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15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문학석사학위논문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법


대조 연구

2018년 8월

부경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BUI THI OANH


문학석사학위논문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법


대조 연구

지도교수 채 영 희

이 논문을 문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8년 8월

부경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BUI THI OANH


BUI THI OANH 의 문학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2018년 8월 24일

위원장 언어학박사 김희섭 (인)

위 원 문 학 박 사 권성미 (인)

위 원 문 학 박 사 채영희 (인)
목차

I. 서론 ··············································································································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

2. 연구 대상 및 논의구성 ··················································································· 3
3. 선행연구 ············································································································ 4

Ⅱ. 부정법에 대한 선행 연구 ······································································ 8
1. 한국어 부정법 ··································································································· 8
가. 한국어 부정법의 정의 ··············································································· 8

나. 한국어 부정법의 분류 ··············································································· 9


2. 베트남어 부정법 ····························································································· 20
가. 베트남어 부정법의 정의 ········································································· 20

나. 베트남어 부정법의 분류 ········································································· 21

Ⅲ.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법 대조 ···················································· 38


1. 어휘적. 파생적 측면 ····················································································· 38
가. 어휘적 측면 ······························································································· 38

나. 파생적 측면 ······························································································· 45
2. 통사적 측면 ···································································································· 50
가. 부정소 ········································································································ 50

나. 부정의 영역 ······························································································· 55
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법의 통사적 제약 ·········································· 60

- i -
3. 한국어-베트남어 부정법의 의미적 대조. ·················································· 67

가. 객관 부정. ‘안’.‘-지 않다’와 ‘không’. ‘chưa’부정 ························· 67


나. 능력부정 ‘못’. ‘-지 못하다’와 ‘không thể’, ‘chưa thể’부정 ······· 68

다. 금지 부정 ··································································································· 69

Ⅳ. 베트남인 학습자의 부정법 오류 분석 ·············································· 71


1. 연구대상 및 내용 ··························································································· 71

2. 오류 분석 결과 ······························································································ 72

Ⅴ. 결론 ········································································································· 91

참고문헌

- ii -
<표 차례>

<표 1> 한국어 단형부정과 장형부정 대조 ························································ 16


<표 2> 베트남어의 ‘không thể’부정부사와 ‘chưa thể’부정부사 대조. ···· 33
<표 3> 베트남어의 파생어‘được’, ‘nổi’, ‘xuể’ ··············································· 34

<표 4> 1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3


<표 5> 2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3
<표 6> 3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4

<표 7> 4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4


<표 8> 5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5
<표 9> 6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5
<표 10> 7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6
<표 11> 8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6
<표 12> 9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7
<표 13> 10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7
<표 14> 11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8
<표 15> 12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8
<표 16> 13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9
<표 17> 14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79

<표 18> 15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80


<표 19> 16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81
<표 20> 17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81

<표 21> 18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82

<표 22> 19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82

- iii -
<표 23> 20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83

<표 24> 21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83


<표 25> 22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84

<표 26> 23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85

<표 27> 24 문항 급별 오류 비율 ······································································· 85


<표 28> 1~12 문항 유형별 오답률 비율 ··························································· 86

<표 29> 13∼24 문항 유형별 오답률 비율 ······················································· 88

- iv -
A Contrastive Study on Negative of Korean and Vietnamese

Bui Thi Oanh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ae Young Hee)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and Vietnamese. First of all, the thesis defines and classifies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and Vietnamese. From that point,
the thesis deals with characteristics of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and Vietnamese.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thesis compares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with
those in Vietnamese and find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the two languages. In addition, the thesis


examines how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ffect the study and acquisition
by learners of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Also, to learn about

what difficulties which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learners of


Vietnamese meet with during the study process and what errors they often
make, the thesis analyzes common errors with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Through such analysis, we can determine the cause of the
error and improve learners’ knowledge of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The main aim of this thesis is the comprehensive comparative study

on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and Vietnam;

- v -
therefore, the thesis referred to the relevant documents and used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method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main points of the thesis.
Chapter 1 mention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contents of the

study and the thesis structure and assesses previous studies on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the two languages.
Chapter 2 deals with previous studies on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and Vietnamese. In particular, the thesis defines and


classifies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and
Vietnamese.

Chapter 3, based on the contents of Chapter 2, compares and analyz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and Vietnamese. Also, the thesis analyzes how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fluence the study by learners of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the two languages.
Chapter 4 analyzes errors which are often made by Vietnamese learners

during the study of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This
chapter aims to find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and to learn about what difficulties which

learners meet with and what errors they often make during the use of the
ways.
Chapter 5,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and Vietnamese and the error analysis results, deals with
some conclusions and summarizes contents of the whole thesis.
Based on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and

Vietnamese and the error analysis results, the thesis clarifi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meanings in Korean and

- vi -
Vietnamese and then contributes to improving language knowledge for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learners of Vietnamese.

- vii -
I. 서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한국과 베트남은 양국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일찍부터 다방면으로 교류

해 왔다. 양국은 여러 분야에서 협력하면서 발전해 나가고 있으며 교류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언어 교육의 수요도 급증하여 한국어를 배우려

는 베트남 사람과 베트남어를 배우려는 한국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어와 베트남어는 한국과 베트남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이해하


는 데 빠져서는 안 될 만큼 중요한 도구이다. 외국어를 공부할 때 일반적

으로 긍정문과 부정문부터 배운다. 부정법은 외국어 학습과정에서 항상 기

초단계에 습득하게 되는 가장 기본적인 문법범주이다. 일상 언어생활에서


부정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학습과정에서도 부정법을 일찍부터 습득하

는데도 불구하고 베트남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습자와 한국어를 배우는 베

트남인 학습자는 한국과 베트남 부정법을 습득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학습의 곤란을 겪는 원인은 주로 언어적 특성의 차이 때문이

다. 교착어인 한국어에서는 접사를 다양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어근에 첨가

하는 어미에 의해 문장의 의미가 크게 달라진다. 한국어와 달리 고립어인


베트남어는 단어 형태가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언어적 특성 때

문에 학습자들은 양국 언어 습득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어를 처음 배울 때 동사나 형용사 앞에 ‘안’, ‘못’과 같은 부정부사들


을 사용해서 간단한 부정문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하다’ 동사 종류는

‘하다’ 뒤에 서술어 ‘- 지 않다’, ‘-지 못하다’나 ‘명사+안/못 하다’를 첨가하

여 어렵지 않게 부정문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의 부정법은 학습단

- 1 -
계가 높아질수록 더 어렵다. 왜냐하면 한국어의 의미상으로는 부정으로 포

함시킬 수 있는 부정표현이 있는데 이 부정표현들은 다른 요소와 결합할


때 문장의 구조와 의미가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베트남어를 모

국어로서 사용해 온 베트남 학습자들은 한국어 부정법을 습득하는 데 어려

움이 있다.
한편, 한국어와 같이 베트남어에서는 행동의 방법, 정도, 결과를 나타내

려면 동사와 형용사 앞에 문법적 표현의 기능을 하는 부사를 붙인다. 그래

서 베트남어에서 부정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주로 부정부사를 사용한다. 베


트남어의 ‘không’부정부사, ‘chưa’부정부사, ‘đừng’, ‘chớ’명령문. 청유문의 부

정사, 능력 부정: ‘không thể’, ‘chưa thể’는 ‘안’과 ‘못’과 ‘할 수 없다’를 대

응하지만 언어 차이가 있기 때문에 완전히 대응할 수 없는 부분도 있다.


이 점은 베트남어를 학습하는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큰 어려움이 될 수 있

다.

이러한 한국어 부정법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와 베트남어 부정법에 대한


연구는 이제까지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한국어 부정법과 베트남어 부정법

에 대한 대조 연구는 많지 않다. 양국의 부정법을 대조해 보며 학습자들에

게 양국의 부정법에 대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러


한 연구 결과를 통해 부정법을 학습하는데 있어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양국의 언어 학습 과정의 어려움을 어느 정도 덜어 줄 수 있을 것으로 여

겨진다.
그러므로 본고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법에 대해 대조해 보고 두 언

어를 배우는 양국의 학습자에게 모국어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활용하여

부정법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2 -
2. 연구 대상 및 논의구성

본고는 한국어의 부정법과 베트남어의 부정법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부정법과 베트남어의 부정법의 정의와 분류를 먼저

살핀 후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의 특성을 바탕으로 양국어의 부정법을


대조해 보고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학습자들에게 부정법을 습득하는데 있어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주로 한국어 부정법


과 베트남어의 부정법을 전제적으로 대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부정법을 형

태적 층위. 통사적 층위. 의미론적 층위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아래는 본고의 논의 구성과 각 장의 내용을 간단하게 소개한 것이다.


먼저 제 2장에서 한국어 부정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술할 것이다. 구체

적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한국어 부정법과 베트남어 부정법을 어떻게 정의

하고 분류하였는지를 살펴보고 본고에서의 논의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제


시할 것이다.

제 3장에서는 제2장에서 제시한 것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은


학습자들에게 부정법을 습득하는 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분석할 것

이다.

제 4장에서는 한국어 부정법을 학습할 때 베트남 학습자들이 자주 범하


는 오류 분석을 진행할 것이다. 이 장에서는 한국어 부정법에 대한 특징과

제약을 베트남인 한국어를 학습자들이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으며 부정법

을 사용하는 데에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자주 나타나는 오류는 무엇


인지를 알아보고 그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하는 교수 학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3 -
제 5장에서는 위에서 한국어 부정법과 베트남어 부정법에 대한 대조연

구를 통해 본고에서 고찰한 몇 가지의 결론을 제시하고 논문의 전체 연구


내용을 정리할 것이다.

3. 선행연구

한국어 부정법과 베트남어 부정법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꾸준히 진행


되고 있고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그러나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법의 대

조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다. 그래서 본고는 그 동안 연구된 양국 언어

의 부정법에 대한 연구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국어 부정법과 베트남어 부정법의 공통점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한국어 부정법 연구에 대한 주요 선행 연구이다.

고영근.남기심(1985) 『표준국어문법론』에서는 부정부사 ‘안’이나 ‘못’을 써


서 부정문이 성립되는 것을 살펴보았고 부정문의 제약을 언급하고 부정문

의 부정범위에 대해 설명하였다. 임홍빈(1987)『국어 부정문의 통사와 의

미』에서는 형식적인 요건에 의하여 부정소를 삽입하여야 하는 것으로 정


의를 내리고 있고 부정의 범위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부정 극어에 속하는

‘없다’, ‘모르다’를 사용하는 문장을 부정문으로 주장하였다. 박정규(1996)

『국어 부정문 연구』에서는 국어의 부정문은 부정사 ‘안’이나 ‘못’ 등이 서


술어와 결합하여 부정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는 부정 서술어 ‘않다’나 ‘못하

다’ 나 ‘말다’를 사용한 문장은 형식적 요건에 따라 구성할 수 있는 부정문

이라고 하였다. 또한 부정문의 의미를 해석하고 부정문의 구조 문제에 대


해 논의하였다. 고영근·구본관(2008) 『우리말 문법론』에서는 부정의 접두

- 4 -
사인 ‘무, 부, 비, 불’ 와 ‘모르다, 없다’ 등의 서술어를 붙여 쓴 문장과 확인

의문문은 통사적인 부정문이 아닌 것으로 주장하였다.


둘째, 한국어 부정법과 중국어 부정법의 대조 연구이다.

임춘희(2009)『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법 대비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부정법의 동사적 대비와 양국의 어휘적. 파생적 부정표현을 중심으


로 대조 연구하였으나 의미적 대조 연구는 하지 않았다. 그리고 완결을 포

함하고 포함하지 않은 한국어의 ‘안’과 ‘못’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완

결에 따라 한국어의 완결을 포함하는 ‘안’과 ‘못’ 또는 완결을 포함하지 않


는 ‘안’과 ‘못’과 대응하는 중국어의 부정법을 대조하였다. 한중 부정법 대

조에 대한 수많은 연구 중에 부정표현의 완결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룬 유

일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송정아(2013)『한.중 부정법의 대조 연구』에서는 문장유형에 따른 한・중

부정법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통사적인 부정법과 특수어휘 부정법의 쓰임을

알아보고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의 부정법이 어떠한 대응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부정법과 관련된 몇 가지 기본 개념을 시작으로 하여 한・중 평

서문-의문문의 부정법과 한・중 명령문-청유문의 부정법을 대조 분석하였

다. 중국어와 한국어는 많은 면에서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지만 두 언


어의 유형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도 많다. 그 중에서 대조하기 어려운 것

중의 하나가 부정법에 의한 부정문의 구조 및 쓰임의 차이이다. 이러한 선

행 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어 부정법의 쓰임에 대한 연구는 활


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중국어 등 다른 언어와의 대조 연구도 진행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조 연구의 성과는 베트남어

의 특성상 본고에서 참고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여겨지나 한국어의 부정법


의 쓰임에 대한 선행 연구는 본고의 논의를 위해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으

로 생각된다.

- 5 -
셋째, 베트남어 부정법과 양국의 부정법 대조연구에 대한 성과이다.

베트남어에서는 ‘không’부정부사, ‘chưa’부정부사, ‘đừng’, ‘chớ’명령문. 청유


문의 부정사, 능력 부정: ‘không th’', ‘chưa thể’는 ‘안’과 ‘못’과 ‘할 수 없

다’를 대응하지만 언어 차이가 있기 때문에 완전히 대응할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래서 한국어 부정법과 달리 베트남어 부정법은 통사적인 구성에


따라 나눌 수 있는데 한국어 부정법처럼 형태적으로 명확하게 분류하기 어

렵기 때문에 보통 의미적인 구성에 따라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레반리(Lê Văn Lý) 및 응웬김탄(Nguyễn Kim Thản)(1972)은 부정법의 어


휘적, 의미적, 화용론적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정 표현으로

기능하는 의문문들이 부정 의미를 강조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강

력하게 반박할 수 있는 기능을 중심으로 부정법의 의미측면에서 연구하였


다.

응웬득던(Nguyễn Đức Dân)(1977), 『Lô gích và sự phủ định trong

tiếng Việt』, Tạp chí Ngôn Ngữ 3에는 긍정문장을 부정문장으로 바꾸는
논리적인 방법들을 통해 논리적 부정어에 대해 연구하였다. 여기에서는 부

정문의 대립적인 판단을 기준으로 부정문의 종류를 구분한다. 그리고 구체

적인 부정문을 만드는 공식들을 제시하는데 문장 구성보다 의미를 조금 더


강조하는 입장이다.

응웬득던(Nguyễn Đức Dân), (1983),『Phủ định và bác bỏ』, Tạp chí

Ngôn Ngữ 55에서는 부정법의 의미적면에서 연구하였다. 여기에서 제시하


고 있는 언어 행위 이론에 따르면 부정법은 묘사 부정과 반박 부정을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묘사 부정과 거부 부정의 특징과 구성 방법

까지 같이 제시하였다.
베트남어 문법(Ngữ pháp Việt Nam, nxb giáo dục), (2015)는 부정문과

부정행위를 제시하였다. 부정문을 구분하는 수준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 6 -
전체 부정과 부분 부정으로 나누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공통부정과 별도부

정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부정행위는 응웬득던(Nguyễn Đức Dân),


(1983)과 같이 동일하게 부정법은 묘사 부정과 반박 부정을 두 가지로 구

분하였다.

레아인수언(Lê Anh Xuân), (2000), trả lời dưới dạng câu nghi vấn
gián tiếp thực hiện hành vi phủ định, Tạp chí Ngôn Ngữ & đời sống

11에서는 의문문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부정행위를 한다. 여기에서는 의

문문을 활용하여 여러 방법으로 부정행위를 실현한다. 이 연구에서는 통속


적인 표현을 예로 들어 사람들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한 것이 특징

적이다.

쩐티탄프엉(Trần Thị Thanh Phương), (2010), 『한국어-베트남어 부정


표현 대조 연구』에서는 한국어 부정 표현과 베트남어 부정 표현에 대한

통사적, 의미적인 측면에 대해 구체적으로 상호 대조했다. 하지만 교착어인

한국어와 고립어인 베트남어에는 범위가 서로 다르며 이러한 언어학적 특


성상 부정 표현이 일대일로 반드시 상응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상호 대조

하여 연구함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밝혔다. 하지만 결론 부분에

서 한국어 부정법과 베트남어 부정법에 대한 평가와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


시하고 있어 이것은 본고에 유익한 점이 있다고 하겠다.

- 7 -
Ⅱ. 부정법에 대한 선행 연구

1. 한국어 부정법

가. 한국어 부정법의 정의

본고는 부정법을 대조 분석하기에 앞서 먼저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법


의 개념 및 정의를 정리하고자 한다. 부정에 대한 여러 학설이 있는데 부

정법을 정의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한국어 부정법의 정의 및 분류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 왔으며 연구자들의 다양한 견해가 있다.


김인숙(1985)에서는 ‘부정이란 그렇지 않다고 단정하거나 반대하는 뜻,

또는 판단에 있어 주어와 술어 사이의 연결을 거부하는 것이다’고 정의를

내렸으며 부정은 그 내용에 따라 단순히 어떤 행위를 부정하는 ‘아니하다’,


능력을 부정하는 ‘못하다’, 금지나 중지를 보이는 ‘말다’로 구분되며, ‘아니

하다’와 ‘못하다’는 그 쓰임에 있어서 장단형부정문의 두 양상으로 나타난

다고 하였다1).
박정규(1989)에서는 국어 부정문의 형식적 요건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

다. 즉 한국어의 부정문은 부정사 ‘아니’나 ‘못’ 혹은 부정 서술어 ‘아니하

-’나 ‘못하-’나 또는 ‘말-’과 같은 요소가 쓰인 문장을 말하는 것으로, 이들


은 부정 극성을 띤 성분들과 공기 관계에 놓일 수 있다고 보았다2).

권재일(1992)에서는 주어진 언어내용을 의미적으로 부정하는 문법적 방

1) 김인숙, 『한국어 부정의 제약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2) 박정규, 『현대국어의 부정문연구- 의미해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89.

- 8 -
법을 부정법이라고 언급하였다. 현대 한국어에서 부정법은 단순부정의 경

우와 능력부정의 두 경우로 나뉜다고 하였다3).


남기심(1985)에서는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 ‘아니(안)’나 ‘못’을 쓰거나 부

정의 뜻을 나타내는 용언 ‘아니다, 아니하다(않다), 못하다, 말다’를 써서 부

정문을 만드는 법을 부정법이라고 하였다4).


고창운(2006)에서는 부정을 ‘문장의 언어내용을 의미적으로 부정하는 것’

이라고 정의하였으며 부정문의 갈래에는 ‘안’부정문과 ‘못’부정문이 있으며

‘안’부정문을 동작주의 의지에 의한 부정, 객관적 사실에 대한 부정으로 다


시 세분하였고 ‘못’부정문은 능력부족으로 인한 부정, 외부의 원인으로 인

한 부정, 기대에 미치지 못함으로 인한 부정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이상과 같이 한국어 부정법은 통사적인 관점과 의미적인 관점에 의해


각각 달리 정의할 수 있다.

나. 한국어 부정법의 분류

부정하는 문법적 방법을 부정법이라고 한다. 부정법은 어휘적 방법, 파

생적 방법, 통사적 방법, 의미적 방법으로 실현되는데 본고는 이러한 네 가

지 방법 중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여 통사적 방법, 의미적 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한국어 부정법 통사적 분류


통사적 방법에서는 장단형부정문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임홍빈

(1998)에서는 한국어의 부정문은 통사적인 구성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3) 권재일,『한국어통사론』, 믿음사, 1992.


4) 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 9 -
나눈다. 하나는 단순히 부정소 '아니'나 '못'을 서술어 앞에 놓아 형성되는

단형 부정문이며, 다른 하나는 보문자 '-지' 뒤에 부정 서술어 '아니하-'나


'못하-' 또는 '말-'을 놓음으로써 이루어지는 장형 부정문이다5). 본고에서

는 임홍빈(1998)의 견해를 참고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가) 단형부정

단형 부정문은 부정부사와 서술어의 통합제약이 있다. 단형 부정으로서

부정 부사 ‘아니’나 ‘못’ 다음에 용언을 이어 쓰는 형식이 있다.

