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

과 목 학 과 학 번 이 름 점 수

미적분학1

단답형 
9.        이라 하자.
     ⇒    을 만족하는 의 최댓값을
다음의 극한값을 구하시오. (무한대로 발산할 경우에는 구하시오. (5점)
∞로 쓰고, 음의 무한대로 발산할 경우  ∞로 쓰고, 그 
답: 
외에는 발산으로 쓸 것, 각 3점)  
 
10. 방정식         의 가장 큰 실근을
          
1. lim 

라 하자. 그러면  ∈      을 만족하는 정수 을
→
구하시오. (5점)

답: ∞
답: 
    
2. lim  (  은 의 최대정수함수이다.) 11. 선형근사를 이용하여   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 
구하시오. (5점)

답: 2
답: 
sin
3. lim  
12. 정육면체의 겉넓이가 매초  씩 증가한다면, 모
→   tan
서리의 길이가 에서 정육면체의 부피의 변화율을 구

답: 1 하시오. (답에 단위는 표기하지 않아도 됨, 8점)

4. lim   
     
→  ∞ 답: 
13. 반지름 인 구에 내접하는 직원뿔의 부피의 최댓값
 을 구하시오. (8점)
답: 

다음 주어진 점에서의 함수의 미분계수를 구하시오. (각, 
답: 
3점) 
 
5.         
서술형
답: 60     
14.   를 이용하여 lim   이 됨을 보이
sec   → 
6.    
  
  시오. (예비분석과 증명할 것, 10점)
예비분석)   이 주어졌다 하자.       를 만족

답: 
   

하는 에 대해  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를

7.   
           찾자.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 
 
증명) 임의의   에 대해  라 하면
 
8.   sin       
 
       를 만족하는 에 대해

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5. 다음 명제가 참이면 증명하고, 거짓이면 반례를 드시 
17.   
의 최댓값, 최솟값, 극댓값, 극솟값,
오. (각, 5점) 
(1)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하면 증가구간, 감소구간, 위로오목구간, 아래로오목구간,
  ∆   ∆ 변곡점, 수직점근선, 수평점근선을 구하고, 그래프를
lim  가 존재한다.
∆→ ∆ 그리시오. (15점)
  ∆   ∆ 풀이)
(2)   가 lim 
∆
이 존재하
∆→    
′  
면,   에서 미분가능하다.    
(1) 참이다.   
″  
증명)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하다하자. 그러면    
  ∆   ∆  
lim 
∆ lim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 거짓이다. 최댓값, 극댓값: 

반례)    라 하자. 그러면

최솟값, 극솟값:  

  ∆   ∆
lim  증가구간:  
∆→∆
∆    ∆ 감소구간:  ∞ ∞
 lim 
∆→ ∆ 위로오목구간:  
 
 ∞
 아래로오목구간:  ∞ 
  

이다. 그런데    는   에서 미분불가능하다.
변곡점:  
  
 
  
 
수평점근선:   
 

16. 실수  ∈    에 대해
 
수직점근선: 없음

 tan   tan   ≥      가 성립함을 보이시오. (10점)


풀이)
(1)    일 때
 tan tan      이므로 참이다.
(2)  ≤      일 때
  tan는  에서 연속이고 에서
미분가능하다. 평균값 정리에 의해
tan  tan
  sec ≥  ∈

이다. 따라서 tan  tan ≥   이다.
(3)  ≤      일 때
(2)와 같은 방법을 풀면 tan tan ≥   이다.
 
(1),(2),(3)에 의해  ∈    일 때,
  
 tan tan ≥   가 성립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