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74

2020학년도 교육과정

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목차

경상대학교 3
목차

목 차
◪ 교육과정안내
Ⅰ. 교육과정안내··················································································································································· 11
1. 교육목표················································································································ 11
2. 교육과정의 기본체계································································································11
3. 교육과정 편성 및 이수원칙······················································································· 11
4. 교과목의 이수단위···································································································16
5. 교과목의 학수번호···································································································16
6. 동시이수과목 지정···································································································17
7. 졸업학점················································································································ 17
8. 졸업 및 학위·········································································································· 17

Ⅱ. 교육과정별 이수안내··································································································································· 18
1. 복수전공················································································································ 18
가. 다른 학부(과)・전공······························································································ 19
나. 연계전공············································································································ 20
다. 융합전공············································································································ 21
라. 학생설계전공······································································································ 22
2. 부전공··················································································································· 22
3. 교직과정················································································································ 23
4. 맞춤형교육과정(트랙제) ···························································································23
5. 교육인증제 교육과정································································································24
가. 공학교육인증제 ··································································································24
나. 건축학교육인증제 ·······························································································25
다. 창업교육인증제 ··································································································26
라. 졸업자격인증제 ··································································································27
6. 기타 교과목 이수 ···································································································28
가. 현장실습 교과목··································································································28
나. 평생교육사(2, 3급) 자격 취득 교과목 이수····························································· 29
다. 개척학기제 교과목 ····························································································· 30
라. 전공이해증진 교과목 ·························································································· 30
마. 해외어학연수 학점 인정 교과목·············································································31

Ⅲ. 적용대상 및 경과조치·································································································································32
[별첨1] 공학교육인증제 전문교양 과목(KEC2015 기준)························ 34
[별첨2] 공학교육인증제 MSC 과목(KEC2015 기준)·························· 34
[별첨3] 건축학교육인증제 전문교양 과목······························ 35
[별첨4] 공학 및 건축학교육인증제 운영학부(과) ․ 전공의 선이수과목·················· 35
[별첨5] 창업교육인증제 인정교과목 일람표 ····························· 36

경상대학교 3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Ⅳ. 졸업학점 구성표·············································································································································40
1. 졸업소요 학점표······································································································40
2. 공학교육인증대상학과 졸업소요 학점표······································································ 47
3. 건축학교육인증대상학과 졸업소요 학점표··································································· 47
Ⅴ. 모집단위별 전공 및 교육트랙 진입시기···························································································· 48
1. 전공 진입시기·········································································································48
2. 교육트랙 진입시기···································································································48

◪ 교양과정

Ⅰ. 교양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51
Ⅱ. 통합교양 이수영역 수(학점) 지정·········································································································52
Ⅲ. 기초과정 이수학점 및 교과목 지정······································································································55
Ⅳ. 이수구분별 교과목 일람표························································································································62
1. 역량교양················································································································ 62
2. 통합교양················································································································ 64
3. 개척교양················································································································ 68
4. 기초과정················································································································ 71

◪ 전공과정

Ⅰ. 인문대학·····························································································································································77
● 국어국문학과·················································································································· 78
● 독어독문학과·················································································································· 80
● 러시아학과 ····················································································································82
● 불어불문학과 ·················································································································84
● 사학과 ··························································································································86
● 영어영문학과·················································································································· 88
● 중어중문학과 ·················································································································90
● 철학과··························································································································· 92
● 한문학과 ·······················································································································94
● 민속무용학과·················································································································· 96

Ⅱ. 사회과학대학··················································································································································· 99
● 경제학과 ·····················································································································100
● 사회복지학과 ···············································································································102
● 사회학과······················································································································ 104
● 심리학과 ·····················································································································106
● 정치외교학과 ···············································································································108
● 행정학과······················································································································ 109

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목차

Ⅲ. 자연과학대학·················································································································································111
● 생명과학부 ··················································································································112
● 물리학과······················································································································ 114
● 수학과 ························································································································116
● 식품영양학과················································································································ 118
● 의류학과 ·····················································································································120
● 정보통계학과 ···············································································································121
● 지질과학과 ··················································································································124
● 화학과 ························································································································126
● 컴퓨터과학과 ···············································································································128

Ⅳ. 경영대학··························································································································································131
● 경영학과······················································································································ 132
● 경영정보학과 ···············································································································134
● 국제통상학과················································································································ 136
● 회계학과······················································································································ 138
● 산업경영학과(재직자과정)······························································································· 140

Ⅴ. 공과대학··························································································································································142
● 건축도시토목공학부(건축공학전공)··················································································· 143
● 건축도시토목공학부(도시공학전공)··················································································· 145
● 건축도시토목공학부(토목공학전공)··················································································· 147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기계공학전공)·············································································149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전공)··················································151
● 나노·신소재공학부········································································································· 154
● 산업시스템공학부(산업시스템공학전공)·············································································157
● 건축학과······················································································································ 159
● 반도체공학과················································································································ 161
● 전기공학과··················································································································· 163
● 전자공학과··················································································································· 165
● 제어계측공학과············································································································· 167
● 화학공학과··················································································································· 169
● 전기에너지공학과(계약학과)···························································································· 171

Ⅵ. 농업생명과학대학······································································································································· 172
● 식품자원경제학과 ·········································································································173
● 환경산림과학부(산림환경자원학전공) ·············································································· 175
● 환경산림과학부(환경재료과학전공) ················································································· 177
● 농업식물과학과 ············································································································179
● 농화학식품공학과·········································································································· 182
● 식물의학과 ··················································································································184
● 축산생명학과 ···············································································································186
● 애그로시스템공학부(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189
● 애그로시스템공학부(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191

Ⅶ. 법과대학··························································································································································193
● 법학과 ······················································································································ 194

경상대학교 5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Ⅷ. 사범대학··························································································································································197
● 교육학과 ·····················································································································198
● 국어교육과 ··················································································································200
● 역사교육과··················································································································· 201
● 영어교육과 ··················································································································203
● 유아교육과 ··················································································································205
● 윤리교육과 ··················································································································207
● 일반사회교육과 ············································································································209
● 일어교육과··················································································································· 210
● 지리교육과··················································································································· 212
● 물리교육과··················································································································· 214
● 생물교육과··················································································································· 216
● 수학교육과··················································································································· 218
● 화학교육과··················································································································· 220
● 미술교육과··················································································································· 222
● 음악교육과··················································································································· 224
● 체육교육과··················································································································· 227
● 통합과학전공················································································································ 229
● 통합사회전공················································································································ 231

Ⅸ. 수의과대학····················································································································································· 233
● 수의예과······················································································································ 234
● 수의학과······················································································································ 235

Ⅹ. 의과대학··························································································································································239
● 의예과························································································································· 240
● 의학과························································································································· 241
Ⅺ. 간호대학··························································································································································244
● 간호학과··················································································································································································245

Ⅻ. 해양과학대학·················································································································································249
● 수산경영학과················································································································ 250
● 해양경찰시스템학과······································································································· 252
● 해양식품생명의학과······································································································· 254
● 해양산업융합학과(재직자과정)························································································· 257
● 기계시스템공학과·········································································································· 259
● 에너지기계공학과·········································································································· 261
● 정보통신공학과············································································································· 262
● 조선해양공학과············································································································· 265
● 해양토목공학과············································································································· 267
● 해양환경공학과············································································································· 269
ⅩⅢ. 약학대학····················································································································································· 271
● 약학과························································································································· 272
ⅩⅣ. 본부대학·························································································································································275

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목차

● 기계융합공학과············································································································· 276

◪ 연계전공
Ⅰ. 연계전공정의·················································································································································281
Ⅱ. 연계전공 참여학과 현황··························································································································281
Ⅲ. 연계전공 교육과정표·································································································································282
1. 문화콘텐츠학·················································································································282
2. 지능로봇공학·················································································································284
3. 글로컬융복합경영학········································································································286
4. 미래그린농림융복합학·····································································································288
5. 애그로스타트업학···········································································································290

◪ 융합전공
Ⅰ. 융합전공 정의·············································································································································· 295
Ⅱ. 융합전공 참여학과 현황··························································································································295
Ⅲ. 융합전공 교육과정표·································································································································296
1. 주택∙도시개발학·············································································································296
2. 전력에너지공학··············································································································298
3. 산업경영지원학··············································································································300
4. P&P화학공학················································································································ 302
5. 문화융복합학·················································································································303
6. 시험·분석학···················································································································305
7. 데이터사이언스학···········································································································307
8. 금융보험학····················································································································309
9. 농산업컨설팅학··············································································································311
10. 단디공공서비스학·········································································································313

◪ 학생설계전공
Ⅰ. 학생설계전공 정의····································································································································· 317
Ⅱ. 학생설계전공 현황····································································································································· 317
Ⅲ. 학생설계전공 교육과정표······················································································································· 317

◪ 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

Ⅰ. 맞춤형 교육과정(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 정의·····································································327


Ⅱ. 맞춤형 교육과정(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 개설 일람표·····················································327
Ⅲ. 교육트랙 교육과정표 ······························································································································ 327

◪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경상대학교 7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Ⅰ. 맞춤형 교육과정(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정의·····································································337


Ⅱ. 맞춤형 교육과정(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개설 일람표·····················································337
Ⅲ. 산학트랙 교육과정표 ······························································································································ 340

◪ 부전공
● 학과(전공)별 부전공 지정과목 일람표······························································································ 413

◪ 교직과정
Ⅰ. 교직과정 이수대상 및 이수기준··········································································································419
Ⅱ. 교직과목 일람표··········································································································································419
1. 사범대학생············································································································419
2. 일반대학 교직과정 설치학과 학생············································································ 420
Ⅲ. 교과교육영역 교과목 일람표·················································································································421
Ⅳ. 교원자격증 표시과목별 기본이수 과목····························································································421
1. 교직과정 설치학과(2019학년도 입학자 적용)·····························································422
2. 사범대학(2019학년도 입학자 적용)·········································································· 430

◪ 동시이수과목

Ⅰ. 교양 교육과정 동시이수지정과목 일람표······················································································· 437


Ⅱ. 전공 교육과정 동시이수지정과목 일람표······················································································· 437

◪ 급락과목

Ⅰ. 교양 교육과정 급락과목 일람표··········································································································443


Ⅱ. 전공 교육과정 급락과목 일람표··········································································································444
Ⅲ. 교직 교육과정 급락과목 일람표··········································································································450

◪ 동일․대체 지정과목

Ⅰ. 교양(일반선택 포함) 교육과정 동일 ․ 대체 지정과목 일람표··············································· 453


Ⅱ. 전공 교육과정 동일 ․ 대체 지정과목 일람표·················································································454
Ⅲ. 교직과목 동일 ․ 대체 지정과목 일람표····························································································463

◪ 선이수과목 지정현황
Ⅰ. 선이수 과목 지정 현황 ··························································································································467
Ⅱ. 학과별 선이수 과목 지정 현황············································································································467

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ART 01

교육과정안내
Ⅰ. 교육과정안내······························································ 11
Ⅱ. 교육과정별 이수안내···············································18
Ⅲ. 적용대상 및 경과조치············································ 32
Ⅳ. 졸업학점 구성표······················································· 40
Ⅴ. 모집단위별 전공 및 교육트랙 진입시기··········48
교육과정안내

Ⅰ. 교육과정안내

1. 교육목표

경상대학교는 민주이념과 개척정신을 바탕으로 인격을 도야하고 학문의 심오한 이론과 방법을
교수 ․ 연구하여, 국가와 인류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를 양성함을 교육 목표로 함

2. 교육과정의 기본체계

가. 관련규정
1)「경상대학교 학칙」제4장 제2절 및 제3절

2)「학사관리 규정」제8장 제1절부터 제3절까지

나. 교육과정 운영 및 방향
1) 경상대학교 교육과정은 「학사관리 규정」 제45조부터 제52조까지의 규정에 의해 학부
(과)・전공・학기별로 구분하여 편성하며, 교육과정에 언급된 모든 내용은 교과목 이수에
관한 「경상대학교 학칙」 및 「학사관리 규정」의 부속 규정으로서 효력이 있음

2) 경상대학교 교육과정은 도구 및 기초학문분야 지식습득과 인격 도야에 필요한 [교양과목]과


전공분야 연구에 직접 필요한 [전공과목], 그리고 학생의 자유로운 선택에 의하여 이수할 수
있는 [일반선택과목]으로 구분

3. 교육과정 편성 및 이수원칙

가. 교육과정 편성 원칙
1) 교육과정은 학문 발전과 변천하는 사회에 부응할 수 있으며, 교과 간 연계성을 유지하고,
인접학문과의 중복을 피하여 능률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편성

2) 교과목은 다음과 같이 개설함을 원칙으로 한다


- 일반 교과목은 2~4학점(공과대학 건축학과는 2~5학점, 수의학과는 1~4학점, 의학과는 1~6학점)
- 실험 ․ 실습 ․ 연습 ․ 세미나 ․ 실기 교과목은 1~3학점(현장실습 교과목 제외, 수의학과는 1~5
학점, 의학과는 1~10학점)
-「꿈 ․ 미래개척」교과목은 0.5학점
- 연구 및 연구실체험 교과목은 1학점
- 문제해결형 팀프로젝트 중심 교과목 1~15학점

3) 교양과정은 역량교양, 통합교양, 개척교양, 기초과정으로 구성

경상대학교 11
2020학년도 교육과정

4) 전공과정은 최대 93학점까지 편성・개설하되 다음의 학부(과) ․ 전공은 예외로 함


- 공과대학 건축학과는 148학점, 나노 ․ 신소재공학부 237학점
- 경영교육인증제를 운영하는 학과 120학점
- 법과대학 법학과 176학점
- 수의과대학 수의예과 30학점, 수의학과 210학점
- 의과대학 의예과 39학점, 의학과 162학점
- 간호대학 간호학과 120학점
- 해양과학대학 해양경찰시스템학과 및 기계시스템공학과 103학점
- 약학대학 약학과 200학점

5) 전공과목은 최대 93학점 편성 ․ 개설하되 다음의 경우는 추가 편성 가능


- 2개 학부(과) ‧ 전공이 단일 학부(과)로 통합하는 경우: 통합전 전공당 20학점
- 3개 학부(과) ‧ 전공이 단일 학부(과)로 통합하는 경우: 통합전 전공당 25학점
- 맞춤형 교육과정 시행학부(과) ‧ 전공: 트랙당 9학점
- 일반대학 교직설치학과(간호학과, 식품영양학과, 심리학과 제외)의 교과교육 교과목 9학점 이내
- 공학교육인증제 운영학부(과) ‧ 전공: 심화프로그램당 3학점(건축학과 제외)
- 문제해결형 팀프로젝트 중심교과목 15학점 이내(6학점 이상 교과목은 공동 팀티칭 필수)

6) 유사과목은 통 ․ 폐합함을 원칙으로 하고 교과목은 이론과 실습이 연계되도록 편성

7) 주 전공학과에서 설치한 강좌를 타 학과에서 세분 또는 명칭변경 등의 방식으로 개설 불가

나. 적용대상
이 교육과정은 2020학년도부터 적용 개설하되, 각 학부(과)·전공의 과정별 졸업소요학점은
2020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2019학년도 이전 입학자로서 1개 학기도 이수하지 않고 휴학한
자가 2020학년도에 복학한 경우 포함)

다. 교육과정 이수
교양과목은 전체학년을 대상으로 개설 및 이수함을 원칙으로 하되, 교육과정상 명시된
필수과목은 반드시 이수

라. 과정별 이수지침
1) 교양과목 이수지침
- 교양과정은 역량교양, 통합교양, 개척교양, 기초과정의 이수학점을 포함하여 학과에서
지정한 총 26학점~50학점 이상 이수
가) 역량교양
- 필수과목인 대학영어1(2학점), 대학영어2(2학점), 글쓰기기초(2학점), 선택과목인 비
판적사고(2학점) ․ 수리통계적사고(2학점) ․ GNU인성(2학점) ․ 글쓰기심화(2학점) ․ 발표
와토론(2학점) ․ 컴퓨팅사고와코딩(2학점) ․ 영어읽기와토론(2학점) 중 2과목을 포함
하여 10학점 이상 이수

1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 E-Z프로그램을 수료하여 English-Zone영어(4학점)를 취득하면 대학영어1 및 대학


영어2를 이수한 것으로 인정. 다만, 기본영어 선이수대상자는 기본영어를 이수해야
E-Z 프로그램에 참여 가능(※ 대학영어 1, 2와 상호 재이수 할 수 없음)
- 외국인 학생들은 생활한국어, 한국어어휘, 한국어문법 중 6학점 이상 취득한 경우
대학영어1 및 대학영어2를 이수한 것으로 인정
- GNU인성을 이수하면 역량교양과 졸업자격인증제(개척인증제) 동시 인정
나) 통합교양
- 7개 영역 중 5∼6개 영역(학과에서 특정영역을 지정할 수 없음)에서 각 1과목 이상
이수하여 10∼12학점 이상 이수
다) 개척교양
- 개척교양은 필수과목인 꿈·미래개척(2학점)과 3개 영역 중 학생이 2과목(4학점)을
자유 선택 이수하여 총 6학점 이상 이수
라) 기초과정
- 기초과정은 학부(과)・전공에서 지정한 과목을 포함하여 0~22학점 이상 이수. 다만,
사범대학의 경우 교직과목 22학점 이수로 대체 가능하며, 별도 요건에 의해 기본영어,
기본물리학, 기본수학, 기본화학 이수대상자로 선정된 자는 해당 과목을 반드시 이수
마) 위의 역량교양, 통합교양, 개척교양, 기초과정의 이수지침과 관계없이 공학교육인증제
이수 대상자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전문교양과목
및 MSC과목을, 건축학교육인증제를 운영하는 건축학과 소속 학생은 한국건축학교육인
증원(KAAB)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전문교양과목을 이수하여야 하며, 이수에 관한 세
부사항은 교육과정책자에 명시

2) 전공과목 이수지침

가) 2020학년도 교육과정에 따라 학부(과)・전공별로 지정한 이수학점 이상 취득


나) 전공필수과목의 이수학점은 자연과학·공학·의학계열은 36학점, 인문사회·예체능계열은
33학점 범위에서 학부(과)・전공별로 지정. 다음의 학과는 예외로 함
- 공과대학 건축학과 104학점
- 법과대학 법학과 52학점
-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42학점, 음악교육과 41학점, 통합사회전공 36학점
-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140학점
- 의과대학 의예과 39학점, 의학과 162학점
- 간호대학 간호학과 81학점
- 약학대학 약학과 138학점
- 융합전공을 주전공으로 하는 전공 72학점
다) 최소전공인정학점제를 도입한 대학의 복수전공 이수자는 전공필수학점을 포함하여
우선이수전공은 36~42학점, 우선이수전공 이외의 전공은 33~39학점 범위에서 복
수전공 이수학점을 지정하되, 다음의 학과는 예외로 함

경상대학교 13
2020학년도 교육과정

- 법과대학 복수전공 이수자 67학점


- 사범대학 및 일반대학 교직과정 이수자 50학점
- 해양과학대학 에너지기계공학과 복수전공 이수자 47학점
- 경영교육인증제를 운영하는 학과의 복수전공 이수자 45학점
- 융합전공을 주전공으로 하는 전공 72학점
라) 복수전공이수자는 학부(과)・전공이 정한 학점 이상을 취득하여야 함. 다만, 경영교육인
증제를 운영하는 학부(과)・전공의 복수전공 이수자는 경영교육인증에 요구되는 6개 전공필
수 분야의 과목을 반드시 포함하여 이수
마) 최소전공인정학점제를 도입한 대학의 단일전공 이수자는 전공필수 학점을 포함하여 해당학
과에서 지정한 학점(63∼72학점) 이상을 취득하여야 하며 다음의 학과는 예외로 함
- 공과대학 산업시스템공학부 산업시스템공학전공 80학점
-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78학점
- 법과대학 법학과 92학점
-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및 체육교육과 74학점, 음악교육과 75학점
- 공학교육인증제를 운영하는 학부(과)・전공 중 건축도시토목공학부 건축공학전공은
72학점 이상,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기계공학전공은 75학점 이상
바) 최소전공인정학점제를 도입하지 않은 학부(과)・전공은 다음 학점 이상을 취득하여야 함
- 공과대학 건축학과 126학점
- 수의과대학 수의예과 30학점
- 의과대학 의예과 39학점, 의학과 162학점
-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및 약학대학 약학과 160학점
- 간호대학 간호학과 85학점
사) 교육과정 개편으로 나)부터 라)까지의 요건(교과이수와 학점취득)을 충족시킬 수 없을
경우에는 현행 교육과정의 전공필수과목 및 선택과목 구분 없이 이수하여 전공의 현
행 졸업소요학점에 도달하면 전공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
아) 다른 학부(과)・전공의 교육과정에 설치된 교과목 중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교과목을
해당 학부(과)・전공의 전공선택 인정과목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다만, 전공선택 인정
과목은 교육과정에 명기된 교과목에 한함
자) 트랙제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의 경우 트랙심화로 지정된 교과목에 대해 해당학부
(과)・전공 전공선택 교과목으로 인정 가능
3) 일반선택과목 이수지침
가) 일반선택 과목은 교양과목과 해당 전공과목(복수 및 부전공과목 포함)이외에 이수하는
교과목으로서 개설과목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으며, 졸업소요학점에 산입
나) 일반선택과목 학점인정 과목
① 학사관리 규정 제51조 제3항에 따른 대학원 개설 교과목
② 복수전공, 부전공, 교직을 선택하였으나 중도 포기한 경우 이미 이수한 교과목

1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③ 창업실습교과: 창업실습 교과목, 창업현장실습 교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구분
ZAA90100 창업실습 1 Bus i ness Es t ab l i shmen t T r a i n i ng 1 3-0-4주
ZAA90101 창업실습 2 Bus i ness Es t ab l i shmen t T r a i n i ng 2 6-0-8주
계절학기제
ZAA90102 창업현장실습 1 Bus i ness Es t ab l i shmen t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ZAA90103 창업현장실습 2 Bus i ness Es t ab l i shmen t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ZAA90104 창업현장실습 3 Bus i ness Es t ab l i shmen t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학기제
※주관부서: 창업교육센터
④ 기업직무관련 교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구분 주관부서
ZAA90107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계절학기제
ZAA90108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ZAA90109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인재개발원
ZAA90116 성공취업과전략 Success Job and S t r a t egy 2-2-0
학기제
ZAA90117 직무분석과취업 Job Ana l ys i s and Emp l oymen t 2-2-0
ZAA90122 전력실무기초 Int roduct i on to E l ect r ic Power 2-2-0

⑤ R.O.T.C 훈련생이 이수해야 할 군사학 교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구분 주관부서
ZAA90118 군사안보학 M i l i t a r y Sc i ence 1 3-2-4
ZAA90119 군사조직관리 및 M i l i t a r y Sc i ence 2 3-2-4
안전사례연구 학기제
ZAA90120 군사조직리더십 M i l i t a r y Sc i ence 3 3-2-4 학군단
ZAA90121 군사조직리더십사례연구 M i l i t a r y Sc i ence 4 3-2-4
ZAA90123 하계군사훈련 Summe r M i l i t a r y T r a i n i ng (1-0-4주 )
계절학기제
ZAA90124 동계군사훈련 W i n t e r M i l i t a r y T r a i n i ng (1-0-4주 )

경상대학교 15
2020학년도 교육과정

4. 교과목의 이수단위
교과의 이수단위는 학점으로 하되, 한 학기당 15시간 이상의 강의를 1학점으로 한다.

5. 교과목의 학수번호
모든 교과목에는 학수번호 8개자리로 부여

예시) 인문대학 철학과 실천윤리학(3학점)

H P A 0 0 0 0 1 3 3 0

대학기호 학과(전공)기호 학부기호 교과목일련번호 학점 이론 실험․실습

가. 전공과목 및 교양과목, 일반선택과목, 교직과목 기호


1) 첫째 및 둘째자리 기호
가) 전공과목 기호
- 첫째자리: 대학의 고유기호로서 영문 대문자로 표기
․ 인문대(H), 사회대(S), 자연대(N), 경영대(B), 공대(E), 농생대(A), 법대(L), 사범대(T),
수의대(V), 의대(M), 간호대(M), 해양과학대(F), 약학대학(P), 본부대학(Q)
※ 다만 융복합교과목은 대학구분없이 ‘X’로 표기
- 둘째자리: 학부(과)・전공 영어명칭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며 각 단과대학에서 조정
나) 교양과목, 일반선택과목, 교직과목 기호
- 교양과목
․ 역량교양과목(ZT), 통합교양과목(ZI), 개척교양과목(ZP), 기초과정과목(ZG)
- 일반선택과목(ZA), 교직과목(ZC)

2) 셋째자리 및 넷째자리 기호
가) 셋째자리는 학부를 나타내는 “A” 를 부여(전공, 교양, 일반선택, 교직)
나) 넷째자리부터는 다음과 같이 부여
- 전공과목은 00001부터 일련번호 부여
- 교양과목은 넷째자리에 영역구분 번호를, 다섯째자리는 0001부터 일련번호 부여

나. 기타 과목 기호
1) 타 대학 이수과목
가) 우리 대학 교육과정에 동일(유사)과목이 있는 경우: 그 교과목 학수번호 적용
나) 동일(유사) 과목이 없는 경우: “OF”로 표시하며, 넷째자리부터 일련번호 부여
2) 고교-대학간 연계 이수과목은 “OO”, 군교육훈련과정 이수과목은 “OA”로 표시하며, 넷
째자리부터 일련번호 부여

1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6. 동시이수과목 지정

이론과 실험 ․ 실습이 분리된 과목 중 교육과정 운영상 동시에 이수하여야 하는 과목은 교육


과정에 명시하여 동일학기에 개설 및 수강신청 할 수 있도록 함

7. 졸업학점

각 대학의 학과(전공)별 졸업에 필요한 학점은 130학점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다음의 학과는
예외로 함
- 산업수요맞춤형고졸 재직자 특별전형 운영학과 120학점
- 법과대학 ․ 사범대학 ․ 간호대학 140학점
- 공과대학 건축학과 164학점
-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및 약학대학 약학과 160학점
- 의과대학 의학과 162학점
- 수의과대학 수의예과 수료학점 80학점
- 의과대학 의예과 수료학점 79학점

8. 졸업 및 학위

학칙 제76조에 의하여 학사학위를 수여 받고자 하는 사람은 졸업논문(실험실습보고서, 실기발표,


졸업종합시험 등)심사 통과 및 졸업자격인증(필수인증: 영어인증제, 「꿈·미래개척」상담인증, 선택인
증: 사회봉사, 글로벌리더십, 독서, 인성, 진로탐색)을 받고 교육과정에 따라 졸업소요학점을 이수하여
야 함. 다만, 이수한 전 교과목의 성적 평균평점이 1.75이상이어야 해당 학위를 받을 수 있음

경상대학교 17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Ⅱ. 교육과정별 이수안내

1. 복수전공

가. 다른 학부(과)·전공
1) 관련근거:「경상대학교 학칙」제65조제2항제1호, 학사관리규정 제107조~제120조의2

2) 신청자격
가) 복수전공을 이수하고자 하는 사람은 2개 학기 이상을 이수하여야 함
※ 교직 복수전공은 사범대학생 및 일반대학 교직 이수자에 한하여 신청 가능
나) 복수전공 이수 신청자는 총장이 공고하는 기간 안에 차세대시스템에 직접 신청하여 해
당 학과장 및 단과대학장의 허가를 받은 후 총장의 승인을 받아야 함
다) 복수전공 신청 제한 학과
- 공과대학 건축학과
- 수의과대학 수의예과 및 수의학과
- 의과대학 의예과 및 의학과
- 간호대학 간호학과
- 약학대학 약학과
- 재직자 특별전형 및 계약학과로 신설된 학과

3) 이수방법
가) 신청시기: 1월중, 7월중 (매 학기 개시 전)
나) 이수신청 및 중도포기에 관한 사항은 「경상대학교 학사관리규정」 제113조에 따름
다) 복수전공을 이수하는 자는 졸업학점 구성표 이수구분의 다전공(복수) 기준을 따름
라) 이미 이수한 전공 교과목이 우선이수 전공 이외의 전공에서 개설한 교과목과 동일
한 경우 그 이수학점을 다른 전공의 이수학점으로 9학점까지 중복인정 가능. 다만,
중복인정학점은 졸업학점에 포함하지 않음
마) 중도포기자의 취득한 우선전공 이외의 다른 전공이수학점은 일반선택학점으로 인정.
단, 취득한 학점이 부전공 이수요건에 도달하고 부전공 이수 신청이 있을 때에는 이
를 부전공으로 인정

1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나. 연계전공
1) 관련근거: 「경상대학교 학칙」제65조제2항제2호, 「경상대학교 연계전공운영지침」

2) 정의
- “연계전공”이란 둘 이상의 학과, 둘 이상의 학부 또는 학과와 학부가 교육과정을 연계하
여 제공하는 전공으로 동일 학부 내에 설치된 전공 간의 연계는 연계전공으로 보지 아
니함

3) 신청자격
가) 연계전공을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하고자 하는 사람은 2개 학기 이상을 이수하
여야 함
나) 복수 ․ 부전공 이수가 제한된 학과 학생을 제외한 모든 학생 신청 가능
※ 다만, 교직 복수자격 취득을 위한 통합과학, 통합사회 연계전공은 사범대학 관련학과
학생과 일반대학 해당 표시과목 교직 이수자에 한하여 이수 가능
다) 연계전공 이수 신청자는 총장이 공고하는 기간에 차세대시스템에 직접 신청하여 해당
전공주임과 주관대학장의 허가를 받은 후 총장의 승인을 받아야 함

4) 이수방법
가) 신청시기: 1월초, 7월초 (매 학기 개시 전)
나) 이수신청 및 중도포기에 관한 사항은 복수 ․ 부전공 이수와 동일
다) 연계전공을 복수전공으로 이수하는 사람은 매학기 3학점까지 추가 수강신청 가능
라) 연계전공을 복수전공으로 이수하는 학생은 「경상대학교 학사관리규정」제50조제2항
에서 정한 이수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하며, 우선이수전공의 교과목과 연계전공 교과
목이 중복될 경우 12학점까지 인정. 다만, 중복인정학점은 졸업학점에 포함하지 않음
마) 연계전공을 부전공으로 이수하는 사람은 21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하며, 우선이수
전공의 교과목과 연계전공 교과목이 중복될 경우 9학점까지 인정. 다만, 중복인정학
점은 졸업학점에 포함하지 않음
바) 연계전공 이수: 연계전공에서 지정한 학점을 포함하여 이수원칙 이수
5) 연계전공개설현황
연계전공명 주관학과 참여학과 (전공 ) 개설연도
독어독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철학과 , 국어국문학과 ,
문화콘텐츠학 독어독문학과 2011
민속무용학과 , 영어영문학과
지능로봇공학 제어계측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기계공학전공 ) 2011
글로컬융복합경영학 국제통상학과 국제통상학과 , 경영학과 , 경영정보학과 , 회계학과 2017

환경산림과학부 환경산림과학부 (산림환경자원학전공 , 환경재료과학전


미래그린농림융복합학 공 )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생물산 2017
(산림환경자원학전공 ) 업기계공학전공 )
축산생명학과 , 농업식물과학과 , 농화학식품공학과 , 식물
애그로스타트업학 축산생명학과 2020
의학과 , 식품자원경제학과

경상대학교 19
2020학년도 교육과정

다. 융합전공
1) 관련근거: 「경상대학교 학칙」제65조제2항제4호, 「경상대학교 융합전공운영지침」

2) 정의
- “융합전공”이란 둘 이상의 학과, 둘 이상의 학부 또는 학과와 학부가 교육과정을 융합하여 제공
하는 새로운 학문 분야의 전공으로 동일 학부 내에 설치된 전공 간의 융합은 융합 전공으
로 보지 아니함

3) 융합전공 구분
- 융합전공은 주전공 또는 복수전공으로 이수가능하며, 융합전공을 주전공으로 이수하는
경우 “융합전공(주)”, 융합전공을 복수전공으로 이수하는 경우 “융합전공(복수)”로 구

4) 신청자격
가) 융합전공을 주전공 또는 복수전공으로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은 2개 학기 이상을 이수
하여야 함
나) 융합전공 이수 신청자는 총장이 공고하는 기간 안에 차세대시스템에 직접 신청하여 해
당 전공주임과 주관대학장의 허가를 받은 후 총장의 승인을 받아야 함

5) 이수방법
가) 신청시기: 1월초, 7월초 (매 학기 개시 전)
나) 중도포기에 관한 사항
- 융합전공(주): 융합전공에서 취득한 교과목의 학점은 전공 또는 일반선택으로 인정
- 융합전공(복수): 융합전공에서 취득한 교과목의 학점은 일반선택으로 인정
※ 그 밖의 중도포기에 관한 사항은 복수전공 이수와 동일
다) 융합전공을 이수하는 학생은 매학기 3학점까지 추가 수강 신청 가능
라) 융합전공을 이수하는 학생은 「경상대학교 학사관리규정」제50조제2항에서 정한 이
수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하며, 우선이수전공의 교과목과 융합전공 교과목이 중복
될 경우 12학점까지 인정. 다만, 중복인정학점은 졸업학점에 포함하지 않음
마) 융합전공 이수: 융합전공에서 지정한 학점을 포함하여 이수원칙 이수
※ 융합전공(주)에 한해 입학 시의 우선이수전공의 교육과정은 이수하지 않아도 됨
※ 융합전공(주) 졸업에 필요한 학점은 130학점으로 하되, 교양과정 중 기초과정이수는
제외할 수 있으며, 전공과정은 해당 융합전공에서 정한 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함

2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5) 융합전공개설현황

구분 융합전공명 주관학과 참여학과 (전공 ) 개설연도

건축도시토목공학부 건축도시토목공학부 (건축공학전공 ) ,


주택 ∙도시개발학 건축도시토목공학부 (도시공학전공 ) ,
(도시공학전공 )
경영정보학과
전력에너지공학 전기공학과 , 전자공학과 , 반도체공학 2018 . 2학기
전자공학과
과 , 제어계측공학과 , 화학공학과
산업경영지원학 경영정보학과 , 경영학과 , 회계학과 ,
경영정보학과
행정학과 , 법학과 , 산업시스템공학부
문화융복합학 러시아학과 , 중어중문학과 , 한문학
러시아학과
과 , 경영정보학과
융합전공 (복수 ) * 시험 · 분석학 화학과 화학과 , 생명과학부 , 물리학과
경영학과 , 경제학과 , 정보통계학과 ,
금융보험학 경영학과
경영정보학과 , 회계학과 , 수학과
산업시스템공학부 , 기계항공정보융합
공학부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 2020
데이터사이언스학 산업시스템공학부
공 ) , 건축도시토목공학부 (도시공학전
공 ) , 경영정보학과
식물의학과 , 농업식물과학과 , 농화학
농산업컨설팅학 식물의학과 식품공학과 , 식품자원경제학과 , 축산
생명학과
단디공공서비스학 법학과 법학과 , 행정학과
환경산림과학부 환경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 ,
융합전공 (주 ) ** P&P화학공학 2019
(환경재료과학전공 ) 화학공학과

* 융합전공을 복수전공으로 이수하는 경우


** 융합전공을 주전공으로 이수하는 경우

라. 학생설계전공
1) 관련근거: 「경상대학교 학칙」제65조제3항제3호, 「경상대학교 학생설계전공운영지침」

2) 정의
- “학생설계전공”이란 학생이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3개 이상(우선이수전공 포함 가능)
의 전공에서 교과목을 조합하여 단일주제의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이수하는 전공

3) 신청자격
- 2개 학기 이상을 이수한 학생

4) 이수방법
가) 총장이 공고하는 기간에 학생설계전공 이수신청서를 작성하여 지도교수와 학생소속 학
부(과)장의 동의를 얻어 소속 대학장을 경유한 후 총장에게 제출·승인
나) 본교 개설교과목으로 57학점 이상, 3개 이상의 전공을 포함하여 교육과정 편성
다) 교과목은 개설학과의 개설시기(학년, 학기)를 고려하여 편성
라) 학생설계전공을 이수하는 학생은 매학기 3학점까지 추가 수강 신청 가능
마) 학생설계전공 이수

경상대학교 21
2020학년도 교육과정

① 최소전공이수학점은 36학점 이상으로 한다


② 학생 소속 학부(과) 개설교과목과 학생설계전공 교과목이 동일하거나 이미 이수한 경
우 12학점까지 중복 인정가능
③ 학생설계전공을 중도에 포기할 경우 이수학점은 일반선택학점으로 인정
④ 우선이수전공 및 학생설계전공의 졸업요건이 충족되었을 경우 우선이수전공 및 학생
설계전공이 병행 표기된 학위 수여
※ 우선이수전공의 졸업요건을 충족한 경우라도 학생설계전공을 이수 중인 경우, 우선
이수전공의 학위수여를 유보하며, 학생설계전공의 이수요건 충족 시 학위 수여

2. 부전공

1) 부전공 신청은 2학년 이후에 가능하며 학부(과)장은 학생의 적성이나 수학능력과 수용능
력을 참작하여 제한 가능
2) 부전공을 이수하고자 하는 사람은 따로 정하는 기간 중에 부전공 이수신청을 하여 부
전공 지원 학부(과)장과 해당 학장의 승인을 받아야 하고, 이수신청자의 소속 학장은 이
수 신청 관련 사항을 총장에게 보고하여야 함

3) 부전공의 이수는 해당 부전공 학부(과) ․ 전공에서 9학점 이내로 과목을 지정할 수 있으며,
부전공을 이수하고자 하는 사람은 지정된 과목을 포함하여 21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함. 또
한 이미 이수한 과목 중 부전공 학과의 교과목이 있을 경우 부전공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 가능(학점 중복인정 불가)

4) 부전공을 포기하고자 하는 사람은 매학기 개시 전에 “부전공포기서”를 제출.(단. 졸업예


정자는 졸업예정 학기말 1개월 이전에 제출) 부전공포기서를 제출한 경우, 우선이수전공
이외의 다른 전공에서 취득한 학점은 일반선택 학점으로 인정

5) 학생은 공과대학 건축학과, 사범대학, 수의과대학, 의과대학, 간호대학, 약학대학의 모


든 학과, 재직자특별전형 및 계약학과로 신설된 학과를 부전공으로 선택할 수 없으며, 재직
자특별전형 및 계약학과로 신설된 학과로 입학한 학생은 다른 전공을 부전공으로 이수
불인정

6) 심화프로그램을 이수중인 학생은 다른 심화프로그램 부전공을 허용하지 아니함

3. 교직과정

1) 교직과정이 설치된 비 사범계 학과(전공)의 학생으로서 교직과정을 이수 하고자 하는


사람은 1학년 과정을 이수하고 지정기간에 교직과정 이수신청을 하여 총장의 허가를
받아 2학년부터 교직과정을 이수할 수 있고, 소속 학장은 성적이 우수학고 적성 ․ 인
성 ․ 품성이 교직자로서 적격하다고 판단되는 사람을 교직과정 이수자로 선정

2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2) 교직과정 이수 정원은 교육부 승인정원으로 정함

3) 전체 교직과정 이수자는 해당 학과(전공)의 교직 표시과목별 기본이수과목 21학점(7


과목)이상과 교과교육영역 8학점~9학점(3과목)이상을 포함한 50학점 이상의 전공과
목을 이수하여야 하며, 교직이론 12학점(6과목)이상과 교직소양 3과목(6학점이상) 그리고
교육실습(교육봉사 2학점 이내 포함) 4학점 이상을 포함한 교직과목 22학점 이상을 이
수하여야 함. 다만, 보건, 영양, 전문상담 교사의 경우는 전공과목에 교과교육영역을
포함하지 아니함

4) 2019학년도 입학자로서 교직과정 이수자는 2019학년도 교육과정의 교직과목 및 교직표시과


목 기본이수과목 이수

5) 교원자격증[중등학교정교사 (2급)]은 전공 평균성적 75점 이상, 교직 평균성적 80점 이상


(2009학년도~2012학년도 교육과정을 적용받는 자는 졸업전체 평균성적 75점 이상)인 자에게
발급하며, 교직 적성·인성검사 적격판정 2회 이상,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을 2회 이
상 받아야함

6) 사범대학 학생 및 교직과정 이수자가 교육부장관이 정하는 학과 또는 전공분야의 교직과


정을 복수전공하는 경우 그 학과 또는 전공분야의 표시과목에 대한 기본이수영역 및 교
과교육영역을 반드시 각각 이수

7) 사범대학 학생 및 교직과정 이수자가 교육부장관이 정하는 학과 또는 전공분야를 복수로 전


공한 경우 그 학과 또는 전공분야의 표시 과목에 대한 교원자격증을 각각 수여

4. 맞춤형교육과정(트랙제)
가. 관련근거: 「경상대학교 학칙」제64조 제2항 및 제3항, 「트랙제 교육과정 운영 지침」
나. 정의
- “트랙제 교육과정”이란 학문이나 특정분야의 심층성과 전문성을 증대하고자 학부(과) ․
전공 내 교육과정을 교육트랙 또는 산학트랙으로 나누고, 학생이 이를 이수할 경우
해당 학과에서 전문성을 보증해 주는 교육과정을 말함

- “교육트랙”은 학과의 핵심교과를 중심으로 이를 세분화된 트랙으로 모듈화하여 특정


학문분야의 전문성을 증대하고자 맞춤형 트랙을 구성 ․ 운영하는 교육과정을 말함

- “산학트랙”은 국가 ․ 지방자치단체 및 산업체 등과의 협약에 의한 인력양성 및 기타 사회


수요에 대비한 인력양성을 위해 맞춤형 트랙을 구성 ․ 운영하는 교육과정을 말함

다. 이수방법
□ 교육트랙

1) 교육트랙학과로 입학한 학생은 교육트랙 진입 시 트랙을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하며,

경상대학교 23
2020학년도 교육과정

교육트랙학과로 복수 ․ 부전공을 승인 받은 경우, 교육트랙학과로 전과를 허가 받은 경


우, 교육트랙학과로 편입학한 경우 교육트랙을 선택하여 이수 가능

2) 교육트랙학과로 입학한 학생은 입학년도 교육과정을 적용받는 것을 원칙으로 함


3) 교육트랙 변경은 제3학년 1학기 개시 전 교육트랙 변경신청서를 학과로 제출
※ 기타 세부사항은 트랙제 교육과정 운영 지침 참조

□ 산학트랙

1) 이수 신청자는 총장이 공고하는 기간에 트랙제 교육과정 이수신청서 제출하여 학과장 및 학장


의 승인을 받아야 함(다만, 산업체 등과의 협약에 의한 트랙의 경우 학과에서 신청 시기를 따
로 정할 수 있음)
2) 이수자는 해당 트랙제 교육과정 이수원칙에 따라 교육과정 이수
3) 이수 포기자는 해당학기 개시 전에 트랙제 교육과정 포기서를 소속 학과로 제출

4) 트랙제 교육과정을 수료한 학생에게는 졸업증명서 및 졸업예정증명서에 “○○ 전문인


력 양성과정 이수”로 표시하여 트랙제 교육과정 이수사항 명시

라. 맞춤형 교육과정(트랙제 교육과정) 편성 현황


- 「2020학년도 교육과정 책자」에 별도 표기

5. 교육인증제 교육과정

가. 공학교육인증제
1) 이수원칙
가) 공학교육인증제 이수 대상자의 교육과정 및 이수 방법은 이하에서 정하는 바에 따르며,
여기에서 규정하지 않은 교육과정 및 이수 방법에 관하여는 일반 학부(과)・전공에 적용
되는 교육과정 및 이수 방법에 따름
나) 공학교육인증제 이수 대상자의 졸업 이수학점은 「공학교육인증대상학과 졸업소요
학점표」에 따름
다) 심화프로그램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은 심화프로그램에서 정한 선후수체계도에 따라
학점을 이수
라) 심화프로그램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은 심화프로그램에서 정한 요건을 만족하여야 함

2) 운영대상
-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이 정하는 기준에 따른 공학교육인증제를 운영하는 학부(과)・
전공은 아래와 같음
※ KEC2015 기준 적용: 공과대학 건축도시토목공학부(건축공학전공), 기계항공정보융
합공학부(기계공학전공)

2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3) 교양과정의 구성 및 이수학점
- KEC2015 기준 적용
공학교육인증제 교양과정은 전문교양과 수학・기초과학・컴퓨터(MSC)로 구분하며, 이수에
관한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음
가) 전문교양 과목
전문교양과목 [별첨1]의 영역별 최소이수학점을 포함하여 14학점이상 이수. 다만, E-Z프
로그램을 수료하여 English-Zone영어(4학점)를 취득하면 대학영어1 및 대학영어2를 이수
한 것으로 인정
나) 수학・기초과학・컴퓨터(MSC)과목
MSC과목 [별첨2]는 각 영역별 인증학점을 포함하여 30학점 이상 이수. 인증기준
KEC2015의 적용을 받는 학생은 기초과학 과목(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중 1개 과목
이상은 실험을 포함하여야 함
다) 선이수과목
공학교육인증제를 운영하는 학부(과)・전공의 선이수과목은 [별첨4]과 같음

4). 전공과정의 구성 및 이수학점


가) 전공과목은 전공필수를 포함하여 「공학교육인증대상학과 졸업소요 학점표」에서 정한
학점 이상을 이수
나) 기초설계과목은 4학기 이전에 이수함을 원칙으로 함
다) 심화프로그램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은 전공과목 중 설계과목은 기초설계-요소설계-종
합설계의 이수체계에 따라서 이수
라) 심화프로그램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은 기초설계와 종합설계를 포함하여 심화프로그램
에서 정한 설계과목 이수학점 이상을 이수

나. 건축학교육인증제

1) 이수원칙
건축학교육인증제 교양과정 이수방법은 이하에서 정한 바에 따르며, 여기서 규정하지 않은
전공과정의 이수에 관하여는 일반학부(과)・전공에 적용되는 교육과정 및 이수방법에 따름

2) 운영대상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AAB)이 정하는 기준에 따른 건축학교육인증제를 운영하는 학부
(과)・전공은 아래와 같음
- 공과대학: 건축학과

3). 교양과정의 구성 및 이수학점


가)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의 이수규정에 따라 건축학교육인증제 전문교양과목 및 최소이수
학점은〔별첨3〕와 같음

경상대학교 25
2020학년도 교육과정

나) 전문교양과목 총 38학점이상 이수

2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다. 창업교육인증제

1) 관련근거: 「학사관리 규정」제133조의5, 「창업교육인증제 운영지침」

2) 정의
- 소속 학과(전공)의 특성에 맞게 창업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이수 조건에 따라 차등적
인증등급 부여
-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참여 학생의 취업 및 창업에 유리한 기회 제공

3) 이수방법
가) 창업교육인증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은 인증제 참여신청서를 소속 학과(전공)장의
승인을 받아 소속대학을 경유하여 사업단에 제출
나) 영역(4개영역)별 제시된 교과목을 인증 기준에 따라 이수
다) 인증기한: 졸업예정일 1개월 전까지 완료
라) 국문졸업(예정)증명서, 성적증명서 서식에 인증 등급(2등급) 표기: ‘인증’, ‘우수 인증’

4) 인증기준
구분 교과목[별첨5] 우수인증 인증

1. 창업교과Ⅰ
· 창업 관련 교양기초 교과목
(교양기초과정)
8 6
2. 창업교과Ⅱ · 창업 관련 교양심화 및 전공
(교양심화‧전공과정) 교과목

3. 학과특성화 교과 · 캡스톤디자인 2 0

· 창업(현장)실습 교과목 이수
4. 창업(현장)실습 교과 3 0
또는 창업수상 실적달성

인증 인정 최저 학점수 13 8

※ 창업교육인증제 인정교과목 일람표: [별첨5]


※ 창업(현장)실습 대체 인정 창업관련 수상 점수 기준[별첨5]

경상대학교 27
2020학년도 교육과정

라. 졸업자격인증제

1) 관련 근거: 「경상대학교 학칙」제75조의2, 「졸업자격인증제 운영지침」


2) 인증분야
- 필수인증인 영어인증제와 「꿈 ․ 미래개척」상담, 선택인증인 개척인증으로 구분하고 개
척인증에는 사회봉사, 글로벌리더십, 독서, 인성 및 진로탐색 분야로 구분
3) 인증기준

인증 필수인증제 개척인증제
분야 영어인증제 「꿈․미래개척」상담 사회봉사 글로벌리더십 독 서 인 성 진로탐색
⦁교과목 이수 ⦁교과목 이수 ⦁사회봉사 ⦁해외현장체험 ⦁위원회에서 ⦁교과목 이수 ㆍ인재개발원 및
-대학영어 1 및 -「꿈․미래개척」 30시간 이상 참가 7일 이상 선정한 도서를 -「 GNU 인성 」 대학일자리센터
대학영어 2 이수 교과목 4개 학기 ⦁국내 ․외 ⦁G l oba l P i onee r 읽고 컴퓨터 과목 이수 주관
⦁EZ프로그램 수료 이상 이수, 다만, 봉사프로그램 P rog ram 참가 평가시스템을 ⦁미래교육원 주관 -진로 · 취업상담
-Eng l i sh-Zone 수의과대학 * 5일 이상 참가 7일 이상 통한 문제은행 인성개발프로그 1회 이상 이수
영어 이수 학생은 4개 학기 ⦁1학기당 1회 헌혈 ⦁해외 단기교환 평가에 램(12시간) 이수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
중 본과에서 2개 하여 총 3회 이상 프로그램 참가 응시하여 70점
기준 ⦁공인어학 3회 이상 이수
학기 이상 이수 , ⦁총장이 인정하는 이상 취득한
인증시험 7일 이상 -설명회 및 박람회
수의과대학 1학기 이상의 도서가 7권
-TEPS 392 점 이상 ⦁해외 인턴십 2회 이상 이수
편입생은 2개 교내 봉사활동 이상인 경우
-TOE IC 800 점 이상 수료 4주 이상
학기 이상 이수
-TOEFL( IBT기준 )
⦁해외 교환학생 (위 기준 모두 이수 )
86점 이상
수료 1학기 이상

* 수의과대학
- 2020년 1학기 수의학과(본과) 1학년부터 수의과대학 재학 중 4회 이상 이수 (수의학과(본과)
재학 중 2회 이상 필수 이수, 편입생은 2회 이상 이수)
4) 개척인증제 인증분야 선택 및 변경
가) 인증방법: 5개 인증분야 중 1개를 선택하여 인증
나) 인증분야 선택: 3학년 수강신청일 전까지 차세대시스템을 통하여 선택
다) 인증분야 변경: 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졸업예정학기의 계절학기 성적 확정일까지 가능
라) 인증기한: 졸업예정학기의 계절학기 성적 확정일 까지 이수
5) 인증분야별 담당부서
필수인증제 개척인증제
인증분야
영어인증제 「꿈 · 미래개척 」상담 사회봉사 글로벌리더십 독서 인성 진로탐색
담당
학사지원과 학사지원과 학생과 학생과 도서관 미래교육원 인재개발원
부서

6) 학년별 「꿈·미래개척」상담 이수횟수


구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2014 년 2학기 재학생 3회 2회 1회 이수의무 없음
2014 년 2학기
복학 학년도에 따라 위 이수횟수 적용
휴학생
2015 년 이후 교육과정
총 4회 이수
적용자

2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7) 수의과대학 및 의과대학 「꿈·미래개척」상담 이수 횟수


(2020 학년도 1학기 기준 ) (2020 학년도 1학기 기준 )
구 분
수의학과 , 의학과 2학년 이상 수의학과 , 의학과 1학년 이하
수의예과 2회 2회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 2회
의예과 2회 2회
의과대학
의예과 , 의학과 - 2회
※ 수의과대학 편입생은 2회 실시
※ 의과대학 학생은 의예과 2회 및 의예과 , 의학과 구분 없이 2회 실시 (총 4회 실시 )
적용 예 : 의예과 4회 , 의학과 0회 실시 / 의예과 3회 , 의학과 1회 실시 / 의예과 2회 , 의학과 2회 실시
의예과 1회 , 의학과 3회 실시 (불가 ) / 의예과 0회 , 의학과 4회 실시 (불가 )

6. 기타 교과목 이수

가. 현장실습교과목
1) 관련 근거 : 「경상대학교 학칙」제55조, 「현장실습 운영지침」
2) 정의
-「현장실습」이라함은 총장이 인정하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및 국내 ․ 외 사업체
등과 협약한 프로그램에 따라 운영되는 것을 말함

3) 신청자격
- 교육과정에 해당과목이 편성된 학과(전공)의 재학생(복수전공이수자 포함)으로 “현장실습
1, 2”, “국외현장실습1, 2”는 2개 학기 이상, “현장실습3”, “국외현장실습3”은 4개 학기 이
상 이수한 사람을 대상으로 학과(전공)에서 선발

4) 이수방법
가) 성적평가는 P/U로 하고 P를 이수성적으로 학점 인정
나) 현장실습교과는 최대 35학점까지 이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공학점으로는 최대 21학점까지 인정
다) 타 학과에 개설된 현장실습교과를 이수할 경우 일반선택으로 학점 인정
라) 현장실습교과목을 전공학점으로 인정받는 경우 다음과 같이 전공소요 학점을 상향 추가 이수
- 15학점 이상 21학점 미만 이수자: 6학점
- 21학점 이수자: 9학점
5) 현장실습 교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실습기간 학기구분


EZA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 4주 이상 계절학기제
EZ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 8주 이상 계절학기제
EZ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 15주 이상 학기제
EZA30074 국외현장실습 1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1 3 4주 이상 계절학기제
EZA30075 국외현장실습 2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2 6 8주 이상 계절학기제
EZA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 15주 이상 학기제

경상대학교 29
2020학년도 교육과정

나. 평생교육사(2, 3급) 자격 취득 교과목 이수


1) 관련근거
-【평생교육법 제24조(평생교육사)】,【평생교육법시행령 제15조(평생교육사의 그 밖의 자격
요건)】,【평생교육법시행규칙 제5조(평생교육 관련 교과목), 제6조(평생교육사 자격증의
수여 등)】

2) 정의
- 평생교육사 이수는 교육부장관이 평생교육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평생교육법 제
24조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에게 평생교육사 자격증을 부여하는 제도
3) 취득요건
가) 대학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을 인정할 수 있는 기관,「학점인정등에관한법률」에
따라 평가인정을 받은 학습과정을 운영하는 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법시행규칙 제5조 제
1항에서 정한 과목을 2급: 30학점, 3급: 21학점 이상 이수하고 졸업한자
나) 평생교육 관련 이수과목의 성적은 각 과목을 100점 만점으로 하여 평균 80점 이상
다) 평생교육법에서 정한 평생교육기관 및 평생교육법시행령에서 정한 문자해득교육 프로그
램으로 지정받은 기관에서 4주간 현장실습 실시
라) 신원조회에 결격사유가 없어야 함

4) 이수기준 및 이수방법
가) 등급별 이수 기준
- 2급: 필수과목 15학점을 포함하여 30학점 이상 이수하고 대학을 졸업한 자
- 3급: 필수과목 15학점을 포함하여 21학점 이상 이수하고 대학을 졸업한 자
나) 이수방법
- 필수과목은 평생교육실습을 포함하여 15학점 이상 이수
- 선택과목은 평생교육 실천영역 및 평생교육 방법영역에서 각 1과목 이상씩 이수
- 과목당 학점은 3학점으로 하고, 성적은 각 과목을 100점 만점으로 하여 평균 80점 이상
- 평생교육실습과목: 평생교육법시행령」제69조 제2항에 따라 문자해독교육프로그램으로
지정받은 기관,「평생교육법」제19조부터 제21조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평생교육기관에
4주간 현장실습을 포함한 수업과정 구성
다) 영역별 선택과목
-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이수한 학점은 인정 불가
- 평생교육 실천영역: 아동교육론, 청소년교육론, 여성교육론, 노인교육론, 시민교육론, 문자
해득교육론, 특수교육론, 성인학습 및 상담
- 평생교육 방법영역: 교육사회학, 교육공학, 교육복지론, 지역사회교육론, 문화예술교육론,
인적자원개발론, 직업 ․ 진로설계, 원격(이러닝, 사이버)교육론, 기업교육론, 환경교육론,
교수설계, 교육조사방법론, 상담심리학

3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5)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과목(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


우리대학교 지정 교과목
구분 평생교육법 지정 교과목 이수 개설 비고
개설학과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 학기 학점
평생교육론 교육학과 전선 TEA20008 평생교육론 1 3
평생교육방법론 교육학과 전선 TEA20009 평생교육방법론 2 3
필수 평생교육경영론 교육학과 전선 TEA30068 평생교육경영론 2 3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교육학과 전선 TEA30039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1 3
과목 계절
평생교육실습 교육학과 전선 TEA40036 평생교육실습 3
학기
실천영역 청소년교육론 교육학과 전선 TEA10003 청소년교육론 2 3
교육사회학 사회학과 전선 SSA30022 교육사회학 2 3
선택 교육사회학 교육학과 전선 TEA00007 교육사회학 1 3
교육공학 교육학과 전선 TEA00002 교육공학 2 3
과목 방법영역 상담심리학 교육학과 전선 TEA00008 상담심리학 1 3
환경교육론 윤리교육과 전선 TNA00103 환경윤리 2 3
사회학과 전필 SSA20012 사회조사방법론 1 3
교육조사방법론 택일
교육학과 전선 TEA00006 교육조사방법론 1 3

다. 개척학기제

1) 정의
- 정규학기 중 개인 또는 2~3명의 학생이 팀을 구성하여 스스로 과제 계획 수립 및 수행을
통해 소정의 학점을 인정받는 제도

2) 신청자격
- 두 개 학기 이상을 이수하고 전체 평균평점이 3.0 이상인 학생(다만, 편입생은 첫 학기 신청 시 예외)
※ 졸업 마지막 학기 이수예정자는 신청 불가

3) 개설시기
- 정규 학기에 한함(계절, 특별학기 불가)

4) 개척학기제 교과목

교과목명 학수번호 학점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수번호 학점 이수구분


GNU개척 Ⅰ ZPA30032 2-2-0 GNU개척심화 Ⅰ GPA0001 3-3-0
전공선택
교양 GNU개척심화 Ⅱ GPA0002 3-3-0
GNU개척 Ⅱ ZPA30033 2-2-0 또는
(개척교양 ) GNU개척심화 Ⅲ GPA0003 3-3-0
GNU개척 Ⅲ ZPA30034 2-2-0 일반선택
GNU개척심화 Ⅳ GPA0004 3-3-0

라. 전공이해증진 교과목

1) 정의
- 학부(과)·전공의 소속 전임교원 60%이상이 강의하는 팀티칭 교과목으로 신입생들의 전공
진입 전 학부(과)·전공에 대한 이해도 제고 및 이수 역량 제고를 위한 전공 교과목으로
2학점 이내로 운영

경상대학교 31
2020학년도 교육과정

2) 기타
- 상대평가 제외여부는 강의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3) 전공이해증진 교과목
대학 학과 ( 전공 )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인문대 국어국문학과 전필 H K A 00006 국어국문학의이해 1-1-0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전선 N C A 00123 전공화학입문실습 2-0-4
공과대학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전선 E T A 00084 진로탐색세미나 1-1-0
공과대학 나노 .신소재공학부 전필 E G A 00001 재료입문 1-1-0
농생대 농화학식품공학과 전선 A X A 00001 농화학식품공학개론 2-2-0
농생대 축산생명학과 전필 A T A 00001 축산생명학개론 1 2-2-0
농생대 축산생명학과 전필 A T A 00002 축산생명학개론 2 2-2-0
애그로시스템공학부
농생대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전선 A E A 00095 애그로시스템공학개론 2-2-0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법과대학 법학과 전선 L AA 00102 법학의이해 2-2-0
간호대학 간호학과 전선 M N A 20055 간호문제중심학습 2-2-0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전필 T K A 00001 국어교육의이해 2-2-0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전선 T N A 00006 윤리교육입문 2-2-0
사범대학 일어교육과 전선 T J A 00008 기본일본어 2-2-0
해양과학대학 에너지기계공학과 전필 F E A 00012 에너지기계공학입문 2-2-0

마. 해외어학연수 학점 인정 교과목
1) 관련근거: 「경상대학교 학칙」제70조제3항, 「경상대학교 해외어학연수 운영지침」

2) 신청자격
- 본교에 등록금을 납부한 재학생

3) 이수방법
가) 외국대학 또는 대학 어학연수기관 등에서 소정의 과정을 수료한 학생에 대해 연수기간
및 시간에 따라 학점 인정
나) 졸업 시까지 해외어학연수로 최대 취득 가능 학점은 12학점, 방학기간 중 실시한 연수는
계절학기 수강신청 가능 학점(6학점)을 초과 할 수 없음
다) 성적평가는 P/U로 하고, 일반선택으로 학점 인정

4) 해외어학연수 인정 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연수기간 및 이수시간 학기구분 비고
해외어학연수 1
OFA00482 3 4주 이상 및 90시간 이상 계절학기제
(Language S t udy Ab r oad 1)
해외어학연수 2
OFA00483 6 4주 이상 및 180시간 이상 계절학기제 외부
(Language S t udy Ab r oad 2)
학점
해외어학연수 3
OFA00484 9 12주 이상 및 270시간 이상 학기제 인정
(Language S t udy Ab r oad 3)
해외어학연수 4
OFA00485 12 15주 이상 및 360시간 이상 학기제
(Language S t udy Ab r oad 4)

3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Ⅲ. 적용대상 및 경과조치

1. 적용대상

이 교육과정은 2020학년도부터 적용 개설하되, 각 학과 또는 학부(전공)의 각 과정별 졸업


소요학점은 2020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2019학년도 이전 입학자로서 1개 학기도 이수하지
않고 휴학한 자가 2020학년도에 복학한 경우 포함)

2. 경과조치

가. 2016학년도 이전 입학자

1) 역량교양
- 공통교양 이수
- 학점 변경(감소)된 대학영어1, 2 교과목을 (재)이수하면 필수학점이 부족하여도 공통교
양 졸업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본다. 다만, 학과별 졸업에 필요한 교양 졸업소요 학점
은 모두 이수하여야 함
- 비판적사고, 수리통계적사고, GNU인성, 글쓰기심화, 발표와토론, 컴퓨팅사고와코딩,
영어읽기와토론 중 1과목 이상 선택 이수 가능

2) 개척교양
- 일반교양 이수
- 정보활용능력(ZDA90108), 사회봉사1(ZDA90001), 사회봉사2(ZDA90024) 폐지로 인해 학점인
정 불가(2017. 2. 28. 기준)

나. 2017학년도 이후 입학자 및 2016학년도 이전 입학자 중 1개 학기도 이수하지 않은


복학(또는 재입학)자

1) 역량교양
- 비판적사고, 수리통계적사고, GNU인성, 글쓰기심화, 발표와토론, 컴퓨팅사고와코딩,
영어읽기와토론 중 2과목 이상 선택 이수 가능

2) 개척교양
-「꿈·미래개척」2학점 필수 이수
- 영역(진로·취업, 창업·산학협력, 기타)에 관계없이 학생이 2과목 이상 자유선택 이수 가능

다. 2017학년도 통합교양의 영역변경(핵심교양 1영역“문학과문화”→ 통합교양 3영역


“인간과사회”)이 발생한 교과목 이수

1) 재이수시 영역 중복이수가 발생한 경우 1영역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 가능

2) 2017학년도 이전에 변경 전 영역으로 이수했을 경우 변경 후의 영역으로 인정 가능


※ 교과목: 광고이미지읽기(ZIA30020)

경상대학교 33
2020학년도 교육과정

라.「꿈․미래개척」교과목은 2학점 이내에서 졸업을 위한 교양학점으로 인정한다. 다만 2014


학년도 2학기 이전에 「꿈․미래개척」교과목을 이수한 사람에 대해서는 3학점까지 졸업
학점을 인정 가능

마. 건축도시토목공학부 토목공학전공 학생이 “일반수학1”을 이수한 경우 “기본수학”


을 이수한 것으로 본다. 다만, 2018학년도 입학생 및 교육과정 해당자부터 적용한다.

바. 산업시스템공학부 산업시스템공학전공의 선이수과목은 “기본수학”으로 하며, 2019학


년도 입학생 및 교육과정 해당자부터 적용한다.

사. 동일 교과목의 이수구분이 변경된 경우: 교과 적용년도 이후의 변경된 이수구분으로


인정이 가능

아. 연계(융합)전공 신설 및 개편에 따른 교육과정 적용: 학생이 현재 적용받고 있는 교육


과정을 기본으로 하되, 적용이 곤란한 경우 연계전공 신청연도의 교육과정을 적용

자. 교과목 이수에 관한 규정이 변경되거나 새로 설정된 경우에는 현재 학기 이후의 과정에서


이수할 수 있는 사항만 충족시키면 됨

차. 모든 학적변동자(복학, 재입학)는 입학년도 또는 복학(또는 재입학)년도의 소속 학년이


적용받는 교육과정 중 선택하여 이수 가능. 다만, 1개 학기도 이수하지 않은 사람은
복학(또는 재입학)년도의 교육과정 적용

카. 위 경과조치를 적용하기 어려울 때에는 별도 심의에 의하여 결정

3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별첨1]
공학교육인증제 전문교양 과목(KEC2015 기준)
영역 교 과 목 최소이수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 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 점 학점
ZTA10002 대학영어 1 (필수 ) 2-2-0 ZTA10003 대학영어 2 (필수 ) 2-2-0
영역 A 4
ZTA20007 영어읽기와토론 2-2-0 Z I A10010 영어읽기와쓰기 2-2-0
ZTA20003 GNU인성 2-2-0 ZTA20004 글쓰기심화 2-2-0
영역 B 2
ZTA20005 발표와토론 2-2-0
영역 C ZTA10004 글쓰기기초 (필수 ) 2-2-0 ZPA10005 공학보고서작성및발표 2-2-0 2
영역 D ZTA20001 비판적사고 2-2-0 ZTA20002 수리통계적사고 2-2-0 2
ZPA10004 공학과경영 * 2-2-0 ZPA10007 기술경영의이해 * 2-2-0
영역 E 2
ZPA10008 기술경제성분석 * 2-2-0
Z I A50008 창업과특허 * 2-2-0 Z I A60015 발명과혁신을위한창의기법 2-2-0
영역 F 2
ZPA10021 창의적문제해결기법 * 2-2-0 ZPA10006 공학윤리 * 2-2-0
합 계 (36 ) 14
※ * 표시과목은 미니기술경영(MOT) 과목임. 이들 과목 중
(1) 기술경영의이해(ZPA10007): 필수
(2) 공학과경영(ZPA10004), 기술경제성분석(ZPA10008), 창업과특허(ZIA50008) 중 2과목 선택 이수
(3) 공학윤리(ZPA10006), 창의적문제해결기법(ZPA10021) 중 1과목 선택 이수
※ 해당 교육과정에 상관없이 이수할 당시의 영역을 인정
[별첨2]
공학교육인증제 MSC 과목(KEC2015 기준)
교 과 목 인증
영역
학수번호 교 과 목 학 점 학수번호 교 과 목 학 점 학점
ZGA30011 수학 1 3-3-0 ZGA30016 정보통계학 3-3-0
ZGA30012 수학 2 3-3-0 ZGA30017 정보통계학실습 1-0-2
수학
ZGA30013 일반수학 1 4-4-0 EZA20001 공학수학 1 3-3-0 9~15
(M )
ZGA30014 일반수학 2 4-4-0 EZA20002 공학수학 2 3-3-0
E I A00101 산업통계 1 3-3-0 E I A00100 공학수학 3-3-0
ZGA30003 물리학 1 3-3-0 ZGA30022 화학 1 3-3-0
ZGA30005 물리학실험 1 1-0-2 ZGA30024 화학실험 1 1-0-2
ZGA30004 물리학 2 3-3-0 ZGA30023 화학 2 3-3-0
기초 ZGA30006 물리학실험 2 1-0-2 ZGA30025 화학실험 2 1-0-2
과학 ZGA40002 기본물리학 2-2-0 ZGA30015 일반화학 3-3-0 10~18
(S ) ZGA30007 생물학 1 3-3-0 ZGA30008 생물학 2 3-3-0
ZGA30009 생물학실험 1 1-0-2 ZGA30010 생물학실험 2 1-0-2
ZGA30018 지구과학 3-3-0 ZGA30002 기초생물학 3-3-0
ZGA30019 지구과학실험 1-0-2
ZGA30001 공학프로그래밍언어 3-3-0 ZTA20008 컴퓨팅사고와코딩 2-1-1
컴퓨터 ZGA30020 컴퓨터프로그래밍 3-3-0 Z I A50015 생활속소프트웨어 2-0-2
2~6
(C ) ZGA30021 컴퓨터프로그래밍실습 1-0-2 E I A20029 공학컴퓨터활용 3-3-0
EMA00027 기계공학프로그래밍 3-0-3 E I A20016 정보통신개론 3-3-0
합 계 (86 ) 30
※ 해당 교육과정에 상관없이 이수할 당시의 영역을 인정하며, 선이수 대상자가 아닌 학생이 선이수 과목
(일반수학1, 기본물리학)을 이수 시 불인정

경상대학교 35
2020학년도 교육과정

[별첨3]

건축학교육인증제 전문교양 과목
영역 교 과 목 최소이수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 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 점 학점

ZTA10002 대학영어 1 (필수 ) 2-2-0 ZTA10003 대학영어 2 (필수 ) 2-2-0



ZTA10004 글쓰기기초 (필수 ) 2-2-0 ZTA20002 수리통계적사고 2-2-0 8학점이상
(국어․외국어 )
ZTA20005 발표와 토론 2-2-0
ZGA20013 서양문화사 3-3-0 ZGA20007 동양문화사 3-3-0

나 ZGA20006 논리학개론 3-3-0 ZGA20021 철학입문 3-3-0


6학점이상
(인문학 ) Z I A10013 유럽문화의이해 2-2-0 Z I A20002 과학기술과철학 2-2-0
Z I A10020 한국의전통사상과민족문화 2-2-0 Z I A20016 한국근현대사이해 2-2-0

다 ZGA30011 수학 1 3-3-0 ZGA30016 정보통계학 3-3-0


6학점이상
(수학 ) ZGA30013 일반수학 1 4-4-0
ZGA30003 물리학 1 3-3-0 ZGA30005 물리학실험 1 1-0-2

Z I A40010 자연과학의발달사 2-2-0 Z I A50003 우주와지구 2-2-0 6학점이상
(자연과학 )
Z I A50005 자원과환경 2-2-0
ZGA20003 경제학개론 3-3-0 Z I A50001 도시의이해 2-2-0

Z I A30011 생활법률 2-2-0 ZGA20002 경영학개론 3-3-0 6학점이상
(사회학 )
ZGA20012 사회학개론 3-3-0 ZGA20005 기호학의이해 3-3-0
ZGA20017 예술론 3-3-0 Z I A60010 디지털사진찍기 2-2-0

바 Z I A60016 서양음악의이해 2-2-0 Z I A60021 영화의이해 2-2-0


6학점이상
(예술 ) Z I A20008 서양미술의역사 2-2-0 Z I A60007 도시속미술 2-2-0
Z I A60022 재미있는미술의세계 2-2-0

합계 (76 ) 38학점이상

[별첨4]

공학 및 건축학교육인증제 운영학부(과)・전공의 선이수과목


대학 학부 (과 ) ․ 전 공 필수 선택 1 선택 2 비고
건축도시토목공학부 건축공학전공 영어 수학 KEC2015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공과대학 영어 수학 물리학 KEC2015
기계공학전공
건축학과 영어 수학 건축학인증

※ 수학의 경우 선이수과목으로 “일반수학1(ZGA30013)”을 이수해야 함

3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별첨5]

창업교육인증제 인정교과목 일람표

[1] 창업교과Ⅰ 교양 기초교과목


연번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주관 학과 (부서 )
1 ZPA20015 창업길라잡이 2/2/0 L I NC+사업단
2 ZPA20012 창업과경영 3/3/0 L I NC+사업단
3 ZPA20032 창업과진로탐색의 이해 2/2/0 L I NC+사업단
4 ZPA20036 디자인적사고와기술창업 2/1/1 L I NC+사업단
5 ZPA20031 기업가정신수도진주 2/2/0 L I NC+사업단
6 ZPA10009 기술사업화와기업가정신 2/2/0 나노신소재공학부
7 ZPA10019 창업론 2/2/0 수산경영학과
8 ZPA10020 창업사례연구 2/2/0 수산경영학과
9 ZPA20035 기술트랜드와벤처성장전략 2/2/0 L I NC+사업단
10 ZPA20038 창업아이템과기회분석 2/1/1 L I NC+사업단
11 ZPA20034 기술창업기초 2/2/0 L I NC+사업단
12 Z I A50008 창업과특허 2/2/0 반도체공학과

[2] 창업교과Ⅱ 교양 심화교과목


연번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주관 학과 (부서 )
1 ZPA20004 벤처창업론 2/2/0 L I NC+사업단
2 ZPA20011 창업경영시뮬레이션 2/2/0 L I NC+사업단
3 ZPA20003 무역창업론 2/2/0 L I NC+사업단
4 ZPA20039 기술창업실무 2/1/1 L I NC+사업단
5 ZPA20041 기술창업성장실무 2/2/0 L I NC+사업단
6 ZPA20044 R&D사업계획서 2/1/1 L I NC+사업단
7 ZPA20008 소셜이노베이션창업 2/1/2 L I NC+사업단
8 ZPA20045 창업지식재산 2/1/1 L I NC+사업단
9 ZPA20005 벤처창업설계 2/1/2 L I NC+사업단
10 ZPA20025 프랜차이즈창업론 2/1/2 L I NC+사업단
11 ZPA20042 스타트업투자유치 2/1/1 L I NC+사업단
12 ZPA20043 사회적경제와협동조합창업 2/2/0 L I NC+사업단
13 ZPA20002 모바일앱개발과창업 2/1/2 L I NC+사업단
14 ZPA20040 기술창업보육실무 2/2/0 L I NC+사업단

[3] 창업교과 전공 교과목


연번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주관 학과 (부서 )
1 AXA00054 창업기초과정 2/2/0 농화학식품공학과
2 AGA00067 창의적농생명창업론 2/2/0 농업식물과학과
3 EPA00001 R&D창업론 2/2/0 나노신소재공학부
4 BBA00007 기업가정신과창업 3/3/0 경영학과
5 BAA00004 창업과세무 3/3/0 회계학과
6 EPA00009 기술개발창업론 2/2/0 나노신소재공학부

경상대학교 37
2020학년도 교육과정

[4] 창업(현장)실습 교과목


연번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주관 학과 (부서 )
1 ZAA90100 창업실습 1 3
2 ZAA90101 창업실습 2 6
3 ZAA90102 창업현장실습 1 3 L I NC+사업단
4 ZAA90103 창업현장실습 2 6
5 ZAA90104 창업현장실습 3 15

[5] 어드벤처디자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단과 지원
연번 학과 (전공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대학 여부
1 연계전공 문화콘텐츠학 XCA00009 저작권종합설계 3-3-0
2 HRA00001 캡스톤디자인 1 2-2-0 ○
3 인문 러시아학과 HRA00002 캡스톤디자인 2 2-2-0 ○
4 대학 HRA00005 어드벤처디자인 2-2-0 ○
5 HDA00012 춤제작과종합설계 1-0-2 ○
민속무용학과
6 HDA00013 무용창작실습과종합설계 1-0-2 ○
7 SPA00001 현장조사방법종합설계 3-3-0 ○
8 SPA40015 광고심리종합설계 3-3-0 ○
9 SPA00022 성인및노인심리학어드벤처디자인 3-3-0 ○
10 사회 심리학과 SPA00024 이상심리학어드벤처디자인 3-3-0 ○
11 과학 SPA00027 실험설계캡스톤디자인 3-3-0 ○
12 대학 SPA00023 임상심리평가및진단캡스톤디자인 3-3-0 ○
13 SPA00026 건강심리학캡스톤디자인 3-3-0 ○
14 S I A00026 정책제안어드벤처디자인 3-3-0 ○
정치외교학과
15 S I A00025 변화와정치종합설계 3-3-0 ○
16 생명과학부 NOA00039 생명과학종합설계 3-0-6 ○
17 NPA00004 창의적물리연구종합설계 1 3-0-4 ○
물리학과
18 NPA00005 창의적물리연구종합설계 2 3-0-4 ○
19 수학과 NMA00007 종합설계 3-3-0
20 NTA00026 패션코디네이션캡스톤디자인 3-3-0 ○
21 자연 NTA00029 전통복식캡스톤디자인 3-3-0 ○
의류학과
22 과학 NTA00032 패션스튜디오캡스톤디자인 3-3-0 ○
23 대학 NTA00033 의류소재캡스톤디자인 3-3-0 ○
24 정보통계학과 NSA10001 종합설계 3-3-0 ○
25 NGA00002 지질학실습및종합설계 1 2-0-4 ○
지질과학과
26 NGA00004 지질학실습및종합설계 2 2-0-4 ○
27 NEA00036 기초설계및프로젝트 3-3-0 ○
컴퓨터과학
28 NEA00022 종합설계및프로젝트 3-3-0 ○
29 BBA00013 재무종합설계 1 3-3-0 ○
경영학과
30 BBA00014 재무종합설계 2 3-3-0 ○
31 B I A00029 I T융합어드벤처디자인 6-0-12 ○
32 경영 B I A00016 시스템분석및종합설계 3-2-1 ○
경영정보학과
33 대학 B I A00025 데이터베이스시스템종합설계및구현 3-1-2 ○
34 B I A00030 M I S종합설계 9-0-18 ○
35 국제통상학과 BTA00006 무역학특강종합설계 3-3-0 ○
36 회계학과 BAA00003 기업분석과경영종합설계 3-3-0 ○
37 EZA20070 창의적공학설계 2-2-0
38 EAA00024 건축공학캡스톤디자인 1 2-0-2
건축도시토목공학부 (건축공학전공 )
39 공과 EAA00027 건축공학캡스톤디자인 2 2-0-2 ○
40 대학 EAA00009 건축공학종합설계 3-3-0 ○
41 건축도시토목공학부 (도시공학전공 ) EUA40013 도시종합설계 3-3-0 ○
42 건축도시토목공학부 (토목공학전공 ) EKA00010 종합설계 3-3-0 ○

3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연번 단과 학과 (전공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지원


대학 여부
43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기계공학전공 ) EMA00039 종합설계 3-3-0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44 ETA00020 종합설계 3-0-3 ○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
45 EGA00006 재료종합설계 3-3-0 ○
46 나노 .신소재공학부 EPA30071 캡스톤디자인연습 1 1-0-2 ○
47 EPA30072 캡스톤디자인연습 2 1-0-2 ○
48 E I A00013 창의적공학설계 (어드벤처디자인 ) 3-3-0 ○
산업시스템공학부
49 E I A00014 기계공작법실습 (어드벤처디자인 ) 1-0-2 ○
(산업시스템공학전공 )
50 E I A40098 종합설계및제작 2-2-0 ○
51 EAA00034 건축설계 1 (어드벤처디자인 ) 5-0-10 ○
52 EAA00035 건축설계 2 (어드벤처디자인 ) 5-0-10 ○
53 EAA00036 건축설계 3 (어드벤처디자인 ) 5-0-10 ○
54 EAA00037 건축설계 4 (어드벤처디자인 ) 5-0-10 ○
55 EAA00038 건축설계 5 (캡스톤디자인 ) 5-0-10 ○
건축학과
56 EAA00039 건축설계 6 (캡스톤디자인 ) 5-0-10 ○
57 공과 EAA00011 건축종합설계 1 5-0-10 ○
58 대학 EAA00012 건축종합설계 2 5-0-10 ○
59 EAA00013 건축종합설계 3 5-0-10 ○
60 EAA00014 건축종합설계 4 5-0-10 ○
61 ESA00010 어드벤쳐디자인 2-2-0 ○
반도체공학과
62 ESA00003 캡스톤디자인 1 3-3-0 ○
63 ELA00021 창의적공학설계 (어드벤처디자인 ) 2-2-0 ○
전기공학과
64 ELA00102 종합설계 2-2-0 ○
65 EEA00003 종합설계 1 2-2-0 ○
전자공학과
66 EEA00005 종합설계 2 2-2-0 ○
67 EFA00012 어드벤처디자인 2-2-0 ○
68 제어계측공학과 EFA00008 제어계측종합설계 1 2-2-0 ○
69 EFA00002 제어계측종합설계 2 2-2-0 ○
70 EHA00007 창의적화학공학종합설계 1 3-3-0 ○
화학공학과
71 EHA00006 창의적화학공학종합설계 2 3-3-0 ○
72 식품자원경제학과 ASA00105 농식품경제콘텐츠디자인 (종합설계 ) 3-3-0 ○
73 AWA00008 목재물리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0-2 ○
74 AWA00009 산림화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0-2 ○
75 AWA00010 분석화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0-2 ○
76 AWA00011 가구와 CAD실습및어드벤처디자인 1-0-2 ○
77 AWA00012 목재가공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0-2 ○
78 환경산림과학부 AWA00013 기초나노공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0-2 ○
79 (환경재료과학전공 ) AWA00002 목질개량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1-0-2 ○
80 AWA00015 임산제조학캡스톤디자인 3-2-1 ○
81 AWA00095 지류포장공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1-0-2 ○
농업
82 생명 AWA00001 D I Y가구와도장실험및캡스톤디자인 1-0-2 ○
83 과학 AWA00005 목재접착실험및캡스톤디자인 1-0-2 ○
84 대학 AWA00003 지류물성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1-0-2 ○
85 농업식물과학과 AGA00065 식량 · 원예작물학종합설계 2-2-0
86 AXA00027 토양학종합설계 3-2-2 ○
87 AXA00038 비료학종합설계 3-2-2 ○
88 AXA00043 식품종합설계 1 3-2-2 ○
농화학식품공학과
89 AXA00070 기기분석종합설계 3-2-2
90 AXA00076 환경생명화학종합설계 1 1-0-2 ○
91 AXA00077 환경생명화학종합설계 2 1-0-2
92 식물의학과 ABA00008 식물보호종합설계 2-2-0 ○
93 축산생명학과 ATA00067 동물생명과학종합설계 1-0-2 ○

경상대학교 39
2020학년도 교육과정

연번 단과 학과 (전공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지원


대학 여부
94 ATA00057 축산캡스톤디자인 1 3-3-0 ○
95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MA00011 생물산업어드벤처디자인 3-0-3
96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AMA00001 캡스톤디자인 3-0-6
97 애그로시스템공학부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AEA00008 관개배수공학및종합설계 3-2-2
미래그린농림융복합학과
98 XFA00006 미래그린 AF캡스톤디자인 3-3-0 ○
(연계전공 )
법과
99 법학과 LAA00001 법조실무종합설계 1-0-2 ○
대학
100 수의대 수의학과 VMA00012 수의학캡스톤디자인 3-3-0
101 간호대 간호학과 MNA20001 간호캡스톤디자인 2-2-0 ○
102 FBA00019 창의적경영사례분석과종합설계 3-3-0 ○
수산경영학과
103 FBA00011 경영분석과종합설계 3-3-0 ○
104 FFA00157 수산제조종합설계 2-2-0 ○
105 FFA00071 식품가공캡스톤디자인 2-2-0 ○
106 해양식품생명의학과 FFA00179 수족관생물학캡스톤디자인 1-0-2 ○
107 FFA00181 수산자원관리캡스톤디자인 2-2-0 ○
108 FFA00188 어류양식캡스톤디자인 2-2-0 ○
109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00006 해양캡스톤디자인 3-3-0 ○
110 기계시스템공학과 FMA00005 캡스톤디자인 3-0-6 ○
111 FEA00029 종합설계 2-0-2 ○
112 해양 FEA00039 응용 CAE종합설계 3-0-3 ○
에너지기계공학과
113 과학 FEA00035 캡스톤디자인 3-0-3 ○
114 대학 FEA00034 어드벤처디자인 3-0-3 ○
115 정보통신공학과 F I A00002 캡스톤디자인 3-2-2 ○
116 FNA00041 조선해양창의공학입문어드벤처디자인 3-3-0 ○
117 FNA00024 해양시스템종합설계 3-3-0 ○
조선해양공학과
118 FNA00019 캡스톤디자인 3-3-0 ○
119 FNA00025 해양플랜트캡스톤디자인 3-3-0 ○
120 FCA00009 창의적해안공간종합설계 1 2-2-0 ○
해양토목공학과
121 FCA00008 창의적해안공간종합설계 2 2-2-0 ○
122 FVA00022 해양환경실습및종합설계 2-1-2 ○
123 해양환경공학과 FVA00013 창의적수처리종합설계 2-2-0 ○
124 FVA00012 자원재생캡스톤디자인 3-3-0 ○
125 약학 PPA00052 제약캡스톤디자인 A 3-3-0 ○
약학과
126 대학 PPA00053 제약캡스톤디자인 B 3-3-0 ○
127 사범대 윤리교육과 TNA30013 국가와윤리캡스톤디자인 3-3-0 ○

[6] 창업(현장)실습 대체 인정 창업관련 수상 점수 기준


“ 창업 (현장 )실습 ”
연번 수상 훈격 점수 비고
인정 기준
1 대통령 상/표창 100
2 국무총리 상/표창 80
3 장관 상 /표창 60 - 창업관련 수상에 한함
3 광역자치단체 상 40 - 합산 점수가 60점 이
재학 기간 중 외부
4 지방자치단체 상 20 상인 경우 “ 창업 (현
수상 , 총 누적
5 대학 (4년제 ) 총장상 20 장 )실습 ” 3학점 취
점수가 60점 이상
정부 산하기관장 상 득 기준을 대체
6 20
산하 공공단체장 상
L I NC+사업단장 상
7 10
L INC+사업단 주최행사의 기업대표자상 또는 , 단과대학장상

4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Ⅳ. 졸업학점 구성표

1. 졸업소요 학점표

교양과정 전공과정 기타
대학 학부 (과 )․전공 이수구분 졸업
역량 통합 개척 기초 소계 필수 선택 소계 부 교직 학점
교양 교양 교양 과정 전공
다 우선 32 39
국어국문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2 38 7 29 36 21 22 130
단일전공 59 66

다 우선 26 42
독어독문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2 38 16 23 39 21 22 130
단일전공 56 72

다 우선 27 39
러시아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2 38 12 24 36 21 22 130
단일전공 54 66

다 우선 15 39
불어불문학과 전공 복수 10 10 6 9 35 24 12 36 21 22 130
단일전공 48 72

다 우선 39 39
사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5 41 36 36 21 22 130
인문 단일전공 66 66
대학 다 우선 30 39
영어영문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2 38 9 27 36 21 22 130
단일전공 57 66

다 우선 28 39
중어중문학과 전공 복수 10 10 6 6 32 11 25 36 21 22 130
단일전공 55 66

다 우선 39 39
철학과 전공 복수 10 10 6 6 32 36 36 21 22 130
단일전공 66 66

다 우선 24 39
한문학과 전공 복수 10 10 6 3 29 15 21 36 21 22 130
단일전공 51 66

다 우선 36 39
민속무용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2 38 3 33 36 21 130
단일전공 63 66
다 우선 21 39
경제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5 41 18 18 36 21 22 130
사회 단일전공 48 66
과학 다 우선 42 42
대학 전공 복수 39 39
사회복지학과 10 10 6 12 38 0 21 130
단일전공 66 66

경상대학교 41
2020학년도 교육과정

교양과정 전공과정 기타
졸업
대학 학부 (과 )․전공 이수구분 역량 통합 개척 기초 부 학점
교양 교양 교양 과정 소계 필수 선택 소계 전공 교직
우선 27 39

사회학과 전공 복수 10 10 6 3 29 12 24 36 21 22 130
단일전공 54 66

다 우선 39 39
심리학과 전공 복수 10 10 6 3 29 36 36 21 22 130
단일전공 66 66
사회
과학 다 우선 39 39
정치외교학과 전공 복수 10 10 6 6 32 36 36 21 130
대학
단일전공 66 66

다 우선 39 39
행정학과 전공 복수 10 10 6 26 36 36 21 22 130
단일전공 66 66

다 우선 9 39
생명과학부 전공 복수 10 10 6 20 46 30 6 36 21 22 130
*
단일전공 41 71

다 우선 18 41
물리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8 44 23 15 38 21 22 130
단일전공 45 68

다 우선 27 39
수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4 40 12 24 36 21 22 130
단일전공 60 72

다 우선 39 39
식품영양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2 38 36 36 21 22 130
단일전공 69 69
자연 다 우선 19 39
과학 의류학과 전공 복수 10 10 6 6 32 20 16 36 21 22 130
대학 단일전공 46 66
다 우선 39 39
정보통계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6 42 36 36 21 130
단일전공 72 72
다 우선 18 39
지질과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7 43 21 15 36 21 130
단일전공 45 66

다 우선 18 39
컴퓨터과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0 36 21 15 36 21 22 130
단일전공 45 66

다 우선 9 39
화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4 40 30 6 36 21 22 130
단일전공 36 66

4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교양과정 전공과정 기타
졸업
대학 학부 (과 )․전공 이수구분 역량 통합 개척 기초 부 학점
교양 교양 교양 과정 소계 필수 선택 소계 전공 교직
다 우선
전공 18 27 45
경영학과 복수 10 10 6 21 47 21 22 130
단일전공 24 42 66
다 우선
27 18 45
경영정보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8 44 21 130
단일전공 33 36 69
경영 우선 27 39

대학 국제통상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5 41 12 24 36 21 22 130
단일전공 54 66
다 우선
전공 복수 27 18 45
회계학과 10 10 6 15 41 21 22 130
단일전공 30 33 63
산업경영학과 단일전공 20 27 39 66 120
(재직자과정 )
다 우선 15 39
건축도시토목공학부 전공 복수 12 36
건축공학전공 10 10 6 17 43 24 21 130
단일전공 48 72
다 우선 14 39
건축도시토목공학부 전공 복수 10 10 6 15 41 25 11 36 21 130
도시공학전공
단일전공 47 72
다 우선 13 39
건축도시토목공학부 전공 복수 10 36
토목공학전공 10 10 6 14 40 26 21 130
단일전공 46 72
다 우선 6 39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전공 복수 10 10 6 8 34 33 3 36 21 130
기계공학전공
단일전공 42 75
다 우선 3 39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 전공 복수 10 10 6 8 34 36 36 21 130
공과
공학전공
대학 단일전공 36 72

다 우선 39 39
나노 · 신소재공학부 전공 복수 10 10 6 22 48 36 36 21 130
단일전공 72 72

다 우선 7 42
산업시스템공학부 전공 복수 10 10 6 18 44 35 35 21 130
산업시스템공학전공
단일전공 45 80

다 우선 5 39
반도체공학과 전공 복수 10 10 6 21 47 34 2 36 21 22 130
단일전공 32 66

다 우선 7 39
전기공학과 전공 복수 10 10 6 20 46 32 4 36 21 22 130
단일전공 34 66

전자공학과 다 우선 10 10 6 18 44 20 19 39 21 22 130
전공

경상대학교 43
2020학년도 교육과정

교양과정 전공과정 기타
졸업
대학 학부 (과 )․전공 이수구분 역량 통합 개척 기초 부 학점
교양 교양 교양 과정 소계 필수 선택 소계 전공 교직
복수 16 36
단일전공 46 66

다 우선 15 42
제어계측공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7 43 27 9 36 21 130
단일전공 45 72
공과
다 우선 3 39
대학 전공
화학공학과 복수 10 10 6 22 48 36 36 21 130
단일전공 36 72

전기에너지공학과 단일전공 37 93 93 130


(계약학과 )

다 우선 21 39
식품자원경제학과 전공 복수 10 10 6 9 35 18 18 36 21 22 130
단일전공 48 66

다 우선 18 39
환경산림과학부 전공 복수 10 10 6 13 39 21 15 36 21 22 130
산림환경자원학전공
단일전공 45 66

다 우선 21 39
환경산림과학부 전공 복수 10 10 6 13 39 18 18 36 21 130
환경재료과학전공
단일전공 60 78

다 우선 39 39
농업식물과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3 39 36 36 21 22 130
단일전공 69 69

농업 농업식물과학과
(재직자과정 ) 단일전공 20 27 33 60 120
생명
과학 다 우선 39 39
대학 농화학식품공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6 42 36 36 21 22 130
단일전공 72 72

다 우선 18 39
식물의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6 42 21 15 36 21 130
단일전공 45 66

다 우선 35 39
축산생명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6 42 4 32 36 21 22 130
단일전공 68 72
다 우선 39 39
애그로시스템공학부 전공 복수 10 10 6 18 44 0 36 36 21 22 130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단일전공 63 63
우선 20 39
애그로시스템공학부 다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전공 10 10 6 18 44 19 21 22 130
복수 17 36

4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교양과정 전공과정 기타
졸업
대학 학부 (과 )․전공 이수구분 역량 통합 개척 기초 부 학점
교양 교양 교양 과정 소계 필수 선택 소계 전공 교직
단일전공 53 72

다 우선 15 67
법과 전공
법학과 복수 10 10 6 12 38 52 15 67 21 22 140
대학
단일전공 40 92
우선 17 50

교육학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33 17 50 22 140
단일전공 33 66
우선 19 50

국어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31 19 50 22 140
단일전공 37 68

다 우선 20 50
역사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30 20 50 22 140
단일전공 36 66

다 우선 20 50
영어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30 20 50 22 140
단일전공 36 66

다 우선 20 50
유아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30 20 50 22 140
단일전공 42 72

다 우선 20 50
윤리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30 20 50 22 140
단일전공 36 66
사범 우선 17 50

대학 일반사회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33 17 50 22 140
단일전공 39 72
다 우선 20 50
일어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30 20 50 22 140
단일전공 36 66

다 우선 20 50
지리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30 20 50 22 140
단일전공 36 66

다 우선 15 50
물리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35 15 50 22 140
단일전공 31 66

다 우선 17 50
생물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33 17 50 22 140
단일전공 30 63

다 우선 20 50
수학교육과 전공 10 10 6 0 26 30 22 140
복수 20 50

경상대학교 45
2020학년도 교육과정

교양과정 전공과정 기타
졸업
대학 학부 (과 )․전공 이수구분 역량 통합 개척 기초 부 학점
교양 교양 교양 과정 소계 필수 선택 소계 전공 교직
단일전공 40 70

다 우선 21 50
전공 복수 21 50
화학교육과 10 10 6 0 26 29 22 140
단일전공 37 66

다 우선 8 50
미술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42 8 50 22 140
단일전공 32 74

다 우선 9 50
사범 음악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0 26 41 9 50 22 140
대학 단일전공 34 75

다 우선 18 50
체육교육과 전공 복수 10 10 6 5 31 32 18 50 22 140
단일전공 42 74
다전공
통합과학전공 36 14 50
(복수전공 )
다전공
통합사회전공 (복수전공 ) 36 14 50

수의과 수의예과 단일전공 10 10 5 19 44 30 0 30 80


대학 수의학과 단일전공 140 20 160 160

의과 의예과 단일전공 10 10 5 15 40 39 39 79
대학 의학과 단일전공 162 162 162
간호
간호학과 단일전공 10 10 6 8 34 81 4 85 22 140
대학
다 우선 12 45
수산경영학과 전공 복수 10 10 6 9 35 33 12 45 21 130
단일전공 33 66

다 우선 39 39
해양경찰시스템학과 전공 복수 10 12 6 12 40 36 36 21 22 130
단일전공 72 72

다 우선 39 39
해양식품생명의학과 전공 복수 10 10 6 9 35 36 36 21 130
단일전공 69 69
해양
해양산업융합학과 단일전공 20 60 60 120
과학 (재직자과정 )
대학
다 우선 27 39
기계시스템공학과 전공 복수 10 10 6 6 32 12 24 36 21 130
단일전공 54 66
우선 15 47
에너지기계공학과 다 10 10 6 14 40 32 21 22 130
전공 복수 15 47
해양

4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교양과정 전공과정 기타
졸업
대학 학부 (과 )․전공 이수구분 역량 통합 개척 기초 부 학점
교양 교양 교양 과정 소계 필수 선택 소계 전공 교직
단일전공 34 66
다 우선 3 39
정보통신공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6 42 36 36 21 130
단일전공 30 66
다 우선 3 39
조선해양공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5 41 36 36 21 130
과학 단일전공 36 72
대학 다 우선 39 39
해양토목공학과 전공 복수 10 10 6 26 0 36 36 21 130
단일전공 72 72
다 우선 25 39
전공 복수 22 36
해양환경공학과 10 12 6 12 40 14 21 130
단일전공 54 68
약학
약학과 단일전공 138 22 160 160
대학
다 우선 17 36
본부
기계융합공학과 전공 복수 10 10 6 12 38 19 14 33 21 130
대학
단일전공 47 66
문화콘텐츠학 다전공 36 36 21
(복수전공 )
지능로봇공학 다전공 12 24 36 21
(복수전공 )
연계 다전공
글로컬융복합경영학 36 36 21
전공 (복수전공 )
미래그린농림융복합학 다전공 36 36 21
(복수전공 )
애그로스타트업학 다전공 36 36 21
(복수전공 )
주택 ∙도시개발학 다전공 12 21 33 21
(복수전공 )
전력에너지공학 다전공 12 21 33 21
(복수전공 )
산업경영지원학 다전공 12 21 33 21
(복수전공 )
문화융복합학 다전공 3 30 33 21
(복수전공 )
시험 · 분석학 다전공 12 21 33 21
융합 (복수전공 )
전공 금융보험학 다전공 6 30 36 21
(복수전공 )
데이터사이언스학 다전공 3 33 36 21
(복수전공 )
농산업컨설팅학 다전공 5 31 36 21
(복수전공 )
단디공공서비스학 다전공 36 36 21
(복수전공 )
P&P화학공학 주전공 54 6 60 130

한국문화콘텐츠학 다전공 36 36
학생 (복수전공 )
설계 동아시아한자학 다전공 36 36
(복수전공 )
전공 다전공
A I 동아시아고전번역학 (복수전공 ) 36 36

경상대학교 47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생명과학부: 2022학년도 8월 졸업생부터 적용

4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육과정안내

2. 공학교육인증대상학과 졸업소요 학점표


 심화프로그램
교양과정 전공과정
기타
이수 졸업
대학 학부 ( 과 )․ 전공 프로그램명 전문 부 일반 학점
구분 MSC 소계 필수 선택 소계 교직
교양 전공 선택

건축도시토목공학부
건축공학심화 단일 14 30 44 24 48 72 21 130
건축공학전공
공과
대학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기계공학심화 단일 14 30 44 33 42 75 21 130
기계공학전공

※ 전공학점은 ‘공학수학1 및 공학수학2, 공학컴퓨터활용, 이산구조, 공학수학, 산업통계1, 기계공학프로그래밍,


정보통신개론’을 제외한 학점임

3. 건축학교육인증대상학과 졸업소요 학점표

교양과정 전공과정 기타
이수 졸업
대학 학부 (과 )․ 전공 전문 일반
구분 소계 필수 선택 소계 부전공 교직 학점
교양 선택
공과
건축학과 단일 38 38 104 22 126 164
대학

경상대학교 49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Ⅴ. 모집단위별 전공 및 교육트랙 진입 시기
1. 전공진입 시기

대학 모집단위 진입시기 비고

건축도시토목공학부 1학년 2학기


공과대학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2학년 1학기

환경산림과학부 2학년 1학기


농업생명
과학대학 애그로시스템공학부 2학년 1학기

2. 교육트랙 진입 시기

대학 모집단위 진입시기 비고

공과대학 나노 · 신소재공학부 1학년 2학기

5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ART 02

교양과정

Ⅰ. 교양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51
Ⅱ. 통합교양 이수영역 수(학점) 지정······················52
Ⅲ. 기초과정 이수학점 및 교과목 지정·················· 55
Ⅳ. 이수구분별 교과목 일람표····································62
교양교육과정

Ⅰ. 교양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구분 (학점 ) 교과목명 (학점 ) 이수요건 비고

 필수교과목 (6 학점 ) ○ 필수과목 ※기본영어 선이수


 대학영어 1 (2학점 ) - E-Z 프로그램을 수료하여 Eng l i sh-Zone영어 대상자는 E-Z프로그
 대학영어 2 (2학점 ) (4학점 ) 취득 시 대학영어 1 , 2를 이수한 램에 참여 불가능
 글쓰기기초 (2 학점 ) 것으로 인정
- 외국인학생은 생활한국어 , 한국어어휘 ,
한국어문법 중 6학점 이상 취득 시 대학
영어 1 , 2를 이수한 것으로 인정
- 공인어학시험성적이 정해진 기준을 만족할 경우
역량교양 대학영어 1 , 2 교과목의 이수를 면제하고 ,
(10 ) 면제받은 학점만큼 교양 과목 추가 이수

 선택교과목 (4 학점 ) ○ 선택과목 ※인성교과목 이수시


 비판적사고 (2 학점 ) - 학생 2과목 자유선택 이수 졸업자격인증제
 수리통계적사고 (2학점 ) (개척인증 )동시인정
 GNU 인성 (2 학점 )
 글쓰기심화 (2 학점 )
 발표와토론 (2 학점 )
 컴퓨팅사고와코딩 (2학점 )
 영어읽기와토론 (2학점 )

 7개 영역 ○ 7개 영역 중 학부 (과 ) 전공에서 지정한 ※학과는 특정영역을


 문학과 문화 영역 수 (5∼6개 ) 를 참고하여 , 지정할 수 없음
 역사와 철학 ○ 영역별 1과목 이상 총 10∼12학점 이상 이수
통합교양  인간과 사회
(10~12 )  생명과 환경
 과학과 기술
 예술과 체육
 융 · 복합 영역

 3개 영역 ○ 학생 2과목이상 자유선택 이수
개척교양  진로 ․취업 영역 ○ 꿈 · 미래개척 2학점 필수 이수
(6 )  창업 ․산학협력 영역
 기타 영역

 4개 영역 ○ 학부 (과 )․전공별로 지정한 과목을 포함하여 ※사범대학 기초과정


 외국어 영역 0~22학점 이수 이수학점 지정 가능
기초과정
 인문사회 영역 ○ 선이수교과목의 학점은 이수학점에서 제외
(0~22 )
 자연 영역 - 졸업소요학점에는 인정
 선이수교과 영역

계 26 ~ 50학점

경상대학교 53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Ⅱ. 통합교양 이수영역 수(학점) 지정


이수영역 수 (학점 )
대학 학부 (과 ) ․ 전공
5개 영역 (10학점 ) 6개 영역 (12학점 )
국어국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러시아학과 ●
불어불문학과 ●
사학과 ●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
중어중문학과 ●
철학과 ●
한문학과 ●
민속무용학과 ●
경제학과 ●
사회복지학과 ●
사회과학 사회학과 ●
대학 심리학과 ●
정치외교학과 ●
행정학과 ●
생명과학부 ●
물리학과 ●
수학과 ●
식품영양학과 ●
자연과학
의류학과 ●
대학
정보통계학과 ●
지질과학과 ●
컴퓨터과학과 ●
화학과 ●
경영학과 ●
경영정보학과 ●
경영대학
국제통상학과 ●
회계학과 ●
건축도시토목공학부 건축공학전공 ●

건축도시토목공학부 도시공학전공 ●

건축도시토목공학부 토목공학전공 ●
공과대학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기계공학전공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나노 ‧신소재공학부 ●

5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양교육과정

이수영역 수 (학점 )
대학 학부 (과 ) ․ 전공
5개 영역 (10학점 ) 6개 영역 (12학점 )
산업시스템공학부
산업시스템공학전공 ●

반도체공학과 ●
전기공학과 ●
전자공학과 ●
제어계측공학과 ●
화학공학과 ●
식품자원경제학과 ●
환경산림과학부

산림환경자원학전공
환경산림과학부 ●
환경재료과학전공
농업식물과학과 ●
농업생명
과학대학 농화학식품공학과 ●
식물의학과 ●
축산생명학과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애그로시스템공학부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법과대학 법학과 ●
교육학과 ●
국어교육과 ●
역사교육과 ●
영어교육과 ●
유아교육과 ●
윤리교육과 ●
일반사회교육과 ●
일어교육과 ●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물리교육과 ●
생물교육과 ●
수학교육과 ●
화학교육과 ●
미술교육과 ●
음악교육과 ●
체육교육과 ●
수의과대학 수의예과 ●
의과대학 의예과 ●
간호대학 간호학과 ●

경상대학교 55
2020학년도 교육과정

이수영역 수 (학점 )
대학 학부 (과 ) ․ 전공
5개 영역 (10학점 ) 6개 영역 (12학점 )
수산경영학과 ●
해양경찰시스템학과 ●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기계시스템공학과 ●
해양과학
에너지기계공학과 ●
대학
정보통신공학과 ●
조선해양공학과 ●
해양토목공학과 ●
해양환경공학과 ●
본부대학 기계융합공학과 ●

5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양교육과정

Ⅲ. 기초과정 이수학점 및 교과목 지정


영역별 이수과목
이수
대학 학부 (과 )․ 전공 외국어영역 인문 .사회영역 자연영역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ZGA20009 문 학 개 론 3
외국어영역
국어국문학과 12 3 ZGA20016 언 어 학 개 론 3
과목 중 택1
ZGA20022 한 국 사 개 관 3
독 일 어권
ZGA20027 3
독일어의 문화의이해
독어독문학과 12 ZGA10023 3
이 해 ZGA20013 서 양 문 화 사 3
ZGA20016 언 어 학 개 론 3
국 제 화
ZGA20004 3
시대의언어
러시아학과 12 ZGA10005 러시아어 3 ZGA20016 언 어 학 개 론 3
ZGA20009 문 학 개 론 3
ZGA20009 문 학 개 론 3
불어불문학과 9 ZGA10012 초보프랑스어 3
ZGA20016 언 어 학 개 론 3
ZGA20007 동 양 문 화 사 3
외국어영역 ZGA20013 서 양 문 화 사 3
인문 사학과 15 3
과목 중 택1 ZGA20022 한 국 사 개 관 3
대학
자연영역 과목 중 택1 3
ZGA10001 기초영문독해 3
ZGA10002 기초영문법 3
영어영문학과 12
ZGA10007 시 사 영 어 3
ZGA10010 중급영문독해 3
ZGA10008 중국어발음 3
중어중문학과 6
ZGA10003 기초중국어 3
ZGA20021 철 학 입 문 3
철학과 6
ZGA20006 논 리 학 개 론 3
한문학과 3 ZGA10016 한문의세계 3
ZGA20007 동 양 문 화 사 3
민속무용학과 12 ZGA10003 기초중국어 3 ZGA20017 예 술 론 3
ZGA20022 한 국 사 개 관 3
ZGA20003 경 제 학 개 론 3
ZGA20002 경 영 학 개 론 3
경제학과 15 ZGA10003 기초중국어 3
ZGA20008 무 역 학 개 론 3
ZGA20025 회 계 입 문 3
사회 ZGA20003 경 제 학 개 론 3
과학 사회복지학과 12 외국어영역 과목 중 택1 3 ZGA20012 사 회 학 개 론 3
대학
ZGA20014 심 리 학 개 론 3
사회학과 3 ZGA20012 사 회 학 개 론 3
심리학과 3 ZGA20014 심 리 학 개 론 3
통일한국과
정치외교학과 6 외국어영역 과목 중 택1 3 ZGA20030 3
청년세대

경상대학교 57
2020학년도 교육과정

영역별 이수과목
이수
대학 학부 (과 )․ 전공 외국어영역 인문 .사회영역 자연영역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ZGA30007 생 물 학 1 3
ZGA30009 생 물 학 1
실 험 1
ZGA30008 생 물 학 2 3
ZGA30010 생 물 학 1
실 험 2
ZGA30016 정 보 3
생명과학부 20 통 계 학
정보통계학
ZGA30017 실 습 1
ZGA30022 화 학 1 3
ZGA30024 화학실험 1 1
ZGA30023 화 학 2 3
ZGA30025 화학실험 2 1
ZGA30003 물 리 학 1 3
ZGA30004 물 리 학 2 3
ZGA30005 물 리 학 1
실 험 1
물 리 학
물리학과 18 ZGA30006 1
실 험 2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ZGA30015 일반화학 3
ZGA30024 화학실험 1 1
자연 ZGA30011 수 학 1 3
과학 ZGA30012 수 학 2 3
정 보
대학 ZGA30016 3
통 계 학
정보통계학
ZGA30017 1
수학과 14 실 습
컴 퓨 터
ZGA30020 3
프로그래밍
컴 퓨 터
ZGA30021 프로그래밍 1
실 습
기 초
ZGA30002 3
생 물 학
식품영양학과 12 외국어영역 과목 중 택1 3 ZGA30016 정 보 3
통 계 학
ZGA30015 일반화학 3
초급생활
ZGA10011 일 본 어 3
의류학과 6
ZGA10010 중

급영문
해 3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ZGA30016 정
통 계 학
보 3
정보통계학과 16 ZGA20003 경 제 학 개 론 3 정보통계학
ZGA30017 실 습 1

ZGA30002 생 물 초

학 3
ZGA30003 물 리 학 1 3
ZGA30011 수 학 1 3
ZGA30015 일반화학 3
지질과학과 17 외국어영역 과목 중 택1 3 ZGA30018 지구과학 3
ZGA30019 지구과학 1
실 험
ZGA30024 화학실험 1 1

5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양교육과정

영역별 이수과목
이수
대학 학부 (과 )․ 전공 외국어영역 인문 .사회영역 자연영역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컴퓨터과학과 10 ZGA30016 정보통계학 3
ZGA30017 정보통계학 1
자연 실 습
과학 ZGA30022 화 학 1 3
대학 ZGA30024 화학실험 1 1
ZGA30023 화 학 2 3
화학과 14
ZGA30025 화학실험 2 1
ZGA30011 수 학 1 3
ZGA30003 물 리 학 1 3
ZGA20002 경 영 학 개 론 3
ZGA20003 경 제 학 개 론 3
경영학과 21 외국어영역 과목 중 택2 6
ZGA20025 회 계 입 문 3
인문사회영역 중 택2 6
ZGA20002 경 영 학 개 론 3
ZGA20003 경 제 학 개 론 3
경영정보학과 18 외국어영역 과목 중 택1 3 ZGA20008 무 역 학 개 론 3
ZGA20025 회 계 입 문 3
경영
ZGA20001 경영정보입문 3
대학
ZGA20002 경 영 학 개 론 3
ZGA20003 경 제 학 개 론 3
국제통상학과 15 외국어영역 과목 중 택1 3
ZGA20008 무 역 학 개 론 3
ZGA20025 회 계 입 문 3
ZGA20025 회 계 입 문 3
ZGA20002 경 영 학 개 론 3
회계학과 15 외국어영역 과목 중 택1 3
ZGA20003 경 제 학 개 론 3
ZGA20008 무 역 학 개 론 3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ZGA30003 물 리 학 1 3
건축도시토목공 ZGA30005 물 리 학 실 1
학부 17 험 1
건축공학전공 ZGA30004 물 리 학 2 3
ZGA30006 물리학실험 2 1
ZGA30015 일 반 화 학 3
공과 건축도시토목공 ZGA10001 기초영문독해 3 ZGA20003 경 제 학 개 론 3
대학 학부 15 ZGA10007 시 사 영 어 3
도시공학전공 ZGA10010 중급영문독해 3 ZGA20023 행 정 학 개 론 3
ZGA30011 수 학 1 3
ZGA30003 물 리 학 1 3

건축도시토목공 ZGA30005 물리학실험 1 1


학부 14 ZGA10001 기초영문독해 3
토목공학전공 ZGA30020 컴 퓨 터 3
프로그램밍

ZGA30021 컴

퓨터프로그램밍
습 1

경상대학교 59
2020학년도 교육과정

영역별 이수과목
이수
대학 학부 (과 )․ 전공 외국어영역 인문 .사회영역 자연영역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ZGA30003 물 리 학 1 3
기계항공정보융합 ZGA30005 물 리 학 1
공학부 8 실 험 1
(기계공학전공 ) ZGA30004 물 리 학 2 3
물 리 학
ZGA30006 실 험 2 1
ZGA30003 물 리 학 1 3
기계항공정보융합 ZGA30005 물 리 학 1
공학부 실 험 1
(항공우주및소프트 8
ZGA30004 물 리 학 2 3
웨어공학전공 )
ZGA30006 물 리 학 1
실 험 2
ZGA30003 물 리 학 1 3
물 리 학
ZGA30005 실 험 1 1
ZGA30004 물 리 학 2 3
ZGA30006 물리학실험 2 1
나노‧신소재공학부 22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ZGA30022 화 학 1 3
ZGA30024 화학실험 1 1
ZGA30023 화 학 2 3
ZGA30025 화학실험 2 1
ZGA30003 물 리 학 1 3
ZGA30005 물리학실험 1 1
ZGA30004 물 리 학 2 3
공과 산업시스템공학부 ZGA30006 물리학실험 2 1
대학 산업시스템공학 18 ZGA30016 정보통계학 3
전공 ZGA30011 수 학 1 3
ZGA30020 컴 퓨 터 3
프로그래밍
ZGA30021 컴퓨터프로 1
그래밍실습
ZGA30001 공 학프로
그래밍언어 3
ZGA30003 물리학 1 3
ZGA30005 물리학실험 1 1
반도체공학과 21 ZGA30004 물리학 2 3
ZGA30006 물리학실험 2 1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ZGA30015 일반화학 3
ZGA30001 화학실험 1 1
ZGA30001 공학프로 3
그래밍언어
ZGA30003 물리학 1 3
ZGA30005 물리학실험 1 1
전기공학과 20 ZGA30004 물리학 2 3
ZGA30006 물리학실험 2 1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ZGA30015 일반화학 3
ZGA30001 공학프로 3
그래밍언어
전자공학과 18 ZGA30003 물리학 1 3
ZGA30004 물리학 2 3
ZGA30011 수 학 1 3

6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양교육과정

영역별 이수과목
이수
대학 학부 (과 )․ 전공 외국어영역 인문 .사회영역 자연영역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ZGA30012 수 학 2 3
ZGA30015 일 반 화 학 3
ZGA30001 공 학 프 로 3
그래밍언어
ZGA30003 물 리 학 1 3
ZGA30005 물리학실험 1 1
제어계측공학과 17 ZGA30004 물 리 학 2 3
ZGA30006 물리학실험 2 1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ZGA30003 물 리 학 1 3
ZGA30005 물 리 학 1
실 험 1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ZGA30022 화 학 1 3
화학공학과 22 ZGA30024 화학실험 1 1
ZGA30023 화 학 2 3
ZGA30025 화학실험 2 1
ZGA30020 컴 퓨터프
로그래밍 3
컴퓨터프
ZGA30021 로 그 래 밍 1
실 습
식품자원경제 ZGA20002 경영학개론 3
9 ZGA10001 기초영문독해 3
학과 ZGA20025 회계입문 3
ZGA30002 기초생물학 3
환경산림과학부 ZGA30016 정보통계학 3
산림환경자원학 정보통계학
13 ZGA30017 1
전공 실 습
환경재료과학전공 ZGA30018 지구과학 3
ZGA30015 일반화학 3
기 초
ZGA30002 3
생 물 학
농업식물과학과 13 ZGA10001 기초영문독해 3 ZGA20022 한국사개관 3
ZGA30015 일반화학 3
ZGA30024 화학실험 1 1
ZGA30007 생 물 학 1 3
ZGA30009 생 물 학 1
실 험 1
ZGA30008 생 물 학 2 3
ZGA30010 생 물 학 1
농화학식품공학과 16 실 험 2
농업 ZGA30016 정보통계학 3
생명 정보통계학
ZGA30017 실 습 1
과학
ZGA30015 일반화학 3
대학
ZGA30024 화학실험 1 1
ZGA30007 생 물 학 1 3
생 물 학
ZGA30009 실 험 1 1
ZGA30008 생 물 학 2 3

식물의학과 16 ZGA30010 생 물 학
실 험 2 1
ZGA30016 정보통계학 3
ZGA30017 정보통계학
실 습 1

ZGA30015 일 반 화 학 3

경상대학교 61
2020학년도 교육과정

영역별 이수과목
이수
대학 학부 (과 )․ 전공 외국어영역 인문 .사회영역 자연영역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화 학
ZGA30024 실 험 1 1

ZGA30007 생 물 학 1 3
ZGA30009 생 물 학
실 험 1 1
ZGA30008 생 물 학 2 3
생 물 학
ZGA30010 실 험 2 1
축산생명학과 16
농업 ZGA30022 화 학 1 3
생명 ZGA30024 화학실험 1 1
과학 ZGA30023 화 학 2 3
ZGA30025 화학실험 2 1
대학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ZGA30003 물 리 학 1 3
애그로시스템공학부 물 리 학
생물산업기계공학 ZGA30005 실 험 1 1
전공 18 ZGA30004 물 리 학 2 3
지역환경기반공학 ZGA30006 물 리 학 1
실 험 2
전공 정 보
ZGA30016 통 계 학 3

ZGA30017 정보통계학 1
실 습
ZGA20011 법 학 개 론 3
ZGA20024 현대사회와법 3
법과 2과목 필수 이수
법학과 12 ZGA10001 기초영문독해 3
대학 ZGA20019 정 치 학 개 론 3
ZGA20023 행 정 학 개 론 3
2과목 중 택 1
사범 ZGA30002 기초생물학 3
체육교육과
대학 ZGA40002 기본물리학 2
ZGA30007 생물학 1 3
ZGA30009 생 물 학 1
실 험 1
ZGA30008 생물학 2 3
ZGA30010 생 물 학 1
수의과 실 험 2
수의예과 19 외국어영역 과목 중 택1 3 ZGA30022 화 학 1 3
대학
ZGA30024 화 학 1
실 험 1
ZGA30023 화 학 2 3
ZGA30025 화 학 1
실 험 2
ZGA30015 일반화학 3
ZGA30024 화학실험 1 1
ZGA30007 생물학 1 3
의과
의예과 15 ZGA20014 심리학개론 3 ZGA30009 생물학실 1
대학 험 1
ZGA30008 생물학 2 3
ZGA30010 생물학실 1
험 2
ZGA30007 생물학 1 3
ZGA30009 생 물 학 1
간호 실 험 1
간호학과 8 ZGA30015 일반화학 3
대학
ZGA30024 화 학 1
실 험 1

6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양교육과정

영역별 이수과목
이수
대학 학부 (과 )․ 전공 외국어영역 인문 .사회영역 자연영역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ZGA20002 경 영 학 개 론 3
수산경영학과 9 ZGA20003 경 제 학 개 론 3
ZGA20008 무 역 학 개 론 3
해양경찰 ZGA20011 법 학 개 론 3
12 외국어영역 과목 중 택1 3 인문사회영역
시스템학과 6
과목 중 택2
ZGA30002 기초생물학 3
해양식품생명
9 ZGA30015 일반화학 3
의학과
ZGA30016 정보통계학 3
기계시스템 ZGA30011 수 학 1 3
6
공학과 ZGA30003 물리학 1 3
ZGA30011 수 학 1 3
에너지기계 ZGA30012 수 학 2 3
14 외국어영역 과목 중 택1 3 ZGA30026 공학물리 3
공학과 전산설계
ZGA30028 2
실 무
해양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과학 ZGA30003 물리학 1 3
대학 컴퓨터프
ZGA30020 3
로그래밍
정보통신공학과 16 컴퓨터프
ZGA30021 로그래밍 1
실 습
정 보
ZGA30016 3
통 계 학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조선해양공학과 15 ZGA10001 기초영문독해 3 ZGA30003 물 리 학 1 3

ZGA30001 공학프로 3
그래밍언어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해양환경공학과 12
ZGA30022 화 학 1 3
ZGA30023 화 학 2 3
ZGA30003 물리학 1 3
본부 ZGA30004 물리학 2 3
기계융합공학과 12
대학 ZGA30011 수 학 1 3
ZGA30012 수 학 2 3

경상대학교 63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Ⅳ. 이수구분별 교과목 일람표

1. 역량교양
□ 필수 교과목
개설학기
학수번호 교과목 학 점 주관학과 비고
①학기 ②학기 ①②학기
ZTA10002 대학영어 1 2-2-0 ●
(인문대 )영어영문학과
- 전체이수
(사범대 )영어교육과
ZTA10003 대학영어 2 2-2-0 ●

(인문대 )국어국문학과
ZTA10004 글쓰기기초 2-2-0 ●
(사범대 )국어교육과

○ E/Z프로그램 수료 인정학점
개설학기
학수번호 교과목 학 점 주관학과 비고
①학기 ②학기 ①②학기
- 대학영어 1 , 2
ZTA10001 Eng l i sh/Zone영어 4-0-10주 ● 국제어학원
대체인정

○ 외국인학생 한국어교과목 학점인정


개설학기
학수번호 교과목 학 점 주관학과 비고
①학기 ②학기 ①②학기
ZGA10020 생활한국어 3-3-0 ● - 6학점이상
취득 시
ZGA10021 한국어어휘 3-3-0 ● (인문대 )국어국문학과
대학영어 1 , 2
ZGA10022 한국어문법 3-3-0 ● 대체인정

○ 공인어학 인증시험을 통한 대학영어1, 2 이수면제


TOEFL 이수 인정
구분 NEW TEPS TOE I C 비 고
( I BT기준 ) 대학영어 1 대학영어 2
2과목 이수면제
392 이상 800 이상 86 이상 ○ ○ - 4학점
(대학영어 1 , 대학영어 2 )
1과목 이수면제
355 ~391 740 ~799 77~85 ○ - 2학점
(대학영어 1 )

※ 이수면제를 받은 학점만큼 교양과목 추가 이수, 이미 성적을 부여 받은 경우 이수면제 불가

6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양교육과정

□ 선택 교과목(학생 택2)
개 설 학 기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주 관 학 과 비고
①학기 ②학기 ①②학기
ZTA20001 비판적사고 2-2-0 ● (인문대 )철학과
(자연대 )정보통계학과 , 수학과
ZTA20002 수리통계적사고 2-2-0 ●
(사범대 )수학교육과
ZTA20003 GNU인성 2-2-0 ● 미래교육원

ZTA20004 글쓰기심화 2-2-0 ● (인문대 )국어국문학과

ZTA20005 발표와토론 2-2-0 ● (인문대 )국어국문학과

ZTA20008 컴퓨팅사고와코딩 2-1-1 ● (자연대 )컴퓨터과학과


(인문대 )영어영문학과
ZTA20007 영어읽기와토론 2-2-0 ●
(사범대 )영어교육과

□ 역량교양 교과목
이수 학수 학기
연번 교과목명 학점 주관학과 주 핵심역량
구분 번호 1 2 1,2
1 역량교양 ZTA10001 Eng l i sh/Zone영어 4-0-10주 ● 국제어학원 의사소통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2 역량교양 ZTA10002 대학영어 1 2-2-0 ● 의사소통
(사범대 ) 영어교육과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3 역량교양 ZTA10003 대학영어 2 2-2-0 ● 의사소통
(사범대 ) 영어교육과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4 역량교양 ZTA10004 글쓰기기초 2-2-0 ● 문제해결
(사범대 ) 국어교육과

5 역량교양 ZTA20001 비판적사고 2-2-0 ● (인문대 ) 철학과 문제해결

(자연대 ) 정보통계학과 ,수학과


6 역량교양 ZTA20002 수리통계적사고 2-2-0 ● 문제해결
(사범대 ) 수학교육과

7 역량교양 ZTA20003 GNU인성 2-2-0 ● 미래교육원 의사소통

8 역량교양 ZTA20004 글쓰기심화 2-2-0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문제해결

9 역량교양 ZTA20005 발표와토론 2-2-0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문제해결

10 역량교양 ZTA20008 컴퓨팅사고와코딩 2-1-1 ● (자연대 ) 컴퓨터과학과 문제해결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11 역량교양 ZTA20007 영어읽기와토론 2-2-0 ● 의사소통
(사범대 ) 영어교육과

경상대학교 65
2020학년도 교육과정

2. 통합교양
이수 학수 개설학기
연번 구분 영역 번호 교과목명 학점 주관학부 (과 )・전공 주 핵심역량
1 2 1,2
1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01 TV드라마의이해 2-2-0 ● (인문대 ) 러시아학과 문제해결

2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02 고사와성어의탐구 2-2-0 ● (인문대 ) 한문학과 의사소통

3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04 그리스로마신화의이해 2-2-0 ● (인문대 ) 독어독문학과 세계시민

4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05 말과문화 2-2-0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자기주도

5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06 문학과성 2-2-0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문제해결

6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07 문학의이해 2-2-0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자기주도

7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08 영미문화와만나는영어 2-2-0 ●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의사소통

8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09 영상으로읽는영미문학 2-2-0 ●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의사소통

9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10 영어읽기와쓰기 2-2-0 ●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의사소통

10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11 영화의상 2-2-0 ● (자연대 ) 의류학과 세계시민

11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12 유라시아의민족과문화 2-2-0 ● (인문대 ) 러시아학과 세계시민

12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13 유럽문화의이해 2-2-0 ● (인문대 ) 독어독문학과 세계시민

13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14 일본문화의이해 2-2-0 ● (사범대 ) 일어교육과 세계시민

14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15 저작권의이해 2-2-0 ● (법대 )법학과 세계시민

15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16 중국의언어와문화 2-2-0 ● (인문대 ) 중어중문학과 세계시민

16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17 프랑스문화와언어의이해 2-2-0 ● (인문대 ) 불어불문학과 의사소통

17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18 프랑스어권문화여행 2-2-0 ● (인문대 ) 불어불문학과 세계시민

18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19 한국민속문화의이해 2-2-0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창의융합

한국의전통사상과 (인문대 ) 한문학과


19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20 2-2-0 ● 창의융합
민족문화 (사범대 ) 윤리교육과

20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21 한자의이해 2-2-0 ● (인문대 ) 중어중문학과 의사소통

21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22 사이언스픽션과진화적상상력 2-2-0 ● (인문대 ) 독어독문학과 창의융합

22 통합교양 ①문학과문화 Z I A10023 아프리카문화의이해 2-2-0 ● (인문대 ) 불어불문학과 창의융합

23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01 거울에비친유럽문명 2-2-0 ● (인문대 ) 사학과 세계시민

24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02 과학기술과철학 2-2-0 ● (인문대 ) 철학과 창의융합

25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03 동아시아의고전이해 2-2-0 ● (인문대 ) 중어중문학과 창의융합

26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04 동아시아의사상 2-2-0 ● (인문대 ) 철학과 세계시민

27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05 사회윤리 2-2-0 ● (사범대 ) 윤리교육과 문제해결

28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06 생명의료윤리 2-2-0 ● (인문대 ) 철학과 세계시민

29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07 서양고전의이해 2-2-0 ● (사범대 ) 역사교육과 세계시민

30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08 서양미술의역사 2-2-0 ● (사범대 ) 미술교육과 세계시민

31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09 예술과생활 2-2-0 ● (인문대 ) 철학과 문제해결

32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10 인간과윤리 2-2-0 ● (사범대 ) 윤리교육과 의사소통

33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11 인도의신화와철학 2-2-0 ● (인문대 ) 철학과 창의융합

6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양교육과정

이수 학수 개설학기
연번 영역 교과목명 학점 주관학부 (과 )・전공 주 핵심역량
구분 번호 1 2 1,2
34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12 일화로보는한국인물사 2-2-0 ● (인문대 ) 한문학과 의사소통

35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13 정의와시민윤리 2-2-0 ● (인문대 ) 철학과 세계시민

36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14 중국사회와문화의이해 2-2-0 ● (인문대 ) 사학과 세계시민

37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19 한국사인물산책 2-2-0 ● (인문대 ) 사학과 자기주도

38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16 한국근현대사이해 2-2-0 ● (인문대 ) 사학과 의사소통

39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17 한국문화유산의이해 2-2-0 ● (인문대 ) 사학과 자기주도

40 통합교양 ②역사와철학 Z I A20018 한국인의역사인식 2-2-0 ● (인문대 ) 사학과 자기주도

41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01 [논어 ]이야기 2-2-0 ● (인문대 ) 한문학과 의사소통

42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02 FTA의이해와활용 2-2-0 ● (경영대 ) 국제통상학과 자기주도

43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03 결혼과가족 2-2-0 ● (사범대 ) 유아교육과

44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04 공직사회의이해 2-2-0 ● (해양대)해양경찰시스템학과 문제해결

45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05 나의삶과지방자치 2-2-0 ● (사회대 ) 행정학과

46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06 마음의문제 2-2-0 ● (사회대 ) 심리학과 의사소통

문화간소통과글로벌
47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07 2-2-0 ● (인문대 ) 독어독문학과 세계시민
에티켓

48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08 범죄와인권 2-2-0 ● 미래교육원 세계시민

49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09 북한정치와사회 2-2-0 ● (사범대 ) 윤리교육과 의사소통

50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10 사회적기업과협동조합 2-2-0 ● (사회대 ) 사회학과

51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11 생활법률 2-2-0 ● 미래교육원 문제해결

52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12 세계경제의이해 2-2-0 ● (사회대 ) 경제학과

53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13 여성과사회 2-2-0 ● (사회대 ) 사회학과

54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14 인간과교육 2-2-0 ● (사범대 ) 교육학과 자기주도


인공지능형로봇과
55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21 2-2-0 ● (사범대 ) 윤리교육과 창의융합
윤리

56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15 정치경제학의이해 2-2-0 ● (사회대 ) 경제학과

57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16 직장과심리학 2-2-0 ● (사회대 ) 심리학과 창의융합

58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17 한국경제의이해 2-2-0 ● (사회대 ) 경제학과

59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18 한국근대의사회사상 2-2-0 ● (사회대 ) 사회학과

60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19 행복한삶과사회복지 2-2-0 ● (사회대 ) 사회복지학과

61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20 광고이미지읽기 2-2-0 ● (인문대 ) 불어불문학과 창의융합


(농생대 )식품자원경제학
62 통합교양 ③인간과사회 Z I A30022 경제학뒤집어보기 2-2-0 ● 문제해결

63 통합교양 ④생명과환경 Z I A40001 건강과인체과학의이해 2-2-0 ● (자연대 ) 생명과학부 자기주도

64 통합교양 ④생명과환경 Z I A40002 미생물과생활 2-2-0 ● (자연대 ) 생명과학부 문제해결


65 통합교양 ④생명과환경 Z I A40003 생명과학 2-2-0 ● (자연대 ) 생명과학부 문제해결
(간호대 ) 간호학과
66 통합교양 ④생명과환경 Z I A40004 생활과건강 2-2-0 ● 자기주도
(의과대 ) 의학과

경상대학교 67
2020학년도 교육과정

이수 학수 개설학기
연번 영역 교과목명 학점 주관학부 (과 )・전공 주 핵심역량
구분 번호 1 2 1,2
67 통합교양 ④생명과환경 Z I A40005 생활원예 2-2-0 ● (농생대 )농업식물과학과 자기주도

68 통합교양 ④생명과환경 Z I A40006 성의과학 2-2-0 ● (의과대 ) 의예과 문제해결

(농생대 )환경산림과학부
69 통합교양 ④생명과환경 Z I A40007 숲과건강한삶 2-2-0 ● 자기주도
산림환경자원학전공

70 통합교양 ④생명과환경 Z I A40008 식량과인간 2-2-0 ● (농생대 ) 축산생명학과 창의융합

71 통합교양 ④생명과환경 Z I A40009 식품과건강 2-2-0 ● (자연대 ) 식품영양학과 의사소통

72 통합교양 ④생명과환경 Z I A40010 자연과학의발달사 2-2-0 ● (사범대 ) 물리교육학과


(공대)건축도시토목공학부
73 통합교양 ⑤과학과기술 Z I A50001 도시의이해 2-2-0 ●
도시공학전공
74 통합교양 ⑤과학과기술 Z I A50002 실용수학 2-2-0 ● (자연대 ) 수학과 창의융합

75 통합교양 ⑤과학과기술 Z I A50003 우주와지구 2-2-0 ● 미래교육원 창의융합

76 통합교양 ⑤과학과기술 Z I A50004 자동차와생활 2-2-0 ● (해양대 )에너지기계공학과 문제해결

77 통합교양 ⑤과학과기술 Z I A50005 자원과환경 2-2-0 ● 미래교육원 창의융합

78 통합교양 ⑤과학과기술 Z I A50006 정보와통계 2-2-0 ● (자연대 ) 정보통계학과 창의융합

(공대 )전자공학과
79 통합교양 ⑤과학과기술 Z I A50007 정보통신과미래 2-2-0 ● 창의융합
(해양대 )정보통신공학과
80 통합교양 ⑤과학과기술 Z I A50008 창업과특허 2-2-0 ● (공대 )반도체공학과 문제해결
81 통합교양 ⑤과학과기술 Z I A50013 파이썬프로그래밍기초 2-0-2 ● (자연대 ) 컴퓨터과학과 문제해결

82 통합교양 ⑤과학과기술 Z I A50014 비전공자를위한인공지능 2-1-1 ● (자연대 ) 컴퓨터과학과 창의융합

83 통합교양 ⑤과학과기술 Z I A50015 생활속소프트웨어 2-0-2 ● (자연대 ) 컴퓨터과학과 문제해결

미래교육원
84 통합교양 ⑤과학과기술 Z I A50012 환경과오염 2-2-0 ● 문제해결
(공대 )화학공학과

85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01 건강과운동 2-2-0 ● (사범대 ) 체육교육과 자기주도

86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02 공연예술과문화 2-2-0 ● (인문대 ) 독어독문학과 창의융합


87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03 광고남녀 :내가만드는광고 2-2-0 ● (사범대 ) 미술교육과 창의융합
구기 ( 축구 , 농구 , 배구 ,
88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27 1-0-2 ● (사범대 ) 체육교육과 의사소통
테니스 , 배드민턴 ,탁구 )

89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05 국악의이해 2-2-0 ● (사범대 ) 음악교육과 세계시민

90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06 댄스와미디어 2-2-0 ● <연계전공 >문화콘텐츠학 창의융합

91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07 도시속미술 2-2-0 ● (사범대 ) 미술교육과 세계시민

92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08 동계스포츠 (스키 ) 1-0-2 ● (사범대 ) 체육교육과 의사소통

93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09 디지털게임과문화 2-2-0 ● <연계전공 >문화콘텐츠학 창의융합

94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10 디지털사진찍기 2-2-0 ● (사범대 ) 미술교육과 창의융합

레져스포츠 ( 볼링 , 골프 ,
95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11 스포츠클라이밍 , 스포츠 1-0-2 ● (사범대 ) 체육교육과 자기주도
댄스 ,방송댄스 )

96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12 몸으로보는문화예술 2-2-0 ● (인문대 ) 민속무용학과 자기주도

97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13 문화예술교육개론 2-2-0 ● 미래교육원 세계시민


문화예술교육현장의이
98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14 2-2-0 ● 미래교육원 자기주도
해와실습

6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양교육과정

이수 학수 개설학기
연번 영역 교과목명 학점 주관학부 (과 )・전공 주 핵심역량
구분 번호 1 2 1,2
발명과혁신을위한창의
99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15 2-2-0 ● (사범대 ) 미술교육과 창의융합
기법

100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16 서양음악의이해 2-2-0 ● (사범대 ) 음악교육과 세계시민

101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17 설득의심리학 2-2-0 ● (사회대 ) 심리학과 의사소통

수상스포츠 ( 수영 , 카약 ,
102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18 1-0-2 ● (사범대 ) 체육교육과 도전정신
윈드서핑 ,수상스키 ,요트 )

103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19 야외교육 (야영 ) 1-0-2 ● (사범대 ) 체육교육과 자기주도

104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20 연극의이해와감상 2-2-0 ● (인문대 ) 중어중문학과 의사소통

105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21 영화의이해 2-2-0 ● (인문대 ) 러시아학과 문제해결

106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22 재미있는미술의세계 2-2-0 ● (사범대 ) 미술교육과 세계시민

107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23 축제와공연예술체험 2-2-0 ● <연계전공 >문화콘텐츠학 창의융합

108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24 프랑스예술감상 2-2-0 ● (인문대 ) 불어불문학과 창의융합

피트니스스포츠 ( 요가 ,
109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28 1-0-2 ● (사범대 ) 체육교육과 자기주도
웨이트트레이닝 , GX )