<안>의 부정문

한국어 ‘안’부정문은 객관적 원인으로 인한 부정을 표현하거나 주체의 의


지 부정을 나타낸다. 단형 부정문에서 ‘아니’는 서술어 서 있으며 서술어를

수식하여 부정을 표현한다.

안 + 동사/형용사6)

명사 + 이/가 + 아니다7)

그 예는 다음과 같다.

(1) ㄱ. 영미가 학교에 간다.

ㄴ. 영미가 학교에 안 간다.


(2) ㄱ. 이것은 케이크입니다.

ㄴ. 이것은 케이크가 아닙니다.

5) 임홍빈, 『문법 연구와 자료-부정법』(이의섭 선생 회갑 기념 논총), 태학사, 1998.


6) ‘안’부정문은 인식동사와 결합할 때 제약이 있다. 인식동사인 ‘알다’나 ‘모르다’가 ‘못’부정
과 같이 안 쓰인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 수현이 사실을 안 알았다.
이 예문에 볼 수 있듯이 인식동사인 ‘알다’와 ‘못’부정의 결합인 경우는 비문이다.
7) 받침이 있는 명사 + 이 + 아니다. / 받침이 없는 명사 + 가 + 아니다.

- 10 -
위 (1-ㄴ)의 예문이 (1-ㄱ)의 부정문이다. ‘안’과 ‘아니’이 서술어 앞에 위
치하는 방식의 부정문을 ‘안’단형 부정이라고 할 수 있다. 예문 (5)는 특별

한 경우이다. ‘이다’를 나오는 문장을 부정형을 만들려면 ‘이다’대신에 ‘아니

다’ 주격조사를 하나 넣어 주어야 부정문이 성립된다.

<못>부정문

한국어 ‘못’부정문은 의지가 아닌 능력의 부족함을 부정하는 것이거나 외


부의 원인 때문에 일이 주체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 때 쓰는 부정, 또는

기대에 미치지 못함을 표현해주는 부정이다.

못 + 동작동사8)

그 예는 다음과 같다.

(3) ㄱ. 운전을 하다.


ㄴ. 운전을 못하다.

위 (3-ㄴ)의 예문이 (3-ㄱ)의 예문의 부정문이다. ‘못’이 서술어 앞에 위


치하는 방식의 부정문을 ‘못’단형 부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단형 부정문에서

부정부사 ‘안’은 동사, 형용사를 모두 부정할 수 있지만 ‘못’은 동사만 부정

할 수 있고 형용사는 부정할 수 없다.

(나). 장형부정문

한국어 부정법에서 장형부정문은 ‘-지 아니하다, -지 못하다, -지 말다’

8) ‘못’부정문은 용언이 형용사인 경우는 제약이 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 풍경이 못 아름답다.
이 예문에 볼 수 있듯이 형용사인 ‘아름답다’와 ‘못’부정의 결합인 경우는 비문이다.

- 11 -
를 포함하며 통사적 방법으로 실현된다. 장형부정문이 단형부정문과 다른

점은 특별한 경우 이외에는 거의 제약이 없다는 것이다.

<-지 않다>의 부정문

한국어 부정법에서 가장 일반적인 부정 방법은 ‘-지 않다’의 부정형식이


다. ‘-지 않다’의 부정 형식은 본동사, 본형용사에 거의 제약이 없다. 한국

어에서 ‘-지 않다’의 형식은 향상 변하지 않아서 고유의 부정형이라고 한

다.

동사/형용사 + 지 않다9)

그 예는 다음과 같다.

(4) ㄱ. 평안오빠는 그를 만난다.

ㄴ. 평안 오빠는 그를 만나지 않았다.

(5) ㄱ. 운동장이 크다.


ㄴ. 운동장이 크지는 않다.

위 (4-ㄴ), (5-ㄴ)의 예문들이 순서대로 (4-ㄱ), (5-ㄱ)의 예문들의 부정


문이다. ‘지 않다 가 서술어 뒤에 위치하는 방식의 부정문을 ‘지 않다’ 장형

부정이라고 할 수 있다. ‘안’ 부정문과 달리 특별한 경우 이외에는 거의 제

약이 없다.

<-지 못하다>의 부정문

한국어 부정법에서 ‘-지 않다’ 장형부정문 외에 또 다른 하나의 장형부


정문은 ‘-지 못하다’이다. ‘못 부정문’은 일반적으로 능력에 관한 부정이라

9) ‘안’부정문과 마찬가지로 ‘-지 않다’부정은 인식동사와 결합할 때 제약이 있다.

- 12 -
고 알려져 있다. 장형부정문은 단형부정문보다 제약을 덜 받는다.

동작동사 + 지 못하다10)

그 예는 다음과 같다.

(6) ㄱ. 영미가 학교에 간다.


ㄴ. 영미가 학교에 가지 못한다.

위 (6-ㄴ)의 예문이 (6-ㄱ)의 예문의 부정이다. ‘지 못하다’가 서술어 뒤


에 위치하는 방식의 부정문을 ‘지 못하다’ 장형부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단

형부정문에서 부정부사 ‘안’은 동사, 형용사를 모두 부정할 수 있지만 ‘못’

부정과 동일한 점은 동사만 부정할 수 있고 형용사는 부정할 수 없다는 점


이다.

<-지 말다>의 부정문


부정법은 형식에 의해 단형부정문과 장형부정문으로 나누었는데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임홍빈(1998)에서는 <-지 말다>를 장형부정문으로 보았

다11). 한국어에서 명령문이나 청유문의 부정은 ‘말다’를 써서 표현한다. ‘말


다’에 의한 부정법은 서술어의 어간에 ‘-지’를 붙이고 뒤에 보조 용언 ‘말

다’를 쓴다. ‘말다’ 부정은 평서문과 의문문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동작동사 + 지 말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10) ‘못’부정문과 마찬가지로 ‘-지 못하다’부정은 형용사와 결합할 때 제약이 있다.


11) 임홍빈, 『문법 연구와 자료-부정법』(이의섭 선생 회갑 기념 논총), 태학사, 1998.

- 13 -
(7) ㄱ. 학교에서 담배를 피우지 마세요.

ㄴ.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지 마십시요.


ㄷ. 모자를 쓰지 맙시다.

ㄹ. 너는 집에 가지마라.

ㅁ. 너는 밥을 먹지 말라.

위 예시에서 볼 수 있듯이 ‘-지 말다’의 부정은 행위의 금지나 중단을

나타낸다. <-지 말다>의 부정법은 주어가 유정물이고 서술어가 동사인 청


유문, 명령문에 사용되는데 그 의미는 금지, 중지의 의미를 표현한다. 또한

서술어가 형용사인 경우에는 제약이 있는데 이는 ‘말다’의 의미에 의해 제

약이 있기 마련이며 명령이나 청유가 아닌 것으로 쓰인 ‘말다’는 어떤 기원


하는 뜻이라고 할 수 있다.

<-지 말다>의 부정문은 명령문과 청유문에서 쓰이는데 바람이나 희망을

나타내는 동사 ‘바라다, 희망하다, 원하다, 기대하다’ 등에서는 명령이나 청


유가 아닌 문장에서도 쓰일 수 있다.

(8) 나는 언니가 멀리에 가지 말기를 바란다.

위 예문은 명령이나 청유가 아닌 문장이지만 주체의 소원을 표현하는

‘바라다’ 동사를 같이 쓰기 때문에 틀린 문장은 아니하고 볼 수 있다. 또한


서술어가 형용사인 경우는 원칙적으로는 쓰이지 않으나 기원의 의미를 지

닐 때는 그 쓰임이 가능하다.

(9) 날씨가 춥지 말았으면 좋겠다.

- 14 -
이 예문에서는 ‘춥다’ 는 동사가 아니고 청유문, 명령문에 사용되는 것도

아니고 의미도 금지, 중지의 의미가 아니지만 기원의 의미를 지녀서 쓰임


이 가능한 것이다.

(다)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의 대조


단형 부정문에 비하여 장형 부정문은 보문자 '-지'를 가지거나, 또는 '-

지' 뒤에 '을/를'이나 '이/가'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부정이 부정소 '아니

'에 의하여 이루어지지 않고 '아니' 뒤에 '-하다'를 가지는 부정 서술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특이성을 가진다. 이러한 요소들의 성격은 바로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의 다른 점이다. 이처럼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

은 때로 그 부정의 의미 작용이 동일한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니나 두 부정


의 방식이 어떠한 측면에서나 동일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10) 수능시험에 떨어진 윤아는 참 안 됐다/되지 않았다.

앞의 예시는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이 의미의 다른 점을 보이기 위

하여 제시된 것이다. '안 됐다'는 '불쌍하다'나 '불행하다'의 뜻이지만 '되


지 않았다'는 적어도 그와 같은 의미를 가지기 어렵다. 다른 경우를 살펴

보면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의 의미가 동일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11) 나쁜 행동을 하는 것을 보니 민수는 못 됐다/되지 못했다.

이 경우에는 '못 됐다'도 '되지 못했다'와 같은 의미를 가지는 일이 있


으나, 그 나쁜 정도의 표현에 있어서 '못 됐다' 쪽이 보다 강한 의미를 가

진다. 특별한 경우는 '없다'나 '모르다' 혹은 '반대하다, 거역하다, 거절하

- 15 -
다, 부정하다, 비현실적' 등과 같은 일련의 어휘적인 요소들이 쓰인 문장도

부정문이라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먼저, '없다, 모르다'의 경우를 보겠


다. 이에는 다시 두 가지 문제가 포함된다. 하나는 '없다'나 '모르다'가 '안

있다'나 '못 알다'와 같은 부정의미가 있으며, 부정법의 정의에 따르면 다

른 이들이 쓰인 문장이 부정문이라서 특수 부정으로 보겠다. 다음의 표는


한국어 단형부정과 장형부정의 대조를 정리한 것이다.

<표 1> 한국어 단형부정과 장형부정 대조

대조
구분
형식 의미 범위
안+동사/형용사 단순부정,
‘안’부정문
단형 (명사+이/가+아) 의지부정

부정 ‘못’부정문 못+동작동사 능력부정 평서문,


‘-지 않다’ 단순부정, 의문문,
동사/형용사+지 않다 감탄문
부정문 의지부정

‘-지 못하다’
장형 동작동사 +지 못하다 능력부정
부정문
부정
‘-지 말다’ 명령문,
동작동사 +지 말다 금지, 중단
부정문 청유문

(2). 한국어 부정법 의미적 분류


한국어 부정을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

다. 쩐 티 타인 프엉(2010)의 한국어-베트남어 부정표현 대조 연구에서 언

급한 바와 같이 통사적인 구성에 따르면 단형 부정과 장형부정으로 나누고


의미적 구성에 따르면 순수 부정, 의지 부정, 능력부정, 타의 부정, 금지 부

정 그리고 특수 부정으로 분류 한다12). 하지만 본고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 16 -
부정법은 같은 기준으로 보일 수 있게 객관 부정, 능력 부정, 금지부정으로

나누기로 했다.

(가). 한국어의 객관부정 ‘안’ 부정과 ‘-지 않다’

한국어의 ‘안/-지 않다’부정문은 객관 부정을 표현하거나 의지 부정을 나


타낸다. ‘아니’ 부정문은 서술어 앞에 있으며 서술어를 수식하여 부정 의미

를 표현한다.

김동식(1980)에 따르면 한국어 부정법에서 가장 일반적인 부정 방법은 ‘-


지 않다’의 부정 형식이다. ‘-지 않다’의 부정 형식은 본동사, 본형용사에

거의 제약이 없다. 한국어에서 ‘-지 않다’의 형식은 언제나 변하지 않는 고

유의 부정형이다13).

(11) ㄱ. 민희가 학교에 안 간다.

ㄴ. 민희가 학교에 가지 않는다.

(11-ㄱ, ㄴ)예문은 ‘민희’라는 사람이 학교에 가는 사실을 말할 수 있고

가고 싶지 않아서 안 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는 의지부정이다.

(12) ㄱ. 오늘 비가 안 온다.

ㄴ. 오늘 비가 내리지 않았다.

이 두 개의 예문은 날씨에 대한 말인데 화자의 의지와 상관없는 것이기

때문에 의지부정이 아닌 객관 부정이다.

12) 쩐 티 탄 프엉,『한국어-베트남어 부정표현 대조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3) 김동식,『현대국어 부정법의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17 -
(나). 한국어의 능력부정 <못>부정과 <-지 못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국어 ‘못’부정문은 의지가 아닌 능력의 부족함

을 나타내는 부정이거나 외부의 원인 때문에 일이 주체가 원하는 대로 되

지 않을 때 쓰는 부정, 그리고 기대에 미치지 못 함으로 인한 부정 등 여


러 의미가 있지만 모두 능력 부정이다.

한국어 부정법에서 장형 부정문의 또 다른 하나의 형식은 ‘-지 못하다’이

다. ‘못 부정문’은 일반적으로 능력에 관한 부정이라고 알려져 있다. 예를


같이 봅시다.

(13) 어젯밤에 옆방 친구들은 큰 소리로 싸워서 저는 잠을 못


잤어요.

이 예문에서는 주변 환경이 시끄러워서 잠을 못 잤다는 의미를 나타내


며 이는 외부의 원인으로 인한 부정이다.

(14) ㄱ. 영미가 학교에 가지 못 한다.


ㄴ. 수빈은 영어를 못 한다.

ㄷ. 효민이 집에 돌아가지 못 한다.

(14-ㄱ, ㄴ, ㄷ)예문은 화자의 기대나 외부의 원인과 상관없이 화자가 할

수 있는 능력을 부정하는 능력 부족으로 인한 부정이다.

(다). 한국어의 금지 부정<-지 말다>

부정법은 형식에 의해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으로 나누었는데 이에

- 18 -
의해 <-지 말다>를 단형 부정문이나 단형 부정문으로 보는지 논의한 점이

많다. 하지만 본고는 의미적 측면에서 <-지 말다>를 장단형과 관련 없이


명령문이나 청유문의 부정으로 보고자 한다.

임춘희(2010)의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법 대비 연구에 따르면 한국어에

서 명령문이나 청유문의 부정은 ‘말다’를 써서 나타내는 것으로 보았다. 또


한 ‘말다’에 의한 부정법은 서술어의 어간에 ‘-지’를 붙이고 뒤에 보조 용언

‘말다’를 쓰며 ‘말다’ 부정은 평서문과 의문문에서 쓰이지 않는다고 하였

다14).

(15) ㄱ. 학교에서 담배를 피우지 마세요.

ㄴ.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지 마세요.


ㄷ. 모자를 쓰지 맙시다.

(15- ㄱ, ㄴ, ㄷ)예문은 명령문이나 청유문의 부정문이며 ‘말다’를 써서 나


타내는 것이다. <-지 말다>의 부정법은 주어가 유정물이며 서술어가 동사

인 청유문, 명령문에 사용되는데 그 의미는 금지, 중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서술어가 형용사인 경우에는 제약이 있는데 이는 ‘말다’의 의미에 의


해 제약이 있기 마련이며 명령이나 청유가 아닌 것으로 쓰인 ‘말다’는 어떤

기원하는 뜻이라고 할 수 있다.

<-지 말다>의 부정문은 명령문과 청유문에서 쓰이는데 바람이나 희망을


나타내는 동사 ‘바라다, 희망하다, 원하다, 기대하다’ 등에서는 명령이나 청

유가 아닌 문장에서도 쓰일 수 있다.

(16) 나는 네가 미국에 가지 말기를 바란다.

14) 임춘희,『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법 대비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9 -
(16)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명령문과 청유문은 아니지만 화자의 바람을
표현하는 ‘바라다’ 동사를 쓰기 때문에 이 경우는 평서문에서도 쓰일 수 있

다. 또한 서술어가 형용사인 경우는 원칙적으로는 쓰이지 않으나 기원의

의미를 지닐 때는 그 쓰임이 가능하다. 앞에 제시했던 (9)예를 다시보자.

(9) 날씨가 더 이상 춥지 말았으면 좋겠다.

(9)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형용사인 ‘춥다’는 원래 청유문, 명령문에 사용

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원의 의미를 지녀서 쓰임이 가능한 것이다.

2. 베트남어 부정법

가. 베트남어 부정법의 정의

베트남어 부정법의 정의에 대하여 다음의 예문을 보기로 한다.

(17) Không gì có thể so sánh với anh.


(너와 비교할 수 있는 것은 없다.)15)

(18) Chẳng (chả) ai thèm quan tâm nó.

(그에게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 없다.)

위 (17)와 (18)예문은 ‘không’과 ‘chẳng (chả)’ 부정부사를 사용하여 구성

15) 베트남어의 해석은 연구자가 붙인 것이다.

- 20 -
하는 부정이다. 베트남어에서 부사는 행동의 방법. 정도.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동사와 형용사에 붙이는 문법의 표현이다. 부정부사는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이고 부정부사는 동사나 형용사와 결합하는데 사물. 사건의

존재를 부정하기 위해 명사와 같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나. 베트남어 부정법의 분류

베트남어의 부정법을 분류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기준이 있고 여러 가


지의 방법이 있다. 문장에 부정소의 위치에 따라 베트남어 부정법은 ‘전부’

부정법과 ‘부분’ 부정법으로 나눌 수 있다.

디엡광반(Diệp Quang Ban)(1989)에 따르면 전부부정법은 부정의미를 표


현하는 부정소가 서술어와 문장의 핵심 앞에 위치하는 것이며 부분부정법

은 서술어 말고 문장의 다른 성분에 부정의미를 표현하는 부정소가 들어가

는 것이다16).
디엡광반(Diệp Quang Ban)과 같은 견해에서 응웬김탄(Nguyễn Kim

Thản)에 따르면 전부부정법의 두 가지의 공식이 있다17). 하나는 부정소가

2가지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단문의 서술어나 한 가지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단문의 핵심 앞에 오는 것이다.

Mặt trời lên18).

→ Mặt trời chưa lên

주어 부겅소 서술어

16) Diệp Quang Ban, Ngữ pháp tiếng Việt phổ thông, tập 2 (1989) p. 262에 참고.
17) Nguyễn Kim Thản, Vài nhận xét về cách bày tỏ ý phủ định trong tiếng Việt,
Tạp chí ngôn ngữ số 2 (1972)에 참고.
18) Nguyễn Kim Thản(1972)인용.

- 21 -
Nắng19).

→ Không nắng
부겅소 단문의핵심

위 예문에는 ‘chưa’, ‘không’은 부정소이며 ‘chưa’는 2가지의 성분인 ‘mặt

trời’와 ‘lên’으로 구성되는 단문의 서술어 앞에 오고‘không’은 유일한 성분

인‘ nắng’ 앞에 온다.
다른 하나는 주어 부분은 고정한 부정구조로 바꾸는 것이다. 예는 다음

과 같다.

không/ chưa + 주어 + nào/ gì20).

(19) Học sinh đến → Không học sinh nào đến21).

여기 ‘Học sinh đến’ 문장에 ‘Học sinh’은 주어이며 이 주어 앞에 부정소


를 붙이고 주어 뒤에 ‘nào’를 붙이면 부정구조가 된다.

주어 부분은 고정한 부정구조로 바꾸는 방법 외에도 부정소를 대명사 앞

에 놓는 방법도 있다.

Không/chưa + từ trỏ rộng (đại từ phiếm chỉ)22)

(20) Ai cũng nói. → Không ai nói23).

19) Nguyễn Kim Thản(1972)인용.


20) 여기에 ‘không/ chưa’ 부정 말고 객관적인 부정부사와 명령문. 청유문의 금지 부정도
대체할 수 있으며 ‘không thể/ chưa thể’ 능력부정만 안 쓰인다.
21) Nguyễn Kim Thản(1972)인용.
22) 위에 있는 공식과 마찬가지로 ‘không/chưa’ 부정 말고 객관적인 부정부사와 명령문. 청
유문의 금지 부정도 대체할 수 있으며 ‘không thể/ chưa thể’ 능력부정만 안 쓰인다.
23) Nguyễn Kim Thản(1972)인용.

- 22 -
여기에 ‘không’부정소는 ‘ai’ 대명사 앞에 차치하며‘ Ai cũng nói’ 전체문

장을 부정하게 된다.
부분부정법을 구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부정하려는 부분 앞에 부정소

를 놓는 방법이 있다. 예는 다음과 같다.

(21) Tôi không uống rượu.

(22) Không phải Lan mà là Mai.

