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6

[2023년 2학기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고등학교 학년 반 번 이름:

■ 1814년 - 태양의 스펙트럼 발견

∙ 광학 기계 제작 및 광학과 수학을 공부하여 ( 태양 )과 ( 별 )의 ( 스펙트럼 ) 연구


∙ 1814년 태양의 스펙트럼에서 574개의 검은 선 ( 프라운호퍼선 ) 을 발견

∙ 프라운호퍼 ( 회절 )(Fraunhofer diffraction) - 파원 또는 광원이 렌즈 또는 슬


릿에서 ( 멀리 ) 떨어져 있을 때. 평면파에 의한 회절
∙ 프레넬 ( 회절 )(Fresnel diffraction) - 파원 또는 광원이 렌즈 또는 슬릿에서 가
까이 있을 때

■ 1868년 - 태양의 선스펙트럼 지도

∙ 웁살라 대학을 졸업하고 그 대학 교수로 재직함. 열학, 자기학, 광학 및 태양 스펙


트럼, 북극광 스펙트럼 등을 연구함
∙ ( 고온 )의 기체에서 관찰되는 ( 방출 ) 스펙트럼의 파장과 ( 저온 )의 기체를 통과
한 빛에서 관찰되는 ( 흡수 ) 스펙트럼의 파장이 ( 같음 )을 증명

∙ 원자, 분자의 크기나 결정의 격자 간격 ( )


∙ 태양 빛 스펙트럼을 조사해서 태양이 ( 수소 )로 되어 있음을 발견
∙ 태양의 모든 ( 선스펙트럼 )의 파장을 기록하여 책으로 출판(1868년)

원소에서 관찰할 수 있는 ( 선스펙트럼 )과 ( 파장 )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필요함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1/16


■ 1885년 – ( 발머 ) 공식
∙ 스위스에서 수학 및 물리학 연구. 바젤 대학교 교수.
∙ 1885년 수소 원자 스펙트럼 중 ( 가시광선 ) 영역의 규칙성 발견

■ 1888년 – ( 뤼드베리 ) 공식 발견

∙ 수소 선스펙트럼 중 ( 가시광선 ) 파장에 대한 발머 공식을 일반화하여 ( 뤼드베리 )


공식을 발견(1888년)

∙ 뤼드베리 상수
∙ 뜨거운 기체에서 나오는 빛의 선스펙트럼 ( 파장 )을 구할 수 있음

■ 1897년 - ( 전자 )의 발견
∙ 크룩스관을 이용한 ( 음극선 ) 실험을 통해 ( 전자 )를 발견함

( 그림자 )가 생긴다. 바람개비가 ( 회전 )한다. ( 전기장 )과 ( 자기장 )에 의해 경로가 휜다.

음극선은 ( 음전하 )를 띤 ( 입자 )의 흐름이다. / 원자에서 나오고 ( 원자 ) 속에는 이 입자들만 존재한다.

■ 1904년 - ( 톰슨 )의 원자 모형 제안

∙ 원자 내부에 ( 양전하 )가 ( 구름 )처럼 분포하고 ( 전자 )가 사이사이에 박혀 있음

∙ 전자의 발견 및 기체에 의한 전기 전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에 대한 업적으로 노벨


물리학상 수상(1906년)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2/16


■ 1911년 - ( 러더퍼드 )의 원자모형 제안

∙ 1895년 캐번디시 연구소에서 톰슨의 제자가 됨


∙ 1908년 방사능이 원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반응이라는 연구를 통해 노벨 화학상
수상(1908년)
∙ 1911년 금박에 ( 알파선 )을 ( 산란 )시키는 실험을 통해 ( 원자핵 ) 발견
∙ ( 양전하 )는 원자의 중심 아주 작은 영역인 ( 원자핵 )에 모여 있고 ( 전자 )는
원자의 중심을 ( 회전함 )
∙ 원자의 ( 질량 )은 대부분 ( 원자핵 )이 차지함

<원자핵 주위를 회전하는 전자의 두 가지 문제점>


∙ ( 가속 ) 운동하는 전자는 ( 전자기파 )를 방출함
→ 전자의 ( 에너지 )가 감소하여 원자핵과 ( 붕괴 )
→ ( 연속 ) 스펙트럼이 방출되어야 함
∙ 실제로는 ( 붕괴 )하지 않고, ( 선스펙트럼 )이 관찰됨.

