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1

[연구논문] ISSN 1225-1151 (Print)

ISSN 2234-0793 (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 44, No. 3 (2020) p.441~451
https://doi.org/10.5850/JKSCT.2020.44.3.441

고종의 동가(動駕)시 복식에 대한 연구


-「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를 중심으로-

구영미⋅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Study of King Gojong's Costumes


in His Excursion on a Royal Carriage
-Focused on the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大韓帝國動駕圖 )”-

Young Mi GuㆍNa Young Hong †


Dept. of Fashion Industry, Ewha Womans University
Received November 26, 2019; Revised January 6, 2020; Accepted January 30, 202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progress and regulations on costumes in the king's ex-
cursion by a royal carriage and then investigates King Gojong's costumes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To examine the regulations on costumes in the king's excursion by a royal carriage, there are unique
costumes, ‘Ikseongwan and Gangsapo’ for the great 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Ikseongwan and Gangsapo’ are not provided in the cod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us, it
was not provided in the regulations, in the actual execution of the ritual, the king put on ‘Ikseongwan and
Gangsapo,’ so ente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it was legislated as ‘Ikseon-gwanbok’ in Daehan-yejeon.
There is a scene in the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in which the king pays a visit on Yeon, hold-
ing ‘Gyu’ in ‘Ikseongwan and Gonryongpo’. However, holding ‘Gyu’ on Yeon in ‘Ikseongwan and Gon-
ryongpo’ can be seen in King Gojong's royal procession to hold Jongmyo Chunhyangdaeje in the year of
Gabo (1894).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compromise for the ritual despite not being regulated by
law.
Key words: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Gangsapo, Ikseongwan, King Gojong, Daehan-yejeon;
「대한제국동가도」, 강사포, 익선관, 고종, 대한예전

I. 서 론 내외에 드러내기 위해 주기적으로 행차하였는데(Lee,


2007) 이를 동가(動駕), 행행(行幸)이라고 한다. 왕만
조선은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예(禮)를 통해 이 가질 수 있는 시위(侍衛)와 의장(儀仗) 등 다양한 상
유교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왕은 의례를 통해 징물로 치장하고 궁궐 밖을 나가는 행차는 하나의 정
권력 행사의 정당성을 부여하였고, 자신의 권위를 대 치적인 행위였다(Kim, 2005).

Corresponding author 왕의 동가는 많은 사람들과 의장물들이 움직여야
E-mail: nyhong@ewha.ac.kr 하는 큰 행사이다. 동가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본 논문은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임. 신분에 맞게 의장(儀章)을 갖추어야 했고, 의장(儀仗)

ⓒ 2020,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All rights reserved.
– 441 –
한국의류학회지 Vol. 44 No. 3, 2020

역시 규정된 순서에 맞게 위치하여야 했다. 이러한 廟永寧殿儀) · 행능의(幸陵儀)’조(Lee, 1744/1982), 뺷대


순서를 기록해 놓은 것이 반차도(동가도)이다. 정조는 한예전(大韓禮典)뺸의 ‘거가출궁 · 거가환궁’조(Korean
동가반차도를 처음 제작한 왕이며, 1795년(정조 19) Empire Saryeso, n.d./2018a), ‘알종묘영녕전의(謁宗廟
의 현륭원행(顯隆園幸)을 기록한 뺷원행을묘정리의궤 永寧殿儀 ) · 행능의’조(Korean Empire Saryeso, n.d./
(園幸乙卯整理儀軌)뺸의 반차도는 그의 기획 아래 완성 2018b)에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을 통해 조선 전기에
도를 높일 수 있었다(Leeum, Samsung Museum of Art, 서 대한제국기까지 왕의 도성 내 · 외 동가 시 복식에
2011). 「정리의궤반차도」는 이후 동가에 관련된 반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차도 제작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제국동가도(大韓
帝國動駕圖)」도 그중 하나로 생각된다. 1. 도성 내 동가 복식
「대한제국동가도」에는 왕을 그리지 않는 전통적
인 회화와 달리 왕의 모습이 네 번에 걸쳐 등장하고 조선 전기에서 대한제국기까지 왕이 도성 내 동가
한자와 한글의 오기, 배접의 순서 오류로 인해 제작 를 할 때 출궁 · 행례 · 환궁 시 입는 복식은 <Table 1>
배경과 시기에 의견이 분분한 작품이다(Ewha Wo- 과 같다.
mans University Museum, 2018). 그러나 동가 행렬에 조선 전기에 왕이 대사(大祀)를 위해 사직 · 종묘로
참여한 인물의 관직명, 의장명(儀仗名) 등이 묵서로 출궁할 때에는 ‘원유관(遠遊冠) · 강사포(絳紗袍)’를 입
남아 있고, 기존의 궁중 반차도에는 보이지 않는 일 고 ‘여(輿)와 연(輦)’을 탔다. 재궁(齋宮)에 이르면 ‘면
반 서민들도 그려져 있어 고종 연간의 국왕 행차의 실 복(冕服)’으로 갈아입고 친제(親祭)를 행하였다. 조선
제 모습을 추정하는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후기 전례서인 뺷국조속오례의뺸(Lee, 1744/1982)에 ‘거
본 연구에서는 「대한제국동가도」 속에 등장하는 가출궁 · 거가환궁’조가 따로 없는 것은 조선 전기의
다양한 인물 중 주인공인 왕의 동가 복식에 대해 고찰 규정이 조선 후기까지 그대로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하겠다. 이후 다른 인물의 복식에 대한 연구도 추가 다만 봄 · 가을 종묘 영녕전(永寧殿)에 전알(展謁)하는
로 이루어져, 고종 연간 동가 행렬의 문화 콘텐츠로 의식이 추가되었다. 봄 · 가을 종묘 · 영녕전에 전알 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왕의 복식은 출궁 시에는 ‘익선관 · 곤룡포(袞龍袍)’
를 입고 행례 시에는 ‘면복’을 입고 환궁 시에는 다시
II. 왕의 동가 시(출궁·행례·환궁) 복식 ‘익선관 · 곤룡포’를 입었다.
대한제국기 대사는 조선 시대 대사랑 의미하는 바
왕이 사직(社稷) · 종묘(宗廟)로 의례를 위해 하는 가 다르다. 조선 시대의 대사는 사직 · 종묘 · 영녕전
행차는 도성 내 동가이고, 능행(陵幸)은 도성 외 동가 을 의미하고, 대한제국기의 대사는 원구[圜丘] · 종묘
이다. 왕이 동가할 때에는 정해진 삼엄(三嚴) 절차에 · 영녕전 · 사직을 의미한다. 즉 대한제국 성립 후 고
따라 출궁과 환궁이 이루어졌다. 삼엄이란 원래 군에 종이 대한제국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천자가 되었기
서 행군할 때 북을 울려 군령(軍令)을 전달하는 것으 때문에 원구단에서 천신(天神)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
로 왕이 동가할 때 북을 쳐서 행사의 진행 과정을 알 식이 새롭게 포함되었다. 조선 시대의 대사는 사직이
렸다. 또 왕과 배종하는 관원은 행사 진행에 따라 규 으뜸이고 종묘가 그다음이었지만, 대한제국기에는
범에 맞추어 복식을 갈아입어야 했다(Shin & Gang, 원구단의 대사가 으뜸이 되었다(Korean Empire Sary-
1474/1982). eso, n.d./2018a).
조선 시대의 동가 시 삼엄 절차와 왕의 출궁 · 행례 대한제국기 황제는 종묘 · 영녕전에 전알을 위해
· 환궁의 과정은 다음과 같은 전례서의 ‘길례(吉禮)’ 출궁 시에는 ‘익선관 · 황포’를, 행례 시에는 ‘면복’을
에 나와 있다. 뺷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뺸의 입고, 궁으로 돌아올 때는 ‘익선관 · 황포’를 입었다.
‘거가출궁(車駕出宮) · 거가환궁(車駕還宮)’조(Shin & 고종이 황제로 등극함에 따라 옷의 형태에는 변함이
Gang, 1474/1982), 뺷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뺸의 ‘배릉 없으나 색상이 황제의 색으로 변했다. <Table 1>에서
의(拜陵儀)’조(Shin & Jeong, 1474/1981), 뺷국조속오례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대한제국기 대사를 위한 출궁
의(國朝續五禮儀)뺸의 ‘춘추알종묘영녕전의(春秋謁宗 · 환궁 복식이다. 출궁 시에는 ‘익선관 · 강사포’, 환

