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2

I . 함수의 극한과 연속

01 함수의 극한 MJN
YAZ ]Y ]
b

⑹G Y ‚Y로 놓으면 함수 Z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함수의 극한] ZG Y 
같다. 
001 Y의 값이 에 한없이 가까워질
⑴G Y Y™AY로 놓으면 함수 Z ZG Y  0  Y
때,G Y 의 값은 에 한없이 가까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워지므로
같다. 
0  Y MJN ‚Y 
YAZ
Y의 값이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답 ⑴  ⑵  ⑶  ⑷  ⑸ b ⑹ 
G Y 의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MJN Y™AY  002
YAZ
⑴G Y Y 으로 놓으면 함수 Z
⑵G Y 로 놓으면 함수 ZG Y 의 Z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ZG Y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같다. ZG Y
모든 실수 Y에서 함숫값이 항상 이
Y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G Y 의 0  Y
므로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
0  Y
MJN  이 커지므로
YAZ

YšA  MJN Y  b


⑶G Y  로 놓으면 Y 인 모든 실수 Y에서 YAZb
Y
⑵G Y Y™A Y로 놓으면 함수 Z
YšA Y Y™A Y 
G Y   Å
Y Y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0   Y
Y™A Y  Y  ™A  같다.
 
이므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른 Z ZG Y Y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쪽 그림과 같다. 한없이 커질 때,G Y 의 값은 음수 ZG Y

Y의 값이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G Y 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므로
의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MJN Y™A Y b
 YAZb

YšA 
MJN   0 Y 
Y ⑶G Y  로 놓으면 함수 Z
YAZ Y ZG Y
Y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⑷G Y  로 놓으면
Y 
같다.
Y  
G Y    0  Y
Y Y Y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이므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Z
ZG Y
한없이 커질 때, G Y 의 값은 에
오른쪽 그림과 같다.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Y의 값이 에 한없이 가까워질 
  MJN [ ]
0  Y YAZb Y
때,G Y 의 값은 에 한없이
 Y
가까워지므로 ⑷G Y  로 놓으면
Y
Y   Y  
MJN  G Y   
YAZ Y Y Y
 Z 이므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Z
⑸G Y  로 놓으면 함수
]Y ]
ZG Y 오른쪽 그림과 같다.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0
Y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G Y 의  Y
과 같다.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Y의 값이 에 한없이 가까워질
 0 Y Y ZG Y
때,G Y 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MJN [ ]
YAZb Y

2 정답과 풀이
⑸G Y ‚Y 로 놓으면 함수 ZG Y Z Y의 값이 보다 작으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G Y 의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MJN G Y 
YAZ

과 같다.
따라서 MJN G Y  MJN G Y 이므로
YAZ YAZ
Y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0  Y
MJN G Y 
한없이 커질 때,G Y 의 값은 한없  YAZ

이 커지므로 ⑹ Y의 값이 보다 크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G Y 의

 MJN ‚Yb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MJN G Y 


YAZb YAZ

 Y의 값이 보다 작으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G Y 의


⑹G Y  로 놓으면 함 Z
Y ™A ZG Y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MJN G Y 
YAZ
수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MJN G Y  MJN G Y 이므로
YAZ YAZ

Y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G Y 의 0 Y MJN G Y 
YAZ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답 ⑴ b ⑵ b ⑶  ⑷ 존재하지 않는다. ⑸  ⑹ 
MJN < 
 YAZb =
Y ™A
답 ⑴ b ⑵ b ⑶  ⑷  ⑸ b ⑹ 
004
MJN G Y  에서 Y U로 놓 ZG Y Z
YAZ 

으면 Y)Z 일 때 U)Z 이므로


003 
Z MJN G Y   MJN G U  

ZG Y YAZ  UAZ 

 0  Y
MJN G Y  에서 Y V로
YAZ

 ⑹
⑶ ⑸ 놓으면 Y)Z일 때
 0    Y
⑷ V)Z이므로

⑴ MJN G Y   MJN G V 
YAZ VAZ

⑴ Y의 값이 보다 크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G Y 의 ∴ MJN G Y  MJN G Y    


YAZ  YAZ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므로
답 
MJN G Y b
YAZ

⑵ Y의 값이 보다 작으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G Y 의 함수 ZG Y 의 그래프가 주어질 때, MJN G Y L 의 값 구하기
YAZB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MJN G Y b ①Y LU로 놓으면 Y)ZB일 때 U)ZB L이므로


YAZ
MJN G Y L  MJN G U
⑶ Y의 값이 보다 크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G Y YAZB UAZB L

② 함수 ZG Y 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극한을 구한다.


의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MJN G Y 
YAZ

⑷ ⑶에서 MJN G Y 
YAZ

Y의 값이 보다 작으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005


⑴G Y ]Y]로 놓으면
G Y 의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Yy일 때G Y Y이고, Y일 때 
MJN G Y 
YAZ
 G Y  Y Y 이므로
따라서 MJN G Y MJN G Y 이므로 MJN G Y 는 존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Z
YAZ YAZ YAZ
ZG Y
재하지 않는다. 그림과 같다.
⑸ Y의 값이 보다 크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G Y 의 이때 MJN G Y , MJN G Y  
YAZ YAZ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MJN G Y  0  Y
YAZ 이므로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3
MJN G Y  MJN G Y  MJN G Y  MJN G Y 에서
YAZ YAZ YAZ YAZ

∴ MJN ]Y] B™A  B


YAZ
B™A B, B™A B, B  B 
Y™A Y
⑵G Y  로 놓으면
]Y] ∴ B ∵ B 답 
 Y Y
Y일 때, G Y  Y 
Y
함수G Y 에 대하여 Y)ZB 이면 YB이므로 우극한
 Y Y
Y일 때, G Y  Y MJN G Y 의 값은 YB일 때의 함수식에서 구할 수 있다.
 Y YAZB

즉,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Z 마찬가지로 Y)ZB이면 YB이므로 좌극한 MJN G Y 의 값


ZG Y YAZB
 은 YB일 때의 함수식에서 구할 수 있다.
그림과 같다.
이때 MJN G Y , MJN G Y 
YAZ YAZ 0  Y

이므로 MJN G Y MJN G Y
YAZ YAZ

Y™A Y
따라서 MJN 는 존재하
YAZ ]Y]
지 않는다.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Y Y
⑶G Y < >로 놓으면 ƒY일 때 ƒ 에서 007
  ⑴ Y U로 놓으면 YU이고 Y)Z일 때 U)Z이
Y Y 므로
< >이므로 G Y 이고, ƒY일 때, ƒ 
 
G Y  G Y 
Y MJN  MJN
에서 < >이므로G Y 이다. YAZ Y™A YAZ Y  Y

G U
즉, ƒY에서 함수 ZG Y 의 Z MJN
UAZ U U
ZG Y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G U 

MJN @MJN
UAZ U UAZ U
이때 MJN G Y , MJN G Y  0   Y
YAZ YAZ
 G Y
이므로 @ [∵MJN ]
 YAZ Y

MJN G Y MJN G Y 


YAZ YAZ

Y ⑵MJN \ G Y H Y ^, MJN \ G Y H Y ^이므로


따라서 MJN < >는 존재하지 않는다. YAZb YAZb
YAZ 

답 ⑴ ⑵ 존재하지 않는다. ⑶ 존재하지 않는다. MJN G Y


YAZb


 MJN \ G Y H Y G Y H Y ^
 YAZb
⑴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

 < YAZb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이 되는 Y의 값을 기준으로  MJN \ G Y H Y ^ MJN \ G Y H Y ^>
YAZb
범위를 나누어 함수식을 구한다.

⑵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    

가우스 기호 안의 식의 값이 같은 정수가 되는 Y의 값을
MJN H Y
기준으로 범위를 나누어 함수식을 구한다. YAZb


 MJN \ G Y H Y G Y H Y ^
 YAZb
006 
 < YAZb
 MJN \ G Y H Y ^ MJN \ G Y H Y ^>
YAZb
MJN G Y 의 값이 존재하려면 우극한
YAZ Z 
ZG Y   
MJN G Y 의 값과 좌극한 MJN G Y  
YAZ  YAZ
B™A 
의 값이 서로 같아야 한다.  B ∴ MJN \G Y H Y ^ MJN G Y  MJN H Y
YAZb YAZb YAZb

이때 B이므로 함수 ZG Y 의 그 @  


 0 Y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답 ⑴  ⑵

4 정답과 풀이
008 010
YšAY   Y Y™A Y   Y™A   Y™AY
⑴ MJN  MJN ⑴ MJN [  ] MJN < @ =
YAZ Y YAZ Y YAZ Y Y   YAZ Y  Y 
MJN Y™A Y  Y  Y
MJN
YAZ YAZ  Y Y 
‚ Y‚Y Y  
⑵ MJN MJN 
YAZ hY ‚Y YAZ  Y  
‚ Y‚Y ‚ Y ‚Y hY ‚Y Y Y™A }vY™A Y
MJN ⑵ MJN Y™A[ ] MJN
YAZ hY ‚Y hY ‚Y ‚ Y ‚Y YAZb YAZb
}vY™A  }vY™A 
Y hY ‚Y
MJN Y™A }vY™A Y }vY™A  Y
YAZ Y ‚ Y ‚Y  MJN
YAZb
}vY™A  }vY™A  Y
hY ‚Y
MJN Y™A
YAZ ‚ Y ‚Y  MJN
YAZb
Y™A  Y}vY™A 
 
  
  MJN
 YAZb
   
   m€
Y Y™A Y™A Y™A
⑶ MJN Y™A Y  MJN 
YAZb Y™AY YAZb    
  답 ⑴ ⑵
Y   
⑷ YU로 놓으면 Y)Zb일 때 U)Zb이므로

}vY™A YY }vU™AU U


MJN MJN
YAZb Y UAZb U
 
|±  
U U™A
MJN
UAZb 
[함수의 극한의 응용]

U
011
 YšA BY C
 ⑴ MJN 에서 Y)Z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
 YAZ Y 
  고 분모 )Z이므로 분자 )Z이다.
답 ⑴ ⑵ ⑶ ⑷
 
즉, MJN YšA BY C B C이므로
YAZ

CB  UUA㉠
Y)Zb일 때의 극한은 YU로 치환하여 계산한다.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YšA BY B  Y  Y™AY B 
MJN  MJN
YAZ Y  YAZ Y 

009  MJN Y™AY


YAZ
B 
   B 
⑴ MJN YšA Y™AY  MJN YšA[   ]
YAZb YAZb Y Y™A YšA
즉, B 이므로 B, C ∵㉠
b
Y
 ⑵ MJN 에서 Y)Z일 때, 이 아닌 극한값이 존
⑵ MJN YAZ ‚Y B C
YAZb
Y}vY™AY  재하고 분자 )Z이므로 분모 )Z이다.
Y }vY™AY  즉, MJN ‚Y B C ‚B  C이므로
 MJN YAZ
YAZb
Y}vY™AY  Y }vY™AY 
C‚B  UUA㉠
Y }vY™AY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MJN
YAZb Y
Y
  MJN
 |± YAZ ‚Y B‚B 
Y Y™A   
 MJN 답 ⑴b ⑵ Y ‚Y B ‚B 
YAZb    MJN
 ‚Y B‚B  ‚Y B ‚B 
Y YAZ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5
Y ‚Y B ‚B   MJN \ Y  ^ 답 
MJN
YAZ Y YAZ

[다른 풀이]
MJN ‚Y B ‚B  ‚B 
YAZ G Y
MJN 에서G Y 는 이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함
즉, ‚B 이므로 B, C ∵㉠ YAZb Y™A 
답 ⑴ B, C ⑵ B, C 수이다.
G Y
또한 MJN 에서 Y)Z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012 YAZ Y™A
Y™A B  Y B  분모 )Z이므로 분자 )Z이다. 즉, MJN G Y 에서
MJN  에서 Y)Z일 때, 이 아닌 극한값 YAZ
YAZ Y™A C 
G  이므로 이차함수 G Y 는 Y 을 인수로 갖는다.
이 존재하고 분자 )Z이므로 분모 )Z이다.
따라서G Y  Y  Y B B는 상수 로 놓으면
즉, MJN Y™A C  C이므로 C
YAZ G Y
MJN 에서
이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YAZ Y™A
Y™A B  Y B YB Y  Y  Y B  Y B
MJN  MJN  MJN  MJN  
YAZ Y™A YAZ Y  Y YAZ Y  Y YAZ Y
YB   B
MJN 
YAZ Y  
B B
 즉, 이므로 B
 
B  따라서G Y  Y  Y  이므로
즉,  이므로 B
 
G Y  Y  Y 
MJN  MJN 
∴ BC   답  YAZ Y  YAZ Y 
 MJN \ Y  ^
013 YAZ

G Y
MJN 에서 G Y 는 이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함
YAZb Y™A  014
수이므로G Y Y™A BY C B, C는 상수 로 놓을 수 있다. G Y 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함수이므로
G Y G Y Y™A BY C B, C는 상수 로 놓을 수 있다.
MJN 에서 Y)Z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YAZ Y™A
G Y
분모 )Z이므로 분자 )Z이다. MJN 에서 Y)Z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YAZ Y
즉, MJN Y™A BY C B C이므로 분모 )Z이므로 분자 )Z이다.
YAZ

CB  UUA㉠ 즉, MJN G Y C이므로


YAZ
∴ G Y Y™A BY B  G Y Y™A BY
G Y G Y
MJN 에서 이를 MJN 에 대입하면
YAZ Y™A YAZ Y
Y™A BY B    Y  YB Y™A BY
MJN  MJN   MJN MJN Y B B  
YAZ Y  Y YAZ Y  Y YAZ Y YAZ

 YB  ∴ B
 MJN
YAZ Y
따라서G Y Y™A Y이므로
B 
 G Y Y Y 
 MJN  MJN Y™A Y  MJN 
YAZ Y  YAZ Y  YAZ Y 
B 
즉,  이므로 B, C ∵㉠  MJN Y 답 
 YAZ

따라서G Y Y™AY이므로

MJN
G Y
 MJN Y™AY    015
YAZ Y  YAZ Y 
MJN G Y  MJN Y™A  ,
 Y  Y   YAZ YAZ
 MJN
YAZ Y  MJN H Y  MJN YšA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
YAZ YAZ

6 정답과 풀이
계에 의하여 서로 같으므로
MJN I Y  답  UBU™A B, BU™A UB
YAZ

 }v B™A
∴ U ∵ U
B
016 따라서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 M B 는
Y이므로 Y G Y Y 의 각 변을 제곱하면
 }v B™A
Y  ™A\ G Y ^™A Y  ™A M B @U
B
Y™A 이므로 각 변을 Y™A 로 나누면 이므로
Y  ™A \G Y ^™A Y  ™A  }v B™A 
  MJN M B  MJN  
Y™A  Y™A  Y™A  BAZb BAZb B
Y  ™A  Y  ™A   
이때 MJN  , MJN  이므로 함수의 극  MJN [ m€  ]
YAZb Y™A   YAZb Y™A   BAZb B B™A
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 답 
\G Y ^™A  
MJN  답
YAZb Y™A   

017
원 Y™A Z™A 위의 점 1 U }vU™A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UY }vU™AZ UUA㉠
 
㉠에 Z을 대입하면 Y  ∴ "[ , ]
U U
 
㉠에 Y을 대입하면 Z  ∴ #[, ]
}vU™A }vU™A
따라서 삼각형 0"#의 넓이 4 U 는
   
4 U  @ @ 
 U }vU™A U}vU™A
이므로
U
MJN U \4 U ^™A MJN
UAZ UAZ U™A U™A
U
 MJN
UAZ U™A  U U
  
 MJN
UAZ U™A  U
 
 답
 

원 Y™A Z™AS™A 위의 한 점 Y„, Z„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Y Z„ZS™A

018
함수 ZBY™AB의 그래프와 정 Z ZBY™ B

사각형이 제  사분면에서 만나는


점의 좌표를 U U
 0  Y
U, BU™AB U 라 하면
U ABU™ B
정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이는 B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
Z
02 함수의 연속
ZG Y




[함수의 연속]
  Y
019 0

⑴ Œ Y에서의 함숫값은 G   따라서 함수G Y 는 Y 인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연속

}vY™A 인 구간은 b    b 이다.


