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22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1. 한국어문화교육의 중요성과
현 시점의 한계

1교시
한국어문화교육의 기본 기능 이해

1.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역할과 기능


 특징: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 접근

 현상: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통합적으로 교육함

 이유: 문화 교육의 역할과 기능이 중요하기 때문

1
가.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함
 문화를 배제한 채 언어만을 가르치고 배웠을 때 학습자는 의사소통 상황에서
당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음

 <상황1> 초급 단계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외국인(여): 000씨 이번 주말에 무엇을 할 거예요?
토요일에 시간이 있으면 같이 영화를 볼까요?

한국인(여): 네, 좋아요. 그런데 무슨 영화를 볼까요?

외국인(여): 한국 사람들이 좋아하는 미국 영화를 보고 싶어요.

한국인(여): 좋아요. 그런데 몇 시쯤 시작하는 영화를 보고 싶어요?

외국인(여): 오전과 오후에는 도서관에서 공부를 하고 저녁 7시쯤 시작하는 영화를


보고 싶어요.

한국인(여): 영화가 7시에 시작하면 9시가 넘어서 끝나요. 너무 늦어요.


너무 늦으면 우리 남편한테 혼나요.

외국인(여): (우리 남편???) ...

2
나. 목표 언어 사회에의 적응을 도와 한국어 학습을 촉진함
 두 개의 장벽: 언어 장벽, 문화 장벽
 기능: 문화 장벽 극복, 문화에 대한 자각 가능, 문화 적응 가능

문화적 신비감 → 문화 충격 → 문화적 자각 → 문화 변용

 문화 교육
: 위의 과정 중에서 학습자가 문호 충격을 극복하고 문화적 자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

 <상황 2> 한국어 학습자가 길을 걷거나 횡단보도를 건너는 상황

몸이 부딪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학습자는 이때마다 서로 양해를 구하고


지나쳐야 한다고 생각하고 이에 맞춘 행위를 하려고 한국 사람들 대부분이
그대로 지나쳐 가는 것을 경험하고는 예의, 공공 생활 의식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게 된다…

3
 <상황 3> 한국 사람들이 자신의 마음을 두루뭉실하게 전달하는 경우

외국인은 구체적인 정보로 받아들여 생각하는 소통상의 오해이다.


한국인은 때때로 다음에 기회가 되면 다시 만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연락 한번 하겠다는 말을 ‘제가 곧 한번 연락할게요.’와 같이 표현하여 전달한다.
외국인 학습자에게 이는 매우 중요한
정보로 인식되어 언제 연락이 올까를 생각하도록 하고, 심지어는 다른 이유로
전화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될 때에는 연락을 한다 했는데 전화를 못 받게 되면
어떡하지 하고 걱정까지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 한국인은 다음에 만나고 싶다는 마음뿐이지 반드시 전화할 것이
라는 것을 전달한 것은 아니었다.

다. 학습자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켜 학습 동기를 강화함


 외국어 학습: 사고의 영역과 경험의 영역을 넓히는 일을 함

 언어의 기본적인 기능
• 소통 능력의 향상
• 목표 언어 사회의 제반 현상

 학습과정에서 생기는 호기심


• 언어적 측면
• 사회문화적 측면

4
 <상황 4>

일반적으로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현지의 한인타운을 경험하게 되고


거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중의 하나가 ‘아리랑’이다. ‘아리랑’은 현지
에서는 대개 식당 또는 식료품점의 이름이 되는데 한국에 와서 보면 사진관,
꽃집 등 다양하게 쓰이고 있고 한국어 교재에서는 민요 또는 고개 이름으로
나오고 있다.

 <상황 5>

학습자는 한국어 초급 단계에서 고유어와 한자어의 병용 현상을 목격하게 된다.


예를 들어 넉넉하다-충분하다, 모자라다-부족하다 등을 접하면서 교사로부터
고유어와 한자어의 병용에 대하여 듣게 되고 실제로 한자어권 학생이라면 한국
어에 한자어가 많음을 확인하게 된다. 그런 과정에서 학습자에게 이상하게 비춰
지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서울이라는 한자어가 없다는 점이다. 학습자는 당연히
교사에게 이에 대한 해답을 기대하게 된다.

5
라. 세계시민교육적 기능을 수행함
 종래 인간이 쳐놓은 최대의 사고와 행동의 최대 범위인 국가의 개념은 무의미해짐

 마찬가지로 교육에 있어서도 국민 교육 못지않게 세계시민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됨

 한국어 교육은 학습자의 입장에서 보면 자국 중심으로부터 세계로 뻗어 나오는


과정임

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언어 사용 능력과 함께 문화 이해수준을 높인다면 이러한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한층 키우는 것이 됨

 곧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의 통합적 적용은 학습자의 세계 시민 역량을 키우는,


다시 말해 세계시민교육적 기능을 수행하게 됨

2. 현시점 한국어 문화교육의 실제와 한계


가. 한국어문화교육의 주요 영역
 한국어문화교육 내용 구성론(교육과정과 문화의 관계)
 한국어문화교육 자료 개발론
 한국어문화교육 방법론
 한국어문화능력 평가론
 한국어문화교육을 위한 교사교육론

6
나. 현시점 한국어문화교육의 한계
 일부 쟁점에 치우친 연구

 연구와 현장 사이의 괴리. 즉 연구 성과의 현장 번영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매우 느림

 한국어문화교육 개선을 위한 노력 중 학습자 요구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나


이에 대한 연구가 그리 활발하지 않음

차시 예고
현행 한국어 문화교육의 한계

7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1. 한국어문화교육의 중요성과
현 시점의 한계

2교시
현행 한국어 문화교육의 한계

1. 문화 교육의 하위 영역에 대한 대략적인 고찰


 한국어 교육을 구성하는 하위구성체계의 대표적인 논의
• 교과 내용학과 교과교육학
• 문법, 담화, 문화
• 교육과정론, 교재론, 교수방법론, 교육정책론, 교사론, 평가론, 문법론,
문화교육론…

 이 중에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을 가장 크게 분류
교과내용학은 교수 학습의 대상이 되는 내용, 즉 발음, 어휘, 문법과 같은
한국어의 규칙과 구조에 대한 지식이 중심이 됨

8
교과 교육학
일반목적 교육과정 / 특수목적 교육과정
교육과정 정규교육 / 비정규 교육
교육방법
범주 교육
교육자료
발음, 어휘, 문법
능력평가
교사 기능 교육
기술발달과 교육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 문화 교육의 하위 영역 설정
• 가. 문화교육내용구성론

• 나. 문화교육방법론

• 다. 문화교육자료개발론

• 라. 문화능력평가론

• 마. 문화교육을위한교사교육론

9
가. 문화교육 내용 구성론
 문화는 원래가 외국어 교육에서 논의되던 요소가 아니다.
주로 인류학에서 논의 되어 온 것.

 문화를 외국어 교수 학습 현장에 도입할 경우 논의대상


1) 문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2) 문화를 외국어 교육과정에 어떻게 대입할 것인가
3) 문화를 교육과정 안에 어떻게 도입할 것인가

나. 문화 교육 방법론
 한국어 교육에서 교수 학습의 대상으로 문화를 도입한다 할 때 이를
체계화 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어떻게 교육으로 실행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중요

 외국어 교육계의 논의
• 간문화적 접근(Intercultural Approach)
• 의사소통민족지학적 접근(Ethnography of Communication)
•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 접근(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on)

10
다. 문화교육자료개발론
 문화교육을 논할 때 방법이 하나의 대상이 되듯이 자료의 개발이 또 하나의
논의의 대상이 됨.

 자료의 개발은 특히 교수 학습대상이 되는 것들, 여기에서는 구체적으로


교수학습의 대상으로의 문화를 어떻게 자료화하는가가 중심 논의의 주제가 됨.

라. 문화 능력평가론
 문화교육을 강조할 때 학습자의 문화 능력은 향상될 것이다.

 문화능력 평가를 위한 여러 노력
• 문화 능력에 대한 위계화

• 문화 능력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의 추출

• 타당도 및 신뢰도 확보 등을 위한 노력

• 평가 도구의 개발

11
마. 문화교육을 위한 교사교육론
 문화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교육역량 강화가 필요함.

 최근 한국어교원자격제도를 실시하면서 교사의 문화 교육 역량을 키우기


위하여 한국문화 영역을 필수 이수 영역으로 설정함.

 시간이 지나면서 교사의 문화 교육 역량을 강화될 것으로 기대

2. 현시점 한국어 문화교육 실시의 한계


 한국어문화교육의 주요 하위 영역 중 문화교육내용구성론과
문화교육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진행된 편임.
최근 들어 문화교육자료 개발에 대한 논의와 실제 성과물이 산출되고 있음.

 그러나 아직도 문화능력평가에 대한 논의는 매우 빈약하며 문화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논의가 부족함.
특히 교사 교육과 관련해서는 교육의 범위와 하위 영역의 설정, 교육 내용
체계의 수립 등이 초기 수준의 논의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12
차시 예고
문화의 이해

13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2. 문화의 이해

1교시
인접 학문에서의 문화 논의의 이해

들어가는 말
 우리가 한국어 교육을 논하면서 왜 문화를 논하게 될까?
이에 대한 해답을 구할 수 있는 두 개의 명제를 제시해 본다.

“문화는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동시에 인간은 문화에 의하여 형성되는 존재이다.”

“언어는 문화의 한 하위 유형이지만 언어는 문화를 유지,


발전시키고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는 기능을 한다.”

14
1. 문화란 무엇인가?
 문화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함
• 여러 학문 영역에서 가장 정설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정의 제시

인간의 지적, 실천적 활동의 모든 산물.


물질적 산물의 경우 그 사회의 구성원의 삶의 양식으로 정립되어 있을 때
문화로서의 가치를 가짐.

• 사회과학과 인문과학으로 나눈 제시

사회과학 – 제도화된 산물(법, 정치, 경제...)


인문과학 – 기본적인 인간 정신의 산물(언어, 예술, 종교, 사상, 학문...)

2. 문화의 어원적 정의와 문명 개념과의 비교


 문화에 대한 논의가 다양한 만큼 문화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서는
문화의 어원적 의미를 먼저 살필 필요가 있음.

 원래 문화(culture)라는 것은 라틴어의 ‘경작하다’라는 의미인 ‘cultus’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짐.

 ‘cultus’라는 것은 어원이 ‘(밭을) 경작하다’ 또는 ‘(신체를) 단련하다’의


의미를 갖는 ‘colo’(colo의 명사형은 cultura)에 있는데,
이는 곧 문화가 처음부터 정신적인 것, 인격적인 영역과 관련이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15
 문화에 정신적인 영역, 인격적인 영역이 대입된 것은 로마시대가 한참 진행된
후임.

 로마시대 철학자 키케로가 당시 로마의 시민사회의 유지 발전을 염두에 두고


cultura animi라는 말을 씀

 즉, 기존의 물질적 영역 이외에 정신적 영역을 포함하여 “인간이 자연을 극복


하고자 하는 물리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인간의 물질적 영역에서 마음을 가꾼
다거나 도덕 정신을 함양하는 일”을 문화로 정의할 수 있게 된 것.

 이 시기에 문화라는 말과 함께 본격적으로 등장한 말이 있는데


그것이 문명(civilization)

 문명은 어원을 시민을 의미하는 civis에 두는데 이는 로마 시민이


다른 평민이나 야만인과 다르다는 것을 부각시키기 위한 말

16
3. 문화/문명 논의의 발전
가. 프랑스, 영국 중심의 문명 논의의 발전
 르네상스, 산업혁명, 자본주의가 발전하고 특히 18세기말에 프랑스대혁명이
성공한 후에 근대 시민사회가 형성됨으로써 문명 논의는 중산층, 시민,
지식인의 세계에 대입되기 시작

나. 독일의 문화 개념의 발달
 독일은 영국과 프랑스의 문명 개념을 거부하면서 문화 개념을 꾸준히 발전
시켜 왔음

 대표적인 논의로 칸트의 <인간의 공동체적 삶의 역사와 관련한 이분법적 논의>가


있는데 여기에서 정신적 고양의 중요성을 강조

17
4. 총체적 문화 개념과 관념적 문화 개념
 이상에서 영국, 프랑스 중심의 문명 개념을 살펴봤고 독일 중심의 문화 개념
을 살펴봤다. 그러나 문화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인류학에서는 이 둘을 모두
문화라는 범주에서 논의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여기에서는 전자의 경우는 <총체적 개념의 문화>라는 이름으로,


후자의 경우는 <관념적 관점의 문화>라는 이름으로 논의되고 있다.

