 유럽의 창작에 관한 문제에서 중요한 문
제임을 지적
- 유럽연합 불법복제물 이용은 전체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국가별로 불법
복제물 이용 정도의 차이가 큰 상황: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우리나라 한류 콘텐츠에
대한 불법복제가 다수 일어나고 있는 등 저작권 침해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음

○ 이와 같은 외부 환경변화와 더불어 최근 저작권법 개정으로 저작권 보호를 위한 교


육 및 홍보가 저작권보호원 업무로 명시되면서 저작권 보호에 특화된 교육과 홍보
사업 마련 필요

○ 이에 본 연구는 저작권 침해 유형을 파악하고 침해 관련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홍


보 및 교육환경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저작권 보호 홍보·교육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주요 분석 결과

○ (타게팅 장르 및 연령) 20~30대를 대상으로 방송 · 영화 · 출판 장르 타게팅 선정


- 선정기준은 불법복제 이용량 및 이용률이며, 방송 장르와 영화 장르를 먼저 타게
팅하여 홍보 · 교육 전략 수립 필요
- 특별히 대학가에서의 불법제본은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침해 장르이므로, 타게팅의
한 분야로 선정 필요
- 20~30대와 60대는 서로 영향력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관계, 두 세대를 연결하는
참여형 홍보 프로그램 필요

▲ (불법복제물 이용량) 분야별 비중은 음악(62.7%), 방송(31.5%), 영화(3.7%), 출판


(1.5%), 게임(0.6%) 순, 음악은 30대와 40대가, 방송은 20대(125,028개)와 30대
(116,688개)가, 영화는 20대(16,488개)와 30대가(10,752개), 출판은 30대(5,330개)
와 20대(4,274개), 게임은 20대와 40대가 불법복제물을 가장 많이 이용

▲ (불법복제물 이용률) 영화(42.8%), 방송(31.4%), 출판(26.8%), 게임(24.8%), 음악


(18.6%) 순. 영화는 10대(53.3%)와 20대(47.5%)가, 방송은 20대(35.9%)와 60대
(35.5%)가, 출판은 60대(38%)와 30대(30.8%)가, 게임과 음악은 60대와 50대가
불법복제물 이용률이 높음

○ (타게팅 유통경로) 물리적·위치적인 단속의 사각지대 영역에서 홍보 · 교육 등 계도


활동에 선택과 집중 필요
- 방송 · 영화 장르는 주로 사인 간 커뮤니티 공간에서의 불법 이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보호원의 모니터링이 물질적으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홍보캠페인이
나 교육을 통해 이용자 스스로 합법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도활동이 필요

▲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는 온라인커뮤니티사이트(28.9%), SNS(18.2%), 비제휴 웹


하드·P2P(13.1%), 토렌트(9.7%), 무료음악 전용 온라인서비스(9.2%) 등의 순

- 토렌트는 다운로드와 동시에 업로드가 되는 특성 때문에 이용자를 범법자로 양산


할 가능성이 높지만, 주로 해외에 위치해 있어 관리 · 감독이 불가능하므로 토렌트
에 대해서도 계도 활동 필요

○ (연령대별 타게팅 전략) ‘개인적인 피해 발생’을 강조


- 20~30대는 또래집단에게 설득적인 메시지를 저작권 침해예방 캠페인 메시지로
고안 필요
- 20대부터 40대까지는 합법 이용이 더욱 편리하다는 점을 강조
- 디지털 문해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10대와 60대에게는 불법복제물 이용이 이용자
에게 피해가 될 수 있다는 점 강조

□ 저작권보호원 홍보·교육 환경분석 및 전략 방향

○ 저작권보호원 홍보 현황분석 및 문제점을 통한 SWOT 분석


- 강점으로 저작권보호원 업무의 전문성을 들 수 있으며, 다양한 침해 사례를 보유
하고 있다는 점 또한 저작권보호원의 홍보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강점으로 들
수 있음
- 그러나 보유한 매체가 협소하여 홍보 채널로서 이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다양
한 홍보 활동에도 불구하고 그간 단일화된 메시지자 부재한 것이 약점이라고 할
수 있음. 특히 언론 보도가 상대적으로 많이 미흡하여 해당 부분에 대한 강화가
필요
<요약 표1> 저작권보호원 홍보 환경 SWOT 분석

S(Strengths) W(Weakness)
․ 보유 매체 협소
․ 보호원 업무 전문성 (규제 기능 보유)
․ 단일화된 메시지 부재
․ 전문 블로그(방문자↑)
․ 언론 보도 미흡
․ 캐릭터 ‘바로’
․ 내용과 매체가 분산된 홍보 콘텐츠
․ 다양한 침해 사례 보유
․ 설립 기간이 짧아 기관 인지도가 낮은 편

O(Opportunities) T(Threats)
․ 저작권법 개정으로 업무 영역확대 ․ 적은 예산
․ 미디어 환경 변화(SNS 활용 등) ․ 위원회 이미지와 중복
․ 콘텐츠 소비자 증가 (홍보 대상이 두터워짐) ․ 홍보에 대한 목표 및 비전 부재

○ 저작권보호원 교육 현황분석 및 문제점을 통한 SWOT 분석


- 저작권보호원의 교육은 그동안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부재하였으므로 향후 교
육사업을 위해 아래 표와 같은 환경요인(SWOT)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무엇보다
저작권위원회가 오랫동안 교육사업을 운영해왔고 그 입지가 견고하므로 저작권보
호원이 차별화할 수 있는 교육사업에 초점을 두어야 함
<요약 표1> 저작권보호원의 교육 환경 SWOT 분석
S(Strengths) W(Weakness)
․ 업무 전문성(수사권,
․ 교육 커리큘럼 단순
시정/권고 등)
․ 온라인교육인프라 미비
- 모니터링 사례 보유
O(Opportunities) T(Threats)

- 다양한 침해 이슈 보유 ․ 적은 예산
․ 신규 침해 유형 파악 ․ 위원회와 업무 중복성
․ 미디어 환경 변화(SNS 활용 등)

□ 저작권 보호 홍보 전략 요약

○ (협력 전략) 유관기관을 홍보 대상이자 협력 파트너로 활동


- 장르별 유관 기관을 중요한 홍보 타겟으로 포섭 필요
- 장르별 실무협의체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홍보 · 교육을 추진

○ (스토리 구성 전략) 보호원에 특성화된 스토리를 반복 노출


- 보호원에 특성화된 시정권고 기능 및 관련 전문가(포렌식, 모니터링, 검 · 경과의
협력 등)에 대한 스토리를 반복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보호원의 기능 홍보 필요

○ (매체전략) 연령대에 적절한 매체 전략 구사


- (현황) 대부분의 저작권 침해 행위가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보호원의
보유 매체는 누리집, 블로그, 페이스북, 유튜브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보유 매체
의 확대가 필요
- 불법 이용의 주요한 인지 경로 중 하나가 동료 및 지인이라는 점에서 연령대별 특
화된 채널을 통한 메시지 전달은 필수
- 공식블로그는 정보의 허브로 두고, 20~30대를 위한 홍보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
램, 50대 이상을 위한 밴드나 카카오스토리를 채널로 운영하여 생활밀착형으로
다가가는 것이 필요

□ 저작권 보호 교육 전략 요약

○ (차별화된 과목 구성)
- 차별화되는 교육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침해 취약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육
안을 모색하되, 새로운 교육 분야를 보호원이 선제적으로 제시 필요

○ (현실적용형 교육)
- 보호원의 교육은 ‘현실적용형 교육’에 초점을 두어 수강생들에게 지식적인 혜택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이 필요

○ (타게팅 대상에 적절한 교육 과정 운영)


- 유관기관을 대상으로는 권리보호방법, 피해구제 방법 등 실제 제공 가능한 교육을
제공
- 대국민을 대상으로는 창작의 노력 과정과 침해 사례, 피해 규모 등을 홍보광고 영
상과 같은 형태로 재미있게 구성하여 제공
목차

요 약

1장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연구방법 및 범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장. 저작권 침해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 심층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 유관 기관의 장르별 저작권 침해 실태 분석 결과 ·
··
··
··
··
··
··
··
··
··
··
··
··
··
··
··
··
··
18
3.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3장. 저작권 침해 사례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1. 모니터링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2. 국내외 저작권 침해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4장. 저작권 침해에 대한 현황 및 인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1. 조사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2. 조사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5장. 저작권 침해 예방 및 보호 활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1. 홍보 활동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2. 교육 활동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3. 해외 홍보·교육 활동 사례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8
4. 소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6

6장. 저작권 보호를 위한 홍보·교육 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1. 환경분석 및 전략 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2. 저작권 침해 예방을 위한 홍보 전략 수립 ·
··
··
··
··
··
··
··
··
··
··
··
··
··
··
··
··
··
··
··
··
··
··
103
3. 저작권 침해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 정책 수립 ·
··
··
··
··
··
··
··
··
··
··
··
··
··
··
··
115

[참고자료] 공공기관 정책 및 기관홍보 성공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125
참고 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1
표목차
<표 2-1 > 장르별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유무에 따른 저작권 침해의 심각성 인식 차이 ·
··
··
··
··
··
··
··
··
··14

<표 2-2 > 장르별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유무에 따른 저작권 이해와 준수 수준 차이 ·


··
··
··
··
··
··
··
··
··
··
··
·15

<표 2-3> 장르별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유무에 따른 저작권 보호 중요성 인식의 차이 ·


··
··
··
··
··
··
··
··
··
··16

<표 2-4> 장르별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유무에 따른 불법복제물 가치 판단 인식의 차이 ·


··
··
··
··
··
··
··
··17

<표 2-5> 불법 웹소설 이용 방법별 이용 경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표 2-6> 불법 웹소설 이용 이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표 3-1> 침해 민원신고 사례 구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표 3-2> 침해 시정권고 사례 구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3-3> 2021년 저작권보호심의위원회 결과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표 3-4> 국가별 피해플랫폼 수 & 피해 웹툰 수 TOP 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표 3-5> 글로벌 웹툰 불법복제 피해 작품 TOP 2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표 3-6> 불법 유형별 불법사이트 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3-7> 한국 불법복제 도메인 수/사이트 수/PV 점유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표 3-8> 한국 불법복제 사이트 피해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표 3-9> 한국 불법복제 피해 웹툰 TOP 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표 4-1> 일반이용자 심층 인터뷰 참여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표 4-2> 일반이용자 심층 인터뷰 질문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표 4-3> 산업계 심층 인터뷰 참여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표 4-4> 저작권보호원 FGI 참여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표 4-5> 산업계 심층 인터뷰 질문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표 5-1> 한국저작권보호원 홍보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표 5-2> 한국저작권보호원 블로그 운영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표 5-3> 한국저작권보호원 유튜브 운영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표 5-4> 한국저작권위원회 홍보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표 5-5> 한국저작권보호원 주요 교육사업 운영현황(‘19년〜‘20년) ·


··
··
··
··
··
··
··
··
··
··
··
··
··
··
··
··
··
··
··
··
··
··
··
··76

<표 5-6> 저작권위원회의 온라인/오프라인 교육과정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표 5-7> 저작권위원회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표 5-8> 2021년 원격저작권 아카데미 연간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표 5-9> 2021년 원격저작권교육 평생학습계좌제 인정과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2

<표 5-10> 2021년도 원격평생교육원 연간 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2

<표 5-11> 교원연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표 5-12> 교원연수의 교과 편성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표 5-13> 지역 거점 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지역 저작권 교육 ·


··
··
··
··
··
··
··
··
··
··
··
··
··
··
··
··
··
··
··
··
··
··
··
··
··
··85

<표 5-14> WIPO Academy 교육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2

<표 5-15> Copyright Matters! 교육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2

<표 5-16> EUIPO 가상 교육 센터 교육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

<표 5-17> IP 교육 프로그램 중 저작권 보호 관련 교육내용(IP102)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

<표 6-1> 저작권보호원 홍보 환경 SWOT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표 6-2> 저작권위원회의 홍보 SWOT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표 6-3> 저작권보호원의 홍보 방향(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표 6-4> 저작권보호원의 교육 환경 SWOT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표 6-5> 저작권위원회의 교육 환경 SWOT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

<표 6-6> 저작권보호원의 교육 방향(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

<표 6-7> 저작권보호원의 장단기 홍보 목표 및 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표 6-8> 저작권보호원의 단기(2021년) 홍보 목표 및 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6

<표 6-9> 저작권보호원의 중장기(2022년~) 홍보 목표 및 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7

<표 6-10> <‘바로’하세요> 세부 프로그램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2

<표 6-11> 연내 홍보 프로그램(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4

<표 6-12> 교육 대상의 구분과 교육 전략의 제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표 6-13> 장르별 주요 침해 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7

<표 6-14> 저작권보호원의 교육 예산 운영 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9

<교육부 ‘자유학기제’ 정책홍보활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7

참고: 홍보채널 안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0
그림목차

[그림 1-1] 본 연구의 추진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그림 2-1] 장르별 불법복제물 이용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그림 2-2] 이용경로별 불법복제물 이용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그림 2-3] 성별․장르별 불법복제물 이용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그림 2-4] 장르별 불법복제물 이용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그림 2-5] 장르별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불법복제물 이용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그림 2-6] 연령대별 불법복제물 이용량과 이용률 차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그림 2-7] 연령대별․장르별 불법복제물 이용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그림 2-8]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그림 2-9] 음악 장르의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그림 2-10] 출판 장르의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그림 2-11] 방송 장르의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그림 2-12] 게임 장르의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그림 2-13]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선호 이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그림 2-14] 불법복제물 이용인지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그림 2-15] 불법복제물 이용 중단 영향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그림 2-16] 디지털 만화 불법 이용 경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그림 2-17] 디지털 만화 불법 이용 방식별 일주일 이용 편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그림 2-18] 디지털만화 불법 이용 방식별 연 평균 지불 비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그림 2-19] 디지털만화 불법성 인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그림 2-20] 디지털만화 불법 이용 불가시 합법적 경로 이용 의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그림 2-21] 스마트 기기 애니메이션 결제 경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그림 3-1] 민관협력대응조치 처리 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그림 3-2] 시정권고(저작권법 제133조의 2) 처리 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그림 3-3] 불법 콘텐츠 유포 방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그림 3-4] 주요 국가별 불법 웹툰 사이트 점유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그림 5-1] YTN 뉴스‘저작물 보호 요청’소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그림 5-2] 저작권위원회 블로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그림 5-3] 저작권위원회 내용이 반영된 카드뉴스(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그림 5-5] 저작권위원회 교육연수원 메인 화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그림 5-6] 저작권위원회 원격교육연수원 과제 및 실천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그림 5-7] 청소년 저작권 교실 메인 화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그림 5-8] 경기도교육청 청소년 방송 주관으로 제작된 영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그림 5-9]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저작권 침해에 대한 Q&A 상담센터 ·


··
··
··
··
··
··
··
··
··
··
··
··
··
··
··
··
··
··
··
··
··
··
··
··86

[그림 5-10] 저작물 게시중단요청 업무처리 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그림 5-11] 에듀코카의 저작권 관련 교육 강좌 소개 화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8

[그림 5-12 ] 지식재산 도난 방지 캠페인 포스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그림 5-13] #PlayItRight 캠페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그림 5-14] Copyright Matters! 간행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

[그림 6-1] 저작권보호원의 홍보 및 교육 전략 방향 도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그림 6-2] 저작권보호원의 홍보 전략 도식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 우리나라 최초의 저작권법이 1957년 1월 제정된 이후 저작권 보호를 위한 법적·제도적


토대 마련
-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국에서는 우리나라 저작권 정책 종합계획 수립·추진, 합리적인 저
작물 이용체계구축, 저작권 보호 체계 강화, 저작권 인식제고를 위한 교육 및 홍보, 세계지
식재산기구(WIPO) 등 저작권 관련 국제기구, 외국 정부 및 기관과의 협력 등을 추진하고
있음

○ 미디어 환경의 변화 콘텐츠 소비의 증가


- 기술의 발전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창구가 기존의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을 확장되
면서 콘텐츠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특히 코로나 19로 사람들의 외부 활동이 힘들어지면서 실내 활동으로 가능한 콘텐츠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실제로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전 세계 한류 콘텐츠 소비 현
황과 확산 수준을 정기적으로 조사하는 ‘2021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2020년 기준)’결과
에서 드라마·예능·게임 등 한류 콘텐츠의 소비 비중은 증가했으며 해외 한류 소비자들
은 주로 온라인·모바일을 통해 한류 콘텐츠를 접촉한다고 발표1)

○ 이와 같이 글로벌 시장까지 한류 콘텐츠 소비가 확대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콘텐츠 소비자


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저조한 편이며, 글로벌 차원에서도 온라인상 불법복제
등의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음
- 지식재산권 전반에 걸친 보호 및 집행에 관하여 EU 집행위원회가 2006년부터 2년마다 발
행해 온 2020년도 “제3국에서의 지식재산권 보호 및 집행에 관한 보고서(Report on the
protection and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ird countries)”는 저작권
에 관한 불법복제, 특히 온라인상의 불법복제는 유럽의 창작에 관한 문제에서 중요한 문
제임을 지적

1) 문화체육관광부 정책 브리핑(2021.01.28.)(www.korea.kr)

- 1 -
- 해당 보고서에 의하면 유럽연합 불법복제물 이용은 전체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국가별로 불법복제물 이용 정도의 차이가 큰 상황: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우
리나라 한류 콘텐츠에 대한 불법복제가 다수 일어나고 있는 등 저작권 침해가 지속적으
로 이어지고 있음

○ 디지털 콘텐츠가 증가 되면서 저작권 침해 사례와 유형이 더욱 다양화됨


- 복제가 용이하고 정품만큼이나 양질의 복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상
오프라인에서보다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저작권 침해와 불법 유통이 많음
- 또한 새로운 특성을 가진 플랫폼들이 출연하면서 새로운 저작권 침해 유형도 등장하고 있
는 상황

○ 최근 저작권법 개정으로 저작권 보호를 위한 교육 및 홍보가 저작권보호원 업무로 명시되면


서 저작권 보호에 특화된 교육과 홍보사업 마련 필요

○ 이에 본 연구는 저작권 침해 유형을 파악하고 침해 관련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홍보 및


교육환경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저작권 보호 홍보·교육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 기술의 속도를 콘텐츠 이용자들의 규범이 따라가고 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개선
하기 위해서는 저작권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수단이 필요
- 저작권 침해의 범위와 침해 시 피해 사항 등과 관련된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마련 필요
- 또한 한국저작권보호원에서 진행 중인 다양한 저작권 침해 예방 사례들을 공유함으로써
저작권 침해 실태를 개선하기 위한 홍보 전략을 수립해야 할 시점임

2) 연구목적

○ 저작권 침해 대응 및 침해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
- 한국저작권보호원이 추진하는 저작권 침해 대응 및 침해 예방 사업 중 특히 홍보와 교육
사업은 궁극적으로 저작권 침해 예방을 목적으로 해야 함에도 불구, 저작권 침해의 행동
원인 등 심층적인 분석 자료가 부족한 부분이 있음
- 이에 일반 이용자 대상 연령별·장르별·유통경로별 저작권 침해 현황의 심층 분석을 실
시하여 저작권 보호 정책 홍보 및 교육 수립의 기초 통계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2 -
○ 2021년도 저작권 보호 교육 및 홍보 전략 수립
- 기초 자료로서의 가치제고 외에도 본 연구를 통해 2021년도 저작권 보호 홍보 전략을 수
립하여 저작권 침해예방을 위한 활동(교육 및 홍보) 추진에 효율성과 타당성을 제고하고
자함

2. 연구방법 및 범위

1) 연구방법

○ 2차 자료 통계 분석 : 2020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의 원자료 심층 분석


- (연차보고서 활용) 연령별·장르별·유통매체별 합법 및 불법 저작물 이용 행태 조사
- 연령별·장르별 불법복제물 이용 경험자의 주요 합법저작물 이용 매체
- 불법복제물 이용률과 저작권 보호 인식 정도와의 상관관계
-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이 있는 사람과 공유 경험이 없는 사람의 저작권 보호 인식 수준 차

○ FGI : 침해 원인에 대한 정성적 요인 파악


- 일반인 대상 FGI를 통해 계량 분석을 통해 알기 힘든 보다 구체적인 이유(불법복제물 이용
매체, 이용 이유, 해당 매체 선호 이유 등)에 대해 논의
- (일반인) 불법복제물 이용 매체, 이용 이유, 해당 매체 선호 이유, 불법복제물 이용 중단을
위한 홍보 전략 논의 등
- (산업계 대상) 최근 저작권 침해 양상, 저작권 침해 예방을 위한 산업계의 홍보 수단, 보호
원 저작권 보호 홍보 제안
- (보호원 직원) 기존에 수행하던 보호원 홍보 방안 평가, 사업에서 필요한 홍보 방안, 보호
원 홍보전략 방안 제안
- (모니터 요원) 최근 불법복제물 유통 양상, 장르별·유통매체별 불법복제물 유통에서의 특
이점

- 3 -
○ 모니터링 및 심의사례 수집
- 저작권보호원을 비롯하여 한국콘텐츠진흥원,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과 같은 콘텐츠 관
련 산하 기관, 수행하고 있는 저작권 침해 모니터링 및 다양한 사례 수집하여 분석

○ 기타
- 저작권 침해예방 홍보 및 교육 관련 국내·외 유사사례 조사
- 침해 현황 심층 분석 자료와 국내외 유사사례를 바탕으로 저작권 보호 홍보 및 교육 추진
전략 수립

○ 본 연구의 추진전략을 도식으로 정리하면 [그림 1-1]과 같음

[그림 1-1] 본 연구의 추진전략

2) 연구범위

○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범위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음

○ 저작권 침해 현황 심층 분석
- 2020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의 원자료 심층 분석
- 국내외 저작권 침해 사례, 모니터 사례 수집 및 함의 분석
- FGI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저작권 침해 현황 및 저작권 침해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한 분석

- 4 -
○ 저작권 보호 홍보 및 교육 전략 수립
- 저작권 침해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 정책 수립
- 저작권 침해 예방을 위한 홍보 전략 수립
- 불법 복제물 이용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전략 수립 등

○ 관련 동향 및 기존 연구결과에 대한 차별성 분석
- 저작권보호원 외 유사 관련 기관 자료 분석 및 벤치마킹
- 장르별 ․ 이용자별 특성을 반영한 교육 및 홍보 전략 수립

- 5 -
2장. 저작권 침해 실태

1.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 심층 분석

1) 불법복제물 이용 행태

○ (불법복제물 이용량) 분야별 비중은 음악(62.7%), 방송(31.5%), 영화(3.7%), 출판(1.5%), 게임

(0.6%) 순으로 나타남


- 2020년 저작권보호 연차보고서 결과에 의하면 불법복제물 이용량이 가장 많은 장르는 음
악(62.7%)으로, 두 번째로 많은 방송(31.5%)의 거의 2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음
- 영화, 출판, 게임은 상대적으로 불법복제물 이용량이 적은 편이었음

[그림 2-1] 장르별 불법복제물 이용량

○ 이용경로별로 보면 장르를 불문하고 SNS(21.2%)를 통한 불법복제물 이용량이 가장 많은 것


으로 나타남
- 다음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19.6%), 웹하드․P2P(비제휴)(13.6%)가 모든 장르에서 가
장 불법복제물을 이용하는데 공통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음
- 그밖에 토렌트가 9.8%, 스트리밍 링크사이트가 6.9%로 나타남. 특히 스트리밍 링크사이트
는 영화나 방송과 같은 영상물의 불법복제물 이용에 주로 나타나고 있었음
- 한편 불법이용량이 가장 많은 음악 장르의 경우는‘무료 음악 전용 온라인 서비스’가 전
체 음악 불법 이용량의 37.6%를 차지할 만큼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음악 불법
이용의 핵심 경로인 것으로 나타남

- 6 -
[그림 2-2] 이용경로별 불법복제물 이용량

○ 전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불법복제물 이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 특히 게임, 영화, 출판 장르에서 여성보다 남성의 불법복제물 이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

[그림 2-3] 성별․장르별 불법복제물 이용량

○ (연령대별) 음악은 30대와 40대가, 방송은 20대와 30대가, 영화는 30대와 20대가, 게임은 20
대와 40대가 불법복제물을 가장 많이 이용

- 7 -
○ (불법복제물 이용률) 영화(42.8%), 방송(31.4%), 출판(26.8%), 게임(24.8%), 음악(18.6%) 순으로
나타남

[그림 2-4] 장르별 불법복제물 이용률

○ 온·오프라인 불법복제물 이용률 비교: 온라인을 통한 불법복제가 전반적으로 많은 편


- 전반적으로 온라인에서의 불법복제물 이용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영화의 온
라인에서의 불법복제물 이용률이 49.9%로 다른 장르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한편, 오프라인에서의 불법복제물 이용률이 높은 장르는 방송과 출판인 것으로 나타남

[그림 2-5] 장르별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불법복제물 이용률

○ 연령대별 분석에서 나타난 불법복제물 이용률과 이용량의 차이


- 불법복제물 이용량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20대와 30대이나 불법복제물 이용률이 가장 높
은 연령대는 60대 > 50대> 40대 순으로 나타남
- 즉,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콘텐츠 이용량은 적어지고 상대적으로 불법적으로 콘텐츠를
이용하는 비중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8 -
[그림 2-6] 연령대별 불법복제물 이용량과 이용률 차이

○ 영화는 10대와 20대가, 방송은 20대와 60대가, 출판은 60대와 30대가, 게임과 음악은 60대와
50대가 불법복제물 이용률이 높음

<음악> <영화>

<방송> <출판>

<게임> <전체>

[그림 2-7] 연령대별․장르별 불법복제물 이용률

- 9 -
○ 불법복제물 이용량과 이용률의 관계와 타케팅 전략
- 불법복제물 이용량이 가장 높은 것은 음악 장르이지만, 실제 불법복제물 이용률은 음악
장르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음악에서의 불법복제물 유통에 대한 이슈는 크지 않을
것으로 사료됨
- 다만, 방송장르와 영화장르는 이용량뿐 아니라 이용률도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보호원에
서 홍보 장르를 타게팅할 때 방송장르와 영화장르를 먼저 타게팅하여 홍보와 교육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더불어 대학가에서의 불법제본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에, 대학가 출판 불법복
제 역시 타게팅의 한 분야로 접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불법복제물 이용경로)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는 온라인커뮤니티사이트(28.9%), SNS(18.2%),


비제휴웹하드·P2P(13.1%). 토렌트(9.7%), 무료음악 전용 온라인서비스(9.2%)등의 순

(단위: %)

[그림 2-8]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 (장르별 불법복제물 이용경로의 차이) 장르별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음악은‘무료 음악 전용 온라인 서비스’가 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출
판은‘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34.3%)와‘복사/인쇄/제본업소’(30.7%)에서의 불법복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 방송은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31.2%)와 ‘SNS(31.6%)’, 그리
고 게임은‘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45.6%)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불법적인 경로인 것으
로 나타남

- 10 -
[그림 2-9] 음악 장르의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그림 2-10] 출판 장르의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그림 2-11] 방송 장르의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 불법복제물 이용경로 선호 이유는 편리하고, 익숙해서


- 전체 응답자의 52.2%가 ‘접근 및 이용이 편해서’, 그리고 49.8%가 ‘계속 이용하던 곳이
라 익숙해서’불법복제물을 이용하는 경로를 선호한다고 하여 불법복제물 이용이 매우 일
상화되어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임을 인식할 수 있음

- 11 -
[그림 2-12] 게임 장르의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복수응답)

[그림 2-13]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선호 이유

○ 불법복제물 이용인지 경로
- 포털 검색과 지인의 소개가 주요한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인지 계기이며, 특히 연령대가
낮은 10대와 60대는 익숙함을 20대부터 40대는 편리함을 선호이유로 꼽음

[그림 2-14] 불법복제물 이용인지 경로

- 12 -
○ 불법복제물 이용경로 인지 계기와 실제 이용경로의 관련성
- 모든 콘텐츠 장르에 있어 포털 검색과 지인의 소개가 주요한 불법복제물 이용 경로 인지
계기로 나타난 데 반해 실제 이용 경로는 콘텐츠 장르별로 다양한 경향을 보임
- 이용경로 선호 이유를 통해 볼 때, 연령대가 낮은 10대와 연령대가 높은 60대는 “익숙
함”을, 20대부터 40대는 “편리함”을 꼽은 것으로 보아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와
관련한 부분이 작용한 것으로 보임
- 즉 이용경험이 상대적으로 낮거나(10대), 이용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경우(60대)에는
이전 경험을 통해 이용해본 적이 있는 익숙한 경로를 활용함을 알 수 있음. 반면에 20대부
터 40대는 접근성과 이용 편이성을 주요한 이용경로로 꼽아 MZ세대의 특성인 디지털문화
에 대한 익숙함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음
- 불법복제물 이용경로에 있어 특이점은 게임장르에 있어 이용경로 순위의 급간이 연령대
가 높은 60대에서 크게 나타났다는 점. 다른 연령대는 몇 개의 경로를 통해 불법복제물을
이용하는 반면 60대는 주요한 1개 채널을 통해 불법복제물을 이용하는 경향이 큰데, 특히
게임을 이용할 때에는 온라인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한 것이 절대적으로 많음
- 60대는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익숙한 채널을 통해 불법복제물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반
복적 이용은 한번 이용한 경로에 집중된다고 할 수 있음

2) 불법복제물 이용과 저작권 인식

○ 불법복제물 이용 중단요인 관련
- 불법복제물 이용 경험자의 불법복제물 이용 중단을 위한 영향 요인은 바이러스 감염, 해킹
등으로 인한 개인적인 피해 발생(35.9%), 이용 가능한 정식(제휴) 콘텐츠의 충분한 제공
(32.2%), 저작권 침해 콘텐츠 이용자 단속·처벌(31.5%) 의 순

[그림 2-15] 불법복제물 이용 중단 영향요인

- 13 -
- 출판과 방송콘텐츠 장르를 제외한 모든 콘텐츠 장르에서 불법복제물 이용으로 인해 바이
러스가 감염되거나 해킹과 같은 개인적인 피해 발생을 주요한 중단요인으로 꼽음
- 불법복제물 이용과 관련한 개인적인 피해를 구체화, 유목화하여 불법복제물 이용 중단에
대한 인식을 확대할 필요 있음: 바이러스 감염과 해킹 이전에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빚어
지는 다양한 부작용을 개인적인 피해 유형으로 제시 가능

○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유무에 따른 저작권 보호 인식 수준 차이


-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이 있는 사람과 공유 경험이 없는 사람의 저작권 보호 인식 수준 차
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 T검정(T-test)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이 있는 사람의 저작권 보호 인식 수준이 공유 경험이 없는 사람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남

○ 장르별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유무에 따른 저작권 보호 인식 수준 차이


- (저작권 침해의 심각성)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를 보면 ‘게임’장르에서만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게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이 없는 사람이 저작권 침해를 더 심각하다고 인
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표 2-1 > 장르별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유무에 따른 저작권 침해의 심각성 인식 차이

장르 공유경험 N 평균(M) 표준편차(SD) t


있다 234 2.96 0.62 -2.355*
게임
없다 598 3.07 0.60
있다 540 2.97 0.62 0.657
방송
없다 1180 2.95 0.57
있다 369 2.92 0.59 -0.438
영화
없다 1291 2.93 0.58
있다 475 2.94 0.59 0.437
음악
없다 1189 2.93 0.60
있다 298 2.97 0.58 -0.001
출판
없다 686 2.97 0.59
*P<0.5 **P<.01, ***P<.001

- (이해와 준수 수준) 게임 저작권 보호에 대한 본인의 이해에 대해서는 게임 장르에서 불법복제


물 공유 경험이 없는 응답자의 평균이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남. 그러나 실제로 본인이 준
수하는지에 대해서는 방송, 영화, 출판 장르에서 동일하게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이 있다고 응
합한 경우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더 높게 나타나, 불법 공유 경험이 있는 이
용자의 저작권보호 인식 수준이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음

- 14 -
<표 2-2 > 장르별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유무에 따른 저작권 이해와 준수 수준 차이

장르 구분 공유경험 N 평균(M) 표준편차(SD) t


있다 234 6.59 1.90 -2.317*
이해수준
없다 598 6.94 1.92
게임
있다 234 6.35 1.99 0.114
준수수준
없다 598 6.33 2.02
있다 540 6.90 1.89 0.545
이해수준
없다 1180 6.85 1.79
방송
있다 540 6.28 2.03 2.070*
준수수준
없다 1180 6.07 1.95
있다 369 6.77 1.86 -0.514
이해수준
없다 1291 6.82 1.78
영화
있다 369 6.21 1.91 2.070*
준수수준
없다 1291 5.98 1.97
있다 475 6.81 1.86 -0.884
이해수준
없다 1189 6.89 1.77
음악
있다 475 6.32 2.05 0.743
준수수준
없다 1189 6.24 1.92
있다 298 6.89 1.93 -0.311
이해수준
없다 686 6.93 1.80
출판
있다 298 6.59 2.12 2.509*
준수수준
없다 686 6.23 1.92
*P<0.5 **P<.01, ***P<.001

- (저작권 보호 중요성의 인식 차이) 전반적으로 불법공유 경험이 없는 사람들의 저작권 보호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게임, 영화, 출판 장르에서는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이 있는 이용자가 ‘향후 불법(비제휴)적인 경로를 통해서 콘텐츠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고 응답한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 주변의 사람들은 내가 불법(비제휴) 경로
로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괜찮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치도 높아서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에
따라 저작권 인식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한편 영화 장르는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유무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저작권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다만, ‘정식(제휴) 가격을 지불하고 영화를 이용하는 것은 창작
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중요하다’는 항목에 대해서는 불법 공유 경험자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낮게 나타남

- 15 -
<표 2-3> 장르별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유무에 따른 저작권 보호 중요성 인식의 차이

