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2

청산별곡 68문제 및 정답 2.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조선 시대의 궁중 음악에서 배제되었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② 화자는 현실 도피적 공간을 지향하고 있다.
③ 분절체의 구성으로 분절 뒤에 후렴구가 따른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④ 구전되다가 조선 시대에 와서 문자로 정착되었다.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⑤ 후렴구의 율동감은 화자의 정서적 지향과 상반된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3.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① 후렴구의 반복으로 경쾌한 느낌을 자아낸다.
② 고려 시대 서민들에 의해 노래로 불려진 시가에 해당한다.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③ 특정 음운과 동일 통사 구조의 반복으로 음악성을 드러낸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④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다가 조선조에 와서 문자로 정착되었
다.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⑤ 삶의 비애를 극복하려는 시적 화자의 의지가 강하게 드러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난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4. 이 노래가 오늘날에도 감동을 주는 이유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① 운율의 전통이 오늘날에도 계승되고 있어서
② 인간은 누구나 자연과 더불어 살고자 하니까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③ 삶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드러내고 있어서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래 살어리랏다.
④ 모든 인간은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니까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⑤ 인간의 삶 속에는 언제나 고통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5. 이 작품에 나타난 시적 화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것은?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① 개인적인 희생을 통해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고자 한다.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내 엇디 리잇고.
② 강인한 의지를 가지고 불의한 현실에 맞서 싸우고자 한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③ 현실에서 오는 고통을 아파하며 이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
④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고 낙천적으로 현실을 수용하고 있
다.
1.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⑤ 모든 불행을 자신의 탓으로 여기며 참회와 성찰을 하고 있
다.
① 오랫동안 구비 전승되다가 조선조에 문자로 정착되었다.
② 내우외환 등의 부정적인 삶의 현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③ 율격적 요소를 많이 지닌 것으로 보아 노래로 불려졌음을 6. 이 노래의 시적 화자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알 수 있다.
④ 서민들의 실생활과 연관된 소재가 많아 평민들의 노래라고 ① 삶의 비애와 고독에 잠을 못 이루고 있다.
볼 수 있다. ② 비애의 상황을 운명의 탓으로 여기고 있다.
⑤ 계절의 변화와 이에 따른 자연 경관의 변화가 시상 전개의 ③ 술로써 고뇌를 일시적으로 잊으려 하고 있다.
중요한 축(軸)이 되고 있다. ④ 고독한 자신의 처지를 남에게 하소연하고 있다.
⑤ 현실 도피의 공간으로서 바다를 상정하고 있다.

- 1 -
⑤ 정신적으로 흠모하고 염원하는 대상

7.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3. 3연을 다음 <보기>와 같이 해석할 때, 이 시의 시적 화자
① 화자는 삶의 고독과 비애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로 알맞은 것은?
② 3․3․2조의 3음보의 율격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보 기>
③ 안분지족(安分知足)의 태도를 잘 보여 주고 있다.
④ 화자의 위치에 따라 노래의 해석이 달라지게 된다.
⑤ 작품 전체로 보면 ‘청산-바다’의 대칭 형태를 띤다. ‘가던’은 ‘(밭을) 갈던’에서 ㄹ이 탈락된 형태이고, ‘새’는
‘사래’에서 ㄹ이 탈락되고 축약된 형태로 보는 것이다. 여
기서 ‘사래’는 밭이랑을 뜻한다. 따라서, 제 3연의 해석은
‘갈던 밭을 본다. 녹슨 연장을 가지고 갈던 밭을 본다.’로
8. 이 노래의 주된 정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풀이할 수 있다.

① 삶의 비애와 좌절 ② 삶에 대한 강한 의지
③ 과거에 대한 강한 집착 ④ 속세와의 완전한 절연(絶緣) ① 유랑하는 농민 ② 고뇌하는 지식인
⑤ 내세(來世)에 대한 지향 의식 ③ 실연당한 여인 ④ 민심을 잃은 군주
⑤ 유유자적하는 선비

9. 1연 1행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의


반복 구조와 다른 것은? 14. 이 글의 밑줄 친 다음 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가시리 가시리잇고 리고 가시리잇고
② 형님 오네 형님 오네 분고개로 형님 오네 ① ‘잉 무든 장글’ : 속세에 대한 미련을 함축하고 있다.
③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② ‘바므란’ : 외롭고 절망적인 삶의 상황을 상징한다.
④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 ③ ‘돌코’ : 시적 화자에게 운명적으로 가해지는 고통과 시련
아라. 을 뜻한다.
⑤ 저 산에도 까마귀, 들에도 까마귀, 서산에는 해 진다고 지 ④ ‘금(奚琴) : 다른 사람에게 시적 화자의 심정을 전달하는
저귑니다. 매개체이다.
⑤ ‘강수를’ : 현실의 고통을 잊기 위한 수단이다.