– 442 –
고종의 동가( 動駕)시 복식에 대한 연구-「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를 중심으로-

Table 1. The king's costumes in his excursions inside the capital city
Period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Korean Empire period
A book of 뺷Gukjo-oryeui Seorae뺸 뺷Gukjo-sokoryeui뺸 뺷Daehan-yejeon뺸
national rituals (國朝五禮儀序例) (國朝續五禮儀) (大韓禮典)
Geoga-chwulgung Geoga-chwulgung
· Geoga-whangung · Geoga-whangung
Article -
(車駕出宮 · 車駕還宮) (車駕出宮 · 車駕還宮)
Daesa (大祀) Daesa (大祀)
Wonyugwan (遠遊冠) Ikseongwan (翼善冠)
Chwulgung
Gangsapo (絳紗袍) - Gangsapo (絳紗袍)
(出宮)
Yeo (輿), Yeon (輦) Yeo (輿), Yeon (輦)
Haengrye
Myunbok (冕服) - Myunbok (冕服)
(行禮)
Whangung Wonyugwan (遠遊冠)
- -
(還宮) Gangsapo (絳紗袍)
ChunChual-Jong'myo Al-Jong'myo
Article - Youngnyoungjuneui Youngnyoungjuneui
(春秋謁宗廟永寧殿儀) (謁宗廟永寧殿儀)
Ikseongwan (翼善冠)
Chwulgung Ikseongwan (翼善冠),
- Gonryongpo (袞龍袍)
(出宮) Whangpo (黃袍)
Yeo (輿), Yeon (輦)
Haengrye
- Myunbok (冕服) Myunbok (冕服)
(行禮)
Whangung Ikseongwan (翼善冠) Ikseongwan (翼善冠)
-
(還宮) Gonryongpo (袞龍袍) Whangpo (黃袍)

궁 시에는 ‘원유관 · 강사포’를 입었다. 다른 의례에 런데 조선의 법전에 없던 ‘익선관 · 강사포’가 뺷대한
서는 출궁 · 환궁의 복식을 똑같이 입은 것과 다르게 예전뺸(Korean Empire Saryeso, n.d./2018b, pp. 743‒744)
차별을 두었다. 또 ‘익선관 · 강사포’는 조선의 법전 의 「관복도설」에 <Fig. 1>과 같이 “翼善冠服”으로 명
에는 규범화되어 있지 않다. 조선 시대 ‘익선관 · 곤룡 시되어 있다.
포’는 왕의 상복이고, ‘원유관 · 강사포’는 조복으로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에 제사를 지낼 때[삭망
뺷국조오례의서례뺸(Shin & Gang, 1474/1982, p. 七一) (朔望)], 왕이 조회를 받을 때[시조(視朝)], 왕이 의식
의 「관복도설」에 “遠遊冠服”으로 명시되어 있다. 그 을 갖춰서 조서를 내릴 때[강조(降詔)], 왕이 국가 제

Fig. 1. Ikseongwan-bok (翼善冠服).


Adapted from Korean Empire Saryeso (n.d./2018b). pp. 743‒744.

