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8

2주 1 제1장 정보조직의 개념

과 배경
제1절 정보조직과 목록
목표 : 정보조직이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
3

1. 정보조직의 개념

➢조직
▪추구하는 목표나 목적에 따라 어떠한 대상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는 과정 또는 전체적인 구조나 관계를 한 눈에 파악하기
위해 세우는 과정
➢문헌정보학에서의 정보 조직
▪ 이용자가 장서에 있는 개별 정보자원을 쉽게 찾아서 이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ㆍ구조화하는 과정
•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자원을 찾고, 정보자원이 가진 주요 내용을 식별하며,
다른 정보자원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과정
• 궁극적인 목적: 정보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을 지원하는 것
◦ 접근: 물리적 접근과 지적 접근 포함
◦ 물리적 접근: 서가 증에서 정보자원을 직접 보면서 선택하는 과정
◦ 지적 접근: 실물을 직접 보지 않고 정보자원의 잠재적 가치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도록 통제하고 관리하는
과정
4

• 이런 목적을 위해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발전


◦ 정보자원을 모아주는 집중의 영역
◦ 이용자의 요구가 구체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막연한 요구를 가진 상태에서 관련 정보를 브라우징하면서
‘우연한 발견'을 유도하는데 목표를 둠
◦ 분류, 클러스터링, 텍스트 범주화가 해당
◦ 목록에서 관련 자료를 논리적으로 연결해 주는 과정을 통해서도 실현
◦ 특정 정보자원을 정확하게 찾아내도록 하는 검색의 영역
◦ 이를 위해 정보자원이 가진 서지적 속성을 추출하여 정확하게 기술하고, 이 가운데 검색어로 사용할 속성을 별
도로 가공처리하는 과정을 거침
◦ 이 과정에서 어떠한 속성을 어떻게 기술할 것인지를 ‘표준'이나 ‘규칙'으로 정할 수 있음
◦ 예: 날짜 정보를 검색의 효율을 위해 이 중 하나의 형식을 표준 형식으로 정하고 기술함
◦ 예: 동일한 속성이 다양한 문자나 언어 형식으로 표현되거나 서로 다른 이름이나 용어가 서로 구별되지 않는 경우
그 값을 통제하는 과정을 거침 → 도서관에서는 이를 전거제어(authority control)라 함(개인의 이름 단체의 이름,
자원에 부여된 제목(표제), 주제명 등 대상임
• 이런 정보조직의 목적과 원리는 도서관뿐만 아니라 기록관, 박물관, 미술관, 서점,
웹 등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됨
◦ 체계적으로 조직되지 않으면, 제대로 이용될 수 없기 때문
◦ 기관마다 정보조직을 기관의 목적 달성에 있어서 핵심적인 과정으로 여김
• 다만 정보조직을 실현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기관의 정체성이나 소장자료의 유형,
주된 이용층 등에 따라 다름
5

➢데이터의 교환과 공유를 위해 ‘표준'이 과거보다 더 강


조되고 있음
➢서로 다른 표준을 적용한 데이터의 통합과 재사용을 위해
‘상호운용성’의 개념 또한 중요해지고 있음
➢정보조직에 사용되는 여러 유형의 표준은 <그림 1-1>과
같음
▪① 데이터 구조 표준
▪② 데이터 내용 표준
▪③ 데이터 값(어휘) 표준
▪④ 데이터 교환 표준
6

2. 목록의 목적과 기능
➢1876년 커터의 사전체목록규칙의 목록 목적

▪근대적 목록체계 형성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


7

➢1961년 IFLA 국제목록원칙회의(일명 파리원칙, ICCP)의 목적


의 기능

▪주제에 대한 언급 배제
➢1998년 IFLA 서지레코드의 기능상의 요건(FRBR)에서 ‘이용자
과업’ 정의
▪탐색, 식별, 선정, 획득
8

➢2009년 IFLA 국제목록원칙(ICP)의 목록의 목적과 기능


9

➢2017년 도서관 참조모형(LRM)의 이용자 과업

➢2003년 한국목록규칙(KCR) 제4판


10

3. 목록의 유형과 목록법


➢1) 목록의 유형
➢목록: 특정 기관이나 다수의 기관에서 소장한 혹은 전자적으
로 접근할 수 있는 정보자원을 대상으로 하여 개별 정보자원의
주요 속성을 일정한 체계에 따라 기록한 저록을 말함
➢소장목록(하나의 기관) 대 종합목록(다수 기관)
▪종합목록의 예: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대학도서관종합목록
(UNICAT), 국립중앙도서관의 국가자료종합목록(KOLIS-NET), 주
제별 목록으로 한국고문헌종합목록, 근대문학종합목록, OCLC
의 Worldcat
• 사서는 목록작성을 위한 참고도구로, 이용자는 포괄적인 검색 도구로 이용
11