구분 항목 공유 N 평균(M) 표준편차 t
경험 (SD)
있다 234 3.11 0.70 -2.817**
저작권 보호는 게임산업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없다 598 3.25 0.62
정식(제휴) 가격을 지불하고 게임을 이용하는 것은 창 있다 234 3.07 0.70 -3.982***
작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중요하다 없다 598 3.26 0.60
게임
정식(제휴) 가격을 지불하고 게임을 이용하는 것은 이 있다 234 3.09 0.76 -2.796**
용자 스스로를 당당하게 만든다 없다 598 3.24 0.68
전반적으로, 나는 불법(비제휴) 경로로 게임 콘텐츠를 있다 234 2.86 0.80 -1.524
이용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없다 598 2.95 0.72
있다 540 3.11 0.61 -1.238
저작권 보호는 방송산업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없다 1180 3.15 0.59
정식(제휴) 가격을 지불하고 방송을 이용하는 것은 창 있다 540 3.10 0.66 -2.381*
작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중요하다 없다 1180 3.18 0.597
방송
정식(제휴) 가격을 지불하고 방송을 이용하는 것은 이 있다 540 3.09 0.67 -2.224*
용자 스스로를 당당하게 만든다 없다 1180 3.17 0.66
전반적으로, 나는 불법(비제휴)경로로 방송 콘텐츠를 있다 540 2.90 0.73 -2.684**
이용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없다 1180 2.80 0.67
있다 369 3.15 0.62 -1.609
저작권 보호는 영화산업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없다 1291 3.21 0.57
정식(제휴) 가격을 지불하고 영화를 이용하는 것은 창 있다 369 3.12 0.63 -2.737**
작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중요하다 없다 1291 3.22 0.58
영화 정식(제휴) 가격을 지불하고 영화을 이용하는 것은 이 있다 369 3.21 0.69 0.352
용자 스스로를 당당하게 만든다 없다 1291 3.20 0.66
전반적으로, 나는 불법(비제휴)경로로 영화 콘텐츠를 있다 369 2.83 0.74 0.572
이용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없다 1291 2.80 0.68
있다 475 3.10 0.65 -2.580*
저작권 보호는 음악산업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없다 1189 3.19 0.59
정식(제휴) 가격을 지불하고 음악을 이용하는 것은 창 있다 475 3.11 0.65 -3.316**
작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중요하다 없다 1189 3.22 0.59
음악
정식(제휴) 가격을 지불하고 음악을 이용하는 것은 이 있다 475 3.13 0.69 -1.380
용자 스스로를 당당하게 만든다 없다 1189 3.18 0.67
전반적으로, 나는 불법(비제휴)경로로 음악 콘텐츠를 있다 475 2.87 0.73 0.411
이용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없다 1189 2.86 0.67
있다 298 3.33 0.60 -0.170
저작권 보호는 출판산업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없다 686 3.33 0.57
정식(제휴) 가격을 지불하고 출판 콘텐츠를 이용하는 있다 298 3.26 0.69 -2.078*
것은 창작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중요하다 없다 686 3.36 0.57
출판
정식(제휴) 가격을 지불하고 출판 콘텐츠를 이용하는 있다 298 3.26 0.73 -0.601
것은 이용자 스스로를 당당하게 만든다 없다 686 3.28 0.64
전반적으로, 나는 불법(비제휴)경로로 출판 콘텐츠를 있다 298 3.00 0.76 -0.43
이용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없다 686 2.98 0.66

*P<0.5 **P<.01, ***P<.001

- (불법복제물 가치 판단 인식의 차이 ) 전반적으로 불법공유 경험 유무에 상관없이 ‘이용하는


콘텐츠가 불법인지 합법인 구분할 수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음. 불법 경로나 불법 콘
텐츠 이용에 대한 가치 판단, 그리고 향후 불법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불법 공유 경험이 있는 이용자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더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나 불법
공유 경험이 있는 이용자는 향후에도 불법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 16 -
<표 2-4> 장르별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 유무에 따른 불법복제물 가치 판단 인식의 차이

구분 항목 공유 N 평균(M) 표준편차 t
경험 (SD)
이용하는 게임 콘텐츠가 합법인지 불법인지 있다 234 2.78 0.83 -0.583
구분할 수 있다 없다 598 2.81 0.81
불법(비제휴) 경로로 게임 콘텐츠를 소비하는 있다 234 3.07 0.75 -5.245***
것이 크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없다 598 3.35 0.67
향후 불법(비제휴)적인 경로를 통해 게임 콘텐 있다 234 2.42 0.91 3.094***
게임 츠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없다 598 2.16 0.83
나는 앞으로 불법(비제휴) 경로로 게임 콘 있다 234 2.62 0.86 -3.603***
텐츠를 다운로드 할 것이다 없다 598 2.86 0.88
향후 불법(비제휴)적인 경로를 통해서 게임 콘 있다 234 2.35 0.92 5.144***
텐츠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없다 598 1.99 0.86
이용하는 방송 콘텐츠가 합법인지 불법인지 있다 540 2.79 0.72 2.951**
구분할 수 있다 없다 1180 2.68 0.75
있다 540 3.04 0.74 -1.004
방송 불법복제물은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
없다 1180 3.08 0.68
불법(비제휴) 경로로 방송 콘텐츠를 소비하는 있다 540 2.41 0.86 4.073***
방송 것이 크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없다 1180 2.23 0.76
향후 불법(비제휴)적인 경로를 통해서 방송 콘 있다 540 2.54 0.84 -2.702**
텐츠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없다 1180 2.66 0.78
나는 앞으로 불법(비제휴) 경로로 방송 콘텐츠 있다 540 2.25 0.87 5.009***
를 다운로드 할 것이다 없다 1180 2.03 0.79
이용하는 영화 콘텐츠가 합법인지 불법인지 있다 369 2.86 0.72 3.299**
구분할 수 있다 없다 1291 2.73 0.71
있다 369 3.04 0.70 -2.351*
영화 불법복제물은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
없다 1291 3.13 0.64
불법(비제휴) 경로로 영화 콘텐츠를 소비하는 있다 369 2.36 0.82 3.096**
영화 것이 크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없다 1291 2.21 0.75
향후 불법(비제휴)적인 경로를 통해서 영화 콘 있다 369 2.51 0.80 -4.250***
텐츠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없다 1291 2.71 0.77
나는 앞으로 불법(비제휴) 경로로 영화 콘텐츠 있다 369 2.26 0.87 4.391***
를 다운로드 할 것이다 없다 1291 2.04 0.76
이용하는 음악 콘텐츠가 합법인지 불법인지 있다 475 2.82 0.79 2.503*
구분할 수 있다 없다 1189 2.72 0.77
있다 475 3.09 0.70 -0.361
음악 불법복제물은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
없다 1189 3.10 0.64
불법(비제휴) 경로로 음악 콘텐츠를 소비하는 있다 475 2.43 0.81 4.116***
음악 것이 크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없다 1189 2.25 0.78
향후 불법(비제휴)적인 경로를 통해서 음악 콘 있다 475 2.50 0.82 -4.298***
텐츠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없다 1189 2.69 0.78
나는 앞으로 불법(비제휴) 경로로 음악 콘텐츠 있다 475 2.28 0.83 6.032***
를 다운로드할 것이다 없다 1189 2.012 0.80
이용하는 출판 콘텐츠가 합법인지 불법인지 있다 298 2.87 0.75 2.810**
구분할 수 있다 없다 686 2.73 0.72
있다 298 3.17 0.71 -0.682
출판 불법복제물은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
없다 686 3.21 0.62
불법(비제휴) 경로로 출판 콘텐츠를 소비하는 있다 298 2.28 0.87 3.778***
출판 것이 크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없다 686 2.06 0.75
향후 불법(비제휴)적인 경로를 통해서 출판 콘 있다 298 2.69 0.88 -2.559**
텐츠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없다 686 2.84 0.78
나는 앞으로 불법(비제휴) 경로로 출판 콘텐츠 있다 298 2.17 0.97 4.368***
를 다운로드 것이다 없다 686 1.90 0.76
*P<0.5 **P<.01, ***P<.001

- 17 -
2. 유관 기관의 장르별 저작권 침해 실태 분석 결과

1) 웹소설

○ 조사기관 : 한국콘텐츠진흥원(2020a). <웹소설 이용자 실태조사>


- 조사 대상 모집단은 만 10세~59세의 일반 국민으로 정의
- 웹소설 이용자 2,000명, 미이용자 1,000명을 조사 목표
- 목표 모집단은 2019년 기준 통계청의 주민등록인구현황 자료를 활용하여 파악
- 이용자 및 미이용자를 합하여 총 3,338명이 응답, 미이용자는 총 1,330명 응답하였고, 이용
자는 2,008명이 응답을 완료

○ 웹소설 이용자 중 불법 이용행태에 대해 최근 1년 내 이용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서는‘해


당사항 없음’이 64.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웹소설을 공유해주는 유튜브를 통해 이용’
13.0%, ‘인터넷카페, 블로그, SNS 등을 통해 이용’ 12.3%, ‘친구나 주변인에게 메신저나
이메일로 받아서 이용’ 9.6%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연령별로 보면 40대의 경우 다른 연령에 비해 ‘웹하드 다운로드를 통해 유료로 이용’이
12.6%로 높게 나타났음

<표 2-5> 불법 웹소설 이용 방법별 이용 경험


(단위: %)
위 방법을 통한 웹소설 이용 경험
친구나
웹하드 인터넷
P2P 웹소설을 주변인에게
다운로드를 카페,
빈도 사이트를 공유해주는 메신저나 해당사항
통해 블로그, 기타
통해 무료 유튜브를 이메일로 없음
유료로 SNS 등을
이용 통해 이용 받아서
이용 통해 이용
이용
전체 2008 6.0 7.9 13.0 9.6 12.3 64.3 0.2
남성 1009 8.2 9.6 13.7 11.1 12.5 60.8 0.3
성별
여성 999 3.8 6.1 12.4 8.0 12.1 67.9 0.2
10대 311 2.6 2.6 7.4 8.4 10.9 73.3 1.3
20대 490 6.9 5.9 14.3 8.6 11.2 65.5 0.0
연령 30대 486 6.8 9.3 12.3 9.5 11.7 64.0 0.2
40대 477 7.8 12.6 14.5 12.2 14.9 55.8 0.0
50대 244 3.7 6.6 16.4 8.2 12.3 67.6 0.0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a). <웹소설 이용자 실태조사>

- 위 항목을 선택한 응답자들이 해당 방법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친구 및 주변에서 추천해


주어서’가 28.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선택한 방법으로는 감상하는 것이 더 편해

- 18 -
서’가 28.2%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음
- 그 다음으로는 ‘유료로 이용하기에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어서’ 18.7%, ‘내가 원하는
작품을 선택한 방법으로만 구할 수 있어서’ 15.6% 등의 순이었음

<표 2-6> 불법 웹소설 이용 이유


(단위: 명, %)
내가 원하는
유료로 선택한 유료로
친구 및 작품은 선택한
이용하기에는 방법으로는 구매했을 때
빈도 주변에서 방법으로만 기타
경제적으로 감상하는 것이 실망한 경우가
추천해주어서 구할 수
부담되어서 더 편해서 많아서
있어서
전체 712 18.7 28.8 28.2 15.6 7.4 1.3
남성 393 19.3 27.2 29.3 16.0 6.9 1.3
성별
여성 319 17.9 30.7 27.0 15.0 8.2 1.3
10대 79 13.9 32.9 20.3 19.0 10.1 3.8
20대 169 17.8 28.4 30.2 15.4 5.9 2.4
연령 30대 174 19.0 27.0 27.6 17.8 8.0 0.6
40대 211 21.8 26.1 30.8 13.7 7.1 0.5
50대 79 16.5 36.7 26.6 12.7 7.6 0.0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a). <웹소설 이용자 실태조사>

2) 디지털 만화

○ 조사기관 : 한국콘텐츠진흥원(2020b). <2020 만화 이용자 실태조사>

○ 디지털만화 불법 이용 경험은 60.3%로 나타났으며, `만화를 공유해주는 유튜브, 인터넷 카페,


블로그, SNS 등을 통해 이용'이 38.9%로 가장 높게 나타났음
- 그 다음으로는 `웹하드(클럽박스, 위디스크 등)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이 19.6%, `해외 스
캔 만화 사이트 또는 웹툰 복제 게시 사이트를 통해 이용'이 13.8%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디지털 만화 불법 이용 경험은 남성(65.6%)이 여성(54.4%)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게 나
타났음
- 연령별로는 10-14세(75.8%)에서 불법 이용 경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 19 -
(Base : 전체, 단위: %)

경험있음 60.3%

38.9 39.7

19.6
13.8 12.2 11.4

만화를 공유해주는 웹하드(클럽박스, 해외 스캔 만화 사이트 P2P사이트(토렌트 등)를 친구나 주변인에게 경험 없음


유튜브, 인터넷 카페, 위디스크 등) 다운로드를 또는 웹툰 복제 게시 통해 이용 메신저나 이메일로 받아서
블로그, SNS 등을 통해 통해 이용 사이트를 통해 이용 이용
이용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b). <2020 만화 이용자 실태조사>

[그림 2-16] 디지털 만화 불법 이용 경험

- 디지털 만화 불법 이용 방식 일주일 이용 편수는 `만화를 공유해주는 유튜브, 인터넷 카페,


블로그, SNS 등을 통해 이용'이 4.2편으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웹하드(클립박스, 위
디스크 등)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3.7편)', `해외 스캔 만화 사이트 또는 웹툰 복제 게시 사
이트를 통해 이용(3.6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해외 스캔 만화 사이트 또는 웹툰 복제 게시 사이트를 통해 이용'을 제외하고 나머지 불
법 이용 방식에 대한 합법성 인식이 높을수록 일주일 이용 평균 편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즉, 이용자가 불법을 인지하지 못하고 이용하는 경우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Base : 각 해당 디지털 만화 불법 이용자, 단위: 편)

중간값 평균값

4.2
3.7 3.6
3.2
2.6
2.0 2.0 2.0
1.0 1.0

만화를 공유해주는 유튜브, 웹하드(클립박스, 위디스크 등) 해외 스캔 만화 사이트 또는 P2P 사이트(토렌트 등)를 통해 친구나 주변인에게 메신저나
인터넷 카페, 블로그, SNS 등을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 웹툰 복제 게시 사이트를 통해 이용 이메일로 받아서 이용
통해 이용 (n=589) 이용 (n=367) (n=342)
(n=1168) (n=414)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b). <2020 만화 이용자 실태조사>

[그림 2-17] 디지털 만화 불법 이용 방식별 일주일 이용 편수

- 20 -
- 디지털만화 불법 이용 방식 중 돈을 지불하지 않고 이용하는 경우는 `친구나 주변인에게
메신저나 이메일로 받아서 이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 그 다음으로는 `만화를 공유해주는 유튜브, 인터넷 카페, 블로그, SNS 등을 통해 이용',
`P2P사이트(토렌트 등)를 통해 이용'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반면, 돈을 지불하고 이용하는 경우는 `웹하드(클립박스, 위디스크 등) 다운로드를 통해 이
용'에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았음
(Base : 각 해당 디지털 만화 불법 이용자, 단위: %)

돈을 지불하지 않음 1천원 미만 1~3천원 미만 3천원~5천원 미만 5천원~1만원 미만 1만원 이상

P2P 사이트(토렌트 등)를 통해 이용


53.4 6.3 7.6 9.3 8.4 15.0
(n=367)

웹하드(클립박스, 위디스크 등)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 28.7 10.2 14.4 13.4 13.9 19.4
(n=589)

해외 스캔 만화 사이트 또는 웹툰 복제
게시 사이트를 통해 이용 46.9 4.3 10.4 15.5 12.3 10.6
(n=414)

만화를 공유해주는 유튜브, 인터넷 카페,


블로그, SNS 등을 통해 이용 59.8 5.5 7.7 7.8 8.0 11.1
(n=1168)

친구나 주변인에게 메신저나 이메일로


받아서 이용 63.2 2.9 10.8 6.1 5.0 12.0
(n=342)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b). <2020 만화 이용자 실태조사>

[그림 2-18] 디지털만화 불법 이용 방식별 연 평균 지불 비용

- 불법성을 내포하고 있는 디지털만화 이용 방식 중 `해외 스캔 만화 사이트 또는 웹툰 복제


게시 사이트를 통해 이용'이 불법적이라는 인식이 64.7%로 가장 높게 나타났음
- 그 다음으로는 `P2P 사이트(토렌트 등)을 통해 이용'이 55.2%, `웹하드(클립박스, 위디스크
등)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이 47.5%, `친구나 주변인에게 메신저나 이메일로 받아서 이용'
이 45.8%, `만화를 공유해주는 유튜브, 인터넷 카페, 블로그, SNS 등을 통해 이용'이 40.1%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21 -
(Base : 전체, 단위: %)

불법적(1+2) 보통(3) 합법적(4+5)

2018년 2019년 2020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0년 2020년 2018년 2019년 2020년

36.8 40.1 42.3


44.3 47.5 45.8
50.6 55.3 55.2 51.7
64.7

31.8
38.0
36.4 34.4 40.3 38.2
35.2 30.9 34.5
34.3
25.5
31.4
19.4 18.2 21.9 17.4 16.1
14.2 13.9 10.5 9.8 13.8

P2P 사이트(토렌트 등)를 웹하드(클립박스, 위디스크 등) 해외 스캔 만화 사이트 또는 만화를 공유해주는 유튜브, 친구나 주변인에게 메신저나
통해 이용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 웹툰 복제 게시 사이트를 인터넷 카페, 블로그, SNS 등을 이메일로 받아서 이용
통해 이용 통해 이용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b). <2020 만화 이용자 실태조사>

[그림 2-19] 디지털만화 불법성 인식

- 각 디지털만화 이용 경로를 통해서 디지털만화를 이용할 수 없다면, 비용을 들여서라도


정식사이트에서 디지털만화를 감상할 의향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웹하드(클럽박스, 위디
스크 등)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의 합법적 이용 의향이 44.8%로 가장 높게 나타났음
- 반면, `해외 스캔 만화 사이트 또는 웹툰 복제 게시 사이트를 통해 이용'의 합법적 이용
의향은 36.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
(Base : 각 해당 디지털 만화 불법 이용자, 단위: %)

의향 없음(1+2) 보통(3) 의향 있음(4+5)

20.7 15.8 18.7 14.9


22.2

39.4 39.1 42.7


39.2 41.5

40.1 44.8 42.2 42.4


36.2

P2P 사이트(토렌트 등)를 웹하드(클립박스, 위디스크 등) 해외 스캔 만화 사이트 또는 만화를 공유해주는 유튜브, 친구나 주변인에게 메신저나
통해 이용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 웹툰 복제 게시 사이트를 인터넷 카페, 블로그, SNS 등을 이메일로 받아서 이용
(n=367) (n=589) 통해 이용 통해 이용 (n=342)
(n=414) (n=1168)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b). <2020 만화 이용자 실태조사>

[그림 2-20] 디지털만화 불법 이용 불가시 합법적 경로 이용 의향

- 22 -
3) 캐릭터

○ 조사기관 : 한국콘텐츠진흥원(2020d). <2020 캐릭터 이용자 실태조사>

○ 캐릭터 상품 구매시 정품 여부가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은 61.6%


- 연령별로 보면 10대(70.3%)에서 정품 여부가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비중이
가장 높음
- 반면, 11.1%는 구매 결정에 영향이 없다고 응답. 10세 이하 연령대 비중이 높아 유아 대상
캐릭터 구매 시 부모가 정품 여부를 고려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음

○ FGI 결과: 캐릭터 불법 상품에 대한 인식


- 정품이 아니더라도 소모품이기 때문에 그냥 구매하겠다는 경우와 품질에 차이가 있기 때
문에 이왕이면 정품을 구매하겠다는 경우, 정품-가품 구분 없이 상품 자체의 희소성을 중
점적으로 두고 구매하겠다는 경우 등 다양한 견해가 나타났음

“가격대를 보면 차이가 나서 구분이 되긴 하죠. 이왕이면 정품을 사긴 하는데 실내화나 이런


건 한 두 달 신다 말 거니까 그냥 정품 아니어도 사죠.”
“꼭 정품을 사야겠다, 하는 건 없어요. 유의 깊게 보지 않아요.”(3~4세 자녀를 둔 주부)

“어차피 너무 똑같아서 구분을 잘 못하기도 하고. 캐릭터 상품은 아이가 좋아하는 거 길어봐
야 얼마 못 가니까 굳이 안 따질 것 같아요.”
“미세하게라도 품질에 어떤 차이점이 있을 수밖에 없어서 이왕이면 정품을 사고 싶어
요.”(5~9세 자녀를 둔 주부)

“좀 더 비싸더라도 정품을 살 것 같아요. 가품은 불법이니까, 저작권 문제도 있으니까요.”


“정품 가품 구분 없이, 상품 자체의 희소성을 생각해서 구매하는 것 같아요. 겉으로 봤을 때
품질에 크게 떨어지지 않는 선에서 희귀템이라면 구매하죠.”
“카카오프렌즈는 생각보다 품질이 괜찮아서, 정품이 아니라 가품이면 약간 품질이 떨어질 것
같은 느낌이 있어요.”(20대 여성)

“프라모델 같은 경우는 확실히 질적 차이가 있어요. 마감 처리에서 티가 나고, 중국산 제품


같은 경우는 조립할 때 규격이 안 맞는 경우도 있고요.”
“가격차이가 너무 크게 나면 굳이 정품이 아니더라도 가성비 따져서 가품 살 때도 있어
요.”(30대 남성)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d). <2020 캐릭터 이용자 실태조사> FGI결과 재인용

- 23 -
4) 애니메이션

○ 조사기관 : 한국콘텐츠진흥원(2020c). <2020 애니메이션 이용자 실태조사>

○ 스마트 기기로 애니메이션을 이용할 때 유료로 결제한 경험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 `파일 공
유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후 시청'이라 응답한 비율이 62.2%로 가장 높았음
- 지난 3년 간 조사에서 매년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남
- 유아와 30대 여성의 파일 공유 사이트에서의 결제 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c). <2020 애니메이션 이용자 실태조사>


[그림 2-21] 스마트 기기 애니메이션 결제 경험

- 24 -
5) 장르별 불법 이용 인지 차이

○ 전반적으로 유튜브나 소셜미디어 등과 같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불법 이용의 사례가 장르


불문하고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콘텐츠 장르별 특성에 따라 불법 저작물에 대한 인지 정도가 상당히 다름


- 특히 웹툰의 경우는 유튜브나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용하는 것이 작가나 플랫폼의 공식 사
이트의 홍보 채널과 유사한 것으로 보고 불법성을 인지 못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

- 반면에 캐릭터는 정품 여부가 중요한 특정 계층(매니아층, 이른바 키덜트)이 있었으며, 30
대 여성의 불법 이용률이 상당히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자녀의 캐릭
터 소비와 직접 연계된 것으로 나타나 30대 여성과 10대의 불법 캐릭터 소비의 상관관계
는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음
- 웹소설 장르의 경우 해당 조사에서는 불법 이용률이 다른 장르에 대한 기존 조사보다 상
당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음(웹소설 이용자의 충성도가 높은 것과의 관계 유추 가능)

3. 소결

○ 연령대별 분석
- 불법복제물 이용량은 20~30대가 가장 높음 : 저작권 침해 실태 개선을 위한 교육이 필요한
우선순위의 대상임
- 60대는 불법복제물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는데, 불법복제물 이용량이 가장 많은 20~30대의
부모 세대임 : 20~30대와 60대는 서로 영향력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관계. 이 두 세대를 연
결하는 저작권 침해 예방 및 인식개선을 위한 참여형 홍보프로그램 필요

○ (타게팅 장르 및 연령) 20~30대를 대상으로 방송·영화·출판 장르 타게팅 선정


- 선정기준은 불법복제 이용량 및 이용률이며, 방송 장르와 영화 장르를 먼저 타게팅하여
홍보·교육 전략 수립 필요
- 특별히 대학가에서의 불법제본은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침해 장르이므로, 타게팅의 한 분
야로 선정 필요
- 20~30대와 60대는 서로 영향력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관계, 두 세대를 연결하는 참여형 홍
보 프로그램 필요

- 25 -
○ 불법복제물 이용경로와 방향성
- 불법복제물 이용경로는 대부분 온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짐 : 저작권 침해예방을 위한 캠페
인 및 홍보전략의 주요한 채널로 SNS를 포함한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포괄, 확산 채널로
활용해야 함
- 친구, 동료 등 지인의 소개를 통해서 불법복제물 이용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는 점, 20~30
대는 MZ세대의 문화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또래 집단에게 설득적인 메시지를 저작권
침해예방 캠페인 메시지로 고안할 필요 있음
- 저작권 침해예방 캠페인 메시지 수립에 있어 불법복제물 이용으로 인한 개인적 피해 발생
을 강조할 필요 있음: 즉 부정적인 프레임 또는 손실프레임으로 저작권보호를 하지 않았
을 때 얻게 되는 부정적 결과를 다각적으로 제시할 필요 있음
- 또래 집단에게 설득적인 메시지를 부정적 결과에 대한 손실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캠페인
메시지로 연계

○ (타게팅 유통경로) 물리적·위치적인 단속의 사각지대 영역에서 홍보·교육 등 계도활동에


선택과 집중 필요
- 방송·영화 장르는 주로 사인 간 커뮤니티 공간에서의 불법 이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지
만 보호원의 모니터링이 물질적으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홍보캠페인이나 교육을 통해
이용자 스스로 합법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도활동이 필요

○ 불법복제물 공유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저작권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불법성


의 중대함을 알리는 홍보와 교육이 필요
- 콘텐츠 이용자들은 전반적으로 불법성을 인지하고 콘텐츠를 인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작권에 대한 인식 조사를 보면 대체로 불법복제물을 공유한 경험이
있는 사람의 불법성 이용행태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대상으로 불
법 콘텐츠의 공유와 이용이 얼마나 중대한 불법적인지를 알려주는 것이 필요

○ 출판은 여전히 오프라인 불법 복제가 성행하는 곳으로 대학가 교재에 대한 저작권 침해가
더욱 심함
-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저작권 침해 이슈에 집중되고 있는 측면이 있는데, 지속적인 피해
를 입고 있어 저작권 침해가 다른 분야에 비해 더 고질적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가 교재의
저작권 침해 예방에도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임

- 26 -
3장. 저작권 침해 사례 분석

1. 모니터링 사례

1) 저작권보호원 침해 민원신고

- 한국 저작권보호원은 내부 모니터링을 통해 조사할 수 없었던 불법 침해 영역을 대국민의


신고를 통해 접수하고자 저작권 침해 민원 신고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음
- 불법복제물 유통으로 권리자의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민관협력 대응 및 행정조치로 피
해를 최소화하고 올바른 저작권 이용환경을 조성하고자 함
- 온라인/오프라인 상 불법복제물 신고접수를 통한 게시물의 삭제처리 및 저작물 수거 폐기
가 가능
- 권리자가 보호원으로 보호를 요청한 저작물 중 명백한 저작권 침해물에 한정하여 OSP(온
라인 서비스 제공자)의 약관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민관협력대
응조치를 취하고 있음

*자료: 한국저작권보호원 COPY112(https://www.copy112.or.kr/mainWork/init/)


[그림 3-1] 민관협력대응조치 처리 절차

○ 침해 민원신고 사례

<표 3-1> 침해 민원신고 사례 구분

구분 상세 내용
소설·만화 등 타인의 저작물을 텍본 형태 또는 스캔본의 형태로 자
개인 블로그, 신이 운영하는 블로그나 카페에 직접 게시
공개된 장소에
카페, UCC,
저작물 무단 유포 다운로드 파일을 제공하거나 불법사이트로 연결되는 직접 링크를
유튜브 등
제공

- 27 -
영상을 자신이 운영하는 블로그나 카페에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파일이나 다운로드 링크 제공

타인의 저작물을 권리자의 이용허락 없이 UCC 등에 게시

블로그, 카페, 개인 홈페이지 등에 불법사이트 링크 제공

밴드 등의 사적인 공간에서 소설 또는 영화 등의 저작물을 공유


밴드, 및 교환
사적 공간에
클럽하우스
저작물 무단 유포 비공개 클럽에서 소설·영화 등의 저작물을 유·무료로 다운로드 또

는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제공

시중에 판매중인 서적을 스캔 또는 복제하여 타인에게 판매


타인의 저작물을 불법으로 짜깁기하여 제조 및 유통·판매
웹하드, 불법
저작물 무단 이용 및 사이트,
타인의 저작물을 이용허락 없이 광고 등의 목적으로 사용
영리 취득 이메일 거래
등 불법으로 기기를 제조하여 불법 게임 및 불법 소프트웨어 판매

웹하드 및 P2P에 불법복제물을 무단으로 업로드


이용 허락 없이 타인의 저작물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상품화하여
무단 상품화, 판매
불법복제물 이용 및
불법 SW 저작권 보호 기술조치를 우회하는 장치를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
판매
이용 등
고의적으로 불법 SW(윈도우, 폰트 등)를 탑재한 PC를 이용

2) 저작권보호원 침해 시정권고

○ 저작권보호원 저작권보호심의위원회

- 「저작권법」 제122조의6에 따라 「저작권법」 제103조의3, 제133조의2, 제103조의3에 따


른 심의 및 저작권 보호와 관련하여 한국저작권보호원 원장이 요청하거나 저작권보호심
의위원회 위원장이 부의하는 사항의 심의를 위하여 한국저작권보호원에 저작권보호심의
위원회를 두고 있음
- 저작권보호심의위원회는 효율적인 심의를 위해 4개의 분과위원회를 두고, 상정된 안건의
시정권고, 시정명령 등의 행정조치 심의·의결
- 시정권고 및 시정명령(저작권법 제133조의3, 제133조의2): 경고, 삭제·전송중단, 계정정
지 시정권고 심의

- 28 -
*자료: 한국저작권보호원 주요사업-심의·행정조치(https://www.kcopa.or.kr/lay1/S1T10C223/contents.do)
[그림 3-2] 시정권고(저작권법 제133조의 2) 처리 절차

○ 침해 시정권고 사례
<표 3-2> 침해 시정권고 사례 구분

구분 상세 내용
게임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QR코드 불법 복제물을 블로그에
무단으로 게시
토렌트 사이트에 마그넷 주소나 토렌트 파일 게시
블로그에 불법복제물로 연결되는 링크 게시
개인 블로그, 상영관에서 영화 ‘후반 크레딧 신(쿠키 영상)’ 무단 촬영 후 게시
공개된 장소에
카페, UCC,
저작물 무단 유포 복제·전송자가 직접 번역한 해외 만화 스캔본ㆍ영화 자막파일 등
유튜브 등
을 무단으로 게시
블로그에 시집으로 출판된 시ㆍ국외 요리 서적에 기재된 레시피
등을 무단으로 게시
유튜브ㆍ블로그 등에 원곡 가수가 아닌 자가 음원을 변형하여 실
연 또는 편집하여 무단으로 게시
사적 공간에 밴드에서 영화ㆍ소설ㆍ애니메이션 스티커 등의 저작물을 공유 및
밴드
저작물 무단 유포 교환
웹하드, 뮤지컬 공연을 몰래 촬영한, 일명 ‘밀녹’ 영상 판매
저작물 무단 이용 및
이메일 거래 교사수업연구모임 사이트에서 수학 문제집 스캔 파일 판매
영리 취득
등 웹캐스팅 사이트의 스포츠 실시간 중계 영상

- 29 -
○ 2021년 저작권보호심의위원회 심의결과

<표 3-3> 2021년 저작권 보호심의위원회 결과 정리

회차 일자 구분 분야 회의 내용 결과
저작물 무단
이용 및 웹하드 게시자가 영리 목적으로 불법복제물을 전송 가결
영리 취득
공개된 장소에 블로그 및 카페 이용자가 영문소설, 미국 및 일본
2021.
1회 저작물 무단 콘텐츠 전반 영상물의 불법복제물을 텍스트 파일, 오디오 파일, 가결
1. 7
유포 비디오 스트리밍 형태로 블로그 또는 카페에 게시
사적 공간에
저작물 무단 영화 밴드에서 영화 불법복제물을 제공 가결
유포
저작물 무단
이용 및 웹하드 게시자가 영리 목적으로 불법복제물을 전송 가결
영리 취득
공개된 장소에
2021.
5회 저작물 무단 사진 심의대상 게시물의 권리주장 부결
1. 14
유포
공개된 장소에
해외 블로그 및 카페 이용자가 일본 애니메이션 및 드라
저작물 무단 가결
영상물 마를 블로그 또는 카페에 게시
유포
공개된 장소에
블로그에 일본 애니메이션을 스트리밍 형식으로 제
저작물 무단 영상물 가결

2021. 유포
7회
1. 19 저작물 무단 불법 복제한 영상물, 음악, 컴퓨터 프로그램, 게임,
이용 및 웹하드 출판물 등을 웹하드 등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공 가결
영리 취득 (영화 ‘미드나이트 스카이’, ‘차인표’, ‘애비규환’ 등)
저작물 무단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2021.
8회 이용 및 웹하드 (만화 단행본, 방송 ‘유 퀴즈 온 더 블록’, ‘낮과 밤’ 가결
1. 20
영리 취득 등)
저작물 무단
이용 및 웹하드 게시자가 영리 목적으로 불법복제물을 전송 가결
2021. 영리 취득
9회
1. 21 공개된 장소에
해외 일본 만화와 오프닝, 엔딩곡을 스트리밍 형태로 제
저작물 무단 가결
만화/음원 공
유포
공개된 장소에
음악교육 전문 사이트에서 바이올린 연주법 강의 영
저작물 무단 음악 부결
상과 함께 국내 대중음악 한 곡 전체의 악보를 제공
유포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애니메이션 영화 파일을 돈을
2021. 영화 받고 판매, 이메일을 통하여 다수인에게 불법복제물 가결
10회 저작물 무단
1. 25 을 판매하여 영리를 취함
이용 및
불법 복제한 영상물 음악 컴퓨터 프로그램 게임 출
영리 취득
웹하드 판물 만화 등을 웹하드 등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공 가결
중의 이용에 제공
사적 공간에
영화 영화 ‘애비규환’을 밴드에서 제공하고 있는 사안 가결
저작물 무단

