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04

수학 입문

정답과 풀이
023 $
빠른 정답 024  $
025 $
026  $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027 $


028  2
01 함수의 극한 6쪽~14쪽
029 0
001 ⑴ 1 ⑵ -1
030  0
⑶0
031 -3
002 ⑴ 5 ⑵ -1
⑶ 21 ⑷1
032  -1
⑸1 ⑹3 033 0
⑺6 ⑻ -5 034  -1
003 ⑴ 커지, $ ⑵$ 035 0
⑶$ ⑷$
036 ⑴ 1 ⑵1
004 ⑴ 커지, -$ ⑵ -$ ⑶1
⑶ -$ ⑷ -$
037 ⑴ -1 ⑵1
005 ⑴ 0 ⑵ -2 ⑶ 존재하지 않는다.
⑶2 ⑷0
038 ⑴ -2 ⑵2
006 ⑴ $ ⑵ -$ ⑶ 존재하지 않는다.
⑶$ ⑷$
039 0
⑸$ ⑹ -$
040  0
007 ⑴ 0 ⑵1
⑶0 ⑷0 041 -1
⑸1 042  1
008 ⑴ ① 2 ②0 ⑵①0 ②0 043 10
⑶ ① -1 ②1
044  1
009 4 045 1
010 ⑴ -1 ⑵1
046  -6
⑶ 존재하지 않는다.
047 5
011 ⑴ 0 ⑵0
⑶0

012 ⑴ 3 ⑵0
⑶1

013 ⑴ -1, 1, 존재하지 않는다. ⑵ 존재하지 않는다.


⑶ 존재하지 않는다. ⑷ 존재하지 않는다.

014 ⑴ -1+k, -2, -2, -1 02 함수의 극한의 성질 15쪽~25쪽


⑵2 ⑶1
048 ⑴ 4 ⑵ 15
015 a=2, b=-4
⑶ -1 ⑷ 12
016  존재하지 않는다. ⑸1
017 2 049 ⑴ -1 ⑵1
018  -2 ⑶1 ⑷5

019 0 050 14

020  3 051 ⑴ 6 ⑵ ;3%;


021 4 ⑶ -3 ⑷ 12
022  $ ⑸ ;3$;

002 정답과 풀이
052 ;2%; 071 ⑴ 1, 0, -3, 3 ⑵ f(x)=3x‹+x€-9x+5
⑶ f(x)=x‹+2x€-13x-14
053 -2
072 4
054 ⑴ 7 ⑵7
073 ⑴ 2, 2 ⑵2
⑶ 10 ⑷ ;6!;
⑶3 ⑷2

055 ⑴ 7 ⑵ -2 074 ⑴ 4, 4 ⑵2

056 ⑴ x-1, x-1, 2 ⑵3 ⑶3

⑶2 ⑷ -4 075 ⑴ 4 ⑵2

⑸ ;2#; 076 -1
077  25
057 -;2%;
078 -3
058 ⑴ 'x+1, 'x+1, 'x+1, 'x+1, 2
079  1
'3
⑵ 2'2 ⑶
6 080 lim ÷f(x)=1, lim ÷g(x)=3
xd2 xd2
⑷4 ⑸ 16
081  -7
059 1
082 9
060 ⑴ 0, 0, 0, 3 ⑵4
083  ;4%;
⑶2 ⑷1
084 5
⑸2
085  8
061 ;2!;
086 2
062 ⑴ $, -t+1, -1, -1 ⑵ -1 087  2
⑶ -2 ⑷ -3
088 -2
⑸ ;3!;
089  -6
063 ⑴ 0 ⑵0
090  ;2!;
⑶$ ⑷$

064 ⑴ "ƒx€+5x+x, "ƒx€+5x+x, "ƒx€+5x+x, ;2%; 091  ;4#;

⑵ ;4#; ⑶1 092 4

⑷ -3 ⑸ ;4!; 093  8
094 3
065 -;2!;
095  -;4#;
066 ⑴ 1 ⑵ -;4!;
096 6
⑶ ;8!;
097  4
⑷ æ√1+;x%;+1, æ√1+;x%;+1, æ√1+;x%;+1, ;2%; 098 4
099  2
⑸ ;4#; ⑹1
100 0
067 ⑴ 0, 0, 3, -4 ⑵ a=6, b=8
101  2
⑶ a=1, b=0 ⑷ a=4, b=-12

068 ⑴ 0, 0, -1, 1 ⑵ a=-1, b=3 102 ;4!;

⑶ a=1, b=;4%; ⑷ a=3, b=;6!;


103  -;2#;
⑸ a=-2, b=1
104 2
069 14
105  a=1, b=-6
070 ⑴ 2, 2, 0, 0, 0, 1, 2x€+x
⑵ f(x)=x€+x-2 106 a=-1, b=-2
⑶ f(x)=x€+6x+5 107  a=0, b=-2

빠른 정답 003
108 a=2, b=;4!; 129 10
130 ⑴ -1, 4, 2, -5 ⑵ 최댓값 : 3, 최솟값 : -1
109  f(x)=x€-x
⑶ 최댓값 : 3, 최솟값 : 0 ⑷ 최댓값 : 2'3 , 최솟값 : 2
110 f(x)=2x€-5x+3
⑸ 최댓값 : -;2!;, 최솟값 : -2 ⑹ 최댓값 : 7, 최솟값 : :¡3¡:
111  f(x)=2x€-5x+2
131 ⑴ 최댓값 : 6, 최솟값 : 2 ⑵ 최댓값 : 1, 최솟값 : 없다.
112 f(x)=x‹+2x€-3x
⑶ 최댓값 : 3, 최솟값 : 없다. ⑷ 최댓값 : 없다., 최솟값 : 4
113  5 ⑸ 최댓값 : 2, 최솟값 : 없다. ⑹ 최댓값 : 없다., 최솟값 : 2
114  1 ⑺ 최댓값 : 없다., 최솟값 : -6 ⑻ 최댓값과 최솟값은 없다.

115  2 132 ⑴ <, >, (0, 1), (0, 1)


⑵ 풀이 참조
116  ;3!;
⑶ 풀이 참조

133 적어도 4개의 실근을 갖는다.


134 x=-2, x=1
135 x=-1, x=1
136 x=0
03 함수의 연속 26쪽~34쪽
137 x=-2, x=-1, x=0, x=1
117 ⑴ ㄴ ⑵ㄷ 138 불연속
⑶ㄱ
139  불연속
118 ⑴ 연속 ⑵ 연속
140 불연속
⑶ 불연속 ⑷ 연속
⑸ 불연속
141  연속
142 0
119 ⑴ -1 ⑵0
⑶2 ⑷ -2 143  -2
⑸3 144 3
x€-a 145  a=-4, b=-2
120 ⑴ x-1 , 1-a, 1, 2, 1, 2

146 a=1, b=;2!;


⑵ a=-6, b=5 ⑶ a=1, b=;2!;

121 a=-1, b=-2 147  a=-1, b=;3!;

122 ⑴ (- $, $) ⑵ [2, $) ⑶ (-$, -1), (-1, $) 148 (-$, $)


123 ⑴ _ ⑵◯ 149  (-$, -3), (-3, $)
⑶_ ⑷_ 150 (-$, 0), (0, 1), (1, $)
⑸◯ ⑹◯ 151  (-$, $)
124 ⑴ [-2, $) 152 (-$, $)
⑵ {-$, -;2#;}, {-;2#;, $} 153  (-$, 1), (1, 2), (2, $)
⑶ (-$, 2), (2, $) 154 (-$, 1), (1, 3), (3, $)
125 ⑴ (-$, $) ⑵ (-$, $) 155  불연속
x€-x-2
⑶ , x+1, (-$, 1), (1, $) 156 연속
x-1
⑷ (-$, -1), (-1, 2), (2, $) 157  연속
126 ⑴ (-$, $) ⑵ (-$, 1), (1, $) 158 6
⑶ (-$, -5), (-5, 1), (1, $)
159  -5
⑷ (-$, 1), (1, $)
160 6
127 ⑴ 불연속 ⑵ 연속
161  최댓값 : 8, 최솟값 : -1
⑶ 연속 ⑷ 불연속
162 최댓값 : 4, 최솟값 : 2
128 ⑴ x=1, lim ÷f(x), 2 ⑵ -4
163  최댓값 : 7, 최솟값 : :¡4£:
xd1

⑶ -1

004 정답과 풀이
164 풀이 참조 019  ⑴ x=2 ⑵ x=1, x=2, x=5

165  풀이 참조 020 ㄱ, ㄴ, ㄷ
166 적어도 2개의 실근을 갖는다. 021  3
167 적어도 3개의 실근을 갖는다. 022 -1
023  5
024 -1
025  -5
026 10
2 미분
027  ;2#;
01 미분계수 36쪽~42쪽
028 0
001 ⑴ 2 ⑵ -1 029  -2
⑶ -4
030  ;3$;
002 ⑴ 2 ⑵4
⑶ -3 ⑷ 2a+¯x+2 031  6
003 ⑴ ÷f(1), 0 ⑵3 032 -8
⑶2 ⑷0
033  2
004 -2
034 ;4!;
005 ⑴ 2+¯x, 2 ⑵1
⑶ 12 ⑷ -1
035  ;3$;
⑸6
036 4
006 ⑴ 6, 3, 2a+¯x+1, 2a+1, 3, 1
⑵0 ⑶2 037  -1

007 1 038 -2

008 ⑴ 3, 3, 3, 6 ⑵3 039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⑶ -4 ⑷4 040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⑸4
041 x=-2, x=1, x=2
009 15
042 x=-2, x=-1, x=1, x=2
010 ⑴ ÷f÷'(1), 1 ⑵4

⑶ ;3@;

011 ⑴ ;4!; ⑵ ;1¡2;

012 ;2#;
02 도함수 43쪽~49쪽

043 ⑴ 2h, 2 ⑵0
013 ⑴ ¯x-2, -2 ⑵2
⑶3 ⑷ 2x
⑶ -2 ⑷ -1
⑸ -2x+2
014 A(2, 2)
044 ⑴ 2hx+h€, 2x+h, 2x, 2 ⑵ f÷'(x)=2, 2
015 ⑴ ¯x+2a-1, 2a-1, 2a-1, 1 ⑶ f÷'(x)=6x-2, -14 ⑷ f÷'(x)=-6x+1, 7
⑵ -2
⑸ f÷'(x)=4x-1, 11
⑶3
045 ⑴ f÷'(x)=2x ⑵ f÷'(x)=5x›
⑷ -3
⑶ f÷'(x)=10x· ⑷ f÷'(x)=2xfi
016 1 ⑸ f÷'(x)=8x‹ ⑹ f÷'(x)=0
017 ⑴ 1, -1, 미분가능하지 않다, 연속, 미분가능하지 않다. ⑺ f÷'(x)=0
⑵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046 ⑴ 3x€, 2, 3x€+2 ⑵ f÷'(x)=4x+3
⑶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⑶ f÷'(x)=12x‹+3x€-2 ⑷ f÷'(x)=-10x›+4x‹+6x
018 ⑴ x=-1, x=2 ⑸ f÷'(x)=21xfl+25x›-9x€ ⑹ f÷'(x)=10x·-10x›
⑵ x=-1, x=2, x=3 ⑺ f÷'(x)=-3x⁄⁄+2x·

빠른 정답 005
047 ⑴ 5 ⑵3 073  a=1, b=-3, c=-3
⑶ 12
074 a=-1, b=5, c=-2
048 ⑴ -12 ⑵9
075  a=3, b=-7, c=-14
⑶ -11
076 a=-2, b=7, c=5
049 -6
077  a=-2, b=-1
050 ⑴ 2, 2x+2, 6x€+14x+6
078 18
⑵ y'=12x-1
⑶ y'=-18x€+4x+15 079  -7
⑷ y'=-4x‹+2x
080 a=-;2#;, b=;2!;
⑸ y'=8x‹-3x€+6x-1
⑹ y'=3x€+12x+11 081  a=-2, b=1
⑺ y'=12x‹-9x€+12x-6
082 a=-11, b=-10
051 ⑴ -8
⑵3
⑶ 10

052 ⑴ 3, 2, 6(2x+1)€
⑵ ÷f÷'(x)=-6(3-2x)€
⑶ ÷f÷'(x)=5(x€-3x)›(2x-3)
⑷ ÷f÷'(x)=4(x€+x-1)‹(2x+1)

053 ⑴ 2, 2ax+b, 2a+b, -2a+b, -;2!;, 4, -;2!;, 4, 2


⑵ a=-1, b=-1, c=4
⑶ a=1, b=3, c=1
⑷ a=-2, b=1, c=6
03 접선의 방정식, 평균값 정리 50쪽~56쪽
054 5
083 ⑴ 5 ⑵5
055 ⑴ -4, a(x-2), a, -x-2, -4, -4, -4, 4
⑶1 ⑷6
⑵ a=-1, b=5
⑶ a=6, b=4
084 4
085 ⑴ 2x-1, 3, 3, 3x-1
056 5
⑵ y=x+3
057 ⑴ 0, 5x›+a, 5+a, -5, 4
⑶ y=-3x-3
⑵ a=10, b=9
⑷ y=9x+6
⑶ a=-3, b=2
⑸ y=5x-3
058 4
086 -3
059  f÷'(x)=2x-4
087 ⑴ -2, -3, -3, -5, -5, 3
060 f÷'(x)=-9x€+2 ⑵ a=3, b=3

061  ÷f÷'(x)=9x€+4x+1 ⑶ a=-1, b=-2


⑷ a=-25, b=-31
062 f÷'(x)=-4x‹+4x-5
088 -3
063  ÷f÷'(x)=x‹-x€-x+1
089 ⑴ 2x-1, 1, 1, 1, -3, 1, 1, 3, x-4
064  ÷y'=6x€-10x
⑵ y=-x-6
065  ÷y'=8x‹-3x€-10x+3
⑶ y=2x+;3%; 또는 y=2x+;3!;
066 y'=72x€+52x+9
⑷ y=x+26 또는 y=x-6
067  y'=3(2x€-x)€(4x-1)
068 y'=-12(1-3x)‹ 090 ;3*;

069  21 091 ⑴ 2t+2, 2t+2, 2t+2, 2t+2, -7, -2, -3


⑵ -6
070 -104
⑶ 3 또는 7
071  13
⑷ -5
072 6
092 -12

006 정답과 풀이
093 ⑴ 2, 2, 2, 2, -1, 2, 2, 1, 2x-5 04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57쪽~68쪽
⑵ y=4x-2
⑶ y=-x-3 124 ⑴ 증가 ⑵ 감소
⑷ y=2x+3 또는 y=2x-1 ⑶ 감소

125 ⑴ <, <, 증가 ⑵ 감소


094 ;3$;
⑶ 감소 ⑷ 증가
095 ⑴ 0, 0, 2, 0, 4x-4 ⑸ 감소
⑵ y=-2x+4 또는 y=-6x+12 126 풀이 참조
⑶ y=-2x 또는 y=-6x-4
127 ④
⑷ y=;4#;x-;4!;
128 ⑴ >, <, <, 0<a<3 ⑵ 0<a<2
⑸ y=-3x+4 또는 y=24x-50 ⑶ 0<a<6
⑹ y=x 또는 y=-26x+54
129 ⑴ -6<a<0 ⑵ 0<a<3

096 ;4&; 130 6

097 ⑴ 0, 2x, 2c, 0 131 ⑴ r, t ⑵ q, s, u

⑵1 132 ⑴ -2, 0 ⑵ -3, -1, 2


⑶1
133 ⑴ 극댓, 극솟 ⑵ 극댓값 : -2, 극솟값 : -6

098 ;2!; ⑶ 극댓값 : 19, 극솟값 : -13

134 15
099 ⑴ 2, 2, 2 ⑵1
⑶ '3 135 ⑴ 3, x=1, 2
⑵ 극댓값 : 없다., 극솟값 : 2
100 -3
⑶ 극댓값 : 5, 극솟값 : 2, -123
101  y=3x-3
⑷ 극댓값 : ;1%6(;, 극솟값 : 없다.
102 y=-x+3
⑸ 극댓값 : 22, -5, 극솟값 : -10
103  y=2x+4
136 ⑴ -2, 0, -3, 0 ⑵ a=-2, b=8
104 y=9x-26
⑶ a=-;2#;, b=;2&; ⑷ a=-;3!;, b=-1
105  y=3x-2
137 2
106 y=x
138 ⑴ 3, 0, -3, 4, 3, 4, 4, 4 ⑵6
107 y=-2x 또는 y=-2x+4
⑶4 ⑷ :¡2£:
108 y=-x-;2@7#; 또는 y=-x-1
139 -2
109 -20
110  3 140 ⑴ 서로 다른 두 실근, >, >, -3, 3
111 3 ⑵ a<-2 또는 a>2
⑶ a<-6 또는 a>6
112  y=x-;2!;
⑷ a<-1 또는 a>1
113 y=-x-1 또는 y=-x+3 141 13
114 y=-x+3 142 ⑴ 중근 또는 허근, <, <, -6<a<6
115 y=4x+2 ⑵ -1<a<1
⑶ -3<a<3
116 y=x 또는 y=9x-8
⑷ -1<a<1
117 y=5x+2 또는 y=-3x+2
143 10
118 y=x
144 풀이 참조
119  -1
145 풀이 참조
120 0
146 ⑴ -4<x<-1 ⑵ x=-4 ⑶ x=-1
121  ;2%;
147 ⑴ ◯ ⑵ _ ⑶ ◯ ⑷ _
122 0
148 ⑴ 7, 5, 9, 2, 9, 1, 5 ⑵ 최댓값 : 5, 최솟값 : -15
123  '3 ⑶ 최댓값 : 10, 최솟값 : -22

빠른 정답 007
149 5 187 a=2, b=-2
150 ⑴ a-40, a, a-8, a, a-40, 0, -40 188 40개
⑵ a=2, 최댓값 : 1
189 64  cm‹, 4  cm
⑶ a=-5, 최댓값 : 15
⑷ a=4, 최솟값 : -4

151 -3
152 ⑴ 2, 32, 32 ⑵ 12'3
⑶ 32

153 ⑴ 9, 3, 9, 3, 9, 432, 3, 432 ⑵ 32


05 방정식과 부등식, 속도와 가속도 69쪽~78쪽
154 풀이 참조
190 ⑴ 0, 2, 0, 2, 2, -2, 세, 3
155 풀이 참조
⑵3 ⑶1
156 풀이 참조 ⑷3 ⑸2
157 풀이 참조 ⑹4

158 0<a<6 191 ⑴ 0, 2, 0, 2, 3, -1, 세, 3 ⑵1

159 0<a<6 ⑶3 ⑷2

160 -3<a<0 192 ⑴ 4, 0


① 0<a<4
161 -1<a<0
② 0, 4
162 극댓값: 18, 극솟값: -14 ③ a<0 또는 a>4
163 극댓값: 0, 극솟값: -4 ⑵ ① -4<a<0
② a=-4 또는 a=0
164 극댓값: 2, 극솟값: -14
③ a<-4 또는 a>0
165 극댓값: 없다., 극솟값: -5
⑶ ① -4'2<a<4'2
166 a=-3, b=1 ② a=-4'2 또는 a=4'2
③ a<-4'2 또는 a>4'2
167 ;2(;
⑷ ① -5<a<27
168 31 ② a=-5 또는 a=27
③ a<-5 또는 a>27
169 0
⑸ ① -20<a<7
170 a<1 또는 a>4
② a=-20 또는 a=7
171 a<-3 또는 a>3 ③ a<-20 또는 a>7
172 a<-2 또는 a>2 193 10
173 -3<a<3 194 ⑴ 10, -22, -22, 10, -10, 22
174 0<a<3 ⑵ 0<k<27
⑶ -8<k<-1
175 -;2!;<a<;2!;
195 15
176 -;2#;<a<;2#; 196 ⑴ -2-k, <, <, -2-k, <, -2, 2
⑵ k=0 또는 k=4
177 _
⑶ k<0 또는 k>;2!;
178 _
179 ◯ 197 -16

180 _ 198 ⑴ -a, <, <, -a, <, 0, 4


⑵ -4<a<28
181 최댓값: 21, 최솟값: -11
⑶ a=0 또는 a=4
182 최댓값: 18, 최솟값: -2 ⑷ a<-5 또는 a>27
183 최댓값: 20, 최솟값: -16 199 26
184 최댓값: 32, 최솟값: -27 200 풀이 참조
185 a=-15, 최솟값: -15 201 ⑴ 1, 1, -k-2, 1, -k-2, 1, -k-2, -2
186 a=4, 최댓값: 49 ⑵ k>9 ⑶ k>1

008 정답과 풀이
202 8
3 적분
203 ⑴ k-48, k-48, k-48, 48
⑵ k>28
01 부정적분 80쪽~88쪽

⑶ k>:£3™: 001 ⑴ 참 ⑵ 거짓
⑶ 거짓 ⑷참
204 -'3<a<'3
002 ⑴ 2x+1
205 ⑴ k+;2!7#;, k-9, 3, k-9, 3, k-9, 9 ⑵ f(x)=6x+1
⑶ f(x)=5x›-6x+1
⑵ k>0 ⑶ k<0
⑷ f(x)=-9x€+6x-1
206 2
003 ⑴ 5x+C ⑵ 3x€+C
207 ⑴ 속도 : -9, 가속도 : 6 ⑶ 3x‹+C ⑷ 2x›+C
⑵ 속도 : 20, 가속도 : 22 004 ⑴ 10x+C ⑵ x‹+C
⑶ 속도 : 9, 가속도 : 12 ⑶ -x›+C ⑷ x⁄‚+C
208 -12 ⑸ ;2!;x€+C ⑹ ;4!;x›+C
209 ⑴ 4 ⑵ 18 ⑶ -29
⑺ ;1¡3;x⁄‹+C
210 ⑴ t=3 ⑵ 1<t<4
005 ⑴ x€, x ⑵ 2x€-3x+C
211 8
⑶ x‹-x€+x+C ⑷ ;3!;x‹-3x€+5x+C
212 ⑴ 0, 0, 10, 10, 10, 10, 45
⑵ t=20, 160 m ⑸ 2x‹-2x€+3x+C ⑹ 3x›-3x€+7x+C
⑶ 32 m
006 ⑴ x‹+3x€+C
213 450 m ⑵ ;2!;x›-2x‹+C
214 ⑴ 속도 : 12, 가속도 : -6
⑶ ;;3!;x‹-4x+C
⑵ 5초, 75 m

215 ⑴ 72 m ⑵ -24 ⑷ ;4!;x›+;3!;x‹+;2%;x€+5x+C

216 42 m
⑸ ;3$;x‹-2x€+x+C
217 ① -16<a<16 ② a=-16 또는 a=16
③ a<-16 또는 a>16 ⑹ ;4!;x›+x+C

218 ① -20<a<7 ② a=-20 또는 a=7 ⑺ ;4!;x›-;3@;x‹-;2!;x€+2x+C


③ a<-20 또는 a>7
007 ⑴ 5, 5x+C ⑵ 2x€+C
219 0<a<16
⑶ ;3@;x‹+8x+C ⑷ 6x€+C
220 -4<a<0
⑸ 3x€+12x+C ⑹ x‹+3x+C
221 a>4
008 ⑴ x€+x, 3, x€+x+3
222 ;2$7!;<k<11 ⑵ f(x)=x€-5x+8

223 26 ⑶ f(x)=2x‹-;2%;x€-2x+1

224 17 ⑷ f(x)=x‹-2x€+x+7
⑸ f(x)=x‹+x€-x+4
225 -28<a<4
226 a=4 009 15

227 a<0 또는 a>4 010 ⑴ 2x€-2x, -12, 2x€-2x-12


⑵ f(x)=x‹-x€+x+1
228 a>:¡3§: ⑶ f(x)=x‹+3x€-5x-2
⑷ f(x)=x‹-x€-8x-3
229 27
011 15
230 a>12
012 ⑴ -6x+2, -6x+2, -3x€+2x, 4, -3x€+2x+4
231 8
⑵ f(x)=;2#;x€-4x+7 ⑶ f(x)=6x€-2x-4
232 120 m
⑷ f(x)=8x‹-9x€+2
233 -40

빠른 정답 009
013 -2 042 4x€+C

014 ⑴ ;3!;x‹-2x, x€-2 043 x‹-2x€+C

⑵ 3x€-2x+1 044 x‹-3x+C


⑶ xfi-2x 045 4
⑷ 2x, x€
046 -6
⑸ x‹-x€+C
⑹ 4x‹-x+C 047 ÷f(x)=x€-3x+2

015 ⑴ x‹-2, 6 048 ÷f(x)=x‹-x€+3


⑵ -7 049 2

⑶ x=-2 또는 x=;2!; 050 0

⑷ 3x€-2x, 3, 3x€-2x+3, 4
⑸ -5
⑹ 31

016 ⑴ 1, x€-2x, ;3!;x‹-x€, 2, ;3!;x‹-x€+2


⑵ f(x)=x‹+3x€

⑶ f(x)=-;2!;x‹+;2#;x€-1

017 4
018 ÷f(x)=3
019 ÷f(x)=x‹-2x€+1
020 ÷f(x)=-3x€+6x-5
021 ÷f(x)=4x‹+6x€+2x-3
022 ÷2x‹-2x€+3x+C
023 ÷x›-2x‹+5x+C
024 ÷x›-4x‹+C
025 ÷x‹+2x€-4x+C
026 ÷x‹+C
027 ÷6x€+C
028 ÷4x‹+16x+C

029 ÷;3!;x‹-x€+4x+C

030 ;3@;x‹+2x€+2x+C

031 x‹+8x+C
032 ÷f(x)=2x€-x+2 02 정적분 89쪽~99쪽

033 ÷f(x)=x‹-x€+5x+8 051 ⑴ 10 ⑵ -6


⑶6 ⑷4
034 ÷f(x)=x‹-;2!;x€-2x+7
⑸ 56
035 ÷f(x)=x€-3x+4
052 ⑴ 0 ⑵0
036 ÷f(x)=x‹+x€-5x+1 ⑶0 ⑷ 2, 0, 2, 0, 4, 10, 0, 0, 6

037 1 ⑸ -6 ⑹ -30
⑺ 30
038 ÷f(x)=3x€-6x+4
053 ⑴ 0, -1, 3x€+1
039 ÷f(x)=4x‹-8x-10
⑵ a=0 또는 a=;3%;, ÷ f(x)=6x-5
040 3x€-x+2
⑶ a=1 또는 a=5, ÷ f(x)=2x-6
041 3xfi-2x›+1
⑷ a=1, ÷f(x)=3x€-6x+5

010 정답과 풀이
054 ⑴ 0, 3, 3, 3x€-3 073 4
⑵ a=0, ÷f(x)=6x-4
074 ⑴ ÷f(x), ÷f(1), 2 ⑵ 10
⑶ ÷a=3, f(x)=6x-6 ⑶ -4 ⑷ 23
⑷ a=-;3@;, ÷f(x)=6x€+2 075 3

055 5 076  -9

056 ⑴ -4 ⑵ 45 077 2
⑶ 33 ⑷9 078  -2
⑸ 12 ⑹ 40
079 18
057 ⑴ 2, 2, -;3$;, -;3$;, 0 ⑵ 18 080  8

⑶ :™3•: ⑷ -50 081 35

082  :¡3§:
058 ⑴ 2, 1, 2, 2, :¡3¢: ⑵9

⑶ :£3•: ⑷ :¡3¢: 083 :∞3™:

059 20 084  ;2%;


060 ⑴ -2x+1, 3x€-4, -x€+x, 1, -2, x‹-4x, 2, 1, 6, 3, 9
085 1
⑵ :¡2ª: ⑶ 10
086  1
⑷4
087 :¡2¡:
061 ⑴ x-;2!;x€, ;2!;x€-x, ;2!;, ;2!;, 1
088  0
⑵2 ⑶ ;6!;
089 ;6%;
⑷ ;3*;
090  4
062 ;3*;
091 :™3º:

063 ⑴ -;3@; ⑵0 092  -54


⑶ 3x€+1, x‹+x, 20 ⑷ 30 093 -2
064 24 094  f(x)=3x-6

065 ⑴ ;3!;t‹-t€+kt, 0, x€-2x 095 3


096  -1
⑵ ÷f(x)=x€-x+;3!; ⑶ f(x)=3x€-;3*;x
097 3
066 -2
098  2
067 ⑴ 15x€-4x, 5x‹-2x€, 3, -1, 5x‹-2x€-1, -8
099 18
⑵ -2 ⑶ -4
⑷9 100  -1
x 101 6
068 ⑴ … f(t)dt, xf(x), 6x-4
1

⑵ f(x)=20x‹ 102 극댓값 : :∞3§:, 극솟값 : -:¡6£:


⑶ ÷f(x)=12x€-4
103 극댓값 : 20, 극솟값 : -7
069 9
104 극댓값 : ;3%;, 극솟값 : -9
070 ⑴ -1, 2, -1, 2, 극대, 극소, 2, ;3!;t‹-;2!;t€-2t, -:¡3º:
105 -2
⑵ 극댓값 : 1, 극솟값 : -;2∞7;
106  3
⑶ 극댓값 : :™3•:, 극솟값 : -:•3º: 107 1
108  2
071 7
072 ⑴ ÷f(x), ÷f(0), -2 ⑵1
⑶ -2 ⑷ 10

빠른 정답 011
03 넓이, 속도와 거리 100쪽~108쪽 130  36

131  ;3$;
109 ⑴ 0, -;3!;x‹+;2!;x€, ;6!; ⑵ ;3$;

⑶ ;3$; ⑷ ;2!; 132 ;1¢5;

110 2 133  2

111 ⑴ 0, -x€-2x, 0, -;3!;x‹-x€, 0, ;3!;x‹+x€, 0, :™3™: 134 :™3£:

⑵ :£6¡: ⑶3 135  3

⑷ :™6ª: ⑸ ;2&; 136 :£3™:

112 ⑴ -3x€+3, -x‹+3x. x‹-3x, 6 137  ;3$;


⑵2 ⑶ :£6¡:
125
138 6
⑷ :£3¢:
139  :•2¡:
113 2
114 ⑴ x-(x€-2), x+2, ;2!;x€+2x, ;2(; 140 :¡3§:

⑵ ;2(; ⑶8
141  :¡2™4∞:
115 36
142 ;3!;
116 ⑴ -;3@;x‹+2x, ;3*; ⑵ :™2¶:
143  :¶6¡:
⑶ ;8(; ⑷ :§3¢:
144 3
117 ;3*;
145  2
118 ⑴ ;4!;x›-;3!;x‹-x€, -;4!;x›+;3!;x‹+x€, ;1#2&;
146 1
⑵ ;3$; ⑶ ;1#2&;
147  :™4¶:
⑷8

a+2 148 ;3$;


119 ⑴ 2, 2, ;4!;x›- 3 x‹+ax€, 2, ;3$;a-;3$;, 1
⑵2 ⑶6 149  4

120 3 150 6

121 ⑴ 2, 2, 2, 9 ⑵ ;3!; 151  ;3!;


⑶ ;2(;
152 :§3¢:
122 ⑴ 10 ⑵ 21
⑶ 36 ⑷ 55 153  ;6!;

123 ⑴ 2, 2, 2, 4 ⑵ 18 154 2
⑶0 ⑷ 11
155  8
124 127.5  m
156 33  m
125 ⑴ 24 ⑵9
157  50  m
⑶ 10 ⑷5
158 53  m
126 125  m
159  98  m
127 ⑴ -t€+2t, t€-2t, -;3!;t‹+t€, ;3!;t‹-t€, :™3™:
⑵6 ⑶2

128 509.6  m

129  ;2(;

012 정답과 풀이
1
1
004 ⑴  f(x)=- x€ 로 놓으면 함수 y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O x
림과 같고, x의 값이 0에 한없이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 y=f(x)
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01 함수의 극한 6쪽~11쪽 ( 커지 ,  작아지 )므로
1
lim {- }= -$
001 ⑴ lim f(x)=1
xd2
xd0 x€
1
⑵ lim f(x)=-1 ⑵ f(x)=3- 로 놓으면 y
xd0 x€
⑶ lim f(x)=0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3
x d -3
쪽과 같다.
O x
1
002 ⑴ lim (x+3)=2+3=5
xd2 ∴ lim {3-
xd0 x€
}=-$
y=f(x)
⑵ lim
xd1
(x€-2x)=1€-2*1=-1 -1
⑶ f(x)= 로 놓으면 y
|x|
⑶ lim (x€-1)(x€+x+1)=(2€-1)(2€+2+1)=21
xd2 -1 O 1
함수
‌ y=f(x)의 그래프는 오른 x
1+3x-x€ 1+3*0-0€
⑷ lim = =1 쪽과 같다. -1
xd0 x+1 0+1
⑸ lim 'ßx-1='ß2-1=1 -1
∴ lim =-$ y=f(x)
xd2 x d 0 |x|

⑹ lim
xd1
'ß6x+3='ß6*1+3='9=3 -3
⑷ f(x)= 으로 놓으면 y
|x+2|
⑺ lim
xd0
6=6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x
-2 O
⑻ lim (-5)=-5
xd1 쪽과 같다. -;2#;
-3 y=f(x)
∴ lim =-$
1 x d -2 |x+2|
003 ⑴ f(x)=
|x-1|
로 놓으면 함수  y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고, x의 값이 1에 한없이 1 y=f(x)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한없이
O 1 x
( 커지 ,  작아지 )므로
2
lim
1
=$ 005 ⑴ f(x)= x-3 로 놓으면 y
xd1 |x-1|
함수
‌ y=f(x)의 그래프는
1 y=f(x)
⑵ f(x)= 로 놓으면 y
|x+2| 오른쪽과 같다.
O 3 x
함수
‌ y=f(x)의 그래프는 오른 2
∴ lim =0 -;3@;
y=f(x) xd$ x-3
쪽과 같다. ;2!;

1
∴ lim =$ -2 O x 3
x d -2 |x+2| ⑵ f(x)= -2로 놓으면 y
x+1
1 y ‌함수  y=f(x)의 그래프는 y=f(x)
⑶ f(x)= 로 놓으면
x€ 오른쪽과 같다. x
-1 O
함수
‌ y=f(x)의 그래프는 오른
3
∴ lim { -2}=-2 -2
쪽과 같다. y=f(x) x d -$ x+1
1
∴ lim =$ x
xd0 x€ O
2x-3
⑶ f(x)= 으로 놓으면 y
x
3
⑷ f(x)= 으로 놓으면 y
‌함수 y=f(x)의 그래프는
(x-1)€
함수
‌ y=f(x)의 그래프는 오른 오른쪽과 같다. y=f(x)
3 y=f(x) 2
쪽과 같다. 2x-3
∴ lim =2 O x
xd$ x ;2#;
3
∴ lim =$ O 1 x
x d 1 (x-1)€

01. 함수의 극한 013


1 x€+1(x<1) y
⑷ f(x)= y
x€+3
로 놓으면
008 ⑴ 함수 f(x)=[ -x+1 (x>1)

y=f(x)
‌함수 y=f(x)의 그래프는 ;3!; 의 그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y=f(x) 2
오른쪽과 같다. ① lim f(x)=2
x 1
O x d 1-
1 O 1 x
∴ lim =0 ② lim f(x)=0
x d -$ x€+3 x d 1+

'ßx-1(x>1)
006 ⑴ f(x)=2x-1로 놓으면 y y=f(x) ⑵ 함수 f(x)=[ y
'ß1-x (x<1)

‌함수 y=f(x)의 그래프는 y=f(x)
의 그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오른쪽과 같다.
O
① lim f(x)=0
∴ lim (2x-1)=$ x x d 1- x
xd$ -1 ;2!; O 1
② lim f(x)=0
x d 1+

⑶ ① x<0일 때 |x|=-x이므로
⑵ f(x)=3x+7로 놓으면 y |x| -x
lim = lim =-1
y=f(x) x d 0- x x d 0- x
‌함수 y=f(x)의 그래프는
7
② x>0일 때 |x|=x이므로
오른쪽과 같다.
|x| x
∴ lim (3x+7)=-$ -;3&; lim = lim =1
x d -$ x d 0+ x x d 0+ x

O x

009 lim f(x)+ lim f(x)+ lim f(x)


x d -1- x d -1+ x d 1-
⑶ f(x)=-3x+5로 놓으면 y
=0+2+2=4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5
010 ⑴ lim f(x)=-1
x d 0-
∴ lim (-3x+5)=$ ;3%;
x d -$
⑵ lim f(x)=1
O x x d 0+

y=f(x) ⑶ lim f(x)+ lim f(x)이므로 lim f(x)의 값은 존재하지 않


x d 0- x d 0+ xd0

⑷ f(x)='ß4+x로 놓으면 y 는다.

‌함수 y=f(x)의 그래프는 y=f(x)

오른쪽과 같다. 011 ⑴ lim f(x)=0


x d 2-

∴ lim 'ß4+x=$ ⑵ lim f(x)=0


xd$
-4 O x x d 2+

⑶ lim f(x)= lim f(x)=0이므로 lim f(x)=0


x d 2- x d 2+ xd2
⑸ f(x)=3x€+5로 놓으면 y y=f(x)
‌함수 y=f(x)의 그래프는
x+1 (x<2)
오른쪽과 같다. 012 ⑴ 함수 f(x)=[ 3 (x>2)
의 y

∴ lim (3x€+5)=$ y=f(x)


xd$
5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3

x 이때 lim f(x)=3, 1
O x d 2-

lim f(x)=3 O 2 x
⑹ f(x)=-2x€+7로 놓으면 y x d 2+

‌함수 y=f(x)의 그래프는


7 즉 lim f(x)= lim f(x)=3
x d 2- x d 2+

오른쪽과 같다. 이므로


O x
∴ lim (-2x€+7)=-$ lim f(x)=3
x d -$ xd2

-x+1 (x<1) y y=f(x)


y=f(x) ⑵ 함수 f(x)=[ 의
(x-1)€(x>1)
007 ⑴ lim f(x)=0
x d -2-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⑵ lim f(x)=1 이때 lim f(x)=0,
x d 1-
x d -2+
O 1 x
⑶ lim f(x)=0 lim f(x)=0
x d 0+ x d 1+

⑷ lim f(x)=0 즉 lim f(x)= lim f(x)=0이므로


x d 0- x d 1- x d 1+

⑸ lim f(x)=1 lim f(x)=0


x d 1+ xd1

014 정답과 풀이
2x-3 (x<2)
⑶ 함수 f(x)=[  y ⑵ xlim f(x)= xlim (-x+k)=-2+k
x€-4x+5 (x>2) y=f(x) d 2- d 2-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lim f(x)= lim (x€-4)=0


x d 2+ x d 2+

이때 lim f(x)=1, 1 lim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x d 2- xd2
O 2 x
lim f(x)=1 lim f(x)= lim f(x)이어야 하므로
x d 2+ x d 2- x d 2+

즉 lim f(x)= lim f(x)=1 -3


x d 2- x d 2+
-2+k=0   ∴ k=2
이므로 ⑶ xlim
d 0-
f(x)= xlim
d 0-
"ƒx€+1=1
lim f(x)=1 lim f(x)= lim (2x+k)=k
xd2 x d 0+ x d 0+

lim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xd0

lim f(x)= lim f(x)이어야 하므로


x d 0- x d 0+

k=1
|x| -x
013 ⑴ lim
x d 0- x
= lim
x d 0- x
= -1

|x| x 015 lim f(x)=2에서


xd0
lim = lim = 1
x d 0+ x x d 0+ x lim (-x+a)=2   ∴ a=2
xd0
|x| |x| |x|
즉, lim + lim 이므로 lim 의 값은 lim f(x)의 값이 존재하므로
x d 0- x x d 0+ x xd0 x xd2

존재하지 않는다 . lim f(x)= lim f(x), lim (-x+a)= lim (x€+b)
x d 2- x d 2+ x d 2- x d 2+

|x-2| -(x-2) 즉 -2+a=4+b


⑵ lim = lim =-1
x d 2- x-2 x d 2- x-2
이때 a=2이므로 b=-4
|x-2| x-2
lim = lim =1
x d 2+ x-2 x d 2+ x-2

|x-2| |x-2| |x-2|


즉 lim + lim 이므로 lim 의 값은
x d 2- x-2 x d 2+ x-2 x d 2 x-2

존재하지 않는다.
더블클릭 12쪽~14쪽
x€+x x(x+1)
⑶ lim = lim = lim -(x+1)=-1
x d 0- |x| x d 0- -x x d 0-

x€+x x(x+1)
016 lim f(x)+ lim f(x)이므로 lim f(x)의 값은
x d 2- x d 2+ xd2
lim = lim = lim (x+1)=1
x d 0+ |x| x d 0+ x x d 0+ 존재하지 않는다.
x€+x x€+x x€+x
즉 lim + lim 이므로 lim 의 값은
x d 0- |x| x d 0+ |x| x d 0 |x|
017 lim f(x)=2, lim f(x)=2이므로 lim f(x)=2
x d 0- x d 0+ xd0
존재하지 않는다.
x€-1 (x-1)(x+1)
⑷ lim = lim
x d 1- |x-1| x d 1- -(x-1) 018 lim f(x)=-2, lim f(x)=-2이므로
x d -3- x d -3+
= xlim
d 1-
-(x+1)=-2 lim f(x)=-2
x d -3
x€-1 (x-1)(x+1)
lim = lim = lim (x+1)=2
x d 1+ |x-1| x d 1+ x-1 x d 1+

즉 lim
x€-1
+ lim
x€-1
이므로 lim
x€-1
의 값은
019 lim (2x-4)=2*2-4=0
xd2
x d 1- |x-1| x d 1+ |x-1| x d 1 |x-1|

존재하지 않는다.
020 lim (x€+2x)=1€+2*1=3
xd1

021 lim (x-1)(x€+x-2)=(2-1)(2€+2-2)=4


xd2

014 ⑴ lim f(x)= lim (-x+k)= -1+k


x d 1- x d 1-
5
lim f(x)= lim (2x-4)= -2 
x d 1+ x d 1+
022 f(x)= |x+1| 로 놓으면 함수  y

lim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과


xd1
같다. 5
lim f(x)= lim f(x)이어야
x d 1- x d 1+ y=f(x)
5
∴ lim =$
하므로 x d -1 |x+1|
-1 O x
-1+k= -2    ∴ k= -1

01. 함수의 극한 015


3 x€-2x x(x-2)
023 f(x)=
|2-x|
으로 놓으면 함수  y 038 ⑴ lim f(x)= lim
x d 2- x d 2-
= lim
|x-2| x d 2- -(x-2)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과 = lim (-x)=-2
x d 2-
같다. y=f(x)
;2#; x€-2x x(x-2)
⑵ lim f(x)= lim = lim
3 x d 2+ x d 2+ |x-2| x d 2+ x-2
∴ lim =$
x d 2 |2-x|
O 2 x = lim x=2
x d 2+

⑶ lim f(x)+ lim f(x)이므로 lim f(x)의 값은 존재하지 않


024 lim (2x€-1)=$
xd$
x d 2- x d 2+ xd2

는다.