10. 1연의 ‘쳥산(靑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5. 이 노래에 쓰인 어휘의 풀이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현실 도피처 ② 소망의 대상 ③ 영원한 안식처
④ 비세속적인 세계 ⑤ 피안(彼岸)의 세계 ① 널라와 : 너보다 ② 이링공 뎌링공 : 이럭저럭
③ 믜리도 : 미워할 이도 ④ 혀거를 : 타는 것을
⑤ 와 : 미워서
11. 3연에 나타난 ‘나’와 ‘새’의 관계를 표현한 말로 적절한
것은?
16. 8연의 ‘강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오월동주(吳越同舟) ② 동병상련(同病相憐)
③ 경이원지(敬而遠之) ④ 물아일체(物我一體) ① 시적 화자의 눈물을 자아내게 한다.
⑤ 주객전도(主客顚倒) ② 시적 화자의 과거를 되돌아보게 한다.
③ 시적 화자로 하여금 삶의 희망을 갖게 한다.
12. 이 작품을 ‘유랑민의 노래’로 볼 때, 밑줄 친 ‘멀위랑 
④ 시적 화자의 현실적 삶의 고뇌를 해소시킨다.
래’의 이미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⑤ 시적 화자의 자연에의 귀의를 가능하게 한다.

① 목숨을 이어 가기 위한 수단
② 낭만과 풍류를 위한 심미적 대상
③ 부정적 현실에 대한 인식의 계기
④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게 되는 단서

- 2 -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17. 8연의 ‘내 엇디 리잇고’에 담긴 화자의 태도는?

(아)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① 체념(諦念) ② 원망(怨望) ③ 확신(確信)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내 엇디 리잇고.
④ 욕구(欲求) ⑤ 분노(憤怒)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18. 다음 <보기>와 유사한 정서가 드러나는 연은? 20.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 기> ① 구전되다가 조선 시대에 정착되었다.


② 상황적 역설로써 현실 도피적 공간을 지향하고 있다.
펄펄 나는 꾀꼬리는 / 암수 서로 즐거운데 ③ 여음의 율동감은 서정적 자아의 정서적 지향과 상반된다.
외로운 이 내 몸은 / 누구와 함께 돌아갈꼬. ④ 당대 평민들의 삶의 허무와 무상감을 잘 드러내고 있다.
⑤ 전체를 ‘청산의 노래’와 ‘바다의 노래’로 대응시킬 수 있다.

① 1연 ② 2연 ③ 4연 ④ 7연 ⑤ 8연
21. 이 작품이 오늘날 우리에게도 공감을 주는 이유를 가장
잘 말한 것은?
19. 이 시에서 시적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을 찾아 쓰시
오. ① 전통 시가의 운율이 오늘날에도 계승되고 있어 친숙
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② 삶에 대한 적극적 의지를 드러낸 작품은 시대를 초
월하고 감동을 주기 때문에
※ 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③ 현실의 고통을 벗어난 이상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은
인간의 보편적인 욕망이므로
(가)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④ 자연을 사랑하고 동경하는 마음은 인간의 본연적 향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수와도 같은 것이므로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⑤ 인간의 삶 속에는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언제나
고통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나)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22. (다)~(사)의 지배적 정서를 잘못 말한 것은?

(다)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① (다) : 미련 ② (라) : 절망 ③ (마) : 분노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④ (바) : 동경 ⑤ (사) : 고독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23. (가)~(다)와 운율 구조가 다른 하나는?


(라)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① 가시리 가시리잇고 리고 가시리잇고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② 형님 오네 형님 오네 분고개로 형님 오네
③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마)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피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④ 저 산에도 까마귀, 들에도 까마귀, 서산에는 해 진
다고 지저귑니다.
(바)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⑤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래 살어리랏다. 해야 솟아라.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사)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 3 -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내 엇디 리잇고.
24. (나)에 드러난 서정적 자아와 대상 사이의 관계를 바르게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표현한 것은?
① 부창부수(夫唱婦隨) ② 오월동주(吳越同舟)
③ 동병상련(同病相憐) ④ 동상이몽(同床異夢) 26.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⑤ 역지사지(易地思之)
① 상황의 역설을 통해 감정의 질서화를 추구하였다.
② 후렴구의 음성 상징적 효과가 시가의 정서적 지향과
25. 다음 <보기>의 에 들어갈 말이 아닌 것은?
상반된다.
<보기>
③ 현실적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이상향을 그리는 이의
심정을 노래하였다.
‘살어리랏다’를 ‘살리라’로 해석하면, 의 태도를 ④ 서정적 자아를 누구로 보든 삶의 고뇌와 비애를 노
나타낸 것이고, ‘살아야 했을 것을’로 해석하면 래한 작품으로 해석된다.
의 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우러라’을 ‘울어라’라는 ⑤ 각 연들이 그것과 동떨어진 특정한 연들과 뚜렷한
명령형으로 보면 의 의미를 갖지만, ‘우는구나’로 대응 관계를 맺고 있다.
보면 의 의미가 된다.

27. 이 노래와 쌍벽을 이루는 고려 가요로, 대동강을 배경으


① 체념 ② 후회 ③ 소망 ④ 호소 ⑤ 공감
로 하여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작품의 제목을 쓰라.

※ 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8. 다른 고려 가요와 달리 이 노래는 개인이 창작한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그 근거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① 사실적 배경 ② 세련된 기교 ③ 유려한 운율
④ 보편적 정서 ⑤ 현실적 주제
(나)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29. 이 노래에서 의미상 조응 관계에 있는 구성 요소를 잘못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짝지은 것은?