– 443 –
한국의류학회지 Vol. 44 No. 3, 2020

사에 사용할 향을 내릴 때[강향(降香)], 신하들이 황제 … 면복으로 갈아입고 걸어서 판위(板位)에 나아가 사배


에게 표문을 바치는 의례를 행할 때[진표(進表)], 신하 례(四拜禮)를 행하고 …(중략)… 원유관에 강사포로 갈아
들이 황제에게 표문을 바치는 의례를 할 때[조근(朝 입고 …(중략)… 경모궁 대문 밖에 이르러 …(중략)… 면
覲)]에는 ‘익선관복’을 입었다(Korean Empire Saryeso, 복으로 갈아입고 걸어서 판위에 나아가 사배례를 행하고
n.d./2018b). 이 ‘익선관복’이 오기(誤記)이며 ‘통천관 …(중략)… 익선관에 강사포로 갈아입고 …(중략)… 대내
복(通天冠服)’으로 바로 잡아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로 돌아왔다(para. 1).
(Choi, 2010).
그러나 뺷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뺸에 단종이 즉 정조는 하루에 종묘 · 경모궁 등에서 의례를 행하
위년(1452)에 중국 황제의 조서를 맞이하는데, 임금 면서 ‘익선관 · 강사포’, ‘면복’, ‘원유관 · 강사포’로 바
의 자리에 있으나 아직 중국의 명을 받지 않아, 왕세 꿔 입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익선관과 강사포’ 차
자 옷을 입을 수도, 또한 곤면(袞冕)을 입을 수 없으므 림이 조선 시대 전례서에 규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로 익선관 · 강사포를 입도록 정하는 기록(National In- 의례의 성격상 조복과 상복 사이의 절충안으로 자주
stitute of Korean History [NIKH], 2005-2015a)과 뺷승정 사용된 복제로 보인다. 이것이 대한제국 때 뺷대한예
원일기(承政院日記)뺸에 인조 26년(1648) 원손의 책례 전뺸에 규정화되었다. ‘통천관(通天冠) · 강사포’는 뺷증
를 행할 때 포 등의 품식에 대해 논의하면서 뺷대명회 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뺸(增補文獻備考 中 [Jeungbo-
전(大明會典)뺸에 ‘영락(永樂) 8년(1410)에 황태손이 관 munheonbigo jung], 1903-1908/1959)의 황제의 장복
례를 올릴 때 익선관과 강사포를 사용하였다’는 기록 (章服)에 기록되어 있다.
을 고려하는 내용이 있다(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ITKC], 1994-2012g). 또 영조(NIKH, 2. 도성 외 동가 복식
2005-2015c, para 1) · 정조(ITKC, 1998-2019d, para. 1)
· 순조(ITKC, 1998-2019a, para. 1) · 고종(ITKC, 1994- 조선 전기에서 대한제국기까지 왕이 능으로 가는
2012e, para. 5) 때 여러 의례에서 “…(전략)… 익선관에 도성 외 동가 복식은 <Table 2>와 같다. 도성 외로 동
강사포를 갖추고…(후략)….”라는 기록이 보인다. 뺷일 가할 때 조선 전기에는 출궁 시 ‘익선관과 곤룡포’를
성록(日省錄)뺸(ITKC, 1998-2019c)에 다음과 같이 기 입고, 행례 시에는 ‘참포’를 입었다. 조선 후기에는 먼
록되어 있다. 거리를 이동하는 능행 시 좀 더 활동이 편한 ‘융복’을
입고 출궁하였으며, 이동수단도 ‘여 · 마(馬) · 가교(駕
태묘(太廟)에 나아가 전알하고 이어 경모궁(景慕宮)에 轎)’를 이용하였다. 행례 시에는 ‘익선관 · 참포 · 오서
나아가 전배하였다. 대’ 차림을 하고 환궁 시에는 출궁 때와 같았다. 대한
익선관에 강사포를 갖추고 재실로 들어갔다. …(중략) 제국기에는 출궁 시 ‘흑사융복’을 입고, ‘여 · 마’를 탔

Table 2. The king’s costumes in his excursions outside the capital city
Period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Korean Empire period
A book of 뺷Gukjo-oryeui Seorae뺸 뺷Gukjo-sokoryeui뺸 뺷Daehan-yejeon뺸
national rituals (國朝五禮儀序例) (國朝續五禮儀) (大韓禮典)
Article Baenengeui (拜陵儀) Hangnengeui (幸陵儀) Hangnengeui (幸陵儀)
Ikseongwan (翼善冠) Yungbok (戎服) Heuksa-yungbok
Chwulgung
Gonryongpo (袞龍袍) Yeo (輿), ma (馬) (黑紗戎服)
(出宮)
Yeo (輿), Yeon (輦) Gagyo (駕轎) Yeo (輿), ma (馬)
Ikseongwan (翼善冠)
Ikseongwan (翼善冠)
Haengrye Champo (黲袍)
Champo (黲袍) Champo (黲袍)
(行禮) Oseodae (烏犀帶)
Oseodae (烏犀帶)
Bagpihwa (白皮靴)
Whangung
Coming Back is The Same as Going (車駕還宮如來儀)
(還宮)

– 444 –
고종의 동가( 動駕)시 복식에 대한 연구-「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를 중심으로-