 MJN G Y MJN
YAZ YAZ Y 답 b    b
}vY™A }vY™A 
MJN
YAZ
Y }vY™A 
021
Y™A
MJN Œ MJN G Y , MJN G Y 이므로
YAZ
Y }vY™A  YAZ YAZ

Y  Y MJN G Y MJN G Y


MJN YAZ YAZ
YAZ
Y }vY™A 
Y  즉, 극한값 MJN G Y 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G Y 는
YAZ
MJN 
YAZ
}vY™A  Y에서 불연속이다.
 Œ, 에서MJN G Y G 
YAZ  G  ,MJN G Y 이므로
YAZ
따라서 함수G Y 는 Y에서 연속이다.
MJN G Y G 
YAZ
YšA
⑵ MJN G Y  MJN 즉, 함수G Y 는 Y에서 불연속이다.
YAZ YAZ Y
Y Y™A Y  Œ, 에서 B, C
 MJN
YAZ Y
∴B C  답 
 MJN Y™A Y  
YAZ

YšA
MJN G Y  MJN
YAZ YAZ Y 022
Y Y™A Y  함수 ZG Y 의 그래프에서
 MJN
YAZ  Y
G  ,MJN G Y 이므로 MJN G Y G 
 MJN Y™AY  YAZ YAZ
YAZ
즉, 함수G Y 는 Y에서 불연속이다.
즉, MJN G Y MJN G Y 이므로 극한값 MJN G Y 가 존
YAZ YAZ YAZ 또한 MJN G Y , MJN G Y 이므로
YAZ YAZ
재하지 않는다.
MJN G Y MJN G Y
따라서 함수G Y 는 Y에서 불연속이다. YAZ YAZ

⑶ ƒY일 때, <Y>이므로 즉, 극한값 MJN G Y 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G Y 는


YAZ

MJN G Y  MJN <Y>˜A™A Y에서 불연속이다.


YAZ YAZ

ƒY일 때, <Y>이므로 따라서 조건 ㈏를 만족시키는 B의 값은  또는 이다.

MJN G Y  MJN <Y>˜A™A 그런데 조건 ㈎에서 MJN G Y  MJN G Y 이므로


YAZB YAZB
YAZ YAZ
B
즉, MJN G Y MJN G Y 이므로 극한값 MJN G Y 가 존
YAZ YAZ YAZ
조건 ㈐에서 CG  
재하지 않는다.
∴ B™A C™A™A ™A 답 
따라서 함수G Y 는 Y에서 불연속이다.
답 ⑴ 연속 ⑵ 불연속 ⑶ 불연속
023
020 함수G Y 가 Y에서 연속이므로
Y™A Y Y  Y MJN G Y G 
Y 일 때, G Y   Y 이 YAZ
Y Y
Y™A BY 
므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 MJN C UUA㉠
YAZ Y 

8 정답과 풀이
㉠에서 Y)Z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모 )Z이므로 Y과 Y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분자 )Z이다. MJN G Y  MJN G Y G  에서
YAZ YAZ
즉, MJN Y™A BY  이므로
YAZ MJN Y™AY  MJN Y™A BY C 이므로
YAZ YAZ
B  ∴ B
 B C ∴B C UUA㉠
이를 ㉠에 대입하면
또한 MJN G Y  MJN G Y G  에서
YAZ YAZ
Y™A Y  Y  Y 
MJN  MJN
YAZ Y  YAZ Y  MJN Y™A BY C  MJN Y™AY 이므로
YAZ YAZ

 MJN Y  C B C ∴ BC UUA㉡


YAZ

∴B C  답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함수의 극한과 미정계수의 결정 ∴ B™A C™A  ™A ™A 답 

두 함수G Y , H Y 에 대하여
G Y 두 연속함수 H Y , I Y 에 대하여 함수
⑴ MJN = =는 실수 이고 MJN H Y 이면 
YAZB H Y YAZB
H Y YyB
MJN G Y  G Y < 가 연속함수이려면 YB에서 연속이어
YAZB I Y YB
G Y
⑵ MJN = =는 이 아닌 실수 이고 MJN G Y 이면 야 한다.
YAZB H Y YAZB

MJN H Y 
YAZB

026
Y™A G Y YšA Y™AY에서
024 Y  Y G Y  Y  Y  Y
함수G Y 가 Yy인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려면 Y에 Y , Y 일 때,
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Y  Y  Y
G Y  Y 
Y  Y
MJN G Y G 
YAZ
함수 G Y 가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면 Y, Y에서
B‚Y C
∴ MJN  UUA㉠ 연속이므로
YAZ Y
㉠에서 Y)Z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모 )Z이므로 G   MJN G Y  MJN Y  
YAZ YAZ
분자 )Z이다.
G  MJN G Y MJN Y  
YAZ YAZ
즉, MJN B‚Y C 이므로
YAZ ∴G  G  @ 답 
BC ∴ CB UUA㉡
㉡을 ㉠에 대입하면
연속함수 H Y 에 대하여 함수G Y 가 YB G Y H Y 를
B‚Y B B ‚Y  ‚Y   만족시킬 때 YB에서의 함숫값G B 는 함수G Y 의 연속 조
MJN MJN
YAZ Y YAZ Y ‚Y  
H Y
B Y 건인G B MJN 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MJN YAZB YB
YAZ Y ‚Y  
B B
MJN  
‚Y   
027
YAZ

∴ B
B‚Y  C
Y 일 때,G Y 
이를 ㉡에 대입하면 C Y
∴ BC@ 답  함수G Y 가 Yy인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면 Y에서
연속이므로
B‚Y  C
025 MJN G Y G  에서 MJN
YAZ YAZ Y
 UUA㉠
함수G Y 가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려면
㉠에서 Y)Z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모 )Z이므로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9
분자 )Z이다. 029
즉, MJN B‚Y  C 이므로 함수G Y H Y 가 Y에서 연속이려면
YAZ

B C  ∴ CB UUA㉡ MJN G Y H Y G  H 


YAZ

㉡을 ㉠에 대입하면 이때 G  H   B  @ B B™AB이고,
B‚Y B B ‚Y  MJN G Y H Y  B  B  B™A B 
MJN MJN
YAZ Y YAZ Y YAZ

B ‚Y  ‚Y   MJN G Y H Y  B  @ B B™AB


MJN YAZ
YAZ Y ‚Y   이므로
B Y
MJN B™A B B™AB, B™A B 
YAZ Y ‚Y  
B B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MJN  
YAZ ‚Y    
상수 B의 값의 합은  이다. 답 

∴ B  

이를 ㉡에 대입하면 C
∴ BC   답 
030
ㄱ. MJN G Y H Y @  
YAZ

MJN G Y H Y   @
028 YAZ

Y™AY G Y YšA BY C에서 ∴ MJN G Y H Y  참


YAZ

Y  Y G Y YšA BY C ㄴ. MJN G Y H Y   @  


YAZ
YšA BY C
Y , Y 일 때,G Y  MJN G Y H Y   @
Y  Y YAZ

함수G Y 가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면 Y, Y에서 이므로 MJN G Y H Y MJN G Y H Y


YAZ YAZ
연속이므로
따라서 극한값 MJN G Y H Y 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YšA BY C YAZ
G   MJN G Y  MJN 에서
YAZ YAZ Y  Y G Y H Y 는 Y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Y)Z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모 )Z이므로 ㄷ. MJN \ G Y H Y ^  
YAZ
분자 )Z이다.
MJN \ G Y H Y ^  
YAZ
즉, MJN YšA BY C 이므로
YAZ
∴ MJN \ G Y H Y ^
B C  ∴ BC UUA㉠ YAZ

YšA BY C 이때G  H    이므로


또한 G  MJN G Y MJN 에서
YAZ YAZ Y  Y MJN \ G Y H Y ^G  H 
YAZ
Y)Z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모 )Z이므로
따라서 함수G Y H Y 는 Y에서 연속이다. 참
분자 )Z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 ㄱ, ㄷ
즉, MJN YšA BY C 이므로
YAZ

 B C  ∴ B C UU<㉡


㉠, ㉡을 연립하여 풀면 031
B, C ㄱ. MJN G Y H Y @
YAZ

따라서 Y , Y 일 때, MJN G Y H Y @


YAZ
YšAY Y  A™ Y
G Y   Y  ∴ MJN G Y H Y 
Y  Y Y  Y YAZ

이므로 이때G  H  @이므로

G   MJN Y  , G  MJN Y   MJN G Y H Y G  H 


YAZ YAZ YAZ

∴G  G    답  따라서 함수G Y H Y 는 Y에서 연속이다. 참

10 정답과 풀이
ㄴ. H Y U로 놓으면 Y)Z일 때 U)Z 이므로 
ㄹ. H B 이면 함수 은 YB에서 정의되지 않으므
H Y
MJN G H Y  MJN G U 
YAZ UAZ

로 함수G Y  은 YB에서 불연속이다.
이때G H  G  이므로 H Y
MJN G H Y G H  따라서 YB에서 항상 연속인 것은 ㄱ, ㄷ이다.
YAZ
답 ㄱ, ㄷ
따라서 함수 GxH Y 는 Y에서 연속이다. 참
ㄷ. G Y U로 놓으면 Y)Z 일 때 U)Z 이고,
034
Y)Z일 때 U)Z이므로
⑴ 함수G Y ]Y]은 구간 <, >에서 연속이므로 이
MJN H G Y  MJN H U 
YAZ UAZ 구간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MJN H G Y  MJN H U  이때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 Z
YAZ UAZ ZG Y
른쪽 그림과 같다. 
∴ MJN H G Y MJN H G Y 
YAZ YAZ
따라서 함수G Y 는 Y에서 최
따라서 함수 HxG Y 는 Y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댓값 , Y에서 최솟값 을 갖 0   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 ㄱ, ㄴ
는다.
⑵ 함수G Y ‚Y 는 구간 <, >에서 연속이므로 이
구간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이때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 Z
[연속함수의 성질] ZG Y
른쪽 그림과 같다. 
032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①, ②, ④ 세 함수G Y H Y , \G Y ^™A, G Y H Y 는 최댓값 , Y에서 최솟값 을  0  Y
다항함수이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갖는다.
G Y Y™A  답 ⑴ 최댓값 : , 최솟값 :  ⑵ 최댓값 : , 최솟값 : 
③ 함수  은 Y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Y
H Y Y
에서 불연속이다.
035
 
⑤ 함수  에서 ⑴ 구간 <, >에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G Y H Y Y™A Y 
  같다.
Y™A Y [Y ]A 이므로
  Z ZG Y

함수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G Y H Y
따라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가 아닌 것은 ③이다. 

답 ③

 0  Y
033 따라서 함수G Y 는 Y에서 최댓값 을 갖고, 최솟값은
ㄱ. 함수 H Y 가 YB에서 연속이므로
없다.
함수G Y H Y 도 YB에서 연속이다.
⑵ 구간 <, >에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Y
ㄴ. [반례]G Y Y, H Y < 이면 같다.
 Yƒ Z
두 함수 G Y , H Y 는 모두 Y에서 연속이다. 

 G Y   Y 
이때 H G Y < < 이므로
 G Y ƒ  Yƒ
H G Y 는 Y에서 불연속이다. ZG Y

ㄷ. \ H Y ^™AH Y @H Y 이므로 함수 \ H Y ^™A도 YB에   
 0  Y
서 연속이다.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11
따라서 함수G Y 는 Y에서 최댓값 , Y에서 최 B B  
솟값 을 갖는다. ∴ B
답 ⑴ 최댓값 : , 최솟값 : 없다. 따라서 구하는 정수 B의 개수는 , , , , , 의 
⑵ 최댓값 : , 최솟값 :  이다. 답 

036 039
 H Y G Y Y로 놓으면 함수 H Y 는 구간 [, ]에서 연
ㄱ. G Y H Y Y  은Y 인 모든 실수에서 연
Y 속이고
속이다. H  G   
따라서 함수 G Y H Y 는 구간 [, ]에서 연속이므 H  G   
로 이 구간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모두 갖는다. H  G  
Y  H  G  
ㄴ. G Y H Y  는Y 인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다.
Y
H  G  
따라서 함수 G Y H Y 는 구간 [, ]에서 연속이므로
H  G  
이 구간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모두 갖는다.
이때 H  H  , H  H  , H  H  이므로 사잇
 
ㄷ. G H Y G [ ] 는 Y 인 모든 실수에 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H Y 은 세 구간 ,  ,
Y Y
서 연속이다. ,  , ,  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함수G H Y 는 구간 [, ]에서 연속이므로 이 따라서 방정식 G Y Y은 적어도 개의 실근을 가지므로
구간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모두 갖는다. O 답 


ㄹ. H G Y H Y   은 Y에서 불연속이다.
Y
이때 MJN H G Y b, MJN H G Y b이므로
YAZ YAZ

함수H G Y 는 구간 [, ]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


지 않는다.
따라서 구간 [, ]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모두 갖는 것은
ㄱ, ㄴ, ㄷ이다. 답 ㄱ, ㄴ, ㄷ

037
G Y YšA Y™AB로 놓으면 함수G Y 는 다항함수이므로
구간 <, >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 Y 이 구간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려면
G  G  이어야 하므로
B B , B B 
∴ B
따라서 구하는 정수 B의 개수는 , , , U, 의 이다.
답 

038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이차방정식G Y 이 구간 , 
에서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지려면G  G  이어야 하
므로

12 정답과 풀이
II . 미분
$Y A™ $Y
01 미분계수와 도함수  MJN
$YAZ $Y
 MJN $Y  
$YAZ

[미분계수] 즉, B이므로
B 답 
040
$Z AG  G  
⑴ 
$Y  043
@   @   AG BI G B  AG BI G B 
  ⑴ MJN  MJN @ 
 IAZ I IAZ I
$Z AG  $Y G   G B 
⑵ 
$Y  $Y AG B IšA G B  AG B IšA G B  I™A 
⑵ MJN  MJN @
\@  $Y ^ @   IAZ I IAZ IšA 
  
$Y I™A 
G B @MJN @
$Y IAZ 
 
$Y AG B I G BI 
⑶ MJN
AG  $Y G   IAZ I
⑶ G   MJN
$YAZ $Y AG B I G B G BI G B 
MJN
\@  $Y ^ @  IAZ I
 MJN
$YAZ $Y AG B I G B  AG BI G B 
MJN MJN
$Y IAZ I IAZ I
 MJN  답 ⑴ ⑵ ⑶
$YAZ $Y
AG B I G B 
MJN @
IAZ I
AG BI G B 
MJN @ 
041 IAZ I
Y의 값이 에서 까지 변할 때의 함수 G Y 의 평균변화율은 G B G B
$Z AG  G   G B @