(다)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① 청산 - 바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② 머루, 다래 - 나문재, 굴조개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③ 자고 니러 울다 - 돌에 맞아 울다
④ 물 아래 가던 새 - 해금을 켜는 사슴
(라)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⑤ 동경 - 체념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30. ⓐ~ⓔ 중 <보기>의 밑줄 친 ‘해원’과 그 이미지가 가장
(마)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가까운 시어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보기>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바)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저 푸른 해원(海原)을 향하여 흔드는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래 살어리랏다.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순정(純情)은 물결같이 바람에 나부끼고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 끝에
(사)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애수(哀愁)는 백로처럼 날개를 펴다.
사미 대예 올라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아아, 누구던가.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을
맨 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아) 가디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 4 -
⑤ 영원한 생명의 근원
① ⓐ ② ⓑ ③ ⓒ ④ ⓓ ⑤ ⓔ

34. 2연의 ‘새’를 시적 자아의 분신으로 본다면, 2연의 시적


31. ㉠의 두 가지 의미를 밝히고, 그렇게 해석할 경우 (다)의 자아의 정서와 관련된 한자 성어를 쓰라.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쓰라.

35. 이 노래의 시적 자아를 거듭되는 전란으로 삶의 터전을


32. ㉡의 객체를 ‘나’로 볼 경우와 ‘임’으로 볼 경우에 서정적 잃고 방랑하는 유랑민으로 본다면, 밑줄 친 ‘잉무든 장글’의
자아의 위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쓰라. 의미는 무엇인지 쓰라.

36. 속세에 대한 미련으로 번민하는 시적 자아의 모습이 잘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드러난 시행을 찾아 쓰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37.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① 자연 친화적 풍류를 엿볼 수 있다.
② 여음이 있어 율동감을 느낄 수 있다.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③ 조선 시대에는 궁중에서도 불리어졌다.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④ 고려 시대 평민들이 향유했던 노래이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⑤ 당대인들의 현실 도피적 인생관이 잘 드러나 있다.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38. 밑줄 친 ‘마자셔 우니노라’와 유사한 심적 정황을 드러내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는 속담은?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① 어린 아이 우물가에 둔 것 같다.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② 오뉴월 겻불도 쬐다 나면 섭섭하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③ 팔자는 독에 들어가서도 못 피한다.
④ 저 먹자니 싫고, 남 주자니 아깝다.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⑤ 물오리가 물에 빠져 죽을까봐 걱정한다.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39. 밑줄 친 ‘자기 구조개’의 함축적 의미는?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① 속세에 대한 미련 ② 자연 친화적 태도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래 살어리랏다.
③ 욕심없고 소박한 삶 ④ 자신의 존재 의미 확인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⑤ 현실 사회에 대한 비판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40. 앞에 나오는 ‘청산’과 비교하여 6연의 ‘바’의 의미를 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명하라.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내 엇디 리잇고. 41. 7연의 ‘사미’를 자연 동물로 이해한다면 7연의 의미로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적절한 것은?

① 높은 정신적 경지를 흠모함.


② 기적이 일어나기를 소망함.
33. 밑줄 친 ‘청산’의 함축적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③ 마음것 풍류 생활을 즐김.
① 지향하는 이상향 ② 현실적 삶의 터전
④ 연군(戀君)의 정을 표출함.
③ 자아 인식의 도구 ④ 소박한 풍류의 세계
⑤ 평화와 안식을 추구함.

- 5 -
42. 7연의 ‘사미’를 ‘사슴 분장을 한 광대’로 풀이한다면,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에졍지’의 함축적 의미는 무엇인지 쓰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43. 8연에서 밑줄 친 ‘잡와니’의 객체를 ‘나’라고 본다면,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밑줄 친 ‘엇디리잇고’에 나타난 시적 자아의 태도는?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① 의구(疑懼) ② 비탄(悲嘆) ③ 호소(呼訴)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④ 변명(辨明) ⑤ 분노(憤怒)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44. 이 노래에서 시적 자아가 고뇌 해소의 수단으로 궁극적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로 선택한 것은?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① 에졍지 ② 사 ③ 대
④ 금 ⑤ 강술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45. 이 시의 시적 자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① 개인보다는 대사회적 인식이 더욱 강하다.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② 자신의 행동에 대해 강한 확신을 갖고 있다.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③ 괴로움과 비애뿐인 현실로부터 벗어나려 한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④ 삶은 비극적이고 가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⑤ 밝은 미래가 도래할 것이라는 소망을 가지고 있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래 살어리랏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46. 이 시에서 청산에 대한 서정적 자아의 태도를 한 낱말로
간추릴 때 가장 적절한 것은?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① 귀의(歸依) ② 도피(逃避) ③ 동화(同化)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④ 교감(交感) ⑤ 관조(觀照)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내 엇디 리잇고.
47. 4연에 나타난 화자의 처지에 가장 적절한 말은?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① 고립무원(孤立無援) ② 사고무친(四顧無親)
③ 사면초가(四面楚歌) ④ 오상고절(傲霜高節)
⑤ 진퇴양난(進退兩難) 50. 이 글의 서정적 자아가 삶에 대해 가지는 태도로 적절하
지 않은 것은?

① 현실 극복의 의지가 없이 기적을 바라고 있다.


48. 청산별곡에는 후대 국문학의 주요한 내용들을 찾아볼 수
② 현실의 고통에서 도피하여 이상을 추구하고 있다.
있다. 다음 중 여기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③ 삶의 고통을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체념하고 있다.
④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① 자연애(自然愛) ② 현실 도피 사상
⑤ 이웃과 따뜻한 정을 나눌 수 있는 삶을 원하고 있다.
③ 은둔(隱遁) 사상 ④ 취락(醉樂) 사상
⑤ 안분지족(安分知足)의 태도

49. 낙천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연은?

