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60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

2017-2019
Technology Roadmap for SME

- 화학소재공정 -
CONTENTS

전략분야

화학소재공정
1. 개요 ····························································································································································· 3
2. 국내외 정책동향 ········································································································································ 9
3. 산업 이슈 및 동향 ·································································································································· 11
4. 시장동향 및 전망 ···································································································································· 27
5. 기술 동향 및 이슈 ·································································································································· 37
6. 중소기업 대응전략 ·································································································································· 40
7. 중소기업 전략제품 ·································································································································· 41

전략제품

기능성 코팅/필름
1. 개요 ··························································································································································· 47
2. 산업환경분석 ············································································································································ 57
3. 시장환경분석 ············································································································································ 66
4. 기술환경분석 ············································································································································ 74
5. 중소기업 환경 ·········································································································································· 91
6. 기술로드맵 기획 ······································································································································ 99

도료 및 염·안료
1. 개요 ························································································································································ 111
2. 산업환경분석 ········································································································································· 118
3. 시장환경분석 ········································································································································· 128
4. 기술환경분석 ········································································································································· 135
5. 중소기업 환경 ······································································································································· 150
6. 기술로드맵 기획 ··································································································································· 158
점/접착 소재
1. 개요 ························································································································································ 165
2. 산업환경분석 ········································································································································· 174
3. 시장환경분석 ········································································································································· 181
4. 기술환경분석 ········································································································································· 188
5. 중소기업 환경 ······································································································································· 201
6. 기술로드맵 기획 ··································································································································· 209

계면활성제
1. 개요 ························································································································································ 215
2. 산업환경분석 ········································································································································· 224
3. 시장환경분석 ········································································································································· 234
4. 기술환경분석 ········································································································································· 241
5. 중소기업 환경 ······································································································································· 254
6. 기술로드맵 기획 ··································································································································· 262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1. 개요 ························································································································································ 269
2. 산업환경분석 ········································································································································· 276
3. 시장환경분석 ········································································································································· 283
4. 기술환경분석 ········································································································································· 288
5. 중소기업 환경 ······································································································································· 299
6. 기술로드맵 기획 ··································································································································· 308

분리막 소재
1. 개요 ························································································································································ 315
2. 산업환경분석 ········································································································································· 323
3. 시장환경분석 ········································································································································· 329
4. 기술환경분석 ········································································································································· 335
5. 중소기업 환경 ······································································································································· 346
6. 기술로드맵 기획 ··································································································································· 355
전략분야 현황분석

화학소재공정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화학소재/공정

1. 개요

가. 정의

 화학소재/공정 분야는 석유, 석탄의 기본 화학공정(원유의 정제, 분리, 추출, 여과 등)과 무기물질
등의 이용을 통해 전기, 전자, 기계, 에너지‧환경 산업 등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정밀화학,
석유화학, 고분자, 환경화학 소재 및 부품을 제조하고 이를 용도에 맞게 가공하기 위한 기술

석유화학계 기초제품
염‧안료 접착소재 코팅‧필름 소재
및 유도체

계면활성제 플라스틱 환경화학 소재 촉매

[ 화학소재/공정 분야 ]

 화학소재/공정 분야는 생활용품 소재 및 정보‧전자산업 소재 및 자동차‧에너지 산업 등에 기초


소재 및 핵심소재를 공급하는 핵심 기술 분야이며, IT, BT, NT, ET, ST 등 미래 성장 동력 발
전에 견인차 역할을 하는 중요 국가기간 산업을 의미

▪ 화학소재/공정 분야는 석유화학계 기초 제품 및 유도체, 염‧안료, 접착소재, 코팅‧필름‧도료 소재,


계면활성제, 플라스틱, 환경화학 소재 및 고분자 소재를 제조하거나 다양한 공정을 거쳐 중간체
또는 완제품을 생산하는 기술 또는 제품

3
▣ ▣ 화학소재공정 ▣ ▣

[ 화학소재/공정의 기술 분야별 정의 ]

구분 정의

석유 또는 부생물질 중에 함유된 탄화수소(Naphtha)를 분해‧분리 또는 기타 화학 처리하


석유화학계 기초 제품 및
여 석유화학계 기초 제품과 그 유도체를 의미, 석유화학계 기초 제품 제조에 연관된 유기
유도체
화학 제품

물·기름에 용해하거나 분산하여 섬유 등의 분자와 결합하여 착색하는 유색물질 화합물(염


료) 또는 물 및 대부분의 유기용제에 녹지 않는 분말상의 착색제(안료), 섬유 및 유사 소
염‧안료 재에 대하여 친화성을 나타내어 용매에서 소재 상으로 이동‧염착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이
용될 수 있는 색소를 말하며, 이온성으로 물에 용해되거나, 비이온성으로 물에 불용인 색
소를 의미

N, P, K 등 두 가지 이상의 화학비료 성분을 함유한 비료 또는 서로 다른 무기질 비료


복합비료
성분을 배합하여 복합비료 제조하는 것을 의미

접착 소재는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유리, 고무, 목재의 표면접착을 위한 고분자 물질을
의미하며 용제에 따라 용제형, 수성, 무용제형으로 구분되며, 건축자재, 자동차, 테이프
접착소재 시장 등 국내 대부분의 범용 접착제 시장에서 용제형 접착제가 많이 사용되며 순간접착
제, 저온 단시간 경화 에폭시 접착제, 고온 속경화 전기전도성 접착제, 내열성 접착제, 난
연성 접착제, UV/전자선/가시광선 경화 접착제 등을 포함

코팅의 비히클(vehicle, 전색제)인 합성수지(Resin), 용제, 첨가제와 안료 등을 포함한 코


팅 소재를 지칭하며, 마찰저감, 대전방지, 전기전도성, 항균성, 항진균, 차열, 내열 및 친
환경성 등 우수한 특성을 지님. 각종 용도의 도료 및 유사 피막 형성용 조제품에 관한
코팅‧필름 도료 소재
것으로, 친환경 도료, 세라믹 도료, 광 및 열적 기능 도료, 물리화학적 도료로 분류되며,
내마모, 방식, 내화, 난연, 방열, 단열, 전자파 차폐, 대전방지, 항균 등의 기능을 갖고,
자동차, 전기전자, 건설, 의료, 조선, 항공 산업 등에 사용되는 기술 및 소재

섬유, 종이, 펄프, 화장품, 세척제 및 농약 등의 제조 가공에 사용되는 분산, 유화, 습윤,
계면활성제 침투, 대전방지, 살균, 세척 및 가용화 등의 기능을 지닌 유기 또는 조제 계면활성제를
의미

화학적 합성 방법에 의하여 액상, 분말, 입상 및 기타 원료 상태의 합성수지 물질을 제조


플라스틱 한 것을 의미, 모노머, 합성수지, 범용플라스틱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의 분자량이
큰 탄화수소 화합물 영역을 포함

천연소재, 석유화학과 정밀화학 제품을 활용하여 환경 개선의 목적성을 부여하는 소재 및


환경화학 소재
기술로 온실가스 분리 소재, 수질정화용 소재, 폐기물 처리용 소재 등을 포함

촉매는 화학 및 물리적 반응에 의하여 반응속도의 완급조절 및 반응경로의 변화, 반응물


의 변화를 중개하는 물질로 석유화학, 에너지, 환경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넓은 분야의 산
촉매 업에 활용되는 핵심 요소 기술 및 소재임. 반응속도를 빠르게 해 주는 촉매를 정촉매라
하며, 반응속도를 느리게 해 주는 촉매를 부촉매 또는 억제제라고 함. 그러나 일반적으로
촉매라고 하는 것은 정촉매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음

4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나. 범위 및 분류

(1) 범위

 화학소재 제품은 원료를 화학적으로 변환하여 효용가치를 만들며,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며 기
술 상호간의 유사성이 적고 독특한 용도를 갖는 제품들로 구성되어 있어 일정수준의 기술축적
없이는 자체 개발 및 기술 토착화가 어려운 지식·기술 집약형 산업으로서 중소기업 형태로도
전문화가 가능한 고부가가치 산업

▪ 화학공업의 제품분류에 관한 Kline의 분류방식을 보면 제품군을 상품학적인 의미에서 질과 양의 2


원적인 관점에서 보아, 질의 기준으로는 동일 종류의 제품에서 어떤 기업의 제품이 그 특성에서
타 기업의 제품과 구별될 수 있는 점으로 차별성(Differentiation)을 들고, 양의 기준으로는 제조
규모의 대소에 바탕을 두는 생산량(Volume)을 취하고 있음. 이를 조합하여 화학공업제품을 4가지
의 부류로 분류

[ 화학공업 제품분류 ]

Commodity Chemicals Pseudo-Commodity Chemicals

대량생산의 비차별화 제품 대량생산되나 차별화 가능한 제품


플라스틱, 비료, 산, 알카리 등 합성섬유, 카본블랙, 화약, 비료 등

Fine Chemicals Speciality Chemicals

소량생산의 비차별화 제품, 합성기술 소량생산의 차별화 제품, 배합기술


염료, 안료, 일반화된 의․농약원제 등 의․농약, 전자재료, 기능성 첨가제 등

▪ 석유화학 산업은 나프타(Naphtha) 또는 천연가스를 원료로 에틸렌, 프로필렌 등 기초 유분, 유도


체를 이용하여 원료로 합성수지, 합성섬유, 합성고무 및 각종 화학물질을 제조하는 산업

▪ 화학원료물질, 생산 공정, 화학제품 분야의 상호연계로 이루어진 석유화학, 기능성 고분자와 같은


화학 신소재, 정밀화학 산업으로 구성

▪ 전자, 자동차, 조선, 항공, 섬유, 건설 등 거의 모든 산업에 소재를 공급하는 핵심 국가 기간산업


이며, 최근에는 IT, BT, NT가 결합된 융합산업으로 정보통신, 우주항공, 에너지 산업의 발전에 기
여하고 있음

 화학소재/공정 산업은 정보전자, 기계, 섬유, 자동차, 에너지 산업 등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석유화학, 고분자, 섬유화학, 정밀화학, 환경화학 소재 및 부품을 제조하고
이를 용도에 맞게 가공하기 위한 기술 분야로 의약, 농약, 화장품, 도료, 염료·안료, 접착제, 계면
활성제, 첨가제, 전자정보소재, 필름소재, 섬유소재, 나노소재 및 자동차용 플라스틱소재 등을 포함

▪ 제조공정은 다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어 고도의 기술을 요하고, 기술상호 간의 유사성이 없어


단순기술모방이 어렵고 일정기간의 기술축적 없이는 자체개발이 힘든 특성을 지닌 대표적인 기술
집약적 산업

5
▣ ▣ 화학소재공정 ▣ ▣

▪ 자본·지식․기술 집약적 화학 산업으로, 중소기업 형태로도 전문화가 가능한 고부가 가치산업

▪ 특히, 타 산업에 핵심소재 및 부자재를 다품종 소량 생산방식에 의해 공급하므로, 연관 산업의 고


기능화,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하고 있음

▪ 정밀화학 산업은 일반적으로 화학 산업 중 고도기술이 요구되며, 비교적 소규모로서 소량 다품종 생


산체제의 에너지 및 자원절약, 고부가가치형 화학제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석유화학 등 기초 화학제
품을 원료로 하여 자동차, 선박, 전자산업 등 타 산업에 원 부자재를 공급하는 중간형 산업으로 정의

▪ 전후방 연관 산업에 핵심소재를 제공하기 때문에 생활밀착형 산업이며, 신상품 개발 등 미래 지속


성장이 가능한 산업임

 화학소재/공정 산업을 그 목적에 따라 분류하면, 국민 후생 및 보건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생리활성 및 life-care 화학 산업과 광통신·imaging 및 기능성 첨가제 등 신기술 융합현상에
따라 사회적·산업적 니즈에 부응하기 위한 기능성 정밀화학 산업으로 대별

▪ life-care 화학 산업은 그 자체가 최종 소비제품인 화합물로 의약, 화장품, 농약, 기타 생리활성물


질 등을 포함

▪ 기능성 정밀석유화학 산업은 전지, 반도체, 환경, 통신 등 신기술산업에 응용되는 고기능성 산업으
로서 전자정보용, 전지 소재, colloid 소재 및 나노소재 등 각종 첨단 화학소재 등을 포함

▪ 원․부재료를 공급하는 중간형 산업으로서 그 기술 및 품질의 수준이 관련 산업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 등 경쟁력에 결정적 영향을 주어 타 산업에 파급효과가 큰 산업으로서, 부존자원이 부족하고
고급두뇌인력이 풍부한 국내현실에 연구개발 여건만 조성되어진다면 향후 국제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산업분야

▪ Green chemistry는 최근 전 세계로 확산되기 시작하는 새로운 화학소재/ 공정분야로서 환경적으


로 보다 더 안전하게 화학물질을 생산하거나 이와 관련된 공정을 design하는 것으로서 건강보건
이나 환경관련 사항에 대하여 악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화학 소재/공정에 대한 모든 개념과 형
태를 포함

6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 화학소재/공정의 범위 ]

구분 범위

석유화학계 기초 제품 및 나프타,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등 탄화수소유도체, 알킬화, 산화 유도체, 할로겐 유도체,
유도체 질산 유도체, 황화 및 질산화 유도체, 방향족(BTX) 유도체 등

천연인디고(남색염료) 및 컬러케이크, 동‧식물성 염료용‧유연제용, 타닌 및 그 유도체, 합성


또는 조제 유연제 및 유연전 처리용의 효소계 조제품, 합성유기염료, 무기안료로서 아연화,
염‧안료 리토폰 ZnS+BaSO4 티탄백 TiO2, 2PbCO3 · Pb(OH)2, CaCO3, PbCrO4, ZnCrO4,
CdS, 벵가라, Fe2O3, Pb3O4, 알루미노 규산, CoO·Al2O3, Cr2O3, 조제무기안료 및 기
타 착색제를 포함

용제형, 열감형, 압감형 및 반응 접착제로 분류하며, 수지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및 혼합


계 접착제로 분류되며, 수지계 접착제로는 열경화성 접착제와 열가소성 접착제로 분류되며
접착소재
세부 제품별, 용도별로 매우 다양한 접착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수지계 접착제가 가장 많이
사용

각각의 용도에 맞게 기능성을 부여한 보호코팅/필름, 광학코팅/필름, 에너지코팅/필름, 항균


코팅‧필름‧도료 소재
코팅/필름, 이형코팅/필름, 각종 용도의 도료 및 유사 피막 형성용 조제품

계면장력의 성질을 이용하여 유화, 습윤, 분산, 침투, 대전방지, 가용화 및 세척 기능성을
계면활성제 부여하여 섬유, 종이, 펄프, 화장품, 세척제 및 농약 등의 제조 가공에 사용되는 천연유래,
유기 또는 조제 계면활성제 등

플라스틱은 최종적인 고형이며 분자량이 많은 것이 되지만, 제조공정의 초기단계에서 유동


성을 가지며, 이때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 원칙적으로는 탄화수소의 유기화합물로서 고분자
화합물이 될 수 있는 것이지만, 이러한 것을 본질적 성분으로 하는 재료 전반을 포함해서
플라스틱 플라스틱이라고 함. 화학적 합성 방법에 의하여 액상, 분말, 입상 및 기타 원료 상태의 합성
수지 물질을 제조한 것을 의미, 합성수지, 내연플라스틱, 내열플라스틱, 바이오플라스틱, 섬
유강화플라스틱, 성층플라스틱, 수용성플라스틱, 범용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를
포함

정밀 여과막, 역삼투막, 한외 여과막, 나노 여과막 등의 멤브레인/ 필터 소재 및 분석/처리


기술,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등 유해성 저감 및 생분해 등 여러 가지의
환경화학 소재
화학적 계측, 환경오염에 대한 분석과 계측, 오염물질의 처리, 오염제거법의 개발, 환경보전
등이 현재 주류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화학반응 속도를 높이는 물질.
세포 내 효소는 생물체에서 이용되는 대표적인 생촉매임. 촉매는 화학반응에서 반응물질 이
외의 것으로, 그것 자체는 반응 전후에 있어서 양적․질적으로 변하지 않으면서 반응속도만을
촉매
변화시킴. 균일계와 불균일계로 분류하며 금속산화물, 고체산 촉매, 공촉매, 귀금속 촉매,
금속 담지 촉매, 구리촉매, 구상촉매, 레이니니켈, 레이니촉매, 로듐촉매, 희토류 촉매,
metallocene, 킬레이트, 리간드 등으로 분류

7
▣ ▣ 화학소재공정 ▣ ▣

(2) 분류

 화학소재/공정 분야의 기술 분류는 산업기술 분류표 상에서 화학 및 바이오‧의료 분야에 포함


되며, 정밀화학, 고분자재료, 화학공정, 대기/폐기물, 수질/토양, 산업바이오 분야에서 화학소재/
공정 분류가 포함
[ 화학소재/공정 분야의 산업기술분류 ]

전략분야 산업기술_대분류 산업기술_중분류 산업기술_소분류

염/안료 중간체

계면활성제

도료/코팅제
정밀화학
접착제/실란트

전자산업용 정밀화학 소재

기타 합성응용제품

중합반응/공정기술

복합재료 제조 기술
화학
고분자 재료 특수기능성 소재기술
화학소재/공정
고분자 가공/성형기술

기타 고분자 재료

석유화학 부산물 응용기술

화학공정 기초유기소재공정기술

기타 화학공정

대기/폐기물 환경 부품/소재 이용 및 처리기술

수질/토양 환경 부품/소재 처리 및 분석기술

생화학 소재
바이오‧의료 산업바이오
바이오 플라스틱

8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2. 국내외 정책동향

◳ 정부의 바이오화학 및 화학 소재/공정 분야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지원 확대

 정부는 화학소재분야 국내외 시장을 위한 다양한 개발지원 정책 지원 중이며, 정부에서 2014


년부터 바이오화학 산업화 촉진기술개발 사업과 같은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
해 화학 강국 도약을 위한 노력을 진행해 나아가고 있음. 2020년까지 석유화학수준(세계 5위)
바이오화학 강국 도약 목표를 설정하고 상용화 또는 시장 창출을 통해 시장지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을 목표로 지원을 확대

 산업자원통상부, 미래창조과학부, 환경부, 중소기업청 등 다양한 정부기관에서 정부자금을 투입


중이며, 핵심소재원천기술개발,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R&D기술개발, 산업핵심기술
개발사업 등 기술개발 정책 및 자금 지원 확대

[ 화학소재/공정 분야 주요 정부소재개발사업 ]

구분 핵심소재원천기술개발 산업핵심소재개발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전략기술 분야의 핵심·원천기술


국내․외 수요처 및
개발에 대한 집중 지원을 통해
소재의 임계성능 향상 및 투자기업(대기업, 공공기관
미래신산업을 육성하고
사업개요 신기능창출 가능 원천 기반 등)이 구매의사를 밝히고
주력기간산업의 산업경쟁력을
기술개발 개발을 제안한 과제에 대해
제고하여 미래 신성장동력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
창출

지원특징 기존시장 불확실, 원천기술형 기존시장 존재, 시장 독점형 기존시장 존재, 성능개선

∙10년 이내(3단계) ∙3~7년 이내(2단계)


∙2년 내외(2단계)
- 1단계(선행연구, 4년) - 1단계(선행연구 or 신규와
사업기간 - 1단계(응용, 1년)
- 2단계(심화·응용, 3년) 계속 공모(심화·응용) 3~4년)
- 2단계(실용화, 2년)
- 3단계(실용화, 3년) - 2단계(사업화, 3년)

TRL범위
TRL 2~4단계 (평균 3.6) TRL 3~6단계 TRL 4~6단계
(기술성숙도)
(1단계) 대학·연구소 주관, (1단계) 산·학·연 산·학·연 공동참여
추진주체
(2,3단계) 기업+학·연 (2단계)기업주관 - 개별기관(총괄+참여)

지원금액 연 20억 원 내외(총괄/세부) 과제당 연간 7억 원 내외 과제당 5~10억 원 내외

* 출처 : 중소기업청, 한국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6.

 기술 개발과 공정개선 뿐만 아니라 개발성과의 사업화 지원을 통해 실질적인 소재와 공정의 상


용화 및 국내외 시장 진출 지원 프로그램

 핵심 소재 개발 및 개발된 소재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2007년부터 금속·화학·세라믹 3대 소재


분야의 핵심 연구소를 지정, 공동기관으로 참여한 화학소재정보 은행 운영

9
▣ ▣ 화학소재공정 ▣ ▣

 중소·중견기업의 신기술, 신제품 개발 및 제품, 공정혁신 등에 소요되는 기술개발 관련 비용을


지원하여 기술경쟁력 향상 도모

 글로벌소싱 참여가 유망하고 소재·부품산업 경쟁력 제고에 긴요한 핵심 소재·부품 기술개발,


산업간 융합촉진을 위해 융합형 R&D 과제 발굴

◳ 화학물질의 국제 동향과 경쟁력을 위한 정부의 각종 규제

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사용해 사고예방 체계를 강화한다는 취지에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을, 온실가스를 줄여 환경을 보호한다는 목
적에 탄소배출 거래제를 시행

 화학물질의 체계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유해화학물질의 취급 기준을 강화하는 법률로 ‘ 화학물


질관리법’이 있으며 줄임말로 화관법은 기존의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을 전면 개정한 것으로
2015년 1월1일부터 시행 중임. 화관법에서는 유독물질, 허가제한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등
을 유해화학물질로 규정 관리

 주요 내용은 1)화학물질에 대한 통계조사 및 정보체계구축, 유해화학물질 취급 및 설치 운영기


준 구체화 등의 안전관리 강화 2) 화학사고 장외영향평가제도 3) 사고대비물질 관리 강화, 화
학사고 발생 시 즉시 신고의무 부여 등 화학사고 대비 대응으로 구성

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법은 모든 신규 화학물질과 연간 1.0t 이상 제조·수입·판매하는 기존 화


학물질을 매년 당국에 보고하고 등록 절차를 거치도록 한 것으로 줄여서 ‘화평법"이라고도 함

 화학물질의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2013년 5월 제정되었으며 2015년 1월1일


부터 시행 중, ‘화학물질 등록과 평가에 관한 기준’을 유럽의 화평법 수준으로 높인 것이 골자
이며 화학물질이 위해물질로 판정이 나면 기업은 해당 화학물질을 사용할 수 없고 대체물질을
써야 함

 업계에서는 국민의 건강과 환경, 화화물질의 체계적인 관리와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화평법과
화관법 시행에는 공감하나, 기업지원 시스템과 세부기준이 확정되지 않아 법 적용에 우려를 나
타내고 있음

 화평법의 경우 대기업들도 전문지식과 물질정보 등 자료 부족으로 등록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


만, 중소기업들은 법에 대한 인식 자체가 낮아 정착되기까지 혼란 예상

 화관법과 관련해서도 화학사고 장외영향평가와 사고 대비물질 위해 관리 계획 등을 작성하기


위한 명확한 작성지침 등이 나와 있지 않아 중소기업 등이 이해와 실행에 대한 어려움 상존

 화통법, 화관법 등의 입법을 계기로 화학물질 관리와 환경규제가 앞으로는 기업에 대한 징벌과
강제가 아닌 계도와 선진화에 초점을 둔 선진 규제로 자리 잡기를 염원

10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3. 산업 이슈 및 동향

가. 산업 이슈

◳ 석유화학 다운스트림 개선과 원가 경쟁력 변화

 유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2014년을 정점으로 한 석유화학 산업의 투자 감소는 에틸렌에서 다


운스트림으로의 수익성 확대 가능성을 시사, 유가 60달러 이하에서는 우리나라 NCC(
Naphtha Cracking Center: 납사를 활용하여 기초유분 생산설비) 업계들의 수익성 증가, 과거
석유화학 업황은 불황/호황기가 7년 정도 간격으로 나타났으나, 2015년 업황 호황기 진입 이
후 장기간 고마진 추세 지속 전망

 이는 유가 하락에 따른 원가 하락 및 석유화학 산업의 원재료 다변화 등 구조적 변화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 다만 모노머 마진은 방향족 수급 악화로 폴리머 마진 보다는 약세를 기록

 국내 유수의 화학사들이 NCC 이외에도 전기차 배터리 / 파라자일렌(PX) 공급 증가 /태양전지/


생명과학 흡수 합병 혹은 집중 육성 등 기능성 정밀화학 분야로 매출 비중을 높이고 있음

* 출처 : Bloomberg, Cischem, 하이투자증권

[ 석유화학 산업 통계 ]

11
▣ ▣ 화학소재공정 ▣ ▣

 2015년 이후 국내 화학 업체의 공격적 M&A 확대 움직임. 롯데케미칼과 한화케미칼은 규모의


경제 확대 및 다운스트림 강화를 위하여 각각 2.8조원, 1.3조원 의 M&A Deal을 2015년에
진행

 유가 하향 안정화 기조가 유지되는 가운데, 1) 석유화학의 주요 원재료인 나프타 가격 동반 하


락으로 인한 원가 절감, 2) 중국 CTO/MTO 프로젝트의 지연, 3) 향후 2~3년간 대규모 신증
설 제한으로 국내 나프타크래커 등 원재료 수직통합 석유화학 업체의 실적은 호조세를 이어갈
전망

◳ 기능성 정밀화학소재의 지속적 발전

 석유화학업체들의 정밀화학사업과 고부가 소재사업을 강화하고 있고, 정부차원에서도 여수석유


화학단지와 인접한 전남 광양을 미래시장 선점이 가능한 차세대 화학소재 산업 생태계로 육성
하기 위해 2019년까지 총 602억 원을 투자하여 기능성 화학소재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며,
이와 별도로 수송기기 경량·친환경소재 및 정보·전자소재 등에도 대규모로 R&D를 투자하고 있
는 등 그 어느 때보다 국내외적으로 고부가 화학소재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높은 상황

 기능성 화학소재는 화학소재의 기능 특성을 활용하여 고객의 과제에 대해 자기가 보유한 독자


기술로 솔루션을 제시하고 고객 제품의 부가가치 향상과 신제품의 창출을 통해 사회의 부가가
치 향상을 실현하는 산업 발전의 필수 불가결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음

 최근에는 제조업의 차별화 포인트가 품질·비용 등에서 제품의 컨셉을 구현하는 기능으로 이동
하고,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도 짧아짐에 따라 각종 기능을 신속하게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소
재와 부품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경쟁 치열로 제품의 원가 절감을 실현하기 위한 고
기능 첨단 화학소재의 수요도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스페셜티 폴리머, 전자재
료, 분리막 재료, 건강·의료 등 분야에서 추가적인 국내외 시장의 확대가 기대되고 있음

 기능성 화학소재는 기존 제품·기술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특수한 기능(내열성, 내구성, 강도, 광


학 특성 및 초미세 가공 등)을 부여하여 전자 제품이나 자동차 등 공산품의 특정 기능을 위한
소재·부품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음. 최첨단이라고 하더라도 기능의 지속적인 향상이 이루어
지고 있어 같은 제품 종류라도 그 성능은 대략 분기 단위로 발전하고 있으며 다른 제품에 의
한 대체도 이루어지고 있어 짧은 사이클의 제품·분야 교체도 전제로 해야 함

 기술 개발에 따라 신제품 등장과 함께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범용 중저급 제품에 대한 수요가


둔화되고 있는 반면, 고급품 및 고기능 제품에 대한 수요는 크게 증가함. 특히, 환경문제에 대
한 관심 고조로 무공해 및 저공해 바이오 화학기반의 정밀화학제품에 대한 수요자의선호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음

12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 출처 : KEIT PD Issue Report MAY 2016 VOL 16-05, 일본 경제산업성

[ 기능성 화학소재의 제품분야별 세계시장규모(2013, 백만달러) ]

◳ 국내외 경기침체에 따른 화학 산업 수출부진과 인력문제

 국내외 경기 침체로 인하여 2015년도 화학 산업의 무역수지는 183억 달러로, 전년 대비 52


억 달러(-22.1%) 감소하였음

▪ 2014년도 235억 달러 => 2015년도 183억 달러

▪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는 동 기간 431억 달러 증가하였으나 화학 산업이 전체 무역수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9.8%에서 20.3%로 감소하였음

(단위 : 억 달러)

구분 2014 2015 증감율(%)

수출 742 (13.0%) 649 (12.3%) -12.5


화학산업
(HSK 28-39, 수입 507 (9.6%) 466 (10.7%) -8.1
4002)
수지 235 (49.8%) 183 (20.3%) -22.1

수출 5727 (100.0%) 5268 (100.0%) -8.0

전체 수입 5255 (100.0%) 4365 (100.0%) -16.9

수지 472 (100.0%) 903 (100.0%) 91.3


* 출처 : 한국 석유화학협회 2016, 한국무역협회(2015). 국내통계(한국무역). www.kita.net/

[ 화학산업의 수출입 증감 및 비중 현황 ]

 세계시장으로 불리던 중국의 경제둔화, 산업구조 변화와 석유화학제품 각국의 자급화, 유가하
락 등으로 생산실적이 급속 감소 등이 주원인

13
▣ ▣ 화학소재공정 ▣ ▣

 최근 한국 화학기업의 불황을 산업 구조적인 경쟁력 약화의 측면에서 볼 수도 있으며 자원보유


국의 저가원료 설비가 증가함에 따라 원가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고, 고부가가치 사업부문에서
는 선진국 기업과의 기술력 격차가 지속되고 있음

 중국과의 무역특화 지수만 0.87로서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는 반면, 자급능력을 갖춘 일본이나
미국, 독일과의 무역특화지수는 모두 음수로 경쟁력이 열위인 것으로 평가

[ 한국 화학 산업의 수출입 및 국제경쟁력 현황 (2013년, 백만 달러) ]

구분 중국 일본 미국 독일 합계
수출 24,724 1,788 1,657 327 48,377

수출단가($/MT) 1,524 1,540 1,793 2,078 1,573

수입 1,768 6,723 2,565 771 17,015


석유화학
수입단가($/MT) 1,477 1,671 1,757 5,138 1,549

무역수지 22,956 -4,935 -908 -444 31,362

무역특화지수 0.87 -0.58 -0.22 -0.40 0.48


수출 3,769 1,474 664 160 12,863

수출단가($/MT) 1,812 2,963 3,801 8,577 1,801

수입 4,095 4,492 3,810 2,019 22,042


정밀화학
수입단가($/MT) 1,584 8,364 5,635 12,024 3,386

무역수지 -326 -3,018 -3,145 -1,860 -9,180

무역특화지수 -0.04 -0.51 -0.70 -0.85 -0.26


* 출처 : Kotis 한국무역통계, LGERI

 석유화학에서 중국과 같은 후발국과의 무역에서는 큰 흑자를 기록하면서 경쟁우위를 나타내고


있지만, 선진국과의 무역, 특히 고부가 정밀화학에서는 무역수지 적자를 나타내면서 경쟁열위
에 있는 것으로 분석

 2015년도 화학 산업 업종별 현원은 407,758명으로, 2013년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


세이며, 업종별 부족률은 2.6% 정도로, 2013년 대비 완화되었음

14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 화학산업의 업종별 인원 현황 ]

(단위 : 명, %)
2013년도(하반기) 2014년도(하반기) 2015년도(하반기)
산업중분류 부족 부족 부족
현원 부족률 현원 부족률 현원 부족률
인원 인원 인원
C19 코크스, 연탄 및 석
11,547 134 1.1 10,835 61 0.6 10,256 40 0.4
유정제품 제조업

C20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130,051 3,323 2.5 132,405 3,009 2.2 138,104 3,114 2.3
제조업; 의약품 제외
C21 의료용 물질 및 의약
30,902 802 2.5 28,791 476 1.6 31,056 295 0.9
품 제조업

C22 고무제품 및 플라스


211,984 9,332 4.2 219,146 6,174 2.7 228,042 7,111 3.1
틱 제품 제조업

소계 384,484 13,591 3.5 391,177 9,720 2.5 407,458 10,560 2.6

* 출처 : 한국 석유화학협회 2016, 통계청(2016).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조사. http://kosis.kr/

 2015년도 화학 산업 직종별 현원은 보는 바와 같이 254,742명이고 직종별 현원 대비 부족률은


2.7% 정도로 2013년 대비 대체로 완화되었음. 직종별로 보면, ‘자연과학, 생명과학 관련 전문
가’ 및 ‘화학공학기술자, 연구 원 및 시험원’은 2013년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음

 부족률의 경우, ‘화학·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생산기 조작원’의 부족률이 3.2%로 가장 높았으


며, ‘석유 및 화학물 가공장치 조작원’의 부족률이 1.5% 로 가장 낮게 나타남

 플라스틱 및 고무 업종의 경우, 업종별·직종별 부족률 모두 심화되어 인력 수급 불균형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이와 같이 플라스틱 및 고무 산업의 현원 대비 부족률이 높
은 원인으로는 동 산업의 근로조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구직자들에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15
▣ ▣ 화학소재공정 ▣ ▣

[ 화학산업의 직종별 인원 현황 ]

(단위 : 명, %)
2013년도(하반기) 2014년도(하반기) 2015년도(하반기)
직종소분류 부족 부족 부족
현원 부족률 현원 부족률 현원 부족률
인원 인원 인원
043 자연과학, 생명과학
17,431 427 2.4 19,495 299 1.5 19,999 374 1.9
관련 전문가

045 자연과학, 생명과학


12,034 204 1.7 13,718 229 1.6 9,989 212 2.1
관련 시험원
171 화학공학기술자,연구
42,783 1,421 3.2 44,313 802 1.8 45,804 973 2.1
원 및 시험원

171 석유 및 화학물 가공
28,935 554 1.9 28,197 507 1.8 29,683 433 1.5
장치 조작원
173 화학 고무 및 플라스틱
155,689 7,315 4.5 147,903 4,516 3.0 149,267 4,770 3.2
제품 생산기 조작원

소계 256,902 9,921 3.9 253,626 6,353 2.5 254,742 6,762 2.7

* 출처 : 한국 석유화학협회 2016, 통계청(2016).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조사. http://kosis.kr/

 플라스틱 및 고무 업종의 인력수급 불균형 완화를 위해서는 기술혁신을 통 한 고부가가치화,


근로조건의 개선 등의 산업 고도화 전략이 마련되어야 함. 이를 위해 플라스틱 분야의 R&D
전문 인력 육성, 제품 고도화를 통한 임금수준의 향상 등이 요구됨

 현재 한국 화학기업들의 성과부진은 ‘중국 수요’나 ‘글로벌 화학경기’ 같은 외부요인 보다는, 한


국 화학 산업의 ‘구조적인 경쟁력 위기’라는 내부요인이 훨씬 중요하고 설득력 있는 원인임

◳ 바이오화학, 녹색인증기술, 최첨단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집중

 국제적인 환경 규제에 대응, 생명 중시의 기본에 입각해 바이오 화학, 녹색인증 기술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경쟁성 있는 최첨단고부가가치 화학 소재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음

16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 글로벌 화학산업의 분류와 비중 ]

기초석유화학 및 중간원료 (18.6%)


플라스틱 (12.2%)
석유화학(36.2%)
합성고무 (1.1%)
화학섬유 (4.4%)
소비재화학제품 (8.8%)

스페셜티(35.2%) 농화학 (10.2%)


- 특정물성의 우수기능성 제품 코팅/페인트 (4.4%)
기타/스페셜티 (12.4%)
무기화학(7.5%) 무기화학 (7.5%)
제약(20.4%) 의약 (20.4%)
* 출처 : 한국 산업기술 평가원, IU CHEM

 글로벌 화학 산업 트렌드는 보는 바와 같이 多품종 少량생산의 정밀화학 제품, 특정물성·우수


기능의 기능성 제품과 고부가가치의 화학제품에 포커스를 두고 있음

[ 글로벌 화학산업의 M&A Trend와 기업별 경쟁구도 변화도 ]

추진배경 추진방향 산업방향

M&A 1.0 선진국 시장 성숙화 다각화 해체(전문화) 산업별 과점화, 집중화로


(90년대 후반) 다각화된 사업구조로 분야별 경쟁심화 사업별 통합(대형화) 경쟁완화

M&A 2.0 유가급등, Feedstock 불안정


범용화학사업 중동, 중국기업
(2000년대 (Shale gas투자) 석유화학 구조조정
주도권 강화
중반) 중동, 중국기업의 급성장
선재적사업구조재편 중동, 중국기업 주도권 강화
산업의 저성장 본격화
M&A 3.0 - 우량 스페셜티 사업매각 미래형 신사업의 사용화 및 성장
불확실성(셰일가스 등)
- 미래형 신사업 인수 가능성 증대

* 출처 : 한국 산업기술 평가원, IU CHEM

17
▣ ▣ 화학소재공정 ▣ ▣

 국내 수요산업에 따라 화학공정별 화학 산업 중 HEV용 경량화 및 친환경소재, 터치패널용 코팅소재,


저가 feedstock으로부터 Specialty 제품 개발 등의 기존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추구하기 위해 노력 중

[ 화학공정 소재의 현재와 개발 방향 ]

구분 현재기술 개발방향

● 카본블랙, 활성탄소 생산중심 ● 인조흑연, 탄소섬유 시장 창출


탄소소재
● 실험실 규모의 그래핀 제조기술 ● 그래핀 양산 및 신규 시장 창출
에너지 자원 기초유분 ● 범용 제품 ● 에너지 저소비, 고부가가지 제품
효율 공정 ● 납사기반 ● 가스기반, GTO 등
대체원료
● 원유기반 ● 바이오매스, 셰일가스 등 다변화
공정고도화 ● 단일공정 최적화 ● Integration 강화
● 기계적 물성 중심 ● 복합 다기능, 재활용 가능한 소재
산업용 고분자 소재
● 범용 및 기능 중심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감성 소재
산업수송용
구조용 고분자 소재 ● 건축용 PVC 소재 ● 친환경 및 감성 중심
고분자 소재
● 고강성 경량 composite
수송용 고분자 소재 ● 플라스틱, 유리 등 기능중심
● 무도장 가능
● Mobile device, mu시 touch ● Flexible touch, 대형(전자칠판)
터치 패널 소재
● ITO 전극의 Film/Class 센서 ● 기능 융복합터치, ITO 대체소재
● TV 중심 저기 편광판 ● 박막 편광판 (소재 및 편광자)
편광판 소재
● TAC 계 박막 편광판 ● 고내구성 및 비TAC계 편광판

정보 전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 유리기반 디스플레이 ● 유리대체 고내열 투명 플라스틱소재


소재 ● 진공기반 증착공정 ● Roll-to-roll 제조공정
소재
BLU 및 OLED ● CCFL, LED 광원 ● 필름 OD 광원
소재 ● 증착용 OLED 소재 ● Soluble OLED 소재
● 3D stacking 용 density 증대소재
반도체용 공정 소재
● 2D 소재기술 ● Chip 간 direct interconnection 소
및 전자 소재 재
● 용제형 이액형 접착제 ● 환경 친화형, 내충격 접착제
접착제 ● sealant용 점접착제 ● 수계형, 강한 초기접착력
● EVA 아크릴 계 PSA ● EVA, 아크릴계, 실리콘계 PSA
표면기능소재 염/안료 소재 ● 고내광성, 고세탁성 염료개발 ● 친환경 잉크
도료/기능성 ● 유성계 중도 및 중상도 기술 ● 수계 중도 및 중상도 기술
코팅 소재 ● 외장성 위주 기술 ● 신경화, 내열/방열, 내스크래치 소재
화장품 ● 유기합성 및 재조합 기술 ● 피부친화형 바이오 컨버젼스 기술
● 단일 기능 소재 ● CO2 전환 (전기화학적/융합/변환)
환경 소재
환경에너지화학 ● CO2 저장 소재 (포집/분리/저장) ● 사용자 중심 융합형 서비스/콘텐츠
소재 ● on-site 대규모 plant 기술 ● 이동형 compact modular 기술
에너지 소재
● 단일기능 촉매 소재 ● 복합기능 나노구조 촉매 소재
* 출처 : 한국 산업기술 평가원, IU CHEM

 핵심기술 테마를 중심으로 터치패널용 고기능성 소재 및 필름기술, 고감성 유도 럭셔리 표면/코팅


소재 등의 기존사업의 고도화와 가스기반의 석유화학 신 공정기술, 플라스틱 기반 수송기기용 화
학소재, Rollable Display 소재 등의 신기술과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있으며 탄소기반 고기능성
산업 소재 개발로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생태계 활성화에도 부단한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보임

18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 화학 공정소재의 핵심 기술테마 ]

ž 친환경 고부가가치 석유화학제품 : 친환경 가소제, 분체 도료 소재 개발


ž 에너지 저감형 고효율 분리공정 : DWC(Derived water concentration)와 같이 증류공정의
에너지 비용을 저감하는 신기술 개발
ž 기존 공정의 Re-Purpose : 기존 제품 제조공정에 대해 개조를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
하는 공정으로 전환
ž 댐핑(Damping) 효과 고분자 소재 : 소음,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할 수 있는 고재 및 고감성 고
분자 소재 개발
ž 친환경 및 내환경 기능성 고분자 소재 : 친환경 공정이 가능하고 내환경성이 우수한 기능성
고분자 소재 개발
ž 터치패널용 고기능성 소재 및 필름기술 : 박막 wet 코팅 공정, 수입에 의존하는 인덱스 대칭
레이어를 코팅한 제품

● 기존 산업의 고도화 ž 편광필름용 광학제어 필름기술 : dry 연산공정과 wet 코팅 공정을 이용한 위상제어 필름기술
ž OLED 고효율 소재 기술 : 저가격 OLED TV 제조를 위한 고효율 용액공정용 소재 및 형성 기술
ž 유해환경 인자 차단 코팅소재 : 초미세먼지 흡착용 코팅소재, 발열/단열 기능을 향상시키는 소재
ž 고 감성유도 럭셔리 표면 코팅 소재 : 자동차, 건축, 디스플레이 제품의 표면 처리에 의한 고
급화 기능을 주는 소재
ž 제품의 성능 향상 표면기능소재 : 점/접착제, 첨가제, 코팅소재
ž 고기능 에너지 저감 향상 필름/코팅소재 : 표면 기능특성 제어를 통한 에너지 저감 및 기능성
을 향상시키는 소재
ž 저가 고출력 하이브리드형 에너지 저장 소재 : 기존 이차전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하이
브리드용 전지용 격리막, 바인더 및 전해질 소재 개발
ž 저가 고기능성 에너지 변환 소재 : 에너지 변환 기술 시장 확대를 위한 가격 및 성능이 개선
된 핵심 소재 개발

ž 가스기반의 석유화학 신공정기술 : C1~C4 Alkanes 이용 범용 석유화학 제품제조기술 개발


ž 플라스틱 기반 수송기기용 화학소재 개발 : 수송기기의 경량화 등을 위한 플라스틱 기반 고분자
복합 소재 개발
ž 전기차용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및 방열 복합기능 고분자 소재 : 전기자동
● 신기술 ž 신시장 차용 EMI 차폐 및 방열 복합기능 고분자 소재 개발

창출 ž Rollable 디스플레이 소재 : Rollable 디스플레이를 위한 박막화, 복합화 및 필름화 소재 개발


ž 차세대 BLU용 소재 및 필름기술 : 표면코팅의 휘도 및 고성능 BLU를 위한 핵심 공정 소재 기술
ž 포스트 리듐이온전지용 고에너지 소재 개발 : 메탈 음극 보호막 소재 및 초고용량 황 전극 바인
더 소재 기술 개발
ž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핵심 소재 : 레독스 플로우 전지, 수전해 모듈 핵심 소재 기술 개발

ž 탄소 기반의 고기능 산업 소재 : 전기로 전극봉, 이차전지 음극제, 태양광 핵심 소재 개발


ž 친환경 건축용 소재 : 친환경 단열/차음 소재 개발, 무독성 내장소재 개발
● 생태계 활성화 ž 고신뢰성 광반응 및 광기능 소재 기술 : 편광조사에 의해 분자 정렬을 제어 할 수 있는 소재
ž 선택적 이온흡착용 킬레이트 이온교환소재 : 반도체 해수담수화 및 수처리 산업용 붕산 및
중금속 흡착용 소재 개발

* 출처 : 한국 산업기술 평가원, IU CHEM

19
▣ ▣ 화학소재공정 ▣ ▣

나. 핵심 플레이어 동향

◳ 유럽/일본 화학기업의 위기 대응

 과거 90년대 초중반부터 시작된 유럽/일본 화학기업들의 경쟁력 위기 상황과 2010년대 이후


본격화된 한국 화학기업의 경쟁력 위기 상황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유사점이 있음. 유럽/일본
화학기업들은 범용사업의 위기가 시작된 90년대에 이미 사업들이 다각화되어 있었고, 위기 이
후 다양한 옵션으로 전략적 선택을 실시

 그러나 한국의 화학기업 들은 중국 수요와 과감한 자본투자에 기반하여 범용 석유화학 중심으


로 성장을 지속했고, 2000년대에 들어서야 스페셜티 및 가공 사업으로 다각화를 시도하고 있
음. 그러나 차별화되는 핵심 기술력과 소량다품종 사업역량 부족으로 대부분 여전히 범용 석유
화학사업 중심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위기 상황에서 선택 옵션이 다양하지 못함

 BASF의 한발 앞선 체계적인 포트폴리오 관리와 철저한 실행력 은 많은 기업들에게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음. 1990년대 중반 BASF는 범용 석유화학 비중이 큰 사업구조로는 경쟁우위를 가지
기 어렵다고 보고, 포트폴리오 이전을 위한 설비 효율화와 경쟁사와의 사업교환(Swap) 등 구
조정비를 추진, BASF의 포트폴리오 관리 방식은 매 5년 단위로 향후 10년의 사업 전망에 기
초하여 전체 사업(Strategic Business Unit, 2010년 기준 약 80개)을 Green, Yellow,
Brown, Red의 4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부여된 미션과 전략방향에 따라 사업별 실행전
략을 수립, 포트폴리오 전략 실행의 핵심은 내부 R&D와 설비투자, 사업 매각 및 인수를 유기
적으로 조합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BASF는 2000년부터 10년간 성장의 60%는 자체 기
술개발과 설비투자에 의하여, 40%는 In-organic Growth(M&A)에 의하여 실행했고 이 비율
은 향후에도 유지하겠다고 발표하고 있음

 소재 솔루션 전략의 대표적 성공기업으로 일본의 도레이(Toray)를 꼽을 수 있음. 도레이의 솔


루션 전략은 이미 보잉과 에어버스 비행기에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을 적용하여 장기공
급 계약을 체결하고, 유니클로와 공동으로 히트텍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섬유를 지속 개발하
는 등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음. 최근 소재기술과 솔루션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노력하는 분야는 CFRP의 자동차 시장 적용분야로서 핵심은 모노코크(monocock)라고 불리는
상용차의 Body를 생산하는 가공기술로 수지전이성형(Resin Transfer Molding) 이라는 고속
성형기술을 개발하여 자동차 대량 생산 시 복합소재 가공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솔루션을
찾은 것임. 한국과 중국 섬유기업들도 탄소섬유(CF, carbon fiber) 생산에 뛰어드는 상황에서
탄소섬유만으로는 경쟁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자동차 메이커와 공동 노력으로 차별적 고부가
시장을 만들고 선점하겠다는 전략으로 해석

 솔베이(Solvay)는 2000년대 초까지는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 범용 플라스틱사업


을 보유하면서, 폴리비닐수지(PVC)에서는 유럽 최대 기업이었으나 이러한 사업들이 유럽에서는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대변신을 추진하여 정밀화학과 고기능플라스틱 사
업을 강화하고, 2011년 Rhodia를 인수하면서 정밀화학과 스페샬티 사업의 범위를 더욱 확장
하여 더 이상 유럽 최대의 PVC 기업이 아닌, 글로벌 자원개발 특화 케미칼스(Oilfield
Chemicals)기업이자 최고급 바닐라향 첨가제 기업이 되었음

20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 신에츠(Shinetsu)는 다른 일본 화학기업과는 다르게 사업 초기부터 글로벌 사업기지를 구축하


고 환경변화에 맞추어 지역별 전략을 선택적으로 전개하여 대부분의 기업들이 저수익을 기록하
는 PVC사업에서도 고수익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본기업들이 내수시장 점유율 확대와 사업
다각화에 주력하던 80년대부터 PVC-클로르알칼리를 대륙별로 수직계열화 된 생산기지를 구축,
이후 비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원료(에틸렌)와 유틸리티(전기)의 저가 소싱이 가능하
고, 내수시장이 큰 미국을 중심으로 확장전략을 추진, 때마침 미국 셰일혁명으로 원료와 전기
비용 우위 이점이 더욱 커지면서 수익성이 상승

 일본 후지필름은 2000년대 초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사진필름 시장이 매년 크게 축소


되고 적자사업으로 전환되는 위기를 겪었으나 헬스 케어 및 산업용 고부가 필름시장을 개척하
고 제록스와의 제휴를 통한 문서솔루션(Document Solution)사업을 출범하면서, 매출은 크게
성장하고 영업이익률도 6% 수준을 유지 하고 있음

 Global M&A 동향은 2010년과 2011년을 정점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나 향후에도
미래전략에 따른 사업재편이 예상되어 지속적으로 많은 M&A가 예상, 경쟁력을 상실해 가고
이익이 감소하고 있는 사업이나 경기에 민감한 Cyclic Chemicals 사업들의 전환을 모색, 경
기에 안정적이고, 이익률이 높으며, 기술우위를 유지할 수 있는 Specialty chemicals 나
special end-market 중심으로 전환을 모색,

▪ M&A 시장에서 중심에 있던 분야는 Styrenic Business, the Coating Business, 2013년의
titanium dioxide, 2014년에는 Agrochemicals

▪ Asia 화학회사들로부터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거나 미국의 Shale gas revolution으로부터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분야에서 탈피, 제품 포트폴리오를 고부가가치 제품, 더 특화된 제품, 고성장제품으
로 전환

[ 화학산업의 지역별 M&A 현황]

Global chemical M&A 2009 2010 2011 2012 2013

USA and Canada 186 187 219 222 168

Europe 143 217 225 221 187

Asis Pacific 98 138 146 120 141

Latin America 7 23 36 36 28

Africa and Middle East 16 14 20 10 13

* 출처 : : DTTL ,Delitte, 2014, KEIT PD MAY 2014 VOL 14-5

 변화의 방향과 성격은 기업마다 차이가 크지만 기업별 사업구조와 규모, 보유역량, 지향점
에 따라 전략 방향과 실행방식에는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음. BASF는 한 발 앞선 포트폴리
오의 최적화 및 고도화 실행력으로, 일본의 도레이는 솔루션 전략으로, 솔베이는 사업의
질을 중요시하는 구조 전환으로 위기 극복 전략을 추진. 이처럼 각 기업마다 적합한 핵심
전략과 변화의 방향을 선택하고, 일관되게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실행력이 필요

21
▣ ▣ 화학소재공정 ▣ ▣

◳ 일본 기업들의 고부가 정밀화학 산업 전략

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원료 부문과의 시너지, 소재 전문 기업화, 사업 다각화 등을 통해 기능·특


화에 집중, 원료부문의 중합프로세스 및 폴리머 설계를 활용하여, 가공(압출, 사출, 필름 등)
단계와의 시너지 발휘, 전문 기업인 JSR, Ube Kosan, KURARAY 등은 항공우주, 정보통신,
기능성 수지 등에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문 소재기업화를 추구

▪ Mitsubishi HD는 산하의 Mitsuibishi化學과 Mitsubishi수지 간에 원료와 가공기술을 상호융합

▪ Nippon ZEON : 정보통신, 카본나노튜브

▪ JSR : 반도체 재료, FPD 재료, LIC

▪ UBE Kosan : 항공우주, 정보전자, 기능 화학품, 기능성 수지, 의약, 건축자재

▪ KURARAY : 전자재료, 유가물회수 시스템, 환경대응 소재

 NCC(납사 생산시설)를 보유한 기업들은 진입 장벽이 높고, 대규모 R&D 투자가 소요되는
Health Care, Medical, 에너지·환경 등에 보다 집중

▪ Showa Denko : 반도체 재료, LiB 재료

▪ Asahi-Kasei : 의약, 정보통신용 소재

▪ Sumitomo : 액정디스플레이용 필름, 반도체 재료, 건강·농업 관련, 의약 사업, 이온 전지, 태양 전지 등

▪ Mitsui : 헬스 케어 재료, 위생재료, 농업화학, 정보전자용 필름, 태양전지, 바이오매스, 농업화학 등

▪ Mitsubishi : 탄소재료, 정보전자 소재, 연료전지, 헬스 케어

* 출처 : KEIT PD MAY 2014 VOL 14-5

[ Value Chain 별 일본 화학기업들의 Position ]

22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 Showa Denko는 1939년 비료 사업을 시작으로 석유화학, 기능재료에서 비철금속까지 다방면의


사업에 진출 중, 초기 석유화학 중심에서 1990년 이후 기능성 재료, 전자재료 등으로 사업 전환
함. 기초 화학품인 암모니아 및 소다에서 석유화학, 세라믹, 알루미늄, 전자 재료 등 광범위한 제
품 포트폴리오 구축함. 2011년부터 5개년에 걸친 중장기계획인 “PEGASUS(2011~2015)”를 추
진 중임

▪ Showa Denko 만의 고유한 혹은 우위성이 있는 기술을 기반으로 강력하고 다양한 사업군을 글로


벌 전개하여 Leading Company를 추구

▪ (LiB전지 재료_Package재료) 박막형, 공간절약형, 방열성 향상에 기여. 이를 위해 신규 프로세스


에 의한 생산능력 확대 및 안정적 공급

▪ (LiB전지 재료_부극재) 전기자동차용 부극재 시장 확대를 위해 장기 수명, 고용량, 고밀도, 높은


입출력 특성, 신규 그레이드 투입, 장착용 축전지 그레이드 양산 등

▪ (Power 반도체) 단계적으로 생산능력을 증설, 4인치 고품질화 및 6인치 양산기술 확립

* 출처 : KEIT PD MAY 2014 VOL 14-5

[ Showa Denko PEGASUS 사업 포트폴리오]

 Sumitomo Chemicals은 1913년 비료제조를 통해 사업에 진출하여 기초원료 및 다운스트림


에 걸친, 규모, 기술력, 해외진출 경험을 바탕으로 석유화학, 정보 전자소재, 건강ㆍ농업 관련
이 주요 핵심임. 일본 내 여타 기업과 비교해서 자국 내 구조조정 등은 아직까지 추진되지 않
은 반면, 해외 직접투자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 동력 확보, 석유화학은 Petro-Rabigh와 같이
지속적인 해외진출을 통한 기반을 강화하였으며, 정보통신분야는 한국 및 대만 등에서의 다양
한 합작으로 매출 증가세에 기여

▪ 회사가 보유한 다양한 기술을 상호 조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분야에 역량을 집중키로 함. 디스플레이 소재의 경우, 현재 Rigid Display의 연구개발을 통해, 차
세대인 Unbreakable Display, 차차세대인 Bendable Display 등으로 발전 구상

23
▣ ▣ 화학소재공정 ▣ ▣

* 출처 : KEIT PD MAY 2014 VOL 14-5

[ Sumitomo chemicals의 향후 전략 사업 포트폴리오]

 KURARAY는 1926년 합성섬유 전문 생산 기업으로 사업을 시작하여 전기전자소재에서 의약, 환경


사업으로 영역 확장, 1950년대 이미 PVA 및 PMMA 사업화를 추진하는 등 제품 포트폴리오의 다
각화 추진함. PVA 수지의 생산을 계기로 합성섬유기업에서 화학기업으로의 전환, 2001년에는 초기
제품인 레이온 사업에서 철수, 고분자·합성기술을 활용하여 산화비닐계, 이소프렌계, 메타크릴계 중심
의 고기능섬유 및 수지 등 사업 전환함. 2012년 중장기경영 계획인 “GS-III(2012~2014)”를 수립하
여, 세계 Top 수준의 스페셜티 기업을 목표로 주요 핵심 제품을 기반으로 기술 혁신, 지역 확대, 외
부자원 활용, Global 경영기반 강화, 환경 대응 등을 주요 전략으로 활용 중

[ KURARAY 주요 제품별 세계 시장 점유율]

KURARAY 주요 제품 세계 시장 점유율
PVA 35%
광학용 PVA 필름 80%
EVOH 수지 65%
비닐론 80%

인공피혁 25%

* 출처 : KEIT PD MAY 2014 VOL 14-5

◳ 국내 화학기업의 정밀화학 소재 개발 및 시장 진출 전략

 신제품 개발 포커스로 환경 친화적 및 고성능 제품, 저원가-고기능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및 할


로겐계 난연제 대체기술과 고내열/광분해 저항성 고분자 산화방지제, 하이-엔드 열/광안정제 등
자동차, 정보전자 소재, 플라스틱 가공, 패키징, 헬스 케어, 건설, 의류 등 수요산업과 연계의
지, 소재기업, 가공 및 성형기업, 수요기업, 산업현장 테스트 마케팅, 인체/보건/환경 영향성 평
가, 신뢰성 평가 기관과의 공동연구 개발 중임

24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 기능성 고분자 첨가제 기술은 해외선진국에 비해 매우 부족하여 스페셜티 고부가 제품은 대부


분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향후 신제품 개발 및 품질의 차별화에 집중 필요함. 한중 FTA
체결은 중국 진출 해외선진 정밀화학사 고기능 첨가제의 즉시 관세 철폐로 이어져 국내 정밀화
학 시장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어 기술적 대응 필요

 동남합성은 Isosorbide를 이용한 친환경 당류 가소제 제조기술 개발로 Isosorbide를 이용한 고


순도 친환경 당류 가소제 제조 및 피혁 적용공정 기술 개발 중

▪ Isosorbide 당류 가소제

▪ 코팅수지 피혁공정 기술

 동구산업은 프탈레이트 가소제 대체용 친환경 식물성 에스터 가소제 대량생산 개발로 프탈레이
트 대체 친환경 식물성 에스터 가소제 대량 생산 기술 개발 중

▪ 에폭시화 대두유 반응성

▪ 메틸에스테르가소제 추출

 아이씨아이우방은 내일광성 및 color yield를 유지하는 염색용 비할로겐계 난연제 개발로 염


색 욕에서 분산균염 가능하고 비할로겐계이면서 일광견뢰도 및 컬러일드에 영향이 없는 염색용
비할로겐계 난연제 개발 중

▪ 난연제 순도 95%

▪ 일광견뢰도 3급 이상

 송원산업은 올리고머형 고내열성 phosphine계 산화방지제의 개발로 270℃ 이상에서 안정한


고내열성 포스파인계 산화방지제 개발 중

▪ 올리고머 형태 기술

▪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적용

 동성하이켐은 초고압전선 가교제용 유기과산화물 국산화 개발로 DCP 국산화 합성기술 개발 중

▪ 입자사이즈제어

▪ 저융점고상 안정성 연구

 파미셀(주)은 모바일기기 인쇄회로기판용 친환경 반응형 변성인계 난연제 및 난연에폭시 수지


개발로 PCB용 프리프레그 제조를 위한 에폭시 수지용 난연제 개발

▪ 변성인계 난연제

▪ 고내열성 에폭시 수지

 SK케미칼은 ´친환경·고기능 플라스틱 소재 글로벌 리더´라는 비전 달성을 위해 고부가 가치 제


품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구축중이며, 에코트란, 퓨라탄, 에코란, 에코젠 등 바이오 폴리머 사업
에 집중하고 있음

25
▣ ▣ 화학소재공정 ▣ ▣

 자동차의 경량화 추세에 따라 LG화학은 자동차 내장재에 쓰이는 ABS 사업규모를 확대하고 있
으며, 자동차 핵심 소재인 금속을 대체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사업도 강화 하고 있음. 금호석
유화학, 제일모직, 호남석유화학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자동차용 특수소재의 개발에 뛰어
들고 있음

 LG화학은 오창 공장에 국내 최대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설치하고 있음. 기존 주력사


업 부문의 혁신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면서 신성장동력인 에너지 솔루션 사업에 집중 투자키
로 했으며 자사 사업장에서 ESS를 적용해 전기료 절감과 함께 대규모 ESS의 기술력과 신뢰성
을 검증하는 등 시장 주도권을 더욱 강화한다는 목표

[ 핵심 플레이어 분석 종합 ]

구분 기능성 정밀화학 소재

주요내용 첨가제 계면활성제 전자정보소재


LCD/PDP/
LED/
flexible display/
세정제, 유화제, 습윤제, touch
가소제, 난연제, 충격보강제, 살균제, 분산제, 대전방지제, panel,
주요 제품/기술
산화방지제, 개시제, 안정제 유연제, 침투제, 부유제, 디스플레이 소재(전면필터,
침강제, 매염제, 평활제 투명과 백색 유전체 재료,
실링제, OLED, 플렉서블
기판), 반도체용 소재(화합물
반도체, 유기 반도체, 유전체)

BASF, DSM, Croda, KAO, Tokuyama Soda, 신에츠,


Exxon Mobil, Eastman,
Katakura, AkzoNobel, MEMC, Wacker, 스미토모,
BASF, Evonik,
DuPont, Sanyo Chemical, DNP, DuPont, Hoya,
Ferro, Adeka, Dow, LG,
Henkel, Stepan, Witco, Heraus Oriental, SELETE,
해외 기업 Lanxess, OXEA, Adeka, SI
Dow Chemical, Toshiba, Hitachi,
Group, Clariant, Italmatch,
Goldschmidt, Akzo Nobel, Matsushita, Ablestick,
DuPont, Polyram,
Cabot, Rohm & Haas, ICI, Epotek, Amicon, Siemens,
Telko,Norac, Adeka
DRL, CSC Shipley, Hoechst, OCG

삼성전자, LG전자,
송원산업, LG, 카에로켐,
애경, LG, 동남합성, 미원상사, 삼성디스플레이,
동구산업, 대림화학, 코렉스,
니카코리아, 선진화학, LG디스플레이, LG화학, SKC,
풍림유화공업, 에코테크,
한농화성, 일신웰스, 효성, 동우화인켐, 동진세미켐,
코렉스, 디엔에프, 나노코,
국내 기업 KPX그린케미칼, 오성화학, 씨앤에이인더스트리, 아바텍,
위디어, 지코, 동보화학,
태동화학, 우진정밀화학, 대영, 창성, 케이엔더블유, 코텍,
영보화학, 큐시스,
풍림유화, 삼영, 세기화학, 티메이, 피엔에이치테크,
타코마테크놀러지, 신원화학
KCI, 그린유화, 금강하이켐 OCI머티리얼즈, 잉크테크,
나노신소재

26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4. 시장동향 및 전망

가. 세계 시장동향

◳ 세계 화학 산업시장은 지속적으로 증가예상

 중국과 인도 등 인구 거대 국가의 경제성장으로 아시아지역의 화학 산업 발전이 가장 높은 수준


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 세계 화학 산업성장을 주도, 2017년에는 아시아 지역의 화학 산업이
전 세계 시장의 54.2%, 미국을 포함한 북미는 15.8%, 유럽은 17.6%의 시장점유율 예상

 중국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중국시장의 시장 점유율이 35.3% 로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을 형


성할 것으로 예상

[ 세계 화학 산업시장규모 및 증가율 전망 ]

(단위 : US 10억불)
CAGR
구분 ‘13 ‘14 ‘15 ‘16 ‘17 ‘18 ‘19
('13~'19)

세계시장 5,206 5,503 5,807 6,114 6,431 6,772 7,131 5.3

* 출처 : KEIT PD VOL 14-5


* 주 : 1. KEIT PD VOL 14-5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함
2. 2018년 이후 연도의 시장규모는 KEIT PD VOL 14-5 에서 추정한 값임

* 주 : 1.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BTX, TPA 등 8개 제품의 수급 합산


2. 가동률은 수요/생산능력으로 추정한 값임
* 출처 : IHS, PCI, 일본경제산업성, KDB산업은행경제연구소 2015

[ 세계 석유화학 제품 수급 동향 ]

27
▣ ▣ 화학소재공정 ▣ ▣

 2016년 석유화학산업 시장 전망으로 유가의 완만한 반등 속에 2015년 수준에서 완만한 상승세


를 나타낼 것으로 분석함. 나프타는 원재료 측면과 수급 양측면에서 제한적 상승으로 NCC 업체
들의 수익성 향상에 기여할 것임. 에틸렌의 upcycle은 현재 진행형으로 2016년에도 이어질 것
이며, 폴리머 역시 전 세계 경제 성장에 따른 수요회복으로 강세를 전망함. 다만 프로필렌과 부
타디엔은 회복세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벤젠과 SM, ABS, HIPS 등은 그 동
안의 Capa 증가가 일부 마무리되면서 수급밸런스 조절로 역시 상승세를 나타낼 것으로 분석

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 전망에도 불구, 미국, 중국 중심의 설비 증설로 중기적으로 공급과잉이


더욱 심화될 전망이며 중국 등 신흥국이 세계 석유화학 제품 수요성장을 주도하여 전 세계 에
틸렌 수요가 ’14년~’19년까지 연평균 2.6%의 견조한 성장 전망, 에틸렌 생산능력이 중국, 미
국, 중동 등지를 중심으로 ’14 년~‘19년까지 연평균 3.5%씩 증가

◳ 중국의 리스크 확대

 중국 경제성장률은 2010년대 들어 한자리수로 전환되었으며, 향후에도 6 %대의 저성장 기조


가 유지될 전망, 중국 저성장에 따른 섬유, 자동차, 건설, IT 등 석유화학의 주요 전방산업 성
장세 둔화로 석유화학제품 수요 부진 지속

 한편 중국은 자급률제고 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석탄화학 중심의 설비투자


확대 추세, 중국은 세계 3위의 석탄매장량을 보유한 국가로서 서부지역의 풍부한 석탄 활용 및
내륙지역 개발 등의 정책적 목적 하에 석탄화학설비 비중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음

 중국 자체 공급능력 확대로 자급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동시에 중국 석유화학제품 수입량 급감,


중국 3대 유도품(합성수지, 합섬원료, 합성고무)의 자급률은 2010년 64.9%에서 2012년
71.6 %, 2014년에는 79.1 %로 급증, 3대 유도품 중에서도 TPA, 카프로락탐 등의 합섬원료
자급률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이들 제품을 중심으로 수입 급감

 양적 성장 뿐 아니라 로컬기업의 질적 경쟁력도 강화로서 외자기업과의 합작투자, 우수한 기술


력을 보유한 선진기업 인수 등을 통해 질적인 측면에서도 경쟁력 확보 노력 가속화

▪ Bluestar(동물사료 제조회사)의 Adisseo Group 인수(’06년, 4억 달러), 노르웨이 Elkem 인수(’11


년, 20억 달러)

▪ Wanhua Industrial Gr.의 헝가리 Borsod-Chem 인수(’11년, 12억 유로)

▪ ChemChina의 이스라엘 Agan 지분 60 % 인수(’11년, 24억 달러), 이탈리아 Pirelli 지분 26.2


% 인수(’15년, 20억 달러)

28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 고부가가치 정밀화학 제품 확대

 BASF, Dow 등 구미 선진기업들은 수익률이 낮은 범용제품에서 벗어나 고객중심, 후방시장 통


합형 사업으로 전환하여 산업재, 소비재 등으로 사업영역 확대, 고객니즈에 맞는 스페셜티 제
품개발을 위한 R&D,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의 M&A 등에 적극 투자, 비전략 사업부문의
매각을 통해 자금을 확보한 후 전략사업 관련 기업의 인수합병

 한국과 산업구조가 유사한 일본도 대내외적으로 불리한 시장 환경에 따라 정부 주도의 구조조


정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인 스페셜티 제품 중심으로 산업구조 재편, 범용사업은 철저한 원가
절감 목표 하에 경쟁력 없는 사업부문의 축소 및 폐쇄, 원료경쟁력 우위 확보를 위한 해외진출
등 추진, 한편 고부가가치 사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본 기업의 R&D 투자 비중을 매
출액 대비 15% 수준으로 높임으로써 고기능성 소재 중심의 사업 전개

 (Agrochemical) 인구의 증가에 따르는 식량 증산의 필요성과 개발도상국에서의 중산층 증가,


그리고 각 국가들의 식량 안보의식으로 사용량의 증가가 예상되므로 향후 안정적 발전이 예상
되는 분야임. BASF의 Becker Underwood 인수, Syngenta의 Pasteuria Biosicence와
Devgen 인수, FMC Corp의 Center for Chr. Hansen과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Bio-solution의 인수

 (Bio-based Chemicals와 Green Chemicals) 장기적인 관점에서 아직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 기존의 탄소에서 유래된 제품과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지 여부와 이러한 가격
경쟁력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독특한 특성 여부, 위험적인 요소가 많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구매보다는 Joint Venture 형태로 조심스러운 접근 필요

 (Health and Nutrition) 향후 큰 성장을 예상하고 있는 분야, 세계적인 고령 인구의 증가와


세계적인 중산층의 증가로 인하여 건강과 개인행복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 예상, 각국의
정부에서 보면 Welfare costs 가 점차적으로 부담, DuPont의 지속적인 $ 10 billion 투자선
언, BASF의 Equated, Pronova Biopharm 의 인수, FMC Corp 의 Epax 인수, Royal DSM
의 Fortech 인수

29
▣ ▣ 화학소재공정 ▣ ▣

[ 세계 화학 산업 품목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US 10억불)
CAGR
주요품목 ‘13 ‘14 ‘15 ‘16 ‘17 ‘18 ‘19
('13~'15)

의약품 1,141 1,156 1,205 1,265 1,330 1,383.2 1438.5 4.0

화학제품 4,436 4,484 4,637 4,846 5,059 5,241 5,430 3.6

소비재 435 454 467 484 505 524.7 545.2 3.9

농화학제품 513 524 540 561 582 605.3 629.5 4.0

코팅관련 230 243 247 254 265 274.8 285 3.7

기초화학품 2,182 2,196 2,268 2,370 2,474 2,553 2,635 3.2

합성수지 633 637 659 691 725 752 780 3.7

기초, 중간
936 941 975 1,022 1,069 1,113 1,159 4.1
석유화학 제품
* 출처 : : American Chemistry Council, Guide to the Business of Chemistry, 2013,
KEIT PD ISSUE REPORT MAY 2014 VOL 14-5
* 주 : 1. 상기 자료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함
2. 2018년 이후 연도의 시장규모는 KEIT PD VOL 14-5의 자료로부터 추정한 값임

30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나. 주요국 시장동향

◳ 유럽, 미국 및 일본의 기능성 화학 소재에 대한 집중

 현재 기능성 화학소재는 유럽·미국·일본 등 선진국 기업이 사업규모, 수익성, 시장에서의 평가


및 글로벌 공급기지 구축 등 면에서 세계 시장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는데 이는 이들 기업이
1990년대 초반이후 주력으로 영위하던 석유화학산업이 신흥국의 영향력 확대와 자원가격 변동
성 심화 등 급격한 환경변화로 대형 합병·인수·사업재편을 통해 기능성 화학소재 메이커로 변
모한데 기인

 선진 화학기업 대부분은 자본집약적이고 위험도가 높은 범용 석유화학과 의약품 사업을 매각하


고 스페셜티 분야의 인수를 더 확대, 유력한 기능성 화학업체를 탄생시켜왔으며, 동시에 글로
벌화에 의한 세계적인 시장 선도업체를 목표로 집중한 결과임. BASF의 주요 M&A 사례를 보
면, 의약품 사업을 폴리올레핀 사업을 Basell로 분사하는 한편 Engelhard(미국; 촉매 사업),
CIBA(독일; 첨가제 사업) 및 Cognis(독일; 화장품·기능성 식품사업)를 인수, 기능성 화학 사업
을 강화함. 이러한 “탈 석유화학 + 탈 의약 + 기능성 화학 강화”로 대표되는 사업의 선택과
집중은 Bayer(독일), Evonik(독일)과 Arkema(프랑스) 등 다른 기업에서도 동일하게 추진

건축용 화학품(40,678백만달러, 5.6%) 기능성 Nutrition(8.090백만달러, 5.7%)

북미 유럽 일본 중국 북미 유럽 일본 중국
BASF BASF Archer
W.R.Grace Construction 大日本塗料 Construction Daniels BASF 아지노모도 BASF
Chemicals Chemicals Midland
China Blue
Cargill 花王 DSM
MAPEI Academy of California
RPM Int`I 花王
S.P.A(伊) Building 협화발효 Baolingbao
Cargill DSM
Research 바이오 Biological
Zhejiang China
DuPont/
Valspar Sika AG(독) 코니시 Wulong DuPont 이연비타민 Peptide
Danisco
Chemical Valley

산업용세정제(39.037백만달러, 3.1%) 수처리용 약품(13,185백만달러, 3.5%)

북미 유럽 일본 중국 북미 유럽 일본 중국

Ecolab Ecolab Diversey Blue Star Nalco Nalco 하쿠토 Nalco


Shanghai GE IWP
GE Water BASF/CIBA 하이모
Diversey Diversey Ecolab Hutchison Tech.
White Cat
Ashland Dow/Rohm
Zep 花王 Ashland 片山Nalco
Deutschland and Haas
NCH 라이온 Danaher GE Water 율전공업 BASF/CIBA
* 출처 : KEIT PD ISSUE REPORT MAY 2016 VOL 16-05

[ 주요 기능성 화학소재 시장별·지역별 선도 업체 ]

31
▣ ▣ 화학소재공정 ▣ ▣

 석유화학 전문 기업과 정유 회사를 제외하고 범용 석유화학을 대규모로 영위하고 있는 구미 대


형 화학 기업은 실질적으로 Dow만 해당된다고 볼 수 있음. 의약품도 구미의 많은 유력한 화
학 기업이 과거에 영위했지만 거의 축소·철수한 상황임. 본격적인 전개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
은 Bayer이 유일하며, 오히려 Bayer은 의약 및 농약에 집중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음. BASF의
경우에는 의약사업을 매각하였지만 관련 소재와 신약개발 지원 사업의 전개를 통해 광의의 헬
스 케어 시장의 성장을 누리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

 선행 구미 기업들은 기존의 기능성 화학소재 사업을 “대형·고성장” 분야에서 “비 경기 순환적”


인 수요자 분야의 사업 확대(ex : BtoC계열, Nutrition, Care Chemical·Consumer, 바이오
등)와 대담한 M&A 전개, 글로벌 오퍼레이션에 의한 마진 상승을 전략으로 취하고 있음

 선진 구미 기업과 비교할 때 일본 기업의 전략은 수익성이 저하된 범용 석유화학에서 기능성 화


학으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은 공통점이 있지만 방법론은 다소 양상을 달리하고 있음. 일
본 기업의 사업 포트폴리오는 그 사업·제품의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여 대부분 기업들이 석유화학
사업을 같이 유지하고 있고, 구미가 철수한 의약품은 오히려 강화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음

 일본기업은 전자재료 분야의 포지션을 유지하면서 고성장 분야(헬스 케어, 에너지, 물, 환경


등)의 점유율 확대를 도모

[ 세계 화학 산업 지역 및 국가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US 10억불)
CAGR
지역별, 국가별 ‘13 ‘14 ‘15 ‘16 ‘17 ‘18 ‘19
('13~'19)

북미 894 920 951 983 1,015 1,046 1,077 3.0

서유럽 1,028 1,053 1,080 1,107 1,134 1,159 1,185 2.2

MENA
(중동과 192 203 214 226 237 250 263 5.3
북아프리카)

아시아 2,626 2,838 3,052 3,226 3,488 3,743 4,016 7.3

일본 368 384 399 409 417 430 443 3.1

중국 1,572 1,737 1,906 2,081 2,271 2,491 2,733 9.7

인도 142 156 171 187 203 222 242 9.2

한국 185 195 205 214 223 234 245 4.8

* 출처 : American Chemistry Council, Guide to the Business of Chemistry, 2013,


KEIT PD ISSUE REPORT MAY 2014 VOL 14-5
* 주 : 1. 상기 자료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함
2. 2018년 이후 연도의 시장규모는 KEIT PD VOL 14-5의 자료로부터 추정한 값임

32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 중국 화학 산업의 발전

 중국의 정제설비 생산능력의 증가가 2014년 이후 안정화됨에도 불구하고, 자체 공급 과잉을


해소하기 위하여 중국의 연료유 등의 수출량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이는 석유제품의 수
출 비중이 큰 국내 정유 업체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함

 기술진보에 따라 석탄 기반의 제품 스펙트럼도 확장, 과거에는 생산제품이 PVC 등 일부 제품


에 국한되었으나, 최근 CTO 기술을 통해 PE, PP, EG 등 올레핀 계열제품 뿐 아니라 BTX로도
생산제품 확장, 세계 PVC 생산량의 35 %가 석탄으로부터 생산되는데 특히 중국은 생산되는
PVC의 83%가 석탄기반의 원료를 사용

 중국은 PE/PP 등 내구재 생산에 사용되는 화학제품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석탄을 활용
한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있음. 전체 경질 올레핀 생산능력에서 CTO/MTO의 비중은 2013년
10 % 미만에서 계획된 프로젝트를 적용 시 2017년에는 30 %까지 증가될 전망

* 출처 : IHS, 하이투자증권

[ 중국 올레핀 중 석탄화학 비중 추이(연별) ]

 양적 성장 뿐 아니라 로컬기업의 질적 경쟁력도 강화, 외자기업과의 합작투자, 우수한 기술력


을 보유한 선진기업 인수 등을 통해 질적인 측면에서도 경쟁력 확보 노력 가속화

 중국의 2006년 R&D 투자금액은 29억 달러에 불과했으나, 2012년에는 104억 달러로 크게
증가했음. 중국은 이러한 R&D 투자 강화를 통해서 화학 공정기술과 기능성 및 정밀화학 제품
기술 등 산업 전 분야에 걸친 기술 수준을 빠르게 향상시키고 있음을 추정

33
▣ ▣ 화학소재공정 ▣ ▣

[ 중국 화학 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US 10억불)
CAGR
구분 ‘13 ‘14 ‘15 ‘16 ‘17 ‘18 ‘19
('13~'19)

중국시장 1,572 1,737 1,906 2,081 2,271 2,491 2,733 9.7

* 출처 : American Chemistry Council, Guide to the Business of Chemistry,


KEIT PD ISSUE REPORT MAY 2014 VOL 14-5

[ 우리나라 석유화학제품 수출액 및 대중국 수출 비중 ]

(단위 : 백만 달러, %)
‘15년
품목명 ‘10년 ‘11년 ‘12년 ‘13년 ‘14년
1~10월

35,715 45,587 45,882 48,377 48,214 31,951


석유화학제품
(증가율)
(30) (27.6) (0.6) (5.4) (△0.3) (△21.7)

17,070 21,600 21,660 23,490 22,050 14,420


대중국수출
(수출비중)
(47.8%) (47.4%) (47.2%) (48.6%) (45.7%) (45.1%)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협회 2016

34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나. 국내 시장동향

◳ 국내 화학 산업 시장 리스크

 우리나라 석유화학산업은 세계 4위의 생산 규모(’14 기준)를 보유하고 있으며 생산액 기준 국


내 제조업 중 3위를 차지, 그러나 업체별 생산규모는 글로벌 메이저 대비 매우 열세하여 규모
의 경제 취약

▪ 에틸렌 설비능력 기준 Dow 1,000만 톤, SABIC, ExxonMobil 등 800만 톤 이상인데 반해 LG


화학 220만 톤, 롯데케미칼 210만 톤, 여천 NCC 190만 톤

▪ 또한 소규모 다운스트림 업체가 과다하게 존재하여 과당경쟁 만성화

 범용제품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기술력 열위 등 수익성이 취약한 구조, 국내 기업의 매출액


70% 이상을 외부 환경에 취약한 범용제품 부문이 차지하고 있는바,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
이 글로벌 메이저 기업이 10 % 이상인데 반해 국내기업은 2~4 %대에 불과

 고부가 제품인 고기능성 스페셜티 제품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 저조, 2012년 생산설비 증설 투


자가 매출액의 60 %를 차지한 반면 R&D 비중은 6 % 수준

 국내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은 對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인 가운데 최근 중국시장의 경쟁심화로 실


적 부진, 수출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특히 중국시장에 대한 의존도(전체 수출의 약 50
%)가 매우 높은 구조임. 그러나 최근 중국의 수요둔화 및 자급률 상승과 함께 중동산 제품과
의 경쟁 격화 등으로 우리나라 제품의 점유율이 점차 하락세

 다만, 2015년은 매출액이 감소하였으나 저유가로 인한 원가절감 요인으로 영업이익 증가

▪ 국내 주요 석유화학업체의 `15년 상반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21.3 % 감소, 영업이익 은


85.4 % 증가

▪ 그러나 주로 기초유분 중간원료를 생산하는 NCC 기업들의 수익성이 반등하였고, 중국 자급률이


크게 상승한 최종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의 수익성 부진은 지속

[ 국내 화학 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억원, %)

CAGR
구분 ‘13 ‘14 ‘15 ‘16 ‘17 ‘18 ‘19
('13~'15)

국내시장 185 195 205 214 223 234 245 4.8

* 주 : 1. 2018년 이후 연도의 시장규모는 KEIT PD VOL 14-5의 자료로부터 추정한 값임


* 출처 : American Chemistry Council, Guide to the Business of Chemistry,
KEIT PD ISSUE REPORT MAY 2014 VOL 14-5

 2015년 상반기 비교적 양호한 기업 실적에도 불구 단기적으로 한계에 이른 제품 설비 중심의


구조조정 필요함. 향후 유가에 대한 예측과 대비, 고부가 기능성 제품으로의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 등 다각도의 구조조정 대안 모색 필요, 기초유분, 중간원료도 향후 유가상승 및 중국 자

35
▣ ▣ 화학소재공정 ▣ ▣

급률 제고 등 에 대비하여 대응 전략을 마련할 필요, 한계 제품의 경우 각 사별 통폐합을 통한


설비합리화, 규모의 경제를 실현 필요

◳ 국내 기능성 정밀화학 산업 시장 발전

 50년 내외의 역사를 가진 한국 정밀화학 산업은 비교적 내수시장이 큰 의약·농약·염료·안료·도


료 업종에서 수입대체를 위한 범용제품과 완제품 위주로 발전해옴. 이중 접착제·염료·안료·도료·
계면활성제 등 범용 화학제품의 공정개선 및 생산기술 수준은 상당부분 선진국 수준에 도달

 한국의 정밀화학 산업은 시장규모 기준으로 세계 7위 수준, 자동차·전자 등 전방 수요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함에 따라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 삼성전자·LG전자, 현대기아자동
차, 현대중공업 등 글로벌 조립 업종기업들(set-makers)뿐만 아니라, LG화학, 삼성SDI등 거대
화학기업(이차 전지, 편광판 등 생산)과의 분업 및 연계 구축이 매우 용이함

 국내 상위 화학기업들은 아직은 석유화학이 주력 사업이지만, LG화학(디스플레이용 편광판 및


이차전지 등 정보 전자부품·소재), 롯데케미칼(에너지 저장장치, 수처리, PP촉매, 바이오화학),
SK이노베이션(석유개발, 전자소재 일부, 배터리 사업) 등 사업 다각화와 함께 글로벌화 전략도
적극 추진 중