110 통합교양 ⑥예술과체육 Z I A60026 현대사회와스포츠 2-2-0 ● (사범대 ) 체육교육과 창의융합

111 통합교양 ⑦융 ·복합 영역 Z I A70001 과학과언어 2-2-0 ● 미래교육원 창의융합

112 통합교양 ⑦융 ·복합 영역 Z I A70002 꿈을비추는네개의거울 2-2-0 ● 미래교육원 의사소통

113 통합교양 ⑦융 ·복합 영역 Z I A70003 로봇과인문학 2-2-0 ● 미래교육원 창의융합

114 통합교양 ⑦융 ·복합 영역 Z I A70004 예술과법 3-3-0 ● 미래교육원 창의융합

115 통합교양 ⑦융 ·복합 영역 Z I A70005 융․복합적사고와의만남 2-2-0 ● 미래교육원 창의융합

경상대학교 69
2020학년도 교육과정

3. 개척교양

연번 이수 영역 학수 교과목명 학점 개설학기 주관학과 / 부서 주 핵심역량


구분 번호 1 2 1,2
1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01 「꿈․미래개척 」 0 . 5-0-0 ● 학사지원과 의사소통
2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02 Eng l i sh-Zone취업영어 6-0-12주 ● (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의사소통
3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03 공무원취업행정학 2-2-0 ● ( 사회대 ) 행정학과
미래교육원
4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04 공학과경영 2-2-0 ● 문제해결
( 공대 ) 산업시스템공학부
5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05 공학보고서작성및발표 2-2-0 ● 미래교육원 창의융합
미래교육원
6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06 공학윤리 2-2-0 ● 창의융합
( 사범대 ) 윤리교육과
7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07 기술경영의이해 2-2-0 ● ( 공대 ) 산업시스템공학부 문제해결
8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08 기술경제성분석 2-2-0 ● ( 공대 ) 산업시스템공학부 문제해결
9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09 기술사업화와기업가정신 2-2-0 ● ( 공대 )나노 ․신소재공학부 자기주도
10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10 독일어권취업및유학 2-2-0 ● ( 인문대 ) 독어독문학과 도전정신
11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11 맞춤법과표준어 2-2-0 ●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자기주도
12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12 산업경영의이해 2-2-0 ● ( 경영대 ) 산업경영학과 문제해결
13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13 실용금융 2-2-0 ● ( 사회대 ) 경제학과
14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14 유라시아지역진로탐색 2-2-0 ● ( 인문대 ) 러시아학과 도전정신
15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15 여대생커리어개발과젠더의식 2-2-0 ●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자기주도
16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25 진로탐색과로드맵 2-2-0 ● 인재개발원 자기주도
17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26 진로설정과커리어개발 2-2-0 ● 인재개발원 자기주도
18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18 직장생활과법 2-2-0 ● 미래교육원 문제해결
19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19 창업론 2-2-0 ● ( 해양대 ) 수산경영학과
20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20 창업사례연구 2-2-0 ● ( 해양대 ) 수산경영학과
미래교육원
21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21 창의적문제해결기법 2-2-0 ● ( 공대 )산업시스템공학부 , 창의융합
제어계측공학과
22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22 창의적사고와문화콘텐츠산업 2-2-0 ● <연계전공 >문화콘테츠학 창의융합
23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23 취업영어 2-2-0 ● (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의사소통
24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24 프랑스인과함께하는 DELF 2-2-0 ● ( 인문대 ) 불어불문학과 의사소통
25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27 농생명산업탐색 1-1-0 ● ( 농대 ) 농업식물학과
26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28 GNU 탐험 1-1-0 ● 미래교육원 도전정신
27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29 빅데이터처리와통계분석 2-1-2 ● ( 해양대 ) 해양토목공학과 문제해결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28 개척교양 진로 · 취업 ZPA10030 지역공기업과직무이해 2-2-0 ● 문제해결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29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31 기업가정신수도진주 2-2-0 ● 문제해결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공대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30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28 드론의이해와활용 2-1-2 ● 창의융합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31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02 모바일앱개발과창업 2-1-2 ● 도전정신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32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03 무역창업론 2-2-0 ● 문제해결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33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04 벤처창업론 2-2-0 ● 도전정신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34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05 벤처창업설계 2-1-2 ● 도전정신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 공대 ) 기계항공정보융합공
35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29 사물인터넷의이해와경험 2-1-2 ● 학부 창의융합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7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양교육과정

연번 이수 영역 학수 교과목명 학점 개설학기 주관학과 / 부서 주 핵심역량


구분 번호 1 2 1,2
( 공대 ) 기계항공정보융합공
학부
36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30 딥러닝기초 2-1-2 ● 창의융합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

37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07 생활속의회계 2-2-0 ● ( 경영대 ) 회계학과 문제해결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38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08 소셜이노베이션창업 2-1-2 ● 도전정신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39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43 사회적경제와협동조합창업 2-2-0 ● 창의융합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40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32 창업과진로탐색의이해 2-2-0 ● 자기주도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41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11 창업경영시뮬레이션 2-2-0 ● 도전정신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42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12 창업과경영 3-3-0 ● 의사소통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43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34 기술창업기초 2-2-0 ● 문제해결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44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36 디자인적사고와기술창업 2-1-1 ● 문제해결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45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15 창업길라잡이 2-2-0 ● 도전정신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46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45 창업지식재산 2-1-1 계절학기 ( 하계 ) 문제해결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47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39 기술창업실무 2-1-1 ● 도전정신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48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41 기술창업성장실무 2-2-0 ● 자기주도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49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44 R&D 사업계획서 2-1-1 계절학기 ( 하계 ) 창의융합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50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37 문화예술산업과창업 2-1-1 ● 창의융합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51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38 창업아이템과기회분석 2-1-1 ● 세계시민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52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35 기술트랜드와벤처성장전략 2-2-0 ● 창의융합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53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42 스타트업투자유치 2-1-1 ● 창의융합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54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33 캠퍼스스타트업 2-2-0 ● 자기주도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55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25 프랜차이즈창업론 2-1-2 ● 도전정신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56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40 기술창업보육실무 2-2-0 ● 문제해결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
57 개척교양 창업 · 산학협력 ZPA20027 복합콘텐츠디자인 (종합설계 ) 2-2-0 ● 문제해결
대학 (L I NC+ )육성사업단

58 개척교양 기타 ZPA30001 20 대를위한행복심리학 2-2-0 ● ( 사회대 ) 심리학과 도전정신

59 개척교양 기타 ZPA30002 경남문화콘텐츠론 2-2-0 ●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창의융합


60 개척교양 기타 ZPA30003 공자가들려주는인간의길 2-2-0 ● ( 인문대 ) 한문학과 자기주도
61 개척교양 기타 ZPA30004 교양생활중국어 3-3-0 ● ( 인문대 ) 중어중문학과 의사소통

경상대학교 71
2020학년도 교육과정

연번 이수 영역 학수 교과목명 학점 개설학기 주관학과 / 부서 주 핵심역량


구분 번호 1 2 1,2
62 개척교양 기타 ZPA30028 금융속의수 2-2-0 ● ( 자연대 ) 수학과 창의융합
63 개척교양 기타 ZPA30006 다문화교육의이해 2-2-0 ● ( 사범대 ) 윤리교육과 세계시민
64 개척교양 기타 ZPA30007 생화학의이해 1 3-3-0 ● ( 자연대 ) 생명과학부
65 개척교양 기타 ZPA30008 생활과화학 2-2-0 ● 미래교육원 ( 화학과 ) 창의융합
66 개척교양 기타 ZPA30009 생활기계 3-3-0 ● ( 공대 ) 전기에너지공학과 문제해결
67 개척교양 기타 ZPA30010 세계영화기행 3-3-0 ● ( 인문대 ) 러시아학과 문제해결
68 개척교양 기타 ZPA30012 심리학으로푸는스트레스 2-2-0 ● ( 사회대 ) 심리학과 문제해결
69 개척교양 기타 ZPA30013 약과건강 2-2-0 ● ( 약대 ) 약학과 문제해결
70 개척교양 기타 ZPA30014 유럽의역사와문화 3-3-0 ● ( 사범대 ) 역사교육과 세계시민
71 개척교양 기타 ZPA30015 인터넷윤리 2-2-0 ● ( 사범대 ) 윤리교육과 문제해결
72 개척교양 기타 ZPA30016 전기물리 3-3-0 ● ( 공대 ) 전기에너지공학과 문제해결
73 개척교양 기타 ZPA30017 전기물리실험 1-0-2 ● ( 공대 ) 전기에너지공학과 문제해결
74 개척교양 기타 ZPA30018 전기와수학 1 3-3-0 ● ( 공대 ) 전기에너지공학과 자기주도
75 개척교양 기타 ZPA30019 전기와수학 2 3-3-0 ● ( 공대 ) 전기에너지공학과 자기주도
76 개척교양 기타 ZPA30020 지속가능한발전 1 2-2-0 ● ( 해양대 ) 해양환경공학과 창의융합
77 개척교양 기타 ZPA30021 지속가능한발전 2 2-2-0 ● ( 해양대 ) 해양환경공학과 창의융합
78 개척교양 기타 ZPA30022 지역문화체험과탐방 2-2-0 ● ( 인문대 ) 민속무용학과 의사소통
( 해양대 ) 에너지기계공학
79 개척교양 기타 ZPA30037 창의적공학설계 2-0-2 ● 창의융합

80 개척교양 기타 ZPA30024 평화사상과통일의길 2-2-0 ● ( 사범대 ) 윤리교육과 세계시민
81 개척교양 기타 ZPA30025 한국고전의현대적활용 2-2-0 ● ( 인문대 ) 한문학과 의사소통
82 개척교양 기타 ZPA30026 한국정치와사회론 2-2-0 ● ( 사회대 ) 정치외교학과 문제해결
83 개척교양 기타 ZPA30027 GNU 학습전략 1-1-0 ● 미래교육원 의사소통
84 개척교양 기타 ZPA30030 글로벌환경이슈 2-2-0 ● ( 공대 ) 화학공학과 문제해결

85 개척교양 기타 ZPA30031 지역사회와봉사 1-0-2 ● 학생처 의사소통


86 개척교양 기타 ZPA30032 GNU 개척 Ⅰ 2-2-0 ● 교무처 자기주도

87 개척교양 기타 ZPA30033 GNU 개척 Ⅱ 2-2-0 ● 교무처 자기주도


88 개척교양 기타 ZPA30034 GNU 개척 Ⅲ 2-2-0 ● 교무처 자기주도
89 개척교양 기타 ZPA30035 국제농업교류 2-1-3 ● ( 농생대 ) 농업식물과학과
90 개척교양 기타 ZPA30036 MATLAB프로그래밍 2-1-2 ● 공학교육혁신센터 문제해결
※ 한국정치와사회론(ZPA30026)은 유학생 및 교환학생 대상

7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양교육과정

4. 기초과정

연 이수 학수 개설학기
번 구분 영역 번호 교과목명 학점 주관학과 / 부서 주 핵심역량
1 2 1,2
(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1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01 기초영문독해 3-3-0 ● 의사소통
( 사범대 ) 영어교육과
(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2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02 기초영문법 3-3-0 ● 의사소통
( 사범대 ) 영어교육과

3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03 기초중국어 3-3-0 ● ( 인문대 ) 중어중문학과 의사소통

4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23 독일어의이해 3-3-0 ● ( 인문대 ) 독어독문학과 의사소통

5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05 러시아어 3-3-0 ● ( 인문대 ) 러시아학과 의사소통

6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24 비즈니스일본어 3-3-0 ● ( 사범대 ) 일어교육과 의사소통

7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06 생활속의한문 3-3-0 ● ( 인문대 ) 한문학과 의사소통

8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20 생활한국어 3-3-0 ●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자기주도


(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9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07 시사영어 3-3-0 ● 의사소통
( 사범대 ) 영어교육과
10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08 중국어발음 3-3-0 ● ( 인문대 ) 중어중문학과 의사소통

(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11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10 중급영문독해 3-3-0 ● 의사소통
( 사범대 ) 영어교육과

12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11 초급생활일본어 3-3-0 ● ( 사범대 ) 일어교육과 의사소통

13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12 초보프랑스어 3-3-0 ● ( 인문대 ) 불어불문학과 의사소통

14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18 한국어기초 2-2-0 ●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의사소통

15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19 한국어와한국문화 3-3-0 ●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자기주도

16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21 한국어어휘 3-3-0 ●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도전정신

17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22 한국어문법 3-3-0 ●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자기주도

18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16 한문의세계 3-3-0 ● ( 인문대 ) 한문학과 의사소통

19 기초과정 외국어 ZGA10017 한자와한문이야기 3-3-0 ● ( 인문대 ) 한문학과 의사소통

20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01 경영정보입문 3-3-0 ● ( 경영대 ) 경영정보학과 문제해결

21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02 경영학개론 3-3-0 ● ( 경영대 ) 경영학과 의사소통

22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03 경제학개론 3-3-0 ● ( 사회대 ) 경제학과

23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04 국제화시대의 언어 3-3-0 ● ( 인문대 ) 러시아학과 의사소통

24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05 기호학의이해 3-3-0 ● ( 인문대 ) 불어불문학과 창의융합

25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06 논리학개론 3-3-0 ● ( 인문대 ) 철학과 문제해결

26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27 독일어권문화의이해 3-3-0 ● ( 인문대 ) 독어독문학과 세계시민

27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07 동양문화사 3-3-0 ● ( 인문대 ) 사학과 세계시민

28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08 무역학개론 3-3-0 ● ( 경영대 ) 국제통상학과 문제해결

29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09 문학개론 3-3-0 ●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자기주도

30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10 문화콘텐츠의이해 3-3-0 ● ( 인문대 ) 독어독문학과 창의융합

31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11 법학개론 3-3-0 ● 미래교육원 문제해결

경상대학교 73
2020학년도 교육과정

연 이수 학수 개설학기
영역 교과목명 학점 주관학과 / 부서 주 핵심역량
번 구분 번호 1 2 1,2
32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12 사회학개론 3-3-0 ● ( 사회대 ) 사회학과

33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13 서양문화사 3-3-0 ● ( 인문대 ) 사학과 세계시민

34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14 심리학개론 3-3-0 ● ( 사회대 ) 심리학과 자기주도

35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28 언어와문화소통 3-3-0 ● ( 인문대 ) 불어불문학과 도전정신

36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16 언어학개론 3-3-0 ● ( 인문대 ) 국어국문학과 문제해결

37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17 예술론 3-3-0 ● ( 인문대 ) 민속무용학과 창의융합

음악의즐거움 : 바흐에서
38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29 3-3-0 ● ( 사범대 ) 음악교육과 세계시민
싸이 (Psy ) 까지

39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19 정치학개론 3-3-0 ● ( 사회대 ) 정치외교학과 문제해결

40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20 중국문학산책 3-3-0 ● ( 인문대 ) 중어중문학과 창의융합

41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21 철학입문 3-3-0 ● ( 인문대 ) 철학과 문제해결

42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22 한국사개관 3-3-0 ● ( 인문대 ) 사학과 자기주도

43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23 행정학개론 3-3-0 ● ( 사회대 ) 행정학과

44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24 현대사회와법 3-3-0 ● 미래교육원 문제해결

45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25 회계입문 3-3-0 ● ( 경영대 ) 회계학과 문제해결

46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30 통일한국과청년세대 3-3-0 ● ( 사회대 ) 정치외교학과 의사소통

47 기초과정 인문사회 ZGA20031 민주시민교육의이해와실천 3-3-0 ● (사범대 )일반사회교육과

48 기초과정 자연 ZGA30026 공학물리 3-3-0 ● (해양대 )에너지기계공학과 문제해결


(공대)건축도시토목공학부건축공학전공
반도체공학과,전기공학과,전자공학과,
49 기초과정 자연 ZGA30001 공학프로그래밍언어 3-3-0 ● 문제해결
제어계측공학과
(해양대 )조선해양공학과

50 기초과정 자연 ZGA30002 기초생물학 3-3-0 ● 미래교육원 창의융합

51 기초과정 자연 ZGA30003 물리학 1 3-3-0 ● ( 자연대 ) 물리학과 문제해결

52 기초과정 자연 ZGA30004 물리학 2 3-3-0 ● ( 자연대 ) 물리학과 문제해결

53 기초과정 자연 ZGA30005 물리학실험 1 1-0-2 ● ( 자연대 ) 물리학과 의사소통

54 기초과정 자연 ZGA30006 물리학실험 2 1-0-2 ● ( 자연대 ) 물리학과 의사소통

55 기초과정 자연 ZGA30007 생물학 1 3-3-0 ● 미래교육원 문제해결

56 기초과정 자연 ZGA30008 생물학 2 3-3-0 ● 미래교육원 문제해결

57 기초과정 자연 ZGA30009 생물학실험 1 1-0-2 ● 미래교육원 자기주도

58 기초과정 자연 ZGA30010 생물학실험 2 1-0-2 ● 미래교육원 자기주도

( 자연대 ) 수학과
59 기초과정 자연 ZGA30011 수학 1 3-3-0 ● 문제해결
( 사범대 ) 수학교육과

7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양교육과정

연 이수 학수 개설학기
영역 교과목명 학점 주관학과 / 부서 주 핵심역량
번 구분 번호 1 2 1,2
( 자연대 ) 수학과
60 기초과정 자연 ZGA30012 수학 2 3-3-0 ● 문제해결
( 사범대 ) 수학교육과

( 자연대 ) 수학과
61 기초과정 자연 ZGA30014 일반수학 2** 4-4-0 ● 문제해결
( 사범대 ) 수학교육과

미래교육원
62 기초과정 자연 ZGA30015 일반화학 3-3-0 ● 문제해결
( 사범대 ) 화학교육과

63 기초과정 자연 ZGA30028 전산설계실무 2-0-2 ● (해양대 )에너지기계공학과 문제해결

64 기초과정 자연 ZGA30016 정보통계학 3-3-0 ● ( 자연대 ) 정보통계학과 문제해결

65 기초과정 자연 ZGA30017 정보통계학실습 1-0-2 ● ( 자연대 ) 정보통계학과 문제해결

66 기초과정 자연 ZGA30018 지구과학 3-3-0 ● 미래교육원 창의융합

67 기초과정 자연 ZGA30019 지구과학실험 1-0-2 ● 미래교육원 창의융합

68 기초과정 자연 ZGA30020 컴퓨터프로그래밍 3-3-0 ● ( 자연대 ) 컴퓨터과학과 문제해결

69 기초과정 자연 ZGA30021 컴퓨터프로그래밍실습 1-0-2 ● ( 자연대 ) 컴퓨터과학과 문제해결

미래교육원
70 기초과정 자연 ZGA30022 화학 1 3-3-0 ● 문제해결
( 사범대 ) 화학교육과

미래교육원
71 기초과정 자연 ZGA30023 화학 2 3-3-0 ● 문제해결
( 사범대 ) 화학교육과

미래교육원
72 기초과정 자연 ZGA30024 화학실험 1 1-0-2 ● 자기주도
( 사범대 ) 화학교육과
미래교육원
73 기초과정 자연 ZGA30025 화학실험 2 1-0-2 ● 자기주도
( 사범대 ) 화학교육과
선이수 ( 자연대 ) 수학과
74 기초과정 ZGA30013 일반수학 1* 4-4-0 ● 문제해결
교과 ( 사범대 ) 수학교육과
선이수 기본영어 ( 인문대 ) 영어영문학과
75 기초과정 ZGA40001 3-3-0 ● 의사소통
교과 ( 대학영어 1의선수과목 ) ( 사범대 ) 영어교육과

선이수 기본물리학
76 기초과정 ZGA40002 2-2-0 ● ( 자연대 ) 물리학과 문제해결
교과 ( 물리학 1의선수과목 )

선이수 기본수학 ( 자연대 ) 수학과


77 기초과정 ZGA40003 2-2-0 ● 문제해결
교과 ( 수학 1의선수과목 ) ( 사범대 ) 수학교육과

선이수 기본화학 미래교육원


78 기초과정 ZGA40004 2-2-0 ● 문제해결
교과 ( 화학 1의선수과목 ) ( 사범대 ) 화학교육과

* 일반수학1: 공학 및 건축학교육인증 대상학과 학생 중 “기본수학” 대상자를 위한 과목으로 “기본수학”과


“수학1”의 통합과목
**일반수학2: 공학 및 건축학교육인증 대상학과 학생 중 “일반수학1”을 이수한 학생을 위한 과목으로 “일반수학1”의
후수과목

경상대학교 75
PART 03

전공과정

Ⅰ. 인문대학·······································································77
Ⅱ. 사회과학대학······························································ 99
Ⅲ. 자연과학대학··························································· 111
Ⅳ. 경영대학····································································131
Ⅴ. 공과대학····································································142
Ⅵ. 농업생명과학대학···················································172
Ⅶ. 법과대학····································································193
Ⅷ. 사범대학····································································197
Ⅸ. 수의과대학································································233
Ⅹ. 의과대학····································································239
Ⅺ. 간호대학···································································· 244
Ⅻ. 해양과학대학··························································· 249
ⅩⅢ. 약학대학····································································271
ⅩⅣ. 본부대학···································································275
인문대학

1. 국어국문학과···········································78
2. 독어독문학과···········································80
3. 러시아학과··············································· 82
4. 불어불문학과···········································84
5. 사학과························································ 86
6. 영어영문학과···········································88
7. 중어중문학과···········································90
8. 철학과························································ 92
9. 한문학과····················································94
10. 민속무용학과···········································96
2020학년도 교육과정

□ 국어국문학과
 교육목표

◦한국어 , 한국문학 , 한국문화의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시대정신을 선도하는 개척 인재 양성

 인재상
◦ (소통협업인재 ) 열린 자세로 타인과 소통하고 협업하는 인재
◦ (창의도전인재 ) 언제나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창의적인 인재
◦ (나눔실천인재 ) 자신의 배움을 사회와 나누고 실천하는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소통 높은 수준의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과 조직 내에서 협력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소통협업인재
협업 정해진 목표를 위해 , 협력적인 관계를 도모하고 , 더나아가 진취적인 리더십을 함양하는 역량
창의 언제나 기존의 문제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망하여 진취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
창의도전인재
도전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주체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을위해 앞으로 나아갈수 있는 역량
나눔 지역사회와 세계에 자신의 배움을 나누고 소통시킬 수있는역량
나눔실천인재
실천 올바른 배움으로 형성된 도덕적 가치를 지역사회와 세계에 구현할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소통 협업 창의 도전 나눔 실천
전필 H K A 00006 국어국문학의이해 1 1 0 25 25 0 0 25 25
1-1
전필 H K A 10002 국문학개론 3 3 0 10 10 30 30 10 10 ◇◎☆
1-2 전필 H K A 10001 국어학개론 3 3 0 10 10 30 30 10 10 ◇◎☆
전선 H K A 00007 국어문화론 3 3 0 25 25 0 0 25 25
전선 H K A 00014 고전시가의이해 3 3 0 30 30 0 0 20 20
전선 H K A 20002 국어음운론 3 3 0 15 15 25 25 10 10
2-1 전선 H K A 20004 광고표현론 3 3 0 20 20 30 30 0 0
전선 H K A 20006 국어형태론 3 3 0 15 15 25 25 10 10
전선 H K A 20011 창작론 1 3 3 0 0 0 25 25 25 25
전선 H K A 20014 고전산문 3 3 0 30 30 0 0 20 20
전선 H K A 10003 국어학강독 3 3 0 30 30 0 0 20 20
전선 H K A 20003 현대시론 3 3 0 15 15 25 25 10 10 ◎☆
2-2
전선 H K A 20012 창작론 2 3 3 0 0 0 25 25 25 25
전선 H K A 20015 고전소설강독 3 3 0 30 30 0 0 20 20
전선 H K A 00009 국어의미론 3 3 0 15 15 25 25 10 10 ☆
전선 H K A 00010 고전문학사 3 3 0 10 10 30 30 10 10 ◇◎☆
전선 H K A 00012 문학과매체 3 3 0 10 10 30 30 10 10
3-1
전선 H K A 30009 현대소설론 3 3 0 15 15 25 25 10 10 ◎☆
전선 H K A 30015 고전소설론 3 3 0 15 15 25 25 10 10 ☆
전선 T K A 30003 국어과교육론 3 3 0 15 15 15 15 20 20 □◎
전선 H K A 00013 문학문화비평 3 3 0 10 10 30 30 10 10
3-2 전선 H K A 00015 고전시가와문화예술 3 3 0 15 15 25 25 10 10
전선 H K A 30002 국어문법론 3 3 0 15 15 25 25 10 10 ◎

8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인문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소통 협업 창의 도전 나눔 실천
전선 H K A 30012 국어화용론 3 3 0 25 25 10 10 15 15 ◎
전선 H K A 30013 현대문학사 3 3 0 10 10 30 30 10 10 ☆
전선 H K A 30014 구비문학론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H K A 20005 국어방언론 3 3 0 25 25 0 0 25 25
전선 H K A 40001 실용국어론 3 3 0 25 25 0 0 25 25 ☆
4-1 전선 H K A 40007 희곡론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T K A 40011 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15 15 15 15 20 20 □
전선 T K A 40013 국어논리및논술교육 3 3 0 15 15 15 15 20 20 □
전선 H K A 00011 서사구성론 3 3 0 0 0 40 40 10 10
전선 H K A 00016 고전시가와작가 3 3 0 15 15 25 25 10 10
4-2
전선 H K A 30001 국어사 3 3 0 10 10 30 30 10 10 ◎☆
전선 H K A 40003 작가작품론 3 3 0 15 15 25 25 10 10 ☆
계 전공필수 7 전공선택 95 102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복수학위제(외국인학생)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81
2020학년도 교육과정

□ 독어독문학과
 교육목표

◦ 독일어 ‧독일문학 ‧독일 ( 지역 )학에 관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21세기 세계화 시대를 견인할 글로벌 소통능력과 창의적 지식
을 갖춘 독일어권 지역전문가 인재 양성

 인재상

◦글로벌 소통인 ◦창의적 지식인 ◦국제적 전문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독일어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과 뜻을 타인에게 전달할 수 있는 외
A 의사소통능력
글로벌 국어 능력
소통인
B 글로벌 공감능력 독일어권 언어문화를 편견 없이 수용하고 이에 대해 적절히 반응할 수 있는 공감 능력
독일문화 및 문학에 관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창출할
C 창의적 지식
창의적 수 있는 능력
지식인 학습자 스스로 문헌을 조사하고 탐구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배운 지식을
D 자기주도 학습
심화시키는 지적 능력
독일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유럽권 지역문화를 거시적으로 조망할
E 타문화 이해 능력
국제적 수 있는 능력
전문인 독일 (지역 )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독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포괄적으
F 융복합적 전문지식
로 탐구할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필 H G A 00042 기초독일어 1 3 3 0 60 30 0 0 10 0
1-1
전선 H G A 00033 독일어발음과어휘 3 3 0 70 30 0 0 0 0
전필 H G A 10013 생활독어 1 2 0 4 60 30 0 0 10 0
1-2
전필 H G A 00044 기초독일어 2 3 3 0 60 30 0 0 10 0
전필 H G A 20002 생활독어 2 3 3 0 60 30 0 0 10 0
전선 H G A 00001 독일문화사 3 3 0 10 10 30 20 10 20
2-1 전선 H G A 20001 독어음성학 3 3 0 50 20 0 30 0 0 ◎
전선 H G A 00026 독문번역연습 1 3 3 0 30 20 0 40 10 0
전선 H G A 00028 유럽연합의이해 3 3 0 0 0 0 0 70 30
전필 H G A 20006 독문법 3 3 0 50 20 0 30 0 0 ◎
전선 H G A 20003 독문학입문 3 3 0 0 10 50 40 0 0 ◎◇
전선 H G A 00027 독문번역연습 2 3 3 0 30 20 0 40 10 0
2-2
전선 H G A 20019 독일의생활문화 2 2 0 10 10 20 0 0 60
전선 H G A 00039 게르만어권사회와문화 3 3 0 0 0 0 0 60 40
전선 H G A 20012 생활독어 3 2 1 2 60 30 0 0 10 0 ◎
2 , 4-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 3 0 4주) 20 10 10 20 30 10
동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 6 0 8주) 20 10 10 20 30 10

8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인문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 2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 20 10 10 20 30 10
2,3,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 3 0 4주) 10 0 10 30 10 40
-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 6 0 8주) 10 0 10 30 10 40
전필 H G A 30001 독작문 1 2 1 2 50 40 0 10 0 0
전선 H G A 20011 독어학개론 3 3 0 50 50 0 0 0 0 ◎◇
전선 H G A 20014 독문학사 1 3 3 0 0 10 50 40 0 0
3-1 전선 H G A 30003 독소설 3 3 0 0 10 50 40 0 0
전선 H G A 30011 독시 3 3 0 0 10 50 40 0 0
전선 H G A 00034 취업독일어 CEFR A 3 3 0 40 40 0 0 10 10
전선 H G A 30017 독일어교과교육론 3 3 0 10 10 20 0 0 60 □
전필 H G A 00032 논문작성및발표 1 0 2 0 0 50 50 0 0
전선 H G A 00002 현대독일사회의이해 3 3 0 0 10 10 0 10 70 ◎◇
전선 H G A 30006 독문학사 2 3 3 0 0 10 50 40 0 0 ◎
3-2 전선 H G A 30015 독작문 2 2 1 2 50 40 0 10 0 0 ◎
전선 H G A 00040 게르만어권공연예술의이해 3 3 0 0 0 0 20 40 40
전선 H G A 00035 취업독일어 CEFR B 3 3 0 40 40 0 0 10 10
전선 H G A 30018 독일어논리및논술교육 2 2 0 10 10 20 0 0 60 □
전선 H G A 00030 게르만신화와서사문화 3 3 0 0 0 0 0 50 50
전선 H G A 40012 현대독문학 3 3 0 0 10 50 40 0 0
4-1 전선 H G A 00036 한독언어비교 3 3 0 20 40 20 0 10 10
전선 H G A 00037 통번역의이론과실제 1 3 3 0 30 20 0 40 10 0
전선 H G A 40019 독일어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10 10 20 0 0 60 □
전선 H G A 00003 독일문학과미디어 3 3 0 0 0 30 20 0 50
4-2 전선 H G A 00041 게르만어권영화의이해 3 3 0 0 0 0 20 40 40
전선 H G A 00038 통번역의이론과실제 2 3 3 0 30 20 0 40 10 0
계 전공필수 16 전공선택 86 (33 ) 102 (33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83
2020학년도 교육과정

□ 러시아학과
 교육목표

◦소통에 강하고 창의융합적 역량을 지닌 실무중심 러시아 지역 전문가 양성

 인재상
◦유창한 러시아어 구사능력을 갖춘 소통에 강한 인재
◦언어 , 역사 , 문학 , 문화 등의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지식인
◦사회과학 지식과 실무능력을 갖춘 러시아지역 전문가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유창한 러시아어 구사능 A 전달과 표현 러시아어로 자신의 생각과 뜻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력을 갖춘 소통에 강한
인재 B 글로벌 인재 러시아어 구사능력을 바탕으로 국제화 감각을 갖춘 글로벌 리더

언어 , 역사 , 문학 , 문화 C 인문학적 소양 러시아 역사 , 언어 , 문화 , 문학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갖춘 교양인


등의 인문학적 소양을 러시아 역사 , 언어 , 문화 , 문학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갖춘 지식인 D 문화융복합 컨텐츠 개발
창의적인 문화융복합 컨텐츠를 개발하는 능력
사회과학 지식과 실무능 정치 , 경제 , 사회적
E 러시아 정치 , 경제에 대한 식견을 가진 러시아 지역 전문가 양성
지식함양
력을 갖춘 러시아지역
전문가 F 실무능력 전공과 관련된 취업과 창업에 유리한 지식과 협업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필 HRA10032 러시아어문법 1 2 2 0 50 10 10 10 10 10 ◎
전필 HRA10034 초급러시아어회화 1 1 0 2 40 20 10 10 10 10
1-1
전필 HRA10036 언어실습 1 1 0 2 50 10 10 10 10 10
전선 HRA10021 초급러시아어 1 3 3 0 50 10 10 10 10 10 ◇
전필 HRA10022 초급러시아어 2 3 3 0 50 10 10 10 10 10 ◎◇
전필 HRA10035 초급러시아어회화 2 1 0 2 40 20 10 10 10 10
1-2
전필 HRA10037 언어실습 2 1 0 2 50 10 10 10 10 10
전선 HRA10038 러시아어문법 2 2 2 0 50 10 10 10 10 10 ◎
전필 HRA20012 러시아학개론 3 3 0 10 10 30 10 30 10 ◇
전선 HRA00005 어드벤처디자인 2 2 0 15 15 10 10 10 40
전선 HRA20024 중급러시아어 1 3 3 0 50 10 10 10 10 10
2-1
전선 HRA20036 중급러시아어회화 1 1 0 2 40 20 10 10 10 10 ◎
전선 HRA20053 러시아문학강독 2 2 0 20 20 30 10 10 10
전선 HRA20061 러시아사 1 3 3 0 10 10 50 10 10 10
전선 HRA20025 중급러시아어 2 3 3 0 50 10 10 10 10 10
전선 HRA20037 중급러시아어회화 2 1 0 2 40 20 10 10 10 10
2-2 전선 HRA20051 러시아문학개론 3 3 0 10 10 50 10 10 10 ◎
전선 HRA20062 러시아사 2 3 3 0 10 10 50 10 10 10
전선 HRA20063 러시아의문화 3 3 0 10 10 40 10 20 10 ◎
3-1 전선 HRA30025 고급러시아어 2 2 0 40 20 10 10 10 10

8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인문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HRA30042 러시아어학개론 3 3 0 20 10 40 10 10 10 ◎
전선 HRA30061 고급러시아어회화 1 0 2 40 20 10 10 10 10
전선 HRA30075 러시아의지리 3 3 0 10 10 30 10 30 10
전선 HRA00010 창의적문제해결 ( TR I Z )연습 2 2 0 30 20 10 10 10 20
전선 HRA60070 러시아어교과교육론 3 3 0 30 10 10 10 10 30 □
전선 HRA00012 포스트소비에트지역문화콘 2 2 0 10 10 10 50 10 10
텐츠산업의이해
전선 HRA30032 러시아어작문 2 2 0 50 10 10 10 10 10 ◎
전선 HRA30041 러시아어음성학 2 2 0 30 10 30 10 10 10 ◎
3-2 전선 HRA30044 러시아어의역사 2 2 0 20 10 40 10 10 10
전선 HRA30076 한 .러관계론 3 3 0 10 10 30 10 30 10
전선 HRA40026 시사러시아어 2 1 2 30 20 15 10 15 10
전선 HRA00004 러시아 C I S 및발트지역문화 2 2 0 10 10 20 40 10 10
예술콘텐츠산업현황과전망
3 , 4-1 전선 HRA00006 캡스톤디자인 PBL1 2 2 0 5 5 10 40 10 30
3 , 4-2 전선 HRA00007 캡스톤디자인 PBL2 2 2 0 5 5 10 40 10 30
3 , 4- 전선 EZ A30071 현장실습 1 ( 3 0 4주) 10 10 10 10 10 50
동하계 전선 EZ A30072 현장실습 2 ( 6 0 8주) 10 10 10 10 10 50
3,4-1,2 전선 EZ A40071 현장실습 3 ( 15 0 15주 ) 10 10 10 10 10 50
전선 HRA00009 실전러시아어 2 2 0 20 10 40 10 10 10
전선 HRA40063 비즈니스러시아어 3 3 0 30 20 10 10 10 20
전선 HRA40064 러시아사상사 3 3 0 10 10 40 10 20 10
4-1 전선 HRA00011 러시아문학과영상예술 3 3 0 10 10 40 20 10 10
전선 HRA40073 러시아의정치와경제 3 3 0 10 10 20 10 40 10
전선 HRA60072 러시아어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30 10 10 10 10 30 □
전선 HRA40012 러시아학특강 3 3 0 10 10 30 10 30 10
전선 HRA40054 러시아문학특강 3 3 0 10 10 50 10 10 10
4-2
전선 HRA40065 현대러시아의문제 3 3 0 10 10 30 10 30 10
전선 HRA60071 러시아어논리및논술교육 2 2 0 40 20 10 10 10 10 □
계 전공필수 12 전공선택 92 (24 ) 104 (24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85
2020학년도 교육과정

□ 불어불문학과
 교육목표

◦인문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창의융합적 역량을 지닌 글로컬 인재 양성

 인재상

◦봉사실천 인재 ◦ 가치창조 인재 ◦도전혁신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프랑스어문학과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 -전달과 표현
A 의사소통
적인 한불관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 -공감과 협력
봉사실천 인재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한국 -프랑스 문화 간의 소통에 기여하며 -글로컬
B 세계시민
한국문화의 창달에 공헌할 수 있는 역량 -공동체
인문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상상력
C 창의융합
융합적인 문화콘텐츠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 -문화콘텐츠
가치창조 인재
문제를 발견하고 그 본질을 분석 ․평가하여 실행가능한 해법과 대안 -종합적 탐구력
D 문제해결
을 제시하고 , 더욱 고차적인 문제를 찾아내고 구상할 수 있는 역량 -합리적 사고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진취성
E 도전정신
개인 또는 집단을 민주적으로 이끌며 미래를 개척할 수 있는 역량 -리더쉽
도전혁신 인재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자기개발과 관리
F 자기주도
수 있는 역량 -자기주도학습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H F A 00012 프랑스사회문화의이해 3 3 0 20 20 20 20 10 10 ◎
전선 H F A 10009 기초프랑스어 1 3 3 0 20 20 10 10 20 20
1-2 전필 H F A 10070 기초프랑스어회화 1 0 2 30 20 10 10 10 20
전필 H F A 10010 기초프랑스어 2 3 3 0 40 30 0 20 0 10
전선 H F A 20030 기초프랑스어어휘이해 2 2 0 50 30 0 0 10 10
전선 H F A 20032 전공프랑스어 1 3 3 0 20 20 10 10 20 20
2-1 전필 H F A 00019 시청각프랑스어 1 0 2 20 20 10 10 20 20
전필 H F A 20017 프랑스문학입문 3 3 0 10 10 40 30 0 10 ◇
전필 H F A 00013 프랑스어음성음운론 3 3 0 10 10 20 20 20 20 ◎
전선 H F A 00014 실용프랑스어 A2 3 3 0 20 20 0 10 30 20
전선 H F A 00020 프랑스신화문학과예술 3 3 0 30 30 20 10 0 10
전선 H F A 00021 프랑스어표현 3 3 0 20 10 20 20 10 20 ◎
전선 H F A 20033 전공프랑스어 2 3 3 0 20 20 10 10 20 20
2-2 전필 H F A 20070 프랑스어회화 1 1 0 2 30 20 20 10 10 10
전필 H F A 20025 프랑스문학사 3 3 0 30 30 20 0 10 10 ◎
전선 H F A 00004 프랑스단편읽기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H F A 20021 실용프랑스어문법 3 3 0 20 20 10 10 20 20 ◎◇
전선 H F A 00022 생활프랑스어 3 3 0 20 20 10 10 20 20

8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인문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H F A 00015 프랑스어권문학 3 3 0 20 40 10 10 10 10
3-1 전필 H F A 30070 프랑스어회화 2 1 0 2 20 20 10 10 20 20 ◎
전필 H F A 00002 프랑스어학개론 3 3 0 10 10 20 20 20 20 ◎◇
전선 H F A 00017 실용프랑스어 B1 3 3 0 20 20 0 10 30 20
전선 H F A 20024 근대프랑스소설 3 3 0 30 30 10 0 10 20
전선 H F A 00023 프랑스시 3 3 0 30 10 40 10 0 10
전선 H F A 00010 프랑스공연예술 3 3 0 30 10 40 10 0 10
전선 H F A 60070 프랑스어교과교육론 3 3 0 20 10 10 20 20 20 □
3-2 전필 H F A 30071 프랑스어회화 3 1 0 2 20 20 10 10 20 20 ◎
전필 H F A 30024 현대프랑스소설 3 3 0 30 30 10 0 10 20
전선 H F A 00001 프랑스어문장구조론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H F A 00016 프랑스문화예술 3 3 0 40 10 40 0 0 10
전선 H F A 30025 시사프랑스어 3 3 0 30 30 10 10 10 10
전선 H F A 30017 프랑스역사강독 3 3 0 20 20 10 10 20 20
4-1 전필 H F A 40070 고급프랑스어회화 1 0 2 30 20 20 10 10 10
전선 H F A 00024 언술행위론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H F A 00025 현대프랑스비평 3 3 0 30 20 20 20 0 10 ◎
전선 H F A 60072 프랑스어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20 10 10 20 20 20 □
4-2 전선 H F A 40013 프랑스문학과사회 2 2 0 20 20 20 10 10 20
전선 H F A 00018 영화로배우는프랑스어 3 3 0 30 30 30 0 0 10
전선 H F A 60071 프랑스어교과논리및논술교육 2 2 0 20 10 10 20 20 20 □
계 전공필수 24 전공선택 78 102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87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사학과
 교육목표

◦종적으로 인류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고 횡적으로 현존 사회의 제반 현상을 파악하여 인간이 현재 위치한 자기 존재의 특수
성과 보편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앞으로 인간 행위의 지표와 방향을 모색한다 .

 인재상

◦비판적 지식인 ◦융합적 전문인 ◦ 글로벌 개척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역사 의식 역사적 기본 사실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비판적 전문적 역사의식 함양
비판적 지식인
B 역사 안목 심화된 역사지식을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와 저술 능력 함양
C 다양한 언어 능력 한문과 다양한 외국어 능력 학습을 바탕으로 자료 해석 능력 함양
융합적 전문인
D 창의적 개발 능력 다양한 역사 컨텐츠 개발 및 활용 능력 함양
E 세계 시민 의식 공동체 의식과 세계 문화 소양 함양
글로벌 개척인
F 다문화 이해와 소통 능력 우리 전통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세계 문화 소통 능력 함양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HH A 00001 한국사학개설 1 3 3 0 30 30 20 0 0 20
전선 HH A 00002 서양사학개설 1 3 3 0 30 30 0 0 20 20 ◇◎
1-2 전선 HH A 00003 동양사학개설 1 3 3 0 10 10 0 0 50 30 ◇◎
전선 HH A 00004 한국사학개설 2 3 3 0 30 30 20 20 0 0 ◎
2-1 전선 HH A 00005 동양사학개설 2 3 3 0 10 10 0 0 40 40 ◎
전선 HH A 00006 서양고중세사특강 3 3 0 20 20 0 20 20 20
전선 HH A 00007 한국사강독 1 3 3 0 20 30 30 10 10 0
전선 HH A 00008 한국사학개설 3 3 3 0 40 30 0 0 20 10 ◎
전선 HH A 00009 역사연구방법론 3 3 0 40 40 0 20 0 0
전선 T X A 20041 역사교육론 3 3 0 40 30 0 30 0 0 □◎
2-2 전선 HH A 00028 한국고중세사특강 3 3 0 40 40 10 10 0 0
전선 HH A 00011 동양사의제문제 1 3 3 0 30 10 0 0 30 30
전선 HH A 00012 서양사강독 1 3 3 0 10 10 50 0 10 20
전선 HH A 00013 중국사상사 3 3 0 20 10 0 0 40 30
전선 HH A 00014 서양사학개설 2 3 3 0 30 30 0 0 20 20 ◎
전선 HH A 20001 한국역사콘텐츠 3 3 0 10 30 0 50 0 10
2,3,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0 0 0 100 0 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0 0 0 100 0 0
3,4-1,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0 0 0 100 0 0
3-1 전선 HH A 00015 한국문화론 3 3 0 30 30 10 10 0 20
전선 HH A 00016 동양사강독 3 3 0 0 20 70 0 0 10
전선 HH A 00017 서양사강독 2 3 3 0 10 10 50 0 10 20
전선 HH A 00018 동양사의제문제 2 3 3 0 30 10 0 0 30 30
전선 HH A 30001 세계역사콘텐츠 3 3 0 0 10 0 80 10 0

8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인문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HH A 00027 사적해제 2 2 0 30 30 20 10 0 10
3-2 전선 HH A 00019 서양근현대사특강 3 3 0 20 20 0 20 20 20
전선 HH A 00020 한국사강독 2 3 3 0 30 30 40 0 0 0
전선 HH A 00021 동아시아와제국주의 3 3 0 30 10 0 0 30 30
전선 HH A 00022 근대한국과제국주의 3 3 0 30 30 0 0 20 20
전선 T X A 00002 역사교육논리및논술 3 3 0 50 50 0 0 0 0 □
3 , 4-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0 0 25 25 25 25
동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0 0 25 25 25 25
4-1 전선 HH A 00023 동양사연구지도 2 2 0 10 30 0 20 20 20
전선 HH A 40025 한국사특강 1 2 2 0 30 30 20 20 0 0 ◎
전선 HH A 40030 한국근현대사특강 2 2 0 40 40 0 0 20 0
전선 T X A 40041 역사과지도법 3 3 0 50 50 0 0 0 0 □
전선 HH A 40031 서양사특강 1 2 2 0 10 10 0 20 30 30 ◎
4-2 전선 HH A 00024 서양사연습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HH A 00025 한국사연구지도 2 2 0 20 20 10 10 20 20
전선 HH A 00026 서양사연구지도 2 2 0 10 30 0 20 20 20
전선 HH A 40028 동양사특강 1 2 2 0 0 50 30 0 10 10 ◎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100 (33 ) 100 (33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89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영어영문학과
 교육목표

◦영어능력을 바탕으로 소통에 강하고 창의융합적 역량을 갖춘 글로벌 인재 육성

 인재상

◦봉사실천하는 사회인 ◦ 가치창조하는 전문인 ◦ 도전혁신하는 개척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의사소통 글로벌 언어인 영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과 뜻을 전달할 수 있는 역량
봉사실천하는 사회인 타인에 대한 배려를 바탕으로 글로벌 공동체에서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이해하고
B 세계시민
실천하는 역량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 , 융합함으로써 발전
C 창의융합
가치창조하는 전문인 적인 사회가치를 창출하는 역량
D 문제해결 기초 및 전공지식을 습득함으로써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역량

E 도전정신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미지의 분야를 개척하고 도전하는 역량


도전혁신하는 개척인
F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으로 학습과정을 이끌어갈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H E A 20003 영미문학개론 3 3 0 10 20 20 20 20 10 ◎◇
전선 H E A 20004 영어학개론 3 3 0 10 20 20 20 20 10 ◎◇
1-2 전필 H E A 20006 기초영어회화 1 0 2 40 20 0 10 10 20 ◎
전선 H E A 10010 영미시개관 3 3 0 20 10 20 10 20 20
2-1 전필 H E A 20001 기초영작문 3 3 0 40 20 10 10 10 10 ◎
전선 H E A 00003 영미희곡 3 3 0 10 20 10 20 30 10
전선 H E A 10005 영미문화의이해 3 3 0 10 20 20 10 20 20 ◎
전선 H E A 00007 20 세기영미시의이해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H E A 20010 영국문학사 1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H E A 20018 영문법해설과응용 3 3 0 20 20 10 20 20 10 ◎
2-2 전필 H E A 30008 중급영어회화 1 0 2 40 20 0 10 10 20 ◎
전선 H E A 20011 영국문학사 2 3 3 0 10 20 20 20 20 10 ◇
전선 H E A 20014 19 세기영미시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H E A 20019 중급영어읽기 .쓰기 3 3 0 40 20 0 10 10 20 ◎
전선 H E A 30017 영어음성학 3 3 0 20 20 20 20 10 10 ◎
3-1 전필 H E A 30002 고급영작문 3 3 0 40 20 0 10 10 20 ◎
전선 H E A 00002 영어구문분석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H E A 00006 영시특강 -르네상스에서 19세기까지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H E A 30022 19 세기영미소설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H E A 30025 영어의역사와어형태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T L A 30031 영어교육론 3 3 0 30 30 10 10 10 10 □

9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인문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T L A 30049 영어교재개발및연습 3 3 0 20 20 15 15 15 15 □
3-2 전필 H E A 00001 고급영어회화 1 0 2 40 20 0 10 10 20
전선 H E A 00008 영미산문의이해 3 3 0 10 40 10 10 10 20
전선 H E A 20020 영어단어분석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H E A 30006 미국문학사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H E A 30020 영어통사론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H E A 30024 셰익스피어 3 3 0 10 20 20 20 20 1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20 0 0 30 20 30
4-1 전선 H E A 00004 영미권연극과영화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H E A 30019 영어음운론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H E A 40027 20 세기영미소설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H E A 40033 영어번역 3 3 0 20 20 10 20 10 20
4-2 전선 H E A 40029 영미문학비평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H E A 40030 영미소설특강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H E A 40032 영어의미론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T L A 00014 영어교육논리및논술 3 3 0 20 20 15 15 15 15 □
계 전공필수 9 전공선택 93 (15 ) 102 (15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91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중어중문학과
 교육목표
◦인문학적 지성과 지식으로 시민사회의 건전한 구성원이 될 수 있는 인격을 도야하고 , 중국어문학에 대한 전문지식을 교수 ‧
연구하여 국가와 인류사회에 기여하는 인재를 양성

 인재상: 중화권 시장과 이와 연계된 지역을 개척하는 중국전문가

◦중국어 전문가 ◦중국문화 전문가 ◦중화권 전문가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중국 보통화 현대 표준중국어에 대해 읽고 , 쓰고 , 말하고 , 통번역할 수 -전달과 표현
A
소통능력 있는 능력을 강화함 -공감과 협력
중국어 전문가
중국 지방언어 현대표준중국어뿐만 아니라 광동어를 비롯한 지방언어에 대 -의사소통
B
소통능력 한 이해와 소통능력을 특화함 -통합사고
중국학에 대한 중국의 언어와 문학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중국의 역사 , -창의융합
C
통합적 지식 심화 철학 , 예술 등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배양함 -혁신사고
중국문화 전문가
교환학생이나 복수학위 학생으로 중국의 교류대학에서 1~2 -공동의식
D 중국현지 경험
년 동안 현지에서 중국어문학 수업을 수강함 -개척정신
비즈니스 중국어 중국어 회화나 작문 등의 수업을 통하여서 중국을 포함하는 -통상능력
E
활용능력 중화권의 통상전문능력을 배양함 -도전정신
중화권 전문가
중국지역 문화 중국문화 , 중국학 특강 등의 수업을 통하여서 중화권 각지 -진취정신
F
이해 능력 역의 문화를 이해하고 심화시킴 -세계시민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H C A 10001 초급중국어 1 3 3 0 50 10 0 30 10 0
전선 H C A 10003 중국어문학입문 3 3 0 10 20 50 10 0 10
전선 H C A 10006 중국어연습 1 0 2 50 10 0 30 10 0
1-2 전선 H C A 10002 초급중국어 2 3 3 0 50 10 0 30 10 0
전선 H C A 00007 중국어기초어법 2 2 0 50 10 0 30 10 0
2-1 전필 H C A 20070 중국어회화연습 1 1 0 2 50 0 0 20 30 0
전선 H C A 20005 중국문학개론 3 3 0 0 20 50 0 0 30 ◇
전선 H C A 20006 중국어학개론 3 3 0 10 20 50 0 0 20 ◇
전선 H C A 20007 중급중국어 1 3 3 0 50 10 0 30 0 10
전선 H C A 20009 중국역대산문선독 1 3 3 0 10 20 40 0 0 30
2-2 전필 H C A 20071 중국어작문연습 1 1 0 2 50 0 0 20 30 0
전선 H C A 00008 중국문언문법 3 3 0 30 0 50 0 0 20 ◎
전선 H C A 20008 중급중국어 2 3 3 0 50 10 0 30 0 10
전선 H C A 20010 중국역대산문선독 2 3 3 0 10 20 40 0 0 30
전선 H C A 20013 중국문화개론 3 3 0 0 25 0 10 25 40
전선 H C A 60071 중국어논리및논술교육 2 2 0 50 10 0 20 10 10 □
3-1 전필 H C A 30071 중국어회화연습 2 1 0 2 50 0 0 20 30 0
전필 H C A 30013 중국문학사 1 3 3 0 0 20 50 0 0 30
전선 H C A 30015 고급중국어 1 3 3 0 40 10 0 15 25 10 ◎◇
전선 H C A 30022 중국고전소설 2 2 0 10 20 40 0 0 30

9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인문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H C A 00009 중국고대문자 3 3 0 0 20 40 10 0 30
전선 H C A 30030 경서강독 2 2 0 10 20 40 0 0 30 ◎
전선 H C A 60070 중국어교과교육론 3 3 0 50 10 0 20 10 10 □
3-2 전필 H C A 30073 중국어작문연습 2 1 0 2 50 0 0 20 30 0
전필 H C A 30014 중국문학사 2 3 3 0 0 20 50 0 0 30
전선 H C A 30016 고급중국어 2 3 3 0 40 10 0 15 25 10 ◎
전선 H C A 30020 중국고대시가 3 3 0 10 20 40 0 0 30
전선 H C A 30023 중국현대소설 2 2 0 30 0 30 10 0 30 ◎
전선 H C A 00010 중국어음운론 3 3 0 20 30 50 0 0 0 ◎
4-1 전필 H C A 40072 중국어회화연습 3 1 0 2 50 0 0 20 30 0
전선 H C A 00012 중국어어휘론 3 3 0 20 30 50 0 0 0
전선 H C A 00011 중국사곡 3 3 0 10 20 40 0 0 30
전선 H C A 40023 당송시가 3 3 0 10 20 40 0 0 30 ◎
전선 H C A 40026 중국희곡 3 3 0 10 20 40 0 0 30 ◎
전선 H C A 60072 중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50 10 0 20 10 10 □
전선 H C A 00013 중국지역학창의융합 PBL1 2 2 0 0 80 0 0 0 20
4-2 전선 H C A 00014 중국지역학창의융합 PBL2 2 2 0 0 80 0 0 0 20
전선 H C A 40025 중국현대문학특강 3 3 0 0 20 50 0 0 30
전선 H C A 40027 중국어학특강 3 3 0 20 30 50 0 0 0
전선 H C A 40035 중국문화비평 3 3 0 0 25 0 10 25 40
전선 H C A 00005 비즈니스중국어 3 3 0 20 0 0 30 50 0
계 전공필수 11 전공선택 93 104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93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철학과
 교육목표

◦비판적 사고능력을 갖추고 인간과 세계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통해 자기 삶을 개척하는 인재양성

 인재상
◦ (합리적 인재 ) 세상을 보는 비판적 , 합리적 관점을 가진 인재
◦ (도덕적 인재 ) 올바르고 의미있는 삶을 추구하는 교양인
◦ (혁신적 인재 ) 우리의 삶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는 실천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논리적 추론
A 비판적 사고 모든 주장에 근거를 제시하여 설득하는 사고
-개념의 분석
합리적인재
-신해법 발견
B 창조적 사고 새롭고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창조하는 사고
-신개념 창출
올바른 행동과 삶을 위해서 무엇을 실천할지 판단하 -윤리적 감수성
C 도덕적 사고
는 사고 -공감능력
도덕적인재
-미적 감수성
D 올바른 가치판단 무엇이 좋고 아름다우며 덕스러운지 판단하는 사고
-인격적 감수성
-고전강독능력
E 전통의 이해 과거의 사상적 전통을 정확히 이해하는 능력
-전통문화 이해
혁신적인재
과거의 사상적 전통에서 옥석을 가려 현대사회에 적 -전통 &현대의 연결
F 전통의 현대적 계승
용하는 능력 -전통과 구습의 옥석구별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H P A 00005 동양철학입문 3 3 0 10 10 10 10 40 20 ◎
전선 H P A 10024 철학과현실 2 2 0 16 16 17 17 17 17
1-2 전선 H P A 00004 서양철학의문제들 3 3 0 16 16 17 17 17 17 ◎
2-1 전선 H P A 00006 서양고 · 중세철학사 3 3 0 10 10 10 10 40 20
전선 H P A 00012 문화철학 3 3 0 10 10 10 50 10 10
전선 H P A 00087 철학적분석 3 3 0 16 16 17 17 17 17
전선 H P A 20024 인도철학사 3 3 0 10 10 10 10 40 20
전선 H P A 30013 윤리학 3 3 0 10 0 50 20 10 10 ◎
2-2 전선 H P A 00001 실천윤리학 3 3 0 10 0 50 20 10 10
전선 H P A 00007 서양근세철학사 3 3 0 10 10 10 10 40 20
전선 H P A 10023 중국철학사 3 3 0 10 10 10 10 40 20
전선 H P A 20011 인식론 3 3 0 16 16 17 17 17 17 ◎◇
전선 H P A 30060 불교철학 3 3 0 10 10 10 10 40 20
3-1 전선 H P A 20022 한국철학사 3 3 0 70 30 0 0 0 0 ◎◇
전선 H P A 20010 기호논리학 3 3 0 10 10 10 10 40 20
전선 H P A 30011 한국불교사상특강 3 3 0 10 10 10 10 40 20
전선 H P A 30012 형이상학 3 3 0 16 16 17 17 17 17 ◎◇
전선 H P A 40035 실존철학 3 3 0 16 16 17 17 17 17

9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인문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H P A 60070 철학교육론 3 3 0 16 16 17 17 17 17 ◎□
3-2 전선 H P A 00086 구조주의와후기구조주의의철학 3 3 0 10 10 10 10 40 20
전선 H P A 30033 독일관념론 3 3 0 10 10 10 10 40 20
전선 H P A 30034 현상학 3 3 0 10 10 10 10 40 20
전선 H P A 30050 언어철학 3 3 0 16 16 17 17 17 17
전선 H P A 30051 과학철학 3 3 0 30 20 10 10 15 15
전선 H P A 30061 도가철학 3 3 0 10 10 10 10 40 20
전선 H P A 60071 철학교재연구및교육방법론 3 3 0 16 16 17 17 17 17 □
4-1 전선 H P A 40040 철학과논술 3 3 0 10 0 50 20 10 10 □
전선 H P A 00008 정치사회철학 3 3 0 10 10 10 50 10 10
전선 H P A 00009 매체철학 3 3 0 16 16 17 17 17 17
전선 H P A 00011 심리철학 3 3 0 60 20 10 10 0 0
전선 H P A 40071 중국철학특강 3 3 0 10 10 10 10 40 20
4-2 전선 H P A 00010 현대철학특강 3 3 0 16 16 17 17 17 17
전선 H P A 40012 한국유학특강 3 3 0 10 10 10 50 10 10
전선 H P A 00014 가치론 3 3 0 10 10 10 10 40 20
전선 H P A 40015 예술철학 3 3 0 10 10 10 50 10 10
전선 H P A 40085 인도철학특강 3 3 0 10 10 10 10 40 20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107 107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95
2020학년도 교육과정

□ 한문학과
 교육목표

◦한국학 고전 및 지역학에 대한 전문지식과 도덕적 인성을 겸비한 미래지향적이고 창의적인 인재 양성

 인재상
◦한국학 고전에 대한 탁월한 한문해독 능력을 갖춘 인재
◦지역학 및 지역문화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인재
◦도덕적 인성과 지성을 겸비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한국학 고전의 한문 원전에 대한 탁월한 해독능력과 이론적
한국학 고전에 대한 탁 A 한국학 고전에 대한 통섭적 이해
지식을 겸비한다 .
월한 한문해독 능력을
한국학 고전을 활용한 한국학 고전에 대한 전문지식을 토대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
갖춘 인재 B
미래지향적 해석역량 하고 변화를 추구하는 자기주도적 능력을 섭렵한다 .
남명학 , 지리산학 , 고문헌학 등을 포괄하는 경남학 관련 전
지역학 및 지역문화에 C 경남학 관련 전문역량
문지식을 섭렵한다 .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지역의 전통문화에 대한 심오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지향
인재 D 경남문화를 활용한 문제해결 능력
적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도덕적 인성을 겸비한 사회와 소통할 도덕적 인성을 갖추고 , 자신의 삶을 주도할
도덕적 인성과 지성을 E
자기주도적 창의성 창의적 역량을 강화한다 .
겸비하고 창의적 문제해
고전교육에 기반한 융복합적 고전교육을 통해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창의적이고 융복합적
결능력을 갖춘 인재 F
사고능력 사고를 지닌 인재를 양성한다 .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H M A 00129 한문입문 3 3 0 50 20 10 0 10 10
전선 H M A 00098 한문문법 2 2 0 50 30 0 0 10 10 ◎
1-2 전필 H M A 00115 논어 1 3 3 0 60 20 0 0 10 10
전선 H M A 00117 서예 2 2 0 20 10 10 10 30 20
전선 H M A 00126 한국학현장학습 1 1 0 2 0 20 40 40 0 0
전선 H M A 00134 동아시아의한자와언어 PBL 3 3 0 30 30 0 0 0 40 ◎
2-1 전필 H M A 20003 한문학개론 3 3 0 40 40 0 0 10 10 ◎◇
전선 H M A 00100 논어 2 3 3 0 60 30 0 0 10 0 ◎
전선 H M A 00008 중국한시선독 2 2 0 20 20 0 0 30 30
전선 H M A 00119 한국역사서선독 3 3 0 40 20 0 0 20 20
전선 H M A 00132 제자백가선독 3 3 0 40 20 0 0 20 20
2-2 전필 H M A 00118 맹자 1 3 3 0 50 20 0 0 20 10
전선 H M A 00127 한국학현장학습 2 1 0 2 0 20 40 40 0 0
전선 H M A 00123 한국한시선독 3 3 0 30 30 0 0 20 20 ◎
전선 H M A 00009 중국역사서선독 3 3 0 30 30 0 0 20 20
전선 H M A 00135 고문진보산문선독 3 3 0 30 30 0 0 0 40 ◎
전선 H M A 00133 한국사상서선독 3 3 0 30 20 20 20 10 0

9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인문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H M A 00015 지리산학개론 PBL 2 2 0 10 30 30 30 0 0
3-1 전필 H M A 30005 한문학사 1 3 3 0 40 40 0 0 10 10 ◎◇
전선 H M A 00120 맹자 2 3 3 0 50 20 0 0 20 10
전선 H M A 30019 한문학비평론 3 3 0 40 40 0 0 10 10
전선 H M A 00011 영남학파의이해 3 3 0 30 30 10 10 20 0
전선 H M A 00136 한문학과경남문화 3 3 0 10 10 40 40 0 0
전선 H M A 60001 한문교과교육론 3 3 0 30 20 0 0 30 20 □
3-2 전필 H M A 30006 한문학사 2 3 3 0 40 40 0 0 10 10 ◇
전선 H M A 00121 대학중용 3 3 0 50 10 0 0 30 10
전선 H M A 00128 한국학현장학습 3 1 0 2 0 20 40 40 0 0
전선 H M A 00107 한국학명문선독 3 3 0 40 40 0 0 10 10
전선 H M A 00012 오경선독 2 2 0 30 20 0 0 20 30
전선 H M A 00109 고문헌학개론 2 2 0 10 10 40 40 0 0
전선 H M A 00137 한문학작가론 2 2 0 40 40 0 0 0 20
전선 H M A 60002 한문논리및논술교육 2 2 0 30 30 0 0 20 20 □
4-1 전선 H M A 00013 동아시아한자와콘텐츠 PBL 2 2 0 30 30 0 0 0 40
전선 H M A 00014 남명학의이해 3 3 0 20 20 30 30 0 0
전선 H M A 00124 고전국역의이론과실제 3 3 0 40 40 0 0 10 10 ◎
전선 H M A 60003 한문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30 30 0 0 20 20 □
4-2 전선 H M A 00112 한국학문헌국역 3 3 0 40 40 0 0 10 10
전선 H M A 00138 실학파의이해 2 2 0 40 40 0 0 0 20
전선 H M A 00139 한문소설의세계 PBL 3 3 0 40 40 0 0 0 20
계 전공필수 15 전공선택 86 101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97
2020학년도 교육과정

□ 민속무용학과
 교육목표

◦ 문화예술의 발전에 기여하는 글로벌 인재와 지역예술을 주도하는 글로컬 인재양성

 인재상
◦ (글로컬인재 ) 지역문화를 창조하여 글로컬 문화를 주도하는 인재 양성
◦ (창의적인 예술인재 ) 미래세대의 문화예술 교육 능력 신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 (교육인재 ) 이론과 실기를 겸비하여 21 세기가 요구하는 문화예술인 양성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민속무용학과의 특성을 살리면서 지역의 전통문화 -글로컬 의식
A 가치발견
를 발굴하고 가치를 발견하는 능력 -지식탐구
글로컬 인재
전통문화를 재해석하여 세계시민으로써 창조적으로 -자기계발
B 의미확장
의미를 확장하는 능력 -자기주도
예술창의 / -기획력
C 전공 영역을 응용한 예술창조 능력
창조력 -창의 /독창성
창의적인 예술인재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지역문화와 전공영역 -전달력 /표현능력 /정보활용 능력
D 가치확장
을 융복합적으로 기획하고 적용하는 능력 -공감과 협력
민속무용학과의 특성을 살린 지역인재 육성에 일조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술
E 지식응용
하는 능력 -지역인재발굴과 양성기술
교육인재
-교육실천방법 /진취성 및 사회 교육 확산
F 지식실천 미래세대에 지역의 전통문화 확산에 일조하는 실천 능력
-융복합적 사고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H D A 00008 무용학개론 2 2 0 20 20 15 15 15 15
전선 H D A 10009 현대무용 1 1 0 2 10 10 20 20 20 20
전선 H D A 10015 민속연희론 2 2 0 20 20 10 20 10 20
전선 H D A 10070 민속춤타악실기 1 2 0 4 20 10 30 10 20 10
전선 H D A 10082 기초한국무용실기 1 1 0 2 20 15 20 15 15 15
전선 H D A 10083 승전무 1 1 0 2 20 15 15 15 15 20
전선 H D A 10095 기초외국무용실기 1 1 0 2 10 10 15 15 25 25
1-2 전선 H D A 10010 현대무용 2 1 0 2 10 10 20 20 20 20
전선 H D A 10075 기초한국무용실기 2 1 0 2 20 15 20 15 15 15
전선 H D A 10076 민속춤타악실기 2 2 0 4 20 10 30 10 20 10
전선 H D A 10078 승전무 2 1 0 2 20 20 15 15 15 15
전선 H D A 10080 무용연기 1 0 2 10 10 20 20 20 20
전선 H D A 10096 기초외국무용실기 2 1 0 2 10 10 15 15 25 25
전선 H D A 20006 한국무용사 2 2 0 20 20 15 15 15 15
2-1 전선 H D A 10005 한국무용 1 1 0 2 20 15 20 15 15 15
전선 H D A 10017 레파토리 1 0 2 10 10 20 20 20 20
전선 H D A 20022 춤퍼포먼스 1 0 2 10 10 25 25 15 15
전선 H D A 20026 중국문화와예술 2 2 0 20 20 20 10 20 10
전선 H D A 20072 현대무용 3 1 0 2 10 10 20 20 20 20

9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H D A 20076 아시아민족무용 1 1 0 2 20 15 20 15 15 15
전선 H D A 30012 무용원전 2 2 0 20 20 20 20 10 10
전선 H D A 20029 민속예술조사방법론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H D A 30070 민속춤타악실기 3 2 0 4 20 10 30 10 20 10
2-2 전선 H D A 10006 한국무용 2 1 0 2 20 15 20 15 15 15
전선 H D A 10012 한국음악개론 2 2 0 20 20 10 20 10 20
전선 H D A 20025 세계무용사 2 2 0 20 20 20 10 20 10
전선 H D A 20027 무용기록 2 2 0 20 20 10 10 20 20
전선 H D A 20075 현대무용 4 2 0 4 10 10 20 20 20 20
전선 H D A 20077 아시아민족무용 2 1 0 2 20 15 20 15 15 15
전선 H D A 30072 민속춤타악실기 4 2 0 4 20 10 30 10 20 10
전선 H D A 00009 무용창작법 1 0 2 10 10 25 25 15 15
3-1 전선 H D A 00012 춤제작과종합설계 1 0 2 10 10 25 25 15 15
전선 H D A 10086 현대무용 5 2 0 4 10 10 20 20 20 20
전선 H D A 10088 가창실기 1 (민요 ) 1 0 2 20 10 30 20 10 10
전선 H D A 20021 민속악연구 2 2 0 20 20 10 20 10 20
전선 H D A 30013 무용미학 2 2 0 20 20 20 20 10 10
전선 H D A 30014 전통무용특강 1 2 0 4 20 20 15 15 15 15
전선 H D A 30074 민속춤타악실기 5 1 0 2 20 10 30 10 20 10
전선 H D A 30076 아시아민족무용 3 1 0 2 20 15 20 15 15 15
전선 H D A 00014 한국춤현장조사 1 0 2 20 20 15 15 15 15
3-2 전선 H D A 00006 무용교수학습방법 2 2 0 10 10 15 15 25 25 ★
전선 H D A 10087 현대무용 6 2 0 4 10 10 20 20 20 20
전선 H D A 10089 가창실기 2 (판소리 ) 1 0 2 20 10 30 20 10 10
전선 H D A 20017 한국무용 4 1 0 2 20 15 20 15 15 15
전선 H D A 20023 무용생리해부학 2 2 0 20 20 10 20 20 10
전선 H D A 30015 전통무용특강 2 2 0 4 20 20 15 15 15 15
전선 H D A 30019 한국연극사 2 2 0 20 20 15 15 15 15
전선 H D A 30029 무대예술 2 2 0 10 10 20 30 10 20
전선 H D A 30075 민속춤타악실기 6 1 0 2 20 10 30 10 20 10
전선 H D A 30077 아시아민족춤실습 1 0 2 15 15 20 20 15 15
4-1 전선 H D A 00013 무용창작실습과종합설계 1 0 2 15 15 20 20 15 15
전선 H D A 00007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H D A 10091 현대무용 7 1 0 2 10 10 20 20 20 20
전선 H D A 40013 전통무용특강 3 2 0 4 20 20 15 15 15 15
전선 H D A 40015 한국무용 7 1 0 2 20 15 20 15 15 15
전선 H D A 40024 축제와놀이 2 2 0 10 10 20 20 20 20
전선 H D A 40072 민속춤타악실기 7 1 0 2 20 10 30 10 20 10
전선 H D A 40076 종합실기 1 1 0 2 10 10 15 15 25 25
4-2 전필 H D A 40074 졸업작품공연 3 0 6 15 10 30 20 15 10
전선 H D A 10092 현대무용 8 1 0 2 10 10 20 20 20 20
전선 H D A 20073 민속춤타악실기 8 1 0 2 20 10 30 10 20 10
전선 H D A 40077 종합실기 2 1 0 2 10 10 15 15 25 25
전선 H D A 10018 무용교육론 2 2 0 20 20 20 10 20 10 ★
계 전공필수 3 전공선택 90 93
범례 ★ 문화예술교육사 이수과목
2020학년도 교육과정

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 이수 : 무용 분야〔15과목 40학점〕


이수 교과목 개설 최저 이수
교과영역 학기 개설학과 시간 또는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교육혁신본부
1) Z I A60013 문화예술교육개론 2 1 30시간 (2학점 )
교양교육센터
2) HDA10018 무용교육론 2 2 30시간 (2학점 )
직무역량 3) HDA00006 무용교수학습방법 2 2 민속무용학과 30시간 (2학점 )
4) HDA00007 무용교육프로그램개발 2 1 30시간 (2학점 )
교육혁신본부
5) Z I A60014 문화예술교육현장의이해와실습 2 2 30시간 (2학점 )
교양교육센터
예술전문성 모두 예술 관련 분야별 해당분야의 전공과목 ( 10과목이상 ) 민속무용학과 450 시간 (30학점 )
이수

※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은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 관련 제도 등에 의하여 개편·변경될 수 있음

10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사회과학대학

1. 경제학과················································· 100
2. 사회복지학과········································102
3. 사회학과················································· 104
4. 심리학과················································· 105
5. 정치외교학과········································107
6. 행정학과················································· 109
2020학년도 교육과정

 경제학과
학년 이수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1-1 전필 S E A 20004 경제수학 Ma t hema t i ca l Econom i cs 3-3-0


1-2 전선 S E A 10005 경제자료처리및분석 Managemen t and Ana l ys i s o f Econom i c Da t a 3-3-0 ◎
전필 S E A 20001 미시경제학 M i c r oeconom i c Theo r y 3-3-0 ◎◇
전필 S E A 20002 경제사 Econom i c H i s t o r y 3-3-0 ◇
2-1
전선 S E A 20009 중국경제론 I n t r oduc t i on t o Ch i nese Economy 3-3-0
전선 S E A 20011 경제와사회 Economy and Soc i e t y 3-3-0
전필 S E A 20003 거시경제학 Mac r oeconom i c Theo r y 3-3-0 ◇
전필 S E A 30002 수리경제학 Ma t hema t i ca l Econom i cs 3-3-0

2-2 전선 S E A 20012 현대세계경제론 Mode r n Wo r l d Economy 3-3-0


전선 S E A 20013 경제통계분석 S t a t i s t i ca l Ana l ys i s f o r Econom i cs 3-3-0
전선 S E A 40015 후생및소득분배 We l f a r e & I n c o me D i s t r i b u t i o n 3-3-0
전선 T S A 20002 일반사회교육론 Theo r i es o f Teach i ng Soc i a l Educa t i on 3-3-0 □
3-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전필 S E A 30001 계량경제학 Econome t r i cs 3-3-0
전선 S E A 30007 화폐금융론 Money and F i nanc i a l Econom i cs 3-3-0
전선 S E A 30010 국제경제학 I n t e r na t i ona l Econom i cs 3-3-0

3-1 전선 S E A 30013 고전경제학 C l ass i ca l Po l i t i ca l Economy 3-3-0


전선 S E A 00009 거시경제학 2 Mac r oeconom i c Theo r y 2 3-3-0
전선 S E A 40006 산업조직론 I ndus t r i a l O r gan i za t i on Theo r y 3-3-0
C r i t i ca l Reason i ng and W r i t i ng i n Soc i a l
전선 T S A 00011 일반사회교육의논리및논술 3-3-0 □
Sc i ence Educa t i on
전선 S E A 00001 금융안정론 I ssues i n F i nanc i a l S t ab i l i t y 3-3-0
전선 S E A 00008 경제정책론 Theo r y o f Econom i c Po l i cy 3-3-0
전선 S E A 30004 근대경제학설사 H i s t o r y o f Mode r n Econom i c Theo r y 3-3-0
3-2 전선 S E A 30009 재정학 Pub l i c F i nance 3-3-0 ◎
전선 S E A 30011 노동경제학 Labou r Econom i cs 3-3-0
전선 S E A 30019 식량및농업경제학 Food and Ag r i cu l t u r a l Econom i cs 3-3-0
전선 S E A 30024 시사경제영어 Econom i c Commen t a r i es ( i n Eng l i sh ) 3-3-0
3 , 4-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동하계
전선 S E A 40010 한국경제론 S t ud i es i n Ko r ean Economy 3-3-0
전선 S E A 40023 노사관계론 S t ud i es i n I ndus t r i a l Re l a t i ons 3-3-0
4-1
전선 S E A 40024 대안경제론 A l t e r na t i ve Econom i cs 3-3-0
전선 T S A 40001 일사과지도법 Teach i ng Me t hod o f Gene r a l Soc i a l /S t ud i es 3-3-0 □
전선 S E A 00002 국제경제통합론 Theo r y o f I n t e r na t i ona l Econom i c I n t eg r a t i on 3-3-0
전선 S E A 30016 해외경제론 Top i cs i n Ove r seas Econom i cs 3-3-0
4-2
전선 S E A 40002 경제발전론 Deve l opmen t econom i cs 3-3-0
전선 S E A 40017 환경경제학 Env i r onmen t a l Econom i cs 3-3-0
계 전공필수 18 전공선택 84 (9 ) 102 (9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10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회과학대학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경영학과 2 BB A30012 재무관리 F i nanc i a l Managemen t 3-3-0
경영학과 1 BB A40018 투자론 I nves t men t 3-3-0
국제통상학과 1 BTA20003 무역영어 1 Bus i ness Eng l i sh 1 3-3-0
국제통상학과 1 BTA30001 외환론 Fo r e i gn Exchange & Money Ma r ke t s 3-3-0
국제통상학과 2 BTA30004 국제금융론 I n t e r na t i ona l Mone t a r y Econom i cs 3-3-0
국제통상학과 2 BTA30009 무역영어 2 Bus i ness Eng l i sh 2 3-3-0
국제통상학과 2 BTA30015 금융시장론 F i nanc i a l Ma r ke t s 3-3-0

경상대학교 103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사회복지학과
 교육목표
◦ 사회복지 가치 , 전문적 사회복지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사회복지 인재 양성

 인재상

◦봉사와 실천을 하는 인재 ◦인성과 소양을 지닌 인재 ◦선도적 복지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사회봉사정신 사회복지 실천에 바탕이 되는 자원봉사를 통해 사회복지사의마인드를 함양
봉사와 실천을
하는 인재 생애주기별로 클라이언트 집단에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복
실무역량
지사의 실천기술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하는 할수 있는 역량
인성과 소양을 지닌 인재 사회복지실천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민관기관과의 파트너쉽을 함양하기
관계형성
위한 의사소통능력
세계시민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
선도적 복지 인재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조직을 이
도전정신
끌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구분
전선 S W A 00005 사회복지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Soc i a l We l f a r e 3-3-0
1-1
전선 S W A 20009 사회문제론 Soc i a l P r ob l ems 3-3-0
전선 S W A 20004 인간행동과사회환경 Human Behav i o r and Soc i a l Env i r onmen t 3-3-0
1-2
전선 S W A 00007 사회복지역사 H i s t o r y o f Soc i a l We l f a r e 3-3-0
전선 S W A 20012 민간복지와사회복지운동 P r i va te We l fa re & Movemen t fo r Soc i a l We l fa re 3-3-0
전선 S W A 20017 정신건강사회복지론 Soc i a l Wo r k i n Men t a l Hea l t h 3-3-0
2-1 전선 S W A 20019 사회복지조사론 Soc i a l We l f a r e Resea r ch 3-3-0
전선 S W A 20021 사회복지실천론 Soc i a l Wo r k P r ac t i ce Theo r i es 3-3-0
전선 S W A 30026 장애인복지론 Soc i a l Se r v i ces f o r D i sab l ed 3-3-0
전선 S W A 20016 지역사회복지론 Commun i t y We l f a r e 3-3-0
전선 S W A 20020 자원봉사론 Vo l un t a r y We l f a r e 3-3-0
2-2 전선 S W A 20022 아동복지론 Ch i l d We l f a r e 3-3-0
전선 S W A 20024 사회복지자료분석론 Ana l ys i s o f Soc i a l We l f a r e Resea r ch 3-3-0
전선 S W A 20025 사회복지정책론 Soc i a l We l f a r e Po l i cy 3-3-0
전선 S W A 30007 사회보장론 Soc i a l Secu r i t y 3-3-0
전선 S W A 30021 사회복지실천기술론 Soc i a l Wo r k P r ac t i ce Sk i l l 3-3-0
3-1 전선 S W A 30025 사회복지행정론 Soc i a l We l f a r e Adm i n i s t r a t i on 3-3-0
전선 S W A 40004 노인복지론 We l f a r e f o r t he Aged 3-3-0
전선 S W A 40013 프로그램개발과평가 P r og r am Deve l opmen t & Eva l ua t i on 3-3-0
전선 S W A 00009 의료사회복지론 Soc i a l We l f a r e o f Hea l t h ca r e 3-3-0
전선 S W A 00006 사회복지법제와실천 Soc i a l We l f a r e Leg i s l a t i on & P r ac t i ce 3-3-0
3-2 전선 S W A 30027 여성복지론 Soc i a l Wo r k w i t h Women 3-3-0
전선 S W A 00003 사회복지현장실습 1 Soc i a l Wo r k i n P r ac t i cum 1 3-0-3
전선 S W A 40028 한국사회보장의역사 Soc i a l Secu r i t y H i s t o r y i n Ko r ea 3-3-0
4-1,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10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회과학대학

전선 S W A 30028 산업복지론 I ndus t r i a l Soc i a l We l f a r e 3-3-0


전선 S W A 40001 복지국가론 We l f a r e S t a t e 3-3-0
4-1
전선 S W A 00002 다문화사회복지론 Mu l t i cu l t u r a l Soc i a l Wo r k P r ac t i ce 3-3-0
전선 S W A 00004 사회복지현장실습 2 Soc i a l Wo r k i n P r ac t i cum 2 3-0-3
전선 S W A 00001 가족복지론 Fam i l y We l f a r e 3-3-0
4-2 전선 S W A 40014 사회복지윤리와철학 Soc i a l Wo r k Va l ues and E t h i cs 3-3-0
전선 S W A 00008 학교사회복지론 Schoo l Soc i a l We l f a r e 3-3-0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93 (15 ) 93 (15 )

경상대학교 105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사회학과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구분
전필 SS A 10002 사회학사 H i s t o r y o f Soc i o l ogy 3-3-0 ◇◎
1-2
전선 SS A 10004 사회학의쟁점 I ssues i n Soc i o l ogy 3-3-0
전필 SS A 20012 사회조사방법론 Soc i a l Resea r ch Me t hods 3-3-0 ◇◎
전선 SS A 20001 고전사회학이론 C l ass i ca l Soc i o l og i ca l Theo r i es 3-3-0
2-1 전선 SS A 20007 사회심리학 Soc i a l Psycho l ogy 3-3-0
전선 SS A 20011 인권사회학 Soc i o l ogy o f Human R i gh t s 3-3-0 ◎
전선 SS A 20005 사회구조론 Soc i a l S t r uc t u r e 3-3-0
전필 SS A 00009 사회조사실습 F i e l d Wo r k o f Soc i a l Su r vey 3-0-3
전선 SS A 20002 현대사회학이론 Con t empo r a r y Soc i o l og i ca l Theo r i es 3-3-0
전선 SS A 20008 산업사회학 Soc i o l ogy o f I ndus t r y 3-3-0
2-2
전선 SS A 30001 사회변동론 Soc i a l Change 3-3-0
전선 SS A 30005 가족사회학 Soc i o l ogy o f t he Fam i l y 3-3-0
전선 T S A 20002 일반사회교육론 Theo r i es o f Teach i ng Soc i a l Educa t i on 3-3-0 □
전선 SS A 00015 사회조사분석 Soc i a l Resea r ch Ana l ys i s 3-0-3
전선 SS A 30003 정치사회학 Po l i t i ca l Soc i o l ogy 3-3-0 ◎
전선 SS A 30004 한국사회론 Ko r ean Soc i e t y 3-3-0
전선 SS A 30007 사회사상사 H i s t o r y o f Soc i a l Though t s 3-3-0
3-1
전선 SS A 30019 정보사회학 Soc i o l ogy o f I n f o r ma t i on 3-3-0
전선 SS A 30021 사회학강독 Read i ng i n Soc i o l ogy 3-3-0
전선 T S A 00011 일반사회교육의논리및논술 C r i t i ca l Reason i ng and W r i t i ng i n Soc i a l 3-3-0 □
Sc i ence Educa t i on
전필 SS A 00010 사회학연구실습 F i e l d Wo r k o f S t ud i es i n Soc i o l ogy 3-0-3
전선 SS A 30016 한국사회사 Soc i a l H i s t o r y o f Ko r ea 3-3-0
3-2 전선 SS A 30017 사회운동론 Soc i a l Movemen t s 3-3-0
전선 SS A 00072 사회계층과불평등 Soc i a l S t r a t i f i ca t i on & I nequa l i t y 3-3-0
전선 SS A 00013 기억과사회 Memo r y and Soc i e t y 3-0-3
전선 SS A 40001 조직사회학 Soc i o l ogy o f O r gan i za t i ons 3-3-0
전선 SS A 40011 지식과사회 Know l edge and Soc i e t y 3-3-0
4-1 전선 SS A 00011 과학과사회 Sc i ence and Soc i e t y 3-3-0
전선 SS A 40020 여성정책론 Women ’ s Po l i c i es 3-3-0
전선 T S A 40001 일사과지도법 Teach i ng Me t hod o f Gene r a l Soc i a l /S t ud i es 3-3-0 □
전선 SS A 20010 매스커뮤니케이션 Mass Commun i ca t i on 3-3-0
전선 SS A 30022 교육사회학 Soc i o l ogy o f Educa t i on 3-3-0
4-2
전선 SS A 40013 민족사회학 Soc i o l ogy o f Na t i ons and E t hn i c G r oups 3-3-0
전선 SS A 40014 문화사회학 Soc i o l ogy o f Cu l t u r es 3-3-0 ◎
계 전공필수 12 전공선택 90 102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경제학과 1 SEA20002 경제사 Econom i c H i s t o r y 3-3-0
정치외교학과 1 S I A20009 한국정치론 Governmen t and Po l i t i cs o f Sou th Ko rea 3-3-0
지리교육학과 1 TGA30004 사회지리학 Soc i a l Geog r aphy 3-3-0
철학과 2 HPA00008 정치사회철학 Po l i t i ca l and Soc i a l Ph i l osophy 3-3-0

10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회과학대학

□ 심리학과
 교육목표

◦공감과 배려에 기초한 의사소통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개척인재 양성

 인재상

◦인간에 대한 이해가 높은 의사소통 인재 ◦상생협력을 도모하는 창의적 문제해결 인재 ◦자기주도적 도전혁신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타인의 마음에 공감하고 타인이 처한 상황을 배려하여 소외되거나 어려움
A 공감과 배려
인간에 대한 이해가 을 겪는 구성원을 지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능력
높은 의사소통 인재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설득함으로써 구성원
B 표현과 설득
들 간 협력과 화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능력
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객관적 사실을 검증하고 논리적 분석법을 활용하
C 합리적 탐구
상생협력을 도모하는 여 합리적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
창의적 문제해결 인재 다양한 차원의 원인과 문제의 경과 과정을 통합적으로 사고하고 이를 현
D 통합적 의사결정
실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
학습자가 기존의 학습 과정에서 다루기 어려운 학습 내용과 과정을 자발
E 자기주도
자기주도적 도전혁신 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하여 자기개발을 이뤄낼 수 있는 능력
인재 급변하는 환경속에서 새로운 문제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
F 도전혁신
롭고 혁신적인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2 전선 S P A 00006 아동심리학 3 3 0 20 15 10 20 20 15 ◎
2-1 전선 S P A 00015 심리통계 3 2 1 20 15 25 20 10 10
전선 S P A 00002 청소년심리학 3 3 0 10 30 10 20 10 20
전선 S P A 20005 동기론 3 3 0 15 20 10 20 20 15
전선 S P A 20002 사회심리학 3 3 0 15 20 10 20 20 15
전선 S P A 20010 성격심리학 3 3 0 15 20 10 20 20 15 ◎
전선 S P A 00007 신경생리심리학 3 3 0 25 20 20 15 10 10
2-2 전선 S P A 20006 심리검사및측정 3 3 0 10 15 20 15 20 20
전선 S P A 00022 성인및노인심리학 -어드벤처디자인 3 3 0 15 15 25 25 10 10
전선 S P A 30002 학습심리학 3 3 0 15 15 20 20 15 15
전선 S P A 20012 상담이론과실제 3 3 0 15 10 25 25 10 15 ◎
전선 S P A 00024 이상심리학 -어드벤처디자인 3 2 1 30 30 5 20 10 5
전선 S P A 30004 산업심리학 3 3 0 20 10 10 30 20 10
3-1 전선 S P A 00023 임상심리평가및진단 -캡스톤디자인 3 2 1 15 15 20 20 15 15
전선 S P A 00001 현장조사방법종합설계 3 3 0 20 0 30 20 30 0
전선 S P A 00011 상담실습 3 2 1 15 20 15 20 10 20 ◎
전선 S P A 00027 실험설계 -캡스톤디자인 3 2 1 10 15 20 20 20 15
전선 S P A 40006 소비자심리학 3 3 0 5 5 25 25 20 20
3-2 전선 S P A 30006 조직심리학 3 3 0 20 20 20 20 10 10

경상대학교 107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S P A 00009 지각및인지심리학 3 3 0 5 10 30 30 15 10
전선 S P A 00018 임상심리학 3 2 1 20 15 15 30 10 10
전선 S P A 00019 특수아상담 3 2 1 25 15 20 20 10 10 ◎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25 10 25 20 10 1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25 20 20 15 10 10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15 15 20 25 10 15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25 20 20 15 10 1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15 5 20 20 20 2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 20 15 10 20 20 15
4-1 전선 S P A 30008 환경심리학 3 3 0 20 15 10 20 20 15
전선 S P A 00025 중독심리학 3 2 1 20 15 15 30 10 10
전선 S P A 00012 집단상담 3 2 1 20 15 15 30 10 10 ◎
전선 S P A 00013 가족상담 3 2 1 15 10 30 20 15 10 ◎
전선 S P A 00005 긍정심리학 3 3 0 20 20 10 10 20 20
4-2 전선 S P A 00020 광고심리종합설계 3 2 1 20 20 10 10 20 20
전선 S P A 00016 범죄심리학 3 2 1 20 20 10 10 20 20
전선 S P A 00017 진로상담 3 2 1 15 15 15 15 20 20 ◎
전선 S P A 00026 건강심리학 -캡스톤디자인 3 2 1 15 15 15 15 20 20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93 (48 ) 93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10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회과학대학

□ 정치외교학과
 교육목표

◦공공선을 추구하는 글로컬시민리더 양성

 인재상

◦비판적 민주시민 ◦협력적 민주시민 ◦실천적 민주시민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비판적 사고 기성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적 사고 능력
비판적 민주시민
B 분석적 접근 문제상황을 합리적으로 진단하는 분석적 접근 능력
C 창의적 제안 관성적 해결방식을 지양하는 창의적 제안 능력
협력적 민주시민
D 협력적 소통 차이를 인정하고 상생을 추구하는 협력적 소통 능력
E 민주적 의사결정 다수와 소수가 함께 수용할 수 있는 민주적 의사결정 능력
실천적 민주시민
F 실천적 헌신 배우고 익힌 대로 행하는 실천적 헌신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전선 S I A 10006 정치학원론 P r i nc i p l es o f Po l i t i ca l Sc i ence 3-3-0
1-1
전선 S I A 20009 한국정치론 Gove r nmen t and Po l i t i cs o f Sou t h Ko r ea 3-3-0 ◇
전선 S I A 00002 정치학강독 Read i ngs i n Po l i t i cs 3-3-0 ★
1-2
전선 S I A 10007 글로벌이슈 G l oba l I ssue 3-3-0
전선 S I A 00013 비교정치론 Compa r a t i ve Po l i t i cs 3-3-0 ◇
전선 S I A 20017 국제관계원강 I n t e r na t i ona l Po l i t i cs Eng l i sh Sem i na r 3-3-0 ★
2-1
전선 S I A 20018 삶의정치철학 Po l i t i ca l Ph i l osophy f o r L i f e 3-3-0
전선 S I A 30015 시민사회론 Theo r i es o f C i v i l Soc i e t y 3-3-0
전선 S I A 00004 국제정치의패러다임 Theo r i es o f I n t e r na t i ona l Po l i t i cs 3-3-0 ◇
전선 S I A 00026 정책제안어드벤처디자인 Adven t u r e Des i gn f o r Po l i cy P r opo sa l s 3-3-0
전선 S I A 00005 국제관계사입문 I n t r oduc t i on t o I n t e r na t i ona l Re l a t i ons 3-3-0 ★
2-2
전선 S I A 00012 글로벌리더십 G l oba l Leade r sh i p 3-2-1
전선 S I A 20005 정치과정론 Con t empo r a r y Po l i t i ca l P r ocess 3-3-0
전선 S I A 40016 동남아연구 S t ud i es on Sou t heas t As i a 3-3-0
2 , 3 , 4­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3,4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1 , 2
전선 S I A 00006 국제기구의이해 Unde r s t and i ng o f I n t e r na t i ona l O r gan i za t i ons 3-3-0
전선 S I A 00023 선거와정당 E l ec t i on and Po l i t i ca l Pa r t i es 3-3-0 ★
3-1
전선 S I A 30020 유럽정치론 Eu r opean Un i on Po l i t i cs 3-3-0 ★
전선 S I A 00025 변화와정치종합설계 Caps t one Des i gn o f Change and Po l i t i cs 3-3-0

경상대학교 109
2020학년도 교육과정

전선 S I A 00027 정치경제론 Po l i t i ca l Economy 3-3-0


전선 S I A 00028 국제정치론 I n t e r na t i ona l Po l i t i cs 3-3-0
3-2 전선 S I A 30008 한국외교론 On Fo r e i gn Po l i c i es o f Sou t h Ko r ea 3-3-0
전선 S I A 30016 동북아연구 A r ea S t ud i es : No r t heas t As i a 3-3-0
전선 S I A 30022 이데올로기의이해 Unde r s t and i ng Po l i t i ca l I deo l og i es 3-3-0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I (3-0-4주)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I I (6-0-8주)
전선 S I A 00014 정치학방법론 Resea r ch Me t hods i n Po l i t i cs 3-3-0
전선 S I A 00024 성과정치 Gende r Po l i t i cs 3-3-0 ★
4-1 전선 S I A 20021 지역연구 A r ea S t ud i es 3-3-0
전선 S I A 30023 현대사회와정의론 Theo r i es o f Jus t i ce i n Con t empo r a r y Soc i e t y 3-3-0
전선 S I A 40020 미국정치론 Ame r i can Po l i t i cs 3-3-0
전선 S I A 40006 남북한관계론 S t ud i es on t he No r t h/Sou t h Ko r ean Re l a t i ons 3-3-0
4-2 전선 S I A 40015 환경정치론 Env i r onmen t a l Po l i t i cs 3-3-0
전선 S I A 40019 정치분석 Po l i t i ca l Ana l ys i s 3-3-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I I I (15-0-15주)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93 (48 ) 93 (48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영어 원강 과목

11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회과학대학

□ 행정학과
 교육목표
◦글로벌 시대에 걸맞은 행정능력과 전문지식을 갖춘 공공부문의 유능한 인재 양성

 인재상
◦리더십과 책임감을 갖춘 봉사하는 인재
◦창의성과 전문성을 갖춘 문제해결주도 인재
◦공감력과 공공윤리를 갖춘 소통하는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국가제반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적극적인 자세로 과
도전정신 업을 성취하며 , 목표달성을 위해 구성원의 활동을 촉진하고 민주적으로 이끌
리더십과 책임감을 갖춘 어 갈수 있는 능력
봉사하는 인재 지역 특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편견 없이 수용하고 외국어를 적절히 활용할
세계시민 수 있으며 ,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국가 및 사회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능력
사회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현실적으로 실행가능한 정
문제해결
창의성과 전문성을 갖춘 책대안을 제시하는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문제해결주도 인재 다양한 인적 ,물적 , 조직적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
창의융합
반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능력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공감하여 구성원들과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으며 , 적
공공의사소통
공감력과 공공윤리를 갖춘 절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과 뜻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소통하는 인재 공공업무에 종사하는 공직자로서 지켜야 할 행동규범을 잘 갖추고 있으며 , 국민
공공윤리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공익을 우선으로 하여 성실하게 직무를 수행하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구분
1-1 전선 S AA 10002 행정학원론 1 Pub l i c Adm i n i s t r a t i on 1 3-3-0 ◎
1-2 전선 S AA 10003 행정학원론 2 Pub l i c Adm i n i s t r a t i on 2 3-3-0
전선 S AA 10001 행정조직론 Theo r y and P r ac t i ce o f Pub l i c O r gan i za t i on 3-3-0 ◇
전선 S AA 20002 행정조사론 Resea r ch Me t hods i n Pub l i c Adm i n i s t r a t i on 3-3-0 ◎
2-1 전선 S AA 20007 지방자치론 Loca l Gove r nmen t 3-3-0 ◇
전선 S AA 20013 행정과시민사회 Pub l i c Adm i n i s t r a t i on and Soc i e t y 3-3-0 ◎
전선 S AA 20014 정부예산론 Pub l i c Budge t i ng and Expend i t u r e 3-3-0
전선 S AA 00001 조직행태론 O r gan i za t i ona l Behav i o r 3-3-0
전선 S AA 20001 정책형성론 Po l i cy Fo r ma t i on 3-3-0 ◇
전선 S AA 20003 재무행정론 F i nanc i a l Adm i n i s t r a t i on 3-3-0
2-2 전선 S AA 30001 인사행정론 Pub l i c Pe r sonne l Adm i n i s t r a t i on 3-3-0
전선 S AA 30020 행정계량분석 Quan t i t a t i ve Ana l ys i s 3-3-0
전선 S AA 30010 공기업론 Pub l i c En t e r p r i ses 3-3-0
전선 T S A 20002 일반사회교육론 Theo r i es o f Teach i ng Soc i a l Educa t i on 3-3-0 □

경상대학교 111
2020학년도 교육과정

전선 S AA 30003 한국행정론 Ko r ean Pub l i c Adm i n i s t r a t i on 3-3-0 ◎


전선 S AA 30007 도시행정론 U r ban Adm i n i s t r a t i on 3-3-0
전선 S AA 30013 정책분석및평가론 Po l i cy Ana l ys i s & Eva l ua t i on 3-3-0
3-1 전선 S AA 30014 정부윤리론 Gove r nmen t a l E t h i cs 3-3-0
전선 S AA 00074 행정과민주주의 Pub l i c Adm i n i s t r a t i on and Democ r acy 3-3-0
전선 T S A 00011 일반사회교육의논리및논술 C r i t i ca l Reason i ng and W r i t i ng i n Soc i a l
3-3-0 □
Sc i ence Educa t i on
전선 S AA 00006 공공관리론 Pub l i c managemen t t heo r y 3-3-0
전선 S AA 20012 전자정부론 E l ec t r on i c Gove r nmen t 3-3-0
3-2
전선 S AA 30019 행정학특강 1 P r ac t i ces o f Adm i n i s t r a t i ve Theo r y 1 3-3-0
전선 S AA 00075 행정학원서강독 Read i ngs i n Pub l i c Adm i n i s t r a t i on and Po l i cy 3-3-0
전선 S AA 00004 행정학연습 Caps t one Sem i na r i n Pub l i c Adm i n i s t r a t i on 3-3-0
전선 S AA 30004 리더십론 Leade r sh i p Theo r y 3-3-0
4-1 전선 S AA 40017 행정규제론 Gove r nmen t Regu l a t i on 3-3-0
전선 S AA 40018 행정학특강 2 P r ac t i ces o f Adm i n i s t r a t i ve Theo r y 2 3-3-0
전선 T S A 40001 일사과지도법 Teach i ng Me t hod o f Gene r a l Soc i a l /S t ud i es 3-3-0 □
전선 S AA 00005 정책학연습 Caps t one Sem i na r i n Pub l i c Po l i cy 3-3-0
전선 S AA 00071 지방의회론 Loca l Counc i l 3-3-0
4-2 전선 S AA 40008 환경행정론 Env i r onmen t a l Adm i n i s t r a t i on 3-3-0
전선 S AA 40013 행정개혁론 Theo r y o f Adm i n i s t r a t i ve Re f o r m 3-3-0
전선 S AA 40016 정책사례분석 Case S t udy f o r Pub l i c Po l i cy 3-3-0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102 102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법학과 1 LAA10013 민법총칙 P r i nc i p l es o f C i v i l Law 3-4-0
법학과 1 LAA10021 기본권론 Gene r a l Theo r y o f C i v i l R i gh t s 3-4-0
법학과 1 LAA20013 행정법총론 P r i nc i p l es o f Adm i n i s t r a t i ve Law 3-3-0
법학과 2 LAA20014 행정법각론 Pa r t i cu l a r s o f Adm i n i s t r a t i ve Law 3-3-0
Theo r y o f t he Po l i t i ca l Sys t em & t he
법학과 2 LAA20017 통치기구론 3-3-0
Gove r nmen t a l P r ocess
경제학과 1 SEA20001 미시경제학 M i c r oeconom i c Theo r y 3-3-0
경제학과 2 SEA20003 거시경제학 Mac r oeconom i c Theo r y 3-3-0
사회복지학과 1 SWA30025 사회복지행정론 Soc i a l We l f a r e Adm i n i s t r a t i on 3-3-0

11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자연과학대학

1. 생명과학부············································ 112
2. 물리학과················································· 114
3. 수학과······················································116
4. 식품영양학과········································118
5. 의류학과················································· 120
6. 정보통계학과········································122
7. 지질과학과············································ 124
8. 화학과······················································126
9. 컴퓨터과학과········································128

경상대학교 113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생명과학부
 교육목표

◦인성 , 지성 , 창발적 사고를 겸비한 4차 산업혁명 인재 육성

 인재상

◦인성과 지성을 겸비한 인재 ◦창발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 ◦사회에 기여하는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자립심 , 책임감 , 대인관 자신의 성장과 계발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바탕을
A
인성과 지성을 계 , 국제화 감각 형성한다 .
겸비한 인재 생물의 구조와 기능 , 생 생물의 구조와 기능 , 생명 현상의 원리를 이해하고 인류를 위해 활용
B
명 현상의 원리 및 활용 할 수 있는 전공 지식을 습득한다 .
과학적 지식과 생명 현상의 원리를 바탕으로 융복합적 사고와 통합적
C 융복합
창발적 사고력을 적용 능력을 개발한다 .
갖춘 인재 문제 해결을 위해 원인을 분석하고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해결 방법
D 창의적 사고
을 찾아서 추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 .
적극적 문제해결능력을 사회에 발전에 기여하고 배려와 봉사의 가치를
E 사회 기여
사회에 기여하는 인식하고 실행한다 .
인재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 , 분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창발적
F 미래 사회 개척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스마트비즈니스형 인재를 육성한다 .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N O A 00049 생명과학탐구 2 0 4 20 60 0 10 0 10
2-1 전필 N O A 00002 미생물학 3 3 0 10 25 20 20 15 10 ◇◎
전필 N O A 00004 생물다양성학 3 3 0 5 20 20 30 15 10 ◎
전필 N O A 00010 생화학실험 3 0 6 15 30 15 30 5 5
전필 N O A 00051 생화학 3 3 0 20 30 20 15 5 10 ◇◎
전선 N O A 00050 생물유기화학 3 3 0 10 40 20 10 10 10
2-2 전필 N O A 00003 분자생물학 1 3 3 0 10 40 10 20 10 10 ◇◎
전필 N O A 00006 생화학 2 3 3 0 10 35 15 15 10 15
전필 N O A 00062 세포생물학 3 3 0 5 30 20 25 10 10 ◎
전필 N O A 00009 분자생물학실험 3 0 6 20 35 15 20 5 5
전선 N O A 00011 미생물다양성학 3 3 0 10 35 10 10 20 15
전선 N O A 00012 식물형태해부학 3 3 0 5 30 15 25 15 10
전선 N O A 00061 바이오파이썬블렌디드 3 3 0 10 5 30 20 10 25
3-1 전필 N O A 00014 심화생물학실험 3 0 6 10 25 20 25 10 10
전선 N O A 00018 동물형태해부학 3 3 0 10 40 10 10 10 20
전선 N O A 00019 미생물생리학 3 3 0 10 30 20 20 10 10
전선 N O A 00020 분자생물학 2 3 3 0 10 30 15 15 15 15
전선 N O A 00024 생물리화학 3 3 0 10 30 10 20 20 10
전선 N O A 00060 고급세포생물학 3 3 0 10 20 20 30 10 10
전선 N O A 00058 응용생물공학 PBL 3 3 0 10 10 30 10 10 30

11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N O A 00053 생물빅데이터통계 3 3 0 20 10 20 30 10 10
전선 N O A 00059 생명과학창의융합 PBL 3 0 6 20 20 10 10 20 20
전선 T B A 00100 생명과학교육론 3 3 0 10 30 20 20 10 10 □◎
3-2 전필 N O A 00008 유전학 3 3 0 10 40 15 15 10 10 ◎
전선 N O A 00015 균학 3 3 0 10 30 20 20 10 10
전선 N O A 00016 동물발생학 3 3 0 20 30 20 10 10 10 ◎
전선 N O A 00017 동물생리학 3 3 0 10 25 10 10 20 25 ◎
전선 N O A 00021 비관속식물학 3 3 0 10 30 10 20 10 20
전선 N O A 00023 생물대사공학 3 3 0 10 25 20 20 15 10
전선 N O A 00025 생물정보학 3 3 0 20 10 30 20 10 10
전선 N O A 00027 생태학 3 3 0 10 25 20 20 10 15 ◎
전선 N O A 00029 식물생리학 3 3 0 10 40 10 10 10 20 ◎
전선 N O A 00030 신경생물학 3 3 0 10 40 10 10 10 20
전선 N O A 00036 바이러스학 3 3 0 10 50 15 10 5 10
전선 T B A 00103 생명과학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20 10 20 10 30 10 □
3-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40 5 20 25 10 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40 5 20 25 10 0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40 5 20 25 10 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40 5 20 25 10 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40 5 20 25 10 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 40 5 20 25 10 0
4-1 전선 N O A 00032 유전공학 3 3 0 25 15 20 20 10 10
전선 N O A 00033 구조생물학 3 3 0 10 10 20 30 10 20
전선 N O A 00041 식물호르몬학 3 3 0 10 30 10 20 10 20
전선 N O A 00034 당생물학 3 3 0 10 15 30 15 10 20
전선 N O A 00035 면역학 3 3 0 0 40 20 20 0 20
전선 N O A 00038 생명과학논문연구및작성법 3 3 0 30 20 10 20 10 10
전선 N O A 00043 진화생물학 3 3 0 20 25 25 15 10 20
전선 N O A 00046 해양생물학 3 3 0 25 10 10 20 25 10
전선 N O A 00047 환경생물학 3 3 0 20 30 15 20 15 25
전선 N O A 00056 학위논문연구 1 0 2 25 45 5 25 0 0
전선 T B A 00001 생물교육논리및논술 3 3 0 20 20 20 20 10 0 □
4-2 전선 N O A 00022 생명과학기기분석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N O A 00057 그린헬스바이오 PBL 3 3 0 10 30 10 10 20 20
전선 N O A 00039 생명과학종합설계 3 0 6 10 15 25 15 20 20
전선 N O A 00040 생물신호전달학 3 3 0 20 20 20 15 15 20
전선 N O A 00056 학위논문연구 1 0 2 25 45 5 25 0 0
전선 N O A 00048 효소학 3 3 0 10 10 20 30 10 20
계 전공필수 30 전공선택 121 (48 ) 151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화학과 2 NCA20002 유기화학 2 O r gan i c Chem i s t r y I I 3-3-0

경상대학교 115
2020학년도 교육과정

□ 물리학과
 교육목표
◦물리학에 능통한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

 인재상

◦전문화된 인재 ◦ 융합형 인재 ◦실무형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기초지식 자연 현상에 대한 물리적 이해
전문화된 인재
B 응용지식 물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응용
C 창의 창의적 사고
융합형 인재
D 융합 다양한 전문지식 간 융합
E 주제발굴 독창적 , 실현가능한 주제 발굴 능력
실무형 인재
F 문제해결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 문제 해결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2 전필 N P A 20019 컴퓨터물리및실습 3 2 2 0 40 0 0 30 30 ◎
2-1 전필 N P A 20001 역학 1 3 3 0 50 30 0 0 20 0 ◎◇
전필 N P A 20003 현대물리학 1 3 3 0 50 30 0 20 0 0 ◎
전필 N P A 20074 초급물리실험 1 0 2 30 40 0 0 0 30
전선 N P A 20008 전자물리 1 3 3 0 30 40 0 30 0 0
전선 N P A 30006 수리물리 1 3 3 0 30 40 0 0 0 30
전선 T P A 20001 물리교육론 3 3 0 15 15 25 25 10 10 □
2-2 전필 N P A 20007 전자기학 1 3 3 0 50 20 0 0 0 30 ◎◇
전선 N P A 20004 현대물리학 2 3 3 0 50 30 0 20 0 0
전선 N P A 20009 전자물리 2 3 3 0 30 30 0 40 0 0
전선 N P A 20002 역학 2 3 3 0 50 30 0 0 20 0
전선 N P A 20075 전자물리실험 1 0 2 20 30 30 0 10 10
전선 N P A 30007 수리물리 2 3 3 0 30 40 0 0 0 30
전선 T P A 20008 물리교육의논리및논술 2 2 0 10 20 20 30 10 10 □
3-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20 20 0 20 20 2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20 20 0 20 20 20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20 20 0 20 20 2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20 20 0 20 20 20
3-1 전필 N P A 30001 양자역학 1 3 3 0 40 30 30 0 0 0 ◎◇
전필 N P A 30074 중급물리실험 1 0 2 60 30 0 10 0 0
전선 N P A 20020 수리물리 3 3 3 0 20 40 0 0 0 40
전선 N P A 30018 열물리 1 3 3 0 60 30 0 10 0 0 ◎
전선 N P A 30003 전자기학 2 3 3 0 50 20 0 0 0 30
전선 N P A 30027 기초반도체물리 3 3 0 40 30 0 20 0 10
전선 N P A 40007 인공지능과물리 3 3 0 0 20 20 20 20 20

11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2 전필 N P A 00004 창의적물리연구종합설계 1 3 0 4 0 20 0 20 30 30
전선 N P A 30026 기초방사선물리 3 3 0 30 30 0 40 0 0
전선 N P A 30002 양자역학 2 3 3 0 40 30 30 0 0 0
전선 N P A 30013 광학 3 3 0 40 30 30 0 0 0 ◎
전선 N P A 30019 열물리 2 3 3 0 60 30 0 10 0 0
전선 N P A 30075 광학실험 3 3 0 30 30 20 0 0 20
전선 T P A 30012 물리교재연구및지도 1 3 3 0 10 20 25 25 10 10 □
4-1 , 2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 20 20 0 20 20 20
4-1 전필 N P A 00005 창의적물리연구종합설계 2 3 0 4 0 20 0 20 30 30
전선 N P A 20017 물리학발달사 3 3 0 50 0 0 0 30 20
전선 N P A 40004 원자핵물리학 3 3 0 50 30 0 20 0 0
전선 N P A 40009 고체물리 3 3 0 60 30 0 10 0 0
전선 N P A 40011 응용광학 3 3 0 40 30 30 0 0 0
4-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20 20 0 20 20 20
전선 N P A 20013 물리와첨단기술 3 3 0 30 20 0 20 30 0
전선 N P A 40005 입자물리학 3 3 0 50 0 0 0 30 20
전선 N P A 40010 응용고체물리 3 3 0 60 30 0 10 0 0
전선 N P A 00003 응용전산물리 3 3 0 0 40 20 0 0 40
계 전공필수 23 전공선택 79 (48 ) 102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117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수학과
 교육목표
◦ 수학적 논리와 이성으로 학문과 현실에서 만나는 문제의 구조를 명료하게 분석하고 이해하여 효율적인 해결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논리형 인재를 양성 , 자연과학 및 사회과학의 원리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사고를 통하여 이해의 폭을 넓
힐 수 있는 능력이 탁월한 창의형 인재 양성 , 수학의 지식을 기반으로 여러가지 전문지식과 관점을 가진 동료들과 함께
현실의 공동 목표를 실제로 이루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융합형 인재 양성

 인재상

◦문제해결하는 지성인재 ◦ 창의적인 전문인 ◦소통하는 융합형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문제해결하는 A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


지성인재 B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구현
C 창의융합
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창의적인 전문인
D 도전정신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소통하는 융합형 E 의사소통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인재
F 협업 프로젝트 및 팀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협업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2-1 전필 N M A 20030 해석학 1 2 2 0 30 50 10 10 0 0 ◎◇
전필 N M A 20071 해석학연습 1 0 2 30 50 0 0 0 20 ◎◇
전선 N M A 20010 집합론 3 3 0 30 30 10 10 10 10
전선 N M A 20011 선형대수학 1 3 3 0 30 50 10 10 0 0 ◎
전선 N M A 20024 기하학개론 3 3 0 30 50 10 10 0 0
2-2 전선 N M A 20015 정수론 3 3 0 30 30 10 10 10 10
전선 N M A 20021 선형대수학 2 3 3 0 30 50 10 10 0 0
전선 N M A 20023 해석학 2 3 3 0 30 50 10 10 0 0
전선 N M A 30018 다변수해석학 3 3 0 30 50 10 10 0 0
전선 T M A 10020 수학교육논리및논술 2 2 0 10 20 20 10 20 20 □
전선 N M A 00010 미분방정식 3 3 0 30 50 10 10 0 0
3-1 전필 N M A 30030 현대대수학 1 2 2 0 30 30 10 10 10 10 ◎◇
전필 N M A 30032 위상수학 1 2 2 0 30 50 10 10 0 0 ◎◇
전필 N M A 30071 현대대수학연습 1 0 2 30 30 10 10 10 10 ◎◇
전필 N M A 30072 위상수학연습 1 0 2 20 20 0 0 30 30 ◎◇
전선 N M A 30012 복소수함수론 1 3 3 0 20 20 10 10 20 20 ◎
전선 N M A 00014 수치해석학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T M A 30015 수학과교과교육론 3 3 0 10 20 20 10 20 20 □
전선 N M A 00008 이산수학 3 3 0 30 50 10 10 0 0

11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2 전필 N M A 30028 미분기하학 1 3 3 0 30 50 10 10 0 0 ◎
전선 N M A 30022 복소수함수론 2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N M A 30025 현대대수학 2 3 3 0 30 30 10 10 10 10
전선 N M A 30026 위상수학 2 3 3 0 20 30 30 20 0 0
전선 N M A 00011 확률및통계 3 3 0 30 50 10 10 0 0 ◎
전선 N M A 00012 전공세미나 1 1 1 0 30 50 10 10 0 0
3-동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10 0 10 20 30 30
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10 0 10 20 30 30
4-1 전선 N M A 30091 수학특론 1 3 3 0 30 30 10 10 10 10
전선 N M A 00016 실변수함수론 3 3 0 30 50 10 10 0 0
전선 N M A 40018 미분기하학 2 3 3 0 30 50 10 10 0 0
전선 T M A 40013 수학과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10 10 20 10 20 30 □
전선 N M A 00009 금융수학 3 3 0 30 50 10 10 0 0
전선 N M A 00007 종합설계 3 3 0 10 10 10 20 20 30
전선 N M A 00013 전공세미나 2 1 1 0 30 50 10 10 0 0
전선 N M A 00015 산업수학및실습 3 2 1 20 20 10 10 20 20
4-2 전선 N M A 40026 수학사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N M A 40031 체론 3 3 0 30 50 10 10 0 0
전선 N M A 40091 수학특론 2 3 3 0 30 50 10 10 0 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10 0 10 20 30 30
계 전공필수 12 전공선택 82 (24 ) 94 (24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119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식품영양학과
 교육목표
◦바른 인성 , 열린사고를 바탕으로 식품과 영양에 대한 창의적 전문성을 가진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증진 및 복지
에 이바지할 수 있는 융복합 글로벌 식품영양전문가 양성

 인재상

◦소통협력 인재 ◦실무중심 인재 ◦ 도전혁신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상대방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함과 동시에 소통하여 종합적인 의사를
A 공감과 소통
결정할 수 있는 전문인재
소통협력 인재
생애주기 , 질병상태에 따른 맞춤형 식단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민건강증진에
B 맞춤형 사회봉사
이바지
식품영양학 분야에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춘 창의적 인재 (식품영양전문가 , 식
C 창의적 전문성 생활교육전문가 , 급식위생전문가 , 급식경영전문가 , 영양상담전문가 , 보건영양
실무중심 인재 전문가 )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영양사 본분에 최선을 다하며 결과에 책임지는 자기
D 서비스 정신
관리능력을 갖춘 전문 인재
E 융합형 리더십 현장에 대한 이해와 조직적 운영 능력을 겸비한 리더십 함양
도전혁신 인재
F 혁신적 융합인재 미래형 식품과 개인맞춤형 영양정보 제공을 위한 혁신적 지식개발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2-1 전선 N F A 00001 공중보건학 3 3 0 10 10 40 10 20 10
전선 N F A 20001 식품재료학 2 2 0 10 10 40 10 10 20
전선 N F A 20004 영양생리학 3 3 0 0 20 50 20 10 0
전선 N F A 20005 조리원리 3 3 0 10 0 30 30 0 30 ◎
전선 N F A 20012 식품유기화학 3 3 0 0 10 60 0 0 30
전선 N F A 00004 식품영양분석 2 0 4 15 5 50 10 10 10
전선 N F A 00002 영양과건강 2 2 0 10 25 25 20 10 10
2-2 전선 N F A 20015 임상영양학 3 3 0 10 10 40 10 20 10
전선 N F A 20070 한국조리 2 0 4 10 10 40 10 20 10
전선 N F A 30005 영양학 3 3 0 0 20 50 30 0 0 ◎◇
전선 N F A 40030 생애주기영양학 3 3 0 10 40 20 10 10 10 ◎
전선 N F A 20019 생화학 1 3 3 0 0 10 60 0 0 30
전선 N F A 20009 외식산업의이해 2 2 0 10 0 20 50 10 10
전선 N F A 00005 식문화사 3 3 0 25 15 30 15 10 5
전선 N F A 30052 식품미생물학 3 3 0 10 10 40 0 10 30
전선 N F A 30053 식품미생물학실험 1 0 2 10 0 40 0 20 30
3-1 전선 N F A 20006 식품학 3 3 0 10 0 30 10 10 40 ◎◇
전선 N F A 30060 생화학 2 2 2 0 0 10 60 0 0 30
전선 N F A 30062 고급영양학 2 2 0 0 30 50 20 0 0

12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N F A 30076 실험조리 2 0 4 30 0 40 0 10 20
전선 N F A 30080 영양생화학실험 1 0 2 10 0 40 10 20 20
전선 N F A 30081 영양학실험 1 0 2 20 0 40 0 0 40
전선 N F A 30054 식품위생학 3 3 0 10 10 30 10 20 20 ◎
전선 N F A 40001 영양과성장발달 3 3 0 20 50 15 5 5 5
3-2 전선 N F A 30001 식품효소학 2 2 0 5 5 40 15 20 15
전선 N F A 30002 식품생화학 3 3 0 0 10 60 0 0 30
전선 N F A 30006 식생활관리학 2 2 0 20 20 20 20 0 20
전선 N F A 30007 식생활관리학실습 1 0 2 30 20 10 30 10 0
전선 N F A 30027 식사요법 3 3 0 10 40 20 10 10 10 ◎
전선 N F A 30084 식사요법실습 1 0 2 10 25 25 10 10 20 ◎
전선 N F A 30050 식품화학 3 3 0 10 0 30 10 10 40
전선 N F A 30051 식품화학실험 1 0 2 10 0 20 0 0 70
전선 N F A 30075 식품산업현장견학실습 1 0 2 20 10 10 20 20 20
전선 N F A 00003 환경위생학 3 3 0 10 10 30 10 20 20
3-동계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20 10 10 20 20 20
4-1 전선 N F A 30003 종합설계 3 3 0 20 10 10 20 20 20
전선 N F A 30055 식품가공학 3 3 0 10 0 20 0 10 60
전선 N F A 40002 수산식품영양학 3 3 0 0 10 60 0 0 30
전선 N F A 40003 급식경영학 3 3 0 10 10 40 10 20 10
전선 N F A 40005 식품유통및구매 2 2 0 10 10 40 10 20 10
전선 N F A 40089 영양교육및상담실습 3 2 2 20 20 30 10 10 10 ◎
전선 N F A 20014 단체급식관리 2 2 0 10 0 10 10 20 50 ◎◇
전선 N F A 20071 단체급식관리실습 1 0 2 20 0 0 10 30 40 ◎
4-하계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20 10 10 20 20 20
4-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20 10 10 20 20 20
전선 N F A 40004 식품위생관계법규 2 2 0 10 10 30 10 20 20
전선 N F A 40023 지역사회영양학 3 3 0 10 10 40 10 20 10
전선 N F A 40024 식품저장학 3 3 0 10 0 20 0 10 60
전선 N F A 40071 영양사현장실습 2 0 4 50 20 10 10 10 0
전선 N F A 90006 영양판정및실습 3 2 2 10 10 10 50 10 10 ◎
전선 N F A 30009 서양조리 2 0 4 30 0 20 10 10 30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113 (21 ) 113 (21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농화학식품공학과 1 AXA00048 축산가공학 M i l k & Mea t P r ocess i ng 3-3-0
농화학식품공학과 1 AXA00025 식품신소재학 Food New Ma t e r i a l s 3-3-0
농화학식품공학과 2 AXA00036 영양화학 Nu t r i t i ona l B i ochem i s t r y 3-3-0

경상대학교 121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의류학과
 교육목표

◦패션 분야 이론 및 실무능력을 바탕으로 , 21세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패션 전문 인력 양성

 인재상

◦가치창조 인재 ◦ 도전혁신 인재 ◦ 봉사실천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창의융합 의류산업과 타산업을 융합하여 시너지를 창출하는 역량
가치창조 인재
B 문제해결 의류학 및 의류산업의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C 도전정신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도전혁신 인재
D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으로 자기개발과 이론 및 실무를 지속할 수 있는 역량
의류 산업체 실무에서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E 의사소통
봉사실천 인재 만들 수 있는 역량
F 세계시민 세계 패션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N T A 00019 의류학의이해 2 2 0 20 20 10 20 20 10
전필 N T A 10020 패션디자인론 3 3 0 30 20 10 10 10 20 ◇◎
전선 N T A 00036 체형분석과봉제과학 3 3 0 10 30 10 20 20 10 ◎
전선 N T A 40024 복식과문화 3 3 0 30 10 10 10 10 30
1-2 전선 N T A 00022 의복구성학 3 2 1 20 20 20 20 10 10 ◇
전선 N T A 00023 패션정보분석 3 3 0 5 30 20 25 15 5
2-1 전필 N T A 00005 한국복식사 3 3 0 40 10 10 10 10 20
전필 N T A 20026 의류소재 3 3 0 30 20 10 20 10 10 ◇◎
전필 N T A 20028 패션마케팅 3 3 0 10 20 20 30 10 10 ◎
전선 N T A 30012 서양복식사 3 3 0 20 10 10 20 20 20 ◎
전선 N T A 00028 패션디자인발상 3 0 3 30 35 10 10 10 5
2-2 전필 N T A 00039 의복구성설계 3 1 2 20 20 20 20 10 10
전선 N T A 00024 한국의복구성 3 0 3 30 20 10 10 10 20 ◎
전선 N T A 10029 패션과소비자행동 3 3 0 20 20 10 30 10 10

전선 N T A 20012 소재가공과신소재 3 3 0 40 10 10 20 10 10

전필 N T A 00037 디지털의류생산설계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N T A 40021 의상사회심리학 3 3 0 40 20 10 10 10 10 ◎
전선 N T A 00016 의상교과교육론 3 3 0 30 20 10 20 10 10 □
3-1 전선 N T A 00040 드레이핑 3 0 3 10 30 20 20 10 10
전선 N T A 00025 의복구성실습 3 0 3 20 20 20 20 10 10

전선 N T A 00031 패션머천다이징과커뮤니케이션 3 0 3 10 30 20 30 10 0

12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2 전선 N T A 00026 패션코디네이션캡스톤디자인 3 0 3 30 35 5 15 10 5
전선 N T A 00027 의류소재염색가공및실험 3 0 3 20 20 10 20 20 10
전선 N T A 00029 전통복식캡스톤디자인 3 0 3 35 35 10 0 10 10
전선 N T A 30001 리테일바잉 3 3 0 10 20 10 30 20 10
3-동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 3 0 4주 ) 0 10 10 10 35 35
하계
4-1 전필 N T A 00020 의류학과연구실체험 1 0 2 30 30 20 10 5 5

전선 N T A 00038 현대패션 3 3 0 20 10 10 20 20 20
전선 N T A 00017 의상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20 20 20 20 10 10 □
전선 N T A 00018 의상논리및논술 2 2 0 20 30 10 30 10 0 □
전선 N T A 00032 패션스튜디오캡스톤디자인 3 0 3 30 35 10 15 5 5

전선 N T A 00033 의류소재캡스톤디자인 3 0 3 30 30 10 20 0 10
전선 N T A 00034 복식문화콘텐츠 3 0 3 35 35 10 0 10 10

전선 N T A 00035 테크니컬디자인 3 0 3 10 30 10 10 30 10

4-2 전선 N T A 00041 어패럴패턴 CAD 3 0 3 10 20 10 30 20 10

전선 N T A 00030 텍스타일평가및기획 3 0 3 10 20 20 20 20 10
계 전공필수 21 전공선택 80 (3 ) 101 (3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123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정보통계학과
 교육목표
◦ 민주이념과 개척정신을 바탕으로 인격을 도야하고 , 4차 산업혁명과 빅데이터 그리고 인공지능 시대가 요구하는 데이터 수
집과 분석 이론과 방법을 교수 · 연구하여 국가와 인류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

 인재상
◦통계학과 데이터사이언스에 대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 인재
◦현실 문제를 창의적 방법으로 해결책을 제시하는 인재 ◦ 소통하고 공감하는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통계학지식응용 능력 통계학 지식과 방법을 현실 문제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통계학과 데이터
사이언스에 대한 전문
데이터사이언스 지식과 방법을 데이터 처리와 분석에 활용할 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 인재 B
있는 능력
지식응용 능력
여러분야에 대한 지식을 융합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 그에 합당한
현실 문제를 창의적 C 문제해결 능력
데이터 수집분석을 통해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방법으로 해결책을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수
제시하는 인재 D 창의 융합적 사고 능력
집하고 분석 결과를 융합하여 사회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역량
문제해결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관련 분야
E 소통공감능력
사람들과 소통하고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
소통하고 공감하는 인재
규모가 크고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해 여러 사람과 협력할 수 있
F 협업 능력
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2-1 전선 N S A 00001 탐색적자료분석 3 2 2 20 40 10 10 10 10
전선 N S A 00080 취업세미나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N S A 10005 기초확률론 3 3 0 60 20 10 0 10 0
전선 N S A 20001 통계프로그래밍 3 3 0 20 50 20 10 0 0
전선 N S A 20051 일반통계학 3 3 0 30 30 10 10 10 10
전선 N S A 20052 통계수학 3 3 0 30 25 20 10 10 5
2-2 전선 N S A 10002 금융수학 3 3 0 30 25 20 10 10 5
전선 N S A 20002 기계학습 3 3 0 30 30 20 20 0 0
전선 N S A 20032 통계패키지 1및실습 3 2 2 10 40 10 10 20 10
전선 N S A 20045 통계적방법 3 3 0 30 30 10 10 10 10
전선 N S A 00077 빅데이터입문 3 3 0 5 35 25 20 10 5
전선 N S A 40060 수리통계학 3 3 0 50 20 10 5 10 5
3-1 전선 N S A 10004 빅데이터분석 3 3 0 5 35 25 20 10 5
전선 N S A 30033 통계패키지 2및실습 3 2 2 10 10 20 20 20 20
전선 N S A 30054 회귀분석 3 3 0 35 25 10 10 10 10

전선 N S A 30059 조사방법개론 3 3 0 30 10 25 25 5 5

12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N S A 40053 통계데이터베이스 3 3 0 20 50 20 20 0 0
3-하계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 3 0 4주 ) 10 10 20 20 20 20
3-2 전선 NSA0004 수치분석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N S A 10003 금융통계 3 3 0 40 20 10 10 10 10
전선 N S A 00006 빅데이터 정보처리 3 3 0 5 35 25 20 10 5
전선 N S A 00078 통계적품질관리 3 2 2 40 20 10 10 10 10
전선 N S A 30050 표본조사설계 3 3 0 40 10 20 20 5 5
전선 N S A 30062 실험계획법 3 3 0 30 25 20 10 10 5
3-동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10 10 20 20 20 20
4-1 전선 N S A 40002 정보통계학특강 3 3 0 30 20 20 20 5 5
전선 N S A 00079 통계적의사결정 3 2 2 10 10 40 20 10 10
전선 N S A 40041 시계열분석및실습 3 2 2 30 10 15 15 15 15
전선 N S A 40063 다변량자료분석 3 3 0 30 25 20 10 10 5
전선 N S A 10001 종합설계 3 3 0 10 10 20 20 20 20
4-2 전선 N S A 00005 통계적신호처리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N S A 40003 통계학사 3 3 0 50 0 30 20 0 0
전선 N S A 40055 데이터마이닝 3 3 0 10 20 20 30 10 10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10 10 20 20 20 20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93 (24 ) 93 (24 )

경상대학교 125
2020학년도 교육과정

12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 지질과학과
 교육목표

◦ 개척정신을 바탕으로 미래를 열어나가는 도전적인 인재 양성

 인재상

◦도전하는 인재 ◦ 봉사하는 인재 ◦ 창조하는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개척 남들이 시도하지 않은 새로운 목표 도전


도전하는 인재
B 진취성 최고의 목표에 도달하려는 용기

C 재난대응 봉사정신을 바탕으로 한 재난대응능력


봉사하는 인재
D 전달과 표현 지식을 쉽게 가공하여 대중에게 전달하는 능력

E 통합사고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지질학적 문제해결


창조하는 인재
F 지식탐구 기초 및 전공지식 습득을 통한 문제해결능력 배양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2 전필 N G A 00005 해양과지구 3 3 0 40 40 20 0 0 0
2-1 전필 N G A 20051 구조지질학 3 3 0 10 0 30 0 30 30 ◇
전필 N G A 20083 광물학및실험 3 2 2 0 0 0 30 20 50 ◇
전선 N G A 20017 암석지구화학 3 3 0 0 0 0 30 20 50
전선 N G A 20052 지질수학 3 3 0 0 0 0 20 30 50
전선 N G A 20055 수리화학 3 3 0 0 0 20 0 30 50
2-2 전필 N G A 00008 광물광학및실험 3 1 2 0 0 0 20 30 50
전필 N G A 30042 마그마와암석 3 3 0 0 0 10 20 20 50 ◇
전필 N G A 20018 환경지질학 3 3 0 0 0 50 10 20 20
전선 N G A 20078 지질정보학및실습 3 2 2 20 20 0 40 20 0
전선 N G A 00007 지질도학 3 3 0 20 0 0 20 40 20
전선 N G A 40086 판구조론 3 3 0 20 0 30 10 30 10
3-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30 30 10 10 20 0
동하계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30 30 10 10 20 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30 30 10 10 20 0
3-1 전필 N G A 30063 지구물리학 3 3 0 0 0 40 10 20 30
전선 N G A 00006 단층과지진 3 3 0 0 0 50 0 20 30
전선 N G A 00100 지하수학 3 3 0 0 0 40 10 20 30
전선 N G A 30057 광상학 3 3 0 0 0 20 0 20 60
전선 N G A 00099 토양환경학 3 3 0 0 0 50 0 20 30
전선 N G A 30083 퇴적학및실험 3 2 2 10 10 20 0 30 30

경상대학교 127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2 전선 N G A 00013 응용지질학 3 3 0 20 0 20 10 40 10
전선 N G A 00001 층서지사학 3 3 0 20 20 0 0 30 30
전선 N G A 00002 지질학실습및종합설계 1 2 0 4 20 30 0 20 20 10
전선 N G A 00009 야외지질학 3 1 2 20 20 10 0 20 30
전선 N G A 00097 토양환경학연습 2 1 2 0 0 40 0 20 40
전선 N G A 30054 탐사지구물리학 3 3 0 10 10 20 20 30 10
전선 N G A 30067 자원지질학 3 3 0 10 10 10 10 20 40
3-동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30 30 10 10 20 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30 30 10 10 20 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 30 30 10 10 20 0
4-1 전선 N G A 00004 지질학실습및종합설계 2 2 0 4 20 30 0 20 20 10
전선 N G A 00101 자원탐사학 3 3 0 0 40 0 0 30 30
전선 N G A 00010 지질재해론 3 3 0 10 20 50 10 0 10
전선 N G A 00012 고자기학 3 3 0 0 30 0 30 10 30
4-2 전선 N G A 40046 문화재지질학 3 3 0 10 10 10 30 30 10
전선 N G A 40047 응용광물학 3 3 0 30 30 0 20 0 20
전선 N G A 00011 한국의지질 3 3 0 10 10 0 30 30 20
계 전공필수 21 전공선택 72 (48 ) 93 (48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애그로시스템공학부 2 AEA00013 지반공학및실험 Geo t echn i ca l Eng i nee r i ng and Labo r a t o r y 3-2-2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건축도시토목공학부 1 ECA30016 토질역학 1 So i l Mechan i cs 1 3-3-0
건축도시토목공학부 1 ECA30071 토질역학실험 1 Expe r i men t s o f So i l Mechan i cs 1 1-0-2
화학과 1 NCA30011 물리화학 1 Phys i ca l Chem i s t r y 1 3-3-0
수학과 1 NMA20011 선형대수학 1 L i nea r A l geb r a 1 3-3-0
물리학과 1 NPA20001 역학 1 Mechan i cs 1 3-3-0
정보통계학과 1 NSA20051 일반통계학 Advanced S t a t i s t i cs 3-3-0

12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 화학과
 교육목표

◦화학 전문 지식 및 실험실습 능력을 겸비한 실습위주의 교육을 통해 연구 능력을 겸비한 창의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화학인재 양성

 인재상

◦기초과학 전문성을 갖춘 인재 ◦산업체 맞춤 실무형 인재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글로벌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화학의 4대 기초분야인 유기 , 무기 , 분석 , 물리화학 이론교육을 강화하
A 기초화학 이론 지식
기초과학 전문성을 고 학생주도의 교육체계를 수행하여 학습능력을 극대화
갖춘 인재 4대 기초분야 외에 무기재료 , 고분자공학 , 생명화학공학 등 새로운 지식
B 응용화학 이론 지식
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실험수행 능력 배양을 위한 지식 습득
C 산업체 맞춤형 실무능력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화합물 , 소재 합성 및 분석 능력 배양
산업체 맞춤 실무형
인재 문제 해결을 위해 원인을 분석하고 적극적으로 해결 방법을 찾아서 추
D 문제해결적 실무 수행 능력
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
E 창의적인전문인력양성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적이고 미래지향
적인 글로벌 인재 20세기 주도산업 (생명과학 ,환경 ,나노 · 신소재 등 )분야와 연계된 미래
F 글로벌 신산업 맞춤 역량
신소재 , 에너지 ,유 .무기 복합재료의 이해 능력 극대화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NCA10071 화학연습 1 1 0 2 60 30 0 0 10 0
1-1
전선 NCA00123 전공화학입문실습 2 0 4 60 30 0 0 0 10
전선 NCA10072 화학연습 2 1 0 2 60 30 0 0 10 0
1-2
전선 NCA00104 수리화학개론 3 3 0 60 30 0 0 10 0
전필 NCA20001 유기화학 1 3 3 0 60 30 0 0 10 0 ◎
전필 NCA20011 분석화학 1 3 3 0 60 30 0 0 10 0 ◎
전필 NCA30011 물리화학 1 3 3 0 60 30 0 0 10 0 ◎
2-1
전선 NCA00012 분석화학실험 3 0 6 20 0 40 40 0 0 ◎
전선 NCA00116 창의적분자설계및실습 1 2 0 4 0 0 20 40 40 0
전선 TCA30031 화학교재연구및지도 1 3 3 0 60 30 0 0 10 0 □
전필 NCA20012 분석화학 2 3 3 0 60 30 0 0 10 0 ◎
전필 NCA20002 유기화학 2 3 3 0 60 30 0 0 10 0 ◎◇
2-2 전필 NCA30012 물리화학 2 3 3 0 20 0 40 40 0 0 ◎
전선 NCA20005 유기화학실험 3 0 6 20 0 0 40 40 0 ◎
전선 NCA20071 원서강독실습 2 0 4 60 30 0 0 10 0
전필 NCA30021 물리화학 3 3 3 0 60 30 0 0 10 0 ◎◇
전필 NCA30001 무기화학 1 3 3 0 20 0 40 40 0 0 ◎
전선 NCA30004 무기화학실험 3 0 6 30 50 0 20 0 0 ◎
3-1
전선 NCA30031 유기분광학 3 3 0 30 30 0 40 0 00
전선 NCA00013 분광학분석및실험 3 2 2 60 30 0 0 10 0
전선 TCA20031 화학교육론 3 3 0 60 30 0 0 10 0 □
3-2 전필 NCA30002 무기화학 2 3 3 0 30 50 0 20 0 0 ◎◇
전필 NCA30041 생화학 1 3 3 0 20 0 40 40 0 0 ◎

경상대학교 129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NCA00110 화학반응속도론 3 3 0 30 50 0 0 0 20
전선 NCA00011 물리화학실험 3 0 6 30 50 0 0 0 20 ◎
3-2
전선 NCA00109 유기소재합성 3 3 0 0 0 40 40 20 0
전선 NCA00119 전기화학 3 3 0 60 30 0 0 10 0
4-1 ,2 전선 EZ A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30 50 0 0 0 20
전선 NCA00122 무기화학 3 3 3 0 30 50 0 0 0 20
전선 NCA00121 나노 -바이오 물리화학 3 3 0 60 30 0 0 10 0
전선 NCA00111 유기소재심화실습 2 0 4 30 50 0 0 0 20
4-1
전선 NCA40037 생화학 2 3 3 0 60 30 0 0 10 0
전선 NCA00008 환경화학 2 2 0 0 0 20 40 40 0
전선 TCA40008 화학교육논리및논술 2 2 0 30 30 0 40 0 0 □
전선 NCA40020 배위화학 3 3 0 30 50 0 0 20 0
전선 NCA00117 창의적분자설계및실습 2 2 0 4 30 50 0 0 20 0
4-2 전선 NCA00014 융합소재화학실습 2 0 4 30 30 0 0 40 0
전선 NCA00120 고분자화학 3 3 0 30 30 0 0 40 0
전선 NCA00112 계산화학심화실습 2 0 4 30 30 0 0 40 0
계 전공필수 30 전공선택 71 (15 ) 101 (15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13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 컴퓨터과학과
 교육목표
◦국제적인 감각과 윤리관을 갖춘 지도자적 기술인재를 양성하고 지능형 SW의 설계 및 개발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
며 , 실험실습 위주의 심화교육을 통한 실무문제 해결 능력을 가진 현장실무형 전문기술인재를 양성하여 컴퓨터과학 기초
이론에 충실하고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과 체계적인 표현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

 인재상
◦지도자적 인재 ◦지능형 SW 개발능력을 갖춘 인재
◦현장 실무형 전문기술인력 인재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책임인식 컴퓨터 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지도자적 인재
B 공동체 컴퓨팅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팀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수학 , 기초과학 , 인문소양 및 컴퓨터과학 지식을 컴퓨팅 분야의 문제해결에 응용할
C 기초응용
지능형 SW 개발능 수 있는 능력
력을 갖춘 인재 D 설계능력 컴퓨팅 분야의 문제를 정의하고 모델링할 수 있는 능력
E 문제해결 사용자 요구사항과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지능형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
현장 실무형 전문 F 자기주도
습할 수 있는 능력
기술인력 인재
G 의사소통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컴퓨팅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정보 , 연구 결과 ,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
H 도구활용
창의적 문제해결 한 적절한 도구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능력을 갖춘 인재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창조적으로 결합 ,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I 창의적사고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G H I
1-1 전필 N E A 10013 C프로그래밍 2 2 0 0 0 30 0 40 0 0 0 30 ◎◇
전필 N E A 10071 C프로그래밍실습 1 0 2 0 0 30 0 40 0 0 0 30 ◎◇
1-2 전필 N E A 00028 파이썬프로그래밍 2 2 0 0 0 30 20 30 10 0 0 10
전필 N E A 00029 파이썬프로그래밍실습 1 0 2 0 0 20 10 30 20 0 10 10
2-1 전필 N E A 20021 컴퓨터시스템개론 3 3 0 0 0 50 0 20 10 0 0 20 ◇
전필 N E A 00049 기초설계 PBL (어드벤처디자인 ) 3 3 0 10 10 10 10 20 10 10 10 10
전선 N E A 00039 이산수학 3 3 0 0 0 70 0 30 0 0 0 0 ◎
전선 N E A 00040 리눅스시스템 2 2 0 0 0 50 0 20 0 0 30 0
전선 N E A 00041 리눅스시스템실습 1 0 2 0 0 50 0 20 0 0 30 0
전선 N E A 20001 객체지향프로그래밍 3 3 0 0 0 0 15 15 15 15 20 20
2-2 전필 N E A 30023 자료구조 3 3 0 10 10 30 10 30 0 0 0 10 ◎◇
전선 N E A 00006 웹프로그래밍 2 2 0 0 0 0 20 40 0 0 30 10
전선 N E A 00007 웹프로그래밍실습 1 0 2 0 0 0 20 20 20 0 40 0
전선 N E A 40024 소프트웨어공학론 3 3 0 10 10 20 20 10 10 10 10 0 ◎
전선 N E A 20031 Java프로그래밍 2 2 0 0 0 50 30 20 0 0 0 0
전선 N E A 20080 Java프로그래밍실습 1 0 2 0 0 50 30 20 0 0 0 0
전선 N E A 20026 컴퓨터구조 3 3 0 0 0 30 30 20 0 0 0 20 ◎

