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30

www.krit.re.

kr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defense
Technology planning and advancement
Contents

제1장 총 론
제1절 개요 및 연구범위 ··························································································6
제2절 분석배경 ·····································································································11
제3절 요약 ············································································································19

제2장 국방 드론 국내・외 개발 동향 분석
제1절 개 요 ··········································································································38
제2절 국외 개발동향 ·····························································································40
제3절 국내 개발동향 ·····························································································61
제4절 국외 대비 국내 개발동향 분석 결과 ··························································72

제3장 국방 드론 추가 발전방안
제1절 개 요 ··········································································································80
제2절 현 소요 분석 ······························································································81
제3절 현 소요의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분석 ·····················································88
제4절 미래 드론 체계 분석 ················································································114
제5절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 ························································129
제4장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제1절 개 요 ········································································································140
제2절 기술수준에 따른 드론 기술 분석 ·····························································141
제3절 기술로드맵 ································································································242

제5장 맺음말
제1절 연구 결과 ·································································································324
제2절 연구 결과의 활용 ·····················································································32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4
제1장
총 론

제1절 개요 및 연구범위
제2절 분석배경
제3절 요약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제1절 개요 및 연구범위

01 드론의 정의 및 국내현황

가. 추진배경 및 작성개요

 드론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무인항공기의 총칭임

 드론은 최초 개발된 이례로 약 1세기가 지났으며, 현재 RPV, UAV, UAS, RPAV 등 다양한
용어와 혼용하고 있음
- 미 육군은 “공중표적 프로젝트(Aerial Target Project)”를 진행하며 1917년 폭탄을
장착하고 원격 조종을 통해 적을 타격하는 “공중어뢰(Aerial Torpedo)”를 개발하였으며,
1930년대 영국에서는 재사용이 가능하여 드론의 실질적인 원조로 보는 “DH-82
Queen Bee”를 개발함
- 2차 대전과 더불어 드론은 대량생산되기 시작했고, 미국의 QQ-2는 최초의 대량생산
드론으로 1만대가 넘을 정도로 생산되었음

그림 1-1 초기형태의 드론

Aerial Torpedo(미국) DH-82 Queen Bee(영국)


(출처 : www.industrie-techno.com) (출처 : www.dehavillandmuseum.co.uk)

6
국방 드론

제1장


QQ-2(미국)
(출처 : www.salchetron.com/Radioplane-OQ-2)

- 드론의 발전과 더불어 용어도 지속적으로 진화하여 90년대에는 UAV용어와 혼용하여


사용하다가, 2000년대에는 UAS용어를, 2011년부터 유럽에서는 RPAV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함

표 1-1 드론의 표현 및 정의

분류 정의
∙ 조종사가 비행체에 직접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조종, 사전 프로그램 경로에 따라 자동 또는 반자동
무인기
형식으로 자율비행하거나 인공지능을 탑재하여 자체 환경판단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체와
(무인기 시스템)
지상통제장비 및 통신장비, 지원장비 등의 전체 시스템을 통칭
드론 (Drone) ∙ 사전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비행하는 무인 비행체
∙ Remote Piloted Vehicle
RPV
∙ 지상에서 무선통신 원격조종으로 비행하는 무인 비행체
UAV ∙ Unmanned/Uninhabited/Unhumaned Aerial Vehicle System
∙ Unmanned Aircraft System
UAS ∙ 무인기가 일정하게 정해진 공역뿐만 아니라 민간 공역에 진입하게 됨에 따라 Vehicle이 아닌
Aircraft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항공기임을 강조하는 용어
∙ Remote Piloted Air/Aerial Vehicle
RPAV
∙ 2011년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새로 쓰이기 시작한 용어
Robot Aircraft ∙ 지상의 로봇 시스템과 같은 개념에서 비행하는 로봇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

(출처 : 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

 국내에서는 드론에 대한 관련 법규인 항공법(’61년 제정)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있었으며,


’17년 항공법을 대폭 개편하면서, 항공 안전관리강화를 위해 드론 등 무인비행장치 종류를
세분화하고 드론 등록을 의무화함
- ’15년 등록된 드론은 925대 였으나, ’20. 7월 기준 등록된 드론은 14,011대로 5년 만에

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약 15배 증가하였으며, ’16년부터 ’20. 7월까지 항공법을 위반한 드론 운항건수는 총


185건으로 지속 증가하는 추세로 주로 비행 금지 구역으로 지정된 장소(원전, 공항주변
등)에 발생한 미승인 비행이 대다수를 차지함(출처 : 드론 1만4000대 붕붕 항공기가
불안하다, ’20. 10. 17.)

 드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국토부에서는 ’20. 4월 드론 활용의 촉진 및 기반조성에 관련


법률을 제정하여 드론규제완화, 특별자유 구역 지정 등을 통해 드론 산업을 육성할 근거를
마련함

 드론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 및 ’17년 항공법의 개편과 발맞춰 드론 산업의 국내 표준이


제정됨
- 드론이 레저용 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고, 그 용도가 점차 산업용 (상업용)으로
옮겨가고 있는 상황에서, 드론 산업 활성화와 품질 향상을 위한 산업표준의 필요성이
인정됨에 따라 ’16. 12. 30. 드론 관련 국내의 산업 표준인 KS W 9000이 제정됨
- KS W 9000은 현행 우리나라 항공법의 항공기의 분류와 무인 동력 비행장치에 대한
규정, 그리고 ISO 등 국제기구에서 정한 무인 항공기 시스템의 분류와 정의 등을 기초로,
좀 더 세분화하여 제정 되었으며, 이륙중량, 운용고도, 조종방식, 이착륙 방식 등 다양한
항목에 따른 분류가 제시되어 있음

그림 1-2 KS W 9000의 드론 분류

(출처 : KS W 9000)

8
국방 드론

02 연구 수행 배경 및 범위

가. 연구 수행 배경
제1장

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성장한 드론 산업은 현재 급격히 팽창 중임 총


- 세계 민간 드론 시장 규모는 상용 드론 중심으로 ’20년 23.2조원 기준 연평균 15% 성장, 론
’25년에는 40.5조원 이상으로 전망됨(출처 : 드론 시장 보고서, Drone Industry
Insight(2020))
- 국내의 경우도 드론 산업은 성장 추세이나 세계시장 대비 1% 수준(’20년, 4,371억원)이고
국내업체 52%가 매출 규모 10억원 미만임

 ICT, SW, 센서 등 첨단기술의 융・복합시스템인 드론은 ’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할 대표 시스템으로 꼽았으며, 세계 주요국은 드론 산업을 견인하기 위해
인프라 투자・제도 정비 등을 경쟁적으로 추진 중이며, 세계 방산업계에서도 드론은
지속성장할 분야로 인식하여 다양한 드론을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임

 현재 우리 군도 드론 등 신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미래위협에 대비함과 동시에 군의 안정적


수요, 기술개발 지원 등으로 연구인력, 설비 등을 유지하며 경쟁력을 축적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정책적 방향 수립을 검토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국방 드론 로드맵이 필요성이
제기됨

나. 연구대상 및 범위

 연구대상 : 최대이륙중량 150kg이하의 국방 무인동력비행장치(무기체계 및 전력지원체계)


* 드론 관련 산업표준인 KS W 9000의 정의 및 군에서 다수의 전력화가 예상되어 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연구 대상을 선정

 연구범위
- 국방 드론 국내・외 개발 동향 분석
- 현 소요의 공통 플랫폼 분석 및 임무장비 분석
- 미래전장환경에서 우리 군이 활용 가능한 신규드론소요 분석/제안
- 국방 드론 산업 환경 견인을 위한 기술개발전략(기술로드맵) 분석

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다. 연구일정

 연구기간 : ’21. 7. ~ 11.(5개월)

 주요추진경과
- ’21. 7. 30. : 착수회의
- ’21. 8. 18. : 워킹그룹 1차 회의
- ’21. 9. 2. : 워킹그룹 2차 회의
- ’21. 9. 28. : 소요군 토론회(신규 드론 소요)
- ’21. 10. 22. : 워킹그룹 3차 회의
- ’21. 10. 29. : 중간회의(“제2회 범부처(기관) 드론기술 협력 네트워크 세미나”와 연계)
- ’21. 11. 19. : 워킹그룹 4차 회의
- ’21. 12. 22. : 최종회의

라. 연구수행

 국방기술진흥연구소 기술기획본부 기획총괄부 기획총괄팀


- 연구관리 : 이선헌 팀장/책임연구원
- 연구책임 : 정윤식 선임연구원
- 연구참여 : 허 엽 연구원, 이일로 연구원, 김대원 연구원

10
국방 드론

제2절 분석배경

제1장


01 드론 활용 현황 론

가. 드론 관련 세계적 추세

 드론은 ’21세기 발생한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급격히 성장하였으며 국방에도 정찰용,


공격용 등으로 많이 활용되는 추세임

 현재 드론 관련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강국은 미국을 포함한 중국, 이스라엘, 터키 등이며,


타 국가에서도 지속적인 드론 기술과 제품 확보를 위한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음

 현재 군용 드론을 운용하는 국가는 85개국이며 107종의 드론을 운용하고 있음

표 1-2 드론 기술 주요 보유국 드론 운용 현황

정찰용 공격용 기타
∙ PD-100 Black Hornet 2(FLIR(미))
∙ SkyRanger(Aeryon Labs(케))
∙ RQ-11B Raven(AeroVironment(미))
∙ MQ-19 Aerosonde(AAI(미))
미국 ∙ RQ-20 Puma(AeroVironment(미)) ∙ Switch Blade(AeroVironment(미))
* 기상관측용
∙ RQ-12 Wasp(AeroVironment(미))
∙ ScanEagle(Insitu(미))
∙ RQ-21 Integrator(Insitu(미))
∙ Blowfish(Ziyan(중))
중국 ∙ BZK-206(Beihang(중)) ∙ Harpy(IAI(이스))
∙ CH-802(CASC(중))

∙ Skylark(Elbit(이스))
이스라엘 ∙ Harpy(IAI(이스))
∙ Skylark 3(Elbit(이스))

∙ PD-100 Black Hornet 2(FLIR(미))


∙ Serçe-1(Aselsan(터)) ∙ Harpy(IAI(이스))
터키
∙ CH-802(CASC(중)) ∙ Kargu(STM(터))
∙ Bayraktar Mini(Baykar(터))

(출처 : ‘The Drone Databook’, Bard collage(미), ’20.)

1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나. 실전 활용 사례

1) 비정규전

 ’19. 9월 예멘 반군의 것으로 추정되는 드론 10대(1대당 3 ~ 4kg의 폭탄 장착)로 700만


배럴의 석유처리량을 가진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기업의 거대한 석유생산시설이 공격
받음
- 이란의 드론 Ababil을 개조했을 가능성이 높은 ‘Sammad-1’로 추정되며, 제작비용이
대당 최대 천여만원 안팎으로 추정됨
- ’18. 5월 및 7월에도 유사드론이 사우디 국영 석유기업의 정유 시설을 공격함
- ’18. 1월 유사드론이 예맨군 퍼레이드를 공격해 고위 장교를 포함해 6명 사망함

그림 1-3 공격받은 석유생산시설 및 Sammad-1 잔해

(‘드론테러 현실이 되다.. 1대에 3 ~ 4kg 폭탄으로 핵심시설 타격’, 연합뉴스, ’19. 9. 16.)

 ’19. 4월 리비아 내전1)에서 쿼드콥터 형태의 드론인 ‘Kargu-2’가 물자를 수송하거나


후퇴하는 리비아 국민군(반군)을 공격함
- 터키의 지원을 받는 리비아통합정부에서는 터키의 ‘Bayraktar TB2’ 무인기와
‘Kargu-2’ 드론 등을 사용하였고 무인기 및 드론의 출격 횟수는 900회가 넘을 정도로
활발히 운용됨
- Kargu-2는 물자를 수송하거나 후퇴하는 리비아 국민군을 자율적으로 추적하였으며,
운용자와 드론간의 데이터 통신 없이 표적을 공격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어, 사실상
‘fire and forget and find’ 능력을 갖춘 것으로 분석됨(출처 :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port, ’21. 3. 8.)

1) 리비아 내전 : 리비아의 카다피 정권 붕괴 후부터 활발히 진행된 리비아 내전은 리비아 동부를 장악한 리비아 국민군(LNA)과 리비아 서부를
장악한 리비아통합정부(GNA)간의 내전으로 ’19. 4월 칼리파 하프타르 리비아국민군 최고사령관이 서부에 있는 수도 트리폴리를 장악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격화됨

12
국방 드론

그림 1-4 UN 안전보장이사회 보고서의 Kargu-2 설명 내용

제1장


(출처 :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port, ’21. 3. 8.)

2) 정규전

 ’20. 9. 24. ~ 11. 10.간 Nagorno-Karabakh 지역에서 벌어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전쟁2)에서 아제르바이잔군이 드론을 운용하여 많은 전과를 올림
- 아제르바이잔은 Orbiter-1K(Aeronautics(이스라엘)), SkyStriker(ELBIT(이스라엘))
등의 드론을 운용하였으며 다량의 아르메니아 T-72, BMP-2 등을 파괴하는 전과를 올림
- 아제르바이잔은 기존 재래식 전력과 최첨단 전력을 배합한 하이브리드(Hybrid) 전투와
지상과 공중 전력을 융합한 다 영역전투(Multi-Domain Battle)를 수행함으로써
드론의 전투 효과를 배가시키는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드론을 운용함
- 각종 매체에 따르면 아르메니아 군의 전술적 훈련 부족, 전력 부족 등의 문제가 드론의
전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장에서의 드론 효과를
명확하게 볼 수 있는 사례인 것으로 파악됨 (출처 : ‘Armor attrition in
Nagorno-Karabakh battle not a sign US should give up on tanks, experts say’,
MilitaryTimes, ’20. 8. 30.)

2)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전쟁 : ’93년 Nagorno-Karabakh 지역은 아르메니아의 지원을 받아 아제르바이잔에서 독립하였으나, 지속적인


산발적인 군사충돌과 ’20. 7.에 발생한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간 일련의 사건들이 발생함에 따라 아제르바이젠이 해당지역을 수복하기
위한 군사작전을 시작함으로 인해 시작된 전쟁임

1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그림 1-5 아제르바이잔의 드론, Orbiter-1K, SkyStriker

(출처 : 제조사 홈페이지 등)

그림 1-6 드론에 의해 파괴된 T-72 전차

(출처 : 아제르바이잔군 정부 SNS)

그림 1-7 드론에 의해 파괴된 BMP-2 장갑차

(출처 : 아제르바이잔 정부 SNS)

 ’19년 이후 미군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초소형 정찰용 드론 PD-100 Black Hornet


2를 운용함
- 미군의 운용 방법이 공개되지는 않았으나, 제작사인 FLIR사는 이 드론이 옥상, 거리,
건물을 정찰 가능해 도시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다고 홍보함 (출처 : ‘미군,

14
국방 드론

아프가니스탄에 포켓형 정찰 드론 투입한다’, 로봇신문, ’19. 7. 14.)

그림 1-8 Black Hornet 드론과 드론 제원

제1장


(출처 : ‘Tiny Black Hornet drone gives combat soldiers an eye in the sky, the times’, ’19. 7. 8.)

02 드론 관련 안보정책

가. 드론을 활용한 국외 안보정책

 현 전장 환경에서 드론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됨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미래 안보정책에


다양한 드론 활용 방안을 모색함

 미국 : 지속적으로 드론 전력을 발전, 전력화 예정


(출처 : ‘U.S. Drones : Smaller, Less Capable Drone for the Near Future’, Military
Review, ’18.)
- 현재도 다양한 드론을 다수 운용하고 있으며(Scan eagle(이륙중량 : 18g), RQ-11
Raven(이륙중량 : 1.9kg), Puma 3 AE(이륙중량 : 6.8kg)) 등 지속적으로 드론에 대한
투자를 늘릴 계획임
- 상호운용성, 신뢰성, 자동성, 동력시스템, 공대공전투 성능 및 은닉성 등 미래에는 모든
드론의 전반적인 성능의 향상이 일어 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 영국 : 근 미래에는 비전투 업무에 드론을 활용할 예정


(출처 : ‘영국 육군, 2030년 까지 4분의 1을 로봇으로 채운다’, IT 데일리, ’21. 3. 15.)
- 현재, 영국 육군의 적정인원은 8만2000명이나 실제 인원수는 7만4000명 정도로
인원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향후 드론들을 도입, 기계화 부대를

1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만드는 방향을 설정함


- 영국은 드론 등 로봇병을 활용한 본격적인 전투는 먼 미래 얘기로 보고 있으며, 근
미래에는 물자수송 등 비전투 업무에 활용할 예정임

 이탈리아 : 군집드론을 미래전장의 게임체인저(Game changer)로 활용 예정


(출처 : ‘Future Operating Environment post 2035’, Italian Army Headquarters,
’19.)
- 인간은 지능적이고 자율적인 시스템을 도입한 미래에도 대체 할 수 없는 역할을 수행
할 것이나, 인간이 운용하는 드론의 역할 또한 증대될 것으로 예상함
- 특히, 미래의 게임체인저로 AI를 탑재한 군집드론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드론의
자율제어를 강화하고 지상 기반 플랫폼과의 통합을 통해 지상군의 실시간 전장 상황
개선을 기대하고 있음

 호주 : 드론을 군사작전을 위한 중요한 공급체인으로 활용할 예정


(출처 : ‘Future Operating Environment post 2035’, Commonwealth of Australia,
’16. 12.)
- 완전자동화 또는 반자동화 된 드론에 의한 대량물자수송을 예상하고 있으며 단순한
지역적 수송을 넘어 대륙 간 수송이 가능한 물류 공급망 구축을 기대하고 있음

 스페인 : 생체모방드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


(출처 : ‘Operating Environment 2035’, Ministry of Defence Spain, ’19. 5.)
- 소형화 추세가 드론에게도 적용되어 생체모방형태인 새, 곤충 등의 형태를 한 초소형
드론들이 무기, 센서, 카메라, 마이크 등을 장비할 것으로 예상함
- 생체모방드론은 시가지, 땅굴 등 시가지 환경에서 주로 정찰용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하나, 군집화 기술 및 폭탄을 장착하여 효과적인 공격작전 또한 가능할 것으로
예상함

나. 드론을 활용한 국내 안보정책

 국내의 미래 작전환경은 병력자원 감축, 인명중시사상의 확산, 정보 및 화력 집중의 필요성


증대, 드론의 위협 증대 등이 주요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됨(출처 : ‘드론봇 전투체계 발전방안
연구’, 한국드론혁신협회, ’21. 2. 16.)
- 병력자원 감축 : 지속적인 저출산과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어 현재 62.5만의 한국군

16
국방 드론

상비 병력은 차츰 줄어들어 50만명 정도로 감축됨으로 인해 군 전력손실이 예상됨. 특히


육군의 경우 많은 부대가 해체 및 재편되어 부대별도 담당해야 할 지역이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광대한 작전지역에 대한 효과적인 작전 수행이 필요함
- 인명중시사상의 확산 : 과거의 경우 전쟁은 어느 정도 인명손실은 감내해야 하는 것으로
제1장
인식하고 있었으나, 현대에는 점점 인명손실 감내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많은 가정이 1자녀 가정인 국내의 특성상 더더욱 인명손실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됨
- 정보 및 화력 집중의 필요성 증대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급격한 드론 산업의 발전으로
기존의 인공위성뿐만 아니라 첨단 정보수집 및 무력 투사 수단으로 드론이 급부상
하였으며, 이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적의 표적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분석,
판단 가능한 첨단 지휘통제・통제체계, 타격체계 등을 구축하고 있음
- 드론의 위협 증대 :드론의 확산에 따라 테러 등의 목적으로 악용하는 사례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19년 사우디아라비아를 정유시설을 공격한 예맨 반군의 드론 등)
경우에 따라 생화학 무기를 탑재한 대량살상 공격 등을 감행할 수 있어 드론 위협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함

 국내의 미래 작전환경을 바탕으로 드론에 대한 활용도가 가장 높은 육군의 경우


‘육군기본정책서 2019 - 2033’을 통해 드론을 ‘5대 게임체인저’ 및 ‘평화구축 역량 확충’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정책적인 목표를 제시함

 또한, 육군은 미래 군사력 건설을 위한 추진중점 중 차세대(Next) 게임체인저로 드론 및


로봇체계를 바탕으로 하는 드론봇 전투체계를 제시하고 있으며, 드론 등 다양한 전투체계의
기동화・초연결화를 통해 전투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army Tiger 4.0’을 제시함

 해군은 ‘해군비전 2045’를 기반으로 미래 해군력 건설에 드론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을 수립 및 ‘2045 해군력 건설방향’을 통해 미래 해군의 드론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해양무인체계 종합발전계획’을 통해 드론 활용을 위한 구체적 발전방안을 제시하였음

 해병대는 사회・문화, 과학기술, 자연 및 군사 환경의 변화에 따라 미래 전장 환경에서


무인전투체계의 필요성 및 그 중요성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다방면에서 드론을
활용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음

 공군은 ‘’19 - ’33 공군전략서’를 기반으로 전장인식, 지휘통제, 전력운용, 방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형급 무인항공기의 전략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과

1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연계한 유⸱무인 복합운용과 AI기술 발전에 따른 Swarming 전술을 통하여 조종사의


생존률과 임무성공률, 비용 대 효과의 극대화 가능성을 제시하였음

 국회 사무처에서 주관하는 ‘드론봇 전투체계 발전방안’ 연구에서는 미래 전장 환경에서


드론의 역할을 감시/정찰의 임무뿐만 아니라 기만, 통신 중계, 화력유도, 장애물 설치/제거,
조명 지원 등 전투수행기능별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며 상세한 분야로는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음
- 정찰용(화력유도 포함)
- 공격용(자폭, 소총/유탄, 폭탄 투하, 군집형 공격 등)
- 특수목적용(통신, 지뢰/화생방 탐지, 안티드론, 전자전, 다목적 드론)
- 감시지원용(경계용, 대침투작전간 지원 드론)
- 작전지속지원용(수송, 구난, 방역, 수공양용, 소방, 매핑, 방송/조명, 영상촬영, EHCT)
- 교육훈련용(드론교육센터/병과학교 교육용, 방공표적추적용, 전투실험용)

그림 1-9 ‘드론봇 전투체계 발전방안’의 미래 전장 환경의 드론

(출처 : ‘드론봇 전투체계 발전방안 연구’, 한국드론혁신협회, ’21. 2. 16.)

18
국방 드론

제3절 요약

제1장


01 현 소요의 공통 플랫폼 및 임무장비 분석 론

가. 현 전군 드론소요 71개에 대한 분석 결과 10kg, 25kg, 150kg급 3개의 공통


플랫폼이 도출되었으며 각각의 플랫폼에 필요한 임무장비를 분석함

- 10kg급으로는 대테러경계용 무인항공기, 공보정훈용 드론, 현장감식용 드론 등의


소요를 공통화 하였으며 공통화 된 드론들은 주로 EO/IR 등 경량 임무장비 모듈을
사용하는 드론임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표 1-3 10kg급 공통 플랫폼 분석 결과

10kg급 공통 플랫폼 드론 < 회전익 - 멀티콥터 > - 170세트

탑재중량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최대속도 최대이륙중량 최대풍속 (추가배터리, 운용온도
(km) (hr) (km) (km/h) (kg) (m/s) 임무장비모듈) (℃)
(kg)

0.5 -20℃ ~
3 0.5 - 10 15 2
(30분) +43℃

기타사항 IP33 이상의 방수방진 능력 보유

표 1-4 10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분석 결과

10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EO/IR 모듈
화소수 탐지성능 안정화 중량

EO : 500m(사람), 3축 짐벌
EO : 1920 x 1080 이상
IR : 250m(사람) * 물리적 2축+ 디지털 변환 1kg 이하
IR : 640 x 480 이상
이상 탐지 1축(roll) 가능

1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EO 모듈
화소수 촬영속도 광학배율 성능 안정화 중량
3축 짐벌
1.8kg 이하
1920 x 1080 이상 30FPS 18배 이상 * 물리적 2축+ 디지털
(카메라 + 짐벌)
변환 1축(roll) 가능

조류퇴치 모듈
중량
최대출력 소리 최대 전달거리 가시거리
(EO카메라 포함)
100dB 이상 70m 이상 500m 이상 2kg 이하

- 25kg급으로는 조명/방송용 드론, 해안경계용 드론, 기지경계용 무인항공기, 해안정찰


지원용 드론 등의 소요를 공통화 하였으며 10kg급 대비 고중량의 다양한 임무장비를
사용하는 드론임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표 1-5 25kg급 공통 플랫폼 분석 결과

25kg급 공통 플랫폼 드론 < 회전익 - 멀티콥터 > - 593세트


탑재중량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최대속도 최대이륙중량 최대풍속 (추가배터리, 운용온도
(km) (hr) (km) (km/h) (kg) (m/s) 임무장비모듈) (℃)
(kg)
0.666 -20℃ ~
5 1 70 25 15 4
(40분) +43℃
기타사항 IP33 이상의 방수방진 능력 보유

표 1-6 25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분석 결과

25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EO/IR 모듈

화소수 Freame Rate 탐지성능 안정화 중량


EO : 1km(사람) 이상
3축 짐벌
EO : 1920 x 1080 이상 탐지,
30FPS * 물리적 2축+ 디지털 2kg 이하
IR : 640 x 480 이상 IR : 500m(사람)
변환 1축(roll) 가능
이상 탐지

조명/방송용 모듈

조도 서치라이트 중량 소리최대출력 스피커 중량


10,000lm 이상 1.1kg 이하 125dB 이상 650g 이하

20
국방 드론

화생방 탐지 모듈

탐지성능 방사선 중량
CWA/TIC 감마선, X선 탐지 2.2kg 이하

* 지뢰탐지모듈(공기흡입식) : 현재 개발 중이며, ‘24년 이후 성능 분석 가능 제1장


- 150kg급으로는 군수품 수송용 항공방재용 소형급 무인항공기 등의 소요를 공통화

하였으며 공통화 된 드론들은 항공방제, 수송 등 10kg급, 25kg급 대비 고중량의
임무장비를 사용하는 드론임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표 1-7 150kg급 공통 플랫폼 분석 결과

150kg급 공통 플랫폼 드론 < 회전익 - 멀티콥터 > - 56세트


탑재중량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최대속도 최대이륙중량 최대풍속 (추가배터리, 운용온도
(km) (hr) (km) (km/h) (kg) (m/s) 임무장비모듈) (℃)
(kg)
1.5
(90분) -20℃ ~
10 1 - 150 15 40
* 수소연료 +43℃
전지기준
- IP33 이상의 방수방진 능력 보유
기타사항 - 배터리 방식의 동력원 적용시 : 최대체공시간을 30분으로 변경
- 엔진, 배터리 하이브리드 방식의 동력원 적용시 : 최대체공시간을 2시간으로 변경

표 1-8 150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분석 결과

150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항공방제 모듈

용량 노즐
20L 이상 운용환경에 따라 변경 가능

군수품 수송용 모듈

환경성능 모듈 단독중량
IP33 이상 1kg 이하

2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02 신규 드론소요 분석 제안

가. 현 국방연구개발 과제 분석 결과 드론 연구개발 트렌드인 공통화, 자동화, 군집화,


모듈화, 소형화 5개 분야 모두 다양한 과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군집화
및 모듈화, 공통화 기술 등의 발전을 통해 현 소요가 발전 가능한 점을 식별함

나. 미래 전장 환경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신규드론소요를 곤충형 멀티 드론, 조류형


멀티 드론, 모함 드론, 다목적 공통 플랫폼의 4가지 도출함

순번 분야 체계명 시기 체계설명
곤충형 2030 공중감시정찰이 제한되는 상황하 감시/정찰/경계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충전,
1 생체모방
멀티 드론 후반 통신을 수행하는 HIVE 및 다수 곤충형 드론으로 구성된 체계
해안가, 강가, 도심지역등 다양한 공간에서 표적을 감시하고 공중, 지상,
조류형 2030
2 생체모방 수중(얕은수심)의 표적을 타격하기 위한 조류(가마우지)를 모방한 드론으로
멀티 드론 후반
충전, 통신을 수행하는 NEST 및 다수 조류형 드론으로 구성된 체계
2030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자드론에 대한 통신중계/이동/전력공급 등을 지원
3 회전익 모함 드론
후반 가능한 모함 드론 체계
모듈화된 플랫폼, 임무장비를 레고식으로 결합 가능한 다목적 드론 체계로 기존
멀티콥터 드론을 대체 및 통합 가능한 체계
∙ 플랫폼 모듈
- 전지모듈(충전지, 수소전지 등)
- 로터 모듈(고속/중속/저속)
- 통신 및 통제장치 모듈
다목적 공통 2030
4 회전익 ∙ 임무장비 모듈
플랫폼 드론 후반
- 자폭모듈 : 공격용 자폭드론
- 수송모듈(소/중/대) : 수송용 드론
- EO/IR 모듈 : 감시정찰용 드론
- 소형 TMMR 모듈 : 통신중계 드론
- 로봇팔 및 폭발물 제거 모듈 : EOD 드론
- 수술도구, 마취제, 약제 모듈 : 의료처치 드론

22
국방 드론

03 드론 기술로드맵

가. 세계최고수준의 국방 드론을 획득하기 위한 기술로드맵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보유


제1장
기술수준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고정익, 생체모방 대비 해외 기술 발전이 빠른

회전익 드론의 국내 기술수준이 타 드론대비 낮은 것으로 도출됨 론

- 회전익 드론에 대한 기술수준 분석 결과 세계 최고 기술수준 대비 현 국내 기술수준은


67.2%이며 기술격차는 3.4년으로 분석 됨
- 고정익 드론에 대한 기술수준 분석 결과 세계 최고 기술수준 대비 현 국내 기술수준은
71.7%이며 기술격차는 3.1년으로 분석 됨
- 생체모방 드론에 대한 기술수준 분석 결과 세계 최고 기술수준 대비 현 국내 기술수준은
71.3%이며 기술격차는 2.7년으로 분석 됨

그림 1-10 최고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

나. 분석 결과로 부터 세계최고수준의 국방 드론 개발 등을 위한 기술 및 로드맵을


도출함

2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다. 회전익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회전익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녹색은 민간주도 기술개발, 적색은 국방주도 기술개발, 황색은 민군공동 기술개발 제안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1 2 비행체 다기능 구조물 제조 기술 23 27

2 3 기체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 27 31
3 3 기체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 23 27
4 3 기체 비행 중 기체 형상변형기술 23 27
드론용 하이브리드 동력원시스템
5 4 하이브리드 장치 22 27
설계 및 개발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6 4 연료전지 22 26
시스템 개발
연료전지 동력원을 이용한
7 4 연료전지 23 27
무인이동체 통합설계 기술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8 4 연료전지 23 28
터빈엔진 개발
9 4 연료전지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 23 25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10 4 전지 23 27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11 4 전지 25 28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팩 시스템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12 4 전지 << 24
리튬이차전지 기술
13 4 전지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 << 23

14 4 전지 드론 고속 충전 기술 23 27
15 4 FCS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 23 29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16 4 FCS 23 26
신호처리기술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17 4 FCS 23 26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18 4 구동장치 23 27
추력시스템 기술
19 4 구동장치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 23 27
드론용 고효율 소형모터 및 제어기
20 4 구동장치 23 26
설계기술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21 4 항법시스템 자율이동을 위한 교란 탐지 및 24 28
대응기술

24
국방 드론

회전익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녹색은 민간주도 기술개발, 적색은 국방주도 기술개발, 황색은 민군공동 기술개발 제안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 제1장
22 4 항법시스템 22 27
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
실내, 비가시 환경에서 드론 운용을

23 4 항법시스템 위한 네트워크 및 자기장계 응용 22 24 론
관성복합항법기술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24 4 임무컴퓨터 22 24
처리 기술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25 4 임무컴퓨터 22 25
플랫폼 기반 OS 기술
26 4 임무컴퓨터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 << 25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27 4 임무컴퓨터 22 25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28 3 정찰장비(EO/IR) 23 26
저전력화 기술
29 3 정찰장비(EO/IR)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23 26
30 3 정찰장비(EO/IR)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23 26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31 3 정찰장비(SAR) 23 26
저전력화 기술
32 3 정찰장비(SAR)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 23 26
33 3 정찰장비(SAR)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 23 26
공격장비
34 3 충격흡수 및 발사제어장치 기술 23 26
(발사형 장비)
공격장비
35 3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 23 26
(탄약형 장비)
공격장비
36 3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23 26
(탄약형 장비)
공격장비
37 3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23 26
(탄약형 장비)
지원장비 드론용 복합방식(MD+GPR)
38 3 23 26
(지뢰탐지장비) 지뢰탐지기를 위한 지면 적응 기술
지원장비 드론 탑재용 화생방 탐지용 초소형
39 3 << 28
(화생방탐지장비) 센서 기술
지원장비
40 3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 23 25
(수송장비)
지원장비
41 3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 23 26
(LIDAR장비)
42 4 비행/임무 통제장치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 25 28
43 4 비행/임무 통제장치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23 26

2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회전익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녹색은 민간주도 기술개발, 적색은 국방주도 기술개발, 황색은 민군공동 기술개발 제안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44 4 비행/임무 통제장치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23 26

45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3 26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46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24 27
분석/평가 기술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47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3 26
인터페이스 기술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48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4 27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49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3 26
운용 기술
50 4 비행/임무 통제장치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7 31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51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3 26
VR/AR 플랫폼 기술
52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23 25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53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3 27
임무 재계획 기술
54 4 영상분석장치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23 26
55 4 영상분석장치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23 26

56 4 영상분석장치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 23


드론 자동 이착륙 및 무선충전
57 4 이동형 스테이션 22 24
스테이션 기술
58 3 지휘통제시스템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 23

59 3 지휘통제시스템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 << 23


60 2 데이터링크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 << 23
61 3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 23 28
지능형 드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62 3 항공 데이터링크 26 30
관리 기술
63 3 항공 데이터링크 무인이동체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22 26
64 3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 23 26
65 3 항공 데이터링크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 23 26
66 3 항공 데이터링크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 24 28
67 3 지상 데이터링크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 22 26

26
국방 드론

라. 고정익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고정익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녹색은 민간주도 기술개발, 적색은 국방주도 기술개발, 황색은 민군공동 기술개발 제안

단기 중기 장기 제1장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1 2 비행체 다기능 구조물 제조 기술 23 27

2 3 기체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 27 31

3 3 기체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 23 27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4 4 연료전지 22 26
시스템 개발

5 4 연료전지 3D프린팅기반소형스마트터빈엔진개발 23 28

6 4 연료전지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 23 25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7 4 전지 23 27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8 4 전지 25 28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 팩 시스템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9 4 전지 << 24
리튬이차전지 기술

10 4 전지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 << 23

11 4 전지 드론 고속 충전 기술 23 27
12 4 FCS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 23 29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13 4 FCS 23 26
신호처리기술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14 4 FCS 23 26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15 4 구동장치 23 27
추력시스템 기술
16 4 구동장치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 23 27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17 4 항법시스템 24 28
위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
18 4 항법시스템 22 27
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19 4 임무컴퓨터 22 24
처리 기술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20 4 임무컴퓨터 22 25
플랫폼 기반 OS 기술

2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고정익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녹색은 민간주도 기술개발, 적색은 국방주도 기술개발, 황색은 민군공동 기술개발 제안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21 4 임무컴퓨터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 << 25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22 4 임무컴퓨터 22 25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23 3 정찰장비(EO/IR) 23 26
저전력화 기술
24 3 정찰장비(EO/IR)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23 26
25 3 정찰장비(EO/IR)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23 26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26 3 정찰장비(SAR) 23 26
저전력화 기술
27 3 정찰장비(SAR)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 23 26

28 3 정찰장비(SAR)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 23 26
공격장비
29 3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 23 26
(탄약형 장비)
공격장비
30 3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23 26
(탄약형 장비)
공격장비
31 3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23 26
(탄약형 장비)
지원장비
32 3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 23 25
(수송장비)
지원장비
33 3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 23 26
(LIDAR장비)
34 4 비행/임무 통제장치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 25 28

35 4 비행/임무 통제장치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23 26


36 4 비행/임무 통제장치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23 26

37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3 26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38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24 27
분석/평가 기술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39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3 26
인터페이스 기술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40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4 27
현재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41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음성및제스처인식을통한드론운용기술 23 26

42 4 비행/임무 통제장치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7 31

28
국방 드론

고정익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녹색은 민간주도 기술개발, 적색은 국방주도 기술개발, 황색은 민군공동 기술개발 제안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제1장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43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3 26
VR/AR 플랫폼 기술

44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23 25 론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45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3 27
임무 재계획 기술
46 4 영상분석장치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23 26
47 4 영상분석장치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23 26
48 4 영상분석장치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 23

49 3 지휘통제시스템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 23


50 3 지휘통제시스템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 << 23
51 2 데이터링크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 << 23

52 3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 23 28

53 3 항공 데이터링크 지능형드론데이터통신네트워크관리기술 26 30

54 3 항공 데이터링크 무인이동체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22 26

55 3 항공 데이터링크 초고속/대용량 영상정보데이터링크 기술 22 25

56 3 항공 데이터링크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 23 26


57 3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 23 26
58 3 항공 데이터링크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 24 28

59 3 지상 데이터링크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 22 26

2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마. 생체모방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생체모방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녹색은 민간주도 기술개발, 적색은 국방주도 기술개발, 황색은 민군공동 기술개발 제안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경량 구조물 공력 및 구조 특성해석 및
1 4 동체 22 25
신소재 기반 정밀제작 기술

2 4 동체 전부품 통합 다기능 구조화 기술 24 27

3 4 날개 유연체 유체-구조 연계 해석 기술 23 26
(조류형) 조류 모방 깃털 모사 설계
4 4 날개 24 27
기술
(곤충형) 곤충 모방 인공날개
5 4 날개 24 27
설계/제작기술
(조류형) 가변 구조 메커니즘 설계
6 4 날개 24 27
기술
7 3 동력장치(전지) 내장형 배터리 성능 향상 기술 23 26

8 3 비행체시스템 생체 모방 비행체 시스템 설계 기술 23 26

9 4 FCS 비행제어 시스템 기술 23 26


(조류형) Flap-Gliding 비행제어
10 4 FCS 23 26
기술
11 4 FCS 상대풍 추정 기술 24 27

(조류형) 퍼칭(perching)을 위한
12 4 FCS 23 27
구동메커니즘 및 정밀제어기술

13 4 구동장치 기어/크랭크 메커니즘 설계기술 28 32

14 4 구동장치 (조류형)소형 기어 최적 설계제작 기술 28 32

15 4 구동장치 (조류형) 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 23 27


날갯짓 주파수제어 메커니즘 분석
16 4 구동장치 25 29
기술
(곤충형) 초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17 4 구동장치 24 28
기술
운용 거리를 고려한 저전력/저중량
18 3 항공전자 시스템 28 32
통신모듈 및 안테나 기술
가혹환경(위성항법성능 불량,
비가시, 투과형 장애물)에서 드론
19 3 항공전자 시스템 22 27
운용을 위한 실시간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위치 추정 및 인공지능 기술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20 3 항공전자 시스템 22 25
플랫폼 기반 OS 기술

30
국방 드론

생체모방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녹색은 민간주도 기술개발, 적색은 국방주도 기술개발, 황색은 민군공동 기술개발 제안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독립장치 센서용 초소형 고출력 제1장
21 3 독립장치 배터리 29 32
베타전지 기술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22 3 정찰장비(EO/IR) 23 25 론
저전력화 기술

23 3 정찰장비(EO/IR) AI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23 26

24 3 정찰장비(EO/IR)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22 25

25 3 공격장비(탄두) 드론용 초소형 경량 탄두 설계기술 27 31

26 3 공격장비(탄두)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27 31

27 3 GCS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23 26

28 3 GCS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23 26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29 3 GCS 23 26
운용기술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30 3 GCS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24 27
분석/평가 기술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31 3 GCS 23 26
인터페이스 기술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32 3 GCS 24 27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33 3 GCS 23 26
운용 기술

34 3 GCS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7 31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35 3 GCS 23 26
VR/AR 플랫폼 기술

36 3 GCS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23 26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37 3 GCS 23 27
임무 재계획 기술

38 3 GCS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23 26

39 3 GCS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23 26

40 3 GCS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 23

3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04 연구 지원 전문가

순번 구분 소속 이름

1 군 국방부 김 지 용 중령

2 군 육군 교육사 김 기 인 중령

3 학 건국대학교 윤 광 준 교수

4 학 건국대학교 박 훈 철 교수

5 학 한서대학교 이 동 진 교수

6 학 충남대학교 김 승 균 교수

7 연 국방과학연구소 오 성 환 책연

8 연 국방과학연구소 박 원 익 선연

9 연 국방과학연구소 최 유 송 팀장

10 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 민 우 선연

11 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 양 재 책연

12 연 한국원자력연구원 손 준 영 실장

13 연 한국원자력연구원 탁 태 우 박사

14 연 한국원자력연구원 홍 진 태 박사

15 산 LIG넥스원 고 정 환 팀장

16 산 한화시스템 곽 재 섭 수석

17 산 한화시스템 최 순 호 팀장

18 산 한화시스템 고 재 철 수석

19 산 대한항공 이 현 석 PM

20 산 네스앤택 양 민 욱 소장

21 산 피엔유드론 변 영 섭 이사

22 산 풍산 송 이 화 책연

23 산 풍산 김 진 구 선임

24 산 알에스오토메이션 김 상 태 상무

25 산 알에스오토메이션 이 승 철 위원

32
국방 드론

05 관련 문서

가. 국내 관련문서
제1장

 ’23 - ’27 합동군사력건설계획서, 합동참모본부(’21.) 총



 ’28 - ’52 장기무기체계발전방안, 합동참모본부(’21.)