① 5연 ② 6연 ③ 7연 ④ 8연 ⑤ 7, 8연

- 6 -
51. 다음 밑줄 그은 말 중 ‘청산’과 ‘바다’가 갖는 함축적 의 55. 이 시에서 경쾌한 느낌의 음악적 효과를 낳는 언어적인
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 특성을 두 가지 쓰시오.

① 나의 지식이 독한 회의를 구하지 못하고


내 또한 삶의 애증을 다 짐지지 못하여 56. 이 시를 ‘유랑하는 농민의 비탄의 노래’로 이해하는 데 가
병든 나무처럼 생명이 부대낄 때 장 직접적인 근거가 되는 행을 찾아 현대어로 풀어 쓰시오.
저 머나먼 아라비아의 사막으로 나는 가자.
②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내리쟎는 그 때에도
57. 이 시에서 서정적 자아와 동병상련(同病相憐)의 처지에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있는 소재를 쓰시오.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③ ‘마돈나’, 언젠들 안 갈 수 있으랴, 갈 테면, 우리가 가자,
끄을려 가지 말고!
너는 내 말을 믿는 ‘마리아’ - 내 침실이 부활(復活)의 동 58. 이 시에서 느낄 수 있는 음악적 효과를 설명한 것 가운데
굴(洞窟)임을 네야 알련만 옳지 않은 것은?

④ 성북동 산에 번지가 새로 생기면서 ① ‘ㄹ’이나, ‘ㅇ’ 같은 유성음의 효과가 두드러진다.


본래 살던 성북동 비둘기만이 번지가 없어졌다. ② ‘랑’, ‘란’ 같은 열거의 뜻을 지닌 접속 조사의 반복도 음악
새벽부터 돌 깨는 산울림에 떨다가 적 효과에 기여하고 있다.
가슴에 금이 갔다. ③ 음악적 효과는 낭독이라는 고려 속요의 음악적 특성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⑤ 해야, 고운 해야, 늬가 오면, 늬가사 오면, 나는 나는 청 ④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라는 여음구는 이 노래 전체
산이 좋아라. 훨훨훨 깃을 치는 청산이 좋아라, 청산이 있 를 하나로 묶어 주면서 동시에 음악적 효과에 기여하고 있
으면 홀로라도 좋아라. 다.
⑤ 반복을 통하여 음악적 효과를 확대하고 있으며, 개별적으로
보이는 상황들이 하나의 분위기 속에 휩싸이면서 일관성을
52. 이 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획득하고 있다.

① 3․3․2를 기본 자수율로 한 3음보 율격을 취하고 있다.


② 서정적 자아의 체념적 어조가 주조를 이루고 있다. 59. 다음 밑줄 친 시어와 같은 시적 의미를 지니는 것은?
③ 유음(流音)과 비음(鼻音)의 적절한 사용으로 음악성을 살렸
다.
④ ‘청산’은 보편적 진리의 표상이다.
⑤ 현실 도피적 인생관이 잘 나타나 있다. 산호도 섬도 없는 저 하늘로 나를 밀어 올려 다오.
채색한 구름같이 나를 밀어 올려 다오.
이 울렁이는 가슴을 밀어 올려 다오.
53. 이 시에서 삶의 비애를 운명의 탓으로 돌리는 사고 방식
이 가장 두드러진 연은?
① 쳥산 ② 멀위 ③ 래 ④새 ⑤믈

54. ‘살어리 살어리랏다, 靑山(청산)에 살어리랏다.’와 의미 구


조의 측면에서 가장 유사한 것은?

① 가시리 가시리잇고 리고 가시리잇고


② 괴시란 아즐가 괴시란 우러곰 좃니노이다
③ 情(정) 둔 오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④ 가숭아 밝가숭아 져리 가면 죽니라
⑤ 녯 사 풍류 미가  미가

- 7 -
하시오.
60. 다음 해설의 밑줄 친 부분이 가리키는 시어를 본문에서
찾아 쓰시오.

밀리고 흐르는 게, 밤뿐이요.


흘러도 흘러도 검은 밤뿐이로다.
이 노래는, 인위적인 요소가 가해지는 쌀이나 보리와는 내 마음 둘 곳은 어느 밤 하늘 뿐이더뇨.
대립되는 이미지를 가진 이러한 시어들로 인해, 민중들의
괴로운 삶, 특히 유랑민의 처지를 나타내는 민요라는 평가 66. ‘돌’의 내포적 의미를 바르게 말한 것은?
를 받고 있다.
① 초월적 이상 ② 인간의 운명 ③ 세속적 욕망
④ 자아의 각성 ⑤ 권력자의 횡포

61. ‘얄리 얄리 얄량셩 얄라리 얄라’와 관계 없는 것은?

