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6

Chapter1.

컴퓨터의 발전과 우리 생활의 변화


코딩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다른 말
21 세기 라틴어, 세상을 이끌어 가는 언어라 불림

존 폰 노이만 방식의 컴퓨터

구성: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예) 컴퓨터 본체,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

소프트웨어 예) 프로그램(코드) → 프로그래밍(코딩)

디지털 혁명(1 차 정보혁명,3 차 산업혁명)의 시작

* 병목현상

* 병렬 컴퓨터, 슈퍼퓨터 등을 활용
* 인공지능과 머신러닝/딥러닝

아날로그 혁명(2 차 정보혁명) : 뇌를 닮은 컴퓨터

DARPA : 인터넷 개발 시도 기관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상위호환 → 메타버스

메타버스 : VR, 양방향 통신

러다이트 운동 : 경제적 원인을 기계의 탓으로 돌려 기계파괴운동을 자행한 운동

텍스트로 그림 그리기(Midjourney)

3 개 출품 후 한 개가 우승함
Chapter2. 컴퓨팅적 사고
과학과 기술의 구분문제

과학

* 자연의 이해

* 객관적, 보편적인 지식

* 가치 중립적

* 자율성

기술

* 주관적, 국지적

* 가치 지향적

* 창의적 발명, 경제적 보상

컴퓨팅적 사고: 논리적으로 단순화한 뒤, 컴퓨터를 이용해 해결하는 방식

컴퓨팅적 사고에 의한 문제해결 절차

문제분해

패턴인식

추상화

알고리즘

자동화

과학에 관한 프리스틀리 ← (산소발견)의 생각

하나를 발견하게 되는 것은 무엇을 모르는지 알게 되는 것

우리는 끝없이 탐구하며 진보할 수 있다.

Chapter3. 수의 시작과 인간사고의 발달


수학의 정의

수학 : 수량 및 공간의 성질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

* 수학의 어원

→ 그리스어: 배우다, 학습하다


* 수학의 여러가지 표현들

→ 추상적인 대상들의 관계를 공리적 방법으로 탐구하는 학문

수학 3 요소

*정의, 공리, 정리

거리 측정 방법

1.정량:숫자나 양으로 표현한 것

Ex): meter, kilometer, feet 등

2.정성:상대적인 개념이나 질적 특성

Ex): 가깝다, 멀다 등

셈의 원초적 도구 - 손가락

인간의 셈 = 10 진법 기반 컴퓨터=2 진법 기반

셈의 초기 도구 - 돌과 뼈

이상고 뼈:기원전 2 만년 전 사이 제작된 골각기 → 기원전 2 만년 전에도 수의 연산에 대한 초기


개념이 존재했을 것이라 예측 가능

칼쿨리:가축 셀 때 사용한 돌멩이와 항아리

계산패:여러 구역 나눠진 패에 조약돌이나 날카로운 쇳조각으로 값을 표시

계산 기계화의 시초

이집트:상형문자를 사용하여 계산

*자연으로부터 숫자를 형상화→자연수

*분수의 탄생

*분수를 가지고 분배 문제 해결

모스크바 파피루스:25 개의 문제가 실린 수학책

주로 실용적인 응용 문제가 실려 있음

린드 파피루스:85 개의 문제가 실린 수학책

모스크바 파피루스와 유사하게 구체적, 실용적인 응용 문제가 주로 적혀 있음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의 수학

*60 진법 사용

그리스 수학[기하학 바탕(자,콤파스 활용)]

메소포타미아 지역 수학+그리스 수학 → 지리적 장점

그리스 수학은 메소포타미아와 다르게 이론수학이 매우 발달함

탈레스: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기하학분야에 매우 뛰어난 업적을 남김

피타고라스 “만물의 근원은 수이다”

유클리드의 ‘원론’

1.정의

2.정리(명제)

3.공리(명제)

공리적 방법을 체계화 함

복희여와도

복희는 자를 들고 있고 여와는 컴퍼스를 들고 있음

해,달,별을 창조

비트루비안 맨: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작품

인도 수학

그리스 기하학을 받아들임

인도 숫자(아라비아 숫자)의 발명:인도 수학+아랍수학 → 유럽으로 수학 전파

윤회사상

수학 계산을 위해 잘 지위지는 필기방법 사용

0 의 발명
인도 숫자가 출현하기 전 기수법의 변천사

*상형문자

*메소포타미아 숫자

*마야문명 숫자

*로마숫자

*중국 숫자

기존의 로마 숫자 계산 방식: 주판 사용

아라비아 숫자로 본 언어로서의 수학

일반적인 언어:같은 생각 을 나라마다 다르게 표기,각자의 언어

언어로 본 수학:같은 생각을 동일하게 표기, 단 각자의 언어

Chapter4. 계산도구의 발달
*초기의 계산도구:10 진법에 기반한 손가락,돌,뼈,나뭇가지,점토판,파피루스

*주판

장점:암산능력 향상, 사칙연산 수월. 그러므로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사용된 계산기

단점:지속적인 연습 필요, 약간의 오류가 있어도 계산전부를 다시 해야함

Richard P. Feynman(리처드 파인만):주판 사용에 대한 비판

주로 동양식 주판 사용

중국식 이름:수안판

일본식 이름:소로반

우리나라 도입: 조선 중기 쯤 추정

서양식 주판

메소포타미아,이집트,페르시아,그리스에서 사용

로마:아바크 사용

러시아 주판:스초티
안티키테라 기계:현존하는 최초의 기계장치

혼천의:지구 주변 천체와 별들의 움직임을 보여줌

고대 그리스,중국 등에서 개발

육분의:천체와 수평선 또는 지평선과의 각도를 측정하여 현재의 위치를 알아내는 도구

비상용으로 여전히 명맥을 유지함

아스트롤라베:천체 관측기구

“육분의”보다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

메카의 방향을 찾기 위해 사용

컴퓨팅 장치보다는 측정 보조 장치라는 것이 적합

산가지:수를 셈하는데 사용

중국 주나라때 만들어짐

산대:대나무로 만들어진 산가지(단면:원모양)

산목:나무로 만들어진 산가지(단면:삼각형)

존 네이피어

네이피어의 막대: 곱셈을 덧셈으로 만들어주는 계산막대

로그표 제시

섹터도구:기본적인 산술연산,면적과 체적계산,통화 변환 등에 사용된 계산도구

갈릴레오의 섹터: 제곱근, 세제곱근까지 계산 가능

슬라이드 룰-나눗셈,지수,로그 등의 계산에 사용

일반적으로 덧셈이나 뺄셈에는 사용되지 않음

계산기능 x, 길이 측정 x

아폴로 프로젝트에서도 사용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