■ 흑체 복사(Black body Radiation)


∙ ( 흑체 )(Black body) - 받은 빛을 ( 반사 )하지 않고 모두 ( 흡수 )하는 물체
∙ ( 흑체 복사 )(Black body Radiation) - 흑체가 ( 방출 )하는 ( 빛 )으로 모든 ( 파장 )의 빛을 방출함

∙ 물체가 방출하는 빛의 ( 세기 ) 곡선은 물체의 ( 온도 )와 관련이 있음

슈테판-볼츠만 법칙 (Stefan-Boltzmann law) 빈의 변위 법칙 (Wien’s displacement law)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3/16


■ 레일리-진스 ( 자외선 ) 파탄(ultraviolet catastrophe)
∙ 19세기 말까지 흑체 복사 곡선을 하나의 식으로 설명하지 못함

짧은 파장 영역 - 긴 파장 영역 -
( 빈 )의 공식(1896년)으로 설명 ( 레일리-진스 )의 공식(1900년)으로 설명

■ 1900년 - ( 플랑크 ) 공식

∙ 동공에 진동수가 ( )인 빛이 포함된 확률을 구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빛의 에너지를 간격이 ( )인 구간
으로 나누어 계산

■ 1905년 – ( 광전효과 )
∙ 금속에 ( 빛 )을 비추었을 때 금속에서 ( 광전자 )가 방출되는 현상

헤르츠의 실험 결과
- 빛을 비춰주면 ( 즉시 ) 전자가 방출됨
- 진동수가 ( 작을 ) 때 밝은 빛에서도 ( 전자 )가 방출되지 않음
- 진동수가 ( 클 ) 때 밝은 빛에서 전자가 많이 방출되지만
방출되는 전자의 최대 ( 운동 ) 에너지는 모두 같음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4/16


∙ 빛의 ( 파동 )의 성질로 ( 광전효과 ) 설명 불가능
- 금속에서 전자의 방출 → 빛의 에너지( 밝기 , 세기 )와 관련

실제 현상은 빛의 ( 밝기 )와 상관이 ( 없음 )!

∙ 헤르츠의 실험 결과에 대한 ( 아인슈타인 )의 해석


∙ 빛을 ( 입자 )로 가정하고 광전효과를 설명함

한계 진동수 ∙ 전자가 방출되는 빛의 ( 최소 ) 진동수

일함수 ∙ 금속에서 ( 전자 )를 떼어내는 데 필요한 최소 에너지

빛의 에너지 ∙ 광자 ( 1개 )의 에너지

광전자의
∙ 방출되는 전자의 최대 ( 운동 ) 에너지
최대 운동 에너지

■ 1913년 - ( 보어 )의 수소 원자 모형

∙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고 가정함

전자의 ( 각운동량 ) 조건을 만족하는 에너지 ( 궤도 )에서만


전자가 ( 안정적 )으로 존재할 수 있음

전자가 서로 다른 ( 궤도 )로 ( 전이 )할 때 에너지 차이 만큼의


빛을 ( 방출 )하거나 ( 흡수 )함

∙ 러더퍼드 원자 모형에서 전자의 운동으로 인한 원자의 ( 붕괴 ) 문제에 대해 설명함


∙ 원자를 관찰할 때 ( 선스펙트럼 )이 관찰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함

러더퍼드 원자 모형의 문제점 보어의 원자 모형 - 전자의 에너지가 ( 양자화 ) 되어 있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5/16


■ 1923년 – ( 콤프턴 ) 산란

∙ 전자와 충돌한 후 ( X선 )의 ( 파장 )이 길어지는 것을 관찰함


∙ 빛의 에너지 ( 양자화 )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임을 설명함

∙ 전자와 충돌한 빛의 파장이 달라짐


→ 빛이 ( 파동 )이면 동일 매질에서 파장이 달라지지 않음
→ 입자의 성질인 ( 운동량 ) 보존과 ( 에너지 ) 보존 법칙을 만족함

■ 빛의 이중성

파동성
1803년 토마스 ( 영 ) 1865년 제임스 ( 맥스웰 ) 1886년 하인리히 ( 헤르츠 )
( 이중 슬릿 ) 간섭 무늬 ( 전자기파 )의 이론적 예언 ( 전자기파 ) 발생 실험