- 30 -
유포
저작물 무단
2021.
11회 이용 및 웹하드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가결
1. 26
영리 취득
저작물 무단
2021.
12회 이용 및 웹하드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가결
1. 27
영리 취득
저작물 무단
이용 및 웹하드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가결
2021. 영리 취득
13회
1. 28 공개된 장소에
해외
저작물 무단 일본 만화와 드라마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 가결
만화/드라마
유포
공개된 장소에
2021. 해외 블로그에서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영상물을 스트
16회 저작물 무단 가결
2. 4 애니메이션 리밍으로 제공
유포
저작물 무단
이용 및 웹하드 웹하드 사이트에서 만화 불법복제물 제공 가결
2021. 영리 취득
17회
2. 4 공개된 장소에
저작물 무단 영화 영화 일부 장면을 캡처 이용하여 소개 및 감상 작성 부결
유포
저작물 무단 웹하드 웹하드 사이트에서 만화 불법복제물을 전송 가결
이용 및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웹하드 가결
2021. 영리 취득 (드라마 ‘설국열차’, ‘에밀리, 파리에 가다’ 등)
18회
2. 8 공개된 장소에 해외
저작물 무단 애니메이션/ 블로그에 일본 애니메이션과 드라마 등을 제공 가결
유포 드라마
공개된 장소에
저작물 무단 음원 음원을 이용하여 홍보 영상물 제작 부결
2021. 유포
19회
2. 9 저작물 무단
이용 및 웹하드 웹하드에 불법복제물을 제공 가결
영리 취득
공개된 장소에 해외 블로그 운영자가 일본 애니메이션을 공중의 이용에
부결
저작물 무단 애니메이션 제공
2021. 유포 방송 중국 다큐멘터리의 일부를 복제하여 블로그에 게시 부결
21회
2. 15 저작물 무단 웹하드에 불법복제물 제공
이용 및 웹하드 (영화 ‘승리호’, 음악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출 가결
영리 취득 판 ‘강남화타’ 등)
저작물 무단 웹하드에 현재 미개봉작인 최신 영화를 비롯한 불법
2021.
22회 이용 및 웹하드 복제물 제공 가결
2. 16
영리 취득 (영화 ‘승리호’, ‘소울’, 드라마 ‘설국열차’)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 복제한 영상물, 소프트웨
저작물 무단
2021. 어, 만화 등의 불법복제물 제공
23회 이용 및 웹하드 가결
2. 17 (영화 ‘승리호’, ‘미나리’, ‘정직한 후보’, 출판 ‘재혼
영리 취득
황후’ 등)
2021. 저작물 무단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24회 웹하드 가결
2. 18 이용 및 (영화 ‘신비한 동물사전’, ‘미나리’, ‘아웃브레이크’

- 31 -
영리 취득 등)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웹하드 (영화 ‘1917’, 음악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만화 가결
저작물 무단 ‘월간순정 노자키 군’ 등)
2021.
26회 이용 및
2. 24 보호원이 정보통신망을 조사하여 심의를 요청한 사
영리 취득
안으로, 웹하드 사이트에서 최신 영화를 게시한 건
영화 가결
을 을 ‘긴급 대응 저작물’로 지정해 최우선 조치 대
상으로 처리 요망
사적 공간에
네이버 밴드에서 영화 ‘승리호’, ‘미나리’를 mp4 파
저작물 무단 영화 가결
일로 제공
유포
2021.
27회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2. 24 저작물 무단
(영화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 ‘빛의 판타지,
이용 및 웹하드 가결
방송 ‘우리 이혼했어요’, 출판 ‘쿠로사키 말 따위 안
영리 취득
들을거야’ 등)
공개된 장소에
블로그에서 미국 애니메이션(방송)과 일본 드라마
저작물 무단 해외 방송 가결
(방송)을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
2021. 유포
28회
2. 25 저작물 무단
이용 및 웹하드 웹하드 사이트에 최신 영화를 제공 가결
영리 취득
공개된 장소에
저작물 무단 방송 블로그에 오디오 드라마 극본을 게시 가결
2021. 유포
29회
3. 2 저작물 무단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이용 및 웹하드 (음악 ‘화’, 영화 ‘몬스터 헌터’, 방송 ‘위 베어 베어 가결
영리 취득 스 곰브라더스4’ 등)
전체
네이버 블로그에 대중가요 MR 음원을 스트리밍 형
음원 위
공개된 장소에 식으로 제공
회부
저작물 무단
해외
2021. 유포 네이버 블로그와 네이버 TV에 일본 애니메이션, 일
30회 애니메이션/ 가결
3. 3 본 드라마 우리말 자막 함께 제공
방송
저작물 무단
이용 및 웹하드 웹하드 사이트에 만화 불법복제물 제공 가결
영리 취득
저작물 무단
이용 및 웹하드 웹하드 사이트에 최신 만화 제공 가결
2021. 영리 취득
31회
3. 4 공개된 장소에
저작물 무단 해외 방송 블로그에서 해외 방송 영상물 제공 가결
유포
공개된 장소에
2021.
37회 저작물 무단 음원 블로그에 음악 불법복제물을 직접 링크로 제공 가결
3. 9
유포
공개된 장소에
2021.
38회 저작물 무단 웹하드 웹하드에 다수의 만화 불법복제물을 무료로 제공 가결
3. 10
유포
39회 2021. 공개된 장소에 해외 방송 블로그에 해외 방송 영상물을 제공 가결

- 32 -
저작물 무단
3. 11
유포
저작물 무단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이용 및 웹하드 (영화 ‘송가인 더 드라마’, 음악 ‘Don’t Call Me’, 가결
영리 취득 만화 ‘리얼’ 등)
2021. 전체
44회
3. 16 공개된 장소에 음원 블로그에 음원을 스트리밍 형태로 게시 위
저작물 무단 회부
유포 해외
블로그에 일본 애니메이션 불법복제물 게시 가결
애니메이션
저작물 무단 웹하드 사이트에 불법복제물을 게시
이용 및 웹하드 (영화 ‘어벤져스: 엔드게임’, ‘라야와 마지막 드래 가결
2021. 영리 취득 곤’, 방송 ‘보건교사 안은영’ 등)
45회
3. 16 공개된 장소에
저작물 무단 음원 카페 및 블로그에 음원을 스트리밍 형태로 게시 가결
유포
저작물 무단
2021.
46회 이용 및 웹하드 웹하드 사이트에서 만화 불법복제물을 제공 가결
3. 17
영리 취득
저작물 무단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이용 및 웹하드 (만화 ‘귀멸의 칼날’, 영화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 가결
2021. 영리 취득 한열차편, ’노팅 힐‘ 등)
53회
3. 23 공개된 장소에
저작물 무단 영화 블로그에 임베디드 링크 형태의 영화를 게시 가결
유포
공개된 장소에
네이버 블로그와 카페에서 다수의 애니메이션 저작
저작물 무단 애니메이션 가결
물을 제공
유포
보호원이 정보통신망을 조사하여 심의위원회에 심
2021. 의를 요청한 건으로, 불법 복제한 영상물, 만화, 음
54회
3. 24 저작물 무단 악 등을 웹하드 등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공중의 이
이용 및 웹하드 용에 제공 가결
영리 취득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소프트웨어 ‘한컴 오피스 2020’, 영화 ‘모리타니
안’, 게임 ‘좀비 아미 4: 데드 워’ 등)
공개된 장소에
저작물 무단 방송/영화 블로그 및 카페에서 해외 방송과 국내 영화를 제공 가결
유포
2021. 불법복제물 스트리밍 방송사업자 등의 복제권, 전송권, 동시중계방송권을
55회 가결
3. 25 이용 및 판매 기기 판매 침해하는 기기를 판매하는 게시물을 전송
저작물 무단
이용 및 웹하드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가결
영리 취득
보호원이 정보통신망을 조사하여 심의를 요청한 사
저작물 무단
2021. 안으로, 웹하드 사이트에서 최신 영화를 게시한 건
60회 이용 및 영화 가결
3. 29 을 을 ‘긴급 대응 저작물’로 지정해 최우선 조치 대
영리 취득
상으로 처리 요망
2021. 공개된 장소에 영화 일부 장면을 사용하여 카드 뉴스 등을 제작,
61회 영화 부결
3. 30 저작물 무단 게시

- 33 -
유포 영상물 네이버 블로그에 영상 불법복제물을 게시 가결
저작물 무단 웹하드 사이트에서 불법복제물을 제공
이용 및 웹하드 (영화 ‘나이브스 아웃’, ‘호빗: 뜻밖의 여정’, 방송 가결
영리 취득 ‘워킹데드’ 등)
공개된 장소에
저작물 무단 영상물 네이버 블로그와 카페에 다수의 영상물을 제공 가결
2021. 유포
62회
3. 31 사적 공간에
밴드에서 영화 ‘미나리’,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
저작물 무단 영화 가결
리그’ 등의 최신 영화를 제공
유포

2. 국내외 저작권 침해 사례2)

○ 최근 5년간 국내‧외 온라인 불법복제물로 적발된 콘텐츠는 409만 건


- 2020년 한국저작권보호원 자료 ‘온라인 불법복제물 콘텐츠별 현황’에 따르면, 국내 유통 콘
텐츠는 407만 7,463건, 해외 유통 콘텐츠는 15,497건3)
- 국내 유통 불법 콘텐츠 유형은 방송 콘텐츠(55.7%), 영화(25.8%), 만화(6.6%), 음악(5.4%) 의 순
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외에서 유통되는 불법 콘텐츠 유형은 영화(25.9~39.8%), 음악
(24.8%), 방송(15.7~29.6%) 순이었음

○ 해외 서버를 통한 불법 콘텐츠 다운로드 성행


- 국내 불법 콘텐츠 다운로드 단속이 심해지자 바이두, 메가 등 해외 클라우드 사이트로 우회하
는 ‘복돌이’4)가 늘고 있음
- 최근 불법 다운로더 사이에서 ‘양대 클라우드 성지’로 떠오른 것이 ‘바이두’와 ‘메가’
로, 각각 중국과 뉴질랜드에 서버를 두고 있으며 대용량 클라우드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이용
자를 대거 확보
- 주로 유료 웹툰·웹소설, 영화 등이 유통되며 특히 웹툰과 웹소설은 용량이 크지 않아 다량의
파일이 업로드되어 있음

2) ‘2. 저작권 침해 사례’ 부분 중 웹툰 관련 내용은 ‘저작권해외진흥협회(2020). 해외 불법 웹툰사


이트 현황 파악 및 대응방안 조사ㆍ연구’의 일부를 발취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3) 올해 가장 많이 불법 복제된 노래는 '조정석의 아로하'(2020.2.26.). 한경닷컴.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010226274i
4) 영화 등 유료 콘텐츠를 불법으로 내려받는 소비자를 의미하는 은어

- 34 -
*자료: "걸려도 처벌 불가"..불법다운 온상된 바이두(2020.1.27.). 한국경제.

[그림 3-3] 불법 콘텐츠 유포 방식

○ 불법 콘텐츠 유통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필요


- 이에 대해 콘텐츠 관련 업계도 한류 콘텐츠의 불법 유통 등에 대한 강력한 대응 요청
- 대가를 받지 않는 경우 음반이나 영상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합헌 결정이 내려진 저작권법
29조 2항을 비롯한 저작권 관련 제도들이 현장의 수요에 기민하게 대응해 개선되어야 한다는
입장5)
- 문체부는 올해 예산에 한류 콘텐츠 보호 비용 등을 책정하고 해외 현지의 불법복제물 유통에
대해서는 해외저작권사무소를 통한 조사(모니터링)와 현지 당국과의 국제 공조를 강화할 예

1) 글로벌 웹툰 시장

○ 2019년 불법복제 사이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조사한 결과 전체 도메인 3,323개 중 접속이 가


능한 웹툰 불법복제 사이트 수는 총 1,3346)개로 확인되었음
- 불법복제 사이트는 웹툰만을 취급하는 것은 아님. 해당 불법 사이트 중 상당수는 망가를 중심
으로 유통하고 있으며, 웹툰 불법 유통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국가별로 전체 수집된 1,334개 불법복제 사이트의 점유율 1위는 미국으로 432개 사이트, 32%
의 점유율을 기록했음. 2위는 한국이 197개로 15%, 3위 중국 121개 9%, 4위 베트남 60개 4%,

5) 박양우 장관, 저작권 보호 논의…"한류 불법유통 대응해야"(2020.5.27.).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527_0001039319&cid=10602
6) 국가별 기준으로 나눌 시 일부 사이트의 경우 2개 이상의 국가에서 접속한 것으로 파악되었으
며, 중복을 배제한 순수한 사이트 기준으로는 1,296개의 불법 사이트가 파악됨

- 35 -
5위 프랑스 46개 3%, 6위 태국, 7위 인도네시아, 8위 러시아, 9위 브라질, 7위 인도, 10위 스페
인 순으로 나타남

[그림 3-4] 주요 국가별 불법 웹툰 사이트 점유율

- 다국어를 지원하는 불법 사이트의 경우 시밀러웹에서 미국으로 접속 국가를 지정하는 경우가


많아 미국의 불법사이트 수와 트래픽이 높게 잡힘. 다만, 불법복제 사이트 도메인 조사 결과를
실제 사이트별로 그룹화한 경우에도 미국 사이트 수가 가장 많이 파악되었으며, 다음으로 동
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 웹툰 불법복제사이트 점유율은 미국이 55.3%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세계 공용어
인 영어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임. 인터넷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으며, CDN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국가나 지역을 굳이 구별하여 접속하지 않는 사용자들의 경향성 때문인 것으로 파
악됨
- 한국의 경우 미국 다음으로 많은 사이트에서 불법 웹툰이 유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
며, 대부분의 사이트들이 웹툰만을 유통하고 있어서 그 피해가 심각한 수준임
- 중국의 경우 구글 검색만을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이어 3위를 차지하였음. 추후 연
구에서 중국 자체 검색 엔진인 바이두(www.baidu.com)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경우 그 피해 규
모는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베트남의 경우 메이저 플랫폼이 공식 진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60개 이상의 불법 사이트가 파악됨
- 베트남의 경우 한류 콘텐츠가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나 불법 저작물에 대한 인
식이 낮아 IIPA7) 우선감시 대상국8)에 올라 있으며 웹툰 불법유통의 피해가 큰 것으로 보임

- 36 -
○ 피해 작품 현황
- 한국에서 주로 접속하는 불법복제 사이트의 경우 17개 웹툰 플랫폼의 5,316개 작품이 피해를
입었으며, 미국은 4,007개 작품, 러시아 2,579개, 인도네시아는 1,453개, 태국은 897개, 프랑스
는 732개, 사우디아라비아는 701개, 베트남은 654개, 이탈리아는 494개, 포르투갈은 469개로
나타남
- 상기 결과 중 특히 러시아의 경우는 2,579편의 웹툰이 불법 유통되고 있어, 상기에서 언급한
불법복제 사이트 수, 트래픽 못지않게 침해 작품 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3-4> 국가별 피해플랫폼 수 & 피해 웹툰 수 TOP 10

No. 국가 피해 플랫폼수 피해 웹툰수


1 한국 17 5,316
2 미국 28 4,007
3 러시아 28 2,579
4 인도네시아 28 1,453
5 태국 27 897
6 프랑스 27 732
7 사우디아라비아 28 701
8 베트남 24 654
9 이탈리아 24 494
10 포르투갈 24 469
(정렬기준: 피해웹툰 수)

- 불법 침해를 당한 작품은 카카오페이지의 작품이 12개로 가장 많았으며, 네이버웹툰 5개 작


품, 레진 2개 작품, 다음웹툰 1개 작품으로 나타남. 카카오페이지 작품의 경우 탄탄한 스토리
와 수준 높은 작화의 웹툰 작품이 많으며, 소년 장르, 판타지 장르의 작품이 많아서 피해가
큰 것으로 보임
- 전 세계적으로 소년만화 장르의 작품이 불법복제의 피해에 가장 많이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기존에 드래곤볼, 원피스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일본 망가들이 주로 소년만화
장르의 작품인 것과 관계가 있음

7) 국제 지적재산권연합(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Alliance)


8) 참조: IIPA's 2020 Special 301 Report(https://www.iipa.org/reports/special-301-reports/)

- 37 -
<표 3-5> 글로벌 웹툰 불법복제 피해 작품 TOP 20
침해
No. 피해 작품명 권리사
사이트 수
1 나는 마도왕이다 카카오페이지 127
2 나 혼자만 레벨업 카카오페이지 126
3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 카카오페이지 121
4 노블레스 네이버웹툰 102
5 그 악녀를 조심하세요! 카카오페이지 94
6 더 게이머 네이버웹툰 94
7 어느 날 공주가 되어버렸다 카카오페이지 90
8 어쩌라GO! 레진 87
9 나 홀로 버그로 꿀빠는 플레이어 카카오페이지 86
10 레이디 베이비 카카오페이지 86
11 책을 읽으면 경험이 쌓여 카카오페이지 85
12 FFF급 관심용사 카카오페이지 85
13 도굴왕 카카오페이지 82
14 난약 네이버웹툰 81
15 몸에 좋은 남자 레진 80
16 던전 리셋 카카오페이지 79
17 갓 오브 하이스쿨 네이버웹툰 79
18 아비무쌍 다음웹툰 78
19 리버스 네이버웹툰 77
20 화산전생 카카오페이지 74

○ 불법 유포 유형별 현황
- 불법복제 사이트 유형은 크게 웹툰/만화/망가, 영상(영화/드라마포함), 음악, 음란물, 애니메이
션, 소설, 링크사이트, 커뮤니티, 기타의 9가지 유형으로, 웹툰 관련 불법사이트는 대부분의 경
우 단독으로 웹툰/만화/망가를 유통하고 있음

- 38 -
<표 3-6> 불법 유형별 불법사이트 수

No. 콘텐츠 사이트 수


1 웹툰/만화/망가 812
2 음란물 28
3 영상 15
4 소설 14
5 애니메이션 9
6 커뮤니티 4
7 링크사이트 1

2) 국내 웹툰 시장

○ 한국 웹툰 불법복제 사이트의 수는 전체 3위로, 따로 번역이 필요 없고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기업형 불법복제 사이트가 많아 그 피해가 큰 것으로 보임
- 한국 웹툰 불법 복제 사이트엔 대부분의 인기 있는 연재 중 웹툰이 불법 공유되어, 해외 사이
트의 원천 소스로서의 기능을 함. 외국어 웹툰 불법복제 사이트의 경우 일부 사이트는 번역
전 한국 작품을 그대로 올려 둔 후 추후 번역을 진행하기도 함

<표 3-7> 한국 불법복제 도메인 수/사이트 수/PV 점유율


불법복제 불법복제
국가 1년간 PV
도메인수 사이트 수
한국 1,886 197 17,110,199,910
점유율 56.76% 14.77% 5.11%

- 특히 잦은 도메인 변경으로 추적이 되지 않는9) 도메인이 많아 실제 발생 트래픽은 훨씬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됨
- 웹툰 전용 사이트와 일본 망가 전용 사이트가 분할된 경우가 많지만, 최근 마나토끼 통합과
같이 일부 사이트들이 웹툰과 일본 망가를 같이 불법 복제하여 공유하는 경우도 있음. 한국
웹툰 불법복제 사이트의 가장 큰 특징은 애드센스와 같은 광고 매체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
라, 직접 광고를 수주하여 운영하는 자체광고 방식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는 점임

○ 피해 사이트 현황
- 한국어 웹툰/망가 불법복제사이트의 경우, 일본 망가 불법 복제 사이트와 웹툰 전용 불법복제

9) 시밀러웹(SimilarWeb) 트래픽 수집 기준은 1개월 단위로 1개월에 여러 번 도메인을 바꾸는 경


우 제대로 된 트래픽 추적이 어려운 경우가 많음.

- 39 -
사이트가 나눠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2017년부터 웹툰 불법 복제 사이트 수가 늘어나기
시작했으며 2018년부터는 도메인 수가 급격히 늘어남
- 2018년 5월 한국 최대 웹툰 불법 복제 사이트 ‘밤토끼’ 운영자 허모 씨가 붙잡힌 이후 정부
합동 단속을 통해 불법 사이트 19곳을 폐쇄했지만 유사 사이트들의 모방범죄가 지속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판단됨10)
- 이는 정부의 적극적인 접속차단 조치로 인한 것이며, 접속차단을 회피하기 위해 도메인을 미
리 대량으로 확보해 놓고 이에 도메인 변경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실정
- 작가가 직접 불법 유통 경로를 찾아 경찰에 신고해도 해외 서버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추적
이 어려우며, 한국 서버를 이용하더라도 자신의 명의가 아닌 아이디를 사용해 불법 복제물을
유통하는 경우가 다수이기 때문에 피의자를 처벌하기 어려움11)

<표 3-8> 한국 불법복제 사이트 피해 현황

국가 피해 플랫폼 수 피해 웹툰 수
한국 37 5,316

○ 피해 작품 현황
- 한국에서 주로 접속하는 한국어 웹툰 불법복제 사이트에서는 37개 플랫폼의 5,316편이 불법으
로 유통되고 있음
- 네이버웹툰, 다음웹툰, 카카오페이지, 레진코믹스 4개 플랫폼의 경우 총 3,166작품이 공유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연재 중 작품 대부분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규모의 수치

10) K-웹툰·웹소설 성공가도? 불법유통 탓 몸살 앓는 작가들(2021.1.6.). 신동아.


https://shindonga.donga.com/List/3/02/13/2348941/1
11) 여전히 판치는 ‘웹툰 불법 유통’…“일벌백계해야”(2021.3.16.). 시사저널.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13478.

- 40 -
<표 3-9> 한국 불법복제 피해 웹툰 TOP 50

침해 침해
No. 피해 작품명 No. 피해 작품명
사이트수 사이트수
1 BJ 알렉스 27 26 포기하는연애 25
2 S플라워 27 27 해골병사는 던전을 지키지 못했다 25
3 정숙한 남자 27 28 항변신 25
4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 26 29 일탈 : 즐거운 나의 집 25
5 그녀가 공작저로 가야 했던 사정 26 30 루저 25
6 훔쳐보기 26 31 성진변 25
7 집주인 딸내미 26 32 해주세요 스와핑 25
8 다정하게 말해줘 26 33 오늘 뭐해 25
9 2반 이희수 26 34 다 해줄게 25
10 BL모텔 26 35 작은 전쟁 25
11 거절 못하는 여자 26 36 동네 누나 25
12 러브 오어 헤이트 26 37 환골탈태 25
13 수화 26 38 블러드 링크 25
14 악마의 유혹 26 39 외모지상주의 25
15 황룡전 26 40 다섯 가지자 아! 25
16 이게 무슨 일이야? 26 41 돌아올 땐 해일같이 25
17 뷰파인더 26 42 렌탈걸즈 25
18 레드스톰 25 43 롤플레잉겜만화 25
19 아비무쌍 25 44 마녀의 발자국 25
20 학사재생 25 45 바람 25
21 화산전생 25 46 사랑은 환상! 25
22 샤크 25 47 상아 25
23 용이 비를 내리는 나라 25 48 서는 여자 25
24 판피아 전기 25 49 소유하는 우리 25
25 우리 집 우렁이는 25 50 쓰레기의 정사 25

3) 출판

○ 대학가를 중심으로 교재 및 학술 출판물 관련 저작권 침해 만연


- 현행 저작권법 제25조에 따르면, 교육기관은 수업 목적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공표된
저작물의 ‘일부분’을 복제·배포·공연·전시 또는 공중송신할 수 있음. 공표된 저작물의
인용과 관련해서도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하게”(동법 제28조)만 하면 된
다는 규정이 전부
- 다시 말해 저작물의 이용 범위나 분량, 비중 등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12)

12) 코로나19 사태와 대학 교재의 저작권(2020.3.6.). 교수신문(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8898)

- 41 -
- 이로 인해 디지털 복제와 북스캔 등의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음. 문화체육관광부와 한
국저작권보호원 등은 매년 교재 불법 복사에 대한 단속을 벌이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한 상황
- 학점은행제 업체에서는 교재의 요약본을 텍스트 파일로 배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한
출판 시장의 피해가 상당하며, 대학 교양수업에서도 텍스트 파일을 학생들에게 그대로 제공
해 문제가 된 경우가 있었음13)

13) 교육 위한 불법 스캔이라고? 뻔뻔한 변명이 교육을 망치고 있다(2020.2.28.).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8606

- 42 -
4장. 저작권 침해에 대한 현황 및 인식

1. 조사 개요

1) 일반인 이용자

○ 일반인 이용자 심층 인터뷰 대상자 선정은 20대와 30~40대 두 집단을 대상으로 우선적으로
진행됨(<표4-1> 참조)
○ 10대와 20대는 눈덩이 표집을 통해 줌(Zoom)을 통해 비대면으로 표적 대상 집단인터뷰
(Focus Group Interview, FGI)로 진행됨
○ 30~40대는 서면 인터뷰로 진행됨

<표 4-1> 일반이용자 심층 인터뷰 참여자

세대 연령 대상 비고
전○○/ 대학생(남, 10대)
유○○/ 대학생(남, 10대)
10대 4/14
김○○/ 대학생(남, 10대)
최○○/ 대학생(남, 10대)
MZ세대 신○○/ 대학원생(남, 20대)
김○○/ 대학생(남, 20대) 3/29
20~30대 주○/ 대학원생(여, 20대)
○○/ 전업주부(여, 30대)
○○/ 직장인(남, 30대) 3/26
X세대 40대 ○○/ 직장인(남, 40대)

<표 4-2> 일반이용자 심층 인터뷰 질문지

유형 내용

○ 저작권에 대한 인식 및 지식
- 저작권에 대해 들어 보셨습니까? 어떤 권리라고 생각하십니까
- 본인이나 주위에서 저작권 관련해서 문제를 경험하신 적이 있습니까
질문 유형 1
- 저작권과 관련해서 생기는 문제가 주로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ex. 벌금,
초상권 침해, 개인정보 유출 등)
- 저작권은 보호가 필요한 중요한 권리라고 생각하는지?

○ 콘텐츠 장르별 다운로드 경험


질문 유형 2 - 평소에 어떤 장르의 콘텐츠를 어디에서 어떻게 주로 이용하십니까?
(채널 활용도, 노출도, 이용시간 등)

- 43 -
- 콘텐츠를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하는 편입니까?
- 아니라면 주로 어떤 방식이나 경로로 이용하는지
- 해당하는 방법이 불법인지 아닌지 구분하시는지
- 불법인지 알면서도 이용하는 이유/이용동기가 무엇인지

○ 피해 경험(주변 사례 공유 가능)
- 주로 다운로드나, 복사 등을 하실 때 이용하는 사이트나 블로그, 앱은 무
엇입니까? (ex. 토렌트, 블로그)
- 본인 혹은 주변에서 불법 복제물 유통이나 이용으로 피해를 경험한 사례
가 있습니까? (ex. 벌금, 개인정보유출, 해킹, 결제로 인한 피해 등등)
○ 불법복제 유통(저작권 침해)과 관련해서 홍보나 교육을 접해본 적 있는지?
- 어느 기관, 어떤 장르, 어디에서, 어땠는지(도움이 됐는지, 퀄리티 등)

○ [기존 홍보 영상 및 이미지 보여주고] 저작권보호원의 기존 홍보활동


노출 및 참여 경험 있는지
- 경험이 있다면 어땠는지요?
질문 유형 3
※ 한국저작권보호원의 홍보활동(예: 온라인 공모전, 온라인퀴즈 이벤트, 옥외
광고, 유튜브 영상 등) 노출, 기억 및 참여 경험, 홍보프로그램 관련 개선 아
이디어

- 본인이 주변에(자녀, 부모, 동료, 친구) 있는 사람들에게 저작권과 관련하


여 권고나 안내(가르침)를 해 보신 적이 있는지?
○ 바라는 참여 프로그램이 있는지?
- 어떤 프로그램이 있으면 참여를 할 의사가 있는가?
-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같은 온라인을 통한 홍보 콘텐츠를 어떻게 만들면
많은 사람이 이용할까요?
질문 유형 4 - 저작권 관련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까요?(혹은 교육적
효과가 클까요?)

(학교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한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확대하는 차원의 시민강좌나 교양 강좌 등이 바람직한지)

- 44 -
2) 산업계

○ 산업계는 업계 전문성에 대한 심도 깊은 인터뷰가 필요하여 1:1 심층 인터뷰로 진행되었음


-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인터뷰 대상자와 사전에 공유하고 인터뷰 대상자가 익숙한 사무공간에
서 약 1시간 진행됨

○ 3월 15일부터 현재까지 총 8개 분야 장르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음

<표 4-3> 산업계 심층 인터뷰 참여자

소속 직책 이름 장르

한국음악콘텐츠협회 소장 김○○ 음악

한국영화디지털유통협회 대표 김○○ 영화

한국방송협회 부장 민○○ 방송

한국문학예술 저작권협회 부장 김○○ 출판

한국SW저작권협회 과장 황○○ SW

한국웹툰산업협회 사무처장 김○○ 만화·웹툰

한국애니메이션산업협회 사무국장 김○○ 애니메이션

언론진흥재단 팀장 신○○ 뉴스

3) 저작권보호원 내부 담당자 인터뷰

○ 저작권보호원은 부서별 부장급 5인과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정보분석전문원 5인에 대해 이


루어짐. 개별 일정을 고려하여 2021년 3월 25일~ 3월 26일 양일에 거쳐 한국저작권보호원
회의실에서 이루어짐
○ 보호원 내부 직원 인터뷰 질문 항목의 경우, 사전에 반구조화된 질문을 마련하였으나, 각각
의 담당 영역이 다르고 전문성도 달라 현장에서 해당 인터뷰이에 적합한 질문으로 재구성
되어 자유롭게 진행되었음

- 45 -
<표 4-4> 저작권보호원 FGI 참여자

구분 부서 직책 이름 비고

과학수사지원부 부장 신○○ 오프라인 저작권 침해 대응

온라인보호부 부장 이○○ 온라인 저작권 침해 대응

부장급 사무처 사무처장 이○○ 저작권 보호 심의, 상담

해외사업부 부장 정○○ 해외 저작권 보호

기획조정부 부장 김○○ 보호원 업무 기획·조정

양○○ 만화
이○○ 음악
모니터링 정보분석
온라인보호부 서○○ 영화
담당 전문원
유○○ 기획 장르
함○○ 방송

<표 4-5> 산업계 심층 인터뷰 질문지

유형 질문내용

- 선생님께서는 콘텐츠 산업 어떤 장르에서 저작권 침해가 심각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 향후 저작권 침해가 심각해질 위험이 있는 장르는 어느 분야라고 생각하
십니까? 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
질문 유형 1
- 종사하고 계시는 산업(장르)에서 특별히 침해가 심각한 사례가 있습니까?
(장르 차원)
(ex. 음악의 경우 음원 유출·변형, 게임의 경우 게임 아이템)
- 가장 심각한 사례가 나타나는 근본적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어떤 이유에서 저작권 침해행동을 한다고 생각하시는지?
- 저작권 침해로 누가 가장 피해를 입는다고 할 수 있을까요?

- 저작권보호원과 저작권위원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저작권 교육에 대해서


알고 계신지? 그 실효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교육적 효과에 대
해 평가하신다면?)
- 비대면/언택트 시대로 진입하고 있는 환경에서 저작권 교육은 어떤 방식
질문 유형 2
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교육 차원)
- 종사하고 계시는 산업계(장르)에서 저작권 교육이나 홍보(캠페인)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까?
- 저작권보호원이나 저작권위원회의 저작권 교육을 주변에 추천 혹은 권고
하신 적 있습니까?

- 코로나 이후 디지털 콘텐츠 이용량 급증에 따라 어떠한 유형의 침해가 심


각해졌다고 생각하십니까? (ex. 불법다운로드, 초상권 침해, 해킹, 개인정
질문 유형 3 보 유출 등)
(이용자 차원) - 이용자들에게 교육이나 홍보로 불법 유통과 저작권 침해의 심각성을 알려
주기 위해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적절한 사례
가 있으면 함께 말씀해 주세요.

- 현재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처벌 등의 규제 수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


질문 유형 4
니까?

- 46 -
- 규제나 처벌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신다면 어떤 방향이 바람직할까
요?
- 어떤 자정 기능이 필요하다고 보는지?
- 소셜미디어, OTT 등 신규 서비스 확대에 따라 현재의 저작권 침해 기준
(범위)가 변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그 방향은?
(제도 차원)
-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OP)들이 토렌트와 같은 사이트에 자사 콘텐츠를 올
리기도 함. 이용자들은 이것을 합법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플랫폼 사업자
들에게 사회적 책임을 부과하는 방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교육과 홍보가 저작권보호에 대한 인식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정부에서 어떤 지원을 해야한다고(강화, 확대, 폐지 포함) 생각하시는지요?