 소형 이차전지 분야에서 삼성SDI와 LG화학이 각각 세계 1,2위를 차지함. 삼성SDI는 이차 전지


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독일 Bosch와의 합작 투자를 통해 중대형이차 전지개발
에 주력 중이며, 삼성SDI는 전기차 배터리뿐만 아니라, 이차전지를 활용한 smart grid 사업 진
출과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ESS)사업도 추진 중이며, LG화학은 현대차와 GM에 전
기자동차(EV)용 이차전지를 공급 중, SK이노베이션은 국내 최초, 세계 3번째로 이차 전지 핵
심소재 중 하나인 분리막(separator)개발에 성공, 현재 국내 분리막 수요의 50 %를 공급

36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5. 기술 동향 및 이슈

 기능성 정밀화학 산업의 기술개발 방향은 ① 유해화학물질규제 대응기술, ② 저원가고성능 구


현 기술, ③ 2in1 멀티기능화 기술, ④ 산업계 수요자 맞춤형 기술 등으로 니즈발생

 제품 및 소재 선택 시 가격, 성능비교, 상용성, 물성 영향인자, 안정성, 화학적 활성 및 인체/


환경 독성 여부 결정이 중요함. 다국적기업 고성능 수입품 대응 가능한 고부가가치 제품 기술
대응력 집중 필요

 화학물질규제, 환경 및 인체보건 니즈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기술 위주의 개발, REACH 및


GHS 등 화학물질 규제에서 벗어날 수 있는 환경과 건강보건의 안정성이 검증된 기능성 첨가
제 개발이 주종임. 최근 헬스 케어 및 건설 산업 성장과 함께 인체 유해한 화학성분이 포함된
첨가제 사용을 제한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새로운 대체기술 개발을 요청하고 있는 중

 강력한 규제대상인 DOP(DEHP), BBP, DBP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생식독성 이슈로 대체 기


술 개발 니즈 발생, 유럽 REACH 고위험물질 16종에 포함된 DOP(DEHP)와 그 외 6종은 유
전자 변형물질로 지정되어 2018년 사용 제한 예정임. 바이오매스 유래 친환경 바이오 기반 가
소제 개발이 Dow Chemical, Lanxess, BASF SE 등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고 Evonik 은 알콜
리간드계 가소제 개발로 시장 진입 예정

[ 기능성 첨가제 글로벌 제조업체 및 수요처 ]

구분 가소제 난연제 충격보강제 산화방지제 개시제 안정제

AkzoNoble,
Exxon Mobil, Albermarle, BASF SE, Arkema, BASF SE,
주요 Dow Chemical,
Eastman, Chemtura, 송원산업, United Ferro,
제조업체 Arkema, Kaneka
BASF, Evonik Israel Chem Addivant Initiators, Baerlcher
AKPA Kimya

BASF SE, Adeka, Addivant,


LG, DuPont,
Clariant, SI Group, NOF, Pergan, AkzoNoble,
Ferro, Adeka, Galata,
기타 Lanxess, Clariant, AKPA Kimya, AM Stabilizer,
Dow, LG, Addivant,
제조업체 AkzoNoble, Chemtura, Ambalaj Elementis,
Lanxess, OXEA Polyram, Telko,
Italmatch, Dow Sanayi Ticaret 송원산업,
Exxon Mobil
DuPont Chemical Norac, Adeka

PVC, LPDE,
플라스틱 빌딩, 플라스틱 플라스틱
PVC업체, XLPE,
수요처 컴파운드업체, 건설분야업체, 컴파운드업체, 컴파운드업체,
컴파운드업체 expandale
마스타베쳐 패키징업체 마스타베쳐 마스타베쳐
PP, PU, PP

* 출처 : KEIT PD ISSUE REPORT AUGUST 2015 VOL 15-8

37
▣ ▣ 화학소재공정 ▣ ▣

 Benzonate, citrate, sulfonate, terephthalate, cyclohexanonate, trimellite, palm oil 등


다양한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술군이 있으나 아직까지 프탈레이트계를 완전 대체할 수 있는
성능, 안전성, 경제성을 갖추지 못하여 대체기술 개발 시급

 헬스 케어 산업에 쓰이는 플렉시블 플라스틱은 가소제의 인체영향으로 대체기술 니즈 높고 특


히 PVC 경우 폴리올레핀으로 빠른 대체 예상 식품, 음료 패키징 시장 성장은 낮은 전이특성을
갖는 고부가 비프탈레이트 가소제 기술개발 촉진

 브롬 및 염소유도체 할로겐계 난연제의 인체유해와 환경문제로 새로운 비할로겐계로의 대체기


술 전환 중임. 자동차, 항공기, 패키징 산업은 금속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의 대체가 가
속화되어 난연제 수요제품 증가, 인체유해성 대응기술의 필요성 급증, 화재안전기준 강화로 빌
딩, 건축물, 전기전자배선 분야의 수요 증가

 엔지니어링, 바이오 플라스틱 수요처와 최근 자동차 경량화 추세로 신규수요 증가 중임. 자동


차 범퍼, 데시보드용 ABS와 루프용 PMMA 사용량 증가로 충격보강제 수요가 증대하고 있으
며 시장 니즈로 다양한 분야에 사용 가능한 열 및 광분해 저항성 높은 충격보강제 개발 요구
됨. 후가공 후 잔류 가공 보완제에 의한 고분자 플라스틱 물성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새로운 비
접착, 이형제 특성 다기능형 가공 보완제 기술 니즈 급증

 페놀계, 인계 산화방지제가 주요제품으로 티올에스테르계와 아민계는 자동차, 가전 등 고온조


건의 특수시장에 적용 중, 1차 산화방지제인 페놀계와 2차 산화방지제인 인계가 탠덤형태로
적용되어 고분자 가공뿐만 아니라 제품소멸까지 역할 수행, 성형조건으로의 고내열성과 사용처
환경에서의 고내열성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산화방지제 기술 개발 가속, BASF SE,
Chemture, 송원산업, Adeka, 스미토모화학 등이 글로벌 산화방지제 공급과 개발 주도 중

 기능성 첨가제 시장의 주요 임팩트 팩터는 자동차 경량화, 안전, 헬스케어산업 대두, 리사이클
링, 건설 분야 수요, 안전규제증가, 플라스틱 제품 고성능 니즈 등에 초점

* 출처 : KEIT PD ISSUE REPORT AUGUST 2015 VOL 15-8

[ 2015∼2019년도 글로벌 기능성 화학소재 시장 Impact factor 예측 ]

38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 환경 친화적인 하이솔리드 및 수계화로 고기능화된 코팅/도료분야 첨가제는 기존 기술에 비해


특수한 기능이 부가된 고도화된 기반기술을 통하여 2013년 60억 달러에서 2018년 87억 달
러로 연간 6.4 %의 성장의 기대됨

 기능성 정밀화학 분야는 기술 수준에 따른 범용제품과 스페셜티 제품 간 부가가치율 격차가 큰


산업으로 일정 수준의 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기술과 노하우 확보가 요구됨

 성공적인 육성을 위해서는 단기 R&D 투자에서 벗어나 글로벌 경쟁에서 생존할 수 있는 중장기 기술역량
육성 프레임과 지원전략 수립, 핵심 히든챔피언 강소기업 집중육성, 성과중심 연구개발 투자전략 필요

39
▣ ▣ 화학소재공정 ▣ ▣

6. 중소기업 대응전략

구분 촉진요인 저해요인

• “10대 핵심소재(WPM) 개발지원”등 화학소재산업


• 화학소재 생산 등록을 위한 관련 인허가의 복잡성과 제약
육성을 위한 관련 정책 추진하며, 기술개발과 동시에
• 신기능, 신소재 개발을 위한 지원정책이 미흡한 상태
정책 개발성과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 마련
• 선제적인 선진국과 선진업체의 대형 합병·인수·사
• 향후 기능성 화학제품의 높은 성장을 예측하여 국
업재편 변화전략에 따른 후발국의 어려움
가적인 소재개발 연구의 지원 및 확대 필요

• 기능성 정밀화학 제품 소비 증가세


• 환경규제 및 까다로워진 화학소재에 대한 인허가
• 기능성 화학소재는 강한 수요산업의 존재 하에서 성장 중
• 단일 기능성 소재 제품의 시장성 감소 가속화
• 기능성 화학소재는 산업 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중
산업 • FTA 등 유통시장 완전개방에 따른 다국적 선진기
요한 기술과 산업이라는 인식
업들의 시장점유율 증가
• 모든 제조 산업의 근간이라는 화학산업에 대한 인
• 글로벌 기업의 지적재산권 독점에 따른 소송 증가

• 기능성 및 안전성 화학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


• 기능성 소재와 밀접한 공학 기술에 대한 소비자 인
고 있으며, 기능성 정밀화학 제품 만족도 역시 높
식과 이해력 부족
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시장 • 국제 경기 침체 및 내수시장 불안
• 기능성이 확실하고 안전한 화학소재 제품에 대한
니즈 증가 • 공급, 수요자의 합종연횡, 글로벌화와 구매력 강화,
공급자의 범위 축소, 글로벌 원스톱화의 움직임
• 정밀화학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 선진국 기업들은 원천기술을 무기로 높은 특허장벽


을 구축하고 있으며, 후발기업의 신규진입을 극력
• 복합 기능성 소재 및 고부가가치성에 따른 기능성
차단·견제
신규 원료의 개발 활성화
기술 • 복합 기능성 소재 및 신규 소재 개발에 대한 기술
• 특수 배합기술의 기능성 화학소재 시장 확대
의존도가 높아 기술 진입장벽 존재
• 기능성 화학 소재의 천연유래 및 바이오 적용 확대
• 기술력과 노하우를 강화·유지하기 위해서라도 국내
생산 거점의 경쟁력 강화는 필수조건

범용
전 세계적
석유화학에서 고부가가치 선진 기술에 소재 트렌드의 환경규제 대응
정밀화학시장
정밀화학으로의 사업 대한 기술 장벽 빠른 변화 중요
확대
구조조정

중소기업 대응전략
➜ 기능성 화학소재의 글로벌 시장 트렌드 및 시장 확대에 따른 국가 정책적 지원 확대에 따라 시장 진입이 용이해질
전망으로 시장진입을 위한 구체적 목표시장 수립
➜ 신규 소재 개발에 대한 기술적 진보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고부가가치 산업이 확대될 전망임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추가 연구
➜ 국내시장의 한계에 따라 해외시장 진출전략 수립

40
▣ ▣ 전략분야 현황분석 ▣ ▣

7. 중소기업 전략제품

가. 중소기업 관심제품

 화학 소재/공정 분야 중소기업이 관심 있는 기술개발과제에 대한 수요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제품 및 기술의 개발에 대한 수요 요구

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관심이 높은 품목은 석유화학계 기초제품 및 유도체, 접착소재, 코팅‧필


름‧도료 소재 및 플라스틱 등의 품목과 관련된 기술개발과제를 다수 신청

[ 중소기업청 R&D지원사업 신청과제 현황 ]

과제건수
주요품목 점유율(%) 성장률(CAGR)
‘13 ‘14 ‘15 합계

석유화학계 기초
45 39 58 142 11.1% 9%
제품 및 유도체

염‧안료 19 17 16 52 4.0% -6%

접착소재 30 43 53 126 9.8% 21%

화학 코팅‧필름‧도료
93 100 127 320 24.9% 11%
소재 소재

/공정 계면활성제 17 18 18 53 4.1% 2%

플라스틱 115 147 179 441 34.3% 16%

환경화학 소재 24 27 22 73 5.7% -3%

촉매 28 29 21 78 6.1% -9%

합계 371 420 494 1,285 100.0% 10%

41
▣ ▣ 화학소재공정 ▣ ▣

나. 중소기업 전략제품

[ 화학소재/공정 분야 전략제품 ]

전략제품 개요

에너지, 표면보호, 접착, 항균, 생분해성, 기체차단, 전도성, 전자파 차폐 등의 기능성이 부


기능성 코팅/필름
여 및 표면처리된 코팅 및 필름

도료는 기재의 외관에 도막을 형성하여 노화 등을 방지하고, 방수, 방오, 내화, 단열 등의


도료 및 염/안료
특수 목적을 부여하며, 다양한 생각을 구현하는 외관용 소재

고유의 접착기능 이외에 성능, 기능 및 경화방법을 보강하거나, 특수기능을 부여하여 다양


점/접착 소재
화학 한 산업용품에 해당되는 환경 적합성을 고려한 접착 소재
소재/
공정 응용분야가 세제, 종이, 펄프, 식품, 화장품, 안료, 도료, 고무, 플라스틱, 의약품, 농약, 콘
계면활성제
크리트 및 세라직 등 거의 전 산업분야에 활용되어 기술집약적 산업

슈퍼엔지니어링 금속, 유리소재를 대체하기 위한 열적, 기계적,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
플라스틱 틱 사용이 증가

이차전지 및 태양전지 분리막, 제조, 식품 생물분야 및 수처리 산업에서 활용되는 분리막


분리막 소재
을 포함하며, 막모듈 산업, 정수장, 공업용수 산업등에 활용 가능

42
전략제품 현황분석

기능성 코팅/필름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기능성 코팅/필름

정의 및 범위

▪ 바탕이 되는 재료(모재)의 표면에 이종 물질을 피막 처리 또는 필름으로 표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일, 금


속, 목재, 플라스틱 표면에 재료를 도포하거나 박막 처리 혹은 필름과 같은 이종 물질을 덮어씌우는 것.
▪ 유리의 반사 방지 박막을 만들거나, 플라스틱의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리키는 등 폭넓은 의미로 사
용됨. 미관(美觀), 내열, 내광(耐光), 내후(耐朽), 내약품성, 방수(防⽔), 방오(防汚), 광학, 제전, 도전, 제
균, 촉감 개선 등을 위해 사용

정부지원 정책

▪ 관련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교육 강화, 고기능성 필름 및 코팅기술에 대한 국가과제 지원


▪ [WPM(World Premium Material) 사업이나 20대 핵심 부품 지원 사업 등]
▪ 각 지역별 경제 혁신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원천기술 및 소재기술 미흡
• 재료 성능과 품질 향상, 기술 인지도 및 관심도 향상 • 기초연구 기반 취약
• 기능성 코팅기술 및 필름의 국내외 수요로 인한 개발의지 • 산학연 협력체계 취약
• 다양한 소재 개발 기술의 발전 • 사업기반 및 투자 자본 미약
• 최고 수준의 전기/전자, 조선 기술력 • 3D 산업이라는 인식
• 시장의 팽창 및 치열한 기술선점 경쟁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최근 기술진보 및 원료 가격 하락
• 고기능성 코팅 시장의 지속적 증가 • 글로벌 기업의 진출로 인한 국내 기업의 생존문제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증가 • 선진국의 기술 보호주의 및 중국 산업의 급성장
•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 촉진 • 글로벌 업체들의 시장선점에 의한 높은 시장 진입장벽
• 전기/전자 분야 수요증가 • 중소기업끼리의 가격 경쟁으로 경쟁력 약화
• 다양한 기능성 제품 수요 증가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기능성, 물성과 품질 향상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통한 세계시장 진출 가능

➜ 고가 소재를 극복하기 위한 원료수급, 기술 개발, 유통구조 개선을 통한 원가절감을 통해 시장 접근

45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핵심기술 로드맵

4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 코팅(Coating)이란 좁은 의미에서 기재(Substrate) 표면의 가스층을 특정한 기능을 갖는 용액


또는 기체 상태의 물질을 이용해 변환시키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넓은 의미에서는 코
팅을 위한 도료 및 장치와 프로세스, 최종 코팅 막 등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음. 즉 가공할
재료에 이종재료를 도포함으로써 표면에 피막을 형성시키는 가공으로 방수성, 방풍성, 관능적 특
성 및 특수기능 부여의 목적으로 사용. 따라서 코팅제품은 복합체이므로 서로 다른 성질을 지닌
두 물질, 즉, 제품과 코팅물질이 결합하여 최대한의 유용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함
▪ 코팅은 코팅 물질과 방법에 따라 크게 습식 코팅법(Wet Coating)과 건식 코팅법(Dry Coating)으
로 나눌 수 있으며 습식 코팅법은 코팅하고자 하는 물질을 페인트나 페이스트와 같은 액상 형태로
제조하고 다양한 코팅 기구(Tool)를 이용해 도포, 건조, 경화라는 기본 공정을 거치면서 코팅 막
을 형성하는 방법을 말함. 건식 코팅법은 코팅 물질을 강한 에너지를 이용해 증기나 이온 상태로
만든 후 주로 진공 분위기에서 기재위에 코팅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스퍼터링, 열증착, 전자빔
(EB) 증착이 대표적임

▪ 코팅이란 기재 전면에 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코팅막 형성 후 원하는 형상


으로 2차 가공해 코팅 막에 특정한 형태의 3차원 패턴을 형성시키는 경우도 있고, 원하는 부분만
코팅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넓은 의미의 관점에서 볼 때 인쇄도 코팅의 한 범주로 볼 수 있음

▪ 기능성 코팅 소재는 ET, IT, BT 및 NT 분야의 첨단 기술이 융합된 신소재 및 정밀화학 분야로 5
대 국가 기간산업뿐만 아니라 군수, 조선, 자동차, 전자, 우주항공, 의료 및 가정용 등의 매우 다
양한 산업에 필요한 특수성 및 고기능성을 갖춘 소재

▪ 기능성 필름은 재료로부터 도출되는 기능과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금속 나노입자 등 나노·과학기술


을 접목한 제품으로 투명성, 초전도성, 고선명, 내오염성, 적외선 차단 및 열적 성능 향상 등 기능
성이 우수한 친환경 필름을 말함. 반도체, 자동차, 건축,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스크린, 에너지 변
환, 의료 및 포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중

▪ 코팅/필름 산업은 환경문제로 산업 성장이 주춤했으나 환경친화코팅 개발과 다양한 기술의 발전으
로 다품종 소량 생산방식에 의해 공급하므로, 고부가가치화에 기여

▪ 국내에서도 기능성 코팅/필름은 주로 전기/전자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고 근래에 들어


서는 IT/전자분야의 강국으로 대두됨에 따라 LCD, 태양전지용으로 수요를 확대하여 나아가고 있어
더 부가가치가 있고 지구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적극 개발하여 국제 경쟁력을 재고 해 나
아가야 할 필요성 대두

▪ 기술/자본 집약적 정밀화학 산업으로, 중소기업 형태로도 소량 다품종의 제품화가 가능한 고부가
가치산업

47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코팅의 기술의 분류 ]

대분류 세분류 내용(범위)

· 기초기술 : 고분자 화학 및 물성, 유변학

코팅액 배합(Formulation) 및 · 원료선정 : 모노머, 올리고머, 바인더, 용제, 피그먼트, 기타 첨가재


분산 기술 · 배합기술 : 특성조합 및 최적 배합 기술 등
· 분산기술 : 피그먼트 습윤, 분쇄 및 분산 안정화 기술

습식
· 코팅헤드 : 사전계량 코팅, 사후계량코팅, 자유코팅
코팅
코팅 공정기술 · 건조기술 : 열풍건조, 적외선건조 등
· 경화기술 : 열경화, UV경화, EB경화

· 표면에너지 제어기술
기재선정 및 전처리 기술 · 기재 선정 기술
· 표면 조도 및 극성 제어 기술

· 스퍼터링(DC, RF, MF 방식/Reactive Coating)


물리적 증착 기술
건식 · 열증착, 전자선 증착
코팅
화학적 증착 기술 · 화학증착 기술(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 자료: 신소재경제신문 2015

 기능성 코팅/필름은 분류방법 또한 매우 다양하며 일상 생활용품으로부터 건축/토목, 자동차,


조선, 정보 및 전자산업 등에 기초소재 및 핵심소재를 공급하는 정밀화학 산업이며 미래성장
동력 발전에 견인차 역할

▪ 산업계에서 기능성 코팅/필름의 용도도 가전, 자동차용, 건축/토목, 가구용, 전기․전자용, 유통용,
항공기, 구조용, 광학, 유리 등 다양

▪ 자동차 산업에서는 구조용, 고내열성, 경량화 및 공정개선을 위해 고기능성 소재들이 활용되고 있


으며 자동차부터 항공기, 조선 및 우주선까지 그 활용범위가 증가하고 있음

▪ 원료, 공정, 화학제품 분야의 상호 연계로 이루어진 석유화학, 여러 도장 설비와 같은 부품소재 및


장비, 기능성 소재와 같은 신소재, 정밀화학 산업으로 구성

▪ 전기/전자산업에서는 슬림화, 경량화, 미적 감성화 그리고 기능의 복합화에 따라 접착제의 활용성


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현재 디스플레이, 모바일, 반도체 그리고 백색 가전까지 전 산업의 영역
에 걸쳐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음

▪ 가전, 자동차 분야에서는 고기능화, 다기능화뿐만 아니라 모양과 디자인의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색채화, 금속화, 입체적인 표현 등을 가능하게 하는 가식 필름, 전사 필름의 수요 확대

4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기능성 코팅의 적용분야 ]

나. 범위

(1) 제품분류 관점

 기능성 코팅은 피도장물의 내구성, 각종 기능성, 수분, 열 등을 조절하고 내외부에서 보호기능


등, 보유 제품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특수 기능성 코팅,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보유하게 됨에 따라 산업전반에서 플라스틱, 금속, 목재, 건축소재를 코팅 또는 대체하는 산업
용 코팅 및 그 원료를 의미하며, NT, BT, ET 및 IT 기술을 적용하여 공정 효율을 높이는 기술
등을 포함

 기능성 필름소재는 기존의 필름에 기능성 소재와 나노기술을 접목하여 유기/무기 복합화 공정
을 통해 복합소재가 제조되고, 소재가 전도성, 자외선 차단, 내열성, 이형, 강성, 항균성 등 고
기능성이 요구됨. 특히, 전도성 필름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높은 투과도를 지니고 있으며, 환
경안정성 및 유연성이 뛰어난 제품으로 스마트폰 터치패널, 투명 전극,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정전기 방지필름 및 전자파 차단필름, 전자종이, 전자 제품 등에 적용

① 나노 코팅(Nano Coating)

▪ 재료의 표면에 수 나노(nano) 두께의 얇은 막을 씌워 표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소재 기술

▪ 나노코팅소재는 표면의 강도 및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공구, 기계류, 구조물 등에 내식성, 내


마모성, 내열성, 단열성능 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음

▪ 나노코팅소재는 태양전지, 콘덴서, 분리막, 조명, 방충망, 단열유리, 디스플레이, 자동차 강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며, 단열기능을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 효과 및 나노소재를 이용한
제품 특성 개선·제조 공정 효율화·비용 절감, 제품 보호, 기능성 표면보호, 표면색·촉감 등의 감성

49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향상, 화학적 저항성 향상 등의 기술개선 효과를 나타냄

▪ 산업이 고도화, 다원화됨에 따라, 환경 친화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나노코팅소재 개발이 요구


되어 다양한 외부환경에서도 미세 구조 및 물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신개념의 나노코팅
소재 수요 증가가 기대됨

▪ 나노코팅소재 중 가공 공구 및 금형상의 코팅 기술은 2000년 이후 대부분 산업체 위주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2009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새로운 나노코팅소
재 및 공정기술의 연구 개발이 진행 중

▪ 국내 나노코팅소재 산업의 경우 2000년대 초반 이후 국내의 중소기업의 위상이 축소되고 외국의


기업들이 국내로 들어와 시장을 확장하고 있는 상황 그러나, 나노코팅소재는 2000년 이전 이미
다양한 기초 기술이 개발되어 있었으므로 기 개발된 실험실적 수준의 기술을 실용화, 산업화하는
것에 국가적 차원의 투자가 필요

[ 나노코팅 응용시장 및 제품 ]

② 분체코팅(Powder Coating)

▪ 분체코팅이란 일반 도료에서 사용되는 유기용제나 반응성 단량체, 물 등의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도막 형성 성분만으로 배합되어 있는 고체로서 합성수지, 안료 등을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경화제 필라(Filler)등을 배합하여 균일하게 용융 혼합시킨 분사체를 냉각 후 일정한 범위의 입도로
분쇄시켜 규정된 범위의 입도만으로 된 분말상의 도료임

▪ 분체정전도장에는 거시적으로 코로나정전(Corona) 마찰대전(Tribomatic), 정전유동(Contact


Charging) 3가지 방법에 의해 생산 산업 분야에서 적용

▪ 코로나 정전도장은 생산 공정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적용하는 방법으로서 코로나(Corona) 개념은


플라즈마(고체→액체→기체→plasma ; 물질상태 마지막 단계)에서 온 것으로 모든 원자들이 가지
고 있는 전자들의 탈피현상 즉 활성화 상태를 플라즈마라고 함. 일반적으로 플라즈마는 수천도의
고온에서 일어나는 것이지만 여기서의 의미는 Cold Plasma(상온에서 발생)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5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공기(O2, N2, 등)를 이온화시켜 전계장(Electric Field) 형성을 코로나 정전(Corona Charging)이
라고 함. 이러한 근원에서 코로나 정전은 도료이송 펌프를 통해 분체도료가 이온화된 공기
(Breakdown Strength of air)지역을 통과하면서 분체 도료입자가 하전되어 쿨롱의 법칙에 의해
피도물에 도착함

▪ 마찰정전은 어원에서 알 수 있듯이 두 물질사이에서 마찰로 인해 하전되며 Corona 정전과는 달리


전계장 형성을 하지 않으며 하전 난이도에 따라 도착효율은 달라짐. 즉 Tribomatic Gun의 재질
은 전기음성도가 큰 PTFE (Polytetra Flouro Ethylene : 불소)로 된 재질로 되어 전기 음성도가
작은 도료를 양이온으로 하전시켜 자연적으로 피도물에 도착됨

[ 전형적인 분체 코팅 공정도 ]

▪ Markets and Markets의 2014년 자료에 따르면 분체 도료 시장은 2014-2019년 5.84 % 이상


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로 성장하여 2019년에는 300억 1,17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측
되며 아시아에서의 소비가 가장 많기 때문에 최대 CAGR을 기록하고 있음. 중국, 인도, 일본, 태
국 등의 국가들이 지역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특히 중국은 소비량 기준 최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특히 가전제품용 분체코팅의 국내 시장 규모는 2015년 약 6800 ton으로 추정되며 글로벌 도료


업계 1위인 악조노벨이 65 %이상 점유하고 KCC가 20 %로 그 뒤를 잇고 있음. 분체 코팅의
수익성은 매우 높으며 두께, 단위 면적 등에 따라 달라 단순 비교하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액상코팅과 비교했을 때 분체코팅이 평균 50% 가량 더 비쌈

▪ 산업 전반에 쓰일 수 있고 수익성도 높은 장점 덕에 국내 도료업체들도 분체코팅을 신성장 동력으


로 보고 있음. 분체코팅 사업에 진출한 업체는 KCC, 삼화페인트, 조광페인트, 악조노벨 등 6개
업체임

③ 건식 코팅(Dry Coating)
▪ 건식코팅 기술은 습식코팅(Wet Coating)에 대비되는 것으로 진공 또는 특정 기체 분위기에서 물
질을 증발시켜 기판에 피막을 제조하는 기술. 이 기술은 증발, 스퍼터링, 이온플레이팅 및 이온빔
증착으로 구분되며 좁은 의미로 물리증착(PVD, Physical Vapor Deposition)이라 부르며 건식코
팅은 폐수나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공정이라는 장점이 있음

51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건식코팅은 모바일기기나 디스플레이 부품은 물론 각종 장식품을 비롯한 외관 코팅, 에너지 소재,


자동차 부품, 생체재료나 광학부품 등 산업현장은 물론 우리의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적
용되고 있음

▪ 건식코팅을 비롯한 코팅 또는 표면개질을 통해 구현되는 표면소재는 크게 구조표면소재와 기능표


면소재로 구분할 수 있음. 구조표면소재의 경우 지속가능(Sustainable) 여부와 친환경 그리고 에
너지 저감 공정기술이 이슈화되어 있고 지속가능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경쟁
이 치열한 상태이며 또한 기능표면소재에서도 World Top 기술만이 생존하는 산업 환경에 직면하
여 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시장 선점과 글로벌 리더(Leader)가 되기 위한 노력이 치열함

* 자료: 신소재경제신문 2013

[ 건식 코팅에 의한 피막형성 원리 ]

▪ 증착에 사용되는 물질의 형태는 전자빔이나 저항가열 증발에 사용되는 낟알(Granule)이나 와이어
형상의 소재가 있고, 스퍼터링이나 아크에서 사용되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이 있음.
스퍼터링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세계적으로 증착 소재의 개발과 가공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확대되고
있으며 소재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개발도 함께 진행되고 있음

▪ 건식코팅 공정을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요구 특성에 맞는 맞춤형 공정 개발이 필요하며 코팅


제품의 요구특성은 크게 내식성과 내마모성, 장식성, 광학특성, 전자기 특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
음. 이러한 특성에 맞는 물질계와 공정을 최적화하는 것이 주된 연구 테마이며 건식코팅은 이러한
공정 최적화를 통해 자동차용 소재를 비롯하여 전자부품과 광학부품은 물론 기계 및 금형 소재,
생체 재료용 소재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음

④ UV 경화 코팅

▪ UV 코팅은 고기능성을 보유해 50% 이상이 전기/전자용으로 사용되며 5%는 자동차 부품용,
45%는 의료용 기구 및 가전제품 등 산업용으로 투입. UV 코팅 소재로는 크게 UV 아크릴, UV
에폭시, UV 우레탄, UV 실리콘 등으로 구분되며 렌즈 및 유리 등의 투명성이 요구되는 제품에는
아크릴이 사용되고, DVD 등 충격완화를 위한 제품에는 실리콘이 사용되며, PDP, LCD 등 전자제
품 및 자동차에는 주로 에폭시 사용

5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광학필름 양산을 위한 UV 경화 연속 성형공정 모식도 ]

▪ UV 코팅 생산기업 대부분이 전기/전자 시장에 주력함에 따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중국, 인


도,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휴대폰 수요가 무궁무진해 2020년까지 안정적인 성장세를 구가할 것
으로 전망됨에 따라 UV 코팅의 수요전망도 밝아지고 있음. EU에서 휴대폰 유해물질 관련 환경규
제를 강요하고 있어 UV 코팅 기업들은 환경안전성을 최우선시하고 있음

▪ 국내 기업들이 생산하는 UV 코팅은 용제가 함유돼 있어 환경규제에서 자유롭지 못하지만 헨켈 등


글로벌 기업들은 100% 무용제로 경쟁력을 확보 하고 있음

▪ UV 경화 코팅의 특징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짧은 시간에 경화시킬 수 있는 속경화성을 나타내며,


자동 도포가 용이하여 작업을 조립 공정 중에 도입할 수 있으며, 또한 세트 타임이 짧다는 장점

⑤ 자동차용 필름

▪ 자동차 산업은 정보 제공과 에너지 절감 등의 기능을 겸비한 요구 특성과 미려한 외관과 스크래치
를 방지할 수 있는 요구 특성이 동시에 요구됨. 이러한 이유로 전장부품의 증가와 전기자동차의
등장으로 Instrument Panel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있음. 기존에 사용되던 고분자 부품 소재와
경량화를 위해 대체되는 고분자 소재는 내열성은 물론이고, 대상 부품에 따라 절연/비절연 특성이
요구되기도 함

▪ 내열성, 전도성 등이 우수한 PPS 소재의 필름은 매우 넓은 응용범위를 갖고 있다. 인장신율이 우수


하고, 연성과 유연성이 우수하여 캐패시터 소재,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motor(or
transformer) insulator, cable wrapping, industrial tapes, acoustic membranes 등에 응용된다.
특히, PPS 유전체의 적용은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전구 및 파워 서플라이 등에 적용이 가능

▪ 자동차용 열차단 필름은 자외선 및 적외선의 복사열을 차단하고, 겨울철의 난방, 여름철의 냉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능의 필름을 말하며 고성능의 자동차용 열차단 제품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열 차단 필름, 안전/방범 필름 및 하이브리드 필름, 박막 PDLC 필름, 스마트 필름 등이
있음. 고성능의 열 차단 필름은 자외선/적외선 차단 및 변색 방지 성능이 매우 중요하며, 외부 충
격에 의해 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내충격성, 내구성 및 시인성 향상 등의 특성이 요구

53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미래의 자동차는 인간의 감성을 충족시켜주면서 높은 연비 효율과 친환경 자동차 기술을 적용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측되며 자동차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감성과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 기술 등이 큰 주목을 받고 있음

▪ 이러한 스마트 필름은 일본의 Nippon Sheet Glass, Asahi glass, Central glass社와 프랑스의
Saint-Gobain社 액정을 사용한 실내 칸막이와 건축물의 창호용 제품을 제작/시판하고 있으며, 미
국의 Gentex에서는 일렉트로크로믹 유리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후사경을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음

⑥ 디스플레이 필름

▪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는 그 종류에 따라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나뉨.


패널마다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층과 부품으로 이뤄져 있으며 주요 소재로 RGB(레드, 그린, 블
루)를 구현하는 CR(Color Resist)과 역할별 빛의 흐름을 제어하는 필름 제품(편광필름, 프리즘 시
트 등), 패널과 구동회로를 연결하는 회로접속소재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등이 있
음. 이 중에서도 디스플레이의 핵심 소재인 편광필름은 빛의 방향을 조절해 화면을 맑고 뚜렷하게
하는 역할을 함

▪ 편광필름은 LCD용과 OLED용에서 다소 역할이 다른데, LCD용에서는 편광필름 패널의 앞뒤로 2


매를 사용. 한 장은 백라이트(Back Light Unit) 앞에서 나오는 빛을 원하는 부분만 통과하게끔 하
는 디지털 셔터의 역할을 하고 나머지 한 장은 패널의 가장 바깥쪽에 부착해 액정을 통과한 빛이
한 방향으로 나갈 수 있도록 카메라의 셔터와 비슷한 역할을 함. OLED에서는 자체발광소자로 인
해 백라이트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편광필름이 패널 바깥쪽에 한 장만 사용되며 통상 반사를 방지
하는 역할을 함.

▪ 이런 원리로 편광필름은 디스플레이에 필수적인 소재이며 디스플레이 패널 원가의 약 10%를 차


지하고 있으며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세계 편광필름 시장은 2014년 기준 약 10조원 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 시장의 경우 매년 16%대의 가파른 성장세를 예상하고 있음

▪ 디스플레이용 필름의 종류

- 확산시트 (Diffusion Sheet)

- 렌즈시트 (Lens Sheet)

- 프리즘시트 (Prism Sheet )

- 복합시트 (Multi Functional Sheet)

- 편광판용 보호필름 (Polarizer Protection)

- AR & AG 필름 (AR & AG Film)

- 하드코팅용 필름 (Hard Coating Film)

- ITO용 필름 (ITO Film)

5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디스플레이 필름의 구성 ]

(2) 공급망 관점

 기본 원료는 모노머, 수지, 용제, 첨가제 등의 전색제(vehicle)와 안료/염료 등이며, 기능성 코


팅 소재로는 기능성 고분자, 기능성 세라믹, 형광제, 개시제, 중합금지제, 유기금속, 전도성 물
질, 전자파 차폐재, 나노카본, 가소제, 단열, 내열, 방청, 방오, 난연 및 방염 첨가제, 기능성 첨
가제 등으로 나누어짐

▪ 소재 분야에는 다양한 피소지물의 적합성 및 제어기술 등이 요구되고 있으며, 후처리 기술은 착


색, 연마, 표면재료 증착 기술 등이 요구

▪ 최종제품으로는 천연코팅, 친환경 코팅, 세라믹코팅, 광/전자기능 코팅, 열적기능 코팅, 물리·화학
적 코팅, 전기/전자, 조선, 자동차, PCM(Pre-Coated Metal) 등의 용도별 기능성 코팅 등이 포함
될 수 있으나, 주요 4대 코팅소재인 친환경 코팅, 세라믹 코팅, 광, 전자 및 열적기능 코팅, 물리·
화학적 코팅 기술로 구분

55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기능성 코팅/필름 소재의 분류 관점의 범위 ]

대분야 중분야 세부 제품

Emulsion, 수용성 수지, 광촉매, 가소제 대체재, 기능성 안료

유기용제, 천연고분자, 식물 안료, 분산제, NAD(non aqueous


친환경 코팅 소재
dispersion)수지, 방오 재료, 천연 증점제, VOC Free

분체 코팅, UV 기술, 분체도장설비, 분산안정제, 열/UV 경화시스템

내열성 세라믹 코팅기술, 침투성 구체 강화 기술, 세라믹 기술, 내식성


코팅 기술, 결로방지 기술, 접착기술, 세라믹 바인더
세라믹 코팅 소재

기능성 코팅 산화물 제조 기술, 박막퇴적 기술, 나노 세라믹코팅 기술


형광안료, 측광 안료, 내열재, 차열재, 전기 절연재,
광중합억제제/개시제
광, 전자 및 열적기능 코팅
소재 전도성 페이스트, 나노카본, 차폐기술, 대전방지제, UV 경화제,
전자파 실드, 부착 증진제,

방식안료, 마찰저항 저감재, 초후막 코팅, 선저 방오제, 필러, 탄성


분무재, 수중 경화코팅, 방청제
물리화학적 코팅 소재
방음코팅, 요변성 기술, 난연/불연재, 침강/응집방지제, 색분리
방지기술
고분자 소재(올레핀 수지, PET, PES, PS, PVA, PC, PI, PAR,
원소재 불소수지, 실리콘 등), 나노소재(alloy, ITO, CNT, Ag, Cu, ZnO,
TiO2 등)

분산계의 안정화 기술 등을 이용하여 가시광선영역에서 광투과성 및


FPD 관련 기능성 필름
전도성을 갖는 기능성 필름

기능성 필름 제품 보호를 목적으로 제품 사용 시 쉽게 박리 가능한 기능을 가진


광학, 반도체/기판 관련
소재 필름 (FPCB용 이형필름), 정전기 차폐용 필름 (대전방지 필름)
기능성 필름
여러 광학적 기능을 가진 필름

에너지 관련 기능성 필름 차열 및 단열, 자외선 차단 등의 기능을 갖춘 기능성 필름

필름 기재에 항균 기능을 갖는 물질을 도입하여 박테리아 등의 성장을


기타 기능성 필름
저지하는 항균성 필름, 생분해성 필름, 기체차단 필름 등

5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산업환경분석

가.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징

 기능성 코팅/필름 소재산업은 정밀화학인 다품종 소량 고부가가치 산업이고 기술 및 자본 집약


적인 산업이며 특히 원재료의 합성, 배합기술과 기능성 및 적용 등이 중소기업 주도의 산업 특
성으로 존재

 후방 산업에 속하는 모노머, 고분자, 기능성 코팅/필름의 원료, 합성/배합기술 등은 기술 종속


성이 크고 royalty 부담이 가중되어 국산화 잠재력이 큰 분야이며, 타산업과의 융복합적인 경
쟁력이 있어야 대외 기술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산업

 모재의 표면을 보호하고,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에 편리함을 더하기 위해 습식 또


는 건식 코팅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코팅 박막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한 가지 기능이 아니라 여러 가지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Multi-Functional 코팅 필름에
대한 제품 출시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

▪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 소재를 이용한 발수 또는 발유 필름은 오래전부터 지속적으로 제품이 출시되


고 있으나, 근래에는 여러 가지 표면 특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다중 기능성 필름 제품이 주로 개발

▪ 발수/발유와 내스크래치, 내오염성, 내지문성, 항균성, 고경도, 저/고 굴절율 등의 표면 기능성을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코팅제 및 필름에 대한 기술과 제품 개발이 추세

 친환경 이슈에 따른 각종 규제 및 신기술 요구에 따라 최근 고기능 복합성능 기능성 코팅/필름


소재 분야 시장의 큰 성장이 기대 되고 있으나, 관련분야 핵심 기술 및 제품의 상당 부분은 선
진국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고, 기술의 종속성이 심화되고 있음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에서도 공급의 문제, 환경문제 그리고 다기능화, 경량화, 고기능화 등의
문제들이 점차 개선됨에 따라 선진국 등에서 이미 이슈화 되고 있는 친환경 및 에너지, 자원
분야에 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에서 각종 REACH 등의 환경마크 제도가 시행중이며 이에 따른 전반적인


자동차, 건설, 포장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친환경성이 대두 되어가는 추세

▪ 인체 유해물질인 VOC 및 포름알데히드, 환경 호르몬 물질인 phthalate, Alkyl phenol 첨가제 등


을 최소화하고 잔류 모노머 등을 처리 하는 방법 등 다양한 각도에서 환경 기술이 필요시 되고
있음

 테이프와 보호필름(protective film)등과 같은 간단한 것에서부터 전자코팅, 태양전지, 의료용,


나노기술 등과 같은 매우 정밀을 요하는 것까지,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하고 새로
운 기능성 코팅/필름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57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최근에는 기능성 코팅/필름 관련 기술개발과 유가하락에 따른 원료의 가격하락에 힘입어 산업


용, 자동차, 의료, 항공, 금속 및 가정용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음

▪ 기능성 코팅/필름로 인해서 발생될 수 있는 환경문제는 유기용제의 사용에 따른 VOC 발생, 여러


첨가물질의 휘발 및 유해성 등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광경화형, 수용성형,
핫멜트형 등의 기능성 코팅/필름 소재 및 기술이 개발 되고 있음

(2) 산업의 구조

 전방 및 후방 모두에 산업파급 효과가 큰 수준이며, 국내 기능성 코팅/필름 기술은 성장기로


들어간 단계로 중견기업, 대기업을 중심으로 소재 및 부품산업 분야에서 제품 상용화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형태

[ 점/접착제 분야 산업구조 ]

후방산업 기능성 코팅/필름 산업 전방산업

소재별, 용도별, 기능성 소재, 증착


기술, 수지 제조기술, 친환경
나노, 모노머, 수지, 용제, 촉매, 코팅/필름, 물리화학적 코팅, 자동차, 에너지, 포장, 제지, 조선,
경화제, 가소제, 충진제, 첨가제, 습/건식 코팅, 분체코팅, roll 코팅, 전기/전자, 생활용품, 주택, 토목 및
특수접착제, 중합기술, 배합기술, Extrusion coating, 나이프코팅, 건축재료, 군사 및 의료 시스템,
증착기술, 접착기술, 경화기술, 전도성 필름, 이형필름, 신발산업, 금속산업, 반도체,
부품 장비, 안료/염료, 전색제, 항균성필름, 생분해성필름,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이형제, 유/무기 소재 경박단소화 필름, 다층복합필름, 에너지변환,
UV 차단필름, VOC Free,
침지코팅, 캐스트코팅

 전방산업은 금속, 포장, 전기/전자, 가정용, 가전, 자동차, 의료용, 산업용, 우주/항공, 공공재,
국방, 주택, 건축/토목 및 조선 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
▪ 국내외 모두 기능성 코팅 소재 시장의 확대에 따라 기능성 소재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
(KISTI MIRIAN KMR 6월호, 2013)

▪ 세계의 코팅 및 코팅 수요는 연간 5.2 %의 성장률로 증가해 2017년에는 5,160만 metric


ton(1,86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 이러한 성장은 특히 북미와 유럽, 일본 등 세계의 건설
지출 회복에 의해 촉진될 전망(The Freedonia Group, World Paint & Coatings, 2012)

▪ 기능성 필름 산업은 FPD 관련 기능성 필름, 반도체/기판 관련 기능성 필름, 에너지 관련 기능성
필름 및 기타 기능성 필름으로 구성

 Fuji Chimera Research Institute에 의하면 기능성 필름의 세계시장은 2012년 약 7조 3151억
원으로 추정되며, 연평균 14.2%로 성장하여 2016년 9조 2801억 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일본 후지경제에서 “2013 내열, 투명 필름/시트와 코팅재의 용도 탐색”에서 2011년의 FPD용 필


름 시장은 2,370억 엔, PET 필름은 1,404억 엔, 도광판용 PMMA 시트는 504억 엔, 세계적인

5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경기 저하와 LCD 공급과잉에 의해 2010년 이전에 비해 성장은 둔화되고 있음

▪ 중국을 중심으로 한 신흥국의 시장 확대로 2012년 이후는 평균 연간 성장률이 5.5%로 추이될


것으로 예측. 2012년에 LCD 텔레비전용으로 채용되기 시작한 COP 필름, 투명 전극기판 및 베리
어 필름 기재로서 수요 확대 예측. 2011년 FPD용 코팅재 시장은 711억 엔, ITO 타깃재 552억
엔과 하드 코팅재 137억 엔을 중심으로 고기능화를 배경으로 높은 성장으로 확대 예측

▪ FPD용 기능성 필름 시장은 2011년에 483억 엔(전년도 대비 17.2% 증가) 이었지만, 앞으로 기
능성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터치패널 형식이 증가하는 등의 이유로 2013년 이후는 감소 예상

▪ 기능성 필름의 국내시장은 전 세계 시장의 약 26.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를 적용하면 국내 시장은 2012년 약 9,144억 원으로 추정되며, 연평균 14.2%로 성장하여
2016년 1조 1,988억 원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전도성 필름의 세계시장은 2012년 약 4조 3,738억 원으로 추정되며, 연평균 5.9%로 성장하여
2016년 5조 5,010억 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 전도성 필름의 국내시장은 2012년 약 878억
원으로 추정되며, 연평균 5.9%로 성장하여 2016년 1,104억 원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

 후방산업은 수지, 모노머, 첨가제 등의 정밀화학 소재 분야와 제품 제조를 위한 배합/합성 기


술, 코팅/필름 기술과 경화기술 및 부품 장비 분야로 구성

59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나. 경쟁환경

 이차전지 및 태양전지 시장이 확대되면서 세계 코팅필름 시장도 매년 10%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 또한 자기치료 및 바이오산업으로의 응용 등 차세대 신개념의 응용제품군이 개발되면서
여기에 적합한 초정밀 코팅 기술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회사별, 국가별 경쟁이 치열함

▪ 평판디스플레이 산업 분야에서 한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권 회사가 개발 및 제조 역량 면에서


선두가 되고 있고 태양전지, 리튬이온 전지 등도 비슷한 상황을 맞이하면서 이들과 관련한 정밀
코팅 산업 분야는 아시아로 급속히 이전되고 있음. 일본, 미국, 유럽 등 코팅 선진국은 바이오칩이
나 연료전지, 나노코팅 제품에서 활발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 디스플레이용 코팅 외에 은 나노를 이용한 투명 도전 필름 개발이나 코팅 표면의 흠집을 스스로


치유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자기 부식 방지용 코팅 등 새로운 개념의 코팅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차세대 히트 상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유럽에서 습식 코팅 분야의 연구는 주로 독일과 영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평판디스플레이


와 같은 정밀 코팅 분야에서 아시아권에 주도권을 내준 유럽은 에너지 분야 및 철강, 목재 코팅과
같은 산업 분야 및 차세대 틈새시장을 고려한 감열코팅, 반사방지 코팅, 자기치료 코팅 등 스마트
코팅 분야에 주력하는 모습

▪ 특히 습식 코팅에 사용되는 무기 입자가 분산된 재료나 특수 첨가제 등 코팅 액에 대한 연구가 많


이 이루어지고 있고 사업화도 활발. 독일의 BASF 나 BYK 등에서 코팅용 도료 및 첨가제 부문에
서 다양한 제품을 개발,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에도 많이 알려져 있음. 이 외에 Byer 등에서도 코
팅 관련된 소재를 다양하게 취급하고 있고, 성능이 향상된 소재 부문의 사업을 확장하는 동시에
연구 개발 기능도 강화시키고 있음

▪ 한국은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능력과 브랜드 명성을 가지고 있지만 핵심 부


품 중 하나인 광학용 코팅 필름 분야에서는 아직도 세계 최고 수준대비 큰 격차를 가지고 있음.
여러 종류의 광학 필름들이 국산화 되면서 편광필름, 광확산 필름 등 일부 제품에서는 선진국 대
비 경쟁력이 높아지는 경우도 나타나게 됐으나 대부분의 코팅제품 분야에서 아직은 선진 기술의
모방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고, 기술 격차가 있는 고기능 광학코팅의 경우에는 국내 생산이 불
가해 아직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한국의 코팅 기술은 최근 10여 년 간 많은 발전을 이루었으며 평판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일부분


이지만 세계적인 반열에 올라가 있는 코팅 품목들도 있음. 수치상으로 정확히 표현하긴 어렵지만,
습식 코팅 전반에 걸친 한국의 기술 수준은 선진국 대비 80% 수준임. 주요 분야별 기술경쟁력
현황은 다음과 같음

6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습식 코팅기술 - 기술격차 및 기술수준 ]

기술경쟁력 현황 최고기술
구분 세분류
기술격차(년) 상대적 수준(%) 보유국(100)

반사방지용 3 80 일본
위상차 필름 5 60 일본
편광필름 1 95 일본,한국
평판
휘도향상 필름 3 80 미국
디스플레이
기타 LCD 백라이트 필름 1 95 일본,한국
투명 도전성 코팅 3 80 일본
광학용 점착 코팅 3 80 일본,미국
태양전지용 봉지필름 4 75 일본,미국,독일

에너지 태양전지용 백시트 3 85 일본,독일,이태리


관련 태양전지용 전극 코팅 3 80 일본
리튬이온전지용 코팅 1 95 일본,한국
인몰드용 필름 3 80 일본,독일
산업용/
하드코팅(내지문 포함) 3 80 일본
조명용
열선차단 코팅 3 80 일본,미국

배리어 코팅 3 80 일본,미국
기타
부식방지, 자기치료, 바이오 5 60 미국,일본

▪ 평판디스플레이 분야의 고기능 필름용 코팅은 일본 업체가 선점해 오랫동안 과점 상태를 이루고
있으나 근래 들어 한국, 대만, 중국 등의 추격이 빨라지면서 점차 시장 점유율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 대표적인 예로 편광필름을 들 수 있으며, 일본의 4대 메이커(니또덴코, 스미토모화학, 산리
츠, 폴라테크노)의 시장 점유율을 2007년에 60% 정도였던 것이 2010년에는 50%까지 축소된
적이 있고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

▪ 편광필름 메이커로서 후발 주자인 LG화학은 10년 이상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기술개발에 주


력한 결과 세계 최대의 메이커로 발돋움했고, 이외에 삼성물산으로 인수 합병된 제일모직도 같은
그룹사인 삼성전자를 목표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중임

▪ 반사 방지필름은 LCD용으로 주로 공급하는 대일본인쇄(DNP)와 토판인쇄, 일본제지를 비롯해 니


토덴코, 일본유지, 아사히케미컬 등이 대부분 생산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LG화학과 제일모직,
SKCHaas 등에서 각 사에서 사용하는 부품을 제작할 목적으로 일부 생산을 진행 중

▪ LCD의 주요 필름인 위상차 필름 및 시야각 확대 필름의 경우에는 아직 일본의 독주가 지속되고


있고, 특히 이 분야의 선두 개발업체인 후지필름의 경우 지금도 시장 점유율이 50%가 넘는 등
과점 체제를 유지하고 있음. 국내 업체로서는 이분야로의 기술적 진입 장벽이 여전히 높음

▪ 투명도전 필름은 아직 스퍼터링을 이용한 ITO 필름이 대세이지만 카본나노소재나 전도성 고분자를
주재료로 하고, 습식코팅 공정을 사용한 제품을 다양한 업체에서 개발 중임. 일본의 데이진듀폰필
름과 데이진화성, 스미토모 등이 개발 및 일부 생산을 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상보화학, 탑나노시
스, SKC 등을 위시한 여러 기업에서 ITO 필름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61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일본의 경우 광학용 코팅에 사용되는 광학용 PET 필름 및 TAC(Tri Acetate Cellulose)필름, 광학


용 폴리올레핀 필름 산업이 잘 발달. PET 필름의 경우 데이진 듀폰필름, 도레이, 미쓰비시수지,
도요보가 대표적 기업이며, TAC 필름은 후지필름 및 코니카미놀타에서 대부분의 세계 시장을 차
지하고 있음. 국내에서는 광학용 PET가 SKC나 코오롱 등에서 생산되고 있지만, 품질 안정성 면에
서 일류제품에 비해 다소 미흡하나 지속적인 노력으로 품질 격차는 줄어드는 추세이며 이 외에
TAC 필름 등 다른 광학용 기재필름을 생산하기 위한 노력도 대기업을 통해 추진되고 있음

▪ 코팅 필름 분야에서 분야별 수요 비중은 평판디스플레이 관련 분야가 단연 우세하지만 최근 태양


전지용 코팅 필름을 비롯한 리튬이온배터리(LiB)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음. 특
히 태양전지용 백시트에 주로 사용되는 불소필름과 같은 고가의 고분자 필름이 갖는 물성을 습식
코팅을 이용해 저가로 구현하기 위한 시도가 활발함

 기존의 소재들을 이용한 새로운 소재 개발 및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기능성 코팅/필


름의 사용량과 그 응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음

▪ 기능성 코팅/필름제조사들이 수직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그들의 필요에 따라 자신들이 직접


제조 또는 원 소재 자체만 생산하기도 하면서, 제품공급의 조절과 비용절감 뿐만 아니라 시장 내
에서의 제품차별화 전략을 하고 있음

 최근 화학물질에 의한 환경파괴나 인체에 대한 영향이 크게 대두 되면서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환경부하 물질이나 유해화학 물질을 지정하여 제조과정, 취급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법령이나 규제에 의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음

▪ 최근 국내에서 실내 공기질 관련법이 시행되어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화학 물질에 대한 관심


이 그 어느 때 보다도 크게 증가하는 등 사회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소재를 활용하는 기능성 코팅/
필름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 국내 기능성 코팅/필름 시장도 급속히 성장하고 있지만, 주요 원 소재, 장비 및 핵심기술 대부


분을 수입에 의존, 또한 국내 기능성 코팅/필름 공급업체는 저가 산업용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
/중견기업들임

▪ 상용 제품과 기술의 국내업체 간의 가격 낮추기 경쟁은 이제 그만하고 외국계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는 고기능성-고부가가치 제품과 관련 된 제품의 개발을 위해서 기능성 코팅/필름 업계의 노력과
국가의 지원이 절실

 UV 경화 코팅시스템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상온에서 국소부분에


조사하여 짧은 시간에 경화가 가능하고 에너지절감과 무용제화를 통한 공해문제 해결이 가능하
며 원료의 손실 없이 100% 고형분을 얻을 수 있음

▪ 이러한 장점으로 인쇄용 잉크, 금속 및 목제의 코팅, 자동차, 플라스틱 산업, 그래픽아트, 반도체
포토레지스트, 전기/전자산업, 의료용 재료 등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음

6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주요 경쟁업체 종합 ]

공급망 단계 기능성 코팅/필름

주요 내용 원 소재 코팅제 필름

소재별, 용도별, 기능성 소재, 증착 기술, 수지 제조기술, 친환경 코팅/필름, 물리화학적 코팅,
습/건식 코팅, roll 코팅, Extrusion coating, 나이프코팅, 전도성 필름, 이형필름, 항균성필름,
주요 제품/기술 생분해성필름, 경박단소화 필름, 다층복합필름, UV 차단필름, VOC Free, 침지코팅, 캐스트코팅
나노코팅, 모노머, 수지, 용제, 촉매, 경화제, 가소제, 충진제, 첨가제, 특수접착제, 중합기술,
배합기술, 증착기술, 접착기술, 경화기술, 부품 장비, 안료/염료, 전색제, 이형제, 유/무기 소재

3M, CEKO DoW, Dupont, 3M, ECCO, DoW, Dupont,


DoW, Dupont, Henkel,
Henkel, NISSAH, 도레이, Henkel, DNP, 철판인쇄,
Mitsui Toatsu Chem Loctite
Kuraray, Konica-Minolta 린테크, OIKE, NOF, REIKO,
BAJWA, Tilement Co.,
Mitsui Toatsu Chem Inc., HYNT, SUMIRON
ATLAS, Yamato, ITF
Henkel, Loctite Mitsui Toatsu Chem Inc.,
Hilayi, Tajima, Ionbond,
Bostik(프랑스), Rohm & Florsheim, Shinko Gosei
ALTECO, BASF, MAT-VAC
Haas, Fuller, Akzonobel Hilayi(중국), Sunrise MSI
Rohm & Haas, Fuller,
해외 기업 3M, BASF, ALTECO, 동경 Rohm & Haas,
National Starch & Chemical,
화성, Burak Asahi, 3M, Tohpe Co., 데이진화성,
Revertex Finewaters, Tsurumi
Cemedine, Chuo Rika 스미토모, Promerus, Ferrania
Chemical, Sunrise MSI,
Kogyo, Daikyo Co., Ganz Image System, Mitsubishi
Nisshin Steel, Von Ardenne,
Chemical, KANAE Chemicals, Gas Chemical, 후지필름,
KOBELCO, Gencoa,
Hitachi Kasei Polymer Co., 토요보, 니토덴코, 일본제지,
SIDRABE, ULvac
Nichibei Resin Co., 후지필름, 데이진화성, 산리츠
바커케미칼, Avery Dennison
토요보, BASF

수양켐텍, 아바코, 유니벡,


동우열처리, 아텍시스템, 효성, LG화학, SKHass,
태양기전, 인포비온, 삼원진공, 제일모직(삼성물산),
코오롱, 강남화성, LG화학, 신한진공, 성문전자, 신화인터텍, 미래나노텍,
국도화학, SK케미칼, 애경, 케이디엘씨, 한국전광, 상보화학, LG전자, 코오롱,
한화, 동부정밀화학 한일진공, 켐트로스, 임덕화학, 코이즈, 탑나노시스, SKC,
동부한농화학, 동일폴리머, 협진, 동서코리아, 세우, 아이컴포넌트, 나노켐텍,
중앙폴리텍, 한미케미텍, GE Tech, 인스텍, 한국유화, 폭스자일,
연방산업, 대흥특수화학, 거명, 유니포스, 우드케어, 아해, 퓨어메이트, 한국카본,
대흥화학공업, 켐베이스, OCI 대화정밀화학, 선진화성, 대안화학, 옴니켐에이스디지텍,
국내 기업 동양실리콘, 송원산업, 삼영, 제이에스켐, 에이앤지, KLK, 잉크테크, 화성코아텍,
성일화학, 에코스, 동방화학, 에코세라, 티오켐, 대흥, 에니텍, 피앤테크, SCC(주),
파낙코리아, 퓨레코, 코이즈 에코웨어, 한영세라믹, 이녹스, 반도, 원케미칼,
동서화학공업, 삼영잉크페인트, 남양세라믹동성하이켐, 기승산업, 제론텍,
대흥수지, 대흥특수화학, 코오롱인더스트리, 누리켐, 한국테이페트, 필맥스,
삼우화공, 태경폴리머, 애니씰텍, 세창화학, 대륭기업, 자강산업, 삼민화학, 성일화학,
극동화학, 남도화성, 덕성하이텍, 에스디비, 유상, 삼우티씨씨, 하이씨엔피,
대주정밀화학, 덕성화학, 헵스켐 거원기술, 대한케미칼, 보스팩 로얄케미칼, 에콜그린,
삼표화학, 거명, 재성, 우인, 엔피아이, 율촌화학, Tapex,
부림, 노바켐텍, 동덕, 동성화학, 대현에스티, 세일하이텍
동우산업, 세왕화학, 아인케미칼

63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다. 전후방산업 환경

 기능성 코팅/필름 산업은 독자적인 산업으로 발전할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과 연계하여 발전하
므로 전/후방 산업을 연계시키는 매우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함

 기능성 코팅/필름은 유/무기 소재, 모노머, 수지, 용제, 촉매, 경화제, 첨가제 등 구성요소의 일
부 또는 전부를 배합하여 제조하며, 그 자체가 최종 사용하기 위한 제품이라기보다는 주로 최
종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보조재 혹은 소재로 사용하고 있음. 따라서 기능성 코팅/필름도 최종
제품의 변화 요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개량/개발

 기능성 코팅/필름은 성분별, 경화방법별, 형태별, 사용조건별, 용도별 및 기능별 등으로 구분되
어야 하는 다양성으로 인해, 산업의 특성 상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의 정밀화학 기술로 생산되
고, 수요 면에서는 소비규모는 적음에도 다양한 환경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제품공급과 기술서
비스까지 요구되고 있음

 발수/발유와 내스크래치, 내오염성, 내지문성, 항균성, 고경도, 저/고 굴절율 등의 표면 기능성을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코팅제 및 필름에 대한 기술/제품이 최근 추세

 피접합재와의 상용성, 접합강도의 재현성, 경화시간, 내열성의 한계, 내구성, 탈착 및 비파괴시


험의 어려움 등 결점의 대부분을 코팅소재의 선정이나 작업조건의 확립 등으로 해결할 수 있다
면 코팅/필름은 어떤 다른 수법보다도 가장 유력한 방법이 될 수 있으며, 결점들은 기능성 코
팅/필름 산업의 발전에 기회가 될 것임

[ 각종 필름의 용도 ]

6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후방산업에 속하는 코팅 기술, 모노머, 수지, 첨가제, 합성/배합기술 등은 기술 종속성이 크고


royalty 부담이 가중되어 국산화 잠재력이 큰 분야이며, 타산업과의 융복합적인 경쟁력이 있어
야 대외 기술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산업

 국내 기능성 코팅/필름 시장의 경우 영세한 소기업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사업정리 및 신


규진입이 활발한 가운데 소규모 시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임

 기능성 코팅/필름의 다양성과 고기능화를 통한 기술, 공정 및 환경 개선과 더 나아가 피착제의


경량화는 국내 주력산업(자동차, 전자, 조선 등)의 고 효율화 및 저탄소 녹색성장을 이룩하는
큰 수단이 될 것

 기능성 코팅/필름 산업은 소재 기반이기 때문에, 소재 기술이 발전되는 과정에서 제조기업의


설계 역량은 더욱 강조될 것임. 따라서 지적재산권 보호가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65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3. 시장환경분석

가. 세계시장

 기능성 코팅/필름 관련 시장은 새로운 기술과 소재로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음

▪ Grand View Research에 의하면 세계 나노코팅 시장이 2020년 81.7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함. 나노코팅은 자동차, 건물 및 건설, 의료용품과 건강관리 제품에 사용되는 전통적인
폴리머 코팅을 대체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나노코팅의 수요는 시장에서 사용되는 다른 코팅
에 비하여 우수한 특성과 낮은 VOC 방출 때문에 증가될 것으로 예측

▪ M&M 보고서에 의하면 현재 세계 코일 코팅 시장(2013년)은 44.49억 달러이며, 2014년에서


2019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6.30 % 성장하여 64.1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었
고, 최종 고객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이며 중국, 일본, 미국, 터키, 인도, 브라질, 러시아는 성공적
인 코일 코팅 시장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일 코팅 시장의 주요 회사는 Akzonobel
N.V.(네덜란드), PPG Industries Inc.(미국), Valspar Corporation(미국)임

▪ 2016년 M&M 보고서에 의하면 전 세계 내마모성 코팅시장은 2016년 62억 4천만 달러에서
2021년 84억 6천만 달러로 CAGR 6.3 % 성장할 것으로 예측. 신흥시장에서의 내마모성 코팅
수요와 기반시설, 교통, 선박, 전력 등에서 성장을 주도

▪ 부식방지 코팅 시장규모는 2016년부터 2021년 사이 CAGR 5.1 % 성장하여 2021년에 300억


4천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해양산업 시장의 성장이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

▪ 2016년 Global Market Insights Inc.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분말코팅 시장은 225만톤 규
모를 차지하였고 주요 용도는 소비재와 자동차였음. 분말코팅 규모는 2023년에 155억 8천만 달
러에 이를 것이며 신흥국의 가전판매가 이 시장의 발전을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

▪ 세계 코팅 첨가제 시장은 2016년에서 2021년까지 CAGR 6.1 % 성장하여 2021년에 91억 9천


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 건설과 자동차 산업의 주도할 것이며 한국, 일본, 중국 등이 건축시장
에서 수요를 차치할 것이며 이지 역의 자동차 산업에서도 코팅 첨가제 수요를 증대할 것으로 예측

 나노코팅 소재 시장은 2013년 기준 약 57억 200만 달러로 CAGR 2.67 % 성장하여 향후


2018년 약 65억 600만 달러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됨(SNSTelecom, 2014). 나
노코팅소재의 응용분야 중 하나인 태양전지 세계 시장규모는 2013년에 197억 달러를 나타내
었으며, 2018년에는 311억 달러 까지 증가할 전망임(솔라앤에너지, 2010)

 2015년 후지경제는 박막형 TV 및 터치 패널을 탑재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단말기용을 중심으


로 확대해온 고기능성 플라스틱 필름과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에 도공(塗⼯)함으로써 전도기능,
표면개질기능, 접착, 박리기능, 광학기능, 배리어 봉지기능 등을 부여하는 기능성 코팅재의 시
장을 조사하여 2014년 시장은 전년 대비 2.2% 증가한 4,521억 엔이 이었음. 테이프용 점착
제가 전체 80%를 차지. 점착테이프는 광학, 전기전자, 자동차, 건축, 포장 분야 등 폭넓게 사
용되고 있으며 앞으로고 견고한 수요를 예상

▪ 기타 품목으로는 LCD용 반사 방지 필름에 쓰이며 LCD-TV의 생산 확대와 함께 수요가 증가한 필


름용 하드 코팅 재료, 방지 필름에 많이 쓰이는 대전 방지용 코팅 재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

6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말의 터치 패널용 전도성 필름에 사용되는 전도성 페이스트, 터치패널 전극용 TO필름에 쓰이는
재료(투명 전도성 필름용) 등의 시장규모가 크고, 앞으로도 이들의 성장이 시장 확대를 이끌 것으
로 예상

▪ 전도 기능재는 사용되는 양은 적으나 ITO나 Ag 등을 재료로 하므로 단가가 높고 시장규모도 큼.


터치패널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의 시장 성장에 의해 전도 기능재 전체 시장은
2016년 이후 연 2~3 % 늘어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전도성 나노입자 잉크는 유기 TFT
나 유기 EL 조명, 유기 박막 태양전지 등의 양산화 진행으로 큰 성장이 기대됨

▪ 표면 개질 기능재의 대상 품목으로는 필름 표면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필름용 하드 코팅재


등을 들 수 있음. 생산 대수가 많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의 ITO 필름용도, 면적이 큰
LCD-TV의 반사 방지 필름용도로 쓰임. ITO 필름용도는 진전이 크진 않을 것으로 보이나, 반사 방
지 필름용도로는 LCD-TV의 화면 사이즈가 대형화되며 앞으로도 견고한 수요가 기대됨

▪ 그 외 기능 코팅제들은 접착 박리 기능재의 대상 품목으로는 PET필름용 접착, 처리용 폴리에스테


르 수지, 필름용 박리제 등을 들 수 있음. 단가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나 사용되는 양이 늘어나
고 있어서 앞으로도 안정적인 시장이 예상. 광학 기능재는 필름에 입사하는 빛의 굴곡을 컨트롤하
는 반사 방지 코팅재(AR/LR)나 고저 굴곡율 코팅재 등을 들 수 있음

▪ LCD-TV나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의 시장이 성숙기이기 때문에 앞으로 제자리걸음이 예상. 베리어,
봉지 기능재는 하이 베리어 필름용 베리어 재료나 OLED용 봉지재 등을 들 수 있음. 아직 시장
규모는 작지만 OLED 디스플레이나 조명 보급과 함께 수요 증가가 기대됨

▪ 특히, 필름용 박리 코팅제는 점착 가공제품용 박리필름(세퍼레이터)이나 공정용 이형필름에 쓰이는


박리제를 대상으로 하는데 용제계열이나 열경화형이 주류이나 그 외 UV 경화형이 있음. 2014년
은 LCD-TV의 대형화나 스마트폰 생산 확대 등으로 인해 FPD나 MLCC(적층 세라믹 컨덴서)용의
박리필름이 늘어났기 때문에 시장이 확대. 앞으로 필름용 박리제 성장은 둔화하겠지만 2019년에
는 2014년 대비 23.8% 증가한 26억 엔으로 예상. 박리제는 용도나 사용자마다 각각의 니즈가
있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개발력, 공급능력이 요구됨. 일본시장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
며 특히 일본계 사용자로부터 요구가 다양하므로 수지의 배합기술이나 변성 기술에 뛰어난 노하우
가 필요함

▪ OLED 디바이스나 조명의 봉지에 쓰이는 수지 봉지 코팅제는 2014년은 LG EI에 의한 OLED-TV


의 양산 등에 의해 OLED용 봉지재 수요가 늘어났음. 2015년은 ‘Galaxy S6 Edge’(SAMSUNG
EI)나 ‘Apple Watch’(APPLE) 등의 발매로 인해 봉지재 사용량이 큰 전면 봉지를 채용할 OLED
디스플레이 생산이 늘어날 것이므로 한층 더 수요가 증가할 전망임

 2015년 후지경제는 기능성 필름에 대한 조사 자료에서 LCD-TV의 편광판이나 백라이트 주변,


스마트폰의 LCD나 터치 패널 주변에 쓰이는 광학필름의 생산 확대와 더불어 높은 성장을 유지
하고 있다고 발표하였으며 광학필름 이외에도 축전기나 FPC(플렉서블 전자회로)의 기재, 또한
공정용 보호필름이나 이형필름으로 사용됨. 수요의 중심에 있는 LCD-TV나 스마트폰의 생산 확
대가 둔화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필름 시장도 이전과 같은 큰 성장은 어렵겠지만 2019년
은 2014년에 비해 7.9% 증가한 8,294억 엔을 예상함

▪ 용도별로는 전자부품, 실장 분야가 2014년에 수량을 기본으로 50% 이상을 차지하며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 구리부착 적층판, 감광성 커버 레이, 층간 절연 필름이라고 하는 FPC 관련 부재나 필름
컨덴서 기재 등으로 PET 필름이나 PI필름 등이 쓰이고 있으며 FPD분야는 30% 이상을 차지함

67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LCD용 편광판의 보호 필름 등에는 TAC 필름이나 COP 필름 등이 쓰이고 있음. TAC 필름 수요


는 크지만 광투과성이나 낮은 복굴절을 살리는 PMMA 필름으로 대체가 진행 중임. 에너지 분야
에서는 PET 필름이나 불소수지 필름이 태양전지용 백시트나 프론트 시트에 쓰이며 PP필름이 LiB
용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파우치, PEN필름이 LiB 전극용 절연재에 쓰임

[ 세계 기능성 코팅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백만 달러)

구분 주요품목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성장률(%)

원소재 27,680 29,970 31,678 33,484 35,393 37,410 5.7%

염·안료 5,327 5,758 6,224 6,728 7,269 7,858 8.1%

친환경 코팅 8,760 9,742 10,629 11,596 12,651 13,802 9.1%


세계
시장 세라믹 코팅 880 970 1,054 1,146 1,246 1,355 8.7%

물리화학적
8,685 9,465 10,260 11,122 12,056 13,069 8.4%
코팅
광, 전자 및
2,805 3,425 4,011 4,697 5,500 6,441 17.1%
열적 코팅

* 자료: 한국페인트잉크공업협동조합 2011년 페인트 성분별 생산실적(2012), 씨스켐닷컴㈜ 최신 국내 및 세계의 코팅(Paints


& Coatings)시장 및 환경규제 현황 보고서(2006), 산업연구원, 관세청(2008), BCC Research (2011) Globla Markets and
technologies for Paints and Coatings, 후지경제(2015) 등 참고

[ 세계 기능성 필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백만 달러)

구분 주요품목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성장률(%)

전도성필름 51,945 55,010 58,256 61,693 65,333 69,188 5.9%

이형필름 1,466 1,612 1,773 1,950 2,145 2,360 10%


세계
시장 윈도우필름 680 918 1,239 1,673 2,259 3,050 35%

투명필름 33,297 35,261 37,342 39,545 41,878 44,349 5.9%

* 자료: 화학소재정보은행(2013), Fuji Chimera Research Institute(2009) 機能性フイルムの現況と未來展望, PCB materials


report(Japan Marketing Survey, 2009), 한국전자회로산업협회(KPCA)
* 주: Fuji Chimera Research Institute에 따르면 기능성 필름의 한국시장이 전체 시장의 26.1% 정도임. 각 세부 필름의
국내 시장 성장률을 이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함.

 세계 기능성 코팅/필름 시장은 일본, 미국과 유럽의 다국적기업이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상
대적으로 작은 규모지만 고도의 기술을 보유한 일본 중소기업들이 맹렬히 그 뒤를 따라가는 형
태이며 다시 한국, 대만, 중국 등이 일본을 뒤쫓아 가는 양상

 Markets and Markets의 2016년 3월 발표에서 2020년, 고성능 필름 시장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CAGR 7.51 % 성장하여 422억 5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6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기능성 필름은 새로운 많은 다른 시장들에 진출하고 있으며, 특히 식품, 테이프, 아트, 의료 분야 쪽


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다양한 마감 응용에 이용됨. 이러한 시장으로의 침투는 기능성 필름이 가지
고 있는 고유의 특징과 장점 때문이며, 앞으로 계속 새로운 응용 시장들이 만들어 질 것으로 예상

 (해외 동향) 주요 선진국(미국, EU 등)들이 주도,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을 위한 기술개발 집중


투자 중이며, 서비스 시장 확대 전망

▪ 미국, 일본, EU, 중국 등 주요 국가가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장비기술 보유업체가 소재기술도
동시 보유

 기능성 코팅/필름의 핵심인 원 소재 시장을 보면, 산업용이 대부분이며 미국, 일본, 독일 등 기


술 선도국가가 가장 큰 시장을 형성

 에너지 소비가 커지고 건조 조건에 의한 물성 변화가 야기되는 등의 용제형 및 수용성형의 문


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UV 코팅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큰 관심을 받고 있음

▪ UV 코팅 시스템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상온에서 국소부분에 조사하여


짧은 시간에 경화가 가능하고 에너지절감과 무용제화를 통한 공해문제 해결이 가능

▪ 이러한 장점으로 가전, 자동차, 인쇄용 잉크, 금속 및 목재의 코팅, 아트, 반도체 포토레지스트, 전
기/전자 및 의료 등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 및 적용되고 있음

▪ UV 코팅 시스템에 따라 자유라디칼 광중합과 양이온중합으로 나눌 수 있고, 자유라디칼 광중합이


현재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 되어 오고 있음

 평판디스플레이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이차전지 및 태양전지 시장이 확대되면서


세계 코팅필름 시장도 매년 10%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 또한 자기치료, 의료 및 바이오산업
으로의 응용 등 차세대 신개념의 응용제품군이 개발되면서 여기에 적합한 초정밀 코팅 기술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회사별, 국가별 경쟁이 치열

▪ 한국의 대표 산업인 디스플레이, 반도체, 이차전지 산업 등에서 코팅 기술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음. 기존에는 새로운 완제품 개발에 있어서 코팅 기술이 하나의 부속된 기술이라 여겨져 왔지
만, 최근에는 최종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특히, 코팅액 개발,
공정개발 및 기재필름 개발 분야의 종합적인 연구가 중요. 이와 함께 에너지 절약형 및 일반 산업
용에 응용하기 위한 신소재와 박막공정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음

▪ 에너지 관련 분야(태양전지)는 20 % 이상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고, 향후 4년 동안에도 금액


측면에서 매년 20.5 %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에너지 관련 시장의 성장이
단연 돋보이고 있음

69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나. 국내시장

 한국의 대표 산업인 디스플레이, 반도체, 이차전지 산업 등에서 코팅 기술의 중요성이 증대하


고 있음. 기존에는 새로운 완제품 개발에 있어서 코팅 기술이 하나의 부속된 기술이라 여겨져
왔지만, 최근에는 최종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특히, 코팅액
개발, 공정개발 및 기재필름 개발 분야의 종합적인 연구가 중요하며 에너지 절약형 및 일반 산
업용에 응용하기 위한 신소재와 박막공정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음

▪ 건식코팅 관련 시장은 크게 코팅장치와 물질 그리고 코팅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음. 2010년 발간


된 BCC Research의 “PVD 세계시장” 자료에 따르면 2013년이 되면 17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
로 예상하고 있으며 신소재경제신문의 자료에 다르면 국내 시장은 관련 시장 자료의 부재로 업체
별 매출을 기준으로 산정하면 2010년 약 7,000억 원에서 2013년이 되면 약 1조원 규모로 성장
할 것이며 CAGR 15 %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예상하고 있음

[ 기능성 코팅/소재 시장 현황 및 전망 ]

(단위: 백만 달러)

구분 주요품목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성장률(%)

원소재 1,120 1,225 1,274 1,325 1,378 1,433 4.0%

염·안료 242 249 256 263 270 278 2.8%

친환경 코팅 280 312 343 377 414 455 9.8%


국내
세라믹 코팅 52 61 69.6 79 90 103 14.1%
시장
물리화학적 코팅 298 325 344 364 385 407 5.8%

광, 전자 및
184 202 234 274 321 376 17.2%
열적 코팅
* 출처: 한국페인트잉크공업협동조합 2011년 페인트 성분별 생산실적(2012), 씨스켐닷컴㈜ 최신 국내 및 세계의 코팅
(Paints & Coatings)시장 및 환경규제 현황 보고서(2006), 산업연구원, 관세청(2008), BCC Research
(2011) Globla Markets and technologies for Paints and Coatings,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2012), 신소
재경제 신문(2015)
Fuji Chimera Research Institute 2009 기능성 필름의 현황과 미래 전망, Elsevier Advanced Tech, Profile
of the International Membrane Industry (200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코팅/코팅제(2008), KIET 기능
성 코팅, 코팅 시장 현황과 장래전망(2010)

[ 기능성 코팅/소재 시장 현황 및 전망 ]
(단위: 백만 달러)
구분 주요품목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성장률(%)

전도성필름 1,043 1,104 1,169 1,238 1,311 1,388 5.9%

국내 이형필름 221 244 268 295 325 358 10%

시장 윈도우필름 539 728 983 1,327 1,792 2,419 35%

투명필름 9,359 9,912 10,497 11,116 11,772 12,467 5.9%

* 자료: 화학소재정보은행(2013), Fuji Chimera Research Institute(2009) 機能性フイルムの現況と未來展望, PCB


materials report(Japan Marketing Survey, 2009), 한국전자회로산업협회(KPCA), 신소재경제 신문(2015)
* 주: Fuji Chimera Research Institute에 따르면 기능성 필름의 한국시장이 전체 시장의 26.1% 정도임. 각 세부 필
름의 국내 시장 성장률을 이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함.