입자성
1900년 막스 ( 플랑크 ) 1905년 알베르트 ( 아인슈타인 ) 1923년 아서 ( 콤프턴 )
에너지 ( 양자화 ) ( 광전효과 ) 콤프턴 ( 산란 ) 실험

■ 헤르츠의 실험
∙ ( 광전효과 ) : ( 금속 )에 진동수가 큰 빛을 쪼여 주었을 때 ( 광전자 )가 방출되는 현상
∙ ( 순방향 ) 전압 : 빛을 비추는 금속판을 ( )극에 연결
→ 광전자가 방출되면 ( )극으로 이동 → 광전자가 ( 방출 )되면 회로에 ( 전류 )가 흐름

광전자 ( 방출 )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


∙ 진동수가 ( 큰 ) 빛을 비출 때 광전자가 ( 방출 )됨
- 세기가 약한 빛에서도 광전자가 ( 즉시 ) 방출됨
- 빛의 ( 세기 )가 셀수록 광전자가 ( 많이 ) 방출됨

∙ 진동수가 ( 작은 ) 빛을 비출 때 광전자가 방출되지 ( 않음 )


- 세기가 ( 센 ) 빛을 비추어도 광전자가 방출되지 ( 않음 )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6/16


∙ ( 역방향 ) 전압 : 빛을 비추는 금속판을 ( )극에 연결
→ 방출된 ( 광전자 )의 에너지가 ( 전원 )의 에너지보다 ( 클 ) 때 회로에 전류가 흐름

∙ ( 정지 ) 전압: 역방향 전압에서 광전류가 ( 0 )이 될 때의 전압

광전자의 ( 최대 운동 에너지 )를 알 수 있음!

∙ ( 정지 ) 전압을 측정하면 광전자의 최대 ( 운동 ) 에너지를


알 수 있음
∙ 진동수가 ( 큰 ) 빛을 비출 때 방출된 광전자의 ( 최대 ) 운동
에너지가 크다.

∙ 빛을 ( - ) 금속판에 비출 때 ∙ 빛을 ( + ) 금속판에 비출 때

∙ ∙ 정지 전압

∙ 광전류 ∙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


→ 빛의 세기 ∙ 빛의 진동수

■ 실험 결과

결과 1. 한계 진동수( )이상의 빛을 비추었을 때 광전자가 ( 방출 )된다.

∙ 금속판에 쪼여 주는 빛의 ( 진동수 )가 특정한 진동수보다 작으면 ( 광전류 )가 흐르지 않는다.


→ 이 진동수를 ( 한계 진동수 )라고 한다.

결과 2. 전자는 ( 즉시 ) 방출되고, 빛의 ( 세기 )가 셀수록 광전자는 ( 많이 ) 방출된다.

∙ 금속판에 쪼여 주는 빛의 진동수가 (한계 진동수 )보다 크면 전자가 즉시방출된다.


∙ 빛의 ( 세기( )를 세게 하면 광전자의 ( 수 )가 많아진다. ( 광전류 )의 세기가 커진다.

결과 3. 빛의 ( 진동수 )가 클수록 광전자의 최대 ( 운동 ) 에너지가 크다.

∙ 빛의 ( 진동수( )가 커질 때 ( 정지 전압( )이 커진다. 광전자의 최대 운동 ( 에너지( )가 커진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7/16


■ 파동으로서의 빛의 성질
∙ 빛의 ( 세기 ) : 파동의 진폭, 빛의 ( 밝기 )에 비례 → 빛의 ( 에너지 )를 나타냄
∙ 빛의 ( 진동수 ) : 빛의 ( 파장 ) → 빛의 ( 색깔 )을 결정함

■ ( 파동 )으로 ( 광전효과 )를 설명할 경우


∙ ( 밝은 ) 빛을 비추었을 때 ( 광전자 )가 나오고, ( 어두운 ) 빛을 비추었을 때 광전자가 나오지 않아야 함
∙ 세기가 ( 약한 ) 빛을 오랫동안 비추었을 때 ( 광전자 )가 나와야 함
∙ 빛의 ( 진동수 )는 광전효과와 상관이 ( 없어야 ) 함

( 파동 )으로서의 빛으로는 ( 광전효과 )를 설명할 수 없음!

■ 광양자설 : 빛을 ( 입자 )로 설명
∙ ( 광자 )( = 입자 로서 빛)의 에너지는 빛의 ( 진동수 )에 비례한다.
∙ 진동수가 큰 빛은 에너지가 크다.