$Y   AG B I™A I G B 
⑷ MJN
™AB@ \  ™AB@  ^ IAZ I
  
 AG B I™A I G B 
MJN < @ I  =
I™A I
 BB
IAZ

 AG B I™A I G B 
MJN @MJN I 
즉, B이므로 IAZ I™A I IAZ

B 답  G B @ 답 ⑴  ⑵ ⑶ ⑷

044
042 AG BI G B I 
MJN
Y의 값이 에서 B까지 변할 때의 함수 G Y 의 평균변화율은 IAZ I
$Z AG B G   AG BI G B G B I G B 
 MJN
$Y B IAZ I
B™AB  ™A@  AG BI G B  AG B I G B 
 MJN MJN
B IAZ I IAZ I
B™AB   B B  AG BI G B  
  MJN @[ ]
B B IAZ I 
B AG B I G B  
MJN @
IAZ I 
함수 G Y 의 Y에서의 순간변화율은
 
AG  $Y G    G B  G B
G   MJN  
$YAZ $Y
G B
\  $Y ™A  $Y ^ ™A@
 MJN 즉, G B 이므로 G B  답 
$YAZ $Y

II. 미분 13
045 047
AG Y™A G   G Y Z G Y G Z 의 양변에 Y, Z을 대입하면
⑴ MJN
YAZ Y
G  G  G   ∴ G  
AG Y™A G  
MJN < @ Y  = AG  I G  
YAZ Y™A ∴ G  MJN
IAZ I
AG Y™A G  
MJN @MJN Y  \G  G I ^G 
YAZ Y™A YAZ MJN
IAZ I
G  @@
∵G Y Z G Y G Z 
AG Y  AG Y G  
⑵ MJN  MJN A ∵ G    AG I  AG I G  
YAZ Y™A YAZ Y  Y MJN MJN ∵ G  
IAZ I IAZ I
AG Y G   
MJN < @ =  G  
YAZ Y Y 
AG Y G    ∴G  G    답 
MJN @MJN  
YAZ Y YAZ Y 
  
G  @ @  048
  
ㄱ. G B 는 곡선 ZG Y 위의 점 B, G B 에서의 접선의
YšA
⑶ MJN 기울기이므로 G B 
YAZ AG Y™A G 

Y ㄴ. G C 는 곡선 ZG Y 위의 점 C, G C 에서의 접선의


MJN @ Y™A Y 
YAZ AG Y™A G  기울기이므로 G C 
Y™A Y™A Y  ㄷ. G D 는 곡선 ZG Y 위의 점 D, G D 에서의 접선의
MJN < @ =
YAZ AG Y™A G  Y 
기울기이므로 G D 
 Y™A Y 
MJN @MJN ㄹ. 주어진 그림에서 Y의 값이 B에서 D까지 변할 때의 G Y 의
YAZ AG Y™A G  YAZ Y 
Y™A 평균변화율은 이다.
 
 @ ㅁ. 주어진 그림에서 Y의 값이 C에서 D까지 변할 때의 G Y 의
AG  
Y™AG  G Y 평균변화율은 양수이다.
⑷ MJN
YAZ Y ㄷ, ㅁ에서 G D 의 값이 Y의 값이 C에서 D까지 변할 때의
Y™AG  G  G  G Y G Y 의 평균변화율보다 크므로 그 값이 가장 큰 것은 ㄷ이고,
MJN
YAZ Y
가장 작은 것은 ㄴ이다. 답 ㄷ, ㄴ
Y™A G   \ G Y G  ^
MJN <  >
YAZ Y Y
Y  Y G   AG Y G 
 MJN MJN
YAZ Y YAZ Y
G  G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  @

답 ⑴  ⑵



⑷ 
049
  ⑴ Œ G  이고 Z

MJN G Y  MJN \Y Y ^


YAZ  YAZ  
0 Y

046
AG hY G   AG hY G    MJN G Y  MJN Y Y  ZG Y
YAZ YAZ
MJN  MJN < @ =
YAZ Y YAZ hY hY  이므로 MJN G Y 
YAZ
AG hY G   
MJN @MJN ∴ MJN G Y G 
YAZ hY YAZ hY  YAZ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연속이다.


G  @  G 
 
AG Y G   Y]Y]
  MJN  MJN
즉, G  이므로 YAZ  Y YAZ  Y

Y Y
G   답   MJN 
YAZ  Y

14 정답과 풀이
AG Y G   Y]Y] AG Y G   YšA  
MJN  MJN  MJN  MJN
YAZ Y YAZ Y YAZ  Y YAZ  Y
Y Y Y Y™A Y  
 MJN   MJN
YAZ Y YAZ  Y
AG Y G   AG Y G    MJN Y™A Y  
∴ MJN  MJN YAZ 
YAZ  Y YAZ Y
AG Y G   Y 
AG Y G   MJN  MJN
따라서 G  MJN 의 값이 존재하지 않 YAZ Y YAZ Y
YAZ Y
 Y 
으므로 함수 G Y 는 Y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MJN 
YAZ Y
Œ, 에서 함수 G Y 는 Y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 AG Y G   AG Y G  
∴ MJN  MJN
지 않다. YAZ  Y YAZ Y

⑵ Œ G  이고 Z
AG Y G  
ZG Y 따라서 G  MJN 의 값이 존재하므로
YAZ Y
MJN G Y  MJN Y™A
YAZ  YAZ   함수 G Y 는 Y에서 미분가능하다.
 Œ, 에서 함수 G Y 는 Y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0  Y
MJN G Y  MJN \ Y™A ^ ⑷ MJN G Y  MJN Y™A  Z ZG Y
YAZ YAZ YAZ  YAZ 

 
ZY™ 
이므로 MJN G Y  ZY 
YAZ MJN G Y  MJN Y  Yy
YAZ YAZ Y 
∴ MJN G Y G  
YAZ 0  Y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연속이다. 이므로 MJN G Y 의 값이 존
YAZ
AG Y G   ]Y™A] 재하지 않는다.
 MJN  MJN
YAZ  Y YAZ  Y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불연속이고 미분가능하지
Y  Y 
 MJN 않다.
YAZ  Y
 MJN Y   답 ⑴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YAZ 

AG Y G   ]Y™A] ⑵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MJN  MJN
YAZ Y YAZ Y ⑶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Y  Y  ⑷ 불연속이고 미분가능하지 않다.
 MJN
YAZ Y
 MJN \ Y  ^
YAZ
연속성과 미분가능성의 확인
 ⑴ MJN G Y G B YB에서 연속
YAZB
AG Y G   AG Y G  
∴ MJN  MJN AG Y G B
YAZ  Y YAZ Y ⑵ MJN 가 존재 YB에서 미분가능
YAZB YB
AG Y G  
따라서 G  MJN 의 값이 존재하지 않
YAZ Y
으므로 함수 G Y 는 Y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Œ, 에서 함수 G Y 는 Y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
지 않다.
⑶ Œ G  이고 Z ZG Y

MJN G Y  MJN YšA   050


YAZ  YAZ  ZYš 
 함수 G Y 는 Y, Y, Y에서 불연속이므로
Yy
MJN G Y  MJN Y 
YAZ YAZ B  
이므로 MJN G Y  0  Y 또한 함수 G Y 는 Y, Y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YAZ
 ZY
∴ MJN G Y G  Y 않으므로
YAZ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C 

연속이다. ∴ BC 답 

II. 미분 15
051 또한 곡선 ZG Y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ㄱ. 함숫값이 존재하지 않는 점은 Y인 점 개이다. 참 이므로
ㄴ. MJN G Y  MJN G Y 이므로 MJN G Y 의 값이 존재 G  에서 B C
YAZ  YAZ YAZ

한다. 참 ∴ BC UU ㉡

ㄷ. 불연속인 Y의 값은 , , 의 개이다. 거짓 ㉠, ㉡을 연립하여 풀면

ㄹ. 미분가능하지 않은 Y의 값은 , , , , , 의 개 B, C

이다. 거짓 ∴ BC 답 

ㅁ.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은 Y의 값은 , , 의 개


이다. 참 054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ㅁ이다. 답 ㄱ, ㄴ, ㅁ G Y Y™AY 에서 G Y Y이므로
G  이고 G  이다.
Y™A 
∴ MJN
YAZ āG Y 
Y™A \āG Y ^
MJN
YAZ \āG Y ^\āG Y ^
[도함수]
Y  Y \āG Y ^
MJN
052 YAZ AG Y 
 Y
⑴ Z@Y™A @Y Y™AY  MJN < @ Y  \āG Y ^>
 YAZ AG Y G 
⑵ Z
Y Y Y  Y Y  Y  ∵ G  
Y Y Y   Y
MJN @MJN Y  \āG Y ^
@ Y Y  Y@@ Y  YAZ AG Y G  YAZ

Y Y @ 
 @\āG  ^
AG 
Y™AY

⑶ Z Y›A Y ›A Y›A Y   @@ 답 

 Y›A Y ›A YšA 
 Y›A Y ›A YšA 
055
⑷ Z\ Y šA^ Y™A  ™A Y šA\ Y™A  ™A^ G Y YO Y™AY로 놓으면 G  이므로
 Y ™A@ Y @ Y™A  ™A YO Y™AY  AG Y G 
MJN MJN G 
Y šA@ Y™A  @ Y™A   YAZ Y YAZ Y
 Y ™A@@ Y™A  ™A Y šA@ Y™A  @Y 한편, G Y YO Y™AY에서
O
 Y ™A Y™A  Y™AY  G Y OY Y이므로
답 ⑴ ZY™AY  G  O
⑵ ZY™AY ∴ O 답 

⑶ Z Y›A Y ›A YšA 


⑷ Z Y A™ Y™A  Y™AY  056
함수 G Y 가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Y에서 연속이다.
즉, G  MJN G Y 에서 B CC 
053 YAZ

G Y YšABY™A CY 으로 놓으면 ∴ BC UU ㉠


G Y Y™ABY C 또한 Y에서의 G Y 의 미분계수 G  가 존재하므로
이때 곡선 ZG Y 는 점 ,  를 지나므로 AG Y G   BYšA C B C
MJN  MJN
YAZ  Y YAZ  Y
G  에서 B C 
B Y Y™A Y 
∴ BC UU ㉠  MJN  
YAZ  Y

16 정답과 풀이
 MJN B Y™A Y  Im Y BY™A B  YA Y 로 놓으면
YAZ

B ← 우미분계수 I„ Y BY B  A Y ,


AG Y G   CY™A Y B C Im Y BY B  A Y
MJN  MJN
YAZ Y YAZ Y 함수 I Y 가 Y에서 연속이므로
CY™A Y C  I„  Im 
 MJN ∵㉠
YAZ Y
즉, B B 은 항상 성립한다.
Y CY C  
 MJN 또한 I„  Im  에서
YAZ Y
 MJN CY C  BB , B
YAZ

C   
← 좌미분계수 ∴ B 답
 
즉, BC 에서 BC UU ㉡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B C  답 
058
G Y 가 이차함수이고 G  이므로
[다른 풀이]
G Y BY™A CYA B , B, C는 상수 로 놓으면
G„ Y BYšA CA Yy , Gm Y CY™A YA Y 로 놓
G Y BY C
으면
G Y 와 G Y 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G„ Y BY™AA Y , Gm Y CY A Y
BY™A CY Y BY C Y™A
함수 G Y 는 Y에서 연속이므로 G„  Gm 
∴ B Y™A BC Y C 
즉, B CC 에서 BC UU ㉠
위의 등식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또한 G  가 존재하므로 G„  Gm 
B, BC, C
즉, BC 에서 BC UU ㉡
∴ B, C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따라서 G Y Y™A Y이므로
∴ B C 
G    답 

함수 G Y 가 YB에서 미분가능하면
⑴ YB에서 연속이다. 059
MJN G Y G B 다항식 Y Y를 Y  A™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YAZB
나머지를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⑵ YB에서의 G Y 의 미분계수 G B 가 존재한다. 즉,

YB에서 우미분계수와 좌미분계수가 같다. Y Y Y  ™A2 Y BY C UU ㉠
AG Y G B AG Y G B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MJN  MJN
YAZB  YB YAZB YB B C UU ㉡
㉠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Y  Y  2 Y Y  ™A2 Y B UU ㉢
057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AY Yy
G Y ]Y]< , H Y BY에 대 이를 ㉡에 대입하면  C
Y A Y
하여I Y G Y H Y 로 놓으면 ∴ C
A Y BY Yy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Y이다. 답 Y
I Y < 
Y  BY A Y
BY™A B  Y  Yy 다항식 G Y 를 다항식 H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나
<
BY™A B  YA Y 머지를 3 Y 라 하면
함수 I Y 가 모든 실수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I Y 는 Y G Y H Y 2 Y 3 Y
에서도 미분가능하다. 이때 H Y 의 차수  3 Y 의 차수 이어야 한다.
따라서 I„ Y BY™A B  Y A Yy ,

II. 미분 17
따라서 구하는 접선은 점 ,  을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
02 도함수의 활용 ⑴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Z Y
[접선의 방정식] ∴ ZY 답 ZY

060
G Y YšAY™A BY C로 놓으면 063
G Y Y™AY B G Y YšAY™A Y로 놓으면
곡선 ZG Y 가 점 ,  를 지나므로 G  에서 G Y Y™AY 
B C ∴ BC UU ㉠ 접점의 좌표를 B, BšAB™A B 로 놓으면 접선의 기울기
곡선 ZG Y 위의 점 중 Y좌표가 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 가 이므로
기가 이므로 G  에서 G B B™AB 
 B ∴ B B™AB , B B 
이를 ㉠에 대입하면 C 답 B, C
∴ B  또는 B


B 일 때
061 
⑴ G Y YšA Y™A로 놓으면 접점의 좌표가 [  ,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G Y Y™A Y
  ∴ ZY 
곡선 ZG Y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Z [Y ]
  
 G    B일 때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접점의 좌표가 ,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Z   Y ∴ ZY Z Y ∴ ZY
즉, B, C이므로 ,
답 ZY ZY
B C@   

⑵ G Y YšA Y™A 으로 놓으면


 G Y Y™A Y 064
G Y Y™AY으로 놓으면
곡선 ZG Y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G Y Y
 G  
접점의 좌표를 B, B™AB 으로 놓으면 접선의 기울기가
따라서 점 ,  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
UBO±이므로
는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G B B ∴ B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  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Z   Y 

Z  Y ∴ ZY
∴ Z  Y  답 ⑴ ⑵ Z  Y  그러므로 구하는 Z절편은 이다. 답 
   

직선이 Y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D ±ƒD±


062 일 때, 직선의 기울기는 UBOD이다.
AG Y 
MJN 에서 Y Z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YAZ Y
분모 Z이므로 분자 Z이다.
즉, MJN \ G Y ^이므로 G  
YAZ
065
G Y Y™A로 놓으면
AG Y  AG Y G  
∴ MJN  MJN  
YAZ Y YAZ Y G Y Y
G   구하는 접선이 직선 YZ , 즉 ZY 에 평행하므

18 정답과 풀이
로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이다. 067
접점의 좌표를 B, B™A 로 놓으면 접선의 기울기가 이 G Y YšA Y로 놓으면
므로 G Y Y™A 
접점의 좌표를 B, BšA B 로 놓으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
G B B ∴ B 