025 lim (-x+7)=$


x d -$ 039 lim f(x)= lim (-x)=0, lim f(x)= lim x=0
x d 0- x d 0- x d 0+ x d 0+

lim f(x)= lim f(x)=0이므로 lim f(x)=0


x d 0- x d 0+ xd0

026 lim (3-x‹)=$


x d -$

040 lim f(x)= lim {-(x-2)€}=0,


x d 2- x d 2-

027 lim "ƒ4+x€=$ lim f(x)= lim (x-2)=0


x d -$ x d 2+ x d 2+

lim f(x)= lim f(x)=0이므로 lim f(x)=0


x d 2- x d 2+ xd2

028 lim {2-;x!;}=2


xd$

041 lim f(x)= lim {-(x-1)€}=-1,


x d 0- x d 0-

7 lim f(x)= lim {-(x+1)€}=-1


029 lim
x d -$ x€+3
=0 x d 0+ x d 0+

lim f(x)= lim f(x)=-1이므로 lim f(x)=-1


x d 0- x d 0+ xd0

x+5
030 lim
xd$ x€
=0 042 lim f(x)= lim f(x)=1이므로 lim f(x)=1
x d 1- x d 1+ xd1

1 043 lim f(x)=5이므로 lim f(x)=5, lim f(x)=5


lim {
xd2 x d 2- x d 2+
031 xd$ x+1
-3}=-3
∴ lim f(x)+ lim f(x)=5+5=10
x d 2- x d 2+

032 lim (2x+3)=-1


x d -2- 044 lim f(x)의 값이 존재하므로
xd3

lim f(x)= lim f(x)


x d 3- x d 3+
033 lim (x€-x)=0
x d 1- ∴ a=1

034 lim (x€+5x-1)=-1


x d 0+
045 lim f(x)= lim (-x+k)=-1+k,
x d 1- x d 1-

lim f(x)= lim (x-1)=0


x d 1+ x d 1+

1-x lim f(x)의 값이 존재하므로 lim f(x)= lim f(x)


035 lim
x d 1+ 2+x
=0 xd1 x d 1- x d 1+

즉 -1+k=0   ∴ k=1

036 ⑴ lim f(x)= lim (-x€+1)=1


x d 0- x d 0- 046 lim f(x)= lim (-x+k)=1+k,
x d -1- x d -1-
⑵ xlim
d 0+
f(x)= xlim
d 0+
(x€+1)=1 lim f(x)= lim (x‹-4)=-5
x d -1+ x d -1+
⑶ xlim
d 0-
f(x)= xlim
d 0+
f(x)=1이므로 lim
xd0
f(x)=1 lim f(x)의 값이 존재하므로 lim f(x)= lim f(x)
x d -1 x d -1- x d -1+

즉 1+k=-5   ∴ k=-6
|x-1| -(x-1)
037 ⑴ lim f(x)= lim
x-1
= lim
x-1
=-1
x d 1- x d 1- x d 1-
047 lim f(x)= lim (-x+k)=-2+k,
x d 2- x d 2-
|x-1| x-1
⑵ lim f(x)= lim = lim =1 lim f(x)= lim (x€-1)=3
x d 1+ x d 1+ x-1 x d 1+ x-1 x d 2+ x d 2+

⑶ lim f(x)+ lim f(x)이므로 lim f(x)의 값은 존재하지 lim f(x)의 값이 존재하므로 lim f(x)= lim f(x)
x d 1- x d 1+ xd1 xd2 x d 2- x d 2+

않는다. 즉 -2+k=3   ∴ k=5

016 정답과 풀이
⑶ lim g(x){3-2÷f(x)}
02 함수의 극한의 성질 15쪽~22쪽 xd1

=3lim g(x)-2lim ÷g(x)lim ÷f(x)


xd1 xd1 xd1

048 ⑴ lim 2÷f(x)=2lim ÷ f(x)=2*2=4


xd1 xd1 =3*3-2*3*2=-3
⑵ lim 5g(x)=5lim g(x)=5*3=15 ⑷ lim {÷f(x)+2}{2g(x)-3}
xd1 xd1 xd1

⑶ lim {3-2÷f(x)}=lim 3-2lim ÷f(x) =[ lim ÷f(x)+lim 2][2lim g(x)-lim 3]


xd1 xd1 xd1 xd1 xd1 xd1 xd1

=3-2*2=-1 =(2+2)(2*3-3)=12
⑷ lim {3÷f(x)+2g(x)}=3lim ÷f(x)+2lim g(x) lim ÷f(x)+lim 2
xd1 xd1 xd1 ÷f(x)+2 2+2
=;3$;
xd1 xd1
⑸ lim = =
=3*2+2*3=12 xd1 g(x) lim ÷g(x) ÷3
xd1
⑸ lim {5÷f(x)-3g(x)}=5lim ÷f(x)-3lim g(x)
xd1 xd1 xd1

=5*2-3*3=1

052 ÷f(x)g(x)=h(x)라 하면
049 ⑴ lim {2÷f(x)+3}=1에서
xd2 h(x)
g(x)= 이고 lim h(x)=5
2lim ÷f(x)+3=1, 2lim ÷f(x)=-2 ÷f(x) xd3
xd2 xd2

h(x) lim ÷h(x)


∴ lim ÷f(x)=-1 =;2%;
xd3
xd2 ∴ lim g(x)=lim =
xd3 xd3 ÷f(x) lim ÷f(x)
xd3
⑵ lim {2f(x)-1}=3에서
xd1

2lim ÷f(x)-1=3, 2lim ÷f(x)=4


xd1 xd1

따라서 lim ÷f(x)=2이므로


xd1

lim {3-÷f(x)}=3-lim ÷f(x)=3-2=1


xd1 xd1 053 주어진 식의 분자, 분모를 x로 나누면
⑶ ÷f(x)+g(x)=h(x)라 하면 4÷f(x) ÷f(x)
x+ lim x+4lim
x xd0 xd0 x
g(x)=h(x)-÷f(x)이고 lim h(x)=3 lim =
xd0 xd0 2f(x) f(x)
3x- 3lim x-2lim
∴ lim g(x)=lim {h(x)-÷f(x)} x xd0 xd0 x
xd0 xd0
0+4*3
=lim h(x)-lim ÷f(x) = =-2
xd0 xd0
3*0-2*3

=3-2=1
⑷ 3÷f(x)-g(x)=h(x)라 하면
g(x)=3÷f(x)-h(x)이고 lim h(x)=1
x d -1

∴ lim g(x)= lim {3÷f(x)-h(x)}


x d -1 x d -1
054 ⑴ lim (2x+3)=2lim x+lim 3=2*2+3=7
xd2 xd2 xd2

=3 lim ÷ f(x)- lim h(x) ⑵ lim (x‹-3x€+7)=lim x‹-3lim x€+lim 7


x d -1 x d -1 xd3 xd3 xd3 xd3

=3*2-1=5 =3‹-3*3€+7=7
⑶ lim (x+3)(x€-2)=lim (x+3)lim (x€-2)
xd2 xd2 xd2

=(2+3)(2€-2)=10
050 2÷f(x)+g(x)=h(x)라 하면 x-1
lim (x-1) 2-1
=;6!;
xd2
g(x)=h(x)-2÷f(x)이고 lim h(x)=8 ⑷ lim = =
xd2
xd2 x€+2 lim ÷ ( x€+2) 2€+2
xd2

∴ lim g(x)=lim {h(x)-2÷f(x)}


xd2 xd2

=lim h(x)-2lim f(x)


xd2 xd2

=8-2*(-3)=14

055 ⑴ ÷f(x)+2x-x‹=g(x)라 하면
÷f(x)=g(x)+x‹-2x이고 lim g(x)=3
xd2

051 ⑴ lim ÷f(x)g(x)=lim ÷f(x)lim g(x)=2*3=6


xd1 xd1 xd1
∴ lim ÷f(x)=lim {g(x)+x‹-2x}
xd2 xd2

÷f(x)+3 lim ÷f(x)+lim 3 =lim g(x)+lim (x‹-2x)


2+3
=;3%;
xd1 xd1
⑵ lim = = xd2 xd2
xd1 ÷f(x)+1 lim ÷f(x)+lim ÷1 ÷2+1 =3+(8-4)=7
xd1 xd1

02. 함수의 극한의 성질 017


2÷f(x)+x€ x x('ßx+4+2)
⑵ ÷=g(x)라 하면 ⑷ lim =lim
÷f(x)+1 xd0 'ßx+4-2 x d 0 ('ßx+4-2)('ßx+4+2)
x€-g(x) x('ßx+4+2)
÷f(x)= 이고 lim g(x)=3 =lim
g(x)-2 xd1 xd0 x
x€-g(x) = lim ('ßx+4+2)=4
∴ lim ÷f(x)=lim ÷ ÷ xd0
xd1 xd1 g(x)-2
x€-4 (x€-4)('ßx+2+2)
lim x€-lim g(x) ⑸ lim =lim
xd1 xd1 xd2 'ßx+2-2 x d 2 ('ßx+2-2)('ßx+2+2)
=
lim ÷g(x)-lim 2 (x-2)(x+2)('ßx+2+2)
xd1 xd1 =lim
xd2 x-2
1€-3
= ÷=-2 = lim (x+2)('ßx+2+2)
3-2 xd2

=4(2+2)=16

056 ⑴ 분자를 인수분해하면


x€-1=( x-1 )(x+1)
x€-1 ( x-1 )(x+1)
∴ lim =lim ÷ x
xd1 x-1 xd1 x-1 059 lim
xd0 'ß1+x-'ß1-x
= lim (x+1)= 2
xd1 x('ß1+x+'ß1-x )
=lim
x€+3x x(x+3) xd0 ('ß1+x-'ß1-x )('ß1+x+'ß1-x )
⑵ lim =lim =lim (x+3)=3
xd0 x xd0 x xd0 x('ß1+x+'ß1-x )
=lim
x€-2x x(x-2) xd0 2x
⑶ lim =lim =lim x=2
x d 2 x-2 xd2 x-2 xd2 'ß1+x+'ß1-x
=lim =;2@;=1
x€-4 (x+2)(x-2) xd0 2
⑷ lim = lim
x d -2 x+2 x d -2 x+2
= xlim
d -2
(x-2)=-4

x‹-1 (x-1)(x€+x+1)
⑸ lim =lim
xd1 x€-1 x d 1 (x-1)(x+1)
060 ⑴ 분자와 분모를 분모의 최고차항 x€으로 나누면
x€+x+1
=lim =;2#; 1 1
xd1 x+1 3- +
3x€-x+1 x x€
lim = lim
xd$ x€+5 x d$ 5
1+
x€
x‹-x€+2 (x+1)(x€-2x+2) 3- 0 + 0
057 lim
x d -1 x€-1
= lim
x d -1 (x+1)(x-1) = = 3
1+ 0
x€-2x+2
= lim =-;2%; 1
x d -1 x-1 4-
4x€-x x 4-0
⑵ lim = lim = =4
x d $ x€+x x d$ 1 1+0
1+
x
x-1 (x-1)( 'x+1 )
058 ⑴ lim 'x-1 =lim ÷
('x-1)( 'x+1 ) 2+
3
x
-
2
xd1 xd1
2x€+3x-2 x€
⑶ lim = lim
x€+1 1
(x-1)( 'x+1 )
xd$ xd$
1+
=lim ÷ x€
xd1 x-1
2+0-0
= lim
xd1
( 'x+1 )= 2 =
1+0
=2

x-2 (x-2)('x+'2 ) 6 3
⑵ lim =lim æ√1+ -
xd2 'x-'2 x d 2 ('x-'2 )('x+'2 ) "ƒx€+6-3 x€ x
⑷ lim = lim
(x-2)('x+'2 ) xd$ x-2 xd$ 2
=lim 1-
xd2 x-2 x

= lim ('x+'2 )=2'2 1-0


= =1
xd2
1-0
'x-'3 ('x-'3 )('x+'3 )
⑶ lim =lim 3
xd3 x-3 xd3 (x-3)('x+'3 ) 1+æ√1-
x+"ƒx€-3 x€
⑸ lim = lim
x-3 xd$ x+1 xd$ 1
=lim 1+
xd3 (x-3)('x+'3 ) x
1 1 '3 1+1
=lim = = = =2
xd3 'x+'3 2'3 6 1+0

018 정답과 풀이
3 1 4 2
æ√1- + -
"ƒx€-3x+1 x x 4x€-2x x x€ 0+0
061 lim
x d $ x+"ƒx€+x
= lim
xd$ 1
⑵ lim
x d $ x‹+x
= lim
xd$ 1
=
1+0
=0
1+æ√1+ 1+
x x€
1+0 1
= =;2!; 3x+
1+1 3x€+1 x
⑶ lim = lim =$
x d $ x+5 xd$ 5
1+
x
2 5
062 ⑴ -x=t라 하면 x cd -$일 때 t cd $ 이므로
4x‹-2x+5
4x-
x
+
x€ =$
⑷ lim = lim
"ƒx€+4 "ƒt€+4 xd$ x€+x xd$ 1
lim = lim ÷ 1+
x d -$ x+1 t d $ -t+1 x

4
æ√1+
= lim t€ = -1
td$ 1
-1 +
t
⑵ -x=t라 하면 x cd -$일 때 t cd $이므로
"ƒ4x€+3-1 "ƒ4t€+3-1
lim = lim
x d -$ 2x+1 td$ -2t+1
3 1
æ√4+ - 064 ⑴ lim ("ƒx€+5x-x)
t€ t xd$
= lim
td$
-2+
1 ("ƒx€+5x-x)( "ƒx€+5x+x )
t = lim
xd$
"ƒx€+5x+x
2
= =-1 5x
-2 = lim
⑶ -x=t라 하면 x cd -$일 때 t cd $이므로
xd$
"ƒx€+5x+x
2x -2t 5
lim =lim = lim = ;2%;
x d -$ "ƒx€-x+3 t d$ "ƒt€+t+3 xd$
æ√1+;x%;+1
-2
=lim
3 ⑵ lim ("ƒ4x€+3x-2x)
æ√1+;t!;+
t d$
xd$
t
("ƒ4x€+3x-2x)("ƒ4x€+3x+2x)
-2 = lim
=
1
=-2 xd$ "ƒ4x€+3x+2x
3x
⑷ -x=t라 하면 x cd -$일 때 t cd $이므로 = lim
xd$ "ƒ4x€+3x+2x
6x+1 -6t+1
lim =lim 3
x d -$ "ƒx€+1-x t d$ "ƒt€+1+t = lim =;4#;
æ√4+;x#;+2
xd$

1
-6+
t
= lim
1 ⑶ lim ("ƒx€+x-"ƒx€-x )
æ√1+
td$
+1 xd$
t€
("ƒx€+x-"ƒx€-x )("ƒx€+x+"ƒx€-x )
-6 = lim
=
2
=-3 xd$ "ƒx€+x+"ƒx€-x
2x
⑸ -x=t라 하면 x cd -$일 때 t cd $이므로 = lim
xd$ "ƒx€+x+"ƒx€-x
1-x
lim 2
x d -$ "ƒ4x€+1+"ƒx€-1 = lim =1
æ√1+;x!;+æ√1-;x!;
xd$
1+t
= lim
td$ "ƒ4t€+1+"ƒt€-1 ⑷ -x=t라 하면 x cd -$일 때 t cd $이므로
1 lim ("ƒx€+6x+x)= lim ("ƒt€-6t-t)
+1
t x d -$ td$
= lim =;3!;
1 1 ("ƒt€-6t-t)("ƒt€-6t+t)
æ√4+ +æ√1-
td$
= lim
t€ t€ td$ "ƒt€-6t+t
-6t
= lim
td$ "ƒt€-6t+t
3 1 -6
+ = lim
6
3x+1 x x€ 0+0 æ√1- +1
td$
063 ⑴ lim
x d $ x€+5
= lim
xd$ 5
=
1+0
=0 t
1+
x€ =-3

02. 함수의 극한의 성질 019


3
⑸ -x=t라 하면 x cd -$일 때 t cd $이므로 ⑸ lim x ÷{æ√4+ -2}
xd$ x
lim ("ƒ4x€-x+2x)= lim ("ƒ4t€+t-2t)
x d -$ td$
3 3
{æ√4+ -2} {æ√4+ +2}
("ƒ4t€+t-2t)("ƒ4t€+t+2t) x x
=lim = lim x*
"ƒ4t€+t+2t 3
æ√4+ +2
td$ xd$

t x
= lim
td$ "ƒ4t€+t+2t 3
x*
x
= lim
1 = lim =;4#;
3
æ√4+ +2
xd$
1
æ√4+ +2
td$

t x
1 1
=;4!; ⑹ lim x ÷{æ√1+ -æ√1- }
xd$ x x
1 1 1 1
{æ√1+ -æ√1- } {æ√1+ +æ√1- }
x x x x
= lim x*
1 1
æ√1+ +æ√1-
xd$

x x
2
x*
x
= lim =1
1 1
065 æ√1+
xd$
lim ("ƒx€-x+1-x) +æ√1-
xd$ x x
("ƒx€-x+1-x)("ƒx€-x+1+x)
= lim
xd$ "ƒx€-x+1+x
-x+1
= lim
xd$ "ƒx€-x+1+x
1
-1+
x
= lim
1 1
æ√1- +
xd$
+1
x x€
067 ⑴ x cd 1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2!; (분자) cd 0 이다.
즉 lim (x€+ax+b)=1+a+b= 0
xd1

∴ b=-a-1   …… ㉠
x€+ax+b x€+ax-a-1
lim =lim (∵ ㉠)
xd1 x-1 xd1 x-1
(x-1)(x+a+1)
=lim
xd1 x-1
066 ⑴ lim x1 ÷{1- x+1
xd0
1 1
}=lim *
x
x x+1xd0 =lim (x+a+1)
xd1

1 =a+2=5
=lim = 1
x d 0 x+1
따라서 a= 3 이고, ㉠에 대입하면 b= -4
1 1 1 1-x
⑵ lim ÷{ -;2!;}=lim * ⑵ x cd -2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d1 x-1 x+1 x d 1 x-1 2(x+1)
-1 (분자) cd 0이다.
=lim =-;4!;
xd1 2(x+1) 즉 lim (x€+ax+b)=4-2a+b=0
x d -2
1 2 1 x-2
⑶ lim ÷{;2!;- }=lim * ∴ b=2a-4   …… ㉠
x d 2 x-2 x+2 x d 2 x-2 2(x+2)
x€+ax+b x€+ax+2a-4
1 lim = lim (∵ ㉠)
=lim =;8!; x d -2 x+2 x d -2 x+2
xd2 2(x+2)
(x+2)(x+a-2)
5 = lim
⑷ lim ÷x {æ√1+ -1} x d -2 x+2
xd$ x
= lim (x+a-2)
5 5
{æ√1+ -1} { æ√1+ +1 }
x d -2

x x =a-4=2
= lim x*
5
æ√1+ ∴ a=6, b=8 (∵ ㉠)
xd$
+1
x
⑶ ‌x cd -1일 때 (분자) cd 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므
5 로 (분모) cd 0이다.
x*
x
= lim = ;2%; 즉 lim (x€+ax+b)=1-a+b=0
5 x d -1
æ√1+
xd$
+1
x ∴ b=a-1 …… ㉠

020 정답과 풀이
x+1 x+1 ⑷ ‌x cd 0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lim = lim (∵ ㉠)
x d -1 x€+ax+b x d -1 x€+ax+a-1 (분자) cd 0이다.
x+1 즉 lim ('ßx+9-a)=3-a=0
= lim
x d -1 (x+1)(x+a-1)
xd0

1 ∴ a=3
= lim
x d -1 x+a-1 'ßx+9-a 'ßx+9-3
lim =lim
xd0 x xd0 x
1
= =-1
a-2 ('ßx+9-3)('ßx+9+3)
=lim
∴ a=1, b=0 (∵ ㉠) xd0 x('ßßx+9+3)

⑷ x cd 2일 때 (분자) cd 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


=lim
xd0 x('ßßx+9+3)
(분모) cd 0이다.
1
즉 lim (x€+ax+b)=4+2a+b=0 =lim =;6!;=b
xd2 xd0 'ßßx+9+3
∴ b=-2a-4   …… ㉠ ⑸ ‌x cd 2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4 x€-4 (분자) cd 0이다.
lim =lim (∵ ㉠)
xd2 x€+ax+b x d 2 x€+ax-2a-4 즉 lim (2'ßx-1+a)=2+a=0
xd2
(x-2)(x+2)
=lim ∴ a=-2
x d 2 (x-2)(x+a+2)

x+2 2'ßx-1+a 2'ßx-1-2


=lim lim =lim
xd2 x+a+2 xd2 x-2 xd2 x-2

4 2('ßx-1-1)('ßx-1+1)
= =;2!; =lim
(x-2)('ßx-1+1)
a+4 xd2

∴ a=4, b=-12 (∵ ㉠) 2(x-2)


=lim
xd2 (x-2)('ßx-1+1)
2
=lim =1=b
068 ⑴ x cd 1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d2 'ßx-1+1
(분자) cd 0 이다.
즉 lim (x€+ax)=1+a= 0
xd1

∴ a= -1

lim
x€+ax
=lim
x€-x 069 x cd 1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d1 x-1 x d 1 x-1
(분자) cd 0이다.
x(x-1)
=lim 즉 lim (3x€+x-a)=4-a=0
xd1 x-1 xd1

= lim x= 1 =b ∴ a=4
xd1
3x€+x-4 (x-1)(3x+4)
⑵ ‌x cd 2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lim =lim
xd1 x€-1 x d 1 (x-1)(x+1)
(분자) cd 0이다.
3x+4
=lim =;2&;=b
즉 lim (x€+ax-2)=2+2a=0 xd1 x+1
xd2
∴ a=-1
따라서 a=4, b=;2&;이므로 ab=14
x€+ax-2 x€-x-2
lim =lim
xd2 x-2 xd2 x-2
(x+1)(x-2)
=lim
xd2 x-2
=lim (x+1)=3=b
xd2
÷f(x)
⑶ ‌x cd 2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070 ⑴ lim x€+3 =2에서 ÷f(x)= 2 x€+ax+b (a, b는 상수)로
xd$

(분자) cd 0이다. 놓으면


즉 lim (x€+ax-6)=-2+2a=0 2 x€+ax+b
xd2
lim =1에서 x cd 0일 때, (분모) cd 0이고
xd0 x
∴ a=1
x€+ax-6 x€+x-6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cd 0 이다.
lim =lim
xd2 x€-4 xd2 x€-4 즉 lim (2x€+ax+b)= 0 에서 b= 0
xd0
(x+3)(x-2)
=lim 2x€+ax
x d 2 (x+2)(x-2) ∴ lim =lim (2x+a)=a= 1
xd0 x xd0
x+3
=lim =;4%;=b ∴ ÷f(x)= 2x€+x
xd2 x+2

02. 함수의 극한의 성질 021


÷f(x) ÷ f(x)-3x‹
⑵ lim =1에서 ÷f(x)=x€+ax+b (a, b는 상수)로 놓 ⑵ lim =1에서
xd$ x€+3 xd$ x€
으면 ÷f(x)=3x‹+x€+ax+b (a, b는 상수)
÷f(x) ÷ f(x)
lim =3에서 x cd 1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lim =2에서 x cd 1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xd1 x-1 xd1 x-1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즉 lim (x€+ax+b)=1+a+b=0에서 b=-a-1 즉 lim ÷f(x)=f(1)=4+a+b=0   ∴ b=-a-4
xd1 xd1

x€+ax-a-1 (x-1)(x+a+1) 3x‹+x€+ax-a-4


∴ lim =lim lim
xd1 x-1 xd1 x-1 xd1 x-1
=lim (x+a+1) (x-1)(3x€+4x+a+4)
xd1 =lim
=a+2=3 xd1 x-1

따라서 a=1, b=-2이므로 =lim (3x€+4x+a+4)


xd1

÷f(x)=x€+x-2 =a+11=2
÷f(x) 따라서 a=-9, b=5이므로
⑶ lim =1에서 ÷f(x)=x€+ax+b(a, b는 상수)
xd$ x€+2x-3 ÷f(x)=3x‹+x€-9x+5
로 놓으면 ÷f(x)-x‹
⑶ lim =2에서
÷f(x) xd$ x€
lim ÷=4에서 x cd -1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
x d -1 x+1
÷f(x)=x‹+2x€+ax+b (a, b는 상수)
이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f(x)
lim =7에서 x cd -1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
즉 lim (x€+ax+b)=1-a+b=0에서 b=a-1 x d -1 x€-1
x d -1

x€+ax+a-1 (x+1)(x+a-1) 이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 lim = lim
x d -1 x+1 x d -1 x+1 즉 lim ÷f(x)=f(-1)=1-a+b=0   ∴ b=a-1
x d -1
= lim (x+a-1) ÷f(x)
x d -1 x‹+2x€+ax+a-1
lim = lim
=a-2=4 x d -1 x€-1 x d -1 x€-1

따라서 a=6, b=5이므로 (x+1)(x€+x+a-1)


= lim
x d -1 (x+1)(x-1)
÷f(x)=x€+6x+5
x€+x+a-1
= lim
x d -1 x-1
a-1
= =7
-2
따라서 a=-13, b=-14이므로
÷f(x)=x‹+2x€-13x-14

÷f(x)-x‹
071 ⑴ lim
xd$ x€-1
÷=1에서 ÷f(x)-x‹은 이차항의 계수가 1 인

이차함수이므로 ÷f(x)-x‹=x€+ax+b
즉 ÷f(x)=x‹+x€+ax+b (a, b는 상수)
÷f(x)
lim =3에서 x cd 1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xd1 x€-1
÷f(x)-x€
존재하므로 (분자) cd 0 이다. 072 lim
xd$ x+3
=2에서
즉 lim ÷f(x)=f(1)=2+a+b=0
xd1 ÷f(x)=x€+2x+a (a는 상수)
∴ b=-a-2 ÷f(x)
lim =k에서 x cd 1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존재
x‹+x€+ax+b x‹+x€+ax-a-2 xd1 x-1
lim =lim
xd1 x€-1 xd1 x€-1 하므로 (분자) cd 0이다.
(x-1)(x€+2x+a+2)
=lim 즉 lim ÷f(x)=f(1)=3+a=0   ∴ a=-3
xd1 (x-1)(x+1) xd1

x€+2x+a+2 ÷f(x) x€+2x-3


=lim lim =lim
xd1 x+1 xd1 x-1 x d 1 x-1
a+5 (x-1)(x+3)
= =3 =lim
2 xd1 x-1

따라서 a=1, b= -3 이므로 =lim (x+3)=4


xd1

÷f(x)=x‹+x€+x- 3 ∴ k=4

022 정답과 풀이
2x-3 2x+1 ⑵ x>1일 때 x-1>0이므로
073 ⑴ x
<÷f(x)<
x
에서
÷f(x)
x€-1 3x€-4x+1
< <
2x-3 2x+1 x-1 x-1 x-1
lim = lim = 2
xd$ x xd$ x (x-1)(x+1) ÷f(x) (x-1)(3x-1)
< <
∴ lim ÷f(x)= 2 x-1 x-1 x-1
xd$
÷f(x)
2x€-3x 2x€+1 ∴ x+1< <3x-1
⑵ <÷f(x)< 에서 x-1
x€+7 x€
이때 lim (x+1)=lim (3x-1)=2이므로
2x€-3x 2x€+1 xd1 xd1
lim = lim =2
xd$ x€+7 xd$ x€ ÷f(x)
lim =2
∴ lim ÷f(x)=2 xd1 x-1
xd$

3x€-x 3x€+1
⑶ <÷f(x)< 에서
x€+3 x€-2
3x€-x 3x€+1
lim = lim =3
xd$ x€+3 x d $ x€-2

∴ lim ÷ f(x)=3
xd$

⑷ 2-;x!;<÷f(x)<2+;x@;에서

lim {2-;x!;}= lim {2+;x@;}=2


xd$ xd$

∴ lim ÷f(x)=2
xd$

더블클릭 23쪽~25쪽

076 lim {3÷f(x)+2g(x)}=3lim ÷f(x)+2lim g(x)


xd1 xd1 xd1

4x€-3 4x€+1 =3*3+2*(-5)=-1


074 ⑴ x>0일 때
x€
<÷f(x)<
x€
4x€-3 4x€+1
lim = lim = 4 077 lim {5÷f(x)-2g(x)}=5lim ÷f(x)-2lim g(x)
xd$ x€ xd$ x€ xd1 xd1 xd1

∴ lim ÷f(x)= 4 =5*3-2*(-5)=25


xd$

2x€-3 2x€+5
⑵ x>0일 때 <÷f(x)<
x€+1 x€+1
078 lim {4÷f(x)-3}=-15에서
xd1
2x€-3 2x€+5
lim = lim =2 4lim ÷f(x)-3=-15, 4lim ÷f(x)=-12
x d $ x€+1 x d $ x€+1 xd1 xd1

∴ lim ÷f(x)=2 ∴ lim ÷f(x)=-3


xd$ xd1

3x-2 3x+6
⑶ x>0일 때 <÷f(x)<
x x
3x-2 3x+6
079 ÷f(x)+g(x)=h(x)라 하면
lim = lim =3 g(x)=h(x)-÷f(x)이고 lim h(x)=3
xd$ x xd$ x xd0

∴ lim ÷f(x)=3 ∴ lim g(x)=lim {h(x)-÷f(x)}


xd$ xd0 xd0

=lim h(x)-lim ÷f(x)


xd0 xd0

=3-2=1

075 ⑴ 2x+3<÷f(x)<2x+5의 각 변을 제곱하면 080 lim {÷f(x)+g(x)}=4에서 a+b=4   …… ㉠


xd2
(2x+3)€<{÷f(x)}€<(2x+5)€ (∵ x>0) …… ㉠
lim ÷f(x)g(x)=3에서 ab=3 …… ㉡
xd2
x€+1>0이므로 ㉠의 각 변을 x€+1로 나누면
㉠, ㉡에서 a=1, b=3 (∵ a, b는 a<b인 정수)
(2x+3)€ {÷f(x)}€ (2x+5)€
< < ∴ lim ÷f(x)=1, lim g(x)=3
x€+1 x€+1 x€+1 xd2 xd2

(2x+3)€ (2x+5)€
이때 lim = lim =4이므로
xd$ x€+1 xd$ x€+1
{÷f(x)}€ 081 lim {2f(x)-3g(x)}=2a-3b
xd2
lim =4
xd$ x€+1 =2*1-3*3=-7

02. 함수의 극한의 성질 023


082 lim {÷f(x)+2}{2g(x)-3}
092 lim
x-4
=lim
(x-4)('x+2)
'x-2 x d 4 ('x-2)('x+2)
xd2
xd4
={lim ÷f(x)+2}{2lim ÷g(x)-3}
xd2 xd2 (x-4)('x+2)
=lim
=(a+2)(2b-3)=(1+2)(2*3-3)=9 xd4 x-4
=lim ('x+2)=4
xd4

2÷f(x)+3 2a+3 2*1+3 x€-1 (x€-1)('ßx+3+2)


083 lim = = =;4%; 093 lim =lim
xd2 3g(x)-5 3b-5 3*3-5 xd1 'ßx+3-2 x d 1 ('ßx+3-2)('ßx+3+2)
(x-1)(x+1)('ßx+3+2)
=lim
xd1 x-1
=lim (x+1)('ßx+3+2)=8
084 lim (x‹-2x€+5)=2‹-2*2€+5=5
xd2
xd1

x-3 (x-3)('ß2x+3+3)
094 lim
xd3
=lim
'ß2x+3-3 x d 3 ('ß2x+3-3)('ß2x+3+3)
085 lim (x+7)(2x€-1)=lim (x+7)*lim (2x€-1)
xd1 xd1 xd1
(x-3)('ß2x+3+3)
=lim
=8*(2-1)=8 xd3 2(x-3)
'ß2x+3+3
=lim =3
xd3 2

10x-4 10*1-4
086 lim = =2
xd1 x€+2 1€+2 "ƒx€+3x-2x
095 lim
xd1 x-1
("ƒx€+3x-2x)("ƒx€+3x+2x)
=lim
xd1 (x-1)("ƒx€+3x+2x)
x‹-x x(x-1)(x+1)
087 lim
xd1 x-1
=lim
xd1 x-1 -3x(x-1)
=lim
= lim x(x+1)=2
xd1 (x-1)("ƒx€+3x+2x)
xd1
-3x
=lim =-;4#;
xd1 "ƒx€+3x+2x

x€+2x x(x+2)
088 lim
x d -2 x+2
= lim
x d -2 x+2 6-
4
+
1
6x€-4x+1 x x€ =6
= lim x=-2 096 lim
xd$ x€+5
= lim
xd$ 5
x d -2
1+
x€

089 lim
x€-4x-5
= lim
(x+1)(x-5) 097 -x=t로 놓으면 x cd -$일 때 t cd $이므로
x d -1 x+1 x d -1 x+1
4x€+x 4t€-t
lim = lim
= lim (x-5)=-6 x d -$ x€+x-3 t d $ t€-t-3
x d -1

1
4-
t
= lim =4
td$ 1 3
1- -
x‹-3x€+4x-2 (x-1)(x€-2x+2) t t€
090 lim
xd1 x€-1
=lim
xd1 (x-1)(x+1)
x€-2x+2
=lim 7 3
xd1 x+1 4- +
4x‹-7x€+3x x x€ =4
098 lim
x‹+x-5
= lim
=;2!; 1 5
xd$ xd$
1+ -
x€ x‹

099 -x=t로 놓으면 x cd -$일 때 t cd $이므로


x‹+4x€+x-6 (x+2)(x€+2x-3)
091 lim
x d -2 x€-4
= lim
x d -2 (x+2)(x-2) lim
2x‹+x-2
= lim
-2t‹-t-2
x d -$ x‹+1 td$ -t‹+1
x€+2x-3 1 2
= lim -2- -
x d -2 x-2
= lim t€ t‹ =2
1
=;4#;
td$
-1+
t‹

024 정답과 풀이
3 7 10 x+1
+ + 106 lim =-;3!;에서 x cd -1일 때 (분자) cd 0이고
3x€+7x+10 x x€ x‹ =0 x d -1 x€+ax+b
100 lim
xd$ x‹+5
= lim
xd$ 5
1+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모) cd 0이다.
x‹
즉 lim (x€+ax+b)=0에서
x d -1

1-a+b=0   ∴ b=a-1 …… ㉠
101 lim ("ƒx€+4x-x)
xd$
x+1 x+1
("∂ƒx€+4x-x)("∂ƒx€+4x+x) lim = lim (∵ ㉠)
= lim x d -1 x€+ax+b x d -1 x€+ax+a-1
xd$ "ƒx€+4x+x
x+1
4x 4 = lim
= lim = lim =2 x d -1 (x+1)(x+a-1)
x d $ "ƒx€+4x+x 4
æ√1+ +1
xd$

x 1
= lim
x d -1 x+a-1
1
= =-;3!;
102 lim ("ƒ4x€+x-2x)
xd$
a-2
("ƒ4x€+x-2x)("ƒ4x€+x+2x) 따라서 a=-1이고 ㉠에 대입하면 b=-2
= lim
xd$ "ƒ4x€+x+2x
x 1
= lim = lim =;4!;
xd$ "ƒ4x€+x+2x x d $ æ√ 1
4+ +2 ax‹-bx€+3
x 107 lim
xd$ x€+2x
=2에서 x cd $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a=0
103 -x=t로 놓으면 x cd -$일 때 t cd $이므로 -bx€+3
lim ("ƒx€+3x-1+x) 즉 lim =2에서
x d -$ xd$ x€+2x
= lim ("ƒt€-3t-1-t) 3
td$ -b+
lim x€ =-b=2   ∴ b=-2
("ƒt€-3t-1-t)("ƒt€-3t-1+t) xd$ 2
= lim 1+
td$ "ƒt€-3t-1+t x
1
-3-
-3t-1 t
= lim = lim
t d $ "ƒt€-3t-1+t 3 1
æ√1- - +1
td$

t t€ 'ßx+4-a
108 lim
xd0 x
=b에서 x cd 0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2#;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즉 lim ('ßx+4-a)=0에서
xd0

104 lim ("ƒx€+2x-"ƒx€-2x)


xd$
2-a=0   ∴ a=2

("ƒx€+2x-"ƒx€-2x)("ƒx€+2x+"ƒx€-2x) 'ßx+4-2 ('ßx+4-2)('ßx+4+2)


= lim lim =lim
x x('ßx+4+2)
"ƒx€+2x+"ƒx€-2x
xd0 xd0
xd$

x
4x =lim
= lim x('ßx+4+2)
"ƒx€+2x+"ƒx€-2x
xd0
xd$

1
4 =lim =;4!;=b
= lim
2 2
=2 xd0 'ßx+4+2
æ√1+ +æ√1-
xd $

x x

x€+ax+b ÷f(x)
105 lim
xd2 x-2
=5에서 x cd 2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 109 lim
xd$ x€+3
=1에서

이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f(x)=x€+ax+b (a, b는 상수)


즉 lim (x€+ax+b)=0에서 ÷f(x)
xd2 lim =1에서 x cd 1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존재
xd1 x-1
4+2a+b=0   ∴ b=-2a-4 …… ㉠
하므로 (분자) cd 0이다.
x€+ax+b x€+ax-2a-4
lim =lim (∵ ㉠) 즉 lim ÷f(x)=f(1)=1+a+b=0   ∴ b=-a-1
xd2 x-2 xd2 x-2 xd1

(x-2)(x+a+2) x€+ax-a-1 (x-1)(x+a+1)


=lim lim =lim
xd2 x-2 xd1 x-1 xd1 x-1
=lim (x+a+2) =lim (x+a+1)=a+2=1
xd2 xd1

=a+4=5 따라서 a=-1, b=0이므로


따라서 a=1이고 ㉠에 대입하면 b=-6 ÷f(x)=x€-x

02. 함수의 극한의 성질 025


÷f(x) x€-3x x€+1
110 lim
xd$ x€+1
=2에서 114 x€+7
<÷f(x)<
x€
에서

÷f(x)=2x€+ax+b (a, b는 상수) x€-3x x€+1


lim = lim =1
÷f(x) xd$ x€+7 xd$ x€
lim =-1에서 x cd 1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x d1 x-1 ∴ lim ÷f(x)=1
xd$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즉 lim ÷f(x)=f(1)=2+a+b=0   ∴ b=-a-2
xd1

2x€+ax-a-2 (x-1)(2x+a+2)
lim =lim
xd1 x-1 xd1 x-1 115 x€+3>0이므로
=lim (2x+a+2)=a+4=-1 2x€-3 2x€+5
xd1 <÷f(x)<
x€+3 x€+3
따라서 a=-5, b=3이므로
2x€-3 2x€+5
÷f(x)=2x€-5x+3 이때 lim = lim =2이므로
xd$ x€+3 x d $ x€+3

lim ÷f(x)=2
xd$

÷f(x)
111 lim
xd$ 2x€-x+1
=1에서

÷f(x)=2x€+ax+b (a, b는 상수) 116 3x€+1>0이므로


÷f(x) x€+x-1 x€+x+4
lim =1에서 x cd 2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f(x)<
xd2 x€-x-2 3x€+1 3x€+1
x€+x-1 x€+x+4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이때 lim = lim =;3!;이므로
xd$ 3x€+1 x d $ 3x€+1
즉 lim ÷f(x)=f(2)=8+2a+b=0   ∴ b=-2a-8
xd2
lim ÷f(x)=;3!;
2x€+ax-2a-8 (x-2)(2x+a+4) xd$
lim =lim
xd2 x€-x-2 xd2 (x-2)(x+1)
2x+a+4 a+8
=lim = =1
xd2 x+1 3
따라서 a=-5, b=2이므로
÷f(x)=2x€-5x+2

÷f(x)-x‹
112 lim
xd$ x€
=2에서

÷f(x)=x‹+2x€+ax+b (a, b는 상수)


÷f(x)
lim =-3에서 x cd 0일 때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xd0 x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즉 lim ÷f(x)=f(0)=b=0
xd0

x‹+2x€+ax x(x€+2x+a)
lim =lim
xd0 x xd0 x
=lim (x€+2x+a)=a=-3
xd0

따라서 a=-3, b=0이므로


÷f(x)=x‹+2x€-3x

5x-3 5x+7
113 x
<÷f(x)<
x
에서

5x-3 5x+7
lim = lim =5
xd$ x xd$ x
∴ lim ÷f(x)=5
xd$

026 정답과 풀이
03 함수의 연속 26쪽~31쪽 119 ⑴ x=0에서 연속이려면 ÷f(0)=lim ÷ f(x)이어야 하므로
xd0

a=lim (x€-1)=-1
xd0

117 ⑴ x=-2에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ㄴ) ⑵ x=0에서 연속이려면 ÷f(0)=lim ÷f(x)이어야 하므로
xd0
⑵ x=0에서 극한값은 존재하지만 lim ÷f(x)+÷f(0)이다.(ㄷ)
xd0
a=lim |x|=0
xd0
⑶ ‌x=3에서 함숫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함수 ÷f(x)는 x=3
⑶ x=1에서 연속이려면 ÷f(1)=lim ÷f(x)이어야 하므로
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다.(ㄱ) xd1

x€-1 (x-1)(x+1)
a=lim =lim
x d 1 x-1 xd1 x-1

118 ⑴ 함수 ÷f(x)=x€의 그래프는 y y=f(x) =lim (x+1)=2


xd1

오른쪽과 같고 ⑷ x=2에서 연속이려면 lim ÷f(x)의 값이 존재하여야 하므로


xd2
lim ÷f(x)=lim x€=0=÷f(0)
xd0 xd0 lim ÷f(x)= lim ÷ f(x)이어야 한다.
x d 2- x d 2+
이므로 x=0에서 연속이다.
x lim ÷f(x)= lim (-x+2)=0
O x d 2- x d 2-

lim ÷f(x)= lim (x+a)=2+a


x d 2+ x d 2+

⑵ 함수 ÷f(x)=|x-1|의 그래프는 y 에서 2+a=0   ∴ a=-2


오른쪽과 같고 y=f(x) ⑸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f(x)의 값이 존재하여야 하므로
xd1
lim ÷f(x)=lim ÷|x-1|=0
xd1 xd1 lim ÷f(x)= lim ÷f(x)이어야 한다.
x d 1- x d 1+
=÷f(1) 1
x
lim ÷f(x)= lim (x€+x)=2
O 1 x d 1- x d 1-
이므로 x=1에서 연속이다.
lim ÷f(x)= lim (-x+a)=-1+a
x d 1+ x d 1+

x€-1 (x+0) 에서 2=-1+a   ∴ a=3


⑶ 함수 ÷f(x)=[ 의 y
0 (x=0) y=f(x)
그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이때
lim ÷f(x)=lim (x€-1)=-1,
xd0 xd0
-1 O 1 x
÷f(0)=0이므로
lim ÷f(x)+÷f(0) -1
xd0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x (x<0)
⑷ 함수 ÷f(x)=[ 의 y
0(x>0) 120 ⑴ x=1에서 연속이려면 ÷f(1)=lim ÷f(x)이어야 하므로
xd1
그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이때
lim ÷f(x)= lim ÷x=0, y=f(x) x€-a
O b=lim
x d 0- x d 0-
x xd1 x-1
lim ÷f(x)= lim ÷0=0에서
x d 0+ x d 0+ 한편 x cd 1일 때, (분모) cd 0이므로 (분자) cd 0이어야 한다.
lim ÷f(x)=0 즉 lim (x€-a)=0에서 1-a =0   ∴ a= 1
xd0
xd1

÷f(0)=0이므로 x€-1 (x-1)(x+1)


∴ b=lim =lim
lim ÷f(x)=÷f(0) xd1 x-1 xd1 x-1
xd0
=lim (x+1)= 2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다. xd1

∴ a= 1 , b= 2
x(x<0)
⑸ 함수 ÷f(x)=[ 의 y ⑵ x=2에서 연속이려면 ÷f(2)=lim ÷f(x)이어야 하므로
-x+2 (x>0) xd2

그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이때 2 x€+x+a


b=lim
xd2 x-2
lim ÷f(x)= lim ÷x=0 O
x d 0- x d 0-
2 x 한편 x cd 2일 때 (분모) cd 0이므로 (분자) cd 0이어야 한다.
lim ÷f(x)= lim (-x+2)=2
x d 0+ x d 0+ 즉 lim (x€+x+a)=6+a=0   ∴ a=-6
y=f(x) xd2
즉 lim ÷f(x)+ lim ÷f(x)
x d 0- x d 0+ x€+x-6 (x-2)(x+3)
∴ b=lim =lim
이므로 x=0에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d2 x-2 xd2 x-2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lim (x+3)=5


xd2

03. 함수의 연속 027


⑶ x=-1에서 연속이려면 ÷f(-1)= lim ÷f(x)이어야 하므로 124 ⑴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
x d -1

'ßx+2-a ÷f(x)='ßx+2-1은 열린구간


y=f(x)
b= lim
x d -1 x+1 (-2, $)에서 연속이고 '2-1
‌한편 x cd -1일 때 (분모) cd 0이므로 (분자) cd 0이어야 lim ÷f(x)=÷f(-2)=-1 -2 O x
x d -2+ -1
한다.
이므로 반닫힌 구간 $-2, $)
즉 lim ('ßx+2-a)=1-a=0   ∴ a=1
x d -1 에서 연속이다.
'ßx+2-1 ⑵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
∴ b= lim
x d -1 x+1
5
('ßx+2-1)('ßx+2+1) ÷f(x)= 는 열린구간
2x+3 y=f(x)
= lim
x d -1 (x+1)('ßßx+2+1) -;2#;
{-$, -;2#;}, {-;2#;, $} O x
x+1
= lim
x d -1 (x+1)('ßßx+2+1)
에서 연속이다.
1
= lim =;2!; ⑶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
x d -1 'ßßx+2+1
x+1
÷f(x)= 은 열린구간 y=f(x)
x-2
1
121 x=-1에서 연속이려면 ÷f(-1)= lim f(x)이어야 하므로 x d -1
(-$, 2), (2, $) O
에서 연속이다. -1 2 x
x€+ax+b
-3= lim
x d -1 x+1 -;2!;

‌한편 x cd -1일 때 (분모) cd 0이므로 (분자) cd 0이어야


한다.
즉 lim (x€+ax+b)=1-a+b=0   ∴ b=a-1
x d -1

∴ lim
x€+ax+a-1
= lim
(x+1)(x+a-1) 125 두 함수 ÷f(x)=x-1, g(x)=x€-x-2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
x d -1 x+1 x d -1 x+1 이다.
= lim (x+a-1) ⑴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f(x)+g(x)는 모든 실수,
x d -1

=a-2=-3 즉 구간 (-$, $)에서 연속이다.

∴ a=-1, b=-2 ⑵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f(x)g(x)는 모든 실수, 즉


구간 (-$, $)에서 연속이다.
⑶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122 ⑴ ‌함수 ÷f(x)=x€-3x+2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g(x) x€-x-2
(-$, $) =
÷f(x) x-1
⑵ ‌함수 ÷f(x)='ßx-2의 정의역은 x>2이므로
는 x+1 인 모든 실수, 즉 구간 (-$, 1) , (1, $) 에서
$2, $)
연속이다.
2
⑶ 함수 ÷f(x)= -5의 정의역은 x+-1인 모든 실수이
x+1 ⑷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므로 (-$, -1), (-1, $) ÷f(x) x-1 x-1
= =
g(x) x€-x-2 (x+1)(x-2)
‌은 x+-1, x+2인 모든 실수, 즉 구간 (-$, -1),
2x+1 5
123 함수 ÷f(x)=
x-2
=
x-2
+2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 2), (2, $)에서 연속이다.

y=f(x)

126 두 함수 ÷f(x)=x€-1, g(x)=x€-4x+3은 모든 실수에서 연


2
속이다.