 ’21 - ’35 핵심기술기획서, 방위사업청(’21. 2.)

 육군비전 2050 구현을 위한 육군 과학기술발전계획, 육군본부(’20. 8.)

 육군기본정책서 2019 - 2033, 육군본부(’18. 12.)

 미래육군의 혁신 구상 Army TIGER 4.0, 육군본부(’19. 11.)

 드론 전력화 Master Plan, 육군 교육사(’21. 3.)

 2045 해군력 건설방향, 해군본부(’19.)

 해양무인체계 종합발전계획서, 해군본부(’20.)

 ’21 - ’35 해병대 전략서, 해병대사령부(’21.)

 ’26 - ’33 미래 해병대작전 기본개념서, 해병대사령부(’20.)

 해병대 비전 2049, 해병대사령부(’20.)

 ’19 - ’33 공군전략서, 공군본부(’18.)

 4차 산업혁명을 가속할 국방 군집로봇 기술로드맵, 국방기술품질원(’20. 10.)

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할 국방 생체모방로봇 기술로드맵, 국방기술품질원(’19. 4.)

 상상력・아이디어 기반 미래전장무인기술 2050, 국방기술품질원(’20. 12.)

 무인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 과학기술정보통신부(’18. 1.)

 드론봇 전투체계 발전방안 연구, 한국드론혁신협회(’21. 2.)

3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드론 기술 및 시장동향 보고서. 한국일자리진흥원(’19. 8.)

 삶의 차원을 높여주는 K-드론봇, KM 경문사(’21. 7.)

나. 국외 관련문서

 The Drone Databook, Bard collage(’20.)

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port, UN(’21. 3. 8.)

 The Azerbaijani Armed Forces Combat Performance and Military Strategy In


The 2020 Nagorno-Karabakh War, center for strategic research - Republic of
Turkey Ministry of Foreign Affairs(’21. 2.)

 The Future Operational Environment 2035-2050(AFC Pam 525-2), U.S. Army


Future Command(’20. 11.)

 U.S. Drones : Smaller, Less Capable Drone for the Near Future, Military
Review(’18. 5.)

 Future Operating Environment 2035, UK's Ministry of Defence(’15. 12.)

 Future Operating Environment post 2035, Italian Army Headquarters(’19.)

 Future Operating Environment post 2035, Commonwealth of Australia


(’16. 12.)

 Operating Environment 2035, Ministry of Defence Spain(’19. 5.)

 Future Land Operating Concept 2035, New Zealand Defence Force(’17.)

34
제2장
국방 드론 국내・외 개발 동향 분석

제1절 개 요
제2절 국외 개발동향
제3절 국내 개발동향
제4절 국외 대비 국내 개발동향 분석 결과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제1절 개요

01 분석배경

 국방 드론은 현재 세계 각국의 관심을 바탕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음

 국내의 경우도 드론 관련 기술 생태계가 조성 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드론이 개발됨

 2장에서는 현재 개발 되거나 개발 진행 중인 국방 드론을 형태별・용도별로 분류하고


선진국의 최신 기술을 적용한 드론과 국내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 된 드론을 비교・분석 하여
최신 기술대비 부족 부분을 식별함

02 용도에 따른 분류 정의

 대부분의 드론은 임무장비에 따라 용도가 변경되는 다목적으로 운용 가능한 체계이나 현재


존재하는 용도에 따른 분류 방식을 조사하여 정찰용, 공격용 및 그 밖에 용도로 분류됨을
확인함
- 국내・외 국방 드론의 용도는 정찰용, 공격용이 주 용도이며, 그밖에 다양한 용도로
운용됨을 확인함(‘드론봇 전투체계 발전방안 연구’, 한국드론혁신협회, ’21. 2. 16.)
- 육군 교육사에서 발간한 육군 드론 발전 방안 문서에서 드론은 정찰용, 공격용,
지원용으로 분류함 (‘드론 전력화 Master Plan’, 육군 교육사, ’21. 3. 31.)
- 무기체계는 주요 임무에 따라 공격용, 정찰용, 지원용으로 분류하며 전력지원체계는 장병
대신 임무를 수행 및 지원을 위해 중요 시설 경계, 물자 수송, 교육・훈련 및 전투실험
등을 수행 (“과학기술 기반의 국방혁신 「국방 드론 발전 전략」 수립 추진계획”, 국방부
전력정책관실, ’21. 4.)

 따라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드론의 용도를 정찰용, 공격용, 지원용으로


분류함

38
국방 드론

표 2-1 용도에 따른 드론의 분류

용도 분야 설명
자폭형, 폭탄투하형 표적을 타격하기 위한 다양한 살상장비를 임무장비로 장착하여 운용하는
공격용
소총・유탄 사격형 등 드론
지역정찰용, 기지경계용,
정찰용 고성능 EO/IR 카메라 등을 주 임무장비로 장착하여 운용하는 드론
지역감시용 등
제2장
화생방, 지뢰탐지제거, 수송용, 작전에 필요한 다양한 비전투적인 임무장비(화생방, 지뢰, 수송, 제초,
지원용
기상관측용 등 기상관측, 방송, 중요시설 경계 등)를 장착하여 운용하는 드론













3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제2절 국외 개발동향

01 회전익 드론

가. 공격용

Kargu

 터키 STM사에서 개발한 Kargu는 최대 1.5kg의 파편 폭발 장약 등 탄두를 장착할 수 있으며 10배


광학 배율을 갖춘 2축 EO/IR 카메라를 장착함
 인공지능을 통해 표적을 공격 할 수 있으며, 약 20대의 드론을 군집으로 운용 할 수 있음

개발기관 STM / 터키

∙ 전장 : 78cm
∙ 무게 : 6.3kg
∙ 비행시간 : 15분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72km/h
∙ 작전반경 : 5km
∙ 운용고도 : 2.5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Rotem L

 이스라엘 IAI사에서 개발한 Rotem L은 1.2kg의 탄두를 탑재하였으며 13배 광학/디지털 배율을
갖춘 EO/IR를 장착함
 1인 운용이 가능하며, 긴급복귀기능, 자동 이착륙 등 자율모드 동작이 가능함

개발기관 IAI / 이스라엘

∙ 무게 : 6k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30분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40
국방 드론

Blowfish A3

 중국 Zhuhai Ziyan에서 개발한 Blowfish A3는 소형 회전익 드론 제품으로 공격 및 정보, 감시


및 정찰 임무를 수행 가능함
 최대 12kg의 무장을 탑재할 수 있으며, 분산 지능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최대 80km 범위에서
군집을 형성 및 지상 관제소와의 연결이 끊겼을 때 군집 유지 가능함
제2장

개발기관 Zhuhai Ziyan / 중국 국



∙ 전장 : 194cm 드
∙ 폭 : 71cm 론
∙ 무게 : 38kg 국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90km/h 내
∙ 비행시간 : 75분 ・
∙ 작전반경 : 80km 외
∙ 운용고도 : 5.1km 개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나. 정찰용

Black Hornet

 노르웨이 Prox Dynamics AS에서 2012년 초소형 무인기인 Black Hornet을 최초 개발하였으며,
2016년 FLIR Systems사가 Prox Dynamics를 인수하여 후속 버전인 Black Hornet 3를 개발함
 Black Hornet 3은 2018년 출시하여 미 육군 등에 공급하였으며,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사용됨

개발기관 FLIR Systems / 미국

∙ 전장 : 166mm
∙ 전폭 : 123mm
∙ 무게 : 33g
주요 성능 ∙ 최대속도 : 21km/h
∙ 체공시간 : 25분
∙ 운용고도 : 1km
∙ 작전반경 : 2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4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Snyper Mk Ⅱ UHV-T

 캐나다 QinetiQ사에서 개발한 Snyper Mk Ⅱ UHV-T는 패시브/액티브 IR 증강, 전방 예측 상황


인식을 위한 IP 카메라 등 다양한 EO/IR장비를 모듈식으로 장착 가능함
 선도/추종기 방식을 사용하여 최대 40대의 장비를 군집으로 운용 가능하며, 탑재중량은 최대 4.5kg임

개발기관 QinetiQ / 캐나다

∙ 무게 : 9kg
∙ 비행시간 : 40분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12m/s
∙ 작전반경 : 8km
∙ 운용고도 : 5.5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Thor

 이스라엘 Elbit Systems사에서 개발한 Thor는 MIL-STD-810에 따른 요구사항을 만족 하였으며,


듀얼 EO/IR 이미징 센서가 장착되어 도시 감시, 지형 매핑 등의 임무를 수행 가능
 군집으로 운용이 가능하며, 실시간 탐색 모드와 자율 비행 모드 등 프로그램 된 비행 패턴이
탑재 됨

개발기관 Elbit Systems / 이스라엘

∙ 무게 : 9.5kg
∙ 비행시간 : 75분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105km/h
∙ 작전반경 : 10km
∙ 운용고도 : 0.61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42
국방 드론

RQ-16A T-Hawk

 미국 Honeywell사에서 개발한 RQ-16A T-Hawk는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VTOL이며, 피스톤 엔진을


통해 덕트팬을 구동하여 이륙, 순항, 호버링, 착륙 등이 가능함
 EO/IR 센서, 적외선 카메라, 생물학적 및 화학적 탐지기, 지뢰탐지 등 임무별 탑재장비 교체가
가능하며, 2011년 후쿠시마 원전에 투입되는 등 재난 현장 임무를 수행하였음
제2장


개발기관 Honeywell / 미국



∙ 전장 : 60cm 국
∙ 무게 : 9.1kg 내
∙ 비행시간 : 40분

주요 성능 외
∙ 비행속도 : 72km/h
∙ 작전반경 : 10km 개
∙ 운용고도 : 3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석

Skeldar V-150

 스위스의 UMS SKELDAR AG에 의해 개발된 다목적 무인 헬기인 Skeldar V-150은 2006년
6월에 Eurosatory 박람회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현재 운용 중

개발기관 UMS SKELDAR AG / 스위스

∙ 전장 : 3.2m
∙ 무게 : 150kg
∙ 비행속도 : 120km/h
주요 성능
∙ 체공시간 : 240분
∙ 운용고도 : 3km
∙ 작전반경 : 100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4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Skydio 2

 미국 AeroVironment사에서 개발한 Skydio 2는 HDR로 최대 60FPS의 4k비디오 촬영이 가능하며


12MP HDR 사진을 촬영 할 수 있음
 비콘, 컨트롤러뿐만 아니라 안드로이드, IOS 앱을 통하여 기체 조종이 가능함

개발기관 AeroVironment / 미국

∙ 전장 : 27.4cm
∙ 무게 : 771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23분
∙ 비행속도 : 58km/h
∙ 작전반경 : 3.5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Skydio X2

 미국 AeroVironment사에서 개발한 Skydio X2는 16배 확대 가능한 HDR로 최대 60FPS의 4k비디오


촬영이 가능하며 8배 확대가 가능한 FLIR Boson 320P 열화상 카메라가 탑재함
 접이식으로 휴대가 가능하며, 기체구조에는 마그네슘 및 탄소 복합 섬유를 적용함

개발기관 AeroVironment / 미국

∙ 전장 : 66cm
∙ 무게 : 1325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35분
∙ 작전반경 : 10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44
국방 드론

Draganflyer X4-P

 캐나다 Draganfly사에서 개발한 Draganflyer X4-P는 항공사진, 공공 안전, 산업 검사, 측량 및


매핑, 농업, 교육 및 연구 등 다목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쿼드콥터 회전익임
 열 센서, 보안 데이터 및 통신을 갖춘 Draganflyer Commander. 두 개 임무장비 운반 기능(FLIR
DuoPro R 적외선 카메라 및 4K 컬러), 퀵 릴리스 2축 안정화 마운트를 탑재함
제2장


개발기관 Draganfly / 캐나다


∙ 전장 : 87cm 론
∙ 무게 : 2.47kg 국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15분 내
∙ 비행속도 : 50km/h ・
∙ 운용고도 : 2.4km 외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발




나. 지원용

APT 70

 미국 Bell사에서 개발한 APT 70은 물류 및 재보급 임무를 위해 개발된 모듈식 무인 VTOL 플랫폼이며,
2020년에 개발됨
 APT 70은 동체에 부착된 수평 및 수직 안정 장치가 있는 4개의 전기 모터로 구성되며, 자율 수직
이륙 기능을 수행 가능함

개발기관 Bell / 미국

∙ 전장 : 274cm
∙ 무게 : 136kg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203km/h
∙ 작전반경 : 56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4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210TL 드론

 캐나다 Avidrone Aerospace사에서 개발한 210TL 드론은 전기 구동식 로터 제품군으로, 화물


재보급 및 감시 임무에 적합함
 210TL은 긴 관형 동체가 특징이며 동체의 각 끝에는 진동 감소와 양력 증가 및 성능 향상을 위한
3날 로터로 구성됨

개발기관 Avidrone Aerospace / 캐나다

∙ 전장 : 260cm
∙ 무게 : 40.8k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78분
∙ 비행속도 : 100km/h
∙ 작전반경 : 120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RMAX

 일본 Yamaha사에서 개발한 RMAX는 농업용 및 농작물 살포 목적으로 개발됨

 디지털 카메라, 탐색용 소형 비디오카메라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주광색 TV 카메라, IR 카메라


및 레이저 거리 측정기 등의 임무장비를 탑재함

개발기관 Yamaha / 일본

∙ 전장 : 363cm
∙ 무게 : 71kg
∙ 비행시간 : 90분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72km/h
∙ 작전반경 : 5km
∙ 운용고도 : 2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46
국방 드론

Country

 벨라루스 KB INDELA 사의 Country는 농업용 제초제 및 살충제 살포를 위해 설계되었음


 400W의 페이로드 전력과 최대 36km/h(22mph)의 풍속으로 이착륙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최대 24kg(53lb)의 탑재량을 운반 가능함

제2장
개발기관 KB INDELA / 벨라루스


∙ 전장 : 375cm
∙ 무게 : 124kg

주요 성능 론
∙ 비행시간 : 60분
∙ 비행속도 : 60km/h 국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외



Alpha 800 향
 스페인 Alpha Unmanned Systems사에서 개발한 Alpha 800 드론은 정보, 감시 및 정찰(ISR),


정밀 농업, 화재 감지 등의 임무를 수행 가능함
 GPS 제한 환경에서 비행 가능하며, 최대 200W의 전력모터와 예비 전원 공급 장치를 장착함

개발기관 Alpha Unmanned Systems / 스페인

∙ 전장 : 170cm
∙ 무게 : 14kg
∙ 비행시간 : 120분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90km/h
∙ 작전반경 : 30km
∙ 운용고도 : 3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4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02 고정익 드론

가. 공격용

Skystriker

 이스라엘 Elbit Systems사에서 개발한 Skystriker는 5kg 탄두를 탑재한 자폭형 드론임
 2020년 발발한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전쟁에서 사용된 기종으로 추정됨

개발기관 Elbit Systems / 이스라엘

∙ 무게 : 35kg
∙ 비행시간 : 120분
주요 성능
∙ 작전반경 : 20km
∙ 비행속도 : 185km/h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Switchblade 600

 미국 AeroVironment사에서 개발한 Switchblade 600는 순항 미사일과 드론의 혼합 형태로, 전장


정잘 및 감시를 위하여 장기간 체공 후 목표물 발견 시 미사일과 같은 자살 공격을 시작하는 형태임

개발기관 AeroVironment / 미국

∙ 전장 : 180cm
∙ 무게 : 54.4kg
∙ 비행시간 : 40분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185km/h
∙ 작전반경 : 40km
∙ 운용고도 : 4.57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48
국방 드론

나. 정찰용

RQ-11 Raven

 미국 AeroVironment사에서 개발한 RQ-11 Raven은 EO/IR 카메라, 실시간 이미지 다운링크,


레이저 포인터 등을 탑재하였으며 저고도 정보 및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 가능함
제2장
 육군의 기동대대급 이하 부대에서 신개념 상황인식과 부대방어를 위한 소요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초기 버전은 작전과정에서 22,000시간 이상의 비행시간을 기록 2001년 초도비행을 거쳐 2003년 국

도입



개발기관 AeroVironment / 미국


∙ 전장 : 0.91m 외
∙ 전폭 : 1.37m

∙ 무게 : 1.9kg

∙ 비행시간 : 90분
주요 성능
∙ 운용고도 : 4.3km


∙ 작전반경 : 10km
∙ 비행속도 : 81km/h 분
∙ 이륙수단 : 투척

RQ-20C Puma 3 AE

 미국 AeroVironment사에서 개발한 RQ-20C Puma 3 AE는 기존 RQ-20B Puma 2 AE의 개선


버전으로 2018년부터 양산함
 기존 모델의 개선사항으로 스마트 배터리 기술, 광대역 디지털 데이터 링크, 항재밍 기술, 개선된
EO/IR 카메라 등을 탑재하여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 가능함

개발기관 AeroVironment / 미국

∙ 전장 : 1.4m
∙ 전폭 : 2.8m
∙ 무게 : 7k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150분
∙ 운용고도 : 3km
∙ 작전반경 : 60km
∙ 비행속도 : 76km/h

4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RQ-12A Wasp AE

 미국 AeroVironment사에서 개발한 RQ-12A Wasp LE는 기존 Wasp Ⅲ MAV 플랫폼의 전천후


버전으로 해상 및 육상 작전을 적합하게 특수 설계됨
 고해상도 EO와 640x480 IR 센서를 탑재하였으며, Raven과 Puma와 호환 가능한 GCS(Ground
Control Station)으로 운용됨

개발기관 AeroVironment / 미국

∙ 전장 : 0.8m
∙ 전폭 : 1m
∙ 무게 : 1.3k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50분
∙ 운용고도 : 3km
∙ 작전반경 : 5km
∙ 비행속도 : 83km/h

RQ-21A Blackjack

 2007년 미 해군의 함상운용이 가능한 소형 감시정찰 드론 소요에 의해 개발함


 2010년 Boeing의 자회사인 Insitu를 개발사로 하는 개발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12년 초도비행
및 활주로 없이 사출 비행에 성공, 2014년 군에 인도하여 운용 중임

개발기관 Insitu Inc(Boeing의 자회사) / 미국

∙ 전장 : 2.5m
∙ 전폭 : 4.8m
∙ 무게 : 61kg
∙ 엔진 : 6kW급 피스톤엔진
주요 성능
∙ 체공시간 : 16시간
∙ 운용고도 : 5,790m
∙ 작전반경 : 92km
∙ 이륙수단 : 발사대 사출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50
국방 드론

ZALA 421-16

 러시아의 정찰 감시용 드론으로 2013년 기준으로 양산 및 운용 중임

개발기관 ZALA Aero Group / 러시아

제2장
∙ 전장 : 0.62m
∙ 전폭 : 1.65m
∙ 무게 : 16kg 국
∙ 엔진 : Brushless 전기모터, 방
주요 성능 2행정 또는 4행정 엔진 드
∙ 체공시간 : 5시간 론
∙ 운용고도 : 3,600m 국
∙ 작전반경: 68km 내
∙ 이륙수단 : 인력 또는 발사대 ・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개



Zephyr


 Zephyr는 배터리와 태양열을 이용하여 고고도 장기체공이 가능한 정찰용 드론으로 개발됨

 2005년 초 뉴멕시코에서 처음 비행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2014년에는 겨울 비행 시험을 수행하여


11일간 비행에 성공함

개발기관 Airbus / 영국

∙ 전폭 : 33m
∙ 무게 : 140kg
∙ 엔진 : 전기모터
주요 성능
∙ 체공시간 : 14일 이상
∙ 운용고도 : 19,810m
∙ 이륙수단 : 인력(동체 착륙)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5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다. 지원용

Aerosonde

 Aerosonde는 온도, 기압, 습도, 풍속 등 다양한 기상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드론으로 캐터펄트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륙 가능하며 자동 이착륙이 가능함
 군용으로는 대표적으로 미 특수부대, 미공군, 미해병대 등에서 현재 운용 중이며, 민간용으로는 정유사
등에서 운용 중임

개발기관 AAI / 미국

∙ 전폭 : 2.9m
∙ 무게 : 13.1kg
∙ 엔진 : Enya R120 소형엔진
주요 성능
∙ 최대속도 : 72km/h
∙ 운용고도 : 4,500m
∙ 작전반경 : 150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03 생체모방 드론

가. 정찰/공격용

BionicOpter

 BionicOpter는 독일 Festo사에서 잠자리의 형상을 모방하여 2013년에 개발됨


 각 날개는 피치 방향으로 90도 회전이 가능하며 좌, 우 날개는 별도 제어 가능
 급감속과 급가속, 정지비행이 가능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무선조종 가능

개발기관 FESTO / 독일

∙ 몸체 : 44cm
∙ 날개 : 63cm
주요 성능
∙ 무게 : 175g
∙ 날갯짓 : 15-20Hz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52
국방 드론

Nano Hummingbird

 Nano Hummingbird는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에서 무인항공기 개발 전문업체인


AeroVironment사를 통해 2006년에 개발을 시작하여 2011년에 개발됨
 꼬리날개 없으며, 독립된 전원으로 제어비행에 성공한 세계 최초의 생체모방드론임
 3축 운동 및 정지 비행이 가능하며, 초소형 카메라를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음 제2장


개발기관 DARPA / 미국 방


∙ 날개 : 16.5cm 국
∙ 무게 : 19g

∙ 날갯짓 : 30Hz

주요 성능 외
∙ 비행시간 : 4분
(외형 틀 제거 시 11분) 개
∙ 비행속도 : 5m/s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분

SmartBird

 SmartBird는 독일 Festo사에서 갈매기의 형상을 모방하여 2011년에 개발됨


 양력 증가를 위하여 복합관절형 날개를 채택하였고, 날갯짓 방향(상향, 하향)을 측정할 수 있는
홀센서(Hall sensor)를 기어에 장착함
 머리와 꼬리 동시 조종이 가능하며 경량화를 위해 탄소섬유 및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함

개발기관 FESTO / 독일

∙ 몸체 : 107cm
∙ 날개 : 200cm
∙ 무게 : 450g
주요 성능 ∙ 필요전력 : 23W
∙ 비행시간 : 5-10분
∙ 날갯짓 : 2-3Hz
∙ 비행속도 : 4.7m/s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5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eMotionButterflies

 eMotionButterflies는 독일 Festo사에서 나비의 형상을 모방하여 2015년에 개발됨


 비교적 가벼운 재료와 적은 부품으로 제작하여 비행에 용이함
 전자보드를 탑재하여 날개에 장착된 마커(적외선 LED)를 외부 적외선 카메라로 추적하고 비행을
제어함(군집비행 가능)

개발기관 FESTO / 독일

∙ 날개 : 50cm
∙ 무게 : 32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3-4분
∙ 날갯짓 : 1-2Hz
∙ 비행속도 : 1-2.5m/s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BionicSwift

 BionicSwift는 독일 Festo사에서 조류의 형상을 모방하여 2020년에 개발됨


 실내에 설치된 무선 모듈을 통해 군집비행이 가능하며 무선통신으로 정확한 위치를 감지 할 수
있음

 사전에 프로그래밍 된 경로에 따라 이동하며 바람이나 열과 같은 환경변화로 인하여 경로를 이탈하게


될 경우 조종사의 개입 없이 스스로 비행경로를 수정함

개발기관 FESTO / 독일

∙ 몸체 : 44.5cm
∙ 날개 : 68cm
주요 성능
∙ 무게 : 42g
∙ 비행시간 : 7분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54
국방 드론

Robobee

 Robobee는 미국 Harvard 대학에서 초소형비행로봇 개발을 목표로 2013년에 개발되었음


 압전 엑츄에이터, 탄소섬유프레임을 이용하여 각 날개를 실시간으로 독립 제어할 수 있음
 그러나 독립된 전원을 탑재하지 못하여 외부에서 전원 공급을 받아야 하며, 마이크로칩의 크기가
너무 작아 데이터 처리능력에 한계가 있음 제2장


개발기관 Harvard Univ. / 미국 방



∙ 날개 : 3cm 내
주요 성능 ∙ 무게 : 0.08g ・
∙ 날갯짓 : 120Hz 외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Robobee X-wing

 Robobee X-wing은 미국 Harvard 대학 Robobee의 개선모델로 2019년에 개발됨

 태양광 패널을 탑재하여 자체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었고, 날개를 4개로 늘려 효율을


높였으며, 전자패널을 연결하여 태양광 패널의 저전압 신호를 액추에이터 구동에 필요한 고전압
신호로 변환함

 그러나 태양광 패널로 야외 비행에 필요한 전력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음

개발기관 Harvard Univ. / 미국

∙ 날개 : 3cm
∙ 무게 : 0.259g
주요 성능
∙ 날갯짓 : 120Hz
∙ 소모전력 : 120mW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5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BionicFlyingFox

 BionicFlyingFox는 독일 Festo사에서 박쥐의 형상을 모방하여 2018년에 개발되었음


 관절형 날갯짓 비행체로 경량화를 위하여 카본을 사용하였으며, 날개피부로 PE 막을 용접한 유연성
천을 사용함
 랙 앤 피니언 기어를 활용하여 관절 조종 및 날개를 접고 펼 수 있으며, 다리를 통한 방향 조절이
가능함

개발기관 FESTO / 독일

∙ 몸체 : 87cm
주요 성능 ∙ 날개 : 228cm
∙ 무게 : 580g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Dove

 중국 서북공업대학에서 비둘기 움직임의 90%정도 모방한 Dove를 2018년에 개발함

 고해상도 카메라, GPS안테나, 비행제어장치, 위성통신장치 등을 탑재하였으며, 장거리 자율비행


및 환경극복 등 추가 연구가 진행 중임
 피탐성이 낮아 일반 레이더 및 홀로그램(3D)레이더에서 식별되지 않으며, 자연환경에서의 새 무리
및 지상 동물 등 동물들도 인식하지 않는 수준임

개발기관 서북공업대학 / 중국

∙ 날개 : 50cm
∙ 무게 : 200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30분
∙ 비행속도 : 11m/s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56
국방 드론

Peregrine Falcon

 Peregrine Falcon은 네덜란드 Clear Flight Solutions사에서 실제 매의 형상을 모방하여 2017년에


개발함
 날개의 형상 및 유연성을 높여 추력과 양력을 개선하였고, 전압을 높여 날갯짓 횟수를 증가시킴
 날갯짓과 활공을 병행하여 운용시간을 늘렸으며, 현재 공항 및 농장에서 조류퇴치에 활용되고 제2장
있음


개발기관 Clear Flight Solutions / 네덜란드 드



∙ 날개 : 110cm ・
∙ 무게 : 730g 외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30분 개
∙ 비행속도 : 16m/s 발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분

Meta Bird

 프랑스 Bionic Bird사에서 개발한 Meta Bird는 기존 모델인 Bionic Bird의 최신 버전임
 최대 비행 거리는 100m, 재충전 시간은 13분이 소요되며, 블루투스 통신으로 스마트 폰과 연동하여
무선 조종이 가능함

개발기관 Bionic Bird / 프랑스

∙ 몸체 : 17cm
∙ 날개 : 33cm
∙ 무게 : 9.2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8분
∙ 비행속도 : 5.5m/s
∙ 날갯짓 : 18Hz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5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Meta Fly

 프랑스 Bionic Bird사에서 개발한 Meta Fly는 마이크로 코어리스 모터(1.6W), 알루미늄 방열판을
장착한 제품임
 최대 비행 거리는 150m, 재충전 시간은 12분이 소요되며, 주파수 호핑 방식의 컨트롤러로 무선
조종이 가능함

개발기관 Bionic Bird / 프랑스

∙ 몸체 : 19cm
∙ 날개 : 29cm
∙ 무게 : <10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8분
∙ 비행속도 : 5m/s
∙ 날갯짓 : 20Hz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DelFly Micro

 네덜란드 TU Delft에서 개발한 DelFly Micro는 2008년에 개발됨


 지상에 있는 컨트롤러로 실시간 영상을 전송 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송신기(0.4g)가 탑재되었으며,
2009년 카메라가 장착된 세계에서 가장 작은 비행기로 기네스북에 등재됨

개발기관 TU Delft / 네덜란드

∙ 날개 : 10cm
∙ 무게 : 3.07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3분
∙ 날갯짓 : 30Hz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58
국방 드론

DelFly Explorer

 네덜란드 TU Delft에서 개발한 DelFly Explorer는 DelFlyⅠ(2005)/DelFlyⅡ(2007)의 다음


버전으로, 2013년에 개발됨
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카메라, 알고리즘)을 통하여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어 실내에서 장애물 회피
자율 비행이 가능함
제2장


개발기관 TU Delft / 네덜란드





∙ 날개 : 28cm

주요 성능 ∙ 무게 : 20g

∙ 비행시간 : 10분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분

DelFly Nimble

 네덜란드 TU Delft에서 개발한 DelFly Nimble는 2018년에 개발됨


 초파리의 기동을 모방한 결과, 360도 뒤집기와 같은 고속 기동을 수행 할 수 있음
 2019년 TU Delft의 Spin-off인 Flapper Drones사에서는 DelFly Nimble의 상용버전을 개발
중임

개발기관 TU Delft / 네덜란드

∙ 날개 : 33cm
∙ 무게 : 29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5분
∙ 날갯짓 : 17Hz
∙ 비행속도 : 7m/s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5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Bat Bot(B2)

 UIUC와 Caltech은 공동으로 2016년 박쥐의 형상을 모방한 Bat Bot(B2)을 개발됨
 날개 외피는 실리콘 멤브레인을 사용하여 변형으로 인한 파손 방지 및 신축성이 향상됨

개발기관 UIUC / 미국

∙ 날개 : 47cm
∙ 무게 : 93g
주요 성능
∙ 날갯짓 : 10Hz
∙ 비행속도 : 4m/s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60
국방 드론

제3절 국내 개발동향

제2장
01 회전익 드론



가. 공격용 론


충돌형 소형 드론 ・

 LIG넥스원에서 개발한 충돌형 소형 드론은 작전 수행간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적 지휘체계(지휘관

차량, 통신시설) 등을 타격하기 위하여 설계 됨 발

 EO 카메라로 0.5km 이상, IR 카메라로 0.3km이상 거리에서 사람인지가 가능하며, CEP 3.0m

이내로 정밀타격이 가능하고, 약 500g이상의 전자식안전장전장치와 열압력탄을 탑재하여 적 지휘관 분
차량과 통신시설을 무력화시킬 수 있음 석

개발기관 LIG넥스원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126km/h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6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나. 정찰용

DZ15

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과 Ziyan(중)에서 공동 개발한 DZ15은 수소 연료전지를 탑재한 드론으로,


내풍성이 우수하여 해상 비행에 적합하며, 지상관제시스템(GCS)을 통해 비행경로를 설정시 지정된
경로에 따라 자동 비행이 가능함

개발기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Ziyan(중)

∙ 크기 : 0.45 x 1.6 x 0.5m


∙ 무게 : 20kg
주요 성능 ∙ 탑재중량 : 4.5kg
∙ 비행시간 : 331분
∙ 수소용기 : 12L / 20L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KUS-HD

 대한항공에서 개발한 KUS-HD는 하이브리드 다목적 드론으로, 감시/정찰 임무 뿐 아니라 소방


및 농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
 고해상도 이미지 및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EO/IR 센서가 탑재되어 있으며, Wi-Fi 및 LTE/5G
통신망을 사용하여 자동 제어가 가능함

개발기관 대한항공

∙ 전장 : 1.9m
∙ 전폭 : 1.9m
∙ 무게 : 34k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120분
∙ 비행속도 : 72km/h
∙ 작전반경 : 10km
∙ 운용고도 : 1.6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62
국방 드론

QUAD-H4

 피엔유드론에서 개발한 QUAD-H4는 쿼드콥터 드론으로, H-Frame 형식의 내부 구조체와 Full-Skin


Structure 방식의 외부 구조체로 구성되어있음
 자동비행이 가능하며, 해상환경에서 야간 임무 수행 등 항만감시 임무에 활용 할 수 있음

제2장
개발기관 피엔유드론


∙ 크기 : 1.1 x 1.1 x 0.4m 드
∙ 무게 : 22kg 론
∙ 탑재중량 : 2kg
주요 성능 국
∙ 비행시간 : 30분 내
∙ 비행속도 : 100km/h ・
∙ 작전반경 : 10km 외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발



SWID-tether 석
 네스앤텍에서 개발한 SWID-tether는 군사형 다목적 드론 시스템으로 감시정찰, 물자수송 등의
임무를 수행 할 수 있으며, SWID 제품에 유선전원공급장치를 합한 제품임

 SWID-tether는 무선 통신을 기본으로 하며, 유선전원장치 운용 시 고도에 따라 자동으로 줄 길이가


조절되는 기능이 있음

개발기관 네스앤텍

∙ 크기 : 1 x 0.5 x 0.38m
∙ 무게 : 5.5kg
∙ 탑재중량 : 0.5k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240분
∙ 비행속도 : 100km/h
∙ 운용고도 : 0.1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6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다. 지원용

TB-503

 USIS에서 개발한 TB-503은 6개의 로터로 비행하는 핵사-멀티콥터 형 드론이며, 해풍 및 돌풍에


강한 내풍성을 보유하고 있음
 국내 최초 해상배송에 성공한 배송 드론이며, 부력을 지닌 기체로 설계되어 유사시 해수면 위로
안착이 가능함

개발기관 USIS

∙ 크기 : 16.2 x 17.2 x 9.0cm


∙ 탑재중량 : 10kg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72km/h
∙ 비행시간 : 30분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X-Carrier

 Vorasky에서 개발한 X-carrier는 8개의 프레임에 로터가 쌍으로 붙어있도록 설계된 총 16개의
프로펠러로 비행하는 멀티콥터이며, 최대 30kg의 탑재 중량을 가짐
 최대 12m/s의 내풍성을 가지고 있으며, 운송상자, EO/IR 카메라 등 임무에 따라 다양한 장비를
모듈식으로 탑재 할 수 있음

개발기관 Vorasky

∙ 크기 : 20.3 x 20.3 x 12.42cm


∙ 무게 : 56kg
∙ 비행속도 : 36km/h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45분
∙ 작전반경 : 3km
∙ 운용고도 : 1.5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64
국방 드론

Deli-5

 P-SQUARE에서 개발한 Deli-5은 물류배송, 격오지 및 농어촌 지역, 접근이 어려운 재난 현장의
물품 배송 등의 임무를 수행 할 수 있음
 2.4GHz주파수 및 LTE 5G망을 사용하여 실시간 영상전송 및 위치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어라운드 뷰 기능을 탑재하여 비행간 다양한 방위 드론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2장
가지고 있음


개발기관 P-SQUARE 드


∙ 크기 : 1.79 x 1.79 x 0.7m

∙ 무게 : 24kg

∙ 탑재중량 : 5kg 외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20분

∙ 작전반경 : 6km

∙ 운용고도 : 0.15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KAD-1200

 ㈜한국헬리콥터에서 개발한 KAD-1200은 과수인공수분, 농약살포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드론으로


시점과 기점을 선택하면 5m 간격으로 자동살포 하는 모드를 탑재함

개발기관 ㈜한국헬리콥터

∙ 무게 : 24.9kg
주요 성능 ∙ 탑재중량 : 10kg
∙ 비행시간 : 20분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6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AVD-16L

 에어로비전에서 개발한 AVD-16L은 농업용 드론으로 전방 레이더를 사용, 장애물을 감지하여 비행


안전성이 높고, 고휘도 LED조명이 장착되어 있어 야간작업이 가능함

개발기관 에어로비전

∙ 크기 : 1.1 x 1.1 x 0.5m


∙ 무게 : 37k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15분
∙ 작전반경 : 0.16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WTX-10A

 TGS코리아에서 개발한 WTX-10A는 농업용 드론으로 GPS모드, 자동비행기능, 비상상황 자동 귀환


등의 기능이 있으며, 접어서 운반 가능함

개발기관 TGS코리아

∙ 크기 : 1.6 x 1.8 x 0.46m


∙ 무게 : 24.6kg
∙ 탑재중량 : 10kg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43km/h
∙ 비행시간 : 25분
∙ 작전반경 : 3km
∙ 운용고도 : 0.05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66
국방 드론

DS30

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에서 개발한 DS30은 옥타콥터 형태의 드론으로 수소 연료전지 파워팩을


탑재하였으며, 경로지정 자동비행 및 드론 상태 실시간 확인, 통신이 불안정하거나 수소 잔량 부족
시 가까운 착륙 지점에 비상착륙/홈 지점으로 복귀 등의 기능을 수행 할 수 있음

제2장
개발기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 크기 : 19.9 x 19.9 x 7.5cm

∙ 무게 : 24.9kg

∙ 탑재중량 : 5kg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40km/h

∙ 비행시간 : 120분


∙ 수소용기 : 10.8L 또는 7L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발


Remo-Tol 분

 유콘시스템에서 개발한 Remo-Tol은 투척이륙 또는 수직이륙이 가능하며, 에어백을 이용한 동체착륙
또는 수직착륙 방식으로 운용함

 영상안정화, 충돌분석, 경로비행, 다중항법 등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토양센서, 생육센서,


멀티스펙트럼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시/정찰 임무 뿐 아니라 측량, 시설진단 등 다목적으로 이용
가능함

개발기관 유콘시스템

∙ 전장 : 1.44m
∙ 전폭 : 1.8m
∙ 무게 : 4k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50분
∙ 비행속도 : 80km/h
∙ 작전반경 : 10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6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02 고정익 드론

가. 공격용

Devil Killer

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자체 개발 중인 Devil Killer는 케니스터를 사용하여 튜브 형태로


발사(공기압축식 또는 로켓 부스터) 가능함
* 접이식 날개로 발사전 날개가 접힌 형태로 보관
 추진기관은 전기식 또는 엔진식으로 옵션을 선택가능하며 GPS 자동항법 및 최종 영상 Locking을
통한 종말유도를 통해 표적을 타격함

개발기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 전장 : 1.5m
∙ 전폭 : 1.3m(폴딩시 0.33m)
주요 성능
∙ 무게 : 25kg
∙ 작전반경 : 40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나. 정찰용

RemoEye-006

 유콘시스템에서 개발한 RemoEye-006은 2009년부터 정찰용 드론으로 해병대에서 운용중이며,


투척이륙, 낙하산 또는 동체 착륙하는 방식으로 운용함
 2인이 운용하는 방식으로 실시간 비행경로 변경 및 표적 위치를 화면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으며,
통신두절 시 자동으로 귀환/착륙하는 기술이 적용됨

개발기관 유콘시스템

∙ 전장 : 1.72m
∙ 전폭 : 2.72m
∙ 무게 : 6.5kg
주요 성능
∙ 비행시간 : 120분
∙ 작전반경 : 15km
∙ 비행속도 : 75km/h