으며, 행례 시에 ‘익선관 · 참포 · 오서대 · 백피화’ 차 것과 허리에 차는 것 가운데 생략해서 벗을 수 있는 것을


림을 하고, 환궁 시에는 출궁 때와 같았다. 대신들이 의논하여 아뢰라. 하였는데, 비변사에게 아뢰
1898년(고종 35) 뺷승정원일기뺸에 의하면 고종은 기를, 문관 재상의 화살통은 생략해서 벗는 것이 합당하
건원릉, 수릉, 홍릉으로 출궁하면서 군복을 입고, 건 지만, 호수와 환도는 전처럼 꽂고 차는 것이 좋겠습니다.
원릉에 이르러 익선관과 참포를 입고 예를 행한 후 다 하니, 따랐다. 문관과 음관도 모두 화살통을 벗도록 하였
시 흑사 융복을 입고 홍릉으로 갔다고 기록되어 있다 다(para. 1).
(ITKC, 1994-2012f). 이 기록으로 보아 군복과 흑사
융복을 번갈아 입은 것을 알 수 있다. 고종이 왕이란 신분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위의 기
록에 따르면 머리에 공작우 · 상모 · 구슬패영 · 밀화
III. 「대한제국동가도」 속 왕 를 장식하고 허리에 화살통과 환도까지 차면 단련된
무관이 아니고서야 몸을 주체하기가 힘들어서였다.
「대한제국동가도」에서 왕은 행렬도 중간 부분에 따라서 조선 후기 문관이 융복 차림을 할 경우 화살통
4번 등장한다. 이는 <Fig. 2>와 같다. 처음 등장하는 은 차지 않았다. 이러한 모습은 정조의 화성행차를
왕은 ‘승마행행(乘馬行幸)’이란 묵서 아래 화려하게 그린 그림의 일부인 <Fig. 3>에서 확인된다. <Fig. 3>
꾸민 말을 타고 군복을 입고 있다. 에서 총리 대신 채제공과 뒤따르는 상급 서리 녹사는
왕은 공작우 · 상모 · 구슬패영 · 밀화를 장식한 남 공작우를 꽂은 립을 쓰고 허리에 환도만 차고 있다.
색 안올림 전립을 쓰고 소매 대부분이 홍색인 협수 · 반면 장교는 궁대 · 시복 · 환도를 패용하고 있다(Na-
전복 · 남전대 차림을 하고 있다. 무관들이 군복에 일 tional Museum of Korea [NMK], 2012).
습으로 하는 동개[筒箇]와 환도는 갖추지 않고 손에 <Table 2>에 의하면 능행 시 왕의 복식은 조선 전기
등채[藤策]만 들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뺷조선왕 에는 곤룡포와 익선관 차림에 여와 연을 타고, 조선
조실록뺸(NIKH, 2005-2015d)에 다음과 같이 나타나 후기에는 융복 차림에 여와 가교, 말을 탄다고 규정
있다. 되어 있다. 그러나 조선 후기 왕들은 능행을 할 때 주
로 융복이나 군복 차림으로 행차하였다. 군복을 갖추
옛날 온천에 행차할 때도 역시 여러 날이 걸리기 때문 는 것은 화성 원행 때부터 시작되었고, 헌종도 화성
에 평융복(平戎服)을 입기도 하고 혹은 군복을 입기도 했 으로 행차 때 군복을 입었다. 정조 이후의 왕들은 능
다. 앞으로 현륭원에 행차할 때의 복장도 이대로 해야겠 행 시 정조의 화성 행차 전례를 따랐다. 철종은 간편하
다. 어가를 따르는 모든 신하들은 머리에는 호수(虎鬚) · 고 활동이 편리한 복식이라는 이유를 들어 거리에 상
공작우(孔雀羽) · 영우(嶺羽) · 방우(傍羽)를 꽂고 허리에는 관없이 동가 시 군복을 정식으로 입게 하였다(NIKH,
화살통과 환도(環刀)를 차니, 젊은 사람도 주체하기 어려 2005-2015f). 뺷임하필기(林下筆記)뺸(ITKC, 1999-2003,
운데 하물며 늙은 사람이겠는가 …(중략)… 머리에 꽂은 para. 1)에 “지금은 행행할 때마다 으레 착용한다.”라

Horse (馬) Ougyo (玉轎) Yeon (輦) Gagyo (駕轎)

Fig. 2. King of The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Reprinted from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2018). pp. 66, 70.

– 445 –
한국의류학회지 Vol. 44 No. 3, 2020

고 한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가 되면 실제 행사에서는 니다.’라고 하였다(ITKC, 1994-2012c). 본래 ‘붉은 소


점점 활동적인 군복을 즐겨 착용했음을 알 수 있다. 매 장식’이란 말이 붉은색에 익숙해져서 매달아 놓은
왕의 군복은 영조의 대렴의대인 “草綠有紋大緞狹 수급(首級)을 보고도 놀라지 않게 하려는 의도로 소
袖, 草綠有紋緞狹袖, 軟藍宮綃狹袖周衣, 沈香緞戰服”(IT- 매 끝에 짧게 달았던 것이 점점 길어져서 고종 대에
KC, 1998-2019b, para. 5) 등의 기록으로 알 수 있다. 기 오면 멋으로 소매 대부분을 붉은색으로 장식했기 때
록에 의하면 초록색 · 연남색 · 침향색 등 군복에 다양 문에 고종의 군복에서도 소매 전체가 붉은색인 것이
한 색상이 쓰였다. <Fig. 2>에서 왕의 군복과 <Fig. 4> 다. 철종 어진의 군복 흉배<Fig. 4>와 정조의 대렴의대
에서 철종의 군복을 비교해 보았을 때 옷의 형태는 비 인 괘자의 “金龍胸褙”(NIKH, 2005-2015e, para. 1), 문효
슷하나 색상과 붉은 소매[紅袖], 흉배의 유무에서 차 세자 대렴의대인 “鴉靑雲紋緞貼裏 龍胸背”(ITKC, 1998
이가 보인다. 고종은 소매의 대부분이 붉은색인 협수 -2019g, para. 2)라는 기록에서 보듯이 왕이나 왕세자
와 전복을 입고 남색 전대를 하였다. 반면 철종은 소 의 군복, 융복에는 흉배가 있어야 하나 <Fig. 2>의 고
매의 끝부분만 붉은색인 협수 · 전복 · 광대 · 남색 전 종의 군복에는 흉배가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대를 한 차림이고 가슴과 어깨에는 오조룡보를 하고 철종의 전립은 보통 군인들이 쓰는 펠트제 전립이
있다. 아니라 <Fig. 5>와 같은 말총 전립으로 보인다. 대우
붉은 소매에 대한 기록은 정조의 아들 문효세자의 앞부분 중앙에 옥판을 붙였고, 모정에는 해오라기모
대렴의대 목록인 “蓮頭色花緞夾袖 袖口大紅雲紋緞”(IT- 양 옥로(玉鷺)가 있다. 옥로 밑부분에는 공작우 · 상모
KC, 1998-2019g, para. 2)이 있다. 이는 연두색 협수에 를 달 수 있는 고리가 있다(National Research Institute
소매부리를 붉은색으로 한 협수를 말한다. 정조 · 철 of Cultural Heritage [NRICH], 2013). 철종의 어진이 반
종시대 협수의 소매는 <Fig. 4>에서 보듯이 소매 끝 쯤 불에 타 오른쪽이 잘 보이지 않지만, 오른손에는
부분만 붉은색이었으나, 고종 대에 오면 소매 대부분 등채를 들고 있고, 왼손 엄지에는 활을 쏠 때 손을 아
을 붉은색으로 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뺷승정원일기뺸 프지 않게 하는 암 깍지를 끼고 있다.
에서 확인된다. 고종이 현릉원에 가서 군복을 입은 이상과 같은 철종의 군복으로 고종의 군복을 유추
정조 어진을 보며 ‘소매의 붉은 비단이 짧은 것이 지 해 볼 수 있는데, 전립의 경우 뺷대전회통(大典會通)뺸
금의 제도와 다르다. 요즘은 홍수가 너무 길다.’라고 (NIKH, 2017)에 의하면 왕이 행행할 때 호종하는 승
하니 이유원이 ‘요즘 사치스럽게 꾸미는 풍습 때문입 지(承旨) · 사관(史官) · 각신(閣臣) · 별운검(別雲劍) ·