O
⑴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3÷f(x)-2g(x)는 모든 실수,
2 x 즉 구간 (-$, $)에서 연속이다.
-;2!; 1 1 1
⑵ = =
÷f(x)+g(x) 2x€-4x+2 2(x-1)€
1
⑴_ ⑵◯ 따라서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은
÷f(x)+g(x)
⑶_ ⑷_
⑸◯ ⑹◯ ‌x+1인 모든 실수, 즉 구간 (-$, 1), (1, $)에서 연속이다.

028 정답과 풀이
1 1 1 x€+x+a
⑶ = = ⑶ x+-1일 때, ÷f(x)=
g(x)-2÷f(x) -x€-4x+5 -(x+5)(x-1) x+1
1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f(x)는 x=-1에
따라서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은
g(x)-2÷f(x) 서 연속이다.
‌x+-5, x+1인 모든 실수, 즉 구간 (-$, -5), (-5, 1), 즉 ÷f(-1)= lim ÷f(x)이어야 하고, x cd -1일 때
x d -1
(1, $)에서 연속이다.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f(x)+g(x) 2x€-4x+2 2x€-4x+2
⑷ = = lim (x€+x+a)=1-1+a=0   ∴ a=0
÷f(x)-g(x) ÷4x-4 ÷4(x-1) x d -1

÷f(x)+g(x) x€+x
따라서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는 ∴ ÷f(-1)= lim ÷f(x)= lim
÷f(x)-g(x) x d -1 x d -1 x+1
x(x+1)
x+1인 모든 실수, 즉 구간 (-$, 1), (1, $)에서 연속이다. = lim = lim x=-1
x d -1 x+1 x d -1

129 x+2일 때, ÷f(x)= x€+ax-10


x-2

127 ⑴ ÷f(x)=x+ x1 = x€+1


x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f(x)는 x=2에서 연
속이다.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f(x)는 x=0에서 정의되지
즉 ÷f(2)=lim ÷f(x)이어야 하고, x cd 2일 때 (분모) cd 0이고,
않으므로 구간 $-1, 1&에서 불연속이다. xd2

⑵ ‌함수 g(x)=2x-1, h(x)=x€+3이라 하면 두 함수 g(x),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g(x) lim (x€+ax-10)=2a-6=0   ∴ a=3
xd2
h(x)는 구간 $-1, 1&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 도
h(x)
x€+3x-10
∴ ÷f(2)= lim ÷f(x)= lim
이 구간에서 연속이다. xd2 xd2 x-2
⑶ ‌함수 g(x)=x, h(x)=|x-1|이라 하면 두 함수 g(x), (x-2)(x+5)
= lim
h(x)는 구간 $-1, 1&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xd2 x-2
÷f(x)=g(x)h(x)도 이 구간에서 연속이다. =lim (x+5)=7
xd2

⑷ ‌함수 g(x)=2x€, h(x)=|x|라 하면 두 함수 g(x), h(x)는 ∴ ÷a+f(2)=3+7=10÷


구간 $-1, 1&에서 연속이지만 함수 ÷
g(x) 130 ⑴ ÷f(x)=x€-4x-1=(x-2)€-5 y y=f(x)
f(x)= 는 x=0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구간 $-1, 1&
h(x) 4
‌함수 ÷f(x)=x€-4x-1은 닫힌구
에서 불연속이다.
간 $-1, 3&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
23
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1 O x
른쪽과 같다. -1
-4
x€-1 따라서 ÷f(x)는 -5
128 ⑴ x+1일 때, ÷f(x)= x-1
x= -1 에서 최댓값 4 ,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f(x)는 x=1 에서
x= 2 에서 최솟값 -5 를 갖는다.
연속이다. 즉 ÷f(1)= lim ÷f(x) 이므로
xd1
⑵ ÷f(x)=-x€+2x+2=-(x-1)€+3
x€-1 함수 ÷f(x)=-x€+2x+2는 닫 y
÷f(1)= lim ÷f(x)= lim
xd1 x d 1 x-1
‌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3
(x-1)(x+1) 2
= lim 이 구간에서 함수 y=÷f(x)의
xd1 x-1
그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 lim (x+1)= 2 x
xd1 -1 O 1 2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1
x€-4
⑵ x+-2일 때, ÷f(x)= 최댓값 3, x=-1에서 최솟값
x+2 y=f(x)
-1을 갖는다.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f(x)는 x=-2에
서 연속이다. 즉 ÷f(-2)= lim ÷f(x)이므로
x d -2
⑶ 함수 ÷f(x)='åßx-1은 닫힌구간 y

x€-4 ‌$1, 10&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


÷f(-2)= lim ÷f(x)= lim ÷ y=f(x)
x d -2 x d -2 x+2 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3
(x+2)(x-2) 른쪽과 같다.
= lim
x d -2 x+2 O 1 10 x
‌따라서 함수 ÷f(x)는 x=10에서
= lim (x-2)=-4 ‌최댓값 3, x=1에서 최솟값 0을 갖는다.
x d -2

03. 함수의 연속 029


⑷ 함수 ÷f(x)='ß6-2x 는 닫힌구간 y ⑷ 함수 ÷f(x)='ßx+1+3은 반닫힌  y
‌$-3, 1&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 y=f(x) 구간
‌ $0, 3)에서 연속이고 이 구 5 y=f(x)
2'3 4
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2
간에서 함수 y=÷f(x)의 그래 3
른쪽과 같다.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3 O 1 3 x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1
O 3 x
x=-3에서 최댓값 2'3, 최솟값 4를 갖고, 최댓값은 없다.
x=1에서 최솟값 2를 갖는다.
4
2 ⑸ 함수 ÷f(x)= 는 반닫힌 구간 y
⑸ 함수 ÷f(x)= 는 닫힌구간  y x+1
x-1
‌$1, 5)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4
‌$-3, 0&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 -3 O 1
x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2 y=f(x)
-;2!; ;3@;
그림과 같다.
른쪽과 같다. -2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최 -1 O 1 5 x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y=f(x)
댓값 2를 갖고, 최솟값은 없다.
최댓값 -;2!;, x=0에서 최솟값 -2를 갖는다.

x-6
2x+1 5 ⑹ 함수 ÷f(x)= 은 반닫힌 구간 y
⑹ f(x)= = +2 y x-2
x-2 x-2 5
‌$-2, 1)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
7
2x+1
함수 ÷f(x)= 은 닫힌구간 y=f(x) 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3
x-2 11 y=f(x)
3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3,
‌ 5&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1
2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O 2 3 5 x -2 O 1 2 x
최솟값 2를 갖고, 최댓값은 없다.
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최댓값 7, x=5에서 최솟값 ;;¡3;¡ ;


⑺ 함수 ÷f(x)=x€+2x-5는  y y=f(x)
을 갖는다. 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 -1 O x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5
최솟값 -6을 갖고, 최댓값은 없다. -6

131 ⑴ 함수 ÷f(x)=x€+2는 반닫힌 구간 y y=f(x)


‌(-1, 2&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6
3
⑻ 함수 ÷f(x)= -2는 구간 y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x+1
3
그림과 같다. ‌(-1, $)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
2 1 ;2!;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 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x
x -1 O
-1 O 2 y=f(x)
값 6, x=0에서 최솟값 2를 갖는다.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은 없다.
⑵ 함수 ÷f(x)=-x€+2x는 열린구 y
‌간 (-1, 2)에서 연속이고 이 1
구간에서 함수 y=÷f(x)의 그래 O
-1 1 2 x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1을 갖고, 최솟값은 없다. -3
y=f(x) 132 ⑴ f(x)=2x‹+3x€-4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0, 1&에서
연속이고
⑶ 함수 ÷f(x)=-x€+4x-1은 반닫 y
‌힌 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이 3 ÷f(0)=-4 < 0, ÷f(1)=1 > 0

구간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 O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1 2 x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0, 1)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 따라서 방정식 2x‹+3x€-4=0은 열린구간 (0, 1) 에서 적
값 3을 갖고, 최솟값은 없다. -6
y=f(x) 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030 정답과 풀이
⑵ ‌÷f(x)=x‹+3x-2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0, 1&에서 x€-1 (x-1)(x+1)
139 lim ÷f(x)= lim
x d 1- x d 1-
= lim
|x-1| x d 1- -(x-1)
연속이고
= lim {-(x+1)}=-2
÷f(0)=-2<0, ÷f(1)=2>0 x d 1-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0, 1) x€-1 (x-1)(x+1)


lim ÷ f(x)= lim = lim
x d 1+ x d 1+ |x-1| x d 1+ x-1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lim (x+1)=2
‌따라서 방정식 x‹+3x-2=0은 열린구간 (0, 1)에서 적어도 x d 1+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 xlim


d 1-
÷ f(x)+ lim ÷f(x)
x d 1+
⑶ ÷‌f(x)=x›-6x+2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1, 1& 따라서 lim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x=1에서 불연속
xd1
에서 연속이고
이다.
÷f(-1)=9>0, ÷f(1)=-3<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1, 1)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방정식 x›-6x+2=0은 열린구간 (-1, 1)에서 적어
140 lim ÷f(x)=lim ÷(x€-3)=-3이고
xd0 xd0

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f(0)=0이므로 lim


xd0
÷f(x)+÷f(0)이다.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133 ÷f(-3)=-1<0, ÷f(-2)=1>0이므로 -3<x<-2에서 적


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x€-4 (x-2)(x+2)
f(-2)=1>0, ÷f(-1)=-3<0이므로 141 lim ÷f(x)=lim
xd2 xd2 x-2
=lim
xd2 x-2
-2<x<-1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 lim
xd2
÷(x+2)=4=÷f(2)
÷f(0)=0이므로 x=0은 하나의 실근이다.
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 ÷f(1)=3>0, ÷f(2)=-5<0이므로 1<x<2에서 적어도 하나
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f(x)=0은 -3<x<2에서 적어도 4개의 실근을
갖는다.
142 x=-1에서 연속이려면 ÷f(-1)= lim ÷f(x)이어야 하므로x d -1

a= xlim
d -1
(x€+x)=0
참고

주어진 조건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43 x=1에서 연속이려면 ÷f(1)=lim ÷f(x)이어야 하므로


xd1
-3 -2 -1 0 1 2 x
÷f(1)=2+a, lim (-x€+x)=0
y=f(x) xd1

에서 2+a=0   ∴ a=-2

144 x=-1에서 연속이려면 ÷f(-1)= lim ÷f(x)이어야 하므로x d -1

x‹+1 (x+1)(x€-x+1)
a= lim = lim
x d -1 x+1 x d -1 x+1
더블클릭 32쪽~34쪽
= xlim (x€-x+1)=3
d -1

134 x=-2, x=1


145 x=1에서 연속이려면 ÷f(1)=lim ÷f(x)이어야 하므로
135 x=-1, x=1 xd1

x€+ax+3
b=lim
xd1 x-1
136 x=0 한편 x cd 1일 때 (분모) cd 0이므로 (분자) cd 0이어야 한다.
즉 lim
xd1
(x€+ax+3)=a+4=0   ∴ a=-4
137 x=-2, x=-1, x=0, x=1 x€-4x+3 (x-1)(x-3)
∴ lim =lim
xd1 x-1 xd1 x-1
= lim (x-3)=-2
138 ÷f(0)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 xd1

이다. ∴ a=-4, b=-2

03. 함수의 연속 031


÷f(x)+g(x)
146 x=0에서 연속이려면 ÷f(0)=lim ÷f(x)이어야 하므로
xd0 154 =
x€-2x+1
=
x€-2x+1
÷f(x)-g(x) -x€+4x-3 -(x-1)(x-3)
'ßx+1-a ÷f(x)+g(x)
b=lim
xd0 x 따라서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는
÷f(x)-g(x)
한편 x cd 0일 때 (분모) cd 0이므로 (분자) cd 0이어야 한다.
x+1, x+3인 모든 실수, 즉 구간 (-$, 1), (1, 3), (3, $)에
즉 lim ('ßx+1-a)=1-a=0   ∴ a=1
xd0 서 연속이다.
'ßx+1-1 ('ßx+1-1)('ßx+1+1)
∴ lim =lim
xd0 x xd0 x('ßx+1+1)
x
=lim
xd0 x('ßx+1+1) 155 ÷f(x)=x+ x€1 = x‹+1
x€
1
=lim =;2!;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f(x)는 x=0에서 정의되지 않
xd0 'ßx+1+1
으므로 구간 $-1, 1&에서 불연속이다.
∴ a=1, b=;2!;

147 x=1에서 연속이려면 ÷f(1)=lim ÷f(x)이어야 하므로


xd1 156 함수 g(x)=x-1, h(x)=x€+1이라 하면 두 함수 g(x), h(x)
x-1 는 구간 $-1, 1&에서 연속이므로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b=lim
xd1 x‹+a g(x)
함수 ÷f(x)= 도 이 구간에서 연속이다.
한편 x cd 1일 때 (분자) cd 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므 h(x)
로 (분모) cd 0이어야 한다.
즉 lim
xd1
÷(x‹+a)=1+a=0   ∴ a=-1

∴ lim
x-1
=lim
x-1 157 함수 g(x)=|x-1|, h(x)=|x+1|이라 하면 두 함수 g(x),
xd1 x‹-1 x d 1 (x-1)(x€+x+1) h(x)는 구간 $-1, 1&에서 연속이므로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
1 여 함수 ÷f(x)=g(x)+h(x)도 이 구간에서 연속이다.
=lim =;3!;
x d 1 x€+x+1

∴ a=-1, b=;3!;

158 x+3일 때, ÷f(x)= x€-9


x-3
148 함수 ÷f(x)="ƒx€+2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f(x)는 x=3에서 연
÷f(x)는 (-$, $)에서 연속이다.
속이다.
x€-9
5 ∴ ÷f(3)=lim ÷f(x)=lim
x-3
149 함수 ÷f(x)=
x+3
의 정의역은 x+-3인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 xd3 xd3

(x-3)(x+3)
로 함수 ÷f(x)는 (-$, -3), (-3, $)에서 연속이다. =lim
xd3 x-3
=lim (x+3)=6
xd3
2 2
150 함수 ÷f(x)=
x€-x
=
x(x-1)
의 정의역은 x+0, x+1인 실

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함수 ÷f(x)는 (-$, 0), (0, 1), (1, $)에


서 연속이다.
159 x+-2일 때, ÷f(x)= x€+x+a
x+2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f(x)는 x=-2에서
151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2÷f(x)+g(x)는 모든 실수, 즉 연속이다.
구간 (-$, $)에서 연속이다.
즉 ÷f(-2)= lim ÷f(x)이어야 하고, x cd -2일 때
x d -2

(분모) cd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152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f(x)g(x)는 모든 실수, 즉 구간
(-$, $)에서 연속이다. lim (x€+x+a)=2+a=0   ∴ a=-2
x d -2

x€+x-2
∴ ÷f(-2)= lim ÷f(x)= lim
x d -2 x d -2 x+2
÷f(x) x-1 x-1
153 g(x)
=
x€-3x+2
=
(x-1)(x-2) (x+2)(x-1)
= lim
x d -2 x+2
÷f(x)
따라서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는 x+1, x+2인 = lim (x-1)=-3
g(x) x d -2

모든 실수, 즉 구간 (-$, 1), (1, 2), (2, $)에서 연속이다. ∴ a+÷f(-2)=-2+(-3)=-5

032 정답과 풀이
160 x+2일 때, ÷f(x)= x€+ax-8
x-2
165 ÷f(x)=x‹+2x-4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f(x)는 x=2에서 연
÷f(-1)=-7<0, ÷f(2)=8>0
속이다.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1, 2)
즉 ÷f(2)=lim ÷f(x)이어야 하고, x cd 2일 때 (분모) cd 0이고
xd2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cd 0이다. 따라서 방정식 x‹+2x-4=0은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lim (x€+ax-8)=2a-4=0   ∴ a=2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xd2

x€+2x-8
∴ ÷f(2)=lim ÷ f(x)=lim
xd2 xd2 x-2
(x-2)(x+4)
=lim
xd2 x-2 166 ÷f(-2)=-3<0, ÷f(-1)=1>0이므로
=lim (x+4)=6 -2<x<-1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xd2
÷f(0)=2>0, ÷f(2)=-1<0이므로
0<x<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2, 2)에서 적어도 2개의
161 함수 ÷f(x)=x€+2x는 닫힌구간 y y=f(x)
$-2, 2&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8 실근을 갖는다.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1
-2 O 2 x 167 ÷f(-3)=-2<0, ÷f(-2)=1>0이므로
x=2에서 최댓값 8, x=-1에서 -1
-3<x<-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최솟값 -1을 갖는다.
÷f(-1)=1>0, ÷f(0)=-2<0이므로
-1<x<0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f(0)=-2<0, ÷f(2)=5>0이므로
162 함수 ÷f(x)='ß8-2x 는 닫힌구간 y
0<x<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4, 2&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 y=f(x) 4 따라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3, 2)에서 적어도 3개의
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2 실근을 갖는다.
른쪽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4 O 2 4 x

x=-4에서 최댓값 4, x=2에서


최솟값 2를 갖는다.

163 함수 ÷f(x)= 2x+3


x-1
은 닫힌구간 y
7
$2, 5&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함
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과 y=f(x)
13
같다. 4
따라서 함수 f(x)는 2
O1 2 5 x
x=2에서 최댓값 7, x=5에서

최솟값 ;;¡4£;; 을 갖는다.

164 ÷f(x)=2x‹+3x€-4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0, 1&에서


연속이고
÷f(0)=-4<0, ÷f(1)=1>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0, 1)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방정식 2x‹+3x€-4=0은 열린구간 (0, 1)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03. 함수의 연속 033


2
⑶ 함수
‌ ÷f(x)=x€-2x에서 x의 값이 1에서 a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y ÷f(a)-÷f(1) (a€-2a)-(1€-2)
= =
¯x a-1 a-1
미분 =
a€-2a+1
=
(a-1)€
=a-1=1
a-1 a-1
01 미분계수 36쪽~40쪽 ∴ a=2
⑷ ‌함수 ÷f(x)=-x€+ax에서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때
¯y ÷f(2)-÷f(-1)
001 ⑴ ¯x
=
2-(-1)
의 평균변화율은
¯y ÷f(3)-÷f(-1) (-3€+3a)-{-(-1)€-a}
(-2€+3*2)-{-(-1)€+3*(-1)} = =
= ¯x 3-(-1) 4
3
4a-8
2-(-4) = =-2
= =2 4
3
4a-8=-8   ∴ a=0
¯y ÷f(4)-÷f(0) (-4€+3*4)-0
= = =-1
¯x

4-0 4
¯y ÷f(5)-÷f(2) (-5€+3*5)-(-2€+3*2)
= ÷=
¯x

5-2 3
-10-2
004 함수 ÷f(x)=x€+ax+3에서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때의 평
= =-4 균변화율은
3
¯y ÷f(3)-÷f(1) (3€+3a+3)-(1€+a+3)
= ÷=
¯x 3-1 2
¯y ÷f(3)-÷f(-1) (2*3+3)-{2*(-1)+3} 2a+8
002 ⑴ ¯x
=
3-(-1)
=
4
=
2
=2

9-1 2a+8=4   ∴ a=-2


= =2
4
¯y ÷f(2)-÷f(0) (2*2€+1)-1
= =
¯x

2-0 2
9-1 ÷f(1+¯x)-÷f(1)
=
2
=4 005 ⑴ ÷f÷'(1)= lim¯x d 0 ¯x
¯y ÷f(a+¯x)-÷f(a) = lim
(1+¯x)€-1
= lim
( 2+¯x )¯x

¯x
=
(a+¯x)-a ¯x d 0 ¯x ¯x d 0 ¯x
{-3(a+¯x)+2}-(-3a+2) = lim (2+¯x)= 2
=
¯x ¯x d 0

÷f(5+¯x)-÷f(5)
⑵ ÷f÷'(5)= lim
=
-3¯x
=-3 ¯x d 0 ¯x
¯x
÷{(5+¯x)+2}-(5+2)
¯y ÷f(a+¯x)-÷f(a) = lim
¯x
= ¯x d 0
¯x

(a+¯x)-a
¯x
{(a+¯x)€+2(a+¯x)}-(a€+2a) = lim =1
= ¯x d 0 ¯x
¯x
÷f(3+¯x)-÷f(3)
(2a+¯x+2)¯x ⑶ ÷f÷'(3)= lim
= =2a+¯x+2 ¯x d 0 ¯x
¯x
{2(3+¯x)€-1}-(2*3€-1)
= lim
¯x d 0 ¯x
(2¯x+12)¯x
003 ⑴ ‌함수 ÷f(x)=x€-x에서 x의 값이 1에서 a까지 변할 때의 평 = lim
¯x d 0 ¯x
균변화율은
= lim (2¯x+12)=12
¯y ÷f(a)- ÷f(1) (a€-a)- 0 ¯x d 0
= =
¯x

a-1 a-1 ⑷ ÷f÷'(-1)
a(a-1) f(-1+¯x)-÷f(-1)
= =a=2 = lim ÷
a-1 ¯x d 0 ¯x
⑵ ‌함수 ÷f(x)=x€에서 x의 값이 1에서 a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 {(-1+¯x)€+(-1+¯x)+2}-{(-1)€+(-1)+2}
= lim
화율은 ¯x d 0 ¯x

¯y ÷f(a)-÷f(1) (a-1)(a+1) (¯x-1)¯x


a€-1 = lim
¯x
=
a-1
=
a-1
=
a-1 ¯x d 0 ¯x

=a+1=4   ∴ a=3 = lim (¯x-1)=-1


¯x d 0

034 정답과 풀이
⑸ ÷f÷'(-2) ÷f(a+¯x)-÷f(a)
÷f÷'(a)= lim
÷f(-2+¯x)-÷f(-2) ¯x d 0 ¯x
= lim
¯x d 0 ¯x {(a+¯x)‹-1}-(a‹-1)
= lim
{-(-2+¯x)€+2(-2+¯x)}-{-(-2)€+2*(-2)} ¯x d 0 ¯x
= lim
¯x d 0 ¯x {(¯x)€+3a¯x+3a€}¯x
= lim
(6-¯x)¯x ¯x d 0 ¯x
= lim
¯x d 0 ¯x = lim {(¯x)€+3a¯x+3a€}=3a€
¯x d 0
= lim (6-¯x)=6 따라서 3a€=3이므로 a=1 (∵ -1<a<2)
¯x d 0

006 ⑴ x의 값이 0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f(2)-÷f(0) 6 ÷f(a+3h)-÷f(a)

2-0
=
2
= 3 008 ⑴ lim
hd0 h
또, x=a에서의 미분계수는 f(a+3h)-÷f(a)
=lim * 3
÷f(a+¯x)-÷f(a)
hd0 3 h
÷f÷'(a)= lim
¯x d 0 ¯x =÷f÷'(a)* 3 = 6
{(a+¯x)€+(a+¯x)}-(a€+a) ÷f(a+3h)-÷f(a)
= lim
¯x d 0 ¯x ⑵ lim
hd0 2h
( 2a+¯x+1 )¯x ÷f(a+3h)-÷f(a)
= lim
¯x d 0 ¯x
= 2a+1 =lim *;2#;
hd0 3h
따라서 2a+1= 3 이므로 a= 1
=÷f÷'(a)*;2#;=3
⑵ x의 값이 -2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f(2)-÷f(-2) 0-8 ÷f(a-2h)-÷f(a)
÷= =-2 ⑶ lim
2-(-2) 4 hd0 h
또, x=a에서의 미분계수는 ÷f(a-2h)-÷f(a)
=lim *(-2)
÷f(a+¯x)-÷f(a) hd0 -2h
÷f÷'(a)= lim
¯x d 0 ¯x =÷f÷'(a)*(-2)=-4
{(a+¯x)€-2(a+¯x)}-(a€-2a) ÷f(a+h)-÷f(a-h)
= lim ÷ ⑷ lim
¯x d 0 ¯x hd0 h
(2a+¯x-2)¯x f(a+h)-÷f(a)-÷f(a-h)+÷f(a)
= lim ÷ =lim ÷
¯x d 0 ¯x hd0 h
= lim (2a+¯x-2) ÷f(a+h)-÷f(a) ÷f(a-h)-÷f(a)
¯x d 0 =lim +lim
hd0 h hd0 -h
=2a-2
=÷f÷'(a)+÷f÷'(a)=2÷f÷'(a)=4
따라서 2a-2=-2이므로 a=0
÷f(a+3h)-÷f(a-h)
⑶ x의 값이 -2에서 a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⑸ lim
hd0 2h
÷f(a)-÷f(-2) a€+a-2 (a+2)(a-1) f(a+3h)-÷f(a)-÷f(a-h)+÷f(a)
= = =a-1 =lim ÷
a-(-2) a+2 a+2 hd0 2h
또, x=0에서의 미분계수는 f(a+3h)-÷f(a) f(a-h)-÷f(a)
=lim +lim
÷f(0+¯x)-÷f(0) hd0 2h hd0 -2h
÷f÷'(0)= lim
¯x d 0 ¯x f(a+3h)-÷f(a) f(a-h)-÷f(a)
=lim *;2#;+lim *;2!;
{(¯x)€+¯x}-0 hd0 3h hd0 -h
= lim
¯x d 0 ¯x
=;2#;÷f÷'(a)+;2!;÷f÷'(a)=2÷f÷'(a)=4
(¯x+1)¯x
= lim
¯x d 0 ¯x
= lim (¯x+1)=1
¯x d 0

따라서 a-1=1이므로 a=2


÷f(a+3h)-÷f(a-2h)
009 lim
hd0 h
÷f(a+3h)-÷f(a)-÷f(a-2h)+÷f(a)
=lim
007 x의 값이 -1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hd0 h
÷f(2)-÷f(-1) 7-(-2) ÷f(a+3h)-÷f(a) ÷f(a-2h)-÷f(a)
= =3 =lim *3+lim *2
2-(-1) 3 hd0 3h hd0 -2h
또, x=a에서의 미분계수는 =3÷f÷'(a)+2÷f÷'(a)=5÷f÷'(a)=15

01. 미분계수 035


÷f(x)-÷f(1) ÷f(x)-÷f(1) ÷1 ⑶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1)과 같으므로
010 ⑴ lim
xd1 x€-1
=lim
xd1 x-1
*
x+1 ÷f(1+¯x)-÷f(1)
÷f÷'(1)= lim
¯x d 0 ¯x
= f÷'(1) _;2!;= 1
{(1+¯x)€-4(1+¯x)}-(-3)
= lim
÷f(x€)-÷f(1) ÷f(x€)-÷f(1) ¯x d 0 ¯x
⑵ lim =lim *(x+1)
xd1 x-1 xd1 x€-1 (¯x)€-2¯x
= lim
=÷f÷'(1)*lim (x+1)
xd1
¯x d 0 ¯x

=2*2=4 = lim (¯x-2)=-2


¯x d 0

÷f(x)-÷f(1) ÷f(x)-÷f(1) 1 ⑷ 점 (2,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2)와 같으므로


⑶ lim =lim *
xd1 x‹-1 xd1 x-1 x€+x+1
÷f(2+¯x)-÷f(2)
÷f÷'(2)= lim
=÷f÷'(1)* lim
1 ¯x d 0 ¯x
x d 1 x€+x+1
{-(2+¯x)€+3(2+¯x)+2}-4
= lim
=2*;3!;=;3@; ¯x d 0 ¯x
-(¯x)€-¯x
= lim
¯x d 0 ¯x
÷f(x)-÷f(2) ÷f(x)-÷f(2) 1 = lim (-¯x-1)=-1
011 ⑴ lim
xd2 x€-4
=lim
xd2 x-2
*
x+2
¯x d 0

1
=÷f÷'(2)*lim
xd2 x+2

=1*;4!;=;4!;
014 점 A(a, b)는 곡선 ÷f(x)=2x€-3x 위의 점이므로
b=2a€-3a   …… ㉠
÷f(x)-÷f(2) ÷f(x)-÷f(2) 1 점 A(a, 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5이므로
⑵ lim =lim *
xd2 x‹-8 xd2 x-2 x€+2x+4 ÷f(a+¯x)-÷f(a)
÷f÷'(a)= lim
1 ¯x d 0 ¯x
=÷f÷'(2)*lim
x d 2 x€+2x+4
{2(a+¯x)€-3(a+¯x)}-(2a€-3a)
=1*;1¡2;=;1¡2; = lim
¯x d 0 ¯x
2(¯x)€+4a¯x-3¯x
= lim
x‹-1 x-1 x‹-1 ¯x d 0 ¯x
012 lim
xd1
=lim *
÷f(x)-÷f(1) x d 1 ÷f(x)-÷f(1) x-1
= lim (2¯x+4a-3)=4a-3=5
¯x d 0
1 (x-1)(x€+x+1)
=lim *
x d 1 ÷f(x)-÷f(1) x-1 따라서 a=2이므로 ㉠에 대입하면 b=2
÷x-1 ∴ A(2, 2)
1
= *lim (x€+x+1)
÷f÷'(1) x d 1

=;2!;*3=;2#; 015 ⑴ 함수 ÷f(x)의 x=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a)이므로


÷f(a+¯x)-÷f(a)
÷f÷'(a)= lim
¯x d 0 ¯x
013 ⑴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1)과 같으므로 {(a+¯x)€-(a+¯x)-2}-(a€-a-2)
= lim
÷f÷'(-1)= lim
÷f(-1+¯x)-÷f(-1) ¯x d 0 ¯x
¯x d 0 ¯x
(¯x)€+2a¯x-¯x
= lim
= lim
(-1+¯x)€-1 ¯x d 0 ¯x
¯x d 0 ¯x
= lim ( ¯x+2a-1 )= 2a-1
¯x d 0
(¯x)€-2¯x
= lim
¯x d 0 ¯x 따라서 ÷f÷'(a)= 2a-1 =1이므로 a= 1
= lim ( ¯x-2 )= -2
¯x d 0 ⑵ 함수 ÷f(x)의 x=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a)이므로
⑵ 점 (-1, 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1)과 같으므로 ÷f(a+¯x)-÷f(a)
÷f÷'(a)= lim
÷f(-1+¯x)-÷f(-1) ¯x d 0 ¯x
÷f÷'(-1)= lim
¯x d 0 ¯x {(a+¯x)€+(a+¯x)}-(a€+a)
= lim
{-(-1+¯x)€+1}-0 ¯x d 0 ¯x
= lim
¯x d 0 ¯x (¯x)€+2a¯x+¯x
= lim
-(¯x)€+2¯x ¯x d 0 ¯x
= lim
¯x d 0 ¯x = lim (¯x+2a+1)=2a+1
¯x d 0
= lim (-¯x+2)=2
¯x d 0 따라서 ÷f÷'(a)=2a+1=-3이므로 a=-2

036 정답과 풀이
⑶ 함수 ÷f(x)의 x=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a)이므로 ÷f(x)-÷f(0) x|x|
2 lim ÷= lim ÷= lim x=0
÷f(a+¯x)-÷f(a) x d 0+ x x d 0+ x x d 0+
÷f÷'(a)= lim
¯x d 0 ¯x ÷f(x)-÷f(0) x|x|
lim ÷= lim ÷= lim (-x)=0
{(a+¯x)€-3(a+¯x)}-(a€-3a) x d 0- x x d 0- x x d 0-
= lim
¯x d 0 ¯x ‌따라서 ÷f÷'(0)의 값이 존재하므로 함수 ÷f(x)는 x=0에서
÷(¯x)€+2a¯x-3¯x 미분가능하다.
= lim
¯x d 0 ¯x ‌1, 2에서 함수 ÷f(x)=x|x|는 x=0에서 연속이고 미분가
= lim (¯x+2a-3)=2a-3 능하다.
¯x d 0

따라서 ÷f÷'(a)=2a-3=3이므로 a=3 ⑶ 1 lim ÷f(x)=lim ÷|x€-1|=0=÷f(1)이므로 함수 ÷f(x)는


xd1 xd1

⑷ 함수 ÷f(x)의 x=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2)이므로 x=1에서 연속이다.


÷f(2+¯x)-÷f(2) ÷f(x)-÷f(1) |x€-1| x€-1
÷f÷'(2)= lim
¯x d 0 ¯x 2 lim
x d 1+ x-1
= lim
x d 1+ x-1
= lim
x d 1+ x-1

{(2+¯x)€+a(2+¯x)+1}-(2a+5) (x-1)(x+1)
= lim
¯x d 0 ¯x = lim
x d 1+ x-1
(¯x)€+a¯x+4¯x = lim ÷(x+1)=2
= lim
¯x d 0 ¯x x d 1+

÷f(x)-÷f(1) |x€-1| -(x€-1)


= lim (¯x+a+4)=a+4 lim = lim = lim
¯x d 0 x d 1- x-1 x d 1- x-1 x d 1- x-1
따라서 ÷f÷'(2)=a+4=1이므로 a=-3 -(x-1)(x+1)
= lim
x d 1- x-1
= lim ÷-(x+1)=-2
x d 1-

‌따라서 ÷f÷'(1)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016 x의 값이 0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1, 2에서 함수 ÷f(x)=|x€-1|은 x=1에서 연속이지만 미
÷f(2)-÷f(0) 11-1
= =5 분가능하지 않다.
2-0 2
함수 ÷f(x)의 x=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f÷'(a)는
÷f(a+¯x)-÷f(a)
÷f÷'(a)= lim
¯x d 0 ¯x
{(a+¯x)€+3(a+¯x)+1}-(a€+3a+1)
= lim
¯x d 0 ¯x 018 ⑴ lim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 d -1

(¯x)€+2a¯x+3¯x x=-1에서 불연속이다.


= lim
¯x d 0 ¯x
lim f(x)+÷f(2)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xd2
= lim (¯x+2a+3)=2a+3
¯x d 0
따라서 x=-1, x=2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f÷'(a)=2a+3=5이므로 a=1
⑵ ‌함수 ÷f(x)가 x=-1, x=2에서 불연속이므로 함수 ÷f(x)는
x=-1,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함수 ÷f(x)는 x=3에서 연속이지만 뾰족점에서는 ÷f÷'(3)의 값
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3에서 미분가능하지

017 ⑴ 1 lim ÷f(x)=lim |x|=0=÷f(0)이므로 함수 ÷f(x)는 x=0


xd0 xd0
않다.
따라서 x=-1, x=2, x=3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에서 연속이다.
÷f(x)-÷f(0) |x| x
2 lim = lim = lim = 1
x d 0+ x x d 0+ x x d 0+ x

÷f(x)-÷f(0) |x| -x
lim = lim = lim = -1
x d 0- x x d 0- x x d 0- x

따라서 ÷f÷'(0)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019 ⑴ lim ÷ f(x)+÷f(2)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xd2

⑵ ‌함수 ÷f(x)가 x=2에서 불연속이므로 함수 ÷f(x)는 x=2에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
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1, 2에서 함수 ÷f(x)=|x|는 x=0에서 연속 이지만
‌함수 ÷f(x)는 x=1, x=5에서 연속이지만 뾰족점에서는 ÷f÷ '(1),
미분가능하지 않다 .
÷f÷ '(5)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1, x=5
⑵ 1 lim ÷f(x)=lim x|x|=0=÷f(0)이므로 함수 ÷f(x)는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xd0 xd0

x=0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x=1, x=2, x=5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01. 미분계수 037


020 ㄱ. x cd 3일 때 극한값 lim ÷ f(x)는 존재한다. (참) ÷f(-1+¯x)-÷f(-1)
xd3 025 ÷f÷'(-1)= lim
¯x d 0 ¯x
ㄴ. 함수 ÷f(x)가 불연속인 점은 x=3, x=5로 2개이다.(참)
{(-1+¯x)€-3(-1+¯x)}-4
= lim
ㄷ. ‌함수 ÷f(x)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은 x=1, x=3, x=5로 ¯x d 0 ¯x
3개이다. (참) (¯x)€-5¯x
= lim
ㄹ. ‌접선의 기울기 ÷f÷'(x)가 0이 되는 점은 -1과 1 사이에 1개 ¯x d 0 ¯x
밖에 없다. x=1, x=3, x=5인 경우는 미분가능하지 않으 = lim (¯x-5)=-5
¯x d 0

므로 f÷'(x)가 정의되지 않는다. (거짓)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f(-1+¯x)-÷f(-1)
026 ÷f÷'(-1)= lim
¯x d 0 ¯x
{-2(-1+¯x)€+6(-1+¯x)+1}-(-7)
= lim
¯x d 0 ¯x
-2(¯x)€+10¯x
= lim
¯x d 0 ¯x
= lim (-2¯x+10)=10
¯x d 0

027 x의 값이 0에서 3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f(3)-÷f(0) -3
= =-1
3-0 3

더블클릭 41쪽~42쪽 또 x=a에서의 미분계수는


÷f(a+¯x)-÷f(a)
÷f÷'(a)= lim
¯y ¯x d 0 ¯x
÷f(2)-÷f(-1)
021 ¯x
=
2-(-1) {-(a+¯x)€+2(a+¯x)}-(-a€+2a)
= lim
¯x d 0 ¯x
(2*2€+2-5)-{2*(-1)€-1-5}
=
3 -(¯x)€-2a¯x+2¯x
= lim
¯x d 0 ¯x
5-(-4)
= =3
3 = lim (-¯x-2a+2)=-2a+2
¯x d 0

따라서 -2a+2=-1이므로 a=;2#;

¯y ÷f(2)-÷f(0)
022 ¯x
=
2-0
(-2‹+3*2+1)-1
=
2
028 x의 값이 -1에서 1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f(1)-÷f(-1) 0-2
-1-1 = =-1
= =-1 1-(-1) 2
2
또 x=a에서의 미분계수는
÷f(a+¯x)-÷f(a)
÷f÷'(a)= lim
¯x d 0 ¯x
023 x의 값이 1에서 a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5이므로 {(a+¯x)€-(a+¯x)}-(a€-a)
= lim
¯y ÷f(a)-÷f(1) (a€-a+3)-3 ¯x d 0 ¯x
= =
¯x a-1 a-1
(¯x)€+2a¯x-¯x
= lim
a(a-1) ¯x d 0 ¯x
= =a=5
a-1 = lim (¯x+2a-1)=2a-1
¯x d 0

따라서 2a-1=-1이므로 a=0

024 x의 값이 -1에서 1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1이므로


¯y ÷f(1)-÷f(-1) (a+1)-(-a+1)
= =
¯x 1-(-1) 2 ÷f(a-h)-÷f(a) ÷f(a-h)-÷f(a)
029 lim
hd0 h
=lim
hd0 -h
*(-1)
2a
= =a=-1 =-÷f÷'(a)=-2
2

038 정답과 풀이
÷f(a+2h)-÷f(a) ÷f(a+2h)-÷f(a) 036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030 lim =lim *;3@;
hd0 3h hd0 2h
÷f(1+¯x)-÷f(1)
÷f÷'(1)= lim
=;3@;÷f÷'(a)=;3@;*2=;3$; ¯x d 0 ¯x
{(1+¯x)€+2(1+¯x)}-3
= lim
¯x d 0 ¯x
(¯x)€+4¯x
= lim
¯x d 0 ¯x
÷f(a+h)-÷f(a-2h)
031 lim
hd0 h
= lim (¯x+4)=4
¯x d 0

÷f(a+h)-÷f(a)-÷f(a-2h)+÷f(a)
=lim
hd0 h
÷f(a+h)-÷f(a) ÷f(a-2h)-÷f(a)
=lim +lim
hd0 h hd0 -h
÷f(a+h)-÷f(a) ÷f(a-2h)-÷f(a)
037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lim +lim *2 ÷f(-1+¯x)-÷f(-1)
hd0 h hd0 -2h f÷'(-1)= lim
¯x d 0 ¯x
=÷f÷'(a)+2÷f÷'(a)=3÷f÷'(a)=3*2=6
{2(-1+¯x)€+3(-1+¯x)-1}-(-2)
= lim
¯x d 0 ¯x
2(¯x)€-¯x
= lim
¯x d 0 ¯x
÷f(a-3h)-÷f(a+h) = lim (2¯x-1)=-1
032 lim
hd0 h ¯x d 0

÷f(a-3h)-÷f(a)-÷f(a+h)+÷f(a)
=lim
hd0 h
÷f(a-3h)-÷f(a) ÷f(a+h)-÷f(a)
=lim -lim
hd0 h hd0 h
÷f(a-3h)-÷f(a) ÷f(a+h)-÷f(a)
038 점 (1, 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lim *(-3)-lim ÷f(1+¯x)-÷f(1)
-3h h ÷f÷'(1)= lim
¯x
hd0 hd0
¯x d 0
=-3÷f÷'(a)-÷f÷'(a)=-4÷f÷'(a)=-4*2=-8
{-(1+¯x)‹+(1+¯x)}-0
= lim
¯x

¯x d 0

-(¯x)‹-3(¯x)€-2¯x
= lim
¯x d 0 ¯x
f(a+3h)-÷f(a+h) lim ÷{-(¯x)€-3¯x-2}=-2
033 lim
hd0 2h
= ¯x d0

÷f(a+3h)-÷f(a)-÷f(a+h)+÷f(a)
=lim
hd0 2h
÷f(a+3h)-÷f(a) ÷f(a+h)-÷f(a)
=lim -lim
hd0 2h hd0 2h
÷f(a+3h)-÷f(a) ÷f(a+h)-÷f(a) 039 1 lim ÷f(x)=lim ÷x|x-1|=0=÷f(1)이므로 함수
*;2#;-lim *;2!;
xd1 xd1
=lim
hd0 3h hd0 h f(x)는 x=1에서 연속이다.
=;2#;÷ f÷'(a)-;2!;÷f÷'(a)=÷f÷'(a)=2 2 lim
÷f(x)-÷f(1)
= lim
x|x-1|
x d 1+ x-1 x d 1+ x-1
x(x-1)
= lim
x d 1+ x-1
= lim x=1
x d 1+
÷f(x)-÷f(2) ÷f(x)-÷f(2) 1
034 lim
xd2 x‹-8
=lim
xd2 x-2
*
x€+2x+4 ÷f(x)-÷f(1) x|x-1|
lim = lim
x d 1- x-1 x d 1- x-1
=÷f÷'(2)*;1¡2;=3*;1¡2;=;4!;
-x(x-1)
= lim
x d 1- x-1
= lim (-x)=-1
x d 1-

‌따라서 ÷f÷'(1)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1


÷x€-÷4 x-2
035 lim
xd2
=lim
÷f(x)-÷f(2) x d 2 ÷f(x)-÷f(2)
*(x+2)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1, 2에서 함수 ÷f(x)=x|x-1|은 x=1에서 연속이지만 미분
1
= *lim (x+2)=;3!;*4=;3$;
÷f÷'(2) x d 2 가능하지 않다.

01. 미분계수 039


040 1 ÷f(1)=2이고 02 도함수 43쪽~47쪽
lim ÷f(x)= lim (x€+1)=2
x d 1+ x d 1+

lim ÷ f(x)= lim 2x=2 ÷f(x+h)-÷f(x)


x d 1- x d 1- 043 ⑴÷ f÷'(x)=lim
hd0 h
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2(x+h)-2x 2h
÷f(x)-÷f(1) (x€+1)-2 =lim =lim = 2
2 lim = lim hd0 h hd0 h
x d 1+ x-1 x d 1+ x-1
÷f(x+h)-÷f(x) 3-3
(x-1)(x+1) ⑵ ÷f÷'(x)=lim =lim =0
= lim hd0 h hd0 h
x d 1+ x-1
÷f(x+h)-÷f(x)
= lim (x+1)=2 ⑶ ÷f÷'(x)=lim
x d 1+
hd0 h
÷f(x)-÷f(1) 2x-2 {3(x+h)+5}-(3x+5)
lim = lim =lim
x d 1- x-1 x d 1- x-1 hd0 h

2(x-1) 3h
= lim =2 =lim =3
x d 1- x-1 hd0 h

‌따라서 ÷f÷'(1)의 값이 존재하므로 함수 ÷f(x)는 x=1에서 미 ÷f(x+h)-÷f(x)


⑷ ÷f÷'(x)=lim
hd0 h
분가능하다.
{(x+h)€+1}-(x€+1)
x€+1 (x>1) =lim
1, 2에서 함수 ÷f(x)=[ 은 x=1에서 연속이고 hd0 h
2x (x<1)
2hx+h€
미분가능하다. =lim =lim (2x+h)=2x
hd0 h hd0

÷f(x+h)-÷f(x)
⑸ ÷f÷'(x)=lim
hd0 h
{-(x+h)€+2(x+h)}-(-x€+2x)
=lim
hd0 h
041 lim ÷f(x)+f(-2)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x d -2 =lim
-2hx-h€+2h
hd0 h
lim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1에서 불
xd1
=lim (-2x-h+2)=-2x+2
hd0
연속이다.
lim ÷f(x)+÷f(2)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xd2

따라서 x=-2, x=1, x=2에서 불연속이다.