앞 예문에는 주어인 ‘tôi’가 아닌 서술어인 ‘uống rượu’ 부분을 부정하기

때문에 ‘uống rượu’ 앞에‘ không’을 붙였지만 뒤 예문에는 주어인 ‘Lan’을

부정하기 때문에 ‘Lan’ 앞에 ‘không phải’를 붙였다.


응웬득던(Nguyễn Đức Dân)에 따르면 베트남어 부정법은 공동부정과

별도부정으로 나누기도 한다. 하지만 이 공동부정과 별도부정은 전부부정

과 충복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 자세히 연급하지 않겠다.

(23) ㄱ. Không ai biết tường tận việc đó

ㄴ. Một số người không biết việc đó


ㄷ. ông Ba không biết việc đó24).

여기에 ‘Không ai biết tường tận việc đó’는 공동부정이라고 하고 ‘Một


số người không biết việc đó’와 ‘ông Ba không biết việc đó’는 별도부정

이라고 한다. 하지만 부정소의 위치에 따르면 이 세예문의 ‘không’ 부정소

는 모두 다 서술어 앞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세 예문은 모두 다 전부부정


이다.

24) Nguyễn Đức Dân, Lô-gích - Ngữ nghĩa - Cú pháp (1987) p.242

- 23 -
앞에 제시한 두 가지의 분류 방법 외에도 화자의 의도에 따라 의미적으

로 베트남어 부정표현은 단순히 ‘묘사’부정법과 ‘반박’부정법으로 나눌 수


있다. 디엡광반(Diệp Quang Ban) (1989)에 따르면 묘사부정은 어떤 사물,

사건의 존재나 어떤 사물, 사전, 사태의 관계와 특징을 단순히 부정하는 것

이며 반박부정은 앞에 제시하던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자신의 의견을 반박


하려 부정하는 것이다25). 묘사부정은 일반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거나 어떤

사물, 사건, 사태를 존재하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라서 한 문단의 첫

부분이나 이야기의 머리에 위치한 반면에 반박부정은 앞에 제시하던 다른


사람의 의결을 반박하려 하는 것이라서 그 어떤 의견이나 평가 뒤에 위치

한다. 이것은 묘사부정과 반박부정의 제일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황과 문맥에 따라서 묘사부정인지 반박부정인지를


판단하는 것도 달라진다. 그래서 묘사부정과 반박부정은 항상 형식적인 신

호로 구분하기가 어렵다. 아래의 예문을 같이 보자.

(24) Anh ấy đã không làm bài tập

(그는 숙제를 안 했다.)

이 예문은 이야기의 시작하는 것이라면 묘사부정에 속하는 것이지만 그

는 숙제를 했냐는 질문의 답이나 그는 숙제를 했다는 의견을 반박하는 것

이라면 반박부정에 해당한다.


지금까지 언급한 듯이 베트남어의 부정법을 분류하기가 여러 가지의 방

법과 기준이 있지만 언어학자들도 이러한 분류들은 어떤 측면에서 합리적

인 분류이지만 언어의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는 개괄적인 방법이 아니라고


인정한다. 그래서 다음 장에 한국어 부정법과 조금 더 쉽게 대조할 수 있

25) Diệp Quang Ban, Ngữ pháp tiếng Việt phổ thông, tập 2 (1989: 267)참조.

- 24 -
게 한국어 객관부정. 능력부정. 금지부정과 대응하는 베트남어 가장 보편적

인 ‘không’과 ‘chưa’ 부정부사. ‘không thể’와 ‘chưa thể’ 부정. ‘đừng/chớ’


부정으로 나눠 살펴보겠다.

(1). 베트남어의 ‘không’부정부사와 ‘chưa’부정부사

(가). ‘không’ 부정부사

베트남어에서 ‘không’ 부정부사는 한국어의 ‘안’ 부정처럼 어떤 상태가


그렇지 않음을 나타내거나 어떤 동작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평서문에서 부정부사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붙여서 사건이나 사물의 존재

를 부정할 때나 어떤 상태가 그렇지 않음을 나타내거나 어떤 동작이 일어


나지 않았음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không có + 명사

그 예는 다음과 같다.

(25) Anh không ăn kem. (오빠가 아이스크림을 먹는다.)

(26) Hôm nay thời tiết không đẹp. (오늘 날씨가 안 좋다.)

(27) Ngày mai không có trận đấu bóng đá. (내일은 축구 경


기가 없다.)

(25)예문은 아이스크림을 먹는 행동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나고, (26)


은 날씨의 상태가 좋지 않음을 표현하며, (27)은 경기가 있다는 사실을 부

정하는 표현이다. 위의 3개의 예문은 모두 다 평서문이다.

의문문에서 không 부정부사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붙이고 의문문을 나타

- 25 -
내기 위해서는 문장의 끝에 ‘à/phải không’ 등이 같이 사용하며 어떤 사건

이나 사물이 없거나 존재하지 않음을 표현하기 위해 không 부정부사 뒤에


‘có’ + 명사 + ‘à/phải không’을 사용한다.

không + 동사/형용사 +(...)+ à / phải không?

không có + 명사 + à / phải không?

위에 (25), (26), (27)예시를 의문문으로 바뀌면 다음과 같다.

(25) Anh không ăn kem. (오빠가 아이스크림을 안 먹는다.)

→ Anh không ăn kem à/phải không? (오빠가 아이스크림을

안 먹죠?)
(26) Hôm nay thời tiết không đẹp. (오늘 날씨가 안 좋다.)

→ Hôm nay thời tiết không đẹp à/phải không? (오늘 날씨가

안 좋죠?)
(27) Ngày mai không có trận đấu bóng đá. (내일 축구 경기

가 없다.)

→ Ngày mai không có trận đấu bóng đá à/phải không? (내


일 축구 경기가 없죠?)

위에 (25), (26), (27)예문의 의문문을 나타내기 위해서 문장의 끝에


‘à’/‘phải không’를 같이 사용하는 의문형이다. 여기에 ‘à’이나 ‘phải không’

의 사용법의 차이가 없지만 의미 측면에 보면 ‘à’는 단순한 의문문에 많이

쓰이며 ‘phải không’은 확인 의문문에 많이 사용된다.


‘à/phải không’말고도 베트남 ‘không’부정부사는 ‘nhỉ’와 같이 결합하는

- 26 -
경우도 많다.

베트남어에서 ‘không’부정부사는 동사와 ‘nhỉ’가 같이 나오면 상대방의


동의나 의견을 구하는 부정의문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không + 동사 +(...)+ nhỉ?

(25)예를 다시 보자.

(25) Anh không ăn kem. (오빠가 아이스크림을 안 먹는다.)

→ Anh không ăn kem nhỉ? (오빠가 아이스크림을 안 먹어.)

이 예문은 단순한 부정문이지만 문장 끝에 ‘nhỉ’가 같이 나와서 상대방의

동의나 의견을 구하는 부정문이기도 한다.

không + 형용사 +(...)+ nhỉ?

(26)예를 다시 보자.

(26) Hôm nay thời tiết không đẹp. (오늘 날씨가 안 좋다.)

→ Hôm nay thời tiết không đẹp nhỉ? (오늘 날씨가 안 좋니?)

베트남어에서 ‘không’부정부사는 형용사와 ‘nhỉ’ 같이 나오면 형식적으로

는 의문문인데 의미적으로는 화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감탄문이 되기도 한

다.
어떤 사건이나 사물이 없거나 존재하지 않은 것을 물어보고 싶으면 일

반적으로 không 부정부사를 쓰며 không 부정부사 뒤에 ‘có’ + 명사 +

- 27 -
‘à/phải không’을 사용한다. 이 ‘à/phải không’을 대신에 ‘nhỉ’를 사용하면

발화의 목적은 어떤 사건이나 사물이 없거나 존재하지 않은 것을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그 어떤 사건이나 사물이 없거나 존재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

고 싶은 것이다.

không có + 명사 + nhỉ?

(27)예문을 다시 보자.

(27) Ngày mai không có trận đấu bóng đá. (내일 축구 경기

가 없다.)
→ Ngày mai không có trận đấu bóng đá nhỉ? (내일 축구

경기가 없는 것이 맞아요?)

(27)예문 끝에 ‘nhỉ’가 같이 나와서 의미 측면에 보면 확인 부정문과 같


다. 이 경우에는 ‘nhỉ’는 ‘phải không’와 같은 역할이다.

(나). ‘Chưa’부정부사
베트남어에서 ‘chưa’부정부사는 어떤 시간에 어떤 동작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평서문에서 ‘chưa’ 부정부사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붙여서 어떤 시간에


어떤 동작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chưa + 동사 +(...).

예를 같이 봅시다.

(28) An chưa gặp Hoa. (An 은 Hoa를 아직 안 만났다.)

- 28 -
(29) Mai chưa đến trường. (Mai는 학교에 아직 안 갔다.)

(30) Anh chưa tập thể dục (Anh은 아직 운동 안 했다.)

(28)예문은 Hoa를 아직 안 만나는 An의 행동을 나타나는 것이며 (29)예

문은 학교에 아직 안 가는 Mai의 행동을 표현하는 것이며 (30)예문은 운동


을 아직 안 하는 Anh의 행동을 나타나는 것이다. 하지만 위 예들에 나오

는 행동들은 영원히 실현되지 않는 것은 아니라 말하는 시간에 아직 안 하

는 뿐이고 언제가 곧 생기는 행동이다.


‘không’부정부사와 마찬가지로 ‘chưa’부정부사는 명사와 결합하는 경우에

는 ‘chưa’부정부사 뒤에 명사 앞에 ‘có’를 붙어 사용한다.

chưa có + 명사

예는 다음과 같다.

(31) An chưa có nhà.(An은 집이 아직 없다.)

이 예문은 An이라는 사람은 아직 까지는 집을 소유하지 않았지만

‘không’부정부사와 달리 단순한 집이 없는 사실을 표현하지 않고 언젠가


집을 가지게 되는 상황을 내포하고 있다.

의문문에서 ‘chưa’부정부사는 동사 앞에 붙이고 의문문을 나타내기 위해

문장의 끝에 ‘à’나 ‘phải không’이나 ‘nhỉ’와 같이 사용한다.

- 29 -
chưa + 동사 + (...)+ à / phải không/nhỉ?

chưa + có + 명사 +(...)+ à / phải không/nhỉ?

(28), (29), (30), (31)예시를 의문문으로 바꾸면 아래와 같다.

(28) An chưa gặp Hoa. (An 은 Hoa를 아직 안 만났다.)


→ An chưa gặp Hoa à/phải không/nhỉ? (An 은 Hoa를 아직

안 만났어?)

(29) Mai chưa đến trường. (Mai는 학교에 아직 안 갔다.)


→ Mai chưa đến trường à/phải không/nhỉ? (Mai는 학교에

아직 안 갔어?)

(30) Anh chưa tập thể dục. (Anh은 아직 운동 안 했다.)


→ Anh chưa tập thể dục à/phải không/nhỉ? (Anh은 아직 운

동 안 했어?)

(31) An chưa có nhà. (An은 집이 아직 없다.)


→ An chưa có nhà à/phải không/nhỉ? (An은 집이 아직 없

어?)

여기에 ‘à’나 ‘phải không’이나 ‘nhỉ’의 사용법의 차이가 없지만 의미 측

면에 보면 ‘à’는 단순한 의문문에 많이 쓰이며 ‘phải không’과 ‘nhỉ’는 확인

의문문에 많이 사용된다.
베트남어에서는 ‘chưa’와 비슷한 부정부사는 ‘chửa’이 있는데, 화자의 개

인적 감정을 표현할 때는 ‘chưa’보다 ‘chửa’부정부사가 더 많이 쓰인다.

(28)예문을 다시 살펴 보자.

- 30 -
(28) An chưa gặp Hoa. (An은 Hoa와 아직 안 만났다.)
→ An chửa gặp Hoa. (An은 Hoa와 아직 안 만났다.)

이 예문은 같은 ‘An은 Hoa와 아직 이야기를 안 했다’라는 내용인데


‘chưa’를 사용하는 예문에는 An은 어떤 이유로 Hoa와 아직 이야기를 안

했다는 의미이며 ‘chửa’를 사용하는 예문에는 An은 Hoa와 이야기를 하고

싶지 않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chưa’를 사용하는 예문보다 ‘chửa’를


사용하는 예문은 화자의 개인적 감정을 더 강조한다.

한국어의 ‘안/-지 않다’ 부정은 객관부정을 나타내거나 의지부정을 나타

낸다. 한국어의 ‘안/-지 않다’ 부정과 대응하는 베트남어의 ‘không‘과 ‘chưa’


부정은 단순히 객관부정만 나타내고 의지부정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không’과 ‘chưa’부사는 문장의 끝에 있으면 부정의미를 나타내는 부정부사

가 아니라 단순한 질문을 할 때 쓰이고 부정의미를 나타내지 않는다26). 이


점을 알아보기 위해 예문을 같이 보자.

(29) ㄱ. Nga làm bài tập chưa? (Nga는 숙제를 했어?)


ㄴ. Thanh ăn chuối chưa? (Thanh은 바나나를 먹었어?)

(30) ㄱ. Nó đi học không? (그는 학교에 갈거야?)

ㄴ. Thời tiết đẹp không? (날씨가 좋아?)

(29)예문들은 문장의 끝에 ‘chưa’부사가 있으며 (30)예문들은 문장의 끝

에 ‘không’부사가 있다. ‘không'과 ‘chưa’부사는 부정의미를 나타내는 부정

26) 베트남어에서 의지 부정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không muốn(하고 싶지 않다/하기 싫다)


를 사용한다. Tôi không muốn đi nghĩa vụ quân sự. (나는 군대에 가고 싶지는 않다.)

- 31 -
부사가 아니라 단순한 질문을 할 때 쓰이는 의문문의 일부분이다.

(2). 베트남어의 ‘không thể’, ‘chưa thể’ 부정

베트남어에서 능력의 부정을 나타낼 때는 ‘không thể’, ‘chưa thể’가 쓰인

다. 이는 한국어의 ‘못’, ‘-지 못하다’ 부정이나 ‘-을/를 수 없다’ 부정과 같

은 동작주의 의지가 아닌 ‘능력부정’이다. 보통 ‘không thể’, ‘chưa thể’는


동사와 자연스럽게 같이 나오는데 형용사와 같이 나오면 어색한 경우가 많

다. 예를 보기로 한다.

(31) Tôi không thể/ chưa thể hát(동사).

(나는 노래를 못 한다/노래를 아직 못 한다/노래를 할 수 없다.)

(32) * Tôi không thể/ chưa thể gầy(형용사).


(나는 못 날씬하다/아직 못 날씬하다/날씬 할 수 없다.)

(31)예에서는 문장이 자연스럽게 구성되는데 (32예문은 어색한 문장이다.


그 이유는 ‘không thể’, ‘chưa thể’는 형용사인 ‘gầy’와 같이 나오면 안 되는

것이다.

‘không thể’는 능력부족으로 인한 능력부정인데 chưa thể’는 화자가 어떤


행동을 하고 싶은데 어떤 이유가 있기 때문에 그 행동을 아직 하지 못함을

나타낸다.

다음의 표는 베트남어의 ‘không thể’정부사와 ‘chưa thể’부정부사의 대조


를 정리한 것이다.

- 32 -
<표 2> 베트남어의 ‘không thể’부정부사와 ‘chưa thể’부정부사 대조.

구분 'không thể'부정부사 'chưa thể'부정부사

형식 주어+ không thể +동사+목적어 주어+ chưa thể +동사+목적어

-Tôi không thể chơi bóng rổ. -Tôi chưa thể hoàn thành bài tập.
(나는 농구를 못한다.) (나는 숙제를 아직 완성하지 못했다.)
-Nga không thể nấu ăn. -Mẹ chưa thể rửa bát vì bận nấu
( Nga는 요리를 못한다.) cơm.

-An không thể làm việc nếu (우리어머니께서는 설거지 하고 있
có tiếng ồn. 기 때문에 밥을 아직 못 지으셨다.)
(An은 시끄러운 환경에서는 일 -Hoa chưa thể nói tiếng Anh.
을 못한다.). (Hoa는 영어를 아직 말하지 못한다.).

베트남어에서 파생어 ‘được’, ‘nổi’, ‘xuể’는 부정부사 뒤에 붙는 파생어인


데 ‘được’은 화자가 어떤 행동을 하지 못함을 나타낼 때 사용되고 단순한

능력부정보다 강조하는 표현이다. ‘nổi’은 행동의 어려움을 강조할 때 쓰이

고 ‘xuể’는 화자가 어떤 일을 이루고 싶은데 능력이 부족해서 노력이필요


하다고 할 때 많이 쓰인다. 베트남어의 파생어 ‘được’, ‘nổi’, ‘xuể’에 대해서

는 다음<표3>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다.

- 33 -
<표 3> 베트남어의 파생어‘được’, ‘nổi’, ‘xuể’

được nổi xuể

주어+부정부사 주어+부정부사+
형 주어+부정부사
+동사+được 동사+nổi
식 +동사+xuể +목적어.
+목적어. +목적어.
‘được,
Tôi không (thể)
nổi, xuể’ Tôi không (thể)
Tôi không làm xuể việc này.
동사 làm nổi việc
(thể)/chưa (나는이일을하고싶은
앞에 này.
(thể) làm 데이일은매우어려워
오는 예 (이 일은 매우
được việc này. 서하지못한다. 나는
경우27) 어려워서 나는
(나는 이 일을 이 일을 하기 위해
이 일을 하지
하지 못한다). 많이 노력해야
못한다).
한다).

주어+동사+ 주어+동사+ 주어+동사+



부정부사+được 부정부사 부정부사+xuể+목적

+목적어. +nổi+목적어. 어.
‘được,nổi,
xuể’ Tôi làm không/chưa
Tôi làm
부정부사 xuể việc này.
Tôi làm không/chưa nổi
앞에 (나는 이 일을 하고
không/chưađư việc này.
오는 싶은데 이 일은 매우
예 ợc việc này. (이 일은 매우
경우28) 어려워서 하지
(나는 이 일을 어려워서 나는
못한다. 나는 이
하지 못한다). 이 일을 하지
일을 하기 위해 많이
못한다.).
노력해야 한다).

- 34 -
(3). 베트남어의 ‘đừng/chớ’부정

베트남의 ‘đừng/chớ’부정은 명령문. 청유문에서 금지. 중지의 의미를 표

현할 때 사용한다.

주어 + 동사/형용사+ 목적어.

베트남어의 ‘đừng/chớ’부정에 대하여 다음의 예문을 보기로 한다.

(33) ㄱ. Chị đừng đi chuyến tàu này. (이 버스를 타지마.).


ㄴ. đừng chơi với nó. (그늘과 같이 놀지마.).

ㄷ. đừng đi ngày hôm nay. (오늘 가지마.)

(33)예문들에는 금지, 중지의 의미를 표현하는 부정인데 3개의 공통점은

모두 다 명령문. 청유문이라는 것이고 결합한 서술어가 동사라는 것이다.

베트남어의 ‘đừng/chớ’부정문은 명령문과 청유문에서만 쓰이는데 바람이나

27) 이 경우에는 베트남어의 베트남어의 화자의 적극적이지 않은 감정을 담은 ‘chả’,


‘cóc’,‘đếch’부정부사와 결합하면 문장이 이상해진 다. 예를들면
Tôi không/chưa làm được/nổi /xuể việc này.
Tôi không thể/ chưa thể làm được/nổi/xuể việc này.
* Tôichả/ cóc/ đếch làm được/nổi /xuể việc này.
(‘chả/ cóc/ đếch’는 화자의 감정을 담은 부정부사이라서 ‘được’, ‘nổi’, ‘xuể’와 잘 결합하
지는 않다.)
28) 이 경우에는 베트남어의 không 부정부사와 chưa부정부사가 아니면 다른 부정부사와 결
합하면 문장이 이상해진다. 예를 들면
가) Tôi làm không/chưa được/nổi/xuể việc này.(‘không thể/chưa thể’는 객관 부정이
아닌 능력 부정이며 ‘đừng/chớ’도 마찬가지 객관 부정이 아닌 금지 부정이다.)
나) * Tôi làm chả/ cóc/ đếch được/nổi/xuểviệc này.
(‘chả/ cóc/ đếch’는 화자의 감정을 담은 부정부사이라서 ‘được’, ‘nổi’, ‘xuể’와 결합하
지는 않다.)
다)* Tôi làm không thể/ chưa thể/đừng/chớ được/nổi/xuể việc này.
(‘không thể/chưa thể’는 객관 부정이 아닌 능력 부정이며 ‘đừng/chớ’도 마찬가지 객
관 부정이 아닌 금지 부정이다.)