울기는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  ,   ]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 G B B™A 
 
식은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Z BšA B  B™A  YB
 
Z[ ][Y ]
  ∴ Z B™A  Y BšA UU ㉠

∴ ZY  답 ZY
 직선 ㉠이 점 ,  를 지나므로
 
B™A  BšA
BšAB™A , B  B™AB  
066  
⑴ G Y Y™A Y 으로 놓으면 이때 B™AB [B ]™A 이므로 B
 
G Y Y  B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접점의 좌표를 B, B™A B  으로 놓으면 이 점에서 ZY
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 접선이 점 , L 를 지나므로
G B B  L 답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Z B™A B   B  YB 068
∴ Z B  Y B™A  UU ㉠ G Y Y™A Y로 놓으면
직선 ㉠이 점 ,  를 지나므로 B™A  G Y Y 
B™A,  B  B  접점의 좌표를
∴ B 또는 B B, B™A B UU ㉠
B, B을 ㉠에 각각 대입하여 정리하면 구하는 접 로 놓으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선의 방정식은 G B B 
ZY , Z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⑵ G Y YšAY™A 로 놓으면 Z B™A B  B  YB
G Y Y™AY ∴ Z B  Y B™A UU ㉡
접점의 좌표를 B, BšAB™A  로 놓으면 이 점에서의 접 직선 ㉡이 원점을 지나므로 B™A, B  B 
선의 기울기는 ∴ B 또는 B
G B B™AB B, B을 ㉠에 각각 대입하면 접점의 좌표는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  , ,  이므로
Z BšAB™A   B™AB YB 12“ā  ™A  ™A
∴ Z B™AB YBšA B™A  UU ㉠ uu 답 u
직선 ㉠이 점 ,  을 지나므로
B™ABBšA B™A , BšAB™A B  069
 B  B™AB   G Y YšAY B로 놓으면 G Y Y™A
이때 B™AB  B ™A 이므로 B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U, UšAU B 로 놓으면 이 점
B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ZY  답 ⑴ ZY , Z ⑵ ZY  G U U™A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Z UšAU B  U™A YU

II. 미분 19
∴ Z U™A YUšA B UU ㉠ 면 G U H U 에서
㉠이 ZY과 같으므로 LU™AUšA U UU ㉠
U™A, UšA B  또한 G U H U 에서
U™A에서  U  U  LUU™A  UU ㉡
∴U 또는 U ㉠@㉡@U를 하면
U, U를 UšA B에 각각 대입하면 UšA U , U  U™AU  
B, B  
이때 U™AU [U ]™A 이므로 U
 
이때 B이므로 B 답 
U을 ㉡에 대입하면
[다른 풀이]
L ∴ L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Y좌표를 U라 하면 Z좌표는 같으므로
⑵ 두 곡선의 접점의 Y좌표가 이므로 접점의 좌표는
UšAU BU UU ㉠
,  이고 접선의 기울기는 G  H  
접점에서의 기울기가 이므로
이므로 두 곡선에 공통으로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G U U™A,  U  U 
Z   Y 
∴ U 또는 U
∴ ZY 답 ⑴  ⑵ ZY
U, U를 ㉠에 각각 대입하면
B, B
이때 B이므로 B
072
G Y Y™AY, H Y YšAY™A Y L로 놓으면
070 G Y Y, H Y Y™AY 
G Y YšA BY™A Y으로 놓으면 접점의 Y좌표를 B라 하면 G B H B 에서
G Y Y™A BY  B™ABBšAB™A B L UU ㉠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U, UšA BU™A U 로 놓으면 또한 G B H B 에서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BB™AB 
G U U™A BU  B™AB , B™AB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B A™  ∴ B
Z UšA BU™A U  U™A BU  YU B를 ㉠에 대입하면
∴ Z U™A BU  YUšABU™A UU ㉠ L 답 
㉠이 ZY과 같으므로
U™A BU  UU ㉡
UšABU™A UU ㉢ 073
㉡@U ㉢@를 하면 UšA U  두 점 " ,  ,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UšAU, U U™A U    ∴ ZY


Z Y  
 
이때 U™A U  U  ™A 이므로 U
삼각형 "1#의 넓이가 최소이려면 점 1와 직선 "# 사이의
U를 ㉡에 대입하면
거리가 최소이어야 하므로 점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직선
 B  ∴ B  "#의 기울기와 같아야 한다.

G Y Y™A Y으로 Z
∴ BU[  ]@ 답  # 
 놓으면
G Y Y  "
 0 Y
071 이때 점 1 B, C 는 곡선 

⑴ G Y LY™A, H Y YšA Y로 놓으면 ZG Y 위의 점이므로  1 ZY™ Y


 G Y LY, H Y Y™A  CB™A B UU ㉠
두 곡선이 오직 한 점에서 접하므로 접점의 Y좌표를 U라 하 또한 직선 "#의 기울기가 이므로

20 정답과 풀이
G B B  ∴ B 076
이를 ㉠에 대입하면 C 함수 G Y Y™A BY 이 닫힌구간 <, C>에서 롤의 정리
∴B C   답  를 만족하므로 G  G C 이다. 즉,
B C™A BC  UU ㉠
074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D의 값이 이므로 G  
G Y YšAY™A Y B로 놓으면 이때 G Y Y B이므로 G   B
G Y Y™AY  ∴ B
곡선 ZG Y 위의 점 , C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를 ㉠에 대입하면
G      C™AC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C™AC, C  C 
ZC Y ∴ ZY  C ∴ CA ∵ C
∴ BC  @ 답 
즉, 이 직선의 Y절편은  C,
Z절편은  C이고 이 직선과 Y


축 및 Z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이므로 077



⑴ 함수 G Y   Y™A Y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
  C  
\ @ @  C \
  
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C ™A, C™A C
의하여
C  C  ∴ CA ∵ C
AG  G    
이때 곡선 ZG Y 는 점 ,  를 지나므로 G  에서  G D
  
  B ∴ B 인 D가 열린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B C  답  이때 G Y Y 이므로 G D D 
∴ D
⑵ 함수 G Y YšAY 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AG  G   
[평균값 정리] 


G D

075 인 D가 열린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⑴ 함수 G Y Y™A Y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 이때 G Y Y™A이므로 G D D™A
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며 D™A,  D  D 
G  G  이다. ∴ D ∵ D 답 ⑴ ⑵ 
따라서 롤의 정리에 의하여 G D 인 D가 열린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078
이때 G Y Y 이므로 G D D  함수 G Y   Y™AY 에 대하여 닫힌구간 <, B>에서

∴ D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D의 값이 이므로
⑵ 함수 G Y Y›AY™A 는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
AG B G  
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며 G 
B 
G  G  이다. 이때 G Y Y이므로 G  
따라서 롤의 정리에 의하여 G D 인 D가 열린구간  
[ B™AB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이므로
B 
이때 G Y YšAY이므로 G D DšAD
 
B™AB B
D D  D   
∴ D 또는 D 또는 D B™AB, B  B 
답 ⑴  ⑵ , ,  ∴ B ∵ B 답 

II. 미분 21
079
G D 는 곡선 ZG Y 의 YD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 03 도함수의 활용 ⑵
고 D는 접점의 Y좌표이다.
1 B, G B , 2 C, G C 라 할 때, [함수의 증가와 감소]
AG C G B 
CB
G D 를 만족시 Z
080
키는 실수 D는 직선 12의 기울 
1 ⑴ G Y  YšA Y™A Y에서

0 2
기와 같은 접선의 기울기를 갖는 B D„ Dm Df De C Y  G Y Y™A Y 
점의 Y좌표이므로 오른쪽 그림 ZG Y
 Y  Y
과 같이 D„, Dm, Df, De의 개가 존재한다. 답 
 G Y 에서 Y 또는 Y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U  U  U
G Y    
 
G Y ↘  ↗ ↘
 
따라서 함수 G Y 는 구간 <, >에서 증가하고, 구간
b, >, <, b 에서 감소한다.
⑵ G Y YšAY™A Y 에서
 G Y Y™AY  Y ™A
 G Y 에서 Y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U  U
G Y 
G Y ↗  ↗

이때 G  이지만 Y의 좌우에서 G Y 이므로


함수 G Y 는 구간 b, b 에서 증가한다.
⑶ G Y YšA Y™A Y 에서
 G Y Y™A Y  Y  ™A 
이때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G Y 이므로 함수 G Y 는
구간 b, b 에서 증가한다.
⑷ G Y Y›AYšA 에서
 G Y YšAY™AY™A Y
 G Y 에서 Y 또는 Y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U  U  U
G Y    

G Y ↘  ↘ ↗

따라서 함수 G Y 는 구간 <, b 에서 증가하고, 구간
b, >에서 감소한다.
답 ⑴ 구간 <, >에서 증가, 구간 b, >,

<, b 에서 감소
⑵ 구간 b, b 에서 증가

22 정답과 풀이
⑶ 구간 b, b 에서 증가 083
⑷ 구간 <, b 에서 증가, 구간 b, >에서 감소 G Y YšA LY™A L  Y에서
G Y Y™A LY L 
081 함수 G Y 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고 일대일대응이므로
G Y YšAY™A BY 에서
G Y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해야 한다.
G Y Y™AY B
즉,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G Y y이어야 하므로
함수 G Y 가 감소하는 Y의 값의 범위가 ƒYƒC이므로 이
Y™A LY L  y
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은 , C이다.
이차방정식 Y™A LY L  의 판별식을 %라 하면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L™A L  ƒ
B 
 C, @C

L™ALƒ
∴ B, C
위 부등식의 해가 =ƒLƒ>이므로 이차방정식
∴B C 답 
L™AL의 두 근이 =, >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함수 G Y 가 증가 또는 감소 하는 Y의 값의 범위가  
= > 답
=ƒYƒ>이면 =, >는 G Y 의 근이다. 즉,  
  G = , G > 

082
⑴ G Y YšA BY™ABY에서
 G Y Y™A BYB
[함수의 극대와 극소]
함수 G Y 가 구간 b, b 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084
Y에 대하여 G Y ƒ이어야 한다. ⑴ G Y YšA Y™A Y에서
즉, Y™A BYBƒ  G Y Y™A Y  Y  Y
이차방정식 Y™A BYB의 판별식을 %라 하면  G Y 에서 Y 또는 Y
%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B™ABƒ, B B ƒ

Y U  U  U
∴ ƒBƒ
G Y    
따라서 구하는 정수 B의 개수는 , , , U, 의 이다. G Y ↘  ↗  ↘
⑵ G Y YšA LY™A L™A Y 에서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극댓값 , Y에서 극
G Y Y™A LY L™A
솟값 를 갖는다.
함수 G Y 가 구간 <, >에서 감소하려면 이 구간에서
⑵ G Y Y›AYšA에서
G Y ƒ이어야 하므로 오른쪽 그 Z ZGA Y
 G Y YšAY™AY™A Y
림에서
 G Y 에서 Y 또는 Y
 
G  L L™Aƒ Y
0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ALƒ,
Y U  U  U
L  L ƒ
G Y    
∴ ƒLƒ UU ㉠ G Y ↘  ↘  ↗
G   L L™Aƒ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극솟값 을 갖는다.
L™A Lƒ, L  L ƒ
답 ⑴ 극댓값 : , 극솟값 :  ⑵ 극솟값 : 
∴ ƒLƒ UU ㉡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085
ƒLƒ 답 ⑴  ⑵ ƒLƒ G Y YšA Y™AY 에서

II. 미분 23
G Y Y™A Y Y  Y Z
ZGA Y
G Y 에서 Y 또는 Y
B F G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 E 0 H I C Y

Y U  U  U
G Y    이때 YE의 좌우에서 G Y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
G Y ↗ 극대 ↘ 극소 ↗
로 함수 G Y 는 YE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극댓값, Y에서 극솟값 ∴ N
을 갖는다. 또한 YD, YH의 좌우에서 각각 G Y 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
∴ =™A >™A  답  로 바뀌므로 함수 G Y 는 YD, YH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 O 답 N, O
086
G Y YšA Y™AY L에서
G Y Y™A Y Y  Y 089
G Y YšAY™ABY 에서
G Y 에서 Y 또는 Y
G Y Y™AYB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G Y 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은 , 
Y U  U  U
이다.
G Y   
즉, Y™AYB의 두 근이 ,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G Y ↗  L ↘  L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극댓값  L, Y에서
B
극솟값  L를 가지므로  @ ∴ B

B,  L ∴ L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B L  답 
Y U  U  U
G Y   
087 G Y ↗ B ↘ B  ↗
G Y YšA BY™A CY D에서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극솟값 B 을 가지므로
G Y Y™A BY C CB @ 
함수 G Y 가 Y에서 극댓값, Y에서 극솟값을 가지므 ∴ BC   답 
로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이 , 이다.
즉, Y™A BY C의 두 근이 ,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C
  ,  @ ∴ B, C
 
[함수의 그래프]
따라서 함수 G Y YšAY™AY D이므로
극댓값 =는 090
=G    D D 
⑴ G Y YšA Y™A Y 에서

극솟값 >는
 G Y Y™A Y  Y  Y
>G   D D
 G Y 에서 Y 또는 Y
∴ ]=>]]  D   D ] 답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U  U  U
088
G Y    
다음 그림과 같이 함수 ZG Y 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D, E, F, G, H, I라 하자. G Y ↘  ↗ ↘
극소 극대

24 정답과 풀이
즉, 함수 G Y 는 Y에서 극댓값 , Y에서 극솟값 Z ZG Y

 를 갖는다. 
  
0 Y
또한 G  이므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점 ,  를
지난다.

따라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Z
⑷ G Y Y›A YšA 에서

ZG Y
 G Y YšA Y™AY™A Y

 G Y 에서 Y 또는 Y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U  U  U
 G Y   

Y

0 G Y ↗  ↗ ↘
  극대

  즉, 함수 G Y 는 Y에서 극댓값 를 갖고, 극솟값은 갖


⑵ G Y  YšA Y™A Y 에서
  지 않는다.
 G Y Y™A Y  Y  ™A 따라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G Y 에서 Y Z
 ZG Y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U  U
G Y 
G Y ↗  ↗ 

즉, 함수 G Y 는 극댓값과 극솟값을 갖지 않는다.


 0  Y
또한 G   이므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답 풀이 참조

점 [, ]를 지난다.