 외국어교육에서는 이러한 인류학적 논의를 수용하게 되는데 실제 활용하는


과정에서는 상당 부분 응용하여 활용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차시 예고
외국어 교육론에서의 문화의 이해

18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2. 문화의 이해

2교시
외국어 교육론에서의 문화의 이해

1. 외국어교육에서의 문화 논의의 유형
 ‘문화’는 인류학적, 사회학적 관점에서 논의되어 온 개념
• ‘문화’에 대한 정의: 대략 300여 가지

• 모든 논자가 동의하는 개념: ‘공동체’, ‘역사성(오랜 시간 동안의 지속)’,


‘다른 공동체와의 차별성’, ‘생활양식’, ‘가치관 또는 관념’ 등(좀 더 넓혀
‘법률’, ‘제도’, ‘문물’ 등 포함)

⇨ ‘한 공동체가 오랜 기간 동안 삶을 영위해 오면서 형성해 온 관념과


행위 양식, 그리고 이루어낸 산물’

19
 핵심: ‘언어’가 문화를 생산, 유지, 발전

 20세기 Sapir-Whorf 가설
: ‘언어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의식세계, 세계관, 문화적 특성 등을
규정한다’는 논의

→ 언어 상대주의(linguistic relativism)라는 개념으로 정립


→ 향후 언어와 문화의 상관성을 진지하게 탐구하도록 만듦

 연장선상에서 대두된 학문적 영역


• 인류언어학(anthropological linguistics)
• 심리언어학(psycholinguistics)
•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cs)
• 언어사회학(sociology of language)
• 의사소통 민족지학(ethnography of communication)

20
 사회언어학이 외국어 교육에 영향 → 의사소통중심의 교수법 정립
→ 문화가 외국어 교육의 주요 내용 영역으로 자리잡음

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 등장 전(1970년대)


• 일반적으로 외국어 교육 현장에서 언어학적 능력 중시

• 문법번역식 교수법 하에서 목표어 국가의 문학 작품 감상 정도가


문화 교육적 요소를 담고 있었음

→ 당시 문화에 대한 인식: 문학, 고전음악, 무용, 건축물, 예술 작품 등


‘사회 구성원이 성취한 최고의 산물’에 국한

 1950년대
• 구두청각 교수법이 대두
→ 실생활 중심 회화 중요
일반 생활 문화가 교육 내용에 포함

• 이 시기 외국어 교수법: 구조와 형태 중심


→ 의미, 기능과 밀접한 문화적 양태는 외국어 교육의 중심으로 자리 잡지 못함
→ 언어와 문화에 대한 연구
: 인류학적, 사회학적 관점, 민족지학적 관점에서 다루어짐

21
 1970년대
• Hymes(1972): 의사소통 능력 개념 제기
→ 이후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문화를 정의하기 시작

→ 외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에 대한 관련성 논의 일기 시작

 1970년대 이후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의 정의


• Brooks(1975)
– 넓은 의미의 문화 제시
① 인간 생활의 모든 것(everything in human life)
② 인간 생활 중의 최상의 것(best in human life)
※ ①은 little C에 해당, ②는 big C에 해당

• Hendon(1985)
– 문화를 big C와 little C로 구분
① big C : 고급 문명의 성과들인 과거와 관련
② little C: 일상 생활문화 중심으로서 현대와 관련

22
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의 분류

일상 생활문화 성취 문화

• little C • big C

• 사회 구성원의 행위의 모든 것 (언어적, • 사회 구성원이 역사적으로 삶을 영위해


비언어적 행위), 신념, 가치관, 태도 등 오면서 성취한 문물을 의미
을 의미
• 문학, 예술, 무용, 전통음악, 제도,
• 구성원의 일상생활이 어떠한지, 어떻게 건축물 등이 대표적인 예
생각하는지, 어떻게 행동하는지 등이
주요 대상

 문화의 유형에 대한 대표적 논의


• Hammerly: 문화를 정보문화, 행동문화, 성취문화로 분류

① 정보문화: 평균적인 교육을 받은 모국어 화자들이 알고 있는 지리, 역사,


영웅들에 대한 정보와 사실

② 행동문화: 일상생활의 총체, 한 사회에서 한 민족이 행동하는 총체를 의미

③ 성취문화: 목표 문화에서 인간의 자기 성취로서의 문화를 의미

23
 Adaskou, Britten, and Fahsi(1990)의 정의
① 심미적 의미(The aesthetic sense)의 문화
• big C: 문학을 비롯하여 미디어, 영화, 음악 등 포함

② 사회학적 의미(The sociological sense)의 문화


• little C: 가족, 가정생활 및 인간 상호 간의 관계를 맺는 조직(조직들의 성격 포함)

③ 의미론적 의미(The semantic sense)의 문화


• 사람들의 인식 및 사고 처리 과정의 중심을 이루는 것들
→ 사람의 언어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의식 체계

④ 화용론 및 사회언어학적 의미(The pragmatic or sociolinguistic sense)의 문화


• 언어 습득 + 성공적인 의사소통 배경 지식, 사회성 및 언어 분석적 기술 등 포함

 Tomalin & Stempleski(1993)의 성취문화와 행위문화


• 역사, 지리, 제도, 문학, 미술, 음악, 생활 방식 등 그 사회 구성원이 성취한
총체적인 문물(big C)과 일반 행위 문화

• (little C) 중 언어생활과 생활 공동체에서 접하는 행위 문화

• (little C)의 중요성 강조

• 일반 행위 문화 확대
→ 문화의 구성 요소
① 산물(문학, 민속, 미술, 음악, 가공품)
② 관념(신념, 가치관, 제도)
③ 행위(관습, 습관, 옷, 음식, 레저)

24
 Vallette(1995)
• 문화의 구성 요소
① 인류학적, 사회학적 문화
: 태도, 관습, 일상생활, 사고방식, 가치판단 기준 등

② 문명의 발달사
: 지리, 역사, 과학, 사회과학, 예술 등 사회 각 영역에서의 성취

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의 규정과 교육 방법에 대한 논의


• 1996년 미국 연방정부가 발표한 5C
→ 정부가 21세기를 대비하여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외국어 교육 발전을
위해 주요 외국어 교육 협회에 의뢰하여 개발한 외국어 학습의 기본 원리

• 문화 부분 정의
– 행위문화(언어적 행위와 비언어적 행위)
/ 내재된 관념적 문화(전통적 사고방식, 태도, 믿음, 가치관)

– 유형, 무형의 문화적 소산품(그림, 문학작품, 이야기, 춤, 교육제도 등)


/ 내재된 관념적 문화

25
2.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논의
 한국어 교육계에서 교육의 대상으로 삼는 문화의 정의
• 박영순(1989), 민현식(1996), 김정숙(1997), 조항록(1998, 2000), 라혜민
·우인혜(2001), 박영순(2001), 성기철(2001), 조항록·강승혜(2001) 등

→ 교육 대상으로서의 문화의 정의, 문화 교육의 목표를 다룸


→ 추상성에 머무르지 않고 일상성을 가져야 한다는 점에 동의

※ 유형, 무형의 소산물에 대한 인식과 범위, 그리고 이를 한국어 교육에


얼마나 포함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계속 진행 중

 문화의 정의에 관한 논의
• 개별 외국어 교육 논의에서 유용하게 활용
• 개별 외국어가 갖는 독특한 사회․문화․역사적 배경도 중요

 한국문화
• 상황 의존이 매우 큰 고맥락문화(high-context culture)
• 의사소통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대부분의 정보는 담화 당사자의 심리적인
맥락이나 마음속에 내재
→ 대화 당사자 간 사회적 관계, 대화 과정의 환경이나 주변, 비명시적인
의사소통 수단,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 중요 역할

26
 중요한 점
• 오랜 한국의 역사

• 단일민족으로 독특한 문화권 형성 및 유지

 고려할 사항
• 문화적 전통이 반세기만에 외래문화의 유입으로 기반 변화

• 문화의 제 현상: 전혀 뿌리가 다른 전통 문화와 외래문화의 혼재


→ 한국어 교육론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큼
→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순수 전통 문화, 전통에 기반을 둔 현대 문화,
현대 문화 등의 범주화는 유용성을 가짐

차시 예고
한국어 교육과정과 문화

27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3. 한국어 교육과정과 문화

1교시
외국어 교육과정의 변화와 문화

1. 외국어 교육과정에서 문화가 차지하는 위상


 1970년대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 등장 전
• 외국어 교육 현장에서 언어학적 능력 중시
• 언어의 기능적 측면 강조
→ 의사소통 능력의 개발을 언어 교수의 목표로 설정한 의사소통 능력 중심의
교수법 등장
→ 문화적 요인에 대한 관심 증가

 Hymes(1972)
•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용어 사용
→ 언어학적 이론을 의사소통, 문화와 혼합 시도

28
 Canale and Swain(1980)
• 의사소통을 구성하는 4가지 하위 능력 제시
• 사회언어학적 능력(sociolinguistic competence)

→ 목표어 사회의 문화에 대한 이해 전제

 Action and Felix(1986)


• 제2언어 습득 시 일어나는 문화 변용의 단계
: 4단계 - 여행자 단계(Tourist), 생존자 단계(Survivor),
이민자 단계(Immigrant), 시민 단계(Citizen)

→ 제2언어 학습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을 대입 시도

 외국어 교수에서의 의사소통론적 접근


• 구체화된 사회적 맥락과 상황에서 언어가 제시될 것을 주장
→ 최근 외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회적 맥락의 본질을 이루는 문화적 요인에
대한 비중이 커짐은 당연함

29
 Stern(1995)
• 외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사회·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을 잘 나타내는
4중적 교육 과정 모델 제시

구조적 양상 기능적 양상 사회·문화적 양상 경험적 양상

주로 비분석적
주로 분석적
(실제 맥락에서의
(언어 연구와 연습 포함)
언어 사용 포함)

 구조적 양상: 언어의 형식에 초점


→ 주로 구조 연습에 치중함을 의미

 기능적 양상: 담화 자질 중심
→ 담화 연습 위주의 교육 과정

 사회·문화적 양상: 주어진 맥락 하에서 사회적 적절성을 다룸

 경험적 양상: 사용에 초점


→ 언어가 기능적으로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것
→ 앞의 세 가지 양상을 모두 통합

30
 언어 교수
• 구조적, 기능적, 사회·문화적 관점의 연구와 실제를 통해 객관적이고 분석적
으로 언어 학습에 접근

• 목표 언어 공동체와의 접촉을 통한 직접적 언어 사용으로 언어를 개인적


경험으로 연습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필요

 교육 과정 가설
• 제2언어 교육에서의 사회·문화적 요인의 중요성 강조

• 문화 교육은 외국어 교수-학습의 중요한 한 부분을 구성

2.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목표와 세부 내용


 외국어 교육 현장에서 문화 교육의 목표와 수준 설정 논의
• 문화 교육의 목표

• 문화의 어떤 면이 어느 정도 수준으로 포함 되어야 할 것인가

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이 필요함은 언어와 문화의 불가분의 관계


•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이 대두된 이후 제기된 문화 교육의 목표
→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인식

31
 Hendon(1980)
• 목표어로 완전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교육목표
→ 다른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의 행동양식 이해

→ 자기 문화에 대한 예속적 정향, 즉 자기 문화의 규범에 국한된 행동 및


태도를 줄여나가야 함

 Hammerly(1982): 문화 교육의 목표
1) 단어와 구절에 있는 문화적 함축성 이해
2) 일반적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이해
3) 목표문화(제2문화)에 대한 이해를 키우고 관심 개발
4) 문화 사이의 차이점 이해
5) 문화 내적인 제도와 차이 이해
6) 프로젝트 활동과 같은 공동연구 수행
7) 목표문화에 대한 총체적 관점 개발
8) 목표문화에 대한 이해 또는 인식에 대한 평가
9) 목표문화와 그 국민에 대한 감정이입을 통한 공감대 형성
10) 목표문화에 대한 학술적 연구 수행

→ 문화 교육에 있어서 문화 지식이해, 문화 실행, 문화 관점의 범주로 범주화 할 수 있음

32
 Seeyle(1984, 1988): 문화 교육의 목표
1) 학습자로 하여금 그 사회의 모든 구성원에게서 나타나는 문화적으로
조건 지어진 행위에 대한 이해를 키우도록 한다.

2) 나이, 성, 사회 계급, 거주지와 같은 사회적 변인이 말과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이해를 키우도록 한다.

3) 목표 문화 사회의 일반적인 상황에서 나타나는 관습적인 행동에 대한


인식을 키우도록 한다.

4) 목표 언어 속에 들어 있는 문화적 함의가 있는 단어나 구에 대한 이해를


키우도록 한다.

5) 목표 문화와 관련하여 내려지는 일반화를 평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한다.

6) 목표 문화와 관련하여 얻어진 정보를 정리하거나 조직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키우도록 한다.

7) 목표 문화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자극시키고 감정 이입을 북돋운다.

→ 이러한 논의는 다분히 문화 교육의 대상이 언어문화 내지는 일반 생활 문화에


치중해 있음을 느끼도록 한다.
그리고 문화 교육의 수준은 단순히 목표어 사회의 문화 현상에 대한 이해에
머무르지 않고 감정이입과 지적 호기심의 고취까지 폭넓게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3
 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 진전
• 범위가 넓어져 성취문화적 요소를 문화 교육의 범위에 적극 포함 시키고자
하는 논의 대두

• 외국어 학습의 단계 상승에 따른 상황 설정과 맥락의 구성


‘사적 영역 → 공적 영역’, ‘주변적 영역 → 일반적 영역’,
‘사실적 영역 → 추상적 영역’으로 확대되는 것에 따른 것

• 일상 생활문화에서 다양한 성취 문화로의 발전은 자연스러운 것

 중요한 것은 다른 나라와 차별됨으로써 목표어 사회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들이 중시되어야 함.
→ 학습자의 학습 단계, 모국어, 모국 사회 등 학습자 변인과 관련

 Lafayette(1988): 학습자 중심의 문화교육의 목표 제시


1) 주요 지리적 기념물을 인식/설명할 수 있다.

2) 주요 역사적 사건을 인식/설명할 수 있다.

3) 주요 제도(행정, 정치, 종교, 교육 등)를 인식/이해할 수 있다.

4) 주요 예술적 기념물(건축물, 미술, 문학)을 인식/이해할 수 있다.

5) 일상의 “비활동적인(passive)” 문화적 패턴(사회 계급, 결혼, 직업 등)을


인식/이해할 수 있다.

6) 일상의 “활동적인(active)” 문화적 패턴(식사, 쇼핑, 인사 나누기 등)을


인식/이해할 수 있다.

34
7) 통상적인 일상생활에서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다.

8) 상투적인 제스처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9) 다른 사회와 그 구성원에 대한 가치판단이 가능하다.

10) 목표어와 관련이 있는 인종의 문화를 인식/설명할 수 있다.

11) 목표어를 사용하는 비유럽인(non-European peoples)의 문화를


인식/설명할 수 있다.