① 경쾌한 음악적 효과 ② 흥청거림의 이미지 67.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와 같은 율격 구


③ 후렴구 또는 조흥구 ④ 고려 속요의 형태상 특질 조를 보이는 표현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⑤ 생의 달관적 자세 반영
① 접동 접동 아우래비 접동
② 가시리 가시리잇고 리고 가시리잇고
③ 포롱 포롱 포롱 튀는 천상의 악기들
62. 4연의 ‘ 엇디 호리라’에서 느껴지는 서정적 자아의 정
④ 꿈이로다 꿈이로다. 모두가 꿈이로다
서는?
⑤ 형님 오네 형님 오네, 분고개로 형님 오네

① 초조와 갈망 ② 체념과 한탄 ③ 원망과 애원


④ 분노와 경악 ⑤ 동정과 연민
68. 다음 중, 절망적인 현실 속에서 일시적인 마음의 위안을
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소재는?

63. 다음 중, 밑줄 친 시어와 같이 서정적 자아와의 거리가 ① ‘돌’ ② ‘바’ ③ 사 ④ 금 ⑤ 강술


가장 가까운 것은?

조국을 언제 떠났노.
파초의 꿈은 가련(可憐)하다. //
남국을 향한 불타는 향수
너의 넋은 수녀보다도 외롭구나!

① ‘쳥산(靑山)’ ② ‘멀위랑 래랑’ ③ ‘새’


④ ‘믈’ ⑤ ‘바르란’

64. 이 노래를 개인의 창작 가요로 볼 수 있는 결정적 근거가


되는 것은?

① 구성의 치밀성 ② 소재의 다양성 ③ 율격의 전통성


④ 세련된 언어미 ⑤ 고도의 상징성

65. 현실에 대한 인식과 대응이 다음 시와 유사한 연을 지적

- 8 -
청산별곡 68문제 정답 10. ③ ‘청산’은 현실의 도피처이자 현실에서 누릴 수 없는
삶을 지속할 공간, 즉 이상향(理想鄕)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
1. ⑤ 이 작품에서 ‘청산’이나 ‘바다’는 단순한 자연 공간이 다. 하지만 그곳에서 영원히 살 수는 없어서 ‘바’이라는 새
아니라 속세와 대립되는 공간으로, 현실의 괴로움에서 벗어 로운 세계를 모색하고 있다.
나기 위해 모색한 새로운 세계이다. 따라서, ‘청산’이나 ‘바 11. ② 깊은 시름에 빠져 있는 시적 화자는, 날마다 우는
다’가 나온다고 해서 이 작품이 계절의 변화라든가 이에 따
산새를 보며 자신과 산새의 처지가 같다고 여기고 있다. 그
른 자연 경관의 변화를 노래하고 있다고 보아서는 안 된다.
러므로 같은 병을 앓고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이 작품은 ‘청산의 노래’와 ‘바다의 노래’의 대칭적 구도로 뜻인 ‘동병상련(同病相憐)’이 적절하다. ① 서로 적의를 품은
이루어진 것으로 볼 때는, 공간적인 이미지의 대응이 중요한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나 서로 협력하여야 하는 상
시상 전개의 축이 되며, 기승전결의 단계식 구성으로 이루어
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③ 공경하되 가까이하지는 않음.
진 것으로 볼 때에는 ‘청산’에서 ‘바다’로의 공간 이동이 중 ④ 외물(外物)과 자아, 객관과 주관, 또는 물질계와 정신계가
요한 시상 전개의 축이 된다.
어울려 하나가 됨. ⑤ 주인과 손의 위치가 서로 뒤바뀐다는
2. ① 이 작품은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실려 전하고 있다. 뜻으로, 사물의 경중(輕重), 선후(先後), 완급(緩急) 따위가
서로 뒤바뀜을 이르는 말.
3. ⑤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현실의 괴로움을 개혁하거나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고 현실의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12. ① 이 노래를 유랑민의 노래로 본다는 것은, 시적 화자
있는 새로운 세계인 ‘청산’과 ‘바다’를 꿈꾸는 소극적인 모습 가 ‘청산’을 진정으로 마음이 내켜서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을 보이고 있다. 현실이 더 이상 삶의 터전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삶의 도피
처로서 ‘청산’을 찾아간다고 해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먹고
4. ④ 이 작품의 주제는 ‘고독과 비애에서 벗어나고 싶은 사는 문제가 시급한 유랑민들에게 ‘머루나 다래’ 등의 열매
욕구’로 볼 수 있다. 가 낭만적인 소재가 될 수는 없다. 오히려 목숨을 이어 가는
하나의 수단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5. ③ 시적 화자는 청산에 들어가 살고자 하나 산 속에서도
시름과 고독만을 만나게 되어 바다를 찾아가지만 그 곳에서 13. ① ‘갈던 밭을 본다. 녹슨 연장을 가지고 갈던 밭을 본
도 절망을 느껴 결국은 어느 마을에서 주저앉아 술에 취하게 다.’로 해석할 때, 그러한 모습을 보고 있는 사람, 즉 삶의
된다. 이러한 시상 전개를 고려해 볼 때, 시적 화자는 현실 터전을 잃고 떠돌아 다니는 유랑민으로 볼 수 있다.
의 고통에서 벗어나 정착할 수 있는 곳을 찾아 이리저리 헤
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현실의 괴 14. ④ 사슴이 해금을 연주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로 해석하
로움을 개혁하거나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고 현실의 괴 더라도, ‘해금’을 시적 화자가 연주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세계인 ‘청산’과 ‘바다’를 ‘해금’을 시적 화자의 정서를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 보는
꿈꾸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므로, ①과 ②는 답이 것은 적절하지 않다.
될 수 없다. 또한, 이 작품 어디에서도 시적 화자가 현실의 15. ⑤ ‘와’는 ‘매워’의 의미이다.
고통을 자신의 탓으로 여겨 참회하는 모습은 찾아 볼 수 없
다. 특히, 5연의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에 16. ④ 술은 시적 화자를 취하게 하여 현실에서 잠시 벗어
서 드러나듯, 시적 화자는 자신의 고통을 숙명으로 여기고 나게 한다.
있으므로 ⑤도 답으로 적절하지 않다.
17. ①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상황에 처한 괴로움을 술
6. ④ ① 2연, ② 5연, ③ 8연, ⑤ 6연에서 찾을 수 있다. 로 달랠 수밖에 없다는 내용으로, 이 노래의 결연이다.