- 35 -
희망을 나타내는 동사 ‘바라다 - ước, 희망하다 - hi vọng, 원하다–

mong, muốn, 기대하다– kì vọng, mong đợi’ 등에서는 명령이나 청유가


아닌 문장에서도 쓰일 수 있다. 이 점은 한국어의 금지 부정과 마찬가지다.

(16)예문은 베트남어로 번역해 보면 아래와 같다.

(16) 나는 네가 미국에 가지 말기를 바란다.

→ Tao ước mày đừng đi Mỹ.

(33)예문을 명령문이나 청유문이 아닌 바람이나 희망을 나타내는 동사

‘바라다 - ước, 희망하다 - hi vọng, 원하다– mong, muốn, 기대하다– kì

vọng, mong đợi’ 등을 사용하여 만든 평서문으로 바꿔 보겠다.

(33) ㄱ. Chị đừng đi chuyến tàu này. (이 버스를 타지마.).

→ ước/hi vọng/mong/muốn/kì vọng/mong đợi chị


đừng đi chuyến tàu này.

(이 버스를 타지 말기를 바라다/희망하다/원하다/기대하다.)

ㄴ. Đừng chơi với nó. (그늘과 같이 놀지마.).


→ ước/hi vọng/mong/muốn/kì vọng/mong đợi

(문장의 주어) đừng chơi với nó. (그들과 같이 놀지말기

를 바라다/희망하다/원하다/기대하다.)
ㄷ. Đừng đi ngày hôm nay. (오늘 가지마.).

→ ước/hi vọng/mong/muốn/kì vọng/mong đợi

(문장의 주어) đừng chơi với nó.


(오늘 가지 말기를 바라다/희망하다/원하다/기대하다.)

- 36 -
위 예문들에 볼 수 있듯이 명령문과 청유문은 아니지만 화자의 바람을

표현하는 ‘바라다 - ước, 희망하다 - hi vọng, 원하다– mong, muốn, 기대


하다– kì vọng, mong đợi’ 등과 같은 동사를 쓰기 때문에 이 경우는 평서

문에서도 쓰일 수 있다.

또한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서술어가 형용사인 경우에는 제약이 있는데


이는 명령이나 청유가 아니더라도 기원하는 뜻을 표현할 때 사용할 수 있

다.

앞에 제시했던 (9) 예문을 베트남어로 번역하면 아래와 같다.

(9) 날씨가 춥지 말았으면 좋겠다.

→ Hôm nay trời đừng lạnh thì tốt biết mấy.

위 예문에서는 ‘lạnh – 춥다’형용사가 원칙적으로 ‘đừng/chớ’부정부사와

같이 쓰이지 않다. 위 예문들에 볼 수 있듯이 명령문과 청유문도 아니고


화자의 바람을 표현하는 ‘바라다 - ước, 희망하다 - hi vọng, 원하다–

mong, muốn, 기대하다– kì vọng, mong đợi’ 등과 같은 동사를 쓰지도 않

지만 기원하는 뜻을 표현한다. 이런 경우에는 ‘đừng/chớ’부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문장은 어색하지는 않다.

- 37 -
Ⅲ.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법 대조

II장에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II장

장에 제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양국어의 부정법에 대한 어휘적. 파생적 측

면, 통사적 측면, 의미적 측면에 대조 분석한 후에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법의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겠다.

1. 어휘적. 파생적 측면

가. 어휘적 측면

한국어 ‘이다’의 긍정형과 대응하는 베트남어의 긍정형은 ‘là’이다. 한국


어 ‘이다’의 부정형은 ‘아니다’이고 베트남어의 ‘la’의 부정형은 ‘không phải

là’이다.

한국어의 ‘아니다’와 베트남어의 ‘không phải là’를 대조해 보겠다.


한국어 ‘이다’의 부정형은 특수부정사 ‘아니다’로 실현되고 베트남어 ‘là’

의 부정형은 ‘là’ 동사 앞에 ‘không’부정부사를 붙어 구성되는 것이다. 예를

같이 봅시다.

(34) ㄱ. 나는 학생이다.

ㄴ. Tôi là học sinh.


(35) ㄱ. 나는 학생이 아니다.

- 38 -
ㄴ. Tôi không phải là học sinh.

한국어 부정법은 보통 ‘아니하다’와 ‘못하다’로 구성되거나 ‘-지 않다’와

‘-지 못하다’의 보조용언을 사용해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49)예문에서 ‘않

다’의 품사와 ‘못하다’의 품사나‘-지 않다’와 ‘-지 못하다’의 보조용언을 사


용하지 않고 ‘아니다’를 ‘이다’의 부정형으로 쓴다. 베트남어에는 ‘là’의 부정

형인 ‘không phải là’를 사용해서 ‘Tôi là học sinh’을 부정한다.

한국어의 ‘아니다’와 베트남어의 ‘không phải là’의 사용법과 의미가 다르


지 않다. 한국어의 ‘아니다’와 베트남어의 ‘không phải là’는 모두 다 어떤

사물이나 사건을 부정하는 것이고 명사만 결합되는 부정부사이다. 형용사

나 동사와 같이 결합되지 않는다. (35) 예문을 볼 수 있듯이 ‘아니다’는 ‘학


생’명사와 결합되며 ‘không phải là’는 ‘học sinh’과 결합된다. 그리고 (34-

ㄱ)와 (35-ㄱ)예문을 (34-ㄴ)와 (35-ㄴ)예문으로 번역해도 내용에 대한 문

제가 없다고 본다.
또한 한국어의 ‘아니다’와 베트남어의 ‘không phải là’는 시제와 상관없이

자유롭게 사용된다. 예는 다음과 같다.

(36) ㄱ. 나는 교사가 아니었다.

ㄴ. Tôi đã không phải là giáo viên.

(37) ㄱ. 나는 교사가 아니겠다.(어색하다)


ㄴ. Tôi sẽ không phải là giáo viên.

현재 시제가 물론이고 (36)와(37)예문에서 과거나 미래시제에서도 한국


어의 ‘아니다’와 베트남어의 ‘không phải là’는 사용을 가능하지만 한국어

미래시제에 조금 어색하다.

- 39 -
하지만 명사의 받침에 따라 ‘이’/‘가’ 주격조사와 결합하는 한국어의 특성

인 반면에 조사와 같은 문법기능을 역할하는 요소가 없는 독립어인 베트남


의 특성은 차이다. 예는 다음과 같다.

(38) ㄱ. 나는 의사가 아니다.


ㄴ. Tôi không phải là bác sĩ.

(39) ㄱ. 나는 회사원이 아니다.

ㄴ. Tôi không phải là nhân viên công ty.

(38-ㄱ)예문에서 ‘의사’명사가 받침이 없기 때문에 ‘아니다’앞에 ‘가’주격

조사와 결합하지만 (39-ㄱ)예문에서 ‘회사원’명사가 받침이 있기 때문에 ‘아


니다’앞에 ‘이’주격조사와 결합하게 된다. 베트남어에서는 ‘이’/‘가’ 주격조사

를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받침이 있는 명사나 받침이 없는 명사가 상관없

다.
한국 의문문을 부정한 대답하는 경우는 ‘아니다’가 혼자서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베트남어의 ‘không phải là’는 그렇지 않다.

(40) 너는 학생이야?

아니다.

(41) Bạn là học sinh phải không?


Không (phải)/mình không phải (là) học sinh.

여기에는 같은 의문문인데 한국어 부정하는 대답과 베트남어 부정하는


대답하는 방식이 다르다. 한국어 경우는 ‘아니다’가 독립적으로 쓸 수 있지

만 베트남어 경우는 ‘không phải là’를 쓰지 않고 ‘không (phải)’를 쓰거나

- 40 -
‘không phải là’를 쓰고 싶으면 주어와 보어를 같이 써야 한다. 어떤 상황

에 주어를 생략할 수 있지만 보어는 필연적으로 써야 한다.


한국어 ‘알다’의 반대말은 ‘모르다’이며 ‘있다’의 반대말은 ‘없다’이다. ‘모

르다’와 ‘없다’는 특별한 어휘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알다’와 ‘있다’의

부정 뜻을 표현하려 통사적 부정문인 ‘안 있다/있지 않다’, ‘못 알다/알지


못하다’를 사용한 대신에 ‘모르다’와 ‘없다’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국어의 ‘모르다’와 ‘없다’는 어휘적 부정으로 볼 수 있다29).

(42) ㄱ. 사람의 마음을 모르다.

ㄴ. * 사람의 마음을 알다/알지 못하다.

(43) ㄱ. 좋아하는 드라마가 없다.


ㄴ. * 좋아하는 드라마가 안 있다/있지 않다.

베트남어는 한국어와 달리 ‘알다’와 ‘있다’ 뜻을 부정하려 따로 다른 어휘


쓰지 않고 ‘알다’와 ‘있다’ 앞에 부정부사를 붙어 쓴다.

(42-ㄱ)와 (43-ㄱ)예문을 베트남어로 번역해보겠다.

(42) ㄱ. 사람의 마음을 모르다.

Không biết tấm lòng của con người

모르다/마음/의/사람.
(43) ㄱ. 좋아하는 드라마가 없다.

Không có bộ phim yêu thích

없다/드라마/좋아하다.

29) 쩐티탄프엉, 『한국어-베트남어 부정표현 대조 연구』에서 ‘모르다’와 없다’는 부정극어와


잘 어울리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특수 부정표현으로 본다고 했다.

- 41 -
위에 ‘không biết’과 ‘không có’말고도 상황에 따라서 ‘biết’과 ‘có’ 앞에
여러 가지의 부정 부사를 붙어 쓴 여러 가지의 통사적 부정형이 있다. 예

를 들면 ‘없다’ 뜻을 표현하려면 ‘không có, chưa có, chả có, chẳng có,

đếch có, cóc có’, ‘모르다’ 뜻을 표현하려면 ‘không biết, chưa biết, chả
biết, chẳng biết, đếch biết, cóc biết’를 사용할 수 있다.

한국어의 '아니다, 없다, 모르다'는 베트남어의 ‘không (phải) là/chưa

(phải) là/chả (phải) là/đếch (phải) là/cóc (phải) là’, ‘không có/chưa
có/chả có/đếch có/cóc có’, ‘không biết/chưa biết/chả biết/đếch biết/cóc

biết’의 사용법을 알아보겠다.

(44) ㄱ. 그는 연애인이 아니다.

Anh ấy không phải là nghệ sĩ.

ㄴ. 그는 돈이 없다.
Anh ấy không có tiền.

ㄷ. 그는 농구를 한 줄 모른다.

Anh ấy không biết chơi bóng rổ.

예문(44)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어의 '아니다’와 베트남어의 'không

(phải) là’는 ‘연애인/nghệ sĩ’와 같은 명사와만 결합 가능하다. 한국어의 '


없다’와 베트남어의 ‘không có’도 ‘돈/tiền’과 같은 명사와만 결합 가능하다.

한국어의 ‘모르다’는 예문(59-ㄷ)와 같은 명사구나 명사와 결합하며 베트남

어의 'không biết’는 ‘chơi’와 같은 동사와만 결합 가능하다.


한국어의 '아니다, 없다, 모르다'는 뜻을 따로 가지고 있고 형식적으로

서로 상관없는 어휘들이다. 반면에 베트남어의 ‘không (phải) là, không có,

- 42 -
không biết’는 부정 뜻을 표현하는 부정소 ‘không’을 ‘là (이다), có(있다),

biết(알다)’ 동사 앞에 붙어 쓴다. ‘không’ 부정소가 들어 있기 때문에 어휘


적 부정이 아닌 통사사적 부정에 해당하다.

베트남어의 ‘chưa’부정부사는 발화 시간과 관련이 있다.

(45) An chưa nói chuyện với Hoa

An/아직 안/ 이야기/와 Hoa

An은 Hoa와 이야기를 아직 안 한다.

여기에 화자가 말할 때까지 Hoa라는 사람과 이야기를 하는 행동을 아직

안 하는 것을 표시한다. 만약에 ‘chưa’가 아닌 ‘không, chẳng, chả, không


thể, chẳng thể, đâu thể’ 등과 같은 부정소들을 사용하면 41예문은 단순한

부정문이며 시간을 표현하는 요소가 없어진다.

베트남어의 ‘chưa’부정부사는 문법상의 과거 시체에만 가능하며 미래 시


체에 불가능하다. (45)예는 현재 시체의 예문이며 과거와 미래 시체로 바꾸

어 보면 다음과 같다.

(45’) ㄱ. An đã chưa nói chuyện với Hoa

An/ -았.-었/ 아직 안/ 이야기/ 와/ Hoa

An은 Hoa와 이야기를 아직 안 하였다.


ㄴ. Hôm qua An (đã)chưa nói chuyện với Hoa

어제/ An/ (-았.-었)/ 아직 안/ 이야기/ 와/ Hoa

어제 An은 Hoa와 이야기를 아직 안 하였다.

위 예문에는 ‘đã’와 ‘hôm qua’는 과거 시체를 표현하는 관형사와 부사이

- 43 -
다. 이 둘 중의 하나만 쓰면 현재 시체인 41예문은 과거 시체로 바꾸게 된

다. 이 둘 예문은 문법적으로 보거나 일상생활에 실용적으로 봐도 다 옳은


문장이다.

하지만 같은 (41)예문에 미래 시체를 표현하는 ‘sẽ’관형사나 미래 의미를

표현하는 부사들을 붙으면 아래와 같은 비문이 된다. 그러나 한국어 경우


에는 ‘아직 안’과 미래 시체를 표현하는 문법적 기능 ‘-겠’, ‘-ㄹ/을 것이’와

추측, 예상 의미를 지닌 것으로 결합 가능하다.

(45’’) * An sẽ chưa nói chuyện với Hoa

An/ -겠/ 아직 안/ 이야기/ 와/ Hoa

An은 Hoa와 이야기를 아직 안 하겠다.

여기에 ‘chưa’말고 ‘không, chẳng, chả, không thể, chẳng thể, đâu thể’

등과 같은 부정소들은 미래 시체를 표현하는 요소와 결합 가능하다.

(45) * An sẽ không nói chuyện với Hoa

* An sẽ chẳng nói chuyện với Hoa


* An sẽ chả nói chuyện với Hoa

* An sẽ không thể nói chuyện với Hoa

* An sẽ hẳng thể nói chuyện với Hoa


* An sẽ đâu thể nói chuyện với Hoa

결론적으로 베트남어의 ‘chưa’부정부사는 다른 부정소보다 시간적인 의


미를 더 강조하며 문법적으로 미래 시체와 결합이 안 되는 점에서 한국어

와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 44 -
나. 파생적 측면

한국어 부정법의 파생적 부정법은 부정 의미를 가진 접두사를 붙어서


새로운 단어를 만든다30). 한국어의 경우는 ‘무, 비, 부/불, 미, 몰’ 등의 부

정의 의미를 지닌 부정 접두사가 있다.

‘무’의 용법

베트남어 부정접두사 ‘vô’는 한국어의 ‘무’부정접두사와 대응한다. ‘무’는

일부 명사 앞에 붙어서 ‘없음’의 뜻, 동작을 하지 않는 의미를 나타내는 부


정 접두사이다.

무가치(vô giá trị): 가치가 없음.


무관심(vô tâm): 관심이 없음.

무계급(vô cấp bậc): 계급이 없음.

무국적(vô quốc tịch): 국적이 없음.


무교양(vô giáo dục): 교양이 없음.

무계획(vô kế hoạch): 계획이 없음.

무기명(vô danh): 이름을 쓰지 않음.


무도덕(vô đạo đức): 도덕이 없음.

무능력(vô năng lực): 능력이 없음.

무신(vô thần): 신이 없음.


무죄(vô tội): 죄가 없음.

무의식(vô ý thức): 의식이 없음.

30) 한.중 부정법의 대조 연구에는 접두사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고 항상 다른 단어의 앞에


결합되어 그 부속적인 의미를 한정해주고 별개의 단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한국어 부정 접두사는 주로 명사 앞에 붙어서 그 뜻을 부정하는 역할을 한다.

- 45 -
비의 용법
베트남어 부정접두사 ‘phi’는 한국어의 ‘비’부정접두사와 대응한다. ‘비’는

명사 앞에 붙어서 ‘아님’의 뜻을 더하는 말이다.

비학자(phi học giả): 학자가 아닌 사람.

비과학적(phi khoa học): 과학적이지 않음.

비논리적(phi lí): 논리적이지 않음


비실용적(phi thực tế): 실용적이지 않음.

비이성적(phi lí tính): 이성적이지 않음.

비무장(phi vũ trang): 무장하지 않음.


비범(phi phàm): 보통하지 않음.

불의 용법
베트남어의 ‘bất’ 부정 접두사 은 명사 앞에 붙어서 ‘아님’ 의미를 나타낸

다. ‘bất’의 변이형태는 ‘부’와 ‘불’ 두 가지가 있다31). 먼저 ‘불’의 용법을 보

겠다.

불규칙(bất quy tắc): 규칙에어긋남

불공정(bất công chính): 공평하고 올바르지 않음.


불일치(bất nhất chí): 일치하지 않음.

불복종(bất phục tùng): 복종하지 않음.

불행(bất hạnh): 행복하지 않음.

31) ‘부’는 ‘ㄷ’, ‘ㅈ’으로 시작하는 형태소 앞에 붙으며, ‘불’은 그 외의 한자어 앞에 붙는다.
‘부/불(不)’은 ‘하다’가결합하여 동사가 될 수 있고 형용사도 될 수 있는 것이다.

- 46 -
부의 용법
한국어 부정 접두사 ‘부’는 명사 앞에 붙어서 ‘아님’ 의미를 나타낸다.

‘부’는 베트남어로 표현하려면 어떤 경우에는 ‘vô’ 어떤 경우에는 ‘bất’ 어떤

경우에는 ‘phủ’로 번역한다.

부도덕(vô đạo đức): 도덕에 어긋남.

부주의(vô ý): 조심을 하지 아니함.


부정당(bất chính đáng): 정당하지 않음.

부인(phủ nhận): 인정하지 않음.

부결(phủ quyết): 결정하지 않음.

미의 용법

베트남 ‘vị’ 부정 접두사는 한국어의 ‘미’ 부정 접두사와 대응한다. ‘vị-


미’는 명사 앞에 붙어서 ‘아직 다 이루어지지 않음’이나 ‘ 이직 되지 않음’

의 뜻을 표현한다. 어떤 경우에는 ‘미’는 ‘chưa’와 대응하기도 한다.

미성년(vị thành niên): 아직 어른이 되지 못한 나이.

미성인(vị thành niên): 아직 어른이 되지 못한 사람.

미결정(chưa định): 아직 결정하지 않음.

몰의 용법

위에 언급한 부정 접두사 말고 한국어 부정 접두사는 ‘몰’ 접두사가 있


는데 ‘몰’과 대응하는 베트남어 부정접두사가 없다. ‘몰’은 명사 앞에 붙어

서 ‘없음’을 강조하는 뜻을 표현하는 부정접두사이다.

- 47 -
몰가치: 가치가 없음.
몰개성: 개성이 없음.

몰인정: 인정이 없음.

몰풍정: 풍정이 없음.


몰취미: 취미가 없음.

몰이해: 이해함이 없음.

한국어에는 부정 의미를 가지는 접두사 '무, 비, 부, 불, 미, 몰'을 사용

하여 구성되는 문장들은 형식적으로는 부정문이 아니기 때문에 부정문으로

보기가 어렵다. 이러한 단어는 ‘-하다’나 ‘이다’와 결합해서 동사나 형용사


로 실현되는 경우도 있다.

(46) ㄱ. 그는 여자에게 무관심하다.


ㄴ. 그는 하는 행동은 부정당하다.

ㄷ. 그 행위는 비인간적인 행위이다.

ㄹ. 그 결정은 불합리적인 결정이다.


ㅁ. 그 문제는 미결정한 문제이다.

이런 부정부사로 구성되는 단어들을 포함한 문장들은 부정문이라고 할


수 없으며 부정 의미를 가지는 긍정문이라고 할 수 있다. 부정 의미를 가

지는 긍정문을 부정법을 적용하려면 장형부정문만 가능하다. 예는 다음과

같다.