12) 문화 관련 설명에 대하여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고 문화 관련 정보를


조직화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

 이전 주장의 중심: 언어문화, 가치체계, 행위양식

 Lafayette(1998)의 주장:
• 이들 외에 지리적 기념물, 역사적 성취물, 주요 제도, 예술적 기념물 등 성취
문화까지 폭넓게 문화 교육의 목표 설정

→ 언어와 문화와의 관계에 기인하는 ‘언어문화’의 차원을 넘어 언어와 사회와


문화로까지 문화 교육의 영역 확장

 1990년대 이후
•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가 언어문화, 행위 문화를 넘어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 사회적-경제적 능력(socio-economic competence)까지 키워야 한다는 주장 제기

35
 Tomalin & Stempleski(1993)
• 교수 계획 수립에 따른 Seelye(1988)의 7가지 목표 염두

• 실제 교수 원리 설정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1) 학습하는 언어를 통하여 문화에 접근

2) 각 단원의 학습과 함께 문화적 행위에 대한 학습 진행

3) 학습자로 하여금 필요하다고 느끼는 만큼의 사회-문화적 능력을 갖추도록 함

4) 모든 학습 단계에서 학습자 모국 문화와 목표어 사회 문화 사이의 문화 간


이해를 달성하도록 함

5) 문화 관련 교육이 행위 변화를 함축하기도 하지만 이문화 간 문화적 영향에


대한 자각 및 인내를 의미함을 인식

 성기철(2001)
• 문화 교육의 목표를 상위목표와 하위목표로 분류
• 상위목표: 문화 이해를 통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
• 하위목표:
① 문화의 다원성 이해 ⑤ 언어와 문화의 관계 이해
② 일상적 생활방식 이해 ⑥ 인위적, 자연적 산물 이해
③ 보편적 사고방식 이해 ⑦ 문화 이해와 실천의 태도
④ 보편적 문화 지식 이해 ⑧ 일상생활 적응력

→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과 일상생활 능력의 신장 강조

→ 인위적, 자연적 산물에 대한 이해를 포함 시킴으로써 성취문화를 교육의


대상에 포함시킴

36
 논의 종합
• 외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문화 교육의 범위는 목표 언어 사회에 존재하는
문화적으로 조건 지어진 사실에 대한 이해 촉진으로부터 목표 문화에 대한
감정이입, 대표적인 성취문물에 대한 이해로 볼 수 있음.

• 이를 통하여 의사소통 능력 신장, 이문화 사회에 대한 지적 호기심 충족,


필요한 경우 사회적·경제적 행위 수행에 도움을 얻음에 목표를 두어야 할 것임.

• 결국 문화 교육이 외국어 교육의 보조적인 기능 수행이라는 위치이며, 동시에


외국어 학습과 동시에 진행되는 또 하나의 영역에 대한 학습이라는 이중성을
제기하는 것임.

•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단계, 학습 동기, 개인적 성향에 따라 달라져야 할 것임.

<표1> 한국문화 항목의 다단계 교수 수준 설정의 예(초급-중급)


문화 항목 물건 사기
수준 초급- 중급
물건사기는 초급에서 다루어지는 중요한 소재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물건사기의
다양한 유형 및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다면 물건사기가 초급에만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초급에서는 한국에서의 화폐 단위가 ‘원’이며 물건을 사고 파는 장소로는
주택가 가게로부터 슈퍼마켓, 재래시장, 대형할인점, 백화점 등이 있으며 재래시
장에서는 보통 값을 흥정하는 것이 관행임을 이야기해 줄 필요가 있다.
주요 내용
그리고 다양한 물건사기의 유형을 역할극 등으로 연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학습자 단계가 위로 올라갈수록 필요한 경우에는 반품이나 교환은
어디에서 가능한지, 어떤 방법으로 가능한지, 그리고 뜻대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어떤 대안이 있는지 등을 조사해 발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어디까지나 학습 단계와 학습 목적, 학습자 요구에 맞춰 결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37
<표2> 한국문화 항목의 다단계 교수 수준 설정의 예(초급-중급-고급)
문화 항목 ‘우리’
수준 초급-중급-고급
한국어에 독특한 ‘우리’를 초급 한국어 학습자에게 가르칠 때 ‘나의’가 아닌 ‘우리’
로 써야 한다는 사실과 규범을 전달하는 것은 1차적인 문화 교육이 될 것이다. 즉
한국 사람들이 반드시 ‘우리’라고 써야 하는 경우를 설명해 준다면 학습자의 오류
를 예방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황과 맥락에 적절한 의사소통 활동이 가능해질
주요 내용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교수 범위가 반드시 이와 같은 규범 내지는 사실의 전달에
만 그치지 않는다. 학습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또는 한국어 학습 단계가
높을 경우나 학습자의 요구가 있을 경우 왜 한국 사람들이 ‘우리’라고 쓰는지를 설
명해 줄 필요가 있다. 오랜 농경문화와 정착생활 또는 집성촌에서 비롯된 가족주
의 전통을 얘기해 줄 수도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 ‘우리’를 이해시켜야 할 것이다.

<표3> 한국문화 항목의 다단계 교수 수준 설정의 예(중급-고급)


문화 항목 한국 민담 속의 호랑이
수준 중급-고급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서 한국의 민화나 민담에 호랑이가
자주 등장하는 상황을 접했을 때 학습자는 과거 한국인의 생활과 호랑이가 얼마나
밀접했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인의 어떠한 사고방식을 유추해 낼 수 있는
지를 궁금해 할 것이다. 더욱이 이는 한국의 지형과 지세를 볼 때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일 것이다. 이 때 호랑이 종(種)의 하나로 한국호랑이가 분류될 정도로
주요 내용 한국에는 옛날에 호랑이가 많았으며 호랑이로 인한 피해도 적지 않았음을 이야기
해 준다. 그리고 학습단계 또는 학습자의 관심 수준에 따라 한국인의 관념 세계에
호랑이가 깊이 투영되어 있음을 전달해 준다. 한 예로 단군신화 속에 호랑이가 등
장하고 있는데 한국인은 호랑이의 야수성 등을 기피하여 결국 곰 토템을 숭상하게
되었다는 주장을 소개할 수 있으며, 호랑이에 대한 다중적 인식(보은형, 호식형,
변신형, 우둔형 등)이 널리 퍼져 있음을 얘기해 줄 수 있다.

38
차시 예고
한국어 교육과정과 문화의 도입

39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3. 한국어 교육과정과 문화

2교시
한국어 교육과정과 문화의 도입

1. 주요 한국어 교육과정에서의 문화의 위상


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문화 교육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
• 국내 한국어 교육
: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 → 일반 사회 교육으로 확장
다문화 사회 진전 → 이주 적응 목적 한국어 교육
작업장 한국어 교육

※ 문화: 일반 목적,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위치 차지

40
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과 이주 적응 목적
한국어 교육의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육 과정’에서의 문화의 위상

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 국가 표준의 한국어 교육과정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교육 현장의
요구를 수용하여 국립국어원이 국제한국어교육학회에 의뢰하여 개발한
표준 교육모형

• 표준 교육과정의 표준모형으로 인식

• 문화는 주제, 언어기술, 언어지식과 함께 4대 영역 중 하나로 자리매김


→ 문화의 중요성 확인

• 문화가 도입되는 과정은 Hammerly(1982)와 Hammerly(1986)의 논의에


의존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

41
• Hammerly(1982)에서 제시한 10가지 문화 교육의 목표는 문화지식,
문화실행, 문화관점이라는 세 가지 범주에서 논의된 것이며, 표준모형에서
문화 도입의 원리는 여기에 바탕

• 국제통용한국어교육과정 개발 2차 연구에서 제시한 230개의 문화 항목의 범


주화는 Hammerly(1986)에 의존하고 있음

• Hammerly(1986)에서 문화를 정보문화, 행동문화, 성취문화로 분류하는데


표준모형에서 문화항목의 대분류를 이에 맞춰 진행하였음

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육과정(2012년 개편)


• 한국어 교육과정
① 각 단계별로(0단계의 경우 예외) 총괄목표, 주제, 기능과 과제,
언어지식(어휘, 문법, 발음, 텍스트), 언어기술(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문화, 부록(문법 목록 등)으로 구성

② 추상적 기술과 구체적 기술 병행 제시

42
• 총괄 목표의 핵심 기술 중심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한국어 교육과정 구조

총괄 목표
주제
기능과 과제
어휘 교육목표, 교육내용
문법 교육목표, 교육내용
언어 지식
발음 교육목표, 교육내용
텍스트 교육내용
말하기 교육목표, 교육내용
듣기 교육목표, 교육내용
언어 기술
쓰기 교육목표, 교육내용
읽기 교육목표, 교육내용
문화
부록(문법 목록)

2. 주요 한국어 교육과정에서의 문화의 세부 내용 선정과 배열

 문화 교육 내용의 선정 기준
①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에서 제시한 문화 목록 검토 → 필요한 내용 선정
→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에 제시된 내용 및 대상자 특성에 맞는 내용 추가

② 사회통합프로그램 대상자(결혼이민자, 외국인 근로자 등의 국적 취득 희망자)


특성 → 행동 문화, 정보 문화 중심 내용 구성 (동시에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다문화 현상을 이해하도록 구성)

③ 급별 학습 주제와 연계성 고려 → 언어학습과 문화학습 연계

④ 사회통합프로그램의 문화 영역 난이도
→ 한국어능력시험보다 다소 높은 수준 유지(다른 학습자에 비해 한국어를
사용하는 일상생활에의 노출 정도가 높은 대상자의 특성 반영)

43
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문화
: 담화, 문법과 함께 3대 내용 구성영역으로 자리잡고 있음.

 여기에 포함할 문화란 무엇인가?


• 한국어 교육계에서 두 방향으로 논의 진행 중
① 미시적 접근: 언어문화 중심적 논의
② 거시적 접근: 일반 사회로의 확대

 어떤 경우든 문화를 사회 현상 전반으로 확대해 가는 추세


→ 외국어 교육계: 문화 교육의 목표와 범위에 대한 논의가 초기의 언어 행위,
관습화한 행위 이해 중심에서 일반 사회현상으로의 확대로
발전되어 온 추세와 맥을 같이 함.

 한국어 교육의 교과론 중 내용 구성 영역으로서의 문화


• 거시적인 접근과 미시적인 접근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 즉, 큰 틀을 설정하면서 그 안에 들어갈 세부적인 내용 논의


→ 한국어 문화 교육론의 내용은 좀 더 빠르고 완전하게 정립

44
 한국어 문화 교육론의 내용 구성론 개요
조현용(2003) 조항록(2004a) 민현식(2004b) 민현식(2009)
· 한글과 한국문화 · 언어 문화 · 한국 문화 교육의 · 언어 정체성
· 비언어적 의사소통 · 비언어적 의사소통 정신 문화사적 측면 · 민족적 정체성
· 언어 예절 · 분야 별 문화 요소 · 한국 개관 · 의식주 생활 정체성
· 한국인의 사고와 표현 - 의식주 문화 · 한국 생활 문화 · 국민성(국민의식) 정체성
- 역사 문화 · 한국의 의식주 문화 · 종교적 정체성
- 민속 문화 · 한국의 매체 문화 · 역사적 정체성
- 사상 문화 (영화, 드라마, 언론, 통신) · 국가적 정체성
- 관념과 가치관 · 한국의 창조: 예술과 과학, 발명품
- 일상생활 문화 · 한국의 문학
- 제도 문화 · 한국의 역사
- 예술 문화 · 한국인의 사고방식
- 문학 · 한국의 인물
- 기타 · 한국의 언어문화

 한국어 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교육
• 협의의 접근(조현용)으로부터 광의의 접근(조항록, 민현식)으로 다양

• 하위 구성 요소의 설정 역시 논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 광의의 접근을 볼 때 양자의 논의는 사회 현상 전반을 대상에 포함했다는


점에서 유사

• 하위 범주의 설정에서도 공유하는 부분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음

45
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할 것
• 문화를 한국어 학습 단계에 맞추어 도입해야 함
• 대략적인 논의의 예
<표> 분야별 한국어 문화 구성 요소와 등급과의 관련성(조항록, 2010)
초급 중급 고급
의식주 문화 ◎ ○
역사 문화 ○ ◎
민속 문화 ○
사상 문화 ◎
관념과 가치관 ○ ○
일상 생활 문화 ◎ ○
제도 문화 ◎
예술 문화 ○ ◎
문학 ○ ◎
기타
○ 같은 분야 내에서 보통 수준으로 다룸
◎ 같은 분야 내에서 상대적으로 중점적으로 다룸

 한국어 교육과정과 문화 도입 논의의 정립


→ 문화 교육 과정이나 문화 교수요목의 수립 수월
→ 언어 교육과의 통합적 적용이라는 큰 틀에서 적절하게 반영됨으로써
효과적인 문화 교육 진행

46
차시 예고
한국어 교육과정의 유형과 문화 관련성 이해 1

47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4. 한국어 교육과정의 유형과
문화 관련성 이해 1

1교시
한국어 교육과정의 변화와 문화와의 관계

1. 한국어 교육과정의 변천과 문화와의 관련성


가. 한국어 교육과정의 변천과 인접 학문
 국내 대학 차원의 한국어 교육기관의 변천
1959년 (4월 1일)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969년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재외국민교육원 한국어 교육

1986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한국어문화연수부

1988년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교육과정

1989년 선문대학교 한국어교육원

1990년 서강대학교 국제언어문화원 한국어교육센터

1992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연수평가원 한국어교육과정

1993년 경희대학교 언어교육연구원 한국어교육부

1994년 성균관대학교 성균어학원 한국어과정

48
• 1990년대 후반 이후
: 서울의 건국대학교와 소수의 지역대학에서 한국어 교육 시작

• 2000년대 초반 이후
: 한국어 교육기관의 급격한 확대 현상

 국내 사설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육 변천
1972년 재단법인 언어교육학원 한국어교육과정

1991년 가나다한국어학원

서울한국어학당 한국어과정

1990년대 서울한국어아카데미
중반
서울한국어교육문화원(현 이지코리안아카데미)

코리아헤럴드어학원 한국어과정 등

2000년대 소모 사설 한국어학원 개원(총 10곳 안팎)


이후

49
 국내 다문화사회 진전에 따른 한국어 교육과정
2000년대 성동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유락사회복지관 등 외국인근로자 대상 확대

2007년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이후 국가 참여의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프로그램 실시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 교육프로그램 실시

외국인인력지원센터 한국어 교육프로그램 실시

→ 2015년 상반기 현재 총 7곳 운영

2009년 법무부 ABT(Active Brain Tower) 대학 20곳 지정

다문화강사 양성을 시작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 실시


(2019년 상반기 현재 중앙거점 1곳 등 모두 300여 곳의 운영기관
에서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음)

 특수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1960년대 선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명도원 개원

1960년대 중반 귀국 자녀 대상 서울대 재외국민교육원 개원


중반
(이후 재외동포 자녀 모국 수학 등을 포함하여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으로 개편)

1985년 재외동포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의 여름특별


프로그램 개설
→ 몇몇 대학으로 확대 되었으나 지금은 대부분 미실시

1987년 주한미군 site(경기도 평택 소재 캠프 험프리즈) 프로그램 개설

→ 이후 서울, 의정부 등으로 확대

50
1990년대 건국대학교 외국어교육원에서 외국인 근로자 대상의 한국어 교육
중반 프로그램 개설
2010년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수강을 지원하는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과 한
전후 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 과정 확대