÷f(x+h)-÷f(x)
044 ⑴ ÷f÷'(x)=lim
hd0 h
(x+h)€-x€ 2hx+h€
042 함수 ÷f(x)가 x=-2, x=1, x=2에서 불연속이므로 =lim
hd0 h
=lim
hd0 h
함수 ÷f(x)는 x=-2, x=1,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lim ( 2x+h )= 2x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지만 뾰족점에서는 ÷f÷'(-1)의 hd0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 따라서 ÷f(x)의 x=1에서의 미분계수는 ÷f÷'(1)= 2
지 않다. ÷f(x+h)-÷f(x)
⑵ ÷f÷'(x)=lim
hd0 h
따라서 x=-2, x=-1, x=1,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2(x+h)+3}-(2x+3)
=lim
hd0 h
2h
=lim =2
hd0 h
따라서 ÷f(x)의 x=2에서의 미분계수는 ÷f÷'(2)=2
÷f(x+h)-÷f(x)
⑶ ÷f÷'(x)=lim
hd0 h
{3(x+h)€-2(x+h)}-(3x€-2x)
=lim
hd0 h
6hx+3h€-2h
=lim
hd0 h

= lim
hd0
(6x+3h-2)=6x-2

따라서 ÷f(x)의 x=-2에서의 미분계수는 ÷f÷'(-2)=-14

040 정답과 풀이
÷f(x+h)-÷f(x)
⑷ ÷f÷'(x)=lim
hd0 h
048 ÷f÷'(x)=2x-2, g'(x)=3x€+2x-2
⑴ ÷f÷'(2)=2, g'(2)=14이므로
{-3(x+h)€+(x+h)}-(-3x€+x)
=lim ÷f÷'(2)-g'(2)=2-14=-12
hd0 h
⑵ ÷f÷'(1)=0, g'(1)=3이므로
-6hx-3h€+h
=lim 2÷f÷'(1)+3g'(1)=2*0+3*3=9
hd0 h
=lim (-6x-3h+1)=-6x+1 ⑶ ÷f÷'(-1)=-4, g'(-1)=-1이므로
hd0
3÷f÷'(-1)-g'(-1)=3*(-4)-(-1)=-11
따라서 ÷f(x)의 x=-1에서의 미분계수는 ÷f÷'(-1)=7
÷f(x+h)-÷f(x)
⑸ ÷f÷'(x)=lim
h
hd0
049 ÷ f÷'(x)=3x€+a이므로
{2(x+h)€-(x+h)+1}-(2x€-x+1)
=lim ÷f÷'(1)=3+a=-3   ∴ a=-6
hd0 h
4hx+2h€-h
=lim
h
hd0
050 ⑴ y'=(2x+3)'(x€+2x)+(2x+3)(x€+2x)'
=lim (4x+2h-1)=4x-1
hd0 = 2 (x€+2x)+(2x+3)( 2x+2 )
따라서 ÷f(x)의 x=3에서의 미분계수는 ÷f÷'(3)=11 = 6x€+14x+6
⑵ y'=(2x+1)'(3x-2)+(2x+1)(3x-2)'
=2(3x-2)+(2x+1)*3
=12x-1
045 ⑴ ÷ f÷'(x)=(x€)'=2x
⑶ y'=(-2x€+5)'(3x-1)+(-2x€+5)(3x-1)'
⑵ ÷f÷'(x)=(xfi)'=5x5-1=5x›
=-4x(3x-1)+(-2x€+5)* 3
⑶ ÷f÷'(x)=(x⁄‚)'=10x10-1=10x·
=-18x€+4x+15
⑷ ÷f÷'(x)={;3!;xfl}'=;3!;*6x6-1=2xfi ⑷ y'=(x€+2)'(3-x€)+(x€+2)(3-x€)'
⑸ ÷ f÷'(x)=(2x›)'=2*4x4-1=8x‹ =2x(3-x€)+(x€+2)*(-2x)
⑹ ÷f÷'(x)=(-27)'=0 =-4x‹+2x
⑺ ÷f÷'(x)=(2⁄‚)'=0 ⑸ y'=(x€+1)'(2x€-x+1)+(x€+1)(2x€-x+1)'
=2x(2x€-x+1)+(x€+1)(4x-1)
=8x‹-3x€+6x-1
⑹ y'=(x+1)'(x+2)(x+3)+(x+1)(x+2)'(x+3)
046 ⑴÷÷f÷'(x)=(x‹)'+(2x)'-(5)'  +(x+1)(x+2)(x+3)'
= 3x€ + 2 -0= 3x€+2 =(x+2)(x+3)+(x+1)(x+3)+(x+1)(x+2)
⑵÷ ÷f÷'(x)=(2x€)'+(3x)'-(7)' =3x€+12x+11
=4x+3 ⑺ y'=(3x)'(x-1)(x€+2)+3x(x-1)'(x€+2)
⑶ ÷f÷'(x)=(3x›)'+(x‹)'-(2x)'+(7)'  +3x(x-1)(x€+2)'
=12x‹+3x€-2 =3(x-1)(x€+2)+3x(x€+2)+3x(x-1)*2x
⑷ ÷f÷'(x)=(-2xfi)'+(x›)'+(3x€)'+(1)' =12x‹-9x€+12x-6
=-10x›+4x‹+6x
⑸ ÷f÷'(x)=(3x‡)'+(5xfi)'-(3x‹)'-(5)'
=21xfl+25x›-9x€
051 ⑴ ÷f÷'(x)=(3x+2)'(x‹-2x€)+(3x+2)(x‹-2x€)'
=3(x‹-2x€)+(3x+2)(3x€-4x)
⑹ ÷f÷'(x)=(x⁄‚)'-(2xfi)'+(3)'
=12x‹-12x€-8x
=10x·-10x›
이므로 ÷f÷'(1)=-8
⑺ ÷f÷'(x)={-;4!;x⁄€}'+{;5!;x⁄‚}'-(6)' ⑵ ÷f÷'(x)=(2x€+3)'(x-7)+(2x€+3)(x-7)'
=4x(x-7)+(2x€+3)*1
=-3x⁄⁄+2x·
=6x€-28x+3
이므로 ÷f÷'(0)=3
⑶ ÷f÷'(x)=(2x›+3)'(1-x€)+(2x›+3)(1-x€)'
047 ⑴ ÷f÷'(x)=9x€-4x이므로 ÷f÷'(1)=5 =8x‹(1-x€)+(2x›+3)*(-2x)
⑵ ÷f÷'(x)=10x›+3이므로 ÷f÷'(0)=3 =-12xfi+8x‹-6x
⑶ ÷f÷'(x)=6x€+6x이므로 ÷f÷'(-2)=12 이므로 ÷f÷'(-1)=10

02. 도함수 041


052 ⑴÷÷f÷'(x)= 3 (2x+1) 2
(2x+1)' 055 ⑴ ‌함수 ÷f(x)가 x=2에서 미분가능하려면 x=2에서 연속이어
=3(2x+1)€*2 야 한다.
= 6(2x+1)€ 즉 ÷f(2)= lim ÷f(x)에서 2a+b= -4 …… ㉠
xd2

⑵ ÷f÷'(x)=3(3-2x)€(3-2x)' 또 ÷f÷'(2)가 존재하려면


=3(3-2x)€*(-2) ÷f(x)-÷f(2) (ax+b)-(2a+b)
lim = lim
=-6(3-2x)€ x d 2+ x-2 x d 2+ x-2
a(x-2)
⑶ ÷ f÷'(x)=5(x€-3x)›(x€-3x)' = lim
x d 2+ x-2
=5(x€-3x)›(2x-3)
= a
⑷ ÷f÷'(x)=4(x€+x-1)‹(x€+x-1)'
÷f(x)-÷f(2) -x€-(-4)
=4(x€+x-1)‹(2x+1) lim = lim
x d 2- x-2 x d 2- x-2
-(x-2)(x+2)
= lim
x d 2- x-2
lim
= x d 2- ( -x-2 )= -4

에서 a= -4 …… ㉡
㉠, ㉡에서 a= -4 , b= 4
053 ⑴ ÷f(0)=2에서 c= 2
다른 풀이
÷f(x)=ax€+bx+c에서 ÷f÷'(x)= 2ax+b
g(x)=ax+b, h(x)=-x€이라 하면
÷f÷'(1)=3에서 2a+b =3 …… ㉠
g'(x) a (x>2)
÷f÷'(x)=[ =[
÷f÷'(-1)=5에서 -2a+b =5 …… ㉡ h'(x) -2x (x<2)
함수 x=2에서 미분가능하려면
㉠, ㉡ 을 연립하여 풀면 a= -;2!; , b= 4
1 g(2)=lim h(x)에서 2a+b=-4 …… ㉠
xd2

∴ a= -;2!; , b= 4 , c= 2 2 g'(2)=h'(2)에서 a=-4 …… ㉡


㉠, ㉡에서 a=-4, b=4
⑵÷ f(1)=2에서 a+b+c=2 …… ㉠
⑵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려면 x=1에서 연속이어
÷f(x)=ax€+bx+c에서 ÷f÷'(x)=2ax+b
야 한다.
÷ f÷'(0)=-1에서 b=-1
즉 ÷f(1)=lim ÷f(x)에서 4=a+b …… ㉠
÷f÷'(-2)=3에서 -4a+b=-4a-1=3   ∴ a=-1 xd1

a=-1, b=-1을 ㉠에 대입하면 c=4 ‌또 ÷f÷'(1)이 존재하려면


⑶ ÷f(0)=1에서 c=1 ÷f(x)-÷f(1) (3x+1)-4
lim = lim
x d 1+ x-1 x d 1+ x-1
÷f(x)=ax€+bx+c에서 ÷f÷'(x)=2ax+b
3(x-1)
÷f÷'(-1)=1에서 -2a+b=1 = lim =3
…… ㉠ x d 1+ x-1
÷f÷'(2)=7에서 4a+b=7 …… ㉡ ÷f(x)-÷f(1) (ax€+bx)-(a+b)
lim = lim
x d 1- x-1 x d 1- x-1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x-1)(ax+a+b)
⑷÷ f(-1)=3에서 a-b+c=3 …… ㉠ = lim
x d 1- x-1
÷f(x)=ax€+bx+c에서 ÷f÷'(x)=2ax+b = lim ÷(ax+a+b)=2a+b
x d 1-
÷f÷'(-2)=9에서 -4a+b=9 …… ㉡
에서 2a+b=3 …… ㉡
÷f÷'(3)=-11에서 6a+b=-11 …… ㉢
㉠, ㉡에서 a=-1, b=5
㉡,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⑶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려면 x=-1에서 연속
이를 ㉠에 대입하면 c=6
이어야 한다.
즉 ÷f(-1)= lim ÷ f(x)에서 -2=-a+b …… ㉠
x d -1

또 ÷f÷'(-1)이 존재하려면
÷f(x)-÷f(-1) 2x‹-(-2)
lim = lim
x d -1+ x-(-1) x d -1+ x+1
054 ÷f(0)=2에서 c=2 = lim
2(x+1)(x€-x+1)
x d -1+ x+1
f(x)=ax€+bx+c에서 ÷f÷'(x)=2ax+b
= lim ÷2(x€-x+1)=6
÷f÷'(1)=4에서 2a+b=4 …… ㉠ x d -1+

÷f÷'(2)=6에서 4a+b=6 ÷f(x)-÷f(-1) (ax+b)-(-a+b)


…… ㉡ lim = lim
x d -1- x-(-1) x d -1- x+1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a(x+1)
= lim =a
∴ a+b+c=1+2+2=5 x d -1- x+1

042 정답과 풀이
에서 a=6 …… ㉡ 058 다항식 x€‚+ax€+b를 (x-1)€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 ㉡에서 a=6, b=4 라 하면 나머지가 4x-5이므로
x€‚+ax€+b=(x-1)€Q(x)+4x-5   …… ㉠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1
∴ a+b=-2   …… ㉡

056 함수 ÷f(x)가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미분가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능하다. 즉 x=1에서 연속이므로 20x⁄·+2ax=2(x-1)Q(x)+(x-1)€Q'(x)+4
÷f(1)=lim ÷ f(x)에서 1+a=2+b 이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0+2a=4
xd1
∴ a=-8
∴ a-b=1   …… ㉠
이 값을 ㉡에 대입하면 b=6
또 ÷f÷'(1)이 존재하므로
∴ a+2b=-8+12=4
÷f(x)-÷f(1) (x‹+ax)-(1+a)
lim ÷= lim
x d 1+ x-1 x d 1+ x-1
(x-1)(x€+x+1+a)
= lim
x d 1+ x-1
= lim (x€+x+1+a)=a+3
x d 1+

÷f(x)-÷f(1) (2x+b)-(2+b)
lim = lim
x d 1- x-1 x d 1- x-1
2(x-1)
= lim =2
x d 1- x-1
에서 a+3=2   …… ㉡ 더블클릭 48쪽~49쪽

㉠, ㉡에서 a=-1, b=-2


∴ a€+b€=(-1)€+(-2)€=5 059 ÷f÷'(x)=(x€-4x)'=2x-4

060 ÷ f÷'(x)=(-3x‹+2x-9)'=-9x€+2

061 ÷f÷'(x)=(3x‹+2x€+x)'=9x€+4x+1
057 ⑴ ‌다항식 xfi+ax+b를 (x-1)€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라 하면 나머지가 0이므로
062 ÷ f÷'(x)=(-x›+2x€-5x-10)'=-4x‹+4x-5
xfi+ax+b=(x-1)€Q(x)   …… ㉠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 0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63 ÷ f÷'(x)={;4!;x›-;3!;x‹-;2!;x€+x}'=x‹-x€-x+1
5x›+a =2(x-1)Q(x)+(x-1)€Q'(x)
이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5+a =0 064 y'=(x€)'(2x-5)+x€(2x-5)'
∴ a= -5 , b= 4 =2x(2x-5)+x€*2=6x€-10x

⑵ 다항식 x⁄‚+ax+b를 (x+1)€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라 하면 나머지가 0이므로 065 y'=(x€+x-1)'(2x€-3x)+(x€+x-1)(2x€-3x)'
x⁄‚+ax+b=(x+1)€Q(x)   …… ㉠ =(2x+1)(2x€-3x)+(x€+x-1)(4x-3)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0 =8x‹-3x€-10x+3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0x·+a=2(x+1)Q(x)+(x+1)€Q'(x) 066 y'=(2x+1)'(3x+1)(4x+1)+(2x+1)(3x+1)'(4x+1)
이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0+a=0  +(2x+1)(3x+1)(4x+1)'

∴ a=10, b=9 =2(3x+1)(4x+1)+(2x+1)*3*(4x+1)

⑶ 다항식 xfl+ax€+b를 (x-1)€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2x+1)(3x+1)*4

라 하면 나머지가 0이므로 =2(12x€+7x+1)+3(8x€+6x+1)+4(6x€+5x+1)

xfl+ax€+b=(x-1)€Q(x)   …… ㉠ =72x€+52x+9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0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67 y'=3(2x€-x)€(2x€-x)'=3(2x€-x)€(4x-1)
6xfi+2ax=2(x-1)Q(x)+(x-1)€Q'(x)
이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6+2a=0 068 y'=4(1-3x)‹(1-3x)'=4(1-3x)‹*(-3)
∴ a=-3, b=2 =-12(1-3x)‹

02. 도함수 043


069 ÷f÷'(x)=10x›+12x‹-1이므로 077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f÷'(1)=10+12-1=21 즉 ÷f(-1)= lim ÷f(x)에서 1=-a+b
x d -1

∴ a-b=-1 …… ㉠
또 ÷f÷'(-1)이 존재하므로
070 ÷f÷'(x)=16x‹-12x이므로 ÷f(x)-÷f(-1) x€-1
lim = lim
÷f÷'(-2)=16*(-2)‹-12*(-2)=-104 x d -1+ x-(-1) x d -1+ x+1

(x+1)(x-1)
= lim
x d -1+ x+1

071 ÷f÷'(x)=9x€(x‹-2x+2)+(3x‹+1)(3x€-2)이므로 = lim (x-1)=-2


x d -1+

÷f÷'(1)=9(1-2+2)+(3+1)(3-2)=13 ÷f(x)-÷f(-1) (ax+b)-(-a+b)


lim = lim
x d -1- x-(-1) x d -1- x+1
a(x+1)
= lim =a
x+1
072 ÷f÷'(x)=(x-2)(x-3)(x-4)+(x-1)(x-3)(x-4)
x d -1-

에서 a=-2 …… ㉡
 +(x-1)(x-2)(x-4)+(x-1)(x-2)(x-3)
㉠, ㉡에서 a=-2, b=-1
이므로
÷f÷'(4)=0+0+0+3*2*1=6

073 ÷f(0)=-3에서 c=-3 078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f(x)=ax€+bx+c에서 ÷f÷'(x)=2ax+b 즉 ÷f(1)= lim
xd1
÷f(x)에서 a+1=b-2

÷f÷'(-1)=-5에서 -2a+b=-5   …… ㉠ ∴ a-b=-3 …… ㉠


÷f÷'(2)=1에서 4a+b=1 …… ㉡ 또 ÷f÷'(1)이 존재하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f(x)-÷f(1) (ax€+1)-(a+1)
lim = lim
x d 1+ x-1 x d 1+ x-1
a(x-1)(x+1)
= lim
x d 1+ x-1
074 ÷f(1)=2에서 a+b+c=2 …… ㉠
= xlim ÷a(x+1)=2a
÷f(x)=ax€+bx+c에서 ÷f÷'(x)=2ax+b d 1+

÷f÷'(-2)=9에서 -4a+b=9 …… ㉡ ÷f(x)-÷f(1) (bx-2)-(b-2)


lim = lim
x d 1- x-1 x d 1- x-1
÷f÷'(3)=-1에서 6a+b=-1 …… ㉢
b(x-1)
㉡, ㉢을 연립하여 풀면 = lim =b
x d 1- x-1
a=-1, b=5
에서 2a=b …… ㉡
이를 ㉠에 대입하면 c=-2
㉠, ㉡에서 a=3, b=6이므로
ab=3*6=18

075 ÷f(-1)=-4에서 a-b+c=-4 …… ㉠


÷f(x)=ax€+bx+c에서 ÷f÷'(x)=2ax+b
÷f÷'(1)=-1에서 2a+b=-1 …… ㉡
f÷'(2)=5에서 4a+b=5 …… ㉢
079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즉 ÷f(-1)= xlim ÷ f(x)에서 1-a=-3+b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7 d -1

이를 ㉠에 대입하면 c=-14 ∴ a+b=4 …… ㉠


또 ÷f÷'(-1)이 존재하므로
÷f(x)-÷f(-1) (x€+ax)-(1-a)
lim = lim
x d -1+ x-(-1) x d -1+ x+1
076 ÷f(1)=10에서 a+b+c=10 …… ㉠
(x+1)(x-1+a)
÷f(x)=ax€+bx+c에서 ÷f÷'(x)=2ax+b = lim
x d -1+ x+1
÷f÷'(1)=3에서 2a+b=3 …… ㉡ lim ÷(x-1+a)=-2+a
=xd -1+
÷f÷'(2)=-1에서 4a+b=-1 …… ㉢
÷f(x)-÷f(-1) (3x+b)-(-3+b)
㉡, ㉢을 연립하여 풀면 lim = lim
x d -1- ÷x-(-1) x d -1- x+1
a=-2, b=7
3(x+1)
이를 ㉠에 대입하면 c=5 = lim =3
x d -1- x+1

044 정답과 풀이
에서 -2+a=3   …… ㉡
㉠, ㉡에서 a=5, b=-1
03 접선의 방정식, 평균값 정리 50쪽~54쪽

x€+5x (x>-1)
즉 ÷f(x)=[
3x-1 (x<-1)
이므로 083 ⑴ f(x)=x€+x로 놓으면 ÷f÷'(x)=2x+1
곡선 y=f(x) 위의 점 (2, 6)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2)=3*(-2)-1=-7
÷f÷'(2)=2*2+1=5
⑵ f(x)=2x‹-x+1로 놓으면 ÷f÷'(x)=6x€-1
곡선 y=f(x) 위의 점 (-1, 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080 다항식 x‹+ax€+b를 (x-1)€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f÷'(-1)=6*(-1)€-1=5
라 하면 나머지가 0이므로
⑶ ÷f(x)=-x‹+2x€+2로 놓으면 ÷f÷'(x)=-3x€+4x
x‹+ax€+b=(x-1)€Q(x) …… ㉠
곡선 y=f(x)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0 …… ㉡
÷f÷'(1)=-3*1€+4*1=1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⑷ ÷f(x)=x‹-x€-2x+2로 놓으면 ÷f÷'(x)=3x€-2x-2
3x€+2ax=2(x-1)Q(x)+(x-1)€Q'(x)
곡선 y=f(x) 위의 점 (2,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3+2a=0
÷f÷'(2)=3*2€-2*2-2=6
∴ a=-;2#;

이 값을 ㉡에 대입하면 b=;2!;
084 ÷f(x)=2x‹-x+3으로 놓으면 ÷f÷'(x)=6x€-1
곡선 y=f(x) 위의 두 점 (-1, 2), (0,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는 각각
081 다항식 xfl+ax‹+b를 (x-1)€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f÷'(-1)=6*(-1)€-1=5, ÷f÷'(0)=6*0€-1=-1
라 하면 나머지가 0이므로 따라서 a=5, b=-1이므로 a+b=4
xfl+ax‹+b=(x-1)€Q(x) …… ㉠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0 …… ㉡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85 ⑴ ÷f(x)=x€-x+3으로 놓으면 ÷f÷'(x)= 2x-1
6xfi+3ax€=2(x-1)Q(x)+(x-1)€Q'(x)
곡선 y=f(x) 위의 점 (2, 5)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6+3a=0
÷f÷'(2)= 3
∴ a=-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이 값을 ㉡에 대입하면 b=1
y-5= 3 (x-2)   ∴ y= 3x-1
⑵ f(x)=-x€-x+2로 놓으면 ÷f÷'(x)=-2x-1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082 다항식 x⁄⁄+ax+b를 (x+1)€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라 하면 나머지가 0이므로 ÷f÷'(-1)=1

x⁄⁄+ax+b=(x+1)€Q(x) ……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0 …… ㉡ y-2=1*{x-(-1)}   ∴ y=x+3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⑶ ÷f(x)=x‹-6x-1로 놓으면 ÷f÷'(x)=3x€-6

11x⁄‚+a=2(x+1)Q(x)+(x+1)€Q'(x) 곡선 y=f(x) 위의 점 (1, -6)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1+a=0 ÷f÷'(1)=-3

∴ a=-11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이 값을 ㉡에 대입하면 b=-10 y+6=-3(x-1)   ∴ y=-3x-3


⑷ ÷f(x)=x‹-3x€+1로 놓으면 ÷f÷'(x)=3x€-6x
곡선 y=f(x)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1)=9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3=9{x-(-1)}   ∴ y=9x+6
⑸ f(x)=x‹+2x-1로 놓으면 ÷f÷'(x)=3x€+2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1)=5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2=5(x-1)   ∴ y=5x-3

03. 접선의 방정식, 평균값 정리 045


086 ÷f(x)=-x‹+2x로 놓으면 ÷f÷'(x)=-3x€+2 088 f(x)=x‹-x€+ax-1로 놓으면 곡선 y=f(x)가 점 (2, 5)를
곡선 y=f(x)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지나므로
÷f÷'(-1)=-1 ÷f(2)=5에서 8-4+2a-1=5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2a+3=5   ∴ a=1
y+1=-{x-(-1)}   ∴ y=-x-2 즉 ÷f(x)=x‹-x€+x-1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2, 5)
이 직선이 점 (1, k)를 지나므로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k=-1-2=-3 ÷f÷'(x)=3x€-2x+1에서 ÷f÷'(2)=9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5=9(x-2)   ∴ y=9x-13
∴ b=9, c=-13
∴ a+b+c=1+9+(-13)=-3

087 ⑴ ‌f(x)=x€+ax+b로 놓으면 곡선 y=f(x)가 점 (1, -1)을


지나므로
f (1)=-1에서 1+a+b=-1
∴ a+b= -2 …… ㉠
089 ⑴ ÷f(x)=x€-x-3으로 놓으면 ÷f÷'(x)= 2x-1
접점의 좌표를 (a, a€-a-3)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1이
‌또 곡선 y=f(x)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므로 ÷f÷'(a)=2a-1= 1    ∴ a= 1

÷f÷'(1)= -3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 1 , -3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


÷f÷'(x)=2x+a이므로 식은
÷f÷'(1)=2+a= -3    ∴ a= -5 y= 1 *(x- 1 )- 3    ∴ y= x-4
a= -5 를 ㉠에 대입하면 b= 3 ⑵ ÷f(x)=x€+3x-2로 놓으면 ÷f÷'(x)=2x+3
⑵ ‌÷f(x)=x€+ax+b로 놓으면 곡선 y=f(x)가 점 (-1, 1)을 ‌접점의 좌표를 (a, a€+3a-2)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1
지나므로 이므로
f(-1)=1에서 1-a+b=1 ÷f÷'(a)=2a+3=-1   ∴ a=-2
∴ a-b=0 …… ㉠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2, -4)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
‌또 곡선 y=f(x)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1 식은
이므로 ÷f÷'(-1)=1 y=-{x-(-2)}-4   ∴ y=-x-6
÷f÷'(x)=2x+a이므로
⑶ ÷f(x)=;3!;x‹+x+1로 놓으면 ÷f÷'(x)=x€+1
÷f÷'(-1)=-2+a=1   ∴ a=3
a=3을 ㉠에 대입하면 b=3
접점의 좌표를 {a, ;3!;a‹+a+1}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2
⑶ ‌÷f(x)=x‹+ax€+b로 놓으면 곡선 y=f(x)가 점 (2, 2)를
이므로
지나므로
÷f÷'(a)=a€+1=2, a€=1   ∴ a=-1 또는 a=1
f(2)=2에서 8+4a+b=2
∴ 4a+b=-6 …… ㉠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1, -;3!;} 또는 {1,  ;3&;}이므로
‌또 곡선 y=f(x) 위의 점 (2,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8이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므로÷ ÷f÷'(2)=8
÷f÷'(x)=3x€+2ax이므로 y=2{x-(-1)}-;3!; 또는 y=2(x-1)+;3&;
÷f÷'(2)=12+4a=8   ∴ a=-1
∴ y=2x+;3%; 또는 y=2x+;3!;
a=-1을 ㉠에 대입하면 b=-2
⑷ ‌÷f(x)=2x‹+ax+b로 놓으면 곡선 y=f(x)가 점 (-2, 3) ⑷ ÷f(x)=x‹+3x€-8x-1로 놓으면 ÷f÷'(x)=3x€+6x-8
을 지나므로 ‌접점의 좌표를 (a, a‹+3a€-8a-1)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
÷f(-2)=3에서 -16-2a+b=3 기가 1이므로
∴ 2a-b=-19 …… ㉠ ÷f÷'(a)=3a€+6a-8=1, a€+2a-3=0
‌또 곡선 y=f(x) 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a+3)(a-1)=0   ∴ a=-3 또는 a=1
-1이므로 ÷f÷'(-2)=-1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3, 23) 또는 (1, -5)이므로 구하
÷f÷'(x)=6x€+a이므로 는 직선의 방정식은
÷f÷'(-2)=24+a=-1   ∴ a=-25 y={x-(-3)}+23 또는 y=(x-1)-5
a=-25를 ㉠에 대입하면 b=-31 ∴ y=x+26 또는 y=x-6

046 정답과 풀이
090 f÷(x)=x‹-4x€으로 놓으면 ÷f÷'(x)=3x€-8x 1 t=0을 ㉡에 대입하면 a=-6
접점의 좌표를 (a, a‹-4a€)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2 t=-a를 ㉡에 대입하면
÷f÷'(a)=3a€-8a=2, 3a€-8a-2=0 3a€-4a€+a=-6
이때 두 접선의 접점의 x좌표 a, b는 이차방정식 a€-a-6=0, (a+2)(a-3)=0
3a€-8a-2=0의 두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a=-2 또는 a=3

-8 1, 2에서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a+b=- =;3*;
3 -6+(-2)+3=-5

092 f(x)=-x‹+ax-4로 놓으면 ÷f÷'(x)=-3x€+a


곡선 y=f(x) 위의 점 (1, c)에서 직선 y=3x+b와 접하므로
091 ⑴ f(x)=x€+2x+a로 놓으면 ÷f÷'(x)=2x+2 ÷f(1)=-1+a-4=c   …… ㉠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2t+a)라 하면 이 점에서 ÷f÷'(1)=-3+a=3 …… ㉡
의 접선의 기울기는 ÷f÷'(t)= 2t+2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 ㉡에서 a=6, c=1
y-(t€+2t+a)=( 2t+2 )(x-t) 따라서 점 (1,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y=( 2t+2 )x-t€+a   …… ㉠ y-1=3(x-1)   ∴ y=3x-2
㉠이 y=-2x-7과 일치하므로 ∴ b=-2
2t+2 =-2, -t€+a= -7 ∴ abc=6*(-2)*1=-12
∴ t= -2 , a= -3
⑵ ÷f(x)=-x€+3x+a로 놓으면 ÷f÷'(x)=-2x+3
093 ⑴ f(x)=x€-2x-1로 놓으면 ÷f÷'(x)=2x-2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3t+a)라 하면 이 점
‌접점의 좌표를 (a, a€-2a-1)이라 하면 직선 y=2x와 평행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t)=-2t+3이므로
한 직선의 기울기는 2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f÷'(a)=2a-2= 2    ∴ a= 2
y-(-t€+3t+a)=(-2t+3)(x-t)
∴ y=(-2t+3)x+t€+a   …… ㉠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 2 , -1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
㉠이 y=-x-2와 일치하므로 식은
-2t+3=-1, t€+a=-2 y= 2 *(x- 2 )- 1    ∴ y= 2x-5
∴ t=2, a=-6 ⑵ ÷f(x)=-x€+2x-3으로 놓으면 ÷f÷'(x)=-2x+2
⑶ f(x)=x‹+x+a로 놓으면 ÷f÷'(x)=3x€+1 ‌접점의 좌표를 (a, -a€+2a-3)이라 하면 직선 y=4x+1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t+a)라 하면 이 점에 과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4이므로
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f÷'(t)=3t€+1이므로 ÷f÷'(a)=-2a+2=4   ∴ a=-1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1, -6)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
y-(t‹+t+a)=(3t€+1)(x-t) 은 y=4{x-(-1)}-6   ∴ y=4x-2
∴ y=(3t€+1)x-2t‹+a   …… ㉠ ⑶ f(x)=2x€+3x-1로 놓으면 ÷f÷'(x)=4x+3
㉠이 y=4x+5와 일치하므로 ‌접점의 좌표를 (a, 2a€+3a-1)이라 하면 직선 y=x+5에
3t€+1=4, -2t‹+a=5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1이므로
3t€+1=4에서 t=-1 또는 t=1 ÷f÷'(a)=4a+3=-1   ∴ a=-1
a=2t‹+5에서 t=-1일 때 a=3, t=1일 때 a=7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1, -2)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
∴ a=3 또는 a=7 식은
⑷ f(x)=x‹+2ax€+ax-2로 놓으면 y=-{x-(-1)}-2   ∴ y=-x-3
÷f÷'(x)=3x€+4ax+a ⑷ f(x)=x‹-x+1로 놓으면 ÷f÷'(x)=3x€-1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2at€+at-2)라 하면
접점의 좌표를 (a, a‹-a+1)이라 하면 직선 y=-;2!;x+1에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t)=3t€+4at+a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y-(t‹+2at€+at-2)=(3t€+4at+a)(x-t) ÷f÷'(a)=3a€-1=2, a€=1
∴ y=(3t€+4at+a)x-2t‹-2at€-2   …… ㉠ ∴ a=-1 또는 a=1
㉠이 y=-6x-2와 일치하므로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1, 1) 또는 (1, 1)이므로 구하는 직
3t€+4at+a=-6 …… ㉡ 선의 방정식은
-2t‹-2at€-2=-2 …… ㉢ y=2{x-(-1)}+1 또는 y=2(x-1)+1
㉢에서 2t€(t+a)=0   ∴ t=0 또는 t=-a ∴ y=2x+3 또는 y=2x-1

03. 접선의 방정식, 평균값 정리 047


094 f(x)=x‹, g(x)=ax€+b로 놓으면 점 (1, 1)에서 만나므로 ⑸ f(x)=x‹-3x+4로 놓으면 ÷f÷'(x)=3x€-3
f(1)=g(1), 즉 a+b=1   …… ㉠ ‌접점의 좌표를 (t, t‹-3t+4)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
‌÷f÷'(x)=3x€, g'(x)=2ax이고 점 (1, 1)에서의 접선이 서로 수 울기는 ÷f÷'(t)=3t€-3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직이므로 y-(t‹-3t+4)=(3t€-3)(x-t)
÷f÷'(1)_g'(1)=-1 ∴ y=(3t€-3)x-2t‹+4   …… ㉠
이 직선이 점 (2, -2)를 지나므로
즉 3*2a=-1   ∴ a=-;6!;, b=;6&; (∵ ㉠)
2t‹-6t€=0, 2t€(t-3)=0   ∴ t=0 또는 t=3

∴ b-a=;6&;-{-;6!;}=;3$;
이 값을 ㉠에 각각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3x+4 또는 y=24x-50
⑹ ÷f(x)=-x‹+x로 놓으면 ÷f÷'(x)=-3x€+1
‌접점의 좌표를 (t, -t‹+t)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
기는 ÷f÷'(t)=-3t€+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t)=(-3t€+1)(x-t)
∴ y=(-3t€+1)x+2t‹   …… ㉠
095 ⑴ f(x)=x€으로 놓으면 ÷f÷'(x)=2x 이 직선이 점 (2, 2)를 지나므로
‌접점의 좌표를 (t, t€)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t‹-6t€=0, 2t€(t-3)=0   ∴ t=0 또는 t=3
÷f÷'(t)=2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이 값을 ㉠에 각각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t€=2t(x-t)   ∴ y=2tx-t€   …… ㉠
y=x 또는 y=-26x+54
이 직선이 점 (1, 0)을 지나므로
2t-t€= 0    ∴ t= 0 또는 t= 2
이 값을 ㉠에 각각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 0 또는 y= 4x-4
096 ÷f(x)=x€+2로 놓으면 ÷f÷'(x)=2x
접점의 좌표를 (t, t€+2)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⑵ f(x)=-x€+3으로 놓으면 ÷f÷'(x)=-2x
÷f÷'(t)=2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접점의 좌표를 (t, -t€+3)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
y-(t€+2)=2t(x-t)
울기는 ÷f÷'(t)=-2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 y=2tx-t€+2
y-(-t€+3)=-2t(x-t)
이 직선이 점 (0, a)를 지나므로 a=-t€+2
∴ y=-2tx+t€+3   …… ㉠
∴ t€+a-2=0   …… ㉠
이 직선이 점 (2, 0)을 지나므로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t¡, t™라 하면 두 접선의 기울기는 2t¡, 2t™
t€-4t+3=0   ∴ t=1 또는 t=3
이고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2t¡*2t™=-1
이 값을 ㉠에 각각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2x+4 또는 y=-6x+12 ∴ t¡* t™=-;4!; …… ㉡

⑶ f(x)=x€-2x로 놓으면 ÷f÷'(x)=2x-2 또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접점의 좌표를 (t, t€-2t)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t¡*t™=a-2 …… ㉢
는 ÷f÷'(t)=2t-2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 ㉢에서 a-2=-;4!;   ∴ a=;4&;
y-(t€-2t)=(2t-2)(x-t)
∴ y=(2t-2)x-t€   …… ㉠
이 직선이 점 (-1, 2)를 지나므로
t€+2t=0, t(t+2)=0   ∴ t=0 또는 t=-2 097 ⑴ ‌함수 ÷f(x)=x€은 닫힌구간 $-2, 2&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이 값을 ㉠에 각각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2, 2)에서 미분가능하다.
y=-2x 또는 y=-6x-4 또 ÷f(-2)=f(2)=4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⑷ f(x)=x‹으로 놓으면 ÷f÷'(x)=3x€ ÷f÷'(c)= 0 인 c가 열린구간 (-2,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접점의 좌표를 (t, t‹)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때 ÷f÷'(x)= 2x 이므로
÷f÷'(t)=3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f÷'(c)= 2c =0   ∴ c= 0
y-t‹=3t€(x-t)   ∴ y=3t€x-2t‹   …… ㉠ ⑵ ‌함수 f(x)=-x€+2x는 닫힌구간 $0, 2&에서 연속이고 열린

이 직선이 점 {0, -;4!;}을 지나므로 구간 (0, 2)에서 미분가능하다.


‌또 ÷f(0)=÷f(2)=0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
2t‹=;4!;, t‹=;8!;   ∴ t=;2!; 가 열린구간 (0,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x)=-2x+2이므로
이 값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4#;x-;4!; ÷f÷'(c)=-2c+2=0   ∴ c=1

048 정답과 풀이
⑶ ‌함수 f(x)=x‹-3x는 닫힌구간 $0, '3 &에서 연속이고 열린 더블클릭 55쪽~56쪽
구간 (0, '3 )에서 미분가능하다. 또 f(0)=÷f('3 )=0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0, '3 )에 적 101 f(x)=x€-x+1로 놓으면 ÷f÷'(x)=2x-1
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x)=3x€-3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2)=3
÷f÷'(c)=3c€-3=0, c€=1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 c=1 (∵ 0<c<'3 ) y=3(x-2)+3   ∴ y=3x-3

102 ÷f(x)=-2x€+3x+1로 놓으면 ÷f÷'(x)=-4x+3


098 함수 f(x)=x‹-ax€은 닫힌구간 $0, a&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0, a)에서 미분가능하다. ÷f÷'(1)=-1
또 f(a)=f(0)=0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f÷'÷(c)=0인 c의 값 ;3!;이 열린구간 (0, a)에 존재한다. y=-(x-1)+2   ∴ y=-x+3

이때 ÷f÷'(x)=3x€-2ax에서

÷f÷'÷{;3!;}=3*{;3!;}€-;3@;a=0, ;3@;a=;3!;
103 f(x)=x‹-x+2로 놓으면 ÷f÷'(x)=3x€-1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1)=2
∴ a=;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2{x-(-1)}+2   ∴ y=2x+4

099 ⑴ ‌함수 ÷f(x)=x€-2x는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 104 f(x)=x‹-3x€+1로 놓으면 ÷f÷'(x)=3x€-6x
간 (1,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곡선 y=f(x) 위의 점 (3,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3)-f(1)
= 2 =÷f÷'(c)인 c가 열린구간 (1, 3)에 적어도 ÷f÷'(3)=9
3-1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하나 존재한다. 이때 ÷f÷'(x)=2x-2이므로
y=9(x-3)+1   ∴ y=9x-26
÷f÷'(c)=2c-2= 2    ∴ c= 2
⑵ ‌함수 y=x€-x+2는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1,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105 f(x)=x€-x+2로 놓으면 ÷f÷'(x)=2x-1
÷f(3)-f(-1) 접점의 좌표를 (a, a€-a+2)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1=÷f÷ '(c)인 c가 열린구간 (-1, 3)에 적어도
3-(-1) ÷f÷'(a)=2a-1=3   ∴ a=2
하나 존재한다. 이때 ÷f÷'(x)=2x-1이므로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2, 4)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f÷'(c)=2c-1=1   ∴ c=1 y=3(x-2)+4   ∴ y=3x-2
⑶ ‌함수 ÷f(x)=x‹-6x는 닫힌구간 $0,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
간 (0,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3)-f(0) 106 f(x)=2x€-3x+2로 놓으면 ÷f÷'(x)=4x-3
=3=÷f÷'(c)인 c가 열린구간 (0, 3)에 적어도 접점의 좌표를 (a, 2a€-3a+2)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1이므로
3-0
하나 존재한다. 이때 ÷f÷'(x)=3x€-6이므로 ÷f÷'(a)=4a-3=1   ∴ a=1
÷f÷'(c)=3c€-6=3, c€=3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1, 1)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 c='3 (∵ 0<c<3) y=1*(x-1)+1   ∴ y=x

107 f(x)=-x‹+x+2로 놓으면 ÷f÷'(x)=-3x€+1


100 함수 f(x)=x‹-4x는 닫힌구간 $-3,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 접점의 좌표를 (a, -a‹+a+2)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2이
간 (-3,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므로
÷f(3)-f(-3) ÷f÷'(a)=-3a€+1=-2, a€=1
=5=÷f÷'(c)인 c가 열린구간 (-3, 3)에 적어도
3-(-3) ∴ a=-1 또는 a=1
하나 존재한다. 이때 ÷f÷'(x)=3x€-4이므로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1, 2) 또는 (1, 2)이므로 구하는 직선
÷f÷'(c)=3c€-4=5, c€=3 의 방정식은
∴ c=-'3 또는 c='3 y=-2{x-(-1)}+2 또는 y=-2(x-1)+2
따라서 모든 실수 c의 값의 곱은 -3이다. ∴ y=-2x 또는 y=-2x+4

03. 접선의 방정식, 평균값 정리 049


108 ÷f(x)=x‹-2x€-1로 놓으면 ÷f÷'(x)=3x€-4x 112 ÷f(x)=-2x€+3x-1로 놓으면 ÷f÷'(x)=-4x+3
접점의 좌표를 (a, a‹-2a€-1)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1 접점의 좌표를 (a, -2a€+3a-1)이라 하면 직선 y=x+2와
이므로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1이므로
÷f÷'(a)=3a€-4a=-1, (3a-1)(a-1)=0
÷f÷'(a)=-4a+3=1   ∴ a=;2!;
∴ a=;3!; 또는 a=1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2!;, 0}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3!;, -;2#7@;} 또는 (1, -2)이므로
y=1*{x-;2!;}   ∴ y=x-;2!;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x-;3!;}-;2#7@; 또는 y=-(x-1)-2

∴ y=-x-;2@7#; 또는 y=-x-1 113 ÷f(x)=-x‹+2x+1로 놓으면 ÷f÷'(x)=-3x€+2


접점의 좌표를 (a, -a‹+2a+1)이라 하면 직선 y=-x+4와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1이므로
÷f÷'(a)=-3a€+2=-1, a€=1
109 f(x)=x€+ax+b로 놓으면 ÷f÷'(x)=2x+a ∴ a=-1 또는 a=1
곡선 y=f(x)가 점 (1, 2)를 지나므로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1, 0) 또는 (1, 2)이므로 구하는 직선
f(1)=2에서 1+a+b=2 의 방정식은
∴ a+b=1   …… ㉠ y=-{x-(-1)} 또는 y=-(x-1)+2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 y=-x-1 또는 y=-x+3
÷f÷'(1)=2+a=-2   ∴ a=-4
이 값을 ㉠에 대입하면 b=5
∴ ab=(-4)*5=-20
114 ÷f(x)=-x€+3x-1로 놓으면 ÷f÷'(x)=-2x+3
접점의 좌표를 (a, -a€+3a-1)이라 하면 직선 y=x-2에 수
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1이므로

110 ÷f(x)=x‹+ax€+b로 놓으면 ÷f÷'(x)=3x€+2ax ÷f÷'(a)=-2a+3=-1   ∴ a=2


곡선 y=f(x)가 점 (-1, 3)을 지나므로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2, 1)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f(-1)=3에서 -1+a+b=3 y=-(x-2)+1   ∴ y=-x+3
∴ a+b=4   …… ㉠
곡선 y=f(x) 위의 점 (-1, 3)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1이므로
÷f÷'(-1)=3-2a=1   ∴ a=1
115 ÷f(x)=-x€+2x+1로 놓으면 ÷f÷'(x)=-2x+2
이 값을 ㉠에 대입하면 b=3
접점의 좌표를 (a, -a€+2a+1)이라 하면 직선
∴ ab=1*3=3
y=-;4!;x+3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4이므로

÷f÷'(a)=-2a+2=4   ∴ a=-1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1, -2)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111 f(x)=x‹-2ax+a로 놓으면 ÷f÷'(x)=3x€-2a y=4{x-(-1)}-2   ∴ y=4x+2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2at+a)라 하면 이 점에서
의 접선의 기울기는 ÷f÷'(t)=3t€-2a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2at+a)=(3t€-2a)(x-t)
∴ y=(3t€-2a)x-2t‹+a   …… ㉠ 116 ÷f(x)=2x€+x로 놓으면 ÷f÷'(x)=4x+1
㉠이 y=-3x+1과 일치하므로 접점의 좌표를 (t, 2t€+t)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t€-2a=-3 …… ㉡ ÷f÷'(t)=4t+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2t‹+a=1 …… ㉢ y-(2t€+t)=(4t+1)(x-t)
㉢에서 a=2t‹+1을 ㉡에 대입하면 ∴ y=(4t+1)x-2t€   …… ㉠
3t€-2(2t‹+1)=-3 이 직선이 점 (1, 1)을 지나므로
4t‹-3t€-1=0, (t-1)(4t€+t+1)=0 2t€-4t=0, 2t(t-2)=0   ∴ t=0 또는 t=2
∴ t=1 이 값을 ㉠에 각각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이 값을 ㉢에 대입하면 a=3 y=x 또는 y=9x-8

050 정답과 풀이
117 f(x)=-x€+x-2로 놓으면 ÷f÷'(x)=-2x+1 122 함수 ÷f(x)=-2x€-5x+1은 닫힌구간 $-2, 2&에서 연속이고
접점의 좌표를 (t, -t€+t-2)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 열린구간 (-2, 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기는 ÷f÷'(t)=-2t+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f(2)-f(-2)
=-5=÷f÷'(c)
y-(-t€+t-2)=(-2t+1)(x-t) 2-(-2)

∴ y=(-2t+1)x+t€-2   …… ㉠ 인 c가 열린구간 (-2,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 직선이 점 (0, 2)를 지나므로 이때 ÷f÷'(x)=-4x-5이므로

t€=4   ∴ t=-2 또는 t=2 ÷f÷'(c)=-4c-5=-5   ∴ c=0

이 값을 ㉠에 각각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5x+2 또는 y=-3x+2

123 함수 f(x)=x‹-x는 닫힌구간 $0,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0,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3)-f(0)
118 f(x)=x‹-x€+1로 놓으면 ÷f÷'(x)=3x€-2x 3-0
=8=÷f÷'(c)
접점의 좌표를 (t, t‹-t€+1)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
인 c가 열린구간 (0,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울기는 ÷f÷'(t)=3t€-2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이때 ÷f÷'(x)=3x€-1이므로÷
y-(t‹-t€+1)=(3t€-2t)(x-t)
÷f÷'(c)=3c€-1=8, c€=3
∴ y=(3t€-2t)x-2t‹+t€+1   …… ㉠
∴ c='3  (∵ 0<c<3)
이 직선이 점 (0, 0)을 지나므로
2t‹-t€-1=0, (t-1)(2t€+t+1)=0   ∴ t=1
이 값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x

119 함수 f(x)=x€+2x-3은 닫힌구간 $-2, 0&에서 연속이고 열


린구간 (-2, 0)에서 미분가능하다.
또 ÷f(-2)=f(0)=-3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2, 0)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x)=2x+2이므로
÷f÷'(c)=2c+2=0   ∴ c=-1

120 함수 ÷f(x)=x‹-3x€+4는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열


린구간 (-1, 2)에서 미분가능하다.
또 ÷f(-1)=f(2)=0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1,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x)=3x€-6x이므로 ÷f÷'(c)=3c€-6c=0
3c(c-2)=0   ∴ c=0  (∵ -1<c<2)

121 함수 ÷f(x)=x€-3x+1은 닫힌구간 $1, 4&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1, 4)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4)-f(1)
=2=÷f÷'(c)인 c가 열린구간 (1, 4)에 적어도 하나
4-1
존재한다. 이때 ÷f÷'(x)=2x-3이므로

÷f÷'(c)=2c-3=2   ∴ c=;2%;

03. 접선의 방정식, 평균값 정리 051


04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57쪽~65쪽 126 ⑴ ÷f(x)=x€-2x+5에서 ÷f÷'(x)=2x-2
÷f÷'(x)=0에서 x=1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124 ⑴ 증가
⑵ 감소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⑶ 감소 x … 1 …
÷f÷'(x) - 0 +
÷f(x) ↘ 4 ↗
125 ⑴ 0<x¡<x™인 임의의 두 실수 x¡, x™에 대하여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1&에서 감소 하고,
÷f(x¡)-÷f(x™) y
y=x€
=x¡€-x™€ 반닫힌 구간 $1, $)에서 증가 한다.
=(x¡+x™)(x¡-x™) < 0 ⑵ ÷f(x)=-3x€-6x+2에서 ÷f÷'(x)=-6x-6
이므로 ÷f(x¡) < ÷f(x™) ÷f÷'(x)=0에서 x=-1
O x
따라서 함수 ÷f(x)=x€은 열린구간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0, $)에서 증가 한다.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 -1 …
⑵ x¡<x™<2인 임의의 두 실수 x¡, x™에 대하여 ÷f÷'(x) + 0 -
÷f(x¡)-÷f(x™) y ÷f(x) ↗ 5 ↘

=(x¡-2)€-(x™-2)€ y=f(x)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1&에서 증가하고,


=x¡€-4x¡-x™€+4x™ 반닫힌 구간 $-1, $)에서 감소한다.
=(x¡-x™)(x¡+x™-4)>0 ⑶ ÷f(x)=x‹-3x+2에서 ÷f÷'(x)=3x€-3=3(x+1)(x-1)
이므로 ÷f(x¡)>÷f(x™) ÷f÷'(x)=0에서 x=-1 또는 x=1
O 2 x
‌따라서 함수 ÷f(x)=(x-2)€은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열린구간 (-$, 2)에서 감소한다.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 -1 … 1 …
⑶ 0<x¡<x™인 임의의 두 실수 x¡, x™에 대하여 ÷f÷'(x) + 0 - 0 +
÷f(x¡)-÷f(x™) y ÷f(x) ↗ 4 ↘ 0 ↗
=(-2x¡€+3)-(-2x™€+3) 3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1&, $1, $)에서 증
=-2(x¡€-x™€) 가하고, 닫힌구간 $-1, 1&에서 감소한다.
=-2(x¡-x™)(x¡+x™)>0 O x ⑷ ÷f(x)=-x‹-3x€+9x+2에서
이므로 ÷f(x¡)>÷f(x™) ÷f÷'(x)=-3x€-6x+9=-3(x+3)(x-1)
y=f(x)
‌따라서 함수 ÷f(x)=-2x€+3은 ÷f÷'(x)=0에서 x=-3 또는 x=1
열린구간 (0, $)에서 감소한다.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⑷ 0<x¡<x™인 임의의 두 실수 x¡, x™에 대하여 x … -3 … 1 …
÷f(x¡)-÷f(x™) y ÷f÷'(x) - 0 + 0 -
y=f(x)
=x¡‹-x™‹ ÷f(x) ↘ -25 ↗ 7 ↘
=(x¡-x™)(x¡€+x¡x™+x™€)<0 ‌따라서 함수 ÷f(x)는 닫힌구간 $-3, 1&에서 증가하고, 반닫힌
이므로 ÷f(x¡)<÷f(x™) O x 구간 (-$, -3&, $1, $)에서 감소한다.
‌따라서 함수 ÷f(x)=x‹은 반닫힌
구간 $0, $)에서 증가한다. 127 ÷f(x)=x‹-3x에서
÷f÷'(x)=3x€-3=3(x+1)(x-1)
⑸ 0<x¡<x™인 임의의 두 실수 x¡, x™에 대하여 ÷f÷'(x)=0에서 x=-1 또는 x=1
1 1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f(x¡)-÷f(x™)= -  y
x¡ x™
y=f(x) 내면 다음과 같다.
x™-x¡
= >0 x -1 1
x¡x™ … … …
÷f÷'(x) + 0 - 0 +
이므로 ÷f(x¡)>÷f(x™)
O x ÷f(x) ↗ 2 ↘ -2 ↗
‌따라서 함수 ÷f(x)=;x!;은 열린구간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1&, $1, $)에서 증
(0, $)에서 감소한다. 가하고, 닫힌구간 ④ $-1, 1&에서 감소한다.