7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일부 중소/벤처기업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성 코팅/필름 제품을 개발, 상용화 성장기 단계 진입


하였으나,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에는 자본과 투자 등에서 역부족

 기능성 코팅/필름 관련 원천기술 취약, 소재 및 개발비 부족 등으로 우리 기업들의 세계시장


참여는 미진한 상황
▪ 미국, 독일 및 일본 등 선진 기업 및 국가가 핵심 원천기술을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 중소기업들의
원천 기술 및 제조 기술력은 미흡한 편

▪ 기능성 코팅/필름 기술개발 미흡으로 관련된 기능성 응용 개발의 상용화도 진행이 늦어서 거대 제
품 시장은 대부분 외국 기업에 존하고 있는 상황

 국내 기능성 필름(Tape) 시장(의료용 제외)은 수량기준 2015년 약 3100만m2를 기록했으며,


앞으로도 전기자동차와 2차전지용에서 수요를 견인해 2020년에는 약 6000만m2에 이를 것으
로 예상

▪ 국내 기능성 Tape 시장(의료용 포함)은 2013년부터 7년간 평균 5.6 %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돼 2020년에는 약 9700억 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CMRI, 시장분석 보고서-
기능성 Tape 시장 분석(2016) ]

▪ 그 중에서도 2차전지용 필름 수요가 2020년까지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모
바일용과 전자파 차폐용 필름 수요는 IT기기 시장 침체와 공정 및 설계 효율화로 성장 둔화가 예
상된다. 그 외 반도체용과 자동차용도 전방산업의 성장 둔화로 평균 성장률이 4~5 %대에 머물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외국기업들이 장악해왔던 OCA(Optically Clear Adhesive), OCR(Optically Clear Resin), DAF(Die


Attach Film),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봉지재, 자동차 구조용 접착제 등 스페셜티
접착제 시장에서는 국내 기업들이 국산화를 시도하며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으며 기존에 Henkel
이 독점했던 자동차 구조용 접착제 시장은 유니테크, 보광, 신성유화가 개발에 뛰어들며 2015년 시
장점유율을 급격히 늘린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 2차 전지 시장은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 IT기기를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됐고 전기차용


중대형 배터리 수요는 이제 막 성장기에 들어선 것으로 평가됨

▪ 2차전지용 Tape 시장에서는 Tapex, 대현에스티, 세일하이텍이 경쟁하고 있음. 그 중 Tapex와 대


현에스티가 가장 먼저 시장에 진입해 현재까지도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71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국내 기능성 필름의 시장(2013-2020) ]

 일본, 미국 등의 선진국 대비 기술경쟁력이 부족하지만, 수요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성장 잠재


력 보유

▪ 산발적인 지원으로 인해, 국내 기술수준은 선진 기술국 대비 미약한 수준으로 국책사업 차원의 적


극적인 지원 시급

 기능성 고분자필름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전자분야 외 태양전지 등 에너지 분야, 식품포
장 등 응용 범위가 넓음

[ 국내 기능성 필름의 용도별 시장 ]

7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무역현황

 기능성 코팅/필름 기술의 공정기술로 품목 단위의 무역현황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어 수출품


목 중 플라스틱제의 판, 쉬트, 필름, 박 등의 품목의 무역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수출량에 비하
여 수입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

▪ 기능성 코팅/필름 기술의 수출현황은 ‘11년 45억 5,263만 달러에서 ’15년 55억 2,445만 달러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수입현황은 ‘11년 47억 9,780만 달러에서 ’15년 31억 3,808만 달러 수
준으로 감소하여 무역수지 흑자폭이 대폭 증가

▪ 최근 5년(‘11~’15년)간 연평균 성장률을 살펴보면 수출금액은 5.0%로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은


-10.1%로 감소

 무역특화지수는 ‘11년(-00.03)부터 ’15년(0.28)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점차 수출특화상태


로 국내 기업의 수출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의 플라스틱제의 판, 쉬트, 필
름, 박 등의 제품의 해외시장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

[ 기능성 코팅/필름 관련 무역현황 ]


(단위 : 천$)
CAGR
구분 ‘11 ‘12 ‘13 ‘14 ‘15
('11~'15)

수출금액 4,552,639 4,874,568 5,659,455 5,698,282 5,524,457 5.0%

수입금액 4,797,800 4,594,212 4,064,183 3,649,711 3,138,085 -10.1%

무역수지 -245,161 280,356 1,595,272 2,048,571 2,386,372

무역특화지수* -0.03 0.03 0.16 0.22 0.28

* 무역특화지수 = (상품의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으로 산출되며, 지수가 0인 경우 비교우위는 중간정도이며, 1


이면 완전 수출특화상태를 말함. 지수가 -1이면 완전 수입특화 상태로 수출물량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입만 한다는 뜻
* 자료 :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HS-Code(6자리 기준) 활용

73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4. 기술환경분석

가. 기술개발 트렌드

◳ 환경 친화적 소재와 기술

 화학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이나 인체 유해성이 대두 되면서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환경부하 물


질이나 유해화학 물질을 지정하여 제조과정, 취급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법령이나
규제에 의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음

▪ 대기오염원인 VOC 배출량에 대한 국제적인 환경규제가 진행 중이며 이러한 환경규제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임

▪ 강화되고 있는 온난화 관련 규제 및 환경오염 관련 환경규제 대응 필요성

▪ EU의 REACH 규제는 “화학물질의 등록, 평가, 인가 및 제한에 관한 이사회 규칙”으로서 기존 농


약과 의약품을 제외한 일반 화학품의 규제를 근본적으로 개정

 기능성 코팅/필름 산업의 경쟁력을 환경적 요소와 결합해 기존 시장 및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내는 효과를 만들어 내며, 에너지 절감 기술, 오염 저감 기술의 개발이 시장에서의 요구

▪ 향후 기능성 코팅/필름 산업은 기술적으로는 고기능화 및 VOC free화가 추구되고 있고, 시장에서
는 종류 및 양적인 발전을 기대

▪ 최근 친환경 기능성 코팅/필름 소재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종래의 용제 사용의 습식코팅에서 수성


형과 물과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무용제형, 건식 코팅 등의 상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고부가가치 특수 기능성 코팅/필름

 기능성 코팅/필름 소재의 고기능화, 활용성의 확장을 위한 혁신기술개발, 가격절감 기술의 개발


을 통한 고부가가치형 산업으로 재편이 요구

▪ UV 코팅은 열 경화에 비해 생산속도 향상 및 공해 문제가 없다는 점에서 도장, 인쇄 등 여러 산


업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경화 후의 접착 강도, 광택, 내마모성, 광택, 표면 경도 등 여러 가지
우수한 물성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매년 적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

▪ 건식코팅 기술은 플라즈마 기술 및 나노코팅 기술을 조합하여 주변 환경과 반응하여 다양한 특성


을 구현하는 스마트 또는 카멜레온(Chameleon)코팅이라는 신 개념의 원천 소재 개발을 위한 연
구로 발전하고 있음. 자연에서의 동식물의 모양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자연모사 연구가 있으며
자연모사 연구는 마이크로/나노 하이브리드 계층 구조로 발전하여 저마찰 코팅은 물론 코팅 및 표
면 개질을 통해 발수 및 친수, 자체청정, 내지문성, 방열성 등의 기능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진행되
고 있음

▪ 전기/전자 산업의 경박단소화, 고정밀화, 고밀도, 고성능, 고기능화가 추진됨에 따라 정밀미세가공


조립, 신소재의 채용, 고속자동화 생산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코팅/필름 기술은 이의 달성
을 위해 요구되는 필수 불가결한 기술

7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내열성 기술은 코팅/필름의 기본수지 내열성(내열내구성, 순간내열성, 고온시 접착강도 등)을 향상


시키기 위해 지금까지 개발된 내열소재를 기본으로 복합화 함으로써 성능향상을 도모하는 연구가
활발히 전개 중

▪ 자동차산업 분야는 자동차 경량화를 위해 코팅/필름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높은 신뢰


성 구현을 위해 고강도, 신뢰성 소재가 활용중이며 내장재 및 다양한 플라스틱 기재 접합을 위한
신규 기술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음

▪ 반도체 및 에너지 관련 코팅/필름 소재를 포함한 제반 IT 관련 기능성 코팅/필름의 경우에는 코팅


층의 미소 결점이 최종 완제품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재 층을 포함
한 코팅필름 전반에 걸쳐 무결점을 추구하기 위해 많은 기술이 동원되고 있음. 광학용 코팅/필름
에서 불량을 최대한 제거해 결함이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 수준으로 코팅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클린룸과 같은 고청정 코팅환경 및 초정밀 코팅설비, Formulation 기술 및 공정 기술, 분석 기술
등이 복합적으로 요구되고 있음

[ 다양한 코팅/필름 기술 ]

◳ 경쟁력과 원천 소재 기술 확보 노력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에서 미국, EU, 중국, 일본과의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친환
경적이며 고성능의 접착제를 국내 기술로 개발하여,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
한 차별화된 성능을 통해 고객의 품질 만족을 극대화하는 것이 우선

▪ 고부가가치 아이템 집중 필요, 원천소재의 국내 기술 개발 및 확보 필요성

▪ 기능성 소재의 품질 표준화 및 품질 인증 시스템

▪ 지속적인 R&D 사업 추진 필요성과 전문 기능성 코팅/필름 인력양성 사업 필요

▪ 산학연의 지속적 개발 노력 및 수출 경쟁력 강화

75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나.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 미국, EU(독일, 영국), 일본 등이 주도,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을 위한 코팅 기술개발에 집중 투


자 중이며, 다양한 서비스 시장 확대 전망

▪ 미국, 일본, 독일 등의 EU 등 주요 국가의 기술이 고가의 기능성 코팅/필름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


며, 기술 보유업체가 원 소재 기술도 동시 보유한 경우가 많아 시장 선점에 유리한 경우가 많음

▪ 주요 국가별로 소비재, 전자, 자동차, 의료, 우주/항공 분야 등으로 활용범위 확대 중이며, 새로운
분야의 기능성 원천기술 개발에도 집중

 최근에는 한 가지 기능이 아니라 여러 가지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Multi-Functional 코


팅 필름에 대한 제품 출시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

▪ CEKO는 다양한 종류의 발수 코팅제와 광학코팅제, Non-Slip, 내지문제 등을 출시하였고 코팅 방


법은 습식 코팅과 건식 코팅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며, 특히 건식 코팅은 열 증착법을 사용
하는 것이 특징임. 열 증착원인 불소계 고분자를 자체 개발하여 진공상태에서 열 증착을 통해 나
노두께의 투명 불소 박막을 형성하고 있으며, Top Clean Safe라는 제품명으로 낮은 표면에너지,
낮은 마찰계수, 내부식성, 초발수/발유성, 내오염성, 내지문성을 가지는 제품을 출시

▪ Fluoro Surf에서는 불소계 소재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발수코팅제를 개발함. 불연성 용제와 수
성형 등을 적용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제품이며, 수성제품의 경우 저온처리 방식으로 별도의 가
열온도 없이 110도의 표면접촉각을 구현하고 있음. 제품의 응용으로서 전자기판 보호 코팅, 내산
코팅, 방오성 코팅, 내지문 코팅, 저굴절율 코팅에 적용하고 있음.

▪ NISSAN CHEMICAL INDUSTRIAL의 Anti-smudge 필름은 발유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HTPERTECH


FX, 친유(Oleophilicity)와 친수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OD-series로 출시. FX 필름은
anti-smudge, anti-scratch의 특성을 가지며 Water Contact Angle은 100~110°수준의 값을 나
타내며 친유 필름의 경우 Oleic acid의 접촉각이 5~30° 수준을 나타냄

▪ Panasonic에서는 전자제품 적용 및 ITO 필름을 위한 하드코팅 필름을 개발하였고 이 제품은 UV


조사에 강하며, 우수한 배면 젖음성, 전극 패턴의 비시인성 측성을 포함하고 있음. 기능성 코팅재
료로서 수지설계기술을 기반으로 굴절율 제어, 광촉매, 흡수성, 표면에너지 제어 등 고기능화 기술
을 함유한 다양한 복합 기능성 필름을 개발. 이를 적용하여 친수성 코팅재료인 후렉세라 R을 출시
하여 우천시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저오염성을 가지는 제품도 개발

▪ AMTE에서는 LCD보호필름용 하드코팅 필름을 개발하였는데 UV curing을 하며 연필 경도는


2~3H 수준이고, 투과율은 91% 수준. 물 접촉각이 60~110°수준으로 내용제성 및 내화학성 특
징을 지님. 또한 열경화 제품인 고내열성 Sol-Gel 하드코팅 제품도 개발하였고 유리, 세라믹 및
금속 기재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며 연필경도가 9H인 고경도 코팅소재임. 특히 300~500°C의 높
은 온도에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특징이며 또한 Flow, Roll, Gravure, Spray 등 다양한 코팅
방식에 적용이 가능

7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AGC COAT-TECH에서는 산소 차단 특성이 매우 우수하며, 투명한 Obbligato Film을 개발하였고


접촉각이 85도 수준으로 높은 편이며, 정지 마찰계수가 0.45로 우수. 광학 투과율이 90%로 투
명하나 유리 전이온도가 40도 수준으로 낮은 편임. 이 제품은 Water absorption 0.71 wt%,
water vapor transmission 6.2 g/m2 hr로 다소 높은 편이나, oxygen permeability는
9.2×10-10 cm2/s cmHg 수준으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

▪ 일본 TOPPAN에서는 유무기 복합 다층막을 적용한 PRIME Barrier Series를 개발하였으며 PRIME


Barrier는 10-3 ~ 10-5 g/m2/day 수준의 수분 차단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유기물과 Si base
무기물을 PVD 공정으로 제작

▪ 또한 TOPPAN에서는 식품과 의약품 포장용으로 적합한 GL series를 개발하였는데 GL Film은 알


루미늄 배리어 필름을 대체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 졌으며 주로 의약품용으로 제작. 그중 GX-P-F
필름은 GL series중 가장 우수한 배리어 특성을 보이며 수분 차단율이 0.05 g/m2/day, 산소 차
단율이 0.1 cc/m2/day이며 높은 투과율과 유연성을 가지며 고온 고습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GL-RD 제품은 수분차단율이 0.2 g/m2/day, 산소차단율이 0.1 cc/m2/day atm으로 다소
낮으나 고온과 고습에 견디기 때문에 의약품뿐만 아니라 식품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

▪ 식품 포장용 필름의 대명사격인 Kuraray에서는 전자제품용 하이배리어 필름에서부터 식품 포장용


고투명 배리어 필름까지 개발하였는데 그중 식품 포장용으로 소개한 KURARISTER는 polymeric
matrix에 inorganic compound를 hybrid 형태로 포함하여 산소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 이
제품은 식품용에 맞추어 고온 노출, 물리적 충격 및 접힘, 연신 및 스크래치에 우수한 특성을 가
지도록 개발되었으며, inorganic 재료가 코팅된 필름보다 훨씬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

▪ 미국 Promerus사의 Appear 3000은 norbornane 을 methathesis 중합하여 폴리노르보넨을 제


조한 다음 이것을 단순히 환원반응하면 열안정성이 낮은 COP가 생김으로 개시제 존재 하에서
(2+2)cyclo addition 반응을 시키면 구물구조로 가교시킨 COP로서 유리전이온도(Tg)가 무려
330℃에 달하지만 열팽창계수(CTE)가 74ppm 으로서 매우 높아서 유연 디스플레이의 기판소재에
서 요구되는 10ppm 이하 기준에는 크게 미흡함. 그 외에도 미국의 Du Pont 는 고내열 고투명
PI 필름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음

[ 슈퍼 EP계 고내열 고분자 필름의 현황과 기술개발 동향 ]

77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이탈리아의 Ferrania Image System 사는 polyarylate(PAR) 수지를 기반으로 한 고내열, 고투명


필름을 개발하였음. 유리전이온도가 높고 투명성 등 제반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끌
고 있으나 CTE가 여전히 64ppm으로서 아주 높은 수준이며 barrier 특성 개선을 위해 분자 내에
가교결합을 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하고 무기물을 충전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Mitsubishi Chemical사의 고내열, 고투명 PI 필름의 물성은 종래의 PI 필름인 보다는 기계적 특성
이나 내열성이 다소 뒤떨어지지만 PC와 같은 기존 투명 내열필름이나 다른 투명 PI 필름보다는
크게 향상됨. 그러나 가장 큰 난제인 CTE와 수분차단성은 유연기판소재에서 요구되는 수준에는
상당히 미흡한 수준. 즉, CTE는 58 ppm/℃로서 요구수준인 10 ppm 이하보다는 상당히 높은 편
임. 뿐만 아니라 가장 중요한 수분투과도도 약 93 g/m2/d 수준으로 매우 높은 편임.

▪ 유연 디스플레이 기판용 고내열, 고투명 필름의 barrier 특성의 획기적인 향상시키기 위해 Al2O3
등을 sputterring 하거나 SiON/ SiOC 등을 증착(PECVD) 하는 방법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
는데 Vitrex System, IMRE, GE 등이 대표적인 선두주자임

▪ FUJIFILM에서 Transparent Super Gas Barrier Film인 “SUPER BARRIER”를 개발하였는데 하이


배리어 필름이 필요한 OLED 디스플레이용으로 개발되었지만 Quantum Dot film 및 의약품용으
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고 소개함. 필름은 롤투롤 공정으로 유기막과 무기막의 적층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성분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고 있으나 수분 차단율은 10-3 ~ 10-6
g/m2/day의 우수한 특성을 가짐

7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국내업체동향

 선진국 대비 기술경쟁력이 부족하지만, 수요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성장 잠재력 보유

▪ 미시적인 지원으로 인해, 국내 기술수준은 점/접착 선진국 대비 미약한 수준으로 국책사업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시급함

 소재 및 기술 개발에 머무르지 않고, 수요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멀티 기능과 다양한 응용 기


술개발 추진 중

▪ 최근 점/접착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기 위한 산·학·연 연계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음

▪ SEWHA P&C는 Anti Fingerprint와 Anti-Bacterial이 동시에 구현되는 필름을 출시예정으로 PET
100um 기재를 사용한 총 130um 두께의 필름이며 박막 경도는 2H, 투과율은 86%, Haze는
1% 미만 수준

▪ 수양켐텍에서는 다양한 Fluoro Silane Materials를 이용하여 발수와 발유를 동시에 구현하여 자동
차 외관용, 금속 표면처리 및 표면 개선용, 건축, 목재, 섬유 등의 발수 발유 코팅제를 개발. 발수,
발유 첨가제용 모노머로는 alkoxy silane type, epoxy silane type, acryl silane type을 사용하였
으며 기재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Silicon oxide layer를 기재표면에 형성하고 그 위에
hydrophobic 코팅을 하였음

▪ Nano-m에서는 100% 무기질 소재로 구현한 무기투명 코팅액 S200을 개발하였고 상온~100°C
에서 curing을 하며 세라믹 재질에 코팅 시 내산, 내열, 발수 기능을, 유리에 코팅 시 발수 특성
을, 금속 표면에 코팅 시 산화방지, 내지문 특성을, 플라스틱 기판에 코팅 시 내지문, 발수, 경도
향상 등의 기능을 부여

▪ 신진퓨처필름은 ITO 코팅필름과 메탈코팅 필름의 생산 및 기타 기능성 필름 개발 및 제조 기업이


며 개발된 윈도우 필름은 자외선과 적외선을 각각 80%이상 차단하며 에너지 소비 감소, 투명도
조절, 색상이 다양한 특징을 갖고 있음. 또한 가시광 투과율은 80%에 달해 높은 투명도를 보이
며 이에 투과율이 높아 시야 확보가 좋음. 더불어 무기 산화물 단열 코팅 기술로 시간이 지나면
떨어지는 필름의 태양열 차단 성능도 개선됨. 이 필름을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는 미래창조과학부
나노융합2020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 개발되고 있음. 신진퓨처필름의 ITO필름은 200ohm/sq,
270ohm/sq 제품이 생산 중이며, 100ohm/sq는 개발 중임

▪ SSADT는 2D 디스플레이로 3D를 볼 수 있는 3D 패턴 필름을 개발하였고 나노임프린팅 첨단 기


술로 제작된 제품으로 스마트폰 액정에 부착만으로도 안경 없이 3D 화면을 즐길 수 있음. 또한
LED PSS Wafer 기술도 개발하였는데 이 기술은 LED의 기초소재인 사파이어에 나노급 식각을
해서 빛을 분산시키면 지금의 LED 보다 열은 37% 줄고, 빛은 37% 더 밝아지는 기술임. 이 기
술은 강한 발열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산업분야에 응용이 가능

▪ 디엔에프의 고기능성 코팅제는 코팅 후에 유리막(SiO₂)을 형성하는 폴리실라잔(Polysilazane)을 주


성분으로 하는 실리콘계 코팅제로서 뛰어난 부착성, 내구성, 내후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실현하고,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기능성 및 부가가치성을 부여한 새로운 코팅제를 개발

▪ 국내에서도 SKC, Kolon, 도레이 첨단소재 등에서 대량생산 되고 있는 PET 필름의 연구개발은 가
장 큰 용도 분야인 식품포장용 보다는 고부가가치의 광학용에 치중되어 있음. 광학용 PET 필름에
서는 반사방지를 위한 불소수지 coating, 광확산 필름을 위한 PMMA 미립자 코팅, 공정 Carrier

79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tape를 위한 실리콘 코팅 등의 후가공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음. PET 필름의 새로운 용도
분야로는 태양전지 back sheet 인데 지금까지는 고가의 불소계 고분자 필름이 주로 사용되어 왔
는데 이를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국내의 아이컴포넌트 등에서 생산하고 있고 2011년 기준으로 연간 1,200천㎡ [$16.8백만 달러]


정도 사용되고 있는 PC 필름의 경우 LCD 등 디스플레이용 위상차 필름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공정의 단순화와 3D 안경 등 신규 용도에 적용하기 위해 코팅이나 라미네이션보다는 필름제조 과
정에서 연신공정 기술에 의한 위상차 기능을 부여하는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touch
panel 용의 경우에서도 ITO sputtering에 의한 투명전극막, 실리카 스퍼터링에 의한 밀착성, 방오
성, 내용제성 개선 등을 위한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음

▪ PC 필름의 경우에서는 아이컴포넌트(I-Component), S-Polytech, 세진 TS, 동우화인켐 등에서 생


산하여 자체 소비하거나 수요업체에 공급하고 있는 중이며 평판디스플레이 BLU의 휘도향상을 위
한 반사형편광필름(BDEF)이나 프리즘 시트 등에 적용되고 있음. S-EP계 고내열 고분자 필름인
PES는 아이컴포넌트에서 독일 BASF에서 PES 수지를 수입하여 필름을 제조, 공급하고 있으며 PI
필름은 SKC, Kolon PI Film에서 생산 공급하고 있으며 PES 필름은 touch panel의 cover layer
등에 적용되고 있음. PI 필름은 열적/기계적 특성 등 제반 물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Coverlay film,
3층 FCCL, COF용 2층 FCLL, FPC용 2층 FCCL 및 전기전자제품의 절연재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
용되고 있는데 기존 PI 필름은 분자구조 특성상 색을 나타내며 투명성이 낮기 때문에 유연 디스플
레이의 기판소재로는 아직까지는 사용이 불가능함

▪ PET․PC 등과 같은 범용 EP계 및 PES․PI 등과 같은 슈퍼 EP계 고내열 고분자 필름은 제조회사들


을 중심으로 물성향상 및 일부 특수기능 부여와 관련한 연구개발을 수행해 오고 있음. 향후 디스
플레이 세계시장을 좌우할 것이 확실시 되고 있는 플렉시블 LCD와 OLED의 생산에 필수불가결
한 핵심소재가 기판용 고내열․고투명 고분자 필름의 창출이며 현재 국내에서 기판용 고내열, 고투
명 고분자 소재 및 필름 개발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기관은 화학연구원, KIST, 한양대, 제일모직(삼
성물산), 코오롱인더스트리, LG 화학 등임

8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기술인프라 현황

 미국은 1980년대부터 학교나 연구소의 학문적인 역량을 산업계에 진입시키는 정책을 채택했
고, 학계는 산업계에서 필요한 코팅 기술 혁신을 위해 기본적인 이론을 개발하기 시작했음. 현
재의 높은 기술력은 학계의 연구 성과가 산학 협력을 통해 산업계로 제공되는 선순환을 통해
확보된 것으로 화학 산업계의 제품 개발에 사용되는 코팅 이론들은 주로 미국에서 연구돼왔음

▪ 미네소타 주립대학의 'Chemical Engineering & Materials Science Department'는 1970년대 후


반부터 세계적으로 코팅 연구 그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쳐왔으며 CIE (Center for Interfacial
Engineering as one of Very Successful NSF Ssponsored Engineering Research Centers in
US)설립 및 IPrime (Industrial Partnership in Research of Interfacial and Materials
Engineering)으로의 전환에 지대한 공헌을 했음. 고(故) L.E. Scriven 교수의 지휘 아래 다양한 코
팅 공정 기초 프로그램들이 만들어졌고, 20년 이상 컨소시엄 형태의 프로그램들이 진행되고 있음

▪ 산업계의 경우, 디스플레이용 코팅 분야에서는 3M을 중심으로 한 LCD 분야에서 휘도향상을 위해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프리즘 필름을 위시한 각종 광학용 필름 코팅 기술을 수십 년 전부터 개발
및 개량해왔고, 지금까지도 독점적 시장 장악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런 광학용 필름용 코팅 기술
을 이용해 LCD 외에, 코팅타입의 유기 EL과 같은 새로운 Format이 상업적 이용에 근접할 수 있
도록 많은 연구 개발이 시도되고 있음. 디스플레이용 코팅 외에 은나노를 이용한 투명 도전 필름
개발이나 코팅 표면의 흠집을 스스로 치유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자기 부식 방지용 코팅 등
새로운 개념의 코팅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차세대 히트 상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시
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미국에서 코팅관련 커뮤니티로서는 ISCST(International Society of Coating Science &


Technology)가 대표적이며, 필름 습식 코팅과 이와 관련한 최신 공정현상 분야에서 격년으로 심
포지엄 및 포럼을 개최하고 있음. ISCST는 특히 산업계와 학계의 연구 개발자들이 서로 네트워크
를 형성하고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장소 및 습식 코팅 공정, 건조, 경화 공정 등에 대한 최신 기
술 동향을 토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주요 연구 기관은 아래와 같으며 이 외에 페이
퍼 코팅에 중점을 둔 TAPPIy(Technical Association of Pulp & Paper Industry)와 상용 코팅에
중점을 둔 AIMCAL(Association of Industrial Metallizers, Coaters & Laminators) 등도 주요
커뮤니티로 활약하고 있음

▪ 유럽에서의 연구개발을 위한 주요 심포지움으로는 미국의 ISCST와 긴밀한 협력 관계에 있는


ECS(European Coating Symposium)가 있음. 코팅과 관련된 기본 과학과 응용 연구 분야의 최
근 동향 및 기술에 대해 심포지움을 ISCST와 매년 번갈아가면서 개최하고 있으며 2011년에는 핀
란드의 Turku에서 6월에 3일간의 일정으로 개최됐고, 2013년에는 벨기에의 몽스 대학
(University of Mons)에서 개최

81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미국과 유럽의 코팅관련 주요 연구기관 ]

기관명 주요내용

· 학계와 산업계의 주요 Netork에 기여


· 습식 코팅막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코팅공정기술 및 메카니즘 연구를 위한 포
ISCST
럼 및심포지움 개최
· http://www.iscst.org

· Coating flow : Non-Newtoian Flow, Multiphase Flow


· Drying : Residual Solvent, Phase Separation, Residual Stress
미네소타 주립대학 · Curing : UV curing, Thermal Curing, EB curing
· Development of Numerical Analysis Tools
· http://gemini.cems.umn.edu/research/cpfp/index.php

· Particle Motion Modeling


· Coating Flows on Porous Webs
메인대학
· Thin Film Dynamics
· http://www.uab.edu

· Web Handling Research (Model Development)


· Experimental Parameter Identification and Model Validation
오클라호마 주립대학
· Wrinkling /Air Films between Webs and Rollers
· http://webhandling.okstateedu/edfault.htm

· 고경도 저마찰 코팅기술연구


Argonne National Laboratory · 표면 개질 및 Sustainable 코팅 기술연구
· http://www.anl.gov

· 미세구조 이용 초발수 기술 연구
MIT · 탄소나노튜브와 불소화합물 코팅을 이용한 초발수 표면 구현 연구
· http://www.mit.edu

Lawrence Berkeley National · 이온빔 증착 기술, HIPIMS 공정 개발


Laboratory · http://www.lbl.gov

· 전자빔을 이용한 DVD(Directed Vapor Deposition) 코팅 및 응용 기술 연구


University of Virginia · DVD 및 박막 성장 시뮬레이션 관련 연구
· http://www.virginia.edu

· 박막 성장 관련 기초 연구
University of Illinois · 플라즈마를 이용한 표면개질 및 응용기술 연구
· http://www.uillinois.edu

· 박막 코팅의 구조해석
리즈 대학
· Wetting Coating
(영국)
· http://www.engineering.leeds.ac.uk/ietsi/

· Drying Process
카를스루에 공과대학
· Thin Film Technology
(독일)
· http://www.tft.kit.edu/

· Micro-structure and Nanostructures


프라운호프
· Microcpsulation
IFAM
· Coupling of Anti-freeze on Sol-Gel System
(독일)
· http://www.ifam.fraunhofer.de/

8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코팅/필름에 있어서의 국내 연구개발은 주로 해당 기업이 별도의 연구소나 개발 센터를 운영하


면서 세트 메이커와의 독자적인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학교나 전문 연구 기
관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취약했다고 볼 수 있음
▪ 최근 산업계의 요구가 늘어나면서 정밀 코팅 및 소재 분야에서의 연구개발도 확대되고 있고, 산학
간 협력 또한 증가 추세에 있음

▪ 국내 기능성 코팅/필름 관련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기술 및 제품교류 및 교육기관은 한국접착


코팅협회, 서울대, 고려대, 한국화학연구원, 접착코팅(ATEM), 코팅과 접착 등의 카페 블로그 등이 있음

▪ 특히, 한국화학연구원은 코팅 분야를 핵심공정으로 하는 테스트베드(Test Bed)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코팅을 위한 청정 환경구축과 더불어 각종 파일롯 규모의 코팅장비 및 평가, 분석 장비들을 도입하
는 중. 2011년 하반기에 전용건물 및 클린룸을 완공했고,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정밀 습식코팅 설비
를 도입해 셋업을 완료. 향후 Roll To Roll 필름 스퍼터링과 같은 드라이코팅과 각종 패턴코팅 분야
에서의 최첨단 코팅 장비들을 도입해 국내 관심 기업들의 소재 및 공정 개발을 지원하는 한편, 그동
안 미비했던 국내 코팅관련 전문 인력들의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할 예정

 세계시장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코팅/필름 제품기술의 우위와 함께 표준, 인증, 실증분야의


기술 인프라 형성이 중요

▪ (인증) KS보완 및 국제표준이 제정되는 것에 맞추어 성능표준에 대한 인증기관 선정 및 인증을 위


한 성능 측정 장비 구축 필요성

▪ (실증) 성능지표의 확인 및 신뢰성(Reliability) 향상 연구를 위한 신뢰성시험, 고장분석, 가혹수명


테스트(ALT)등의 ‘실증프로그램’이 필요

▪ (표준) 국제 표준 설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추세에 맞춘 새로운 KS표준의 개정 작업도 필요

83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국내의 코팅관련 주요 연구기관 ]

기관명 주요내용

· 코팅액의 마이크로 구조 및 레올로지 연구 (Numerical Simulation,


서울대 Structure Analysis, Signal Analysis ‣ Design)
· http://microrheology.snu.ac.kr

· 필름 코팅의 동적 거동, 안정성 연구


고려대 · Computatinal Fluid Dynamics
· http://rheolgy.korea.ac.kr

· 코팅 공정 및 신소재 연구
한국화학연구원 · Coating Network 구축
· http://chemsolkr

· 고속 에칭 및 증착 소소 관련 연구
재료연구소
· 디스플레이용 투명 도전막 관련 연구

· 금속 및 세라믹 BMG 타겟 물질 연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자동차 부품용 BMG 코팅 적용 연구

· 건식 코팅 강판 개발 연구
포스코 기술연구원
· 고속 EML 소스 및 공정 기술 관련 연구

· 건식 코팅강판 개발을 위한 코팅 물질계 연구


RIST
· 스퍼터링 등 증착 소스 및 공정 관련 연구

부산대 · Hybrid 코팅 공정 연구

서울대 · 고경도 내마모 코팅 관련 연구

성균관대 · 기능성 코팅 관련 연구

· DLC 합성 및 응용 기술 연구
KIST
· 박막 및 에칭 공정을 이용한 자연모사 응용연구

8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라.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 출원동향

 기능성 코팅/필름 기술의 지난 7년(‘10~’16) 간 출원동향1)을 살펴보면 연도별로 출원경향이


증가, 감소를 반복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기능성 코팅/필름 관련 기술개발 활발

▪ 각 국가별로 살펴보면 일본 출원경향은 미미하게 감소 추세, 미국은 증가-감소 추세, 유럽은 유지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은 ‘12년까지 유지하다가 ’14년 급격히 증가추세

 국가별 출원비중을 살펴보면 한국이 49.9%로 최대 출원국으로 기능성 코팅/필름 기술을 리드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일본이 29.1%, 미국이 14.7%의 출원비중을 보이고 있음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 연도별 출원동향 ]

1)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
재하여 2015, 2016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85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2) 국가별 출원현황

 한국의 출원현황을 살펴보면 ‘14년까지 출원이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내국인
의 출원은 ’12년까지 다소 감소하다 다시 증가 추세

 일본의 출원현황은 증감을 반복하며 서서히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출원인 대부분이 자
국 출원으로 일본 내의 기술력이 우수한 것으로 추정

 미국의 출원현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출원인 대부분이 외국인
으로 나타나나 내국인의 출원이 미미하게 증가

 유럽의 출원현황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출원인 대부분이 외국인
으로 자국인의 출원이 미미

[ 국가별 출원현황 ]

8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3)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의 투입기술을 확인하기 위하여 특허분류코드인 IPC Code2)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의 가장 높은 IPC는 C09D 기술분야가 939건으로 가장 많
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서 C09J가 694건, C08L가 673건으로 다수를 차지
▪ 이외에 C08J 542건, C08G 482건, C08F 260건, C09K 234건, C08K 173건, G02B 150건,
G02F 64건 순으로 기술이 투입되어 있어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에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어 존재

▪ 더불어 해당 IPC의 특허인용수명을 살펴보면 C09J 및 C08F 기술분야의 수명이 9년으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C09D, G02B 및 G02F 기술분야는 6년으로 가장 짧은 것으로 분석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 상위 투입기술 ]

IPC 기술내용 특허인용수명(TCT)3)

C09D 피복 조성물 6

접착제; 일반적인 접착 방법(비기계적 요소);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접착 방


C09J 9
법; 물질의 접착제로서의 사용

C08L 고분자 화합물의 조성물 8

마무리; 일반적 혼합 방법; 서브클래스 C08B, C08C, C08F, C08G 또는


C08J 7
C08H에 포함 되지 않는 후 처리

탄소-탄소 불포화결합만이 관여하는 반응 이외의 반응으로 얻는 고분자 화


C08G 8
합물

C08F 탄소-탄소 불포화결합만이 관여하는 반응으로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 9

C09K 그 밖에 분류되지 않는 응용되는 물질; 그 밖에 분류되지 않는 물질의 응용 7

C08K 무기 또는 비고분자 유기물질의 배합성분으로서의 사용 8

G02B 광학요소 광학계 또는 광학장치 6

G02F 광의 강도, 색, 위상, 편광 또는 방향의 제어를 위한 장치 또는 배치 6

2) 전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국제특허분류(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를 통해 특허정보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을 조사


할 수 있으며, 기술 및 권리정보에 용이하게 접근 가능
3) 특허인용수명 지수는 후방인용(Backward Citation)에 기반한 특허인용수명의 평균, Q1, Q2(중앙값), Q3에 대한 통계값을 제시함.
특히 이와 같이 산출된 Q2는 TCT(Technology Cycle Time, 기술순환주기 또는 기술수명주기)라고 부름

87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투입기술이 가능 많은 C09D 분야와 융합이 높게 이루어진 기술은 G02B 분야로 나타났으며,


B05D, B32B 분야와도 나타 융합된 기술의 건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

▪ 이외에 C09J 분야와 융합된 기술은 B32B, H01L, H01B 분야와 융합된 기술이 많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C08L 분야와 융합된 기술은 C08J, C08K, G02B 기술로 분석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 IPC 기술 및 융합성 ]

(4) 주요출원인 분석

 세계 주요출원인을 살펴보면 주로 일본의 출원인이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화학 소재 분야의 출원인이 대부분

▪ 주요 일본 출원인을 살펴보면 NITTO DENKO, FUJIFILM, NISSAN CHEMICAL, JSR, DAINIPPON


INK AND CHEMICALS, MITSUBISHI PLASTICS, SHINETSU CHEMICAL 등 화학 소재 기업이 다수
출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일본 출원인은 대부분 일본 본국에 출원건수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으나, NISSAN CHEMICAL 및 SHINETSU CHEMICAL은 한국에서도 출원건수가 높음

▪ 한국 출원인으로는 엘지화학, 삼성SDI, 도레이첨단소재 등 3개 기업이 상위출원인으로 나타나 기


능성 코팅/필름 관련 기술을 다수 보유

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NITTO DENKO의 3극 패밀리수가 116건으로 다국적으로 시

8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장을 확보하며 출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국내 출원인 중에서 엘지화학도 50건으로 다


국적 시장을 확보

 일본 기업인 NITTO DENKO가 확보한 특허의 피인용지수가 2.14로 가장 높게 나타나 기술의


파급성이 높은 원천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국내 출원인 중에서 삼성SDI
가 0.86으로 나타남에 따라 원천기술보다 응용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주요 출원인의 출원현황 ]

주요 IP시장국 (건수 %) 3극
패밀 피인용
주요출원인 국가 IP시 주력기술 분야
리수 지수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장국
(건)
종합
83 44 150 22
디스플레이용
NITTO DENKO 일본 일본 116 2.14
소재
28% 15% 50% 7%

135 36 37 9
디스플레이용
엘지화학 한국 한국 50 0.52
소재
62% 17% 17% 4%

58 45 103 9
디스플레이용
FUJIFILM 일본 일본 27 0.73
필름
27% 21% 48% 4%

144 6 1 3
NISSAN CHEMICAL 일본 한국 5 1.0 액정 배향제
94% 4% 1% 2%

130 5 3 2
JSR 일본 한국 2 0 액정 배향제
93% 4% 2% 1%

101 17 4 2
디스플레이/
삼성SDI 한국 한국 1 0.86
반도체용 소재
81% 14% 3% 2%

101 0 3 0
디스플레이용
도레이첨단소재 한국 일본 0 0
필름
97% 0% 3% 0%

18 7 58 3
DAINIPPON INK AND 디스플레이용
일본 일본 13 0
CHEMICALS 소재
21% 8% 67% 3%

9 7 67 2
폴리에스테르
MITSUBISHI PLASTICS 일본 일본 25 0.5
필름
11% 8% 79% 2%

28 12 22 16
한국/ 기능성 코팅
SHINETSU CHEMICAL 일본 53 0.8
일본 조성물
36% 15% 28% 21%

89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5) 국내 출원인 동향

 국내 출원인 동향을 살펴보면 대기업은 엘지화학의 출원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기


업에서는 엔지텍의 출원건수가 높게 나타남

▪ 대기업의 주요 출원인은 삼성SDI, 도레이첨단소재, 코오롱인더스트리, 동우화인켐, 효성, SK이노베


이션 등이 있으며, 중소기업의 주요 출원인은 엔지텍, 디오, 이녹스. 에버켐텍, 조광페인트 등이
주요 출원인인 것으로 나타남

 기업 이외의 주요출원인을 살펴보면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등


연구소/공공기관의 출원이 다수 나타났으며, 대학은 연세대학교, 인하대학교의 출원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됨

[ 국내 주요출원인의 출원 현황 ]

9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5. 중소기업 환경

가. 중소기업 경쟁력

 기능성 코팅/필름 세부품목에서 주요 기술로는 습식/건식 코팅, 친환경, 분체코팅, UV 코팅,


수성화, 다기능 필름 기술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주로 대기업인 KCC, LG, 코오롱,
SKHass, 한화, 애경화학 등이 기술력을 갖고 있으며, 이 중 기능성 관련 기술은 중소기업에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으로는 대현ST, 상보, 세창, Tapex, 아이컴퍼니, 수양켐텍,


SEWHA P&C 등이 경쟁력을 보유함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 국내 중소기업 현황 ]

중소기업 주요 중소기업
세부분류 주요 기술 대기업 중소기업
참여영역 참여 정도*
아바코, 태양기전,
강도, 접착력, 내마모성, EB,
한일진공, 유니벡,
플라즈마, 스퍼터링, HIPIMS,
삼성, 발저스, 도레이 인포비온, 근우, 반도체,
건식코팅 고경도/저마찰 코팅기술, GLAD, ◕
새한, 코리아스타텍 전기전자, 가전
JVD, Inverse Magnetron,
삼원진공, 동우열처리,
PVD
희성금속

은성산업, 명성,
Akzonobel, KCC, 소비재,
분체코팅 자동차용, 소비재용, 코팅설비 선명하이텍, 삼화, ◕
헨켈, 노드슨, PPG 자동차용
조광, 강남제비스코
신화인터텍,
미래나노텍, 상보,
3M, LG화학, 광학, 전기전자,
다기능 필름 광학, 열/에너지 탑나노시스, 엘텍, ◕
삼성물산, SKCHaas 건설, 자동차
테크피아, 새로닉스,
LMS, 이레테크, JPE
동부정밀화학, 애경, 건축, 소비재,
VOCs Free, Non 수양켐텍, 상보, 세화,
친환경 스미토모화학, 한화, 전기전자, 선박, ●
Formaldehyde 글라스코, 에이스코팅
산리츠, 폴라테크노 자동차
한국케미테크,
켐베이스, HNC, 소비재,
UV아크릴, UV에폭시, 헨켈, LG이노텍,
UV 코팅 우원TCS, 림테크, IPS, 전기전자, ◑
UV우레탄, UV실리콘 PPG, IPK, BASF
라드켐, 대진산업, 건축/토목
세린산업
* 중소기업 참여정도와 점유율은 주요제품 시장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참여규모와 정도(업체수, 비율 등)를 고려하여 5단계로 구분
(낮은 단계: ○, 중간 단계(◔, ◑, ◕) 높은 단계: ●)

91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나. 중소기업 기술수요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의 중소기업의 기술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기술수요조사 및


중소기업청 R&D신청과제(2013~2015년)를 분석한 결과 아래 표의 내용과 같은 수요들이 다
수 있는 것으로 분석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 중소기업은 최근에 디스플레이용 소재기술, 에너지절감형 소재기술 및 고


기능성 소재기술과 관련된 기술개발에 다수 수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 과제신청현황 및 수요조사결과 ]

전략제품 기술 분류 관심기술

터치패널용 이지클리닝 및 슬립성 부여 코팅기술


PET 필름용 고경도 저반사 코팅 기술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고기능성 필름제조를 위한 나노코팅기술
디스플레이용 소재기술
터치패널 보호필름용 나노미립자를 이용한 난반사 코팅기술
플라스틱 코팅용 유무기하이브리드 하드코팅제 개발
고내구성 하드코팅 및 투명전도성 필름의 양산기술

무변색 기능성 Solar Control Film 개발


외부단열 적용을 위한 단열재용 난연 코팅 기술
열반사 차열페인드 개발
기능성
에너지 절감형 소재기술 카본소재를 활용한 고성능 발열 코팅소재 기술
코팅/필름
에너지 절감형 열차단 플라스틱 필름 개발
친환경 에너지 절감형 투명 열차단수지 조성물 개발
적외선 차폐용 텅스텐 산화물 나노와이어 분산코팅액 양산기술

자동차 유리 발수코팅제 개발
신율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표면처리제 개발
비산방지용 하드코팅
고기능성 소재기술
물박리 가능한 내불산성 유리보호용 코팅기술
난연용 에폭시 하이브리드 코팅기술
자가복원력과 내오염성이 우수한 자동차도장 보호필름 개발

9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중소기업 핵심기술

(1)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 기능성 코팅/필름 기술의 특허 및 논문데이터 검색을 통해 도출된 유효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


터마이닝 기법(Scientometrics 기법)을 통해 클러스터링된 키워드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요소기
술 후보군을 도출

▪ 기능성 코팅/필름 기술의 특허 및 논문 유효데이터를 기반으로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통하여 10개


의 요소기술 후보군을 도출

▪ 제품별 dataset 구축 : 기능성 코팅/필름 기술 관련 특허/논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노이즈 제거 후


제품별 dataset 구축

▪ 1차 클러스터링 : 키워드 맵을 통한 고빈도 키워드 확인-빈도수(tf-idf)4)가 상위 30%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대상으로 1차 추출

▪ 2차 클러스터링 : 1차 클러스터링에서 추출된 고빈도 키워드 사이에서 고연관도 키워드를 2차 추


출 (고연관도 기준은 연관도수치5)가 2이상인 클러스터로 제한)

 다음 그림은 키워드 간 연관네트워크를 시각화한 것으로, 각 키워드를 나타내는 원과 키워드


간의 연관도를 나타내는 직선으로 구성

▪ 각 키워드가 특허와 논문 중 어느 데이터에서 도출되었는지 원의 색으로 구분하였으며, 키워드로


도출된 클러스터는 황색음영으로 표시

▪ 키워드를 나타내는 원은 고빈도의 키워드일수록 원의 크기가 크게 표현되며, 연관도를 나타내는


선은 키워드 사이의 연관도수치가 높을수록 굵게 표현

 기능성 코팅/필름 기술 전략제품의 특허․논문 유효데이터에 대하여 키워드 클러스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요소기술 도출

 데이터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은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통해 도출된 요소기술에 대하여 전문가의
검증 및 조정을 통하여 요소기술을 도출

4) 빈도수(tf-idf) : 각 키워드가 출현되는 특허 또는 논문수를 의미


5) 연관도수치: 두 개 이상의 키워드 사이의 특허 또는 논문수를 의미

93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 키워드 클러스터링 ]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 주요 키워드 및 관련문헌 ]

No 주요 키워드 연관도 수치 관련특허/논문 제목

1. RESIN FILM,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ER, AND


protective,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클러스터 polarizer
4~7 2, SURFACE PROTECTIVE FILM AND OPTICAL COMPONENT
01 liquid crystal
3.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1. ELECTRICALLY CONDUCTIVE FILMS FORMED FROM DISPERSIONS


electrically COMPRISING CONDUCTIVE POLYMERS AND HYPERBRANCHED
클러스터
conductive 5~7 POLYMERS
02
film 2. Coating technologies and coating plant concepts for thin film
liquid coating layers for conductive films

1. Resin composition, optical compensation film using the same


optical
클러스터 and production method of optical compensation film
compensation 4~8
03 2. Simultaneous retardation compensation during bending of plastic
film
film coated with a polymer layer of opposite birefringence

9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No 주요 키워드 연관도 수치 관련특허/논문 제목

1. Effects of deposition inclination angle on microstructure and


deposition
electrical properties of al-doped ZnO coating films
클러스터 nano
4~8 2. Synthesis of organic-inorganic hybrid sols with nano silica
04 coating
particles and organoalkoxysilanes for transparent and
sol-gel
high-thermal-resistance coating films using sol-gel reaction

1. ANTI-CORROSION PAINT COMPOSITION, ANTI-CORROSION COATING,


AND METHOD FOR PREVENTING CORROSION OF BASE MATERIAL
corrosion
클러스터 2. Development of chromate-free coated steel sheet with high
resistance 4
05 corrosion resistance and conductivity
anti-corrosive
3. DRY-IN-PLACE CORROSION-RESISTANT COATING FOR ZINC OR
ZINC-ALLOY COATED SUBSTRATES

1.SCRATCH AND FINGERPRINT RESISTANT ANTI-REFLECTIVE FILMS


FOR USE ON DISPLAY WINDOWS OF ELECTRONIC DEVICES
surface
클러스터 AND OTHER RELATED TECHNOLOGY
roughness 4~7
06 2. Anti-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 providing improved scratch
scratch
resistance, anti-reflective film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1. CONDUCTIVE SURFACING FILMS FOR LIGHTNING STRIKE AND


electromag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OF
클러스터
etic shieled 4 THERMOSET COMPOSITE MATERIALS
07
coating 2. Experiments to investigate electromagnetic shielding performance
of polyaniline- Coated thin films

1. Effect of process parameters on hard coating film


characteristics in roll-to-roll printing process system
클러스터
hard coating 4~7 2. SILOXAN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08
3. Preparation of hard coating films with high refractive index
from titania nanoparticles

1. PROPERTY ENHANCING FILLERS FOR TRANSPARENT COATINGS


A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transparent
클러스터 2. CONDUCTIVE INK COMPOSITION AND TRANSPARENT
conductive 4
09 CONDUCTIVE FILM
film
3. Transparent conductive carbon-nanotube films directly coated
onto flexible and rigid polycarbonate

1.Resin composition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glass


thermal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for use with PCB, and prepreg
클러스터 conductivity
7 and coating thereof
10 composit
2.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of thin films and coatings with
fim
the ultra-fast transient hot-strip technique

95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

No 요소기술명 키워드

protective, polarizer
요소기술01 보호필름
liquid crystal display

electrically
요소기술02 전기 전도성 필름/코팅
conductive film

optical compensation
요소기술03 편광필름
film

deposition
요소기술04 나노 복합 코팅 nano coating
sol-gel

corrosion resistance
요소기술05 방청코팅
anti-corrosive

surface roughness
요소기술06 내스크레치 코팅
scratch

electromagnetic
요소기술07 전자파 차폐 코팅/필름
shieled coating

요소기술08 하드코팅 hard coating

transparent
요소기술09 투명 전도성 필름
conductive film

thermal conductivity
요소기술10 열전도성 복합 필름
composit fim

9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요소기술 도출

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


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통해 기술의 범위, 요소기술 간 중복성 등을 조정‧검토하여 최종


요소기술명 확정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 요소기술 도출 ]

분류 요소기술 출처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디스플레이이용 고휘도 편광필름 개발
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디스플레이용 초고경도 보호필름 개발
전문가 추천
디스플레이용
소재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투명 전도성 필름 개발
기술/시장분석, 전문가 추천

터치패널용 박막 비산방지필름 개발 기술수요, 기술/시장분석

기술/시장분석, 전문가 추천
에너지 절감형 열차단 투명 코팅제 및 필름 개발
타부처 로드맵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유무기 하이브리드 열전도성 필름 개발
전문가 추천
에너지 절감형
소재기술
열반사 차열 페인트 개발 기술수요, 기술/시장분석

기술수요, 전문가 추천,


전착도장용 나노복합소재 및 코팅기술 개발
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대전방지성 및 발수성이 우수한 하드코팅제 개발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능성 고분자계 수용성 방청 코팅제 개발
타부처 로드맵
고기능성
소재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나노복합소재를 이용한 내스크래치 향상 코팅 기술
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클러스터링,
전도성 프라이머를 적용한 전자파 차폐 필름 개발
타부처 로드맵

97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3) 핵심기술 선정

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핵심기술 선정위원회를 통하여 중소기업
에 적합한 핵심기술 선정

 핵심기술 선정은 기술개발시급성(10), 기술개발파급성(10), 단기개발가능성(10), 중소기업 적합


성 (10)을 고려하여 평가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 핵심기술 ]

분류 핵심기술 개요

불빛의 투명한 정도 또는 불빛의 밝기가 우수한 휘도를 가지


디스플레이이용 고휘도 편광필름
는 입사광의 수직 또는 수평 편파를 구분하여 통과시키거나
개발
차단시킬 수 있는 성질의 필름 개발 기술

디스플레이용 디스플레이용 초고경도 보호필름 기존 제품 대비 Vicker's hardness(비커스 경도계) 기준 이


소재기술 개발 상의 초고경도를 가지는 보호필름 개발 기술

가시광을 흡수하지 않고 투과하여 전기전도성이 있는 필름으로


투명 전도성 필름 개발 투명 전도성필름은 디스플레이의 EL(Electroluminescence)패
널의 발광면 전극이나 액정 패널 등에 사용되는 기술

적외선을 반사하여 열 차단 효과를 나타내고, 표면의 열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 주어 우수한 단열효과를 나타내
에너지 절감형 열차단 투명
며 또한 열전도율이 낮아 외부의 열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과
코팅제 및 필름 개발
내부의 열이 밖으로 나가는 것을 동시에 제어하여 절감효과
에너지 절감형 를 나타내는 에너지 절감형 코팅제 또는 필름
소재기술

유무기 하이브리드 열전도성 필름


유무기 복합재료의 성질로 열 전도성이 우수한 필름 기술 개발
개발

대전방지 표면처리 기술개발과 초발수성을 나타내는 코팅 기술


고기능성 대전방지성 및 발수성이 우수한
(표면저항, 내용제성, 투명도 향상, 박리 대전압, 표면경도, 부
소재기술 하드코팅제 개발
착성 우수, ROHS/Halogen 성분 배제, 접촉각 150도 이상)

9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6. 기술로드맵 기획

가. 기능성 코팅/필름 기술로드맵

 최종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


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

99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나. 연구개발 목표 설정

 로드맵 기획 절차는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로드맵 기획위원회를 통해 선정된 핵심기술을 대


상으로 기술요구사항, 연차별 개발목표, 최종 목표를 도출

[ 기능성 코팅/필름 분야 핵심기술 연구목표 ]

연차별 개발목표
분류 핵심기술 기술요구사항 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고휘도, 고효율,
디스플레이이용 저전력 소비, 휘도 개선도
휘도 개선도 휘도 개선도 휘도 개선도 :
고휘도 편광필름 경박화, : 40%↑(KS
: 50%↑ : 60%↑ 60%↑
개발 고내구성, C 7613)
열적 안정성

초고경도,
경도1900HV이상,
디스플레이용 마찰계수저감 및 경도1700HV ↑, 경도1800HV ↑, 경도1900HV ↑,
밀착력 90N↑,
초고경도 고밀착력 확보, 밀착력 밀착력 밀착력
디스플레이용 접착력 확보
보호필름 개발 접착력(ASTM-D3 70N↑ 80N↑ 90N↑
소재기술 (ASTM-D3330)
330)
98%↑,
투과율, 97↑,
Total 50↑,
95%↑, 97%↑, 98%↑,
투명 전도성 필름 transmittance(%) 투과율(@
92↑, 95↑, 97↑,
개발 JIS K 7361-1, 550nm): ≥ 80
40↑ 45↑ 50↑
Image Clarity(%) %, (base film
JIS K 7105 투과도 100%
기준)
열전도율(40 열전도율(35 열전도율(29 열전도율(29
mW/m·K↓) mW/m·K↓), mW/m·K↓), mW/m·K↓),
자외선 차단, 적외선반사 적외선반사 적외선반사율(93
에너지 절감형
적외선 차단, 적외선반사 율(92.5%↑) 율(93%↑) %↑), 열관류저항
열차단 투명
율(92%↑) (473m2·K/W↑)
코팅제 및 필름
Time Stability, IR차단율:70 IR차단율:80 IR차단율:85
개발
Film Hardness % ↑, % ↑, % ↑, IR차단율:85% ↑,
에너지절감형 가시광 가시광 가시광 가시광
소재기술 70%투과율 75%투과율 80%투과율 80%투과율
투과성, 전도성,
부착성, 전도성,
고화소,
유무기 고화소, 고투명성,
열화상카메라에서 고투명성, 복합 시트
하이브리드 고화질을 열화상카메라에서의
의 열 분포 균일성, 견고성, 구조의
열전도성 필름 활용한 제품 열 분포 균일성,
경박(0.05T) 부착성 향상 휘도 향상
개발 다양화 경박(0.05T↓),
휘도 향상 필름,
균일한 열확산도
균일한 열확산도
대전방지용 ASTM D ASTM D ASTM D
우수한 표면저항
표면처리 257 257 257
대전방지성 및 (ASTM D 257
고기능성 기술개발(표면저 106 ~ 108 ~ 108~
발수성이 우수한 108~1010Ω/sq),
소재기술 항, 내용제성, 108Ω/sq, 109Ω/sq 1010Ω/sq,
하드코팅제 개발 우수한 박리대전압,
투명도 향상), 접촉각 : 접촉각 : 접촉각 :
접촉각 우수성
발수성 접촉각 140도 ↑ 140도 ↑ 150도 ↑

10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핵심기술 심층분석

디스플레이용 고휘도 편광필름 개발

▪ 저전력 소비 및 효율 향상을 위해 고휘도 편광필름의 개발


기술개발
필요성 - 박형화 하면서도 고내구성 및 열적안정성이 우수한 편광필름 개발
-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국산화 필요성 증대

▪ 휘도 개선

▪ 저전력 소비 구현
기술개발전략
▪ 열적안정성 및 내구성 향상

▪ 경박화

No 명칭 출원인
요오드와 유방성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형 편광필름 및 그
1 전북대학교
제조방법

2 블리칭 패턴이 형성된 편광필름 제조방법 LG화학

3 향상된 휘도를 나타내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효성

휘도와 투명성이 향상된 다목적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4 도레이첨단소재
및 그 제조방법
관련특허현황
5 적층 편광 필름, 그 제조 방법, 적층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NITTO DENKO

POLARIZING FILM,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6 FUJIFILM
PROCESS THEREOF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optical member for liquid
7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EIJIN
formed from sam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SITION, POLARIZED
LIGHT-EMITTING COATING MATERIAL, NOVEL NAPHTHOLACTAM
8 ADEKA
DERIVATIVE, NOVEL COUMARIN DERIVATIVE, NOVEL NILE RED
DERIVATIVE, AND NOVEL ANTHRACENE DERIVATIVE

▪ LCD TV 및 모니터

적용가능분야 ▪ LED TV 및 모니터

▪ 노트북 및 태블릿 등 다양한 전기전자 제품

▪ LG화학, 삼성SDI, 효성, 삼성전자, 웅진케미컬, 도레이첨단소재, 동우화인켐 등


관련기업
▪ FUJIFILM, NITTO DENKO, TEIJIN, 3M INNOVATIVE 등

101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디스플레이용 초고경도 보호필름 개발

▪ 강화유리필름을 대체할 수 있는 1900HV이상의 초고경도 보호필름의 개발


기술개발
필요성 - 터치가 잦은 태블릿 PC와 스마트폰은 스크래치에 노출이 쉬움
- 강화유리에 준하는 경도를 가지면서 내구성과 유연성 필요

▪ 1900HV 이상 초 고경도 달성

▪ 마찰계수 저감
기술개발전략
▪ ASTM D-3330 규격을 만족하는 접착력 구현

▪ 고밀착력 확보

No 명칭 출원인

1 아크릴계 보호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동우화인켐

2 보호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보호필름 한화토탈


편광판 보호 필름용 개질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편광판 보
3 LG화학
호 필름의 개질 방법
SURFACE PROTECTIVE FILM, OPTICAL MEMBER, AND
관련특허현황 4 NITTO DENKO
ELECTRONIC MEMBER

5 SURFACE PROTECTIVE FILM MITSUI CHEMICALS

6 터치 스크린 패널 공정용 내열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도레이첨단소재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
7 박막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 비산 방지 보호필름
레이필름

8 투명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동우화인켐

▪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
적용가능분야 ▪ 디지털 카메라

▪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 동우화인켐, 한화토탈,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 도레이첨단소재 등.


관련기업
▪ NITTO DENKO, MITSUI CHEMICALS, FUJIFILM 등

10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투명 전도성 필름 개발

▪ 기존 ITO(indium tin oxide) 박막의 단점을 극복한 투명 전도성 필름 개발


기술개발
- 유연성 및 투과도 향상
필요성
- 잉크젯 프린팅, 스프레이, 롤투롤 공정과 같은 제조공정의 단순화 필요성 증대

▪ 투과율 향상 및 탁도(헤이즈) 감소

▪ 전기적 안정성 및 제품의 신뢰성 향상


기술개발전략
▪ 메탈메시나 은나노 소재 등 ITO 대체 소재 개발

▪ 코팅액 분산기술, 바인딩 기술, 균일한 박막 코팅 기술 개발

No 명칭 출원인

1 이방 전도성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방 전도성 필름 삼성SDI

2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용 금속 나노와이어 필름 코오롱인더스트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 및 전도성
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필름의 제조방법
티올기 함유 유색 화합물, 금속 나노와이어, 분산액, 투명 도전 SONY CHEM AND
관련특허현황 4 막, 정보 입력 장치, 및 전자 기기 INF DEVICE

5 하드 코팅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정전 용량 터치 패널 LINTEC


S U M I T O M O
6 COMPOSITION FOR FORMING CONDUCTIVE FILM
CHEMICAL
전도성 잉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 및 투명
7 잉크테크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M I T S U B I S H I
8 은 피복 도전성 입자, 도전성 페이스트 및 도전성 막
MATERIALS

▪ 터치스크린, LCD 디스플레이


적용가능분야 ▪ 태양전지 상부전극

▪ OLED 투명전극 등

▪ 삼성SDI, 코오롱인더스트리, 잉크테크, 삼성전자 등


관련기업
▪ SONY CHEM, LINTEC, SUMITOMO CHEMICAL, MITSUBISHI MATERIALS 등.

103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에너지 절감형 열차단 투명 코팅제 및 필름 개발

▪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투명 열차단 필름 개발.


기술개발
- 원천기술 확보 및 수입 대체 요구 증가
필요성
- 녹색 성장과 에너지 절감 대책 마련

▪ 적외선 및 자외선 차단율 향상


기술개발전략 ▪ 투과율 향상

▪ 복합 구조의 열차단 필름

No 명칭 출원인

투명열차단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열차단 기능을 갖는 열저항필름의 제조방법

적외선 반사막 형성용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 적외선 반사막과


2 FUJIFILM
그 제조 방법

INFRARED REFLECTIVE CLEAR OATING COMPOSITIONS DOW GLOBAL


3 FOR ELASTOMERIC WALL AND ROOF COATINGS TECHNOLOGIES
관련특허현황

4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 조성물 및 코팅방법 코오롱 글로벌

FILMS INCLUDING TRIAZINE-BASED ULTRAVIOLET 3M INNOVATIVE


5 ABSORBERS PROPERTIES

6 자외선 차단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 필름 롯데케미컬

7 자외선 차단 필름, 이에 포함되는 아크릴아미드계 화합물 및 중합체 LG화학

▪ 주택 및 상업건물용 윈도우 필름
적용가능분야 ▪ 정부 및 공공건물용 윈도우 필름

▪ 자동차용 썬팅 필름 등

▪ LG화학, 코오롱글로벌, 롯데케미컬 등.


관련기업
▪ FUJIFILM, DOW GLOBAL TECHNOLOGIES, 3M INNOVATIVE PROPERTIES 등

10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유무기 하이브리드 열전도성 필름 개발

▪ 전자기기의 고밀도화 및 공간절감화에 따른 고방열 소재에 대한 수요 증가


기술개발
- 전자소자의 방출열은 소자 수명 저하 및 주변 소자의 오작동 야기
필요성
- 가공성, 저비용, 경량화 및 제품의 다양성을 유지 필요

▪ 균일한 열 분포 및 열 확산 특성

▪ 우수한 부착성 및 열전도성


기술개발전략
▪ 열전도성 필러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배합 기술

▪ 내후성 및 제품의 신뢰성 향상

No 명칭 출원인

S H I N E T S U
1 열전도성 실리콘 조성물 및 경화물, 및 복합 시트
CHEMICAL

2 THERMAL CONDUCTIVE SHEET NITTO DENKO

다층 수지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수지 시트 경화물의 제
3 HITACHI CHEMICAL
조 방법, 그리고, 고열전도 수지 시트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관련특허현황
4 고열전도성 하이브리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5 열전도성 필름 및 회로 기판 모듈 삼성전기

콜로이드 세라믹졸과 유기수지가 하이브리드화된 코팅제의 제조


6 한국전기연구원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팅막

3M INNOVATIVE
7 HEAT CONDUCTIVE SHEET
PROPERTIES

▪ IC 칩이나 LED 기판, 전원 주위의 방열용


적용가능분야
▪ LED 백라이트나 LED 조명 기구의 히트 싱크 부위

▪ 삼성전기, 웅진케미컬, 창성, 삼창산업 등


관련기업
▪ SHINETSU CHEMICAL, NITTO DENKO, HITACHI CHEMICAL, 3M INNOVATIVE
PROPERTIES 등

105
▣ ▣ 화학소재공정 ­ 기능성 코팅/필름 ▣ ▣

대전방지성 및 발수성이 우수한 하드코팅제 개발

▪ 내스크래치성 뿐만아니라 대전방지 및 발수기능이 장시간 지속될 수 있는 하드코

기술개발 팅제 수요 증가
필요성 - 오염방지 및 대전방지 등 기능적 특성 요구

- 표면저항 향상에 투명도 유지 요구

▪ 내화학성 및 발수성(접촉각) 특성 향상
기술개발전략 ▪ 표면저항의 지속성 향상

▪ 접착력,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향상

No 명칭 출원인

1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하드코팅 필름 동우화인켐

2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코오롱인더스트리

실록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 하드코팅 경화물 제조 방법 및


3 한국과학기술원
하드코팅 경화물을 포함한 광학 필름 또는 시트

관련특허현황 4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 에스케이씨

UV-CURABLE, WEAR RESISTANT AND ANTISTATIC B A Y E R


5
COATING FILLED WITH CARBON NANOTUBES MATERIALSCIENCE

STRUCTURING ANTISTATIC AND ANTIREFLECTION


6 MERCK
COATINGS AND CORRESPONDING STACKED LAYERS

7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롯데케미컬

▪ FPD 부품 소재

적용가능분야 ▪ 모바일/터치스크린의 오염 및 긁힘방지, 눈부심 방지

▪ 태블릿 및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먼지방지 및 대전방지 기능 부여

▪ 동우화인켐, 코오롱인더스트리, 에스케이씨, 효성, 롯데케미컬 등


관련기업
▪ BAYER MATERIALSCIENCE, MERCK, ESSILOR, NISSAN CHEMICAL 등

106
전략제품 현황분석

도료 및 염․안료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도료 및 염․안료

정의 및 범위

▪ 페인트나 에나멜과 같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칠하여 피막을 만들어 물체의 표면을 보호하고
아름답게 하는 유동성 물질의 총칭. 칠한 후에는 건조 경화가 빠를수록 좋다. 염료는 물에 녹
는 색소로서 섬유나 종이에 스며들게 해서 고착시키는 색소이며 안료는 물이나 기름 등에 녹
지 않는 미세한 분말의 고체로서 도료, 물감, 인쇄잉크, 플라스틱 · 고무 등에 사용.

▪ 친환경 도료, 세라믹 도료, 광 및 열적 기능 도료, 물리화학적 도료로 분류되며 내마모, 방식,
내화, 난연, 방열, 단열, 전자파 차폐, 대전방지 및 항균 등의 기능을 가지기도 하며 자동차,
전기전자, 건설, 의료, 조선, 항공 산업 등에 사용되는 기술. 염료란 화합물 중 섬유 및 유사
소재에 대하여 친화성을 나타내어 염착하여 일광, 세탁, 마찰 등의 사용목적에 따라 이용될
수 있는 색소를 말하며, 안료는 색채가 있고 물이나 용제에 녹지 않는 미세한 분말. 첨가제와
함께 도료, 화장품, 플라스틱에 넣는 착색제로 사용

정부지원 정책

▪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국내 경기 활성화에 따른 수요 증가유도

▪ 친환경 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적인 차원의 기술 개발을 선도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환경공해 산업이라는 인식
• 경험이 축적된 인프라 및 기술 • 대부분의 주요 원료 수입
• 원유가 비용 하락, 최종 제품의 가격하락 촉진 • 중소업체 난립에 따른 과당 경쟁
• 다양한 소재 및 기능성 개발 기술의 발전 • 메이저 업체들에 의한 독점
• 도료, 염/안료의 후방 산업 강국 • 연구개발 비용 저조
• 다양한 기술융합 잠재력 • 기능성 제품의 창의성 부족
• 시장별 유성제품 품질경쟁력 (수성제품은 선진국의 70% • 염/안료의 중요 기술 개발 미흡
• 다양화에 따른 시장 경쟁력 감소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최근 수년간 원료의 기술진보 및 가격 하락
• 글로벌 기업의 국내 진출로 인한 국내 기업의 경제적 손실
• 기능성 제품 및 DIY 제품의 호황
• 전후방 산업의 중국 이전
• 기능성 도료 시장의 지속적 발전
• FTA, 특허마찰 심화, 교역환경의 변화
• 국내 중소기업들의 해외 판매점유율 확대
• 신흥(중국, 인도)업체들의 해외 M&A를 통한 경쟁력 증가
• 첨단 제품과 기술에 대한 수요 증가
• 선진국 산업체들의 시장선점에 의한 높은 진입장벽
• 환경 친화적 제품의 수요 증가
• 미국, 유럽의 환경 규제 정책
• 중국, 동남아 등 지리적 접근 용이성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중소기업이 제조하는 기능성 부여와 품질 향상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통한 글로벌 진출 가능

➜ 높은 소재 가격을 극복하기 위한 유통구조 개선 및 기술개발을 통한 원가절감을 통해 신 기능성 소재 개발


방식으로 시장 접근

109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핵심기술 로드맵

11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 액체 또는 분말상태로서 물체의 표면에 펼쳐져 엷은 막 으로 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면에 고착


된 상태로 고화해서 소기의 성능을 가진 막으로 되어 그 면을 덮는 것을 말하며 도료를 물체
의 표면에 펼치는 것을 도장이라 하고, 칠해 진 도료의 엷은 막이 고화 하는 것을 건조라고 하
며 건조된 피막을 도막이라고 함

▪ 물체의 보호 : 방식성, 방청성, 방수성, 내유성 등 보호기능 등

▪ 미화 : 색상, 광택의 변화, 표식, 감촉, 입체화, 평활화 등

▪ 기능성(특수기능부여) : 전자파 차폐, 대전방지, 항균, 방음

▪ 상품의 가치구현 : 상품성 향상

[ 도료의 목적과 기능 ]

 도료(paint)는 타산업의 중간재로 건설/토목, 철강, 금속, 선박, 자동차, 전기/전자 등의 광범위
한 마감소재로 사용되어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소재로서 전후방 연관효과가 크고 특히 건설,
가전, 선박, 자동차 및 철강 등의 전방산업의 영향이 매우 큼

 건설/토목산업 , 자동차 , 철강 , 조선 , 가전 , IT 산업 등 국가의 전 산업에 걸쳐 최종 마감재


로 사용되어 외관을 보호하며 미장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상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실 소비자
들의 구매력을 증진시키는 필수적인 부품소재 산업

▪ 소재 개발은 도료 산업을 비롯해 자동차, 전자, 건설, 국방, 의료, 조선, 항공 및 나노 등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동반 성장 시너지 효과를 높임으로써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

▪ 도료소재는 일상 생활용품으로부터 건축/토목, 자동차, 조선, 정보 및 전자산업 등에 기초소재 및


핵심소재를 공급하는 정밀화학 산업이며, ITㆍBTㆍNTㆍET 및ST 등 미래성장 동력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하는 산업

 도료소재는 표면의 마모나 부식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에는 마찰저항, 내화, 난연, 방열, 차열, UV 중합, 대전방지, 항균, 전자파 차폐 및 스텔스 등
의 기능성을 가지는 재료로 그 활용성이 확대되고 있음

111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 기술 집약이 요구되는 정밀화학 공업의 한 분야로서 광범위한 화공재료를 원/부자재로 하여 합


성/배합하는 종합적인 화학공업이며 우리나라의 도료산업은 일반 건축용 도료에서 출발하여 기
술 집약형 기능성 도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을 생산, 공급할 수 있는 수준임

[ 적용 제품군 ]

 염료(Dyestuff)란, 화합물 중 섬유 및 유사 소재에 대하여 친화성을 나타내어 용매에서 섬유상


으로 이동‧염착하여 견뢰도(일광, 세탁, 마찰) 등의 사용목적에 따라 이용될 수 있는 색소를 통
칭함. 이온성으로 물에 용해되어 섬유 등에 친화성이 있는 반면, 비이온성의 성질을 지니며 물
에 불용성인 색소 또는 섬유에 대하여 염착성이 없는 색소를 염료로 정의

▪ 염료는 anthraquinone, azo, methine, o-nitroarylamine, quinophthalone 그리고 소수의 부류로 구성


되어지며 염료는 투명성이 있기 때문에 단청 안료로서는 적합하지 않고 주로 혼색을 만들 시에 사용

▪ 염료로서 쓰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어야 함. ① 강한 색을 띨 것, ② 견뢰도, 즉 제


품의 제조공정 및 사용 중에 다양한 화학적·기계적 응력에 대한 내성이 있어야 함, ③ 염료는 사
용하는 매질에 녹을 것, ④ 섬유에 흡수되고, 유지되는 성질 또는 섬유와 결합하는 성질 등

11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염료와 안료의 차이점 ]

특징 Pigment Dyestuff

수용성 물에 녹지 않음 물에 녹음
수용화방법 분산(colloid화) dissolve
친수성 no yes
내광성 좋음 안좋음
입도 50~200nm 10nm 이하
주용도 실외 실내
색도 표현감이 좋음 표현감이 넓음
내수성 좋음 안좋음
색감 염료에 비해 떨어짐 안료에 비해 좋음
헤드 안정성 염료에 비해 떨어짐 안료에 비해 좋음

 안료(pigment)는 물체에 색을 입힐 수 있는 색소로 물에서 녹는 염료와 달리 고체 미립자로서


물이나 기름, 알코올 등에 녹지 않는 성질이 있음. 물, 기름, 합성수지액 등의 반죽을 사용해
녹을 방지하고 광택과 도막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

▪ 각각 특성이 있어서 그것이 장점으로 또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음. 무기안료는 유기안료에 비하면
일반적으로 은폐력, 내후성, 내열성, 내용제성 등이 우수하나 반면 색의 선명성, 착색력, 투명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등은 떨어짐.

▪ 안료는 백색 또는 유색으로 아마인유 ,합성수지액 등 전색제에 혼합하여 각종 도료, 인쇄잉크, 유


색 플라스틱 등을 만들어 물체 표면에 착색하거나 고무, 합성수지에 직접 혼합하여 사용

113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나. 범위

(1) 제품분류 관점

① 도료의 구성

 도료 소재의 원소재는 수지(resin), 용제, 첨가제 등의 전색제(vehicle)와 안료 및 염료 등이며,


기능성 도료 소재로는 기능성 고분자, 기능성 세라믹, 형광제, 개시제, 중합금지제, 유기금속
폴리머, 전도성 물질, 전자파 차폐재, 나노카본, 단열, 내열, 난연 및 방염소재, 무기/유기 항균
제, 기능성 첨가제 등으로 나누어짐

[ 도료의 구성 성분 ]

▪ 수지(중합체) : 도막을 형성하는 액상물질로 도료의 물성을 결정

▪ 용제 : 주용제, 조용제 및 희석제 등이 있으며 수지를 용해하거나 분산시키며 도료의 점도 상태를


조절하며 유동성을 부여하여 도장작업을 향상시킴

▪ 첨가제 : 다양한 기능을 가지며 소량 첨가하여 도막의 성능을 향상시킴

▪ 안료 : 불용해성을 가진 고체 미립자로서 도료의 색상, 은폐력, 증량 효과를 나타냄

② 염료(Dyestuff)의 분류

 반응성염료: 내광성이 있는 선명한 염료를 모체로 하고, 섬유와 공유결합을 하여 염착하는 반


응기를 가지고 유기화합물과 결합하여 된 염료임. 반응성염료는 면, rayon과 같은 셀룰로오스
섬유에 주로 사용되지만 Wool, 실크, Polyamide, 가죽류와 같은 동물성 섬유에는 가능함. 반
응성 염료는 국내 염료 생산에 43%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품목임

 분산염료: 물에 불용성이며 비이온성 염료로 물에 분산한 현탁액에서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


리프로필렌, 아세테이트 등의 소수성 합성섬유를 염색하는 염료이며,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
섬유에는 전 색상 모두 사용 가능하나 아크릴 구조 섬유에는 주로 파스텔 색상만 사용됨. 분산
염료는 국내 염료 생산량에 38% 이상을 차지

11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형광염료: 형광염료 또는 형광증백제로 통칭하며, 섬유용으로 바람직한 조건은 무색임, 수용성


또는 분산액에서 섬유에 흡수됨. 직물 외에 종이, 비누, 합성세제, 화장품, 합성수지, 피혁, 도
료 등에 널리 응용되어 그 수요가 커지고 있음

 친수성 염료: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등

 소수성 염료: 매염염료, 배트염료, 황화염료, 산화염료, 나프톨염료 등

③ 안료(Pigment)의 분류

 색에 의한 분류

▪ 백색 안료 : 이산화티탄, 아연화(산화아연), 연백

▪ 흑색 안료 : 철흑, 흑연, 카본블랙

▪ 적색 안료 : 카드뮴레드, 워칭레드, 키나크리든레드

▪ 오렌지색 안료 : 몰리브데이트 오렌지, 퍼머넌트오렌지

▪ 황색 안료 : 산화철황, 황면, 티탄황, 파스트황

▪ 녹색 안료 : 크롬그린, 산화크롬, 프탈로시아닌그린

▪ 청색 안료 : 군청, 감청, 코발트블루, 프탈로시아닌블루

▪ 금속광택안료 : 알루미늄가루, 스텐레스가수, 놋쇠가루, 은분, 금분

▪ 진주광택안료 : 운모티탄, 구아닌, 옥시염화비스무느

▪ 형광안료 : 황화아연, 텅스텐산칼슘

 무기 안료

▪ 산화물 : 이산화티탄, 아연화(산화아연), 산화철, 산화크롬, 코발트블루

▪ 수산화물 : 알루미나, 산화철황, 빌리디안

▪ 황화물 : 황화아연, 리더폰, 카드뮴옐로우, 카드뮴레드

▪ 크롬산염 : 황염, 징크크로메이트, 스트론튬크로메이트

▪ 규산염 : 황이트카본, 클레이, 탈크, 군청

▪ 황산염 : 침강성 황산바륨, 베어라이트분

▪ 탄산염 : 탄산칼슘, 연백

▪ 기 타 : 페로시안화물(감청), 인산염(망강바이올렛), 탄소(카본블랙)

115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 유기 안료

▪ 염료계안료

- 염기성안료 : 로더민레이크, 메틸바이올렛레이크

- 산성염료 : 키놀린옐로우레이크

- 건염(建染)염료 : 말라카이트그린레이크

- 매염(媒染)염료 : 알리자린레이크

▪ 아조계 안료

- 용성아조 : 카민6B, 레이크레드C

- 불용성아조 : 디스아조옐로우, 레이크레드 4R

- 축합아조 : 크로모크탈 예로우3G, 크로모프탈 스카레드RN

- 아조착염 : 니켈아조옐로우

- 벤즈이미다졸론아조 : 퍼머넌트오렌지HL

▪ 프탈로시아닌안료 : 프탈로시아닌블루, 프탈로시아닌그린

▪ 축합다환안료 : 플라반스론 옐로우, 지오인디고볼드, 페리논오렌지, 페릴렌레드, 디옥사딘바이올렛,


키나크리든레드, 이소인돌린옐로우

▪ 니트로계안료 : 내프톨옐로우S

▪ 트로소계안료 : 피그먼트그린B

▪ 주야형광안료 : 루모겐 옐로우, 시그널레드

▪ 기 타 : 알칼리블루, 아닐린블랙

(2) 공급망 관점

 도료 소재 및 염·안료 구분되며, 도료 소재로는 친환경 도료, 세라믹 도료, 광전자 및 열적기능


도료, 물리화학적 도료로 나누어지고, 염·안료 소재로는 섬유용 염안료, 인쇄·잉크용 염안료, 도
료용 염안료 및 정보기록매체용 염료로 구분됨

11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도료/염·안료 제품 분류 관점의 범위 ]

대분야 중분야 세부 제품 및 기술

수계 에멀젼, 수용성 수지, 광촉매, 가소제 대체재, 체질안료, 저VOC


친환경 용제, 천연수지, 식물 안료, 분산제, NAD(non aqueous
도료 dispersion)수지, Tin-free 재료, 천연 증점제, 분체 안료, 정전도장
기술, 분산안정제, 경화시스템기술, 평활성 기술

세라믹 침투성 구체 강화 기술, 압전 세라믹 기술, 내식성 코팅 기술, 나노


도료 산화물 제조 기술, 박막퇴적 기술, 나노세라믹코팅기술

도료
소재
광전자 및 형광체, 측광 안료, 내열재, 차열재, 전기 절연재, 광중합억제제,
열적기능 도료 대전방지제, UV 경화제, 전자파 실드, 부착증진제

물리화학적 선저 방오제, 필러, 탄성 분무재, 수중 경화제, 방청제, 흐름방지제,


도료 요변성 기술, 난연/불연재, 침강방지제, 색 분리 방지 기술
도료/
염안료
세탁 견뢰도 염료, 일광 견뢰도 염료, 섬유소재용(PP, PE, PPS,
소재 m-아라미드 등) 염료, 고기능 UV흡수제, 스포츠웨어용(고경량 등)
섬유용 염안료
원단, 자동차 내장재(시트용 직물 등), 내화학소재(안전보호복 등)
원단, 해양용 소재(로브, 낚시줄) 등

인쇄·잉크용 잉크젯용 염료, 수용성 염료, 불용성 염료, 잉크젯용 잉크, 수용성
염안료 잉크, 유성잉크, 전도성잉크, 천연잉크, 형광잉크, 페이스트 등

염·안료
소재
안료(방청·방오 등), 수송기계용(자동차, 조선 등) 및 건축용 도료
도료용 염안료
방청제, 도전재 등

Color filter용 안료 및 Photo resist, NIR 염료 에너지전환용 염료,


정보기록매체용 형광염료, 형광증백제, 유기형광물질, 형광안료, Color filter, Optical
염료 filter,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인쇄 카트리지, 광도 전재, 바이오센서,
OLED, 분석시약

117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2. 산업환경분석

가.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징

 도료 산업은 다량의 원료를 취급하는 소량 다품종 정밀화학 산업으로 석유화학, 화학섬유, 비


료공업등과 같은 대규모 산업과 구별되며, 도료산업은 건설, 철강, 금속, 선박, 자동차, 전기전
자 등 타산업의 중간재 및 마감소재로 사용되어 전후방 연관효과가 큼

 도료 산업은 기술 및 자본 집약적인 산업이며, 특히 원재료의 합성, 배합기술과 기능성 및 적


용 등이 중소기업 주도의 산업 특성이 존재

 도장 재료의 고기능화, 활용성의 확장을 위한 혁신기술개발 및 가격절감 기술의 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형 산업으로 재편이 요구되고 있음

 정부의 환경규제가 강화된 2007년 1월1일 전까지 제조공정이 단순한 비장치 산업으로서 소규모
자본으로도 시장진입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음. 생산시설은 품목별로 전문화되어 있지 않
고 범용 설비만으로도 거의 모든 제품의 생산이 가능한 소량다품종 체제의 기초화학 산업임

▪ 하지만 2010년 1월부로 강화된 정부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환경 규제에 따라 기술력과 자


본력으로 친환경 제품군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는 대형 도료업체들의 입지는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이는데 반해 친환경 도료시장에 취약한 중소업체들은 도태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임

 국내도료 산업은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도입을 통해 성장하였으며, 현재 범용 도료의 생산기술


은 선진국과 대 등한 수준이나 산업용 특수도료는 수입에 의존하거나 기술도입을 추진하고 있
는 실정임
▪ 범용적인 수지와 안료 등은 국내에서 거의 대부분을 조달하나 특수용도로 사용되는 고부가가치 도
료의 경우 원료의 대부분을 해외 특히 일본과 독일 등에서 조달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 도료제품의 특성상 저장안정성이 낮아 제품 수출에 제약이 따르고 있어 주로 내수 위주의 산업특


성을 가지고 있음

11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도료 제조 공정도 ]

 기능성 도료 소재분야에 있어 선진국은 원천기술특허 확보, 대규모 설비 투자를 통한 제품 경


쟁력 확보, 중국과 합작투자를 통한 제품단가 인하 등을 통해 외부 경쟁이 심해지고 있는 바,
무엇보다 지적재산권 확보 및 핵심원천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강화

▪ 기능성 도료는 당분간 공급부족과 기술력 차이 때문에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급성장하겠지만, 현재


와 같이 경쟁적으로 투자가 이뤄진다면 과잉공급으로 인한 가격하락 등의 부작용과 함께 기업 구
조조정도 불가피할 전망

▪ 주요 기능성 원료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원천기술 확보가 중요하며 우수한 기능성
등의 확보를 통하여 시장 다변화를 통하여 가격 절감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

▪ 산업체간 공동연구 및 산학연 연구 활동을 통해 기능성 특수도료, 친환경 도료, 에너지 절감도료
등의 개발에 있어서 지원체제 확대 필요성 존재

 무독성, 안전하고 위험이 없는 Green chemistry와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기술 융합형의 기능


성 도료에 대 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환경적 측면이나 수요적 측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배출되는 대기오염원의 일종인 VOC 배출량
에 대한 국제적인 환경규제가 진행 중이며 이러한 환경규제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전 세
계적으로 중요한 이슈임

119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 도료의 기능과 응용 ]

 염/안료 산업은 장치산업이 아니며 생산설비 규모가 소규모인 배치시스템으로 가능해 장치산업에
비해 시설투자비가 적음. 또한, 신소재의 출현, 기호의 변화, 경제적 요구 등으로 많은 신제품들
이 나오고 있어 수명이 짧음. 따라서 신규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R&D 투자가 필요한 분야임

▪ 현재, 사용하는 안료 700여 가지 중에서 유기안료는 500여종, 무기안료는 200여종으로 대부분


소량으로 생산되는 소량 다품종 산업임

▪ 유기안료는 분체 공학적으로 사용되므로 화학적 구조, 결정형 물리적 상태에 따라 색상, 투명성,
착색, 선명도 등 많은 변화가 있어 제조업체마다 성질이 조금씩 다름

 국내 유기안료 시장은 일반 유기안료와 고급 유기안료로 양분되는데, 일반 유기안료는 국내기


업이, 고급 유기안료는 유럽·일본·미국 등의 다국적 기업들이 주도

 페인트용 유기안료 시장은 자동차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세탁기, 냉장고, 텔레비전
등 고가 가전제품, 인테리어 가구용 등으로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음

▪ 축합 다환계 안료 시장은 연간 85~90톤으로 주로 자동차용 및 일반 산업용 도료 안료와 플라스


틱 안료로 사용됨

▪ 중방식용, 선박용, 컨테이너용, 일반금속제품용, 도로표지용, 건축용 등은 Top Coat용으로 Azo계


Red·Yellow, Phthalocyanine Blue·Green 등의 유기안료가 일부 사용될 뿐, 대부분은 내열성, 내
후성, 방청성 등이 우수한 무기안료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

 최근 잉크용 안료의 수요확대로 인하여 유기안료 시장이 성장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출판·인쇄
산업이 경기회복에 힘입어 활기를 띠면서 옵셋잉크를 비롯해 잉크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증가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염료 산업은 매출액 측면에서 보면 섬유산업의 일부에 지나지 않으나 다양한 섬유소재와 다양


한 의류의 다양한 색깔, 색상, 질감 등의 미적 표현을 가능케 함으로서 섬유산업 체의 부가가
치 향상에 결정 역할을 하고 있음

 섬유산업에서 염료에 의한 환경규제 등이 발전함으로서 환경과 관련된 수출입 규제를 본격으로


적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선진국으로의 섬유제품 수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정도로까지 발
전되었음

▪ 환경 친화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섬유제품을 관리하기 위한 선진국의 섬유제품 환경 마크제도

12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Eco-labelling schemes)는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 국가들에서 강력히 실시되고 있음

▪ 반응성 염료가 셀룰로오스 섬유 염색에 있어 색상이 선명하면서 선택 범위가 넓고 침염, 연속염색


및 날염에 두루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미고착 염료의 양이 많기 때문에 환경문제를 극복
하려는 상당한 노력은 반응성 염료에서 나타나고 있음

(2) 산업의 구조

 전방 및 후방 모두에 산업파급효과가 큰 수준이며, 이미 활발하게 상용화가 진행 중이며 제품


의 완성도를 높이는 소재로서 전후방 연관효과가 크고 전·후방산업의 연결고리로 타 연관 산업
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전방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차세대 소재개
발 등의 고유 원천기술 확보여부에 따라 품질·가격 경쟁력의 차이 발생