∙ 일함수( ) : 금속에서 전자를 떼어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

∙ 광전자의 ( 에너지 )는 빛의 에너지에서 ( 금속 )에서 ( 전자 )를 떼어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뺀 것이다.

∙ 진동수가 ( 작은 ) 빛은 에너지가 ( 작아서 ) 세기가 센 빛을 비춰도 광전자가 방출되지 ( 않는다 ).


∙ 진동수가 ( 큰 ) 빛은 에너지가 ( 커서 ) 약한 빛을 비춰도 광전자가 ( 방출 )되고, ( 즉시 ) 방출된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8/16


∙ 빛의 세기가 ( 큰 ) 빛은 빛의 입자의 수가 ( 많다 ).
∙ 세기가 큰 빛은 빛의 입자가 ( 많아서 ) 광전효과에 의해 방출되는 광전자의 수가 ( 많다 ).
.

■ 빛의 이중성

∙ 1803년 토마스 ( 영 )의 ( 이중 슬릿 ) 간섭무늬


빛의
∙ 1865년 제임스 ( 맥스웰 ) ( 전자기파 )의 이론적 예언
( 파동성 )
∙ 1886년 하인리히 ( 헤르츠 ) ( 전자기파 ) 발생 실험

∙ 1900년 막스 ( 플랑크 ) 에너지 ( 양자화 )


빛의
∙ 1905년 알베르트 ( 아인슈타인 )의 ( 광전효과 )
( 입자성 )
∙ 1923년 아서 ( 콤프턴 )의 콤프턴 ( 산란 ) 실험

빛이 ( 파동 )이면서 ( 입자 )이면, 전자도 ( 입자 )이면서 ( 파동 )이지 않을까?

미시세계는 거시세계를 설명하는 방법으로 설명할 수 없음!


미시세계를 구성하는 것 : ( 빛 ), ( 전자 ), ( 양성자 ), 중성자, 원자핵 등

■ 1924년 - ( 드브로이 )의 물질파 이론


∙ ( 빛 )이 파동이면서 입자이면, ( 전자 )도 입자이면서 파동이지 않을까?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서 빛(광자 photon)의 에너지

∙ 광자(photon)의 선운동량 파장

∙ 드브로이는 이 식을 입자의 파동으로의 성질에 적용하자고 제안함

■ 1927년 – 데이비슨 거머의 ( 전자선 ) 회절 실험


∙ 미국 벨 연구소에서 진행한 니켈 결정에 입사시킨 전자선의 ( 회절 ) 무늬 관찰 실험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9/16


∙ 특정 각도에서 가장 많은 산란이 일어남

드브로이의 ( 물질파 파장 )을 적용하여 설명 가능!

∙ 54V의 전압으로 가속시킨 ( 전자선 )을 니켈 결정에 쪼여 주었을 때, 니켈 결정에 의해 회절된 전자가


입사 전자선과 ( 50° )의 각을 이루는 곳에서 최대로 관측된다.
∙ 54V의 전압으로 가속시킨 전자의 ( 물질파 ) 파장은 같은 각도에서 보강 ( 간섭 )이 일어나는 X선의 파
장과 일치한다.

■ 1928년 - ( 톰슨 )의 전자선 ( 회절 ) 실험
∙ ( X선 )의 파장과 동일한 ( 드브로이 ) 파장을 갖는 ( 전자 )의 ( 회절 ) 실험을 통
해 전자의 ( 파동성 )을 증명

드브로이의 ( 물질파 ) 파장을 적용하여 설명 가능!

∙ ( X선 )을 금속 박막에 쪼여 주면 ( 회절 )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 ( 전자선 )을 금속 박막에 쪼여 주어도 ( 회절 )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 물질파
∙ 1924년 드브로이 : 파동이라고 생각했던 ( 빛 )이 ( 입자 )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면 ( 전자 )와 같은 입
자도 ( 파동 )의 성질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함
∙ ( 물질파 ): 전자, 양성자, 중성자와 같은 입자들이 나타내는 파동
∙ 질량 ( )인 입자가 속력 ( )로 운동할 때 운동량이 ( )인 물질파 파장 ( )

∙ 총알, 공 등 거시시계 입자는 질량이 ( 커서 ) 물질파 파장이 매우 ( 짧음 )


∙ ( 거시적 ) 입자들은 파동의 성질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10/16


■ 보어 원자 모형과 물질파
∙ ( 양자 ) 조건 : 원자 내에서 전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 궤도 )에서만 ( 안정한 ) 상태로 존재한다.
∙ 전자의 ( 각운동량 )이 양자화 되어 있다.