 한국어 교육프로그램과 교육과정의 유형


• 국내 대학 정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과정의 변천
①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정규 프로그램
• 일반 목적 한국어교육과정
• 수업: 1학기 10주 기준 1일 3~4시간
통합수업이 대부분(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등 균형)
• 대상: 고졸 이상의 성인 학습자

② 국내 사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정규 프로그램


• 일반 목적 한국어교육과정

51
③ 이주민 지원 단체의 한국어 교육프로그램
• 일반 목적 한국어교육과정

④ 다문화 사회의 이민자 대상 국가 차원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 이주 적응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⑤ 연세대학교 여름 특별과정
• 일반목적 중심의 한국어교육과정과 일부 민족 교육 목적의 한국어교육과정
통합

⑥ 특수 집단 대상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과정, 민족 교육 목적의
한국어교육과정 등으로 운영

 한국어 교육과정의 변천과 인접 학문의 관련성


• 최초 국어국문학 중심의 기여 이후 누적적으로 인접 학문에서 참여하여
기여해 옴

• 영어교육학 등의 외국어 교육학·국어교육학·언어학과 응용언어학이


한국어교육을 이해하는 데 직접적인 이론적 기초 제공

• 사회과학의 기여 사례 찾아보기 어려움

52
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논의와 문화
 학문적 정체성 논의의 주요 방향
• 기존의 학문적 성과를 인접 학문과의 관련성 하에서 논하는 귀납적 논의를
해야 함

• 한국어교육학의 바람직한 방향 설정과 원리 제시를 통한 논의를 해야 함

• 그러나 기본의 학문적 성과를 인접 학문과의 관련성 하에서 논하는


귀납적 논의가 주를 이룸

• 초기 논의
: 김은주(2001), 박영순(2002), 강승혜(2003), 손성옥(2003), 김하수(2004),
조항록(2005) 등

• 후속 논의
: 서상규(2007), 강현화(2011), 김정숙(2012) 등

• 2014년 서울대학교에서 발간한 ‘한국어교육학사전’에서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유추할 데이터를 다수 찾을 수 있음
• 그러나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관련 연구는 그리 많지 않으며 2019년
현재 기준으로 볼 때에도 명확하게 규명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임

53
• 기존의 학문적 성과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인접 학문과의 관련성 하에서 논의한
대표적인 예: 강승혜(2003)

한국어교육학의
학문 영역 순수 언어학
국어학
언어학
사회 언어학 한국어 음운/어휘/문법/화법 한국 문화
(음운/통사/형태) 한국 사회
심리 언어학
응용 언어학 한국학
한국 정치 한국 경제
교육학 교수법 교육심리학
교육평가 한국 역사
교육과정/교수 설계
교육철학
교육행정/경영

•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방향을 제시한 대표적인 예: 김하수(2004)


– 첫째, 한국어 교육의 역사적 전개를 냉철하게 짚어보고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고유성/독자성 확보하여야 한다.

– 둘째, 지금까지의 연구 방향과 성격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학이 영어 교육론의 재응용 차원의 접근, 응용국어학의 영역,
학제 간 협동 연구의 영역으로만 보아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 한국어
교육학은 국어학의 아류가 되어서도 안 되고 외국어 교육학의 수입
모방품이 되어서도 안 된다.

– 셋째, ‘한국어’에 대한 접근 방법과 언어 정책, 교육심리학, 계량언어학,


심리언어학, 문화와 사회, 사회언어학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54
•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정립 방안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의 예: 조항록(2005)
– 첫째, 한국어 교육학은 다양한 기초 학문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① 1차적으로 교수-학습의 내용이 언어이다. 언어학 영역이 필요하다.

② 교수-학습의 내용이 되는 언어는 구체적으로 한국어이다.


국어학 영역이 필요하다.

③ 교수-학습의 내용이 되는 언어는 사회, 문화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인류학적 접근, 사회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 둘째, 한국어 교육은 기본적으로 교수-학습으로 이루어지는 응용 영역이다.


① 언어 자체에 대한 이해보다는 언어 사용을 중시해야 한다.
총체적으로 응용언어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② 기본적으로 교수-학습의 과정이 존재한다.


심리언어학, 교육심리학, 대조언어학, 오류 분석론, 외국어 교수학습론이
필요하다.

③ 교수-학습의 대상은 한국어이다.


다양한 한국어 교수법 논의가 필요하다.

④ 학습과 함께 습득의 과정이 수반된다.


언어습득론에 해당하는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

55
⑤ 교육은 주로 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교육 과정론, 교사론, 평가론, 교재론, 정책론 등 다양한 교육 과정학적 접근이
요구된다.

⑥ 학습자 중 다수는 재외동포들이고 이들 중 일부는 어렸을 때부터 현지어와


함께 한국어를 습득하기도 하고 학습하기도 한다.
언어습득론, 이중언어교육론이 필요하다.

⑦ 학습자 중 다수는 이미 제1언어를 지닌 성인 학습자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가 많다.
대조언어학이 필요하다.

– 셋째, 한국어 교육학이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언어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다양한 응용국어학 접근이 필요하다.

56
– 넷째, 한국어는 한국 사회, 한국 문화, 한국인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①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넓은 의미의 한국학이 필요하다.

② 한국어는 한국 사회를 바탕으로 하고 한국인이 1차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이다. 그리고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한국언어문화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③ 한국인은 세계에 폭넓게 분포되어 있고 이들 중 다수가 한국어를 배운다.


문화인류학, 기초 수준의 국제학이 필요하다.

 한국어교육학에서의 교과목 설정의 예: 조항록(2005)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론’
• ‘한-일 대조언어학’
• ‘한국어 교수-학습론’
•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 문화론’
• ‘한국 개관’
• ‘재외동포 한국어교육론’
• ‘다문화사회 한국어교육론’ 등

57
 한국어 교육과정에서의 문화 도입의 중요성
• 현시대 외국어 교육학계의 일반적인 추세

• 한국어 학습자의 변인의 다양화와 특성에 맞는 글로벌 시대


세계 시민 교육 육성의 중요성 등 외국어 교육 기능의 변화

• 한국어 교육학에서 문화 교육론은 빠른 시간 안에 중요

• 영역으로 정립되어야 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학문적 논의가


활발해져야 함

2.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교육모형
초기 연구(1차, 2차)에서의 문화의 도입
 한국어 교육 표준화 논의의 전개와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교육모형
• 표준화의 개념에 대한 논의

• 한국어 교육에서의 표준 교육과정 논의의 득과 실에 대한 논의

•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교육모형이란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


어떤 수업인지 생각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교육 표준화 논의도 필요

58
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교육 모형의 세부 교육 내용 개관
범주 1차 연구(2010년) 2차 연구(2011년)

주제 주제 주제 (88개)

어휘 어휘 (11,124개)
문법 문법 (629개)
언어지식
발음 발음 (95개)
텍스트 텍스트 (147개)
과제, 말하기
언어기술 기능/과제 (90개)
듣기, 읽기, 쓰기
문화지식
문화 문화실행 문화 (230개)
문화관점

차시 예고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의 정규과정에서의 문화 교육

59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4. 한국어 교육과정의 유형과
문화 관련성 이해 1

2교시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의 정규과정에서의 문화 교육

1. 한국어 교육과정의 유형과


국내 주요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의 성격(종합)
가. 한국어 교육과정의 유형과 문화 교육의 위상
 한국어 교육과정의 유형

<표> 한국어 교육과정의 유형(총괄)


(1/3)

목적별 한국어 교육과정 특징

-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비교적


장기간 학습을 목표로 운영되는
국내 대부분 한국어 교육기관의 집중과정
일반 목적
정규 과정
- 보통 1학기 10주로 하루 4시간
수업

60
(1/3)

목적별 한국어 교육과정 특징

대학교에서 경제학, 법학, 의학,


일반 목적의 한국어과정을 마친 후에
학문 인문사회학, 공학 등을 전공하기
대학진학을 준비하는 자 또는 대학교에
목적 위한 목적으로 개설되는 전공
수학하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운영
한국어 과정

- 전문기술자, 연구원, 의사 등 특정 분야
직업 종사자를 위한 과정
특수 전문 인력 양성 과정
목적
목적 - 입국 전후에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과정

- 계승어 유지 목적으로 재외동포 자녀를


대상으로 실시
민족 재외동포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 한국어와 한국문화가 주 내용임
교육 한글학교 등의 한국어 교육과정
- 주로 주말에 운영되는 한글학교가 중심
이며 비정규성이 강함

(1/3)

목적별 한국어 교육과정 특징

이주 - 다문화 가정 및 결혼 이주민을 위한
특수 한국 내 이주 후 적응을 목적으로 한국어 과정
적응
목적 하는 한국어 과정
목적 - 다문화사회통합 한국어 과정

- 국내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의
한국어 교육(KSL)
- 선교 한국어 - 특정 목적의 특별 과정 또는 단기 과정 등
기타
- 입양인 한국어
- 귀국자 자녀 한국어 등

61
 한국어 교육과정 내 문화 교육의 위상 비교
•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 이주 적응 목적> 민족교육 목적> 직업 목적> 학문목적

*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교육의 위상


*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서의 문화 능력의 평가

2. 국내 정규 과정에서의 문화 도입의 실제
가. 교육과정에의 포함의 예
 총괄 목표에의 포함
 하위 교육 영역 설정을 통한 문화 교육의 도입

62
 국내 K대학의 예
• 1급 교육과정과 문화
<총괄 목표 내 포함의 수준>
1. 인사하기, 자기 소개하기, 물건 사기, 음식 주문하기, 길 묻기, 약속하기 등
일상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한국어를 교육한다.

2. 기본적인 문장 구조를 이용해 일상생활과 관계가 깊은 주제-자기 자신, 가족,


주말 활동, 날씨 등-에 대해 묻고 대답하는 것을 교육한다.

3. 문자를 읽고 발음하며 도로 표지판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실용문을


읽는 것을 교육한다.

4. 철자법에 맞게 간단한 문장을 쓰는 법을 교육한다.

5. 인사 예절, 식사 예절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한국의 문화에 대해 교육한다.

<하위 영역에 포함된 수준>

영역 1급의 학습 목표

자기 자신, 사물, 동작, 수, 인사, 음식, 쇼핑, 교통, 신체, 병, 약속, 위치,
주제
장소, 계절, 날씨, 일과, 학교 생활, 주말, 취미, 경험, 능력

인사하기, 자기 소개하기, 물건 사기, 길 묻기, 교통편 알아내기,


기능 음식 주문하기, 우체국 이용하기, 요청하기, 부탁하기, 명령하기, 금지
하기, 약속하기, 허가 구하기, 전화하기, 계획 세우기, 능력 표현하기

63
•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순서로 된 기본적인 문장 구조
• 서술문, 의문문, 청유문, 명령문 등 문장의 종류
• 비격식체와 격식체 종결형(‘-습니다’, ‘-어요’ 등)
•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종결형(‘-을까요?’, ‘-을래요’, ‘-을게요’ 등)
• 시제(종결형)
• ‘이/가, 은/는, 을/를, 에,에서, 도, 만’ 등 기본적인 조사
• ‘-고, -어서, -지만’ 등 기본적인 연결어미
문법
• 기본적인 관형사형
• 부사형
• ‘안, 못’ 부정문
• ‘ㅡ, ㄹ’ 탈락과 ‘ㅂ’ 불규칙 활용
• 기본 높임법(-습니다, -시-)
• ‘-기 때문에, -을 때, -으려고 하다,-고 싶다, -어 주세요, -어 보세요’ 등 일상 회화
에서 자주 사용되는 유용한 표현

• 자모와 음절
발음 • 기본적인 음운 변화
• 기본 문장의 억양

• 인사법
• 한국의 음식
• 한국의 날씨
문화
• 한국의 화폐
• 한국의 약국과 병원
• 한국인의 주말 활동

텍스트 교육적 목적으로 만든 자료 이외에 실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간단한


유형 실제 자료를 사용(명함, 메뉴, 광고지, 표지, 영수증, 노래 등)

64
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과 문화 교육
 국내 주요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특성
• 집중과정
• 언어 내적 요소와 의사소통 기능 등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 교육과정
• 다양한 수준에서 언어와 문화가 통합되는 언어-문화 통합 교육과정

 문화 교육을 강조하는 특별 프로그램의 예


월 화 수 목 금

Intensive Intensive Intensive Intensive


제1, 2교시 Intensive Course
Course Course Course Course
(09:00-10:50) (학교 생활)
(하루생활1) (하루생활2) (한국음식 1) (한국음식2)
휴식
(10:50-11:10)
1,2교시 교과
1,2교시 교과
내용 관련
1,2교시 교과 내용 관련
1,2교시 교과 Pair work, 1,2교시 교과
내용 관련 Pair work,
내용 관련 Small group 내용 관련
Pair work, Small group
제3,4교시 Pair work, Small activity, Pair work,
Small group activity,
(11:10-13:00) group activity, Role play Small group
activity, Role play
Role play 또는 또는 듣기 연습 activity,
Role play
듣기 연습 문법 복습 또는 Role play
또는 문화학습
문화 학습
듣기 연습 (한국 요리실습)
(한국영화 감상)

65
 한국어 교육 과정에 포함된 문화 교육 요소(초급의 예)
(1) 한국의 문자, 어휘
• 한글의 창제자와 창제 시기
• 한국어의 문자 체계와 형태론적 특징
• 가족, 친척 호칭의 발달
• 고유어와 한자어의 병존

(2) 언어 생활 규범
• 한국어의 겸양법, 경어법에 나타난 한국인의 대인 관계 규범
• 호칭의 적절한 사용
•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적절한 사용

(3) 한국인의 의식주


• 한국 음식의 종류, 맛
• 한국 음식을 먹는 방법
• 한국인의 주거 형태(아파트, 단독 주택, 연립 주택 등)
• 한국 가정의 구조
• 식당에서의 음식 주문 방법 및 음식 배달 방법
• 청소년의 음식 문화(햄버거, 피자 등의 선호)
• 한복