68
국방 드론

RemoEye-002

 유콘시스템에서 개발한 RemoEye-002는 2015년부터 정찰용 드론으로 육군에서 운용 중이며,


손으로 투척이륙, 에어백을 이용하여 착륙하는 방식으로 운용함
 1인 운용 가능하며 실시간 비행경로 변경 및 표적 위치 표시, 자동비행, 카메라 2축 제어를 통한
표적 집중 감시 기능이 탑재됨
제2장


개발기관 유콘시스템 방

∙ 전장 : 1.44m

∙ 전폭 : 1.8m 국
∙ 무게 : 3.4kg 내
주요 성능 ・
∙ 비행시간 : 60분
∙ 작전반경 : 10km

∙ 비행속도 : 80km/h 개




DJ25 석

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에서 개발한 DJ25은 수소 연료전지를 탑재하였으며, 50x 무손실 광전 배율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를 활용하여 소방, 감시/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음

개발기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 크기 : 43.52 x 20.93 x 7.2cm


∙ 무게 : 30.5kg
∙ 탑재중량 : 2.5kg
주요 성능
∙ 비행속도 : 90km/h
∙ 비행시간 : 279분
∙ 수소용기 : 10.8L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6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03 생체모방 드론

가. 정찰/공격용

KUBeetle-S

 KUBeetle-S는 건국대학교에서 장수풍뎅이의 형상을 모방하여 2019년에 개발됨


 플랩핑 윙(Flapping-Wing)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180도 이상의 날갯짓 각도로 양력을 발생시킴
 날개에 종이접기 구조를 적용하여 비행 중 충돌 시에도 충격흡수를 통하여 비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

개발기관 건국대학교

∙ 날개 : 20cm
∙ 무게 : 15.8g
주요 성능 ∙ 날갯짓 : 18Hz
∙ 비행시간 : 4분
(외형 틀 제거 시 9분)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서울대학교 날갯짓 비행체

 서울대학교에서는 6절 링크를 사용한 메커니즘과 기어메커니즘을 적용한 날갯짓 비행체를 개발함


 안정화장치를 장착하여 비행시험에 성공하였으며, 날개 형상 최적화 및 날개 속도 분포 최적화 등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개선중임

개발기관 서울대학교

∙ 날개 : 16cm
주요 성능 ∙ 무게 : 13g
∙ 날갯짓 : 28Hz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70
국방 드론

50cm Ornithopter(FMAV)

 한화와 건국대학교는 2011년 50cm Ornithopter(FMAV)를 개발됨


 관성항법장치(IMU) 센서를 탑재하여 자동 고도 제어 및 경로점 비행이 가능함
 카메라를 탑재하여 사진전송이 가능하며 랜딩기어를 탑재하여 이착륙이 가능함

제2장
개발기관 한화, 건국대학교



∙ 날개 : 50cm 론
주요 성능
∙ 무게 : 240g 국
∙ 비행속도 : 4~10m/s 내
∙ 비행시간 : 23분 ・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발



7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제4절 국외 대비 국내 개발동향 분석 결과

01 회전익 드론

가. 공격용 드론

 선진국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자폭 공격용 드론(Loitering munition) 형태로 개발 및


사용하고 있으며 탄두중량 1.2~3kg가량을 탑재한 공격용 드론이 주로 개발 및 활용되고
있음

 국내의 경우 개발 사례는 확인되지 않으며, 선진국 드론을 참고하여 개발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회전익 공격용 드론을 위한 기체, 동력원, FCS, 임무장비 등 다양한 부분에서 선진국 대비
전반적으로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국내에는 공격 드론에 필수적인 탄두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사례가 없어 매우 부족한
것으로 판단됨
- 선진국의 경우 회전익 공격용 드론을 군집으로 이용하여 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실제 적용하였으나, 국내의 경우 현재 군집관련 기술을 개발을 시작하는
단계로 매우 부족한 것으로 분석됨

나. 정찰용 드론

 선진국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드론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대 해발 5km 고도에서 운용이


가능하며 군집으로 정찰이 가능 한 드론부터 초소형인 무게 33g, 크기 16cm의 시가지용
회전익 정찰 드론 Black Hornet을 개발함

 국내의 경우 다양한 정찰용 드론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신 수소연료전지 기술 등을 바탕으로


체공시간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킨 드론 등이 개발되었으나, 전력화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됨

72
국방 드론

 국내 드론 성능이 제한되는 문제는 대부분의 기술이 선진국 대비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소형화 경량화 사례가 없어 비행체 전반적인 구조 관련 기술 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됨
- 최적화를 통해 지능적인 최적의 비행이 가능한 FCS관련 기술 등이 부족한 것으로
제2장
분석됨



다. 지원용 드론 론


 선진국의 지원용 드론은 공통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임무장비에 따라 다목적으로 ・

사용되나, 국내의 지원용의 주된 사용처는 수송용 및 제초용에 한정되어 있음 개

 회전익 지원드론은 선진국의 경우 중량 대비 페이로드의 비율이 약 61% 드론의 동

이륙중량대비 효율적인 운송이 가능하나, 국내의 경우 53.5%로 선진국에 비하여 근소한

차이임 석

 국내 드론 성능이 제한되는 문제는 대부분의 기술이 선진국 대비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우수한 동력장치 기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량대비 페이로드가 선진국대비 적어 이를
최적화 할 수 있는 기체 및 구동장치 관련 기술 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됨
- 다양한 임무장비에 따라 임무가 변경 가능한 공통 플랫폼 관련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됨
- 최적화를 통해 지능적인 최적의 비행이 가능한 FCS관련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됨

7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02 고정익 드론

가. 공격용 드론

 선진국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자폭 공격용 드론(Loitering munition) 형태로 개발 및


사용하고 있으며 탄두중량 2.5~5kg급의 자폭 공격용 드론이 주로 개발 및 활용되고 있음

 국내의 경우 선진국 드론을 참고하여 개발 중이거나 개발을 개획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기체, 동력원, FCS, 임무장비 등 다양한 부분에서 선진국 대비 전반적으로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국내에는 공격 드론에 필수적인 드론용 탄두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사례가 없어 매우
부족한 것으로 판단됨
- 선진국의 경우 고정익 공격용 드론을 군집으로 이용하여 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실증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현재 군집관련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됨

나. 정찰용 드론

 고정익 정찰 드론은 국외 선진국의 경우 다양한 체계를 개발, 운용 중에 있으며 고고도에서


14일 이상 장기 체공하며 정찰임무를 수행하는 체계에 대한 개발 사례도 확인됨에 따라,
최적화를 통해 비행시간 300분 이상의 정찰드론의 개발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분석됨

 국내의 고정익 정찰 드론의 개발사례는 적으며 비행시간 또한 120분 정도로 선진국에 비해


제한적임

 기체, 동력원, FCS, 임무장비 등 다양한 부분에서 선진국 대비 전반적으로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됨
- 해외 대비 개발사례가 많지 않고 체공시간이 짧은 드론 개발사례가 있어 정찰임무 수행을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장시간 운용을 위한 드론 연료전지 시스템 등 동력원 관련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됨
- 또한, 최적화를 통해 임무수행 시간을 연장하고 최적의 비행이 가능한 FCS관련 기술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분석됨

74
국방 드론

다. 지원용 드론

 고정익 지원 드론은 국외에도 다양한 개발 사례가 없으며 국내에도 개발 사례가 전무함

 지원드론은 기체, 동력원, FCS, 임무장비 등 다양한 부분에서 선진국 대비 전반적으로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됨
제2장
- 해외 대비 개발사례가 전무하고 기상관측용 드론에 중요한 내풍성 등 환경영향성을
배제할 수 있는 기체, 동력원, 임무장비 등의 전반적인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됨 국

- 또한, 심각한 기상상황에서도 최적의 비행을 통해 임무수행 가능하게 하는 FCS관련 드
기술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분석됨 론





03 생체모방 드론 발


가. 공격용 드론 분

 생체모방 공격용 드론의 경우 국외 선진국 뿐만 아니라 국내의 경우도 공격용으로 개발된
사례를 찾아볼 수 없음

 생체모방 드론은 현 기술에 대한 발전 및 초소형 탄두 등에 대한 기술개발을 통해 공격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체공시간 증가, 초소형 임무장비 탑재 등을 고려하여 공격용 임무장비 경량화 기술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생체모방 드론의 특성을 고려하여 초소형, 초경량 및 고성능의 탄두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술이 필요 할 것으로 분석됨

나. 정찰용 드론

 생체모방 정찰용 드론은 국외 선진국의 경우 꼬리날개 없이 제어비행을 할 수 있는 곤충형,


갈매기 혹은 비둘기를 모방한 조류형 뿐만 아니라, 잠자리, 박쥐, 나비 등 다양한 형상을
모방하여 개발, 비행 시험한 사례가 있어 생체모방 관련 다양한 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분석됨

7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또한 3cm의 초소형비행로봇 제작, 장애물을 감지를 통한 장애물 회피 자율비행 기술,


초소형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술 등 임무장비 및 통신, 항공전자
시스템 관련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분석됨

 국내의 경우 곤충형 드론의 충격흡수 날개 구조 설계 등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생체모방 드론의 개발사례가 극히 적으며, 다양한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해외 대비 체공시간 부족, 정찰임무 수행을 위한 카메라 장착 등 동체 및 초소형 임무장비
경량화 기술이 필요함
- 초소형 전지 또는 모터, 기어 등 구동장치의 소형화 기술 등이 필요함
- 정찰 영상 실시간 전송 통신 및 장애물 회피, 자율 비행을 위한 항공 전자 시스템 탑재
관련 기술이 필요함

76
국방 드론

제2장














77
제3장
국방 드론 추가 발전방안

제1절 개 요
제2절 현 소요 분석
제3절 현 소요의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분석
제4절 미래 드론 체계 분석
제5절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제1절 개요

 국내・외 드론 개발현황 조사 결과 드론 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첨단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드론이 개발 중이나, 국내 드론 기술은 아직 세계 최고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됨
- ICT, SW, 센서 등 첨단기술이 융합된 드론은, 세계경제포럼(’16년)에서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할 대표 시스템으로 주목을 받음
- 세계 주요국은 드론 산업을 4차 산업혁명 시대 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인프라 투자
및 제도정비 등을 경쟁적으로 추진 중임
- 국내・외로 생체모방, 회전익, 고정익 드론 등에 대한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반적인 국내 드론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에 못 미침
* 무기체계 드론은 세계 최고 대비 89% 수준, 상용드론은 세계 최고 대비 65% 수준이며, 주요 구성품의 49%는
수입부품에 의존(출처 : “과학기술 기반의 국방혁신 「국방 드론 발전 전략」 수립 추진계획”, ’21. 4., 국방부
전력정책관실)

 2장의 조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 소요를 보완하여 “국방비전 2050”과 연계한 공통화
가능성을 분석하고, 미래전장에서 우리 군이 활용 가능한 추가 드론에 대해 분석함
- 다양한 소요 계획 문서 및 소요 결정 문서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 군이 획득하여 사용
예정인 드론에 대해 분석함
- 전군 국방 드론 정책 중 하나인 “국방비전 2050”과 연계하여 제대별・전장기능별
운용개념에 근거한 중・장기 계열화・모듈화 계획 수립(출처 : “과학기술 기반의 국방혁신
「국방 드론 발전 전략」 수립 추진계획”, ‘21. 4., 국방부 전력정책관실)을 위해 현 전군
드론 소요를 분석하여 공통화 가능성을 분석함
* 계열화 : 旣 개발되었거나 성능이 검증된 플랫폼을 공용화하여 임무 목적에 맞게 개발하는 개념으로 공통
플랫폼을 의미
* 모듈화 : 한 개의 플랫폼에 탑재 장비들을 모듈화하여 임무 목적에 맞게 장・탈착하도록 개발하는 개념으로
공통 임무장비를 의미
- 현 국방 핵심기술 과제 추세 및 현 소요를 분석하여 기존 소요 외 추가적인 드론을 분석함

80
국방 드론

제2절 현 소요 분석

01 국방 드론 현 소요
제3장


 현재 전군에서 소요결정 및 계획된 71개의 국방 드론(무기체계 38개, 전력지원체계 33개) 방
소요가 결정되거나 계획되어 있음 드


그림 3-1 소요문서 기준 드론 체계 전력화시기 분포 가
단기 중기 장기

전 군 소요 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방

<무기체계> 회전익, 고정익,
3개 11개 24개
생체모방

<전력지원체계> 회전익 33개

 현재 전군에서 소요결정 되거나 계획된 전력지원체계 드론 33개 소요는 다음과 같음

전력지원체계 국방 드론 출처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소요결정> 23-27
국지기상관측용 무인항공기 국방전력지원체계
[공군][공군 4] 사업계획서, ≪ 23 : 4 세트
<전투지원장비(감시지원 전군 드론소요
장비)> 종합계획

<소요결정>
항공기 사고조사용 소형무 23-27
인기 [공군][공군 5] 국방전력지원체계 23 25 : 3 세트
<전투지원장비(감시지원 사업계획서
장비)>

<소요결정> 23-27
공병업무지원용 드론 국방전력지원체계
[해군][해군 1] 사업계획서, 22 25 : 16 세트
<전투지원장비(전투지원 전군 드론소요
일반장비)> 종합계획

<소요결정>
23-27
대공추적훈련용 드론 [해군]
국방전력지원체계 22 25 : 15 세트
<전투지원장비(전투지원
사업계획서
일반장비)>

8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전력지원체계 국방 드론 출처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소요결정>
23-27
공보정훈촬영용 드론 [해군]
국방전력지원체계 22 26 : 30 세트
<전투지원장비(전투지원
사업계획서
일반장비)>

<소요결정> 23-27
함정 작전지원용 드론 국방전력지원체계
[해군][해군 6] 사업계획서, 23 26 : 87 세트
<전투지원장비(전투지원 전군 드론소요
일반장비)> 종합계획

<소요결정>
23-27
항만단 지상경계용 드론
국방전력지원체계 23 24 : 4 세트
[국수사]
사업계획서
<전투지원장비(미정)>

<소요결정>
23-27
전장이동통제용 드론
국방전력지원체계 23 26 : 18 세트
[국수사]
사업계획서
<전투지원장비(미정)>

23-27
<소요결정> 국방전력지원체계
사업계획서,
대형 수송용 드론(40kg)
전군 드론소요
[육군][육군 4] 24 28 : 120 세트
종합계획,
(수송용드론-Ⅱ)
드론 전력화
<전투지원장비(미정)> Master Plan
(육군 교육사)

전군 드론소요
<전력화진행> 종합계획,
경계용드론 [육군 1] 드론 전력화 ≪ 23 : 627 세트
<미분류> Master Plan
(육군 교육사)

<전력화진행>
전군 드론소요
대테러 작전지원 드론 [육군 2] ≪22 : 16 세트
종합계획
<미분류>

<전력화진행>
군수품 수송용 드론(30kg) 전군 드론소요
[육군 3] 종합계획, ≪22 : 18 세트
(수송용드론-I) 육군 교육사
<미분류>

전군 드론소요
종합계획,
조명/방송용 드론 [육군 5]
드론 전력화 22 24 26 : 195 세트
<미분류>
Master Plan
(육군 교육사)

전군 드론소요
종합계획,
맵핑용 드론 [육군 6]
드론 전력화 22 24 27 : 76 세트
<미분류>
Master Plan
(육군 교육사)

해상대테러 작전지원용 드론 전군 드론소요


22 : 3 세트
[해군 2] <미분류> 종합계획

해안정찰 지원용 드론[해군 3] 전군 드론소요


22 23 : 6 세트
<미분류> 종합계획

82
국방 드론

전력지원체계 국방 드론 출처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군수품 수송용 드론 [해군 4] 전군 드론소요


24 25 : 8 세트
<미분류> 종합계획

공보정훈용 드론 [해군 5] 전군 드론소요


22 26 : 30 세트
<미분류> 종합계획

기지경계용 드론 [해군 7] 전군 드론소요


22 24 : 48 세트
<미분류> 종합계획

현장감식용 드론 [해군 8] 전군 드론소요


22 : 2 세트
<미분류> 종합계획
제3장
기지경계용 무인항공기
(무선) [공군 1] 22 25 : 106 세트
<미분류>

전군 드론소요 방
기지경계용 무인항공기 종합계획
(유선) [공군 1] 22 25 : 61 세트

<미분류>

대테러경계용 무인항공기 전군 드론소요

[공군 2] <미분류> 종합계획
22 : 3 세트 가
GPS 교란원점 추적용 무인

항공기 [공군 3]
전군 드론소요
22 : 4 세트

<미분류>
종합계획 방

조류퇴치용 소형급 무인항
공기(멀티콥터) 22 23 : 33 세트
[공군 6] <미분류> 전군 드론소요
조류퇴치용 소형급 무인항 종합계획
공기(틸트로터) 22 23 : 21 세트
[공군 6] <미분류>

항공방제용 소형급 무인항


전군 드론소요
공기 [공군 7] 22 : 40 세트
종합계획
<미분류>

해안경계용 드론 [해병대 1] 전군 드론소요


23 24 : 9 세트
<미분류> 종합계획

주둔지/중요시설경계용 드론 전군 드론소요
23 25 : 37 세트
[해병대 2] <미분류> 종합계획

대테러 작전지원 드론 전군 드론소요


23 25 : 3 세트
[해병대 3] <미분류> 종합계획

공보정훈용 드론 [해병대 4] 전군 드론소요


24 25 : 14 세트
<미분류> 종합계획

조명/방송용 드론 [해병대 5] 전군 드론소요


25 : 2 세트
<미분류> 종합계획

군수품 수송용 드론(40kg) 전군 드론소요


25 27 : 8 세트
[해병대 6] <미분류> 종합계획

전군 드론소요
교육훈련용(멀티) [공군]
종합계획표 24 : 4 세트
<미분류>
(성능미상)

전군 드론소요
신속기동관제 [해병대]
종합계획표 22 : 3 세트
<미분류>
(성능미상)

8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02 국방 드론 현 소요 분석결과

가. 공격용 드론

 공격용 드론의 주 사용처인 육군은 다양한 공격용 드론을 드론봇 체계로 활용하는
게임체인저로 활용할 계획이며 이에 따른 다양한 소요가 계획됨

 현재 전력화 된 공격용 드론은 아직 없으나, 해외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과 유사한 다양한


공격용 드론에 대한 소요가 결정되거나 계획됨
* 소형공격드론, 중형공격드론, 선회형 정밀유도탄 헬리본 공격드론 등

 또한 해외에서도 군사적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하여 활발히 연구 진행 및 미래


드론체계에 적용을 하려고 하는 군집드론(swarm)에 의한 공격체계인 ‘군집형 자폭드론’
또한 관련 문서상에 소요가 계획되어 있어 미래에도 세계 수준의 드론체계 획득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나. 정찰용 드론

 정찰용 드론의 주 사용처인 육군은 다양한 정찰용 드론을 드론봇 체계로 활용하여 공격용
드론과 더불어 게임체인저로 활용할 계획이며, 이에 따른 다양한 소요가 계획됨

 현재 전력화 된 드론은 고정익형의 일부 체계만 있으나, 현 소요문서상 회전익 형태의 다양한


드론 체계에 대한 소요가 결정되거나 계획되고 있고, 드론 발전추세에 적합한 드론체계
획득을 계획하고 있음
* 근거리 정찰드론, 원거리정찰용 소형 무인기, 생체모방형 정찰드론, 초소형곤충형정찰로봇, 중거리정찰 드론,
지역감시드론 등

 또한, 기존에 운용하던 고정익 드론체계의 경우 개량형에 대한 소요도 존재하는 등 미래


드론 기술발전에 적합한 성능 개선 소요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나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인 기술인 군집화 관련 기술을 접목시킨 체계는 소요에 없는 것으로 확인됨

84
국방 드론

그림 3-2 현재 군에서 운용 중인 대대정찰용 무인항공기(RemoEye-002)

제3장

(출처 : 유콘시스템 홈페이지) 국





다. 지원용 드론 추


 지원용 드론은 전군(육・해・공・해병대)에서 미래 전장환경을 대비하기 위해 무기체계 및 전
전력지원체계 상에 다양한 소요가 존재함 방

- 무기체계 : 통신중계, 지뢰탐지/제거, 전력공급 용도의 지원드론 등의 소요가 있음
- 전력지원체계 : 기상관측, 대공추적훈련, 공병업무지원, 항공기 사고조사용, 함정
작전지원, 항만단 지상경계용, 전장이동통제용, 대형수송용, 맵핑용, 경계용,
조명/방송용 등의 여러 소요가 존재하나, 임무장비 기준으로 일부 특수임무장비를
사용하는 드론을 제외하고, EO/IR, EO 카메라를 사용하는 드론이 소요의 대부분임

 지원용 드론 중 전력지원체계 드론에 대한 추가 미래소요를 국방부에 확인 한 결과 동일한


용도의 드론을 5년 단위로 개선된 소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국방부 국방무인체계발전TF 구두확인결과(’21. 7. 30. 착수회의 시)

 기존의 전력화 된 드론은 대부분 회전익 체계이며, 현 소요문서상 회전익 형태의 다양한
드론 체계에 대한 소요가 결정되거나 계획되고 있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드론 체계가 계획되어 있으며 드론 발전추세에 적합한 드론체계를 획득을 계획하고
있음

8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그림 3-3 전력지원체계 드론 예시

(기지 경계용 드론) (수송용 드론) (조명 방송용 드론)

(출처 : 국방부 전군 드론 소요 계획)

 현 드론 소요에 따른 미래 전장 환경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예상됨

그림 3-4 드론을 활용한 미래전장환경(무기체계)

86
국방 드론

그림 3-5 드론을 활용한 미래전장환경(전력지원체계)

제3장










8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제3절 현 소요의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분석

01 공통 플랫폼 분석

가. 개요

 현 드론 71개 소요는 용도에 따라 공격용, 정찰용, 지원용으로 나뉘지만 드론의 형태에


따른 분류는 크게 생체모방, 회전익, 고정익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의 개별플랫폼을 바탕의
소요임

 앞서 2장에서 국외 최신 드론들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다양한 드론들에 대한 개발 및 전력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파악하였으며, 확인 결과 공통 플랫폼 바탕의 모듈화 된 장비를 장착한
다목적 드론도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됨

 현재 국방부에서는 다양한 파급효과를 고려한 드론관련 정책 중 하나인 ‘국방비전 2050’과


연계하여 제대별・전장기능별 운용개념에 근거한 중・장기 계열화・모듈화 계획을 수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현재 산재된 개별 플랫폼 드론 소요를 공통 플랫폼 드론을
사용하는 소요로 개선하고자 정책을 수립 중임

 본 절에서는 현 소요 71개를 대상으로 계열화, 모듈화 가능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수개의


공통 플랫폼 및 표준임무장비에 대한 성능을 제시함
* 분석은 소요관련 문서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한 내용이며, 향후 드론에 대한 신규소요 및 활용성에 대한 추가고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나. 분석방법

 소량의 데이터에 대한 통상적으로 전문가에 의한 집단토론 또는 델파이 기법 등을 사용한


분석 방법이 통상적인 방법이나, 데이터가 많을 경우 이러한 방법은 많은 인시(Man-Hour)를
필요로 하며 인적오류(Human-Error)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음

88
국방 드론

델파이 기법

∙ 행정학, 정책학, 미래학, 경제학 , 경영학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기법으로 어떠한 문제에 관하여 패널로 복수의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들의 견해를 유도하고 종합하여 집단적 판단으로 정리하는 기법으로, 신뢰도나 신빙성에 대한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으며 전문가 합의법이라고도 불림

 따라서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적합한 방법을 접목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어떻게
기획할 것인지 고려함 제3장
- 데이터 분석은 데이터의 중요한 패턴을 발견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해석하여 산출하는

것으로 성공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적절한 분석기획을 수행하여야 함. 분석 기획은 다음 방

가용데이터에 대한 고려(Available Data), 적절한 활용방안과 활용사례(Proper 론
Business Usecase), 장애요소들에 대한 사전계획 수립(Low Barrier of Excution)의 추

세 가지를 고려하여 수행함



가용데이터에 대한 고려(Available Data) 안
∙ 분석결과 : 현재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71개의 드론 소요 데이터이며, 데이터의 유형은 목표성능이 수치화 되어 있는 수치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나, 일부는 수치화된 데이터가 누락되어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 수치화 되어 있지 않은 드론의 성능은
상이해 질 수 있음을 확인함

적절한 활용방안과 활용사례(Proper Business Usecase)

∙ 분석결과 : 분석 목표는 71개의 드론 소요에 대해 계열화 가능한 공통 플랫폼을 산출하는 것으로 활용 방안은 명확함

장애요소들에 대한 사전계획 수립(Low Barrier of Excution)

∙ 분석결과 : 71개의 드론의 수치화된 요구 성능 데이터는 모든 항목의 수치가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단위에 대한 통일되어 있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어, 데이터 분석을 알고리즘에 의해서만 처리가 제한되기 때문에 전문가를 적절히 활용 필요

 데이터분석 기획결과를 바탕으로 널리 쓰이는 학술적인 분석 방법인 KDD(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 방법론을 수정하여 데이터를 분석함
- KDD(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 방법론은 1996 Fayyad가 소개한
방법론으로 데이터를 통해 통계적 패턴이나 지식을 찾을 수 있도록 정의한 데이터 마이닝
프로세스이며, 데이터 셋 선택,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변환, 데이터마이닝 및 결과
분석으로 이루어져 있음

8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KDD(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 방법론의 단계

∙ 데이터 선택(Data Selection) : 데이터베이스나 Raw Data에서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 데이터 전처리(Preprocessing) : 선택된 데이터 셋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노이즈와 이상값, 결측값들을 식별하고 필요하다면
삭제 및 변환 등의 전처리를 통해 데이터 셋을 정제하는 단계
∙ 데이터 변환(Transformation) : 정제된 데이터를 분석 목적에 따라 데이터의 Feature를 생성, 선택하고 데이터의 차원을
축소하며 데이터마이닝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단계로 데이터마이닝에 필요한 학습데이터 셋과 실험 데이터 셋으로 분리
∙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 : 학습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맞게 데이터마이닝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데이터마이닝을
실행하는 단계
∙ 데이터마이닝 결과 분석(Interpretation/Evaluation) : 데이터마이닝을 수행한 결과에 대해 해석과 분석을 진행

- KDD(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 방법론에 따라 분석 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나, 현 드론 소요 71개의 데이터 특성상, 전체 데이터
중 분석 가능한 데이터는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하여, 기존의 KDD방식을 변경하여
데이터마이닝 단계에서 알고리즘을 사용한 분석뿐만 아니라 전문가 집단에 의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분석방식을 개선함
- 데이터마이닝을 위한 알고리즘들은 지도학습 기반의 대표적인 방법인 Decision Tree,
비 지도학습 기반의 대표적인 방법인 K-means Clustering 및 그밖에 Artificial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나, 본 연구의 대상이 표준화된 데이터가
제한적이라는 측면을 고려하여 복잡한 기법을 사용하기 제한되고, 수개의 공통 플랫폼
산출이라는 명확한 목표가 있음에 따라 K-means Clustering을 사용함

그림 3-6 k-means 클러스터링에 의한 데이터 분석

90
국방 드론

다. 분석내용

 단계 1 : 데이터 선택
-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획 시 문제점은 71개의 드론 소요는 요구 성능 항목의 수치가
제시되어야 하나, 모든 항목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일부 데이터의 경우 단위가 다른
경우도 있으며, 일부 수치는 전체적인 드론의 성능을 결정하기 제한되는 항목도
존재하는 문제점을 확인
제3장
* 통상적인 항공기의 고도는 지표를 기준으로 하는 지상고도(AGL : Above Ground Level)와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는 해발고도(MSL : Mean Sea Level) 두 가지로 표현하나 소요의 요구 성능은 대부분 이러한 국

분류 없이 고도로 통칭하고 있어 분석이 제한됨

- 때문에 데이터의 기술적 중요도 등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현 소요의 데이터 가용률이 론
비록 20%밖에 되지 않으나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최대이륙중량을 중심으로 분석을 추

수행하며, 분석이 제한되는 80%에 대해서는 운용 방법, 타 성능 들을 고려하여 발
데이터마이닝 시 전문가 집단에 의한 분석을 계획함 전

중요도 요구성능항목 기술적 중요도 분석 데이터 가용률

드론의 전체적인 크기 및 임무장비를 결정 가능한 가장 중요한 정보임


1 최대이륙중량 20%
* KS W 9000에서도 중량에 따라 드론을 분류 하고 있음

드론의 작전반경과 비례관계로 탑재장비 대신 전원을 추가적으로 탑재 시


2 체공시간 93%
변경될 여지가 있기 때문에 드론의 전체적인 크기나 형태 분석은 제한적임
드론의 체공시간과 비례관계로 중요한 파라미터지만 드론의 전체적인 형태를
3 작전반경 94%
분석하기 제한적임

 단계 2 : 전처리
- 이륙중량은 최대이륙중량이라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요구 성능에 단순히
이륙중량이라 표시된 드론들이 다수 존재하여 이륙중량의 일반적인 모습인
최대이륙중량으로 분석

 단계 3 : 데이터 변환
- 분석을 위해 선택된 최대이륙중량은 1차원 데이터로 때문에 적절한 데이터 변환은
불필요함
- 단, k-mean clustering의 특성상 만약 2차원 이상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별도의 변환을 거치지 않고 데이터 분석 적용 가능함

9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단계 4 : 데이터마이닝
- 71개의 드론 소요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마이닝을 수행하였으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저조한 데이터 가용률로 인해 기존 방식을 수정하여 전문가 집단에 의한 분석을 포함하여
진행함
- 1차 분석은 최대이륙중량 및 k-mean clustering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데이터마이닝을
수행하였으며, 최대이륙중량 요구 성능이 제시되지 않은 소요는 제외하여 분석을 수행함
∙ 1차 분석 결과 10kg급, 25kg급, 150kg급의 3개의 공통 플랫폼이 산출됨
* 분석결과 4개의 공통 플랫폼이 산출되었으나, 이중 1개의 공통 플랫폼(50kg급)이 기 결정된 1개 체계만
공통화 되었으므로 제외됨
- 2차 분석은 SW 알고리즘의 한계가 존재 할 수 있으므로 공통 플랫폼으로 분석된
소요들을 연구팀에서 재검토하고, 분석이 제한되었던 소요에 대해 요구 성능 수치 및
운용방식의 유사성 등에 대한 추가 분석 수행을 통해 공통 플랫폼화 하고, 각 플랫폼에서
대표성능을 도출하여 공통 플랫폼 성능으로 분석함
∙ 2차 분석 결과 10kg급, 25kg급, 150kg급의 1차 분석 대비 3개의 공통 플랫폼으로
분류된 소요가 증가 하였으며, 각각의 성능이 도출됨
- 3차 분석은 외부 전문가 바탕의 분석된 내용을 추가 보완하여 최종 결과를 공통 플랫폼
분석 결과를 도출함
∙ 3차 분석 결과 국지기상관측용, 소총, 유탄발사드론 등이 공통 플랫폼에서
제외되었으며, 성능 또한 일부 조정됨

 단계 5 : 데이터마이닝 결과 분석(Interpretation/Evaluation)
- 외부 전문가에 따른 공통 플랫폼 분석 결과에 대한 평가 및 보완점을 찾아 보완함

라. 분석결과

 분석 결과 회전익 멀티콥터 형태의 드론에 한하여 10kg급, 25kg급, 150kg급의 3개의 공통


플랫폼이 도출되었으며, 각각 수개의 소요가 공통화 됨
- 10kg급으로는 대테러경계용 무인항공기, 공보정훈용 드론, 현장감식용 드론 등의
소요를 공통화 하였으며 공통화 된 드론들은 주로 EO/IR 등 경량 임무장비 모듈을
사용하는 드론임
- 25kg급으로는 조명/방송용 드론, 해안경계용 드론, 기지경계용 무인항공기, 해안정찰
지원용 드론 등의 소요를 공통화 하였으며 10kg급 대비 고중량의 다양한 임무장비를
사용하는 드론임

92
국방 드론

- 150kg급으로는 군수품 수송용 항공방재용 소형급 무인항공기 등의 소요를 공통화


하였으며 공통화 된 드론들은 항공방제, 수송 등 10kg급, 25kg급 대비 고중량의
임무장비를 사용하는 드론임

표 3-1 10kg급 공통 플랫폼 분석 결과

10kg급 공통 플랫폼 드론 < 회전익 - 멀티콥터 > - 170세트


탑재중량
제3장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최대속도 최대이륙중량 최대풍속 (추가배터리, 운용온도
(km) (hr) (km) (km/h) (kg) (m/s) 임무장비모듈) (℃)
(kg) 국

0.5 15 -20℃ ~
3 0.5 - 10 2 드
(30분) *풍동시험기준 +43℃

기타사항
∙ IP33 이상의 방수방진 능력 보유 추
∙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이착륙최대풍속은 임무장비모듈 및 추가배터리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의 성능임 가


표 3-2 25kg급 공통 플랫폼 분석 결과 방

25kg급 공통 플랫폼 드론 < 회전익 - 멀티콥터 > - 593세트
탑재중량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최대속도 최대이륙중량 최대풍속 (추가배터리, 운용온도
(km) (hr) (km) (km/h) (kg) (m/s) 임무장비모듈) (℃)
(kg)
0.666 15 -20℃ ~
5 1 70 25 4
(40분) *풍동시험기준 +43℃
∙ IP33 이상의 방수방진 능력 보유
기타사항
∙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이착륙최대풍속은 임무장비모듈 및 추가배터리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의 성능임

표 3-3 150kg급 공통 플랫폼 분석 결과

150kg급 공통 플랫폼 드론 < 회전익 - 멀티콥터 > - 56세트


탑재중량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최대속도 최대이륙중량 최대풍속 (추가배터리, 운용온도
(km) (hr) (km) (km/h) (kg) (m/s) 임무장비모듈) (℃)
(kg)
1.5
(90분) 15 -20℃ ~
10 1 - 150 40
*수소연료 *풍동시험기준 +43℃
전지기준
∙ IP33 이상의 방수방진 능력 보유
∙ 배터리 방식의 동력원 적용시 : 최대체공시간을 30분으로 변경
기타사항
∙ 엔진, 배터리 하이브리드 방식의 동력원 적용시 : 최대체공시간을 2시간으로 변경
∙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이착륙최대풍속은 임무장비모듈 및 추가배터리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의 성능임

9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분석결과 도출된 공통 플랫폼 성능은 다음과 일부 제약사항이 존재함


- 임무장비를 장착하지 않고 순수 기체성능만을 고려하여 도출된 결과로 임무장비의 무게
등에 따라 최대속도, 체공시간, 작전반경 등의 성능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운용온도
또한 임무장비의 운용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분석된 성능은 기술적으로 공통화된 소요의 플랫폼으로 적합한 것으로 분석된 성능이며,
일부 소요에 한하여 공통 플랫폼 적용 시 성능이 조정될 수 있음
- 아래 그림은 공통화된 소요 성능(실선) 대비 공통 플랫폼 성능(면)을 비교한 결과임

표 3-4 공통 플랫폼 적용 시 공통화된 체계 성능 대비 공통 플랫폼 성능

[10kg급 공통 플랫폼] [25kg급 공통 플랫폼] [150kg급 공통 플랫폼]

02 공통 임무장비 분석

가. 소요의 임무장비 성능분석

 공통 임무장비 분석을 위해 10kg급, 25kg급, 150kg급 공통 플랫폼별 임무장비의 소요군


요구조건을 확인함

 10kg급 공통 플랫폼으로 공통화 된 소요의 임무장비는 EO/IR, EO 및 방송장비, 조류퇴치기


등이 있으며, 대부분 명확한 성능이 문서상 제시되지 않음
- 대테러경계용 무인항공기(공군)의 임무장비인 EO/IR은 문서상 제시된 성능은 없으나,
3축 짐벌을 통해 촬영시 안정화를 요구하며, 영상추적 기능이 있음
- 공보정훈용 드론(해군)의 임무장비인 EO는 문서상 제시된 성능이 없음

94
국방 드론

- 공보정훈용 드론(해병대)의 임무장비인 EO는 문서상 제시된 성능이 없음


- 현장감식용 드론(해군)의 임무장비인 고성능 카메라는 18배율 광학 장비, 1920 x
1080의 FHD급 화질을 성능으로 문서상 제시하고 있음
- 조류퇴치용 소형급 무인항공기(공군)의 임무장비는 EO, 조명장치, 음향장치로
구성되며 문서상 제시된 성능은 없음
* 조류는 폭음, 음향, 섬광 등에 의해 퇴치
- 대테러 작전지원 드론(해병대)의 임무장비인 EO/IR은 문서상 제시된 성능이 없음 제3장
- 해상대테러 작전지원 드론(해군)의 임무장비인 EO/IR은 문서상 제시된 성능이 없음

- 근거리정찰드론-Ⅱ의 임무장비는 EO/IR이며 탐지대상은 근거리 정찰임무 특성상 방
사람인 것으로 추정됨 드


 10kg급 공통 플랫폼으로 공통화 된 소요의 임무장비를 종합적으로 분석 시 장비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됨 발

- EO/IR 모듈 : EO/IR카메라 및 안정화를 위한 3축 짐벌, 영상추적용 구동기 방
- EO 모듈 : 18배율 광학 장비, 1920 x 1080의 FHD급 및 안정화를 위한 3축 짐벌 안
* 소요 문서상 3축 짐벌은 제시하고 있지 않으나, 정상적인 임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조류퇴치 모듈 : EO/IR카메라, 조명장치, 음향장치
* 소요 문서상 EO이나, 야간 조류퇴치를 위해 EO/IR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됨

 25kg급 공통 플랫폼으로 공통화 된 소요의 임무장비는 EO/IR, 화생방 탐지기,


지뢰탐지기이며 대부분 명확한 성능이 문서상 제시되지 않음
- 조명/방송용 드론(육군)의 임무장비는 EO/IR, LED 써치라이트, 스피커로 구성되며
문서상 제시된 성능은 없음
- 해안경계용 드론(해병대)의 임무장비는 EO/IR이며 문서상 제시된 성능은 없음
- 주둔지/중요시설경계용 드론(해병대)의 임무장비는 EO/IR이며 문서상 제시된 성능은
없음
- 조명/방송용 드론(해병대)의 임무장비는 EO/IR, LED 써치라이트, 스피커로 구성되며
문서상 제시된 성능은 없음
- 기지경계용 무인항공기(공군)의 임무장비는 EO/IR이며 주간 1km탐지, 야간
500m탐지를 성능으로 문서상 제시하고 있으며 탐지대상은 기지경계의 특성상 사람인
것으로 분석됨
- 기지경계용 드론(해군)의 임무장비는 EO/IR이며 데이터영상 전송 FHD, 30FPS 이상,
야간촬영 기능을 문서상 성능으로 제시함

9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해안정찰 지원용 드론(해군)의 임무장비는 EO/IR이며 문서상 제시된 성능은 없음


- 화생방 정찰드론의 임무장비는 화학, 생물학, 방사선 탐지기이며 문서상 제시된 성능은
없음
- 지뢰탐지드론의 임무장비는 지뢰탐지기이며 문서상 제시된 성능은 없음

 25kg급 공통 플랫폼으로 공통화 된 소요의 임무장비를 종합적으로 분석 시 장비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됨
- EO/IR 모듈 : EO/IR카메라(1920 x 1080 FHD급, 초당 30FPS, 주간 1km탐지(사람),
야간 500m 탐지(사람)), 3축 짐벌
* 소요 문서상 3축 짐벌은 제시하고 있지 않으나, 정상적인 임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조명/방송용 모듈 : EO/IR카메라, LED써치라이트, 스피커
- 화생방 탐지 모듈 : 화학, 생물학, 방사선 탐지기
- 지뢰 탐지 모듈 : 지뢰탐지기