따라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091
Z ZG Y G Y YšALY™A BY 에서
G Y Y™ALY B

 삼차함수 G Y 가 극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G Y 이 서
 0 Y 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Y™ALY B의 판별식을 %라 하면
 %
⑶ G Y  Y›AY™A 에서 L™AB, L uB LuB 
 
 G Y YšAYY Y  Y ∴ LuB 또는 LuB
 G Y 에서 Y 또는 Y 또는 Y 이때 실수 L의 값의 범위가 LC 또는 L이므로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B, C

Y U  U  U  U ∴ BC   답 

G Y     
  
G Y ↘ ↗ ↘ ↗
극소 극대 극소 092
즉, 함수 G Y 는 Y에서 극댓값 , Y, Y에서 G Y 는 삼차함수이므로 B  UU ㉠
극솟값 을 갖는다. G Y BYšA BY™A  B Y 에서
따라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G Y BY™A BY  B

II. 미분 25
삼차함수 G Y 가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G Y  따라서 이차방정식 Y™A BY C의 두 근이 , 이므로
이 중근 또는 두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Y™A BY  B 의 판별식을 %라 하면  B, @C
% 
B™AB B ƒ, B™A Bƒ ∴ B , C
 
B™ABy, B B y  
∴B C D 답 
 

∴Bƒ 또는 By UU ㉡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095
  G Y YšA LY™A L Y에서
B 또는 By 답 B 또는 By
 
G Y Y™A LY L
삼차함수 G Y 가 구간 , b 에서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
093 두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G Y 이 Z ZGA Y
 
G Y  Y›A YšA L Y™A 에서 Y에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
 
G Y YšA Y™A L YY\Y™AY L ^ 야 하므로 ZG Y 의 그래프는 오른  0 Y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인 사차함수 G Y 가 극솟값을 가지려 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면 삼차방정식 G Y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한다. Œ 이차방정식 Y™A LY L 의 판별식을 %라 하면
이때 방정식 G Y 의 한 근이 Y이므로 이차방정식 %
L™A L 

Y™AY L 이 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L™AL , [L ]A 
 
이차방정식 Y™AY L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따라서 모든 실수 L에 대하여 이다.
%  L  
 
L ∴ L UU ㉠  G  L L에서 L
 
또한 Y이 이차방정식 Y™AY L 의 근이 아니어 
Ž ZG Y 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Y L이므로

야 하므로

L  UU ㉡  L ∴ L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Œ~Ž에서 실수 L의 값의 범위는 L 이므로 정수 L의 최
 
L 또는 L
 댓값은 이다. 답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L의 값은 , 이므로 그 합은
  답 
이차방정식 BY™A CY DA B 의 판별식을 %라 하고
G Y BY™A CY D라 할 때, 이차방정식의 근의 위치에 따른
094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⑴ 두 근이 모두 Q보다 크다.
G Y  Y›A BYšA CY™A 에서
  C
Œ %y  G Q  Ž  Q
G Y YšA BY™A CYY Y™A BY C B
⑵ 두 근이 모두 Q보다 작다.
사차함수 G Y 가 Y에서 극값을 갖고, 이 아닌 실수 D에
C
대하여 G D 이지만 YD에서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삼차 Œ %y  G Q  Ž  Q
B
방정식 G Y 은 Y을 한 근으로 갖고, YD를 중근으 ⑶ 두 근이 모두 Q, R 사이에 있다.
로 가져야 한다. C
Œ %y  G Q , G R  Ž Q R
B
그런데 삼차방정식 G Y 의 한 근이 Y이므로 방정식
⑷ 두 근 사이에 Q가 있다.
Y Y™A BY C 의 근은 Y 중근 또는 Y이다. G Q 
∴ D

26 정답과 풀이
096 Y  U 
G Y YšA B Y™ABY 에서 G Y   
G Y Y™A  B YB G Y  ↘ 
삼차함수 G Y 가 Y에서 극솟값을 갖고, Y에 따라서 G Y 는 Y에서 최댓값 , Y에서 최솟값 을
서 극댓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Z 갖는다.
G Y 이 Y에서 ⑶ G Y Y›AY™A 에서

실근 개, Y에서 실근 개를  0 Y  G Y YšAYY Y  Y
가져야 하므로 ZG Y 의 그래  G Y 에서 Y 또는 Y 또는 Y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ZGA Y

구간 < , >에서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Œ G  B B에서 B
 내면 다음과 같다.
 
 G  B B에서 B Y  U  U 
 
Ž G  B에서 B G Y   
Œ~Ž에서 실수 B의 값의 범위는  
G Y ↗ ↘ 
 극대
   
 B 답  B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최댓값 , Y에서 최솟값
를 갖는다.

답 ⑴ 최댓값 :
 
, 최솟값 : 
 
⑵ 최댓값 : , 최솟값 : 
⑶ 최댓값 : , 최솟값 : 

[함수의 최대와 최소] 098


097 G Y Y›A BYšA 에서
  G Y YšA BY™AY™A YB
⑴ G Y  YšA Y™A Y에서
 
G Y 에서 Y 또는 YB
 G Y Y™AY  Y  Y
B이므로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G Y 에서 Y 또는 Y
과 같다.
구간 <, >에서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Y U  U B U
내면 다음과 같다.
G Y   
Y  U  U  U  B›A 
G Y ↗  ↗ ↘
G Y     극대
  따라서 함수 G Y 는 YB에서 최댓값 B›A 를 가지므로
  
G Y  ↘  ↗  ↘ 
 
극소 극대 B›A 

 B›A, B›A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최댓값 , Y에서 최
 B™A  B  B 
 ∴ B ∵ B 답 
솟값  을 갖는다.

⑵ G Y YšAY™A 에서
G Y Y™AYY Y 099
 G Y 에서 Y 또는 Y G Y Y›AYšA B에서
구간 <, >에서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G Y YšAY™AY™A Y
면 다음과 같다. G Y 에서 Y 또는 Y

II. 미분 27
구간 <, >에서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U U  U
다음과 같다. G U  

Y  U  U  G U ↘ ↗
극소
G Y   
B 따라서 함수 G U 는 U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M™A의
G Y B ↘ ↗ B
극소 최솟값은
따라서 함수 G Y 는 Y, Y에서 최댓값 B, Y에서 최 G   답 

솟값 B을 갖는다.
따라서 B이므로 구간 <, >에서 함수 G Y 의 최솟값은 102
곡선 ZY™A 와 Y축의 교점의 좌표를 구하면
B 답 
Y™A 에서  Y  Y 
∴ Y 또는 Y
100 ∴ " ,  , # , 
G Y BYšABY에서 점 $의 좌표를 U, U™A  A U 로 놓으면
G Y BY™ABB Y  Y 점 %의 좌표는 U, U™A  이므로
G Y 에서 Y 또는 Y "#“, $%“U,
B이므로 구간 <, >에서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사다리꼴 "#$%의 높이 U™A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사다리꼴 "#$%의 넓이를 4 U 라 하면
Y  U  U  
4 U  U  U™A  UšAU™A U 

G Y   
B 4 U U™AU  U  U
G Y B ↗ ↘ B
극대 4 U 에서 UA ∵ U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최댓값 B, Y에 U에서 4 U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서 최솟값 B을 가지므로 U  U  U 
B ∴ B 4 U  
CB ∴ C 
4 U ↗ ↘
극대
∴ BC  @   답 
따라서 4 U 는 Y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사다리꼴
"#$%의 넓이의 최댓값은

101 4   답 

곡선 ZY™A 위를 움직이는 점 1의 좌표를 U, U™A 으로 놓으면


점 1와 점 ,  사이의 거리 M은 103
Mā U  ™A U™A ™A 잘라내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YA Y 라 하면
ā U™A U  U›A 상자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는 Y,
āU›A U™A U  세로의 길이는 Y이다.
∴ M™AU›A U™A U  이때 Y, Y이어야 하므로
G U U›A U™A U 로 놓으면 
Y A ∵ Y

G U UšA U  U  U™AU 
한편, 상자의 부피를 7 Y 라 하면
이때 모든 실수 U에 대하여
7 Y Y Y Y
 
U™AU [U ]A  YšAY™A Y
 
즉, G U 에서 U 7 Y Y™AY  Y Y
함수 G U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7 Y 에서 Y [∵ Y ]


28 정답과 풀이

Y

에서 7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04 도함수의 활용 ⑶
과 같다.

Y  U  U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7 Y  
105

7 Y ↗ ↘ ⑴ G Y YšAY 으로 놓으면
극대
G Y Y™A Y  Y
따라서 7 Y 는 Y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상자의 부
 G Y 에서 Y 또는 Y
피의 최댓값은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7   답 
Y U  U  U
104 G Y    Z ZG Y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에 내접하는 원기 G Y ↗  ↘  ↗



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SA S , 따라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른 

원기둥의 높이를 YA Y 라 하면 피 


 YY 쪽 그림과 같이 Y축과 한 점에서 만나
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S 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
S™AY™A 의 개수는 이다.  0  Y

이때 구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Y ⑵ G Y YšAY™A Y으로 놓으면


한편, 원기둥의 부피를 7 Y 라 하면 G Y Y™AY  Y Y
7 Y LS™A@YLY Y™A L YšA Y  G Y 에서 Y 또는 Y
7 Y L Y™A  L Y  Y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7 Y 에서 Y ∵ Y Y U  U  U
Y에서 7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G Y   
같다. G Y ↗  ↘  ↗
Z ZG Y
Y  U  U  따라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7 Y   오른쪽 그림과 같이 Y축과 서로 다 
0  Y
 L 른 세 점에서 만나므로 주어진 방
7 Y ↗ ↘
극대
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따라서 7 Y 는 Y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원기둥 이다.
의 부피의 최댓값은 ⑶ G Y Y›A YšA 로 놓으면
7  L 답 L
 G Y YšA Y™AY™A Y 
 G Y 에서 Y 또는 Y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U  U  U
G Y   
ZG Y Z
G Y ↘  ↗  ↗

따라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


른쪽 그림과 같이 Y축과 한 점에서 
만나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이다.  0 Y

⑷ G Y Y›AYšAY™A Y 로 놓으면


 G Y YšAY™AY  Y  Y Y
 G Y 에서 Y 또는 Y 또는 Y

II. 미분 29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ZG Y 의 그래프와 직 ZG Y Z

Y U  U  U  U 선 ZB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0
G Y      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Y
G Y ↘  ↗  ↘  ↗ 함수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B ZB
따라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른 Z ZG Y ZB가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쪽 그림과 같이 Y축과 서로 다른 두 점 하므로 실수 B의 값의 범위는
에서 만나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B

다른 실근의 개수는 이다. ⑵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B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실수 B의
 값은
 0  Y
B 또는 B
답 ⑴ ⑵ ⑶ ⑷ ⑶ 한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B
[다른 풀이] 가 한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실수 B의 값의 범위는
⑴ G Y YšAY 으로 놓으면
B 또는 B
G Y Y™A Y  Y 답 ⑴ B ⑵ B 또는 B
 G Y 에서 Y 또는 Y
⑶ B 또는 B
함수 G Y 는 Y, Y에서 극대 또는 극소이므로 [다른 풀이]
G  @G  @ ← 극댓값 @ 극솟값 
G Y YšA Y™AY B로 놓으면
따라서 방정식 G Y 은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가지므로 G Y Y™A Y Y  Y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이다. G Y 에서 Y 또는 Y
⑵ G Y YšAY™A Y으로 놓으면 함수 G Y 는 Y에서 극댓값 B , Y에서 극솟값
G Y Y™AY  Y Y B을 갖는다.
 G Y 에서 Y 또는 Y ⑴ G Y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G Y 는 Y, Y에서 극대 또는 극소이므로 G  @G  에서
G  @G  @   ← 극댓값 @ 극솟값 
B  B  ∴ B
따라서 방정식 G Y 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므로 ⑵ G Y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이다. G  @G  에서
B  B  ∴ B 또는 B
⑶ G Y 이 한 실근을 가지려면 G  @G  에서
B  B  ∴ B 또는 B
106
방정식 YšA Y™AY B에서
YšAY™A YB 107
즉,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두 곡선 ZY›AY™A YB, Z Y›A YšAY™A Y가

ZYšAY™A Y의 그래프와 직선 ZB의 교점의 개수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방정식
와 같다.

G Y YšAY™A Y로 놓으면 Y›AY™A YB Y›A YšAY™A Y, 즉

G Y Y™AY  Y  Y 
Y›AYšA Y™AB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G Y 에서 Y 또는 Y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방정식 Y›AYšA Y™AB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Y U  U  U

G Y     Z Y›AYšA Y™A의 그래프와 직선 ZB의 교점의 개수와

G Y ↘  ↗  ↘ 같다.

30 정답과 풀이
 ⑶ 함수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L가 한 점에서 접하고 다
G Y  Y›AYšA Y™A으로 놓으면

른 한 교점의 Y좌표가 양수가 되어야 하므로 실수 L의 값은
G Y YšAY™A YY Y Y
답 ⑴ L

L ⑵ L ⑶ L
G Y 에서 Y 또는 Y 또는 Y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U  U  U  U 방정식 G Y L의 실근은 함수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G Y      ZL의 교점의 Y좌표와 같으므로
G Y ↘  ↗  ↘  ↗ ⑴ 방정식 G Y L가 양의 실근을 가지면 함수 ZG Y 의 그
래프와 직선 ZL의 교점의 Y좌표가 양수이다.
따라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른 Z ZG Y
ZB ⑵ 방정식 G Y L가 음의 실근을 가지면 함수 ZG Y 의 그
쪽 그림과 같으므로 함수 ZG Y 의 그 
래프와 직선 ZL의 교점의 Y좌표가 음수이다.
래프와 직선 ZB가 서로 다른 두 점에
⑶ 방정식 G Y L가 중근을 가지면 함수 ZG Y 의 그래프
서 만나는 실수 B의 값의 범위는 와 직선 ZL는 접한다.
B 또는 B Y ⑷ 방정식 G Y L가 허근만 가지면 함수 ZG Y 의 그래프
0  
와 직선 ZL는 만나지 않는다.
답 B 또는 B

109
108 방정식 Y›A YšAY™AYB에서
 Y›A YšAY™AYB
방정식 YšA Y™AY L에서

즉,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은 함수 ZY›A YšAY™AY의

YšA Y™AY L 그래프와 직선 ZB의 교점의 Y좌표와 같다.

 G Y Y›A YšAY™AY로 놓으면
즉,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은 함수 ZYšA Y™AY 의 그래

G Y YšA Y™AY Y  Y  Y
프와 직선 ZL의 교점의 Y좌표와 같다.
G Y 에서 Y 또는 Y 또는 Y

G Y YšA Y™AY 로 놓으면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 Y Y™A Y Y  Y Y U  U  U  U
G Y     
G Y 에서 Y 또는 Y
G Y ↘  ↗  ↘  ↗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Z ZG Y
Y U  U  U
G Y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때 함수 ZG Y 의 그래프와 직 
G Y ↗  ↘  ↗

선 ZB의 교점의 Y좌표가 양수인 0
따라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른 Z ZG Y   Y
것은 한 개, 음수인 것은 두 개이어
쪽 그림과 같다. 
야 하므로
⑴ 함수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B 또는 B
ZL의 교점의 Y좌표가 음수인 것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B의 값의 
 
한 개만 존재해야 하므로 실수 L의 Y 합은
 0
값의 범위는 

  답 


L
 110
⑵ 함수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L의 교점의 Y좌표가 양 부등식 G Y H Y 에서 G Y H Y 이므로
수인 것은 한 개, 음수인 것은 두 개이어야 하므로 실수 L I Y G Y H Y
의 값의 범위는  Y›AY™A   YšA Y™AB
L Y›AYšAY™A B 

II. 미분 31
로 놓으면  G Y 에서 YA ∵ Y
I Y YšAY™AYY Y  Y Y에서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I Y 에서 Y 또는 Y 또는 Y 다음과 같다.
함수 I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U  U 
Y U  U  U  U G Y  
I Y      G Y ↘ L ↗
I Y ↘ B ↗ B  ↘ B ↗ 즉, Y일 때, 함수 G Y 는 Y에서 극소이면서 최
즉, 함수 I Y 는 Y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고, 최솟값 B 소이고, 최솟값 L를 갖는다.
을 갖는다. 따라서 Y에서 G Y 이 성립하려면
따라서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I Y , 즉 G Y H Y 가 성 L
립하려면 ∴ L
B ∴ B ⑵ G Y Y›AY L로 놓으면
따라서 구하는 정수 B의 최솟값은 이다. 답   G Y YšA Y Y™A Y 
Y에서 G Y 인 Y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부등식 G Y H Y 를 풀 때, G Y 또는 H Y 가 상수함수가 G Y 의 최솟값이 없다.
아니면 G Y H Y  꼴로 변형하여 푸는 것이 좋다. 이때 Y에서 G Y 이므로 Y에서 함수 G Y 는 증
가한다.
따라서 Y에서 G Y 이 성립하려면
111 G   Ly
 ∴ Ly 답 ⑴ L ⑵ Ly
G Y  Y›ABšAY 로 놓으면

G Y YšABšA YB Y™A BY B™A
이때 모든 실수 Y와 양의 실수 B에 대하여 함수 G Y 가 YB에서 증가할 때, YB인 범위에서 부등식
G Y L가 성립하려면 G B yL이어야 한다.
B 
Y™A BY B™A[Y ]A B™A
 
즉, G Y 에서 YB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13
Y U B U 부등식 G Y H Y 에서 G Y H Y 이므로
G Y   I Y G Y H Y
 
G Y ↘  B›A  ↗  Y›A YšA B [ YšA Y™A]
 
즉, 함수 G Y 는 YB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고, 최솟값 
Y›A YšAY™A B
 
 B›A 를 갖는다.
 로 놓으면
따라서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G Y 이 성립하려면 I Y YšA Y™AYY Y  Y
 I Y 에서 Y 또는 YA ∵ ƒYƒ
 B›A 

구간 <, >에서 함수 I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B›A, B™A  B  B 
다음과 같다.
∴ BA ∵ B™A 
Y  U  U 
이때 B이므로 B 답 B
I Y    
 
I Y B ↘ B ↗ B
112  
 즉, 구간 <, >에서 함수 I Y 는 Y에서 극소이면서 최소
⑴ G Y YšA Y™AY L로 놓으면


 G Y Y™A Y Y  Y 이고, 최솟값 B 을 갖는다.