2. 조사결과

1) 일반 이용자

(1) 저작권에 대한 인식 및 지식

◌ 저작권에 대해서는 대부분 저작물에 대한 권리라고 인지는 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현실


적으로는 보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저작자가 만들어 낸 저작물이 법으로 보호받고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권리라고


생각합니다.”(30대 여)
“들어봤습니다. 무형의 지식이나 창작품을 보호하기 위한 권리라고 알고 있습니다.”(30
대 남)
“들어봤습니다. 저작권은 나의 지식에 대한 권리로서 내가 창작한 어떤 것에 대한 사용
할 수 있고, 금전적으로 나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40대 남)
“ 뭔가 인지하고 보호해야겠다는 생각은 드는데, 돈 안내고 이용할 수 있으면 이용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돈을 지불하지 않으면 콘텐츠 이용에 제약이 많아서 구독하게 되는 경
우도 있고요. 하지만 보호해야 한다거나 하는 생각이 크지는 않은 것 같아요.”(20대 남1)
“중국에서는 법적 체계가 없고, 사람들의 인식도...돈을 내고 콘텐츠를 사야 한다는 인식
이 아예 없어요.”(20대 여)
“저작권 교육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의 창작물이라는 관점에서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은 듭니다. 보호하려는 생각은 해요.”(20대 남2)

◌ 본인이나 주위에서 저작권 관련해서 문제를 경험하신 적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남. 20


대의 경우는 특히 불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매체 접근이 쉬운 편이라 특히 10대에는 불
법성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았던 것으로 나타남

- 47 -
“없습니다. 다만, 인터넷, 신문 등에서 가수, 작가의 저작권에 대한 이슈들은
자주 접하였습니다.”(30대 여)
“저나 주위에서 직접적으로 문제를 경험한 적은 없고, 미디어 등을 통해서 접한 적은 있
습니다. 어쩌다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여부 단속을 위해서 회사에 불시 방문을 온 적은 있
습니다.”(40대 남)
“고등학교때만 해도 다운로드가 쉬웠습니다. 토렌트 같은데 많았고, ..그때까지만 해도
결제하고 다운로드 받고 한 적이 거의 없었습니다. 최근에는 다운로드 받거나 링크만 접
속해서 듣거나 하는 것이 되게 쉬워진 것 같아요. 한 5~6년전만 해도 그렇죠.”(20대 남1)
“고등학교때 살던 데는 영화관이 없어서 다운로드가 당연시 되었습니다. 공식적으로 접
할 창구가 없었기 때문에 불법다운로드가 당연시 되었고, 당시에는 (저작권에 대해)아무
생각이 없었죠. 불법을 인식하게 된 계기가 웹하드에서 제휴라는 프로그램이 200원이 만
원되면서 이런 게 저작권이란 걸 알게 된 것 같아요. 유튜브에서 방송사 로고만 가리고
트는 걸 저작권 침해라고 인지하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20대 남2)

◌ 저작권과 관련해서 생기는 문제는 구체적인 문제점보다는 복제, 침해, 불법다운로드 등


의 매우 추상적인 용어를 위주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어 저작권 침해로 인한 실질적인
피해(가령 벌금, 초상권 침해, 개인정보 유출 등)는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복제하고 불법 유통되는 것이 주 문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30대 여)


“무단복제, 불법다운로드라고 생각합니다”(30대 남)
“지적 재산권 침해. 저작권 보유 기업의 매출 침해. 정당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재사
용하는 문제. 글씨 폰트에 대한 불법다운로드 등으로 인해 제작자에게 불이익. 음악이나
콘텐츠에 대해서 유사하게 베껴서 재제작하는 문제. 위와 같은 문제로 저작권 보유자에
게 금전적 정신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40대 남)
“토렌트나 웹하드 이용시에는 매우 적은 돈을 지불하고 콘텐츠를 이용했는데, 불법인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유투브 구독제를 쓰는데, 최근에는 클립을 잘라서 올라오는 게
많습니다. 일부가 방송사 콘텐츠 로고만 가리고 올라오는 게 많은데요. 그런 게 저작권
침해인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20대 남2)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작권은 보호가 필요한 중요한 권리’라는 점에서는 응답자 모두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네. 중요한 권리라고 생각합니다.(좋은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권리라고


생각합니다.”(30대 여)
“중요합니다. 개인의 창작품에 대한 보호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30대 남)
“예전에는 저작권의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별로 크지 않았다고 생각했지만, 요즘은 스

- 48 -
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발달로 인해서 다양한 앱, 콘텐츠 등이 많이 생산되고 사용함에 따
라 저작권을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40대 남)

(2) 콘텐츠 장르별 다운로드 경험

◌ 평소에 이용하는 콘텐츠로는 대부분 영화, 음악, 드라마 장르를 유튜브나 P2P를 통해 이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그러나 최근 구독 모델이 나타나면서 정액제로 콘텐츠를 이용하기 시작했다는 응답도 있
었음

“영화는 유플러스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에서 무료로 이용하거나 메가파일에서 유료로 다


운받고, 음악이나 기타 영상은 포털사이트나 유튜브 검색을 통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많이
사용하는 편은 아니고, 필요한 것이 있을 때 하루 1시간 미만으로 이용합니다.”(30대 여)
“유튜브나 페이스북 사용하고, 하루에 1시간, 저녁 9~10시쯤 이용합니다.”(30대 남)
“스마트폰으로 유튜브에서 음악을 즐겨 들으며 하루에 30분~1시간 정도 사용합니다. PC
를 통한 인터넷으로 스포츠 채널을 가끔 이용합니다. 이용시간은 하루 평균으로 30분 ~
1시간 정도입니다. 블로그를 통한 글씨 폰트 다운로드 경험, 자주 있지는 않지만, 가끔 필
요할 때 사용합니다.”(40대 남)
“ 음악, 영화, 드라마는 많이 다운로드 받아 봤어요. 예전은 PMP, MP3를 이용할 때에는
거의 불법다운로드 받아 봤습니다. 최근에는 돈을 지불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대부
분이고 경로가 다양해지니까 오히려 불법 경로가 적어지고 바뀌는 것 같습니다. 구독료
시스템으로 되니까 저작권 침해가 낮아지는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20대 남1)
“영화나 음악 쪽에 소비 많은 것 같아요. 당시에는 구독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어서 인터
넷 조금만 찾아도 소비를 했었는데, 구독이라는 개념을 알게 되고 비용을 지불하고 보게
되었습니다.”(20대 남2)

◌ 정액제나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방식을 찾아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음

“주로 정액제로 이용합니다만, 유튜브 등은 무료 콘텐츠를 주로 이용하고 있습니


다.”(30대 여)
“주로 무료채널을 이용하는 편입니다. 광고를 시청하고 이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40
대 남)
“필요시마다 스트리밍이나 검색으로 이용합니다. 유튜브, 네이버 스포츠 채널, 블로그
등을 (이용합니다)”(30대 남)

- 49 -
◌ 불법을 인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비용이나 지불방식의 불편함 때문에 불법복제물
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주로 이용하는 방식은 메가파일, 네이버 블로그, 제작사 홈페이지 등으로 나타남

“매번 불법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료 사이트는 불법이 아닐 것이라는


생각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 편입니다.”(30대 여)
“구분은 하지만, 가급적 무료 제공하는 채널을 이용합니다.”(40대 남)
“(불법인지 알면서도 이용하는) 제일 큰 이유는 비용 절감이고, 간편한 다운로드가 가능
하기때문에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30대 여)
“프로그램 다운로드는 네이버를 이용하고, 자료복사는 네이버 지식검색의 전문가 답변
이용하는 편입니다”(30대 남)
“간단한 것을 다운받으니 비용을 지불해야되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비용지불을
위한 방법이나 절차가 불편할 때도 있고, 한번 지불하면 지속적으로 광고성 메일, 문자
등이 오는 것이 싫어서 (불법복제물을 이용합니다)(40대 남)

◌ 한편 본인 혹은 주변에서 불법 복제물 유통이나 이용으로 피해를 경험한 사례나 불법복


제 유통(저작권 침해)과 관련해서 홍보나 교육은 일반 이용자들의 경우 거의 접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
- 다만 공익광고나 미디어에 노출된 메시지를 본 적이 있다고나 회사 내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 자제 공지 등을 통해 접한 적이 있다는 응답이 있었음

“직접적 교육을 받을 적은 없습니다.” (30대 여)


“(홍보를 접하거나 교육을 받아본 적이)없습니다.” (30대 남)
“직접 경험은 없습니다. 공익 광고나 미디어 등을 통해서 본적은 있습니다. 회사 내에서
불법 소프트웨어 등 사용을 자제하라는 공지를 통해서 안내를 받은 적은 있습니다.” (40
대 남)
“티비에서 나오는 가수들의 음악 저작권 광고를 눈여겨본 적이 있고, 보게 될 때면 중요
한 권리임을 한 번쯤 각성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30대 여)

○ 저작권 교육 경험과 인식
- 본인이 주변(자녀, 부모, 동료, 친구) 사람들에게 저작권과 관련하여 권고나 안내(가르침)
를 해 본 적 있는지에 대해서 자녀를 가진 부모의 경우 자녀에게 주의 및 교육을 준 경험
이 있다는 사례가 있었음

- 50 -
“자녀들이 유튜브 등 여러 채널로 콘텐츠를 많이 보기 때문에 사용할 때 주의해서 하라
고 교육하고 있습니다. 그 내용은 저작권의 임의 사용 시 처벌을 받을 수 있고 사용료도
징수될 수 있다고 설명은 하나, 보다 정확한 내용은 저도 잘 모르기 때문에 교육에 한계
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40대 남)

○ 저작권과 관련하여 참여를 원하는 프로그램이나 참여 의사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남

“아니오. 저작권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있지만, 시간을 내서 참여해야 할 필요성은 느끼


지 못합니다.” (30대 여)
“생각해본 적이 없습니다” (30대 남)
“단순 내용 전달만이 있는 프로그램은 참여를 잘 안 할 것 같고요. 짧은 시간에 참여가
가능하고 참여자에게 어떤 이익이 있다면 참여할 수 있을 듯합니다. 온라인퀴즈 같은. 유
료 콘텐츠의 경우 저작권 관련 내용 시청 시 이용 쿠폰 지급 같은.” (40대 남)

○ 저작권 관련 교육에 대해서는 소비자 피해 강조, 처벌 강화, 정규과정 운영, 연령대별 맞


춤교육 등 다양한 의견이 있었음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위협도 20대에겐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소비자들의 피해를 강


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 같긴 합니다. 법적 규제를 강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
일 것 같습니다.” (20대 남1)
“e-e를 활용하면 좋을 것 같아요. 아는 형님에서는 많이 하던데. 스몰토크를 많이 하는
데, 그걸보면 저는 검색을 하게 되더라고요. 소셜미디어, 유튜브 광고는 집중도가 떨어진
다고 생각합니다. ”(20대 남2)
“학교 정규 교육과정에서부터 저작권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시킨다면 적어도 불법인지
아닌지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접근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하지만 교육만으로는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크지 않을 것 같고, 강력한 처벌 및 벌금 같은 현실적 제재가 마
련되고 그것을 교육하고 홍보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30대 여)
“미디어를 접하는 시기부터 초기에 함께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규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보다는 각 연령별로 맞도록 동영상, 만화 등으로 만들어서 반기 한
번정도씩 교육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합니다. 유치원, 초중고 선생님들에게 저작권 관련
교육을 연수 교육과정에 포함시켜서 선 교육하여 유치원, 초중고 학생들에게 학기초(반기
1회)에 교양시간을 편성하여 교육하고, 일반인들은 강좌나, 직장 내 교육을 통한 교육을
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했듯이 유명 유튜브나 콘텐츠는 재생전에 필
히 저작권에 대한 내용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30대 남)

- 51 -
○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같은 온라인을 통한 홍보 콘텐츠에 대한 의견

“단순한 홍보는 관심을 크게 두지 않고 넘기게 될 것 같습니다. 영향력 있는 유명인들의


홍보나 경품행사 같은 적극적 참여 유도를 할 수 있게 만든다면 이용자가 늘어나지 않을
까 생각합니다. ”(30대 여)
“영화배우들의 굿 다운로더 영상은 시청해본 적이 있습니다” (30대 남)
“영화 시작 전이나 유튜브 광고 같은 시간에 활용하면 많이 이용이 가능할 것 같아
요.”(20대 남1)
“사실 저작권에 대한 내용만으로 제작한다면 굳이 찾아 보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 생각
됩니다. 유명 유튜브나 콘텐츠는 재생 전에 필히 저작권에 대한 내용을 시청할 수 있도록
강제적 내용 삽입을 통해 홍보를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단, 시간은 짧게 하되, 월 단
위, 분기 단위로 내용을 바꾸어서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이 되어야 홍보 효과가 있을 것이
라 생각됩니다.” (40대 남)

(3) 일반 이용자에 대한 저작권 홍보·교육 방향

○ 콘텐츠 이용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 안내 필요


- 전체적인 콘텐츠 이용량 자체가 많은 20대의 경우, 정액제를 이용하거나 안내하는 절차대
로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향이 높음
- 선행 조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불법다운로드가 가장 쉽게 행해졌던 방법이 접근성이
쉽다거나, 예전 경험이라는 점에서 즐기고자 하는 콘텐츠 이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
는 방법이 필요함
- 생각보다 비용에 대한 문제가 크게 지적되지 않았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서 즐기고자
하는 사람은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됨
- 따라서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지불 방법을 쉽게 연동하는 방안을 구축하는 등 시스
템적인 보완도 불법다운로드를 줄이는 방안이 될 수 있음

○ 저작권에 대한 침해적 접근이 아닌 보호적 접근 필요


- 콘텐츠 이용자 입장에서 저작권의 중요성과 저작권 보호의 필요성에는 동의하지만 그 정
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콘텐츠 이용시 비용을 지불하고 정당하게 이용하는 것이 콘텐츠 생산자를 보호하고 콘텐
츠 문화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콘텐츠 이용자가 누릴 수 있는 혜택이 더 많아질 수 있다는
인식을 형성할 필요 있음. 즉, 불법콘텐츠 이용이 콘텐츠 생산자의 저작권 침해이니 하면
안 된다는 메시지보다 이용자권리증대를 위해 비용지불이 필요하고, 이를 통한 콘텐츠 생

- 52 -
산자 보호가 필요하다는 접근이 더 현실적임

○ 생활밀착형 홍보와 교육을 통한 저작권 보호 인식 증대 필요


- 콘텐츠 이용자 입장에서 저작권 교육은 받으면 좋지만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정도로
비중이 크거나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사회적 공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

- 이는 해결이 필요한 다른 당면 사안에 비해 저작권보호는 콘텐츠 이용과 관련된 부분이므
로 심각성이 떨어지는 것에 기인함. 따라서 필요하다면 교육을 받을 수도 있지만, 학제 교
육에 포함시킬 정도로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공감하지는 않음
- 현재 저작권보호원이 수행하고 있는 홍보활동의 유형과 수행 정도에 비해 인지도는 낮은
수준임. 일반 이용자와 헤비업로더를 대상으로 홍보와 교육을 이원화할 필요성 있음

○ 저작권보호원의 규제업무를 연계한 홍보 우선 타겟 대상화 규명


- 일반인 이용자 심층 인터뷰 결과, 불법다운로드 이용자는 사실상 불법임을 아는 경우도
있고, 모르는 경우도 있음. 다운로더보다는 콘텐츠 업로더를 대상으로 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함
- 저작권보호원은 시행 권고, 경찰과 연계한 포렌식 업무 등 규제업무에 대한 정당성을 부
여받은 기관임. 이를 바탕으로 헤비업로더를 대상으로 한 홍보물과 교육자료에 취합할 수
있음

- 53 -
2) 산업계

(1) 장르별 실무자 심층 인터뷰

○ 산업계 종사자 심층인터뷰 분석은 장르별 침해 이슈와 업계의 고민이 다르므로 각 장르별로
구분하여 정리하되, 크게 장르 차원, 교육 차원, 이용자 차원, 제도 차원으로 구분하여 시사
점을 도출하였음

가. 영화

○ 영화 분야는 침해 이슈가 높은 분야로 불법 유통 문제에 대해 오랫동안 영화진흥위원회와


문체부가 정책을 마련해왔으나,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며 코로나 19 이후 상영관
의 운영축소와 온라인 영화 수요가 급증하면서 불법침해 우려가 큰 장르 중 하나임. 특히 넷
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OTT의 국내 시장 확대, 홀드백 축소, 가입 기반 구독경제에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 공존 등 이용 환경 변화에 따라 불법 유통이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임

○ 장르 차원

“영화 쪽은 OTT 시대에 불법다운로드에 대한 유혹이 더욱 강합니다. 예전에는 상영관


에서 IPTV쪽으로 넘어오는 데에도 시간적 간격이 있었는데, 요즘은 IPTV와 동시 개봉하
는 경우도 많습니다. 비대면 환경에서 인터넷 속도도 향상되다 보니 불법물이 나오는 시
기도 더 빨라졌고요. 무엇보다 OTT가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에서 보고 싶은
영화, 웨이브에서 보고 싶은 영화가 있다면 이용자들 입장에서는 OTT를 2~3개 가입해
야 하잖아요. 그치만 불법 사이트에 가면 OTT 가입 안하고도 5분이면 다운받을 수 있어
요. 화질도 좋습니다.”

“영화는 최초 유출자 있고 유포자가 있습니다. 이들은 공명심 때문에 유출과 유포를 하


는데 문제는 이들을 잡아내기가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영화 <반도>의 경우 말레이시
아에서 첫 유출이 되었는데요. 문제는 최초 유출자와 최초 유포자의 연결고리에 대한 확
인이 거의 불가능해요. 저작권보호원 모니터링 상에도 안 잡힐걸요. 그건 특별기획 수사
라든가 경찰청 사이버팀의 도움을 얻어야만 가능해요. 그들이 해외에 있는지 국내에 있
는지 알 수도 없고요. IP 추적을 해도 이 서버가 해외 서버인지 국내 서버인지 알 수 없
어요.”

- 54 -
○ 교육 차원

“저는 저작권 관련 교육은 일반인들 입장에선 그게 기소유예 교육이든, 인식개선 교육


이든 잠 잘오게 하는 꿈나라 가게 만드는 교육이라고 생각합니다. 법학과 교수님들이 오
셔서 법 조항이 몇 조...벌금 얼마...국제법이 어떻고....이런 내용을 앉아서 관심 있게 들
을 사람이 있을까요? 정말 실질적인 교육을 해야 합니다. 현장에서 어떻게 영화가 만들
어지고, 이렇게 몇 달을 고생해서 만든 영화가 한순간에 침해되는 사례들을 얘기해 주
고, 피해 규모 등을 알려주는 현실감 있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제가 저작권위원회에도
이런 이야기 많이 했는데, 요즘 같은 시대에 아무리 원격교육으로 한다고 해도 일반 사
람들 중에 그걸 앉아서 듣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지금의 저작권 교육 자체가 문제가 많아요. 초범들 잡아서 기소유예시키고, 보여주기


식이랄까...이 만큼 일하고 있다..라는 식의 관행적 교육이라 생각해요. 네이버 들어가서
검색해보세요. ‘저작권 침해 회피 방법’ 이렇게 치면 인터넷에 쭉 뜹니다. 심지어‘변
호사한테 전화 오면 이렇게 하세요’ 까지 알려줍니다. 이런 환경에서 앉혀놓고 저작권
교육의 효과가 과연 있을까요?”

○ 이용자 차원

“저는 OTT 사업자들이 자기들만의 독점 콘텐츠라고 홍보하는 이런 마케팅들이 문제라


고 생각해요.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여기 가면 5000원, 저기 가면 10000원이라면, 어디가
더 저렴한지 검색하게 되고, 그런 귀찮음을 참아가면서 돈을 내고 볼까요? 불법사이트
가면 200원인데... 영화는 보통 사람들의 문화적 욕구를 가장 크게 충족시켜주는 영상물
입니다. 그래서 영화 분야의 불법 유통은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어요. 유출자들은 단속에
걸리지 않게 화면 쪼개기, 위아래를 살짝 자른다든가 해서 자동으로 단속에 걸리지 않게
통과(필터링) 됩니다.”

○ 제도 차원

“토렌트 사이트 같은데 가 보시면 광고수익 붙잖아요. 도박광고들 많은 거 같은데,,,이


광고 수익이 어마어마할 겁니다. 제가 기사에서 봤는데 그 사이트를 운영하는 동안 광고
로 30억 벌었다는 것도 봤어요. 정부나 보호원이 왜 이런 불법 사업자들을 그냥 두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저작권보호원의 홍보영상도 너무 오래된 거 지금까지 쓰고 있고, 그
런 영상을 왜 합법 사이트에 올립니까? 불법 사이트에 올려야죠.”

“얼마 전 기사에서 봤는데, IPTV를 통해 해외로 한국영화와 드라마 2,800편을 유출시켜


서 돈을 번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이 기소유예 됐어요. 분명히 저작권법에 보면 5년 이
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라고 되어있는데, 최고 5년은 아니더라도 2년~3

- 55 -
년의 실행 집행이 있어야 하는데, 벌금 30~50만 원, 많으면 500만 원 이러니 처벌이란
단어도 의미가 없어요”

“현재 이용자들은 영화를 허락을 받고 상영하거나 가져다 쓸려고 해도 뭘 어떻게 할


줄을 몰라요. 어디서 허락을 받고 권리자가 누구인지도 몰라요. 저희가 영진위에 주장했
던 부분이 있는데, 영화의 저작권 관련 시스템(아카이브)를 만들어야 합니다. 어떤 영화
에 대해 권리자가 누구고, 어디로 연락해야 해야 하고, 이용 허락 방법은 어떻게 하는
거다라는 정보시스템이요. 현재 영진위 전산망에 일부 구축된 게 있어요. 거기다 좀 더
상세하고 디테일하게 붙이면 되는 겁니다. 외국의 경우 사람별로, 장르별로, 자연이면
자연, 인물이면 인물 ...그걸 일일이 다 아카이빙화 시키더라고요. 그래서 검색만 하면
바로 나오게끔요. 우리나라도 이제 그런 게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는 겁니다.”

○ 결국 영화는 오늘날 사람들의 문화적 욕구를 가장 크게 실현시켜주는 장르인 만큼 불법


이용에 대한 유혹이 강하고, 현재 저작권 교육과 법, 제도를 능가하는 수법으로 저작권 침
해가 이루어지고 있음. 영진위와 협력하여 일반적인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 가능한 유통
시스템(아카이브) 구축이 시급함. 특히 한국 영화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
서 국내 단속을 피해 해외에 불법 사이트를 개설해서 번역하고 유통시키는 사업자들, 사
행성 광고를 수익을 챙기는 업체들에 대한 국제적 차원의 단속과 수사가 요구되고 있음

나. 웹툰

○ 장르 차원

“저희는 현재 웹툰 분야에서 저작권 침해가 엄청 심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아시겠지만


웹툰의 경우에는 요일 웹툰에서 거의 매일, 새로운 작품 나올 때마다 거의 다 침해되고
있는 걸로 파악이 될 정도로 침해가 굉장히 심각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가장
침해되는 분야가 방송이나 영화 쪽이었는데 지금은 오히려 웹툰이 더 심각하지 않을까
싶어요. 불법 사이트를 만드는 사람이 누군지도 모르고 아시겠지만 거의 한국이 아니라
해외에 사이트를 열어 놓고 한국 웹툰을 다 그냥 퍼다가 뿌리는 건데요. 이용하시는 분
들은 제가 알기로는 한국 사람들이시죠”

○ 교육 차원

“저희가 하는 프로그램 중에 웹툰 PD 아카데미라고 해서요. 예전에 출판만화 때로 따


지면 편집자 같은 그런 아카데미를 할 때 사실 저작권이 중요하잖아요? 관련된 실무 일
을 하시려면요. 그래서 그때마다 특별히 보호원에 계신 국장님을 강사로 모셔서 여러 번

- 56 -
했었어요. 만약 온라인으로 그런 강의가 개설된다고 하면 저희가 PD 아카데미 할 때 활
용할 수도 있겠네요. 사실 콘진원에서도 여러 가지 교육 프로그램이 있는데, 일을 하다
가 가서 교육을 받는다는 것이 쉽지는 않아요. 웹툰은 워낙 침해가 많이 일어나다 보니
까, 사실 저작권 교육이 필요하긴 합니다.”

“이용자들 교육은 너무 필요하죠. 웹툰도 그렇고 옛날부터 무료라는 인식이 너무 강한


거예요. 네이버부터 시작한 원죄가 있는 거죠, 어떻게 보면. 이미 유료로 상당 부분 바뀌
고 실제로 유료인 작품들을 그냥 계속 뿌리고 있으니까 이용하는 사람들의 대한 홍보와
교육은 제일 시급하죠. 그래서 재작년에 이말년 작가님 섭외해서 홍보영상 만들긴 했죠.
공모전이든 클린 홍보영상이든 그런 걸 지속적으로 해주시면 좋겠어요”

○ 이용자 차원

“저희 웹툰 장르에서 침해 취약계층은 10대~20대 남성으로 보고 있습니다. 여자들은


불법이라고 하면 접근을 안 하는 편이에요. 이제는 불법이라는 단어도 필요 없고요. 그
냥 ‘웹툰 볼 수 있는 곳’ 이렇게만 치면 다 나와요. 그렇게 들어가면 다 불법 사이트
예요. 특히 코로나 이후 온라인 콘텐츠 소비가 증가했는데요. 저는 당연히 불법도 늘고
침해도 늘어났다고 생각합니다. 네이버 때문에 웹툰은 돈 내고 보는 콘텐츠가 아니라는
인식이 너무 강합니다. 웹툰의 경우 이러한 불법 행위 근절을 위해서는 작가들이 나와서
불법 때문에 더 이상 웹툰을 그릴 수 없다는 그런 메시지를 주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사실 그분들의 소득을 다 훔쳐가는 행위잖아요”

○ 제도 차원

“현재 웹툰 분야는 침해 행위에 대한 처벌이 너무 약하다 보니까 계속 불법 행위들이


계속되잖아요. 사실 보는 사람에 대해서도 경각심을 일으키기 위해 뭔가 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지금은 너무 쉽게 사이트도 만들고 쉽게 들어가서 보는 거죠. 처
벌 수위는 무조건 지금보다 더 높아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정부차원에서도 저
희가 신고를 하면 바로 내려주시면 되는데 그게 안되니까 아쉽습니다. 말하자면 전체 콘
텐츠의 70% 이상이 불법이면 바로 접속차단이 되었으면 하는데, 신속한 처리가 안되고
있습니다. 방심위가 이런 권한을 끌어안고 있다 보니까 처리가 느립니다. 침해는 계속
이뤄지고 있고 범위는 더 넓어지고 있습니다. 웹툰이 인기가 있을수록 10개국에서 일어
나던 침해가, 20개국, 30개국으로 일어나고 있는데 접속 차단이 가장 시급합니다. 그리
고 SNS나 소셜 공간의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침해도 이전의 법으로 커버가 안되는 것도
많을 겁니다. 아무래도 제도적으로 다듬을 필요가 있습니다.”

○ 웹툰은 웹소설과 함께 신규 콘텐츠 장르에서 가장 심각한 저작권 침해 영역으로 손꼽히고


있는데, 해외에 서버를 두고 한국 웹툰의 불법다운로드가 지속되고 있어 사실상 단속도, 처

- 57 -
벌도 쉽지 않음. 국내에서 웹툰은 도서정가제가 적용되는 장르이며, 적은 비용이라도 지불을
하고 이용해야 하지만, ‘웹툰 = 무료로 이용하는 콘텐츠’라는 인식이 강해 이용자들이 침
해 여부도 인지하지 못하고, 정부도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상황임. 또한 일반 대중들 사이에
서 침해가 발생하는 영화나 방송과 달리, 웹툰은 ‘10대~20대, 남성’이라는 특정 이용자 집
단에서 침해 행위가 집중 발생하고 있음. 따라서 이들을 타겟으로 한 인식제고 캠페인과 침
해 예방 교육 과정이 마련되어야 함

다. 애니메이션

○ 장르 차원

“인식의 차이일지 모르겠습니다만 애니메이션은 보통 침해에 대한 시각이 양분화되어


있어요. 자신의 콘텐츠가 어딘가에 노출되었을 때 이것을 걱정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
냥 홍보효과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세요. 누군가가 퍼다 날랐는데, 이게 홍보 아니냐
고 잘못 인식하시는 분들도 계시고요. 저희 애니메이션 장르에서 저작권 침해가 발생되
서 회자된 작품으로‘레드슈즈’가 있는데요. 극장에서도 개봉했습니다. 재작년 7월에
개봉되었고, 관객도 동원되었는데, 침해가 심각했습니다. 해외 사이트에까지 너무나 퍼
져 있어서 제작사가 엄청 고생했어요. 결국 유포자는 못 찾았습니다. 애니메이션 회사들
은 아직까지 영화나 다른 장르에 비해 매출도 많지 않고 열악하니까 정부나 공공기관에
서 도와주었으면 하는데, 그런 지원이 없어요. 결국 레드슈즈 제작사는‘저작권진흥협
회’에 의뢰해서 도움을 좀 받았는데요. 여긴 협회 가입비가 너무 비싸요. 그런데 업무
는 정말 전문적으로 하더라고요. 저희가 연결해드렸는데, 해외 저작권 관리가 체계적이
고, 몇 건 침해되었고, 몇 건 제했고, 몇 건 고소했고, 위반 사항에 대해 리스트업을 해
주실 정도였어요. 그런데 계속 이런 서비스를 받고 싶었지만 계속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안되었어요”

○ 교육 차원

“저희도 협회를 운영하지만, 회원사들이 보호원이나 위원회가 어떤 저작권 교육을 하


는지 잘 모르는 게 현실입니다. 저작권위원회 교육은 리플렛도 오고 그래서 협회 회원사
에게 안내도 하는데요. 저희도 전문적으로 받아본 적도 없고요. 보호원과 위원회가 따로
있는 기관인지 아는 회원사도 얼마 안 될걸요. 저는 학교에서부터 어린 나이에 저작권
교육은 시작되어야 할 것 같아요. 사실 한국의 애니메이션은 유아 프리스쿨 시장에서 산
업적 시장이 형성되어 있어요. 우리나라 아이들이 뽀로로, 타요, 이런 애니메이션을 보
며 자라는데, 애니메이션의 특성상 시나리오 단계에서부터 스토리가 침해되는 경우도

- 58 -
있어요. 그래서 유사한 스토리, 캐릭터들이 비슷비슷하게 나오는 거예요. 한국의 애니메
이션이 사실상 세계에서 5위안에 들 정도로 실력들이 좋은데, 넷플릭스나 OTT 자본의
지원을 받아서 제작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어요. 저작권 교육도 저희 회원사나 이용자들
이 외면하는 것을 보면, 장르의 특성과 제작·유통환경을 고려한 교육이 되어야 할 것
같아요. 교육 콘텐츠를 애니메이션으로 재밌게 만들면 어떨까요? 웃음”

○ 이용자 차원

“저는 이용자들이 침해를 하는 이유(심리)가 영웅심리 같은 거죠.‘나 이렇게 찾았어.


너도 봐’하면서 퍼다 나르잖아요. 이런 침해를 하는 연령대가 저는 낮다고 봐요. 성인
들이 유포하는 경우는 없지 않나요? 그렇게 봤을 때 지금의 저작권 교육이 젊은 친구들
에게 교육적 효과가 있을까 의문이 드네요. 저희도 협회에서 교육이 있을 때 안내를 하
긴 하는데, 사실 애니메이션 분야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애니메이터나 디자인(일러스트
레이터) 하다가 제작사를 차려볼까? 하고 회사를 차렸는데, 저작권 관련해서는 지식이
없잖아요. 그래서 일반인 이용자들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겠지만 장르별 특성에 맞게 창
작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저작권 교육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 제도 차원

“저희 협회 회원사들도 보호원의 역할과 위원회의 역할을 잘 몰라요. 보호원은 뭐하는


데고 위원회는 뭐하는 데요? 문체부 안에서 왜 나눠져 있어? 이런 질문들이 많아요. 저
희 같은 협단체도 뭔가 문제가 생겼을 때, 불공정한 시장행위가 발견되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어디인지 몰라요. 오히려 COA(저작권협회)의 역할에 대해서는 잘 아
시는 편이에요. 그리고 저작권 침해 행위에 대한 안내가 좀더 강화되어야 할 것 같고요.
저희가 보호받고 싶어도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모르는 회원사도 많아요. 그리고 협
회 차원에서라도 저작권협회 가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해 주었으면 좋
겠어요. 또한 침해 이후 처벌도 좀 강하게 이루어지는 선례가 있어야 할 것 같아요. 정
말 제작사는 힘들게 만들었는데, 이게 막 인터넷에 돌아다닌다고 생각해보세요. 저희 애
니메이션은 이미지 같은 것도 침해되는데 사람들이 아무 인식 없이 갖다 쓴다면 너무
힘들죠”

○ 한국 애니메이션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이 높은 장르인데 애니메이션 산업계에서는 저작


권보호원에 대한 기관 인지도가 낮았고, 저작권위원회 교육에 대한 참여와 신뢰도 낮았음.
오히려 저작권 관련 문제에 부딪혔을 경우 저작권해외진흥협회(COA)에 의존하는 상황임. 영
세한 애니메이션 업체의 경우 저작권 침해라기보다 그렇게 해서라도 작품을 알릴 수 있는
홍보 효과를 기대하기도 함. 애니메이션 제작 업체의 경우 애니메이터나 디자이너 출신도 많
은데 이들에게 일방적 전달식 저작권 교육은 이미 외면된지 오래되었음. 애니메이션은 불법

- 59 -
유통뿐만 아니라, 시나리오 단계에서부터 스토리가 침해될 수도 있고 이미지가 도용되는 등
작품 전 단계에서 침해가 발생될 수 있는데 장르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저작권 교육은 지
양되어야 함

라. 방송

○ 장르 차원

“저는 디지털 공간에서 영상물 침해는 어떤 특정 장르가 아니라고 거의 모든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과거처럼 TV 영상물이 하나 움직이려면 1기가이고 다운로드 받
는데 1시간 걸린다면 불법침해가 안 일어납니다. 불편하고 힘드니까요. 그런데 지금 5G
시대에 스마트폰 성능과 압축기술을 고려하면 저는 콘텐츠 전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문
제는 침해의 기준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입니다. 영상제작자 또는 방송제작자는 공연권
이라는 권리를 가지고 있는데, 우리나라 국민들은 방송은 무료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그
런데 오늘날 방송물은 식당에서도 거리에서도 술집에서도 다 틀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
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식당에서 방송물을 틀고 손님을 맞는 행위는 엄밀히 상업적
행위이고, 해외에서는 이것이 사전권리 처리를 하는데 우리나라는 타인의 저작물을 이
용하는 데에 저작권료를 내야 한다는 인식이 보편적이지 않잖아요.”