 150kg급 공통 플랫폼으로 공통화 된 소요의 임무장비는 항공방제용 약제용기/ 분사노즐,


수송용 박스이며, 대부분 명확한 성능이 문서상 제시되지 않음
- 항공방제용 소형급 무인항공기(공군)의 임무장비는 약제/입제용기, 약제/입제
분사노즐로 일종의 농약살포용 드론과 유사하며, 탑재중량은 10kg으로 제시됨
- 군수품 수송용 드론(40kg)(해병대)의 임무장비는 물품 수송을 위한 수송용 박스이며,
수송용박스, 수송대상을 포함하여 40kg, 환경성능은 IP33으로 문서상 성능이 제시됨
- 군수품 수송용 드론(40kg)(해군)의 임무장비는 물품 수송을 위한 수송용박스이며,
수송용박스, 수송대상을 포함하여 40kg으로 문서상 성능이 제시됨

 150kg급 공통 플랫폼으로 공통화 된 소요의 임무장비를 종합적으로 분석 시 장비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됨
- 항공방제 모듈 : 10kg이상의 제초제(약제용기 무게 포함)
* 소요 문서상 카메라는 제시하지 않고 있으나, 정상적인 임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군수품 수송용 모듈 : IP33, 최대중량(모듈, 수송품 포함) 40kg, EO/IR 모듈
* 소요 문서상 카메라는 제시하지 않고 있으나, 정상적인 임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96
국방 드론

나. 임무장비 국내・외 개발 현황

 현 개발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공통 플랫폼별 적합한 국내 개발 임무장비 현황을 확인함

 10kg에 적합한 임무장비 개발 현황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음


- 국내 개발된 경량 EO/IR 모듈은 많지 않으며 10kg으로 공통화 된 소요 임무장비 요구
성능을 만족 할 수 있는 임무장비 현황은 다음과 같음
제3장

ARIS VIEW-100 국

개발기관 네스엔텍 드

∙ 무게 : 460g 추
∙ 소비전력 : 15W 가
∙ 안정화 : 3축

주요 성능 ∙ 해상도(EO/IR) :

1920 x 1080(FHD) / 640 x 480 방
∙ 배율(EO/IR) : 10배 / 8배 안
∙ 탐지거리(EO/IR) : - / -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ARIS VIEW-070

개발기관 네스엔텍
∙ 무게 : 460g
∙ 소비전력 : 15W
∙ 안정화 : 3축
∙ 해상도(EO/IR) :
1920 x 1080(FHD) / 640 x 480
주요 성능
∙ 배율(EO/IR) : 10배 / 8배
∙ 탐지거리(EO/IR) : - / -
* 탐지대상 : 사람
* 워킹그룹 위원(네스엔택)에 구두
문의 결과임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9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SR-Z50

개발기관 세론 S&I
∙ 무게 : 400g
∙ 소비전력 : 10W
∙ 안정화 : 2축
∙ 해상도(EO/IR) :
주요 성능
1920 x 1080(FHD) / 640 x 480
∙ 배율(EO/IR) : 4배 / 4배
∙ 탐지거리(EO/IR) : 3.3km / 1km
* 탐지대상 : 사람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GT30B

개발기관 Unbtek(중국)
∙ 무게 : 980g
∙ 소비전력 : 25W
∙ 안정화 : 3축
∙ 해상도(EO/IR) :
주요 성능
1920 x 1080(FHD) / 640 x 480
∙ 배율(EO/IR) : 30배 / -
∙ 탐지거리(EO/IR) : 3km / -
* 탐지대상 : 사람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WIRIS SECURITY Pixy WS

개발기관 Workswell(체코)

∙ 무게 : 1.2kg
∙ 소비전력 : 19W
∙ 안정화 : 3축
∙ 해상도(EO/IR) :
주요 성능
1920 x 1080(FHD) / 800 x 600
∙ 배율(EO/IR) : 30배 / 12배
∙ 탐지거리(EO/IR) : - / -
* 탐지대상 : 사람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98
국방 드론

Zenmuse H20T

개발기관 DJI(중국)
∙ 무게 : 828g
∙ 소비전력 : -
∙ 안정화 : 3축
∙ 해상도(EO/IR) :
주요 성능
3840 x 2160(4K) / 640 x 480
∙ 배율(EO/IR) : 23배 / -
∙ 탐지거리(EO/IR) : - / -
제3장
* 탐지대상 : 사람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방


- 군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경량 EO 카메라 모듈 현황은 다음과 같음 추


Autel DG-Z2 전


개발기관 Autelrobotics(미국)

∙ 무게 : -
∙ 소비전력 : -
주요 성능 ∙ 안정화 : 3축
∙ 해상도(EO) : 3840 x 2160(4K)
∙ 배율(EO) : 20배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Zenmuse Z30

개발기관 DJI(중국)

∙ 무게 : 556g
∙ 소비전력 : -
주요 성능 ∙ 안정화 : 3축
∙ 해상도(EO) : 1920 x 1080(FHD)
∙ 배율(EO) : 30배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9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Zenmuse A7

개발기관 DJI(중국)

∙ 안정화 : 3축
주요 성능 ∙ 무게 : 1.3kg
∙ 소비전력 : 5W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Gremsy T3

개발기관 Gremsy(베트남)

∙ 안정화 : 3축
주요 성능 ∙ 무게 : 1.2kg
∙ 소비전력 : 4.35W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 군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조류퇴치 모듈(EO카메라 제외) 현황은 다음과 같음

M12 Wireless Megaphone System for Drone

개발기관 foxtech(중국)

∙ 소비전력 : 100W
∙ 작동거리 : 5km
주요 성능 ∙ 최대출력 : 120dB
∙ 밝기 : 5,000lm
∙ 무게 : 1kg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100
국방 드론

SWL-BS12M

개발기관 윈텍코리아

∙ 기능 : 음향 불빛 동시 동작
∙ 가시거리 : 야간 600m
주요 성능 ∙ 출력 : 100dB(거리 70m 기준)
∙ 무게 : 1kg
∙ 소비전력 : 3.24W 제3장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방


 25kg에 적합한 임무장비 개발 현황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음 추

- 군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국내 개발된 EO/IR 모듈 현황은 다음과 같음 발


SR-Z100D 안

개발기관 세론 S&I
∙ 무게 : 2kg
∙ 소비전력 : 50W
∙ 안정화 : 2축
∙ 해상도(EO/IR) :
주요 성능
1920 x 1080(FHD) / 640 x 480
∙ 배율(EO/IR) : 10배 / 8배
∙ 탐지거리(EO/IR) : - / 0.57km
* 탐지대상 : 사람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SR-A100

개발기관 세론 S&I

∙ 무게 : 2kg
∙ 소비전력 : 10W
∙ 안정화 : 3축
주요 성능 ∙ 해상도(EO/IR) :
1920 x 1080(FHD) / 640 x 480
∙ 배율(EO/IR) : 30배 / 4배
∙ 탐지거리(EO/IR) : - / -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10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USG-212

개발기관 UKRSPEC SYSTEMS(우크라이나)


∙ 무게 : 2.3kg
∙ 소비전력 : 40W
∙ 안정화 : 2축
∙ 해상도(EO/IR) :
주요 성능
1920 x 1080(FHD) / 640 x 480
∙ 초당 프레임 수(EO) : 60FPS
∙ 배율(EO/IR) : 30배 / 8배
∙ 탐지거리(EO/IR) : 3.5km / 1.5km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NUNTH N400

개발기관 NUNTH(스페인)
∙ 무게 : 1.4kg
∙ 소비전력 : 6W
∙ 안정화 : 3축
∙ 해상도(EO/IR) :
주요 성능
1920 x 1080(FHD) / 640 x 480
∙ 배율(EO/IR) : 30배 / -
∙ 탐지거리(EO/IR) : - / -
* 탐지대상 : 사람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 군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국내 개발된 조명/방송용 모듈 현황은 다음과 같음

M1 Wireless Megaphone System for Drone

개발기관 foxtech(중국)

∙ 작동거리 : 5km
∙ 소비전력 : 100W
주요 성능 ∙ 출력 : 78dB (거리 100m)
∙ 최대출력 : 125dB
∙ 무게 : 650g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102
국방 드론

MP130

개발기관 CZI(중국)

∙ 작동거리 : 10km
∙ 소비전력 : 25W
주요 성능
∙ 최대출력 : 130dB
∙ 무게 : 550g
제3장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방



S-120 가

개발기관 SS테크마린 전


∙ 소비전력 : 120W
∙ 입력전압 : 12V ~ 30V
∙ 광원 : CREE 10W 12개
∙ 밝기 : 10,000lm
주요 성능
∙ 방수 : IP67
∙ 빔각도 : 15도
∙ 빔거리 : 1km
∙ 무게 : 1.1kg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TZD-120

개발기관 JMRRC(중국)

∙ 소비전력 : 65W
∙ 입력전압 : 22V ~ 60V
주요 성능 ∙ 밝기 : 10,000lm
∙ 광원 : CREE XHP50 4개
∙ 무게 : 604g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10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군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화생방 탐지 모듈(EO카메라 제외) 현황은 다음과 같음

ChemProDM

개발기관 Environics(핀란드)

∙ 신경작용제 탐지
∙ 수포작용제 탐지
주요 성능
∙ 혈액작용제 탐지
∙ 무게 : 1.2kg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ChemProRDM

개발기관 Environics(핀란드)

∙ 탐지성능 : 감마선, x선
∙ 탐지시간 : 2.5초(fast mode) /
주요 성능
3분(normal mode)
∙ 무게 : 1kg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RDS-31iTx™

개발기관 Mirion technologies(미국)

∙ 탐지성능 : 알파/베타/감마선, x선
주요 성능
∙ 무게 : 220g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104
국방 드론

- 현재까지 확인된 지뢰 탐지 모듈 현황은 다음과 같음

EDK-8H

개발기관 피앤엘글로벌

∙ 방식 : 비접촉식
∙ 분해능 : PPT(Parts Per Trillion) 급
주요 성능 ∙ 무게 : 4.3kg 제3장
∙ 운용온도 : -10 ~ +70℃
∙ 탐지거리 : 수 m 국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드



Mine Kafon Drone 발

개발기관 하시니 디자인 BV(네덜란드) 방

주요 성능 * 주요 성능 및 운용사례 확인 제한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 150kg에 적합한 임무장비 개발 현황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음


- 군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항공방제 모듈 현황은 다음과 같음

제초용 노즐

개발기관 드론공장

주요 성능 ∙ 형상 : 2구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10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DG110015

개발기관 Teejet Technologies(미국)

주요 성능 ∙ 노즐 당 분사량 : 0.59L/min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약제통

개발기관 EFT(중국)

주요 성능 ∙ 용량 : 20L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약제통

개발기관 WJD(중국)

주요 성능 ∙ 용량 : 20L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106
국방 드론

- 군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군수품 수송용 모듈(EO/IR 제외) 현황은 다음과 같음

물품수송드론 모듈

개발기관 유콘시스템

제3장
∙ 무게 : 1kg
주요 성능 ∙ 등급 : IP33
* 유콘시스템 방문 조사 결과임.





* 대상체계의 목표성능 등 분석내용은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 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음 가




다. 분석내용 및 결과

 현재 10kg급 공통 플랫폼의 경우 분석에 따른 탑재 가능한 최대 중량을 2kg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현 개발 수준과 요구조건을 바탕으로 분석 한 결과 일부 구체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EO/IR 모듈의 경우 해외에는 다양한 제품이 확인하였으며, 국내에는 군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소수의 장비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음
- 해외 경량 EO/IR 모듈의 경우 체코, 라트비아, 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다양한 성능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어 요구조건에 맞게 유연한 제품 선택이 가능함
- 국내 경량 EO/IR 모듈의 해상도는 주로 EO : FHD급, IR : SD급이고, 대부분 3축, 중량은
주로 1kg이하며 일부장비는 30FPS이나, 탐지 성능은 대부분 제조사에서 제시하지
않으며, 국산 장비 중 탐지거리 요구사항에 부합되는 장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단, 2축 짐벌이라도 영상처리에 의한 roll방향 디지털 짐벌 기능이 존재할 경우 3축과 유사한 성능이므로
요구조건에 부합할 것으로 판단됨
- EO/IR 모듈의 경우 운용 중 필요에 따른 모듈 교체 시 영상 모듈 간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동일한 비디오 인터페이스 규격을 사용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임.
- 국내・외 장비를 조사・분석한 결과 군 요구조건에 적합한 국내 장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10kg급 공통 플랫폼에 탑재될 경량 EO/IR 모듈의 표준성능은 다음과 같이
분석됨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10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10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EO/IR 모듈
화소수 탐지성능 안정화 중량

EO : 500m(사람), 3축 짐벌
EO : 1920 x 1080
IR : 250m(사람) * 물리적 2축+ 디지털 변환 1kg 이하
IR : 640 x 480 이상
이상 탐지 1축(roll) 가능

 EO 모듈의 경우 해외에는 다양한 제품을 확인하였으며, 국내의 경우 확인이 제한되며,


조사결과 기술 제한이 아닌 시장협소로 인한 문제가 큰 것으로 확인됨
- 해외 EO 모듈의 경우 짐벌/카메라 일체형 제품으로 DJI, ViewProtech 등과 같은 중국
제품이 주로 판매・사용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외에 미국, 캐나다, 프랑스 등의
제품이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됨
- 국내 EO 모듈의 경우 짐벌/카메라 일체형 제품은 국내 생산 업체를 확인 하지
못하였으며, 국산 장비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는 개별 짐벌 프레임에 상용 디지털
카메라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방식은 가능하며, 국산 짐벌을 확인 결과 중소기업청에서는
“흔들림 없는 영상 촬영이 가능한 드론용 3축 짐벌 개발(사업명 : 창업성장기술개발,
주관연구기관 : 루체, 연구기간 : ‘16 ~ ’17)”을 수행하였으나 현재 드론용 국산 짐벌은
시장에 없는 것으로 조사됨
* 국산 디지털카메라의 무게의 예로 삼성 WB250F(1420만화소, 광학배율 18배, 동영상 FHD, 30프레임)의
경우 232g(배터리 포함)으로 payload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됨
- 국내・외 장비를 조사・분석한 결과 경우에 따라 군 요구조건에 적합한 국내 장비가
제한적으로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10kg급 공통 플랫폼에 탑재될 EO 모듈의 표준성능은
다음과 같이 분석됨
* 현 분석결과 국내 장비사용 시, 국산 디지털카메라에 외산 짐벌을 구매하여 부착하는 방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일체형 필요시 외산장비에 대한 구매가 필요함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10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EO 모듈

화소수 촬영속도 광학배율 성능 안정화 중량


3축 짐벌
1.8kg이하
1920 x 1080 이상 30FPS 18배 이상 * 물리적 2축+ 디지털
(카메라 + 짐벌)
변환 1축(roll) 가능

108
국방 드론

 조류퇴치 모듈의 경우 초음파, 조명, 총/맹금류 등 소리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며 대부분 기존 조명장치, 음향장치, 카메라를 조합하는 방법으로 모듈을
구성함. 확인결과 이러한 방식을 이용한 국산 및 해외 제품이 조사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국내 기술은 충분하여 상용 스피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서치라이트와 스피커를 함께
활용해야 할 것으로 보임
* 민간 조류퇴치 드론 또한 천적 울음소리, 공포탄 소리 등 다양한 음향을 이용하여 운용함(출처 : 인천국제공항,
드론을 이용한 조류퇴치 첫 시연, ’18. 3. 22., 인천국제공항공사) 제3장
- 조류퇴치 모듈의 중량은 주로 2kg으로 확인되었으며 최대출력 100dB 이상의 소리

크기와 소리 최대 전달거리 70m 이상의 성능을 보임 방
- 위 사항을 고려하여 10kg급 공통 플랫폼의 조류퇴치 모듈 성능 분석결과 다음과 같음 드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10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전

조류퇴치 모듈

중량
최대출력 소리 최대 전달거리 가시거리
(EO카메라 포함)

100dB 이상 70m 이상 500m 이상 2kg 이하

 현재 25kg급의 공통 플랫폼의 경우 분석에 따른 탑재 가능한 최대 중량을 4kg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현 개발 수준과 요구조건을 바탕으로 분석 한 결과 일부 구체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EO/IR 모듈의 경우 해외에는 다종을 제품이 확인하였으며, 국내의 경우 군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장비는 확인 제한되며, 조사결과 기술이 일부가 제한되는 문제도 있지만 시장협소
문제로 인한 문제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 됨
- 해외 EO/IR 모듈의 경우 스페인, 우크라이나, 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탐지거리, 무게, EO/IR 배율 성능에 있어 다양한 품목이 개발됨에 따라 요구조건에 맞게
유연한 제품 선택이 가능함
- 국내 EO/IR 모듈의 경우 EO의 해상도는 FHD급이고 IR해상도는 SD급인 장비는
확인이 되나 초당 30FPS 및 탐지성능을 공개하지 않고 있어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장비를
확인은 제한됨
- EO/IR 모듈의 경우 운용 중 필요에 따른 모듈 교체 시 영상 모듈 간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동일한 비디오 인터페이스 규격을 사용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임.

10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국내・외 장비를 조사・분석한 결과 군 요구조건에 적합한 국내 장비는 제한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25kg급 공통 플랫폼에 탑재될 EO/IR 모듈의 표준성능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며, 향후 연구개발을 통해 군 요구조건에 적합한 장비 확보가 필요함
* 국내 장비가 제한되는 이유는 기업들을 현장 방문하여 조사한 결과, 일부 확보가 필요한 기술의 문제보다
시장이 협소한 문제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됨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5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EO/IR 모듈

화소수 촬영속도 탐지성능 안정화 중량


EO : 1km(사람) 이상
EO : 1920 x 1080 3축 짐벌
탐지,
이상 30FPS * 물리적 2축+ 디지털 2kg 이하
IR : 500m(사람)
IR : 640 x 480 이상 변환 1축(roll) 가능
이상 탐지

 조명/방송용 모듈의 경우 EO/IR카메라 서치라이트와 방송용 스피커로 구성되며,


확인결과 각각의 장비를 조합하여 것으로 확인됨. 이러한 방식의 국내 및 해외 제품을 다수
확인함
- 조사된 국내 조명 모듈의 조도는 10,000lm, 중량은 1.1kg, 소비전력은 120w로
확인되며, 해외 조명 모듈의 조도는 10,000lm, 중량은 604g, 소비전력은 65w로 확인됨
- 조사된 해외 스피커 모듈의 중량은 주로 650g이하로 확인되었으며, 소리 최대 출력은
125dB이상으로 확인되며, 국내 스피커 모듈의 경우 확인이 제한됨
- 위 사항을 고려하여 25kg급 공통 플랫폼의 조명/방송용 모듈의 성능 분석결과 다음과
같음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5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조명/방송용 모듈
조도 서치라이트 중량 소리최대출력 스피커 중량

10,000lm 이상 1.1kg 이하 125dB 이상 650g 이하

 화생방 탐지 모듈의 경우 국내・외 확인결과 해외에는 극소수의 제품이 확인 되었으나,


국내에는 현재 개발 중인 제품이 확인 되며, 조사결과 기술 제한 문제 및 시장협소 문제

110
국방 드론

등이 복합된 것으로 확인됨


- 화생방 탐지는 화학 작용제 탐지(CWA), 생물입자 탐지, 방사선 탐지(Radiation)를
결합한 것으로 현 화생방 탐지 모듈의 경우 화학 작용제 탐지(CWA), 방사선
탐지(Radiation)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물학 탐지의 경우 고중량으로 인하여 드론탑재
운용되는 장비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나, 최근 생물입자 탐지용 소형 형광 센서의 국내
기술 개발 성공으로 소형화 가능성이 확인되었음(출처 : 국과연주관 핵심기술(시험개발)
과제, 생물입자탐지용 소형형광센서 개발(~’21)) 제3장
- 현재 화생방 탐지 장비 조사결과 해외에는 드론용 방사선 탐지 모듈만 개발되어 있으며,

국내의 경우 화학, 방사선 탐지 모듈을 개발 중임(출처 : 공공혁신조달연계 무인이동체 방
및 SW플랫폼 개발 사업, 소형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다중이용시설 안전확보 드

기술개발(~’21)) 추
* 핵심 장비인 화학 탐지센서는 국산이 없어 국외제품을 사용함 가

- 화생방 탐지 모듈은 화학 작용제 탐지센서의 경우 신경/수포/혈액작용제 탐지가 전
가능해야하고, 방사능 탐지센서는 알파/베타/감마선, X선 등 탐지가능한 방사선이 방

제품마다 상이한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향후 군 요구조건의 구체화에 따라 성능에 대한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할 수 있으며, 향후 군의 작전 요구사항에 따라 기술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위 사항을 고려하여 ’22년에는 외산센서를 사용한 화학작용제, 방사선 탐지 가능한 국산
모듈이 있을 것으로 분석되며, 방사선 탐지 모듈은 25kg급 공통 플랫폼의 화생방 탐지
모듈의 성능 분석결과 다음과 같음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5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화생방 탐지 모듈
탐지성능 방사선 중량
CWA/TIC 감마선, X선 탐지 2.2kg 이하

 지뢰 탐지 모듈의 경우 해외에는 마인 카폰 드론과 같은 해외 사례를 통해 활용 사례를


제한적으로 확인하였으나 전력화 사례는 확인되지 않으며, 국내의 경우 일부 개발된 제품이
확인 되었으나, 드론 탑재를 위한 폭발물 탐지 센서의 소형화, 경량화, 저전력화를 위하여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 지뢰 탐지 모듈의 경우 금속탐지방식(MD), 지면투과레이더를 활용한 복합

11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방식(MD+GPR), 공기흡입방식이 있으며, 복합방식의 경우 금속 및 비금속을 모두


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기술적 추세 및 현재 최신 지뢰탐지기도 해당방식을 사용하고
있음(출처 : ‘목함지뢰’ 찾아내는 지뢰탐지기 첫 개발... 2022년부터 군에 배치, ’21.
12. 14., 연합뉴스)
- 다만, 확인 결과 현재 공기흡입방식에 의한 드론용 지뢰탐지 모듈이 국방 연구개발
사업(미래도전국방기술, 드론을 이용한 지면 폭발물 실시간 광역 공중탐지체계
개발(’19 ~ ’24))이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어 ’24년 이후 공기흡입방식으로 지뢰 탐지
방식의 다양화를 통해 임무상황에 따른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보다
우수한 지뢰탐지 모듈 개발을 위해 지면투과레이더를 활용한 복합방식의 드론 지뢰 탐지
모듈을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함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 위 사항을 고려하여 현 시점에서 지뢰 탐지 모듈 성능 분석은 제한되며, 공기흡입방식의
드론용 지뢰탐지 모듈이 개발성공 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재 개발 중이며, ‘24년 이후 성능 분석 가능

 현재 150kg급의 공통 플랫폼의 경우 분석에 따른 탑재 가능한 최대 중량을 40kg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현 개발 수준과 요구조건을 바탕으로 분석 한 결과 일부 구체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항공방제 모듈의 농약살포용 드론과 같이 약제통, 노즐, 펌프 등으로 구성되며, 확인결과


각각의 장비를 조합하는 것으로 확인됨. 이러한 방식의 국내 제품을 다수 확인함
- 국내 장비를 조사・분석한 결과 군 요구조건에 적합한 국내 장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150kg급 공통 플랫폼에 적합한 항공방제 모듈의 성능 분석결과 다음과 같음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150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항공방제 모듈
용량 노즐
20L 이상 운용환경에 따라 변경 가능

 군수품 수송용 모듈의 경우 해외의 경우 확인이 제한되며, 국내의 경우 군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장비가 확인됨
- 군수품 수송용 모듈의 경우 방진/방수 성능을 위한 케이스로 국내 확인결과 IP33등급,

112
국방 드론

충격 보호를 위한 완충재 포함 중량 1kg의 성능인 것으로 확인됨


- 국내 장비를 조사・분석한 결과 군 요구조건에 적합한 국내 장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150kg급 공통 플랫폼의 군수품 수송용 모듈 성능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음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150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제3장
군수품 수송용 모듈
환경성능 모듈 단독중량 국
IP33 이상 1kg 이하 방



- EO/IR은 앞서 분석한 10kg급 공통 플랫폼 임무장비 등 최대한 경량장비 장착 고려 가
필요함 발


11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제4절 미래 드론 체계 분석

01 드론 기술현황 및 발전 가능성 분석

가. 현 소요의 시사점

 앞서 2장에서 확인한 현 국방 드론 소요를 용도별 특징에 따라 요약함

 정찰용 드론에 대한 소요는 생체모방, 고정익, 회전익 등의 형태가 있으며 지속적으로 전력화
계획 되어 있음
- 생체모방 : 무기체계에 한하여 현재 2종의 국방 드론이 계획되어 있으며, 곤충형 및
조류형을 관련 기술을 확보하여 장기에 전력화를 목표로 함
- 고정익 및 회전익 : 5년 이내 “근거리정찰 드론” 등을, 10년 이내 “대대정찰용
무인항공기-II” 등을, 15년 이내 “초소형 무인기”, “원거리정찰용 소형 무인기” 등
지속적인 드론 전력화 예정

 공격용 드론에 대한 소요는 고정익, 회전익 등의 형태가 있으며 5년 이후 부터 지속적으로


전력화 예정
- 고정익 및 회전익 : 10년 이내 “소형공격드론” 등을, 15년 “군집형 자폭드론” 등 지속적인
드론 전력화 계획을 수립함

 지원용 드론에 대한 소요는 고정익, 회전익 등의 형태가 있으며 지속적으로 전력화 계획 됨


- 고정익 및 회전익(무기체계) : 5년 이내 “통신중계 드론” 등을, 10년 이내 “화생방정찰용
무인항공기” 등을, 15년 “무선전력공급무인기” 등 지속적인 드론 전력화 계획을 수립함
- 고정익 및 회전익(전력지원체계) : 5년 이내 “국지기상관측용 드론”, “대공추적 훈련용
드론”, “공보정훈촬영용 드론”, “항만단 지상경계용 드론”, “대형 수송용 드론” 등 다양한
드론의 전력화 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며, 용도의 드론을 5년 단위로 개선된 상용드론을
구매・교체하여 전력화하는 계획이 있음
* 국방부 국방무인체계발전TF 구두확인결과(’21. 7. 30. 착수회의 시)

114
국방 드론

나. 드론 관련 국방연구개발 추세 분석

 다양한 문헌을 통해 분석한 결과 현재 드론관련 기술의 트랜드는 총 공통화, 자동화, 군집화,


모듈화, 소형화의 5가지 분야로 분류 할 수 있음
- 공통화 : 수리부속의 상호 호환을 통한 유지비 절감 등을 위한 하부체계가 공통성을
가지도록 플랫폼 등의 계열화 관련 기술로 통신, 소재, 전지 등 플랫폼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을 개발
제3장
- 자동화 : 운용요원, 관련인원 등의 업무 경감을 위한 드론의 자율지능에 의한 비행,

임무수행 등을 자동화 기술 개발 방
- 군집화 : 다양한 임무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소형, 경량, 저전력, 저가의 드

드론집단이 작전을 수행하는 군집화 기술 개발

- 모듈화 : 임무에 따른 임무장비를 쉽게 교체・적용하여 드론의 다목적화를 위한 주요 부품 가
및 기능에 대한 공통 임무장비 기술 개발 발

- 소형화 : 작전운용의 효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병사 혼자서도 쉽게 운용 가능한 방

생체모방 등 초소형화 관련 기술 개발

표 3-5 국방 드론기술 발전 추세 분석 문헌들 중 일부 내용

순번 발전추세

기능화된 복합시스템으로 Sensor to Shooter를 구현하고자 하고 있다. 공격용, 자폭용, 스텔스 기능 등을 구비하여
1
탐지된 표적에 대해 실시간 타격을 실시함으로써 전투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함

2 드론 운용 규모를 확대하여 대규모화하고 유인전투기와 협력하여 작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안을 연구함

생체모방형 초소형 드론 등 드론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있으며 고속의 기능을 구현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고
3
있음

(출처 : 월간 국방과 기술(’18. 6. 15.) - 군사용 드론 현황 및 對드론대책)

 ’21 -’35 핵심기술기획서를 바탕으로 총 750건이 넘는 국방 핵심기술 과제를 확인 한 결과


국방 드론 관련 진행되거나 진행 중인 핵심기술 과제는 총 56개로 약 7.4%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됨
- 공통화 분야에서는 데이터링크, 송수신기 등 드론의 원격운용을 위한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 밖에도 전지기술이나 등 다양한 표준화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확인됨
- 자동화, 군집화 분야에서는 AI를 바탕으로 드론의 자동화나 군집 임무 수행을 위한
과제가 있으며, 모듈화 분야에서는 임무장비 개발을 위한 화생방탐지기, SAR안테나

11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등에 필요한 기술 개발 과제가 있음
- 소형화 분야에서는 2종의 생체모방드론을 개발하기 위해 관련 기술연구를 수행하며
전체 드론관련 과제 중 17.86%를 차지해 미래전장에서 생체모방 드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표 3-6 현재 진행 중이거나 계획된 국방 핵심기술 과제

드론 관련 과제
순번 카테고리
* 복합분야의 경우 보다 유사한 쪽으로 분류

<25개 과제(44.64%)>
국방 양자 무선 통신 특화연구실(23 - 28) 특화실 산학연
무인체계용 데이터링크 특화연구실(17 - 23) 특화실 국과연
초소형 무인기 전술신호처리 특화연구실(17 - 22) 특화실 산학연
감시정찰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링크 기술(23 - 25) 응용연구 국과연
개인 전술통신단말을 위한 초소형/저전력 무선전송 및 접속기술(24 - 27) 응용연구 산학연
무선 광통신을 위한 광주파수빗 및 왜곡보정 기술(23 - 26) 응용연구 산학연
사이버위협 방어를 위한 IoT기기 경량형 네트워크 접속제어 기술(24 - 27) 응용연구 산학연
초광대역 주파수 집성 항재밍 통신기술(24 - 27) 응용연구 국과연
공중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중빔 안테나 소요기술 개발(18 - 22) 선도형 국/산
지상전술데이터링크 탑재 KVMF 2.0 메시지처리 SW 플랫폼(19 - 23) 핵심SW 국과연
지상 무선 레이저 통신망 기술 연구(19 - 23) 국제협력 국과연
플라즈마 영향을 고려한 전파센서 기술(19 - 21) 기초연구 산학연
1 공통화 20W급 W-band 고출력 증폭기 및 송수신기 개발(19 - 23) 미래도전 국과연
군운용지역 기반 내구시험 단축화 기술(22 - 25) 응용연구 국과연
무기체계용 고신뢰 내장형 실시간 보안 OS 기술 개발(17 - 21) 응용연구 국과연
Army TIGER 4.0 협동교전분석 SW(20 - 23) 핵심SW 국과연
황화물계 전고체 기반 무음극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 시스템(19 - 24) 미래도전 산학연
입구 유동 왜곡에 기인한 1단 천음속 팬 공력 불안정성 규명(21 - 24) 기초연구 산학연
3D 프린팅 기반 초경량/고강도/복잡형상 섬유강화복합소재 제조 기술(25 - 28) 응용연구 국과연
섬유기반 복합재 구조전지기술(22 - 25) 응용연구 산학연
소형 다기능 모듈화 비행체 설계 기술 개발(22 - 26) 응용연구 국과연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19 – 23)
선도형 국/산
무인항공기용 완제 터보팬 엔진 개발(19 - 25) 선도형 국/산
초소형 항재밍 위성항법장치 기술(19 - 22) 미래도전 국과연
전자파보안 특화연구실(23 - 28) 특화실 산학연

< 6개 과제(10.71%) >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19 - 25) 특화센터 산학연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사물인식 및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21 - 25) 핵심SW 산학연
2 자동화 가변형상물체(Deformable Object) 인식 기술(19 - 23) 응용연구 국과연
동종/이종 초소형 로봇의 자율기동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환경인식 기술(23 - 27) 응용연구 산학연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17 - 21) 응용연구 국과연
다중임무를 위한 영상추적형 소형 자폭무인기 기술연구(20 - 23) 선행핵심 국과연

116
국방 드론

드론 관련 과제
순번 카테고리
* 복합분야의 경우 보다 유사한 쪽으로 분류

< 8개 과제(14.29%) >


군집형 무인 CPS 특화연구실(19 - 24) 특화실 산학연
군집무인기 통합네트워크 기술(22 - 26) 응용연구 국과연
지능형 군집항법 기술(23 - 26) 응용연구 국과연
3 군집화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25 - 29) 시험개발 산학연
다중로봇 협동자율계획(22 - 26) 응용연구 국과연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19 - 23) 미래도전 국과연
제3장
동시 감시정찰을 위한 무인기 군집제어 기술(22 - 25) 응용연구 산학연
전술 군집 무인기 임무계획 및 자율 임무 재계획 기술(22 - 26) 응용연구 산학연

< 7개 과제(12.5%) > 방
장거리 다중파장 센서의 영상융합기술(22 - 25) 기초연구 산학연 드
항공용 고출력 경량 SAR 안테나 기술(27 - 30) 응용연구 미정 론
차세대 생물방어 특화연구실 (19 - 24) 특화실 산학연 추
4 모듈화 가
소형 지표면 화학오염 탐지센서 기술 (25 - 28) 응용연구 국과연
초분광 기반 복합위협 인지기술 (23 - 27) 응용연구 국과연 발
적외선 분광칩 기반 소형 원거리 화학탐지기술 (15 - 24) 응/시 국과연 전
드론을 이용한 지면 폭발물 실시간 광역 공중탐지체계 개발 (19 - 24) 미래도전 산학연 방

< 10개 과제(17.86%) >
국방생체모방자율로봇 특화연구센터(13 - 21) 특화센터 산학연
곤충 시각을 모사한 거동인식 센서기술(22 - 25) 응용연구 산학연
군사용 곤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19 - 23) 응용연구 산학연
날갯짓 비행로봇 시스템 기술개발(21 - 24) 응용연구 산학연
5 소형화 복안영상 기반의 적응형 환경인식기술(21 - 25) 응용연구 산학연
생체모방 청각센서 및 신호처리기술(22 - 26) 응용연구 산학연
생체모방로봇용 네트워크 기반 위치추정기술(22 - 25) 응용연구 산학연
초소형 지상로봇 군집운용 통제기술(21 - 26) 선도형 산학연
초소형 생체모방 로봇용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기술(20 - 24) 핵심SW 산학연
곤충생체 복합거동 자율로봇 기술(28 - 32) 응용연구 미정

(출처 : ’21 - ’35 핵심기술기획서)

다. 현 소요의 제한사항 및 발전 가능성 분석

 기술개발 과제 및 현소요에 대한 분석 결과 일부 제한사항이 존재함을 확인


- 현재 개발된 드론에 적용 많이 되어 있지 않으나 군집드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으며, 현재 공격용, 지원용 관련 소요에만 적용될 것으로 분석 됨
* 지원용 중 지뢰제거 드론의 소요만 군집드론을 기반으로 하며, 드론 때(Swarm)에 의한 기초적인 군집드론인
것으로 판단됨
- 국외 드론의 경우 공통화, 모듈화 등을 적용하여 공통 플랫폼을 바탕으로 임무장비
변경에 따라 공격용, 정찰용, 지원용 등 용도가 변경되는 드론이 존재하나, 현 소요는

11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각기 단일 용도의 소요만 계획됨

 제한사항 도출을 통해 다음과 같은 미래 드론 소요의 기술적 발전방향을 도출함


- 현재 공격용, 지원용 관련 소요에만 적용될 것으로 분석 되는 군집화 기술을 발전시켜
정찰용 관련 소요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분석됨
∙ 미래 소요로 곤충형 멀티 드론, 조류형 멀티 드론을 도출함
- 국외 드론 사례와 같이 공통화, 모듈화 결합 뿐만 아니라 미래에는 자동화 군집화 등을
결합 및 기술을 발전시켜 회전익 멀티콥터형 드론 관련 소요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분석됨
∙ 미래 소요로 모함 드론, 다목적 공통 플랫폼 드론을 도출함

그림 3-7 현 소요의 기술적 보완 분석에 따라 미래 소요 도출 결과

118
국방 드론

02 현 소요를 보완할 미래 소요

가. 미래 소요 개요

 미래전장환경에 적합할 것으로 분석된 미래 소요는 곤충형 멀티 드론, 조류형 멀티 드론,


모함 드론, 다목적 공통 플랫폼의 4가지임
제3장
순번 분야 체계명 시기 체계설명

1 생체모방
곤충형 2030 공중감시정찰이 제한되는 상황하 감시/정찰/경계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충전, 방
멀티 드론 후반 통신을 수행하는 HIVE 및 다수 곤충형 드론으로 구성된 체계

조류형 2030 해안가, 강가, 도심지역등 다양한 공간에서 표적을 감시하기 위한 조류 모방 론
2 생체모방
멀티 드론 후반 드론으로 충전, 통신을 수행하는 NEST 및 다수 조류형 드론으로 구성된 체계 추
2030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자드론에 대한 통신중계/이동/전력공급등을 지원

3 회전익 모함 드론 발
후반 가능한 모함드론 체계

모듈화된 플랫폼, 임무장비를 레고식으로 결합 가능한 다목적 드론 체계로 기존 방
멀티콥터 드론을 대체 및 통합 가능한 체계 안
∙ 플랫폼 모듈
- 전지모듈(충전지, 수소전지 등)
- 로터 모듈(고속/중속/저속)
- 통신 및 통제장치 모듈
다목적 공통 2030
4 회전익 ∙ 임무장비 모듈
플랫폼 드론 후반
- 자폭모듈 : 공격용 자폭드론
- 수송모듈(소/중/대) : 수송용 드론
- EO/IR 모듈 : 감시정찰용 드론
- 소형 TMMR 모듈 : 통신중계 드론
- 로봇팔 및 폭발물 제거 모듈 : EOD 드론
- 수술도구, 마취제, 약제 모듈 : 의료처치 드론

나. 곤충형 멀티 드론

 곤충형 멀티 드론 필요성 및 발전가능성


- 현재 곤충형 드론은 대학수준의 연구개발 단계이나, 국내・외에서 미래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현재 단일 드론에 한하여 곤충형 드론 소요가 있음
- 곤충형 드론의 특징은 회전익, 고정익 드론에 비해 날개를 구부러뜨리거나, 동체에
타격이 가더라도 비행가능 하여 임무지속성이 뛰어나고, 작은 크기로 곤충과 비슷하기
때문에 잘 식별되지 않아 은밀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어 숲이나, 지형지물이 어지럽고
장애물이 많은 드론이 정찰하기 힘든 환경에서 운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11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다만, 현재 기술로서는 배터리 용량에 따른 비행시간 짧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현 소요를


바탕으로 미래에는 개선된 배터리 기술로 군에서 전력화하여 운용 가능할 정도의
비행시간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그림 3-8 MIT 개발 곤충형 드론, 건국대학교 개발 곤충형 드론의 장점

(출처 : MIT 곤충 날갯짓 적용 초소형 드론 공개, ZDNet Korea, ’21.3.8, 추락 않고 은밀한 미션 수행... 장수풍뎅이 로봇 만든 한국인,
중앙일보, ’20. 12. 27.)