경상대학교 131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G H I
3-1 전필 N E A 00050 소프트웨어설계 PBL 3 3 0 0 0 0 20 20 20 20 20 0
전선 N E A 30026 프로그래밍언어론 3 3 0 0 0 50 30 20 0 0 0 0
전선 N E A 00032 컴퓨터네트워크 3 3 0 0 0 15 20 10 20 20 0 15 ◎
전선 N E A 00030 데이터베이스 2 2 0 0 0 20 20 10 20 0 30 0 ◎
전선 N E A 00031 데이터베이스실습 1 0 2 0 0 0 20 20 0 0 40 20 ◎
전선 N E A 00037 데이터과학 3 3 0 0 0 20 20 20 20 0 20 0
전선 N E A 00023 컴퓨터과학교육론 3 3 0 0 0 30 20 10 0 0 30 10 ◎□
3-2 전선 N E A 40016 알고리즘 3 3 0 0 0 10 20 30 10 0 0 30 ◎
전선 N E A 00042 빅데이터 3 3 0 0 0 30 20 10 0 0 30 10
전선 N E A 00018 인공지능 3 3 0 0 0 30 20 10 0 0 30 10 ◎
전선 N E A 30062 운영체제 3 3 0 0 0 10 30 30 0 0 30 0 ◎
전선 N E A 00044 컴퓨터그래픽스 3 2 1 0 0 40 0 30 0 0 30 0
전선 N E A 40046 시스템분석및설계 3 2 2 0 0 0 40 30 0 0 20 10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 3 0 4주 ) 20 20 0 0 0 30 30 0 0
동하계
4-동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 6 0 8주 ) 20 20 0 0 0 30 30 0 0
하계
4-1 전필 N E A 00051 종합설계 PBL 3 3 0 10 10 0 20 20 10 10 10 10
전선 N E A 00045 영상처리 3 2 1 0 0 40 0 30 0 0 30 0
전선 N E A 00052 문제해결실무 PBL 3 1 2 0 0 10 10 40 10 10 0 20
전선 N E A 00024 컴퓨터과학교재연구 3 3 0 20 10 10 20 0 0 10 20 10 □
전선 N E A 00038 가상현실 3 1 2 0 10 20 20 0 20 20 10 0
특별
4-하계 전선 E I A 00113 스마트공장기반기술 3 3 0 - - - - - - - - - 학기
4-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20 20 0 0 0 30 30 0 0
4-2 전선 N E A 00048 증강현실 3 1 2 20 10 10 20 0 0 10 20 10
전선 N E A 00047 모바일프로그래밍 3 1 2 0 15 10 10 10 10 15 15 15
전선 N E A 40027 기계학습 3 3 0 0 0 20 30 30 0 0 20 0
전선 N E A 00043 사물인터넷 3 1 2 0 10 20 20 0 20 20 10 0
전선 N E A 00025 컴퓨터과학교육논리및논술 2 2 0 0 0 40 0 20 20 20 0 0 □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20 20 0 0 0 30 30 0 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20 20 0 0 0 30 30 0 0
계 전공필수 21 전공선택 80 (45 ) 101 (45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13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경영대학

1. 경영학과················································· 132
2. 경영정보학과········································134
3. 국제통상학과········································136
4. 회계학과················································· 138
5. 산업경영학과········································140
(재직자과정)
전공과정-경영대학

□ 경영학과
 교육목표
◦조직에 관한 통찰력 , 분석력 , 예측력 및 친화력을 갖춘 융복합형 경영인재 양성 , 투철한 기업가정신에 실무력과 창의력을
겸비한 전천후 글로컬 비즈니스 전문인력 양성

 인재상
◦ (융복합형 글로컬인재 ) 주도적 자기학습을 통한 문제해결능력이 강화된 융복합형 글로컬인재
◦ (실무형 경영인재 ) 창의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탁월한 실무형 경영인재
◦(미래지향형 경영인재 ) 기업의 지속가능경쟁력을 가능하게 하는 문제정의와 해결을 통해 新가치를 창출하는 미래지향형 경영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분석통찰력 기업을 포함한 유관 조직의 문제를 진단하고 그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하는 인재


융복합형 글로컬 인재 마케팅 , 생산 , 재무 , 인사 , 회계 , 정보 및 국제경영 지식을 활용하고 응용하는
B 지식융복합
글로컬영향이 강한 인재
비즈니스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를 이해관계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
C 창의력
및 전환하는 인재
실무형 경영인재
경영과정에 수반되는 정보화 /코딩자원 활용능력을 갖추고 의사소통에 필요한
D 커뮤니케이션
핵심역량을 보유한 인재
국내외나 전공분야 경진 /경연대회에서 제시하는 문제해결을 과제를 수행하는
E 집단지성역량
협업능력이 강한 인재
미래지향형 경영인재
전공활용 / 미래가치창출에 도전하는 소통과 협업 및 비즈니스모델발굴에 강한 경쟁력을
F
응용역량 가진 인재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2-1 전필 BAA20015 회계원리 2 3 3 0 50 0 0 30 0 20 ◎☆
전필 BBA20007 경영통계학 3 3 0 30 20 10 10 10 20
전필 BBA30008 마케팅관리 3 3 0 20 20 10 20 20 10 ◎◇☆
전선 BAA20013 원가회계 3 3 0 40 0 0 30 0 30
전선 BBA00006 비즈니스영어 3 3 0 15 15 15 30 10 15
전선 BBA00007 기업가정신과창업 3 3 0 30 30 10 10 10 10
전선 BBA20015 경영수학 3 3 0 30 10 10 10 10 30
2-2 전필 BBA00005 조직행위 3 3 0 20 15 15 15 20 15
전필 BBA20005 생산관리 3 3 0 20 20 20 10 10 20 ◇☆
전필 BBA30012 재무관리 3 3 0 30 20 10 10 10 20 ◇☆
전선 BAA30023 관리회계 3 3 0 60 0 0 20 0 20
전선 BBA00001 증권시장론 3 3 0 20 20 10 10 10 30
전선 BBA00008 광고와커뮤니케이션 3 3 0 30 10 25 20 5 10
전선 B I A20007 e-비즈니스개론 3 3 0 30 20 20 20 0 10
전선 LAA20032 회사법 3 3 0 50 0 0 20 0 30
3-1 전필 BBA30017 인적자원관리 3 3 0 20 10 10 20 20 20 ☆
전선 BBA00009 국제경영 3 3 0 20 30 10 20 10 10
전선 BBA20017 유통경영론 3 3 0 30 15 5 20 10 20 ◎
전선 BBA30019 품질경영 3 3 0 20 20 20 10 10 20

경상대학교 135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BBA40018 투자론 3 3 0 30 20 10 10 10 20
전선 BBA40022 경영분석 3 3 0 30 20 10 10 10 20
전선 BBA40028 인터넷비즈니스전략 3 3 0 30 30 10 10 10 10 ◎
전선 BEA30048 상업교과교육론 3 3 0 30 20 10 10 20 10 ◎□
3-2 전필 BBA40027 경영전략 3 3 0 20 15 15 15 15 20 ◎☆
전선 BAA30032 중급회계 1 3 3 0 50 0 0 30 0 20
전선 BBA00012 포트폴리오관리 3 3 0 30 10 10 10 10 30
전선 BBA00075 마케팅조사론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BBA30002 고용관계론 3 3 0 30 20 15 10 10 15
전선 BBA30013 계량경영분석 3 3 0 20 10 20 10 20 20
전선 BBA30018 서비스마케팅 3 3 0 40 0 0 20 30 10
전선 BEA50048 상업논리및논술교육 2 2 0 0 0 0 30 0 70 □
4-1 , 2 전선 EZA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0 0 0 30 0 70
전선 EZA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 20 0 0 30 20 30
4-동 전선 BBA30071 현장실습 1 ( 3 0 4주 ) 20 0 0 20 20 40
하계 전선 BBA40071 현장실습 2 ( 6 0 8주 ) 20 0 0 30 30 20
전선 EZA30074 국외현장실습 1 ( 3 0 4주 ) 20 0 0 20 30 30
전선 EZA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20 10 20 20 10 20
4-1 전선 BBA00013 재무종합설계 1 3 3 0 30 10 10 10 10 30
전선 BBA30020 금융기관경영론 3 3 0 15 20 15 20 15 15
전선 BBA40030 인간관계와커뮤니케이션 3 3 0 10 25 5 20 20 20
전선 BBA40031 글로벌마케팅 3 3 0 30 0 0 20 30 20
전선 BEA40048 상업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20 20 0 20 10 30 ◎
전선 BEA60048 상업교과평가방법 3 3 0 20 10 20 20 10 20 □
4-2 전선 BBA00074 소비자행동론 3 3 0 30 20 10 10 5 25
전선 BBA00014 재무종합설계 2 3 3 0 20 15 15 15 15 20
전선 BBA30001 금융실무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BBA40026 공급사슬관리 3 3 0 30 30 10 10 10 10
계 전공필수 24 전공선택 98 (48 ) 122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복수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국제통상학과 1 BTA00095 무역영어연습 1 P r ac t i ce i n Bus i ness Eng l i sh 1 2-2-0
국제통상학과 2 BTA00096 무역영어연습 2 P r ac t i ce i n Bus i ness Eng l i sh 2 2-2-0
국제통상학과 1 SEA20001 미시경제학 M i c r oeconom i c Theo r y 3-3-0
국제통상학과 2 SEA20003 거시경제학 Mac r oeconom i c Theo r y 3-3-0
국제통상학과 2 BTA30004 국제금융론 I n t e r na t i ona l Mone t a r y Econom i cs 3-3-0
중어중문학과 1 HCA10001 초급중국어 1 E l emen t a r y Ch i nese 1 3-3-0
중어중문학과 2 HCA10002 초급중국어 2 E l emen t a r y Ch i nese 2 3-3-0
경영정보학과 , 회계학과 전 과목 (현장실습 , 국외현장실습 제외 )

13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 경영정보학과
 교육목표
◦경영과 I T 지식 및 활용 능력을 겸비한 정보전문가 및 경영인 양성

 인재상
◦ (정보시스템전문가 ) 경영학 , 컴퓨터과학 , 정보시스템 등 경영정보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인재
◦ (창의적 인재 ) 최신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창의성을 갖춘 인재
◦ (소통형 인재 ) 현장에서 필요한 능력을 갖추고 협업하고 소통하며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글로벌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문제를 발견하고 원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 경영학적 지식과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실
A 문제해결
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
정보시스템 전문가
전공 분야 전문가로서 필요한 지식과 역량이 무엇인지 스스로 탐색하고 , 자발적 학습 과
B 자기주도
정을 통해 스스로를 발전시켜 나가는 능력
인적 , 물적 , 지적 정보시스템 자원을 활용하 문제해결과 가치창출을 위한 창의적인 대안
C 창의융합
창의적 인재 을 마련할 수 있는 능력
D 도전정신 발전하는 정보기술에 늘 주목하고 새로운 정보기술을 학습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하는 능력
E 의사소통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과 능력이 무엇인지 경청하고 공감하며 협력하는 능력
소통형 인재
F 세계시민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B I A 00017 경영 S/W활용 3 1 2 30 35 0 35 0 0
1-2 전필 B I A 00013 소프트웨어개론 3 1 2 35 30 15 10 5 5 ◇
2-1 전필 B I A 20024 경영정보시스템 3 3 0 20 20 10 20 15 15 ☆
전필 B AA 20015 회계원리 2 3 3 0 20 20 10 20 15 15 ☆
전필 BB A 30008 마케팅관리 3 3 0 20 20 10 20 15 15 ☆
전선 B I A 00018 프로그래밍연습 3 1 2 35 30 15 10 5 5
전선 B I A 00019 경영자료처리 3 1 2 35 30 15 10 5 5
전선 BB A 20007 경영통계학 3 3 0 30 20 20 10 10 10
2-2 전필 BB A 00005 조직행위 3 3 0 40 0 0 0 60 0 ☆
전필 BB A 20005 생산관리 3 3 0 20 20 10 20 15 15 ☆
전선 B I A 00020 비주얼프로그래밍 3 1 2 0 40 30 30 0 0
전선 B I A 00021 네트워크운영 3 1 2 20 20 10 20 15 15
전선 B I A 00029 I T융합어드벤처디자인 6 0 6 30 30 20 0 20 0
전선 B I A 00081 정보미디어개론 3 3 0 30 20 20 10 10 10
전선 B I A 20007 e-비즈니스개론 3 3 0 30 20 20 10 10 10
3-동하계 전선 B I A 30079 현장실습 1 (3 0 4주 ) 20 30 0 0 50 0
3-1 전필 B I A 00014 데이터베이스시스템 3 2 1 30 20 20 10 10 10 ◇
전필 B I A 00035 경영의사결정론 3 2 1 30 20 20 10 20 0
전필 B I A 30032 정보통신경영 3 3 0 20 20 10 20 15 15
전선 B I A 00009 정보기술과경영컨설팅 3 3 0 30 20 20 10 10 10
전선 B I A 00012 비즈니스모델과창업 3 3 0 30 20 20 10 10 10
전선 B I A 00022 모바일프로그래밍 3 1 2 0 60 40 0 0 0
전선 B I A 00023 멀티미디어저작 3 3 0 35 30 15 10 5 5
전선 B I A 30038 정보저널강독 3 3 0 0 40 0 35 0 25

경상대학교 137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2 전필 B I A 00016 시스템분석및종합설계 3 2 1 30 20 20 10 10 10 ◇
전필 BB A 30012 재무관리 3 3 0 20 20 10 20 15 15 ☆
전선 B I A 00024 데이터마이닝 3 2 1 30 20 20 10 10 10
전선 B I A 00025 데이터베이스시스템종합설 3 1 2 30 20 20 10 10 10
계및구현
전선 B I A 00026 웹기반시스템 3 1 2 30 20 20 10 10 10
전선 B I A 00027 지능정보시스템 3 2 1 40 20 0 40 0 0
전선 B I A 00031 빅데이터분석 3 1 2 20 40 0 40 0 0
특별
4-하계 전선 E I A 00113 스마트공장기반기술 3 3 0 - - - - - - 학기
4-동 전선 B I A 40079 현장실습 2 ( 6 0 8주 ) 20 30 0 0 50 0
하계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 3 0 4주 ) 0 0 0 30 30 4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 6 0 8주 ) 0 0 0 30 30 40
4-1 , 2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 주) 0 0 0 30 30 40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 주) 20 30 0 0 50 0
4-1 전선 B I A 00033 M I S종합설계 6 0 6 35 30 15 15 5 0
전선 B B A 4 0 0 3 0 인간관계와커뮤니케이션 3 3 0 20 20 10 20 15 15
전선 B I A 00080 뉴미디어산업경영 3 3 0 20 20 10 20 15 15
전선 B I A 00028 전사적자원관리 3 2 1 20 20 10 20 15 15
전선 B I A 00086 기술경영 3 3 0 20 20 10 20 15 15
전선 B I A 40026 프로젝트관리론 3 3 0 20 20 10 20 15 15
전선 B I A 40029 정보보안관리 3 3 0 20 20 10 20 15 15
4-2 전선 B I A 40016 디지털마케팅 3 3 0 20 20 10 20 15 15
전선 B I A 40017 정보기술과전략 3 3 0 20 20 10 20 15 15
전선 B I A 40020 정보자원관리 3 3 0 20 20 10 20 15 15
전선 BB A 40027 경영전략 3 3 0 35 35 0 30 0 0
계 전공필수 33 전공선택 96 (48 ) 129 (48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복수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경영정보학과 1,2 B I B 00511 경영정보시스템연구 Advanced Managemen t I n f o r ma t i on Sys t ems 3-3-0
경영정보학과 1 B I B 00603 정보시스템프로젝트 I n f o r ma t i on Sys t em P r o j ec t s 3-3-0
경영정보학과 1 B I B 00606 데이터마이닝 Da t aM i n i ng 3-3-0
경영정보학과 2 B I B 00607 지능정보시스템 I n t e l l i gen t i n f o r ma t i on Sys t ems 3-3-0
경영정보학과 1 B I B 00611 정보시스템프로젝트관리 I n f o r ma t i on Sys t em P r o j ec t Managemen t 3-3-0
경영정보학과 1 B I B 00633 정보기술과전략연구 Advanced Top i cs i n I T and S t r a t egy 3-3-0
경영정보학과 1 B I B 00635 디지털마케팅연구 Advanced Top i cs i n D i g i t a l Ma r ke t i ng 3-3-0
경영정보학과 2 B I B 00640 비즈니스모델연구 Bus i ness Mode l Managemen t 3-3-0
경영정보학과 1 B I B 00641 데이터과학연구 Da t a Sc i ence 3-3-0
국제통상학과 2 B T A 20008 국제전자상거래론 Pr inc ip le of Internat iona l E lect ron ic Commerce 3-3-0
국제통상학과 1 B T A 40018 전자무역마케팅 E l ec t r on i c T r ade Ma r ke t i ng 3-3-0
중어중문학과 1 H C A 10001 초급중국어 1 E l emen t a r y Ch i nese 1 3-3-0
중어중문학과 2 H C A 10002 초급중국어 2 E l emen t a r y Ch i nese 2 3-3-0
법학과 2 L AA 2 0 0 3 2 회사법 Company Law 3-3-0
컴퓨터과학과 1 N E A 00018 인공지능 A r t i f i c i a l I n t e l l i gence 3-3-0
컴퓨터과학과 2 N E A 30023 자료구조 Da t a S t r uc t u r e 3-3-0
컴퓨터과학과 2 N E A 40024 소프트웨어공학론 So f t wa r e Eng i nee r i ng 3-3-0
경영학과 , 회계학과 전 과목 ( 현장실습 ,국외현장실습 제외 )

13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 국제통상학과
 교육목표

◦글로벌 시장 개척을 위한 창의인재 양성

 인재상
◦ (글로벌형 인재 ) 급변하는 국제통상환경에 적응하는 글로벌형 인재
◦ (창의적 인재 ) 무역실무와 이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 대한 높은 이해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
◦ (전문성을 갖춘 인재 ) 무역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영어 등의 어학능력을 활용하는 전문성을 갖춘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도전정신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글로벌형 인재
B 세계시민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
C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창의적 인재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D 창의융합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E 의사소통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전문성을 갖춘 인재
F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2 전선 B I A 00017 경영 S/W활용 3 1 2 10 10 30 30 0 20
2-1 전필 B T A 20001 무역실무 3 3 0 20 20 30 20 10 0 ◇◎
전선 B T A 20003 무역영어 1 3 3 0 20 20 20 0 30 10
전선 B T A 20010 무역일본어 3 3 0 20 20 20 0 30 10
전선 B T A 40012 세계경제론 3 3 0 20 25 10 15 0 30
전선 S E A 20001 미시경제학 3 3 0 10 10 30 20 10 20
2-2 전필 B T A 20002 국제무역론 3 3 0 10 10 30 30 0 20 ◇◎
전선 B T A 20008 국제전자상거래론 3 3 0 10 5 30 30 10 15
전선 B T A 30009 무역영어 2 3 3 0 20 20 20 0 30 10
전선 B T A 30015 금융시장론 3 3 0 10 10 30 20 10 20
전선 B T A 30020 무역계약론 3 3 0 10 5 30 30 10 15
전선 S E A 20003 거시경제학 3 3 0 10 10 30 20 10 20
3-동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 3 0 4주 ) 30 30 10 10 10 10
하계
3-1 전필 B T A 30001 외환론 3 3 0 10 10 30 20 10 20
전필 B T A 30002 국제수지론 3 3 0 10 10 30 20 10 20 ◇
전선 B T A 00095 무역영어연습 1 2 2 0 20 20 20 0 30 10
전선 B T A 30003 무역정책론 3 3 0 20 20 30 10 10 10
전선 B T A 30021 항만물류론 3 3 0 10 5 30 30 10 15

경상대학교 139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B T A 40018 전자무역마케팅 3 3 0 10 5 30 30 10 15
전선 B E A 30048 상업교과교육론 3 3 0 10 5 30 30 10 15 ◎□
3-2 전선 B T A 00096 무역영어연습 2 2 2 0 20 20 20 0 30 10
전선 B T A 30004 국제금융론 3 3 0 10 10 30 20 10 20
전선 B T A 30008 다국적기업론 3 3 0 10 10 30 20 10 20 ◎
전선 B T A 30019 무역결제론 3 3 0 10 5 30 30 10 15
전선 B T A 40020 FTA의이론과실제 3 3 0 10 5 30 30 10 15
전선 B E A 50048 상업논리및논술교육 2 2 0 20 20 30 10 10 10 □
4-동 전선 B T A 00005 현장실습 1 (3 0 4주 ) 30 10 20 10 20 10
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30 10 20 10 20 1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30 30 10 10 10 1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30 10 20 10 20 1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 30 30 10 10 10 10
4-1 전선 B T A 00011 통계조사방법론 3 3 0 10 0 30 30 10 20
전선 B T A 40003 경제통합론 3 3 0 10 10 30 20 10 20
전선 B T A 00010 경제의계량분석응용 2 2 0 10 0 30 30 10 20
전선 B T A 30014 무역보험론 3 3 0 10 10 30 30 0 20
전선 B T A 00098 무역법규 3 3 0 10 5 30 30 10 15
전선 B E A 60048 상업교과평가방법 3 3 0 20 20 30 10 10 10 □
4-2 전선 B T A 00006 무역학특강종합설계 3 3 0 10 10 30 20 10 20
전선 B T A 40001 한국무역론 3 3 0 10 10 30 30 0 20
전선 B T A 40006 국제경제기구론 3 3 0 20 20 30 10 10 10
전선 B T A 40019 국제물류론 3 3 0 10 5 30 30 10 15
계 전공필수 12 전공선택 89 (48 ) 101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회계학과 2 B AA 4 0 0 4 3 국제경영 I n t e r na t i ona l Managemen t 3-3-0
경영학과 2 BB A 0 0 0 1 2 포트폴리오관리 Po r t f o l i o Managemen t 3-3-0
경영학과 1 BB A 4 0 0 3 1 글로벌마케팅 G l oba l Ma r ke t i ng 3-3-0
경영정보학과 1 B I A 20024 경영정보시스템 Managemen t I n f o r ma t i on Sys t ems 3-3-0
중어중문학과 1 H C A 10001 초급중국어 1 E l emen t a r y Ch i nese 1 3-3-0
중어중문학과 2 H C A 10002 초급중국어 2 E l emen t a r y Ch i nese 2 3-3-0
법학과 1 L AA 2 0 0 3 1 상법총론 p r i nc i p l es o f Comme r c i a l Law 3-3-0
경제학과 1 S E A 30001 계량경제학 Econome t r i cs 3-3-0
경영학과 .회계학과 1 B E A 40048 상업교재연구및지도법 Study in CommercialSubjectmat ter and TeachingMethod 3-3-0
회계학과 2 B AA 1 0 0 1 1 회계원리 1 Accoun t i ng p r i nc i p l e 1 3-3-0
회계학과 1 B AA 2 0 0 1 5 회계원리 2 P r i nc i p l es o f Accoun t i ng 2 3-3-0

14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 회계학과
 교육목표

◦새로운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회계전문인력 양성

 인재상
◦ (봉사실천 ) 원활한 소통과 배려로 시민의식과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며 봉사하고 실천하는 인재
◦ (가치창조 ) 지식과 비판적 사고의 창의적 융합을 통해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인재
◦ (도전혁신 ) 스스로 목표를 부여하고 끊임없는 배움과 익힘을 통해 미래를 개쳑하고 변화를 주도하는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만들 -전달과 표현
A 의사소통
수 있는 역량 -공감과 협력
봉사실천
-글로벌
B 세계시민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
-공동체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 -자원 활용
C 창의융합
한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통합사고
가치창조
-지식탐구 활용
D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합리적의사결정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직을 -진취성
E 도전정신
이끌 수 있는 역량 -리더십
도전혁신
-자기개발 관리
F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하는 할 수 있는 역량
-자기주도 학습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B I A 00017 경영 S/W활용 3 1 2 0 0 0 30 35 35
1-2 전선 B AA 10011 회계원리 1 3 3 0 10 10 20 30 0 30
2-1 전필 B AA 20013 원가회계 3 3 0 20 0 10 30 10 30 ◇★
전필 B AA 20015 회계원리 2 3 3 0 30 10 10 30 10 10 ◎◇★
전필 BB A 30008 마케팅관리 3 3 0 40 10 10 10 20 10 ◎★
전선 B AA 30025 세법개론 3 3 0 40 10 10 20 10 10
전선 BB A 30017 인적자원관리 3 3 0 30 10 20 20 10 10 ★
전선 B I A 20024 경영정보시스템 3 3 0 30 10 10 30 10 10 ★
전선 B AA 00004 창업과세무 3 3 0 20 10 10 30 10 20
전선 BB A 20007 경영통계학 3 3 0 20 10 10 30 20 10
2-2 전필 BB A 30012 재무관리 3 3 0 20 10 10 30 20 10 ★
전선 B AA 00001 재산세제법 3 3 0 30 10 10 30 10 10
전선 B AA 20021 회계장부조직론 3 3 0 20 10 10 30 10 20
전선 B AA 30023 관리회계 3 3 0 20 0 20 30 10 20
전선 B AA 30032 중급회계 1 3 3 0 10 10 10 30 10 30
전선 L AA 20032 회사법 3 3 0 20 0 0 50 0 30
3-동 전선 B A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40 10 10 20 10 10
하계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30 30 10 10 10 10

경상대학교 141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필 B AA 20014 회계이론 3 3 0 30 10 10 10 10 30
전필 B AA 30014 회계감사 3 3 0 10 10 20 30 10 20
전필 B AA 30016 중급회계 2 3 3 0 10 10 10 30 10 30 ★
전선 B AA 00002 소비세제법 3 3 0 30 10 10 30 10 10
전선 B AA 00072 세법학 3 3 0 10 20 20 30 10 10
전선 B AA 00008 회계와경영실무 3 3 0 30 0 20 20 10 20
전선 B E A 30048 상업교과교육론 3 3 0 30 10 10 10 10 30 ◎□
3-2 전필 B AA 30015 세무회계 3 3 0 30 10 10 20 10 20 ◇★
전필 BB A 40027 경영전략 3 3 0 30 10 10 20 10 20 ★
전필 B AA 40040 고급회계 3 3 0 30 10 10 10 10 30
전선 B AA 00006 K/ I FRS연습 3 3 0 30 10 10 10 10 30
전선 B AA 30022 전산회계 3 3 0 10 10 20 30 10 20 ◎
전선 B AA 30036 관리회계세미나 3 3 0 30 0 10 20 20 20
전선 B AA 00009 기업분석과경영종합설계 PBL 3 3 0 20 10 20 20 10 20
전선 BB A 20005 생산관리 3 3 0 30 10 10 30 10 10
전선 B E A 50048 상업논리및논술교육 3 3 0 30 10 10 30 10 10 □
4-동 전선 B AA 40071 현장실습 2 ( 6 0 8주 ) 40 10 10 20 10 10
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 6 0 8주 ) 30 30 10 10 10 1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40 10 10 20 10 1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 30 30 10 10 10 10
4-1 전선 B AA 00073 고급세무 3 3 0 30 10 10 20 10 20
전선 B AA 00074 회계용어해설 3 3 0 30 10 10 10 10 30
전선 B AA 00007 중소기업회계기준론 3 3 0 30 10 10 10 10 30
전선 B AA 30029 재무제표분석 3 3 0 30 10 10 20 10 20
전선 B E A 40048 상업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20 30 0 30 0 20 ◎
전선 B E A 60048 상업교과평가방법 3 3 0 30 10 10 30 10 10 □
4-2 전선 BB A 00005 조직행위 3 3 0 15 20 15 15 15 20
전선 B AA 40034 비영리조직회계 3 3 0 20 20 10 20 10 20
전선 B AA 40043 국제경영 3 3 0 20 10 10 10 30 20
계 전공필수 30 전공선택 92 (48 ) 122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복수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국제통상학과 1 BTA20001 무역실무 Theo r y o f T r ade P r ac t i ce & Cus t oms 3-3-0
국제통상학과 1 SEA20001 미시경제학 M i c r oeconom i c Theo r y 3-3-0
국제통상학과 2 SEA20003 거시경제학 Mac r oeconom i c Theo r y 3-3-0
경영정보학과 , 경영학과 전 과목 (현장실습 , 국외현장실습 제외 )

14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경영대학

□ 산업경영학과(재직자전형)
 교육목표
◦현장실무능력을 바탕으로 경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 창의융합적 역량을 바탕으로 합리적 의사결정을 하며 , 사
회 공동체 가치를 실현하는 기본이 강한 전문 경영인 양성

 인재상
◦ (창의적 경영인재 ) 통찰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겸비한 창의적 경영인재
◦ (협력적 경영인재 ) 의사소통능력과 협업능력을 바탕으로한 협력적 경영인재
◦ (헌신적 경영인재 ) 공동체 가치를 실현하는 헌신적 경영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통찰력 경영 전반에 거쳐 전공지식을 습득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능력


창의적경영인재
직면한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 대
B 문제해결능력
안을 제시하는 능력
경영상황에서 집단내 또는 집단간 발생하는 문제상황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의사
C 의사소통능력
를 전달하고 표현하는 능력
협력적경영인재
리더십 및 팔로우십을 이해하고 경영목표를 달성 할 수 있도록 집단원의 활동을
D 협업능력
촉진하고 이끌어가는 능력
사회구성원으로서 추구해야 할 가치와 태도를 바탕으로 사회공동체 발전에 기업
E 사회봉사능력
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능력
헌신적경영인재
기업의 글로벌화에 필수적인 이해능력으로 , 지역문화 및 세계문화의 보편성과 다
F 세계시민역량
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학년 전선 B M A 00010 현장실습 1 ( 3 0 4주 ) 10 10 30 30 10 10
-동하계
1-1 전선 B M A 00011 경영 S/W활용실무 3 3 0 10 30 20 20 0 20
1-하계 전선 BMA00036 산업현장실습교육 1 ( 3 0 4주 ) 10 10 30 30 10 10

1-2 전선 B MA 00028 조직행동론 3 3 0 10 10 20 20 20 20


1-동계 전선 BMA00037 산업현장실습교육 2 (3 0 4주 ) 10 10 30 30 10 10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10 10 30 30 10 10
2-1 전필 BB A 30008 마케팅관리 3 3 0 20 20 10 10 20 20
전필 B MA 00012 조직관리 3 3 0 20 20 20 20 0 20
전선 B M A 00013 기술경영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B I A 20024 경영정보시스템 3 3 0 30 20 30 0 0 20
전선 B MA 00029 전산회계실무 3 3 0 40 40 20 0 0 0
2-하계 전선 BMA00038 산업현장실습기초 1 ( 3 0 4주 ) 10 10 30 30 10 10
2-2 전필 B M A 00016 원가관리회계 3 3 0 40 40 20 0 0 0
전선 B M A 00015 금융시장의이해 3 3 0 20 10 0 30 30 10
전선 B MA 00030 기업의사회적책임과윤리 3 3 0 0 10 10 20 40 20
전선 BB A 30018 서비스마케팅 3 3 0 20 20 10 10 20 20
2-동계 전선 BMA00039 산업현장실습기초 2 (3 0 4주 ) 10 10 30 30 10 10
3-1 전필 B M A 00017 기업재무관리 3 3 0 20 20 10 10 20 20

경상대학교 143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필 B M A 00018 유통관리실무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B MA 00031 경영사례와혁신 3 3 0 20 20 0 0 30 30
전선 B MA 00032 인터넷마케팅 3 3 0 10 10 30 30 0 20
전선 B MA 00033 지역산업과지역기업 3 3 0 10 10 20 20 20 20
3-하계 전선 BMA00040 산업현장실습일반 1 (3 0 4주 ) 10 10 30 30 10 10
3-2 전필 BB A 30017 인적자원관리 3 3 0 10 10 10 10 30 30
전필 B M A 00021 현대사회와광고 3 3 0 20 10 10 0 30 30
전선 B M A 00022 세금의이해 3 3 0 20 20 20 0 20 20
전선 B MA 00034 가격정책실무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B T A 20001 무역실무 3 3 0 20 20 20 20 0 20
3-동계 전선 BMA00041 산업현장실습일반 2 (3 0 4주 ) 10 10 30 30 10 10
4-1 전선 B M A 00025 경영분석실무 3 3 0 20 20 20 20 0 20
전선 B MA 00014 노사관계관리 3 3 0 20 20 20 20 20 0
전필 B M A 00024 글로벌경영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B M A 00023 브랜드관리 3 3 0 30 20 0 30 0 20
전선 B MA 00035 회계학세미나 3 3 0 20 20 20 20 20 0
4-하계 전선 BMA00042 산업현장실습심화 1 ( 3 0 4주 ) 10 10 30 30 10 10
4-2 전필 B M A 00027 소비자행동의이해 3 3 0 20 20 20 20 0 20
전선 B M A 00026 재테크관리 3 3 0 20 30 30 0 0 20
전선 B M A 00005 산업경영세미나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BB A 40027 경영전략 3 3 0 30 20 10 10 30 0
전선 B M A 00003 소자본창업경영 3 3 0 20 20 10 10 20 20
4-동계 전선 BMA00043 산업현장실습심화 2 (3 0 4주 ) 10 10 30 30 10 10
계 전공필수 27 전공선택 66 (33 ) 93 (33 )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경영학과 , 경영정보학과 , 회계학과 , 수산경영학과 전 과목 (현장실습 , 국외현장실습 제외 )

14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공과대학

1. 건축도시토목공학부················· 144
(건축공학전공)
2. 건축도시토목공학부················· 146
(도시공학전공)
3. 건축도시토목공학부················· 148
(토목공학전공)
4.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150
(기계공학전공)
5.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152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전공)
6. 나노·신소재공학부··················· 155
7. 산업시스템공학부···················· 158
(산업시스템공학전공)
8. 건축학과································ 160
9. 반도체공학과·························· 162
10. 전기공학과····························· 164
11. 전자공학과····························· 166
12. 제어계측공학과······················· 168
13. 화학공학과····························· 170
14. 전기에너지공학과(계약학과)····· 172
전공과정-공과대학

□ 건축도시토목공학부(건축공학전공)
 교육목표

◦첨단기술과 경제적 합리성을 추구하는 건축전문기술인 양성

 인재상
◦윤리의식과 비전을 갖춘 글로벌 인재
◦새로운 건설기술 연구개발과 학문의 연계가 가능한 인재
◦국제 경쟁력 향상과 국가와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윤리의식 도덕적 , 사회적 , 직업적 책임감과 윤리의식 함양
윤리의식과 비전을 갖춘 글로벌 인재
B 국제적 감각 전공관련 전문소양과 글로벌 경영 마인드 함양
새로운 건설기술 연구개발과 C 기술혁신과 탐구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건설산업에 필요한 신기술 창출
학문의 연계가 가능한 인재 D 학문융합 다양한 학문과의 연계를 통하여 자기계발 및 자기 동기화
국제 경쟁력 향상과 국가와 E 국가경쟁력 강화 국제사회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경쟁력 함양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인재 F 지역사회 봉사 국내 및 지역 건설산업의 활성화에 이바지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E AA 10004 건축도시토목공학개론 1 1 0 10 10 40 20 10 10
1-2 전필 EZ A 20070 창의적공학설계 ✡2 2 2 0 10 30 10 10 10 30
2-1 전필 E AA 00023 건축제도 ✡2 2 0 2 0 0 40 30 20 10
전필 E AA 20016 건축구조 3 3 0 10 10 30 20 20 10 ◇
전필 E AA 20018 재료역학 3 3 0 10 10 20 20 20 20
전필 E AA 20027 건축환경공학 1 3 3 0 10 10 20 20 20 20 ◇
전선 E AA 20024 건축공학사 2 2 0 0 30 0 10 20 40
전선 EZ A 20001 공학수학 1 3 3 0 0 0 20 10 20 50 ♠
2-2 전필 E AA 00024 건축공학캡스톤디자인 1✡2 2 0 2 20 20 10 30 10 10
전선 E AA 00025 건축공학전산설계 ✡2 2 0 2 0 20 10 20 20 30
전선 E AA 20029 건축환경공학 2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E AA 20012 건축구조역학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E AA 20019 철근콘크리트공학 1✡1 3 3 0 10 10 30 20 20 10
전선 E AA 00022 건축재료 3 3 0 10 20 20 20 10 20
전선 E AA 00050 건축환경시뮬레이션및실험 2 0 2 20 0 20 20 20 20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30 10 10 10 10 3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30 10 10 10 10 30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20 30 10 0 10 3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20 30 10 0 10 30
3-1 전필 E AA 30035 건축시공 1 3 3 0 30 10 20 20 10 10 ◇
전선 E AA 30027 건축공조설비시스템 3 3 0 0 10 40 20 10 20
전선 E AA 30023 철근콘크리트공학 2✡1 3 3 0 10 10 30 20 20 10
전선 E K A 00012 건축위생설비시스템 3 3 0 10 0 40 10 10 30
전선 E AA 30039 공정관리 ✡1 3 3 0 10 10 30 20 10 20

경상대학교 147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E AA 30070 건축재료실험 2 0 4 0 10 30 10 20 30
전선 E AA 40015 구조해석 3 3 0 10 10 40 10 10 20
3-2 전필 E AA 00027 건축공학캡스톤디자인 2✡2 2 0 2 20 10 30 30 10 0
전선 E AA 30029 건축공학법규 3 3 0 50 0 0 20 0 30
전선 E K A 00013 건설경영학 3 3 0 10 10 20 10 10 40
전선 E AA 00021 건물에너지계획 3 3 0 0 10 20 40 10 20
전선 E AA 30030 건축재료및공법설계 ✡2 2 0 4 0 20 30 30 10 10
전선 E AA 30037 건축시공 2 2 2 0 30 10 20 10 10 20
전선 E AA 30071 구조실험 1 0 2 10 10 30 10 20 20
전선 E AA 40023 강구조설계 1✡1 3 3 0 10 10 30 0 10 4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30 10 20 10 10 2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 20 30 20 0 10 20
4-1 전필 E AA 00009 건축공학종합설계 ✡3 3 3 0 20 20 20 30 10 0
전선 E AA 30026 건축적산 3 3 0 0 10 40 20 0 30
전선 E AA 40016 건설관리학 3 3 0 10 20 20 10 20 20
전선 E AA 40025 강구조설계 2 3 3 0 10 10 30 0 10 40
전선 E AA 00028 건축설비설계 2 0 2 0 10 30 40 20 0
4-2 전선 E AA 40019 구조계획및설계 2 0 4 10 10 30 10 20 20
전선 E K A 00014 창의적연구 1 0 2 30 20 20 0 10 20
전선 E AA 00018 건축설비자동제어 3 3 0 0 20 30 30 20 0
전선 E AA 40075 건축공학세미나 1 0 2 20 20 20 0 10 30
전선 E AA 00030 건축 B I M 3 0 3 0 20 30 30 20 0
전선 E AA 00031 건설 I CT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E AA 00032 디지털건축 2 2 0 10 20 30 30 10 0
계 전공필수 24 전공선택 81 (48 ) 105 (48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공학교육인증제 MSC과목 “ ✡숫자 ” 공학교육인증과정 설계인정학점

 전공인정선택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건축학과 2 EAA10002 건축구조의이해 Concep t o f A r ch i t ec t u r a l S t r uc t u r es 3-3-0 재이수만 가능

□ 건축도시토목공학부(도시공학전공)

14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교육목표

◦도시의 물리적 · 사회적 해결과제를 진단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전문가 양성


◦인간과 기술이 융합된 미래도시의 변화를 리드하며 실사구시 (實事求 是 )를 추구하는 도시전문가 양성

 인재상
◦ (인본도시인 ) 윤리의식을 갖춘 도시인재 ◦ (미래도시인 ) 실무능력을 갖춘 실천적 도시인재
◦ (창의도시인 )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창의적인 도시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모든 인간이 동등하고 소외되지 않는 -배려
A 오픈과 포용
포용적 도시 철학을 함양하는 능력 -참여
인본도시인
-인간중심
B 인간행태이해 사람들의 다양한 행태를 파악하여 인간중심의 도시 만들기 역량
-공간분석력
-스마트기술
C I CT융합 전통적 도시계획 및 공학에 4차 산업혁명시대를 융합할 수 있는 역량
-데이터기반
미래도시인
진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개 -도전정신
D 진취성
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미래예측기술
도시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하며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스마트 -컴퓨터코딩
E 스마트혁신
인재 역량 -창의성
창의도시인
다양한 학문적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 -학제간연구
F 학문융합
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네트워크구축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E AA 10004 건축도시토목공학개론 1 1 0 25 20 10 10 10 25
1-2 전선 E U A 00010 도시건축실습 3 0 3 30 20 10 10 10 20
2-1 전필 E U A 20021 교통계획 3 3 0 20 20 10 10 10 30 ◇
전필 E U A 20032 일반측량학 3 3 0 10 10 20 20 20 20
전필 E U A 20041 도시계획 3 3 0 20 20 20 10 10 20 ◇
전필 E U A 30031 환경공학 3 3 0 15 20 10 20 15 20
전선 E U A 20006 도시전산설계 2 0 4 10 20 30 20 10 10
전선 E U A 00011 도시제도실습 3 0 3
2-2 전필 E U A 20004 도시개발론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E U A 00002 도시응용측량학 3 3 0 20 10 20 20 20 10
전선 E U A 20002 도시통계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E U A 20042 도시구조론 3 3 0 20 20 20 10 10 20
전선 E U A 00012 도시공간실습 3 0 3 20 20 10 10 20 20
전선 E U A 30023 교통시설공학 3 3 0 20 30 20 10 10 10
전선 E U A 40032 환경계획 3 3 0 20 20 10 15 10 25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30 30 10 10 10 1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30 30 10 10 10 10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20 30 0 30 10 1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20 30 0 30 10 10
3-1 전선 E U A 00009 토지정보학 3 3 0 10 10 20 20 30 10

경상대학교 149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E U A 30007 도시재개발 3 3 0 20 20 10 20 15 15
전선 E U A 30043 토지이용계획 3 3 0 20 20 20 10 10 20 ◇
전선 E U A 30044 국토및지역계획 3 3 0 30 20 10 10 10 20
전선 E U A 00013 도시설계실습 3 0 3 20 20 10 10 20 20
전선 E U A 30001 도시자원순환관리 3 3 0 20 20 15 15 10 20
3-2 전필 E U A 40093 도시설계 3 3 0 20 30 0 10 10 30
전필 E U A 00014 도시계획실습 3 0 3 30 30 15 5 10 10
전선 E U A 30032 교통공학 3 3 0 20 30 20 10 10 10
전선 E U A 30046 도시법규 3 3 0 20 20 10 10 10 30
전선 E U A 40004 도시경제학 3 3 0 20 20 20 10 15 15
전선 E U A 40016 도시정보체계학 3 3 0 10 10 30 10 20 20
전선 E U A 30002 상하수도계획 3 3 0 20 15 15 15 15 2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30 30 10 10 10 1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20 30 0 30 10 10
4-1 전필 E U A 40013 도시종합설계 3 3 0 20 30 10 20 10 10
전선 E U A 40024 교통안전및법규 3 3 0 20 30 20 10 10 10
전선 E U A 40001 부동산개발컨설팅 3 3 0 25 25 15 15 5 15
전선 E U A 30052 단지계획 3 3 0 10 30 20 10 20 10
계 전공필수 25 전공선택 68 (48 ) 93 (48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건축학과 1 EAA20008 서양건축사 H i s t o r y o f Wes t e r n A r ch i t ec t u r e 3-3-0
건축학과 2 EAA30012 건축법규 Bu i l d i ng Codes and Regu l a t i ons 3-3-0
건축학과 1 EAA30018 조경계획 Landscape A r ch i t ec t u r a l Des i gn 3-3-0
건축학과 1 EAA30019 주거론 Hous i ng Theo r y 3-3-0
토목공학전공 2 EKA00014 창의적연구 C r ea t i ve Resea r ch 1-0-2

□ 건축도시토목공학부(토목공학전공)

15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교육목표
◦토목공학분야의 이론과 사무적 지식을 겸비한 국가의 선도 기술자를 양성하고 , 국내외 SOC시설의 설계 · 시공 · 관리에 요구
되는 전문지식을 갖춘 인재 양성

 인재상
◦ 토목공학 엔지니어로서의 전문성과 창의적 사고를 갖춘 기술인력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인재로 논리적사고와 사회적
책임의식 , 봉사정신이 충분한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자기주도학습 이론적인 전공지식에 대한 학습을 스스로 인지하여 습득하는 능력
전문성 자기주도학습을 통하여 습득한 이론과 현장에서의 실무를 체계화하여 자신의 것으로
B 융복합
만드는 능력
C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한 문제 혹은 물음을 해결하는 능력
창의적사고
D 비판적사고 전공지식 바탕으로 질문을 통해 문제를 발견하는 능력
E 의사소통 자신의 생각과 뜻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봉사정신
F 책임감 주어진 과업을 성취하거나 성공하려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EAA10004 건축도시토목공학개론 1 1 0
1-2 전선 E C A 10007 토목정역학 3 3 0 40 20 15 15 5 5
2-1 전필 E C A 20013 측량학 1 2 2 0 35 35 10 10 5 5 ◇
전필 ECA20070 측량학실습1 1 0 2
전선 E C A 20003 수리학 1 3 3 0 40 30 15 15 0 0 ◇
전선 E C A 20005 응용역학 1 3 3 0 40 20 15 15 5 5
전선 EZ A 20001 공학수학 1 3 3 0 40 10 25 25 0 0
전선 E C A 20014 토목제도 1 1 0 40 30 10 10 5 5
전선 E C A 20074 토목제도실습 1 0 2 10 40 10 10 20 10
2-2 전필 E C A 20004 수리학 2 3 3 0 40 30 15 15 0 0
전필 E C A 20006 응용역학 2 3 3 0 40 20 15 15 5 5
전선 E C A 20015 측량학 2 2 2 0 35 35 10 10 5 5
전선 ECA20071 측량학실습2 1 0 2
전선 E C A 20017 토목재료학 2 2 0 10 40 10 10 20 10
전선 E C A 20072 토목재료학실험 1 0 2 40 20 10 10 10 10
전선 E C A 20009 토목전산 2 2 0 10 40 10 10 20 10
전선 E C A 20073 토목전산실습 1 0 2 40 30 10 10 5 5
2,3,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10 40 10 10 20 1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10 20 5 5 30 30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10 20 5 5 30 3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10 20 5 5 30 30
3-1 전필 E C A 00075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 1 3 3 0 10 20 5 5 30 30
전필 E C A 30001 구조역학 1 3 3 0 40 20 15 15 5 5
전필 E C A 30007 토목시공학 3 3 0 40 20 15 15 5 5
전선 E C A 30016 토질역학 1 3 3 0 40 30 10 10 5 5

경상대학교 151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E C A 30071 토질역학실험 1 1 0 2 40 20 10 10 10 10
전선 E C A 30009 응용수리학 3 3 0 10 40 10 10 20 10
전선 E C A 30010 응용측량학 3 3 0 40 30 15 15 0 0
3-2 전필 E C A 30017 토질역학 2 3 3 0 35 35 10 10 5 5
전필 E C A 30070 토질역학실험 2 1 0 2 40 20 10 10 10 10
전필 E C A 40004 상하수도공학 3 3 0 10 40 10 10 20 10
전선 E C A 30015 수문학 3 3 0 40 10 25 25 0 0
전선 E C A 30002 구조역학 2 3 3 0 40 30 15 15 0 0
전선 E C A 00076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 2 3 3 0 40 20 15 15 5 5
전선 E C A 30019 시공관리학 3 3 0 10 20 5 5 30 3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40 30 10 10 5 5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10 20 5 5 30 30
4-1 전선 E K A 00010 종합설계 3 3 0 10 20 5 5 30 30
전선 E C A 40001 기초공학 3 3 0 40 20 10 10 10 10
전선 E C A 40002 하천공학 3 3 0 40 10 25 25 0 0
전선 E C A 40005 PS콘크리트공학 3 3 0 40 20 15 15 5 5
전선 E C A 00006 B I M건설정보학 3 3 0 40 30 10 10 5 5
4-2 전선 E C A 40003 항만공학 3 3 0 40 10 25 25 0 0
전선 E C A 40007 강구조공학 3 3 0 40 20 15 15 5 5
전선 E K A 00014 창의적연구 1 0 2 10 20 5 5 30 30
계 전공필수 26 전공선택 67 (48 ) 93 (48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해양토목공학과 1 FCA20011 해양측량학 1 Ma r i ne Su r vey i ng 1 2-2-0
해양토목공학과 1 FCA20072 해양측량학실습 1 Ma r i ne Su r vey i ng P r ac t i ce 1 1-0-2

15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기계공학전공)
 교육목표
국제수준의 공인된 공학교육을 통한 경남 기계 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중견 기술인력 양성
◦PEO Ⅰ: 중견전문 기술인으로서의 기계공학 전공 지식의 확보
◦PEO Ⅱ: 창의적 공학설계 능력 확보
◦PEO Ⅲ: 지역 혁신을 선도하는 기술인으로서의 기계공학 실무 및 현장적응 능력 확보
◦PEO Ⅳ: 정보기반 기술시대를 열어가는 기술인으로서의 정보전산능력 확보
◦PEO Ⅴ: 세계화 시대를 선도하는 기술인으로서의 어학능력 및 경영 마인드 함양

 인재상
◦이론과 실무의 균형이 잡힌 주도적 창의인재
◦협력과 소통으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지식교류형 인재
◦기회에 도전하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실전적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기존의 이론과 현장만의 실무적 경험의 차이를 구분하 -통전적 사고
이론과 실무의 A 지식융복합
고 얻은 지식을 체계화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든다 . -실험 정신
균형이 잡힌 주도적
Why와 How를 끊임없이 질문하여 핵심 원리에 접근하여 -이성적 추론
창의인재 B 비판적사고
원천적 지식을 생산한다 . -지식 생산
협력과 소통으로 개인의 사고와 군집의 통합적 사고의 차이를 소통을 통 -공감과 협력
C 협동학습능력
공동의 목표를 해 살아 있는 지식으로 만들어 학습한다 . -소통과 통합
달성하는 지식교류형 의견의 차이를 조율하고 공통의 목표를 참여 구성원이 -목표 설정
D 합리적의사결정
인재 함께 지향하여 더 좋은 결정을 내린다 . -의견 조율
새로운 기회를 탐색하고 도전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기회 탐색과 도전
기회에 도전하고 E 개척도전
을 습득하여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미래를 현실로 만든다 . -자아 성찰
실패를 두려워하지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독창적 해결방법을 -문제 정의
않는 실전적 인재 F 문제해결
실험하며 숨은 노하우를 발견한다 . -창의성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전필 E T A 00006 전산기계제도 2 0 2 20 20 20 10 20 10
1-1 전선 E T A 00084 진로탐색세미나 1 1 0 10 20 10 20 30 10
전선 E MA 10002 정역학 3 3 0 10 20 10 20 10 30
전필 EZ A 20072 창의적기초공학설계 ✡2 3 0 3 20 10 20 20 20 10
전선 E T A 00014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 PBL 2 2 0 20 10 10 20 20 20
1-2 20 10 10 20 20 20
전선 E T A 00015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실습 PBL 1 0 2
전선 E MA 10002 정역학 3 3 0 10 20 10 20 10 30
1 , 2- 전필 E MA 00036 기계공작실습 2 0 2 10 0 30 10 30 20 특별
동계 학기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 10 0 30 20 30 10
2,3,4-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 10 0 30 20 30 10
동하계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 10 0 30 20 30 1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 10 0 30 20 30 10
전필 E MA 20001 고체역학 1 3 3 0 10 20 10 20 10 30 ◇
전필 E MA 20003 열역학 3 3 0 10 20 10 20 10 30 ◇
전필 E MA 20018 재료과학 3 3 0 10 20 10 20 10 30
2-1 10 0 30 10 30 20
전필 E MA 00036 기계공작실습 2 0 2
전선 E MA 00027 기계공학프로그래밍 3 0 3 20 10 10 10 20 30 ♠
전선 EZ A 20001 공학수학 1 3 3 0 10 20 20 20 10 20 ♠

경상대학교 153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필 E MA 20004 동역학 3 3 0 10 20 20 20 10 20
전필 E MA 30003 유체역학 3 3 0 10 20 20 20 10 20 ◇
전필 E MA 30018 기계공작법 3 3 0 10 20 10 20 10 30
2-2 전선 E MA 00028 CAD✡1 3 0 3 20 10 20 10 20 20
전선 E MA 20002 고체역학 2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20019 응용열역학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Z A 20002 공학수학 2 3 3 0 10 20 20 20 10 20 ♠
전필 E MA 00029 기계공학실험 2 0 2 20 10 10 10 20 30
전필 E V A 30009 기계요소설계 ✡1 3 3 0 20 10 10 10 20 30
전선 E MA 00008 응용유체역학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30004 열전달 ✡1 3 3 0 10 20 10 20 10 30
3-1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30006 기구학 ✡1 3 3 0
전선 E MA 30016 기계진동학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00018 기계공학특강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V A 40006 유압공학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00009 응용역학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00038 계측공학 ✡1 3 0 3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30017 공기조화및냉동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30038 엔진시스템공학 ✡1 3 3 0 10 20 10 20 10 30
3-2 전선 E MA 00030 응용공학설계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40003 제어공학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00019 기계공학실무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00024 트라이볼로지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00035 기계전자재료및응용설계 ✡1 3 0 3 20 10 10 10 20 3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 ) 10 0 30 20 30 10
전필 E MA 00039 종합설계 ✡3 3 0 3 30 10 20 10 20 10
전선 E MA 00032 조선해양트랙단기강좌 1 2 0 2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00010 재료성형및 CAE✡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30014 유체기계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30019 생산공학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30025 차량구동장치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40008 정밀기계설계 ✡1 3 3 0 10 20 10 20 10 30
4-1
전선 E MA 00031 메카트로닉스 ✡1 3 2 1 20 10 10 10 20 30
전선 E MA 00025 조선해양공학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40092 유한요소법 ✡1 3 2 2 20 10 10 10 20 30
전선 E MA 00017 환경공학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00020 로봇공학개론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00026 신재생에너지공학 ✡1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00011 응용동역학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00033 조선해양트랙단기강좌 2 2 0 2 10 20 10 20 10 30
4-2 10 20 10 20 10 30
전선 E MA 00034 기업트랙단기강좌 2 0 2
전선 E MA 00014 기초연속체역학 ✡1 3 3 0 10 20 10 20 10 30
계 전공필수 33 전공선택 118 (33 ) 151 (33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공학교육인증제 MSC과목 “ ✡숫자 ” 공학교육인증과정 설계인정학점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산업시스템공학부 (산업시스템전공 ) 2 E I A30028 품질공학 Qua l i t y Eng i nee r i ng 3-3-0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2 ETA00003 항공전자기초 Fundamen t a l s o f Av i on i cs 3-3-0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전공 )

15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전공)
 교육목표

◦미래에 도전하고 소통에 능한 항공우주와 소프트웨어 분야의 혁신과 융합을 선도할 창의인재 양성

 인재상
◦이론과 실무의 균형이 잡힌 주도적 창의인재
◦협력과 소통으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지식교류형 인재
◦기회에 도전하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실전적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기존의 이론과 현장만의 실무적 경험의 차이를 구분하고 -통전적 사고
A 지식융복합
이론과 실무의 균형이 얻은 지식을 체계화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든다 . -실험 정신
잡힌 주도적 창의인재 Why와 How를 끊임없이 질문하여 핵심 원리에 접근하여 원 -이성적 추론
B 비판적사고
천적 지식을 생산한다 . -지식 생산
협력과 소통으로 개인의 사고와 군집의 통합적 사고의 차이를 소통을 통해 -공감과 협력
C 협동학습능력
공동의 목표를 살아 있는 지식으로 만들어 학습한다 . -소통과 통합
달성하는 지식교류형 의견의 차이를 조율하고 공통의 목표를 참여 구성원이 함 -목표 설정
인재 D 합리적의사결정
께 지향하여 더 좋은 결정을 내린다 . -의견 조율
새로운 기회를 탐색하고 도전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기회 탐색과 도전
기회에 도전하고 E 개척도전
을 습득하여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미래를 현실로 만든다 . -자아 성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실전적 인재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독창적 해결방법을 실 -문제 정의
F 문제해결
험하며 숨은 노하우를 발견한다 . -창의성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1-1 전필 E T A 00006 전산기계제도 2 0 2 20 20 20 10 20 10
전선 E T A 00084 진로탐색세미나 1 1 0 30 20 10 10 10 20
전선 E M A 10002 정역학 3 3 0 10 20 10 20 10 30
1-2 전필 EZ A 20072 창의적기초공학설계 3 0 3 20 10 20 20 20 10
전선 E T A 00014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 PBL 2 2 0 20 10 10 20 20 20
전선 E T A 00015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실습 PBL 1 0 2 20 10 10 20 20 20
전선 E M A 10002 정역학 3 3 0 10 20 10 20 10 30
2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10 0 30 20 30 1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10 0 30 20 30 10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20 10 100 30 30 1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20 10 100 30 30 10
2-1 전필 E T A 00140 고체역학 3 3 0 10 20 10 20 10 30
전필 E T A 00090 열역학 3 3 0 20 20 10 20 10 20
전필 E T A 00016 자료구조및알고리즘 PBL 3 2 2 10 20 10 20 10 30
전필 E T A 00153 객체지향프로그래밍 2 2 0 40 30 0 0 10 20
전필 E T A 00154 객체지향프로그래밍실습 1 0 2 40 30 0 0 10 20
전선 E T A 00019 기계공작실습 2 0 2 10 0 30 10 30 20
전선 E T A 00139 공학수학 1/이산수학 3 3 0 10 20 20 20 10 20 ♧
전선 E T A 00141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 3 3 0 10 20 20 20 10 20 ◇
학개론

경상대학교 155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2-2 전필 E T A 00094 동역학 3 3 0 10 20 20 20 10 20
전필 E T A 00095 유체역학 3 3 0 20 20 10 20 10 20
전필 E T A 00112 이산신호처리 3 3 0 10 10 20 10 20 30
전필 E T A 00142 L i nux시스템프로그래밍 3 2 2 10 20 20 20 10 20
전선 EZ A 20002 공학수학 2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T A 00003 항공전자기초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T A 00097 수치해석 3 3 0 20 20 10 20 10 20
3-1 전선 E T A 00104 항공기구조역학 3 3 0 10 20 10 20 10 30 ♧
전선 E T A 00105 공기역학 3 3 0 10 20 10 20 10 30 ♧
전선 E T A 00106 기계진동학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T A 00007 CAD응용 3 0 3 20 10 20 10 20 20
전선 E T A 00136 항공그래픽스및시뮬레이션 3 3 0 20 20 10 20 10 20
전선 E T A 00010 컴퓨터네트워크 3 2 1 10 20 20 20 10 20 ♧
전선 E T A 00144 제어공학및 MATLAB응용 3 3 0 10 20 20 20 10 20
전선 E T A 00145 컴퓨터구조 3 3 0 10 20 20 20 10 20 ♧
3-2 전필 E T A 00155 비행역학해석 3 3 0 10 20 10 20 10 30 ◇
전필 E T A 00017 소프트웨어개발론 PBL 3 2 2 10 10 30 20 20 10 ◇
전선 E T A 00115 압축성유체역학 3 3 0 10 10 10 20 10 40
전선 E T A 00117 항공기설계 3 3 0 10 20 10 20 10 30 ♧
전선 E T A 00012 운영체제커널 3 2 1 10 20 10 20 10 30 ♧
전선 E T A 00009 데이터베이스 3 2 2 10 20 20 20 10 20
전선 E T A 00146 항공기추진시스템 3 3 0 10 10 30 20 20 1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20 10 100 30 30 1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 20 10 100 30 30 10
4-1 전필 E T A 00156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실험 1 0 2 30 10 20 10 20 10
전선 E T A 00020 종합설계 3 0 3 10 10 30 10 20 20 ♣
전선 E T A 00124 비행제어설계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T A 00125 풍력발전시스템 3 3 0 15 0 25 10 25 25
전선 E T A 00008 우주비행역학및위성제어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E T A 00148 디바이스드라이버설계 3 3 0 10 10 10 20 10 40
전선 E T A 00150 임베디드응용소프트웨어 3 3 0 10 10 10 20 10 40
4-2 전선 E T A 00132 전산역학입문 3 3 0 15 0 25 10 25 25
전선 E T A 00149 임베디드하드웨어 3 3 0 20 10 10 20 10 30
전선 E T A 00151 센서구동소프트웨어 3 3 0 10 20 20 20 10 20
전선 E T A 00152 공학문서작성및발표 3 3 0 10 20 20 20 10 20
전선 E T A 00018 기업가정신과창업창의융 3 3 0 30 20 10 10 20 10
합 PBL
계 전공필수 36 전공선택 99 (48 ) 135 (48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 심화필수 ♧ 전공 심화선택

※ 전공 졸업논문 심사를 위해서 “전공 심화필수” 3학점, “전공 심화선택” 15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함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기계공학전공 1 EMA20018 재료과학 Ma t e r i a l s Sc i ence 3-3-0
기계공학전공 1 EMA00027 기계공학프로그래밍 Mechan i ca l Eng i nee r i ng P r og r amm i ng 3-0-3
기계공학전공 1 EMA30004 열전달 Hea t T r ans f e r 3-3-0
기계공학전공 1 EMA00036 기계공작실습 Manu f ac t u r i ng P r ocess P r ac t i ce 2-0-2
기계공학전공 1 EVA30009 기계요소설계 Des i gn o f Mechan i ca l E l emen t 3-3-0

15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졸업논문 심사자격 교과목 이수 : 심화필수 3학점, 심화선택 15학점 이상


학년
구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심화필수 4-1 ETA00020 종합설계 Caps t one Des i gn 3-0-3
Eng i nee r i ng Ma t hema t i cs 1/D i sc r e t e
2-1 ETA00139 공학수학 1/이산수학 3-3-0
Ma t hema t i cs
3-1 ETA00104 항공기구조역학 A i r c r a f t S t r uc t u r a l Mechan i cs 3-3-0
3-1 ETA00105 공기역학 Ae r odynam i cs 3-3-0
심화선택
(15학점 이상 ) 3-1 ETA00010 컴퓨터네트워크 Compu t e r Ne t wo r ks 3-2-1
3-1 ETA00145 컴퓨터구조 Compu t e r A r ch i t ec t u r e 3-3-0
3-2 ETA00117 항공기설계 A i r c r a f t Des i gn 3-3-0
3-2 ETA00012 운영체제커널 Ope r a t i ng Sys t em Ke r ne l 3-2-1

경상대학교 157
2020학년도 교육과정

□ 나노·신소재공학부
 교육목표
◦엔지니어로서의 문제해결 능력 , 윤리 의식 , 의사소통 및 글로벌 사회 적응 능력을 갖춘 창의인재 양성

 인재상
◦전문성과 창의적 사고를 갖춘 인재 ◦올바른 윤리의식과 국제적 감각을 갖춘 인재
◦도전정신과 책임의식을 겸비한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한 아이디
전문성과 창의적 사고를 A 창의융합
어를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갖춘 인재
B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올바른 윤리의식과 C 의사소통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국제적 감각을 갖춘 인재 D 세계시민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도전정신과 책임의식을 E 도전정신
있는 역량
겸비한 인재
F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하는 할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 이 실 교과목 영문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1-1 전선 E G A 00001 재료입문 1 1 0 I n t r oduc t i on t o Ma t e r i a l s
1-2 전선 EZ A 20070 창의적공학설계 2 2 0 C r ea t i ve Eng i nee r i ng Des i gn
2 , 3 , 4-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1
동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2
전선 EZ A 20001 공학수학 1 3 3 0 Eng i nee r i ng Ma t hema t i cs 1
전선 E G A 00002 재료물리화학 1 3 3 0 Phys i ca l Chem i s t r y o f Ma t e r i a l s 1
전선 E G A 00003 재료공학 1 3 3 0 Ma t e r i a l Sc i ence and Eng i nee r i ng 1
전선 E H A 30019 단위조작 3 3 0 Un i t Ope r a t i on
전선 E B A 20040 재료정역학 3 3 0 S t a t i cs o f ma t e r i a l s
전선 E P A 00107 화공양론 3 3 0 Chem i ca l P r ocess Ca l cu l a t i ons
2-1
전선 E P A 20011 공업유기화학 1 3 3 0 I ndus t r i a l O r gan i c Chem i s t r y 1
전선 E B A 20037 컴퓨터설계 Ⅰ 2 2 0 Compu t e r A i ded Des i gn1
전선 E G A 00009 공업재료개론 3 3 0 I n t r oduc t i on t o Eng i nee r i ng Ma t e r i a l s
전선 E N A 20028 X/선결정학 3 3 0 X/ r ay C r ys t a l l og r aphy
전선 E G A 00033 컴퓨터응용설계 3 1 2 Compu t e r A i ded Des i gn
전선 E N A 00013 세라믹기초실험 1 0 2 Ce r am i cs Labo r a t o r y
전선 E G A 00004 재료분석및조직학 3 3 0 Ma t e r i a l s Ana l ys i s and S t r uc t u r e
전선 E G A 00005 재료실험 2 0 4 Ma t e r i a l s Tes t Lab
전선 E T A 20027 재료공학 2 3 3 0 Ma t e r i a l Sc i ence and Eng i nee r i ng 2
전선 E P A 20013 석유공업화학 2 2 0 I ndus t r i a l Pe t r ochem i s t r y
2-2 전선 E P A 00101 공업유기화학 2 3 3 0 I ndus t r i a l O r gan i c Chem i s t r y 2
전선 E P A 20089 공업유기화학실험 2 0 4 Expe r i men t s i n I ndus t r i a l O r gan i c Chem i s t r y
전선 E P A 00010 고분자전산활용 3 2 2 Pract ical Computer App l icat ion for Po lymer Engineer ing
전선 E B A 00001 재료및구조역학 3 3 0 S t r uc t u r a l Mechan i cs o f Ma t e r i a l s

15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 이 실 교과목 영문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전선 E B A 30013 금속결정학 3 3 0 Me t a l l i c C r ys t a l l og r aphy
전선 E B A 20038 컴퓨터설계 Ⅱ 2 2 0 Compu t e r A i ded Des i gn2
전선 E N A 40018 재료전기전자회로 3 3 0 Elect r icand Elect ronicC i rcui t in Mater ials Engineer ing
전선 E N A 00005 열역학상평형 3 3 0 The r modynam i cs and Phase Equ i l i b r i a
전선 E N A 00014 데이터통계분석 3 3 0 S t a t i s t i cs and Da t a Ana l ys i s
3-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F i e l d T r a i n i ng 1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F i e l d T r a i n i ng 2
3,4-1,2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전선 E P A 00106 고분자물리화학 3 3 0 Po l yme r Phys i ca l Sc i ence
전선 E P A 00108 고분자화학 3 3 0 Po l yme r Chem i s t r y
전선 E P A 30023 고분자기기분석 3 3 0 Po l yme r Cha r ac t e r i za t i ons
전선 E T A 30011 재료열역학 3 3 0 The r modynam i cs o f Ma t e r i a l s
3-1
전선 E B A 30030 상변태론 3 3 0 Phase T r ans f o r ma t i on
전선 E P A 00100 고분자가공 3 3 0 Po l yme r P r ocess i ng
고분자실험계획
전선 E P A 30040 2 2 0 Expe r i men t a l Des i gn f o r Po l yme r s

캡스톤디자인연습
전선 E P A 30071 1 0 2 Caps t one Des i gn Exe r c i se 1
1
전선 E P A 00001 R&D창업론 2 2 0 R&D Founda t i on
전선 E P A 00002 기능성고분자윤강 1 1 1 0 Co l l oqu i um f o r Func t i ona l Po l yme r 1
전선 E G A 00033 주조공학및용접공학 3 3 0 Found r y & We l d i ng Eng i nee r i ng
전선 E B A 30010 재료강도학 3 3 0 S t r eng t h o f Ma t e r i a l s
전선 E B A 30012 금속물리학 3 3 0 Phys i ca l Me t a l l u r gy
3-1 전선 E G A 00036 현장형실험 Ⅰ 3 0 3 P i l o t Sca l e Lab 1
전선 E N A 20029 결정화학 3 3 0 C r ys t a l Chem i s t r y
전선 E N A 30015 광전자기물성 3 3 0 E l ec t r i ca l & Op t i ca l P r ope r t i es
전선 E N A 30022 재료반응속도론 3 3 0 Reac t i on K i ne t i cs o f Ma t e r i a l s
전선 E N A 00017 세라믹스공정 2 2 0 Ce r am i cs P r ocess i ng
전선 E N A 00018 세라믹스공정실험 1 0 2 Ce r am i cs P r ocess i ng Lab
전선 E N A 00015 미세구조및소결 3 3 0 M i c r os t r uc t u r e and S i n t e r i ng
전선 E N A 00016 원료합성론 3 3 0 Ce r am i c Raw Ma t e r i a l s and Syn t hes i s
전선 E G A 00032 고분자합성및설계 3 3 0 Po l yme r Syn t hes i s and Des i gn
전선 E B A 40035 금속가공학 3 3 0 Mechan i ca l Me t a l l u r gy
전선 E B A 30032 철강재료 3 3 0 I r on & S t ee l Ma t e r i a l s
전선 E P A 00102 고분자분류실험 2 0 4 Expe r i men t s i n Po l yme r C l ass i f i ca t i on
전선 E P A 00103 고분자가공실험 2 0 4 Po l yme r P r ocess i ng Expe r i men t s
전선 E P A 00104 고분자기기분석실험 2 0 4 Expe r i men t s i n Po l yme r Cha r ac t e r i za t i on
전선 E P A 30030 고무공학개론 3 3 0 I n t r oduc t i on o f Rubbe r Eng i nee r i ng
전선 E P A 30072 캡스톤디자인연습 2 1 0 2 Caps t one Des i gn Exe r c i se 2
3-2 전선 E P A 30027 고분자복합재료 3 3 0 Po l yme r Compos i t es
전선 E P A 30031 고분자반응공학 3 3 0 Po l yme r Reac t i on Eng i nee r i ng
전선 E P A 40032 기능성고분자 3 3 0 Func t i ona l Po l yme r
전선 E P A 00007 기능성고분자윤강 2 1 1 0 Co l l oqu i um f o r Func t i ona l Po l yme r 2
전선 E P A 00009 기술개발창업론 2 2 0 Founda t i on f r om Resea r ch Deve l opmen t
전선 E B A 30031 비철재료 3 3 0 Non-Fe r r ous Me t a l s
전선 E B A 30033 나노재료 2 2 0 Nano Ma t e r i a l s
전선 E B A 30011 금속화학 3 3 0 Chem i s t r y i n Me t a l s
전선 E G A 00037 현장형실험 Ⅱ 3 0 3 P i l o t Sca l e Lab 2

경상대학교 159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 이 실 교과목 영문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전선 E N A 30028 열기계적물성 3 3 0 The r ma l and Mechan i ca l P r ope r t i es
전선 E N A 40035 박막및반도체재료 3 3 0 Th i n F i l m & Sem i conduc t o r Ma t e r i a l s
전선 E N A 40029 재료기기분석 2 2 0 I ns t r umen t a l Ana l ys i s o f Ma t e r i a l s
전선 E N A 40079 재료기기분석실험 1 0 2 I ns t r umen t a l Ana l ys i s o f Ma t e r i a l s Lab
전선 E N A 00019 재료물리학 3 3 0 So l i d S t a t e Phys i cs
전선 E N A 00020 재료전기화학 3 3 0 E l ec t r ochem i s t r y o f Ma t e r i a l s
전선 E G A 00032 머신러닝 3 3 0 Mach i ne l ea r n i ng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F i e l d T r a i n i ng 3
전선 E G A 00006 재료종합설계 3 3 0 Caps t one Des i gn
전선 E G A 00011 고분자재료 3 3 0 Po l yme r Ma t e r i a l s
전선 E P A 40035 고분자계면공학 3 3 0 Po l yme r I n t e r f ace Eng i nee r i ng
전선 E P A 40013 고분자물성 3 3 0 Po l yme r P r ope r t i es
전선 E P A 00105 고분자응용실험 2 0 4 App l i ed Po l yme r Expe r i men t
4-1 전선 E G A 00035 분말재료 3 3 0 Powde r Ma t e r i a l s
전선 E B A 00092 전기전자재료 3 3 0 E l ec t r i ca l & E l ec t r on i c Ma t e r i a l s
전선 E B A 20042 구조재료 3 3 0 S t r uc t u r a l Ma t e r i a l s
전선 E N A 00006 에너지환경신소재 3 3 0 Advanced Ene r gy & Env i r onmen t a l Ma t e r i a l
전선 E N A 00021 세라믹복합재료 3 3 0 Compos i t e Ma t e r i a l s
전선 E N A 00022 나노세라믹스및소자 3 3 0 Nano Ce r am i cs and Dev i ces
전선 E G A 00012 고분자시험법 2 2 0 Tes t i ng me t hods f o r p l as t i c ma t e r i a l s
전선 E P A 30013 고분자유변학 3 3 0 Rheo l ogy o f Po l yme r
전선 E G A 00038 소재분석기기 3 3 0 I n t r oduc t i on t o Ma t e r i a l s Cha r ac t e r i za t i on
전선 E B A 40037 열처리학 3 3 0 Hea t T r ea t men t
4-2
전선 E N A 00012 재료응용연구 3 0 3 Advanced Ma t e r i a l s Labo r a t o r y
전선 E N A 00023 바이오세라믹스 3 3 0 B i o Ce r am i cs
전선 E N A 00024 나노비정질재료 3 3 0 Nonc r ys t a l l i ne Ma t e r i a l s
전선 E N A 00025 광전자정보재료 3 3 0 Op t oe l ec t r i c Ma t e r i a l s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240 (48) 240 ( 48 )

16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산업시스템공학부(산업시스템전공)
 교육목표

◦창의 ‧인성을 갖춘 융합형 스마트 제조 전문인력 양성

 인재상

◦창의적인 전문인 ◦ 실무중심형 융합인 ◦소통하는 협력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구
창의적인 A 창의융합
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전문인
B 전문지식 공학 지식을 바탕으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실무중심형 C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융합인 D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
소통하는 E 의사소통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협력인 F 세계시민 윤리의식 , 사회의식 ,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E I A 00013 창의적공학설계 ( 어드벤처디자인 ) 3 3 0 30 0 30 0 40 0
1-2 전선 E I A 20029 공학컴퓨터활용 3 3 0 0 50 30 20 0 0
2 ,3 , 4-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30 0 0 30 20 20
동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30 0 0 30 20 20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30 0 0 30 20 20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30 0 0 30 20 20
2-1 전필 E I A 00101 산업통계 1 3 3 0 0 50 30 0 20 0
전필 E I A 00103 비쥬얼프로그래밍 3 3 0 20 30 30 20 0 0
전선 E I A 00100 공학수학 3 3 0 10 50 30 0 0 10
전선 E I A 20001 경제성공학 3 3 0 0 40 30 30 0 0
전선 E I A 00110 기계제도 2 2 0 10 50 30 0 10 0
전선 E I A 00111 기계제도실습 1 0 2 0 40 30 30 0 0
전선 E I A 30037 인터넷기술응용 1 3 3 0 0 40 50 0 0 10
2-2 전필 E I A 00108 기계공작법 3 3 0 10 50 30 10 0 0
전필 E I A 40011 산업정보시스템 3 3 0 30 30 30 0 10 0 ◇
전선 E I A 00102 산업통계 2 3 3 0 10 50 0 0 30 10
전선 E I A 00012 작업분석및설계 3 3 0 20 30 30 0 20 0
전선 E I A 20025 경영과학과컴퓨터 3 3 0 30 50 0 10 0 10
전선 E I A 20016 정보통신개론 3 3 0 30 50 0 0 10 10
전선 E I A 00014 기계공작법실습 ( 어드벤처디자인 ) 1 0 2 10 50 30 10 0 0
3-1 전필 E I A 30023 경영과학 1 3 3 0 10 50 10 30 0 0 ◇
전필 E I A 40029 객체지향기술 3 3 0 20 30 50 0 0 0
전필 E I A 00001 데이터베이스처리 3 3 0 20 50 20 10 0 0
전필 E I A 30026 품질경영 3 3 0 30 30 30 0 10 0

경상대학교 161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E I A 00011 공장자동화 3 3 0 10 50 30 10 0 0
전선 E I A 40002 인간공학 3 3 0 0 40 50 10 0 0
전선 E I A 30009 CAD/CAM 3 3 0 10 50 30 10 0 0
전선 E I A 00015 경영과학 1실습 1 0 1 0 30 50 0 20 0
3-2 전필 E I A 30031 생산체계설계 3 3 0 0 30 30 30 0 10 ◇
전필 E I A 00099 시스템분석및설계 3 3 0 30 0 50 10 10 0
전선 E I A 30028 품질공학 3 3 0 10 50 30 10 0 0
전선 E I A 00007 제품설계및개발 3 3 0 10 50 30 10 0 0
전선 E I A 40023 프로젝트관리론 3 3 0 10 30 30 20 10 0
전선 E I A 30024 경영과학 2 3 3 0 10 50 10 30 0 0
전선 E I A 30038 데이터분석및의사결정 3 3 0 30 30 30 0 10 0
전선 E I A 30008 실험계획법 3 3 0 0 30 50 20 0 0
전선 E I A 00112 공학데이터베이스응용 3 3 0 30 30 20 0 20 0
4-1 전선 E I A 40036 기술경영 3 3 0 0 30 50 10 0 10
전선 E I A 40034 신뢰성공학 3 3 0 20 10 50 20 0 0
전선 E I A 40012 컴퓨터시뮬레이션 3 3 0 30 10 50 10 0 0
전선 E I A 40037 6시그마경영혁신 3 3 0 10 10 50 0 30 0
전선 E I A 00008 전사적자원관리 3 3 0 0 30 30 30 0 10
전선 E I A 40021 이비즈니스 3 3 0 30 30 0 0 20 20
전선 E I A 00009 비즈니스프로세스관리 3 3 0 30 30 0 20 20 0
전선 E I A 00106 산업시스템공학특론 3 3 0 20 20 0 30 30 0
4-하 전선 E I A00113 스마트공장기반기술 3 3 0 - - - - - - 특별
계 전선 E I A00114 스마트공장설계및운영 3 3 0 - - - - - - 학기
4-2 전필 E I A 40098 종합설계및제작 2 2 0 30 0 30 0 30 10
전선 E I A 40007 원가공학 3 3 0 0 30 50 20 0 0
전선 E I A 40006 설비관리 3 3 0 20 10 30 20 20 0
전선 E I A 00107 스마트팩토리 3 3 0 0 30 30 10 30 0
전선 E I A 40040 인터넷기술응용 2 3 3 0 0 20 50 0 30 0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 30 0 0 30 20 20
3 , 4-2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 30 0 0 30 20 20
계 전공필수 35 전공선택 95 (48 ) 130 (48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16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건축학과
 교육목표

◦사회변화에 창의적으로 대응할수 있는 전문 지식과 윤리의식을 갖춘 건축가 양성

 인재상
◦ (국제적인 건축가 ) 국제적인 감각을 가지고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국제적인 건축가
◦ (창의적인 건축가 ) 지역 특성 이해를 기반으로 지역 사회 활성화를 선도하는 창의적인 건축가
◦ (전문적인 건축가 ) 건축지식과 인문소양을 기반으로 융합적인 능력을 갖춘 전문적인 건축가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커뮤니케이션 자신의 생각과 작업을 구두 , 문서 , 도면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
국제적인 건축가 우리나라 역사와 세계사 등을 이해한다 . 건축과 사회를 이해하며 인간행태를
B 문화적맥락
이해한다 .
형태 , 공간구성 , 분석 , 프로그램 작성법을 이해한다 . 대지의 맥락을 이해하며
C 기본설계
무장애 계획을 할 수 있다 .
창의적인 건축가
안전 및 피난을 고려하여 통합 /종합설계를 할 수 있다 . 증개축 설계를 할 수
D 종합설계
있다 . 도시설계안을 평가하여 설계에 적용한다 .
E 기술 구조 , 환경 , 시공 등 공학적 기술을 이해한다 .
전문적인 건축가
F 실무 건축실무와 법규 , 사무소의 운영 등을 이해한다 .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E AA 10003 건축학개론 3 3 0 0 60 0 0 0 40
전필 E AA 00040 건축설계 1 (어드벤쳐디자인 ) 5 1 8 0 20 80 0 0 0
1-2 전필 E AA 10002 건축구조의이해 3 3 0 0 30 0 0 70 0
전필 E AA 00041 건축설계 2 (어드벤쳐디자인 ) 5 1 8 0 20 80 0 0 0
2-1 전필 E AA 00003 건축과환경 3 3 0 0 30 0 0 70 0
전필 E AA 20008 서양건축사 3 3 0 0 100 0 0 0 0
전필 E AA 00042 건축설계 3(어드벤쳐디자인 ) 5 1 8 30 0 70 0 0 0
2-2 전필 E AA 00010 건축종합표현 3 3 0 70 0 0 0 30 0
전필 E AA 20012 건축구조역학 3 3 0 0 0 0 0 100 0
전필 E AA 00043 건축설계 4 (어드벤쳐디자인 ) 5 1 8 30 0 70 0 0 0
전필 E AA 40009 건축계획 3 3 0 0 30 30 0 0 40
전선 E AA 20023 건축디자인론 3 3 0 0 100 0 0 0 0
3-1 전필 E AA 30032 건축재료계획 3 3 0 0 50 0 0 50 0
전필 E AA 00044 건축설계 5 (캡스톤디자인 ) 5 1 8 0 0 80 20 0 0
전필 E AA 40006 근대건축 3 3 0 0 100 0 0 0 0
전선 E AA 30019 주거론 3 3 0 0 100 0 0 0 0
전선 E AA 40024 철근콘크리트구조 3 3 0 0 0 0 0 100 0
3-2 전필 E AA 30012 건축법규 3 3 0 0 0 0 0 0 100
전필 E AA 00045 건축설계 6 (캡스톤디자인 ) 5 1 8 0 0 50 50 0 0
전필 E AA 40011 건축설비 3 3 0 0 0 0 0 100 0
전선 E AA 50001 현대건축 3 3 0 0 100 0 0 0 0

경상대학교 163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E AA 40008 단지계획 3 3 0 0 70 0 0 30 0
4-1 전필 E AA 00033 BIM 3 3 0 0 0 0 0 50 50
전필 E AA 00046 건축종합설계 1 5 1 8 0 0 0 100 0 0
전필 E AA 30021 건축시공 3 3 0 0 0 0 0 100 0
전필 E AA 40013 건축과사회 3 3 0 0 70 30 0 0 0
전선 E AA 30018 조경계획 3 3 0 0 70 0 0 30 0
전선 E AA 30034 건축구조설계 3 3 0 0 0 0 0 100 0
4-2 전필 E AA 00002 도시계획 3 3 0 0 100 0 0 0 0
전필 E AA 00047 건축종합설계 2 5 1 8 0 0 20 80 0 0
전필 E AA 30014 한국건축사 3 3 0 0 100 0 0 0 0
전선 E AA 40026 철골 .목구조 3 3 0 0 0 0 0 100 0
전선 E AA 40012 실내건축 3 3 0 0 100 0 0 0 0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 3 0 4주 ) 0 0 0 0 0 10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 6 0 8주 ) 0 0 0 0 0 100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 3 0 4주 ) 0 0 0 0 0 10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 6 0 8주 ) 0 0 0 0 0 100
4-동계 전선 E AA 30080 건축설계워크샵 1 2 0 4 50 0 0 50 0 0
5-동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 6 0 8주 ) 0 0 0 0 0 100
하계
5-1 전필 E AA 00048 건축종합설계 3 5 1 8 0 0 40 60 0 0
전필 E AA 50003 건물시스템 3 3 0 0 0 0 0 100 0
전선 E AA 30015 환경친화건축 3 3 0 0 20 0 0 80 0
5-하계 전선 E AA 30082 건축설계워크샵 2 2 0 4 0 0 0 100 0 0
5-2 전필 E AA 00049 건축종합설계 4 5 1 8 0 0 0 100 0 0
전필 E AA 50005 건축실무 3 3 0 0 0 0 0 0 100
전선 E AA 50007 건축경제 3 3 0 0 0 0 0 0 100
전선 E AA 50010 건축분석과비평 3 3 0 0 100 0 0 0 0
5-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0 0 0 0 0 10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0 0 0 0 0 100
계 전공필수 104 전공선택 40 (54 ) 144 (54 )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건축도시토목공학부 전과목

16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반도체공학과
 교육목표

◦사회 맞춤형 교육과정과 산학 연계를 통한 최고의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의 도전적 창의융합인재 양성

 인재상
◦ (도전혁신 ) 새로운 문제에 도전하는 혁신인재 ◦ (가치창조 ) 전공지식을 활용하는 창의적인 전문인재
◦ (소통봉사 ) 소통과 봉사를 실천하는 봉사실천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미래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 -진취성
A 도전정신
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리더십
도전혁신
-자기개발관리
B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계발과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
-자기주도학습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관련 분야의 융복합적 아이 -자원활용
C 창의융합
디어를 구현하여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통합사고
가치창조
새로운 문제를 분석 ․평가하고 주어진 도구를 활용하여 실행 가능한 -지식탐구활용
D 문제해결
솔루션을 제시하는 역량 -합리적의사결정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전달과표현
E 의사소통
만들 수 있는 역량 -공감과협력
소통봉사
-글로벌
F 세계시민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
-공동체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2 전필 E S A 00010 어드벤쳐디자인 2 2 0 20 0 20 30 30 0
전선 E S A 00005 반도체공학개론 2 2 0 10 10 20 10 30 20
2-1 전필 E S A 30001 물리전자 1 3 3 0 10 20 20 30 20 0 ◇◎
전필 E S A 20090 기초회로실험 1 2 0 4 0 10 20 40 30 0
전선 E L A 20011 회로해석론 1 3 3 0 20 20 20 20 20 0 ◎
전선 E L A 20013 전자기이론 1 3 3 0 20 20 20 20 20 0 ◎
전선 EZ A 20001 공학수학 1 3 3 0 20 20 20 20 0 20
2-2 전필 E S A 30002 물리전자 2 3 3 0 20 20 20 20 20 0 ◇
전필 E S A 20091 기초회로실험 2 2 0 4 0 10 20 40 30 0
전필 E L A 20012 회로해석론 2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E L A 20014 전자기이론 2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EZ A 20002 공학수학 2 3 3 0 20 20 20 20 0 20
전선 E S A 00021 PBL공학입문 3 1 2 10 30 20 20 10 10
3-1 전필 E S A 20004 반도체소자 3 3 0 0 10 0 0 20 70 ◇◎
전필 E S A 30083 전자회로실험 1 2 0 4 0 10 0 0 20 70
전선 E S A 30021 통신공학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E S A 30012 전자회로 1 3 3 0 0 10 20 40 30 0 ◎
전선 E S A 40012 컴퓨터프로그래밍언어 3 3 0 30 10 20 30 5 5
전선 E S A 30009 디지털논리회로 3 3 0 0 10 20 30 20 20 ◎
전선 EE A 00014 전자교과교육론 3 3 0 20 10 30 40 0 0 □◎

경상대학교 165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2 전필 E S A 30016 반도체소자설계 3 3 0 20 20 20 20 20 0
전필 E S A 30013 전자회로 2 3 3 0 20 0 20 30 30 0
전필 E S A 30081 전자회로실험 2 2 0 4 20 20 20 20 20 0
전선 E S A 00001 디지털시스템설계 3 3 0 30 10 20 30 5 5
전선 E S A 00011 디스플레이공학 1 3 3 0 0 10 20 40 30 0
전선 E S A 30019 디스플레이제조공정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EE A 00015 전자논리및논술교육 3 3 0 20 20 20 20 20 0 □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0 20 20 20 20 20 ◎택 1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20 0 20 30 30 0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0 30 0 0 20 5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0 30 0 0 20 5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0 30 0 0 20 5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0 10 0 0 20 70
4-1 전필 E S A 00003 캡스톤디자인 1 3 3 0 20 20 20 20 20 0
전필 E S A 40001 집적회로설계 3 3 0 20 20 20 20 20 0
차세대디스플레이챌린지
전선 E S A 00018 3 3 0 20 20 20 20 20 0
PBL
전선 E S A 40013 자기소자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E S A 40020 디스플레이제조실험 2 0 4 10 10 30 30 20 0 □
전선 EE A 00016 전자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0 0 20 30 30 20
4-2 전선 E S A 40018 박막소자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E S A 00020 PBL창의융합설계 3 1 2 0 20 10 30 20 20
전선 E S A 40009 전자재료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E F A 40071 센서공학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E S A 00004 캡스톤디자인 2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E S A 00006 반도체공학 연구 1 0 2 20 20 20 20 0 20
계 전공필수 34 전공선택 73 (48 ) 107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16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전기공학과
 교육목표

◦ 전기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인격적 소양과 전문적 식견을 갖춘 인재 양성

 인재상
◦ (윤리의식 ) 정직과 성실을 바탕으로 하는 직업적 윤리의식을 갖춘 인재
◦ (문제해결 능력 ) 공학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
◦ (자기계발 ) 산업환경과 국제정세의 변화에 대비하는 자기계발 실천의지을 갖춘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봉사헌신 사회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타인을 위해 헌신적으로 봉사할 수 있는 역량
윤리의식
B 규정준수 정해진 규정 및 규칙들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실천할 수 있는 역량
C 창의융합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역량
문제해결능력
D 의사소통 자기와 타인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E 리더십 항상 적극적인 태도로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자기계발
F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E L A 00021 창의적공학설계 (어드벤처디자인 ) 2 2 0 10 10 30 20 10 20
2,3,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 3 0 4주 ) 5 20 25 0 30 20 ◎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 6 0 8주 ) 5 20 25 0 30 20 ◎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 3 0 4주 ) 10 20 20 20 10 2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 6 0 8주 ) 10 10 20 15 20 25
2-1 전필 E L A 00015 전기전자실험 1 2 0 2 20 10 10 20 20 20
전선 E L A 20007 전자공학 1 3 3 0 20 10 10 20 20 20 ◎
전선 E L A 20011 회로해석론 1 3 3 0 20 10 10 20 20 20 ◎
전선 E L A 20013 전자기이론 1 3 3 0 20 10 10 20 20 20
전선 EZ A 20001 공학수학 1 3 3 0 20 10 15 35 10 10
2-2 전필 E L A 00016 전기전자실험 2 2 0 2 5 20 25 0 30 20
전선 E L A 20008 전자공학 2 3 3 0 5 20 25 0 30 20 ◎
전선 E L A 20012 회로해석론 2 3 3 0 5 20 25 0 30 20
전선 E L A 20014 전자기이론 2 3 3 0 10 10 20 15 20 25 ◎
전선 E L A 20017 컴퓨터수치계산 3 3 0 20 10 15 35 10 10
전선 EZ A 20002 공학수학 2 3 3 0 5 20 25 0 30 20
3-1 전필 E L A 00013 전기전자응용실험 1 3 0 3 20 10 15 35 10 10
전필 E L A 30011 디지털시스템 3 3 0 10 20 20 20 10 20
전필 E L A 30015 전기기기 1 3 3 0 10 10 20 15 20 25 ◎◇
전필 E L A 30017 전력시스템공학 1 3 3 0 5 10 20 20 20 25 ◎◇
전선 E L A 00103 전기교과교육론 3 3 0 10 10 20 20 20 20 □◎
전선 E L A 30003 전기물성 3 3 0 5 10 20 20 20 25
전선 E L A 30021 자동제어 1 3 3 0 5 10 20 20 20 25
3-2 전필 E L A 00014 전기전자응용실험 2 3 0 3 20 10 15 35 10 10

경상대학교 167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필 E L A 30014 전기재료 3 3 0 5 10 20 20 20 25
전필 E L A 30022 자동제어 2 3 3 0 5 10 20 20 20 25 ◇
전선 E L A 00104 전기논리및논술교육 2 2 0 10 10 20 20 20 20 □
전선 E L A 30016 전기기기 2 3 3 0 10 10 20 15 20 25
전선 E L A 30019 전력시스템공학 2 3 3 0 5 10 20 20 20 25
전선 E L A 40006 전력전자공학 3 3 0 10 20 20 20 10 2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3 3 0 20 10 10 20 20 2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3 3 0 20 10 10 20 20 20
4-1 전필 E L A 00102 종합설계 2 2 0 10 10 30 30 10 10
전필 E L A 00019 전력전자시스템설계 3 2 1 20 10 15 35 10 10
전선 E L A 00105 전기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10 10 20 20 20 20 □
전선 E L A 00017 회로망및선형시스템 3 0 2 10 10 20 20 20 20
전선 E L A 00005 전자장이론 2 2 0 10 15 15 15 20 25
전선 E L A 40002 발전공학 3 3 0 10 10 10 30 20 20
전선 E L A 40009 태양전지공학 3 3 0 15 10 20 10 20 25
전선 E L A 00003 에너지변환공학 3 3 0 10 15 15 15 20 25
4-2 전선 E L A 00006 전력계통신뢰도공학 3 3 0 10 10 10 30 20 20
전선 E L A 00018 선형시스템설계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E L A 40007 서보전동기제어 3 0 3 10 20 20 20 10 20
전선 E L A 00020 신재생에너지공학 3 3 0 15 10 20 10 20 25
전선 E L A 00101 센서네트워크공학 3 3 0 10 20 20 20 10 20
계 전공필수 32 전공선택 79 (48 ) 111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16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전자공학과
 교육목표

◦도전적이고 능동적 사고를 통한 창의 · 융합적 사고 역량을 갖춘 핵심 인재 양성

 인재상
◦미래에 도전적인 전자공학인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전자공학인
◦능동적 사고력을 지닌 전인적인 전자공학인 ◦소통과 협력 네트워크 능력을 갖춘 전자공학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적극적인 자세로 과업을 성취하 -진취성
A 개척정신과 도전정신
미래에 도전적인 려는 도전 능력 -기회 탐색과 도전
전자공학인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그룹원의 활동을 촉진하고 이 -이해와 배려
B 리더쉽
끌어 갈 수 있는 능력 -통솔력
기초 및 전공지식을 습득하여 다양한 관점으로 문제를 -창의성
창의적 문제해결 C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복합적문제해결능력
역량을 갖춘
두 가지 이상의 아이디어를 융합하여 이전보다 발전적 -자원 활용
전자공학인 D 융합적인 사고
인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 -통합 사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하여 이론적인 원리 및 실무에 대해서 -이성적 추론
능동적 사고력을 E 비판적 사고력
관심을 가지고 꼼꼼히 따져보고 논증을 제시하는 능력 -독창성 및 혁신성
지닌 전인적인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현실적 -현실적인 판단력
전자공학인 F 판단력 및 의사결정능력
으로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의사결정 능력 -인지적 유연성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공감하여 구성원들과 협력적 -협업 능력
소통과 협력 G 팀워크 학습능력
관계를 만들 수 있는 능력 -봉사정신
네트워크 능력을
적절한 언어적 · 비언어적 표현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 -전달과 표현
갖춘 전자공학인 H 의사소통 및 표현능력
각과 뜻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인간 관리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수번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호 점 론 기 A B C D E F G H
1-2 전선 EEA00007 전자공학개론 2 2 0 5 5 30 20 15 10 5 10
전필 EEA00017 기초전자공학실험 2 0 2 10 15 20 10 10 5 20 10
전필 ELA20011 회로해석론 1 3 3 0 10 0 35 15 15 15 0 10 ◎
전필 ELA20013 전자기이론 1 3 3 0 5 5 20 35 20 5 5 5 ◎
2-1 전선 EEA00001 확률변수론 3 3 0 10 5 20 20 10 20 5 10
전선 EEA20053 컴퓨터언어 3 3 0 5 5 30 30 10 10 5 5
전선 EEA20059 반도체설계개론 3 3 0 10 10 20 30 10 10 5 5
전선 EZA20001 공학수학 1 3 3 0 10 0 40 15 15 10 0 10
전필 EEA00018 전자회로실험 2 0 2 10 0 20 20 10 10 20 10
전필 ELA20012 회로해석론 2 3 3 0 10 0 35 15 15 15 0 10
전필 ELA20014 전자기이론 2 3 3 0 5 5 20 35 20 5 5 5
2-2
전선 EEA30055 디지털공학 3 3 0 5 0 30 20 10 10 15 10 ◎◇
전선 EEA20057 물리전자 3 3 0 5 5 30 20 10 10 10 10
전선 EZA20002 공학수학 2 3 3 0 10 0 40 15 15 10 0 10
전선 EZA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20 10 10 10 10 10 10 20 ◎
택1
2 , 3 , 4- 전선 EZA30072 현장실습 2 ( 6 0 8주) 20 10 10 10 10 10 10 20 ◎
동하계
전선 EZA30074 국외현장실습 1 ( 3 0 4주) 30 10 5 10 5 10 10 20

경상대학교 169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수번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호 점 론 기 A B C D E F G H
전선 EZA30075 국외현장실습 2 ( 6 0 8주) 30 10 5 10 5 10 10 20
전필 EEA00019 디지털시스템설계및실습 2 0 2 20 10 10 10 5 5 30 10
전선 EEA30015 전자장및안테나공학 3 3 0 5 10 25 10 10 15 15 10
전선 EEA30022 전자회로 3 3 0 5 5 30 20 10 10 10 10 ◎◇
3-1 전선 EEA00014 전자교과교육론 3 3 0 5 10 20 20 10 10 5 20 ◎□
전선 EEA30062 컴퓨터구조 3 3 0 10 10 20 30 5 10 5 10
전선 EEA30077 신호및시스템 3 3 0 10 0 35 15 15 15 0 10
전선 EEA00020 통신시스템설계및실습 2 0 2 10 5 20 10 10 5 20 20
전선 EEA40065 마이크로프로세서 3 3 0 10 10 30 20 0 0 20 10 ◎
전선 EEA00015 전자논리및논술교육 2 2 0 5 10 20 20 10 10 5 20 □
전선 EEA40018 항공전자공학 3 3 0 10 0 20 30 0 0 0 40
3-2 전선 EEA30058 통신시스템 3 3 0 10 5 20 20 10 20 5 10 ◎◇
전선 EEA30076 신호처리 3 3 0 10 10 10 30 10 20 5 5
전선 EEA30078 전자회로응용 3 3 0 5 5 30 20 10 10 10 10
전선 EEA40015 디지털집적회로설계 3 3 0 5 0 30 30 5 10 10 10
전선 EZA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20 10 10 10 10 10 10 20
4-1 ,2
전선 EZA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30 10 5 10 5 10 10 20
전필 EEA00003 종합설계 1 2 2 0 15 10 25 10 5 10 15 10
전선 EEA30059 아날로그집적회로설계 3 3 0 5 0 30 30 5 10 10 10
전선 EEA30023 레이더공학 3 3 0 20 0 30 30 0 0 0 20
전선 EEA00016 전자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5 10 20 20 10 10 5 20 □
4-1
전선 EEA40017 멀티미디어공학 3 3 0 10 10 10 30 10 20 5 5
전선 EEA40057 디지털통신 3 3 0 10 5 20 20 10 20 5 10
전선 EEA00013 전자공학연구체험 1 0 2 20 5 10 10 10 15 15 15
전선 EEA00021 마이크로프로세서실험 2 0 2 0 10 20 20 10 10 20 10
전선 EEA00005 종합설계 2 2 2 0 15 10 25 10 5 10 15 10
전선 EEA00011 초고주파시스템 3 3 0 15 5 30 10 10 10 10 10
4-2
전선 EEA00008 의용전자공학 3 3 0 10 0 35 15 15 15 0 10
전선 EEA00009 데이터통신 3 3 0 10 5 20 20 10 20 5 10
계 전공필수 20 전공선택 89 (48 ) 109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17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제어계측공학과
 교육목표
◦4차산업혁명의 핵심요소기술인 I CT기반으로 스마트사회를 구현할 수 있도록 제어 및 계측 , 그리고 응용에 관련된 전기전자
/에너지 /로봇 /컴퓨터 /기계분야 기술을 습득하여 스마트 제어시스템의 설계 , 해석 , 제작 , 평가 , 분석 , 운용에 있어서 창의
적이고 실무중심형 전문기술인 양성

 인재상
◦스마트사회 구현 I CT 전문인 ◦실무중심 인재 ◦ 협업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4차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스마트사회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A I CT 전문지식 이해
스마트사회 구현 정보통신기술 ( I CT )과 관련된 전문지식 습득
I CT 전문인 다양한 전공을 체계적으로 수강하고 온라인 /오프라인 세미나 , 그리고 현
B 창의적융합능력
장체험을 통하여 창의적인 융합할 수 있는 능력
설계 및 현장실습을 통해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고 고안 , 설계 , 해석 , 제
C 실무 능력
실무중심 인재 작 , 평가 등의 수행능력
D 문제해결능력 전공의 이론적 이해와 설계경험을 토대로 문제점 분석 및 해결할 수 있는 능력
E 팀워크능력 설계과목을 이수함으로써 팀워크의 중요성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협업 인재 글로벌사회에서 어학능력 및 발표능력은 필수이며 이에 문서이해 및 의사
F 의사소통능력
전달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2 전필 EFA00012 어드벤처디자인 2 2 0 20 30 10 20 10 10
2-1 전필 EFA00006 제어계측프로그래밍 1 3 3 0 20 10 20 30 10 10
전선 EFA00004 전기회로 1 3 3 0 20 10 30 40 0 0
전선 ELA20013 전자기이론 1 3 3 0 20 10 30 40 0 0
전선 EZ A20001 공학수학 1 3 3 0 10 40 0 50 0 0
2-2 전필 EFA20070 전기회로기초실험 2 0 4 10 10 30 30 10 10
전선 EFA00005 전기회로 2 3 3 0 20 10 30 40 0 0
전선 EFA00007 제어계측프로그래밍 2 3 3 0 20 10 20 30 10 10
전선 EFA30000 전자회로공학 1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ELA20014 전자기이론 2 3 3 0 20 10 30 40 0 0
전선 EZ A20002 공학수학 2 3 3 0 10 40 0 50 0 0
3 , 4- 전선 EZ A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10 0 20 40 15 15
동하계 전선 EZ A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10 0 20 40 15 15
전선 EZ A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10 0 20 40 10 20
전선 EZ A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10 0 20 40 10 20
3-1 전필 EFA30035 디지털논리회로 3 3 0 30 20 20 20 0 10
전필 EFA30072 전자회로실험 2 0 4 10 10 30 30 10 10
전필 EMA40014 계측공학 3 3 0 30 20 20 30 0 0 ◇
전선 EFA30001 전자회로공학 2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EFA30023 제어공학 1 3 3 0 20 10 20 30 10 10 ◇
전선 EFA30053 객체지향프로그래밍 3 3 0 20 10 20 30 10 10

경상대학교 171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2 전필 EFA30024 제어공학 2 3 3 0 20 10 20 30 10 10 ◇
전필 EFA30052 마이크로프로세서공학 3 3 0 20 10 20 40 0 10
전필 EFA30074 디지털회로설계 2 0 4 20 10 20 20 20 10
전선 EFA00014 전력변환기초 3 3 0 20 10 10 50 0 10
전선 EFA30082 유공압제어 3 3 0 20 40 30 10 0 0
전선 EFA30002 인공지능시스템설계 2 0 4 30 10 20 20 10 10
4-1 , 2 전선 EZ A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10 0 20 40 15 15
전선 EZ A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10 0 20 40 10 20
4-1 전필 EFA00008 제어계측종합설계 1 2 2 0 10 20 30 20 10 10
전필 EFA40077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설계 2 0 4 20 20 20 20 10 10
전선 EFA00010 연구실체험학습 1 0 2 30 10 20 20 10 10
전선 EFA40001 로봇공학 3 3 0 40 10 20 20 0 10
전선 EFA40053 내장형시스템 3 3 0 40 20 20 10 0 10
전선 EFA40054 전동기제어 3 3 0 30 20 20 10 0 20
전선 EFA40062 전력전자 3 3 0 20 10 10 50 0 10
전선 EFA40064 디지털제어공학 3 3 0 30 30 20 20 0 0
전선 EFA40078 자동화시스템설계 2 0 4 20 20 20 20 10 10
4-2 전선 EFA00002 제어계측종합설계 2 2 2 0 20 20 20 20 10 10
전선 EFA00003 응용프로그램설계 2 2 0 20 20 20 20 10 10
전선 EFA40002 메카트로닉스응용설계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EFA00013 스마트에너지공학 3 3 0 50 10 20 10 0 10
전선 EFA00009 시스템 시뮬레이션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EFA40004 인공지능개론 3 3 0 50 30 10 10 0 0
계 전공필수 27 전공선택 75 (48 ) 102 (48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17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화학공학과
 교육목표

◦전공경험을 통한 창의융합적 역량을 지닌 글로벌 인재 양성

 인재상

◦창의인재 ◦도전인재 ◦ 글로벌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기초응용 화학공학을 위한 전공기초로 수학 ,기초과학 ,공학지식과 이론을 웅용할 수 있는 능력
창의인재
B 설계능력 현실적 제한조건을 반영하여 화학공정의 시스템 , 요소 , 공정을 설계 할 수 있는 능력
C 도구사용 공학실무에 필요한 기술 ,방법 , 최신 공학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도전인재
D 문제해결 화학공학 문제들을 인식하며 , 이를 공식화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E 책임인식 화학공학자로서 직업적 , 도덕적 책임에 대한 인식
글로벌인재
F 국제협동 세계문화에 대한 이해와 국제적으로 협동할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EZ A 20070 창의적공학설계 2 2 0 10 10 10 40 20 10
1-2 전선 E H A 00008 화학공학개론 2 2 0 30 10 10 25 15 10
2,3,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5 20 30 10 25 1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5 20 30 10 25 10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0 5 5 5 5 8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0 5 5 5 5 80
2-1 전필 E H A 20005 화공양론 1 3 3 0 50 10 20 10 5 5 ◇
전필 E H A 00011 화공물리화학 1 3 3 0 30 5 10 50 5 0
전선 E H A 20095 화공기초실험 1 2 0 4 10 20 50 5 5 10
전선 E P A 20011 공업유기화학 1 3 3 0 40 10 10 20 10 10
전선 EZ A 20001 공학수학 1 3 3 0 30 20 10 30 5 5
2-2 전필 E H A 00001 화공양론 2 3 3 0 50 10 20 10 5 5
전선 E H A 20035 나노재료공학 3 3 0 30 20 5 30 5 10
전선 E H A 20096 화공기초실험 2 2 0 4 10 20 50 5 5 10
전선 E P A 20021 공업유기화학 2 3 3 0 40 10 10 20 10 10
전선 EZ A 20002 공학수학 2 3 3 0 30 20 10 30 5 5
전선 E H A 00009 화공물리화학 2 3 3 0 20 10 15 50 5 0
3-1 전필 E H A 30003 화학공정제어 1 3 3 0 0 30 30 30 10 0
전필 E H A 30005 화공열역학 1 3 3 0 30 5 10 50 5 0
전필 E H A 30006 화공유체역학 3 3 0 30 10 20 20 10 10
전선 E H A 30001 반응공학 1 3 3 0 10 25 20 20 15 10
전선 E H A 30013 고분자화학공학 3 3 0 20 20 15 30 5 10
전선 E H A 30095 화공현상실험 1 2 0 4 10 20 20 30 20 0

경상대학교 173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2 전필 E H A 30008 열및물질전달 3 3 0 30 20 20 20 10 0 ◇
전필 E H A 30024 반응공학 2 3 3 0 10 20 20 20 20 10 ◇
전필 E H A 30028 화공열역학 2 3 3 0 10 30 15 40 5 0
전선 E H A 00003 화공재료 3 3 0 20 20 20 10 20 10
전선 E H A 30009 미생물공학 3 3 0 50 10 10 10 10 10
전선 E H A 30026 화학공정제어 2 3 3 0 0 30 30 30 10 0
전선 E H A 30096 화공현상실험 2 2 0 4 10 20 20 30 20 0
4-1 전필 E H A 20004 분리공정 3 3 0 40 20 10 10 10 10
전필 E H A 40023 화학공장설계 3 3 0 0 40 30 30 0 0
전필 E H A 00007 창의적화학공학종합설계 1 3 3 0 5 50 10 5 10 20
전선 E H A 40014 생물환경공학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E H A 40030 화공안전공학 3 3 0 10 10 20 20 30 10
전선 E H A 40095 화공조작실험 2 0 4 10 15 30 5 20 20
4-2 전선 E H A 00002 기기분석 3 3 0 45 0 10 40 5 0
전선 E H A 30030 에너지공학 3 3 0 0 20 0 50 20 10
전선 E H A 40026 생물화학공학 3 3 0 40 20 10 10 10 10
전선 E H A 00006 창의적화학공학종합설계 2 3 3 0 5 40 10 5 20 20
전선 E H A 00010 연구체험 1 0 2 10 30 10 30 10 10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5 20 30 10 25 1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0 5 10 0 5 80
계 전공필수 36 전공선택 66 (48 ) 102 (48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화학과 1 NCA20011 분석화학 1 Ana l y t i ca l Chem i s t r y 1 3-3-0
생명과학부 1 NOA00051 생화학 B i ochem i s t r y 3-3-0
생명과학부 1 NOA00032 유전공학 Gene Man i pu l a t i on 3-3-0
생명과학부 2 NOA00025 생물정보학 B i o i n f o r ma t i cs 3-3-0
P&P화학공학전공 3 , 4 학년 전 과목

17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공과대학

 전기에너지공학과 (계약학과 )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구분
전선 EY A 00001 발전공학개론 E l ec t r i c Powe r Gene r a t i on Eng i nee r i ng 3-3-0
1-1
전선 EY A 00002 발전기초 1 Bas i c Powe r Gene r a t i on I 3-0-6
전선 EY A 00003 전자공학 E l ec t r on i c Eng i nee r i ng 3-3-0
1-2
전선 EY A 00004 발전기초 2 Bas i c Powe r Gene r a t i on I I 3-0-6
1-1 ,2 전선 EY A 00005 현장프로젝트 1 (전기 ) F i e l d P r o j ec t I 3-0-6
전선 EY A 00006 전자기이론 E l ec t r omagne t i cs Theo r y 3-3-0
2-1
전선 E L A 40006 전력전자공학 Powe r E l ec t r on i cs 3-3-0
전선 EY A 00007 전자장수치해석 E l ec t r omagene t i cs Nume r i ca l Ana l ys i s 3-3-0
전선 E L A 00003 에너지변환공학 E l ec t r omechan i ca l Ene r gy Conve r s i on 3-3-0
2-2
전선 E MA 20003 열역학 The r ma l Dynam i cs Eng i nee r i ng 3-3-0
전선 EY A 00008 유체역학 F l u i d Mechan i cs 3-3-0
2-1 ,2 전선 EY A 00009 현장프로젝트 2 (기계 ) F i e l d P r o j ec t I I 3-0-6
전선 E L A 30003 전기물성 E l ec t r i c P r ope r t i es 3-3-0
전선 EY A 00010 회로망및제어 1 C i r cu i t and Con t r o l I 3-3-0
3-1 전선 E L A 30015 전기기기 1 E l ec t r i c Mach i ne r y I 3-3-0
전선 E MA 30004 열전달 Hea t T r ans f e r Eng i nee r i ng 3-3-0
전선 E MA 20004 동역학 Dynam i cs 3-3-0
전선 EY A 00011 회로망및제어 2 C i r cu i t and Con t r o l I I 3-3-0
전선 E L A 30016 전기기기 2 E l ec t r i c Mach i ne r y Ⅱ 3-3-0
3-2
전선 E L A 30011 디지털시스템 D i g i t a l Sys t ems 3-3-0
전선 EY A 00012 기계원격제어 Mechan i ca l Remo t e Con t r o l Eng i nee r i ng 3-3-0
3-1 ,2 전선 EY A 00013 현장프로젝트 3 (제어 ) F i e l d P r o j ec t I I I 3-0-6
전선 E L A 30017 전력시스템공학 1 Powe r Sys t em Eng i nee r i ng I 3-3-0
전선 EY A 00014 메카트로닉스 1 Mecha t r on i cs Eng i nee r i ng I 3-3-0
4-1
전선 EY A 00015 환경공학 Env i r onmen t a l Eng i nee r i ng 3-3-0
전선 EY A 00016 화력실무 1 The r ma l Powe r P l an t I 3-0-6
전선 E L A 30019 전력시스템공학 2 Powe r Sys t em Eng i nee r i ng Ⅱ 3-3-0
전선 EY A 00017 센서공학 Senso r Eng i nee r i ng 3-3-0
4-2
전선 EY A 00018 메카트로닉스 2 Mecha t r on i cs Eng i nee r i ng I I 3-3-0
전선 EY A 00019 화력실무 2 The r ma l Powe r P l an t I I 3-0-6
4-1 ,2 전선 EY A 00020 현장프로젝트 4 (환경 ) F i e l d P r o j ec t I V 3-0-6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93 93

경상대학교 175
농업생명과학대학

1. 식품자원경제학과···················· 174
2. 환경산림과학부······················· 176
(산림환경자원학전공)
3. 환경산림과학부······················· 178
(환경재료과학전공)
4. 농업식물과학과······················· 180
6. 농화학식품공학과···················· 183
7. 식물의학과····························· 185
8. 축산생명학과·························· 187
9. 애그로시스템공학부················· 190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10. 애그로시스템공학부················· 192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전공과정-법과대학

□ 식품자원학과
 교육목표
◦농식품경제 분야 데이터 활용 및 분석능력 제고
◦지역농정 및 글로벌 네트워킹에 맞는 현장중심형 , 문제해결형 인재양성
◦경제적 의사결정 지원 SW중심형 창의융합 혁신 인재양성

 인재상
◦ (봉사실천 ) 책임감과 이타심 , 착한 봉사정신을 갖춘 인재
◦ (가치창조 ) 독창적 · 분석적인 사고 , 적절한 문제해결능력 , 풍부한 창의력을 가진 인재
◦ (도전혁신 ) 우리학과 전공에 대한 열정 및 주도성 , 성취 지향성을 가진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전달과 표현
A 의사소통
봉사실천 만들 수 있는 역량 -공감과 협력
B 글로벌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 -공동체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자원 활용
C 창의융합
유용한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통합사고
가치창조
-지식탐구 활용
D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합리적의사결정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 -진취성
E 도전정신
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리더십
도전혁신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하는 할 수 -자기개발 관리
F 자기주도
있는 역량 -자기주도 학습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A S A 00005 식품자원경제학개론 3 3 0 20 0 20 30 15 15 ◎
전선 A S A 00016 식품자원경제탐구 PBL 3 3 0 20 20 10 20 20 10
1-2 전선 A S A 00098 식품자원경제통계학개론 3 3 0 20 20 20 20 10 10
2,3,4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10 60 0 0 20 10
-동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10 60 0 0 20 10
2-1 전필 A S A 00001 식품자원경제수리기초 3 3 0 10 10 10 35 20 15 ◎
전필 A S A 20015 농업경영학 3 3 0 30 10 15 15 30 0 ◎◇
전선 A S A 20095 농업회계학 3 3 0 10 10 30 10 10 30
전선 S E A 20001 미시경제학 3 3 0 10 10 10 50 10 10
2-2 전필 A S A 20016 농업생산경제학 3 3 0 20 30 10 10 20 10
전선 A S A 00006 식품자원후생분석론 3 3 0 10 20 30 20 10 10
전선 ASA00020 농식품미디어론 2 2 0 30 10 10 10 10 30
전선 A S A 20055 식량경제론 3 3 0 20 10 5 25 20 20
전선 A S A 00014 식품경제데이터분석기초 3 3 0 20 0 30 30 0 20 ◎
전선 S E A 20003 거시경제학 3 3 0 10 25 10 30 10 15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25 0 10 10 30 25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25 0 10 10 30 25
3,4-1,2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3 3 0 10 60 10 0 10 10

경상대학교 177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필 A S A 00008 농식품가격론 3 3 0 20 10 15 25 15 15 ◎
전필 A S A 00013 식품산업경영경제론 3 3 0 20 10 30 20 10 10
전선 A S A 00007 식품자원계량분석론 3 3 0 20 0 10 30 20 20
전선 A S A 30030 농산물유통논리및논술교육 2 2 0 20 15 15 20 15 15 □
전선 A S A 30054 자원경제학 3 3 0 15 15 20 20 15 15
전선 A S A 30068 농산물무역론 3 3 0 20 40 0 10 20 10
3-2 전필 A S A 30029 농식품유통론 3 3 0 15 10 20 25 15 15 ◎◇
전선 A S A 00009 농업재무관리 3 3 0 10 0 30 35 5 20
전선 A S A 00017 농식품경영컨설팅 3 3 0 25 15 20 20 10 10
전선 A S A 00099 환경경제학 3 3 0 10 30 15 10 15 20
전선 ASA00021 농식품경제이슈분석론 2 2 0 20 10 20 0 20 30
전선 A S A 30025 농업발전론 3 3 0 20 20 20 10 20 10 ◇
전선 A S A 30031 농산물유통교과교육론 3 3 0 20 15 15 20 15 15 ◎□
4-1 전선 A S A 00103 축산경제학 3 3 0 10 10 20 25 15 20
전선 A S A 00018 농식품산업경제분석 PBL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A S A 40030 농산물유통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20 15 15 20 15 15 □
전선 A S A 40050 농업정책론 3 3 0 10 10 20 30 10 20
4-2 전선 A S A 00002 애그리비지니스취업진로지도 3 3 0 10 20 20 0 25 25
전선 A S A 00003 식품자원경제학세미나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A S A 00011 애그리비즈니스경영계획론 3 3 0 0 30 10 30 15 15
전선 A S A 00019 농업환경자원경제분석 PBL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A S A 00102 식품자원경제연구이해 1 1 0 15 10 20 20 15 20
전선 A S A 00105 농식품경제콘텐츠디자인 (종합설계 ) 3 3 0 25 10 25 5 10 25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25 0 10 10 25 30
계 전공필수 18 전공선택 85 (48 ) 103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회계학과 2 BAA10011 회계원리 1 Accoun t i ng p r i nc i p l e 1 3-3-0
회계학과 1 BAA20015 회계원리 2 P r i nc i p l es o f Accoun t i ng 2 3-3-0
경영학과 1 BBA30008 마케팅관리 Ma r ke t i ng Managemen t 3-3-0
경영정보학과 1 B I A20009 경영자료처리 Bus i ness Da t a P r ocess i ng 3-3-0
국제통상학과 1 BTA00098 무역법규 T r ade Law 3-3-0
경제학과 1 SEA30007 화폐금융론 Money and F i nanc i a l Econom i cs 3-3-0
경제학과 2 SEA30009 재정학 Pub l i c F i nance 3-3-0

17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법과대학

□ 환경산림과학부(산림환경자원학전공)
 교육목표

◦현장실무 능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

 인재상

◦창의적 전문인 ◦소통하는 협력인 ◦융합적 지식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
A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한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창의적 전문인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문제를 발견하여 도전적으로 분석 , 평가하
B 도전적 문제 해결 능력
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부 구성원과의 우호적이고 협
C 내부구성원과의 소통 능력
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소통하는 협력인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장 및 현장실무자들과 우호적
D 현장과의 소통 능력
이고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타 학문의 다양성을 편견없이 수용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타 학문 및
E 타 학문과의 팀워크 형성 역량
타 구성원과의 팀워크형성 역량
융합적 지식인
공동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도우며 끊임없이 의사소통을 하는
F 타 학문과의 팀프로젝트 수행 역량
협업 학습을 통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A F A 10004 산림환경자원학개론 3 3 0 10 10 10 10 30 30
1-2 전선 A W A 00007 환경재료과학개론 3 3 0 20 10 30 30 5 5
2,3,4
동하계 전선 A F A 40082 산림환경자원현장실습 1 ( 3 0 4주 ) 20 10 30 30 5 5
2-1 전필 A F A 20002 산림보호학 3 3 0 20 20 20 20 10 10
전필 A F A 20005 산림식물학 2 2 0 20 20 10 10 20 20 ◎◇
전필 A F A 20076 산림식물학실습 1 0 2 20 20 10 10 20 20 ◎◇
전필 A F A 30053 임목육종학 3 3 0 30 20 20 10 10 10 ◎
전선 A F A 20007 조림학 2 2 0 20 30 10 10 15 15 ◎◇
전선 A F A 20012 산림지리정보학 2 2 0 20 20 10 10 20 20 ◎
전선 A F A 20078 조림학실습 1 0 2 20 30 10 10 15 15 ◎◇
전선 A F A 20081 산림지리정보학실습 1 0 2 20 20 10 10 20 20 ◎
2-2 전필 A F A 20001 산림측량학 2 2 0 10 10 20 20 20 20
전필 A F A 20004 조경계획학 3 3 0 20 15 10 15 20 20 ◎
전필 A F A 20074 산림측량학실습 1 0 2 10 10 20 20 20 20
식물자원 . 조경논리
전선 A G A 00023 2 2 0 10 10 15 15 30 20 □
및논술교육
전선 A F A 20003 산림생태학 2 2 0 10 10 15 15 30 20
전선 A F A 20011 수목생리학 2 2 0 30 20 20 10 10 10
전선 A F A 20013 산림토양학 3 3 0 10 10 10 10 30 30
전선 A F A 20073 산림자원경제학 3 3 0 20 20 20 20 10 10

경상대학교 179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A F A 20075 산림생태학실습 1 0 2 10 10 15 15 30 20
전선 A F A 20080 수목생리학실습 1 0 2 30 20 20 10 10 10
3 , 4-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20 10 30 30 5 5
동하계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15 15 15 20 15 2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15 15 15 20 15 20
3,4-1,2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15 15 15 20 15 20
3-1 전필 A F A 30002 산림자원경영학 2 2 0 20 20 20 20 10 10
전필 A F A 30078 산림자원경영학실습 1 0 2 20 20 20 20 10 10
전선 A F A 30004 산림환경보전공학 2 2 0 30 30 10 20 5 5
전선 A F A 30005 산림휴양학 2 2 0 10 10 30 30 10 10
전선 A F A 30008 산림병해충학 2 2 0 20 20 20 20 10 10
전선 A F A 30051 조경설계및시공 2 2 0 20 15 10 15 20 20 ◎
전선 A F A 30080 산림환경보전공학실습 1 0 2 30 30 10 20 5 5
전선 A F A 00004 산림휴양학실습 1 0 1 10 10 30 30 10 10
전선 A F A 30084 조경설계및시공실습 1 0 2 20 15 10 15 20 20 ◎
전선 A F A 30085 산림해충학실습 1 0 1 20 20 20 20 10 10
3-2 전필 A F A 30072 산림자원정책학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A G A 00045 식물자원 .조경교과교육론 3 3 0 20 30 10 20 10 10 □
전선 A F A 30001 산림자원측정학 2 2 0 20 30 20 10 10 10 ◇
전선 A F A 30003 산림토목학 2 2 0 20 30 10 20 10 10
전선 A F A 00005 수목병리학 2 2 0 20 20 10 15 15 20
전선 A F A 30077 산림자원측정학실습 1 0 2 20 30 20 10 10 10 ◇
전선 A F A 30079 산림토목학실습 1 0 2 20 30 10 20 10 10
전선 A F A 00006 수목병리학실습 1 0 1 20 20 10 15 15 20
전선 A F A 40079 조경배식학 3 3 0 30 20 15 15 10 10
4-1 전선 식물자원 . 조경교재연구및 3 3 0 20 20 10 20 15 15 □
A G A 00056
지도법
전선
A F A 20009 산림생물공학 2 2 0 20 20 10 10 20 20
전선
A F A 20079 산림생물공학실습 1 0 2 20 20 10 10 20 20
전선
A F A 40002 도시임업 3 3 0 20 20 10 20 15 15
전선
A F A 40005 국제임업 2 2 0 10 20 10 10 25 25
전선
A F A 40073 임업기계학 3 3 0 15 15 20 20 15 15
전선
A F A 40083 학술림종합실습 1 0 2 15 20 20 20 15 10
4-2 전선
A F A 00002 창의적산림자원종합설계 1 0 2 30 20 15 15 10 10
전선
A F A 40003 산림유전자원학 3 3 0 20 30 10 10 10 20 ◎
전선
A F A 40004 산림자원평가학 3 3 0 20 20 10 20 15 15
전선 A F A 00007 산림미생물자원학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20 10 30 30 5 5
계 전공필수 21 전공선택 81 (48 ) 102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농업식물과학과 2 A G A 00002 실험통계학및실습 S t a t i s t i cs f o r Expe r i men t a t i on & 3-2-2
P r ac t i ce
식품자원경제학과 1 A S A 00005 식품자원경제학개론 Int roduct ion to Food and Resource Econom ics 3-3-0

18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법과대학

□ 환경산림과학부(환경재료과학전공)
 교육목표

◦미래에 도전하고 소통에 강한 융 · 복합 글로벌 창의 인재 양성

 인재상

◦도전하는 창의인 ◦소통하는 협력인 ◦융합형 글로벌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도전정신 끊임없이 도전하고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인재 양성
도전하는 창의인
B 독창성 및 혁신성 독창성 및 혁신성을 가지고 개척도전 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 양성
C 소통능력 타인과 소통하고 공감하는 사회적 인재 양성
소통하는 협력인
D 팀워크 역량 공동의 문제해결을 위해 탐구하고 조직에 필요한 인재 양성
E 융복합기술 학문 및 기술의 융복합에 따른 차세대 핵심 인재 양성
융합형 글로벌인
F 외국어능력 국제화에 부응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A F A 10004 산림환경자원학개론 3 3 0 50 10 10 10 10 10 ◇
1-2 전선 A W A 00007 환경재료과학개론 3 3 0 50 10 10 10 10 10 ◇
2-1 전필 A W A 20032 산림화학 2 2 0 20 20 20 10 20 10
전필 A W A 00009 산림화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 0 2 20 10 30 30 10 0
전선 A W A 20028 목재조직학 2 2 0 20 20 20 10 10 20
전선 A W A 20075 목재조직학실험 1 0 2 10 10 30 30 10 10
전선 A W A 20034 가구와 CAD 2 2 0 20 20 10 10 20 20
전선 A W A 00011 가구와 CAD실습및어드벤처디자인 1 0 2 20 30 10 30 10 0
전선 A W A 20033 기초나노공학 2 2 0 20 20 10 10 20 20 ◇
전선 A W A 00013 기초나노공학실험및어드벤처디 1 0 2 20 20 10 20 20 10 ◇
자인
2-2 전필 A W A 20029 목재물리학 2 2 0 20 10 20 10 20 20
전필 A W A 00008 목재물리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 0 2 20 10 10 20 20 20
전선 A W A 20026 목재분석실험 2 0 4 30 10 10 30 10 10
전선 A W A 10015 분석화학 2 2 0 10 20 20 10 20 20
전선 A W A 00010 분석화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 0 2 10 20 10 20 20 20
전선 A W A 20035 가구재료및표현 2 2 0 20 30 10 10 10 20 ◇
전선 A W A 20078 가구재료및표현실습 1 0 2 20 40 10 10 10 10 ◇
전선 A W A 20031 목재가공학 2 2 0 20 10 20 20 10 20
전선 A W A 00012 목재가공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 0 2 10 20 20 20 20 10
3-1 전필 A W A 10018 펄프공학 2 2 0 20 20 10 10 20 20
전필 A W A 10076 펄프공학실험 1 0 2 20 10 20 20 30 0
전필 A W A 10034 가구디자인 2 2 0 20 30 10 10 20 10
전필 A W A 10091 가구디자인실습 1 0 2 20 30 10 20 10 10
전필 A W A 30039 목질복합재료학 2 2 0 10 10 20 20 20 20

경상대학교 181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필 A W A 30076 목질복합재료학실험 1 0 2 10 10 20 30 20 10
전선 A W A 10014 목재재료역학 2 2 0 20 10 20 20 10 20
전선 A W A 10073 목재재료역학실험 1 0 2 10 10 20 20 20 20
전선 A W A 10020 특수임산학 2 2 0 30 20 20 0 20 10
전선 A W A 10077 특수임산학실험 1 0 2 20 20 20 20 20 0
3-2 전필 A W A 10021 제지공학 2 2 0 20 20 10 0 30 20
전필 A W A 10078 제지공학실험 1 0 2 10 20 20 10 20 20
전선 A W A 10017 목재건조학 2 2 0 10 10 30 20 20 10
전선 A W A 10075 목재건조학실험 1 0 2 10 20 20 20 10 20
전선 A W A 30040 산림바이오매스학 2 2 0 20 20 20 10 20 10
전선 A W A 30077 산림바이오매스학실험 1 0 2 20 10 30 30 10 0
전선 A W A 30043 펄프제지공정론 2 2 0 20 20 10 10 20 20
전선 A W A 30081 펄프제지공정론실험 1 0 2 10 10 20 20 20 20
전선 A W A 30042 목재보존학 2 2 0 20 10 20 20 20 10
전선 A W A 30080 목재보존학실험 1 0 2 10 10 20 30 20 10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40 10 10 20 10 1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40 10 10 20 10 10
4-1 전선 A W A 00094 지류포장공학 2 2 0 30 10 10 10 30 10
전선 A W A 00095 지류포장공학및캡스톤디자인 1 0 2 10 20 20 20 30 0
전선 A W A 40057 D I Y가구와도장 2 2 0 20 20 10 20 10 20
전선 A W A 00001 D I Y 가구와도장실험및캡스톤디자인 1 0 2 30 30 10 20 10 0
전선 A W A 40054 목재접착 2 2 0 20 10 20 20 10 20
전선 A W A 00005 목재접착실험및캡스톤디자인 1 0 2 20 30 10 30 10 0
전선 A W A 10029 지류물성학 2 2 0 20 20 20 0 20 20
전선 A W A 00003 지류물성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1 0 2 10 10 10 30 20 20
4-2 전선 A W A 10026 목질개량학 2 2 0 30 30 10 0 10 20
전선 A W A 00002 목질개량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1 0 2 20 30 10 30 10 0
전선 A W A 00015 임산제조학캡스톤디자인 3 2 1 30 20 10 30 10 0
전선 A W A 40055 목조건축학 2 2 0 20 30 10 10 10 20
전선 A W A 40076 목조건축학실습 1 0 2 20 20 10 20 10 20
전선 A W A 00016 지류가공학 2 2 0 10 20 10 10 30 20
전선 AWA00014 지류가공학실험 1 0 1 10 10 20 30 20 10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10 10 20 30 20 10
계 전공필수 18 전공선택 68 (24 ) 86 (24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애그로시스템공학부
2 A MA 20083 생물산업 전기공학및실습 B i o/ I ndus t r y E l ec t r on i c Eng i nee r i ng And P r ac t i ce 3-2-2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1 E MA 20003 열역학 The r modynam i cs 3-3-0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P&P화학공학전공 3 , 4 학년 전 과목

18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법과대학

□ 농업식물과학과
 교육목표
◦미래농업의 가치를 창출할 전문 농업전문가 양성
◦농업작물의 체계적인 재배기술 , 유전육종 및 식물 -환경 상호작용에 대한 복합적인 이론과 응용 등 식물생산 연구의 종합적
/실용적인 교육과 연구
◦기초 및 활용 지식을 토대로 실제 산업에 적용되는 실용적인 학문을 배울 수 있고 , 유연하고 창의적 사고를 가지고 농업생
명산업에 대한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가진 인재 양성

 인재상
◦ (가치 도전형 인재 ) 전문화 되고 있는 사회 변화에 맞추어 전공분야의 지식을 철저히 습득하고 그 지식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인재
◦ (실무 밀착형 인재 ) 국제화 , 개방화 , 정보화 , 전문화 되고 있는 21세기의 시대적 환경 변화와 요구에 적응하기 위해 과감
하게 환경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인재
◦ (미래 개척형 인재 ) 농업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고 , 선진농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글로벌 농업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전공지식과 실무 역량을 바탕으로 다른 학문 분야와 융합하여 농촌사회에 필요한 새로
A 창의융합
운 가치를 창조하는 능력
가치 도전형 인재
변화하는 농산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변화를 주도하고 새로운 농산업 기술 수요를
B 도전정신
발굴하는 도전성
C 의사소통 농촌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농촌사회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의사 표현능력을 겸비
실무 밀착형 인재 전공에 기초한 통찰력으로 농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찾고 합리적 대안을 제시
D 문제해결
하는 의사결정 능력
농산업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나 능력을 스스로 발전시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E 자기주도
을 주도할 수 있는 능력
미래 개척형 인재
지역 농촌사회의 특성 및 문화 다양성을 수용하고 국가 간 협력 및 비즈니스 능력을
F 세계시민
갖춘 인재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 이 실 교과목 영문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1-1 전선 A G A 00001 식량 · 원예작물학개론 2 2 0 I n t r oduc t i on t o Food and Ho r t i cu l t u r a l C r op
Sc i ence
2 , 3 , 4- 전선 A G A 00066 농업식물과학현장실습 ( 3 0 4주) Ag r i cu l t u r a l P l an t Sc i ence F i e l d T r a i n i ng
동하계
전선 A G A 00078 원예학범론및실습 3 2 1 P r i nc i p l es o f Ho r t i cu l t u r e ◇◎
전선 A G A 00077 조원식물학및실습 3 2 1 Landscape P l an t s & P r ac t i ce
전선 A G A 00005 채소원예학및실습 3 2 2 Vege t ab l e C r op Sc i ence & P r ac t i ce ◎
전선 A G A 00008 작물생리학 3 3 0 C r op Phys i o l ogy ◇◎
전선 A G A 00009 농업유전학및실험 3 2 2 Ag r i cu l t u r a l Gene t i cs & Lab . ◎
2-1 전선 A G A 00010 농업생태학 3 3 0 Ag r oeco l ogy
전선 A G A 00011 지속농업 3 3 0 Sus t a i nab l e Ag r i cu l t u r e
전선 A G A 00012 농장실습 1 2 0 4 Fa r m P r ac t i ce I
전선 AGA00089 식물조직배양학 2 2 0 P l an t T i ssue Cu l t u r e
전선 AGA00090 식물조직배양학실험 1 0 2 P l an t T i ssue Cu l t u r e Lab .