(47) ㄱ. * 그는 여자에게 안 무관심하다.

- 48 -
ㄱ’. 그는 여자에게 무관심하지 않는다.

ㄴ. * 그는 하는 행동은 안 부정당하다.
ㄴ’. 그는 하는 행동은 부정당하지 않는다.

ㄷ. * 그 행위는 안 비인간적인 행위이다.

ㄷ’. 그 행위는 비인간적지 않는 행위이다.


ㄹ. * 그 결정은 안 불합리적인 결정이다.

ㄹ’. 그 결정은 불합리적지 않는 결정이다.

ㅁ. * 그 여자는 안 미성년자이다.
ㅁ’. 그 여자는 미성년자가 아니다.

하지만 베트남어에는 단형부정과 장형부정으로 구분하지 않고 ‘vô, vị,


phi, bất’은 독립적인 부분으로 쓰여서 부정법을 적용 가능하다.

(48) ㄱ. Anh ấy không phải không quan tâm/vô tâm với con
gái.

ㄴ. hành động anh ấy làm không phải không thỏa

đáng.
ㄷ. hành động ấy không phải là hành động phi nhân

đạo.

ㄹ. quyết định ấy không phải là quyết định bất hợp


lí/không hợp lí.

ㅁ. cô ấy không phải là trẻ vị thành niên.

한국어 파생적 부정법과 베트남어 파생적 부정법의 공통점은 부정문의

형식적 요건이 없는 것이다. 부정문의 형식이 없기 때문에 통사적 특징도

- 49 -
갖지 않다.

2. 통사적 측면

가. 부정소

쩐티탄프엉(2010)에서 부정소는 부정의 의미를 가지는 부사, 부정서술어

를 포함된다고 하였다.

한국어의 부정문에는 서술어 앞에 부정부사 ‘안’이나 ‘못’을 붙어 사용하


거나 서술어 뒤에 어미 ‘-지’와 결합해서 만드는 ‘-지 않다’, ‘-지 못하다’,

‘-지 말다’ 보조용언을 붙어 쓴다. 따라서 한국어 부정법은 서술어 앞에 부

정부사 ‘안’이나 ‘못’을 붙어 사용하는 단형부정과 보문자 '-지' 뒤에 부정


서술어 '아니하-'나 '못하-' 또는 '말-'을 놓아 이루지는 장형부정으로 나

눈다.

한국어와 달리 베트남어의 부정소는 부사와 복합 부정이 있는데 부정서


술어가 없다. 베트남어의 부정소는 부정부사 ‘không, chẳng, chưa-안’,

‘không thể, chẳng thể, chưa thể-못하다’와 ‘đừng, chớ-말다’가 있다. 한국

어의 부정 부사 ‘안’과 호응하는 베트남어‘không, chẳng, chưa’말고 ‘chả,


cóc, đếch’부사도 있는데 ‘chả, cóc, đếch’부정부사는 문어보다 구어에 사용

하는 빈도가 훨씬 더 높고 화자의 적극적인 태도를 표현하는 부사가 아니

다.
부정부사 ‘không, chẳng, chưa, chả, đâu, nào’가 ‘phải’와 결합해서 복합

부정 ‘không phải, chẳng phải, chưa phải, chả phải, đâu phải, nào phải’를

만든다. 그리고 화자는 하나도 하고 싶지 않는 태도를 표시하려면 ‘không,


chẳng, chưa, chả, cóc, đếch’부정부사가 ‘hề/thèm’과 결합해서 ‘không

- 50 -
hề/không thèm, chẳng hề/chẳng thèm, chưa hề, chả hề/chả thèm’ 부정부

사를 만든다. ‘chả’에게는 ‘chả hề’보다 ‘chả thèm’는 사용하는데 훨씬 더


자연스럽다.

이와 함께 베트남어 부정소는 부정 양태사 ‘nào, đâu, gì’와 ‘có...đâu, nào

có...đâu, làm gì có...đâu, có phải...đâu’이 있다.

(1). 부정부사

한국어의 단순 부정은 ‘안’ 부정 부사 밖에 없지만 베트남어는 ‘không,


chẳng, chưa, chả’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부정 부사가 있다.

그 중에 ‘không’은자의 중립적인 성격을 표시하며 ‘chẳng’은 절대적인 성

격이 있기 때문에 부정 의미 측면을 보면 게일 강한 부정 부사라고 볼 수


있다. 베트남어의 부정 부사‘chưa’는 한국어의 ‘아직 안’과 대응한다. 말하는

시간까지 어떤 행동이 아직 일어나지 않거나 어떤 사건이 아직 존재 하지

않는 것을 표현한다. 그렇기 때문에 행동이나 사건의 완료를 하느냐 아직


완료를 안 하느냐 에 따라 제약이 있다. 또 한 형용사와 제약도 있다.

(49) ㄱ. 꽃이 안 예쁘다.
Hoa không đẹp./Hoa chẳng đẹp./* Hoa chưa đẹp.

(꽃/안/예쁘다).

ㄴ. 오늘 안 춥다.
Hôm nay không lạnh/ Hôm nay chẳng lạnh.

ㄷ. 오늘/아직 안/춥다.

Hôm nay chưa lạnh.

예문 (49-ㄱ, ㄴ)에서 ‘chưa’는 형용사와 같이 쓰는 경우이다. (49-ㄱ)는

- 51 -
화자가 객관적인 의견을 내서 ‘không đẹp’이나 ‘chẳng đẹp’을 써도 의미의

차이가 별로 안 나지만 ‘chưa đẹp’를 쓰면 청자에게 이상해지는 느낌을 준


다. (49-ㄴ)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49-ㄷ)의 ‘chưa lạnh’은 오늘 아직 안

춥지만 내일이나 모래 추워질 수 있는 것을 표현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chưa’부정부사는 형용사와 같이 결합 가능하다.


2장에 연급한 바와 같이 한국어의 ‘못’부정 부사는 ‘능력’부정이라고 한

다. 한국어의 ‘못’ 능력부정과 대응하는 베트남어 부정부사 ‘không thể,

chẳng thể, chưa thể, đâu thể’가 있다.

(50) ㄱ. 나는 밥을 못 해요.

Tôi không thể/chẳng thể/đâu thể nấu cơm.


(나/못/하다/밥).

ㄴ. 나는 밥을 아직 못해요.

Tôi chưa thể nấu cơm.


(나/ 아직 못/하다/밥).

(50-ㄱ)에 ‘không thể’는 밥을 못하는 객관적인 사실이며 ‘chẳng thể’는


‘chẳng’의 주관적인 성격이 있기 때문에 화자의 밥도 못하는 자신에 대한

실망한 느낌을 느낄 수 있다. ‘đâu thể’는 밥을 못하는 사실을 털어놓을 때,

사람의 동정을 구할 때 많이 쓰인다. (50-ㄴ)에 ‘chưa thể’는 지금 못하지


만 나중에 할 줄 아는 가능성이 높다. 한국어의 ‘아직 못하다’과 대응한다.

(2). 부정서술어
앞에 말했던 것처럼 한국어의 부정 서술어는 서술어 뒤에 어미 ‘-지’와

결합해서 만드는 ‘-지 않다’, ‘-지 못하다’, ‘-지 말다’ 보조용언을 붙어 쓴

- 52 -
것이다.

한국어 부정서술어 ‘-지 않다’는 ‘안’ 부정의 장형이며 베트남어의


‘không, chẳng, chưa, chả’ 부정 부사와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한국어 부정

서술어 ‘-지 못하다’는 ‘못’ 부정의 장형이며 베트남어의 ‘không thể, chẳng

thể, chưa thể, đâu thể’ 부정 부사와 대응한다. (49)와 (50)예문를 다시 봅


시다.

(49) ㄱ. 꽃이 안 예쁘다. → 꽃이 예쁘지 않다.


Hoa không đẹp./Hoa chẳng đẹp./*Hoa chưa đẹp.

(꽃/안→ -지 않다/예쁘다).

ㄴ. 오늘 안 춥다. → 오늘 춥지 않다.
Hôm nay không lạnh/Hôm nay chẳng lạnh.

ㄷ. 오늘/아직 안→ -지 않다/춥다.

Hôm nay chưa lạnh.


(50) ㄱ. 나는 밥을 못 해요. → 나는 밥을 하지 못해요.

Tôi không thể/chẳng thể/đâu thể nấu cơm.

(나/못하다→ 하지 못하다/밥).
ㄴ. 나는 밥을 아직 못해요. → 나는 밥을 아직 하지

못해요.

Tôi chưa thể nấu cơm.


(나 /아직 못하다→ 아직 하지 못하다/밥).

(49)와 (50)예문에는 한국어 장형부정으로 바꿔도 베트남어로 번역할 때


문장의 의미가 똑같다.

베트남어의 부정부사들 중에 금지 뜻을 표현하는 부사 ‘đừng, chớ, cấm’

- 53 -
이 있다. 그중에 ‘cấm’부정부사의 금지의미는 제일 강하고 ‘đừng’부정부사

는 화자의 객관적인 태도로 금지 의미를 표현하려는 제일 보편적인 금지


부정부사이며 ‘chớ’부정부사는 ‘đừng’부정부사보다 금지 의미가 더 약하고

화자의 주관적인 태도로 금지 의미를 표현하는 금지 부정부사이다.

베트남어의 부정법에서는 ‘금지’ 부정부사를 쓴 반면에 한국어의 부정법


에서는 금지 의미를 표시하려면 서술어 ‘말다’를 써서 문장을 만든다.

(51) 밥 먹지 마.
cấm/đừng/chớ ăn cơm.

(-지 말다/먹다/밥).

(51)예문에 ‘đừng, chớ, cấm’부정부사의 의미 차이가 많이 안 나서 서로

교환을 가능하다.

앞에 제시했던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소들의 공통점은 모두 다 용언


과 결합하는 점이다. 하지만 한국어 부정부사와 베트남어 부정부사는 용언

앞에 위치한 반면에 한국어 부정서술어는 용언 뒤에 위치한다. 이 차이점

은 언어적 차이이기도 한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제일 큰 차이점은 바로


어순이다. 베트남어 SVO 언어이며 한국어는 SOV 언어이다. 베트남어 부

정문 어순은 <주어-부정부사-술어-목적어 >로 구성되며 한국어 부정문

어순은 <주어-목적어-부정부사-술어>로 구성되거나 <주어-목적어-술어-


‘지’-부정 서술어>로 구성된다.

한국어 부정소 ‘말다’는 ‘금지’, ‘중단’의미를 표현할 때 보문자 ‘-지’와 결

합해서 용언 뒤에 쓰임 외 에도 체언과 결합해서 쓰임도 있다. 이런 경우


에는 ‘말다’는 ‘금지’, ‘중단’의미를 표현하지 않고 베트남어로 번역할 때 부

정부사 ‘đừng, chớ, cấm’으로 번역하면 안 된다.

- 54 -
(52) 다른 남자말고 너만 사랑한다.
* Đừng/chớ/cấm’ người con trai khác em chỉ yêu anh.

⟶ 다른 남자가 아니고 너만 사랑한다.

Không phải những người con trai khác, em chỉ yêu anh.

나. 부정의 영역

(1). 부정의 범위
부정의 범위란 문장 속에서 실현된 부정요소의 의미가 그 문장 속의 특

정한 문장 성분에 미치는 양상을 이해할 수 있다. 부정문의 범위에 따라

어떤 부분을 부정하는지에 따라 문장의 의미도 달라진다. 이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양국 부정법의 공통점 중에 하나다. 같은 하나 부정문이지만 여

러 가지의 뜻을 이해할 수 있다.

(53) 오늘 나는 도서관에 논문을 안 썼다/쓰지 않았다.

Hôm nay tôi đã không viết luận văn ở thư viện.

(오늘 /나/-았-/안/쓰다/논문/도서관/).
위 예문은 여러 가지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첫째는 ‘오늘 – hôm nay’를 부정하는 것이다.

(54) ㄱ. 나는 도서관에 논문을 쓴 날은 오늘이 아니다.

Ngày tôi viết luận văn ở tư viện không phải là hôm nay.
(날/나/쓰다/논문/도서관/안/이다/오늘).

- 55 -
ㄴ. 오늘은 나는 도서관에 논문을 쓴 날이 아니다.

Hôm nay không phải là ngày tôi viết luận văn ở thư viện.
(오늘/안/이다/날/나/쓰다/논문/도서관).

둘째는 주어 ‘나 - tôi’를 부정하는 경우이다.

(55) ㄱ. 오늘 도서관에서 논문을 쓴 사람은 내가 아니다.

Người hôm nay viết luận văn ở thư viện không phải là tôi.
(사람/오늘/쓰다/논문/도서관/안/이다/나).

ㄴ. 내가 오늘 도서관에서 논문을 쓴 사람은 아니다.

Tôi không phải là người hôm nay viết luận văn ở thư viện
(나/안/이다/사람/오늘/쓰다/논문/도서관).

셋째는 ‘도서관 – thư viện’을 부정하는 것이다.

(56) ㄱ. 내가 오늘 논문을 쓴 곳은 도서관이 아니다.

Nơi tôi viết luận văn hôm nay không phải là thư viện.
(곳/나/쓰다/논문/오늘/안/이다/도서관).

ㄴ. 도서관이 내가 오늘 논문을 쓴 곳은 아니다.

Thư viện không phải là nơi tôi viết luận văn hôm nay.
(도서관/안/이다/곳/나/ 쓰다/ 논문/오늘).

넷째는 ‘논문 – luận văn’을 부정하는 것이다.

(57) ㄱ. 오늘 나는 도서관에 쓴 것은 논문이 아니다.

- 56 -
Hôm nay cái tôi viết ở thư viện không phải là luận văn.

(오늘/것/나 /-았-/쓰다/도서관/안/이다/논문).
ㄴ. 논문은 오늘 나는 도서관에 쓴 것이 아니다.

Luận văn không phải là cái tôi viết ở thư viện hôm nay.

(논문/안/이다/것/나/오늘/나/ -았- /쓰다/도서관 /오늘).

마지막은 아래의 예문은 ‘쓰다 - viết’를 부정하는 것이다.

(58) 나는 오늘 도서관에 논문을 안 썼다/쓰지 않았다.

Hôm nay tôi đã không viết luận văn ở thư viện.

(오늘/나/-았-/안/쓰다/논문/도서관).

위에 (53)예문은 말하는 의도에 따라 다양한 문장으로 해석할 수 있다.

(53)의 부정의 대상은 시간 부사어인 ‘오늘 – hôm nay’이면 (54)처럼 해


석할 수 있으며, 대상은 시간 부사어인 주어인 ‘나 - tôi’이면 (55)처럼 해

석할 수 있으며, 대상은 위치 부사어인 ‘도서관 – thư viện’이면 (56)처럼

해석할 수 있으며, 대상은 보어인 ‘논문 – luận văn’이면 (57)처럼 해석할


수 있으며 대상은 서술어인 ‘쓰다 - viết’이면 (58)처럼 해석할 수 있다.

한국어에는 단형부정이든 장형부정이든 부정범위는 똑같다고 할 수 있

지만 베트남어에는 장단부정으로 구별되지 않지만 한국어의 부정 범위와


동일하다.

(2). 부정의 중의성


위에 제시한 듯이 부정의 범위가 다양할수록 말하는 사람의 의도를 파

악하기가 힘들고 앞에서와 같은 부정문의 중의성을 쉽게 띤다. 이러한 부

- 57 -
정문의 이중성을 해결하려면 부정하려는 대상을 담은 문장 성분에 강세를

부여서 표시하거나 보조사 ‘-는/은’을 붙어주거나 앞에 (67)문장의 구체적


으로 해석된 (68), (69), (70), (71), (72), (73)무장으로 바꿔 쓰는 방법들이

있다.

한국어의 부정문에서는 수량을 의미하는 수량 부사어가 들어가면 문장


의 중의성 현상을 생기는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53)예문에 수량 부사어인 ‘다’를 붙어 보면 아래와 같다.

(53’) 내가 논문을 다 안 썼다/쓰지 않았다.

Tôi đã không viết hết luận văn.

(나/-았-/안/쓰다/다/논문).

이 예문은 2가지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54) ㄱ. 내가 논문을 다 안 썼다. [전체 부정]

ㄴ. 내가 논문을 다 쓰는 것은 아니다. [일부 부정]

(54)예문에 ‘다’의 의미는 전체를 부정이기도 하고 일부만 부정이기도 한

다. 이 예문의 중의성이 해소되려는 문장 성분에 보조사 ‘-는’을 넣으면 된

다. 보조사 ‘-는’을 넣으면 (54)예문은 다음과 같은 실현된다.

(54’) ㄱ. 내가 논문을 다 쓰지는 않았다. [일부 부정]

ㄴ. 내가 논문을 다는 쓰지는 않았다. [일부 부정]

이 예문에서 볼 수 있듯이 보조사 ‘-는’을 (54’- ㄱ)처럼 서술어에 붙거

- 58 -
나 수량 부사어 ‘다’ 바로 뒤에 붙으면 (54’- ㄴ)예문의 중의성을 해결할 수

있어서 전체 부정과 일부 부정으로 다 같이 이해한 반면에 일부 부정으로


만 이해하게 한다.

베트남어에는 보조사 ‘-는/은’과 같은 조사를 존재하지 않아서 보조사 ‘-

는/은’을 붙어주고 부정문의 중의성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이 없다. 이것은


바로 보조사를 잘 활용하는 한국어와 차이점이다.

고립어인 베트남어는 어휘의 어순이 중요한 문법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어순을 바꾸거나 어휘를 잘 활용해서 말하는 의도를 전달한다. 그래서 한


국어와 달리 어휘와 어순을 정확하게 쓰지 않으면 문장의 뜻도 모호하거나

화자의 의도를 오해할 경우도 많다.

어순과 관련된 베트남어와 한국어 부정법의 차이점은 부사어의 위치이


다.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는 부사어가 부정 요소의 앞에 넣는 반면에 영어

와 베트남어에서는 부사어가 부정 요소의 뒤에만 올 수 있다. 예는 다음과

같다.

(55) 잘 이해하지 않다.

Không hiểu lắm.

이 예문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어에서는 부사어인 ‘잘’은 부정 요소인

‘–지 않다’의 앞에 오는 반면에 베트남어에서는 부사어인 ‘잘’과 대응하는


‘lắm’은 부정 요소인 ‘không’의 뒤에 온다.

또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다른 차이점은 부정형식으로 긍정 의미를 나

타나는 것이다.

(56) 너밖에 없다.

- 59 -
(56‘) Không có ai khác ngoài bạn. (너밖에 없다.)

(56‘’) Chỉ có bạn thôi. (너만 있다.)

한국어에서는 ‘밖에 + 부정 서술어’ 방식으로 긍정 의미를 나타나는 것

은 아주 자연스럽다. 베트남어에서는 한국어와 똑같이 (76‘)의 표현으로 실


현할 수 있지만 (76‘)보다 긍정 형식인 ‘Chỉ - 만’를 써서 긍정 의미를 표현

하는 (76‘’)의 사용 빈도가 훨씬 더 높다.

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법의 통사적 제약

한국어 부정법은 서술어의 성격에 따라 성립이 제약될 수도 있다. 한국

어 통사적 부정법의 서술어 결합 제약을 보면 단형 부정은 장형 부정보다


제약을 더 많이 받다.

먼저 단형부정의 제약에 대한 알아보겠다.

(57) * 나는 오늘 안 공부했다.

(57’) 나는 오늘 공부하지 않았다.

(58) * 나는 오늘 못 공부했다.
(58’) 나는 오늘 공부하지 못했다.

위 예문을 보면 용언이 ‘공부하다’일 때 ‘안’. ‘못’ 부정형으로 사용하려면


단형부정이 성립이 안 되고 장형부정만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시원하다, 후

련하다, 따뜻하다, 깨끗하다, 착하다, 부지런하다, 좋아하다, 친절하다, 싫어

하다, 미워하다, 악하다, 매정하다’ 등은 용언인 때도 단형부정이 성립이 안


되고 장형부정만 가능하다.32)

- 60 -
베트남어 부정법은 원래 한국어와 같은 단장형으로 통사적 분류를 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제약이 성립되지 않는다.