052 정답과 풀이
128 ⑴ ÷f(x)=x‹-ax€+ax+1에서 130 ÷f(x)=x‹-ax€+(a+6)x+3에서
÷f÷'(x)=3x€-2ax+a ÷f÷'(x)=3x€-2ax+a+6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모든 실수 x에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 0이어야 한다. 대하여 ÷f÷'(x)>0이어야 한다.
즉 이차방정식 3x€-2a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이차방정식 3x€-2ax+a+6=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D
=a€-3a < 0, a(a-3) < 0 =a€-3(a+6)<0, a€-3a-18<0
4 4

∴ 0<a<3 (a+3)(a-6)<0   ∴ -3<a<6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6이다.
⑵ ÷f(x)=;3!;x‹+2ax€+8ax+5에서

÷f÷'(x)=x€+4ax+8a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모든 실수 x에 131 ⑴ r, t
⑵ q, s, u
대하여 ÷f÷'(x)>0이어야 한다.
즉 이차방정식 x€+4ax+8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4
=4a€-8a<0, 4a(a-2)<0 132 ⑴ -2, 0
⑵ -3, -1, 2
∴ 0<a<2
⑶ ÷f(x)=2x‹-ax€+ax+3에서
÷f÷'(x)=6x€-2ax+a
133 ⑴ ÷f(x)=x‹-3x+1에서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모든 실수 x에
÷f÷'(x)=3x€-3=3(x+1)(x-1)
대하여 ÷f÷'(x)>0이어야 한다.
÷f÷'(x)=0에서 x=-1 또는 x=1
즉 이차방정식 6x€-2a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D
=a€-6a<0, a(a-6)<0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
∴ 0<a<6 x … -1 … 1 …
÷f÷'(x) + 0 - 0 +
÷f(x) ↗ 3 ↘ -1 ↗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 값 3, x=1에서


극솟 값 -1을 갖는다.
⑵ ÷f(x)=x‹-3x€-2에서
÷f÷'(x)=3x€-6x=3x(x-2)
÷f÷'(x)=0에서 x=0 또는 x=2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29 ⑴ ÷f(x)=-x‹+ax€+2ax+5에서
x … 0 … 2 …
÷f÷'(x)=-3x€+2ax+2a ÷f÷'(x) + 0 - 0 +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x에 ÷f(x) ↗ -2 ↘ -6 ↗
대하여 ÷f÷'(x)<0이어야 한다.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2, x=2에서 극솟값
즉 이차방정식 -3x€+2ax+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6을 갖는다.
D
=a€+6a<0, a(a+6)<0 ⑶ ÷f(x)=-x‹+12x+3에서
4
÷f÷'(x)=-3x€+12=-3(x+2)(x-2)
∴ -6<a<0
÷f÷'(x)=0에서 x=-2 또는 x=2
⑵ ÷f(x)=-x‹+ax€-ax에서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f÷'(x)=-3x€+2ax-a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어야 한다. x … -2 … 2 …
÷f÷'(x) - 0 + 0 -
즉 이차방정식 -3x€+2a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 ↘ -13 ↗ 19 ↘
D
=a€-3a<0, a(a-3)<0
4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19, x=-2에서 극솟
∴ 0<a<3 값 -13을 갖는다.

04.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053


134 ÷f(x)=-2x‹+3x€+12x+1에서 x … -;2!; … 1 …
÷f÷'(x)=-6x€+6x+12=-6(x+1)(x-2) ÷f÷'(x) + 0 - 0 -
÷f÷'(x)=0에서 x=-1 또는 x=2
÷f(x) ↗ ;1%6(; ↘ 2 ↘
÷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1%6(; 를 갖고, 극솟값
x … -1 … 2 … 은 없다.
÷f÷'(x) - 0 + 0 -
⑸ ÷f(x)=-3x›+8x‹+6x€-24x+3에서
÷f(x) ↘ -6 ↗ 21 ↘
÷f÷'(x)=-12x‹+24x€+12x-24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21, x=-1에서 극솟값 =-12(x+1)(x-1)(x-2)
-6을 갖는다. ÷f÷'(x)=0에서 x=-1 또는 x=1 또는 x=2
∴ M+m=21+(-6)=15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 -1 … 1 … 2 …
135 ⑴ ÷f(x)=x›-2x€+3에서 ÷f÷'(x) + 0 - 0 + 0 -
÷f÷'(x)=4x‹-4x=4x(x+1)(x-1) ÷f(x) ↗ 22 ↘ -10 ↗ -5 ↘
÷f÷'(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따라서 함수 ÷f(x)는 x=-1과 x=2에서 각각 극댓값 22,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5를 갖고, x=1에서 극솟값 -10을 갖는다.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 -1 … 0 … 1 … 136 ⑴ ÷f(x)=x‹+ax+b에서 ÷f÷'(x)=3x€+a


÷f÷'(x) - 0 + 0 - 0 + 함수 ÷f(x)가 x=1에서 극솟값 -2를 가지므로
÷f(x) ↘ 2 ↗ 3 ↘ 2 ↗
÷f(1)=1+a+b= -2 …… ㉠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3 , x=-1 또는 ÷f÷'(1)=3+a= 0 …… ㉡
x=1 에서 극솟값 2 를 갖는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 -3 , b= 0

⑵ ÷f(x)=x›-4x+5에서 ⑵ ÷f(x)=x›+ax€+b에서 ÷f÷'(x)=4x‹+2ax

÷f÷'(x)=4x‹-4=4(x-1)(x€+x+1)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7을 가지므로

÷f÷'(x)=0에서 x=1 ÷f(-1)=1+a+b=7 …… ㉠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f÷'(-1)=-4-2a=0 …… ㉡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8


⑶ ÷f(x)=x‹+ax€+b에서 ÷f÷'(x)=3x€+2ax
x … 1 …
÷f÷'(x) - 0 + 함수 ÷f(x)가 x=1에서 극솟값 3을 가지므로
÷f(x) ↘ 2 ↗ ÷f(1)=1+a+b=3 …… ㉠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 2를 갖고, 극댓값은 없다. ÷f÷'(1)=3+2a=0 …… ㉡

⑶ ÷f(x)=x›-4x‹-8x€+5에서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2&;


÷f÷'(x)=4x‹-12x€-16x=4x(x+1)(x-4) ⑷ ÷f(x)=ax‹+bx€+3x+5에서 ÷f÷'(x)=3ax€+2bx+3
÷f÷'(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4 함수 ÷f(x)가 x=-3에서 극댓값, x=1에서 극솟값을 가지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므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3)=27a-6b+3=0 …… ㉠
x … -1 … 0 … 4 … ÷f÷'(1)=3a+2b+3=0 …… ㉡
÷f÷'(x) - 0 + 0 - 0 +
÷f(x) ↘ 2 ↗ 5 ↘ -123 ↗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1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5, x=-1과 x=4에


서 각각 극솟값 2, -123을 갖는다. 137 ÷f(x)=x‹+ax€+bx+c에서 ÷f÷'(x)=3x€+2ax+b
⑷ ÷f(x)=-x›+2x‹-2x+3에서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x=3에서 극솟값 -1을 가지므로
÷f÷'(x)=-4x‹+6x€-2=-2(x-1)€(2x+1) ÷f÷'(1)=3+2a+b=0 …… ㉠
÷f(3)=27+9a+3b+c=-1 …… ㉡
÷f÷'(x)=0에서 x=-;2!; 또는 x=1
÷f÷'(3)=27+6a+b=0 …… ㉢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 ㉡, ㉢을 연립하여 풀면 a=-6, b=9, c=-1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a+b+c=-6+9+(-1)=2

054 정답과 풀이
138 ⑴ ÷f(x)=2x‹+ax€+b에서 ÷f÷'(x)=6x€+2ax ÷f÷'(x)=3x€-3x=3x(x-1)=0에서
함수 ÷f(x)가 x=1에서 극솟값 3을 가지므로 x=0 또는 x=1
÷f(1)=2+a+b= 3 ……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1)=6+2a= 0 …… ㉡ x … 0 … 1 …
㉠, ㉡을 연립하여 풀면 a= -3 , b= 4 ÷f÷'(x) + 0 - 0 +
즉 ÷f(x)=2x‹- 3 x€+ 4 이고 ÷f(x) ↗ 7 ↘ :¡2£: ↗
÷ ÷f÷'(x)=6x€-6x=6x(x-1)=0에서 x=0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2£: 이다.

x … 0 … 1 …
÷f÷'(x) + 0 - 0 +
÷f(x) ↗ 4 ↘ 3 ↗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은 4 이다. 139 ÷f(x)=x‹+ax€+bx+c에서 ÷f÷'(x)=3x€+2ax+b


⑵ ÷f(x)=x‹+ax€+bx+2에서 ÷f÷'(x)=3x€+2ax+b 함수 ÷f(x)가 x=1, x=3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함수 ÷f(x)가 x=3에서 극솟값 2를 가지므로 ÷f÷'(1)=3+2a+b=0 …… ÷㉠

÷f(3)=27+9a+3b+2=2 …… ㉠ ÷f÷'(3)=27+6a+b=0 …… ㉡

÷f÷'(3)=27+6a+b=0 …… ㉡ ㉠, ㉡을 연립하여 풀면 a=-6, b=9

㉠, ㉡을 연립하여 풀면 a=-6, b=9 즉 ÷f(x)=x‹-6x€+9x+c이고

즉 ÷f(x)=x‹-6x€+9x+2이고 ÷f÷'(x)=3x€-12x+9=3(x-1)(x-3)=0에서

÷f÷'(x)=3x€-12x+9=3(x-1)(x-3)=0에서 x=1 또는 x=3

x=1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 1 … 3 …


÷f÷'(x) + 0 - 0 +
x … 1 … 3 …
÷f(x) ↗ c+4 ↘ c ↗
÷f÷'(x) + 0 - 0 +
÷f(x) ↗ 6 ↘ 2 ↗ 위의 표에서 함수 ÷f(x)는 x=3에서 극소이므로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은 6이다. ÷f(3)=c=-6


따라서 ÷f(x)=x‹-6x€+9x-6이고 x=1에서 극대이므로 극
⑶ ÷f(x)=-2x‹+ax€+b에서 ÷f÷'(x)=-6x€+2ax
댓값은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5를 가지므로
÷f(1)=c+4=-6+4=-2
÷f(1)=-2+a+b=5 …… ㉠
÷f÷'(1)=-6+2a=0 …… ㉡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4
즉 ÷f(x)=-2x‹+3x€+4이고
÷f÷'(x)=-6x€+6x=-6x(x-1)=0에서 140 ⑴ ÷f(x)=x‹+ax€+3x+5에서
x=0 또는 x=1 ÷f÷'(x)=3x€+2a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기 위해서는 ÷f÷'(x)=0이

x … 0 … 1 … 서로 다른 두 실근 을 가져야 한다.
÷f÷'(x) - 0 + 0 - ÷f÷'(x)=3x€+2a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 ↘ 4 ↗ 5 ↘ D
=a€-9 > 0, (a+3)(a-3) > 0
4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4이다.
∴ a< -3 또는 a> 3
⑷ ÷f(x)=x‹+ax€+bx+c에서 ÷f÷'(x)=3x€+2ax+b
함수 ÷f(x)가 x=0에서 극댓값 7을 갖고, x=1에서 ⑵ ÷f(x)=-;3!;x‹+ax€-4x+5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f÷'(x)=-x€+2ax-4
÷f(0)=c=7 …… ㉠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기 위해서는 ÷f÷'(x)=0이 서로 다른
÷f÷'(0)=b=0 …… ㉡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f÷'(1)=3+2a+b=0 …… ㉢ ÷f÷'(x)=-x€+2ax-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0, c=7 D
=a€-4>0, (a+2)(a-2)>0
4
즉 ÷f(x)=x‹-;2#;x€+7이고 ∴ a<-2 또는 a>2

04.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055


⑶ ÷f(x)=x‹-ax€+12x+7에서 ⑷ ÷f(x)=x‹-3ax€+3x-5에서
÷f÷'(x)=3x€-2ax+12 ÷f÷'(x)=3x€-6ax+3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기 위해서는 ÷f÷'(x)=0이 서로 다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f÷'(x)=0이 중
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한다.
÷f÷'(x)=3x€-2ax+1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3x€-6a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D
=a€-36>0, (a+6)(a-6)>0 =9a€-9<0, 9(a+1)(a-1)<0
4 4
∴ a<-6 또는 a>6 ∴ -1<a<1
⑷ ÷f(x)=x‹+ax€+;3!;x에서

÷f÷'(x)=3x€+2ax+;3!;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기 위해서는 ÷f÷'(x)=0이 서로 다른 143 ÷f(x)=x‹+kx€+3kx+2에서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f÷'(x)=3x€+2kx+3k

÷f÷'(x)=3x€+2a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f÷'(x)=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한다.
D
=a€-1>0, (a+1)(a-1)>0 ÷f÷'(x)=3x€+2kx+3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4
∴ a<-1 또는 a>1 D
=k€-9k<0, k(k-9)<0
4
141 ÷f(x)=x‹+kx€+4kx+3에서 ∴ 0<k<9
÷f÷'(x)=3x€+2kx+4k 따라서 정수 k의 값은 0, 1, 2, … , 9로 그 개수는 10이다.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기 위해서는 ÷f÷'(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f÷'(x)=3x€+2kx+4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k€-12k>0, k(k-12)>0
144 ⑴ ÷f(x)=x‹-3x+3에서
4 ÷f÷'(x)=3x€-3=3(x+1)(x-1)
∴ k<0 또는 k>12 ÷f÷'(x)=0에서 x= -1 또는 x= 1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13이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42 ⑴ ÷f(x)=x‹+ax€+12x+5에서 ÷f÷'(x)=3x€+2ax+12 x … -1 … 1 …


÷f÷'(x) + 0 - 0 +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f÷'(x)=0이
÷f(x) ↗ 5 ↘ 1 ↗
중근 또는 허근 을 가져야 한다.
÷f÷'(x)=3x€+2ax+1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함수 ÷f(x)는  y
y=f(x)
D x=-1에서 극댓값 5 , 5
=a€-36 < 0, (a+6)(a-6) < 0
4
x=1에서 극솟값 1 을 갖는다. 3
∴ -6<a<6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
⑵ ÷f(x)=-;3!;x‹+2ax€-4x+1에서 1
는 오른쪽과 같다. -1 O 1 x
÷f÷'(x)=-x€+4ax-4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f÷'(x)=0이 중 ⑵ ÷f(x)=-x‹+3x€+4에서
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한다. ÷f÷'(x)=-3x€+6x=-3x(x-2)
÷f÷'(x)=-x€+4ax-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0에서 x=0 또는 x=2
D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a€-4<0, 4(a+1)(a-1)<0
4
∴ -1<a<1 x … 0 … 2 …
÷f÷'(x) - 0 + 0 -
⑶ ÷f(x)=-x‹+ax€-3x+5에서
÷f(x) ↘ 4 ↗ 8 ↘
÷f÷'(x)=-3x€+2ax-3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f÷'(x)=0이 중 즉 함수 ÷f(x)는  y

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한다. x=2에서 극댓값 8, y=f(x)


8
÷f÷'(x)=-3x€+2a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0에서 극솟값 4를 갖는다.
D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 4
=a€-9<0, (a+3)(a-3)<0
4 는 오른쪽과 같다. O 2 x
∴ -3<a<3

056 정답과 풀이
⑶ ÷f(x)=x‹-3x€-9x-2에서 x … -1 … 0 … 1 …
÷f÷'(x)=3x€-6x-9=3(x+1)(x-3) ÷f÷'(x) - 0 + 0 - 0 +
÷f÷'(x)=0에서 x=-1 또는 x=3 ÷f(x) ↘ 0 ↗ 1 ↘ 0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함수 ÷f(x)는  y y=f(x)

x … -1 … 3 … ‌x=0에서 극댓값 1,
÷f÷'(x) + 0 - 0 + x=-1,
‌ x=1에서 극솟값 1
÷f(x) ↗ 3 ↘ -29 ↗ 0을 갖는다.
즉 함수 ÷f(x)는  y ‌따라서 함수 y=÷f(x)의 그 -1 O 1 x
y=f(x)
x=-1에서 극댓값 3, 3 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3
x=3에서 극솟값 -29를 갖는다. -1 O x ⑶ ÷f(x)=3x›-4x‹+1에서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 -2 ÷f÷'(x)=12x‹-12x€=12x€(x-1)
는 오른쪽과 같다. ÷f÷'(x)=0에서 x=0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 0 … 1 …
-29 ÷f÷'(x) - 0 - 0 +
⑷ ÷f(x)=4x‹-6x€+3에서 ÷f(x) ↘ 1 ↘ 0 ↗

÷f÷'(x)‌=12x€-12x=12x(x-1) 즉 함수 ÷f(x)는  y y=f(x)


÷f÷'(x)=0에서 x=0 또는 x=1 ‌÷x=0의 좌우에서 ÷f÷'(x)의 부호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가 바뀌지 않으므로 x=0에서
1
x … 0 … 1 … 극값을 갖지 않고,
÷f÷'(x) + 0 - 0 + x=1에서 극솟값 0을 갖는다. O 1 x
÷f(x) ↗ 3 ↘ 1 ↗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
즉 함수 ÷f(x)는  y y=f(x) 는 오른쪽과 같다.
x=0에서 극댓값 3, 3
⑷ ÷f(x)=-;2!;x›+2x‹-2x€+1에서
x=1에서 극솟값 1을 갖는다.
÷f÷'(x)=-2x‹+6x€-4x=-2x(x-1)(x-2)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 1
÷f÷'(x)=0에서 x=0 또는 x=1 또는 x=2
는 오른쪽과 같다. O 1 x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 0 … 1 … 2 …
÷f÷'(x) + 0 - 0 + 0 -
145 ⑴ ÷f(x)=3x›+4x‹+2에서 ÷f(x) ↗ 1 ↘ ;2!; ↗ 1 ↘
÷f÷'(x)=12x‹+12x€=12x€(x+1)
÷f÷'(x)=0에서 x= -1 또는 x= 0 즉 함수 ÷f(x)는  y
x=0, x=2에서 극댓값 1, 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x … -1 … 0 … x=1에서 극솟값 ;2!; 을 갖
O 1 2 x
÷f÷'(x) - 0 + 0 + 는다.
÷f(x) ↘ 1 ↗ 2 ↗ 따라서 함수 y=÷f(x)의
y=f(x)
즉 함수 ÷f(x)는  y 그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y=f(x)
x=0의
‌ 좌우에서 ÷f÷'(x)의 부
호가 바뀌지 않으므로 x=0에 2

서 극값을 갖지 않고,
1 146 ⑴ ÷f÷'(x)>0인 x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4<x<-1
x ⑵ ÷‌f÷'(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는 x의 값을 구
x=-1에서 극솟값 1 을 갖 -1 O
하면 x=-4
는다. ⑶ ‌÷f÷'(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는 x의 값을 구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하면 x=-1
⑵ ÷f(x)=x›-2x€+1에서
÷f÷'(x)=4x‹-4x=4x(x+1)(x-1)
÷ ÷f÷'(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147 ⑴ ‌열린구간 (-3, 1)에서 ÷f÷'(x)>0이므로 함수 ÷f(x)는 이 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간에서 증가한다. (◯)

04.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057


⑵ ‌x=2에서 ÷f÷'(x)의 부호가 바뀌지 않으므로 x=2에서 극값 따라서 닫힌구간 $0, 4&에서 함수 ÷f(x)는 x=4에서 최댓값 15,
을 갖지 않는다. (_) x=3에서 최솟값 -10을 가지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⑶ ‌x=1에서 ÷f÷'(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로 15+(-10)=5
x=1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
⑷ ‌열린구간 (3, $)에서 ÷f÷'(x)>0이므로 함수 ÷f(x)는 이 구간
에서 증가한다. (_)

150 ⑴ ÷f(x)=2x‹-6x€+a에서
÷f÷'(x)=6x€-12x=6x(x-2)
148 ⑴ ÷f(x)=x‹-3x+7에서 ÷f÷'(x)=0에서 x=0 또는 x=2
÷f÷'(x)=3x€-3=3(x+1)(x-1)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f÷'(x)=0에서 x=-1 또는 x=1
타내면 다음과 같다.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x -2 … 0 … 2
면 다음과 같다.
÷f÷'(x) + 0 - 0
x 0 … 1 … 2 ÷f(x) a-40 ↗ a ↘ a-8
÷f÷'(x) - 0 +
÷f(x) 7 ↘ 5 ↗ 9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최댓값 a , x=-2에서
최솟값 a-40 을 갖는다.
따라서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는 x= 2 에서
즉 a= 0 이고 최솟값은 -40 이다.
최댓값 9 , x= 1 에서 최솟값 5 를 갖는다.
⑵ ÷f(x)=-ax‹+3x€에서
⑵ ÷f(x)=-x‹+3x€+1에서
÷f÷'(x)=-3ax€+6x=-3x(ax-2)
÷f÷'(x)=-3x€+6x=-3x(x-2)
÷f÷'(x)=0에서 x=0 또는 x=2 ÷f÷'(x)=0에서 x=0 또는 x=;a@;
‌닫힌구간 $1, 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면 다음과 같다. 면 다음과 같다. (단, a>1)
x 1 2 4
;a@;
… …
x 0 … … 2
÷f÷'(x) + 0 -
÷f÷'(x) 0 + 0 -
÷f(x) 3 ↗ 5 ↘ -15
4
따라서 닫힌구간 $1, 4&에서 함수 ÷f(x)는 x=2에서 ÷f(x) 0 ↗ ↘ 12-8a
a€
최댓값 5, x=4에서 최솟값 -15를 갖는다.
4
⑶ ÷f(x)=x‹-3x€-9x+5에서 따라서 함수 ÷f(x)는 x=;a@;에서 최댓값 , x=2에서
a€
÷f÷'(x)=3x€-6x-9=3(x+1)(x-3)
최솟값 12-8a를 갖는다.
÷f÷'(x)=0에서 x=-1 또는 x=3
4
즉 12-8a=-4에서 a=2이고 최댓값은 =1이다.
닫힌구간 $-2,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a€
타내면 다음과 같다. ⑶ ÷f(x)=x‹+3x€+a에서
x -2 … -1 … 3 ÷f÷'(x)=3x€+6x=3x(x+2)
÷f÷'(x) + 0 - 0 ÷f÷'(x)=0에서 x=-2 또는 x=0
÷f(x) 3 ↗ 10 ↘ -22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따라서 닫힌구간 $-2, 3&에서 함수 ÷f(x)는 x=-1에서 타내면 다음과 같다.
최댓값 10, x=3에서 최솟값 -22를 갖는다. x -2 … 0 … 2
÷f÷'(x) 0 - 0 +
÷f(x) a+4 ↘ a ↗ a+20

149 ÷f(x)=x›-4x‹-2x€+12x-1에서 따라서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는 x=2에서


÷f÷'(x)=4x‹-12x€-4x+12=4(x+1)(x-1)(x-3) 최댓값 a+20, x=0에서 최솟값 a를 갖는다.
÷f÷'(x)=0에서 x=-1 또는 x=1 또는 x=3 즉 a=-5이고 최댓값은 a+20=15이다.
닫힌구간 $0, 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⑷ ÷f(x)=x‹+6x€-15x+a에서
다음과 같다. ÷f÷'(x)=3x€+12x-15=3(x+5)(x-1)
x 0 … 1 … 3 … 4 ÷f÷'(x)=0에서 x=-5 또는 x=1
÷f÷'(x) + 0 - 0 + 닫힌구간 $-1,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f(x) -1 ↗ 6 ↘ -10 ↗ 15 타내면 다음과 같다.

058 정답과 풀이
x -1 … 1 … 2 따라서 함수 ÷f(a)는 a='3에서 최댓값 12'3을 가지므로 직
÷f÷'(x) - 0 + 사각형 ABCD의 넓이의 최댓값은 12'3이다.
÷f(x) a+20 ↘ a-8 ↗ a+2 ⑶ C(a, 6a-a€)이라 하면 0<a<3
따라서 닫힌구간 $-1, 2&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이때 CB’=6-2a, OA’=6이므로 사다리꼴 OABC의 넓이를
최댓값 a+20, x=1에서 최솟값 a-8을 갖는다. ÷f(a)라 하면
즉 a+20=24에서 a=4이고 최솟값은 a-8=-4이다. ÷f(a)=;2!;(6+6-2a)*(6a-a€)

=a‹-12a€+36a
151 ÷f(x)=x‹+ax€+bx-1에서 ÷f÷'(a)=3a€-24a+36=3(a-2)(a-6)
÷f÷'(x)=3x€+2ax+b ÷ ÷f÷'(a)=0에서 a=2 (∵ 0<a<3)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1을 가지므로 열린구간 (0, 3)에서 함수 ÷f(a)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f(-1)=-1+a-b-1=1   ∴ a-b=3   …… ㉠ 내면 다음과 같다.
÷f÷'(-1)=3-2a+b=0    ∴ 2a-b=3 …… ㉡ a (0) … 2 … (3)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3 ÷f÷'(a) + 0 -
이때 함수 ÷f(x)=x‹-3x-1이고 ÷f÷'(x)=3x€-3이므로 ÷f(a) ↗ 32 ↘

÷f÷'(x)=3(x+1)(x-1)=0에서 x=-1 또는 x=1 따라서 함수 ÷f(a)는 a=2에서 최댓값 32를 가지므로 사다리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꼴 OABC의 넓이의 최댓값은 32이다.
면 다음과 같다.

x -2 … 0 … 1 … 2
÷f÷'(x) + - 0 +
÷f(x) -3 ↗ -1 ↘ -3 ↗ 1

따라서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는 x=-2 또는 x=1


153 ⑴ 잘라내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x이므로
에서 최솟값 -3을 갖는다.
0<x< 9    …… ㉠
상자의 부피를 ÷f(x)라 하면
÷f(x)=(18-2x)€x=4x‹-72x€+324x
152 ⑴ D(a, 12-a€)이라 하면 0<a<2'3
이때 AD’=2a, CD’=12-a€이므로 ☐ABCD의 넓이를 ÷f÷'(x)=12x€-144x+324=12(x-3)(x-9)
S(a)라 하면 ÷f÷'(x)=0에서 x= 3 (∵ ㉠)
S(a)=AD’_CD’=2a(12-a€)=-2a‹+24a ‌열린구간 (0, 9 )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S'(a)=-6a€+24=-6(a+2)(a-2)이므로 타내면 다음과 같다.
S'(a)=0에서 a= 2 (∵ 0<a<2'3 ) x (0) … 3 … ( 9 )
열린구간 (0, 2'3 )에서 함수 S(a)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f÷'(x) + 0 -
타내면 다음과 같다. ÷f(x) ↗ 432 ↘
a (0) … 2 … (2'3 )
따라서 함수 ÷f(x)는 x= 3 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S'(a) + 0 -
÷S(a) ↗ 32 ↘ 이 상자의 부피의 최댓값은 432 cm‹이다.
⑵ 만들어진 상자의 밑면은 한 변의 길이가 
따라서 함수 S(a)는 a=2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x
12-2x (0<x<6)인 정삼각형이고,
☐ABCD의 넓이의 최댓값은 S(2)= 32 이다.
1
높이는 x이다.
⑵ A(a, 9-a€)이라 하면 0<a<3 '3
1 x 60^
이때 AB’=2a, AD’=9-a€이므로 직사각형 ABCD의 넓이 이 상자의 부피를 ÷f(x)라 하면 '3
를 ÷f(a)라 하면 1 '3
÷f(x)= x* (12-2x)€=x‹-12x€+36x
÷f(a)=2a(9-a€)=-2a‹+18a '3 4
÷f÷'(a)=-6a€+18=-6(a+'3 )(a-'3 ) ÷f÷'(x)=3x€-24x+36=3(x-2)(x-6)
÷f÷'(a)=0에서 a='3 (∵ 0<a<3) ÷f÷'(x)=0에서 x=2 (∵ 0<x<6)
열린구간 (0, 3)에서 함수 ÷f(a)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x (0) … 2 … (6)
내면 다음과 같다. ÷f÷'(x) + 0 -
÷f(x) ↗ 32 ↘
a (0) … '3 … (3)
÷f÷'(a) + 0 -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f(a) ↗ 12'3 ↘ 이 상자의 부피의 최댓값은 32이다.

04.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059


더블클릭 66쪽~68쪽 158 ÷f(x)=x‹-ax€+2ax+5에서
÷f÷'(x)=3x€-2ax+2a
154 ÷f(x)=x€-3x+7에서 ÷f÷'(x)=2x-3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어야 한다.
÷f÷'(x)=0에서 x=;2#;
즉 이차방정식 3x€-2ax+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D
=a€-6a<0, a(a-6)<0
내면 다음과 같다. 4
∴ 0<a<6
x … ;2#; …
÷f÷'(x) - 0 +
÷f(x) ↘ :¡4ª: ↗ 159 ÷f(x)=2x‹+ax€+ax-5에서
÷f÷'(x)=6x€+2ax+a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2#;‘에서 감소하고,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어야 한다.
반닫힌 구간 “;2#;, $}에서 증가한다.
즉 이차방정식 6x€+2a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a€-6a<0, a(a-6)<0
155 ÷f(x)=x‹-3x€-9x+2에서 4
÷f÷'(x)=3x€-6x-9=3(x+1)(x-3) ∴ 0<a<6
÷f÷'(x)=0에서 x=-1 또는 x=3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내면 다음과 같다. 160 ÷f(x)=-x‹+ax€+ax에서
÷f÷'(x)=-3x€+2ax+a
x … -1 … 3 …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x에
÷f÷'(x) + 0 - 0 +
÷f(x) ↗ 7 ↘ -25 ↗ 대하여 ÷f÷'(x)<0이어야 한다.
즉 이차방정식 -3x€+2a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1&, $3, $)에서 증가
D
하고, 닫힌구간 $-1, 3&에서 감소한다. =a€+3a<0, a(a+3)<0
4
∴ -3<a<0
156 ÷f(x)=-x‹+3x€+5에서
÷f÷'(x)=-3x€+6x=-3x(x-2)
÷f÷'(x)=0에서 x=0 또는 x=2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161 ÷f(x)=-;3!;x‹+ax€+ax+1에서
내면 다음과 같다. ÷f÷'(x)=-x€+2ax+a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x에
x … 0 … 2 …
÷f÷'(x) - 0 + 0 - 대하여 ÷f÷'(x)<0이어야 한다.
÷f(x) ↘ 5 ↗ 9 ↘ 즉 이차방정식 -x€+2a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0&, $2, $)에서 감소하고, =a€+a<0, a(a+1)<0
4
닫힌구간 $0, 2&에서 증가한다.
∴ -1<a<0

157 ÷f(x)=-x‹-;2#;x€+6x+1에서
÷f÷'(x)=-3x€-3x+6=-3(x+2)(x-1)
162 ÷f(x)=x‹-12x+2에서
÷f÷'(x)=3x€-12=3(x+2)(x-2)
÷f÷'(x)=0에서 x=-2 또는 x=1
÷f÷'(x)=0에서 x=-2 또는 x=2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내면 다음과 같다.
내면 다음과 같다.
x … -2 … 1 …
x … -2 … 2 …
÷f÷'(x) - 0 + 0 -
÷f÷'(x) + 0 - 0 +
÷f(x) ↘ -9 ↗ ;2(; ↘
÷f(x) ↗ 18 ↘ -14 ↗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2&, $1, $)에서 감소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18, x=2에서 극솟값
하고, 닫힌구간 $-2, 1&에서 증가한다. -14를 갖는다.

060 정답과 풀이
163 ÷f(x)=x‹+3x€-4에서 168 ÷f(x)=x‹+ax+b에서 ÷f÷'(x)=3x€+a
÷f÷'(x)=3x€+6x=3x(x+2) 함수 ÷f(x)가 x=2에서 극솟값 -1을 가지므로
÷f÷'(x)=0에서 x=-2 또는 x=0 ÷f(2)=8+2a+b=-1 …… ㉠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f÷'(2)=12+a=0 …… ㉡
내면 다음과 같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12, b=15

x … -2 … 0 … 즉 ÷f(x)=x‹-12x+15이고
÷f÷'(x) + 0 - 0 + ÷f÷'(x)=3x€-12=3(x+2)(x-2)=0에서
÷f(x) ↗ 0 ↘ -4 ↗ x=-2 또는 x=2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0, x=0에서 극솟값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를 갖는다. x … -2 … 2 …
÷f÷'(x) + 0 - 0 +
÷f(x) ↗ 31 ↘ -1 ↗
164 ÷f(x)=x›-8x€+2에서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31이다.
÷f÷'(x)=4x‹-16x=4x(x+2)(x-2)
÷f÷'(x)=0에서 x=-2 또는 x=0 또는 x=2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내면 다음과 같다. 169 ÷f(x)=x‹+ax€+bx-3에서 ÷f÷'(x)=3x€+2ax+b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1을 가지므로
x … -2 … 0 … 2 …
÷f(1)=a+b-2=1 …… ㉠
÷f÷'(x) - 0 + 0 - 0 +
÷f÷'(1)=3+2a+b=0 …… ㉡
÷f(x) ↘ -14 ↗ 2 ↘ -14 ↗
㉠, ㉡을 연립하여 풀면 a=-6, b=9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2, x=-2, x=2에서 극
즉 ÷f(x)=x‹-6x€+9x-3이고
솟값 -14를 갖는다.
÷f÷'(x)=3x€-12x+9=3(x-1)(x-3)=0에서
x=1 또는 x=3
165 ÷f(x)=x›+2x€-5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4x‹+4x=4x(x€+1) x … 1 … 3 …
÷f÷'(x)=0에서 x=0 ÷f÷'(x) + 0 - 0 +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f(x) ↗ 1 ↘ -3 ↗
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m=-3이다.
x … 0 … ∴ a+b+m=-6+9+(-3)=0
÷f÷'(x) - 0 +
÷f(x) ↘ -5 ↗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솟값 -5를 갖고, 극댓값은 없다. 170 ÷f(x)=3x‹+(a+2)x€+ax+1에서
÷f÷'(x)=9x€+2(a+2)x+a
함수 ÷f(x)가 극값을 갖기 위해서는 ÷f÷'(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
166 ÷f(x)=x‹+ax+b에서 ÷f÷'(x)=3x€+a
을 가져야 한다.
함수 ÷f(x)가 x=-1에서 극솟값 3을 가지므로
÷f÷'(x)=9x€+2(a+2)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1)=-1-a+b=3   …… ㉠
D
÷f÷'(-1)=3+a=0 …… ㉡ =(a+2)€-9a>0, (a-1)(a-4)>0
4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1
∴ a<1 또는 a>4

167 ÷f(x)=x‹+ax€+bx+5에서 ÷f÷'(x)=3x€+2ax+b


함수 ÷f(x)가 x=0에서 극댓값, x=1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171 ÷f(x)=-x‹+ax€-3x+2에서
÷f÷'(0)=b=0 …… ㉠ ÷f÷'(x)=-3x€+2ax-3
÷f÷'(1)=3+2a+b=0 …… ㉡ 함수 ÷f(x)가 극값을 갖기 위해서는 ÷f÷'(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0 을 가져야 한다.


÷f÷'(x)=-3x€+2a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f(x)=x‹-;2#;x€+5이므로 D
=a€-9>0, (a+3)(a-3)>0
4
함수 ÷f(x)의 극댓값은 ÷f(0)=5, 극솟값은 ÷f(1)=;2(;이다. ∴ a<-3 또는 a>3

04.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061


172 ÷f(x)=-;3!;x‹+ax€-4x+5에서 177~180 y=÷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2,
1, 3이므로 ÷f÷'(x)=0에서
÷f÷'(x)=-x€+2ax-4
x=-2 또는 x=1 또는 x=3
함수 ÷f(x)가 극값을 갖기 위해서는 ÷f÷'(x)=0이 서로 다른 두 실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근을 가져야 한다.
다음과 같다.
÷f÷'(x)=-x€+2ax-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x … -2 … 1 … 3 …
=a€-4>0, (a+2)(a-2)>0
4 ÷f÷'(x) - 0 + 0 - 0 +
∴ a<-2 또는 a>2 ÷f(x) ↘ 극소 ↗ 극대 ↘ 극소 ↗

177 _ 178 _ 179 ◯ 180 _


173 ÷f(x)=x‹+ax€+3x-2에서 181 ÷f(x)=x‹-12x+5에서
÷f÷'(x)=3x€+2ax+3 ÷f÷'(x)=3x€-12=3(x+2)(x-2)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f÷'(x)=0이 중근 또는 ÷f÷'(x)=0에서 x=-2 또는 x=2
허근을 가져야 한다. 닫힌구간 $-3,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f÷'(x)=3x€+2a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면 다음과 같다.
D
=a€-9<0, (a+3)(a-3)<0 x -3 … -2 … 2
4
÷f÷'(x) + 0 - 0
∴ -3<a<3
÷f(x) 14 ↗ 21 ↘ -11

따라서 닫힌구간 $-3, 2&에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21, x=2에서 최솟값 -11을 갖는다.
174 ÷f(x)=x‹+ax€+ax+2에서
÷f÷'(x)=3x€+2ax+a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f÷'(x)=0이 중근 또는 182 ÷f(x)=x‹-3x€+2에서
÷f÷'(x)=3x€-6x=3x(x-2)
허근을 가져야 한다.
÷f÷'(x)=0에서 x=0 또는 x=2
÷f÷'(x)=3x€+2a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닫힌구간 $0, 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D
=a€-3a<0, a(a-3)<0
4 다음과 같다.
∴ 0<a<3 x 0 … 2 … 4
÷f÷'(x) 0 - 0 +
÷f(x) 2 ↘ -2 ↗ 18

175 ÷f(x)=-;3!;x‹+2ax€-x+7에서 따라서 닫힌구간 $0, 4&에서 함수 ÷f(x)는 x=4에서 최댓값 18,
x=2에서 최솟값 -2를 갖는다.
÷f÷'(x)=-x€+4ax-1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f÷'(x)=0이 중근 또는
183 ÷f(x)=3x€-x‹에서
허근을 가져야 한다.
÷f÷'(x)=6x-3x€=3x(2-x)
÷f÷'(x)=-x€+4a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0에서 x=0 또는 x=2
D
=4a€-1<0, (2a+1)(2a-1)<0 닫힌구간 $-2, 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4
면 다음과 같다.
∴ -;2!;<a<;2!;
x -2 … 0 … 2 … 4
÷f÷'(x) - 0 + 0 -
÷f(x) 20 ↘ 0 ↗ 4 ↘ -16

176 ÷f(x)=-x‹+2ax€-3x+5에서 따라서 닫힌구간 $-2, 4&에서 함수 ÷f(x)는 x=-2에서


÷f÷'(x)=-3x€+4ax-3 최댓값 20, x=4에서 최솟값 -16을 갖는다.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f÷'(x)=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한다. 184 f÷(x)=3x›-4x‹-12x€+5에서
÷f÷'(x)=-3x€+4a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12x‹-12x€-24x=12x(x+1)(x-2)
D ÷f÷'(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2
=4a€-9<0, (2a+3)(2a-3)<0
4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 -;2#;<a<;2#; 면 다음과 같다.