32 정답과 풀이
따라서 구간 <, >에서 I Y , 즉 G Y H Y 가 성립하 EY
Y U  W U
EU
려면
이므로 주어진 그래프는 속도 ZW U 의 그래프이다.

B 
 ㄱ. U에서 W U 이므로 점 1는 원점을 출발한 후
  U에서 수직선의 양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 B 답 B
 
그러므로 U에서 점 1의 위치는 원점이 아니다. 거짓
ㄴ. U에서 점 1의 속도는 이고 U의 좌우에서 속도
W U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로 점 1는 운동 방향
을 바꾼다. 참
ㄷ. ]W  ]]W  ]이므로 U일 때와 U일 때 점 1
[속도와 가속도]
의 속력은 같다. 참
114 ㄹ. 가속도는 W U 이므로 주어진 그래프 ZYA U

시각 U에서의 점 1의 속도를 W, 가속도를 B라 하면 에서 접선의 기울기이다. U에  


 U
EY EW 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접선의 기울기
W U™AU , B U
EU EU
가 커지므로 점 1의 가속도는 증가한
점 1가 원점을 지날 때의 위치는 이므로
다. 거짓
YUšAU™A U에서 U U U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 ㄴ, ㄷ
∴ U 또는 U 또는 U
따라서 점 1가 마지막으로 원점을 지나는 것은 U일 때이므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1의 시각 U에서의 속도가 W U 일 때,
로 이때의 점 1의 가속도는
점 1의 속력은 ]W U ]이다.
B 답 

115 117
시각 U에서의 점 1의 속도를 W라 하면 ㄱ. U에서 점 1의 위치는 Y  이다. 참
EY ㄴ. U에서 점 1는 양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U에
W U™AU 
EU
서 점 1는 정지 상태이다. 또한 U에서 점 1는 음의
점 1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는 이므로
방향으로 움직이고, U에서 점 1는 양의 방향으로
WU™AU 에서  U U 
움직인다.
∴ U 또는 U
따라서 U에서 점 1는 운동 방향을 두 번 바꾼다.
U, U 각각의 좌우에서 W의 부호가 바뀌므로 점 1가 운

동 방향을 바꾸는 것은 U, U일 때이다.
ㄷ. U에서 U일 때 ]Y U ]의 값이 가장 크므로 점 1
이때 U, U일 때의 점 1의 위치를 각각 Y„, Ym라 하면
는 원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참
Y„ 
ㄹ. U에서 점 1의 속도는 Y  이므로 주어진 그래프에서
Ym 
U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따라서 두 점 ", # 사이의 거리는
즉, 두 점 ,  , ,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같
]Y„Ym] 답 
으므로 U에서 점 1의 속도는
 거짓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1가 운동 방향을 바꾸는 순간의 속도 
는 이고, 그 시각의 좌우에서 속도의 부호가 바뀐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답 ㄱ, ㄴ, ㄷ

118
116 기차가 제동을 건 지 U초 후의 기차의 속도를 W라 하면
시각 U에서의 점 1의 속도를 W U 라 하면

II. 미분 33
EY EI  
W U NT ∴  U
EU EU  
기차가 정지할 때의 속도는 NT이므로 따라서 U일 때 선혜의 수면으로부터의 높이의 변화율은
WU에서 U  
@  NT 답 NT
 
따라서 기차는 제동을 건 후 초 만에 정지하므로 기차가 제동
을 건 후 정지할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Y N 답 N 시각 U에서의 길이, 넓이, 부피의 변화율 구하기
Œ 길이, 넓이, 부피를 시각 U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 U에 대하여 미분한다.
기차가 제동을 건 후 정지할 때의 속도는 NT이다.
Ž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U의 값을 대입한다.

119 121
물체의 U초 후의 속도를 W라 하면 U초 후의 두 점 ", #의 좌표는 각각 " U,  , # , U 이므
EY 로 두 점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W BU NT
EU Y Z

물체가 최고 높이에 도달했을 때의 속도는 NT이므로 U U
B 이 직선과 직선 ZY의 교점 $의 좌표를 구하면
WBU에서 U
 Y Y Z
에서 ZY
B U U U #
U 에서 물체의 높이는
  
Y U, ZU ∴ $[ U, U] 
B B B™A   $ [  U AU]
YB@ @[ ]A N
   이때 0$“M로 놓으면
M
물체가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N인 지점에 도달하려면 물 
Mm‡[ U]A U ™A "
체의 최고 높이가 N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0 U Y

B™A u
y에서 B™Ay  UA ∵ U
 
∴ ByA ∵ B EM u
∴ 
EU 
따라서 상수 B의 최솟값은 이다. 답 
u
따라서 선분 0$의 길이의 변화율은 이다.

120 u

다음 그림과 같이 미끄럼틀의 꼭대기를 ", 미끄럼틀의 끝을 
#, 점 "에서 수면에 그은 수선의 발을 $, 선혜의 위치를 %,
점 %에서 수면에 그은 수선의 발을 &라 하면 122
"#“N, "%“U™A U N , #%“U™AU  N 돌을 던지고 나서 U초 후의 가장 바깥쪽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U™A U AN " SDN, 넓이를 4DN™A라 하자.
가장 바깥쪽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매초 DN씩 커지므로
U™AU  AN AN %
AN SU, 4LS™AL U ™ALU™A
IAN
E4
# $ ∴ LU
& EU
이때 %&“IN라 하면 따라서 U일 때 가장 바깥쪽 원의 넓이의 변화율은
두 삼각형 "#$, %#&는 닮음이므로 L@L DN™A/T 답 LDN™A/T

 U™AU  I


IU™AU  123
  물을 넣기 시작하여 U초 후의 수면의 높이를 IDN, 수면의 반
I U™A U 
  지름의 길이를 SDN, 그릇에 채워진 물의 부피를 7DNšA라 하

34 정답과 풀이
III . 적분
자. 수면의 높이가 매초 DN씩 올라가므로 IU
오른쪽 그림에서 ADN 01 부정적분
SI ADN
SADN
 [부정적분]
SI ∴ S IU IADN

124
 
7 LS™AI L@ U ™A@ULUšA
  ⑴ A Y G Y EYYšAY™AY $의 양변을 Y에 대하
E7
∴ LU™A 여 미분하면
EU
따라서 U일 때 그릇에 채워진 물의 부피의 변화율은 Y G Y  YšAY™AY $ 

L@™AL DNšA/T 답 LDNšA/T Y™AY


 Y  Y
∴ G Y Y 
∴ G   
AG  I G I 
⑵ MJN
IAZ I
\G  I G  ^\ G I G  ^
MJN
IAZ I
AG  I G   AG I G  
MJN MJN
IAZ I IAZ I
G  G 
G 

G Y A YšA EY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G Y YšA
따라서 G  이므로
AG  I G I 
MJN G  @
IAZ I
답 ⑴ ⑵ 

125
 G Y EYYšA BY™ABY $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G Y  YšA BY™ABY $  
Y™A BYB
이때 G  이므로
 BB ∴ B
따라서 G Y Y™AY 이므로
G     답 

126
E
⑴ <AYG Y EY=YšAY™A Y에서
EY
YG Y YšAY™A YY Y™AY 
따라서 G Y Y™AY 이므로
G   

III. 적분 35
E Y  Y 
⑵ <A G Y EY=Y™AY D에서 A EY
EY Y
G Y Y™AY D
 Y  EY
즉,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BY™A CYY™AY D가 성

립하므로  Y™A Y $ 단, $는 적분상수

B, C, D
⑶  Y  šAEY
∴ BCD 답 ⑴  ⑵

 YšA Y™A Y  EY


127
Y›A YšA Y™A Y $ 단, $는 적분상수
E
G Y A< Y™AY  =EY에서
EY ZšA 
⑷ A EZA EZ
G Y Y™AY  $ Z™A
Z  Z™A Z 
ZšA
 Y ™A $ 단, $는 적분상수 A EZ
Z™A Z 
함수 G Y 는 Y일 때, 최솟값  $를 가지므로 Z Z™A Z 
A EZ
 $ ∴ $ Z™A Z 
따라서 G Y Y™AY 이므로  Z EZ
G    답 

 Z™AZ $ 단, $는 적분상수

128 
답 ⑴ YšA Y™AZ YZ™A $ 단, $는 적분상수
E 
G Y A< Y™A LY =EY에서
EY
⑵  Y™A Y $ 단, $는 적분상수
G Y Y™A LY $ 단, $는 적분상수 
이때 G  에서 $이므로 ⑶ Y›A YšA Y™A Y $ 단, $는 적분상수
G Y Y™A LY ∴ G Y Y L ⑷  Z™AZ $ 단, $는 적분상수

또한 G  이므로  L ∴ L
따라서 G Y Y™A Y이므로
G   130
∴ L G     답  G Y  YY YU Y EY

 Y EYAY EY AY EYU

 Y EYAEY

[부정적분의 계산] YY YU Y™AY $ 단, $는 적분상수


이때 G  이므로 $
129
따라서 G Y YY YU Y™AY이므로
⑴ A Y Z ™AEYA Y™A ZY Z™A EY
G 
 
 Y™A EY ZAY EY Z™AAEY      U  ™A  
 답 

 YšA Y™AZ YZ™A $ 단, $는 적분상수

131
⑵ A Y™A EYA  EY
Y Y 조건 ㈎에서
Y™A  Y™A Y 
A EYA EY G Y A EY A EYA EY
Y Y Y Y Y
Y™A Y™A Y
A EY A EY
Y Y

36 정답과 풀이
Y  Y  이때 곡선 ZG Y 가 점 ,  을 지나므로
A EY
Y
G     $
 Y  EY ∴ $
따라서 G Y YšA Y™A Y이므로
Y™A Y $ 단, $는 적분상수
이때 조건 ㈏에서 G  이므로 $ G   

∴ G Y Y™A Y G    

방정식 Y™A Y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 G  G    답 

의하여 구하는 모든 해의 곱은 이다. 답 


135
132  G Y EYYG Y Y›A YšA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
G Y Y™AY 이므로 분하면
G Y  G Y EY Y™AY  EY G Y G Y YG Y YšA Y™A
YG Y YšAY™A
YšAY™A Y $A 단, $는 적분상수
∴ G Y Y™AY
이때 곡선 ZG Y 가 점 ,  을 지나므로
G    $ ∴ $ ∴ G Y  Y™AY EY
∴ G Y YšAY™A Y YšAY™A $ 단, $는 적분상수
또한 곡선 ZG Y 가 점 , L 를 지나므로 이때 곡선 ZG Y 가 점 ,  을 지나므로
G   L G   $ ∴ $
∴ L 답  따라서 G Y YšAY™A이므로
G   답 

133
G Y 를 미분하였으므로 G Y Y™A Y  136
G Y Z G Y G Z YZ의 양변에 Y, Z을 대
G Y  G Y EY Y™A Y  EY
입하면
YšA Y™A Y $„ 단, $„은 적분상수 G  G  G   ∴ G   UU ㉠
이때 G  이므로 G  이므로
   $„ ∴ $„ AG  I G  
G  MJN  
∴ G Y YšA Y™A Y IAZ I
따라서 G Y 를 적분하면 AG I 
MJN  UU ㉡
IAZ I
 YšA Y™A Y EY 도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AG Y I G Y 
 Y›A YšA Y™AY $ 단, $는 적분상수 G Y MJN
   IAZ I
   AG Y G I YIG Y 
답  Y›A YšA Y™AY $ 단, $는 적분상수 MJN
   IAZ I
AG I YI
MJN
IAZ I
134 AG I 
MJN < Y=
곡선 ZG Y 위의 점 Y, G Y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IAZ I
Y™A Y 이므로 G  Y
G Y Y™A Y  Y ∵ ㉡

∴ G Y  G Y EYA Y™A Y  EY ∴ G Y A Y EY  Y™AY $A 단, $는 적분상수



YšA Y™A Y $ 단, $는 적분상수 ㉠에서 G  이므로 $

III. 적분 37
G  에서 $„
따라서 G Y   Y™AY 이므로

∴ G Y Y 단, Y
G     답 
이때 함수 G Y 는 Y에서 연속이므로
MJN Y™A Y $m  MJN Y ∴ $m
YAZ YAZ

137 ∴ G Y Y™A Y 단, Yy


L Y
G Y < 이므로 ∴ G    답 
Y  Y
LY $„ Y
G Y < 단, $„, $m는 적분상수
Y™A Y $mA Y
140
G  이므로 $m
G Y Y™AY에서
∴ G Y Y™A Y A 단, Y
G  이므로 L $„ UU ㉠ G Y  Y™AY EY

이때 함수 G Y 가 Y에서 연속이므로 
 YšAY™AY $ 단, $는 적분상수
MJN Y™A Y   MJN LY $„ 
YAZ  YAZ
한편, G Y Y™AY Y  Y 이므로
∴ L $„ UU ㉡
G Y 에서 Y 또는 Y
㉠, ㉡을 연립하여 풀면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L 답 
Y U  U  U
G Y   
138 G Y ↗ 극대 ↘ 극소 ↗
G Y Y ]Y]이므로
즉, 함수 G Y 는 Y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Œ Y일 때, G Y Y Y 
  ∴ $
 Yy일 때, G Y Y Y Y G     $
 
Œ, 에 의하여 도함수 G Y 는
∴ G Y   YšAY™AY
A Y 
G Y < 이므로
YA Yy 따라서 함수 G Y 의 극솟값은
Y $„A Y G   답 
G Y < 단, $„, $m는 적분상수
Y™AY $mA Yy
G  이므로
 $„ ∴ $„ 141
∴ G Y Y  단, Y UU ㉠ G Y BY Y  Y BYšABY B 로 놓으면
이때 함수 G Y 는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인 함수이므로 Y
G Y  BYšABY EY
에서 연속이다.
즉, MJN Y™AY $m  MJN Y  이므로 $m  
 BY›A BY™A $ 단, $는 적분상수
YAZ YAZ  
∴ G Y Y™AY  단, Yy UU ㉡ G Y 에서 Y 또는 Y 또는 Y
㉠, ㉡에서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  G    답 
Y U  U  U  U
G Y     
139 G Y ↘ 극소 ↗ 극대 ↘ 극소 ↗
A Y 즉, 함수 G Y 는 Y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G Y < 이므로
Y A Yy G  $ ∴ $
Y $„A Y 또한 함수 G Y 는 Y, Y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G Y < 단, $„, $m는 적분상수
Y™A Y $mA Yy
 
함수 ZG Y 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므로 G  G   B B $
 

38 정답과 풀이

 B

 ∴ B
02 정적분
따라서 G Y Y›AY™A 이므로
G    답 
[정적분]
142
⑴ ÅA YšAY  EY<Y›AY™A Y>Å

     


⑵ @Å Z  Z EZ@Å Z™AZ EZ

 
< ZšA Z™AZ>@Å
 
  
[ ][  ]
  




⑶ ÅAY›AEYÅA Y™A  Y™A EY


Y™A  Y™A 

ÅA Y™A EY


< YšAY>Å

 
[ ][ ] 
 


⑷  A A YšAY EY<  Y›AY™AY> A



   


답 ⑴  ⑵  ⑶  ⑷ 

[다른 풀이]

⑷  A A YšAY EY@! YšAY EY


< Y›AY™AY>@!