‘안’ 부정법은 ‘알다, 느끼다, 깨닫다, 견디다’와 같은 인지동사와 제약이

있다.

(59) * 나도 그 것을 알지 않았다.

(59’) 나도 그 것을 알지 못했다.

(60) * 그는 고생을 견디지 않았다.


(60’) 그는 고생을 견디지 못했다.

우형식(2003)에 따르면 용언의 어휘적 의미가 부정의 형식과 의미적으


로 충돌되기 때문에 성립이 제약된다.

베트남어부정법에는 ‘알다, 느끼다, 깨닫다, 견디다’와 제약이 없다. 단

한국어에는 ‘알다’동사의 부정형은 어휘적인 ‘모르다’로 표현할 수 있는 반


면에 베트남에는 ‘biết’(‘알다’)의 부정하려면 통사적인 방법으로 ‘biết’앞에

‘không’부정부사 붙어 ‘không biết’이 실현된다.

위 예문을 베트남어로 번역해보면 아래와 같다.

(59) * 나도 그 것을 알지 않았다.

Tôi cũng không biết cái đó.


(59’) 나도 그 것을 알지 못했다.

Tôi cũng không thể biết cái đó.

(60) * 그는 고생을 견디지 않았다.


Anh ấy không chịu được khổ cực.

32) 우형식,『한국어문법론』, 2003 참조.

- 61 -
(60’) 그는 고생을 견디지 못했다.

Anh ấy không thể chịu được khổ cực.

‘변하다, 고민하다, 염려하다, 걱정하다, 후회하다, 실패하다, 망하다, 잃다,

당하다’는 ‘못’부정법과 의미 충돌 때문에 성립되지 않다.

(61) * 취업난이 점점 심해져도 걱정하지 못했다.

(61’) 취업난이 점점 심해져도 걱정하지 않았다.


(62) * 그녀를 사랑하는 마음은 변하지 못했다.

(62’) 그녀를 사랑하는 마음은 변하지 않았다.

베트남어 부정법에는 ‘변하다, 고민하다, 염려하다, 걱정하다, 후회하다,

실패하다, 망하다, 잃다, 당하다’와 제약이 없다. 위 예문을 베트남어로 번

역해보면 의미가 어색하지만 앞에 나열한 동사와 ‘못’부정과 대응하는


‘không thể, chưa thể’와 같이 결합이 가능하다.

화자의 의지를 표현하는 ‘-려고,-고자’ 언결 어미와 진행 보조용언 ‘-고

있다’와 ‘못’부정 결합의 제약이 있다.

(63) * 그 남자를 만나지 못하려고 아픈척했다.

(63’) 그 남자를 만나지 않으려고 아픈척했다.


(64) * 이 핸드폰은 얼마 전에 고장나서 요새 별로 쓰이지 못하

고 있다.

(64’) 이 핸드폰은 얼마 전에 고장나서 요새 별로 쓰이지 않고


있다.

- 62 -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베트남어는 화자의 의지를 표현할 때 능력부정

‘못’과 대응하는 ‘không thể, chưa thể’와 같이 안 쓰이고 어떤 행동은 진행


하는데 그 행동이나 그 진행과정을 부정할 때 진행 보조용언 ‘-고 있다’와

대응하는 ‘đang’ 부사와 같이 안 쓰인다.

위 예문을 베트남어로 번역해보면 아래와 같다.

(63) * 그 남자를 만나지 못하려고 아픈척했다.

Để không thể gặp người con trai ấy, tôi đã giả vờ ốm.
(63’) 그 남자를 만나지 않으려고 아픈척했다.

Để không gặp người con trai ấy, tôi đã giả vờ ốm.

(64) * 이 핸드폰은 얼마 전에 고장 나서 요새 별로 쓰이지 못하고 있


다.

Cái điện thoại này mới bị hỏng nên tôi đang không thể sử

dụng nó.
(64’) 이 핸드폰은 얼마 전에 고장나서 요새 별로 쓰이지 않고

있다.

Cái điện thoại này mới bị hỏng nên tôi đang không sử dụng
nó.

형용사인 용언과 ‘못’부정 결합의 제약이 있다.

(65) * 그 말은 못 이상하다.

(65’) 그 말은 안 이상하다.
(66) * 그 행동은 못 타당하다.

(66’) 그 행동은 타당하지 않는다.

- 63 -
여기에 ‘타당하다’는 형용사이지만 어느 정도에 미치지 못함의 의미를
내포할 때 ‘못’부정법이 실현되다. 그러나 장형만 가능하며 단형은 제약이

된다. ‘그 행동은 타당하지 못한다’는 맞는 문장이지만 ‘*그 행동은 못 타당

하다’는 여전히 비문이다.


베트남어에는 ‘không thể, chưa thể’ 부정은 형용사와 결합이 제약된다.

단 화자의 어떤 상태를 이루고 싶은데 얼마나 노력해도 그 상태에 이루지

못 할 때 ‘không thể, chưa thể’’ 부정과 같이 쓰일 수 있다. 예는 다음과


같다.

(67) * 그너는 날씬하지 못한다.


(67’) cô gái ấy không thể gầy.

한국어에는 ‘그너는 날씬하지 못한다’는 비문이지만 베트남어에는 일상


생활에 자주 쓰는 말이다. ‘gầy’와 비슷한 ‘béo(뚱뚱하다), trắng(하얗다),

ốm(아프다)’ 등과 같은 사람의 상태를 묘사하는 형용사도 마찬가지다. 같

은 ‘trắng(하얗다)’의 ‘không thể, chưa thể’부정인데 문맥에 따라 맞는 문


장이 될 수도 있고 틀린 문장이 될 수도 있다.

(68) * Mây không thể trắng. (* 구름이 하얗지 못한다.)


(68’) Tôi không thể trắng. (* 나는 하얗지 못한다.)

위의 (68)과 (68’)의 차이는 바로 화자의 의지이다. 뒤 예문은 화자의 더


하야진다는 소원을 담겨 있기 때문에 말이 되는 것이며 앞 예문은 ‘구름’이

의지를 가질 수 없는 존재라서 틀린 문장이 된다.

- 64 -
‘안’ 부정과 ‘못’부정은 동작이나 상태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기 때문

에 청유문과 명령문에 쓰지 않는다. 이는 한국어나 베트남어는 다 마찬가


지다.

(69) * 큰 소리를 치지 않자/못하자.


* Đừng không/ không thể hét to tiếng.

(69’) 큰 소리를 치지 마라.

Đừng hét to tiếng.

일반적으로 ‘말다’ 부정은 서술어가 형용사인 경우에는 쓰이지 않다.

(70) * 네가 예쁘지 말아라.

(70’) 네가 예쁘지 않다.

여기에 ‘예쁘다’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이 문항은 틀린다고 볼 수 있지만

기대. 소원을 표현할 때 쓰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말다’가 형용사 서술어

를 부정하는 명령이나 청유의 뜻이 아니라 기원의 의미로 해석된다. 이러


한 경우는 보편적인 것이 아니지만 가능하며 한국어도 베트남어와 마찬가

지다.

위에 언급한 것을 간단하게 다시 정리하자면 한국어의 ‘안’ 부정은 ‘인지


동사’와 결합 제약이 있고 ‘알다, 견디다, 깨닫다’와 같이 쓰일 수 없다고

본다. ‘못’ 부정은 대다수 형용사와 결합할 수 없고 ‘변하다, 고민하다, 염려

하다, 걱정하다, 후회하다, 실패하다, 망하다, 잃다, 당하다’등 심리동사나


부정적인 동사와 결합할 수 없다. ‘-지 말다’의 경우에는 형용사일 때에는

제약이 있지만 희망이나 기원의 의미를 가지는 ‘바라다, 좋다’등과 같이 쓰

- 65 -
일 때에는 일부 형용사와 결합할 수 있다.

베트남어 부정법은 한국어 부정법과 달리 단장형으로 통사적 분류를 하


지 않기 때문에 단장형 제약이 성립되지 않는다. 한국어 ‘안’ 부정과 대응

하는 베트남어 ‘không, chưa’ 부정은 ‘알다, 느끼다, 깨닫다, 견디다’와 같은

인지동사와 결합 제약이 없다. 베트남어 부정법에는 ‘변하다, 고민하다, 염


려하다, 걱정하다, 후회하다, 실패하다, 망하다, 잃다, 당하다’와 제약이 없

다. 한국어의 ‘말다’ 부정과 같은 ‘đừng, cấm’ 부정은 서술어가 형용사인 경

우에는 쓰이지 않고 소원을 표현할 때 쓰일 수 있다. 베트남어는 화자의


의지를 표현할 때 능력부정 ‘못’과 대응하는 ‘không thể, chưa thể’와 같이

안 쓰이고 어떤 행동은 진행하는데 그 행동이나 그 진행과정을 부정할 때

진행 보조용언 ‘-고 있다’와 대응하는 ‘đang’ 부사와 같이 안 쓰인다. 한국


어 ‘못’부정과 마찬가지로 베트남어에는 ‘không thể, chưa thể’부정은 형용

사와 결합이 제약된다. 단 화자의 어떤 상태를 이루고 싶은데 얼마나 노력

해도 그 상태에 이루지 못할 때 ‘không thể, chưa thể’부정과 같이 쓰일 수


있다.

- 66 -
3. 한국어-베트남어 부정법의 의미적 대조.

이 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법의 의미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

겠다. 그 다음에 양국어의 부정법의 의미 특징을 대조해보고자 한다. 대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

시해보겠다.

가. 객관 부정. ‘안’. ‘-지 않다’와 ‘không’. ‘chưa’부정

한국어의 객관 부정에 해당하는 ‘안’.‘-지 않다’는 베트남어의 ‘không’부

정과 대응한다. 이 객관 부정은 어떤 상태가 그렇지 않음을 표현하거나 어


떤 일이 일어나지 않음을 나표현하는 부정이다.

(71) ㄱ. 마이는 운동을 안 한다.


ㄴ. 마이는 운동을 하지 않는다.

ㄷ. Mai không tập thể dục.

(71-ㄱ)예문은 한국어 단형부정이고 (71-ㄴ)는 장형부정이다. (71-ㄱ)와

(71-ㄴ)의 부정에 대응되는 베트남어 부정은 (71-ㄷ)하나이다. ‘마이’가 운

동을 안 하는 사실을 언급하는 것이라서 능력 부정이나 금지 부정이 아닌


객관 부정에 속한다.

베트남어에서 chưa부정 부사의 뜻은 ‘không’ 부정과 비슷한데 어떤 시간

에 어떤 동작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chưa’은 한국어로 번역


하면 ‘아직 안’과 ‘아직 –지 않다’ 2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71-ㄷ)예문은

- 67 -
‘không’ 부정을 대신에 ‘chưa’부정으로 바꾸면 아래와 같다.

(72) ㄱ. 마이는 운동을 아직 안 한다.

ㄴ. 마이는 운동을 아직 하지 않는다.

ㄷ. Mai chưa tập thể dục.

나. 능력부정 ‘못’. ‘-지 못하다’와 ‘không thể’, ‘chưa thể’부정

한국어 ‘못’. ‘-지 못하다’ 부정은 의지가 아닌 능력이 부족함을 부정이거


나 외부의 원인이기 때문에 일이 주체의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 때 쓰는

부정이다. 한국어 ‘못’. ‘-지 못하다’ 부정과 대응하는 베트남어의 ‘không

thể’, ‘chưa thể’부정이 있다. 능력 부족 부정이기 때문에 서술어가 동사여


야 하고 형용사나 ‘이다’와 같이 안 쓰인다.

(73) ㄱ. 마이는 수영을 못한다.


ㄴ. 마이는 수영을 하지 못한다.

ㄷ. Mai không thể bơi.

(73)예문에서는 주어의 능력이 부족함을 표현하는 ‘능력’ 부정이다. 베트

남어에서 ‘chưa thể’부정은 능력이 부족함을 표현하는 ‘không thể’부정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며 현재는 어떤 일을 아직 할 수가 없지만 언젠가는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한국어의 ‘~ 수 없다’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74) 마이는 수영을 할 수 없다.

- 68 -
Mai không thể bơi.

다. 금지 부정

한국어의 ‘말-’ 금지 부정법은 명령문. 청유문의 부정을 뜻을 표현하는

부정이다. 이 부정은 본동사에 보조적 연결 어미 ‘-지’가 결합하고, 이어서


보조 동사 ‘말-’이 결합해서 ‘-지 말다.’ 형식으로 쓰인다.

(75) 운동하지 마라.


Đừng/chớ tập thể dục.

한국어의 ‘말다’는 동사나 ‘있다’와 같이 쓰이며, ‘형용사’나 ‘이다’와는 함


께 쓰일 수 없다. 베트남어의 ‘đừng/chớ’도 동사나 ‘있다’와만 결합할 수 있

다.

(76) * 못 생기지마라

* Đừng/chớ xấu

하지만 베트남어에서 부정부사 ‘đừng, chớ’는 어떤 경우에는 감정 형용

사와 결합할 수 있다.

(77) * 슬프지 마라.

→ 슬퍼하지 마라.

Đừng/chớ buồn.

- 69 -
서술어가 형용사인 경우에는 원칙적으로는 쓰이지 않으나 기원의 의미

를 지닐 때는 제약이 있지만 사용 가능하다.

(9) Hôm nay trời đừng lạnh thì tốt biết mấy.

(날씨가 춥지 않았으면 좋겠다.).

- 70 -
Ⅳ. 베트남인 학습자의 부정법 오류 분석

외국어를 학습할 때 여러 가지의 이유로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부

정법을 학습할 때도 마차가지다. 이러한 오류들을 제한하기 위한 여러 가

지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양국의 언어의 부정법에 대한 대조하는 선행연구는 많지 않고 또 일반

적으로 양국 부정법의 특징을 중심으로 하고 실제적으로 학습자들은 부정

법을 어떻게 습득하고 사용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설문조사와 같은 연구


가 아직까지 진행되지 않는다. 선행연구들의 내용은 논리적으로 정리되지

만 실제적으로 학습자들은 어떤 점에서 습득하기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어떤 부분에서 많이 틀린지를 알아보겠다. 이 장에서는 한국어 부정법에


대한 특징과 제약을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느 정도 파약하고 있

으며 부정법을 사용하는 데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자주 나타나는 오

류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 오류들의 원인과 그 오류를 범하지 않게 하


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다.

1. 연구대상 및 내용

이 장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가 범하는 부정법에 관한 오류 양상을 알


아보려고 설문조사를 만들었다. 설문문제는 한국어 6개의 문항으로 구성하

였고 설문조사의 대상은 베트남에 있는 대학교 한국학학과에 재학 중인 학

생들과 한국 현지에서 학습하는 베트남 유학생이며 중급 학습자가 20명(한

- 71 -
국어능력시험 3급 10명과 한국어능력시험 4급 10명), 고급 학습자가 20명

(한국어능력시험 5급 10명과 한국어능력시험 6급 10명)이 포함된다. 한국어


능력시험 초급 학생들은 실험문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이유로 설

문조사를 하지 않기로 했다.

이 설문조사는 문항별로 오류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문항 유형은 선


택형과 잘못 쓰인 부분들을 고치는 유형이며 문항들은 한국어 부정법을 성

립하는데 제약에 관한 문제로 구성하였다. 1번부터 12번 문항은 빈칸에 가

장 알맞은 것을 고르는 유형이고 13번부터 24번 문항까지는 문장의 틀린


부분을 고치는 유형이다.

설문조사는 한국어 부정법을 잘 활용할 수 있는지 한국어 부정문 성립

의 제약을 잘 파약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정법을


제외한 다른 문법 내용에 대한 실수나 오류를 언급하지 않을 것이다. 문항

별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오류 분석 결과

이 절에서 한국어 부정법에 관련된 문항을 제시하고 분석할 것이다.

설문조사 1번과 2번 문항은 부정부사의 제약에 관련된 유형이다.

[1] 나는 오늘 (안 공부했다. 공부하지 않았다.)

- 72 -
<표 4> 1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4 1 1 0
비율(%) 10 2.5 2.5 0

이 문항의 정답은 ‘공부하지 않았다’인데 ‘안 공부했다’를 선택한 학생도

있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대부분 학생들은 3급 학생이다. 위 1문항에서

볼 수 있듯이 용언이 ‘공부하다’일 때 ‘안’ 부정형으로 사용하려면 단형부정


이 성립이 안 되고 장형부정만 가능하다. 오류 결과를 보면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오류 비율이 점점 낮아진다.

[2] 그녀는 축구경기를 ( 못 구경했다. 구경하지 못했다.)

<표 5> 2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4 1 0 0
비율(%) 10.0 2.5 0 0

이 문항의 정답은 ‘구경하지 못했다’인데 ‘못 구경했다’를 선택한 학생도


있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대부분 학생들 중에 80%(5명중의 4명) 3급 학

생이다. 위 2문항에서 볼 수 있듯이2문항도 1문항과 마찬가지로 한국어 능

력이 높을수록 오류 비율이 점점 낮아진다. 1문항의 ‘공부하다’와 같은 ‘구


경하다’ 용언이‘안’ 부정형으로 사용하려면 단형부정이 성립이 안 되고 장

형부정만 가능하다.

설문조사 3. 4. 5. 6번 문항은 장형부정의 제약에 관련된 유형이다.

- 73 -
[3] 나도 그것을 (알지 않았다. 알지 못했다.)
<표 6> 3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7 9 5 3
비율(%) 17.5 22.5 12.5 7.5

이 문항의 정답은 ‘알지 못했다’인데 ‘알지 않았다’를 선택한 학생이 있었

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은 설문조사 참가하는 학생들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위 3문항에서 볼 수 있듯이 ‘알다’동사는 인지 동사로써

‘안’ 부정과 제약이 있다. 그래서 ‘알다’ 동사가 오는 문장에 ‘안’부정형으로

성립되지 않는다. 사용하려면 단형부정이 성립이 안 되고 장형부정만 가능


하다. 오류 결과를 보면 한국어 능력 고급 학생의 오류 비율이 한국어 능

력 중급 학생의 오류 비율보다 훨씬 더 낮다.

[4] 그는 고생을 (견디지 않았다. 견디지 못했다.)

<표 7> 4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6 7 1 1

비율(%) 15.0 17.5 2.5 2.5

이 문항의 정답은 ‘견디지 못했다’인데 ‘견디지 않았다’를 선택한 학생들


이 3문항보다 아니지만 37.5% 오류 비율로 많은 편이다. 3문항과 마찬가지

로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대부분 학생들 중에 중급 학생이다. 또한 [3]문항

- 74 -
의 ‘알다’동사와 같은 ‘견디다’도 인지 동사로써 ‘안’ 부정과 제약이 있기 때

문에 ‘안’부정형으로 성립되지 않는다.

[5] 취업난이 점점 심해져도 ( 걱정하지 못했다. 걱정하지 않았다.)

<표 8> 5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4 0 0 0

비율(%) 10.0 0 0 0

이 문항의 정답은 ‘걱정하지 않았다’인데 ‘걱정하지 못했다’를 선택한 학

생도 있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은 모두 다 한국어 능력시험 3급

학생이다. ‘걱정하다’는 ‘못’ 부정과 의미 충돌 때문에 같이 쓰지는 않다.

[6] 그녀를 사랑하는 마음은 ( 변하지 못했다. 변하지 않았다.)

<표 9> 6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5 3 0 0

비율(%) 12.5 7.5 0 0

5문항과 마찬가지로 ‘못’부정과 의미 충돌 때문에 이문항의 정답은 ‘변하


지 못했다’가아니라 ‘변하지 않았다’이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은

모두 다 한국어 능력 중급 학생이다.

이 유형에는 6문항의 오류 비율(20%)이 5문항의 오류 비율(10%)보다 2

- 75 -
배 더 많지만5문항과 6문항의 공통점은 한국어 능력 고급 학생들은 오류를

범하지 않다는 점이다.


설문조사 7. 8. 9. 10번은 의도. 능력 부정의 제약에 관련된 유형이다.

[7] 그 남자를 만나지 ( 않으려고. 못하려고) 아픈척했다.


<표 10> 7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2 2 2 1

비율(%) 5.0 5.0 5.0 2.5

이 문항의 정답은 ‘않으려고’인데 ‘못하려고’를 선택한 학생도 있다. 여기

에 화자의 의지를 표현하는 ‘-려고, -고자’ 연결 어미와 못’ 부정과 결합이


안 된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은 한국어 능력의 급별로 비슷하다.