○ 교육 차원

“저는 저작권보호원의 교육이 갖는 교육적 효과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위원회의 교육


은 유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실무자 교육도 있고, 커리큘럼도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요. 저희 협회에 신입사원이 들어오면 추천도 합니다. 저는 현재 위원회의 교육은 이쪽
산업계 내부에 계신 분들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하고요. 일반인이나 창작자 등 산업계 외
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좀 달라져야 할 것 같습니다. 예컨대 창작자들을 대
상으로 한다면 그들의 권리를 신탁해주고 매니징해 주는 그런 업체들이 저작권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생각해보세요. 1인 크리에이터들이나 BJ들이 저작권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 방송산업은 영화산업과 같이 저작권 침해와 불법 유통 문제에 대해 오랫동안 해결책 마


련을 위해 노력해 왔으나 스마트 기기와 네트워크의 발전 속도를 볼 때 방송 분야 침해는
사실상 해결하기 어려운 숙제임. 무엇보다 ‘방송 프로그램 = 무료’라는 한국의 문화적
정서로 인해 침해 행위에 대한 인식 제고도 쉽지 않음. 따라서 침해 여부를 따지는 것보다
침해의 기준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고 국민적 공감을 얻어내는 것이 중요함. 그

- 60 -
러한 맥락에서 볼 때, 현재의 저작권 교육은 기술 발전의 속도와 교육 수요자의 니즈
(needs)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에 머물고 있음. 향후 저작권 교육은 관련 산업계 내부 종
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보다는 신규 창작자, 1인 크리에이터, BJ와 같이 새롭게 편입
되는 관계자들을 위한 교육이 절실할 것으로 보임

마. 뉴스(언론)

○ 장르 차원

“뉴스라는 장르는 좀 특성이 있는 것 같아요. 뉴스는 공공재로 보는 시각이 확산되어


있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뉴스도 사기업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서 만들어 판매하고 있
는 상품이라는 사실에 대해 잘 인지를 못하고 있는 상태이고요. 뉴스는 접하기가 너무
쉽잖아요. 그래서 포털을 통해 비용을 지불하지 않더라도 쉽게 접할 수 있기때문에 뉴스
에 저작권이 있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저작권료를 지불해야 되는 유료 상품이라는 생각
을 못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전국민을 대상으로 홍보영상도 만들고 대학생들
을 서포터즈로 활용하여 온라인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는데 규모가 크진 않고요. 단속도
잘 안 되는 것 같습니다.”

○ 교육 차원

“저희가 참여했던 교육 프로그램 중에 위원회의 ‘미디어와 저작권’이란 과목이 있는


데요. 초/중/고급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강사진이나 전문가 풀이 좋았던 것 같아요. 그
런데 요즘은 유튜브에 저작권 전문 변호사라고 해서 나오시는 분들이 있으세요. 그런 분
들이 사례를 가지고 얘기를 하고 짤막하게 20분 단위로 제공되는 내용들이 있는데 이런
영상들을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향후 저작권 교육도 그런 형태로 흥미를 끌어내는 방향
으로 가야할 것 같습니다.”

“저희가 가장 곤란을 겪고 있는 부분이 새로운 인터넷 환경에서 발생하는 저작권 문제


들입니다. 예컨대 구글에서 뉴스에 대해 저작권료를 징수하는데 법적인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하는 문제들이요. 어떻게 저작권법을 적용하고 저작권료에 대해 협의해 나
가야 하는지 그런 실무적인 내용들이 업체 교육으로 제공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럴려
면 새롭게 등장하는 저작권 문제들에 대해서 전문가들이 동의할 만한 명확한 기준이 제
시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결국 교육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업계 실무자들을
위한 교육으로 이원화되어야 하겠죠”

- 61 -
○ 이용자 차원

“요즘은 일반 이용자들이 스스로 콘텐츠 제작을 많이 하잖아요. 생산자로서도 역할을


하고 있는데, 콘텐츠 제작을 할 때 저작권 지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 같아요. 예컨
대 움짤로 할 때, 유튜브를 만들 때, 다른 저작물을 가져다 쓰거나 표출할 때 필요한 저
작권 지식이 필요한데 아는 분들은 많이 안 계세요. 특히 밴드나 폐쇄형 커뮤니티에는
뉴스에서 그냥 긁어다가 넣는 분도 많아요. 이 부분은 네이버와 같은 포털과 얘기가 필
요할 것 같아요. 구글 같은 경우는 경고창이 팝업으로 떠서 한 번 더 생각하게 되는데,
우리나라는 그러한 경고가 없죠.”

“기업 수준에서도 걱정되는 부분들이 (있는데) 크롤링을 통해서 기사들을 모아서 그걸


분석해서 사용한다는 겁니다. 크롤링해서 그 분석 결과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버리면 저
작권상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식으로 홍보 기업이라든가 뉴스를 활용하고 싶
어하는 기업체에 납품하고 그 비용을 받고 하는 그런 일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사용하면 어떤 법적인 쟁점들이 제기되는지 좀 명확해져야겠고요. 어느 정도 수준까지
사용가능한지 가이드라인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뉴스도 단순 링크가 아니라 딥 링크
를 걸어서 모아서 본인들의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문제가 심각합니다. 따라서
저작권을 규제하고 보호하는 기관이 저작권법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저작권을 중심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해관계들을 파악하고 교육이나 홍보를 확장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제도 차원

“공공 부문에서 주도하고 확장할 수 있는 교육/홍보 영역이라고 한다면 개별 저작권들


이 하기 어려운 일들을 확대하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교육 부문은 저작권위원회나 보
호원에서 일반 이용자들까지 교육을 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아요. 저작권만 가지고 일반
국민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한다는 게 상당히 좀 한계가 있을 것 같고요. 그래
서 오히려 그 부분들은 기존 국민대상 교육을 해 왔던 곳들하고 협력을 통해서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예를 들어서 미디어 교육 쪽, 저희 재단에서도 하고 있지만, 미디어 교
육 쪽에 저작권 교육이 포함될 수 있도록 협력 작업을 해서 그렇게 확산시켜 나간다든
가 하는 노력이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홍보 같은 경우는 더 가능한 부분이 있을 것 같은데요. 사실 규모가 큰 그 저작물들에


대해서는 정부나 공공기관에 하지 않더라도 거기에서 할 수 있는 여력이 충분하거든요.
그래서 그 공공 부문에서 하는 거라면 그런 여력이 안 되는 것들에 더 많이 집중을 해
주는 게 좋을 것 같고요. 물론 저작권 전반에 대해서 인식을 높이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이제는 좀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서 장르별로 그런 홍보나 인식 확산 노력을 좀 해줬으
면 좋겠고요. 그런 경우에는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장르를 중심으로 해 나가는 것이 공

- 62 -
공 부문의 역할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뉴스 역시 방송과 유사하게 국내에서 무료 콘텐츠라는 인식이 강한 장르인데, 언론재단에서


는 뉴스도 저작권료를 지불해야하는 유료상품이라는 인식 제고 확대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
고 있는 상태임. 뉴스 분야 종사자들의 실질적인 고민은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서 뉴스 관련
저작권 법 해석의 기준과 범위, 저작권료 징수, 기사 크롤링을 통해 유포 등 새로운 저작권
이슈에 대처할 교육이 필요함. 따라서 일반을 대상으로 하는 대국민 차원의 교육과 업계 실
무자들에게 필요한 지식제공형 교육으로 이원화될 필요가 있으며 그 방법도 달라야 함. 교육
과 홍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도 장르별로 세분화하고 유관 기관과 협력하는 방안도 고려
해볼 수 있음

바. 문학예술

○ 장르 차원

“저희 문학 예술 분야에서 저작권 침해가 가장 심각한 분야는 시와 소설, 미술 분야입


니다. 사실 연차보고서나 이런 곳에 보면 조사 대상에서 빠져 있어요. 시집은 단속하는
데 오디오북으로 영상을 만들어서 유명인이 그 시를 읽어줍니다. 그리고 그걸 유튜브에
무료로 올리는데, 이런 부분은 단속하지 않는거죠! 출판이 아니니까요! 즉 시집으로 출판
된 것은 단속이 되는데, A 작가의 시, B 작가의 시를 모아서 읽어주는 것은 단속을 안합
니다. 캠핑가서 틀기도 하고, 운전하면서 틀기도 합니다. 정산이 되지 않고, 출판이 아니
라는 이유로 단속에서 제외되고 있어요. 이제는 이러한 사각지대에 놓인 콘텐츠 침해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 교육 차원

“저는 위원회의 교육은 많이 추천하고 서울에서 하는 교육에 참여도 했습니다. 그런데


마감이 빨리 되요. 특히 실무자 교육이 매우 유익하고요. 초중고 교육도 긍정적으로 보
고 있습니다. 그런데 향후 저작권 관련 교육은 창작자들 중심의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
고 봐요. 이들 중에는 나이가 많으신 분들도 계시고, 서울과 진주를 오가며 교육받기 어
려우신 분도 계시고, 원격교육이 어려운 분들도 계세요. 저는 저작권 중심의 교육만 하
는 것이 아니라 1+1 교육도 해주었으면 좋겠어요. 부가적인 교육이요. 예를 들면, 창작자
가 저작권 관련 수익으로 인해 발생되는 세금 문제, 예술인복지재단 등록하는 법 등이
요”

- 63 -
○ 이용자 차원

“저는 교육 이용자 대상도 좀 더 세분화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예를 들면, 미술의 경우


저작권자와 큐레이터와 화랑, 그리고 옥션의 각 관계자는 전혀 다른 지식을 요구합니다.
각각 저작권 문제에 있어서 강조하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직업군별로, 집단별로 교육
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교육 대상층마다 자신들이 궁금하고 알고 싶어하는 교육이 다르
지 않을까요? 나아가 연령, 세대 갈등도 첨예한데 이용자 집단의 니즈에 맞는 교육이 필
요할 것 같습니다.”

○ 제도 차원

“저는 저작권 단속이나 모니터링도 고도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영화나 음악, 단


속하는 거 어렵지 않습니다. 제목만 보고도 플레이 안 해도 단속 가능하잖아요. 음악도
리스트가 있으면 가능합니다. 그런데 책 읽어주는 여자, 시 읽어주는 북튜버 이런 부분
은 단속이 어렵고 실적도 안 남기 때문에 단속이 안되는 것이죠. 실적 중심의 보호 활동
이 아니라 좀 더 정교한 단속이 필요합니다. 저작권보호원에도 음악 담당자, 방송 담당
자, 게임 담당자가 있어요. 그런데 시/소설 담당자, 사진 담당자는 없어요. 단속이 안 되
니, 소비자 입장에서는 마음대로 가져다 써도 되나보다 생각합니다. 향후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단속도 고도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디지털 시대가 되니까 침해의 기준이 모호해지는 것 같습니다. 유튜브 동영상에 올라


온 걸 10명에게 전달하는 것은 불법이 아니거든요. 카톡방에 올리는 것도요. 그런데 단
톡방에 100명이 있으면 불법이라고 생각하실 거예요. 무슨 얘기냐면 기준이 없어요. 우
리가 상식적으로 침해인 것 같은데? 라고만 생각하죠. 판례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게 어
떤 판결을 받은 적이 없잖아요. 출판저작권 단속에 대한 기준도 정리가 필요한데, 복사
집이나 대학교 같은데 가서 단속만 합니다. 민원이 많으니까요”

“저는 침해에 대한 처벌도 두 개로 나눠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인에 대한 처벌은


약해도 계도하고 공지하고 그러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중간 유통업체
들입니다. 여기도 두 부류로 나뉘는데, 상장회사와 비상장회사. 상장회사는 비교적 잘
지킵니다. 돈을 지불하고 이용하려고 하고 문제가 생기면 소송을 통해 해결하려고 합니
다. 문제는 비상장 업체들인데, 이 사람들은 걸리면 사이트 폐쇄하고 갈아타고 침해 행
위도 너무 다양합니다. 이들은 단타들이라 광고수익이든 뭐든 어떻게든 수익이 나면 치
고 빠집니다. 이들에 대한 처벌이나 단속은 강화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출판은 오프라인 상의 무단복제, 표절 이슈보다 온라인 공간에서 콘텐츠가 공급되는 과정에

- 64 -
서 침해가 확산되고 있음. 오디오북, 북튜버, 개인 블로그 등에서 시나 소설을 인용하거나 여
러 작가의 저작물을 재구성해 유튜브나 카톡방에 공유하는데, 이는 단속 대상에 포함되지 않
는 사각지대라 할 수 있음. 디지털 환경에서 침해의 기준이 모호해지고, 판례도 없는 상황에
서 헤비업로더들이나 유포자들의 침해 수법은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음. 또한 저작권 교육은
각 이해관계자들 입장에서 요구하는 지식이 다양하므로 저작권 지식 한 분야만 제공하기보
다는 연관된 지식분야(ex. 출판계약, 경매 지식 등)까지 부가해서 제공한다면 참여율을 높일
수 있을 것임. 또한 출판저작물 유통단계에서 불법으로 영리를 추구하는 비상장 업체들에 대
한 단속과 처벌은 강화되어야 하고, 디지털 환경에 맞는 출판저작권 단속에 대한 기준이 새
롭게 정비되어야 함

사. 음악

○ 장르 차원

“음악은 조금 다르게 볼 수 있는 게, 예전에 MP3 통해 들었다면 지금은 멜론에서 듣거


나 유튜브에서 듣기 때문에 개인 이용자들이 저작권을 침해하는 행위에서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입니다. 문제는 음원을 불법으로 활용하는 사업자들입니다. 멜론이나 지니,
벅스 같은 곳은 음악을 최종사용자인 우리에게 서비스하는 대신 그 저작권료를 작사/작
곡가/음반제작자에게 내거든요. 그런데 음악 앱 검색하시면 굉장히 많은데 이 앱을 다운
받으면 멜론, 지니, 벅스처럼 똑같이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음원의 소스는
유튜브입니다. 앱 운영자는 저작권료를 안내고 무료 음악 서비스를 한다며 광고를 붙이
고 수익을 챙기고 있습니다. 이처럼 음악은 최종사용자가 아닌 그 윗단인 유통 단계에서
의 침해가 심각합니다”

○ 교육 차원

“저작권 관련 전문 교육기관은 위원회밖에 없고, 또 아주 오랫동안 해왔고 프로그램


도 굉장히 다양합니다. 그런데 지금 저작권위원회가 하고 있는 교육들이 고용노동부 지
원을 받아서 직장인들 위주로 교육이 되어 있어요. 정부 기조 자체가 교육 예산을 별도
로 내리지 않고 고용노동부 통해서 그 교육을 받게 하고 있거든요. 그러다 보니 거의 기
업들이 대상층인데, 그냥 개인이 교육을 듣기에는 한계가 있어요. 저는 저작권 교육이
대국민 대상의 계도성 교육인지, 전문가/실무자를 키우는 교육인지 명확히 구분되어야
할 것 같고요. 위원회는 현재 실무자 쪽 교육으로 많이 기울어져 있어요. 저작권보호원
이 (저작권)위원회와 어떤 점에서 차별화해야 할지는 감이 잘 안 오지만, 현실적인 교육

- 65 -
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통틀어서 하기에는 이슈도 너무 다르고 관련 고민들도 너무
달라요. 엔드유저가 문제가 되는 장르가 있고 중간 단계가 문제되는 것들도 있어요. 아
니면 진짜 권리자와 그 권리를 이용하는 발주자와 수주자 간의 관계 안에서 일어나는
분야도 있고 정말 다 다르거든요. 그래서 일괄적으로 통일해서 뭔가를 하기에는‘저작
권 중요합니다. 지켜야 합니다’ 이런 것밖에 없어요. 이런 건 너무 막연하죠. 교육 효과
도 없고요”

○ 이용자 차원

“불법다운로드가 컴퓨터를 주로 이용하던 시대와는 다른 것 같아요. 지금은 모바일로


스트리밍 서비스로 보니까 다운로드라는 단어가 어떤 걸 의미하는지도 생각해봐야 하는
시기인 것 같아요. 사실상 엔드유저들의 다운로드 행위 자체는 침해가 아니거든요. 예를
들면, 음악을 듣는 것, 그림을 보는 것, 이런 것들은 저작권 침해가 아니에요. 대신에 내
가 MP3 파일을 업로드하면 침해가 돼요. 불법 앱에 올린다거나 그걸 통해 수익을 챙기
는 사람이 침해자인데, 지금처럼 바뀐 환경에서 침해자를 어떻게 찾아내고 어떤 조항을
적용해서 처벌을 받게 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사실상 엔드유저들
은 단속에 걸려도 빠져나갈 수 있는 길이 많습니다. 기소유예교육도 교육받고 넘어가는
거잖아요. 검사가 이 문제를 처벌 대상으로 보지 않는 겁니다. 검사나 판사들이 이 죄를
가볍게 생각하고 있는 거예요. 저는 엔드유저들을 대상으로는 계도성 캠페인이 효과적
일 것 같고, 그 사람들(검/경)에 대한 저작권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제도 차원

“일부에서 저작권법이 완화되고 있다고 하기도 하는데 법안의 규정은 절대 완화되지


않았습니다. 저작권 침해는 무조건 형사 처벌을 받도록되어 있거든요. 지식재산권법 체
계 중에서 무조건 형사처벌을 하는 법은 저작권법밖에 없어요. 법에는 당연히 위반이고
처벌하고 잡을 수 있는데요. 문제는 현실적으로 침해자를 잡기가 어려운 환경입니다. 즉
불법 유통의 핵심에 있는 사람이 어떤 회사나 기업이 아니라 개인이라는 점이죠. 지금이
라도 누군가 웹하드 하나 만들어서 한 달에 광고 수익까지 몇억 벌고 한두 달 있다가 닫
으면 되거든요. 이 사람들을 잡으려면 경찰이나 검찰이 계속 모니터링을 하면서 새로 생
기는 웹하드를 기다리고 있다가 열자마자 수사하고 계속 그래야 되는데 너무 비합리적
이죠. 그렇게 해서 잡는다해도 처벌하면 벌금 낼 거고, 그 다음에는 또 다른 데서 플랫
폼을 열 거고, 이게 계속 반복되는 거거든요. 이 사람들이 해외 있는지, 어느 나라 서버
인지도 모르고요. 국제사법 같은 것에 걸리면 더 복잡해지죠. 저는 정부가 산업계에서
문제가 있다고 제기하는 저작권 이슈가 있으면 그걸 함께 고민해 주고 손을 써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음악은 최종이용자인 엔드유저 차원에서 발생하는 침해는 많이 개선된 편이고, 불법적인 음

- 66 -
원 유통으로 수익을 챙기는 중간 단계의 플레이어들이 문제로 떠오르고 있음. 맞춤형 개인
음악 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에서 앱을 통해 ‘무료’임을 강조해서 이용자를 모으고, 광고수
익을 챙기는 유형인데, 이들이 제공하는 음원서비스는 저작권료를 지불하고 유튜브의 음원
을 활용한다는 것임. 이러한 앱 서비스로 음반제작사의 피해가 커지고 있으며 협회 차원에서
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임. 이와 같이 저작권 침해 이슈는 장르마다 침해유형도 다르
므로 침해가 발생하는 층위를 분류해서 보는 시각이 필요하며, 저작권 교육도 실무자를 대상
으로 하는 교육과 일반 엔드유저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다르게 접근되어야 함. 현재 위원
회의 교육도 강사진 구성과 기업종사자들 중심의 교육 등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존재하므로
보호원의 교육이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목적으로 교육사업을 운영할지 명확한 계획이 제시
되어야 할 것임

아. 소프트웨어

○ 장르 차원

“소프트웨어 쪽은 영화나 음악과 같은 엔터테인먼트적 상품이 아니라 기업입장에서는


생산재이고 필수재입니다. 그것을 활용해서 문서를 만들고 ERP의 경우는 납품을 관리
하는 SW인데 매우 고가입니다. MS Office를 생각해보세요. 이게 사치재는 아니잖아요.
그래서 SW의 불법 침해 원인은 ‘비용’ 때문입니다. 우리가 잘 아는 MS사 한컴의 SW
도 고가이지만 건축 쪽이나 특정 분야의 SW들은 그것을 쓰지 않으면 그 업계에서 소통
이 안 되므로 쓸 수밖에 없는데, 상상할 수 없는 가격입니다. 억대도 있고요. 그래서 불
법 복제는 불가피한 상황인데, 정부나 공공기관이 발표한 자료에는 90%이상 정품을 쓴
다고 나와 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건 점검을 하겠다고 먼저 공지하고 진행하
는 조사이기 때문에 신뢰하기 어렵고요. 저희 쪽에서 볼 때 SW 복제율은 35~40% 이상
으로 보고 있습니다”

○ 교육 차원

“제가 저작권위원회의 교육 커리큘럼 만드는 데에도 참여를 했는데요. 이제는 저작권


교육이라는 것이 효과가 있을까 의문입니다. 5~6년전 만해도 교육을 요청하는 기업도
꽤 있었고 위원회에 가서 교육받는 사람들도 많았는데요. 사실 저는 문체부와 정부가 저
작권과 관련해서 교육이든 캠페인이든 할 만큼 했다고 봐요. 차라리 단속이든 법적 처벌
이 더 강화되어 판례가 있는 게 침해 예방에 효과적이지 않을까요? 현재는 어떤 SW의
보호기술이 나오면 그걸 깨는 기술(방법)도 바로 나와요. 데모버전도 3개월만 유효한데

- 67 -
날짜를 바꾼다든지, PC를 번갈아 쓴다든지 해서 침해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환
경에서‘교육’이라는 것 단어도 구시대적이고 거부감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이
앉아서 그 강의를 듣고 싶어하지 않아요. 저는 저작권 지식에 대한 교육이 아니라‘콘텐
츠’에 대해 공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이용자 차원

“저희는 기업이나 기관을 상대로 하다 보니, 개인 이용자 차원에 대해 크게 말씀드릴


얘기는 없는데요. SW는 개인에 대한 불법이용률 집계가 쉽지 않기도 합니다. 어쩌면
SW를 개인까지 다 조사한다면 범법자는 너무 많을지도 몰라요(웃음). 일반 이용자를 생
각해본다면 저는 초중고 단위의 청소년 시기에 저작권에 대한 교육이 필요다고 생각합
니다. 저희가 예전에 초등학교에 가서 저작권 교육을 한 적 있는데, 교재를 만화로 미리
배포하고 개그맨과 함께 가서 영상 보면서 퀴즈도 내고 그랬습니다. ‘정품이 흐르는 교
실’이라고 진행했고, 보호원이 후원도 해주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성인보다 청소년층
에 주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맞다고 생각합니다”

○ 제도 차원

“SW의 경우, 이용방식이 패키지 구입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 바뀌어서 오프라인 상의


복제품을 단속하는 시대는 지나갔다고 생각합니다. SW는 중간 단계나 유통과정에서 불
법행위는 별로 없고요. 권리자들이 피해를 많이 보기 때문에 규제와 단속이 좀 더 강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보호원에 수사대도 있지만 수사 권한은 없고 수사 지원을 할
수 있는 기관인데요. 문체부 안에서 특사경이라고 해서 이제 운영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수사법경찰이라고 영장 청구도 할 수 있고요. 지금 그쪽 인원이 아주 적은
걸로 알고 있어요. 한 10-15명 조금 넘는 분들이 전국을 다 관장하기 때문에요. 저는 단
속과 처벌이 어느 정도 강하게 이루어져서 뉴스에도 나오고 ‘이렇게 하면 이렇게 되는
구나’ 하고 경각심을 갖게 되지, 지금의 계도와 교육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

○ SW는 영화나 음악과 같이 엔터테인먼트 상품이 아니라, 기업 입장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재이고 생산재이므로 다른 시각이 요구됨. 이용 가격도 억대에 이르기까지 고가에 해당
하는 SW가 많아 침해의 원인은 결국‘비용’때문인 것으로 드러남. 또한 개개인이 복제품
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단속과 처벌의 대상이 기관이나 업체이다 보니, 엔드 유저(end
user) 차원의 논의는 타장르에 비해 저조하나 장기적으로 SW는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하는
문화가 확산되어야 하므로 조기교육의 필요성이 있음. 단, 교육의 방식이 지금까지 정부와
문체부가 해온 패턴보다는 놀이형, 참여형, 오락형 중심의 콘텐츠로 제작되길 바라고, SW침
해에 대한 단속과 처벌은 현재보다 더 강화되어야 함

- 68 -
(2) 저작권 침해 예방 및 보호를 위한 업계 의견

○ 첫째, 장르마다 침해가 발생하는 층위가 다름. 즉 뉴스/방송과 같이 무료로 이용하는 콘텐츠
라고 인식해 온 장르의 경우 엔드유저 차원에서 침해가 발생하고, 음악이나 소프트웨어는 유
통단계에서 침해가 발생하고 있는데, 중간 단계의 플레이어는 사실상 업체에서 개인 단위로
전환되고 있으므로 침해 발생 집단(층위)을 구분하여 예방 정책이 마련되어야 함

○ 둘째, 스마트 기기와 네트워크 환경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침해 행위는 정교화․
고도화되고 있으며, 법적인 사각지대의 침해 이슈도 제기되고 있음. 실질적으로 처벌에 대한
판례가 없는 상황에서 권고, 시정, 기소유예교육 제도로 침해 행위가 감소될 수 있는가에 대
한 법계/학계 등 전문가 차원의 논의가 필요함

○ 셋째, 저작권 교육의 패러다임이 전환될 필요가 있음. 저작권 관련 법률 지식제공형 교육방
식은 외면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며, 장르별 침해 유형과 주요 피의자층에 대한 분석에 근거
한 교육 전략이 모색되어야 함. 예컨대 웹툰의 경우 ‘10~20대 남성’으로 명확히 드러나는
데, 이들에게 적합한 침해예방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임. 나아가 교육의 범위도 저
작권 지식에서 ‘콘텐츠 이용환경’까지 확장시키는 시각이 요구됨

3) 저작권보호원 내부

○ 저작권법 개정으로 저작권보호원의 기능과 역할이 강화되었음을 외부에 고지하는 것이 필요


- 2020년 저작권법의 개정으로 저작권위원회의 일부 업무가 저작권보호원에 이관 중이거나
(가령 해외 저작권 센터 업무가 위원회에서 보호원으로 이관 작업 중), 교육과 홍보 기능이
새로 추가됨
- 그러나 저작권보호원의 설립 역사가 짧아 보호원의 역할에 대한 기관 인지도가 미약한 편
인데다가 업무에 대한 인지도도 낮아 저작권보호원의 업무와 기능에 대해 외부에 알리는
작업이 필요

○ 저작권보호원의 고유 업무에 대한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 필요

- 69 -
- 디지털 포렌식이나 기소유예 관련 교육, 시정 권고 조치 등은 저작권보호원이 위원회와
구별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음
- 따라서 이를 중심으로 교육과 홍보 전략을 차별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 필요

○ 전반적으로 과거에 비해 저작권 침해 사례가 많이 즐어든 편이며, 특히 음악은 저작권 침해


사례가 월등히 적어짐
- 그러나 방송은 기존보다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장르에 비해 침해 사례 모니터링
건 수가 많음 편임
- 침해 사례 수는 많지 않지만 새로운 유형의 침해 사례가 나타나는 점도 주시해야할 부분임.
가령 최근에는 특정 오디오 플랫폼을 통해 음악 등이 침해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며,
유튜브에서도 저작권 침해가 매번 새로운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예의주시할 필요
가 있다고 봄
- 웹소설 분야에서는 카톡과 같은 오픈 채팅방을 특정인을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열어 웹소설
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공유하는 신종 방식의 저작권 침해가 나타남

○ 아이디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주로 특정 헤비업로더가 존재하는 것으로 예측됨. 이들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
- 또한 유튜브 BJ의 경우 침해를 인지하지 못하고 올리는 경우도 많아 이들을 대상으로 저작
권 침해에 대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

- 70 -
5장. 저작권 침해 예방 및 보호 활동

1. 홍보 활동 현황

1) 내부: 저작권보호원

○ 저작권보호원 자체 홍보 전략은 크게 참여형(공모전, 포스터, 표어), 매체활용형(짤막 영상),


언론사 연계(보도자료), 그리고 기타 홍보활동(기관지 발간, 캐릭터 개발)으로 구분할 수 있

- 저작권 침해예방 및 저작권 보호에 대한 단일화된 메시지 부재
- 이용자 차원과 매체 이용 전략 등 다양한 홍보를 시도했으나, 일회성 이벤트 중심 활동으
로 지속성이 떨어짐
- 참여형 홍보 활동의 경우, 후속적 홍보프로그램 연계를 위해 홍보 효과 측정 필요. 특히
‘공모전’의 경우, 공모전에 입상한 아이디어를 현 상황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연
계해야 함
- 참여형 활동은 온라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정 대상에 한정되는 것보다는 포괄적인
인식개선을 위한 다양한 홍보 플랫폼을 연계할 필요가 있음(예: 블로그에서 정보제공 →
또래집단 공유 → 소셜미디어 참여)
- 언론사 연계 홍보 활동 중 보도자료 배포도 연 7건으로 저조하여 향후 언론사와 연계한
적극적인 홍보 전략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
- 언론홍보를 통해 대국민 대상의 저작권 침해 예방 인식 개선을 추구하는 동시에 사업자
대상의 저작권보호원 사업홍보를 도모할 필요 있음

- 71 -
<표 5-1> 한국저작권보호원 홍보 내역

구분 홍보 아이템 집행내용 성과
- 공모전 홍보 포스터 제작
신학기 대학가 불법복제 및 온라인 배포 작품
접수량 정책 표어
해소 정책제안 공모전 - 공모전 사이트를 통한 배너 제안
(전체)
참여형
추진 광고 집행
- 공모전 홍보 온라인 이벤트
1,373 62 1,311
진행

저작권릴레이 퀴즈 이벤 - 저작권릴레이 퀴즈 홈페이


26회차 진행, 97,728명 응모
트 추진 지 제작 및 운영

- 저작권 보호 짤막영상 총 6
종(합본영상 포함) 제작
버스, 지하철, SBA1층 디지
- 저작권 보호 홍보영상 총 2
털 사이니지, 관련 협회 SNS
저작권 보호 홍보 영상 종(학생편, 신입직원편) 제
매체이용 작
제작 및 송출

- 저작권 보호 전문매체(블로 블로그(199건), 유튜브(29건)


그, 유튜브 등) 운영 콘텐츠 게재

보도자료 배포 총 7건
언론사
언론 보도 총 32건
연계
전자신문 지면 홍보 및 기획기사 게재

(12월 말 기준) 인쇄본 총 12,200부(6회), 웹진 약 60,000건


기타 기관지(C STORY) 발간
배포(e-mail), e-Book 발간(6회, 홈페이지 게시)
홍보
활동 저작권 보호 홍보콘텐츠
저작권 보호 캐릭터 ’바로‘ 응용동작(50종) 추가 개발
제작

○ 블로그는 2016년 11월에 개설되어 2017년부터 콘텐츠 업로드 및 본격적인 운영·관리 진행


- 해마다 순 방문자 수가 증가하고 있음

<표 5-2> 한국저작권보호원 블로그 운영 현황

순방문자수(명)
계정명 URL
‘18년 ‘19년 ‘20년
KCOPA STORY 116,064 168,140 250,698 http://blog.naver.com/kcopastory

○ 유튜브는 2018년 8월에 개설되어 현재 총 구독자 약 1,400명


- 구독자 및 조회 수를 높이기 위한 콘텐츠 전략이 강화될 필요 있음

- 72 -
<표 5-3> 한국저작권보호원 유튜브 운영 현황

채널명 개설년도 총 구독자 URL


https://www.youtube.com/channel/
KCOPA TV ‘18년 8월 약 1,400명
UC8h5XRZjVsGlj2xyxnK4cZw

○ YTN 뉴스의 생활상식코너 (2018년 1월29일)에서 소개된 ‘저작물 보호 요청’소개를 통해


저작권보호원의 역할과 저작권보호의 중요성을 함께 알림
- 스토리형식의 재연으로 이해하기 쉬운 콘텐츠로 구성하여 구독자의 관심을 끌었던 우수
사례로 보임

[그림 5-1] YTN 뉴스 ‘저작물 보호 요청’ 소개

2) 외부: 유관기관

○ 한국저작권위원회
- 저작권위원회는 저작권 의식 제고 및 반듯한 저작물 이용문화 정착을 목표로 대상 계층
별·매체별 다양한 홍보채널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홍보를 수행하고 있음
- 저작권위원회 홍보활동은 매체활용형(대중매체를 이용한 저작권 홍보), 타겟별 참여형(청
소년 저작권 글짓기 대회, 대학(원)생 저작권 우수논문 공모전), 기타(월간지, 계간지 발행)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음

- 73 -
<표 5-4> 한국저작권위원회 홍보 내역

구분 홍보 아이템 및 활동
- 착한저작권 굿Ⓒ 캠페인
- 저작권 존중과 나눔 콘서트 개최
- 저작권 브랜드 ‘반 듯Ⓒ’개발, 캠페인 홍보영상 송출, 서포터즈 운영
- 올바른 저작물 이용문화 홍보영상 연재
매체
- 저작권 웹드라마 제작 및 송출
활용형
- 웹예능 내 저작권 소재 반영
- 위원회 신규 채널(인스타그램) 개설(2018)
- 저작권 웹툰 제작 및 연재
- 뉴미디어(1인 미디어)를 활용한 홍보콘텐츠 제작 및 보급

타겟별
참여형

전국 청소년 저작권 글짓기 대회 대학(원)생 저작권 우수논문 공모전

언론사 저작권위원회에 보도자료 게시, 상시 언론관계유지:


연계 2020년 한해 28건의 보도자료 홈페이지 게시

기타
월간 ‘저작권문화’ 발행
홍보
학술지 ‘계간저작권’ 발행
활동

- 저작권위원회 블로그는 2015년 5월에 개설되어 저작권위원회 홍보 허브로 활용되고 있


음. 특히 ‘월간 저작권 문화’, ‘저작권 TV(유튜브 채널)’로 직접 접속할 수 있다는 점
에서 홍보확산효과를 도모할 수 있음

[그림 5-2] 저작권위원회 블로그

- 74 -
- 저작권위원회는 매체활용을 통한 홍보가 다양하며 특히 조직의 보유매체 활용에 적극적
- 특히 상대적으로 트렌디한 소셜미디어인 인스타그램을 보유매체로 활용하면서 저작권 침
해율(불법이용율)이 높은 MZ세대와 접점을 마련할 수 있음
- 저작권 글짓기 대회, 우수논문공모전과 같은 시상식이 있는 학술행사를 기획함으로써 저
작권 이슈에 대한 관련성이 높은 부류에 저작권에 대한 주목과 인지형성, 확산을 자연스
럽게 이끌어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보도자료와 기획기사, 인터뷰, 기고를 통한 전형적인 언론홍보 뿐만 아니라 카드뉴스와 같
은 다양한 인포그래픽을 사용하여 저작권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특히
MZ세대에 적절한 메시지를 잘 전달하고 있음

[그림 5-3] 저작권위원회 내용이 반영된 카드뉴스(예)

2. 교육 활동 현황

1) 내부: 저작권보호원

(1) 교육 과정 및 교육 대상

○ (교육과정) 아래와 같이 주요 3개 분야에 걸친 외부 강사를 활용한 대면 방문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음

- 75 -
① 저작권 공정사용 및 침해예방 교육
② 교육조건부 기소유예 교육
③ 공공기관 SW관리 담당자 순회교육으로 구성

○ (교육대상) ‘저작권 안심’지정사 등 업무협력 기업‧기관‧협회, 공공기관, 기소유예 처분대상


자로 범위가 한정됨
○ (교육운영) 저작권 침해예방 지원단(55명) 및 공공기관 SW관리담당자 교육 전문가인력풀(20
명)을 활용하여 외부 전문가 파견을 통한 교육 수요에 따른 맞춤형 교육 지원

<표 5-5> 한국저작권보호원 주요 교육사업 운영현황(‘19년〜‘20년)

2019년 2020년
구분
온라인 오프라인 온라인 오프라인

저작권 공정사용 및 침해예방 교육 - 22회(1,630명) 4회(84명) 3회(400명)

교육조건부 기소유예 교육 - 30회(488명) - 11회(233명)

공공기관 SW관리담당자 교육 - 26회(2,286명) 25회(2,147명) 1회(79명)

* 자료: 한국저작권보호원 내부 자료

○ 2020년의 경우‘코로나19’로 인하여 유튜브 게시 영상물 활용, 교육 요청 시 관련 영상파


일 제공으로 대체하였으며, 공공기관 순회교육은 외주용역업체의 온라인 교육시스템 일시적
도입‧활용하였으나 빈도는 매우 낮은 편

- 76 -
2) 외부: 부처 및 유관기관

○ 외부 기관 분석은 저작권위원회, 교육부, 그리고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저작권 교육을 살펴보


았음

(1) 저작권위원회

○ 저작권위원회는 교육연수원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초·중·고, 대학교, 교사, 문화예술


인, 일반인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 과정을 구성하고 있음
- 온라인과 오프라인 과정, 유료/무료과정, 일반과정/특화과정 등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
- 교육연수원(교육포털) 사이트 운영

[그림 5-5] 저작권위원회 교육연수원 메인 화면


*자료: http://www.copyright.or.kr/education

가. 오프라인 교육

○ 오프라인 교육은 ‘찾아가는 저작권 교육’과 ‘저작권 체험교실’, ‘직무능력 향상 교


육’세 분야로 나뉘어 있음

① ‘찾아가는 저작권 교육’은 청소년과 성인 두 부류로 나뉘어 저작권 교육이 필요한 전


국 초‧중‧고등학교 및 문화예술인 등 저작권 인식 취약계층 관련 단체에 직접 방문하여 무

- 77 -
료로 강의를 지원하는 맞춤형 교육임
② ‘저작권 체험교실’은 신청서 접수를 통해 선정된 교사가 직접 학기 중에 6시간 이상의
저작권 체험수업을 운영하고, 결과 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임
③ ‘직무능력 향상 교육’은 한국저작권위원회와 교육 서비스에 대한 약정을 체결한 기
업·단체 재직자 중 고용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임

<표 5-6> 저작권위원회의 온라인/오프라인 교육과정 구성

구분 위원회

① 찾아가는 저작권 교육
⋅방법 : 저작권 강사 파견 교육
⋅대상 : 초·중·고·대학교 및 문화예술인, 저작권 인식 취약계층 등
② 저작권 체험교육
⋅방법 : 연수받은 교사가 학교교육
교육방법
오프 ⋅대상 : 초·등·고등학교 교사

라인 ③ 저작권 직무능력 향상과정 (유료과정)
교육대상
⋅방법 : 교육기관 방문교육
⋅대상 : 위원회 교육 서비스 약정 맺은 기업·단체 재직자 중 고용보험 가입자
* 고용노동부 및 한국산업인력공단 주관
④ 특화과정 (저작권 아카데미 교육연수)
⋅대상 : 유·초·중등 교육 및 교육전문직

① 원격저작권아카데미 (동영상 특강)


⋅방법 : 자기주도적 온라인 교육
⋅대상 : 전 국민 (학생, 학부모, 공무원, 산업종사자, 협업맞춤형과정 등 과정별)
② 원격교육연수원
교육방법 ⋅방법 : 저작권 체험교육 연계
온라인 및 ⋅대상 : 초·등·고등학교 교사
교육대상 ③ 원격평생교육원 (유료과정)
⋅방법 : 평생학습계좌제 연계
⋅대상 : 평생학습계좌 등록자
④ 청소년 저작권 교실
⋅방법 : 만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등

① 유튜브 저작권TV 개설
교육 및 홍보 ⋅방법 : 유튜브 채널 내 영상물 게시
⋅대상 : 전 국민

나. 코로나 이후 온라인 교육의 확대

○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은 원격저작권아카데미와, 원격교육연수원, 원격평생교육원, 청소년저


작권교실 네 분야로 나뉘어 운영됨

- 78 -
<표 5-7> 저작권위원회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요약

위원회 (온라인 교육)


① 산업종사자 : 17종
* 저작권 이슈와 이용가이드(폰트,공연권,Sw관리),
* 산업 종사자를 위한 저작권 노하우(어린이집 보육교사 과정, 출판·방송·캐릭터·디자인·모
바일·콘텐츠 수출산업, 4차산업 등)
* 만화(웹툰) 창작자 및 창업자를 위한 저작권 노하우 등
원격 ② 대학생 : 2종
저작권 * 표절예방과 저작권 기초 강좌 등
아카데미 ③ 공무원 : 4종
* 저작권법, 저작권 기초와 실무, SW 저작권&자산관리 이해 등
④ 일반인 : 4종
* 생활 속 저작권 Q&A(일상생활편, 회사/학교편, 인터넷/오락편) 등
⑤ 청소년 : 3종 (초·중·고 학생 대상)
⑥ 학부모 : 2종 (초·중 학부모 대상)

① 1학점 9종 : 수업에 활용하는 저작권 수업방법, 학교 속 저작권, 선생님을 위한 저작권


원격
문제 대응과 처리기법 등
교육연수원
② 2학점 1종 : 저작권 기초

원격 ① 일반과정 1종 : 웹 개발 분야
평생교육원 ② 실무자과정 2종 : 분야별 저작권 계약 실무, SW 자산관리 실무

청소년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저작권에 대한 궁금증과 상식을 초등용/중등용으로 단계를


저작권교실 두어 만화, 애니메이션, 드라마로 제작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제공

① 원격저작권아카데미
- 산업 종사자, 대학생, 공무원, 일반인, 청소년, 학부모 등 전 국민을 대상으로 자유롭게 수
강할 수 있는 교육과정. 2021년 연간 운영 일정은 아래 표 참조

※ 원격저작권아카데미의 신규 과정으로 ①온라인 개강과 저작권, ②OTT 저작권 이슈, ③


시대 변화에 따른 저작권 제한과 배려, ④저작권에 이웃하는 실연·음반·방송, 저작권 등
은 2021년 4월에 적용 예정

<표 5-8> 2021년 원격저작권 아카데미 연간일정

교육
구분 과정명 시수 신청기간
기간
저작권 이슈와 이용 가이드(폰트) 1 ‘21. 1. 1. ~ 12. 30. 30일
저작권 이슈와 이용 가이드(공연권) 1 ‘21. 1. 1. ~ 12. 30. 30일
산업 저작권 이슈와 이용 가이드(SW관리) 1 ‘21. 1. 1. ~ 12. 30. 30일
종사자
저작권 이슈와 이용 가이드(폰트, 공연권,
3 ‘21. 1. 1. ~ 12. 30. 30일
SW관리)

- 79 -
어린이집 보육교사 과정 3 ‘21. 1. 1. ~ 12. 30. 30일
4차산업 종사자를 위한 저작권 노하우 6 ‘21. 1. 1. ~ 12. 30. 30일
도서관 종사자를 위한 저작권 노하우 6 ‘21. 1. 1. ~ 12. 30. 30일
콘텐츠 수출산업 종사자를 위한 저작권
6 ‘21. 1. 1. ~ 12. 30. 30일
노하우(미국편)
시니어 창업자를 위한 저작권 노하우 3 ‘21. 1. 1. ~ 12. 30. 30일
청소년 예비 창업자를 위한 저작권 노하우 3 ‘21. 1. 1. ~ 12. 30. 30일
저작권 개요(공통과정) 6 ‘21. 1. 1. ~ 12. 30. 30일
출판 종사자를 위한 저작권 노하우 6 ‘21. 1. 1. ~ 12. 30. 30일
방송 종사자를 위한 저작권 노하우 6 ‘21. 1. 1. ~ 12. 30. 30일
캐릭터·디자인 산업종사자를 위한 저작권 노하우 6 ‘21. 1. 1. ~ 12. 30. 30일
모바일 콘텐츠 종사자를 위한 저작권 노하우 6 ‘21. 1. 1. ~ 12. 30. 30일
콘텐츠 수출산업종사자를 위한 저작권
6 ‘21. 1. 1. ~ 12. 30. 30일
노하우(중국편)
만화(웹툰) 창작자를 위한 저작권 노하우 6 ‘21. 1. 1. ~ 12. 30. 30일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저작권 노하우 6 ‘21. 1. 1. ~ 12. 30. 30일
표절예방과 저작권 기초 강좌 3 ‘21. 1. 1. ~ 12. 30. 30일
대학생
대학생을 위한 저작권 노트 15 ‘21. 1. 1. ~ 12. 30. 한 달
공공분야 종사자를 위한 저작권 4 ‘21. 1. 1. ~ 12. 30. 30일
공공기관 근무자를 위한 저작권 기초와 실무 6 ‘21. 1. 1. ~ 12. 30. 30일
공무원
실무에서 바로 쓰는 공무원을 위한 저작권법 15 ‘21. 1. 1. ~ 12. 30. 한 달
공공기관 소프트웨어 저작권&자산관리 이해 3 ‘21. 1. 1. ~ 12. 30. 30일
저작권 왕초보, 처음부터 배워요 3 ‘21. 1. 1. ~ 12. 30. 30일
생활 속 저작권 Q&A(일상생활편) 15 ‘21. 1. 1. ~ 12. 30. 한 달
일반인
생활 속 저작권 Q&A(회사/학교편) 15 ‘21. 1. 1. ~ 12. 30. 한 달
생활 속 저작권 Q&A(인터넷/오락편) 15 ‘21. 1. 1. ~ 12. 30. 한 달
[초등저학년] 저작권과 친구될래요 3 ‘21. 1. 1. ~ 12. 30. 30일
[초등고학년/중등] 저작권과 친구될래요 3 ‘21. 1. 1. ~ 12. 30. 30일
청소년
[중고등학생용] 반드시 알아야 할 학교 속 저작권
3 ‘21. 1. 1. ~ 12. 30. 30일
이야기
[초등학부모]저작권! 이제 기본입니다 3 ‘21. 1. 1. ~ 12. 30. 30일
학부모
[중등학부모]저작권! 이제 기본입니다 3 ‘21. 1. 1. ~ 12. 30. 30일

② 원격교육연수원

- 전국 40여만 전체 교원을 대상으로 저작권 교육전문 원격교육연수원


-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저작권 홍보를 위해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전 교원 대상 교육실시
- 청소년에 대한 저작권 조기교육을 담당할 저작권 전문교사 양성(이수증 및 증명서 발급)

- 80 -
[그림 5-6] 저작권위원회 원격교육연수원 과제 및 실천전략

③ 원격평생교육원(유료과정)
- 저작권 전문교육을 원하는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교육으로 평생교육 바우처 사용이 가능
하고, 학력 취득 연계 자료(검정고시 ‘사회’과목 면제)로 활용 가능함
- 평생학습계좌제 운영, 평생교육법 제23조에 의거하여 국민의 다양한 학습경험을 개인별
학습계좌에 누적·관리하고, 그 결과를 학력·자격 등 사회적으로 활용하는 제도의 일환

- 81 -
<표 5-9> 2021년 원격저작권교육 평생학습계좌제 인정과목

구 분 교육과정명 교육시간
실무에서 바로 쓰는 공무원을 위한 저작권법 15차시
생활 속 저작권 Q&A(일상생활편) 15차시
원격저작권아카데미
생활 속 저작권 Q&A(회사/학교편) 15차시
(맞춤형)
생활 속 저작권 Q&A(인터넷/오락편) 15차시
대학생을 위한 저작권 노트 15차시
아리송한 웹저작권 한방에 끝내기 –종합 편- 30차시
원격평생교육원
분야별 저작권 계약 실무 –종합 편- 20차시
(유료)
소프트웨어 저작권 자산관리 실무 –종합 편- 20차시
선율과 함께하는 저작권 여행 15차시
저작권! 이론부터 체험수업까지 15차시
사례로 알아보는 학교생활 저작권 가이드와 상담 Tip 15차시
미디어 속 흥미로운 저작권 이야기 15차시
원격교육연수원 이야기가 있는 저작권 문화 산책 15차시
(교원) 선생님을 위한 저작권 문제대응과 처리기법 15차시
수업에 활용하는 저작권 수업방법 살펴보기 15차시
학교 속 저작권 이야기 15차시
스마트 교육 시대의 학교 저작권 사례 따라잡기 15차시
저작권 기초 다지기 20차시

<표 5-10> 2021년도 원격평생교육원 연간 일정

구분 과정명 비고
일반 - 아리송한 웹저작권 한방에 끝내기
과정 (6주, 30분, 30차시 42일) 평생학습계좌제
- 분야별 저작권 계약 실무 (검정고시 사회과목)
실무자 인정 과목
- 소프트웨어 자산관리 실무
과정
(4주, 30분, 20차시, 30일)
o 아리송한 웹저작권 한방에 끝내기 - 저작권자 편 -
일반 (2주, 30분, 9차시, 14일)
과정 o 아리송한 웹저작권 한방에 끝내기- 저작물 이용 편 -
평생학습계좌제
(2주, 30분, 9차시, 14일)
(검정고시 사회과목)
o 분야별 저작권 계약 실무 - 게임, 소프트웨어 편 -
비인정 과목(1)
실무자 (2주, 30분, 8차시, 14일)
과정 o 소프트웨어 자산관리 실무 - 이론 편 -
(2주, 30분, 8차시, 14일)
일반 o 아리송한 웹저작권 한방에 끝내기 - 저작권침해 편 -
과정 (3주, 30분, 12차시, 21일)
평생학습계좌제
o 분야별 저작권 계약 실무 - 방송, 출판, 음악 편 - (검정고시 사회과목)
실무자 (3주, 30분, 12차시, 21일) 비인정 과목(2)
과정 o 소프트웨어 자산관리 실무 - 실제 편 -
(3주, 30분, 12차시, 21일)

④ 청소년 저작권 교실
- 위원회는 청소년 저작권 교실이라는 코너를 별도로 운영하여, 어린이/청소년/학부모를 대
상으로 저작권 교육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화(웹툰), 애니메이션, 드라마로 저작권 지

- 82 -
식을 제공하고 있음. 초/중/고 단계별로 자료를 내려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고, 알림
터, 배움터, 놀이터, 나눔터 등으로 구분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그림 5-7] 청소년 저작권 교실 메인 화면

다. 기타

① 교원연수 특화과정(오프라인)
- 전국 유초중등 교원 및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수업 및 수업지원 활동을 비롯하여 학교교
육활동, 교사의 연구 활동, 학생교육활동 등에 필요한 저작권 관련 지식을 심층적으로 습

- 저작물을 올바르게 이용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저작권 분쟁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학생들에게 올바른 저작물 이용방법 등을 지도할 수 있음
- 학교에서 교원들이 접하게 되는 수업목적, 행정목적, 학교교육활동 등 실질적으로 학교 내
에서 발생 가능한 실무 위주의 저작권 교육 실시

※ 2020 서울특별시교육청 특수분야연수기관 지정(서울교육 2020-1085)

- 83 -
<표 5-11> 교원연수 개요

과정명 학교교육을 위한 저작권법 실전과정


연수구분 전문성 향상 과정(교육정책시책)
연수대상 전국 유․초․중등 교원 및 교육전문직 20명
연수기간 2021. 1. 11.(월) ~ 1. 15.(금), 5일간
연수시간 매일 09:30 ~16:30(1일 6시간, 총 30시간)
연수학점 2학점(성적산출 안함)
연수장소 한국저작권위원회 서울사무소
연수경비 무료

<표 5-12> 교원연수의 교과 편성 내용

수업방법
교과목 교수요목 시수
강의 참여 실습
학교 교육·지도를 위한 저작권법 일반에 대해 알아
학교 교육·지도를 위한
보고, 학교현장에서의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최근 6 4 2
저작권
저작권 관련 이슈 및 사례에 대해 학습

교사의 수업 및 수업 활동, 연구활동, 학생 지도


학교 현장에서의
활동에 필요한 저작물의 올바른 이용방법 등을 6 4 2
저작물의 올바른 이용
학습
저작권 분쟁에 대한 해결 절차 및 대응방법 대해
저작권 분쟁 해결 절차 3 3
학습
현장체험 저작물 감상 3 3
학생 지도에 필요한 법교육 원리, 체험 중심 수업방법모형 등 법교육
3 3
저작권 교수학습법 수업방법에 대한 학습

저작권의 이해, 보호, 활용 등 모둠 활동을 통해


체험 중심 모둠 활동 3 3
실제로 학교현장에서 이용 가능한 수업방법 실습

학교현장에서 실제 학생들에게 저작권 교육 프로


학교현장에서의
그램을 활용하여 저작권 교육을 진행한 사례 등 3 1 2
저작권 교육 사례
소개
학교현장에서 발생하는 저작권 분쟁 사례 및 이
저작권 이슈 및 사례 토론 3 3
슈 등을 모둠별 토론․발표
합 계 30 15 12 3

② 지역 저작권 교육
- 저작권위원회는 중소기업서비스 코너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로 지역 저작
권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맞춤형 무료 교육과정으로 중소기업
이 알아야 할 저작권 지식을 지역 센터를 중심으로 운영

- 84 -
- 주요 내용은 산업별 저작권 맞춤형 교육 콘텐츠와 산업 실무자 대상 저작권 전문 정보를
중심으로 제공
- 주요 과목은 ①저작권 기초 및 실무사례, ②다양한 저작권 판례 및 노하우, ③올바른 저작
권 이용방법, ④저작권 분쟁 예방 및 해결방법 학습으로 구성되면 총 18개 과정(학습시간
3시간, 6시간)으로 진행됨

<표 5-13> 지역 거점 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지역 저작권 교육

- 85 -
(2) 교육부

○ 저작권 관련 영상 배포
- 코로나 사태 이후 온라인 개학과 원격 수업으로 디지털 미디어 사용이 폭증하고 있는 현
실을 고려하여 경기도교육청 청소년 방송인 ‘미디어 경청’(유튜브 채널)을 통해 정보윤
리와 저작권에 대한 안내 영상을 배포(2020년 4월 16일)

[그림 5-8] 경기도교육청 청소년 방송 주관으로 제작된 영상


*자료: 유튜브채널(https://youtu.be/NFUysVd0fh8)

○ 저작권 침해에 관한 교육 및 상담센터 운영


- 교사들을 대상으로 원격수업 준비 시 저작권 침해사항에 대해 궁금증을 해소하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교육저작권 상담
센터와 저작권위원회 상담센터가 문의 및 상담을 맡고 있음

[그림 5-9]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저작권 침해에 대한 Q&A 상담센터

- 86 -
○ 교육부 산하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종합교육연수원을 통해 “학교 맞춤형 저작권 정
책 지원” 사업 운영
- 학교 교육을 위한 저작권법·제도 개선 지원
- 교육기관 전담 저작권 전문가 양성 등 저작권 교육 활성화 지원
- 학교 현장 저작권 저작권 상담 및 법률 대응 지원
- 학교 현장 폰트 점검 프로그램 배포 및 활용 지원

○ KERIS의 ‘교육저작권 지원센터’ 운영


- 저작물 이용을 위한 저작권 법·제도 안내, 교육기관의 폰트 활용 및 점검 안내
- 교육기관의 폰트 활용 및 점검 안내
- 폰트 분쟁 상담 및 불공정 사례 법률지원

○ KERIS의 ‘저작권 신고 서비스’ 운영


- KERIS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저작권 신
고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데, 게시된 저작물에 의해 권리를 침해당했다고 판단되면 해
당 절차에 따라서 게시 중단을 요청할 수 있음

[그림 5-10] 저작물 게시중단요청 업무처리 절차

(3) 한국콘텐츠진흥원 아카데미: 에듀코카

○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운영하는 교육포털 에듀코카(http://edu.kocca.kr)에서는 온라인 과정으


로 저작권과 관련하여 총 30강좌를 무료로 운영
- 교육수준 및 난이도에 대한 구분은 없으며, 장르별·산업별 저작권 이슈를 중심으로 과목
이 개설

- 87 -
[그림 5-11] 에듀코카의 저작권 관련 교육 강좌 소개 화면

- 에듀코카의 교육대상은 콘텐츠 수출종사자, 예비 창업자, 공공기관 근무자 대학생, 청소


년, 일반인 등으로 저작권위원회의 원격아카데미의 교육대상과 유사
- 저작권 교육 콘텐츠의 장르는 저작권위원회보다 세분화되어 있음. 웹툰, 출판, 모바일 콘
텐츠, 게임, 음악, 방송, 뮤지컬, 캐릭터 디자인 등 장르별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

3. 해외 홍보·교육 활동 사례분석

1) 홍보 활동 사례

(1) National Crime Prevention Council(NCPC)14)

- NCPC는 미국 법무부 지원국(MTV Networks, 이민세관집행국, 국토안보조사청, 지식재산


권센터)과 협력하여 지적재산 도난 방지 캠페인을 시작함

14) https://www.ncpc.org/resources/ip-theft/public-education-campaign/

- 88 -
- 지식재산 범죄는 희생자가 없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어 왔으나 이러한 범죄는 사실
상 아티스트, 공연 예술가, 기업가 등의 지식재산권자들이 잃은 이익이 추가 비용이 되어
소비자들의 부담이 되어 돌아오고, 정부 또한 세수입의 감소 문제를 겪게 되며 다양한 희
생자가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범죄임
- 이 캠페인은 TV 및 온라인 사용을 위한 비디오 공익 광고, 라디오 광고, 인쇄된 간판 및
브로셔로 구성되어 있음
- 미국 법무부는 국가범죄예방위원회(NCPC)의 웹사이트에 “Interllectual Property Theft”
라는 별도의 페이지를 마련해 위조 소비재, 불법다운로드 등 각종 지식재산권과 관련된
통계 자료 및 교육 자료를 게시하고 있으며, 시민들이 지식재산권 침해 행위를 적발하였
을 때 신고할 수 있는 다양한 정부 기관 및 단체에 대해 연락처 등을 소개하고 있음

*자료 : https://www.ncpc.org

[그림 5-12 ] 지식재산 도난 방지 캠페인 포스터

(2) 인도네시아 창조경제위원회(BEKRAF)15)

○ 영화불법복제방지 캠페인
- 인도네시아 창조경제위원회(BEKRAF), 영화협회(Motion Picture Association), 인도네시아
영화제작사협회(Aprofi)와 함께 국가영화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불법복제 및 배포 행위를
줄이기 위한 캠페인을 개최

15) [인도네시아] 창조경제위원회(BEKRAF) 영화불법복제방지 캠페인 실시, 저작권침해 행위 단속


가속화. 마닐라사무소. 해외센터뉴스(보고서번호 : 제 2018-139호)

- 89 -
- 이 캠페인을 통해 특별 제작된 동영상을 영화 상영 전에 Cinema XXI, CGV 및 Cinemaxx
시네마 네트워크에서 상영하여 영화 불법복제 및 배포로 인한 연간 손실이 1조 4,954 루피
아(한화로 약 1100억)에 상당함을 홍보함

- 불법 업로드, 파일 공유 및 라이브 스트리밍을 포함한 영화 저작권침해 행위는 영화 제작


사와 영화 산업계 전체에 영향을 미쳐 성장을 저해함을 강조

(3) 필리핀 글로브 텔레콤

○ #PlayItRight
- #PlayItRight은 필리핀 최대 통신사 중 하나인 글로브 텔레콤에 의해 시작된 불법복제방지
캠페인
- 지역 엔터테인먼트 산업, 글로브 네트워크,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 및 콘텐츠 제작을 보호
하기 위해 불법 콘텐츠 소비에 대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온라인 불법 복제 방
지 인식 캠페인을 시작함
- 글로브는 캠페인의 일환으로 검증된 불법 복제 사이트를 자발적으로 차단해왔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는 불법 복제 웹사이트가 불법 온라인 활동, 기타 사이버 보안 위협의 온상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음

[그림 5-13] #PlayItRight 캠페인


*자료 : https://www.youtube.com/watch?v=PqQAo9sHfwc

- 90 -
2) 교육 활동 사례

(1) 미국 저작권 사무소(Copyright office)16)

○ International Capacity Building and Training


- 1년 내내 미국 저작권 사무국은 외국인 방문객들에게 저작권 문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함
- 또한, 미국 저작권 시스템 및 중요한 국제 저작권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해외 방문객들을 초대하기도 함
- 사무소는 국무부 및 USPTO를 포함한 다른 기관과 협력하여 해당 기관이 주최하는 회의에
참여하거나 해당 프로그램의 방문자가 사무실에 와서 회의하도록 함
- 2018년 2월, 저작권 사무소의 선임 변호사가 방콕의 IP 사무소에서 주최한 프로그램에 참
여하여 50명의 임원, 강사, 실무자 및 대학생들에게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함

○ 국제 저작권 연구소(International Copyright Institute)


- 2년마다 WIPO와 함께 워싱턴 D.C.에서 개최되는 심포지엄인 국제저작권연구소를 공동 주
최하며 이 협회는 사무국의 주요 교육 행사 중 하나임
- 17개국의 고위급 저작권 담당자를 모아 50명 이상의 정부, 민간 산업 및 시민 사회 전문가
로부터 새로운 저작권법 및 정책 문제에 대한 의견을 다룸

(2) WIPO(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Academy

○ WIPO Academy는 WIPO 회원국, 특히 개발도상국, 최빈개도국 (LDC) 및 전환국가를


위한 지적 재산권(IP) 교육 및 훈련 센터임
- 이 과정은 국가 IP 사무소를 포함하여 전 세계 여러 기관과 협력하여 구성됨
- WIPO의 Academy 네 가지 프로그램은 IP에 대한 일반 및 전문 과정의 풍부한 포트폴리오
를 다루며 정책 입안자 및 공무원, 발명가와 창조자, 비즈니스 관리자 및 IP 전문가, 학생
과 교사, 시민사회 등을 대상으로 함

16) Annual Intellectual Property Report to Congress(2019). United States Intellectual


Property Enforcement Coordinator. p163

- 91 -
<표 5-14> WIPO Academy 교육내용

코스 명 내용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개발도상국, 최빈개도국(LDC) 및 여러 특수 지적 재산(IP) 영역
(전문 개발) 에서 경제 전환 국가의 공무원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함
1999년부터 전문직 종사자와 새로운 전문가 모두에게 지적 재
Distance Learning Program 산권(IP)의 모든 측면을 다루는 원격 교육 학습과정을 제공하며
(원격 교육) 최대 10개 언어를 지원함. 전 세계 대학의 저명한 학자들과 학
생 사이의 소통은 온라인 토론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짐
대학 파트너십 프로그램의 목적은 고등교육, 특히 개발도상국,
Academic Institutions Program
최빈개도국 (LDC) 및 경제 전환 국가의 참가자들에게 지적 재
(학술 기관 프로그램)
산(IP) 에 대한 엑세스를 지원함
WIPO 여름 학교는 대학생과 청년 전문직 종사자들이 IP에 대
WIPO Summer Schools Program 한 더 깊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IP가 지속
(WIPO 여름학교) 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구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는 물론, 글
로벌 IP 서비스 제공과 행정에서의 WIPO의 역할도 제공함

(3) 캐나다 교육부 장관 협의회(CMEC)

○ Copyright Matters!
- CMEC 저작권 컨소시엄 간행물 Copyright matters!는 교육 커뮤니티 (교사, 학생, 학부모
및 관리자)에게 저작권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 저작권법의 항목, 저작권 단체와의 계약 및 관세 조정, 법원 결정 등을 다루며, 이 출판물
은 교육 및 학습을 위해 저작권 보호 자료를 선택하고 사용하는 데에 있어 교육자의 권리
와 의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출발점임
- 또한 CMEC 저작권 컨소시엄은 교사와 학교 관리자가 저작권이 보호되는 저작물을 적절
히 사용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공정 거래 지침을 개발하여 발행함

<표 5-15> Copyright Matters! 교육내용

교육내용(구성)
1 What is the purpose of this booklet? 이 책자의 목적은 무엇인가?

2 Why is copyright important? 저작권이 왜 중요한가?

3 What is fair dealing? 공정한 거래란 무엇인가?


Does fair dealing permit the making of a 공정한 거래를 통해 인쇄본으로부터 디지털 사
4
digital copy from a print source? 본을 만들 수 있는가?
Can teachers copy or post an entire
교사가 전체 악보를 복사하거나 게시할 수 있
musical score or does the 10 percent
5 는가? 아니면 공정거래 지침의 10% 제한이 적
limit in the Fair Dealing Guidelines
용되는가?
apply?

- 92 -
6 Can a teacher copy for instruction? 교사가 교육을 위해 복사하는 것이 가능한가?
Can a teacher copy materials intended
7 교사가 일회성 자료를 복사할 수 있는가?
for one-time use?
Can a teacher copy for tests and
8 교사가 시험 및 시험을 복사할 수 있는가?
examinations?
Can teachers and students use statutes, 교사와 학생이 법령, 규정 및 법원 결정을 사용
9
regulations, and court decisions? 할 수 있는가?
What rights do students with perceptual 지각 장애가 있는 학생들은 어떤 권리를 가지
10
disabilities have? 고 있는가?
11 What rights do school libraries have? 학교 도서관은 어떤 권리를 가지고 있는가?
Can teachers play a sound recording or
교사가 소리 녹음을 재생하거나 학생들이 들을
turn on a radio for students to listen to,
12 수 있도록 라디오를 켜거나 TV를 켤 수 있는
or turn on a television for students to
가?
watch?
Can students perform a work protected
학생들이 학교 구내에서 연극과 같이 저작권으
13 by copyright, such as a play, on school
로 보호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가?
premises?
Can music be performed without the 저작권 소유자의 허가 없이 음악을 연주할 수
14
copyright owner’s permission? 있는가?
Can students and teachers use
학생과 교사가 저작권 보호 작품을 사용하여
15 copyright-protected works to create new
새로운 작품을 만들 수 있는가?
works?
Can teachers copy programs from radio 교사가 라디오나 텔레비전에서 프로그램을 복
16
or television? 사할 수 있는가?
Can teachers show an audiovisual work 교사가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고 학교 구내에서
17 (such as a DVD or video) on school 시청각 작품(예 : DVD 또는 비디오)을 보여줄
premises without infringing copyright? 수 있는가?
Can teachers copy an audiovisual work 교사가 집에서 시청각 자료를 복사하여 교실에
18
at home and show it in the classroom? 서 보여줄 수 있는가?
Can lessons be streamed live to students 학생들에게 수업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거나
19 or recorded and made available on-line 녹화하여 학생들이 선택한 시간에 온라인으로
for students at a time of their choosing? 제공할 수 있는가?
Can teachers copy computer software for 교사가 교육용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복사
20
educational use? 할 수 있는가?
Can teachers and students copy from the
21 교사와 학생이 인터넷에서 복사할 수 있는가?
Internet?
Can teachers and students break digital
교사와 학생이 법적으로 사용할 권리가 있는
locks to use copyright-protected
22 저작권 보호 자료를 사용하기 위해 디지털 잠
materials they have the legal right to
금을 해제할 수 있는가?
use?
Are student-created works protected by
23 학생이 만든 작품은 저작권으로 보호되는가?
copyright?
Where can I get more information on 저작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어디서 얻을 수
24
copyright? 있는가?