Fig. 3. Chonglidaesin · Noksa · Fig. 4. Portrait of King Cheoljong. Fig. 5. Menʼs official hat (Jeonlip) · Jade
Janggyo. Reprinted from 철종어진(哲宗御眞) heron hat ornament · Jade ornament .
Reprinted from NMK (2012). [Portrait of King Cheoljong] (n.d.). Adapted from NRICH (2013).
p. 197. https://www.gogung.go.kr pp. 244, 296, 355.

– 446 –
고종의 동가( 動駕)시 복식에 대한 연구-「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를 중심으로-

문장신(文將臣) · 문총관(文摠管)의 전립은 모전립(毛 차림에도 ‘규’를 드는 경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戰笠)을 정식으로 착용하게 하였으므로 「대한제국동 「대한제국동가도」에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왕은
가도」속 왕은 옥판, 옥로와 같이 장식은 비슷하여도 ‘우중행행시가교(雨中行幸時駕轎)’라는 묵서와 함께
철종과 다르게 모전립을 썼을 수 있다. 가교(駕轎)를 타고 익선관에 붉은 곤룡포를 입고 등
<Fig. 2>에서 두 번째, 세 번째로 등장하는 왕은 익 장한다. 다른 3명의 왕은 얼굴에 수염이 있으나, 이
선관과 곤룡포 차림에 옥교 · 연을 타고 등장한다. 조 장면에 등장하는 사람은 수염이 없는 소년으로 표현
선 후기에 왕이 익선관과 곤룡포 차림으로 거둥하는 되어 있다. 선행연구(Lee, 1982)에서 이 소년을 순종
경우는 종묘 · 영녕전에 전알을 드리러 출궁 · 환궁할 (1874~1926)의 세자 시절 모습이라고 하였다.
때였다. 옥교를 탄 모습은 <Fig. 6>과 유사하다. <Fig.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의구심이 든다. 첫째, 조선 시대
6>에서 고종이 무엇을 타고 있는지 확인은 어려우나 왕세자의 곤룡포 색은 뺷국조속오례의보서례뺸(Shin,
지붕[옥형(屋形)]이 없는 것으로 보아 소여(옥교)일 1751/1982, p. 一七三)에서 왕세자 서연복을 “衮龍袍袍
것이라 추측된다. 시위군사 복식이 1881년부터 입은 以黑緞”으로, 뺷조선왕조실록뺸(NIKH, 2005-2015b, para.
신식군복이고, 호러스 알렌(Horace Allen, 1884~1905 1)에는 “東宮夏節衣襨袞龍袍次, 雲紋鴉靑紗一匹”로 기록
조선에 거주)이 소유한 사진이어서 「대한제국동가도」 되어있다. 또 뺷상방정례(尙方定例)뺸(Sanguiwon, 1752/
보다 후대의 모습이지만, 곤룡포와 익선관 차림에 일 2008, pp. 337‒338)에는 세자궁 가례법복으로 “龍浦壹
산을 쓰고 동가하는 고종의 모습은 「대한제국동가도」 件次鴉靑小雲紋匹”, 뺷일성록뺸(ITKC, 1998-2019f, para.
속 왕의 동가 모습과 유사하게 보인다(Shin, 2012). 1)에는 세자의 상복이 “黑袞龍袍”라고 기록되어 있어
<Fig. 2>에서 연을 탄 왕이 익선관, 곤룡포 차림에 왕세자의 복색은 흑색, 아청색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손에 ‘규(圭)’를 들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손에 부채 내시가 들고 있는 홍일산은 왕의 의장이다. 셋째, 여
를 들었을 수 있으나 두 손 모아 정중히 든 형태로 보 와 연의 장강(長杠)과 횡강(橫杠)은 왕의 것은 붉은색,
아 ‘규’라고 생각된다. 왕의 복식 규정상 익선관 · 곤룡 왕세자의 것은 검은색으로 한다고 뺷국조오례의서례뺸
포에는 ‘규’를 들지 않는다. 면복과 원유관과 강사포 (Shin & Gang, 1474/1982)에 기록되어 있다. 가교 역시
를 입을 때 ‘규’를 든다고 규정되어 있다(Shin & Gang, 색으로 상하를 구분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여기
1474/1982). 그러나 규정에 맞지 않지만 연을 타고 익 서 보이는 가교는 왕의 색인 붉은색이다.
선관, 곤룡포 차림으로 ‘규’를 든 모습은 갑오년(1894) 넷째, <Fig. 2>에서 연과 가교를 탄 장면은 「대한제
고종이 종묘 춘향대제(春享大祭)를 지내기 위해 동가 국동가도」에서 나란히 나오므로 왕과 왕세자가 함께
하는 장면을 기록한 뺷승정원일기뺸(ITKC, 1994-2012d) 등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그러면 둘의 동가 목적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아야 한다. 그러나 곤룡포 · 익선관 차림에 연을
탄 왕은 평시 업무에 쓰는 자건을 쓴 봉도별감이 연을
상이 왕세자와 함께 종묘에 나아가 춘향대제를 친히 인도하고 있어 이는 도성 내 동가 모습으로 보인다.
지내기 위하여 거둥하였다. …(중략)… 상이 익선관에 곤 반면 소년은 도성 외 동가 시에 사용하는 가교를 타
룡포를 입고 여를 타고 사정문(思政門)을 나갔다. 약방 제 고, 마병들이 어가를 호위하고 있으며, 별감은 도성
조 이재순(李載純)과 부제조 김춘희가 앞으로 나와 아뢰 외 동가 시에 쓰는 황초립을 쓰고 있다. 따라서 서로
기를, 아침 일찍 수고로이 거둥하셨는데 성상의 체후는 동가의 목적이 다르므로 왕과 왕세자가 동시에 등장
어떠하십니까? 하니, 상이 이르기를, 한결같다. 하였다. 하는 장면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대한제국
이어 근정문(勤政門)을 나가 강여소(降輿所)에 이르렀다. 동가도」에 등장하는 의빈 중 동녕위 김씨는 1868년
통례(通禮)가 여에서 내려 연을 타기를 무릎 꿇고 계청(啓 에 졸하였다. 순종이 1874년생이므로 편년이 맞지 않
請)하니, 상이 여(輿)에서 내려 연(輦)을 탔다. 김춘희가 규 다. 여섯째, 만약 이 붉은색 곤룡포 차림의 소년이 고
를 올리자 상이 규를 잡고 이어 광화문(光化門)을 나갔다 종의 아들이라면 대한제국기의 황태자로 보아야 한
(para. 10). 다. 황태자는 상복으로 뺷증보문헌비고뺸(增補文獻備
考 中 [Jeungbomunheonbigo jung], 1903-1908/1959)에
왕이 상황에 따라 상복으로 입는 익선관 · 곤룡포 ‘赤色盤領’을 입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