(4) 현대 한국인의 생활 속에 남아 있는 전통 문화적 요소


• 한국인의 통과의례 중 돌과 결혼

66
(5) 한국의 공공 시설과 제도
• 교육 제도(공교육 기관의 종류와 학제)
• 관공서 업무 시간
• 도서관, 체육관 이용 방법
• 은행 이용 방법
• 약국과 병원 이용하기
• 주소와 우편번호 표기 방법
• 전화번호 표기 방법

(6) 한국의 계절과 날씨


• 4계절의 구분
• 계절 별 날씨
• 현대 한국인의 계절 즐기기

(7) 한국인의 사고방식


• 상대방에 대한 관심의 표현과 ‘우리’ 의식
• 음식 값 지불과 한국인의 의식

(8) 한국인의 취미 생활과 여가 생활


• 한국인의 취미 활동
• 한국인의 주말 생활
• 여가 생활의 변천

67
(9) 한국인의 경제 활동
• 한국의 재래시장과 백화점
• 물건 값 깎기
• 신문의 대형 광고, 광고 전단지 읽기

(10) 한국인의 학교 생활, 직장 생활


• 학교 내 시설 이용하기
• 출퇴근 시간
• 월급제(최근 늘어나는 연봉제와 함께)
• 직장인의 취미 활동(동호인)과 회식

(11) 한국 사회의 예절
• 물건 주고 받기
• 웃어른에 대한 예절
• 식사 예절
• 초대와 방문 예절

(12) 한국의 교통
• 대중 교통 수단의 종류와 이용하기
• 서울의 교통 체증

68
(13) 숙박 시설물 소개와 이용 방법
• 하숙, 여관 소개
• 호텔 이용하기

(14) 한국의 자연, 지리, 관광지


• 한국의 지리적 특징(위치, 크기, 인구 등)
• 유명한 관광지 소개(민속촌, 설악산, 경주, 제주도 등

차시 예고
한국어 교육과정의 유형과 문화 관련성 이해 2

69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5. 한국어 교육과정의 유형과
문화 관련성 이해 2
1교시
한국어 정규 교육과정과 문화 교육(‘교수방법’)과
한국어 비정규 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교육 관련성 이해

1.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에서의 문화 교육 방법
가. 외국어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방법 개관
 설명
• 교육 자료, 실제 교육 현장에서 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문화 요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 등을 기술하거나 구두로 설명함

 비교
• 목표 문화와 학습자 문화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얘기하도록 하는
것으로 목표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는 방법임

70
 문화감지도구의 활용
• 학습자 모문화와 목표 문화 사이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학습자가 목표 문화를 어느 정도 인지하여 적절하게 행동 하는지를
퀴즈 등을 통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학습자의 적응과정을 스스로 이해하고
목표 문화에 적응해 가도록 하는 방법임

 문화 캡슐
• 목표문화와 모문화, 양자의 주요 특징적 양상을 비교하여 보여주고
학습자로 하여금 차이점에 대하여 얘기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시각 자료와 실물 자료 등을 활용함

 문화섬
• 교실 등에 목표 문화를 나타내는 자료를 풍부하게 게시, 전시 반영함으로써
학습자가 목표 문화 환경에 놓이도록 하는 방법임

 역할극
• 문화적 함의가 큰 활동을 역할극을 통하여 실제로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문화 적응을 돕도록 함

 관찰, 참여관찰
• 목표 문화 사회를 관찰하여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도록 하거나
직접 목표 문화 사회에서 구성원과 동일하게 행동하도록 함으로써
문화 적응이 일도록 함

71
나. 문화 교육 방법의 개요
 문화 교육은 한국어 학습 단계에 맞추어 실행되어야 하므로 초급과 고급의
방법에는 큰 차이가 있음

 초급의 경우 주로 시청각 자료 등 이미지 의존도가 높고 기본적인 이해,


정보 파악, 간단한 문화 행동 실행 수준에 머무름

 고급으로 올라갈수록 문화 관점을 분명히 갖게 되고 특정 문화 요소에 대한


평가, 분석이 주를 이룸

다. 한국어 교육기관에서의 문화 교육 활동(초급의 예)


1) 설명
• 문화 교육 항목에 대하여 설명 방식으로 가르침

• 도표, 그림 등을 보조적으로 활용하면 효과가 큼

• 한글의 창제, 한국어의 문자 체계와 형태론적 특징, 고유어와 한자어,


한국어의 겸양법/경어법에 나타난 한국인의 대인관계 규범, 타인에 대한
호칭 등 한국의 문자, 어휘, 언어 생활 규범 등

72
2) 실물, 사진, 그림의 제시와 영상물의 감상
• 그림, 사진, 영상물과 같은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문화 이해를
촉진함

• 간단한 설명을 곁들이거나 영상물의 경우 요약문을 배포하면 효과가 큼

• 한복, 한국인의 통과 의례, 한국인의 주거 형태, 한국 가정의 구조,


한국 음식의 종류, 한국의 유명한 관광지 소개 등

3) 실제 활동의 동원
• 문화 교육적 함의가 있는 활동에 학습자가 실제로 참여하도록 함

• 주소와 우편번호 쓰기, 전화번호 메모하기, 광고 전단지를 읽고


상품 선택하기 등

• 의사소통 기능 학습과 연계 시키면 더욱 의미가 있음

4) 역할극 등 학습자 활동을 통한 교육


• 교실에서 교육 목적상의 형태적 조작을 통해 문화적 함의를 갖는 실생활
과제를 역할극을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함

• 식당에서의 음식 주문, 대중 교통 수단 이용하기, 호텔 투숙, 물건 값 깎기 등

• 의사소통 기능 학습과 연계 시키면 더욱 의미가 있음

73
5) 자국 문화와 비교하여 말하기
• 비교문화적 접근을 통하여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강화하고 문화 내용에
대한 이해를 촉진함

• 개인화(personalization)의 과정이라는 측면도 큼

• 한국의 교육 제도, 계절의 특징과 계절 놀이, 취미 활동, 주말 생활 등

6) 현장 견학
• 교사와 함께 문화적 함의를 갖는 곳을 방문하여 직접 체험하는 방법과
주말 과제로 교사의 도움 없이 학습자가 현장을 견학하는 방법 등

• 견학 가기 전에 견학의 목적, 견학지에 대한 사전 이해와 견학지에서의


자료 수집이나 문화 활동 체험 등이 부과되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음

* 예를 들어 학습 목적을 가지고 재래시장에서 물건을 산다든가 경복궁을


방문하여 사진을 찍어와 설명하도록 하는 등은 학습자에게 유목적적인
학습 활동을 요구함

74
7) 관찰, 참여 관찰 등 의사소통 민족지학의 접근법 활용
• 학습자로 하여금 목표 언어 사회에서 일어나는 문화적 현상을 관찰하거나
직접 참여하여 체험한 것을 기술하도록 하는 의사소통 민족지학적 접근
방법은 문화 교육에 유용함

• 교사의 지침에 따라 특정의 문화적 행위, 예를 들어 한국인의 음식 값 지불


방법, 한국 대학생의 학교 생활, 한국인의 식사 예절 등을 관찰한 후
발표하도록 함

라. 한국어 교육기관에서의 문화 교육 활동(고급의 예)


1) 설명
• 한국의 역사·민속·일반어에 얽힌 어원어, 유행어와 신조어, 속담, 고사성어,
관용어, 종교어, 정치제도 등에 대한 설명

2) 문학 작품의 이해와 활용
• 소설, 시 등 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작품 속에 내재되어 있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 시대적 배경, 한국인의 의식구조 등을 가르침

75
3) 신문, 영화, 드라마의 활용
• 신문, 영화, 드라마 등을 보고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 문화 요소에 대한
이해를 하고, 독자 투고, 학습자 모국의 경우와의 비교 등을 통하여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한국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도록 이끌어 감

4) 토론회
• 문화 교육적 의미가 큰 주제를 정하여 자유토론, 찬반 토론 등을 진행함

5) 설문 조사
• 학습자가 관심을 갖는 주제에 대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서면 또는
구두로 인터뷰를 하도록 함

• 설문 준비를 위하여 학습자는 관련 주제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도록 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교실에서 발표하고 이에 대하여 토론을 진행하도록 함

6) 시사 좌담회
• 한국어 학습자로 하여금 그날 그날의 시사 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함으로써
현대 사회를 이해하도록 함

• 신문이나 잡지, TV뉴스, 또는 한국 친구와의 대화 등을 통하여 얻게 된


새로운 소식을 교실에서 간단하게 발표하고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눔

76
마. 한국어 교육기관에서의 문화 교육 활동의 유의점
 한국어 학습 단계와의 관련성 확보

 실생활 활용 가치의 존중

 문화 교육 요소에 대한 교사의 가치 판단 문제(한국 문화가 우수하다는


인식을 배제하고 가치 중립적으로 접근해야 함)

 학습자 요구에 맞춘 문화 교육과정 등의 개발이 시급

2. 비정규 한국어 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교육의 실제


가. 비정규 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교육 개요
 교육 현장에 따라 문화 교육의 편차가 큼(사설 학원의 경우 문화 도입이 거의
없으나 단기 프로그램, 이주민 대상 교육의 경우 문화 도입의 비중이 매우 큼)

 비정규 교육 현장에서는 정보 전달이나 문화 이해, 문화 분석보다는 문화 관점


설정, 문화 행동 실행 등이 주를 이룸

 비정규 교육 현장에서는 문화 교육에서 언어와의 통합적 접근의 수준이 낮음

77
국내 비정규 프로그램에서의 문화 교육의 실제1
(국내 대학의 단기 프로그램)
월 화 수 목 금
Intensive Intensive Intensive Intensive
제1,2교시 설날특별
Course Course Course Course
(09:00 -10:50) 프로그램
(하루생활1) (하루생활2) (한국음식 1) (한국음식2)
휴식(10:50-11:10)
1,2교시 교과 1,2교시 교과
1,2교시 교과 1,2교시 교과
내용 관련 내용 관련
내용 관련 내용 관련
Pair work, Pair work,
제3,4교시 설날특별 Pair work, Pair work,
Small group Small group
(11:10 - 13:00) 프로그램 Small group Small group
activity, activity,
activity, activity,
Role play 또는 Role play 또는
Role play Role play
듣기 연습 듣기 연습
점심(13:00-14:00)
문화체험 문화체험
제5,6교시 설날특별 문화체험 문화체험
(사물놀이/한국 (사물놀이/한국
(11:10 - 13:00) 프로그램 (K-Pop) (K-Pop)
댄스 선택) 댄스 선택)

국내 비정규 프로그램에서의 문화 교육의 실제2


(이민자 대상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의 문화 교육)
<각 학습 단계별 문화 교육 내용>
- 인사하기, 기본적인 쇼핑 장소와 쇼핑 문화, 기본적인 한국 음식 문화
- 공휴일, 행정구역, 관광지, 긴급 전화번호, 화폐, 한국의 주요 상징
1단계
(한복, 김치, 태권도 등)
- 한글, 간단한 호칭과 지칭어, 인사 표현

- 전세와 월세 제도, 한국의 주거 형태, 온돌, 특별한 날 먹는 음식, 음주 예절,


계절 음식, 계절 활동, 재래시장과 대형마트, 홈쇼핑/인터넷 쇼핑
- 경조사, 방문 예절, 선물, 직급
2단계
- 명절, 결혼 문화, 기본적인 교육제도, 분리수거, 교통수단과 교통표지
- 여행, 주요 관광지, 주요 유적지(숭례문, 경복궁, 불국사 등)
- 외국인 지원 서비스, 공공기관 이용하기
(1/2)

78
- 생활 예절, 명절 음식, 주택, 공공시설 이용, 생활 편의 정보(서비스센터, 배송),
각종 카드 이용
3단계 - 전통 문화(판소리, 사물놀이, 민속놀이), 한국인의 사고방식, 관광지와 명소의
특징, 한국의 지형
- 회식/모임 문화, 지역 축제, 복잡한 호칭과 지칭어

- 결혼 문화, 교육열, 고령화 사회, 다문화 사회, 직장 문화, 유교 문화, 동호회,


여가생활
4단계 - 정부 조직, 한국의 경제 성장 과정, 사회보장제도
- 한국의 역사 개관, 한국의 과학
- 대중예술과 공연관람문화, 한류
(2/2)

 비정규 한국어 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교육의 문제점


• 학습자 요구조사의 부족
•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 접근 논의 부족
• 문화 교육 담당 교사 육성의 문제
• 가치중립적 접근 노력이 필요

79
차시 예고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의 문화 도입 방법

80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5. 한국어 교육과정의 유형과
문화 관련성 이해 2

2교시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의 문화 도입 방법

1. 한국어 교재 발전의 역사에서 본 교재 내 문화 도입


가. 1998년 이전의 한국어교재와 문화의 도입
 1959년 연세대 한국어학당의 설립 이후 곧 한국에서 한국어 교재가 개발되기
시작하였음

 연세대 한국어학당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한 『An Intensive Course in


Korean Ⅰ,Ⅱ』(1960, 1965), 주한 미군 사용 목적의 『Learn Korean Ⅰ, Ⅱ, Ⅲ,
Ⅳ』(1963), 선교사 대상 교육기관인 명도원의 『Myungdo's Korean』(1968),
재외국민 모국 수학 목적의 새국어독본, 새국어회화, 새국어작문, 새국어문법 등
이 초기의 교재의 전부라고 볼 수 있으나 여기에 문화는 도입되지 않았음

81
 1970년대 초반에 『An Intensive Course In Korean Ⅱ』 (박창해, 1975),
『Korean 1』(박창해, 1973)가 개발되고 1980년대 초반에 『Korean For
Missionaries』(1982), 『선교사 한국어 교본』(1980)이 발간되었으나 역시
문화가 도입되지 않음

 1980년대 중반~1990년대 초반에 한국어 교재가 다수 발간 되었으나 역시


문화 도입의 예를 찾을 수 없음. 연세대 한국어학당의 한국어독본(초급, 중급,
고급), 이화여대 언어교육원의 교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의 교재가 대표적
이나 문화 도입의 예를 찾을 수 없음

 1990년대 중반에 연세대 한국어학당의 교재 한국어1 ~ 한국어 6이 완간


되었으며 이 때 한국어 4 ~ 한국어 6에 매 단원의 끝에 문화해설란이 설정됨.