[8] 이 핸드폰은 얼마 전에 고장나서 요새 별로 쓰이지 ( 않고. 못하고) 있다.


<표 11> 8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4 8 6 4

비율(%) 10.0 20.0 15.0 10

이 문항의 정답은 ‘않고’이다. 왜냐하면 ‘못’부정은 진행 보조용언 ‘-고


있다’가 결합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못하고’를 선택한 학생들이 총

22명(55%)으로 오류 비율이 7문항보다 훨씬 더 많다. 그리고 이러한 오류

- 76 -
를 범하는 학생은 한국어 능력고급과 중급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이점은 다른 문항과 이 문항의 특별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9] 그 말은 ( 못 이상하다. 안 이상하다.)

<표 12> 9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3 4 0 1

비율(%) 7.5 10.0 0 2.5

이 문항은 용언이 형용사인 경우에 ‘못’부정 결합이 제약된다. 위에 ‘이상


하다’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이문항의 정답은 ‘안 이상하다’인데 ‘못 이상하

다’를 선택한 학생이 있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은 설문조사 참가

하는 학생의 대부분이다. 오류 결과를 보면 한국어 능력 고급 학생의 오류


비율이 한국어 능력 중급 학생의 오류 비율보다 훨씬 더 낮다.

[10] 그 행동은 ( 못 타당하다. 타당하지 않는다.)


<표 13> 10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3 2 0 0
비율(%) 7.5 5.0 0 0

위 9문항에 ‘이상하다’와 같은 ‘타당하다’는 형용사라서 ‘못’부정과 같이


결합할 수 없다. 그래서 이문항의 정답은 ‘타당하지 않다’이다. ‘타당하지

- 77 -
않다’ 대신에 ‘못 타당하다’를 선택하는 학생도 있지만 오류를 범하는 학생

들이9문항보다 아니다. 9문항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대부분


학생들 중에 중급 학생이다.

설문조사 11번과 12번 문항은 명령부정의 제약에 관련된 유형이다.

[11] 큰 소리를 치지 (않자. 마라.)

<표 14> 11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2 2 0 0

비율(%) 5.0 5.0 0 0

이 문항의 정답은 ‘마라’인데 ‘않자’를 선택한 학생도 있다. 위11문항에서


볼 수 있듯이 명령문이나 청유문의 부정은 ‘안’ 부정과 ‘못’ 부정에 작용 안

되고 ‘말다’ 부정만 나타난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은 모두다 한국

어 능력 중급 학생이다. 오류 결과를 보면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오류


비율이 점점 낮아진다.

[12] 네가 예쁘지 (않자. 말아라.)


<표 15> 12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1 1 1 0

비율(%) 2.5 2.5 2.5 0

- 78 -
일반적으로 ‘말다’ 부정은 서술어가형용사인 경우에는 쓰이지 않다. 위

12문한에 ‘예쁘다’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이문항의 정답은 ‘말아라’가 아니라


‘않다’인데 ‘않다’대신에 ‘말아라’를 선택한 학생도 있었다.

설문조사 13번 ~ 16번 문항은 ‘안’부정과 ‘-지 않’ 부정의 제약에 관련된

유형이다.

[13] 지금 구름이 아침보다는 안 하얗다.

<표 16> 13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7 7 8 6

비율(%) 17.5 17.5 20.0 15.0

이 문항에서 볼 수 있듯이 서술어가 파생 형용사 ‘하얗다’일 때 ‘안’ 부정

형으로 사용하려면 단형부정이 성립이 안 고 장형부정만 가능하다. 이 문


항은 틀린 문장인데 맞는 문장이라는 학생들이 많다. 여기에 오류를 범하

는 학생들은 설문조사를 하는 학생 총 40명중에 28명(70%)이다. 그 중에 5

급 학생이 8명(20%)으로 제일 많이 틀리며 그 다음에 7명(17.5%)으로 3


급과 4급 학생은 2위이며 마지막으로 6급 학생이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은 많지만 한국어 능력 고급과 중급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14] 맨드라미가 아름답지 않은데 왜 좋아하니?

<표 17> 14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 79 -
원인수(명) 3 1 2 1

비율(%) 7.5 2.5 5.0 2.5

이 문항의 서술어가 13문항과 마찬가지로 파생 형용사 ‘아름답다’는 ‘안’

부정형으로 사용하려면 단형부정이 성립이 안 되고 장형부정만 가능하다.


이 문항은 맞는 문장이고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이 거의 없다. 틀린 학생들

중에3급 학생의 비율이 제일 높고(3명) 그 다음에 5급 학생이며 (2명) 마지

막으로 4급과 6급 학생이다(1명씩). 위 13에서 볼 수 있듯이 14문항도 13문


항과 마찬가지로 오류를 범하는 학생은 한국어 능력고급과 중급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13문항에 오류를 범하는 학생은 많은 반면에

14문항에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이 거의 없다.

[15] 평생 그 진리를 깨닫지 않아.

<표 18> 15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9 6 5 5

비율(%) 23.5 15.0 12.5 12.5

여기에 ‘깨닫다’는 인지 동사로써 ‘안’ 부정과 제약이 있기 때문에 ‘안’부

정형으로 성립되지 않는다. 이 문항은 틀린 문장이며 정답은 ‘깨닫지 못

해’인데 ‘맞다’는 학생들이 많다. 13문항보다 아니지만 62.5% 오류 비율로


많은 편이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대부분 학생들 중에 중급 학생이다.

[16] 오늘 모임에 나타나지 않자.

- 80 -
<표 19> 16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9 5 5 4

비율(%) 22.5 7.5 7.5 10.0

명령문이나 청유문의 부정은 ‘안’ 부정과 ‘못’ 부정에 제약이 있어서 ‘안’
부정과 ‘못’ 부정에 작용 안 되고 ‘말다’ 부정만 나타난다. 그래서 위 16문

항은 틀린 문장인데 ‘맞다’는 학생들이 23명(57.5%)으로 많다고 볼 수 있

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은 3급의 9명. 4급의 5명. 5급의 5명. 6급
의 4명이다. 오류 결과를 보면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오류 비율이 점점

낮아진다.

설문조사 17번 ~ 23번 문항은 의미 충돌의 ‘못’부정 제약에 관련된 유형


이다.

[17] 돈이 많이 들어도 너를 구할 수 있으면 후회하지 못한다.


<표 20> 17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6 2 3 3

비율(%) 15.0 5.0 7.5 7.5

여기에 ‘후회하다’는 ‘못’ 부정 과 의미 충돌이 있기 때문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같이 쓰지 않는다. 이 문항은 틀린 문장인데 ‘맞다’는 학생들이 많

다. 35%(14명) 오류 비율로 많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오류를 범

- 81 -
하는 학생들 중에 대부분은 중급 학생이다.

[18] 너도 그 사실을 모르지 못했지?

<표 21> 18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8 7 8 8

비율(%) 20.0 17.5 20.0 20.0

이 문항은 틀린 문장인데 맞는 문장이라는 학생들이 많다. 여기에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은 설문조사를 하는 학생 총 40명중에 31명으로 77.5%를 차

치하고 있다. 그 중에 4급 학생이 7명(17.5%)으로 제일 적게 틀리며 그

다음에 3급. 5급. 6급 학생이 급 별로 8명씩(20.0%)으로 틀린다. 이러한 오


류를 범하는 학생은 많고 한국어 능력고급과 중급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19] 많이 실수했어도 해고당하지 못했다.

<표 22> 19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7 6 6 2

비율(%) 17.5 15.0 15.0 5.0

18문항과 마찬가지로 ‘못’부정과 의미 충돌 때문에 이문항의 정답은 ‘당

하지 못했다’가 아니라 ‘변하지 않았다’이다. 이 문항에 52.5%(21명) 오류

- 82 -
비율로 많은 편이라고 볼 수 있고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은 한국어 능력 중급 학생이다.

[20] 회식을 참석하지 못하려고 배가 아프다고 했다.

<표 23> 20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8 4 3 2

비율(%) 20.0 10.0 7.5 5.0

이 문항의 정답은 ‘회식을 참석하지 않하려고 배가 아프다고 했다’인데

‘회식을 참석하지 못하려고 배가 아프다고 했다’는 ‘맞다’고 학생도 있다.

여기에 화자의 의지를 표현하는 ‘-려고, -고자’ 연결 어미와 ‘못’ 부정과 결


합이 안 된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은 한국어 능력 중급이 12명

(30%)으로 제일 많고 한국어 능력 고급 학생이 5명으로 12.5% 차지하고

있다.

[21] 요새 살이 많이 쪄서 옛날 옷을 입지 못하고 있다.

<표 24> 21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10 7 10 9

비율(%) 25.0 17.5 25.0 22.5

- 83 -
이 문항의 정답은 ‘살이 많이 쪄서 옛날 옷을 입지 않고 있다’이다. 외냐

하면 ‘못’부정은 진행 보조용언 ‘-고 있다’가 결합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하


지만 ‘살이 많이 쪄서 옛날 옷을 입지 못하고 있다’는 ‘맞다‘는 학생들이 총

40명중에 36명(90%)으로 오류 비율이 어떤 문항보다 훨씬 더 많다. 그리고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은 한국어 능력고급과 중급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설문조사 21번과 22번 문항은 형용사인 용언과 ‘못’부정 결합의 제약에

관련된 유형이다.

[22] 그녀는 날씬하지 못할까?


<표 25> 22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4 3 1 1

비율(%) 10.0 7.5 2.5 2.5

이 문항은 용언이 형용사인 경우에 ‘못’부정 결합이 제약된다. 위에 ‘날씬

하다’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이 문항의 정답은 ‘그녀는 날씬하지 못할까?’는


틀린 문장인데 맞다고 학생이 있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은 설문

조사 참가하는 학생 중에 대부분이 중급 학생들이다. 오류 결과를 보면 한

국어 능력 고급 학생의 오류 비율이 한국어 능력 중급 학생의 오류 비율보


다 훨씬 더 낮다.

[2] 같은 팀 친구라서 원망스럽지 못했다.

- 84 -
<표 26> 23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6 9 6 1

비율(%) 15.0 22.5 15.0 2.5

위 22문항에 ‘날씬하다’와 같은 ‘원망스럽다’는 형용사라서 ‘못’부정과 같


이 결합할 수 없다. 이 문항은 맞다고 하는 학생도 있으며 22명(55%)으로

같은 유형인 21문항보다 오류를 범하는 학생은 훨씬 더 많다. 그리고 21문

항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대부분 학생들 중에 중급 학생이


다. 구체적으로 3급 학생의 6명. 4급 학생의 9명. 5급 학생의 6명. 6급 학생

의 1명은 오류를 범했다.

설문조사 24번 문항은 ‘말다’부정의 제약에 관련된 유형이다.

[24] 내일 날씨가 덥지 말았으면 좋겠다.

<표27> 24 문항 급별 오류 비율

중급 고급

3급 4급 5급 6급

원인수(명) 7 6 10 8

비율(%) 17.5 15.0 25.0 20.0

일반적으로 ‘말다’ 부정은 서술어가형용사인 경우에는 쓰이지 않다. 위

- 85 -
24문한에 ‘덥다’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이 문항은 틀린다고 볼 수 있지만II

장에 언급한 바와 같이 기대. 소원을 표현할 때 쓰일 수 있다. 오류 결과에


볼 수 있듯이 이 점을 파약하지 못한 학생들은 많다. 특히 이 문항에 고급

학생은 45%(18명)로 22.5%(13명)를 차지하고 있는 중급 학생보다 오답률

이 더 높다.

지금까지 오류 결과를 분석하였고 그 오류의 원인을 알아보겠다.

<표 28> 1~12 문항 유형별 오답률 비율

유형 1 2 3 4 5 6

문항 1 2 3 4 5 6 7 8 9 10 11 12

중급 5 5 16 13 4 8 4 12 7 5 4 2
인원
수 고급 1 0 8 2 0 0 3 10 1 0 0 1
(명)
합계 6 5 24 15 4 8 7 22 8 5 4 3

중급 12.5 12.5 40.0 32.5 10.0 20.0 10.0 30.0 17.5 12.5 10.0 5.0

비율
고급 2.5 0 20.0 5.0 0 0 7.5 25.0 2.5 0 0 2.5
(%)

합계 15.0 12.5 60.0 37.5 10.0 20.0 17.5 55.0 20.0 12.5 10.0 7.5

설문조사 3번부터 4번 문항의 경우 중. 고급 단계 학습자들의 오답률이 제

일 높다. 3번 문항의 오답률은 60%이며 4번문항의 오답률은 37.5%이다. 이


두 문항은 다 ‘안’ 부정의 제약에 관련된 문제다. 여기서 ‘알다’와 ‘견디다’

는 인지 동사로써 ‘안’ 부정과 제약이 있다.

‘안’ 부정은 인지동사와 제약에서 각각 낮은 정답률을 보였고 중급 학습

- 86 -
자의 경우는 ‘안’ 부정법과 ‘알’ 인지동사의 제약과 ‘견디다’ 인지동사의 제

약을 잘 인식하지 못한다고 보일 수 있다. 고급 학습자의 경우는 중급 학


습자의 경우와 달리 ‘안’ 부정법과 ‘알-’ 인지동사의 제약의 오답률이 20%

로 잘 인식하지 못한다고 볼 수도 있지만 ‘안’ 부정법과 ‘견디다’ 인지동사

의 제약은 비교적 잘 알고 있어서 오답률이 5% 정도로 높지 않은 편이다.


설문조사 결과에 불 수 있듯이 같은 인지동사인 ‘알다’와 ‘견디다’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이 같지 않다. 이에 대한 이유는 모국어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한국어의 ‘알다’의 부정형은 단형부정도 장형부정도 아닌 특수 부정


에 속한 ‘모르다’인 반면에 베트남어의 ‘알다’(biet)의 부정형은 부정소

‘không/chưa’ (‘안’)이나 ‘không thể/chưa thể’ (‘못’)를 ‘알다’(biết) 앞에 붙

은 통사적 방법으로 실현된다. 학습자들은 베트남어의 ‘알다’의 부정형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한국어의 ‘알다’의 부정을 실현하기 때문에 오류가 생길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견디다’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견디다’는 한국어

와 마찬가지로 베트남어에도 통사적 방법으로 부정형을 성립할 수 있다.


III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차이로 이러한 오류가 발

생한다. 이는 ‘안’ 부정의 제약이 있는 같은 인지동사인데 ‘알다’와 ‘견디다’

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설명된다.


다음으로 오답률 55%인 8번 문항은 ‘못’부정과 진행 보조용언 ‘-고 있다’

결합의 제약에 관련된 문제이다.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이 총 22명(55%)이

며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은 한국어 능력고급과 중급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이는 7문항의 비슷한 점이 있다. 화자의 의지를 표현하는 ‘-려

고, -고자’ 연결 어미와 ‘못’ 부정과 결합의 제약에 관련된 문제이다. 이 문

제에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이 7명(17.5%)으로 8문항의 오류률보다 높은 편


은 아니지만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은 한국어 능력고급과 중급의 차이

가 거의 없다고 본다. 이점은 다른 유형 문제와 이 유형의 문제들의 특별

- 87 -
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8문항의 오답률의 높은 이유는 바로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법의 용법


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이다. 한국어 ‘못’ 부정은 진행 보조용언 ‘-고 있다’

와 결합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진행 보조용언 ‘-고 있다’가 오는 문장에

‘못’ 부정은 나오면 안 된다. 한국어와 달리 베트남어 경우에는 어떤 행동


은 진행하는 과정을 부정 표현할 때 ‘안’ 부정과 ‘못’ 부정을 제약 없이 둘

다 허용된다. 베트남어에는 이러한 제약이 없기 때문에 한국어 능력 별로

구별 없이 8문항의 오답률의 높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표 29> 13∼24 문항 유형별 오답률 비율

유형 1 2 3

문항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중급 14 15 14 14 15 8 13 12 17 7 15 13
인원수
고급 14 10 9 9 16 6 8 5 19 2 7 18
(명)
합계 28 25 23 23 31 14 21 17 36 9 22 31

중급 35 38.5 35.0 35.0 37.5 20.0 32.5 30.0 42.5 17.5 37.5 32.5
비율
고급 35 25.0 22.5 22.5 40.0 15.0 20.0 12.5 47.5 5.0 17.5 45.0
(%)
합계 70.0 62.5 57.5 57.5 77.5 35.0 52.5 42.5 90.0 22.5 55.0 77.5

설문조사 21 번 문항은 90%(36명)학습자들의 오답률이 나왔는데 이 문

항은 ‘못’부정과 진행 보조용언 ‘-고 있다’ 결합의 제약에 관련된 문제이다.


오류를 범하는 학생들이 총 36명(90%)이며 한국어 능력 고급 핵생은 19명

으로 오답률은 47.5%를 차지하고 있고 한국어 능력 중급 핵생은 17명으로

오답률은 42.5%를 차지하고 있다. 오류 결과에 보면 한국어 능력 고급과

- 88 -
중급에 상관없이 학생들은 못’부정과 진행 보조용언 ‘-고 있다’ 결합의 제

약에 대한 파약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21문항은 8문항과 같은 문제이며 21문항의 오답률의 높은 이유는 바로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법의 용법에 대한 차이이다. 한국어 ‘못’ 부정은 진

행 보조용언 ‘-고 있다’와 결합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진행 보조용언 ‘-고


있다’와 ‘못’ 부정은 같이 안 나온다. 하지만 베트남어에는 어떤 행동은 진

행하는 과정을 부정 표현할 때 ‘안’ 부정과 ‘못’ 부정을 다 허용되기 때문에

20문항의 오답률이 높은 것을 이해하기가 어렵지 않다.


17번 문항과 24번 문항은 77.5%(31명) 오답률로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 수는 한국어 능력 고급과 중급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앞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말다’ 부정은 서술어가 형용사인 경


우에는 쓰이지 않다. 하지만 기대. 소원을 표현할 때 쓰일 수 있다. 오류

결과에 볼 수 있듯이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 점을 파약하지 못한다. 그리고

예상외에 다른 문항과 24문항의 특별한 점은 고급 학생의 오답률이 중급


학생보다 더 높다는 것이다. 이는 한국어나 베트남어에는 특별한 경우라고

할 수 있으니 일반적인 경우보다 학생들의 학습하는 데 집중을 덜 받는다

고 볼 수 있다.
13번 문항은 오답률 70%(28명)로 이 문항은 서술어가 파생 형용사 ‘하얗

다’일 때 ‘안’ 부정형으로 사용하려면 단형부정이 성립이 안 되고 장형부정

만 가능하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학생은 많지만 한국어 능력고급과 중


급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13번 문항과 같은 유형인데 14문항은 오

답률이 거의 없었다. 이 이유는 단어의 능숙도로 설명할 수 있다. 13번 문

항의 ‘하얗다’보다 14번 문항의 ‘아름답다’의 쓰는 빈도가 더 높아서 정답


률이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그 다음에 15문항의 오답률은 62.5(25)%으로 이 문항은 ‘안’ 부정의 제약

- 89 -
에 관련된 문제다. ‘안’ 부정은 인지동사와 제약에서 각각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여기서 ‘깨닫다’는 인지 동사로써 ‘안’ 부정과 제약이 있다. 고급 학


습자의 경우는 ‘안’ 부정법과 ‘견디다’ 인지동사의 제약에서 잘 인식해서 오

답률이 5% 과하지 않은 반면에 ‘안’ 부정법과 ‘깨닫다’ 인지동사의 제약에

서 잘 인식하지 못해서 오답률이 20%를 차지하고 있다. 고급 하습자와 달


리 중급 학습자의 경우는 ‘안’ 부정법과 ‘견디다’ 인지동사의 제약과 ‘안’ 부

정법과 ‘깨닫다’ 인지동사의 제약에 대한 인식이 비슷하다. 설문조사 결과

에 불 수 있듯이 같은 인지동사인 ‘알다’와 ‘견디다’와 ‘깨닫다’에 대한 학습


자의 인식이 같지 않다.

- 90 -
Ⅴ. 결 론

이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법 대조를 통해 양국 언어 부정법

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대응 표현을 대조하였다. 이 유사점과 차이

점들을 통해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부


정법 학습과 베트남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한국인 학습자들의 베트남어 부

정법 학습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구 내용 및 논의 구성

을 언급하고 양국어의 부정법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제 2장에서 한국어 부정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술한 것이다. 구체적으


로 한국어 부정법과 베트남어 부정법의 정의와 분류를 제시할 것이다.