\   ^


143
 A  Y Y™A U Y EY

<Y Y™A YšA U Y>

    U  

'
9
'


개
@ 답 

III. 적분 39
144 [정적분의 계산]
ÅA\G Y Y^EY<G Y Y™A>Å  148
\G  ^\G  ^  ⑴ ÅA YšA EYÅA   EU
Y™A Y  U™A U 
G  G  
YšA 
ÅA  EYÅA EY
G  A ∵ G   Y™A Y  Y™A Y 
즉, G  이므로 YšA
ÅA  EY
Y™A Y 
G   답 
Y Y™A Y  
ÅA EY
Y™A Y 
145
ÅA Y EY
 LA Y EY<Y™AY>L  L™AL L™AL

< Y™AY>Å
주어진 정적분의 값이 보다 작으므로 
L™AL, L™AL  
 [ ][ ]
 
L  L 
∴ L 답 L ⑵ BC AAG U EUÅAAG U EU

 AAG U EU AAG U EU
146
← "CAAG Y EY#BAAG Y EY

ÅA LY L™A  EL<L™AY LšA L>Å   AAG U EU

 Y    Y  
 A U™AU EU
Y 
Yy이므로 <UšAU™AU>
Yƒ ∴ Y ƒ
 답 ⑴ ⑵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이다. 답 

147
조건 ㈎에서 149
AG  I G   AG  I G     A Y™ABY B™A EY A U B ™AEU
MJN  MJN < @ =
IAZ I IAZ I 
  A Y™ABY B™A EY A Y™A BY B™A EY
 G 


즉,  G  이므로 G    A\ Y™ABY B™A  Y™A BY B™A ^EY

이때 G Y Y™A BY C에서 G Y Y B이므로  A BY EY
G   B ∴ B
조건 ㈏에서 <BY™A> B

 BAAG Y EY A Y™A Y C EY 즉, BB™A이므로


B™A B, B B  

< YšA Y™A CY> ∴ BA ∵ B  답 

 
[  C]C
 
 
즉, C

이므로 C
 150
함수 G Y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G Y 는
∴ BC@    답

   Y에서 연속이다.

40 정답과 풀이
즉, MJN AG Y  MJN AG Y 에서
YAZ YAZ  ∴ @ÅA Y™A ]Y]  EY
MJN Y C  MJN Y™ABY
YAZ YAZ
@Å Y™AY  EY ÅA Y™A Y EY
 CB
∴ B C UU ㉠    
< YšA Y™A Y>@Å < YšA Y™A>Å
   
Y™ABYA Yƒ
한편, G Y < 에서    
Y CA Y <[  ][  ]=
   
YBA Y
G Y <   
A A Y <[ ][ ]=
  
이고, Y에서의 미분계수가 존재하므로 
 
MJN  MJN YB 
YAZ YAZ
⑵ G Y ]Y ] ]Y]로 놓으면
B ∴ B
 Y Yƒ
이를 ㉠에 대입하면 C
G Y 9  ƒYƒ
Y™AYA Yƒ  Y  Yy
따라서 G Y < 이므로
YA Y
 ∴ @ÅA ]Y ] ]Y] EY
ÅAAG Y EY
@Å EY  A Y  EY
ÅA Y™AY EY !A Y EY

 <Y>@Å <Y™A Y>


< YšAY™AY>Å <Y™AY>!

     답 ⑴ g ⑵
 
<[ ][ ]= \    ^
 
 
 답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정적분은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이
 
이 되도록 하는 Y의 값을 기준으로 구간을 나눈다.

151
AA Y
주어진 그래프에서 G Y < 이므로
YA Yy 153
AYA Y G Y ]Y™AY]로 놓으면
YG Y <
Y™AYA Yy AAY™AYA Yƒ 또는 Yy
G Y <
Y™A Y ƒYƒ
∴ @ÅYG Y EY
이때 L이므로
@Å Y EY !A Y™AY EY  LAA]Y™AY]EY

<Y™A>@Å < YšAY™A>! 
  A Y™A Y EY !LA Y™AY EY
 
\    ^ <[ ][ ]=  
  < YšA Y™A> < YšAY™A>L!
 
 
 답    
  [ ] <[ LšAL™A][ ]=
  

 LšAL™A 

152 즉,  LšAL™A 
  이므로
⑴ G Y Y™A ]Y] 로 놓으면  

Y™AY A Yƒ LšAL™A, L™A L 


G Y <
AY™A YA Yy ∴ LA ∵ L 답 

III. 적분 41
154 156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G Y G Y 이므로 함수 ZG Y
⑴ @ YœA YšA Y™A EY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 YœA YšA EY @ Y™A EY
∴ @B"AG Y EY UU ㉠

 A Y™A EY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H Y H Y 이므로 함수 ZH Y


의 그래프는 Z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YšAY>
∴ @B"AH Y EY BAAH Y EY@ UU ㉡
  
 한편, I Y G Y H Y 로 놓으면
⑵ @!  Y›AY™A Y EY @Å U›AU™A U EU
I Y G Y H Y G Y H Y I Y

@!  Y›AY™A Y EY @Å Y›AY™A Y EY 이므로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I Y I Y 가 성립한다.
즉, 함수 ZG Y H Y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 Y›AY™A Y EY
∴ @B"AG Y H Y EY UU ㉢

@! Y›AY™A EY @!Y EY ㉠, ㉡, ㉢에 의하여

 A Y›AY™A EY @B"\G Y H Y ^EY@B"AG Y H Y EY

<YœAYšA> @B"AG Y EY @B"AH Y EY@B"AG Y H Y EY

   답 ⑴  ⑵   @ 답 

자연수 O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우함수와 기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⑴ O이 짝수이면 Y OYO이므로 ⑴ 우함수 @ 우함수  우함수


⑵ 우함수 @ 기함수  기함수
@B"AYOEY BAAYOEY
⑶ 기함수 @ 기함수  우함수
⑵ O이 홀수이면 Y OYO이므로

@B"AYOEY

157
155 함수 G Y 가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G Y G Y  이므로
@ÅYG Y EY에서 @Å  AAG Y EY@Å! AG Y EY@?AG Y EY AAG Y EY

@Å BY™A CY EY, B AY™AEY ?A AAG Y EYÅ!AAG Y EY_Å AAG Y EY
 
B< YšA> , B 이때  AAG Y EY이므로
 
∴ B
@Å AG Y EY
또한 @ÅY™AG Y EY에서
@Å  AAG Y EY @Å! AG Y EY U _Å AAG Y EY
@Å BYšA CY™A EY, C AY™AEY
 AAG Y EY  AAG Y EY U  AAG Y EY
 
C< YšA> , C

U
U
U
U
9
U
U
U
U


  개
 AAG Y EY
∴ C
따라서 G Y Y이므로 G   답  @ 답 

42 정답과 풀이
158 ÅAU U™AU L EUÅA UšAU™A LU EU
함수 G Y 가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G Y G Y  이므로

  <U›AUšA LU™A>Å
 AG Y EY G Y EYU AAG Y EY 
 

  L
U G Y EY 

Z 이때 ÅAUG U EUL이므로
 ZG Y
U U  ∴ L
 LL

     0      Y
따라서 G Y Y™AY이므로
Y ƒY G   답 
이때 G Y < 이므로
Y ƒYƒ

 AG Y EY


  




AG Y EY @ G Y EY U  AG Y EY 161
 AAG U EUL L는 상수 UU ㉠
A AAG Y EY
로 놓으면 G Y YšA Y L
A@ÅAG Y EY ∴ G Y Y™A 
G U U™A 을 ㉠의 좌변에 대입하면
<@ÅA Y EY  AAY EY=
 AAG U EU A U™A  EU<UšA U> 
 
[< Y™A>@Å < Y™A> ]
 
이때  AAG U EUL이므로 L
 
[ ] 답 
 
따라서 G Y YšA Y 이므로
G    답 
159
G Y G Y  의 Y에 Y 을 대입하면
G Y G Y 
즉,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G Y G Y  이므로 162
Y 
 LA
 AAG Y EY G Y EY 단, L는 정수 G Y  UšA U EU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Y
L

이때 @, @ 이므로 보기 중 G Y  Y  šA  Y   YšA Y


A Y™A Y 
 AAG Y EY와 항상 같은 값을 갖는 것은 ! Å ? A A G Y EY이다.
∴ ÅAYG Y EYÅA YšA Y™A Y EY
답 ③
 
< Y›A YšA Y™A>Å
 
 
    [  ]
 
 답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160 163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YB를 대입하면
ÅAUG U EUL L는 상수 UU ㉠
BšA B™AB™A
로 놓으면 G Y Y™AY L BšA, B B™A B  
G U U™AU L를 ㉠의 좌변에 대입하면 ∴ BA ∵ B는 실수

III. 적분 43
따라서 주어진 등식은    
< UšA BU™A CU>   B C
   
ÅAAG U EUYšA Y
∴  BC  UU ㉠
 
위의 등식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G Y Y™A  ÅA YU G U EU A U™ABU C EU에서
∴ G    답 
YÅAAG U EUÅAAUG U EU A U™ABU C EU

위의 등식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164 ÅAAG U EU YG Y YG Y Y™ABY C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B ∴ ÅAAG U EUY™ABY C UU ㉡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YG Y Y™AG Y YšABY™A YG Y
B C ∴ BC UU ㉢
Y™AG Y YšABY™A ∴ G Y YB
㉠, ㉢을 연립하여 풀면 B  , C 
 
∴ G Y AG Y EYA YB EY
또한 ㉡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Y™ABY $ 단, $는 적분상수
G Y YB ∴ G Y Y 
이때 G  이므로 $ 
G Y Y™ABY이고 G  B이므로   
∴G B C G[ ]   답 
  
BB ∴ B 

167
따라서 G Y Y™A  Y이므로 Y 
 G Y  U™AU EU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G   답 
G Y  Y  ™A Y 
Y™AY Y  Y
G Y 에서 Y 또는 Y
165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 YU G U EUY›AYšA에서
Y U  U  U
G Y   
Y AAG U EU AAUG U EUY›AYšA
G Y ↗ 극대 ↘ 극소 ↗
위의 등식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AAG U EU YG Y YG Y YšAY™A G   A U™AU EU UU ㉠

 AAG U EUYšAY™A 또한 함수 G Y 는 Y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G   A U™AU EU< UšA U™A>  UU ㉡
<G U > YšAY™A   
㉠, ㉡에서 함수 G Y 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는
∴ G Y G  YšAY™A
 
이때 G  이므로 G Y YšAY™A G  G  [ ]
 
∴ G   답 
이므로 Q, R
∴Q R 답 
166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168
 A U™ABU C EU 이차함수 ZG Y 의 그래프가 두 점 ,  , ,  을 지나고

44 정답과 풀이
아래로 볼록하므로 170
G Y B Y Y B
G Y @Å ]U] EU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으로 놓을 수 있다.
G Y ]Y]
또한 ZG Y 의 그래프가 점 ,  을 지나므로
G Y 에서 Y ∵ ƒYƒ
G  B ∴ B
ƒYƒ에서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 G Y  Y Y
과 같다.
이때
Y  U  U 
H Y ÅAAG U EUÅA U U EU
G Y  
위의 식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G Y G  ↗ 극대 ↘ G 
H  Y  Y Y 따라서 ƒYƒ에서 함수 G Y 는 Y에서 극대이면서 최
H  Y 에서 Y 또는 Y 대이므로 최댓값은
함수 H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  @Å ]U] EU A ]U] EU
Y U  U  U
   
H Y  A U EU<U U™A>

H Y ↗ 극대 ↘ 극소 ↗

@<[ ]=
따라서 함수 H Y 는 Y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또한 Y, Y일 때의 함숫값은
H  ÅA U U EU
G  @Å ]U] EU@Å  U EU
ÅA U™AU  EU
  
<U U™A>@Å[ ]
   
< UšAU™A U>Å

G  @Å ]U] EU

   [  ]

@Å ]U] EU ÅA ]U] EU
 
 답 
  
 ÅA U EU <U U™A>Å

 
 <  [ ]=
 
169
 따라서 최댓값 ., 최솟값 N  이므로
 A YU G U EU Y›A YšAY™A에서 

  
 . N  답
Y AAG U EU AUG U EU Y›A YšAY™A   

위의 등식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함수 Z]U]의 그래프는 Z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AAG U EU YG Y YG Y YšA Y™AY
@B"]U] EU BA ]U] EU
∴ AAG U EUYšA Y™AY

위의 식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G Y Y™A Y
171
 Y  ™A
함수 G Y 의 한 부정적분을 ' Y 라 하면 ' Y G Y 이므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최솟값 를 갖는다.

답 
 ' Y ' 
MJN A!AG U EUMJN
YAZ Y YAZ Y
'  G 

III. 적분 45
따라서 G  이므로   B
∴ B 답  03 정적분의 활용
172 [곡선과 좌표축 사이의 넓이]
G U UšAU™A U 이라 하고, G U 의 한 부정적분을 ' U
174
라 하면 Z
⑴ 곡선 ZY™A Y와 Y축의 교
 YšAA 0
MJN Å UšAU™A U  EU 점의 Y좌표를 구하면   Y
YAZ Y

Y™A Y에서
 YšAA
MJN Å G U EU
YAZ Y  Y  Y 
' YšA '  ∴ Y 또는 Y
MJN
YAZ Y
따라서 곡선 ZY™A Y와 
' YšA ' 
MJN < @ Y™A Y  =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ZY™ Y
YAZ YšA
'  G  
@!A Y™AY  EY< YšAY™A Y>@! 