7. ③ 화자는 현실에 만족할 수 없어서 ‘청산’과 ‘바’을 18. ③ <보기>는 고구려 유리왕의 ‘황조가’로 시적 화자의
지향하고 있다. ‘안분지족(安分知足)’은 ‘편안한 마음으로 제 고독감(외로움)의 정서를 노래하고 있다.
분수를 지키며 만족함을 알다.’의 뜻이다.
19. 새 2연에서 시적 화자는 자신의 괴로운 심정을 ‘새’에
8. ① 시적 화자는 자신의 삶을 비애와 고독의 연속으로 파 의탁하여 표현하고 있다.
악하고 있고, 그것을 자신의 운명으로 인식하고 있어 이로부
터의 탈출을 모색하나, ‘청산’과 ‘바다’로 이 같은 욕구를 해
20. ③ 여음의 밝고 명랑하고 힘찬 느낌은, 삶의 고뇌
소시켜 주지 못한다. 이 노래는 이러한 시적 화자의 내적 갈
와 갈등을 노래를 통해 해소하려는 서정적 자아
등을 문학을 통해 질서화하고 승화시킨 것이다.
의 정서적 지향과 일치한다.
9. ⑤ 전체 네 마디 중에서 같은 뜻의 말이 세 차례 반복되 21. ③ 인간은 누구나 욕망을 지니고 살아간다. 그러
고, 셋째 마디에는 다른 말이 오는 구조, 즉 ‘aaba’구조이다. 나 그 욕망은 충족되기 어렵기 때문에 체념하기
⑤는 ‘aabc’에 가까운 구조이다. 도 하고 술로 달래 보기도 하는 것이다. 이와 같