- 93 -
[그림 5-14] Copyright Matters! 간행물

(4) European Unio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EUIPO)17)

○ 가상 교육 센터
- EUIPO는 유럽 연합 법 집행 교육 기관(CEPOL)과 협력하여 지적 재산권 침해에 관한 유럽
Observatory를 통해 유럽 연합 집행 커뮤니티에 전용 교육 자료를 제공함
- 가상 교육 센터는 세관 및 경찰관, 시장 감시 당국, 검사 및 판사에 관련하여 지적 재산권
관련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전념하는 CEPOL LEEd 학습 플랫폼 내의 영역임
- CEPOL LEEd 플랫폼은 모든 EU 회원국 집행 당국의 모든 IP 집행관이 사용할 수 있음
- 내용은 관련 지식 영역에 따라 구성되며 지식수준 (기본, 중급 또는 고급)이 명확하게 표
시됨
- 일부 모듈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인증서가 수여됨

17) https://euipo.europa.eu/ohimportal/web/observatory/virtual-training-centre

- 94 -
<표 5-16> EUIPO 가상 교육 센터 교육내용

코스 명(영) 코스 명(한)
Intellectual Property Legislation 지식재산권법
Search Tools and IP Enforcement Portal 검색 도구와 IP 집행 포털
Operational Instruments 운영 계기
IP Crime Investigative Techniques IP 범죄 수사 기법
Studies and Reports 연구 및 보고서
Train the Trainers 트레이너 양성
VTC on IPR Forum 가상 교육센터 포럼

(5) 홍콩 Intellectual Property Department18)

○ IP 교육 프로그램
- IP 훈련 프로그램은 기업, 특히 중소기업(SME)의 인력 역량을 강화하여 전반적인 비즈니
스 전략과 실무에 우수한 IP 관리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함
- 모든 교육 과정은 IP 관리자의 특정 업무와 경력 개발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전문지식과
기술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음
- 이 과정을 통해 기업은 다음을 수행할 수 있음

Ÿ IP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기업의 창의적인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


Ÿ 기업의 IP를 침해로부터 사전에 예방
Ÿ 거래 또는 투자 유치에 대한 기업의 IP 자산 가치 확보
- 참가자는 각 교육과정을 완료하면 인증서를 받게 됨

<표 5-17> IP 교육 프로그램 중 저작권 보호 관련 교육내용(IP102)

코스 명 내용
- IP 등록 요건 및 조건
- 다양한 IP등록을 위한 신청 절차 및 일정
IP 등록
- IP 등록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실용적인 팁
- IP 등록 서비스
- 다양한 IP 권한에 사용될 수 있는 보호 메커니즘
- 지적 재산권 보호를 위한 법적 프레임 워크
지적 재산권 보호 - 일반적인 지적 재산권 침해 사례
- 지적 재산권 분쟁 처리 방법
- 사례 연구
- 크로스 보더 거래의 일반적인 IP 관련 문제
IP 관리를 위한 비즈니스 전략
- IP 개발 및 보호 전략

18) https://www.ipd.gov.hk/eng/promotion_edu/upcoming_events.htm

- 95 -
- 크로스 보더 거래 및 투자에 대한 실용적인 IP 관리 조언
- 사례 연구

- IP 관리 및 집행기관의 역할과 기능
- 일반적인 시행 옵션 및 그 효과
1. 민사 절차
IP 입법 및 집행 2. 행정적 조치
3. 세관 단속
4. 형사 절차
- 보고 방법 및 증거 요구 사항

4. 소결

1) 국내 저작권 교육 운영현황 함의

○ 교육부의 저작권 교육은 교사와 학생을 주요 타겟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홍보 및 상담에 초


점을 두고 있음
○ 저작권위원회와 차별화되는 교육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취약계층(침해 주요 계층)에 대한 분
석을 통해 교육안을 모색하되, 위원회와 중복되지 않는 지점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
○ 현재 저작권위원회의 원격저작권 아카데미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장르별 저작권 교육이 한국
콘텐츠진흥원 에듀코카의 장르별 저작권 교육과 차별화하는 방안이 필요
○ 신규 과목으로 요구되는 분야, 예컨대 OTT와 저작권, 미디어 융합에 따른 인접 저작권(공연
권)19) 등 새로운 교육 분야를 보호원이 선제적으로 제시하는 것도 필요
○ 온라인 교육의 비중이 커지는 현실을 감안할 때, 교육방식, 내용(포맷), 시간 등에 변화가 필
요(ex. 온라인 강좌의 경우 20~25분 단위로 구성되고 있는 트렌드 파악)
○ 위원회의 교육이 다양한 대상들을 대상으로 하다보니 많은 강좌를 구성하는 ‘제공형 교
육’이라면, 보호원의 교육은 ‘혜택형 교육’에 초점을 두어 수강생들에게 지식적인 혜택
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이 필요

19) 미국에서 최근 제정된 통합세출법(Consolidated Approriations Act, 2021)에 디지털 저작권


보호 강화 방안이 포함됨. 특히 불법 스트리밍을 ‘공연권’에 대한 위반으로서 중범죄로 처벌할
수 있도록 규정함. 출처: KCA, <미디어 이슈 & 트렌드>. 2021년 2월호

- 96 -
2) 저작권 홍보 현황분석 함의

○ 저작권 교육은 저작권위원회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고 비교적 체계적 정립이 잘


되어 있는 반면, 저작권 관련 홍보는 매체나 이벤트 중심의 도구적 차원의 홍보로만 단발적
으로 진행되어 온 경향이 있음
○ 유사기관과 저작권보호원의 홍보 차별화를 위해서는 첫째, 저작권보호원에게 부여된 고유
기능과 차별화된 사업 홍보가 필요하며, 둘째, 이를 저작권 침해개선을 위한 대국민 홍보활
동으로 이어갈 필요 있음
○ 저작권보호원의 사업 유형별 사업대상, 예를 들어 창작자, 신탁기관은 해당 사업의 가장 중
요한 홍보 타겟이 되므로 해당 기관 및 단체를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요한
홍보대상으로 아우르는 것이 필요함
○ 저작권위원회는 언론홍보부터 학술지발간까지 사회 주요계층을 포함하는 다양한 홍보활동
체계가 정립되어 있음. 저작권보호원이 보유한 차별적인 ‘시정권고기능’과 관련된 전문가
(예: 디지털포렌식, 온라인모니터링, 검찰·경찰과 협업 등)에 대한 스토리를 반복적으로 노
출시킴으로써 저작권보호원의 기능을 알릴 필요 있음
○ 저작권보호원의 보유매체를 온라인 통합시스템체계로 구축하는 것이 가장 시급함: 대부분의
저작권 침해 행위가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저작권보호원의 보유매체가 인터넷
홈페이지와 공식블로그, 페이스북, 유튜브 4가지에 국한되어 아쉬움
○ 공식블로그를 정보의 허브로 두고, 20~30대를 위한 홍보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50대 이
상을 위한 밴드나 카카오스토리를 채널로 운영하여 생활밀착형으로 다가가는 것이 필요함.
특히 불법이용의 주요한 인지 경로 중 하나가 동료 및 지인이라는 점에서 연령대별 특화된
채널을 통한 메시지 전달은 필수적임

3) 해외 사례 함의

○ 저작권 관련 해외 교육 및 캠페인 프로그램을 고찰해본 결과, 미국의 경우 정부가 운영하는


저작권 사무소를 통해 외국인을 대상으로 홍보와 교육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국제
저작권연구소를 통해 정부와 민간 시민 사회로부터 새로운 저작권 이슈와 정책문제를 논의
- 논의의 주요 주제는 국제저작권 체계, 온라인 불법 복제 서비스 공급자 책임, 국경을 넘는
정부 협력, 디지털 시대의 집단적 권리, 시각예술작품 등록 등 최근 이슈로 등장하는 사안
에 대해 심포지엄과 교육행사를 개최

- 97 -
○ 국제기구인 WIPO는 아카데미 운영을 통해 WIPO 회원국, 개발도상국, 최빈개도국을 대상으
로 전 세계 기관과 협력하여 교육 및 훈련을 실시
- 주요 교육 사업은 전문 영역, 원격 교육, 학술기관 연계 프로그램, 여름학교 등으로 나뉘
며, 정책입안자, 창작자, 비즈니스 운영자, 학생, 교사, 시민사회를 대상으로 함

○ 캐나다의 CMEC는 교육부 장관 협의회에서 운영하는 컨소시엄인 ‘Copyright Matters!’를


통해 저작권 관련 지식을 제공
- 특히 교사와 학교관리자가 저작물을 보호하고 공정거래 지침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육내
용이 구성되어 있으며, 교사, 학생, 학부모, 관리자를 대상으로 교육이 이루어짐

○ 유럽연합이 운영하는 EUIPO는 가상교육 센터를 통해 EU 회원국 집행 당국을 대상으로


CEPOL LEEd라는 학습 플랫폼에서 교육 이수 가능
- 저작권 지식 영역에 따라 내용이 초․중․고급으로 구성되며 일부 과정을 성공적으로 완료하
면 인증서가 수여됨

○ 홍콩의 경우, IP 관련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전반적인 비즈니스 전략과 실무에 유용한 전문지
식을 제공하도록 설계
- 주요 과목명은 IP 등록, 지적재산권 보호, IP 관리를 위한 비즈니스 전략, IP 입법 및 집행
등으로 구성되며, 각 교육과정을 완료하면 인증서를 받게 됨
- 홍콩이 저작권 교육을 IP 관련 중심으로 선회했다는 것은 그만큼 IP 영역에서 저작권 분쟁
이 증대되었다는 것이며 이와 관련한 교육 커리큘럼은 국내에서도 벤치마킹 가능할 것으
로 보임

○ 해외 사례를 고찰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해 볼 수 있음


- 첫째, 온라인 공간의 저작물 유통이 급증함에 따라 국가 간 불법 침해 행위, 국가 간 협조
체계의 확대 등이 요구되며 미국의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진이나 미술품 등 시각예
술 작품의 등록과 침해예방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임
- 둘째, 저작권 교육은 범국민 차원의 교육이나, 각 사회 영역에서 요구하는 지식의 난이도
와 니즈가 다름을 인지해야 함. 정책입안자(공무원), 기업, 학부모, 학생, 시민사회 등 다양
한 영역의 교육층을 고려해야 함
- 셋째, 저작권 교육에서 중요성이 높아지는 분야에 대한 관심과 교육 콘텐츠의 난이도를
구분하여 공급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 홍콩의 사례에서와 같이 IP 분야의 교육프로그
램을 강화하는 것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국내 저작권 교육이

- 98 -
과목명으로 제시되는 프레임보다는 초/중/고급 혹은 기초/심화/전문 과정과 같이 해당 과
목별 난이도에 대한 구분도 제시되어 선택의 폭을 높이는 방안이 요구됨

- 99 -
6장. 저작권 보호를 위한 홍보·교육 전략

1. 환경분석 및 전략 방향

1) 전략 방향 도출

○ 앞서 살펴본 2차 데이터 심층 분석, 이용자 및 산업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FGI와 인터뷰


결과, 저작권보호원과 다른 기관에서 저작권 침해를 모니터링한 사례, 그리고 저작권보호원
의 홍보 및 교육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이용자와 공급자(사업자) 차원으로 구분하여 홍보와
교육 방안을 도출하면 <그림 6-1>과 같음

[그림 6-1] 저작권보호원의 홍보 및 교육 전략 방향 도출

- 100 -
2) 홍보

○ 저작권보호원 홍보 현황분석 및 문제점을 통한 SWOT 분석


- 강점으로 저작권보호원 업무의 전문성을 들 수 있으며, 다양한 침해 사례를 보유하고 있
다는 점 또한 저작권보호원의 홍보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강점으로 들 수 있음
- 그러나 보유한 매체가 협소하여 홍보 채널로서 이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다양한 홍보
활동에도 불구하고 그 간 단일화된 메시지자 부재한 것이 약점이라고 할 수 있음. 특히
언론보도가 상대적으로 많이 미흡하여 해당 부분에 대한 강화가 필요
- 저작권법 개정으로 저작권보호원의 업무 영역이 확대되면서 교육과 홍보 기능이 강조되
었으며, 무엇보다 미디어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저작권 침해 관련 이슈가 증가함에 따라
보호원의 역할과 기능을 강조하기 위한 홍보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특히 저작권위원회와의 차별화를 위해 저작권보호원이 보유한 차별적인‘시정권고기
능’과 관련된 부분(예: 디지털포렌식, 온라인모니터링, 검찰·경찰과 협업 등)을 유기적
으로 엮는 스토리텔링의 홍보아이템 발굴 필요

<표 6-1> 저작권보호원 홍보 환경 SWOT 분석

S(Strengths) W(Weakness)
․ 보유 매체 협소
․ 보호원 업무 전문성 (규제 기능 보유)
․ 단일화된 메시지 부재
․ 전문 블로그(방문자↑)
․ 언론 보도 미흡
․ 캐릭터 ‘바로’
․ 내용과 매체가 분산된 홍보 콘텐츠
․ 다양한 침해 사례 보유
․ 설립 기간이 짧아 기관 인지도가 낮은 편

O(Opportunities) T(Threats)
․ 저작권법 개정으로 업무 영역확대 ․ 적은 예산
․ 미디어 환경 변화(SNS 활용 등) ․ 위원회 이미지와 중복
․ 콘텐츠 소비자 증가 (홍보 대상이 두터워짐) ․ 홍보에 대한 목표 및 비전 부재

<표 6-2> 저작권위원회의 홍보 SWOT 분석


(강점) (약점)
․ 다양한 홍보 채널 보유
․ 업무 영역의 포괄성
및 적극적인 활용
(저작권위원회만의 전문화된
․ 생활밀착형 홍보
핵심 분야를 찾기 어려움)
․ 블로그-학술지 연계 활성화

(기회) (위협)
․ 온라인 중심 홍보 트렌드 강화 ․ 신규 저작권 이슈 발생

- 101 -
<표 6-3> 저작권보호원의 홍보 방향(안)

- 통합된 홍보 전략 필요(메시지-매체-사업)
- 홍보 효과 측정 지표 마련
- 다양한 플랫폼 연계 방안 마련
- 언론 연계(보도자료) 강화
- 보호원 고유 사업 홍보 강화(사업팀-보호원-문체부 연계)

3) 교육

○ 저작권보호원의 교육은 그동안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부재하였으므로 향후 교육사업을 위


해 아래 표와 같은 환경요인(SWOT)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무엇보다 저작권위원회가 오랫동
안 교육사업을 운영해왔고 그 입지가 견고하므로 저작권보호원이 차별화할 수 있는 교육사
업에 초점을 두어야 함
- 저작권보호원의 강점인 업무 전문성(시정권고, 수사권 등)에 근거하여 침해예방 전문 교육
기관으로 자리매김을 할 필요. 이는 오늘날 저작권 침해가 개인 미디어를 중심으로 신규
콘텐츠 장르에서 고도화·정교화되고 있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새로운 교육 수요가 창출
될 것으로 기대
- 특히 온택트 시대가 일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저작권보호원의 온라인교육시스템
구축은 시급한 과제이며, 교육 수요자의 니즈를 반영한 커리큘럼 개발, 강사풀 구성 등 후
속적인 운영체계 수립이 요구됨

<표 6-4> 저작권보호원의 교육 환경 SWOT 분석


S(Strengths) W(Weakness)

․ 업무 전문성(수사권, 시정/권고 등) ․ 교육 커리큘럼 단순


- 모니터링 사례 보유 ․ 온라인교육인프라 미비

O(Opportunities) T(Threats)

- 다양한 침해 이슈 보유 ․ 적은 예산
․ 신규 침해 유형 파악 ․ 위원회와 업무 중복성
․ 미디어 환경 변화(SNS 활용 등)

- 102 -
<표 6-5> 저작권위원회의 교육 환경 SWOT 분석

(강점) (약점)

․ 온․오프 인프라구축
․ 대중적 접근
․ 제도화 (평생학습 등)
(저작권 일반 내용 중심)
․ 다양한 타겟의 교육과정

(기회) (위협)

․ 코로나-19로 온라인 ․ 신규 플랫폼 및 새로운


교육 수요↑ 저작권 이슈 발생
․ 미디어 환경변화

<표 6-6> 저작권보호원의 교육 방향(안)

- 세분화된 교육
- 장르별/ 콘텐츠 침해 유형별 차별화된 교육
- (이용자/창작자/사업자/전문가) 맞춤형 교육
- 새롭게 나타나는 저작권 침해 취약계층(사각지대/ 개인 창작자, 융복합 등)에 대한 교육
- 저작권보호원이 침해 예방 전문 교육기관으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교육 시스템 구축

2. 저작권 침해 예방을 위한 홍보 전략 수립

1) 홍보 전략의 필요성

(1) 홍보 플랫폼 연계: 저작권보호원의 공식채널 확대 필요성

○ 지금까지 저작권보호원 자체 홍보는 온라인 공모전을 통한 단기성 이벤트 형식으로 진행됨.


특히 참여형 행사로 지속적인 효과 확대로 이어질 수 있는 저작권 릴레이퀴즈는 저작권보호
원 공식 블로그 게재
- 퀴즈홈페이지 제작 및 단기 운영의 형식으로 진행, 종료되어 사실상 릴레이의 의미가 무색함

○ 참여형 활동이 온라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정 대상에 한정되는 것 보다는 포괄적인 인


식개선을 위해 다양한 홍보 플랫폼을 연계할 필요 있음
- 예를 들어, 저작권보호원 공식블로그에서 공모전, 서포터즈 모집과 같은 정보제공을 했다면
이러한 정보가 공유되고 확산되는 경로가 필요함. 현재 저작권보호원은 홈페이지와 공식블로
그, 페이스북만 공식 채널로 보유하고 있어 온라인 홍보에 어려움이 있음

- 103 -
○ 무엇보다 저작권보호원의 보유매체(인스타그램,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등)를 만들고
채널을 연동하여 저작권보호원의 사업과 교육 홍보 채널로 활용할 필요 있음

(2) 표준화된 홍보활동 지표수립: 홍보활동 효과측정의 필요성

○ 보다 구체적인 홍보활동방향 설정과 프로그램 기획을 위해서는 홍보활동 효과측정이 필요함


- 지금까지 저작권보호원에서 홍보 효과측정이 가능한 홍보프로그램이 사실상 많이 수행되지
않았음
- 매체를 통한 홍보는 반드시 홍보 효과측정을 해서 후속 홍보프로그램기획에 반영하여 비용
효율적인 개선안을 도출해야 하는 것으로 연계되어야 함. 따라서 유튜브를 통한 짤막 영상이
나 페이스북 노출 등에 대한 효과측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

(3) 온·오프라인 통합홍보 체계마련: 상시 언론홍보 및 이슈관리의 필요성

○ 뿐만아니라 언론홍보를 통해 대국민 대상의 저작권 침해 예방 인식 개선을 추


구하는 동시에 사업자 대상의 저작권보호원 사업홍보를 도모할 필요 있음
- 2020년 언론사 연계 홍보 활동 중 보도자료 배포도 연 7건으로 저조하여 향후 언론사와 연계
한 적극적인 홍보 전략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

2) 저작권보호원의 홍보 방향(안)

(1) 이원화 홍보 전략 수립

○ (1) 기관인지도 제고 및 (2) 저작권보호원 사업 홍보로 이원화된 홍보 전략 수립 필요

○ 단기적으로는 “저작권보호원 사업 홍보” 중심 전략으로, 중장기적으로는 “기관인지도 제


고”를 위한 홍보 내용과 홍보 채널 강화가 필요

- 104 -
<표 6-7> 저작권보호원의 장단기 홍보 목표 및 전략

(1) 기관 인지도 제고 (2) 저작권보호원 사업 홍보


목적
[중장기 홍보 전략 중심] [단기 홍보 전략 중심]
- 저작권보호원의 역할, 기능, - 저작권보호원 고유 사업
목표
전문성을 외부에 알리는 것 인지도 제고

(강화전략) 저작권은 지켜주고 보호받아 (친밀화전략) 저작권보호원 개별사업의 다양


전략 야하는 권리임을 인지시키는 기관으로 성과 분야별 전문성을 홍보
서의 역할 강조

(2) 저작권보호원 홍보방향설정 및 프로그램 기획(안)“

◌ 유사기관과의 차별화를 위해서 저작권보호원의 홍보는 차별적인 사업과 교육홍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

[그림 6-2] 저작권보호원의 홍보 전략 도식화

- 105 -
<표 6-8> 저작권보호원의 단기(2021년) 홍보 목표 및 전략
대상 홍보사업 홍보내용 홍보채널 벤치마킹

1단계: 전문매체에 기획기사


신탁단체의 권리보 - 경찰청: 유머를 가
2단계: 신탁단체 DM-찾아가
신탁관리 호는 저작권 보호 미한 콘텐츠, 선행
(권리보호요청) 는 고충상담
단체 를 위한 것임을 공 미담발굴
3단계: 지식 협업 프로그램,
유 - 온라인스토리펀딩
재능기부(변호사 초정 강연)

- 경고메시지 - 카카오톡 push메시지, 동영


메시지팝업창-
- 저작권보호원의 상 채널
‘바로’하세요 - 미국 국가범죄예방
헤비업로더 강력한 시정,권 - 체험수기
(저작권보호원 위원회(NCPC) 캠
(위험집단) 고기능 안내 - 공식블로그-페이스북-인스
의 캐릭터인 페인
- 교육프로그램 안 타그램-밴드 연계
‘바로’를 활용)
내 - TV공익광고, 브로셔
- 우수사례, 성과자료집 및 운
보도자료 및
영매뉴얼 보급
기획기사 코
- 저작권보호원의 - 찾아가는 현장포럼, 간담회
너: - 보도자료(예): ‘저작
다양한 사례집 - 사업자를 위한 저작권보호
‘바로’반장 권침해’ 누구나 신
과 매뉴얼 제공 역량강화 워크샵
- 저작권침해 고할 수 있다...‘공
- 교육프로그램 안 - 뉴스레터, 웹진, 체험수기,
디지털과학 익신고’ 대상으로
내 UCC 공모전
수사지원 의 추가(지식재단전문
- 교육프로그램 우 - 저작권침해 디지털과학수사
미와 연계 미디어 발행)
수사례 공유 지원: 기획기사(6월~)
- 수사반장->
사업자 - 해외저작권 보호는 어떻게
바로반장
(기업) 이루어지나: 기획기사

블로그 허브 - 지원사업 수혜 기업 인터뷰 - KOCCA에서 발행


- 보호원 사업 홍
‘바로’손잡기 : 기획기사 하는

- 정보의 허브 - C STORY에 수혜기업 현장 <N CONTENT 엔콘
(해외 저작권 이용
로서 보호원의 탐방 기사 텐츠>는 홈페이지
권 이용자 모집,
블로그 개편 - C STORY 유통 채널 확장: 외에 ‘밀리의 서재’
업계 대상 저작권
- 네트워킹을 밀리의 서재, 리디북스 등 에서 구독할 수 있
보호기술 지원 등)
통한 협업 이북채널과 연계 음

- 릴레이캠페

- (가칭)해피카 - 홍보대사 및 통신사, 포털사
피라이트유 업자와 연계: 홍보대사의 개
저/굿카피라 인 인스타그램 채널을 통한
이트유저 확산 - 필리핀 글로브 텔레
- 릴레이(시리 - 보도자료, 홈페이지->블로그 콤의 #PlayItRight,
- 저작권보호
일반 즈)형식의 → 페이스북을 통한 확산(다
인식형성 및
이용자 캠페인으로 른 보유매체 연계 구축 필 - 영화분야의
제고
제작 : 영화 요) 굿다운로더
편, 웹툰편, 캠페인
음악편 등 - ‘해피카피라이트유저’를 가
- (가칭)세계로 공하여 확장, 저작권 침해
가는 드림카 대응이 취약한 국가를 대상
피라이트

전문가 - 연례 전문가 - 저작권 분야 전 - 시기: 하반기(11월~12월) - 콘텐츠분쟁조정위원

- 106 -
- 운영방법: 저작권 분야 전문
문가 초빙을 통 가(업계, 학계, 법조계) 로
한 저작권 침해 구성하여 발제 및 토론 회의 <콘텐츠분쟁조
포럼 운영
예방 관련 전문 - 기대효과: 보호원 차원의 전 정포럼>
가 풀 확보 문가 풀 확대 및 보호원 사
업에 대한 홍보 효과

집단 - 대상 : 협회(한국인터넷기업
협회, 저작권신탁단체 등),
- 저작권보호원의 학회(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
- 대부분의 정부부처
- 외부 기관의 저작권 이슈를 터, 언론법학회 등)
및 기업에서 시행하
세미나 후원 외부와 공유하 - 운영 방법: 수시 세미나, 학
고 있음
고 널리 알림 술대회 후원 및 주관
- 기대효과: 보호원 기관 인지
도 제고 및 전문가 풀 확대

<표 6-9> 저작권보호원의 중장기(2022년~) 홍보 목표 및 전략

구분 대상 홍보사업 홍보내용 홍보채널 벤치마킹


- 홍보활동 효과측정을
위한 지표 개발
- 집행하고 있는 - 연구사업을 통해 저작
홍보 사업 및 채 권보호원 홍보활동이
- 홍보 성과
널의 효율적인 효과적으로 집행되었
지표 마련
전략 수립을 위 는가를 측정할 수 있는
한 근거로 활용 성과지표 개발 필요
- 기관 및 사업부 KPI와
공통 연동

- 교육과 홍보 전용 메인
- 이용자(권리자,
페이지 구축
- 온라인 플랫 일반인) 편의(U
- 저작권보호원 홈페이지
폼 인프라 I)를 확대함으로 - 저작권위원회
중장 와 연동된 별도 전용
구축 써 플랫폼 방문
기 페이지를 위한 인프라
률 제고
전략 구축 필요
(202
2년~ - 평소 업계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그리고
보호원 사업을 공유하
기 위해 정책 협의체
운영
- 장르별 업계 전 - KOCCA: 수
- 운영방법: 월 1회 업계
- 정책 협력 문가와 저작권 시로 정책협의
간담회 등(필요 시 수
사업자 네트워크 구 보호원의 주요 체를 구성하여
시운영)
축 및 운영 이슈 공유 및 사 업계 의견 수
- 기대효과: 스킨쉽을 통
회적 확대 렴
해 보호원에 대한 우호
적인 업계 분위기 조
성, 신규 사업에 대한
업계 의견 수렴 창구
역할 등

- 107 -
- 연초에 보호원 연간사 - KOCCA, kpi
업에 대한 설명회 운영 pa, KOFIC
- 온라인 사업 - 저작권보호원 - 지원사업규모가 적은 등 지원사업이
설명회 지원사업 알리기 편이기 때문에 오프라 있는 기관에서
인보다는 온라인 사업 연초 사업설명
설명회 권장 회 운영
- 비공개 포럼으로 저작
권전문가로 구성된 내
부 정리 포럼 운영
- 최신 저작권 침
- 운영방법: 월 1회 조찬 - KOCCA 리더
- 정기적인 내 해 예방 및 보호
전문가 포럼 , 자유형식(특강 스포럼
부 포럼 운 이슈에 대해 내
집단 중심) - 미경학회 조찬
영 부 공유 및 전문
- 기대효과: 보호원 사업 포럼
가 풀 확보
에 우호적인 전문가 풀
확보, 전문가 대상 기
관인지도 제고 효과
- 공익광고, 주요일간지
- 지역과 함께 - 지역사회 참여 지면광고
하는 저작 중요성 - 기획기사, 시의회 등
지역사회
권 침해 예 - 저작권보호원 인 지자체 협의회 네트워
방 캠페인 지도 제고 킹 구축
- 체험수기, UCC 공모전

3) 주요 세부 수행 과제(안)

단기전략(1)
대상: 신탁단체
프로그램명: ‘바로’알려드립니다
(예: 권리보호요청사업)

○ 추진 배경
- 저작권보호원의 주요 사업 대상 중 하나인 신탁단체를 대상으로 저작권보
호원의 업무를 알리고 참여를 촉진함으로써 저작권보호원의 전문적 이미지
확보 필요

- 108 -
○ 세부 내용
- (언론홍보) ①신탁단체에서 하는 일은 무엇이고, ②신탁단체의 권리란 무엇이
며 ③신탁단체의 권리보호는 저작권 보호를 위한 것임을 알리는 내용

- (맞춤형 홍보) 찾아가는 고충 상담

- (협업프로그램) 지식협업, 재능기부(변호사 초청 강연)

○ 기대효과
- 저작권보호와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전문적인 기관으로서 정체
성을 강화하고, 유사기관과 차별화된 이미지 확보

단기전략(2)
대상: 헤비업로더
프로그램명:‘바로’하세요

○ 추진 배경
- 고질적인 침해유형 중 하나인 헤비업로더의 지속적 침해가 지속발생하고
있으나, 단속과 점검에 의한 침해 대응이 사실상 어려움

- 강력한‘경고메시지’를 띄움으로써 불법업로드 행위 근접시, 경각심 고


취 필요

○ 세부 내용
- 카카오채팅탭, 카카오페이지, 다음앱, 다음웹툰, 페이스북등 SNS 광고 페이
지를 활용하여 저작권 침해 경고 문구 삽입

- 저작권보호원 캐릭터 ‘바로’를 활용하여 주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홍보


대사의 역할을 부여하여 누리꾼의 관심을 연계

- 타 웹사이트 및 온라인서비스제공사와의 협업을 통해 대용량 콘텐츠 업로


드 및 공유 시, 알람이 울리거나 경고 문구가 팝업되는 형식으로 조치

- 109 -
○ 기대효과
- 저작권보호원 캐릭터 ‘바로’를 활용한 저작권보호원의 시정권고기능을
알림으로써 저작권보호원의 차별적이고 전문적인 업무 홍보

- 심각한 침해유형 중 하나인 헤비업로더에게 직접적인 경고메시지를 전달함


으로써 저작권보호에 대한 경각심 고취 및 불법공유행위 감소

단기전략(3)

대상: 사업자
프로그램명: ‘바로’반장

○ 추진 배경
- 저작권보호원의 주요 사업 대상자에게 저작권보호원의 업무를 알리고 참여
를 촉진함으로써 저작권보호원의 전문적 이미지 확보 필요

- 저작권보호원의 저작권보호와 침해예방을 위한 사업의 맞춤형 홍보를 위한


이해관계자 파악 필요

○ 세부 내용
- 저작권보호원 발간자료(뉴스레터, 웹진, 체험수기 등)에서 전문적인 업무에
대한 설명, 절차 안내

- 기존 가독성을 위협하는 어려운 표현 및 미해결사례에 대한 후속조치 언급

- 다양한 사례집과 매뉴얼 정비, 우수사례공유

○ 기대효과
- 사업자별로 저작권보호원의 해당 사업에 대한 관심 고취 및 적극적 참여

- 저작권보호 정책 입안 및 집행을 위한 여론지도자 형성의 기회 마련

- 110 -
단기전략(4)
대상: 사업자
프로그램명: ‘바로’손잡기

○ 추진 배경
- K팝을 비롯한 한류 콘텐츠가 세계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
에 따라 한류 콘텐츠 저작권 침해도 같이 증가함

- 저작권 침해대응이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 네트워크로 운영되어야 하며


신속한 침해대응과 부정적 확산을 막는 통합시스템 지키미로서 사업자의
역할 필요

○ 세부 내용
- (언론홍보) 지원사업 수혜 기업 인터뷰, 기획기사, C STORY에 수혜기업 현
장 탐방 기사

- C STORY 유통 채널 확장: 밀리의 서재, 리디북스 등 이북채널과 연계하여


‘해외 저작권 이용권 이용자 모집’, ‘업계 대상 저작권 보호기술 지
원’사업 등 전문성이 강화된 보호원의 세부 사업 소개

○ 기대효과
- 사업자별로 저작권보호원의 해당사업에 대한 관심 고취 및 적극적 참여

- 저작권보호 정책에 대한 국민적 관심 형성

- 저작권보호원의 고유 업무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 형성 및 사업자참여 도모

- 111 -
□ 세부 프로그램(안) 예시
<표 6-10> <‘바로’하세요> 세부 프로그램 예시

과제

[프로그램명] ‘바로’하세요
기간 7~9월
홍보목표 전방위적 캠페인을 통한 자발적인 저작권 보호 실천에 동참
§ 핵심타겟: 헤비업로더
주요 타겟
§ 영향력 타겟: 이용자, 유관기관
§ 헤비업로더
① 홍보메시지: 또래 규범을 강화하는 강력한 경고메시지
② 홍보매체: 카카오채팅탭, 카카오페이지, 다음앱, 다음웹툰,
페이스북등 SNS
타겟별 전략 § 이용자, 유관기관
① 홍보메시지: 이용자 – 굿다운로더의 도덕성 강조 메시지
유관기관 - 불법다운로드의 경각심 알림
메시지
② 홍보매체: 포괄적 인터넷 환경, SNS
가. 언론홍보
a. 보도자료: 개인정보 유출 피해 실태조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인터넷 환경에서 저작권
관련 이슈에 대한 인지 제고
b. 기획기사: 저작권 침해 유형 및 시정권고사례를 스토리텔링하여 저작권 이슈에 대한
밀착화

나. 온라인홍보
a. 저작권보호원“바로”캐릭터를 활용, 온라인홍보물에 삽입하여 정책브랜드로 프로세싱
b.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인터넷 홈페이지와 연계한 카드뉴스, 인포그래픽 활용,
이벤트 활용, 저작권 침해에 대한 경각심 고조 및 저작권 보호의 필요성 확산을 위해
인포그래픽 및 카드뉴스 정보공유 이벤트 및 친구 태그로 재확산 유도

다. 오프라인홍보
a. 공모전: 저작권 침해를 알고 계시나요, 하고 계시나요, 왜 하시나요 등의 메시지를 통해
저작권 보호 필요성을 일깨워주기 위한 아이디어공모적 실시: 기존 공모전의 경우, 포스

- 112 -
터, 디자인, 벳지 등 시각적 차원에 초점을 둔 주제로 지속적 이용과 공유에는 한계가 존
재. 실제 준비하면서 공모전 참여자가 스스로 저작권 인식을 함양하고 저작권 보호 정책
에 대한 관여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

식품의약품안전처 산림청 한국장기조직기증원

b. 협업
- 언론진흥재단, 콘텐츠진흥원 등 유관기관과의 협업으로 메시지 전달 (예: 언론진흥재
단, 경찰청 등과 협업하여 유관 기관에서도 저작권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 및 개
인정보 보호에 대한 설명 및 팜플렛 배포 등 개인정보보호의 날(1.28)을 활용한 캠페인
-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영화관, 편의점 등의 비예산 홍보매체 발굴하여 확산