062 정답과 풀이
x -1 … 0 … 2 … 3 188 제품 한 개에 1200원씩 판매하므로 하루에 x개를 생산하여 얻은
÷f÷'(x) 0 + 0 - 0 + 이익을 ÷f(x)라 하면
÷f(x) 0 ↗ 5 ↘ -27 ↗ 32
÷f(x)‌=1200x-p(x)
따라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3에서 =1200x-(x‹-60x€+1200x+5000)
최댓값 32, x=2에서 최솟값 -27을 갖는다. =-x‹+60x€-5000
÷f÷'(x)=-3x€+120x=-3x(x-40)
÷f÷'(x)=0에서 x=0 또는 x=40
x>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0) 40
185 ÷f(x)=x‹+3x€+a에서 … …
÷f÷'(x) + 0 -
÷f÷'(x)=3x€+6x=3x(x+2)
÷f(x) ↗ 27000 ↘
÷f÷'(x)=0에서 x=-2 또는 x=0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따라서 함수 ÷f(x)는 x=40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면 다음과 같다. 하루에 40개를 생산하면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x -2 … 0 … 2
÷f÷'(x) 0 - 0 +
÷f(x) a+4 ↘ a ↗ a+20

따라서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는 x=2에서 189 밑면의 한 변의 길이를 x cm (0<x<6)라 하면 높이는
최댓값 a+20, x=0에서 최솟값 a를 갖는다. (12-2x) cm이다.
즉 a+20=5에서 a=-15이고 최솟값은 -15이다. 직육면체의 부피를 ÷f(x)라 하면
÷f(x)=x€(12-2x)=-2x‹+12x€
÷f÷'(x)=-6x€+24x=-6x(x-4)
÷f÷'(x)=0에서 x=4 (∵ 0<x<6)

x (0) 4 (6)
186 ÷f(x)=2x‹+3x€-12x+a에서 … …
÷f÷'(x) + 0 -
÷f÷'(x)=6x€+6x-12=6(x+2)(x-1)
÷f(x) ↗ 64 ↘
÷f÷'(x)=0에서 x=-2 또는 x=1
닫힌구간 $-2,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따라서 함수 ÷f(x)는 x=4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부피의

면 다음과 같다. 최댓값은 64 cm‹이고, 그때의 밑면의 한 변의 길이는 4 cm이다.

x -2 … 1 … 3
÷f÷'(x) 0 - 0 +
÷f(x) a+20 ↘ a-7 ↗ a+45

따라서 닫힌구간 $-2, 3&에서 함수 ÷f(x)는 x=3에서


최댓값 a+45, x=1에서 최솟값 a-7을 갖는다.
즉 a-7=-3에서 a=4이고 최댓값은 a+45=49이다.

187 ÷f(x)=-ax‹+3ax€+b에서
÷f÷'(x)=-3ax€+6ax=-3ax(x-2)
÷f÷'(x)=0에서 x=0 또는 x=2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1 … 2 … 3
÷f÷'(x) + 0 -
÷f(x) 2a+b ↗ 4a+b ↘ b

따라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4a+b, x=3에서 최솟값 b를 갖는다.
즉 b=-2이고 4a+b=6에서 a=2이다.

04.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063


⑷ ÷f(x)=2x‹-3x€-12x+3이라 하면
05 방정식과 부등식, 속도와 가속도 69쪽~76쪽
÷f÷'(x)=6x€-6x-12=6(x+1)(x-2)
÷f÷'(x)=0에서 x=-1 또는 x=2
190 ⑴ ÷f(x)=x‹-3x€+2라 하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리면
÷f÷'(x)=3x€-6x=3x(x-2)
다음과 같다.
÷f÷'(x)=0에서 x= 0 또는 x= 2
x … -1 … 2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리면
÷f÷'(x) + 0 - 0 +
다음과 같다.
÷f(x) ↗ 10 ↘ -17 ↗
x … 0 … 2 …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f(x)의  y y=f(x)
10
÷f÷'(x) + 0 - 0 +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세 점
÷f(x) ↗ 2 ↘ -2 ↗ 에서 만나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3
2
O x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f(x)의  y y=f(x)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이다.
-1
2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세 점
에서 만나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2
x -17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 이다. O

-2

⑸ ÷f(x)=x›-2x€+1이라 하면
⑵ ÷f(x)=x‹-12x+6이라 하면
÷f÷'(x)=4x‹-4x=4x(x+1)(x-1)
÷f÷'(x)=3x€-12=3(x+2)(x-2)
÷f÷'(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f÷'(x)=0에서 x=-2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리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다.
x … -1 … 0 … 1 …
x … -2 … 2 …
÷f÷'(x) - 0 + 0 - 0 +
÷f÷'(x) + 0 - 0 +
÷f(x) ↘ 0 ↗ 1 ↘ 0 ↗
÷f(x) ↗ 22 ↘ -10 ↗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f(x) y
y=f(x)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f(x)의 y y=f(x)
22 ‌의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세 점에
두 점에서 만나므로 주어진 1
서 만나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서
6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이다. O 2
-2 x -1 O 1 x
개수는 2이다.
-10

⑶ ÷f(x)=x‹-3x+5라 하면 ⑹ ÷f(x)=;4!;x›-2x€+3이라 하면

÷f÷'(x)=3x€-3=3(x+1)(x-1) ÷f÷'(x)=x‹-4x=x(x+2)(x-2)
÷f÷'(x)=0에서 x=-1 또는 x=1 ÷f÷'(x)=0에서 x=-2 또는 x=0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리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다.
x … -1 … 1 … x … -2 … 0 … 2 …
÷f÷'(x) + 0 - 0 + ÷f÷'(x) - 0 + 0 - 0 +
÷f(x) ↗ 7 ↘ 3 ↗ ÷f(x) ↘ -1 ↗ 3 ↘ -1 ↗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f(x)의 y y=f(x)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f(x) y
7 y=f(x)
‌그래프는 x축과 한 점에서 만나 ‌의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3
5
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의 개 네 점에서 만나므로 주어진 방
3
수는 1이다. 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2 2
O x
-1 O 1 x 는 4이다.
-1

064 정답과 풀이
191 ⑴ x‹-2x€+1=x€-2에서 x‹-3x€+3=0 x … 0 … 1 …
÷f(x)=x‹-3x€+3이라 하면 ÷f÷'(x) - 0 - 0 +

÷f÷'(x)=3x€-6x=3x(x-2) ÷f(x) ↘ -1 ↘ -;3$; ↗

÷f÷'(x)=0에서 x= 0 또는 x= 2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f(x) y
y=f(x)
x … 0 … 2 … ‌의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
÷f÷'(x) + 0 - 0 + 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주어
÷f(x) ↗ 3 ↘ -1 ↗ 진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1
O x
2이다.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f(x) y -1
y=f(x) -;3$;
의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3
세 점에서 만나므로 주어진 방
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2
O x
는 3 이다. -1 192 ⑴ x‹-6x€+9x-a=0에서
x‹-6x€+9x=a   …… ㉠
÷f(x)=x‹-6x€+9x라 하면
⑵ x‹-6x€+4x+1=-5x-2에서 x‹-6x€+9x+3=0
÷f÷'(x)=3x€-12x+9=3(x-1)(x-3)
÷f(x)=x‹-6x€+9x+3이라 하면
÷f÷'(x)=0에서 x=1 또는 x=3
÷f÷'(x)=3x€-12x+9=3(x-1)(x-3)
x … 1 … 3 …
÷f÷'(x)=0에서 x=1 또는 x=3 ÷f÷'(x) + 0 - 0 +
x … 1 … 3 … ÷f(x) ↗ 4 ↘ 0 ↗
÷f÷'(x) + 0 - 0 +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f(x) ↗ 7 ↘ 3 ↗
y=a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f(x)의 y
y=f(x) ①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y
7 y=f(x)
‌그래프는 x축과 한 점에서 만나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4
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의 개
3 0<a<4 y=a
수는 1이다.
②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O1 3 x
하는 실수 a의 값은
O 1 3 x
a= 0 또는 a= 4
③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⑶ x‹+x€-6x=-x‹+x€-1에서 2x‹-6x+1=0
a<0 또는 a>4
÷f(x)=2x‹-6x+1이라 하면
⑵ x‹-3x€-a=0에서
÷f÷'(x)=6x€-6=6(x+1)(x-1)
x‹-3x€=a   …… ㉠
÷f÷'(x)=0에서 x=-1 또는 x=1
÷f(x)=x‹-3x€이라 하면
x … -1 … 1 …
÷f÷'(x)=3x€-6x=3x(x-2)
÷f÷'(x) + 0 - 0 +
÷f(x) ↗ 5 ↘ -3 ↗ ÷f÷'(x)=0에서 x=0 또는 x=2

x … 0 … 2 …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y=÷f(x)의 y y=f(x)
5 ÷f÷'(x) + 0 - 0 +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세
÷f(x) ↗ 0 ↘ -4 ↗
점에서 만나므로 주어진 방정식
1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의 실근의 개수는 3이다. 1
-1 O x y=a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①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y y=f(x)
-3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4<a<0 O 2
x
⑷ x›-x‹+2x-1=;3!;x‹+2x에서 x›-;3$;x‹-1=0 ②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
록 하는 실수 a의 값은 y=a
÷f(x)=x›-;3$;x‹-1이라 하면
a=-4 또는 a=0 -4
÷f÷'(x)=4x‹-4x€=4x€(x-1) ③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f÷'(x)=0에서 x=0 또는 x=1 a<-4 또는 a>0

05. 방정식과 부등식, 속도와 가속도 065


⑶ x‹-6x-a=0에서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x‹-6x=a   …… ㉠ y=a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f(x)=x‹-6x라 하면 ①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  y
‌나도록 하는 실수 a의 7
÷f÷'(x)=3x€-6=3(x+'2 )(x-'2 )
-2
÷f÷'(x)=0에서 x=-'2 또는 x='2 값의 범위는 O 1 x
-20<a<7
x … -'2 … '2 …
÷f÷'(x) + 0 - 0 + ② ‌서로 다른 두 점에서 y=a
÷f(x) ↗ 4'2 ↘ -4'2 ↗ 만나도록 하는 실수 a -20
y=f(x)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의 값은

y=a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a=-20 또는 a=7

①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y ③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y=f(x)
4'2 a<-20 또는 a>7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y=a
-4'2<a<4'2
'2
②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 -'2 O x 193 2x‹-12x€+18x+1-a=0에서
록 하는 실수 a의 값은 2x‹-12x€+18x+1=a   …… ㉠

a=-4'2 또는 a=4'2 -4'2


÷f(x)=2x‹-12x€+18x+1이라 하면

③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 ÷f÷'(x)=6x€-24x+18=6(x-1)(x-3)

수 a의 값의 범위는 ÷f÷'(x)=0에서 x=1 또는 x=3

a<-4'2 또는 a>4'2 x … 1 … 3 …
÷f÷'(x) + 0 - 0 +
÷f(x) ↗ 9 ↘ 1 ↗
⑷ x‹-3x€-9x+a=0에서
-x‹+3x€+9x=a   …… ㉠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y=a

÷f(x)=-x‹+3x€+9x라 하면 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y
÷f÷'(x)=-3x€+6x+9=-3(x+1)(x-3) y=f(x)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9
÷f÷'(x)=0에서 x=-1 또는 x=3
1<a<9 y=a
x … -1 … 3 …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과 최솟값
÷f÷'(x) - 0 + 0 -
÷f(x) ↘ -5 ↗ 27 ↘ 의 합은 8+2=10 1
O1 3 x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y=a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①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y
194 ⑴ x‹-6x€+10+k=0에서 x‹-6x€+10=-k
y=f(x)
27 ÷f(x)=x‹-6x€+10이라 하면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f÷'(x)=3x€-12x=3x(x-4)
-5<a<27
y=a ÷f÷'(x)=0에서 x=0 또는 x=4
②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
x … 0 … 4 …
록 하는 실수 a의 값은 -1 ÷f÷'(x) + 0 - 0 +
a=-5 또는 a=27 O 3 x
-5 ÷f(x) ↗ 10 ↘ -22 ↗
③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
수 a의 값의 범위는 두 함수 y=÷f(x), y=-k의 그 y y=f(x)
10
a<-5 또는 a>27 ‌래프의 교점의 x좌표가 두 개는
4
서로 다른 양수, 한 개는 음수가 O x
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
⑸ 2x‹+3x€-12x+a=0에서 y=-k
는 오른쪽 그림에서
-2x‹-3x€+12x=a   …… ㉠
-22
÷f(x)=-2x‹-3x€+12x라 하면 -22 <-k< 10

÷f÷'(x)=-6x€-6x+12=-6(x+2)(x-1) ∴ -10 <k< 22


÷f÷'(x)=0에서 x=-2 또는 x=1 ⑵ x‹-3x€-9x+k=0에서 x‹-3x€-9x=-k
x … -2 … 1 … ÷f(x)=x‹-3x€-9x라 하면
÷f÷'(x) - 0 + 0 - ÷f÷'(x)=3x€-6x-9=3(x+1)(x-3)
÷f(x) ↘ -20 ↗ 7 ↘ ÷f÷'(x)=0에서 x=-1 또는 x=3

066 정답과 풀이
x … -1 … 3 … 196 ⑴÷ f(x)=x‹-3x€+2-k라 하면
÷f÷'(x) + 0 - 0 + ÷f÷'(x)=3x€-6x=3x(x-2)
÷f(x) ↗ 5 ↘ -27 ↗
÷f÷'(x)=0에서 x=0 또는 x=2
두 함수 y=÷f(x), y=-k y y=f(x)
x … 0 … 2 …
‌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 5 ÷f÷'(x) + 0 - 0 +
3
가 두 개는 서로 다른 양수, -1 O x ÷f(x) ↗ 2-k ↘ -2-k ↗
한 개는 음수가 되도록 하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y=-k
-27 (극댓값)_(극솟값) < 0이어야 하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27<-k<0 ÷f(0)÷f(2) < 0, 즉 (2-k)( -2-k ) < 0

∴ 0<k<27 ∴ -2 <k< 2
⑵ ÷f(x)=x‹+3x€-k라 하면
⑶ 2x‹-x€-7x+1=2x€+5x-k에서 ÷f÷'(x)=3x€+6x=3x(x+2)
2x‹-3x€-12x+1=-k ÷f÷'(x)=0에서 x=-2 또는 x=0
÷f(x)=2x‹-3x€-12x+1이라 하면 x … -2 … 0 …
÷f÷'(x)=6x€-6x-12=6(x+1)(x-2) ÷f÷'(x) + 0 - 0 +
÷f÷'(x)=0에서 x=-1 또는 x=2 ÷f(x) ↗ 4-k ↘ -k ↗

x … -1 … 2 … 삼차방정식 ÷f(x)=0이 중근과 다른 한 실근을 가지려면


÷f÷'(x) + 0 - 0 +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f(x) ↗ 8 ↘ -19 ↗
÷f(-2)÷f(0)=0, 즉 (4-k)(-k)=0
두 함수 y=÷f(x), y=-k의 y ∴ k=0 또는 k=4
y=f(x)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가 한 8 ⑶÷ f(x)=x‹-;2#;x€+k라 하면
개는 양수, 두 개는 서로 다 1 2 y=-k
-1 O x ÷f÷'(x)=3x€-3x=3x(x-1)
른 음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오른쪽 그 ÷f÷'(x)=0에서 x=0 또는 x=1

림에서 -19 x … 0 … 1 …
1<-k<8 ÷f÷'(x) + 0 - 0 +

∴ -8<k<-1 ÷f(x) ↗ k ↘ k-;2!; ↗

삼차방정식 ÷f(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가지려면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f(0)÷f(1)>0, 즉 k{k-;2!;}>0

∴ k<0 또는 k>;2!;
195 x‹+x€-4x-7=x€+8x+a에서
x‹-12x-7=a
÷f(x)=x‹-12x-7이라 하면
÷f÷'(x)=3x€-12=3(x+2)(x-2)
÷f÷'(x)=0에서 x=-2 또는 x=2

x … -2 … 2 … 197 ÷f(x)=2x‹-6x-k라 하면
÷f÷'(x) + 0 - 0 + ÷f÷'(x)=6x€-6=6(x+1)(x-1)
÷f(x) ↗ 9 ↘ -23 ↗ ÷f÷'(x)=0에서 x=-1 또는 x=1
두 함수 y=÷f(x), y=a의 그래 y x … -1 … 1 …
y=f(x)
프의 교점의 x좌표가 두 개는 9 ÷f÷'(x) + 0 - 0 +
2 ÷f(x) ↗ 4-k ↘ -4-k ↗
서로 다른 양수, 한 개는 음수가 -2 x
O
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 -7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위는 오른쪽 그림에서 y=a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23<a<-7 -23 ÷f(-1)÷f(1)=0, 즉 (4-k)(-4-k)=0
따라서 정수 a의 개수는 ∴ k=-4 또는 k=4
-7-(-23)-1=15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곱은 -4*4=-16

05. 방정식과 부등식, 속도와 가속도 067


198 ⑴ x‹-6x€+5x=-4x+a, 즉 x‹-6x€+9x-a=0 199 x‹-4x€-6x=-x€+3x-a
÷f(x)=x‹-6x€+9x-a라 하면 즉 x‹-3x€-9x+a=0
÷f÷'(x)=3x€-12x+9=3(x-1)(x-3) ÷f(x)=x‹-3x€-9x+a라 하면
÷f÷'(x)=0에서 x=1 또는 x=3 ÷f÷'(x)=3x€-6x-9=3(x+1)(x-3)

x … 1 … 3 … ÷f÷'(x)=0에서 x=-1 또는 x=3


÷f÷'(x) + 0 - 0 + x … -1 … 3 …
÷f(x) ↗ 4-a ↘ -a ↗ ÷f÷'(x) + 0 - 0 +
÷f(x) ↗ a+5 ↘ a-27 ↗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극댓값)_(극솟값) < 0이어야 하므로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f(1)f(3) < 0, 즉(4-a)( -a ) < 0
÷f(-1)÷f(3)<0, 즉 (a+5)(a-27)<0
∴ 0 <a< 4 ∴ -5<a<27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26이다.
⑵ x‹+x€-4x+1=-2x€+5x+a
즉 x‹+3x€-9x+1-a=0
÷f(x)=x‹+3x€-9x+1-a라 하면 200 ⑴ x‹>3x-2에서 x‹-3x+2>0
÷f÷'(x)=3x€+6x-9=3(x+3)(x-1) ÷f(x)=x‹-3x+2라 하면

÷f÷'(x)=0에서 x=-3 또는 x=1 ÷f÷'(x)=3x€-3=3(x+1)(x-1)


÷f÷'(x)=0에서 x=1 (∵ x>0)
x … -3 … 1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 + 0 - 0 +
÷f(x) ↗ 28-a ↘ -4-a ↗ x 0 … 1 …
÷f÷'(x) - 0 +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f(x) 2 ↘ 0 ↗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f(-3)÷f(1)<0, 즉 (28-a)(-4-a)<0 즉 x>0에서 함수 ÷f(x)는 최솟값이 ÷f(1)= 0 이므로
∴ -4<a<28
÷f(x)=x‹-3x+2> 0
따라서 x>0일 때, x‹>3x-2이다.
⑶ x‹-2x€=x€-a, 즉 x‹-3x€+a=0
⑵ x‹>3x€-4에서 x‹-3x€+4>0
÷f(x)=x‹-3x€+a라 하면
÷f(x)=x‹-3x€+4라 하면
f÷'(x)=3x€-6x=3x(x-2)
÷f÷'(x)=3x€-6x=3x(x-2)
÷f÷'(x)=0에서 x=0 또는 x=2
÷f÷'(x)=0에서 x=0 또는 x=2
x … 0 … 2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 + 0 - 0 +
÷f(x) ↗ a ↘ -4+a ↗ x 0 … 2 …
÷f÷'(x) - 0 +
삼차방정식 ÷f(x)=0이 한 실근과 중근을 가지려면
÷f(x) 4 ↘ 0 ↗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즉 x>0에서 함수 ÷f(x)는 최솟값이 ÷f(2)=0이므로
÷f(0)÷f(2)=0, 즉 a(-4+a)=0
÷f(x)=x‹-3x€+4>0
∴ a=0 또는 a=4
따라서 x>0일 때, x‹>3x€-4이다.
⑷ x‹-x€=2x€+9x-a, 즉 x‹-3x€-9x+a=0 ⑶ x‹+2x€>-x€에서 x‹+3x€>0
÷f(x)=x‹-3x€-9x+a라 하면 ÷f(x)=x‹+3x€이라 하면
÷f÷'(x)=3x€-6x-9=3(x+1)(x-3) ÷f÷'(x)=3x€+6x=3x(x+2)
÷f÷'(x)=0에서 x=-1 또는 x=3 ÷f÷'(x)=0에서 x=-2 또는 x=0 (∵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 -1 … 3 …
÷f÷'(x) + 0 - 0 + x -2 … 0 …
÷f(x) ↗ a+5 ↘ a-27 ↗ ÷f÷'(x) 0 - 0 +
÷f(x) 4 ↘ 0 ↗
삼차방정식 ÷f(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가지려면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즉 x>-2에서 함수 ÷f(x)는 최솟값이 ÷f(0)=0이므로
÷f(-1)÷f(3)>0, 즉 (a+5)(a-27)>0 ÷f(x)=x‹+3x€>0
∴ a<-5 또는 a>27 따라서 x>-2일 때, x‹+2x€>-x€이다.

068 정답과 풀이
⑷ x›+8>4x에서 x›-4x+8>0 ⑶ x‹-2x€+3x>-x€+4x-k에서 x‹-x€-x+k>0
÷f(x)=x›-4x+8이라 하면 ÷f(x)=x‹-x€-x+k라 하면
÷f÷'(x)=4x‹-4=4(x-1)(x€+x+1) ÷f÷'(x)=3x€-2x-1=(3x+1)(x-1)
÷f÷'(x)=0에서 x=1 ÷f÷'(x)=0에서 x=1 (∵ x>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 1 … x 0 … 1 …
÷f÷'(x) - 0 + ÷f÷'(x) - 0 +
÷f(x) ↘ 5 ↗ ÷f(x) k ↘ k-1 ↗

즉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x>0에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


÷f(x)=x›-4x+8>5>0 솟값은 k-1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8>4x이다 . 이때 ÷f(x)>0이려면 ÷f÷(1)>0이어야 하므로
⑸ 3x›+4>4x‹+3에서 3x›-4x‹+1>0 k-1>0   ∴ k>1
÷f(x)=3x›-4x‹+1이라 하면
÷f÷'(x)=12x‹-12x€=12x€(x-1)
÷f÷'(x)=0에서 x=0 또는 x=1 202 2x‹+3x€-2x>10x-k에서 2x‹+3x€-12x+k>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2x‹+3x€-12x+k라 하면
x … 0 … 1 … ÷f÷'(x)=6x€+6x-12=6(x+2)(x-1)
÷f÷'(x) - 0 - 0 + ÷f÷'(x)=0에서 x=1 (∵ 0<x<2)
÷f(x) ↘ 1 ↘ 0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x (0) … 1 … (2)
÷f(x)=3x›-4x‹+1>0 ÷f÷'(x) - 0 +
÷f(x) ↘ k-7 ↗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3x›+4>4x‹+3이다.
0<x<2에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k-7
이때 ÷f(x)>0이려면 ÷f(1)>0이어야 하므로
k-7>0   ∴ k>7
201 ⑴ ÷f(x)=x‹-3x-k라 하면
÷f÷'(x)=3x€-3=3(x+1)(x-1)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8이다.

÷f÷'(x)=0에서 x= 1 (∵ x>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0 … 1 … 203 ⑴ ÷f(x)=x›-32x+k라 하면
÷f÷'(x) - 0 +
÷f÷'(x)=4x‹-32=4(x-2)(x€+2x+4)

÷f(x) -k ↘ -k-2 ↗
÷f÷'(x)=0에서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0에서 함수 ÷f(x)는 x= 1 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x … 2 …
최솟값은 -k-2 ÷f÷'(x) - 0 +
÷f(x) ↘ k-48 ↗
이때 ÷f(x)>0이려면 ÷f( 1 )>0이어야 하므로
-k-2 >0   ∴ k< -2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⑵ ÷f(x)=x‹-5x€+3x+k라 하면 k-48
÷f÷'(x)=3x€-10x+3=(3x-1)(x-3) 이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 성립하려면
÷f÷'(x)=0에서 x=3 (∵ x>2) f(2)>0이어야 하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k-48 >0   ∴ k> 48
x 2 … 3 … ⑵ ÷f(x)=x›-4x‹+k-1이라 하면
÷f÷'(x) - 0 + ÷f÷'(x)=4x‹-12x€=4x€(x-3)
÷f(x) k-6 ↘ k-9 ↗
÷f÷'(x)=0에서 x=0 또는 x=3
‌x>2에서 함수 ÷f(x)는 x=3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솟값은 k-9 x … 0 … 3 …
이때 ÷f(x)>0이려면 ÷f(3)>0이어야 하므로 ÷f÷'(x) - 0 - 0 +
k-9>0   ∴ k>9 ÷f(x) ↘ k-1 ↘ k-28 ↗

05. 방정식과 부등식, 속도와 가속도 069


‌따라서 ÷f(x)는 x=3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x 0 … ;3!; … 3 …
k-28
h'(x) + 0 - 0 +
이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 성립하려면
÷f(3)>0이어야 하므로 h(x) k ↗ k+;2!7#; ↘ k-9 ↗

k-28>0   ∴ k>28
함수 h(x)는 x= 3 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⑶ ÷f(x)=x›-;3$;x‹-4x€+k라 하면
k-9
÷f÷'(x)=4x‹-4x€-8x=4x(x+1)(x-2)
이때 h(x)>0이려면 h( 3 )>0이어야 하므로
÷f÷'(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2
k-9 >0   ∴ k> 9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⑵ h(x)=÷f(x)-g(x)로 놓으면
x … -1 … 0 … 2 …
h(x)=x‹-x€-x+1+k
÷f÷'(x) - 0 + 0 - 0 +
h'(x)=3x€-2x-1=(3x+1)(x-1)
÷f(x) ↘ k-;3%; ↗ k ↘ k-:£3™: ↗
h'(x)=0에서 x=1 (∵ x>0)
따라서 ÷f(x)는 x=2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k-:£3™: x 0 … 1 …
h'(x) - 0 +
이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 성립하려면 h(x) k+1 ↘ k ↗
÷f(2)>0이어야 하므로
함수 h(x)는 x=1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k
k-:£3™:>0   ∴ k>:£3™: 이때 h(x)>0이려면 h(1)>0이어야 하므로
k>0
⑶ h(x)=÷f(x)-g(x)로 놓으면
h(x)=3x›+4x‹+1-k
204 ÷f(x)=;4!;x›-8a‹x+108이라 하면 h'(x)=12x‹+12x€=12x€(x+1)
h'(x)=0에서 x=-1 또는 x=0
1 a=0일 때,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x›+108>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항상 성립한다.
x … -1 … 0 …
2 a+0일 때, h'(x) - 0 + 0 +
÷f÷'(x)=x‹-8a‹=(x-2a)(x€+2ax+4a€) h(x) ↘ -k ↗ 1-k ↗

÷f÷'(x)=0에서 x=2a ‌함수 h(x)는 x=-1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k
x … 2a … 이때 h(x)>0이려면 h(-1)>0이어야 하므로
÷f÷'(x) - 0 + -k>0   ∴ k<0
÷f(x) ↘ -12a›+108 ↗

따라서 ÷f(x)는 x=2a에서 극소이면서 최소가 되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 성립하려면 ÷f(2a)>0이어
야 하므로 206 h(x)=÷f(x)-g(x)로 놓으면
-12a›+108>0, a›-9<0 h(x)=2x‹-3x€+3-k
(a+'3 )(a-'3 )(a€+3)<0 h'(x)=6x€-6x=6x(x-1)
∴ -'3<a<0 또는 0<a<'3  (∵ a+0) h'(x)=0에서 x=0 또는 x=1
1, 2에서 -'3<a<'3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0 … 1 …
h'(x) 0 - 0 +
h(x) -k+3 ↘ -k+2 ↗
205 ⑴ h(x)=÷f(x)-g(x)로 놓으면
h(x)=x‹-5x€+3x+k 함수 h(x)는 x=1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h'(x)=3x€-10x+3=(3x-1)(x-3) -k+2
이때 h(x)>0이려면 h(1)>0이어야 하므로
h'(x)=0에서 x=;3!; 또는 x=3
-k+2>0   ∴ k<2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2이다.

070 정답과 풀이
207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 하자. ⑵ 두 점 P, Q의 속도를 각각 vP, vQ라 하면
⑴ x=t‹-12t에서 vP=6t-6, vQ=2t-8

dx dv 두 점 P, Q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vPvQ<0이므로


v= =3t€-12, a= =6t
dt dt (6t-6)(2t-8)<0
이므로 시각 t=1에서의 속도와 가속도는 (t-1)(t-4)<0   ∴ 1<t<4
v=3*1€-12=-9, a=6*1=6
⑵ x=2t‹-t€에서

v=
dx
=6t€-2t, a=
dv
=12t-2 211 두 점 P, Q의 속도를 각각 v , v 라 하면
P Q
dt dt
vP=t€+4, vQ=4t
이므로 시각 t=2에서의 속도와 가속도는
vP=vQ에서 t€+4=4t
v=6*2€-2*2=20, a=12*2-2=22
t€-4t+4=0, (t-2)€=0
⑶ x=t‹-3t€에서
∴ t=2
dx dv
v= =3t€-6t, a= =6t-6 t=2일 때, 두 점 P, Q의 위치는 각각
dt dt
이므로 시각 t=3에서의 속도와 가속도는 ;3!;*2‹+4*2-;3@;=10, 2*2€-6=2
v=3*3€-6*3=9, a=6*3-6=12
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10-2=8

208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 하면


x=t‹-6t€에서
212 ⑴ 열차가 제동을 건 후 t초 후의 속도를 v라 하면
dx dv
v= =3t€-12t, a= =6t-12 dx
dt dt v= =-0.9t+9
dt
가속도가 0일 때의 시각은 6t-12=0에서 t=2
열차가 정지할 때의 속도 v= 0 이므로
따라서 시각 t=2에서의 점 P의 속도는
3*2€-12*2=-12 -0.9t+9= 0 에서 t= 10
따라서 10 초 동안 열차가 움직인 거리는
-0.45* 10 €+9* 10 = 45 (m)
209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 하면 ⑵ 열차가 제동을 건 후 t초 후의 속도를 v라 하면
x=t‹-6t€+3에서 dx
v= =16-0.8t
dx dv dt
v= =3t€-12t, a= =6t-12
dt dt 열차가 정지할 때의 속도 v=0이므로
⑴ 속도가 0일 때의 시각은 3t€-12t=0에서 16-0.8t=0에서 t=20
3t(t-4)=0   ∴ t=4 따라서 20초 동안 열차가 움직인 거리는
⑵ 점 P의 속도가 15일 때의 시각은 3t€-12t=15에서 16*20-0.4*20€=160 (m)
3t€-12t-15=0, 3(t+1)(t-5)=0 ⑶ 열차가 제동을 건 후 t초 후의 속도를 v라 하면
∴ t=5 dx
v= =24-6t€
따라서 시각 t=5에서의 점 P의 가속도는 dt
6*5-12=18 열차가 정지할 때의 속도 v=0이므로
⑶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는 0이므로 24-6t€=0에서 t€=4   ∴ t=2 (∵ t>0)
3t€-12t=0에서 3t(t-4)=0 따라서 2초 동안 열차가 움직인 거리는
∴ t=4 (∵ t>0) 24*2-2*2‹=32 (m)
따라서 시각 t=4에서의 점 P의 위치는
4‹-6*4€+3=-29
213 열차의 속도를 v라 하면 v=60-4t
열차가 정지할 때의 속도는 0이므로 v=0에서
210 ⑴ 두 점 P, Q의 속도를 각각 vP, vQ라 하면 60-4t=0   ∴ t=15
vP=3t€-2t, vQ=6t€-10t-3 따라서 열차가 정지할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vP =vQ에서 3t€-2t=6t€-10t-3 60*15-2*15€=450
3t€-8t-3=0, (3t+1)(t-3)=0 이므로 목적지로부터 전방 450 m의 지점에서 제동을 걸어야 한
∴ t=3 다.

05. 방정식과 부등식, 속도와 가속도 071


214 ⑴ t초 후의 공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 하면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y=a의

dh dv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v= =30-6t, a= =-6
dt dt ①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y y=f(x)
16
따라서 t=3일 때의 공의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속도는 30-6*3=12, 가속도는 -6 -16<a<16
⑵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순간의 속도는 0이므로 4
②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 O x
30-6t=0   ∴ t=5 는 실수 a의 값은
y=a
따라서 물체가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것은 5초 후이고, a=-16 또는 a=16 -16
그때의 높이는 ③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a
30*5-3*5€=75 (m) 의 값의 범위는
a<-16 또는 a>16

215 ⑴ t초 후의 물체의 속도를 v라 하면


v=
dh
=16-4t
218 2x‹-3x€-12x-a=0에서 2x‹-3x€-12x=a …… ㉠
dt ÷f(x)=2x‹-3x€-12x라 하면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순간의 속도는 0이므로 ÷f÷'(x)=6x€-6x-12=6(x+1)(x-2)
16-4t=0   ∴ t=4 ÷f÷'(x)=0에서 x=-1 또는 x=2
따라서 물체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 높이는
x … -1 … 2 …
40+16*4-2*4€=72 (m) ÷f÷'(x) + 0 - 0 +
⑵ 물체가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의 높이는 0이므로 ÷f(x) ↗ 7 ↘ -20 ↗
40+16t-2t€=0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y=a의
(t+2)(t-10)=0   ∴ t=10 (∵ t>0)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따라서 10초 후의 물체의 속도는 y
①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y=f(x)
16-4*10=-24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7
2
-20<a<7 -1 O x
216 t초 후의 물체의 속도를 v라 하면 ②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
dh 록 하는 실수 a의 값은 y=a
v= =12-6t
dt -20
a=-20 또는 a=7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순간의 속도는 0이므로
③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12-6t=0   ∴ t=2
a<-20 또는 a>7
따라서 물체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 높이는
30+12*2-3*2€=42 (m)
219 x‹-12x-a=0에서 x‹-12x=a
÷f(x)=x‹-12x로 놓으면
÷f÷'(x)=3x€-12=3(x+2)(x-2)
÷f÷'(x)=0에서 x=-2 또는 x=2

x … -2 … 2 …
÷f÷'(x) + 0 - 0 +
÷f(x) ↗ 16 ↘ -16 ↗

두 함수 y=÷f(x), y=a의 그래 y y=f(x)


16
프의 교점의 x좌표가 한 개는 양
y=a
더블클릭 77쪽~78쪽 수, 두 개는 서로 다른 음수가 되
2
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2 O x

217 x‹-6x€-a+16=0에서 x‹-6x€+16=a …… ㉠ 오른쪽 그림에서


÷f(x)=x‹-6x€+16이라 하면 0<a<16 -16

÷f÷'(x)=3x€-12x=3x(x-4)
÷f÷'(x)=0에서 x=0 또는 x=4
220 x‹-3x€-a=0에서 x‹-3x€=a
x … 0 … 4 … ÷f(x)=x‹-3x€으로 놓으면
÷f÷'(x) + 0 - 0 + ÷f÷'(x)=3x€-6x=3x(x-2)
÷f(x) ↗ 16 ↘ -16 ↗
÷f÷'(x)=0에서 x=0 또는 x=2

072 정답과 풀이
x … 0 … 2 …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f÷'(x) + 0 - 0 +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f(x) ↗ 0 ↘ -4 ↗ ÷f(-1)÷f(3)=0, 즉 (3+k)(-29+k)=0
두 함수 y=÷f(x), y=a의 그래 y ∴ k=-3 또는 k=29
y=f(x)
프의 교점의 x좌표가 두 개는 서 O 2
따라서 모든 k의 값의 합은 -3+29=26
x
로 다른 양수, 한 개는 음수가 되
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y=a
오른쪽 그림에서
-4<a<0 -4 224 ÷f(x)=x‹-6x€+2k로 놓으면
÷f÷'(x)=3x€-12x=3x(x-4)
÷f÷'(x)=0에서 x=0 또는 x=4

x … 0 … 4 …
221 2x‹-6x-a=0에서 2x‹-6x=a ÷f÷'(x) + 0 - 0 +
÷f(x)=2x‹-6x로 놓으면 ÷f(x) ↗ 2k ↘ -32+2k ↗
÷f÷'(x)=6x€-6=6(x+1)(x-1)
삼차방정식 ÷f(x)=0이 한 실근을 가지려면
÷f÷'(x)=0에서 x=-1 또는 x=1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x … -1 … 1 …
÷f(0)÷f(4)>0, 즉 2k(-32+2k)>0
÷f÷'(x) + 0 - 0 +
∴ k<0 또는 k>16
÷f(x) ↗ 4 ↘ -4 ↗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17이다.
두 함수 y=÷f(x), y=a의 그래 y y=f(x)
프의 교점의 x좌표가 오직 한 개 4 y=a
만 양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a의
1
-1 O x
값의 범위는 오른쪽 그림에서
225 x‹-4x+1=-3x€+5x-a
a>4 -4 즉 x‹+3x€-9x+1+a=0
÷f(x)=x‹+3x€-9x+1+a로 놓으면
÷f÷'(x)=3x€+6x-9=3(x+3)(x-1)
÷f÷'(x)=0에서 x=-3 또는 x=1

222 ÷f(x)=x‹-2x€-4x-3+k로 놓으면 x … -3 … 1 …


÷f÷'(x)=3x€-4x-4=(3x+2)(x-2) ÷f÷'(x) + 0 - 0 +
÷f(x) ↗ 28+a ↘ -4+a ↗
÷f÷'(x)=0에서 x=-;3@; 또는 x=2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x … -;3@; … 2 …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f'(x) + 0 - 0 + ÷f(-3)÷f(1)<0, 즉 (28+a)(-4+a)<0


∴ -28<a<4
÷f(x) ↗ -;2$7!;+k ↘ -11+k ↗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f {-;3@;}÷f(2)<0, 즉 {-;2$7!;+k}(-11+k)<0
226 x‹+4x=6x€-5x+a
즉 x‹-6x€+9x-a=0

∴ ;2$7!;<k<11 ÷f(x)=x‹-6x€+9x-a로 놓으면


÷f÷'(x)=3x€-12x+9=3(x-1)(x-3)
÷f÷'(x)=0에서 x=1 또는 x=3

x … 1 … 3 …
223 ÷f(x)=x‹-3x€-9x-2+k로 놓으면 ÷f÷'(x) + 0 - 0 +
÷f÷'(x)=3x€-6x-9=3(x+1)(x-3) ÷f(x) ↗ 4-a ↘ -a ↗
÷f÷'(x)=0에서 x=-1 또는 x=3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x … -1 … 3 …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f÷'(x) + 0 - 0 + ÷f(1)f(3)=0, 즉 (4-a)(-a)=0
÷f(x) ↗ 3+k ↘ -29+k ↗
∴ a=4 (∵ a>0)

05. 방정식과 부등식, 속도와 가속도 073


227 x‹-2x€=x€-a 230 ÷f(x)=;4!;x›-8x+a라 하면
즉 x‹-3x€+a=0
÷f÷'(x)=x‹-8=(x-2)(x€+2x+4)
÷f(x)=x‹-3x€+a로 놓으면
÷f÷'(x)=0에서 x=2
÷f÷'(x)=3x€-6x=3x(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0에서 x=0 또는 x=2
x … 2 …
x … 0 … 2 … ÷f÷'(x) - 0 +
÷f÷'(x) + 0 - 0 + ÷f(x) ↘ a-12 ↗
÷f(x) ↗ a ↘ -4+a ↗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삼차방정식 ÷f(x)=0이 오직 한 실근을 가지려면
a-12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이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 성립하려면
÷f(0)÷f(2)>0, 즉 a(-4+a)>0
÷f(2)>0이어야 하므로
∴ a<0 또는 a>4
a-12>0   ∴ a>12

231 점 P가 원점을 지날 때는 x=0이므로


t‹-6t€+8t=0, t(t-2)(t-4)=0
∴ t=0 또는 t=2 또는 t=4
228 ÷f(x)=;3!;x‹-4x+a라 하면 즉 점 P는 t=4일 때 마지막으로 원점을 통과한다.
÷f÷'(x)=x€-4=(x+2)(x-2) 점 P의 속도를 v라 하면
÷f÷'(x)=0에서 x=2 (∵ x>0) dx
v= =3t€-12t+8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t
따라서 t=4에서의 점 P의 속도는
x 0 … 2 …
÷f÷'(x) - 0 + 3*4€-12*4+8=8

÷f(x) a ↘ a-:¡3§: ↗

x>0에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a-:¡3§:

이때 ÷f(x)>0이려면 ÷f(2)>0이어야 하므로


232 열차가 제동을 건 후 t초 후의 속도를 v라 하면
a-:¡3§:>0   ∴ a>:¡3§: dx
v= =12-0.6t
dt
열차가 정지할 때의 속도 v=0이므로
12-0.6t=0에서 t=20
따라서 20초 동안 열차가 움직인 거리는
12*20-0.3*20€=120 (m)

229 f(x)=x‹-6x€+a+5라 하면
÷f÷'(x)=3x€-12x=3x(x-4)
÷f÷'(x)=0에서 x=4 (∵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2 4
… …
233 물체가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의 높이는 0이므로
÷f÷'(x) - 0 +
60+20t-5t€=0
÷f(x) a-11 ↘ a-27 ↗
(t+2)(t-6)=0   ∴ t=6 (∵ t>0)
x>2에서 함수 ÷f(x)는 x=4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이때 물체의 속도를 v라 하면
최솟값은 a-27 dh
v= =20-10t
이때 ÷f(x)>0이려면 ÷f(4)>0이어야 하므로 dt
a-27>0   ∴ a>27 따라서 6초 후의 물체의 속도는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27이다. 20-10*6=-40

074 정답과 풀이
3 005 ⑴ …(2x+1)dx=2…xdx+…1dx
= x€ + x +C (단, C는 적분상수)

적분 ⑵ …(4x-3)dx=4…xdx-…3dx

=2x€-3x+C (단, C는 적분상수)


01 부정적분 80쪽~85쪽
⑶ …(3x€-2x+1)dx=3…x€dx-2…xdx+…1dx

001 ⑴ (2x+5)'=2이므로 2x+5는 2의 부정적분이다. (참) =x‹-x€+x+C (단, C는 적분상수)


⑵ ‌(x€+1)'=2x이므로 x€+1은 2x+1의 부정적분이 아니다. ⑷ …(x€-6x+5)dx=…x€dx-6…xdx+…5dx
(거짓)
⑶ (x‹)'=3x€이므로 x‹은 3x€+2의 부정적분이 아니다. =;3!;x‹-3x€+5x+C
 (거짓)
 (단, C는 적분상수)
⑷ ‌(x‹+5x-2)'=3x€+5이므로 x‹+5x-2는 3x€+5의 부
정적분이다. (참) ⑸ …(6x€-4x+3)dx=6…x€dx-4…xdx+…3dx

=2x‹-2x€+3x+C
 (단, C는 적분상수)

002 ⑴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⑹ …(12x‹-6x+7)dx=12…x‹dx-6…xdx+…7dx


÷f(x)=(x€+x+C)'= 2x+1
=3x›-3x€+7x+C
⑵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단, C는 적분상수)
÷f(x)=(3x€+x+C)'=6x+1
⑶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fi-3x€+x+C)'=5x›-6x+1
⑷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06 ⑴ …3x(x+2)dx=…(3x€+6x)dx
÷f(x)=(-3x‹+3x€-x+C)'=-9x€+6x-1
= x‹+3x€+C (단, C는 적분상수)

⑵ …2x€(x-3)dx=…(2x‹-6x€)dx

003 ⑴ (5x)'=5이므로 …5dx=5x+C =;2!;x›-2x‹+C (단, C는 적분상수)

⑵ (3x€)'=6x이므로 …6xdx=3x€+C ⑶ …(x+2)(x-2)dx=…(x€-4)dx

⑶ (3x‹)'=9x€이므로 …9x€dx=3x‹+C =;3!;x‹-4x+C (단, C는 적분상수)

⑷ (2x›)'=8x‹이므로 …8x‹dx=2x›+C ⑷ …(x+1)(x€+5)dx=…(x‹+x€+5x+5)dx

=;4!;x›+;3!;x‹+;2%;x€+5x+C

 (단, C는 적분상수)
004 ⑴ …10 dx=10x+C (단, C는 적분상수)
⑸ …(2x-1)€dx=…(4x€-4x+1)dx
⑵ …3x€dx=x‹+C (단, C는 적분상수)
=;3$;x‹-2x€+x+C (단, C는 적분상수)
⑶ …(-4x‹)dx=-x›+C (단, C는 적분상수)
⑹ …(x+1)(x€-x+1)dx=…(x‹+1)dx
⑷ …10x·dx=x⁄‚+C (단, C는 적분상수)
=;4!;x›+x+C (단, C는 적분상수)
⑸ …xdx=;2!;x€+C (단, C는 적분상수)
⑺ …(x+1)(x-1)(x-2)dx=…(x‹-2x€-x+2)dx
⑹ …x‹ dx=;4!;x›+C (단, C는 적분상수)
=;4!;x›-;3@;x‹-;2!;x€+2x+C
⑺ …x⁄€ dx=;1¡3;x⁄‹+C (단, C는 적분상수)  (단, C는 적분상수)