경상대학교 183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전선 A G A 00079 원예작물육종학 3 3 0 Ho r t i cu l t u r a l C r op B r eed i ng ◎
2 , 3 , 4- 전선 A G A 00067 창의적농생명창업론 2 2 0 Bus i ness Found i ng f o r C r ea t i ve Ag r i cu l t u r e
하계 and L i f e Sc i ence
전선 A G A 00013 조원학 3 3 0 Landscape A r ch i t ec t u r e ◎
전선 A G A 00002 실험통계학및실습 3 2 2 S t a t i s t i cs f o r Expe r i men t a t i on & P r ac t i ce
전선 A G A 00014 원예작물생리학 3 3 0 Ho r t i cu l t u r a l C r op Phys i o l ogy ◎
전선 A G A 00016 시설원예학및실습 3 2 2 P r o t ec t ed Ho r t i cu l t u r e & P r ac t i ce
전선 A G A 00076 식물번식학및실습 3 2 1 P l an t P r opaga t i on & P r ac t i ce
2-2 전선 A G A 00018 화훼디자인학 2 2 0 F l o r a l Des i gn
전선 A G A 00082 재배학및실습 3 2 2 C r op Managemen t &P r ac t i ce ◇◎
전선 A G A 00020 농장실습 2 2 0 4 Fa r m P r ac t i ce I I
전선 A G A 00021 사료작물학 2 2 0 Fo r age C r ops
식물자원 · 조경논리및논술교 P l an t Resou r ces & Landscap i ng Log i c and
전선 A G A 00023 육 2 2 0 S t a t emen t Educa t i on □
전선 A G A 00032 공예작물학및실습 3 2 2 I ndus t r i a l C r ops & P r ac t i ce
3 , 4-
1,2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전선 A G A 00075 화훼원예학및실습 3 2 1 F l o r i cu l t u r e & P r ac t i ce ◎
전선 A G A 00025 과수원예학및실습 3 2 2 F r u i t Sc i ence & P r ac t i ce
전선 A G A 00026 채소작물학 2 2 0 Vege t ab l e C r ops
전선 A G A 00027 지피식물학 2 2 0 G r ound Cove r P l an t s
Labo r a t o r y i n Ho r t i cu l t u r a l Mo l ecu l a r
전선 A G A 0 0 0 9 2 원예분자육종실험 PBL 3 0 3
B r eed i ng based on PBL
3-1 전선 A G A 00029 온실관리및경영학 2 2 0 G r eenhouse Con t r o l and Managemen t
전선 A G A 00030 작물육종학및실습 1 3 2 2 P l an t B r eed i ng & P r ac t i ce I ◎
전선 A G A 00083 수도작및실습 3 2 1 R i ce Sc i ence&P r ac t i ce ◎
전선 A GA000 94 약용작물학및실습 3 2 2 Med i c i na l C r ops & P r ac t i ce
전선 A G A 00033 종자학및실험 3 2 2 Seed Sc i ence & Techno l ogy
전선 A G A 00071 작물생명과학기초 2 2 0 Bas i cs o f C r op L i f e Sc i ence
전선 A G A 00068 연구실체험 1 1 0 2 P r ac t i ces Lab . i n Ho r t i cu l t u r e Sc i ence 1
Labo r a t o r y i n Ho r t i cu l t u r a l B i o t echno l ogy
전선 A G A 0 0 0 9 3 원예생명공학실험 PBL 3 0 3
based on PBL
전선 A G A 00036 원예작물재배학및실습 3 2 2 Ho r t i cu l t u r a l C r op Cu l t i va t i on & P r ac t i ce ◎
전선 A G A 00037 과수작물학및실습 3 2 2 F r u i t C r ops & P r ac t i ce
전선 A G A 00038 식물공장론 2 2 0 P l an t Fac t o r y
전선 A G A 00039 원예치료학및실습 3 2 2 Ho r t i cu l t u r a l The r apy & P r ac t i ce
전선 A G A 00040 전작및실습 3 2 2 Up l and C r op Sc i ence & P r ac t i ce
전선 A G A 00041 작물육종학및실습 2 3 3 0 P l an t B r eed i ng & P r ac t i ce I I
3-2 전선 A G A 00084 수도작실습 2 2 0 2 R i ce Sc i ence P r ac t i ce2
전선 A GA000 96 약용작물학 2 2 2 0 Med i c i na l C r ops2
전선 A G A 00043 작물분자유전학 3 3 0 C r op Mo l ecu l a r Gene t i cs
3-2
전선 A G A 00044 작물분자유전학실험 2 0 4 C r op Mo l ecu l a r Gene t i cs & Lab .
전선 A G A 00045 식물자원 · 조경교과교육론 3 3 0 P l an t Resou r ces & Landscap i ng Educa t i on i n □
Sub j ec t Ma t t e r
전선 A G A 00069 연구실체험 2 1 0 2 P r ac t i ces Lab . i n Ho r t i cu l t u r e Sc i ence 2
전선 A G A 00073 작물연구 1 1 0 2 C r op r esea r ch1
전선 A G A 00091 원예생명과학기초 3 3 0 I n t r oduc t i on o f Ho r t i cu l t u r e L i f e Sc i ence
3 . 4-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 6 0 8주) F i e l d T r a i n i ng 2
동하계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F i e l d T r a i n i ng 3
전선 A G A 00046 원예작물수확후생리학 3 3 0 Pos t ha r ves t Phys i o l ogy o f Ho r t i cu l t u r a l
C r ops
4-1
전선 A G A 00048 수경재배학및실습 3 2 2 Hyd r opo n i cs & P r ac t i ce

18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법과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전선 A G A 00049 기능성채소 2 2 0 Func t i ona l Vege t ab l es
전선 A G A 00050 작물생명공학 3 3 0 C r op B i o t echno l ogy ◎
전선 A G A 00051 작물생명공학실험 2 0 4 C r op B i o t echno l ogy Lab . ◎
전선 A G A 00052 종자생산학 3 3 0 Seed P r oduc t i on
전선 A G A 00053 작물대사학 3 3 0 Me t abo l i sm o f C r op P l an t s
전선 A G A 00055 전작 2 2 2 0 Up l and C r ops Sc i ence I I
전선 식물자원 · 조경교재연구및지 3 3 0 P l an t Resou r ces & Landscap i ng s t udy i n
A G A 00056 Sub j ec t Ma t t e r and Teach i ng Me t hod □
도법
Advanced P r ac t i ces Lab . i n Ho r t i cu l t u r e
전선 A G A 00070 연구실심화 1 0 2 Sc i ence
전선 A G A 00074 작물연구 2 1 0 2 C r op r esea r ch2
전선 A G A 0 0 0 9 7 PBL기반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2 0 4 C r op T i ssue Cu l t u r e & Lab . on PBL
전선 A G A 00058 도시농업학 2 2 0 U r ban Ag r i cu l t u r e
전선 2 2 0 Pos t ha r ves t Managemen t o f Ho r t i cu l t u r a l
A G A 00059 원예산물수확후관리학 P r oduc t s
4-2 전선 A G A 00060 기능성과수 2 2 0 Func t i ona l F r u i t s
전선 A G A 00061 국제농업 3 3 0 Ag r i cu l t u r e i n I n t e r na t i ona l Re l a t i ons
전선 A G A 00062 양곡학 2 2 0 Ce r ea l Sc i ence & Chem i s t r y
Caps t one Des i gn o f Food and Ho r t i cu l t u r a l
전선 A G A 00065 식량 · 원예작물학종합설계 1 0 2
c r op sc i ence
계 전공필수 0 전공선택 169 ( 66 ) 169 ( 66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식물의학과 1 A B A 00003 응용곤충학실습 P r ac t i ce on I nsec t s 1-0-2
식물의학과 1 A B A 00099 식물의학총론 Ⅰ Gene r a l P l an t Med i c i ne Ⅰ 2-2-0
식물의학과 1 A B A 00100 식물의학총론 Ⅱ Gene r a l P l an t Med i c i ne Ⅱ 3-3-0
식물의학과 1 A B A 00101 식물의학총론 Ⅲ Gene r a l P l an t Med i c i ne Ⅲ 2-2-0
식물의학과 1 A B A 20012 응용곤충학 App l i ed En t omo l ogy 2-2-0
식물의학과 1 A B A 20096 식물병리학총론 P l an t Pa t ho l ogy 3-3-0
식물의학과 2 A B A 30098 식물검역론 P l an t Qua r an t i ne 2-2-0
농화학식품공학과 2 A X A 00002 생물유기화학 O r gan i c Chem i s t r y f o r B i osc i ence 3-3-0
농화학식품공학과 2 A X A 00016 토양학 So i l Sc i ence 3-3-0
농화학식품공학과 2 A X A 00018 생화학실험 Expe r i men t a l B i ochem i s t r y 2-0-4
농화학식품공학과 2 A X A 00038 비료학종합설계 Fe r t i l i ze r Caps t one Des i gn 3-2-2
농화학식품공학과 2 A X A 00039 농약학 Ag r i cu l t u r a l Chem i ca l s 3-3-0
농화학식품공학과 2 A X A 00041 환경과학 Env i r onmen t a l Sc i ence 3-3-0
환경산림과학부 2 A F A 20004 조경계획학 Landscape P l ann i ng 3-3-0
산림환경자원학전공
식품자원경제학과 1 A S A 20015 농업경영학 Fa r m Managemen t 3-3-0

경상대학교 185
2020학년도 교육과정

 농화학식품공학과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구분
I n t r oduc t i on t o Ag r i cu l t u r a l Chem i s t r y and
전선 A X A 00001 농화학식품공학개론 2-2-0
1-2 Food Sc i ence
전선 A X A 00002 생물유기화학 O r gan i c Chem i s t r y f o r B i osc i ence 3-3-0
전선 A X A 00003 식품분석학및실험 1 Food Ana l ys i s & Lab . 1 3-2-2
전선 A X A 00004 식품화학및실험 1 Food Chem i s t r y & Lab . 1 3-2-2 ◎
전선 A X A 00005 식품공학및실험 Food Eng i nee r i ng & Lab . 3-2-2
전선 A X A 00006 분석화학 Ana l y t i ca l Chem i s t r y 3-3-0 ◇
2-1
전선 A X A 00008 식물생리학 P l an t Phys i o l ogy 3-3-0
전선 A X A 00009 생명유기화학 O r gan i c Chem i s t r y f o r Ag r ob i o t echno l ogy 3-3-0
전선 A X A 00020 식품위생학및실험 Food Hyg i en i cs & Lab . 3-2-2 ◎
전선 A X A 00080 생화학 1 B i ochem i s t r y 1 3-3-0 ◇
전선 A X A 00010 식품공정공학및실험 Food P r ocess Eng i nee r i ng and Lab . 3-2-2 ◎
전선 A X A 00011 기능성식품학 Func t i ona l Food s 3-3-0 ◎
전선 A X A 00012 식품분석학및실험 2 Food Ana l ys i s & Lab . 2 3-2-2
전선 A X A 00013 응용미생물학 App l i ed M i c r ob i o l ogy 3-3-0 ◇
전선 A X A 00014 식품화학 2 Food Chem i s t r y 2 3-3-0
2-2 전선 A X A 00016 토양학 So i l Sc i ence 3-3-0
전선 A X A 00019 유기 ․분석화학실험 O r gan i c & Ana l y t i ca l Chem i s t r y Lab . 2-0-4
전선 A X A 00064 수산식품가공학 Sea f ood P r ocess i ng 3-3-0
전선 A X A 00065 산업미생물학 1 I ndus t r i a l M i c r ob i o l ogy 1 3-3-0
전선 A X A 00081 생화학 2 B i ochem i s t r y 2 3-3-0
전선 A X A 00086 생화학실험 PBL B i ochem i s t r y LAB PBL 2-0-4
전선 A X A 00021 식량가공학및실험 Food P r ocess i ng & Lab . 3-2-2 ◎
전선 A X A 00022 식품미생물학및실험 Food m i c r ob i o l ogy and Lab . 3-2-2 ◎
전선 A X A 00023 식품생화학 Food B i ochem i s t r y 3-3-0
전선 A X A 00024 미생물대사학 Me t abo l i t es o f M i c r obes 3-3-0
전선 A X A 00025 식품신소재학 Food New Ma t e r i a l s 3-3-0
3-1 전선 A X A 00026 식품가공논리및논술교육 Food P rocess i ng Log i c and S t a temen t Educa t i on 2-2-0 □
전선 A X A 00027 토양학종합설계 So i l Sc i ence Caps t one Des i gn 3-2-2
전선 A X A 00028 식물영양화학 P l an t Nu t r i t i on Chem i s t r y 3-3-0
전선 A X A 00066 분자유전학및실험 Mo l ecu l a r Gene t i cs and Lab . 3-2-2
전선 A X A 00067 산업미생물학 2 I ndus t r i a l M i c r ob i o l ogy 2 3-3-0
전선 A X A 00068 미생물학실험 M i c r ob i o l ogy Lab . 2-0-4
전선 A X A 00031 세포생물학 Ce l l B i o l ogy 3-3-0
전선 A X A 00032 발효공학및실험 Fe r men t a t i on Eng i nee r i ng and Lab . 3-2-2 ◎
전선 A X A 00033 효소학 Enzymo l ogy 3-3-0
전선 A X A 00034 식품물성학 Phys i ca l P r ope r t i es o f Food 3-3-0
전선 A X A 00035 원예가공학및실험 Ho r t i cu l t u r e P r ocess i ng & Lab . 3-2-2
전선 A X A 00036 영양화학 Nu t r i t i ona l B i ochem i s t r y 3-3-0
3-2
전선 A X A 00037 식품가공교과교육론 Theo r y o f Food P r ocess i ng Educa t i on 3-3-0 □
전선 A X A 00038 비료학종합설계 Fe r t i l i ze r Caps t one Des i gn 3-2-2
전선 A X A 00039 농약학 Ag r i cu l t u r a l Chem i ca l s 3-3-0
전선 A X A 00045 식품위생법규 Law o f Food San i t a t i on 3-3-0
전선 A X A 00069 환경생태복원학 Env i r onmen t a l Eco l ogy 3-3-0
전선 A X A 00087 기기분석학및실험 PBL I ns t r umen t a l Ana l ys i s PBL 3-2-2
전선 A X A 00061 농화학식품공학현장실습 1 Agr icu l tura l Chem ist ry and Food Sc ience Pract ices 1 (1-0-2주)
3 , 4- 전선 A X A 00062 농화학식품공학현장실습 2 Agr icu l tura l Chem ist ry and Food Sc ience Pract ices 2 (3-0-4주)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18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법과대학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구분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전선 A X A 00015 HACCP학 I n t r oduc t i on on HACCP 3-3-0
전선 A X A 00043 식품종합설계 1 Food caps t one des i gn1 3-2-2
전선 A X A 00044 분자생물학 Mo l ecu l a r b i o l ogy 3-3-0
전선 A X A 00046 식품생물공학 Food B i ochem i ca l Eng i nee r i ng 3-3-0
전선 A X A 00047 식품저장학 Food P r ese r va t i on 3-3-0
전선 A X A 00048 축산가공학 M i l k & Mea t P r ocess i ng 3-3-0
4-1 S t ud i es i n Food P r ocess i ng Teach i ng
전선 A X A 00049 식품가공교재연구및지도법 3-3-0 □
Ma t e r i a l s and Me t hod
전선 A X A 00052 농업환경화학 Ag r i cu l t u r a l Env i r onmen t a l Chem i s t r y 2-2-0
전선 A X A 00071 환경화학실습 Env i r onmen t a l Chem i s t r y P r ac t i ces 2-0-4
전선 A X A 00072 농약화학및실험 P r ac t i ca l Pes t i c i de Chem i s t r y 3-2-2
전선 A X A 00073 대사공학 Me t abo l i c Eng i nee r i ng 3-3-0
전선 A X A 00075 생명공학 B i o t echno l ogy 3-3-0
전선 A G A 00082 재배학및실습 C r op Managemen t & P r ac t i ce 3-2-2
전선 A X A 00056 식품면역학 Food I mmuno l ogy 3-3-0
전선 A X A 00059 환경공학 Env i r onmen t a l Eng i nee r i ng 3-3-0
4-2 전선 A X A 00063 식품산업연구 Food I ndus t r y Resea r ch 1-0-2
전선 A X A 00074 생물발효화학 Fe r men t a t i on Chem i s t r y 3-3-0
전선 A X A 00084 환경생명화학종합설계 App l i ed L i f e Chem i s t r y Caps t one Des i gn 1-0-2
전선 A X A 00085 GAP종합설계 GAP Caps t one Des i gn 2-0-4
4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177 (49 ) 177 (49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축산생명학과 2 ATA00087 유식품미생물학 Da i r y Food M i c r ob i o l ogy 3-3-0
축산생명학과 2 ATA00080 육가공학 Mea t P r ocess i ng 2-2-0
축산생명학과 2 ATA00081 육가공학실습 Mea t P r ocess i ng Lab . 1-0-2
식품자원경제학과 2 ASA30029 농식품유통론 Ag r o/ f ood Ma r ke t i ng 3-3-0

농업식물과학과 2 AGA00002 실험통계학및실습 S t a t i s t i cs f o r Expe r i men t a t i on & 3-2-2


P r ac t i ce
식물의학과 1 ABA20096 식물병리학총론 P l an t Pa t ho l ogy 3-3-0

농업식물과학과 하계 AGA00067 창의적농생명창업론 Bus i ness Found i ng f o r C r ea t i ve 2-2-0


Ag r i cu l t u r e and L i f e Sc i ence

경상대학교 187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식물의학과
 교육목표
◦스스로 미래를 개척하는 차세대 인재 양성 ◦창의적 · 도전적 농생명 현장 중심 인재 양성
◦소통과 협력의 가치를 추구하는 융합형 인재 양성

 인재상
◦끊임없이 노력하고 도전하는 혁신 인재 ◦봉사와 소통을 통한 공동체 헌신 인재
◦세계를 대상으로 미래를 펼치는 개척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이해와 포용
A 소통 협력과 상호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발전적 관계를 구축하는역량
-공감과 협력
헌신인재
-이타심과 지역
B 봉사 다양한 사회 계층을 수용하고 배려하는 역량
-공동체
-진취성
C 도전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고 합리적으로 노력하는 역량
-의사결정과 실천
혁신인재
-통합사고
D 창의 기존의 틀을 넘어 통합적 사고 기반 가치창출 역량
-합리적의사결정
-발전적 가치
E 자기주도 끊임없이 자기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역량
-자기관리
개척인재
F 리더쉽 집단의 목표를 위해 스스로 헌신하는 역량 -솔선수범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A B A 10000 곤충과인간 2 2 0 20 20 10 20 10 20
1-2 전선 A B A 00027 식물의학콜로퀴움 2 2 0 20 20 10 10 20 20
2-1 전필 A B A 00004 잡초방제학실습 1 0 2 15 15 15 15 20 20 ◇
전필 A B A 00015 잡초방제학 2 2 0 15 15 20 20 15 15 ◇
전필 A B A 20013 응용생화학 3 3 0 10 10 20 30 15 15
전선 A G A 00008 작물생리학 3 3 0 10 15 25 20 20 10
전선 A B A 00001 미생물학 2 2 0 10 10 20 20 20 20
전선 A B A 00002 미생물학실험 1 0 2 10 10 20 20 20 20
전선 A B A 00003 응용곤충학실습 1 0 2 10 10 20 20 30 10
전선 A B A 20012 응용곤충학 2 2 0 20 20 10 20 10 20
전선 A B A 20096 식물병리학총론 3 3 0 10 20 25 20 15 10
2-2 전필 A B A 00019 식물진균병리학 2 2 0 10 10 30 20 20 10 ◇
전필 A B A 00020 식물진균병리학실험 1 0 2 20 20 10 20 20 10 ◇
전필 A B A 20010 곤충분류학 2 2 0 15 15 20 20 15 15 ◇
전필 A B A 20073 곤충분류학실험 1 0 2 15 15 20 20 15 15 ◇
전선 A B A 00107 식물의학통계분석 3 3 0 20 10 20 20 10 20
전선 AGA00002 실험통계학및실습 3 2 2 20 20 30 10 10 10
전선 A B A 00011 산업곤충학 3 3 0 20 10 20 20 20 10
전선 A B A 00025 환경과작물 3 3 0 10 10 25 25 15 15
전선 A B A 20014 분자생물학개론 3 3 0 10 10 20 30 15 15
전선 A X A 00016 토양학 3 3 0 10 10 30 10 20 20

18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법과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 , 4-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30 30 10 10 10 10
동하계 전선 A B A 40071 응용생물현장실습 (3 0 4주 ) 30 30 10 10 10 10
3-1 전필 A B A 30023 곤충생태학 2 2 0 20 10 20 20 10 20
전필 A B A 30073 곤충생태학실험 1 0 2 20 10 20 20 20 10
전선 A B A 00018 세균유전학 2 2 0 10 10 20 20 20 20
전선 ABA00104 잔디병해충학 3 3 0 20 15 15 20 15 15
전선 A B A 30095 선충학 3 3 0 15 15 20 20 15 15
전선 A B A 00099 식물의학총론 Ⅰ 2 2 0 10 10 20 20 20 20
전선 A B A 30005 식물바이러스학 3 3 0 10 10 25 25 15 15
전선 A B A 00108 식물의학연구체험 1 0 2 20 20 10 10 20 20
3-2 전필 A B A 30021 식물세균학 2 2 0 10 10 20 20 20 20
전필 A B A 30072 식물세균학실험 1 0 2 10 10 20 20 20 20
전필 A B A 40013 곤충생리학 2 2 0 20 10 20 10 20 20
전필 A B A 40070 곤충생리학실험 1 0 2 10 10 20 20 30 10
전선 A B A 00005 곤충생명공학실험 1 0 2 15 15 20 10 20 20
전선 A B A 00016 곤충생명공학 2 2 0 15 15 20 10 20 20
전선 A B A 20070 살충제생물검정실습 2 0 4 20 10 20 20 20 10
전선 A B A 00100 식물의학총론 Ⅱ 3 3 0 10 10 15 15 25 25
전선 A B A 00109 수목해충학 3 3 0 20 15 15 15 20 15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30 30 10 10 10 1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30 30 10 10 10 10
4-동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 3 0 4주 ) 30 30 10 10 10 10
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 6 0 8주 ) 30 30 10 10 10 10
4-1 전선 A B A 00101 식물의학총론 Ⅲ 2 2 0 20 10 20 20 20 10
전선 A B A 00102 식물해부학 3 3 0 15 15 20 10 20 20
전선 A B A 00006 식물유용미생물학 2 2 0 20 10 10 20 20 20
전선 A B A 00008 식물보호종합설계 2 2 0 10 10 30 20 10 20
전선 A B A 00106 해충방제원리 2 2 0 20 10 20 20 10 20
전선 A B A 00110 생물안보론 2 2 0 20 15 20 15 15 15
4-2 전선 A B A 00026 식물병원인턴쉽 2 0 2 20 20 10 10 20 20
전선 A B A 40018 환경위생곤충학 2 2 0 20 10 20 20 20 10
전선 A B A 00111 과학적논문작성법 2 2 0 20 10 10 20 30 10
계 전공필수 21 전공선택 78 (48 ) 99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농업식물과학과 2 AGA00085 약용작물학실습 Med i c i na l C r ops & P r ac t i ce 2-0-2
농화학식품공학과 2 AXA00002 생물유기화학 O r gan i c Chem i s t r y f o r B i osc i ence 3-3-0
농화학식품공학과 2 AXA00039 농약학 Ag r i cu l t u r a l Chem i ca l s 3-3-0
농업식물과학과 2 AGA00036 원예작물재배학및실습 Ho r t i cu l t u r a l C r op Cu l t i va t i on & P r ac t i ce 3-2-2
식품자원경제학과 1 ASA20015 농업경영학 Fa r m Managemen t 3-3-0
농업식물과학과 하계 AGA00067 창의적농생명창업론 Bus i ness Found i ng f o r C r ea t i ve Ag r i cu l t u r e 2-2-0
and L i f e Sc i ence

경상대학교 189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축산생명학과
 교육목표

◦21세기 첨단 동물산업분야에 있어서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우수한 인력의 양성

 인재상
◦동물산업분야를 개척정신을 기반으로 이끌어갈 실무인력
◦21세기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동물산업분야 발전을 위한 연구인력
◦영농산업에 필수적인 지식과 실무교육을 통한 미래영농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대화와 소통을 통하여 협력을 통한 업무 -축산 컨설턴트의 자질
A 문제해결 능력
동물산업분야를 개척정신을 를 추진할 수 있는 역량 -협력업무의 대처능력
기반으로 이끌어갈 실무인력 미래 지향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도전을 -축산업의 신기술 지식
B 전문기술
통해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역량 -실무 업무 처리 기술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연구를 수행 -계획수립 및 이행 능력
C 자기주도
21 세기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역량 -연구 기획 기술
한 동물산업분야 발전을 위한 다분야의 전문 지식들을 융합하여 새로운
-축산 융복합 I CT 기술
연구인력 D 융합사고 것을 창출해 낼수 있으며 , 융 ,복합 시너지
-다양한 학문 지식
를 극대화 해내는 사고방식
-농업 경영 및 경제 현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지향
E 미래지향적 태도 황 지식
영농산업에 필수적인 지식과 적으로 산업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역량
-실무실습 수행 기술
실무교육을 통한 미래영농 산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경험과 기술들을
업을 이끌어갈 인재 -사업계획서 작성 능력
F 실천능력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산업에 활용
-산업환경의 변화 지식
할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수번 학 이 실 전공역량(% )
학기 구분 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1-1 전필 ATA00001 축산생명학개론 1 2 2 0 0 0 30 50 20 0
1-2 전필 ATA00002 축산생명학개론 2 2 2 0 0 0 30 50 20 0
2 , 3 , 4- 0 0 0 20 30 50
전선 EZA30071 현장실습 1 ( 3 0 4주 )
동하계
전선 ATA00003 동물생식세포학 2 2 0 20 20 20 20 20 0 ◎
전선 ATA00017 유식품화학및실험 3 2 2 20 20 10 20 10 20
전선 ATA00005 동물생식세포학실험 1 0 2 0 40 0 20 0 40 ◎
전선 ATA00088 생물통계학및실습 3 2 2 20 20 10 20 10 20
전선 ATA00008 생화학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ATA00009 목초생리생화학 2 2 0 20 20 20 20 20 0
2-1
전선 ATA00010 목초생리생화학실습 1 0 2 0 40 0 20 0 40
전선 ATA00011 동물번식생리학 2 2 0 0 30 0 40 30 0 ◎
전선 ATA00012 동물영양학 1 3 3 0 30 40 30 0 0 0 ◎◇
전선 ATA00013 동물번식생리학실습 1 0 2 20 40 0 0 0 40 ◎
전선 ATA00014 동물유전학 3 3 0 30 40 30 0 0 0
전선 ATA00015 근육생물학 3 3 0 30 40 0 30 0 0
2-2 전선 ATA00087 유식품미생물학 3 3 0 20 20 20 20 20 0

19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법과대학

학년 이수 학수번 학이 실 전공역량(% )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호 점론 기 A B C D E F
전선 ATA00004 반추동물영양생리학 2 2 0 20 20 20 20 20 0 ◎
전선 ATA00006 반추동물영양생리학실험 1 0 2 0 40 0 20 0 40 ◎
전선 ATA00084 동물유전정보학및실습 3 2 2 20 20 10 20 10 20
전선 ATA00018 사료공학 2 2 0 20 20 20 20 20 0 ◎
전선 ATA00019 동물분자세포생물학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ATA00020 사료공학실습 1 0 2 0 40 0 20 0 40 ◎
전선 ATA00021 초지학총론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ATA00022 동물해부생리학 3 3 0 10 50 0 40 0 0
전선 ATA00023 식육과학 2 2 0 0 30 30 30 10 0 ◎
전선 ATA00024 식육과학실습 1 0 2 40 0 0 0 20 40 ◎
전선 ATA00025 동물영양학 2실습 1 0 2 40 0 0 0 20 40
전선 ATA00026 동물영양학 2 2 2 0 0 30 30 30 10 0
전선 ATA00027 응용동물번식학 3 3 0 10 40 20 0 30 0
전선 ATA00028 축산식품위생안전학 3 3 0 0 40 30 0 30 0
전선 ATA00029 동물실험통계학 2 2 0 10 40 0 0 0 50
전선 ATA00030 동물실험통계학실습 1 0 2 50 10 0 0 0 40
3 , 4- 0 0 0 20 30 50
전선 EZA30072 현장실습 2 ( 6 0 8주 )
동하계
전선 ATA00031 사료작물자원공학 2 2 0 20 20 20 20 20 0 ◎
전선 ATA00032 사료작물자원공학실습 1 0 2 0 40 0 20 0 40 ◎
전선 ATA00033 동물발생생물학 2 2 0 20 20 20 20 20 0 ◇
전선 ATA00034 동물발생생물학실험 1 0 2 0 40 0 20 0 40 ◇
전선 ATA00085 반려동물유전학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ATA00036 반추미생물공학 2 2 0 20 20 20 20 20 0
전선 ATA00037 동물분자영양학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ATA00038 반추미생물공학실습 1 0 2 0 40 0 20 0 40
동물자원논리및논술교 20 20 20 20 20 0
3-1 전선 ATA00039 2 2 0 □

전선 ATA00040 응용동물질병학 3 3 0 20 20 20 20 20 0 ◎
전선 ATA00041 동물육종학 3 3 0 20 20 20 20 20 0 ◎◇
전선 ATA00042 동물시설환경학 2 2 0 20 30 30 0 20 0
전선 ATA00043 동물시설환경학실습 1 0 2 0 40 0 20 0 40
전선 ATA00044 신선육가공학 2 2 0 20 20 20 20 20 0
전선 ATA00045 신선육가공학실습 1 0 2 0 40 0 20 0 40
전선 ATA00046 동물사료자원학 2 2 0 30 0 30 0 40 0 ◎
전선 ATA00047 동물사료자원학실습 1 0 2 0 40 0 20 0 40 ◎
3-1 전선 ATA00055 졸업논문작성원론 2 2 0 30 0 30 40 0 0
전선 ATA00056 졸업논문작성원론실습 1 0 2 30 0 20 0 0 50
전선 ATA00050 동물내분비학 2 2 0 20 20 20 20 20 0
전선 ATA00051 동물내분비학실험 1 0 2 0 40 0 20 0 40
전선 ATA00052 동물자원교과교육론 3 3 0 20 20 20 20 20 0 □
전선 ATA00053 동물성장발달학 3 3 0 20 20 20 20 20 0 ◎
3-2 전선 ATA00054 유가공학및실험 3 2 2 20 20 10 20 10 20 ◎
전선 ATA00066 유우육종학 3 3 0 20 30 30 0 20 0
전선 ATA00057 축산캡스톤디자인 1 3 3 0 40 0 0 40 0 20

전선 ATA00058 동물생명공학 2 2 0 20 20 20 20 20 0 ◎

경상대학교 191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수번 학이 실 전공역량(% )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호 점론 기 A B C D E F
전선 ATA00059 동물생명공학실습 1 0 2 30 0 20 0 0 50 ◎
전선 ATA00061 동물산업경영학 3 3 0 10 0 30 30 30 0
전선 ATA00062 한우사육학 3 3 0 0 40 30 30 0 0
전선 ATA00064 가금자원과학 2 2 0 0 30 30 30 10 0
전선 ATA00065 가금자원과학 실습 1 0 2 0 40 0 20 0 40
전선 ATA00080 육가공학 2 2 0 0 10 30 30 30 0
전선 ATA00081 육가공학실습 1 0 2 40 20 0 0 0 40
전선 ATA00083 동물발생공학 3 3 0 0 0 0 40 40 20
전선 ATA00067 동물생명과학종합설계 1 2 0 0 20 20 20 20 20
전선 ATA00068 발효유식품학및실험 3 2 2 20 20 10 20 10 20
전선 ATA00069 동물생명과학연구및실습 3 0 6 20 20 10 20 10 20
전선 ATA00070 동물자원학현장실습 2 0 4 0 30 40 0 0 30
전선 ATA00071 낙농자원과학 3 3 0 20 20 20 20 20 0
4-1 전선 ATA00073 양돈과학 3 3 0 20 20 20 20 20 0
동물자원교재연구및지 0 0 40 20 40 0 □
전선 ATA00074 3 3 0
도법
전선 ATA00082 축산식품저장유통학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EZA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0 0 0 20 30 50
전선 EZA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0 0 0 20 30 50
전선 ATA00075 조사료생산이용학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ATA00086 동물유전체육종학 3 3 0 20 20 20 20 20 0
전선 ATA00077 유우관리학 2 2 0 20 20 20 20 20 0
4-2 전선 ATA00078 유우관리학실습 1 0 2 0 40 0 20 0 40
전선 ATA00079 동물복지학 3 3 0 30 0 10 30 30 0
전선 EZA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0 0 0 20 30 50
전선 EZA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0 0 0 20 30 50

계 전공필수 4 전공선택 167 (39 ) 171 (39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농화학식품공학과 2 AXA00002 생물유기화학 O r gan i c Chem i s t r y f o r B i osc i ence 3-3-0
농화학식품공학과 1 AXA00007 생화학 1 Gene r a l B i ochem i s t r y 1 3-3-0
농화학식품공학과 1 AXA00066 분자유전학및실험 Mo l ecu l a r Gene t i cs 3-2-2
농화학식품공학과 1 AXA00020 식품위생학및실험 Food Hyg i en i cs & Lab 3-2-2
농화학식품공학과 1 AXA00047 식품저장학 Food P r ese r va t i on 3-3-0
농화학식품공학과 1 AXA00015 HACCP학 I n t r oduc t i on on HACCP 3-3-0
농업식물과학과 2 AGA00002 실험통계학및실습 Stat ist ics for Exper imentat ion & Pract ice 3-2-2
식품자원경제학과 1 ASA00005 식품자원경제학개론 Int roduct ion to Food and Resource Econom ics 3-3-0

19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법과대학

□ 애그로시스템공학부(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교육목표

◦융합적 사고를 기반으로 농업 및 생명과학에 공학적 지식을 접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실무형 미래 창의인재 양성

 인재상

◦소통하는 협력인 ◦융합형 전문인 ◦ 도전하는 지식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공감하여 구성원들과 협력적 관계를 -이타적 사고
A 인성
만들 수 있는 능력 -상호협력
소통하는 협력인
문제 해결과정에서 필요한 관련 직업군과의 의견교환을 위한 -소통능력
B 의사소통
원활한 의사소통능력 -관련 직업군 이해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자원 활용
C 창의융합
유용한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통합사고
융합형전문인
-분석능력 증대
D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합리적 의사결정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진취성
E 도전정신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리더쉽
도전하는 지식인
변화하는 산업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끊임없는 자기개발과 학습 -자기개발 관리
F 자기개발
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 -환경변화 추이분석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2 전선 A E A 0 0 095 애그로시스템공학개론 2 2 0 10 20 10 20 20 20

전선 A M A 0 0 010 기초공학제도및실습 3 2 1 10 10 20 30 10 20
2-1 전선 E M A 2 0 003 열역학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A E A 2 0 024 정역학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A M A 0 0 013 캐드 &그래픽 1 3 0 3 10 10 20 20 20 20
전선 A M A 2 0 003 공학수학 1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A M A 0 0 012 기계공작법및실습 3 2 2 10 10 25 15 25 15 ◎
전선 E M A 2 0 011 기계재료학및실험 3 2 2 10 10 25 15 25 15
2-2 전선 A M A 0 0 011 생물산업어드벤처디자인 3 0 3 10 25 25 25 10 5
전선 A M A 2 0 019 고체역학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A E A 0 0 027 농공논리및논술교육 3 3 0 30 30 0 20 0 20 □
전선 A M A 2 0 004 공학수학 2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A M A 2 0 083 생물산업전기공학및실습 3 2 2 10 20 10 20 10 30

전선 E M A 2 0 004 동역학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E M A 3 0 003 유체역학 3 3 0 10 10 30 30 10 10 ◎
3- 전선 EZ A 3 0 071 현장실습 1 ( 3 0 4주 ) 15 20 10 20 20 15
동하계 전선 EZ A 3 0 072 현장실습 2 ( 6 0 8주 ) 15 20 10 20 20 15

경상대학교 193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선 A M A 0 0 006 작업기계공학및실습 3 2 2 10 10 25 15 25 15 ◎◇
전선 A M A 3 0 001 농업동력및실습 3 2 2 10 10 25 15 25 15 ◎◇
전선 A M A 0 0 002 생물기구및진동학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E V A 3 0 009 기계요소설계 3 3 0 10 10 15 35 10 20 ◎
전선 A M A 0 0 009 컴퓨터프로그래밍언어 3 2 2 10 10 30 30 10 10
3-2 전선 A M A 0 0 016 캐드 &그래픽 2 3 0 3 10 10 20 20 20 20
전선 A E A 3 0 040 농공교과교육론 3 3 0 30 30 0 20 0 20 □◎
전선 A M A 0 0 007 생물생산시스템공학및실습 3 2 2 10 10 25 15 25 15
전선 A M A 3 0 017 생물기계설계 3 3 0 10 10 30 30 10 10 ◎
전선 A M A 3 0 079 응용계측및실험 3 2 2 10 20 20 30 10 10
전선 A M A 4 0 013 트랙터공학및실습 3 2 2 10 10 25 15 25 15
전선 E M A 3 0 014 유체기계 3 3 0 10 10 30 30 10 10
4-1 , 2 전선 EZ A 4 0 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15 20 10 20 20 15
4-1 전선 A M A 0 0 001 캡스톤디자인 3 0 6 10 25 25 25 10 5
전선 A M A 0 0 003 생체시스템공학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A M A 0 0 005 농업정보공학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A M A 0 0 015 카티아실무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A M A 4 0 008 생물산업기계제어공학 3 3 0 10 10 20 30 10 20
전선 A M A 4 0 021 농공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30 30 0 20 0 20 □
전선 A M A 4 0 076 생물가공시스템공학및실습 3 2 2 10 10 25 15 25 15 ◎◇
4-2 전선 A M A 0 0 004 바이오매스및자연에너지공학 3 3 0 10 10 25 25 25 5
전선 A M A 4 0 005 공기조화및열관리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A M A 4 0 009 생물산업로봇공학 3 3 0 10 20 10 20 10 30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110 (24 ) 110 (24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축산생명학과 2 A T A 00076 낙농기계학 Da i r y Eng i nee r i ng 3-3-0
농업식물과학과 2 A GA 00016 시설원예학및실습 P r o t ec t ed Ho r t i cu l t u r e & P r ac t i ce 3-2-2
농화학식품공학과 2 A X A 00010 식품공정공학및실험 Food P r ocess Eng i nee r i ng and Lab 3-2-2
산업시스템공학부
2 E I A 20023 작업분석및설계 Wo r k Ana l ys i s and Des i gn 3-3-0
(산업시스템공학전공 )
산업시스템공학부
1 E I A 30026 품질경영 Qua l i t y Managemen t 3-3-0
(산업시스템공학전공 )
산업시스템공학부
2 E I A 30031 생산체계설계 P r oduc t i on Sys t em Des i gn 3-3-0
(산업시스템공학전공 )
산업시스템공학부
2 E I A 40006 설비관리 Fac i l i t i es P l ann i ng and Con t r o l 3-3-0
(산업시스템공학전공 )

19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법과대학

□ 애그로시스템공학부(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교육목표
◦개척정신을 바탕으로 인격을 함양하고 , 농공학의 이론과 실제를 교육하여 지역의 생산∙생활기반을 효율∙친환경적으로 개발∙관리
함으로써 국토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전문인재 양성

 인재상

◦공감형 소통 지성인 ◦ 도전적 혁신 지식인 ◦창의적 융복합 전문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공감형 소통 지 A 공감 ∙공동체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공감하여 구성원들과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능력


성인 B 소통 ∙표현 합리적 상황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과 뜻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도전적 혁신 지 C 자기주도 전공 학습과정을 자발적으로 이끌어 교육효과를 극대화하는 능력


식인 D 리더쉽 전공 교육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원의 활동을 촉진하고 이끌어갈 수 있는 능력

E 창의적사고 전공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능력


창의적 융복합
전문인 융복합 융복합적 사고를 기반으로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
F
문제해결 하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학년
전선 A E A 40082 LOHAS생태체험 ( 2 0 3주 ) 30 10 5 5 10 40
동하계
1-2 전선 A E A 00095 애그로시스템공학개론 (2 2 0 10 20 10 0 30 30
전선 A M A 00010 기초공학제도및실습 (3 2 1 10 10 40 0 20 20
2 ,3 , 4- 전선 A E A 40074 농공현장실습 (3 0 4주 ) 20 10 20 10 20 2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20 10 20 10 20 20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20 10 20 20 10 2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20 10 20 20 10 20
2-1 전필 A E A 20024 정역학 3 3 0 0 0 30 0 30 40
전선 A E A 00002 농촌기본측량학및실습 3 2 2 10 10 20 10 30 20
전선 A E A 00017 농업시설재료학및실험 3 2 1 0 0 40 0 30 30 ◎
전선 A E A 00026 환경토양물리학 3 3 0 0 0 40 0 30 30
전선 A E A 00106 지역 I CT기초및실습 3 2 2 0 0 30 0 30 40
전선 A E A 00108 응용수학 1 3 3 0 0 0 50 0 20 30
2-2 전선 A E A 00003 농촌공간측량학및실습 3 2 2 10 10 20 10 30 20
전선 A E A 00013 지반공학및실험 3 2 2 10 10 20 10 30 20
전선 A E A 00018 기초수리학및연습 3 2 1 10 20 30 0 20 20 ◎
전선 A E A 00021 농업수문학및연습 3 2 1 10 10 20 10 30 20
전선 A E A 00027 농공논리및논술교육 3 3 0 0 20 20 0 30 30 □
전선 A E A 00028 농공기술및실습 3 2 1 0 10 30 0 40 20 ◎
전선 A E A 00104 작물재배환경 3 3 0 0 0 30 0 30 40
전선 A E A 00105 기초재료역학 3 3 0 0 0 30 0 30 40

경상대학교 195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필 A E A 90017 농촌계획학 3 3 0 10 10 20 10 30 20
전선 A E A 00012 구조물기초공학및연습 3 2 2 10 10 20 10 30 20
전선 A E A 00019 환경수리학및연습 3 2 1 10 20 30 0 20 20
전선 A E A 00020 응용역학및실험 3 2 1 10 0 30 0 30 30
전선 A E A 00023 철근콘크리트공학및연습 3 2 1 10 10 20 10 30 20
전선 A E A 00096 응용수학 2 3 3 0 0 0 50 0 20 30
3-2 전필 A E A 00008 관개배수공학및종합설계 3 2 2 20 20 10 20 10 20 ◎◇
전필 A E A 00100 농공학연구세미나 1 1 1 0 20 30 10 10 10 20
전필 A E A 40023 농업시설공학 3 3 0 0 0 30 0 30 40 ◎◇
전선 A E A 00024 농촌수처리공학및실습 3 2 1 10 10 20 10 30 20
전선 A E A 00025 농공연습 3 2 1 10 10 20 10 30 20
전선 A E A 00110 PBL구조역학및실습 3 2 1 0 0 30 0 30 40
전선 A E A 30040 농공교과교육론 3 3 0 0 20 20 0 30 30 □◎
전선 A E A 30069 농업토목시공학및실습 3 2 2 10 10 20 10 30 20 ◎
전선 A E A 40064 농촌관광학 3 3 0 10 10 20 10 30 2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20 10 20 10 20 2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20 10 20 20 10 20
4-1 전필 A E A 00009 농업기반공학 3 3 0 0 0 30 0 30 40 ◎◇
전필 A E A 40006 지역자원보전공학 3 3 0 0 0 30 0 30 40
전선 A E A 00004 지역자원조사및설계 3 2 2 20 30 10 10 10 20
전선 A E A 00093 농촌방재공학및실습 3 2 2 20 30 10 10 10 20
전선 A E A 00101 농공학연구세미나 2 1 1 0 20 30 10 10 10 20

전선 PBL농촌공간정보공학및실 3 2 2 20 20 10 20 20 10
A E A 00109

전선 A E A 40026 농산환경조절공학 3 3 0 0 0 30 0 30 40
전선 A M A 40021 농공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0 20 20 0 30 30 □
4-2 전선 A E A 00006 환경수리시스템설계 3 3 0 0 0 30 10 30 30
전선 A E A 00014 토양환경공학 3 3 0 0 0 30 0 30 40
전선 A E A 00097 마을만들기계획및설계 3 2 2 0 0 30 10 30 30
계 전공필수 19 전공선택 102 (50 ) 121 (50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농업식물과학과 2 A G A 00082 재배학및실습 C r op Managemen t &P r ac t i ce 3-2-2
건축도시토목공학부 1 E C A 40002 하천공학 R i ve r Eng i nee r i ng 3-3-0
건축도시토목공학부 1 E C A 40005 PS콘크리트공학 P r e/S t r essed Conc r e t e Eng i nee r i ng 3-3-0
건축도시토목공학부 2 E C A 40007 강구조공학 S t ee l S t r uc t u r e Eng i nee r i ng 3-3-0

19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법과대학

법학과······················································196
전공과정-법과대학

□ 법학과
 교육목표
◦민주시민으로서의 교양과 올바른 가치관을 지닌 법률가 양성
◦개척정신을 바탕으로 정보화 , 세계화를 선도하는 법률가 양성
◦리걸마인드 함양을 통한 전문성을 갖춘 법률가 양성

 인재상

◦봉사하는 법률가 ◦창의적인 법률가 ◦ 전문성을 갖춘 법률가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봉사하는 법률가 A 글로벌 공감성 글로벌 마인드 기반의 봉사하는 법률전문가 역량
B 미래선도 창의성 미래를 선도하는 창의적 법률가 역량
창의적인 법률가
C 도전정신 목표를 바탕으로 과업을 성취하는 법률가 역량
D 특성화된 법률전문성 전문화된 법률가로서 문제해결 역량
전문성을 갖춘 법률가
E 자기주도성 자기주도적인 법적 문제해결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1-1 전필 L AA 10013 민법총칙 3 4 0 0 0 30 30 40 ◇
전선 L AA 00102 법학의이해 2 2 0 20 20 20 20 20
1-2 전필 L AA 10014 물권법총론 3 3 0 0 0 30 30 40
전필 L AA 10023 형법 1 3 4 0 0 0 30 30 40 ◇
전선 L AA 10022 헌법총론 3 3 0 30 0 30 40 0
2-1 전필 L AA 10021 기본권론 3 4 0 30 0 30 40 0
전필 L AA 20013 행정법총론 3 3 0 0 0 40 30 30 ◎◇
전필 L AA 20027 형법 3 3 4 0 0 0 30 30 40
전필 L AA 20031 상법총론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20023 물권법각론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20026 형법 2 2 2 0 0 0 30 30 40
2-2 전필 L AA 20014 행정법각론 3 3 0 0 0 40 30 30
전필 L AA 20017 통치기구론 3 3 0 30 0 30 40 0 ◎
전필 L AA 20032 회사법 3 3 0 0 0 30 30 40
전필 L AA 30025 채권법총론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00100 법적사고와추론 3 3 0 0 40 0 30 30
전선 L AA 00101 고용과사회보장법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20028 형법 4 2 2 0 0 0 30 30 40
전선 L AA 20040 저작권법 3 3 0 0 0 30 30 40
전선 T S A 20002 일반사회교육론 3 3 0 30 30 0 0 40 ◎□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30 0 30 0 4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30 0 30 0 40
3-1 전필 L AA 30017 형사소송법 3 3 0 0 0 30 30 40
전필 L AA 30026 민사소송법 3 4 0 0 0 30 30 40

경상대학교 199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전필 L AA 30029 채권법각론 3 4 0 0 0 30 30 40
전필 L AA 30043 국제법 1 3 3 0 0 0 30 30 40
전필 L AA 30041 노동법 1 3 3 0 0 0 40 30 30
전선 L AA 30007 헌법재판론 3 3 0 30 0 30 0 40
전선 L AA 30033 어음수표법 3 3 0 30 0 30 40 0
전선 L AA 30038 행정구제법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40054 법사상사 3 3 0 0 40 0 30 30 ◎
전선 T S A 00011 일반사회교육의논리및논술 3 3 0 0 40 0 30 30 □
3-2 전필 L AA 00001 법조실무종합설계 1 0 2 30 0 30 0 40
전필 L AA 40051 법철학 3 3 0 0 40 0 30 30
전선 L AA 30004 지방자치법 3 3 0 0 0 40 30 30
전선 L AA 30005 도산법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30006 형사증거법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30008 민사집행법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30009 노동법 2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30036 보험법 .해상법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30044 국제법 2 3 3 0 30 0 30 0 40
전선 L AA 30045 국제경제법 3 3 0 30 0 30 0 40
전선 L AA 40025 친족상속법 3 3 0 0 0 30 30 4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30 0 30 0 40
4-1 전선 L AA 00103 연구 1 1 0 0 0 50 0 50
전선 L AA 00104 지적재산법사례연구 3 3 0 0 0 40 30 30
전선 L AA 20053 법사회학 3 3 0 30 30 0 0 40 ◎
전선 L AA 40002 민법사례연구 3 3 0 0 0 40 30 30
전선 L AA 40005 형법사례연구 3 3 0 0 0 40 30 30
전선 L AA 40007 헌법사례연구 3 3 0 30 0 30 40 0
전선 L AA 40009 자본시장통합법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40012 금융거래법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40014 민사실무 3 3 0 0 0 40 30 30
전선 L AA 40016 국제사법 3 3 0 0 0 40 30 30
전선 L AA 40017 특허법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40029 환경법 3 3 0 30 0 30 40 0
전선 L AA 40055 경제법 3 3 0 0 0 30 30 40
전선 T S A 40001 일사과지도법 3 3 0 30 0 30 0 40 □
4-2 전선 L AA 20036 재산법특강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30046 영미법 3 3 0 30 0 30 0 40
전선 L AA 40004 국제거래법 3 3 0 30 0 30 0 40
전선 L AA 40006 형사소송법사례연구 3 3 0 0 0 40 30 30
전선 L AA 40008 행정법사례연구 3 3 0 0 0 40 30 30
전선 L AA 40013 상법사례연구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40015 민사소송법사례연구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40018 형사정책 3 3 0 0 0 30 30 40
전선 L AA 40036 세법 3 3 0 0 0 30 30 40
계 전공필수 52 전공선택 133 (24 ) 185 (24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20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사범대학

1. 교육학과················································· 200
2. 국어교육과············································ 202
3. 역사교육과············································ 203
4. 영어교육과············································ 205
5. 유아교육과············································ 207
6. 윤리교육과············································ 209
7. 일반사회교육과··································· 211
8. 일어교육과············································ 212
9. 지리교육과············································ 214
10. 물리교육과············································ 216
11. 생물교육과············································ 218
12. 수학교육과············································ 220
13. 화학교육과············································ 222
14. 미술교육과············································ 224
15. 음악교육과············································ 226
16. 체육교육과············································ 229
17. 통합과학전공········································231
18. 통합사회전공········································233
전공과정-사범대학

□ 교육학과
 교육목표

◦민주적 가치와 윤리 의식을 토대로 전문적 지식과 실천적 역량을 갖춘 미래 교육전문가 양성

 인재상

◦창의적이고 역량있는 교육 개척자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교육 전문가 ◦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 선구자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교육의 가치를 실
창의적이고 역량있는 A 창의융합
현하는 역량
교육 개척자
B 문제해결 교육현장의 문제를 발견하고 , 분석하여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C 세계시민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전지구적 관점에서 교육문제를 이해하는 역량
교육 전문가 D 의사소통 학생 및 동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E 도전정신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진취적인 교육목표를 설정하여 미래교육을 이끌어갈 수 있는 역량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 선구자 교육에 대한 이론적 지식의 습득과 실천적 역량의 향상을 위해 자율적이고 주도
F 자기주도
적으로 학습하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T E A 00007 교육사회학 3 3 0 50 10 10 20 0 10 ◎
전선 T E A 10011 교사론 3 3 0 10 20 20 10 20 20
1-2 전필 T E A 10012 한국교육사 3 3 0 10 30 10 10 20 20
전선 T E A 10003 청소년교육론 3 3 0 20 20 20 10 20 10
2-1 전필 T E A 20010 교육철학 3 3 0 20 25 15 20 10 10 ◎
전필 T E A 20031 인간발달과교육 3 3 0 30 20 15 15 10 10 □◎
전선 T E A 20001 교육통계학 3 3 0 10 50 10 10 10 10
전선 T E A 20002 비교교육론 3 3 0 10 20 20 20 10 20
전선 T E A 20008 평생교육론 3 3 0 20 20 20 20 0 20
2-2 전필 T E A 20007 교육과정이론 3 3 0 20 10 20 20 10 20 ◎
전선 T E A 20009 평생교육방법론 3 3 0 20 20 20 20 0 20
전선 T E A 20013 교육고전 3 3 0 10 30 10 20 10 20
전선 T E A 20034 심리검사법 3 3 0 30 30 10 10 10 10
전선 T E A 00002 교육공학 3 3 0 30 10 10 20 10 20
3-1 전필 T E A 30064 교육행정학 3 3 0 10 20 20 20 10 20 ◎
전선 T E A 00006 교육조사방법론 3 3 0 10 20 20 20 20 10
전선 T E A 30037 현대교육사상 3 3 0 15 30 20 10 10 15
전선 T E A 30039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3 3 0 20 20 0 20 20 20
3-2 전필 T E A 30003 교과교육론 3 3 0 10 20 10 20 20 20 □
전필 T E A 00003 진로상담 3 3 0 30 10 10 10 30 10 ◎
전선 T E A 00016 교육정책의이해 3 3 0 10 20 20 20 10 20
전선 T E A 00005 성격심리와상담 3 3 0 15 30 10 25 10 10
전선 T E A 30068 평생교육경영론 3 3 0 10 30 0 20 10 30

경상대학교 203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4-1 전필 T E A 40001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20 20 10 10 20 20 □
전필 T E A 40002 교육평가 3 3 0 10 30 10 20 10 20 ◎
전선 T E A 40008 동양교육사상 3 3 0 10 20 40 10 20 0
전선 T E A 40031 집단상담이론및실제 3 3 0 10 30 10 20 10 20 □
전선 T E A 00008 상담심리학 3 3 0 10 25 15 25 10 15
4-2 전필 T E A 00009 교육학교육의논리및논술 3 3 0 40 20 10 10 10 10 □
전선 T E A 40036 평생교육실습 3 3 0 10 30 0 30 10 20
전선 T E A 40038 수업심리학 3 3 0 30 20 10 20 10 10
계 전공필수 33 전공선택 60 90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20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 국어교육과
 교육목표
◦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국어교육 연구와 실천을 선도하는 국어교사 양성

 인재상
◦공감적 소통인재 ◦ 탐구적 창의인재 ◦도전적 실천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공감과 배려 공감과 존중을 바탕으로 교육 공동체 내 다양한 구성원을 배려하는 능력
공감적 소통인재
B 소통과 협력 배려 깊은 소통을 통해 교육 공동체 내 상호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능력
C 비판과 탐구 비판적 관점을 바탕으로 언어 현상과 그 교육 원리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능력
탐구적 창의인재
D 창의와 융합 창의적 탐구를 통해 기존의 교과 지식을 융화하고 통합하는 능력
E 도전과 성취 도전적 태도를 바탕으로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하여 성취하는 능력
도전적 실천인재
F 실천과 성찰 실천을 통해 교육 목표의 성취 과정과 결과를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학기 구분 A B C D E F
1-1 전필 T K A00001 국어교육의이해 2 2 0 0 20 30 40 0 10
전필 T K A10001 국어교육원리 3 3 0 0 30 40 30 0 0
1-2 전필 T K A20002 문학교육론 3 3 0 20 10 30 20 0 20
전선 T K A20001 언어교육론 3 3 0 20 10 30 20 0 20
2-1 전필 T K A20012 작품론 3 3 0 20 20 30 20 0 10
전필 T K A30002 말하기지도론 3 3 0 20 20 20 20 10 10 ◎
전선 HK A10001 국어학개론 3 3 0 0 0 70 30 0 0 ◎
전선 T K A20007 국문학강독 3 3 0 10 20 30 30 0 10
2-2 전선 T K A00004 문법교육론 3 3 0 0 10 30 40 10 10 ◎
전선 HK A10002 국문학개론 3 3 0 0 0 70 30 0 0 ◎
전선 T K A20009 작가론 3 3 0 20 20 30 20 0 10
전선 T K A20006 국어자료강독 3 3 0 0 20 60 0 0 20
3-1 전필 T K A00005 어휘교육론 3 3 0 10 10 30 30 10 10
전필 T K A30003 국어과교육론 3 3 0 0 10 30 0 30 30 □◎
전필 T K A30007 시지도론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T K A30008 소설지도론 3 3 0 20 20 20 20 10 10 ◎
전선 T K A30015 말소리지도론 3 3 0 0 10 40 30 10 10
3-2 전선 T K A00002 극예술론 3 3 0 20 20 30 20 0 10
전선 T K A00007 국문학사 3 3 0 10 0 80 0 0 10 ◎
전선 HK A30001 국어사 3 3 0 10 0 90 0 0 0 ◎
전선 T K A30001 국어교재론 3 3 0 0 20 20 20 20 20
전선 T K A30009 수필지도론 3 3 0 20 20 20 20 10 10
4-1 전필 T K A40011 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0 20 20 20 20 20 □
전필 T K A40013 국어논리및논술교육 2 2 0 10 20 50 10 0 10 □
전선 T K A00006 담화교육론 3 3 0 0 10 40 30 10 10
4-2 전필 T K A40009 읽기지도론 3 3 0 10 10 30 30 10 10 □
전선 T K A00003 문예창작비평론 3 3 0 10 10 10 30 20 20
전선 T K A40012 국어교육지도의실제 2 2 0 0 30 20 10 20 20 □
계 전공필수 31 전공선택 50 81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경상대학교 205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역사교육과
 교육목표
◦ 중등학교에서 역사과목을 교육할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따라서 올바른 가치관과 역사관을 토대로 중등학생
들을 올바르게 지도할 수 있는 혁신적 교육 역량을 갖추고 , 지역사회 , 국가 및 세계 인류에 대해 관심과 애정을 가진 개
방적이고 진취적인 역사교사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인재상
◦올바르고 개방적인 역사인식의 소유자 ◦지역사회 , 국가 및 세계 인류에 대한 관심 및 애정을 가진 역사교사
◦노력하고 공부하는 역사교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다양한 가치관을 인정하고 타자를 존중하면서 주체적인 역사의식을 토
A 개방적 역사인식
올바르고 개방적인 역사 대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
인식의 소유자 비판적 창의적 문 폭넓은 역사 지식을 토대로 현실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창
B
제해결 능력 의적으로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
지역사회 (로컬 )에서 국가 및 인류 사회 (글로벌 )에 이르는 각종 문제들
지역사회 , 국가 및 세계 C 글로컬 사고력 에 관심을 갖고 지역과 국가 , 세계를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는 분석적 ,
인류에 대한 관심 및 애 종합적 사고력
정을 가진 역사교사 타자와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면서 , 지역사회 , 국가 , 인류 사회의 발전
D 의사소통 및 봉사 능력
을 위해 노력하는 자세와 태도
역사교사로서 필요한 자질과 능력을 갖추기 위해 자신의 전공 분야에
E 혁신적 연구 실천 능력 대해 계속 노력하여 공부하며 , 자신의 교육 실천을 반성적 , 혁신적으로
개선해가는 능력
노력하고 공부하는 역사교사
학교 현장 및 학생들의 복잡하고 다양한 실태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
F 현장 이해 및 개선 능력 고 , 현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려는 의지를 갖고 실제로 실천할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1-1 전필 T X A 20031 한국사학사 3 3 0 50 10 10 20 0 10 ◎
전선 T Y A 00007 한국사입문 3 3 0 20 30 0 30 20 0 ★
전선 T Y A 00008 서양사입문 3 3 0 20 20 20 10 20 10 ★
1-2 전필 T X A 00003 서양고대사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T X A 00002 역사교육논리및논술 3 3 0 20 30 20 20 10 0 □
전선 T Y A 00014 한국문화사 3 3 0 30 30 20 10 10 0
전선 T Y A 00010 동양사입문 3 3 0 20 20 20 10 10 20 ★
2-1 전필 T X A 00019 한국사사료강독 3 3 0 10 10 10 10 50 10 ◎
전필 T X A 20041 역사교육론 3 3 0 10 10 10 10 30 30 ◎□
전선 T X A 00005 서양중세사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T X A 00006 한국고대사 3 3 0 20 20 10 10 30 10
2-2 전필 T X A 00007 한국중세사 1 3 3 0 20 20 10 10 30 10
전선 T X A 00008 동양고대사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T X A 00009 서양근현대사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T Y A 00006 통합사회과지도법 3 3 0 20 20 10 10 30 10 □★

20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필 T X A 00010 한국중세사 2 3 3 0 40 40 0 0 20 0 ◎
전선 T X A 00011 동양중세사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T X A 00012 동양사연습 3 3 0 10 20 20 10 10 30
전선 T X A 00013 서양사연습 3 3 0 20 20 10 10 20 20
3-2 전필 T X A 30050 현대세계와한국 3 3 0 40 40 0 10 0 10 ◎
전필 T X A 00014 동양근현대사 3 3 0 10 10 30 20 20 10 ◎
전선 T X A 00018 지방사입문 3 3 0 15 15 30 10 20 10
전선 T X A 00015 한국사연습 3 3 0 20 20 10 0 20 30
4-1 전필 T X A 40041 역사과지도법 3 3 0 10 20 10 10 30 20 □
전선 T X A 00020 세계사사료특강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T X A 00016 동양사특강 3 3 0 20 20 10 10 20 20
4-2 전선 T X A 00017 서양사특강 3 3 0 20 20 10 10 20 20
계 전공필수 30 전공선택 51 81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통합사회전공 중복인정과목

경상대학교 207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영어교육과
 교육목표

◦지성과 인성을 겸비한 창의적 세계시민 양성

 인재상

◦창의적 지식인 ◦국제화 감각을 갖춘 세계인 ◦소통하는 교양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영어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지식과 창의적 사고력을 갖추어 창조적 지식인으로서
A 문제해결능력
의 역할을 수행한다 .
창의적 지식인
미래 교육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기
B 비판적 사고
능을 갖춘다 .
C 외국어 능력 영어 교사에게 요구되는 영어 유창성을 갖추어 상황에 적절한 영어를 구사하고 이해한다 .
국제화 감각을
갖춘 세계인 영어 교사에게 요구되는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영어권 문화에서
D 문화적 역량
의사소통하는 방식 , 상황 , 비언어적 행동을 이해하고 사용한다 .
영어교사에게 요구되는 올바른 가치관과 행동양식 , 타인을 배려하는 인성을 갖춘
E 이타적 능력
인재를 양성한다 .
소통하는 교양인
공동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도우며 지속적으로 의사소통하는 협업학습을 통
F 팀워크 역량
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T L A 10011 문화간의사소통론 3 3 0 15 20 15 20 15 15
전선 T L A 00026 영어발음이해및연습 3 3 0 10 10 40 20 10 10
1-2 전필 T L A 00005 영어듣기와말하기 2 2 0 10 10 25 25 20 10 ◎
전필 T L A 00021 영어쓰기 2 2 0 10 25 25 20 10 10 ◎
전필 T L A 10024 영어읽기전략 2 2 0 20 20 20 15 10 15 ◎
2-1 전필 T L A 20024 영문학의이해 3 3 0 10 20 20 20 10 20 ◎
전필 T L A 00025 영어학의이해 3 3 0 25 20 25 10 10 10 ◎
전선 T L A 00006 영어프리젠테이션 2 2 0 10 10 40 20 10 10
전선 T L A 20036 드라마와의사소통 2 2 0 10 20 20 20 10 20
전선 T L A 30054 고급영어읽기 2 2 0 20 20 20 15 10 15
2-2 전필 T L A 00016 교육영문법 3 3 0 25 15 25 15 10 10 ◎
전필 T L A 00023 영어음성학 3 3 0 30 30 10 10 10 10 ◎
전선 T L A 00007 영어토론 1 2 2 0 20 20 20 15 15 10
전선 T L A 00019 시사영어읽기및쓰기 3 3 0 15 20 20 15 15 15
전선 T L A 30027 언어습득론 3 3 0 25 25 10 10 15 15
전선 T L A 40003 영어어휘지도 2 2 0 25 20 15 15 10 15
3-1 전필 T L A 30031 영어교육론 3 3 0 30 30 10 10 10 10 □◎
전필 T L A 30049 영어교재개발및연습 3 3 0 20 20 15 15 15 15 □
전선 T L A 00017 영어통사론 3 3 0 25 20 25 10 10 10
전선 T L A 00008 영어토론 2 2 2 0 20 20 20 15 15 10
전선 T L A 30056 영어읽기지도론 3 3 0 20 20 15 15 15 15

20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2 전선 T L A 00018 영어의미 ∙화용론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T L A 20037 영어듣기와말하기지도론 2 2 0 15 15 20 20 15 15
전선 T L A 30042 영어교수방법론 3 3 0 10 10 15 15 25 25 □
전선 T L A 00020 영어음운론 3 3 0 30 30 10 10 10 10
전선 T L A 00024 영어문학읽기 3 3 0 10 20 20 20 10 20
전선 T L A 30058 영문학활용지도론 3 3 0 20 10 20 20 10 20
4-1 전필 T L A 40041 영어과수업연구 3 3 0 15 20 20 15 15 15 □
전선 T L A 00022 고급영어쓰기 2 2 0 10 25 25 20 10 10
전선 T L A 00013 영어면접 2 2 0 25 15 20 15 10 15
전선 T L A 20038 교실영어 2 2 0 20 20 20 15 10 15
전선 T L A 40046 영어평가 3 3 0 20 20 20 20 10 10
4-2 전필 T L A 00014 영어교육논리및논술 3 3 0 20 20 15 15 15 15 □
전선 T L A 00027 영어학특강 3 3 0 30 20 20 10 10 10
전선 T L A 40002 영어교육세미나 2 2 0 30 20 20 10 10 10
전선 T L A 40047 영어교육과 I CT 2 2 0 30 20 20 10 10 10
계 전공필수 30 전공선택 63 93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경상대학교 209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유아교육과
 교육목표
◦ 소통과 협력을 바탕으로 인성을 함양하고 , 유아교육의 이론과 방법을 실천하는 전문성을 길러 국가와 인류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

 인재상

◦소통 ∙협력하는 인재 ◦전문성을 가진 인재 ◦창의성을 가진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의사소통 유아교육현장에서 소통하는 인재
소통 ∙협력하는 인재
B 세계시민 다양성과 공동체를 존중하는 인재
C 교수학습 유아교육 전문성 지식 인재
전문성을 가진 인재
D 교직실무 유아교육 실무 인재
E 문제해결 자기 주도적 창의적 문제해결 인재
창의성을 가진 인재
F 창의융합 창의적 통합 사고 인재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1-1 전필 T O A 00054 아동음악의이해 3 3 0 10 0 30 0 30 30
전필 T O A 00053 영유아발달 3 3 0 0 0 60 20 20 0
전선 T O A 00040 보육학개론 3 3 0 30 30 10 20 10 0
전선 T O A 00070 유아교육환경론 3 3 0 10 10 10 30 20 20
1-2 전선 T O A 00015 유아교육과정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TOA00002 아동영양학 3 3 0
전선 T O A 00065 아동동작교육 3 2 2 10 0 30 0 30 30
전선 T O A 00066 유아다문화교육 3 3 0 20 40 10 10 10 10
2-1 전선 T O A 00021 유아창작조형 3 2 2 10 0 10 10 30 40
전선 T O A 00071 아동정신건강론 3 3 0 20 0 40 10 20 10
전선 T O A 00072 유아교육사상 3 3 0 50 50 0 0 0 0
2-2 전필 T O A 00005 유아교과교육론 3 3 0 10 10 30 30 10 10 □
전필 T O A 00060 유아놀이론 3 3 0 20 10 30 10 10 20
전필 T O A 00074 유아미술교육 3 3 0 10 0 20 10 20 40 ◎
전선 T O A 00043 아동상담 3 3 0 50 10 0 0 40 0
전선 T O A 00050 아동음악의실제 3 2 2 10 0 30 30 0 30
3-1 전필 T O A 00007 유아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10 10 30 20 10 20 □
전필 T O A 00049 유아교과논리및논술 3 3 0 20 20 0 20 20 20 □
전필 T O A 00061 아동건강론 3 2 2 20 0 30 10 20 20 ◎
전선 T O A 00035 아동관찰및행동연구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T O A 00052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3 3 0 10 10 40 10 10 20
전선 T O A 00019 아동복지 3 3 0 30 30 10 10 10 10 ◎

21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3-2 전필 T O A 00030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3 3 0 20 0 20 20 20 20
전선 T O A 00004 아동안전관리 3 3 0 10 10 20 20 30 10
전선 T O A 00026 영유아교수방법 3 3 0 10 0 30 30 20 10
전선 T O A 00068 유아수과학교육 3 2 2 20 0 30 10 20 20
전선 T O A 00073 유아언어교육 3 3 0 30 10 20 20 10 10 ◎
3-동 전선 T O A 00064 보육실습 ( 3 0 6주 ) 20 0 30 30 10 10
하계
4-1 전필 T O A 00038 유아교사론 3 3 0 10 10 10 40 20 10
전선 T O A 00022 가족관계 3 3 0 50 10 0 0 40 0
전선 T O A 00069 유아사회교육 3 3 0 30 20 10 10 20 10 ◎
4-2 전선 T O A 00027 부모교육 3 3 0 60 20 0 0 20 0 ◎
계 전공필수 30 전공선택 63 (3 ) 93 (3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경상대학교 211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윤리교육과
 교육목표
◦개척정신을 바탕으로 인격을 도야하고 , 윤리 교육 관련 학문 이론과 방법을 학습하여 , 유능하고 책임감 있는 학습자 친화
형 윤리교육자 양성

 인재상
◦ (봉사실천 ) 민주적 의사소통과 공감적 배려로 정의로운 공동체 문화 형성에 봉사하고 실천하는 인재
◦ (가치구현 ) 창의적 , 비판적 , 배려적 사고의 융합을 통해 시대 상황에 부합하는 윤리적 가치를 구현하는 인재
◦ (도전혁신 ) 학습 목표를 스스로 설정하고 , 지속적인 배움과 익힘을 통해 미래를 개척하고 혁신을 주도하는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며 협력적인 관계를 만들 -전달과 표현
A 의사소통
수 있는 역량 -공감과 협력
봉사실천
공정과 배려를 바탕으로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공정과 배려
B 정의공동체
있는 역량 -공동선 추구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통합적 사고
C 창의융합
높이는 역량 -사회적 가치
가치구현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실행 가능한 대안을 -지식 탐구
D 문제해결
제시하는 역량 -실천 지향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 개발하고 , 학습을 지속적으로 수행하 -자기주도학습
E 자기주도
는 역량 -자기개발관리
도전혁신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 달성을 위해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진취성
F 도전정신
있는 역량 -리더십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1-1 전필 T N A 30021 윤리학개론 3 3 0 20 30 10 20 10 10 ◎
전선 TN A 10003 도덕적사고와윤리교육 3 3 0 15 15 20 20 15 15
전선 TN A 10006 윤리교육입문 2 2 0 30 20 10 10 10 20 ◇
1-2 전선 T N A 10004 한국윤리사상사입문 3 3 0 20 20 15 15 20 10
전선 T N A 10007 인공지능형로봇시대의도 2 2 0 10 10 20 20 20 20
덕적사고
전선 T N A 00101 동양윤리사상사입문 3 3 0 30 10 10 20 20 10
전선 T N A 00008 민주시민윤리교육론 3 3 0 20 20 15 20 15 10
2-1 전필 T N A 20002 민주주의론 3 3 0 20 30 10 20 10 10 ◎
전필 TN A 20003 동양고대의사상과윤리 3 3 0 20 20 15 15 20 10 ◎
전선 TN A 20001 문화와윤리 3 3 0 10 20 40 10 10 10
전선 TN A 20007 서양고대중세윤리사상사 3 3 0 20 30 20 10 10 10
전선 TN A 00005 세계시민윤리교육론 3 3 0 20 20 15 20 15 10
2 -2 전필 TN A 00009 응용윤리 3 3 0 10 20 30 20 10 10 ◎
전필 T N A 00003 도덕심리학과도덕교육 3 3 0 20 20 15 15 15 15 □◎
전선 T N A 20016 불교윤리사상 2 2 0 20 20 15 15 20 10
전선 T N A 20017 서양근 · 현대윤리사상사 3 3 0 20 30 20 10 10 10
전선 T N A 00007 통일평화문제창의융합 3 3 0 20 20 15 20 15 10
PBL

21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3 -1 전필 TN A 30025 한국윤리사상 3 3 0 20 20 15 15 20 10 ◎
전필 TN A 30026 도덕윤리과교육론 3 3 0 15 15 20 20 15 15 □◎
전선 T N A 00002 철학적인간학과생명윤리 2 2 0 20 20 20 20 10 10
전선 T N A 30011 사회윤리연구 3 3 0 20 40 10 10 10 10
3-2 전필 T N A 00001 도덕윤리과논리및논술 3 3 0 30 10 10 30 10 10 □
전선 T N A 30009 동양중근세의사상과윤리 3 3 0 20 20 15 15 20 10
전선 T N A 30013 국가와윤리캡스톤디자인 3 3 0 30 30 10 10 10 10
전선 T N A 30015 한국중세윤리사상사 3 3 0 20 20 15 15 20 10
전선 TY A 00015 통합사회과교육의논리및 3 3 0 30 10 20 10 20 10 
논술
전선 TN A 30024 현대생활과윤리 3 3 0 20 30 10 20 10 10
4 -1 전필 TN A 40007 통일교육론 3 3 0 20 30 10 20 10 10 ◎
전필 T N A 40021 도덕윤리과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15 20 10 15 20 20 □
전선 T N A 00100 동양윤리교재연구 3 3 0 20 20 15 15 20 10
전선 T N A 40013 한국근현대윤리사상사 3 3 0 20 20 15 15 20 10
4-2 전선 T N A 40014 인성교육론 3 3 0 20 20 15 15 20 10
전선 T N A 00103 환경윤리 3 3 0 10 20 20 20 20 10
계 전공필수 30 전공선택 65 95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전공이해증진과목  전공 중복인정과목

경상대학교 213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일반사회교육과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구분
전필 T Y A 00004 인간과사회 Human and Soc i e t y 3-3-0 ◎★
전필 T Y A 00005 법이해의기초 I n t r oduc t i on t o Law 3-3-0 ◎★
1-1
전선 T S A 00014 시민교육입문 I n t r oduc t i on o f C i t i zensh i p Educa t i on 3-3-0
전선 T Y A 20003 국가와정치 S t a t e and Po l i t i cs 3-3-0 ★
전필 T S A 20002 일반사회교육론 Theo r i es o f Teach i ng Soc i a l Educa t i on 3-3-0 ◎□
1-2 전필 T S A 00021 인권과헌법 Human R i gh t s and Cons t i t u t i ona l Law 3-3-0
전필 T S A 00022 인간과문화 Human and Cu l t u r e 3-3-0 ◎
전필 T Y A 10010 사회와경제 Soc i e t y and Economy 3-3-0 ◎★
전필 T S A 20045 사회과조사방법 The Me t hods o f Soc i a l Resea r ch 3-3-0 ◎
전선 T S A 00012 미시경제학 M i c r oeconom i cs 3-3-0

2-1 전선 T S A 00015 글로벌정치와세계시민 G l oba l Po l i t i cs and Cosmopo l i t an 3-3-0

전선 T S A 00016 일반사회교육과정및수업 Cu r r i cu l um and I ns t r uc t i on o f Soc i a l 3-3-0


S t ud i es Educa t i on
전선 T S A 00025 행정법및형사법 Adm i n i s t r a t i ve Law & C r i m i na l Law 3-3-0
전필 T S A 00001 사회사상과사회이론 Soc i a l Though t and Soc i a l Theo r y 3-3-0
전필 T S A 00009 현대정치학으로의초대 I nv i t a t i on t o Con t empo r a r y Po l i t i ca l 3-3-0 ◎
2-2 Sc i ence
전선 T S A 00020 사사로운생활과민사법 L i f e and Law i n P r i va t e Doma i n 3-3-0
전선 T S A 00023 경제교육과정론 Theo r y on Econom i c Educa t i on Cu r r i cu l um 3-3-0
전필 T S A 00011 일반사회교육의논리및논술 Cr i t ical Reasoningand Wr i t ing Social Science Educat ion 3-3-0 □
3-1 전선 T S A 00010 사회문제와사회법 Mode r n Soc i a l P r ob l em and Soc i a l Law 3-3-0
전선 T S A 30034 한국경제론 Theo r y on Ko r ean Economy 3-3-0
전선 T S A 00017 사회문화내용분석 S t ud i es on Soc i e t y and Cu l t u r e Con t en t s 3-3-0
3-2 전선 T S A 00010 한국정치연구 S t ud i es on Ko r ean Po l i t i cs 3-3-0
전선 T S A 30034 경제교육론 Economy Educa t i on 3-3-0 □
전필 T S A 40001 일사과지도법 Teach i ng Me t hod o f Gene r a l Soc i a l S t ud i es 3-3-0 □
전선 T S A 00018 현대정치의사례연습 Case s t udy o f Con t empo r a r y Po l i t i cs 3-3-0
4-1
전선 T S A 30009 경제교재연구 S t ud i es on Econom i c Teach i ng Ma t e r i a l 3-3-0 □
전선 T S A 90007 현대사회문제 Mode r n Soc i a l P r ob l em 3-3-0
전선 T S A 00019 법 .인권사례연습 Case S t udy o f Human R i gh t and Law 3-3-0
전선 T S A 00024 현대정치사연습 I n t r oduc t i on t o Mode r n Po l i t i ca l H i s t o r y 3-3-0
4-2 Theo r i es and P r ac t i ces o f O r gan i z i ng
전선 T S A 40002 일사과교재론 I ns t r uc t i ona l Ma t e r i a l s i n Soc i a l S t ud i es 3-3-0
Educa t i on
전선 TYA00003 통합사회교육론 I n t eg r a t i ve Soc i a l S t ud i es Educa t i on 3-3-0 ★
계 전공필수 33 전공선택 60 93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통합사회전공 중복인정과목

21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 일어교육과
 교육목표
◦개척 정신을 바탕으로 인격을 도야하고 전문성과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인재 양성

 인재상
◦인성을 갖춘 인재 ◦전문성을 갖춘 인재 ◦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열정 개척정신으로 창의적인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도전적인 역량
인성을 갖춘 인재
B 사명감 교직에 대한 소명 의식으로 개인과 공동체를 아우를 수 있는 역량
언어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고도의 일본어 능력을 갖추고
C 언어 능력
전문성을 갖춘 인재 실천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역량
D 문제해결 능력 일본어교육을 통하여 교육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을 육성할 수 있는 역량
한일 문화 이해 능력을 바탕으로 미래 다언어 다문화 사회에 상호 공생 할
글로벌 마인드를 E 이문화 이해 능력
수 있는 역량
갖춘 인재
F 글로컬 마인드 세계화와 지역화를 동시에 실천할 수 있는 보편적 마인드를 갖춘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T J A 10003 전공일어 1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T J A 10013 일어독해 1 3 3 0 0 0 40 40 20 0
전선 T J A 10014 일어청해 1 2 2 0 0 0 40 40 20 0
전선 T J A 00008 기본일본어 2 2 0 10 10 30 30 20 0
1-2 전선 T J A 10004 전공일어 2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T J A 10010 일어회화 1 2 2 0 0 0 40 40 20 0
전선 T J A 10016 일어청해 2 2 2 0 10 10 30 30 10 10
전선 T J A 10017 시사일어 3 3 0 0 0 30 30 20 20
2-1 전필 T J A 10011 일어독해 2 3 3 0 10 10 30 30 10 10 ◎
전필 T J A 20010 일문법 3 3 0 0 0 40 40 20 0 ◎
전선 T J A 20015 일어회화 2 2 2 0 0 0 40 40 20 0
전선 T J A 30019 일본사정 2 2 0 10 0 10 20 30 30
2-2 전필 T J A 20011 일본의문화배경 3 3 0 10 0 10 10 35 35 ◎
전필 T J A 20018 일어회화 3 2 2 0 0 0 40 40 20 0 ◎
전선 T J A 00007 일본소설이해 2 2 0 10 10 20 20 20 20
전선 T J A 20019 일어작문 1 2 2 0 0 0 40 30 30 0
전선 T J A 20026 응용문법론 3 3 0 0 0 30 40 30 0
3-1 전필 T J A 30004 일어학개론 3 3 0 0 0 40 40 20 0 ◎
전필 T J A 30028 일어교과교육론 3 3 0 20 40 10 0 20 10 □
전필 T J A 30029 일문학개론 3 3 0 0 0 20 20 30 30 ◎
전선 T J A 30020 일어회화 4 2 2 0 0 0 40 40 20 0
전선 T J A 30021 일어작문 2 2 2 0 0 0 40 40 20 0
전선 T J A 00004 일본대중문화의이해 3 3 0 10 0 10 10 35 35

경상대학교 215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2 전필 T J A 30017 일어작문 3 2 2 0 0 0 40 30 30 0 ◎
전필 T J A 30025 일어회화 5 2 2 0 0 0 40 40 20 0 ◎
전선 T J A 00005 일본어음성학 2 2 0 0 0 30 30 40 0
전선 T J A 00006 일본시가문학이해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T J A 30027 일어교재분석및작성 3 3 0 20 20 10 10 20 20 □
4-1 전필 T J A 40017 일어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20 20 10 10 20 20 □
전선 T J A 40013 일어회화 6 2 2 0 0 0 40 40 20 0
전선 T J A 00002 취업일본어 1 3 3 0 0 0 30 30 20 20
4-2 전필 T J A 00001 일어교육논리및논술 3 3 0 20 20 10 10 20 20 □
전선 T J A 40021 일어교육평가법 3 3 0 20 20 10 10 20 20 □
전선 T J A 00003 취업일본어 2 3 3 0 0 0 30 30 20 20
계 전공필수 30 전공선택 57 87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21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 지리교육과
 교육목표
◦지리교육을 통해 우리 국토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국토의 의미와 소중함을 깨닫고 , 나아가 세계 각 지역
에 대한 지리적 특성 및 지역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지리적 안목을 육성하고자 한다 . 더불어 학생들이 미래에 자신의
삶을 풍요롭고 의미 있게 만들어갈 수 있는 핵심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학습 분위기를 조성한다 .

 인재상
◦인간 , 자연 , 교육 세 분야를 조화시킬 수 있는 진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교사의 자질을 갖춘 인재
◦종합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갖춘 인재 ◦지리적 안목을 가진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자기의 삶을 기획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행동을 절제하고 생활을 관
인간 , 자연 , 교육 세 분야
A 자기관리능력 리할 수 있는 능력이며 , 자신의 생활을 바람직하게 유지하기 위해
를 조화시킬 수 있는 진취
필요한 것들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교사
다양한 텍스트를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자신의 의
의 자질을 갖춘 인재 B 의사소통능력
견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
학습이나 삶에서 직면한 문제를 발견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
C 문제발견 ‧ 해결능력
종합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는 능력이다 .
갖춘 인재 문화 , 예술을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향유하며 창조하는 능력으로 , 다
D 문화적 소양능력
양한 삶의 가치와 문화를 편견 없이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이다 .
장소와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이미지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는
E 지리적 상상력
능력이다 .
지리적 안목을 가진 인재
도표 , 지도 , 그래프로 표현된 지리적 정보를 해석하거나 , 지리적 정
F 지리도해력
보를 도표 , 지도 , 그래프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1-1 전선 T Y A 10006 한국지리 3 3 0 30 10 10 20 20 10 ★
전선 T Y A 20006 자연지리학 3 3 0 20 20 10 20 20 10 ★
1-2 전선 T Y A 10008 세계지리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T G A 20007 아시아지리 3 3 0 20 10 20 20 20 10
전선 T Y A 00012 통합사회과교재연구 3 3 0 30 30 10 10 10 10 □★
2-1 전필 T G A 00006 경제지리학 3 3 0 20 10 20 20 20 10 ◎
전필 T G A 00004 지리교육논리및논술 3 3 0 30 30 10 10 10 10 □
전필 T G A 20004 문화지리학 3 3 0 20 10 20 20 20 10 ◎
전필 T G A 30005 지형학 3 3 0 20 10 20 10 20 20 ◎
전선 T Y A 20005 인문지리학 3 3 0 20 10 20 20 20 10 ★
2-2 전필 T G A 20006 도시지리학 3 3 0 20 10 20 20 20 10 ◎
전필 T G A 40003 기후학 3 3 0 20 10 20 10 20 20 ◎
전선 T GA0005 인구및정치지리 3 3 0 20 10 20 20 20 10
전선 T G A 30032 지형과인간생활 3 3 0 20 10 20 10 20 20
3-1 전필 T G A 20011 지리교육론 3 3 0 20 10 20 20 20 10 □◎
지도학및지리정보캡스톤디
전필 T G A 00019 3 3 0 20 10 20 20 20 10 ◎
자인
전선 T G A 40004 촌락지리학 3 3 0 20 10 20 20 20 10
전선 T G A 00016 경제지리학캡스톤디자인 3 3 0 20 10 20 20 20 10
3-2 전필 T G A 00011 향토지리 3 3 0 20 20 20 20 10 10

경상대학교 217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T G A 30004 사회지리학 3 3 0 20 10 20 20 20 10
전선 T G A 30030 환경지리학 3 3 0 20 10 20 10 20 20
전선 T G A 00017 지역혁신캡스톤디자인 3 3 0 20 10 20 20 20 10
전선 T G A 00015 토양생물지리 3 3 0 20 10 20 10 20 20
4-1 전필 T G A 40011 지리과지도법 3 3 0 20 20 20 20 10 10 □
전선 T G A 00012 지리철학과방법론 3 3 0 20 10 20 20 20 10
전선 T G A 00009 유럽아메리카지리 3 3 0 20 10 20 20 20 10
환경변화와재해캡스톤디자
4-2 전선 T G A 00018 3 3 0 20 10 20 20 20 10

전선 T G A 00010 한국지리 2 3 3 0 20 10 20 20 20 10
계 전공필수 30 전공선택 54 84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통합사회전공 중복인정과목

21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 물리교육과
 교육목표
◦훌륭한 인격과 교직관을 가지며 , 물리 내용학 및 교육 이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학습지도능력
을 발휘할 수 있는 , 우수한 물리교육 전문가 양성

 인재상
◦ (봉사실천 인재 ) 원활한 소통과 배려로 민주 시민의식과 물리교육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며 봉사하고 실천하는 인재
◦(가치창조 인재 ) 지식과 비판적 사고의 창의적 융합을 통해 물리교육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여 새로운 물리교육을 창출하는 인재
◦ (도전혁신 인재 ) 스스로 목표를 부여하고 끊임없는 배움과 익힘을 통해 물리교육 변화를 주도적으로 개척하는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물리교육 당사자들 사이의 우호적이고 협
A 의사소통
력적 관계를 구축하고 소통할 수 있는 역량
봉사실천 인재
민주적 과학문화 과학문화를 다양하게 꽃피우고 학교와 지역사회의 민주적 과학문화 증진에 이바
B
증진 (민주시민 ) 지할 수 있는 역량
물리학과 물리교육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C 창의융합
사고를 통해 창의융합 교육문화를 창조하는 역량
가치창조 인재
일상의 물리 현상이나 물리교육 현장에서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 평가하여 원리
D 문제해결
를 규명하거나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물리교육 혁신에 대한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
E 도전정신
하고 성찰하는 역량
도전혁신 인재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물리교육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F 자기주도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TPA10011 물리 1 3 3 0 15 10 15 30 15 15 ★
전선 TPA10070 물리연습 1 1 0 2 15 10 25 25 10 15
전선 TPA10075 물리탐구실험 1 1 0 2 15 10 15 15 15 30
1-2 전선 TPA10012 물리 2 3 3 0 15 10 15 30 15 15 ★
전선 TPA10071 물리연습 2 1 0 2 15 10 25 25 10 15
전선 TPA10076 물리탐구실험 2 1 0 2 15 10 15 15 15 30
2-1 전필 TPA20001 물리교육론 3 3 0 15 15 20 15 15 20 □◎
전필 TPA20002 역학및지도 1 3 3 0 10 10 15 30 15 20 ◎
전필 TPA20005 수리물리및지도 1 3 3 0 10 10 20 30 15 15
전필 TPA20074 물리실험및시범 1 1 0 2 15 10 15 15 15 30
전선 TPA00001 물리의수학적이해 3 3 0 20 10 10 30 15 15
2-2 전필 TPA20004 전자기학및지도 1 3 3 0 15 10 20 30 10 15 ◎
전필 TPA20006 수리물리및지도 2 3 3 0 10 10 20 30 15 15
전필 TPA20008 물리교육의논리및논술 3 3 0 15 15 20 15 15 20 □
전필 TPA00005 물리실험및시범 2 3 3 0 15 10 15 15 15 30
전선 TPA20007 역학및지도 2 3 3 0 10 10 15 30 15 20
전선 TPA00002 물리 3 3 3 0 20 10 10 30 15 15
전선 TZA40001 과학사 3 3 0 20 20 20 10 10 20 □★

경상대학교 219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필 TPA30003 광학및지도 3 3 0 20 10 10 30 15 15 ◎
전필 TPA30006 현대물리및지도 1 3 3 0 15 10 20 30 10 15 ◎
전필 TPA30070 물리실험및시범 3 3 3 0 15 10 15 15 15 30
전선 TPA30004 전자기학및지도 2 3 3 0 15 10 20 30 10 15
전선 TZA30005 과학교수학습론 3 3 0 15 15 20 15 15 20 □★
3-2 전필 TPA30012 물리교재연구및지도 1 3 3 0 15 15 20 15 15 20 □
전필 TPA40008 양자역학및지도 1 3 3 0 15 10 20 30 10 15 ◎
전선 TPA30002 현대물리및지도 2 3 3 0 15 10 20 30 10 15
전선 TPA00006 물리실험및시범 4 3 3 0 15 10 15 15 15 30
4-1 전필 TPA30005 열물리및지도 3 3 0 15 10 20 30 10 15 ◎
전선 TPA40004 핵물리학및지도 3 3 0 15 10 20 30 10 15
전선 TPA40005 응집물리및지도 3 3 0 15 10 20 30 10 15
전선 TPA40009 양자역학및지도 2 3 3 0 15 10 20 30 10 15
전선 TPA40011 물리교재연구및지도 2 3 3 0 15 15 20 15 15 20 □
전선 TPA00003 물리교육평가 3 3 0 20 10 20 20 10 20 □
전선 TZA40002 과학학습평가 3 3 0 15 15 20 15 15 20 □★
4-2 전선 TPA00004 물리교수학습 3 3 0 20 10 20 20 10 20 □
계 전공필수 35 전공선택 52 87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통합과학전공 중복인정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철학과 2 HP A 30051 과학철학 Ph i l osophy o f Sc i ence 3-3-0
물리학과 1 NP A 20008 전자물리 1 E l ec t r on Phys i cs 1 3-3-0
물리학과 2 NP A 20009 전자물리 2 E l ec t r on Phys i cs 2 3-3-0
물리학과 2 NP A 30019 열물리 2 The r ma l Phys i cs 2 3-3-0
물리학과 1 NP A 30027 기초반도체물리 Bas i c Sem i conduc t o r Phys i cs 3-3-0
물리학과 2 NP A 40005 입자물리학 Pa r t i c l e Phys i cs 3-3-0

22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 생물교육과
 교육목표
◦훌륭한 인격과 교직관을 가지며 , 생물학 (과학 ) 내용학 및 교육 이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학습
지도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 우수한 생물 (과학 )교사 양성

 인재상

◦봉사실천 인재 ◦가치창조 인재 ◦도전혁신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의사소통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봉사실천 인재
B 세계시민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구현
C 창의융합
가치창조 인재 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D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E 도전정신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도전혁신 인재
F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하는 할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T B A 1 0003 생물 1 3 3 0 20 20 20 20 10 10 ★
전선 T B A 1 0071 생물탐구실험 1 1 0 2 20 10 20 20 10 20
전선 T B A 2 0013 I CT활용생물교육 3 3 0 20 10 20 20 10 20 □
1-2 전선 T B A 1 0004 생물 2 3 3 0 10 5 25 25 10 25 ★
전선 T B A 1 0072 생물탐구실험 2 1 0 2 10 5 25 25 10 25
전선 T B A 0 0102 융합과학이론및교수법 3 3 0 20 10 20 20 10 20 □
전선 T B A 0 0010 고급생물학 3 2 2 20 20 20 20 10 10
2-1 전필 T B A 0 0104 생물화학 3 2 2 10 10 20 20 20 20 ◎
전선 T B A 2 0004 동물야외탐구 1 0 2 10 10 20 20 20 20
전선 T B A 0 0002 생명공학 3 2 2 10 10 20 20 20 20
전선 T B A 0 0105 식물분류학 3 2 2 10 5 25 25 10 25
생명과학교육과정및평가방 30 10 10 20 10 20
전선 T B A 0 0101 3 3 0 □
법론
전선 T B A 2 0014 기초식물학 2 2 0 20 10 10 20 20 20
전선 TBA00007 분자생물학 3 3 0 15 5 25 25 15 15
2-2 전필 T B A 0 0106 세포생물학 3 2 2 10 10 20 20 20 20 ◎
전필 T B A 0 0109 식물생리학 3 2 2 20 10 10 20 20 20 ◎
전선 T B A 0 0009 심화생물화학 3 2 2 10 10 20 20 20 20
전선 TBA00006 환경생물학 3 3 0 20 15 15 20 10 20
전선 TBA00008 바이러스학 3 3 0 15 15 20 20 15 15
3-1 전필 T B A 0 0100 생명과학교육론 3 3 0 20 20 10 20 10 20 ◎□
전필 T B A 0 0108 동물생리학 3 2 2 10 10 20 20 20 20 ◎
전필 T B A 0 0112 생태학 3 2 2 10 10 25 25 15 15 ◎

경상대학교 221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필 T B A 0 0111 미생물학 3 2 2 15 5 25 25 15 15
전선 T B A 3 0009 식물야외탐구 3 3 0 15 5 20 20 20 20
3-2 전필 T B A 0 0110 유전학 3 2 2 15 5 25 20 20 15 ◎
전필 T B A 0 0113 발생생물학 3 2 2 10 10 20 20 20 20 ◎
전필 T B A 0 0103 생명과학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30 10 10 10 20 20 □
전선 T B A 3 0071 해양생물학실습 1 0 2 15 5 20 20 20 20
전선 T Z A 3 0005 과학교수학습론 2 2 0 20 20 10 20 10 20 □★
전선 TBA00005 식물면역생리학 3 3 0 20 10 20 20 10 20
4-1 전필 T B A 0 0001 생물교육논리및논술 3 3 0 30 10 20 20 10 10 □
전선 T B A 4 0002 면역생물학 2 2 0 10 10 20 20 20 20
전선 T B A 4 0001 진화론 2 2 0 10 10 20 20 20 20
4-2 전선 T Z A 4 0001 과학사 3 3 0 25 20 20 15 10 10 □★
전선 T Z A 4 0002 과학학습평가 3 3 0 10 10 20 30 20 10 □★
계 전공필수 33 전공선택 58 91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통합과학전공 중복인정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생명과학부 1 N OA 00020 분자생물학 2 Mo l ecu l a r B i o l ogy I I 3-3-0
생명과학부 1 N OA 00038 생명과학논문연구 C r i t i ca l r ead i ngs o f r esea r ch pape r s i n 3-3-0
및작성법 l i f e sc i ence
화학과 1 N CA 20001 유기화학 1 O r gan i c Chem i s t r y 1 3-3-0
화학교육과 2 T CA 20081 유기화학실험 Expe r i men t a l O r gan i c Chem i s t r y 2-0-4

22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 수학교육과
 교육목표
◦인성과 실력을 겸비하고 봉사정신을 바탕으로 미래지식 문화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인 수학교육 전문가 양성

 인재상
◦ (봉사 ) 민주 시민의식을 형성하며 수학문화 대중화을 선도하는 봉사 인재
◦ (창의 ‧인성 ) 교육자적 사명감을 바탕으로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창의 ∙인성 인재
◦ (도전 ) 자기 주도적인 개척정신을 바탕으로 수학 및 수학 교수방법의 전문성을 지닌 도전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교수 -학생 , 학생 -학생간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협업을 통하여 수학적 지식
A 수학적 의사소통과 협업능력
을 다양한 방법으로 교수하는 능력
봉사
교수법을 통해 민주시민 역량을 함양하고 봉사정신을 바탕으로 미래사회
B 민주시민 의식과 봉사
를 만들어 가는 능력
수학학습을 통해 얻은 지식을 실생활에 응용하는 능력과 수학문화를 다양
C 수학 응용능력과 수학문화
한 분야에 융합하는 능력
창의 ∙인성
수학적 문제 해결과 수학 수학적 문제 해결을 통해 수학적 사고를 확장하고 확장된 수학적 사고를
D
의 역할 이해 실생활에 적용하는 능력
E 수학교사 실무능력 다양한 교수-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수학을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능력
도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자 자기 주도적인 수학적 학습 방법을 통해 학업능력을 키우고 이를 바탕으
F
기 관리 능력 로 생활을 관리하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T M A 10070 미적분학연습 1 1 0 2 20 5 10 30 15 20
전선 T M A 20012 수학사와수학교육 3 3 0 15 10 30 25 10 10 □
전선 T M A 00016 수학과민주시민 2 2 0 30 30 10 15 5 10
1-2 전필 T M A 00013 수학교육논리및논술 3 3 0 25 5 20 20 20 10 □
전선 N M A 20024 기하학개론 3 3 0 5 10 40 30 5 10
전선 T M A 10071 미적분학연습 2 1 0 2 20 5 10 30 15 20
전선 N M A 20010 집합론 3 3 0 20 5 5 25 20 25
2-1 전필 N M A 20011 선형대수학 1 3 3 0 5 10 40 30 5 10 ◎
전필 N M A 20013 해석학 1 3 3 0 15 5 20 25 15 20 ◎
전필 T M A 30015 수학과교과교육론 3 3 0 20 10 20 20 25 5 □
전선 T M A 00014 수학교육과멀티미디어 2 2 0 25 10 25 10 20 10 □
전선 T M A 00002 벡터해석학 3 3 0 24 8 9 25 15 19
2-2 전선 N M A 20015 정수론 3 3 0 20 5 10 30 15 20
전선 N M A 20021 선형대수학 2 3 3 0 5 10 40 30 5 10
전선 N M A 20023 해석학 2 3 3 0 15 5 20 25 15 20
전선 N M A 20025 미분방정식 3 3 0 20 5 30 15 10 20
전선 T M A 30026 수학과교수학습이론 3 3 0 20 10 20 20 25 5 □
전선 T M A 00008 해석학실습 1 0 2 15 5 15 25 20 20

경상대학교 223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필 N M A 30012 복소수함수론 1 3 3 0 20 6 14 28 22 10 ◎
전필 T M A 00005 추상대수학 1 3 3 0 10 5 30 30 10 15 ◎
전필 N M A 30016 위상수학 1 3 3 0 20 5 10 20 20 25 ◎
전필 N M A 30028 미분기하학 1 3 3 0 5 10 40 30 5 10 ◎
3-2 전선 N M A 30022 복소수함수론 2 3 3 0 20 6 14 28 22 10
전선 T M A 00006 추상대수학 2 3 3 0 10 5 30 30 10 15
전선 N M A 30026 위상수학 2 3 3 0 20 5 10 20 20 25
전선 N M A 40018 미분기하학 2 3 3 0 5 10 40 30 5 10
전선 T M A 00015 수학교육지도의실제 3 3 0 30 5 20 10 25 10 □
전선 T M A 00009 복소수실습 1 0 2 20 5 10 30 15 20
전선 T M A 00010 대수학실습 1 0 2 30 10 10 10 20 20
4-1 전필 T M A 40012 확률및통계학 3 3 0 15 5 20 25 20 15 ◎
전필 T M A 40013 수학과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20 10 20 20 25 5 □
전선 T M A 00007 현대대수학 3 3 0 10 5 30 15 30 10
전선 T M A 40016 이산수학 3 3 0 20 10 10 20 20 20
전선 T M A 00012 위상수학실습 1 0 2 20 10 5 25 20 20
4-2 전선 T M A 40018 수학문제해결교육론 3 3 0 20 10 15 25 20 10 □
전선 T M A 00011 기하학실습 1 0 2 5 10 30 40 10 5
계 전공필수 30 전공선택 62 92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22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 화학교육과
 교육목표

◦과학적 지식 및 탐구능력을 갖춘 교사 양성

 인재상

◦올바른 인성을 갖춘 화학교사 ◦교과 전문성을 갖춘 화학교사 ◦창의성을 갖춘 화학교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올바른 인성을 A 의사소통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으로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갖춘 화학교사 B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사회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능력
교과 전문성을 C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
갖춘 화학교사 D 문제해결능력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E 창의융합
창의성을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갖춘 화학교사
F 도전정신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T C A 10071 화학연습 1 1 0 2 30 10 20 20 10 10
전선 T C A 10001 화학 1 3 3 0 10 10 20 30 15 15 ★
1-2 전선 T C A 10073 화학탐구실험 1 1 0 2 20 20 20 20 10 10
전선 T C A 10002 화학 2 3 3 0 10 10 20 30 15 15 ★
전선 T C A 10072 화학연습 2 1 0 2 30 10 20 20 10 10
전선 T C A 10074 화학탐구실험 2 1 0 2 20 20 20 20 10 10
2-1 전필 N C A 20001 유기화학 1 3 3 0 5 5 25 30 20 15 ◎
전필 N C A 20011 분석화학 1 3 3 0 10 0 30 30 10 20 ◎
전필 N C A 30011 물리화학 1 3 3 0 10 15 15 25 20 15 ◎
전필 T C A 20082 분석화학실험 2 0 4 10 10 20 30 20 10 ◎
전필 T C A 30031 화학교재연구및지도 1 3 3 0 20 10 20 30 10 10 □
2-2 전필 T C A 20081 유기화학실험 2 0 4 5 5 25 30 20 15 ◎
전선 N C A 20002 유기화학 2 3 3 0 5 5 25 30 20 15
전선 N C A 20012 분석화학 2 3 3 0 10 0 30 30 10 20
전선 N C A 30012 물리화학 2 3 3 0 10 15 15 25 20 15
3-1 전필 N C A 30001 무기화학 1 3 3 0 10 0 30 30 10 20 ◎
전필 T C A 20031 화학교육론 3 3 0 20 10 20 20 20 10 □◎
전필 T C A 30083 물리화학실험 2 0 4 20 20 10 20 20 10 ◎
전선 T C A 30013 양자화학 3 3 0 10 15 15 25 20 15
전선 T C A 30077 분석화학탐구지도 2 2 0 20 10 20 30 10 10
전선 T C A 30080 유기화학탐구지도 2 2 0 20 10 20 30 10 10
전선 T Z A 30005 과학교수학습론 2 2 0 10 10 10 30 20 20 □★

경상대학교 225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2 전필 T C A 30084 무기화학실험 2 0 4 10 10 20 30 20 10 ◎
전선 N C A 30002 무기화학 2 3 3 0 10 0 30 30 10 20
전선 T C A 30014 물리화학 3 3 3 0 10 15 15 25 20 15
전선 T C A 30023 기기분석 3 3 0 10 0 30 30 10 20
전선 T C A 40031 화학교재연구및지도 2 3 3 0 20 10 20 30 10 10 □
4-1 전필 T C A 40008 화학교육논리및논술 2 2 0 20 10 30 10 20 10 □
전선 N C A 40020 배위화학 3 3 0 10 0 30 30 10 20
전선 T C A 40007 화학교육탐구지도 3 3 0 5 5 25 30 20 15
전선 T C A 40011 유기화학 3 3 3 0 20 10 20 20 20 10
전선 T C A 40078 무기화학탐구지도 2 2 0 20 10 20 30 10 10
전선 T C A 40079 물리화학탐구지도 2 2 0 20 10 20 30 10 10
4-2 전선 T C A 30006 화학교육과정및평가 3 3 0 10 10 20 30 20 10 □
전선 T C A 40032 컴퓨터와화학교육 2 2 0
전선 T Z A 40001 과학사 3 3 0 25 20 10 15 20 10 □★
전선 T Z A 40002 과학학습평가 3 3 0 10 10 20 30 20 10 □★
계 전공필수 29 전공선택 63 92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통합과학전공 중복인정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화학과 1 NCA 00008 환경화학 Env i r onmen t a l Chem i s t r y 2-2-0
화학과 2 NCA 00110 화학반응속도론 Chem i ca l K i ne t i cs 3-3-0
화학과 2 NCA 00120 고분자화학 Po l yme r Chem i s t r y 3-3-0
화학과 1 NCA 30031 유기분광학 Spec t r oscopy i n O r gan i c Chem i s t r y 3-3-0
화학과 1 NCA 00122 무기화학 3 I no r gan i c Chem i s t r y 3 3-3-0
생명과학부 1 NOA 00051 생화학 B i ochem i s t r y 3-3-0

22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 미술교육과
 교육목표

◦건전한 세계관과 가치관을 토대로 한 공동체 가치와 사회에 공헌하는 예술 창의 인재 양성

 인재상

◦창의적인재 ◦문화예술을 선도하는 실천적 인재 ◦예술적 혁신을 주도하는 도전적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문제해결능력 미술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지식과 창의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한다 .
창의적 인재
B 창의 융합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능력을 기른다 .
세계 시민의식과 다변화 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고 학습하여 문화시민의식을 갖춘 인재를
문화예술을 선도하 C
공동체 문화 약성한다 .
는 실천적 인재
D 공감을 통한 표현 인간에 대한 본질적 이해와 관계를 통하여 실천적 공감 표현 능력을 기른다 .
E 도전정신 확고한 목표 설정과 리더쉽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한다 .
예술적 혁신을 주도
하는 도전적 인재 F 주체적 자기관리 주도적이며 체계적인 자기관리과 혁신적 사고력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한다 .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T AA 10012 입체조형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10013 기초한국화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00003 수채화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00001 색채학 2 2 0 20 20 10 20 10 20
1-2 전선 T AA 10011 소묘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10014 기초조소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10015 평면조형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00007 선묘드로잉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20079 판화 1 2 0 4 10 10 15 25 15 25
2-1 전필 T AA 20070 한국화 1 2 0 4 10 10 15 25 15 25 ◎
전필 T AA 20072 서양화 1 2 0 4 10 10 15 25 15 25 ◎
전필 T AA 20074 조소 1 2 0 4 10 10 15 25 15 25 ◎
전필 T AA 20076 디자인 1 2 0 4 10 10 15 25 15 25 ◎
전필 T AA 20078 공예 2 0 4 25 20 15 20 10 10 ◎
전선 T AA 20001 한국미술사 3 3 0 20 20 10 20 10 20
전선 T AA 20003 디자인론 2 2 0 10 10 15 25 15 25
2-2 전필 T AA 20071 한국화 2 2 0 4 10 10 15 25 15 25
전필 T AA 20073 서양화 2 2 0 4 10 10 15 25 15 25
전필 T AA 20075 조소 2 2 0 4 10 10 15 25 15 25
전필 T AA 20077 디자인 2 2 0 4 25 20 15 20 10 10
전선 T AA 20010 동양미술사 3 3 0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00002 영상디자인 2 0 4 10 10 15 25 15 25

경상대학교 227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필 T AA 30020 미술교육론 3 3 0 25 25 10 20 10 10 □◎
전필 T AA 30092 한국화 3 2 0 4 10 10 15 25 15 25
전필 T AA 30094 서양화 3 2 0 4 10 10 15 25 15 25
전필 T AA 30096 조소 3 2 0 4 10 10 15 25 15 25
전필 T AA 30098 디자인 3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30031 미술해부학 2 2 0 20 20 10 20 10 20
전선 T AA 30080 판화 2 2 0 4 10 10 15 25 15 25
3-2 전선 T AA 30015 미술감상및평가 2 2 0 25 20 15 20 10 10 □
전선 T AA 00005 서예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30093 한국화 4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30095 서양화 4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30097 조소 4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30099 디자인 4 2 0 4 10 10 15 25 15 25
전선 T AA 00006 미학 2 2 0 20 20 10 20 10 20
4-1 전필 T AA 40022 미술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25 25 10 20 10 10 □
전필 T AA 40081 전공재료및조형기법 2 0 4 10 10 15 25 15 25 ◎
전필 T AA 40092 미술전공실기 1 2 0 4 10 10 15 25 15 25 ◎
전선 T AA 40014 현대미술론 3 3 0 20 20 10 20 10 20
4-2 전필 T AA 30022 미술교육의논리및논술 2 2 0 25 25 10 20 10 10 □
전필 T AA 40082 전공재료및영상기법 2 0 4 10 10 15 25 15 25 ◎
전필 T AA 40093 미술전공실기 2 2 0 4 10 10 15 25 15 25 ◎
계 전공필수 42 전공선택 49 91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22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 음악교육과
 교육목표

◦지성 , 인성 , 창의적 전문성을 갖추고 공동체 가치를 실천하는 세계시민 양성

 인재상

◦창의적 인재 ◦문화예술을 선도하는 실천적 인재 ◦음악전문능력 신장과 리더십을 갖춘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문제해결능력 음악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지식과 창의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한다 .


창의적 인재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독창적이고 통합적 사고를 기반으로 창의적 활동 역량
B 창의와 융합
을 기른다 .
민주시민의식과
문화예술을 선도하 C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 지역과 사회에 공헌하는 인재를 양성한다 .
공동체문화
는 실천적 인재
D 공감과 협력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음악전문능력 신장 E 도전적 리더십 진취적이고 리더십을 갖춘 인재를 양성한다


과 리더십을 갖춘 체계적인 자기 관리와 긍정적인 사고력을 소유한 미래지향적 인재를 양성한
인재 F 체계적 자기관리
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T T A 1 0 031 음악전공실기 1 2 0 4 25 20 10 10 10 25 ◎
전필 T T A 1 0 033 음악부전공실기 1 1 0 2 25 20 10 10 10 25
전필 T T A 1 0 040 국악개론 3 3 0 25 20 10 10 10 25 ◎
전선 T T A 0 0 014 가창 1 1 0 2 25 20 10 10 10 25
전선 T T A 0 0 016 합창합주 1 1 0 2 25 20 10 10 10 25
전선 T T A 0 0 024 음악기초이론의이해 2 2 0 25 20 10 10 10 25
전선 T T A 1 0 092 시창 .청음 1 1 0 2 25 20 10 10 10 25
1-2 전필 T T A 0 0 002 국악사 3 3 0 25 20 10 10 10 25 ◎
전필 T T A 0 0 028 음악전공실기 2 1 0 2 25 20 10 10 10 25
전필 T T A 1 0 034 음악부전공실기 2 1 0 2 25 20 10 10 10 25
전필 T T A 1 0 038 시창 .청음 2 2 2 0 25 20 10 10 10 25
전선 T T A 0 0 015 가창 2 1 0 2 25 20 10 10 10 25
전선 T T A 0 0 017 합창합주 2 1 0 2 25 10 10 10 20 25
전선 T T A 0 0 025 기초화성학 2 2 0 25 10 10 10 20 25
전선 T T A 0 0 036 기획 .제작및시연 1 0 2 25 20 10 10 10 25
2-1 전필 T T A 0 0 029 음악전공실기 3 1 0 2 25 20 10 10 10 25
전필 T T A 2 0 033 음악부전공실기 3 1 0 2 25 20 10 10 10 25
전필 T T A 3 0 016 음악교과교육론 3 3 0 25 20 10 10 10 25 □★

전선 T T A 0 0 018 합창합주 3 1 0 2 25 20 10 10 10 25
전선 T T A 0 0 026 대위법 2 2 0 25 20 10 10 10 25

경상대학교 229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T T A 2 0 030 서양음악사 1 2 2 0 25 20 10 10 10 25
전선 T T A 2 0 035 위클리리사이틀 1 1 0 2 25 20 10 10 10 25
전선 T T A 2 0 050 응용화성 1 2 2 0 10 10 10 20 25 25
전선 T T A 2 0 092 시창 .청음 3 1 0 2 10 10 10 20 25 25
2-2 전필 T T A 0 0 030 음악전공실기 4 1 0 2 10 10 10 20 25 25
전필 T T A 2 0 034 음악부전공실기 4 1 0 2 10 10 10 20 25 25
전필 T T A 2 0 051 응용화성 2 2 2 0 10 10 10 20 25 25 ◎
전필 T T A 2 0 093 시창 .청음 4 1 0 2 10 10 10 20 25 25 ◎
전필 T T A 3 0 030 서양음악사 2 2 2 0 10 10 10 20 25 25 ◎
전선 T T A 0 0 006 음악교수법 2 2 0 10 10 10 20 25 25 □★
전선 T T A 0 0 019 합창합주 4 1 0 2 10 10 10 20 25 25
전선 T T A 2 0 036 위클리리사이틀 2 1 0 2 10 10 10 20 25 25
3-1 전필 T T A 0 0 031 음악전공실기 5 1 0 2 10 10 10 20 25 25
전필 T T A 3 0 010 음악교재연구 3 3 0 10 10 10 20 25 25 □
전선 T T A 0 0 004 현대음악사 2 2 0 25 10 10 10 20 25
전선 T T A 0 0 008 악기론 2 2 0 25 10 10 10 20 25
전선 T T A 0 0 020 합창합주 5 1 0 2 25 10 10 10 20 25
전선 T T A 3 0 013 지휘법 1 1 0 2 25 10 10 10 20 25
전선 T T A 3 0 033 음악부전공실기 5 1 0 2 25 10 10 10 20 25
전선 T T A 3 0 035 위클리리사이틀 3 1 0 2 10 10 20 15 20 25
전선 T T A 3 0 043 반주법 1 2 2 0 10 10 20 15 20 25
전선 T T A 3 0 063 장구반주법 1 1 0 2 10 10 20 15 20 25
3-2 전필 T T A 0 0 032 음악전공실기 6 1 0 2 25 20 10 10 10 25
전필 T T A 3 0 044 반주법 2 2 2 0 25 20 10 10 10 25 ◎
전필 T T A 3 0 064 장구반주법 2 1 0 2 25 20 10 10 10 25 ◎
전필 T T A 4 0 053 음악교육논리및논술 2 2 0 25 20 10 10 10 25 □
전선 T T A 0 0 005 국악이론심화 2 2 0 25 20 10 10 10 25
전선 T T A 0 0 009 편곡법 2 2 0 25 20 10 10 10 25
전선 T T A 0 0 013 음악이론심화 2 2 0 25 20 10 10 10 25
전선 T T A 0 0 021 합창합주 6 1 0 2 20 20 20 10 10 20
전선 T T A 3 0 034 음악부전공실기 6 1 0 2 25 20 10 10 10 25
전선 T T A 3 0 036 위클리리사이틀 4 1 0 2 25 25 10 10 10 20
전선 T T A 3 0 097 지휘법 2 1 0 2 25 25 10 10 10 20
4-1 전필 T T A 0 0 010 음악형식론 2 2 0 25 25 10 10 10 20 ◎
전필 T T A 0 0 012 국악실기지도 1 0 2 25 20 10 10 10 25 ◎
전필 T T A 0 0 033 음악전공실기 7 1 0 2 25 25 10 10 10 20
전선 T T A 0 0 007 음악감상및비평 2 2 0 25 25 10 10 10 20
전선 T T A 0 0 022 합창합주 7 1 0 2 25 25 10 10 10 20
전선 T T A 4 0 034 음악부전공실기 7 1 0 2 25 25 10 10 10 20
4-2 전필 T T A 0 0 023 합창합주 8 1 0 2 25 25 10 20 10 10 ◎
전필 T T A 0 0 034 음악전공실기 8 1 0 2 25 25 10 20 10 10
전선 T T A 0 0 027 실용반주법 1 0 2 25 25 10 20 10 10
전선 T T A 0 0 035 음악교육프로그램개발 2 2 0 25 25 10 20 10 10 ★
전선 T T A 4 0 036 음악부전공실기 8 1 0 2 25 25 10 20 10 10
계 전공필수 41 전공선택 52 93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문화예술교육사 이수과목

23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 이수 : 음악 분야〔15과목 41학점〕


이수 교과목 개설 최저 이수
교과영역 개설학과
학수번호 교과목 학점 학기 시간 또는 학점
1) ZIA60013 문화예술교육개론 2 1 교육혁신본부 30시간 (2학점 )
교양교육센터
2) TT A 30016 음악교과교육론 3 1 45시간 (3학점 )

직무역량 3) TT A 00006 음악교수법 2 2 음악교육과 30시간 (2학점 )

4) TT A 00035 음악교육프로그램개발 2 2 30시간 (2학점 )

5) ZIA60014 문화예술교육현장의이해와실습 2 2 교육혁신본부 30시간 (2학점 )


교양교육센터
예술전문성 모두 예술 관련 분야별 해당분야의 전공과목 (10과목이상 ) 음악교육과 450시간 (30학점 )
이수

※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은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 관련 제도 등에 의하여 개편·변경될 수 있음

경상대학교 231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체육교육과
 교육목표

◦體育 (체육 ) · 智育 (지육 ) · 德育 (덕육 )이 조화되는 全人 (전인 )교육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체육문화 선도인재 양성

 인재상
◦ (미래형 인재 ) 미래 체육문화를 선도하는 미래형 인재
◦ (전인적 인재 ) 체육 · 지육 · 덕육을 두루 겸비한 전인적 인재
◦ (범사회적 인재 ) 융 · 복합적 사고에 능통한 범사회적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략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교육현장에서 빅데이터 및 A I , AR
A 미래사회대비 비판적사고능력
등의 학습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
미래형인재
교육과정 재구성 , 맞춤형 학습설계 , 실제적 학습문제 개발 , 학
B 수업혁신 문제해결능력
습자원 활용 등 학습자중심 수업혁신 역량
교수자의 의도된 수업에서 탈피해 학습자가 스스로 명제에 대
C 배움중심교육 자기주도력
한 정의를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해가는 교수 역량
전인적인재
지식 , 신체능력 , 정서 , 성격 , 행동 , 가치관 , 흥미 , 대인관계 심동 · 인지 · 정의
D 균형교육
등이 균형있게 발달할 수 있는 역량 적 영역한 조화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관
E 소통과존중 배려와존중
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범사회적인재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지역사회발전에 이
F 공동체의식 현실참여
바지 할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T W A 00035 육상실습 1 1 0 2 0 0 50 40 10 0 ◎
전선 T W A 00045 체조실습 1 1 0 2 0 10 40 30 10 10
전선 T W A 00014 뉴스포츠실습 1 1 0 2 10 10 40 20 20 0
전선 T W A 00023 수영실습 1 1 0 2 0 10 30 50 10 0
전선 T W A 00043 체육프로그램원론 2 2 0 10 0 30 30 20 10
전선 T W A 00044 체육학개론 2 2 0 10 0 40 50 0 0
전선 T W A 10001 운동해부학 2 2 0 0 0 40 60 0 0
전선 T W A 20092 볼링실습 1 0 2 20 10 30 20 10 10
전선 T W A 00053 기초실기 1 0 2 20 20 20 20 10 10
1-2 전선 T W A 00027 스포츠경영학 3 3 0 20 10 30 20 10 10
전선 T W A 00015 뉴스포츠실습 2 1 0 2 10 10 40 20 20 0
전선 T W A 00024 수영실습 2 1 0 2 0 10 30 50 10 0
전선 T W A 00031 야구실습 1 0 2 10 20 40 10 10 10
전선 T W A 00036 육상실습 2 1 0 2 0 0 50 40 10 0
전선 T W A 00046 체조실습 2 1 0 2 0 10 40 30 10 10
전선 T W A 20097 골프실습 1 0 2 0 0 40 50 10 0
2-1 전필 T W A 00005 체육교과교육원론 2 2 0 10 30 30 10 10 10 □
전필 T W A 00008 운동생리학 3 2 2 20 10 20 30 10 10 ◎
전필 T W A 10084 체육철학 2 2 0 0 0 40 20 20 20 ◎

23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필 T W A 30001 스포츠심리학 3 3 0 0 0 30 30 30 10 ◎
전선 T W A 00016 뉴스포츠실습 3 1 0 2 10 10 40 20 20 0
전선 T W A 00021 배드민턴실습 1 1 0 2 0 0 30 10 30 30
전선 T W A 00037 응급처치및심폐소생술 1 0 2 0 20 20 20 10 30
전선 T W A 00050 테니스실습 1 1 0 2 0 0 30 50 10 10
전선 T W A 00054 심화실기 1 0 2 20 20 20 20 10 10
2-2 전필 T W A 00003 체육교육과정과평가 3 3 0 20 30 30 10 10 0 ◎□
전필 T W A 10078 운동역학 3 3 0 0 0 40 50 0 10 ◎
전선 T W A 00034 운동학습제어 3 3 0 10 20 40 30 0 0
전선 T W A 10077 건강교육론 2 2 0 0 10 50 30 10 0
전선 T W A 00022 배드민턴실습 2 1 0 2 0 0 30 10 30 30
전선 T W A 00025 스키실습 1 1 0 2 0 0 40 50 10 0
전선 T W A 00032 야외교육실습 1 1 0 2 0 0 20 50 30 0
전선 T W A 00051 테니스실습 2 1 0 2 0 0 30 50 10 10
전선 T W A 00040 운동처방론 2 2 0 30 10 20 10 10 20
3-1 전필 T W A 40015 스포츠사회학 3 3 1 30 0 20 10 20 20 ◎
전필 T W A 40022 체육과교수법 3 3 0 10 50 20 20 0 0 □
전선 T W A 00010 해양스포츠실습 1 0 2 0 0 40 50 10 0
전선 T W A 00017 무용실습 1 1 0 2 0 0 40 60 0 0
전선 T W A 00033 야외교실습 2 1 0 2 0 0 20 50 30 0
전선 T W A 00047 축구실습 1 0 2 0 0 40 60 0 0
전선 T W A 00048 탁구실습 1 0 2 0 0 40 60 0 0
전선 T W A 00055 응용실기 1 0 2 20 20 20 20 10 10
3-2 전필 T W A 10080 체육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10 30 30 10 10 10 □
전필 T W A 10061 체육사 3 3 0 0 0 40 20 20 20 ◎
전선 T W A 00056 체육교사교육론 2 2 0 0 0 70 10 20 0
전선 T W A 00057 체육교과내용론 2 2 0 0 0 70 10 20 0
전선 T W A 00042 체육측정평가 3 3 0 30 10 20 10 10 20
전선 T W A 00018 무용실습 2 1 0 2 0 0 40 60 0 0
전선 T W A 00019 배구실습 1 1 0 2 20 0 40 20 20 0
전선 T W A 00026 스키실습 2 1 0 2 0 0 40 50 10 0
전선 T W A 00049 태권도실습 1 0 2 0 0 40 50 10 0
4-1 전필 T W A 00041 체육논리및논술교육 3 3 0 40 10 10 10 30 0 □
전선 T W A 00020 배구실습 2 1 0 2 20 0 40 20 20 0
전선 T W A 00052 핸드볼실습 1 0 2 0 0 40 50 10 0
전선 T W A 00013 농구실습 1 0 2 0 0 40 50 10 0
계 전공필수 32 전공선택 56 88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경상대학교 233
2020학년도 교육과정

□ 통합과학전공
 교육목표
◦훌륭한 인격과 교직관을 가지며 , 과학 내용학 및 교육 이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학습지도능력
을 발휘할 수 있는 , 우수한 과학교사 양성

 인재상

◦봉사실천 인재 ◦가치창조 인재 ◦도전혁신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의사소통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봉사실천 인재
B 세계시민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구현
C 창의융합
가치창조 인재 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D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E 도전정신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도전혁신 인재
F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하는 할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T B A 1 0003 생물 1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T B A 1 0071 생물탐구실험 1 1 0 2 20 10 20 20 10 20 ◎
전필 T C A 1 0001 화학 1 3 3 0 10 10 15 30 15 20 ★◎
전필 T C A 1 0073 화학탐구실험 1 1 0 2 20 20 10 20 10 20 ◎
전필 T P A 1 0011 물리 1 3 3 0 10 10 30 30 10 10 ★◎
전필 T P A 1 0075 물리탐구실험 1 1 0 2 15 10 25 25 15 10 ◎
1-2 전필 T Z A 0 0101 통합과학교육론 3 3 0 20 20 20 20 10 10 □◎
전선 T B A 1 0004 생물 2 3 3 0 10 5 25 25 10 25 ★
전선 T B A 1 0072 생물탐구실험 2 1 0 2 10 5 25 25 10 25
전선 T C A 1 0002 화학 2 3 3 0 10 10 15 30 15 20 ★
전선 T C A 1 0074 화학탐구실험 2 1 0 2 20 20 10 20 10 20
전선 T P A 1 0012 물리 2 3 3 0 10 10 30 30 10 10 ★
전선 T P A 1 0076 물리탐구실험 2 1 0 2 15 10 25 25 15 10
전선 T Z A 0 0100 기초수리과학 3 3 0 10 10 30 30 10 10
전선 T Z A 0 0001 통합과학창의융합 PBL1 3 3 0 10 5 35 25 15 10
전선 T Z A 0 0002 통합과학창의융합 PBL2 3 3 0 10 5 35 25 15 10
전선 T Z A 0 0003 통합과학창의융합 PBL3 3 3 0 10 5 35 25 15 10
2-1 전필 T Z A 2 0011 지구과학 1 3 3 0 10 10 20 40 10 10 ◎
2-2 전필 T Z A 2 0041 유기화학 3 3 0 10 10 15 30 15 20 ◎
전필 T Z A 2 0073 지구과학탐구실험 1 1 0 2 5 5 30 50 5 5 ◎
전필 T Z A 0 0102 통합과학교재연구및지도 1 3 3 0 30 10 10 10 20 20 □
전선 T Z A 0 0104 환경생물학 3 3 0 20 15 15 20 10 20

23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사범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필 T Z A 0 0103 통합과학교재연구및지도 2 3 3 0 30 10 10 10 20 20 □
전필 T Z A 3 0027 분자생물학 3 3 0 15 5 30 25 20 5 ◎
3-2 전필 T P A 2 0013 현대물리학 3 3 0 10 10 30 30 10 10 ◎
전선 T Z A 3 0005 과학교수학습론 2 2 0 20 20 10 20 10 20 □★
전선 T Z A 3 0012 현대지구과학 3 3 0 10 10 20 40 10 10
4-1 전필 T Z A 4 0005 과학교육논리및논술 2 2 0 20 15 20 20 15 10 □
전필 T Z A 4 0013 지질학 3 3 0 10 15 15 40 10 10 ◎
4-2 전선 T Z A 4 0001 과학사 3 3 0 25 20 20 15 10 10 □★
전선 T Z A 4 0002 과학학습평가 3 3 0 10 10 20 30 20 10 □★
계 전공필수 39 전공선택 38 77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전공 중복인정과목


※ “ 현대물리학 ” , “ 유기화학 ” , “ 분자생물학 ” 은 해당 학과(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생물교육과) 학생은 전공필수 이수 학점에서 제외함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철학과 2 H P A 30051 과학철학 Ph i l osophy o f Sc i ence 3-3-0
화학교육과 1 N C A 30001 무기화학 1 I no r gan i c Chem i s t r y 1 3-3-0
화학교육과 1 N C A 30011 물리화학 1 Phys i ca l Chem i s t r y 1 3-3-0
지질과학과 1 N G A 20051 구조지질학 S t r uc t u r a l Geo l ogy 3-3-0
지질과학과 1 N G A 20083 광물학및실험 M i ne r a l ogy & Lab . 3-2-2
생물교육과 2 T B A 00106 세포생물학 Ce l l B i o l ogy 3-2-2
생물교육과 1 T B A 00108 동물생리학 An i ma l Phys i o l ogy 3-2-2
화학교육과 1 T C A 10071 화학연습 1 Chem i s t r y Exe r c i se 1 1-0-2
화학교육과 2 T C A 10072 화학연습 2 Chem i s t r y Exe r c i se 2 1-0-2
물리교육과 1 T P A 10070 물리연습 1 Phys i cs P r ob l ems So l v i ng 1 1-0-2
물리교육과 2 T P A 10071 물리연습 2 Phys i cs P r ob l ems So l v i ng 2 1-0-2
물리교육과 1 T P A 20002 역학및지도 1 Mechan i cs and I ns t r uc t i on 1 3-3-0
물리교육과 2 T P A 20004 전자기학및지도 1 E l ec t r omagne t i sm and I ns t r uc t i on 1 3-3-0

경상대학교 235
2020학년도 교육과정

□ 통합사회전공
 교육목표
◦인간 , 사회 , 국가 , 지구공동체 및 환경을 개별 학문의 경계를 넘어 통합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 이를 기반으로 한 기초교
양과 미래 사회의 대비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한 교사의 양성

 인재상
◦비판적 사고력 및 창의력을 가진 교사 ◦문제 해결 능력과 의사 결정 능력을 가진 교사
◦공동체적 역량 및 통합적 사고력을 가진 교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통합사회적 지식을 토대로 현실문제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사고할
비판적 사고력 및 창의 A 비판적 사고력
수 있는 능력
력을 가진 교사
B 창의력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른 현실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창의적으로생각해 내는 능력
문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현상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올바르게 인식하
문제 해결 능력과 의사 C 문제해결 능력
여 해결하는 능력
결정 능력을 가진 교사
D 의사 결정 능력 행위의 의미나 이에 따르는 결과를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의사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
일상생활과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E 공동체적 역량
공동체적 역량 및 통합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통합적인 관점에서 성찰하고 설계하는 능력
적 사고력을 가진 교사 주제별 핵심 질문에 대해 시간적 , 공간적 , 사회적 , 윤리적 관점을 통해 인
F 통합적 사고력
간의 삶과 사회현상을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TYA20006 자연지리학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TYA00007 한국사입문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TYA00004 인간과사회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TNA30021 윤리학개론 3 3 0 30 20 10 10 10 20 ◎
전선 TYA10006 한국지리 3 3 0 20 20 20 20 10 10
1-2 전필 TYA00003 통합사회교육론 3 3 0 30 30 10 10 10 10 ◎□
전필 TYA00012 통합사회교재연구 3 3 0 30 30 10 10 10 10 □
전선 TYA10010 사회와경제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TYA10008 세계지리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TYA00014 한국문화사 3 3 0 20 20 20 20 10 10
2-1 전필 TYA00005 법이해의기초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TYA20005 인문지리학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TNA20003 동양고대의사상과윤리 3 3 0 20 20 20 20 10 10 ◎
전선 TYA00008 서양사입문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TYA20003 국가와정치 3 3 0 20 20 20 20 10 10
2-2 전필 TYA00010 동양사입문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TYA00006 통합사회과지도법 3 3 0 30 30 10 10 10 10 □
전선 TNA00009 응용윤리 3 3 0 0 30 40 30 0 0
3-1 전선 TNA30025 한국윤리사상 3 3 0 20 20 20 20 10 10
3-2 전필 TYA00015 통합사회과교육의논리및논술 3 3 0 30 10 20 10 20 10 □
계 전공필수 36 전공선택 24 60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23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수의과대학

1. 수의예과················································· 236
2. 수의학과················································· 237

23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수의과대학

□ 수의예과
 교육목표

◦동물의 건강과 복지 및 질병관리 전문가 양성

 인재상
◦핵심졸업역량 성취 – 임상술기 Day-1-Compe t ency ◦원헬스 (One-Hea l t h ) 전문성 성취 - 방역분야 ( 기초 /예방 )
◦수의사 직업윤리 및 사회봉사 리더쉽 성취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수의사는 동물의 건강과 복지 및 질병관리를 최우선으로 하는 전문적인 지식과
핵심 졸업역량 Day-1-Compe t ency
A 더불어 임상술기 (c l i n i ca l sk i l l s )를 갖추어야 전문성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성취 임상술기 성취
수의학교육에서 핵심 졸업역량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도록 설정함
공중보건 및 인수 수의사는 동물 -환경 -사람의 건강이 큰 틀에서 하나로 연계되어 있음 (One
원헬스 B 공통감염병 감시 Hea l t h 관점 )을 인식하고 공중보건 및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One-Hea l t h ) 전 전문성 성취 인재를 배출하도록 설정함
문성 성취 동물 전염병 방역 수의사는 동물 (반려동물 , 농장동물 , 야생동물 )에서의 전염병을 정확하게 진단
C
전문성 성취 하고 예방관리하기 위한 방역전문가가 되어야하므로 전공역량으로 설정함
소통과 협력으로 수의사는 보호자 및 일반 대중 , 동료 수의사 및 타 분야 전문가와 원활하게 소
D 직업윤리 리더쉽 통하고 협력하여 지역사회 및 국가를 위한 공익적 수의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수의사 직업윤리
성취 직업윤리와 리더쉽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도록 설정함
및 사회봉사 리
연구개발 전문성 수의학적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과학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평생학습을 통
더쉽 성취
E 및 사회봉사 리더 한 연구개발 전문성을 배양하고 전문 직업인으로서 사명감과 사회봉사 리더쉽
쉽 성취 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전공역량으로 설정함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2-1 전필 VPA00002 동물사양 및 영양학 3 3 0 30 20 20 10 20
전필 VPA00004 의학통계학 2 2 0 20 30 30 10 10
전필 VPA00006 유기화학 및 실험 1 3 2 2 40 30 0 10 20
전필 VPA00007 수의학용어 2 2 0 30 20 0 30 20
전필 VPA00009 면역학 3 3 0 40 20 20 10 10
전필 VPA00012 수의학개론 1 2 2 0 40 20 20 10 10
2-2 전필 VPA00010 유기화학 및 실험 2 3 2 2 40 30 0 10 20
전필 VPA00011 신경과학 3 3 0 20 30 30 10 10
전필 VPA00013 수의학개론 2 2 2 0 50 20 10 10 10
전필 VPA00014 동물복지 및 윤리학 2 2 0 25 25 0 25 25
전필 VPA00015 동물생명공학 3 3 0 20 30 30 10 10
전필 VPA00016 분자생물학 2 2 0 20 30 30 10 10
계 전공필수 30 전공선택 - 30

경상대학교 239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수의학과
 교육목표
◦동물의 건강과 복지 및 질병관리 전문가 양성

 인재상
◦핵심졸업역량 성취 – 임상술기 Day-1-Compe t ency ◦원헬스 (One-Hea l t h ) 전문성 성취 - 방역분야 (기초 /예방 )
◦수의사 직업윤리 및 사회봉사 리더쉽 성취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수의사는 동물의 건강과 복지 및 질병관리를 최우선으로 하는 전문적인 지식
핵심 졸업역량 Day-1-Compe t ency
A 과 더불어 임상술기 (c l i n i ca l sk i l l s ) 를 갖추어야 전문성을 실현할 수 있으
성취 임상술기 성취
므로 수의학교육에서 핵심 졸업역량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도록 설정함
공중보건 및 인수 수의사는 동물 -환경 -사람의 건강이 큰 틀에서 하나로 연계되어 있음 (One
원헬스 B 공통감염병 감시 Hea l t h 관점 )을 인식하고 공중보건 및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One-Hea l t h ) 전 전문성 성취 인재를 배출하도록 설정함
문성 성취 동물 전염병 방역 수의사는 동물 (반려동물 , 농장동물 , 야생동물 )에서의 전염병을 정확하게 진
C
전문성 성취 단하고 예방관리하기 위한 방역전문가가 되어야하므로 전공역량으로 설정함
소통과 협력으로 수의사는 보호자 및 일반 대중 , 동료 수의사 및 타 분야 전문가와 원활하게
D 직업윤리 리더쉽 소통하고 협력하여 지역사회 및 국가를 위한 공익적 수의업무를 수행할 수
수의사 직업윤리
성취 있는 직업윤리와 리더쉽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도록 설정함
및 사회봉사 리
연구개발 전문성 수의학적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과학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평생학습을
더쉽 성취
E 및 사회봉사 리더 통한 연구개발 전문성을 배양하고 전문 직업인으로서 사명감과 사회봉사 리
쉽 성취 더쉽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전공역량으로 설정함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1-1 전필 V M A 10003 수의세균학 1 2 2 0 20 30 30 10 10
전필 V M A 10013 수의생리학 1 4 4 0 70 0 0 10 20
전필 V M A 10015 수의조직학 1 2 2 0 30 20 20 10 20
전필 V M A 10016 수의생화학 1 3 3 0 30 20 20 10 20
전필 V M A 10020 수의해부학 Ⅰ 3 3 0 30 20 20 10 20
전필 V M A 00024 수의해부학실습 1 1 0 2 30 20 20 10 20
전필 V M A 00025 수의조직학실습 1 1 0 2 30 20 20 10 20
전필 V M A 00026 수의세균학실습 1 1 0 2 20 30 30 10 10
전필 V M A 00027 수의생리학실습 1 1 0 2 70 0 0 10 20
전필 V M A 00028 수의생화학실습 1 1 0 2 30 20 20 10 20
1-2 전필 V M A 00048 수의세균학 2 2 2 0 20 30 30 10 10
전필 V M A 10007 수의해부학 2 3 3 0 30 20 20 10 20
전필 V M A 10010 수의생리학 2 3 3 0 70 0 0 10 20
전필 V M A 10012 수의신경해부학 1 1 0 30 20 20 10 20
전필 V M A 10017 수의조직학 2 2 2 0 30 20 20 10 20
전필 V M A 10018 수의생화학 2 3 3 0 30 20 20 10 20
전필 V M A 10021 수의발생학 3 3 0 30 20 20 10 20
전필 V M A 00029 수의해부학실습 2 1 0 2 30 20 20 10 20

24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수의과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전필 V M A 00030 수의조직학실습 2 1 0 2 30 20 20 10 20
전필 V M A 00031 수의생리학실습 2 1 0 2 70 0 0 10 20
전필 V M A 00032 수의세균학실습 2 1 0 2 20 30 30 10 10
전필 V M A 00033 수의생화학실습 2 1 0 2 30 20 20 10 20
2-1 전필 V M A 20012 수의바이러스학 2 2 0 0 40 45 10 5
전필 V M A 20013 수의약리학 1 3 3 0 30 20 20 10 20
전필 V M A 20014 수의기생충학 1 2 2 0 20 30 30 10 10
전필 V M A 20015 수의병리학총론 3 3 0 40 10 10 10 30
전필 V M A 20016 수의독성학 1 2 2 0 10 30 0 20 40
전필 V M A 20035 실험동물의학 1 2 2 0 10 20 30 20 20
전필 V M A 00036 수의바이러스학실습 1 0 2 0 40 45 5 10
전필 V M A 00035 수의약리학실습 1 1 0 2 30 25 25 5 15
전필 V M A 00037 수의기생충학실습 1 1 0 2 20 30 30 10 10
전필 V M A 00038 수의독성학실습 1 1 0 2 10 30 0 20 40
전필 V M A 00039 수의병리학실습 1 1 0 2 50 10 10 10 20
전필 V M A 30033 수의역학 2 2 0 0 35 40 10 15
2-2 전필 V M A 00011 수의병리학각론 3 3 0 40 10 10 10 30
전필 V M A 20018 수의약리학 2 3 3 0 30 20 20 10 20
전필 V M A 20019 수의기생충학 2 2 2 0 20 30 30 10 10
전필 V M A 00020 수의병리학실습 2 1 0 2 50 10 10 10 20
전필 V M A 20021 수의독성학 2 2 2 0 10 30 0 20 40
전필 V M A 20036 실험동물의학 2 2 2 0 10 20 30 10 30
전필 V M A 00041 수의약리학실습 2 1 0 2 30 25 25 5 15
전필 V M A 00042 수의기생충학실습 2 1 0 2 20 30 30 10 10
전필 V M A 00043 수의독성학실습 2 1 0 2 10 30 0 20 40
전필 V M A 30018 환경위생학 2 2 0 10 30 25 20 15
전필 V M A 40029 식품위생학 2 2 0 10 40 30 10 10
전선 V M A 30077 환경위생학실습 2 0 4 0 50 30 10 10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30 20 30 10 10
동하계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30 20 30 10 10
3-1 전필 V M A 00006 수생생명의학 1 2 2 0 30 30 20 10 10
전필 V M A 00034 수생생명의학실습 1 1 0 2 30 20 20 10 20
전필 V M A 00044 수의공중보건학실습 1 0 2 10 40 30 10 10
전필 V M A 30023 수의외과학총론 2 2 0 50 0 20 15 15
전필 V M A 30032 동물행동학 1 1 0 50 0 0 30 20
전필 V M A 30042 수의바이러스전염병학 2 2 0 0 40 45 5 10
전필 V M A 30049 수의내과학총론 2 2 0 60 5 10 15 10
전필 V M A 40033 수의공중보건학 2 2 0 10 40 30 10 10
전선 V M A 30043 동물유전의학 2 2 0 70 0 10 0 20
전선 V M A 30056 수의면역학 2 2 0 20 30 30 0 20
전선 V M A 30057 수생동물환경학 1 1 0 10 10 20 30 30
전선 V M A 30069 수의바이러스전염병학실습 2 0 4 0 40 45 5 10
전선 V M A 30071 임상번식학 3 3 0 20 10 10 30 30
전선 V M A 30075 수의독성학실습 3 2 0 4 10 30 0 20 40
전선 V M A 00012 수의학캡스톤디자인 3 3 0 100 0 0 0 0
3-2 전필 V M A 00007 수생생명의학 2 2 2 0 30 20 20 10 20
전필 V M A 00040 수생생명의학실습 2 1 0 2 30 10 20 10 30

경상대학교 241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전필 V M A 30024 수의마취학 2 2 0 85 0 0 5 10
전필 V M A 30038 수의외과학 1 2 2 0 70 0 0 15 15
전필 V M A 30044 수의세균전염병학 2 2 0 30 10 40 10 10
전필 V M A 30048 수의영상의학 1 2 2 0 80 0 5 5 10
전필 V M A 30050 동물신경근내과 1 1 0 80 0 5 5 10
전필 V M A 30054 동물심혈관신장내과 1 1 0 80 0 5 5 10
전필 V M A 30055 동물감염내과 1 1 0 30 20 30 10 10
전필 V M A 40048 동물호흡기내과 1 1 0 40 20 20 10 10
전필 V M A 40049 동물피부내분비내과 1 1 0 70 5 5 10 10
전선 V M A 30078 우유및식육위생학실습 2 0 4 10 40 30 10 10
전선 V M A 30079 수의세균전염병학실습 2 0 4 20 10 50 10 10
전선 V M A 30080 수의진단병리학실습 2 0 4 60 10 10 10 10
전선 V M A 30082 응용수의해부학실기 2 0 4 20 10 10 30 30
전선 V M A 00022 수의정형외과학 2 2 0 90 0 0 5 5
전선 VMA30083 응용수의조직학실기 2 0 4 20 10 10 30 30
전선 V M A 40039 말의학 2 2 0 70 0 20 10 0
4-1 전필 V M A 00013 임상로테이션 1 4 0 8 70 10 10 5 5
전필 V M A 30053 수의영상의학 2 2 2 0 80 0 5 5 10
전필 V M A 40034 수의산과학 1 4 4 0 45 5 5 10 35
전필 V M A 40035 수의외과학 2 2 2 0 80 0 0 10 10
전필 V M A 40046 동물소화기내과 2 2 0 70 0 10 10 10
전필 V M A 40047 동물혈액종양내과 1 1 0 90 0 0 5 5
전선 V M A 00045 수의방사선치료학 1 1 0 80 0 0 10 10
전선 V M A 00046 돼지질병학 2 2 0 60 0 20 20 0
전선 VMA40084 응용수의생리학실기 2 0 4 40 0 0 30 30
전선 V M A 40022 야생동물질병학 2 2 0 20 70 0 10 0
전선 V M A 40040 동물병원경영학 1 1 0 90 0 0 10 0
전선 V M A 40041 수의약물처방학 2 2 0 50 20 10 10 10
전선 V M A 40042 수의피부병학 2 2 0 70 5 10 5 10
전선 V M A 40044 수의안과학 2 2 0 80 0 10 5 5
전선 V M A 40050 수의단층영상의학 2 2 0 80 0 0 10 10
전선 V M A 40086 응용수의생화학실기 2 0 4 30 10 10 20 30
4-2 전필 V M A 00014 임상로테이션 2 5 0 10 50 10 20 10 10
전필 V M A 00021 수의진단검사의학 3 3 0 50 5 30 5 10
전필 V M A 40037 수의산과학 2 4 4 0 45 5 5 10 35
전필 V M A 00047 수의법규 2 2 0 20 20 20 20 20
전선 V M A 00001 수의자기공명영상의학 2 2 0 80 0 5 10 5
전선 V M A 00015 수의영상의학실습 2 0 4 90 0 0 5 5
전선 V M A 00016 수의외과학실습 2 0 4 90 0 0 5 5
전선 V M A 00017 수의내과학실습 2 0 4 80 0 10 5 5
전선 V M A 00018 수의산과학실습 2 0 4 70 0 10 10 10
전선 V M A 00019 수의진단검사의학실습 2 0 4 70 5 10 5 10
전선 V M A 00050 응급처치학 2 2 0 80 0 5 5 10
전선 V M A 40043 조류질병학 3 3 0 0 40 45 5 10
전선 V M A 40089 응용수의약리학실기 2 0 4 50 10 10 10 20
전선 V M A 40090 조류질병학실습 2 0 4 0 40 45 10 5
계 전공필수 140 전공선택 70 (6 ) 210 (6 )

24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의과대학

1. 의예과······················································242
2. 의학과······················································243

24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의과대학

□ 의예과
 교육목표
인류의 건강 증진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 다음과 같은 자질과 역량을 갖춘 개척의사를 양성한다 .
◦책임감 , 인성 , 봉사정신 ◦전문 의학지식과 진료능력 ◦자기계발과 연구능력

 인재상
◦윤리의식과 책임감을 가진 소통하는 봉사인재 ◦통합적 사고와 우수한 수행능력을 가진 의학인재
◦지속적 자기계발을 주도하는 창의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윤리의식과 A 인간애와 의료윤리 생명존중을 바탕으로 의료인에게 필요한 인간애와 의료윤리를 갖춘다 .
책임감을 가진
소통하는 봉사인재 B 효과적인 소통 동료 , 의료인 , 환자 또는 보호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한다 .
기초의학과정에서 학습한 기초의학 지식을 임상의학과정 학습과 임상
C 임상에서 기초지식 응용
진료에서 응용한다 .
통합적 사고와 D 진단 , 치료 및 예방 질병의 진단 , 치료 및 예방에 대해 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
우수한 수행능력을 E 문제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와 과학적 지식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수행할 수 있다 .
가진 의학인재 F 기본 임상술기 일차진료의사로서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임상술기 역량을 갖춘다 .
지역사회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역량과 지역사회 건강 지
G 지역사회 건강 지도
도에 대한 전문역량을 갖춘다 .
H 평생학습능력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한 평생학습능력을 갖춘다 .
지속적 자기계발을
주도하는 창의인재 자기 성찰 및 자기 관리 ,
I 자기계발을 위한 자기성찰역량과 자기관리역량을 함양한다 .
개인 성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 100 % ) 비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고
A B C D E F G H I
1-2 전필 MM A 00075 유기화학및실험 3 2 2 0 0 60 10 20 0 0 10 0
2-1 전필 MM A 00001 의학개론 3 3 0 15 10 15 5 10 5 10 15 15
전필 MM A 20002 응용과학의이해 : 의학 3 3 0 0 5 10 60 10 0 0 10 5
과공학
전필 MM A 00079 의학통계학 3 3 0 0 5 50 0 20 0 0 20 5
전필 MM A 00080 문화와의료 1 3 3 0 5 20 20 15 10 5 5 10 10
전필 MM A 00081 세포생물학 3 3 0 10 10 20 20 20 0 0 10 10
전필 MM A 00082 의생화학 3 3 0 0 5 40 10 30 0 0 10 5
2-2 전필 MM A 00077 분자생물학 3 3 0 0 5 50 30 5 0 5 0 5
전필 MM A 00083 발생학 3 3 0 10 10 20 20 20 0 0 10 10
전필 MM A 00084 유전학 3 3 0 20 20 20 20 20 0 0 0 0
전필 MM A 00085 신경의학 3 3 0 0 5 50 0 30 0 0 10 5
전필 MM A 20003 의학교육방법론 3 3 0 20 20 0 0 10 20 0 15 15
전필 MM A 00087 문화와의료 2 3 3 0 5 20 20 15 10 5 5 10 10
계 전공필수 39 전공선택 - 39

245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의학과
 교육목표
인류의 건강 증진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 다음과 같은 자질과 역량을 갖춘 개척의사를 양성한다 .
◦책임감 , 인성 , 봉사정신 ◦전문 의학지식과 진료능력 ◦자기계발과 연구능력

 인재상
◦윤리의식과 책임감을 가진 소통하는 봉사인재 ◦통합적 사고와 우수한 수행능력을 가진 의학인재
◦지속적 자기계발을 주도하는 창의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윤리의식과 A 인간애와 의료윤리 생명존중을 바탕으로 의료인에게 필요한 인간애와 의료윤리를 갖춘다 .
책임감을 가진
소통하는 봉사인재 B 효과적인 소통 동료 , 의료인 , 환자 또는 보호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한다 .
기초의학과정에서 학습한 기초의학 지식을 임상의학과정 학습과 임상
C 임상에서 기초지식 응용
진료에서 응용한다 .
통합적 사고와 D 진단 , 치료 및 예방 질병의 진단 , 치료 및 예방에 대해 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
우수한 수행능력을 E 문제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와 과학적 지식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수행할 수 있다 .
가진 의학인재 F 기본 임상술기 일차진료의사로서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임상술기 역량을 갖춘다 .
지역사회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역량과 지역사회 건강 지
G 지역사회 건강 지도
도에 대한 전문역량을 갖춘다 .
H 평생학습능력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한 평생학습능력을 갖춘다 .
지속적 자기계발을
주도하는 창의인재 자기 성찰 및 자기 관리 ,
I 자기계발을 위한 자기성찰역량과 자기관리역량을 함양한다 .
개인 성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비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고
A B C D E F G H I
1-1 전필 MMA00201 기초의학총론 2 2 0 0 10 30 0 30 0 0 20 10
전필 MMA00202 해부학 6 3 6 20 20 20 15 15 0 0 5 5
전필 MMA00203 생리학 4 3 2 0 5 50 0 30 0 0 10 5
전필 MMA00204 생화학 4 3 2 0 10 50 10 10 0 0 10 10
전필 MMA00205 조직학 2 1 2 20 20 20 15 15 0 0 5 5
전필 MMA00206 인문의학 (환자의사사회 1 ) 2 2 0 30 30 0 0 0 0 0 10 30
1-2 전필 MMA00012 발병과생체반응 5 4 2 0 5 50 0 30 0 0 10 5
전필 MMA00207 신경계의구조와기능 3 2 2 10 0 40 20 10 0 0 10 10
전필 MMA00209 인체약리학 1 1 0 10 0 25 40 15 0 0 10 0
전필 MMA00210 의학미생물학 2 2 0 20 10 30 20 20 0 0 0 0
전필 MMA00211 역학및의학통계학 2 2 0 10 0 10 0 50 0 10 20 0
전필 MMA00212 성장 .노화 .유전 3 3 0 0 0 10 50 30 0 0 5 5
전필 MMA00213 병리학 2 2 0 5 10 15 15 15 15 5 10 10
전필 MMA00214 의학면담 · 행동과학 · 의 2 2 0 40 40 0 5 5 10 0 0 0
료윤리 (환자의사사회 2 )
2-1 전필 MMA00215 진단학 2 2 0 10 20 5 30 5 30 0 0 0
전필 MMA00216 소화기학 3 3 0 0 0 25 25 25 0 10 10 5
전필 MMA00217 호흡기학 3 3 0 5 5 20 20 20 10 10 5 5

24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의과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G H I 고
전필 MMA00218 류마티스 .알레르기학 2 2 0 0 10 15 30 25 10 0 10 0
전필 MMA00219 내분비학 3 3 0 0 10 30 35 20 0 0 5 0
전필 MMA00220 피부 .근골격계학 2 2 0 12 12 12 12 12 10 10 10 10
전필 MMA00221 출산및생식의학 3 3 0 5 5 15 30 30 5 0 5 5
전필 MMA00222 연계강좌 2 2 0 10 10 10 30 20 10 0 5 5
전필 MMA00223 보건의료관리 (환자의사사회 3) 1 1 0 5 20 5 5 20 5 25 5 10
2-2 전필 MMA00224 정신의학 2 2 0 0 0 30 30 5 20 5 5 5
전필 MMA00225 신장학 3 3 0 5 5 20 20 20 0 10 10 10
전필 MMA00226 순환기학 3 3 0 5 5 20 30 20 10 10 0 0
전필 MMA00227 신경학 3 3 0 5 5 10 30 30 10 0 5 5
전필 MMA00228 혈액 .종양학 3 3 0 11 11 11 11 11 11 11 11 12
전필 MMA00229 감염학 3 3 0 10 10 15 15 15 10 5 10 10
전필 MMA00230 외상및응급의학 3 3 0 10 10 15 10 20 10 5 10 10
전필 MMA00231 직업환경의학 (환자의사사회 4) 1 1 0 10 10 30 30 15 5 0 0 0
3-1 , 2 전필 MMA00232 임상실습입문 1 0 2 10 20 5 20 20 15 0 5 5
전필 MMA00233 내과학 10 0 20 5 5 5 25 25 25 0 5 5
전필 MMA00234 외과학 5 0 10 5 10 15 15 15 15 10 5 10
전필 MMA00235 산부인과학 5 0 10 10 10 10 20 20 15 5 5 5
전필 MMA00236 소아과학 5 0 10 5 10 10 30 20 10 5 5 5
전필 MMA00237 정신과학 5 0 10 5 20 20 20 10 20 0 0 5
전필 MMA00238 신경과학 2 0 4 5 10 5 35 10 25 0 5 5
전필 MMA00239 영상의학 2 0 4 5 15 20 20 20 15 0 5 0
전필 MMA00240 진단검사의학 2 0 4 5 10 10 20 20 20 5 5 5
전필 MMA00241 응급의학 2 0 4 5 15 15 15 20 15 5 5 5
전필 의료정보학 (환자의사사 1 1 0 10 10 13 10 15 10 10 10 12
MMA00242
회 5-1 )
전필 의료와사회 · 보완대체의 1 1 0 10 10 10 20 20 10 0 10 10
MMA00243
학 (환자의사사회 5-2 )
4-1 , 2 전필 MMA00013 피부과학 2 0 2 5 10 10 30 20 10 5 5 5
전필 MMA00014 정형외과학 2 0 2 10 10 10 10 10 20 10 10 10
전필 MMA00015 흉부외과학 2 0 2 10 10 10 20 20 5 5 10 10
전필 MMA00016 신경외과학 2 0 2 5 10 10 25 20 15 5 5 5
전필 MMA00017 성형외과학 2 0 2 10 5 20 20 10 10 5 10 10
전필 MMA00018 비뇨기과학 2 0 2 10 10 30 20 10 10 0 0 10
전필 MMA00019 이비인후과학 2 0 2 0 10 20 20 20 20 10 0 0
전필 MMA00020 안과학 2 0 2 5 5 10 20 20 20 10 5 5
전필 MMA00021 방사선종양학 2 0 2 10 10 10 30 10 10 10 10 0
전필 MMA00022 마취통증의학 2 0 2 0 10 10 30 20 30 0 0 0
전필 MMA00023 재활의학 2 0 2 5 15 20 20 20 20 0 0 0
전필 MMA00024 임상종합술기시험 3 0 3 10 20 5 20 20 15 0 5 5
전필 MMA00244 선택의학 4 0 4 5 5 15 20 20 20 5 5 5
전필 MMA00245 논문작성법 1 1 0 5 15 15 0 25 0 0 20 20
전필 MMA00257 의료와법 (환자의사사회 6 ) 2 2 0 30 10 0 0 0 0 10 20 30
전필 MMA00258 지역사회의학실습 1 0 1 5 5 0 20 10 10 30 10 10
전필 MMA00259 지역사회임상실습 2 0 2 20 15 5 5 5 5 20 10 15
전필 MMA00261 증례중심강의 5 5 0 5 10 5 45 20 10 0 5 0
계 전공필수 162 전공선택 162

247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간호대학

1. 간호학과················································· 246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 간호학과
 교육목표
본 학과의 교육목적은 인간존중의 정신에 입각해서 간호대상자의 최적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간호사 핵심역
량을 갖추고 간호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하는데 있으며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인간 , 환경 , 건강 , 간호에 대한 교양지식 , 간호학적 지식 및 숙련된 간호술을 통합하여 실무에 적용한다 .
◦인본주의적 간호철학을 바탕으로 간호대상자와 치료적 의사소통을 한다 .
◦간호대상자의 건강상태 개선을 위하여 전문 분야 간 업무를 효율적으로 조정하고 협력한다 .
◦창의적이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간호대상자의 건강유지와 증진 , 질병예방 , 건강회복을 도모한다 .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과 간호전문직 표준을 이해하고 이를 실무에 통합한다 .
◦변화하는 사회와 간호대상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간호전문직과 보건의료사업의 발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리더십을 발휘한다 .
◦간호실무의 과학적 발전을 위하여 연구활동에 참여한다 .
◦국제적인 감각과 역량을 지니고 국내 ․외 보건의료정책 변화를 인지한다 .
◦강인한 자생력을 바탕으로 간호실무에 적응한다 .