목록의 구분
➢목록의 형태에 따른 구분
▪책자목록, 카드목록, 가제식목록, 마이크로형태목록, 온라인
목록(가장 보편적)
➢편성 방식에 따른 구분
▪저자목록, 표제목록, 주제명목록, 분류목록, 사전체목록
➢목록의 사용 주체에 따른 구분
▪이용자용 목록
▪관리자를 위한 사무용(업무용) 목록
➢<표 I-1> 목록의 유형과 특징
12

카드목록의 구조와 체제, 주요 용어 이해


➢카드목록
▪ 자원의 검색과 식별에 필요한 모든 서지정보를 수록한 하나의 완전한
형태인 ‘기본저록'을 작성한 후 이에 근거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저
자목록, 표제목록, 주제명목록 등을 편성함
➢기본저록의 구분
▪ 기본이 되는 표목을 선정하여 상단에 고정시키고, 그 다음에 서지기술
하는 방식인 ‘기본기입방식‘
• 저자명을 기본으로 하는 ‘저자명’ 기본기입방식
• 저자가 없거나 4인 이상인 경우 등은 서명(표제)를 중심으로 하는 ‘서명' 기본기
입 방식
• 영미목록규칙(AACR, AACR2)과 한국목록규칙 초판, 수정판(KCR2)
▪ 기본표목 없이 서지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서지기술방식’
• KCR3, KCR4, KORMARC 기술규칙
13

➢기본저록의 내용
▪서지기술과 표목(접근점)으로 구분
▪표목: 기본표목과 부출표목으로 구분
• 부출표목: 표목올림지시를 통해 기본표목 이외의 표목을 생성하는
기능을 함
◦ 기본기입방식
◦ 저자 기본표목을 선정하고 나머지 접근점을 부출표목으로
◦ 서지기술단위방식
◦ 표제를 제외한 모든 접근점을 표목을림지시에 기재
◦ 기본저록에 기재되는 표목에 기초하여 저자목록, 표제목록, 주제명목록, 분류목
록 등으로 구분된 이용자용 목록이 만들어짐
• 카드목록에서 상단에 위치하는 표목은 검색의 수단이자 배열의 기준
역할을 함(<그림 I-2> 참고)
• 표목은 현재 접근점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었음
14

➢온라인목록
▪카드목록의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짐
▪기본저록과 이용자용 목록의 구분없이 하나의 서지레코드에 모
든 데이터를 수록함
• 표목올림지시에 따라 각기 다른 표목을 가진 복수의 카드목록을 작성하는
대신에 하나의 서지레코드에 접근점과 서지정보를 모두 수록하고 이를 검
색에 활용함
• 다만 서지레코드 내에 기록되는 접근점은 이와 관련되는 전거레코드와 상
호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
• 서지레코드의 접근점은 이와 관련되는 전거레코드와 연결되며, 전거레코
드에 해당 접근점의 대표 이름(전거형식)과 이형, 그리고 주요 식별정보 등
을 수록하고 이를 검색에 활용→ 전거 참고 pp.483-484
• MARC 형식으로 구조화됨
◦ 사서들은 MARC 형식을 업무용으로 사용함
◦ 이용자는 이용자가 보기 쉬운 형태로 출력한 OPAC으로 원하는 자원에 접근함(<그
림 I-3> 참고).
15

강의정리
➢강의정리
▪정보조직의 개념
▪목록의 목적와 기능
▪목록의 유형

➢보너스 참여 안내
▪수업 후 예습 복습 참여한 횟수 체크(개인톡 참여)
• 참여기간: 수업있는 다음날 오전까지
▪수업 후 질문한 횟수 체크(개인톡 참여, 단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언급하고 질문하기 바람)
• 참여기간: 수업있는 다음날 오전까지
16

마무리하며

⚫시간을 지배할 줄 아는 사람은


인생을 지배할 줄 아는 사람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