 도료 염/안료 산업은 건설/건축 산업, 자동차, 철강, 조선, 가전, IT 산업 등 사회 전 산업에 걸


쳐 최종 마감재로 사용되어 외관을 보호하며 미장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상품의 수명을 연장시키
고 실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증진시키는 필수적인 부품소재 산업임

▪ 도료 염/안료 산업은 다양한 화학원료를 취급하는 만큼 종합화학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화학물
질의 반응 경로와 기능에도 정통해야만 페인트 설계가 가능한 정밀화학 산업임

 원재료는 주로 석유화학이나 자연광물, 식물유 등으로부터 조달되고, 최종 제품으로는 각 산업


의 중간재 및 마감재로 사용되어 전후방 연관효과가 매우 큰 산업임

 후방산업에 속하는 수지, 기능성 도료의 원료, 합성/배합기술 등은 기술 종속성이 너무 크고


로열티 부담이 가중되어 국산화 잠재력이 큰 분야이며, 타산업과의 융복합적인 경쟁력이 있어
야 대외 기술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산업

 도료 소재산업은 독자적인 산업군으로 발전할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과 연계하여 발전하므로


전․후방 산업을 연계시키는 매우 중요한 교량 역할

[ 도료 염/안료 전방산업 비중 ]

산업용
구분 중방식 자동차 건축/토목 선박 제강PCM 전기전자 플라스틱
기계류

이용률(%) 4.0 16 38 10 20 4.0 3.0 2.0

* 자료: 페인트잉크협동조합 2014

121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 도료 염/안료 분야 산업구조 ]

후방산업 도료, 염/안료 전방산업

에멀젼, 합성수지, 촉매, 첨가제,


체질안료, 용제, 천연수지, 분산제,
NAD(non aqueous 철강금속, 자동차, 조선, 전기/전자,
dispersion)수지, 증점제, 우주항공, 플라스틱소재, 환경,
배합, 소재, 부품장비, 서비스
방식/방청안료, 분체도장 장비, 분체 신재생에너지, 가전제품, 건축,
안료, 정전도장 기술, 분산안정제, 인테리어, 토목
유기염료, 무기안료, 유기안료 장비,
공구, 설비

고기능 UV흡수제,
스포츠웨어용(고경량 등) 원단,
자동차 내장재(시트용 직물 등),
내화학소재(안전보호복 등) 원단,
해양용 소재(로브, 낚시줄), 잉크젯용
염료, 수용성 염료, 불용성 염료,
잉크젯용 잉크, 수용성 잉크,
유성잉크, 전도성잉크, 천연잉크,
섬유용 염료, 인쇄·잉크용 염료,
형광잉크, 페이스트 등, 식품산업, 섬유산업, 화학, 철강,
도료용 염료, 정보기록매체용
안료(방청·방오 등), 에너지, 철강, 금속, 유리, 고무,
염료(형광물질 포함), 유기안료,
수송기계용(자동차, 조선 등) 및 플라스틱 산업, 도료 산업, 코팅산업
무기안료
건축용 도료 방청제, 도전재 등,
Color filter용 안료 및 Photo resist,
NIR 염료 에너지전환용 염료,
형광염료, 형광증백제, 유기형광물질,
형광안료, Color filter, Optical
filter,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인쇄
카트리지, 광도전재, 바이오센서,
세탁용 세제, OLED, 분석시약

12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경쟁환경

 도료는 약 2,000여종의 원료를 취급하는 소량 다품종 정밀화학 산업으로 단순 비장치 산업으


로 소규모 자본으로도 시장 진입이 가능하여 현재 약 200여개 회사가 난립 하고 있음

▪ 특히 종업원 100인 이하, 매출액 100억 원 미만의 중소기업 비중이 70%를 상회하고 있으며, 매
출액 기준으로 1,000억 원을 상회하는 기업은 9 개사에 불과하며, 이들의 시장 점유율이 60%
이상에 이를 정도로 과점 체제가 형성되어 있음

▪ 국내 도료 시장은 각 용도별로 선두업체가 차별화되어 있으나 전체 시 장으로 보면 역시 도료 부


문의 매출액 규모가 1조원에 이르는 KCC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페인트 수요 중 차량보수용과 목공용 도로표지용 페인트의 수요는 감소추세이고, 공업용 페인


트와 휴 대폰 플라스틱용, 방수용 페인트, 신차용 페인트의 수요가 가장 성장률이 높음

▪ 건축용 도료의 시장 점유율은 전체 시장 점유율과 유사하다고 판단됨. 부동산 경기 침체로 신축용


도료 수요가 감소하고 있지만, 방수용 도료는 선전하고 있음. 부동산 경기 악화로 재건축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재건축이 지연된 건물 유지를 위해 보수공사가 늘어 방수용 도료 수요가 크게 증가
했기 때문

▪ 선박용 페인트에서는 현대중공업 계열에 주로 납품하는 KCC와 해외 선주들에게 인지도가 높은 노


루 홀딩스와 Akzonobel의 비상장 자회사 IPK가 강자

▪ 자동차용 페인트는 신차 쪽에서는 현대차에 납품이 많은 KCC가 부동의 1위이고, 보수용 페인트에
서는 KCC와 노루페인트, 건설화학이 강자

▪ 국내 모바일도료 시장규모는 약 2,000억 원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지난해 기준 시장점유율은 한


진 화학 24%, Akzonobel 20%, AK켐텍 18%, 삼화페인트 12% 안팎이며, 한솔씨앤피, 미래
화학 등이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음

▪ 가전제품용 분체도료는 국내 시장규모가 6,800톤으로 추정되며 악조노벨이 65% 이상을 차지하


고 KCC가 20%로 뒤를 잇고 있음. 백색가전 수요가 많아 가전제품용 분체도료도 백색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원료인 TiO2(Titanium Dioxide)가 원가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친환경 도료는 삼화페인트가 35%로 가장 점유율이 높고, KCC 30%, 노루페인트 25%, 기타
10%를 나타내고 있음

 도료 산업의 제조원가에서 원재료비가 79%를 차지하며, 노무비는 7%, 기타경비는 14%를


차지하며, 2011년 이후 페인트 원료인 안료, 수지, 첨가제 등의 가격이 20% 이상 상승했으
나, 2012년부터 국제유가 하락과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면서 원료가격도
안정되는 추세

 전 세계 도료 산업은 이미 성숙기로 접어들었으며, 원료인 석유 재고 감소와 국제 유가 상승으


로 업계는 이윤감소 국면에 직면함. 도료 업계는 이러한 상황에서 벗어나 제품 가치 증대를 위
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 : ① 공해산업이라는 이미지 탈피 및 고기능성 제품의 개발 및 생
산에 주력 ② 용제 사용량을 줄이는 등 석유의존성을 낮추고, 수성도료 분야를 육성, ③ 새로
운 고부가가치 기능성 제품 개발

123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 세계의 2014년 전체 도료 및 페인트 생산량 중 건축용(약 49.9%)이 가장 큰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다음은 산업용 (약 36.1%), 기타 공업용, 자동차 OEM용, 도로표지용, 바닥/방수용
등 특수 목적용(14.1%)의 순서로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 주요 경쟁업체 종합 ]

공급망 단계 도료, 염/안료

주요 내용 친환경 도료 기능성 도료 염/안료 소재 및 기술

수용성, 분체도료, 방오도료, 차열도료, 대전방지, 항균, 불연, 내화, 차열, 자기치유 도료, UV
경화, 내화도료, 방청제, 잉크젯용 잉크, 수용성 잉크, 유성잉크, 전도성잉크, 형광잉크, Paste,
주요 제품/기술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인쇄 카트리지, 광도전재, 바이오센서, 칼라필터, 광학필터, 반응성 염료,
날염용, 분산, 아조, 형광 염료

Nippon, IPK, International


Sumitomo, Toray, Sanyo,
Paint, CMP, Benjamin
Akzo Nobel, PPG, 듀폰, Canon, Huntsman,
Moore, Rhodia, Akzo Nobel,
Sherwin-Williams,Nippon Altana, Hempel, Akzonobel,
Chestertonmarine, Valspar,
Paint, IPK, International 후지필름, 미스비츠 화학,
O'Brien,Devoe, Standox,
해외 기업 Paint, CMP, Hempel, Lavipharm, CHUGAI KASEI,
Henkel, RPM, Valspar, ,
Belzone, Kansai, Sika, Jotun, BYK, kiwa chemical industry,
Canon, 3M, Agfa, Gevaert,
Masco, DAW, Dupont, DyStar, Clariant, Saint
Bayer, Saint Gobain, Showa
BASF, Diamond Gobain, Alistagen, Bionics
Denko, Asalin Glass,
GmbH
Siemens, Satran matsushita

한진화학, 벽산페인트 효성, 한화, LG화학, 욱성화학,


KCC, 삼화페인트, 건설화학,
노루코일코팅, 대화페인트, 대한스위스화학, 경인양행,
조광페인트
동주산업, 우진페인트, 현대케미칼, 경인양행,
한미케미텍, GE Tech,
카보라인, 동서화학, 태흥산업, 대림화학,
국내 기업 유니포스, 우드케어, 아해,
대화페인트, 동주산업, 대영무역상사, 진웅, 이화산업,
대화정밀화학, 선진화성,
에코세라, 티오켐, 대흥, DH홀딩스, 동양화학, 오영산업,
정우페인트, 노루홀딩스,
에코웨어, 한영세라믹, 일광, 하나린텍, KLK, 이화산업, 삼보,
우진페인트
동해케미칼, 경도 삼신, 신원, 송원산업

12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주요 경쟁업체 종합 ]

공급망 단계 도료 및 염·안료

주요 내용 원 소재 코팅제 필름

소재별, 용도별, 기능성 소재, 증착 기술, 수지 제조기술, 친환경 코팅/필름, 물리화학적 코팅,
습/건식 코팅, roll 코팅, Extrusion coating, 나이프코팅, 전도성 필름, 이형필름, 항균성필름,
주요 제품/기술 생분해성필름, 경박단소화 필름, 다층복합필름, UV 차단필름, VOC Free, 침지코팅, 캐스트코팅
나노코팅, 모노머, 수지, 용제, 촉매, 경화제, 가소제, 충진제, 첨가제, 특수접착제, 중합기술,
배합기술, 증착기술, 접착기술, 경화기술, 부품 장비, 안료/염료, 전색제, 이형제, 유/무기 소재

3M, CEKO DoW, Dupont, 3M, ECCO, DoW, Dupont,


DoW, Dupont, Henkel,
Henkel, NISSAH, 도레이, Henkel, DNP, 철판인쇄,
Mitsui Toatsu Chem Loctite
Kuraray, Konica-Minolta 린테크, OIKE, NOF, REIKO,
BAJWA, Tilement Co.,
Mitsui Toatsu Chem Inc., HYNT, SUMIRON
ATLAS, Yamato, ITF
Henkel, Loctite Mitsui Toatsu Chem Inc.,
Hilayi, Tajima, Ionbond,
Bostik(프랑스), Rohm & Florsheim, Shinko Gosei
ALTECO, BASF, MAT-VAC
Haas, Fuller, Akzonobel Hilayi(중국), Sunrise MSI
Rohm & Haas, Fuller,
해외 기업 3M, BASF, ALTECO, 동경 Rohm & Haas,
National Starch & Chemical,
화성, Burak Asahi, 3M, Tohpe Co., 데이진화성,
Revertex Finewaters, Tsurumi
Cemedine, Chuo Rika 스미토모, Promerus, Ferrania
Chemical, Sunrise MSI,
Kogyo, Daikyo Co., Ganz Image System, Mitsubishi
Nisshin Steel, Von Ardenne,
Chemical, KANAE Chemicals, Gas Chemical, 후지필름,
KOBELCO, Gencoa,
Hitachi Kasei Polymer Co., 토요보, 니토덴코, 일본제지,
SIDRABE, ULvac
Nichibei Resin Co., 후지필름, 데이진화성, 산리츠
바커케미칼, Avery Dennison
토요보, BASF

수양켐텍, 아바코, 유니벡,


동우열처리, 아텍시스템, 효성, LG화학, SKHass,
태양기전, 인포비온, 삼원진공, 제일모직(삼성물산),
코오롱, 강남화성, LG화학, 신한진공, 성문전자, 신화인터텍, 미래나노텍,
국도화학, SK케미칼, 애경, 케이디엘씨, 한국전광, 상보화학, LG전자, 코오롱,
한화, 동부정밀화학 한일진공, 켐트로스, 임덕화학, 코이즈, 탑나노시스, SKC,
동부한농화학, 동일폴리머, 협진, 동서코리아, 세우, 아이컴포넌트, 나노켐텍,
중앙폴리텍, 한미케미텍, GE Tech, 인스텍, 한국유화, 폭스자일,
연방산업, 대흥특수화학, 거명, 유니포스, 우드케어, 아해, 퓨어메이트, 한국카본,
대흥화학공업, 켐베이스, OCI 대화정밀화학, 선진화성, 대안화학, 옴니켐에이스디지텍,
국내 기업 동양실리콘, 송원산업, 삼영, 제이에스켐, 에이앤지, KLK, 잉크테크, 화성코아텍,
성일화학, 에코스, 동방화학, 에코세라, 티오켐, 대흥, 에니텍, 피앤테크, SCC(주),
파낙코리아, 퓨레코, 코이즈 에코웨어, 한영세라믹, 이녹스, 반도, 원케미칼,
동서화학공업, 삼영잉크페인트, 남양세라믹동성하이켐, 기승산업, 제론텍,
대흥수지, 대흥특수화학, 코오롱인더스트리, 누리켐, 한국테이페트, 필맥스,
삼우화공, 태경폴리머, 애니씰텍, 세창화학, 대륭기업, 자강산업, 삼민화학, 성일화학,
극동화학, 남도화성, 덕성하이텍, 에스디비, 유상, 삼우티씨씨, 하이씨엔피,
대주정밀화학, 덕성화학, 헵스켐 거원기술, 대한케미칼, 보스팩 로얄케미칼, 에콜그린,
삼표화학, 거명, 재성, 우인, 엔피아이, 율촌화학, Tapex,
부림, 노바켐텍, 동덕, 동성화학, 대현에스티, 세일하이텍
동우산업, 세왕화학, 아인케미칼

125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다. 전후방산업 환경

 전 세계적으로 배출되는 대기오염원의 일종인 VOC 배출량에 대한 국제적인 환경규제가 진행


중이며 이러한 환경규제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

▪ 친환경, 고성능 수용성 도료는 도장 공정 중 VOC 발생이 거의 없어 작업환경을 친환경적으로 개


선할 수 있으며 또한 도장 후 건조도막에서 발생되는 인체유해 성분이 없으며 난연성, 저온건조
성, 고방식성 및 고내후성이 부여된 도료 개발이 필수

▪ 기존 도료산업은 글로벌 경쟁심화, 고유가에 따른 원가부담, 환경규제 강화로 인해 환경 친화적인


기능성 도료 개발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어 메이저 도료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연구 개발을
가속화

▪ 무독성, 안전하고 위험이 없는 Green chemistry와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기술 융합형의 기능성
도료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

 기능성 도료 개발을 위한 도장 재료의 고기능화, 활용성의 확장을 위한 혁신기술개발 및 가격


절감 기술의 개발 을 통한 고부가가치형 산업으로 재편이 요구

▪ 국내 기능성 도료산업은 주요 원자재를 해외에서 수입(수입의존도 70% 이상), 가공하여 완제품을


만들어 주로 국내에서 수요를 충당하고 있는 산업구조

▪ 주요 기능성 원료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원천기술 확보가 중요하며 우수한 기능성
등의 확보를 통하여 시장 다변화를 통하여 가격 절감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

 기능성 도료는 최근 도장·코팅 처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대상물의 표면 기능을 고도화하는


것이 가능해 내구성, 내후성 및 내식성 등의 기본 기능은 물론 광학적 기능, 전기·전자 기능,
기계적 기능, 물리적 기능, 화학적 기능 및 생물학적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가
능해져, 피도장물의 고부가가치화에 공헌하고 있음

[ 도장 막의 구조 및 원리 ]

12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세계의 염료 및 유기안료 시장 수요는 건전하게 성장하여 2019년에는 3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

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염/안료 제품은 내수시장 및 수입대체를 위한 범용제품 및 완제품 위


주로 성장하고 있고 이러한 범용화학 제품의 제조 기술은 상당 부분 선진국 수준에 도달

 염료산업의 경우 Dystar, Ciba, Clariant 등의 3개 대형 업체가 전체 세계시장의 40% 이상을


점유하고 있음. 기술 선진국에서는 핵심 첨단기술 기반의 신물질 개발을 통해 지식재산권 확보
에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신기능, 특수기능의 신염료소재 기술개발 관련해서는 국가 간 기술적
제품차별화 및 전략적 제휴 등의 수평적 분업관계가 심화되고 있는 반면, 개발도상국에서는 범
용제품 위주의 완제품 혹은 중간체 일부를 가공해 공급받는 수직적 분업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 BT, NT, IT 3T 관련 염/안료도 시장의 흐름과 확대측면에서 중요한 개발 방향이 되고 있다.


세포염색 기술, 나노 크리스탈 코팅 등을 활용한 생명과학 접목 기술, 기능성 나노입자 합성기
술, 광촉매 응용기술 등을 활용한 나노과학 접목 기술,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액정염료, OLED
발광체 같은 디스플레이용 소재 등을 활용한 전자․정보과학 접목기술을 통한 융합형 소재 개발
은 국내 염/안료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대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127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3. 시장환경분석

가. 세계시장

 세계의 고성능 도료시장은 2016-2021년간 연간 4.6%의 성장률로 추이할 것으로 예측되며,


소비량은 2021년에 1,300만 톤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측. 신흥 경제권 및 전환 경제권의 고
성능 제품 수요 확대가 이 시장의 주요 촉진요인임

 세계 플라스틱 도료의 시장 규모는 2016-2021년간 5.5%의 CAGR(연평균 성장률)로 확대되


며, 2021년에는 776,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계됨. 세계의 공업용 도료 시장은
2014-2019년간 5.29%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건설업에서 플라스틱 도료의 수요 증가 및 최근 기술개발의 성과 등이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


종류별로는 폴리우레탄 도료의 우수한 기능이 평가되며 다양한 산업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

[ 세계 도료 점유율 및 지역별 가구당 소비액 ]

 세계의 2014년 전체 도료 및 페인트 생산량 중 건축용(약 49.9%)이 가장 큰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다음은 산업용 (약 36.1%), 기타 공업용, 자동차 OEM용, 도로표지용, 바닥/방수용
등 특수 목적용(14.1%)의 순서로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 선진국에서는 친환경 페인트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BCC research에 따르면, 2013년 전 세
계 페인트 소비량은 1,169억 달러로 증가할 전망이며, 2018 년에는 1,410억 달러에 달할 전망

▪ 소비액 기준으로 미국이 1위 국가이며, 약 200억 달러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미국 페인트 시장


의 45% 는 건축용이 차지하고 있음. 생산량 기준으로 중국이 세계 1위 생산국이며, 현재 전 세
계 생산량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건축용 페인트 비중이 약 46%로 높은 수준이며,
중국의 친환경페인트 비중은 48%로 미국/유럽의 60~70%보다 낮은 수준임

▪ 세계의 도료 소재시장은 2012년 619억 달러로 추정되며, 연평균 9.8%의 성장으로 2016년에는
약 95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지역별 점유율은 아시아가 42.3%로 가장 많은 비중
을 차지하고 그 뒤를 유럽과 미국이 차지하고 있음

12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메이저 제조업체가 시장의 70%~80%를 점유하고 있으며, 기술력과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기
업은 부가가치가 낮은 제품 개발에 주력 하고 있음.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
기술개발 지원 필요 및 학계와 연구계와의 공동연구를 통한 기술적 자립 확립이 필요
▪ Akzonobel, PPG, Sherwin-Williams 등은 건축용, 중방식용, 선박용 페인트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 며, Dupont, BASF, Nippon Paint는 자동차용 페인트에서 강자이며 VOC를 발생시키지 않
고, 수용성 페인트를 생산하는 첨단기술을 갖고 있는 글로벌 페인트 기업으로는 PPG, Diamond,
Akzonobel 등이 있음

▪ 미국 도료시장의 약 45%(출하액 기준)가 건축물의 내외장용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페인트가 차지


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분체페인트 등을 포함하는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용 페
인트 27%, 특수페인트가 20% 를 차지

[ 세계 도료 업체 매출액 기준(2012) ]

[ 세계 도료 수요처별 점유율 ]

 (해외 동향) 주요 선진국(미국, EU 등)들이 주도,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을 위한 기술개발 집중


투자 중이며, 서비스 시장 확대 전망

▪ 미국, 일본, EU 등 주요 국가의 장비가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장비기술 보유업체가 소재기술도
동시 보유

129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 2015년 Freedonia Group은 세계의 염료, 안료 시장은 2021년까지 34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발표

 세계의 고성능 안료(High Performance Pigments) 시장은 2016년에 47억 5,0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함. 시장은 2021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2.9%로 성장하여 54억
9,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 주요 국가별로 소비재, 전자, 가전, 자동차, 섬유, 도료, 항공 분야 등으로 활용범위 확대중이며,
신규 원천기술 개발에도 집중

▪ Smithers Rapra의 보고서에서는 고성능 특수 안료 세계 시장은 2013년 42억6천만 달러이며 향


후 2.7%의 연성장률로 2019년에는 5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 틈새 업체들은 또한 시온 안료(Thermochromic pigments)와 주광 형광안료(Daylight fluorescent


pigments) 같은 특수 안료 이용 증가에 중점. 생산 최적화와 측정 간소화 때문에 많은 고객들이 안
료 분말 보다 수성 분산 안료 쪽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기대 수준으로 성능을 보여야 하는 안료
인 수성 페인트 같은 새로운 도료 기술의 도래로 수요는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측

 염색 및 안료 제조가 아시아 특히 인도와 중국으로 이동함에도 불구하고, HPP 생산은 여전히


유럽, 미국, 일본 기업들이 대개 관리하고 있음. 2013년 유럽과 아시아 시장은 시장 규모가
비슷한 것으로 추정되며 대부분의 아시아 시장, 특히 중국과 인도에서의 빠른 성장이 예측.

▪ 2019년 아시아는 75,856톤, 18억 8천만 달러의 시장 규모로 유럽을 앞설 것임. NAFTA 지역에
서의 성장은 같은 기간 3,500만 톤에서 4,000만 톤을 상회할 것으로 예측되며 전 세계 시장의
21-22%를 차지

 염/안료 시장을 보면, 산업용이 대부분이며 미국, 일본, 독일 등 기술 선도국가가 가장 큰 시장


을 형성

[ 2012-2020년 세계 안료 시장 예측]

13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십억달러)
성장률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
세계시장 25.15 25.83 26.90 28.16 29.54 31.02 4.3

* 자료: Frost & Sullivan 2016.02

▪ 글로벌 안료 시장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APAC) 및 나머지 지역에서의 국내 총생산 (GDP)확대와


유럽 및 북미 지역의 거시 경제 시나리오 회복으로 인해 견실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건설
및 자동차 산업의 수요는 예측 기간 동안 안료 수요를 가속화 할 것으로 보임

▪ 유럽 및 북아메리카(NA)의 엄격한 환경규제는 우수한 품질과 성능을 갖춘 제품의 채택을 용이하


게 하는 핵심 요소로 남아 있음. 그 추세는 APAC 시장, 특히 중국과 인도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
으며 이로 인해 APAC 지역에서 성능 제품의 점유율이 높아질 수 있음

▪ 무기 안료는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인해 안료 시장을 계속 지배 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유기


및 금속 안료는 성능 특성 및 미적 요구로 인해 추후 커다란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

▪ 자동차, 건설, 산업 및 빠르게 움직이는 소비재(FMCG) 시장, 페인트 및 코팅의 견고한 수요로 가
속화되면서 주요 분야로 계속 남아 있으며 모든 산업 분야에서 경량화를 위한 플라스틱의 사용 증
가로 안료 수요가 증가 할 것으로 예상▪

 TechNavio(Infiniti Research Ltd.)는 세계 직물섬유용 염료 시장은 2014-2019년 CAGR


8.67%로 성장할 전망

 염료/안료 공급업체는 소수의 선두기업들이 시장의 약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메이저 업체가 직접 소재 개발을 통해 공급까지 주도하고 있는 상황

▪ 염료산업의 경우 Dystar, Ciba, Clariant 등의 3개 대형 업체가 전체 세계시장의 40% 이상을 점


유하고 있다. 기술 선진국에서는 핵심 첨단기술 기반의 신물질 개발을 통해 지식재산권 확보에 주
력하고 있으며 특히 신기능, 특수기능의 신염료소재 기술개발 관련해서는 국가 간 기술적 제품차
별화 및 전략적 제휴 등의 수평적 분업관계가 심화되고 있음

▪ 반응성 염료의 화학구조를 변경하여 염착률 및 고착률을 향상시켜 친환경 염료를 개발하려는 노력
이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다이스타와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가 이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
구개발 실적을 보이고 있음

▪ 섬유제품의 친환경화 추세와 함께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클라이언트, ⽇本化藥, 미츠이BASF, 수미


토모화학, 다이스타 케믹스 등은 환경친화형, 논엘러지형, 에코대응형 등의 친환경 분산염료를 개발

▪ Nippon Kayaku와 같은 일본 업체들은 중국에서의 합성염료 생산시스템을 통해 아시아 시장 개척


을 꾀하고 있으며 생산 규모 또한 대대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Nippon Kayaku는 중국내 합작법인
인 WAC의 분산염료 생산 규모를 2010년 5월 1200통에서 2000톤으로 확대했으며 같은 해 9
월에는 수용성 염료도 2000톤에서 4250톤으로 확대

▪ 안료 시장은 일본과 유럽을 중심으로 환경친화형 안료, 고내구성 안료 등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


발하나 중국과 인도, 기타 아시아 국가들의 전통적 일반 안료 부문에서의 시장점유율이 갈수록 증
가하고 기술적으로도 선진국 수준에 이르고 있고 기존의 주요 플레이어들을 위협하고 있음

131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나. 국내시장

 국내 페인트산업의 생산실적은 2014년 기준 1백만4,800여 kL로 전체 도료 생산량 중 건축용


(약 29%)이 가장 큰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다음은 공업용(약 16%), 선박용(약 16%), 자동
차 OEM(약 15%)의 순서로 시장 점유율을 보임

 페인트산업의 내수경기는 이미 성숙기로 접어들고 있으나, 동남아 등 개도국으로의 수출 등으


로 인해 2007년 이후 연간 4.5%정도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음

 일부 중소/벤처기업 중심으로 기능성 제품 개발, 상용화 초기 단계 진입하였으나, 시장을 선점


하기에는 역부족

▪ 일반 범용 페인트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문제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고기능성 페인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음. 과거 저가 범용 페인트를 수출하고 고가의 산업용 특수 페인트를 수입하여
왔으나, 국내기업들의 기술개발 투자확대로 점차 국제 경쟁력 강화

▪ 각 업체에서는 환경관련 법 규제 충족제품과 친환경 제품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는 상황으로,


군소 기업의 경쟁력 약화가 가시화 되고 있음

 국내 페인트산업이 성숙기에 접어듦에 따라 각 사업체별로 해외진출 전략이 수립되어 해외 진


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주요 시장은 중국이며 베트남 등으로 확대되고 있음. 특히 KCC, 노루페인트, 건설화학, 삼화페인
트, 한진 화학 등이 중국에 진출

▪ 2012년 이후에는 기존 해외 진출 경험과 향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산업 인프라 구축이 미흡한


중동, 동남아, 구소련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개도국 등으로 해외 진출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음

 2013년도 정밀화학 전체 생산업체는 1,462개사로 2012년 1,429개사보다 2.3% 증가함. 이


중 페인트 생산업체는 171개사로 2012년 167개사보다 2.4% 증가하였고, 정밀화학 전체 생
산업체중 11.6% 점유하고 있음

▪ 158개 페인트 기업 중 종업원 50인 이하 소기업이 115개사(72.8%), 50인 이상 300인 이하 중


견기업이 24.1%, 300인 이상 대기업이 5개사(3.1%)이며 페인트업체 중 상위5개 업체가 국내
시장의 약 80%를 장악하고 있음

 염/안료 산업은 국내에서 아직 환경관련 재제가 엄격히 이뤄지고 있지 않으나 유럽을 중심으로
환경 규제가 더욱 강화됨에 따라 국내 주요 수출업체의 환경대응 제품개발에 가속화가 이뤄져야
할 것임. 무기안료가 친환경적인 유기안료로 대체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경우라 할 수 있음

▪ 비아조계 소재 개발, 소재생분해 특성과 인체안정성을 가진 자연 친화성/인체친화성 천염염료 제품개


발, 폐수로 유입될 수 있는 미염착 연료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신규 반응성 염료 개발, 고염착률
분산염료,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는 염료소재 등의 개발도 친환경적 소재 개발의 대표적 예임

 기존의 인쇄 또는 염색기술을 벗어나 디지털 날염 기술이나 초임계 염색 기술 등의 신규 기술


에 적용 가능한 소재를 개발해야 함. 디지털 날염의 경우, 색상이나 디자인 표현이 자유로워
미래 첨단기술로 분류되고 있으며, 특히 소량 다품종, 납기 대응, 고부가 고감성 제품 지원이

13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가능한 친환경 고부가가치 기술로 주목받고 있음

 질과 효율성을 높이고 원제와 오염물질 배출을 감소시키는 재료는 Nylon/Spandex 백장오염방


지 날염, PTT섬유의 저온상압날염, 초극세 스크린 날염, CO₂초임계염색, 초저욕 비날염, pH 슬
라이드제에 의한 Wool 소재염색 등의 신기술 확장을 가능하게 할 것임

 BT, NT, IT 3T 관련 염/안료도 시장의 흐름과 확대측면에서 중요한 개발 방향이 되고 있다.


세포염색 기술, 나노 코팅 등을 활용한 생명과학 접목 기술, 기능성 나노입자 합성기술, 광촉매
응용기술 등을 활용한 나노과학 접목 기술,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액정염료, OLED 발광체 같
은 디스플레이용 소재 등을 활용한 전자․정보과학 접목기술을 통한 융합형 소재 개발은 국내 염․
안료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대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 도료, 염/안료 산업은 선진국 대비 기술경쟁력이 부족하지만, 수요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성장


잠재력 보유

▪ 산발적인 지원으로 인해, 국내 기술수준은 선도국 또는 기업 대비 미약한 수준으로 국책사업 차원


의 적극적인 지원 시급

 중소업체 투자 연구비 부족, 정부 지원 부족 등의 기술개발 미흡으로 관련된 기능성 소재 개발


이 미진하여 대부분 중요 기능성 소재를 외국 기업에 수입 의존 상황

133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다. 무역현황

 도료 및 염·안료 기술의 공정기술로 품목 단위의 무역현황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어 수출품목


중 착색제, 조제안료, 페인트 바니시 등의 품목의 무역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수출량에 비하여
수입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

▪ 도료 및 염·안료 기술의 수출현황은 ‘11년 10억 9,616만 달러에서 ’15년 15억 84만 달러 수준으
로 증가하였으며, 수입현황은 ‘11년 15억 4,648만 달러에서 ’15년 14억 2,673만 달러 수준으로
감소하여 무역수지 흑자폭이 소폭 증가

▪ 최근 5년(‘11~’15년)간 연평균 성장률을 살펴보면 수출금액은 8.2%로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은


­2.0%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무역특화지수는 ‘11년(-0.17)부터 ’15년(0.03)까지 증감을 반복하면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입과 수출이 거의 비슷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도료 및 염·안료 관련 무역현황 ]
(단위 : 천$)
CAGR
구분 ‘11 ‘12 ‘13 ‘14 ‘15
('11~'15)

수출금액 1,096,168 1,304,706 1,543,174 1,501,165 1,500,842 8.2%

수입금액 1,546,487 1,558,437 1,489,369 1,511,388 1,426,736 -2.0%

무역수지 -450,319 -253,731 53,805 -10,223 74,106

무역특화지수* -0.17 -0.09 0.02 0.00 0.03

* 무역특화지수 = (상품의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으로 산출되며, 지수가 0인 경우 비교우위는 중간정도이며, 1


이면 완전 수출특화상태를 말함. 지수가 -1이면 완전 수입특화 상태로 수출물량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입만 한다는 뜻
* 자료 :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HS-Code(6자리 기준) 활용

13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4. 기술환경분석

가. 기술개발 트렌드

◳ 환경 친화적 도료 및 소재 개발

 도료의 VOCs 함유량 관리를 통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VOCs)를 저감하여 대기질 개선과 국
민 삶의 질 향상 3D 프린팅의 등장은 개인 맞춤형 제품이 확산되는 계기

▪ 도료 사용으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은 인체 위해성이 크고, 오존(O3) 유발물질로써


국민건강보호 및 대기환경 개선을 위하여 발생 저감 필요

▪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원 중 배출 비중이 가장 높은 유기용제 사용에서의 배출 저감을 위해 도료


의 VOCs 함유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

[ 친환경 도료 시장 점유율 ]

 미국, 유럽의 환경 규제 강화 및 국내에서의 관련 법령 및 규정 시행에 대한 대응

▪ 대기환경보전법 제44조의2(환경친화형 도료의 기준 등),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61조의2(환


경친화형도료의 기준), 환경부고시 제2012-130호(휘발성 유기화합물 지정고시)

▪ 수도권 지역부터 도료의 VOCs 함유기준 규제 시행(’05)

적용대상 : 건축용 · 자동차보수용 · 도로표지용 도료

‛15년 이후 적용 기존 도료(건축용 · 자동차보수용 · 도로표지용)의 VOCs 함유 기준안 및 공업용


(선박용 · 강교용), 도료의 신규 기준안 제정 (’13. 5)

▪ 환경부에서는 도료업계의 기술개발 수준 및 준비기간 등을 고려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의


함유기준을 단계적으로('07. 7, '09. 7, '10. 1, 15. 1)강화하였으며, 2013. 5. 24부터는 도료의
VOCs 함유기준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시행 중

▪ 용도분류별로는 건축용, 자동차보수용, 도로표지용, 공업용 도료로 나누어 VOCs 함유기준을 정하


고 있음

135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 무용제의 분체 도료와 UV경화 등 도장 기술이 폭발적 증가세를 보이나 사용상의 한계, 경화기술,
공정기술 및 슬러지 문제 등으로 완전한 환경 친화적 도료의 이미지는 아직 확보하지 못한 실정

◳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는 고기능성화

 친환경적 측면 못지않게 중요한 부분이 피도장물의 용도에 맞는 기능 향상과 기능성 도료 원천


기술 확보 및 개발임

▪ 중국, 일본 등의 조선 산업과의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친환경적이며 고성능의 도료를


국내 기술로 개발하여,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차별화된 성능을 통해 고객의
품질 만족을 극대화하는 것이 우선임

▪ 선박용 내화도료는 기술적으로 매우 고 난이도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4개의 업체에서만 개발


에 성공하여 관련 분야의 시장을 100% 점유하고 있음

▪ 건축용 내화도료는 크게 유기 및 무기계 계열로 되어있고, 화재 시 도막 팽창의 원리에 의한 발포


성 내화도료로 건축물의 철골구조물에 적용하고 있고, 지금까지 인증된 최고의 내화성능 시간은 2
시간용 이고, 최근에는 초고층 빌딩에 적용하기 위해서 3시간용 내화도료를 개발 중에 있음

▪ 방오 도료의 주된 기술적 개발목표가 해양환경 오염 방지에서 연료비 절감 을 통한 CO2, NOx,


SOx 배출 저감으로 옮겨가고 있음. 기업에서 선제적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국내 방오
도료 시장이 외국계 합작기업에 의하여 60% 이상이 점유되고 있는 현실에 기인함. 따라서 업계
의 기술개발을 선도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투자가 지속적으로 필요

▪ 항균도료는 항균기능이 필요한 가정, 병원, 요양원 등에서 요구가 있으며, 대전방지 도료는 정전기
위험으로부터 보호가 요구되는 즉, 고도의 청정도가 요구되는 반도체 생산과 조립공장, 컴퓨터실,
방송실, 수술실 및 전자부품 공장 등과 같은 정밀 산업 현장에 도장하며 특히 내마모성, 부착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요구되고 있으며 신규 및 보수도장에 널리 사용 가능

▪ UV 경화도료는 열경화성 수지나 잉크에 비해 공해 문제가 없다는 점에서 도장, 인쇄 등 여러 산


업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경화 후의 접착 강도, 광택, 내마모성, 광택, 표면 경도 등 여러 가지
우수한 물성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매년 15% 이상 응용이 늘어나고 있음

 산업체간 공동연구 및 산학연 연구 활동을 통해 기능성 특수도료, 친환경 도료, 에너지 절감도
료 등의 개발에 있어서 지원체제 확대 필요성 존재

◳ 가격 경쟁의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생산비용의 절감

 향후 도료 산업은 생산 공정의 패러다임 자체의 변화를 이끌 것으로 전망

▪ 기존에는 소재를 개별 생산해서 배합하던 것과 과다의 인건비로 생산하던 시스템을 자동화를 통하


여 생산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생산 공정을 단축할 수 있음을 의미

▪ 주요 기능성 원료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원천기술 확보가 중요하며 우수한 기능성
등의 확보를 통하여 시장 다변화를 통하여 가격 절감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

13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국내 기능성 도료산업은 주요 원자재를 해외에서 수입(수입의존도 70%), 가공하여 완제품을 만들


어 주로 국내에서 수요를 충당하고 있는 산업구조

▪ 제조원가에서 원재료비가 79%를 차지하며, 노무비는 7%, 기타경비는 14%를 차지하는데 2012
년부터 국제유가 하락과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면서 원료가격도 안정되는 추세

▪ 건축용 (방수용) 페인트에 주로 사용되는 에폭시(수요의 37%)는 국제 에폭시가격이 국내가격보다


높기 때문에 페인트업체들은 소수의 에폭시 수지 업체(국도화학, SK 등)에 의존

[ 도료의 원재료 구성비 ]

▪ TiO2(Titanium Dioxide)는 2012년부터 세계경기가 침체된 영향으로 수요가 감소하면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라 관세가 할당관세 3%에서 무관세로 전환되
면서 원가 부담 이 낮아지고 있으나 군소 페인트 업체들은 원료코스트 부담을 이유로 중국산
TiO2를 선호하고 있음. 그러나 중국산은 황변, 내후성, 함량미달, 불균일화 등 품질에 대한 문제
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데 대부분 Chlorination Process가 아닌 Sulfuric Acid Process으로
TiO2를 생산하고 있으며 황산공법은 환경오염 유발률이 높고 제조공정이 길어 품질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고기능성 염/안료의 개발 필요성

 염/안료 시장은 기존의 착색기능에서 벗어나 친환경, 고감성 융합제품에 대한 니즈가 증가

▪ 글로벌 염/안료 시장은 생산기업이 2480개에 달하고 280억 달러를 형성하고 있으며 국내시장은
5조2000억 원으로 추산

▪ 디지털 날염은 색상 및 디자인 표현에 대한 유연성 등으로 미래 첨단 기술로 평가되고 있어, 선진


국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개발 및 투자가 진행되고 있음

▪ 염/안료 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자연 친화성과 인체 안정성을 지닌 실용적 천연염료 및 무독


성 염료 관련 기술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됨

 최근 친환경 전자, 자동차 등에서 고기능성 염/안료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특히 디


스플레이용이 주목받고 있음

137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 금속염을 활용하면 안료 입자의 크기가 작아져 발색 컨트롤이 쉽기 때문에 고급기술로 인식되고


있음. 국내에서도 금속염을 활용한 기술이 진행되고 있으나 성상변화로 인한 색변화가 해결과제로
남아 있음

▪ 밀링과 분산은 습식상태에서 동시에 진행되며, 기능성 안료의 품질은 입자의 크기와 입자의 크기
가 고른가에 따라 결정

▪ 안료에 친수성기인 분산제를 붙이기 어렵기 때문에 안료와 분산제를 쉽게 이어주는 앵커 개발도
중요

나.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 기능성 도료는 주요 선진국(미국, EU 등)들이 주도,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을 위한 기술개발 집


중 투자 중이며, 시장 확대 전망

▪ 미국, 일본, EU, 중국 등 주요 국가의 장비가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장비기술 보유업체가 소재
기술도 동시 보유

▪ 선박용 페인트는 방오(Antifouling coating)을 제공하여 해초류나 어패류가 달라붙는 것을 막아


주며 AkzoNobel의 조사에 의하면 Antifouling coating을 통해 전 세계 해운업계는 약 500억 달
러의 연료비를 절감하고 선박이 배출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줄 수 있다고 함

▪ 주요 국가별로 소비재, 건설, 전자, 자동차, 가전, 항공 분야 등으로 활용범위 확대 중이며, 신규


원천기술 개발에도 집중

[ 환경 친화적 도료 기술 ]

주요내용 효과

these reduce the VOC content by increasing the solid content


High Solids technology
(pigment, binders and additives) within the coating.

Waterborne systems these use water as the primary solvent.

VOCs containing solvents can be trapped and incinerated to yield


Coil coatings energy to run the industrial coating process of steel or aluminum
coils.

binders, pigments and additives are compounded into a dry powder.


Power coatings This is sprayed onto the object, and subjected to heat treatment
which melts the powder.

the solvent is not released, but reacts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Reactive solvent technology
becomes part of the final film formation.
* 자료 : 키움증권, Akzo Nobel

13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후지 경제는 ‘2016 광기능 재료·제품 시장의 전모’를 통해 광기능 응용제품(UV경화형, 레지스트)


시장은 2015년 33억1,255만 톤에서 2020년 37억 1,480만 톤으로 성장한다고 밝힘. UV경화형
제품은 2015년 24억880만 톤에서 2020년 26억7,860만 톤으로 증가한다고 함.

 글로벌 기업들은 지속적 투자와 개발로 고기능성 제품과 소재들을 꾸준히 출시, Akzo Nobel
(네덜란드), BASF(독일), Sherwin-Williams(미국), PPG(미국) 등이 세계적 선두기업으로 현재
의 성능보다 더 높은 수준의 성능과 복합 기능을 갖는 High Performance형 제품, 지구 온난
화 대책으로 Energy Save형 제품 및 VOCs Free형 친 환경형 제품 등이 시장을 선도

▪ BASF가 급성장중인 자동차용 안료 시장의 수요 충족과 시장 선점을 위해 자동차용 안료 생산능력


을 확대하고 새로운 안료를 출시. BASF는 추가적으로 1천만유로로 투자해 급성장 중인 자동차용
도료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할 계획으로 2017년까지 독일에 위치한 Paliocrom® 이펙트 안료 공장
의 생산능력을 20% 이상 확대할 계획

▪ BASF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은 줄이고 착색력과 안정성은 높인 수성도료용 습윤제인


Hydropalat® WE 3111을 출시, 도료와 조색제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APEO(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APEO를 기반으로 하는 주요 계면활성제
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음

▪ 내열·기능성 도료 제조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실리콘계 내열 도료 세계 시장 점유율 제1위, 내열


도료 일본 시장 점유율 제1위인 오키츠모(Okitsumo)는 다양한 방열도료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음

▪ 삼화페인트와 강남 제비스코로 양분되어 있던 국내 제관도료 시장에 Akzo Nobel, Valspar, PPG


등 메이저 도료기업들이 진출 예정

▪ 일본 精⼯爱普⽣公司가 개발한 유기EL 발광기술은 발광도료를 기판 위에 칠한 다음 전압을 가해


발광하게 하는 기술로 기판의 면적에 따라 발광도료 층을 얼마나 고르게 칠할 수 있는지가 기술의
난이도를 결정함. 본 기술은 휴대폰 및 소형 스크린에 광범위하게 사용됨

▪ Akzonobel사(네덜란드), PPG사(미국), Sherwin-Williams사(미국) 등이 대표적인 글로벌 선박용


페인트 개발 업체이며, 이 중 Akzonobel사는 세계 1위 매출사로 시추선에 특화된 도료 등 특수
페인트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 PPG사의 Sigma Coatings 제품은 최대 기간의 제한이 없고 최소 재도장 기간이 기존 제품 대비


1.5~4배 줄어든 에폭시 페인트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일본의 다수 기업들도 관련 제품을
개발하고 있음

▪ Toho Chemical사의 경우, 수산기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한 변성 탄화수소 수지를 함유하는 에폭시
도료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Jotun사는 60~80%의 고형분을 함유한 재도장 최대 기간 7일 성
능 제품을 판매하고 있어, Akzonobel사나 PPG사 등에 비해 다소 낮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139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2) 국내업체동향

 선진국 대비 기술경쟁력이 부족하지만, 수요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성장 잠재력 보 유, 국내


도료 시장은 KCC, 삼화페인트, 노루페인트, 건설화학, 조광페인트 등 5대 기업이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150 여개의 중소기업이 공존하고 있음. 국내 메이저 기업들은 그룹
사 또는 안정된 유통망과 대형 수요처를 확보해 조직력, 기술력, 자본력을 기반으로 전체 시
장을 주도

▪ 삼화페인트가 목재 보호 및 안정성이 향상된 페인트 조성물을 개발, '목재 거푸집용 도료 조성물


(PAINT COMPOSITION FOR WOODEN FORM)'에 대한 국내 특허를 취득, 이번 개발한 도료
조성물은 습기 경화형 우레탄을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기존과 비교해 동등 또는 향상된 물성(열충
격성, 부착성, 내블로킹성, 내스크래치성, 시멘트 이형성 등)을 나타냄.

▪ 국내에서 자가 치유 기능을 가진 고분자의 특허 출원이 활발해지면서 향후 코팅재, 건축재 등에서


의 다양한 활약이 기대되고 있음. 산업별 출원 동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팅, 필름, 도료 등
의 코팅재, 시멘트, 아스팔트 등의 건설 건축자재, 전자, 의료, 광학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출원
되고 있는데 특히 의료용과 코팅 도막 도료 등으로의 출원 활발

▪ 코스모 화학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고부가 루타일형 TiO₂ 양산에 본격 돌입. 온산공장에 루타일형
TiO₂ 제조 설비 구축을 진행해 최근 시험 가동을 거쳐 최근 양산에 돌입했고 약 230억 원을 투자했음

▪ KCC는 2015년 자동차 헤드램프용 UV 하드코팅 도료가 ‘미국자동차안전부품 인증(AMECA)’ 5년


인증을 세계 최초로 획득.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자동차 헤드램프에 적용되는 도료 중 5년 인증을
받은 것은 KCC가 유일하며 이번에 인증을 받은 제품은 자동차의 가장 앞부분의 헤드램프에서 조
명을 감싸고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플라스틱을 코팅하는 데 사용

▪ 삼화페인트는 기둥용 내화도료 ‘플레임체크 ACT 300’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으로부터 강·콘크리트


합성구조물에 적용하는 3시간용 내화도료 인정 획득

 국내 도료업계에 친환경 바람이 불면서 특수도료인 분체도료가 주목 받고 있음

▪ 가전제품용 분체도료의 국내 시장 규모는 약 6800ton으로 추정되며 글로벌 업계 1위인


Akzonobel이 65%이상 점유하고 KCC가 20%로 그 뒤를 잇고 있으며 분체도료 사업에 진출한
업체는 KCC, 삼화페인트, 조광페인트, Akzonobel 등 6개 업체임

▪ KCC는 친환경 분체도료 ‘가루멜’ 제품이 있는데 전기절연성을 갖는 절연 분체를 자체 기술로 개발


해 공급 중이며, 기존 분체도료와 달리 특수무늬와 촉감을 표현한 도료 개발에도 성공했음

▪ 삼화페인트는 2014년 신축한 공주 공장에 분체도료 전용 생산라인을 마련하고 미래성장 동력으로


키워나가는 중임

▪ 조광페인트는 분체도료 제품인 ‘파우락’ 시리즈를 보유하고 있으며 기본 내ㆍ외부용부터 기능성,


특수무늬 도료 등 총 6가지 종류의 제품군으로 이뤄짐. 조광페인트는 현재 충북 음성 공장에서 연
간 800만㎏ 규모로 분체도료를 생산 중임

 페인트 시장은 점점 주요 기업과 다수 중소기업 간에 기술력, 사업 경쟁력, 유통망 등의 차이


가 커지는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기 때문에 메이저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 국내 중소기업
이 원천 기술 개발 확보를 꾀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양극화 현상은 점점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

14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며, 이로 인해 후발 중소 업체의 진입이 점점 더 어려워져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됨

 고성능 염/안료 관련 원천기술 취약, 소재 및 개발 부족 등으로 우리 기업들의 세계시장 참여


는 미진한 상황
▪ 분산염료와 반응성염료가 염료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대부분의 개발이 이 염료들에
집중돼 있는 국내시장을 살펴보면, 주요 해외업체가 약 30%의 매출을 차지하고 있으며 경인양행,
오영산업, 이화산업, 엠도프멘코리아 등의 염료업체가 나머지 매출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국내 안료 시장은 욱성화학 등의 주 기업들이 전체 시장의 30~40%(유기안료는 35%, 무기안료


는 42%)를 점유하고 있음

 고기능성 및 신기능 염․안료 소재 개발을 통해 고색상 선명도, 고견뢰도, 저에너지, 균염성, 오


염성, 작업성, 상용성, 재현성 등의 성능이 복합적으로 우수한 소재와, 난염성 소재인 특수 용
도의 산업용 소재(초고강도 PE, 아라미드, PPS 등)에 적합한 염․안료소재 개발을 가장 기본적
인 개발 방향으로 진행 중

다. 기술인프라 현황

 도료 산업은 성숙기에 접어듦에 따라 기술인프라 관련 연구를 하지 않고 자체 기업연구소를 이


용하는 경향
▪ 여러 기업과 대학을 상대로 한 공용 인프라로서 역할은 제한적

▪ 주로 자체 기업부설 연구소 인프라 활용

 국내 도료, 염/안료 관련 인프라를 양성하는 교육시설에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이 지원하는 “도료교육센터” 등이 있음

141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 도료교육센터 ]

· 도료·도장 분야 우수인재 육성 및 공급

· 대·중소기업과의 기술격차 해소

사업목표 · 협약업체 재직근로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통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 협약업체 재직근로자의 자기계발 기회와 동기부여를 통해 삶의 질 향상


국가인적
· 대·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 및 상생협력 체계 구축
자원개발
· 국내 최조의 종합 도료·도장부문전문 교육기관
컨소시엄
· 컨소시엄 참여기업과 교육생에게는 별도의 비용 부담없는 무료 교육 제공

사업특징 · 중소기업 Needs 분석을 통한 현장 실무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제공

· 해당 교육과정을 이수한 수료생에게는 수료증 발급

· 실무경력이 풍부한 우수한 강사 활용

* 자료 : 조광페인트 도료교육센터(http://www.ckpchrd.co.kr/)

 기존의 차별화된 일부의 인프라는 늦게 출발한 국내 기능성 도료, 염/안료 연구가 선진국을 단
기간에 따라잡는데 큰 역할을 하였고 앞으로도 인증 및 실증 등에서 주도적 역할을 기대

▪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 각종 인증시험기관 등을 통하여 국내 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으


나 활성화를 위한 기업 지원프로그램의 확보가 필요한 상황

▪ 기존 노후 장비의 교체 및 인증을 위한 시설보완 투자와 안정적인 운영인력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 필요

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도 화학산업 업


종별 현원은 407,758명으로, 2013년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업종별 부족률은
2.6% 정도로, 2013년 대비 완화되었음
▪ 그러나 도료, 염/안료 산업군에 속하는 ‘화학·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생산기 조작원’의 부족률이
3.2%로 가장 높았음

▪ 전국의 화공/화학 관련학과 들이 있지만 도료학 자체에 대한 학과는 전무한 상황

▪ 연구개발에 필요한 석박사급 인력공급은 부족한 실정으로 도료 원료 및 소재에서 이직하는 인력수


급만 가능한 실정이나, 인력부족 현상이 심각

▪ 석박사급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의 개발과 기존 인프라와 연계한 실습교육을 병행하는 ‘현장기술


인력양성 프로그램’필요

 국내 기업이 세계시장의 메이저급이 되기 위해서는 제품기술의 우위와 함께 표준·인증·실증분


야의 인프라 형성이 중요
▪ (표준) 국제 표준 설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현재 제정된 KS표준들의 개정작업도 시급

▪ (인증) KS보완 및 국제표준이 제정되는 것에 맞추어 성능표준에 대한 인증기관 선정 및 인증을 위


한 성능측정 장비 구축 보완필요

▪ (실증) 성능지표의 확인, 보증 및 신뢰성(Reliability) 향상 연구를 위한 ‘실증프로그램’이 필요

14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국내 도료, 염/안료 관련 주요 기술인프라를 분석, 시험, 제공하고 있는 공인시험분석기관으로


는 KTR, KOTITI, FITI, KOPTRI, 삼화페인트 분석시스템 등이 있음

[ 도료, 염/안료 관련 공인시험 분석기관 ]

시험분석 기관 한글명 내용

환경규제 분야, 신소재 분야 등


한국화학융합시험원 시험, 인증, 교육컨설팅
각종 고분자, 도료관련 시험분석

http://www.ktr.or.kr/

국내외 인증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환경시험
재료시험

http://www.ktl.re.kr/

시험/검사
한국건설생활환경
인증/심사
시험연구원
http://www.kcl.re.kr/ R&D

중소기업지원
한국세라믹기술원 소재종합솔루션
시험분석인증서비스

http://www.kicet.re.kr/

환경유해물질
KOTITI시험연구원 제품인증
기술지원
http://kotiti.re.kr:8081/

성분분석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 기기분석
http://www.polymer.co.kr/mai 물성분석
n.do

고분자분석
삼화페인트 환경분석
(삼화분석시스템) 표면분석
http://www.spi.co.kr/korean/cu
열특성 및 물성분석
stomer/s06_01.asp

143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라.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 출원동향

 도료 및 염·안료 기술의 지난 7년(‘10~’16) 간 출원동향6)을 살펴보면 연도별로 출원경향이 증


가, 감소를 반복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도료 및 염·안료 관련 기술개발 활발

▪ 각 국가별로 살펴보면 일본 출원경향은 서서히 감소 추세, 한국은 ‘13년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14
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은 서서히 증가 및 유럽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국가별 출원비중을 살펴보면 일본이 49.0%로 최대 출원국으로 도료 및 염·안료 기술을 리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이 22.0%, 미국이 16.3%로 비슷한 수준의 출원비중을 보
이고 있으나 최근 미국의 출원 증가추세가 두드러짐

[ 도료 및 염·안료 분야 연도별 출원동향 ]

6)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
재하여 2015, 2016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14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국가별 출원현황

 한국의 출원현황을 살펴보면 ‘13년 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14년에 소폭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내국인 출원이 증가

 일본의 출원현황은 ‘10년부터 최근까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 출원은
유지되고 있으나 내국인 출원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나, 출원인 대부분이 자국 출원으로 일
본 내의 기술력이 우수한 것으로 추정

 미국과 유럽의 출원현황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 출원이 다
수이나 유럽의 경우 자국 출원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냄

[ 국가별 출원현황 ]

145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3)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 도료 및 염·안료 분야의 투입기술을 확인하기 위하여 특허분류코드인 IPC Code7)를 통하여 살


펴본 결과 도료 및 염·안료 분야의 가장 높은 IPC는 C09D 기술분야가 9490건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서 C09B가 2231건, C09C가 766건으로 다수를 차지
▪ 이외에 C08F 24건, G03F 21건, H01L 13건, C04B 13건, C09K 12건, C01G 12건, C07D
12건 순으로 기술이 투입되어 있어 도료 및 염·안료 분야에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어 존재

▪ 더불어 해당 IPC의 특허인용수명을 살펴보면 C08F 기술분야의 수명이 9년으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G03FC 기술분야는 5년으로 가장 짧은 것으로 분석

[ 도료 및 염·안료 분야 상위 투입기술 ]

IPC 기술내용 특허인용수명(TCT)8)

C09D 피복 조성물 6

C09B 유기 염료 또는 염료 제조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화합물; 매염제; 레이크 8

C09C 안료성 또는 충전제 성질을 개량하기 위한 섬유성 충전제 이외의 무기물질의 처리 8

C08F 탄소-탄소 불포화결합만이 관여하는 반응으로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 9

G03F 사진제판법에 의한 요철화 또는 패턴화 표면의 제조 5

H01L 반도체 장치; 다른 곳에 속하지 않는 전기적 고체 장치 6

C04B 석회; 마그네시아; 슬래그; 시멘트; 그 조성물 8

C09K 그 밖에 분류되지 않는 응용되는 물질; 그 밖에 분류되지 않는 물질의 응용 7

C01G 서브클래스 C01D 또는 C01F에 포함되지 않는 금속을 함유하는 화합물 8

C07D 이종원자 고리 화합물 7

7) 전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국제특허분류(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를 통해 특허정보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을 조사


할 수 있으며, 기술 및 권리정보에 용이하게 접근 가능
8) 특허인용수명 지수는 후방인용(Backward Citation)에 기반한 특허인용수명의 평균, Q1, Q2(중앙값), Q3에 대한 통계값을 제시함.
특히 이와 같이 산출된 Q2는 TCT(Technology Cycle Time, 기술순환주기 또는 기술수명주기)라고 부름

14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투입기술이 가능 많은 C09D 분야와 융합이 높게 이루어진 기술은 B41M 분야로 나타났으며,


B41J, C09B 분야와도 나타 융합된 기술의 건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

▪ 이외에 C09B 분야와 융합된 기술은 G02B, D06P, H01L 분야와 융합된 기술이 많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 C09C 분야와 융합된 기술은 D21H, A61K, C01G 기술로 분석

[ 도료 및 염·안료 분야 IPC 기술 및 융합성 ]

(4) 주요출원인 분석

 세계 주요출원인을 살펴보면 주로 일본의 출원인이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화학 소재 및 사무기기 제조 분야의 출원인이 대부분

▪ 주요 일본 출원인을 살펴보면 FUJIFILM, SEIKO EPSON, CANON, TOYO INK SC HOLDINGS,


RICOH, NIPPON KAYAKU, DAINIPPON INK AND CHEMICALS 등의 화학소재 및 사무기기 제
조기업이 다수 출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일본 출원인은 주로 일본 본국에 출원
건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한국 출원인으로는 상위 출원인으로 도출되지 않음

147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FUJIFILM의 3극 패밀리수가 440건으로 다국적으로 시장을


확보하며 출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미국의 XEROX도 256건으로 다국적 시장을 확보

 일본 기업인 RICOH이 확보한 특허의 피인용지수가 6.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기술의 파급성


이 높은 원천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주요 출원인의 출원현황 ]

주요 IP시장국 (건수 %) 3극

IP시 패밀 피인용
주요출원인 국가 주력기술 분야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장국 리수 지수

종합 (건)

85 125 557 201 잉크 조성물 /


FUJIFILM 일본 일본 440 1.66
9% 13% 58% 21% 안료

6 195 532 62 잉크젯 잉크


SEIKO EPSON 일본 일본 213 2.35
1% 25% 67% 8% 조성물

21 95 297 61 수성 잉크
CANON 일본 일본 199 1.93
4% 20% 63% 13% 조성물

102 157 184 14


XEROX 미국 일본 256 2.4 상변화 잉크
22% 34% 40% 3%

TOYO INK SC 16 13 375 17 광경화형 잉크


일본 일본 52 1.0
HOLDINGS 4% 3% 89% 4% 조성물

88 265 45 잉크젯 잉크
RICOH 일본 일본 119 6.6
0% 22% 67% 11% 조성물

23 233 19 수용성 아조
NIPPON KAYAKU 일본 일본 53 3.06
0% 8% 85% 7% 염료

DAINIPPON INK AND 29 26 195 21 수성 안료/잉크


일본 일본 81 1.0
CHEMICALS 11% 10% 72% 8% 조성물

4 200 1 기능성 도료
KANSAI PAINT 일본 일본 11 0
0% 2% 98% 0% 조성물

37 102 12 유성 잉크
RISO KAGAKU 일본 일본 23 1.1
0% 25% 68% 8% 조성물

14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5) 국내 출원인 동향

 국내 출원인 동향을 살펴보면 대기업은 케이씨씨의 출원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기


업에서는 씨큐브의 출원건수가 높게 나타남

▪ 대기업의 주요 출원인은 케이씨씨, 엘지화학, 동우화인켐, 현대자동차, 동진쎄미켐, 삼성전자, 삼화


페인트공업 등이 있으며, 중소기업의 주요 출원인은 씨규브, 경인양행, 조광페인트, 케이에스씨비,
노루홀딩스, 씨드 등이 주요 출원인인 것으로 나타남

 기업 이외의 주요출원인을 살펴보면 한국세라믹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


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등 연구소/공공기관의 출원이 다수 나타났으며, 대학은 경북대학교, 고
려대학교, 연세대학교의 출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 국내 주요출원인의 출원 현황 ]

149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5. 중소기업 환경

가. 중소기업 경쟁력

 기능성 도료 세부품목에서 주요기술로는 친환경, 내화, 방염, 차열, 전자파 차폐, 대전방지 항
균, 자기치유, 물리화학적(내구성, 내마모성, 내염해 등)기술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주로
국내 도료 대기업인 KCC, 삼화, 노루홀딩스, 한진화학, 조광 및 강남제비스코 등이 기술력을
갖고 있으며, 이중 특화된 일부 기술은 중소기업에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1위인 KCC는 지난 3여 년간 37% 이상의 점유율을 꾸준히 확보하며, 업계에서 가장 돋보이


는 기업임. 특히 2~4위인 삼화페인트공업, 노루페인트, 강남제비스코 등의 기업들과는 20%가
넘는 격차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외에 2 ~ 4위 기업들은 5% 안팎의 차이를 보여주며, 그 경
쟁을 계속하고 있음

[ 도료 분야 국내 중소기업 현황 ]

중소기업 주요 중소기업
세부분류 주요 기술 대기업 중소기업
참여영역 참여 정도*

분체도장, 정전 도장, 강남제비스코,


자동차 전착도장, 광택, 난연, 보수 KCC 노루홀딩스, 보수 도장 ◔
방식기술 조광페인트

조광, 현대,
강남제비스코,
건축/가전/ 실내/외, 목재, 방수, 방수, 목공,
삼화페인트 한솔씨앤피, ●
전자/목재 플라스틱, 분체, 방염, 난연 실내/외 인테리어
미래화학, 우진, 대보,
천일, 아해

KCC, 강남제비스코, 조광,


선박, 중방식 방청, 내화, 방염, 중방식 중방식 ◑
노루홀딩스 우진

강남제비스코, 한진,
공업용 삼화페인트
방식, 코일코팅 조광, 동주산업, 방청도료 ◑
PCM, 제관 노루홀딩스
건양페인트, 우진

* 중소기업 참여정도와 점유율은 주요제품 시장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참여규모와 정도(업체수, 비율 등)를 고려하여 5단계로 구분
(낮은 단계: ○, 중간 단계(◔, ◑, ◕) 높은 단계: ●)

15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중소기업 기술수요

 도료 및 염·안료 분야의 중소기업의 기술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기술수요조사 및 중


소기업청 R&D신청과제(2013~2015년)를 분석한 결과 아래 표의 내용과 같은 수요들이 다수
있는 것으로 분석

▪ 도료 및 염·안료 분야 중소기업은 최근에 잉크젯 및 잉크조성물, 염·안료 및 도료 기술과 관련된


기술개발에 다수 수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도료 및 염·안료 분야 과제신청현황 및 수요조사결과 ]

전략제품 기술 분류 관심기술

· 잉크젯 잉크 개발
· 친환경 그라비아 잉크 개발
잉크젯 및 잉크 조성물 · 전도성 잉크 개발
· 비산방지 친환경 보드마가 잉크 조성물 개발
· 식물 추출물 색소를 이용한 식용페인트 및 잉크 개발

· 친환경 도료 착색제 개발
· 뛰어난 점도, 저장안정성, 색특성을 가지는 안료 개발
도료 및 · 생체친화영 유기성 컬러런트 개발
염·안료
염·안료 · 이미지 센서용 안료분산소재에 사용되는 바인더 개발
· 고투과도, 내광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착색제 개발
· 분산성이 뛰어난 초극미세 blue pigment 개발

· 무기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도료 개발


· 불연 및 내산 기능성 도료 개발
· 친환경 기능성 분체도료 개발
도료
· 친환경 연료절감형 방오도료 개발
· 자동차 외장용 고성능 내후성 도료 개발
· 융착식 노면표지용 도료 개발

151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다. 중소기업 핵심기술

(1)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 도료 및 염·안료 기술의 특허 및 논문데이터 검색을 통해 도출된 유효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


터마이닝 기법(Scientometrics 기법)을 통해 클러스터링된 키워드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요소기
술 후보군을 도출

▪ 도료 및 염·안료 기술의 특허 및 논문 유효데이터를 기반으로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통하여 10개의


요소기술 후보군을 도출

▪ 제품별 dataset 구축 : 도료 및 염·안료 기술 관련 특허/논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노이즈 제거 후


제품별 dataset 구축

▪ 1차 클러스터링 : 키워드 맵을 통한 고빈도 키워드 확인-빈도수(tf-idf)9)가 상위 30%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대상으로 1차 추출

▪ 2차 클러스터링 : 1차 클러스터링에서 추출된 고빈도 키워드 사이에서 고연관도 키워드를 2차 추


출 (고연관도 기준은 연관도수치10)가 2이상인 클러스터로 제한)

 다음 그림은 키워드 간 연관네트워크를 시각화한 것으로, 각 키워드를 나타내는 원과 키워드


간의 연관도를 나타내는 직선으로 구성

▪ 각 키워드가 특허와 논문 중 어느 데이터에서 도출되었는지 원의 색으로 구분하였으며, 키워드로


도출된 클러스터는 황색음영으로 표시

▪ 키워드를 나타내는 원은 고빈도의 키워드일수록 원의 크기가 크게 표현되며, 연관도를 나타내는


선은 키워드 사이의 연관도수치가 높을수록 굵게 표현

 도료 및 염·안료 기술 전략제품의 특허․논문 유효데이터에 대하여 키워드 클러스터링 결과를 기


반으로 요소기술 도출

 데이터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은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통해 도출된 요소기술에 대하여 전문가의
검증 및 조정을 통하여 요소기술을 도출

9) 빈도수(tf-idf) : 각 키워드가 출현되는 특허 또는 논문수를 의미


10) 연관도수치: 두 개 이상의 키워드 사이의 특허 또는 논문수를 의미

15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도료 및 염·안료 분야 키워드 클러스터링 ]

[ 도료 및 염·안료 분야 주요 키워드 및 관련문헌 ]

No 주요 키워드 연관도 수치 관련특허/논문 제목


1. UV INK JET PRINTING INK COMPOSITION
Ultraviolet 2.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in composites of nanoenergetic
클러스터
ray curable 5~7 materials and porous metal with UV ink method
01
inkjet ink 3. Ultraviolet ray curable ink composition for use in ink jet
method and printed object
1.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nd dye composition for
dye electrowetting display
클러스터 composition 2.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olored curable composition, color
4
02 display filt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solid-state image sensor
device 3. Dichroic dye induced nonlinearity i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materials for display devices
1. FIBER-REACTIVE AZO DYES,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2. METAL FREE REACTIVE DYES, PROCESS FOR THE PRODUCTION
클러스터
reactive dye 4~8 THEREOF AND THEIR USE
03
3. Reactive azo dye adsorption using zeolitic material: Contact time,
pH, temperature and effect of salts

153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No 주요 키워드 연관도 수치 관련특허/논문 제목


1. FLUORESCENT POLYMETHINE CYANINE DYES
2. WATER SOLUBLE FLUORESCENT OR COLORED DYES AND METHODS
클러스터 fluorescent FOR THEIR USE
6
04 dye 3. Photosensitive holographic material with a medium of fluorescent ink
4. Preparation and luminescence properties of a new material
SrAl2O4:Eu2+, Dy3+/red organic fluorescent pigment
1.Surface modified pearlescent pigments and their use in powder
powder coatings
클러스터 painting, 2. Powder paint in particulate and cured form with effect pigments
5~6
05 powder and process for preparing powder paint with effect pigments
coating 3.Powder paints from renewable raw materials: Coating
sustainably with biopowders

1. PHASE CHANGE INK COMPOSITION


클러스터 phase 2. Nonpolar liquid and solid phase change ink compositions
4~7
06 change ink comprising nanosized particles of benzimidazolone pigments
3. Phase change material for efficient removal of crystal violet dye

1. Water soluble and water fast dyes for ink jet printing
water
2. Application of shungite sorbent material in adsorption refining
클러스터 soluble dyes
4 of sewage containing water soluble dyes
07 aqueous
3. AQUEOUS PAI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paint
COATING

1. HIGH-EFFICIENCY HEAT-DISSIPATING PAINT COMPOSITION


high
클러스터 USING A CARBON MATERIAL
efficiency 3~5
08 2. Dispersing without grinding media: Efficient tool for dispersing
save energy
pigments and other material can save energy

UV cured 1.UV cured varnish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클러스터
varnish 3 2. Optimization of oligourethane methacrylate based UV paints
09
UV paint composition for printing on cotton fabrics

1. TWO-LIQUID TYPE URETHANE PAINT COMPOSITION


polyurethane
2. POLYURETHANE DISPERSION-CONTAINING INKJET INKS
클러스터 paint
2~5 3. Polyurethane resin addition pigment, process for producing
10 polyurethane
polyurethane resin addition pigment, pigment dispersion
ink
composition, and jet printing ink composition

15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도료 및 염·안료 분야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

No 요소기술명 키워드

Ultraviolet ray curable


요소기술01 UV 잉크젯 프린트용 잉크
inkjet ink

dye composition
요소기술02 디스플레이용 염/안료 조성물
display device

요소기술03 반응성 염/안료 reactive dye

요소기술04 형광 염/안료 fluorescent dye

powder painting,
요소기술05 분체도료
powder coating

요소기술06 상변형 잉크 phase change ink

water soluble dyes


요소기술07 수용성 친환경 도료
aqueous paint

high efficiency
요소기술08 에너지 도료
save energy

UV cured varnish
요소기술08 UV 경화 도료
UV paint

polyurethane paint
요소기술10 폴리우레탄 도료 및 착색제
polyurethane ink

155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2) 요소기술 도출

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


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통해 기술의 범위, 요소기술 간 중복성 등을 조정‧검토하여 최종


요소기술명 확정
[ 도료 및 염·안료 분야 요소기술 도출 ]

분류 요소기술 출처

상변형 잉크 조성물 제조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잉크젯 및 잉크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염료분산형 수용액 잉크젯 잉크 제조기술
조성물 전문가추천

기술/시장 분석, 특허/논문


광경화형 프린트용 잉크젯 잉크
클러스터링, 전문가 추천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섬유용 천연염료 제조기술
전문가추천

생체친화형 유기염료 개발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전자재료용 안료 개발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특허/논문
염·안료 형광안료 제조기술
클러스터링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고 염착율을 가지는 반응성 염료 개발
전문가추천

기술수요, 특허/논문
내광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필름용 착색제 개발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수성 및 친환경 도료 착색제 개발
타부처로드맵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방열성 분체도료 조성물 제조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폴리우레탄 기반 페인트 도료 조성물 기술수요, 타부처로드맵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도료 에너지 절감형 도료 기술
타부처 도르맵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UV 경화 도료 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수요, 특허/논문
분체도료 재활용 및 다색분체 기술
클러스터링,

15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3) 핵심기술 선정

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핵심기술 선정위원회를 통하여 중소기업
에 적합한 핵심기술 선정

 핵심기술 선정은 기술개발시급성(10), 기술개발파급성(10), 단기개발가능성(10), 중소기업 적합


성 (10)을 고려하여 평가

[ 도료 및 염·안료 분야 핵심기술 ]

분류 핵심기술 개요

UV경화형 잉크는 무용제로서 UV에 의해서 광개시


제가 분해되면서 라디칼이 형성되어 주변의 반응
잉크젯 및 잉크
광경화형 프린트용 잉크젯 잉크 성 올리고머 혹은 반응성 모노머를 중합시키는 고착
조성물
되는 잉크로서 일반적인 라디칼 중합 방식과 동일하
게 반응하는 기술

전자 산업의 발달로 광전자 응용에 사용되는 특수


용도의 색소가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기존의
착색 재료로서의 용도가 아니라 색소가 갖는 다
전자재료용 안료 개발
양한 기능(광전도성, 선택적 광흡수 , 형광, 인광 ,
이색성 , 비선형 광학, 이광자 흡수 등)을 활용하는
안료 기술

유색 색소로 형광을 내는 것 중에 안료로 사용이 가


능하여 제품화한 색재로 조명을 가하면 자외선을 흡
염·안료 형광안료 제조기술 수, 장파장 색광으로 변하여 재방사하는 성질을 가지
고 있으며 안료 색소형과 합성수지형의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산업용도 및 특성에 맞는 형광안료 제조기술

Stain이라고 하며 염료 또는 안료(顔料) 등을 사용하


여 착색할 때의 염색제로 착색제의 주요성분은 착색제
수성 및 친환경 도료 착색제 개발 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각각 결점이 있으므로 도장하
는 피도장물의 종류나 표면 상태에 따라 상용성을 가
지는 기술

적외선을 반사하여 열차단 효과를 나타내며, 표면의


열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 주어 우수한 단열효
과를 나타내며 또한 열전도율이 낮아 외부의 열이 내
에너지 절감형 도료 기술
부로 전달되는 것과 내부의 열이 밖으로 나가는 것을
동시에 제어하여 절감효과를 나타내는 에너지 절감형
도료
도료

무용제로서 UV에 의해서 광개시제가 분해되면서 라디


칼이 형성되어 주변의 반응성 올리고머 혹은 반응성
UV 경화 도료 기술
모노머를 중합시키는 고착되는 잉크로서 일반적인 라
디칼 중합 방식과 동일하게 반응하는 도료 기술

157
▣ ▣ 화학소재공정 ­ 도료 및 염·안료 ▣ ▣

6. 기술로드맵 기획

가. 도료 및 염·안료 기술로드맵

 최종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


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

15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연구개발 목표 설정

 로드맵 기획 절차는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로드맵 기획위원회를 통해 선정된 핵심기술을 대


상으로 기술요구사항, 연차별 개발목표, 최종 목표를 도출

[ 도료 및 염·안료 분야 핵심기술 연구목표 ]

연차별 개발목표
분류 핵심기술 기술요구사항 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부착성, 접착력
부착성 부착성 부착성
잉크젯 및 부착성(ASTM 확보, 저장
2.0MPa 2.5MPa 3.0MPa
잉크 광경화형 프린트용 B 571), 안정성(온도, 열),
이상, 이상, 이상,
조성물 잉크젯 잉크 접착력(ASTM- 불투명도(printing
피부자극지 축임물 폭 내마모성
기술 D3330)확보 opacity) 인쇄
수(PII)= 0 확보 확보
개선

편광도 편광도 편광도


98%↑, 98%↑, 99%↑, 편광도 99%↑,
전자재료용 안료 개발 편광도, 내광성
내광성 내광성 내광성 내광성 40,000hr↑
30,000hr↑ 35,000hr↑ 40,000hr↑

내광성 내광성 내광성


염·안료
내광성, 3급↑, 4급↑, 5급↑, 내광성 5급↑,
기술 형광안료 제조기술
내후성, 내열성 내열성 내열성 내열성 내열성 200℃↑
180℃↑ 190℃↑ 200℃↑

부착성(ASTM
B 571) 2.0 MPa 3.0 MPa 4.0 MPa
수성 및 친환경 도료 부착력, VOC
착색제 개발 Free, 내후성
VOC(ISO 4.0% 3.0% 2.0%
11890)
3.0%↓,
4.0%↓, 3.5%↓,
일사반사 저하 적외선반사
적외선반사 적외선반사 3.0%↓,
율(JIS C 율(95%↑),
에너지 절감형 도료 율(93%↑), 율(94%↑), 적외선반사율(95
8910), 자외선
기술 자외선 자외선 %↑), 자외선
적외선반사율, 차단율(95
차단율(92 차단율(93 차단율(95%↑)
자외선 차단율 %↑)
%↑) %↑)

도료 기술 내염수분무성
(35℃, 5%
2~4mm, 1~3mm, 0~1mm, 0~1mm,
NaCl, 500hr),
≥80hr, ≥100hr, ≥120hr,
촉진
UV 경화 도료 기술 부착성 : 부착성 부착성 ≥120hr(내부기준)
내후성(ASTM
3.0MPa 3.5MPa 4.0MPa , 부착성, 접착력
C 1442),
이상, 이상, 이상, 확보
부착성, 접착력
확보

159
전략제품 현황분석

점/접착 소재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점/접착 소재

정의 및 범위

▪ 점착은 저압조건에서 접촉하면 바로 결합강도를 형성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하고, 접착은 두 개


의 고체 면이 접착제가 되는 제3의 물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합하는 성질을 의미, 액체에서
고체 상태로 변해 강한 접착력을 가지는 것이 접착제, 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 점착제

▪ 점/접착 소재는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유리, 고무 및 목재의 표면접착을 위한 고분자 물질


을 의미하며 용제에 따라 용제형, 수성, 무용제형으로 구분, 접착 소재는 크게 수지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및 혼합계 접착제로 분류되며 점착제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고무계 및 핫멜트
계 등이 있음

정부지원 정책

▪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교육 강화, 친환경 고기능성 점/접착제에 대한 국가과제 지원

▪ 경제 혁신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환경공해 산업으로의 인식
• 점/접착 성능과 품질 향상, 기술 인지도 및 관심도 향상
• 기초연구 기반 취약(원천 소재 기술 미흡)
• 기능성 점/접착제의 국내 수요로 인한 개발의지
• 산학연 협력체계 취약
• 다양한 소재 개발 기술의 발전
• 사업기반 및 투자 자본 미약
• 세계 최고의 전기/전자, 조선 기술력
• 점/접착 분야 신규 연구 인프라 수급부족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최근 기술진보 및 원료 가격 하락
• 점/접착제 시장의 지속적 증가 • 글로벌 기업의 국내 진출로 인한 국내 기업의 경제적 손실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증가 • 선진국의 기술 보호주의 및 중국 접착제산업의 급성장
•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 촉진 • 선진국 산업체들의 시장선점에 의한 높은 진입장벽
• 전기/전자 분야 수요증가 • 중소기업끼리의 가격 경쟁으로 경쟁력 약화
• 다양한 기능성 접착제의 수요 증가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중소기업이 제조하는 기능성, 물성과 품질 향상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통한 글로벌 진출 가능

➜ 높은 소재 가격을 극복하기 위한 원료수급, 유통구조 개선을 통한 원가절감을 통해 시장 접근

163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핵심기술 로드맵

16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 물체를 영구 또는 일시 접착시키려면 점/접착제를 물체에 도포하고 서로 붙인 후에 점/접착제


가 점탄성물질이 되거나 고화(固化)되어야 함. 따라서 점/접착제는 처음에는 액상이다가 나중에
고화되는 경우 떨어지지 않고, 또한 접착제 자체가 파괴되지 않는 고분자이며 점착제는 고체도
액체도 용액도 아닌 반유동체

▪ 접착제란 넓은 의미에서 점착제를 포함하지만 접착 후 떼어내면 고체 상태로 접착력이 완전히 사


라진 상태를 말하며 접착제는 대부분 합성수지를 원료로 고분자 용액을 사용하거나
cyanoacrylates, bisacrylates 등과 같은 중합반응으로 액상을 고분자로 만드는 방법, 고분자의 고
체에 열을 가해 접착력을 가지도록 하는 핫멜트 방법 등으로 활용됨

▪ 점착제란 접착제의 일종으로 영구접착에 대한 일시적 접착을 말함. 점착제는 접착제의 한 분야로
서 압력을 가해 주는 것만으로 그 성능을 발현하기 때문에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라고도 하며 일반적인 접착제가 liquid에서 solid로 변화하는 것과는 다르게 점착제는
semi-solid 형태를 피착 전후에 유지하면서 점탄성적인 성질을 보이는 특징을 지니고 있음

▪ 일반적으로 접착제는 피접착체 표면에 도포되었을 때 분자간 인력을 충분히 작용시키기 위하여 일
시적으로 유동성을 주어 접착체 분자를 피접착제 분자에 잘 접근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접착 후에
는 유동성을 잃고 고화하는 것이 아니면 안 됨

▪ 점착제는 기본적으로 3대 물성(초기점착력, 점착력, 응집력)의 균형을 취해야 하며 점착제의 초기


점착성은 초기부착력과 관계하고, 점착력은 상태 점착력과 부합하며 중요한 것은 점착제 자체의
응집하는 힘인 응집력임, 응집력을 근본으로 하여 초기점착력과 점착력을 얻어야하며 응집이 미달
된 상태에서는 점착제 자체 파괴가 일어나므로 그 점착 근본 성질을 이탈하게 됨

▪ 점/접착제와 소재(피착재)와의 표면에너지 사이의 상관관계는 접촉각도의 직접적인 작용임. 점/접


착제의 표면에너지 k가 소재의 표면에너지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만 점/접착제는 고체의 표면을
적시게 됨

▪ 현재 알려진 점/접착이론으로는 기계적 맞물림(Mechanical interlocking), 정전기이론(Electrostatic


theory), 확산이론(Diffusion theory), 흡착이론(Adsorption theory), 화학결합이론(Chemical
bonds theory) 등이 있음

165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 점/접착제의 물성에 따른 구분 ]

[접착과 점착의 비교]

성 질 접 착 점 착

초기 및 최종 접착 강도의 차이 크다 거의 없다

접착강도 크다 비교적 약하다

접착 후의 변형정도 거의 없다 쉽다

온도에 따른 접착강도의 변화 비교적 약하다 크다

화학적인 반응 수반 여부 있는 경우가 많다 거의 없다

접착제 자체의 강도(피착제에 대해) 반드시 클 필요는 없다 더 강해야 한다

사용시의 두께 두꺼울 수도 있다 대체로 얇다

반복사용 여부 어렵다(비가역적) 가능하다(가역적)

16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오늘날의 점/접착제는 유기 접착제 중 합성 접착제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며, 분류방법 또한


매우 다양함. 접착 소재는 일상 생활용품으로부터 건축/토목, 자동차, 조선, 정보 및 전자산업
등에 기초소재 및 핵심소재를 공급하는 정밀화학 산업이며 미래성장 동력 발전에 견인차 역할
을 하고 있음

▪ 산업계에서 접착제의 용도도 자동차용, 라미네이트(laminate)용, 건축․시공용, 가구용, 전기․전자용,


유통용, 신발용, 항공기, 구조용 등 다양

▪ 자동차 및 운송 산업에서는 구 조용 접착, 고내열성 접착, 경량화 및 공정개선을 위해 고기능성


접착 소재들이 활용되고 있으며 자동차부터 항공기 및 우주선까지 그 활용범위가 증가하고 있음

▪ 바이오 및 의료산업에서는 조직 접합, 신경접착과 골 조직 접착 그리고 치과용 소재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접착 소재는 연조직 수지 접합, 신경조직 수지접합, 고관절 수술 및 치과용 레진으
로서 새로운 형태의 의료소재로서의 가치가 부각

▪ 전기/전자산업에서는 슬림화, 경량화, 미적 감성화 그리고 기능의 복합화에 따라 접착제의 활용성


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현재 디스플레이, 모바일, 반도체 그리고 백색 가전까지 전 산업의 영역
에 걸쳐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음

[ 점/접착의 원리 ]

167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나. 범위

(1) 제품분류 관점

 점/접착 소재는 수지계, 고무계 및 혼합계로 분류되며, 수지계는 다시 열경화성 수지계와 열가


소성 수지계로 분류되고, 고무계 접착제로는 스티렌계, 혼합계 접착제로는 페놀비닐계, 에폭시
폴리아미드계, 니트릴고무 에폭시계가 있음

▪ 일반적으로 고분자 접착제는 희석제에 고분자를 녹여서 사용하는 일반접착제, 고분자를 에멀션으
로 하여 물에 분산시켜 사용하는 수용성 접착제, 무용제형인 EPOXY계, Cyanoacrylate계 접착제,
Phenol계 수지를 엷은 종이에 흡수시켜 고체 사이에 넣고 압착/가열하는 필름 접착제, 또한 유리
와 유리를 접착시키는 에폭시계 접착제 등이 많이 사용

① 신발용 접착제

▪ 신발은 갑피, 겉창, 중창, 안창, 월형 등 각 부품별로 재질이 다양하므로 각 재질의 특성에 맞는
접착제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데, 폴리클로로프렌계, 폴리우레탄계, 수성 폴리우레탄계 및 핫 멜트
접착제 등이 주로 사용

▪ 환경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으므로 신발용 접착제는 크게 수성화와 무용제화로 진행될 것으로 판


단.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수성 접착제 중에서 폴리우레탄계는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의 개선이 필
요하며 신발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물을 매체로 하는 접착제의 건조 시간 단축에 관한 연
구가 집중될 것

▪ 또한 수성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는 가격이 용제형 접착제에 비하여 고가이며 새로운 제품에 대한


기대로서 합성 또는 천연 라텍스계의 접착제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

▪ 무용제형 접착제는 현재 사용 중인 핫멜트계 이외에 일반 산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탄성 에폭시계


접착제, 습기 경화형 접착제 등에 대한 응용연구가 기대

▪ 개발도상국의 현지 생산 공장이 환경단체의 주 관심 대상으로 부상하면서 친환경 접착 공정의 개


발과 환경 보호 기능 제품 기술개발이 최근 시장 동향에서 가장 크게 자리 잡고 있음. 이와 동시
에 공정 구조의 혁신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접착 공정의 혁신적인 변화를 통한 생산
구조 고도화가 절실하며 공정의 획기적인 단축에 따른 인력 절감과 생산성 향상 효과를 크게 기대

② 자동차 구조용 점/접착제

▪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고 연비향상을 위해 복합재료를 사용하는 자동차 경량화가 연구되고


있으며 이들의 조립 및 대체 용접기술이 필요

▪ 차체공정에서 사용되는 접착제 특성 : (1)방청유와 press유가 부착되어 있는 유면(油⾯)접착성


(2)steel panel에 대한 방청성 (3)전착도장공정의 가열경화성

▪ 도장 공정에서 사용되는 접착제 특성 : (1)각종 전착도장면에성의 접착성 (2)도장 적합성 등의 외


관 (3) 도장 oven에서의 가열경화성

▪ 의장 조립 공정에서 사용되는 접착제 특성 : (1)각종 피착체와의 접착성 (2)상온 경화성

16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접착제를 이용해 조립된 차량은 리벳으로 고정하거나 용접된 차량보다 충돌 테스트에서 우수한 결
과를 나타내며 차체 조립에 이용되는 접착제는 자동차의 강도를 강화하고, 이음부위를 밀폐하며,
용접 횟수를 줄이고, 부식을 방지하는 등 여러 장점을 제공. 이외에도 차체 및 조립라인에서 사용
되는 특수한 접착제들은 소음을 줄이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함

▪ 기존에 유성 접착제로 사용되던 천장재, 문짝, 바닥재 등이 냄새문제 등으로 인한 소비자 불만과
환경 문제가 제기 되면서 많은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일부 적용되고 있는 유성 접착제를
핫멜트계 접착제로 대체 중

▪ 그 결과 접착력, 작업성, 냄새 부분에서 긍정적이나 자동차 천정, 트렁크 등 접착에서 내열성, 오


픈 타임 등의 문제가 있어 기존 유성접착제와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이러한 물성을 해결하는
것이 하나의 과제

▪ 자동차 용도에서의 종류별 출하량을 보면 수년 전에 비해 반응형 접착제 (9.6%), 핫멜트형 접착


제 (5.2%), 감압형 접착제 (10.6%)의 비율이 많이 높아지고 있으며, 용제형 접착제 (9.4%)의
비율이 감소되고 있는 추세

▪ 자동차 내장용 접착제의 사용부위는 인스톨먼트 패널, 도어 트림, 천정, 좌석 시트, 필러 트림 등


다양하며, 사용되는 접착제의 종류도 여러 가지이지만 아직 용제형 접착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음

▪ 환경 및 리사이클링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접착제가 리사이클링을 어렵게 하는 접합물을 발생시킬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금후에는 이러한 관점을 고려하여 자동차의 리사이클링이 곤란하지 않도록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점/접착제의 개발이 요구

③ 합판/목공용

▪ 점/접착제 분야에서 대표적인 저가제품 군으로, 합판용의 경우에는 합판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에서
직접 포름알데히드 접착제를 제조해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기술 경향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음

▪ 제품군이 매우 저가이기 때문에 제품 자체의 기능향상 보다는 제품을 적용해서 합판을 제조하는 과정
에서 필요한 기능(경화시간 / 강도 / 내수접 착력 / 친화경성 등)을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유화 제조의 필수 성분인 유화제를 구성하는 원료 중의 하나인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APEOs) 성


분과 가소제의 한 종류인 Phthalate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품을 제조하여 환경호르몬 문제에
서도 자유로운 접착제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목/가구 가공 생산업체의 생산기지가 거의 대부분 해외로 이전 하여 양적으로는 사양산업화 되고


있어 국내 접착제 생산업체들이 보다 고기능화를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지 않는 분야 중에 하나

④ 토목/건축용 접착제

▪ 이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무기계 접착제인 시멘트이나 현재 접착제 분류 에는 포함시


키지 않고 있음. 내외장재의 종류에 따라서 사용되는 접착제의 유형이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특
정 계열의 접착제만을 거론 할 수가 없음

169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 내장재까지 고려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 중의 하나인 에멀젼 접착제는 아크릴계와 EVA계 그


리고 초산비닐계이며, 바닥용 접착제로는 에폭시계, 에멀젼계, 충전 등의 목적으로는 여러 가지 종
류의 실란트가 사용되고 있음

▪ 실란트의 경우에는 그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고 각각 건축물이라는 용


도에 사용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물성이 있어 실제적으로 소비자들의 불만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단, 수요에 비해서 과잉의 공급 설비를 갖추고 있는 중소 업체들과 그 원료
를 공급하면서 최종제품을 동시에 생산하는 업체 간에 시장경쟁이 치열하여 중소 제조업체들이 많
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

▪ 타일용 접착제는 2004년 이후 건축물 내외장재에 각종 타일이 많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그 수요


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최근에는 타일의 종류가 보다 더 크고 다양화 되면서 접착제에 대한 요구
성능도 많이 강화되고 있음. 국내에서는 타일 본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유럽과 아시아 다른
지역에서는 분말형태의 타일용 접착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국내도 분말형태의 타일용 접착제
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 국내 타일 접착제 개발 동향은 자기질, 폴리싱 타일과 같은 비흡수성 타일, 대형 타일, 인조석 시


공경향의 확산에 따라 강한 접착력과 고 내수성 갖는 타일 본드와 타일 접착제가 개발되고 있음.
이들은 다양한 조건에서의 시공으로 신뢰성, 안정성, 효율성, 경제성을 만족하고 다양한 작업조건
(하지면, 타일 종류 등)에 적용하기 위해 고품질의 고분자를 사용하거나, 변성 몰탈 형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 해외 타일 접착제 개발 동향은 그 공법의 변화에 영향을 받고 있는데, 떠붙임 공법에서 압착 공법


으로 전환됨에 따라 엄격하고 자세한 시험 규격 설정되고, 접착성, 변형성, 유연성이 우수한 고분
자 변성 몰탈 일반화 되어 있음. 유럽, 미주 등에서는 타일 접착제 기술 완성단계이며 소비량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중국 등 개도국에서는 고품질 제품개발 초기 단계를 나타내고 있음

⑤ UV 경화형 접착제

▪ UV 접착제는 고기능성을 보유해 50% 이상이 전기/전자용으로 사용되며 5%는 자동 차 부품용,


45%는 의료용 기구 및 가전제품 등 산업용으로 투입. UV 접착제는 크게 UV 아크릴, UV 에폭
시, UV 우레탄, UV 실리콘 등으로 구분되며 렌즈 및 유리 등의 투명성이 요구되는 제품에는 아
크릴이 사용되고, DVD 등 충격완화를 위한 제품에는 실리콘이 사용되며, PDP, LCD 등 전자제품
및 자동차에는 주로 에폭시 사용

▪ UV 접착제 생산기업 대부분이 전기/전자 시장에 주력함에 따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다만, 중
국, 인디아,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휴대폰 수요가 무궁무진해 2020년까지 안정적인 성장세를
구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UV 접착제의 수요 전망도 밝아지고 있음. EU에서 휴대폰 유해물질
관련 환경규제를 강요하고 있어 UV 접착제 생산기업들은 환경안전성을 최우선시하고 있음

▪ 국내 기업들이 생산하는 UV 접착제는 용제가 함유돼 있어 환경규제에서 자유롭지 못하지만 헨켈


록타이트 등 글로벌 기업들은 100% 무용제로 경쟁력을 확보 하고 있음

▪ UV 경화형 접착제의 특징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10-30초 이내에 경화시킬 수 있는 속경화성을


나타내며, 1액형으로 라이프사이클이 길기 때문에 자동 도포가 용이하여 접착 작업을 조립 공정
중에 도입할 수 있으며, 또한 세트 타임이 짧아 압착 조건을 낮출 수 있다는 것

17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종래의 액정 패널은 실링용으로 2액 혹은 1액형 에폭시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왔으나 건조로를 통


과시켜 경화시켜야 하므로 생산성이 나빠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접착제를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의 치환이 검토되고 있으며 접착제의 대폭적인 개량이 이루어져 점차 그
시장도 확대되고 있음

⑥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소재

▪ 광학(필름)용 점착제로 OCA(optically clear adhesive, 광학용 점착제)가 있으며 필름 사이에 사


용되는데 필름을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빛의 손실을 막아주어 점착제의 유무에 따라 선명도에 영
향을 주며 점착제의 굴절률 조절을 위해 고굴절 물질인 phenoxyethyl acrylate(PEA)등을 사용하
기도 함

▪ 고굴절 점착제의 사용처와 달리 projection screen에 사용 되는 렌즈에서는 저굴절의 점착제가 요


구되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렌즈는 투과된 빛의 평행 정도가 중요함. 이를 위해서는 Fresnel
렌즈와 Lenticular 렌즈 사이에 굴절률이 1.4 이하의 매질이 필요하며 1.4 이하의 굴절률을 갖는
매질은 공기, 물, 불소계 고분자 등이 있음

▪ LCD패널 점착제는 주로 편광판을 유리 기판에 붙일 때 주로 사용. 광학용 점착제는 우선 투명해


야 하며 탁도(haze)가 낮아야 하고 광학적으로 등방성이어야 하며, 환경조건의 변화에 따른 착색,
변색이 적어야 하며, 이물 및 결점이 없어야 함

▪ 터치패널에도 역시 광학용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는데, 공통적으로 높은 투과율, 낮은 탁도가 요구


되며 ITO(indium tin oxide)에 한 내부식성이 요구됨. 또한 작업 용이성 및 불량 감소를 위해 기
포 발생이 최소화 되어야 함

▪ LCD 액정 셀 실링제는 LCD 패널을 만들기 위해서는 액정 주입 후 액정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


기 위해 실링(sealing)을 해야 하는데 액정을 패널에 채우는 방식이 LCD가 대형화 되면서 액정
주입 방식에서 액정 적하공법으로 바뀌었으며 실링제의 경화 방식에 따라 열경화 수지와 UV 경화
수지로 나눌 수 있음.