 인재상

◦국제적인 능력으로 전 인류애적인 봉사를 수행하는 간호사 ◦ 주도적으로 자생력을 발휘하는 간호사
◦과학적으로 전문간호실무를 수행하는 간호사 ◦ 공감능력을 갖추고 인간존중을 실천하는 간호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국제적인 능력을 기반으로 A 보건의료변화의 인지 국내 ․외보건의료 정책의 변화를 인지하고 인류애적 봉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전 인류애적인 봉사를
수행하는 간호사 B 전문직윤리준수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 윤리적 기준을 준수하는 능력

C 리더십 보건의료현장에서 주도적으로 역할을 수행하며 리더십을 발휘하는 능력


주도적으로 자생력을
발휘하는 간호사
D 강인한 자생력 다양한 실무현장에 적응하며 강인한 자생력을 발휘하는 능력

다양한 교양지식과 전공지식에 근거한 간호술을 통합적으로 실무에 적용하


E 전문직간호실무
과학적인 전문간호실무를 는 능력
수행하는 간호사
F 핵심기본간호술 대상자의 간호상황에 따라 핵심기본간호술을 선택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

공감능력을 갖추고 G 간호연구 간호연구를 기획하고 직접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인간존중을 실천하는
간호사 H 비판적 사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해서 간호과정을 적용하고 임상적 추론을 실행하는 능력

다양한 상황에서 간호대상자에게 언어적 ,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치료적


공감능력을 갖추고 I 의사소통
의사소통술을 적용하는 능력
인간존중을 실천하는
간호사 대상자의 건강상태 개선을 위해 전문 분야 간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업무
J 협력과 조정
조정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

경상대학교 249
2020학년도 교육과정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G H I J
1-1 전선 M N A 10041 간호학개론 3 3 0 30 30 40 0 0 0 0 0 0 0
1-2 전선 M N A 00119 인간성장과발달 2 2 0 0 0 0 0 60 0 0 40 0 0
2-1 전필 M N A 20013 간호해부학및실험 3 2 2 0 0 0 0 100 0 0 0 0 0
전필 M N A 00002 간호생리학 3 3 0 0 0 0 0 40 0 0 60 0 0
전필 M N A 00099 간호생화학 1 1 0 0 0 0 0 100 0 0 0 0 0
전필 M N A 20018 간호미생물학및실험 2 1 2 0 0 0 0 100 0 0 0 0 0
전필 M N A 20021 기본간호학 1 2 2 0 0 0 0 0 60 20 0 10 10 0
전필 M N A 20070 기본간호학 1실습 1 0 2 0 0 0 0 20 50 0 10 20 0
전선 M N A 00003 인간관계와의사소통 2 2 0 0 0 0 0 40 0 0 0 60 0
전선 M N A 30050 간호정보학개론 2 2 0 0 10 0 0 60 0 0 30 0 0
전선 M N A 00100 돌봄의인문학 2 2 0 30 20 0 0 0 0 0 30 20 0
전선 M N A 00019 글로벌간호 1 1 0 80 0 0 0 20 0 0 0 0 0
2-2 전필 M N A 20025 간호병리학 2 2 0 0 0 0 0 80 0 0 20 0 0
전필 M N A 00062 간호약리학 2 2 0 0 0 0 0 80 0 0 20 0 0
전필 M N A 20022 기본간호학 2 3 3 0 0 0 0 0 60 20 0 20 0 0 ◎
전필 M N A 20071 기본간호학 2실습 1 0 2 0 0 0 0 20 60 0 10 10 0
전필 M N A 20023 건강사정 1 1 0 0 0 0 0 100 0 0 0 0 0 ◎
전필 M N A 20072 건강사정실습 1 0 2 0 0 0 0 100 0 0 0 0 0
전필 M N A 30030 가족간호 1 1 0 0 0 0 0 50 0 0 30 20 0
전선 M N A 00018 간호리더십 2 2 0 20 0 80 0 0 0 0 0 0 0
전선 M N A 20055 간호문제중심학습 2 2 0 0 0 0 0 30 0 0 70 0 0
전선 M N A 00120 인간심리이해와상담 2 2 0 0 0 0 0 40 0 0 0 60 0
전선 M N A 00005 간호와영양 2 2 0 0 0 0 0 40 0 0 60 0 0
3-1 전필 M N A 00014 성인간호학 1 2 2 0 0 0 0 0 60 10 0 30 0 0 ◎
전필 M N A 00103 성인간호학 1실습 2 0 6 0 10 0 5 35 20 0 20 10 0
전필 M N A 00104 성인간호학 2 1 1 0 0 0 0 0 60 10 0 30 0 0
전필 M N A 00130 지역사회간호학개론 1 1 0 0 0 0 0 70 0 0 30 0 0
전필 M N A 00113 여성건강간호학 1 3 3 0 0 0 0 0 80 0 0 20 0 0 ◎
전필 M N A 00114 여성건강간호학 1실습 2 0 6 0 10 0 0 40 20 0 30 0 0
전필 M N A 00121 정신간호학 1 3 3 0 0 0 0 0 60 0 0 40 0 0 ◎
전필 M N A 00122 정신간호학 1실습 2 0 6 0 10 0 10 35 10 0 5 30 0
전선 M N A 00061 건강교육 2 2 0 15 0 0 0 50 0 0 20 15 0
전선 M N A 00112 아동간호학개론 2 2 0 0 0 0 0 60 0 0 30 10 0
3-2 전필 M N A 00105 성인간호학 2실습 2 0 6 0 10 0 0 30 20 0 40 0 0
전필 M N A 00024 성인간호학 3 1 1 0 0 0 0 0 70 0 0 30 0 0
전필 M N A 00026 성인간호학 3실습 1 0 3 0 10 0 5 35 20 0 20 10 0
전필 M N A 00106 성인간호학 4 3 3 0 0 0 0 0 70 0 0 30 0 0 ◎
전필 M N A 00008 아동간호학 1 2 2 0 0 0 0 0 80 0 0 20 0 0
전필 M N A 00110 아동간호학 1실습 2 0 6 0 30 0 0 35 10 0 10 15 0
전필 M N A 00127 지역사회간호학 1 2 2 0 20 0 0 0 60 0 0 20 0 0
전필 M N A 00007 지역사회간호학 1실습 1 0 3 0 10 0 0 60 10 0 20 0 0
전선 M N A 00118 인간과윤리 2 2 0 0 100 0 0 0 0 0 0 0 0
전선 M N A 20001 간호캡스톤디자인 2 2 0 0 0 0 100 0 0 0 0 0 0
4-1 전필 M N A 00107 성인간호학 4실습 1 0 3 0 10 0 0 30 20 0 40 0 0

25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G H I J
전필 M N A 00108 성인간호학 5 3 3 0 0 0 0 0 70 0 0 30 0 0
전필 M N A 00109 성인간호학 5실습 2 0 6 0 10 0 0 40 10 0 40 0 0
전필 M N A 00128 지역사회간호학 2 2 2 0 30 10 0 0 30 0 0 15 0 15
전필 M N A 00129 지역사회간호학 2실습 2 0 6 0 10 0 0 50 0 0 15 15 10
전필 M N A 00097 간호관리학개론 2 2 0 0 10 10 0 40 0 0 0 20 20
전필 M N A 40028 노인간호학 1 1 0 0 0 0 0 80 0 0 20 0 0
전필 M N A 00059 간호연구개론 1 1 1 0 0 0 0 0 0 0 100 0 0 0
전선 M N A 00117 응급간호학 1 1 0 0 0 0 0 60 10 0 30 0 0
전선 M N A 40054 간호전문직론 2 2 0 0 60 0 0 40 0 0 0 0 0
전선 M N A 00101 모아시뮬레이션실습 1 0 2 0 0 20 0 20 30 0 20 10 0
전선 M N A 00125 정신건강간호학 2 2 0 · · · · · · · · · ·
전선 M N A 00126 정신건강간호학실습 1 0 3 · · · · · · · · · ·
4-2 전필 M N A 00111 아동간호학 2 1 1 0 0 0 0 0 70 0 0 30 0 0
전필 M N A 40082 아동간호학 2실습 1 0 3 0 10 0 0 50 20 0 20 0 0
전필 M N A 00096 간호관리학 2 2 0 0 10 20 10 40 0 0 0 10 10
전필 M N A 00098 간호관리학실습 2 0 6 0 10 20 0 50 0 0 0 10 10
전필 M N A 00115 여성건강간호학 2 2 2 0 0 0 0 0 80 0 0 20 0 0
전필 M N A 00116 여성건강간호학 2실습 1 0 3 0 10 0 0 40 20 0 30 0 0
전필 M N A 00123 정신간호학 2 2 2 0 0 0 0 0 70 0 0 30 0 0
전필 M N A 00124 정신간호학 2실습 1 0 3 0 10 0 10 35 20 0 5 20 0
전필 M N A 40036 의료법규 1 1 0 0 100 0 0 0 0 0 0 0 0
전필 M N A 00060 간호연구개론 2 1 1 0 0 0 0 0 0 0 100 0 0 0
전선 M N A 00102 성인시뮬레이션실습 1 0 2 0 0 0 0 40 10 0 30 20 0
전선 M N A 00131 통합실습 1 1 0 2 0 0 0 0 20 80 0 0 0 0
전선 M N A 00132 통합실습 2 1 0 3 0 10 0 0 60 0 0 30 0 0
계 전공필수 81 전공선택 38 119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경상대학교 251
해양과학대학

1. 수산경영학과········································250
2. 해양경찰시스템학과·························· 252
3. 해양식품생명의학과·························· 254
4. 해양산업융합학과·······························257
(재직자과정)
5. 기계시스템공학과·······························259
6. 에너지기계공학과·······························261
7. 정보통신공학과··································· 263
8. 조선해양공학과··································· 265
9. 해양토목공학과··································· 267
10. 해양환경공학과··································· 269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 수산경영학과
 교육목표
◦경영학적 기초소양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 ◦ 윤리적이고 사회적 책임감 있는 전문인력 양성
◦창의적이고 실무적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 ◦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가진 전문인력 양성
◦글로벌 경쟁우위를 갖춘 전문인력 양성

 인재상

◦미래산업인 해양산업에 도전하는 혁신 리더 ◦전문지식을 갖춘 창의적인 전문경영인 ◦소통하고 공감하는 글로벌 리더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해양산업의 미래산업화를 위한 진취적 목표의 설 -진취적 사고와 실천
A 진취적 리더쉽 개발
미래산업인 해양산업에 정과 기업을 이끌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역량 -혁신 리더의 자질 함양
도전하는 혁신 리더 혁신적 리더쉽 발휘를 위한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자기개발관리
B 주도적인 자기개발
자기개발과 학습 능력의 개발 역량 -자기주도학습
해양산업분야의 미래를 이끌 수 있는 전문성과 창 -전문지식의 배양
C 창의적 전문경영자
전문지식을 갖춘 창 의적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 -유연하고 창의적인 사고
의적인 전문경영인 해양산업의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 -경영학적 지식의 탐구
D 경영문제 해결능력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의사결정 능력의 배양
-전달과 표현능력 (외국
소통하고 공감하는 해양산업의 내의 경영문제 해결을 위해 구성원 및 어 포함 ) 배양
E
전문경영자 외부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과 공감 역량 -공감과 협력에 대한
소통하고 공감하는
이해와 실천
글로벌 리더
-글로벌 산업에 대한 이해
산업발전에 기여하 글로벌산업인 해양산업의 다양성과 환경 , 자원 등
F -해양산업 리더로서의
는 전문경영자 문제의 이해 , 산업 발전을 이끌 리더로서의 역량
가치와 역량 구축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1-2 전선 F B A 00020 수산경영의이해 2 2 0 10 20 10 10 20 30
2-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10 20 10 20 20 2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10 20 10 20 20 20
2-1 전필 F B A 20014 경영정보시스템 3 3 0 10 10 20 20 20 20
전필 S E A 20001 미시경제학 3 3 0 20 10 20 20 20 10
전필 BB A 30012 재무관리 3 3 0 20 10 20 20 20 10
전필 F B A 40035 마케팅관리론 3 3 0 20 20 20 20 10 10
전선 BB A 30009 인사관리 3 3 0 30 10 20 20 10 10
전선 F B A 00007 경영학원서강독 3 3 0 10 30 10 10 30 10
전선 F B A 00015 어촌실태조사 2 0 4 10 10 10 10 30 30
2-2 전필 F B A 00009 재무회계 3 3 0 20 10 30 20 10 10
전필 F B A 20005 수산경제학 3 3 0 10 10 20 10 20 30 ◇
전선 F B A 20002 경영조직론 3 3 0 30 10 10 20 20 10
전선 F B A 20015 e/비즈니스 3 3 0 10 10 20 20 10 30
전선 F B A 20016 유통론 3 3 0 20 20 10 20 20 10

경상대학교 253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필 F B A 00003 국제경영론 3 3 0 10 20 10 20 20 20
전필 F B A 30011 생산 /운영관리 3 3 0 10 20 10 20 20 20
전필 F B A 40012 수산물유통과정책 3 3 0 20 10 30 10 20 10 ◇
전선 F B A 00017 수산업사 3 3 0 10 10 10 30 10 30
전선 F B A 20017 투자론 3 3 0 10 10 10 20 20 30
전선 F B A 00008 마케팅조사론 3 3 0 10 10 20 10 20 30
3-2 전필 F B A 00004 경영전략 3 3 0 10 30 20 10 20 10
전필 F B A 30007 수산경영학 3 3 0 10 20 10 30 20 10 ◇
전선 B AA 30015 세무회계 3 3 0 30 10 10 20 20 10

전선
창의적경영사례분석과 3 3 0 10 10 10 20 20 30
F B A 00019 종합설계
전선 F B A 00005 지속가능경영론 3 3 0 10 20 10 30 20 10
전선 F B A 30012 유통정보론 3 3 0 20 20 30 10 10 10
전선 F B A 30013 국제마케팅론 3 3 0 30 10 10 20 20 10
전선 S E A 20003 거시경제학 3 3 0 10 20 20 30 10 1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10 20 20 20 20 10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10 30 10 10 30 1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10 20 10 20 20 20
4-1 전선 F B A 00010 원가회계 3 3 0 10 20 10 20 20 20
전선 F B A 00013 양식경영론 3 3 0 10 20 10 20 20 20
전선 F B A 00016 어업경영조사 2 0 4 10 20 20 20 20 10
전선 F B A 00018 경영전략시뮬레이션 3 3 0 10 20 10 20 10 30
전선 F B A 40010 수산자원경제론 3 3 0 10 10 10 20 30 20
전선 F B A 00021 수산경영학연구 1 1 0 20 20 10 30 10 10
4-2 전선 F B A 00006 국제경영사례연구 3 3 0 10 10 10 20 20 30
전선 F B A 00011 경영분석과종합설계 3 3 0 30 20 10 10 20 10
전선 F B A 00012 한국경제의이해 3 3 0 10 10 30 20 20 10
전선 F B A 00014 소비자행동 3 3 0 20 10 30 20 10 10
계 전공필수 33 전공선택 73 (33 ) 106 (33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경영정보학과 , 경영학과 , 회계학과 전 과목

25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 해양경찰시스템학과
 교육목표
◦해양경찰시스템학과는 젊은이들에게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지향하는 해양개척정신을 바탕으로 해양경찰업무와 해양생산
관리에 관한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시켜 국가와 인류의 공영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데 학과의
교육목표를 두고 있다 . 이러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해상활동의 안전과 관리와 관련된 해양경찰의 고유 업무 ,
선박의 항해 ‧운용 , 해양생산 ‧어장관리시스템 , 해양오염방지 , 해상활동 등에 관한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 ‧교수하고 있다 .

 인재상

◦도전인재 ◦ 협업인재 ◦봉사와 실천을 하는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전공지식 습득을 통해 다양한 관점으로 원인을 분
A 실무능력
도전인재 석하고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역량
B 도전정신 진취적인 목표를 가지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사회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소통할 수
C 협업능력
있는 역량
협업인재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상생관계를 만들 수
D 의사소통
있는 역량
봉사와 실천을 E 봉사정신 원활한 소통과 배려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며 봉사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
하는 인재 F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자세로 팀원들과의 협업을 통한 봉사를 실천할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실기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A B C D E F
1-1 전선 FSA00037 헌법 3 3 0 50 30 0 0 20 0
전선 FSA20005 해양학 3 3 0 40 20 20 10 10 0
1-2 전선 FSA20022 해양경찰학개론 3 3 0 50 20 20 0 10 0
전선 FSA00023 선박일반 (*) 2 2 0 30 20 20 10 10 10 ◎
전선 FSA00001 무도학실습 2 0 4 30 30 20 0 0 20
전선 FSA20004 지문항해학 (*) 3 3 0 40 20 20 10 0 10 ◎◇
전선 FSA20006 어구어법학 (*) 3 3 0 40 20 20 10 0 10 ◇
전선 FSA00017 수산학개론 3 3 0 30 20 20 20 10 0
2-1
전선 FSA20025 형법총론 3 3 0 50 30 20 0 0 0
전선 FSA30017 국제법 3 3 0 50 30 20 0 0 0 ◎
전선 FSA00024 선박운용학 (*) 3 3 0 30 20 20 10 10 10 ◎
전선 FSA20013 해양기상학 (*) 3 3 0 40 20 20 10 0 10
전선 FSA20001 항해계기학 (*) 3 3 0 40 30 0 10 0 20
전선 FSA20020 해양동물학 2 2 0 20 20 20 10 20 10
전선 FSA20024 해사법규 (*) 3 3 0 40 20 20 10 0 10 ◎
전선 FSA20026 형법각론 3 3 0 50 20 20 0 10 0
2-2 전선 FSA30001 해상교통법 (*) 3 3 0 40 20 20 10 0 10 ◎◇
전선 FSA00015 전자해도 (*) 2 0 4 40 20 20 10 0 10
전선 FSA20073 연근해승선실습 ( *) 2 0 4 30 20 20 20 10 0

전선 FSA00021 해양경비론 3 3 0 50 20 20 0 10 0

경상대학교 255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기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A B C D E F
3- 전선 EZA30071 현장실습 1 ( 3 0 4주 ) 10 30 30 20 0 10
동하계 전선 EZA30072 현장실습 2 ( 6 0 8주 ) 10 30 30 20 0 10
전선 FMA20007 해사영어 (*) 3 3 0 40 30 0 20 0 10 ◎
전선 FSA20023 형사소송법 3 3 0 50 20 20 0 10 0
전선 FSA30022 알파및레이다항법 (*) 2 2 0 40 20 20 10 0 10 ◎
전선 FSA30024 수산법규 3 3 0 30 20 20 20 10 0
3-1 30 20 20 20 10 0
전선 FSA40015 어업관리학 2 2 0
전선 FSA00034 해양오염방제 3 3 0 20 20 20 10 20 10
전선 FSA00036 글로벌해양수산계측학 2 2 0 20 20 20 10 20 10
전선 FSA00025 해양안전론 2 2 0 30 20 20 10 10 10
전선 FSA30004 수산자원학 3 3 0 30 20 20 20 10 0
전선 FSA30018 범죄수사학 3 3 0 50 20 20 0 10 0
전선 FSA00022 해상치안정보 · 정책론 2 2 0 50 20 20 0 10 0
3-2 전선 FSA30076 해상안전실습 (*) 2 0 4 30 20 20 20 0 10
전선 FSA30080 원양승선실습 (*) 3 0 6 30 20 20 20 10 0
전선 FSA30081 항해승선실습 (*) 2 0 4 30 20 20 20 0 10
전선 FSA00014 어업실무실습 (*) 2 0 4 30 20 20 20 0 10
4-1 , 2 전선 EZA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10 30 30 20 0 10
전선 FSA30074 어구어법실습 2 0 4 30 20 20 10 10 10
전선 FSA00035 원양승선실습 2 (* ) 4 0 4 30 20 20 20 10 0
전선 FSA40087 해양기계실습 2 0 4 30 20 20 10 10 10
전선 FSA40091 레이다시뮬레이션실습 2 0 4 30 20 20 10 10 10
전선 FSA00026 해상안전통신 (*) 3 3 0 40 20 20 10 0 10
4-1
전선 FSA00027 선박보안론 (*) 2 2 0 30 20 20 10 10 10
전선 FSA00028 정박실습 (*) 1 0 2 40 20 20 10 0 10
전선 FSA00029 연안승선실습 (*) 1 0 2 40 20 20 10 0 10
전선 FSA00030 해양법 2 2 0 30 20 20 10 10 10
전선 FSA00033 리더쉽및팀워크 ( *) 1 0 0 20 10 30 30 10 0
전선 FSA00019 항해교과교육론 3 3 0 10 10 10 10 30 30 □
전선 FSA00018 항해교과교재및지도법 3 3 0 10 10 10 10 30 30 □
전선 FSA00020 항해논리및논술교육 2 2 0 10 10 10 10 30 30 □
전선 FSA00038 해양캡스톤디자인 2 2 0 10 10 10 10 30 30
4-2
전선 FSA40016 수산교육론 3 3 0 10 10 10 10 30 30 ◎
전선 FSA00010 국제어업론 3 3 0 40 20 10 10 10 10
전선 FSA00031 해상안전공학 (*) 2 2 0 30 20 20 10 10 10
전선 FSA00032 리더쉽및관리기술 (*) 1 0 0 20 10 30 30 10 0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해기사 필수 이수 교과목

25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교육목표
◦ 수산 생물자원의 다양한 이용성과 기능성을 조사하고 , 첨단기법을 도입한 고기능성 식품가공기술의 개발과 신제품 창출 ,
전통 수산식품의 표준화와 산업화 , 생리활성천연물 탐색을 통한 고부가가치의 의약품 및 신생물소재의 발굴과 이용을 위
하여 첨단해양생명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인재상

◦도전정신 ◦봉사실천 ◦전공특성화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진취성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적극적인 자세로 과업을 성취하려는 도전 능력
개척도전
B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하는 할 수 있는 역량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올바른 가치관과 행동양식 , 인성을
인성 C 윤리성
갖추고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도전정신에 기반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팀프로젝트 수행의 협업능력 활동을 촉진
협업 D 팀워크 및 협력
하고 이끌어갈 수 있는 능력
E 실무역량 전공과 관련된 전문자격 취득을 목표로 하여 취업과 창업에 유리한 자격 요건 함양
전공특성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목표를 세우고 목표달성을 위한 창의적인 대안을 추진할
F 창의적 문제해결
수 있는 역량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FF A 00083 수산학개론 1 2 2 0 20 30 10 10 20 10 ◇
1-2 전선 FF A 00072 수산학개론 2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086 양식학원론 3 3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087 해양동물학 3 3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78 해양생물사진술 1 0 2 20 30 10 0 20 20
전선 FF A 00089 어류학 3 3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090 어류학실험 1 0 2 20 20 10 10 20 20
전선 FF A 00091 해양조사및해양생명산업견학 1 0 2 30 10 10 10 20 20
실습
전선 FF A 00092 병원미생물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093 병원미생물학실험 2 0 4 30 10 10 10 20 20
2-1 전선 FF A 00094 해양포유동물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095 정량분석화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096 정량분석화학실험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097 미생물학 2 2 0 10 10 10 10 30 30 ◇
전선 FF A 00098 미생물학실험 1 0 2 30 10 10 10 20 20 ◇
전선 FF A 00099 식품재료소재학 3 3 0 10 10 10 30 10 30
전선 FF A 00101 유기화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02 식품산업개론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085 기초식품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03 양식공학 2 2 0 20 30 10 10 20 10
2-2
전선 FF A 00104 해산식물학 2 2 0 20 30 10 10 20 10

경상대학교 257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FF A 00105 해산식물학실험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06 부유생물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07 부유생물학실험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10 연안해양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11 연안조사및관측실습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97 해양생태학 3 3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13 해양생태학실험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83 해양생명산학실습 1 2 0 4 30 10 10 10 30 10
전선 FF A 00114 식품화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15 식품화학실험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16 수산이용화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17 수산이용화학실험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18 식품냉동냉장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19 식품포장저장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20 해조과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201 식품냉동냉장학실습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070 생화학 3 3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21 어류양식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85 어류양식학실습 2 0 4 20 20 10 10 20 20
전선 FF A 00182 어패류양식장견학실습 2 0 4 20 20 10 10 30 10
전선 FF A 00189 외해생태실습 1 0 2 20 20 10 10 30 10
전선 FF A 00125 리서치다이빙실습 1 0 2 20 20 10 10 30 10
전선 FF A 00192 패류양식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93 패류양식학실습 1 0 2 20 20 10 10 20 20
전선 FF A 00128 분자생물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80 수산해양토론 2 2 0 20 20 10 20 10 20
전선 FF A 00196 해양동물자원학 3 3 0 20 30 10 10 20 10
3-1
전선 FF A 00130 해양동물자원학실험 1 0 2 20 20 10 10 20 20
전선 FF A 00131 식품위생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32 식품위생학실험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33 수산가공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34 수산가공학실습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35 통조림제조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36 통조림제조학실습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37 해양천연물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38 해양천연물학실험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39 선상어획물처리실습 1 0 2 40 10 10 10 10 20
전선 FF A 00186 어류영양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87 어류영양학실험 1 0 2 20 20 10 10 20 20
전선 FF A 00190 해조류양식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91 해조류양식학실습 1 0 2 20 20 10 10 20 20
전선 FF A 00145 먹이생물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94 먹이생물학실험 2 0 4 20 20 10 10 20 20
전선 FF A 00147 수산생물임상학 2 2 0 20 30 10 10 20 10
3-2
전선 FF A 00148 수산생물임상학실험 2 0 4 20 20 10 10 20 20
전선 FF A 00149 수산자원관리학 3 3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84 해양생명산학실습 2 2 0 4 30 10 10 10 30 10
전선 FF A 00150 식품미생물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51 식품미생물학실험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54 식품가공학 2 2 0 10 10 10 10 30 30

25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FF A 00155 수산식품개발및품질관리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56 수산식품개발및품질관리실습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57 수산제조종합설계 2 2 0 20 10 20 30 10 10
전선 FF A 00158 건강기능성식품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59 건강기능성식품학실험 1 0 2 30 10 10 10 20 20
전선 FF A 00108 수족관생물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79 수족관생물학캡스톤디자인 1 0 2 20 20 10 10 20 20
전선 FF A 00198 식품가공학실습 1 0 2 30 10 10 10 20 20
4-1,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30 0 20 30 20 0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30 0 20 30 20 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30 0 20 30 20 0
전선 FF A 00160 바다숲조성론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95 수산생물질병진단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81 수산자원관리캡스톤디자인 2 2 0 20 20 10 10 20 20
4-1 전선 FF A 00167 식품첨가물 3 3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69 HACCP학 3 3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176 부산물이용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071 식품가공캡스톤디자인 2 2 0 20 10 20 30 10 10
전선 FF A 00188 어류양식캡스톤디자인 2 2 0 20 20 10 10 20 20
전선 FF A 00161 수산생물면역학 2 2 0 20 30 10 10 20 10
전선 FF A 00162 수산생물면역학실험 1 0 2 20 20 10 10 20 20
4-2
전선 FF A 00199 세미나 1 0 2 20 10 20 30 10 10
전선 FF A 00203 식품독성학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F A 00205 발효학 3 3 0 10 10 10 10 30 30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166 (24 ) 166 (24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259
2020학년도 교육과정

□ 해양산업융합학과
 교육목표

◦최신 학문의 융합교육으로 지역산업을 견인하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실무형 전문인력 양성

 인재상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혁신형 인재 ◦자신감과 자존감을 갖춘 도전형 인재 ◦협력하고 봉사할 수 있는 소통형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 평가하여 실행 가능한 문제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A 창의혁신능력
있는 창의 , 혁신능력
혁신형 인재
B 실무능력 기초 및 전공지식을 습득하여 다양한 관점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자신감과 자존감을 갖 C 자존감 스스로를 믿고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문제해결에 도전하는 마인드


춘 도전형 인재 D 도전정신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적극적인 자세로 과업을 성취하려는 도전 능력

협력하고 봉사할 수 있 E 의사소통 적절한 언어적 , 비언어적 표현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과 뜻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는 소통형 인재 F 팀워크역량 동료와 끊임없이 소통하고 협력하여 주어진 문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F T A 00001 기초역학개론 3 3 0 20 40 10 10 10 10
전선 F T A 00002 수산식품학개론 3 3 0 10 60 10 10 10 0
전선 F T A 00046 미래수산학 2 2 0 10 60 10 10 10 0
전선 F T A 00047 산업융합입문 3 3 0 10 10 10 20 20 30
1-2 전선 F E A 30002 신재생에너지공학 3 3 0 20 40 10 10 10 10
전선 F T A 00006 환경공학개론 3 3 0 10 60 10 10 10 0
전선 F T A 00028 항해학개론 3 3 0 10 50 10 10 10 10
전선 F T A 00044 어드벤처디자인 3 2 1 10 10 10 20 20 30
전선 F T A 00048 산업영어 1 3 3 0 10 50 10 10 10 10
2-1 전선 F T A 00007 기업과경영 3 3 0 10 20 10 20 20 20
전선 F T A 00033 신소재공학 3 3 0 10 50 10 20 10 0
전선 F T A 00039 기계재료 3 3 0 10 50 10 20 10 0
전선 F T A 00049 산업영어 2 3 3 0 10 50 10 10 10 10
2-2 전선 F T A 00012 수산식품위생학개론 3 3 0 10 50 10 10 20 0
전선 F T A 00013 해양법 3 3 0 10 30 10 10 30 10
전선 F T A 00032 산업기계공학 3 3 0 20 30 10 10 10 20
전선 F T A 00040 공기조화및냉동 3 3 0 10 60 10 10 10 0
3-1 전선 F T A 00016 정보통신융합개론 3 3 0 10 60 10 10 10 0
전선 F T A 00018 자원생태학 3 3 0 10 50 10 10 10 10
전선 F T A 00022 수질오염학 3 3 0 10 60 10 10 10 0
전선 F T A 00029 어업관리학 3 3 0 10 50 10 10 10 10
전선 F T A 00030 해양산업융합실습 1 0 1 10 20 10 10 20 30

26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2 전선 F I A 30015 컴퓨터구조 3 3 0 10 60 10 10 10 0
전선 F T A 00019 수산식품가공저장학 3 3 0 10 60 10 10 10 0
전선 F T A 00024 CEO와경영철학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F T A 00037 구조설계개론 3 3 0 20 40 10 10 10 10
전선 F T A 00045 캡스톤디자인 3 1 2 30 10 10 20 10 20
4-1 전선 F T A 00025 경영학사례연구 3 3 0 10 10 20 20 20 20
전선 F T A 00036 해양플랜트공학 3 3 0 20 30 10 20 10 10
전선 F T A 00038 해양환경과법 3 3 0 10 50 10 10 20 0
전선 F T A 00041 엔진시스템공학 3 3 0 10 60 10 10 10 0
전선 F T A 00042 전기전자공학 3 3 0 10 50 10 10 10 10
4-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10 10 10 20 10 40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93 (15 ) 93 (15 )

경상대학교 261
2020학년도 교육과정

□ 기계시스템공학과
 교육목표
◦기계시스템 및 선박용 기관의 설계 , 제작 , 운용 및 보수 , 관리에 관한 전문기술을 연구 , 교수하여 장래 이와 관련된 분야
에 종사할 고급기술인력 및 고급해기사 양성

 인재상
◦ (능동혁신 ) 미래의 기계 산업을 주도할 능동적이고 혁신적인 인재
◦ (가치창조 )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가진 가치창조형 인재
◦ (봉사실천 ) 민주시민의식과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공동체에 대한 봉사를 실천하는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능동적인 태도로 현재의 상황을 개선시키거나 자율성을 가지고 자 -자기주도학습
A 자기주도
기개발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 -자기개발
능동혁신
진취적인 목표를 가지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개인 또는 조직을 -진취성
B 도전정신
이끌 수 있는 역량 -리더쉽
주어진 문제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제이해
C 창의융합
해법을 도출할 수 있는 역량 -비판적사고
가치창조
당면한 문제해결을 위한 일련의 수단이나 방법을 체계적으로 기획 -합리적의사결정
D 문제해결
하고 추진할 수 있는 역량 -추진력
-국제화능력
E 민주시민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국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시민 역량
-공동체의식
봉사실천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를 바탕으로 우호적인 공동체 형성에 기여 -전달과표현
F 의사소통
할 수 있는 역량 -공감과협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2 전필 EZ A 2001 공학수학 1 3 3 0 30 20 20 30 0 0
2-1 전필 E M A 20003 열역학 (*) 3 3 0 30 20 20 30 0 0 ◇
전선 E M A 20005 기계재료학 (*)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EZ A 20002 공학수학 2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00009 조선공학개론 (*)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00010 기계제도 (*) 3 2 2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20007 동역학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20010 고체역학 3 3 0 30 20 20 30 0 0
2-2 전필 E M A 30003 유체역학 (*) 3 3 0 30 20 20 30 0 0 ◇
전필 F M A 20001 재료역학 (*) 3 3 0 30 20 20 30 0 0 ◇
전선 E M A 30004 열전달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E M A 30018 기계공작법 (*)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A2002 전기공학 (*)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20073 승선실습 1 (* ) 2 0 4 10 10 10 10 30 30
3-동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10 10 10 10 30 30
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30 20 20 30 0 0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30 20 20 30 0 0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30 20 20 30 0 0
3-1 전선 E M A 30017 공기조화및냉동 ( *) 3 3 0 30 20 20 30 0 0

26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E V A 30009 기계요소설계 (*)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00012 표면처리공학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00018 기계진동학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30009 추진공학 (*)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30010 시퀀스제어 (*)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E M A 30014 유체기계 (*) 3 3 0 30 20 20 30 0 0
3-2 전선 E M A 30031 선박보조기계 (*)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E M A 40003 제어공학 (*)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00006 증기공학 (*)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00013 생산공학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30001 내연기관 (*) 3 3 0 10 10 10 10 30 30
전선 F M A 30083 승선실습실무 (*) 3 3 0 10 10 10 10 30 30
전선 F M A 00014 유공압공학 3 3 0 10 10 10 10 30 30
전선 F M A 30082 승선실습 2 (* ) 3 0 6 10 10 10 10 30 30
4-동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10 10 10 10 30 30
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10 10 10 10 30 30
4-1 , 2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20 10 10 20 10 30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 ) (15 0 15주) 20 10 10 20 10 30
4-1 전선 F M A 00004 증기공학실습 (*) 3 0 6 20 10 10 20 10 30
전선 F M A 00008 해상안전및해양오염방지실 3 0 6 20 10 10 20 10 30
습 (*)
전선 F M A 30071 내연기관실습 (*) 3 0 6 20 10 10 20 10 30
전선 F M A 30072 보조기계실습 (*) 3 0 6 20 10 10 20 10 30
전선 F M A 30073 기계공작실습 (*) 3 0 6 20 20 20 20 10 10
전선 F M A 30074 선박전기전자실습 (*) 3 0 6 20 20 0 10 20 30
4-2 전선 F M A 00011 해사영어 (*)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00017 메카트로닉스공학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20009 해사법규및국제협약 (*) 2 2 0 10 10 10 10 30 30
전선 F M A 00002 공학프로그래밍 3 3 0 30 20 20 30 0 0
전선 F M A 00016 수치해석 3 3 0 10 10 10 10 30 30
전선 F M A 00005 캡스톤디자인 3 0 6 10 10 10 10 30 30
계 전공필수 12 전공선택 109 (48 ) 121 (48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해기사 필수 이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조선해양공학과 2 FNA00004 CAD이론및실습 Compu t e r A i ded Des i gn & P r ac t i ce 2-1-2
조선해양공학과 1 FNA00037 용접공학 We l d i ng Eng i nee r i ng 3-3-0
에너지기계공학과 1 FEA00002 신재생에너지공학 1 New&Renewab l e Ene r gy Eng i nee r i ng 1 3-3-0

경상대학교 263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에너지기계공학과
 교육목표

◦끊임없이 도전하고 사회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창의력을 갖춘 인재양성

 인재상
◦다양한 경험을 통한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실무형 인재
◦사회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신감과 자존감을 갖춘 도전형 인재
◦올바른 인성을 바탕으로 타인과 협력하고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소통형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 , 수단 , 방법등을 자발적으로 수립할 수
다양한 경험을 통한 문제해 A 창의적 사고능력
있는 능력
결능력을 갖춘 실무형 인재
B 실무능력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 및 현장업무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

사회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 C 도전정신 새로운 분야에 과감히 뛰어들어 전공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마인드
할 수 있는 자신감과 자존감
을 갖춘 도전형 인재 D 자존감 스스로를 믿고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문제해결에 대응하는 마인드

올바른 인성을 바탕으로 타 E 사회봉사정신 사회에 기여하고 타의 모범이 되려고 노력하는 마인드
인과 협력하고 사회에 봉사
동료와 끊임없이 소통하고 협력하여 주어진 문제를 수행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소통형 인재 F 팀워크역량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F E A 00026 전산 CAD 2 0 2 10 70 0 20 0 0 ◎
1-2 전필 F E A 00012 에너지기계공학입문 2 2 0 20 0 20 20 20 20
전필 F E A 00027 에너지기계공학입문실습 1 0 1 10 50 10 10 10 10
전선 E M A 10002 정역학 3 3 0 10 70 10 10 0 0
2-1 전필 F E A 00018 재료역학 1 3 3 0 10 70 10 10 0 0 ◎◇
전필 F E A 00017 공학수학 3 3 0 30 40 10 20 0 0
전필 E M A 20003 열역학 3 3 0 10 50 10 30 0 0 ◎◇
전선 F E A 00019 기계재료 3 3 0 20 60 10 10 0 0
전선 F E A 00023 조선해양공학 3 3 0 20 40 20 10 0 10
2-2 전필 E M A 30003 유체역학 3 3 0 40 40 10 10 0 0 ◎◇
전필 E M A 20004 동역학 3 3 0 10 70 10 10 0 0
전선 F E A 00024 재료역학 2 3 3 0 40 40 10 10 0 0
전선 E M A 30018 기계공작법 3 3 0 20 50 10 10 0 10 ◎
전선 F E A 20002 자동차공학 3 3 0 20 50 10 20 0 0
전선 F E A 00031 열전달 3 3 0 30 30 20 10 0 10
3-동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 3 0 4주 ) 20 20 20 20 10 10 ◎
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 6 0 8주 ) 20 20 20 20 10 10 ◎
3 , 4-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 3 0 4주 ) 20 20 30 30 0 0
동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 6 0 8주 ) 20 20 30 30 0 0

26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필 F E A 00028 에너지기계실험 3 0 3 30 30 10 0 0 30
전필 E V A 30009 기계요소설계 3 3 0 20 70 10 0 0 0
전필 F E A 00037 신재생에너지공학 3 3 0 20 50 10 10 0 10
전선 E M A 30016 기계진동학 3 3 0 10 60 10 20 0 0
전선 F E A 00014 나노공학 3 3 0 20 60 10 10 0 0
전선 F E A 00032 냉동 및 공기조화 3 3 0 20 50 10 10 0 10
전선 F E A 00034 어드벤처디자인 3 0 3 20 10 20 20 10 20
전선 F E A 00020 기계교과교육론 3 3 0 10 20 20 20 10 20 ◎□
3-2 전필 E M A 40003 제어공학 3 3 0 10 50 20 20 0 0 ◎
전선 E M A 30014 유체기계 3 3 0 30 40 20 10 0 0 ◎
전선 F E A 00007 CFD설계 3 3 0 30 40 20 10 0 0
전선 F E A 00038 CAM/CAE 3 0 3 10 80 10 0 0 0
전선 F E A 00025 해양플랜트공학 3 3 0 20 40 20 10 0 10
전선 E B A 40009 복합재료 3 3 0 20 60 10 10 0 0
전선 F E A 00033 연소공학개론 3 3 0 20 30 20 10 10 10
전선 F E A 00021 기계논리및논술교육 2 2 0 10 20 20 20 10 20 □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20 20 20 20 10 10 ◎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20 20 30 30 0 0
4-1 전선 F E A 00015 전기전자공학 3 3 0 10 50 20 10 0 10
전선 E V A 40006 유압공학 3 3 0 10 50 20 10 0 10
전선 F E A 00039 응용 CAE종합설계 3 0 3 10 70 10 10 0 0
전선 F E A 00036 기계진단공학 3 3 0 10 60 10 20 0 0
전선 F E A 00035 캡스톤디자인 3 0 3 30 10 10 0 0 50
4-2 전선 F E A 00029 종합설계 2 0 2 30 10 10 0 0 50
전선 F E A 00010 재료강도설계 3 3 0 30 30 30 10 0 0
전선 F E A 00022 기계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3 3 0 10 20 20 20 10 20 □
계 전공필수 32 전공선택 79(48) 111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기계시스템공학과 1 F M A 30010 시퀀스제어 Sequen t i a l Con t r o l 3-3-0
기계시스템공학과 2 E M A 30004 열전달 Hea t T r ans f e r 3-3-0
정보통신공학과 1 F I A 00086 데이터베이스 Da t abase 3-3-0
조선해양공학과 2 F N A 00005 선박해양구조학 S t r uc t u r es o f Sh i p & O f f sho r e S t r uc t u r e 3-3-0

경상대학교 265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정보통신공학과
 교육목표

◦ ' 소프트웨어 , 인공지능 , 차세대 이동통신 ' 분야의 실무능력 , 전문지식 및 국제적 감각을 겸비한 창조적인 첨단 I CT 인력양성

 인재상
정보통신 기초 이론과 실험실습 및 설계를 통해 공학의 실제 시스템 설계 능력과 응용 능력을 갖춘 종합 실무형 전문 인재
◦급변하는 정보통신 첨단기술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도전형 인재
◦국제화 시대에 부응하는 협동능력 및 의사 전달 능력을 갖춘 소통형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정보통신 기초 이론과 실험실습 및 설계 A 전공이해력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기본 개념 및 기술을 이해하는 능력
를 통해 공학의 실제 시스템 설계 능력과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 및 현장업무에 빠르게 대응할 수
B 실무능력
응용 능력을 갖춘 종합 실무형 전문 인재 있는 능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 , 수단 , 방법등을 자발적으로
급변하는 정보통신 첨단기술에 능동적으 C 창의적 사고능력
수립할 수 있는 능력
로 적응할 수 있는 도전형 인재
D 융합력 습득한 지식을 다양한 분야와 융합할 수 있는 능력
의사전달 본인이 가진 지식 및 생각을 타인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E
국제화 시대에 부응하는 협동능력 및 의 능력 수 있는 능력
사 전달 능력을 갖춘 소통형 인재 동료들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협력하여 주어진 문제를 수
F 협업능력
행할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F I A 00018 정보통신기초수학 3 3 0 20 20 50 10 0 0
1-2 전필 F I A 20014 회로이론 3 3 0 20 30 40 10 0 0
전선 F I A 00009 프로그래밍기초 3 3 0 10 30 40 10 10 0
전선 F I A 00084 정보통신개론 3 3 0 20 20 50 10 0 0
2,3,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20 30 10 10 15 15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20 30 10 10 15 15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20 30 10 10 15 15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20 30 10 10 15 15
2-1 전필 F I A 00077 선형대수 3 3 0 30 20 50 0 0 0
전필 F I A 00087 디지털공학 3 3 0 20 20 50 10 0 0
전필 F I A 20017 공학수학 3 3 0 20 20 50 10 0 0
전선 F I A 00003 정보통신영어 3 3 0 15 40 20 0 25 0
전선 F I A 00008 프로그래밍응용 3 2 2 20 30 20 20 10 0
전선 F I A 00089 디지털시스템설계 3 3 0 30 20 30 20 0 0
2-2 전필 F I A 00001 확률및랜덤변수 3 3 0 20 30 50 0 0 0 ◇
전필 F I A 00015 자료구조 3 3 0 20 30 20 20 10 0
전필 F I A 30003 신호및시스템 3 3 0 20 30 40 10 0 0
전선 F I A 00014 파이썬프로그래밍 3 2 2 20 30 20 20 10 0
전선 F I A 00016 객체지향프로그래밍 3 2 2 20 30 20 20 10 0
전선 F I A 30001 마이크로컴퓨터 3 3 0 10 20 50 10 10 0

26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필 F I A 00004 컴퓨터네트워크 3 3 0 20 30 50 0 0 0
전필 F I A 00017 소프트웨어개발론 3 2 2 20 30 20 10 10 10
전필 F I A 20004 통신이론 3 3 0 20 30 30 20 0 0 ◇
전선 F I A 00021 인공지능개론 3 3 0 30 30 20 20 0 0
전선 F I A 00078 고급정보통신영어 3 3 0 20 50 20 0 10 0
전선 F I A 30015 컴퓨터구조 3 3 0 20 40 30 0 10 0
3-2 전필 F I A 30014 디지털통신공학 3 3 0 30 30 40 0 0 0 ◇
전필 F I A 30017 이동통신공학 3 3 0 30 30 40 0 0 0
전선 F I A 00010 정보보안 3 3 0 20 20 40 20 0 0
전선 F I A 00013 모바일프로그래밍 3 2 2 20 20 20 10 10 20
전선 F I A 00092 디지털신호처리 3 3 0 40 30 20 0 10 0
4-1 , 2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20 30 10 10 15 15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20 30 10 10 15 15
4-1 전선 F I A 00002 캡스톤디자인 3 3 0 10 20 10 15 15 30
전선 F I A 00011 임베디드시스템프로그래밍 3 3 0 30 30 20 10 10 0
전선 F I A 00082 모바일네트워크 3 3 0 30 30 40 0 0 0
전선 N E A 40032 영상처리 3 3 0 20 30 30 20 0 0
4-2 전선 F I A 00020 고급모바일프로그래밍 -창의 3 3 0 10 20 10 15 15 30
융합 PBL
계 전공필수 36 전공선택 60 (48 ) 96 (48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267
2020학년도 교육과정

□ 조선해양공학과
 교육목표
◦세계적으로 미래 조선해양분야의 엔지니어링 기술을 선도하고 지역사회 및 국가 주력산업인 조선해양산업을 책임질 글로벌
전문인력 양성

 인재상

◦전문성과 창의성을 갖춘 조선 공학자 ◦소통 ‧협업 능력을 갖춘 글로벌 공학자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공학의 기초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산 , 통계 등 수리능력을 키우고 , 산
A 수리 ‧기술 능력
전문성과 창의성 업실무 수행시 필요한 기술을 익히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
을 갖춘 조선 공 I T융합기술을 조선해양산업에 창의적 적용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정된 자원 (4M ;
I T적용 .문제해
학자 B man , money , ma t e r i a l , mach i ne )을 합리적으로 관리하여 주어진 문제를 도전적인
결 능력
자세로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
글로벌 비지니스인 조선해양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국어로 된 문서를 이해하
C 의사소통 능력 고 , 실무에 활용 가능해야 하며 ,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외국인들과도 올
소통 ‧협업 능력
바르게 의사소통할 수 있어야 함 .
을 갖춘 글로벌
상당히 큰 복합구조물인 선박 및 해양구조물은 혼자서 다 만들 수 없으므로 다양
공학자
D 공동체 .협업 능력 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업무를 수행하면서 원만하게 갈등을 조율하고 목
표지향적으로 협업을 할 수 있어야 함 .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1-1 전선 F N A 00003 조선해양공학개론 3 3 0 60 30 0 10
전선 E M A 10002 정역학 3 3 0 70 15 0 15
1-2 전선 E M A 20004 동역학 3 3 0 60 30 0 10
전선 F N A 00004 CAD이론및실습 2 1 2 40 50 0 10
전선 F N A 00041 조선해양창의공학입문어드벤처디자 3 3 0 20 20 10 50

2 , 3 , 4-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3 0 20 25 35 20
동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3 3 0 20 25 35 20
2-1 전필 F N A 00036 고체역학 3 3 0 50 30 10 10
전필 F N A 10003 선박계산 3 3 0 60 30 0 10
전선 E M A 20003 열역학 3 3 0 60 30 0 10
전선 E M A 30003 유체역학 3 3 0 60 30 0 10
전선 EZ A 20001 공학수학 1 3 3 0 60 30 0 10
전선 F N A 00015 선박경제성공학 2 2 0 40 50 10 0
2-2 전필 EZ A 20002 공학수학 2 3 3 0 60 30 0 10
전필 F N A 20004 생산시스템공학 3 3 0 60 30 0 10
전선 F N A 00005 선박해양구조학 3 3 0 50 20 15 15
전선 F N A 00006 확률통계적해양환경론 3 3 0 70 30 0 0
전선 F N A 00014 선체유체역학 2 2 0 70 20 0 10
전선 F N A 00018 선박해양건조공학 3 3 0 60 30 0 10
전선 F N A 00030 시스템엔지니어링 3 3 0 50 20 15 15

26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3 , 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20 30 30 20
동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20 30 30 20
전선 F N A 00026 조선해양현장실습 1 (3 0 4주 ) 20 30 30 20
전선 F N A 00027 조선해양현장실습 2 (6 0 8주 ) 20 30 30 20
전선 F N A 00028 해양시스템현장실습 1 (3 0 4주 ) 20 30 30 20
3-1 전필 F N A 00007 선박저항및추진 3 3 0 50 20 0 30
전필 F N A 00024 해양시스템종합설계 3 3 0 10 60 10 20
전필 F N A 00033 선박해양프리젠테이션 1 0 2 10 20 60 10
전필 F N A 10040 선체생산구조설계 3 3 0 40 30 10 20 ◇
전선 F N A 00031 선박안전설계 3 3 0 50 20 15 15
전선 F N A 00032 생산최적화입문 3 3 0 50 20 15 15
전선 F N A 00042 선박해양공학실험 2 0 4 50 20 0 30
3-2 전필 F N A 00009 선체진동론 3 3 0 60 30 10 10
전필 F N A 00038 해양구조물운동학 2 2 0 50 20 0 30
전필 F N A 20010 컴퓨터응용구조해석 3 3 0 30 50 10 10
전선 F N A 00010 심해석유생산 3 3 0 60 10 30 0
전선 F N A 00016 수치해석연습 2 0 4 30 50 0 20
전선 F N A 00017 컴퓨터활용선박기본설계 3 3 0 40 50 0 10
전선 F N A 00034 자동화시스템공학 3 3 0 50 20 15 15
3 , 4-1 , 전선 (15 0 15주) 20 30 10 10
2 EZ A 40071 현장실습 3
4-1 전필 F N A 00019 캡스톤디자인 3 3 0 10 60 10 20 ◇
전필 F N A 00025 해양플랜트캡스톤디자인 3 3 0 10 60 10 20 ◇
전선 F N A 00037 용접공학 3 3 0 50 30 10 10
4-2 전선 F N A 00011 전산유체설계 2 0 4 30 60 0 10
전선 F N A 00035 조선해양연구실실습체험 1 0 2 10 0 20 70
전선 F N A 00039 선박해양의장시스템 3 3 0 50 25 15 10
계 전공필수 36 전공선택 67 (60 ) 103 (60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기계시스템공학과 1 F M A 00009 조선공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o f Nava l A r ch i t ec t u r e and 3-3-0


Ocean Eng i nee r i ng
기계시스템공학과 1 F M A 20010 고체역학 Mechan i cs o f So l i ds 3-3-0
기계시스템공학과 2 F M A 20002 전기공학 E l ec t r i c Eng i nee r i ng 3-3-0
에너지기계공학과 1 F E A 00023 조선해양공학 Ma r i ne Eng i nee r i ng 3-3-0
에너지기계공학과 2 E M A 30018 기계공작법 Manu f ac t u r i ng P r ocess 3-3-0
에너지기계공학과 2 F E A 00025 해양플랜트공학 O f f sho r e P l an t Eng i nee r i ng 3-3-0

경상대학교 269
2020학년도 교육과정

□ 해양토목공학과
 교육목표

◦지식기반 사회와 디자인감성 사회에 부응하는 창의적 디자인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 인재상
◦글로벌 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끝임없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도전형 인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 및 협력함으로써 상생의 시너지를 구현할 수 있는 소통형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글로벌 역량을 바탕으로 세 A 창의적 사고능력
유용한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능력
계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실행
는 실무형 인재 B 문제해결능력
가능한 해결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개인 또는 팀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끝임 C 도전적 리더십
을 이끌 수 있는 역량
없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하는 할 수
수 있는 도전형 인재 D 주체적 자기관리능력
있는 능력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 팀워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 원할한 문제해결을 위하여 소통과
E 팀워크 능력
통 및 협력함으로써 상생의 협력에 바탕으로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능력
시너지를 구현할 수 있는 전공지식의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무 (현장 )에서 필요한 설
F 실무수행능력
소통형 인재 계 , 해석 , 평가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선 F C A 00025 해양토목공학개론 2 2 0 20 20 15 15 15 15
1-2 전선 F C A 00030 정역학 3 3 0 10 60 0 10 10 10
전선 F C A 00034 기초수리학 3 1 2 20 30 0 0 0 50
2-1 전선 E C A 20003 수리학 1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E C A 20005 응용역학 1 3 3 0 20 30 0 0 0 50 ◇
전선 F C A 00013 토목재료학및실험 1 2 1 1 10 10 0 0 10 70
전선 F C A 00015 토목캐드 2 1 1 10 40 0 30 0 20
전선 F C A 20011 해양측량학 1 2 2 0 0 20 20 0 20 40
전선 F C A 20072 해양측량학실습 1 1 0 2 20 30 0 0 0 50
2-2 전선 E C A 20004 수리학 2 3 3 0 20 20 10 10 20 20
전선 E C A 20006 응용역학 2 3 3 0 40 40 0 0 0 20
전선 F C A 00017 토목전산응용 2 2 0 10 30 0 0 0 60
전선 F C A 00018 토목재료학및실험 2 2 1 1 20 30 0 0 0 50
전선 F C A 00027 응용유체역학 2 2 0 20 30 0 30 0 20
전선 F C A 20007 토질역학 1 3 3 0 0 40 0 10 10 40
전선 F C A 20012 해양측량학 2 2 2 0 10 40 0 30 0 20
전선 F C A 20073 해양측량학실습 2 1 0 2 0 20 20 0 20 40
2,3,4 전선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 0 4주 ) 0 20 50 0 0 30
-동하계 전선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 0 8주 ) 0 20 50 0 0 30

27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선 E C A 30001 구조역학 1 3 3 0 10 40 0 10 10 30
전선 E C A 30003 철근콘크리트공학 1 3 3 0 10 10 0 10 0 70 ◇
전선 F C A 00009 창의적해안공간종합설계 1 2 2 0 50 0 20 0 30 0
전선 F C A 00010 수문학 3 3 0 0 20 0 30 0 50
전선 F C A 00020 해양관측실습 1 0 1 0 30 40 0 30 0
전선 F C A 00031 해안공학및실험 3 2 1 20 40 0 0 20 20
전선 F C A 00035 수리실험 2 0 2 0 0 30 30 20 20
전선 F C A 30004 토질역학 2 3 3 0 0 40 0 10 10 40
3-하계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 0 20 50 0 0 30
3-2 전선 E C A 30002 구조역학 2 3 3 0 10 40 0 10 10 30
전선 E C A 30004 철근콘크리트공학 2 3 3 0 10 10 0 10 0 70
전선 E C A 30007 토목시공학 3 3 0 20 20 15 10 15 20
전선 E C A 40001 기초공학 3 3 0 0 30 0 10 10 50
전선 F C A 00022 전산유체역학 3 3 0 20 40 0 0 20 20
전선 F C A 00032 연안방재및실험 3 3 1 20 30 0 20 0 30
3-동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 6 0 8) 0 20 50 0 0 3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0 20 50 0 0 30
전선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 0 15주) 0 20 50 0 0 30
4-1 전선 F C A 00002 PS콘크리트공학 3 3 0 10 10 0 10 0 70
전선 F C A 00008 창의적해안공간종합설계 2 2 2 0 50 0 20 0 30 0
전선 F C A 00028 해양개발공학 2 2 0 10 30 10 10 10 30
전선 F C A 40009 사회기반시스템공학 3 3 0 20 20 15 15 15 15
전선 F C A 40071 해양토질실험 2 0 4 20 20 15 10 15 20
4-2 전선 F C A 00023 구조공학실험 2 2 0 10 30 10 0 20 30
전선 F C A 00024 전산구조해석 2 2 2 20 20 20 20 0 20
전선 F C A 00033 강구조공학개론 2 2 2 20 20 15 10 15 20
전선 F C A 00036 항만설계 2 0 2 0 30 0 20 0 50 ◇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96 (48 ) 96 (48 )
범례 ◎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 교직과정 교과교육 ◇ 부전공 필수과목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건축도시토목공학부 1 ECA20013 측량학 1 Su r vey i ng 1 2-2-0
(토목공학전공 )
건축도시토목공학부 1 ECA20070 측량학실습 1 Su r vey i ng P r ac t i ce 1 1-0-2
(토목공학전공 )
해양환경공학과 1 ECA40004 상하수도공학 Wa t e r Supp l y and Sewage T r ea t men t 3-3-0

경상대학교 271
2020학년도 교육과정

□ 해양환경공학과
 교육목표
◦21 세기 경남의 남해안 발전 비전을 위한 해양개발과 연안보전을 선도하며 , 남해안 해양도시의 지역혁신과 발전을 위한 산
학연 협력 체계와 현장 맞춤형 전문기술인력 인프라를 구축하여 남해안 해양환경오염문제의 해결을 위한 미래 해양환경산
업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

 인재상
◦ (가치창조형 인재 )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
◦ (도전혁신형 인재 ) 목표를 설정하고 진취적인 자세로 팀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인재
◦ (의사소통형 인재 ) 팀원들과 소통하여 시너지효과를 창출해 나갈 수 있는 공감형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구현
A 창의융합
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가치창조형 인재
B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C 도전정신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도전혁신형 인재
D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사회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소통할 수
E 협업능력
있는 능력
의사소통형 인재
적절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과 뜻을 전달하여 일을 합리적으로
F 실무능력
추진해 나갈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2 전필 F V A 00015 환경공학개론 2 2 0 20 30 10 10 10 20
2-1 전필 F V A 20005 환경화학 3 3 0 20 30 0 30 0 20
전필 F V A 20024 환경공학양론 3 3 0 20 30 10 10 10 20
전필 F V A 20031 환경공업수학 3 3 0 10 30 10 30 10 10
전선 F V A 00011 대기오염개론 3 3 0 0 50 0 20 0 30
전선 F V A 00017 물리화학 3 3 0 10 30 30 30 0 0
전선 F V A 00020 환경공학응용프로그래밍 2 2 0 30 20 20 20 0 10
전선 F V A 20017 연안환경학개론 2 2 0 0 40 0 30 0 30
전선 F V A 20025 해양환경미생물학 2 2 0 0 40 0 40 0 20
전선 F V A 20073 해양환경미생물학실험 1 0 2 10 0 0 0 45 45
2-2 전필 F V A 00010 환경수치해석 3 3 0 20 20 10 20 0 30
전선 F V A 00001 환경수리학 3 3 0 30 30 0 20 0 20
전선 F V A 00004 생물학적폐수처리공학 1 3 3 0 20 20 10 10 10 30
전선 F V A 00023 환경기기분석 3 3 0 20 10 20 20 10 20
전선 F V A 20010 환경통계학 2 2 0 20 30 0 20 0 30
전선 F V A 20020 물질전달및이동 3 3 0 25 25 0 25 0 25
전선 F V A 30006 폐기물처리공학 3 3 0 0 50 0 20 0 30
3-동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0 0 10 20 35 35
하계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0 0 10 20 35 35

27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해양과학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3-1 전선 E C A 40004 상하수도공학 3 3 0 20 15 20 15 20 10
전선 F V A 00003 물리화학적수처리공학실험 2 0 4 0 10 0 10 40 40
전선 F V A 00019 유기화학 3 3 0 0 40 0 30 30 0
전선 F V A 20027 수질화학 3 3 0 20 30 30 20 0 0 ◇
전선 F V A 30011 생물학적폐수처리공학 2 3 3 0 20 20 10 10 10 30 ◇
전선 F V A 30017 물리화학적수처리공학 3 3 0 20 20 0 20 0 40 ◇
전선 F V A 30087 생물학적폐수처리공학 2실험 1 0 2 10 10 10 10 30 30
3-2 전선 F V A 00012 자원재생캡스톤디자인 3 3 0 40 20 20 0 20 0
전선 F V A 00016 환경생물공정 3 3 0 20 20 20 10 10 20
전선 F V A 00018 고급물리화학적수처리공학 3 3 0 20 10 30 0 0 40
전선 F V A 30012 산업폐수처리공학 2 2 0 20 15 20 15 15 15
전선 F V A 30020 저서생태학 3 3 0 30 0 35 35 0 0
전선 F V A 30075 수질화학실험 2 0 4 0 0 20 15 35 30
전선 F V A 30086 산업폐수처리공학실험 1 0 2 0 0 20 15 35 30
4-1 , 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0 0 10 20 35 35
4-1 전선 F V A 00013 창의적수처리종합설계 2 2 0 30 15 20 0 25 10
전선 F V A 00014 CAD이론및실습 3 2 2 20 10 10 10 20 30
전선 F V A 00022 해양환경실습및종합설계 2 1 2 25 10 30 10 20 5
전선 F V A 40001 대기오염제어공학 3 3 0 0 50 0 20 0 30
전선 F P A 40006 해양미생물공학 3 3 0 20 0 30 30 0 20
4-2 전선 F V A 00021 해양수질오염학 3 3 0 20 20 20 20 0 20
전선 F V A 40005 유해폐기물처리공학 2 2 0 0 50 0 20 0 30
전선 F V A 40008 적조생태공학 3 3 0 10 25 20 25 10 10
계 전공필수 14 전공선택 86 (24 ) 100 (24 )
범례 ◇ 부전공 필수과목

경상대학교 273
약학대학
1. 약학과······················································272
전공과정-약학대학

□ 약학과
 교육목표
◦개척정신을 바탕으로 과학적 통합적 접근으로 문제해결할 수 있는 창의력을 가지며 , 지역사회와 소통하고 협력하여 보건
의료 서비스 질읗 양상 시키고 국민 보건 증진에 기여하는 우수한 약학인재 양성

 인재상

◦윤리와 책임감을 갖춘 지역인재 ◦과학적 접근으로 문제해결에 도전하는 약학인재 ◦통합적 사고가 가능한 약학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약사로서의 윤리의식과 지역사회보건에 대한 책임감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으
A 지속적 자기 개발
윤리와 책임감을 로 자기 개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갖춘 지역인재 약사로서의 윤리의식과 책임감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B 소통과 협력
능력을 배양한다 .
기존에 알려진 약학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연구계획을
C 창의적 연구 역량
수립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최상의 근거를 도출하기 위해 , 문헌 혹은 실험데이터의 수집을 체계적으로
근거의 수집 ,
D 검색 및 정리과정을 통해 얻고 이들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분석능력을 키
분석 , 해석 역량
우며 , 합리적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미래기술활용 능력은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최신 기술과 장비에
과학적 접근으로 미래기술활용
E 대한 이해와 활용방안을 능동적으로 빠르게 습득하고 이를 통해 약사 직능에
문제해결에 도전 능력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
하는 약학인재
환자의 이익을 위하여 다른 의료인들과 협력하여 , 개개인의 환자가 필요로 하
환자 중심
F 는 적절한 맞춤약물요법을 계획하고 투약하며 약물요법의 결과에 대해 의료팀
약료제공 역량
의 구성원으로서 책임을 질 수 있는 역량을 키운다 .
약학전문직업성은 과학적이며 합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정직함과 경쟁력을
G 전문 직업성 유지하면서 사회에서 약료와 관련한 전문적 역할을 수행하고 조언하며 약사의
사익 보다 사회 (혹은 환자 ) 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
다양성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해 특정 분야만의 지식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이론 , 지식 ,
H
통합적 사고가 존중 기술 , 경험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
가능한 약학인재 수동적 , 무비판적 학습 방법에서 벗어나 기존의 이론 , 지식 등에 대해 발전적
I 비판적 사고
인 비판과 평가를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 100 % ) 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G H I 고
3-1 전필 PP A 10001 약품생화학 1 3 3 0 20 5 30 15 10 5 5 5 5
전필 PP A 10009 해부생리학 1 2 2 0 5 5 5 15 10 30 15 5 10
전필 PP A 00025 약품분석학 1 2 2 0 5 5 10 30 10 5 25 5 5
전필 PP A 00023 물리약학 3 3 0 5 5 10 30 10 5 25 5 5
전필 PP A 00078 의약품합성학 3 3 0 10 10 20 10 20 5 5 10 10
전필 PP A 10007 약학실습 1 2 0 4 5 15 20 30 10 5 5 5 5
전필 PP A 10008 약학개론 2 2 0 15 15 5 10 10 15 10 10 10
전선 PP A 10031 분자생물학 2 2 0 5 5 15 5 10 30 20 5 5
전선 PP A 10034 약용식물학 2 2 0 10 5 10 15 10 15 15 10 10
전선 PP A 00051 보건의료체계와약사 2 2 0 5 20 0 0 0 5 20 20 30
전선 PP A 00067 약학사 2 2 0 10 20 10 10 20 5 10 5 10

경상대학교 275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 100 % ) 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G H I 고
3-2 전필 PP A 10010 약품생화학 2 3 3 0 20 5 30 15 10 5 5 5 5
전필 PP A 10012 해부생리학 2 3 3 0 5 5 5 15 10 30 15 5 10
전필 PP A 10013 약품분석학 2 2 2 0 5 5 10 30 10 5 25 5 5
전필 PP A 10004 생약학 1 3 3 0 5 5 15 10 15 15 25 5 5
전필 PP A 00020 독성학 3 3 0 5 5 5 15 10 30 20 5 5
전필 PP A 00079 유기의약품화학 3 3 0 20 20 10 5 10 5 20 5 5
전필 PP A 10017 약학실습 2 2 0 4 5 15 20 30 10 5 5 5 5
전선 PP A 00074 신약개발개론 2 2 0 20 20 10 5 10 5 20 5 5
전선 PP A 00022 세포생물학 2 2 0 20 5 25 20 10 5 5 5 5
전선 PP A 00052 제약캡스톤디자인 A 3 3 0 0 0 20 30 20 10 10 0 10
3-동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3 0 4주 20 15 5 20 5 0 10 5 20
하계
4-1 전필 PP A 00001 의약화학 3 3 0 10 10 10 5 5 20 20 10 10
전필 PP A 00002 약물학 1 3 3 0 5 0 5 30 5 10 40 0 5
전필 PP A 00003 병태생리학 3 3 0 5 5 5 15 10 30 15 5 10
전필 PP A 00004 약제학 1 3 3 0 0 0 10 20 10 20 30 0 10
전필 PP A 10018 약품미생물학 3 3 0 15 15 5 15 5 5 10 15 15
전필 PP A 10014 생약학 2 3 3 0 5 5 15 10 15 15 25 5 5
전필 PP A 00007 약학실습 3 2 0 4 10 20 0 30 20 0 0 0 20
전선 PP A 00008 내분비학 2 2 0 5 5 5 15 10 30 15 5 10
전선 PP A 00073 의약품계산 2 2 0 5 0 5 30 5 10 40 0 5
전선 PP A 00053 제약캡스톤디자인 B 3 3 0 0 0 20 30 20 10 10 0 10
전선 PP A 00068 생물약제학 2 2 0 5 5 25 15 10 5 25 5 5
전선 PP A 00029 의약품설계학 2 2 0 0 20 0 20 0 0 20 10 30
4-2 전필 PP A 00010 약물학 2 3 3 0 10 10 20 10 20 10 5 10 5
전필 PP A 00011 병태생리학 2 2 2 0 5 5 5 15 10 30 20 5 5
전필 PP A 00012 약제학 2 3 3 0 5 5 5 15 10 30 15 5 10
전필 PP A 00027 무기방사성의약품학 2 2 0 0 0 10 20 10 20 30 0 10
전필 PP A 00014 약물동태학 3 3 0 10 20 10 5 20 5 10 10 10
전필 PP A 00006 면역학 3 3 0 5 5 5 30 5 15 25 5 5
전필 PP A 00016 의약품행정학 2 2 0 15 15 5 15 5 5 10 15 15
전필 PP A 00017 약학실습 4 2 0 4 0 20 0 20 0 0 20 10 30
전선 PP A 00047 한약제제학 2 2 0 5 20 20 20 10 0 10 5 10
전선 PP A 00069 동물의약품학 2 2 0 10 5 10 15 10 15 15 10 10
전선 PP A 00072 약학통계의이해 2 2 0 5 5 5 10 15 30 20 5 5
5-1 전필 PP A 00030 약물치료학 1 3 3 0 5 5 5 15 10 30 20 5 5
전필 PP A 00031 약물치료학 2 3 3 0 5 5 5 15 10 30 20 5 5
전필 PP A 00032 조제학 2 2 0 5 10 0 15 10 30 20 5 5
전필 PP A 00033 제약산업학 3 3 0 0 0 0 20 10 30 20 10 10
전필 PP A 00034 의약품품질관리학 2 2 0 5 5 15 25 10 10 20 5 5
전필 PP A 00035 천연물의약품학 2 2 0 5 5 15 15 15 15 20 5 5
전필 PP A 10019 의약품정보와경제성평가 2 2 0 10 20 0 20 0 0 30 0 20
전필 PP A 00044 생물의약품학 2 2 0 0 0 0 50 20 0 0 0 30
전선 PP A 00043 항생물질학 2 2 0 15 15 5 15 5 5 10 15 15
전선 PP A 00054 위생약학 2 2 0 15 15 5 15 5 5 10 15 15
전선 PP A 00070 일반의약품학 2 2 0 10 10 10 20 10 10 10 10 10
전필 PP A 00037 약물치료학 3 3 3 0 5 5 5 15 10 30 20 5 5
5-2 전필 PP A 00038 약물치료학 4 3 3 0 5 5 5 15 10 30 20 5 5

27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전공과정-약학대학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 100 % ) 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G H I 고
전필 PP A 00021 보건의약관계법규 2 2 0 5 5 5 15 10 30 20 5 5
전필 PP A 00039 예방약학 3 3 0 20 20 0 0 0 10 30 10 10
전필 PP A 00041 기초약무실습 2 0 4 15 15 5 15 5 5 10 15 15
전필 PP A 00048 제약 ․행정실무실습 3 0 12 5 10 0 15 20 20 20 5 5
전필 PP A 00036 경영약학 2 2 0 15 15 5 15 5 5 10 15 15
전선 PP A 00045 임상약동학 2 2 0 5 5 5 30 5 15 25 5 5
전선 PP A 00046 제약공학 2 2 0 0 0 20 0 30 20 20 0 10
전선 PP A 00071 나노약학 2 2 0 5 5 15 25 10 10 20 5 5
전선 PP A 00075 약물신호전달학 2 2 0 15 15 5 15 5 5 10 15 15
6-1 전필 PP A 00055 지역약국실무실습 4 0 16 5 10 0 20 10 25 25 0 5
전필 PP A 00056 약국실무실습 4 0 16 5 10 0 20 10 25 25 0 5
전필 PP A 00057 병원약국실무실습 1 4 0 16 5 10 0 20 10 25 25 0 5
전필 PP A 00058 심화실무실습 1 3 0 9 5 5 15 25 10 10 20 5 5
6-2 전필 PP A 00059 병원약국실무실습 2 4 0 16 5 10 0 20 10 25 25 0 5
전필 PP A 00060 심화실무실습 2 3 0 9 5 5 15 10 15 15 25 5 5
전필 PP A 00061 심화실무실습 3 3 0 9 15 15 10 10 5 5 10 15 15
전선 PP A 00062 고급생명약학 2 2 0 5 5 15 20 10 15 20 5 5
전선 PP A 00063 고급약물과학 2 2 0 5 5 5 10 15 30 20 5 5
전선 PP A 00064 고급산업약학 2 2 0 10 10 20 10 10 10 20 5 5
전선 PP A 00065 고급임상약학 2 2 0 5 10 10 15 10 20 20 5 5
전선 PP A 00066 고급보건사회약학 2 2 0 10 20 0 20 0 5 20 5 20
계 전공필수 138 전공선택 56 (6 ) 194 (6 )

경상대학교 277
본부대학
1. 기계융합공학과··································· 276
전공과정-본부대학

□ 기계융합공학과
 교육목표

◦공학지식과 현장실무를 겸비한 창의적 융합 인재 양성

 인재상

◦융합형 인재 ◦창의형 인재 ◦실무 적응형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융합 역량 기계공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공을 융합할 수 있는 역량


융합형 인재 기계공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과의 융합기술을 이해하고 지식 /기술
B 전공 지식 응용 역량
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
C 독창성 및 혁신성 독창성 , 혁신성을 갖추고 미래산업을 선도하는 창의적인 인재
창의형 인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목표를 세우고 목표달성을 위한 일련
D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의 수단이나 방법을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능력
E 실무 역량 전공 지식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
실무 적응형 인재 공동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업 및 의사소통을 통해 프로젝트를 성
F 프로젝트 수행능력
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1-1 전필 E OA 00044 전산기계제도 2 0 2 0 20 0 10 50 20
1-2 전선 E OA 00048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 3 3 0 30 20 20 15 10 5
전선 EOA00058 기계공작법실습 (어드벤처디자인 ) 1 0 2 0 10 0 20 40 30
전선 E O A 00003 정역학 3 3 0 15 30 0 20 25 10
2-1 전필 E O A 00006 공학수학 1 3 3 0 15 20 20 20 10 15
전필 E O A 00004 고체역학 3 3 0 10 20 15 20 15 20
전선 E OA 00005 열역학 3 3 0 15 30 0 20 15 20
전선 E OA 00009 재료공학 3 3 0 10 50 5 10 20 5
전선 E OA 00049 공학프로그래밍 3 0 3 25 15 20 20 10 10
전선 E OA 00051 창의설계프로젝트 3 0 3 10 10 10 30 10 30
2-2 전필 E OA 00010 동역학 3 3 0 15 20 15 20 15 15
전선 E OA 00011 유체역학 3 3 0 15 30 0 20 15 20
전선 E OA 00012 공학수학 2 3 3 0 15 20 20 20 10 15
전선 E OA 00035 전기전자기초 3 3 0 10 30 10 20 10 20
전선 E OA 00041 제조공정 3 3 0 10 50 10 10 15 5
2,3,4 전선 EZ A 30071 현장실습 1 ( 3 0 4주 ) 10 20 10 10 40 10
-동하계
3-1 전필 E O A 00045 기계공학실험 2 0 2 15 20 10 15 20 20
전필 E O A 00018 기계요소설계 3 3 0 20 15 15 20 15 15
전선 E O A 00034 기계재료 3 3 0 10 50 5 10 20 5
전선 EOA00060 CAD/CAM 3 3 0 10 35 5 10 20 20
전선 E OA 00019 기계진동학 3 3 0 10 20 15 20 15 20

경상대학교 279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E OA 00052 시스템해석과모델링 3 3 0 15 20 15 15 20 15
전선 E OA 00053 공작기계설계 3 3 0 10 50 5 10 20 5
3-2 전선 E OA 00039 빅데이터공학 3 3 0 20 10 15 20 15 20
전선 E OA 00042 제어시스템설계 3 3 0 15 20 15 15 20 15
전선 E OA 00043 생산시스템공학 3 3 0 10 40 10 15 20 5
전선 E O A 00054 기술개발창업론 3 3 0 10 20 15 20 15 20
전선 E O A 00050 유한요소법 3 3 0 10 20 15 20 15 20
4-1 , 2 전필 E OA 00047 종합설계 3 0 3 10 20 20 20 15 15
전선 E OA 00046 프로젝트 Lab 3 0 3 15 20 15 15 15 20
전선 E OA 00025 R&D인턴십 (현장실습 2 ) (15 0 15주) 10 20 10 10 40 10
4-1 전선 EOA00055 융합기술창업세미나 1 1 0 40 10 10 15 10 15
전선 E O A 00059 전산역학 3 3 0 10 20 15 20 15 20
4-2 전선 E OA 00036 로봇공학 3 3 0 15 20 15 15 20 15
전선 E OA 00056 센서공학 3 3 0 15 20 15 15 20 15
계 전공필수 19 전공선택 74 (18 ) 93 (18 )

28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ART 04

연계전공

Ⅰ. 연계전공 정의························································· 281


Ⅱ. 연계전공 참여학과 현황····································· 281
Ⅲ. 연계전공 교육과정표············································ 282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Ⅰ. 연계전공 정의
학칙 제65조제2항에 근거하여 둘 이상의 학과, 둘이상의 학부 또는 학과와 학부가 교육과정을 연
계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사회의 수요에 부응하는 학문적 지식을 함양하여 사회진출의
기회를 확대함과 아울러 사회적응력을 배양하고자 함
- “연계전공”이란 둘 이상의 학과, 둘 이상의 학부 또는 학과와 학부가 교육과정을 연계하여 제공
하는 전공으로 동일 학부 내에 설치된 전공 간의 연계는 연계전공으로 보지 아니함

Ⅱ. 연계전공 현황
1. 개설 연계전공 현황
연계전공명 주관학과 참여학과 (전공 ) 개설연도
독어독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철학과 , 국어국문학과 ,
문화콘텐츠학 독어독문학과 2011
민속무용학과 , 영어영문학과
지능로봇공학 제어계측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기계공학전공 ) 2011
글로컬융복합경영학 국제통상학과 국제통상학과 , 경영학과 , 경영정보학과 , 회계학과 2017

환경산림과학부 환경산림과학부 (산림환경자원학전공 , 환경재료과학전


미래그린농림융복합학 공 )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생물산 2017
(산림환경자원학전공 ) 업기계공학전공 )
축산생명학과 , 농업식물과학과 , 농화학식품공학과 , 식물
애그로스타트업학 축산생명학과 2020
의학과 , 식품자원경제학과

2. 폐지 연계전공 현황
개설
순 연계전공명 주관학과 참여학과 비고
연도
환경산림과학부 (산림환경자원학전공 , 환경재료과학전공 ) ,
환경산림과학부
1 사면방재과학 애그로시스템공학부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2013 *
(산림환경자원학전공 )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2 EU학 불어불문학과 불어불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2011 **
3 커뮤니케이션기호학 불어불문학과 불어불문학과 , 국어국문학과 , 철학과 2011 **
4 E・N・A공공서비스학 행정학과 행정학과 , 정치외교학과 , 법학과 2015 ***

* 2018년도부터 신입생 모집하지 않음 ** ‘19학년도부터 신입생 모집하지 않음, *** '20학년도부터 신입생 모집하지 않음

28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연계전공

Ⅲ. 연계전공 교육과정표
1. 문화콘텐츠학 (Culture Contents major)
□ 개설년도: 2011

□ 참여학과: 독어독문학과(주관), 국어국문학과, 철학과, 민속무용학과, 영어영문학과, 불어불문학과

□ 교육목표

◦ 서로 다른 다양한 문화 및 학문 영역들의 창의적 연결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실천적 문화 역량의 함양을 통해 한국의


문화경제에 기여하며 지역의 당면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문화콘텐츠 인재 양성

□ 인재상

◦상상과 공감 친화형 인재 ◦비판적 사고력을 갖춘 소통형 인재 ◦창의적 연결과 융합에 능숙한 실천적 문화전문가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감각과 오성의 협응을 통해 자신의 경험들을 종합하여 독창 -스토리텔링의 기술


A 상상력
적인 것을 창조하는 능력 -문학예술적 훈련
상상과 공감
친화형 인재 -문화학과 문화연구
타자의 존재를 의식하며 그들의 목소리를 듣고 그것을 실천
B 문화수용력 -문화상대주의와 다
에 반영할 수 있는 능력
문화주의 감성 훈련

주어진 지식이나 주장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 스스


-문화비평 능력
비판적 C 비판적 사고력 로 그 지식과 주장이 참인지 거짓인지 , 유용한지 무용한지를
-미디어 리터러시
주의깊게 따지면서 생각하는 능력
사고력을 갖춘
소통형 인재
사물을 조작하고 변형하는 과정에서 서로에게 배우는 일에 -공감과 협력
D 협업소통 능력
익숙하며 그 결과를 자연스럽게 나눌 수 있는 능력 -전달과 표현

창의적 이질적인 요소들을 연결하여 새로운 것을 조합해냄으로써 사 -문화기획


창의적 연결과 E
연결능력 회와 현장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 -통합사고
융합에 능숙한
실천적
문화적 문제해 다양한 소통과 표현 기술을 습득하여 공동체의 현안들을 문 -공동체 문제인식
문화전문가 F
결력 화적으로 해결하며 창의적인 대안을 디자인할 수 있는 능력 -대안적 사고력

□ 배출인력의 진로

- 도내 각 문화 관련 기관, 즉 경남문화재단, 경남영상위원회, 경남미디어영상위원회, 경남문화콘텐츠


진흥원 등에서 활동할 수 있고 언론사 및 방송사로 진출 할 수 있으며 각종 콘텐츠 제작 현장에서
제작 스태프 혹은 프로듀서 또는 기획자로서 활동 할 수 있다.

□ 이수원칙: 36학점

경상대학교 285
2020학년도 교육과정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H D A 10015 민속연희론 2 2 0 10 40 10 10 20 10 ♡
1-1
전선 H F A 00012 프랑스사회문화의이해 3 3 0 10 40 10 10 20 10 ■
1-1 , 2 전선 Z G A 20010 문화콘텐츠의이해 3 3 0 10 40 10 10 20 10 
1-2 전선 Z P A 30002 경남문화콘텐츠론 2 2 0 30 10 20 20 10 10 ★
전선 H P A 00012 문화철학 3 3 0 20 20 20 10 10 20 ▶
2-1
전선 X C A 00006 문화콘텐츠학개론 3 3 0 20 10 20 10 20 20 
전선 H D A 10012 한국음악개론 2 2 0 30 20 20 10 10 10 ♡
전선 H K A 20003 현대시론 3 3 0 10 40 10 10 20 10 ★
2-2 전선 X C A 00014 미디어문예창작 3 0 3 20 10 20 10 20 20 
전선 X C A 00012 알고리즘과코딩 3 3 0 20 20 20 10 20 10 
전선 X C A 00010 문화산업의이해 3 3 0 20 10 10 30 20 10 
전선 H F A 00010 프랑스공연예술 3 3 0 20 20 20 10 20 10 ■
전선 H K A 00012 문학과매체 3 3 0 10 30 10 20 20 10 ★
3-1 전선 X C A 00004 스토리텔링 3 3 0 20 20 20 10 20 10 
전선 X C A 00008 지역문화와콘텐츠기획 3 3 0 20 20 20 10 20 10 
전선 X C A 00007 문화콘텐츠와가상현실 3 3 0 20 10 20 10 20 20 
3-2 전선 H D A 30029 무대예술 2 2 0 20 10 20 10 20 20 ♡
전선 H G A 00040 게르만어권공연예술의이해 3 3 0 20 20 10 20 20 10 ◇
전선 H K A 30014 구비문학론 3 3 0 10 40 10 10 20 10 ★
전선 H F A 00016 프랑스문화예술 3 3 0 10 40 10 10 20 10 ■
전선 T G A 00014 지역개발론 3 3 0 10 40 10 10 20 10 ♣
전선 H P A 00086 구조조의와후기구조주의의 3 3 0 20 20 20 10 10 20 ▶
철학
전선 X C A 00016 무놔연구와문화비평 3 3 0 10 30 20 10 10 20 
전선 X C A 00017 미디어콘텐츠의이해와분석 3 3 0 30 10 10 20 10 20 
4-1 전선 X C A 00013 문화콘텐츠제작실습 3 0 3 20 20 20 10 20 10 
전선 H D A 40024 축제와놀이 2 2 0 20 20 10 20 20 10 ♡
전선 H G A 00030 게르만신화와서사문화 3 3 0 10 40 10 10 20 10 ◇
전선 H E A 00004 영미권연극과영화 3 3 0 10 40 10 10 20 10 ♥
전선 H P A 00009 매체철학 3 3 0 20 10 20 10 20 20 ▶
4-2 전선 H G A 00041 게르만어권영화의이해 3 3 0 10 40 10 10 20 10 ◇
전선 H P A 00010 현대철학특강 3 3 0 10 30 30 10 10 10 ▶
전선 SS A 40014 문화사회학 3 3 0 10 20 20 20 10 20 ☆
전선 X C A 00015 저작권종합설계 3 0 3 20 20 20 10 20 10 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88 88

★ 국어국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사회학과 ♥ 영어영문학과 ▶ 철학과


범례
♡ 민속무용학과 ♣ 지리교육과  융합교과목

28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연계전공

2. 지능로봇공학 (Intelligent Robot Engineering major)


□ 개설년도: 2011

□ 참여학과: 제어계측공학과(주관),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기계공학전공

□ 교육목표

◦4차 산업혁명의 핵심분야 및 다학문 융복합학문분야인 지능로봇공학 교육을 제공하여 국가 신성장동력산업 및 경남지역 전
략산업은 로봇분야의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현장맞춤형 인재 양성

□ 인재상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예 · 지 · 학을 겸비한 개척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팀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필요한 언어 , 도면 , 작문 등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A 의사소통
봉사실천 있는 능력
B 세계시민 세계인과 전공에 있어 다양한 지식을 교환할 수 있는 영어 등 언어능력
C 창의융합 자기분야에서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을 수행할 수 있고 , 그것을 타 분야와 융합할 수 있는 능력
가치창조
D 문제해결 지능로봇에 대한 프로젝트 수행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4차 산업혁명에 맞는 지능로봇에 대한 로봇 전체 혹은 요소부품을 새롭게 도전적으로 개
E 도전정신
선 및 설계할 수 있는 능력
도전혁신
자기주도적으로 지능로봇관련 학습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과 점진적으로 학업을 수행하
F 자기주도
여 높은 학위를 취득할 자세

□ 배출인력의 진로
- 진출분야: 신성장 동력분야인 로봇분야 및 메카트로닉스 분야
- 자격증 취득: 로봇관련 자격증(로봇기술자격증 등)
□ 이수원칙: 36학점
․ 필수과목 이수학점: 12학점(4과목)
․ 선택과목 이수학점: 24학점(8과목)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전필 X I A 00001 로봇입문 3 3 0 10 10 30 30 10 10 ♧
2-1
전선 E M A 20001 고체역학 1 3 3 0 10 10 30 30 10 10 ♣
전필 X I A 00006 3DCAD 3 0 3 30 10 20 20 10 10 ♧
전선 E M A 00028 CAD 3 0 3 30 10 20 20 10 10 ♣
2-2 전선 E M A 20004 동역학 3 3 0 20 10 20 30 10 10 ♣
전선 E F A 00007 제어계측프로그래밍 2 3 3 0 10 10 30 30 10 10 ♧
전선 EZ A 20002 공학수학 2 3 3 0 20 10 20 30 10 10 ♧,♣
전필 X I A 00007 로봇시스템설계 3 0 3 10 10 30 30 10 10 ♣
3-1 전선 E F A 30035 디지털논리회로 3 3 0 20 10 20 30 10 10 ♧
전선 E F A 30053 객체지향프로그래밍 3 3 0 10 10 30 30 10 10 ♧

경상대학교 287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E F A 30001 전자회로공학 2 3 3 0 10 10 30 30 10 10 ♧
전선 E M A 30016 기계진동학 3 3 0 20 10 20 30 10 10 ♣
전선 E M A 40014 계측공학 3 3 0 20 10 20 30 10 10 ♧
전필 X I A 00002 지능로봇 3 3 0 10 10 30 30 10 10 ♧
전선 E F A 30024 제어공학 2 3 3 0 20 10 20 30 10 10 ♧
3-2
전선 E F A 30052 마이크로프로세서공학 3 3 0 10 10 30 30 10 10 ♧
전선 E M A 40003 제어공학 3 3 0 20 10 20 30 10 10 ♣
전선 E F A 40001 로봇공학 3 3 0 10 10 30 30 10 10 ♧
4-1 전선 E M A 00031 메카트로닉스 3 2 1 10 10 30 30 10 10 ♣
전선 E M A 00039 종합설계 3 0 3 20 10 20 20 20 10 ♣
계 전공필수 12 전공선택 48 60

범례 ♧ 제어계측공학과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기계공학전공

28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연계전공

3. 글로컬융복합경영학 (Global and Local Convergence Management Major)


□ 개설년도: 2017
□ 참여학과: 국제통상학과(주관), 경영학과, 경영정보학과, 회계학과
□ 교육목표

◦학제적 , 융복합 , 통섭형 경영 전문 인력의 양성

□ 인재상

◦학제적 , 융복합 , 통섭형 경영 전문성을 갖춘 인재 ◦융복합 지식을 바탕으로 창의적 역량을 갖춘 인재


◦현장실무능력 , 협업과 소통능력을 갖춘 글로컬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학제적 , 융복합 , 통섭형 A 의사소통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경영 전문성을 갖춘 인재 B 세계시민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
융복합 지식을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한
C 창의융합
바탕으로 창의적 역량을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갖춘 인재 D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현장실무능력 ,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 또는 조직을 이끌
E 도전정신
협업과 소통능력을 갖춘 글 수 있는 역량
로컬 인재 F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 할 수 있는 역량

□ 배출인력의 진로
- 경영컨설팅․금융․국제통상․전자상거래․회계․물류분야

□ 이수원칙: 36학점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전선 BBA30008 마케팅관리 3 3 0 40 10 10 10 20 10 ♣
전선 BTA20001 무역실무 3 3 0 10 20 20 30 20 0 ♧
전선 BTA20003 무역영어 1 3 3 0 30 20 0 20 20 10 ♧
2-1
전선 BBA20007 경영통계학 3 3 0 20 10 10 30 20 10 ♣
전선 BAA20015 회계원리 2 3 3 0 30 10 10 30 10 10 ♠
전선 BAA20013 원가회계 3 3 0 20 0 10 30 10 30 ♠
전선 BBA30012 재무관리 3 3 0 20 10 10 30 20 10 ♣
전선 BTA20008 국제전자상거래론 3 3 0 10 5 30 30 10 15 ♧
2-2 전선 BTA20002 국제무역론 3 3 0 0 10 30 30 10 20 ♧
전선 B I A20007 e-비즈니스개론 3 3 0 10 10 20 30 10 20 ♤
전선 BAA30032 중급회계 1 3 3 0 10 10 10 30 10 30 ♠
전선 BTA30001 외환론 3 3 0 10 10 20 30 10 20 ♧
3-1 전선 B I A00015 경영의사결정론 3 2 1 20 0 20 30 10 20 ♤
전선 B I A00012 비즈니스모델과창업 3 3 0 10 10 20 30 10 20 ♤

경상대학교 289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B I A00009 정보기술과경영컨설팅 3 3 0 10 10 20 30 10 20 ♤

전선 BAA30016 중급회계 2 3 3 0 10 10 10 30 10 30 ♠
전선 BBA40027 경영전략 3 3 0 30 10 10 20 10 20 ♣
전선 BBA00008 광고와커뮤니케이션 3 3 0 30 10 25 20 5 10 ♣
3-2
전선 B I A40016 디지털마케팅 3 3 0 15 15 10 20 20 20 ♤
전선 BAA30015 세무회계 3 3 0 30 10 10 20 10 20 ♠
4-1 전선 BBA20017 유통경영론 3 3 0 30 15 5 20 10 20 ♣
계 전공필수 전공선택 63 63
범례 ♧ 국제통상학과 ♣ 경영학과 ♤ 경영정보학과 ♠ 회계학과

29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연계전공

4. 미래그린농림융복합학 (Agriculturer&Forestry Green Technology Major)


□ 개설년도: 2017
□ 참여학과: 환경산림과학부 산림환경자원학전공(주관), 환경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애그로시스
템공학부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애그로시스템공학부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교육목표

◦창의적 능력을 갖춘 농림융복합 전문인 양성

□ 인재상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인재 ◦공동체 협력 인재 ◦ 융복합 글로컬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농업과 임업의 전공 융합 이론적 지식을 함양하며 , 이를 현장에 적용하는
A 농림융복합 지식함양
창의적 문제해결 기술을 함양
역량 인재 서로 다른 성격을 지닌 농업과 임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상하고
B 농림융복합 문제해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
C 의사소통 역량 강화 서로 다른 성격인 농업과 임업을 이해하고 소통을 통해 융복합 기술을 실현
공동체협력 인재
D 팀워크 역량강화 농림 융복합형 팀프로젝트 발굴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팀워크 역량을 강화
글로벌 농림
E 글로벌 농림업 융복합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 이를 습득하는 능력을 배양
융복합 글로컬 융복합능력 배양
인재 지역사회리더
F 지역 농림업 현장을 이해하고 , 지역혁신을 리더할 중추적 역량을 강화
역걍강화

□ 배출인력의 진로
- 농림업 유망 일자리 50개 직업 대부분이 본 전공영역에 해당됨
- 기후변화 전문가, 지역재생연구원, 정밀농업기술자, 환경에너지제어관리 전문가, 스마트농업 전문가,
도시농업컨설턴트, 농작업안전관리사, 친환경병해충방제 전문가, 공무원 등

□ 이수원칙: 36학점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1-1 전선 X F A 00001 미래그린 AF개론 3 3 0 30 20 15 10 15 10 ♣♧
♤♠
1-2 전선 A MA 00010 기초공학제도및실습 3 2 1 10 10 20 30 10 20 ♤♠
전선 A MA 00013 캐드 &그래픽 1 3 0 3 10 10 20 20 20 20 ♤
전선 A F A 20005 산림식물학 2 2 0 20 20 20 20 10 10 ♣
전선 A F A 20076 산림식물학실습 1 0 2 20 20 20 20 10 10 ♣
2-1
전선 A F A 20012 산림지리정보학 2 2 0 20 20 20 20 10 10 ♣
전선 A F A 20081 산림지리정보학실습 1 0 2 20 20 20 20 10 10 ♣
전선 A E A 20024 정역학 3 3 0 20 20 10 10 30 10 ♠
전선 X F A 00002 미래그린 AF세미나 3 3 0 20 20 20 20 10 10 ♣♧
2-2 ♤♠
전선 A F A 20004 조경계획학 3 3 0 20 20 20 20 10 10 ♣

경상대학교 291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A MA 20083 생물산업전기공학및실습 3 2 2 10 20 10 20 10 30 ♤
전선 A WA 20029 목재물리학 2 2 0 20 20 20 10 20 10 ♧
전선 A WA 00008 목재물리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 0 2 10 20 10 20 20 20 ♧
전선 A WA 10034 가구디자인 2 2 0 10 10 20 20 20 20 ♧
전선 A WA 10091 가구디자인실습 1 0 2 10 10 30 30 10 10 ♧
전선 A WA 10020 특수임산학 2 2 0 30 20 20 10 10 10 ♧
전선 A WA 10077 특수임산학실험 1 0 2 10 30 10 30 10 10 ♧
전선 A E A 90017 농촌계획학 3 3 0 10 30 10 20 10 20 ♠
3-1
전선 AFA30005 산림휴양학 2 2 0 20 20 20 20 10 10 ♣
전선 AFA00004 산림휴양학실습 1 0 1 20 20 20 20 10 10 ♣
전선 A F A 30004 산림환경보전공학 2 2 0 30 30 10 20 5 5 ♣
전선 A F A 30080 산림환경보전공학실습 1 0 2 30 30 10 20 5 5 ♣
전선 A MA 30001 농업동력및실습 3 2 2 10 10 25 15 25 15 ♤
전선 A F A 00005 수목병리학 2 2 0 20 20 10 15 15 20 ♣
전선 A F A 00006 수목병리학실습 1 0 1 20 20 10 15 15 20 ♣
전선 X F A 00005 미래그린 AF융복합종합설계 3 3 0 30 30 10 15 10 5 ♣♧
♤♠
3-2 전선 A WA 30042 목재보존학 2 2 0 20 20 20 10 10 20 ♧
전선 A WA 30080 목재보존학실험 1 0 2 20 30 10 20 10 10 ♧
전선 A WA 10021 제지공학 2 2 0 20 30 10 10 20 10 ♧
전선 A WA 10078 제지공학실험 1 0 2 10 20 10 20 20 20 ♧
전선 A MA 00009 컴퓨터프로그래밍언어 3 2 2 10 10 30 30 10 10 ♤
전선 X F A 00006 미래그린 AF캡스톤디자인 3 3 0 30 30 15 15 5 5 ♣♧
♤♠
전선 A F A 20009 산림생물공학 2 2 0 25 25 10 10 20 10 ♣
전선 A F A 20079 산림생물공학실습 1 0 2 25 25 10 10 20 10 ♣
전선 A WA 00094 지류포장공학 2 2 0 10 30 10 10 30 10 ♧
4-1 지류포장공학실험 및
전선 A WA 00095 1 0 2 20 10 20 20 20 10 ♧
캡스톤디자인
전선 A E A 40026 농산환경조절공학 3 3 0 30 20 10 10 20 10 ♠
전선 A MA 00005 농업정보공학 3 3 0 10 10 20 20 20 20 ♤
전선 AEA00109 PBL농촌공간정보공학및 3 2 2 30 30 10 10 10 10 ♠
실습
4-2 전선 A E A 00014 토양환경공학 3 3 0 30 20 10 10 20 10 ♠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84 84
범례 ♣ 산림환경자원학과 ♧ 환경재료과학과 ♠ 지역시스템공학과 ♤ 생물산업기계공학과

29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연계전공

5. 애그로스타트업학 (Agro-Startup Major)


□ 개설년도: 2020

□ 참여학과: 축산학과(주관), 동물생명과학과, 농학과, 원예학과, 식물의학과, 식품공학과, 환경생명화학


과, 식품자원경제학과

□ 교육목표

◦지속 가능한 미래농업 기반조성과 현장 중심형 창업 및 영농승계를 위한 인력양성

□ 인재상

◦농생명바이오소재를 s t a r t-up으로 연계하기 위한 리더 양성


◦영농승계를 통한 미래 고부가가치 농생명바이오산업을 혁신한 특화된 리더 양성
◦농장 실무형 교육을 통한 농축산업 리더 양성 ◦창업교육을 통한 농업의 새로운 가치 창출형 리더 양성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문제해결 대화와 소통을 통하여 협력을 통한 업무를 추진할 -농업인으로서의 자질
농생명산업분야를 A
능력 수 있는 역량 -경영업무의 대처능력
개척정신을 기반으로 이끌
어갈 실무인력 미래 지향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도전을 통해 -농산업의 신기술지식
B 전문기술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역량 -실무업무 처리기술
-계획수립 및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연구를 수행하고
21세기 첨단기술을 C 자기주도역량 이행능력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역량
기반으로 한 농생명 산업 -경영기획기술
분야 발전을 다분야의 전문 지식들을 융합하여 새로운 것을 -농생명 융복합 I CT
위한 혁신인력 D 융합 사고 창출해 낼수 있으며 , 융 ,복합 시너지를 극대화 기술
해내는 사고 방식 -다양한 학문지식
-농업경영 및
미래지향적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으로
영농산업에 필수적인 지식 E 경제현황지식
태도 산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역량
과 실무교육을 통한 미래영 -실무실습수행기술
농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경험과 기술들을 적극적으로 -사업계획서 작성능력
F 실천 능력
수집하고 이를 산업에 활용 할 수 있는 능력 -산업환경의 변화지식

□ 배출인력의 진로

- 농생명 산업은 차세대 신성장동력과 최고의 유망업종으로 주목 받고 있음

- 경남은 고부가가치 Halal 산업, ICT 융합 스마트팜 등 농생명 산업을 경남 미래 50년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음

- 농업이 기피 산업에서 고부가가치 “가업”으로 패러다임 전환

- 다양한 농생명산업 구조 변화와 현장 친화형 인재가 요구되고 있음

□ 이수원칙: 36학점
- 선택과목 이수학점: 36학점

경상대학교 293
2020학년도 교육과정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전선 A G A 00077 조원식물학및실습 3 2 1 10 30 20 20 20 0 ♣
전선 A X A 00020 식품위생학및실험 3 2 2 10 30 20 20 20 0 ♤
전선 A S A 20015 농업경영학 3 3 0 0 0 20 50 0 30 ★
전선 A B A 00001 미생물학 2 2 0 30 30 0 20 20 0 ♠
전선 A B A 00002 미생물학실험 1 0 2 20 30 20 0 0 30 ♠
2 -1 전선 A B A 20012 응용곤충학 2 2 0 30 30 0 20 20 0 ♠
전선 A B A 00003 응용곤충학실습 1 0 2 20 30 20 0 0 30 ♠
전선 A T A 00004 반추동물영양생리학 2 2 0 30 30 0 20 20 0 ♧
전선 A T A 00006 동물동물영양생리학실험 1 0 2 20 30 20 0 0 30 ♧
전선 A T A 00003 동물생식세포학 2 2 0 30 30 0 20 20 0 ♧
전선 A T A 00005 동물생식세포학실험 1 0 2 20 30 20 0 0 30 ♧
전선 A G A 00021 사료작물학 2 2 0 30 30 0 20 20 0 ♣
전선 A X A 00016 토양학 3 3 0 30 30 0 20 20 0 ♤
전선 A X A 00010 식품공정공학및실험 3 2 2 10 30 20 20 20 0 ♤
전선 A T A 00026 동물영양학 2 2 2 0 30 30 0 20 20 0 ♧
2 -2
전선 A T A 00025 동물영양학 2실습 1 0 2 20 30 20 0 0 30 ♧
전선 A B A 00011 산업곤충학 3 3 0 30 30 0 20 20 0 ♠
전선 A T A 00023 식육과학 2 2 0 30 30 0 20 20 0 ♧
전선 A T A 00024 식육과학실습 1 0 2 20 30 20 0 0 30 ♧
전선 A G A 00083 수도작및실습 3 2 1 10 30 20 20 20 0 ♣
전선 A G A 00029 온실관리및경영학 2 2 0 30 30 0 20 20 0 ♣
전선 A T A 00041 동물육종학 3 3 0 30 30 0 20 20 0 ♧
3 -1
전선 A T A 00042 동물시설환경학 2 2 0 30 30 0 20 20 0 ♧
전선 A T A 00043 동물시설환경학실습 1 0 2 20 30 20 0 0 30 ♧
전선 A B A 00104 잔디병해충학 3 3 0 30 30 0 20 20 0 ♠
전선 A G A 00040 전작및실습 3 2 2 10 30 20 20 20 0 ♣
전선 A X A 00038 비료학종합설계 3 2 2 30 30 0 20 20 0 ♤
전선 A X A 00039 농약학 3 3 0 30 30 0 20 20 0 ♤
전선 A X A 00032 발효공학및실험 3 2 2 10 30 20 20 20 0 ♤
3 -2
전선 A X A 00035 원예가공학및실험 3 2 2 10 30 20 20 20 0 ♤
전선 A S A 30029 농식품유통론 3 3 0 0 0 20 50 0 30 ★
전선 A T A 00080 육가공학 2 2 0 30 30 0 20 20 0 ♧
전선 A T A 00081 육가공학실습 1 0 2 20 30 20 0 0 30 ♧
전선 A G A 00052 종자생산학 3 3 0 30 30 0 20 20 0 ♣
전선 A G A 00049 기능성채소 2 2 0 30 30 0 20 20 0 ♣
전선 A X A 00052 농업환경화학 2 2 0 30 30 0 20 20 0 ♤
4 -1 전선 A B A 00106 해충방제원리 2 2 0 30 30 0 20 20 0 ♠
전선 A X A 00071 환경화학실습 2 0 4 20 30 20 0 0 30 ♤
전선 A S A 00103 축산경제학 3 3 0 0 0 20 50 0 30 ★
전선 A T A 00068 발효유식품학및실험 3 3 0 10 30 20 20 20 0 ♧
4 -2 전선 A B A 40018 환경위생곤충학 2 2 0 30 30 0 20 20 0 ♠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92 92

범례 ♧ 축산학과 ♠ 식물의학과 ◎ 동물생명과학 ♤ 농학과 ◇ 원예학과


♣ 환경생명화학과 ◆ 식품공학과 ★ 식품자원경제학과

29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ART 05

융합전공

Ⅰ. 융합전공 정의························································· 295


Ⅱ. 융합전공 참여학과 현황····································· 295
Ⅲ. 융합전공 교육과정표············································ 296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Ⅰ. 융합전공 정의
학칙 제65조제2항에 근거하여 둘 이상의 학과, 둘 이상의 학부 또는 학과와 학부가 교육과정을 융
합하여 제공하는 새로운 학문분야로서, 사회의 수요에 부응하는 학문적 지식을 함양하여 사회진출
의 기회를 확대함과 아울러 사회적응력을 배양하고자 함
“융합전공”이란 둘 이상의 학과, 둘 이상의 학부 또는 학과와 학부가 교육과정을 융합하여 제공하는 새로운
학문 분야의 전공으로 동일 학부 내에 설치된 전공 간의 융합은 융합 전공으로 보지 아니함

Ⅱ. 융합전공 참여학과 현황
구분 융합전공명 주관학과 참여학과 (전공 ) 개설연도

건축도시토목공학부 건축도시토목공학부 (건축공학전공 ) ,


주택 ∙도시개발학 건축도시토목공학부 (도시공학전공 ) ,
(도시공학전공 ) 경영정보학과
전력에너지공학 전기공학과 , 전자공학과 , 반도체공학
전자공학과 2018 . 2학기
과 , 제어계측공학과 , 화학공학과
경영정보학과 , 경영학과 , 회계학과 ,
산업경영지원학 경영정보학과 행정학과 , 법학과 , 산업시스템공학
부 , 국제통상학과
문화융복합학 러시아학과 , 중어중문학과 , 한문학
러시아학과
과 , 경영정보학과
융합전공 (복수 ) * 시험 · 분석학 화학과 화학과 , 생명과학부 , 물리학과
경영학과 , 경제학과 , 정보통계학과 ,
금융보험학 경영학과
경영정보학과 , 회계학과 , 수학과
산업시스템공학부 , 기계항공정보융합
공학부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 2020
데이터사이언스학 산업시스템공학부
공 ) , 건축도시토목공학부 (도시공학전
공 ) , 경영정보학과
식물의학과 , 농업식물과학과 , 농화학
농산업컨설팅학 식물의학과 식품공학과 , 식품자원경제학과 , 축산
생명학과
단디공공서비스학 법학과 법학과 , 행정학과
환경산림과학부 환경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 ,
융합전공 (주 ) ** P&P화학공학 2019
(환경재료과학전공 ) 화학공학과

* 융합전공을 복수전공으로 이수하는 경우


** 융합전공을 주전공으로 이수하는 경우

29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융합전공

Ⅲ. 융합전공 교육과정표

1. 주택∙도시개발학(Housing&Urban Development Convergence)

□ 개설년도: 2018

□ 참여학과: 건축도시토목공학부 도시공학전공(주관), 건축도시토목공학부 건축공학전공, 경영정보학과

□ 교육목표

◦경남혁신도시의 주택건설기능군 공공기관이 요구하는 미래도시리드형 융합기술 도시전문가 양성

□ 인재상

◦인본형 주택도시인 ◦ 미래형 주택도시인 ◦창의형 주택도시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하위역량


도시인이 평등하고 소외되지 않는 소통과 포용적 도시 -참여
A 소통과 포용
인본형 철학을 공유하는 능력 -배려
주택도시인 사람중심 생활 사람들의 다양한 생활패턴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사람중심 -사람중심
B
패턴 도시 만들기 -도시공간인지력
4차 산업혁명시대를 선도하는 융합기술기반형 주택도시인재 -스마트시티기술
C I CT융합
미래형 역량 -빅데이터기술
주택도시인 미래의 주택도시분야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리드할 수 -도전과 개척정신
D 진취성과 세계화
있는 글로벌 역량 -글로벌리즘
주택도시문제를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청보체계기술
E 창의적 혁신
창의형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창의와 혁신성
주택도시인 -학제간 융합
F 학문간 융합 다양한 학문간 융합을 통한 스마트 주택도시 창출 능력
-스마트 주택도시

□ 배출인력의 진로

- 한국토지주택공사(또는 경남혁신도시 입주회사) 입사

- 한국토지주택공사(또는 경남혁신도시 입주회사) 협력업체 입사

- 주택단지 개발관련 회사 입사

□ 이수원칙: 33학점

․ 필수과목 이수학점: 12학점

․ 선택과목 이수학점: 21학점

경상대학교 299
2020학년도 교육과정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전선 B I A 00017 경영 S/W활용 3 1 2 30 0 0 0 35 35 ☆◈
전선 B I A 20024 경영정보시스템 3 3 0 35 5 15 5 30 10 ☆◈
전선 E AA 20016 건축구조 3 3 0 10 20 40 10 20 0 ♧◈
2-1 전선 E AA 20027 건축환경공학 1 3 3 0 50 0 0 50 0 0 ♧◈
전선 E U A 20021 교통계획 3 3 0 20 30 20 10 10 10 ♤◈
전선 E U A 20041 도시계획 3 3 0 20 20 20 10 10 20 ♤◈
전선 EUA20006 도시전산설계 2 0 4 10 20 30 20 10 10 ♤◈
전선 B I A 20007 e-비즈니스개론 3 3 0 30 10 20 10 20 10 ☆◈
전선 E AA 00050 건축환경시뮬레이션및실험 2 0 2 0 30 20 10 30 10 ♧◈
2-2 전선 E AA 20019 철근콘크리트공학 1 3 3 0 0 10 30 20 30 10 ♧◈
전선 E U A 20004 도시개발론 3 3 0 20 20 20 20 10 10 ♤◈
전선 E U A 40032 환경계획 3 3 0 20 20 10 15 15 20 ♤◈
전필 X H A 00001 주택 ∙도시개발기초 3 3 0 20 20 20 10 20 10 ◉
전선 E AA 30035 건축시공 1 3 3 0 0 20 30 30 20 0 ♧◈
3-1 전선 E AA 30027 건축공조설비시스템 3 3 0 0 20 20 30 30 0 ♧◈
전선 E AA 30039 공정관리 3 3 0 0 0 30 20 30 20 ♧◈
전선 E U A 30007 도시재개발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X M A 00001 NCS직업기초 3 3 0 30 10 20 10 20 10 ◉
전필 X H A 00002 주택 ∙도시개발심화 3 3 0 20 20 20 10 20 10 ◈
전선 E K A 00013 건설경영학 3 3 0 10 20 30 20 10 10 ♧◈
3-2 전선 E AA 00021 건물에너지계획 3 3 0 0 20 20 20 30 10 ♧◈
전선 E U A 40093 도시설계 3 3 0 20 30 0 10 10 30 ♤◈
전선 E U A 40016 도시정보체계학 3 3 0 10 10 30 20 10 20 ♤◈
전선 B I A 00016 시스템분석및종합설계 3 2 1 30 10 20 10 20 10 ☆◈
3- 전선 X H A 00004 현장실습 1 ( 3 0 4주 ) 30 20 20 10 10 10 ◈
동하계
전필 X H A 00003 주택∙도시개발현장실무 3 3 0 30 20 20 10 10 10 ▣
전선 B I A 40026 프로젝트관리론 3 3 0 20 15 10 15 20 20 ☆◈
4-1 전선 E U A 40001 부동산개발컨설팅 3 3 0 20 15 10 15 20 20 ♤◈
전선 B I A 00086 기술경영 3 3 0 20 15 10 15 20 20 ☆◈
전선 BB A 40030 인간관계와커뮤니케이션 3 3 0 20 15 10 15 20 20 ☆◈
4-2 전선 B I A 40020 정보자원관리 3 3 0 20 15 10 15 20 20 ☆◈
계 전공필수 12 전공선택 76(3) 88 (3 )

* 범례 ♧ 건축공학전공 ♤ 도시공학전공 ☆ 경영정보학과

** 역량범례 ◉ 기초역량 ◈ 핵심역량 ▣ 실무역량

30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융합전공

2. 전력에너지공학(Electric Power Energy Engineering)

□ 개설년도: 2018

□ 참여학과: 화학공학과(주관), 제어계측공학과, 전기공학과, 반도체공학과, 전자공학과

□ 교육목표

◦스마트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전력생산 /송배전 /경제에 대한 폭넓은 전공역량강화와 함께 전력에너지에 대한 실제적인 설계 ,


시공 및 운영에 필요한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 인재상

◦실무중심 인재 ◦스마트시티를 이끌 I CT 전문인 ◦협업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실무능력 전/현직 실무담당자 혹은 온라인 전문강좌에 의한 실무교육을 통한 능력배양


실무중심 인재
B 문제해결 전력에너지 관련 현장실습을 수행함으로써 문제점 도출 및 해결할 수 있는 능력배양
전력에너지와 관련된 다양한 과목을 이수하고 이를 통해 종합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를 C 창의융합
능력배양
이끌 I CT
I CT 전문지식
전문인 D 스마트사회를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핵심 정보통신기술과 관련된 전문지식 습득
이해
글로벌사회에서 어학능력 및 발표능력은 필수이며 이에 문서이해 및 의사전달 능력
E 의사소통
배양
협업 인재
팀워크 수행
F 현장실무역량 교육을 이수함으로써 팀워크의 중요성과 수행할 수 있는 능력배양
능력

□ 배출인력의 진로

- 전력산업관련업종(발전회사 및 공기업)

- 환경 및 에너지관련(발전회사 및 공기업)

- 전기전자·석유화학산업 관련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 전력에너지분야 중소기업

□ 이수원칙: 33학점

․ 필수과목 이수학점: 12학점

․ 선택과목 이수학점: 21학점

경상대학교 301
2020학년도 교육과정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2 ,3 , 4- 전선 X P A 00003 현장실습 1 ( 3 0 4주 ) 40 20 0 10 15 15 ☆ ◈
동하계
전선 E L A 20011 회로해석론 1 3 3 0 40 30 10 20 0 0 ♧ ◈
2-1
전선 E L A 20013 전자기이론 1 3 3 0 40 30 10 20 0 0 ♤ ◈
전선 E L A 20012 회로해석론 2 3 3 0 40 30 10 20 0 0 ♣ ◈
전선 E L A 20014 전자기이론 2 3 3 0 40 30 10 20 0 0 ♠ ◈
2-2 전선 EE A 30055 디지털공학 3 3 0 30 20 20 30 0 0 ♣ ◈
전선 E H A 00001 화공양론 2 3 3 0 60 20 10 10 0 0 ★ ◈
전필 X P A 00001 전력산업의이해 3 3 0 40 20 10 20 0 10 ☆ ◉
전선 E S A 20004 반도체소자 3 3 0 30 30 10 30 0 0 ♠ ◈
전선 E S A 40012 컴퓨터프로그래밍언어 3 3 0 40 20 10 20 10 10 ♠ ◈
전선 E M A 40014 계측공학 3 3 0 30 20 20 30 0 0 ♤ ◈
3-1 전선 E F A 30023 제어공학 1 3 3 0 30 20 10 20 10 10 ♤ ◈
전선 E L A 30017 전력시스템공학 1 3 3 0 40 30 10 20 0 0 ♧ ◈
전선 EE A 30022 전자회로 3 3 0 40 30 10 20 0 0 ♣ ◈
전선 E H A 30005 화공열역학 1 3 3 0 40 30 10 20 0 0 ★ ◈
전선 E H A 30006 화공유체역학 3 3 0 40 30 10 20 0 0 ★ ◈
전필 X M A 00001 NCS직업기초 3 3 0 10 10 30 0 20 30 ☆ ◉
전필 X P A 00002 전력에너지발전공학 3 3 0 20 20 20 20 10 10 ☆ ◈
전선 E S A 00001 디지털시스템설계 3 3 0 20 20 10 20 10 20 ♠ ◈
3-2 전선 EE A 40065 마이크로프로세서 3 3 0 40 20 10 20 10 0 ♣ ◈
전선 E L A 30022 자동제어 2 3 3 0 40 20 20 20 0 0 ♧ ◈
전선 E H A 30008 열및물질전달 3 3 0 40 30 10 20 0 0 ★ ◈
전필 X P A 00004 전력에너지현장실무 3 3 0 30 10 20 20 10 10 ☆ ▣
전선 E F A 40062 전력전자 3 3 0 50 10 10 20 10 0 ♤ ◈
4-1
전선 E L A 40002 발전공학 3 3 0 50 10 20 20 0 0 ♧ ◈
전선 E H A 40030 화공안전공학 3 3 0 50 20 20 0 10 0 ★ ◈
4-2 전선 E H A 30030 에너지공학 3 3 0 20 50 10 10 10 0 ★ ◈
계 전공필수 12 전공선택 66(3) 78 (3 )

♧ 전기공학과 ♣ 전자공학과 ♤ 제어계측공학과 ♠ 반도체공학과 ★ 화학공학과


* 범례
☆ 전력에너지공학

** 역량범례 ◉ 기초역량 ◈ 핵심역량 ▣ 실무역량

30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융합전공

3. 산업경영지원학(Public Industrial Management)


□ 개설년도: 2018

□ 참여학과: 경영정보학과(주관), 경영학과, 회계학과, 행정학과, 법학과, 산업시스템공학부 산업시스템전공,


국제통상학과

□ 교육목표

◦ 본 전공의 개설 목적은 공공기관과 공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융복합적 지식과 실무역량을 갖춘 산업경영분야의 전문 관리


인력을 양성하는 것임
◦ 공공기관의 지역이전에 따른 지역인재채용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관리직군 분야의 현장실무역량을 갖춘 인재의 양성이
요구됨

□ 인재상

◦ (실무적 인재 ) 공공기관에서 경영 및 행정지원을 위해 필요로 하는 실무적 역량을 갖춤


◦ (창의적 인재 ) 경영학 , 회계학 , 정보시스템 , 법학 , 행정항 등 지식을 바탕으로 창의적 역량을 갖춤
◦ (소통형 인재 ) 공공기관에서 필요한 기술과 능력을 갖추고 협업할 수 있는 소통형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공공기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
A 문제해결
하는 역량
실무적 인재
공직업무를 수행하는데 있너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하는
B 자기주도
할 수 있는 역량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구현
C 창의융합
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창의적 인재
공익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
D 도전정신
직을 이끌 수 있는 역량
공익적 봉사를 위하여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E 의사소통
만들 수 있는 역량
소통형 인재
F 세계시민 글로벌 문화환경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

□ 배출인력의 진로

- 지역 내 이전공공기관 및 공공기관 협력기업체 경영관리분야

- 일반 기업체 경영관리분야

- 공무원, 전문직

□ 이수원칙: 33학점

․ 필수과목 이수학점: 12학점

․ 선택과목 이수학점: 21학점

경상대학교 303
2020학년도 교육과정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B AA 20013 원가회계 3 3 0 30 30 10 10 20 0 △◈
전선 B AA 20015 회계원리 2 3 3 0 20 20 10 20 15 15 △◈
전선 BB A 30008 마케팅관리 3 3 0 20 20 10 20 15 15 ♧◈
전선 B I A 00017 경영 S/W활용 3 1 2 30 35 0 35 0 0 ♤◈
전선 B I A 20024 경영정보시스템 3 3 0 20 20 10 20 15 15 ♤◈
2-1
전선 B T A 20001 무역실무 3 3 0 30 0 20 20 10 20 ♡◈
전선 E I A 20001 경제성공학 3 3 0 30 30 0 40 0 0 ♢◈
전선 L AA 20013 행정법총론 3 3 0 30 30 0 40 0 0 ☆◈
전선 S AA 10001 행정조직론 3 3 0 30 0 20 20 15 15 □◈
전선 S AA 20014 정부예산론 3 3 0 30 0 20 20 15 15 □◈
전선 BB A 30012 재무관리 3 3 0 20 20 10 20 15 15 ♧◈
전선 B I A 20007 e-비즈니스개론 3 3 0 30 20 20 10 10 10 ♤◈
전선 L AA 00101 고용과사회보장법 3 3 0 30 30 0 40 0 0 ☆◈
2-2 전선 L AA 20040 저작권법 3 3 0 30 30 0 40 0 0 ☆◈
전선 S AA 30001 인사행정론 3 3 0 30 0 20 20 15 15 □◈
전선 S AA 30010 공기업론 3 3 0 30 0 20 20 15 15 □◈
전필 X M A 00001 NCS직업기초 3 3 0 30 20 20 10 10 10 ◉
전필 X M A 00002 공기업과공공산업이해 3 3 0 20 20 20 10 10 20 ◉
3-1 전선 BB A 30017 인적자원관리 3 3 0 20 20 10 20 15 15 ♧◈
전선 B T A 30001 외환론 3 3 0 20 20 10 20 15 15 ♡◈
전선 E I A 30023 경영과학 1 3 3 0 10 30 10 50 0 0 ♢◈
전필 X M A 00003 공공산업경영론 3 3 0 30 20 20 10 10 10 ◈
전선 B AA 30015 세무회계 3 3 0 20 20 10 20 15 15 △◈
전선 BB A 40027 경영전략 3 3 0 20 20 10 20 15 15 ♧◈
3-2 전선 B T A 40020 FTA의이론과실제 3 3 0 20 20 10 20 15 15 ♡◈
전선 E I A 30038 데이터분석및의사결정 3 3 0 30 30 30 0 10 0 ♢◈
전선 L AA 30009 노동법 2 3 3 0 30 30 0 40 0 0 ☆◈
3-동 전선 X M A 00004 현장실습 1 (3 0 4주 ) 20 30 0 0 50 0 ◈
하계
전필 X M A 00005 공공산업경영현장실무 3 3 0 30 30 10 10 10 10 ▣
전선 B AA 30029 재무제표분석 3 3 0 20 20 10 20 15 15 △◈
4-1
전선 B I A 40026 프로젝트관리론 3 3 0 20 20 10 20 15 15 ♤◈
전선 E I A 40036 기술경영 3 3 0 50 10 0 30 0 10 ♢◈
4-동 전선 EZ A 30072 현장실습 2 (6 0 8주 ) 20 30 0 0 50 0 ▣
하계
4-2 전선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0 15주) 20 30 0 0 50 0 ▣
계 전공필수 12 전공선택 81(24) 93 (24 )
♧ 경영학과 ♤ 경영정보학과 ☆ 법학과 □ 행정학과
* 범례
◇ 산업시스템공학부 △ 회계학과 ♡ 국제통상학과

** 역량범례 ◉ 기초역량 ◈ 핵심역량 ▣ 실무역량

30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융합전공

4. P&P화학공학전공(Major of Pulp&Paper Chemical Engineering)


□ 개설년도: 2019
□ 참여학과: 환경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주관), 화학공학과
□ 교육목표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펄프제지 및 화학공학 전문 인력 양성

□ 인재상

◦창의적인 펄프제지 지식인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펄프제지 전문인 ◦소통하는 글로벌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창의적인 A 창의융합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 양성
펄프제지지식인 B 도전정신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꾾암없이 도전하여 새로운 결과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양성
이론과 실무능력을 C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평가하고 실행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겸비한 펄프제지
전문인 D 지식활용 기초 및 전공지식을 기반으로 실무에 활용 할 수 있는 인재 양성
소통하는 글로벌 E 의사소통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역량
인재 F 외국어활용 국제화에 걸맞는 글로벌 인재 양성

□ 배출인력의 진로: 무림P&P(주)에 특화된 펄프제지분야에 진출


□ 이수원칙: 54학점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필 X AA 00001 목재화학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X AA 00002 제지습부화학 3 3 0 20 20 20 20 10 10 ♧
전선 A WA 10018 펄프공학 2 2 0 20 20 10 10 20 20 ♧
3-1 전선 A WA 10076 펄프공학실험 1 0 2 20 20 20 10 20 10 ♧
전필 X AA 00003 단위조작 Ⅰ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X AA 00004 펄프열역학 Ⅰ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X AA 00005 펄프화학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X AA 00006 펄프분석실험 3 0 3 20 20 20 10 20 10 ♧
전선 A WA 10021 제지공학 2 2 0 20 20 10 10 20 20 ♧
전선 A WA 10078 제지공학실험 1 0 2 20 20 20 10 20 10 ♧
3-2
전필 X AA 00007 단위조작 Ⅱ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X AA 00008 펄프열역학 Ⅱ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X AA 00009 펄프제지수처리공정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X AA 00010 회수보일러운전이론 3 3 0 20 20 20 20 10 10 ◉
전필 X AA 00011 대기오염방지공학 3 3 0 10 10 20 20 20 20 ♣
4-1 10 10 20 20 20 20 ♣
전필 X AA 00012 화학안전공학 3 3 0
전필 X AA 00013 단위조작 Ⅲ 3 3 0 10 10 20 20 20 20 ♣

4-2 전필 X AA 00014 P&P화학공학인턴쉽및현장실 (15 0 15주) 10 10 30 20 20 10 ◉


습3
계 전공필수 39 (15 ) 전공선택 6 45 (15 )

범례 ♧ 환경재료과학전공 ♣ 화학공학과 ◉ 무림P&P(주)

경상대학교 305
2020학년도 교육과정

5. 문화융복합학 (Cultural Convergence)

□ 개설년도: 2020

□ 참여학과: 러시아학과(주관), 중어중문학과, 한문학과, 경영정보학과

□ 개요
◦글로벌 시대에 맞는 문화산업창업 가능 전문인력 양성
◦디지털융합기술 위에 문화콘텐츠 분야의 신(新)비즈니스모델 개발인력 양성
◦학생별 목표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통한 글로벌 문화콘텐츠산업 리더 육성
◦인문학, 정보기술, 경영학분야 전공교수들 간의 상생협력교육모델 구축
◦인문학적 소양과 지식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문화융복합 지식을 쌓게 한다.
1) 동서양 문화원형의 발굴
2) 문화원형의 가공과 새로운 창작을 통한 스토리텔링
3) 정보기술(IT)과 융합
4) Business Model 설계 인재양성으로 취업-창업을 할 수 있는 전공과목을 갖춘다.