제 3장에서 제2장에서 제시한 것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법

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 분석한다. 그리고 이런 한 공통점과 차이점은


학습자들에게 부정법을 습득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분석하였다.

한국어와 베트남어가 부정이라는 문법 범주를 실현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설문조사를 통해 언어 간섭현상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베


트남어부정법의 특징을 분석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법은 통사적으로 안’, ‘못’, ‘말-’과 ‘không’,

‘chưa’, ‘không thể’, ‘chưa thể’ 등과 같은 부정소들을 사용하여 부정문을


생성한다.

그리고 형식적으로 부정문이 아니더라도 의미적으로 부정의미를 나타내

는 문장들도 부정문으로 보았다. 한국어 평서문과 의문문에는 부정소 ‘안’

- 91 -
과 ‘못’을 사용하며 청유문과 명령문에는 부정소 ‘말다’를 사용하여 부정법

이 실현된다. 베트남어는 평서문과 의문문에는 부정소 ‘không’, ‘chưa’와


‘không thể’, ‘chưa thể’를 사용하고 청유문과 명령문에는 부정소 ‘cấm’, ‘

đừng’, ‘chớ’를 사용하여 부정법이 성립된다.

교착어인 한국어는 실질적인 의미가 있는 단어와 결합하여 문법기능을


표현하지만 고립어 특성을 가진 베트남어는 주로 어순으로 문법기능을 표

현한다.

한국어는 부정소가 한정되어 있는 반면에 베트남어 부정법에는 부정소


가 다양하다. 베트남어 부정소는 ‘không, chẳng, chưa, chả, không thể,

chẳng thể, chưa thể đâu thể’ 등과 같은 부정부사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부정부사 말고 ‘đâu-어디’, ‘nào-어느’, ‘gì-무엇’과 같은 양태사들도 포함된


다. 또한 복합부정 ‘không phải, chẳng phải, chưa phải, chả phải, đâu

phải, nào có phải’가 다 포함하면 수많은 부정소가 실현된다.

교착어인 한국어는 부정법은 통사적으로 단.장형 부정으로 나누며 고립


어인 베트남어는 부정법은 단형 부정만 있고 장형 부정이 없다. 한국어 부

정문과 베트남어 부정문에서 부정부사가 차지하는 위치가 다르다. 한국어

부정은 통사적 구조에 의해 단형부정과 장형부정으로 나눈다. 단형부정에


서 부정부사‘안’과 ‘못’은 용언의 앞 위치에 차지하고, 장형부정에서 보조용

언인 ‘-지 않다’, ‘-지 못하다’, ‘-지 말다’는 용언의 뒤에 위치한다. 그렇지

만 베트남어의 부정문에서 부정부사는 일반적으로 주어 뒤에 있거나 동사


구 앞에 있다.

한국어 단형부정문의 제약을 살펴보면 부정부사 ‘안’은 동사, 형용사를

부정할 수 있으나 ‘못’은 형용사와 제약이 있다. 한국어 안’과 대응하는 베


트남어의 ‘không’, ‘chưa’은 동사 형용사를 부정할 수 있지만 ‘못’과 대응하

는 ‘không thể’, ‘chưa thể’는 일반적으로 동사와 같이 쓰이고 형용사와 같

- 92 -
이 사용할 수 없다.

한국어 부정법은 의미에 의하여 객관부정, 의지부정, 능력부정으로 나눌


수 있음으로 ‘안’부정은 객관부정이면서 의지부정이기도 한다. ‘안’ 단형부

정은 인지동사와 제약이 있는데 대응되는 베트남어의 ‘không’, ‘chưa’ 부정

은 제약이 없다.
한국어의 ‘안’부정과 ‘못’부정은 과거, 현재, 미래시제를 모두 부정할 수

있다. 베트남어의 ‘không’, ‘không thể’ 부정도 일반적으로 과거, 현재, 미래

시제에 다 사용할 수 있지만 ‘chưa’, ‘chưa thể’부정은 과거, 현재 시제에 쓰


이지만 미래 시제에 제약이 있다.

한국어 ‘말다’부정문과 베트남어 ‘đừng’, ‘chớ’부정은 금지, 중지의 의미를

나타낸 명령문과 청유문에 쓰이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어의 ‘말다’는 보조


용언으로써 장형부정에만 사용되며 베트남어 ‘đừng’, ‘chớ’부정은 부정부사

로 사용된다. 한국어 ‘말다’부정문과 베트남어 ‘đừng’, ‘chớ’부정은 서술어가

형용사와 같이 쓰는 것은 원칙적으로 안 되지만 기원의 의미를 지닐 때는


가능하다. 그리고 명령문과 청유문이 아닌 평서문에 쓰일 때도 있는데 이

경우는 금지, 중지의 의미가 없이 기원하는 의미를 지녀서 쓰임도 가능하

다.
양국 언어 모두 부정에 의한 중의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의성의 문제는 한국어는 대조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보조사 ‘은/는’을 사

용하며 베트남어에서 어순에 따라 중의성이 해소된다.


제 4장에서 한국어 부정법을 학습할 때 베트남 학습자들의 자주 범하는

오류 분석 진행하는 것이다. 이 장에서는 한국어 부정법에 대한 특징과 제

약을 베트남인 한국어를 학습자들이 어느 정도 파약하고 있으며 부정법을


사용하는 데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자주 나타나는 오류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 오류들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한다. 설문 조사 결

- 93 -
과를 통해서 한국어 학습자가 오류를 범하는 베트남어의 간섭은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대부분 한국어 학습자의 부정법에 대한 오류는


‘안’ 부정은 인지동사와 제약이 있다는 것을 파약하지 못하는 것이다. 한국

어의 ‘알다’의 부정형은 특수 부정에 속한 반면에 베트남어의 ‘알다’(biết)의

부정형은 통사적 방법으로 실현된다. 한국어 부정법을 실현하는 방법과 베


트남 부정법을 실현하는 방법의 차이로 한국어 학습과정에 언어적 간섭현

상으로 오류가 생긴다. 한국어 ‘못’ 부정은 ‘-고 있다’와 결합의 제약이 있

다. 한국어와 달리 베트남어 경우에는 제약 없이 이러한 ‘안’ 부정과 ‘못’


부정을 둘 다 허용되기 때문에 한국어 부정법의 제약을 습득하는데 어려움

을 겪고 있다.

한국어 부정법에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부정법의 특징에 대해


서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혼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부정법

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혼동하기 쉬운 부정법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

과 같다.
'안'부정이 '못'부정보다 배우기가 조금 더 쉬워서 '안'부정문을 먼저 학

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안'부정과 '못'부정을 동시에 학습하고

바로 비교하는 것은 쉽게 혼동할 수 있다. 그리고 '안'부정과 '못'부정을


교육할 때는 이론을 제시하는 것도 좋지만 사례와 실생활의 대화를 통해 '

안'부정과 '못'부정의 용법을 습득하게끔 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일 것

이다.
대부분의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단형부정과 장형부정의 쓰임을

잘 구분하는 데도 부정문을 자연스럽게 교수하는 것이 쉽지 않다. 가장 간

단한 문법의 범주이면서도 적지 않은 오류를 보이는 표현이기 때문에 주의


할 필요가 있다. 베트남어 부정법과 달리 한국어 부정법에 장·단형부정으

로 나누어져서 베트남인 학습자에게 혼동시킬 수 있다. 때문에 이를 동시

- 94 -
에 교육하면 혼동할 수도 있어서 따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요목을 설정할 때 제약을 잘 받지 않는 장형 부정문부터 가르


쳐 주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부정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으나 베트남어 부

정법에 대해 선행 연구가 많지 않아 연구자의 직관에 의존하였다는 한계점


이 있다. 한국어 부정법과 베트남어 부정법에 대해 체계적인 정리와 아울

러 양국 언어의 부정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여 한국어와 베트남어

의 부정법을 배우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양국


언어의 오류 분석하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한국어 부정법을 습득할 때

파악하기가 어려운 점과 오류가 생성되는 문법적 어려운 점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행하며 얻는 결과를 분석한 것에 의의를 두며 앞으로 베트남어에


대한 많은 연구자가 나와서 더 풍부한 언어자료가 축적되기를 바란다.

- 95 -
참고 문헌

[단행본]

고영근·남기심,『국어의 통사·의미론 』, 탑출판사, 1983.

고영근,『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 』, 탑출판사, 1987.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 집문당, 2008.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 믿음사, 1992.

권재일, 『한국어 문법사 』박이정, 1998.


남기심, 『현대국어 통사론 』, 태학사도서출판사, 2001.

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 탑출판사, 1985.

박정규, 『국어 부정문 연구 』, 보고사, 1996.


박정규, 『국어 부정문의 체계적 연구』, 보고사, 2002.

박형우, 『부정문의 유형 분류』, 『청람어문교육』,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송경안.이기갑 외,『언어유형론 1-품사/문장유형/어순/기본문형 , 월인, 2008.


송경안.이기갑 외, 『언어유형론 3-시제와 상/양상/조동사/수동태 』, 월인, 2008.

안경환, 『So sánh trật tự từ các thành tố trong danh ngữ tiếng Việt và tiếng

Hà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제 4권, 1995.


윤평현, 『국어 의미론 』, 역락, 2008.

이지영,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 한국문화, 2008.

임홍빈, 『국어 부정문의 통사와 의미』, 서울대학교, 1987.


임홍빈∙장소원, 『국어 문법론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5.

임홍빈, 『문법 연구와 자료-부정법 』(이의섭 선생 회갑 기념 논총), 태학사, 1998.

우형식, 『한국어 문법론 』,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3.


허재영, 『부정문의 통사적 연구 』, 역락출판사, 2002.

- 96 -
Cao Xuân Hạo, 『Nhận định tổng quát, phủ định tổng quát, phủ định

tính tổng quát của nhận định tổng quát và phủđịnh tổng quát』,
『Tạp chí Ngôn Ngữ 8』, 1999, pp. 2-8.

Cao Xuân Hạo, 『Tiếng Việt-Sơ thảo ngữ pháp chức năng, tập 1』,Nxb

Khoa học Xã hội, tp Hồ Chí Minh,1991.


Cao Xuân Hạo, 『Câu trong tiếng Việt, Quyển 1』, Nxb Giáo Dục,

2003.

Cao Xuân Hạo, 『Tiếng Việt sơ thảo ngữ pháp chức năng』, Nxb Giáo
Dục, 2008.

Diệp Quang Ban, 『Ngữ pháp tiếng Việt』, Nxb Giáo Dục, 1996.

Diệp Quang Ban, 『Ngữ pháp tiếng Việt, Tập hai』, Nxb Giáo Dục,
2008.

Diệp Quang Ban - Hoàng Văn Thung, 『Thực hành ngữ pháp tiếng

Việt』, Nxb Giáo dục, 1993.


Đào Thanh Lan, 『Phân tích cấu trúc câu đơn tiếng Việt theo câú trúc

Đề-Thuyết』, Nxb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2002.

Đinh Trọng Lạc, 『99 phương tiện và biện pháp tu từ tiếng Việt』,Nxb
Giáo dục, 2000.

Hồ Lê, 『Cú pháp tiếng Việt II』, NXB Khoa Học Xã Hội Hà Nội,

1992.
Lê Anh Xuân, 『Trả lời dưới dạng câu nghi vấn gián tiếp thực hiện

hành vi phủđịnh』, 『Ngôn ngữ vàđời sống 11』, 2000, pp.3-5.

Lưu Kiếm Thanh, 『Bàn về quan hệ cấu trúc ngữ pháp của một kiểu
đoản ngữ động từ tiếng Việt』 (thành tố trung tâm + đối tượng

trực tiếp + đối tượng gián tiếp + thành tố phương thức. Trong

- 97 -
những vấn đề ngôn ngữ học về các ngôn ngữ phương đông) , Nxb

KHXH, 1986.
Lưu Văn Lăng - Nguyễn Kim Thản - Nguyễn Văn Tu, 『Khái luận

Ngôn ngữ học』, Nxb Giáo dục, 1961.

Hoàng Phê, 『Phân tích Ngữ pháp』, 『Ngôn Ngữ số 2』, 1975, pp.
10-26.

Nguyễn Công Đức, Bài giảng』Tiếng Việt và thực hành tiếng Việt』,

1995.
Nguyễn Đức Dân, 『Lôgích và sự phủđịnh trong tiếng Việt』, 『Tạp chí

Ngôn Ngữ 3』, 1977, pp.42-52.

Nguyễn Đức Dân, 『Phủđịnh và bác bỏ』, 『Tạp chí Ngôn Ngữ 55』,
1983, pp.27-34.

Nguyễn Đức Dân - Nguyễn Thị Yên, 『Thang độ, phép so sánh và sự

phủ định』, 『Ngôn Ngữ 57』, 1983, pp.21-29.


Nguyễn Hữu Thọ, 『Cách nói phủđịnh của tiếng Việt bằng tên gọi một

vài loài vật』, 『Tạp chí Ngôn Ngữ 9』, 2005, pp.72-78.

Nguyễn Kim Thản, 『Nghiên cứu về ngữ pháp Tiếng Việt T1,2』, Nxb
Khoa học, 1963.

Nguyễn Kim Thản, 『Cơ sở Ngữ pháp tiếng Việt』, Nxb KHXH, 2008.

Nguyễn Phú Phong, 『Vôđịnh, nghi vấn và phủ định』, 『Tạp chí Ngôn
Ngữ 2』, 1994, pp.8-13.

Nguyễn Thị Ngọc Tiến, 『Cách thức biểu đạt nghĩa phủđịnh trong

tiếng việt』, Trường ĐHSP Tp. HCM, 1999.


Nguyễn Văn Hiệp,『Cở sở ngữ nghĩa phân tích cú pháp』, Nxb GD,

2007.

- 98 -
[학위논문]

김동식, 『현대국어 부정법의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김인숙, 『한국어 부정의 제약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박정규, 『현대국어의 부정문연구-의미해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이잠석, 『국어 부정문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임춘희,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법 대비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한길, 『한국어 부정어에 관한 연구― ‘아니다’, ‘없다’, ‘말다’의 해체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1987.

신원재, 『현대국어 부정표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쩐 티 탄 프엉, 『한국어-베트남어 부정표현 대조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Cho Myeong Sook, 『So sánh lớp từ Hàn - Hàn và Hàn - Việt』,Luận
văn tiến sĩ Ngữ Văn, ĐHQG TPHCM, 2010.

Nguyễn Thị Tuyết Mai, 『Câu trần thuật khẳng định và phủđịnh trong

tiếng Việt và tiếng Anh: bình diện dụng học』, luận văn Thạc sĩ,
ĐHQG TPHCM - Trường KHXH&NV, 2006.

Nguyễn Thiện Giáp, 『Cơ sở ngôn ngữ học』, Nxb KHXH, 1997.

Nguyễn Trần Thùy Ngân(1998), 『Các kiểu phủđịnh ở vị ngữ trong câu
đơn tiếng Việt』, Luận văn tốt nghiệp, ĐHQG TPHCM - Trường

KHXH&NV, 1983.

- 99 -
Phan Thúy Khanh, 『Khẳng định và phủđịnh trong giao tiếp tiếng Việt

so sánh với tiếng Anh』, luận văn Thạc sĩ, ĐHQG - Trường
KHXH&NV, 2005.

- 100 -
국문초록

본고는 한국어의 부정법과 베트남어의 부정법을 대상으로 연구한다. 한국어의


부정법과 베트남어의 부정법의 정의와 분류를 먼저 살핀 후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법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그 특성을 바탕으로 양국어의 부정법을 대조해
보고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본다.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학습자들에게 부정법을 습득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한국어 부정법을 학습하는 베트남 학습자들은 학습 과정에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습자가 자주 범하는 오류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문제 분석을 통해 오류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한국어를 배우는 베트남 학습자와 베트남어를 배우는 한국 학습자들에게
부정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고에서는 주로 한국어의

부정법과 베트남어의 부정법을 전제적으로 대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하기


때문에 관련된 자료를 참고하며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층위별 부정 범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논문에서 논의하고 있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구 내용 및 논의 구성을
언급하고 양국 언어의 부정법의 선행 연구를 검토할 것이다.
제 2장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부정법과 베트남어 부정법의 정의와 분류를 제시할 것이다.
제 3장에서 제2장에서 제시한 것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두 언어의 부정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학습자들에게 부정법을 습득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분석할
것이다.
제 4장에서 한국어 부정법을 학습할 때 베트남 학습자들의 자주 범하는 오류
분석 진행하는 것이다. 이 장에서는 한국어 부정법에 대한 특징과 제약을
베트남인 한국어를 학습자들이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으며 부정법을 사용하는 데

- 101 -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자주 나타나는 오류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
오류들의 원인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다.
제 5장에서는 위에서 한국어 부정법과 베트남어 부정법에 대한 대조연구와
부정법 오류 분석을 통해 본고에서 고찰한 몇 가지의 결론을 제시하고 논문의
전체 연구 내용을 정리할 것이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법에 대해 각각 실현방법과 오류 양상을 살펴보고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며 한국어를 학습하는 베트남
학습자들과 베트남어를 학습하는 한국 학습자들이 상대 언어를 더 잘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102 -
Tóm tắt tiếng Việt

Luận văn này tiến hành nghiên cứu về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của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rước tiên, luận văn nêu định nghĩa và phân loại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ừ đó có thể nắm bắt được những đặc
trưng trong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của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rên cơ sở
những đặc trưng đó, luận văn đưa ra sự so sánh về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của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ìm ra những điểm giống nhau và khác nhau giữa
hai ngôn ngữ. Luận văn cũng xem xét những điểm giống nhau, khác nhau này

có ảnh hưởng như thế nào đến quá trình học tập và tiếp thu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của học viên. Bên cạnh đó để tìm hiểu những học viên Việt Nam
học tiếng Hàn và những học viên Hàn Quốc học tiếng Việt trong quá trình học

tập đã gặp những khó khăn gì, thường phạm những lỗi sai nào, luận văn đã
tiến hành phân tích những lỗi sai thường gặp về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Thông qua các dạng thức lỗi gặp phải, chúng ta có thể nắm bắt được

nguyên nhân của nó và nâng cao nhận thức của các học viên về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Mục đích chủ yếu của luận văn này là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một cách toàn diện về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của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nên
đã tham khảo những tài liệu có liên quan và sử dụng các phương pháp luận
hình thái, cú pháp, ngữ nghĩa.
Những điểm chính mà luận văn đề cập đến có thể tóm tắt lại như sau.
Chương 1 trình bày mục đích và sự cần thiết của nghiên cứu, đề cập đến
nội dung nghiên cứu và cấu trúc của luận văn, đánh giá các nghiên cứu đi
trước về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của hai ngôn ngữ .
Chương 2 luận văn trình bày về nghiên cứu đi trước về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Cụ thể, luận văn trình bày định nghĩa và
phân loại về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 103 -
Chương 3, dựa trên những gì được trình bày trong Chương 2, luận văn so
sánh và phân tích những điểm giống và khác nhau của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Luận văn cũng phân tích những điểm giống và
khác biệt này có ảnh hưởng gì đến học viên trong quá trình học tập về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của hai ngôn ngữ.
Chương 4, luận văn tiến hành phân tích những lỗi sai mà học viên Việt Nam
thường phạm phải trong quá trình học về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tiếng Hàn.
Mục đích của chương này là nắm bắt được đặc trưng và giới hạn của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tiếng Hàn và tìm hiểu xem trong quá trình sử dụng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tiếng Hàn có khó khăn gì, những lỗi thường phạm phải

là gì.
Chương 5, thông qua nghiên cứu so sánh về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của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và kết quả phân tích những lỗi sai, luận văn trình bày

một số kết luận và tổng kết lại nội dung của toàn luận văn.
Dựa trên cách thức cấu thành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kết quả phân tích dạng thức lỗi sai, luận văn làm sáng rõ điểm

tương đồng và khác biệt trong phương pháp phủ định của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ừ đó góp phần nâng cao hiểu biết của học viên Việt Nam học tiếng Hàn
và học viên Hàn Quốc học tiếng Việt về ngôn ngữ của đối phương.

- 10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