@     답 

⑵ 곡선 ZY™A Y와 Y축의 교점의 Z
ZY™ Y
173 Y좌표를 구하면
G Y @Å U EU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Y™A Y에서
G Y  Y Y Y 
G Y 에서 Y ∴ Y 또는 Y
따라서 곡선 ZY™A Y와 Y축으 0  Y
함수 G Y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Y U  U
G Y     A Y™A Y EY<YšA Y™A> 
G Y ↗ 극대 ↘
⑶ 곡선 ZYšAY™A Y와 Y축의 Z
ZYš Y™ Y
따라서 함수 G Y 는 Y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B
교점의 Y좌표를 구하면
함수 G Y 의 한 부정적분을 ' Y 라 하면 ' Y G Y 이므
YšAY™A Y에서
로 0   Y
Y Y Y 
  ' Y ' 
MJN !AG U EUMJN ∴ Y 또는 Y 또는 Y
YAZ Y YAZ Y
'  G  따라서 곡선 ZYšAY™A Y와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Å U EU<U U™A>@Å

  A YšAY™A Y EY ÅA YšA Y™AY EY

<  [ ]=
  
< Y›AYšA Y™A> < Y›A YšAY™A>Å
답   
 
 
 
⑷ 곡선 ZYšA Y™AY 와 Z
 ZYš Y™ Y 
Y축의 교점의 Y좌표를 구하면
YšA Y™AY 에서
 Y ™A Y 
∴ Y 또는 Y 0   Y
따라서 곡선 ZYšA Y™AY 와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46 정답과 풀이
 ÅA YšA Y™AY  EY 의 넓이가 이므로

   @Å Y™AY EY  B Y™A
< Y›A YšA Y™A Y>Å Y EY
  
 답 ⑴ ⑵ ⑶ ⑷   
  < YšAY™A>@Å < YšA Y™A>B
   
  
 BšA B™A
  
175
즉, BšA B™A이므로
곡선 ZY™A BY와 Y축의 교점의 Y좌표를 구하면
B B™A B  
Y™A BY에서 Y Y B 
이때 B™A  
∴ Y 또는 YB B [B ]A 이므로
 
이때 B이므로 곡선 ZY™A BY는 오 ZY™ BY Z
B 답 
른쪽 그림과 같고, 이 곡선과 Y축으로 둘
0
B Y
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이므로

[두 곡선 사이의 넓이]
@"Y™ABY EY
178
 
< YšA BY™A>@" ⑴ 곡선 ZY™A Y 과 직선 ZY 의 교점의 Y좌표
 
를 구하면 Z ZY 
   
[ BšA BšA] BšA  ZY™ Y 
    Y™A Y Y 에서 
BšA ∴ B 답  Y™A 
Y  Y 

176 ∴ Y 또는 Y 0   Y
곡선 ZY™AY와 Y축의 교점의 Z ZY™AY
따라서 곡선 ZY™A Y 과 직선 ZY 로 둘러싸
Y좌표를 구하면
인 도형의 넓이는
Y™AY에서
 @ÅA\ Y™A Y   Y  ^EY
Y  Y  
 0  Y
∴ Y 또는 Y  @ÅA Y™A  EY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A Y™A  EY
@! Y™AY EY
 
< YšA Y> 
@ÅY™A Y  EY  
⑵ 곡선 ZYšA 과 직선 Z
 
 ZYš 
< YšAY™AY>@! < YšA Y™A Y>@Å ZY 의 교점의 Y좌표
  ZY  
   를 구하면
  답 
   YšA Y 에서
YšAY
177  0  Y

곡선 ZY™A Y Y  Y 
Y와 Y축의 교점의 Y좌표를 구하면
∴ Y 또는 Y 또는 Y
Y™A Y에서 Y Y   ZY™ Y Z
따라서 곡선 ZYšA 과 직선 ZY 로 둘러싸인
∴ Y 또는 Y
도형의 넓이는
이때 B가 자연수이므로 곡선
ZY™A Y와 직선 YB는 오른쪽 @Å\ Y   YšA  ^EY
그림과 같고, 이 곡선과 Y축 및 두 직 
 0 B Y  A\ YšA   Y  ^EY
선 Y, YB로 둘러싸인 도형 YB

III. 적분 47

@ÅYšAY EY  A YšA Y EY < YšA Y™AY>Å

    ⑵ 두 곡선 ZYšA Y, ZY™A Z ZY™ 
< Y›A Y™A>@Å < Y›A Y™A>
   
의 교점의 Y좌표를 구하면
   답 ⑴
 ⑵ 
  YšA YY™A에서 
    
 0  Y
YšA Y™AY
Y  Y  Y  
179
∴ Y 또는 Y 또는
곡선 ZY™A BY와 직선 ZY의 교점의 Y좌표를 구하면  ZYšA Y
Y
Y™A BYY에서
따라서 두 곡선 ZYšA Y, ZY™A로 둘러싸인 도형의
Y™A B Y Z
ZY
넓이는
B
Y[Y ] 
 @! \ Y™A  YšA Y ^EY
ZY™ BY
∴ Y 또는 Y B
 @Å\ YšA Y  Y™A ^EY
이때 B에서 B이므로 0
B

 
@!  YšA Y™AY EY @Å YšAY™A Y  EY
B Y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곡선 ZY™A BY와 직선 ZY로 둘러싸인 도형의 < Y›A YšAY™AY>@!
 
넓이가 이므로  
B  < Y›A YšA Y™A Y>@Å
  
 \ Y™A BY Y^EY
   답 ⑴ ⑵ 
B  
    
 \Y™A B Y^EY
B
B 
<YšA Y™A>

B šA B šA 181

  두 곡선 ZY™AY, Z
ZY™ Y
B Aš  
  ZY™A Y 의 교점의 Y좌
 " 
표를 구하면 
즉, B šAšA에서 B 0   Y
Y™AYY™A Y 에서
∴ B 답  #
Y™AY

 Y  Y 
180 ∴ Y 또는 Y
ZY™ Y 
⑴ 두 곡선 ZY™AY , Z ZY™ Y 
두 곡선 ZY™AY, ZY™A Y  및 Z축으로 둘러싸
ZY™A Y의 교점의 Y좌표
 인 두 도형의 넓이를 위의 그림과 같이 각각 ", #라 하면
를 구하면
"@Å\ Y™A Y   Y™AY ^EY
Y™AY Y™A Y에서
0   Y
Y™AY  ZY™A Y @Å Y™A Y  EY
 Y Y 
 
∴ Y 또는 Y < YšA Y™A Y>@Å
 
따라서 두 곡선 ZY™AY , ZY™A Y로 둘러
#  \ Y™A Y   Y™AY ^EY
싸인 도형의 넓이는

Å \ Y™A Y  Y™AY  ^EY   Y™A Y  EY


Å Y™A Y EY < YšA Y™A Y> 


48 정답과 풀이
이때 4„ƒ4m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곡선 Z Z]Y™ Y]

, ZY™AY와 직선
4„" 4m# 

ZY 으로 둘러싸인 도
∴ 4„ 4m@   답  형의 넓이에서 빗금 친 도형의 

넓이, 즉 곡선 ZY™A Y와 ZY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0  Y


182 이의 배를 뺀 것과 같으므로
G Y YšAY™A Y로 놓으면
@!\ Y   Y™AY ^EY A Y™A Y EY
G Y Y™AY  ∴ G  
곡선 ZG Y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A Y  EY A Y™A Y EY
Z Y ∴ ZY
  
곡선 ZYšAY™A Y와 직선 ZYšAY™A Y < YšA Y™A Y>@!< YšA Y™A> 
Z   
ZY의 교점의 Y좌표를 ZY
   
 0  @  답
구하면 Y
   
 
YšAY™A YY에서
YšAY™AY   184
Y  Y ™A 곡선 ZY Y YB 와 Y축 Z ZY Y YB
∴ Y 또는 Y 의 교점의 Y좌표는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Y 또는 Y 또는 YB
이때 B이므로 곡선 0  B Y
@!\ YšAY™A Y  Y ^EY
ZY Y YB 는 오른쪽
@! YšAY™AY  EY 그림과 같다.
곡선과 Y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A Y™A  EY
 BAY Y YB EY
  
< YšA Y>  답
  
 BA\YšA B  Y™A BY^EY

곡선 ZG Y 위의 점 B, G B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Y›A B  YšA BY™A>B 
 
ZG B G B YB
 
B›A B  BšA BšA, BšA B 
 
∴ B ∵ B 답 

183
Y™AYA Yƒ 또는 Yy 삼차함수 ZG Y 의 그래프가 오 ZG Y
Z]Y™AY]< 4„ >
Y™A Y ƒYƒ 른쪽 그림과 같을 때, 4„4m이면
= 4m Y
Œ Yƒ 또는 Yy일 때 =>이다.

곡선 ZY™AY와 직선 ZY 의 교점의 Y좌표를 구


하면 Y™AYY 에서
Y™AY, Y  Y  185
∴ Y 또는 Y 함수
 ƒYƒ일 때 ZY™ABY
곡선 ZY™A Y와 Y축의 교점의 Y좌표를 구하면  Y B ™A B™A
Y™A Y에서 Y Y  의 그래프의 대칭축은 YB이므로 넓이 "는 직선 YB
∴ Y 또는 Y 에 의하여 이등분된다.

III. 적분 49
이때 "#이므로 오른쪽 YB Z 따라서 곡선 ZY™AY와 직 Z ZY™ Y
그림에서 빗금 친 도형의 넓이는 선 ZNY로 둘러싸인 도형
" 0 ZNY
#와 같다. 즉, B Y
의 넓이는 오른쪽 그림의 색
#
칠한 도형의 넓이의 배이므 Y
@" Y™ABY EY 0  N 

 
< YšABY™AY>@" N 
 ZY™ BY
 \NY Y™AY ^EY

 BšA BšAB
  A Y™A Y EY
B B  B  N 
 \Y™A N  Y^EY A Y™A Y EY
∴ B ∵ B 답 
 N  N   
< YšA Y™A> < YšA Y™A>
   
186
    
곡선 ZY™A Y와 직선 ZNY의 교점의 Y좌표를 구하  N  šA N  šA , N  šA
    
면 Y™A YNY에서 ∴ N  šA 답 
Y™A N Y, Y\Y N ^

∴ Y 또는 Y N 188



함수 G Y uY의 역함수가 H Y 이므로 두 곡선 ZG Y ,
곡선 ZY™A Y와 Y축의 교점의 Y좌표를 구하면
ZH Y 는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다. 즉, 다음 [그림 ]
Y™A Y에서 Y Y 
에서 색칠한 도형의 넓이 #와 빗금 친 도형의 넓이 $가 서로
∴ Y 또는 Y
같다.
따라서 곡선 ZY™A Y와 Y축으 Z
ZY™ Y
Z ZH Y Z ZH Y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오른쪽 그 ZNY
ZY

림의 색칠한 도형의 넓이의 배이므
로 ZG Y ZG Y
 
$ $
 A Y™A Y EY  
"
#
N Y Y
 0 N  Y 0    0  
 \ Y™A Y NY^EY 
[그림A] [그림A]

 A Y™A Y EY 따라서 [그림 ]에서


N
 !AG Y EY !AH Y EY" $
 \Y™A N Y^EY
N @@ 답 
N 
<YšA Y™A> <YšA Y™A>

N šA N Aš  N šA 함수 ZG Y 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ZG  Y 의 그래프는
< =,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며, 함수 G Y 가 증가하는 함수일
∴ N šA 답  때 두 그래프의 교점은 모두 직선 ZY 위에 있다.

187
곡선 ZY™AY와 직선 ZNY의 교점의 Y좌표를 구하면 189
Y™AYNY에서 Y™A N  Y, Y\Y N  ^ 곡선 ZYšAY™A Y와 직선 ZY의 Z ZG Y ZY
∴ Y 또는 YN  교점의 Y좌표를 구하면  ZH Y
곡선 ZY™AY와 Y축의 교점의 Y좌표를 구하면 YšAY™A YY에서
Y™AY에서 Y Y  YšAY™A, Y™A Y 
0  Y
∴ Y 또는 Y ∴ Y 또는 Y

50 정답과 풀이
이때 두 곡선 ZG Y , ZH Y 는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 ∴ UA ∵ U
이므로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빗금 친 도형의 따라서 점 1가 원점에 도착할 때까지 걸린 시간은 초이다.
넓이의 배와 같다. 답 초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A\Y YšAY™A Y ^EY A YšA Y™A EY 192


열차가 정지할 때의 속도는 NT이므로
 
< Y›A YšA>   W U U ∴ U
 
따라서 열차는 제동을 건 지 초 후에 정지하므로 정지할 때까
 
 답
  지 움직인 거리는

 A]U]EU A U EU


<U U™A>  

 
 N 답 N
 
[속도와 거리]
190 193
⑴ 점 1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는 이므로 물체를 쏘아올린 후 U초가 지났을 때 지면으로부터의 물체의
U™AU 에서  U U  높이를 Y U N라 하자.
∴ U 또는 U ⑴ U일 때, 지면으로부터의 물체의 높이는
즉, 점 1가 출발한 지 초 후에 두 번째로 운동 방향을 바꾸
Y    A U  EU
므로 이때의 점 1의 위치는

 A U™AU  EU<UšAU™A U>   <U™A U>

⑵ 시각 U에서 U까지 점 1가 움직 Z Z]W U ]   N


인 거리는 ⑵ 물체가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의 속도는 NT이므로

W U U 에서 U
  A]U™AU ]EU
따라서 U일 때 최고 높이에 도달하게 되고, 이때의 지면
 A U™AU  EU 0  
으로부터의 물체의 높이는
U

Y    A U  EU


ÅA U™A U EU
 <U™A U> 
<UšAU™A U> <UšA U™AU>Å
  N
   답 ⑴  ⑵ 
⑶ U에서 U까지 물체가 움직 W U
 W U ]U ]
인 거리는

A]U ]EU
191
시각 U에서의 점 1의 위치를 Y U 라 하면
A U  EU
0   U
Y U   U U EU
?A U EU
 <U™AU>U
<U™A U> <U™AU>?
U™AU
  N
점 1가 원점에 도착할 때의 위치는 이므로
답 ⑴ N ⑵ 초, N ⑶ N
Y U U™AU, U  U 

III. 적분 51
194
점 1의 속도 W U 를 구하면
 UA ƒUƒ
U A ƒUƒ
 
W U 9  U ƒUƒ
 
U U A ƒUƒ
 A ƒUƒ
⑴ 시각 U에서의 점 1의 위치를 Y라 하면
 
Y AUEU ÅAEU A[ U ]EU
 

A U  EU  A A  EU

 
<U™A> <U>Å < U™A U>
 

< U™A U> <U> A

     
⑵ 점 1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는 이므로 운동 방향
을 바꾸는 시각은
U
따라서 운동 방향을 바꾼 이후 움직인 거리는

A]U ]EU  A A]]EUA U EU  A A EU


< U™AU> <U> A

 
답 ⑴ ⑵
[다른 풀이]
다음 그림과 같이 4„, 4m, 4f, 4e, 4s라 하고, 넓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W U


4„ 4m 4f  
0    4e 4s U


4„, 4m4f, 4e, 4s이므로

⑴  A AW U EU4„ 4m 4f4e4s

  

⑵ A A]W U ]EU4e 4s 

52 정답과 풀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