- 현 소요는 단일 곤충형 드론만 제기되어 있으나 추가적으로 군집화 기술을 결합 및


발전시켜 곤충형 멀티 드론 개발을 통해 정찰, 경계, 감시, 공격 등이 가능하도록 다목적화
한다면 세계 최고수준의 곤충형 멀티 드론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곤충형 멀티 드론 개념
- 개요 : 공중정찰이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정찰/감시/경계 등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곤충형 멀티 드론임
* 멀티 드론 : 기존의 단순 군집드론 형태보다 발전된 AI 기반의 멀티 드론으로 운용자가 지정한 임무를 적절히
판단하여 수행

주요제원 및 성능

▸최대체공시간 : 10분(완전충전시)
* 최대 이륙중량 조건
▸숲/정글 등 다수의 장애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비행
가능
▸HIVE에서 드론 충전 가능
▸자동으로 임무 스케줄링 가능

120
국방 드론

- 필요성
∙ 삼림, 정글 등은 정찰기, 드론 등에 의한 정찰/감시/경계 등의 임무가 제한되어 인원에
의한 임무 수행이 필요하나, 인명손실이 발생 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작전
수행을 위해 필요
∙ 생체모방형 드론을 사용하여 적에 의한 인지 상황을 감소시켜 정찰/감시/경계 등의
임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
- 운영개념 제3장
∙ 운용자가 드론의 둥지(HIVE)를 도수 운반하여 정찰/감시/경계가 필요한 지역의 나무

위 등 사람이 인지하기 어려운 곳에 설치 방
* 둥지(HIVE)는 각 곤충형 드론에 대한 충전 및 통신중계, 멀티 드론 전체의 AI를 담당함 드

* 둥지(HIVE)의 전원은 태양광 또는 별도의 케이블로 설치

∙ 곤충형 드론(초소형 EO/IR 장착)을 둥지(HIVE)를 중심으로 운영하며, 필요한 작전을 가
HIVE로 전달시 HIVE 탑재된 AI시스템에 따라 적합한 임무를 드론에 할당하여 작전 발

수행 방

∙ 곤충형 드론은 둥지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의 수풀들 사이에서 정찰/감시/경계
작전을 수행(비행 또는 나무에 앉아서 표적 영상 획득) 영상을 둥지에 전송하고 둥지는
해당 영상정보를 운용자에게 전송
∙ 둥지에서 표적(미식별인원)이 식별 되면 작전인원에게 통보하며, 운용자가 표적으로
판단하여 추적 명령을 내리면 인공지능에 의해 곤충형 드론을 사용하여 최적의
방법으로 표적의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GCS영상의 작전 지도상에 표적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표시
- 개략적인 주요구성 및 성능
∙ HIVE : 드론과 운용자간 중계역할, 곤충형 드론 충전 가능, 나무 위 건물 벽 등
부착가능, AI 탑재에 따른 정찰/감시/경계 임무 최적 스케줄링 가능
∙ 곤충형 드론 : 수 기로 구성, 방수기능, 초소형 저전력 통신모듈 및 EO/IR 탑재

나. 조류형 멀티 드론

 조류형 멀티 드론 필요성 및 발전가능성


- 현재 조류형 드론 또한 대학수준의 연구개발 수준이며, 중국에서는 조류형 드론을
전력화 한 사례가 있다고 보도되고는 있지만 정확한 정보는 확보가 제한됨
- 조류형 드론은 생체모방드론으로서 곤충형 드론과 유사하지만 보다 고중량의

12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임무장비를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현재 국내 소요에도 단일 드론에 한하여


조류형 드론체계 소요가 있음
- 조류형 드론의 특징은 조류와 비슷한 크기로 개발되기 때문에 잘 식별되지 않아 은밀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고, 작은 크기 및 저공비행에 따른 레이더 등에도 탐지가 제한적인
장점이 있어 대 드론 체계에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주로
도심지역이나, 드론이 탐지되는 비교적 근거리에서 운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그림 3-9 중국의 조류형 드론 “Dove Drone”

(출처 : 나는 새 90%재현... 中 스파이 비둘기 드론 운용, 스트레이트 뉴스, ’18. 6. 27.)

- 다만, 드론의 중량이 수백g 밖에 되지 않아 곤충형 드론보다는 길지만 멀티콥터형 드론에


비해 배터리 용량에 따른 비행시간 짧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미래에는 개선된 기술들을
바탕으로 군에서 전력화하여 운용 가능할 정도의 비행시간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현 소요상 단일 조류형 드론만 제기되어 있으나 추가적으로 군집화 기술을 결합 및
발전시켜 조류형 멀티 드론을 개발함으로써 정찰, 경계, 감시, 공격 등이 다양한 임무
수행이 가능한 조류형 드론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조류형 멀티 드론 개념
- 개요 : GP, GOP, 해안가, 도심지역 등 24시간 감시/경계 및 유사시 타격 임무가 필요한
경우 AI등을 바탕으로 적은 인원만으로 효율적인 작전수행을 위한 조류형 멀티 드론임
* 멀티 드론 : 기존의 단순 군집드론 형태보다 발전된 AI 기반의 멀티 드론으로 운용자가 지정한 임무를 적절히
판단하여 수행

122
국방 드론

주요제원 및 성능

▸최대체공시간 : 20분(완전충전시)
* 최대 이륙중량 조건
▸표적 인근에서 자폭 가능
▸자동으로 임무 스케줄링 가능
제3장



- 필요성 드

∙ 인적자원의 감소에 따라 감시/경계 임무가 필요하나 24시간 감시가 제한적일 것으로 추

판단되는 지역에 적을 감시하고 유사시 적을 타격하기 위해 필요

∙ 전시상황에서 차량 등에 탑재하여 소수의 인원으로 범위면적에 대해 주・야 경계가 전

가능한 체계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 안
- 운영개념
∙ 운용자가 드론의 둥지(NEST)를 도수 운반하여 경계/감시 작전 시 건물 꼭대기, 처마
등에 설치하며 정찰 작전 시 차량에 설치
* 둥지(NEST)는 각 조류형 드론에 대한 충전 및 통신중계, 멀티 드론 전체의 AI를 담당함
* 둥지(NEST)의 전원은 태양광 또는 별도의 케이블로 설치
∙ 조류형 드론(초소형 EO/IR, 일부는 대인 타격용 직충돌식 초소형 폭탄장착)을
둥지(NEST)를 중심으로 운영하며, 필요한 작전을 NEST로 전달시 NEST 탑재된
AI시스템에 따라 적합한 임무를 드론에 할당하여 작전 수행
∙ 조류형 드론은 둥지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의 건물들, 나무들 사이에서
정찰/감시/경계 작전을 수행(비행 또는 나무에 앉아서 표적 영상 획득)하면서 영상을
둥지에 전송하고 둥지는 해당 영상정보를 운용자에게 전송
∙ 둥지에서 표적(미식별인원)이 식별 되면 운용자에게 통보하며, 운용자가 표적으로
판단하여 추적 명령을 내리면 인공지능에 의해 조류형 드론을 사용하여 최적의
방법으로 표적의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GCS영상의 작전 지도상에 표적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표시
∙ 표적이 적으로 확인되고 타격이 필요한 경우(적 주요 지휘관 등) 운용자가 타격 명령을
둥지로 전달함. 이 경우 일부 드론은 BDA(Battle Damage Assessment)를 위해
대기하고 일부 드론은 표적을 향해 직충돌 공격하며, 재 타격이 필요한 경우 운용자의

12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판단에 따라 드론이 재 타격 수행
- 개략적인 주요구성 및 성능
∙ 둥지(NEST) : 드론과 운용자간 중계역할, 곤충형 드론 충전 가능, 나무 위 건물 벽
등 부착가능, AI 탑재에 따른 정찰/감시/경계/타격 임무 최적 스케줄링 가능
∙ 조류형 드론 : 수 기로 구성, 방수기능, 초소형 저전력 통신모듈 및 EO/IR센서 탑재,
직충돌형 초소형 탄두 탑재

다. 모함 드론

 모함 드론 필요성 및 발전가능성
- 소형 드론 중 공격드론의 경우 자폭공격으로 표적을 타격하기 때문에 군집화의 기초적인
드론떼(Swarm)를 통해 표적을 타격하는 것이 적합하고 정찰드론의 경우 지속적인 지역
감시 정찰이 중요하며 지원드론의 경우 임무의 빠르고 지속적인 수행을 필요로 하는
등 다양한 드론들은 각각의 목적에 따라 필요한 요구능력이 다름
- 다만, 모든 종류의 소형 드론에 공통적인 중요 요구능력은 비행시간 및 작전반경으로
단일드론에 의한 작전 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이를 해결하는 무선 전력송신을 위한
드론 등 다양한 극복방안을 고민하고 있음
- 드론의 비행시간 및 작전반경을 연장시키기 위한 방안 중 하나인 모함 드론은 차량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 임무를 위해 투입 가능하며, 탑재될 여러 임무를 수행하는 드론이
한정된 동력원을 사용하여 임무지역까지 비행하기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 가능하고,
고성능의 통신중계기를 탑재한 모함 드론을 통해 통신 중계 수행 시 작전반경 연장이
가능함
- 현재 모함 드론은 민간의 모자 분리형 모함 드론 등 기초적인 기술이 연구 중에 있으며
향후 다양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자드론을 탑재하는 모함 드론이 실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124
국방 드론

그림 3-10 KIST의 모자 분리형 모함 드론

제3장








(출처 : “과학이 곧 국방력”... 최첨단 군 무기로 미래전쟁 대비한다, 동아일보, ’20. 11. 20.) 전


 모함 드론 개념
- 개요 : 드론의 운용시간 증가, 작전반경 증가를 위해 드론을 운반하는 모함 드론임

주요제원 및 성능

▸최대체공시간 : 2시간
* 최대 이륙중량 조건
▸표준화된 다양한 소형드론 운반 가능
▸탑재 드론에 대한 통신중계 가능
▸드론 충전 가능

- 필요성
∙ 소형드론은 빠르고 적에 의한 탐지가 어려운 등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경량화 된 만큼
작전반경, 운용시간 등의 제한으로 인해 근거리에서만 운용이 가능한 단점이 있어
유사시 원거리 작전 활용을 위해 필요
- 운영개념
∙ 소형드론에 의한 신속한 원거리 지역 감시, 소형 군집드론에 의한 원거리 표적 타격

12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등의 작전이 필요한 경우 운용자가 모함 드론에 작전에 필요한 드론을 탑재하고 모함


드론은 탑재된 소형드론들을 작전지역 중심으로 이동 및 통신 중계가 용이하면서도
은닉 가능한 곳에 모함 드론착륙
∙ 모함 드론에 실린 소형드론들은 필요한 작전에 따라 이륙하여 작전을 수행하고 모함
드론은 소형드론들과 운용자간 통신중계 수행
∙ 소형드론들의 배터리가 떨어질 경우 모함 드론에 돌아와 충전 및 소형드론들의 지속
작전 수행
- 개략적인 주요구성 및 성능
∙ 모함 드론 : 고성능 통신중계기 탑재, 근접 무선 배터리 충전 가능, 드론 이착륙 유도
가능

다. 다목적 공통 플랫폼 드론

 다목적 공통 플랫폼 드론 필요성 및 발전가능성


- 공통화, 자동화, 모듈화 기술은 현재 국방 핵심기술 개발에서 큰 비중으로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드론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나, 현재 드론 소요는 모두
개별플랫폼을 바탕으로 하고 있고 모듈 또한 각 플랫폼에 따라 비표준 모듈들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임
- 때문에, 소량 다품종의 드론 획득으로 인하여 기술적으로 유지보수의 문제점이 존재함
* 산업적 측면에서는 획득가격이 비싸고 및 경쟁력 있는 기업들이 드론 산업 참여에 제한 될 것으로 예상됨
- 현 소요에 대한 분석 결과인 회전익-멀티콥터형 공통 플랫폼 I 드론은 향후 군의 소요
변화에 따라 적합한 드론 공통 플랫폼을 지속 보완하여야 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구개발
등을 통해 확보될 공통 플랫폼 Ⅱ는 보다 향상된 성능의 체계이나, 장기적 관점에서는
모든 소요를 공통화 한 단일 드론 공통 플랫폼(공통 플랫폼 Ⅲ)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 다목적 공통 플랫폼은 다양한 모듈이 레고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전에 따라 조립하기
때문에 무기체계 및 전력지원체계의 다양한 작전목표를 달성 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모듈 보급에 따라 모듈에 고장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현장에서 교체하는 방식으로 대처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및 작전운용 능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 또한 새로 성능이 개선된 모듈이 출시되더라도 표준화된 해당 모듈만 교체하여 신속히
업그레이드 된 드론을 획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 현재 동일한 기술을 개발하는 사례는 없으나, 아마존의 메가드론 관련 특허와 같이

126
국방 드론

세계적으로도 제한된 개발이 진행 중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개발되는 군 및 민간의


기술들을 결합하여 발전시킨다면 구현 가능성은 기술적으로 충분할 것으로 예상됨

 다목적 공통 플랫폼 드론 개념
- 개요 : 표준화된 규격의 결합 가능한 모듈화된 플랫폼(로터, 동력원, 프레임, FC 등),
임무장비(EO/IR, SAR, 탄두 등)로 구성된 드론으로 작전 및 운용용이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플랫폼 모듈, 임무장비 모듈을 결합 가능한 드론
제3장


주요제원 및 성능


▸최대체공시간/운용고도/작전반경 등 모듈 구성에 론
따라 상이 추

* 최대 이륙중량 조건

▸관련 임무 모듈 장착시 임무변경 가능 전
- 무기체계 : 감시정찰, 화력지원, 화력 방

- 전력지원체계 : 경계, 수송, 의료

- 필요성
∙ 현 드론은 공통적인 플랫폼이 없어, 정비 및 수리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를 위한 많은 인적자원이 필요함으로 효율적인 드론 운영을 위해 공통 플랫폼 드론
필요
∙ 플랫폼 모듈(로터, 동력원, 프레임, FC 등) 및 임무장비 모듈(EO/IR, SAR, 탄두 등)을
여러 가지 형태로 조합함으로써 드론 가동율을 높이고 불필요한 수리부속을 최소화
하며, 다양한 작전에 사용 가능한 전군 공통 플랫폼 드론 필요
- 운영개념

∙ 각 드론 플랫폼 모듈, 임무장비 모듈을 표준화된 형상 및 표준 인터페이스(기구적,


전자적)를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 다양한 임무에 따라 결합 가능
∙ 차량 또는 기지에서 다양한 드론 플랫폼 모듈, 임무장비 모듈을 적재해 두었다가
드론에 의한 작전 필요시 작전형태를 입력하면 GCS에서 AI에 의한 최적 결합 방법
추천하고 운용자는 추천 방식 또는 원하는 형태로 드론을 결합하여 작전운용
* 원하는 형태로 결합 및 입력 시 통제장치에서는 AI를 통해 작전반경, 운용시간, payload 등에 대한 예상치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12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결합 전 후로 모듈의 고장(자체 진단시스템을 내장)을 확인하여 모듈만 교체하여


드론을 운용하며, 각 운용부대에 모듈단위로 보급하여 불필요한 수리부속을
최소화하고, 드론 가동률을 높일 수 있음
∙ 기술발전에 따라 성능이 개선된 모듈 개발 시 모듈 교체에 따른 빠른 드론 업그레이드가
가능
- 개략적인 주요구성 및 성능
∙ GCS : 자체진단 기능, AI에 의한 임무에 따른 드론구성 추천, 사용자 드론 구성 입력
시 AI를 기반으로 작전반경, 운용시간, payload 등 예상치를 운용자에게 제시
∙ 플랫폼 모듈 및 임무장비 모듈 : 표준화된 크기, 모양 및 인터페이스(기구, 전자) 적용,
다양한 모듈 종류 존재
* 플랫폼 모듈 : 전지모듈(충전지, 수소전지 등), 로터 모듈(고속/중속/저속), 통신 및 통제장치 모듈 등
* 임무장비 모듈 : 자폭모듈, 수송모듈, EO/IR 모듈, 소형 TMMR 모듈, 로봇팔 및 폭발물 제거 모듈,
의료처치모듈 등

128
국방 드론

제5절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

01 개요
제3장


 현 소요에 대한 기술적인 분석결과 회전익-멀티콥터 소요 일부에 대하여 공통 플랫폼, 공통 방
임무장비를 적용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어 정책적으로 고려 필요함 드


 또한, 공통 플랫폼을 바탕으로 미래 우리 군이 첨단 강군으로 거듭나기 위해 가
회전익-멀티콥터 공통 플랫폼 국방 드론에 대한 3단계 정책 고려 필요 발

- 단기(’22) : 본장 1절의 3가지(10kg, 25kg, 150kg)의 공통 플랫폼을 통해 구매 등의 방
방식으로 획득 방법 고려 필요 안

- 중기(’27~) : 드론 관련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군의 소요 또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어 현재 군 소요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공통 플랫폼에 대한 개발
필요

그림 3-11 회전익-멀티콥터형 공통 플랫폼 발전방향 제언

- 장기(’35~) : 현재 제한되는 기술들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미래에는 ‘다목적 공통


플랫폼 드론’과 같은 국방 드론 등을 연구개발을 통한 획득 고려 필요

12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02 공통 플랫폼 II 드론 핵심기술

 공통 플랫폼 II를 개발하기 위해 목표 성능을 예측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핵심기술을


분석하여 로드맵을 제시함
* 단,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 공통 플랫폼 II 드론의 임무장비는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개발될 것으로


가정함
- EO/IR, EO의 경우 현 소요와 유사하게 3가지 공통 플랫폼에 모두 적용 될 것으로
예상되기에 모든 플랫폼에서 핵심기술 분석함
- 방송모듈, 조류퇴치모듈, 방제모듈의 경우 25kg, 150kg급의 공통 플랫폼 Ⅱ 드론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나, 해당 모듈들은 기존에 존재하던 다양한 민간의 장비를
조합하여 드론에 탑재하는 방식의 모듈로 이미 민간에 활성화 된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모듈제작 방법이 변동 없을 것으로 판단하여 핵심기술 분석에서 제외함
- 화생방 탐지 모듈, 지뢰탐지 모듈의 경우 25kg급의 공통 플랫폼 II 드론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해당 플랫폼의 임무장비로 고려하여 핵심기술 분석함

가. 10kg급 공통 플랫폼 II 드론 (회전익 - 멀티콥터)

 현재 소요를 분석하여 도출된 공통 플랫폼 중 하나인 10kg급 공통 플랫폼 드론은 향후 소요


등의 변경이 없다는 가정 및 지속적으로 동일 공통 플랫폼을 전력화 한다는 가정 시
연구개발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여 공통 플랫폼 II 드론으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음

 10kg급 공통 플랫폼 II 드론의 예상되는 성능을 참여전문가 들을 통해 논의 하였으며,


임무장비모듈은 공통 플랫폼 I 드론의 임무장비를 기준으로 함

 연구 참여 전문가를 통해 폭탄 투하식 드론의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탄두 투하식


임무장비를 추가하여 분석함
* 예상되는 성능은 현시점의 분석결과이며 향후 추가소요, 기술의 발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130
국방 드론

10kg급 공통 플랫폼 Ⅱ 드론 < 회전익 - 멀티콥터 >


탑재중량
운용온도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최대속도 최대이륙중량 최대풍속 (추가배터리,
(℃)/
(km) (hr) (km) (km/h) (kg) (m/s) 임무장비모듈)(
방수방진
kg)
-20℃ ~
15
5 0.5 0.5 70 10 2 +43℃/
*풍동시험기준
IP33 이상

임무장비 제3장
EO/IR모듈, EO모듈, 조류퇴치모듈, 투하식 탄두 모듈
모듈

*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이착륙최대풍속은 임무장비모듈 및 추가배터리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의 성능임 방


 10kg급 공통 플랫폼 II 드론은 WBS분석, 전문가 토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핵심기술을 추

도출함

* 해당 기술 개발 시 25kg급, 150kg급 공통 플랫폼 Ⅱ 드론에 공통으로 적용 될 수 있을 경우 ‘공통’으로 표시함 전

 소요 핵심기술 목록 안

핵심기술 국방전략기술

[FCS] 고속연산 FCS용 SW플랫폼 개발 기술 공통 5-13


자동 경로점 비행 및 자율임무비행수행제어하기 위한 FCS에 필요한 SW기술을 개발하는 기술 무인기 협업/자율
비행제어 시스템
(반영과제) -

[구동장치] 10kg급 드론용 DC 모터 설계 및 모터 제어 기술 4-16


10kg급 드론에 탑재 가능한 소형/경량의 고성능/고효율의 DC 모터 설계 기술 고효율 동력전달
기술
(반영과제) -

[임무컴퓨터] 딥러닝 기반의 드론 환경인식 기술 공통


영상인식을 통해 식별된 목표물을 기반으로 최적 전투지원임무 달성을 위한 AI 기반 적용한 1-17
비행체 주변 환경인식 기술 인공지능 기반
자율인식 지능형
162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사물인식 및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핵심SW, 센서 기술
(반영과제)
21-25)

[공격장비(투하식 탄두)] 드론용 투하 탄약 운용을 위한 구조설계 기술


3-6
투하형 드론 탄약을 위한 요구조건을 분석하거 구조를 설계하며, 둔감탄두 구조를 설계하는 기술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반영과제) -

[공격장비(투하식 탄두)] 투하형 탄약성능 최적화를 위한 구조설계 기술


3-6
탄약성능 최적화를 위해 탄도조정장치 구조를 설계하고 비행자세안정화 구조를 설계하는 기술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반영과제) -

13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핵심기술 국방전략기술

[공격장비(투하식 탄두)] 드론 투하형 탄두 안전 제어 기술


탄두 탑재 후 복귀 시 탄두의 안전장전장치 안전 상태 확인하고 탈착 시 운용자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는 3-6
메커니즘을 설계하는 안전화 기술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반영과제) -

[비행 및 임무통제장치] 임무계획 자동화 기술 공통 5-13


임무를 위한 비행 및 촬영계획 작성 및 운용시 운용자의 최소 조작을 위한 자동화 기술 무인기 협업/자율
(반영과제) 215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응용, 25-28)
비행제어 시스템

[비행 및 임무통제장치] 통제장비 공통 표준 프로토콜 설계 기술 공통


장치 및 구성품의 내/외부 인터페이스를 결정하고, 각 구성품간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을 확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기술 2-26
국방 IoT/IoE
017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미래도전, 15-24) 네트워크 기술
(반영과제) 419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
(응용, 19-23)

[지휘통제 시스템] 공통 플랫폼 표준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공통


드론 지상통제시스템에 탑재하여 상위 C4I 망과의 연동을 보장하는 무인체계의 상호운용성이
반영된 표준 메시지처리 기술 2-26
국방 IoT/IoE
017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미래도전, 15-24) 네트워크 기술
(반영과제) 419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
(응용, 19-23)

[항공 데이터링크] 가변적 환경에 강인한 드론 공간 주파수 보장 기술 공통 2-11


가변적 환경(드론 및 통신 결함)에 강인한 드론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 자가방어 고속 통신
(반영과제) - 기술

*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이착륙최대풍속은 임무장비모듈 및 추가배터리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의 성능임

나. 25kg급 공통 플랫폼 Ⅱ 드론 (회전익 - 멀티콥터)

 현재 소요를 분석하여 도출된 공통 플랫폼 중 하나인 25kg급 공통 플랫폼 드론은 향후 소요


등의 변경이 없다는 가정 및 지속적으로 동일 공통 플랫폼을 전력화 한다는 가정 시
연구개발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여 공통 플랫폼 II 드론으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음

 25kg급 공통 플랫폼 II 드론의 예상되는 성능을 참여전문가 등을 통해 분석 하였으며 공통


플랫폼에 탑재될 임무장비모듈은 25kg급 공통 플랫폼 I 드론의 임무장비를 기준으로 함
 참여 전문가를 통해 폭탄 투하식 모듈에 대한 추가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투하식 탄두
임무장비를 추가하여 분석 함
* 예상되는 성능은 현시점의 분석결과이며 향후 추가소요, 기술의 발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132
국방 드론

25kg급 공통 플랫폼 Ⅱ 드론 < 회전익 - 멀티콥터 >


탑재중량
운용온도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최대속도 최대이륙중량 최대풍속 (추가배터리,
(℃)/
(km) (hr) (km) (km/h) (kg) (m/s) 임무장비모듈)(
방수방진
kg)
-20℃ ~
15
10 1.5 1 20 25 4 +43℃/
*풍동시험기준
IP33 이상
임무장비
제3장
EO/IR 모듈, 조명/방송용 모듈, 화생방 탐지 모듈, 지뢰 탐지 모듈, 투하식 탄두 모듈
모듈

*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이착륙최대풍속은 임무장비모듈 및 추가배터리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의 성능임 방


 25kg급 공통 플랫폼 II 드론은 WBS분석, 전문가 토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핵심기술을 추

도출함

* 해당 기술 개발 시 10kg급, 150kg급 공통 플랫폼 II 드론에 공통으로 적용 될 수 있을 경우 ‘공통’으로 표시함 전


 소요 핵심기술 목록

핵심기술 국방전략기술

[FCS] 고속연산 FCS용 SW플랫폼 개발 기술 공통 5-13


자동 경로점 비행 및 자율임무비행수행제어하기 위한 FCS에 필요한 SW기술을 개발하는 기술 무인기 협업/자율
비행제어 시스템
(반영과제) -

[구동장치] 25kg급 드론용 DC 모터 설계 및 모터 제어 기술 4-16


25kg급 드론에 탑재 가능한 소형/경량의 고성능/고효율의 DC 모터 설계 기술 고효율 동력전달
기술
(반영과제) -

[임무컴퓨터] 딥러닝 기반의 드론 환경인식 기술 공통


영상인식을 통해 식별된 목표물을 기반으로 최적 전투지원임무 달성을 위한 AI 기반 적용한 1-17
비행체 주변 환경인식 기술 인공지능 기반
자율인식 지능형
162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사물인식 및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핵심SW, 센서 기술
(반영과제)
21-25)

[공격장비(투하식 탄두)] 드론용 투하 탄약 운용을 위한 구조설계 기술 공통 3-6


투하형 드론 탄약을 위한 요구조건을 분석하거 구조를 설계하며, 둔감탄두 구조를 설계하는 기술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반영과제) -

[공격장비(투하식 탄두)] 투하형 탄약성능 최적화를 위한 구조설계 기술 공통 3-6


탄약성능 최적화를 위해 탄도조정장치 구조를 설계하고 비행자세안정화 구조를 설계하는 기술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반영과제) -

13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핵심기술 국방전략기술

[공격장비(투하식 탄두)] 200g 급 SAL탐색기 기반 초소형 유도키트 설계 기술 3-6


드론 투하 폭탄용 초소형 SAL 탐색기 개발 및 초소형 구동기 및 제어기 설계 기술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반영과제) -

[공격장비(투하식 탄두)] MEMS 형 IMU기반 전달정렬 및 항법유도 기술


드론 투하탄의 탄도와 내장된 IMU를 이용하여 비행 유도를 수행하는 MEMS형 항법유도장치를 설계하는 3-6
기술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반영과제) -

[지원장비(화생방 탐지장비)] 드론 탑재용 화학작용제 탐지 초소형 센서 기술 7-11


드론에 탑재 가능한 경량/초소형의 대기에 존재해는 인체 유해 화학작용재를 탐지하기 위한 실시간 화생방
초경량 고효율 센서 개발 기술 탐지/식별/경보
(반영과제) - 기술

[지원장비(지뢰 탐지장비)] 지뢰탐지를 위한 드론 탑재용 GPR 안테나 설계 기술


GPR(Ground Penetrating Radar)을 통햐 RF전파를 발산하여 지하에 매설된 각종 물체들을 파형으로 5-5
탐지하는 방식으로 이를 위한 드론에 탑재 가능하게 소형, 경량화 설계되면서도 성능저하가 최소화된 안테나 지상무인 위험물
설계 기술 탐지 및 제거 기술
(반영과제) -

[지원장비(지뢰 탐지장비)] 지뢰탐지를 위한 드론 탑재용 GPR파형 설계 기술


5-5
드론의 비행 높이에서 비행 시 지표투과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탐지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 지상무인 위험물
(반영과제) - 탐지 및 제거 기술

[비행 및 임무통제장치] 임무계획 자동화 기술 공통 5-13


임무를 위한 비행 및 촬영계획 작성 및 운용시 운용자의 최소 조작을 위한 자동화 기술 무인기 협업/자율
(반영과제) 215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응용, 25-28) 비행제어 시스템

[비행 및 임무통제장치] 통제장비 공통 표준 프로토콜 설계 기술 공통


장치 및 구성품의 내/외부 인터페이스를 결정하고, 각 구성품간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을
확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기술 2-26
국방 IoT/IoE
017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미래도전, 15-24) 네트워크 기술
(반영과제) 419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
(응용, 19-23)

[지휘통제 시스템] 공통 플랫폼 표준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공통


드론 지상통제시스템에 탑재하여 상위 C4I 망과의 연동을 보장하는 무인체계의 상호운용성이
반영된 표준 메시지처리 기술 2-26
국방 IoT/IoE
017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미래도전, 15-24) 네트워크 기술
(반영과제) 419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
(응용, 19-23)

[항공 데이터링크] 가변적 환경에 강인한 드론 공간 주파수 보장 기술 공통 2-11


가변적 환경(드론 및 통신 결함)에 강인한 드론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 자가방어 고속 통신
(반영과제) - 기술

134
국방 드론

다. 150kg급 공통 플랫폼 II 드론 (회전익 - 멀티콥터)

 현재 소요를 분석하여 도출된 공통 플랫폼 중 하나인 150kg급 공통 플랫폼 드론은 향후


소요 등의 변경이 없다는 가정 및 지속적으로 동일 공통 플랫폼을 전력화 한다는 가정 시
연구개발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여 공통 플랫폼 Ⅱ 드론으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음

 150kg급 공통 플랫폼 II 드론의 예상되는 성능을 참여전문가 등을 통해 분석 하였으며


공통 플랫폼에 탑재될 임무장비모듈은 150kg급 공통 플랫폼 I 드론의 임무장비를 제3장

기준으로 함 국

 참여 전문가를 통해 폭탄 투하식 모듈에 대한 추가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투하식 탄두 드

임무장비를 추가하여 분석함

* 예상되는 성능은 현시점의 분석결과이며 향후 추가소요, 기술의 발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가



150kg급 공통 플랫폼 드론 II < 회전익 - 멀티콥터 > 안
탑재중량
운용온도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최대속도 최대이륙중량 최대풍속 (추가배터리,
(℃)/
(km) (hr) (km) (km/h) (kg) (m/s) 임무장비모듈)(
방수방진
kg)
-20℃ ~
15
20 2 2 70 150 40 +43℃/
*풍동시험기준
IP33 이상
임무장비
항공방제모듈, 수송모듈, 투하식 탄두 모듈
모듈

* 작전반경, 최대체공시간, 운용고도, 이착륙최대풍속은 임무장비모듈 및 추가배터리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의 성능임

 150kg급 공통 플랫폼 Ⅱ 드론은 WBS분석, 전문가 토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핵심기술을


도출함
* 해당 기술 개발 시 10kg급, 150kg급 공통 플랫폼 드론 Ⅱ에 공통으로 적용 될 수 있을 경우 ‘공통’으로 표시함

13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소요 핵심기술 목록

핵심기술 및 핵심기술과제(예상) 국방전략기술

[FCS] 고속연산 FCS용 SW플랫폼 개발 기술 공통 5-13


자동 경로점 비행 및 자율임무비행수행제어하기 위한 FCS에 필요한 SW기술을 개발하는 기술 무인기 협업/자율
비행제어 시스템
(반영과제) -

[구동장치] 150kg급 드론용 DC 모터 설계 및 모터 제어 기술


150kg급 드론에 탑재 가능한 소형/경량의 고성능/고효율의 DC 모터 설계 기술 4-16
고효율 동력전달 기술
(반영과제) -

[임무컴퓨터] 딥러닝 기반의 드론 환경인식 기술 공통


영상인식을 통해 식별된 목표물을 기반으로 최적 전투지원임무 달성을 위한 AI 기반 적용한 1-17
비행체 주변 환경인식 기술 인공지능 기반
자율인식 지능형 센서
162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사물인식 및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핵심SW, 기술
(반영과제)
21-25)

[공격장비(투하식 탄두)] 드론용 투하 탄약 운용을 위한 구조설계 기술 공통 3-6


투하형 드론 탄약을 위한 요구조건을 분석하거 구조를 설계하며, 둔감탄두 구조를 설계하는 기술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반영과제) -

[공격장비(투하식 탄두)] 투하형 탄약성능 최적화를 위한 구조설계 기술 공통 3-6


탄약성능 최적화를 위해 탄도조정장치 구조를 설계하고 비행자세안정화 구조를 설계하는 기술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반영과제) -

[공격장비(투하식 탄두)] 1kg급 저가형 정밀유도 키트 설계 기술


약 수십 초 동안 비행하는 드론 투하탄의 Bias/drift가 낮은 저가 군용 GPS/IMU 정보를 3-6
융합한 1kg급 유도키트를 개발하는 기술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반영과제) -

[공격장비(투하식 탄두)] 초소형 GPS/INS SAL 융합탐색기 개발


드론 투하탄의 탄착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200g 이내의 GPS/INS, SAL 유도가 가능한 3-6
Dual model 탐색기 개발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반영과제) -

[비행 및 임무통제장치] 원격운용 및 운용자 인터페이스 최적화 설계 기술


드론을 원격으로 운용하기 위해 통제장치의 인터페이스를 운용자 친화적으로 최적화하여 2-9
설계하는 기술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통신 단말 기술
(반영과제) -

[비행 및 임무통제장치] SOA 기반 통제장비 핵심 서비스 설계 기술 5-13


SOA 기반의 서비스 및 프로토콜 설계를 통제장비에 적용하여 구현하는 기술 무인기 협업/자율
비행제어 시스템
(반영과제) -

136
국방 드론

핵심기술 및 핵심기술과제(예상) 국방전략기술

[비행 및 임무통제장치] 통제장비 공통 표준 프로토콜 설계 기술 공통


장치 및 구성품의 내/외부 인터페이스를 결정하고, 각 구성품 간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을
확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기술 2-26
국방 IoT/IoE
017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미래도전, 15-24) 네트워크 기술
(반영과제) 419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
(응용, 19-23)
제3장
[비행 및 임무통제장치] 드론 자동 이착륙 기술
5-13
드론 착륙 시 드론을 정밀하게 유도 제어하는 기술
무인기 협업/자율 국
비행제어 시스템 방
(반영과제) -

[지휘통제 시스템] 공통 플랫폼 표준 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공통

드론 지상통제시스템에 탑재하여 상위 C4I 망과의 연동을 보장하는 무인체계의 상호운용성이 반영된 표준 추
메시지처리 기술 2-26 가
국방 IoT/IoE 발
017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미래도전, 15-24) 네트워크 기술 전
(반영과제) 419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 방
(응용, 19-23) 안

[항공 데이터링크] 가변적 환경에 강인한 드론 공간 주파수 보장 기술 공통


2-11
가변적 환경(드론 및 통신 결함)에 강인한 드론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
자가방어 고속 통신
기술
(반영과제) -

137
제4장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제1절 개 요
제2절 기술수준에 따른 드론 기술 분석
제3절 기술로드맵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제1절 개요

 2장에서 국내・외 드론 분석결과 국내 드론의 기술적 제한요소가 다수 식별됨

 3장에서는 현 전군 드론소요 분석 등을 통해 현 전군드론소요의 개선점을 확인 하였으며


미래 드론소요를 제시함
- 현 소요는 모두 개별 플랫폼을 기반으로 계획되어 있어 유지보수 측면에서 적절하지
않으며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들은 공통 플랫폼을 바탕으로 점차 다목적화 하고 있는
실정임 이에 따라 현 소요를 분석하여 다목적 공통 플랫폼을 도출함
- 현 소요는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획득을 계획하고 있으나, 일부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확인하여 신규 소요를 분석/제시함

 앞서 분석한 국방 드론 현 소요의 첨단화와 개선방안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보유한


기술수준의 현실을 분석이 필수적이며, 본 4장에서는 국방 드론 기술에 대한 기술수준
분석을 통해 기술개발이 필요한 분야를 분석 및 해당 분야에 대한 드론 기술을 도출하여
국방 드론 로드맵을 분석함
- 2, 3장의 내용 및 전문가 의견을 통해 세계 최고수준 대비 현재 국내 국방 드론 수준 분석을
통해 드론별 pWBS 중 국내 연구 개발이 필요한 부분을 식별함
- 식별된 국내 연구 개발이 필요한 부분으로 부터 드론 기술을 도출하고 현재 연구개발
동향 분석 등을 통해 해당 드론 기술 관련 연구개발 동향 등을 통해 민간분야/국방분야
중 어떤 분야에서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한지에 대해 분석함
- 연구개발 동향 등의 분석을 기반으로 해당 드론 기술이 개발이 필요한 시기를 분석하여
회전익, 고정익, 생체모방 국방 드론 로드맵을 분석함

140
국방 드론

제2절 기술수준에 따른 드론 기술 분석

01 pWBS 분석

제4장
가. 분석 방법


 드론의 공통적인 구성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pWBS를 구성하여 분석 수행하며 드론은

임무장비의 특성에 따라 공격용, 정찰용, 지원용 등의 용도가 변경되며 기술적으로 론

형태에 따라 차이가 크기 때문에 형태에 따라 생체모방, 회전익, 고정익으로 분석을 술
수행함 로


 현재 사용하는 WBS는 현재 미국 DoD(Department of Defense)에서 무기체계 개발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정의한 최신 규격인 MIL-STD-881E이 있으며,
드론의 공통적인 구성 요소 분석을 위해 이를 수정 적용함
* WBS는 실질적인 개발수행을 위한 것으로 시험평가, 시스템 엔지니어링, 개발관리 등도 하나의 항목으로
설정하고 있으나, 본 분석은 전반적인 드론 구조를 분석하여 기술드론 도출을 위한 분석이기 때문에 시험 및
관리 등의 분야는 제외 함

 MIL-STD-881E에는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요 표준체계별 기본 WBS를 부록으로


수록하고 있으며 이중 드론에 적합한 드론을 포함 가능한 APPENDIX A : AIRCRAFT
SYSTEM을 수정/보완하여 생체모방, 고정익 및 회전익 드론에 대한 pWBS를 구성함

14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부록 순번 표준체계

APPENDIX A AIRCRAFT SYSTEMS

APPENDIX B ELECTRONICS/AVIONICS/GENERIC SYSTEMS

APPENDIX C MISSILE/ORDNANCE SYSTEMS

APPENDIX D STRATEGIC MISSILE SYSTEMS

APPENDIX E SEA SYSTEMS

APPENDIX F SPACE SYSTEMS

APPENDIX G GROUND VEHICLE SYSTEMS

APPENDIX H UNMANNED MARITIME SYSTEMS

APPENDIX I LAUNCH VEHICLE SYSTEMS

APPENDIX J INFORMATION SYSTEMS/DEFENSE BUSINESS SYSTEMS

APPENDIX K COMMON ELEMENTS

APPENDIX L RELATIONSHIP BETWEEN SUSTAINMENT COST REPORTING AND THE WBS

APPENDIX M GOVERNMENT SYSTEM TEST AND EVALUATION

나. 드론 pWBS

 공격용, 정찰용, 지원용으로 활용 가능한 회전익 드론의 pWBS는 Level 4까지 분석 결과


31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음
- 동력장지는 드론의 크기에 따라 작은 경우 전지를 탑재가능하고 점차 크기가 커질수록
연료전지 및 엔진을 탑재 가능하며 전지와 엔진, 전지와 연료전지를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 가능할 것으로 분석됨
- 임무장비의 경우 드론의 용도에 따라 폭탄등의 공격용 임무장비나 EO/IR과 같은
정찰용 임무장비, 지뢰탐지기 같은 지원용 임무장비를 사용 가능할 것으로 분석됨

142
국방 드론

회전익 국방 드론 공통 pWBS
순번 Level 1 Level 2 Level 3 Level 4
1 회전익 드론체계
2 비행체
3 기체
4 동체
5 날개*
6 후익**
7 동력장치***
8 하이브리드 제4장
9 연료전지
10 엔진 국
11 전지

12 비행체 시스템


13 FCS

14 전력 시스템 술
15 구동장치 로
16 항공전자 시스템 드

17 항법 시스템
18 임무 컴퓨터
19 임무장비****
20 정찰장비
21 공격장비
22 지원장비
23 지상장비
24 GCS
25 비행/임무통제장치
26 영상분석장치
27 이동형 스테이션
28 지휘통제 시스템
29 데이터링크
30 항공 데이터링크
31 지상 데이터링크
* 복합형만 해당 ** 멀티콥터형의 경우 제외 *** 하위단계 다중선택 가능 **** 하위단계 중 1개 선택

 공격용, 정찰용, 지원용으로 활용 가능한 고정익 드론의 pWBS는 Level 4까지 분석 결과


31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음
- 동력장지는 드론의 크기에 따라 작은 경우 전지를 탑재가능하고 점차 크기가 커질수록
연료전지 및 엔진을 탑재 가능하며 전지와 엔진, 전지와 연료전지를 결합하여 시너지

14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효과를 내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 가능할 것으로 분석됨


- 임무장비의 경우 드론의 용도에 따라 폭탄 등의 공격용 임무장비나 EO/IR과 같은 정찰용
임무장비, 지뢰탐지기 같은 지원용 임무장비를 사용 가능할 것으로 분석됨