– 447 –
한국의류학회지 Vol. 44 No. 3, 2020

Fig. 6. King Gojong. Fig. 7. The funeral procession of empress Myeong-seong.


Adapted from Shin (2012). https://www.asiae.co.kr Adapted from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2018). p. 20.

제국동가도」의 편년이 대한제국기까지 가지 않는다. 로 칙사를 영접 · 전송하러 갈 때 여와 연으로 마련하


대한제국은 1897년에 선포되었는데 대한제국기라면 던 것을 정조는 가교를 쓰는 것으로 정식으로 삼아서
주변 호위하는 사람들이 1895년에 시행된 갑오의제 연이나 교(轎)로 마련하지 말라고 하였다(ITKC, 1998
개혁을 통해 제복화된 서양군복을 입고 있어야 한다. -2019e). 고종은 모화관으로 칙사를 만나러 갈 때는
그러나 「대한제국동가도」의 호위군은 대부분 군복 익선관 · 곤룡포 차림으로 가교를 타고 동가하였고, 능
을 입고 있다. 1897년 행하여진 명성황후의 발인 행 으로 갈 때는 군복 차림으로 가교를 탔다(ITKC, 1994
렬을 그린 「명성황후발인반차도」<Fig. 7>을 보면 시 -2012b). 고종은 거리가 있는 곳으로 동가 시 가교를
위 군인들이 서양식 제복군복을 입고 있는 것을 알 수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있다(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2018). 따라
서 그림의 작가가 수염을 빠뜨렸을 가능성도 있고, IV . 결 론
「대한제국동가도」 자체가 편년이 모호하고, 도성 내
· 외 동가의 모습이 다 보이니 가교를 탄 소년이 순종 본 연구는 전례서를 통해 조선 시대 동가 시 왕의
이라고 단정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 두 복식 규정에 대해 고찰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소장 「대한제국동가도」속 왕의 복식에 대해 연구하
한편, 소년 고종이 비가 오는 날에 익선관과 곤룡포 였다. 왕은 삼엄 절차를 거쳐 출궁 · 환궁을 하며, 행
차림으로 가교를 타는 모습은 뺷승정원일기뺸(ITKC, 사의 목적에 따라 도성 내 · 외 동가 시 복식을 달리하
1994-2012a)에 다음과 같이 나타나 있다. 였다. 조선 전기부터 세월의 변화에 따라 동가 시 복
식이 조금씩 변하였는데 대한제국기 대사를 위해 출
고종 3년 병인(1866) 9월 26일 비가 오는 날에 대가가 궁할 때 복식인 ‘익선관 · 강사포’가 특이하다. 조선
모화관에 나아가 칙사를 전송하기 위하여 거둥하였다. 시대 왕의 조복은 ‘원유관 · 강사포’, 상복은 ‘익선관
…(중략)… 때가 되자, 통례가 의장과 호종 등을 정돈하기 · 곤룡포’이다. 조선 시대 법전에는 ‘익선관 · 강사포’
를 무릎 꿇고 계청하였다. 상이 익선관에 곤룡포를 차림 가 규정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의례의 성격에 따라
으로 가교를 타고 선화문을 나왔다(para. 35). ‘원유관 · 강사포’나 ‘익선관 · 곤룡포’로 입기 애매한
경우 절충안으로 입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한제국동가도」속 ‘우중행행시가교’의 모습과 규정에는 없으나 실제 행례에서는 ‘익선관 · 강사포’
상당히 많이 부합한다. <Table 2>에 의하면 가교는 왕 를 입으니, 대한제국기에 와서 ‘익선관복’으로 뺷대한
이 능행을 할 때 이용하는 이동수단이다. 그러나 위 예전뺸에서 법제화되었다.
의 내용을 볼 때 능행뿐 아니라 모화관으로 칙사를 전 「대한제국동가도」에서 왕이 규정에 맞지 않게 ‘익
송할 때도 가교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모화관으 선관 · 곤룡포’에 ‘규’를 들고 연을 타고 행차하는 장

– 448 –
고종의 동가( 動駕)시 복식에 대한 연구-「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를 중심으로-