01. 부정적분 075


이때 ÷f(0)=1이므로 C=1
007 ⑴ …(x€+2)dx+…(-x€+3)dx
∴ ÷f(x)=2x‹-;2%;x€-2x+1
=…{(x€+2)+(-x€+3)}dx
⑷ ÷ f÷'(x)=3x€-4x+1이므로
=… 5 dx= 5x+C (단, C는 적분상수) ÷f(x)=…÷÷f÷'(x)dx=…(3x€-4x+1)dx

⑵ …(x+1)€dx-…(x-1)€dx =x‹-2x€+x+C
이때 ÷f(-1)=3이므로
=…{(x€+2x+1)-(x€-2x+1)}dx -1-2-1+C=3   ∴ C=7
∴ ÷f(x)=x‹-2x€+x+7
=…4xdx=2x€+C (단, C는 적분상수)
⑸ ÷ f÷'(x)=(x+1)(3x-1)이므로

⑶ …(x+2)€dx+…(x-2)€dx ÷f(x)=…÷÷f÷'(x)dx=…(x+1)(3x-1)dx

=…{(x€+4x+4)+(x€-4x+4)}dx =…(3x€+2x-1)dx=x‹+x€-x+C

이때 ÷f(1)=5이므로
=…(2x€+8)dx=;3@;x‹+8x+C (단, C는 적분상수)
1+1-1+C=5   ∴ C=4
⑷ …(3x+1)€dx-…(3x-1)€dx ∴ ÷f(x)=x‹+x€-x+4

=…{(9x€+6x+1)-(9x€-6x+1)}dx

=…12xdx=6x€+C (단, C는 적분상수) 009 ÷ f÷'(x)=4x‹+ax€+1이므로


÷f(x)=…÷÷f÷'(x)dx=…(4x‹+ax€+1)dx
⑸ …(x+2)dx+…2(x+2)dx+…3(x+2)dx
=x›+;3A;x‹+x+C
=…{(x+2)+(2x+4)+(3x+6)}dx
이때 ÷f(0)=5이므로 C=5
=…(6x+12)dx=3x€+12x+C (단, C는 적분상수)
즉 ÷f(x)=x›+;3A;x‹+x+5이므로 ÷f(-1)=6에서

⑹ …(x€+1)dx+…4(x€+1)dx-…2(x€+1)dx
1-;3A;-1+5=6   ∴ a=-3

=…{(x€+1)+(4x€+4)-(2x€+2)}dx 따라서 ÷f(x)=x›-x‹+x+5이므로


÷f(2)=16-8+2+5=15
=…(3x€+3)dx=x‹+3x+C (단, C는 적분상수)

010 ⑴ ‌곡선 y=÷÷f(x) 위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008 ⑴ ÷f÷'(x)=2x+1이므로 4x-2이므로 ÷ f÷'(x)=4x-2
÷f(x)=…÷÷f÷'(x)dx=…(2x+1)dx= x€+x +C ÷f(x)=…÷÷f÷'(x)dx=…(4x-2)dx

이때 ÷f(0)=3이므로 C= 3 = 2x€-2x +C
∴ ÷f(x)= x€+x+3 이 곡선이 점 (3, 0)을 지나므로 ÷f(3)=0에서
⑵ ÷ f÷'(x)=2x-5이므로 18-6+C=0   ∴ C= -12

÷f(x)=…÷÷f÷'(x)dx=…(2x-5)dx=x€-5x+C ∴ f(x)= 2x€-2x-12


⑵ 곡선 y=÷f(x) 위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이때 ÷f(2)=2이므로
3x€-2x+1이므로 ÷ f÷'(x)=3x€-2x+1
4-10+C=2   ∴ C=8
∴ ÷f(x)=x€-5x+8 ÷f(x)=…÷÷f÷'(x)dx=…(3x€-2x+1)dx
⑶ ÷ f÷'(x)=6x€-5x-2이므로
=x‹-x€+x+C
÷f(x)=…÷÷f÷'(x)dx=…(6x€-5x-2)dx 이 곡선이 점 (1, 2)를 지나므로 ÷f(1)=2에서
1-1+1+C=2   ∴ C=1
÷ =2x‹-;2%;x€-2x+C ∴ ÷f(x)=x‹-x€+x+1

076 정답과 풀이
⑶ 곡선 y=÷f(x) 위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⑶ F(x)=x÷f(x)-4x‹+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3x€+6x-5이므로 ÷ f÷'(x)=3x€+6x-5 F÷'(x)=÷f(x)+x÷÷f÷'(x)-12x€+2x
F÷'(x)=÷f(x)이므로 x÷÷f÷'(x)-12x€+2x=0
÷f(x)=…÷÷f÷'(x)dx=…(3x€+6x-5)dx
∴ ÷ f÷'(x)=12x-2
=x‹+3x€-5x+C
∴ ÷f(x)=…÷÷f÷'(x)dx=…(12x-2)dx
이 곡선이 점 (0, -2)를 지나므로 ÷f(0)=-2에서
C=-2 =6x€-2x+C
∴ ÷f(x)=x‹+3x€-5x-2 이때 ÷f(1)=0이므로 C=-4
⑷ 곡선 y=÷f(x) 위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 ÷f(x)=6x€-2x-4
3x€-2x-8이므로 ÷ f÷'(x)=3x€-2x-8 ⑷ ÷‌F(x)=x÷f(x)-6x‹(x-1)=x÷f(x)-6x›+6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f÷'(x)dx=…(3x€-2x-8)dx
F÷'(x)=÷f(x)+x÷÷f÷'(x)-24x‹+18x€
=x‹-x€-8x+C F÷'(x)=÷f(x)이므로 x÷÷f÷'(x)-24x‹+18x€=0
이 곡선이 점 (-2, 1)을 지나므로 ÷f(-2)=1에서 ∴ ÷ f÷'(x)=24x€-18x
-8-4+16+C=1   ∴ C=-3
∴ ÷f(x)=…÷÷f÷'(x)dx=…(24x€-18x)dx
∴ ÷f(x)=x‹-x€-8x-3
=8x‹-9x€+C
이때 ÷f(1)=1이므로 C=2
∴ ÷f(x)=8x‹-9x€+2
011 곡선 y=÷f(x) 위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x‹에
정비례하므로 ÷f÷'(x)=kx‹ (k는 상수)로 놓으면
k
÷f(x)=…÷÷f÷'(x)dx=…kx‹dx= x›+C
4
이 곡선이 두 점 (1, 0), (0, -1)을 지나므로 013 F(x)=x÷f(x)+2x‹-5x€+4   …… ㉠
k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1)=0에서 +C=0, ÷f(0)=-1에서 C=-1
4 ÷F÷'(x)=÷f(x)+x÷÷f÷'(x)+6x€-10x
따라서 k=4이므로 ÷f(x)=x›-1 ÷F÷'(x)=÷f(x)이므로 x÷÷f÷'(x)+6x€-10x=0
∴ ÷f(-2)=16-1=15 ∴ ÷ f÷'(x)=-6x+10

∴ ÷f(x)=…÷÷f÷'(x)dx=…(-6x+10)dx

=-3x€+10x+C
012 ⑴ F(x)=x÷f(x)+2x‹-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한편 F(1)=-2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x)=÷f(x)+x÷÷f÷'(x)+6x€-2x
F(1)=÷f(1)+1, -2=÷f(1)+1
F÷'(x)=÷f(x)이므로 x÷÷f÷'(x)+6x€-2x=0
즉 ÷f(1)=-3이므로 -3+10+C=-3
∴ ÷ f÷'(x)= -6x+2 ∴ C=-10

∴ ÷f(x)=…÷÷f÷'(x)dx=…( -6x+2 )dx 따라서 ÷f(x)=-3x€+10x-10이므로


÷f(2)=-12+20-10=-2
= -3x€+2x +C
이때 ÷f(1)=3이므로 C= 4
∴ f(x)= -3x€+2x+4
⑵ F(x)=x÷f(x)-x‹+2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 d
014 ⑴ [ …(x€-2)dx]= { ;3!;x‹-2x +C}= x€-2
F÷'(x)=÷f(x)+xf÷'(x)-3x€+4x dx dx
d d
F÷'(x)=÷f(x)이므로 x÷f÷'(x)-3x€+4x=0 ⑵ [ …(3x€-2x+1)dx]= (x‹-x€+x+C)
dx dx
∴ ÷ f÷'(x)=3x-4
=3x€-2x+1
∴ ÷f(x)=…÷÷f÷'(x)dx=…(3x-4)dx d d
⑶ [ …(xfi-2x)dx]= {;6!;xfl-x€+C}
dx dx
=;2#;x€-4x+C =xfi-2x
d
이때 ÷f(2)=5이므로 C=7 ⑷ …[ (x€-5)]dx=… 2x dx
dx
∴ ÷f(x)=;2#;x€-4x+7 = x€ +C (단, C는 적분상수)

01. 부정적분 077


d ⑵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가 -2, 0이
⑸ …[ (x‹-x€+3)]dx=…(3x€-2x)dx
dx 므로 ÷ f÷'(x)=ax(x+2) (a>0)라 하면
=x‹-x€+C (단, C는 적분상수)
÷f(x)=…÷f÷'(x)dx=…(ax€+2ax)dx
d
⑹ …[ (4x‹-x+5)]dx=…(12x€-1)dx
dx
=;3A;x‹+ax€+C
=4x‹-x+C (단, C는 적분상수)
이때
‌ y=÷f÷'(x)의 그래프에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대
이고 x=0에서 극소이므로 ÷f(-2)=4, ÷f(0)=0
÷f(0)=0에서 C=0

∴ ÷f(x)=;3A;x‹+ax€
015 ⑴ ÷f(x)=…(x‹-2)dx에서
÷f(-2)=4에서 -;3*;a+4a=4   ∴ a=3
d
÷ f÷'(x)= [ …(x‹-2)dx]= x‹-2
dx ∴ ÷f(x)=x‹+3x€
∴ ÷ f÷'(2)=8-2= 6 ⑶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가 0, 2이므
⑵ ÷f(x)=…(2x‹-5)dx에서 로 ÷ f÷'(x)=ax(x-2) (a<0)라 하면

d ÷f(x)=…÷÷f÷'(x)dx=…(ax€-2ax)dx
÷÷f÷'(x)= [ …(2x‹-5)dx]=2x‹-5
dx
∴ ÷f÷'(-1)=-2-5=-7 =;3A;x‹-ax€+C

⑶ ÷f(x)=…(x+2)(2x-1)dx에서 ‌이때 y=÷f÷'(x)의 그래프에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


고 x=0에서 극소이므로 ÷f(2)=1, ÷f(0)=-1
d
÷÷f÷'(x)= [ …(x+2)(2x-1)dx]=(x+2)(2x-1) ÷f(0)=-1에서 C=-1
dx
÷f÷'(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 ÷f(x)=;3A;x‹-ax€-1

(x+2)(2x-1)=0에서 x=-2 또는 x=;2!;


÷f(2)=1에서 ;3*;a-4a-1=1   ∴ a=-;2#;
d
⑷ ÷f(x)=… [ (3x€-2x)]dx= 3x€-2x +C
dx ∴ ÷f(x)=-;2!;x‹+;2#;x€-1
÷f(0)=3에서 C= 3
따라서 ÷f(x)= 3x€-2x+3 이므로 ÷f(1)= 4
d
⑸ ÷f(x)=… [ (3xfi+2x‹-1)]dx=3xfi+2x‹+C
dx 017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가 0, 4이므로
÷f(1)=5에서 C=0 ÷ f÷'(x)=ax(x-4) (a>0)라 하면
따라서 ÷f(x)=3xfi+2x‹이므로 ÷f(-1)=-5 ÷f(x)=…÷÷f÷'(x)dx=…(ax€-4ax)dx
d
⑹ ÷f(x)= … [ (6x€+4x-3)]dx=6x€+4x+C
dx =;3A;x‹-2ax€+C
÷f(-1)=1에서 C=-1
이때 y=÷f÷'(x)의 그래프에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고
따라서 ÷f(x)=6x€+4x-1이므로 ÷f(2)=31
x=4에서 극소이므로 ÷f(0)=4, ÷f(4)=-4
÷f(0)=4에서 C=4

∴ ÷f(x)=;3A;x‹-2ax€+4

016 ⑴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가 0, 2이므 ÷f(4)=-4에서 :§3¢:a-32a+4=-4   ∴ a=;4#;
로 ÷ f÷'(x)=ax(x-2) (a>0)라 하면
÷ f÷'(1)=-1이므로 ∴ ÷f(x)=;4!;x‹-;2#;x€+4

÷ f÷'(1)=a*1*(1-2)=-1   ∴ a= 1 ∴ ÷f(6)=54-54+4=4

÷f(x)=…÷f÷'(x)dx=… ( x€-2x )dx= ;3!;x‹-x€ +C

÷f(0)=2이므로 C= 2

∴ ÷f(x)= ;3!;x‹-x€+2

078 정답과 풀이
더블클릭 86쪽~88쪽
030 …(x+1)€dx-…2(x+1)€dx+…3(x+1)€dx
018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3 =…{(x€+2x+1)-(2x€+4x+2)+(3x€+6x+3)}dx

=…(2x€+4x+2)dx=;3@;x‹+2x€+2x+C
019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2x€+1  (단, C는 적분상수)

020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3x€+6x-5 031 …(x€+1)dx+…3(x€+2)dx-…(x€-1)dx

021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1)+(3x€+6)-(x€-1)}dx


÷f(x)=4x‹+6x€+2x-3
=…(3x€+8)dx=x‹+8x+C (단, C는 적분상수)

022 …(6x€-4x+3)dx=2x‹-2x€+3x+C (단, C는 적분상수)


032 ÷ f÷'(x)=4x-1이므로
023 …(4x‹-6x€+5)dx=x›-2x‹+5x+C (단, C는 적분상수) ÷f(x)=…÷÷f÷'(x)dx=…(4x-1)dx

÷ =2x€-x+C
이때 ÷f(1)=3이므로
024 …4x€(x-3)dx=…(4x‹-12x€)dx 2-1+C=3   ∴ C=2
=x›-4x‹+C (단, C는 적분상수) ∴ ÷f(x)=2x€-x+2

025 …(x+2)(3x-2)dx=…(3x€+4x-4)dx 033 ÷ f÷'(x)=3x€-2x+5이므로


=x‹+2x€-4x+C (단, C는 적분상수)
÷f(x)=…÷÷f÷'(x)dx=…(3x€-2x+5)dx

÷ =x‹-x€+5x+C
026 …(4x€-2)dx+…(-x€+2)dx 이때 ÷f(-1)=1이므로
-1-1-5+C=1   ∴ C=8
=…3x€dx=x‹+C (단, C는 적분상수)
∴ ÷f(x)=x‹-x€+5x+8

027 …(x+3)€dx-…(x-3)€dx
034 ÷ f÷'(x)=(x-1)(3x+2)=3x€-x-2이므로
=…{(x€+6x+9)-(x€-6x+9)}dx ÷f(x)=…÷÷f÷'(x)dx=…(3x€-x-2)dx

=…12xdx=6x€+C (단, C는 적분상수) =x‹-;2!;x€-2x+C

이때 ÷f(0)=7이므로 C=7

028 …(x+2)‹dx-…(x-2)‹dx ∴ ÷f(x)=x‹-;2!;x€-2x+7

=…{(x‹+6x€+12x+8)-(x‹-6x€+12x-8)}dx

=…(12x€+16)dx=4x‹+16x+C (단, C는 적분상수) 035 곡선 y=÷f(x) 위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x-3이므로 ÷ f÷'(x)=2x-3

f(x)=…÷÷f÷'(x)dx=…(2x-3)dx
x‹+8 (x+2)(x€-2x+4)
029 … x+2
dx=…
x+2
dx
=x€-3x+C
=…(x€-2x+4)dx 이 곡선이 점 (1, 2)를 지나므로 ÷f(1)=2에서
-2+C=2   ∴ C=4
=;3!;x‹-x€+4x+C (단, C는 적분상수) ∴ ÷f(x)=x€-3x+4

01. 부정적분 079


036 곡선 y=÷f(x) 위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d
042 … [ dx (4x€-3)]dx=…8xdx=4x€+C (단, C는 적분상수)
3x€+2x-5이므로 ÷f÷'(x)=3x€+2x-5

÷f(x)=…÷÷f÷'(x)dx=…(3x€+2x-5)dx
d
=x‹+x€-5x+C 043 … [ dx (x‹-3x€+1)]dx=…(3x€-6x)dx
이 곡선이 점 (1, -2)를 지나므로 ÷f(1)=-2에서 =x‹-3x€+C (단, C는 적분상수)
-3+C=-2   ∴ C=1
∴ ÷f(x)=x‹+x€-5x+1
d
044 … [ dx (x‹-3x+5)]dx=…(3x€-3)dx
=x‹-3x+C (단, C는 적분상수)
037 곡선 y=÷f(x) 위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6x€-2이므로 ÷ f÷'(x)=6x€-2

÷f(x)=…÷÷f÷'(x)dx=…(6x€-2)dx
045 ÷f(x)=…(x‹-a)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
÷ =2x‹-2x+C ÷ f÷'(x)= [ …(x‹-a)dx]
dx
이 곡선이 점 (0, 1)을 지나므로 ÷f(0)=1에서 C=1 d
= {;4!;x›-ax+C}=x‹-a
∴ ÷f(x)=2x‹-2x+1 dx
∴ ÷f(-1)=1 이때 ÷ f÷'(1)=-3이므로 1-a=-3   ∴ a=4

038 ÷F(x)=xf(x)-2x‹+3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46 ÷f(x)=…(x‹-x€+2x-2)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f(x)+x÷f÷'(x)-6x€+6x d
÷ f÷'(x)= [ …(x‹-x€+2x-2)dx]
dx
F÷'(x)=÷f(x)이므로 x÷f÷'(x)-6x€+6x=0
d
∴ ÷ f÷'(x)=6x-6 = {;4!;x›-;3!;x‹+x€-2x+C}
dx
∴ ÷f(x)=…÷÷f÷'(x)dx=…(6x-6)dx=3x€-6x+C =x‹-x€+2x-2
∴ ÷ f÷'(-1)=-1-1-2-2=-6
이때 ÷f(1)=1이므로 -3+C=1   ∴ C=4
∴ ÷f(x)=3x€-6x+4
d
047 ÷f(x)=… [ dx (x€-3x)]dx
039 F(x)=x÷f(x)-x€(3x€-4)=x÷f(x)-3x›+4x€의 양변을 x =…(2x-3)dx=x€-3x+C
에 대하여 미분하면
÷f(0)=2에서 C=2
F÷'(x)=÷f(x)+xf÷'(x)-12x‹+8x
∴ ÷f(x)=x€-3x+2
÷ F'(x)=÷f(x)이므로 x÷f÷'(x)-12x‹+8x=0
∴ ÷ f÷'(x)=12x€-8
d
∴ ÷f(x)=…÷÷f÷'(x)dx=…(12x€-8)dx=4x‹-8x+C 048 ÷f(x)=… [ dx (x‹-x€+1)]dx
이때 ÷f(2)=6이므로 16+C=6   ∴ C=-10 =…(3x€-2x)dx=x‹-x€+C
∴ ÷f(x)=4x‹-8x-10
÷f(1)=3이므로 1-1+C=3   ∴ C=3
∴ ÷f(x)=x‹-x€+3

d d
040 [ …(3x€-x+2)dx]= {x‹-;2!;x€+2x+C}
dx dx d
=3x€-x+2
049 ÷f(x)= dx [ …(3xfi-2x+1)dx]=3xfi-2x+1
∴ ÷f(1)=3-2+1=2

d d d
041 dx
[ …(3xfi-2x›+1)dx]=
dx
{;2!;xfl-;5@;xfi+x+C} 050 ÷f(x)= dx [ …(3xfi+4x€-1)dx]=3xfi+4x€-1
=3xfi-2x›+1 ∴ ÷f(-1)=-3+4-1=0

080 정답과 풀이
⑵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02 정적분 89쪽~96쪽
a
… f(t)dt=3a€-5a=0
2 2 a

051 ⑴ …
0
5dx=“5x‘ =10-0=10
0 a(3a-5)=0   ∴ ÷a=0 또는 a=;3%;
2 2
⑵ … (2x-3)dx=“x€-3x‘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정적분과 미분의
-1 -1
관계에 의하여
=(4-6)-(1+3)=-6
2
÷f(x)=(3x€-5x)'=6x-5
2
⑶ … (5x-2)dx=“;2%;x€-2x‘ ⑶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0 0
a
=(10-4)-(0-0)=6 … f(t)dt=a€-6a+5=0
a
1 1
⑷ … (3x€+1)dx=“x‹+x‘ (a-1)(a-5)=0   ∴ ÷a=1 또는 a=5
-1 -1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정적분과 미분의
=(1+1)-(-1-1)=4
3 3
관계에 의하여
⑸ … (4x‹-6x)dx=“x›-3x€‘ ÷f(x)=(x€-6x+5)'=2x-6
1 1

=(81-27)-(1-3)=56 ⑷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a
… f(t)dt=a‹-3a€+5a-3=0
a

(a-1)(a€-2a+3)=0   ∴ ÷a=1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정적분과 미분의
2 관계에 의하여
052 ⑴ …
2
(x€+2x-5)dx=0 ÷f(x)=(x‹-3x€+5x-3)'=3x€-6x+5
-3
⑵… (-3x‹+3x€-x+1)dx=0
-3

2
⑶ … (3x€-x+5)dx=0
2

0 2
⑷ … (2x-5)dx=-… (2x-5)dx
2 0
2
=-“x€-5x‘ 054 ⑴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
1
=-( 4 - 10 )+( 0 - 0 )= 6 …÷ ÷f(t)dt=1-a+2= 0   ∴ a= 3
1
-1 2
⑸… (2x+1)dx=-“x€+x‘ x
2 -1 …÷ ÷f(t)dt=x‹- 3 x+2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
=-(4+2)+(1-1)=-6
÷f(x)= 3x€-3
-2 3
⑹… (3x€-4x+1)dx=-“x‹-2x€+x‘ ⑵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3 -2
0
=-(27-18+3)+(-8-8-2) …÷ ÷f(t)dt=a=0   ∴ a=0
0
=-30
x
-3 3 …÷ ÷f(t)dt=3x€-4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⑺… (4x‹-5)dx=-“x›-5x‘ 0
3 -3
÷f(x)=6x-4
=-(81-15)+(81+15)=30
⑶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
…÷ ÷f(t)dt=a-6+a=0   ∴ a=3
1

x
…÷ ÷f(t)dt=3x€-6x+3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
053 ⑴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f(x)=6x-6
a
… f(t)dt= 0 이므로 a‹+a+2=0 ⑷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
-1
(a+1)(a€-a+2)=0   ∴ ÷a= -1 …÷ ÷f(t)dt=-2+3a+4=0   ∴ a=-;3@;
-1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정적분과 미분의 x
…÷ ÷f(t)dt=2x‹+2x+4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관계에 의하여 -1

÷f(x)=(x‹+x+2)'= 3x€+1 ÷f(x)=6x€+2

02. 정적분 081


2 3
055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⑵ …÷ (x€+3)dx+…÷ (x€+3)dx
1 0 2

…÷ (t+1)÷f(t)dt=1-3+a=0   ∴ a=2 3 3
1 =…÷ (x€+3)dx=“;3!;x‹+3x‘ =18
0 0
x
…÷ (t+1)÷f(t)dt=x‹-3x+2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 2
1 ⑶ …÷ (x€+x+1)dx+…÷ (x€+x+1)dx
-2 1
(x+1)÷f(x)=3x€-3=3(x+1)(x-1)
2 2
따라서 ÷f(x)=3x-3이므로 ÷f(2)=3 =…÷ (x€+x+1)dx=“;3!;x‹+;2!;x€+x‘
-2 -2
∴ a+÷f(2)=2+3=5
=:™3º:+;3*;=:™3•:
1 3 4
⑷ …÷ (2x-3x€)dx+…÷ (2x-3x€)dx+…÷ (2x-3x€)dx
-1 1 3

3 4

2 2
=…÷ (2x-3x€)dx+…÷ (2x-3x€)dx
2
056 ⑴ …÷
-1 3
3(x€-2)dx=…÷ (3x€-6)dx=“x‹-6x‘ 4
0 0 0 4
=…÷ (2x-3x€)dx=“x€-x‹‘
=8-12=-4 -1 -1

2 =-48-2=-50
⑵ …÷ 5(x€-2x+3)dx
-1

2
=…÷ (5x€-10x+15)dx
-1

2
=“;3%;x‹-5x€+15x‘
-1

=:¶3º:-{-:§3∞:}=45
1 1

058 ⑴ …÷
3 3
⑶ …÷ (x€-6x+9)dx+…÷ (2x€+6x-7)dx 0
(x€+1)dx-…÷ (x€+1)dx
2
0 0
1 2
3 3
=…÷ (3x€+2)dx=“x‹+2x‘ =…÷ (x€+1)dx+… (x€+1)dx
0 0 1
0
2 2
=33-0=33 =… (x€+1)dx=“;3!;x‹+x‘ = :¡3¢:
2 2 0 0

⑷ …÷ (x€-x+3)dx+…÷ (-x€+3x-1)dx 0 0
-1 -1 ⑵ …÷ (3x€-2x+1)dx-…÷ (3x€-2x+1)dx
2 -1 2
2
=…÷ (2x+2)dx=“x€+2x‘ 0 2
-1 -1
=…÷ (3x€-2x+1)dx+…÷ (3x€-2x+1)dx
-1 0
=8-(-1)=9
2 2
2 2
=…÷ (3x€-2x+1)dx=“x‹-x€+x‘
⑸ …÷ (4x€+x+5)dx-…÷ (x€-x+5)dx -1 -1
-1 -1

2 2
=6-(-3)=9
=…÷ (3x€+2x)dx=“x‹+x€‘ 2 2
-1 -1
⑶ …÷ x(x+1)dx-…÷ x(x+1)dx
1 3
=12-0=12
2 3
2 2
=…÷ x(x+1)dx+…÷ x(x+1)dx
⑹ …÷ (x€+x+5)dx-…÷ (x€+x-3)dx 1 2
-3 -3
3 3
2 2 =…÷ x(x+1)dx=…÷ (x€+x)dx
=…÷ 8dx=“8x‘ 1 1
-3 -3
3
=16-(-24)=40 =“;3!;x‹+;2!;x€‘ =:•6¡:-;6%;=:¶6§:=:£3•:
1

4 4 2
⑷ …÷ (x€-2)dx-…÷ (x€-2)dx+…÷ (x€-2)dx
2 3 1

2 4 3
=…÷ (x€-2)dx+…÷ (x€-2)dx+…÷ (x€-2)dx
1 2 4
1 2

057 ⑴ …÷
2 3
(x€-2x)dx+…÷ (x€-2x)dx =…÷ (x€-2)dx+…÷ (x€-2)dx
-1 1 1 2
2 2
=… (x€-2x)dx=“;3!;x‹-x€‘
3 3

-1
=…÷ (x€-2)dx=“;3!;x‹-2x‘
-1 1 1

= -;3$; -{ -;3$; }= 0 =3-{-;3%;}=:¡3¢:

082 정답과 풀이
0 4 4 x€-1 (x<-1 또는 x>1)
059 …÷-2
÷f(x)dx+…÷ ÷f(x)dx-…÷ ÷f(x)dx
0 2
⑵ |x€-1|=[
-x€+1 (-1<x<1)
이므로
0 4 2 2
=…÷ ÷f(x)dx+…÷ ÷f(x)dx+…÷ ÷f(x)dx …÷ |x€-1|dx y
-2 0 4 0 y=|x€-1|
0 2 1 2
=…÷ ÷f(x)dx+…÷ ÷f(x)dx =…÷ (-x€+1)dx+…÷ (x€-1)dx
-2 0 0 1
1
2 2 1 2
=…÷ ÷f(x)dx=…÷ (3x€-4x+1)dx =“-;3!;x‹+x‘ +“;3!;x‹-x‘
-2 -2 0 1
-1 O 1 x
2
=“x‹-2x€+x‘ =2-(-18)=20 =;3@;+;3$;=2
-2

-x€+x (x<1) y y=x|x-1|


⑶ x|x-1|=[ 
x€-x (x>1)
이므로
O
2
1 x
…÷ x|x-1|dx
-1
2 1 2

060 ⑴ …÷ ÷f(x)dx=…÷ ÷f(x)dx+…÷ ÷f(x)dx


1 2

-2 -2 1 =…÷ (-x€+x)dx+…÷ (x€-x)dx


-1 1
1 2
1 2
=…÷ ( -2x+1 )dx+…÷ ( 3x€-4 )dx
-2 1
=“-;3!;x‹+;2!;x€‘ +“;3!;x‹-;2!;x€‘
-1 1
1 2
=“ -x€+x ‘ +“ x‹-4x ‘ =-;3@;+;6%;=;6!;
-2 1

= 6 + 3 = 9 x€-4x+3 (x<1 또는 x>3)


⑷ |(x-1)(x-3)|=[
4 1 4 -x€+4x-3 (1<x<3)
⑵ …÷ ÷f(x)dx=…÷ dx+…÷ xdx
-1 -1 1 이므로 y y=|(x-1)(x-3)|
1 4 3
=“x‘ +“;2!;x€‘ …÷ |(x-1)(x-3)|dx
-1 1 0
3
=2+:¡2∞:=:¡2ª:
1
=…÷ (x€-4x+3)dx
0
2 0 2
⑶ …÷ ÷f(x)dx=…÷ (1-2x)dx+…÷ (x+1)dx
3
O 1 3 x
 +…÷ (-x€+4x-3)dx
-2 -2 0 1
0 2
=“x-x€‘ +“;2!;x€+x‘
1 3

-2 0
=“;3!;x‹-2x€+3x‘ +“-;3!;x‹+2x€-3x‘
0 1

=6+4=10
=;3$;+;3$;=;3*;
2 0 2
⑷ …÷ ÷f(x)dx=…÷ (-x€-2x)dx+…÷ (-x€+3x)dx
-1 -1 0

0 2
=“-;3!;x‹-x€‘ +“-;3!;x‹+;2#;x€‘ x€-2x (x<0 또는 x>2)
-1 0
062 |x(x-2)|=[ -x€+2x (0<x<2)
이므로

=;3@;+:¡3º:=4 3
…÷ |x(x-2)|dx y y=|x(x-2)|
0

2
=…÷ (-x€+2x)dx
0

3
 +…÷ (x€-2x)dx
2
O 2 x
1-x (x<1) 2 3

061 ⑴ |x-1|=[  y =“-;3!;x‹+x€‘ +“;3!;x‹-x€‘


x-1 (x>1) 0 2

y=|x-1|
이므로 =;3$;+;3$;=;3*;
2
…÷ |x-1|dx
0
1
1 2 1 1
=…÷ (1-x)dx+…÷ (x-1)dx
0 1
O 1 x
063 ⑴ …÷ -1
(5x›-4x€)dx=2…÷ (5x›-4x€)dx
0
1 2
=“ x-;2!;x€ ‘ +“ ;2!;x€-x ‘
1

0 1
=2“xfi-;3$;x‹‘
0

= ;2!; + ;2!; = 1 =2{-;3!;}=-;3@;

02. 정적분 083


5 1
⑵ …÷ (3x‹-x)dx=0
-5
066 …÷
-1
÷f(t)dt=k (k는 상수)   …… ㉠로 놓으면

2 2 ÷ ÷f(x)=x‹-3x€+k
⑶ …÷ (4x‹+3x€-2x+1)dx=2…÷ ( 3x€+1 )dx
-2 0 1

2
이를 ㉠에 대입하면 …÷ (t‹-3t€+k)dt=k
=2“ x‹+x ‘
-1
0 1
“;4!;t›-t‹+kt‘ =k, -2+2k=k   ∴ k=2
= 20 -1

3 3 따라서 ÷f(x)=x‹-3x€+2이므로 ÷f(-1)=-2


⑷ …÷ (4xfi-3x‹+x€-7x+2)dx=2…÷ (x€+2)dx
-3 0

3
=2“;3!;x‹+2x‘
0 067 ⑴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30 2x÷f(x)+x€÷f÷'(x)=15x›-4x‹+2x÷f(x)
즉 ÷f÷'(x)= 15x€-4x 이므로
÷f(x)= 5x‹-2x€ +C (C는 적분상수)   …… ㉠
주어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64 ÷f(-x)=÷f(x)에서 ÷f(x)는 우함수이므로 1

xfi÷f(x), -2x÷f(x)는 기함수, 4x€÷f(x)는 우함수이다. ÷f(1)=3-1+2…÷ t÷f(t)dt=2+0=2


1
3
∴ …÷ (xfi+4x€-2x)÷f(x)dx ㉠에서 ÷f(1)= 3 +C=2   ∴ C= -1
-3

3 3 3
따라서 ÷f(x)= 5x‹-2x€-1 이므로 ÷f(-1)= -8
=…÷ xfi÷f(x)dx+4…÷ x€÷f(x)dx-2…÷ x÷f(x)dx ⑵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3 -3 -3

3 ÷f(x)+x÷f÷'(x)=6xfi-4x‹+x÷f÷'(x)
=0+8…÷ x€÷f(x)dx-0
0 즉 ÷f(x)=6xfi-4x‹이므로
=8*3=24 ÷f(-1)=-2
⑶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x÷f(x)+x€÷f÷'(x)=4x‹-3x€+2x÷f(x)
즉 ÷f÷'(x)=4x-3이므로
3
÷f(x)=2x€-3x+C (C는 적분상수) …… ㉠
065 ⑴ …÷ 0
÷f(t)dt=k (k는 상수)   …… ㉠로 놓으면
주어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x)=x€-2x+k -1

3
÷f(-1)=1+1+2…÷ t÷f(t)dt=2+0=2
이를 ㉠에 대입하면 …÷ (t€-2t+k)dt=k
-1

0 ㉠에서 ÷f(-1)=5+C=2   ∴ C=-3


3
“ ;3!;t‹-t€+kt ‘ =k, 3k=k   ∴ k= 0 따라서 ÷f(x)=2x€-3x-3이므로 ÷f(1)=-4
0
⑷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x)= x€-2x
÷f(x)+x÷f÷'(x)=6x€-2x+÷f(x)
1
⑵ …÷ ÷f(t)dt=k (k는 상수)   …… ㉠로 놓으면 즉 ÷f÷'(x)=6x-2이므로
0
÷f(x)=3x€-2x+C (C는 적분상수)
÷f(x)=x€-x+2k
이때 ÷f(0)=1이므로 C=1
1
이를 ㉠에 대입하면 …÷ (t€-t+2k)dt=k 따라서 ÷f(x)=3x€-2x+1이므로 ÷f(2)=9
0

1
“;3!;t‹-;2!;t€+2kt‘ =k, -;6!;+2k=k   ∴ k=;6!;
0
x x x

∴ ÷f(x)=x€-x+;3!;
068 ⑴ …÷ 1
(x-t)÷f(t)dt=x…÷ ÷f(t)dt-…÷ t÷f(t)dt이므로
1 1

x x
2 x…÷ ÷f(t)dt-…÷ t÷f(t)dt=x‹-2x€+x
⑶ …÷ ÷f(t)dt=k (k는 상수)   …… ㉠로 놓으면 1 1
0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3x€-kx
x
2 …÷ ÷f(t)dt +x÷f(x)- x÷f(x) =3x€-4x+1
이를 ㉠에 대입하면 …÷ (3t€-kt)dt=k 1
0
x
2 ∴ …÷ ÷f(t)dt=3x€-4x+1
“t‹-;2K;t€‘ =k, 8-2k=k   ∴ k=;3*; 1
0
이 식의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x)=3x€-;3*;x ÷f(x)= 6x-4

084 정답과 풀이
x
⑵ …÷ (x-t)÷f(t)dt=xfi-5x+4에서 x … -1 … ;3!; …
1

x x ÷f÷'(x) + 0 - 0 +
x…÷ ÷f(t)dt-…÷ tf(t)dt=xfi-5x+4 ÷f(x) ↗ 극대 ↘ 극소 ↗
1 1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x=;3!;에서
x
…÷ ÷f(t)dt+x÷f(x)-x÷f(x)=5x›-5
1 극솟값을 가지므로
x -1
∴ ÷…÷ ÷f(t)dt=5x›-5 극댓값 : ÷f(-1)=…÷ (3t€+2t-1)dt
1 0

이 식의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


=“t‹+t€-t‘ =1
÷f(x)=20x‹ 0

;3!;
극솟값 : ÷f {;3!;}=…÷ (3t€+2t-1)dt
x
⑶ …÷ (x-t)÷f(t)dt=x›-2x€+1에서
1 0
x x ;3!;
x…÷ ÷f(t)dt-…÷ t÷f(t)dt=x›-2x€+1 =“t‹+t€-t‘ =-;2∞7;
1 1 0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

x
⑶ ÷f(x)=…÷ (t€-2t-8)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f(x)-x÷f(x)=4x‹-4x
0

1 ÷f÷'(x)=x€-2x-8=(x+2)(x-4)
x
∴ ÷…÷ ÷f(t)dt=4x‹-4x ÷f÷'(x)=0에서 x=-2 또는 x=4
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이 식의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 … -2 … 4 …
÷f(x)=12x€-4
÷f÷'(x) + 0 - 0 +
÷f(x) ↗ 극대 ↘ 극소 ↗

x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을, x=4에서 극솟


069 (x-1)…÷ 1
÷f(t)dt=x‹+ax€+bx-2 …… ㉠
값을 가지므로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

x
극댓값 : ÷f(-2)=…÷ (t€-2t-8)dt
÷…÷ ÷f(t)dt+(x-1)÷f(x)=3x€+2ax+b
0
…… ㉡
-2
=“;3!;t‹-t€-8t‘ =:™3•:
1

㉠, ㉡의 양변에 각각 x=1을 대입하면 0

4
0=1+a+b-2, 0=3+2a+b
극솟값 : ÷f(4)=…÷ (t€-2t-8)dt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4, b=5 0

4
∴ b-a=9 =“;3!;t‹-t€-8t‘ =-:•3º:
0

070 ⑴ ÷f(x)=÷…÷ 0
÷(t€-t-2)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x)=x€-x-2=(x+1)(x-2)
x

÷f÷'(x)=0에서 x= -1 또는 x= 2 071 ÷f(x)=…÷


0
(6t€-6t-12)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f÷'(x)=6x€-6x-12=6(x+1)(x-2)

x … -1 … 2 … ÷f÷'(x)=0에서 x=-1 또는 x=2

÷f÷'(x) + 0 - 0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f(x) ↗ 극대 ↘ 극소 ↗ x -2 … -1 … 2
÷f÷'(x) + 0 - 0
따라서 함수 ÷f(x)는 x= 2 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f(x) ↗ 극대 ↘
2 2
÷f(2)=÷…÷ ÷(t€-t-2)dt=“ ;3!;t‹-;2!;t€-2t ‘ = -:¡3º:
-2

0 0 ÷f(-2)=…÷ (6t€-6t-12)dt
0
x
-2
⑵ ÷f(x)=…÷ ÷(3t€+2t-1)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t‹-3t€-12t‘ =-4
0 0

÷f÷'(x)=3x€+2x-1=(x+1)(3x-1) -1
÷f(-1)=…÷ (6t€-6t-12)dt
÷f÷'(x)=0에서 x=-1 또는 x=;3!; 0

-1
=“2t‹-3t€-12t‘ =7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0

02. 정적분 085


2
÷f(2)=…÷ (6t€-6t-12)dt 074 ⑴ ÷f(t)=6t€-5t+1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0 x x
2 ÷…÷ (6t€-5t+1)dt=“F(t)‘ =F(x)-F(1)
=“2t‹-3t€-12t‘ =-20 1 1
0
x
1
따라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7이다. ∴ lim ÷…÷ (6t€-5t+1)dt
xd1 x-1 1
F(x)-÷F(1)
=lim =F'(1)
072 ⑴ ÷f(t)=3t€+5t-2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xd1 x-1
x x
…÷ (3t€+5t-2)dt=“F(t)‘ =F(x)-F(0) 이때 F'(x)= ÷f(x) 이므로 F'(1)= ÷f(1) = 2
0 0
⑵ ÷f(t)=t€+3t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1 x
∴ lim …÷ (3t€+5t-2)dt x x
xd0 x 0 ÷…÷ (t€+3t)dt=“F(t)‘ =F(x)-F(2)
2 2
F(x)-F(0)
=lim =F'(0) 1 x
xd0 x ∴ lim …÷ (t€+3t)dt
xd2 x-2 2
이때 ÷F'(x)= ÷f(x) 이므로 ÷F'(0)= ÷f(0) = -2
F(x)-F(2)
=lim =F'(2)
⑵ ÷f(t)=(2t+1)€으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xd2 x-2
x x
이때 F÷'(x)=÷f(x)이므로 ÷F'(2)=÷f(2)=10
…÷ (2t+1)€dt=“F(t)‘ =F(x)-F(0)
0
0
⑶ ÷f(t)=t€-2t-3으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1 x F(x)-F(0)
∴ lim …÷ (2t+1)€dt=lim =F'(0) x x
xd0 x 0 xd0 x …÷ (t€-2t-3)dt=“F(t)‘ =F(x)-F(1)
1 1
이때 F÷'(x)=÷f(x)이므로 F÷'(0)=÷f(0)=1 x
1
⑶ ÷f(x)=2x‹-3x€-1로 놓고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 lim …÷ (t€-2t-3)dt
xd1 x-1 1
하면 F(x)-F(1)
=lim =F'(1)
1+h 1+h xd1 x-1
…÷ (2x‹-3x€-1)dx=“F(x)‘ =F(1+h)-F(1)
1 1 이때 F'(x)=÷f(x)이므로 ÷F'(1)=÷f(1)=-4
1 1+h
∴ lim …÷ (2x‹-3x€-1)dx ⑷ ÷f(t)=2t€+2t-1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hd0 h 1
x x

F(1+h)-F(1) …÷ (2t€+2t-1)dt=“F(t)‘ =F(x)-F(3)


=lim =F'(1) 3 3
hd0 h x
1
이때 F'(x)=÷f(x)이므로 F÷'(1)=÷f(1)=-2 ∴ lim …÷ (2t€+2t-1)dt
xd3 x-3 3
⑷ ÷f(x)=x€+1로 놓고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F(x)-F(3)
=lim =F'(3)
2+2h 2+2h x-3
…÷
xd3
(x€+1)dx=“F(x)‘ =F(2+2h)-F(2)
2 2 이때 F'(x)=÷f(x)이므로 ÷F'(3)=÷f(3)=23
1 2+2h
F(2+2h)-F(2)
∴ lim …÷ (x€+1)dx=lim
hd0 h 2 hd0 h
F(2+2h)-F(2)
=lim _2
2h
hd0
075 ÷f(t)=(3t-2)(2t-1)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2F'(2) 하면
이때 F÷'(x)=÷f(x)이므로 2F÷'(2)=2÷f(2)=10 x x
…÷ ÷f(t)dt=“F(t)‘ =F(x)-F(2)
2 2

073 ÷f(x)=3x€-2x+1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 lim


1 x
…÷ ÷f(t)dt=lim
F(x)-F(2)
1+h 1+h xd2 x€-4 2 xd2 x€-4
…÷ (3x€-2x+1)dx=“F(x)‘
1-h 1-h F(x)-F(2) 1
=lim *
=F(1+h)-F(1-h) xd2 x-2 x+2

∴ lim
1 1+h
…÷ f(x)dx =;4!;F'(2)
hd0 h 1-h

=lim
F(1+h)-F(1-h) 이때 F÷'(x)=÷f(x)이므로 ;4!;F'(2)=;4!;÷f(2)=3
hd0 h
F(1+h)-F(1)-F(1-h)+F(1)
=lim
hd0 h
F(1+h)-F(1) F(1-h)-F(1)
=lim +lim
hd0 h hd0 -h
=F'(1)+F'(1)=2F'(1)
이때 F'(x)=÷f(x)이므로 2F÷'(1)=2÷f(1)=4

086 정답과 풀이
2-x (x<2)
더블클릭 97쪽~99쪽 084 |2-x|=[ x-2 (x>2)
이므로 y

3 y=|2-x|
…÷ |2-x|dx
0
2 2 2
076 …÷ (x€+2x-5)dx=“;3!;x‹+x€-5x‘ 2 3
-1 -1 =…÷ (2-x)dx+…÷ (x-2)dx
0 2 O 2 x
=-:¡3º:-:¡3¶:=-:™3¶:=-9 2 3
=“2x-;2!;x€‘ +“;2!;x€-2x‘
0 2

=2+;2!;=;2%;
2 2
077 …÷ 0
(4x‹-3x€+2x-5)dx=“x›-x‹+x€-5x‘ =2
0

x€-x (x<0 또는 x>1)