∙ 양자수 ( )인 전자의 반지름 ( )

∙ 양자수 ( )인 전자의 에너지 ( )

∙ ( 진동수 ) 조건 : 전자가 서로 다른 궤도로 ( 전이 )할 때 에너지 차이 만큼의 ( 빛 )을 방출하거나 흡수함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11/16


∙ 전자 궤도의 ( 원둘레 )가 물질파 파장의 ( 정수배 )가 되는 조건

∙ 물질파 파장 ( )과 양자수 ( )의 관계

< ( 파동성 ) 19C> < ( 파동성 ) 20C 초>


∙ 영의 이중 슬릿 간섭 무늬 ∙ 플랑크의 에너지 양자화

∙ 맥스웰의 전자기파 ∙ 아인슈타인의 광전효과
∙ 헤르츠의 전자기파 발생 실험 ∙ 콤프턴산란 실험

< ( 입자성 ) 19C 말> < ( 파동성 ) 20C 초>


∙ J. J. 톰슨의 음극선 실험 ∙ 드브로이의 물질파
물질
∙ 데이비슨-거머의 전자선 회절 실험
∙ G. P. 톰슨의 전자선 회절 실험

( 미시 )세계는 ( 거시 )세계를 설명하는 방법으로 설명할 수 없음!


미시세계를 구성하는 것 : 빛, 전자, 양성자, 중성자, 원자핵 등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12/16


■ 1927년 - ( 불확정성 ) 원리

∙ 1925년 ( 행렬 )을 이용한 ( 양자역학 ) 이론 발표( 행렬역학 )

( 양자역학 ) : ( 미시세계 )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는 이론

∙ 1927년 ( 불확정성 ) 원리 발표

불확정성 원리 : ( 빛 )과 ( 물질 )이 갖는 ( 이중성 )에 의해 나타나는 성질

→ 불확정성 원리가 성립하는 이유는 ( 양자역학 )으로 설명할 수 있음

■ 1926년 - ( 슈뢰딩거 ) 방정식

∙ 1926년 ( 파동 )을 이용한 ( 양자역학 ) 이론 발표( 파동역학 )


물질파를 나타내는 ( 파동 )을 에너지 보존 법칙에 대입

∙ 슈뢰딩거 방정식

1927년 슈뢰딩거는 ( 행렬역학 )과 ( 파동역학 )이 동일한 내용이라는 것을 밝혀냄

■ ( 불확정성 ) 원리
∙ ( 고전 ) 역학에서는 입자들의 ( 위치 ), 속력, ( 운동량 )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예측할 수 있다.
∙ 원자의 내부와 같은 미시적 세계에서 ( 위치 )나 ( 운동량 )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 위치 불확정량( ): 어떤 입자의 ( 위치 )가 불확실한 정도
∙ 운동량 불확정량( ): 어떤 입자의 ( 운동량 )이 불확실한 정도

∙ 파동의 성질을 갖는 입자

파동의 성질-파동 방정식 입자의 성질-운동량, 에너지

∙ 선운동량( )은 하나의 값으로 정해짐 :

∙ 어느 위치에서나 똑같은 확률로 존재 :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13/16


∙ 파동의 성질을 갖는 입자 → ( 파속 )(wavepacket)

∙ 입자는 좁은 공간에 집중되어 있는 여러 ( 파동 )의


( 중첩 )이다. → ( 파속 )(wavepacket)
∙ 중첩되는 파동의 수가 많아지면 ( 파속 )의 ( 폭 )이
감소한다.
→ 운동량 불확정성( ) ( 증가 )
→ 위치 불확정성( ) ( 감소 )

∙ 전자의 회절

슬릿의 폭 ~ 위치 불확정성

운동량 불확정성 ~ 회절 무늬의 폭

불확정성 원리

슬릿의폭( ) 증가 → 회절( ) 감소 슬릿의 폭( ) 감소 → 회절( ) 증가


→ 위치 불확정성( ) 증가 → 위치 불확정성( ) 감소
→ 운동량 불확정성( ) 감소 → 운동량 불확정성( ) 증가

∙ 전자의 위치 불확정성( )은 슬릿의 폭( )과 같다.