□ 배출인력의 진로
◦ 문화적 가치가 내포된 상품을 기획·제작·가공하여 생산하거나 유통, 마케팅 및 소비과정
에 참여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거나, 이를 지원하는 모든 연관 산업에 취업하거
나 창업할 수 있다.
◦ 영화, 음악, 게임, 출판, 방송, 문화재, 만화, 애니메이션, 에듀테인먼트, 모바일, 공연, 미
술, 전시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 감독, 콘텐츠 개발, 기획, 마케팅 등의 전문가로 진출할
수 있다. 우리대학의 탁월한 인문학 전통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본질적인 욕망과 우
리 문화의 심층적인 기반에 대한 이해 위에서 보다 풍성하고 창의적인 문화산업을 기획
할 수 있는 인재를 키워내는 것은 의미가 크다. 단순히 문화콘텐츠의 원형을 제공하는
데에서 나아가, 그것을 인문학과 경영학의 방법으로 비평하고, 다시 보다 창의적인 문화
산업으로 구현하는 과정에까지 연속적이고 종합적으로 관여하고 주도할 수 있는 우수한
리더가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본 융합전공을 통해서 분과학문의 한계를 극복하고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나가는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 기존의 문화콘텐츠산업의 범주를 넘어 콘텐츠 간 결합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과 가상현
실(VR)기술을 전통문화, 관광, 스포츠, 테마파크, 지역특화산업 등의 타산업간의 융합을
통하여 나타나는 신산업에 취업하거나 창업할 수 있다.
예) 문화콘텐츠 담당 공무원이나 공공단체 취업, 학예사, 문화단체의 기획자, 대중미디어
PD, 기자, 문화융복합 관련 분야 창업, 관광콘텐츠 제작 등의 창업, 관광스토리텔러, 스
마트퍼블릭싱, 앱콘텐츠개발자, 문화해설사, 웹에이전시, 게임제작사, 제품디자인, 편집광
고디자인, 영상 방송 관련 문화콘텐츠 교육 및 연구소 등

□ 이수원칙
◦ 융합전공(복수) 이수학점 33학점

30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융합전공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구분
전필 X O A 00001 문화융복합의이해 I n t r oduc t i on t o Cu l t u r a l Conve r gence 3-3-0 ▣
전선 H R A 20012 러시아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Russ i an S t ud i es 3-3-0 ♧
2-1 전선 H C A 00009 중국고대문자 C l ass i ca l Ch i nese Cha r ac t e r 3-3-0 ♣
전선 Z I A 50013 파이썬프로그래밍기초 I n t r oduc t i on t o Py t hon P r og r amm i ng 2-0-2 ◉
전선 Z I A 70005 융 · 복합적사고와의만남 Th i nk i ng o f Conve r gence ( Focus i ng on 2-2-0 E
Ar istot le)
전선 H C A 20013 중국문화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Ch i nese Cu l t u r e 3-3-0 ♣
Commen t s on W r i t e r s o f L i t e r a t u r e i n
전선 H M A 00137 한문학작가론 2-2-0 ★
Ch i nese
2-2 I n t r oduc t i on t o S t udy o f J i -R i San and
전선 H M A 00015 지리산학개론 PBL 2-2-0 ★
i t s Cu l t u r e (PBL )
전선 H M A 00013 동아시아한자와콘텐츠 Ch i ngese Cha r ac t e r s and Cu l t u r a l Con t en t s 2-2-0 ★
PBL (PBL )
전선 BB A 40030 인간관계와커뮤니케이션 Human Re l a t i onsh i p and Commun i ca t i on 3-3-0 ◈
전선 H M A 00136 한문학과경남문화 Ko r an c l ass i cs i n Ch i nese & Gyeongnam 3-3-0 ★
cu l t u r e
3-1
전선 B I A 00023 멀티미디어저작 Mu l t i med i a P r oduc t i on 3-1-2 ♠
전선 B I A 00012 비즈니스모델과창업 New Bus i ness Mode l s and En t r ep r eneu r sh i p 3-3-0 ♠
전선 H C A 40026 중국희곡 Ch i nese D r amas 3-3-0 ♣
뉴미디어콘텐츠기획과제 P l ann i ng and P r oduc t i on o f New Med i a
전선 X O A 00002 3-1-2 ▣
작 Con t en t s
러시아 C I S 및발트지역문 Cu r r en t s t a t us and p r ospec t o f cu l t u r a l
3-2 전선 H R A 00004 화예술콘텐츠산업현황과 a r t s con t en t s i ndus t r y i n Russ i a and 2-2-0 ♧
전망 Ba l t i c r eg i on
전선 B I A 00013 소프트웨어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So f t wa r e 3-1-2 ♠
전선 B I A 00031 빅데이터분석 B i g Da t a Ana l y t i cs 3-1-2 ♠
포스트소비에트공간문화 P r o t o t ype o f Pos t Sov i e t A r ea Cu l t u r e and
전선 H R A 00008 2-2-0 ♧
원형발굴과콘텐츠화 Mak i ng o f Con t en t s
전선 H C A 30022 중국고전소설 C l ass i ca l Ch i nese Nove l s 2-2-0 ♣
4-1
전선 H C A 40023 당송시가 C l ass i ca l Ch i nese Nove l s 2-2-0 ♣
전선 B I A 00080 뉴미디어산업경영 New Med i a I ndus t r y Managemen t 3-3-0 ♠
전선 B I A 40026 프로젝트관리론 P r o j ec t Managemen t 3-3-0 ♠
전선 H R A 00007 캡스톤디자인 2 PBL Caps t one Des i gn 2 PBL 2-2-0 ♧
전선 X O A 00003 멀티미디어활용과응용 U t i l za t i on and App l i ca t i on o f Mu l t i med i a 3-1-2 ▣
전선 H M A 00139 한문소설의세계 PBL I n t r oduc t i on t o Ch i nese Nove l s i n Ko r ean 3-3-0 ★
4-2
L i t e r a t u r e ( PBL )
전선 B I A 40016 디지털마케팅 D i g i t a l Ma r ke t i ng 3-3-0 ♠
전선 B I A 40020 정보자원관리 I n f o r ma t i on Resou r ce Managemen t 3-3-0 ♠
계 전공필수 3 전공선택 71 74

♧ 러시아학과 ♣ 중어중문학과 ★ 한문학과 ♠ 경영정보학과 ◉ 컴퓨터과학과


범례
E 미래교육원 ◈ 경영학과 ▣ 융복합교과목 ▣ 융복합교과목

경상대학교 307
2020학년도 교육과정

6. 시험·분석학 (Testing&Analysis)

□ 개설년도: 2020
□ 참여학과: 화학과(주관), 생명과학부, 물리학과
□ 교육목표

◦물리 · 〮생명과학 · 〮화학 등 기초과학 핵심 융합전공으로 구성되며 경남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인 중앙관세분석소 , 국방기술품
질원 , 한국세라믹기술원 및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 시험 〮분석 관련 공공기관 취업에 특화된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

□ 인재상

◦시험 ,분석 전문성을 갖춘 인재 ◦산업체 맞춤 실무형 인재 ◦창의적 사고를 갖춘 미래지향적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시험 ,분석 A 기초이론지식 각 전공별 기초이론 지식 함양
전문성을 갖춘 새로운 지식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실험수행 능력 배양을 위한 지식 습
B 응용이론지식
인재 득 및 이해
산업체 맞춤형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화학물 , 소재합성 및 분석능력 , 기기를 이용한 분석 및 정제
C
산업체 맞춤 실무능력 능력 배양
실무형 인재 문제 해결을 위해 원인을 분석하고 적극적으로 해결 방법을 찾아서 추진할 수 있는
D 문제해결 능력
능력을 개발
기초 이론 및 분석 기술 능력을 활용하여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창
창의적 사고를 E 창의적 사고
의적 인재양성
갖춘 미래지향적
미래를 선도하
인재 F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맞춤형 인재양성
는 전문인

□ 배출인력의 진로
- 지역 내 이전공공기관 및 공공기관 협력기업체 시험·분석 분야
- 일반기업체 시험·분석 분야
- 시험·분석 관련 대기업/우수중견기업/중소기업
□ 이수원칙: 33학점
- 필수과목 이수학점: 12학점
- 선택과목 이수학점: 21학점

30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융합전공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필 X M A 00001 NCS직업기초 3 3 0 20 20 30 10 10 10 ◉
전선 N P A 20003 현대물리학 1 3 3 0 20 20 30 10 10 10 ♤ ◈
2-1 전선 N O A 00051 생화학 3 3 0 20 20 30 10 10 10 ♣ ◈
전선 N O A 00010 생화학실험 3 0 6 20 20 30 10 10 10 ♣ ◈
전선 N C A 00012 분석화학실험 3 0 6 20 20 30 10 10 10 ♧ ◈
전선 N P A 20007 전자기학 1 3 3 0 20 20 30 10 10 10 ♤ ◈
2-2 전선 N O A 00009 분자생물학실험 3 0 6 20 20 30 10 10 10 ♣ ◈
전선 N C A 20005 유기화학실험 3 0 6 20 20 30 10 10 10 ♧ ◈
전필 X T A 00001 시험 · 분석기초 3 3 0 20 20 30 10 10 10 ◉
전선 N P A 30001 양자역학 1 3 3 0 20 20 30 10 10 10 ♤ ◈
3-1 전선 N O A 00014 심화생물학실험 3 0 6 20 20 30 10 10 10 ♣ ◈
전선 N C A 30004 무기화학실험 3 0 6 20 20 30 10 10 10 ♧ ◈
전선 N C A 30021 물리화학 3 3 3 0 20 20 30 10 10 10 ♧ ◈
전필 X T A 00002 시험 · 분석심화 3 3 0 20 20 30 10 10 10 ◈
3-2 전선 N P A 30013 광학 3 3 0 50 0 0 50 0 0 ♤ ◈
전선 N C A 00011 물리화학실험 3 0 6 10 10 30 30 10 10 ♧ ◈
3-동하계 전선 X T A 00003 현장실습 1 (3 0 4주 ) 10 10 30 30 10 10 ▣
4-1 전필 X T A 00004 시험 · 분석 현장실무 3 3 0 10 10 30 30 10 10 ▣
4-2 전선 N O A 00022 생명과학기기분석 3 3 0 10 10 30 30 10 10 ♣ ◈
계 전공필수 12 전공선택 42 (3 ) 54 (3 )

범례 ♧ 화학과 ♣ 생명과학부 ♤ 물리학과


역량 ◉ 기초역량 ◈ 핵심역량 ▣ 실무역량
범례

경상대학교 309
2020학년도 교육과정

7. 데이터사이언스학(Data Science)
□ 개설년도: 2020
□ 참여학과: 산업시스템공학부 산업시스템전공(주관),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부 항공우주및소
프트웨어공학전공, 건축도시토목공학부 도시공학전공, 경영정보학과
□ 교육목표
◦개척 정신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데이터 분석 및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을 가진 인재 양성
◦데이터 분석 능력을 바탕으로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능력을 갖춘 전문 인재 양성

□ 인재상

◦창의적인 전문인 ◦ 실무중심형 융합인 ◦소통하는 협력인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창의적인 A 창의융합
구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역량
전문인
B 전문지식 공학 지식을 바탕으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실무중심형 C 문제해결 문제를 발견하여 분석 , 평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량
융합인 D 자기주도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로 자기개발과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
E 의사소통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역량
소통하는
윤리의식 , 사회의식 ,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협력인 F 세계시민
역량

□ 배출인력의 진로
◦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을 핵심 키워드로 하는 데이터사이언스는 4차 산업의 근간이 되는 핵심
기술이며 세계 4차 산업의 발전을 이끌고 있음. 본 융합전공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기
업의 수요를 만족하고자 함
- IT 관련 업체, 빅 데이터 컨설팅 및 빅 데이터 플랫폼 개발 업체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요하는 모든 기업들
- 대기업, 공공기관 취업이나 스타트업 가능
- 물류, 주식, 보험, 금융 등의 거의 모든 기업에서 데이터 과학자 필요
- 서비스업, 게임, 자동차 및 제조업체까지도 데이터 과학자 요구
- 전통적인 컴퓨터프로그래머, 시스템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개발자의 영역 뿐 만
아니라 빅데이티전문가, 정보시스템운영자, ICT 컨설턴트, 스마트정보시스템 전문가와 같이
신종 ICT 관련 직업군으로 취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시스템통합(SI)업체, ICT 관련 스타트업 기업, 소프트웨어개발업체, 금융기관, 정보통신 관련
국가 연구소, 정보통신 관련 민간 기업 연구소, 정부 및 공공기관으로의 진출이 가능할 것으
로 기대

□ 이수원칙: 36학점
- 필수과목 이수학점: 3학점
- 선택과목 이수학점 33학점

31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융합전공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2-1 , 2 전선 Z G A 30020 컴퓨터프로그래밍 3 3 0 30 0 50 20 0 0 ★
전필 E I A 00101 산업통계 1 3 3 0 0 50 30 0 20 0 ♧
전선 Z G A 30021 컴퓨터프로그래밍실습 1 0 2 30 0 50 20 0 0 ★
전선 E T A 00016 자료구조및알고리즘 PBL 3 2 2 20 20 10 20 10 20 ♣
전선 E T A 00153 객체지향프로그래밍 2 2 0 40 30 0 0 10 20 ♣
2-1
전선 E T A 00154 객체지향프로그래밍실습 1 0 2 40 30 0 0 10 20 ♣
전선 E U A 20021 교통계획 3 3 0 20 30 20 10 10 10 ♤
전선 E U A 20032 일반측량학 3 3 0 10 10 20 20 20 20 ♤
전선 E U A 30031 환경공학 3 3 0 15 20 10 20 15 20 ♤
전선 XZ A 00001 네트워크분석 3 1 2 0 50 30 20 0 0 ▣
2-2 전선 E I A 40011 산업정보시스템 3 3 0 30 30 30 0 10 0 ♧
전선 E I A 20029 공학컴퓨터활용 3 3 0 0 50 30 20 0 0 ♧
전선 XZ A 00002 웹크롤러개발 3 1 2 30 40 30 0 0 0 ▣
전선 E I A 00001 데이터베이스처리 3 3 0 20 50 20 10 0 0 ♧
3-1
전선 E T A 00010 컴퓨터네트워크 3 2 1 10 20 20 20 10 20 ♣
전선 E U A 00009 토지정보학 3 3 0 10 10 20 20 30 10 ♤
전선 B I A 00031 빅데이터 분석 3 1 2 20 40 0 40 0 0 ♠
전선 E I A 30038 데이터분석및의사결정 3 3 0 30 30 30 0 10 0 ♧
전선 E I A 30028 품질공학 3 3 0 10 50 30 10 0 0 ♧
3-2 전선 B I A 00024 데이터마이닝 3 2 1 30 20 20 10 10 10 ♠
전선 E T A 00009 데이터베이스 3 2 2 10 20 20 20 10 20 ♣
전선 E T A 00017 소프트웨어개발론 PBL 3 2 2 10 10 30 20 20 10 ♣
전선 E U A 30032 교통공학 3 3 0 20 30 20 10 10 10 ♤
전선 E U A 40016 도시정보체계학 3 3 0 10 10 30 10 20 20 ♤
전선 XZ A 00003 빅데이터 시각화 3 2 2 30 40 30 0 0 0 ▣
전선 E I A 00009 비즈니스프로세스관리 3 3 0 30 30 0 20 20 0 ♧
4-1
전선 E I A 00008 전사적자원관리 3 3 0 0 30 30 30 0 10 ♧
전선 E I A 40021 이비즈니스 3 3 0 30 30 0 0 20 20 ♧
전선 I S B 00675 소프트웨어공학을위한데 3 3 0 0 30 40 30 0 0 ♣
이터마이닝
4-2 전선 B I A 00027 지능정보시스템 3 2 1 40 20 0 40 0 0 ♠
전선 E I A 40098 종합설계및제작 2 2 0 30 0 30 0 30 10 ♧
계 전공필수 3 전공선택 84 87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건축도시토목공학부
♧ 산업시스템공학부 산업시스템전공 ♣ ♤
범례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도시공학전공
♠ 경영정보학과 ▣ 융합전공 ★ 교양

경상대학교 311
2020학년도 교육과정

8. 금융보험학 (Finance and Insurance)


□ 개설년도: 2020

□ 참여학과: 경영학과(주관), 회계학과, 경영정보학과, 수학과, 정보통계학과, 경제학과

□ 교육목표

◦국내 금융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한다 .

□ 인재상

◦국내 금융산업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전문성과 사회적 책임감을 겸비한 인재 (개척인 )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종합적 사고능력 금융이 갖는 사회적 기능에 대한 이해
사회성
B 사회적 공감 능력 금융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금융의 공공성에 대한 이해

C 경제에 대한 이해 금융과 거시 경제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


전문성
D 경영에 대한 이해 금융과 미시적 경제 주체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
E 문제 해결 능력 금융을 통한 사회적 문제 해결 방안 모색 역량
개척인
F 추진력 사회적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한 장기적 추진 역량

□ 배출인력의 진로

- 금융업종에 속하는 다양한 공기업 및 사기업으로 진출할 수 있음. 은행, 증권회사, 자산운 용
회사, 보험회사, 한국거래소, 신탁회사, 예금보험공사, 금융감독원 등 다양한 금융 관련 공기
업 및 사기업으로 진출

□ 이수원칙: 36학점

․ 필수과목 이수학점: 6학점

․ 선택과목 이수학점: 30학점

□ 졸업요건
- 다음 각 호의 졸업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 졸업종합시험을 원칙으로 하되 전공주임교수가 인정하는 금융관련 공모전 출품작 또는
실습보고서로 대체할 수 있다.
․ TOEIC 500점 이상 또는 본교에서 지정하는 외국어 강좌 이수

31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융합전공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점 론 기 비고
A B C D E F
전선 B I A 00017 경영 S/W활용 3 1 2 20 10 20 20 20 10 ♤
전선 B AA 20015 회계원리 2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BB A 20007 경영통계학 3 3 0 20 10 20 20 20 10 ♧
2-1 전선 BB A 20015 경영수학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N M A 20011 선형대수학 1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N S A 20001 통계프로그래밍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S E A 20001 미시경제학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BB A 00001 증권시장론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BB A 30012 재무관리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B I A 00020 비주얼프로그래밍 3 1 2 20 10 20 20 20 10 ♤
전선 N M A 00010 미분방정식 3 3 0 20 10 20 20 20 10 ♠
2-2 전선 N S A 20002 기계학습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N S A 20032 통계패키지 1및실습 3 2 2 20 10 20 20 20 10 ☆
전선 S E A 20003 거시경제학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S E A 20013 경제통계분석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BB A 40018 투자론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BB A 40022 경영분석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N S A 30033 통계패키지 2및실습 3 2 2 20 10 20 20 20 10 ☆
3-1 전선 N S A 30054 회귀분석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S E A 00009 거시경제학 2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S E A 30001 계량경제학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S E A 30007 화폐금융론 3 3 0 20 10 20 20 20 10 ★
전필 BB A 00012 포트폴리오관리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B I A 00031 빅데이터분석 3 1 2 20 10 20 20 20 10 ♤
3-2
전선 N S A 10003 금융통계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S E A 00001 금융안정론 3 3 0 20 10 20 20 20 10 ★
4-동,하계 전선 Z AA 90107 현장실습 1 ( 3 0 4주 ) 20 10 20 20 20 10
전선 B AA 30029 재무제표분석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BB A 00013 재무종합설계 1 3 3 0 20 10 20 20 20 10 ♧
4-1 전선 BB A 30020 금융기관경영론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N M A 00009 금융수학 3 3 0 20 10 20 20 20 10 ♠
전선 N S A 40041 시계열분석및실습 3 2 2 20 10 20 20 20 10 ☆
전필 BB A 00014 재무종합설계 2 3 3 0 20 10 20 20 20 10 ♧
4-2
전선 BB A 30001 금융실무 3 3 0 20 10 20 20 20 10 ♧
계 전공필수 6 전공선택 93 (3 ) 99 (3 )

범례 ♧ 경영학과 ♣ 회계학과 ♤ 경영정보학과 ♠ 수학과 ☆ 정보통계학과 ★ 경제학과

 전공선택인정교과목
개설학과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경제학과 1 SEA20004 경제수학 Ma t hema t i ca l Econom i cs 3-3-0
수학과 1 NMA20030 해석학 1 Ana l ys i s 1 2-2-0
수학과 1 NMA20071 해석학연습 Ana l ys i s Exe r c i se 1-0-2
정보통계학과 2 NSA20051 일반통계학 Advanced S t a t i cs 3-3-0
정보통계학과 2 NSA10002 금융수학 F i nanc i a l Ma t hema t i cs 3-3-0
경영학과 2 LAA20032 회사법 Company Law 3-3-0
수학과 1 NMA00011 확률및통계 P r obab i l i t y and S t a t i s t i cs 3-3-0

경상대학교 313
2020학년도 교육과정

9. 농산업컨설팅학 (Agro-Industry Consulting Major)

□ 개설년도: 2020

□ 참여학과: 식물의학과(주관), 축산학과, 동물생명과학과, 농학과, 원예학과, 식품공학과, 환경생


명화학과, 식품자원경제학과

□ 교육목표

◦농생명산업분야를 리더하고 소통과 협력의 가치를 추구하는 융합형 인재 양성

□ 인재상

◦소통과 협력을 겸비한 리더형 인재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적인 혁신형 인재 ◦ 지역과 세계를 무대로 미래가치를
개척할 개척형 인재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A 소통 상호주의 원칙과 상호발전적 관계 역량
리더형 인재
B 협력 서로 협력하는 공동체적 역량
C 도전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고 합리적으로 노력하는 역량
혁신형 인재
D 창의 기존의 틀을 넘어 통합적 사고 기반 가치창출 역량
E 자기주도 끊임없이 자기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역량
개척형 인재
F 리더쉽 리더형 역량

□ 배출인력의 진로

- 컨설팅전문회사, 프리랜서, 무역회사, 연구자 및 시민단체 활동가 등

□ 이수원칙: 36학점
․필수과목 이수학점: 5학점
․선택과목 이수학점: 31학점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A T A 00011 동물번식생리학 2 2 0 40 30 0 0 30 0 ★
전선 A T A 00013 동물번식생리학실습 1 0 2 0 20 20 20 20 20 ★
전선 A T A 00014 동물유전학 3 3 0 40 30 0 0 30 0 ★
전선 A T A 00015 근육생물학 3 3 0 40 30 0 0 30 0 ★
전선 A T A 00003 동물생식세포학 2 2 0 40 30 0 0 30 0 ★
2-1 전선 A T A 00005 동물생식세포학실험 1 0 2 0 20 20 20 20 20 ★
전선 A X A 00009 생명유기화학 3 3 0 40 30 0 0 30 0 ♠
전선 A G A 00008 작물생리학 3 3 0 40 30 0 0 30 0 ♤
전선 A G A 00009 농업유전학및실험 3 2 2 0 20 20 20 20 20 ♤
전선 A G A 00078 원예학범론및실습 3 2 1 0 20 20 20 20 20 ♤
전선 A G A 00005 채소원예학및실습 3 2 2 0 20 20 20 20 20 ♤
전필 X G A 00001 애그로프론티어콜로퀴엄 2 2 0 40 30 0 0 30 0 ♥
2-2
전선 A G A 00082 재배학및실습 3 2 2 0 20 20 20 20 20 ♤

31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융합전공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F
전선 A G A 00032 공예작물학및실습 3 2 2 0 20 20 20 20 20 ♤
전선 A X A 00011 기능성식품학 3 3 0 40 30 0 0 30 0 ♠
전선 A B A 00025 환경과작물 3 3 0 40 30 0 0 30 0 ♧
전선 A T A 00021 초지학총론 3 3 0 40 30 0 0 30 0 ★
전필 X G A 00002 농산업컨설팅체험 1 1 0 2 0 20 20 20 20 20 ♥
전선 A X A 00066 분자유전학및실험 3 2 2 0 20 20 20 20 20 ♠
전선 A S A 00013 식품산업경영경제론 3 3 0 40 30 0 0 30 0 ♣
3-1
전선 A S A 00007 식품자원계량분석론 3 3 0 40 30 0 0 30 0 ♣
전선 A G A 00075 화훼원예학및실습 3 2 1 0 20 20 20 20 20 ♤
전선 A X A 00022 식품미생물학및실험 3 2 2 0 20 20 20 20 20 ♠
전필 X G A 00003 농산업컨설팅체험 2 1 0 2 40 30 0 0 30 0 ♥
전선 A T A 00058 동물생명공학 2 2 0 0 20 20 20 20 20 ★
전선 A T A 00059 동물생명공학실습 1 0 2 40 30 0 0 30 0 ★
3-2 전선 A S A 00017 농식품경영컨설팅 3 3 0 40 30 0 0 30 0 ♣
전선 A X A 00036 영양화학 3 3 0 40 30 0 0 30 0 ♠
전선 A B A 40013 곤충생리학 2 2 0 0 20 20 20 20 20 ♧
전선 A B A 40070 곤충생리학실험 1 0 2 0 20 20 20 20 20 ♧
전필 X G A 00004 농산업컨설팅체험심화 1 0 2 40 30 0 0 30 0 ♥
전선 A X A 00073 대사공학 3 3 0 40 30 0 0 30 0 ♠
4-1 전선 A S A 40050 농업정책론 3 3 0 0 20 20 20 20 20 ♣
전선 A X A 00043 식품종합설계 1 3 2 2 40 30 0 0 30 0 ♠
전선 A B A 00110 생물안보론 2 2 0 40 30 0 0 30 0 ♧
전선 A X A 00074 생물발효화학 3 3 0 40 30 0 0 30 0 ♠
4-2 전선 A B A 00006 식물유용미생물학 2 2 0 40 30 0 0 30 0 ♧
전선 A T A 00086 동물유전체육종학 3 3 0 40 30 0 0 30 0 ★
계 전공필수 5 전공선택 88 93
범례 ♥ 융합전공 ♧ 식물의학과 ★ 축산생명학과

♤ 농업식물과학과 ♠ 농화학식품공학과 ♣ 식품자원경제학과

경상대학교 315
2020학년도 교육과정

10. 단디공공서비스학 (Dandi Public Service major)


□ 개설년도: 2020

□ 참여학과: 법학과(주관), 행정학과

□ 교육목표

◦공공전문가 양성 전문 교육 프로그램의 혁신 ◦동남권 지역 공공서비스 경쟁력 제고


◦공공기관 진출에 대한 경쟁력 강화

□ 인재상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공전문가 ◦창의적인 공공전문가 ◦전문성을 갖춘 공공전문가

□ 학과 인재상과 전공역량과의 연계성

학과 인재상 전공역량 정의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공전문가 A 글로벌공감성 글로벌 마인드 기반의 봉사하는 공공전문가 역량
B 미래선도창의성 미래를 선도하는 창의적 공공전문가 역량
창의적인 공공전문가
C 도전정신 목표를 바탕으로 과업을 성취하는 공공전문가 역량
D 특성화된 공공분야전문성 전문화된 공공전문가로서 문제해결 역량
전문성을 갖춘 공공전문가
E 자기주도성 자기주도적인 공공전문가적 문제해결 역량

□ 배출인력의 진로
- 국가기관: 법원, 검찰, 교육, 소방, 일반행정, 경찰, 교정, 출․입국관리, 통계직 등
- 지방자치단체: 경상남도의 18개 직속기관 및 사업소, 경상남도 6개 해외사무, 18개 시․군 및 지방
의회
- 진주혁신도시 이주 공기업: 한국토지주택공사.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남동발전(주), 국방기
술품질원 등 11개
- 국회: 국회의원 비서관 및 보좌관
- 방송 및 언론기관: 중앙 및 지역 신문사와 방송사 정치․법․행정부 기자
- 대학원 진학: 법학전문대학원, 행정학과 대학원, 기타 사회과학 관련 대학원

□ 이수원칙: 33학점
- 법학개론, 행정학개론 교과목 6학점 이수
- 단디공공서비스학에서 선정한 8개 교양과목(정의와 시민윤리, GNU 인성, 생활법률, 범죄와 인
권, 문학의 이해, 환경과 오염, 나의 삶과 지방자치, 공무원취업행정학 등) 중에서 6학점 이상
이수

31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융합전공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 이 실 전공역량 (100 % )
학수번호 교과목명 비고
학기 구분 점 론 기 A B C D E
전선 L AA 20013 행정법총론 3 3 0 0 0 40 30 30 ♧
2-1
전선 S AA 20013 행정과시민사회 3 3 0 ♣
전선 L AA 00100 법적사고와추론 3 3 0 0 40 0 30 30 ♧
전선 L AA 00101 고용과사회보장법 3 3 0 0 0 30 30 40 ♧
2-2 전선 S AA 20001 정책형성론 3 3 0 ♣
전선 S AA 30010 공기업론 3 3 0 ♣
전선 X U A 00001 영화로본현대사회 3 3 0 0 0 50 0 50 ▣
전선 L AA 30038 행정구제법 3 3 0 0 0 40 30 30 ♧
3-1
전선 S AA 30014 정부윤리론 3 3 0 ♣
전선 L AA 30009 노동법 2 3 3 0 0 0 30 30 40 ♧
3-2
전선 X U A 00002 입법연습 3 3 0 0 0 50 0 50 ▣
전선 L AA 40002 민법사례연구 3 3 0 0 0 40 30 30 ♧
전선 L AA 40005 형법사례연구 3 3 0 0 0 40 30 30 ♧
4-1 전선 S AA 30004 리더십론 3 3 0 ♣
전선 X U A 00003 A I 와미래사회 3 3 0 0 50 0 0 50 ▣
전선 L AA 40008 행정법사례연구 3 3 0 0 0 40 30 30 ♧
4-2 전선 L AA 00104 지적재산법사례연구 3 3 0 0 0 40 30 30 ♧
전선 S AA 40016 정책사례분석 3 3 0 ♣
계 전공필수 - 전공선택 54 54

범례 ♧ 법학과 ♣ 행정학과 ▣ 융합전공

경상대학교 317
2020학년도 교육과정

PART 06

학생설계전공

Ⅰ. 학생설계전공 정의················································ 317


Ⅱ. 학생설계전공 현황················································ 317
Ⅲ. 학생설계전공 교육과정표··································· 317

31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Ⅰ. 학생설계전공 정의
“학생설계전공”이란 학생이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3개 이상(우선이수전공 포함 가능)의 전공에
서 교과목을 조합하여 단일주제의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이수하는 전공을 말한다.

Ⅱ. 학생설계전공 현황
학생설계전공명 참여학과 (전공 ) 개설연도
한국문화콘텐츠학 한문학과 , 국어국문학과 , 문화콘텐츠학전공
동아시아한자학 한문학과 , 국어국문학과 , 중어중문학과 ' 20 . 1학기
A I 동아시아고전번역학 한문학과 , 국어국문학과 , 정보통계학과 , 컴퓨터과학과
농업빅데이터학 농화학식품공학과 , 수학과 , 정보통계학과 , 컴퓨터과학과
' 20 . 2학기
농 · 수산물식품경영학 수산경영학과 , 식품영양학과 , 경영학과 , 식품자원경제학과

Ⅲ. 학생설계전공 교육과정표

1. 한국문화콘텐츠학 (Study of Korean Culture Content)

□ 개설년도: 2020

□ 참여학과: 한문학과, 국어국문학과, 문화콘텐츠학전공

□ 개요
과거 중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한자문화권은 동아시아의 문화에 있어 중요한 연결점이다. 이러한
문화는 한글이 창시된 이후의 문서와 문학작품들 보다 과거의 한문으로 적힌 서적들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존재한다. 이로 첫째로 한문학을 공부하여 과거와 현재의 문학작품에 시점을
주로 두어 이를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문학이 놓은 상황을 알고 이를 통한 나은 발전과 새
로운 콘텐츠제작에 기여를 도모하여 향후 작가, 그리고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학업목표
- 한문을 중심으로 한국의 고문헌과 문학작품들을 해석하며 과거 문화와 문학에 대한 지식을 얻는다.
- 한글창제 이후의 언어인 한글로 작성된 문학작품들을 시대별 상황에 초점을 두어 해석 한다.
- 문화콘텐츠를 수강하며 과거의 문화와 문학을 보고 현재에 이르러 아이디어를 접목시켜
새로운 콘텐츠들을 창조한다.

□ 졸업요건
- 36학점 이상 이수(우선이수전공 교과목과 동일한 경우 12학점까지 중복 인정 가능)

32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전선 H M A 00100 논어 2 The Ana l ec t s o f Con f uc i us I I 3-3-0 ♣
전선 H M A 00130 한시선독 1 Read i ng Ch i nese Poe t r y I 2-2-0 ♣
2-1 전선 H M A 00132 제자백가선독 Read i ng Ch i nese Anc i en t Scho l a r s Wo r ks 3-3-0 ♣
전선 H K A 20011 창작론 1 Theo r y o f C r ea t i ve W r i t i ng 1 3-3-0 ♧
전선 H K A 20004 광고표현론 S t ud i es on Adve r t i s i ng Exp r ess i on 3-3-0 ♧
전선 H M A 00118 맹자 1 The Menc i us I 3-3-0 ♣
2-2 전선 H M A 00131 한시선독 2 Read i ng Ch i nese Poe t r y I I 3-3-0 ♣
전선 H K A 20012 창작론 2 Theo r y o f C r ea t i ve W r i t i ng 2 3-3-0 ♧
전선 H K A 00010 고전문학사 H i s t o r y o f Ko r ean L i t e r a t u r e 3-3-0 ♧
전선 H K A 00012 문학과매체 L i t e r a t u r e and Med i a 3-3-0 ♧
전선 H K A 30009 현대소설론 S t ud i es on Mode r n Nove l s 3-3-0 ♧
3-1
전선 X C A 00004 스토리텔링 S t o r y t e l l i ng 3-3-0 ♠
전선 X C A 00008 지역문화와콘텐츠기획 Loca l Cu l t u r e and Cu l t u r a l Con t en t s 3-3-0 ♠
전선 X C A 00007 문화콘텐츠와가상현실 Cu l t u r a l Con t en t s and V i r t ua l Rea l i t y 3-3-0 ♠
전선 H M A 00109 고문헌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o T r ad i t i ona l Ko r ean 2-2-0 ♣
3-2 Ph i l o l ogy
전선 H K A 30013 현대문학사 Ko r ean Mode r n-L i t e r a r y H i s t o r y 3-3-0 ♧
4-1 전선 X C A 00013 문화콘텐츠제작실습 P r ac t i ces o f t he Cu l t u r a l Con t en t s 3-0-3 ♠
I n t r oduc t i on t o Ko r ean Cu l t u r e and i t s
전선 H M A 00113 한국학콘텐츠 3-3-0 ♣
Con t en t s
4-2
전선 H K A 40003 작가작품론 Ko r ean L i t e r a r y Wo r ks and Au t ho r s 3-3-0 ♧
전선 X C A 00015 저작권종합설계 Copy r i gh t and Caps t one Des i gn 3-0-3 ♠
계 58
범례 ♣ 한문학과 ♧ 국어국문학과 ♠ 문화콘텐츠학전공

321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2. 동아시아한자학 (Study of Chinese Character in East Asian Civilization)


□ 개설년도: 2020
□ 참여학과: 한문학과,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 개요
동아시아의 국가들은 각국의 개성이 뚜렷하고 언어도 모두 달라 하나의 학과 내에서는 통합적
인 이해가 힘든 것이 현실이다. 이에 동아시아 권역에 속하는 국가들이 중국의 한자를 수용해
수 세기 동안 한자와 한문으로 기록을 남겨 온 이른바 한자문명권이라는 점에 주목에 한자를
매개로 하여 동아시아 각국의 언어, 문화, 역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학문이 바로 동아
시아한자학이다.
□ 학업목표
- 동아시아한자학은 한문학과 중어중문학을 바탕으로 국어국문학 등 추가 과목을 이수하면서
동아시아의 문학과 역사를 비교 연구하는 학문이다.
- 한문학과의 한문 이외에도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회화와 문헌 해석을 한자를 매개로
하여 시도한다.
-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동아시아 문화 및 역사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하게 됨으로써 어학 능력
을바탕으로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과 교류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로서의 역량을 기르고자 한다.
□ 졸업요건
- 36학점 이상 이수(우선이수전공 교과목과 동일한 경우 12학점까지 중복 인정 가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전선 H M A 00101 역사고전선독 Read i ng C l ass i ca l Anc i en t Ch i nese H i s t o r y 3-3-0 ♣
전선 H C A 20006 중국어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Ch i nese L i ngu i s t i cs 3-3-0 ♠
2-1 전선 H K A 00014 고전시가의이해 Unde r s t and i ng i n Ko r ean C l ass i ca l Poe t r y 3-3-0 ♧
전선 H K A 20014 고전산문 Ko r ean C l ass i ca l P r oses 3-3-0 ♧
전선 H K A 20002 국어음운론 Ko r ean Phono l ogy 3-3-0 ♧
전선 H C A 00008 중국문언문법 C l ass i ca l Ch i nese G r amma r 3-3-0 ♠
2-2 전선 H C A 20013 중국문화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Ch i nese Cu l t u r e 3-3-0 ♠
전선 H K A 20015 고전소설강독 Read i ng Ko r ean C l ass i ca l Nove l s 3-3-0 ♧
전선 H C A 30013 중국문학사 1 H i s t o r y o f Ch i nese L i t e r a t u r e 1 3-3-0 ♠
전선 H C A 30022 중국고전소설 C l ass i ca l Ch i nese Nove l s 2-2-0 ♠
전선 H C A 00009 중국고대문자 C l ass i ca l Ch i nese Cha r ac t e r 3-3-0 ♠
3-1
전선 H C A 30030 경서강독 The Ch i nese C l ass i cs 2-2-0 ♠
전선 H K A 00010 고전문학사 H i s t o r y o f Ko r ean L i t e r a t u r e 3-3-0 ♧
전선 H K A 30015 고전소설론 Theo r i es o f Ko r ean C l ass i ca l Nove l s 3-3-0 ♧
전선 H M A 60002 한문논리및논술교육 Korean C lass ics Log ic and Essay Wr i t ing in Sub jects 2-2-0 ♣
3-2 전선 H C A 00010 중국어음운론 Ch i nese Phono l ogy 3-3-0 ♠
전선 H C A 30020 중국고대시가 O l d Ch i nese Poems 3-3-0 ♠
전선 H C A 40023 당송시가 Tang and Songs Poems 3-3-0 ♠
전선 H M A 00098 한문문법 I n t r oduc t i on t o C l ass i ca l Ch i nese G r amma r 2-2-0 ♣
4-1 전선 H M A 20003 한문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on Ch i nese L i ngu i s t i cs 3-3-0 ♣
전선 H M A 00099 한문학정보와공구서 I T and On l i ne Resou r ces f o r T r ad i t i ona l 2-2-0 ♣
Ko r ean Ph i l o l ogy
계 58
범례 ♣ 한문학과 ♧ 국어국문학과 ♠ 중어중문학과

32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

3. AI동아시아고전번역학 (AI & Translation Study of Korean Classics in


Classical Chinese)
□ 개설년도: 2020

□ 참여학과: 한문학과, 국어국문학과, 정보통계학과, 컴퓨터과학과

□ 개요
AI 동양고전번역학은 AI를 동양고전번역에 활용하는 학문이며, 한문학뿐만 아니라 국문학, 정보
통계학, 컴퓨터과학 기초를 필요로 하는 융복합 학문의 성격이 있다. 이 전공에서는 동양 및 한
국의 한문학 고전을 탐구하고 AI를 접목한 번역학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AI 기술을 응용한
고전번역가로서의 진로를 설정하여 이러한 학생설계전공을 설계하였다.

□ 학업목표
- 한문학과에서의 한문 수학을 통해 동양 및 한국학 고전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국어국문학의 수업을 통해 번역학의 기반인 문법 이론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 정보통계학, 컴퓨터과학 지식을 통해 AI를 번역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한다.

□ 졸업요건
- 36학점 이상 이수(우선이수전공 교과목과 동일한 경우 12학점까지 중복 인정 가능)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2-1 전선 H M A 00100 논어 2 The Ana l ec t s o f Con f uc i us I I 3-3-0 ♣
전선 H M A 00115 논어 1 The Ana l ec t s o f Con f uc i us I 3-3-0 ♣
전선 H M A 20003 한문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on Ch i nese L i ngu i s t i cs 3-3-0 ♣
2-2
전선 H M A 00118 맹자 1 The Menc i us I 3-3-0 ♣
전선 H M A 00121 대학중용 The Great Learn ing and The Doct r ine of the Mean 3-3-0 ♣
전선 H K A 10002 국문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Ko r ean L i t e r a t u r e 3-3-0 ♧
전선 H M A 00120 맹자 2 The Menc i us I I 3-3-0 ♣
전선 N S A 20001 통계프로그래밍 P r og r amm i ng f o r S t a t i s t i cs 3-3-0 ♠
3-1
전선 N E A 10013 C프로그래밍 C P r og r amm i ng 2-2-0 ♤
전선 N E A 10071 C프로그래밍실습 C P r og r amm i ng Lab . 1-0-2 ♤
전선 N E A 20021 컴퓨터시스템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Compu t e r Sys t ems 3-3-0 ♤
전선 H K A 10001 국어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Ko r ean L i ngu i s t i cs 3-3-0 ♧
전선 H K A 30002 국어문법론 Ko r ean G r amma r 3-3-0 ♧
전선 N S A 20002 기계학습 Mach i ne Lea r n i ng 3-3-0 ♠
3-2
전선 N S A 00077 빅데이터입문 I n t r oduc t i on t o B i g Da t a 3-3-0 ♠
전선 N E A 00028 파이썬프로그래밍 Py t hon P r og r amm i ng 2-2-0 ♤
전선 N E A 00029 파이썬프로그래밍실습 Py t yon P r og r amm i ng Lab 1-0-2 ♤
전선 H M A 00124 고전국역의이론과실제 Theo r y and P r ac t i ce o f T r ans l a t i ona l 3-3-0 ♣
Ko r ean C l ass i cs
4-1 전선 N S A 10004 빅데이터분석 B i g Da t a Ana l ys i s 3-3-0 ♠
전선 N S A 40053 통계데이터베이스 Da t abase f o r S t a t i s t i cs 3-3-0 ♠
전선 N E A 00018 인공지능 A r t i f i c i a l I n t e l l i gence 3-3-0 ♤
4-2 전선 N S A 00006 빅데이터정보처리 B i g da t a i n f o r ma t i on p r ocess i ng 3-3-0 ♤
계 60
범례 ♣ 한문학과 ♧ 국어국문학과 ♠ 정보통계학과 ♤ 컴퓨터과학과

323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4. 농업빅데이터학(Agricultural Big Data Analysis)

□ 개설년도: 2020. 2학기

□ 참여학과: 농화학식품공학과, 컴퓨터과학과, 정보통계학과, 수학과

□ 개요
최근 농업은 4차 산업혁명으로 발달하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스마트팜이 있는데 이는 농업의 기계화뿐만 아니라, 스마트팜에서 재배되는 작물들의 재배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스마트팜 기술은 앞으로의 지속적
인 연구개발을 통해 장비나 데이터 처리 기술 등의 개발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농업 빅데
이터 분석학 전공을 통해 미래 농업 기술에서 필요로 하는 농작물 재배 데이터, 물리적 환경 데
이터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해석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되고자 학생설계전공을 신청하고자
한다.

□ 학업목표
농화학식품공학과를 우선전공으로 하여 전반적인 농업 지식을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에 접
목할 수 있도록 컴퓨터과학과, 정보통계학과, 수학과의 전공과목을 더하여 학생설계전공을 설
정하였다. 프로그래밍, 인공지능 등의 과목을 통해 컴퓨터 지식을 습득하고, 인공지능 등에 입
력값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어떻게 통계적으로 분석하는지 회귀분석, 다변량자료분석 등의 과
목을 통해 지식을 쌓을 것이다. 그리고 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인 수학적 지식까지 겸비한
융합적인 지식을 쌓고자 한다.

□ 졸업요건
- 36학점 이상 이수(우선이수전공 교과목과 동일한 경우 12학점까지 중복 인정 가능)
- 졸업논문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구분
전선 AXA00006 분석화학 Ana l y t i ca l Chem i s t r y 3-3-0 ♣
2-1 전선 AXA00008 식물생리학 P l an t Phys i o l ogy 3-3-0 ♣
전선 AXA00009 생명유기화학 O r gan i c Chem i s t r y f o r Ag r ob i o t echno l ogy 3-3-0 ♣
전선 NSA00077 빅데이터입문 I n t r oduc t i on t o B i g Da t a 3-3-0 ♠
전선 NEA30023 자료구조 Da t a S t r uc t u r e 3-3-0 ♤
전선 NEA00006 웹프로그래밍 Web P r og r amm i ng 2-2-0 ♤
2-2 전선 NEA00007 웹프로그래밍실습 Web P r og r amm i ng Lab . 1-0-2 ♤
전선 NEA20031 Java프로그래밍 Java P r og r amm i ng 2-2-0 ♤
전선 NEA20080 Java프로그래밍실습 Java P r og r amm i ng Lab . 1-0-2 ♤
전선 AXA00016 토양학 So i l Sc i ence 3-3-0 ♣
전선 NMA20011 선형대수학 1 L i nea r A l geb r a 1 3-3-0 ♧
3-1 전선 NSA20051 일반통계학 Advanced S t a t i s t i cs 3-3-0 ♠
전선 NSA10004 빅데이터분석 B i g Da t a Ana l ys i s 3-3-0 ♠

32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

학년 이수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전선 NSA30054 회귀분석 Reg r ess i on Ana l ys i s 3-3-0 ♠
전필 NEA10013 C프로그래밍 C P r og r amm i ng 2-2-0 ♤
전필 NEA10071 C프로그래밍실습 C P r og r amm i ng Lab . 1-0-2 ♤
전선 NEA40016 알고리즘 A l go r i t hm 3-3-0 ♤
전선 NEA00042 빅데이터 B i g Da t a Sys t ems 3-3-0 ♤
3-2
전선 NEA00018 인공지능 A r t i f i c i a l I n t e l l i gence 3-3-0 ♤
전선 AXA00039 농약학 Ag r i cu l t u r a l Chem i ca l s 3-3-0 ♣
전필 NMA20030 해석학 1 Ana l ys i s 1 2-2-0 ♧
전필 NMA20071 해석학연습 Ana l ys i s Exe r c i ses 1-0-2 ♧
전선 NSA00079 통계적의사결정 S t a t i s t i ca l Dec i s i on Mak i ng 3-2-2 ♠
4-1 전선 NSA40063 다변량자료분석 Mu l t i va r i a t e Ana l ys i s 3-3-0 ♠
전선 NEA00030 데이터베이스 Da t aBase 2-2-0 ♤
전선 NEA00031 데이터베이스실습 Da t aBase Lab . 1-0-2 ♤
전선 AXA00052 농업환경화학 Ag r i cu l t u r a l Env i r onmen t a l Chem i s t r y 2-2-0 ♣
전선 NSA40055 데이터마이닝 Da t a M i n i ng 3-3-0 ♠
4-2 전선 NEA00047 모바일프로그래밍 Mob i l e P r og r amm i ng 3-1-2 ♤
전선 NEA40027 기계학습 Mach i ne Lea r n i ng 3-3-0 ♤
계 73
범례 ♣ 농화학식품공학과 ♧ 수학과 ♠ 정보통계학과 ♤ 컴퓨터과학과

325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5. 농·수산물식품경영학 (agro-fishery food management)

□ 개설년도: 2020. 2학기

□ 참여학과: 수산경영학과, 경영학과, 식품자원경제학과, 식품영양학과

□ 개요
6차 산업의 핵심인 농업과 해양수산 신산업 육성이 미래 먹거리문제를 해결할 것이며 대
한민국의 경제성장의 주축이 될 것이라고 판단. 그러므로 이 두 산업을 접목시켜 융·복합 교
육과정을 만든다. 산업별 경영학을 중심으로 식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식품영양학 과정
도 이수해야함. 식품개발 및 식품제조업 회사로 진로를 생각중이며 경영은 모든 직무에 대한 충
분한 지식과 실전경험이 있어야 한다고 판단됨. 농·수산물과 식품에 대한 이해와 경영지식을 톱
니바퀴처럼 같이 움직이는 전공을 만들고 싶음.

□ 학업목표
- 농업, 수산업에 대한 경영지식을 토대로 개발, 생산, 제조, 유통지식을 습득.
- 먹거리를 다루며 미래 식량생산에 관련된 만큼 식품에 대한 이해와 상식, 정보를 습득.
- 융·복합 인재가 되어 식품산업을 통한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가 목표.

□ 졸업요건
- 36학점 이상 이수(우선이수전공 교과목과 동일한 경우 12학점까지 중복 인정 가능)
- 졸업논문

□ 교육과정
학년 이수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2-2 전필 FBA20005 수산경제학 F i she r i es Econom i cs 3-3-0 ♣
전선 BB A00007 기업가정신과창업 En t rep reneu rsh i p & Bus i ness Es tab l i shmen t 3-3-0 ♧
전선 ASA00005 식품자원경제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Food and Resou r ce 3-3-0 ♠
Econom i cs
3-1 전선 ASA20015 농업경영학 Fa r m Managemen t 3-3-0 ♠
전선 NFA20005 조리원리 P r i nc i p l es o f Cooke r y 3-3-0 ♤
전선 NFA20001 식품재료학 Sc i ence o f Food s t u f f 2-2-0 ♤
전필 FBA00004 경영전략 S t r a t eg i c Managemen t 3-3-0 ♣
전필 FBA30007 수산경영학 F i she r i es Busuness Adm i n i s t r a t i ve 3-3-0 ♣
전선 BB A30013 계량경영분석 Quan t i t a t i ve App r oaches t o Managemen t 3-3-0 ♧
3-2
전선 BB A30018 서비스마케팅 Se r v i ce Ma r ke t i ng 3-3-0 ♧
전선 ASA00017 농식품경영컨설팅 Ag r i - f ood Managemen t Consu l t i ng 3-3-0 ♠
전선 NFA20009 외식산업의이해 Unde r s t and i ng o f Food se r v i ce I ndus t r y 2-2-0 ♤
3-동계 전선 EZ A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 ♠
전선 BAA 20015 회계원리 2 P r i nc i p l es o f Accoun t i ng 2 3-3-0 ♧
전선 BB A40028 인터넷비즈니스전략 I n t e r ne t Bus i ness S t r a t egy 3-3-0 ♧
전선 ASA00008 농식품가격론 Ag r o/ f ood P r i ce Theo r y 3-3-0 ♠
4-1 전선 ASA00013 식품산업경영경제론 Manage r i a l Econom i cs f o r Food I ndus t r y 3-3-0 ♠
전선 NFA30054 식품위생학 Food Hyg i ene 3-3-0 ♤
전선 NFA20006 식품학 Food Sc i ence 3-3-0 ♤
전필 FBA00003 국제경영론 I n t e r na t i ona l Bus i ness 3-3-0 ♣

32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

학년 이수
학기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전선 LAA 20032 회사법 Company Law 3-3-0 ♤
전선 BB A30002 고용관계론 Emp l oymen t Re l a t i ons 3-3-0 ♧
4-2 전선 ASA20055 식량경제론 Food Econom i cs 3-3-0 ♠
전선 ASA30029 농식품유통론 Ag r o/ f ood Ma r ke t i ng 3-3-0 ♠
전선 NFA00005 식문화사 Food Cu l t u r a l H i s t o r y 3-3-0 ♤
계 72 (3 )
범례 ♣ 수산경영학과 ♧ 경영학과 ♠ 식품자원경제학과 ♤ 식품영양학과

327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ART 07

트랙제 교육과정
(교육트랙)

Ⅰ. 맞춤형 교육과정(교육트랙) 정의····················· 327


Ⅱ. 맞춤형 교육과정(교육트랙) 개설 일람표······ 327
Ⅲ. 교육트랙 교육과정표············································327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Ⅰ. 맞춤형 교육과정(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정의


학과의 핵심교과를 중심으로 이를 세분화된 트랙으로 모듈화하여 특정 학문분야의 전문성을 증대하
고자 맞춤형 트랙을 구성 ․ 운영하는 교육과정을 말한다.

Ⅱ. 맞춤형 교육과정(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 개설 일람표

단과대학 학부 교육 트랙명 개설년도


나노 ․신소재공학부 금속재료공학 전문교육과정
공과대학 나노 ․신소재공학부 세라믹공학 전문교육과정 2015
나노 ․신소재공학부 고분자공학 전문교육과정

Ⅲ. 교육트랙 교육과정표

1. 금속재료공학 전문교육과정(나노․신소재공학부)

□ 교육트랙: 금속재료공학 전문교육과정(2015)

□ 개요
충실한 공학교육을 바탕으로 새로운 업무나 금속재료공학 분야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도전정신
과 적응능력을 갖춘 기술인을 양성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금속산업분야: 포항제철, 현대하이스코, 풍산, 현대제철 등
- 수송기계산업분야: 현대자동차, 대우조선해양, 한국항공우주산업㈜, 현대로템, 현대위아 등
- 전기전자산업분야: 삼성전자, 하이닉스반도체, 삼성SDS, LG(주), 삼성전기, 병기창 등
- 화공산업분야: SKC, LG케미칼 등
- 연구소: 재료연구소, 한국조선기자재연구소, 한국지질자원연구소, RIST, 알콘연구소 미
국, 독일, 일본의 연구소 등
- 대학교: 경상대학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중국 곤명이공대학교, POSTEC, JAST, 오사카
대학, 규슈대학 등

□ 이수원칙
- 단일트랙은 72학점이상 이수해야함
1) 트랙기본: 35학점 이수
2) 트랙심화: 37학점이상 이수(트랙심화 과목 중 “공학수학1”은 반드시 이수해야함)
- 복수트랙은 39학점이상 이수해야함
1) 트랙기본: 35학점 이수
(단, 나노·신소재공학부내 복수트랙의 경우 학부 공통 개설 트랙기본 교과목(표1)
17학점과, 나머지 트랙기본 18학점 이수)

33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

2) 트랙심화: 트랙심화 과목 중 “공학수학1”은 반드시 이수해야함


<표1> 학부 공통 개설 트랙기본 교과목
학년 -학기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1-1 트랙기본 E G A 00001 재료입문 1-1-0
1-2 트랙기본 EZ A 20070 창의적공학설계 2-2-0
2-1 트랙기본 E G A 00002 재료물리화학 1 3-3-0
2-1 트랙기본 E G A 00003 재료공학 1 3-3-0
2-2 트랙기본 E G A 00004 재료분석및조직학 3-3-0
2-2 트랙기본 E G A 00005 재료실험 2-0-4
4-1 트랙기본 E G A 00006 재료종합설계 3-3-0

- 위 이수원칙은 2017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표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1-1 트랙기본 EGA00001 재료입문 I n t r oduc t i on t o Ma t e r i a l s 1-1-0 ★
1-2 트랙기본 EZ A20070 창의적공학설계 C r ea t i ve Eng i nee r i ng Des i gn 2-2-0 ★
2 , 3 , 4- 트랙심화 EZ A30074 국외현장실습 1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5 국외현장실습 2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트랙심화 EZ A20001 공학수학 1 Eng i nee r i ng Ma t hema t i cs1 3-3-0 ★
트랙기본 EGA00002 재료물리화학 1 Phys i ca l Chem i s t r y o f Ma t e r i a l s1 3-3-0 ★
트랙기본 EGA00003 재료공학 1 Ma t e r i a l Sc i ence and Eng i nee r i ng1 3-3-0 ★◇
2-1
트랙심화 EBA20037 컴퓨터설계 1 Compu t e r A i ded Des i gn1 2-2-0
트랙심화 EGA00009 공업재료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Eng i nee r i ng Ma t e r i a l s 3-3-0
트랙기본 EBA20040 재료정역학 S t a t i cs o f ma t e r i a l s 3-3-0
트랙기본 EGA00004 재료분석학및조직학 Ma t e r i a l s Ana l ys i s and S t r uc t u r e 3-3-0 ★
트랙심화 EBA00001 재료및구조역학 S t r uc t u r a l Mechan i cs o f Ma t e r i a l s 3-3-0
트랙기본 EGA00005 재료실험 Ma t e r i a l s Tes t Lab . 2-0-4 ★
2-2 트랙기본 ETA20027 재료공학 2 Ma t e r i a l Sc i ence Eng i nee r i ng2 3-3-0
트랙심화 EBA30013 금속결정학 Me t a l l i c C r ys t a l l og r aphy 3-3-0
트랙심화 EBA20038 컴퓨터설계 2 Compu t e r A i ded Des i gn2 2-2-0
트랙심화 ENA00014 데이터통계분석 S t a t i s t i cs and Da t a Ana l ys i s 3-3-0 ★
3- 트랙심화 EZ A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3,4-1,2 트랙심화 EZ A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기본 ETA30011 재료열역학 The r modynam i cs o f Ma t e r i a l s 3-3-0
트랙기본 EBA30030 상변태론 Phase T r ans f o r ma t i on 3-3-0
트랙기본 EBA30010 재료강도학 S t r eng t h o f Ma t e r i a l s 3-3-0
3-1
트랙심화 EBA30012 금속물리학 Phys i ca l Me t a l l u r gy 3-3-0 ◇
트랙심화 EGA00036 현장형실험 1 P i l o t Sca l e Lab1 3-0-3
트랙심화 EGA00033 주조공학및용접공학 Found r y & We l d i ng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PA00009 기술개발창업론 Founda t i on f r om Resea r ch Deve l opmen t 2-2-0 ★
3-2 트랙심화 EBA30033 나노재료 Nano Ma t e r i a l s 2-2-0 ★
트랙기본 EBA30032 철강재료 I r on & S t ee l Ma t e r i a l s 3-3-0

331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트랙심화 EBA30031 비철재료 Non-Fe r r ous Me t a l s 3-3-0
트랙심화 EBA30011 금속화학 Chem i s t r y i n Me t a l s 3-3-0 ◇
트랙심화 EGA00037 현장형실험 2 P i l o t Sca l e Lab 2 3-0-3
트랙심화 EBA40035 금속가공학 Mechan i ca l Me t a l l u r gy 3-3-0
트랙심화 EGA00032 머신러닝 Mach i ne l ea r n i ng 3-3-0
4-1 , 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기본 EGA00006 재료종합설계 Caps t one Des i gn 3-3-0 ★
트랙심화 EBA00092 전기전자재료 E l ec t r i ca l & E l ec t r on i c Ma t e r i a l s 3-3-0
4-1
트랙심화 EGA00035 분말재료 Powde r Ma t e r i a l s 3-3-0
트랙심화 EBA20042 구조재료 S t r uc t u r a l Ma t e r i a l s 3-3-0
트랙심화 EGA00038 소재분석기기 I n t r oduc t i on t o Ma t e r i a l s 3-3-0
4-2 Cha r ac t e r i za t i on
트랙심화 EBA40037 열처리학 Hea t T r ea t men t 3-3-0
계 트랙 35 트랙 62 (48 ) 97 (48 )
기본 심화
범례 ★ 학부 공통 개설과목 ◇ 부전공 필수과목

33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

2. 세라믹공학 전문교육과정(나노․신소재공학부)

□ 교육트랙: 세라믹공학 전문교육과정(2015)

□ 개요
- 첨단 소재 개발과 생산에 요구되는 융합 공학교육을 위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여 세라
믹스 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창의적 기술 인력을 양성

□ 배출인력의 진로
- 세라믹 관련 국내외 중소, 중견기업
세라믹 관련 정부출연 연구기관 및 연구소

□ 이수원칙
- 단일트랙은 72학점이상 이수해야함
1) 트랙기본: 35학점 이수
2) 트랙심화: 37학점이상 이수(트랙심화 과목 중 “공학수학1”은 반드시 이수해야함)
- 복수트랙은 39학점이상 이수해야함
1) 트랙기본: 35학점 이수
(단, 나노·신소재공학부내 복수트랙의 경우 학부 공통 개설 트랙기본 교과목(표1)
17학점과, 나머지 트랙기본 18학점 이수)
2) 트랙심화: 트랙심화 과목 중 “공학수학1”은 반드시 이수해야함
<표1> 학부 공통 개설 트랙기본 교과목
학년 -학기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1-1 트랙기본 E GA 00001 재료입문 1-1-0
1-2 트랙기본 EZ A 20070 창의적공학설계 2-2-0
2-1 트랙기본 E GA 00002 재료물리화학 1 3-3-0
2-1 트랙기본 E GA 00003 재료공학 1 3-3-0
2-2 트랙기본 E GA 00004 재료분석및조직학 3-3-0
2-2 트랙기본 E GA 00005 재료실험 2-0-4
4-1 트랙기본 E GA 00006 재료종합설계 3-3-0

- 위 이수원칙은 2017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표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1-1 트랙기본 EGA00001 재료입문 I n t r oduc t i on t o Ma t e r i a l s 1-1-0 ★
1-2 트랙기본 EZ A20070 창의적공학설계 C r ea t i ve Eng i nee r i ng Des i gn 2-2-0 ★

2,3,4 트랙심화 EZ A30074 국외현장실습 1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5 국외현장실습 2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트랙기본 EGA00002 재료물리화학 1 Phys i ca l Chem i s t r y o f Ma t e r i a l s 1 3-3-0 ★◇
2-1
트랙기본 EGA00003 재료공학 1 Ma t e r i a l Sc i ence and Eng i nee r i ng 1 3-3-0 ★◇

333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트랙심화 EZ A20001 공학수학 1 Eng i nee r i ng Ma t hema t i cs 1 3-3-0 ★
트랙심화 ENA20028 X/선결정학 X/ r ay C r ys t a l l og r aphy 3-3-0
트랙심화 ENA00027 컴퓨터응용설계 Compu t e r A i ded Des i gn 3-1-2
2-1
트랙심화 EGA00009 공업재료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Eng i nee r i ng Ma t e r i a l s 3-3-0
트랙심화 ENA00013 세라믹기초실험 Ce r am i cs Labo r a t o r y 1-0-2
트랙기본 EGA00004 재료분석및조직학 Ma t e r i a l s Ana l ys i s and S t r uc t u r e 3-3-0 ★
트랙기본 EGA00005 재료실험 Ma t e r i a l s Tes t Lab 2-0-4 ★
트랙기본 ETA20027 재료공학 2 Ma t e r i a l Sc i ence and Eng i nee r i ng 2 3-3-0 ◇
2-2
트랙심화 ENA40018 재료전기전자회로 Electr icandElectronicCi rcui t in Mater ialsEngineer ing 3-3-0
트랙심화 ENA00005 열역학상평형 The r modynam i cs and Phase Equ i l i b r i a 3-3-0
트랙심화 ENA00014 데이터통계분석 S t a t i s t i cs and Da t a Ana l ys i s 3-3-0 ★
3- 트랙심화 EZ A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3,4-1,2 트랙심화 EZ A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기본 ENA30015 광전자기물성 E l ec t r i ca l & Op t i ca l P r ope r t i es 3-3-0
트랙기본 ENA00017 세라믹스공정 Ce r am i cs P r ocess i ng 2-2-0
트랙기본 ENA00018 세라믹스공정실험 Ce r am i cs P r ocess i ng Lab 1-0-2
3-1 트랙기본 ENA00015 미세구조및소결 M i c r os t r uc t u r e and S i n t e r i ng 3-3-0
트랙심화 ENA20029 결정화학 C r ys t a l Chem i s t r y 3-3-0
트랙심화 ENA30022 재료반응속도론 Reac t i on K i ne t i cs o f Ma t e r i a l s 3-3-0
트랙심화 ENA00016 원료합성론 Ce r am i c Raw Ma t e r i a l s and Syn t hes i s 3-3-0
트랙기본 ENA40029 재료기기분석 I ns t r umen t a l Ana l ys i s o f Ma t e r i a l s 2-2-0
트랙기본 ENA40079 재료기기분석실험 I ns t r umen t a l Ana l ys i s o f Ma t e r i a l s Lab 1-0-2
트랙기본 ENA00019 재료물리학 So l i d S t a t e Phys i cs 3-3-0
3-2
트랙심화 ENA30028 열기계적물성 The r ma l and Mechan i ca l P r ope r t i es 3-3-0
트랙심화 ENA40035 박막및반도체재료 Th i n F i l m & Sem i conduc t o r Ma t e r i a l s 3-3-0
트랙심화 ENA00020 재료전기화학 E l ec t r ochem i s t r y o f Ma t e r i a l s 3-3-0
4-1 , 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기본 EGA00006 재료종합설계 Caps t one Des i gn 3-3-0 ★
트랙심화 ENA00006 에너지환경신소재 Advanced Ene rgy & Env i ronmen ta l Ma te r i a l 3-3-0
4-1
트랙심화 ENA00021 세라믹복합재료 Compos i t e Ma t e r i a l s 3-3-0
트랙심화 ENA00022 나노세라믹스및소자 Nano Ce r am i cs and Dev i ces 3-3-0
트랙심화 ENA00012 재료응용연구 Advanced Ma t e r i a l s Labo r a t o r y 3-0-3
트랙심화 ENA00023 바이오세라믹스 B i o Ce r am i cs 3-3-0
4-2
트랙심화 ENA00024 나노비정질재료 Nonc r ys t a l l i ne Ma t e r i a l s 3-3-0
트랙심화 ENA00025 광전자정보재료 Op t oe l ec t r i c Ma t e r i a l s 3-3-0

계 트랙 35 트랙 61 (48 ) 96 (48 )
기본 심화
범례 ★ 학부 공통 개설과목 ◇ 부전공 필수과목

33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

3. 고분자공학 전문교육과정(나노․신소재공학부)

□ 교육트랙: 고분자공학 전문교육과정(2015)

□ 개요
- 충실한 공학교육을 바탕으로 새로운 업무나 고분자공학 분야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도전정신과 적응능력을 갖춘 기술인을 양성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정밀화학공업 분야 (전자재료 및 부품 회사, 제약, 염료, 페인트 등)
- 전자 및 반도체 통신산업 분야
- 중화학공업 분야 (석유 화학, 비료, 시멘트)
- 합성수지, 합성섬유, 식품공업분야
- 환경 및 에너지산업분야
- 생물공학분야
- 자동차산업분야
- 나노 및 나노융합 산업분야
- 항공우주산업분야
- 국·사립 연구소
- 공무원 등에 진출

□ 이수원칙
- 단일트랙은 72학점이상 이수해야함
1) 트랙기본: 35학점 이수
2) 트랙심화: 37학점이상 이수(트랙심화 과목 중 ‘공학수학1’은 반드시 이수해야함)
- 복수트랙은 39학점이상 이수해야함
1) 트랙기본: 35학점 이수
(단, 나노·신소재공학부내 복수트랙의 경우 학부 공통 개설 트랙기본 교과목(표1)
17학점과, 나머지 트랙기본 18학점 이수)
2) 트랙심화: 트랙심화 과목 중 ‘공학수학1’은 반드시 이수해야함
<표1> 학부 공통 개설 트랙기본 교과목
학년 -학기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1-1 트랙기본 E G A 00001 재료입문 1-1-0
1-2 트랙기본 EZ A 20070 창의적공학설계 2-2-0
2-1 트랙기본 E G A 00002 재료물리화학 1 3-3-0
2-1 트랙기본 E G A 00003 재료공학 1 3-3-0
2-2 트랙기본 E G A 00004 재료분석및조직학 3-3-0
2-2 트랙기본 E G A 00005 재료실험 2-0-4
4-1 트랙기본 E G A 00006 재료종합설계 3-3-0

- 위 이수원칙은 2017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한다.

335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 교육과정표

학년
학기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1-1 트랙기본 EGA00001 재료입문 I n t r oduc t i on t o Ma t e r i a l s 1-1-0 ★


1-2 트랙기본 EZ A20070 창의적공학설계 C r ea t i ve Eng i nee r i ng Des i gn 2-2-0 ★
2 , 3 , 4- 트랙심화 EZ A30074 국외현장실습 1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5 국외현장실습 2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트랙심화 EZ A20001 공학수학 1 Eng i nee r i ng Ma t hema t i cs 1 3-3-0 ★
트랙기본 EGA00002 재료물리화학 1 Phys i ca l Chem i s t r y o f Ma t e r i a l s 1 3-3-0 ★
트랙기본 EGA00003 재료공학 1 Ma t e r i a l Sc i ence and Eng i nee r i ng 1 3-3-0 ★
2-1 트랙기본 EHA30019 단위조작 Un i t Ope r a t i on 3-3-0
트랙심화 EPA00107 화공양론 Chem i ca l P r ocess Ca l cu l a t i ons 3-3-0
트랙심화 EPA20011 공업유기화학 1 I ndus t r i a l O r gan i c Chem i s t r y 1 3-3-0
트랙심화 ENA00027 컴퓨터응용설계 Compu t e r A i ded Des i gn 3-1-2
트랙기본 EGA00004 재료분석및조직학 Ma t e r i a l s Ana l ys i s and S t r uc t u r e 3-3-0 ★◇
트랙기본 EGA00005 재료실험 Ma t e r i a l s Tes t Lab 2-0-4 ★
트랙심화 ENA00014 데이터통계분석 S t a t i s t i cs and Da t a Ana l ys i s 3-3-0 ★
2-2 트랙심화 EPA20013 석유공업화학 I ndus t r i a l Pe t r ochem i s t r y 2-2-0
트랙심화 EPA00101 공업유기화학 2 I ndus t r i a l O r gan i c Chem i s t r y 2 3-3-0
트랙심화 EPA20089 공업유기화학실험 Exper iments in Indust r ia l Organ ic Chem ist ry 2-0-4
트랙심화 EPA00010 고분자전산활용 P r ac t i ca l Compu t e r App l i ca t i on f o r 3-2-2
Po l yme r Eng i nee r i ng
3- 트랙심화 EZ A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3,4-1,2 트랙심화 EZ A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기본 EPA00106 고분자물리화학 Po l yme r Phys i ca l Sc i ence 3-3-0
트랙기본 EPA00108 고분자화학 Po l yme r Chem i s t r y 3-3-0 ◇
트랙기본 EPA30023 고분자기기분석 Po l yme r Cha r ac t e r i za t i ons 3-3-0

3-1 트랙심화 EPA00100 고분자가공 Po l yme r P r ocess i ng 3-3-0 ◇


트랙심화 EPA30040 고분자실험계획법 Expe r i men t a l Des i gn f o r Po l yme r s 2-2-0
트랙심화 EPA30071 캡스톤디자인연습 1 Caps t one Des i gn Exe r c i se 1 1-0-2
트랙심화 EPA00001 R&D창업론 R&D Founda t i on 2-2-0
트랙심화 EPA00002 기능성고분자윤강 1 Co l l oqu i um f o r Func t i ona l Po l yme r 1 1-1-0
트랙심화 EPA00009 기술개발창업론 Founda t i on f r om Resea r ch Deve l opmen t 2-2-0 ★
트랙심화 EBA30033 나노재료 Nano Ma t e r i a l s 2-2-0 ★
트랙기본 EPA40032 기능성고분자 Func t i ona l Po l yme r 3-3-0
트랙기본 ENA00026 고분자합성및설계 Po l yme r Syn t hes i s and Des i gn 3-3-0
3-2
트랙심화 EPA00102 고분자분류실험 Expe r i men t s i n Po l yme r C l ass i f i ca t i on 2-0-4
트랙심화 EPA00103 고분자가공실험 Po l yme r P r ocess i ng Expe r i men t s 2-0-4
트랙심화 EPA00104 고분자기기분석실험 Expe r i men ts i n Po l yme r Cha rac te r i za t i on 2-0-4
트랙심화 EPA30030 고무공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o f Rubbe r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PA30072 캡스톤디자인연습 2 Caps t one Des i gn Exe r c i se 2 1-0-2
3-2
트랙심화 EPA30027 고분자복합재료 Po l yme r Compos i t es 3-3-0

33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교육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트랙심화 EPA30031 고분자반응공학 Po l yme r Reac t i on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PA00007 기능성고분자윤강 2 Co l l oqu i um f o r Func t i ona l Po l yme r 2 1-1-0
4-1 , 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기본 EGA00006 재료종합설계 Caps t one Des i gn 3-3-0 ★
트랙심화 EGA00011 고분자재료 Po l yme r Ma t e r i a l s 3-3-0
4-1 트랙심화 EPA40035 고분자계면공학 Po l yme r I n t e r f ace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PA40013 고분자물성 Po l yme r P r ope r t i es 3-3-0
트랙심화 EPA00105 고분자응용실험 App l i ed Po l yme r Expe r i men t 2-0-4
트랙심화 EGA00012 고분자시험법 Tes t i ng me t hods f o r p l as t i c ma t e r i a l s 2-2-0
4-2
트랙심화 EPA30013 고분자유변학 Rheo l ogy o f Po l yme r 3-3-0
계 트랙 35 트랙 71 106 (48 )
기본 심화
범례 ★ 학부 공통 개설과목 ◇ 부전공 필수과목

337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PART 08

트랙제 교육과정
(산학트랙)

Ⅰ. 맞춤형 교육과정(산학트랙) 정의····················· 337


Ⅱ. 맞춤형 교육과정(산학트랙) 개설 일람표······ 337
Ⅲ. 산학트랙 교육과정표············································340

33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Ⅰ. 맞춤형 교육과정(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정의


국가 ․ 지방자치단체 및 산업체 등과의 협약에 의한 인력양성 및 기타 사회수요에 대비한
인력양성을 위해 맞춤형 트랙을 구성 ․ 운영하는 교육과정을 말한다.

Ⅱ. 맞춤형 교육과정(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일람표


1. 개설 일람표
개설
연번 단대 학부 (과 )․ 전공명 트랙명 세부 트랙명 년도 페이지
인문
1 철학과 논술교육 트랙 논술교육 전문인력양성 트랙 2007
대학
2 지질과학과 자원환경 트랙 지질자원탐사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4
자연
3 과학 컴퓨터과학과 A I · 빅데이터 트랙 A I · 빅데이터 트랙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9
대학
4 컴퓨터과학과 AR/VR 트랙 AR/VR 전문인력양성 트랙 2020
5 재무 · 금융 트랙 재무 · 금융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4
경영학과
6 경영 유통서비스 트랙 유통서비스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7
7 대학 경영정보학과 I T융합시스템개발 트랙 I T융합시스템개발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4
8 회계학과 세무전문 트랙 세무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5
건축도시토목공학부
9 친환경건물 트랙 친환경건물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1
건축공학전공
10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성동조선해양 트랙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2
11 기계공학전공 센트랄 트랙 센트랄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5
12 KA I 트랙 항공우주공학 전문인력양성 트랙 2006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13 항공우주 및 성동조선해양 트랙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2
소프트웨어공학전공
14 지능형무인기 트랙 지능형무인기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9
15 공과 조선금속소재 트랙 조선금속소재산업 전문인력양성 트랙 2008
나노 · 신소재공학부
16 대학 기능성고분자 트랙 기능성고분자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3
산업시스템공학부
17 생산시스템혁신 트랙 생산시스템혁신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0
산업시스템공학전공
18 반도체공학과 디스플레이 트랙 디스플레이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0
19 전기공학과 신재생에너지시스템 트랙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0
20 전자공학과 항공전자 트랙 항공전자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1
21 제어계측공학과 메카트로닉스 트랙 메카트로닉스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0
22 화학공학과 화학공정설계 트랙 화학공정설계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0

23 식품자원경제 트랙 국제농업개발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3


식품자원경제학과
24 식품자원경제 심화트랙 스마트융복합 농산업비즈니스 전문인력양성 트랙 2020
농업
25 생명 환경산림과학부 그린케어 트랙 그린케어 LOHAS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7
과학
대학 환경산림과학부
26 LOHAS 트랙 LOHAS소재개발 전문인력양성 트랙 2008
환경재료과학전공

34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연번 단대 학부 (과 )․ 전공명 트랙명 세부 트랙명 개설 페이지


년도
27 원예과학 트랙 원예과학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5
28 작물과학 트랙 작물과학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5
농업식물과학과
29 로컬 농산업 활성화 트랙 로컬 농산업 활성화 전문인력양성 2017

30 농화학식품공학심화 트랙 바이오식품산업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5


31 농화학식품공학과 농화학식품공학심화 트랙 환경생명화학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5
농업
32 생명 농화학식품공학심화 트랙 GAP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7
33 과학 식물의학과 영농정착 트랙 친환경농업 영농정착인력육성 트랙 2008
대학
34 축산생명 트랙 동물생명과학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5
축산생명학과
35 축산생명 트랙 동물자원 및 바이오텍 전문인력양성 2015
36 애그로시스템공학부 그린자원 트랙 그린자원 I CT융합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7

37 해양경찰시스템학과 선박운항관리 트랙 선박운항관리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3


38 수산가공 트랙 수산가공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4
해양식품생명의학과
39 수산생명의학 트랙 수산생명의학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5
40 성동조선해양 트랙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2
기계시스템공학과
41 해양 선박기관사 트랙 선박기관사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6
42 과학 기계부품소재 트랙 기계부품소재 전문인력양성 트랙 2009
대학 에너지기계공학과
43 성동조선해양 트랙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2
44 정보통신공학과 사물인터넷 트랙 사물인터넷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9
45 조선해양공학과 성동조선해양 트랙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2
46 해양환경공학과 수질오염처리 및 방지 트랙 수질오염처리 및 방지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5
3개학부 , 5개전공 42개 세부트랙
계 46개 트랙
24개학과 (성동조선해양 트랙 참여학과 4개 제외 )
※ 트랙과정은 학과 운영상의 사유 등으로 폐지될 수 있음

경상대학교 341
2020학년도 교육과정

2. 폐지 트랙 현황
개설
순 대학 학과명 트랙명 세부 트랙명 비고
년도
1 축산생명학과 바이오비전 트랙 유가공 전문인력양성 트랙 ( 완전폐지 ) 2007 *
농대 생물신소재개발 및 농축산물안정성평가
2 농화학식품공학과 환경생명화학심화 트랙 2011 **
전문인력양성 트랙
3 해양대 해양식품생명의학과 해양생태계자원관리 트랙 해양생태계자원관리 전문인력양성 트랙 2013 **
산업시스템공학부
4 공대 제조 I T트랙 제조 I T 전문인력양성 2010 ***
(산업시스템공학전공 )
5 농화학식품공학과 농화학식품공학심화 트랙 생물신소재산업 전문인력양성 2015 ***
6 식물의학과 식물의사 트랙 식물의사 전문인력양성 2015 ***
농생대
7 식품자원경제 트랙 식품자원경제 전문인력양성 2013 ***
식품자원경제학과
8 식품자원경제 트랙 애그리비즈니스취업 전문인력양성 2013 ***
9 연구개발 트랙 연구개발 전문인력양성 2014 ***
10 애그로시스템공학부 바이오시스템공학 트랙 바이오시스템공학 전문인력양성 2014 ***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11 생산기계공학 트랙 생산기계공학 전문인력양성 2014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12 LOHAS 트랙 LOHAS공간조성 전문인력양성 2008 ***
농생대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13 축산생명학과 영농승계 트랙 동물산업영농승계 전문인력양성 2017 ***

14 환경산림과학부 영농정착 트랙 산림및임산물 영농정착인력육성 2008 ***


15 (산림환경자원학전공 ) LOHAS 트랙 생태환경자원관리 전문인력양성 2008 ***
16 에너지기계공학과 신재생에너지 트랙 신재생에너지 전문인력양성 2009 ***
17 해양경찰시스템학과 해양관리 트랙 해양관리 전문인력양성 2013 ***
18 해양대 수산양식 트랙 수산양식 전문인력양성 2015 ***
19 해양식품생명의학과 식품안전관리 트랙 식품안전관리 전문인력양성 2015 ***
20 아쿠아리스트 트랙 아쿠아리스트 전문인력양성 2016 ***
계 14개학과 (전공 ) 20개 트랙 20개 세부트랙

* ‘12학년도부터 신입생 모집하지 않음, ** '15학년도부터 신입생 모집하지 않음, *** '19학년도부터 신입생 모집하지 않음

3. 2020학년도 트랙제 교육과정 운영 총괄 현황

운영 학부 (과 )․전공 수 트랙 수 세부트랙 수 비고

3개학부 , 5개전공 ,
46개 트랙 42 개 세부트랙
24개학과

34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Ⅲ. 산학트랙 교육과정표

1. 논술교육 전문인력양성(철학과)

□ 트랙: 논술교육 트랙
□ 세부트랙: 논술교육 전문인력양성 트랙(2007)

□ 개요
논술교육 전문인력양성 트랙제 교육과정은 논술교육 전문 인력으로 활동하려는 재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이다. 우리 대학교 재학생은 누구나 논술교육 전문인력양성 트랙의 요건에 해
당하는 교과목을 이수하고, 그 이수 성적이 평균 B이상인 자로서, 교육인증기관(전국대학 철
학과연합회 논술 교육인증원)이 주관하는 인증자격 심사를 거쳐 논술교육인증을 받을 수 있다.

□ 배출인력의 진로
- 논술교육 전문인력양성 트랙에서는 실용적인 논술능력과 함께 논리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제시 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켜 기업 및 각급 교육기관에서 선호하는 인재를 양성한다.
따라서 한정된 분야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면으로의 진출이 가능하다.
- 각급 교육기관 및 기업 취업, 논술교사, 대학원 진학

□ 이수원칙
- 사고및논술트랙 과목 중 ‘철학과논술’을 포함하여 8학점 이상 선택 이수
- 철학 내용 트랙과목은 30학점 이상 선택 이수
- 트랙과목 중 논술의응용및실습(6학점), 고전읽기 및 글쓰기(7학점이상), 교직(5학점이상)
과목은 반드시 이수
- 철학졸업논문이 필수이며 A등급 이상의 성적을 취득
- 위 이수원칙은 2016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사고및논술 ZGA20006 논리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Log i c 3-3-0
사고및논술 ZTA20001 비판적사고 C r i t i ca l Th i nk i ng 2-2-0
전학년
철학내용 ZGA20021 철학입문 I n t r oduc t i on o f Ph i l osophy 3-3-0
교직 ZCA20003 교육심리 Educa t i ona l Psycho l ogy 2-2-0
철학내용 HPA00005 동양철학입문 I n t r oduc t i on t o Eas t e r n Ph i l osoph i es 3-3-0
1-1
글쓰기 ZTA10004 글쓰기기초 W r i t i ng f o r Human Soc i a l Sc i ence 2-2-0
1-2 철학내용 HPA00004 서양철학의문제들 Top i cs i n Wes t e r n Ph i l osophy 3-3-0
철학내용 HPA20024 인도철학사 H i s t o r y o f I nd i an Ph i l osophy 3-3-0
철학내용 HPA30013 윤리학 E t h i cs 3-3-0
철학내용 HPA00012 문화철학 Ph i l osophy o f Cu l t u r e 3-3-0
2-1 철학내용 HPA00087 철학적분석 Ph i l osoph i ca l Ana l ys i s 3-3-0

철학내용 HPA00006 서양고 ․중세철학사 H i s t o r y o f Wes t e r n Anc i en t and Med i eva l 3-3-0
Ph i l osophy
글쓰기 HPA30013 윤리학 E t h i cs 3-3-0 중복
2-1
논술의응용/실습 HPA00087 철학적분석 Ph i l osoph i ca l Ana l ys i s 3-3-0 중복

경상대학교 343
2020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비고


학기
글쓰기 HPA00006 서양고 ․중세철학사 H istoryof Western Ancient and Medieval Phi losophy 3-3-0 중복
철학내용 HPA10023 중국철학사 H i s t o r y o f Ch i nese Ph i l osophy 3-3-0
철학내용 HPA20011 인식론 Ep i s t emo l ogy 3-3-0
철학내용 HPA30060 불교철학 Buddh i s t Ph i l osophy 3-3-0
철학내용 HPA00001 실천윤리학 P r ac t i ca l E t h i cs 3-3-0
2-2
철학내용 HPA00007 서양근세철학사 H i s t o r y o f Wes t e r n Mode r n Ph i l osophy 3-3-0
논술의응용/실습 HPA00001 실천윤리학 P r ac t i ca l E t h i cs 3-3-0 중복
논술의응용/실습 HPA20011 인식론 Ep i s t emo l ogy 3-3-0 중복
고전읽기 HPA00007 서양근세철학사 H i s t o r y o f Wes t e r n Mode r n Ph i l osophy 3-3-0 중복
철학내용 HPA20022 한국철학사 H i s t o r y o f Ko r ean Ph i l osophy 3-3-0
사고및논술 HPA20010 기호논리학 Symbo l i c l og i c 3-3-0
철학내용 HPA30012 형이상학 Me t aphys i cs 3-3-0
3-1 철학내용 HPA40035 실존철학 Ex i s t en t i a l i sm 3-3-0
철학내용 HPA30011 한국불교사상특강 Top i cs i n Ko r ean Buddh i s t Though t s 3-3-0
논술의응용/실습 HPA30012 형이상학 Me t aphys i cs 3-3-0 중복
교직 HPA60070 철학교육론 Pedagog i ca l Theo r i es i n Ph i l osophy 3-3-0
철학내용 HPA30033 독일관념론 Ge r man I dea l i sm 3-3-0
철학내용 HPA30034 현상학 Phenomeno l ogy 3-3-0
철학내용 HPA30051 과학철학 Ph i l osophy o f Sc i ence 3-3-0
철학내용 HPA30050 언어철학 Ph i l osophy o f Language 3-3-0
철학내용 HPA30061 도가철학 Tao i s t Ph i l osophy 3-3-0
철학내용 HPA00086 구조주의와후기구조주의의 Ph i l osophy o f S t r uc t u r a l i sm and Pos t 3-3-0
철학 S t r uc t u r a l i sm
3-2 구조주의와후기구조주의의 Ph i l osophy o f S t r uc t u r a l i sm and Pos t
논술의응용/실습 HPA00086 3-3-0 중복
철학 S t r uc t u r a l i sm
논술의응용/실습 HPA30050 언어철학 Ph i l osophy o f Language 3-3-0 중복
글쓰기 HPA30033 독일관념론 Ge r man I dea l i sm 3-3-0 중복
고전읽기 HPA30034 현상학 Phenomeno l ogy 3-3-0 중복
S t ud i es o f Tex t boo ks & Teach i ng
교직 HPA60071 철학교재연구및교육방법론 Ma t e r i a l s and Pedagog i ca l P r ac t i ces i n 3-3-0
Ph i l osophy
사고및논술 HPA40040 철학과논술 Ph i l osoph i ca l Essay W r i t i ng 3-3-0
철학내용 HPA00008 정치사회철학 Po l i t i ca l and Soc i a l Ph i l osophy 3-3-0
철학내용 HPA00014 가치론 Ax i o l ogy 3-3-0
4-1 철학내용 HPA00009 매체철학 Ph i l osophy o f Med i a 3-3-0
철학내용 HPA00011 심리철학 Ph i l osophy o f M i nd 3-3-0
철학내용 HPA40071 중국철학특강 Top i cs i n Ch i nese Ph i l osophy 3-3-0
고전읽기 HPA00008 정치사회철학 Po l i t i ca l and Soc i a l Ph i l osophy 3-3-0 중복
철학내용 HPA40012 한국유학특강 Top i cs i n Ko r ean Con f uc i an i sm 3-3-0
철학내용 HPA40015 예술철학 Ph i l osophy o f A r t 3-3-0
철학내용 HPA00010 현대철학특강 Top i cs i n Con t empo r a r y Ph i l osophy 3-3-0
4-2 논술의응용/실습 HPA00014 가치론 Ax i o l ogy 3-3-0 중복
철학내용 HPA40085 인도철학특강 Top i cs i n I nd i an Ph i l osophy 3-3-0
논술의응용/실습 HPA40015 예술철학 Ph i l osophy o f A r t 3-3-0 중복
논술의응용/실습 HPA00011 심리철학 Ph i l osophy o f M i nd 3-3-0 중복
계 162

34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2. 지질자원탐사 전문인력양성(지질과학과)

□ 트랙: 자원환경 트랙
□ 세부트랙: 지질자원탐사 전문인력양성 트랙(2014)
□ 개요
- 친디아의 성장에 따라 전세계 지질자원의 확보가 국가의 미래를 담보할 정도로 지질자원의
확보는 중요하며 이에 따라 지질자원탐사 전문인력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음
- 대한민국의 경우 채취 가능한 국내 지질자원의 양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므로 지질
자원탐사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음
- 지질자원탐사는 지질학의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광상학, 퇴적학, 지구화학탐사, 지구물리탐사 등
다양한 학문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을 때 가능함

□ 배출인력의 진로
-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석유공사
- 국내외 에너지, 광물자원탐사산업 관련 기업

□ 이수원칙
- 전공기본과 트랙기본을 포함하여 45학점 이상 이수
- 외국어 TOEIC 700점 이상 또는 본교 국제화장학금 영어시험
종별점수상관표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영어성적 취득
- 위 이수원칙은 2015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N G A 20017 암석지구화학 Pe t r ochem i s t r y 3-3-0
2-1 전공기본 N G A 20051 구조지질학 S t r uc t u r a l Geo l ogy 3-3-0
전공기본 N G A 20083 광물학및실험 M i ne r a l ogy & Lab . 3-2-2
전공기본 N G A 00008 광물광학및실험 M i ne r a l Op t i c & Lab . 3-1-2
전공기본 N G A 30042 마그마와암석 Magma and Rock 3-3-0
2-2
트랙기본 N G A 00007 지질도학 Geo l og i ca l Mapp i ng 3-3-0
트랙기본 N G A 30063 지구물리학 Geophys i cs 3-3-0
전공기본 N G A 30083 퇴적학및실험 Sed i men t o l ogy & Lab . 3-2-2
3-1 트랙기본 N G A 30057 광상학 O r e Depos i t s 3-3-0
트랙기본 N G A 30066 신에너지 .물질학 New/ene r gy and Ma t e r i a l s 3-3-0
3- 트랙심화 EZ A 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N G A 00002 지질학실습및종합설계 1 Geo l ogy P r ac t i ce and Gene r a l P l an 1 2-0-4
전공기본 N G A 00009 야외지질학 F i e l d Geo l ogy 3-1-2
3-2 트랙기본 N G A 30054 탐사지구물리학 P r ospec t i ng & Geophys i ca l 3-3-0
트랙기본 N G A 30067 자원지질학 Geo l ogy o f M i ne r a l & Ene r gy Resou r ces 3-3-0
트랙기본 N G A 00001 층서지사학 S t r a t i g r aphy 3-3-0
3-동계 트랙심화 EZ A 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
4-1 트랙기본 N G A 40058 석유지질학 Pe t r o l eum Geo l ogy 3-3-0
4-1 , 2 트랙심화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47 (24 )

경상대학교 345
2020학년도 교육과정

3. AI·빅데이터 전문인력양성 트랙(컴퓨터과학과)

□ 트랙: AI·빅데이터 트랙
□ 세부트랙: AI·빅데이터 전문인력양성 트랙(2019)
□ 개요
SW역량을 바탕으로 하고, 산업에서 요구하는 AI 및 빅데이터 지식을 추가로 겸비한 전문인
력을 양성하여 AI 및 빅데이터 응용 미래 신산업분야를 이끌어갈 인재를 배출

□ 배출인력의 진로
- AI·빅데이터 관련 국내외 중소, 중견기업
- AI·빅데이터 관련 정부출연 연구기관 및 연구소
- AI·빅데이터를 활용한 제조, 스마트홈, 에너지, 의료기기, 로봇 등 신산업분야 창업

□ 이수원칙
- 트랙기본 27학점 이수
- 트랙심화 과목 12학점 이상 이수
- AI·빅데이터 관련 프로젝트 수행 (연구과제 혹은 종합설계및프로젝트 교과목)
- TOPCIT 3수준(400점) 이상 또는 삼성 SW Expert Academy A형(Advanced) 이상 취득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NEA10013 C프로그래밍 C Programming 2-2-0
1-1
트랙기본 NEA10071 C프로그래밍실습 C Programming Lab. 1-0-2
트랙기본 NEA00028 파이썬프로그래밍 Python Programming 2-2-0
1-2
트랙기본 NEA00029 파이썬프로그래밍실습 Pytnon Programming Lab. 1-0-2
트랙기본 NEA20021 컴퓨터시스템개론 Introduction to Computer Systems 3-3-0
2-1
트랙기본 NEA00049 기초설계PBL(어드벤처디자인 ) Basic Design PBL(Adventure Design) 3-3-0
2-2 트랙기본 NEA30023 자료구조 Data Structure 3-3-0
트랙기본 NEA00050 소프트웨어설계 PBL Software Design PBL 3-3-0
트랙기본 NEA20026 컴퓨터구조 Computer Architecture 3-3-0
3-1
트랙심화 NE A 00042 빅데이터 B i g Da t a Sys t ems 3-3-0
트랙심화 NEA00037 데이터과학 Data Science 3-3-0
트랙기본 NEA40016 알고리즘 Algorithm 3-3-0
3-2 트랙심화 NE A 00030 데이터베이스 Da t aBase 2-2-0
트랙심화 NE A 00031 데이터베이스 실습 Da t aBase Lab 1-0-2
트랙기본 NEA00051 종합설계PBL Capstone Design PBL 3-3-0
4-1
트랙심화 NEA00018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3-3-0
4-2 트랙심화 NEA40027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3-3-0
계 42

34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4. AR/VR 전문인력양성 트랙(컴퓨터과학과)

□ 트랙: AR/VR 트랙
□ 세부트랙: AR/VR 전문인력양성 트랙(2020)
□ 개요
- 2019년 정부는 증강/가상현실(AR/VR) 육성에 1,462억원을 투입
- 최근 경상남도는 지역 AR/VR 인프라 구축 사업을 본격 시행, 경남형 제조업 혁신 위해 가
상제조 AR/VR 분야에 30억원 지원
-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AR/VR 트랙을 신설하여 SW역량을 바탕으로 산업에서 요구하는
AR/VR 지식을 추가로 겸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지역 AR/VR 산업 및 AR/VR 응용 미
래 신산업분야를 이끌어갈 인재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함
- SW역량 및 프로그래밍 능력을 배양하는 컴퓨터과학의 기본 교육 제공
- 컴퓨터그래픽스, 영상처리,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의 교과목을 편성하여 AR/VR의 원리와
기술을 체험하고 습득하는 교육, AR을 구현하기 위한 기반 기술 교육, AR SDK를 활용한
AR어플리케이션 제작, 360카메라와 HMD 활용 능력, Unity3D를 활용한 VR어플리케이션
제작 등의 트랙 특화 심화 교육 제공
□ 배출인력의 진로
- AR/VR관련 국내외 중소, 중견기업
- AR/VR 관련 정부출연 연구기관 및 연구소
- AR/VR 응용 신산업분야 창업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과목 모두 이수(24학점)
- 트랙심화 과목 12학점 이상 이수
- AR/VR 관련 프로젝트 수행 (연구과제 혹은 종합설계및프로젝트 교과목)
- TOPCIT 3수준(400점) 이상 또는 삼성 SW Expert Academy A형(Advanced) 이상 취득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NEA10013 C프로그래밍 C Programming 2-2-0
1-1
트랙기본 NEA10071 C프로그래밍실습 C Programming Practice 1-0-2
트랙기본 NEA00028 파이썬프로그래밍 Python Programming 2-2-0
1-2
트랙기본 NEA00029 파이썬프로그래밍실습 Python Programming Practice 1-0-2
트랙기본 NEA20021 컴퓨터시스템개론 Computer Systems Overview 3-3-0
2-1
트랙기본 NEA00049 기초설계PBL(어드벤처디자인 ) Bas i c Des i gn PBL (Adven t u r e Des i gn ) 3-3-0
트랙기본 NEA30023 자료구조 Data Structure 3-3-0
2-2
트랙기본 NEA20026 컴퓨터구조 Computer Architecture 3-3-0
3-1 트랙기본 NEA00050 소프트웨어설계 PBL So f t wa r e Des i gn PBL 3-3-0
트랙기본 NEA40016 알고리즘 Algorithm 3-3-0
3-2
트랙심화 NE A 00044 컴퓨터그래픽스 Computer Graphics 3-2-1
트랙심화 NEA00051 종합설계PBL Caps t one Des i gn PBL 3-3-0
4-1 트랙심화 NE A 00045 영상처리 I mage P r ocess i ng 3-2-1
트랙심화 NE A 00038 가상현실 V i r t ua l Rea l i t y 3-1-2
트랙심화 NE A 00048 증강현실 Augmen t ed Rea l i t y 3-1-2
4-2
트랙심화 NE A 00047 모바일프로그래밍 Mob i l e P r og r amm i ng 3-1-2
계 42

경상대학교 347
2020학년도 교육과정

5. 재무·금융 전문인력양성(경영학과)

□ 트랙: 재무·금융 트랙

□ 세부트랙: 재무·금융전문인력양성 트랙(2014)

□ 개요
산업 구조의 고도화와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재무 및 금융 서비스업이 요구하는 인재상이 변
화하고 있다. 이에 급변하는 금융 시장을 이해하고 적절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재무·금융
전문인력양성 트랙을 운영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금융 관련 공기업(금융감독기관, 예금보험공사, 한국은행 등) 혹은 사기업(은행, 증권, 보험
등)에 필요한 기본 역량을 갖출 수 있다.
- 제조업 등 비금융 기업의 재무 부서에 적합한 기본 역량을 갖출 수 있다.
- AFPK 등 금융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고 투자 자문업 등 금융 관련 창업을 할 수 있다.
- 대학원으로 진학한 후 금융 관련 연구소의 연구직 혹은 대학교 교수직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이수원칙
- 아래의 원칙에 따라 총 30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 트랙기본과목 27학점을 필수로 이수한다.
- 트랙심화과목 중 3학점 이상을 필수로 이수한다.
- 위 이수원칙은 2020학년도 1학기 신청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BB A 20007 경영통계학 Bus i ness S t a t i s t i cs 3-3-0
2-1
트랙기본 BB A 20015 경영수학 Ma t hema t i cs f o r Bus i ness 3-3-0
트랙기본 BB A 30012 재무관리 F i nanc i a l Managemen t 3-3-0
2-2
트랙심화 BB A 00001 증권시장론 Secu r i t i es Ma r ke t 3-3-0
트랙기본 BB A 40018 투자론 I nves t men t 3-3-0
3-1
트랙심화 BB A 40022 경영분석 Bus i ness Ana l ys i s 3-3-0
3-2 트랙기본 BB A 00012 포트폴리오관리 Po r t f o l i o Managemen t 3-3-0
트랙기본 BB A 00013 재무종합설계 1 F i nanc i a l Caps t one Des i gn 1 3-3-0
4-1
트랙기본 BB A 30020 금융기관경영론 Managemen t o f F i nanc i a l I n t e r med i a r i es 3-3-0
트랙기본 BB A 00014 재무종합설계 2 F i nanc i a l Caps t one Des i gn 2 3-3-0
4-2
트랙기본 BB A 30001 금융실무 F i nanc i a l P r ac t i ces 3-3-0
계 33

34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6. 유통서비스 전문인력양성(경영학과)

□ 트랙: 유통서비스 트랙

□ 세부트랙: 유통서비스 전문인력양성 트랙(2017)

□ 개요
우량기업들이 산업영역을 초월하여 유통산업에 진출하고 있고, 제조산업이 고부가가치 창출형
서비스 기업으로 변모해 나가고 있으며, Cross-Border Trade의 급성장과 ICT를 활용한 유통서
비스인프라가 고도화됨에 따라 유통분야의 스타트업이 증폭함과 동시에 다양한 관련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해당 분야의 전문 인력수요가 증폭되고 있다. 이에
유통과 서비스분야의 전문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과정 구성을 통해 요구되는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해 나가고자 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진출분야: 백화점을 포함한 유통기업, 호텔, 산업물류업체, 도매물류기업, 제조업체 및 서비스업체의
물류조직, 물류공공기관, 유통광고컨설팅, 광고서비스업, 해운전문기업, 유통물류전문대학원 등
- 관련자격증: 유통관리사, 물류관리사, 사회조사분석사, 경영지도사, 창업지도사, 관세사, 브랜드
관리사, 감정평가사, 국제무역사, 전자상거래관리사, 원산지관리사 등

□ 이수원칙
- 아래의 원칙에 따라 총 30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 트랙기본과목 12학점을 필수로 이수한다.
- 트랙심화과목 중 18학점 이상을 필수로 이수한다.
- 위 이수원칙은 2020학년도 1학기 신청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BB A 30008 마케팅관리 Ma r ke t i ng Managemen t 3-3-0
2-1
트랙심화 BB A 00006 비즈니스영어 Bus i ness Eng l i sh 3-3-0
트랙심화 BB A 20005 생산관리 Ope r a t i ons Managemen t 3-3-0
2-2
트랙심화 BB A 00008 광고와커뮤니케이션 Adve r t i semen t and Commun i ca t i on 3-3-0
트랙기본 BB A 20017 유통경영론 Fundamen t a l s o f D i s t r i bu t i on Managemen t 3-3-0
3-1 트랙심화 BB A 00009 국제경영 I n t e r na t i ona l Bus i ness 3-3-0
트랙심화 BB A 40028 인터넷비즈니스전략 I n t e r ne t Bus i ness S t r a t egy 3-3-0
트랙기본 BB A 30018 서비스마케팅 Se r v i ce Ma r ke t i ng 3-3-0
3-2
트랙심화 BB A 00075 마케팅조사론 Ma r ke t i ng Resea r ch 3-3-0
4-1 트랙심화 BB A 40031 글로벌마케팅 G l oba l Ma r ke t i ng 3-3-0
트랙기본 BB A 00074 소비자행동론 Consume r Behav i o r 3-3-0
4-2
트랙심화 BB A 40026 공급사슬관리 Supp l y Cha i n Managemen t 3-3-0
계 36

경상대학교 349
2020학년도 교육과정

7. IT융합시스템개발 전문인력양성(경영정보학과)

□ 트랙: IT융합시스템개발 트랙

□ 세부트랙: IT융합시스템개발 전문인력양성 트랙(2014)

□ 개요
경영정보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경영학 각 분야 필수과목을 이수한 실력에 시스템개발 과
목을 강화하여 일부 교과목을 기본 과목으로 수강함으로써 졸업생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이
기 위한 융합개발 트랙

□ 배출인력의 진로
- 소프트웨어 개발자, 프로젝트 관리자, 시스템 관리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정보담당경영자(CIO)
- 관련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Microsoft (MCPD, PCITP), Oracle(OCP), Java(OCJP)

□ 이수원칙
[~2018년 신청자]
- 전공기본 과목(11과목) 모두 이수
- 트랙기본 과목(11과목) 중 6개 과목(18학점) 이상 이수
- 트랙심화 과목(11과목 + 현장실습) 중 9학점 이상 이수
[2019년이후 신청자]
- 트랙기본 18학점 이상 이수
- 트랙심화 24학점 이상 이수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2 트랙기본 B I A 00013 소프트웨어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So f t wa r e 3-1-2
트랙기본 B I A 20024 경영정보시스템 Managemen t I n f o r ma t i on Sys t ems 3-3-0
2-1 트랙심화 B I A 00018 프로그래밍연습 P r og r amm i ng P r ac t i ce 3-1-2
트랙심화 B I A 00019 경영자료처리 Bus i ness Da t a P r ocess i ng 3-1-2
트랙심화 B I A 00020 비주얼프로그래밍 V i sua l P r og r amm i ng 3-1-2
2-2 트랙심화 B I A 00021 네트워크운영 Ne t wo r k and Web Adm i n i s t r a t i on 3-1-2
트랙심화 B I A 00032 I T융합어드벤처디자인 I T Conve r gence Adven t u r e Des i gn 6-0-6
트랙기본 B I A 00014 데이터베이스시스템 Da t abase Sys t ems 3-2-1
트랙기본 B I A 00015 경영의사결정론 Dec i s i on Mak i ng 3-2-1
3-1
트랙기본 B I A 30032 정보통신경영 Managemen t o f D i g i t a l Commun i ca t i on 3-3-0
트랙심화 B I A 00022 모바일프로그래밍 Mob i l e P r og r amm i ng 3-1-2
트랙기본 B I A 00016 시스템분석및종합설계 Sys t em Ana l ys i s and Caps t one Des i gn 3-2-1
트랙심화 B I A 00024 데이터마이닝 Da t a M i n i ng 3-2-1
트랙심화 B I A 00025 데이터베이스시스템종합설계및구현 CapstoneDesign for Database Systems and Implementat ion 3-1-2
3-2
트랙심화 B I A 00026 웹기반시스템 Web-based I n f o r ma t i on Sys t em 3-1-2
트랙심화 B I A 00027 지능정보시스템 I n t e l l i gen t I n f o r ma t i on Sys t ems 3-2-1
트랙심화 B I A 00031 빅데이터분석 B i g Da t a Ana l y t i cs 3-1-2
트랙심화 B I A 40026 프로젝트관리론 P r o j ec t Managemen t 3-3-0
4-1
트랙심화 B I A 00033 M I S종합설계 M I S Caps t one Des i gn 6-0-6
계 63

35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8. 세무전문 전문인력양성(회계학과)

□ 트랙: 세무전문 트랙

□ 세부트랙: 세무 전문인력양성 트랙(2015)

□ 개요
현대는 세금의 홍수 속에서 살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최근 세법은 보다 전문화
되고 복잡해져서 전문 인력이 아니면 이를 해석하고 이해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보다 세법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역량을 갖춘 세무 전문 인력에 대한 사회 및 업계 특히 지역사
회에서의 수요가 날로 급증하고 있다. 본 과정을 통하여 세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적법
한 절세방안 등에 대해 이해하게 됨으로써 세무 전문 분야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 배출인력의 진로
- 공인회계사, 세무사, 세무공무원, 각 기업의 세무전문분야
- 전산회계, 전산세무, 세무회계, 재경관리사 등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과목(27)학점을 모두 이수하고 트랙심화 과목 중 9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 일정 수준이상의 외국어 능력(영어 토익 600점)을 기본 조건으로 부여
※ 위 이수원칙은 2018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2 트랙기본 B AA 1 0 0 1 1 회계원리 1 Accoun t i ng p r i nc i p l e 1 3-3-0
트랙기본 B AA 2 0 0 1 3 원가회계 Cos t Accoun t i ng 3-3-0
2-1 트랙기본 B AA 2 0 0 1 5 회계원리 2 P r i nc i p l es o f Accoun t i ng 2 3-3-0
트랙기본 B AA 3 0 0 2 5 세법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Tax Law 3-3-0
트랙기본 B AA 0 0 0 0 1 재산세제법 Taxes Re l a t ed W i t h P r ope r t y 3-3-0
트랙심화 B AA 3 0 0 2 3 관리회계 Managemen t Accoun t i ng 3-3-0
2-2
트랙기본 B AA 3 0 0 3 2 중급회계 1 I n t e r med i a t e Accoun t i ng 1 3-3-0
트랙심화 L AA 2 0 0 3 2 회사법 Company Law 3-3-0
트랙기본 B AA 3 0 0 1 6 중급회계 2 I n t e r med i a t e Accoun t i ng 2 3-3-0
3-1 트랙기본 B AA 0 0 0 0 2 소비세제법 Taxes Re l a t ed W i t h Consump t i on 3-3-0
트랙심화 B AA 0 0 0 7 2 세법학 Taxa t i on Law 3-3-0
트랙기본 B AA 3 0 0 1 5 세무회계 Tax Accoun t i ng 3-3-0
트랙심화 B AA 0 0 0 0 6 K/ I FRS연습 Sem i na r i n K/ I FRS 3-3-0
3-2
트랙심화 B AA 3 0 0 2 2 전산회계 EDP Accoun t i ng 3-3-0
트랙심화 B AA 4 0 0 4 0 고급회계 Advanced Accoun t i ng 3-3-0
트랙심화 B AA 3 0 0 2 9 재무제표분석 F i nanc i a l S t a t emen t Ana l ys i s 3-3-0
4-1
트랙심화 B AA 0 0 0 7 3 고급세무 Advanced Taxes 3-3-0
계 51

경상대학교 351
2020학년도 교육과정

9. 친환경건물 전문인력양성(건축도시토목공학부 건축공학전공)

□ 트랙: 친환경건물 트랙

□ 세부트랙: 친환경건물 전문인력양성 트랙(2011)

□ 개요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친환경 건축기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매우 증가하
고 있다. 친환경건물 트랙은 구조, 환경 및 시공적 측면에서 친환경적 건물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본 트랙제는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을 통해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친환경 건물
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배출인력의 진로
- 건설회사(친환경, 폐기물저장, 리사이클링마인드)
- 구조설계(세계적 브랜드를 반영하는 엔지니어)
- 친환경설계 및 시공회사
- 재료기술자(친환경마인드)

□ 이수원칙
- 전공기본가 트랙기본 과목을 모두 이수해야 함
- 트랙심화과목 20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
- 4년간 평점 3.2이상
- 건축관련업체에서 트랙제 관련 현장실습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 함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기본 E AA 10004 건축도시토목공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A r ch i t ec t u r a l , U r ban and C i v i l 1-1-0
Eng i nee r i ng
1-2 트랙기본 EZ A 20070 창의적공학설계 C r ea t i ve Eng i nee r i ng Des i gn 2-2-0
트랙기본 E AA 20018 재료역학 Mechan i cs o f Ma t e r i a l s 3-3-0
2-1
트랙기본 E AA 20027 건축환경공학 1 Bu i l d i ng Env i r onmen t Eng i nee r i ng 1 3-3-0
트랙기본 E AA 00024 건축공학캡스톤디자인 1 A r ch i t ec t u r a l Eng i nee r i ng Caps t one Des i gn 1 2-0-2
트랙심화 E AA 20029 건축환경공학 2 Bu i l d i ng Env i r onmen t Eng i nee r i ng 2 3-3-0
트랙기본 E AA 20012 건축구조역학 S t r uc t u r a l Mechan i cs o f A r ch i t ec t u r e 3-3-0
2-2
트랙기본 E AA 00022 건축재료 Bu i l d i ng Cons t r uc t i on Ma t e r i a l 3-3-0
트랙심화 E AA 00025 건축공학전산설계 Compu t e r Based Bu i l d i ng Des i gn 2-0-2

트랙기본 E AA 00050 건축환경시뮬레이션및 S i mu l a t i on and Expe r i men t a l P r o j ec t f o r Bu i l d i ng 2-0-2


실험
트랙기본 E AA 30035 건축시공 1 Bu i l d i ng Cons t r uc t i on 1 3-3-0
트랙심화 E K A 00012 건축위생서비시스템 P l umb i ng Sys t em i n Bu i l d i ng 3-3-0
3-1 트랙심화 E AA 30027 건축공조설비시스템 HVAC Sys t em i n Bu i l d i ng 3-3-0
트랙기본 E AA 30039 공정관리 Cons t r uc t i on p r o j ec t Schedu l i ng and Con t r o l 3-3-0
트랙심화 E AA 30070 건축재료실험 Expe r i men t i n Cons t r uc t i on Ma t e r i a l s 2-0-4

35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EAA 00027 건축공학캡스톤디자인 2 A r ch i t ec t u r a l Eng i nee r i ng Caps t one Des i gn 2 2­0­2
트랙기본 EKA00013 건설경영학 Cons t r uc t i on Bus i ness Managemen t 3­3­0
3-2 트랙기본 EAA 00021 건물에너지계획 Bu i l d i ng Ene r gy P l an 3­3­0
트랙기본 EAA 30030 건축재료및공법설계 Des i gn i n Bu i l d i ng Ma te r i a l s and Cons t ruc t i on Me thod 2­0­4
트랙심화 EAA 30037 건축시공 2 Bu i l d i ng Cons t r uc t i on 2 2­2­0
트랙기본 EAA 00009 건축공학종합설계 A r ch i t ec t u r a l Eng i nee r i ng Caps t one Des i gn 3­3­0
4-1 트랙심화 EAA 30026 건축적산 Cons t r uc t i on T i me & Cos t Es t i ma t i ng 3­3­0
트랙심화 EAA 00028 건축설비설계 Des i gn o f Bu i l d i ng Se r v i ces 2­0­2
트랙심화 EAA 40019 구조계획및설계 S t r uc t u r a l P l ann i ng and Des i gn 2­0­4
4-2 트랙심화 EAA 40075 건축공학세미나 Sem i na r 1­0­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심화 EZ A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3,4 트랙심화 EZ 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4 국외현장실습 1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트랙심화 EZ A30075 국외현장실습 2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계 61 (33 )

경상대학교 353
2020학년도 교육과정

10.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기계공학전공)

□ 트랙: 성동조선해양 트랙

□ 세부트랙: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2012)

□ 개요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은 조선해양산업의 발전과 전문인력양성을 위하여 경상대학
교와 성동조선해양(주)간의 상호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교육과정이다. 경상대
학교에서는 성동조선해양트랙을 통해 성동조선해양(주)에서 요구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능력
을 갖춘 학생을 양성하고, 성동조선해양(주)에서는 성동조선해양트랙 수료 학생에게 채용 시
서류전형을 면제하고, 취업의 우선권을 부여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성동조선해양(주) 및 조선해양산업 분야로 진출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과목은 반드시 이수
- 4년간 평점 3.5 이상
- 학기단위 현장실습3은 4학년 2학기에 성동조선해양(주)에서 인턴과정으로 이수(권장)
- 토익 750점 이상 혹은 이에 상응하는 토익스피킹, OPIc 점수, 일본어, 중국어 등 외국어 능력 취득
- CAD 심화과정 이수

□ 교육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1-1 트랙기본 ETA0006 전산기계제도 Compu t e r A i ded Mechan i ca l D r aw i ng 2-0-2
트랙기본 EZ A 20072 창의적기초공학설계 C r ea t i ve Fundamen t a l Eng i nee r i ng Des i gn 3-0-3
1-2
트랙기본 E MA10002 정역학 Bas i c Eng i nee r i ng Mechan i cs 3-3-0
트랙기본 E MA20001 고체역학 1 Mechan i cs o f So l i ds 1 3-3-0
트랙기본 E MA20018 재료과학 Ma t e r i a l s Sc i ence 3-3-0
2-1
트랙기본 E MA20003 열역학 The r modynam i cs 3-3-0
트랙기본 E MA00027 기계공학프로그래밍 Mechan i ca l Eng i nee r i ng P r og r amm i ng 3-0-3
트랙기본 E MA00028 CAD CAD 3-0-3
2-2 트랙심화 E MA20002 고체역학 2 Mechan i cs o f So l i ds 2 3-3-0
트랙심화 E MA20019 응용열역학 App l i ed The r modynam i cs 3-3-0
트랙기본 E V A30009 기계요소설계 Mach i ne E l emen t Des i gn 3-3-0
3-1
트랙심화 E MA30016 기계진동학 Mechan i ca l V i b r a t i on 3-3-0
트랙심화 E MA30017 공기조화및냉동 A i r Cond i t i on i ng & Re f r i ge r a t i on 3-3-0
3-2
트랙심화 E MA30038 엔진시스템공학 Eng i ne Sys t em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 MA00039 종합설계 Caps t one Des i gn 3-0-3
트랙심화 E MA00025 조선해양공학 Nava l A r ch i t ec t u r e and Ocean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 MA40008 정밀기계설계 P r ec i s i on Mach i ne Des i gn 3-3-0
4-1
트랙심화 E MA40092 유한요소법 F i n i t e E l emen t Me t hod 3-2-2
트랙심화 E MA30014 유체기계 F l u i d Mach i ne r y 3-3-0
트랙심화 E MA00032 조선해양트랙단기강좌 1 Shipbui lding& Mar ine Eng ineer ingTrack Shor t Course 1 2-0-2
4-2 트랙심화 E MA00033 조선해양트랙단기강좌 2 Shipbui lding& Mar ine Eng ineer ingTrack Shor t Course 2 2-0-2
4-1 , 2 트랙심화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60 (15 )

35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11. 센트랄 전문인력양성(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기계공학전공)

□ 트랙: 센트랄 트랙
□ 세부트랙: 센트랄 전문인력양성 트랙(2015)

□ 개요
- 센트랄 전문인력양성 트랙은 자동차산업발전과 전문인력양성을 위하여 경상대학교와 센트랄
(주)간의 상호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교육과정이다. 경상대학교에서는 센트
랄 트랙을 통해 센트랄(주)에서 요구하는 자동차부품 및 정밀기계부품산업에서 요구하는 일
정 수준 이상의 능력을 갖춘 학생을 양성하고, 센트랄(주)에서는 센트랄 트랙 수료 학생에게
채용 시 서류전형을 면제하고, 취업의 우선권을 부여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센트랄(주) 및 자동차 부품 산업분야로 진출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과목은 반드시 이수하고, 총 21학점 이상 이수
- 4년간 평점 3.5 이상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2-1 트랙기본 E MA 20018 재료과학 Ma t e r i a l s Sc i ence 3-3-0
트랙기본 E MA 20004 동역학 Dynam i cs 3-3-0
2-2 트랙기본 E MA 30018 기계공작법 Manu fac tu r i ng P rocess 3-3-0
트랙기본 E MA 00028 CAD CAD 3-0-3
트랙기본 E V A 30009 기계요소설계 Des i gn o f Mechan i ca l E l emen t 3-3-0
3-1 트랙심화 E MA 30016 기계진동학 Mechan i ca l V i b r a t i on 3-3-0
트랙심화 E MA 30006 기구학 K i nema t i cs o f Mechan i sms 3-3-0
트랙심화 E MA 30038 엔진시스템공학 Eng i ne Sys t em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 MA 00030 응용공학설계 Advanced Eng i nee r i ng Des i gn 3-0-3
3-2
트랙심화 E MA 40003 제어공학 Con t r o l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 MA 00038 계측공학 Mechan i ca l Measu r emen t s 3-0-3
트랙심화 E MA 30019 생산공학 P r oduc t i on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 MA 30025 차량구동장치 Au t omo t i ve Powe r T r a i n 3-3-0
4-1
트랙심화 E MA 40008 정밀기계설계 P r ec i s i on Mach i ne Des i gn 3-3-0
트랙심화 E MA 40092 유한요소법 F i n i t e E l emen t Me t hod 3-2-2
트랙심화 E MA 00011 응용동역학 Advanced Dynam i cs 3-3-0
4-2 트랙심화 E MA 00034 기업트랙단기강좌 Co r po r a t e T r ack Sho r t Cou r se 2-0-2
트랙심화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50 (15 )

경상대학교 355
2020학년도 교육과정

12. 항공우주공학 전문인력양성(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전공)

□ 트랙: KAI 트랙
□ 세부트랙: 항공우주공학 전문인력양성 트랙(2006)
□ 개요
- KAI 트랙은 항공우주산업의 발전과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경상대학교와 한국항공우주
산업간의 상호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교육과정이다. 경상대학교에서는 KAI
트랙을 통해 한국항공우주산업(주)에서 요구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능력을 갖춘 학생을 양성
한다. 한국항공우주산업(주)에서는 KAI 트랙 수료학생에게 채용 시 서류전형을 면제하고
취업의 우선권을 부여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및 항공우주, 기계산업 분야로 진출

□ 이수원칙
- 트랙기본과 트랙심화 중 30학점 이상 이수(현장실습3 제외)
- 트랙심화 중 현장실습3 이수
- 4년간 평점 3.7이상
- 토익 800점 이상 또는 상응하는 TOEFL, TEPS 점수 취득
- 학기단위 현장실습 KAI에서 이수
- CAD-CAE: CATIA 혹은 NASTRAN 기초, 중급, 고급과정 이수(권장)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심화 E T A 00006 전산기계제도 Compu t e r A i ded Mechan i ca l D r aw i ng 2-0-2
트랙심화 EZ A 20072 창의적기초공학설계 C r ea t i ve Fundamen t a l Eng i nee r i ng Des i gn 3-0-3
1-2
트랙심화 E MA 10002 정역학 S t a t i cs 3-3-0
트랙심화 E T A 00141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개론 Int roduct ion to Aerospace and Sof tware Eng inee r ing 3-3-0
트랙기본 E T A 00140 고체역학 Mechan i cs o f So l i ds 1 3-3-0
2-1
트랙기본 E T A 00090 열역학 The r modynam i cs 3-3-0
트랙심화 E T A 00139 공학수학 1/이산수학 Eng i nee r i ng Ma thema t i cs 1/D i sc re te Ma thema t i cs 3-3-0
트랙기본 E T A 00094 동역학 Dynam i cs 3-3-0
트랙기본 E T A 00095 유체역학 F l u i d Mechan i cs 3-3-0
2-2 트랙심화 E T A 00097 수치해석 Nume r i ca l Ana l ys i s 3-3-0
트랙기본 E T A 00003 항공전자기초 Fundamen t a l s o f Av i on i cs 3-3-0
트랙심화 EZ A 20002 공학수학 2 Eng i nee r i ng Ma t hema t i cs 2 3-3-0
트랙기본 E T A 00104 항공기구조역학 A i r c r a f t S t r uc t u r a l Mechan i cs 3-3-0
트랙기본 E T A 00105 공기역학 Ae r odynam i cs 3-3-0
3-1
트랙기본 E T A 00144 제어공학및 MATLAB응용 Con t r o l Eng i nee r i ng w i t h MATLAB 3-3-0
트랙기본 E T A 00007 CAD응용 CAD App l i ca t i on 3-0-3
트랙기본 E T A 00155 비행역학해석 F l i gh t Dynam i cs and Ana l ys i s 3-3-0
3-2 트랙기본 E T A 00117 항공기설계 A i r c r a f t Des i gn 3-3-0
트랙심화 E T A 00146 항공기추진시스템 A i r c r a f t P r opu l s i on Sys t em 3-3-0
트랙기본 E T A 00020 종합설계 Caps t one Des i gn 3-0-3
4-1 트랙기본 E T A 00124 비행제어설계 F l i gh t Con t r o l and Des i gn 3-3-0
트랙심화 E T A 00156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실험 Ae r ospace and So f t wa r e Eng i nee r i ng Lab . 1-0-2
4-2 트랙심화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63 (15 )

35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13.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전공)

□ 트랙: 성동조선해양 트랙

□ 세부트랙: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2012)

□ 개요
-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은 조선해양산업의 발전과 전문인력양성을 위하여 경상대
학교와 성동조선해양(주)간의 상호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교육과정이다.
경상대학교에서는 성동조선해양트랙을 통해 성동조선해양(주)에서 요구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능력을 갖춘 학생을 양성하고, 성동조선해양(주)에서는 성동조선해양트랙 수료 학생에게 채용 시
서류전형을 면제하고, 취업의 우선권을 부여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성동조선해양(주) 및 조선해양산업 분야로 진출

□ 이수원칙
- 트랙기본과 트랙심화 중 현장실습을 포함하여 45학점 이상 이수
- 4년간 평점 3.5 이상
- 학기단위 현장실습3은 4학년 2학기에 성동조선해양(주)에서 인턴과정으로 이수(권장)
- 토익 750점 이상 혹은 이에 상응하는 토익스피킹, OPIc 점수, 일본어, 중국어 등 외국어
능력 취득
- CAD 심화과정 이수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기본 ETA00006 전산기계제도 Compu t e r A i ded Mechan i ca l D r aw i ng 2-0-2
트랙기본 EZ A20072 창의적기초공학설계 C r ea t i ve Fundamen t a l Eng i nee r i ng Des i gn 3-0-3
1-2
트랙기본 EMA10002 정역학 S t a t i cs 3-3-0
트랙기본 EMA20018 재료과학 Ma t e r i a l s Sc i ence 3-3-0
트랙기본 ETA00140 고체역학 Mechan i cs o f So l i ds 3-3-0
2-1
트랙기본 ETA00090 열역학 The r modynam i cs 3-3-0
트랙기본 EMA00027 기계공학프로그래밍 Mechan i ca l Eng i nee r i ng P r og r amm i ng 3-0-3
트랙기본 ETA00095 유체역학 F l u i d Mechan i cs 3-3-0
2-2
트랙심화 ETA00097 수치해석 Nume r i ca l Ana l ys i s 3-3-0
트랙기본 ETA00106 기계진동학 Mechan i ca l V i b r a t i on 3-3-0
트랙심화 ETA00144 제어공학및 MATLAB응용 Con t r o l Eng i nee r i ng w i t h MATLAB 3-3-0
3-1
트랙기본 ETA00007 CAD응용 CAD App l i ca t i on 3-0-3
트랙기본 EVA30009 기계요소설계 Mach i ne E l emen t Des i gn 3-3-0
3-2 트랙심화 ETA00146 항공기추진시스템 A i r c r a f t P r opu l s i on Sys t em 3-3-0
트랙기본 ETA00020 종합설계 Caps t one Des i gn 3-0-3
4-1
트랙심화 ETA00132 전산역학입문 I n t r oduc t i on t o Compu t a t i ona l Mechan i cs 3-3-0
4-1 , 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47(15)

경상대학교 357
2020학년도 교육과정

14. 지능형무인기 전문인력양성(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전공)

□ 트랙 : 지능형무인기 트랙

□ 세부트랙 : 지능형무인기 전문인력양성 트랙(2019)

□ 개요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교육과정에 포함된 각 분야 필수
과목을 이수한 실력에 무인기의 지능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 4차 산업에 대비한 전문인재
양성 트랙을 운영

□ 배출인력의 진로
- 항공 및 자동차 관련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현대자동차, 한
국항공우주)
- 항공, 우주 및 자동차 관련 정부출연연구소 및 유관 기관(KARI, KAI 등)

□ 이수원칙
- 트랙기본 12학점 이수
- 트랙심화 9학점 이상 이수

- 종합설계에서 지능형 무인기 관련 프로젝트 수행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E T A 00016 자료구조및알고리즘 PBL Da t a S t r uc t u r e and A l go r i t hms PBL 3-2-2
2-1 트랙기본 ETA00153 객체지향프로그래밍 Object Oriented Programming 2-2-0
트랙기본 ETA00154 객체지향프로그래밍실습 Practice of Object Oriented Programming 1-0-2
트랙기본 ETA00142 리눅스시스템 프로그래밍 Linux System Programming 3-2-2
2-2
트랙심화 ZPA20028 드론의 이해와 활용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Drones 2-1-2
3-1 트랙심화 NEA00018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3-3-0
트랙기본 E T A 00017 소프트웨어개발론 PBL So f t wa r e Deve l opmen t PBL 3-2-2
3-2 트랙심화 NEA40027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3-3-0
트랙심화 NEA40039 모바일 프로그래밍 Mobile Programming 3-3-0
4-1 트랙심화 ETA00124 비행제어설계 Flight Control and Design 3-3-0
4-2 트랙심화 ETA00151 센서구동소프트웨어 Sensor System Software 3-3-0
계 29

35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15. 조선금속소재산업 전문인력양성(나노·신소재공학부)

□ 트랙: 조선금속소재 트랙

□ 세부트랙: 조선금속소재산업 전문인력양성 트랙(2008)

□ 개요
- 조선산업의 활황으로 조선산업 관련 전문인력의 수요가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경상남도는
국내 조선산업의 메카로서 세계적 규모의 조선업체들이 밀집되어 있어, 경남의 거점 국립
대학인 우리대학교가 조선산업 신입인력 교육의 일부를 담당함으로써 기업의 예산절감과
대학의 취업률 제고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조선산업 관련

□ 이수원칙
- 년 10∼15명 내외의 학생을 선발하여 특정 교과목, 외국어 요구사항을 만족해야 수료가능
- 트랙기본 과목 모두 이수
- 외국어 TOEIC 700점 이상 또는 본교 국제화장학금 영어시험 종별점수 상관표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영어성적 취득
※ 위 이수원칙은 2020학년도 졸업자로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심화 E G A 00001 재료입문 I n t r oduc t i on t o Ma t e r i a l s 1-1-0
1-2 트랙기본 EZ A 20070 창의적공학설계 C r ea t i ve Eng i nee r i ng Des i gn 2-2-0
트랙기본 E G A 00003 재료공학 1 Ma t e r i a l Sc i ence and Eng i nee r i ng 1 3-3-0
트랙기본 E G A 00002 재료물리화학 1 Phys i ca l Chem i s t r y o f Ma t e r i a l s1 3-3-0
2-1 트랙기본 E B A 20040 재료정역학 S t a t i cs o f Ma t e r i a l s 3-3-0
트랙기본 EZ A 20001 공학수학 1 Eng i nee r i ng Ma t hema t i cs 1 3-3-0
트랙기본 E B A 20037 컴퓨터설계 1 Compu t e r A i ded Des i gn 1 2-2-0
트랙기본 E T A 20027 재료공학 2 Ma t e r i a l Sc i ence Eng i nee r i ng 2 3-3-0
트랙기본 E G A 00004 재료분석및조직학 Ma t e r i a l s Ana l ys i s and S t r uc t u r e 3-3-0
2-2 트랙기본 E G A 00005 재료실험 Ma t e r i a l s Tes t Lab . 2-0-4
트랙기본 E B A 20038 컴퓨터설계 2 Compu t e r A i ded Des i gn 2 2-2-0
트랙기본 E B A 30010 재료강도학 S t r eng t h o f Ma t e r i a l s 3-3-0
트랙기본 E T A 30011 재료열역학 The r modynam i cs o f Ma t e r i a l s 3-3-0
3-1
트랙기본 E B A 30030 상변태론 Phase T r ans f o r ma t i on 3-3-0
트랙기본 E B A 30032 철강재료 I r on & S t ee l Ma t e r i a l s 3-3-0
3-2 트랙심화 EZ A 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트랙심화 EZ A 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4-1 트랙기본 E G A 00006 재료종합설계 Caps t one Des i ne 3-3-0
트랙기본 E B A 40038 부식및방식 Co r r os i on and P r o t ec t i on 3-3-0
4-2
트랙기본 E B A 40037 열처리학 Hea t T r ea t men t 3-3-0
계 48 (9 )

경상대학교 359
2020학년도 교육과정

16. 기능성고분자 전문인력양성(나노·신소재공학부)

□ 트랙: 기능성고분자 트랙

□ 세부트랙: 기능성고분자 전문인력양성 트랙(2013)

□ 개요
- 최근 환경, 에너지, 디스플레이 관련 산업계의 인력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대기업 위주의
인력 시장 형성으로 중소기업들의 인력확보에 어려움 증가
- 기능성 고분자를 주로 다루는 중소기업들의 요구에 맞추어서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을 관련
중소기업에 안정적으로 공급
- 또한, 기업체가 주로 요구하는 3, 4학년 때의 전공과목 이수의 충실도, 경영마인드 함양,
기본소양 함양 등을 맞춘 기업체 맞춤형 인력 양성

□ 배출인력의 진로
- 기능성 고분자 관련 국내외 중소, 중견기업
- 기능성 고분자 협의회 관련 국내 중소, 중견기업(에어레인 외 고분자협의회 관련 10개사)
- 협의회 대표 에어레인과 협약 체결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과목 모두 이수
- 트랙심화 과목 중 5학점 이상 이수
- 2학년이 될 때 트랙을 선택하도록 하고, 이후 1회에 걸쳐 트랙을 변경 또는 포기할 기회 제공
- 일정 수준 이상의 외국어 능력(영어 토익 600점)을 기본조건으로 부여함
- 고분자공학 전공 학생들이 트랙을 선택하도록 하되, 트랙별 학생수에 제한을 두거나 강제
하지 않고 학생 스스로 선택하도록 함
- 위 이수원칙은 2020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2 트랙기본 EZ A 20070 창의적공학설계 C r ea t i ve Eng i nee r i ng Des i gn 2-2-0
트랙기본 E G A 00003 재료공학 1 Ma t e r i a l Sc i ence and Eng i nee r i ng 1 3-3-0
트랙기본 E H A 30019 단위조작 Un i t Ope r a t i on 3-3-0
2-1 트랙기본 E P A 20011 공업유기화학 1 I ndus t r i a l O r gan i c Chem i s t r y 1 3-3-0
트랙기본 E G A 00002 재료물리화학 1 Phys i ca l Chem i s t r y o f Ma t e r i a l s 1 3-3-0
트랙심화 E G A 00033 컴퓨터응용설계 Compu t e r A i ded Des i gn 3-1-2
트랙기본 E G A 00004 재료분석및조직학 Ma t e r i a l s Ana l ys i s and S t r uc t u r e 3-3-0
2-2 트랙기본 E P A 20013 석유공업화학 I ndus t r i a l Pe t r ochem i s t r y 2-2-0
트랙기본 E P A 00101 공업유기화학 2 I ndus t r i a l O r gan i c Chem i s t r y 2 and Des i gn 3-3-0
트랙기본 E P A 00108 고분자화학 Po l yme r Chem i s t r y 3-3-0
3-1 트랙기본 E P A 00106 고분자물리화학 Po l yme r Phys i ca l Sc i ence 3-3-0
3-1 트랙기본 E P A 30023 고분자기기분석 Po l yme r Cha r ac t e r i za t i ons 3-3-0

36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E P A 00100 고분자가공 Po l yme r P r ocess i ng 3-3-0
트랙기본 E P A 30040 고분자실험계획법 Expe r i men t a l Des i gn f o r Po l yme r s 2-2-0
트랙심화 E P A 00001 R&D창업론 R&D Founda t i on 2-2-0
트랙심화 E P A 00002 기능성고분자윤강 1 Co l l oqu i um f o r Func t i ona l Po l yme r 1 1-1-0
트랙기본 E P A 00102 고분자분류실험 Expe r i men t s i n Po l yme r C l ass i f i ca t i on 2-0-4
트랙기본 E P A 00103 고분자가공실험 Po l yme r P r ocess i ng Expe r i men t s 2-0-4
트랙기본 E G A 00032 고분자합성및설계 Po l yme r Syn t hes i s and Des i gn 3-3-0
3-2
트랙기본 E P A 40032 기능성고분자 Func t i ona l Po l yme r 3-3-0
트랙심화 E P A 00009 기술개발창업론 Founda t i on f r om Resea r ch Deve l opmen t 2-2-0
트랙심화 E P A 00007 기능성고분자윤강 2 Co l l oqu i um f o r Func t i ona l Po l yme r 2 1-1-0
3- 트랙심화 EZ A 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 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트랙기본 E P A 40013 고분자물성 Po l yme r P r ope r t i es 3-3-0
4-1
트랙심화 E G A 00011 고분자재료 Po l yme r Ma t e r i a l s 3-3-0
4-1,2 트랙심화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61 (24 )

경상대학교 361
2020학년도 교육과정

17. 생산시스템혁신 전문인력양성(산업시스템공학부 산업시스템공학전공)

□ 트랙: 생산시스템혁신 트랙

□ 세부트랙: 생산시스템혁신 전문인력양성 트랙(2010)

□ 개요
- 생산시스템 혁신 트랙은 제조업의 생산/품질 시스템 설계 및 운영기술을 이용하여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산업공학의 제기법을 활용하여
기술 ․ 지식 집약형 제조 환경에 적합한 생산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을 주도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대기업 및 중견, 중소기업 등 제조업 전반의 생산/품질 시스템 설계 및 운영기술 전문가로 진출

□ 이수원칙
- 2학년 1학기에 모든 학생이 트랙을 선택하도록 한다.
- 트랙기본(58학점) 모두 이수
- 트랙심화 13과목 중 4과목 선택이수(42학점 중 12학점)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기본 E I A 00013 창의적공학설계 ( 어드벤처디자인 ) C rea t i ve Eng i nee r i ng Des i gn(Adven tu re Des i gn) 3­3­0
트랙기본 E I A 00103 비쥬얼프로그래밍 V i sua l P r og r amm i ng 3-3-0
트랙기본 E I A20001 경제성공학 Eng i nee r i ng Economy 3-3-0
2-1 트랙기본 E I A00110 기계제도 Mechan i ca l D r aw i ng 2-2-0
트랙기본 E I A30037 인터넷기술응용 1 I n t e r ne t Techno l ogy App l i ca t i on1 3-3-0
트랙심화 E I A00111 기계제도실습 P r ac t i ce o f Mechan i ca l D r aw i ng 1-0-2
트랙기본 E I A00102 산업통계 2 I ndus t r i a l S t a t i s t i cs2 3-3-0
트랙기본 E I A00108 기계공작법 Manu f ac t u r i ng Eng i nee r i ng 3-3-0
트랙기본 E I A40011 산업정보시스템 I ndus t r i a l I n f o r ma t i on Sys t em 3-3-0
2-2
트랙기본 E I A00010 작업분석및설계 Wo r k Ana l ys i s and Des i gn 3-2-2
트랙기본 E I A20025 경영과학과컴퓨터 Managemen t Sc i ence w i t h Compu t e r 3-3-0
트랙심화 E I A00014 기계공작법실습 (어드벤처디자인 ) Pract iceof Manufactur ingEngineer ing(AdventureDesign) 1-0-2
트랙기본 E I A30023 경영과학 1 Managemen t Sc i ence1 3-3-0
트랙기본 E I A40029 객체지향기술 Ob j ec t O r i en t ed Techno l ogy 3-3-0
트랙기본 E I A00001 데이터베이스처리 Da t abase P r ocess i ng 3-3-0
트랙기본 E I A30026 품질경영 Qua l i t y Managemen t 3-3-0
3-1
트랙기본 E I A00011 공장자동화 Fac t o r y Au t oma t i on 3-3-0
트랙심화 E I A00015 경영과학 1실습 P r ac t i ce o f Managemen t Sc i ence1 1-0-1
트랙심화 E I A40002 인간공학 Human Fac t o r s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 I A30009 CAD/CAM CAD/CAM 3-3-0
3-2 트랙기본 E I A30031 생산체계설계 P r oduc t i on Sys t em Des i gn 3-3-0

36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E I A00099 시스템분석및설계 Sys t em Ana l ys i s and Des i gn 3-3-0
트랙기본 E I A30028 품질공학 Qua l i t y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 I A30024 경영과학 2 Managemen t Sc i ence2 3-3-0
트랙심화 E I A40023 프로젝트관리론 P r o j ec t Managemen t 3-3-0
트랙심화 E I A30008 실험계획법 Des i gn o f Expe r i men t s 3-3-0
트랙심화 E I A30038 데이터분석및의사결정 Da t a Ana l ys i s and Dec i s i on Mak i ng 3-3-0
트랙심화 E I A00007 제품설계및개발 P r oduc t Deve l opmen t and Des i gn 3-3-0
트랙기본 E I A40036 기술경영 Techno l ogy Managemen t 3-3-0
트랙심화 E I A40034 신뢰성공학 Re l i ab i l i t y Eng i nee r i ng 3-3-0
4-1 트랙심화 E I A40012 컴퓨터시뮬레이션 Compu t e r S i mu l a t i on 3-2-2
트랙심화 E I A00008 전사적자원관리 En t e r p r i se Resou r ce P l ann i ng Sys t em 3-3-0
트랙심화 E I A40037 6시그마경영혁신 S i x S i gma Managemen t I nnova t i on 3-3-0
트랙기본 E I A40098 종합설계및제작 Eng i nee r i ng Des i gn P r o j ec t 2-2-0
4-2 트랙심화 E I A40007 원가공학 Cos t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 I A40006 설비관리 Fac i l i t i es P l ann i ng and Con t r o l 3-3-0
계 100

경상대학교 363
2020학년도 교육과정

18. 디스플레이 전문인력양성(반도체공학과)

□ 트랙: 디스플레이 트랙

□ 세부트랙: 디스플레이 전문인력양성 트랙(2010)

□ 개요
- 디스플레이 전문인력양성 트랙에서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수요를 반영하는 수요지향적 교육
과정을 구축하고, 디스플레이 산업분야에서 현장실무형 전문인력을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디스플레이분야는 우리나라가 기술경쟁력 우위에 있으며 고부가 가치 창출을 확실하게
이끌 수 있는 산업이고, 경상대학교에 지리적으로 근접한 지역에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부품, 소자 생산업체가 소재해 있어, 디스플레이산업에 필요한 인력을 공급하고 또한
취업률을 제고할 수 있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설계 및 공정 관련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과목을 모두 이수해야 함
- 15주 이상의 캡스톤 과제를 수행해야 함
- 트랙심화 과목은 13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기본 E S A 00010 어드벤처디자인 Adven t u r e Des i gn 2-2-0
트랙기본 E S A 30001 물리전자 1 Phys i ca l E l ec t r on i cs 1 3-3-0
2-1
트랙기본 E L A 20011 회로해석론 1 E l ec t r i c C i r cu i t Ana l ys i s 1 3-3-0
트랙기본 E S A 30002 물리전자 2 Phys i ca l E l ec t r on i cs 2 3-3-0
2-2
트랙기본 E L A 20012 회로해석론 2 E l ec t r i c C i r cu i t Ana l ys i s 2 3-3-0
트랙기본 E S A 20004 반도체소자 Sem i conduc t o r Dev i ces 3-3-0
3-1 트랙기본 E S A 30083 전자회로실험 1 E l ec t r on i c C i r cu i t s Lab . 1 2-0-4
트랙기본 E S A 30009 디지털논리회로 D i g i t a l Log i c C i r cu i t 3-3-0
트랙기본 E S A 30016 반도체소자설계 Sem i conduc t o r Dev i ces Des i gn 3-3-0
트랙기본 E S A 30013 전자회로 2 E l ec t r on i c C i r cu i t s 2 3-3-0
트랙기본 E S A 30081 전자회로실험 2 E l ec t r on i c C i r cu i t s Lab . 2 2-0-4
3-2
트랙기본 E S A 00001 디지털시스템설계 D i g i t a l Sys t em Des i gn 3-3-0
트랙심화 E S A 00011 디스플레이공학 1 D i sp l ay Eng i nee r i ng 1 3-3-0
트랙심화 E S A 30019 디스플레이제조공정 Fab r i ca t i on P r ocess o f D i sp l ay Dev i ces 3-3-0
트랙심화 E S A 00003 캡스톤디자인 1 Caps t one Des i gn 1 3-3-0
트랙심화 E S A 40001 집적회로설계 I n t eg r a t ed C i r cu i t Des i gn 3-3-0
4-1
트랙심화 ESA00018 차세대디스플레이챌린지 PBL Nex t Gene r a t i on D i sp l ay Cha l l enge PBL 3-3-0
트랙심화 E S A 40020 디스플레이제조실험 Fab r i ca t i on Lab . f o r D i sp l ay Dev i ces 2-0-4
트랙심화 E S A 40018 박막소자 Th i n F i l m Dev i ces 3-3-0
4-2 트랙심화 E S A 00004 캡스톤디자인 2 Caps t one Des i gn 2 3-3-0
트랙심화 E F A 40071 센서공학 Senso r Eng i nee r i ng 3-3-0
계 59

36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19.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전문인력양성(전기공학과)

□ 트랙: 신재생에너지시스템 트랙

□ 세부트랙: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전문인력양성 트랙(2010)

□ 개요
- 삼천포화력발전소, 하동화력발전소, 산청양수발전소 등이 밀집해 있는 서부 경남은 국내
에너지 산업의 중심이 되고 있다. 본 트랙에서는 신재생에너지시스템분야 특화교육을 통하여
대학의 취업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양질의 인력을 신재생에너지시스템 회사에 공급함으로써
기업의 사원 재교육 경비절감 및 경쟁력 제고에 일조하고자 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한국전력공사, 전기안전공사, 기술직 공무원 등 공기업
- 한국수력원자력, 남부발전, 남동발전 등 발전회사
- 효성중공업, 유니슨 등 전기장비회사
-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삼성반도체, LS산전 등 각종 전기전자 관련회사

□ 이수원칙
- 트랙기본 모두 이수, 트랙심화 중 15학점 이상 이수
- 비교과영역 조건 만족
․ 봉사활동: 2회 이상 참여
․ 세미나: 2회 이상 참석
- 졸업 시점에서의 평점 3.5 이상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E L A 00015 전기전자실험 1 E l ec t r i c Lab . 1 2-0-2
트랙기본 E L A 20007 전자공학 1 E l ec t r on i c Eng i nee r i ng 1 3-3-0
2-1
트랙기본 E L A 20011 회로해석론 1 E l ec t r i c C i r cu i t Ana l ys i s 1 3-3-0
트랙기본 E L A 20013 전자기이론 1 E l ec t r omagne t i cs 1 3-3-0
트랙기본 E L A 00016 전기전자실험 2 E l ec t r i c Lab . 2 2-0-2
트랙기본 E L A 20008 전자공학 2 E l ec t r on i c Eng i nee r i ng 2 3-3-0
2-2
트랙기본 E L A 20012 회로해석론 2 E l ec t r i c C i r cu i t Ana l ys i s 2 3-3-0
트랙기본 E L A 20014 전자기이론 2 E l ec t r omagne t i cs 2 3-3-0
3-1 트랙심화 E L A 30003 전기물성 E l ec t r i c P r ope r t i es 3-3-0
트랙심화 E L A 30016 전기기기 2 E l ec t r i c Mach i ne r y 2 3-3-0
3-2 트랙심화 E L A 30019 전력시스템공학 2 Powe r Sys t em Eng i nee r i ng 2 3-3-0
트랙심화 E L A 40006 전력전자공학 Powe r E l ec t r on i cs 3-3-0
트랙심화 E L A 40002 발전공학 E l ec t r i c Powe r Gene r a t i on Eng i nee r i ng 3-3-0
4-1 트랙심화 E L A 00017 회로망및선형시스템 C i r cu i t and L i nea r Sys t ems 3-0-3
트랙심화 E L A 00005 전자장이론 E l ec t r omagne t i c F i e l d Theo r y 2-2-0
트랙심화 E L A 00101 센서네트워크공학 Senso r Ne t wo r k Eng i nee r i ng 3-3-0
4-2 트랙심화 E L A 00020 신재생에너지공학 Renewab l e Ene r gy Sys t ems 3-3-0
트랙심화 E L A 00003 에너지변환공학 E l ec t r omechan i ca l Ene r gy Conve r s i on 3-3-0
4- 트랙심화 EZ A 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 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계 51 (9 )

경상대학교 365
2020학년도 교육과정

20. 항공전자 전문인력양성(전자공학과)

□ 트랙: 항공전자 트랙

□ 세부트랙: 항공전자 전문인력양성 트랙(2011)

□ 개요
- 항공산업이 경상남도의 전략 산업이며, 경남이 항공생산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항
공산업 분야에서 전자관련 분야 비중이 상승함에 따라 본 학과에서는 지역출신 항공전자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이에 산업체에 공급하고자 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항공 관련 업체 또는 방산업체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과목 모두 이수
- 트랙심화 교과목 30학점 이상 이수
- 4년 평균평점 3.5 이상
- 영어성적은 TOEIC 700점 이상 또는 이에 상응하는 TOEFL, TEPS 성적 취득
- 현장실습 3학점 이상 이수
- 종합설계과목 이수
- OA과정 자격증 1개 이상 취득
- 위 이수원칙은 2016년 8월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EE A 00017 기초전자공학실험 Bas i c E l ec t r on i c Eng i nee r i ng Expe r i men t s 2-0-2
2-1 트랙기본 E L A 20011 회로해석론 1 E l ec t r i c C i r cu i t Ana l ys i s 1 3-3-0
트랙기본 E L A 20013 전자기이론 1 E l ec t r omagne t i cs 1 3-3-0
트랙기본 EE A 00018 전자회로실험 E l ec t r on i c C i r cu i t Lab . 2-0-2
2-2 트랙기본 E L A 20012 회로해석론 2 E l ec t r i c C i r cu i t Ana l ys i s 2 3-3-0
트랙기본 E L A 20014 전자기이론 2 E l ec t r omagne t i cs 2 3-3-0
트랙기본 EE A 00019 디지털시스템설계및실습 D i g i t a l Sys t em Des i gn and Expe r i men t s 2-0-2
트랙심화 EE A 30015 전자장및안테나공학 E l ec t r omagne t i c F i e l ds & An t enna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E A 30062 컴퓨터구조 Compu t e r A r ch i t ec t u r e 3-3-0
3-1
트랙심화 EE A 00020 통신시스템설계및실습 Commun i ca t i on Sys t em Des i gn and Expe r i men t s 2-0-2
트랙심화 EE A 30022 전자회로 E l ec t r on i c C i r cu i t 3-3-0
트래심화 EE A 30077 신호및시스템 S i gna l and Sys t ems 3-3-0
트랙심화 EE A 30058 통신시스템 Commun i ca t i on Sys t ems 3-3-0
트랙심화 EE A 30076 신호처리 S i gna l P r ocess i ng 3-3-0
트랙심화 EE A 30078 전자회로응용 E l ec t r on i c C i r cu i t App l i ed 3-3-0
3-2 트랙심화 EE A 40015 디지털집적회로설계 Des i gn o f D i g i t a l I n t eg r a t ed C i r cu i t s 3-3-0
트랙심화 EE A 40065 마이크로프로세서 M i c r op r ocesso r s 3-3-0
트랙기본 EE A 40018 항공전자공학 I n t r oduc t i on t o Av i on i cs 3-3-0

36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EE A 00003 종합설계 1 Caps t one Des i gn 1 2-2-0
트랙심화 EE A 30023 레이더공학 Rada r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EE A 40017 멀티미디어공학 Mu l t i med i a Eng i nee r i ng 3-3-0
4-1
트랙심화 EE A 40057 디지털통신 D i g i t a l Commun i ca t i ons 3-3-0
트랙심화 EE A 30059 아날로그집적회로설계 Des i gn o f Ana l og I n t eg r a t ed C i r cu i t s 3-3-0
트랙심화 EE A 00021 마이크로프로세서실험 M i c r op r ocesso r Expe r i men t s 2-0-2
트랙심화 EE A 00011 초고주파시스템 RF/M i c r owave Sys t em 3-3-0
4-2
트랙심화 EE A 00009 데이터통신 Da t a Commun i ca t i ons 3-3-0
4- 트랙심화 EZ A 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 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4-1 , 2 트랙심화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72 (24 )

경상대학교 367
2020학년도 교육과정

21. 메카트로닉스 전문인력양성(제어계측공학과)

□ 트랙: 메카트로닉스 트랙

□ 세부트랙: 메카트로닉스 전문인력양성 트랙(2010)

□ 개요
- 본 트랙에서는 메카트로닉스 산업분야의 전문 인력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산업체의
수요를 상시 반영하는 수요지향적 교육과정을 구축하고 현장중심지향적인 실무경험과 국제
경쟁력을 지닌 메카트로닉스 전문인력을 양성함에 있다. 메카트로닉스 산업분야는 전체
산업의 근간이 되는 매우 중요한 산업분야이며, 특히 본 대학이 위치한 경남지역은 메카트로닉스
산업분야가 지역전략산업으로 지정되어 있다. 디지털카메라, 정보가전, 항공기, 자동화
장비업체 등이 다수 분포되어 있어 기반기술인 메카트로닉스 분야의 인력수요가 매우
많아 필요한 인력을 공급할 수 있어 취업률을 제고 할 수 있다.