면이 있다. 왕의 복식 규정상 면복과 조복을 입을 때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4-2012d). 승
‘규’를 들고, 익선관 · 곤룡포에는 ‘규’를 들지 않는 정원일기, 고종 31년 갑오(1894) 1월 6일(갑신) 맑음 [Se-
ungjeongwon-ilgi, the 31th years of King Gojong's reign, Ja-
다. 그러나 규정에 맞지 않지만 연을 타고 ‘익선관 ·
nuary 6, kabo]. 한국고전종합DB [DB of Korean Classics].
곤룡포’ 차림으로 ‘규’를 든 모습을 갑오년(1894) 고
Retrieved from 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
종이 종묘 춘향대제를 지내기 위해 거둥하는 모습에 node?dataId=ITKC_ST_Z0_A31_01A_06A
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역시 규정에는 맞지 않지만 실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4-2012e). 승
제 의례에서는 ‘익선관 · 곤룡포’에 ‘규’를 들기도 한 정원일기 고종 32년 을미(1895) 8월 15일(계미) 맑음 [Se-
것으로 보인다. ungjeongwon-ilgi, the 32th years of King Gojong's reign,
조선은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은 나라로 모든 일 August 15, eulmi]. 한국고전종합DB [DB of Korean Clas-
sics]. Retrieved from http://db.itkc.or.kr/dir/item?itemId=
에는 예를 바탕으로 하였다. 이러한 예를 엄격히 법
ST#/dir/node?dataId=ITKC_ST_Z0_A32_08A_15A
으로 규정하여 따랐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보듯이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4-2012f). 승
예외도 있었으며, 상황에 따라 절충안이 있었던 것으 정원일기, 고종 35 년 무술(1898) 윤3월 19일(임신, 양력
로 보인다. 5월 9일) 맑음 [Seungjeongwon-ilgi, the 35th years of King
본 연구에서는 「대한제국동가도」를 중심으로 왕 Gojong's reign, Yoon March 19, musul]. 한국고전종합DB
의 동가 복식에 대해서만 고찰하였다. 「대한제국동 [DB of Korean Classics]. Retrieved from http://db.itkc.or.kr/
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35
가도」에는 실제 동가 행렬에 참여하였을 것으로 보
_03B_19A
이나 기존 반차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서민부터 왕까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4-2012g). 승
지 다양한 신분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추후 다양한 정원일기, 인조 26년 무자(1648) 6월 18일(신해) 맑음 [Se-
인물의 복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고종 연간 동가 ungjeongwon-ilgi, the 26th years of King Injo's reign, June
행렬의 문화 콘텐츠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18, muja]. 한국고전종합DB [DB of Korean Classics]. Retri-
eved from 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
References e?dataId=ITKC_ST_P0_A26_06A_18A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8-2019a). 일
Choi, K. S. (2010). A study on the costume system of Daehan- 성록, 순조 2년 임술(1802) 8월 6일(갑진) [Ilsungrok, the
yejeon.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53(1), 183‒218. 2th year of King soonjo's reign, August 6 imsul]. 한국고전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Ed.). (2018). The funeral 종합DB [DB of Korean Classics]. Retrieved from http://db.
procession of Empress Myeongseong: The King's Excursion itkc.or.kr/dir/item?itemId=IT#/dir/node?dataId=ITKC_IT_
on a Royal Carriage. Seoul: Author. W0_A02_08A_06A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4-2012a). 승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8-2019b). 일
정원일기, 고종 3년 병인(1866) 9월 26일(임오) 비 [Seung- 성록, 정조 즉위년 병신(1776) 3월 9일(경진) [Ilsungrok, the
jeongwon-ilgi, the 3th years of King Gojong's reign, Sep- 1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March 9 byeongshin]. 한국
tember 26, byeongo]. 한국고전종합DB [DB of Korean Clas- 고전종합DB [DB of Korean Classics]. Retrieved from http://
sics]. Retrieved from http://db.itkc.or.kr/dir/item?itemId=S db.itkc.or.kr/dir/item?itemId=IT#/dir/node?dataId= ITKC_
T#/dir/node?dataId=ITKC_ST_Z0_A03_09A_26A IT_V0_A00_03A_09A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4-2012b). 승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8-2019c). 일
정원일기, 고종 6년 기사(1869) 8월 10일(기유) 비 [Seung- 성록, 정조 5년 신축(1781) 1월 11일(갑신) [Ilsungrok, the
jeongwon-ilgi, the 6th years of King Gojong's reign, August 5th years of King Jeongjo's reign, January 11 shinchuk]. 한국
10, kisa]. 한국고전종합DB [DB of Korean Classics]. Retri- 고전종합DB [DB of Korean Classics]. Retrieved from http://
eved from 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 db.itkc.or.kr/dir/item?itemId=IT#/dir/node?dataId=ITKC_
e?dataId=ITKC_ST_Z0_A06_08A_10A IT_V0_A05_01A_11A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4-2012c). 승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8-2019d). 일
정원일기, 고종 7년 경오(1870) 3월 13일(기묘) 맑음 [Se- 성록, 정조 8년 갑진(1784) 8월 9일(임진) [Ilsungrok, the
ungjeongwon-ilgi, the 7th years of King Gojong's reign, Mar- 8th years of King Jeongjo's reign, August 9 kabjin]. 한국고
ch 13, gyeongo]. 한국고전종합DB [DB of Korean Classics]. 전종합DB [DB of Korean Classics]. Retrieved from http://
Retrieved from 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 db.itkc.or.kr/dir/item?itemId=IT#/dir/node?dataId=ITKC_
node?dataId=ITKC_ST_Z0_A07_03A_13A IT_V0_A08_08A_09A