 그러나 문화해설란은 대부분이 전통문화를 내용으로 하는 단순 텍스트로서


교과 외 보충자료의 성격을 가짐. 실제 교실에서 문화에 대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예가 없이 학습자의 심화학습용으로 포함된 것임

82
 그러나 교재 안에 문화적 요소의 도입이 주제 선정이나 본문 내용 구성에서
일부 다루어지고 있었음.
예를 들어 주제 선정에 있어 한국음식, 한국의 명절, 한국의 민간신앙, 한국의
경제 등을 주제로 택하는 과정에서 문화의 도입을 염두에 두었던 것으로 볼
수 있음. 또한 본문 구성, 문법 설명에 있어 다양한 내용의 문화 요소 도입의
예를 찾을 수 있는데 그 예는 다음과 같음.

ⅰ) 본문 속에 제시된 문화 정보의 예: 명시적인 경우1 (연세대 한국어 1)


• 존슨: 한국 음식은 보통 맵고 짠데 이건 그렇지 않군요.
• 영수: 예, 한국 음식 중에 맵지 않은 음식도 많아요.
→ 여기에서 학습자는 한국 음식의 기본적인 특징(보통 맵고 짜다. 그러나
맵지 않은 음식도 많다)에 대한 몇 가지 정보를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다.

ⅱ) 본문 속에 제시된 문화 정보의 예: 명시적인 경우2 (연세대 한국어 2)


• ...한국음식은 수저로 먹습니다. 숟가락과 젓가락을 따로따로 써야 합니다.
아랫사람은 윗사람이 수저를 든 후에 먹어야 합니다.
→ 이 구문은 한국음식을 먹는 방법과 기본적인 예절에 대하여 일목요연
하게 설명하고 있다. 학습자는 본문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문화 정보를
얻게 될 것이다.

83
ⅲ) 문법 설명에 제시된 문화 정보의 예 (연세대 한국어 1)
 Personal Pronouns
• Pronoun usage(i.e. speech level) differ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er and hearer, and between these and third persons.
 First Person
• 나: Basic first-person form
• 저: 저 is used to lower or humble oneself when the hearer occupies a
social ranking than the speaker.
• 우리: First-person plural. Koreans often use 우리 rather than 저 or 나.
 Second Person

→ 인칭대명사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한국인의 대인관계 규범 중 일부를 전달하


고 있으며 동시에 문화적 특성을 갖는 '우리‘에 대한 간단한 정보를 주고 있다.

ⅳ) 어휘를 통한 문화 정보 제시의 예 (연세대 한국어 1)


• 가: 어제 무엇을 하셨습니까?
• 나: 어제 김장을 했습니다.
→ 이 대화에서 ‘김장’의 도입은 의도적인 것으로 보인다. 즉 한국인의 식생활
중 대표적인 김치와 관련된 정보를 주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ⅴ) 맥락 구성을 통한 문화 교육 (연세대 한국어 1)


<버스 안에서>
• 할머니: 가방 여기 놓으십시오.
• 존슨: 괜찮습니다.
→ 외국인에게 매우 낯선 것으로 느껴지는 버스 안에서 가방을 들어주는
풍습을 묘사하고 있다.

84
 이러한 예는 1990년대 중반 이전의 교재가 문화 교육적 측면을 도외시한 것이
아님을 의미함.

 그러나 전체 교재 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아 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은


그리 크지 않았음.

 뿐만 아니라 교재와 관련된 교사지침서와 워크북이 함께 편찬된 예가 없어


문화 교육은 상당 부분 교실에서 교사의 교수 활동에 의존한 것으로 볼 수 있음

나. 1998년 이후의 한국어교재와 문화의 도입


 1998년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의 새로운 교재 <말이 트이는 한국어
(pathfinder)>가 발간되면서 문화가 교수 학습의 대상으로 포함됨.
즉 연세대 한국어학당의 한국어 4 ~ 한국어 6이 최초이나 실제 교수 학습용으
로 문화가 포함된 것은 1998년의 이화여대 교재로 볼 수 있음.

 1998년 이화여대 교재 이후 발간되는 모든 교재는 문화를 교수 학습의 대상


으로 설정하여 단원 안에 포함하기 시작함.

 1998년~2000년 사이에 개발된 선문대, 서강대, 경희대 교재의 경우 교재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나 거의 매 단원의 끝에 문화를 독립적인 학습 단계로
설정함

85
 좀 더 구체적으로 각 교재가 교수요목의 작성에 있어 주제, 어휘, 문법, 기능
등과 함께 문화를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포함하여, 각 단원의 주제/소재에
해당하는 문화항목을 선정하여 설명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 교재에 따라
사진 또는 그림을 함께 제시하거나 외국어로의 번역문을 제시하고 있음.

 1998년부터 2001년 사이에 출간된 8종의 초급 교재 중 6종은 거의 모든


단원에 문화항목을 선정하여 설명하였으며 2종은 대략 3개 단원마다
문화항목을 하나씩 선정하여 설명하였음.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개발되는
모든 교재는 문화를 담고 있음.

2. 최근 개발 교재에서의 문화 도입
 교재의 일반적인 구성이 도입-제시-연습-활용(과제)-정리라는 구성 체계를
가진다고 볼 때 문화는 대체로 활용(과제) 단계 이후에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그러나 이화여대 교재의 경우 매 학습 단계 안의 필요한 부분에
‘쉼터’라는 이름으로 하여 문화 정보를 부가적으로 제시하고 있음

 이와 함께 도입부의 시각 자료의 활용에 있어 문화적 함의가 큰 것을 선정함


으로써 문화 도입의 의미를 갖기도 하고 활용(과제) 단계에서도 실제 자료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함의가 큰 것을 선택함으로써 문화 도입의 의미를
키우고 있음.

86
 문화를 도입함에 있어 관련 이미지 등을 활용함으로써 흥미를 돋우고 이해를
촉진함

 언어와 문화의 통합 교재뿐만 아니라 문화학습을 주목적으로 하는 언어와


문화의 분리 교재의 개발도 속속 이루어지고 있음

 도입되는 문화의 요소도 과거 언어 중심성에서 일반 사회 현상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음

 교재 안 문화 도입의 예
<몽골인을 종합 한국어 6권 10과>

<문화>

대한민국, Korea

1. 생각해 봅시다.
(1) 여러분 나라의 이름은 여러분 나라말과 영어로 표기할 때 같습니까?

(2) 여러분 나라의 이름이 자국어와 영어로 표기할 때 다르다면 왜 그렇습니까?

87
2. 다음은 ‘Korea의 유래’에 대한 글입니다.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한국의 공식명칭은 ‘대한민국’, 영어로는 ‘Republic of Korea’이다. 흔히 ‘코리아(Korea)’라고 부르는


데 이 ‘코리아’라는 이름은 어떻게 서양에 알려지게 된 것일까?
‘코리아’라는 명칭이 서양에 알려진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으나 일반
적으로 고려(918∼1392)의 중국어 발음인 ‘까우리’가 유럽에 전해져 발전한 것으로
벽란도 지도 알려져 있다. 고려시대에는 중국 송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와의 무역이 활발했는데
그 당시 대표적인 무역항이었던 벽란도를 드나들던 아랍 상인들이 서양에 ‘고려’를 소
개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서양의 문헌에 ‘코리아’라는 이름이 최초로 등장하는 것은 프랑스인 G. 뤼브뤼키가 쓴 <동방여행기>
에서이다. 뤼브뤼키는 13세기 중반 당시 교황이었던 인노켄티우스 4세와 프랑스의 루이 9세의 친서
를 가지고 몽골을 방문했던 프랑스인으로 자신의 저서 <동방여행기>에 중국 동쪽에 카울레(caule;
‘고려’의 중국어 발음 ‘까우리’를 그대로 옮긴 것)라는 나라가 있다고 기록했다. 그 뒤에도 원나라에서
벼슬하고 돌아간 이탈리아인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도 '카울리(Cauly)'라는 명칭이 등장한다.

서양의 지도에 한반도가 표시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부터인데 1568년에 두라노가 만든 지도에는


‘Conray’로 1601년에 헤레라가 만든 지도에는 ‘Cory’ 등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이 명칭은 스페인어로는 ‘Corea’, 프랑스어로는 ‘Corée’로 정착되었다가 19세
기 후반 경에 영어권에서 ‘C’가 ‘K’로 바뀌어 ‘Korea’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1) ‘Corea’라는 이름이 생긴 시대는 언제입니까?


(2) ‘Corea’라는 이름은 서양에 알린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이었습니까?

3. 여러분 나라말로는 ‘한국’을 어떻게 부릅니까? 그 이름의 유래는 무엇입니까?

88
차시 예고
한국어 교육 자료와 문화

89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6. 한국어 교육 자료와 문화

1교시
한국어 교육에서의 언어와
문화의 통합교육용 교재 개발

1. 한국어 교육에서의 언어와 문화의 통합 교재 개발의 필요성


 언어와 문화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전개
(문화의 언어결정론, 문화상대성 논의 등)

 외국어교육에의 문화의 도입 가속화

 의사소통중심의 교수법 논의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 구성요소로서의


문화 능력의 중요성

90
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도입을 위한 구체적 방안의 도출1
(Stern의 4중적 교육과정 논의)

 과제수행중심의 교수법에서의 문화의 중요성 부각

 수행중심의 교수법 논의의 주요 원리로서의 언어와 문화의 통합 논의

 미국 정부가 발표한 21세기를 대비한 외국어교육의 원리(5C)

 교재의 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교재 내 언어와 문화의 통합 교육을 위한 장치


를 마련하는 것은 교재 개발의 기본 원리로 작용하게 됨

 이는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의 개발과 교수요목의 개발(주제의 선정, 단원 내


문화 학습 단계의 내용 등)에 반영됨

 언어와 문화의 통합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방식을 채택하여 적용함

91
2. 한국어와 한국문화 통합 교육용 자료 분석
가. 교재의 내용 측면(초급의 사례)
 1998년 이후 2000년대 초반 사이에 개발된 초급 교재의 내용을 분석해 볼
때 아래와 같은 것이 문화항목으로 채택되어 교재에 반영됨
• 비교적 순수 전통 문화: 총 11개 항목
백의민족, 십장생, 한국의 전통적 미인, 숫자 4, 한국 사람과 수, 주거형태
(전통), 가마, 옛날의 일기예보, 태극기, 태극기/애국가/아리랑, 사물놀이

• 비교적 전통에 기반을 둔 현대 일상 문화: 총 51개 항목


한국인의 이름, 가족 호칭, 돌과 회갑, 식사예절, 한국음식, 가족관계, 생활 속
의 미신, 예의바른 한국생활, 한국의 결혼, 백일/돌/환갑, 한복, 재미있는 의성
어, 인사법, 사회위계와 호칭, 다양한 인사말, 날짜쓰기, 한국인의 사적 질문,
음식 값 지불 방법, 한국인의 몸짓언어, 한국 집에 들어갈 때의 예절….
한글과 세종대왕, 태권도, 태권도, 한국의 기후, 한국지도와 관광지, 한국 소
개, 서울시 역사 문화 관광, 한국의 시장, 한국의 공휴일, 서울의 박물관

92
• 비교적 순수 현대 문화: 총 19개 항목
주부들의 주말, 바람맞다(맥락에 근거함), 한국인의 여가활동, 명함 교환,
휴일과 고속도로, 서비스 전화번호, 한국의 교육제도, 한국의 화폐, 근무 시간,
주거지 명칭과 표현방법, 주택의 종류, 서울, 서울의 지하철 체계, 한국의
주요 전화 번호, 한국의 지하철, 신촌과 서강대, 버스전용차로, 한국의 주요
전화번호, 지하철 노선표 이후 최근에는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등
이 개발되면서 문화항목의 선정에는 큰 변화가 일고 있음

나. 최근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나는 언어와 문화의 통합 교육 방식


1) 본문 속에서의 제시
• 최근에 개발되는 모든 교재는 주제-과제/기능-문법-어휘가 상호 연관된 상태에서
집필되고 있음.

• 그리고 본문 대화의 제시는 대체로 사회·문화적 맥락과의 연관성 하에서 적절한


담화 상황이 설정되고 있음.

• 비록 문화항목을 분리 설정하지 않는다 해도 본문 속에 문화적 함의를 갖는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문화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

예) 마이클: 요즘 비가 참 많이 오는군요. 여름 내내 이렇게 비가 오나요?


영수: 한국에는 장마철이 있어요. 보통 6월 말부터 한 달 동안 비가 많이 와요.
그 후엔 더운 날씨가 계속 돼요.
→ 여기에서 학습자는 한국의 장마철에 대한 기본 정보를 알 수 있다.

93
2) 설명 방식의 사용
• 문화 교육과 관련하여 전통적으로 활용되어 오는 방법으로 문화항목을 설정
하여 한국어 또는 학습자 모국어로 설명하는 방법임.

• 현행 한국어 교재들이 주로 채택한 방법으로 사진 또는 그림을 곁들이는


경우도 많음.

• 문화항목의 분리 설정은 본문의 담화상황과 맥락을 충분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한국의 문화에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문화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임.

• 다만 내용의 적절성이 보장되어야 하고 학습자 모어 사회와의 비교 기술


등이 도입되면 더욱 효과적일 것임

3) 돌출 창의 설정(tips) 및 단편적 기술
• 본문의 담화 상황, 맥락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화적 정보는
본문 옆에 돌출 창을 설정하여 학습자 모국어로 간단하게 설명해 주는 방식임.

• 이를테면 한국인의 인사 예절 등을 가르칠 필요가 있을 때 본문 대화 또는


본문 내 적당한 곳에서 돌출 창을 설정하여 인사말과 함께 허리를 약간
구부리는 게 좋다는 내용의 설명과 함께 그림을 함께 보여줌.

94
4) 문화 정보의 제시와 퀴즈
• 주로 활용 내지는 과제 학습 단계에서 도입하는 방식임.

• 학습자가 외국어 학습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된 문화항목 또는 문화정보


를 범주화하여 정리한다면 문화적 능력은 빠르게 향상될 것임.
더욱이 퀴즈라는 과제 활동을 채택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함.

• 초급의 경우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고려한다면 학습자 모국어로 제시할 수


있으나 선수 학습 범위 내에서 학습자 목표어로 제시한다면 읽기 이해력도
함께 촉진시킬 것임

5) 문화정보의 제시와 빈칸 채우기


• 역시 활용 내지는 과제 학습 단계에서 적용하는 방식임.