▪ 열경화 수지는 주로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며 액정 적하 공법에서 주로 쓰이는 UV 경화 수지는 경


화시간이 빠를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해 유리 기판이 팽창하는 것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접착의 정
밀도를 높일 수 있음. 하지만 배선의 단차로 인해 그늘진 곳의 미경화의 문제점도 있음. 이는 후
열처리로 내부 경화를 통해 해결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UV 경화형 실링제는 완전 경화 전에
액정과 접촉하고, 액정이 흐르지 않게 댐 역할을 해야 하므로 요구되는 조건은 액정과의 작용이
없어야 하고, 점도가 높아야 함

▪ 일반적으로 점/접착성만을 요구했던 것과는 달리 초박형화, 대형화되는 디스플레이 분야에 적용하


면서 광학특성 및 고기능성이 요구되었으며 디스플레이 공정 중에 점/접착제의 사용량은 적으나
제품의 불량률 및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며 또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개발함에 있어서
각 조건에 따라 점/접착력이 달라지는 제품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음

171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⑦ 의료용 접착제

▪ 외과수술 시 창상부의 폐쇄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의료용 접착


제가 개발되어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의료용 접착제는 창상부를 폐쇄하는 용도에 한정하
지 않고 혈관으로부터 혈액의 침출을 억제하기 위한 지혈제, 폐로부터 공기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란트, 또는 세포와 혼합하여 환부에 인젝션하기 위한 세포이식용 재료 등으로 사용되고 있음

▪ 이들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접착제의 특성은 약간 다르지만 의료용 접착제는 체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조직, 장기 표면에 대한 접착성 외에 무독성, 생체친화성이 높고, 간편하게 사용 가능 등의
특성이 요구

▪ 이미 임상 응용되고 있는 의료용 접착제로는 cyanoacrylate계, 우레탄계, 바이오폴리머-알데히드계


및 피브린계 접착제가 있으나 이들 임상에 사용되고 있는 의료용 접착제조차도 요구되는 특성을
충분히 만족한다고는 말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의료용 접착제의 개발이 요망

▪ Cyanoacrylate 접착제는 경화속도가 빠르고,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지만 경화물이 매우 견고하기


때문에 연조직과의 역학적 특성이 달라짐. 또한 중합 후의 cyanoacrylate 폴리머의 가수분해로
포름알데히드가 생성하여 염증반응이 일어나므로 cyanoacrylate 접착제는 성형외과수술 등에 사용
하는 피부용으로 한정

▪ 양 말단에 Isocyanate기가 도입된 폴리에테르계 불소함유 우레탄 프리폴리머로 된 재료가 개발되


어 있음. 이소시아네이트기는 단백질의 아미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에 연조
직과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물에 의해 분해를 받는 것으로 탄산가스를
발생하는 특징이 있음. 접착제 경화물은 혈관조직과의 역학적 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

▪ 바이오폴리머-알데히드계 접착제의 대표적인 예로 젤라틴-레조르신 글루타알데히드(GRF) 글루가


있으며 이 접착제는 젤라틴과 레조르신의 혼합용액에 포름알데히드를 첨가함으로 경화, 접착함.
GRF글루는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지만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독성이 지적되어 적용범위가 좁아지
고 있음

▪ 피브린(Fibrin)계 접착제는 피브리노겐의 트롬빈에 의한 중합반응을 이용한 접착제이며, 현재 이용


되고 있는 접착 지혈제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음. 현재 2액계나 시트상 등 다양한 제품이 일
본, 미국, 유럽, 캐나다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피브린계 접착제는 모든 구성성분이 생체 유래 재
료로 생체친화성은 높지만 접착강도가 낮기 때문에 접착제로가 아니라 주로 실란트나 외과수술시
의 유착방지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17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공급망 관점

 접착 소재의 원소재는 수지(resin), 용제, 첨가제 등으로 구성되며, 접착 소재로는 수지계 접착


제로 열경화성 접착제와 열가소성 접착제가 있으며 공급망에 따라 세부 기술이 구분

▪ 그 밖에 고무계 접착제와 혼합계 접착제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세부 제품별, 용도별로 매


우 다양한 접착제가 개발되고 있고 수지계 접착제가 가장 많이 사용

▪ 점착제 분야도 수용성, 용제형 아크릴, 합성고무로 구분

▪ 소재 분야에는 다양한 피소지물의 적합성 및 경화 제어기술 등이 요구되고 있으며, 후처리 기술은


착색, 연마, 표면재료 증착 기술 등이 요구

[ 접착 소재의 분류 관점의 범위 ]

대분야 중분야 세부 제품 및 기술

요소계, 멜라닌계, 페놀계, 불포화 폴리에스터계, 에폭시계,


열경화성
레소시놀계, 푸란계

수지계
초산비닐계, 폴리비닐알콜계, 염화비닐계,
열가소성 폴리비닐아세틸계, 아크릴계, 포화폴리에스터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점/접착 소재 부타디엔계, 니트릴계, 부틸계, 실리콘계, 폴리클로프렌계,


고무계 스티렌
에틸계

페놀릭비닐계, 페놀릭클로로프렌계, 페놀릭니트릴계

혼합계

에폭시 폴리아미드계, 나트릴고무 에폭시계

173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2. 산업환경분석

가.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징

 점/접착 소재산업은 기술 및 자본 집약적인 산업이며, 특히 원재료의 합성, 배합기술과 기능성


및 적용 등이 중소기업 주도의 산업 특성으로 존재

 우리의 생활주변이나 산업현장에서 점착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현재 점/접착제 산업


은 고기능성을 지니며 환경 친화적인 제품의 개발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점/접착제는 형
태에 따라 용제형, 합성고무 및 수용성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점/접착제를 이용한 제품
들은 라벨, 점착테이프, 보호필름용 등 용도가 매우 많음. 이처럼 점/접착제품의 이용이 다양함
에 따라 점/접착제의 다양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넓은 분야에 적용되어 지고 있음

▪ 그러나 국내 실내 공기질 관리법 외에도 EU에서 실시하고 있는 Reach 제도 등에 따라 점/접착제


및 사용된 상품 등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유해 물질의 등록 및 허가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며
이는 유럽 수출 외에도 전 세계적인 경향이기 때문에 친환경 물질을 사용한 원자재의 개발이 국내
에서도 필요한 상황

 점/접착제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로 과거 공급의 문제 그리고 다기능화, 경량화, 고기능화 등의


문제들이 점차 개선됨에 따라 선진국 등에서 이미 이슈화 되고 있는 친환경 및 에너지, 자원
분야에 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

▪ 점/접착제 분야에서 각종 환경마크 제도가 시행중이며 이에 따른 전반적인 자동차, 건설, 포장 등


의 다양한 분야에서 접착제의 친환경성이 대두되며 고무계 아미노 수지 제형 우레탄 제형, 에폭시
제형 및 아크릴 등의 제품이 무용제화 및 수성화 되어가는 추세

▪ 수계 제품에 있어서도 인체 유해 물질인 VOC 및 포름알데히드, 환경 호르몬 물질인 phthalate, Alkyl


phenol 첨가제 등을 최소화 하고 잔류 모노머 등을 처리 하는 방법 등이 모색 중이고 더 나아가서는 천
연 수지와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의 응용 등과 같은 다양한 각도에서 환경 기술이 필요시 되고 있음

 친환경 이슈에 따른 각종 규제 및 신기술 요구에 따라 최근 고기능 복합성능 점/접착소재 분야


시장의 큰 성장이 기대 되고 있으나, 관련분야 핵심 기술 및 제품의 상당 부분은 선진국으로부
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고, 기술의 종속성이 심화되고 있음

 후방 산업에 속하는 수지, 고분자 점/접착제의 원료, 합성/배합기술 등은 기술 종속성이 너무


크고 로열티 부담이 가중되어 국산화 잠재력이 큰 분야이며, 타산업과의 융복합적인 경쟁력이
있어야 대외 기술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산업

 라벨(labels), 테이프(tapes)와 보호필름(protective film)등 크게 세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


지만, 봉투, 우표, 포스트잇 등과 같은 간단한 것에서 부터 바이오전극(bioelectrodes), 의료용
점/접착제, 나노기술 등과 같은 매우 정밀을 요하는 것 까지,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하고 새로운 점/접착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17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점/접착제의 분류와 응용 범위 ]

 최근에는 점/접착제 관련 기술개발과 유가하락에 따른 원료의 가격하락에 힘입어 산업용, 자동


차, 의료, 항공, 금속 및 가정용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음
▪ 점/접착제로 인해서 발생될 수 있는 환경문제는 용제형 접착제의 사용에 따른 휘발성 유기용제 발
생, 점/접착제 내에 있는 미 반응된 단량체와 여러 첨가물질의 휘발 및 유해성 등이 있으며 이러
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광경화형, 수용성형, 핫멜트형 등의 무용제형의 점/접착소재가 개
발 되고 있음

(2) 산업의 구조

 전방 및 후방 모두에 산업파급 효과가 큰 수준이며, 국내 점/접착 기술은 성숙기 단계로, 일부


중견기업, 대기업을 중심으로 부품산업 분야에서 점차 상용화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형태

[ 점/접착제 분야 산업구조 ]

후방산업 접착 소재산업 전방산업

모노머, 수지, 용제, 촉매, 경화제, 소재별, 용도별, 기능성 소재, 자동차, 에너지, 포장, 제지, 조선,
가소제, 충진제, 첨가제, 접착기술, 고분자 접착제 제조기술, 전기/전자, 생활용품, 주택, 토목 및
특수접착제, 중합기술, 배합기술, 친환경 접착제, 물리화학적 접착제, 건축재료, 군사 및 의료 시스템,
접착기술, 경화기술, 부품 장비 신발용 접착제 신발산업, 금속산업

 전방산업은 생활용, 가전, 자동차, 인공 뼈, 치과보형물 등의 의료용 생체조직의 의료용, 산업


용, 우주/항공, 공공·국방, 주택, 건축/토목 및 조선 분야 등이 존재

▪ 점/접착 소재 사용 전방산업에서 2015년 현재 기술 비중이 높은 형태로는 수용성 기술이

175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67.70%로 가장 높으며, 반응형 기술 12.65%, 핫 멜트형 기술 9.92%, 용제형 기술 9.73% 순


으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수용성 기술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

 후방산업은 수지, 모노머, 첨가제 등의 정밀화학 소재 분야와 제품 제조를 위한 배합/합성 기


술, 점/접착기술과 경화기술 및 부품 장비 분야로 구성

[ 전방산업에서의 점/접착제 형태 비중 ]

구분 수용성 용제형 핫멜트형 반응형

이용률(%) 67.70 9.73 9.92 12.65

* 자료: Technavio(2015); Global adhesives and sealent Market 2016-2020

나. 경쟁환경

 기존의 소재들을 이용한 새로운 소재 개발 및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점/접착제의 사


용량과 그 응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MarketsandMarkets.com의 최근 보고서에 의
하면 2018년 점착제 세계시장규모는 제품의 경량화, 새로운 응용 개발, 라벨 및 테이프 수요
증가, 지속적 연구개발 등에 힘입어 약 8.4 billion 달러로 전망

▪ 점/접착제 제조사들이 수직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그들의 필요에 따라 자신들의 점/접착제를


직접 제조 또는 고분자 자체만 생산하기도 하면서, 제품공급의 조절과 비용절감 뿐만 아니라 시장
내에서의 제품차별화 전략을 하고 있음

▪ 매체로 용제가 아닌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건강과 환경문제에 대한 영향이 적고, 최근에 환경규
제가 강화됨에 따라 에멀젼 중합형 점/접착제에 대한 관한 관심이 증가 되고 있음

 최근 화학물질에 의한 환경파괴나 인체에 대한 영향이 크게 대두 되면서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환경부하 물질이나 유해화학 물질을 지정하여 제조과정, 취급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법령이나 규제에 의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음

▪ 최근 국내에서 실내 공기질 관련법이 시행되어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화학 물질에 대한 관심


이 그 어느 때 보다도 크게 증가하는 등 사회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소재를 활용하는 점/접착소재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광경화형, 수용성형, 핫멜트형 등의 무용제형의 점/접착소재가


개발 되고 있음

 Market Tracking International에 따르면, 메이저 기업(Henkel, Dexter Adhesives, 3M,


Avery Dennison, National Starch, HB Fuller등)들이 전 세계 점/접착제 시장의 절반을 차지
하고 있음

▪ 수성형 점/접착제는 전체 시장의 4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라벨시장은 75%로 시장을 주


도하며, 테이프 시장은 30% 규모 정도임

17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국내 점/접착제 시장도 급속히 성장하고 있지만, 주요 소재, 장비 및 핵심기술 대부분을 수입


에 의존

 광경화 시스템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상온에서 국소부분에 조사하


여 짧은 시간에 경화가 가능하고 에너지절감과 무용제화를 통한 공해문제 해결이 가능하며 원
료의 손실 없이 100% 고형분을 얻을 수 있음

▪ 이러한 장점으로 인쇄용 잉크, 금속 및 목제의 코팅, 점/접착제, 그래픽아트, 포토레지스트, 전기/
전자산업, 치과용 재료 및 콘택트렌즈와 같은 의료 등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음

 국내 점/접착제 공급업체는 주로 저가 산업용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 중견기업들임

▪ 일반용 제품의 국내업체간의 가격 낮추기 경쟁은 이제 그만하고 외국계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는 고기


능성-고부가가치 제품과 관련 된 제품의 개발을 위해서 접착제 업계의 노력과 국가의 지원이 절실

[ The global pressure-sensitive market value chain diagram ]

177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 주요 경쟁업체 종합 ]

공급망 단계 점/접착제

주요 내용 원 소재 점/접착제 기능성

resin, 첨가제, 유성, 촉매, solvent, additive, dispersant,


주요 제품/기술 자동차용/선박용/산업용/방화용/건축용/목공용/바닥재용/코일코팅용/친환경 접착제, 대전방지,
내화, 차열, UV경화, 불연/난연, 전자재료, 반도체 등

DoW, Dupont, Henkel, 3M, ECCO, DoW, Dupont,


3M, DoW, Dupont, Henkel,
Mitsui Toatsu Chem Henkel, Seikoh Chemicals,
Mitsui Toatsu Chem Inc.,
Inc.,Beta(인도), Yue Yuen Mitsui Toatsu Chem Inc.,
Ube, Henkel(독일), Loctite
Industrial (중국), Loctite Florsheim, 풋테크,
Bostik(프랑스), Rohm &
BAJWA(인도), Tilement Co., BAJWA(인도),
Haas(미국), Fuller(미국),
ATLAS(독일), Yamato, ATLAS(독일), Shinko Gosei
3M(미국), 고니시(일본), 세
Hilayi(중국), Tajima Inc. Hilayi(중국), Sunrise MSI
메다인(일본), BASF, ALTECO,
Henkel(독일), Henkel(독일),
하리마화성, 아이카공업, Burak
해외 기업 Bostik(프랑스), ALTECO Bostik(프랑스),
Ozberk, Asahi Bond,
Rohm & Haas(미국), Rohm & Haas(미국),
Cemedine, Chuo Rika
Fuller(미국), National Starch Fuller(미국),
Kogyo, Daikyo Co., Ganz
& Chemical, Revertex 3M(미국), Tohpe Co.,
Chemical, KANAE Chemicals,
Finewaters, Tsurumi 고니시(일본), Alpha Beta
MITSUI CHEMICALS,
Chemical, Sunrise MSI Enterprise, Revertex
Nichigo-Mowinyl, Hitachi
고니시(일본), TOLI Co., Finewaters, Tsurumi
Kasei Polymer Co., Nichibei
세메다인(일본), 바커케미칼, Chemical, Unique Co., Ltd.
Resin Co., Ltd.
Avery Dennison 세메다인(일본)

효성, KCC, LG화학,


강남화성, LG화학, 국도화학, 오공, 아팩, 대양, 성신신소재,
화승, 기풍, 대성화학, 대양고무,
SK케미칼, 부림케미칼 금풍실업, 재성, 원익큐브, 보광,
오공
동부한농화학, 럭키실리콘, 합성양행, 쌍곰
동광산업, 삼경화학,
동성NSC, 명광화학, 도광, 성우화학, 성일,
보승산업, 유니크,
수산고분자, 동일폴리머, 혁성산업, 태영실업,
천일실업, 세일화학,
계림화학, 정원화학, KDP, 송림산업, 삼우화공,
태경, 강남화성, 계림화학,
영은, 나눅스, 중앙폴리텍, 삼정산업, 세일하이텍,
정원화학, 엘케이켐
연방산업, 대흥특수화학, 거명, 적수물산, 켐트로스, 임덕화학,
KDP, 영은, 나눅스,
대흥화학공업, 동양하이폴산업, 협진, 세창화학, 블루폴리텍,
중앙폴리텍, 영은,
미유화학, 켐베이스, OCI 대현에스티, 케미콘, 진광,
이녹스, 연방산업, 진흥화학,
국내 기업 세왕화학, 대광고분자, 탑프라, 지에스모아, 삼원,
정도화성, 태광순약, 대성화학,
동양실리콘, 칠성고분자, 세계화학공업, 효성,
대양고무, 영일화성
송원산업, 동서화학공업, 제이에스켐, 에이앤지,
동광산업, 삼경화학,
삼영잉크페인트, 아성소재, 동성하이켐, 코오롱인더스트리,
보승산업, 유니크,
대흥수지, 대흥특수화학, 누리켐, 애니씰텍, 세창화학,
천일실업, 덕성화학, 명성산업
삼우화공, 태경폴리머, 대륭기업, 덕성하이텍,
대흥특수화학, 대진화학
씨엔에이텍, 경동실업, 에스디비, 거원기술,
신성화학공업, 신성유화
경호화학, 근원통상, 극동화학, 대한케미칼, 삼표화학, 거명,
영진물산, 대지실업, 보광
남도화성, 다락, 대길화학, 재성, 우인, 부림, 노바켐텍,
한국캐미칼, 켐트로스,
대주정밀화학, 덕성화학, 동덕, 동성화학, 동우산업,
임덕화학, 보광, 아팩, 삼원,
시그마켐, 영은, 헵스켐 세왕화학, 아인케미칼
대호에이티, 일신화학,

17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전후방산업 환경

 점/접착제는 수지, 용매, 촉매, 경화제, 첨가제 등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배합하여 제조


하며, 그 자체가 최종 사용하기 위한 제품이라기보다는 주로 최종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보조재
혹은 소재로 사용하고 있음. 따라서 점/접착제도 최종제품의 변화 요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개량/개발

 점/접착제 산업은 전자, 우주/항공, 자동차, 의료, 건축/토목 등 전통 산업에 재도약 기회를 제
공할 것이고, 기술 집약형 산업구조화에 기여

 점/접착제 산업은 독자적인 산업으로 발전할 뿐만 아니라 전통 산업 등, 관련 산업과 연계하여


발전하므로 전/후방 산업을 연계시키는 매우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함

 접착제는 성분별, 경화방법별, 형태별, 사용조건별, 용도별 및 기능별 등으로 구분되어야 하는


다양성으로 인해, 산업의 특성 상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으로 생산되고, 수요 면에서는 소비규
모는 적음에도 다양한 환경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제품공급과 기술서비스까지 요구되고 있음

 한국의 접착제 수출은, 전자, 항공, 광 관련 산업 등 첨단산업 의 발전에 힘입어 고기능성 접착


제를 수출하는 세계 접착제 시장과는 달리 범용제품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수
입 증가율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음

 접합강도의 재현성, 경화시간의 소요, 내열성의 한계, 내구성의 불명확, 탈착 및 비파괴시험의


어려움 등 결점의 대부분을 접착제의 선정이나 작업조건의 확립 등으로 해결할 수 있다면 접착
은 어떤 다른 수법보다도 가장 유력한 방법이 될 수 있으며, 결점들은 접착제 산업의 발전에
기회가 될 것임

 환경규제 대상인 휘발성물질을 배제 또는 대체할 수 있는 접착성소재의 무용제화 및 수성화 기


술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 접착제 산업의 변화 ­ 화학기술 패러다임의 변화 ]

179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 후방산업에 속하는 수지, 고분자 접착제의 원료, 합성/배합기술 등은 기술 종속성이 너무 크고


royalty 부담이 가중되어 국산화 잠재력이 큰 분야이며, 타산업과의 융복합적인 경쟁력이 있어
야 대외 기술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산업

 국내 접착제 시장의 경우 매우 영세한 기업들에 의해 영위되고 있으며, 사업정리 및 신규진입


이 활발한 가운데 소규모 시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임. 특히, 신발용 접착제의 국내에서
의 외풍이 거세짐. Henkel이 2012년 National Starch 사업부를 인수하고 산하에 있는 동성
NSC의 신발용 접착제를 인수하여 다각화하고 있음

 접착성소재의 고기능화를 통한 공정 및 환경 개선과 더 나아가 피착제의 경량화는 국내 주력산


업(자동차, 전자, 조선 등)의 고 효율화 및 저탄소 녹색성장을 이룩하는 큰 수단이 될 것

 점/접착제 산업은 소재 기반이기 때문에, 소재 기술이 발전되는 과정에서 제조기업의 설계 역


량은 더욱 강조될 것임. 따라서 지적재산권 보호가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한편, 지적재산권에 대한 과도한 보호 요구는 지적재산의 권리성에 대한 논의를 촉발할
가능성 예상

18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3. 시장환경분석

가. 세계시장

 2015년 TECHNAVIO의 보고서에 따르면, 점/접착 제품 관련된 직접적인 시장 외에도 서비스


시장을 포함한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며, 2015년 483억 달러, 5.06%의 CAGR로 618억 달
러 규모로 성장이 전망됨

 최근 기술발전에 힘입어 일반 산업분야, 자동차, 소비재, 의료, 항공 등 다양한 응용 확대가 기


대되어 급속한 시장 확대 전망

[ 세계 점/접착제 시장규모 및 전망 ]

[ 세계 점/접착제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십억달러)
성장률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

세계시장 48.30 50.69 53.21 55.90 58.76 61.82 5.06

* 자료: TECHNAVIO.com(2015)

 세계 점/접착제 시장은 미국과 유럽의 거대 다국적기업이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지만 고도의 기술을 보유한 일본기업들이 맹렬히 그 뒤를 좇는 형태이며, 다시 한국,
대만, 중국 등 동아시아 기업들이 일본 기업을 뒤쫓아 가는 양상

▪ 주요 점/접착제 회사로는 H.B Fuller, 3M, R&H, GE, Hexion 등이며 대부분 거대 다국적 기업들임

 과학기술과 산업의 발전으로 재료의 다양성이 요구되고, 기존의 단일 소재만으로는 이런 요구를 충분


히 만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기존의 소재들을 이용한 새로운 소재 개발 및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
기 위해 점·접착제의 사용량과 그 응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MarketsandMarkets의 최근
보고서에 의하면 2018년 점착제 세계시장규모는 제품의 경량화, 새로운 응용 개발, 라벨 및 테이프

181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수요증가, 지속적 연구개발 등에 힘입어 약 8.4 billion 달러로 전망

▪ 점/접착제는 많은 다른 시장들을 파고들고 있으며, 특히 라벨, 테이프, 그래픽아트, 의료용 분야


쪽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전통방식의 접착을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마감 응용에 이용된다. 이러
한 시장으로의 침투는 점/접착제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징과 장점 때문이며, 앞으로 계속 새로
운 응용 시장들이 만들어 질 것으로 예상

 2015년 현재 세계적으로 VOCs free 화의 기술로서 개발된 친환경 접착제는 수용성형과 에멀


젼형으로 구성된 수계접착제가 67.70 %, 핫멜트형이 9.92 %와 반응 경화형이 12.65 %의
용제형이 9.73 %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음

▪ 2020년 예상치로서 수계접착제가 72.27%, 핫멜트형이 9.38 %와 반응 경화형이 10.92 %의


용제형이 8.43%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할 것으로 예측 됨

[ 2015 전 세계 점/접착제 시장의 기술 분류 ]

[ 2020년 지역별 예상 점유율 ]

18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해외 동향) 주요 선진국(미국, EU 등)들이 주도,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을 위한 기술개발 집중


투자 중이며, 서비스 시장 확대 전망

▪ 미국, 일본, EU, 중국 등 주요 국가가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장비기술 보유업체가 소재기술도
동시 보유

 점/접착제의 핵심인 원 소재 시장을 보면, 산업용이 대부분이며 미국, 일본, 독일 등 기술 선도


국가가 가장 큰 시장을 형성

 에너지 소비가 커지고 건조 조건에 의한 물성 변화가 야기되는 등의 용제형 및 수용성형의 문제


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무용제형인 광경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큰 관심을 받고 있음

▪ 광경화 시스템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상온에서 국소부분에 조사하여


짧은 시간에 경화가 가능하고 에너지절감과 무용제화를 통한 공해문제 해결이 가능하며 원료의 손
실 없이 100% 고형분을 얻을 수 있음

▪ 이러한 장점으로 인쇄용 잉크, 금속 및 목제의 코팅, 점/접착제, 그래픽아트, 포토레지스트, 전기/
전자, 치과 재료 및 의료 등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음

▪ 광중합 메커니즘에 따라 자유라디칼 광중합(free radical photopolymerization)과 양이온중합


(cationic photopolymerization)으로 나눌 수 있고, 자유라디칼 광중합이 현재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 되어 오고 있음

 일본의 2013년 점/접착제 시장은 2,660억 엔이었음. 반응형이 시장의 34 %를 차지하고, 핫멜트
형이 26 %로 나타나며 반응형은 사용량이 많은 건축 및 토목, 일렉트로닉스, 자동차, 차량분야에
서 이용되어 접착강도, 경화속도, 유연성, 무황변 등의 성능을 제어하기 쉬운 것이 특징. 우레탄계,
실리콘계, 에폭시계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3개 품목에서 반응형의 70 %를 차지하고 있음

▪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반응형)시장은 2013년 159억 엔이었음. 토목, 건축, 자동차, 차량, 일렉트
로닉스 등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소비량이 가장 많은 토목, 건축분야에서는 공공사업
의 축소 및 소비세 개정 후의 주택 착공수의 감소로 신축에서의 수요는 감소하였지만, 노후시설의
보강 및 보수, 주택리폼 등 유지관리 수요가 시장을 지지

▪ 탄성 중합체계 핫멜트형 접착제 시장은 2013년 252억 엔이었음. 신축성이 있어 성인, 어린이용
기저귀 및 냅킨 등 위생재용이 중심이며, 그것이 고령자, 간호용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
이 확대되고 있음. 최근에는 중국 및 아시아를 중심으로 고품질의 일본제 기저귀의 수출이 높아져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이외의 분야에서는 주택 외벽용 실링 및 단열재용 등 토목, 건축분야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 자


동차, 차량분야는 헤드라이트 및 테일 램프 등의 실링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내수성 및 보수 시
의 resealing성을 높인 제품에서 채용이 확대되고 있음

▪ 우레탄계 반응형 핫멜트형 접착제(핫멜트형)시장은 2013년에 45억 엔이었음. 주택 건축자재 및


가구용 합판 및 목공분야에서 수요가 있으며, 2013년은 소비세 개정 전의 주택착공 건수의 증가
및 최근 탈용제화 니즈 등도 증가하여 시장은 크게 확대되었으며 앞으로는 주택 착공건수의 감소
가 예상되지만, 건축 및 섬유분야에서 탈용제화의 움직임이 높아졌으며, 폐수처리 능력 및 생산성
때문에 에멀전형 접착제로부터의 전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임

183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 그 이외의 분야에서는 내구성의 높이 및 고속경화성 등이 평가되어 자동차, 차량분야에서 주로 좌


석시트 및 도어 내장재의 접착에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최근에는 라이트의 실링용에서 일부 일본
계 제조사는 방습성을 높인 탄성중합체계 핫멜트형 접착제의 사용사례가 많지만, 해외 제조사는
접착강도에 중점을 둔 우레탄 수지계 반응형 핫멜트형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음. 앞으로 일본계 자
동차 제조사에서도 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 메탈로센(metallocene) PO계 핫멜트형 접착제(핫멜트형) 시장은 2013년 37억 엔이었음. 박스의


봉합 등 포장용 EVA 수지계 핫멜트형 접착제의 대체가 진행되고 있으며, 매년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 열안정성의 높이로부터 탄화물의 발생이 억제되어 접착제를 사용하는 측의 생산라인에서 어
플리게이터의 노즐 막힘에 의한 라인 정지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총 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 그리고 내열성도 높기 때문에 식품 조미료 등 고온상태에서 박스에 포장
되는 경우에도 접착불량의 억제가 가능하게 됨

 후지경제의 UV 경화 수지와 레지스트의 2018년 세계 시장 전망(2013년 대비)

▪ UV 경화형 제품 : 8,194억 엔(31.7 % 증가), 잉크, 접착제가 견인

▪ 레지스트 관련 제품 : 5,357억 엔(11.0 % 증가), 반도체 레지스트 ArF용이 견인

▪ 주목시장으로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시장으로 2013년 722억 엔, 2018년 예측 790억 엔,


2013년 대비 109.4 % 성장을 예측.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는 밀착성, 속건성, 색재현성이 뛰
어나 유리, 금속판, 플라스틱, 목판 같은 흡수 재료에 대한 인쇄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어, 산업
용도로 채용이 많을 것임.

▪ 2013년의 시장은 전년 대비 3.1 % 증가한 722억 엔이었으며 일본에서는 대부분 대량의 인쇄는
가격이 싼 용제 잉크가 주류로,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의 수요는 한정. 그러나 구미에서는 고속,
대형의 프린터가 보급되고 있고, 최근에는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에서도 채용되고 있음.

▪ 특히, 중국에서는 구미에 수출하는 인쇄물로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가 보급되었고, 다른 신흥국에
서도 상황은 용제 잉크가 주류이지만, 인쇄 시장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상당한 수요를 기대할 수
있다.신흥국에서의 수요 확대에 의해 2018년의 시장은 2013년 대비 9.4 % 증가한 790억 엔으
로 예측

 점/접착제 공급업체는 소수의 선두기업들이 시장의 약 70 %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공급업


체가 직접 소재 개발을 통해 소재 공급까지 주도하고 있는 상황

18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국내시장

 국내 점․접착제 시장은 2014년 기준 약 60만 톤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시장 비중이 포름알데


히드 33%, 용제형 5%, 수성형 34%, 핫멜트 4%, 반응형 6%, 점착제 12%, 기타 6%로
나타나고 있음

▪ 범용 접착제는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나 국내 생산량의 약 70 % 정도가 건축․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고 있어 건설업의 경기 동향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국내기업이 장악하고 있
는 범용 접착제 시장은 건설경기 침체로 수익성이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음

[ 국내 점/접착제 시장 전망(2010-2019) ]

 일부 중소/벤처기업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 상용화 초기 단계 진입하였으나, 시


장을 선점하기에는 역부족

 국내 접착제 시장은 수요 비중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앞으로 5년간 연간 1 % 이내에서


비중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점착제 시장은 2014년 기준 아크릴계 전기․전자용
49.5 %, 아크릴계 라벨용 19 %, 아크릴계 건축․인테리어용 13 %, 아크릴계 자동차용 13
%, 실리콘계 전기․전자용 3.5 %, 기타 2 %로 구분되고 있음

▪ 특히, 전기/전자용 비중이 전체의 53 %를 차지해 전기․전자용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것


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베트남으로 생산 공장 이전을 계속하고 있고 부품을
현지 조달하는 비중을 늘리고 있어 2014년부터 수요가 하락하기 시작했으며 관련 산업의 구조적
인 변화가 계속돼 2015년에도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

▪ 전기․전자용 점착제는 국내 스마트폰에 OCR, 태블릿 PC에 OCA가 사용되는 것이 정설로 여겨져
왔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초기 모델이라 할 수 있는 <갤럭시6 엣지>에는 OCA가 채용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갤럭시 엣지6>는 아직 플라스틱이 아닌 글라스를 기판으로 사용하고 있어 굴
곡 반경이 넓고 접었다 폈다 할 수 없고 고신뢰성을 지니는 기판이 개발되지 않아 연구개발이 지
속될 필요성이 나타나고 있음

185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는 실리콘과 아크릴을 베이스로 한 하이브리드 OCA 또는 OCR이


채용될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파악

▪ 외국기업들이 장악해왔던 OCA(Optically Clear Adhesive), OCR(Optically Clear Resin), DAF(Die


Attach Film),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봉지재, 자동차 구조용 접착제 등 스페셜티
접착제 시장에서는 국내 기업들이 국산화를 시도하며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으며 기존에 Henkel
이 독점했던 자동차 구조용 접착제 시장은 유니테크, 보광, 신성유화가 개발에 뛰어들며 2015년 시
장점유율을 급격히 늘린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 점/접착 장비 또한 장비와 소재를 연계하여 판매하는 산업구조로 인해 대부분 수입

 선진국 대비 기술경쟁력이 부족하지만, 수요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성장 잠재력 보유

▪ 산발적인 지원으로 인해, 국내 기술수준은 선도국 대비 미약한 수준으로 국책사업 차원의 적극적
인 지원 시급

 점/접착제 관련 원천기술 취약, 소재 및 개발비 부족 등으로 우리 기업들의 세계시장 참여는


미진한 상황

▪ 미국, 독일 및 일본 등 글로벌 선도 기업이 핵심 원천기술을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의 원천


기술 및 제조 기술력은 미흡한 편

▪ 기능성 점/접착제 기술개발 미흡으로 관련된 기능성 응용 개발도 진행되지 않고 있어 대부분 외국


기업에 존하고 있는 상황

 범용 접착제와 비교해 국내 스페셜티 접착제 시장 규모는 작지만 고부가가치를 기대할 수 있어


LG화학, 이녹스, KCC 등 국내 기업들은 특수 접착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나 스페셜티 접착
제 중에서도 가장 핵심이 되는 High grade는 아직도 대부분 외국 기업들에 의해 공급되고 있
어 High grade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국내 스페셜티 접착제 시장 성장성(2010-2019) ]

18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무역현황

 점/접착 소재 기술의 공정기술로 품목 단위의 무역현황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어 수출품목 중 조


제 글루와 조제 접착제, 플라스틱제의 접착성 판, 쉬트, 필름, 테이프 및 변성전분 및 카세인 글루
등의 품목의 무역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수출량에 비하여 수입량이 소폭 감소하는 추세

▪ 점/접착 소재 기술의 수출현황은 ‘11년 13억 8,996만 달러에서 ’15년 19억 6,530만 달러 수준
으로 증가하였으며, 수입현황은 ‘11년 8억 5,469만 달러에서 ’15년 8억 812만 달러 수준으로 감
소하여 무역수지 흑자폭이 증가

▪ 최근 5년(‘11~’15년)간 연평균 성장률을 살펴보면 수출금액은 9.0%로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은


­1.4%로 감소하여 전체 무역수지는 2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무역특화지수는 ‘11년(0.24)부터 ’15년(0.42)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점차 수출특화상태로


국내 기업의 수출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의 조제 글루와 조제 접착제, 플
라스틱제의 접착성 판, 쉬트, 필름, 테이프 및 변성전분 및 카세인 글루 등의 제품의 해외시장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

[ 점/접착 소재 관련 무역현황 ]
(단위 : 천$)
CAGR
구분 ‘11 ‘12 ‘13 ‘14 ‘15
('11~'15)

수출금액 1,389,961 1,641,637 1,999,498 1,983,048 1,965,304 9.0%

수입금액 854,691 924,465 958,109 910,024 808,121 -1.4%

무역수지 535,270 717,172 1,041,389 1,073,024 1,157,183 21.3%

무역특화지수* 0.24 0.28 0.35 0.37 0.42

* 무역특화지수 = (상품의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으로 산출되며, 지수가 0인 경우 비교우위는 중간정도이며, 1


이면 완전 수출특화상태를 말함. 지수가 -1이면 완전 수입특화 상태로 수출물량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입만 한다는 뜻
* 자료 :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HS-Code(6자리 기준) 활용

187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4. 기술환경분석

가. 기술개발 트렌드

◳ 친환경화

 최근 화학물질에 의한 환경파괴나 인체에 대한 영향이 크게 대두 되면서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환경부하 물질이나 유해화학 물질을 지정하여 제조과정, 취급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법령이나 규제에 의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음

▪ 배출되는 대기오염원의 일종인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배출량에 대한 국제적인 환경규제가 진


행 중이며 이러한 환경규제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임

▪ 강화되고 있는 지구온난화 관련 규제 및 환경오염 관련 환경규제 대응(교토의정서, 수도권대기 관


리법, 대기환경보전법 등) 또한 매우 절실

▪ EU의 REACH 규제는 “화학물질의 등록, 평가, 인가 및 제한에 관한 이사회 규칙”으로서 기존 농


약과 의약품을 제외한 일반 화학품의 규제를 근본적으로 개정

 점/접착제 산업의 경쟁력을 환경적 요소와 결합해 시장을 만들어내는 시너지 효과 창출을 높이
며, 단축 기술 및 에너지 절감 기술, 공해물질 저감 기술 개발이 요구

▪ 향후 점/접착제 산업은 기술적으로는 고기능화 및 무용제화가 추구되고 있고, 시장적인 면에서는


종류 및 양적인 발전이 기대

▪ 일반적으로 산업체에 사용되는 점/접착제의 경우 유기용제를 많이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 친환경


점/접착 소재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종래의 유기용제를 매체로 하는 용제형에서 물을 매체로 하는
수성형과 물과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무용제형으로 상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수성 접착제, UV경화 접착제, 핫멜트형 접착제 등 환경친화형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기술적으로는
고기능화, 무용제화, 무독성화가 기대되는 동시에 이들 제품의 시장규모도 급속히 팽창할 것으로 기대

▪ 난연성 점/접착 기술 분야에서도 최근에는 환경문제가 대두 되면서 단순히 난연 효과뿐만 아니라,


환경과 인체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저유해 가스, 난연/불연화, 저부식성, 재활용 등을 겸비한
제품의 개발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음

◳ 특수 기능성 점/접착제

 점/접착 소재의 고기능화, 활용성의 확장을 위한 혁신기술개발, 가격절감 기술의 개발 을 통한


고부가가치형 산업으로 재편이 요구

▪ 점/접착제 시장의 약 75 %는 범용제품으로 채워져 있지만 기술적, 특수 제품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좋


은 마진율이 전망되고 있음. 전 세계 접착제 제품 시장에서 산업용 접착제 시장이 44 % 이상을 차지

▪ 천연유래 또는 바이오 점/접착제 개발이 활발한데 환경부하 저감과 저 가격화에도 기여하고, 이미 제


지분야에서 활용되어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를 계기로 주택내장재의 새집증후 대책용, 유리섬유
바인더 등 제지산업이외의 용도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고, 석유계 점ㆍ접착제의 대체를 목표

18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전자재료의 고정밀화, 고밀도, 고성능, 고기능화가 추진됨에 따라 정밀미세가공 조립, 신소재의 채


용, 고속자동화 생산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접착 기술은 이의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필수
불가결한 기술

▪ 내열성 접착제는 기본수지의 내열성(내열내구성, 순간내열성, 고온시 접착강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금까지 개발된 내열소재를 기본으로 복합화 함으로써 성능향상을 도모하는 연구가 활발히
전개

▪ 점/접착제의 난연화는 사용하는 무기 난연제를 나노 크기로 제조하고, 이를 core로 하는 core


shell 에멀젼 중합을 하여 무기첨가제의 난연 작용과 더불어 난연 상승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멜
라민 유도체, 인계유도체 등을 공중합 또는 첨가함으로 난연성을 높이는 연구 방향으로 활발히 진
행 되고 있음

▪ 자동차산업 분야는 조립을 위한 점착소재로서, 과거 볼트, 리벳 등의 접착기술을 대체하여 자동차 경량


화를 위해 접착제가 활용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높은 신뢰성 구현을 위해 고강도, 신뢰성 접착 소재가
활용중이며 내장재 및 다양한 플라스틱 기재 접합을 위한 신규 접착 소재의 연구가 시작되고 있음

▪ 선박에서의 친환경적 접착제 개발의 대표적인 분야는 선박용 접착제와 용제를 물로 사 용하는 수
용성 접착제 분야로 아직까지는 핵심기술 개발 및 적용기술의 부재로 인하여 현장에서의 적용 활
성화가 미비한 상황

◳ 시장 경쟁력과 원천 및 기능성 기술 확보 노력

 점/접착제 분야에서 미국, EU, 중국, 일본과의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친환경적이며
고성능의 접착제를 국내 기술로 개발하여,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차별화
된 성능을 통해 고객의 품질 만족을 극대화하는 것이 우선

▪ 고부가가치 접착아이템 집중 필요, 원천소재의 국내 기술 개발 및 확보 필요성

▪ 기능성 소재의 품질 표준화 및 품질 인증 시스템

▪ 지속적인 R&D 사업 추진 필요성과 전문 점/접착 인력양성 사업 필요

▪ 산학연의 지속적 개발 노력 및 수출 경쟁력 강화

189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 점/접착제의 트렌드와 다양한 산업의 적용 현황 ]

19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 주요 선진국(미국, EU 등)들이 주도,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을 위한 기술개발 집중 투자 중이


며, 서비스 시장 확대 전망

▪ 미국, 일본, 독일 등의 EU 등 주요 국가의 기술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기술 보유업체가 원


소재기술도 동시 보유

▪ 주요 국가별로 소비재, 전자, 자동차, 의료, 우주/항공 분야 등으로 활용범위 확대 중이며, 신규 기


능성 원천기술 개발에도 집중

[ 세계 점/접착제 산업 현황 ]

 점/접착제 관련 산업생태계는 소재와 기술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이 예상되며, 기능


성 및 서비스 기술들도 발전하고 있음

▪ 전분을 0.1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로 미립자로 만들어 미립자를 물에 용해하여 사용하는 바이
오 점/접착제가 미국 에코신데틱스에서 개발, 이미 제지분야에서 활용되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데, 이를 계기로 주택내장재의 새집증후 대책용, 유리섬유 바인더 등의 용도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고, 석유계 점/접착제의 대체를 목표

▪ 다우케미칼은 핫멜트 접착제용으로 최적화시킨 폴리머의 새로운 그레이드 제품을 출시. 폴리올레
핀 플라스토머 및 올레핀 블록코폴리머의 새로운 그레이드로 포장용품 및 위생용품용으로 개발,
포장업계에서의 요망사항인 작업성, 색·열안정성이 좋고, 접착강도가 좋은 저온접착제에 대응한 것

▪ H.B. Fuller가 핫멜트 성능을 대폭 개선하여 새로운 맞춤설계와 독점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를 출시, “Advantra Encore”의 상품명으로 제공되는 이 핫멜트 접착제는 메탈로센베이스의
포장용 접착제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유효기간 및 광범위한 서비스 온도를 제공

▪ 헨켈은 태양광·풍력이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분야와 자동차 경량화 소재 분야를 미래 성장산업으로


선정하고 이 분야의 시장에 참여 중임

191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2) 국내업체동향

 선진국 대비 기술경쟁력이 부족하지만, 수요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성장 잠재력 보유

▪ 미시적인 지원으로 인해, 국내 기술수준은 점/접착 선진국 대비 미약한 수준으로 국책사업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시급함

 소재 기술개발에 머무르지 않고, 수요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기술개발 추진 중

▪ 최근 점/접착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기 위한 산·학·연 연계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음

▪ 포스코 건설은 국내에선 처음으로 포름알데하이드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유해화학물질 방출이


0에 가까운 친환경 무기질계 타일용 접착제를 개발, 한일시멘트와 공동으로 개발한 이 접착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은 기존 아크릴계 접착제의 1000분의 1 수준(0.002 ㎎/m2h)에 불과

▪ 대상(주)이 천연 화학 소재사업에 진출, 대상은 옥수수 전분을 활용한 접착제 및 코팅제를 개발하여
2016년 까지 관련사업 매출을 1천억 원까지 끌어올린 다는 계획, 핫멜트형 접착제 ‘멜스타(MellSTA)
시리즈’는 가구제작 및 포장 위생용품 등에 많이 사용되며, 친환경적이고 접착력이 뛰어난 것이 특징으
로 기존 핫멜트 접착제 제품에 비해 보다 안정적이고 가격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음

19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기술인프라 현황

 아시아의 경우 점/접착 관련 연구센터는 2003년 설립된 Adhesives Research Singapore 등이


있으며 맞춤형 감압 접착테이프, 코팅재, 특수 필름 및 라미네이트의 개발 연구소라 할 수 있음

▪ 싱가포르 기술 센터는 미국과 아일랜드의 R&D 센터와 긴밀히 협력하여 자원 및 기술 공유를 촉


진하는 한편 혁신적인 압력에 민감한 솔루션에 대한 고객의 요구를 해결하는 제품 개발 및 사용자
정의 기능을 제공

▪ 글로벌 기업의 경우 각각의 본사 연구센터를 통하여 각 지역별 고객 요구를 수용하여 해결하는데 주력

▪ 여러 기업과 대학을 상대로 한 공용 인프라로서의 역할은 제한적

 국내 점/접착 관련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기술 및 제품교류 및 교육기관은 (사)한국접


착산업협회, 성균관대 플라즈마 응용표면 기술센터, 동국대 기능성 콜로이드소재 센터, 접착코
팅(아템, ATEM), 코팅과 접착 등의 카페 블로그, 한국생산기술원 등이 있음

 기존의 차별화된 인프라는 늦게 출발한 국내 점/접착 연구의 큰 역할을 하였고 앞으로도 기술


교류, 인증 및 실증 등에서 주도적 역할을 기대

▪ 국내 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나 활성화를 위한 지원프로그램의 확보가 필요한 상황

▪ 기존 노후 장비의 교체 및 인증을 위한 시설보완 투자와 안정적인 운영인력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 필요

▪ 접착제 기술 교육사업(한국접착산업협회) : 기간 및 횟수 : 연 2회 (상반기, 하반기)

- 접착제 기술 입문과정 : 상반기

- 중견 기술자를 위한 전문 교육과정 : 하반기

- 장소 : 중소기업인력개발원

▪ 기능성 콜로이드 이론 및 분석 실습 교육 사업

- 기간 및 횟수 : 연 2회 (상반기 : 4월, 하반기 : 9월)

- 장소 : 동국대 기능성 콜로이드소재 센터

 2015년 산자부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도 화학 산업 업종별 현


원은 407,758명으로, 2013년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업종별 부족률은 2.6
% 정도로, 2013년 대비 완화되었음

▪ 점/접착 산업군에 속하는 ‘화학·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생산기 조작원’의 부족률이 3.2 %로 가장 높았음

▪ 전국의 화공/화학 관련학과 들이 있지만 점/접착 자체에 대한 학과는 전무한 상황

▪ 연구개발에 필요한 석박사급 인력공급은 부족한 실정으로 원료 및 소재에서 이직하는 인력수급만


가능한 실정이나, 인력부족 현상이 심각

▪ 석박사급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의 개발과 기존 인프라와 연계한 실습교육을 병행하는 ‘현장기술


인력양성 프로그램’필요

193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 국내 기업이 세계시장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제품기술의 우위와 함께 표준·인증·실증분야의


인프라 형성이 중요

▪ (인증) KS보완 및 국제표준이 제정되는 것에 맞추어 성능표준에 대한 인증기관 선정 및 인증을 위


한 성능 측정장비 구축 필요

▪ (실증) 성능지표의 확인 및 신뢰성 향상 연구를 위한 ‘실증프로그램’이 필

▪ (표준) 국제 표준 설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현재 제정된 KS표준들의 개정작업도 시급

 국내 점/접착 관련 주요 기술 인프라를 분석, 시험, 제공하고 있는 공인시험분석기관으로는


KTR, KOTITI, FITI, KOPTRI, KIFLT 등이 있음

[ 점/접착제 관련 공인시험 분석기관 ]

시험분석 기관 한글명 내용

환경규제 분야, 신소재 분야 등


한국화학융합시험원 시험, 인증, 교육컨설팅
각종 고분자, 도료관련 시험분석

http://www.ktr.or.kr/

국내외 인증
환경시험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재료시험

http://www.ktl.re.kr/

시험/검사
한국건설생활환경
인증/심사
시험연구원
http://www.kcl.re.kr/ R&D

중소기업지원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산업 기술 지원
시험분석, KAS 인증서비스

http://www.kiflt.re.kr/

환경유해물질
KOTITI시험연구원 제품인증
기술지원
http://kotiti.re.kr:8081/
성분분석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 기기분석
http://www.polymer.co.kr/main.do 물성분석

19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라.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 출원동향

 점/접착 소재 기술의 지난 7년(‘10~’16) 간 출원동향11)을 살펴보면 연도별로 출원경향이 증가,


감소를 반복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점/접착 소재 관련 기술개발 활발

▪ 각 국가별로 살펴보면 일본 출원경향은 ‘12년까지 소폭 증가하다가 최근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


이고 있으며, 한국과 미국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유럽의 경우 일정한 출원건
수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국가별 출원비중을 살펴보면 일본이 43.4%로 최대 출원국으로 점/접착 소재 기술을 리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이 25.4%, 미국이 19.0%, 유럽이 12.2% 수준의 출
원비중을 보임

[ 점/접착 소재 분야 연도별 출원동향 ]

11)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재하여 2015, 2016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195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2) 국가별 출원현황

 한국 및 미국의 출원현황을 살펴보면 ‘10년 이후 꾸준히 출원이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의 출원이 점차 증가

 일본의 출원현황은 ‘12년을 기점으로 감소추세에서 증가추세로 변화하였으며, 출원인 대부분이


자국 출원으로 일본 내의 기술력이 우수한 것으로 추정

 유럽의 출원현황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출원인 대부분이 외국인
으로 자국인의 출원이 미미

[ 국가별 출원현황 ]

19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3)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 점/접착 소재 분야의 투입기술을 확인하기 위하여 특허분류코드인 IPC Code12)를 통하여 살펴


본 결과 점/접착 소재 분야의 가장 높은 IPC는 C09J 기술분야가 11298건으로 가장 많이 차
지하고 있으며, 이어서 C08G가 633건, C08L이 584건으로 다수를 차지
▪ 이외에 B32B 573건, H01L 533건, C08F 349건, C09D 208건, C08J 206건, G02B 174건,
C08K 119건 순으로 기술이 투입되어 있어 점/접착 소재 분야에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어 존재

▪ 더불어 해당 IPC의 특허인용수명을 살펴보면 C09J 및 C08F 기술분야의 수명이 9년으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H01L 기술분야는 6년으로 가장 짧은 것으로 분석

[ 점/접착 소재 분야 상위 투입기술 ]

IPC 기술내용 특허인용수명(TCT)13)

접착제; 일반적인 접착 방법(비기계적 요소);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접착


C09J 9년
방법;물질의 접착제로서의 사용

탄소-탄소 불포화결합만이 관여하는 반응 이외의 반응으로 얻는 고분자


C08G 8년
화합물

C08L 고분자 화합물의 조성물 8년

B32B 적층체, 즉 평평하거나 평평하지 않은 형상 8년

H01L 반도체 장치; 다른 곳에 속하지 않는 전기적 고체 장치 6년

C08F 탄소-탄소 불포화결합만이 관여하는 반응으로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 9년

C09D 피복 조성물 6년

마무리; 일반적 혼합 방법; 서브클래스 C08B, C08C, C08F, C08G 또는


C08J 7년
C08H에 포함 되지 않는 후 처리

G02B 광학요소 광학계 또는 광학장치 6년

C08K 무기 또는 비고분자 유기물질의 배합성분으로서의 사용 8년

12) 전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국제특허분류(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를 통해 특허정보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을 조
사할 수 있으며, 기술 및 권리정보에 용이하게 접근 가능
13) 특허인용수명 지수는 후방인용(Backward Citation)에 기반한 특허인용수명의 평균, Q1, Q2(중앙값), Q3에 대한 통계값을 제시함.
특히 이와 같이 산출된 Q2는 TCT(Technology Cycle Time, 기술순환주기 또는 기술수명주기)라고 부름

197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 투입기술이 가능 많은 C09J 분야와 융합이 높게 이루어진 기술은 B32B 분야로 나타났으며,


H01L, C08G 분야와도 나타 융합된 기술의 건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

▪ 이외에 C08G 분야와 융합된 기술은 C08L, B32B, C08J 분야와 융합된 기술이 많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C08LC 분야와 융합된 기술은 C08K, C08F, B32B 기술로 분석

[ 점/접착 소재 분야 IPC 기술 및 융합성 ]

(4) 주요출원인 분석

 세계 주요출원인을 살펴보면 주로 일본, 미국, 독일 및 한국 등 다양한 국적의 출원인이 다수


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화학소재 분야의 출원인이 대부분

▪ 주요 일본 출원인을 살펴보면 NITTO DENKO, LINTEC, HITACHI CHEMICAL 및 DAINIPPON


INK AND CHEMICAL 등이 나타났으며, 이들 일본 출원인은 주로 일본 본국에 출원건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독일 출원인으로는 HENKEL 및 TESA 등 2개 기업이 상위출원인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출원인으


로는 LG화학, 동우화인켐 및 삼성SDI 등 2개 기업이 상위출원인으로 나타나 점/접착 소재 관련
기술을 다수 보유

19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NITTO DENKO의 3극 패밀리수가 851건으로 다국적으로 시


장을 확보하며 출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미국의 3M INNOVATIVE PROPERTIES도
558건으로 다국적 시장을 확보

 일본 기업인 HITACHI CHEMICAL이 확보한 특허의 피인용지수가 1.71로 가장 높게 나타나


기술의 파급성이 높은 원천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주요 출원인의 출원현황 ]

주요 IP시장국 (건수 %) 3극

IP시 패밀 피인용
주요출원인 국가 주력기술 분야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장국 리수 지수

종합 (건)

442 415 1025 250


전자재료용
NITTO DENKO 일본 일본 851 1.23
점착제 조성물
21% 19% 48% 12%

164 204 203 182


3M INNOVATIVE 미국/ 구조용 점착제
미국 558 0.86
PROPERTIES 일본 조성물
22% 27% 27% 24%

108 150 141 138


미국/
HENKEL 독일 448 0.60 핫멜트 접착제
일본
20% 28% 26% 26%

123 51 318 29
LINTEC 일본 일본 50 0.67 점착 시트
24% 10% 61% 6%

74 54 370 5
전자재료용
HITACHI CHEMICAL 일본 일본 53 1.71
점착제 조성물
15% 11% 74% 1%

218 80 84 47
전자재료용
LG화학 한국 한국 197 0.30
점착제 조성물
51% 19% 20% 11%

51 21 295 17 전자재료용
DAINIPPON INK AND
일본 일본 54 0.00 점착
CHEMICALS
13% 5% 77% 4% 필름/테이프

75 110 78 120
구조용 점착제
TESA 독일 유럽 286 0.38
조성물
20% 29% 20% 31%

280 7 15 1
전자재료용
동우화인켐 한국 한국 4 0.00
점착제 조성물
92% 2% 5% 0%

187 75 34 2 전자재료용
삼성SDI 한국 한국 7 1.03 점착
63% 25% 11% 1% 필름/테이프

199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5) 국내 출원인 동향

 국내 출원인 동향을 살펴보면 대기업은 LG화학의 출원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기업


에서는 이녹스의 출원건수가 높게 나타남

▪ 대기업의 주요 출원인은 LG화학, 동우화인켐, 삼성SDI, 엘지하우시스, 도레이첨단소재, 케이씨씨,


삼성디스플레이, 엘지디스플레이 등이 있으며, 중소기업의 주요 출원인은 이녹스, 아모그린텍, 세
계화학공업, 신화인터텍, 쌍곰, 오공 등이 주요 출원인인 것으로 나타남

 기업 이외의 주요출원인을 살펴보면 한국신발피혁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등 연구소/공공기관의 출원이 다수 나타났으며, 대학은 서울대학교, 연세대학
교, 충남대학교의 출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 국내 주요출원인의 출원 현황 ]

20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5. 중소기업 환경

가. 중소기업 경쟁력

 점/접착제 세부품목에서 주요 기술로는 친환경, UV경화, 수성화, 핫멜트, 무용제, 실리콘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주로 대기업인 KCC, LG, 코오롱, SK, 애경화학 등이 기술력을 갖고 있
으며, 이 중 기능성 관련 기술은 중소기업에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으로는 오공, 삼원, 대양화학, 원익큐브, 보광, 임덕화학, 세


창, 협진, 쌍곰, 켐트로스 등이 경쟁력을 보유함

[ 점/접착제 분야 국내 중소기업 현황 ]

중소기업 주요 중소기업
세부분류 주요 기술 대기업 중소기업
참여영역 참여 정도*

헨켈코리아, 건축, 타일,


경화시간 / 강도 / 내수접착력 / 동부정밀화학, 애경, 오공, 삼원, 대양화학, 전기전자,
수성 ●
친화경성/ 아크릴에멀젼계 LG MMA, 동일폴리머 켐베이스, 가정용, 목재,
코오롱인더스트리㈜ 종이

오공, MCS, 한국글루,


핫멜트 포장용, 자동차용, 배터리용, 헨켈, 요코하마고무, 포장용,
신일기업, 동우산업, ◕
필터용 코츠일 자동차용
삼정

오공, 모아, 애니씰,


전기전자,
알코올형, 아세톤형, 부가형, 탑프라, 신우, 삼중,
실리콘 KCC 건축/토목, ◔
MS(Modified Silicone) 동양, 후너스, 대흥,
자동차
누리켐

건축, 타일,
VOCs Free, Non
친환경 동부정밀화학, 애경 오공, 쌍곰, 진광화학 전기전자, ●
Formaldehyde
가정용, 자동차
한국케미테크,
UV아크릴, UV에폭시, 헨켈 록타이트 코리아, 쓰리본드, 대양화학, 전기전자,
UV경화 ◑
UV우레탄, UV실리콘 나가세 켐베이스, 칼렙스, 건축/토목
다이맥스코리아, HNC
* 중소기업 참여정도와 점유율은 주요제품 시장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참여규모와 정도(업체수, 비율 등)를 고려하여 5단계로 구분
(낮은 단계: ○, 중간 단계(◔, ◑, ◕) 높은 단계: ●)

201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나. 중소기업 기술수요

 점/접착 소재 분야의 중소기업의 기술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기술수요조사 및 중소


기업청 R&D신청과제(2013~2015년)를 분석한 결과 아래 표의 내용과 같은 수요들이 다수 있
는 것으로 분석

▪ 점/접착 소재 분야 중소기업은 최근에 열처리 장비 및 제반 기술과 관련된 기술개발에 다수 수요


가 잇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근 기술트렌드인 ICT기술과의 융복합 기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됨

[ 점/접착 소재 분야 과제신청현황 및 수요조사결과 ]

전략제품 기술 분류 관심기술

· 친환경 라벨용 열수분리 가능 점착소재 개발


· 수계 친환경 점착소재 개발
· 친환경 내/외장용 탄성구조 접착제 개발
친환경 점/접착 소재 기술
· 친환경 난연 점착 기재 테이프 개발
· 친환경 수분산성 아크릴 점착제 개발
· OPP필름과 종이접착을 위한 친환경 접착제 개발

· 고기능성 전기전도성 반도체 Die Attach Adhesive(접착제) 개발


· 터치윈도우 접착용 테이프 개발
점/접착 전자재료용 점/접착 · UV경화형 액상투명점착체(OCA) 개발
소재 소재기술 · PC기판용 고신뢰성 광제어 양면 점착 테이프 개발
· 전기전자 패키징용 저온 속경화 고신뢰성 접착제 개발
· 전자부품소재용 저온 열 활성화 가능한 고접착 테이프 개발

· 내용제성이 우수한 실리콘 폴리우레탄 하이브리드 점착제 개발


· 바이오폴리올수지를 활용한 건축용 탄성구조 접착제 개발
기능성 점/접착 소재기술 · 생체 친화성이 있는 접착제의 개발
· 흡착 내구성 향상을 위한 폴리우레탄 접착소재 개발
· 내수성 및 초기 접착력이 우수한 온도감응형 수용성 접착제 개발

20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중소기업 핵심기술

(1)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 점/접착 소재 기술의 특허 및 논문데이터 검색을 통해 도출된 유효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마


이닝 기법(Scientometrics 기법)을 통해 클러스터링된 키워드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요소기술
후보군을 도출

▪ 점/접착 소재 기술의 특허 및 논문 유효데이터를 기반으로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통하여 10개의


요소기술 후보군을 도출

▪ 제품별 dataset 구축 : 점/접착 소재 기술 관련 특허/논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노이즈 제거 후 제


품별 dataset 구축

▪ 1차 클러스터링 : 키워드 맵을 통한 고빈도 키워드 확인-빈도수(tf-idf)14)가 상위 30%에 해당하


는 키워드를 대상으로 1차 추출

▪ 2차 클러스터링 : 1차 클러스터링에서 추출된 고빈도 키워드 사이에서 고연관도 키워드를 2차 추


출 (고연관도 기준은 연관도수치15)가 2이상인 클러스터로 제한)

 다음 그림은 키워드 간 연관네트워크를 시각화한 것으로, 각 키워드를 나타내는 원과 키워드


간의 연관도를 나타내는 직선으로 구성

▪ 각 키워드가 특허와 논문 중 어느 데이터에서 도출되었는지 원의 색으로 구분하였으며, 키워드로


도출된 클러스터는 황색음영으로 표시

▪ 키워드를 나타내는 원은 고빈도의 키워드일수록 원의 크기가 크게 표현되며, 연관도를 나타내는


선은 키워드 사이의 연관도수치가 높을수록 굵게 표현

 점/접착 소재 기술 전략제품의 특허․논문 유효데이터에 대하여 키워드 클러스터링 결과를 기반


으로 요소기술 도출

 데이터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은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통해 도출된 요소기술에 대하여 전문가의
검증 및 조정을 통하여 요소기술을 도출

14) 빈도수(tf-idf) : 각 키워드가 출현되는 특허 또는 논문수를 의미


15) 연관도수치: 두 개 이상의 키워드 사이의 특허 또는 논문수를 의미

203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 점/접착 소재 분야 키워드 클러스터링 ]

[ 점/접착 소재 분야 주요 키워드 및 관련문헌 ]

No 주요 키워드 연관도 수치 관련특허/논문 제목

1.HIGH PERFORMANCE WATER-BASED TACKIFIED ACRYLIC


water-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crylic
클러스터 2. WATER-DISPERSIBLE ACRYLIC ADHESIVE AGENT COMPOSITION
pressure 4~7
01 AND ADHESIVE SHEET
sensitive
3. HIGH PERFORMANCE WATER-BASED TACKIFIED ACRYLIC
adhes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1. OPTICAL FILM WI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N BOTH


SIDES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adhesive
클러스터 2.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
optical film, 5~7
02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BEARING OPTICAL
display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3. Adhesive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20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No 주요 키워드 연관도 수치 관련특허/논문 제목


1. REACTIVE TWO-COMPONENT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2. HOTMELT ADHESIVE WITH IMPROVED UV STABILITY AND USE
클러스터 hot melt
4~8 OF SAME FOR MAKING A MULTILAYERED PLASTIC SHEET
03 thermally
3. THERMALLY REVERSIBL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MULTIFUNCTIONAL DIENE AND DIENOPHILE COMPOUNDS

1. WATERBORNE POLYURETHANE ADHESIVE COMPOSITION AND


water-disper METHOD FOR BONDING ARTICLES
클러스터 sible 2. WATER-DISPERSIBLE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4~8
04 polyurethane SHEET
adhesive 3.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polyurethane
containing anchor layer

1. HEAT-ACTIVATABLE SILOXANE-BASED ADHESIVES


polysiloxane
클러스터 2. CURABLE POLYSILOXANE COMPOSITIONS AND PRESSURE
adhesive 4
05 SENSITIVE ADHESIVES MADE THEREFROM
composition
3. UV-curable adhesiv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1.SOLVENT FREE POLYURETHANE LAMINATING ADHESIVE WITH


HIGH OXYGEN TRANSFER RATE
클러스터 solvent free
4~7 2. SOLVENTLESS LAMINATING ADHESIVE FOR FLEXIBLE
06 adhesive
PACKAGING LAMINATIONS AND LAMINATED STRUCTURES
MADE WITH THE ADHESIVE

1.POLYESTER POLYOL, POLYOL PREPARATION FOR LAMINATING


polyester ADHESIVE AGENT, RESIN COMPOSITION
클러스터
polyols 4 2. Polyester Polyols for Polyurethane Adhesives
07
adhesives 3. ESTER CARBONATE POLYOLS FOR HYDROLITICALLY STABLE
ADHESIVES

1. ULTRAVIOLET 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V-curable 2. UV CURABLE ADHESIVES BASED ON ACRYLIC POLYMERS
클러스터
adhesive 4~7 3. UV-curable adhesive silicone composition, UV-curable adhesive
08
PSA silicone composition sheet, optical semiconductor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1.ADHESIVE FILM FOR PROTECTING AUTOMOBILE WHEEL


2.A STRUCTURAL ADHESIVE SHEET SPECIFICALLY FOR USE IN A
automobile
클러스터 MIRROR BASE OF AN AUTOMOBILE INTERIOR REAR-VIEW
structural 4
09 MIRR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dhesives
3. RUBBER-BASED ADHESIVE COMPOSITION AND RUBBER-BASED
ADHESIVE TAPE FOR AUTOMOBILE USING THE SAME

1.Heat-resista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production of


heat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클러스터 resistant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tape
7
10 adhesive 2. Thermosetting adhesive composition, and heat resistant
tape adhesive film and wiring film using the same
3. Heat Resistant Adhesive Tape

205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 점/접착 소재 분야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

No 요소기술명 키워드

water-based,
요소기술01 수분산성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optical film,


요소기술02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 조성물
display

hot melt
요소기술03 내열성 핫멜트 접착제
thermally

water-dispersible
요소기술04 수분산성 우레탄 접착제 및 접착 시트 polyurethane
adhesive

polysiloxane
요소기술05 폴리실록산계 접착제 조성물
adhesive composition

solvent free
요소기술06 무용제 점/접착제
adhesive

polyester polyols
요소기술07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포함하는 점/접착제 조성물
adhesives

UV-curable adhesive
요소기술08 광경화형 점/접착제 및 점/접착시트
PSA

automobile
요소기술09 자동차 구조용 접착필름
structural adhesives

heat resistant
요소기술10 고내열 점/접착제 조성물 및 점/접착 시트
adhesive tape

20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요소기술 도출

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


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통해 기술의 범위, 요소기술 간 중복성 등을 조정‧검토하여 최종


요소기술명 확정

[ 점/접착 소재 분야 요소기술 도출 ]

분류 요소기술 출처

수분산 아크릴계 점착제 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수용성 우레탄 접착제 합성 및 접착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친환경 점/접착 소재 전문가추천
기술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친환경 무용제형 점/접착소재 기술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UV경화형 점접착소재 기술 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수요, 특허/논문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소재 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반도체 필름용 박막접착제 기술
반도체 및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디스플레이용
점/접착 소재 기술 전문가추천, 특허/논문
내열성 폴리이미드 기반 핫멜트 접착 기술
클러스터링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폴리실록산 광발광성 접착제기술
전문가추천,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난연 폴리에스터 폴리올 접착제 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고강도/고강성 접착제 기술 기술수요, 타부처로드맵


기능성 점/접착 소재
기술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고내열 금속용 접착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수요, 특허/논문
자동차 구조용 점/접착소재 기술
클러스터링,

207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3) 핵심기술 선정

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핵심기술 선정위원회를 통하여 중소기업
에 적합한 핵심기술 선정

 핵심기술 선정은 기술개발시급성(10), 기술개발파급성(10), 단기개발가능성(10), 중소기업 적합


성 (10)을 고려하여 평가

[ 점/접착 소재 분야 핵심기술 ]

분류 핵심기술 개요

수분산 아크릴계 점착제는 고무계 점착제를 대체하여 사용


범위가 늘어나고 있는 점착제로 산화/환원 중합이며, 다른
성분의 점착제 보다 내후, 내열성 및 내유성이 우수하고
수분산 아크릴계 점착제 기술
중합체 분 자 중에 극성기를 임의로 도입할 수 있는 장점
이 있으며 가교를 통한 응집력, 점착성 및 접착력을 임의
로 조절할 수 있는 큰 장점 을 가지고 있는 기술

기존의 유기용제형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대체함으로서 무


용제화, 접착공정의 자동화 및 자원절약 등 부품소재공정의
수용성 우레탄 접착제 합성 및
친환경화를 통한 산업계 선진화를 이루기 위하여 환경친화
접착기술
친환경 점/접착 적인 무용제형 또는 수용성인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합성
소재 기술 및 접착하는 기술

기본적인 접착기능 이외에 성능 및 기능, 경화방법 등을


친환경 무용제형 점/접착소재
보강하여 특수기능을 부가하거나 환경적합성을 고려한 각
기술
종 친환경 무용제, 기능성 점·접착제의 연구 개발 기술

UV경화형 접/점착제는 UV에 의해서 광개시제가 분해되면


서 라디칼이 형성되어 주변의 반응성 올리고머 혹은 반응
UV경화형 점접착소재 기술
성 모노머를 중합시키는 접/점착제로써 일반적인 라디칼
중합 방식과 동일하게 반응하는 기술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종류인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용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소재 기술
점/접착 소재 OLED(organic light emission diode)등에 사용하는 기능
기술 성의 점/접착소재 기술

기능성 점/접착 피접착물인 금속류에 우수한 접착강도를 유지하며 고강도,


고내열 금속용 접착제
소재 기술 내열성이 우수한 접착제 기술

20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6. 기술로드맵 기획

가. 점/접착 소재 기술로드맵

 최종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


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

209
▣ ▣ 화학소재공정 ­ 점/접착 소재 ▣ ▣

나. 연구개발 목표 설정

 로드맵 기획 절차는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로드맵 기획위원회를 통해 선정된 핵심기술을 대


상으로 기술요구사항, 연차별 개발목표, 최종 목표를 도출

[ 점/접착 소재 분야 핵심기술 연구목표 ]

연차별 개발목표
분류 핵심기술 기술요구사항 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내열성
230℃↑ 240℃↑ 250℃↑
박리강도 우수한 내열성,
수분산 아크릴계 120oz/in↑ 130oz/in↑ 140oz/in↑
내열온도(℃) 박리강도, 응집력
점착제 기술 90℃↑ 100℃↑ 110℃↑
내후성(ASTM 확보
400hrs↑ 500hrs↑ 550hrs↑
G-53)

접착강도,
접착강도,
인장강도 및 내열성, 접착력(500
인장강도 및
수용성 우레탄 접착제 modulus 밀착성, 인장강도50 kgf/cm2↑),
100% modulus
합성 및 접착기술 증가, 내광성 0kgf/cm2↑ modulus(7
증가, 내후성,
접착력(400kgf ) 0Kg/cm↑)
친환경 내수성 확보
/cm2↑)
점/접착
소재 기술
우수한 내열성(±15
VOC free, 응집력, VOC free, 우수한
친환경 무용제형 내화학성 0℃),
응집력, 점/접착력 응집력, 점/접착력,
점/접착소재 기술 및 내수성
점/접착력 확보 확보 내후성 확보
전단강도, 확보

접착강도(AST
M B 571), 접착강도 접착강도3. 접착강도
내약품성, 부착성,
UV경화형 점접착소재 촉진내후성(AS 2.5MPa 0MPa 3.5MPa
접착력 및
기술 TM G 155), 이상, 이상, 이상,
촉진내후성 확보
내약품성(AST 7,000시간↑ 7500시간↑ 8000시간↑
M D-1806)