편의점 모니터 영화관

- 113 -
○ 2021년도 연내 홍보 프로그램(안)을 매체 전략, 스토리 구성 전략, 협력 전략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함
<표 6-11> 연내 홍보 프로그램(안)
2021년
구분(예시)
5 6 7 8 9 10 11 12
SNS서포터즈 “바로 우리(안)” 모집
및 운영
● ● ● ● ● ● ● ●
매체전략:
SNS서포터즈 “바로 우리(안)”
온라인팸투어
● ●
온·오프라인·모바일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개설 ● ● ● ● ●
통합 SNS 이벤트 실시 ● ● ● ●
무가지신문 애드버토리얼 ● ● ● ●
저작권보호원 PI 수립 ● ●
대학생서포터즈 활동 ● ● ● ●
대학생서포터즈 온라인 순회 ● ● ● ●
스토리 구성 전략: 다문화가정 이벤트 ●
인지형성을 위한 주한외국인 유학생 초청행사 ●
커뮤니케이션 강화 찾아가는 홍보부스
대언론 간담회개최 ●
인지도 설문조사(홍보효과측정) ★
릴레이 기고문 추진 ● ● ●
정부 보유매체 순환 홍보
전문지 활용 홍보 ●
스토리 구성 전략 +
옥외 광고 영상 송출 ●
협력전략:
지속적인 콘텐츠 확산
공중파 TV PPL ●
공중파 라디오 PPL ●
행사 지원물 배포 ● ● ● ● ● ● ●
취재지원 ● ● ● ● ● ● ● ●

- 114 -
3. 저작권 침해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 정책 수립

1) 교육 전략

○ 국내 저작권 관련 교육은 저작권위원회의 고유 영역이었으나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디지털


콘텐츠 장르의 침해가 심화됨에 따라 저작권보호원의 전문화된 교육 사업이 요구되는데 다
음과 같이 세 가지 방향을 제안할 수 있음

○ 첫째, 저작권위원회가 원격교육아카데미와 교육연수원, 평생교육원의 기능까지 확보하고 있


어 교육 정보가 양적으로 풍부하나, 현재 디지털 콘텐츠 환경에서 저작권 침해 행위는 개인
미디어, SNS의 확대로 정교하고 고도화된 수법으로 진행되고 있음
- 영상, 텍스트, 사진, 음악 등 데이터 분절이 가능한 콘텐츠 환경에서 원 저작물에 대한 보호만
으로 커버하기 어려운 영역들이 등장하고 있으므로 오늘날 콘텐츠 이용 환경을 고려한 교육
이 요구됨

○ 둘째, 콘텐츠 공급자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침해 유형과 최종 소비자(end user)인 수용자


영역에서 발생하는 침해의 유형이 다름
- 각 영역에서 심화되고 있는 침해의 실태를 고려한 교육 정보가 제공될 필요가 있음. 장르별/
콘텐츠 유형별 차별화된 교육 전략이 요구됨. 우선 장르별로 침해가 심각한 장르에 우선순위
를 두고 침해 유형을 세분화하여 교육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음

○ 셋째, 저작권위원회는 저작권 관련 지식을 제공하는 기관으로서 입지가 확고하므로, 향후 보


호원의 역할은 침해예방 교육, 상담 등 맞춤형 지식을 제공하는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임
- 개인 콘텐츠 개발자(프로슈머), 융복합 콘텐츠 등 사각지대에 놓인 장르들과 기존에 보호로부
터 소외된 장르의 저작권 침해를 개선하는 방향의 교육이 필요함. 저작권보호원은 침해예방
교육, 콘텐츠 IP의 활용 등 글로벌 환경에서 지식 수요가 증대되는 분야, 창작자와 유통사업
자, 최종 소비자 각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저작권 지식 등을 중심으로 보호원이 독립적으로
교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

○ 저작권보호원이 향후 교육사업을 확대할 경우 교육 대상층은 아래 표와 같이 제안해 볼 수


있음

- 115 -
<표 6-12> 교육 대상의 구분과 교육 전략의 제안

구분 교육전략
· 침해예방을 위한 계도형 교육
· 침해 행위를 하는 이용자들의 심리적 특
성을 안내하고 저작권 침해의 심각성을 인
대국민 인식제고형 교육 식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
· 노출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튜브와 네이버
등 IT 사업자 연계하여 교육 콘텐츠 제작과
이용자
지속적인 노출 관리
· 장르별 침해 이슈와 이해관계자들의 지적
수요를 고려한 교육
장르별 이용자 교육 · 침해가 심각한 장르부터 우선적으로 교육
과정안을 개발하고 해당 장르에 특화된 사
례를 중심으로 저작권 지식을 제공
· 저작권 지식을 초/중/고급으로 난이도를 분류하여 해당 분야별 커리큘럼
개인 크리에이터
개발
/예술인/창작자
· 신규 콘텐츠 기술과 새로운 침해 이슈 및 사례를 중심으로 접근

· 기관운영자 및 사업자들이 권리자와 엔드유저의 사이에서 중재해야할 저


작권 관련 업무 지식에 집중
기관 실무자 · 초/중/고급으로 교육수준을 나누어 1인 사업자나 스타트업 등 신규 수요
/유통업체/사업자/스타트업 자부터 업계 전문가까지 단계별 교육이 가능하도록 운영
· 정기 과정을 수료했을 경우, 이수증을 발급하여 가칭 ‘저작권 침해 클린
사업체’와 같은 증빙자료를 기관에 부여할 수 있도록 권장 및 독려
· 분야별 실무자 특화과정(검·경·특사경, 기술자, 변리사 등)
· 디지털 포렌식 특화과정
· 해외진출 기업 혹은 준비 중인 사업체 대상 교육(ex. 한류 콘텐츠 수출
전문가 및 특화 그룹
기업)
·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교육(ex. 대학, 기관)
· 교육조건부 기소유예교육

2) 교육 대상층의 세분화

(1) 최종 이용자(End User)를 이원화

○ 국내 저작권 교육은 저작권위원회의 독보적인 입지와 체계화된 교육시스템으로 오랫동안 그


역할을 해왔으나, 최근 침해 유형의 고도화, 콘텐츠 융합과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저작권
이슈들이 등장함에 따라 저작권 법과 제도에 초점을 둔 위원회의 교육시스템과 차별화될 수
있는 침해 방지 교육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116 -
○ 대국민 인식제고형 교육은 침해를 하는 이용자들의 심리에 대해서도 인지하고, 침해로 인해
어떤 피해가 발생하는지 등 쉽고 재밌게 알아보는 호기심 자극형 방식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음. 대국민 노출빈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저작권보호원과 문체부, 네이버, 카
카오톡 등 IT 사업자들과 협의해 지식제공형 공공 캠페인을 시도하는 고려해 볼 수 있음

○ 또한 개인 미디어 시대에 디지털 콘텐츠는 장르를 넘나들며 확장 및 융합되고 있음. 웹소설


이 웹툰으로, 출판은 오디오북으로 변형될 수 있음. 개인의 관심사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 수
용이 가능한 환경에서 이용자들이 관심 있는 분야의 저작권 교육이 요구됨. 특히 장르별 팬
덤현상과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해 행위가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으므로 콘텐츠 기
술환경을 고려한 장르별 교육 커리큘럼이 요구됨

<표 6-13> 장르별 주요 침해 유형

장르 침해유형(사례)

· 해외에 서버를 두고 사이트 주소를 바꿔가며 유통시키는 행위


1. 웹툰/웹소설 · SNS에 익명의 채팅방을 개설하고 정해진 시간에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는
행위

· 뉴스를 제작하지 않으면서 타 언론사들 기사에 링크를 걸어 뉴스를


2. 뉴스
제공하는 행위

· 영화 앞뒤를 자르거나, 화면 위/아래를 축소해서 단속을 피해 가는 행위


3. 영화 · 상영관에서 개인 카메라로 촬영하는 행위
· VOD 가격이 높은 작품을 선별하여 불법 유통을 통해 수익을 챙기는 행위

· 오디오북에 음악(음원/가사)의 일부만 편집하여 사용


4. 음악 · 음악서비스 앱을 개발하여 무료 유튜브 음원을 사용하면서 음원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는 경우

· IPTV, OTT 가입비를 내지 않고 불법 사이트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5. 방송 시청하는 행위
· 해외에 거주하며 단말기를 설치하여 국내 방송을 시청하는 행위

· 시/수필 장르의 경우 일부를 유튜브나 개인 미디어에 활용


6. 출판
· 출판된 서적 안의 사진, 그림, 초상 등을 무단 복제

- 117 -
(2) 개인 크리에이터/창작자/예술인

○ 소셜미디어와 개인미디어 확산이 가속화됨에 따라 SNS 공간과 1인 미디어 운영자, 개인 크


리에이터 등을 대상으로 한 저작권 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 최근 안무가와 배우가 불법
링크사이트를 통해 영상 시청 사진을 SNS에 게시하여 논란이 있었는데, 창작자들도 저작권
에 대한 지식과 기회가 확대되어야 할 시점임

○ 예술인 및 창작자는 자신의 작품이 무단 도용될 때 권리자에 해당하는데 이는 경찰이나 검찰


이 나서서 저작권 침해 사건으로 처리해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
해야 하는 친고죄에 해당함. 따라서 권리자에게 필요한 저작권 지식과 새로운 콘텐츠 기술
환경에서 어떤 침해가 발생될 수 있는지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 과정이 제시되어야 함

(3) 기관 실무자/유통업체/사업자/스타트업

○ 본 보고서의 심층인터뷰 조사 결과, 저작권 교육에 관심을 보이는 그룹은 일반 이용자들보다


기관 및 관련 산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나타남
- 이들은 현장의 플레이어들로 최근의 저작권 이슈와 트렌드를 가장 잘 파악하고 있으며, 저작
권 교육의 수요와 공급이 왜 안 맞는지에 대한 원인도 비교적 잘 파악하고 있었음
- 즉 일반인의 경우 저작권 교육은 그 필요성을 못 느끼고 단속기관보다 더 지능적인 수법으로
침해를 일으키고 있는 반면, 실무 종사자들은 저작권 교육이 ‘법률 지식 전달’에 머물러 오
늘날 침해 이슈에 부응하지 못하는 커리큘럼이라는 것임
- 따라서 창작자의 저작물이 최종이용자에게 도달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저작권 실무 지식과 트
렌드에 대한 이해를 전달하는 교육과정이 필요함

○ 기관 실무자 대상 교육과정은 이 분야에 취업자 혹은 스타트업 단계에 있는 종사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초/중/고급 과정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장르별로 교육 커리큘럼을 특
화하여 구성할 경우 참여율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함
- 또한 기관이나 사업체가 정기 과정을 이수했을 경우, 저작권보호원이 증빙자료 발급 혹은 우
수업체 지정 등을 통해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음

- 118 -
(4) 전문가 및 특화 그룹

○ 찾아가는 저작권 교육을 확대하여 사업자 맞춤형 사업과 교육 연계


- 이는 저작권보호원 교육의 전문성과 차별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분야로 저작권보호원이
시정·권고, 수사권 등의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검․경 경찰을 대상으로 한 저작권 교육과
현재 보호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디지털 포렌식 특화과정, 해외 진출 기업을 위한 바우처 사업
과의 저작권 보호기술 지원 사업 등의 수혜 대상층을 선정하여‘찾아가는 저작권 교육’형태
의 교육 사업도 추진해 볼 수 있음
- 또한 현재까지 진행해온 기소유예교육과 기관대상 SW관리자 교육도 보호원의 전문 분야인
만큼 교육 효과 측정을 시도하고 재정비할 사안도 점검해 볼 필요가 있음

3) 교육시스템 운영방안

<표 6-14> 저작권보호원의 교육 예산 운영 계획

권리자 참여형 저작권 보호 교육 과정 2,350백만원

‧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MS) 구축 및 운영 1,500백만원

‧ 저작권 보호 교육과정 개발: 150백만원 x 30개 과정 450백만원

‧ 저작권 교육 해외 파견단 운영: 80백만원 x 5개 국가 400백만원

○ 현재 저작권보호원의 2021년 교육사업 관련 예산과 운영계획은 위의 표와 같은데, 향후 교육


사업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음

(1) 교육과정 온/오프라인 연계방안

○ 저작권보호원의 교육과정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메인 홈페이지 구축과 LMS와 원활하게


연동될 수 있도록 정비되어야 함
- 현재 저작권보호원의 교육사업은 오프라인 중심의 그 범위가 제한적인데, 온라인 교육 시스템
운영을 위한 별도의 사업도 요구되지만, 오프라인 교육사업과 연계해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도 추가 사업으로 마련되어야 함
- 예컨대 온/오프라인 각 영역에 적합한 커리큘럼 개발과 강사진 구성, 온라인 콘텐츠의 활용범
위 등 다양한 연계방안을 고려하여 통합적 운영전략이 모색될 필요가 있음

- 119 -
(2) 교육강사 구성 방안

○ 저작권보호원 교육과정의 강사풀 구성은 저작권위원회와 차별화되는 전략이 요구됨


- 저작권위원회의 경우 교수, 변호사 중심으로 강사진이 구성되어 있는데, ‘침해’와 ‘보호’
에 초점을 두는 저작권보호원의 경우 침해 이슈와 트렌드에 대한 분야를 담당하는 현업 전문
가 트랙, 저작권법과 규제/제도 관련 분야를 담당하는 지식 전문가 트랙, 기술환경 변화를 담
당하는 기술전문가 트랙 등 분야를 나누어 강사진을 구성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이러한 트랙에 대한 구분은 교육대상층의 관심과 지적 수요를 반영하여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저작권 지식 자체가 흥미 요소가 크지 않는 분야인 만큼 강사진 구성에도 이용자
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함

(3) 커리큘럼 관리 방안

○ 저작권보호 교육과정 대상과 교육 방법 구체화


- 먼저 위의 표에서는 저작권보호 교육과정 개발이 30개 과정으로 되어 있는데, 30개 과정이 앞
서 제시한 4그룹의 교육대상층에 적합한지, 각 그룹별 과목 구성에 대한 검토와 온라인 과정
만 30개 과정을 새로 개설할 것인지 온/오프 통합인지 구체화 시킬 필요가 있음
- 무엇보다 커리큘럼 개발은 저작권위원회의 과목과 중복되지 않도록 위원회의 과목명과 강의
계획서를 사전에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온라인 교육 콘텐츠의 경우 강의 차시와 강의시간,
강의 방식 등에 포맷에 대한 방식도 검토해야 함

(4) 교육대상 관리 방안

○ 교육과정 전용 홈페이지가 개설된다는 것을 전제로 할 때, 교육 대상층 관리의 핵심은 그들


과 상호작용성을 확대하는 것임
- 교육과정 추천 시스템, 장르별/단계별 학습 로드맵, 챗봇/알리미 시스템 활용, 교육 상담 등을
다양한 상호작용 서비스를 갖추어야 함
- 이러한 교육대상 관리는 현재 온라인학습시스템 중 평가가 좋은 기관의 서비스 기능을 벤치
마킹하거나 저작권보호원이 독자적으로 유용한 서비스들을 개발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

- 120 -
4) 주요 세부 수행 과제(안)

(1) 장르별 교육 과정에 ‘콘텐츠 큐레이션’기능 도입

○ 추진 배경
- 저작권위원회가 저작권 관련 일반지식을 제공하는 기관으로서 입지가 확고
하므로, 저작권보호원은 향후 장르별 침해예방 교육, 침해 상담 등 맞춤형
교육 기능이 필요

- 콘텐츠 장르별 침해 이슈와 이해관계자들의 고민이 다른 상황에서 교육과


정의 세분화가 요구됨

○ 세부 내용
- 장르별 침해이슈와 트렌드를 이해할 수 있는 과목 구성

- 장르별 기술환경 및 이용패턴의 변화를 안내하는 과목 구성

- 장르별 침해예방 가이드라인 과목 구성

○ 기대효과
- 이용자, 창작자, 실무자, 전문가 등 다양한 교육 수용자층의 니즈를 반영

- 장르별 침해예방 대응책 세분화

(2) 이용자 대상 ‘교육 만족도’ 조사 실시

○ 추진 배경
- 오늘날 유튜브를 비롯한 무료 지식 플랫폼은 다양한데, 저작권 침해와 관
련된 지식은 저작권보호원의 교육과정에서 얻어갈 수 있도록 인지도를 향
상시킬 필요가 있음

- 수강생 의견을 적극 반영할 수 있는 내부 시스템 마련을 통해 저작권보호


원 교육과정에 대한 신뢰도 향상

- 121 -
○ 세부 내용
- 수강생 의견 체크리스트 매뉴얼을 마련하고 정기적으로 교육 만족도 조사
를 통해 이를 반영하는 시스템을 구축

- 교육 담당 운영진이 교체되더라도 체크리스트를 통해 교육과정 운영 방식


의 특성과 개선점을 파악할 수 있고 수강생의 의견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
는지 계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운영에도 효율적

- 정기적으로 이용자 및 강사를 대상으로 소규모 정성조사도 실시하여 심층


적인 정보도 수집

○ 기대효과
- 저작권 침해 이슈는 콘텐츠 이용환경에 따라 변화가 빠르고 장르별로 다양
하게 나타나므로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조사는 수강생들의 지적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음

- 신규 커리큘럼 발굴과 강사진 구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

(3) 단계별 교육 과정 로드맵 도입

○ 추진 배경
- 저작권 관련 지식은 일반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기에 부담스러운 주제이
므로 교육과목을 이용자들의 교육 수준, 종사 업무, 관심 분야 등의 기준을
정하고 단계별로 안내

○ 세부 내용
- 수강생이 알고 싶어하는 저작권 지식이 초/중/고급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
지 혹은 자신의 저작권 지식 수준을 진단하는‘셀프 진단’코너도 고려해
볼 수 있음

- 학력을 기준으로 교육 콘텐츠 이해도 및 난이도 구분

- 연령별 혹은 세대별 기준으로 침해 이슈에 대한 구분

- 122 -
- 레벨(단계)에 따른 교육과정 맵핑이 필요. 전체 단계별 교육체계 구성안 작

○ 기대효과
- 단계별 안내가 이루어진다면 저작권보호원의 교육 전문성 향상

- 교과목에 대한 정보의 질적 제고

- 수강생에게 자신의 교육 수준에 맞는 교과목 선택에 유용한 가이드라인 제


(4) 교육과정 연계 방안 수립(온/오프, 대학, 학점 연계)

○ 추진 배경
- 저작권보호원이 문체부 산하의 공적인 기관이므로 정규 교육기관과 연계
가능성을 확대

- 현재 디지털포렌식 분야의 석사과정 지원 제도가 있으므로 이를 발판으로


교육 범위 확대

- 저작권위원회의 과목이 교원연수, 학점인정 등 혜택이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저작권보호원 교육 역시 수강생에게 교육을 받는 경우 인센티브를 줄
수 있는 방안 모색

○ 세부 내용
- (사이버 대학과의 연계) 사이버 대학과 연계하여 학점인증 교과목 개설. 저
작권보호원에서 구성한 교과목 커리큘럼을 사이버 대학의 교과목으로 제공
하는 방안

- (특수대학원/전문대학원과 협약) 대학과 저작권보호원 간 협약을 통해 관련


학과 내 커리큘럼 구성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 내 별도 트랙 운영

○ 기대효과
- 대학 및 정규 교육기관과 연계된 저작권보호 전문 교육기관으로 입지 강화

- 123 -
- 학점교류를 통해 저작권보호원의 교육 콘텐츠의 품질 제고

- 온/오프 연계 교육 플랫폼으로 유튜브와 같은 무료 플랫폼들과 차별화

- 기존 저작권보호원이 보유한 모니터링 사례, 시정권고 사례 등 내부 자료


를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될 수 있음

(5) 대국민 대상 ‘에듀테인먼트, 인포테인먼트’ 교육 콘텐츠 제작

○ 추진 배경
- 오늘날 저작권 관련 지식이 필요한 수요자층은 어떤 형태로든 필요한 지식
을 찾아 수강하겠지만, 대국민 계도성 교육콘텐츠는 노출빈도와 참여 가능
성에 초점을 두어야 함

- 특히 어린이/청소년의 스마트 기기 이용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저작권


침해 관련 정보를 오락적 요소를 포함하여 제작하고 네이버를 비롯한 포털
사업자와 협력하여 대국민 교육 캠페인을 추진

○ 세부 내용
- 저작권보호원의 모니터링 사례, 시정권고 사례 등을 웹툰이나 애니메이션,
영화 등으로 제작

- ‘바로’캐릭터를 활용하여 침해의 개념, 유형 등을 안내하는 영상 제작

○ 기대효과
- 대국민 차원에서 침해 여부를 인지 및 확인하는 기회 제고

- 향후 저작권보호원의 교육과정으로 연계 가능

- 124 -
[참고자료] 공공기관 정책 및 기관홍보 성공사례

1) 중소벤처기업부
- 정책: 대한민국 동행세일(K-세일)
- 2020년도 공공문제피알(PR) 부문 최우수상 수상
- ‘대한민국 동행세일’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제품을 세계시장에 선보이고 실시간 방송 판
매(라이브커머스), 큐알(QR)코드 판매 등 온라인 비대면 판매를 통해 소상공인, 자영업자
의 디지털경제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한편,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소비 진작을 위해 2020
년 6월 26일부터 7월 12일까지 개최하고 행사 참여를 위한 다양한 홍보 활동을 추진
- 전략 (1) 매체적합성과 스토리구성의 통합전략:
대한민국 동행세일의 전 국민적 동참을 위해 기획된 디지털 캠페인인 ‘동행나비 챌린지
(‘트롯왕자’ 정동원의 ‘동행합시다’ 노래에 맞춰 이번 행사의 대표 이미지 ‘나비’ 동
작을 따라 하고 촬영 영상을 틱톡에 게시)’는 조회수 1,000만뷰, 참여 영상 4,530개 등 국민
적 관심과 큰 호응을 얻음
- 전략 (2) 협력전략:
기업, 협·단체, 공공기관, 아이피티브이(IPTV)협회와 통신 3사(KT, SKB, LGU+), 케이블티브
이(TV)협회 소속 방송사 등이 협력해 동행세일을 홍보해 줬으며(무료 영상송출 등), 한국야
구위원회(KBO)와 소속 전체 구단도 주요 야구장 9곳에 동행세일 대형 현수막을 설치해 대국
민 홍보에 직접 나서는 등 위기극복을 위한 새로운 민·관 협업 홍보모델을 마련
* 기업은행 650개 영업점 실내 모니터와 전광판(4개), 문화체육관광부 전국 약 16,000여개 옥
외전광판, 서울시·서울중구청·서울강남구청 등 47개 전광판을 통한 홍보영상 송출
* 전국 56개 전통시장 및 상점가 236개 옥외전광판, 전국 2,000여개 문자전광판
- 기타 전략
[홍보대사의 활용 ①] 엔시티(NCT) 드림을 홍보대사로 위촉해 전국민의 관심을 유도하고 주
요 행사를 전세계로 생중계*해 시청자수 84만명, 좋아요 4,500만개, 실시간 댓글 15만개를 기
록하며 호응 얻음
* 7월 3일 K-팝과 함께한 ‘대한민국 동행세일 숭례문 특별행사’는 유튜브와 네이버
VLIVE
[홍보대사의 활용 ②] 이와 함께 각 부처 장관을 실시간 방송 판매(라이브커머스) 쇼호스트로
출연해 소상공인 제품을 완판시키는 등 ‘가치삽시다 플랫폼’의 인지도를 높임
- 결과: 이러한 홍보 노력으로 동네슈퍼와 소상공인들의 매출이 증대되는 등 코로나19로 침체
된 소비심리 회복에 긍정적 효과가 발생

- 125 -
매체전략 협력전략 기타(홍보대사활용)

[홍보전략유형별 실행프로그램]

2) 교육부
╶ 정책: 자유학기제
╶ 정책도입에 앞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전략적 홍보활동 수행
╶ 1단계 정책도입초기: 긍정적 분위기 조성을 위해 학계에 종사하는 전문가의 릴레이기고를
통해 정책에 대한 우호적 여론형성. 정책 영향력 공중인 학부모, 교사와의 소규모 현장소통
을 통해 정책에 대한 필요성 강조
╶ 2단계: 사례중심의 스토리텔링형 기사 및 영상 보도와 정책에 참여했던 학부모의 칼럼을 게
재함으로써 정책에 대한 공감유도. 정책 참여 확산을 위해 정부 및 민관기관과의 협업 확대,
온·오프라인에서도 사례 중심의 소개로 공감을 끌어냄
╶ 3단계: 정책도입 3년째에 참여 활성화를 위해 핵심 공중인 학생·학부모·교원과 영향력 공
중인 지역사회·일반국민 등 각각의 입장에서 문제점을 해결하는 전략으로 타깃에 따른 차
별화된 매체 및 메시지를 통해 홍보활동을 수행

- 126 -
<교육부 ‘자유학기제’ 정책홍보활동>

대상 목표 내용 홍보매체
카카오톡 및 youtube
체험수기·UCC 공모전
정책 내용에 대한 자유학기제에서의 수업과 평가방
체험매뉴얼 제작 및 배포
학생 안내를 통해 혼란 법, 체험활동, 적성 찾는 방법 안
사례 중심 스토리북 제작
해소 내
다양한 직업안내 TV 프로
그램 방송
학부모 대상 연수
카카오 스토리 및 네이버
밴드 활용
자유학기제 바로알기 정책설명회 및 간담회
정책에 대한 우려
학부모 행복한 학교생활을 하는 학생, 자 뉴스레터, 웹진 제공
및 궁금증 해소
유학기제 운영 우수사례 안내 TV 다큐 미래교육기획 방

자유학기제 학부모 토크콘
서트 개최(권역별)
우수사례, 성과자료집 및
다양한 사례집과 매뉴얼
운영매뉴얼 보급
학생 지도에 대한 제공
교사 찾아가는 현장포럼 진행
방법 제시 교육프로그램 운영
운영 역량강화 워크숍
자유학기제 운영 우수사례 공유
뉴스레터, 웹진 제공
방송사 공익광고 집행
기업· 기업·사회 참여 중요성
정책 동참 유도 주요 일간지 지면광고
지역사회 교육기부에 대한 인식 전환
시군구청장 협의회 참석
지상파 TV 프로그램 및
예능프로그램 노출
학생체험 활동 기획기사
일반국민 정책 인지도 제고 정책 친숙도 제고(네이밍 마케팅) 자유학기제 관련자 기고
및 칼럼
터미널, 공항철도 등 교통
매체 활용

╶ 교육부는 자유학기제제에 대한 취지 및 필요성은 어느 정도 공감하고 있으나 보다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핵심공중의 상황분석을 통해 차별화된 전략 및 매체를 편성, 이를 통해 자
유학기제는 현재 교육부의 대표 정책으로 자리매김
╶ 정책에 참여를 원하는 학교의 비율이 2014년에는 50%에서 2015년에는 80%로 전년 대비

- 127 -
30% 증가함
╶ 또한 정책 체험 후 만족도가 3.83점에서 4.06점(5점 만점)으로 증가하는 등 자유학기제를
통해 교육부의 인지도 및 신뢰도도 상승

3) 경찰청
╶ (온라인홍보) 경찰청은 국민과의 소통확대를 위해 신문, TV의 전통매체 외에도 온라인 채널
을 활용한 홍보에 적극적, 온라인 채널을 활용하여 재미와 감동을 가미한 친근한 일상과 정
보전달로 기관의 신뢰도 제고 및 소통 활성화
╶ (스토리텔링형 콘텐츠) 특히 현장의 다양한 소재 발굴, 재미와 감동을 가미한 스토리텔링형
콘텐츠로 국민의 공감과 주목을 받음. 단순한 사건·사고 검고 소식이 아닌 네티즌들의 눈
높이에 맞게 유머를 가미한 콘텐츠와 근무현장 뒤편에 숨겨진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를 담은
콘텐츠로 친근감을 제고
╶ (감성활용) 선행 미담 사례를 적극 발굴하는 등의 감성 홍보를 통해 공감 및 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높임. 특히 미담 사례의 경우 온라인상에서 높은 반응을 보여 언론 및 방송에 기사
화되는 등 우호적인 여론형성에 기여
╶ (트렌드 반영)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몰래카메라 해결을 위한 일환으로 영화
‘부산행’을 패러디한 ‘신고행’, ‘철창행’을 게시물은 네티즌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
를 얻음
╶ (국민참여형 프로그램) 국민들의 범죄피해자에 대한 관심 제고 및 지원을 위한 온라인 스토
리 펀딩을 기획하여 후원액 약 5천7백만 원을 모금했고 드라마 시그널과 함께한 스토리펀딩
으로 1171만원을 모금하는 등 국민의 참여 유도를 통해 정책에 대한 관심 및 지원을 확대

[친근감 제고 콘텐츠]

- 128 -
[미담사례 발굴로 감성을 자극하는 콘텐츠]

[트렌드를 반영한 콘텐츠]

- 129 -
참고: 홍보채널 안내

홍보채널 내용

(가칭)해피카피라이트유저/굿카피라이트유저
릴레이(시리즈)형식의 캠페인으로 제작:
영화편, 웹툰편, 음악편 등
캠페인 릴레이 캠페인
(가칭)세계로 가는 드림카피라이트
위의 ‘해피카피라이트유저’를 가공하여 확장, 저작권 침
해 대응이 취약한 국가를 대상

TV광고 공중파, 케이블 프로그램


라디오광고 공중파 프로그램
광고 PPL 예능, 교양프로그램 PPL
온라인 VOD 광고 응원이벤트, 바이럴 영상 등
모바일 모바일 광고
중앙일간지 기획 피칭 중앙일간지
언론 중앙일간지 기고 및 칼럼 중앙일간지
홍보 상시 퍼블리시티 이슈 발생시 상시 피칭
대학 내 매체 대학내일 기획기사
네이버 콘텐츠 기획 지원
뉴스레터 뉴스레터 제작
SNS 운영지원 콘텐츠 기획 지원
온라인 SNS 이벤트 오프라인 연계 및 참여 이벤트
홍보 예) 침해예방 교육을 받은 후,
응원이벤트 헤비업로더에서 해피콘텐츠크리에이터가 된 경험담 발
굴 및 응원이벤트
공모전 (응원이벤트와 같은) 성공스토리 공모전
수기집 제작 성공 스토리 수기집 발간
옥외광고 버스, 지하철
기타
홍보동영상 조직채널용 홍보동영상 제작
포스터, 리플릿 포스터, 리플릿 제작
홍보효과 측정 조사 캠페인 및 홍보활동 효과측정

- 130 -
참고 문헌

문영훈(2021.01.06.). K-웹툰 ž 웹소설 성공가도? 불법유통 탓 몸살 앓는 작가들. 신동아


https://shindonga.donga.com/List/3/02/13/2348941/1
박정규(2020.05.27.). 박양우 장관, 저작권 보호 논의…“한류 불법유통 대응해야”.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527_0001039319
성상훈(2020.10.22.). 올해 가장 많이 불법복제된 노래는 ‘조정석의 아로하’.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010226274i
윤희은(2020.01.27.). “걸려도 처벌 불가”..불법다운 온상된 바이두.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012790541
이용희(2020.03.06.). 코로나19 사태와 대학 교재의 저작권.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8898
장성환(2020.02.28.). 교육 위한 불법 스캔이라고? 뻔뻔한 변명이 교육을 망치고 있다.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8606
저작권해외진흥협회(2020). 해외 불법 웹툰사이트 현황 파악 및 대응방안 조사ㆍ연구.
조유빈(2021.03.16.). 여전히 판치는 ‘웹툰 불법 유통’...“일벌백계해야”. 시사저널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13478
한국저작권위원회 마닐라사무소(2018). “창조경제위원회(BEKRAF) 영화불법복제방지 캠페인
실시, 저작권침해 행위 단속 가속화” (보고서번호 : 제2018-139호). 해외센터뉴스
한국콘텐츠진흥원(2020a). 웹소설 이용자 실태조사.
________________(2020b). 만화 이용자 실태조사.
________________(2020c). 애니메이션 이용자 실태조사.
________________(2020d). 캐릭터 이용자 실태조사.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2021). 2021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

KCA(2021). 미디어 이슈 & 트렌드. 2021년 2월호


Annual Intellectual Property Report to Congress(2019). United States Intellectual Property
Enforcement Coordinator
Report on the protection and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ird
countries(2020). European Commission

<참고사이트>
교육부 TV 유튜브 (https://youtu.be/NFUysVd0fh8)

- 131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 브리핑 (http://www.korea.kr)
에듀코카 (http://edu.kocca.kr)
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s://www.keris.or.kr)
한국저작권보호원(https://www.kcopa.or.kr)
한국저작권위원회 (http://www.copyright.or.kr/education)
YTN 뉴스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lWDHbeRltT4)
#PlayItRight 캠페인 (https://www.youtube.com/watch?v=PqQAo9sHfwc)

EUIPO (https://euipo.europa.eu/ohimportal/web/observatory/virtual-training-centre)
NCPC (https://www.ncpc.org/resources/ip-theft/public-education-campaign/)
IPD (https://www.ipd.gov.hk/eng/promotion_edu/upcoming_events.htm)
IIPA’s 2020 Special 301 Report (http://www.iipa.org/reports/special-301-reports/)

- 132 -
저작권 침해 실태 개선을 위한 저작권 보호 홍보․교육 추진 전략 연구

주관기관 | 한국저작권보호원
감 수 | 윤금용 (한국저작권보호원 교육홍보부 부장)
정성희 (한국저작권보호원 교육홍보부 과장)
연구책임 | 김숙 (㈜컬쳐미디어랩 대표)
공동연구 |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ㆍ미디어학부 겸임교수)
정애리 (㈜컬쳐미디어랩 이사)

발 행 인 | 박주환 (한국저작권보호원장)
발 행 일 | 2021년 4월 23일
발 행 처 | 한국저작권보호원
주 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0(상암동 1602) 4, 9, 10층
전 화 | 1588-0190 FAX|(02) 3153-2719

기관번호 | KP 연구 2021-01

ISBN_978-89-94560-51-9(비매품)
- 13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