085 |x€-x|=[ -x€+x (0<x<1)
1 1

078 …÷ -1
(xfi-3x€+5x)dx=2…÷ (-3x€)dx
0
이므로  y y=|x€-x|
1
1
…÷ |x€-x|dx
=2“-x‹‘ =-2 -1
0
0
=…÷ (x€-x)dx
-1

3 3
1
O 1 x
+…÷ (-x€+x)dx
079 …÷ 0
(x€-x)dx+…÷ (2x€+x-3)dx
0

0

0 1
=“;3!;x‹-;2!;x€‘ +“-;3!;x‹+;2!;x€‘
3 3
=…÷ (3x€-3)dx=“x‹-3x‘ =18 -1 0
0 0

=;6%;+;6!;=1

2 2

080 …÷ -2
(x€-x+3)dx-…÷ (x€+3x+1)dx
-2
x€-3x+2 (x<1 또는 x>2)
2
=…÷ (-4x+2)dx=2…÷ 2dx
2
086 |x€-3x+2|=[ -x€+3x-2 (1<x<2)
-2 0

2 이므로 y y=|x€-3x+2|
=2“2x‘ =8 3
…÷ |x€-3x+2|dx
0

1
2
2
=…÷ (-x€+3x-2)dx
2 2 1
081 …÷ -3
(x€+x+5)dx+…÷ (2x€-x-5)dx
-3
3 O 1 2 x
 +…÷ (x€-3x+2)dx
2 2 2
=…÷ 3x€dx=“x‹‘ =8-(-27)=35 2 3
=“-;3!;x‹+;2#;x€-2x‘ +“;3!;x‹-;2#;x€+2x‘
-3 -3

1 2

=;6!;+;6%;=1
1 3

082 …÷ -1
(x€-x)dx+…÷ (x€-x)dx
1

3 3
=…÷ (x€-x)dx=“;3!;x‹-;2!;x€‘ 2 0 2

087 …÷
-1 -1
÷f(x)dx=…÷ (-x+1)dx+…÷ (x+1)dx
-1 -1 0
=;2(;+;6%;=:¡3§: 0 2
=“-;2!;x€+x‘ +“;2!;x€+x‘
-1 0

=;2#;+4=:¡2¡:
1 1

083 …÷ (x€+3)dx-…÷ (x€+3)dx


-2 2

1 2
=…÷ (x€+3)dx+…÷ (x€+3)dx 3 1 3
  
-2

2
1

2
088 …÷
-1
÷f(x)dx=…÷ ÷xdx+…÷ (2-x)dx
-1 1
=…÷ (x€+3)dx=2…÷ (x€+3)dx 1 3
-2 0
=“;2!;x€‘ +“2x-;2!;x€‘
2 -1 1
=2“;3!;x‹+3x‘ =:∞3™:
0 =0+0=0

02. 정적분 087


2

095 …÷
2 1 2

089 …÷0
÷f(x)dx=…÷ x€dx+…÷ (2-x)dx
0 1 0
f(t)dt=k (k는 상수)   …… ㉠로 놓으면

1 2 ÷f(x)=x‹-6x€+2kx
=“;3!;x‹‘ +“2x-;2!;x€‘
0 1 2
이를 ㉠에 대입하면 …÷ (t‹-6t€+2kt)dt=k
=;3!;+;2!;=;6%;
0

2
“;4!;t›-2t‹+kt€‘ =k, -12+4k=k   ∴ k=4
0

따라서 ÷f(x)=x‹-6x€+8x이므로 ÷f(1)=3

1 0 1

090 …÷-1
÷ f(x)dx=…÷ ÷(2x+3)dx+…÷ (3-3x€)dx
-1 0

0 1
=“x€+3x‘ +“3x-x‹‘
-1 0 1

=2+2=4 096 …÷
0
f÷'(t)dt=k (k는 상수)   …… ㉠로 놓으면

÷f(x)=x‹-2x+2k
즉 ÷f÷'(x)=3x€-2이므로 이를 ㉠에 대입하면
1
2 2
…÷ (3t€-2)dt=k
091 …÷-2
÷ (7x‹-x€-2x+3)dx=2…÷ (-x€+3)dx
0
0

1
2
“t‹-2t‘ =k, -1=k
=2“-;3!;x‹+3x‘ =:™3º: 0
0
따라서 ÷f(x)=x‹-2x-2이므로 ÷f(-1)=-1

3 3

092 …÷-3
÷ (4xfi-3x€-7x)dx=2…÷ (-3x€)dx
0
x

097 …÷
3
=2“-x‹‘ =-54 ÷f(t)dt=x€-3x-4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0 a

a€-3a-4=0
(a+1)(a-4)=0   ∴ a=-1 또는 a=4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1+4=3
1

093 …÷ (8x‡-5x›+3x€+2x-1)dx
0

-1
 -…÷ (8x‡-5x›+3x€+2x-1)dx
0

1
x
=…÷ (8x‡-5x›+3x€+2x-1)dx
0 098 …÷
-1
÷f(t)dt=x€-ax+3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
 +…÷ ÷ (8x‡-5x›+3x€+2x-1)dx 1+a+3=0   ∴ a=-4
-1 x
1 ∴ …÷ ÷ f(t)dt=x€+4x+3
=…÷ ÷ (8x‡-5x›+3x€+2x-1)dx -1
-1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1
=2…÷ (-5x›+3x€-1)dx f(x)=2x+4   ∴ ÷f(1)=6
0

1
∴ a+÷f(1)=-4+6=2
=2“-xfi+x‹-x‘ =-2
0

099 …÷
2

094 …÷ ÷f(t)dt=k (k는 상수)   …… ㉠로 놓으면 1


t÷f(t)dt=5x‹-2ax€+1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

÷f(x)=3x+k 5-2a+1=0   ∴ a=3


x
∴ …÷ t÷f(t)dt=5x‹-6x€+1
2
이를 ㉠에 대입하면 …÷ (3t+k)dt=k 1
0

2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t€+kt‘ =k, 6+2k=k   ∴ k=-6
0 x÷f(x)=15x€-12x   ∴ ÷f(x)=15x-12
∴ ÷f(x)=3x-6 ∴ ÷f(2)=18

088 정답과 풀이
x
x -2 1
100 x€÷f(x)=xfl-2x›+2…÷ t÷f(t)dt   …… ㉠의 양변을 x에 대하 … … …
1 ÷f÷'(x) + 0 - 0 +
여 미분하면 ÷f(x) ↗ 극대 ↘ 극소 ↗
2x÷f(x)+x€÷f÷'(x)=6xfi-8x‹+2x÷f(x)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을, x=1에서 극솟값을
즉 ÷f÷'(x)=6x‹-8x이므로
가지므로
÷f(x)=;2#;x›-4x€+C (C는 적분상수)   …… ㉡ -2
극댓값 : ÷f(-2)=…÷ (6t€+6t-12)dt
0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1-2+0=-1 -2
=“2t‹+3t€-12t‘ =20
㉡에서 ÷f(1)=;2#;-4+C=-1   ∴ C=;2#; 0

1
극솟값 : ÷f(1)=…÷ (6t€+6t-12)dt
따라서 ÷f(x)=;2#;x›-4x€+;2#;이므로 ÷ f(-1)=-1 0

1
=“2t‹+3t€-12t‘ =-7
0

101 …÷1
(x-t)÷f(t)dt=x‹-3x€+3x-1에서
x x
x …÷ ÷f(t)dt-…÷ t÷f(t)dt=x‹-3x€+3x-1
x

1 1 104 ÷f(x)=…÷ 0
(t€-2t-3)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2x-3=(x+1)(x-3)
x
…÷ ÷f(t)dt+x÷f(x)-x÷f(x)=3x€-6x+3 ÷f÷'(x)=0에서 x=-1 또는 x=3
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x
∴ …÷ ÷f(t)dt=3x€-6x+3 x … -1 … 3 …
1
÷f÷'(x) + 0 - 0 +
이 식의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 ↗ 극대 ↘ 극소 ↗
÷f(x)=6x-6   ∴ ÷f(2)=6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x=3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x -1

102 f(x)=…÷ (t€+3t-4)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극댓값 : ÷f(-1)=…÷ (t€-2t-3)dt


0 0

-1
÷f÷'(x)=x€+3x-4=(x+4)(x-1) =“;3!;t‹-t€-3t‘ =;3%;
0
÷f÷'(x)=0에서 x=-4 또는 x=1
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극솟값 : ÷f(3)=…÷ (t€-2t-3)dt
0

x … -4 … 1 … 3

÷f÷'(x) + 0 - 0 +
=“;3!;t‹-t€-3t‘ =-9
0

÷f(x) ↗ 극대 ↘ 극소 ↗

따라서 함수 ÷f(x)는 x=-4에서 극댓값을, x=1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4 105 ÷f(t)=3t€+5t-2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극댓값 : ÷f(-4)=…÷ (t€+3t-4)dt x x
0
…÷ ÷f(t)dt=“F(t)‘ =F(x)-F(0)
-4 0 0
=“;3!;t‹+;2#;t€-4t‘ =:∞3§:
1 x
F(x)-F(0)
…÷ ÷f(t)dt=lim
0
∴ lim =F'(0)
1 xd0 x 0 xd0 x
극솟값 : ÷f(1)=…÷ (t€+3t-4)dt
0 이때 ÷F'(x)=÷f(x)이므로 ÷F÷'(0)=÷f(0)=-2
1
=“;3!;t‹+;2#;t€-4t‘ =-:¡6£:
0

106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x 1+h 1+h
103 ÷f(x)=…÷ (6t€+6t-12)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x)dx=“F(x)‘ =F(1+h)-F(1)
0 1 1

÷f÷'(x)=6x€+6x-12=6(x+2)(x-1) 1 1+h F(1+h)-F(1)


∴ lim …÷ ÷ f(x)dx=lim =F'(1)
÷f÷'(x)=0에서 x=-2 또는 x=1 hd0 h 1 hd0 h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이때 F'(x)=÷f(x)이므로 F'(1)=÷f(1)=3

02. 정적분 089


107 ÷f(t)=t‹-2t€+t+1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03 넓이, 속도와 거리 100쪽~105쪽
x x
…÷ ÷ f(t)dt=“F(t)‘ =F(x)-F(1)
1 1
109 ⑴ 곡선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x=0에서
÷1 x
÷F(x)-F(1)
∴ lim ÷…÷ ÷ f(t)dt=lim =F'(1) x€-x=x(x-1)=0 y
xd1 x-1 1 xd1 x-1
∴ x=0 또는 x=1
이때 ÷F÷'(x)=÷f(x)이므로 ÷F'(1)=÷f(1)=1 O
0<x<1에서 y>0이므로 1 x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1
S=… (-x€+x)dx y=-x€+x
÷f(1+h)-÷f(1-h) 0

108 lim
2h 1
=“ -;3!;x‹+;2!;x€ ‘ = ;6!;
hd0
0
÷f(1+h)-÷f(1)-÷f(1-h)+÷f(1)
=lim ⑵ 곡선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2x=0에서
hd0 2h
÷f(1+h)-÷f(1) ÷f(1-h)-÷f(1) x€-2x=x(x-2)=0 y y=x€-2x
=lim +lim ÷
hd0 2h hd0 -2h ∴ x=0 또는 x=2
÷f(1+h)-÷f(1) ÷f(1-h)-÷f(1) 0<x<2에서 y<0이므로
=lim *;2!;+lim ÷*;2!;
hd0 h hd0 -h x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O 2

=;2!;÷f÷'(1)+;2!;÷f÷'(1)=÷f÷'(1) 2
S=-… (x€-2x)dx
0
x
2
이때 ÷f(x)=…÷ ÷(3t€-2t+1)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3!;x‹-x€‘ =;3$;
1
0
÷f÷'(x)=3x€-2x+1이므로 ⑶ 곡선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4x-3=0에서
÷f(1+h)-÷f(1-h) x€-4x+3=(x-1)(x-3)=0 y
lim ÷=÷f÷'(1)=2
hd0 2h
∴ x=1 또는 x=3
1<x<3에서 y>0이므로 O 1 3 x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3 -3
S=… (-x€+4x-3)dx
1 y=-x€+4x-3
3
=“-;3!;x‹+2x€-3x‘ =;3$;
1

⑷ 곡선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x=0에서


x‹-x=x(x+1)(x-1)=0 y y=x‹-x
∴ x=-1 또는 x=0 또는 x=1
-1<x<0에서 y>0이고, -1
0<x<1에서 y<0이므로 O 1 x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0 1
S=… (x‹-x)dx-… (x‹-x)dx
-1 0

0 1
=“;4!;x›-;2!;x€‘ -“;4!;x›-;2!;x€‘ =;2!;
-1 0

110 곡선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ax=0에서


x€-ax=x(x-a)=0 y
∴ x=0 또는 x=a
0<x<a에서 y>0이므로 O
a x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y=-x€+ax

090 정답과 풀이
a a
⑸ 곡선 y=x‹-4x는 오른쪽 그 y y=x‹-4x
S=… (-x€+ax)dx=“-;3!;x‹+;2A;x€‘
0 0
림과 같다.
a‹
= =;3$;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6 -2 1
S라 하면 -1 O 2 x
a‹=8   ∴ a=2
1
S=… |x‹-4x|dx
-1

111 ⑴ 곡선 y=x€+2x는 오른쪽 그림과  y=x€+2x y 0 1

같다. =… (x‹-4x)dx+… (-x‹+4x)dx


-1 0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0 1


=“;4!;x›-2x€‘ +“-;4!;x›+2x€‘
하면 -1 0
-1
-2 O 2 x
=;2&;
2
S=… |x€+2x|dx
-1

0 2
=… ( -x€-2x )dx+… (x€+2x)dx
-1 0

0 2
=“ -;3!;x‹-x€ ‘ +“ ;3!;x‹+x€ ‘ = :™3™:
-1 0

⑵ 곡선 y=x€-x-2는 오른쪽 그림 y y=x€-x-2


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
라 하면
112 ⑴ 곡선 y=3x€-3은 오른쪽 그림과  y y=3x€-3
-1 2
O 3 x 같다.
3
S=… |x€-x-2|dx -2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0

2 3 하면
=… (-x€+x+2)dx+… (x€-x-2)dx 2
O
-1 1 2 x
0 2
S=… |3x€-3|dx
2 3 0
=“-;3!;x‹+;2!;x€+2x‘ +“;3!;x‹-;2!;x€-2x‘
-3
1 2
0 2
=… ( -3x€+3 )dx+… (3x€-3)dx
0 1
=:£6¡: 1 2
=“ -x‹+3x ‘ +“ x‹-3x ‘
0 1
⑶ 곡선 y=x€+3x는 오른쪽 그림과  y=x€+3x y
같다. = 6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⑵ 곡선 y=x€-1은 오른쪽 그림과  y y=x€-1

하면 같다.
-1 1
1 -3 O x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S=… |x€+3x|dx 하면
-1
2
0 1 -1 O 1 2 x
=… (-x€-3x)dx+… (x€+3x)dx S=… |x€-1|dx
0
-1 0 -1
0 1 1 2
=“-;3!;x‹-;2#;x€‘ +“;3!;x‹+;2#;x€‘ =… (-x€+1)dx+… (x€-1)dx
-1 0 0 1

=3 1 2
=“-;3!;x‹+x‘ +“;3!;x‹-x‘
0 1
⑷ 곡선 y=-x€+3x-2는 오른 y
=2
쪽 그림과 같다. -1
O 12 x ⑶ 곡선 y=-x€-x+2는 오른쪽  y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2 그림과 같다.
S라 하면
-2 O 2
2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 -1 1 x
S=… |-x€+3x-2|dx 라 하면
-1

1 2
y=-x€+3x-2
=… (x€-3x+2)dx S=… |-x€-x+2|dx
-1 -1 y=-x€-x+2
2 1 2
 +… (-x€+3x-2)dx =… (-x€-x+2)dx+… (x€+x-2)dx
1 -1 1

1 2
=“-;3!;x‹-;2!;x€+2x‘ +“;3!;x‹+;2!;x€-2x‘
1 2
=“;3!;x‹-;2#;x€+2x‘ +“-;3!;x‹+;2#;x€-2x‘
-1 1 -1 1

=:™6ª: =:£6¡:

03. 넓이, 속도와 거리 091


⑷ 곡선 y=x€-4x는 오른쪽 그림과  y y=x€-4x ⑵ 곡선 y=-x€+1과 직선  y y=x-1
1
같다. y=x-1의
‌ 교점의 x좌표는
-2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x€+1=x-1에서 O 1 x
x€+x-2=0, -1
하면 O 3
-1 4 x
3
(x+2)(x-1)=0
S=… |x€-4x|dx
-1 ∴ x=-2 또는 x=1 y=-x€+1
0 3
=… (x€-4x)dx+… (-x€+4x)dx -2<x<1에서 -x€+1>x-1이므로
-1 0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0 3
=“;3!;x‹-2x€‘ +“-;3!;x‹+2x€‘ 1
-1 0 S=… {(-x€+1)-(x-1)}dx
-2

=:£3¢: 1
=… (-x€-x+2)dx
-2

1
=“-;3!;x‹-;2!;x€+2x‘ =;2(;
-2

113 곡선 y=x€+2x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x€+2x=x(x+2)=0에서  y y=x€+2x
x=-2 또는 x=0 ⑶ 곡선 y=x‹-3x와 직선  y=x‹-3x
y y=x
이때 k>0이므로 곡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y=x€+2x와 x축 및 두 직선 x‹-3x=x에서
-1
x=-1, x=k로 둘러싸인 도형 -2 O k x x‹-4x=0, -2
2 x
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x(x+2)(x-2)=0 O
같다. ∴ ‌x=-2 또는 x=0
넓이를 S라 하면 또는 x=2
k
-2<x<0에서 x‹-3x>x,
S=… |x€+2x|dx
-1
0<x<2에서 x>x‹-3x이므로
0 k
=… (-x€-2x)dx+… (x€+2x)dx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1 0
0 2
0 k S=… {(x‹-3x)-x}dx+… {x-(x‹-3x)}dx
=“-;3!;x‹-x€‘ +“;3!;x‹+x€‘ -2 0
-1 0
0 2

k‹ =… (x‹-4x)dx+… (-x‹+4x)dx
= +k€+;3@; -2 0
3
0 2
k‹ =“;4!;x›-2x€‘ +“-;4!;x›+2x€‘
따라서 +k€+;3@;=:™3™:이므로 -2 0
3
=8
k‹+3k€-20=0, (k-2)(k€+5k+10)=0
∴ k=2

115 곡선 y=x€+3x와 직선  y=x€+3x y y=x+8


y=x+8의 교점의 x좌표는
8
114 ⑴ 곡선 y=x€-2와 직선 y=x  y
y=x€-2
x€+3x=x+8에서
의 교점의 x좌표는
x€+2x-8=0,
x€-2=x에서
(x+4)(x-2)=0 x
-1 -4 O2
x€-x-2=0,
O 2 x ∴ x=-4 또는 x=2
(x+1)(x-2)=0
-4<x<2에서 x+8>x€+3x이므로
∴ x=-1 또는 x=2
y=x -2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1<x<2에서 x>x€-2이므 2

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S=… {(x+8)-(x€+3x)}dx


-4
2 2 2
S=… { x-(x€-2) }dx =… (-x€+ x+2 )dx =… (-x€-2x+8)dx
-1 -1 -4
2
=“-;3!;x‹+ ;2!;x€+2x ‘ = ;2(;
2

-1
=“-;3!;x‹-x€+8x‘ =36
-4

092 정답과 풀이
116 ⑴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y y=x€ -x€+5x>x€+x-6이므로
x€=-x€+2에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2 3
2x€-2=0, S=… {(-x€+5x)-(x€+x-6)}dx
-1
2(x+1)(x-1)=0
3
∴ x=-1 또는 x=1 O 1 x
=… (-2x€+4x+6)dx
-1 -1
-1<x<1에서 -x€+2>x€ 3

이므로 y=-x€+2 =“-;3@;x‹+2x€+6x‘ =:§3¢:


-1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1
S=… {(-x€+2)-x€}dx
-1

1 117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y y=x€-3x


=… (-2x€+2)dx x€-3x=-x€+5x-6에서
-1
1
1 x€-4x+3=0, O 3 x
=“ -;3@;x‹+2x ‘ = ;3*;
-1 (x-1)(x-3)=0
⑵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y=2x€-8 ∴ x=1 또는 x=3 -6
y
2x€-8=-x€+3x-2 1<x<3에서
-1 O 2 y=-x€+5x-6
에서
x
-x€+5x-6>x€-3x이므로
x€-x-2=0,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x+1)(x-2)=0 -2 3
S=… {(-x€+5x-6)-(x€-3x)}dx
∴ x=-1 또는 x=2 1

-1<x<2에서 -8 3
=… (-2x€+8x-6)dx
1
-x€+3x-2>2x€-8 y=-x€+3x-2
3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3@;x‹+4x€-6x‘ =;3*;
1
2
S=… {(-x€+3x-2)-(2x€-8)}dx
-1

2
=… (-3x€+3x+6)dx
-1 118 ⑴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y=x€ y y=x‹-2x
2
x‹-2x=x€에서
=“-x‹+;2#;x€+6x‘ =:™2¶:
-1
x‹-x€-2x=0
O
⑶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y y=x€-x
x(x+1)(x-2)=0 x
-1 2
-x€+1=x€-x에서 ∴ x=-1 또는 x=0
1
2x€-x-1=0, 또는 x=2
-1 O
(2x+1)(x-1)=0 1 x -1<x<0에서 x‹-2x>x€이고,
-;2!;
∴ x=-;2!; 또는 x=1 0<x<2에서 x€>x‹-2x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2!;<x<1에서 y=-x€+1 0 2
S=… {(x‹-2x)-x€}dx+… {x€-(x‹-2x)}dx
-1 0
-x€+1>x€-x이므로
0 2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 (x‹-x€-2x)dx+… (-x‹+x€+2x)dx
-1 0
1
S=… {(-x€+1)-(x€-x)}dx 0 2
-;2!; =“ 4!;x›-;3!;x‹-x€ ‘ +“ -4!;x›+;3!;x‹+x€ ‘ = ;1#2&;
-1 0
1
=… (-2x€+x+1)dx ⑵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y y=x‹-x€
-;2!;
x‹-x€=x€에서 x‹-2x€=0 y=x€
1
=“-;3@;x‹+;2!;x€+x‘ =;8(; x€(x-2)=0
-;2!;
y y=x€+x-6 ∴ x=0 또는 x=2
⑷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x€+5x=x€+x-6에서 0<x<2에서 x€>x‹-x€이므로
O 1 2 x
x€-2x-3=0,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1 2 5
-3 O 3 x 2 2
(x+1)(x-3)=0 S=… {x€-(x‹-x€)}dx=… (-x‹+2x€)dx
0 0
∴ x=-1 또는 x=3
2
-1<x<3에서 =“-;4!;x›+;3@;x‹‘ =;3$;
y=-x€+5x 0

03. 넓이, 속도와 거리 093


⑶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y=x€-x y y=x‹-3x€+2x ⑵ 곡선 y=x(x-1)(x-a)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x‹-3x€+2x=x€-x x(x-1)(x-a)=0에서
에서 x=0 또는 x=1 또는 x=a
x‹-4x€+3x=0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x(x-1)(x-3)=0 a
O 1 23 x … x(x-1)(x-a)dx=0 y y=x(x-1)(x-a)
∴ ‌x=0 또는 x=1 또는 0

a
x=3 … {x‹-(a+1)x€+ax}dx
0
0<x<1에서 x‹-3x€+2x>x€-x이고,
a+1 a
1 a x
‌1<x<3에서 x€-x>x‹-3x€+2x이므로 =“;4!;x›- x‹+;2A;x€‘ O
3 0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1 =-;1¡2;a›+;6!;a‹=0
S=… {(x‹-3x€+2x)-(x€-x)}dx
0
a›-2a‹=0, a‹(a-2)=0   ∴ a=2 (∵ a>1)
3
 +… {(x€-x)-(x‹-3x€+2x)}dx ⑶ 곡선 y=x(x-3)(x-a)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1
1 3 x(x-3)(x-a)=0에서
=… (x‹-4x€+3x)dx+… (-x‹+4x€-3x)dx x=0 또는 x=3 또는 x=a y
0 1 y=x(x-3)(x-a)
1 3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
=“;4!;x›-;3$;x‹+;2#;x€‘ +“-;4!;x›+;3$;x‹-;2#;x€‘
0 1 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O
3 a x
=;1#2&;
a
… x(x-3)(x-a)dx=0
0

⑷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y y=x€-2x a


… {x‹-(a+3)x€+3ax}dx
-x‹+x€+2x=x€-2x 0

a+3 3a a
에서 =“;4!;x›- x‹+ x€‘
3 2 0
x‹-4x=0
x(x+2)(x-2)=0 -2 2 x =-;1¡2;a›+;2!;a‹=0
O
∴ ‌x=-2 또는 x=0 또는
y=-x‹+x€+2x
a›-6a‹=0, a‹(a-6)=0   ∴ a=6 (∵ a>3)
x=2
-2<x<0에서 x€-2x>-x‹+x€+2x이고,
‌0<x<2에서 -x‹+x€+2x>x€-2x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120 곡선 y=-(x-1)(x-k)와  y

0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S™


S=… {(x€-2x)-(-x‹+x€+2x)}dx O S¡ 1 k x
-2
-(x-1)(x-k)=0에서
2 x=1 또는 x=k
 +… {(-x‹+x€+2x)-(x€-2x)}dx -k
0 k>1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0 2
k
=… (x‹-4x)dx+… (-x‹+4x)dx … {-(x-1)(x-k)}dx=0 y=-(x-1)(x-k)
-2 0
0
0 2
=“;4!;x›-2x€‘ +“-;4!;x›+2x€‘ =8 k
-2 0 … {-x€+(k+1)x-k}dx
0

k+1 k
=“-;3!;x‹+ x€-kx‘
119 ⑴ 곡선 y=x(x-a)(x-2)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2 0

x(x-a)(x-2)=0에서
=;6!;k‹-;2!;k€=0
x=0 또는 x=a 또는 x=2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k‹-3k€=0, k€(k-3)=0   ∴ k=3 (∵ k>1)
2
… x(x-a)(x-2)dx=0 y y=x(x-a)(x-2)
0

2
… {x‹-(a+2)x€+2ax}dx 121 ⑴ 두 곡선 y=f(x)와 y=g(x)는 y y=f(x) y=x
0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
a+2 2 a x
x‹+ax€ ‘
2
=“ ;4!;x›- O y=g(x)
3 0
로 구하는 넓이는 곡선
y=f(x)와 직선 y=x로 둘러
= ;3$;a-;3$; =0
싸인 도형의 넓이의 2 배이
O 2 3 x
∴ a= 1 다.

094 정답과 풀이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123 ⑴ ‌시각 t=0에서의 위치가 2이므로 t=2에서 점 P의 위치를 x
x€-2x=x에서 x(x-3)=0 라 하면
∴ x=0 또는 x=3 2 2
x= 2 +… (2t-1)dt= 2 +“t€-t‘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0 0

3
= 2 +2= 4
S= 2 … {x-(x€-2x)}dx
0
⑵ ‌시각 t=0에서의 위치가 -3이므로 t=3에서 점 P의 위치를
3
= 2 “;2#;x€-;3!;x‹‘ = 9 x라 하면
0
3
⑵ 두 곡선 y=f(x)와 y=g(x)는  y y=f(x) y=x x=-3+… (3t€-2t+1)dt
0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구 3

하는 넓이는 곡선 y=f(x)와 직선 y=g(x)


=-3+“t‹-t€+t‘ =18
0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2 ⑶ ‌시각 t=0에서의 위치가 0이므로 t=3에서 점 P의 위치를 x
배이다. O 1 x 라 하면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점 3 3
x=0+… (2t-t€)dt=“t€-;3!;t‹‘ =0
의 x좌표는 x€=x에서 x(x-1)=0 0 0

∴ x=0 또는 x=1 ⑷ ‌시각 t=0에서의 위치가 5이므로 t=2에서 점 P의 위치를 x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라 하면
1 2
S=2… (x-x€)dx x=5+… (5+2t-3t€)dt
0 0

1 2
=2“;2!;x€-;3!;x‹‘ =;3!; =5+“5t+t€-t‹‘ =11
0 0

⑶ 두 곡선 y=f(x)와 y=g(x) y y=f(x) y=x


‌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
y=g(x)
로 구하는 넓이는 곡선 y=f(x)
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2배이다. O 3 x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 124 물체를 던진 후 5초가 지났을 때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x라


하면
점의 x좌표는
5
x=5+… (49-9.8t)dt
;9!;x‹=x에서 x(x€-9)=0 0

5
x(x+3)(x-3)=0 =5+“49t-4.9t€‘ =127.5 (m)
0
∴ x=0 또는 x=3 (∵ x>0)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3
S=2… {x-;9!;x‹}dx
0

3
=2“;2!;x€-;3¡6;x›‘ =;2(;
0
125 ⑴ t=1에서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3 3
… (3t€-1)dt=“t‹-t‘ =24
1 1

⑵ t=0에서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3 3
… (6t€-18t+12)dt=“2t‹-9t€+12t‘ =9
0 0

⑶ t=1에서 t=2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2 2
2 2 2 … (3t€+2t)dt=“t‹+t€‘ =10
122 ⑴ … v(t)dt=… (4t+1)dt=“2t€+t‘ =10 1 1
0 0 0

3 3 3
⑷ t=0에서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⑵ … v(t)dt=… (4t+1)dt=“2t€+t‘ =21 3 1 3
0 0 0
… |2t-2|dt=… (-2t+2)dt+… (2t-2)dt
4 4 4 0 0 1
⑶ … v(t)dt=… (4t+1)dt=“2t€+t‘ =36 1 3
0 0 0
=“-t€+2t‘ +“t€-2t‘
0 1
5 5 5
⑷ … v(t)dt=… (4t+1)dt=“2t€+t‘ =55 =5
0 0 0

03. 넓이, 속도와 거리 095


126 물체가 최고 높이에 도달했을 때는 v(t)=0이므로 더블클릭 106쪽~108쪽
40-10t=0에서 t=4
따라서 t=4일 때 최고 높이에 도달하고 그때의 지면으로부터의 129 곡선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3x=0에서
높이 x는 x€-3x=x(x-3)=0 y
4
∴ x=0 또는 x=3
x=45+… (40-10t)dt
0 0<x<3에서 y>0이므로
O
4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3 x
=45+“40t-5t€‘ =125(m)
0
넓이 S는
3 y=-x€+3x
S=… (-x€+3x)dx
0

3
=“-;3!;x‹+;2#;x€‘ =;2(;
0

127 ⑴ v(t)=t€-2t=t(t-2)이므로
1<t<2에서 v(t) < 0, 2<t<4에서 v(t) > 0
따라서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s라 하면 130 곡선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2x-8=0에서
4 x€-2x-8=(x+2)(x-4)=0 y y=x€-2x-8
s=… |t€-2t|dt
1 ∴ x=-2 또는 x=4
2 4
-2<x<4에서 y<0이므로 곡선
=… ( -t€+2t )dt+… ( t€-2t )dt -2 O 4 x
1 2
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2 4
=“ -;3!;t‹+t€ ‘ +“ ;3!;t‹-t€ ‘ = :™3™: S는
1 2 -8
4
⑵ v(t)=3t€-3=3(t+1)(t-1)이므로 S=-… (x€-2x-8)dx
-2
0<t<1에서 v(t)<0, 1<t<2에서 v(t)>0 4

따라서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s라 하면 =-“;3!;x‹-x€-8x‘ =36


-2
2
s=… |3t€-3|dt
0

1
=… (-3t€+3)dt+… (3t€-3)dt
2
131 곡선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x-2)=0에서
0 1 x=0 또는 x=2 y y=x€(x-2)
1 2
=“-t‹+3t‘ +“t‹-3t‘ =6 0<x<2에서 y<0이므로
0 1 O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2 x
⑶ v(t)=2t-t€=t(2-t)이므로
넓이 S는
1<t<2에서 v(t)>0, 2<t<3에서 v(t)<0 2

따라서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s라 하면 S=-… x€(x-2)dx


0
3
2
s=… |2t-t€|dt =-… (x‹-2x€)dx
1
0
2 3
2
=… (2t-t€)dt+… (-2t+t€)dt
1 2
=-“;4!;x›-;3@;x‹‘ =;3$;
0
2 3
=“-;3!;t‹+t€‘ +“;3!;t‹-t€‘ =2
1 2

132 곡선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y y=x€(x+1)(x-1)


x€(x+1)(x-1)=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O
-1 1 x
128 v(t)=98-9.8t=9.8(10-t)이므로 -1<x<0과 0<x<1에
0<t<10에서 v(t)>0, 10<t<12에서 v(t)<0
서 y<0이므로
따라서 공을 던진 후 12초 동안 움직인 거리를 s라 하면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12
s=… |98-9.8t|dt 0 1

0 S=-… x€(x+1)(x-1)dx-… x€(x+1)(x-1)dx


-1 0
10 12
=… (98-9.8t)dt+… (9.8t-98)dt 0 1

0 10 =-… (x›-x€)dx-… (x›-x€)dx


-1 0
10 12
=“98t-4.9t€‘ +“4.9t€-98t‘ =509.6(m) 0 1
0 10 =-“;5!;xfi-;3!;x‹‘ -“;5!;xfi-;3!;x‹‘ =;1¢5;
-1 0

096 정답과 풀이
133 곡선 y=x€+2x는 오른쪽 그림과  y y=x€+2x 137 곡선 y=x€-3x와 직선  y y=x€-3x
같다. y=x-3의 교점의 x좌표는 y=x-3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x€-3x=x-3에서
1
하면 x€-4x+3=0 O 3 x
-1
1
-2 O 1 x (x-1)(x-3)=0
S=… |x€+2x|dx -3
-1 ∴ x=1 또는 x=3
0
=… (-x€-2x)dx 1<x<3에서 x-3>x€-3x이므로
-1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1
 +… (x€+2x)dx 3 3
0 S=… {(x-3)-(x€-3x)}dx=… (-x€+4x-3)dx
1 1
0 1
=“-;3!;x‹-x€‘ +“;3!;x‹+x€‘ =2 3
-1 0 =“-;3!;x‹+2x€-3x‘ =;3$;
1

134 곡선 y=x€-4x는 오른쪽 그림과  y


y=x€-4x
같다.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2
S=… |x€-4x|dx -1
O 2
4 x 138 곡선 y=x€+1과 직선 y=x+7의 y y=x€+1
y=x+7
-1 교점의 x좌표는 x€+1=x+7에서
0
x€-x-6=0, 7
=… (x€-4x)dx
-1 (x+2)(x-3)=0
2
 +… (-x€+4x)dx ∴ x=-2 또는 x=3 1
0
-2 O 3 x
-2<x<3에서 x+7>x€+1이므로
0 2
=“;3!;x‹-2x€‘ +“-;3!;x‹+2x€‘ =:™3£: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1 0
3 3
S=… {(x+7)-(x€+1)}dx=… (-x€+x+6)dx
-2 -2

3
=“-;3!;x‹+;2!;x€+6x‘ =;:!6@:%;
135 곡선 y=-x€+3x는 오른쪽 그림과  y -2

같다.
O 4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2 3 x
하면
4
S=… |-x€+3x|dx
2

3 4 y=-x€+3x
=… (-x€+3x)dx+… (x€-3x)dx
2 3 139 곡선 y=x‹-4x와 직선 y=5x  y
y=x‹-4x
y=5x
3
=“-;3!;x‹+;2#;x€‘ +“;3!;x‹-;2#;x€‘ =3
4
의 교점의 x좌표는
2 3
x‹-4x=5x에서
x‹-9x=0 -3 2
-2 3 x
O
x(x+3)(x-3)=0
136 곡선 y=-x€+1과 직선  y ∴ ‌x=-3 또는 x=0 또는
y=-3의 교점의 x좌표는 1 x=3
-1 1
-x€+1=-3에서 -2 O 2 x -3<x<0에서 x‹-4x>5x이고,
x€-4=0, (x+2)(x-2)=0 0<x<3에서 5x>x‹-4x이므로
y=-3
∴ x=-2 또는 x=2 -3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2<x<2에서 -x€+1>-3 y=-x€+1
0 3
S=… {(x‹-4x)-5x}dx+… {5x-(x‹-4x)}dx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3 0

2 2 0 3

S=… {(-x€+1)-(-3)}dx=… (-x€+4)dx =… (x‹-9x)dx+… (-x‹+9x)dx


-2 -2 -3 0

0 3
=“;4!;x›-;2(;x€‘ +“-;4!;x›+;2(;x€‘ =:•2¡:
2
=“-;3!;x‹+4x‘ =:£3™: -3 0
-2

03. 넓이, 속도와 거리 097


140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y y=3x€-3 143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y y=x‹-4x€+3x
-x€+1=3x€-3에서 x‹-4x€+3x=x€-x에서 y=x€-x
1
4x€-4=0 x‹-5x€+4x=0
-1 O 1 x
4(x+1)(x-1)=0 x(x-1)(x-4)=0
∴ x=-1 또는 x=1 -3 ∴ x=0 또는 x=1 또는 x=4
3
-1<x<1에서 0<x<1에서 O 1 4 x
y=-x€+1
-x€+1>3x€-3이므로 x‹-4x€+3x>x€-x이고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1<x<4에서 x€-x>x‹-4x€+3x이므로
1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S=… {(-x€+1)-(3x€-3)}dx
-1 1

1
S=… {(x‹-4x€+3x)-(x€-x)}dx
0
=… (-4x€+4)dx
-1 4

1
 +… {(x€-x)-(x‹-4x€+3x)}dx
=“-;3$;x‹+4x‘ =:¡3§:
1
-1 1 4
=… (x‹-5x€+4x)dx+… (-x‹+5x€-4x)dx
0 1

1 4
=“;4!;x›-;3%;x‹+2x€‘ +“-;4!;x›+;3%;x‹-2x€‘
0 1

=:¶6¡:

141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y y=x€+x-2


-x€+1=x€+x-2에서
2x€+x-3=0 -;2#; 1
(2x+3)(x-1)=0 -2 O 1 x 144 곡선 y=ax-x€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하면
ax-x€=x(a-x)=0에서 y
∴ x=-;2#; 또는 x=1
-2
x=0 또는 x=a
y=-x€+1 a>0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곡
-;2#;<x<1에서
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O a x
-x€+1>x€+x-2이므로 넓이는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a y=ax-x€
1
… (ax-x€)dx
0
S=… {(-x€+1)-(x€+x-2)}dx
-;2#; a
a‹
=“;2A;x€-;3!;x‹‘ =
1 0 6
=… (-2x€-x+3)dx
-;2#; a‹
즉 =;2(;이므로 a‹=27   ∴ a=3
1 6
=“-;3@;x‹-;2!;x€+3x‘ =:¡2™4∞:
-;2#;

145 직선 y=ax와 곡선 y=x€-2x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하면


x€-2x=ax에서 y y=x€-2x
x{x-(a+2)}=0 y=ax
142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y y=x€-2x
∴ x=0 또는 x=a+2
x€-2x=-x€에서
오른쪽 그림에서 직선과 곡선으로
2x€-2x=0, 2x(x-1)=0 1 O 2 a+2 x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O 2 x
∴ x=0 또는 x=1 a+2

0<x<1에서 -x€>x€-2x이므 … {ax-(x€-2x)}dx


0

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a+2

1
y=-x€ =… {(a+2)x-x€}dx
0
S=… {-x€-(x€-2x)}dx
a+2 a+2
(a+2)‹
x€-;3!;x‹‘ =
0
=“
1 2 0 6
=… (-2x€+2x)dx
(a+2)‹
=:£3™:이므로
0

1 6
=“-;3@;x‹+x€‘ =;3!;
0 (a+2)‹=64, a+2=4   ∴ a=2

098 정답과 풀이
146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하면 y y=ax€-2ax 149 곡선 y=x(x-2)(x-a)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2x€+4x=ax€-2ax에서 x(x-2)(x-a)=0에서 y y=x(x-2)(x-a)
(a+2)x€-2(a+2)x=0 x=0 또는 x=2 또는 x=a
(a+2)x(x-2)=0 O 2 x a>2이고 곡선과 x축으로 둘러
O 2 a x
∴ x=0 또는 x=2 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0<x<2일 때 a
y=-2x€+4x … x(x-2)(x-a)dx=0
-2x€+4x>ax€-2ax (∵ a>0) 0

a
a+2 a
이므로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 {x‹-(a+2)x€+2ax}dx=“;4!;x›- x‹+ax€‘
2 0 3 0

… {(-2x€+4x)-(ax€-2ax)}dx a› a‹
0 =- + =0
12 3
2
=… (a+2)(-x€+2x)dx a‹(a-4)=0   ∴ a=4
0

2
=(a+2)“-;3!;x‹+x€‘ =;3$;(a+2)
0

즉 ;3$;(a+2)=4이므로 a+2=3   ∴ a=1


150 k>4이고 곡선 y=-x€+4x와 x축 y x=k
및 직선 x=k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k
넓이가 같으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O 4 x
k

147 y'=3x€이고 곡선 위의 점 (-1, -4) y=3x-1 … (-x€+4x)dx=0


y y=x‹-3 0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이므로 접선 k
k‹
“-;3!;x‹+2x€‘ =-
의 방정식은 0 3
y=-x€+4x
y+4=3(x+1)   ∴ y=3x-1 -1 +2k€=0
O 2 x
곡선 y=x‹-3과 직선 y=3x-1의 k€(k-6)=0   ∴ k=6
-3
교점의 x좌표는 -4
x‹-3=3x-1에서
x‹-3x-2=0, (x+1)€(x-2)=0
∴ x=-1 또는 x=2 151 A=B이므로
1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구하는 넓이는 … {(-x€+x)-kx}dx=0
2 2 0
… {(3x-1)-(x‹-3)}dx=… (-x‹+3x+2)dx 1
1-k 1
-1 -1
… {-x€+(1-k)x}dx=“-;3!;x‹+ x€‘
2 0 2 0
=“-;4!;x›+;2#;x€+2x‘
-1
=;6!;-;2K;=0
=:™4¶:
∴ k=;3!;

148 y'=3x€-4x+1이고 곡선 위의 점 (0, 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는 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 y=x‹-2x€+x 152 두 곡선 y=f(x)와 y=g(x)는 y y=f(x)
y=x
y-0=1*(x-0) y=x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y=g(x)
∴ y=x 구하는 넓이는 곡선 y=f(x)와 직
곡선 y=x‹-2x€+x와 직선 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O 1 2 x
y=x의 교점의 x좌표는 의 2배이다.
O 3 4 x
x‹-2x€+x=x에서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점
x€(x-2)=0 의 x좌표는
∴ x=0 또는 x=2 x€-3x=x에서 x(x-4)=0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구하는 넓이는 ∴ x=0 또는 x=4
2 2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 {x-(x‹-2x€+x)}dx=… (-x‹+2x€)dx
0 0 4 4

2
S=2… {x-(x€-3x)}dx=2… (-x€+4x)dx
=“-;4!;x›+;3@;x‹‘ =;3$;
0 0
0 4
=2“-;3!;x‹+2x€‘ =:§3¢:
0
03. 넓이, 속도와 거리 099
153 두 곡선 y=f(x)와 y=g(x)는  y y=f(x) 158 물체가 최고 높이에 도달했을 때는 v(t)=0이므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y=x 30-10t=0에서 t=3
구하는 넓이는 곡선 y=f(x)와 y=g(x) 따라서 t=3일 때 최고 높이에 도달하고 그때의 최고 높이 x는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3 3
O x=8+… (30-10t)dt=8+“30t-5t€‘
이의 2배이다. 1 x 0 0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 =53 (m)

점의 x좌표는
x‹-x€+x=x에서 x€(x-1)=0
∴ x=0 또는 x=1 159 물체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 높이는 53 m이므로 땅에 떨어질 때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까지 움직인 거리는
1 1 (53-8)+53=98 (m)
S=2… {x-(x‹-x€+x)}dx=2… (-x‹+x€)dx
0 0

1
=2“-;4!;x›+;3!;x‹‘ =;6!;
0

154 t=2에서 점 P의 위치를 x라 하면


2 2
x=… (3t€-12t+9)dt=“t‹-6t€+9t‘ =2
0 0

155 v(t)=3t€-12t+9=3(t-1)(t-3)이므로
0<t<1에서 v(t)>0, 1<t<3에서 v(t)<0
따라서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s라 하면
3
s=… |3t€-12t+9|dt
0

1 3
=… (3t€-12t+9)dt+… (-3t€+12t-9)dt
0 1

1 3
=“t‹-6t€+9t‘ +“-t‹+6t€-9t‘ =8
0 1

156 물체를 던진 후 5초가 지났을 때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x라


하면
5 5
x=8+… (30-10t)dt=8+“30t-5t€‘
0 0

=33 (m)

157 v(t)=30-10t=10(3-t)이므로
0<t<3에서 v(t)>0, 3<t<4에서 v(t)<0
물체를 던진 후 4초 동안 움직인 거리를 s라 하면
4
s=… |30-10t|dt
0

3 4
=… (30-10t)dt+… (10t-30)dt
0 3

3 4
=“30t-5t€‘ +“5t€-30t‘ =50 (m)
0 3

100 정답과 풀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