고정익 국방 드론 공통 pWBS
순번 Level 1 Level 2 Level 3 Level 4
1 고정익 드론체계
2 비행체
3 기체
4 동체
5 날개
6 후익
7 동력장치*
8 하이브리드
9 연료전지
10 엔진
11 전지
12 비행체 시스템
13 FCS
14 전력 시스템
15 구동장치
16 착륙장치
17 항공전자 시스템
18 항법 시스템
19 임무 컴퓨터
20 임무장비**
21 정찰장비
22 공격장비
23 지원장비
24 지상장비
25 GCS
26 비행/임무통제장치
27 영상분석장치
28 지휘통제 시스템
29 데이터링크
30 항공 데이터링크
31 지상 데이터링크
* 하위단계 다중선택 가능 ** 하위단계 중 1개 선택

144
국방 드론

 공격용, 정찰용으로 활용 가능한 생체모방 드론의 pWBS는 Level 4까지 분석 결과 18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익, 고정익에 체계 구성이 단순하고 작은 특징에 따른 것으로
분석됨
- 생체모방 드론의 경우 드론의 크기 및 무게가 매우 작기 때문에 현재 동력장치는 전지
외에 고려가 제한됨
- 임무장비의 경우 드론의 용도에 따라 폭탄 등의 공격용 임무장비나 EO/IR과 같은 정찰용
임무장비를 사용 가능할 것으로 분석됨

제4장
생체모방 드론 공통 pWBS

순번 Level 1 Level 2 Level 3 Level 4 방
1 생체모방 드론체계 드
2 비행체 론
3 기체 기

4 동체 로
5 날개 드

6 동력장치(전지)
7 비행체 시스템
8 FCS
9 전력 시스템
10 구동장치
11 항공전자 시스템
12 임무장비*
13 독립장치 배터리
14 정찰장비
15 공격장비
16 지상장비
17 GCS
18 지휘통제 시스템
* 하위단계 다중선택 가능

14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02 드론별 기술수준 분석

가. 회전익 드론

 드론에 필요한 기술 분석 및 전문가 토론을 통해 회전익 국방 드론의 국내 기술수준을 분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음

회전익 국방 드론 공통 pWBS별 드론 기술 수준
순번 LV pWBS 세계 최고 기술수준 대비 현 국내 기술수준
1 1 회전익 드론체계 67.2%, 기술격차 3.7년
2 2 비행체 67.7%, 기술격차 3.5년
3 3 기체 73.3%, 기술격차 3.0년
4 4 동체 60.0%, 기술격차 4.0년
5 4 날개 -
6 4 후익 -
7 3 동력장치 69.3%, 기술격차 3.8년
8 4 하이브리드 67.0%, 기술격차 4.0년
9 4 연료전지 73.0%, 기술격차 4.0년
10 4 엔진 70.0%, 기술격차 4.0년
11 4 전지 67.0%, 기술격차 3.1년
12 3 비행체 시스템 68.4%, 기술격차 3.4년
13 4 FCS 70.0%, 기술격차 3.0년
14 4 전력 시스템 -
15 4 구동장치 66.7%, 기술격차 3.8년
16 3 항공전자 시스템 67.6%, 기술격차 3.4년
17 4 항법 시스템 66.7%, 기술격차 4.0년
18 4 임무 컴퓨터 68.5%, 기술격차 2.7년
19 2 임무장비 63.0%, 기술격차 3.5년
20 3 정찰장비 61.0%, 기술격차 4.0년
21 3 공격장비 70.0%, 기술격차 2.5년
22 3 지원장비 58.0%, 기술격차 4년
23 2 지상장비 65.9%, 기술격차 2.7년
24 3 GCS 56.7%, 기술격차 2.6년
25 4 비행/임무통제장치 66.9%, 기술격차 3.0년
26 4 영상분석장치 73.3%, 기술격차 2.7년

146
국방 드론

회전익 국방 드론 공통 pWBS별 드론 기술 수준
순번 LV pWBS 세계 최고 기술수준 대비 현 국내 기술수준
27 4 이동형 스테이션 30.0%, 기술격차 2.0년
28 3 지휘통제 시스템 75.0%, 기술격차 2.8년
29 2 데이터링크 72.0%, 기술격차 3.1년
30 3 항공 데이터링크 76.0%, 기술격차 2.3년
31 3 지상 데이터링크 60.0%, 기술격차 5.0년

제4장
나. 고정익 드론


 드론에 필요한 기술 분석 및 전문가 토론을 통해 고정익 국방 드론의 국내 기술수준을 분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음 론



고정익 국방 드론 공통 pWBS별 기술 드
순번 LV pWBS 세계 최고 기술수준 대비 현 국내 기술수준 맵
1 1 고정익 드론체계 71.1%, 기술격차 3.1년
2 2 비행체 67.5%, 기술격차 3.4년
3 3 기체 80.0%, 기술격차 2.5년
4 4 동체 -
5 4 날개 -
6 4 후익 -
7 3 동력장치 64.5%, 기술격차 3.7년
8 4 하이브리드 -
9 4 연료전지 60.0%, 기술격차 4.0년
10 4 엔진 67.0%, 기술격차 4.0년
11 4 전지 67.0%, 기술격차 3.1년
12 3 비행체 시스템 65.0%, 기술격차 3.7년
13 4 FCS 70.0%, 기술격차 3.0년
14 4 전력 시스템 -
15 4 구동장치 60.0%, 기술격차 4.3년
16 4 착륙장치 -
17 3 항공전자 시스템 67.8%, 기술격차 3.3년
18 4 항법 시스템 67.0%, 기술격차 3.9년
19 4 임무 컴퓨터 68.5%, 기술격차 2.7년
20 2 임무장비 72.5%, 기술격차 3.0년
21 3 정찰장비 61.0%, 기술격차 4.0년
22 3 공격장비 73.0%, 기술격차 2.3년

14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고정익 국방 드론 공통 pWBS별 기술
순번 LV pWBS 세계 최고 기술수준 대비 현 국내 기술수준
23 3 지원장비 76.0%, 기술격차 3.5년
24 2 지상장비 72.6%, 기술격차 2.9년
25 3 GCS 70.1%, 기술격차 2.9년
26 4 비행/임무통제장치 66.9%, 기술격차 3.0년
27 4 영상분석장치 73.3%, 기술격차 2.7년
28 3 지휘통제 시스템 75.0%, 기술격차 2.8년
29 2 데이터링크 71.7%, 기술격차 3.1년
30 3 항공 데이터링크 75.0%, 기술격차 2.4년
31 3 지상 데이터링크 60.0%, 기술격차 5.0년

다. 생체모방 드론

 드론에 필요한 기술 분석 및 전문가 토론을 통해 생체모방 국방 드론의 국내 기술수준을


분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음

생체모방 국방 드론 공통 pWBS별 드론 기술 수준
순번 LV pWBS 세계 최고 기술수준 대비 현 국내 기술수준
1 1 생체모방 드론체계 71.3%, 기술격차 2.7년
2 2 비행체 67.7%, 기술격차 2.5년
3 3 기체 56.5%, 기술격차 2.9년
4 4 동체 45.0%, 기술격차 3.5년
5 4 날개 68.0%, 기술격차 2.2년
6 3 동력장치(전지) 70.0%, 기술격차 2.0년
7 3 비행체 시스템 76.3%, 기술격차 2.0년
8 4 FCS 73.0%, 기술격차 4.0년
9 4 전력 시스템 -
10 4 구동장치 66.0%, 기술격차 3.8년
11 3 항공전자 시스템 68.0%, 기술격차 2.7년
12 2 임무장비 76.7%, 기술격차 2.7년
13 3 독립장치 배터리 90.0%, 기술격차 2.0년
14 3 정찰장비 60.0%, 기술격차 4.0년
15 3 공격장비 80.0%, 기술격차 2.0년
16 2 지상장비 69.6%, 기술격차 3.0년
17 3 GCS 69.6%, 기술격차 3.0년
18 3 지휘통제 시스템 -

148
국방 드론

03 드론 기술 분석

가. 분석 방법

 앞서 분석된 드론 기술수준 분석을 바탕으로 생체모방, 회전익, 고정익 드론 기술 분석을


수행함
- 기술 분석은 기술격차 및 2장에서 조사・분석 한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을 개발을 위해
국내 드론 기술역량을 발전시켜야 하는 기술들을 확인 분석 후 분야별 외부 전문가를 제4장

통해 의견을 제시받아 연구팀에서 보완/분석을 수행함 국


- 또한, 지속적인 내・외부 기관의견 및 전문가 의견을 분석하여 실제 국내 국방 드론 방

개발역량을 확충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식별・분석함 론


나. 회전익 드론 로


 회전익 드론 기술의 국내 기술과 해외기술간 차이는 67.2%, 3.7년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며,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 “드론 탑재용 화생방 탐지 초소형 센서 기술” 등 총 67개 기술을
도출함

 도출된 기술들의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 [비행체] 다기능 구조물 제조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 60%,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나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 및 미래에도 기술수준 유지를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다기능 구조물 제조 기술”은 Electronic Part(Actuator / Antenna / Sensor)
일체형 구조물 및 전력원(Solar Panel / Battery) 일체형 구조물 및 대변형 대응
복합재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EU 주도의 ACASIAS 프로젝트를 통해 구조물과 안테나


및 센서를 통합하는 프로젝트 진행중, Netherlands
복합재 구조물과 C-band 안테나 통합 프로젝트 진행중
Aerospace Centre(네덜란드)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사업),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 1.2 x 3 m 복합재 패널 내부에 4 x 6 어레이의 Ku 대역 안테나를
한국과학기술원-단암시스템즈
통합된 동체 시연, Netherlands Aerospace Centre
(네덜란드)

14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국방전략기술 : 4-20 항공기용 스마트 기체구조 설계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기체]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 90%,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나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 및 미래에도 기술수준 유지를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은 마이크로캡슐 및 미세관
네트워크(Vascular network)의 재료 내 적용을 이용한 자가치유 구조를 개발하고,
재료의 가역 분자 결합(Reversible molecular bond) 방식을 이용하여 자체
복원력을 가진 모르타르(Mortar) 적용 블록형 자가복원 구조를 분석 하며, 자가복원
폴리머・세라믹・금속 등이 적용된 복합재료를 이용한 구조적용 기술 및 자가 손상탐지
및 자가치유 구조가 적용된 드론 구조에 대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우주선 구조물에 산소에 반응하는 자가 치유 물질을 넣는 기술


개발, NASA(미국) 세계최고 수준의 강도를 지닌 특수 카보네이트 기반의 자가치유
2. NASA기술을 기반으로 구멍이 뚫렸을 때 손톱으로 문지르면 신소재 개발, 한국화학연구원-부경대
다시 복구되는 ‘힐로 테크(Hilo Tech)’라는 치유 섬유 개발, * 인장강도 : 43MP(신발 밑창괴 유사)
Coalatree(미국)

∙ 국방전략기술 : 4-20 항공기용 스마트 기체구조 설계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기체]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 70%,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특히 복합재료 프린팅 기술을 드론에 적용한 사례가 없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은 기존의 복합재료 3D프린팅 기술을
드론의 구조제작에 활용하여 드론에 적합한 소재 및 구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임

150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나일론 및 다양한 소재(탄소, 케블라, 유리 등)을 적용하여


강도, 열저항성, 화학저항성 등을 높인 소재 기반의 드론 부품
1. 금속 3D 프린팅 기술 및 고강도 알루미늄 메탈 3D 프린팅 기술
제작 가능한 듀얼노즐 및 CFF(연속 필라맨트피딩) 3D 프린팅
개발, 메탈3D
시스템 Onyx 출시, Makeforged(미국)
2. 복합재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여 비행체 구조물, 내부
2. GE항공이 금속제품을 제작 가능한 3D 프린터를 개발하여
구조부재공간 등의 복잡한 형상을 일체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제트엔진용 노즐, 터빈 블레이드 등 항공기 엔진부품을 제작,
기술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진행중(무인이동체 원천기술
General Electric(미국)
개발사업), 한국과학기술원
3. Skydio X2 기체제작시 복합재 3D printing 기술을 적용하여
17개의 부품을 단일 부품으로 대체, Arris(미국)
제4장

∙ 국방전략기술 : 6-7 병사/무기체계 맞춤형 4D 프린팅 기술 국



∙ 관련국방연구목록 드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기

3D 프린팅 기반 초경량/고강도/복잡형상 로
응용 ’25~’28 국과연 43.0억원 DTIMS
섬유강화복합소재 제조 기술 드
응용 군운용지역 기반 내구시험 단축화 기술 ’22~’25 국과연 20.0억원 DTIMS 맵

- [비행체 - 기체] 비행 중 기체 형상변형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 60%,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며
특히 복합재료 프린팅 기술을 드론에 적용한 사례가 없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비행 중 기체 형상변형기술”은 다양한 요구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회전익
블레이드 형상 변형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블레이드 내부에 소형 액츄에이터가 장착된 TE Flap을


구동하여 소음/진동을 저감하는 연구 수행(SMART),
NASA(미국)/Boeing(미국)/ Netherlands Aerospace
Centre(네덜란드)
2. 블레이드 내부 구조물을 변형을 바탕으로 날개의 비틀림각 고주파 영역에서 진동 감쇠를 위한 압전 작동 뒷전 플랩이 장착된
변형을 통해 공력특성을 개선하는 연구수행 (STAR), 축소형 로터 블레이드 설계, 서울대학교
NASA(미국)/Boeing(미국)/ Netherlands Aerospace
Centre(네덜란드)
* 상용 헬리콥터 대상으로 개발하였으나 축소형 모델로
풍동시험이 수행되어 무인기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15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국방전략기술 : 4-15 저소음/저진동 로터 최적화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3D 프린팅 기반 초경량/고강도/복잡형상
응용 ’25~’28 국과연 43.0억원 DTIMS
섬유강화복합소재 제조 기술
응용 군운용지역 기반 내구시험 단축화 기술 ’22~’25 국과연 20.0억원 DTIMS

- [비행체 - 기체 - 하이브리드 장치] 드론용 하이브리드 동력원시스템 설계 및 개발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7%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하이브리드 동력원시스템 설계 및 개발”은 드론 출력과 운용시간
증대를 통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이차전지+엔진+신재생에너지 등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동력원을 개발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기존 Fazer-R 엔진을 활용한 엔진-발전기 일체형 Aerial Hybrid 8kW 급 엔진과 리튬배터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동력원 설계 및
Unit 파워팩 발표(17kW/76.6kg), Yamaha Motors(일본) 비행시험 수행,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국방전략기술 : 4-24 고성능/고효율 고체추진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기체 - 연료전지]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3%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은 및 장시간 운용을 위한
드론 연료전지 시스템 성능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스택모듈기준 출력 밀도500W/kg, Intelligent Energy(영국) 스택모듈기준 출력 밀도440W/kg,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152
국방 드론

- [비행체 - 기체 - 연료전지] 연료전지 동력원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통합설계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3%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연료전지 동력원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통합설계 기술”은 연료전지를 드론
적용에 적용하기 위한 통합설계, 최적설계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2015년 연료전지를 탑재한 Quadcopter 기체로 2시간 비행 1. 수소연료전지 기반 멀티콥터(DS30/DT30) 및 회전익기(DZ15)


수행, Powerplug(미국) 설계 및 제조,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제4장
2. 2020년 Hexacopter 형 기체로 5.5시간(331분) 비행성공, 2. 30kW 급 연료전지 활용 회전익 기술개발 수행, 현대모비스-
Xinyan Chuangneng Technology(중국)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술


- [비행체 - 기체 - 엔진]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터빈엔진 개발 맵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터빈엔진 개발”은 3D 프린팅 기술 활용 고효율
경량 동력원을 개발하고, 드론 동력원 시스템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경량 소재 및
내열소재 등 첨단 소재 적용 고효율 스마트 엔진 개발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차세대 터보프롭엔진 Catalyst (구, ATP) 개발 시 적층가공법


적용을 통해 엔진의 부품수를 800개에서 12개로 감소를 통한
금속 3D 프린팅을 적용한 초소형 가스터빈 엔진 제작 및 성능시험
중량 5% 감소, General Electric(미국)
수행, 한국항공우주연구소
2. 금속 3D printing을 적용하여 기존 UAV 용 엔진실린더를 대체
(경량화 및 열전달 성능 개선), Cobra Aero(미국)

∙ 국방전략기술 : 6-7 병사/무기체계 맞춤형 4D 프린팅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기체 - 엔진]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15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명세 :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은 loT 기술을 기반으로 센서


소형화/고성능화 기반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엔진탑재형 상태 감시장치 무선 독립
데이터 저장장치로 구성되는 실시간 엔진 상태감시 및 진단 시스템 개발하고
주기정비에 따른 추진시스템 운용성 저하 및 과도 예방정비를 방지할 수 있는 유지비용
절감 기술을 개발하며 소형 강건한 에너지 하베스트 무선 센서장치를 개발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비행체 전 운용 중의 엔진의 상태 모니터링 및 추진시스템 제어 금속 3D 프린팅을 적용한 초소형 가스터빈 엔진 제작 및 성능시험


최적화를 위한 FADEPC 개발, General Electric(미국) 수행, 한국항공우주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4-20 항공기용 스마트 기체구조 설계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기체 - 전지]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은 높은 황
활용률(>60%) 및 높은 황 전극로딩랑(>5 mg/cm2)을 가지는 고에너지 밀도 양극,
상용카본(그라파이트, 케첸블랙, 슈퍼-피 등)을 이용한 고성능 전극 개발,
리튬폴리설파이드의 전해액 용해와 셔틀링을 조절하는 셸구조 및 소재기술 젤폴리머
전해질, 리튬-황전지 드론 탑재를 위한 전극 대면적화, 적층기술, 전해액 최적화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양극재로 황-탄소 복합체를 사용한 리튬-황전지 개발에


’20년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새로운 황 음극물질 개발,
집중하고 있으며, ’20. 9월 국내 최초로 리튬-황전지를 탑재한
Brookhaven National Labatory(미국)
무인기를 고도 22km 성층권에 올림, LG화학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황화물계 전고체 기반 무음극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
미래도전 ’19~’24 산학연 75.0억원 DTIMS
시스템

154
국방 드론

- [비행체 - 기체 - 전지]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팩


시스템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팩 시스템”은 드론
적용을 위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확보되고 리튬이온전도도가 우수한 전해질 기술
및 전고체 전해질과 전극간의 밀착 계면을 형성/유지하고 전기화학적 부반응을
억제하는 기술 개발을 통해 고안정성 셀 및 팩을 개발하는 기술임
제4장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국
1. ’20년 덴드라이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방
국제 학술지 ‘Nature’에 발표, 삼성전자 드
’25년 에너지 밀도는 185Wh/kg 내외의 차량 탑재형 전고체 전지 론
2. 20년 500번의 충/방전과 100번의 굽힘 테스트를 시행한
개발 예정, Toyota(일본)
후에도 90%의 용량을 유지 가능한 전고체 전지 개발, 기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술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기체 - 전지]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리튬이차전지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10.0%로 매우 낮고, 기술격차는
5년으로 크므로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 및 실제 군의 드론 운용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술 개발이 필요
∙ 명세 :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리튬이차전지 기술”은 수계(water base)의
전해질과 고농도염을 적용한 리튬기반 이차전지 기술 및 기존 유기계에 비해 저온
성능이 향상되며 -20°C 이하에서 충전이 가능한 전지를 개발하는 기술임
* 수계 전해질을 사용하므로 폭발 및 발화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고안전성 전지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308Wh/kg수준의 수계 전지기술을 개발, U.S. Army ‘21년 6월부터 개발 착수(개발목표 300Wh/kg), 국방과학
Research Lab. (미국) 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15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선행핵심 난연, 고안전성 함수 전해질 및 전지 기술 ’21~’24 국과연 24.5억원 구두확인

- [비행체 - 기체 - 전지]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5.0% 이며, 기술격차는 0.5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은 유도무기용 전원으로 사용되는
군용 열전지 기술을 기반으로 드론 탑재를 위해 비에너지밀도를 향상시킨 열전지
기술임
* 열전지는 -32℃까지 성능의 감소없이 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전지기술임
* 자폭용 드론에 적합한 전지 기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현재 열전지 관련 과제를 수행하여 개발 진행 중이며, 22년 이후


현재 130 Wh/kg 수준의 비에너지 기술 확보, ASB(프랑스)
드론탑재 시연 계획 중, 국방과학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용융리튬 함침형 금속 다공체 기반 리튬전극(LiMFA) 기술
미래도전 ’21~’24 국과연 53.1억원 구두확인
개발

- [비행체 - 기체 - 전지] 드론 고속 충전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0% 이며,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드론의 임무지속성에 중요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고속 충전 기술”은 1~2시간 충전에, 30분 내외를 비행하는 드론의 배터리
기술을 보완하기 위해 연속 임무 수행이 가능한 수준의 급속 충전 기술임

156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반도체 접합 구조 계면을 형성해 급속 충・방전 조건하에서도


5분 만에 100% 충전 완료, 플래시배터리 기술로 느린 방전 및
고용량, 장수명이 가능한 신개념 리튬이차전지 음극 소재를 개발,
빠른 충전을 가능하게 함, Store Dot(이스라엘)
한국과학기술원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제4장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FCS]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 이며, 기술격차는 3년으로 방
분석되며 드론의 임무지속성에 중요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드

개발 필요 기
∙ 명세 :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은 항법센서 등의 센서 정보로부터 드론의 술

자세, 위치 제어 및 경로 유지 비행, 상황에 따른 비행 제어를 위한 장치의 HW 및 드

SW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전통적인 기업이 고신뢰성 제품을 생산 하나, 소형 제품에는 대부분 오픈소스 활용 중이며 직접 개발 하는 기업은 극소수,
오픈소스를 활용, GURTISS-WRIGHT(미국) 연구소 등에서는 개발함, 네스앤텍/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FCS]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 이며,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드론의 임무지속성에 중요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은 FCS에서 드론에 적합한
IMU의 최적 신호처리((자세센서) IMU 센서 처리 기술, (자세계산) AHRS 알고리즘)
방법을 개발하는 기술임

15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센서 처리 기술을 기반 기술로서 개발 중이나 소형 무인기를


전통적인 기업이 비행에 적합한 센서 생산중이나, 초소형센서와
대상으로 보면 대부분 외산 센서 혹은 오픈소스를 활용 중이며
오픈소스 등장, Crossbow(미국)
직접 개발 하는 것은 극소수임, 네스앤텍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FCS]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 이며,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드론의 임무지속성에 중요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은 FCS에서 드론에
적합한 GNSS의 최적 신호처리((위치센서) GNSS 센서 처리 기술, (자세-위치 통합)
INS 통합 기술) 방법을 개발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신생 기업의 센서제품이 출시되어 활용 중이며, 최근 소형화되어 대부분 외산 센서 혹은 오픈소스 활용 중이며 직접 개발 하는 것은


성장 지속 중, VectorNav(미국) 극소수임, 네스앤텍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추력시스템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0%이며, 기술격차는 5년으로
분석되며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추력시스템 기술”은 수직이착륙
분산전기추진시스템 관련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축소기술시연기(SVD, Subscale
Vehicle Demonstrator)로 기술을 검증하고 단일 추력시스템을 여러 형태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무인기에 적용 가능하도록 모듈화 하여 비행체 크기에 상관없는
추력시스템 개발하며, 인구 밀집 도심 운용 활성화를 위한 친환경 저소음
분산추력시스템 개발, 전기모터에 최적화된 고효율 추력시스템 개발 및 구동 모터
고장에도 비행안전성 확보를 위한 분산추력시스템의 추력 안정화 기술임

158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다수의 전기동력 프로펠러를 이용한 Wilngless형 비행체


틸트로터 및 Lift 프로펠러 기반 비행체 개발에 따른 유인 드론
개발, Volocopter(독일)
분야에 적용, 현대자동차/한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외 각 대학
2. 틸트로터 및 Lift 형 프로펠러를 조합한 분산추진시스템 개발,
및 기업
Joby Aviation(미국)

∙ 국방전략기술 : 4-16 고효율 동력전달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제4장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 국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0% 이며, 기술격차는 4년으로 드
분석되며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론

∙ 명세 :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은 플랫폼에 따른 저소음 동력장치를 개발하는 기술임 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드

1. 다수의 전기동력 프로펠러를 이용한 Wilngless형 비행체
개발, Volocopter(독일) 1. 로터 블레이드 끝단에서 발생 와류크기를 변경하도록
2. 틸트로터 및 Lift 형 프로펠러를 조합한 분산추진시스템 개발, 블레이드 끝단 형상을 최적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LG전자
Joby Aviation(미국) * 자체 개발 모터 몇몇 진행 중이나 활용 가능한 제품은 극히
3. 소형 무인기를 대상으로 하는 전동모터와 프로펠러 구동 적음
체계에서는 다양한 제품이 생산 되고 있음. T-Motor(중국)

∙ 국방전략기술 : 4-15 저소음/저진동 로터 최적화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드론용 고효율 소형모터 및 제어기 설계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0%이고, 기술격차는 2.5년으로
분석되며, 국내 모터 중 드론에 장착 가능한 모터는 확인이 제한되므로,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국내 기술이 낮아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고효율 소형모터 및 제어기 설계기술”은 고효율/고속 모터 설계 기술,
전기모터에 최적화된 추력시스템 개발 및 구동 모터 고장에도 비행안전성 확보를 위한
분산추력시스템의 추력 안정화 기술,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드론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고성능 서보 드라이브 및 제어 알고리즘 개발 기술임

15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MATRICE 600 PRO, DJI(중국)


- DC모터: DJI 6010
(KV: 130 rpm/V, 무게: 230 g) 고효율 BLDC모터, 스타맨
- 제어기: DJI사 A3 Pro - 제품 : 고효율 BLDC모터
(4가지 비행 모드 보유. 배터리 수준 경고, 비행 고도 및 반경 - 회전속도 : 5200rpm
한계를 갖는 안전 기능 보유. 정격 출력: 10W) - 토크 : 289G
2. ALTA 8, Freefly systems(미국) - 전력 : 70W
- DC모터: Freefly사 F45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별도의 ESC변속장치를 모터와 일체형
(KV: 384 rpm/V, Motor max continuous power output: 제작)
350 W) * 자체 개발 모터 몇몇 진행 중이나 활용 가능한 제품은 극히
- 제어기: Freefly사 SYNAPSE Flight Controller 적음
(고성능 위치 제어 기능. 속도 제한 기능. 비행 고도 및 반경
한계를 갖는 안전 기능 등 보유)

∙ 국방전략기술 : 4-16 고효율 동력전달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항법시스템]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위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국내 기술이 낮아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위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은 실제
항법위성 신호와 교란신호의 구분과 재밍/스푸핑 상황탐지를 위한 항법 신호 처리
알고리즘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스푸핑 신호 생성 및 회피 기술 개발, Harris(미국), SwRI


(Southwest Research Institue) (미국/MITRE(미국)/
스푸핑 신호 생성 및 회피 기술 개발, 서울대학교/인하대학교/
Stanford Univ.(미국)/Septentrio(벨기에)
건국대학교/한국과학기술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국방과학
- 스푸핑신호 생성기술 : GPS신호 칩 0.97 usec이내 생성
연구소/덕산 넵코어스
- 스푸핑신호 회피채널수 : 6 CH
- 스푸핑 신호 억압성능 : 10 dB

∙ 국방전략기술 : 5-14 무인기용 신개념 항법 기술

160
국방 드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초광대역 주파수 집성 항재밍 통신기술 ’24~’27 국과연 70.37억원 DTIMS
기초 플라즈마 영향을 고려한 전파센서 기술 ‘22~’25 산학연 4.00억원 DTIMS
선행핵심 초소형 항재밍 위성항법장치 기술 ‘23~’28 산학연 37.40억원 DTIMS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항법시스템]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 제4장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국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국내 기술이 낮아 기술 개발 필요 방

∙ 명세 :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은 론
위치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동종 및 이종 센서의 중첩 및 센서 기

신호처리를 통한 항법성능 실시간 감지 및 고장대응을 위한 기술임 로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맵
GNSS 센서 다중화 및 안티재밍 기술 적용 제품이 존재함, 고성능 GNSS 개발 기업은 존재하나, 드론에 활용가능한 초소형
METEKSAN(터키) GNSS는 외산에 의존, 아센/케이앤씨텍/두시텍 등

∙ 국방전략기술 : 5-14 무인기용 신개념 항법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항법시스템] 실내, 비가시 환경에서 드론 운용을 위한


네트워크 및 자기장계 응용 관성복합항법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5%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국내 기술이 낮아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실내, 비가시 환경에서 드론 운용을 위한 네트워크 및 자기장계 응용
관성복합항법기술”은 관성항법장치와 네트워크 신호세기 및 자기장 패턴 등의
다앙한 신호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한 무인이동체 3차원 위치추정을 위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UWB 등의 실내 위치 센서 존재하나 활용 조건(선행 데이터 취득 UWB 등의 실내 위치 센서 존재하나 활용 조건(선행 데이터 취득


혹은 센서 설치 등)이 많아 드론 활용에 제한적으로, 실험적으로만 혹은 센서 설치 등)이 많아 드론 활용에 제한적으로, 실험적으로만
개발, Eliko(에스토니아) 개발, 아센/고려대학교

16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국방전략기술 : 5-14 무인기용 신개념 항법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처리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5%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이 낮아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처리 기술”은 각각의 드론이 탑재하고
있는 연산능력을 활용하여 협력 임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드론 자율운항
지원을 위한 중앙/분산 연계 실시간 시스템을 개발하며, 드론 운용을 위한
decentralized 알고리즘 개발 및 시스템 구축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군집 비행 관련 업체는 대부분 드론쇼를 위한 부분이며,


중앙 집중화 되어있는 군집 비행 계획 및 제어 기술 개발은 국과연에서 군집 비행을 위한 제어 기반 기술 연구를 일부 진행
되었으며, 현재 분산 제어 관련 기술을 개발 중, Intel(미국) 하였으며, DNA+드론 사업으로 Edge AI 및 클라우드 AI 기술
진행 중,국방과학연구소/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국방전략기술 : 5-14 무인기용 신개념 항법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기반 OS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2.0년으로
분석되어 세계 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이 낮아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기반 OS 기술”은 미션 응용을
위해 고성능 비전 프로세싱, 머신러닝 등을 위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 및 실시간
GPGPU 스케줄링 기술이 적용된 드론에 필요한 고성능/고신뢰성의 OS 기술을
확보하고 상용화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영상 처리 알고리즘의 급격한 발전으로 많은 기능들이 개발 되고


있으며, 영상 추적, 안면 혹은 사람 인식 등의 간단한 기능을 탑재한 현재 드론 운용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듀얼 OS가 개발됨,
OS개발을 바탕으로 드론에 탑재 되어 비행까지 연동되고 있음, 서울과학기술대/한국과학기술원/한국전자통신 연구원
DJI(중국)

162
국방 드론

∙ 국방전략기술 : 5-15 국방무인로봇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은 전장 상황 객체(병력, 무기체계, 환경요소
등)를 정형화되게 표현하고 이를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는 기술임
제4장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딥러닝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상에서 표적을 인식하는 방
피아 자원의 식별 및 추적 기술보유, DARPA(미국)
지능화 기술 보유, 국과연 드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로
∙ 관련국방연구목록 드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핵심SW ’21~’25 산학연 90.00억원 DTIMS
사물인식 및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

- [임무장비]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어느
정도 성숙한 편이나, 미래 드론발전을 위한 군 표준에 대한 연구개발진행은 되어있지
않아 세계최고수준의 군 드론 표준을 위한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은 다양한
임무장비를 장착할 수 있는 표준 장착대 및 표준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농약살포용 드론을 공통화된 플랫폼으로 하여 다양한
EO/IR센서, 화학물질탐지기, 지뢰탐지기 등 다양한 모듈을 결합
임무장비(정찰장비, 방송장비 등)를 결합하는 인터페이스 개발,
가능한 RO-16A 드론 개발, HoneyWell(미국)
순돌이드론

∙ 국방전략기술 : 5-11 무인기용 공용/공통화체계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16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1%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은 영상센서 집적도 향상,
저조도 성능향상 기술 비냉각형 적외선 센서의 경량화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Inpixal社 ASIO-155(프랑스)/AVT社 CM-142(호주),
Controp社 U-STAMP(이스라엘) 새론 S&I/이오시스템
- 중량 : 2kg 내외 - 중량 : 0.35kg
- Ball 직경 : 150mm 내외 - EO 인지 성능(차량) : 1km
- EO 인지 성능(전차기준) : 5km 내외 - IR 인지 성능(차량) : 0.6km
- IR 성능(전차기준) : 1km 내외 - EO 해상도 : 1280x720
- EO 해상도 : 1280x720 수준 - IR 해상도 : 640x512
- IR 해상도 : 640x480 수준

∙ 국방전략기술 : 1-8 감시정찰용 다중대역 IR 검출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1%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은 AI를 활용해 동영상내의 형상에 대해 딥러닝
기반으로 동영상 내의 형상을 통해 객체를 인식하고 영상 내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시스템 구현, Boeing(미국) 새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시스템 구현, LIG넥스원
- 무게 : 확인제한 - 중량 : 450g
- 크기 : 확인제한 - 크기 : 90.0 x 180.0 x 60.0 mm
- 객체 인식 : 확인제한 - 객체 인식 : 7개 이하

∙ 국방전략기술 : 1-8 감시정찰용 다중대역 IR 검출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사물인식 및
핵심SW ’21~’25 산학연 90.00억원 DTIMS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
응용 초분광 기반 복합위협 인지기술 ‘23~’27 국과연 71.49억원 DTIMS

164
국방 드론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1%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은 영상정보의 객체 인식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센서 자세를 제어하여 이동물체 등을 추적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 기반 자율 객체 추적 시스템 구현, Boeing(미국) AI 기반 자율 객체 추적 시스템 구현, LIG넥스원


- 무게 : 확인제한 - 중량 : 450g 제4장
- 크기 : 확인제한 - 크기 : 90.0 x 180.0 x 60.0 mm
- 객체 인식 : 확인제한 - 객체 인식 : 7개 이하



∙ 국방전략기술 : 1-17 인공지능 기반 자율인식 지능형 센서 기술 론

∙ 관련국방연구목록 술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드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핵심SW ’21~’25 산학연 90.00억원 DTIMS
사물인식 및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
다중임무를 위한 영상추적형
선행핵심 ‘20~’23 국과연 99.50억원 DTIMS
소형 자폭무인기 기술연구

- [임무장비 - 정찰장비(SAR)]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1%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은 드론 장착용 SAR의 RF
처리부에 대한 소형/경량/저전력 설계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저전력 드론용 SAR 개발, IMSAR(미국) 저전력 드론용 SAR 개발, LIG넥스원
- 탑재체 무게 : 3.35 kg (레이돔 포함) - 탑재체 무게 : 2.4 kg (레이돔 제외)
- 소비전력 : 81W - 소비전력 : 100W
- 크기 : 9.5 * 77.6 * 9.52 CM - 크기 : 18 * 22 * 26 CM
- 영상 해상도 : 1 m 이하 - 영상 해상도 : 1 m 이하

∙ 국방전략기술 : 1-5 무인기 탑재용 다중채널 SAR 안테나/송수신 기술

16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미래도전 20W급 W-band 고출력 증폭기 및 송수신기 개발 ’19~’23 국과연 60.00억원 DTIMS

- [임무장비 - 정찰장비(SAR)]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1%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은 드론용 SAR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소형 안테나와 구동을 위한 짐벌세트의 소형/경량화/저진동 설계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저전력 드론용 SAR 개발, IMSAR(미국) 저전력 드론용 SAR 개발, LIG넥스원
- 중심주파수 : 확인제한 - 중심주파수 : X band
- 드론용 안테나/짐벌 - 드론용 안테나/짐벌

∙ 국방전략기술 : 1-5 무인기 탑재용 다중채널 SAR 안테나/송수신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항공용 고출력 경량 SAR 안테나 기술 ’27~’30 미정 100.00억원 DTIMS

- [임무장비 - 정찰장비(SAR)]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1%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은 드론용 SAR 안테나를 보호하는 레이돔
구조 소형/경량화 설계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저전력 드론용 SAR 개발, IMSAR(미국) 저전력 드론용 SAR 개발, LIG넥스원
- 드론용 레이돔 개발 - 드론용 레이돔 개발

∙ 국방전략기술 : 1-5 무인기 탑재용 다중채널 SAR 안테나/송수신 기술

166
국방 드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항공용 고출력 경량 SAR 안테나 기술 ’27~’30 미정 100.00억원 DTIMS

- [임무장비 - 공격장비(발사형 장비)] 충격흡수 및 발사제어장치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제4장
∙ 명세 : “충격흡수 및 발사제어장치 기술”은 비행환경에서 목표물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고, 목표물을 정확히 타격하기 위한 발사충격 흡수, 자세제어 및 발사제어 기술임 국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드

재래식 무기 탑재드론 개발, Asisguard 기
(터키)/Duke Robotics(미국) 술
재래식 무기 탑재드론 개발, 유맥에어/한국씨엔오테크
- 드론중량: 25kg
- 드론중량: 33kg 로
- 타격정확도: 15cm @200m
- 탑재장비:소총, 유탄발사기

- 탑재장비:소총, 유탄발사기, 기관총 맵
- 연속발사기능

∙ 국방전략기술 : 5-15 국방 무인로봇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민군협력 투발형 소형 드론 시스템 개발 ’18~’20 산학연 10.40억원 DTIMS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약형 장비)]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은 목표물을 탐지하고, 투발형 및 자폭형 탄약을
탑재한 멀티콥터형 드론으로 신속 정확이 표적을 타격하기 위한 정밀유도제어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직충돌형 드론 개발, IAI(이스라엘)/STM(터키) 직충돌형 드론 개발, LIG넥스원
- 드론중량: 5~10kg - 드론중량: 2~8kg
- 탑재중량, 1~2kg - 탑재중량:0.5~2kg
- 비행시간: 약30분 - 비행시간 : 약30분

16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국방전략기술 : 3-7 고성능 통합 유도조종제어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민군협력 직충돌형 소형 드론시스템 개발 ’18~’20 산학연 21.75억원 DTIMS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약형 장비)]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은 대상 표적에 따른 최적화 탄두
설계기술이며 드론에 적합하도록 초소형화 하여야 하고, 대상표적에 따라 EFP,
Shape Charge, HE, PFHE등 다양한 탄두를 최적의 형태로 장착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ROTEM-L 및 Kargu, IAI(이스라엘/STM(터키)


비 드론용 탄두(EFP, Shape Charge, HE, PFHE), 풍산
- 탄두 종류 : EFP, Shape Charge, HE, PFHE

∙ 국방전략기술 : 3-6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약형 장비)]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은 목표물과 충돌 시 탄두기폭을 위한
신관설계기술로 탄두의 특징, 표적의 특징에 따라 EFP, Shape Charge, HE, PFHE등
다양한 탄두를 최적의 형태로 기폭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ROTEM-L 및 Kargu, IAI(이스라엘/STM(터키)


비 드론용 탄두(EFP, Shape Charge, HE, PFHE), 풍산
- 탄두 종류 : EFP, Shape Charge, HE, PFHE

∙ 국방전략기술 : 3-6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168
국방 드론

- [임무장비 - 지원장비(지뢰 탐지장비)] 드론용 복합방식(MD+GPR) 지뢰탐지기를 위한


지면 적응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복합방식(MD+GPR) 지뢰탐지기를 위한 지면 적응 기술”은
지뢰탐지센서와 지면 간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지면 추종기술 및 드론 흔들림에
따라 지뢰탐지 센서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기술, 드론 고정밀 포지셔닝
기술(DGPS 등), 원격통제기와 고속 통신 기술(TBD)을 융합한 기술임
제4장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국
복합센서 기반의 휴대용 및 지상 플랫폼 기반 지뢰탐지기 개발, 복합센서 기반의 휴대용 지뢰탐지기 양산 및 차량형 지뢰탐지기 방
VALLON(독일)/NIITEK(미국) 응용개발, 한화시스템 드


∙ 국방전략기술 : 5-5 지상무인 위험물 탐지 및 제거 기술 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드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드론을 이용한 지면 폭발물 실시간 광역 공중탐지체계
미래도전 ’19~’24 산학연 17.90억원 DTIMS
개발

- [임무장비 - 지원장비(화생방 탐지장비)] 드론 탑재용 화생방 탐지용 초소형 센서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10%이고, 기술격차는 7년으로
분석되어 상대적으로 국내 기술수준이 매우 낮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탑재용 화생방 탐지용 초소형 센서 기술”은 대기에 존재해는 인체
유해물질(수포 등 화학작용제, 탄저균 등 생물학작용제 및 방사능)에 대한 탐지를 위한
초소형 센서를 개발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드론용 초소형 화생방 탐지센서 개발, Environics(핀란드)


- 무게 1kg, Gamma 및 X-ray 방사에 의한 화학작용제 탐지
1. 화생방 탐지센서를 위한 기초기술 개발, 성균관대학교
- 2.5초 ~ 3분 내에 탐지 가능
2. 적외선 분광칩 기반 화학탐지기 개발 중, 산학연
2. 드론용 방사능 탐지센서 상용화, Mirion technilogies (미국)
- 1 mram/h(0.01 mSv/h) to 1000 rem/h(10 Sv/h)

16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국방전략기술 : 7-11 실시간 화생방 탐지/식별/경보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센터 국방화생탐지특화연구센터 ’17~’20 산학연 4.40억원 DTIMS

응용 소형 지표면 화학오염 탐지센서 기술 ’25~’28 국과연 4.5.00억원 DTIMS

적외선 분광칩 기반 소형 원거리 화학탐지기술(구.