우수한
Barrier성질
반도체 및 초기 낮은 tack, peel 높은 Tack, 낮은
↑, 점착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용 점착력(Tack), Haze확보, strength, Haze, 높은
력 3.0 ~
용 점/접착 점/접착소재 기술 응집력(Cohesi 우수한 holding 투과율, 응집력,
7.5 N/20
소재 기술 on) 확보 투과율 power 점착력 확보
mm
유지

adhesion to
5.5kg↑ 높고 균일한
기능성 steel, 6.0kg↑ 6.2kg↑
열확산도,
점/접착 고내열 금속용 접착제 Shear
17N/mm²↑ 내화학성, 우수한
소재 기술 Strength(ISO 18N/mm²↑ 20N/mm²↑
전단강도
4587 : steel)

210
전략제품 현황분석

계면활성제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계면활성제

정의 및 범위

▪ 계면활성제는 극성 또는 친매성(amphiphilic)이 다른 적어도 2종 이상의 작용부분으로 이루어져, 한 분


자 내에 친수성(hydrophilic) 부분과 소수성(hydrophobic)부분이 공존되어 표면(surface) 또는 계면에
흡착(adsorption)하여 표면 또는 계면의 성질을 극단적으로 변화시키는 화합물

▪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 용도를 살펴보면, 전체 계면활성제 중 건축/토목, 섬유공업에 사용되는 양


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것이 세제이며 나머지는 종이, 펄프 등 제지관련 산업,
농약, 의약, 페인트, 인쇄/잉크, 피혁, 금속/기계, 채광, 도금, 화장품, 식품, 토목/건축, 전기/전자,
광택, 박막, 자기기록매체, 바이오, 고급전지 등 거의 모든 산업에 이용

정부지원 정책

▪ 국가발전 R&D 전략을 수립하여 국가적인 차원의 다양한 기술 개발을 선도

▪ 경제 혁신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

▪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국내 경기 활성화에 따른 수요 증가유도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기초연구 기반 취약(원천 소재 기술 미흡)


• 재료 성능과 품질 향상, 기술 인지도 및 관심도 향상
• 중소업체 난립에 따른 과당 경쟁
• 범용 제품의 생산능력과 기술
• 메이저 업체들에 의한 독점
• 기능성 기술의 국내외 수요로 인한 개발의지
• 산학연 협력체계 취약
• 다양한 소재 개발 기술의 발전
• 사업기반 및 투자 자본 미약
• 정밀화학 산업 중 스페셜티 화학의 중요성 대두
• 화학 분야 연구 인프라 수급 어려움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합성기술 진보 및 원료 가격 하락 • Global 기업의 국내 진출로 인한 국내 기업의 경제적 손실


• 고기능성 제품시장의 지속적 증가 • 특허관련 국제 소송의 증가추세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증가 • 화학합성 제품에 대한 소비자 불신
•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 촉진 • 다수 생산자로 인한 불명확한 책임 소재에 대한 우려
• 바이오, 환경, 의약, 전기/전자, 2차 전지 분야 수요증가 • 전후방 산업의 중국 이전
• 다양한 기능성 제품 수요 증가 • 특수 분야의 전문 인력 부족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중소기업이 제조하는 성능과 품질 향상 기술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통한 글로벌 진출 가능

➜ 높은 원료/소재 가격을 극복하기 위한 유통구조 개선을 통한 원가절감 및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을


통해 시장 접근

213
▣ ▣ 화학소재공정- 계면활성제 ▣ ▣

핵심기술 로드맵

21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 극성 또는 비극성의 2종 이상의 작용부분으로 이루어져, 한 분자 내에 친수성과 친유성 부분이 공존


되어 표면(surface) 또는 계면(interface)에 흡착하여 표면 또는 계면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화합물

▪ 화학구조 측면에 따라 계면 또는 수용액 내에서의 분자배열 및 회합 상태가 크게 변화되어 결과적으로는


수용액의 물리적 성질을 변화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매우 다양한 산업적 응용분야를 가지게 되는 것임

▪ 계면활성제는 구조적 측면에서 볼 때 수천 개의 종류로 이들을 친수성부분에서 이온성과 비이온성


의 종류, 소수성(친유성)부분의 종류, 제조방법, 물리화학 기능성 및 산업적 용도 등 여러 가지 기
준으로 분류

▪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살펴보면,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전체의 65∼70%이고, 그 이외의 비이온


성 계면활성제가 25∼30 %이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 모두 10% 미만이지
만 점차 그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

[ 계면활성제의 기본 구조 ]

 계면활성제(Surface active agents, surfactant)라고 하는 것은, 서로 다른 상의 계면 차이로


써 계면 흡착을 행하여 표면 장력을 저하시켜 계면 활성을 부여하는 물질부류를 지칭하며 액체
에 용해, 계면에 흡착해서 계면에너지를 현저히 감소시켜 습윤(젖음), 유화, 분산, 발포, 가용
화, 세정 등의 작용을 나타내거나 계면장력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물질로 정의

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의 대소에 따라 수용성 계면활성제, 유용성 계면활성제로 구


분, 친수성 부분이 이온을 띠는지 여부에 따라 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
분할 수 있는데 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
성제 등이 있음

▪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 부분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다. 이런 성

215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질 때문에 비누나 세제 등으로 많이 활용되어 왔음. 계면활성제는 일정 농도 이상에서 계면활성제


분자들끼리 모여 마이셀(micelle)이라는 구조를 형성한다. 마이셀은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임계 마
이셀 농도(CMC ;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이상이고 온도가 임계 마이셀 온도(critical
micelle temperature, 또는 Kraft 온도) 이상에서 형성

▪ 미셀이 물에서 형성될 때,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부분은 중심부에 모여 핵을 형성하고 친수성 부분


은 물과 접촉하는 외곽 부분을 형성. 기름과 같이 소수성 물질은 미셀의 안쪽 부분에 위치하게 되
어 안정화 되고 물에 녹게 되는데 이를 용해화(solubilization)라 하며 이는 세제 작용의 기본 원
리임

▪ CMC와 micelle 크기에 영향을 주는 인자

- Structure of hydrophobic group

- Nature of hydrophilic group

- Nature of counter ions

- Addition of electrolytes to ionic surfactants decreases CMC and increase size

- Effect of temperature

▪ 계면활성제는 상간의 경계면 활성화를 통한 표면장력(surface tension :dyne/cm)의 강하능력으로


인해 표면의 습윤, 침투, 기포, 소포, 유화, 가용화, 분산, 응집 및 세정 등의 작용을 가져 모든 세
제(detergents)와 화장품(cosmetics) 및 최근 전 산업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필수 주원료임

▪ 최근 자연물추출에 의한 천연 또는 생합성의 생물 계면활성제(bio-surfactants)는 양친매성의 생분


해성 친환경 기능성물질로서 합성계면활성제를 점차 대체해야 할 것임. 천연계면활성제는 생분해
성 이외에 항균, 미백, 탈모억제, 노화억제 등 기능성을 가지고 있어 피부과학, 생화학, 약학, 면역
학, 미생물학, 콜로이드과학, 표면과학, 유동학 및 나노과학 등 첨단과학이 관련되고 있음. 특히
최신 고부가 바이오기능성물질의 연구개발을 통한 자체기술력 향상과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우
리나라 중소형 기업 및 정밀화학업체의 기술지원이 강력히 요구됨

21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분류 종류 계면활성제 화합물
고급지방산알칼리염(비누), N-아크릴아미노산염,
카르복시산염
알킬에테르 카본산염, 아실화펩티드, 알킬벤젠(LAB)
알킬설폰산염(AS, MES, AES, AOS, LAS, SLS,
설폰산염
음이온 SLES, SAS), 알킬아미노산염, 알킬나프탈렌 설폰산염
계면활성제 황산화유, 알킬황산염, 알킬에테르황산염,
황산에스테르염
아킬아릴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알킬에테르인산염,
인산에스테르염 및 기타
알킬아릴에테르인산염, RNHC2H4SO3H(X타우린)
제1급아민염(DDAC), 제2/3급아민염,
양이온
지방족아민염, 4급 암모늄염 4급암모늄염(EQ), 이미다졸염,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피리늄형
카본산염, 설폰산염, 황산에스테르형, 인산형,
양쪽성 친수성기
인산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화학구조에 의한 분류 베타인계, 아미다졸린계, β-알라인계, 아미노계

Alkyl Ethoxylate(AE), AlkyldimethylAmine


비이온계 폴리에틸렌글리콜(PEG)
Oxide(AO), Alkyl Poly Glucoside(APG)
계면활성제
다가알코올형 Fatty Acid AkanolAmine (FAA)

[ 계면활성제 유형별 성분 ]

217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나. 범위

(1) 제품분류 관점

 계면활성제를 위한 소재로는 현재 석유계와 천연유래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천연소재의 경


우 비싼 소재 가격이 사용 확대의 큰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음. 계면활성제 제조에는 합성 및
바이오,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바이오유래 계면활성제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선호도 증가로
인해 최근 몇 년간 크게 성장해 왔음. 바이오-계면활성제의 개발 및 상업화 증대로, 제조사들
은 커다란 성장을 이룰 것이며. 저렴한 가격과 보다 용이한 이용가능성은 합성 계면활성제 수
요 증가를 이끌 것임

[ 계면활성제 원료 계통도 ]

① 음이온계(Anionic)

[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

21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친수성기로 음이온 전하를 갖는 것으로서 수중에서 친수기 부분이 음이온으로 해리

▪ 세정작용과 기포형성 작용이 우수하여 비누, 샴푸, 클렌징 폼에 많이 사용

▪ 석유부산물에서 화학 합성하여 얻어지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강한 세척력과 피부자극, 잠재적 발


암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나 식물성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자연에서 빠르게 분
해되므로 환경에도 좋음

▪ ABS, 카르복시산 염(RCOO⁻M⁺), 설폰산 염(RSO3⁻M⁺), 황산에스테르 염(ROSO3⁻M⁺), 인산에스


테르 염(RPO3⁻Na2⁺) 등이 있음

▪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시장에서 가장 많은 소비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산업


혁명 이래 종래의 비누가 표면활성이 필요한 많은 공정에서 사용하였으며 개선된 성능을 얻기 위
하여 개발되기 시작하였고 황산화 피마자유가 개발되어 염색공업에 사용되기 시작한 이래 황산에
스테르나 설폰산염 구조의 계면활성제가 시장을 크게 점유하고 있음

② 양이온계(Cationic)

[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

▪ 친수성기로 양이온 전하를 갖는 것으로서 수중에서 친수기 부분이 양이온으로 해리

▪ 음이온 계면활성제와는 반대의 구조를 갖고 있어 역성비누라 하며 살균, 소독작용이 우수하고 정


전기 발생을 억제하는 특성이 있어 린스나 헤어트리트먼트제와 같은 두발용 화장품에 많이 사용

▪ 4급 암모늄 할로겐화물(R4N⁺Cl⁻)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시장의 약 8 %


정도를 점유하고 있음

▪ 대부분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많은 미생물의 성장을 정지시키거나 억제하는 생물학적인 활성이 있


으며 정전기 방지 기능도 있음. 그 밖에도 섬유공업에서 완염제, 유연제, 방수제, 염료 고착제로
사용되며 많은 광물과 금속이 음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부유 선광, 윤활, 방식 등에 사용

219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③ 비이온계(Non-Ionic)

[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

▪ 친수성기가 전하를 띄지 않으나 분자 내에 여러 개의 극성기를 가지고 있어 물과의 친화성이 자유


로움

▪ 따라서 피부에 자극이 가장 적은 종류이기 때문에 유액, 크림 등과 같은 피부에 오랜 시간 사용되


는 기초화장품의 유화제로 사용

▪ 친수기의 수에 따라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즉 , HLB가 달라짐

▪ 폴리옥시에틸렌(POE; -OCH2CH2O-)이나 폴리올 그룹이 있으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전기적으로


중성이기 때문에 전해질의 존재에 덜 민감하여 pH에 의한 영향을 덜 받으며 합성과정에서 친수성
기의 중합도를 고안하여 용해성을 조절하기 쉬운 특징

▪ 최근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위해성, 피부자극, 생분해도 및 수질오염 문제 등으로 비이온계의 수요


가 증가하고 있음

④ 양성이온계(Amphoteric)

[ 양성이온계 계면활성제 ]

22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양이온 전하와 음이온 전하를 한분자 내에 함께 가지고 있으며 양이온은 산성영역에서 음이온은
알칼리성 영역에서 해리

▪ 세정작용이 있으면서, 피부에 자극이 적어 저 자극 샴푸, 베이비 샴푸 등 피부에 자극이 적은 화


장품을 만들 때 사용

▪ 이미다졸린 유도체, 베타인, 설포베타인[RN⁺(CH3)CH2CH2SO3⁻], 포스파타이드 등을 들 수 있으


며 양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시장의 0.5~1 % 정도를 차지하고 있지만 지니고 있는 독특한
성질로 인하여 시장 규모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⑤ 기타 계면활성제

▪ 천연계면활성제 : 레시틴, 미생물을 이용한 천연 유래 계면활성제

[ 천연 계면활성제 ]

▪ 실리콘계면활성제 : 디메티콘과 알킬디메티콘 공중합체, 실리콘을 유화 및 W/O(Water in Oil)


유화를 할 때 많이 이용됨

[ 실리콘 계면활성제 ]

221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 고분자계면활성제 : 다양한 Gum, 알긴, 전분유도체, 최근에는 히알루론산, 키틴 등에 알킬기 도


입, 폴리 아크릴 계통의 합성고분자에 알킬기 첨가 등이 있음

[ 고분자 계면활성제 ]

(2) 공급망 관점

 계면활성제는 배합/합성, 이온성, 원천 소재, 후처리, 소재 기술 등으로 공급망에 따라 세부 기


술이 구분

▪ 원천소재 분야에는 지방산과 오일, 석유계, 천연유래(해양, 동식물) 등 원천소재를 이용하여 탄화


수소수와 이온성에 부합한 고체, Paste, 액상 계면활성제를 구성하는 기술 등이 포함

▪ 배합/합성 분야에는 합성기술, 에너지원 조절 기술, 첨가제 배합 기술, 제어 기술 등의 정밀화학


및 화학공정 기술 등이 포함되며, 직접적으로 분류에 따라 생산하는 단계로, 제조시간 및 수율 등
을 개선하는 기술이 요구

▪ 소재 분야에는 다양한 소재의 제어/배합기술 등이 요구되고 있으며, 후처리 기술은 이온성, 유화, 습
윤, 분산, 세정, 가용화, 기포/소포, 대전방지, 살균 및 업계 요구에 따른 표면 개선 기술 등이 요구

22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계면활성제 제품 분류 관점의 범위 ]

대분야 중분야 세부 제품 및 기술

물속에서 이온화한 음이온부분이 강하한 계면활성, 세정과 기포형성


음이온 작용, 세제, 유화, 가용화제, 비누, 샴푸, 바디샴푸에 이용(거품, 세정,
유화, 분산기술)

살균제, 소독제, 직물 가공제, 정전기 방지 등에 이용. 린스, 트리트


양이온
먼트, 컨디셔너에 사용(대전방지, 세정, 유화, 분산기술)

세정작용이 있으며 피부자극이 적어 저 자극 샴푸, 유아용 샴푸, 유


계면활성제 양성이온
연제에 이용(대전방지, 세정, 유화, 분산, 거품형성 기술)

피부자극이 적어 화장수의 가용화제, 크림의 유화제, 클린징 크림의


비이온
세정제 등의 용도로 사용(가용화, 세정, 유화, 분산기술)

바이오 계면활성제, 불소함유 계면활성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고분자


특수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 천연 계면활성제 등이 있음. 이형제, 소포제, 기포제, 분
산제, 성애 방지제 등으로 이용

223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2. 산업환경분석

가.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징

 계면활성제 시장은 상당히 분할된 시장으로 시장에서 지배적인 기업이 없으나 국제적 시장을
이끌고 있는 기업에는 Air Products & Chemicals Inc., Clariant AG, Evonik Industries
AG, Huntsman Corporation(Huntsman International LLC), The Dow Chemical
Company, Akzonobel N.V., BASF SE, Dupont Ei De Nemours & Co., Henkel AG &
Co. Kgaa, KAO Corporation, P&G 등이 포함

 계면활성제는 조절력 및 세척성이라는 기본적인 물성 덕분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 핵심 응


용 분야에는 유지 화학제품, 퍼스널 케어, 식품, 작물 보호, 비누 및 세제, 섬유, 세정, 탄성소
재, 플라스틱, 의약품 및 종이, 제제산업, 페인트, 코팅 산업 등이 포함되며 최근 전기/전자, 건
축/토목, 2차 전지, 태양전지, 바이오산업 등에서도 사용됨

▪ 맞춤형 고기능성 특수 계면활성제의 제조방식은 미리 재고를 확보해둘 필요 없이 주문생산이 가능하


여 선주문, 후생산하는 주문생산(Build to Order)방식으로 필요로 하는 제조업을 확장시키는 기능

 계면활성제는 기존 제조업의 혁신 뿐 아니라 최근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 에너지 및 전기/전자


등의 전 산업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계면활성제는 산업에서의 연구 투자비용을 낮춰주고 시장에서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한 소량 생산


을 가능케 하며, 재고자산을 줄여주어 경영 리스크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

▪ 제품의 주기가 점점 짧아지는 기존 부품소재시장의 경우 제품 적용 및 제품 출시 속도, 신뢰성 기


술에 따라 기업의 경쟁력이 좌우되는데, 산업에서의 제품 제조에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기업 경쟁력을 갖춰지는 것이 목적

 장비 및 소재를 개발, 생산하는 제조업과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서비스업 등 다양한 산업이 연


관된 산업으로, 전방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큰 제조업의 토대이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 산업을
이끌어갈 경쟁력의 원동력

 계면활성제 생산은 다품종 소량 생산형태이며, 또 사업규모가 작은 제조회사의 난립으로 경쟁


이 심하여 가격하락과 품질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품목별 전문화와 기능성 천연
물 응용기술개발이 절실. 영세한 규모의 업체가 대부분으로 이직률이 높아 효율적인 인력관리
가 어려우며 계면활성제 관련 전문 인력이 부족함

 최근에는 특수 기능성 계면활성제 관련 기술개발과 산업요구 맞춤형 계면활성제 출시에 힘입어


에너지, 코팅, 도금, 화장품, 바이오, 의약, 전기/전자, 2차 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

▪ The Freedonia Group 보고서에 의하면 특수 계면활성제 시장은 매년 2%씩 성장하여 2020년까
지 512억 달러의 시장규모를 달성할 전망

22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계면활성제가 피부에 쉽게 흡수되고 체내에 축적되어 각종 질환을 유발한다는 점이 부각되자 조금


의 화학구조를 변형시켜도 특성이 크게 달라지는 계면활성제의 성질을 이용한 특수 계면활성제의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전체 계면활성제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는 생활용품 시장에서는 낮은 온도와 적은 물


양으로도 세탁이 가능한 특수 계면활성제로 만들어진 세탁용 세재를 개발함

▪ 2022년까지 연평균 6.3%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개인 미용제품 시장에서 개발한 얼굴에 자극
을 주지 않는 순한 특수 계면활성제로 만들어진 세안용 비누는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 트
렌드를 고려하고, 기존 상품과 차별화한 제품으로 볼 수 있음. 개인미용제품 시장 다음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는 플라스틱, 식료품 공정을 포함한 산업용 시장에서도 미국 소비자 트렌드를 고
려하여 특수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제품을 판매할 것으로 보임

 2016년 10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에서 미국 그랜드뷰리서치


의 ‘2024년까지의 글로벌 퍼스널케어 특수원료 시장 분석’ 보고서를 인용하여 계면활성제를 중
심으로 한 글로벌 퍼스널케어 특수원료 시장이 오는 20024년 총 157억6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 보고서에 따르면 퍼스널케어 특수원료 시장 성장을 뒷받침하는 요인으로는 개인관리, 위생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도 제고, 중국과 인도 등 아시아/태평양 국가를 중심으로 한 개도국의 소득수준
증가 등임

 환경문제가 심각한 요즈음 환경 친화적인 바이오 계면활성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바이


오 계면활성제는 미생물과 효소를 이용해서 생산할 수 있는데 미생물은 압력에 대한 적응력이
좋으며 다양한 화학적 활성과 반응의 특이성을 지니고 있고 효소는 특정 물질에 대해서만 반응
하는 기질 특이성이 있음
▪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당지질(glycolipids), 인지질(phospholipids), 지방산(fatty acid), 리포펩타이
드(lipopeptide)와 지단백(lipoprotein), 지다당(lipopolysaccharides), 당에스테르(sugar esters),
지질(lipids) 등과 같이 구조에 따른 여러 종류가 존재하여서 이들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여러 분
야에 응용되고 있음

▪ 화장품에는 sophorose lipid와 trehalose lipid가 보습성과 피부 자극성이 적어 사용되고 있고, 식


품에는 주로 첨가물을 만드는데 사용되는데, 특히 sophorolipid는 감미료로 사용될 수도 있음.
Lipopeptide에 속하는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항생작용과 같은 생물학적 생화학적 특징이 있어서
의약 분야에 사용될 수 있음

▪ 또한 환경오염 방제에 기여할 수도 있으며 해상에 유출된 원유의 회수에 사용되는 emulsan과 같이
이미 효과가 입증된 것도 있음. 바이오 계면활성제의 활용은 앞으로 크게 주목하여야 할 사항임

225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2) 산업의 구조

 전방 및 후방 모두에 산업파급효과가 큰 수준이며, 국내 범용 계면활성제 산업은 성숙기이며


국내 특수 계면활성제 기술은 아직 초기 시장진입 단계로,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부품소재
산업분야에서 점차 상용화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형태

[계면활성제 분야 산업구조 ]

후방산업 계면활성제 전방산업


화장품, 도료, 코팅/접착, 소재, 신재
이온성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특수
지방산, 석유계, 천연유래, 합성기술, 생에너지, 의약, 건축/토목, 섬유, 안/
기능성, 천연 계면활성제, 바이오 계
배합기술, 기능성 소재, 첨가제 염료, 제지, 전기/전자, 필름, 각종 화
면활성제, 고분자형 계면활성제
학소재 산업

 전방산업은 소비재, 화장품, 도료, 의약, 섬유, 안/염료, 건축/토목, 제지 등이 있으며 최근 에


너지, 2차 전지, 전기/전자, 반도체 등의 분야에서도 이용되고 있음

▪ 계면활성제 산업에 비중이 높은 산업으로는 가정소비재 산업이 43.1 %로 가장 높으며, 건설용


14.4 %, 기타 27.5 %, 산업용 6.8 % 순으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 계면활성제 산업은
신흥국 시장에서 퍼스널 케어 산업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추세

 후방산업은 석유계와 천연 유래, 지방산 등의 소재 분야와 제품 제조를 위한 배합 및 합성 기


술 분야로 구성

[ 국내 계면활성제 2015년 기준 전방산업 비중 ]

구분 가정용 건설용 기타 산업용 운송용 식품용 화장품 치약용

이용률(%) 43.1 14.4 27.5 6.8 6.3 1.3 0.4 0.1

* 자료: CMRI(2016); 계면활성제 용도 및 수요분석

22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경쟁환경

 국내 계면활성제 제조하는 중견업체로는 동남합성, AK켐텍, LG생활건강, CJ라이온, 한농화성


등이 참여하고 있음

▪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50%를 차지하는 LAS계 수요가 최근 5년간 감소 추세를 보인 것이 수요 감


소의 원인으로 분석

▪ 반면 SLES계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내 차지하는 비중이 2011년 30% 수준에서 꾸준히 확대돼
2015년에는 40% 이상을 기록

▪ SLES는 천연알코올을 원료로 해 LAS보다 친환경적이며 거품생성량이 적어 드럼세탁기용 세제에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

* 자료: CMRI(2016); 계면활성제 용도 및 수요분석

[ 업체별 국내 경쟁 현황 ]

 화학경제연구원 컨설팅(CMRI)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양이온, 비이온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가정용 세제에,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가정용 섬유유연제
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다양한 용도, 특히 콘크리트 혼화제의 주원료인 PCE(Polycarboxylic
ethoxylate)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음

* 자료: CMRI(2016); 계면활성제 용도 및 수요분석

[ 국내 생산 능력 기준 제품별 시장 점유율(2016) ]

227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 전체 계면활성제 산업에서 비이온은 72.6%, 양이온은 4.0%, 음이온은 23.4%를 점하고 있어


콘크리트 혼화제의 주원재료인 PCE의 원료인 비이온 계면활성제 시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전방산업인 PCE 시장은 2010-2014년 연평균 21.5% 성장했으며 2014-2018
년에도 연평균 9.1%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분석되었음. 국내 PCE 생산기업은 2013년 기
준 평균 80%를 유럽, 타이완, 아랍에미리트(UAE), 러시아 등 건설경기가 호황인 국가에 수출 중

▪ 세계 PCE시장에서는 한국산, 중국산, 일본산이 주로 경쟁하고 있으며 한국산의 점유율이 가장 높


은 것으로 파악됨

* 자료: CMRI(2016); 계면활성제 용도 및 수요분석

[ 국내 PCE 콘크리트 혼화제 경쟁 현황(2016) ]

 콘크리트 혼화제용 PCE는 수입보다는 수출이 많음. 대부분의 업체는 가동률을 높여 원가절감
에 목표를 둠. 국내 PCE는 내수가 한정적이므로 80%를 수출하고 있음

▪ 한국산노코프는 다양한 그레이드의 제품을 만들고 있으며 LG화학은 연속 공정으로 생산하고 있어


PCE 그레이드가 다양하지 못함

[ 국내 비이온계면활성제 중 콘크리트 혼화제 Value Chain 분석(2016) ]

22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국내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일반 가정용 세제 또는 세정제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격대비


세정력이 우수한 LAS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점유율이 가장 높지만 세탁세제의 친환경화 트렌
드에 따라 SLES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대체되고 있음
▪ 드럼세탁기 보급률 증가에 따라 액체 세탁세제는 동기간 연간 9.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
으며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대표적인 수요 시장은 가정용 섬유유연제 시장으로 2012년 이후 수입
제품의 성공적인 시장진입으로 국내 생산기업 간 경쟁이 점점 치열해져 2014년부터 생산기업은
내수보다 수출에 주력하고 있음

▪ 국내 계면활성제 시장은 한정적이며 수요증가율이 감소하고 있어, 국내 생산기업은 현지 생산 공


장 및 수출활성화를 위해 투자해야 할 것으로 지적됨

* 자료: CMRI(2016); 계면활성제 용도 및 수요분석

[ 국내 수요 기준 제품별 시장 점유율(2016) ]

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섬유유연제에 주로 사용돼 국내 섬유유연제 생산량에 따라 수급이 연동


됨. 그러나 국내 섬유유연제 생산기업은 개발도상국으로 생산기지를 옮기고 있어 관련된 원부
자재 수요 감소는 피할 수 없는 추세임

[ 국내 양이온 계면활성제 Value Chain 분석(2016) ]

229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 계면활성제 특성상 배합비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기존의 섬유유연제 품질을 유지하기 위
해 계면활성제도 현지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임

▪ 또한 완제 섬유유연제 수입제품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어 국내 양이온 계면활성제 시


장은 시장 축소로 인한 단가 경쟁이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됨

▪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LG생활건강, 오성화학공업, 선진화학, AK켐텍, 동남합성이 주로 공급하고 있


▪ 섬유유연제는 피죤에 오성화학이 공급했으나 선진화학으로 변경됨. 피죤사건 후 48.3%에서


23.5%로 급락한 후 피죤이 차지하고 있던 시장을 LG생활건강이 40%를 차지함

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콘크리트 혼화제, 산업용 윤활유 첨가제, 화장품, 세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중

▪ 그 중 콘크리트 혼화제의 비중이 전체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수요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롯데


케미칼, 한농화성, KPX그린케미칼, 동남합성 등이 콘크리트 혼화제용 비이온 계면활성제(MPEG
중심)를 공급하는 중임

▪ 가정용 세제에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대부분 범용이나 산업용 세제에 사용되는 비이온 계
면활성제는 스페셜티로 소량 다품종으로 생산되며 각 수요기업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으로 생산됨

▪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산업용 윤활제, 정련제, 재진제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며 전방산업인 자동차,
조선, 섬유산업에 연동되어 수급이 변동함

[ 국내 비이온 계면활성제 Value Chain 분석(2016) ]

 화장품용 계면활성제 시장규모는 2015년 기준 1200톤으로 계면활성제 시장에서 0.3%를 차


지했으나 전방산업의 확대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해 2020년에는 1700톤까지 확대될 전망임

▪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기업은 고부가가치 시장인 화장품업계와 협업하며 성장 중임

23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산업용, 화장품 등에 채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각 수요기업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으로 생산


되며 현재까지는 대체재가 없어 수요가 꾸준하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국내 음이온 계면활성제 생산능력은 2013년 미원화학의 증설로 2016년 상반기 기준 23만


5000톤 보유능력을 가짐. 양이온 계면활성제 생산은 공급과잉이 심화되어 증설계획 및 증설
이력이 없으며 비이온 계면활성제생산 능력은 최근 5년간 CAGR 4.3 % 증가함

▪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AK켐텍, LG생활건강, CJ라이온, 미원화학이 공급하고 있으며 중국산 수입제
품이 유통되고 있음

▪ 국내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원료부터 완제품까지 생산하는 LG생활건강 37.8 %의 시장 점유율을


나타냄

▪ 비이온 계면활성제 시장은 롯데케미칼이 EO(Ethylene Oxide)를 직접 생산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


을 바탕으로 시장 선도하고 있음

[ 주요 경쟁업체 종합 ]

공급망 단계 계면활성제

주요 내용 음이온 양이온 비이온

세정, 유화, 분산, 기포/소포, 가용화, 대전방지, 섬유유연제, 정련제, 완염제, 매염제, 합성/배합
주요 제품/기술
기술, 천연유래, 생물형, 고분자형, 실리콘, 불소계 등

BASF, Cognis, Ecover, Urumqui Unite, Saraya, MG Intobio, Air Products & Chemicals
Inc., Clariant, Evonik Industries, Huntsman, New Life Chemical, Graham Chemical,
Stirling Chemicals, Libra Chemicals Limited, Abitec, Mani Agro, Dow Chemical, Stepan,
Akzonobel, Dupont, Henkel, Elementis Specialties, Nylex Specialty Chemicals, KAO
해외 기업
Corporation, P&G, Albion Inorganic Chemicals, Himchem Industries, Elevations, LLC,
ISCA UK Limited, Harcros Chemicals, Nicca Chemical, Lankem Limited, Greenchem
Industries Co, Qinhuangdao Bright Chemical, Bem, Lamberti SPA, Somapex Biotech,
K-Tech (India), TianSheng Chemicals, Sinochem, Nikko Chemicals, BYK

롯데케미칼, 한농화성,
AK켐텍, LG생활건강, KPX그린케미칼, 동남합성,
LG생활건강, 오성화학공업,
국내 기업 CJ라이온, 미원화학, SJ Chem, 한국산노프코, 이코넥스, KCI,
선진화학, AK켐텍, 동남합성
동성하이켐, 동림유화, 범우화학 실크로드시앤티, KG케미칼,
IC케미칼, DHC케미칼,

231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다. 전후방산업 환경

 범용 계면활성제 산업이 이제는 선진국보다는 중국, 인도 등 신흥 개도국에 영향을 줄 것이며


특수 기능성 계면활성제 산업이 개도국보다는 선진국에 영향을 줄 것 이이라 함

 범용 계면활성제 산업은 도료, 제지, 화장품, 생활용품, 섬유 등 전통 산업에 재도약 기회를 제


공할 것이고, 기술 집약형 산업구조화에 기여

 전통적인 범용 계면활성제 제품 생산, 유통 단계에서, 특수 기능성 계면활성제는 맞춤형 연구


기획, 생산 방식으로 변화해 수요처에서 즉시 맞춤형 원격 생산을 하는 소비지 생산 방식이 확
산 예상

[ 계면활성제의 친수기에 다른 유형별 분류 ]

 EO 부가물 및 무기약품 등 정밀화학제품은 국내에서도 생산되고 있으나 특수기술이 요구되는


의약품, 화장품용이나 불소⋅실리콘 등 계면활성제는 완제품 또는 중간체를 수입하여 약간의
가공을 거쳐 시판되기 때문에 고부가가치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 관련 업체들은 중간체제조 및
응용기술 등 기반기술의 확보와 기술의 산업화의 노력이 필요

 계면활성제 산업의 영향으로 1) 기술 집약형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2) 제조업과 기술 융합 등


새로운 산업 형태가 생기며, 3) 산업요구에 따른 전문적인 맞춤형 산업 등장과, 4) 특수 기능
성 계면활성제 확산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

 최근 자연물추출에 의한 천연 또는 생합성의 생물 계면활성제(bio-surfactants)는 양친매성의


생분해성 친환경 기능성물질로서 합성 계면활성제를 점차 대체해야 할 것임

▪ 당분간 팜유나 코코넛 오일과 같은 천연유지를 원료로 하는 제품과 cellulose나 sucrose, 아미노
산 같은 원료를 비롯하여 polymer 등을 이용한 polymer surfactants, enzyme와 같은 새로운 촉
매를 이용한 합성제품의 개발이 더 활성화될 전망

23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계면활성제에 대한 생산 성장률은 점차적으로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중남미 등 개도국으로


이전되는 추세이며 주요 선진국은 생산량의 증가보다는 새로운 첨단기술을 적용한 고부가가치
의 제품의 성장이 주도하고 있는 실정임

 독일, 일본 및 미국 등 선진국의 계면활성제 기술개발 동향은 특수용도의 계면활성제를 적용하


는 응용기술과 환경오염 저감의 생분해성, 인체 안전성을 높여주는 저자극성, 무독성, 이에 더
나가서 기능성을 높여 성능의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를 유발시키는 다기능성을 표방한
고부가 제품과 마케팅을 위한 계면활성제의 제조 및 활용이 최근 중요한 요소기술임

 최신 고부가 바이오기능성물질의 연구개발을 통한 자체기술력 향상과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우리나라 중소형 관련기업 및 정밀화학업체의 기술지원이 강력히 요구됨

 계면활성제 산업은 합성 및 배합 기술 기반이기 때문에, 원료 및 소재 기술이 발전되는 과정에


서 제조기업의 기술 역량은 더욱 강조될 것이며 따라서 지적재산권 보호가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233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3. 시장환경분석

가. 세계시장

 MarketsandMarkets의 2016년 보고서에서 세계의 계면활성제 시장은 2016-2021년 연평균


성장률(CAGR) 5.4%로 성장하여 2021년까지 398억 6,000만 달러까지 확대될 전망이라 함

 최근 다양한 소재 기술발전에 힘입어 가정용, 일반 산업분야, 소비재, 의료, 건축/토목 등 다양


한 응용 확대가 기대되어 급속한 시장 확대 전망

[ 세계 계면활성제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억 달러)
성장률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

세계시장 306.5 320 334.1 348.8 364.1 380.1 4.4

* 자료: Acmite Market Intelligence(2016): Global Surfactant Market, 4th Edition, Updated : April, 2016

 Acmite Market Intelligence의 2016년 보고서에서는 2015 년에는 약 306억 5 천만 달러의


가치가 있으며 향후 몇 년 동안 4.4 % 성장해 2021 년에는 396억 9000 만 달러, 2024 년
에는 451억 6 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2015년 미국의 시장조사 및 컨설팅 전문기관인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2020년 세
계 바이오계면활성제 시장은 23억88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발표함. 또한 향후 6년간 (원유
유래 제품에 대한) 엄격한 규제 정책이 바이오-계면활성제 수요 증가와 시장 확대를 부채질 할
것으로 전망

▪ 바이오유래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유럽과 북미에서 바이오


계면활성제의 시장 침투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메칠 에스테르 설포네이트(MES: Methyl Ester Sulfonate)는 가장 많이 소비되는 바이오계면활성


제로 2013년 세계 총 소비량인 344 킬로 톤 가운데 33.26 %를 차지했음. 다른 계면활성제와
비교할 때 거품과 안전성에서 우수한 재원을 갖추고 있어 가정용 세제로 이상적이었기 때문으로
풀이됨

▪ 이 외에도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APG: Alkyl polyglucosides), 소르비탄 에스테르(Sorbitan


Esters), 그리고 자당 에스테르(Sucrose Esters) 등과 같은 바이오계면활성제들은 총 소비량 가운
데 115 킬로톤을 차지함

▪ 세계 바이오계면활성제 시장은 2014년부터 연평균 성장률 4.3%를 기록 2020년에는 462 킬로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

▪ 분류별로 보면 가정용 세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2013년 총 시장의 153.5 킬로톤을 차지했
으며 지속가능한 청정 환경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 예측 기간 동안 바이오-계면활성
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임

23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퍼스널케어에 대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수요증가로 총 시장 수요 가운데 이 분야가 차지하는 비


중도 늘 것으로 보임. 2014년부터 바이오-계면활성제 총 수요 가운데 퍼스널케어가 차지하는 비
중은 연간 4.5%씩 증가하여 2020년에는 50.7 킬로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세계 바이오계면활성제 시장은 세계 5대 톱 업체들과 통합돼 있으며 세계 수요의 약 90%를 충


족시키고 있으며 시장에서 주요한 활동을 하고 있는 업체들로는 BASF Cognis, Ecover,
Urumqui Unite, Saraya, 그리고 MG Intobio를 들 수 있음

 2015년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2014 년에 전 세계 계면 활성제 시장 규모는 299


억 3 천만 달러이었고 가용 시장 성장에 따른 아시아 태평양 및 라틴 아메리카를 포함한 세제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예측 된 기간 동안 전 세계 계면 활성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
고 있음

▪ 유럽 ​
및 북미 선진국에서 바이오 계면활성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합성 물질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라는 압력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바이오 계면 활성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업계 참가자
들에게 새로운 길을 열 것으로 예상

▪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및 베트남과 같은 국가에서 낮은 생산 비용과 상대적으로 유연한 규


제 시나리오는 향후 7 년 동안 지역시장 성장을 도울 것으로 예상

▪ 지속적으로 변동하는 원유 가격으로 인한 가격 변동성과 계면 활성제의 분해성 및 독성에 관한 환경


문제가 증가하면 성장 전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예측하며 바이오 계면 활성제의 상업적 생산
과 관련된 문제를 야기하는 기술적 제한 또한 예측 기간 동안 시장 성장을 저해 할 것으로 예상

235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 바이오 계면활성제 제조 공정 예 ]

 (해외 동향) 주요 선진국(미국, EU 등)들이 주도,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을 위한 기술개발 집중


투자 중이며, 서비스 시장 확대 전망

▪ 미국, 일본, EU 등 주요 국가의 메이저 기업들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기술 보유업체가 원천


소재기술도 동시 보유

23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주요 선진 국가별로 소비재, 전자, 자동차, 의료, 에너지 분야 등으로 활용범위 확대중이며, 신


규 원천기술 개발에도 집중

 현재 세계적인 계면 활성제 시장은 Akzo Nobel NV(네덜란드),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미국), BASF SE(독일), Clariant AG(스위스), EI Du Pont de Nemours (미
국) 등이 주도하고 있으며 많은 수의 고객에게 혁신적인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신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 세계 계면활성제의 시장 수요처 ]

237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나. 국내시장

 국내 계면활성제 시장 규모는 2015년 37만 8700톤으로 그 중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전체


78%인 29만 7200톤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

▪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2011년 8만7900톤의 국내 수요를 형성했던 것과 달리 2015년에는 6만


7600톤으로 축소됨(CMRI 시장분석 보고서, 2016)

[ 계면활성제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MT, %)
성장률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

국내 361,200 369,800 369,500 369,500 370,000 370,800 0.27

* 자료: CMRI(2016) : 계면활성제의 용도 및 수요분석

 일부 중소/벤처기업 중심으로 생물형, 천연, 고분자 및 맞춤형 특수 기능성 계면활성제 제품


개발,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였으나, 시장을 선점하기에는 아직은 역부족

▪ 국내 특수 기능성 계면활성제 시장도 급속히 성장하고 있지만, 원재료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여
배합하는 수준임

 대부분의 업체가 범용 계면활성제에 대한 기술과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천연유래, 생물형


등의 특수 기능성 계면활성제의 기술 및 제조 수준은 선진국의 모방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
으며 특히 기술이전을 규제하고 있음

▪ 업체의 영세성과 R&D 투자의 부담으로 기술축적이 어려운 실정임

 국내 계면활성제 시장도 급속히 성장하고 있지만, 사업규모가 작은 제조회사의 난립으로 경쟁


이 심하여 가격하락과 품질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음

▪ 품목별 전문화와 기능성 응용기술 개발이 절실함

▪ 영세업체가 대부분으로 이직률이 높아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우며 전문인력 부족함

▪ 소량 다품종을 요구하는 계면활성제 수요업체는 원료 및 중간재에 대한 외산제품 선호가 강함

23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자료: CMRI(2016); 계면활성제 용도 및 수요분석

[ 국내 제품별 계면활성제 시장 전망 ]

 범용 계면활성제는 선진 수준의 생산과 수출을 하고 있으나 특수 계면활성제 원천기술 취약,


소재 및 인프라 개발 부족 등으로 우리 기업들의 세계시장 참여는 미진한 상황

▪ 미국 등 글로벌 선도기업이 특수 계면활성제분야의 원천기술(천연유래, 고분자형, 생체형 등)을 주


도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의 분자설계 및 제조 기술력은 미흡한 편

 선진국 대비 기술경쟁력이 부족하지만, 수요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성장 잠재력 보유

▪ 산발적인 지원으로 인해, 국내 기술수준은 선도국(미국)대비 미약한 수준으로 국책사업 차원의 적


극적인 지원 시급

 특수 계면활성제 관련 원천기술 취약, 소재 및 연구투자 개발비 부족 등으로 우리 기업들의


세계시장 참여는 미진한 상황

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나 환경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갖는 bio surfactant와 미생물 및 식물


천연원료의 추출물을 이용한 surfactants들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음

▪ 현재 원료는 대부분 고가이며 특성상 응용분야가 제한되어 있고 수요가 제한적으로 향후 대량생산


에 의한 cost down 그리고 식품과의 경쟁관계가 없는 미세조류 (micro-algae)와 같은 새로운 값
싼 재생성 천연원료에 의한 oleochemical에 따른 높은 계면기능을 지닌 복합 고기능성 제품 개발
이 이어져야 됨

239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다. 무역현황

 계면활성제 기술의 공정기술로 품목 단위의 무역현황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어 수출품목 중


유기계면활성제 및 조제계면활성제, 조제윤활류 등 품목의 무역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수출량과
수입량이 비슷하게 유지되는 추세

▪ 계면활성제 기술의 수출현황은 ‘11년 5억 1,033만 달러에서 ’15년 6억 4,361만 달러 수준으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수입현황은 ‘11년 5억 6,589만 달러에서 ’15년 6억 1,856만 달러 수준으로
소폭 상승

▪ 최근 5년(‘11~’15년)간 연평균 성장률을 살펴보면 수출금액은 6.1%로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은


2.2%로 소폭 증가

 무역특화지수는 ‘11년(-0.05)부터 ’15년(0.02)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수출량과 수입량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수준으로 분석

[ 계면활성제 관련 무역현황 ]
(단위 : 천$)
CAGR
구분 ‘11 ‘12 ‘13 ‘14 ‘15
('11~'15)

수출금액 510,335 541,378 584,496 632,053 646,317 6.1%

수입금액 565,892 568,607 586,515 638,223 618,561 2.2%

무역수지 -55,557 -27,229 -2,019 -6,170 27,756

무역특화지수* -0.05 -0.02 0.00 0.00 0.02

* 무역특화지수 = (상품의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으로 산출되며, 지수가 0인 경우 비교우위는 중간정도이며, 1


이면 완전 수출특화상태를 말함. 지수가 -1이면 완전 수입특화 상태로 수출물량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입만 한다는 뜻
* 자료 :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HS-Code(6자리 기준) 활용

24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4. 기술환경분석

가. 기술개발 트렌드

◳ 환경오염 저감 및 인체 안전성

 환경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켜 줄 환경 친화적 소재의 원천기술 확보

▪ 환경오염물질 최소화를 위한 무공해, 안정성 등의 환경친화형 산업화 추진으로 환경위해성 저감


기술 및 제품 개발

▪ 최근 환경에 대한 의식의 변화와 상향된 생물학적 안전성 기준들로 인해 화장품과 같은 산업 분야


는 계면활성제를 조심스럽게 선택하게 되었고 규제와 환경보호의 쟁점들로 인해 계면활성제의 개
발은 점차 이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임

▪ 화학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이나 인체 유해성이 대두되면서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환경부하 물질이


나 유해화학 물질을 지정하여 제조과정, 취급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법령이나 규제에
의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음

 인체에 대한 안전성 해결 수요 증가

▪ 분자가 작아 침투력이 강해 피부를 자극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고 모세관을 통해 기관으로


들어가면 질병이나 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또한 이에 대한 논란도 있음.

▪ 최근 자연물추출에 의한 천연 또는 생합성의 bio-surfactants는 양친매성의 생분해성 친환경 기능


성물질로서 합성계면활성제의 대체재로 요구되고 있음

▪ APG(alkyl poly glucoside)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야자유나 옥수수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제조하
는 높은 자기분해성의 친환경적 저자극성의 계면활성제로서 근래에 많이 사용

▪ 계면활성제 산업의 경쟁력을 환경적 요소와 결합해 기존 시장 및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내는 효과


를 만들어 내며, 에너지 절감 기술, 오염 저감 기술의 개발이 시장에서의 요구

◳ On-Demand(주문형) 제조

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각 지역별, 산업별 생산이 가능한 맞춤 주문형 계면활성제는 생산 시스템


자체의 변화를 이끌 것으로 예상

▪ 고객이 원할 때, 고객과 가까운 곳에서 고객이 원하는 맞춤형 계면활성제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재고를 비축하는 대신, 필요할 때 맞춤형 계면활성제
를 수요기업이 받아 제품 생산이 가능

▪ 이런 변화는 궁극적으로 생산 공정 및 공급망을 간소화시킴으로써 비용 절감을 가져올 뿐만 아니


라,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한 피해 감소도 가능

241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 고부가가치 특수 기능성 계면활성제와 경쟁력 확보

 기능성 계면활성제 소재의 고기능화, 활용성의 확장을 위한 혁신기술 개발, 가격절감 기술의
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형 산업으로 재편이 요구

▪ 기존 계면활성제의 기능인 물리화학적 계면특징을 더하여 유연성, 살균성 등을 복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다기능성 제품을 요구함

▪ Bio surfactant의 종류는 glycolipid계, lipopeptide계, polysaccharide계, phospholipid계, fatty


acid계, neutral lipid계 등으로 나누어지며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응용 특수 분야에 적용할 가능
성이 높으며 현재 상용화된 대표적인 bio surfactant로는 emulsan 및 spiculisporic산을 들 수
있는데 이는 MEOR(Microbial Enhanced Oil Recovery)라는 석유강제회수 공정에 사용

▪ 레시틴(lecithin), 사포닌(saponin) 및 슈거에스테르(sugar ester), 폴리글리세린에스테르


(polyglycerin ester), 솔비탄(sorbitan), 글루코스(glucose) 등을 저렴한 가격에 안정적으로 수급
한다면 천연 및 한방계의 계면활성제 국산화에 기폭제가 될 것

▪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바이오 계면활성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점차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대게, 복어, 오징어 등 해양생물 및 야생화와 미생물의 연구를 통해 효모의 안전성에 착안,
약 300여 종의 식물로부터 2만여 효모를 분리해냈음

▪ 식품과의 경쟁관계가 없는 미세조류(micro-algae)와 같은 새로운 값싼 천연원료에 의한


oleochemical에 따른 높은 계면기능을 지닌 복합 고기능성 제품 개발 필요성

 기능성 계면활성제 분야에서 미국, EU, 중국, 일본과의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친환
경적이며 고성능의 계면활성제를 국내 기술로 개발하여,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차별화된 성능을 통해 고객의 품질 만족을 극대화하는 것이 우선

▪ 고부가가치 아이템 집중 필요, 원천소재의 국내 기술 개발 및 확보 필요성

▪ 기능성 소재의 품질 표준화 및 품질 인증 시스템

▪ 지속적인 R&D 사업 추진 필요성과 전문 인력양성 사업 필요

▪ 산학연의 지속적 개발 노력 및 수출 경쟁력 강화

24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 주요 선진국(미국, EU 등)들이 주도,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을 위한 기술개발 집중 투자 중이


며, 다양한 산업 시장 확대 전망

▪ 미국, 일본, EU 등 주요 국가가 세계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생산기술 보유업체가 소재기술도 동시 보유

▪ 주요 국가별로 소비재, 전자, 에너지, 의료, 전지 등으로 활용범위 확대 중이며, 신규 원천기술 개


발에도 집중

[ Gemini 계면활성제 ]

▪ 2016년 5월, Proctor & Gamble은 USDA 인증을 받은 바이오유래 세제 Tide® purclean™를 출시
했다고 밝혔음. Tide purclean 세제는 65%의 바이오함량을 가지고 있는 제품이며 고효율 세탁기와
일반 세탁기 모두에 사용 될 수 있도록 디자인. 또한,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 특히 찬물을 포함해서
어떤 온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Tide Purclean의 조성은 식물유래 계면활성제, 코코넛 유래 세정성
분, 식물유래 가공조제, 바이오유래 효소 등으로 구성되어, 세제가 USDA 바이오유래 인증을 획득

▪ Logos Technologies는 석유유래 계면활성제를 대체하는 생분해성 천연 소재를 출시. NatSurFact®


제품군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기존의 화학제품을 능가하는 친환경, 저렴한 바이오계면활성제를 제공,
NatSurFact product는 rhamnolipids라고 불리는 천연물 유래 유기 바이오계면활성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 물질은 현재 산업 표준물질보다 1,000배나 효율이 좋은 것으로 입증되었음. 박테리
아 및 효모를 포함한 미생물에서 생산된 천연 화합물인 rhamnolipids가 상업적으로 적용된 첫 번째
사례이다. 환경보호국이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rhamnolipids는 생분해 되며 환경 및 인간에게 다른
부작용이 없는, 기존 계면활성제와는 차별화된 화합물이라고 결론

243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 국제적 생명과학 및 소재 과학 기업 Royal DSM의 자회사 DSM Nutritional Products는


SyntheZyme LLC 바이오계면활성제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품개발을 하기 위해 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옵션 계약(Development and Option to License Agreement)를 맺고 SyntheZyme과 협
력을 시작

 BASF는 자사의 상하이 진산 공장에 생산 시설을 신설해 에몰리언트 및 왁스 제품의 생산 능


력을 확대 중
▪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아시아/태평양 퍼스널케어(Personal Care) 시장에 보다 경쟁력 있는 서
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BASF는 진산의 왁스 에스테르, 유화제, 1차 계면활성제 생산 시설 보강에
대한 투자를 진행하여 아시아태평양지역 내 생산량을 증대할 예정

▪ 진산 공장에서 생산되는 다수의 제품은 팜 오일을 비롯한 천연 원료를 사용한다. 진산 공장은 지


속가능한 팜 오일 생산을 위한 협의회(Roundtable on Sustainable Palm Oil, or RSPO) 공급
체인 인증을 받은 생산시설로서, RSPO가 인증한 지속 가능한 팜 오일 제품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
해 Mass Balance 모델을 적용하고 있음

(2) 국내업체동향

 선진국 대비 경쟁력이 부족하지만, 수요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성장 잠재력 보유

▪ 산발적인 지원으로 인해, 국내 기술수준은 선진 기업대비 미약한 수준으로 국책사업 차원의 적극


적인 지원이 시급함

 생산 기술개발에 머무르지 않고, 수요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맞춤형 기술개발 추진 중

▪ 최근 계면활성제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기 위한 산·학·연 연계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음

24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기술인프라 현황

 미국의 경우 계면활성제 관련 인프라는 미국 Oklahoma 대학의 ISAR16)이 있음

▪ 8명의 전문 교수들이 모여 만듦

▪ 연구소의 강점 중 하나는 산업에서 중요한 프로세스 및 기술 개발에 새로운 지식과 기술 혁신을


적용 할 수 있는 능력 제공

▪ 여러 기업과 대학을 상대로 한 공용 인프라로서의 역할은 제한적

 뉴욕 시립 대학교의 Brooklyn College의 Surfactant Research Institute (SRI)는 계면 활성제


화학 분야, 특히 계면 활성제 응용 분야와 관련된 기초 및 과학 지식을 습득하고 보급하는 일
반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음

▪ 기초 연구 ­ 현재 및 새로운 응용 분야에서의 사용을 지원하는 계면 활성제의 표면 및 계면 특성


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

▪ 맞춤형 연구 - 산업 조직에서 제안하고 지원하는 특정 계면 활성제 관련 문제에 대해 수행

▪ 데이터 수집 - 현장에서의 문헌 읽기, 특히 계면 활성제의 화학 구조 / 특성 관계에 대한 이해

▪ 교육 및 훈련 - 브루클린 칼리지 (Brooklyn College) 또는 산업 연구소의 현장에서 코스를 통해


계면 활성제 화학의 이론 및 실습에 학업 및 산업 인력 교육

▪ 연구 센터에는 Clorox, Dow, GAF(현 ISP), 레버, Reckitt and Colman, Stepan이 포함

 국내 계면활성제 관련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기술 및 제품교류 및 교육기관은 한국계


면활성제/접착제공업협동조합,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원, KAIST, POSTEC, 동국대 기능
성 콜로이드소재 센터, 충북대와 같은 일부 대학 교육기관 등이 있음

▪ 한국계면활성제·접착제공업협동조합

1) 계면활성제 기술 세미나 개최

- 기간 및 횟수 : 연 1회(상반기:4~5월)

- 참가예상인원 : 80명

- 장소 : 중소기업중앙회

- 발표내용 : 국내외 계면활성제 산업현황 및 기술개발동향, 최근 계면활성제 합성기술, 계면활성제


기능과 최신 응용기술, 계면활성제의 품질관리, 계면활성제 환경규제 현황 및 대처

 범용 계면활성제 산업은 성숙기에 접어듦에 따라 기술 인프라 관련 연구를 하지 않고 자체 기


업연구소를 이용하는 경향

▪ 여러 기업과 대학을 상대로 한 공용 인프라로서 역할은 제한적

▪ 주로 자체 기업부설 연구소 인프라 활용

16) ISAR홈페이지 : https://www.surfactantassociates.com/iasr

245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도 화학산업 업


종별 현원은 407,758명으로, 2013년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업종별 부족률은
2.6% 정도로, 2013년 대비 완화되었음
▪ 그러나 계면활성제 산업군에 속하는 ‘화학·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생산기 조작원’의 부족률이
3.2%로 가장 높았음

▪ 전국의 화공/화학 관련학과 들이 있지만 계면활성제 자체에 대한 학과는 전무한 상황

▪ 연구개발에 필요한 석박사급 인력공급은 부족한 실정으로 원료 및 소재에서 이직하는 인력수급만


가능한 실정이나, 인력부족 현상이 심각

▪ 석박사급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의 개발과 기존 인프라와 연계한 실습교육을 병행하는 ‘현장기술


인력양성 프로그램’필요

 국내 기업이 세계시장의 메이저급이 되기 위해서는 제품기술의 우위와 함께 표준·인증 및 실증


분야의 인프라 형성이 중요

▪ (표준) 국제 표준 설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현재 제정된 KS표준들의 개정작업도 시급

▪ (인증) KS보완 및 국제표준이 제정되는 것에 맞추어 성능표준에 대한 인증기관 선정 및 인증을 위


한 성능측정 장비 구축 보완필요

▪ (실증) 성능지표의 확인, 보증 및 신뢰성(Reliability) 향상 연구를 위한 ‘실증프로그램’이 필요

24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계면활성제 관련 공인시험 분석기관 ]

시험분석 기관 한글명 내용

환경규제 분야, 신소재 분야 등

한국화학융합시험원 시험, 인증, 교육컨설팅

각종 고분자, 도료관련 시험분석


http://www.ktr.or.kr/

국내외 인증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환경시험

재료시험

http://www.ktl.re.kr/

시험/검사
한국건설생활환경
인증/심사
시험연구원
http://www.kcl.re.kr/ R&D

중소기업지원

한국의류시험연구원 산업 기술 지원

http://www.katri.re.kr 시험분석, KAS 인증서비스

환경유해물질

KOTITI시험연구원 제품인증

기술지원
http://kotiti.re.kr:8081/

성분분석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 기기분석

http://www.polymer.co.kr/main.do 물성분석

247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라.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 출원동향

 계면활성제 기술의 지난 7년(‘10~’16) 간 출원동향17)을 살펴보면 연도별로 출원경향이 증가,


감소를 반복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계면활성제 관련 기술개발 활발

▪ 각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 출원경향은 급격히 감소-증가-감소 추세, 한국과 일본은 일정 건수를


유지하고 있으며, 유럽의 경우 ‘12년을 기점으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국가별 출원비중을 살펴보면 미국이 45.5%로 최대 출원국으로 계면활성제 기술을 리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유럽이 28.1%, 한국이 15.6%의 출원비중을 나타냄

[ 계면활성제 분야 연도별 출원동향 ]

17)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재하여 2015, 2016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24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국가별 출원현황

 한국의 출원현황을 살펴보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
며, 외국인의 출원이 미미하게 증가

 일본의 출원현황은 ‘12년을 기점으로 유지에서 감소추세로 변화하였으며, 외국인 출원인이 상


대적으로 우세

 미국의 출원현황은 증감을 반복하면서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외국인 출원인
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유럽의 출원현황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자국 출원이 소폭 증가하


는 추세를 나타냄

[ 국가별 출원현황 ]

249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3)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 계면활성제 분야의 투입기술을 확인하기 위하여 특허분류코드인 IPC Code18)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계면활성제 분야의 가장 높은 IPC는 C11D 기술분야가 1501건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서 A61K가 579건, C09K가 241건으로 다수를 차지
▪ 이외에 C07C 139건, A01N 107건, C08F 80건, A61Q 70건, C12N 60건, E21B 50건, C09D
49건 순으로 기술이 투입되어 있어 계면활성제 분야에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어 존재

▪ 더불어 해당 IPC의 특허인용수명을 살펴보면 E21B 기술분야의 수명이 10년으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A61Q 기술분야는 2년으로 가장 짧은 것으로 분석

[ 계면활성제 분야 상위 투입기술 ]

IPC 기술내용 특허인용수명(TCT)19)

세정성 조성물; 세정제로서 단일 물질의 사용; 비누 또는 비누 제조; 수지


C11D 8년
비누; 글리세롤의 회수

A61K 의약용, 치과용 또는 화장용 제제 8년

C09K 그 밖에 분류되지 않는 응용되는 물질; 그 밖에 분류되지 않는 물질의 응용 7년

C07C 비환 화합물 또는 탄소환 화합물 9년

A01N 인간, 동물 또는 식물의 본체, 또는 그것들의 부분 보존; 살생물제 8년

C08F 탄소-탄소 불포화결합만이 관여하는 반응으로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 9년

A61Q 화장품 또는 유사 화장품 제제의 특정한 용도 2년

C12N 미생물 또는 효소; 그 조성물 8년

지중 또는 암석의 굴착; 채굴정 에서의 오일, 가스, 물, 용해성 또는 용융성


E21B 10년
물질 또는 광물 슬러리의 채취

C09D 피복 조성물 6년

18) 전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국제특허분류(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를 통해 특허정보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을 조
사할 수 있으며, 기술 및 권리정보에 용이하게 접근 가능
19) 특허인용수명 지수는 후방인용(Backward Citation)에 기반한 특허인용수명의 평균, Q1, Q2(중앙값), Q3에 대한 통계값을 제시함.
특히 이와 같이 산출된 Q2는 TCT(Technology Cycle Time, 기술순환주기 또는 기술수명주기)라고 부름

25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투입기술이 가능 많은 C11D 분야와 융합이 높게 이루어진 기술은 C12N 분야로 나타났으며,


A61K, D06L 분야와도 나타 융합된 기술의 건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

▪ 이외에 A61K 분야와 융합된 기술은 A61Q, A61P, C07K 분야와 융합된 기술이 많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 C09K 분야와 융합된 기술은 E21B, B01F, C07C 기술로 분석

[ 계면활성제 분야 IPC 기술 및 융합성 ]

(4) 주요출원인 분석

 세계 주요출원인을 살펴보면 주로 미국, 유럽 및 일본의 출원인이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품 및 생활용품 분야의 출원인이 대부분

▪ 최다 출원인으로는 미국의 PROCTER AND GAMBLE이 도출되었으며, 주로 본국에서 출원건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유럽 출원인으로는 독일의 HENKEL, BASF 및 프랑스의 LOREAL이 도출되었으며, 주로 미국이나


유럽에서 출원건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한국 출원인은 상위출원인으로 도출되지 않음

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PROCTER AND GAMBLE의 3극 패밀리수가 284건으로 다


국적으로 시장을 확보하며 출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독일의 BASF도 79건으로 다국적
시장을 확보

251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 독일 기업인 BASF가 확보한 특허의 피인용지수가 2.81로 가장 높게 나타나 기술의 파급성이


높은 원천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주요 출원인의 출원현황 ]

주요 IP시장국 (건수 %) 3극

IP시 패밀 피인용
주요출원인 국가 주력기술 분야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장국 리수 지수

종합 (건)

PROCTER AND 4 304 32 180


세정제용
미국 미국 284 2.43
GAMBLE 계면활성제
1% 58% 6% 35%

19 81 2 112 섬유및색상보호
HENKEL 독일 유럽 15 0.33 용
9% 38% 1% 52% 계면활성제

8 90 23 66
화장료용
LOREAL 프랑스 미국 63 1.28
계면활성제
4% 48% 12% 35%

40 58 15 59
미국/ 계면활성제
BASF 독일 79 2.81
유럽 합성
23% 34% 9% 34%

3 105 3 22
세정제용
ECOLAB 미국 미국 46 2.19
계면활성제
2% 79% 2% 17%

0 2 0 80
세정제용
UNILEVER 영국 유럽 3 0.00
계면활성제
0% 2% 0% 98%

DOW GLOBAL 2 30 15 28
미국/ 계면활성제
미국 47 0.14
TECHNOLOGIES 유럽 합성
3% 40% 20% 37%

2 13 25 15
계면활성제
KAO 일본 일본 22 0.50
합성
4% 24% 45% 27%

34 7 6 4
세정제용
LION 일본 한국 8 0.67
계면활성제
67% 14% 12% 8%

25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5) 국내 출원인 동향

 국내 출원인 동향을 살펴보면 대기업은 한국콜마의 출원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기


업에서는 그린솔루션스의 출원건수가 높게 나타남

▪ 대기업의 주요 출원인은 한국콜마, LG생활건강, 애경산업, 아모레퍼시픽, 동우화인켐 등이 있으며,


중소기업의 주요 출원인은 그린솔루션스, 오성화학공업, 극동제연, 슈가버블 등이 주요 출원인인
것으로 나타남

 기업 이외의 주요출원인을 살펴보면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


연구원 등 연구소/공공기관의 출원이 다수 나타났으며, 대학은 성균관대학교, 서울대학교의 출
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 국내 주요출원인의 출원 현황 ]

253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5. 중소기업 환경

가. 중소기업 경쟁력

 계면활성제 세부품목에서 주요기술로는 이온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생산기술 등이 있으며 이러


한 기술은 주로 대기업인 롯데케미칼, LG생활건강, AK켐텍, CJ라이온 등이 기술력을 갖고 있
으며, 이 중 일부 기능성 계면활성제 등의 기술은 중소기업에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중견/중소기업으로는 오성화학, 한농화성, KPX그린케미칼, 동남합성,


한국산노프코, 이코넥스, KCI, 실크로드시앤티, KG케미칼, IC케미칼 등이 경쟁력을 보유함

[ 계면활성제 분야 국내 중소/중견기업 현황 ]

중소기업 주요 중소기업
세부분류 주요 기술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참여영역 참여 정도*

세정, 유화, 분산, AK켐텍, LG생활건강, 미원화학, 에스제이켐, 동성하이켐,


음이온 생산/판매 ◑
기포/소포 CJ라이온 동림유화, 범우화학

대전방지, 유연제,
양이온 LG생활건강, AK켐텍 오성화학공업, 선진화학, 동남합성 생산/판매 ◑
살균제

한농화성, KPX그린케미칼, 동남합성,


세정, 정련제,
롯데케미칼, 한국산노프코, 이코넥스, KCI,
비이온 완염제, 매염제, 생산/판매 ◕
LG생활건강, AK켐텍 실크로드시앤티, KG케미칼, IC케미칼,
천연유래
DHC케미칼, 일신웰스

수양켐텍, PYC, 코씰, 빅터켐,


현대하이켐, 동양유지, 삼원, 동림유화,
스노젠, 아이에스오코리아, 그린유화,
고린유화, 금강하이켐, SFC, 태동씨엔에스,
계면활성제 이온성, 비이온, 태우, 고려유지, 대동유화, 동국화공, 생산/판매/배합/
- ◕
관련 기능성 그린케미칼, 셀케미칼, 아이씨케미칼, 조제
양명유화, 고려케미칼, 영창케미칼,
유성화연테크, 재규화학, 태원화학,
파나케미칼, 풍림유화, 화성케미칼,
신라케미칼, 삼영유화, 씨엔에이바이오텍

* 중소기업 참여정도와 점유율은 주요제품 시장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참여규모와 정도(업체수, 비율 등)를 고려하여 5단계로 구분 (낮은
단계: ○, 중간 단계(◔, ◑, ◕) 높은 단계: ●)

25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중소기업 기술수요

 계면활성제 분야의 중소기업의 기술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기술수요조사 및 중소기


업청 R&D신청과제(2013~2015년)를 분석한 결과 아래 표의 내용과 같은 수요들이 다수 있는
것으로 분석

▪ 계면활성제 분야 중소기업은 최근에 친환경 계면활성제 기술, 기능성 계면활성제 기술 및 계면활


성제 합성 기술과 관련된 기술개발에 다수 수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근 기술트렌드
인 친환경 기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됨

[ 계면활성제 분야 과제신청현황 및 수요조사결과 ]

전략제품 기술 분류 관심기술

· 친환경 유화제 개발
· 유용미생물 대량 배양공정 기술 기반 친환경 세제의 개발
친환경 계면활성제
· 식품부산물의 성분을 이용한 친환경 계면활성제 개발
기술
· 천연물 추출물을 활용한 친환경 계면활성제 개발
·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부식방지 성능을 갖는 저기포성 세정제 첨가제 개발

· 저온흐름성과 수분산성이 우수한 양이온 계면활성제 개발


기능성 계면활성제 · 녹제거와 방청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기능성 고분자계 계면활성제 개발
계면활성제
기술 · 발효산업용 자기유화형 고효율, 무독성 소포제의 개발
· 항균 및 항균기능을 부여한 친환경 섬유유연제 개발

· 폴리올을 도입한 양이온계면활성제 개발


· 다단 유화중합을 이용한 유화안정성 및 상용성이 우수한 아크릴 유화제 개발
계면활성제 합성 기술
· 알파 수산기를 도입한 새로운 형태의 세라마이드 유사 화합물 개발
· 섬유공업용 불소계 계면활성제 합성 및 개발

255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다. 중소기업 핵심기술

(1)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 계면활성제 기술의 특허 및 논문데이터 검색을 통해 도출된 유효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마이


닝 기법(Scientometrics 기법)을 통해 클러스터링된 키워드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요소기술 후
보군을 도출

▪ 계면활성제 기술의 특허 및 논문 유효데이터를 기반으로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통하여 10개의 요


소기술 후보군을 도출

▪ 제품별 dataset 구축 : 계면활성제 기술 관련 특허/논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노이즈 제거 후 제품


별 dataset 구축

▪ 1차 클러스터링 : 키워드 맵을 통한 고빈도 키워드 확인-빈도수(tf-idf)20)가 상위 30%에 해당하


는 키워드를 대상으로 1차 추출

▪ 2차 클러스터링 : 1차 클러스터링에서 추출된 고빈도 키워드 사이에서 고연관도 키워드를 2차 추


출 (고연관도 기준은 연관도수치21)가 2이상인 클러스터로 제한)

 다음 그림은 키워드 간 연관네트워크를 시각화한 것으로, 각 키워드를 나타내는 원과 키워드


간의 연관도를 나타내는 직선으로 구성

▪ 각 키워드가 특허와 논문 중 어느 데이터에서 도출되었는지 원의 색으로 구분하였으며, 키워드로


도출된 클러스터는 황색음영으로 표시

▪ 키워드를 나타내는 원은 고빈도의 키워드일수록 원의 크기가 크게 표현되며, 연관도를 나타내는


선은 키워드 사이의 연관도수치가 높을수록 굵게 표현

 계면활성제 기술 전략제품의 특허․논문 유효데이터에 대하여 키워드 클러스터링 결과를 기반으


로 요소기술 도출

 데이터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은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통해 도출된 요소기술에 대하여 전문가의
검증 및 조정을 통하여 요소기술을 도출

20) 빈도수(tf-idf) : 각 키워드가 출현되는 특허 또는 논문수를 의미


21) 연관도수치: 두 개 이상의 키워드 사이의 특허 또는 논문수를 의미

25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계면활성제 분야 키워드 클러스터링 ]

[ 계면활성제 분야 주요 키워드 및 관련문헌 ]

No 주요 키워드 연관도 수치 관련특허/논문 제목

1. Microbial surfactants of marine origin: Potentials and prospects


2. Microbial surfactants of marine origin: Potentials and prospects
클러스터 microbial
4~7 3.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IC BIOSURFACTANTS
01 surfactants
4. Applications of a lipopeptide biosurfactant, surfactin, produced
by microorganisms

1. DI-FUNCTIONAL ANIONIC SURFACTANTS FOR ENHANCED OIL


RECOVERY
클러스터 functional 2. HAIR CARE PRODUCTS WITH SELECTED AMINIO FUNCTIONAL
5~7
02 surfactants SILICONES AND CATIONIC PLANT-BASED SURFACTANTS
3. MULTI-FUNCTIONAL SURFACTANT COMPLEXES FOR USE IN
SUBTERRANEAN FORMATIONS

257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No 주요 키워드 연관도 수치 관련특허/논문 제목


1. COPOLYMER SURFACTANTS FOR USE IN DOWNHOLE FLUIDS
2. ALKALI POLYMER SURFACTANT SANDWICH
클러스터 polymeric
4~8 3. Effect of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on the solution performance
03 surfactants
of polymer surface-active agent and the concentration detection of
its produced solution
1.Synthesis, characterization, biodegradation and evaluation of the
surface active properties of nonionic surfactants derived from
bio
클러스터 Jatropha oil
nonionic 4~8
04 2. NONIONIC SURFACTANTS FOR ENHANCED CRUDE OIL RECOVERY
surfactants
3. METHOD FOR STERILIZING MICROBIAL CELLS USING POLYETHYLENE
GLYCOL-BASED NONIONIC SURFACTANT
1. Surfactants for tertiary mineral oil extraction based on branched
alcohols
extraction
클러스터 2. Study of the Effect of Surfactants on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biosynthesis 4
05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s Extracts
surfactants
3. Synthesis of various nitrogen heterocycles as antimicrobial surface
agents
1. BIOSURFACTANT-CONTAINING SKIN CARE COSMETIC AND SKIN
ROUGHNESS-IMPROVING AGENT
surfactant
2. Mild to the skin, foaming detergent composition
클러스터 system
4~7 3. PERSONAL WASH CLEANSER WITH MILD SURFACTANT SYSTEMS
06 personal
COMPRISING DEFINED ALKANOYL COMPOUNDS AND DEFINED
skin
FATTY ACYL ISETHIONATE SURFACTANT PRODUCT AND
OPTIONAL SKIN OR HAIR BENEFIT AGENT
1.LOW TEMPERATURE PERFORMANCE LUBRICATING OIL
low
DETERGENT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temperature
클러스터 2. CAUSTIC FREE LOW TEMPERATURE WARE WASH DETERGENT
stability 4
07 FOR REDUCING SCALE BUILD-UP
detergent
3. MONO ALCOHOLS FOR LOW TEMPERATURE STABILITY OF
ISOTROPIC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perfluoro- 1. DERIVATIVES OF PERFLUOROALKOXY SULFOSUCCINATES AS


클러스터 fluoroalkyl- SURFACE-ACTIVE SURFACTANTS
4~7
08 surfactants 2. Mixed fluoroalkyl-alkyl surfactants
3. Surfactant composition from polyfluoroalkylsulfonamido alkyl amines

1. BIODEGRADABLE NANO-, MESO-, AND MICRO-POLYMER PARTICLES


FOR MAINTAINING A LOW SURFACE TENSION IN THE LUNG AND
클러스터 biodegradable FOR PROTECTING THE PULMONARY SURFACTANT
4
09 sufactants 2. Alkyl Polyglycoside Derivative as Biodegradable Foaming
Surfactant for Cement
3. Biorenewable biodegradable surfactants
1. AQUEOUS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LKYLCELLULOSE,
NON-VOLATILE OILS, AT LEAST ONE WAX AND AT LEAST ONE
gemini GEMINI SURFACTANT
클러스터
surfactants 7 2. GEMINI SURFACTANT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10
cosmetic AND USE
3.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GEMINI SURFACTANT
AND HIGH LEVELS OF SOLID FATTY SURFACTANTS

25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계면활성제 분야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

No 요소기술명 키워드

microbial surfactants
요소기술01 미생물 유래 친환경 세제
ecofriendly

요소기술02 기능성 계면활성제 functional surfactants

요소기술03 고분자 계면활성제 polymeric surfactants

bio
요소기술04 바이오 유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nonionic surfactants

extraction
요소기술05 추출물을 활용한 생합성 계면활성제 biosynthesis
surfactants

surfactant system
요소기술06 인체친화적 계면활성제 시스템 personal
skin

low temperature
요소기술07 저온 안정성을 갖는 세제 조성물 stability
detergent

perfluoro-
요소기술08 불소계 계면활성제 fluoroalkyl-
surfactants

biodegradable
요소기술09 생분해성 계면활성제
sufactants

gemini surfactants
요소기술10 Gemini형 계면활성제
cosmetic

259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2) 요소기술 도출

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


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통해 기술의 범위, 요소기술 간 중복성 등을 조정‧검토하여 최종


요소기술명 확정

[ 계면활성제 분야 요소기술 도출 ]

분류 요소기술 출처

바이오 유래 친환경 비이온 계면활성제 개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특허/논문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친환경 세제의 개발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친환경 계면활성제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자연추출물을 이용한 생합성 바이오 계면활성제
기술 추천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인체친화적 혼합 계면활성제 개발
전문가추천

기술수요, 특허/논문
생분해성 계면활성제 개발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저온흐름성과 수분산성이 우수한 양이온 계면활성제 개발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능성 계면활성제
기술
전문가추천, 특허/논문
기능성 계면활성제 개발
클러스터링

폴리올을 도입한 신기능성 양이온 계면활성제 개발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기술수요, 타부처로드맵
섬유 공업용 불소계 계면활성제 합성 및 제조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계면활성제 합성
기술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고분자 계면활성제 개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수요
Gemini형 계면활성제 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26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3) 핵심기술 선정

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핵심기술 선정위원회를 통하여 중소기업
에 적합한 핵심기술 선정

 핵심기술 선정은 기술개발시급성(10), 기술개발파급성(10), 단기개발가능성(10), 중소기업 적합


성 (10)을 고려하여 평가

[ 계면활성제 분야 핵심기술 ]

분류 핵심기술 개요

레시틴, 사포닌, 담즙산 등, 동식물의 생체에 존재하는 천


연 계면활성제 및 미생물의 대사로 생산되는 계면활성 물
바이오 유래 친환경 비이온
질. 미생물에 유래하는 것으로는 소홀로리피드 등의 당지
계면활성제 개발
질계와 스피클리스폴산 등의 지방산계 및 생체 고분자계
의 것이 있음

친환경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친환경 Effective + micro-organism(EM) 또는 미세조류 등의
계면활성제 기술
세제의 개발 미생물을 이용하여 환경 친화적인 세제

무자극, 무독성 또는 인체 위해성이 없는 안전한 혼합형


인체친화적 혼합 계면활성제 개발
의 계면활성제

생분해성 계면활성제 개발 환경(수질/토양) 안전성과 생분해도가 우수한 계면활성제

기능성 저온흐름성과 수분산성이 우수한 양이온의 특성인 살균, 대전방지, 유연 등의 성질을 유지


계면활성제 기술 양이온 계면활성제 개발 하고 저온에서 강한 계면활성제

표면흡착성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와 유사하지


만 분자량이 커서 확산속도가 느린 반면, 일단 흡착이 되
계면활성제 합성
고분자 계면활성제 개발 면 매우 느린 탈착속도에 의해 거의 비가역적인 흡착층을
기술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현탁, 유화, 거품 등의 안
정화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

261
▣ ▣ 화학소재공정 ­ 계면활성제 ▣ ▣

6. 기술로드맵 기획

가. 계면활성제 기술로드맵

 최종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


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

26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연구개발 목표 설정

 로드맵 기획 절차는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로드맵 기획위원회를 통해 선정된 핵심기술을 대


상으로 기술요구사항, 연차별 개발목표, 최종 목표를 도출

[ 계면활성제 분야 핵심기술 연구목표 ]

연차별 개발목표
분류 핵심기술 기술요구사항 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무독성, 습윤력(KS
바이오 유래 친환경 생분해성, M 유화력
무독성, 유화력, 무독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유화력, 습윤성 ISO8022) , 확보, 낮은
생분해성 제품 신뢰성 확보
개발 및 생분해성 세척력(KS CMC
확보 K 0120),

낮은 CMC 습윤력(KS
생분해도(K
확보, M BOD/COD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S I 분산력 및 안정성
세척력(KS M ISO8022) , 확보, 낮은
친환경 세제의 개발 ISO14592) 확보
2709) 및 세척력(KS CMC
친환경 확보
보습력 확보 K 0120)
계면활성제
기술 피부자극지수( 피부자극 무독성, 우수한 무독성,
무 알러지,
인체친화적 혼합 PI)= 0, 및 안자극 유화, 생분해성,
세척력(KS
계면활성제 개발 무독성, 안전성, 생분해성 안(眼)자극과
K 0120)
생분해성 낮은 CMC 확보 피부자극 안전

자기회합성 습윤력(KS 물벼룩 BOD와 COD


생분해성 계면활성제 확보(유화력, M BOD/COD 급성독성시 안정,
개발 침투력, ISO8022) 확보 험(KS I 수질오염공정
세정력) ISO6341) 시험법 인증

습윤 시
저온흐름성과 높은 구름점,
기능성 내경수성, 염색물의 습윤력(KS 저온 안정성,
수분산성이 우수한 저온
계면활성제 높은 색번짐 M 습윤력, 저온
양이온 계면활성제 CMC형성,
기술 구름점 방지(KS K ISO8022) CMC형성
개발 우수한 분산력
0200)
세정력(KS
높은 세정력과 M 2709),
습윤력(KS 낮은 CMC,
계면활성제 고분자 계면활성제 낮은 산가, 저 낮은 CMC,
M 우수한
합성 기술 개발 생분해성(JIS K 산가(acid 우수한 생분해성
ISO8022) 생분해성
3363) value),
생분해성

263
전략제품 현황분석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정의 및 범위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고분자재료로서 내열성, 내약품성, 난연성, 양산성, 경량성, 전기절연


성, 녹슬지 않는 성질 등 다른 소재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고기능성 플라스틱 소재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는 일용잡화품에서부터 자동차, 전기전자분야, 기계부품, 화학장치


및 첨단산업인 항공우주산업 분야에 적용

정부지원 정책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한 부품소재의 국산화, 전기자동차의 생산 및 경량화는 금후 자동


차산업의 핵심임. 이는 친환경 녹색기술로서 정부차원에서 시장의 확대와 기업의 기술개발노력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이 예상

▪ 또한 시장의 환경규제가 강화될수록 오히려 정부차원에서 기술개발 노력은 촉진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선진국 대비 높은 원료비 부담
• 화학/고분자 소재부품 관련 고급 연구/생산인력을 보유
• 고부가가치 소재부품관련 원천기술 매우 취약
• 화학/고분자 소재부품 관련 우수한 연구개발 인프라 보유
• 선진국대비 소재부품 상용화 기술 열위
• 기초 화학제품의 안정적 공급이 가능한 석유화학산업 존재
• 중소기업의 자본력, 기술력 미비로 핵심제품의 supply chain
• 우수한 범용 합성고분자 생산 및 가공기술보유
구축 미흡
• 경쟁력 있는 전방산업과 연계된 소재부품 기술개발 경험 풍부
• 표준화, 규격화 등 국가차원의 가이드라인 미흡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담 등 정부의 정책 변화는 신규시장 창
• 고유가로 인한 비용증가로 산업경쟁력 악화 우려
출 유도
• 환경규제와 연계된 선진국의 국내 소재부품 시장진입 견제
• 신성장 산업군과 연계된 융합기술 출현으로 화학/고분자 소재
• 선진사들의 핵심소재 기술선점 및 독과점 심화
적용분야 확대 및 다양화
• 기술개발 지연 시 시장진입/선점 실패로 기술종속 심화 우려
• 환경, 에너지 분야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적음
• 선진국대비 소재부품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열세
• 중점육성 필요 제품들은 시장 초기단계로 선점 가능성 높음
• 소재부품관련 중소기업의 투자 미비로 supply chain 왜곡
• 시장선점, 확대에 따른 세계적 기술표준 선도 가능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중소기업이 제조하는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성능과 품질 향상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통한 글로
벌 진출 가능성

➜ 높은 소재 가격을 극복하기 위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의 원가절감을 통한 전기.전자/경량


화 및 전기자동차용 고부가가치 부품소재의 핵심

267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핵심기술 로드맵

26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 Engineering Plastic)은 플라스틱 소재 중 최고의 내열성 및


저마찰성, 내마모성, 전기절연성, 기계적물성, 내방사선성, 내화학성, 저가스 유출 특성뿐만 아
니라 우수한 절삭 가공성을 가진 고기능의 플라스틱으로 각종 기계부품, 고진공, 전기·전자, 화
학, 자동차, 우주·항공, 군사장비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부품 소재

 자동차 메이커들은 기계적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을 요구하고 있어 범용 플라스틱보다 고성능화


된 구조소재용 공업용재로서 금속대체를 목표로 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요구하고
있음. 특히 자동차 엔진부품은 내열성뿐만 아니라 내유성·내용제성·내충격성·내피로성 등 종래
의 범용 플라스틱 혹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사용 한계를 넘는 물성을 요구하고 있어, 이러
한 물성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 Engineering
Plastic)임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분류 ]

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 Engineering Plastic)은 1964년 PI(폴리이미드, Polyimide)


가 개발된 후 PPS, PEEK (Polyether ether ketone), LCP (액정폴리머 Liquid crystal
polymer), 내열 PA (PPA, PA6T, PA9T, PA46 등) 등 다양한 제품이 개발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 Engineering Plastics)인 PPS는 미국 Phillips Petroleum의


Edmond와 Hill이 1963년 특허출원 후 1973년 연산 3,000톤의 상업 플랜트를 완성하여 상
업화된 고성능의 열가소성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임

269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산업화 현황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개발년도 생산업체

PI(Polyimide) 1964 Dupont

PPO(Polyphenylene Oxide) 1965 GE

PSU(Polysulfone) 1971 UCC


슈퍼엔지
PPS(Polyphenylene Sulfide) 1972 Phillips
니어링
PES(Polyether Sulfone) PAR(Polyarylate) 1973 ICI
플라스틱
PEEK(Polyether Ether Ketone) 1980 Unitika ICI

PEI(Polyether Imide) 1982 GE

LCP(Liquid Crystal Polymer) 1984 Dartco


* 자료: 고분자학회, 신한금융투자

 PPS(Polyphenylene-Sulfide)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의 성능을 뛰어넘는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


틱의 한 종류로서 매우 뛰어난 치수안정성과 높은 연속사용온도, 자기 소화성으로 자동차 및
전기/전자 부품에 주로 사용되는 소재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응용분야 ]

 국내의 경우 LCP, PPS를 중심으로 일부 상업적인 중합공장을 검토하고 있는 단계로 엔지니어


링 플라스틱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낙후된 분야라 할 수 있음.