∙ 전자의 운동량 불확정성( )은 회절 무늬의 폭( )과 같다.

슬릿의폭( )이 작을 때 슬릿의 폭( )이 클 때

∙ 전자의 위치 불확정량( )은 작아진다. ∙ 전자의 위치 불확정량( )은 커진다.


∙ 회절 무늬의 폭( )이 크다. ∙ 회절 무늬의 폭( )이 작다.
∙ 전자의 운동량 불확정성( )은 커진다. ∙ 전자의 운동량 불확정성( )은 작아진다.

∙ 미시적 세계에서 어떤 입자의 물리량을 ( 측정 )하는 행위 자체가 입자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느 한계 이상으로는 물리량을 ( 정확 )하게 ( 측정 )할 수 없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14/16


∙ 광자의 에너지와 운동량

긴 파장의 광자를 이용해서 측정 짧은 파장의 광자를 이용해서 측정


전자의 위치 불확정성( ) 크다. 전자의 위치 불확정성( ) 작다.
전자의 운동량 불확정성( ) 작다. 전자의 운동량 불확정성( ) 크다.

■ 보어의 원자 모형의 문제점


새로운
∙ 전자의 ( 위치 )와 ( 운동량 )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가?
( 원자 모형 )이
∙ 전이 과정에서 ( 전자 )의 에너지가 가능한가?
필요함!
∙ 보어의 원자 모형을 ( 다전자 ) 원자에 적용할 수 있는가?

■ 양자역학 : ( 불확정성 원리 )를 바탕으로 ( 미시 )세계를 설명하는 이론


∙ 파동 함수 : 양자역학에서 전자의 ( 상태 )를 나타내는 함수
∙ ( 3개 )의 ( 양자수 )에 의해 전자의 상태가 결정된다.

∙ 주 양자수(Quantum Number)
∙ 궤도 양자수(Orbital Quantum Number)
∙ 자기 양자수(Magnetic Quantum Number)

∙ 양자수가 ( , , )인 전자를 발견할 확률 밀도

주 양자수
궤도 양자수
자기 양자수
가능한 전자의 상태 (파동함수)
∙  :
∙  :
∙  :

■ 확률 밀도
∙ 파동 함수의 절댓값 제곱( )이 입자를 발견할 ( 확률 밀도 )이다.
∙ 현대 원자 모형에서 전자의 정확한 ( 위치 )는 알 수 없고, 전자가 존재할 ( 확률 )만 알 수 있다.
∙ 현대적 수소 원자 모형의 ( , , )상태에서 ( 확률 밀도 )가 최대인 지점은 보어의 원자 모형에서
구한 보어 반지름( )과 일치한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15/16


∙ 그래프는 거리에 따른 전자가 발견될 ( 확률 밀도 )를 나타내고, 그래프 아래 면적은 ( 1 )이다.

■ 고전적 원자 모형과 현대적 원자 모형 비교

∙ 보어 원자 모형과 현대적 원자 모형의 공통점


→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 ( )은 보어 원자 모형에서 구한 값과 같다.
→ 전자가 ( 전이 )할 때 두 에너지 준위의 차이에 해당하는 빛을 ( 흡수 ) 또는 ( 방출 )한다.

∙ 보어 원자 모형과 현대적 원자 모형의 차이점


→ 보어 원자 모형에서는 전자의 궤도 반지름이 ( 양자수 )에 따라 정확한 값으로 결정되지만 이것은 현
대적 원자 모형의 ( 불확정성 ) 원리에 위배된다.

∙ 보어 원자 모형은 양자수가 ( 1 )개 뿐이지만, 현대적 원자 모형에서는 ( 스핀 ) 양자수를 포함하여 양자


수 ( 4 )개가 필요하다.

∙ ( 스핀 ) 양자수: 전자의 파동 함수를 결정하는 ( 3 )개의 양자수 외에 전자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양자수

∙ 보어의 원자 모형은 전자의 개수가 1개인 ( 수소 ) 원자에만 적용될 수 있지만, 현대적 원자 모형은 전
자의 개수가 많은 ( 다전자 ) 원자일 때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고급 물리학 12 양자역학 16/1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