응/시 ’15~’24 산학연 75.55억원 DTIMS
적외선 분광 MEMS기술)

특화실 차세대 생물방어 특화연구실 ’19~’24 산학연 60.00억원 DTIMS

- [임무장비 - 지원장비(수송장비)]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이고, 기술격차는 1년으로 어느
정도 성숙한 편이나, 최적화된 설계에 대한 연구개발진행은 되어있지 않아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은 다양한 화물 탑재 물건 보관 및 고정을 위한
수송박스 설계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Payload 2~500kg 탑재 (박스 무게 포함), 아마존/ 구글/


Payload 40kg 탑재 (박스 무게 포함), 성우 ENG
DHL/보잉/UPS/알리바바

∙ 국방전략기술 : 5-15 국방 무인로봇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임무장비 - 지원장비(LIDAR장치)]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은 맵핑 드론에 활용하는 LIDAR장치의 드론
탑재를 위한 장비경량화 (1 kg 이하), Laser 성능 향상기술임

170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드론용 LIDAR 개발, Velodyne(미국) 드론용 LIDAR 개발, 정상라이다


- 채널 : 16채널 - 채널 : 16채널
- 측정범위 : 100m - 측정범위 : 0.15~30m
- 시야 : +15 ~ - 15도 - 시야 : 미확인
- 수평 : 360도 - 수평 : 270도
- 각도 분해능 : 0.1 ~ 0.4 도 - 각도 분해능 : 0.25 ~ 1.0 도
- 회전속도 : 5 ~ 20 Hz - 회전속도 : 20 Hz

제4장
∙ 국방전략기술 : 5-15 국방 무인로봇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국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 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58%이고, 기술격차는 2.5년으로 기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로

∙ 명세 :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은 위협도 분석과 무기체계 특성을 고려한 맵
최적 임무 할당과 비행계획수립 등을 인공지능 기반으로 자동 수립하고 수행 관리할
수 있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기반으로 다수로봇을 한명이 제어할 수 있도록 1:N 제어가


전투자원의 중복을 피하고 신속히 무기를 할당하기 위한 프로그램
가능한 최적임무계획수립 및 통제 기술 개발 중, 국방과학
개발 착수, DoD(미국)
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센터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19~’25 산학연 121.00억원 DTIMS
응용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25~’28 국과연 72.45억원 DTIMS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17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명세 :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은 무인기를 제어하기 위해 모든 제어 요소를


운용자가 각각 제어하는 것이 아닌 임무에 대한 Task 기반의 항목별 제어만으로 통한
운용자의 Workload를 감소시키기 위한 통제 자동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Task 기반의 운용자 행위 분류를 통한 Task 별 드론 제어로직 개별 제어를 중심으로 운용자가 운용하기 복잡한 부분에 대해서
자동화,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자동화를 구현하여 개발. 전체적인 운용자행위 분류 및 자동화
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관련 기술개발 계획, 국방과학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5-12 무인기 자율임무 통제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센터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19~’25 산학연 121.00억원 DTIMS

응용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25~’28 국과연 72.45억원 DTIMS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응용 동시 감시정찰을 위한 무인기 군집제어 기술 ’22~’25 산학연 89.99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은 다양한 전투 환경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감시
정찰을 수행하기 위한 드론의 군집협업기술 및 운용통제기술임
* 개발 시 감시정찰능력을 강화 가능하고 다수의 군집개체수를 작전지역에 동시에 투입함으로서 군의
상황정보능력 증대 가능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정찰 및 타격을 위한 동종 다수의 군집운용 관련 기술 개발이


정찰 및 타격을 위한 동종 다수의 군집운용 관련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기종 군집 운용 및 군집 개체수를 늘려가는
학교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핵심기술 위주의 10대 미만의
중, Boeing(미국)/ 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개체 수에 대한 군집 연구가 진행 되고 있음, 한국과학기술원 등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172
국방 드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센터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19~’25 산학연 121.00억원 DTIMS

응용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25~’28 국과연 72.45억원 DTIMS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시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5~’29 산학연 250.00억원 DTIMS


응용 동시 감시정찰을 위한 무인기 군집제어 기술 ’22~’25 산학연 89.99억원 DTIMS

제4장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국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방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론
∙ 명세 :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은 동시에 여러 지역/시점에서 기

감시정찰하고 탐지된 다중 목표물을 즉각 공격하기 위해 감시정찰무인기와 공격용 로
무인기를 군집으로 운용하기 위한 기술임 드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정찰 및 타격을 위한 동종 다수의 군집운용 관련 기술 개발이
정찰 및 타격을 위한 동종 다수의 군집운용 관련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기종 군집 운용 및 군집 개체수를 늘려가는
학교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핵심기술 위주의 10대 미만의
중,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개체 수에 대한 군집 연구가 진행 되고 있음, 한국과학기술원 등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시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5~’29 산학연 250.00억원 DTIMS

응용 동시 감시정찰을 위한 무인기 군집제어 기술 ’22~’25 산학연 89.99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17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기술”은 군집객체 임무학습 프레임워크,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임무 모의환경을


구축하여 군집체계에 특화된 학습모델 도출, 군집객체 인공지능 자율임무 수행기술
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군집에 대한 운용성 및 효과성 증대와 전술 개발 등을 목적으로


시뮬레이션환경 기반의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형 드론 및 로봇에 대한 군집 알고리즘 개발을 목적으로
시뮬레이션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을 드론 및 로봇에 탑재하는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 등의 연구가 일부 진행되고있음,
시연도 포함,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국방과학연구소
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센터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19~’25 산학연 121.00억원 DTIMS
응용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25~’28 국과연 72.45억원 DTIMS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시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5~’29 산학연 250.00억원 DTIMS
응용 동시 감시정찰을 위한 무인기 군집제어 기술 ’22~’25 산학연 89.99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은 필드에서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 친화적이며 조작성능이 우수한 원격조작시스템 기술, 운용자의 훈련교육
시간을 줄이고 제한된 시간에 직관적으로 운용이 가능한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및 전략입력 분야에서 가장 앞서나간다고 할 수 있는 게임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여 다양한 군집전략 조합을 선택하여 명령으로 지시하고 효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융합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게임의 조작을 모티브로 직관적인 조작에 의한 군집운용에
대한 운용자 통제 기술 개발이 개발되고 있음, Boeing(미국)/
사용자에 친숙한 핸들형 조종기 드로나이더가 개발됨, 드론팟
Northrop Grumman(미국)/Lockheed Martin(미국)/
IAI(이스라엘) 등

174
국방 드론

∙ 국방전략기술 : 2-3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통신 단말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은 숙련도
제4장
연령대 등 운용자 간의 차이(between difference)를 고려한 무인이동체 운용 기술
및 피로도 과부하 등 동일운용자(with-in difference)의 동적 상황을 고려한 국

무인이동체 운용 기술 초보로서의 실수 혹은 피로에 의한 실수 등 인간 운용자의 드
한계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인터페이스를 통한 구현 기술을 융합한 기술임 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로

미군은 다양한 무인기의 운용에 따른 운용자 피로도를 고려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해왔으며, Lockheed Martin의
STANAG-4586 등의 표준을 기반으로한 지상통제장비
VCSi-4586은 STANAG-4586을 기반으로한 사용자 UI를
공통화를 위한 핵심기술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LIG넥스원
개발하여 운용자의 편의를 도모함 Boeing(미국)/ Northrop
Grumman(미국)/Lockheed Martin(미국)/ IAI(이스라엘)등

∙ 국방전략기술 : 2-3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통신 단말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선도형 ’19~’23 산학연 369.22억원 DTIMS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2.5년으로
분석되며, 세계적으로도 많이 개발이 진행되지 않은 기술이나,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은 조작자의 음성 및 문자를
인식하여 무인이동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 가능하도록 인간친화적인

17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인터페이스 설계하고 다양한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 등을 기반으로 운용자의 제어


의도를 파악하여 무인이동체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용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키보드와 마우스, 조종간이 아닌 다양한 입력장치를 통한


인터페이스 기술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드론이
AI기반 음성인식 드론 개발 및 동작인식 분야 연구 (드론, 로봇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비행 가능(수직, 대각선 상승, 원 등),
적용), KT/팜캣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2-25 VR/AR/MR 환경 응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5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며, 세계적으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기술이나,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은 운용자의 뇌파/시선 등의
생체신호를 직접 파악하여 조종신호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뇌파를 이용한 드론 제어 연구 및 뇌파 제어 드론 상용모델 출시,
뇌파를 인식하여 드론 비행 제어 기술 개발, 한국뇌연구원
DARPA(미국)/UDRONE(미국)

∙ 국방전략기술 : 2-25 VR/AR/MR 환경 응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은 다수의
운용자에게 동기화되어 동시 지원이 가능한 가상현실/증강현실 플랫폼 및 개별
무인이동체 제어/임무 수행/무인이동체 그룹 관리 등 운용자의 임무별 차별화된
가상현실/증강 현실 플랫폼 기술임

176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최근 영상 및 컴퓨터의 발전으로 가상현싱 및 증강현실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무인이동체 제어 분야에도 기술이
Interactive AR/VR 연구 및 VR/AR 적용한 지능형관제 및
연구되고 있으며 VR/AR 시스템 및 AI와의 Fusion 연구도 수행,
훈련센터 등 개발, 전자부품연구원(KETI)/네비웍스
Boeing(미국) /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Martin(미국) /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2-25 VR/AR/MR 환경 응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제4장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방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기
∙ 명세 :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은 HMD 등의 장비를 통해 원격 운용 술

환경을 구현하여, 운용자가 편리하게 조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AR 구현기술 AR 드

운용 시 불편한 착용감, 공간정보의 왜곡(시각정보의 불일치)으로 인한 멀미나
어지럼증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HMD 및 AR구현기술은 운용자의 운용 편의를 위해 훈련, 정비


및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투과형 HMD를
혼합현실 HMD 오딧세이 제공 및 핀홀 기술 HMD 개발,
통한 영상 제공 및 Wearable Display를 통한 드론 영상 제공 기술
삼성래티널
개발,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Google(미국)/VUFine(미국) 등

∙ 국방전략기술 : 2-25 VR/AR/MR 환경 응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은 지상에서 군집
무인기의 운영 개념, 임무수준, 표적 종류 및 위치에 따른 최적의 무인기 임무

17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조합(정찰임무, 통신임무, 공격임무 등) 및 수량을 결정하고,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군집 전체 혹은 그 부분이 수행할 임무계획을 재설정 및 재할당 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군집임무의 핵심인 통합 임무계획 및 재계획 기술은 다양한


군집임무의 핵심인 통합 임무계획 및 재계획 기술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 검증을 통해 개발되고 실현되고 있음, Boeing(미국)/
알고리즘이 학교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핵심기술 개발
Northrop Grumman(미국)/Lockheed Martin (미국)/
예정, 국방과학연구소
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전술 군집 무인기 임무계획 및 자율 임무 재계획 기술 ’22~’26 산학연 133.50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 영상분석장치]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국내 기술수준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은 다중 센서를 활용한 정밀 위치 인식,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다중센서를 통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융합 기술 발전하고 있음,


다출처영상융합체계 사업에서 단일 센서가 아닌 다중센서를 통한
Boeing(미국)/Northrop Grumman (미국)/ ockheed
다양한 형태의 정보융합 기술 발전하고있음, 한화시스템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장거리 다중파장 센서의 영상융합기술 ’22~’25 산학연 5.00억원 DTIMS

178
국방 드론

- [지상장비 - GCS - 영상분석장치]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은 AI를 활용하여 과거 발생한 이상탐지 혹은
조건을 입력 및 학습한 뒤 영상 내에 유사한 상황 발생 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를 활용한 영상처리는 운용자의 운용지원 및 정확한 상황인식을 제4장


다출처영상융합체계 사업에서 AI를 활용한 영상처리는 운용자의
위한 보조기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도나 속도, 동시 인식
운용지원 및 정확한 상황인식을 위한 보조기능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체 수 등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 Boeing(미국) /Northrop 국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한화시스템 방
Grumman(미국) /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 시스템 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드

- [지상장비 - GCS - 영상분석장치]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은 AI를 활용해 형상(차량, 탱크, 발사체 등)을
학습시키고, 동영상 내의 형상을 자동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를 활용한 영상처리는 운용자의 운용지원 및 정확한 상황인식을


다출처영상융합체계 사업에서 AI를 활용한 영상처리는 운용자의
위한 보조기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도나 속도, 동시 인식
운용지원 및 정확한 상황인식을 위한 보조기능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체 수 등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 Boeing(미국)/ Northrop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한화시스템
Grumman(미국)/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가변형상물체(Deformable Object) 인식 기술 ’19~’23 국과연 34.34억원 DTIMS

17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지상장비 - GCS - 이동형 스테이션] 드론 자동 이착륙 및 무선충전 스테이션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30.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국내 기술수준이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매우 낮아 개발이 필요하고,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자동 이착륙 및 무선충전 스테이션 기술”은 드론을 탑재하고 운용자가
GCS를 통해 통제 및 운용을 수행, 드론의 자동 이착륙 및 자동충전까지 수행하는
이동형 스테이션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드론에 대한 이착륙 및 자동충전에 대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드론에 대한 이착륙 및 자동충전에 대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ockheed
있음, 피알티코리아 등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4 무인기용 신개념 항법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지휘통제시스템]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0%이고, 기술격차는 5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은 지상통제시스템에 탑재하여 상위 C4I 망과의
연동을 보장하는 무인체계의 상호운용성이 반영된 KVMF 2.0 메시지처리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향후 무기체계 연동요소가 고려된 KVMF2.0 연구, 국방과학


VMF 메세지처리 기술 보유, DARPA(미국)
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2-26 국방 IoT/IoE 네트워크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지상전술데이터링크 탑재 KVMF 2.0 메시지처리 SW
핵심SW ’19~’23 국과연 47.00억원 DTIMS
플랫폼
핵심SW Army TIGER 4.0 협동교전분석 SW ’20~’23 국과연 34.46억원 DTIMS

180
국방 드론

- [지상장비 - 지휘통제시스템]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0%이고, 기술격차는 0.5년으로
분석되며, 국내 기술이 이미 성숙된 상황이지만,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은 이기종 체계 간 운용되는 각종 군사부호를
표준화하여 상호운용성 보장 및 국방 환경에 적합한 국방 고유의 표준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MIL-STD-2525C 표준 적용, DARPA(미국) MIL-STD-2525C 표준에서 한국 확장, 국방과학연구소 제4장



∙ 국방전략기술 : 2-26 국방 IoT/IoE 네트워크 기술 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로

지상전술데이터링크 탑재 KVMF 2.0 메시지처리 SW
핵심SW ’19~’23 국과연 47.00억원 DTIMS 맵
플랫폼

핵심SW Army TIGER 4.0 협동교전분석 SW ’20~’23 국과연 34.46억원 DTIMS

- [데이터링크]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국내 기술이 이미 어느 정도 성숙되었으며, 국방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기술이지만, 국내 드론기술의 발전을 위해 기술개발 지속 필요
∙ 명세 :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은 대대급 이하 소형 드론 운용개념에
적합한 상용 개방형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링크 표준 프로토콜 확보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상용통신장비 De Facto 표준 등(제조사별 개별 데이터링크 모듈 상용표준 기반 소형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 아키텍처/프로토콜


적용), AeroVironment(미국) /THALES(프랑스) 등 개발 중, 국방과학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2-26 국방 IoT/IoE 네트워크 기술

18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국과연/
선도형 ’19~’23 369.22억원 DTIMS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 산학연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은 기존 네트워크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군집드론 개체 간 안정적이고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구성 및 독립적인 FANET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개발 및 인공지능 기반 임무 수행을 위한 비행로봇과
인공지능 서버 간 실시간 통신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적대적 전파 환경에서 군집 통신 수행, DARPA(미국) 분산 다중 편대 통신 시스템 개발, 서울대학교

∙ 국방전략기술 : 2-26 국방 IoT/IoE 네트워크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실 무인체계용 데이터링크 특화연구실 ’17~’23 산학연 48.13억원 DTIMS

응용 군집무인기 통합네트워크 기술 ‘22~’26 국과연 150.00억원 DTIMS

특화실 초소형 무인기 전술신호처리 특화연구실 ‘17~’22 산학연 38.45억원 DTIMS

응용 감시정찰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링크 기술 ‘23~’25 국과연 60.51억원 DTIMS


기초 플라즈마 영향을 고려한 전파센서 기술 ‘19~’21 산학연 4.00억원 DTIMS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지능형 드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관리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통신 네트워크 전송 데이터 관리 기술”은 다수의 드론으로 부터 받는 많은
데이터 중 효과적인 데이터 처리를 위해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전송 우선순위에
따른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한 상황인지 기반 가변적 네트워크

182
국방 드론

기술 및 초저지연 기술 기반 공중 로봇 제어 및 고속 통신을 통한 대용량 데이터 관리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드론 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Mobile Hotspots 개발,
DARPA(미국)
1. 공중 군집 통신 라우팅 최적화를 통한 기술 개발, 한양대학교
2. SDN과 NFV로 드론 상황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연구
2. 5G 이동통신 아키텍처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oftware Defined Network, Network Function
Vitualization), NASA(미국)

제4장
∙ 국방전략기술 : 2-8 지능형 다계층 통합 네트워킹 대규모 접속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방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실 무인체계용 데이터링크 특화연구실 ’17~’23 산학연 48.13억원 DTIMS 술
응용 감시정찰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링크 기술 ’23~’25 국과연 60.51억원 DTIMS 로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무인이동체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통신 네트워크 전송 데이터 관리 기술”은 드론의 영상 전송과 같은 임무 데이터
량이 많아짐에 따라 전송률을 향상 시키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드론 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Mobile Hotspots 개발,
5G 이동형 고속 통신 기술 개발, KT
DARPA(미국)

∙ 국방전략기술 : 2-8 지능형 다계층 통합 네트워킹 대규모 접속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실 무인체계용 데이터링크 특화연구실 ’17~’23 산학연 48.13억원 DTIMS
응용 감시정찰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링크 기술 ’23~’25 국과연 60.51억원 DTIMS

개인 전술통신단말을 위한 초소형/저전력 무선전송 및


응용 ’24~’27 산학연 50.00억원 DTIMS
접속기술

18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0%이고, 기술격차는 1년으로 국내
기술수준은 높으나, 향후 지속적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은 임무를 수행하는 드론들이 접근권한이 부여된
서버의 명령만을 수행하기 위해서 객체 상호인증, 사용자 인증 및 키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임
* 단일드론의 초경량 인증 및 보안 기술, 군집 드론 간 협력을 통한 초경량 상호 인증 및 보안 기술 등을
포함함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비행 식별 모듈 개발, Thales(프랑스) 비행 로봇 식별 모듈 (DIM)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국방전략기술 : 2-11 자가방어 고속 통신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0%이고, 기술격차는 2.5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통신 네트워크 전송 데이터 관리 기술”은 드론들에게 전달되는 명령 메시지와
드론들 사이에 교환 및 저장하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보호하는 기술임
*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여 PUF (Physical Un-cloneable Function) 기능의 경량 보안 프로토콜 시스템,
공중 군집 지능 기반의 네트워크 보안 상황 판단 및 대응을 위한 자율 보안 프로토콜 기술, 드론 제어용
통신에 대한 항재밍 통신 기술 등을 포함함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UTM 데이터 암호화 기술 개발, Thales(프랑스)


2. 항해 메시지 인증 시스템 최초 공개 예정(OS-NMA), 유럽 공중로봇 제어에 동형암호 적용, 서울대학교
갈릴레오 위치결정시스템

∙ 국방전략기술 : 2-11 자가방어 고속 통신 기술

184
국방 드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사이버위협 방어를 위한 IoT기기 경량형 네트워크
응용 ’24~’27 산학연 50.00억원 DTIMS
접속제어 기술
선행핵심 초소형 항재밍 위성항법장치 기술 ’19~’22 산학연 60.00억원 DTIMS

특화실 전자파보안 특화연구실 ’23~’28 산학연 60.00억원 DTIMS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 제4장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방
∙ 명세 :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은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해상에서도 운용 드

가능하며, 재해가 발생하여 지상이 인프라가 파괴된 상황에서도 통신의 제약을 받지 기
않는 위성통신 기반의 드론 통신 기술 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맵
1. 성층권 드론 EAV-3 개발, 항공우주연구원
1. 성층권 드론 제퍼에스, Airbus(유럽)
2. 5G는 120m 고도가 한계이며 6G는 지상/위성 통신 병합 기술
2. 성층권 드론 오디세우스, Boeing(미국)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국방전략기술 : 2-11 자가방어 고속 통신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초광대역 주파수 집성 항재밍 통신기술 ’24~’27 국과연 70.37억원 DTIMS


응용 지능형 군집항법 기술 ’23~’26 국과연 49.75억원 DTIMS

선행핵심 초소형 항재밍 위성항법장치 기술 ’23~’28 국과연 37.40억원 DTIMS

- [데이터링크 - 지상 데이터링크]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0%이고, 기술격차는 5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단없는
링크를 유지할 수 있는 적응형 무선 네트워크 기술임

18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WNaN(Wireless Netwirk after Nest)을 통한 연구 수행,


차세대 전술통신망 연구 진행 중, 국방과학연구소
DARPA(미국)

∙ 국방전략기술 : 2-11 자가방어 고속 통신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실 국방 양자 무선 통신 특화연구실 ’23~’28 산학연 63.00억원 DTIMS

특화실 무인체계용 데이터링크 특화연구실 ’17~’23 산학연 48.13억원 DTIMS

특화실 초소형 무인기 전술신호처리 특화연구실 ’17~’22 산학연 38.45억원 DTIMS


공중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중빔 안테나 소요기술 국과연/
선도형 ’17~’22 197.24억원 DTIMS
개발 산학연
응용 군집무인기 통합네트워크 기술 ‘22~’26 국과연 150.00억원 DTIMS

다. 고정익 드론

 고정익 드론 기술의 국내 기술과 해외기술간 차이는 71.1%, 3.2년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며,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등 총 59개 기술을
도출함

 도출된 기술들의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 [비행체] 다기능 구조물 제조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 71.1%, 기술격차는 3.1년으로 분석되나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 및 미래에도 기술수준 유지를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다기능 구조물 제조 기술”은 Electronic Part(Actuator / Antenna / Sensor)
일체형 구조물 및 전력원(Solar Panel / Battery) 일체형 구조물 및 대변형 대응
복합재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술임

186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EU 주도의 ACASIAS 프로젝트를 통해 구조물과 안테나 및


센서를 통합하는 프로젝트 진행중, Netherlands Aerospace
복합재 구조물과 C-band 안테나 통합 프로젝트 진행중
Centre(네덜란드)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사업),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한국과학
2. 1.2 x 3 m 복합재 패널 내부에 4 x 6 어레이의 Ku 대역 안테나를
기술원-단암시스템즈
통합된 동체 시연, Netherlands Aerospace Centre
(네덜란드)

∙ 국방전략기술 : 4-20 항공기용 스마트 기체구조 설계 기술 제4장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기체]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 드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 90%,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나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 및 미래에도 기술수준 유지를 위해 기술 개발 필요 술

∙ 명세 :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은 마이크로캡슐 및 미세관 드
네트워크(Vascular network)의 재료 내 적용을 이용한 자가 치유 구조를 개발하고, 맵

재료의 가역 분자 결합(Reversible molecular bond) 방식을 이용하여 자체


복원력을 가진 모르타르(Mortar) 적용 블록형 자가복원 구조를 분석 하며, 자가복원
폴리머・세라믹・금속 등이 적용된 복합재료를 이용한 구조적용 기술 및 자가 손상탐지
및 자가 치유 구조가 적용된 드론 구조에 대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우주선 구조물에 산소에 반응하는 자가 치유 물질을 넣는 기술
개발, NASA(미국) 세계최고 수준의 강도를 지닌 특수 카보네이트 기반의 자가치유
2. NASA기술을 기반으로 구멍이 뚫렸을 때 손톱으로 문지르면 신소재 개발, 한국화학연구원-부경대
다시 복구되는 ‘힐로 테크(Hilo Tech)’라는 치유 섬유 개발, * 인장강도 : 43MP(신발 밑창괴 유사)
Coalatree(미국)

∙ 국방전략기술 : 4-20 항공기용 스마트 기체구조 설계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기체]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 70%,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특히 복합재료 프린팅 기술을 드론에 적용한 사례가 없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18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명세 :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은 기존의 복합재료 3D프린팅 기술을


드론의 구조제작에 활용하여 드론에 적합한 소재 및 구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나일론 및 다양한 소재(탄소, 케블라, 유리 등)을 적용하여


강도, 열저항성, 화학저항성 등을 높인 소재 기반의 드론 부품
1. 금속 3D 프린팅 기술 및 고강도 알루미늄 메탈 3D 프린팅 기술
제작 가능한 듀얼노즐 및 CFF(연속 필라맨트피딩) 3D 프린팅
개발, 메탈3D
시스템 Onyx 출시, Makeforged(미국)
2. 복합재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여 비행체 구조물, 내부
2. GE항공이 금속제품을 제작가능한 3D 프린터를 개발하여
구조부재공간 등의 복잡한 형상을 일체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제트엔진용 노즐, 터빈 블레이드 등 항공기 엔진부품을 제작,
기술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진행 중(무인이동체 원천기술
General Electric(미국)
개발사업), 한국과학기술원
3. Skydio X2 기체제작시 복합재 3D printing 기술을 적용하여
17개의 부품을 단일 부품으로 대체, Arris(미)

∙ 국방전략기술 : 6-7 병사/무기체계 맞춤형 4D 프린팅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3D 프린팅 기반 초경량/고강도/복잡형상
응용 ’25~’28 국과연 43.0억원 DTIMS
섬유강화복합소재 제조 기술
응용 군운용지역 기반 내구시험 단축화 기술 ’22~’25 국과연 20.0억원 DTIMS

- [비행체 - 기체 - 연료전지]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3%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은 및 장시간 운용을 위한
드론 연료전지 시스템 성능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스택모듈기준 출력 밀도 500W/kg, Intelligent Energy 영국) 스택모듈기준 출력 밀도440W/kg, 두산모빌리티 노베이션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188
국방 드론

- [비행체 - 기체 - 엔진]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터빈엔진 개발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터빈엔진 개발”은 3D 프린팅 기술 활용 고효율
경량 동력원을 개발하고, 드론 동력원 시스템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경량 소재 및
내열소재 등 첨단 소재 적용 고효율 스마트 엔진 개발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차세대 터보프롭엔진 Catalyst (구, ATP) 개발 시 적층가공법 제4장


적용을 통해 엔진의 부품수를 800개에서 12개로 감소를 통한
금속 3D 프린팅을 적용한 초소형 가스터빈 엔진 제작 및 성능시험
중량 5% 감소, General Electric(미국) 국
수행, 한국항공우주연구소 방
2. 금속 3D printing을 적용하여 기존 UAV 용 엔진실린더를
대체 (경량화 및 열전달 성능 개선), Cobra Aero(미국) 드


∙ 국방전략기술 : 6-7 병사/무기체계 맞춤형 4D 프린팅 기술 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드

- [비행체 - 기체 - 엔진]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은 loT 기술을 기반으로 센서
소형화/고성능화 기반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엔진탑재형 상태 감시장치 무선 독립
데이터 저장장치로 구성되는 실시간 엔진 상태감시 및 진단 시스템 개발하고,
주기정비에 따른 추진시스템 운용성 저하 및 과도 예방정비를 방지할 수 있는
유지비용 절감 기술을 개발하며 소형 강건한 에너지 하베스트 무선 센서장치를
개발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비행체 전 운용 중의 엔진의 상태 모니터링 및 추진시스템 제어 금속 3D 프린팅을 적용한 초소형 가스터빈 엔진 제작 및 성능시험


최적화를 위한 FADEPC 개발, General Electric(미국) 수행, 한국항공우주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4-20 항공기용 스마트 기체구조 설계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18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비행체 - 기체 - 전지]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은 높은
황 활용률 (>60%) 및 높은 황 전극로딩랑(>5 mg/cm2)을 가지는 고에너지 밀도
양극, 상용카본(그라파이트, 케첸블랙, 슈퍼-피 등)을 이용한 고성능 전극 개발,
리튬폴리설파이드의 전해액 용해와 셔틀링을 조절하는 셸구조 및 소재기술 젤폴리머
전해질, 리튬-황전지 드론 탑재를 위한 전극 대면적화, 적층기술, 전해액 최적화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양극재로 황-탄소 복합체를 사용한 리튬-황전지 개발에


’20년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새로운 황 음극물질 개발,
집중하고 있으며, ’20. 9월 국내 최초로 리튬-황전지를 탑재한
Brookhaven National Labatory(미국)
무인기를 고도 22km 성층권에 올림, LG화학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황화물계 전고체 기반 무음극 고에너지밀도
미래도전 ’19~’24 산학연 75.0억원 DTIMS
이차전지 시스템

- [비행체 - 기체 - 전지]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팩


시스템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팩 시스템”은 드론 적용을
위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확보되고 리튬이온전도도가 우수한 전해질 기술 및 전고체
전해질과 전극간의 밀착 계면을 형성/유지하고 전기화학적 부반응을 억제하는 기술
개발을 통해 고안정성 셀 및 팩을 개발하는 기술임

190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20년 덴드라이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제 학술지 ‘Nature’에 발표, 삼성전자
’25년 에너지 밀도는 185Wh/kg 내외의 차량 탑재형 전고체 전지
2. ’20년 500번의 충/방전과 100번의 굽힘 테스트를 시행한
개발 예정, Toyota(일본)
후에도 90%의 용량을 유지 가능한 전고체 전지 개발,
기초과학지원연구원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제4장


- [비행체 - 기체 - 전지]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리튬이차전지 기술 방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10.0% 매우 낮고, 기술격차는 드

5년으로 크므로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 및 실제 군의 드론 운용에 큰 영향을 미치기 기
때문에 기술선진국의 추격을 위해 기술개발 필요 술

∙ 명세 :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리튬이차전지 기술”은 수계(water base)의 전해질과 드

고농도염을 적용한 리튬기반 이차전지 기술 및 기존 유기계에 비해 저온 성능이
향상되며 -20°C 이하에서 충전이 가능한 전지를 개발하는 기술임
* 수계 전해질을 사용하므로 폭발 및 발화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고안전성 전지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308Wh/kg수준의 수계 전지기술을 개발, U.S. Army Research ’21년 6월부터 개발 착수(개발목표 300Wh/kg), 국방과학
Lab. (미국) 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선행핵심 난연, 고안전성 함수 전해질 및 전지 기술 ’21~’24 국과연 24.5억원 구두확인

- [비행체 - 기체 - 전지]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5.0% 이며, 기술격차는 0.5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되나, 현재 기술우위의 유지,
최고성능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19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명세 :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은 유도무기용 전원으로 사용되는 군용


열전지 기술을 기반으로 드론 탑재를 위해 비에너지밀도를 향상시킨 열전지 기술임
* 열전지는 -32℃까지 성능의 감소없이 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전지기술임
* 자폭용 드론에 적합한 전지 기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현재 열전지 관련 과제를 수행하여 개발 진행 중이며, 22년 이후


현재 130 Wh/kg 수준의 비에너지 기술 확보, ASB(프랑스)
드론탑재 시연 계획 중, 국방과학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용융리튬 함침형 금속 다공체 기반 리튬전극(LiMFA)


미래도전 ’21~’24 국과연 53.1억원 구두확인
기술 개발

- [비행체 - 기체 - 전지] 드론 고속 충전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0% 이며,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드론의 임무지속성에 중요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고속 충전 기술”은 1~2시간 충전에, 30분 내외를 비행하는 드론의 배터리
기술을 보완하기 위해 연속 임무 수행이 가능한 수준의 급속 충전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반도체 접합 구조 계면을 형성해 급속 충・방전 조건하에서도


5분 만에 100% 충전 완료, 플래시배터리 기술로 느린 방전 및
고용량, 장수명이 가능한 신개념 리튬이차전지 음극 소재를 개발,
빠른 충전을 가능하게 함, Store Dot(이스라엘)
한국과학기술원

∙ 국방전략기술 : 5-2 지상무인 추진 및 에너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FCS]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 이며,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드론의 임무지속성에 중요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192
국방 드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은 항법센서 등의 센서정보로부터 드론의
자세, 위치 제어 및 경로 유지 비행, 상황에 따른 비행 제어를 위한 장치의 HW 및
SW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전통적인 기업이 고신뢰성 제품을 생산 하나, 소형 제품에는 대부분 오픈소스 활용 중이며 직접 개발 하는 기업은 극소수,
오픈소스를 활용, GURTISS-WRIGHT(미국) 연구소 등에서는 개발함, 네스앤텍/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제4장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방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FCS]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기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 이며, 기술격차는 3년으로 로
분석되며 드론의 임무지속성에 중요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드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은 FCS에서 드론에 적합한
IMU의 최적 신호처리((자세센서) IMU 센서 처리 기술, (자세계산) AHRS 알고리즘)
방법을 개발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센서 처리 기술을 기반 기술로서 개발 중이나 소형 무인기를


전통적인 기업이 비행에 적합한 센서 생산중이나, 초소형센서와
대상으로 보면 대부분 외산 센서 혹은 오픈소스를 활용 중이며
오픈소스 등장, Crossbow(미국)
직접 개발 하는 것은 극소수임, 네스앤텍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FCS]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 이며,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드론의 임무지속성에 중요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은 FCS에서 드론에
적합한 GNSS의 최적 신호처리((위치센서) GNSS 센서 처리 기술, (자세-위치 통합)

19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INS 통합 기술) 방법을 개발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신생 기업의 센서제품이 출시되어 활용 중이며, 최근 소형화되어 대부분 외산 센서 혹은 오픈소스 활용 중이며 직접 개발 하는 것은
성장 지속중, VectorNav(미국) 극소수임, 네스앤텍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추력시스템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0% 이며, 기술격차는 5년으로
분석되며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추력시스템 기술”은 수직이착륙
분산전기추진시스템 관련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축소기술시연기(SVD, Subscale
Vehicle Demonstrator)로 기술을 검증하고 단일 추력시스템을 여러 형태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무인기에 적용 가능하도록 모듈화하여 비행체 크기에 상관없는
추력시스템을 개발하며, 인구 밀집 도심 운용 활성화를 위한 친환경 저소음
분산추력시스템 개발, 전기모터에 최적화된 고효율 추력시스템 개발 및 구동모터
고장에도 비행안전성 확보를 위한 분산추력 시스템의 추력 안정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다수의 전기동력 프로펠러를 이용한 Wilngless형 비행체
틸트로터 및 Lift 프로펠러 기반 비행체 개발에 따른 유인 드론
개발, Volocopter(독일)
분야에 적용, 현대자동차/한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외 각 대학
2. 틸트로터 및 Lift 형 프로펠러를 조합한 분산추진시스템 개발,
및 기업
Joby Aviation(미국)

∙ 국방전략기술 : 4-16 고효율 동력전달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0% 이며,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며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은 플랫폼에 따른 저소음 동력장치를 개발하는
기술임

194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다수의 전기동력 프로펠러를 이용한 Wilngless형 비행체


개발, Volocopter(독일) 1. 로터 블레이드 끝단에서 발생 와류크기를 변경하도록
2. 틸트로터 및 Lift 형 프로펠러를 조합한 분산추진시스템 개발, 블레이드 끝단 형상을 최적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LG전자
Joby Aviation(미국) * 자체 개발 모터 몇몇 진행 중이나 활용 가능한 제품은 극히
3. 소형 무인기를 대상으로 하는 전동모터와 프로펠러 구동 적음
체계에서는 다양한 제품이 생산 되고 있음. T-Motor(중국)

∙ 국방전략기술 : 4-15 저소음/저진동 로터 최적화 기술


제4장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항법시스템]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위한 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 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술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국내 기술이 낮아 기술 개발 필요 드
∙ 명세 :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위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은 실제 맵
항법위성 신호와 교란신호의 구분과 재밍/스푸핑 상황탐지를 위한 항법 신호 처리
알고리즘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스푸핑 신호 생성 및 회피 기술 개발, Harris(미국), SwRI


(Southwest Research Institue)(미국/MITRE (미국)/
스푸핑 신호 생성 및 회피 기술 개발, 서울대학교/
Stanford Univ.(미국)/Septentrio(벨기에)
인하대학교/건국대학교/한국과학기술원/한국전자통신연구
- 스푸핑신호 생성기술 : GPS신호 칩 0.97 usec이내 생성
원/국방과학연구소/덕산 넵코어스
- 스푸핑신호 회피채널수 : 6 CH
- 스푸핑 신호 억압성능 : 10 dB

∙ 국방전략기술 : 5-14 무인기용 신개념 항법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초광대역 주파수 집성 항재밍 통신기술 ’24~’27 국과연 70.37억원 DTIMS

기초 플라즈마 영향을 고려한 전파센서 기술 ‘22~’25 산학연 4.00억원 DTIMS


선행핵심 초소형 항재밍 위성항법장치 기술 ‘23~’28 산학연 37.40억원 DTIMS

19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항법시스템]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국내 기술이 낮아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은
위치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동종 및 이종 센서의 중첩 및 센서
신호처리를 통한 항법성능 실시간 감지 및 고장대응을 위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GNSS 센서 다중화 및 안티재밍 기술 적용 제품이 존재함, 고성능 GNSS 개발 기업은 존재하나, 드론에 활용가능한 초소형
METEKSAN(터키) GNSS는 외산에 의존, 아센/케이앤씨텍/두시텍 등

∙ 국방전략기술 : 5-14 무인기용 신개념 항법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처리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5%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이 낮아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처리 기술”은 각각의 드론이 탑재하고
있는 연산능력을 활용하여 협력 임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드론 자율운항
지원을 위한 중앙/분산 연계 실시간 시스템을 개발하며, 드론 운용을 위한
decentralized 알고리즘 개발 및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군집 비행 관련 업체는 대부분 드론쇼를 위한 부분이며,


중앙 집중화 되어있는 군집 비행 계획 및 제어 기술 개발은 국과연에서 군집 비행을 위한 제어 기반 기술 연구를 일부 진행
되었으며, 현재 분산 제어 관련 기술을 개발 중, Intel(미국) 하였으며, DNA+드론 사업으로 Edge AI 및 클라우드 AI 기술
진행 중,국방과학연구소/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국방전략기술 : 5-14 무인기용 신개념 항법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기반 OS 기술

196
국방 드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2.0년으로


분석되어 세계 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이 낮아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기반 OS 기술”은 미션 응용을
위해 고성능 비전 프로세싱, 머신러닝 등을 위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 및 실시간
GPGPU 스케줄링 기술이 적용된 드론에 필요한 고성능/ 고신뢰성의 OS 기술을
확보하고 상용화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영상 처리 알고리즘의 급격한 발전으로 많은 기능들이 개발 되고 제4장