 세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시장규모는 500만톤 수준에 달하며 연평균 7~8%의 성장률을 나타


내고 있고, 이중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성장률이 매우 높음. PPS의 세계수요는 기계적 강
도 및 내열성이 뛰어나 전기·전자분야, 자동차분야, 섬유분야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시
장은 매년 10% 이상 성장하고 있음

27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특성 ]

Use Temperature
Super EP Characteristics
Tg(Tm)

150~190℃ Transparency. Mechanical Properies


PSU
180~220℃ Low Weather Sability

180℃ Creep and Crack Resistance


PES
225℃ Dimensional Stability

170℃ Dimensional Stability, Processability


PEI
215℃ Abrasion Resistance

200℃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PPS
85℃ (280℃) Inherent Flame Resistance

250℃ Chemical and Creep Resistance


PEEK
145℃ (315℃) Excellent Heat Stability

200℃ Good Processability


LCP
110~130℃ (290~340℃) Weather and Heat Sability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는 수지 고유의 물성과 기계적 특성의 조화로 인해 전기·전자부품


(41%), 자동차부품(39%), 정밀기계부품(14%), 기타(6%) 등의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
며, 고분자량의 PPS 수지는 압출성형이 가능하여 고도의 내열성과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제품
에의 응용이 가능함.

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가격이 4,000원/kg 정도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반해 슈퍼엔지니


어링 플라스틱은 10만원/kg 이상인 것이 대부분이며 높은 온도의 성형조건으로 제품생산이 까
다로워 생산원가가 높고 리사이클링이 어려워 시장규모는 소규모이지만, 최근에 자동차부품의
다이케스팅 제품을 PPS로 사용하거나, 항공기, 전자제품 등에서 고기능 플라스틱 수요가 확대
되고 있으며, 컴파운딩 및 리사이클링 기술의 발전으로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시장을 중심으
로 생산이 확대되고 있음

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고분자 소재에 있어서도 내열성, 내화학성 등의 고기능을 요구하는 분


야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전기전자 부품의 소형화, 경량화 및 고성능화 추세에 따라
내열성, 내화학성 및 고강도의 특성을 지닌 소재가 요구

 최근 세계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자동차 연비기준 강화와 전기차(EV), 하이브리드 전기차


(HEV) 등 차세대 자동차 보급의 대중화에 따라 연비개선이 주요한 과제. 특히 전기차의 경우,
가솔린차나 디젤차만큼 멀리가려면 배터리를 많이 실어야하기 때문에 배터리 경량화는 필수

 이러한 요구에 따라 세계적으로 고기능성을 지닌 슈퍼고분자 소재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내열성, 내화학성,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로서 그
수요의 증가가 예상

271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나. 범위

(1) 제품분류 관점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는 5대 수퍼 EP, 및 수퍼 섬유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자


동차 내외장 부품의 경우 주로 PP, ABS 등 범용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있으나, 향후에는 엔진
및 공조, 연료부품 등에서 금속대체 수요 증가, 전장 및 안전대책 부품 채택증가, 2차전지
(xEV) 시장 확대에 따른 2차전지, 모터 등 신규 무거운 부품의 경량화 요구 증대 등으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슈퍼섬유 등 고기능성 플라스틱의 사용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 engineering plastics)은 연속 사용가능 온도가 150 ℃ 이상


인 고내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통칭하는 것으로 그 종류는 구성 성분에 따라 다양하게 구
성. 대표적인 무정형 수퍼 엔지니어링 수지로는 PSU(polysulfone), PES(polyether sulfone),
PAr(polyarylate), PEI(polyether imide) 등이 있으며, 결정성 수지로는 PPS(polyphenylene
sulfide), fluoro polymer, LCP(liquid crystalline polymer), PEK(polyether ketone),
PEEK(polyether ether ketone) 등이 있음

(2) 공급망 관점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뛰어나 전기·전자분야, 자동차분야, 섬유


분야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전자 부품분야는 휴대폰, hinge 부품, lap-top PC
housing 등에 사용되고, 자동차용 소재분야는 커넥터, 소켓, 코일보빈, IC케이스, 캐패시티, 레
지스터필터, 터미널, 트랜지스터케이스, CD드라이브 광Pickup Base 등 내열, 내 땜납성이 필
요로 되는 부품에 사용됨.

 그 밖에 서모스타트 케이스, 절연부에도 많이 사용되고, 소형모터용으로 인슐레이터, 커뮤데이


터, 모터케이스 등에도 적용되고 있음. PPS필름은 전기절연 재료, Flexible 기판, 콘덴서,
Diaphram, Tape, 플로피디스켓 등으로 사용되며, 내열코팅수지로 대표되는 불소수지의 대체
혹은 혼합사용으로 적용되어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산업별 응용분야 ]

사용분야 응용 예 사용 이유

․ 내열성(SMT대응), 박육 유동성, 난연성, 전기절연성, 치


․ 스위치, 커넥터
수정밀도, 치수안정성, 고인성
․ 보빈류
전기·전자분야 ․ 내열성, 전기절연성, 치수정밀도, 치수안정성, 난연성
․ 소켓류
․ 내열성, 내광성, 전기절연성, 고강성, 고인성
․ 모터 인슐레이터
․ 내열성, 전기절연성, 내약품성, 난연성, 강인성

27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사용분야 응용 예 사용 이유

․ 교류(alternator)부품, 퓨즈케이스 ․ 내열성, 내약품성, 고강도, 치수정밀도, 접착성


자동차 ․ 각종 밸브류 ․ 내열성, 내오일성, 내히트 쇼크성
분야 ․ 램프 리플렉터 ․ 내열성, 고강도, 치수정밀도, 표면 평활성
․ 워터펌프 임펠러 커넥터 ․ 내열성, 내LLC성, 치수정밀도, 치수안정성

․ 전자렌지 용기, 가습기, 다리미


․ 내열성, 내스팀성
정밀기기 및 (iron)부품
․ 치수정밀도, 치수 안정성, 내열성
기계 분야 ․ 카메라부품, 복사기부품
․ 내열수성, 내수압강도, 치수안정성, 고강도
․ 급탕부: 이음매, 밸브

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 PPS는 내열성이 매우 뛰어난 결정성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합방법으로 가교타입, 반 가교타


입, 직쇄타입으로 나누어짐

▪ PPS는 그 뛰어난 내열성, 내약품성, 난연성, 치수안정성, 성형성 등을 살려 이 분야에서의 채용을


넓히고 있다. 주요 사용용도 부위는 전장부품, 엔진부품, 기구부품.

▪ 구체적 응용 예로는 얼터네이터의 브래시홀더, 전자코일보빈/케이스, 휴즈 케이스, 각종 센서부품,


각종 커넥터, 각종 모터부품, 연료분사 에어플로우 미터, 엔진마운트용 올리피스, 이그닛션부품, 각
종 밸브부품, 워터펌프용 인스프루먼트펠러, 오일필터 부품, 캐브레이트 부품, 램프 리플렉터, AT
부품 등이 있음

 폴리에테르설폰(PES)
▪ PES는 술포닐기(SO2)를 포함한 비결정성 폴리머로 지크로로지페닐술포닐을 주원료로 해서 중축합
한 호모 폴리머

▪ PES는 성형재료에서는 각종 전자부품분야, 전기기기분야, OAㆍAV 기기부품, 배관분야, 식품 산업


분야, 자동차ㆍ기계분야 등으로 전개. 다른 용도로는 에폭시계 복합재의 인성부여재로 유용하며
탄소섬유 복합재는 항공기용 구조재로 수요가 증가

▪ 자동차분야에서는 PES의 고강성, 치수정도, 내클립성, 내열성 등을 살려, 기어박스의 베어링 리테


이너, 브레이크사프트용 부시, 슬러스트워셔, 캐브레이터용 코일보빈, 램프 리플렉터 등에 사용

 액정폴리머(LCP)

▪ LCP는 용액상태에서 액정성을 나타내는 라이트 로픽 액정폴리머와 용융상태에서 액정성을 나타내


는 서모트로픽 액정 폴리머로 분류

▪ LCP의 용도의 대부분이 전기ㆍ전자분야 임. 특히 용융핸더에 접촉하는 표면실장관련 부품에 많이


사용되며, 급속하게 신장하고 있음. 자동차분야로의 응용사례는 아직 많지는 않지만, 기계적 강도,
고강성, 내약품성, 내열열화성, 치수안정성, 저선팽창률을 살려, 크루즈컨트롤 센서 부품, 연료계통

273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의 부품(퓨엘펌프ㆍ임페라), 인히비터 스위치 부품, 각종 센서 등에 사용

 폴리설폰계 수지(PSU)

▪ PSU는 술포닐기(SO2)를 포함한 비결정성 폴리머로 지크롤로지페닐슬포닐과 비스페놀 A의 공중합체

▪ PSU는 의료분야, 전기ㆍ전자분야, 식품산업분야, 배관분야 등을 중심으로 시장 전개되고 있음. 자


동차분야에서의 사용 예는 비교적 적지만, 내열성, 내열수성, 유전특성, 치수정도 등을 살려, 오토
휴즈, 브레이드 휴즈, 이그닛션 부품, 배터리 캡, 센서 등에 사용

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PEEK)

▪ PEEK는 카르보니르기와 에테르기가 연결된 결정성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지하로게노 벤


조페논과 하이드로키논과의 중축합계 폴리머

▪ PEEK는 자동차분야, 반도체, 액정 FPD(플랙파넬 디스플레이)의 제조프로세스 용도(클린분야), 전


기ㆍ전자분야, 의료분야, 석유ㆍ천연가스 공급 시스템, 원자력 발전용도, 일반공업용도로 넓은 용
도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음

▪ 뛰어난 내열안정성, 내약품성, 강도, 내피로특성, 내열수성, 마찰마모특성 등을 살려 각종 자동차부


품에 사용되고 있음. 구체적인 응용사례로는 엔진부품(오일펌프ㆍ로터), 캠사프트 베어링, 워셔, 터
보차지 임페라, 트랜스밋션 부품(실링, 플러스트워셔, 체그볼 등), 스티어링 컬럼 어저스트, 볼조인
트 등, 기타(램프 소켓, 연료라이너, 컴프레서실, 진공펌프 부품, 브레이크 부품, 디스트리뷰터기
어), O2센서, 도어모듈 부품 등

 폴리아미드이미드(PAI)

▪ PAI는 비결정성의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폴리이미드의 성형성을 개량하기 위해 분자내에


아미드기를 도입, 이미드기와 아미드기를 서로 공중합시킨 것으로, 방향족 트리칼본산과 방향족
지아민으로 제조

▪ PAI는 산업기계부품, 전기ㆍ전자분야, OA기기 분야, 자동차분야, 항공우주분야 등, 선단산업 분야


에 시장전개가 이루어지고 있음. 자동차분야에서는 그 뛰어난 내열성, 내마찰ㆍ마모성, 내약품성
등을 살려 슬러스트워셔, 실링, 기어, 베어링, 엔진부품(피스톤, 피스톤링, 밸브시스템 등), 트랜스
밋션 부품(스프루변, 폴 역지변 등), 라카암 등에 사용

 폴리에테르이미드(PEI)
▪ PEI는 비결정성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뛰어난 내열성과 강도를 가진 이미드결합과 양호한
가공성을 가진 에테르결합의 조합이기 때문에, 고기능이면서 뛰어난 가공성을 나타냄

▪ PEI는 전기ㆍ전자분야를 주체로 OA기기분야, 자동차분야, 항공기분야, 기타 산업 부품분야 등에 시장


전개가 이루어지고 있음. 자동차분야에서는 고강성, 고인성, 내후성, 스냅피트성 등의 특징을 살려 터
보차져용 베어링 테너, 스피드 센서 사프트, 기화기 펌프레바, 에어컨부착 너트, 커넥터 등에 사용

 열가소성 폴리이미드(TPI)

▪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본래의 뛰어난 성능(내열성, 고강도 등)을 헤치지 않으면서, 가공성이 뛰어난
폴리이미드로 개발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전방향족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 TPI는 전기ㆍ전자분야, 항공기, 자동차, OA기기분야, 각종 산업분야에서 시장개발이 진행되고 있

27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음. 자동차분야에서는 三井화학의 TPI 「AURUM」은 내열성, 내마찰ㆍ마모성, 강도, 강성이 뛰어난


점을 살려, 슬러스트워셔, 실링, 부시, 오토텐셔너(엔진부품), 피스톤링 등에 사용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분류 관점의 범위 ]

대분야 중분야 세부 제품

Alternator, Waterpump, 배기가스 밸브/필터, 각종 센서, EV용


PPS
밧데리 등

엔진 및 엔진관련부품, 보빈, 컨넥터, 그러나 전기전자 수요가 대부


LCP

5대
슈퍼엔지니어 PEEK 트랜스 밋션용 오일 실링, 엔진/베어링 열수메터부품, 열수펌프 등
슈퍼 링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PI 항공우주용 내열구조 부품, 공업용 모터/PCB외 절연재료 등


플라스틱
내열PA 엔진 및 연료관련 부품 등

탄소
항공기에 주로 이용, 자동차에는 CNG Cylinder에 일부 이용
복합소재 섬유
(슈퍼섬유) 아라미드 타이밍벨트, 무단변속기용 벨트, 타이어 코드 및 보강재, 브레이크
섬유 패드

275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2. 산업환경분석

가.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징

 전기/전자, 자동차 및 부품소재, 조선 산업은 20~25년 주기로 경기순환을 되풀이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최근에는 세계적인 불경기, 환경 및 안전 등의 규제 강화로 수요 주기가 다소
불일치하고 있으며, 우수 물성 제품수요와 안전 및 규제강화, 개발도상국의 발전 증가에 힘입
어 세계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산업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전방산업인 자동차산업, 나아가 전기/전자 산업의 동향에 영향을


받는 ‘전방산업에의 종속성’이 높은 특징을 가짐

▪ 수요처인 전기/전자 산업계, 나아가 자동차 산업 및 부품산업 등과 같은 전방 서비스 산업의 수급


동향, 기술변화, 경영환경변화 등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수요 구조

▪ 전방산업인 전기/전자 산업은 2000년부터 경기 붐을 일으키며 급성장하였고, 2008년부터 2014


년까지는 스마트폰 시장 활성화 등으로 꾸준한 성장세

 특히 자동차 산업의 경우, 부품의 compact화로 인한 부품의 내부 온도 상승으로 내열성을 지


닌 고분자 소재의 요구가 증가하고 또한 환경문제로 인하여 재생이 불가능한 열경화성 수지에
서 재생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의 대체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요구물성을 지닌
PPS계 수지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열경화성 수지 대비 PPS계 수지의
장점은 하기와 같음

▪ 우수한 재생(recycling) 특성

▪ Curing 공정의 불필요

▪ 우수한 내충격성

▪ 사출 공정에서의 뛰어난 flash 특성

 금속 대체를 위해 개발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PPS계 수지와 금속 소재를 비교할 경우


금속소재 대비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음

▪ 뛰어난 내화학성

▪ 가벼운 중량(1.65 g/cm3 PPS/GF40% vs. 2.7∼7.0 g/cm3 metals)

▪ 높은 생산성(사출 성형성)

▪ 상기와 같은 PPS계 수지의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현재 자동차의 fuel system 부품, 각종 전


기 장치 및 head lamp reflector 등에 적용

 전기/전자, 자동차, 각종 부품소재 및 조선 업체 등 산업발전의 수요에 따른 PPS수지 산업의


성장 추세는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요와 경량화, 강도, 내열성과 안전 증대를 목적으로

27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하는 플라스틱 부품소재 제품시장 성장에 기회요인으로 작용

▪ PPS수지시장은 (1) 기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우수한 소재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향, (2)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수요 경향, (3) 보다 강하고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각종 산업부품소재를
원하는 경향 등으로 설명

▪ 위와 같은 경향은 향후 PPS수지재의 안전하고 우수한 물성이 전기/전자용 및 자동차용을 포함하


는 전체 플라스틱 소재시장에서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과 더불어 우수한 물성을 극대화시킨 기능
성 PPS수지를 구현하는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품시장의 성장 또는 기능성 플라스틱 산업의
성장세를 설명하는 근거

 국내에서는 아직 대량의 상용 PPS 수지제품을 생산하는 업체가 없으며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


틱과 기능성 플라스틱 소재 시장이 미성숙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수입 경쟁 업체가 이미
존재하고 있다는 점은 위협 요인으로 작용

▪ PPS수지 관련 미국 Ticona, 일본 DIC를 포함한, 일본 Toray 및 Polyplastics 등 다수의 PPS수지


관련 제조기업이 경쟁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3여개 대기업에서 주로 참여하고 있으나 상업화
가 제대로 안 되고 있으며 상용화를 위하여 경쟁하고 있는 상황

▪ 현재 가장 앞서 있는 미국과 일본의 PPS수지 시장이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급에서 형성되고 있


는 데에 반하여, 국내 PPS수지시장은 아직까지 태동기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다수의 다국적 경쟁
기업이 이미 존재하여, 이는 시장진입 및 기술모방 등의 위협요인으로 작용

277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2) 산업의 구조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세계시장에는 해외의 주요 업체들이 공급 체인(Supplier Chain)을 형


성하고 있어서, 국내 업체가 세계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해외 선진 업체들과 기술제휴가 필요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는 전자부품(전달 샤프트, 쵸우카바, fanstaller 축수 등), 전열부


품(드라이어 그릴, 케이스 커넥터, 코일보빈, 자동차 부품(라디에이터 thermostat, 배기가스 대
책부품, 엔진 전장 부품의 절연), 단자판, Hot Melt 접착제용 Gun, IC 캐리어, 모터부품(소형
모터케이스, 축수 등), 정밀기기(카메라파트, 시계 케이스, 복사기 부품, 컴퓨터 단말기 부품),
화학기기(전극유지기, 계수, 미터 케이스 축수, 펌프 임펠러) 등에 사용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전기, 전자 부품 분야에서는 컴퓨터, 각종 SMT 부품, 가전용 모터,


파워 모듈 등이 앞으로도 시장을 견인해 갈 것으로 생각.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 지향이 진전
되고, 금속대체나 일체성형에 따른 코스트 절감이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생각. 섬유 용도로는
우수한 내열도와 내약품성을 살려, 고온용 가방 필터, 드라이어 캔버스 등의 용도로 수요를 늘
리고 있음

 세계적인 경기 후퇴의 상황속에서 금속대체/경량화 요구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대표되는 환


경대응 자동차의 요구 확대, 장기 내열성이나 내열수성 및 내약품성 등의 높은 신뢰성 재료의
요구 확대 등, 지구 환경보전과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계속 강해질 것으로 예상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해외생산업체 및 용도 분야 ]

수지 주요 제조사 특징 주용도 분야

Chevron Phillips 전기전자부품,


폴리페닐렌 난연성, 내열성, 내약품
TORAY, DIC 자동차부품,
설파이드(PPS) 성, 치수안정성
TICONA 정밀기기부품

DuPont
내열성, 흡수율 ⼩, 난 전기전자부품,
액정폴리머 TICONA
연성, 내약품성, 기계적 기계부품,
(LCP) Polyplastics
성질 광학정밀기기부품
AMOCO

내열성, 내크리프트특 전기전자분야(항공우주, 군사


DuPont
폴리이미드 성, 치수안정성, 내마모 용), FPC,
TORAY
(PI) 성, 내약품성, 정밀부품 반도체 다층화용 층간절연막,
DSM
성형 자기기록매체의 기판

컴퓨터, 항공기용, 유전용,


내열성(300℃이상), 내
케톤계 수지 원자력발전소용의 전선피복재
VICTREX 마모성, 내충격성,내약
(PEEK, PEK) 열수 펌프하우징,
품성
내열패킹

27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전기 및 전자 분야에서 PPS의 주요 사용처는 표면실장기술(SMT) 커


넥터와 광학픽업(optical pickup) 부문임. 휴대용 정보기기의 하우징(몸체)이 바로 그것임. 액정디
스플레이가 갈수록 대형화되고 강도가 높으면서도 무게가 가벼운 몸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

 자동차 분야에서도 커넥터와 교류발전기 브러시 홀더와 같은 기존의 용도 이외에 반사형 전구


등 PPS의 새로운 용도가 생겨나고 있음. 엔진룸 내부 온도가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무를 대체할 수 있는 유력한 소재가 바로 PPS 수지

 국내 PPS 수지시장은 코오롱플라스틱, SK 케미칼 등 대기업에서 일부 실험적 pilot 생산을


시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그 생산량이 미미하며 두리켐, 경성폴리머, 동진폴리머, 휴비스,
보광화학, 계양 케미칼 등에서 슈퍼엔지리어링 플라스틱 소재나 사출성형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비교적 낮은 시장진입 장벽으로 국내외 정밀화학업체 등의 시장진출이 예상되어 치열한 경쟁이
예상

나. 경쟁환경

 전기·전자 분야의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유럽시장을 중심으로 전기·전자기기 분야의 주요


부품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는 물론 중국 등 신흥시장으로의 수요확대가 예상되
고 있음

 PPS수지는 절연성과 전기특성이 높아 자동차 전장품에서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수요가 높고 센서 하우징과 커넥터 등에 주로 사용되며, 업계에 따르면 PPS 시장은 약 9만
4000톤으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28만톤 중 30%가 넘는 시장을 차지하고 있음. PPS 소
재는 2020년까지 세계적으로 연평균 10% 이상 고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

 최근 효성은 대기오염의 주범인 일산화탄소와 올레핀(에틸렌,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친환경


고분자 신소재 `폴리케톤`을 개발하고 세계 최초 상용화에도 성공했으며, 나일론 대비 충격강도
는 2.3배, 내화학성은 30%이상 우수하며, 내마모성 역시 최고 수준인 폴리아세탈(POM) 대비
14배 이상 뛰어난 소재. 폴리케톤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용도와 초고강도 슈퍼섬유 용도로 사

 PPS는 당초 자동차의 엔진 주변부품에 응용되고 있었지만, 그 후 자동차 일렉트로닉스화의 진


전에 수반해 전장품 용도의 확대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음. 또한 연료·냉각수펌프 임펠러, 서모
Start 홀더, ABS 브레이크의 피스톤 등 주요 부품분야에도 대체수요가 예상

 PPS는 가스 투과율이 매우 낮은 특징을 갖고 있어 기존 자동차 가솔린 탱크의 대체소재로서


용도가 기대되며,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기부품 등도 수요증가가 예상되어 경량화와 관련 자
동차분야는 향후 수요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최근 고내열성이 요구되는 엔진 룸의 자동차부품, 램프반사경, ECU 케이블 전용의 수요가 확


대하고 있고 전장부품, 엔진주변 부품 등의 용도로 시장수요가 더욱 확대되고 있는 추세

 기존 금속 특히 비철금속이 사용되어 왔던 고분자수지 특히 epoxy, phenol 수지 등의 열경화

279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성 수지 제품을 경량화시키는 목적으로 PPS 수요가 확대

 복합소재기술의 발전으로 압출성형이 가능한 고분자량 PPS 수지가 생산됨에 따라 내열성과 내


약품성이 요구되는 분야의 금속제품을 PPS로 대체하려는 움직임

 PPS수지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이 독점적으로 생산하는 품목으로서 신흥국의 수요증가는 가


격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특히 각국의 경쟁적인 자동차의 경량화 및 전기자동차의 생산
은 수요의 촉진을 유발하여 가격상승의 요인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하나인 국내의 PPS 원료생산은 전무한 상태로서 미국, 일본 등 선


진국에서 대부분의 PPS 원료를 수입하고 있는 실정임. 따라서 PPS 뿐만 아니라 슈퍼엔지니어
링 플라스틱의 제조기술은 정부차원에서 정책적으로 획기적인 지원과 산업계 및 연구계의 기술
개발을 통한 원료의 수급문제를 해결해야 될 것으로 보임

[ 주요 경쟁업체 종합 ]

공급망 단계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EEK, 탄소섬유
주요 내용 PPS LCP(액정폴리머) PI(폴리이미드)
PEK(케톤계수지) 아라미드섬유

전기전자분야(항공 컴퓨터, 항공기용,


우주, 군사용), 유전용,
전기전자부품, 전기전자부품,
주요 반도체 다층화용 원자력발전소용의 탄소섬유복합
자동차부품,정밀기기 기계부품,
제품/기술 층간절연막, 전선피복재 열수 고분자 소재
부품 광학정밀기기부품
자기기록매체의 펌프하우징,
기판 내열패킹

Teijin,Toray,
DuPont
Chevron Phillips SDuPont Mitsubishi, Rayon,
TICONA
해외 기업 TORAY, DIC TORAY VICTREX Hexcel
Polyplastics
TICONA) DSM Zoltek
AMOCO
SGL GROUP

LG화학,
LG디스플레이, 코오롱플라스틱
코오롱플라스틱, 한화케미컬,
SKC코오롱PI, SK캐미칼,
현대EP, LG이노텍, 현대EP 호남석유,
에스에프에이, 제일모직,
삼성SDI, 코오롱플라스틱 태광산업,
국내 기업 에스엔에스텍, 두리켐,경성폴리머,
두산인프라코어 SK캐미칼, 제일모직 GS칼텍스, 오우화학
AP시스템, 동진폴리머, 휴비스,
현대위아, 삼성정밀화학 SKEM, 세스코,
비아트론, 에스엔텍, 보광화학, 계양
화천기계, SIMPAC, 휴비스, 두리켐
한일진공 케미칼
LS엠트론

28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전후방산업 환경

 합성수지 산업은 30여년전 석유화학을 기반으로 한 대량생산 고도성장시대가 끝나고, 현재는


범용고분자 개발도 일단락된 시대로 접어들었고, 현재는 완제품 경량화와 고부가가치화가 플라
스틱 산업에 남은 과제가 되고 있음. 자동차, 기계, 전기전자 분야 등 공업적 용도에 사용되면
서 내열성과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고부가·고기능성 제품인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부상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에서도 150℃ 이상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열가소


성 수지를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범주.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시장은 해마다 고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새로운 대체재 개발과 신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잠재성장 가능성이 높은 편.
이에 따라 현재 국내에서 시장이 형성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PPS, LCP, PEEK, 내열
PA, PI 등이 있음

 국내의 PPS 원료생산은 전무한 상태로서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 대부분의 PPS 원료를 수입
하고 있는 실정

 PPS수지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이 독점적으로 생산하는 품목으로서 신흥국의 수요증가는 가


격상승의 요인으로 작용. 특히 각국의 경쟁적인 자동차의 경량화 및 전기자동차의 생산은 수요
의 촉진을 유발하여 가격상승의 요인

 국내 PPS 수지시장은 진입 초기단계로서 원천기술이 없고 시장규모가 작아 다른 합성수지 및


EP 생산기업들이 기술개발 및 생산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음

 PPS는 전기전자용 비중이 높은 편이며, 주로 커넥터에 사용되고 그밖에 절연부품, 프로젝션


빔, 믹서기, 전자레인지 등 소형가전에 사용. 자동차용으로 제너레이터 모터 커버, 산업재 및
기타 용도로 널리 적용. 자동차의 전기전자부품 채용이 증가해 2010년 기준 국내 수요의
55%는 자동차용으로 사용되며 전기전자용으로 35%, 기타 10%의 수요 구성

 PPS수지 시장은 향후 전장품 수요를 중심으로 자동차분야의 전장품(약 90%)에 수요 확대가 예상

[ 자동차 분야 PPS의시장수요 ]

용도 판매량 비중(%) 응용부품

스윗치(뉴트럴 스타터 스윗치), 오르타넷타 부품, 커넥터,


전장품 90
센서류, 휴즈 케이스, 램프 반사경, ECU 케이블, 램프 소켓

기구 부품 10 배기가스 컨트롤 밸브

* 자료:후지키메라 종합연구소(일)

 PPS는 당초 자동차의 엔진주변 부품에 응용되고 있었지만, 그 후 자동차 일렉트로닉스화의 진


전에 수반해 전장품 용도의 확대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음. 또한 연료·냉각수펌프 임펠러, 서모
Start 홀더, ABS 브레이크의 피스톤 등 주요 부품분야에도 대체수요가 예상

 PPS는 가스 투과율이 매우 낮은 특징을 갖고 있어 기존 자동차 가솔린 탱크의 대체소재로서

281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용도가 기대되며,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기부품 등도 수요증가가 예상되어 경량화와 관련 자


동차분야는 향후 수요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최근 고내열성이 요구되는 엔진룸의 자동차부품, 램프반사경, ECU 케이블 전용의 수요가 확대


하고 있고 전장 부품, 엔진주변 부품 등의 용도로 시장수요가 더욱 확대되고 있는 추세

 기존금속 특히 비철금속이 사용되어 왔던 고분자수지 특히 epoxy, phenol 수지 등의 열경화


성 수지제품을 경량화시키는 목적으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요가 확대

 복합소재기술의 발전으로 압출성형이 가능한 고분자량 PPS 수지가 생산됨에 따라 내열성과 내


약품성이 요구되는 분야의 금속제품을 PPS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큼

 PPS수지를 이용한 부품소재의 국산화, 전기자동차의 생산 및 경량화는 금후 자동차산업의 핵


심. 이는 친환경 녹색기술로서 정부차원에서 시장의 확대와 기업의 기술개발노력을 위해 적극
적인 지원이 예상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국내외적으로 전자기기의 부품대체, 자동차의 경량화 및 환경자동


차의 등장 등으로 인하여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 따라서 각국이 국가적인 차원에
서 PPS의 우수한 물성을 이용하려는 노력은 기존 범용플라스틱을 슈퍼플라스틱인 PPS로 대체
하려는 움직임으로 더욱 확산될 것으로 예상

28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3. 시장환경분석

가. 세계시장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유럽시장을 중심으로 전기·전자기기 분야의 주요부품에 사용이 증


가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는 물론 중국 등 신흥시장으로의 수요확대가 예상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전기·전자 부품분야는 상대적으로 시장범위는 작으나 IT 기기의 내


외장 소재로 매우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음. 대표적으로는 휴대폰, hinge 부품, lap-top PC
housing 등이 있음. 또한 PPS 필름은 전기절연 재료, Flexible 기판, 콘덴서, Diaphram,
Tape, 플로피디스켓 등으로 사용되며, 내열코팅수지로 대표되는 불소수지의 대체 혹은 혼합사
용으로 적용되어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중 PPS 수지는 미국 Chevron, Ticona, 일본 DIC를 포함한, 일본


Toray, Kureha Chemical, Polyplastics, Tosoh Corporation 등 다수의 PPS 수지 관련 제조
기업이 경쟁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저가의 인건비와 해외 도입 기술력으로 Chengdu Letian
Plastics, Sino Polymer & Fibre, Southwest China Haohua Chemical, Shenzhen
Yataixing Industry, Chenguang Polymer, Zigong, Sichuan등이 시장에 참여하며 저가의
자동차용, Filter bags, Aerospace, Coating 부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양산

 최근 기술발전에 힘입어 일반 산업분야, 자동차, 소비재, 의료, 항공 등 다양한 응용 확대가 기


대되어 급속한 시장 확대 전망

 일본, 미국, EU는 미래형/친환경자동차 기술개발을 통한 미래의 자동차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음. 미국 자동차 업계의 경영실적이 악화되고, 세계시장 점유가 감소하는
반면, 일본/한국 자동차 업체의 경쟁력 강화에 따라 이들의 미국, 유럽시장 점유율 확대는 당
분간 지속될 전망

 세계 자동차시장에서 선진국의 수요는 회복되면서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될 전망이며, 지역별


로는 미국 메이커들이 상대방의 주력 제품시장을 공략하며 경쟁이 더욱 강화될 전망. 유럽에서
는 유통망 재정비와 생산기지 재구축 등이 활발해질 것이며, 일본에서는 경기침체 회복세가 확
연해짐에 따라 소형차 수요가 중대형차로 이전하면서 전반적으로 고급화될 전망

 세계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고분자 소재에 대한 수요는 현재 4.6만 톤에서 2015년 9.6만 톤


으로 연평균 2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되지만, 절대 수요량은 미미한 상황. 스포츠레저용품, 항
공기 등 기존 수요에 풍력발전기 날개, 자동차 구조부품 등의 신규 수요가 빠르게 성장할 것으
로 예상하고 있지만, 세계 경기침체 지속으로 경기에 민감한 수요의 성장은 불확실성이 큼

 최근의 플라스틱용 부품소재의 추세는 Compound 제품이 점점 세분화되고 발전한 결과 특화


된 Compound 생산 노하우를 축적하여 고기능, 고품질의 제품생산에 주력. 한편 합성수지 제
품의 최대 수입국인 중국은 자동차시장의 폭발적인 신장세, 서부지역개발 등으로 인해 PE, PP
계열의 폴리머 수입이 증가하고 ABS, PS 등의 합성수지도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관세인하
로 국내합성수지 및 Compound 업계에 성장 을 촉진시킬 것으로 판단

283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 자동차 경량화 연구 중에 단연 기대를 모으고 있는 소재는 탄소섬유를 이용한 복합재로 기존


플라스틱 소재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금속을 능가하는 강성과 경량성 특성은 크게 눈독을 들일
만한 기술이기는 하나 현재까지는 탄소섬유 소재의 가격과 가공법의 양산성 문제로 인하여 고
가의 자동차에만 부분적으로 적용

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BMW에서는 이미 탄소섬유를 적용하기 위한 양산체재를 구축하여


전기자동차 i3 및 i8에 적용할 계획. 카본섬유복합소재는 일본 업체들이 기술특허를 독점하고
있고 난이도 높은 공정기술 분야의 축적된 경험이 많기 때문에 현재 일본계 도레이, 테이진,
미쓰비시레이온 3사가 전체 시장의 69%, 미국계 헥셀, 졸텍이 26%를 점유

 PPS는 2012년 세계 시장규모가 약 9만톤으로 연평균 10%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슈퍼엔지니


어링 플라스틱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0년에는 약 18만톤 규모로 성장이
예상

 PPS는 200℃ 이상의 높은 내열성과 고강도를 지니고 있어 자동차 제너레이터, 배기가스 밸브,
쓰로틀 바디, 각종 센서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xEV용 2차전지, 모터 등 장시간 고내
열이 요구되는 플라스틱 수요 확대로 높은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기대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억 달러)
성장률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
PPS 11.60 12.76 14.04 15.50 17.04 18.80 10.0
슈퍼
세계
엔지니어링 10.82 11.69 12.62 13.63 14.72 15.90 8.0
시장
고분자 소재
탄소섬유
8.73 9.24 9.77 10.34 10.94 11.57 5.8
복합소재
* 자료: 자동차용 플라스틱 소재의 세계시장, 자동차 업계 2012년~2017년 예상치 기준 추정

28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국내시장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2013년 이후 급격한 성장세에 있으나, 국내업체의 시장 점유율이


10%에 불과하며, 해외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

 국내 플라스틱 산업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낼 수 있는 PP, ABS 등 범용 플라스


틱으로 치중되어 있으며, 부가가치가 높은 금속 대체용, 친환경, 기능성 플라스틱에 대한 연구
는 선진국 대비 열악한 수준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국내시장 규모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데, 이는 자동차 부품내에


PPS 적용 비율이 해외지역 대비 현저히 낮은 데서 주요 원인을 찾을 수 있음

 국내 PPS수지 제조시장은 대기업에서 주로 독자개발로 참여하고 있으나 아직은 상업화가 되지


않고 있음. 국내 여러 업체에서 시험적 생산으로 국산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강인성, 내열성, 유
연성 부족, 응용물성(열전도율, 수축 등) 저하로 본격적인 생산은 되지 않고 있음. 비교적 낮은
시장진입장벽으로 국내외 정밀화학업체 등 특히, 중국의 저가 제품의 시장진출이 예상되어 치
열한 경쟁이 예상

 국내의 경우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분야 세계 최고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술역량을 기


반으로 플라스틱소재 응용기술의 우위확보가 가능하고 특히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관
련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

 국내 자동차 내외장 부품의 경우 향후에는 ① 엔진, 공조, 연료부품 등에서의 금속 대체 수요


증가 ② 전장부품, 기능(구동) 및 안전대책 부품 채택 증가에 따른 고 기능성 플라스틱 수요
확대 ③ xEV시장 확대에 따른 2차전지 등 신규 무거운 부품의 경량화 요구증대 ④ 창유리의
플라스틱화 등으로 범용 및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슈퍼섬유 등 고 기능성 플라스틱의 채용
이 증가할 전망

 특히 자동차 내외장재, 공조부품, 연료부품, 전자부품, 엔진부품으로 갈수록 내열성과 강도, 난


연성특성을 지닌 PA, POM, PC/PBT, PC/ABS, PPS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요구

 엔진부품의 소재는 기존 알루미늄 소재가 사용되었던 에어인테이크 매니폴드, 실 린더 헤드커


버, 프론트엔드모듈, 엔진커버, 오일팬, 스로틀 바디 등에 PA6, PA66, POM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PPS와 같은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적용

 공조 및 연료부품의 경우 자동차 사고대비를 위한 내충격성, 내열화성(가스: NOx, 오존, 에어


콘용 냉매, 냉각수, 배터리 액, 내약품성, 내가스성, 도전성 등의 성능이 요구되며, 라디에이터
탱크, 연료탱크, 연료튜브, 캐니스터(연료증발억제장치) 등에 불소수지 등의 슈퍼엔지니어링 플
라스틱이 기존 알루미늄소재를 대체

 전장부품의 경우 커넥터, 릴레이블록, 스위치, 센서하우징, ECU하우징 등 대부분의 부품에 플라


스틱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절연성, 내열성, 내구성, 내약품성 등 고기능성이 요구. 향후에는
첨단 안전전장부품의 채용증가에 따른 무게감소와 xEV시장 본격화시 2차전지, 모터, 인버터, 파
워컨트롤 유니트 등 새롭게 채용되는 무거운 부품의 케이스, 하우징에 경량화 요구가 증대

285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 LG화학은 기술기반사업(고강도 EP, 고흡수성 수지(SAP), 합성고무) 분야의 매출을 연간 2조


원대에서 2018년까지 4조5000억 원대로 끌어올린다는 계획 수립. 고기능 슈퍼엔지니어링 플
라스틱 고분자소재 비중을 늘려 2018년까지 '글로벌 톱3'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였으
며, 현재 30% 수준인 자동차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고분자소재의 매출 비중을 50% 까지
증가시킬 계획

 국내 PPS수지 시장은 코오롱플라스틱, SK 케미칼 등 대기업에서 일부 실험적 pilot 생산을 시


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그 생산량이 미미하며, 중소기업인 두리켐, 경성폴리머, 동진폴리머,
휴비스, 보광화학, 계양케미칼 등에서 슈퍼엔지리어링 플라스틱 소재나 사출성형품을 판매. 비교
적 낮은 시장진입 장벽으로 국내외 정밀화학업체 등의 시장진출이 예상되어 치열한 경쟁이 예상

 SK케미칼은 세계 최초 무염소 PPS라는 차별성을 통해 2020년까지 전 세계시장 점유율을


2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연구와 pilot 생산을 준비 중에 있고, 해외 기
술 도입 등으로 상용화 연구가 한창

 국내 화학산업계도 부가 가치가 큰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관련 연구에 보다 많은 투자


를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플라스틱 생산 신흥국과의 격차를 넓히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좁혀야 할 시점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억 달러)
성장률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
PPS 0.21 0.23 0.25 0.270 0.30 0.33 10.0
슈퍼 엔지니어링
국내시장 1.70 1.94 2.21 2.52 2.86 3.26 13.9
고분자 소재
탄소섬유
0.60 0.73 0.85 1.04 1.27 1.54 21.7
복합소재
* 자료: 자동차용 플라스틱 소재의 국내시장, 자동차 업계 2012년~2017년 예상치 기준 추정

28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무역현황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술의 공정기술로 품목 단위의 무역현황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어


수출품목 중 플라스틱 관, 파이프, 연결구, 판, 쉬타 및 건축용품 등 품목의 무역현황을 살펴보
았으며, 수출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수입량은 감소 추세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술의 수출현황은 ‘11년 45억 9,292만 달러에서 ’15년 54억 4,613만
달러 수준으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수입현황은 ‘11년 51억 7,254만 달러에서 ’15년 38억 3,614
만 달러 수준으로 감소하여 무역수지 흑자폭이 증가

▪ 최근 5년(‘11~’15년)간 연평균 성장률을 살펴보면 수출금액은 4.4%로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은


­7.2%로 감소

 무역특화지수는 ‘11년(-0.06)부터 ’15년(0.17)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13년을 기점으로 수


출특화상태로 국내 기업의 수출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의 플라스틱 관,
파이프, 연결구, 판, 쉬타 및 건축용품 등 제품의 해외시장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
으로 분석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관련 무역현황 ]


(단위 : 천$)
CAGR
구분 ‘11 ‘12 ‘13 ‘14 ‘15
('11~'15)

수출금액 4,592,923 4,869,632 5,416,634 5,562,892 5,446,138 4.4%

수입금액 5,172,547 5,055,589 4,685,682 4,287,324 3,836,149 -7.2%

무역수지 -579,624 -185,957 730,952 1,275,568 1,609,989

무역특화지수* -0.06 -0.02 0.07 0.13 0.17

* 무역특화지수 = (상품의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으로 산출되며, 지수가 0인 경우 비교우위는 중간정도이며, 1


이면 완전 수출특화상태를 말함. 지수가 -1이면 완전 수입특화 상태로 수출물량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입만 한다는 뜻
* 자료 :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HS-Code(6자리 기준) 활용

287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4. 기술환경분석

가. 기술개발 트렌드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신소재 기술의 등장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 engineering plastics)으로 통칭되는 고기능성 엔지니어링 플


라스틱은 내열성을 포함한 특수물성을 강조하여 기술이 개발된 소재들로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그 사용량도 불소계 수지(fluoro polymer) 및 PPS(polyphenylene sulfide) 수지를 제외하고
는 아직 적은 편임

▪ 일반엔지니어링 플라스틱보다 물성이 좋은 특성을 갖는 새로운 소재의 요구는 제3단계의 고성능


수지를 개발케 했으며, 이는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플라스틱합금(Plastic Alloy)의 기술개발을
탄생. 이들은 높은 내열성과 보다 나은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어 자동차의 경량화에 관계된 부품
에 사용되고 있음.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개발은 고가격이면서 내열성을 필두로 범용 플라스틱 이상의 기능을


갖고 있어 범용 플라스틱과 함께 금속, 유리 등의 경량화 대체소재로서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 따
라서 내열성이 100도 이상인 것은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150도 이상인 것은 슈퍼엔지니어
링 플라스틱으로 분류되며,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능성 수지는
각각 내열성과 투명성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합성수지

◳ 환경•에너지 이슈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의 환경변화

 자동차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자동차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금속소재가 대부분 차지하던 소재


를 경량화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면서 차체 및 외장, 내장, 장식, 엔진 회전 등에도 많은 관련기
술이 개발되고 있음

▪ 지구온난화 대책으로서 HEV(하이브리드 자동차)나 EV(전기자동차), 태양전지, LED 등 각종 환경


관련 기술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그 원재료로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
고 있어 시장 확대가 예상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관련 기술개발은 성형 및 가공의 용이성, 가벼운 중량, 경제성 등의 여러 가


지 장점이 있어 자동차 경량화 부품분야에서의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술은 무엇보다도 경량
화를 통한 저 연비화의 중요성 때문

▪ 경량화 소재연구 중에 단연 기대를 모으고 있는 소재는 탄소섬유를 이용한 복합재로 기존 플라스


틱 소재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금속을 능가하는 강성과 경량성 특성은 크게 눈독을 들일만한 기술
이기는 하나 현재까지는 탄소섬유 소재의 가격과 가공법의 양산성 문제로 인하여 고가의 자동차에
만 부분적으로 적용

28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대한 대기업의 관심 증가

 삼성SDI는 정보기술(IT)용 소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자동차 소재사업을 강화하여 2018년 유


럽시장 매출을 5억 달러까지 확대할 계획

▪ 삼성은 모바일과 가전용 소재에서 확보한 SDI TV,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자동차용 경량화
소재를 개발해왔으며, 2012년 GM공급을 시작으로 자동차 업계의 친환경·고효율 추세에 맞춰 EP
제품라인업을 확대

 LG화학은 기술기반사업(고강도 EP, 고흡수성 수지(SAP)) 분야의 매출을 연간 2조원대에서


2018년까지 4조5000억 원대로 끌어올린다는 계획
▪ 고기능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고분자소재 비중을 늘려 2018년까지 '글로벌 톱3'를 달성하겠다
는 목표를 제시하였으며, 현재 30% 수준인 자동차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고분자소재의 매출 비
중을 50% 증가시킬 계획

 SK케미칼은 세계 최초 무염소 PPS라는 차별성을 통해 2020년까지 전 세계시장 점유율을


2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수립

▪ PPS는 고온에서도 변형없이 견디는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자동차 경량화 부품 등에 적용


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고분자소재에 관심을 갖고 있음

 코오롱플라스틱은 유럽에 위치한 글로벌 자동차기업에 소재 공급을 확대하는데 주력할 방침이


며, 이를 위해 코오롱플라스틱을 비롯한 코오롱의 자동차 경량화 소재부품 관련 사업 계열사들
은 고강성, 경량화, 친환경 등 고부가가치 신소재를 개발하는데 연구개발(R&D) 역량을 집중

289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나.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는 유럽/미국/일본계 대형 석유화학업체들이 독과점을 하고 있으며,


중동업체들이 풍부한 원유와 자금력으로 대형화되면서 지배력을 높이고 있음

 미국계 업체 듀퐁(나일론을 최초 개발) 등은 소재, 가공에 대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럽계 업체 바이에르/바스프(독일), DSM(네덜란드), 로디아(프랑스) 등은 특수소재에 대한 기
술이 우수

 일본계 업체인 미쓰비시, 도레이, 테이진 등은 소재 응용기술에서 앞서 있다고 평가되며, 한국


업체들도 소비량이 많은 일반소재에 대한 기술력은 우수하지만, 특수용도 소재의 기술은 수요
확보 어려움 등으로 선진국 대비 뒤처져 있음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는 일본, 미국 등 업체들이 기술특허를 독점하고 있고 난이도 높


은 공정기술 분야의 축적된 경험이 많기 때문에 현재 일본계 도레이, 테이진, 미쓰비시레이온
3사가 전체 시장의 69%, 미국계 헥셀, 졸텍이 26%를 점유

 선진국의 일부 럭셔리 브랜드의 차종을 중심으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는 적용사례가


증가. 독일의 벤츠의 경우는 도레이사와 함께 카본섬유복합소재 적용을 추진 중이며, GM의 테
이진과 자동차용 CF를 공동 개발하여 적용할 계획. 미국에서는 향후 증가하게 될 플라스틱 복
합소재의 적용에 대비하여, 복합소재를 통하여 대체 가능한 차체 주요부위의 충돌 안전성에 대
한 심도 깊은 연구를 이미 수행

 도레이(⽇)는 프리커서에서 제품에 이르기까지 이미 수직계열화를 갖추었으며, 그 외 CYTEC


(美)은 탄소섬유합성, 합성수지 복합소재 개발을, BMW(獨)는 고급차 위주의 차량 부품 적용
등에 큰 강점을 가지고 있음. 현재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적용부품 및 제품들은 Autoclave,
RTM (Resin Transfer Molding) 등의 성형공정을 통해 요구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나 해당공정
들은 성형품 1개당 수십 분에서 수 시간 수준의 공정시간이 필요

 PPS 수지 관련 미국 Chevron, Ticona, 일본 DIC를 포함한, 일본 Toray, Kureha Chemical,


Polyplastics, Tosoh Corporation 등 다수의 PPS 수지 관련 제조 기업이 경쟁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Chengdu Letian Plastics, Sino Polymer & Fibre, Southwest China Haohua
Chemical, Shenzhen Yataixing Industry, Chenguang Polymer, Zigong, Sichuan 등이
시장에 참여

 PPS 수지 관련 중국에서는 저가의 인건비와 해외 도입 기술력으로 Chengdu Letian Plastics,


Sino Polymer & Fibre, Southwest China Haohua Chemical, Shenzhen Yataixing
Industry, Chenguang Polymer 등 중국내 10 여개 회사가 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며 저가의
자동차용, Filter bags, Aerospace, Coating 부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양산

29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국내업체동향

 국내 자동차용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고분자 소재시장은 컴파운드 중심으로 치우쳐 있어 가


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PA 6레진은 효성, 코오롱플래스틱,
KP켐텍이 시장점유율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컴파운드도 코오롱플라스틱, 코프라, 만도 등
국내기업이 50% 수준에 불과해 절반을 수입에 의존

 선진국 대비 기술경쟁력이 부족하지만, 수요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성장 잠재력 보유

▪ 산발적인 지원으로 인해, 국내 기술수준은 선도국(미국)대비 미약한 수준으로 국책사업 차원의 적


극적인 지원이 시급

 국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업체로는 제일모직(ABS, PC, PBT, PC/PBT, PC/ABS, PPS, 이하 엔


지니어링 플라스틱 주요제품), 삼양사(PC, PBT, PC/PBT, PC/ABS), 코오롱 플라스틱(POM,
PA, PBT), LG화학(PP, PC, PC/PBT, PC/ABS), 호남석유화학(PP) 등이 합성수지 중합에서 컴
파운드까지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현대EP(PP, PE 등), 코프라(PA, PP) 등이 전문적으로 컴
파운드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생산은 하지 않고 있음

 LG화학은 기술기반 사업(고강도 EP, 고흡수성 수지(SAP), 합성고무) 분야의 매출을 연간 2조 원


대에서 2018년까지 4조5000억 원대로 끌어올린다는 계획 수립. 고기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고
분자소재 비중을 늘려 2018년까지 '글로벌 톱3'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였으며, 현재
30% 수준인 자동차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고분자소재의 매출 비중을 50% 증가시킬 계획

 SK케미칼은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 불리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사업 본격화를 앞


두고 2013년 일본 화학업체인 데이진과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울산에 PPS 제조공장을 건설하
고 200℃ 이상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PPS를 통해 2020년 3000억원, 2024년 3500억원
매출을 기대

 국내의 시장 규모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으며 이는 자동차 부품 내에 PPS 적용 비율이 해외 지


역 대비 현저히 낮은데서 주요 원인을 찾을 수 있음. 국내 여러 업체에서 시험적 생산으로 국산
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강인성, 내열성, 유연성 부족, 응용물성(열전도율, 수축 등) 저하로 본격
적인 생산은 하고 있지 못함

 PPS는 고온에서도 변형 없이 견디는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최근 국제 플라스틱 전시


회에서 자동차가 핫 아이템임을 바탕으로 자동차 부문 등에 적용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고
분자소재에 관심을 갖고 있음을 표현

 삼성정밀화학은 슈퍼엔지니어링플라스틱(Super Engineering Plastics) 중 하나인 LCP는 고내


열성, 고절연성 등의 특징을 갖춘 고기능성 수지로 핸드폰용 고정밀 커넥터, HDD주변 부품 등
고정밀성을 요하는 미세 전자 부품 생산 등에 사용되는 첨단소재

▪ 신규 출시하는 LCP의 브랜드명을 셀시온(SELCION)으로 확정. 액정고분자 시장은 미국 티코나(Ticona)


와 듀폰(Dupont), 일본 스미토모(Sumitomo) 등 소수 업체가 세계 시장의 80% 이상을 독점

 국내 화학산업계도 부가 가치가 큰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관련 연구에 보다 많은 투자

291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를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플라스틱 생산 신흥국과의 격차를 넓히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좁혀야만 할 시점

 국내 수요처로는 중소 성형가공업체 또는 플라스틱 부품 제조업체와 대기업군의 전기/전자 및


자동차 업체가 있음

▪ 국내 수요처는 현대, 삼성, GS 및 대우 등의 전기/전자 및 자동차업체와 세계시장에서의 수주물량


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휴비스, LG이노텍, 삼성 SDI, 및 기아자동차 등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 다
양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부품 소재 등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음

다. 기술인프라 현황

 해외의 경우 미국, 일본, 독일 등을 중심으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조를 위한 사업이 활


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세계 공급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구체적인 생산규모 및 생산량은 공개되지 않고 있음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조공정 확보 및 연구개발등 제품을 이용한 수익모델 구축 중

▪ 여러기업과 대학을 상대로 한 공용 인프라로서의 역할은 제한적

 국내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품산업은 도입초기단계로서 대부분의 제품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 다만 자동차 부품소재용 PPS소재는 Pilot 단계로 일부 대기업에서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있어 구체적인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은 없는 실정

▪ 국내의 경우 PPS수지 원료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정부가 기술개발을 위한 정책적인


차원에서 대처해야 할 것으로 예상됨

 PPS수지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이 독점적으로 생산하는 품목으로서 신흥국의 수요증가는 가


격상승의 요인으로 작용. 특히 각국의 경쟁적인 자동차의 경량화 및 전기자동차의 생산은 수요
촉진을 유발하여 가격상승의 요인

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탄소섬유의 경우 전량 일본 또는 해외에서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


이었으나, 국내에서의 원소재 제조기반이 확충되어 가고 있는 실정

 국내 탄소밸리 지원사업을 비롯하여 정부의 기반 구축사업이 진행되고 있어, 전무했던 탄소섬


유는 국내생산이 2013년부터 생산 가동 중. OCI는 2013년 중순 Pitch계 탄소섬유 300톤/년
양산 예정이며, 효성은 PAN 중합 공장 300톤/년 완공 및 precursor 생산 중으로 2013년
1,500톤/년 가동 예정

 국내기업이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의 세계시장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우수한 제품개발


을 통한 제품기술의 우위와 함께 산업계의 표준·인증·실증분야의 인프라 형성이 중요

29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라.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 출원동향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술의 지난 7년(‘10~’16) 간 출원동향22)을 살펴보면 연도별로 출원


경향이 증가, 감소를 반복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관련 기술개발 활발

▪ 각 국가별로 살펴보면 일본 출원경향은 서서히 감소 추세, 미국과 유럽은 꾸준히 유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반면, 한국은 점차 증가추세를 보임

 국가별 출원비중을 살펴보면 일본이 41.6%로 최대 출원국으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술


을 리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이 24.9%, 미국이 22.2%의 출원비중을
보임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 연도별 출원동향 ]

22)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재하여 2015, 2016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293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2) 국가별 출원현황

 한국의 출원현황을 살펴보면 ‘10년부터 최근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내국
인 출원이 증감을 반복하며 서서히 증가 추세

▪ 외국인의 출원 감소현상이 두드러지는 이유를 살펴보면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술의 국내 시


장에 대한 외국인의 선호도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 일본의 출원현황은 ‘10년부터 최근까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출원인 대부분이 자국 출원으
로 일본 내의 기술력이 우수한 것으로 추정

 미국과 유럽의 출원현황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출원인을 살펴보
면 미국은 외국인 출원이 대부분이며, 유럽의 경우 외국인과 내국인의 출원비율이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남

[ 국가별 출원현황 ]

29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3)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의 투입기술을 확인하기 위하여 특허분류코드인 IPC Code23)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의 가장 높은 IPC는 C08L 기술분야가
2999건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서 C08G가 2237건, C08J가 984건으로 다수를
차지

▪ 이외에 C08K 406건, B32B 168건, C08F 99건, C09D 82건, B01D 67건, B29C 67건, C07D
61건 순으로 기술이 투입되어 있어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에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어 존재

▪ 더불어 해당 IPC의 특허인용수명을 살펴보면 B01D 기술분야의 수명이 10년으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C09D 기술분야는 6년으로 가장 짧은 것으로 분석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 상위 투입기술 ]

IPC 기술내용 특허인용수명(TCT)24)

C08L 고분자 화합물의 조성물 8년

탄소-탄소 불포화결합만이 관여하는 반응 이외의 반응으로 얻는 고분자


C08G 8년
화합물

마무리; 일반적 혼합 방법; 서브클래스 C08B, C08C, C08F, C08G 또는


C08J 7년
C08H에 포함 되지 않는 후 처리

C08K 무기 또는 비고분자 유기물질의 배합성분으로서의 사용 8년

B32B 적층체, 즉 평평하거나 평평하지 않은 형상 8년

C08F 탄소-탄소 불포화결합만이 관여하는 반응으로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 8년

C09D 피복 조성물 6년

B01D 분리 10년

플라스틱의 성형 또는 접합; 가소 상태에 있는 물질의 성형 일반; 성형품의


B29C 9년
후처리

C07D 비환 화합물 또는 탄소환 화합물 9년

23) 전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국제특허분류(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를 통해 특허정보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을 조
사할 수 있으며, 기술 및 권리정보에 용이하게 접근 가능
24) 특허인용수명 지수는 후방인용(Backward Citation)에 기반한 특허인용수명의 평균, Q1, Q2(중앙값), Q3에 대한 통계값을 제시함.
특히 이와 같이 산출된 Q2는 TCT(Technology Cycle Time, 기술순환주기 또는 기술수명주기)라고 부름

295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 투입기술이 가능 많은 C08L 분야와 융합이 높게 이루어진 기술은 C08K 분야로 나타났으며,


C08G, C08J 분야와도 나타 융합된 기술의 건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

▪ 이외에 C08G 분야와 융합된 기술은 C08J, C08K, B32B 분야와 융합된 기술이 많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 C08J 분야와 융합된 기술은 B32B, C08K, B29C 기술로 분석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 IPC 기술 및 융합성 ]

(4) 주요출원인 분석

 세계 주요출원인을 살펴보면 주로 일본 및 유럽의 출원인이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미국 및 한국 출원인도 상위출원인으로 도출됨

▪ 주요 일본 출원인을 살펴보면 MITSUBISHI GAS CHEMICAL, TORAY INDUSTRIES, UBE


INDUSTRIES, ASAHI CHEMICAL 및 UNITIKA가 도출되었으며, 이들 일본 출원인은 주로 일본
본국에 출원건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유럽 출원인으로는 독일의 BASF, 프랑스의 RHODIA OPERATIONS 및 EMS PATENT, 미국 출원


인으로는 DU PONT이 도출되었으며, 이들 출원인은 미국 또는 유럽에 출원건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한국 출원인으로는 삼성SDI가 상위출원인으로 나타나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관련 기술을 다수


보유

29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DU PONT의 3극 패밀리수가 261건으로 다국적으로 시장을


확보하며 출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일본의 MITSUBISHI GAS CHEMICAL도 253건으
로 다국적 시장을 확보

 최상위출원인으로 나타난 미국 기업인 DU PONT이 확보한 특허의 피인용지수가 1.74로 가장


높게 나타나 기술의 파급성이 높은 원천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주요 출원인의 출원현황 ]

주요 IP시장국 (건수 %) 3극

IP시 패밀 피인용
주요출원인 국가 주력기술 분야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장국 리수 지수

종합 (건)

52 138 112 56 내열성


DU PONT 미국 미국 261 1.74
15% 39% 31% 16% 폴리이미드

MITSUBISHI GAS 70 68 141 68 기능성


일본 일본 253 1.08
CHEMICAL 20% 20% 41% 20% 폴리아미드

74 100 78 73 난연성
BASF 독일 미국 121 1.05
23% 31% 24% 22% 폴리아미드

35 34 223 31 PPS 수지
TORAY INDUSTRIES 일본 일본 111 0.58
11% 11% 69% 10% 조성물

46 44 201 23 폴리이미드
UBE INDUSTRIES 일본 일본 110 0.29
15% 14% 64% 7% 전구체

18 23 162 13
ASAHI CHEMICAL 일본 일본 40 0.50 폴리아미드
8% 11% 75% 6%

50 53 48 59 내열성
RHODIA OPERATIONS 프랑스 유럽 154 0.05
24% 25% 23% 28% 폴리아미드

120 49 13 22
전자재료 및
삼성SDI 한국 한국 12 0.71
59% 24% 6% 11% 자동차용 부품

11 6 165 9
UNITIKA 일본 일본 30 1.00 폴리아미드
6% 3% 86% 5%

41 44 41 38 폴리아미드 성형
EMS PATENT 스위스 미국 141 1.56
25% 27% 25% 23% 부품

297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5) 국내 출원인 동향

 국내 출원인 동향을 살펴보면 대기업은 삼성SDI의 출원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기업


에서는 엑시아머티리얼스의 출원건수가 높게 나타남

▪ 대기업의 주요 출원인은 삼성SDI, 코오롱인더스트리, LG화학,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효성, 도레이


케미컬 등이 있으며, 중소기업의 주요 출원인은 엑시아머티리얼스, 이녹스, 상아프론테크, 태원시
스템, 이노폴리 등이 주요 출원인인 것으로 나타남

 기업 이외의 주요출원인을 살펴보면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등


연구소/공공기관의 출원이 다수 나타났으며, 대학은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건국대학교의 출
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 국내 주요출원인의 출원 현황 ]

29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5. 중소기업 환경

가. 중소기업 경쟁력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는 세부품목에서 주요기술로 PPS, LCP, PSU, PES, PEEK 및
PEK 등의 소재가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주로 해외의 대기업이 기술력을 갖고 있으며, PPS 등
일부 중요한 상업화 기술은 국내 대기업이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상업화 시험생산중에 있음. 국
내 중소기업은 대부분 원료를 수입하여 일부 소재가공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실정

 중소기업들은 전기/전자, 자동차 및 조선업체 등과 같은 대형사업을 수주하는 대기업에 부품


및 재료를 납품하는 형태로 공급망 역할을 수행하므로 대기업체에 대해서 교섭력이 취약한 측
면이 존재

 현재의 대기업체에 해당하는 전기/전자, 자동차 및 조선 업체 등이 여러 경쟁 공급사를 대상으


로 원하는 Spec.의 수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공급구조 하에서는 중소기업은 제품 신뢰
성, 원가경쟁력 뿐만 아니라, 수요처와의 공동개발 등을 통한 특수관계 형성 전략이 필수

 현재 PPS 관련제품의 제조기술이 전무한 국내에서는 관련제품을 대부분 미국, 일본 등에서 수


입에 의존하고 있음. 따라서 PPS 관련제품의 제조 및 생산기술의 부재는 중소기업의 저해요인
으로 평가되며, 현 상황 하에서는 기술개발을 통한 국산화가 시급한 과제

▪ PPS의 제조기술은 선진국인 미국 및 일본기업들이 license를 독점하고 있는 기술로서 생산과 공급


을 독점하고 있으며, 기술이전을 기피하고 있는 분야

 강남화성(주)은 노블락(novolac)형 페놀수지와 레졸(resoles)형 페놀수지 제품을 동시에 합성할


수 있는 상업화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이는 PPS수지합성의 기술적 촉진요인이 되고 있음

▪ 강남화성(주)이 추진하고 있는 페놀 컴파운딩 기술은 PPS 소재제조기술과 유사한 공정기술로서 최


적화기술 및 설계기술은 접근성 측면에서 촉진요인으로 작용

▪ 강남화성(주)은 고분자수지인 페놀수지의 합성공정을 확보하고 있어 PPS 수지 생산기술이 개발될


경우 단시간에 공정의 상업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촉진요인

▪ 또한 페놀수지 합성공정의 보유로 PPS 제조의 원천기술개발시 상업화를 직접 시도할 수 있는 풍


부한 인적자원과 공정을 확보하고 있음.

 국내의 경우 오우화학이 PPS 응용제품을 개발하여 사업화 단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최
근 휴비스가 2년여의 개발 끝에 2009년 국내 최초로 PPS 섬유 상업생산을 시작. 현재 출시
중인 제품은 내열 백필터용 스테이플 파이버(단섬유), 방적사이며 올해 예상 판매량은 1200톤
정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일부 응용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코프라, 영보화학 등이 LCP 관련 가공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299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 국내 중소기업 현황 ]

중소기업 중소기업
세부분류 주요 기술 대기업 중소기업
주요 참여영역 참여 정도*

한국정밀, 오우화학
LG이노텍, 삼성SDI, SKEM, 세스코,
두산인프라코어 휴비스, 두리켐, 전자/전기부폼,
전기전자부품,
PPS 현대위아, 경성폴리머, 전기자동차용 ◕
자동차부품,정밀기기부품
화천기계, SIMPAC, 동진폴리머, 부품
LS엠트론 보광화학, 계양
케미칼, 강남화성

현대EP
초정밀 미세
전기전자부품, 기계부품, 코오롱플라스틱
LCP 코프라, 영보화학 패턴 가공장비, ◔
광학정밀기기부품 SK캐미칼, 제일모직
액정고분자
삼성정밀화학

전기전자분야(항공우주, 에스에프에이, 다층화용 층간


군사용), 반도체 다층화용 LG디스플레이, 에스엔에스텍, 절연막,
PI ◑
층간절연막, 자기기록매체의 SKC코오롱PI AP시스템, 비아트론, 자기기록매체의
기판 에스엔텍, 한일진공 기판

컴퓨터,
두리켐,경성폴리머, 항공기용,
컴퓨터, 항공기용, 유전용,
코오롱플라스틱 동진폴리머, 휴비스, 전선피복재
PEEK, PEK 원자력발전소용의 전선피복재 ◔
SK캐미칼, 제일모직 보광화학, 계양 열수
열수 펌프하우징, 내열패킹
케미칼 펌프하우징,
내열패킹

오우화학
복합고분자 탄소섬유 한화케미컬, 호남석유 운용관리
SKEM, 세스코, ◔
섬유소재 아라미드섬유 태광산업, GS칼텍스 솔루션
휴비스, 두리켐

* 중소기업 참여정도와 점유율은 주요제품 시장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참여규모와 정도(업체수, 비율 등)를 고려하여 5단계로 구분
(낮은 단계: ○, 중간 단계(◔, ◑, ◕) 높은 단계: ●)

30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중소기업 기술수요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의 중소기업의 기술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기술수요조


사 및 중소기업청 R&D신청과제(2013~2015년)를 분석한 결과 아래 표의 내용과 같은 수요들
이 다수 있는 것으로 분석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 중소기업은 최근에 자동차용 소재기술, 전자재료용 소재기술 및 기


능성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기술과 관련된 기술개발에 다수 수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 과제신청현황 및 수요조사결과 ]

전략제품 기술 분류 관심기술

․ 자동차 부품용 고신뢰성 에폭시 수지 개발


․ 자동차 범퍼용 고분자 수지 개발
자동차용 소재기술
․ 친환경 자동창용 경량화 고분자 수지 개발
․ VOCs 저감재가 적용된 친환경 자동차 도어트림 소재 개발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단분자 및 고분자 연구 개발


슈퍼
․ 스마트기기 보호 필름 개발
엔지니어링 전자재료용 소재 기술
․ 고내열 전자파 차폐용 폴리이미드 소재 개발
플라스틱
․ 전자제품 하우징용 ABS/PET 블랜드 소재 개발

․ 고기능성을 갖는 산업용 폴리아미드 수지 개발


․ 고인열특성을 갖는 고내구성 고분자 수지 개발
기능성 슈퍼엔지니어링
․ 고내열성 나노컴파운드를 활용한 부품개발
플라스틱 소재 기술
․ 고내열성 고탄성 PPDI계 TPU개발
․ 난연성 ABS 블랜드 및 공정기술 개발

301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다. 중소기업 핵심기술

(1)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술의 특허 및 논문데이터 검색을 통해 도출된 유효데이터를 대상으


로 데이터마이닝 기법(Scientometrics 기법)을 통해 클러스터링된 키워드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요소기술 후보군을 도출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술의 특허 및 논문 유효데이터를 기반으로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통하


여 10개의 요소기술 후보군을 도출

▪ 제품별 dataset 구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술 관련 특허/논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노이즈


제거 후 제품별 dataset 구축

▪ 1차 클러스터링 : 키워드 맵을 통한 고빈도 키워드 확인-빈도수(tf-idf)25)가 상위 30%에 해당하


는 키워드를 대상으로 1차 추출

▪ 2차 클러스터링 : 1차 클러스터링에서 추출된 고빈도 키워드 사이에서 고연관도 키워드를 2차 추


출 (고연관도 기준은 연관도수치26)가 2이상인 클러스터로 제한)

 다음 그림은 키워드 간 연관네트워크를 시각화한 것으로, 각 키워드를 나타내는 원과 키워드


간의 연관도를 나타내는 직선으로 구성

▪ 각 키워드가 특허와 논문 중 어느 데이터에서 도출되었는지 원의 색으로 구분하였으며, 키워드로


도출된 클러스터는 황색음영으로 표시

▪ 키워드를 나타내는 원은 고빈도의 키워드일수록 원의 크기가 크게 표현되며, 연관도를 나타내는


선은 키워드 사이의 연관도수치가 높을수록 굵게 표현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술 전략제품의 특허․ 논문 유효데이터에 대하여 키워드 클러스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요소기술 도출

 데이터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은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통해 도출된 요소기술에 대하여 전문가의
검증 및 조정을 통하여 요소기술을 도출

25) 빈도수(tf-idf) : 각 키워드가 출현되는 특허 또는 논문수를 의미


26) 연관도수치: 두 개 이상의 키워드 사이의 특허 또는 논문수를 의미

30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 키워드 클러스터링 ]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 주요 키워드 및 관련문헌 ]

No 주요 키워드 연관도 수치 관련특허/논문 제목

1. AROMATIC POLYAMIDE POROUS FILM AND SEPARATOR FOR


aromatic CAPACITOR OR BATTERY USING THE SAME
클러스터 polyamide 2. FLAME RETARDANT SEMI-AROMATIC POLYAMIDE COMPOSITION
3~5
01 heat AND MOULDED PRODUCTS MADE THEREFROM
resistant 3. HEAT RESISTANT SEMI-AROMATIC POLYAMIDE COMPOSITE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1.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AMIDEIMIDE RESIN


MICROPARTICLES, AND POLYAMIDEIMIDE RESIN
MICROPARTICLES
polyamide-
2.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amideimide resin microparticles,
클러스터 imide
5 and polyamideimide resin microparticles
02 PAI
3. LOW TOXICITY SOLVENT SYSTEM FOR POLYAMIDEIMIDE AND
semicondutor
POLYAMIDE AMIC ACID RESINS AND COATING SOLUTIONS THEREOF
4. RESIN COMPOSITION, CURED FILM,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303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No 주요 키워드 연관도 수치 관련특허/논문 제목

1. HEAT RESISTANT THERMOPLASTIC ARTICLES INCLUDING


heat POLYHYDROXY POLYMERS
클러스터
resistant 4~6 2. Heat resistant hydrocarbon elastomer compositions
03
automobile 3.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art for
Automobiles Using the Same

1.Liquid crystal polyimide, liquid crystal resin composition


liquid crystal containing same, and resin film for semiconductor elements
클러스터 polymer 2. In-plane thermal conductivity modeling of carbon-filled liquid
3
04 LCP crystal polymer-based resins
surface 3. Bulk and surface molecular orientation distribution in injection-molded
liquid crystalline polymers: Experiment and simulation

1. THERMOPLASTIC POLYIMIDES
클러스터 thermoplastic 2. THERMOPLASTIC POLYIMIDE AS FLOW PROMOTER AND FLAME
5
05 polyimides RETARDANT SYNERGIST FOR FILLED POLYAMIDE COMPOSITIONS
3. NANOSTRUCTURED THERMOPLASTIC POLYIMIDE FILMS

1.POLYPHEN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OLDED ARTICLE OF SAME
polyphenylene
클러스터 2. Polyphen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molded product of
sulfide 4
06 polyphen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ion
PPS
method of polyphen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3. POLYPHENYLENE SULFIDE COMPOSITIONS

1. Influence on the delamination phenomenon of matrix type and


thermal variations in unidirectional carbon-fiber epoxy composites
클러스터 epoxy resin 2. Thermal, static,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bark
2~6
07 composite cloth (ficus brachypoda) laminar epoxy composites
3. EPOXY RESIN COMPOSITION, PREPREG, AND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1. Solvent resistance of epoxy resins toughened with polyethersulfone


polyethersulf
클러스터 2. AROMATIC POLYETHER SULFONE BLOCK COPOLYMERS3.
one 3~7
08 3. Tribological behavior of graphite oxide reinforced polyethersulfone
PES
composite under drying sliding condition

1. Hydrostable polyetherimide blend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2. Solventles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mine functional
클러스터 polyetherimide
5 polyetherimide resins with improved melt flow
09 PEI
3. Dynamic mechanical property and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the carbon fabric reinforced polyetherimide composite
based on the polyetherimide resin films

1.Study of the electroconductive properties of conductive


polymers-graphene/graphene oxide nanocomposites synthesized
conductive
클러스터 via in situ emulsion polymerization
polymer 4~5
10 2.Influence of morphology on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composite
effect for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with carbon black
dispersed at interface

30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

No 요소기술명 키워드

aromatic polyamide
요소기술01 고내열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heat resistant

polyamide-
imide
요소기술02 반도체용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조성물
PAI
semicondutor

heat resistant
요소기술03 자동차용 내열성 고분자
automobile

liquid crystal polymer


요소기술04 표면실장 부품용 액정고분자 조성물 LCP
surface

thermoplastic
요소기술05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조성물
polyimides

polyphenylene sulfide
요소기술06 자동차용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PPS

epoxy resin
요소기술07 자동차용 에폭시 수지 복합체
composite

polyethersulfone
요소기술08 자동차용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조성물
PES

polyetherimide
요소기술09 전자재료용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조성물
PEI

conductive polymer
요소기술10 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 조성물
composite

305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2) 요소기술 도출

 산업․ 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통해 기술의 범위, 요소기술 간 중복성 등을 조정‧검토하여 최종


요소기술명 확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 요소기술 도출 ]

분류 요소기술 출처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자동차부품용 고신뢰성 에폭시 수지 개발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기술/시장 분석, 특허/논문


자동차용 PPS(polyphenyl sulfide) 부품화 기술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자동차용 소재 기술 자동차용 PES(polyether sulfone) 부품화 기술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자동차용 PEEK(polyetherether ketone) 부품화 기술
전문가추천

기술수요, 특허/논문
자동차용 플라스틱 초내열성 절연소재 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표면실장부품용 액정폴리머(LCP) 개발 기술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특허/논문
반도체용 폴리아미드이미드 소재 개발
클러스터링
전자재료용 소재
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자재료용 열가소성 폴리이미드(TPI)개발 기술
전문가추천, 기술/시장분석

기술수요, 특허/논문
전자재료용 폴리에테르이미드(PEI) 개발 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의료용 폴리술폰산계 복합소재
타부처로드맵

기능성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슈퍼엔지니어링 고내열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수지 개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플라스틱 소재 기술
기술수요, 타부처로드맵,
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 필름개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 추천

30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3) 핵심기술 선정

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산․ 학․ 연 전문가로 구성된 핵심기술 선정위원회를 통하여 중소기


업에 적합한 핵심기술 선정

 핵심기술 선정은 기술개발시급성(10), 기술개발파급성(10), 단기개발가능성(10), 중소기업 적합


성 (10)을 고려하여 평가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 핵심기술 ]

분류 핵심기술 개요

자동차부품용 고신뢰성 에폭시 수지 환경 친화적 자동차 구조용 선도장 강판 접합 및 모듈


개발 화를 위한 접착제 기술

자동차용 자동차용 PPS(polyphenyl sulfide)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기계적 물성을 가진 최


소재 기술 부품화 기술 적의 금속대체용 고내열성 자동차 부품화 소재 기술

자동차부품이나 기계부품, 전기ㆍ전자부품과 같은 공업


자동차용 플라스틱 초내열성
용도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으로 장기내열성을 갖는 자동
절연소재 기술
차용 절연소재 기술

표면실장부품용 액정폴리머(LCP) LCP는 열플라스틱 폴리머로 휴대폰, 카메라 등에 널리


개발 기술 쓰이는 전자부품 표면실장용 LCP 제조기술

전자재료용
소재 기술

전자재료용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뛰어난 내열성,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등을 갖는


개발 기술 전지전자부품용 PEI 제조기술

기능성
슈퍼엔지니어링 터치스크린, LCD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상부전극 및
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 필름개발
플라스틱 OLED 등의 투명전극용 전도성 복합소재 필름 기술
소재 기술

307
▣ ▣ 화학소재공정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

6. 기술로드맵 기획

가.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술로드맵

 최종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


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

30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연구개발 목표 설정

 로드맵 기획 절차는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로드맵 기획위원회를 통해 선정된 핵심기술을 대


상으로 기술요구사항, 연차별 개발목표, 최종 목표를 도출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 핵심기술 연구목표 ]

연차별 개발목표
분류 핵심기술 기술요구사항 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내열성: -내열성: - 내열성:


- 열성: 220℃
180℃ 200℃ 220℃
자동차부품용 -고내열성 -표면경도향상:
-표면경도향상: -표면경도향상: -표면경도향상:
고신뢰성 에폭시 -표면경도 200%
150% 180% 200%
수지 개발 -접착강도 - 접착강도:
-접착강도: -접착강도: - 접착강도:
≥2.5N/㎟
≥2.5N/㎟ ≥2.5N/㎟ ≥2.5N/㎟

자동차용
자동차용
소재 기술 - 압축강도 - 250㎫ 이상 - 280㎫ 이상 - 300㎫ 이상 - 300㎫ 이상
PPS(polyphenyl
- 연신률 - 10%이상 - 13%이상 - 15%이상 - 15%이상
sulfide) 부품화
- 내열성 - 180℃이상 - 220℃ 이상 - 250℃ 이상 - 250℃ 이상
기술

자동차용 플라스틱 - 압축강도 -250㎫ 이상 -270㎫ 이상 -300㎫ 이상 - 300㎫ 이상


초내열성 절연소재 - 연신률 - 15%이상 - 18%이상 - 20%이상 - 20%이상
기술 - 내열성 - 180℃ - 200℃ - 230℃ - 230℃

-1200 -1500 -2000


kg/cm2 kg/cm2 kg/cm2
-2000 kg/cm2
-인장강도 -1400 -1600 -1800
표면실장부품용 -1800 kg/cm2
-굴곡강도 kg/cm2 kg/cm2 kg/cm2
액정폴리머(LCP) -150,000kg/cm2
-굴곡탄성율 -90,000 -120,000 -150,000
개발 기술 -3X1016
전자재료용 -체적고유저항 kg/cm2 kg/cm2 kg/cm2
Ohm-cm
소재 기술 -11X1015 -6X1016 -3X1016
Ohm-cm Ohm-cm Ohm-cm

전자재료용 -비강도 -40이하(PP) -40이하(PP) -40이하(PP) - 40이하(PP)


폴리에테르이미드(P -내열온도 - 150℃ - 180℃ - 200℃ - 200℃
EI) 개발 기술 -내후성 - 300hrs - 350hrs - 400hrs - 400hrs

기능성
-200 -100 -50
슈퍼엔지니어링 전도성 고분자 -전도성 -50Ω/square
Ω/square Ω/square Ω/square
플라스틱 복합소재 필름개발 -접착강도 ≥2.0 N/㎟
≥1.5 N/㎟ ≥1.7 N/㎟ ≥2.0 N/㎟
소재 기술

309
전략제품 현황분석

분리막 소재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분리막 소재

정의 및 범위

▪ 분리막은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입자 분리라는 일반여과(Filteration) 기능뿐만 아


니라 액체에 용해된 용존물질이나 혼합기체의 분리까지도 가능한 선택적 투과성도 가지고 있으며,
막분리 기술이란 분리막의 이러한 선택적 투과성을 이용한 다양한 분리공정을 포괄적으로 의미

▪ 분리막 분야는 분리성능에 따라 크게 정밀여과막(MF; Microfiltration Membrane), 한외여과막


(UF;Ultrafiltration Membrane), 나노여과막(NF; Nanofiltration Membrane), 역삼투막(RO;
Reverse Osmosis Membrane)으로 분류되며 소재에 따라 고분자, 세라믹, 금속으로 나뉘며 막의 설
계 및 제조기술, 환경 분리시스템 기술, 통합 제어기술, 시공 및 유지・관리기술 등
정부지원 정책

▪ 분리막 소재산업 발전 전략을 수립하여 국가적인 차원의 기술 개발을 선도

▪ 분리막 소재산업 포럼 구성, 제조혁신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

▪ 범정부적으로 지구온난화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분리막 소재산업 육성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고효율을 위한 기술적 문제해결 필요
• 환경 대상 원 소재, 제조공정 및 설계 기반 기술 확보
• 대기업의 거대 자본논리로 시장편성 가능성
• 질적으로 우수한 연구인력 및 연구성과 증가
• 중소기업은 제조기술 및 시공, 부품기술 분야 등 일부
• 각국의 환경규제 및 지구온난화문제 의 지속적인 증가
분에 참여
• 관리와 유지기술, 통합 기술력 확보
• 차별화된 제품개발, 공급망 확보 및 마케팅 전략 미비
• 친환경 및 지구온난화에 대비한 범정부 차원의 기술 로 인한 시장 진출의 어려움
개발 정책 및 지원 확대
• 중소기업의 전문기술인력 부족 및 기술개발 정보 부족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정부정책에 부합된 대기업의 기술개발 및 전략에 의
• 국내외적으로 범정부적 차원의 지구온난화해결 확대정
한 중소기업 소외
책 및 의무 공급비율 증가
• 중소기업의 제품 공급망 및 시장 판로의 비용증가로
• 정부적 차원에서의 기술력 강화를 위한 중소・중견기
인한 제품가격 경쟁력 약화
업 주도의 기술개발 및 국산화 지원.
• 선진산업의 대규모 물량 유입에 의한 시장 보호막이 부재
• 각국의 환경 규제 강화 및 지구온난화문제 해결 기대
• 중소기업 기술력 및 인력유출이 위험요인으로 작용
• 환경 측정 및 이용, 시스템의 유지, 산업 분야의 관심 증대
• 신기술, 신공법의 안정성 등의 다양한 위험요인 존재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지구온난화문제와 환경문제 및 에너지 분야 등 모든 산업의 핵심기술

➜ 중소기업이 제조하는 분리막의 성능과 품질향상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통한 글로벌 진출 가능

➜ 높은 소재가격을 극복하기 위한 분리막 성능 향상 기술과 제품화 등의 기술개발을 통한 지구온난


화 대비 및 차세대 신소재시장 접근

313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핵심기술 로드맵

31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 분리막(Separation membrane)은 특정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입자 분리라는 일반


여과(Filteration) 기능뿐만 아니라 액체에 용해된 용존 물질이나 혼합기체의 분리까지도 가능
한 선택적 투과성도 가지고 있으며 막분리 기술이란 분리막의 이러한 선택적 투과성을 이용한
다양한 분리공정

 분리막(membrane)은 다 성분 혼합물로부터 선택적으로 특정성분을 분리할 수 있는 물리적


경계층(barrier)으로 정의

 분리막 제조 및 공정기술은 고순도, 고기능성 물질의 제조와 지구 환경 보호 등의 사회적 요구


에 따라서 간단한 실험실적 규모로부터 산업분야의 대규모 공정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응용

[ 분리막의 분리 모식도 ]

 분리막의 분리성능에 따라 크게 정밀여과막(MF; Microfiltration Membrane), 한외여과막(UF;


Ultrafiltration Membrane), 나노여과막(NF; Nanofiltration Membrane), 역삼투막(RO;
Reverse Osmosis Membrane)으로 분류되며 소재에 따라 고분자, 세라믹, 금속으로 나뉘며 막의
설계 및 제조기술, 환경 분리시스템 기술, 통합 제어기술, 시공 및 유지・관리기술 등으로 구성

 막 분리기술은 첨단 막 소재를 개발하는 고분자 합성 등의 소재 및 제막기술, 각각의 분리막을


조립하여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만드는 막 모듈기술, 여과분리 특성상 막 근방에서 불가피
하게 발생하는 막 오염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물리, 화학, 생물 및 유체역학 분야 그리고 대
규모 공정 시스템 설계 및 운전 등으로 구성되는 복합 응용기술

 분리막 재질은 크게 유기 고분자 화학물을 재료로 만든 유기막(Organic membrane)과 무기물


을 재료로 만든 무기막(Inorganic membrane)으로 나눌 수 있음.