• 퀴즈와 유사한 과제의 성격을 가지나 다양한 활용 방법을 동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특히 최근 외국어 교수법에서 많이 강조되고 있는 비교 접근 등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95
예) 여러분은 이 단원에서 한국의 계절과 날씨에 대하여 공부하였습니다.
한국의 계절과 날씨가 여러분 나라와 어떻게 다른지 아래의 빈칸을
채워 보십시오.

나라 이름 한국 ( )

계절 이름

날씨

계절 활동

6) 문화항목 기술 + 역할극
• 역시 활용 내지는 과제학습 단계에서 적용하는 방식임.

• 본문과 관련한 문화항목을 기술한 후 역할극을 제시한다면 문화 학습을


더욱 촉진하게 됨.

• 이는 말하기, 듣기 기술 등 언어 기능의 향상도 함께 기대할 수 있으며 흥미


있는 주제를 택한다면 학습 활동을 촉진하게 될 것임. 제시하는 언어는 학습
자 수준에 맞추어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문화항목의 기술
대신에 상황을 제시할 수도 있음.

• 예를 들어 물건사기를 주제로 할 때 백화점과 시장의 비교는 매우 흥미 있으


며 유익한 소재가 될 수 있음. 이후에 남대문 시장에서 물건사기를 역할극으
로 제시할 수 있음

96
차시 예고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웹 기반 문화 교육자료 개발

97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6. 한국어 교육 자료와 문화

2교시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웹 기반 문화 교육자료 개발

1. 웹 기반 문화 교육자료의 개념과 기능
가. 웹 기반 자료의 장점
 하이퍼 텍스트를 활용할 수 있음

 개별화 학습이 가능함

 시간·공간을 초월하여 학습이 가능함

 자료의 전부 또는 부분 가공이 가능함으로써 현장 특화된 자료의 산출이 가능함

 그때그때 업데이트를 할 수 있어 자료의 실제성을 확보할 수 있음

98
나. 웹 기반 문화 교육 자료란?
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할 목적으로 개발하여 웹 사이트에서 서비스하는
다양한 유형의 문화 교육 자료

 한국어와의 통합 교육을 목적으로 개발하여 웹에서 서비스하는 문화 교육자료


뿐만 한국어 교육과의 통합을 전제로 하지 않은 채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능력
을 키울 목적으로 개발한 문화 교육자료를 모두 포함

 웹 기반 문화 교육 자료는 개별 문화항목에 대한 시각 보조 자료로부터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DVD 등 복합 시청각 자료를 모두 포함

다. 웹 기반 문화 교육 자료의 기능
 문화 교육의 특성상 이해를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시청각 자료가 필요한데
웹에서 이를 구현하기 적절함

 문화의 개념 및 범위가 광범위한 상태에서 특정 문화 요소에 대한 개인별


선호도 또는 요구가 다양한 상태에서 개인화 학습을 보장하는 웹 활용의
가치가 큼

 효율적인 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의 축적 및 활용을 위해서는 웹의 장점인


하이퍼 텍스트성 등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음

99
 무엇보다 한국어 교육 현장이 전세계에 산재해 있는 상태에서 자료 접근성을
확보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웹 사이트를 활용할 때
이를 충족할 수 있음

 웹 기반 자료는 교육 현장에 따라서는 현장 특성에 맞춰 각색 등이 필요한데


웹에서 내려 받아 적절하게 각색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현장 맞춤형
자료 개발이 가능함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 참고할 수 있는 웹 기반 문화 교육 사이트>

개발기관 사이트 주소 메뉴이름(하위메뉴)

세종학당재단
www.sejonghakdang.org 즐겨요
누리세종학당

한국문화정보원
www.culture.go.kr 문화공감 → 문화영상
문화포털

문화체육관광부
www.kocis.go.kr 알림 → 홍보자료
해외문화홍보원

코리안 웨이브
재외동포재단 www.korean.net
(Korean Wave)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인문과학 → 언어·문학 →한국어학


www.kocw.net → Dynamic Korean Exciting Hallyu
KOCW

100
<개발 목적 및 특징>

개발기관 메뉴이름 개발 목적 및 특징

• 전세계 세종학당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풍부하고 다양한 문


화 관련 자료 제공
세종학당재단
즐겨요 • 생활, 여행, 대중문화, 만화/애니메이션(웹툰, 애니메이션)
누리세종학당
으로 나누어서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자료는 다국어로 제공
됨.

•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트는 아니지만 한국문화 관련하


문화공감 여 방대한 자료를 탑재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일부는 한국어
한국문화정보원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치를 가짐

문화포털
문화영상 • 특히 문화영상 메뉴의 여러 영상 자료는 한국문화를 이해하
는 데에 도움이 클 것으로 보임

(1/2)

개발기관 메뉴이름 개발 목적 및 특징

• 영상을 통한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자 함


알림
문화체육관광부
→ • 한국의 유네스코 문화유산과 현대문화 영상이 많음
해외문화홍보원
홍보자료
• 영상 이외에 KOREA라는 정기 저널도 탑재하고 있음

• 한국의 역사, 한국의 음식, 여행/축제, 영화/ 공연으로 분


코리안 웨이브 류되어 있음
재외동포재단 (Korean • 대한민국과 재외동포가 서로 정보를 교류하고 양방향 커
Wave) 뮤니케이션 을 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사이트로서
문화 교육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음

인문과학→ • 전공 강의와 테마 강의로 분류, 학문적 목적 강의


모두를 위한 언어·문학→ • 경희 사이버대학교에서 강의 제공
한국어학→
열린 강좌 Dynamic
• 드라마, 대중가요, 예능 프로그램 등 친숙한 한류 콘텐츠
KOCW Korean 의 주요 소재를 매개로 하여 한국 문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Exciting Hallyu 차시별로 기본적인 상황에서 필요한 한국어를 학습함
(2/2)

101
<문화 독립 교재의 주요 구성 체계>

개발기관 메뉴이름 주요 내용 구성 특징

• 생활, 여행, 대중문화, 만화/


• 다양한 유형과 다양한 소재
애니메이션(웹툰, 애니메이
세종학당재단 의 자료를 내려 받아 사용할
즐겨요 션)으로 분류하여 동영상과
누리세종학당 수 있으며 일부 자료는
만화를 주제 분류 없이 제공
다국어로 제공됨

문화공감 • 국내외 문화영상, 문화 TV, • 다양한 소재를 담고 있는


한국문화정보원
→ 한국문화 100선, 문화 직업 한국문화 영상 100이
문화포털
문화영상 30, 문화 예보 등 돋보임
알림
문화체육관광부
→  홍보 동영상 • 주제영상(자막해설)
해외문화홍보원
홍보자료
(1/2)

개발기관 메뉴이름 주요 내용 구성 특징
• 과거부터 현재까지 문화 중
대표성을 가진 문화 100선
코리안
동영상 교육 자료로 가치가
웨이브 • 한국의 역사, 한국의 음식,
재외동포재단 있음
(Korean 여행/축제, 영화/ 공연
• 한식 레시피를 제공하고 있
Wave)
어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는
있도록 소개하고 있음
• 전공 강의와 테마 강의로 분
인문과학 → 류, 학문적 목적 강의
언어·문학 → • 한국 음식문화, 한국인의 인 • 영어 해설, 영어 자료
모두를 위한 한국어학→
간관계, 한국인의 건강 관리, • Are you ready?
열린 강좌 Dynamic
Korean 한국의 대중음악과 스타, 한 - Hallyu in Media
KOCW
Exciting 국인의 인사 예절 등 1장 – learning objectives (2/2)
Hallyu ~14장으로 구성되어 있음 -let's learn cultute
-Activity

102
2. 한국어 문화 교육용 웹기반 문화교육 자료의 개발
 무엇보다 요구조사 실시 및 결과를 반영해야 함

 자료 개발의 목표를 정하고 내용을 선정

 언어 중심 문화 교육과 문화 독립 교육에 따른 차별화를 고려한 내용의 배열

 내용의 조직 과정: ‘교수 학습 내용 + 기술적 장점’ 고려

 다양한 유형의 웹 기반 문화 교육자료의 개발


: 개별 교육 자료, 단행본 형태의 자료, 상호작용 기반 자료,

 다중 매체 자료, 인터넷 활용 자료 등

 웹 기반 자료의 현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 기술 병합, 현장 특성에 맞춘 개작 가능한 유연성 확보 등

 웹 기반의 접근성 강화: 한국에서 공급 + 해외 지역별 거점에서 공급 병행

 현장 교육자 참여 형태의 웹 기반 문화 교육 자료의 개발 필요


: 최근 유튜브 등의 보편화, SNS의 보급 등은 자료 개발에 있어 수요자가 직접
참여하는 방식의 유용성 암시

문화 교육 자료의 경우 수요자의 참여를 통할 때 훨씬 효율적이고,


웹의 기술적 진보를 고려한다면 충분히 실현 가능성이 있는 대안

103
차시 예고
한국어 교육 자료와 문화 및
한국어 교육 방법과 문화 도입

104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7. 한국어 교육 자료와 문화 및
한국어 교육 방법과 문화 도입

1교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을 위한 독립 교재 개발

1.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 독립 교재 개발의 필요성


 문화 독립 교재란?
• 일반적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재라 함은 한국어 학습과 함께 한국 문
화를 동시에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교재를 의미하나
최근에 한국어 능력의 신장을 충분히 고려하지 하지 않은 상태에서
문화 교육만을 목적으로 개발하는 교재가 나타남

• 문화 독립 교재는 개발 목적이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화 이해이고 학습자


의 인지적인 노력에 따른 문화 지식, 문화 실행 능력, 문화 관점 등을 키우기
위하여 개발됨

105
• 문화 독립 교재는 한국어로 집필되기도 하나 일부 문화 교재의 경우 영어
또는 기타 외국어로 집필되거나 한국어와 영어(외국어)를 병행 사용하여
대역 형식으로 개발되기도 함

• 문화 독립 교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단계에 따른 어휘, 문법 등


언어 지식보다는 내용 구성상 핵심이 되는 주요 개념어, 전문용어 등이
언어 영역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짐

 문화 독립 교재 개발의 필요성
• 한국어 교육 현장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학습자 변인의 다양화가 가장 중요한 특징임

• 실제로 한국어 학습 과정에 진입하기 전에 한국 문화에 대하여 관심을 가진


경우가 많으나 이들이 진정한 학습 단계로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문화
향유 욕구가 크게 작용하기도 함. 이들에게 한국어와는 별도로 한국문화의
학습 기회를 주는 것은 의미가 있음.

106
•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변화 중의 하나로 학문 목적 학습자의 증가, 직무 수행
목적 학습자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게 있어 한국어는 도구 내지는
수단의 의미를 가질 뿐으로 실제 전공 학습이나 직무 수행에 필요한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 능력이 절실히 필요함

• 따라서 한국어 학습의 보조적인 기능을 하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통합 교재


만으로는 충족하지 못하는 영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문화 독립
교재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현행 문화 독립 교재의 한계
• 최근 개발된 문화 독립 교재는 한국어 학습 단계에 맞춘 문화 교육과정에
맞추었다기보다는 한국 사회와 문화 전반을 대등한 위상으로 횡적으로
배열하는 특징을 보임

• 일부 교재의 경우 전학습-본학습-후학습과 같은 과정 중심적 접근이


충분하지 않음

• 수요자가 한국어 학습자임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집필자의 전공


영역이나 집필자의 관심 영역을 비중 있게 다룬 반면에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핵심적인 주제가 결여되어 있는 경우도 있음

•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학습자가 배경 지식이나 인지적 능력을 작동하여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장치가 부족한 경우가 있음

107
 문화 독립 교재 개발의 기본 방향
• 학습자 집단을 분명하게 상정하고 이들의 요구에 맞는 문화 독립 교재를
개발해야 함. 즉 요구조사와 함께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가능한 교재가
되도록 함

• 교재 개발의 기본 요소인 학습 가능성, 계열성, 위계화, 실제성, 타당성 등을


갖춘 내용과 체제가 되도록 함

• 학습 동기를 강화하고 학습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각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해야 하고 웹을 활용해서 보조적으로 또는 심층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연계 장치도 마련하는 것이 좋음

• 내용의 선정 및 배열에 있어 보편성을 확보해야 하나 학습자 언어권 또는


모문화권별로 차별화된 내용 구성이 필요함.
즉 학습자가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내용 구성이 필요함.

• 학습자의 배경 지식 등이 적절하게 동원될 수 있고 학습자의 다양한 활동이


동원될 수 있도록 과정 중심적 접근 원리가 적용되어야 함.