- 9 -
이 삶의 갈등으로 인한 고통스러운 현실을 벗어 실과 대립되는 공간인 ‘청산’과 ‘바다’를 설정하
나 평화와 안정을 누리고 싶어하는 마음은 누구 여 그 곳을 동경, 지향함으로써 현실의 문제를
에게나 보편적이므로 정서적 공감을 느끼게 되는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문학적 문제 해결
것이다. 방식(감정의 질서화)을 상황의 역설이라고 한다.
이 시는 서정적 자아를 누구로 보느냐에 따라 주
22. ③ (마)의 지배적 정서는 우는 것이 운명이라는 제가 조금씩 달라지지만 결국 삶의 비애와 고뇌
체념으로 볼 수 있다. 를 노래한 작품으로 해석된다.
23. ④ (가)~(다)의 1행과 2행은, 전체 네 마디 중에 27. 서경별곡 <서경별곡>은 서경을 중심으로 서민층
서 같은 뜻의 말이 세 차례 반복되고, 네 마디 에 널리 불리다가 궁정의 음악으로 채택된, 이별
가운데 셋째 마디는 다른 말이 오는, 이른바 의 정한을 노래한 작품이다. <청산별곡>과 함께
aabb형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런 반복은 민요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이
의 기본적 율격으로 우리 전통 가요에서 자주 보 한 것은 상당히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여성이
인다. 서정적 자아로 등장하는 점과 제2연이 <정석가>
24. ③ 새는 서정적 자아의 감정이 의탁된 분신이자 의 제6연과 동일하다는 점이다.
화자를 위로해 주는, 같은 처지에 있는 대상이 28. ② 고려 가요는 대체로 민중의 공동작으로 구비
다. ① 남편이 주장하고 아내가 이에 따름. [부 전승되는 민요의 성격을 지닌다. 그렇기 때문에
부의 화합하는 도리를 뜻하는 말.] ② 서로 적 그 형태가 단순하고, 표현 기교도 소박하다(구비
의(敵意)를 품은 사람끼리 한자리나 같은 처지에 전승되기 위해서는 이처럼 단순한 형태와 소박한
있게 된 경우, 또는 서로 미워하면서도 공통의 표현 기교가 유리하다.). 그런데 <청산별곡>은
어려움이나 이해에 대해서는 협력하는 경우를 비 그 표현에 고도의 비유와 상징이 사용되어 있어
유하는 말. [‘손자(孫子)’의 ‘구지편(九地篇)’에 문학성이 뛰어난 어느 개인이 창작한 것이 아닌
나오는 말로, 원수 사이인 오나라 군사와 월나라 가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군사가 같은 배를 타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유래 29. ⑤ ‘체념’과 조응을 이루는 구성 요소는 ‘고독’이
함.] ③ [같은 병의 환자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 다.
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동정 30. ① <보기>는 유치환의 <깃발>로, 이 시에서 ‘해
하고 도움 ④ [같은 잠자리에서 다른 꿈을 꾼다 원’은 ‘깃발’이 동경하고 지향하는 이상 세계를
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은 행동을 하면서도 속으 표상하는 시어이다. 그런데 ‘깃발’에는 서정적 자
로는 각각 딴생각을 함을 이르는 말. ⑤ 처지를 아의 마음이 투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결
바꾸어 생각함. 상대편의 처지에서 생각해 봄. 국 ‘해원’은 서정적 자아가 동경하고 지향하는
25. ① ‘살어리랏다’를 ‘살리라’라고 해석하면, 이는 이상 세계라고 할 수 있다. <청산별곡>에서 이러
소망과 의지의 표현이다. 한편 ‘살아야 했을 것 한 이미지를 지닌 시어는 ‘쳥산’과 ‘바’이다.
을’이라고 해석하면 현재 화자가 처해 있는 상황 31. ‘가던 새’는 ‘날아가던 새’와 ‘갈던 사래’의 두 가지
과 일치하지 않는 데서 오는 후회로 볼 수 있다. 로 해석된다. 전자로 해석할 경우에는 ㈐가 ‘떠
‘우러라’ 또한, 새에게 ‘울어라’ 하고 명령하는 나간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
것으로 볼 때는 ‘나도 우니 너도 울어라’라는 뜻 되고, 후자로 해석할 경우에는 ㈐가 ‘과거의 정
이 되어 강력한 호소가 된다. 반면 ‘우는구나’의 상적인 삶으로 다시 돌아가고 싶은 간절한 소망’
뜻으로 본다면 자신의 처지와 갈등을 감정 이입 을 노래한 것이 된다. ‘가던 새’를 있는 그대로
한 것, 즉 공감의 뜻으로 해석된다. 보면 ‘날아가던 새’가 된다. 그런데 그렇게 해석
26. ② 시의 종합적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이다. 하면 다음에 나오는 ‘이끼 묻은 쟁기를 가지고
이 시의 후렴구는 유려한 느낌을 주는 자음인 가던 새’의 해석이 애매해 진다. 그래서 ‘가던
‘ㄹ’과 ‘ㅇ’이 반복적으로 구사되어 있고, 운율이 새’는 ‘갈던’에서 ‘ㄹ’이 탈락되고, ‘사래’에서
매끄러워 전반적으로 흥청거리는 듯한 느낌을 준 ‘ㄹ’이 탈락되고 모음이 축약된 것으로 보기도
다. 이처럼 흥청거리는 듯한 느낌은 삶의 괴로움 한다.
으로부터의 탈출(괴로운 현실로부터 탈출하기 위 32. ‘나’로 볼 경우에는 서정적 자아가 ‘남성’이 되고,
해서는 흥겨움에의 몰입이 필요하다.)이라고 하 ‘임’으로 볼 경우에는 ‘여성’이 된다. ‘잡와
는 이 시의 정서적 지향과 일치하여 시적 효과를 니’의 객체를 ‘나’로 본다면 생략된 성분을 굳이
거두고 있다. 이 시의 서정적 자아는 현실을 괴 따지지 않아도 되어 해석이 번거롭지 않아 좋다.
로운 삶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 그러나 이렇게 본다면 문법적으로 모순이 생기게