▪ 유기막 재질은 PE (Polyethylene), PTFE (Polytetrafluoro ethylen), PP (Polypropylen),


CA(Celluloseacetate), PA(Polyamide), PES(Polyethersulfo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AN(Polyacrylonitrile), C-PVC(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PVA(Polyvinyl alcohol) 등으로 분류

315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 무기막 재질은 Ceramics, Metal, Glasses로 나눌 수 있으며 유기막과 비교하였을 때 내열성, 내


약품성이 좋고 기계적인 강도가 강하다는 특징이 있음

 분리막 공정은 분리막 모듈과 기타 부수적인 장치로 이루어지며, 분리막 모듈로 유입된 유입수
는 분리막을 통과하여 이루어진 처리수와 통과하지 못하고 제거된 농축수로 나눠어짐. 농축수
는 순환되어 유입수와 합쳐지기도 하는데, 이러한 물을 순환수라 명명

 최근 고분자 분리막은 전자재료, 의약제조, 음식물 포장, 보호 장비, 연료전지, 정수 및 기체,


증기분리 등과 같은 여러 과학기술 분야에서 핵심 요소로 각광받고 있음. 분리막은 농도, 압력,
전위차 등과 같은 추진력을 이용하여 통과하는 물질의 투과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
고 있어 위와 같은 분야에 적용 가능

 수처리 기술은 기존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공정보다 수질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약품사용이


배제된 환경 친화적인 막분리 공정으로 진화하고 있는 중

 수처리용 막분리 공정은 담수시설 및 재이용 시설의 확산, 처리 시설의 콤팩트화, 새로운 오염
원 제거, 슬러지 발생량 최소화, 규제의 강화 등과 같은 시장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으로 부상

▪ 분리막 기술을 활용한 수처리 산업은 분리막의 제조, 수처리 시설의 건설, 운영, 자본 등 다양한
요소의 밸류 체인으로 구성

Monolith 형태의 세라믹 막 Hollow fiber 형태의 세라믹 막

[ 다양한 형태의 분리막 ]

 온실가스 분리·회수 기술에는 분리막을 이용하는 막분리 시스템(Membrane separation


system)기술이 있으며, 분리하고자하는 가스종류에 따라 광범위한 재질로 제조되며, 그 기능에
따라 적절한 조건하에서 방벽필름의 선택도와 특수한 침투를 허용

 기체막분리 기술은 최근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리막 산업 중의 하나로서, 시장규모 및


응용범위가 나날이 팽창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에너지 사용량 및 운전비용 절감을 들 수 있
음. 특히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기체 분리막은 여러 기체 분자들의 투과속도 차에 따라 기체
혼합물로부터 특정 기체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기체분리막 공정은 석유화학 공정, 합성 가스로부터 수소의 분리 및 회수에 이용되고 있으며,

31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른 응용분야로는 EOR(EnhancedOil Recovery), 천연가스 정제, 매립지가스 회수, 공기분리


(수소와 CO2 분리, 산소 혹은 질소 제조), 탈수, 탈기, 헬륨 회수 등에 핵심기술로 적용

▪ 저탄소 녹색성장기술의 핵심인 에너지 및 환경기술의 발전을 주도하는 핵심기술로 이차전지, 수소


및 연료전지 분야, 이산화탄소 저감기술 (CDRS) 등에 분리막 기술의 중요성은 점점 증가

▪ 분리막 (Membrane) 기술은 이산화탄소 기체의 분리, 바이오매스 및 화석연료 처리과정에서 생산


되는 이산화탄소 및 수소의 분리와 같은 에너지 절약공정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초순수 제조, 청
정공기, 이온교환, 폐수처리, 올레핀 분리, 연료전지막 등 수많은 산업분야에 적용

317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나. 범위

(1) 제품분류 관점

 분리막 분야는 분리막 설계 및 제조기술, 환경 분리시스템, 통합 제어기술, 시공 및 유지・관리


기술로 구분

 분리막 소재는 그 기공 크기에 따라 크게 하·폐수처리 분야에서 사용되는 정밀여과막


(MF:Microfiltration Membrane, 기공크기: 100∼500 nm), 한외여과막(UF: Ultrafiltration
Membrane, 2∼100 nm)과 정수처리 및 해수담수화에서 사용되는 나노여과막(NF:
Nanofiltration Membrane, ∼1 nm), 역삼투막(RO: Reverse Osmosis Membrane, 1 nm
이하)으로 구분

▪ 정밀여과막 및 한외여과막은 주로 고분자 소재의 연신공정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한 상전이법을 통


하여 수 nm∼수백 nm의 기공크기를 갖는 평막 또는 중공사막의 형태로 제조

▪ 나노여과 및 역삼투막의 경우 대부분 상전이법을 통하여 제조된 한외여과막 수준의 분리막 표면에 조
밀한 화학적 구조의 활성층을 100∼200nm 두께로 계면중합 등을 통하여 도입하는 방식으로 제조

▪ 분리막 소재의 시공 및 유지 관리기술은 환경대상원의 처리 통합을 위한 구조적 시공법과 시스템


효율저하 방지를 위한 유지・관리기술을 의미하며, 시스템 통합관리 및 검증시스템 표준화 구축기
술, 측정 및 분석기술, 시스템 운영관리기술, 시스템 효율저하 방지기술,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
리기술 등

 분리막 소재 종류 및 특징

▪ PES(Polyethersulfone)

- 고온에서도 강성을 유지할 정도로 유리전이온도(Tg)가 225℃로 내열성이 높아, 정밀한 성형이 가
능하고 장시간의 고온에서도 치수변화를 일으키지 않음.

- 내충격성이 강하고 또한 저온충격성도 양호하여 긴 수명을 갖음.

- 높은 친수성을 가지며, 오일류, 그리스, 가솔린, 알코올류, 지방족탄화수소 외에도 산, 알칼리 등


내약품성이 우수

▪ PVDF(Polyvinylidene fluoride)

- 불소계 수지 중 결정성이 높기 때문에 가장 강도가 높고 기계 가공성도 좋아, 전지용 분리막, 액


체 및 기체 여과용 여재로 사용

-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에 강하여 상수, 해수담수화 전처리공정 등 수처리 분야에 많이 사용

▪ PTFE(Polytetrafluoroethylene)

- 용융점 327 ℃의 결정성 고분자이며 고온 및 저온 등의 온도 변화에 안정

- 고도의 결정성 수지로 수축률이 커 사출, 압출성형 가공이 가능

-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거의 모든 약품 및 용제에 대해 안정적이며 낮은 유전율, 손실률을 갖고 있


어 폭 넓은 주파수, 온도에 안정적이며 뛰어난 전기 특성

31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PA(Polyamide)

- 복합막(Composite Membrane)으로, 분리막의 분리기능을 담당하는 활성층(비대칭막의 조밀층)


과 지지층(다공층)이 기본적으로 다른 재질로 구성

- 복합막은 분리막의 표면적을 최대한 넓게 만들어 분리막 투과수량을 증가시키고 기존의


CA(Cellulose Acetate)에 비해 염 제거율이 월등히 높으며, 단위 막 면적당 투과 유량이 적고
주로 나권형 형태로 사용되며, chemical과 biological agent에 대한 저항력을 지님

▪ CA(Cellulose acetate)

- Cellulose Acetate 재질은 매우 낮은 단백질 결합력을 보이며, 친수성으로 수용성과 알콜 등의


사용에 적합

- 특히 저분자량 알코올에 내성이 우수하고, 내열성도 강하다. 우수한 강도로 최대 180℃또한 용매 내


성이 향상되어 특히 저분자량 알코올에 내성이 우수하고, 내열성도 강하지만, 생물학적 열화에 약함

▪ PAN(Polyacrylonitrile)

- 물과의 강한 친화력을 가지고 물에 용해하며 친수성을 자랑하지만, 친수성에 비해 쉽게 끊어질


정도로 강도가 약한 단점을 지님

▪ PP(Polypropylene)

- Polypropylene은 밀도는 0.09로 인장강도와 내열성 등이 뛰어난 폴리머이며, 성질은 폴리에틸렌


과 유사. 스트레스크래킹에 잘 견디고 투명성도 비교적 우수

- 내열성을 가지며 내약품성이 뛰어나지만 소수성의 특징을 지님

▪ PE(Polyethylene)

- 고온에서도 강성을 유지할 정도로 내열성이 높아, 오일류, 그리스, 가솔린, 알코올류, 지방족탄화
수소 외에도 산, 알칼리 등 내약품성이 우수. 그러나 소수성이며, 내화학성에 약한 단점

▪ PS(Polysulfone)

- Polysulfone은 열과 산화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갖고 있어서 고온에 강하고,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사


용. 이를 이용한 Polysulfone막은 높은 온도 한계와 pH의 포용력이 넓고, 염소에 대한 저항이 강함

- 형태 변형이 쉽고, UF막과 MF막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공경을 제조할 수 있고, 지방족 탄
화수소와 산 등에 강하다는 장점.

- polysulfone은 한계 압력이 낮고, 소수성이기 때문에 Cellulose막 등의 친수성인 분리막보다 오


염이 일어나기 쉬움

▪ PVA(Polyvinylalcohol)

- 친수성 고분자막으로서 바닷물의 담수화, 투과증발분리, 생의학 물질분리 등의 여러 응용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 PVA 분리막은 물을 선택적으로 투과, 분리하는 특징이 있으므로, 에탄올 수용액을 농축하여 무수
에탄올을 제조하는 것과 같은 유기물 수용액으로부터 순수한 유기물을 분리하는 투과증발 분리공
정에 매우 효과적임

319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 Ceramic

- 기계적 강도, 화학적 안정성이 높고, 열화가 없으며, 입경이 일정한 입자를 소결하여 분리막을 제
조하므로 공칭분포가 균일한 장점이 있으나 전단력에 약하여 취성파괴가 일어나기 쉬움

- 친수성 재질이며, 셀 내경이 크고 내압식 임에도 탁질 제어능이 우수하여 유기막에 비하여 회수


율(98% 이상) 및 투과플럭스(2~3배 이상)가 높고 분리막 수명이 15~20년으로 길음

- 세라믹 재질을 다시 분류하면 SiC (Silicon Carbide), Al2O3-SiO2(Alumino-silicate), γ-Al2O3(γ


-Alumina), TiO2 등이 있음

[ 분리막 소재별 특성 ]

고분자 장점 단점 응용분야

PVDF 내약품성, 강도 소수성, 내화학성 MF, UF

PTFE 내화학성, 강도, 내열성 소수성 MF, UF

PES 내열성, 친수성, 내약품성 내화학성 MF, UF

PA 내열성, 안정성 염소저항성 MF, UF, RO

CA 친수성 내화학성, 미생물에 취약 MF, UF, RO

PAN 친수성 강도 MF, UF

PP 강도, 내열성 소수성, 내화학성 MF

PE 내열성, 내약품성 소수성, 내화학성 MF

PS 내열성, 염소저항성 한계압력 낮음, 소수성 MF, UF

PP 가공성, 내열성, 내약품성 소수성 MF, UF

PVA 친수성 - NF

Ceramic 기계적강도 우수, 내화학성 내열성 전단력 MF, UF

32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공급망 관점

 분리막 소재는 공정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크게 MF, UF, NF 및 RO로 구분할 수 있음

▪ MF 분리막 공정: MF(Micro-filtration, 정밀 여과)는 통상의 모래 여과로 제거할 수 없는 미세한


현탁물질, 즉 0.01~10m 정도의 입자를 포착하여 분리할 수 있음. 운전 여과 압력은 통상
1~3kgf/cm 정도의 펌프 압력으로 원수를 공급하여 수중의 현탁물질을 분리. 일반적으로 정밀 여
과의 경우 대체적으로 대칭 구조. 대칭막은 분리막 앞뒤가 구분이 없으며, 분리막 단면 내에서 여
과 방향으로 세공구조가 균일한 것이 특징

▪ UF 분리막 공정: UF(Ultra-filtration, 한외 여과)는 공업용으로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되어 왔


으며, 약 5,000~300,000Da 정도의 분자량을 가지는 세균, 콜로이드, 에멀션, 단백질이나 고분자 성
분 등이 처리 가능하고, 이를 입자경으로 환산하여 10~500Å 영역. 한외 여과법에 서는 분자영역의
크기나 분자량을 여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고분자막을 사용하여 분자를 분리하여 분획. 따라서 사
용하는 분리막이 90% 저지할 수 있는 분자의 가장 작은 크기(분자량)를 그 분리막의 분획분자량
(molecular weight cut off). UF를 이용한 막여과 공정의 조작압력은 1~5 kgf/cm2 정도로 운전되
며, 펌프 압력으로 원수를 공급하여 수중의 현탁 물질을 분리. 한외여과의 경우 일반적으로 비대칭
막으로서 여과 방향에 이방성인 분리막 구조. 다공질인 분리막 지지층(약 100 m 정도의 두께)의 표
면에 분리 기능을 결정하는 상당히 얇은 활성층(두께 1㎛ 미만)을 가진 것이 특징

▪ NF 분리막 공정: NF(Nano-filtration, 나노 여과)는 한외 여과 막과 역삼투 막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


로서 일명 저압 RO(low pressure type reverse osmosis, LPRO)막 혹은 Loose RO막이라고도 불림.
이것은 수백에서 수천의 분자량 물질을 저지하는 것이 주목적으로 개발되어 저 염제거율을 가지고 있
음. 종래의 해수 담수화에 사용되는 역삼투 막의 경우 56 kgf/cm2 정도의 고 운전 압력에 비해, NF
의 분리 조작압력은 10~20 kgf/cm2 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으로 운전할 수 있는 특징

▪ RO 분리막 공정: RO(Reverse osmosis, 역삼투막)는 전해질물질이 통과되는 동안 염(Salt)이 배제


되도록 하는 막으로서 일반적으로 95~99%의 염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NF보다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염 제거 능력과 이온성 물질 제거 능력을 가지고 있음. RO 공정의 경우 삼투압 이상의
압력으로 운전함으로써 염을 제거하는 공정이며, 여기서 삼투압 현상이란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저 농도의 용매가 고농도의 용매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분리막 양측 용매의 화학 포텐셜이 같아지
게 되면 용매의 이동은 정지. 또한 수두차 만큼의 삼투압차가 발생하는데, 이때 고농도 용액 측에
삼투압차 이상의 압력을 가하게 되면 삼투현상과는 반대로 고농도 용액 측의 용매가 저 농도의 용
매 측으로 역류하며 이를 역삼투 현상. 해수 담수화용 RO 막에서는 압력을 서서히 증가시키면,
42 kgf/cm2 부근에서 투과수가 분리되기 시작하며, 56 kgf/cm2 이상에서 정상운전. RO 막은
염의 투과를 저지하는 얇고 치밀한 활성층이 표면에 있으며, 이것을 다공질의 지지층으로 지지하
고 있음. RO막의 재질로는 Cellulose acetate나 Aromatic polyamide를 주로 사용하며, 최근에
는 염분용액을 99%까지 제거 시킬 수 있는 복합막이 개발. 이 복합막은 지지층 위에 염 제거 효
과가 큰 고분자 박막을 형성시킨 것으로 지지막은 기계적강도가 크고 내화학 약품성이 큰
PS(Polysulfone)이 주로 사용되며, 분리층은 Cellulose-triacetate 등이 주로 사용

321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 고분자 분리막 공정의 막분리 특성 ]

Membrane Material Pore size, MWCO Pressure(100kPa)

Organic Polymers,
MF 0.01~10㎛ > 2
ceramic

MWCO
UF Organic Polymers 2 ~ 5
1,000~300,000

MWCO
NF Organic Polymers 5 ~ 40
350~1,000

40 ~ 100
MWCO
RO Organic Polymers (50~75 :desalination of sea water)*
~350
(4~40 : desalination of brackish water)*

 분리막 소재는 구성 소재와 공정에 따라 환경 대상 개별설계 및 제조, 시공 및 유지・관리 및


통합제어 프로세스로 시장에 공급되며, 원소재, 분리막 및 모듈, 온실가스 분리 소재, 수처리
분리막 소재에 따라 주요 제품을 분류할 수 있음

[공급망 단계별 주요제품 분류]

중분야 세부제품

- 폴리술폰계, 불소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아미드계, 셀룰로오스계 원소재


원소재 - 극한 환경용 세라믹 멤브레인 소재
- 다기능 하이브리드 멤브레인 소재

- 폴리아미드계 나노여과 및 역삼투막


- 셀룰로오스계 역삼투막
- PVDF계, PTFE계, 폴리술폰계, 폴리올레핀계 정밀여과막
분리막 및 모듈
- PVDF계, PAN계, 폴리술폰계, 셀룰로오스계 한외여과막
- 고압용 분리막 모듈 (나노여과막, 역삼투막)
- 저압용 분리막 모듈 (한외여과막, 정밀여과막)

온실가스 분리
- CO2 및 Non-CO2 등 온실가스별 분리막(멤브레인)의 제조
소재

수처리 분리막 - 하·폐수 처리용 정밀 여과막, 한외여과막 제조


소재 - 정수처리 및 해수담수화용 나노여과막, 역삼투막 제조

32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산업환경분석

가.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징

 지구 온난화 등으로 비롯된 환경재앙과 고유가로부터 시작된 에너지 위기는 분리막 공정을 산
업의 화두로 이끌고 있음. 환경 친화적이며 저에너지. 소모공정으로써의 분리막 기술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고투과성을 비롯한 고성능 고분자 소재의 개발은 필연적인 시대의 요구이며,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응용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모듈화, 시스템화 기술 또한 필수적으로 요구

▪ 미세기공성을 이용한 고투과성, 내열성 고분자 소재의 개발과 박막의 비대칭형 분리막 제조를 통
한 고유량 확보기술 등을 포함하는 대면적화 기술 등 확보가 중요

 선진국형 시장 진입을 위해서는 저가의 분리막 시장 쟁탈전을 피하고, 보다 성능이 우수한 분


리막을 개발. 이러한 우수한 분리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분리막 소재의 적극적인 탐색 및 신
소재 개발, 제조 공정 및 신공법 개발, 분리막 기공 구조 제어와 성능 제어에 대한 연구, 막오
염 및 농도 분극 제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분리막 시스템에 대한 최적화 연구
가 필요

 EU의 환경규제 강화로 환경규제 위반에 따른 제재조치는 국가 경제활동을 제약하는 무역 제재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는 선진국의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활용

 국내는 2011년 7월 국무회의에서 2020 저탄소 녹색사회 구현을 위한 로드맵을 확정하고


2020년까지 전 산업분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량을 30% 감축할 계획

▪ 온실가스 배출규모 세계 8위, 1인당 배출량 세계 1위(9.3 t CO2) (EIA, 2011)

 국내의 반도체 산업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한 초순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막분리 공정의 중요
성이 제기되고 있음. 고집적도 LSI제조 공정에서 초순수를 사용하는 세정공정이 약 30%를 차
지하며, 6인치 웨이퍼 1매당 약 1.2톤의 초순수가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초순수 제조
시스템은 전처리장치, 1차 순수장치 및 부속 시스템(Sub-system)으로 구성

▪ 1차 순수장치는 이온교환장치와 역삼투막 등으로 구성되어 무기이온성분 및 전처리로 제거하지 못


한 잔존 유기물 등을 처리. 부속 시스템은 미량의 잔존 이온성분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수지용 카트
리지 마광기(polisher)와 자외선 살균기, 한외여과막 등으로 구성

 의약품의 제조 분야에 있어서 비경구용 의약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지금까지 Pyrogen의 제거


는 매우 곤란한 문제로 남아 있었으나, 막분리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물속의 Pyrogen은 물론,
주사제 원료물질의 Pyrogen 제거까지도 가능

 한외여과막이나 역삼투막을 이용하여 Pyrogen을 제거하는 기술은 이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충분한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으며, 분리막 시스템의 설계와 운전기술 역시 크게 발전하여 상용화

▪ Pyrogen은 일반적으로 세균의 세포벽이 분해되어 발생하며 Pyrogen의 원인물질은 주로 분자량 수만~수

323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십만의 LPS(Lopopoly Saccharide)임. Pyrogen의 형상은 길이 약 0.1 μm의 직쇄상으로 되어 있음

 막분리 공정을 이용한 폐수처리 및 재활용 연구는 분리막의 개발과정에서 부터 계속됨. 특히


일본에서는 지난 20년간 분리막을 이용한 폐수처리 및 재활용에 관한 연구가 국가 중요정책과
제인 Aqua renaissance 90 과제와 MAC 21, New MAc 21 과제로 광범위하게 진행

 분리막은 폐수를 적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선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나 막의 성능을 저하시키


는 막오염(Membrane fouling)이 막분리 공정의 보급을 늦추고 있는 실정. 막오염 현상은 폐
수에 함유된 부유물질이나 분리막 표면에 쉽게 흡착되는 성질을 가진 물질들이 막 표면과 기공
(pore)에 축적되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여 투과율을 감소시킴

 수자원의 고갈로 인해 수돗물을 절약하고 재활용하는 차원에서 중수도법이 도입되면서, 분리막


을 이용한 하수 및 오수처리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음. 중수도 공급방식은 이용범위와 처리방
법에 따라 개별순환방식, 지역순환방식 또는 광역순환방식으로 구분

 국내에도 일본 미쯔비시 레이온사 및 캐나나 Zenon사의 중공사형 분리막을 수입하여, 대한통


운 및 (주)태영 등 국내 업체들이 최근 경쟁적으로 하수처리용 분리막 공정을 설치하여 운전하
고 있음. 주로 리조트와 같은 중소형 하수처리장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

 코레드, 케미코아, 필로스 등 많은 국내 분리막 제조 업체들도 이러한 중소형 하수처리장 뿐만


아니라, 하수종말처리장의 고도처리를 겨냥하여 외국산 분리막에 필적한 만한 국산 분리막을
개발하여 놓은 상태

 리튬이차전지 소재별 재료비 비중에서 분리막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14%에 해당되며, 소
재별 시장에서도 분리막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리튬이차전지의 해외 업체의 경우 습식, 건식, 세라믹 코팅 분리막으로 분류되며, 제조업체로는


AsahiKasei, Tonen, Entek, Ube, Sumitomo, Toyobo, Degussa 등이 있음

32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산업의 구조

 분리막 소재산업은 전방 및 후방 모두에 산업파급효과가 큰 수준이며, 국내 분리막 기술은 아


직 초기 시장진입 단계로,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분리막 산업분야에서 점차 상용화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형태

 전방산업은 식품/의약 산업, 금속산업, 반도체산업, 수처리 산업, 각종 공해유발 산업, 자동차산
업, 전자산업, 섬유산업 등 환경산업 및 분리기술 분야 등이 존재

 수처리 소재인 분리막 분야의 국내 대표업체는 도레이케미칼(구. 웅진케미칼), 두산중공업, 코


오롱,제일모직, 효성, 삼성엔지니어링, SK케미칼 등이 있으며, 이 중 도레이케미칼의 경우 해수
담수화에 사용되는 RO막 분야에서 한국 시장의 60% 가량을 점유

 온실가스 분리용 소재의 경우 분리, CO2 분야의 국내 대표업체는 한국전력 공사를 포함한 발
전사, 삼성중공업, SK이노베이션, 호남석유 등이 있으며, Non-CO2 분리 분야에는 삼성전자,
LG필립스 LCD 등 불화가스 다소비 대기업들이 참여

 정수, 오폐수 등 수처리 분야, 천연가스 정제, 바이오매스 정제 등 기체분리 등 환경용 분리기
술 및 환경시스템 제어기술 등 환경배출 산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후방산업은 필터, 분리막 모듈, 여과장치, 흡착장치, 기체 분리막, 각종 측정 및 평가 장치, 초


다공성 수처리 기술 등의 분리소재 분야와 환경분야로 구성

[ 분리막 소재의 연관 산업 구조 ]

후방산업 분리막 소재 전방산업

필터, 세라믹, 탄소나노튜브, 금속, 수처리(정수, 오폐수, 해수담수화)


고분자, 필름, 첨가제, 원사, 직물, 기체분리(CO2, Diesel Particle Filter,
식품/의약 산업, 금속산업,
기능성 소재, 가공기술, 수소, 질소, 산소, 대기환경, VOC) 그
반도체산업
섬유처리기술, 분리막 모듈, 외(식품/의약 공정, 천연가스 정제,
수처리 산업, 각종 공해유발 산업
여과장치, 바이오매스 정제, 농축 및 분리) 환경용
자동차산업, 전자산업, 섬유산업
흡착장치, 기체 분리막, 각종 측정 및 분리시스템 기술 환경시스템 통합관리
평가 장치, 초다공성 수처리 기술 등 및 제어 기술

325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나. 경쟁환경

 국내외적으로 분리막 분야는 수처리와 기체 분리를 중심으로 정부정책과 시장규모가 형성되어


있음. 대기업에서는 정수와 상수 등의 수 처리, 해수 담수화, 지구온난화 물질인 CO2 등의 기
체분리,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 기술 및 의료용 진농축/정제 등 거대 공정 시스템 융복합이 유
리한 환경 시스템 분야의 기술개발 및 제품화가 활발히 진행

 수처리 소재인 분리막 분야의 국내 대표업체는 도레이케미칼(구. 웅진케미칼), 두산중공업, 코


오롱, 제일모직, 효성, 삼성엔지니어링, SK케미칼 등이 있으며, 이 중 도레이케미칼의 경우 해
수담수화에 사용되는 RO막 분야에서 한국시장의 60% 가량을 점유

 일본의 3대 업체(아사히 카세이, 폴리포어, 토레이 토넨)로 전체의 70%를 공급하고 있으나,
향후 시장점유율은 64%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

* 자료 : 리튬이차전지 산업동향 (2013)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 연구소

[ 국내외 리튬이차전지 시장 점유율 ]

 미국의 기체분리막 전문업체인 Air Product사는 분리막 모듈을 비롯하여 분리막 시스템 사업
분야를 영위하고 있으며, 산소/질소/수소/이산화탄소 분리, 제습 등 기체 분리막 기술 전반을
아우르고 있어 독보적으로 시장을 점유

▪ 주로 사용하는 소재는 셀룰로오스, 폴리술폰, 폴리이미드로서, 천연가스 중의 수분의 제거, 항공기


용 질소부화장치, LNG선용 질소부화장치 등에 적용

 수질정화용 분리막 분야 시장은 유럽 기업들의 활동이 두드러진 UF 멤브레인 분야를 제외하고


는 미국과 일본의 기업에서 거의 독점한 상황

▪ Dow Chemical, GE Water & Process Technologies, Koch Membrane Systems, GE Water &
Process Technologies, Nitto Denko/Hydranautics, Toray, Toyobo는 식수와 산업용수 분야, Pall
사는 RO module 제조, Eltron Water, Stonybrook Purification, Nano H2O 사 등은 더 낮은 생
산 비용과 Flux를 향상시키기 위한 RO process 개발로 새로운 RO product의 상업화에 집중

32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주로 해수의 담수화 플랜트에 사용되고, 반도체 제조용 등 초순수 제조 및 하·폐수 재활용에 사용


되고 있는 RO막은 세계 최대 분리막 생산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는 Dow Chemical사가 이 분야
에서도 1위를 차지. 그 뒤를 이어 일본의 Nitto Denko사와 미국의 수처리회사인 Hydranautics사
가 RO 분리막 세계 시장을 장악

[ 주요 경쟁업체 종합 ]

공급망 단계 분리막 소재

원료가 되는 분리막 원소재 분리막 소재를 활용한 분리막 소재의 강점을


주요 내용
개발 가공소재 응용한 환경시스템

필터, 카트리지, 흡착제,


환경 시스템 통합 유지관리
고분자, 유/무기소재, 세라믹, filtration membrane,
주요 제품/기술 및
금속, 탄소 나노 튜브 등 Osmosis membrane,
제어 기술
분리막모듈
GE, Nittodenko, Kubota,
BASF, Fujitsu, GE(Zenon), Siemens, Dow, Asahi kasei, Suez,
Nittodenko/hydranautics, Kubota, Asahi kasei, NEC, IDE, Acciona, NEC,
Mitsubishi, Toray, Dow chemical, Koch membrane Siemens,
systems, Aquasource, Dow Film Tec., Multiplex, Noritake, Mitsubishi, Toray, Kobe
NGK, Nikkato, Fefesa, Sulzer Chemtech, Pervatech BV사, Steel, Ltd., DIVEX,
해외 기업 GEA, Pall Corp., Japan Fine Ceramics Center, Ube Nippon
Industries Ltd., Air Products and Chemicals, Air Liquide Sanso Corporation, Japan
Group, Oxair Australia Pty Ltd., Kaken Kogyo, DIVEX, Unix, Fefesa, MG
Membrane Technology and Research Inc., Membrasep, Industries,
Nippon Sanso Corporation, Japan Unix, MG Filtration, Veolia
Econity, CNano Technology, Arkema, Nanocyl, C-nano, Environment, Hyflux,
Ferrovial
코오롱, 효성, 태영, SK,
제일모직, 효성, 도레이첨단소재(웅진케미칼), 시노펙스,
대기업 대림, 현대중공업, 휴비스,
코오롱인더스트리, 두산중공업, SK에너지, SK가스, SK케미칼
대성산업

세라컴, 한국분리막, 새한CSM, 에이치투엘, 퓨어엠비텍, 엠비티, 워터스, 한승테크노, 필로스,


국내 엠제이메카닉스, 크로시스, 지엔씨멤텍, 대림환경, 로디스, 이엔이, 로익스, 대부엔비텍, 유진공업,
기업 중소기
에어레인, 멤테크, 케이엠에스, 엔케이, 이지, 워터텍, 두합크린텍, 영진, 부강테크, 코레드,
대승플랜트, 에버텍, 명진, 금강플랜트, 한국워터테크, 한국이앤씨, 하나로, 창우, 태경, 유앤씨,
업 JK이앤씨, 그린켐텍, 원일, 대성, 원일엔지니어링, CNT korea, 카본나노텍, 로익스, 신한사이언텍,
그린테크놀로지, 현대마이크로, 에프원테크, 파라, 에스아이멤브레인, 남경테크, 신일, 우진,
미드니, 유니온산업, 로얄정공, 나노플러스, 이수환경엔지니어링, 은진산업, 삼양정수공업

327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다. 전후방산업 환경

 전방산업별 분리막의 세계시장은 수처리비중이 가장 높고, 의료/의약, 전자, 화학 분야에서 높


은 비중을 차지

[ 분리막의 용도별 점유율 ]

 분리막 적용 분야에서 수처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21%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의료.


건강 16%, 전자 11%로 순이며, 이는 세계적으로 물 부족이 해결해야할 과제로 떠오르면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임

 최근 수처리용 분리막 제조기술을 이차전지용 분리막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수소연료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상용화가 본격화됨에 따라 전기자동차 분야에서 수처리용 분리막의 수요
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됨

 차세대 분리막 기술의 핵심인 이차전지 시장이 노트북,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용 소형전지
중심의 이차전지에서 전기 자동차(HVE/EV), 전기 자전거 등의 새로운 중대형 전지로 확대됨에
따라 중대출력용 동원력으로 사용되던 납 및 니켈계 이차전지를 용량과 충방전 측성이 우수한
리튬이차전지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 분리막의 전후방산업은 원재료 공급업체, 멤브레인 업체, 멤브레인 활용 산업(환경분야, 에너지


분야, 의료 분야)를 포함

[ 분리막 소재의 Supply Chain ]

 나노 분리막은 하이브리드로된 분리막으로 표면에 다양한 소재로 제조 가능하며 에너지(이산화탄


소 연료화 및 공기정화장치), 환경(대기수처리용)의료기기(혈액 및 신장 투석 장치)에 적용 가능

32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3. 시장환경분석

가. 세계시장

 전 세계 분리막 시장은 매년 20억 달러 이상으로 추산되며, 전체 분리막 시스템의 40% 정도


만 분리막 모듈 비용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분리막 관련 산업은 50억 달러 이상으로 예측. 매
년 분리막 시장의 성장속도는 12~15%에 달하며, 기체 분리막은 향후 10여 년간 더 높은 성
장세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예측

 세계 분리막 기반 수처리 시장은 2012년 55.4억 달러에서 2020년 120.7억 달러 규모로 성


장할 것으로 예상(CAGR 10.2%). 주요 성장 요인으로는 음용수에 대한 수요 증대, 하수의 재
이용율 및 분리막 기반의 담수화 시설의 증가, 환경 기준의 강화 등을 들 수 있음. 특히, 향후
급속한 산업화, 인구의 증가, 첨단 기술에 대한 요구에 기반하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시장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국내외적으로 에너지 저감 및 환경 개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미래의 에너지의 고갈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환경 관련 산업에서 분리막 시스템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

[ 세계 분리막 모듈 시장의 국가별 점유율(2014년) ]

 분리막이 채용되는 IT용 소형기기용 분리막 시장은 2009~2011년 까지 연평균 17.7% 성장


했고, 2016년까지는 11.2%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건식방식의 분리막이 채용되는 전기자
동차용 분리막 시장은 전기자동차를 중심으로 매년 15.3%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

 2016년 전기자동차 시장의 88.4%가 HEV가 될 것으로 전망한 것을 기준한 것으로 PHEV나
BEV 비중이 더 커진다면 건식방식의 분리막 수요도 동반하여 보다 증가될 것으로 전망

 미국 및 유럽 등 선진국의 물환경 시장은 2018년까지 2% 미만의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


이지만,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연 5% 이상의 고성장을 지속하여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예상

 분리막용 세라믹 지지체는 미국 Pall Corp.사, 일본 Noritake Co.사와 NGK Insulators 사 등

329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이 개발하여 시판하고 있으며, 지지체 위에 분리층을 형성시킨 분리막 unit 제작 업체로는 일


본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 스위스 Sulzer Chemtech, Pervatech BV사, 미
국 GEA Filtration사 등이 있음((J. Kor. Powd. Met. Inst., 2014)

 세계 나노 분리막 수처리 시장규모는 2013년 113억 1,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8.41%
로 증가하여 2025년에는 418억 3,000만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자료: 한국수출입은행, 국내 물산업 해외진출 전략, 2014[세계 나노멤브레인 수처리 시장 규모]

[ 세계 나노 분리막 수처리 시장 규모 ]

 수처리 분리막의 세계 시장규모는 2012년 10.5억 달러에서 2017년 23.2억 달러로 연 17%
이상의 고성장을 지속할 전망

▪ 2014년 생활용수용 RO/NF의 시장규모는 7억 9,110만 달러로, 2014년 세계 분리막 시장 16억


2,300만 달러의 48.7%를 차지

▪ 분리막 시장 자체는 매우 작은 편이나,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시장은 이보다 규모가 크며 빠르


게 성장 중

 MF/UF막은 GE, Simens, Asahi Kasei, NF막은 Dow FilmTec, Nitto Denko, Toray, RO막
기반 해수담수화 시설 분야에서는 Suez, IDE, Acciona가 주요 선도 기업이라 할 수 있으며
RO막의 경우 분리막 자체만을 봤을 때는 Dow Chemical, Nitto Denko, Toray사가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선도기업이며 웅진케미칼, Koch Membrane, Systems, Toyobo사가 약 5%
내외의 점유율을 차지

 수질정화용 분리막 분야 시장은 유럽 기업들의 활동이 두드러진 UF 멤브레인 분야를 제외하고


는 미국과 일본의 기업에서 거의 독점한 상황

▪ Dow Chemical, GE Water & Process Technologies, Koch Membrane Systems, GE Water &
Process Technologies, Nitto Denko/Hydranautics, Toray, Toyobo는 식수와 산업용수 분야, Pall
사는 RO module 제조, Eltron Water, Stonybrook Purification, Nano H2O 사 등은 더 낮은 생
산 비용과 Flux를 향상시키기 위한 RO process 개발로 새로운 RO product의 상업화에 집중

▪ 주로 해수의 담수화 플랜트에 사용되고, 반도체 제조용 등 초순수 제조 및 하·폐수 재활용에 사용

33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되고 있는 RO membrane은 세계 최대 Membrane 생산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는 Dow


Chemical사가 이 분야에서도 1위를 차지. 그 뒤를 이어 일본의 Nitto Denko사와 미국의 수처리
회사인 Hydranautics사가 RO membrane 세계 시장을 장악

 수처리 분리막의 일본 시장규모는 2012년 58백만 달러에서 2017년 128백만 달러로 연


15% 이상의 고성장을 지속할 전망

 Dow Chemical사는 시장 확대를 위해 미국 내 RO와 NF 멤브레인의 생산능력을 25% 이상


늘린바 있으며, R&H사의 물 관련 사업을 집약해 Dow Water& Process Solution을 설립하여
이온교환수지 및 수처리막을 통해 종합솔루션을 제공

[ 수처리 분리막 소재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백만 달러)
성장률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

MF/UF-생활용수 181.6 204.4 195.3 221.1 250.3 283.3 13.2

MF/UF-공업용수 121.0 142.2 160.4 191.2 227.9 271.7 19.2

RO/NF-생활용수 1051.3 1231.4 1114.5 1348.5 1631.7 1974.4 21

세계
RO/NF-공업용수 360.3 406.6 476.6 540.5 612.9 695.0 13.4
시장

MF/UF-재활용수 24.2 27.7 28.5 32.9 38.0 43.9 15.5

RO/NF-재활용수 310.6 360.4 350.0 413.7 489.0 578.0 18.2

기체분리 분리막 445 565 644 785.7 958.6 1169.5 22.0

* 자료: Global Water Intelligence, “Global Water Market 2014”, 2013. “수처리 분리막의 시장 전망”

331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나. 국내시장

 기존 분리막소재의 제조공법 개선을 통한 성능 강화와 새로운 원천소재를 활용한 경제성 있는


제조기술 확보 등을 통해 조기에 해결한다면 국내에서도 세계적인 분리막 제조사와 대등한 분
리막 메이커 출현 가능

 국내 분리막 모듈시장의 주된 분야는 고도의 첨단기술을 필요로 하는 공정인 물과 혈액 관련


분야. 첨단 산업 신소재로서 다양한 산업분야에 파급효과가 큰 분리막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하
여 상대적으로 낙후. 2021년까지 정수처리용 정밀여과막 모듈 개발 및 정수공정 개발을 목표
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침지형 정수용 분리막을 개발하고 있는 (주)코오롱과
가압식 정수용 분리막을 개발하는 에치투엘(주)는 이미 상당한 수준의 분리막 제조기술과 모듈
화 기술을 확보

 국내시장은 인접국인 중국과 일본에 비해 매우 작은 시장규모를 나타내고 있으며, 일본에 매우


의존적인 시장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

 수처리 분리막의 국내 시장규모는 2012년 375억 원에서 2017년 830억 원으로 연 15% 이
상의 고성장을 지속할 전망

 온실가스 분리용 소재의 경우, CO2 분리분야의 국내 대표업체는 한국전력공사를 포함한 발전


사, 삼성중공업, SK이노베이션, 호남석유 등이 있으며, Non-CO2 분리 분야에는 삼성전자, LG
필립스 LCD 등 불화가스를 대량 소비하는 대기업들이 참여

▪ 폐 불화가스 분해처리 공정기술 개발 분야에서는 이미 선진국 수준에 근접해 있으나, 불화가스의


분리 혹은 농축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뒤처진 상태

 리튬 이차전지의 소재인 분리막 제조 국내기업의 경우 습식, 건식 및 코팅 분리막으로 분류되


며, 제조업체로는 SK에너지, W-scope, LG화학, CStech 등이 있음

 정책 및 사회적 여건으로 인해 환경시스템 통합기술 분야의 시장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기업들의 매출이 전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제품화 및 판매망을 선점한 기업에 유리한
시장 형성이 예상

▪ 환경시스템 통합기술 시장에서의 기업의 과점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2016년 이후 환경 산업이


성숙기에 접어드는 시점에는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기업으로의 이익 쏠림현상이 가속화
될 전망

 국내외적으로 분리막 분야는 수처리와 기체 분리를 중심으로 정부정책과 시장규모가 형성됨

▪ 국내의 경우 대기업에서는 정수와 상수 등의 수 처리, 해수 담수화, CO2 등의 기체분리, 농축/정제


등 거대 공정 시스템 융복합이 유리한 환경 시스템 분야의 기술 개발 및 제품화가 활발히 진행

 수처리 소재인 분리막 분야의 국내 대표업체는 도레이케미칼(구. 웅진케미칼), 두산중공업, 코


오롱, 제일모직, 효성, 삼성엔지니어링, SK케미칼 등이 있으며, 이 중 도레이케미칼의 경우 해
수담수화에 사용되는 RO막 분야에서 한국 시장의 60% 가량을 점유

33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하⋅폐수 재이용을 정책적으로 선도하기 위해 2010년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


률」이 제정되었고 ‘물 재이용 기본계획(2011∼2020)’이 수립되어 본격적인 하⋅폐수 재이용을
추진함에 따라 국내 MBR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
▪ Global Industry Analysis (GIA)와 BBC Research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현재 세계 MBR 시장은
4.45억 달러 수준이며, 2017년에 는 8.88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수준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

▪ 현재 MBR 시장은 유럽과 북미지역 주도하던 시장 구조에서 탈피하여 중동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하수재이용과 엄격한 수질규제에 따라 급성장. 또한 MBR 공정을 포함한 MF/UF/NF/RO 분리막의 시
장규모는 2014년 58억 달러에서 2017년까지 8% 이상의 연평균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

[ 수처리 분리막 소재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백만 달러)
성장률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

MF/UF-생활용수 64.8 73.0 79.7 90.2 102.1 115.6 13.2

MF/UF-공업용수 43.2 50.8 57.3 68.3 81.5 97.2 19.3

RO/NF-생활용수 375.3 439.5 497.9 602.5 729.0 882.1 21

국내
RO/NF-공업용수 128.6 145.2 170.1 192.9 218.7 248.0 13.4
시장

MF/UF-재활용수 8.6 9.9 10.2 11.8 13.6 15.7 15.5

RO/NF-재활용수 110.9 128.7 135.0 159.7 188.9 223.5 18.3

기체분리
500 620 750 930 1153.2 1583.2 24.0
분리막
* 자료: Global Water Intelligence, “Global Water Market 2014”, 2013. “수처리 분리막의 시장 전망”

333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다. 무역현황

 분리막 소재 기술의 공정기술로 품목 단위의 무역현황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어 수출품목 중


액체나 기체용의 여과 또는 청정기 등 품목의 무역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수출량과 수입량의 꾸
준히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분리막 소재 기술의 수출현황은 ‘11년 32억 2,358만 달러에서 ’15년 39억 7,505만 달러 수준으
로 증가하였으며, 수입현황은 ‘11년 31억 3,654만 달러에서 ’15년 35억 836만 달러 수준으로
소폭 증가

▪ 최근 5년(‘11~’15년)간 연평균 성장률을 살펴보면 수출금액은 5.4%로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은


2.8%로 증가

 무역특화지수는 ‘11년(0.01)부터 ’15년(0.06)까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출량과


수입량의 급격한 변화없이 꾸준히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분리막 소재 관련 무역현황 ]
(단위 : 천$)
CAGR
구분 ‘11 ‘12 ‘13 ‘14 ‘15
('11~'15)

수출금액 3,223,585 3,213,297 3,813,839 3,935,886 3,975,059 5.4%

수입금액 3,136,549 3,200,603 3,668,379 3,733,437 3,508,367 2.8%

무역수지 87,036 12,694 145,460 202,449 466,692

무역특화지수* 0.01 0.00 0.02 0.03 0.06

* 무역특화지수 = (상품의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으로 산출되며, 지수가 0인 경우 비교우위는 중간정도이며, 1


이면 완전 수출특화상태를 말함. 지수가 -1이면 완전 수입특화 상태로 수출물량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입만 한다는 뜻
* 자료 :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HS-Code(6자리 기준) 활용

33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4. 기술환경분석

가. 기술개발 트렌드

◳ 신규한 분리막 소재 개발에 대한 필요성 증대

 세계 각국의 분리막 기술과 분리막 공정기술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고 각종 처리 분야의 시장이


점점 증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급증하는 환경개선에 대한 수요로 인하여 높은 투과도 및
제거율을 갖는 고성능의 분리막 소재의 개발이 시급. 뿐만 아니라 분리막 여과공정에서 발생되
는 막 오염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며 화학적 세정에 강한 분리막 소재가 요구

 최근에 세계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나노 분리막 기술의 장점은 에너지와 환경, 생의학 분야에서
의 소자 특성에 맞는 금속 및 합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나노 분리막 소재를 제조하여
에너지와 환경, 생의학 분야의 소자에 적용하여 신 기능성 소자 및 고기능성 나노소자와 담체
를 개발하고, 기존 기술보다 반응성, 촉매성, 선택성, 기능성, 집적화, 전달성, 생체 안정성, 경
량화, 소형화 등의 측면에서 더 우수한 성능을 갖거나,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고자 하는 기술

 기존 상업화된 분리막 기술은 재료적 한계 및 공정 최적화 기술의 포화상태에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분리막 기술과 나노 기술의 접목으로 매우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형태의 분리막의 제조 가능

▪ 수처리 분리막 소재 분야에서는 최근 나노물질(예, 탄소나노튜브, 알루미나 섬유)을 이용하여 막의


구조를 조절하는 연구를 시도

▪ 온실가스 분리 소재 분야에서는 1세대 흡수제인 알칸올 아민계 흡수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아민계 흡수제가 검토 중이며, 최근에는 성능이 향상된 신개념 흡수제(아미노산, 개량 아민
등)인 2세대 흡수제를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연구 추진

▪ 온실가스 분리소재 분야의 연구기관은 에너지기술연구원, 전력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한국화


학연구원 등이 있고, 전력연구원, 에너지기술연구원을 비롯한 경희대, 숭실대, 연세대, 부산대, 충
남대 등에서 흡수제 개발을 수행 중이며,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은 암모니아 흡수제를 기반으로 한
CO2 흡수공정 연구를 수행

 국내의 경우 2009년부터 막분리 공정이 본격적으로 도입됐으며 관련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원천소재 기술부재로 선진기업과의 기술 격차가 존재하며 전문가들은 선진
국 대비 70~80% 수준이라는 평가

▪ 기술 격차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후발 주자인 국내의 기업들은 꾸준한 기술개발 투자 및 시장 참가


를 통해 기존 선도기업이 버티고 있는 시장에서 경쟁해 나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미래 트렌드에 부
합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시장의 재편을 시도하려는 노력이 필요

 수처리 분리막 소재분야의 국내 연구는 주로 MF와 UF 분리막 제조 연구가 대부분으로, 아직


국내의 분리막 제조기술수준이 선진국에 비하여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
▪ RO나 NF 분리막의 연구 및 제조는 도레이케미칼을 제외한 다른 기업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
고 있는 실정

335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 최근 제일모직, LG전자, LG화학, 호남석유화학, SK 등에서 주로 PVDF 다공성 분리막을 제조하는


연구를 진행

◳ 이차전지 분리막 개발에 대한 필요성 증대

 최근 개발된 리튬 이차전지 분리막 기술은 고분자 전해질 또는 가교제를 더 포함하여 상용 분


리막에 코팅하고, 전자선을 조사하여 고분자 전해질과 상용 분리막간의 화학적인 결합을 증가
시켜 열적안정성을 확보. 또한 건조시 상대습도를 조절하여 분리막의 기공도를 조절하여 전해
액의 이온전도가 높은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어, 내열성이 우수하면서도 전지효율이 높은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

 국내의 리튬 이차전지 산업은 2000년 진출 이후 집중투자로 인해 시장의 95%를 장악한 일


본을 추격하여 현재 동등한 양산 경쟁력을 확보했으며, 2010년 경제 불황의 여파로 인해 리튬
이차전지 산업의 전체적인 생산량 감소가 있었으나 이후 국내 메이저 업체들의 지속적인 재료
비 절감 노력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 이차전지는 전기자동차, 전력저장, 로봇, 모바일 IT 기기 등의 핵심 부품으로 사용되어 이차전


지의 개발 여부가 전방 산업의 존폐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후방산업인 부품·소재 산업 및 생
산 설비 산업의 동반성장이 요구되고 있음

▪ 국내 리튬 이차전지 제조업체들은 일본산 소재에 의존도가 높아 수출액이 늘어날수록 대일 무역적


자가 커지고 있는 상황임

▪ 국내 리튬 이차전지 산업의 국산화율은 20% 미만으로 SK 에너지가 분리막 시장에서 10%를 차


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국내 업체들의 소재분야의 시장 점유율은 미미 한 상황

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분야의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선 국가 차원의 로드맵을 수립하여 체계적
인 연구개발 지원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리튬 이차전지 소재개발은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며, 이를 위해선 국가차원의 지원이 필요

[ 분리막 기술을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응용기술 ]

33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나.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 세계에서 유일하게 RO를 비롯하여 NF, UF, MF 4종류의 수처리 멤브레인을 공급하고 있는 일
본의 Toray사는 해수담수화 주요 공정인 불소 제거용 그레이드가 세계 최고의 수준으로 해수
담수화용 RO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 수자원 부족문제로 심각한 중국의 Bluestar 사와 합작으
로 베이징에 RO 멤브레인 제막·조립 공장 TBMC(Toray Blue Star Membrane Co. Ltd.)를
건설해 최근 가동을 시작

 미국의 초기 막여과 정수처리 시설은 MF/UF를 활용한 저압막 중심이 아닌 NF를 이용한 소독
부산물 및 이온성물질의 제거에 목적을 두고 California를 중심으로 연구 및 적용

 리튬 이차전지의 해외업체의 경우 습식, 건식, 세라믹 코팅 분리막으로 분류되며, 제조업체로는


AsahiKasei, Tonen, Entek, Ube, Sumitomo, Toyobo, Degussa등이 있음

 Toyobo사는 다른 기업들과는 달리 RO 멤브레인을 중공사(Hollow-Fiber) 형태로 만들어 중동


지역 멤브레인 시장의 60%를 점유

 트랜드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기술로는 미국의 NanoH2O사가 나노기술을 적용해 기존 RO막


대비 2배 이상 성능을 향상시킨 RO막, 일본 미쓰비시사가 개발한 환경 온도 적응 기능을 가진
지능형 소재를 들 수 있음. 이외에도 에너지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역삼투 방식이
아닌 정삼투 방식의 분리막 기술도 개발 중에 있음

 MBR용 분리막 제조사의 시장점유율을 보면 미국의 GE사가 세계 1위이며 다음으로 일본의


Kubota, Mistsubishi, Siemens 순. GE의 경우 보강재 위에 코팅한 중공사막이며 2위
Kubota의 경우 평막형의 MBR을 전개하여 높은 실적을 확보

 Air product & chemicals는 항공, 선박용 기체 분리막과 같은 대형 모듈을 주로 생산하며, 분


리막 모듈을 비롯하여 분리막 시스템, 이들 아이템을 전방 산업으로 갖는 사업분야를 자체 영
위하고 있으며, 산소/질소/수소/이산화탄소 분리, 제습 등 기체 분리막 기술 전반을 아우르고
있어 독보적인 시장 점유율을 확보

 일본의 Ube사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우수한 기체 투과선택성을 나타내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의 단량체 제조부터 모듈, 시스템 개발까지를 일관적으로 담당하고 있으며, 일본시장에서는 독
보적인 지위를 확보

337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2) 국내업체동향

 국내업체인 코오롱은 코오롱FM(소재 분야), 코오롱인더스트리(멤브레인 생산), 코오롱생명과학


(수처리제 사업), 코오롱워터텍(수처리 공법, 수처리 기자재), 코오롱건설(수처리 설비, 건설
등), 코오롱워터앤에너지(수처리 시설 운영)와 같은 자회사들을 수직계열화하여 소재/시공/운영
등 수처리 통합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음.

 제일모직은 경기도 의왕R&D센터에 분리막 연구/개발을 위한 시험 생산설비를 구축. 2013년부


터 수처리용 분리막 양산 체제를 갖추고 수처리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있음

 효성은 자체개발한 가압형 중공사막 모듈이 상하수도협회 인증을 받으며 수처리 사업에 가속도
를 내고 있으며 향후 국내는 물론 세계 시장 공략에도 나설 예정

 두산중공업은 증발식 해수담수화 분야에서 세계 1위로 분리막 모듈 방식으로 영역확대 중이고,


삼성엔지니어링은 하폐수, 정수처리 사업에서 초순수, 해수담수화 사업까지 사업영역을 확대
중에 있음

 SK케미칼은 주로 필름 소재 기반 막 소재를 개발하고 있으며, 수처리제 생산 경험을 살려


2012년부터 하폐수 처리장 위탁운영업체인 엔텍의 지분을 25%하여 물 산업에 진출

 온실가스 분리막 분야의 기업으로는 (주)에어레인이 있으며, 사업영역으로는 기체 분리막 모듈을


포함한 다양한 기체분리공정 제품 제조. 주요 제품으로는 질소부화막 모듈, 산소부화막 모듈, 제
습막 모듈, 이산화탄소 분리막 모듈, SF6 분리막 모듈, 기체 막분리 시스템 등을 개발 중

 세계적인 선도 기업들도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특성들을 돌파할 수 있는 신규소재 개발에 성공


할 경우 국내 멤브레인 산업을 2018년 세계시장 점유율 30%, 1조 원대 규모로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리튬 이차전지의 소재인 분리막 제조 국내기업의 경우 습식, 건식 및 코팅 분리막으로 분류되


며, 제조업체로는 SK에너지, W-scope, LG화학, CStech 등이 있음

33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기술인프라 현황

 국내의 경우 물산업의 핵심소재인 분리막, 관련 소재개발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 및 관련 연구


인력은 부족하다고 판단되며 이에 선진국과의 격차가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는 상황

 국내 막여과 정수시설의 큰 특징은 일반적으로 대용량 시설이 약 35% 이상으로 가장 높은 비


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 정수처리시설의 적용 형태가 MF/UF로 한정되어 있었으나 2012
년 거제시에 연초정수장이 국내 최초로 세라믹막을 도입하면서 여과막의 기술 인프라에 기여

 국내업체는 막여과 시설이 갖고 있는 장점인 유지관리의 편리함과 여과막 제조 단가의 하락 및


설치운영 기술의 진보를 통해 기존 정수처리 공정과 비교하여 값싸고 질 좋은 물을 일정 수질
이상으로 다량 생산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대규모 정수시설에서 막여과 공정이 도입

 국내의 경우 분리막을 이용한 상수도 시설은 주로 간이 상수도 사업으로만 진행되어 왔으나 최


근 대규모의 막분리 공정을 이용한 상수도 제조공정, 해수담수화 공정 및 대용량 리듐 이차전
지기술 등이 상업화 기술로 도입되고 있어 기술 인프라 확대에 기여

 한국전력은 석탄화력발전소 배가스의 이산화탄소를 저비용·고효율로 분리 가능한 분리막 생산


설비를 세계 최초로 구축하고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

▪ CO2 분리막 제조를 위한 실증용 생산설비를 경북 구미시 고아읍에 위치한 아스트로마사 부지내
에 구축하고,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2016년 7월 28일 기념식을 개최

▪ 신 기후체제 출범에 따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예상치 대비 37% 감축 목표를 위해


전력회사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한창이며, 한전은 아스트로마사와 ‘차세대 CO2 분리
막 상용화 개발’ 협약을 체결하고 총 1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공동으로 개발 중

 국내기업이 세계시장의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개발된 제품기술의 우위와 함께 표준·인증·실증


분야의 기술인프라 형성이 필요

339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라.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 출원동향

 분리막 소재 기술의 지난 7년(‘10~’16) 간 출원동향27)을 살펴보면 연도별로 출원경향이 증가,


감소를 반복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분리막 소재 관련 기술개발 활발

▪ 각 국가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12년까지 증가하다 최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미


국은 ’11년에 소폭 감소하였으나 최근까지 꾸준히 출원건수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일본 및 유럽 또한 일정수준의 출원건수를 꾸준히 유지

 국가별 출원비중을 살펴보면 미국이 37.4%로 최대 출원국으로 분리막 소재 기술을 리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이 29.2%, 일본이 24.6%의 점유율을 나타냄

[ 분리막 소재 분야 연도별 출원동향 ]

27)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재하여 2015, 2016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34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국가별 출원현황

 한국의 출원현황을 살펴보면 ‘12년까지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으나, 이후 출원이 소폭 감소하


소하여 최근까지 유지되고 있으며, 외국인의 출원이 점차 감소

▪ 외국인의 출원 감소현상이 두드러지는 이유를 살펴보면 분리막 소재 기술의 국내 시장에 대한 외


국인의 선호도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 일본의 출원현황은 ‘11년 감소하였으나 이후 증가추세로 변화하였으며, 출원인 대부분이 자국


출원으로 일본 내의 기술력이 우수한 것으로 추정

 미국 및 유럽의 출원현황은 지속적으로 출원건수를 유지하고 있으며, 출원인 대부분이 외국인


으로 자국인의 출원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남

[ 국가별 출원현황 ]

341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3)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 분리막 소재 분야의 투입기술을 확인하기 위하여 특허분류코드인 IPC Code28)를 통하여 살펴


본 결과 분리막 소재 분야의 가장 높은 IPC는 B01D 기술분야가 3401건으로 가장 많이 차지
하고 있으며, 이어서 C02F가 987건, C08J가 223건으로 다수를 차지
▪ 이외에 C08G 163건, C01B 142건, B01J 132건, B65D 99건, C12M 98건, F01M 96건,
A61M 90건 순으로 기술이 투입되어 있어 분리막 소재 분야에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어 존재

▪ 더불어 해당 IPC의 특허인용수명을 살펴보면 B65D 기술분야의 수명이 11년으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C08J 및 F01M 기술분야는 7년으로 가장 짧은 것으로 분석

[ 분리막 소재 분야 상위 투입기술 ]

IPC 기술내용 특허인용수명(TCT)29)

B01D 분리 10년

C02F 물, 폐수, 하수 또는 오니(슬러지)의 처리 8년

마무리; 일반적 혼합 방법; 서브클래스 C08B, C08C, C08F, C08G 또는


C08J 7년
C08H에 포함 되지 않는 후 처리

탄소-탄소 불포화결합만이 관여하는 반응 이외의 반응으로 얻는 고분자


C08G 8년
화합물

C01B 비금속 원소; 그 화합물 8년

B01J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 9년

B65D 물품 또는 재료의 보관 또는 수송용의 용기 11년

C12M 효소학 또는 미생물학을 위한 장치 8년

F01M 기계 또는 기관의 윤활일반; 내연기관의 윤활; 크랭크실의 환기 7년

인체 속에 또는 표면에 매체를 도입하는 장치; 인체용의 매체를 교환하는


A61M 또는 인체로부터 매체를 제거하기 위한 용구; 수면 또는 무감각을 도입 또 10년
는각성시키기 위한 장치

28) 전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국제특허분류(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를 통해 특허정보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을 조
사할 수 있으며, 기술 및 권리정보에 용이하게 접근 가능
29) 특허인용수명 지수는 후방인용(Backward Citation)에 기반한 특허인용수명의 평균, Q1, Q2(중앙값), Q3에 대한 통계값을 제시함.
특히 이와 같이 산출된 Q2는 TCT(Technology Cycle Time, 기술순환주기 또는 기술수명주기)라고 부름

34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 투입기술이 가능 많은 B01D 분야와 융합이 높게 이루어진 기술은 C02F 분야로 나타났으며,


C01BC, H01M 분야와도 나타 융합된 기술의 건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

▪ 이외에 C02F 분야와 융합된 기술은 C25B, B01F, B01J 분야와 융합된 기술이 많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C08J 분야와 융합된 기술은 H01M, C08L, C08G 기술로 분석

[ 분리막 소재 분야 IPC 기술 및 융합성 ]

(4) 주요출원인 분석

 세계 주요출원인을 살펴보면 주로 일본 및 한국의 출원인이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남

▪ 주요 일본 출원인을 살펴보면 TORAY, MITSUBISHI RAYON, FUJIFILM, KURITA WATER,


MIURA등 화학소재기업 및 수처리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일본 출원인은 주로 일본 본
국에 출원건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한국 출원인으로는 LG화학, 삼성전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및 한국화학연구원 등 4개 기업이 상


위출원인으로 나타나 분리막 소재 관련 기술을 다수 보유

▪ 미국 출원인으로는 PALL이 유일하게 상위출원인으로 도출

343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TORAY의 3극 패밀리수가 80건으로 다국적으로 시장을 확보


하며 출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미국의 PALL도 76건으로 다국적 시장을 확보

 최상위 출원인인 TORAY가 확보한 특허의 피인용지수가 2.75로 가장 높게 나타나 기술의 파


급성이 높은 원천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주요 출원인의 출원현황 ]

주요 IP시장국 (건수 %) 3극

IP시 패밀 피인용
주요출원인 국가 주력기술 분야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장국 리수 지수

종합 (건)

21 47 91 27
TORAY 일본 일본 80 2.75 중공사막 모듈
11% 25% 49% 15%

22 16 58 13
MITSUBISHI RAYON 일본 일본 42 0.00 중공사막 모듈
20% 15% 53% 12%

2 36 53 13
FUJIFILM 일본 일본 30 2.53 기체 분리막
2% 35% 51% 13%

55 21 13 13
수처리막/
LG화학 한국 한국 62 0.36
전해질 분리막
54% 21% 13% 13%

54 24 6 8
수처리막/
삼성전자 한국 한국 16 0.33
전해질 분리막
59% 26% 7% 9%

69 10 3 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 한국 5 0.60 수소 분리막
78% 11% 3% 7%

4 7 73 2
KURITA WATER 일본 일본 8 0.00 역삼투막
5% 8% 85% 2%

6 38 3 31
PALL 미국 미국 76 0.25 분리막 코팅
8% 49% 4% 40%

66 4 0 0
한국화학연구원 한국 한국 0 0.00 기체 분리막
94% 6% 0% 0%

0 1 69 0
MIURA 일본 일본 0 1.00 역삼투막
0% 1% 99% 0%

34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5) 국내 출원인 동향

 국내 출원인 동향을 살펴보면 대기업은 LG화학의 출원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기업


에서는 세프라텍의 출원건수가 높게 나타남

▪ 대기업의 주요 출원인은 LG전자, 삼성전자, 도레이케미칼, 웅진케미칼, LG전자, 코웨이 등이 있으


며, 중소기업의 주요 출원인은 세프라텍, 에어레인, 아모그린텍, 필로스 등이 주요 출원인인 것으
로 나타남

 기업 이외의 주요출원인을 살펴보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


원 등 연구소/공공기관의 출원이 다수 나타났으며, 대학은 한양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의 출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 국내 주요출원인의 출원 현황 ]

345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5. 중소기업 환경

가. 중소기업 경쟁력

 분리막 시스템 산업에서 국내 중소기업은 원천 기술 부재 및 가격 경쟁력, 영업망 부족 등으로


대기업 및 해외기업을 앞지를 수 없는 상황. 따라서 중소기업의 기술력 및 시장확보를 위해서
는 소재 융합기술 및 구축, 유지․관리 분야에 참여할 수 있는 기술개발, 제품화 및 상용화, 영
업망 및 판매망 확보를 위한 체계적 전략 수립 필요

 국내 분리막 제조업체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더 많은 참여를 보였으며, 주로 MF/UF분리막


을 제조하고 있음. 따라서 국내 분리막 제조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더
불어 NF/RO분리막 제조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

 국내의 MF/UF 막여과 시스템을 도입함에 있어 가장 우려스러운 점은 특정 회사의 막모듈 및


시스템을 도입하였을 때 각 제조사별 모듈 및 시스템의 호환성이 적용되지 않아 처음 시공시
도입된 특정 막제조 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다는 점. 따라서 수처리용 막의 표준화를 검
토하고 논의하는 것이 국내의 막관련 수도산업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

 2025년 약 766조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는 물 관련 시장에서 막여과 공정으로 점


차 기술의 변화 및 진보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에서 국내 물 산업시장의 활성을 위해서는 분
리막 제조회사의 가동률을 높이기 위한 시장 활성화 방안 마련과 중소기업의 전략적 지원을 통
한 컨소시엄식 지원 또는 기술 적용이 가능한 사업 활성화가 필요

 국내 분리막 시장은 주로 중소기업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기술개발 및 제품생산력은 안정화


단계이나 차세대 분리막 기술의 핵심인 이차전지 시장이 전기자동차, 노트북, 휴대폰 등 전자
기기용 소형전지 중심의 이차전지에서 전기 자동차(HVE/EV), 전기 자전거 등의 새로운 중대형
전지로 확대됨에 따라 중대출력용 등 분리막개발의 다변화가 필요

 물/폐수/하수의 생물학적 처리, 고체 폐기물 처리 및 무해 물질로 전환, 오니(슬러지)의 처리,


합성수지 적층체 및 물/폐수/하수의 다단계 처리 분야가 중소기업 참여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국내 중소기업의 진출이 용이한 대표 기술군으로 판단

346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분리막 소재분야 주요제품의 국내업체 현황]

중소기업 주요 중소기업
세부분류 주요 기술 및 제품 대기업 중소기업
참여영역 참여 정도*

멤브레인 엘리먼트, 고분자


개질을 통한 기능성 코오롱, 제일모직, 웅진케미칼, 중공사, 보강형
원소재 ◑
분리막 제조기술, LG전자, SK그룹 에치투엘, 에코니티 중공사, 쉬트
나노기공 제어기술

대림탄소공업, STX, 평산, 영일기업,


SPP, SG, LG, 덕원산업개발,
활성탄, 침착활성탄,
온실가스 포스코, 현진소재, 에스에프, 분리막 소재
활성탄소섬유, ◑
분리 소재 도레이케미칼, 남전물산, 을지엔텍, 제조
제올라이트
삼천리, SK에너지, 수프로, 비앤이테크,
현대자동차 에어레인

제일모직, 효성, 한국분리막, 소재 제조 및


수처리 정밀여과막, 한외여과막, 도레이케미칼, 에이치투엘, 연구개발

분리막 소재 나노여과막, 역삼투막 시노펙스, 퓨어엠비텍, MF와 UF
코오롱인더스트리 크로시스 분리막 제조

두산중공업,
웅진케미칼, 코오롱,
-이온성 나노박막제조 기술 웅진케미칼, 중공사형,
모듈화 소재 제일모직, ◑
-분리막 모듈 에치투엘, 에코니티 나권형 모듈
LG전자, 효성,
삼성엔지니어링

두산중공업,
비룡, 유진공업,
삼성엔지니어링,
효성, 원일
시스템 모듈 패키지 GS건설, 대우건설, 모듈 팩키지 ◔
휴비스, 대성산업,
한화건설,
워터텍, 한국분리막
금호건설, 태영

* 중소기업 참여정도와 점유율은 주요제품 시장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참여규모와 정도(업체수, 비율 등)를 고려하여 5단계로 구분
(낮은 단계: ○, 중간 단계(◔, ◑, ◕) 높은 단계: ●)

347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나. 중소기업 기술수요

 분리막 소재 분야의 중소기업의 기술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기술수요조사 및 중소기


업청 R&D신청과제(2013~2015년)를 분석한 결과 아래 표의 내용과 같은 수요들이 다수 있는
것으로 분석

▪ 분리막 소재 분야 중소기업은 최근에 수처리용 분리막 기술, 기체분리막기술, 고기능성 분리막 기


술 및 이차전지용 분리막 기술과 관련된 기술개발에 다수 수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너지
효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차전지용 분리막 기술 수요 증가

[ 분리막 소재 분야 과제신청현황 및 수요조사결과 ]

전략제품 기술 분류 관심기술

․ 수처리용 고분자 분리막 개발


수처리용 분리막 기술 ․ 폴리올레핀계 정수기용 중공사막 필터 개발
․ 석회암반수의 스케일 발생 억제 분리막 필터 개발

․ 이산화탄소 분리용 유무기 복합 기체 분리막 및 모듈 개발


기체 분리막 기술 ․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기체분리막 개발
․ 바이오가스 정제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분리막 및 모듈 개발

분리막 소재

․ 유기용매 탈수를 위한 제올라이트 막 및 모듈 개발


고기능성 분리막 기술 ․ 건식법에 의한 나노 다공성 막 개발
․ 할로겐 화합물 제거용 고분자 분리막 개발

․ 리튬이차전지용 고내열성 폴리올레핀계 분리막 개발


이차전지용 분리막 기술 ․ 중대형 이차전지용 고내열성 다층 분리막 개발
․ 에너지 저장시스템용 표면처리된 고내열성 불소계 멤브레인 개발

348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다. 중소기업 핵심기술

(1)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 분리막 소재 기술의 특허 및 논문데이터 검색을 통해 도출된 유효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마


이닝 기법(Scientometrics 기법)을 통해 클러스터링된 키워드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요소기술
후보군을 도출

▪ 분리막 소재 기술의 특허 및 논문 유효데이터를 기반으로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통하여 10개의 요


소기술 후보군을 도출

▪ 제품별 dataset 구축 : 분리막 소재 기술 관련 특허/논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노이즈 제거 후 제품


별 dataset 구축

▪ 1차 클러스터링 : 키워드 맵을 통한 고빈도 키워드 확인-빈도수(tf-idf)30)가 상위 30%에 해당하


는 키워드를 대상으로 1차 추출

▪ 2차 클러스터링 : 1차 클러스터링에서 추출된 고빈도 키워드 사이에서 고연관도 키워드를 2차 추


출 (고연관도 기준은 연관도수치31)가 2이상인 클러스터로 제한)

 다음 그림은 키워드 간 연관네트워크를 시각화한 것으로, 각 키워드를 나타내는 원과 키워드


간의 연관도를 나타내는 직선으로 구성

▪ 각 키워드가 특허와 논문 중 어느 데이터에서 도출되었는지 원의 색으로 구분하였으며, 키워드로


도출된 클러스터는 황색음영으로 표시

▪ 키워드를 나타내는 원은 고빈도의 키워드일수록 원의 크기가 크게 표현되며, 연관도를 나타내는


선은 키워드 사이의 연관도수치가 높을수록 굵게 표현

 분리막 소재 기술 전략제품의 특허․논문 유효데이터에 대하여 키워드 클러스터링 결과를 기반


으로 요소기술 도출

 데이터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은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통해 도출된 요소기술에 대하여 전문가의
검증 및 조정을 통하여 요소기술을 도출

30) 빈도수(tf-idf) : 각 키워드가 출현되는 특허 또는 논문수를 의미


31) 연관도수치: 두 개 이상의 키워드 사이의 특허 또는 논문수를 의미

349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 분리막 소재 분야 키워드 클러스터링 ]

[ 분리막 소재 분야 주요 키워드 및 관련문헌 ]

No 주요 키워드 연관도 수치 관련특허/논문 제목


1. CO2-FACILITATED TRANSPORT MEMBRANE AND PRODUCTION
CO2
METHOD OF SAME
carbon
클러스터 2. CARBON DIOXIDE SEPARATION MEMBER, METHOD FOR PRODUCING
dioxide 4~7
01 SAME, AND CARBON DIOXIDE SEPARATION MODULE
gas
3. GAS SEPARATION MEMBRANE FOR CARBON DIOXIDE AND
separation
PREPARATION METHOD THEREOF
1. Nanocomposite polymer-carbon based nanomaterial filters for
the simultaneous removal of bacteria and heavy metals
클러스터 heavy metal 2. Polyamidoamine dendronized hollow fiber membranes in the
5~7
02 membrane recovery of heavy metal ions
3. Removal of heavy metal ions from its low concentrated lake
water via LiBr/PE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system
water 1. POLYMER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클러스터 treatment 2. Polymer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e
4~8
03 polymer of same
membrane 3. Oil-Tolerant Polymer Membranes for Oil-Water Separations

350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No 주요 키워드 연관도 수치 관련특허/논문 제목


1. HETEROMORPHIC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METHOD FOR
PRODUCING HETEROMORPHIC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hollow fiber MODULE USING HETEROMORPHIC POROUS HOLLOW FIBER
클러스터 membrane MEMBRANE, FILTRATION DEVICE, AND WATER TREATMENT METHOD
4~8
04 water 2. PREPARATION METHOD OF HOLLOW FIBER MEMBRANE FOR
treatment WATER TREATMENT USING CELLULOSE-BASED RESIN
3.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DEVICE AND METHOD
FOR WASH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 COMPLEX FOR ACID GAS SEPARATION, MODULE FOR ACID GAS
SEPAR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DULE FOR
functional
ACID GAS SEPARATION
gas
클러스터 2. 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POLYMERIC MEMBRANES FOR
separation 4
05 GAS SEPARATIONS
heat
3. THERMALLY REARRANGED POLY(BENZOXAZOLE-IMIDE) COPOLYMER
resistant
HAVING CROSS-LINKED STRUCTURE, GAS SEPARATION MEMBRANE
COMPRIS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1. HYBRID INORGANIC/ORGANIC POLYMER CATALYTIC MEMBRANE MATERIALS
COMPRISING IMMOBILIZED MOLECULAR CATALYSTS AND THEIR
organic/inor
PREPARATION
ganic
클러스터 2. POLYMER MEMBRANE FOR GAS SEPARATION OR ENRICHMENT
hybrid 4~7
06 COMPRISING HYBRID NANOPOROUS MATERIAL, USES THEREOF, AND
gas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separation
3. Asymmetric hollow fiber membrane coated with polydimethylsiloxane
-metal organic framework hybrid layer for gas separation
1. Multiple membranes for removing VOCs from liquids
remove
2. Membrane stripping process for removing volatile organic
클러스터 volatile organic
4 compounds from a latex
07 compound
3. Membrane distillation modules using oleophobically and
antimicrobial
antimicrobially treated microporous membranes
1.Graphene Derivative Composite Membran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graphene 2. SEPARATION MEMBRANES FORMED FROM PERFORATED
클러스터
nanocomposite 4~7 GRAPHENE AND METHODS FOR USE THEREOF
08
membrane 3. NANOCOMPOSITE ULTRAFILTRATION MEMBRANE CONTAINING
GRAPHENE OXIDE OR REDUCED GRAPHENE OX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1. NANOFIBER MEMBRANE FOR WESTERN BLO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nanofilteration 2. NANOFILTRATION PROCESS WITH PRE-TREATMENT TO ENHANCE
클러스터
nonofiber 4 SOLUTE FLUX
09
membrane 3. Dual-layer polybenzimidazole/polyethersulfone (PBI/PES) nanofiltration
(NF) hollow fiber membranes for heavy metals removal from
wastewater
1.MICROPOROUS POLYMERIC MEMBRANES, BATTERY
SEPARATORS, AND PRODUCTION METHODS THEREFOR
lithium ion 2. POLYOLEFIN POROUS FILM, SEPARATOR FOR BATTERIES WHICH
클러스터
battery 7 IS MANUFACTURED USING SAID POROUS FILM, AND
10
separators METHODS RESPECTIVELY FOR MANUFACTURING SAID POROUS
FILM AND SAID SEPARATOR
3. Method for making separator of lithium ion battery

351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 분리막 소재 분야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

No 요소기술명 키워드

CO2
요소기술01 이산화탄소 기체분리막 carbon dioxide
gas separation

heavy metal
요소기술02 중금속 흡착 분리막
membrane

water treatment
요소기술03 수처리용 고분자 분리막
polymer membrane

hollow fiber
요소기술04 수처리용 중공사 분리막 membrane
water treatment

functional
요소기술05 기능성 기체분리막 gas separation
heat resistant

organic/inorganic
hybrid
요소기술06 유무기 하이브리드 기체분리막
gas
separation
remove
volatile organic compound
요소기술07 항균 및 VOC 제거 필터
antimicrobial
filter

graphene
요소기술08 그래핀 기반 복합분리막 nanocomposite
membrane

nanofilteration
요소기술09 나노분리막
nonofiber membrane

lithium ion battery


요소기술10 이차전지용 분리막
separators

352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2) 요소기술 도출

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


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통해 기술의 범위, 요소기술 간 중복성 등을 조정‧검토하여 최종


요소기술명 확정
[ 분리막 소재 분야 요소기술 도출 ]

분류 요소기술 출처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수처리용 고분자 분리막 제조기술
기술/시장분석

수처리용 분리막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정수기용 폴리올레핀계 중공사막 필터 기술 개발
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석회 암반수 유역의 스케일 발생 방지용 고기능성 필터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개발 추천,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추천


고기능성 특수 기체 분리막 제조 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수요, 특허/논문
기체 분리막 기술 이산화탄소 분리용 유무기 복합 분리막 개발
클러스터링, 타부처로드맵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바이오가스 정제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기체분리막 개발
추천, 기술수요

전문가추천, 기술/시장 분석
바이러스 제거용 분리막 개발
기술수요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유해 중금속 흡착 필터 개발
전문가추천

고기능성 분리막 기술수요, 특허/논문


항균 및 VOC제거용 복합소재 기반 필터개발
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특허/논문


나노여과용 분리막 개발
클러스터링, 타부처로드맵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그래핀 소재 나노튜브 복합막 제조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수요, 타부처로드맵,
이차전지용 고내열 다층 분리막 개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이차전지용 분리막
기술
에너지 저장시스템용 고내열성 멤브레인 개발 기술/시장 분석, 기술수요

353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3) 핵심기술 선정

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핵심기술 선정위원회를 통하여 중소기업
에 적합한 핵심기술 선정

 핵심기술 선정은 기술개발시급성(10), 기술개발파급성(10), 단기개발가능성(10), 중소기업 적합


성 (10)을 고려하여 평가

[ 분리막 소재 분야 핵심기술 ]

분류 핵심기술 개요

하폐수, 산업폐수, 오수 등을 정제, 재이용하기 위한


수처리용 분리막
수처리용 고분자 분리막 제조기술 고분자 분리막 소재기술로서 내화학성, 내약품성이
기술
우수한 물산업의 핵심소재 기술

여러 기체 분자들의 투과속도 차에 따라 기체 혼합
고기능성 특수 기체 분리막 제조 기술 물로부터 특정 기체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기능성이 우수한 분리막 기술
기체 분리막
기술
에너지 변환 효율의 향상, 새로운 에너지원으로의 전
이산화탄소 분리용 유무기 복합 분리막
환,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회수를 위한 유무기 복합소
개발
재 분리막 기술

산업체에서의 중금속 배출규제에 대비하여 국가경제


유해 중금속 흡착 필터 개발 와 경쟁력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금
속 흡착 제거를 위한 필터기술
고기능성 분리막
기술
그래핀과 그래핀 유도체의 크기조절 및 원자두께의
소재를 적층구조로 배열한 나노튜브 분리막으로 액
그래핀 소재 나노튜브 복합막 제조기술
체 또는 기체의 특성성분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기술

리튬이차전지의 고에너지 밀도화를 위해 전지 구성


이차전지용 요소들의 무게 및 부피를 저감하려는 요구가 증가하
이차전지용 고내열 다층 분리막 개발
분리막 기술 고 전지의 고출력, 고에너지밀도를 위한 고내열 다층
분리막 기술

354
▣ ▣ 전략제품 현황분석 ▣ ▣

6. 기술로드맵 기획

가. 분리막 소재 기술로드맵

 최종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


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

355
▣ ▣ 화학소재공정 ­ 분리막 소재 ▣ ▣

나. 연구개발 목표 설정

 로드맵 기획 절차는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로드맵 기획위원회를 통해 선정된 핵심기술을 대


상으로 기술요구사항, 연차별 개발목표, 최종 목표를 도출

[ 분리막 소재 분야 핵심기술 연구목표 ]

연차별 개발목표
분류 핵심기술 기술요구사항 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내오염성: 내오염성: 내오염성:


<25yne/cm <20yne/cm <18yne/cm
내오염성/ 내오염성,
내열성: 내열성: 내열성:
수처리용 내화학성/ 내화학성 및
수처리용 고분자 >60℃ >60℃ >60℃
분리막 내약품성이 내약품성이 우수한
분리막 제조기술 내화학성: 내화학성: 내화학성:
기술 우수한 분리막 분리막 제조
pH 2~12 pH 2~12 pH 2~12
기술 기술개발
인장강도: 인장강도: 인장강도:
1,300N 1,500N 1,700N

30ppm이하 10ppm이하
20ppm이하
감지 한계 센서칩과 패키지 10ppm 이하
고기능성 특수 기체 ROIC 본딩
센서 패키징 히터 하우징 일체형 가스 센서
분리막 제조 기술 기술
기술 본딩 기술 기술 및 분리시스템개발
제거율>90%
제거율>70% 제거율>95%
기체
분리막
투과도 투과도 투과도
기술
>1×10-4 >1×10-5 >1×10-6 마이크로/나노
이산화탄소 분리용 막투과도
mol/m2secPa mol/m2secPa mol/m2secPa pore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 분리막 감지 한계
감지농도: 감지농도: 감지농도: 필터링 시스템
개발 효율
30ppm이하 20ppm이하, 10ppm이하, 개발
효율:>80% 효율:>90% 효율:>95%

구리, 납, 구리, 납, 수은,


수은, 카드늄 흡착율:>90% 흡착율:>95% 흡착율:>97% 카드늄 등에
유해 중금속 흡착
등의 중금속에 선택성:>80% 선택성:>85% 선택성:>90% 선택적 발광 및
필터 개발
선택적 발색 분리도:>90% 분리도:>95% 분리도:>98% 용액속의 중금속
고기능성
및 발광기술 제거기술개발
분리막
기술
박막 균일도, 50%↓, 40%↓, 30%↓, 박막 균일도
그래핀 소재 나노튜브 나노 구조체 크기 크기 크기 30%↓,
복합막 제조기술 크기 및 형상 균일성 균일성 균일성 크기 균일성
제어 60%↑ 70%↑ 80%↑ 80%↑

두께: 두께: 두께:


고내열성과 20~30㎛, 15~25㎛, 10~20㎛, 고출력,
이차전지용
이차전지용 고내열 얇고 강한 Porpsity: Porpsity: Porpsity: 고에너지밀도를
분리막
다층 분리막 개발 분리막 제조 25~35% 30~40% 35~50% 위한 고내열 다층
기술
기술 200℃↑ 250℃↑ 300℃↑ 분리시스템 개발
제거율>80% 제거율>90% 제거율>95%

35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