108
2.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독립 교재의 분석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 독립 교재의 개요
(분석 대상 교재에 한함)>
교재명 전체 쪽수 출판사 출판 연도

A 190쪽 소통 2018.09

B 223쪽 다락원 2010.08

C 261쪽 역락 2011.02

D 232쪽 도서출판 하우 2018.08

E 477쪽 한국외국어대학출판부 2009.06

<문화 독립 교재의 개발 목적 및 목표로 하는 교육 현장>


교재명 개발 목적 및 주된 학습자 집단
- 한국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과 재외동포에게 권하는
A
교재임. 특히 중국인과 베트남인은 이 책을 사용하는 데에 수월성이 있음

- 문화에 대한 지식이나 실제적인 정보를 알고자 하는 학습자, 다문화 가정의 한국어


B
학습자나 강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재임

- 한국어를 배우는 고급 학습자에게 일상 대화 형식에 한국 문화적 요소를 더한 한국


C
문화교육 교재임

- 문학 작품을 통하여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자료임


D - 특히 한국 사회와 문화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유명 문학 작품을 선정함. 여기에는 정
치적, 경제적 배경이 포함되고 일반 사회적 배경이나 문화적 배경도 포함됨

- 한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을 위한 입문교양서임


E - 언어교육 차원에서 문화(교육)론적인 시각을 확보하기 위해 문화 일반과 한국문화
그리고 문화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로 구성되어 있음

109
<문화 독립 교재의 주요 구성 체계> (1/2)
주요 내용 구성 주요 내용 구성
교재명 기본 구성 체제 단원의 구성
(대주제 수) (세부 주제 수)
10개 과
(한국의 지리와 사회, 현대 한국
학습목표-
머리말-차례- 개요, 한국어, 한글, 한국어교육,
생각해봅시다-
한국어 본문-중국어 한국인의 의식주, 한국인의
A - 본내용-토론-
본문-베트남어 본문 일생, 언어 생활, 한국의 공공시
주제관련 전문용어-
- 어휘 색인 설, 한국인의 여가
주요 어휘와 표현
생활과 취미, 한국의 역사,
한국인의 사고)
단원소개-미리 들어
서문-이 책의 구성
보기-대화하기-어휘
및 활용-차례- 5개
확인하기-비교 문화
B 내용구성표- (제도문화, 생활문화, 언어문화, 25개
토론하기-마무리하기
등장인물소개- 예술문화, 전통문화)
-정보 알고 이해하기-
본내용-부록-색인
문화Q&A
머리말-일러두기- 5개 부
생각하기-상황회화-
차례-본내용-부록- (한국의 과거와 현재,
본내용-읽기(심화)
C 찾아보기- 한국지역민의 삶의 모습, 한국의 16개
자료-단어학습-
도움주신 분들 교통문화, 한국의 교육문화,
내용확인-활용
(사진 제공 및 협조) 한국의 경제 및 금융)

(2/2)

주요 내용 구성 주요 내용 구성
교재명 기본 구성 체제 단원의 구성
(대주제 수) (세부 주제 수)
작품소개-본문-이해
4개 장
저자 서문-차례-본내 확인문제-더 학습하
D (일제강점기, 광복과 전쟁, 산업화 16개 작품
용-참고문헌 기-이해확인문제 정
시기, 다양성의 시대)

13개 장
(한국문화 이해의 시각, 한국문화의
특징과 전개, 한국인의 정체성과
한국의 지리 문화, 한국의 의식주
문화, 한국의 여가와 관광문화, 개요-본내용-
간행사-머리말-차례
한국의 세시풍속과 의례문화, 탐구활동1-
E -본내용-부록- 32개
한국의 공동체문화, 한국의 성과 탐구활동2-
찾아보기
결혼의 문화, 한국의 정치와 교육 참고문헌
문화, 한국의 경제와 과학기술문화,
한국의 정신문화, 한국의 대중문화
와 예술문화, 한국의 언어와 문학,
문화유산)

110
<문화 독립 교재의 주요 요소>
교재명 사용 언어 시각 자료의 수준 언어와의 통합 수준

한국어 최소 수준 고급 수준의 학습자가 수월하게


A
중국어 (단색) 학습할 수 있는 수준임

일러스트 그림과 실제사진 혼용 본내용과 시각자료의 설명은


B 한국어
(칼라) 잘 되어 있으나 언어 수준은 높음

본내용과 시각자료의 설명은


많은 시각 자료
C 한국어 잘 되어 있으나 언어 수준은 높
(칼라)

문학작품인 만큼 언어 수준은 높
보통의 시각 자료
D 한국어 음. 관련 사진을 적절히 활용하여
(단색)
이해를 높임

보통의 시각 자료 본내용과 시각자료의 설명은


E 한국어
(칼라) 잘 되어 있으나 언어 수준은 높음

<문화 독립 교재의 장단점 비교>


교재명 장점 단점
- 중국인, 베트남인 학습자에게 좋음
- 한국어 중급, 고급 학습자를 위
- 한국어 학습자의 초기 단계부터 중급 단계까지 접하게 되는
A 한 교재로 깊이 있는 한국문화
주요 영역을 다룸
를 이해하기에는 다소 부족함
- 한국어 과정의 수업자료로 활용 가능하도록 함

- 상황 중심의 경험 위주 문화 교육에 초점을 맞춤 - ‘대화하기’와 ‘정보 알고 이용


B - ‘비교 문화 토론하기’ 통해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용함 하기’의 텍스트 난이도 차이가
- MP3파일 제공 있어보임

- 학습교재로 활용 가능하도록
- 일상 회화의 대화 형식에 한국문화적 요소를 더해 만든 교재 되어있지만 다소 어휘 이해를
C - 한국어 과정의 고급반 수업자료로 활용 가능토록 함 위한 설명이 부족함
- ‘전학습-본학습-후학습’ 구성이 비교적 잘 되어 있음 -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용하는
활동이 부족함
- 고급 수준의 학습자가 도전할 수 있는 수준이나 문학 작품의
- 학습 부담감을 느낄 수 있는 정
특성상 난이도가 있음
D 보가 있음. 예를 들어 작가 소
- 학습 수월성을 위해 본문 옆에 어휘 풀이와 내용 보충설명을
개 등이 심화되어 있음

- 한국문화를 체계적으로 소개함 - 다소 많은 양으로 학습자에게
-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과 학습에 바탕을 둠 부담을 줌

111
차시 예고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방법의 이해

112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7. 한국어 교육 자료와 문화 및
한국어 교육 방법과 문화 도입

2교시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방법의 이해

1. 의사소통민족지학적 접근과 문화 교육 방법
 민족지학(ethnography)
• 문화인류학의 한 분야

• 기존의 민족학이라는 것은 여러 민족문화의 비교연구를 목적으로 하는데


민족지학이라고 하는 것은 비교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113
• 특정 사회의 환경조건에서 사람들의 의식주(衣食住)·경제형태·정치조직·사회
조직·종교관념에서 예술·신화·구전문예(口傳文藝), 그 밖의 문화적 특징을
역사적·지리적으로 설명하고, 그 사회의 사람들이 어떠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어떻게 행동하며, 어떠한 생활체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관찰하고 조사하여
자료를 제공하는 것

 의사소통의 민족지학(ethnography of communication)


• 앞에서 본 바와 같이 민족지학(ethnography)은 일차적으로 문화의 기술과
분석에 관한 연구 분야인데 의사소통의 민족지학(ethnography of
communication)은 민족지학과 언어학을 통합하여 특정 사회에서 이루어
지는 의사소통 행위를 관찰하여 기술하는 논의

• 의사소통의 민족지학은 사회언어학이 정립된 1960년대에 대두된 학문 분야

• 하임즈(Dell Hymes)의 말하기의 민족지학으로부터 시작하여 의사소통 민족


지학으로 정립되어 감

114
• 의사소통 행위를 특정한 문화적 배경 내에서 기술하고 이해하려는 것으로
화자가 특정 언어 공동체 내에서 적절하게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언어 사용의
사회적 맥락과 내용의 기반이 되는 문화적 규칙 등을 알아야 하는 것

• 즉 언어 교육 현장에서 문화적 규칙 등 문화 현상이 적절하게 도입되어야 함을


의미함

• 이는 역으로 보면 동일 언어 공동체 내에서 언어 사용 행위 등을 유심히


관찰하여 그 사회의 문화 현상을 알아내는 방법이 되기도 함

 의사소통의 민족지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한상미, 1999 참조)


 참여 관찰 (Participant-Observation)
• 민족지학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가장 대표적이고 보편적인 방법으로
민족지학 연구의 특징을 가장 잘 반영 해 주는 연구 방법.

• 연구자가 특정 언어 공동체에서 그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1, 2년간 그 공동체에 몰입되어 그 사회에 서 유형화된 문화적 행위를
인지하고 이해함

115
 관찰 (Observation)
• 연구자가 공동체에서 특정 역할을 가지고 의사소통 상황에 참여하는
참여 관찰 (Participant-Observation)과 달리 단지 관찰자로서 관찰만을
하는 방법.

• 관찰 과정에서 연구자가 견지해야 할 중요한 태도는 관찰하고 있는 특정


행위에 대해 가치 판단이나 결론을 내 리지 않고 단지 관찰 가능한 행위만을
보고하며 관찰자 자신의 제1 문화적 경험으로부터 오는 선입견을 배제함

 통찰 (Introspection)
• 사람들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생각을 알아야 한다는 입장에서
비롯된 연구 방법으로서,정신 세계가 어떻게 행동을 결정하는지를 규명함

 면접 (Interviewing)
• 넓은 범위의 문화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외국어 학습자는
믿을만한 정보 제공자를 선택하여 문화적으로 적절한 질문을 가함으로써
목표어 문화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획득함

116
2. 간문화적 접근과 문화 교육 방법
 간문화적(inter-cultural approach) 접근
• 문화간 접촉이 일어날 때 이문화에 어떻게 적응되어 가는지를 연구함

• 이러한 간문화적 접근의 이론적 배경의 근저에는 역사적으로 멀리 거슬러


올라가 훔볼트(Humboldt)의 언어결정론부터 사피어-워르프(Sapir-Whorf)
의 언어 상대성 논의 등을 들 수 있음

• 즉 단일 언어 공동체에서 생활하는 구성원은 그들의 의사소통 행위를 거치


면서 공유하는 의식의 세계, 세계관 등이 형성됨

• 새로운 사회에 접하게 될 때 외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결국 새로운 세계관에


눈을 뜨고 이를 받아들이는 과정이 됨을 의미함

• 이러한 접근에서 중요하게 논할 수 있는 것은 문화를 상호 비교할 수 있는 것,


즉 비교문화적 논의가 중요해짐

117
 외국어 교육에서 간문화적 접근의 주요 개념
• 외국어 학습자가 이언어 사회, 이문화 사회에 접촉하게 될 때 나타나는 현상은
문화적 신비감 → 문화 충격 → 문화적 자각 → 문화동화의 순서를 거친다는
점은 앞선 강의에서 다룬 바가 있음

• 이렇게 일반적으로 논하는 간문화적 접근을 좀 더 이해하기 위한 주요 개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언어공동체와 언어정체성
– 언어 간 거리
– 문화상대주의
– 비교
– 언어 간 접촉
– 통찰
– 문화충격
– 문화적 자각
– 문화동화

118
 U. Zeuner(1997, S. 5-8)의 상호문화 능력 논의
1) 자기자신의 문화적 개념을 재활성화 할 수 있는 능력
• 자기 자신의 문화에 대한 이해의 제조건을 의식화함과 동시에 자기민족의 관점
에서 외국문화를 이해함

2) 자기자신의 문화와 외국문화를 중개할 수 있는 능력


• 타 문화의 독자성과 상위성을 수용하고 존경할 수 있는 능력과 용인성을 전제함

3) 여러 가지 생활세계로부터 결과되는 기대와 태도방식을 다룰 줄 알아야 하며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

4) 다른 관점의 수용 또는 “감정이입 Empathie”을 할 수 있는 능력


• 다른 사람의 관점 내지 체험방식을 상호작용 과정 속에 포착할 수 있는 능력

 비교문화 교수 방법의 예(한상미, 2005)


• 비교 방법(comparison method)은 학습자들에게 문화 간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술이다.

• 교사는 학습자의 문화와 현저히 다른 목표 문화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교실에 제시한다. 교실에서 문화 학습을 위해 비교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활동(activities)으로는 토론, 발표하기, 프로젝트 등이 있다.

• 토론을 예로 들어 보면, 교사는 토론의 내용 중 왜 이러한 차이가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는지에 초점을 두고 토론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Hughes
1986). 다음은 비교 방법을 사용한 수업의 예이다.

119
[예 1] 비교 방법을 활용한 수업 예
• 학습자 숙달도: 중급
• 수업 시간: 50분
• 학습 목표: 민간요법에 관련된 어휘와 표현을 익힌다.
문화 간 차이를 통해 한국의 민간요법의 특징을 이해한다.
• 주제: 민간요법
• 기술: 비교 방법
• 활동: 조사하기, 발표하기
• 수업 절차
1. 교사는 수업 일주일 전에 학생들에게 감기에 걸렸을 때 자신의 나라 혹은 문화권에서 주로 하는
민간요법이 무엇인지를 조사해 오게 한다. 특별한 민간요법을 쓰지 않는 나라가 있을 경우나
한국의 민간요법에 대해 관심이 있는 학생이 있을 경우 그 학생은 한국에서 전해 오는 민간요법을
조사해 오게 한다.
2. 교사는 각 학생의 발표 전에 한국에서 감기에 걸렸을 때 일반적으로 행하는 민간요법에 대해
[표 1]의 내용과 같이 설명한다.
3. 조사한 내용을 한 학생 당 약 2분-3분의 시간을 주고 발표하게 한다.
4. 각자의 발표가 끝나면 그 내용에 대해 언어 혹은 문화적 측면에서 질문이 있을 경우 간단하게
질의 응답을 하도록 한다.
5. 발표가 모두 끝난 후 각자 들은 내용을 다음의 표에 정리한 후 한국의 민간요법과의 차이점이나
공통점을 찾아내어 이야기하도록 한다.

[표 1] 학생용 표(여러분의 나라에서는 감기에 걸렸을 때 어떤 민간요법을 씁니까?)

발표자 국적 민간요법 내용 어휘 차이점·공통점

한국에서는 감기에 걸렸을 때 콩나물 국을 콩나물 국


<예>
한국 먹거나 따뜻한 유자차를 마십니다. 유자차
홍길동
목이 아플 때는 생강차를 마시기도 합니다. 생강차

120
3.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과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 접근 방법
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과 문화 능력
• Dell Hymes(1972)의 의사소통 능력의 주장과 Canale and Swain(1980)
의 의사소통 하위 능력 분류

• H.H.Stern(1983)의 사중적 교육과정 모델과 사회문화적 능력의 중요성

• 과제 수행 중심의 교수법(task-based instruction)과 실제 자료의 사용,


언어 사용 맥락의 교실 내 도입

• 수행 중심의 교수법(oerformance-based instruction)과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 접근(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on) 논의

 언어와 문화 통합 교육의 두 모델(이미혜, 2004)


항목 언어 중심의 문화 통합 교육 문화 중심의 언어 통합 교육
교육의 중심 언어 문화

문화 교육의 이문화에의 적응·동화,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보조 역할
목표 문화 충격 완화, 이문화 학습

문화 교육 방법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 교수법을 적용 강의, 관찰, 체험 등

언어 사용 맥락, 언어 사용과 관련된


한국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기
일상생활 문화, 언어에 함축된 문화,
문화 교육 내용 위한 내용들, 개인적인 관심
언어 자료로 학습하는 문화적인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달라짐
내용(전통, 예술, 사회, 정치, 경제 등)

문화 교사 또는 언어 교사와
교사 언어 교육 전문가
문화 교사가 협력

평가 언어 숙달도 평가 문화 인지도 평가

121
 언어와 문화 통합 교육의 다양한 사례들
• 언어와 문화의 통합성이 높은 사례
• 언어와 문화의 통합성이 낮은 사례

차시 예고
중간고사

12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