□ 배출인력의 진로
- 한국전력공사 및 발전소(한국남동발전 외 5개 발전소), 한국수자원공사 등 공기업, 국-공립
연구소
- 삼성전자, 삼성중공업, 삼성테크윈, LG전자, LG이노텍, 효성,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현대
중공업, 현대위아, 현대로템, 두산중공업, 포스코ICT, 대우조선해양 등 대기업
- 제어시스템분야, 로봇분야, 그린에너지분야 우수 중견기업 및 중소기업
- 벤처기업 설립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과목 모두 이수
- 제어계측종합설계1 혹은 2를 포함하여 최소 4학점 이수
- 졸업작품
- 학생포트폴리오경진대회 혹은 작품(졸작)전시회의 교내외 참가
- 심화프로그램 이수(2015학번까지만 적용)
- 졸업시점에서의 평점 3.5이상
- 현장실습(견학) 1회 이상 참석
- 전문가초청세미나 1회 이상 참석
※ 위 이수원칙은 2017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기본 Z G A 30001 공학프로그래밍언어 Eng i nee r i ng P r og r amm i ng Language 3-3-0
트랙기본 E F A 00004 전기회로 1 E l ec t r i ca l C i r cu i t Theo r y 1 3-3-0
2-1
트랙기본 E L A 20013 전자기이론 1 E l ec t r omagne t i cs 1 3-3-0
트랙기본 E F A 00005 전기회로 2 E l ec t r i ca l C i r cu i t Theo r y 2 3-3-0
2-2 트랙기본 E L A 20014 전자기이론 2 E l ec t r omagne t i cs 2 3-3-0
트랙기본 E F A 30000 전자회로공학 1 E l ec t r on i c C i r cu i t s 1 3-3-0
3-1 트랙기본 E F A 30035 디지털논리회로 D i g i t a l Log i c C i r cu i t 3-3-0

36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E F A 30024 제어공학 2 Con t r o l Eng i nee r i ng 2 3-3-0
3-2
트랙기본 E F A 30074 디지털회로설계 D i g i t a l C i r cu i t Des i gn 2-0-4
트랙기본 E F A 40064 디지털제어공학 D i g i t a l Con t r o l Eng i nee r i ng 3-3-0
트랙기본 E F A 40077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설계 M i c r op r ocesso r App l i ca t i on Sys t em Des i gn 2-0-4
트랙기본 E F A 40078 자동화시스템설계 Au t oma t i c Sys t em Des i gn 2-0-4
트랙심화 E F A 40001 로봇공학 Robo t i cs 3-3-0
4-1
트랙심화 E F A 40054 전동기제어 E l ec t r i c Mo t o r Con t r o l 3-3-0
트랙심화 E F A 40053 내장형시스템 Embedded Sys t em 3-3-0
트랙심화 E F A 40062 전력전자 Powe r E l ec t r on i cs 3-3-0
트랙심화 E F A 00008 제어계측종합설계 1 Con t r o l & I ns t r ume t a t i on Caps t one Des i gn 1 2-2-0
트랙심화 E F A 40002 메카트로닉스응용설계 Mecha t r on i cs App l i ca t i on Des i gn 3-3-0
트랙심화 E F A 00013 스마트에너지공학 Sma r t Ene r gy Con t r o l 3-3-0
4-2
트랙심화 E F A 00009 시스템 시뮬레이션 Sys t em S i mu l a t i on 3-3-0
트랙심화 E F A 00002 제어계측종합설계 2 Con t r o l & I ns t r umen t a t i on Caps t one Des i gn 2 2-2-0
4-1,2 트랙심화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3 , 4- 트랙심화 EZ A 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 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계 58 (24 )

경상대학교 369
2020학년도 교육과정

22. 화학공정설계 전문인력양성(화학공학과)


□ 트랙: 화학공정설계 트랙
□ 세부트랙: 화학공정설계 전문인력양성 트랙(2010)
□ 개요
- 국내 엔지니어링 회사들이 화학플랜트 수주 실적이 급신장하여 설계전문 엔지니어에 대한
수요급증
- 인근의 울산, 여천 등지에 위치한 대규모 화학 회사들은 공장 운영과 관련된 공정설계 전문
인력을 원하고 있으나 서울지역 인력들은 지방근무를 기피하고 있어 전문 인력을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 본 트랙에서는 지역출신 고급 공정설계인력을 양성하여 이들 산업체에
공급함으로써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석유화학 및 고분자, 식품, 화장품, 제약분야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의 IT분야와 자동차 소재 관련 분야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
- 가스안전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발전소 및 그 외 엔지니어링 회사

□ 이수원칙
- 트랙기본 모두 이수, 트랙심화 교과목 18학점 이상 이수
- 화학산업관련 업체에서 현장실습 3학점 이상 이수
※ 위 이수원칙은 2020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심화 EZ A 20070 창의적공학설계 C r ea t i ve Eng i nee r i ng Des i gn 2-2-0
트랙기본 E H A 20005 화공양론 1 Chem i ca l P r ocess Ca l cu l a t i ons 1 3­3­0

트랙기본 E H A 20007 화공물리화학 1 Phys i ca l Chem i s t r y 1 3­3­0

2-1 트랙심화 E H A 20095 화공기초실험 1 Fundamenta l Exper iments for Chem i ca l Eng inee rs 1 2­0­4

트랙심화 E P A 20011 공업유기화학 1 I ndus t r i a l O r gan i c Chem i s t r y 1 3­3­0

트랙심화 EZ A 20001 공학수학 1 Eng i nee r i ng Ma t hema t i cs 1 3­3­0


2-2 트랙기본 E H A 00001 화공양론 2 I n t r oduc t i on t o Chem i ca l P r ocess 2 3­3­0

트랙심화 E H A 30001 반응공학 1 Chem i ca l Reac t i on Eng i nee r i ng 1 3­3­0

트랙기본 E H A 30003 화학공정제어 1 P r ocess Con t r o l 1 3­3­0

2-2 트랙기본 E H A 30005 화공열역학 1 Chem i ca l Eng i nee r i ng The r modynam i cs 1 3­3­0

트랙기본 E H A 30006 화공유체역학 F l u i d Dynam i cs f o r Chem i ca l Eng i nee r s 3­3­0

트랙심화 E H A 30095 화공현상실험 1 Eng inee r ing Exper iments for Chem i ca l Phenomena 1 2­0­4

트랙기본 E H A 30008 열및물질전달 Hea t and Mass T r ans f e r 3­3­0

3-2 트랙기본 E H A 30024 반응공학 2 Chem i ca l Reac t i on Eng i nee r i ng 2 3­3­0

트랙심화 E H A 30026 화학공정제어 2 P r ocess Con t r o l 2 3­3­0

37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E H A 30028 화공열역학 2 Chem i ca l Eng i nee r i ng The r modynam i cs 2 3­3­0
트랙기본 E H A 20004 분리공정 Sepa r a t i on P r ocesses 3­3­0
트랙기본 E H A 40023 화학공장설계 Chem i ca l P l an t Des i gn 3­3­0
4-1
트랙심화 E H A 40030 화공안전공학 Chem i ca l Sa f e t y Eng i nee r i ng 3­3­0
트랙기본 E H A 00007 창의적화학공학종합설계 1 Chem i ca l Eng i nee r i ng Caps t one Des i gn 1 3­3­0
4-2 트랙심화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2,3,4 트랙심화 EZ A 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 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계 57 (24 )

경상대학교 371
2020학년도 교육과정

23. 국제농업개발 전문인력양성(식품자원경제학과)

□ 트랙: 식품자원경제 트랙

□ 세부트랙: 국제농업개발 전문인력양성 트랙(2013)

□ 개요
- 최근 농업을 중심으로 한 국제개발 및 지원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어 해당 분야에 인력 양
성이 필요하지만 적절한 교육과정이 없는 상황
․ 우리나라가 회원국으로 있는 OECD에서도 매년 GDP의 일정 비율 이상을 개도국 지원
금액으로 사용하도록 요구하고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KOICA에서 이 업무를 주관하고
있으나 적합한 인력을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또한, 국민은행, 농촌진흥청, 농어촌공사 등도 별도의 개도국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기술적 지원에 그치는 경우가 많고 현지 농가들의 수익성 개선 등에 대한 지원
은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FAO와 같은 국제기구들도 중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지원과 사업 수행
에 필요한 인력이 필요하지만 적절한 인력을 구하지 못하고 있음. 이에 따라서 국제농
업개발과 관련된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할 필요가 있음

□ 배출인력의 진로
- 농어촌공사 및 농촌진흥청 해외농업 개발 분야
- FAO한국 혹은 아시아 지부
- KOICA 해외농업개발 사업
- 국제농업개발과 관련된 분야 취업 및 관련 자격증 취득

□ 이수원칙
- 트랙기본 모두이수, 트랙심화 12학점 이상 총 30학점 이상 이수
- 취업 포트폴리오 작성
- 트랙 진입이후 졸업 시 까지 정규어학 점수 1회 제출
- 영어 이외의 제2외국어 습득(권장)
- 개도국 가운데 1개국 선정하여 식품자원경제 분야 보고서 제출(권장)
- 해외 인턴, 해외 자원봉사, 교환학생 등 참여(권장)
- 위 이수원칙은 2020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심화 A S A 00005 식품자원경제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Food and Resou r ce Econom i cs 3-3-0
트랙기본 A S A 00001 식품자원경제수리기초 Ma thema t i ca l Bas i cs fo r Food and Resou rce Econom i cs 3-3-0
2-1
트랙기본 A S A 20015 농업경영학 Fa r m Managemen t 3-3-0
트랙기본 A S A 20016 농업생산경제학 Ag r i cu l t u r a l P r oduc t i on Econom i cs 3-3-0
2-2
트랙심화 A S A 20055 식량경제론 Food Econom i cs 3-3-0

37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트랙심화 A S A 00006 식품자원후생분석론 We l fa re econom i cs fo r Food and Resou rce Econom i cs 3-3-0
3 , 4- 트랙심화 EZ A 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
계 트랙심화 EZ A 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3,4-1,2 트랙심화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기본 A S A 00008 농식품가격론 Ag r o/ f ood P r i ce Theo r y 3-3-0
트랙심화 A S A 00007 식품자원계량분석론 Econome t r i cs f o r Food and Resou r ce Econom i cs 3-3-0
3-1
트랙심화 A S A 30054 자원경제학 Resou r ce Econom i cs 3-3-0
트랙심화 A S A 30068 농산물무역론 Theo r y o f Ag r i cu l t u r a l T r ade 3-3-0
트랙기본 A S A 30029 농식품유통론 Ag r o/ f ood Ma r ke t i ng 3-3-0
3-2
트랙심화 A S A 30025 농업발전론 Ag r i cu l t u r a l Deve l opmen t Econom i cs 3-3-0
트랙기본 A S A 40050 농업정책론 Ag r i cu l t u r a l Po l i cy 3-3-0
4-1
트랙심화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농식품경제콘텐츠디자인 Con t en t s Des i gn on Ag r o-Food I ssues
트랙심화 A S A 00105 3-3-0
4-2 (종합설계 )
트랙심화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42 (54 )

경상대학교 373
2020학년도 교육과정

24. 스마트융복합 농산업비즈니스 전문인력양성(식품자원경제학과)

□ 트랙: 식품자원경제 심화트랙

□ 세부트랙: 스마트융복합 농산업비즈니스 전문인력양성(2020)

□ 개요
- 본 트랙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춰서 빅데이터 활용과 스마트 융복합 농산업 비즈니
스 전문 인력양성을 위함에 있다. 식품자원경제 분야(스마트팜, 식품산업, 농업환경·생
태) 빅데이터를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신속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역량을 배양하고, 각자의 특성화 분야에서 취·창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 배출인력의 진로
- 대학원, 금융기관, 공사, 공무원, 식품 관련 기관 등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지도
· 금융기관 관련 자격증(AFPK, 자산관리사, 금융분석사 등)
· 식품유통 관련 자격증(유통관리사, 농산물품질관리사 등)
- 비즈니스 마인드가 높거나 창의성이 뛰어난 학생 등을 분류하여 일찍부터 자신이 가지
고 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도
· 농업 및 일반 창업, 식품자원 및 유통 분야 취업

□ 이수원칙
- 트랙기본 모두 이수, 트랙심화 12학점 총 30학점 이상 이수
- 트랙 진입이후 졸업 시 까지 정규어학점수 점수 1회 제출
- 현장실습(견학) 1회 이상 참석
- 전문가초청세미나 1회 이상 참석
- 식품자원경제 분야 Job Searching Project 결과물 제출 (권장)
- 취업 포트폴리오 작성(권장)
- 대학생 논문경진대회 참여(권장)
- 위 이수원칙은 2020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심화 A S A 00005 식품자원경제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Food and Resou r ce Econom i cs 3-3-0
1-1
트랙심화 A S A 00016 식품자원경제탐구 PBL Exp l o r i ng Food and Resou rce Econom i cs based on PBL 3-3-0
1-2 트랙심화 A S A 00098 식품자원경제통계학개론 S t a t i s t i cs f o r Food and Resou r ce Econom i cs 3-3-0
트랙기본 A S A 00001 식품자원경제수리기초 Ma thema t i ca l Bas i cs fo r Food and Resou rce Econom i cs 3-3-0
2-1 트랙기본 A S A 20015 농업경영학 Fa r m Managemen t 3-3-0
트랙심화 A S A 20095 농업회계학 Fa r m Accoun t i ng 3-3-0
트랙기본 A S A 20016 농업생산경제학 Ag r i cu l t u r a l P r oduc t i on Econom i cs 3-3-0
2-2
트랙심화 A S A 00014 식품경제데이터분석기초 I n t roduc t i on t o Da t a Ana l y t i cs fo r Food Econom i cs 3-3-0

37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트랙심화 S E A 20003 거시경제학 Mac r oeconom i c Theo r y 3-3-0


3 , 4- 트랙심화 EZ A 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
계 트랙심화 EZ A 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3,4-1,2 트랙심화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기본 A S A 00008 농식품가격론 Ag r o/ f ood P r i ce Theo r y 3-3-0
3-1 트랙기본 A S A 00013 식품산업경영경제론 Manage r i a l Econom i cs f o r Food I ndus t r y 3-3-0
트랙심화 A S A 00007 식품자원계량분석론 Econome t r i cs f o r Food and Resou r ce Econom i cs 3-3-0
트랙기본 A S A 30029 농식품유통론 Ag r o/ f ood Ma r ke t i ng 3-3-0
트랙심화 A S A 00009 농업재무관리 F i nanc i a l Managemen t i n Ag r i cu l t u r e 3-3-0
3-2
트랙심화 A S A 00017 농식품경영컨설팅 Ag r i - f ood Managemen t Consu l t i ng 3-3-0
트랙심화 A S A 00099 환경경제학 Env i r onmen t a l Econom i cs 3-3-0
트랙심화 A S A 30062 농식품산업경제분석 PBL PBL o f Ag r i - f ood I ndus t y Econom i c Ana l ys i s 3-3-0
4-1 트랙심화 A S A 40050 농업정책론 Ag r i cu l t u r a l Po l i cy 3-3-0
트랙심화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심화 A S A 00011 애그리비즈니스경영계획론 Theo r y o f Ag r i bus i ness Managemen t P l ann i ng 3-3-0
4-2 트랙심화 A S A 00105 농식품경제콘텐츠디자인 Con t en t s Des i gn on Ag r o-Food I ssues 3-3-0
(종합설계 )
트랙심화 EZ A 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트랙기본 18 트랙심화 42 (54 ) 60 (54 )

경상대학교 375
2020학년도 교육과정

25. 그린케어LOHAS 전문인력양성(환경산림과학부)

□ 트랙: 그린케어 트랙

□ 세부트랙: 그린케어LOHAS 전문인력양성 트랙(2017)

□ 개요
- 그린케어LOHAS트랙 교육과정은 중산간지역(농업 및 임·산업공존지역) 융복합산업 개
발분야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중산간 관련 미래그린산업 전문인력양
성을 목표로 하며,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미래그린AF개론, 미래그린AF세미나,
미래그린AF워크숍, 미래그린AF종합실습 및 미래그린AF융복합설계를 중심으로하여 환
경재료과학, 산림환경자원학, 생물산업기계공학, 지역환경기반공학 관련 과목을 트랙기
본, 트랙심화, 전공기본과목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관련 분야에 대한 기본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배출인력의 진로
- 국립산림과학원, 농촌진흥청, 농업연구직, 도 농업기술원, 농촌지도직, 농업생명기관 및
지방직 공무원 진출 및 대학원 진학
- 환경에너지(기후변화 전문가, 지역재생 연구원, 재생에너지 전문가 등), 문화예술(공정
무역 전문가, 전통공예 전문가, 지역사회예술 기획자 등), 농업·농촌지원 서비스(귀농귀
촌 플래너, 생태건축 전문가, 생태어메니티 전문가 등), ICT융복합(정밀농업기술자, 환
경에너지제어관리 전문가, 스마트농업 전문가 등), 1차 농산업(도시농업 컨설턴트, 농작
업 안전관리사 등), 6차 산업화(농촌체험 해설사, 농촌 교육농장 플래너, 마을기업 운영
자 등)의 다양한 분야에 진출

□ 이수원칙
- 트랙기본과목 모두 이수
- 트랙심화과목 최소 24학점 이상 이수. 단, 정보통계학및실습(4학점), 기초공학제도및실
습(3학점) 중 1과목 이상 필수 이수
- 환경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과(전공) 및 산림환경자원학과(전공), 애그로시스템공학부
생물산업기계공학과(전공) 및 지역환경기반공학과(전공) 신청 및 이수 가능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XFA00001 미래그린 AF개론 Introduction of Agriculture & Forestry Green Technology 3-3-0
1-1 트랙심화 ZGA30016 정보통계학 Information and Statistics 3-3-0
트랙심화 ZGA30017 정보통계학실습 Information and Statistics Practice 1-0-2
1-2 트랙심화 AMA00010 기초공학제도및실습 Fundamental Engineering Drafting and Practice 3-2-1
트랙심화 AFA20012 산림지리정보학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Forestry 2-2-0
트랙심화 AFA20081 산림지리정보학실습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pplications in Forestry 1-0-2
2-1
트랙심화 AMA00013 캐드 &그래픽 1 CAD & Graphics 1 3-0-3
트랙심화 AWA20032 산림화학 Wood chemistry 2-2-0

37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심화 AWA00009 산림화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Wood chemistry Lab. and Adventure Design 1-0-2
트랙심화 AFA20002 산림보호학 Forest Protection 3-3-0
트랙심화 AFA20005 산림식물학 Forest Botany 2-2-0
트랙심화 AFA20076 산림식물학실습 Forest Botany Practice 1-0-2
트랙심화 AWA20035 가구재료및표현 Furniture materinal & expression 2-2-0
트랙심화 AWA20078 가구재료및표현실습 Funiture material & expression practice 1-0-2
트랙심화 AWA20028 목재조직학 Wood Anatomy 2-2-0
트랙심화 AWA20075 목재조직학실험 Wood Anatomy Lab. 1-0-2
트랙심화 AEA20024 정역학 Statics 3-3-0
트랙기본 XFA00002 미래그린 AF세미나 Seminar of Agriculture & Forestry Green Technology Development 3-3-0
트랙심화 AEA00104 작물재배환경 Cropping Cultivation Environment 3-3-0
2-2 트랙심화 AFA20004 조경계획학 Landscape Planning 3-3-0
트랙심화 AMA20083 생물산업전기공학및실습 Bio/Industry Electronic Engineering And Practice Dynamics 3-2-2
트랙심화 AEA00021 농업수문학및연습 Agricultural Hydrology & Exercise 3-2-1
트랙심화 AFA30005 산림휴양학 Forest Recreation 2-2-0
트랙심화 AFA00004 산림휴양학실습 Forest Recreation Practice 1-0-1
트랙심화 AWA30039 목질복합재료학 Wood based composite materials 2-2-0
트랙심화 AWA30076 목질복합재료학실험 Wood based composite materials Lab. 1-0-2
트랙심화 AMA00006 작업기계공학및실습 Field Machinery Engineering Practice 3-2-2
트랙심화 AFA30004 산림환경보전공학 Forest Environment Conservation 2-2-0
3-1 트랙심화 AFA30080 산림환경보전공학실습 Forest Environment Conservation Practice 1-0-2
트랙심화 AFA30002 산림자원경영학 Forest Resources Management 2-2-0
트랙심화 AFA30078 산림자원경영학실습 Forest Resources Management Practice 1-0-2
트랙심화 AWA10034 가구디자인 Furniture Design 2-2-0
트랙심화 AWA10091 가구디자인실습 Furniture Design Practice 1-0-2
트랙심화 AEA90017 농촌계획학 Rural Planning 3-3-0
트랙심화 AMA30001 농업동력및실습 Agricultural Power & Practice 3-2-2
트랙기본 XFA00005 미래그린 AF융복합종합설계 Multidisciplinary practice design of Agricultural & Forestry Green Technology 3-3-0
트랙심화 AEA40064 농촌관광학 Rural Tourism 3-3-0
트랙심화 AMA30079 응용계측및실험 Applied Measurement Systems And Practice 3-2-2
트랙심화 AWA30042 목재보존학 wood preservation 2-2-0
트랙심화 AWA30080 목재보존학실험 wood preservation Lab. 1-0-2
3-2
트랙심화 AWA10017 목재건조학 Wood Drying 2-2-0
트랙심화 AWA10075 목재건조학실험 Wood Drying Lab. 1-0-2
트랙심화 AEA00008 관개배수공학및종합설계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and Design 3-2-2
트랙심화 AMA00016 캐드 &그래픽 2 CAD & GRAPHICS 2 3-0-3
트랙심화 AMA30079 응용계측및실험 Applied Measurement Systems And Practice 3-2-2
트랙기본 XFA00006 미래그린 AF캡스톤디자인 Capstone Design of Agricultural & Forestry Green Technology 3-3-0
트랙심화 AFA20009 산림생물공학 Forest Biotechnology 2-2-0
트랙심화 AFA20079 산림생물공학실습 Forest Biotechnology & Practice 1-0-2
4-1 트랙심화 AWA40057 DIY가구와도장 DIY furniture & painting 2-2-0
트랙심화 AWA00001 DIY가구와도장실험및캡스톤디자인 DIY furniture & expression practice and Capstone Design 1-0-2
트랙심화 AMA00005 농업정보공학 Agriculture Information Engineering 3-3-0
트랙심화 AMA00003 생체시스템공학 Biosystems Engineering 3-3-0
4-2 트랙심화 AEA00014 토양환경공학 Soil environment engineering 3-3-0
계 114

경상대학교 377
2020학년도 교육과정

26. LOHAS소재개발 전문인력양성(환경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 트랙: LOHAS 트랙

□ 세부트랙: LOHAS소재개발 전문인력양성 트랙(2008)

□ 개요
- LOHAS 트랙 교육과정은 경남 LOHAS의 활성화를 위해 생태환경자원을 근간으로 하
는 지역 산업의 수요에 맞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것으로 지자체, 산업체, 연구소
및 NGO 등과 유기적인 연계를 구축하여 서부 경남 지리산 관광권 개발 및 남해안시
대 동북아 휴양⋅관광산업의 허브 구축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을 통하여
지역발전을 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제재 공업, 펄프제지공업, 합판공업, 악기제조공업, 목재가공업, 임산 개발 및 임산물 무
역 분야와 같은 목재 관련 산업 분야 진출
- 산림조합(임산물 유통센터), 전문지도원
- 산림직, 녹지직 공무원

□ 이수원칙
- 트랙제 교육과정은 78(전공)/130(졸업이수학점)으로 함
- 트랙기본 모두 이수
- 트랙심화 및 트랙심화 인정선택 과목은 최소 33학점 이상 이수
- 위 이수원칙은 2020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심화 AFA10004 산림환경자원학개론 Introduction to Forest Environment Resources 3-3-0
1-2 트랙심화 AWA00007 환경재료과학개론 Introduction t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Materials Science 3-3-0
트랙기본 AWA20032 산림화학 Wood chemistry 2-2-0
트랙기본 AWA00009 산림화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Wood chemistry Lab. and Adventure Design 1-0-2
트랙기본 AWA20028 목재조직학 Wood anatomy 2-2-0
트랙기본 AWA20075 목재조직학실험 Wood anatomy Lab. 1-0-2
2-1
트랙기본 AWA20034 가구와 CAD Furniture & CAD(Computer Aided Design) 2-2-0
트랙기본 AWA00011 가구와 CAD실습및어드벤처디자인 Furniture & CAD (Computer Aided Design) Practice and AdeventureDesign 1-0-2
트랙심화 AWA20033 기초나노공학 Principle of Nanotechnology 2-2-0
트랙심화 AWA00013 기초나노공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Principle of Nanotechnology Lab. and Adventure Design 1-0-2
트랙기본 AWA20029 목재물리학 Wood physics 2-2-0
트랙기본 AWA00008 목재물리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Wood physics Lab. and Adventure Design 1-0-2
트랙심화 AWA20026 목재분석실험 Wood Analysis & Lab. 2-0-4
2-2 트랙심화 AWA10015 분석화학 Analytical Chemistry 2-2-0
트랙심화 AWA00010 분석화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Experiments for Analytical Chemistry and Adventure Design 1-0-2
트랙심화 AWA20035 가구재료및표현 Furniture materinal & expression 2-2-0

37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심화 AWA20078 가구재료및표현실습 Funiture material & expression practice 1-0-2
트랙기본 AWA20031 목재가공학 wood process 2-2-0
트랙기본 AWA00012 목재가공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Wood process Lab. and Adventure Design 1-0-2
트랙기본 AWA10018 펄프공학 Pulp Technology 2-2-0
트랙기본 AWA10076 펄프공학실험 Pulp Technology Lab. 1-0-2
트랙기본 AWA10034 가구디자인 Furniture Design 2-2-0
트랙기본 AWA10091 가구디자인실습 Furniture Design Practice 1-0-2
트랙기본 AWA30039 목질복합재료학 Wood Based Composite Materials 2-2-0
3-1
트랙기본 AWA30076 목질복합재료학실험 Wood Based Composite Materials Lab. 1-0-2
트랙심화 AWA10014 목재재료역학 Wood Mechanics 2-2-0
트랙심화 AWA10073 목재재료역학실험 Wood Mechanics Lab. 1-0-2
트랙기본 AWA10020 특수임산학 Specific Forest Products 2-2-0
트랙기본 AWA10077 특수임산학실험 Specific Forest Products Lab. 1-0-2
트랙기본 AWA10021 제지공학 Paper Technology 2-2-0
트랙기본 AWA10078 제지공학실험 Paper Technology Lab. 1-0-2
트랙기본 AWA10017 목재건조학 Wood Drying 2-2-0
트랙기본 AWA10075 목재건조학실험 Wood Drying Lab. 1-0-2
트랙기본 AWA30040 산림바이오매스학 Wood biomass 2-2-0
3-2
트랙기본 AWA30077 산림바이오매스학실험 Wood Biomass Lab. 1-0-2
트랙기본 AWA30043 펄프제지공정론 Pulping and Papermaking Process 2-2-0
트랙기본 AWA30081 펄프제지공정론실험 Experiment for Pulping and Papermaking Process 1-0-2
트랙심화 AWA30042 목재보존학 Wood Preservation 2-2-0
트랙심화 AWA30080 목재보존학실험 Wood Preservation Lab. 1-0-2
트랙심화 AWA40057 DIY가구와도장 DIY Furniture & Painting 2-2-0
트랙심화 AWA00001 DIY가구와도장실험및캡스톤디자인 DIY Furniture & Expression Practice and Capstone Design 1-0-2
트랙심화 AWA10029 지류물성학 Properties of Paper 2-2-0
트랙심화 AWA00003 지류물성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Properties of Paper Lab. and Capstone Design 1-0-2
4-1
트랙심화 AWA40054 목재접착 Wood Adhesives 2-2-0
트랙심화 AWA00005 목재접착실험및캡스톤디자인 Wood Adhesives Lab. and Capstone Design 1-0-2
트랙기본 AWA00094 지류포장공학 Paper Packaing Technology 2-2-0
트랙기본 AWA00095 지류포장공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Experiment and capstone design for paper packaging technology 1-0-2
트랙심화 AWA10026 목질개량학 Wood Improving 2-2-0
트랙심화 AWA00002 목질개량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Wood Improving Lab. and Capstone Design 1-0-2
트랙심화 AWA10030 임산제조학 Forest Products 2-2-0
트랙심화 AWA00004 임산제조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Forest Products Lab. and Capstone Design 1-0-2
4-2 트랙기본 AWA10032 지류가공학 Paper Coating and Converting 2-2-0
트랙기본 AWA00014 지류가공학실험 Paper Coating and Converting Lab. 1-0-1
트랙심화 AWA40055 목조건축학 Wooden Construction 2-2-0
트랙심화 AWA40076 목조건축학실습 Wooden Construction Practice 1-0-2
트랙심화 EZA40071 현장실습 3 Field Training 3 (15-0-15주)
3,4- 트랙심화 EZA30071 현장실습 1 Field Training 1 (3-0-4주)
동하계
계 86 (18 )

경상대학교 379
2020학년도 교육과정

27. 원예과학 전문인력양성(농업식물과학과)

□ 트랙: 원예과학 트랙

□ 세부트랙: 원예과학 전문인력양성 트랙(2015)

□ 개요
- 원예산업은 우리나라와 경남의 가장 경쟁력 있는 생물산업(BT)의 한 분야이자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는 높은 경쟁력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대인의 식생활에 부가가치가
높은 채소와 과수의 재배, 현대인들의 생활환경 개선에 필수적인 화훼재배, 조원식물의
번식, 신품종 육성, 수확 후 품질의 유지, 식용 및 관상용 원예작물을 재배하는 시설원
예 및 조직배양, 생활원예, 장식원예, 실내원예 등 현대인들의 정서함량을 도모하기 위
한 원예산업 등이 있다. 원예과학트랙에서는 관상식물을 이용한 아름답고 쾌적한 실내
외 환경조성 및 이를 이용한 원예 전문인을 양성하고, 풍요로운 사회발전에 기여할 전
문 원예인을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원예과학트랙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자질과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의 개개인이 취업하고자 하는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강
화하기 위하여, 트랙교과목의 학점을 더 많이 부여하는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러한 트랙제 교육과정은 취업을 원하는 학생들에게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될 것이며, 원예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영농정착을 희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이론, 실
습 및 현장 능력을 강화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업협동조합, 종묘업(종묘, 농약, 비료), 농산물가공유통업, 원예시
설시공업, 원예조경업, 농장/식물원/가든센터 운영, 플로리스트, 원예치료사, 교수, 농업
직 교사, 농촌진흥청 연구직, 시군도농업기술센터 연구사 등

□ 이수원칙(2020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


- 트랙기본 교과목 26학점 모두 이수
- 트랙심화 교과목 중 43학점 이상 선택 이수
- 트랙제 교육과정 교과목 중 총 69학점 이상 이수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기본 AGA00001 식량 · 원예작물학개론 Int roduct ion to Food and Hor t icu l tura l Crop Sc ience 2-2-0
2- 트랙심화 AGA00066 농업식물과학현장실습 Ag r i cu l u t r a l P l an t Sc i ence F i e l d T r a i n i ng (3-0-4주)
동하계
트랙기본 AGA00078 원예학범론및실습 P r i nc i p l es o f Ho r t i cu l t u r e 3-2-1
트랙심화 AGA00077 조원식물학및실습 Landscape P l an t s & P r ac t i ce 3-2-1
트랙기본 AGA00005 채소원예학및실습 Vege t ab l e C r op Sc i ence & P r ac t i ce 3-2-2
2-1
트랙심화 AGA00089 식물조직배양학 P l an t T i ssue Cu l t u r e 2-2-0
트랙심화 AGA00090 식물조직배양학실험 P l an t T i ssue Cu l t u r e Lab . 1-0-2
트랙기본 AGA00079 원예작물육종학 Ho r t i cu l t u r a l C r op B r eed i ng 3-3-0
2-
트랙심화 AGA00067 창의적농생명창업론 BusinessFounding for Creat iveAgr icul tureand Li fe Science 2-2-0
하계

38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AGA00002 실험통계학및실습 S t a t i s t i cs f o r Expe r i men t a t i on & P r ac t i ce 3-2-2
트랙기본 AGA00013 조원학 Landscape A r ch i t ec t u r e 3-3-0
트랙기본 AGA00016 시설원예학및실습 P r o t ec t ed Ho r t i cu l t u r e & P r ac t i ce 3-2-2
2-2 트랙심화 AGA00014 원예작물생리학 Ho r t i cu l t u r a l C r op Phys i o l ogy 3-3-0
트랙심화 AGA00076 식물번식학및실습 P l an t P r opaga t i on & P r ac t i ce 3-2-1
트랙심화 AGA00018 화훼디자인학 F l o r a l Des i gn 2-2-0
3- 트랙심화 AGA00066 농업식물과학현장실습 Ag r i cu l t u r a l P l an t Sc i ence F i e l d T r a i n i ng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트랙기본 AGA00075 화훼원예학및실습 F l o r i cu l t u r e & P r ac t i ce 3-2-1
트랙기본 AGA00025 과수원예학및실습 F r u i t Sc i ence &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GA00026 채소작물학 Vege t ab l e C r ops 2-2-0
트랙심화 AGA00027 지피식물학 G r ound Cove r P l an t s 2-2-0
3-1
트랙심화 AGA00092 원예분자육종실험 PBL Laboratoryin Hor t icul turalMolecularBreedingbased on PBL 3-0-3
트랙심화 AGA00029 온실관리및경영학 G r eenhouse Con t r o l and Managemen t 2-2-0
트랙심화 AGA00068 연구실체험 1 P r ac t i ces Lab . i n Ho r t i cu l u r e Sc i ence 1 1-0-2
트랙심화 EZ A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3- 트랙심화 AGA00067 창의적농생명창업론 Bus i ness Found i ng f o r C r ea t i ve Ag r i cu l t u r e 2-2-0
하계 and L i f e Sc i ence
트랙심화 AGA00093 원예생명공학실험 PBL Laboratory in Hor t icul tural B iotechno logybased on PBL 3-0-3
트랙심화 AGA00036 원예작물재배학및실습 Ho r t i cu l t u r a l C r op Cu l t i va t i on &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GA00037 과수작물학및실습 F r u i t C r ops &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GA00038 식물공장론 P l an t Fac t o r y 2-2-0
3-2
트랙심화 AGA00039 원예치료학및실습 Ho r t i cu l t u r a l The r apy &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GA00069 연구실체험 2 P r ac t i ces Lab . i n Ho r t i cu l u r e Sc i ence 2 1-0-2
트랙심화 AGA00091 원예생명과학기초 I n t r oduc t i on o f Ho r t i cu l t u r e L i o f e Sc i ence 3-3-0
트랙심화 EZ A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4- 트랙심화 AGA00066 농업식물과학현장실습 Ag r i cu l t u r a l P l an t Sc i ence F i e l d T r a i n i ng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트랙심화 AGA00046 원예작물수확후생리학 Pos tha rves t Phys i o l ogy o f Ho r t i cu l tu ra l C rops 3-3-0
트랙심화 AGA00048 수경재배학및실습 Hyd r opo n i cs &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GA00049 기능성채소 Func t i ona l Vege t ab l es 2-2-0
4-1
트랙심화 AGA00070 연구실심화 Advanced P rac t i ces Lab . i n Ho r t i cu l u re Sc i ence 1-0-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심화 EZ A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4- 트랙심화 AGA00067 창의적농생명창업론 Bus i ness Found i ng f o r C r ea t i ve Ag r i cu l t u r e 2-2-0
하계 and L i f e Sc i ence
트랙심화 AGA00058 도시농업학 U r ban Ag r i cu l t u r e 2-2-0
트랙심화 AGA00059 원예산물수확후관리학 Postharvest Management of Hor t i cu l tura l Products 2-2-0
트랙심화 AGA00060 기능성과수 Func t i ona l F r u i t s 2-2-0
4-2
트랙심화 AGA00065 식량 · 원예작물학종합설계 CapstoneDesign of Food and Hor t icul tural crop science 1-0-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심화 EZ A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86 (39 )

경상대학교 381
2020학년도 교육과정

28. 작물과학 전문인력양성(농업식물과학과)

□ 트랙: 작물과학 트랙

□ 세부트랙: 작물과학 전문인력양성 트랙(2015)

□ 개요
- 21세기는 기후변화,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부족 현상이 매우 중요한 국제적 이슈이며,
이는 단순한 먹거리의 문제가 아닌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문제이다. 현재 우리나라 식
량자급률은 27%에 불과하며 해마다 1,500만톤 이상의 막대한 곡물을 수입하고 있다.
작물과학전문 인력 양성 트랙은 이러한 식량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식량작물과 식량생
산에 대한 교육, 연구, 지도를 중심과제로 다루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국내·외적 여건 속
에서 새로운 작물 개발과 작물생산성 증진을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와 함
께 작물에 대한 기초학문 뿐만 아니라 작물의 생산과 관련된 응용학문, 그리고 작물을
이용한 생명공학 관련학문에 대한 깊이 있는 교육으로 학생들의 실무능력을 배양하고
현장 능력을 강화하여 전문성을 지닌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국가 공무원: 농업직 공무원, 지도직 공무원
- 연구소: 농촌진흥청 연구원, 도농업기술원 연구원, 국제농업관련 연구소
- 농업계 회사: 종묘회사, 농약회사, 비료회사
- 농협 및 공사: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및 도지부, 각 단위지역), 한국농어촌공사, 농산물유
통공사 등
- 기타: 자가영농 등 관련 직업군으로 매우 다양

□ 이수원칙(2020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


- 트랙기본 교과목 36학점 모두 이수
- 트랙심화 교과목 중 33학점 이상 선택 이수
- 트랙제 교육과정 교과목 중 총 69학점 이상 이수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기본 AGA00001 식량 · 원예작물학개론 Int roduct ion to Food and Hor t icu l tura l Crop Sc ience 2-2-0
2-
동하계 트랙심화 AGA00066 농업식물과학현장실습 Ag r i cu l u t r a l P l an t Sc i ence F i e l d T r a i n i ng (3-0-4주)

트랙기본 AGA00008 작물생리학 C r op Phys i o l ogy 3-3-0


트랙기본 AGA00009 농업유전학및실험 Ag r i cu l t u r a l Gene t i cs & Lab . 3-2-2
2-1 트랙기본 AGA00010 농업생태학 Ag r oeco l ogy 3-3-0
트랙기본 AGA00011 지속농업 Sus t a i nab l e Ag r i cu l t u r e 3-3-0
트랙기본 AGA00012 농장실습 1 Fa r m P r ac t i ce I 2-0-4
2- 트랙심화 AGA00067 창의적농생명창업론 Bus i ness Found i ng f o r C r ea t i ve Ag r i cu l t u r e 2-2-0

38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하계 and L i f e Sc i ence
트랙기본 AGA00002 실험통계학및실습 S t a t i s t i cs f o r Expe r i men t a t i on & P r ac t i ce 3-2-2
트랙기본 AGA00082 재배학및실습 C r op Managemen t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XA00016 토양학 So i l Sc i ence 3-3-0
2-2
트랙심화 AGA00020 농장실습 2 Fa r m P r ac t i ce I I 2-0-4
트랙심화 AGA00021 사료작물학 Fo r age C r ops 2-2-0
트랙기본 AGA00032 공예작물학및실습 I ndus t r i a l C r ops & P r ac t i ce 3-2-2
3- 트랙심화 AGA00066 농업식물과학현장실습 Ag r i cu l t u r a l P l an t Sc i ence F i e l d T r a i n i ng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트랙심화 AGA00030 작물육종학및실습 1 P l an t B r eed i ng & P r ac t i ce I 3-2-2
트랙기본 AGA00083 수도작및실습 R i ce Sc i ence&P r ac t i ce 3-2-1
트랙심화 AGA00033 종자학및실험 Seed Sc i ence & Techno l ogy 3-2-2
3-1
트랙심화 AGA00071 작물생명과학기초 Bas i cs o f C r op L i f e Sc i ence 2-2-0
트랙심화 AGA0 0094 약용작물학및실습 Med i c i na l C r ops &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EZ A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3- Bus i ness Found i ng f o r C r ea t i ve Ag r i cu l t u r e
트랙심화 AGA00067 창의적농생명창업론 2-2-0
하계 and L i f e Sc i ence
트랙기본 AGA00040 전작및실습 Up l and C r op Sc i ence & P r ac t i ce 3-2-2
트랙기본 AGA00043 작물분자유전학 C r op Mo l ecu l a r Gene t i cs 3-3-0
트랙기본 AGA00044 작물분자유전학실험 C r op Mo l ecu l a r Gene t i cs & Lab . 2-0-4
트랙심화 AGA00041 작물육종학및실습 2 P l an t B r eed i ng & P r ac t i ce I I 3-3-0
3-2
트랙심화 AGA00084 수도작실습 2 R i ce Sc i ence P r ac t i ce2 2-0-2
트랙심화 AGA00096 약용작물학 2 Med i c i na l C r ops2 2-2-0
트랙심화 AGA00073 작물연구 1 C r op r esea r ch1 1-0-2
트랙심화 EZ A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4- 트랙심화 AGA00066 농업식물과학현장실습 Ag r i cu l t u r a l P l an t Sc i ence F i e l d T r a i n i ng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트랙심화 AGA00050 작물생명공학 C r op B i o t echno l ogy 3-3-0
트랙심화 AGA00051 작물생명공학실험 C r op B i o t echno l ogy Lab . 2-0-4
트랙심화 AGA00052 종자생산학 Seed P r oduc t i on 3-3-0
트랙심화 AGA00053 작물대사학 Me t abo l i sm o f C r op P l an t s 3-3-0
4-1
트랙심화 AGA00055 전작 2 Up l and C r ops Sc i ence I I 2-2-0
트랙심화 AGA00074 작물연구 2 C r op r esea r ch2 1-0-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심화 EZ A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4- Bus i ness Found i ng f o r C r ea t i ve Ag r i cu l t u r e
하계 트랙심화 AGA00067 창의적농생명창업론 and L i f e Sc i ence 2-2-0

트랙심화 AGA00061 국제농업 Ag r i cu l t u r e i n I n t e r na t i ona l Re l a t i ons 3-3-0


트랙심화 AGA00062 양곡학 Ce r ea l Sc i ence & Chem i s t r y 2-2-0
PLB기반작물조직배양학
트랙심화 AGA00097 C r op T i ssue Cu l t u r e & Lab . on PBL 2-0-4
4-2 및실험
트랙심화 AGA00065 식량 · 원예작물학종합설계 CapstoneDesign of Food and Hor t icul tural crop science 1-0-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심화 EZ A30076 국외현장실습 3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86(39)

경상대학교 383
2020학년도 교육과정

29. 로컬 농산업 활성화 전문인력양성(농업식물과학과)

□ 트랙: 로컬 농산업 활성화 트랙

□ 세부트랙: 로컬 농산업 활성화 전문인력양성 트랙(2017)

□ 개요
- 기후변화, 에너지 위기 그리고 세계화에 맞물려 농업의 중요성과 변화의 필요성이 점차
가속화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위기는 식량 안보를 위한 1차 생산 산업 위주의 농업
이 새로운 가치 창출의 장이 되고 있다. 특히, 농업의 환경, 생태, 생물다양성, 어메니티
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친환경 농업, 질적 향상 등의 안전한 먹거리의 공급, 가공,
유통에 관한 관심과 집중도 높아지고 있다.
- 로컬 농산업 활성화 전문인력양성 트랙은 이러한 농업의 역할 다양화에 따른 새로운
농산업 분야 가치 창출로 인해 필요한 전문 인력을 양성에 기여할 것이다. 이를 위해
농산업 분야의 핵심 기반이 되는 지역 농업 분야의 생산, 가공, 유통을 비롯한 환경 친
화적인 어메니티 자원 활용과 경영을 위한 교육, 연구, 지도를 중심과제로 다루고 있
다. 또한 이러한 국내·외적 여건 속에서 새로운 작물 개발과 작물생산성 증진을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와 함께 작물에 대한 기초학문 뿐만 아니라 작물의 생산
과 관련된 응용학문, 그리고 작물을 이용한 생명공학 관련학문에 대한 깊이 있는 교육
으로 학생들의 실무능력을 배양하고 현장 능력을 강화하여 전문성을 지닌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 로컬 농산업 활성화 전문인력양성 트랙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자질과 능력을 향상시
키고, 학생들의 졸업 후 농산업 관련 직종에 취업하고자 하는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
을 강화하기 위하여, 트랙교과목의 학점을 더 많이 부여하는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으
며, 이러한 트랙제 교육과정은 농산업 활성화 전문 인력이 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체
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될 것이다.

□ 배출인력의 진로
- 로컬 농산업 분야: 그린마케터, 농촌어메니티활성 전문가(6차 산업 전문가), 농산물유통
전문가, 로컬푸드 전문가 등
- 국가 공무원: 농업직 공무원, 지도직 공무원, 교수, 농업직 교사 등
- 연구소: 농촌진흥청 연구원, 도농업기술원 연구원, 국제농업관련 연구소, 시군도농업기
술센터 연구사 등
- 농업계 회사: 종묘회사, 농약회사, 비료회사,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가공유통업, 원
예시설시공업, 원예조경업 등
- 농협 및 공사: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및 도지부, 각 단위지역), 한국농어촌공사, 농산물유
통공사 등
- 기타: 농장/식물원/가든센터 운영, 플로리스트, 원예치료사, 자가영농 등 관련 직업군으
로 매우 다양

□ 이수원칙

38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 트랙기본 교과목 11학점 모두 이수


- 트랙심화 교과목 중 18학점 이상 선택 이수
- 트랙제 교육과정 교과목 중 총 29학점 이상 이수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기본 AGA00001 식량 · 원예작물학개론 Int roduct ion to Food and Hor t icu l tura l Crop Sc ience 2-2-0
트랙기본 AGA00078 원예학범론및실습 P r i nc i p l es o f Ho r t i cu l t u r e 3-2-1
트랙기본 AGA00008 작물생리학 C r op Phys i o l ogy 3-3-0
트랙심화 AGA00077 조원식물학및실습 Landscape P l an t s & P r ac t i ce 3-2-1
2-1 트랙심화 AGA00005 채소원예학및실습 Vege t ab l e C r op Sc i ence &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GA00009 농업유전학및실험 Ag r i cu l t u r a l Gene t i cs & Lab . 3-2-2
트랙심화 AGA00011 지속농업 Sus t a i nab l e Ag r i cu l t u r e 3-3-0
트랙심화 ASA20015 농업경영학 Fa r m Managemen t 3-3-0
트랙기본 AGA00082 재배학및실습 C r op Managemen t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GA00002 실험통계학및실습 S t a t i s t i cs f o r Expe r i men t a t i on & P r ac t i ce 3-2-2
2-2
트랙심화 AGA00032 공예작물학및실습 I ndus t r i a l C r ops &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XA00011 기능성식품학 Func t i ona l Food s 3-3-0
트랙심화 AGA00075 화훼원예학및실습 F l o r i cu l t u r e & P r ac t i ce 3-2-1
트랙심화 AGA00025 과수원예학및실습 F r u i t Sc i ence & P r ac t i ce 3-2-2
3-1
트랙심화 AGA00029 온실관리및경영학 G r eenhouse Con t r o l and Managemen t 2-2-0
트랙기본 AGA00083 수도작및실습 R i ce Sc i ence&P r ac t i ce 3-2-1
트랙심화 AGA00043 작물분자유전학 C r op Mo l ecu l a r Gene t i cs 3-3-0
3-2
트랙심화 AGA00040 전작및실습 Up l and C r op Sc i ence & P r ac t i ce 3-2-2
4-1 트랙심화 AGA00049 기능성채소 Func t i ona l Vege t ab l es 2-2-0
4-2 트랙심화 AGA00059 원예산물수확후관리학 Postharvest Management of Hor t i cu l tura l Products 2-2-0
2,3,4-
트랙심화 AGA00067 창의적농생명창업론 BusinessFounding for Creat iveAgr icul tureand Li fe Science 2-2-0
하계
2,3,4-
트랙심화 AGA00066 농업식물과학현장실습 Ag r i cu l u t r a l P l an t Sc i ence F i e l d T r a i n i ng (3-0-4주)
동하계
계 58 (3 )

경상대학교 385
2020학년도 교육과정

30. 바이오식품산업 전문인력양성트랙(농화학식품공학과)

□ 트랙: 농화학식품공학 심화트랙

□ 세부트랙: 바이오식품산업 전문인력양성 트랙(2015)

□ 개요
- 고부가 가치-소량-다품종 생산이 이루어지는 바이오산업의 특성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브랜드화 된 인재를 바이오식품산업 트랙제 교육을 통하여 육성한다. 학생에게
는 다양성과 전문화를 교수에게는 교과목개발에 대한 끝없는 경쟁을 유발하여 바이오
관련 전공의 특성화를 달성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을 둔다.

□ 배출인력의 진로
- 농림부, 보건복지부(식품의약청), 해양수산부 등 정부 및 지자체의 공무원, 연구원(전문직)
- 식품관련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 식품응용분야의 국 ․ 공립연구소, 농협, 수협
- 농산물, 수산물 등을 포함한 신선식품 및 가공 식품관련회사 취업 및 벤처창업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과목 총 21학점 모두 이수해야함
- 트랙기본과 트랙심화 과정을 포함하여 총 66학점 이수
- 위 이수원칙은 2020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I n t r oduc t i on t o Ag r i cu l t u r a l Chem i s t r y and
트랙심화 AXA00001 농화학식품공학개론 2-2-0
1-2 Food Sc i ence
트랙심화 AXA00002 생물유기화학 O r gan i c Chem i s t r y f o r B i osc i ence 3-3-0
트랙기본 AXA00004 식품화학및실험 1 Food Chem i s t r y & Lab . 1 3-2-2
트랙심화 AXA00005 식품공학및실험 Food Eng i nee r i ng & Lab . 3-2-2
2-1 트랙심화 AXA00003 식품분석학및실험 1 Food Ana l ys i s & Lab . 1 3-2-2
트랙기본 AXA00020 식품위생학및실험 Food Hyg i en i cs & Lab . 3-2-2
트랙심화 AXA00080 생화학 1 B i ochem i s t r y 1 3-3-0
트랙기본 AXA00010 식품공정공학및실험 Food P r ocess Eng i nee r i ng and Lab . 3-2-2
트랙기본 AXA00011 기능성식품학 Func t i ona l Food s 3-3-0
트랙심화 AXA00012 식품분석학및실험 2 Food Ana l ys i s & Lab . 2 3-2-2
2-2
트랙심화 AXA00013 응용미생물학 App l i ed M i c r ob i o l ogy 3-3-0
트랙심화 AXA00014 식품화학 2 Food Chem i s t r y 2 3-3-0
트랙심화 AXA00064 수산식품가공학 Sea f ood P r ocess i ng 3-3-0
트랙기본 AXA00021 식량가공학및실험 Food P r ocess i ng & Lab . 3-2-2
트랙기본 AXA00022 식품미생물학및실험 Food m i c r ob i o l ogy and Lab . 3-2-2
트랙심화 AXA00023 식품생화학 Food B i ochem i s t r y 3-3-0
3-1
트랙심화 AXA00024 미생물대사학 Me t abo l i t es o f M i c r obes 3-3-0
트랙심화 AXA00025 식품신소재학 Food New Ma t e r i a l s 3-3-0
트랙심화 AXA00026 식품가공논리및논술교육 Food P rocess i ng Log i c and S ta temen t Educa t i on 2-2-0

38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AXA00032 발효공학및실험 Fe r men t a t i on Eng i nee r i ng and Lab . 3-2-2
트랙심화 AXA00033 효소학 Enzymo l ogy 3-3-0
트랙심화 AXA00034 식품물성학 Phys i ca l P r ope r t i es o f Food 3-3-0
3-2 트랙심화 AXA00035 원예가공학및실험 Ho r t i cu l t u r e P r ocess i ng & Lab . 3-2-2
트랙심화 AXA00036 영양화학 Nu t r i t i ona l B i ochem i s t r y 3-3-0
트랙심화 AXA00037 식품가공교과교육론 Theo r y o f Food P r ocess i ng Educa t i on 3-3-0
트랙심화 AXA00045 식품위생법규 Law o f Food San i t a t i on 3-3-0
3 , 4- 트랙심화 EZ 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동,하계
트랙심화 AXA00061 농화학식품공학현장실습 1 Agr icu l tura l Chem ist ry and Food Sc ience Pract ices 1 (1-0-2주)
3 , 4- 트랙심화 AXA00062 농화학식품공학현장실습 2 Agr icu l tura l Chem ist ry and Food Sc ience Pract ices 2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4 국외현장실습 1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트랙심화 EZ A30075 국외현장실습 2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트랙심화 AXA00015 HACCP학 I n t r oduc t i on on HACCP 3-3-0
트랙심화 AXA00043 식품종합설계 1 Food Caps t one Des i gn 1 3-2-2
트랙심화 AXA00044 분자생물학 Mo l ecu l a r b i o l ogy 3-3-0
4-1 트랙심화 AXA00046 식품생물공학 Food B i ochem i ca l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AXA00047 식품저장학 Food P r ese r va t i on 3-3-0
트랙심화 AXA00048 축산가공학 M i l k & Mea t P r ocess i ng 3-3-0
트랙심화 AXA00049 식품가공교재연구및지도법 Studies in Food Process ingTeaching Mater ialsand Method 3-3-0
트랙심화 AXA00056 식품면역학 Food I mmuno l ogy 3-3-0
4-2
트랙심화 AXA00063 식품산업연구 Food i ndus t r y Resea r ch 1-0-2
4-1,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101 (34 )

경상대학교 387
2020학년도 교육과정

31. 환경생명화학 전문인력양성(농화학식품공학과)

□ 트랙: 농화학식품공학 심화트랙

□ 세부트랙: 환경생명화학 전문인력양성 트랙(2015)

□ 개요
- 환경생명화학트랙은 생명과학(BT)과 환경과학(ET)의 융 ․ 복합에 필요한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명과학(BT)분야는 생명공학적 기법을 이용한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
개발, 단백질 공학에 의한 유용물질 개발, 기능성 작물 개발, 그리고 환경과학(ET)분
야는 자연친화적 농약과 비료 개발, 친환경적 병해충 방제 및 양분관리 기술 개발, 환
경복원 시스템 개발, 지구온난화 대응기술 개발에 필요한 실무능력을 배양한 21C의 생
명과학(BT)과 환경과학(ET)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도전적·경쟁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일반기업: 동부한농, 경농, 신젠타코리아, 바이엘크롭사이언스, 남해화학, 풍농, CJ, 풀무
원, 하이트진로(주), 무학, 녹십자, LG생명과학, 일동제약, 청호나이스, 웅진코웨이, 파이
닉스 등 농약·비료·식품·주류·제약·환경·화학 관련 분야 기업체
- 국 ․ 공립연구소: 농촌진흥청, 국립환경연구원, 수질검사소,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식물검
역소, 한국식품위생연구원,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수자원공사, 농산물유통공사, 한국담
배인삼공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소, 농림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각 시
도 농림직 및 환경직 등 국가 및 지방 연구직·일반직 공무원
- 관련 자격증: 토양환경기사, 수질환경기사, 화학분석기사, 폐기물처리기사, 식물보호기
사, 종자기사, 위생사 등

□ 이수원칙
- 트랙기본 29학점 교과목 모두 이수
- 트랙심화 교과목 43학점 이상 이수
- 트랙제 교육과정 교과목 총 72학점 이상 이수
- 위 이수원칙은 2017학년도 이후 입학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AXA00001 농화학식품공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Ag r i cu l t u r a l Chem i s t r y and 2-2-0
1-2 Food Sc i ence
트랙기본 AXA00002 생물유기화학 O r gan i c Chem i s t r y f o r B i osc i ence 3-3-0
트랙심화 ABA20096 식물병리학총론 P l an t Pa t ho l ogy 3-3-0
트랙기본 AXA00006 분석화학 Ana l y t i ca l Chem i s t r y 3-3-0
2-1 트랙심화 AXA00008 식물생리학 P l an t Phys i o l ogy 3-3-0
트랙심화 AXA00009 생명유기화학 O r gan i c Chem i s t r y f o r Ag r ob i o t echno l ogy 3-3-0
트랙기본 AXA00080 생화학 1 B i ochem i s t r y 1 3-3-0

38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심화 AGA00002 실험통계학및실습 S t a t i s t i cs f o r Expe r i men t a t i on & P r ac t i ce 3-2-2
2-2 트랙기본 AXA00016 토양학 So i l Sc i ence 3-3-0
트랙심화 AXA00019 유기 ․분석화학실험 O r gan i c & Ana l y t i ca l Chem i s t r y Lab . 2-0-4
트랙기본 AXA00065 산업미생물학 1 I ndus t r i a l M i c r ob i o l ogy 1 3-3-0
2-2 트랙심화 AXA00081 생화학 2 B i ochem i s t r y 2 3-3-0
트랙심화 AXA00086 생화학실험PBL B i ochem i s t r y Lab . PBL 2-0-4
트랙심화 AXA00027 토양학종합설계 So i l Sc i ence Caps t one Des i gn 3-2-2
트랙기본 AXA00028 식물영양화학 P l an t Nu t r i t i on Chem i s t r y 3-3-0
3-1 트랙심화 AXA00066 분자유전학및실험 Mo l ecu l a r Gene t i cs and Lab . 3-2-2
트랙심화 AXA00067 산업미생물학 2 I ndus t r i a l M i c r ob i o l ogy 2 3-3-0
트랙심화 AXA00068 미생물학실험 M i c r ob i o l ogy Lab . 2-0-4
트랙기본 AXA00031 세포생물학 Ce l l B i o l ogy 3-3-0
트랙심화 AXA00038 비료학종합설계 Fe r t i l i ze r Caps t one Des i gn 3-2-2
3-2 트랙기본 AXA00039 농약학 Ag r i cu l t u r a l Chem i ca l s 3-3-0
트랙기본 AXA00069 환경생태복원학 Env i r onmen t a l Eco l ogy 3-3-0
트랙심화 AXA00087 기기분석학및실험PBL I ns t r umen t a l Ana l ys i s PBL 3-2-2
트랙심화 AXA00052 농업환경화학 Ag r i cu l t u r a l Env i r onmen t a l Chem i s t r y 2-2-0
트랙심화 AXA00071 환경화학실습 Env i r onmen t a l Chem i s t r y P r ac t i ces 2-0-4
4-1 트랙심화 AXA00072 농약화학및실험 P r ac t i ca l Pes t i c i de Chem i s t r y 3-2-2
트랙심화 AXA00073 대사공학 Me t abo l i c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AXA00075 생명공학 B i o t echno l ogy 3-3-0
트랙심화 AGA00082 재배학및실습 C r op Managemen t &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XA00059 환경공학 Env i r onmen t a l Eng i nee r i ng 3-3-0
4-2 트랙심화 AXA00074 생물발효화학 Fe r men t a t i on Chem i s t r y 3-3-0
트랙심화 AXA00084 환경생명화학종합설계 App l i ed L i f e Chem i s t r y Caps t one Des i gn 1-0-2
트랙심화 AXA00085 GAP종합설계 GAP Caps t one Des i gn 2-0-4
트랙심화 AXA00062 농화학식품공학현장실습 2 Agr icu l tura l Chem ist ry and Food Sc ience Pract ices 2 (3-0-4주)
3 , 4- 트랙심화 EZ 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동하계 트랙심화 EZ A30074 국외현장실습 1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트랙심화 EZ A30075 국외현장실습 2 Fo r e i gn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4-1 , 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90 (33 )

경상대학교 389
2020학년도 교육과정

32. GAP 전문인력양성(농화학식품공학과)

□ 트랙: 농화학식품공학 심화트랙

□ 세부트랙: GAP 전문인력양성 트랙(2017)

□ 개요
- 산업화에 따른 농업환경 변화와 먹거리 오염물질에 대한 우려증가로 보다 높은 수준의
농식품 안전관리체계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 농산물 생산과 유통관리의 전
과 정을 통해 관리해야 하는 물리·화학·생물학적 위해요소들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한 인력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종자에서부터 농산물
재배환경 중 중금속, 환경오염물질 등과 작물 재배기간 중 사용되는 농약과 비료의 오
남용, 그리고 수확 및 포장 유통과정에서 발생가능한 위해생물에 따른 먹거리 위해요인
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농
산물우수관리인증 (GAP)제도 운영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생명화학과에서는 환
경생명화학심화트랙 교육을 통하여 GAP 운영과 관리에 적합한 인력을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배출인력의 진로
- 환경생명화학분야, 농식품 생명공학분야, 환경생명공학분야, 제조 및 생물공정분야, 유
전체 연구, 생물정보학연구, 나노바이오텍 등 융·복합 생명공학분야
- 농식품 안전성을 평가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농촌진흥청 산하
연구소, 농림축산검역본부, 농협, 대형마트 및 농식품 유통기업, 농식품 생산기업, 안전
성 평가관련 전문 분석기관, UNEP, WHO 및 안전관련 국제기구 등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교과목 18학점 모두 이수
- 트랙심화과목 24학점 이상 이수
- 4년간 평점 3.0 이상
- 농식품 생산·유통과 관련한 업체에서 현장실습 교과목 이수
- 화학분석기사, 위생사,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 취득 권장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심화 ABA20096 식물병리학총론 P l an t Pa t ho l ogy 3-3-0
트랙심화 AGA00010 농업생태학 Ag r oeco l ogy 3-3-0
트랙심화 AXA00003 식품분석학및실험 1 Food Ana l ys i s & Lab . 1 3-2-2
2-1 트랙기본 AXA00006 분석화학 Ana l y t i ca l Chem i s t r y 3-3-0
트랙기본 AXA00080 생화학 1 B i ochem i s t r y 1 3-3-0
트랙심화 AXA00008 식물생리학 P l an t Phys i o l ogy 3-3-0
트랙기본 AXA00009 생명유기화학 O r gan i c Chem i s t r y f o r Ag r ob i o t echno l ogy 3-3-0

39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심화 AXA00020 식품위생학및실험 Food Hyg i en i cs & Lab . 3-2-2
트랙심화 AGA00002 실험통계학및실습 S t a t i s t i cs f o r Expe r i men t a t i on & P r ac t i ce 3-2-2
트랙기본 AXA00016 토양학 So i l Sc i ence 3-3-0
2-2
트랙심화 AXA00086 생화학실험PBL B i ochem i s t r y Lab . PBL 2-0-4
트랙심화 AXA00019 유기 ․분석화학실험 O r gan i c & Ana l y t i ca l Chem i s t r y Lab . 2-0-4
트랙심화 ABA00099 식물의학총론 Ⅰ Gene r a l P l an t Med i c i ne Ⅰ 2-2-0
트랙심화 AGA00033 종자학및실험 Seed Sc i ence & Techno l ogy 3-2-2
3-1
트랙심화 AXA00028 식물영양화학 P l an t Nu t r i t i on Chem i s t r y 3-3-0
트랙심화 AXA00068 미생물학실험 M i c r ob i o l ogy Lab . 2-0-4
트랙심화 ABA00100 식물의학총론 Ⅱ Gene r a l P l an t Med i c i ne Ⅱ 3-3-0
트랙심화 ASA30029 농식품유통론 Ag r o/ f ood Ma r ke t i ng 3-3-0
트랙기본 AXA00038 비료학종합설계 Fe r t i l i ze r Caps t one Des i gn 3-2-2
3-2 트랙기본 AXA00039 농약학 Ag r i cu l t u r a l Chem i ca l s 3-3-0
트랙심화 AXA00045 식품위생법규 Law o f Food San i t a t i on 3-3-0
트랙심화 AXA00069 환경생태복원학 Env i r onmen t a l Eco l ogy 3-3-0
트랙심화 AXA00087 기기분석학및실험PBL I ns t r umen t a l Ana l ys i s PBL 3-2-2
트랙심화 AGA00052 종자생산학 Seed P r oduc t i on 3-3-0
트랙심화 AXA00015 HACCP학 I n t r oduc t i on on HACCP 3-3-0
4-1
트랙심화 AXA00047 식품저장학 Food P r ese r va t i on 3-3-0
트랙심화 AXA00072 농약화학및실험 P r ac t i ca l Pes t i c i de Chem i s t r y 3-2-2
트랙심화 AGA00061 국제농업 Ag r i cu l t u r e i n I n t e r na t i ona l Re l a t i ons 3-3-0
4-2
트랙심화 AXA00085 GAP종합설계 GAP Caps t one Des i gn 2-0-4
3 , 4-
트랙심화 AXA00062 농화학식품공학현장실습 2 Agr icu l tura l Chem ist ry and Food Sc ience Pract ices 2 (3-0-4주)
동하계
계 82 (3 )

경상대학교 391
2020학년도 교육과정

33. 친환경농업영농정착인력육성(식물의학과)

□ 세부트랙: 친환경농업 영농정착인력육성 트랙(2008)

□ 개요
- 영농정착을 희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이론, 실습 및 현장 능력을 강화하기 위함을 목
적으로 한다. 전문 영농정착인력 양성에 필수적인 지식과 실무를 트랙에 포함시키고,
사업단에서 지정한 트랙기본과목과 트랙심화 과목으로 구분하여 기존 학과 교육과정에
서 부족한 실무능력의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농촌진흥청, 산림청, 식물검역소, 농업기술연구소, 농약연구소, 농약자재검사소, 농산물
검사소, 식물검역소, 작물시험장, 식품연구소, 임업시험장 등 공공기관과 농약회사, 종
묘회사, 농약판매점, 식물방역업체, 식물병원, 종자보급소 등의 식물방역업체나 식물병
원에 식물의사로 진출
- 농촌진흥청이나 산림청 산하 각 연구소의 농업 연구직, 각 도 농업기술원이나 시·군 농
업기술센터의 농촌 지도직, 국립식물검역원, 농업 행정기관의 공무원 등 국가 및 지방
공무원으로 많이 진출
- 기업체로는 각종 천적회사와 농약회사 및 전국 골프장에 진출하는 학생이 많으며, 기타
종묘, 비료회사, 농업협동조합 등에도 진출
- 관련 자격증: 식물보호기사, 종자기사, 산림기사, 조경기사 등 전공 관련 자격 취득에
필요한 이론 및 실습 교육 실시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교과목(21학점) 모두 이수, 트랙심화 교과목은 최소 21학점 이상 이수(트랙제
교과목 총 42학점 이상 이수)
- 타 전공 학생은 영농정착 트랙을 운영하는 전공을 복수전공으로 신청할 경우 해당 전
공의 영농정착 트랙과정 신청 가능
- 계절 학기에 개설되는 각 트랙별 현장실습(인턴십)은 필수로 이수
- 창업기초과정 선택 이수 가능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A B A 00015 잡초방제학 Weed Con t r o l 2-2-0
트랙기본 A B A 00004 잡초방제학실습 P r ac t i ce on Weed Con t r o l 1-0-2
트랙심화 ABA20013 응용생화학 App l i ed B i ochem i s t r y 3-3-0
2-1 트랙심화 ABA00001 미생물학 M i c r ob i o l ogy 2-2-0
트랙심화 ABA00002 미생물학실험 Expe r i men t a l M i c r ob i o l ogy 1-0-2
트랙심화 ABA20012 응용곤충학 App l i ed En t omo l ogy 2-2-0
트랙심화 ABA00003 응용곤충학실습 P r ac t i ce on I nsec t s 1-0-2
2-2 트랙기본 ABA00019 식물진균병리학 P l an t Pa t hogen i c Fung i 2-2-0

39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ABA00020 식물진균병리학실험 P l an t Pa t hogen i c Fung i Lab 1-0-2
트랙기본 AXA00016 토양학 So i l Sc i ence 3-3-0
트랙심화 ABA20010 곤충분류학 I nsec t Taxonomy 2-2-0
트랙심화 ABA20073 곤충분류학실험 I nsec t Taxonomy Lab 1-0-2
트랙심화 ABA00011 산업곤충학 I ndus t r y I nsec t o l ogy 3-3-0
트랙기본 ABA30023 곤충생태학 I nsec t Eco l ogy 2-2-0
트랙기본 ABA30073 곤충생태학실험 I nsec t Eco l ogy Lab 1-0-2
3-1 트랙심화 ABA30095 선충학 Nema t o l ogy 3-3-0
트랙심화 ABA00099 식물의학총론 Ⅰ Gene r a l P l an t Med i c i ne Ⅰ 2-2-0
트랙심화 ABA30005 식물바이러스학 P l an t V i r o l ogy 3-3-0
트랙기본 ABA30021 식물세균학 P l an t Bac t e r i o l ogy 2-2-0
트랙기본 ABA30072 식물세균학실험 P l an t Bac t e r i o l ogy Lab 1-0-2
3-2 트랙기본 ABA40013 곤충생리학 I nsec t Phys i o l ogy 2-2-0
트랙기본 ABA40070 곤충생리학실험 I nsec t Phys i o l ogy Lab 1-0-2
트랙심화 ABA00100 식물의학총론 Ⅱ Gene r a l P l an t Med i c i ne Ⅱ 3-3-0
트랙심화 ABA00102 식물해부학 P l an t Ana t omy 3-3-0
4-1 트랙심화 ABA00106 해충방제원리 P r i nc i p l es o f I nsec t Pes t Managemen t 2-2-0
트랙심화 ABA00110 생물안보론 P l an t B i osecu r i t y 2-2-0
트랙심화 ABA40018 환경위생곤충학 Env i r onmen t a l and Med i ca l En t omo l ogy 2-2-0
4-2
트랙심화 ABA00026 식물병원인턴쉽 P l an t D i sease C l i n i c I n t e r nsh i p 2-0-2
3-4-
트랙심화 ABA40071 응용생물현장실습 I n t e r n Cou r se o f App l i ed B i o l ogy (3-0-4주)
동하계
계 57(3)

경상대학교 393
2020학년도 교육과정

34. 동물생명과학 전문인력양성(축산생명학과)

□ 트랙: 축산생명 트랙

□ 세부트랙: 동물생명과학 전문인력양성 트랙(2015)

□ 개요
- 동물생명트랙 교육과정의 경우 차세대 첨단 동물 산업분야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며, 우리나라 동물생명산업이 국민의 건강과 체력향상에


필수적이고, 고급 동물성 식품생산과 공급에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동물생명과학의 필수과목인 낙농미생물학, 사료작물생명공학, 나노유식품학,
동물분자영양학, 동물발생공학에 대하여 기초과목과 심화과목을 구성하여 관련분야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농촌진흥청, 가축방역본부, 도농업기술원,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과학원, 축산시험장, 한국생명
공학연구원 등 공공기관과 과학사, 불임병원, 유업체, 사료회사, 바이오 회사 등의 기업체 및 병
원으로 진출
- 농업연구직, 각 도 농업기술원, 농촌지도직, 검역 및 농업 행정기관과 지방직 공무원 진출.
- 동물산업관련 영농정착과 더불어 기업형 농장으로의 진출, 농산업 관련 기업체, 협회 다방면 진출
- 각종 유업체 및 사료회사, 조합 등으로 진출하거나 심화적인 내용을 공부하기 위해 대학원 진학
률 또한 높음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교과목(22학점)은 모두 이수해야 하고, 트랙심화교과목은 최소 44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트랙제 교과목 총 66학점 이상 이수)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기본 ATA00001 축산생명학개론 1 Int roduc t i on to An i ma l Sc i ence & B i o techno l ogy 1 2-2-0
1-2 트랙기본 ATA00002 축산생명학개론 2 Int roduc t i on to An i ma l Sc i ence & B i o techno l ogy 2 2-2-0
트랙기본 ATA00003 동물생식세포학 An i ma l Ge r m Ce l l s 2-2-0
트랙기본 ATA00005 동물생식세포학실험 Expe r i men t o f An i ma l Ge r m Ce l l s 1-0-2
트랙기본 ATA00017 유식품화학및실험 Da i r y Food Chem i s t r y and Lab 3-2-2
2-1 트랙심화 ATA00088 생물통계학및실습 I n t r oduc t i on t o B i o l og i ca l S t a t i s t i cs 3-2-2
트랙심화 ATA00008 생화학 B i ochem i s t r y 3-3-0
트랙심화 ATA00009 목초생리생화학 Fo r age Phys i o l ogy & B i ochem i s t r y 2-2-0
트랙심화 ATA00010 목초생리생화학실습 Fo r age Phys i o l ogy & B i ochem i s t r y Lab . 1-0-2
2-2 트랙기본 ATA00084 동물유전정보학및실습 An i ma l Gene t i cs & I n f o r ma t i cs 3-2-2

39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ATA00004 반추동물영양생리학 Rum i nan t Nu t r i t i on and Phys i o l ogy 2-2-0
트랙기본 ATA00006 반추동물영양생리학실험 Lab . o f Rum i nan t Nu t r i t i on and Phys i o l ogy 1-0-2
트랙심화 ATA00087 유식품미생물학 Da i r y Food M i c r ob i o l ogy 3-3-0
트랙심화 ATA00018 사료공학 Feeds t u f f s Sc i ence 2-2-0
트랙심화 ATA00019 동물분자세포생물학 An i ma l Mo l ecu l a r Ce l l B i o l ogy 3-3-0
트랙심화 ATA00020 사료공학실습 Feeds t u f f s Sc i ence P r ac t i ce 1-0-2
트랙심화 ATA00021 초지학총론 Advanced G r ass l and Managemen t 3-3-0
트랙심화 ATA00022 동물해부생리학 Ana t omy and Phys i o l ogy o f Domes t i c An i ma l s 3-3-0
트랙기본 ATA00031 사료작물자원공학 Fo r age Resou r ce B i o t echno l ogy 2-2-0
트랙기본 ATA00032 사료작물자원공학실습 Fo r age Resou r ce B i o t echno l ogy Lab . 1-0-2
트랙심화 ATA00033 동물발생생물학 An i ma l Deve l opmen t a l B i o l ogy 2-2-0
트랙심화 ATA00034 동물발생생물학실험 Exper i men t o f An i ma l Deve l opmen ta l M i c rob i o l ogy 1-0-2
트랙심화 ATA00085 반려동물유전학 Compan i on An i ma l Gene t i cs 3-3-0
3-1
트랙심화 ATA00036 반추미생물공학 Rumen M i c r ob i a l Techno l ogy 2-2-0
트랙심화 ATA00037 동물분자영양학 Mo l ecu l a r An i ma l Nu t r i t i on 3-3-0
트랙심화 ATA00038 반추미생물공학실습 Rumen M i c r ob i a l Techno l ogy Lab 1-0-2
트랙심화 ATA00039 동물자원논리및논술교육 An i ma l Resou rces Log i c and S ta temen t Educa t i on 2-2-0
트랙심화 ATA00040 응용동물질병학 App l i ed An i ma l D i sease 3-3-0
트랙기본 ATA00050 동물내분비학 An i ma l Endoc r i no l ogy 2-2-0
트랙기본 ATA00051 동물내분비학실험 An i ma l Endoc r i no l ogy & Lab 1-0-2
트랙심화 ATA00052 동물자원교과교육론 An i ma l Resou r ces Educa t i on i n Sub j ec t s 3-3-0
3-2 트랙심화 ATA00053 동물성장발달학 An i ma l G r ow t h & Deve l opmen t 3-3-0
트랙심화 ATA00054 유가공학및실험 Da i r y P r ocess i ng and Lab 3-2-2
트랙심화 ATA00066 유우육종학 Da i r y Ca t t l e B r eed i ng 3-3-0
트랙심화 ATA00061 동물산업경영학 Managemen t o f An i ma l I ndus t r y 3-3-0
트랙심화 ATA00067 동물생명종합설계 An i ma l B i osc i ence Caps t one Des i gn 1-2-0
트랙심화 ATA00068 발효유식품학및실험 Da i r y Food Fe r men t a t i on and Lab 3-2-2
4-1
트랙심화 ATA00069 동물생명연구및실습 Resea r ch & P r ac t i ce i n An i ma l B i osc i ence 3-0-6
트랙심화 ATA00074 동물자원교재연구및지도법 AnimalResourcesStudy in Subject Mat ter and TeachingMethod 3-3-0
트랙심화 ATA00075 조사료생산이용학 Fo r age P r oduc t i on and U t i l i za t i on 3-3-0
트랙심화 ATA00086 동물유전체육종학 An i ma l B r eed i ng & Genom i cs 3-3-0
4-2
트랙심화 ATA00077 유우관리학 Da i r y Ca t t l e Managemen t 2-2-0
트랙심화 ATA00078 유우관리학실습 Da i r y Ca t t l e Managemen t P r ac t i ce 1-0-2
2 , 3 , 4-
트랙심화 EZ A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
동·하계
3 , 4- 트랙심화 EZ 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
동·하계
계 97 (9 )

경상대학교 395
2020학년도 교육과정

35. 동물자원 및 바이오텍 전문인력양성(축산생명학과)

□ 트랙: 축산생명 트랙

□ 세부트랙: 동물자원 및 바이오텍 트랙(2015)

□ 개요
- 동물자원 및 바이오텍 트랙 교육과정은 21세기 동물산업을 선도할 인재양성을 목표로 첨단
생명공학기법을 응용한 번식기술, 유전공학 및 동물육종, 과학적 사양관리, 고기·계란 등의
동물성 단백질의 효율적인 생산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가공·유통, 친환경 축산 및
동물복지 분야 등 기초와 첨단학문을 교육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최근 들어 현장 실무
중심의 교육이 대두됨에 따라 재학 시 다양한 현장실습과 견학, 인턴십, JOB MAP 프로젝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전공분야에 대한 긍정적 마인드 함양과 정확한 정보를
습득케 함으로서 조기에 진로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취업준비에 있어 일원화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취업률 향상과 더불어 전공분야 취업률을 향상시키고
유사 전공 타 대학 출신자에 비해 실무능력을 배양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정부투자기관: 축산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 생명과학연구원, 화학연구원등
- 공공기관 및 협회: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물 HACCP기준원, 단미사료협회, 종축개량협회 등
- 기업체: 축산물 가공 기업체,사료회사,사료첨가제개발회사,유통및서비스업체, 사육사, 동물
약품회사, 종축장, 무역회사, 농업정보관련회사, 종축개량회사, 기업형 농장
- 연구직: 농촌진흥청기관, 축산과학원, 농업과학기술원, 지방농업기술원, 산부인과부설 불임
클리닉 연구소 및 사립기업체 연구소 등
- 교육계: 교직과정 설치학과로 중등교원 2급 정교사 자격 취득 가능(표시과목: 동물자원)
- 공무원: 축산직(7,9급), 농업직, 농촌지도사, 농촌연구사, 농림부기관, 일반직
- 자영업 및 영농정착 : 한우, 양돈, 가금 등의 농장 운영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교과목(32학점)은 모두 이수해야 하고, 트랙심화 교과목은 최소 34학점 이상 이수
해야 한다. (트랙제 교과과목 총 66학점 이상 이수)
- 계절 학기에 개설되는 각 트랙별 현장실습은 1개 이상 필수로 이수해야 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기본 ATA00001 축산생명학개론 1 Int roduct i on to An i ma l Sc i ence & B i o techno l ogy 1 2-2-0
1-2 트랙기본 ATA00002 축산생명학개론 1 Int roduct i on to An i ma l Sc i ence & B i o techno l ogy 2 2-2-0
트랙기본 ATA00011 동물번식생리학 An i ma l Rep r oduc t i on Phys i o l ogy 2-2-0
트랙기본 ATA00013 동물번식생리학실습 Expe r i men t o f An i ma l Rep r oduc t i on Phys i o l ogy 1-0-2
2-1
트랙기본 ATA00012 동물영양학 1 An i ma l Nu t r i t i on 1 3-3-0
트랙기본 ATA00014 동물유전학 An i ma l Gene t i cs 3-3-0

39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2-1 트랙심화 ATA00015 근육생물학 Musc l e B i o l ogy 3-3-0
트랙기본 ATA00023 식육과학 Mea t Sc i ence 2-2-0
트랙기본 ATA00024 식육과학실습 Mea t Sc i ence Lab . 1-0-2
트랙심화 ATA00026 동물영양학 2 An i ma l Nu t r i t i on 2 2-2-0
트랙심화 ATA00025 동물영양학 2실습 An i ma l Nu t r i t i on 2 Lab . 1-0-2
트랙심화 ATA00027 응용동물번식학 App l i ed An i ma l Rep r oduc t i on 3-3-0
2-2
트랙심화 ATA00028 축산식품위생안전학 Hyg i ene & Sa f e t y o f An i ma l Food s 3-3-0
트랙심화 ATA00029 동물실험통계학 S t a t i s t i cs f o r An i ma l Sc i ence 2-2-0
트랙심화 ATA00030 동물실험통계학실습 S t a t i s t i cs f o r An i ma l Sc i ence Lab 1-0-2
트랙심화 ATA00021 초지학총론 Advanced G r ass l and Managemen t 3-3-0
트랙심화 ATA00022 동물해부생리학 Ana t omy and Phys i o l ogy o f Domes t i c An i ma l s 3-3-0
트랙기본 ATA00041 동물육종학 An i ma l B r eed i ng 3-3-0
트랙기본 ATA00042 동물시설환경학 Sc i ence o f L i ves t ock Hous i ng and Env i r onmen t 2-2-0
트랙기본 ATA00043 동물시설환경학실습 Sc i ence o f L i ves t ock Hous i ng P r ac t i ces 1-0-2
트랙기본 ATA00044 신선육가공학 Sc i ence o f F r esh Mea t P r ocess i ng 2-2-0
트랙기본 ATA00045 신선육가공학실습 Sc i ence o f F r esh Mea t P r ocess i ng Lab 1-0-2
3-1 트랙기본 ATA00046 동물사료자원학 An i ma l Feed Resou r ces Sc i ence 2-2-0
트랙기본 ATA00047 동물사료자원학실습 An i ma l Feed Resou r ces Sc i ence Lab . 1-0-2
트랙심화 ATA00039 동물자원논리및논술교육 An i ma l Resou rces Log i c and S ta temen t Educa t i on 2-2-0
트랙심화 ATA00040 응용동물질병학 App l i ed An i ma l D i sease 3-3-0
트랙기본 ATA00055 졸업논문작성원론 I n t r oduc t i on t o G r adua t e Thes i s 2-2-0
트랙기본 ATA00056 졸업논문작성원론실습 I n t r oduc t i on t o G r adua t e Thes i s Lab 1-0-2
트랙심화 ATA00057 축산캡스톤디자인 1 Caps t one Des i gn o f An i ma l Sc i ence 1 3-3-0
트랙심화 ATA00058 동물생명공학 An i ma l L i f e Sc i ence 2-2-0
트랙심화 ATA00059 동물생명공학실습 An i ma l L i f e Sc i ence Lab . 1-0-2
트랙심화 ATA00080 육가공학 Mea t P r ocess i ng 2-2-0
트랙심화 ATA00081 육가공학실습 Mea t P r ocess i ng Lab . 1-0-2
트랙심화 ATA00061 동물산업경영학 Managemen t o f An i ma l I ndus t r y 3-3-0
트랙심화 ATA00062 한우사육학 Hanwoo Sc i ence 3-3-0
3-2
트랙심화 ATA00064 가금자원과학 Pou l t r y Sc i ence 2-2-0
트랙심화 ATA00065 가금자원과학실습 Pou l t r y Resou r ces and Sc i ence Lab . 1-0-2
트랙심화 ATA00066 유우육종학 Da i r y Ca t t l e B r eed i ng 3-3-0
트랙심화 ATA00052 동물자원교과교육론 An i ma l Resou r ces Educa t i on i n Sub j ec t s 3-3-0
트랙심화 ATA00080 육가공학 Mea t P r ocess i ng 2-2-0
트랙심화 ATA00081 육가공학실습 Mea t P r ocess i ng Lab . 1-0-2
트랙심화 ATA00083 동물발생공학 An i ma l Rep r oduc t i ve B i o t echno l ogy 3-3-0
트랙심화 ATA00070 동물자원학현장실습 An i ma l Fa r m P r ac t i ces 2-0-4
트랙심화 ATA00071 낙농자원과학 Da i r y Resou r ces Sc i ence 3-3-0
트랙심화 ATA00073 양돈과학 Sw i ne Sc i ence 3-3-0
4-1
트랙심화 ATA00074 동물자원교재연구및지도법 An i ma l Resou r ces S t udy i n Sub j ec t Ma t t e r 3-3-0
and Teach i ng Me t hod
트랙심화 ATA00082 축산식품저장유통학 Storage & D ist r ibut ion Management of An ima l Foods 3-3-0
4-2 트랙심화 ATA00079 동물복지학 Sc i ence o f L i ves t ock We l f a r e 3-3-0
2 , 3 , 4-
트랙심화 EZ A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3 , 4-
트랙심화 EZ 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동하계
계 104 (9 )

경상대학교 397
2020학년도 교육과정

36. 그린자원ICT융합 전문인력양성(애그로시스템공학부)

□ 트랙: LOHAS 트랙

□ 세부트랙: 그린자원 ICT융합 전문인력양성 트랙(2017)

□ 개요
- 그린자원ICT융합트랙 교육과정은 친환경적 농업생산기반 조성과 지속가능한 환경복지 달
성을 위한 ICT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것으로 지자체, 산업체, 연구소 및 NGO 등과 유기
적인 연계를 구축하여 ICT 기반 재해관리 및 ICT 기반 생산자동화기술 개발 구축에 이바
지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을 통하여 지역발전을 선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배출인력의 진로
- 농업토목 및 기계 관련 분야의 공무원과 주요 공기업(한국농어촌공사, 남동발전 등)
- 농촌진흥청, 농어촌연구원 등 국공립 및 민간연구소 연구원
- 농기계 관련 회사(LS엠트론, 동양물산, 대동공업 등)

□ 이수원칙
- 트랙기본과목 모두 이수
- 트랙심화과목 최소 24학점 이상 이수. 단, 정보통계학및실습(4학점), 기초공학제도및실습(3
학점) 중 1과목 이상 필수 이수
- 환경산림과학부(환경재료과학과(전공) 및 산림환경자원학과(전공), 에그로시스템공학부(생
물산업기계공학과(전공) 및 지역환경기반공학과(전공)) 신청 및 이수 가능
- 위 이수원칙은 2020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XFA00001 미래그린 AF개론 Int roduct ionof Agr icul ture& Forest ryGreen Technology 3-3-0
1-1 트랙심화 ZGA30016 정보통계학 I n f o r ma t i on and S t a t i s t i cs 3-3-0
트랙심화 ZGA30017 정보통계학실습 I n f o r ma t i on and S t a t i s t i cs P r ac t i ce 1-0-2
1-2 트랙심화 AMA00010 기초공학제도및실습 Fundamen t a l Eng i nee r i ng D ra f t i ng and P rac t i ce 3-2-1
트랙심화 AEA00106 지역 I CT기초및실습 Fundamen t a l I CT i n Ag r i cu l t u r e & P r ac t i ces 3-2-2
트랙심화 AMA00013 캐드 &그래픽 1 CAD & GRAPH I CS 1 3-0-3
트랙심화 EMA20003 열역학 The r modynam i cs 3-3-0
트랙심화 AWA20033 기초나노공학 P r i nc i p l e o f Nano t echno l ogy 2-2-0
트랙심화 AWA00013 기초나노공학실험및어드 P r i nc i p l e o f Nano t echno l ogy Lab . and 1-0-2
2-1 벤처디자인 Adven t u r e Des i gn
트랙심화 AFA20012 산림지리정보학 Geog r aph i c I n f o r ma t i on Sys t ems i n Fo r es t r y 2-2-0
트랙심화 AFA20081 산림지리정보학실습 Geographic Informat ionSystems App l icat ions in Forest ry 1-0-2
트랙심화 AFA20007 조림학 S i l v i cu l t u r e 2-2-0
트랙심화 AFA20078 조림학실습 S i l v i cu l t u r e P r ac t i ce 1-0-2
트랙기본 XFA00002 미래그린 AF세미나 Seminar for Agr icul ture& ForestryGreenTechnologyDevelopment 3-3-0
2-2 트랙심화 AWA20031 목재가공학 Wood P r ocess 2-2-0
2-2 트랙심화 AWA00012 목재가공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Wood p r ocess Lab . and Adven t u r e Des i gn 1-0-2
트랙심화 AXA00006 분석화학 Ana l y t i ca l Chem i s t r y 2-2-0

39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심화 AWA00010 분석화학실험및어드벤처 Expe r i men t s f o r Ana l y t i ca l Chem i s t r y and 1-0-2
디자인 Adven t u r e Des i gn
트랙심화 AWA20029 목재물리학 Wood phys i cs 2-2-0
트랙심화 AWA20071 목재물리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Wood phys i cs Lab . 1-0-2
트랙심화 AFA20073 산림자원경제학 Fo r es t Resou r ces Econom i cs 3-3-0
트랙심화 AEA90017 농촌계획학 Ru r a l P l ann i ng 3-3-0
트랙심화 AMA30001 농업동력및실습 Ag r i cu l t u r a l Powe r &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WA10014 목재재료역학 Wood Mechan i cs 2-2-0
트랙심화 AWA10013 목재재료역학실험 Wood Mechan i cs Lab . 1-0-2
트랙심화 AWA10018 펄프공학 Pu l p Techno l ogy 2-2-0
트랙심화 AWA10076 펄프공학실험 Pu l p Techno l ogy Lab . 1-0-2
3-1 트랙심화 AWA10020 특수임산학 Spec i f i c Fo r es t P r oduc t s 2-2-0
트랙심화 AWA10077 특수임산학실험 Spec i f i c Fo r es t P r oduc t s Lab . 1-0-2
트랙심화 AMA00006 작업기계공학및실습 F i e l d Mach i ne r y Eng i nee r i ng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FA30005 산림휴양학 Fo r es t Rec r ea t i on 2-2-0
트랙심화 AFA00004 산림휴양학실습 Fo r es t Rec r ea t i on P r ac t i ce 1-0-1
트랙심화 AFA30051 조경설계및시공 Landscape Des i gn & Cons t r uc t i on P r ac t i ce 2-2-0
트랙심화 AFA30084 조경설계및시공실습 Landscape Des i gn & Cons t r uc t i on P r ac t i ce 1-0-2
트랙기본 XFA00005 미래그린 AF융복합종합설계 Mu l t i d i sc i p l i na r y p r ac t i ce des i gn o f 3-3-0
Ag r i cu l t u r a l & Fo r es t r y G r een Techno l ogy
트랙심화 AEA40023 농업시설공학 Ag r i cu l t u r a l S t r uc t u r es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AMA00007 생물생산시스템공학및실습 B i o P r oduc t i on Sys t em Eng i nee r i ng P r ac t i ce 3-2-2
트랙심화 AMA00016 캐드 &그래픽 2 CAD & GRAPH I CS 2 3-0-3
트랙심화 AWA30040 산림바이오매스학 Wood B i omass 2-2-0
3-2 트랙심화 AWA30077 산림바이오매스학실험 Wood B i omass Lab . 1-0-2
트랙심화 AWA10021 제지공학 Pape r Techno l ogy 2-2-0
트랙심화 AWA10078 제지공학실험 Pape r Techno l ogy Lab . 1-0-2
트랙심화 AFA30003 산림토목학 Fo r es t Eng i nee r i ng 2-2-0
트랙심화 AFA30079 산림토목학실습 Fo r es t Eng i nee r i ng P r ac t i ce 1-0-2
트랙심화 AFA00005 수목병리학 Forest and Shade Tree Pathology 2-2-0
트랙심화 AFA00006 수목병리학실습 Forest and Shade Tree Pathology & Practices 1-0-1
트랙기본 XFA00006 미래그린 AF캡스톤디자인 CapstoneDesignof Agr icul tural& Forest ryGreenTechnology 3-3-0
트랙심화 AEA00009 농업기반공학 Ag r i cu l t u r a l I n f r a/s t r uc t u r e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AEA00093 농촌방재공학및실습 Rura l D isaster Prevent ion Eng inee r ing and Pract ice 3-2-2
트랙심화 AEA00109 PBL농촌공간정보공학및실습 PBL Rural Spat ial Informat ionEngineer ingand Pract ices 3-2-2
트랙심화 AEA40026 농산환경조절공학 Agr icul turalProduct ionand Envi ronmentCont rol Engineer ing 3-3-0
4-1 트랙심화 AMA00003 생체시스템공학 B i osys t ems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AMA00005 농업정보공학 Ag r i cu l t u r e I n f o r ma t i on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AWA10029 지류물성학 P r ope r t i es o f Pape r 2-2-0
트랙심화 AWA00003 지류물성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P rope r t i es o f Pape r Lab . and Caps tone Des i gn 1-0-2
트랙심화 AWA00094 지류포장공학 Pape r Packa i ng Techno l ogy 2-2-0
트랙심화 AWA00095 지류포장공학실험및캡스 Expe r i men t and Caps t one Des i gn f o r Pape r 1-0-2
톤디자인 Packag i ng Techno l ogy
4-2 트랙심화 AFA40003 산림유전자원학 Fo r es t Gene t i cs Resou r ces 3-3-0
계 120

37. 선박운항관리 전문인력양성(해양경찰시스템학과)

경상대학교 399
2020학년도 교육과정

□ 트랙: 선박운항관리 트랙

□ 세부트랙: 선박운항관리 전문인력양성 트랙(2013)

□ 개요
- 21세기 신 해양시대는 보존적인 해양수산 관리 및 친환경적인 해양운항이라는 주제 아래
에 세계적으로 보존과 환경적인 면을 중점에 두고 해양의 개발과 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과정은 이런 시대적인 요청에 부응한 보존과 환경적인 측면에서 보다 전문적인
해양의 네비게이션, 운항, 수산 자원 관리 및 활용에 관한 전문 교육 과정을 통하여 선박
운항관리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선박관련과목을 집중 이수하여 선박의 상태, 하역상황, 운항비용, 하역비 등을 검토·분석하
는 선박운항관리원, 선박관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국민경제발전과 해운강국 도약
및 국위 선양 등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선박관리산업협회, 선원관리, 선박 수리
등을 담당하는 선박관리회사(Ship Management), 선박 항행상의 안전, 선박 교통의 효율성
및 환경 보호를 증진시키는 전문 선박교통관리관(Vessel Traffic Service, VTS) 등에 진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수원칙
- 전공기본 과목 모두 이수, 전공기본과목과 트랙기본 과목을 합하여 30학점 이상 이수
- 3학년 1학기에 10명 이내 선발하고, 외국어(영어, 중국어, 일본어) 점수를 선발 우선 요건
으로 함
- 영어심화캠프(English Village) 수료(권장)
- 4년 평균평점 3.5
- 현장실습은 3학점 권장
- 위 이수원칙은 2016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2 트랙기본 FSA20005 해양학 Oceanog r aphy 3-3-0
트랙기본 FSA30017 국제법 I n t e r na t i ona l Law 3-3-0
2-1
트랙기본 FSA00024 선박운용학 seamansh i p 3-3-0
전공기본 FSA20001 항해계기학 Nav i ga t i ona l I ns t r umen t 3-3-0
2-2 트랙기본 FSA20024 해사법규 Ma r i ne Law 3-3-0
트랙기본 FSA20073 연근해승선실습 Coas t a l and O f f sho r e T r a i n i ng on Boa r d 2-0-4
전공기본 FMA20007 해사영어 Ma r i ne Eng l i sh 3-3-0
3-1 트랙기본 FSA20023 형사소송법 C r i m i na l P r ocedu r e 3-3-0
트랙기본 FSA30022 알파및레이다항법 Nav i ga t i on o f ARPA Rada r 2-2-0

3-2 트랙기본 FSA00025 해양안전론 ma r i t i me sa f e t y 2-2-0

40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FSA00026 해상안전통신 ma r i t i me d i s t r ess and sa f e t y commun i ca t i on 3-3-0
4-1 트랙기본 FSA40087 해양기계실습 P r ac f i ce o f Sea Mach i ne r y 2-0-4
트랙기본 FSA00029 연안승선실습 coas t a l sea on boa r d t r a i n i ng 1-0-2
트랙기본 FSA40091 레이다시뮬레이션실습 P r ac t i ce on Rada r S i mu l a t i on 2-0-4
트랙기본 FSA00031 해상안전공학 ma r i t i me sa f e t y eng i nee r i ng 2-2-0
4-2
트랙기본 FSA00006 해양캡스톤디자인 Ma r i t i me Caps t on Des i gn 3-3-0
4-1,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40 (15 )

경상대학교 401
2020학년도 교육과정

38.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기계시스템공학과)


□ 트랙: 성동조선해양 트랙

□ 세부트랙: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2012)

□ 개요
-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은 조선해양산업의 발전과 전문인력양성을 위하여 경상대
학교와 성동조선해양(주)간의 상호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교육과정이다.
경상대학교에서는 성동조선해양트랙을 통해 성동조선해양(주)에서 요구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능력을 갖춘 학생을 양성하고, 성동조선해양(주)에서는 성동조선해양트랙 수료 학생에게 채용 시
서류전형을 면제하고, 취업의 우선권을 부여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성동조선해양(주) 및 조선해양산업 분야로 진출

□ 이수원칙
- 트랙기본과목과 전공과목, 트랙심화 중 현장실습을 포함하여 45학점 이상 이수
- 4년간 평점 3.5 이상
- 학기단위 현장실습3은 4학년 2학기에 성동조선해양(주)에서 인턴과정으로 이수(권장)
- 토익 750점 이상 혹은 이에 상응하는 토익스피킹(130점 이상), OPIc 점수(IM2 이상), 일본
어, 중국어 등 외국어 능력 취득
- CAD 심화과정 이수: 방학 중에 개설되는 AVEVA Marine 선체기초·중급 또는 의장기초·
중급 단기과정 이수
- 위 이수원칙은 2016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EMA20005 기계재료학 Mechan i ca l Eng i nee r i ng Ma t e r i a l s 3-3-0
트랙기본 FMA00010 기계제도 Mechan i ca l D r aw i ng 3-2-2
2-1
전공기본 EMA20003 열역학 The r moDynam i cs 3-3-0
트랙기본 FMA20010 고체역학 Mechan i cs o f So l i ds 3-3-0
전공기본 FMA20001 재료역학 Ma t e r i a l Mechan i cs 3-3-0
2-2 전공기본 EMA30003 유체역학 F l u i d Mechan i cs 3-3-0
트랙기본 FMA00002 공학프로그래밍 Eng i nee r i ng P r og r amm i ng 3-3-0
트랙기본 EVA30009 기계요소설계 Des i gn o f Mechan i ca l E l emen t 3-3-0
트랙기본 EMA30014 유체기계 F l u i d Mach i ne r y 3-3-0
3-1 트랙기본 EMA30017 공기조화및냉동 A i r Cond i t i on i ng and Re f r i ge r a t i on 3-3-0
트랙기본 FMA00018 기계진동학 Mechan i ca l V i b r a t i on 3-3-0
트랙기본 FMA30009 추진공학 P r opu l s i on Eng i nee r i ng 3-3-0
트랙기본 FMA00006 증기공학 S t eam Eng i nee r i ng 3-3-0
트랙기본 EMA30031 선박보조기계 Sh i p Aux i l i a r y Mach i ne r y 3-3-0
3-2 트랙기본 EMA40003 제어공학 Con t r o l Eng i nee r i ng 3-3-0
트랙기본 FMA30001 내연기관 I n t e r na l Combus t i on Eng i ne 3-3-0
4-1,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4-2 트랙기본 FMA20009 해사법규및국제협약 Ma r i t i me Laws and I n t e r na t i ona l En t en t e 2-2-0
계 50 (15 )

40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39. 선박기관사 전문인력양성(기계시스템공학과)


□ 트랙: 선박기관사 트랙

□ 세부트랙: 선박기관사 전문인력양성 트랙(2016)

□ 개요
- 선박기관사 전문 인력 양성
- 선박관리 전문 인력 양성
- 선박기계설계 전문 인력 양성

□ 배출인력의 진로
- 진출분야: 선박기관사, 수, 해운업체의 공무감독관, 선급의 선박검사원 및 해양경찰, 조선소
및 조선기자재업체의 관리 및 설계 전문 인력
- 관련 자격증: 3급기관사, 선박기계기사, 일반기계기사

□ 이수원칙
- 전공기본, 트랙기본, 트랙심화 과목을 합하여 35학점 이상 이수
- 2학년 1학기에 트랙 신청
- 15주 이상 장기현장실습 이수(권장)
- 4년 평균평점 3.5
- 위 이수원칙은 2017학년도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2-1 전공기본 EMA20003 열역학 The r modynam i cs 3-3-0
전공기본 EMA30003 유체역학 F l u i d Mechan i cs 3-3-0
2-2 전공기본 FMA20001 재료역학 Ma t e r i a l Mechan i cs 3-3-0
트랙기본 FMA20073 승선실습 1 Sh i pp i ng T r a i n i ng 1 2-0-4
트랙심화 EMA30014 유체기계 F l u i d Mach i ne r y 3-3-0
트랙심화 EMA30017 공기조화및냉동 A i r Cond i t i on i ng and Re f r i ge r a t i on 3-3-0
3-1
트랙심화 FMA30009 추진공학 P r opu l s i on Eng i nee r i ng 3-3-0
트랙기본 FMA30010 시퀀스제어 Sequen t i a l Con t r o l 3-3-0
트랙기본 FMA00006 증기공학 S t eam Eng i nee r i ng 3-3-0
트랙기본 EMA30031 선박보조기계 Sh i p Aux i l i a r y Mach i ne r y 3-3-0
3-2
트랙심화 EMA40003 제어공학 Con t r o l Eng i nee r i ng 3-3-0
트랙기본 FMA30001 내연기관 I n t e r na l Combus t i on Eng i ne 3-3-0
트랙심화 FMA00004 증기공학실습 S t eam Eng i nee r i ng P r ac t i ce 3-0-6
트랙심화 FMA00008 해상안전및해양오염방지실습 Li fe Safety and Mar ine Po l lut ion Prevent ion Pract ice 3-0-6
트랙심화 FMA30071 내연기관실습 I n t e r na l Combus t i on Eng i ne P r ac t i ce 3-0-6
4-1
트랙심화 FMA30072 보조기계실습 Aux i l i a r y Mach i ne r y P r ac t i ce 3-0-6
트랙심화 FMA30073 기계공작실습 Mach i ne Wo r kshop P r ac t i ce 3-0-6
트랙심화 FMA30074 선박전기전자실습 Sh i p E l ec t r i c E l ec t r on P r ac t i ce 3-0-6
4-1,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심화 FMA20009 해사법규및국제협약 Ma r i t i me Laws and I n t e r na t i ona l En t en t e 2-2-0
4-2
트랙심화 FMA20007 해사영어 Ma r i ne Eng l i sh 3-3-0
계 58 (15 )

경상대학교 403
2020학년도 교육과정

40. 수산가공 전문인력양성(해양식품생명의학과)

□ 트랙: 수산가공 트랙

□ 세부트랙: 수산가공 전문인력양성 트랙(2014)

□ 개요
- 수산물을 재료로 한 생명현상의 해명과 수산물의 완전한 이용을 추구하며, 이를 위하여
수산 생물자원의 다양한 이용성과 기능성을 조사하고, 첨단 기법을 도입한 고 기능성
식품 가공기술의 개발과 신제품 창출, 전통 수산식품의 표준화와 사업화, 생리활성천연물의
색을 통한, 고부가가치의 의약품 및 신생물소재의 발굴과 이용, 미 이용 자원 및 폐기자원의
산업적 이용 등에 관한 심오한 지식과 기술을 연구한다. 이를 통하여 수산이용 분야의 학문과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며 나아가 인류 미래의 식량문제의 해결, 인류의 건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유능한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
해양식품생명의학과는 수산가공 기술자 양성과 동시에 해양수산부 및 농림축산식품부의
해양관련 공무원, 수산가공회사, 수산관련 국공립 연구소, 수산업협동조합 등으로 취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해양식품생명의학과가 위치한 경남과 인근 부산광역시는 국공립
연구소, 수산가공회사, 수산업협동조합이 집중화되어 있어서 상기 분야에 근무하기를 희망
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관련 분야에서 집중적인 실무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여 수산가
공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대학의 취업률 향상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수산업협동조합: 수협중앙회, 굴수협, 멍게수협, 근해통발수협, 기선권현망수협 등
- 수산관련공무원: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산물품질관리원 등
- 국공립연구소: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소, 한국식품연구원 등
- 수산가공회사: 사조산업, 동원산업, 한성기업, 오뚜기식품, 대일수산 등
- 관련자격증: 수산제조기사, 위생사, 식품제조기사, 식품제조산업기사

□ 이수원칙
- 2학년 1학기에 15명 내외 선발하고 직전 학기 취득 성적을 선발 우선 조건으로 한다.
- 캡스톤디자인 및 종합설계교과목은 반드시 1과목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 전공과목의 트랙기본 교과목을 35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 트랙제 교육과정에 개설된 교과목은 전공선택으로 인정한다.
- 위 이수원칙은 2015학년도 신청자부터 적용한다.

40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FF A00097 미생물학 M i c r ob i o l ogy 2-2-0
2-1 트랙기본 FF A00099 식품재료소재학 Food Add i t i ves 3-3-0
트랙기본 FF A00101 유기화학 O r gan i c Chem i s t r y 3-3-0
트랙기본 FF A00114 식품화학 Food Chem i s t r y 2-2-0
트랙기본 FF A00115 식품화학실험 Food Chem i s t r y Lab . 1-0-2
트랙기본 FF A00116 수산이용화학 Ma r i ne Food Chem i s t r y 2-2-0
2-2
트랙기본 FF A00117 수산이용화학실험 Ma r i ne Food Chem i s t r y Lab . 1-0-2
트랙기본 FF A00118 식품냉동냉장학 Low Tempe r a t u r e P r ese r va t i on o f Food 2-2-0
트랙기본 FF A00201 식품냉동냉장학실습 Low Tempe ra tu re P rese rva t i on o f Food P rac t i ce 1-0-2
트랙기본 FF A00131 식품위생학 Food San i t a t i on 2-2-0
트랙기본 FF A00132 식품위생학실험 Food San i t a t i on Lab . 1-0-2
트랙기본 FF A00133 수산가공학 F i she r i es P r ocess i ng 2-2-0
트랙기본 FF A00134 수산가공학실습 F i she r i es P r ocess i ng P r ac t i ce 1-0-2
3-1
트랙기본 FF A00135 통조림제조학 Canned Food P r ocess i ng 2-2-0
트랙기본 FF A00136 통조림제조학실습 Canned Food P r ocess i ng P r ac t i ce 1-0-2
트랙기본 FF A00137 해양천연물학 Ma r i ne Na t u r a l P r oduc t s 2-2-0
트랙기본 FF A00138 해양천연물학실험 Ma r i ne Na t u r a l P r oduc t s Lab . 1-0-2
트랙기본 FF A00154 식품가공학 Food P r ocess i ng 2-2-0
트랙기본 FF A00155 수산식품개발및품질관리 Sea f ood Deve l opmen t and Qua l i t y Con t r o l 2-2-0
3-2 트랙기본 FF A00156 수산식품개발및품질관리실습 Seafood Deve l opmen t and Qua l i ty Con t ro l Prac t i ce 1-0-2
트랙기본 FF A00157 수산제조종합설계 F i she r i es P r ocess i ng Caps t one Des i gn 2-2-0
트랙기본 FF A00198 식품가공학실습 Food P r ocess i ng P r ac t i ce 1-0-2
트랙기본 FF A00167 식품첨가물 Food Add i t i ves 3-3-0
트랙기본 FF A00169 HACCP학 Haza r d Ana l ys i s and C r i t i ca l Con t r o l Po i n t s 3-3-0
4-1
트랙기본 FF A00071 식품가공캡스톤디자인 ' Caps t one Des i gn o f Food P r ocess i ng 2-2-0
트랙기본 FF A00176 부산물이용학 U t i l i za t i on o f Byp r oduc t s 2-2-0
계 47

경상대학교 405
2020학년도 교육과정

41. 수산생명의학 전문인력양성(해양식품생명의학과)

□ 트랙: 수산생명의학 트랙

□ 세부트랙: 수산생명의학 전문인력양성 트랙(2015)

□ 개요
- 수산양식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수산생물의 질병에 대한 관리영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수산생물 질병에 대한 대처능력과 풍부한 지식, 우수한 진료능력을 갖춘 인력이 필요
이 트랙에서는 학생들에게 수산생물기초의학 및 수산생물임상의학 계열의 다양한 과목들을 교
수하고 수계, 수족관 및 양식 사업체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능력과
수산생물체로부터 새로운 약품을 발굴·개발할 수 있는 능력 등을 겸비한 맞춤형 인재를 양성

□ 배출인력의 진로
- 수산생물질병 치료제 개발 및 제약분야 산업체
- 해양·수산 연구기관 및 해양생명산업체
- 해양수산부 및 시·도등의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 수산업협동조합
- 사료 제조 기업

□ 이수원칙
- 2학년 1학기에 15명 내외를 선발하고 직전 학기 취득 성적을 선발 우선 조건으로 한다.
- 트랙기본 및 트랙심화 35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 트랙제 교육과정에 개설된 교과목은 전공선택으로 인정한다.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FF A00086 양식학원론 P r i nc i p l es o f Aquacu l t u r e 3-3-0
트랙기본 FF A00087 해양동물학 Ma r i ne I nve r t eb r a t e Zoo l ogy 3-3-0
트랙기본 FF A00089 어류학 I ch t hyo l ogy 3-3-0
2-1 트랙기본 FF A00090 어류학실험 I ch t hyo l og i ca l Lab . 1-0-2
트랙기본 FF A00092 병원미생물학 Pa t hom i c r ob i o l ogy 2-2-0
트랙기본 FF A00093 병원미생물학실험 Pa t hom i c r ob i o l ogy Lab . 2-0-4
트랙기본 FF A00094 해양포유동물학 Ma r i ne Mamma l ogy 2-2-0
트랙기본 FF A00103 양식공학 Aquacu l t u r a l Eng i nee r i ng 2-2-0
2-2
트랙기본 FF A00183 해양생명산학실습 1 F i e l d s t udy i n Ma r i ne B i o t echno l ogy1 2-0-4
트랙심화 FF A00121 어류양식학 F i sh Cu l t u r e 2-2-0
트랙심화 FF A00185 어류양식학실습 F i sh Cu l t u r e F i e l d Wo r k 2-0-4
트랙심화 FF A00182 어패류양식장견학실습 F i sh&She l l f i sh Cu l t u r e F i e l d Wo r k 2-0-4
3-1 트랙심화 FF A00192 패류양식학 She l l f i sh Aquacu l t u r e 2-2-0
트랙심화 FF A00193 패류양식학실습 She l l f i sh Aquacu l t u r e Lab . 1-0-2
트랙심화 FF A00128 분자생물학 Mo l ecu l a r B i o l ogy 2-2-0
트랙심화 FF A00189 외해생태실습 Ocean Eco l ogy P r ac t i ce 1-0-2

40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심화 FFA0000184 해양생명산학실습 2 F i e l d s t udy i n Ma r i ne B i o t echno l ogy2 2-0-4
트랙심화 FF A00190 해조류양식학 Ma r i ne a l ga l Pa t ho l ogy 2-2-0
트랙심화 FF A00191 해조류양식학실습 Ma r i ne a l ga l Pa t ho l ogy Lab . 1-0-2
트랙심화 FF A00147 수산생물임상학 D i agnos t i cs o f Aqua t i c O r gan i sm 2-2-0
3-2 트랙심화 FF A00148 수산생물임상학실험 D i agnos t i cs o f Aqua t i c O r gan i sm Lab . 2-0-4
트랙심화 FF A00186 어류영양학 F i sh Nu t r i t i ona l 2-2-0
트랙심화 FF A00187 어류영양학실험 F i sh Nu t r i t i ona l Lab . 1-0-2
트랙심화 FF A00108 수족관생물학 Aqua r i um B i o l ogy 2-2-0
트랙심화 FF A00179 수족관캡스톤디자인 Caps t one Des i gn o f Aqua r i um B i o l ogy 1-0-2
4-1 트랙심화 FF A00195 수산생물질병진단학 D i agnos t i cs o f Aqua t i c O r gan i sm 2-2-0
트랙심화 FF A00188 어류양식캡스톤디자인 Caps t one Des i gn o f Aquacu l t u r e 2-2-0
4-2 트랙심화 FF A00161 수산생물면역학 Aqua t i c An i ma l I mmuno l ogy 2-2-0
트랙심화 FF A00162 수산생물면역학실험 Aqua t i c An i ma l I mmuno l ogy Lab . 1-0-2
계 54

경상대학교 407
2020학년도 교육과정

42. 기계부품소재 전문인력양성(에너지기계공학과)

□ 트랙: 기계부품소재 트랙

□ 세부트랙: 기계부품소재 전문인력양성 트랙(2009)

□ 개요
- 기계부품소재 산업은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에 따른 지역전략산업 중 핵심 전략산업으로
동남권역 전체 산업대비 최고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동남권역내의 기계부품산업은
전국대비 사업체의 36.4%, 종사자의 36.9%, 부가가치의 31.4%를 차지하는 높은 비중을
고려하여 중점 육성해야 할 주력산업이기 때문에 이 분야를 집중 심화교육을 통하여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중견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에너지기계 산업분야 및 기계부품소재 분야로 진출

□ 이수원칙
- 1학년 1학기에 15명 내외 선발
- 전공기본 및 트랙기본은 각각 15학점 이상 이수, 트랙심화과정은 6학점 이수
- 트랙제 교육과정에 개설된 과목은 전공선택으로 인정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전공기본 FEA00018 재료역학 1 Mechan i cs o f Ma t e r i a l s 1 3-3-0
2-1
전공기본 FEA00019 기계재료 Ma t e r i a l s Sc i ence 3-3-0
전공기본 EMA20004 동역학 Dynam i cs 3-3-0
전공기본 FEA00031 열전달 Hea t t r ans f e r 3-3-0
2-2 트랙기본 EMA30018 기계공작법 Manu f ac t u r i ng P r ocess 3-3-0
트랙기본 FEA00024 재료역학 2 Mechan i cs o f Ma t e r i a l s 2 3-3-0
트랙기본 FEA20002 자동차공학 Au t omob i l e Eng i nee r i ng 3-3-0
전공기본 EVA30009 기계요소설계 Des i gn o f Mach i ne E l emen t s 1 3-3-0
트랙기본 EMA30016 기계진동학 Mechan i ca l V i b r a t i on 3-3-0
3-1
트랙기본 FEA00037 신재생에너지공학 New&Renewab l e Ene r gy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FEA00028 에너지기계실험 Ene r gy Mach i ne Expe r i men t 3-0-3
트랙기본 EMA30014 유체기계 F l u i d Mach i ne r y 3-3-0
3-2 트랙기본 EBA40009 복합재료 Compos i t e Ma t e r i a l s 3-3-0
트랙심화 FEA00038 CAM/CAE CAM/CAE 3-3-0
트랙기본 EVA40006 유압공학 Hyd r au l i cs 3-3-0
4-1
트랙기본 FEA00039 응용 CAE종합설계 Caps t one Des i gn o f App l i ed CAE 3-0-3
4-2 트랙기본 FEA00029 종합설계 Mechan i ca l Sys t em Des i gn 2-0-2
계 50

40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43.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에너지기계공학과)

□ 트랙: 성동조선해양 트랙

□ 세부트랙: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2012)

□ 개요
-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은 조선해양산업의 발전과 전문인력양성을 위하여 경상대
학교와 성동조선해양(주)간의 상호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교육과정이다.
경상대학교에서는 성동조선해양트랙을 통해 성동조선해양(주)에서 요구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능력을 갖춘 학생을 양성하고, 성동조선해양(주)에서는 성동조선해양트랙 수료
학생에게 채용 시 서류전형을 면제하고, 취업의 우선권을 부여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성동조선해양(주) 및 조선해양산업 분야로 진출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과목과 전공과목, 트랙심화 중 현장실습을 포함하여 45학점 이상 이수
- 4년간 평점 3.5 이상
- 학기단위 현장실습3은 4학년 2학기에 성동조선해양(주)에서 인턴과정으로 반드시 이수
- 토익 750점 이상 혹은 이에 상응하는 토익스피킹, OPIc 점수, 일본어, 중국어 등 외국어
능력 취득
- CAD 심화과정 이수: 방학 중에 개설되는 AVEVA Marine 선체기초·중급 또는 의장기초·
중급 단기과정 이수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전공기본 FEA00026 전산 CAD Compu t e r A i ded Des i gn 2-0-2
1-1
트랙기본 EMA10002 정역학 Bas i c Eng i nee r i ng Mechan i cs 3-3-0
전공기본 FEA00018 재료역학 1 Mechan i cs o f Ma t e r i a l s 1 3-3-0
1-2
전공기본 FEA00037 신재생에너지공학 New&Renewab l e Ene r gy Eng i nee r i ng 3-3-0
트랙기본 FEA00007 CFD설계 Compu t a t i ona l F l u i d Dynam i cs Des i gn 3-3-0
2-1
트랙기본 FEA00023 조선해양공학 Ma r i ne Eng i nee r i ng 3-3-0
트랙기본 FEA00019 기계재료 Ma t e r i a l s Fo r Mach i ne 3-3-0
2-2
전공기본 EMA30003 유체역학 F l u i d Mechan i cs 3-3-0
트랙기본 FEA00024 재료역학 2 Mechan i cs o f Ma t e r i a l s 2 3-3-0
3-1
전공기본 EMA20003 열역학 The r modynam i cs 3-3-0
전공기본 EVA30009 기계요소설계 Des i gn o f Mach i ne E l emen t s 1 3-3-0
3-2
트랙기본 EMA30016 기계진동학 Mechan i ca l V i b r a t i on 3-3-0
전공기본 EMA40003 제어공학 Con t r o l Eng i nee r i ng 3-3-0
4-2
트랙기본 EMA30014 유체기계 F l u i d Mach i ne r y 3-3-0
트랙기본 FEA00039 응용 CAE종합설계 Caps t one Des i gn o f App l i ed CAE 3-0-3
4-1,2
트랙심화 EZ 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계 44 (15 )

경상대학교 409
2020학년도 교육과정

44. 사물인터넷 전문인력양성(정보통신공학과)

□ 트랙: 사물인터넷 트랙

□ 세부트랙: 사물인터넷 전문인력양성 트랙(2019)

□ 개요
- 최신 정보통신기술과 소프트웨어 분야의 산업체 맞춤형 교육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
대를 이끌어 나갈 사물인터넷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

□ 배출인력의 진로
- 사물인터넷 관련 국내외 중소, 중견기업(삼성전자, LG전자, 가온미디어, 아이리버, 코콤,
효성ITX 등)
- 사물인터넷 관련 정부출연 연구기관 및 연구소

□ 이수원칙
- 트랙기본 15학점 이수
- 트랙심화 9학점 이상 이수
- 종합설계에서 사물인터넷 관련 프로젝트 수행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FIA00087 디지털공학 Digital Engineering 3-3-0
2-1
트랙기본 FIA20017 공학수학 Engineering Mathematics 3-3-0
트랙기본 FIA00014 파이썬프로그래밍 Python Programming 3-2-2
2-2
트랙기본 FIA30003 신호및시스템 Signals and Systems 3-3-0
트랙기본 FIA00004 컴퓨터네트워크 Computer Networks 3-3-0
3-1
트랙심화 FIA20004 통신이론 Communication Theory 3-3-0
트랙심화 FIA00013 모바일프로그래밍 Mobile Programming 3-2-2
3-2
트랙심화 FIA00010 정보보안 Information Security 3-3-0
트랙심화 FIA00082 모바일네트워크 Mobile Networks 3-3-0
4-1
트랙심화 FIA00011 임베디드시스템프로그래밍 Embedded System Programming 3-2-2
트랙심화 NEA40001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2-2-0
4-2
트랙심화 NEA40002 사물인터넷 실습 Internet of Things Lab 1-0-2
계 33

41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45.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조선해양공학과)

□ 트랙: 성동조선해양 트랙
□ 세부트랙: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2012)
□ 개요
- 성동조선해양 전문인력양성 트랙은 조선해양산업의 발전과 전문인력양성을 위하여 경상대
학교와 성동조선해양(주)간의 상호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교육과정이다.
경상대학교에서는 성동조선해양트랙을 통해 성동조선해양(주)에서 요구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능력을 갖춘 학생을 양성하고, 성동조선해양(주)에서는 성동조선해양트랙 수료
학생에게 채용 시 서류전형을 면제하고, 취업의 우선권을 부여한다.

