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4

문헌에 이용자에

관한 지식 관한 지식

문헌과 이용자를 연결시키는


방법에 관한 지식
• 여러분이 도서관에서 자료를 찾을 때 어떤 어려움이
있나요?
• 충분한 서지 정보가 제공된다고 생각하나요? 선 택
• 연관 정보가 충분히 제공된다고 생각하나요? 수 집
• 도서관 검색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이 조 직
이해하기 수월한가요? 참고봉사
• 목록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성과평가

1
2
▪ 2. 목록
▪ 2.1 목록의 정의
▪ 2.2 목록의 기능
▪ 2.3 목록의 종류
▪ 2.4 목록 규칙
▪ 2.5 주제명표목표
▪ 2.6 목록의 자동화

3
▪ 목록(catalog)
▪ 도서관자료에 대한 기록이나 특성을 일정한 체계에 따라 배열한
리스트
▪ 일반적으로 저자명, 서명, 발행지, 발행사, 발행년도, 크기, ISBN,
가격 등 각종 서지정보와 청구기호 등이 포함
▪ <용어정의>목록(catalog; catalogue)
▪ 일반적으로 일정한 종류의 사물을 언어로 표현하여 나열한 것.
▪ 도서관에서는 자료목록의 약칭으로 사용된다.
▪ 좁은 의미로는 특정 집서나 도서관의 소장자료를 전거목록의 제어
를 통해서 일정한 구성방침에 따라 기술하고 작성한 저록의 총칭
이다.
▪ 이용자의 자료검색도구로 이용된다.
4
▪ ISBN, 국제표준도서번호(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ISBN))
▪ 도서자료를 개별화하기 위하여 출판 전에 해당 출판물에 부여하는 국
제적인 번호.
▪ 서지정보
▪ 출판물에 관한 자세한 사항. 저자, 서명, 출판사, 출판지, 판차, 시리즈,
권, 호, 가격, 편집자, 역자, 삽화가 등이 포함된다.
▪ 청구기호
▪ 도서관 자료의 '책등'에 붙여진 '레이블'에 기록되어 있다.
▪ 청구기호는 '별치기호', '분류번호', '저자기호', ' 권.연차기호', '복본기호
'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구기호는 도서관에 있어서 ‘자료의 주민등
록증’으로 이해하면 된다.

5
▪ 분류
▪ 이용자가 서가에 직접 접근하여 효율적으로 정보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사한 자료를 모으는 것
▪ 목록
▪ 도서관검색시스템이나 카드목록으로 정보자료의 소장내용을 파
악할 수 있도록 간접 접근을 도와주는 것
▪ 분류와 목록의 관계
▪ 정보자료와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연계하는 통로이며, 서로 밀접
하게 관련되어 상호보완적인 기능을 수행함

6
▪ (보충)자료관리기능 / 자료식별기능 / 자료 소재안내기능 / 자
료 검색기능
▪ 목록은 이용자가 아래의 사항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
원하는 도구로서의 기능
▪ ① 개체의 속성이나 관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지자료를 탐색하는 일
▪ ② 특정 서지자료나 서지기관을 식별하는 일
▪ ③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서지자료를 선택하는 일
▪ ④ 해당 자료를 입수하거나 전자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
는일
▪ ⑤ 목록 내에서는 물론, 도서관이외의 콘텐츠에도 항해하고 탐색하는

7
▪ 2.3.1 용도별 종류

▪ (1) 사무용목록
▪ 기본목록(main catalog)
▪ 자료관리 및 이용에 필요한 사항을 기
입한 도서관목록의 기본이 되는 목록
▪ 즉, 특정 자료에 관련된 완전한 서지사
항을 비롯하여, 등록번호, 청구기호, 부
출사항 등 자료관리, 식별 및 검색에 필
요한 사항들을 기재하며, 기본표목으로
배열
8
▪ 등록번호
▪ 등록대장에 추가되는 자료에 대해 연속적으로 부여하는 번호.
▪ 부출사항
▪ 기본저록의 표목으로 선정되지 않은 공저자나 편자, 역자, 총서명,
주제명 등을 표목으로 설정하여 작성한 저록.
▪ 분출저록과 함께 부차적 저록의 하나이다.
▪ 기본저록방식에서 사용하는 명칭으로서, 기본표목 이외의 다른 표
목으로부터 다각적인 검색이 가능하며, 검색효과를 제고하는 성격
을 지닌다.

9
▪ 서가목록(shelf catalog)
▪ 청구기호 결정, 장서점검 등을 위한 목록으로 서가에 배열된 자료
의 청구기호 순으로 배열함

▪ <용어정의>
▪ 장서점검
▪ 1.현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서관장서와 서가목록을 대조 점검하는 과
정.
▪ 2.도서관 자산의 양, 특징, 가격 및 구매 당시의 점검번호를 부여한 목록.

