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4

Ch3.

Crystal structures & proper2es


Crystalline, Amorphous
crystalline: 원자가 3D 배열에서 주기적으로 존재한다
amorphous: 원자 배열이 주기적이지 않다

3.4 Metallic crystal structures


원자는 빈공간이 최대한 적게 배열된다

crystal, la5ce, hard sphere model

Coordina4on number
맞닿아있는 원자의 수

ionic crystal에서는 redius ra7o(rca#on/Ranion)

Open space in FCC

Octahedral site: 4 / Tetrahedral site: 8


Metallic crystals
• 조밀하게 packing
1. 금속 결합은 방향성이 없다
2. 금속 결합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원소만 존재한다
3. bond energy를 낮추기 위해 최근접 원자와의 거리가 짧다

SC (Simple cubic structure)


packing 정도가 낮아 드문 구조이다

Coordina7on number = 6
atoms / unit cell = 1

BCC (Body centered cubic)

Coordina7on number = 8
atoms / unit cell = 2
a = 4r/√3

FCC (Face Centered Cubic Structure)

Coordina7on number = 12
atoms / unit cell = 4
a = 4r/√2
HCP (Hexagonal close-packed structure)

Coordina7on number = 12

Atomic packing factor


= 단위 셀 안의 원자의 부피 / 단위 셀의 부피

APF of SC = 0.52

APF of BCC = 0.68

APF of FCC = APF of HCP = 0.74


Planar density of (111) Iron

Theore4cal density (r)

Vc = a3
Ex)

Stacking of atoms

1번보다 2번이 더 안정하다.

A위에 B, B위에 C
C가 어디로 가느냐에 따라: FCC: ABCABC… / HCP: ABAB…
FCC stacking

물질에 따른 density
일반적으로: rmetals > rceramics > rpolymers
Single vs Polycrystals
Single crystals:
=grain
direc7on이 물질의 성질에 영향을 준다: anisotropic

Poly crystals:
Grain boundary가 존재. 각 grain마다 방향성이 다르다.
isotropic(등방성): grain이 random하게 방향을 가짐 à direc7on이 물질의 성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anisotropic(이방성): grain이 textured됨
à grain 이 많을수록 등방성을 띤다

Polycrystals

각 grain은 single crystal이다


3.6 Polymorphism

같은 물질이지만 crystal structure가 다른 것

Cs-Cl의 결합을 하나의 요소로 본다 à SC structure (Not BCC)

NaCl: FCC
3.8 Point Coordinates

grain 안의 한 큐빅의 방향만 알아도 grain전체의 방향을 알 수 있다


(grain안에서는 큐빅의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

Crystallographic direc4ons

Crystallographic direc7ons
u, v, w: index

Group / single direc7on: <> / []


Crystallographic planes

Group / single plane: {} / ()

같은 방향의 면이 여러 개 존재한다: 이 면간의 거리(면간거리)를 구하는게 중요하다


LaJce parameter
cubic은 정육면체가 아닐 수도 있다
Hexagonal crystal 은 plane 표시를 위해 4 개의 index 를 사용한다.
면간거리

: 1/d2 = 1/(0.354)2 + 1/(0.354)2 + 1/(0.354)2


d = 0.2nm
Atomic ra4o(화학량론)

F:Ca = 8:4 = 2:1


CaF2

Perovskite crystal structure= 1:1:3


3.16 X-ray diffrac>on

Plane의 방향이 달라지면 면간거리도 달라진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