□ 배출인력의 진로
- 성동조선해양(주) 및 조선해양산업 분야로 진출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과목과 전공과목, 트랙심화 중 현장실습을 포함하여 45학점 이상 이수
- 4년간 평점 3.5 이상
- 학기단위 현장실습3은 4학년 2학기에 성동조선해양(주)에서 인턴과정으로 이수(권장)
- 토익 750점 이상 혹은 이에 상응하는 토익스피킹(130점 이상), OPIc 점수(IM2 이상),
일본어, 중국어 등 외국어 능력 취득
- CAD 심화과정 이수: 방학 중에 개설되는 AVEVA Marine 선체기초·중급 또는 의장기초·
중급 단기과정 이수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1-1 트랙기본 EMA10002 정역학 Bas i c Eng i nee r i ng Mechan i cs 3-3-0
1-2 트랙기본 FNA00004 CAD이론및실습 Compu t e r A i ded Des i gn & P r ac t i ce 2-1-2
전공기본 FNA10003 선박계산 Sh i p Ca l cu l a t i ons 3-3-0
2-1 트랙기본 EMA20003 열역학 The r modynam i cs 3-3-0
트랙기본 FNA00015 선박경제성공학 Sh i p Econom i c Eng i nee r i ng 2-2-0
전공기본 FNA00005 선박해양구조학 S t r uc t u r es o f Sh i p & O f f sho r e S t r uc t u r e 3-3-0
2-2 전공기본 FNA00014 선체유체역학 Sh i p Hyd r odynam i cs 2-2-0
트랙기본 FNA00018 선박해양건조공학 Sh i p & O f f sho r e P r oduc t i on Eng i nee r i ng 3-3-0
트랙기본 EZA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3 , 4- 트랙기본 EZ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동하계 트랙기본 FNA00026 조선해양현장실습 1 Ma r i ne i ndus t r y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트랙기본 FNA00027 조선해양현장실습 2 Ma r i ne i ndus t r y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전공기본 FNA00007 선박저항및추진 Res i s t ance & P r opu l s i on o f Sh i ps 3-3-0
전공기본 FNA00024 해양시스템종합설계 Advanced O f f sho r e Sys t em Des i gn 3-3-0
3-1
트랙기본 FNA00033 선박해양프리젠테이션 Ma r i ne r esea r ch sk i l l 1-0-2
전공기본 FNA10040 선체생산구조설계 Sh i p S t r uc t u r a l Des i gn f o r P r oduc t i on 3-3-0
전공기본 FNA00009 선체진동론 Sh i p S t r uc t u r a l V i b r a t i ons 3-3-0
트랙기본 FNA20010 컴퓨터응용구조해석 Compu t e r A i ded S t r uc t u r a l Ana l ys i s 3-3-0
3-2
트랙기본 FNA00010 심해석유생산 Ocean F i e l d Deve l opmen t 3-3-0
전공기본 FNA00017 컴퓨터활용선박기본설계 Compu t e r A i ded Sh i p I n i t i a l Des i gn 3-3-0
4-1 전공기본 FNA00019 캡스톤디자인 Caps t one Des i gn 3-3-0
4-2 트랙기본 FNA00039 선박해양의장시스템 sh i p-o f f sho r e ou t f i t t i ng sys t em 3-3-0
계 49 (18 )

경상대학교 411
2020학년도 교육과정

46. 수질오염처리 및 방지 전문인력양성(해양환경공학과)

□ 트랙: 수질오염처리 및 방지 트랙

□ 세부트랙: 수질오염처리 및 방지 전문인력양성 트랙(2015)

□ 개요
- 수질오염 처리 및 방지 전문 인력 양성
- 수질오염 처리장치 설계 전문 인력 양성
- 해양수질 관리 전문 인력 양성

□ 배출인력의 진로
- 진출분야: 환경직 공무원, 환경관리공단, 한국수자원공사, 중공업·건설·정유업체, 연안임해공
단, 환경관련회사, 해양 및 자원개발업체, 관련 연구기관, 국공립 공원관리 기관
- 관련 자격증 : 수질환경기사, 해양환경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수질환경산업기사

□ 이수원칙
- 트랙기본 교과목에서 18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
- 트랙심화 교과목에서 6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
- 토익 650점 이상 또는 이에 상응하는 영어 성적을 취득하거나, 별도로 지정된 자격증 (기사
또는 산업기사) 중 하나 이상 취득해야 함
- 4년 평균평점 3.0 이상이어야 함

□ 교육과정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트랙기본 FVA20005 환경화학 Chem i s t r y f o r Env i r onmen t a l Eng i nee r s 3-3-0
2-1 트랙기본 FVA20024 환경공학양론 Mater ial and Energy Balance in Envi ronmentalEngineer ing 3-3-0
트랙기본 FVA20031 환경공업수학 Eng i nee r i ng Ma t hema t i cs 3-3-0
트랙기본 FVA00001 환경수리학 Hyd r au l i cs f o r Env i r onmen t a l Eng i nee r s 3-3-0
트랙기본 FVA00004 생물학적폐수처리공학 1 B i o l og i ca l Was t ewa t e r T r ea t men t 1 3-3-0
트랙기본 FVA00023 환경기기분석 I ns t r umen t a l Ana l ys i s 3-3-0
2-2
트랙심화 FVA00010 환경수치해석 Nume r i ca l Ana l ys i s fo r Env i ronmen ta l Eng i nee r 3-3-0
트랙심화 FVA20010 환경통계학 S t a t i s t i cs f o r Env i r onmen t a l Eng i nee r s 2-2-0
트랙심화 FVA20020 물질전달및이동 Po l l u t an t s T r ans f e r and T r anspo r t 3-3-0
3- 트랙심화 EZA30071 현장실습 1 F i e l d T r a i n i ng 1 (3-0-4주)
동하계 트랙심화 EZA30072 현장실습 2 F i e l d T r a i n i ng 2 (6-0-8주)
트랙기본 ECA40004 상하수도공학 Wa t e r Supp l y and Sewage T r ea t men t 3-3-0
트랙기본 FVA00003 물리화학적수처리공학실험 Phys icochem ica l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Lab. 2-0-4
트랙기본 FVA20027 수질화학 Wa t e r Chem i s t r y 3-3-0
3-1
트랙기본 FVA30011 생물학적폐수처리공학 2 B i o l og i ca l Was t ewa t e r T r ea t men t 2 3-3-0
트랙기본 FVA30017 물리화학적수처리공학 Phys i cochem i ca l Wa te r and Was tewa te r T rea tmen t 3-3-0
트랙기본 FVA30087 생물학적폐수처리공학 2실험 Exper imentof Biolog icalWastewaterTreatmentEngineer ing2 1-0-2
트랙기본 FVA30012 산업폐수처리공학 T r ea t men t o f I ndus t r i a l Was t ewa t e r 2-2-0
트랙기본 FVA30075 수질화학실험 Wa t e r Chem i s t r y Lab 2-0-4
3-2 트랙기본 FVA30086 산업폐수처리공학실험 Lab.Exper iment of Indust r ia l Wastewater Treatment 1-0-2
트랙심화 FVA00016 환경생물공정 Env i r onmen t a l B i op r ocess Eng i nee r i ng 3-3-0
트랙심화 FVA00018 고급물리화학적수처리공학 AdvancedPhysicochem ical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3-3-0

41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트랙제 교육과정(산학트랙)

학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학기
4-1,2 트랙심화 EZA40071 현장실습 3 F i e l d T r a i n i ng 3 (15-0-15주)
트랙심화 FVA00013 창의적수처리종합설계 I n t eg r a t ed Des i gn o f Wa t e r T r ea t men t 2-2-0
4-1
트랙심화 FVA00014 CAD이론및실습 Compu t e r A i ded Des i gn & P r ac t i ce 3-2-2
4-2 트랙심화 FVA00021 해양수질오염학 Ma r i ne Po l l u t i on 3-3-0
계 60(24)

경상대학교 413
PART 09

부전공

◌ 학과(전공)별 부전공 지정과목 일람표············· 413


2020학년도 교육과정

● 학과(전공)별 부전공 지정과목 일람표


제 1과목 제 2과목 제 3과목
대학 학과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국어국문학과 HKA10002 국문학개론 3 HKA10001 국어학개론 3 HKA00010 고전문학사 3
독어독문학과 HGA20003 독문학입문 3 HGA20011 독어학개론 3 HGA00002 현대독일사회의이해 3
러시아학과 HRA10021 초급러시아어 1 3 HRA10022 초급러시아어 2 3 HRA20012 러시아학개론 3
불어불문학과 HFA20017 프랑스문학입문 3 HFA20021 실용프랑스어문법 3 HFA00002 프랑스어학개론 3
인문
대학 사학과 HHA00001 한국사학개설 1 3 HHA00002 서양사학개설 1 3 HHA00003 동양사학개설 1 3
영어영문학과 HEA20003 영미문학개론 3 HEA20004 영어학개론 3 HEA20011 영국문학사 2 3
중어중문학과 HCA20005 중국문학개론 3 HCA20006 중국어학개론 3 HCA30015 고급중국어 1 3
철학과 HPA20011 인식론 3 HPA20022 한국철학사 3 HPA30012 형이상학 3
한문학과 HMA20003 한문학개론 3 HMA30005 한문학사 1 3 HMA30006 한문학사 2 3
경제학과 SEA20001 미시경제학 3 SEA20002 경제사 3 SEA20003 거시경제학 3
사회 사회학과 SSA10002 사회학사 3 SSA20012 사회조사방법론 3
과학
대학 정치외교학과 S I A00013 비교정치론 3 S I A00004 국제정치의패러다임 3 S I A20009 한국정치론 3
행정학과 SAA10001 행정조직론 3 SAA20007 지방자치론 3 SAA20001 정책형성론 3
생명과학부 NOA00002 미생물학 3 NOA00051 생화학 3 NOA00003 분자생물학 1 3
물리학과 NPA20001 역학 1 3 NPA20007 전자기학 1 3 NPA30001 양자역학 1 3
NMA20030 해석학 1 2 NMA30030 현대대수학 1 2 NMA30032 위상수학 1 2
수학과
NMA20071 해석학연습 1 NMA30071 현대대수학연습 1 NMA30072 위상수학연습 1
자연 식품영양학과 NFA30005 영양학 3 NFA20006 식품학 3 NFA20014 단체급식관리 2
과학
대학 의류학과 NTA10020 패션디자인론 3 NTA00022 의복구성학 2 NTA20026 의류소재 3
지질과학과 NGA20051 구조지질학 3 NGA20083 광물학및실험 3 NGA30042 마그마와암석 3
화학과 NCA20002 유기화학 2 3 NCA30021 물리화학 3 3 NCA30002 무기화학 2 3
NEA10013 C프로그래밍 2
컴퓨터과학과 NEA20021 컴퓨터시스템개론 3 NEA00038 가상현실 3
NEA10071 C프로그래밍실습 1
경영학과 BBA30008 마케팅관리 3 BBA20005 생산관리 3 BBA30012 재무관리 3

B I A00013 소프트웨어개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분석및종


경영 경영정보학과 3 B I A00014
시스템
3 B I A00016
합설계
3
대학
국제통상학과 BTA20001 무역실무 3 BTA20002 국제무역론 3 BTA30002 국제수지론 3
회계학과 BAA20015 회계원리 2 3 BAA20013 원가회계 3 BAA30015 세무회계 3

기계항공정보
융합공학부 EMA20001 고체역학 1 3 EMA20003 열역학 3 EMA30003 유체역학 3
기계공학전공

기계항공정보
항공우주및소
융합공학부 ETA00141 프트웨어공학 소프트웨어
3 ETA00155 비행역학해석 3 ETA00017 3
항공우주및소프트 개발론 PBL
개론
공과 웨어공학전공
대학 산업시스템공학부
E I A40011 산업정보시스템 3 E IA30023 경영과학 1 3 E IA30031 생산체계설계 3
산업시스템공학전공

41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부전공

제 1과목 제 2과목 제 3과목


대학 학과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반도체공학과 ESA30001 물리전자 1 3 ESA30002 물리전자 2 3 ESA20004 반도체소자 3

전기공학과 ELA30017 전력시스템공학 1 3 ELA30015 전기기기 1 3 ELA30022 자동제어 2 3

전자공학과 EEA30055 디지털공학 3 EE A30022 전자회로 3 EEA30058 통신시스템 3

제어계측공학과 EMA40014 계측공학 3 EFA30023 제어공학 1 3 EFA30024 제어공학 2 3

화학공학과 EHA20005 화공양론 1 3 EHA30008 열및물질전달 3 EHA30024 반응공학 2 3


건축도시토목공학부
EAA20016 건축구조 3 EAA20027 건축환경공학 1 3 EAA30035 건축시공 1 3
(건축공학전공 )
공과
대학 건축도시토목공학부
EUA20021 교통계획 3 EUA20041 도시계획 3 EUA30043 토지이용계획 3
(도시공학전공 )
건축도시토목공학부 ECA20013 측량학 1 2
ECA20005 응용역학 1 3 ECA20004 수리학 2 3
(토목공학전공 ) ECA20070 측량학실습 1 1
나노·신소재공학부
EGA00003 재료공학 1 3 EBA30012 금속물리학 3 EBA30011 금속화학 3
(금속재료공학트랙)
나노·신소재공학부
EGA00003 재료공학 1 3 ETA20027 재료공학 2 3 EGA00002 재료물리화학 1 3
(세라믹공학트랙 )
나노·신소재공학부
EGA00004 재료분석및조직학 3 EPA00108 고분자화학 3 EPA00100 고분자가공 3
(고분자공학트랙 )
식품자원경제학과 ASA20015 농업경영학 3 ASA30029 농식품유통론 3 ASA30025 농업발전론 3
AFA20005 산림식물학 2 AFA20007 조림학 2 AFA30001 산림자원측정학 2
환경산림과학부
산림환경자원학전공 AFA20076 산림식물학실습 1 AFA20078 조림학실습 1 AFA30077 산림자원측정학실습 1
AWA20029 목재물리학 2 AWA20032 산림화학 2 AWA20031 목재가공학 2
환경산림과학부 목재물리학실 산림화학실험 목재가공학실험
환경재료과학전공 AWA0008 험및어드벤처 1 AWA0009 및어드벤처디 1 AWA00012 및어드벤처디자 1
디자인 자인 인
농업식물과학과 AGA00078 원예학범론및실습 3 AGA00008 작물생리학 3 AGA00082 재배학및실습 3
농화학식품공학과 AXA00006 분석화학 3 AXA00050 생화학 1 3 AXA00013 응용미생물학 3
농업 ABA00004 잡초방제학실습 1 ABA00019 식물진균병리학 2 ABA20010 곤충분류학 2
생명
과학 식물의학과 ABA00015 잡초방제학 ABA00020 식물진균병리 ABA20073
대학 2 1 곤충분류학실험 1
학실험
ATA00033 동물발생생물학 2 ATA00041 동물육종학 3 ATA00012 동물영양학 1 3
축산생명학과
ATA00034 동물발생생물 1
학실험

애그로시스템공
학부 (생물산업 AMA30001 농업동력및실습 3 AMA00006 작업기계공학 3 AMA40076 생물가공시스템
3
및실습 공학및실습
기계공학전공 )

애그로시스템공
학부 (지역환경 AEA00008 관개배수공학 3 AEA00009 농업기반공학 3 AEA40023 농업시설공학 3
및종합설계
기반공학전공 )

경상대학교 417
2020학년도 교육과정

제 1과목 제 2과목 제 3과목


대학 학과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법과 LAA10013 민법총칙 LAA10023 형법 1 LAA20013
법학과 3 3 행정법총론 3
대학
수산경영학과 FBA20005 수산경제학 3 FBA40012 수산물유통과정책 3 FBA30007 수산경영학 3

해양경찰시스템 FSA20004 지문항해학 FSA20006 어구어법학 FSA30001


3 3 해상교통법 3
학과

해양식품생명 FFA00083 수산학개론 1 FFA00097 미생물학 FFA00098


2 2 미생물학실험 1
의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 EMA20003 열역학 3 EMA30003 유체역학 3 FMA20001 재료역학 3


해양
과학 에너지기계공학과 FEA00018 재료역학 1 3 EMA30003 유체역학 3 EMA20003 열역학 3
대학
정보통신공학과 F I A00001 확률및랜덤변수 3 F I A20004 통신이론 3 F I A30014 디지털통신공학 3

FNA00040 선체생산구조설계 FNA00019 캡스톤디자인 FNA00025 해양플랜트캡스


조선해양공학과 3 3 3
톤디자인

해양토목공학과 ECA20005 응용역학 1 3 ECA30003 철근콘크리트 3 FCA00036 항만설계 2


공학 1

생물학적폐수 FVA20027 수질화학 FVA30017 물리화학적수처


해양환경공학과 FVA30011 3 3 3
처리공학 2 리공학

41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ART 10

교직과정

Ⅰ. 교직과정 이수대상 및 이수기준······················ 419


Ⅱ. 교직과목 일람표·····················································419
Ⅲ. 교과교육영역 교과목 일람표·····························421
Ⅳ. 교원자격증 표시과목별 기본이수 과목········· 421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Ⅰ. 교직과정 이수대상 및 이수기준

이 수 대 상 이 수 기 준 비 고

○ 전공과목 : 50학점 이상
사범대학생 - 표시과목별 기본이수과목 21학점 (7과목 ) 이상 포함
- 표시과목별 교과교육영역 8학점 (3과목 ) 이상 포함
• ‘ 교과교육론 ’ , ‘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 ‘ 논리및논술에관한교육 ’
과목 필수 이수
○ 교직과목 : 22학점 이상
- 교직이론 : 12학점 이상 (6과목 이상 )
일반대학 교직과정 - 교직소양 : 6학점 이상
설치 학과의 교직과정 •특수교육학 개론 (2학점 이상 , 영재교육 영역 포함 )
이수 승인을 받은 자 •교직실무 (2학점 이상 )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2학점 이상 )
- 교육실습 : 4학점 이상
•학교현장실습 (2학점 이상 )
•교육봉사활동 (2학점 이내 포함 가능 )

※ 2013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

Ⅱ. 교직과목 일람표
1. 사범대학생
개설 개설학기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 점 비고
학년 1학기 2학기
Z C A 20001 교육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Educa t i on 2-2-0 2 ● ●
Z C A 20002 교육철학및교육사 Educa t i ona l Ph i l osophy 2-2-0 2 ● ●
and Educa t i ona l H i s t o r y
Z C A 20003 교육심리 Educa t i ona l Psycho l ogy 2-2-0 2 ● ●
교직이론 Z C A 20004 교육사회 Educa t i ona l Soc i o l ogy 2-2-0 2 ● ●
(6과목 Z C A 30001 교육과정및교육평가 Cu r r i cu l um & Educa t i ona l 2-2-0 3 ● ●
12학점 이상 ) Eva l ua t i on
Z C A 30002 교육방법및교육공학 Educa t i ona l Me t hods and 2-2-0 3 ● ●
Techno l ogy
사범
Z C A 40001 교육행정및교육경영 Educa t i ona l 2-2-0 4 ● ● 대학
Adm i n i st ra t i on & Management
필수
Z C A 00002 생활지도및상담 Gu i dance & Counse l i ng 2-2-0 4 ● ●
Z C A 00004 특수교육학개론 An ou t l i ne o f spec i a l 2-2-0 3 ● ●
educa t i on
교직소양 P r ac t i ca l A f f a i r s i n
Z C A 40030 교직실무 2-2-0 3 ● ●
(6학점 이상 ) Educa t i on
Z C A 00003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Theo r y and P r ac t i ce o f 2-2-0 1,2 ● ●
Schoo l V i o l ence P reven t i on
교육실습 Z C A 40007 교육실습 Teach i ng P r ac t i ce (2-0-4주) 4 ●
(4학점 이상 ) Z C A 40090 교육봉사활동 Volunteer Act ivi ty in Educat ion 2-0-4 전학년 ( 60시간 )

※ 교육봉사활동은 강의를 실시하지 않는 교과목으로 재학기간(휴학기간은 제외)중 해당기관장 발행


교육봉사활동(60시간이상) 확인서로 학점 인정

42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직과정

2. 일반대학 교직과정 설치학과 학생


개설 개설학기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 점 비고
학년 1학기 2학기
Z C A 20001 교육학개론 I n t r oduc t i on t o 2-2-0 2 ● ●
Educa t i on
Z C A 20002 교육철학및교육사 Educa t i ona l Ph i l osophy 2-2-0 2 ● ●
and Educa t i ona l H i s t o r y
Z C A 20003 교육심리 Educa t i ona l Psycho l ogy 2-2-0 2 ● ●
교직이론 Z C A 20004 교육사회 Educa t i ona l Soc i o l ogy 2-2-0 2 ● ●
(6과목 Cu r r i cu l um & Educa t i ona l
Z C A 30001 교육과정및교육평가 2-2-0 3 ● ●
12학점 이상 ) Eva l ua t i on
Z C A 30002 교육방법및교육공학 Educa t i ona l Me t hods and 2-2-0 3 ● ●
Techno l ogy
교직
Z C A 40001 교육행정및교육경영 Educa t i ona l 2-2-0 4 ● ●
Adm i n i st ra t i on & Management 필수
Z C A 00002 생활지도및상담 Gu i dance & Counse l i ng 2-2-0 4 ● ●
Z C A 00004 특수교육학개론 An ou t l i ne o f spec i a l 2-2-0 3 ● ●
educa t i on
교직소양 P r ac t i ca l A f f a i r s i n
Z C A 40030 교직실무 2-2-0 3 ● ●
(6학점 이상 ) Educa t i on
Z C A 00003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 Theo r y and P r ac t i ce o f 2-2-0 1, 2 ● ●
이해 Schoo l V i o l ence P reven t i on
교육실습 Z C A 40007 교육실습 Teach i ng P r ac t i ce (2-0-4주) 4 ●
(4학점 이상 ) Z C A 40090 교육봉사활동 Volunteer Act ivi ty in Educat ion 2-0-4 전학년 (60 시간 )

※ 교직이론은 계열별 개설을 원칙으로 하며, 교직소양과 교육실습은 계열별로 학기 구분하여 개설함
※ 교육봉사활동은 강의를 실시하지 않는 교과목으로 재학기간(휴학기간은 제외)중 해당기관장 발행
교육봉사활동(60시간이상) 확인서로 학점 인정

경상대학교 423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Ⅲ. 교과교육영역 교과목 일람표

(교직과정 설치학과 2020학년도 입학자 적용)

교과교재연구 논리 및 논술에
교과교육론
대학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및 지도법 관한 교육
학수번호 학점 학수번호 학점 학수번호 학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국 어 T K A 30003 3 T K A 40011 3 T K A 40013 2
독어독문학과 독 일 어 H GA 30017 3 HGA 40019 3 HGA 30018 2
러시아학과 러 시 아 어 H R A 60070 3 HR A 60072 3 HR A 60071 2
불어불문학과 프 랑 스 어 H F A 60070 3 HF A 60072 3 HF A 60071 2
사학과 역 사 T X A 20041 3 T X A 40041 3 T X A 00002 3
영어영문학과 영 어 T L A 30031 3 T L A 30049 3 T L A 00014 3
중어중문학과 중 국 어 H C A 60070 3 HCA 60072 3 HC A 60071 2
철학과 철 학 H P A 60070 3 HP A 60071 3 HP A 40040 3
한문학과 한 문 H MA 60001 3 HMA 60003 3 HMA 60002 2
사회과학 경제학과 일 반 사 회 T S A 20002 3 T S A 40001 3 T S A 00011 3
대학 사회학과 일 반 사 회 T S A 20002 3 T S A 40001 3 T S A 00011 3
행정학과 일 반 사 회 T S A 20002 3 T S A 40001 3 T S A 00011 3
자연과학 생명과학부 생 물 T B A 00100 3 T B A 00103 3 T B A 00001 3
대학 물리학과 물 리 T P A 20001 3 T P A 30012 3 T P A 20008 2
수학과 수 학 T MA 30015 3 T MA 40013 3 T MA 10020 2
의류학과 의 상 N T A 00016 3 NT A 00017 3 N T A 00018 2
화학과 화 학 T C A 20031 3 T CA 30031 3 T C A 40008 2
컴퓨터과학과 정보 · 컴퓨터 N E A 00023 3 NE A 00024 3 N E A 00025 2
경영대학 경영학과 상 업 B E A 30048 3 B E A 60048 3 B E A 50048 2
국제통상학과 상 업 B E A 30048 3 B E A 60048 3 B E A 50048 2
회계학과 상 업 B E A 30048 3 B E A 60048 3 B E A 50048 2
공과대학 반도체공학과 전 자 EE A 00014 3 EE A 00016 3 EE A 00015 2
전기공학과 전 기 E L A 00103 3 E L A 00105 3 E L A 00104 2
전자공학과 전 자 EE A 00014 3 EE A 00016 3 EE A 00015 2
농업생명 식품자원경제학과 농산물유통 A S A 30031 3 A S A 40030 3 A S A 30030 2
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 식물자원 · 조경 A GA 00045 3 A GA 00056 3 A GA 00023 2
산림환경자원학전공
농업식물과학과 식물자원 · 조경 A GA 00045 3 A GA 00056 3 A GA 00023 2
농화학식품공학과 식 품 가 공 A X A 00037 3 A X A 00049 3 A X A 00026 2
축산생명학과 동 물 자 원 A T A 00052 3 A T A 00074 3 A T A 00039 2
애그로시스템공학부
농 공 A E A 30040 3 A MA 40021 3 A E A 20040 2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애그로시스템공학부
농 공 A E A 30040 3 A MA 40021 3 A E A 20027 3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법과대학 법학과 일 반 사 회 T S A 20002 3 T S A 40001 3 T S A 00011 3
해양과학 해양경찰시스템학과 항 해 F S A 00019 3 F S A 00018 3 F S A 00020 2
대학 에너지기계공학과 기 계 F E A 00020 3 F E A 00022 3 F E A 00021 2
※ 경영대학 경영학과 , 국제통상학과 , 회계학과 : ‘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 ‘ 교과평가방법 ’ 으로 변경

42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직과정

Ⅳ. 교원자격증 표시과목별 기본이수 과목

1. 교직과정 설치학과(2020학년도 입학자 적용): 7과목 21학점 이상 이수


기본이수과목 관련교과목
대학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비고
(또는 분야 ) 학수번호 교과목명칭 학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국어 국어교육론 T K A 30003 국어과교육론 3
국어학개론 H K A 10001 국어학개론 3
국어문법론 H K A 30002 국어문법론 3
국어사 H K A 30001 국어사 3
모두
국문학개론 H K A 10002 국문학개론 3
이수
국문학사 H K A 00010 고전문학사 3
H K A 20003 현대시론 3
문학교육론 택일
H K A 30009 현대소설론 3
의사소통교육론 H K A 30012 국어화용론 3
독어독문학과 독일어 H G A 20011 독어학개론 3
독일어학개론
H G A 20001 독어음성학 3
독일어권문학개론 H G A 20003 독문학입문 3
독일어문법 H G A 20006 독문법 3
모두 이수
독일어회화 H G A 20012 생활독어 3 2
독일어작문 H G A 30015 독작문 2 2
독일문학사 H G A 30006 독문학사 2 3
독일어권문화 H G A 00002 현대독일사회의이해 3
러시아학과 러시아어 러시아어학개론 H R A 30042 러시아어학개론 3
러시아문학개론 H R A 20051 러시아문학개론 3
러시아문화 H R A 20063 러시아의문화 3
러시아어작문 H R A 30032 러시아어작문 2
H R A 30041 러시아어음성학 2 모두 이수
러시아어회화
H R A 20036 중급러시아어회화 1 1
러시아어강독 H R A 10022 초급러시아어 2 3
H R A 10032 러시아어문법 1 2
러시아어문법
H R A 10038 러시아어문법 2 2
불어불문학과 프랑스어 프랑스어학개론 H F A 00002 프랑스어학개론 3
프랑스어문법 H F A 20021 실용프랑스어문법 3
H F A 20025 프랑스문학사 3
프랑스문학개론
H F A 40011 현대프랑스비평 3
H F A 30070 프랑스어회화 2 1 모두 이수
프랑스어회화
H F A 30071 프랑스어회화 3 1
프랑스어권문화 H F A 00012 프랑스사회문화의이해 3
프랑스어작문 H F A 20028 프랑스어표현 3
프랑스어발음연습 H F A 00013 프랑스어음성음운론 3
사학과 역사 (1 ) 역사교육론 T X A 20041 역사교육론 3
HH A 00001 한국사학개설 1 3
(2 ) 역사학개론 HH A 00002 서양사학개설 1 3
HH A 00003 동양사학개설 1 3
(3 ) 사학사 HH A 00009 역사연구방법론 3 모두 이수
HH A 00004 한국사학개설 2 3
(4 ) 한국사
HH A 00008 한국사학개설 3 3
HH A 00005 동양사학개설 2 3
(5 ) 세계사
HH A 00014 서양사학개설 2 3
HH A 40025 한국사특강 1 2
(6 ) 현대세계와한국
HH A 40028 동양사특강 1 2 택일
HH A 40031 서양사특강 1 2

경상대학교 425
2020학년도 교육과정

기본이수과목 관련교과목
대학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비고
(또는 분야 ) 학수번호 교과목명칭 학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영어 영어학개론 H E A 20004 영어학개론 3
영문학개론 H E A 20003 영미문학개론 3
기초영어회화 ,
영어문법 H E A 20018 영문법해설과응용 3
중급영어회화 ,
H E A 20006 기초영어회화 1
영어회화 기초영작문 ,
H E A 30008 중급영어회화 1
고급영작문을
영어음성음운론 H E A 30017 영어음성학 3
반드시 포함하여
영어독해 H E A 20019 중급영어읽기 .쓰기 3
21학점 이상
영미문화 H E A 10005 영미문화의이해 3
이수
H E A 20001 기초영작문 3
영어작문
H E A 30002 고급영작문 3
중어중문학과 중국어 중국어문법 H C A 00008 중국문언문법 3
중국어학개론 H C A 00010 중국어음운론 3
H C A 30015 고급중국어 1 3
중국어회화
H C A 30016 고급중국어 2 3
모두 이수
중국어강독 H C A 30023 중국현대소설 2
중국문학개론 H C A 40023 당송시가 3
중국어권문화 H C A 40026 중국희곡 3
한문강독 H C A 30030 경서강독 2
철학과 철학 논리학 Z G A 20006 논리학개론 3
윤리학 H P A 30013 윤리학 3
인식론 H P A 20011 인식론 3
형이상학 H P A 30012 형이상학 3
모두 이수
한국철학사 H P A 20022 한국철학사 3
동양철학사 H P A 00005 동양철학입문 3
서양철학사 H P A 00004 서양철학의문제들 3
철학교육론 H P A 60070 철학교육론 3
한문학과 한문 한문학사 H M A 30005 한문학사 1 3
한문학개론 H M A 20003 한문학개론 3
경서강독 H M A 00100 논어 2 3
한문국역연습 H M A 00124 고전국역의이론과실제 3
모두이수
한문문법 H M A 00098 한문문법 2
한시선독 H M A 00123 한국한시선독 3
문자학개론 H M A 00134 동아시아의한자와언어 PBL 3
역대산문선독 H M A 00135 고문진보산문선독 3
사회과학 경제학과 일반사회 경제학 S E A 20001 미시경제학 3
대학 정치학 S I A 00013 비교정치론 3
법학 L AA 10021 기본권론 3
사회학 SS A 10002 사회학사 3 모두 이수
사회과학방법론 S E A 10005 경제자료처리및분석 3
문화와사회 SS A 40014 문화사회학 3
인간과행정 S E A 30009 재정학 3
사회학과 일반사회 정치학 SS A 30003 정치사회학 3
경제학 S E A 20001 미시경제학 3
문화인류학 SS A 40014 문화사회학 3
법학 L AA 10021 기본권론 3 모두 이수
사회과학방법론 SS A 20012 사회조사방법론 3
사회학 SS A 10002 사회학사 3
시민교육과사회윤리 SS A 20011 인권사회학 3

42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관련교과목
대학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비고
(또는 분야 ) 학수번호 교과목명칭 학점
심리학과 전문상담 아동심리학 S P A 00006 아동심리학 3
교사 (2급 ) 성격심리학 S P A 20010 성격심리학 3
사회과학 심리학과 전문상담 특수아상담 S P A 30013 특수아상담 3
대학 교사 (2급 ) 집단상담 S P A 00012 집단상담 3 7과목 이상
가족상담 S P A 00013 가족상담 3 이수
진로상담 S P A 40014 진로상담 3
상담이론과실제 S P A 20012 상담이론과실제 3
상담실습 S P A 00011 상담실습 3
행정학과 일반사회 정치학 S AA 30003 한국행정론 3
경제학 S E A 20001 미시경제학 3
법학 L AA 20013 행정법총론 3
사회과학방법론 S AA 20002 행정조사론 3 모두 이수
사회학 S AA 20013 행정과시민사회 3
행정학 S AA 10002 행정학원론 1 3
문화와사회 SS A 40014 문화사회학 3
자연과학 생명과학부 생물 생명과학교육론 T B A 00100 생명과학교육론 3
대학 세포학 N O A 00062 세포생물학 3
발생학 N O A 00016 동물발생학 3
식물생리학 N O A 00029 식물생리학 3
동물생리학 N O A 00017 동물생리학 3 7개 분야
유전학 N O A 00008 유전학 3 21학점 이상
분류학 N O A 00004 생물다양성학 3 이수
생태학 N O A 00027 생태학 3
분자생물학 N O A 00003 분자생물학 1 3
미생물학 N O A 00002 미생물학 3
생물화학 N O A 00051 생화학 3
물리학과 물리 역학 N P A 20001 역학 1 3
양자역학 N P A 30001 양자역학 1 3
전자기학 N P A 20007 전자기학 1 3
열및통계물리 N P A 30018 열물리 1 3 모두 이수
파동및광학 N P A 30013 광학 3
전산물리 N P A 20019 컴퓨터물리및실습 3
현대물리학 N P A 20003 현대물리학 1 3
수학과 수학 N M A 20030 해석학 1 2
해석학
N M A 20071 해석학연습 1
N M A 30030 현대대수학 1 2
현대대수학
N M A 30071 현대대수학연습 1
미분기하학 N M A 30028 미분기하학 1 3
모두 이수
N M A 30032 위상수학 1 2
위상수학
N M A 30072 위상수학연습 1
확률및통계 N M A 00011 확률및통계 3
복소해석학 N M A 30012 복소수함수론 1 3
선형대수 N M A 20011 선형대수학 1 3

경상대학교 427
2020학년도 교육과정

기본이수과목 관련교과목
대학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비고
(또는 분야 ) 학수번호 교과목명칭 학점
자연과학 식품영양학과 영양교사 (1)영양교육및상담실습 N F A 40089 영양교육및상담실습 3 (1)~(3)
대학 (2급 ) (2 ) 영양학 N F A 30005 영양학 3 모두
(2 ) 생애주기영양학 N F A 40030 생애주기영양학 3 이수,
(4) , (5)
N F A 20014 단체급식관리 2 동시 에서
(3 ) 단체급식및실습
N F A 20071 단체급식관리실습 1 이수 각
(3 ) 식품위생학 N F A 30054 식품위생학 3 1과목
(4 ) 영양판정및실습 N F A 90006 영양판정및실습 3 이상
택 이수
N F A 30027 식사요법 3 동시
(4 ) 식사요법및실습 일 하여
N F A 30084 식사요법실습 1 이수 21학점
(5 ) 식품학 N F A 20006 식품학 3 택일 이상
(5 ) 조리원리및실습 N F A 20005 조리원리 3 이수
의류학과 의상 섬유재료학 N T A 20026 의류소재 3
의복위생학 N T A 00036 체형분석과봉제과학 3
복식사 N T A 30012 서양복식사 3
패션마케팅 N T A 20028 패션마케팅 3 모두 이수
디자인과 색채 N T A 10020 패션디자인론 3
한복구성 N T A 00015 한국의복구성 3
복식사회심리학 N T A 40021 의상사회심리학 3
화학과 화학 N C A 30011 물리화학 1 3
물리화학 N C A 30012 물리화학 2 3
N C A 30021 물리화학 3 3
물리화학실험 N C A 00011 물리화학실험 3
N C A 20001 유기화학 1 3
유기화학
N C A 20002 유기화학 2 3
유기화학실험 N C A 20005 유기화학실험 3
N C A 30001 무기화학 1 3 모두 이수
무기화학
N C A 30002 무기화학 2 3
무기화학실험 N C A 30004 무기화학실험 3

N C A 20011 분석화학 1 3
분석화학 N C A 20012 분석화학 2 3
N C A 30041 생화학 1 3
분석화학실험 N C A 00012 분석화학실험 3
컴퓨터과학과 정보ㆍ 컴퓨터교육론 N E A 00023 컴퓨터과학교육론 3 필수
컴퓨터 N E A 10013 C프로그래밍 2 필수 /
프로그래밍
N E A 10071 C프로그래밍실습 1 동시이수
알고리즘 N E A 40016 알고리즘 3
이산수학 N E A 00039 이산수학 3 택일
인공지능 N E A 00018 인공지능 3
자료구조 N E A 30023 자료구조 3 모두
N E A 00030 데이터베이스 2 택일 이수
데이터베이스
N E A 00031 데이터베이스실습 1
운영체제 N E A 30062 운영체제 3
택일
네트워크 N E A 00032 컴퓨터네트워크 3
컴퓨터구조 N E A 20026 컴퓨터구조 3
택일
논리회로 N E A 00038 가상현실 3
소프트웨어공학 N E A 40024 소프트웨어공학론 3 필수

42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관련교과목
대학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비고
(또는 분야 ) 학수번호 교과목명칭 학점
경영대학 경영학과 상업 (1 ) 상업교육론 B E A 30048 상업교과교육론 3
( 1 ) 상업교재연구및 B E A 40048 상업교재연구및지도법 3
지도법
(2 ) 경제학원론 BB A 40027 경영전략 3
(3 ) 회계원리 B AA 20015 회계원리 2 3 모두 이수
(4 ) 마케팅관리론 BB A 30008 마케팅관리 3
(5 ) 무역학개론 BB A 20017 유통경영론 3
( 6 ) 전사적자원관리
(ERP ) BB A 40028 인터넷비즈니스전략 3
국제통상학과 상업 경영학원론 B T A 30008 다국적기업론 3
무역실무 B T A 20001 무역실무 3
상업경제 B T A 20002 국제무역론 3
상업교육론 B E A 30048 상업교과교육론 3 모두 이수
상업교재연구및지도법 B E A 40048 상업교재연구및지도법 3
회계원리 B AA 10011 회계원리 1 3
회계정보처리론 B AA 20015 회계원리 2 3
회계학과 상업 (1 ) 상업교육론 B E A 30048 상업교과교육론 3
( 2 ) 상업교재연구및
지도법 B E A 40048 상업교재연구및지도법 3
( 3 ) 경제학원론 , 상
업경제 B T A 40012 세계경제론 3
( 4 ) 회계원리 , 회계
이론 ,세무회계 B AA 20015 회계원리 2 3
( 5 ) 경영학원론 , 마 모두 이수
케팅관리론 ,재무 BB A 30008 마케팅관리 3
관리
( 6 ) 무역학개론 , 무
B T A 20001 무역실무 3
역영어 ,무역실무
(7)회계정보처리론 ,
전사적자원관리 B AA 30022 전산회계 3
(ERP )
공과대학 반도체공학과 전자 공업교육론 EE A 00014 전자교과교육론 3
전기전자일반 E L A 20013 전자기이론 1 3
회로이론 E L A 20011 회로해석론 1 3
전자회로 E S A 30012 전자회로 1 3
모두
반도체공학 E S A 20004 반도체소자 3
이수
디지털시스템 E S A 30009 디지털논리회로 3
전자파응용 E S A 30001 물리전자 1 3
EZ A 30071 현장실습 1 3
현장실습 택일
EZ A 30072 현장실습 2 6
전기공학과 전기 공업교육론 E L A 00103 전기교과교육론 3
전기일반 E L A 20007 전자공학 1 3
회로일반 E L A 20011 회로해석론 1 3
전기자기학 E L A 20014 전자기이론 2 3
모두
전기기기 E L A 30015 전기기기 1 3
이수
전력공학 E L A 30017 전력시스템공학 1 3
전자공학 E L A 20008 전자공학 2 3
EZ A 30071 현장실습 1 3
현장실습 택일
EZ A 30072 현장실습 2 6

경상대학교 429
2020학년도 교육과정

기본이수과목 관련교과목
대학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비고
(또는 분야 ) 학수번호 교과목명칭 학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전자 공업교육론 EE A 00014 전자교과교육론 3
전기전자일반 E L A 20013 전자기이론 1 3
회로이론 E L A 20011 회로해석론 1 3
전자회로 EE A 30022 전자회로 3
모두
디지털회로설계 EE A 30055 디지털공학 3
이수
마이크로프로세서 EE A 40065 마이크로프로세서 3
통신이론 EE A 30058 통신시스템 3
EZ A 30071 현장실습 1 3
현장실습 택일
EZ A 30072 현장실습 2 6
농업생명 식품자원경제 농산물 농업교육론 A S A 30031 농산물유통교과교육론 3
과학대학 학과 유통 농산물유통 A S A 30029 농식품유통론 3
농산물가격론 A S A 00008 농식품가격론 3
농업경제학 A S A0005 식품자원경제학개론 3 모두 이수
농업경영학 A S A 20015 농업경영학 3
농업과학개론 A S A 00014 식품경제데이터분석기초 3
농업전산일반 A S A 00001 식품자원경제수리기초 3
환경산림과학부 식물자원 ․ A F A 20007 조림학 2
조림학
산림환경자원학 조경 A F A 20078 조림학실습 1
전공 A F A 20012 산림지리정보학 2 모두 이수
농업정보
A F A 20081 산림지리정보학실습 1
육종 A F A 30053 임목육종학 3
조경계획 A F A 20004 조경계획학 3
유전학 A F A 40003 산림유전자원학 3
A F A 30051 조경설계및시공 2
조경관리 모두 이수
A F A 30084 조경설계및시공실습 1
A F A 20005 산림식물학 2
식물자원
A F A 20076 산림식물학실습 1
농업식물과학과 식물자원 A G A 00083 수도작및실습 3
작물 택일
․조경 A G A 00036 원예작물재배학및실습 3
A G A 00030 작물육종학및실습 1 3
육종 택일
A G A 00079 원예작물육종학 3
유전학 A G A 00009 농업유전학및실험 3 9개분야
A G A 00082 재배학학및실습 3 에서
식물자원 택일
A G A 00075 화훼원예학및실습 3 7개분야
A G A 00008 작물생리학 3
생리 택일 21학점
A G A 00014 원예작물생리학 3
A G A 00005 채소원예학및실습 3 이상
원예 택일
A G A 00078 원예학범론및실습 3 이수
A G A 00050 작물생명공학 3
생명공학 택일
A G A 00051 작물생명공학실험 2
조경관리 A G A 00013 조원학 3
농업정보 A S A 20015 농업경영학 3
농화학식품 식품가공 식품화학 A X A 00004 식품화학및실험 1 3
공학과 식품위생 A X A 00020 식품위생학및실험 3
농산물가공 A X A 00021 식량가공학및실험 3
식품미생물학 A X A 00022 식품미생물학및실험 3 모두 이수
식품생명공학 A X A 00032 발효공학및실험 3
식품가공 A X A 00010 식품공정공학및실험 3
식품재료학 A X A 00011 기능성식품학 3

43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관련교과목
대학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비고
(또는 분야 ) 학수번호 교과목명칭 학점
농업생명 축산생명학과 동물자원 가축위생 A T A 00040 응용동물질병학 3
과학대학 A T A 00003 동물생식세포학 2
A T A 00005 동물생식세포학실험 1
가축번식
A T A 00011 동물번식생리학 2
A T A 00013 동물번식생리학실습 1
A T A 00004 반추동물영양생리학 2
동물영양학 A T A 00006 반추동물영양생리학실험 1
A T A 00012 동물영양학 1 3
A T A 00031 사료작물자원공학 2
8개 분야에서
축산 A T A 00032 사료작물자원공학실습 1
7개 분야 이상
A T A 00041 동물육종학 3
21학점 이상
A T A 00054 유가공학및실험 3
이수
축산물가공 A T A 00023 식육과학 2
A T A 00024 식육과학실습 1
A T A 00018 사료공학 2
A T A 00020 사료공학실습 1
동물사료
A T A 00046 동물사료자원학 2
A T A 00047 동물사료자원학실습 1
가축사양 A T A 00053 동물성장발달학 3
A T A 00058 동물생명공학 2
동물생명과학
A T A 00059 동물생명공학실습 1
애그로시스템공학부 농공 농업공작 A M A 20081 기계공작법 1및실습 2
모두 이수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농업기계 A M A 00006 작업기계공학및실습 3
농산가공기계학 A M A 40076 생물가공시스템공학및실습 3
E V A 30009 기계요소설계 3
농업기계설계학
A M A 30017 생물기계설계 3
모두 이수
농업교육론 A E A 30040 농공교과교육론 3
유체역학 E M A 30003 유체역학 3
농업동역학 A M A 30001 농업동력및실습 3
애그로시스템공학부 농공 농업교육론 A E A 30040 농공교과교육론 3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농업수리 A E A 00008 관개배수공학및종합설계 3
농업토목 A E A 30069 농업토목시공학및실습 3
농지조성 A E A 00009 농업기반공학 3
모두 이수
A E A 40023 농업시설공학 3
농업시설
A E A 00017 농업시설재료학및실험 3
유체역학 A E A 00018 기초수리학및연습 3
농업공작 A E A 00028 농공기술및실습 3
법과대학 법학과 일반사회 일반사회교육론 TSA20002 일반사회교육론 3
정치와사회 LAA20017 통치기구론 3
문화와사회 SS A 40014 문화사회학 3
법과사회 L AA 20053 법사회학 3 모두 이수
사회과학방법론 SS A 20012 사회조사방법론 3
인간과행정 L AA 20013 행정법총론 3
시민교육과사회윤리 L AA 40054 법사상사 3

경상대학교 431
2020학년도 교육과정

기본이수과목 관련교과목
대학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비고
(또는 분야 ) 학수번호 교과목명칭 학점
간호대학 간호학과 보건교사 간호관리학 M N A 00097 간호관리학개론 2
(2급 ) 기본간호학 M N A 20022 기본간호학 2 3
건강사정및실습 M N A 20023 건강사정 1
아동간호학및실습 M N A 00008 아동간호학 1 2
M N A 00014 성인간호학 1 2 모두 이수
성인간호학및실습
M N A 00106 성인간호학 4 3
지역사회간호학 M N A 00127 지역사회간호학 1 2
정신간호학및실습 M N A 00121 정신간호학 1 3
모성간호학및실습 M N A 00113 여성건강간호학 1 3
해양과학 해양경찰 항해 (1 ) 수산교육론 F S A 40016 수산교육론 3
대학 시스템학과 (2 ) 지문항해학 F S A 20004 지문항해학 3
(3 ) 선박조종론 F S A 00023 선박일반 2
(4 ) 선박운용 F S A 00024 선박운용학 2
(5 ) 해사법규 F S A 20024 해사법규 3 모두 이수
(6 ) 해상교통법 F S A 30001 해상교통법 3
(1 ) 전파항해학 F S A 30022 알파및레이다항법 2
(5 ) 해사영어 F M A 20007 해사영어 3
(5 ) 해사법규 F S A 30017 국제법 3
에너지기계 기계 재료역학 F E A 00018 재료역학 1 3
공학과 제어공학 E M A 40003 제어공학 3
기계제도 F E A 00026 전산 CAD 2
E M A 30003 유체역학 3
유체역학 /유체기계
E M A 30014 유체기계 3
모두
기계공작법 E M A 30018 기계공작법 3
이수
열역학 E M A 20003 열역학 3
공업교육론 F E A 00020 기계교과교육론 3
EZ A 30071 현장실습 1 3
현장실습 EZ A 30072 현장실습 2 6 택일
EZ A 40071 현장실습 3 15

43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직과정

2. 사범대학 (2020학년도 입학자 적용): 7과목 21학점 이상 이수

기본이수과목 관련 교과목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비 고
(또는 분야 ) 학수번호 교과목 명칭 학점
교육학과 교육학 교육과정 T E A 20007 교육과정이론 3
교수 /학습이론 T E A 00003 진로상담 3
교육철학 T E A 20010 교육철학 3
교육심리 T E A 20031 인간발달과교육 3 모두 이수
교육평가 T E A 40002 교육평가 3
교육사회 T E A 00007 교육사회학 3
교육행정 T E A 30064 교육행정학 3
국어교육과 국어 (1 ) 국어교육론 T K A 30003 국어과교육론 3
(2 ) 국어학개론 H K A 10001 국어학개론 3
(2 ) 국어문법론 T K A 00004 문법교육론 3
(2 ) 국어사 H K A 30001 국어사 3 5개 분야 ,
(3 ) 국문학개론 H K A 10002 국문학개론 3 21학점이상 이수
(3 ) 국문학사 T K A 00007 국문학사 3
(4 ) 문학교육론 T K A 30008 소설지도론 3
(5 ) 의사소통교육론 T K A 30015 말하기지도론 3
역사교육과 역사 역사교육론 T X A 20041 역사교육론 3
사료강독 T X A 00019 한국사사료강독 3
사학사 T X A 20031 한국사학사 3
한국중세사 T X A 00010 한국중세사 2 3 모두 이수
서양고대사 T X A 00003 서양고대사 3
동아시아근대사 T X A 00014 동양근현대사 3
현대세계와한국 T X A 30050 현대세계와한국 3
영어교육과 영어 영어교육론 T L A 30031 영어교육론 3
영어학개론 T L A 00025 영어학의이해 3
영문학개론 T L A 20024 영문학의이해 3
영어문법 T L A 00016 교육영문법 3
모두 이수
영어회화 T L A 00005 영어듣기와말하기 2
영어작문 T L A 00021 영어쓰기 2
영어독해 T L A 10024 영어읽기전략 2
영어음성음운론 T L A 00023 영어음성학 3
유아교육과 표시과목없음 유아언어교육 T O A 00073 유아언어교육 3
유치원 유아미술교육 T O A 00074 유아미술교육 3
정교사 유아건강교육 T O A 00061 아동건강론 3
(2급 ) 유아관찰및실습 T O A 00035 아동관찰및행동연구 3 모두 이수
부모교육 T O A 00027 부모교육 3
아동복지 T O A 00019 아동복지 3
유아사회교육 T O A 00069 유아사회교육 3
윤리교육과 도덕ㆍ윤리 (1 ) 도덕 · 윤리교육론 T N A 30026 도덕윤리과교육론 3 (1 )분야에서 1과목
(2 ) 윤리학개론 T N A 30021 윤리학개론 3 (2 ) ~ (3 ) 분야 중

경상대학교 433
2020학년도 교육과정

기본이수과목 관련 교과목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비 고
(또는 분야 ) 학수번호 교과목 명칭 학점
윤리교육과 도덕ㆍ윤리 (2 ) 한국윤리사상 T N A 30025 한국윤리사상 3
(2 ) 응용윤리 T N A 20022 응용윤리학 3
(2 ) 동양윤리사상 T N A 20003 동양고대의사상과윤리 3 각 분야에서 3과목
(3 ) 통일교육론 T N A 40007 통일교육론 3 이상 이수
(3 ) 민주주의론 T N A 20002 민주주의론 3
(3 ) 도덕심리학 T N A 00003 도덕심리학과도덕교육 3
일반사회교육과 일반사회 (1 ) 일반사회교육론 T S A 20002 일반사회교육론 3
(2 ) 법과사회 T Y A 00005 법이해의기초 3
(3 ) 인간과사회 T Y A 00004 인간과사회 3
(4 ) 문화와사회 T S A 00022 인간과문화 3 모두 이수
(5 ) 사회과학방법론 T S A 20045 사회과조사방법 3
(6 ) 정치와사회 T S A 00009 현대정치학으로의초대 3
(7 ) 경제와사회 T Y A 10010 사회와경제 3
일어교육과 일본어 일본어학개론 T J A 30004 일어학개론 3
일본문학개론 T J A 30029 일문학개론 3
일본어문법 T J A 20010 일문법 3
T J A 20018 일어회화 3 2
일본어회화 모두 이수
T J A 40013 일어회화 6 2
일본어작문 T J A 30017 일어작문 3 2
일본어강독 T J A 10011 일어독해 2 3
일본문화 T J A 20011 일본의문화배경 3
지리교육과 지리 (1 ) 지리교육론 T G A 20011 지리교육론 3
(2 ) 지도학 T G A 30012 지도학및 G I S 3
(3 ) 도시지리학 T G A 20006 도시지리학 3
모두 이수
(4 ) 경제지리학 T G A 00006 경제지리학 3
(5 ) 문화지리학 T G A 20004 문화지리학 3
(6 ) 지형학 T G A 30005 지형학 3
(7 ) 기후학 T G A 40003 기후학 3
통합사회 통합사회 (1 ) 통합사회교육론 T Y A 00003 통합사회교육론 3
(2 ) 법과사회 T Y A 00005 법이해의기초 3
(2 ) 문화와사회 T Y A 00004 인간과사회 3
1 )영역 필수이수
(3 ) 한국사개론 T Y A 00007 한국사입문 3 (2 )~ (5 )분야에서 각
(3 ) 동양사개론 T Y A 00010 동양사입문 3 2과목 이상 이수
(4 ) 자연지리학 T Y A 20006 자연지리학 3 (주전공 표시과목
해당분야 제외 )
(4 ) 인문 지리학 T Y A 20005 인문지리학 3
(5 ) 윤리학개론 T N A 30021 윤리학개론 3
(5 ) 동양윤리사상 T N A 20003 동양고대의사상과윤리 3
물리교육과 물리 물리교육론 T P A 20001 물리교육론 3
역학 T P A 20002 역학및지도 1 3
전자기학 T P A 20004 전자기학및지도 1 3 모두 이수
양자역학 T P A 40008 양자역학및지도 1 3 (주전공 표시과목
열및통계물리 T P A 30005 열물리및지도 3 해당 분야 제외 )
파동및광학 T P A 30003 광학및지도 3
현대물리학 T P A 30006 현대물리및지도 1 3

43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교직과정

기본이수과목 관련 교과목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비 고
(또는 분야 ) 학수번호 교과목 명칭 학점
생물교육과 생물 생명과학교육론 T B A 00100 생명과학교육론 3
세포학 T B A 00106 세포생물학 3
식물생리학 T B A 00109 식물생리학 3
동물생리학 T B A 00108 동물생리학 3
모두 이수
유전학 T B A 00110 유전학 3
생태학 T B A 00112 생태학 3
생물화학 T B A 00104 생물화학 3
발생학 T B A 00113 발생생물학 3
수학교육과 수학 미분기하학 N M A 30028 미분기하학 1 3
해석학 N M A 20013 해석학 1 3
확률및통계 T M A 40012 확률및통계학 3
현대대수학 T M A 00005 추상대수학 1 3 모두 이수
위상수학 N M A 30016 위상수학 1 3
복소해석학 N M A 30012 복소수함수론 1 3
선형대수 N M A 20011 선형대수학 1 3
화학교육과 화학 화학교육론 T C A 20031 화학교육론 3
물리화학 N C A 30011 물리화학 1 3
물리화학실험 T C A 30083 물리화학실험 2
유기화학 N C A 20001 유기화학 1 3
유기화학실험 T C A 20081 유기화학실험 2 모두 이수
무기화학 N C A 30001 무기화학 1 3
무기화학실험 T C A 30084 무기화학실험 2
분석화학 N C A 20011 분석화학 1 3
분석화학실험 T C A 20082 분석화학실험 2
통합과학 통합과학 통합과학교육론 T Z A 00101 통합과학교육론 3
T P A 10011 물리 1 3
일반물리학 및 실험
T P A 10075 물리탐구실험 1 1
현대물리학 T P A 20013 현대물리학 3
T C A 10001 화학 1 3
일반화학 및 실험
T C A 10073 화학탐구실험 1 1
유기화학 T Z A 20041 유기화학 3 모두 이수
T B A 10003 생물 1 3
일반생물학 및 실험
T B A 10071 생물탐구실험 1 1
분자생물학 T Z A 30027 분자생물학 3
T Z A 20011 지구과학 1 3
일반지구과학 및 실험
T Z A 20073 지구과학탐구실험 1 1
지질학 T Z A 40013 지질학 3
미술교육과 미술 미술교육론 TAA30020 미술교육론 3
소묘 TAA40092 미술전공실기 1 2
판화 TAA40093 미술전공실기 2 2
모두 이수
한국화 TAA20070 한국화 1 2
서양화 TAA20072 서양화 1 2
조소 TAA20074 조소 1 2

경상대학교 435
2020학년도 교육과정

기본이수과목 관련 교과목
학과 (전공 ) 표시과목 비 고
(또는 분야 ) 학수번호 교과목 명칭 학점
디자인 TAA20076 디자인 1 2
공예 TAA20078 공예 2
표현기법 TAA40081 전공재료및조형기법 2
영상 TAA40082 전공재료및영상기법 2
음악교육과 음악 전공실기 TTA10031 음악전공실기 1 2
화성법 TTA20051 응용화성 2 2
시창 .청음 TTA20093 시창 .청음 4 1
국악개론 TTA10040 국악개론 3
서양음악사 TTA30030 서양음악사 2 2
피아노반주법 TTA30044 반주법 2 2
21학점이상 이수
합창ㆍ합주지도법 TTA00023 합창 ․합주 8 1
음악분석및형식론 TTA00010 음악형식론 2
장구반주법 TTA30064 장구반주법 2 1
음악교육론 TTA30016 음악교과교육론 3
국악실기 TTA00012 국악실기지도 1
국악사 TTA00002 국악사 3
체육교육과 체육 (1 )체육교육론 TWA00003 체육교육과정과평가 3
(2 )운동실기 TWA00035 육상실습 1 1
(3 )운동생리학 TWA00008 운동생리학 3
(4 )스포츠사회학 TWA40015 스포츠사회학 3
모두 이수
(5 )체육사 · 철학 TWA10061 체육사 3
(5 )체육사 · 철학 TWA10084 체육철학 2
(6 )운동학습및심리 TWA30001 스포츠심리학 3
(7 )운동역학 TWA10078 운동역학 3

43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ART 11

동시이수과목

Ⅰ. 교양 교육과정 동시이수지정과목 일람표·····437


Ⅱ. 전공 교육과정 동시이수지정과목 일람표·····437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Ⅰ. 교양 교육과정 동시이수지정과목 일람표

동시이수 지정과목
이수구분 주관학과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ZGA30007 생물학 1 3-3-0 ZGA30009 생물학실험 1 1-0-2
미래교육원
기초과정 ZGA30008 생물학 2 3-3-0 ZGA30010 생물학실험 2 1-0-2

ZGA30020 컴퓨터프로그래밍 3-3-0 ZGA30021 컴퓨터프로그래밍실습 1-0-2 컴퓨터과학과

Ⅱ. 전공 교육과정 동시이수지정과목 일람표


동시이수 지정과목
학 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수학과 N MA 20030 해석학 1 2-2-0 N M A 20071 해석학연습 1-0-2
N MA 30030 현대대수학 1 2-2-0 N M A 30071 현대대수학연습 1-0-2
N MA 30032 위상수학 1 2-2-0 N M A 30072 위상수학연습 1-0-2
컴퓨터과학과 N E A 30016 시스템프로그램 2-2-0 N E A 30070 시스템프로그램실습 1-0-2
N E A 20027 유닉스시스템 2-2-0 N E A 20076 유닉스시스템실습 1-0-2
N E A 10013 C프로그래밍 2-2-0 N E A 10071 C프로그래밍실습 1-0-2
N E A 20031 Java프로그래밍 2-2-0 N E A 20080 Java프로그래밍실습 1-0-2
N E A 00006 웹프로그래밍 2-2-0 N E A 00007 웹프로그래밍실습 1-0-2
N E A 00008 객체지향언어 2-2-0 N E A 00009 객체지향언어실습 1-0-2
N E A 00012 객체지향윈도우즈프로그래밍 2-2-0 N E A 00013 객체지향윈도우즈프로그래밍실습 1-0-2
N E A 00014 내장형시스템 2-2-0 N E A 00015 내장형시스템실습 1-0-2
N E A 00016 데이터베이스프로그래밍 2-2-0 N E A 00017 데이터베이스프로그래밍실습 1-0-2
N E A 40001 사물인터넷 2-2-0 N E A 40002 사물인터넷실습 1-0-2
N E A 00030 데이터베이스 2-2-0 N E A 00031 데이터베이스실습 1-0-2
N E A 00028 파이썬프로그래밍 2-2-0 N E A 00029 파이썬프로그래밍실습 1-0-2
N E A 00034 빅데이터관리 2-2-0 N E A 00035 빅데이터관리실습 1-0-2
N E A 00040 리눅스시스템 2-2-0 N E A 00041 리눅스시스템실습 1-0-2
건축도시토목 E C A 20013 측량학 1 2-2-0 E C A 20070 측량학실습 1 1-0-2
공학부
E C A 20015 측량학 2 2-2-0 E C A 20071 측량학실습 2 1-0-2
토목공학전공
E C A 20017 토목재료학 2-2-0 E C A 20072 토목재료학실험 1-0-2
E C A 20014 토목제도 1-1-0 E C A 20074 토목제도실습 1-0-2
E C A 20009 토목전산 2-2-0 E C A 20073 토목전산실습 1-0-2
기계항공정보
융합공학부 E T A 00014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 PBL 2-2-0 E T A 00015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실습 PBL 1-0-2
기계공학전공
기계항공정보
융합공학부 E T A 00014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 PBL 2-2-0 E T A 00015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실습 PBL 1-0-2
항공우주및소
프트웨어공학 E T A 00153 객체지향프로그래밍 2-2-0 E T A 00154 객체지향프로그래밍실습 1-0-2
전공
나노 ․신소재공 E N A 40029 재료기기분석 2-2-0 E N A 40079 재료기기분석실험 1-0-2
학부
E GA 00017 세라믹스공정 2-2-0 E GA 00018 세라믹스공정실험 1-0-2
환경산림과학부 A F A 20001 산림측량학 2-2-0 A F A 20074 산림측량학실습 1-0-2

44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동시이수과목

동시이수 지정과목
학 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산림환경 A F A 20003 산림생태학 2-2-0 A F A 20075 산림생태학실습 1-0-2
자원학전공
A F A 20005 산림식물학 2-2-0 A F A 20076 산림식물학실습 1-0-2
환경산림과학부
산림환경 A F A 20007 조림학 2-2-0 A F A 20078 조림학실습 1-0-2
자원학전공 A F A 20009 산림생물공학 2-2-0 A F A 20079 산림생물공학실습 1-0-2
A F A 20011 수목생리학 2-2-0 A F A 20080 수목생리학실습 1-0-2
A F A 20012 산림지리정보학 2-2-0 A F A 20081 산림지리정보학실습 1-0-2
A F A 30001 산림자원측정학 2-2-0 A F A 30077 산림자원측정학실습 1-0-2
A F A 30002 산림자원경영학 2-2-0 A F A 30078 산림자원경영학실습 1-0-2
A F A 30003 산림토목학 2-2-0 A F A 30079 산림토목학실습 1-0-2
A F A 30004 산림환경보전공학 2-2-0 A F A 30080 산림환경보전공학실습 1-0-2
A F A 30005 산림휴양학 2-2-0 A F A 00004 산림휴양학실습 1-0-1
A F A 30007 환경임업 2-2-0 A F A 00003 환경임업실습 1-0-1
A F A 30008 산림병해충학 2-2-0 A F A 30085 산림병해충학실습 1-0-2
A F A 30051 조경설계및시공 2-2-0 A F A 30084 조경설계및시공실습 1-0-2
환경산림과학부 A WA 20029 목재물리학 2-2-0 A WA 00008 목재물리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0-2
환경재료
A WA 20032 산림화학 2-2-0 A WA 00009 산림화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0-2
과학전공
A WA 20028 목재조직학 2-2-0 A WA 20075 목재조직학실험 1-0-2
A WA 20031 목재가공학 2-2-0 A WA 00012 목재가공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0-2
A WA 10014 목재재료역학 2-2-0 A WA 10073 목재재료역학실험 1-0-2
A WA 10015 분석화학 2-2-0 A WA 00010 분석화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0-2
A WA 20034 가구와 CAD 2-2-0 A WA 00011 가구와 CAD실습및어드벤처디자인 1-0-2
A WA 20033 기초나노공학 2-2-0 AWA00013 기초나노공학실험및어드벤처디자인 1-0-2
A WA 30039 목질복합재료학 2-2-0 A WA 30076 목질복합재료학실험 1-0-2
A WA 10017 목재건조학 2-2-0 A WA 10075 목재건조학실험 1-0-2
A WA 10018 펄프공학 2-2-0 A WA 10076 펄프공학실험 1-0-2
A WA 10034 가구디자인 2-2-0 A WA 10091 가구디자인실습 1-0-2
A WA 10021 제지공학 2-2-0 A WA 10078 제지공학실험 1-0-2
A WA 30042 목재보존학 2-2-0 A WA 30080 목재보존학실험 1-0-2
A WA 10020 특수임산학 2-2-0 A WA 10077 특수임산학실험 1-0-2
A WA 30043 펄프제지공정론 2-2-0 A WA 30081 펄프제지공정론실험 1-0-2
A WA 30040 산림바이오매스학 2-2-0 A WA 30077 산림바이오매스학실험 1-0-2
A WA 20035 가구재료및표현 2-2-0 A WA 20078 가구재료및표현실습 1-0-2
A WA 40057 D I Y가구와도장 2-2-0 A WA 00001 D IY가구와도장실험및캡스톤디자인 1-0-2
A WA 10026 목질개량학 2-2-0 A WA 00002 목질개량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1-0-2
A WA 10029 지류물성학 2-2-0 A WA 00003 지류물성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1-0-2
A WA 10030 임산제조학 2-2-0 A WA 00004 임산제조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1-0-2
A WA 40054 목재접착 2-2-0 A WA 00005 목재접착실험및캡스톤디자인 1-0-2
A WA 10032 지류가공학 2-2-0 A WA 00014 지류가공학실험 1-0-1
A WA 40055 목조건축학 2-2-0 A WA 40076 목조건축학실습 1-0-2
A WA 00094 지류포장공학 2-2-0 A WA 00095 지류포장공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1-0-2
식물의학과
A B A 20010 곤충분류학 2-2-0 A B A 20073 곤충분류학실험 1-0-2

경상대학교 441
2020학년도 교육과정

동시이수 지정과목
학 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A B A 00019 식물진균병리학 2-2-0 A B A 00020 식물진균병리학실험 1-0-2
식물의학과
A B A 30021 식물세균학 2-2-0 A B A 30072 식물세균학실험 1-0-2
A B A 30023 곤충생태학 2-2-0 A B A 30073 곤충생태학실험 1-0-2
A B A 40013 곤충생리학 2-2-0 A B A 40070 곤충생리학실험 1-0-2
A B A 00001 미생물학 2-2-0 A B A 00002 미생물학실험 1-0-2
A B A 00016 곤충생명공학 2-2-0 A B A 00005 곤충생명공학실험 1-0-2
A B A 00015 잡초방제학 2-2-0 A B A 00004 잡초방제학실습 1-0-2
A B A 20012 응용곤충학 2-2-0 A B A 00003 응용곤충학실습 1-0-2
축산생명학과 A T A 00004 반추동물영양생리학 2-2-0 A T A 00006 반추동물영양생리학실험 1-0-2
A T A 00003 동물생식세포학 2-2-0 A T A 00005 동물생식세포학실험 1-0-2
A T A 00031 사료작물자원공학 2-2-0 A T A 00032 사료작물자원공학실습 1-0-2
A T A 00050 동물내분비학 2-2-0 A T A 00051 동물내분비학실험 1-0-2
A T A 00018 사료공학 2-2-0 A T A 00020 사료공학실습 1-0-2
A T A 00009 목초생리생화학 2-2-0 A T A 00010 목초생리생화학실습 1-0-2
A T A 00033 동물발생생물학 2-2-0 A T A 00034 동물발생생물학실험 1-0-2
A T A 00036 반추미생물공학 2-2-0 A T A 00038 반추미생물공학실습 1-0-2
A T A 00077 유우관리학 2-2-0 A T A 00078 유우관리학실습 1-0-2
A T A 00029 동물실험통계학 2-2-0 A T A 00030 동물실험통계학실습 1-0-2
A T A 00011 동물번식생리학 2-2-0 A T A 00013 동물번식생리학실습 1-0-2
A T A 00023 식육과학 2-2-0 A T A 00024 식육과학실습 1-0-2
A T A 00026 동물영양학 2 2-2-0 A T A 00025 동물영양학 2실습 1-0-2
A T A 00042 동물시설환경학 2-2-0 A T A 00043 동물시설환경학실습 1-0-2
A T A 00044 신선육가공학 2-2-0 A T A 00045 신선육가공학실습 1-0-2
A T A 00046 동물사료자원학 2-2-0 A T A 00047 동물사료자원학실습 1-0-2
A T A 00055 졸업논문작성원론 2-2-0 A T A 00056 졸업논문작성원론 실습 1-0-2
A T A 00058 동물생명공학 2-2-0 A T A 00059 동물생명공학실습 1-0-2
A T A 00080 육가공학 2-2-0 A T A 00081 육가공학실습 1-0-2
A T A 00048 동물발생공학 2-2-0 A T A 00049 동물발생공학실습 1-0-2
A T A 00064 가금자원과학 2-2-0 A T A 00065 가금자원과학실습 1-0-2
해양식품 FF A 00121 어류양식학 2-2-0 FF A 00122 어류양식학실습 1-0-2
생명의학과 FF A 00140 어류영양성질병학 2-2-0 FF A 00141 어류영양성질병학실험 1-0-2
FF A 00104 해산식물학 2-2-0 FF A 00105 해산식물학실험 1-0-2
FF A 00143 해조류양식질병학 2-2-0 FF A 00144 해조류양식질병학실습 1-0-2
FF A 00126 패류양식질병학 2-2-0 FF A 00127 패류양식질병학실습 1-0-2
FF A 00106 부유생물학 2-2-0 FF A 00107 부유생물학실험 1-0-2
FF A 00145 먹이생물학 2-2-0 FF A 00146 먹이생물학실험 1-0-2
FF A 00089 어류학 3-3-0 FF A 00090 어류학실험 1-0-2
FF A 00108 수족관생물학 2-2-0 FF A 00109 수족관생물학실습 1-0-2
FF A 00092 병원미생물학 2-2-0 FF A 00093 병원미생물학실험 2-0-4
FF A 00161 수산생물면역학 2-2-0 FF A 00162 수산생물면역학실험 1-0-2
FF A 00147 수산생물임상학 2-2-0 FF A 00148 수산생물임상학실험 2-0-4
FF A 00129 해양동물자원학 2-2-0 FF A 00130 해양동물자원학실험 1-0-2
FF A 00112 해양생태학 2-2-0 FF A 00113 해양생태학실험 1-0-2
FF A 00095 정량분석화학 2-2-0 FF A 00096 정량분석화학실험 1-0-2
FF A 00097 미생물학 2-2-0 FF A 00098 미생물학실험 1-0-2
FF A 00114 식품화학 2-2-0 FF A 00115 식품화학실험 1-0-2
FF A 00116 수산이용화학 2-2-0 FF A 00117 수산이용화학실험 1-0-2

44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동시이수과목

동시이수 지정과목
학 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FF A 00131 식품위생학 FVA30011 2-2-0 FF A 00132 식품위생학실험 1-0-2
FF A 00133 수산가공학 2-2-0 FF A 00134 수산가공학실습 1-0-2
해양식품
FF A 00135 통조림제조학 2-2-0 FF A 00136 통조림제조학실습 1-0-2
생명의학과
FF A 00137 해양천연물학 2-2-0 FF A 00138 해양천연물학실험 1-0-2
FF A 00150 식품미생물학 2-2-0 FF A 00151 식품미생물학실험 1-0-2
FF A 00152 영양화학 2-2-0 FF A 00153 영양화학실험 1-0-2
FF A 00155 수산식품개발및품질관리 2-2-0 FF A 00156 수산식품개발및품질관리실습 1-0-2
FF A 00158 건강기능성식품학 2-2-0 FF A 00159 건강기능성식품학실험 1-0-2
FF A 00165 효소화학 2-2-0 FF A 00166 효소화학실험 1-0-2
FF A 00108 수족관생물학 2-2-0 FF A 00179 수족관생물학캡스톤디자인 1-0-2
FF A 00121 어류양식학 2-2-0 FF A 00185 어류양식학실습 2-0-4
FF A 00186 어류영양학 2-2-0 FF A 00187 어류영양학실험 1-0-2
FF A 00190 해조류양식학 2-2-0 FF A 00191 해조류양식학실슬 1-0-2
FF A 00192 패류양식학 2-2-0 FF A 00193 패류양식학실습 1-0-2
FF A 00145 먹이생물학 2-2-0 FF A 00194 먹이생물학실험 2-0-4
FF A 00196 해양동물자원학 3-3-0 FF A 00130 해양동물자원학실험 1-0-2
FF A 00197 해양생태학 3-3-0 FF A 00113 해양생태학실험 1-0-2
FF A 00154 식품가공학 2-2-0 FF A 00198 식품가공학실습 1-0-2
FF A 00118 식품냉동냉장학 2-2-0 FF A 00201 식품냉동냉장학실습 1-0-2
FF A 00108 수족관생물학 2-2-0 FF A 00179 수족관생물학캡스톤디자인 1-0-2
에너지기계공
F E A 00012 에너지기계공학입문 2-2-0 F E A 00027 에너지기계공학입문실습 1-0-1
학과
해양환경 F V A 20025 해양환경미생물학 2-2-0 F V A 20073 해양환경미생물학실험 1-0-2
공학과 F V A 30011 생물학적폐수처리공학 2 3-3-0 F V A 30087 생물학적폐수처리공학 2실험 1-0-2
F V A 30012 산업폐수처리공학 2-2-0 F V A 30086 산업폐수처리공학실험 1-0-2
F V A 30017 물리화학적수처리공학 3-3-0 F V A 00003 물리화학적수처리공학실험 2-0-4

경상대학교 443
PART 12

급락과목

Ⅰ. 교양 교육과정 급락과목 일람표······················ 443


Ⅱ. 전공 교육과정 급락과목 일람표······················ 444
Ⅲ. 교직 교육과정 급락과목 일람표······················ 450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Ⅰ. 교양(일반선택포함) 교육과정 급락과목 일람표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주관학과 (부서 )
역량교양 ZTA20003 GNU인성 2-2-0 미래교육원
개척교양 ZPA10001 꿈․미래개척 0 . 5-0-0 학사지원과
ZPA10015 여대생커리어개발과젠더의식 2-2-0 인재개발원
ZPA10025 진로탐색과로드맵 2-2-0 인재개발원
ZPA10026 진로설정과커리어개발 2-2-0 인재개발원
ZPA10019 창업론 2-2-0 수산경영학과
ZPA10020 창업사례연구 2-2-0 수산경영학과
ZPA10024 프랑스인과함께하는 DELF 2-2-0 불어불문학과
ZPA10027 농생명산업탐색 1-1-0 농업식물과학과
ZPA10028 GNU탐험 1-1-0 미래교육원
ZPA20001 기업가정신수도진주 2-2-0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02 모바일앱개발과창업 2-1-2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03 무역창업론 2-2-0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05 벤처창업설계 2-1-2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06 복합콘텐츠디자인 2-2-0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08 소셜이노베이션창업 2-1-2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09 오픈비즈니스창업론 2-1-2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10 창업과진로탐색의이해 2-2-0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11 창업경영시뮬레이션 2-2-0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12 창업과경영 3-3-0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13 창업과기술사업화 2-2-0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14 창업과기업실무이해 2-2-0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15 창업길라잡이 2-2-0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16 창업법규와지적재산권 2-1-2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17 창업설계 2-1-2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18 창업입지분석론 2-1-2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19 창의성개발과혁신론 2-1-2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21 창조경제와미래산업 2-2-0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22 창조기업창업론 2-2-0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23 창조적아이디어와사업화전략 2-1-2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25 프랜차이즈창업론 2-1-2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20026 프로젝트경영 2-1-2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 (LINC+)육성사업단
ZPA30006 다문화교육의이해 2-2-0 윤리교육과 ,일반사회교육과
ZPA30027 GNU학습전략 1-1-0 미래교육원
ZPA30031 지역사회와봉사 1-0-2 학생처
ZPA30035 국제농업교류 2-1-3 농업식물과학과
기초과정 ZGA10008 중국어발음 3-3-0 중어중문학과
ZGA20031 민주시민교육의이해와실천 3-3-0 일반사회교육과
ZGA40001 기본영어 3-3-0 영어영문학과 /영어교육과
ZGA40002 기본물리학 2-2-0 물리학과
ZGA40003 기본수학 2-2-0 수학과 /수학교육과
ZGA40004 기본화학 2-2-0 화학과 /화학교육과
일반선택 ZAA90122 전력실무기초 2-2-0 인재개발원

44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급락과목

Ⅱ. 전공 교육과정 급락과목 일람표


대학 학부 ( 과 )․전공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러시아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사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영어영문학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한문학과 전공선택 HMA 00126 한국학현장학습 1 1-0-2
전공선택 HMA 00127 한국학현장학습 2 1-0-2
전공선택 HMA 00128 한국학현장학습 3 1-0-2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사회복지학과 전공선택 S WA 30070 사회복지현장실습 1 3-0-3
전공선택 S WA 40070 사회복지현장실습 2 3-0-3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심리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정치외교학과 전공선택 S I A 20020 글로벌리더십 3-3-0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전공선택 NOA 00049 생명과학탐구 2-0-4
전공선택 NOA 00038 생명과학논문연구및작성법 3-3-0
전공선택 NOA 00056 학위논문연구 1-0-2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물리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자연과학대학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경상대학교 447
2020학년도 교육과정

대학 학부 ( 과 )․전공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수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식품영양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NF A 30075 식품산업현장견학실습 1-0-2
전공선택 NF A 40071 영양사현장실습 2-0-4
의류학과 전공필수 NT A 00020 의류학과연구실체험 1-0-2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정보통계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NS A 00080 취업세미나 3-3-0
지질과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컴퓨터과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화학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경영대학 경영정보학과 전공선택 B I A 30038 정보저널강독 3-3-0
전공선택 B I A 30079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B I A 40079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경영학과 전공선택 BB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BB A 40071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BB A 30001 금융실무 3-3-0
국제통상학과 전공선택 BT A 00005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회계학과 전공선택 B AA 00004 창업과세무 3-3-0
전공선택 B A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B AA 40071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산업경영학과 전공선택 BMA 00010 현장실습 1 3-0-4주

44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급락과목

대학 학부 ( 과 )․전공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재직자과정 )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공과대학 건축도시토목공학부 전공선택 E K A 00014 창의적연구 1-0-2
건축공학전공 전공선택 E AA 40075 건축공학세미나 1-0-2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건축도시토목공학부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도시공학전공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건축도시토목공학부 전공선택 E K A 00014 창의적연구 1-0-2
토목공학전공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기계공학전공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공학전공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나노 ․ 신소재공학부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산업시스템공학부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산업시스템공학전공 )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건축학과 전공선택 EZA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A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A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A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공과대학 전공선택 EZA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A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경상대학교 449
2020학년도 교육과정

대학 학부 ( 과 )․전공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반도체공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 S A 00006 반도체공학연구 1-0-2
전기공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전자공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E A 00013 전자공학연구체험 1-0-2
제어계측공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 F A 00010 연구실체험학습 1-0-2
화학공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 HA 00010 연구체험 1-0-2
전기에너지공학과 전공선택 EY A 00002 발전기초 1 3-0-6
(계약학과 ) 전공선택 EY A 00004 발전기초 2 3-0-6
전공선택 EY A 00005 현장프로젝트 1 (전기 ) 3-0-6
전공선택 EY A 00009 현장프로젝트 2 (기계 ) 3-0-6
전공선택 EY A 00013 현장프로젝트 3 (제어 ) 3-0-6
전공선택 EY A 00016 화력실무 1 3-0-6
전공선택 EY A 00019 화력실무 2 3-0-6
전공선택 EY A 00020 현장프로젝트 4 (환경 ) 3-0-6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자원경제학과 전공선택 A S A 00002 애그리비지니스취업진로지도 3-3-0
전공선택 A S A 00003 식품자원경제학세미나 3-3-0
전공선택 A S A 00102 식품자원경제연구이해 1-1-0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농업생명과학대학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환경산림과학부 전공선택 A F A 40082 산림환경자원현장실습 1 3-0-4주

45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급락과목

대학 학부 ( 과 )․전공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산림환경자원학전공 전공선택 A F A 40083 학술림종합실습 1-0-2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환경산림과학부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환경재료과학전공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농화학식품공학과 전공선택 A X A 00061 농화학식품공학현장실습 1 1-0-2주
전공선택 A X A 00062 농화학식품공학현장실습 2 3-0-4주
전공선택 A X A 00063 식품산업연구 1-0-2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농업식물과학과 전공선택 A GA 00066 농업식물과학현장실습 3-0-4주
전공선택 A GA 00067 창의적농생명창업론 2-2-0
전공선택 A GA 00068 연구실체험 1 1-0-2
전공선택 A GA 00069 연구실체험 2 1-0-2
전공선택 A GA 00073 작물연구 1 1-0-2
전공선택 A GA 00070 연구실심화 1-0-2
전공선택 A GA 00074 작물연구 2 1-0-2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식물의학과 전공선택 A BA 40071 응용생물현장실습 3-0-4주
전공선택 A BA 00108 식물의학연구체험 1-0-2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축산생명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애그로시스템공학부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애그로시스템공학부 전공선택 A E A 40074 농공현장실습 3-0-4주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전공선택 A E A 40082 LOHAS생태체험 2-0-3주
전공필수 A E A 00100 농공학연구세미나 1 1-1-0
전공선택 A E A 00101 농공학연구세미나 2 1-1-0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법과대학 법학과 전공선택 L AA 00103 연구 1-1-0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법과대학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경상대학교 451
2020학년도 교육과정

대학 학부 ( 과 )․전공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전공선택 T OA 00064 보육실습 3-0-6주
음악교육과 전공선택 TT A 20035 위클리리사이틀 1 1-0-2
전공선택 TT A 20036 위클리리사이틀 2 1-0-2
전공선택 TT A 30035 위클리리사이틀 3 1-0-2
전공선택 TT A 30036 위클리리사이틀 4 1-0-2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V MA 00012 수의학캡스톤디자인 3-3-0
해양과학대학 수산경영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F BA 00021 수산경영학연구 1-1-0
해양경찰시스템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해양식품생명의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해양산업융합학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재직자과정 )
기계시스템공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에너지기계공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정보통신공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조선해양공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F NA 00028 해양시스템현장실습 1 3-0-4주
해양토목공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4 국외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5 국외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30076 국외현장실습 3 15-0-15주
해양환경공학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45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급락과목

대학 학부 ( 과 )․전공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약학대학 약학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1 3-0-4주
본부대학 기계융합공학과 전공선택 E OA 00025 R&D인턴십 (현장실습 2 ) 15-0-15주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E OA 00055 융합기술창업세미나 1-1-0
융합전공 P&P화학공학 전공필수 X AA 00014 P&P화학공학인턴쉽및현장실습 15-0-15주
주택도시개발학 전공필수 X HA 00004 현장실습 1 3-0-4주
전력에너지공학 전공필수 X P A 00003 현장실습 1 3-0-4주
시험분석학 전공필수 X T A 00003 현장실습 1 3-0-4주
산업경영지원학 전공필수 X MA 00004 현장실습 5 7-0-4주
전공선택 EZ A 30072 현장실습 2 6-0-8주
전공선택 EZ A 40071 현장실습 3 15-0-15주
금융보험학 전공선택 EZ A 30071 현장실습 1 3-0-4주
전공선택 BB A 30001 금융실무 3-3-0
농산업컨설팅학 전공필수 X GA 00002 농산업컨설팅체험 1 1-0-2
전공필수 X GA 00003 농산업컨설팅체험 2 1-0-2
전공필수 X GA 00004 농산업컨설팅체험심화 1-0-2

Ⅲ. 교직 교육과정 급락과목 일람표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주관학과

교직 Z C A 40090 교육봉사활동 2-0-4 (사범대 ) 교육학과

경상대학교 453
PART 13

동일대체·지정과목

Ⅰ. 교양(일반선택 포함) 교육과정 동일·대체 지정과목 일람표··· 453


Ⅱ. 전공 교육과정 동일·대체 지정과목 일람표·············454
Ⅲ. 교직과목 동일·대체 지정과목 일람표······················· 463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Ⅰ. 교양(일반선택 포함) 교육과정 동일・대체 지정과목 일람표


이전 변경 지정
주관학부 (과 ) 내용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사학과 Z I A20015 한국 .한국인 2-2-0 Z I A20019 한국사인물산책 2-2-0 동일
사학과 ZHA20015 한국 .한국인 2-2-0 Z I A20019 한국사인물산책 2-2-0 동일
컴퓨터과학과 Z I A50010 컴퓨터와소프트웨어 2-1-2 Z I A50015 생활속소프트웨어 2-0-2 대체
컴퓨터과학과 ZHA50012 컴퓨터와소프트웨어 2-1-2 Z I A50015 생활속소프트웨어 2-0-2 대체
컴퓨터과학과 ZTA20006 컴퓨팅사고와코딩 2-1-2 ZTA20008 컴퓨팅사고와코딩 2-1-1 동일
컴퓨터과학과 Z I A50009 컴퓨터와멀티미디어 2-1-2 Z I A50013 파이썬프로그래밍기초 2-0-2 대체
컴퓨터과학과 ZHA50011 컴퓨터와멀티미디어 2-1-2 Z I A50013 파이썬프로그래밍기초 2-0-2 대체
컴퓨터과학과 Z I A50011 컴퓨터와인터넷 2-1-2 Z I A50014 비전공자를위한인공지능 2-1-1 대체
컴퓨터과학과 ZHA50013 컴퓨터와인터넷 2-1-2 Z I A50014 비전공자를위한인공지능 2-1-1 대체
일반사회교육과 ZGA20026 세계시민교육의이해와실천 3-3-0 ZGA20031 민주시민교육의이해와실천 3-3-0 동일
에너지기계공학과 ZPA30023 창의적공학설계 2-0-4 ZPA30037 창의적공학설계 2-0-2 동일
에너지기계공학과 ZGA30027 전산설계실무 2-0-4 ZGA30028 전산설계실무 2-0-2 동일
L I NC+사업단 ZPA20001 CEO와기업가정신 2-2-0 ZPA20031 기업가정신수도진주 2-2-0 동일
L I NC+사업단 ZDA90116 CEO와기업가정신 2-2-0 ZPA20031 기업가정신수도진주 2-2-0 동일
L I NC+사업단 ZPA20010 진로탐색의이해 2-2-0 ZPA20032 창업과진로탐색의이해 2-2-0 동일
L I NC+사업단 ZDA90056 진로탐색의이해 2-2-0 ZPA20032 창업과진로탐색의이해 2-2-0 동일
L I NC+사업단 ZPA20024 캠퍼스 CEO 2-2-0 ZPA20033 캠퍼스스타트업 2-2-0 동일
L I NC+사업단 ZDA90150 캠퍼스 CEO 2-2-0 ZPA20033 캠퍼스스타트업 2-2-0 동일
L I NC+사업단 ZPA20013 창업과기술사업화 2-2-0 ZPA20034 기술창업기초 2-2-0 동일
L I NC+사업단 ZDA90139 창업과기술사업화 2-2-0 ZPA20034 기술창업기초 2-2-0 동일
L I NC+사업단 ZPA20022 창조기업창업론 2-2-0 ZPA20035 기술트랜드와벤처성장전략 2-2-0 동일
L I NC+사업단 ZDA90125 창조기업창업론 2-2-0 ZPA20035 기술트랜드와벤처성장전략 2-2-0 동일
L I NC+사업단 ZPA20014 창업과기업실무이해 2-2-0 ZPA20036 디자인적사고와기술창업 2-1-1 대체
L I NC+사업단 ZDA90114 창업과기업실무이해 2-2-0 ZPA20036 디자인적사고와기술창업 2-1-1 대체
L I NC+사업단 ZPA20020 창의융합지식토크 2-2-0 ZPA20037 문화예술산업과창업 2-1-1 대체
L I NC+사업단 ZDA90149 창의융합지식토크 2-2-0 ZPA20037 문화예술산업과창업 2-1-1 대체
L I NC+사업단 ZPA20021 창조경제와미래산업 2-2-0 ZPA20038 창업아이템과기회분석 2-1-1 대체
L I NC+사업단 ZDA90126 창조경제와미래산업 2-2-0 ZPA20038 창업아이템과기회분석 2-1-1 대체
L I NC+사업단 ZPA20017 창업설계 2-1-2 ZPA20039 기술창업실무 2-1-1 대체
L I NC+사업단 ZDA90128 창업설계 2-1-2 ZPA20039 기술창업실무 2-1-1 대체
L I NC+사업단 ZPA20026 프로젝트경영 2-1-2 ZPA20040 기술창업보육실무 2-2-0 대체
L I NC+사업단 ZDA90138 프로젝트경영 2-1-2 ZPA20040 기술창업보육실무 2-2-0 대체
L I NC+사업단 ZPA20018 창업입지분석론 2-1-2 ZPA20041 기술창업성장실무 2-2-0 대체
L I NC+사업단 ZDA90129 창업입지분석론 2-1-2 ZPA20041 기술창업성장실무 2-2-0 대체
L I NC+사업단 ZPA20023 창조적아이디어와사업화전략 2-1-2 ZPA20042 스타트업투자유치 2-1-1 대체
L I NC+사업단 ZDA90135 창조적아이디어와사업화전략 2-1-2 ZPA20042 스타트업투자유치 2-1-1 대체
L I NC+사업단 ZPA20009 오픈비즈니스창업론 2-1-2 ZPA20043 사회적경제와협동조합창업 2-2-0 대체
L I NC+사업단 ZDA90136 오픈비즈니스창업론 2-1-2 ZPA20043 사회적경제와협동조합창업 2-2-0 대체
L I NC+사업단 ZPA20019 창의성개발과혁신론 2-1-2 ZPA20044 R&D사업계획서 2-1-1 대체
L I NC+사업단 ZDA90130 창의성개발과혁신론 2-1-2 ZPA20044 R&D사업계획서 2-1-1 대체
L I NC+사업단 ZPA20016 창업법규와지적재산권 2-1-2 ZPA20045 창업지식재산 2-1-1 대체
L I NC+사업단 ZDA90132 창업법규와지적재산권 2-1-2 ZPA20045 창업지식재산 2-1-2 대체

45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동일대체·지정과목

Ⅱ. 전공 교육과정 동일・대체 지정과목 일람표


이전 변경 지정
주관학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내용
독어독문학과 HGA40013 독문학비평 3-3-0 HGA00003 독일문학과미디어 3-3-0 대체
러시아학과 HRA00001 캡스톤디자인 1 2-2-0 HRA00006 캡스톤디자인 PBL1 2-2-0 동일
러시아학과 HRA00002 캡스톤디자인 2 2-2-0 HRA00007 캡스톤디자인 PBL2 2-2-0 동일
유라시아문화원형발굴과 포스트소비에트공간문화원
러시아학과 HRA00003 2-2-0 HRA00008 2-2-0 동일
콘텐츠화 형발굴과콘텐츠화
러시아학과 HRA40045 러시아어학특강 2-2-0 HRA00009 실전러시아어 2-2-0 동일
러시아학과 HRA40044 러시아어특강 3-3-0 HRA00009 실전러시아어 2-2-0 동일
러시아학과 HRA40053 노한통역 2-2-0 HRA00010 창의적문제해결 (TR I Z )연습 2-2-0 대체
러시아학과 HRA40051 노한통역연습 2-2-0 HRA00010 창의적문제해결 (TR I Z )연습 2-2-0 대체
러시아학과 HRA40067 러시아문학과영화읽기 3-3-0 HRA00011 러시아문학과영상예술 3-3-0 동일
러시아학과 HRA40077 현대러시아문학 3-3-0 HRA00011 러시아문학과영상예술 3-3-0 동일
불어불문학과 HFA00007 프랑스사회의이해 3-3-0 HFA00012 프랑스사회문화의이해 3-3-0 대체
불어불문학과 HFA20023 프랑스문화개관 3-3-0 HFA00012 프랑스사회문화의이해 3-3-0 대체
불어불문학과 HFA30026 번역의이론과실제 2-2-0 HFA00001 프랑스어문장구조론 3-3-0 대체
불어불문학과 HFA00003 샹송프랑스어 2-2-0 HFA00010 프랑스공연예술 3-3-0 대체
불어불문학과 HFA40015 광고프랑스어 2-2-0 HFA00010 프랑스공연예술 3-3-0 대체
불어불문학과 HFA40012 실용프랑스어 2-2-0 HFA00017 실용프랑스어 B1 3-3-0 대체
불어불문학과 HFA20071 시청각프랑스어 2-0-4 HFA00019 시청각프랑스어 1-0-2 동일
불어불문학과 HFA00011 프랑스신화문학과예술 2-2-0 HFA00020 프랑스신화문학과예술 3-3-0 동일
불어불문학과 HFA20026 프랑스청소년문학 2-2-0 HFA00020 프랑스신화문학과예술 3-3-0 동일
불어불문학과 HFA20027 프랑스어음성학 3-3-0 HFA00013 프랑스어음성음운론 3-3-0 동일
불어불문학과 HFA20028 프랑스어표현 2-2-0 HFA00021 프랑스어표현 3-3-0 동일
불어불문학과 HFA20029 프랑스어문체론 2-2-0 HFA00014 실용프랑스어 A2 3-3-0 대체
불어불문학과 HFA20034 생활프랑스어 2-2-0 HFA00022 생활프랑스어 3-3-0 동일
불어불문학과 HFA30019 계몽철학과문학 2-2-0 HFA00015 프랑스어권문학 3-3-0 대체
불어불문학과 HFA30018 프랑스시 2-2-0 HFA00023 프랑스시 3-3-0 동일
불어불문학과 HFA00008 프랑스예술의이해 2-2-0 HFA00016 프랑스문화예술 3-3-0 대체
불어불문학과 HFA30023 프랑스예술감상 2-2-0 HFA00016 프랑스문화예술 3-3-0 대체
불어불문학과 HFA30027 프랑스어문법과표현 2-2-0 HFA00017 실용프랑스어 B1 3-3-0 대체
불어불문학과 HFA40009 언술행위론 2-2-0 HFA00024 언술행위론 3-3-0 동일
불어불문학과 HFA40011 현대프랑스비평 2-2-0 HFA00025 현대프랑스비평 3-3-0 동일
불어불문학과 HFA60071 영상프랑스어 2-2-0 HFA00018 영화로배우는프랑스어 3-3-0 대체
사학과 HHA00010 고고학개론 3-3-0 HHA00028 한국고중세사특강 3-3-0 대체
사학과 HHA10004 고고학 2-2-0 HHA00028 한국고중세사특강 3-3-0 대체
중어중문학과 HCA00003 중국학특강 2-2-0 HCA00014 중국지역학 창의융합 PBL Ⅱ 2-2-0 대체
중어중문학과 HCA40029 중국학특강 2-2-0 HCA00014 중국지역학 창의융합 PBL Ⅱ 2-2-0 대체
한문학과 HMA00099 한문학정보와공구서 2-2-0 HMA00137 한문학작가론 2-2-0 대체
HMA10095 서예실습 2 1-0-2
한문학과 HMA00137 한문학작가론 2-2-0 대체
HMA10097 서예 2 2-2-0
한문학과 HMA00106 지리산과한문학 3-3-0 HMA00136 한문학과경남문화 3-3-0 대체
한문학과 HMA20010 한문소설 3-3-0 HMA00136 한문학과경남문화 3-3-0 대체
한문학과 HMA00111 오경선독 2 2-2-0 HMA00138 실학파의이해 2-2-0 대체
한문학과 HMA00004 유교문화와한국사회 3-3-0 HMA00138 실학파의이해 2-2-0 대체

경상대학교 457
2020학년도 교육과정

이전 변경 지정
주관학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내용
HMA40035 유교문화 3-3-0
한문학과 HMA00122 출판인쇄문화사 3-3-0 HMA00135 고문진보산문선독 3-3-0 대체
HMA00007 한적의세계 3-3-0
한문학과 HMA00135 고문진보산문선독 3-3-0 대체
HMA40033 한자문화와정보사회 3-3-0
한문학과 HMA00113 한국학콘텐츠 3-3-0 HMA00139 한문소설의세계 PBL 3-3-0 대체
한문학과 HMA00005 한문학백화강독 3-3-0 HMA00139 한문소설의세계 PBL 3-3-0 대체
HMA40027 한중문학관계사 3-3-0
한문학과 HMA00125 초서독해 3-3-0 HMA00134 동아시아의한자와언어 PBL 3-3-0 대체
한문학과 HMA40040 초서독해 2-2-0 HMA00134 동아시아의한자와언어 PBL 3-3-0 대체
HMA40093 초서연습 1-0-2
한문학과 HMA00130 한시선독 1 2-2-0 HMA00008 중국한시선독 2-2-0 동일
한문학과 HMA00116 중국명시감상 2-2-0 HMA00008 중국한시선독 2-2-0 동일
HMA20012 한시강독 1 2-2-0
한문학과 HMA00131 한시선독 2 3-3-0 HMA00123 한국한시선독 3-3-0 동일
한문학과 HMA30021 영남학맥연구 3-3-0 HMA00011 영남학파의이해 3-3-0 동일
한문학과 HMA00108 오경선독 1 2-2-0 HMA00012 오경선독 2-2-0 동일
HMA40032 동아시아비교문학 3-3-0
한문학과 HMA00012 오경선독 2-2-0 동일
HMA00006 영어로읽는사서 3-3-0
한문학과 HMA00110 문화콘텐츠학입문 2-2-0 HMA00013 동아시아한자와콘텐츠 PBL 2-2-0 동일
한문학과 HMA00105 남명학파특강 3-3-0 HMA00014 남명학의이해 3-3-0 동일
한문학과 HMA30022 실학파저작강독 3-3-0 HMA00014 남명학의이해 3-3-0 동일
HMA30024 실학연구 3-3-0
한문학과 HMA00101 역사고전선독 3-3-0 HMA00009 중국역사서선독 3-3-0 동일
한문학과 HMA20009 역대산문 3-3-0 HMA00009 중국역사서선독 3-3-0 동일
한문학과 HMA00104 지리산학개론 2-2-0 HMA00015 지리산학개론 PBL 2-2-0 동일
사회학과 SSA30014 비교사회론 3-3-0 SSA30017 사회운동론 3-3-0 대체
사회학과 SSA20004 사회조사분석 3-3-0 SSA00015 사회조사분석 3-0-3 동일
사회복지학과 SWA10001 사회복지개론 3-3-0 SWA00005 사회복지학개론 3-3-0 동일
사회복지학과 SWA30024 사회복지법제 3-3-0 SWA00006 사회복지법제와실천 3-3-0 동일
사회복지학과 SWA40011 사회복지법규 3-3-0 SWA00006 사회복지법제와실천 3-3-0 동일
사회복지학과 SWA20006 사회복지발달사 3-3-0 SWA00007 사회복지역사 3-3-0 동일
사회복지학과 SWA20013 사회복지역사및사상 3-3-0 SWA00007 사회복지역사 3-3-0 동일
사회복지학과 SWA40024 학교사회사업론 3-3-0 SWA00008 학교사회복지론 3-3-0 동일
사회복지학과 SWA30023 의료사회사업론 3-3-0 SWA00009 의료사회복지론 3-3-0 동일
사회복지학과 SWA40005 의료정신사회사업론 3-3-0 SWA00009 의료사회복지론 3-3-0 동일
심리학과 SPA30012 임상심리평가및진단 3-3-0 SPA00023 임상심리평가및진단 -캡스톤디자인 3-2-1 대체
심리학과 SPA30011 사랑과성심리학 2-2-0 SPA00023 임상심리평가및진단 -캡스톤디자인 3-2-1 대체
심리학과 SPA00021 이상심리학 3-2-1 SPA00024 이상심리학 -어드벤처디자인 3-2-1 대체
심리학과 SPA30005 이상심리학 3-3-0 SPA00024 이상심리학 -어드벤처디자인 3-2-1 대체
심리학과 SPA40008 건강심리학 3-3-0 SPA00026 건강심리학 -캡스톤디자인 3-2-1 동일
심리학과 SPA00004 중독심리학 3-3-0 SPA00025 중독심리학 3-2-1 대체
심리학과 SPA40001 언어심리학 3-3-0 SPA00025 중독심리학 3-2-1 대체
심리학과 SPA00010 성인및노인심리학 3-3-0 SPA00022 성인및노인심리학 -어드벤처디자인 3-3-0 대체
심리학과 SPA20007 청장년발달심리학 3-3-0 SPA00022 성인및노인심리학 -어드벤처디자인 3-3-0 대체
정치외교학과 S I A00001 한국정치경제 3-3-0 S I A00027 정치경제론 3-3-0 대체
행정학과 SAA30008 비교행정론 3-3-0 SAA00006 공공관리론 3-3-0 동일
행정학과 SAA30015 비교발전행정론 3-3-0 SAA00006 공공관리론 3-3-0 동일
정치외교학과 S I A30012 정책제안종합설계 3-3-0 S I A00026 정책제안어드벤처디자인 3-3-0 대체

458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동일대체·지정과목

이전 변경 지정
주관학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내용
의류학과 NTA30063 어패럴생산관리 3-2-2 NTA00037 디지털의류생산설계 3-3-0 동일
의류학과 NTA30027 의류환경학 3-3-0 NTA00037 디지털의류생산설계 3-3-0 대체
의류학과 NTA10002 인체와의복 3-3-0 NTA00036 체형분석과봉제과학 3-3-0 동일
의류학과 NTA20016 봉제과학 2-0-4 NTA00036 체형분석과봉제과학 3-3-0 대체
의류학과 NTA30075 의류환경실험 2-0-4 NTA00035 테크니컬디자인 3-0-3 대체
의류학과 NTA40095 입체재단 2-0-4 NTA00040 드레이핑 3-0-3 동일
의류학과 NTA00012 현대패션 2-2-0 NTA00038 현대패션 3-3-0 동일
의류학과 NTA20071 의복구성설계 2-0-4 NTA00039 의복구성설계 3-1-2 동일
의류학과 NTA40080 패턴 CAD 2-0-4 NTA00041 어패럴패턴 CAD 3-0-3 동일
생명과학부 NOA00037 생명과산업 3-3-0 NOA00057 그린헬스바이오 PBL 3-3-0 대체
생명과학부 NOA00042 응용생물공학 3-3-0 NOA00058 응용생물공학 PBL 3-3-0 대체
NCA20047 분석화학및실험 3-2-2
NCA20045 생물분석화학 3-3-0
생명과학부 NOA00058 응용생물공학 PBL 3-3-0 대체
NAA30053 산업미생물학 1 3-3-0
NAA40014 산업미생물학 3-3-0
생명과학부 NOA00054 연구실습 3-0-6 NOA00059 생명과학창의융합 PBL 3-0-6 대체
NOA00031 연구실습 2 3-0-6
NOA00013 연구실습 1 3-0-6
생명과학부 NBA20012 생물학심화연구 1-0-2 NOA00059 생명과학창의융합 PBL 3-0-6 대체
NLA40012 생화학실습및연구 1 1-0-2
NLA40013 생화학실습및연구 2 1-0-2
생명과학부 NOA00028 세포생물학 2 3-3-0 NOA00060 고급세포생물학 3-3-0 동일
NBA40031 응용세포생리학 3-3-0
생명과학부 NOA00060 고급세포생물학 3-3-0 동일
NLA00006 세포생물학 2 3-3-0
생명과학부 NOA00052 바이오파이썬 3-3-0 NOA00061 바이오파이썬 블렌디드 3-3-0 동일
NLA30001 생화학 3 3-3-0
생명과학부 NBA40028 세포막생화학 3-3-0 NOA00061 바이오파이썬 블렌디드 3-3-0 동일
NOA00026 생체막 3-3-0
생명과학부 NOA00007 세포생물학 1 3-3-0 NOA00062 세포생물학 3-3-0 동일
NLA00005 세포생물학 1 3-3-0
NBA20018 세포생물학 2-2-0
생명과학부 NOA00062 세포생물학 3-3-0 동일
NBA20078 세포생물학실험 1-0-2
NAA40033 세포생물학 3-3-0
수학과 NMA30039 응용수학의 방법 3-3-0 NMA00014 수치해석학 3-3-0 대체
수학과 NMA40012 실변수함수론 1 3-3-0 NMA00016 실변수함수론 3-3-0 동일
수학과 NMA40022 실변수함수론 2 3-3-0 NMA00016 실변수함수론 3-3-0 대체
지질과학과 NGA30066 신에너지 .물질학 3-3-0 NGA00012 고자기학 3-3-0 동일
지질과학과 NGA30036 지질공학및실험 3-2-2 NGA00013 응용지질학 3-3-0 동일
지질과학과 NGA40045 지구내부물리학 3-3-0 NGA30063 지구물리학 3-3-0 대체
지질과학과 NGA40058 석유지질학 3-3-0 NGA00010 지질재해론 3-3-0 대체
컴퓨터과학과 NEA20028 논리회로 3-3-0 NEA00038 가상현실 3-1-2 대체
컴퓨터과학과 NEA20041 전산수학 3-3-0 NEA00039 이산수학 3-3-0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20027 유닉스시스템 2-2-0 NEA00040 리눅스시스템 2-2-0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20076 유닉스시스템실습 1-0-2 NEA00041 리눅스시스템실습 1-0-2 동일
NEA00034 빅데이터관리 2-2-0
컴퓨터과학과 NEA00042 빅데이터 3-3-0 동일
NEA00035 빅데이터관리실습 1-0-2
컴퓨터과학과 NEA30001 빅데이터관리 3-3-0 NEA00042 빅데이터 3-3-0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30039 컴퓨터그래픽스 3-3-0 NEA00044 컴퓨터그래픽스 3-2-1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40045 영상처리 3-3-0 NEA00045 영상처리 3-2-1 동일

경상대학교 459
2020학년도 교육과정

이전 변경 지정
주관학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내용
컴퓨터과학과 NEA00026 문제해결실무 3-3-0 NEA00046 문제해결실무 3-1-2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40039 모바일프로그래밍 3-3-0 NEA00047 모바일프로그래밍 3-1-2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40001 사물인터넷 2-2-0 NEA00043 사물인터넷 3-1-2 동일
NEA40002 사물인터넷실습 1-0-2
NEA00014 내장형시스템 2-2-0
컴퓨터과학과 NEA00043 사물인터넷 3-1-2 동일
NEA00015 내장형시스템실습 1-0-2
컴퓨터과학과 NEA00033 증강현실 3-3-0 NEA00048 증강현실 3-1-2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00016 데이터베이스프로그래밍 2-2-0 NEA00048 증강현실 3-1-2 동일
NEA00017 데이터베이스프로그래밍실습 1-0-2
컴퓨터과학과 NEA00021 기초설계및프로젝트 3-3-0 NEA00049 기초설계PBL(어드벤처디자인 ) 3-3-0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00036 기초설계및프로젝트(어드벤처디자인) 3-3-0 NEA00049 기초설계PBL(어드벤처디자인 ) 3-3-0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00010 소프트웨어프로젝트 2-2-0
NEA00050 소프트웨어설계 PBL 3-3-0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00011 소프트웨어프로젝트실습 1-0-2
컴퓨터과학과 NEA00092 소프트웨어설계및프로젝트 3-3-0 NEA00050 소프트웨어설계 PBL 3-3-0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40041 전공종합설계 3-3-0 NEA00051 종합설계 PBL 3-3-0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00022 종합설계및프로젝트 3-3-0 NEA00051 종합설계 PBL 3-3-0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00046 문제해결실무 3-1-2 NEA00052 문제해결실무 PBL 3-1-2 동일
컴퓨터과학과 NEA00046 문제해결실무 3-1-2 NEA00052 문제해결실무 PBL 3-1-2 동일
화학과 NCA00006 기기분석 3-3-0 NCA00013 분광학분석및실험 3-2-2 대체
화학과 NCA30064 기기분석 1 3-3-0 NCA00013 분광학분석및실험 3-2-2 대체
화학과 NCA40043 소재화학 3-3-0 NCA00014 융합소재화학실습 2-0-4 대체
화학과 NCA40042 첨단소재화학 2-2-0 NCA00014 융합소재화학실습 2-0-4 대체
경영학과 BBA00073 파생상품투자 3-3-0 BBA00012 포트폴리오관리 3-3-0 동일
경영학과 BBA40029 파생상품론 3-3-0 BBA00012 포트폴리오관리 3-3-0 동일
경영학과 BBA00010 재무설계 1 3-3-0 BBA00013 재무종합설계 1 3-3-0 동일
경영학과 BBA00011 재무설계 2 3-3-0 BBA00014 재무종합설계 2 3-3-0 동일
경영정보학과 B I A00030 M I S종합설계 9-0-18 B I A00033 M I S종합설계 6-0-6 동일
건축도시토목공학부
EAA00026 건축환경실험 2-0-2 EAA00050 건축환경시뮬레이션및실험 2-0-2 동일
( 건축공학전공 )
건축도시토목공학부
EAA20089 건축환경실험 2-0-4 EAA00050 건축환경시뮬레이션및실험 2-0-2 동일
( 건축공학전공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ZA20071 창의적기초공학설계 3-3-0 EZA20072 창의적기초공학설계 3-0-3 동일
( 기계공학전공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MA00012 계측공학 3-3-0 EMA00038 계측공학 3-0-3 동일
( 기계공학전공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MA30036 계측공학및실험 3-3-0 EMA00038 계측공학 3-0-3 동일
( 기계공학전공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MA40090 종합설계 3-3-0 EMA00039 종합설계 3-0-3 동일
( 기계공학전공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MA40097 종합설계 1 3-3-0 EMA00039 종합설계 3-0-3 동일
( 기계공학전공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ZA20071 창의적기초공학설계 3-3-0 EZA20072 창의적기초공학설계 3-0-3 동일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대체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ZDA60020 창의적공학설계 2-0-4 EZA20072 창의적기초공학설계 3-0-3 동일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대체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TA00001 기계공작실습 2-0-4 ETA00019 기계공작실습 2-0-2 동일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MA20073 기계공작실습 1 2-0-4
EVA20042 기계공작및실습 3-3-0 ETA00019 기계공작실습 2-0-2 동일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EVA20070 기계공작실습 2-0-4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TA00123 종합설계 3-3-0 ETA00020 종합설계 3-0-3 동일

46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동일대체·지정과목

이전 변경 지정
주관학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내용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대체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MA40097 종합설계 1 3-3-0 동일
EMA40086 종합설계 2 3-3-0 ETA00020 종합설계 3-0-3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대체
EVA40070 종합설계 3-3-0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TA00086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 2-2-0 ETA00014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 PBL 2-2-0 동일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NHA10021 프로그래밍언어 1 2-2-0
ETA00014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 PBL 2-2-0 동일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NHA10011 기초프그래밍 2-2-0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TA00087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실습 1-0-2 ETA00015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실습 PBL 1-0-2 동일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NHA10071 프로그래밍언어 1실습 1-0-2
ETA00015 컴퓨터프로그래밍기초실습 PBL 1-0-2 동일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NHA10061 기초프로그래밍실습 1-0-2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동일
ETA00011 자료구조및알고리즘 3-2-2 ETA00016 자료구조및알고리즘 PBL 3-2-2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대체
ETA00099 [동일]자료구조및알고리즘 3-3-0
NHA20015 [동일]자료구조및알고리즘 3-3-0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동일
ETA00102 [대체 ]R I SC프로그래밍 2­1­2 ETA00016 자료구조및알고리즘 PBL 3-2-2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대체
NHA20061 [대체 ]R I SC프로그래밍 1-1-0
NHA20072 [대체]R I SC프로그래밍실습 1-0-2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동일
ETA00013 소프트웨어개발론 3-0-3 ETA00017 소프트웨어개발론 PBL 3-2-2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대체
ETA00119 [동일 ]소프트웨어개발론 3-3-0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NHA30035 [동일 ]소프트웨어개발론 3-3-0 동일
ETA00017 소프트웨어개발론 PBL 3-2-2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ETA00122 [대체 ]시스템성능 3-3-0 대체
NHA30063 [대체 ]시스템성능 3-3-0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ETA00036 기업가정신과창업 3-3-0 ETA00018 기업가정신과창업창의융합 PBL 3-3-0 동일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나노 .신소재공학부 EGA00010 주조공학 3-3-0 EGA00033 주조공학및용접공학 3-3-0 대체
나노 .신소재공학부 EBA40031 주조공학 2-2-0 EGA00033 주조공학및용접공학 3-3-0 대체
나노 .신소재공학부 EBA30036 용접공학 3-3-0 EGA00033 주조공학및용접공학 3-3-0 대체
나노 .신소재공학부 EBA30034 바이오재료 3-3-0 EGA00033 주조공학및용접공학 3-3-0 대체
나노 .신소재공학부 EBA40033 분말야금학 3-3-0 EGA00035 분말재료 3-3-0 동일
나노 .신소재공학부 EBA40086 분말야금학및실험 3-3-0 EGA00035 분말재료 3-3-0 동일
나노 .신소재공학부 EBA00090 현장형실험 1 3-0-6 EGA00036 현장형실험 1 3-0-3 동일
나노 .신소재공학부 ETA30072 현장형실험 1 2-0-4 EGA00036 현장형실험 1 3-0-3 동일
나노 .신소재공학부 EBA00091 현장형실험 2 3-0-6 EGA00037 현장형실험 2 3-0-3 동일
나노 .신소재공학부 ETA30082 현장형실험 2 2-0-4 EGA00037 현장형실험 2 3-0-3 동일
반도체공학과 ESA00012 디스플레이공학 2 3-3-0 ESA00018 차세대디스플레이챌린지 PBL 3-3-0 동일
반도체공학과 ESA40019 디스플레이재료및물성 3-3-0 ESA00018 차세대디스플레이챌린지 PBL 3-3-0 동일
반도체공학과 ESA40025 정보통신공학 3-3-0 ESA00019 PBL창의융합설계 3-3-0 동일
반도체공학과 ESA00019 PBL창의융합설계 3-3-0 ESA00020 PBL창의융합설계 3-1-2 동일
반도체공학과 ESA00017 PBL공학입문 3-3-0 ESA00021 PBL공학입문 3-1-2 동일
제어계측공학과 EFA40067 그린에너지공학 3-3-0 EFA00013 스마트에너지공학 3-3-0 대체
제어계측공학과 EFA30051 실시간운영체제 3-3-0 EFA30053 객체지향프로그래밍 3-3-0 대체
식품자원경제학과 ASA00010 애그리비즈니스의사결정론 3-3-0 ASA00017 농식품경영컨설팅 3-3-0 동일
식품자원경제학과 ASA30001 농업의사결정론 3-3-0 ASA00017 농식품경영컨설팅 3-3-0 동일
식품자원경제학과 ASA30062 협동조합론 3-3-0 ASA00018 농식품산업경제분석 PBL 3-3-0 동일
식품자원경제학과 ASA00015 농업기술경제데이터분석론 3-3-0 ASA00019 농업환경자원경제분석 PBL 3-3-0 동일
식품자원경제학과 ASA40007 농업기술경제학 3-3-0 ASA00019 농업환경자원경제분석 PBL 3-3-0 동일
환경산림과학부 AFA30007 환경임업 2-2-0 AFA00005 수목병리학 2-2-0 대체
(산림환경자원학전공
환경산림과학부 AFA00003 환경임업실습 1-0-1 AFA00006 수목병리학실습 1-0-1 대체
(산림환경자원학전공
환경산림과학부 AFA40071 야생동물관리학 3-3-0 AFA00007 산림미생물자원학 3-3-0 대체

경상대학교 461
2020학년도 교육과정

이전 변경 지정
주관학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내용
(산림환경자원학전공
환경산림과학부 AWA10030 임산제조학 2-2-0 AWA00015 임산제조학캡스톤디자인 3-2-1 동일
(환경재료과학전공 )
환경산림과학부 AWA00004 임산제조학실험및캡스톤디자인 1-0-2 AWA00015 임산제조학캡스톤디자인 3-2-1 동일
(환경재료과학전공 )
농업식물과학과 AGA00022 약용작물학 2-2-0 AGA00094 약용작물학및실습 3-2-2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AA 30054 약용작물학 2-2-0 AGA00094 약용작물학및실습 3-2-2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GA00034 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3-2-2 AGA00095 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2-0-4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AA 40082 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3-2-2 AGA00095 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2-0-4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GA00085 약용작물학실습 2-0-2 AGA00096 약용작물학 2 2-2-0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GA00054 잔디학 2-2-0 AGA00096 약용작물학 2 2-2-0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GA00080 원예분자육종학실험 3-0-3 AGA00092 원예분자육종실험 PBL 3-0-3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GA00028 원예작물분자육종학및실습 3-2-2 AGA00092 원예분자육종실험 PBL 3-0-3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GA00081 원예생명공학실험 3-0-3 AGA00093 원예생명공학실험 PBL 3-0-3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GA00035 원예생명공학및실습 3-2-2 AGA00093 원예생명공학실험 PBL 3-0-3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GA00034 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3-2-2 AGA00097 PBL기반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2-0-4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GA00095 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2-0-4 AGA00097 PBL기반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2-0-4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GA00034 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3-2-2 AGA00097 PBL기반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2-0-4 동일
농업식물과학과 AGA00095 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2-0-4 AGA00097 PBL기반작물조직배양학및실험 2-0-4 동일
농화학식품공학과 AXA00018 생화학실험 2-0-4 AXA00086 생화학실험 PBL 2-0-4 동일
농화학식품공학과 AXA00082 생화학실험 2-0-4 AXA00086 생화학실험 PBL 2-0-4 동일
농화학식품공학과 AXA00070 기기분석종합설계 3-2-2 AXA00087 기기분석학및실험 PBL 3-2-2 동일
농화학식품공학과 AXA00083 기기분석학및실험 3-2-2 AXA00087 기기분석학및실험 PBL 3-2-2 동일
축산생명학과 ATA00016 낙농미생물학및실험 3-2-2 ATA00084 동물유전정보학및실습 3-2-2 대체
축산생명학과 ADA20060 낙농미생물학및실험 3-2-2 ATA00084 동물유전정보학및실습 3-2-2 대체
축산생명학과 ATA00035 유과학 3-3-0 ATA00085 반려동물유전학 3-3-0 대체
축산생명학과 ADA30020 유과학 3-3-0 ATA00085 반려동물유전학 3-3-0 대체
축산생명학과 ATA00007 일반미생물학 3-3-0 ATA00088 생물통계학및실습 3-2-2 대체
축산생명학과 ADA20001 일반미생물학 3-3-0 ATA00088 생물통계학및실습 3-2-2 대체

축산생명학과 ATA00076 낙농기계학 3-3-0 ATA00080 동물유전체육종학 3-3-0 대체

축산생명학과 ADA40052 낙농기계학 3-3-0 ATA00080 동물유전체육종학 3-3-0 대체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MA20081 기계공작법 1및실습 2-1-2 AMA00012 기계공작법및실습 3-2-2 동일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MA20082 기계공작법 2및실습 2-1-2 AMA00012 기계공작법및실습 3-2-2 동일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MA10073 캐드 &그래픽 1 2-0-4 AMA00013 캐드 &그래픽 1 3-0-3 동일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MA30076 캐드 &그래픽 2 3-0-6 AMA00016 캐드 &그래픽 2 3-0-3 동일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EA20040 농공논리및논술교육 2-2-0 AEA00027 농공논리및논술교육 3-3-0 동일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MA00086 카티아실무 2-2-0 AMA00015 카티아실무 3-3-0 동일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AEA00022 농촌공간정보공학및실습 3-2-1 AEA00109 PBL농촌공간정보공학및실습 3-2-2 동일

46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동일대체·지정과목

이전 변경 지정
주관학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내용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EA00016 농촌공간정보공학및종합설계 3-2-2


AEA00107 농촌공간정보공학및실습 3-2-2 AEA00109 PBL농촌공간정보공학및실습 3-2-2 동일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AEA40005 농촌공간정보공학및연습 3-2-2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EA30026 구조역학 3-3-0 AEA00110 PBL구조역학및실습 3-2-1 동일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EA30024 구조역학및연습 3-2-2
AEA00110 PBL구조역학및실습 3-2-1 동일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AEA30022 부정정역학및연습 3-2-2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EA00094 농공기술및실습 3-2-2 AEA00028 농공기술및실습 3-2-1 동일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AEA20080 농공기술실습 3-2-2
1-1-0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MA20007 농업공작
1-0-2 AEA00028 농공기술및실습 3-2-1 동일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AMA20073 농업공작실습
1-1-0
AEA20025 농공기술
1-0-2
애그로시스템공학부
AEA20040 농공논리및논술교육 2-2-0 AEA00027 농공논리및논술교육 3-3-0 동일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
교육학과 TEA10015 학교사회학 3-3-0 TEA00007 교육사회학 3-3-0 동일

교육학과 TEA10051 교직사회학 3-3-0 TEA00007 교육사회학 3-3-0 동일

교육학과 TEA00004 학교상담의이론과실제 3-3-0 TEA00008 상담심리학 3-3-0 동일

교육학과 TEA40035 인지학습 3-3-0 TEA00008 상담심리학 3-3-0 동일

교육학과 TEA40005 교육학교육의논리및논술 2-2-0 TEA00009 교육학교육의논리및논술 3-3-0 동일

유아교육과 TOA00057 아동미술 3-2-2 TOA00074 유아미술교육 3-3-0 동일

유아교육과 TOA00067 유아미술교육 3-2-2 TOA00074 유아미술교육 3-3-0 동일

유아교육과 TOA00062 유아언어론 3-3-0 TOA00073 유아언어교육 3-3-0 동일

유아교육과 TOA00012 유아언어교육 3-3-0 TOA00073 유아언어교육 3-3-0 동일

윤리교육과 TNA40003 정치교육비교연구 3-3-0 TNA00008 민주시민윤리교육론 3-3-0 대체

윤리교육과 TNA20018 민주주의사상교육론 3-3-0 TNA00008 민주시민윤리교육론 3-3-0 대체


윤리교육과 TNA20022 응용윤리학 3-3-0 TNA00009 응용윤리 3-3-0 대체
일반사회교육과 ZCA10001 사회과교육론 3-3-0 TSA00014 시민교육입문 3-3-0 동일
생물교육과 TBA00107 동물형태학 3-2-2 NOA00018 동물형태해부학 3-3-0 대체
TBA20007 동물형태학및지도 3-2-2
TBA20006 동물분류학및지도 3-2-2
생물교육과 TBA20001 동물형태학및실험 3-0-0 NOA00018 동물형태해부학 3-3-0 대체
NBA20081 동물계통분류학실험 1-0-2
NBA20031 동물계통분류학 2-2-0
생물교육과 TBA30019 생물교과탐구지도론 3-3-0 TBA00101 생명과학교육과정및평가방법론 3-3-0 대체

미술교육과 TAA00004 드로잉 2-0-4 TAA00007 선묘드로잉 2-0-4 동일

수의학과 VMA40009 수의법규 1-1-0 VMA00047 수의법규 2-2-0 동일

수의학과 VMA10014 수의세균학 2 1-1-0 VMA00048 수의세균학 2 2-2-0 동일

수의예과 VPA00008 동물유전학 3-3-0 VPA00015 동물생명공학 3-3-0 동일

수의예과 VPA00003 수의학개론 2-2-0 VPA00012 수의학개론 1 2-2-0 동일

경상대학교 463
2020학년도 교육과정

이전 변경 지정
주관학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내용
수의예과 VPA00003 수의학개론 2-2-0 VPA00013 수의학개론 2 2-2-0 동일

수의예과 VPA00005 세포생물학및실험 3-2-2 VPA00013 수의학개론 2 2-2-0 동일

수의예과 VPA00001 분자생물학및실험 3-2-2 VPA00016 분자생물학 2-2-0 동일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30007 선박정비론 2-2-0 FSA00024 선박운용학 3-3-0 대체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30002 선박조종론 2-2-0 FSA00024 선박운용학 3-3-0 대체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30073 선박운용실습 2-0-4 FSA00025 해양안전론 2-2-0 대체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40080 항해계기실습 2-0-4 FSA00026 해상안전통신 3-3-0 대체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40090 해양학실습 2-0-4 FSA00029 연안승선실습 1-0-2 대체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40086 해사영어실습 2-0-4 FSA00027 선박보안론 2-2-0 대체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40088 항해학실습 2-0-4 FSA00028 정박실습 1-0-2 대체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40092 수중정보실습 2-0-4 FSA00030 해양법 2-2-0 대체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40089 해양관리실무 2-0-4 FSA00031 해상안전공학 2-2-0 대체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00008 선교자원관리학 2-2-0 FSA00033 리더쉽및팀워크 1-1-0 대체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00013 원양승선실습 2 3-0-6 FSA00035 원양승선실습 2 4-0-4 동일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00011 해양생태방제 3-3-0 FSA00034 해양오염방제 3-3-0 동일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00012 글로벌해양수산계측학 3-3-0 FSA00036 글로벌해양수산계측학 2-2-0 동일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20021 헌법 2-2-0 FSA00037 헌법 3-3-0 동일

해양경찰시스템학과 FSA00006 해양캡스톤디자인 3-3-0 FSA00038 해양캡스톤디자인 2-2-0 동일


해양산업융합학과 FFA00083 수산학개론 1 2-2-0 FTA00046 미래수산학 2-2-0 대체
해양산업융합학과 FTA00031 해양행정학개론 3-3-0 FTA00047 산업융합입문 3-3-0 대체
해양산업융합학과 FTA00005 해양정보통신 3-3-0 FTA00048 산업영어 1 3-3-0 대체
해양산업융합학과 FTA00035 수산학개론 2 3-3-0 FTA00049 산업영어 2 3-3-0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EA00008 신재생에너지공학 2 3-3-0 FEA00031 열전달 3-3-0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EA20001 에너지시스템공학 3-3-0 FEA00031 열전달 3-3-0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EA30003 차세대에너지공학 3-3-0 EMA20003 열역학 3-3-0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EA40021 에너지기계시스템설계 3-3-0 EMA30003 유체역학 3-3-0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EA00030 재료시험법 3-0-3 FEA00028 에너지기계실험 3-0-3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EA40081 재료시험법 3-0-6 FEA00028 에너지기계실험 3-0-3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EA20010 공학수치해석 3-3-0 FEA00007 CFD설계 3-3-0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EA00002 신재생에너지공학 1 3-3-0 FEA00037 신재생에너지공학 3-3-0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EA30002 신재생에너지공학 3-3-0 FEA00037 신재생에너지공학 3-3-0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MA30011 CAM/CAE 3-3-0 FEA00038 CAM/CAE 3-0-3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EA10072 전산 CAD2 2-0-4 FEA00038 CAM/CAE 3-0-3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EA00011 응용 CAE종합설계 3-3-0 FEA00039 응용 CAE종합설계 3-0-3 대체
에너지기계공학과 FEA40011 응용 CAE종합설계 3-3-0 FEA00039 응용 CAE종합설계 3-0-3 대체
정보통신공학과 F I A00019 디지털신호처리및실습 3-2-2 F I A00092 디지털신호처리 3-3-0 동일

464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동일대체·지정과목

이전 변경 지정
주관학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내용
정보통신공학과 EFA40051 디지털신호처리 3-3-0 F I A00092 디지털신호처리 3-3-0 동일
정보통신공학과 F I A00086 데이터베이스 3-3-0 F I A00017 소프트웨어개발론 3-2-2 대체
정보통신공학과 F I A00081 전자회로 3-3-0 F I A00017 소프트웨어개발론 3-2-2 대체
고급모바일프로그래밍창의
정보통신공학과 F I A00012 고급모바일프로그래밍 3-2-2 FIA00020 3-2-2 대체
융합 PBL
F I A20030 기초전자실험 2-0-4
F I A20013 전기자기학 3-3-0
F I A30076 디지털통신실험 2-0-4 고급모바일프로그래밍창의
정보통신공학과 FIA00020 3-2-2 대체
F I A30074 해상이동통신실습 1-0-2 융합 PBL
F I A40006 광통신공학 3-3-0
F I A00083 고급모바일프로그래밍 3-3-0
조선해양공학과 FNA00023 선박해양공학실험 1-0-2 FNA00042 선박해양공학실험 2-0-4 동일
조선해양공학과 FNA10010 저항추진실험 1-0-2 FNA00042 선박해양공학실험 2-0-4 동일
해양토목공학과 FCA00026 공업수학 3-3-0 FCA00030 정역학 3-3-0 대체
해양토목공학과 FCA00016 기초수리학및실험 1 2-1-1 FCA00034 기초수리학 2-2-0 동일
해양토목공학과 FCA00014 기초수리학및실험 2 2-1-1 FCA00035 수리실험 2-0-2 동일
해양토목공학과 FCA00019 연안방재학및실험 1 3-2-1 FCA00031 해안공학및실험 3-2-1 동일
해양토목공학과 FCA00021 연안방재학및실험 2 3-2-1 FCA00032 연안방재및실험 3-2-1 동일
해양토목공학과 FCA00012 항만공학 2-2-0 FCA00036 항만설계 2-0-2 동일
해양토목공학과 FCA00029 수리구조물설계 2-2-0 FCA00033 강구조공학개론 2-2-0 대체
해양환경공학과 FVA30024 연안수질공학 3-3-0 FVA00018 고급물리화학적수처리공학 3-3-0 대체
FVA30016 해양수질공학 2-2-0
해양환경공학과 FVA00018 고급물리화학적수처리공학 3-3-0 대체
FVA40003 해양수질공학 3-3-0
해양환경공학과 FVA20021 원서강독 1-1-0 FVA30017 물리화학적수처리공학 3-3-0 대체
해양환경공학과 FVA20011 원서강독 2-2-0 FVA30017 물리화학적수처리공학 3-3-0 대체
해양환경공학과 FVA30083 연안수질공학실습 1-0-2 FVA30075 수질화학실험 2-0-4 대체
해양환경공학과 FVA30084 해양수질공학실습 1-0-2 FVA30075 수질화학실험 2-0-4 대체
해양환경공학과 FVA30025 슬러지처리공학 3-3-0 FVA00016 환경생물공정 3-3-0 대체
해양환경공학과 FVA40015 환경계획학 2-2-0 FVA00015 환경공학개론 2-2-0 대체
FVA20035 환경현장실습 1-0-2
해양환경공학과 FVA00015 환경공학개론 2-2-0 대체
FVA40014 혐기성처리공학 2-2-0
해양환경공학과 FVA40013 해양유류오염제어공학 2-2-0 FVA20017 연안환경학개론 2-2-0 대체

해양환경공학과 FVA40006 해상유류오염제어공학 2-2-0 FVA20017 연안환경학개론 2-2-0 대체

해양환경공학과 FVA20040 환경전산학 2-2-0 FVA00020 환경공학응용프로그래밍 2-2-0 동일


해양환경공학과 ECA20003 수리학 1 3-3-0 FVA00020 환경공학응용프로그래밍 2-2-0 대체
해양환경공학과 FVA00007 해양수질오염종합설계 3-3-0 FVA00021 해양수질오염학 3-3-0 동일
해양환경공학과 FVA30018 해양수질오염학 2-2-0 FVA00021 해양수질오염학 3-3-0 동일
FVA30015 해양수질오염학 3-3-0
해양환경공학과 FVA40079 해양환경실습 1-0-2 FVA00022 해양환경실습및종합설계 2-1-2 동일
해양환경공학과 FVA40087 해양환경계측학실습 1-0-2 FVA00022 해양환경실습및종합설계 2-1-2 대체
해양환경공학과 FVA20008 환경기기분석 2-2-0 FVA00023 환경기기분석 3-3-0 동일
해양환경공학과 FVA20075 환경기기분석실험 2-0-4 FVA00023 환경기기분석 3-3-0 동일
약학과 PPA00076 의약품합성학 1 3-3-0 PPA00078 의약품합성학 3-3-0 대체
약학과 PPA00077 의약품합성학 2 3-3-0 PPA00079 유기의약품화학 3-3-0 대체
기계융합공학과 EOA00057 CAD 3-3-0 EOA00060 CAD/CAM 3-3-0 동일

경상대학교 465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Ⅲ. 교직과목 동일・대체 지정과목 일람표


이전 변경 지정
주관학부 (과 )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내용

교육학과 ZCA50003 특수아동의이해 2 ZCA00004 특수교육학개론 2 동일과목

466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ART 14

선이수과목 지정현황

Ⅰ. 선이수 과목 지정 현황····················································· 467


Ⅱ. 학과별 선이수 과목 지정 현황···································· 467
2020학년도 교육과정

Ⅰ. 선이수 과목 지정 현황
선이수과목 후수과목
비고
(학수번호 ) (학수번호 )
기본영어 대학영어 1 대학영어 2
(ZGA40001 ) (ZTA10002 ) (ZTA10003 )
기본수학 수학1 수학2
(ZGA40003 ) (ZGA30011 ) (ZGA30012 )
일반수학 1 일반수학 2 공학/건축학교육인증
(ZGA30013 ) (ZGA30014 ) 대상학과
기본물리학 물리학1 물리학2
(ZGA40002 ) (ZGA30003 ) (ZGA30004 )
화학1 화학2
기본화학 (ZGA30022 ) (ZGA30023 )
(ZGA40004 ) 일반화학
'13학년도 이후 입학자
(ZGA30015 )

Ⅱ. 학과별 선이수 과목 지정 현황
선이수과목
기본영어 기본수학 일반수학 1 기본물리학 기본화학
대학 모집단위 비고
(3학점 ) (2학점 ) (4학점 ) (2학점 ) (2학점 )
(ZGA40001 ) (ZGA40003 ) (ZGA30013 ) (ZGA40002 ) (ZGA40004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러시아학과 ●
불어불문학과 ●
사학과 ●
영어영문학과 ●
중어중문학과 ●
철학과 ●
한문학과 ●
민속무용학과 ●
사회과학 경제학과 ●
대학 사회복지학과 ●
사회학과 ●
심리학과 ●
정치외교학과 ●
행정학과 ●
자연과학 생명과학부 ● ●
대학 물리학과 ● ● ●
수학과 ● ●
식품영양학과 ● ●
의류학과 ●
정보통계학과 ● ●
지질과학과 ● ●

47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선이수과목 지정현황

선이수과목
기본영어 기본수학 일반수학 1 기본물리학 기본화학
대학 모집단위 비고
(3학점 ) (2학점 ) (4학점 ) (2학점 ) (2학점 )
(ZGA40001 ) (ZGA40003 ) (ZGA30013 ) (ZGA40002 ) (ZGA40004 )
컴퓨터과학과 ● ●
화학과 ● ● ●
경영대학 경영학과 ●
경영정보학과 ●
국제통상학과 ●
회계학과 ●
건축도시토목공학부
● ● 공학인증제
건축공학전공
건축도시토목공학부
공과대학 ●
도시공학전공
건축도시토목공학부
● ●
토목공학전공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 ● ● 공학인증제
(기계공학전공 )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 ● ●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나노신소재공학부 ● ●
산업시스템공학부
● ●
(산업시스템공학전공 )
건축학과 ● ● 건축학인증제
반도체공학과 ● ●
전기공학과 ● ●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 ●
제어계측공학과 ● ●
화학공학과 ● ●
농업생명 식품자원경제학과 ●
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
● ●
(산림환경자원학전공 )
환경산림과학부
● ●
(환경재료과학전공 )
농업식물과학과 ● ●
농화학식품공학과 ● ●
식물의학과 ● ●
축산생명학과 ● ●
애그로시스템공학부
● ● ●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애그로시스템공학부
● ● ●
지역환경기반공학전공
법과대학 법학과 ●
사범대학 교육학과 ●
국어교육과 ●
역사교육과 ●
영어교육과 ●
유아교육과 ●
윤리교육과 ●
일반사회교육과 ●

471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선이수과목
기본영어 기본수학 일반수학 1 기본물리학 기본화학
대학 모집단위 비고
(3학점 ) (2학점 ) (4학점 ) (2학점 ) (2학점 )
(ZGA40001 ) (ZGA40003 ) (ZGA30013 ) (ZGA40002 ) (ZGA40004 )
일어교육과 ●
지리교육과 ●
물리교육과 ●
생물교육과 ●
수학교육과 ●
화학교육과 ●
미술교육과 ●
음악교육과 ●
체육교육과 ●
수의과대학 수의예과 ● ●
간호대학 간호학과 ● ●
해양과학 수산경영학과 ●
대학 해양경찰시스템학과 ●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
기계시스템공학과 ● ●
에너지기계공학과 ● ●
정보통신공학과 ● ●
조선해양공학과 ● ● ●
해양토목공학과 ●
해양환경공학과 ● ● ●
본부대학 기계융합공학과 ● ●

47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0학년도 교육과정
발 행 일 2020년 3월 일

발 행 처 경상대학교 교무처 교무과

문 의 T. 055)772-0102 / F. 055)772-0120

(52828)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


주 소
경상대학교 대학본부 2층 교무과

홈페이지 http://general.gnu.ac.kr/main/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