10
▪ ③ 전거목록(authority list)
▪ 인명이나 단체, 서명, 주제명
등의 접근점 형식을 통일하기
위해 만든 목록
▪ 예를 들어 서명전거목록은 춘향
전, 옥중화, 열녀춘향슈절가 등
과 같이 동일한 작품이 다양하게
불리고 있으나 이용자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춘향전’으로 접근점
을 통일하여 기술할 수 있도록
자료의 정리에 참고가 될 수 있
게 만든 목록

11
▪ (2) 열람용목록(public catalog)
▪ 열람용목록의 종류
▪ ① 저자명목록(author catalog)
▪ ② 서명목록(title catalog)
▪ ③ 주제명목록(subject catalog)
▪ ④ 분류목록(classified catalog) 등
▪ 열람용목록
▪ 도서관업무가 자동화됨으로써 온라인으로 검색할 수 있는 온라
인열람목록이 되어 이용자가 컴퓨터를 통해 개별적으로 직접 서
지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됨
12
▪ 2.3.2 형태별 종류
▪ 책자목록
▪ 목록을 책자형 즉, 도서형태로 발행한 것

13
▪ 카드목록
▪ 한 자료에 대한 기입을 독립된 카드에 기입하는 형태임
▪ 가로 12.5cm, 세로 7.5cm의 크기로 국제적으로 규격화

14
15
▪ 마이크로형목록
▪ 마이크로형태 자료의 판독기
로만 읽을 수 있는 마이크로
형태 즉, 마이크로피시, 마이
크로필림 등으로 생산되는
목록

16
▪ CD-ROM 목록
▪ 온라인목록
▪ 목록데이터를 회선으로 연결하여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직접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방식
▪ 다양한 접근점의 제공, 고급탐색기능, 고급출력기능,
원격접근,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등의 장점이 있음

17
▪ 2.4 목록규칙
▪ 목록을 작성할 때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목록의 기술요소, 형식
및 그 배열수단을 정해 놓은 규칙
▪ 즉, 목록작성의 통일성을 위해 성문화된 기준으로 초기에는 특정
도서관을 위한 규칙이었으나 점차 국가적, 국제적 규칙으로 발전

18
▪ 현대의 주요 목록규칙(초판 발행연도, 저자)은 다음과 같다.
▪ 1841. 대영박물관 목록규칙 / A. Panizzi
▪ 1876. 사전체목록규칙 / C. A. Cutter
▪ 1964. 韓國目錄規則 / 韓國圖書館協會 編
▪ 1967. 영미목록규칙(Anglo-American Cataloging Rule) / ALA
▪ 1974. ISBD(International Standard of Bibliographic
Description) / IFLA
▪ 2010. RDA(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 Joint
Steering Committee for Development of RDA

19
▪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찍이 편찬된 목록으로 알려진 고려시대의 대장
목록(大藏目錄) 이후 많은 목록들이 편찬되었으나 일제강점기 이전까
지는 성문화된 목록규칙이 국내에 존재하지 않았음
▪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서양식 목록규칙이 도입되었으며, 해방이후
아래와 같이 현대적인 한국의 목록규칙이 제정되어 사용되기 시작함
▪ 1948. 朝鮮東書編目規則 / 박봉석 편
▪ 1954. 韓銀圖書編目法 / 고재창 편
▪ 1964. 韓國目錄規則 / 한국도서관협회 편
▪ 이 가운데 특히 韓國目錄規則은 2003년 제4판이 발간된 이후, 목록환경과
국제적인 목록법의 변화에 따라 한국도서관협회를 중심으로 전면적인 개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음

20
▪ 주제명목록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기본도구
▪ 주제명의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주제명표목으로 사용될 주
제명을 편찬한 용어표
▪ 대부분의 기존 주제명표목표는 기본적으로 전조합색인어이며
인쇄목록, 카드목록을 전제로 작성하였으나 근래에는 컴퓨터에
의한 후조합검색시스템으로 설계하고 있음
▪ 컴퓨터에 의한 검색용 시소러스(thesaurus)도 주제명표목표의 일
종이라고 할 수 있음
▪ 주제명표목표의 기재내용은 주제명, 분류기호, 표목의 범위 및
사용법을 표현한 주기, 각 주제명의 참조표시, 용어의 동의관계,
계층관계, 연관관계 등이 지시기호에 의하여 표시됨
21
▪ 2.6.1 기계가독형목록 개발
▪ 기계가독형목록(MARC) 형식은 미국의회도서관에서 1960년대
부터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1971년 서지데이터 보급을 위한
미국의 국가표준, 2년 후에는 국제표준인 ISO 2709로 제정함
▪ MARC 형식은 국가 및 기관에 따라 다양한 버전이 개발되어 있
으나 대부분 국제표준을 따르고 있어 호환성을 갖고 있음
▪ 유럽에서는 IFLA에서 제정한 UNIMARC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1999년 미국의 USMARC와 캐나다의 CANMARC 형식을 통합하
여 제정한 MARC 21이 오늘날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음

22
▪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1980년대부터 한국문헌자동화목록(KORMARC)
을 개발하기 시작하여 서지데이터용, 전거통제용, 소장정보용 등의 형식
을 제정함
▪ 이 가운데 서지데이터용은 단행본, 연속간행물, 비도서, 고서 등을 위해
각각 단계적으로 개발한 후, 2005년에는 이러한 자료유형별 서지데이터
형식의 통합인 통합서지용을 국가표준(KS X 6006-0)으로 제정하였으며,
2014년에는 RDA의 내용을 수용하여 개정함
▪ 또한 2016년에는 전거통제용을 개정함
▪ 이러한 KORMARC 형식은 모든 유형의 자료에 대한 서지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도서관 시스템이 달라도 레코드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
한 명세를 제공함
▪ 또한 MARC 21의 전신인 USMARC를 기본으로 작성하여 국내뿐만 아니
라 전 세계 도서관과의 서지데이터 공유와 교환이 가능함
23
마무리
▪ <생각해보기>
▪ 현재의 목록은 이용자에게 효과 시간> 제7장 정보
 <이번
적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조직_목록
환경을 제공하는가?
▪ 그럼 어떻게 하는 것이 이용자에
게 효과적인 (검색)도구를 만들
것인가? 시간> 제7장 정보
 <다음
➢ <미래를 위해 준비하면 좋을 것> 조직_메타데이터
• 이용자의 관점에서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목록서비스에 접근해
보기
• 서지레코드에 익숙해지기
• Com 두려워하지 말기

2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