- 10 -
된다. 즉, ‘잡와니’에 있는 ‘오’는 객체 존대 함.] ④ [서릿발 속에서도 굽히지 않고, 외로이 지키는 절
의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소인데 객체가 ‘나’라면 개라는 뜻으로] ’국화(菊花)‘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⑤ 이
화자가 자신을 스스로 존대하는 꼴이 되어 우리 러기도 어렵고 저러기도 어려운 매우 난처한 처지에 놓여 있
말의 일반적 용법에서 벗어난다. 그래서 ‘잡와 음을 이르는 말.
니’의 객체를 생략된 ‘임’으로 보기도 하는 것이
48. ⑤ ‘안분지족(安分知足)’의 태도는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다. 지향하는 생활 태도로 ‘제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을 앎’의
뜻으로, ‘청산별곡’의 시적 화자는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33. ① 청산은 현실과 상대되는 공간으로서 시적 자아가 가
‘청산’과 ‘바’을 찾고 있다는 점에서 거리가 멀다.
고자 하는 공간이다.
49. ④ 술로 시름을 잊겠다는 태도에서 잘 드러난다.
34. 동병상련(同病相憐) 동병상련(同病相憐)은 [같은 병의
환자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50. ④ 이 시의 서정적 자아는 현실의 고통을 피하여 ‘청산’
사람끼리 동정하고 돕는다는 의미이다. 을 희구하고 있다. 또한 그곳에서도 삶을 지탱하기 어렵다는
생각에 또 다른 이상향인 ‘바다’를 찾아가고 있음을 알 수
35. 녹슨 쟁기, 이끼 묻은 쟁기 이 노래의 시적 자아를 거
있다. 따라서 현실 도피적 사고가 바탕이 되어 있음을 알 수
듭되는 전란으로 삶의 터전을 잃고 방랑하는 ‘유랑민’으로
있으며,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찾을 수 없다. ①은 7
본다면, ‘잉무든 장글’은 유랑민들이 농사를 짓지 못해서 쟁
연에, ②는 1연에, ③은 5연에, ⑤는 4연에서 암시되고 있다.
기가 녹이 슨, 또는 이끼가 묻은 것으로 볼 수 있다.
51. ③ ‘청산’과 ‘바다’는 현실의 도피처이자 현실에서 누릴
36.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수 없는 삶을 지속할 공간, 즉 이상향(理想鄕)의 의미를 함축
는 ‘속세’를 뜻한다.
하고 있다. 따라서 ③의 ‘침실’이 현실의 고통스러운 삶을 피
37. ① 이 노래에서 자연은 현실과 대비되는 공간으로서, 해 갈 수 있는 안식처로서 의미가 통하는 곳이다. 그곳은
현실 도피처의 의미를 지닌다. ‘부활의 동굴’로 표현됨으로써 새로운 삶을 창조할 수 있는
이상적 공간이기도 하다. ①은 현실에서 부딪치는 여러 고통
38. ③ 늘 맞아서 우는 자신의 운명에 체념하고 있다.
을 극복하지 못했을 때 삶의 의미를 재확인할 수 있는 치열
39. ③ 자연의 음식으로서 속세와 대비되는 삶 한 대결의 장으로 가겠다는 뜻이므로, 도피보다는 현실 극복
의 의지가 강하게 나타난다(유치환의 ‘생명의 서’). ②는 비
40. 시적 자아가 기대하는 또다른 이상적 공간, 청산의 좌절 한 방울 내리지 않는, 그래서 꽃이 도저히 필 수 없는 시련
을 딛고 심기일전하여 찾아가는 세계 의 공간이고(이육사의 ‘꽃’), ④의 ‘성북동’은 문명에 의해 파
괴되는 자연의 공간이다(김광섭의 ‘성북동 비둘기’). ⑤의 ‘청
41. ② 사슴이 장대에 올라가서 해금을 켜는 것은 비현실적
산’은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으로 광명한 날에 함께 모여 살
인 상황이다.
아갈 공간이다. 이상향으로 볼 수는 있으나 현실의 도피처로
42. 단절, 고독 ‘에졍지’는 대개 외따로 떨어져 있는 부엌으 는 적절하지 않다(박두진의 ‘해’).
로 보며, 흥청스런 놀이판과 대비되는 공간이다.
52. ④ '청산‘은 도피처나 이상향의 의미로 볼 수 있다.
43. ④ 술이 나를 유혹하니 나는 술을 마실 수밖에 없다는
53. (5연) 특별히 미워하는 이도 사랑하는 이도 없는데, 애

매하게 돌(남의 침해)을 맞아서 운다는 것에 운명론적 현실
44. ⑤ 독한 술에 의지해서 현실의 고뇌를 해소하려 한다. 인식이 스며 있다.

45. ③ 화자는 현실 도피, 현실 부정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54. ① 의미 구조상 ‘aaba’의 구조를 보여준다.

46. ② 현실에 만족하지 못한 화자가 도피의 장소로 찾고 55. (3음보의 리듬감과 ‘ㄹ,ㅇ’의 반복 사용) 3음보의 민요
있는 곳이 ‘청산’이다. 적 율격을 보여 주며, 유음과 비음을 적절히 배합하고 있다.

47. ② 사방을 둘러보아도 말 붙일 사람조차 없다. ① 고립 56. (3연 2행, 이끼 묻은 쟁기랑 가지고 물 아래 마을에 갈던
되어 도움을 받을 데가 없음. ② [사방을 돌아보아도 친척이 사래(밭이랑)를 본다.) ‘잉무든 장글’은 ‘이끼 묻은 농기구’
없다는 뜻으로] 의지할 만한 데가 전혀 없음을 이르는 말. 또는 ‘녹슨 무기’를 의미한다.
③ 사방이 모두 ‘적으로 둘러싸인 형국이나 누구의 도움도
57. (새) 생(生)의 고뇌 속에서 몸부림치는 작자의 감정이
받을 수 없는 ’고립된 상태‘를 이르는 말. [’사기‘의 ’항우본
이입(移入)된 대상을 찾는다.
기(項羽本記)‘에 나오는 말로, 초나라 항우가 사면을 둘러싼
한나라 군사 쪽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를 듣고 초 58. ③ 속요의 음악적 효과는 가창이라는 음악적 특성의 산
나라 군사가 이미 항복한 줄 알고 놀랐다는 고사에서 유래 물이다. 속요는 궁중에서 잔치를 거행할 때 연주하던 음악

- 11 -
(노래)의 가사였다는 점을 상기하면 쉽게 알 수 있다.

59. ① 서정적 자아가 지향하는 공간이다. 인용된 시는 서


정주의 ‘추천사’이다.

60. (멀위, 래) 세속적인 것과는 대립되는 자연물이다.

61 ⑤ 후렴구의 기능과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

62. ② 체념적 애조(哀調)가 함축된 표현이다.

63. ③ 서정적 자아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이다. 인용된 시


는 김동명의 ‘파초’이다.

64. ⑤ 시어의 표현이 관용적이지 않고 독창적이다.

65. (5연) 현실에 대한 체념적 분위기가 느껴진다. 인용시는


신석정의 ‘슬픈 구도’이다.

66. ② ‘돌’은 맹목적인 돌이며 그것은 인간의 운명일 수밖


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67. ③ 전체 네 마디 중에서 같은 뜻의 말이 세 차례 반복
되고, 셋째 마디에는 다른 말이 오는 구조, 즉 ‘aaba’구조이
다.

68. ③ 사슴으로 분장한 광대를 보며 삶의 위안을 얻는다.

- 1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