– 449 –
한국의류학회지 Vol. 44 No. 3, 2020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8-2019e). 일 160권, 선조 36년 3월 18일 갑술 1번째기사 [Sunjo-sillok
성록, 정조 8년 갑진(1784) 11월 22일(계유) [Ilsungrok, the 160kwon, the 36th years of King Jeongjo's reign, March 18,
8th years of King Jeongjo's reign, November 22 kabjin]. 한 1nd record of kabsul]. Retrieved from http://sillok.history.go.
국고전종합DB [DB of Korean Classics]. Retrieved from http:// kr/id/kna_13603018_001
db.itkc.or.kr/dir/item?itemId=IT#/dir/node?dataId=ITKC_I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5-2015c). 영조실록
T_V0_A08_11A_22A 88권, 영조 32년 7월 8일 계유 2번째기사 [Youngjo-sillok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8-2019f). 일 88kwon, the 32th years of King Youngjo's reign, July 8, 2nd
성록, 정조 10년 병오(1786) 5월 11일(계축) [Ilsungrok, the record of keiu]. Retrieved from http://sillok.history.go.kr/id/
10th years of King Jeongjo's reign, May 11 byeongo]. 한국 kua_13207008_002
고전종합DB [DB of Korean Classics]. Retrieved from http://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5-2015d). 정조실록
db.itkc.or.kr/dir/item?itemId=IT#/dir/node?dataId=ITKC_I 32권, 정조 15년 1월 14일 기축 1번째기사 [Jeongjo-sillok
T_V0_A10_05A_11A 32kwon, the 15th years of King Jeongjo's reign, January 14,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8-2019g). 일 1nd record of kichuk]. Retrieved from http://sillok.history.go.
성록, 정조 10년 병오(1786) 5월 13일(을묘) [Ilsungrok, the kr/id/kva_11501014_001
10th years of King Jeongjo's reign, May 13 byeongo]. 한국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5-2015e). 정조실록
고전종합DB [DB of Korean Classics]. Retrieved from http:// 54권, 정조 24년 7월 3일 계미 2번째기사 [Jeongjo-sillok
db.itkc.or.kr/dir/item?itemId=IT#/dir/node?dataId=ITKC_I 54kwon, the 24th years of King Jeongjo's reign, July 3, 2nd
T_V0_A10_05A_13A record of keimi]. Retrieved from http://sillok.history.go.kr/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1999-2003). 임하 id/kva_12407003_002
필기(林下筆記) 제28권 / 춘명일사(春明逸史) [Imha-pilgi j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5-2015f). 철종실록
28kwon / chunmyungilsa]. 한국고전종합DB [DB of Korean 12권, 철종 11년 2월 7일 임인 1번째기사 [Cheorjong-sillok
Classics]. Retrieved from http://db.itkc.or.kr/dir/item?itemId= 12kwon, the 11th years of King cheorjong's reign, February
BT#/dir/node?dataId=ITKC_BT_1432A_0310_010_1040 7, 1nd record of imin]. Retrieved from http://sillok.history.
Kim, J.-y. (2005). A study on the parades of the Kings during the go.kr/id/kya_11102007_001
late Joseon dynasty: Examination of the Euigwe Bancha-d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17). 大典會通 > 禮典 >
(儀軌班次圖) and Geodong Girok(擧動記錄) (Unpublished 儀章 > [行幸時] [Daejeon-hoetong > yeajeon > uijang > [ha-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ghangsi]]. Retrieved from http://db.history.go.kr/law/item/
Korean Empire Saryeso. (2018a). (國譯) 大韓禮典 上 [Daehan- level.do?levelId=jlawa_403_0030_0120
yejeon sang] (M. H. Im, Y. A. Seong, & J. Y. Park, Trans.). National Museum of Korea. (Ed.). (2012). Joseon painting of so-
Seoul: Minsokwon. (Original work published n.d.) urt ceremonies Ⅲ. Seoul: Author.
Korean Empire Saryeso. (2018b). (國譯) 大韓禮典 中 [Daeha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Ed.). (2013).
yejeon Jung] (M. H. Im, Y. A. Seong, & J. Y. Park, Trans.). Korean art collection: GRASSI Museum für Völkerkunde zu
Seoul: Minsokwon. (Original work published n.d.) Leipzig Germany. Daejeon: Author.
Lee, J. S. (1982). 國朝五禮儀 5 [Gukjo-oryeui 5]. (Ministry of Sanguiwon. (2008). 尙方定例 [Sangbang-Jeongrye]. (The Aca-
Government Legislation, Reprint). Seoul: Ministry of Go- demy of Korean Studies, Reprint). Seongnam: The Academy
vernment Legislation. (Original work published 1744) of Korean Studies. (Original work published 1752)
Lee, K.-J. (1982). A study of the official attire during the Yi Dy- Shin, B. S. (2012. April 9). 선글라스 쓴 고종황제 등…구한말
nasty.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40, 481‒518. 희귀사진 공개 [Emperor Gojong in sunglasses and so on…
Lee, W.-m. (2007). A study on the Kings parade inside capital city Release of rare photos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sia
in late Chosun Dynasty. The Journal of Choson Dynasty His- Economy. Retrieved from https://www.asiae.co.kr/article/20
tory, 43, 95‒131. 12040910582033374
Leeum, Samsung Museum of Art. (Ed.). (2011). The court pain- Shin, M. (1982). 國朝五禮儀 5 [Gukjo-oryeui 5]. (Ministry of
ters of Joseon dynasty. Seoul: Author. Government Legislation, Reprint). Seoul: Ministry of 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5-2015a). 단종실록 vernment Legislation. (Original work published 1751)
2권, 단종 즉위년 8월 19일 기묘 2번째기사 [Danjong- Shin, S. J., & Gang, H. M. (1982). 國朝五禮儀 4 [Gukjo-oryeui
sillok 2kwon, the 1th year of King Danjong's reign, August 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Reprint). Seoul:
19, 2nd record of kimyo]. Retrieved from http://sillok.history.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riginal work publi-
go.kr/id/kfa_10008019_002 shed 1474)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5-2015b). 선조실록 Shin, S. J., & Jeong, C. (1981). 國朝五禮儀 1 [Gukjo-oryeui 1].

– 450 –
고종의 동가( 動駕)시 복식에 대한 연구-「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를 중심으로-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Reprint). Seoul: Mi-


구 영 미
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riginal work published
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 의류산업학과 석사
1474)
철종어진(哲宗御眞) [Portrait of King Cheoljong]. (n.d.). Natio-
홍 나 영
nal Palace Museum of Korea. Retrieved from https://www.
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 의류산업학과 교수
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635
LJE&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增補文獻備考 中 [Jeungbo-munheonbigo jung]. (1959). (Myu-
ng Mun Dang, Reprint). Seoul: Myung Mun Dang. (Original
work published 1903-1908)

– 45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