있으며, 영상 추적, 안면 혹은 사람 인식 등의 간단한 기능을 탑재한 현재 드론 운용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듀얼 OS가 개발됨,
OS개발을 바탕으로 드론에 탑재 되어 비행까지 연동되고 있음, 서울과학기술대/한국과학기술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
DJI(중국) 방



∙ 국방전략기술 : 5-15 국방무인로봇 기술 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로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은 전장 상황 객체(병력, 무기체계, 환경요소
등)를 정형화되게 표현하고 이를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딥러닝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상에서 표적을 인식하는


피아 자원의 식별 및 추적 기술보유, DARPA(미국)
지능화 기술 보유, 국과연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사물인식 및


핵심SW ’21~’25 산학연 90.00억원 DTIMS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

19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임무장비]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어느
정도 성숙한 편이나, 미래 드론발전을 위한 군 표준에 대한 연구개발진행은 되어있지
않아 세계최고수준의 군 드론 표준을 위한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은 다양한
임무장비를 장착할 수 있는 표준 장착대 및 표준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농약살포용 드론을 공통화된 플랫폼으로 하여 다양한
EO/IR센서, 화학물질탐지기, 지뢰탐지기 등 다양한 모듈을 결합
임무장비(정찰장비, 방송장비 등)를 결합하는 인터페이스 개발,
가능한 RO-16A 드론 개발, HoneyWell(미국)
순돌이드론

∙ 국방전략기술 : 5-11 무인기용 공용/공통화체계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1%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은 영상센서 집적도 향상,
저조도 성능향상 기술 비냉각형 적외선 센서의 경량화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Inpixal社 ASIO-155(프랑스)/AVT社 CM-142(호주),
Controp社 U-STAMP(이스라엘) 새론 S&I/이오시스템
- 중량 : 2kg 내외 - 중량 : 0.35kg
- Ball 직경 : 150mm 내외 - EO 인지 성능(차량) : 1km
- EO 인지 성능(전차기준) : 5km 내외 - IR 인지 성능(차량) : 0.6km
- IR 성능(전차기준) : 1km 내외 - EO 해상도 : 1280x720
- EO 해상도 : 1280x720 수준 - IR 해상도 : 640x512
- IR 해상도 : 640x480 수준

∙ 국방전략기술 : 1-8 감시정찰용 다중대역 IR 검출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1%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198
국방 드론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은 AI를 활용해 동영상 내의 형상에 대해 딥러닝
기반으로 동영상 내의 형상을 통해 객체를 인식하고 영상 내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시스템 구현, Boeing(미국) 새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시스템 구현, LIG넥스원


- 무게 : 확인제한 - 중량 : 450g
- 크기 : 확인제한 - 크기 : 90.0 x 180.0 x 60.0 mm
- 객체 인식 : 확인제한 - 객체 인식 : 7개 이하 제4장



∙ 국방전략기술 : 1-8 감시정찰용 다중대역 IR 검출 기술 드
∙ 관련국방연구목록 론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로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사물인식 및 드
핵심SW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
’21~’25 산학연 90.00억원 DTIMS 맵
응용 초분광 기반 복합위협 인지기술 ‘23~’27 국과연 71.49억원 DTIMS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1%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은 영상정보의 객체 인식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센서 자세를 제어하여 이동물체 등을 추적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 기반 자율 객체 추적 시스템 구현, Boeing(미국) 새AI 기반 자율 객체 추적 시스템 구현, LIG넥스원


- 무게 : 확인제한 - 중량 : 450g
- 크기 : 확인제한 - 크기 : 90.0 x 180.0 x 60.0 mm
- 객체 인식 : 확인제한 - 객체 인식 : 7개 이하

∙ 국방전략기술 : 1-17 인공지능 기반 자율인식 지능형 센서 기술

19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사물인식 및
핵심SW ’21~’25 산학연 90.00억원 DTIMS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
다중임무를 위한 영상추적형 소형 자폭무인기
선행핵심 ‘20~’23 국과연 99.50억원 DTIMS
기술연구

- [임무장비 - 정찰장비(SAR)]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1%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은 드론 장착용 SAR의 RF
처리부에 대한 소형/경량/저전력 설계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저전력 드론용 SAR 개발, IMSAR(미국) 저전력 드론용 SAR 개발, LIG넥스원
- 탑재체 무게 : 3.35 kg (레이돔 포함) - 탑재체 무게 : 2.4 kg (레이돔 제외)
- 소비전력 : 81W - 소비전력 : 100W
- 크기 : 9.5 * 77.6 * 9.52 CM - 크기 : 18 * 22 * 26 CM
- 영상 해상도 : 1 m 이하 - 영상 해상도 : 1 m 이하

∙ 국방전략기술 : 1-5 무인기 탑재용 다중채널 SAR 안테나/송수신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미래도전 20W급 W-band 고출력 증폭기 및 송수신기 개발 ’19~’23 국과연 60.00억원 DTIMS

- [임무장비 - 정찰장비(SAR)]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1%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은 드론용 SAR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소형 안테나와 구동을 위한 짐벌세트의 소형/경량화/저진동 설계 기술임

200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저전력 드론용 SAR 개발, IMSAR(미국) 저전력 드론용 SAR 개발, LIG넥스원
- 중심주파수 : 확인제한 - 중심주파수 : X band
- 드론용 안테나/짐벌 - 드론용 안테나/짐벌

∙ 국방전략기술 : 1-5 무인기 탑재용 다중채널 SAR 안테나/송수신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제4장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항공용 고출력 경량 SAR 안테나 기술 ’27~’30 미정 100.00억원 DTIMS 국


- [임무장비 - 정찰장비(SAR)]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 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1%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술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드
∙ 명세 :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은 드론용 SAR 안테나를 보호하는 레이돔 맵
구조 소형/경량화 설계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저전력 드론용 SAR 개발, IMSAR(미국) 저전력 드론용 SAR 개발, LIG넥스원
- 드론용 레이돔 개발 - 드론용 레이돔 개발

∙ 국방전략기술 : 1-5 무인기 탑재용 다중채널 SAR 안테나/송수신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항공용 고출력 경량 SAR 안테나 기술 ’27~’30 미정 100.00억원 DTIMS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약형 장비)]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은 목표물을 탐지하고, 투발형 및 자폭형 탄약을
탑재한 멀티콥터형 드론으로 신속 정확하게 표적을 타격하기 위한 정밀유도제어
기술임

20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직충돌형 드론 개발, IAI(이스라엘)/STM(터키) 직충돌형 드론 개발, LIG넥스원


- 드론중량: 5~10kg - 드론중량: 2~8kg
- 탑재중량, 1~2kg - 탑재중량:0.5~2kg
- 비행시간: 약30분 - 비행시간 : 약30분

∙ 국방전략기술 : 3-7 고성능 통합 유도조종제어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민군협력 직충돌형 소형 드론시스템 개발 ’18~’20 산학연 21.75억원 DTIMS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약형 장비)]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은 대상 표적에 따른 최적화 탄두
설계기술이며 드론에 적합하도록 초소형화 하여야 하고, 대상표적에 따라 EFP,
Shape Charge, HE, PFHE등 다양한 탄두를 최적의 형태로 장착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ROTEM-L 및 Kargu, IAI(이스라엘/STM(터키)


비 드론용 탄두(EFP, Shape Charge, HE, PFHE), 풍산
- 탄두 종류 : EFP, Shape Charge, HE, PFHE

∙ 국방전략기술 : 3-6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약형 장비)]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은 목표물과 충돌 시 탄두기폭을 위한
신관설계기술로 탄두의 특징, 표적의 특징에 따라 EFP, Shape Charge, HE, PFHE등
다양한 탄두를 최적의 형태로 기폭하는 기술임

202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ROTEM-L 및 Kargu, IAI(이스라엘/STM(터키)


비 드론용 탄두(EFP, Shape Charge, HE, PFHE), 풍산
- 탄두 종류 : EFP, Shape Charge, HE, PFHE

∙ 국방전략기술 : 3-6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임무장비 - 지원장비(수송장비)]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 제4장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이고, 기술격차는 1년으로 어느

정도 성숙한 편이나, 최적화된 설계에 대한 연구개발진행은 되어있지 않아 기술 개발 방
필요 드

∙ 명세 :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은 다양한 화물 탑재 물건 보관 및 고정을 위한 기

수송박스 설계 기술임 로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맵
Payload 2~500kg 탑재 (박스 무게 포함), 아마존/ 구글/
Payload 40kg 탑재 (박스 무게 포함), 성우 ENG
DHL/보잉/UPS/알리바바

∙ 국방전략기술 : 5-15 국방 무인로봇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임무장비 - 지원장비(LIDAR장치)]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은 맵핑 드론에 활용하는 LIDAR장치의 드론
탑재를 위한 장비경량화 (1 kg 이하), Laser 성능 향상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드론용 LIDAR 개발, Velodyne(미국) 드론용 LIDAR 개발, 정상라이다
- 채널 : 16채널 - 채널 : 16채널
- 측정범위 : 100m - 측정범위 : 0.15~30m
- 시야 : +15 ~ - 15도 - 시야 : 미확인
- 수평 : 360도 - 수평 : 270도
- 각도 분해능 : 0.1 ~ 0.4 도 - 각도 분해능 : 0.25 ~ 1.0 도
- 회전속도 : 5 ~ 20 Hz - 회전속도 : 20 Hz

20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국방전략기술 : 5-15 국방 무인로봇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58%이고, 기술격차는 2.5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은 위협도 분석과 무기체계 특성을 고려한
최적 임무 할당과 비행계획수립 등을 인공지능 기반으로 자동 수립하고 수행 관리할
수 있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전투자원의 중복을 피하고 신속히 무기를 할당하기 위한 프로그램 AI기반으로 다수로봇을 한명이 제어할 수 있도록 1:N 제어가
개발 착수, DoD(미국) 가능한 최적임무계획수립 및 통제 기술 개발 중, 국방과학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센터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19~’25 산학연 121.00억원 DTIMS

응용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25~’28 국과연 72.45억원 DTIMS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은 무인기를 제어하기 위해 모든 제어요소를
운용자가 각각 제어하는 것이 아닌 임무에 대한 Task 기반의 항목별 제어만으로 통한
운용자의 Workload를 감소시키기 위한 통제 자동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Task 기반의 운용자 행위 분류를 통한 Task 별 드론제어로직 개별 제어를 중심으로 운용자가 운용하기 복잡한 부분에 대해서
자동화,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Locheed 자동화를 구현하여 개발. 전체적인 운용자행위 분류 및 자동화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관련 기술개발 계획, 국방과학연구소

204
국방 드론

∙ 국방전략기술 : 5-12 무인기 자율임무 통제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센터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19~’25 산학연 121.00억원 DTIMS

응용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25~’28 국과연 72.45억원 DTIMS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응용 동시 감시정찰을 위한 무인기 군집제어 기술 ’22~’25 산학연 89.99억원 DTIMS

제4장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국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방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론
∙ 명세 :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은 다양한 전투환경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감시 기

정찰을 수행하기 위한 드론의 군집협업기술 및 운용통제기술임 로

* 개발 시 감시정찰능력을 강화 가능하고 다수의 군집개체수를 작전지역에 동시에 투입함으로서 군의

상황정보능력 증대 가능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정찰 및 타격을 위한 동종 다수의 군집운용 관련 기술 개발이


정찰 및 타격을 위한 동종 다수의 군집운용 관련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기종 군집 운용 및 군집 개체수를 늘려가는
학교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핵심기술 위주의 10대 미만의
중, Boeing(미국)/Northrop Grumman (미국)/ Lockheed
개체 수에 대한 군집 연구가 진행 되고 있음, 한국과학기술원 등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센터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19~’25 산학연 121.00억원 DTIMS

응용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25~’28 국과연 72.45억원 DTIMS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시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5~’29 산학연 250.00억원 DTIMS

응용 동시 감시정찰을 위한 무인기 군집제어 기술 ’22~’25 산학연 89.99억원 DTIMS

20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은 동시에 여러 지역/시점에서
감시정찰하고 탐지된 다중 목표물을 즉각 공격하기 위해 감시정찰무인기와 공격용
무인기를 군집으로 운용하기 위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정찰 및 타격을 위한 동종 다수의 군집운용 관련 기술 개발이


정찰 및 타격을 위한 동종 다수의 군집운용 관련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기종 군집 운용 및 군집 개체수를 늘려가는
학교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핵심기술 위주의 10대 미만의
중,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개체수에 대한 군집 연구가 진행 되고 있음, 한국과학기술원 등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시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5~’29 산학연 250.00억원 DTIMS


응용 동시 감시정찰을 위한 무인기 군집제어 기술 ’22~’25 산학연 89.99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은 군집객체 임무학습 프레임워크,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임무 모의환경을
구축하여 군집체계에 특화된 학습모델 도출, 군집객체 인공지능 자율임무 수행기술
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군집에 대한 운용성 및 효과성 증대와 전술 개발 등을 목적으로


시뮬레이션환경 기반의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형 드론 및 로봇에 대한 군집 알고리즘 개발을 목적으로
시뮬레이션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을 드론 및 로봇에 탑재하는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 등의 연구가 일부 진행되고있음,
시연도 포함, Boeing(미국)/Northrop Grumman (미국)/ 국방과학연구소
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206
국방 드론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센터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19~’25 산학연 121.00억원 DTIMS

응용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25~’28 국과연 72.45억원 DTIMS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시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5~’29 산학연 250.00억원 DTIMS

응용 동시 감시정찰을 위한 무인기 군집제어 기술 ’22~’25 산학연 89.99억원 DTIMS


제4장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방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론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기

∙ 명세 :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은 필드에서 휴대가 용이하고 로
사용자 친화적이며 조작성능이 우수한 원격조작시스템 기술, 운용자의 훈련교육 드

시간을 줄이고 제한된 시간에 직관적으로 운용이 가능한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및 전략입력 분야에서 가장 앞서나간다고 할 수 있는 게임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여 다양한 군집전략 조합을 선택하여 명령으로 지시하고 효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융합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게임의 조작을 모티브로 직관적인 조작에 의한 군집운용에 대한


운용자 통제 기술 개발이 개발되고 있음, Boeing(미국)/
사용자에 친숙한 핸들형 조종기 드로나이더가 개발됨, 드론팟
Northrop Grumman(미국)/Lockheed Martin(미국)/
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2-3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통신 단말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은 숙련도

20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연령대 등 운용자 간의 차이(between difference)를 고려한 무인이동체 운용 기술


및 피로도 과부하 등 동일운용자(with-in difference)의 동적 상황을 고려한
무인이동체 운용 기술 초보로서의 실수 혹은 피로에 의한 실수 등 인간 운용자의
한계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인터페이스를 통한 구현 기술을 융합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미군은 다양한 무인기의 운용에 따른 운용자 피로도를 고려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해왔으며, Lockheed Martin의
STANAG-4586 등의 표준을 기반으로한 지상통제장비
VCSi-4586은 STANAG-4586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UI를
공통화를 위한 핵심기술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LIG넥스원
개발하여 운용자의 편의를 도모함 Boeing(미국)/ Northrop
Grumman(미국)/Lockheed Martin(미국)/ 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2-3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통신 단말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선도형 ’19~’23 산학연 369.22억원 DTIMS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2.5년으로
분석되며, 세계적으로도 많이 개발이 진행되지 않은 기술이나,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은 조작자의 음성 및 문자를
인식하여 무인이동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 가능하도록 인간친화적인
인터페이스 설계하고 다양한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 등을 기반으로 운용자의 제어
의도를 파악하여 무인이동체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용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키보드와 마우스, 조종간이 아닌 다양한 입력장치를 통한


인터페이스 기술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드론이
AI기반 음성인식 드론 개발 및 동작 인식 분야 연구 (드론,로봇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비행 가능(수직, 대각선 상승, 원 등),
적용), KT/팜캣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208
국방 드론

∙ 국방전략기술 : 2-25 VR/AR/MR 환경 응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5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며, 세계적으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기술이나, 향후 세계최고 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은 운용자의 뇌파/시선 등의
제4장
생체신호를 직접 파악하여 조종신호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방
뇌파를 이용한 드론 제어 연구 및 뇌파 제어 드론 상용모델 출시, 드
뇌파를 인식하여 드론 비행 제어 기술 개발, 한국뇌연구원 론
DARPA(미국)/UDRONE(미국)



∙ 국방전략기술 : 2-25 VR/AR/MR 환경 응용 기술 드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은 다수의
운용자에게 동기화되어 동시 지원이 가능한 가상현실/증강현실 플랫폼 및 개별
무인이동체 제어/임무 수행/무인이동체 그룹 관리 등 운용자의 임무별 차별화된
가상현실/증강 현실 플랫폼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최근 영상 및 컴퓨터의 발전으로 가상현싱 및 증강현실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무인이동체 제어 분야에도 기술이
Interactive AR/VR 연구 및 VR/AR 적용한 지능형관제 및
연구되고 있으며 VR/AR 시스템 및 AI와의 Fusion 연구도 수행,
훈련센터 등 개발, 전자부품연구원(KETI)/네비웍스
Boeing(미국)/ 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Martin(미국)/ 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2-25 VR/AR/MR 환경 응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20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은 HMD 등의 장비를 통해 원격 운용
환경을 구현하여, 운용자가 편리하게 조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AR 구현기술 AR
운용 시 불편한 착용감, 공간정보의 왜곡(시각정보의 불일치)으로 인한 멀미나
어지럼증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HMD 및 AR구현기술은 운용자의 운용 편의를 위해 훈련, 정비


및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투과형 HMD를
혼합현실 HMD 오딧세이 제공 및 핀홀 기술 HMD 개발,
통한 영상 제공 및 Wearable Display를 통한 드론 영상 제공 기술
삼성래티널
개발, Boeing(미국)/ 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Google(미국) /VUFine(미국) 등

∙ 국방전략기술 : 2-25 VR/AR/MR 환경 응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은 지상에서 군집 무인기의
운영 개념, 임무수준, 표적 종류 및 위치에 따른 최적의 무인기 임무 조합(정찰임무,
통신임무, 공격임무 등) 및 수량을 결정하고,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군집
전체 혹은 그 부분이 수행할 임무계획을 재설정 및 재할당 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군집임무의 핵심인 통합 임무계획 및 재계획 기술은 다양한


군집임무의 핵심인 통합 임무계획 및 재계획 기술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 검증을 통해 개발되고 실현되고 있음, Boeing(미국)/
알고리즘이 학교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핵심기술 개발
Northrop Grumman(미국)/Lockheed Martin(미국)/
예정, 국방과학연구소
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 시스템

210
국방 드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전술 군집 무인기 임무계획 및 자율 임무 재계획 기술 ’22~’26 산학연 133.50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 영상분석장치]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국내 기술수준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제4장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은 다중 센서를 활용한 정밀 위치 인식, 군집 국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하는 기술임 드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기
다중센서를 통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융합 기술 발전하고 있음,

다출처영상융합체계 사업에서 단일센서가 아닌 다중센서를 통한 로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다양한 형태의 정보융합 기술 발전하고있음, 한화시스템 드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맵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장거리 다중파장 센서의 영상융합기술 ’22~’25 산학연 5.00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 영상분석장치]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은 AI를 활용하여 과거 발생한 이상탐지 혹은
조건을 입력 및 학습한 뒤 영상 내에 유사한 상황 발생 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를 활용한 영상처리는 운용자의 운용지원 및 정확한 상황인식을


다출처영상융합체계 사업에서 AI를 활용한 영상처리는 운용자의
위한 보조기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도나 속도, 동시 인식
운용지원 및 정확한 상황인식을 위한 보조기능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체수 등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 Boeing(미국)/ Northrop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한화시스템
Grumman(미국)/Lockheed Martin(미국) /IAI(이스라엘) 등

21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 영상분석장치]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은 AI를 활용해 형상(차량, 탱크, 발사체 등)을
학습시키고, 동영상내의 형상을 자동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를 활용한 영상처리는 운용자의 운용지원 및 정확한 상황인식을


다출처영상융합체계 사업에서 AI를 활용한 영상처리는 운용자의
위한 보조기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도나 속도, 동시 인식
운용지원 및 정확한 상황인식을 위한 보조기능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체수 등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 Boeing(미국)/Northrop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한화시스템
Grumman(미국)/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가변형상물체(Deformable Object) 인식 기술 ’19~’23 국과연 34.34억원 DTIMS

- [지상장비 - 지휘통제시스템]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0%이고, 기술격차는 5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은 지상통제시스템에 탑재하여 상위 C4I 망과의
연동을 보장하는 무인체계의 상호운용성이 반영된 KVMF 2.0 메시지처리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향후 무기체계 연동요소가 고려된 KVMF2.0 연구, 국방과학


VMF 메세지처리 기술 보유, DARPA(미국)
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2-26 국방 IoT/IoE 네트워크 기술

212
국방 드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지상전술데이터링크 탑재 KVMF 2.0 메시지처리 SW


핵심SW ’19~’23 국과연 47.00억원 DTIMS
플랫폼

핵심SW Army TIGER 4.0 협동교전분석 SW ’20~’23 국과연 34.46억원 DTIMS

- [지상장비 - 지휘통제시스템]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0%이고, 기술격차는 0.5년으로 제4장

분석되며, 국내 기술이 이미 성숙된 상황이지만,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에 국


뒤쳐지지 않기 위해 기술 개발 필요 방

∙ 명세 :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은 이기종 체계 간 운용되는 각종 군사부호를 론
표준화하여 상호운용성 보장 및 국방 환경에 적합한 국방 고유의 표준 기술임 기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드
MIL-STD-2525C 표준 적용, DARPA(미국) MIL-STD-2525C 표준에서 한국 확장, 국방과학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2-26 국방 IoT/IoE 네트워크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지상전술데이터링크 탑재 KVMF 2.0 메시지처리 SW


핵심SW ’19~’23 국과연 47.00억원 DTIMS
플랫폼

핵심SW Army TIGER 4.0 협동교전분석 SW ’20~’23 국과연 34.46억원 DTIMS

- [데이터링크]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국내 기술이 이미 어느 정도 성숙되었으며, 국방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기술이지만, 국내 드론기술의 발전을 위해 기술개발 지속 필요
∙ 명세 :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은 대대급 이하 소형 드론 운용개념에
적합한 상용 개방형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링크 표준 프로토콜 확보하는 기술임

21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상용통신장비 De Facto 표준 등(제조사별 개별 데이터링크 모듈 상용표준 기반 소형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 아키텍처/ 프로토콜


적용), AeroVironment(미국) /THALES(프랑스) 등 개발 중, 국방과학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2-26 국방 IoT/IoE 네트워크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국과연/


선도형 ’19~’23 369.22억원 DTIMS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 산학연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은 기존 네트워크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군집드론 개체간 안정적이고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구성 및 독립적인 FANET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개발 및 인공지능 기반 임무 수행을 위한 비행로봇과
인공지능 서버 간 실시간 통신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적대적 전파 환경에서 군집 통신 수행, DARPA(미국) 분산 다중 편대 통신 시스템 개발, 서울대학교

∙ 국방전략기술 : 2-26 국방 IoT/IoE 네트워크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실 무인체계용 데이터링크 특화연구실 ’17~’23 산학연 48.13억원 DTIMS

응용 군집무인기 통합네트워크 기술 ‘22~’26 국과연 150.00억원 DTIMS


특화실 초소형 무인기 전술신호처리 특화연구실 ‘17~’22 산학연 38.45억원 DTIMS

응용 감시정찰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링크 기술 ‘23~’25 국과연 60.51억원 DTIMS

기초 플라즈마 영향을 고려한 전파센서 기술 ‘19~’21 산학연 4.00억원 DTIMS

214
국방 드론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지능형 드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관리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통신 네트워크 전송 데이터 관리 기술”은 다수의 드론으로 부터 받는 많은
데이터 중 효과적인 데이터 처리를 위해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전송 우선순위에
따른 QoS(Quality Of Service) 를 보장하기 위한 상황인지 기반 가변적 네트워크
기술 및 초저지연 기술 기반 공중 로봇 제어 및 고속 통신을 통한 대용량 데이터 관리
기술임
제4장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국
1. 드론 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Mobile Hotspots 개발, 방
DARPA(미국) 드
1. 공중 군집 통신 라우팅 최적화를 통한 기술 개발, 한양대학교 론
2. SDN과 NFV로 드론 상황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연구
2. 5G 이동통신 아키텍처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oftware Defined Network, Network Function 기
Vitualization), NASA(미국) 술



∙ 국방전략기술 : 2-8 지능형 다계층 통합 네트워킹 대규모 접속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실 무인체계용 데이터링크 특화연구실 ’17~’23 산학연 48.13억원 DTIMS

응용 감시정찰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링크 기술 ’23~’25 국과연 60.51억원 DTIMS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무인이동체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통신 네트워크 전송 데이터 관리 기술”은 드론의 영상 전송과 같은 임무 데이터
량이 많아짐에 따라 전송률을 향상 시키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드론 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Mobile Hotspots 개발,
5G 이동형 고속 통신 기술 개발, KT
DARPA(미국)

∙ 국방전략기술 : 2-8 지능형 다계층 통합 네트워킹 대규모 접속 기술

21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실 무인체계용 데이터링크 특화연구실 ’17~’23 산학연 48.13억원 DTIMS

응용 감시정찰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링크 기술 ’23~’25 국과연 60.51억원 DTIMS

개인 전술통신단말을 위한 초소형/저전력 무선전송 및


응용 ’24~’27 산학연 50.00억원 DTIMS
접속기술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초고속/대용량 영상정보 데이터링크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회전익 대비 통신장비 운용이 용이한 고정익 드론에서 고해상도의 영상을
전송함으로써 운용자의 판단을 지원하는 중요한 기술로,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초고속/대용량 영상정보 데이터링크 기술”은 초고해상도 영상 획득 무인기를
위한 대용량 영상정보 무선 전송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드론 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Mobile Hotspots 개발, DARPA 수백Mbps ~ Gbps 급의 무선 데이터링크 기술 개발, 국방과학
(미국) 연구소

∙ 국방전략기술 : 2-7 초고용량 다중링크 무선전송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실 무인체계용 데이터링크 특화연구실 ’17~’23 산학연 48.13억원 DTIMS

응용 감시정찰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링크 기술 ’23~’25 국과연 60.51억원 DTIMS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0%이고, 기술격차는 2.5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통신 네트워크 전송 데이터 관리 기술”은 드론들에게 전달되는 명령 메시지와
드론들 사이에 교환 및 저장하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보호하는 기술임
*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여 PUF (Physical Un-cloneable Function) 기능의 경량 보안 프로토콜 시스템,

216
국방 드론

공중 군집 지능 기반의 네트워크 보안 상황 판단 및 대응을 위한 자율 보안 프로토콜 기술, 드론 제어용


통신에 대한 항재밍 통신 기술 등을 포함함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UTM 데이터 암호화 기술 개발, Thales(프랑스)


2. 항해 메시지 인증 시스템 최초 공개 예정(OS-NMA), 유럽 공중로봇 제어에 동형암호 적용, 서울대학교
갈릴레오 위치결정시스템

∙ 국방전략기술 : 2-11 자가방어 고속 통신 기술


제4장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방

사이버위협 방어를 위한 IoT기기 경량형 네트워크 론
응용 ’24~’27 산학연 50.00억원 DTIMS
접속제어 기술

선행핵심 초소형 항재밍 위성항법장치 기술 ’19~’22 산학연 60.00억원 DTIMS 술

특화실 전자파보안 특화연구실 ’23~’28 산학연 60.00억원 DTIMS 드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0%이고, 기술격차는 1년으로 국내
기술수준은 높으나, 향후 지속적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은 임무를 수행하는 드론들이 접근권한이 부여된
서버의 명령만을 수행하기 위해서 객체 상호인증, 사용자 인증 및 키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임
* 단일드론의 초경량 인증 및 보안 기술, -군집 드론 간 협력을 통한 초경량 상호 인증 및 보안 기술 등을
포함함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비행 식별 모듈 개발, Thales(프랑스) 비행 로봇 식별 모듈 (DIM)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국방전략기술 : 2-11 자가방어 고속 통신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21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은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해상에서도 운용
가능하며, 재해가 발생하여 지상이 인프라가 파괴된 상황에서도 통신의 제약을 받지
않는 위성통신 기반의 드론 통신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성층권 드론 EAV-3 개발, 항공우주연구원


1. 성층권 드론 제퍼에스, Airbus(유럽)
2. 5G는 120m 고도가 한계이며 6G는 지상/위성 통신 병합 기술
2. 성층권 드론 오디세우스, Boeing(미국)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국방전략기술 : 2-11 자가방어 고속 통신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초광대역 주파수 집성 항재밍 통신기술 ’24~’27 국과연 70.37억원 DTIMS

응용 지능형 군집항법 기술 ’23~’26 국과연 49.75억원 DTIMS

선행핵심 초소형 항재밍 위성항법장치 기술 ’23~’28 국과연 37.40억원 DTIMS

- [데이터링크 - 지상 데이터링크]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0%이고, 기술격차는 5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단없는
링크를 유지할 수 있는 적응형 무선 네트워크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WNaN(Wireless Netwirk after Nest)을 통한 연구 수행,


차세대 전술통신망 연구 진행 중, 국방과학연구소
DARPA(미국)

∙ 국방전략기술 : 2-11 자가방어 고속 통신 기술

218
국방 드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실 국방 양자 무선 통신 특화연구실 ’23~’28 산학연 63.00억원 DTIMS
특화실 무인체계용 데이터링크 특화연구실 ’17~’23 산학연 48.13억원 DTIMS
특화실 초소형 무인기 전술신호처리 특화연구실 ’17~’22 산학연 38.45억원 DTIMS
공중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중빔 안테나 소요기술 국과연/
선도형 ’17~’22 197.24억원 DTIMS
개발 산학연
응용 군집무인기 통합네트워크 기술 ‘22~’26 국과연 150.00억원 DTIMS
제4장


라. 생체모방 드론 방


 생체모방 드론은 기술의 국내 기술과 해외기술과 차이는 71.3%, 2.7년으로 세계 기
최고수준의 드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술

분석되며, 현재는 세계적으로도 전력화 된 사례가 드물어 기술의 발전은 느린 편이지만, 드

미래전장환경의 활용성이 높기 때문에 관련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함

 생체모방 드론은 곤충형, 조류형으로 나뉠 수 있으며 “(곤충형) 곤충 모방 인공날개


설계/제작기술”, “(조류형) Flap-Gliding 비행제어 기술” 등 총 40개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 [비행체 - 기체 - 동체] 경량 구조물 공력 및 구조 특성해석 및 신소재 기반 정밀제작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 대비 격차는 작으나, 생체모방드론은 아직 초기단계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드론을 향후 개발하기 위해 필요
∙ 명세 : “경량 구조물 공력 및 구조 특성해석 및 신소재 기반 정밀제작 기술”은 경량/소형
동체 공력 설계와 구조 설계 및 해석, 적층제작기법 등을 적용하여 경량/구조설계
하는 기술로 초경량, 내열성, 유연성, 신뢰성 등이 높은 신소재를 개발하여 조류형,
곤충형 드론의 동체 외피에 적용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2011년 벌새모방 드론 시제품 개발, Aero Vironment (미국)
1. 새 모방 드론 시스템 : GPS 경로점 자동 비행 23분,
2. 곤충모방 날개짓 비행 장치 개발, Havard Univ.(미국)
국방과학연구소/한화/건국대학교
2. 2018년 비둘기 드론 개발, unknown(중국)
2. 곤충모방 비행체 시스템: 원격 조종기 작동 9분 비행,
3. 2018년 초파리 모방 드론 비행 성공, Delft Univ. of
건국대학교
Technology(네덜란드)

21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기체 - 동체] 전부품 통합 다기능 구조화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10%이고, 기술격차는 5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격차가 매우 크고 국내연구 사례가 적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지속적인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전부품 통합 다기능 구조화 기술”은 전지, 다종의 전자부품을 일체화 및 시스템
간소화를 통해 하나의 구조체로 하여 공간 효율성을 향상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안테나 내장형 복합재료 기술 개발 중, 한국과학기술원,
안테나 내장형 복합재료 기술 개발 중
건국대학교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군사용 곤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응용 ‘19~’23 산학연 46.89억원 DTIMS
(구. 군사용 생체모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 [비행체 - 기체 - 날개] 유연체 유체-구조 연계 해석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이고, 기술격차는 1년으로
세계최고수준 대비 격차는 작으나, 생체모방드론은 아직 초기단계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드론을 향후 개발하기 위해 필요
∙ 명세 : “유연체 유체-구조 연계 해석 기술”은 조류형, 곤충형 드론의 양력을 생성하기
위한 날갯짓에 따른 공력해석 및 하중분석에 따른 유연체 변형을 해석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날개짓 날개의 유연성을 고려한 양력 발생 예측, Waseda 날개짓 날개의 유연성을 고려한 비행 동력학 시뮬레이션,
Univ.(일본) 한국과학기술원/서울대/건국대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220
국방 드론

- [비행체 - 기체 - 날개] 조류 모방 깃털 모사 설계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10%이고, 기술격차는 5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격차가 매우 크고 국내연구 사례가 없어 드론 개발을
위해 많은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조류 모방 깃털 모사 설계 기술”은 조류형 드론의 효율적인 비행을 모사하기
위해 날개의 단위인 깃털, 조직 등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공학적 측면에서 최적화
가능하도록 모사하는 설계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제4장

’20년에 비둘기 깃털 구조를 활용한 비행 로봇인 피젼봇 개발,


사례없음 국
Stenford Univ.(미국)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기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술



- [비행체 - 기체 - 날개] 곤충 모방 인공날개 설계/제작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이고, 기술격차는 1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 대비 격차는 작으나, 생체모방드론은 아직 초기단계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드론을 향후 개발하기 위해 필요
∙ 명세 : “곤충 모방 인공날개 설계/제작기술”은 곤충형 드론의 효율적인 비행을 위해
날개의 조직 구조 및 고속의 날갯짓에 대한 궤적을 분석하고 이를 공학적 측면에서
최적화 가능하도록 모사 설계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곤충모방 날개짓 장치 개발 중, Harvard Univ.(미국)
2. 나비 모방 드론 “메타플라이” 제품 개발, Edwin van 장수풍뎅이 날개 모방 비행체 개발, 건국대학교
Ruymbeke(프랑스)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군사용 곤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응용 ‘19~’23 산학연 46.89억원 DTIMS
(구. 군사용 생체모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응용 곤충생체 복합거동 자율로봇 기술 ‘28~’32 미정 33억원 DTIMS

22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비행체 - 기체 - 날개] 가변 구조 메커니즘 설계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 대비 격차는 작으나, 생체모방드론은 아직 초기단계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드론을 향후 개발하기 위해 필요
∙ 명세 : “가변 구조 메커니즘 설계 기술”은 가변 구조로 구성된 조류형 생물체의 날개를
모사하여 최적의 양력, 기동성을 획득하고 실속 및 급기동 착륙 및 착지(perching
등)가 가능한 가변 날개구조 메커니즘을 설계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새 날개 모방 드론 시스템 시제품 개발하여 GPS 경로점


갈매기 날개짓 모방 드론 로봇 개발, Festo(독일) 자동 최장 비행시간 23분 기록, 국방과학연구소/한화/
건국대학교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날갯짓 비행로봇 시스템 기술개발 ‘21~’24 산학연 45억원 DTIMS

- [비행체 - 동력장치(전지)] 내장형 배터리 성능 향상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내장형 배터리 성능 향상 기술”은 초소형 비행체 내부 샌드위치 구조물이나
적층 재료에 전지를 삽입하여 에너지 저장 기능과 구조물의 역할도 할 수 있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2차 전지 내장형 복합재료 기술 개발 중 2차 전지 삽입 복합재료 기술 개발 중, 한국과학기술원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222
국방 드론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생체 모방 비행체 시스템 설계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이고, 기술격차는 1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 대비 격차는 작으나, 생체모방드론은 아직 초기단계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드론을 향후 개발하기 위해 필요
∙ 명세 : “생체 모방 비행체 시스템 설계 기술”은 새나 곤충의 시스템을 모방하여
비행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센서, 구동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와의 유기적이고 안정적인 초경량 시스템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제4장

1. 새 모방 비행체 시스템 개발, 국방과학연구소/한화/ 국


벌새 모방 비행체 시스템 개발, Aero Vironment(미국) 건국대학교 방
2. 곤충 모방 시스템 개발, 건국대학교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드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FCS] 비행제어 시스템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이고, 기술격차는 1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 대비 격차는 작으나, 생체모방드론은 아직 초기단계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드론을 향후 개발하기 위해 필요
∙ 명세 : “비행제어 시스템 기술”은 새나 곤충모방 비행체의 최적 비행이 가능하도록
비행을 제어하고 위치, 자세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새와 모방 비행체 제어 시스템 개발 후 자동 비행 성공,


갈매기 날개짓 모방 드론 제어 시스템 개발, Festo(독일)
국방과학연구소/한화/건국대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FCS] Flap-Gliding 비행제어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50%이고, 기술격차는 5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22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명세 : “Flap-Gliding 비행제어 기술”은 Flap-Gliding은 독수리, 까마귀, 갈매기


등에서 자주 보이는 날개짓(Flapping)을 하다가 날개를 펼쳐 활공(Gliding)하는
비행행동으로, 최적의 에너지로 비행할 수 있는 방법이며, 이러한 조류의 비행 방법을
분석하여 조류형 드론의 최적화된 비행을 위한 제어기를 구현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날갯짓 모방을 복합거동제어기술의 기초적인 기술 개발,
갈매기 날개짓 모방 드론 제어 시스템 개발, Festo(독일)
서울대학교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국방생체모방자율로봇 특화연구센터
특화센터 ‘13~’21 산학연 154.47억원 DTIMS
(구. 국방생체모방응용)

응용 날갯짓 비행로봇 시스템 기술개발 ‘21~’24 산학연 45억원 DTIMS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FCS] 상대풍 추정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상대풍 추정 기술”은 조류형, 곤충형 드론의 최적 양력 및 임무 지속성을
위해 물체의 운동 방향에 반대로 작용하는 바람을 추정하여 비행 제어에 반영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전산유체해석 기법 적용 공력구조 해석 기술, CalTech(미국) 전산유체해석 기법 적용 공력 해석 기술, 건국대학교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군사용 곤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응용 ‘19~’23 산학연 46.89억원 DTIMS
(구. 군사용 생체모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224
국방 드론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FCS] 퍼칭(perching)을 위한 구동메커니즘 및 정밀제어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 대비 격차는 작으나, 생체모방드론은 아직 초기단계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드론을 향후 개발하기 위해 필요
∙ 명세 : “퍼칭(perching)을 위한 구동메커니즘 및 정밀제어기술”은 퍼칭(perching)은
조류가 비행 중 전깃줄이나, 나뭇가지 등 조류의 다리보다 작은 공간에 균형을 않고
안정적으로 착륙・유지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공학적 구조인 퍼칭 관절계 구현을 위한
경량화/소형화 기술 및 공기력 제어기술임
제4장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국
Perching 기반의 조류 모방 이착륙 기술분석 및 이착륙기술 개발 바퀴 활용 조류 모방 드론 이착륙 기술, 국방과학연구소/ 방
중, Edinburgh Univ.(영국)/Bridgeport Univ.(미국) 등 한화/건국대학교 드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로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맵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기어/크랭크 메커니즘 설계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이고, 기술격차는 1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 대비 격차는 작으나, 생체모방드론은 아직 초기단계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드론을 향후 개발하기 위해 필요
∙ 명세 : “기어/크랭크 메커니즘 설계기술”은 조류 및 곤충들의 움직임 분석에 따른
최적 구현을 위해 공학적 구조물인 기어/크랭크를 바탕으로 메커니즘을 설계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벌새 날개짓 모방 드론 구동 메커니즘 설계 기술, Aero 1. 새 모방 비행체 구동 메커니즘 설계 기술, 국방과학연구소/


Vironment(미국) 한화/건국대학교
2. 갈매기 날개짓 구동 메커니즘 설계 기술, Festo(독일) 2. 곤충 모방 구동 메커니즘 설계 기술, 건국대학교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22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군사용 곤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응용 ‘19~’23 산학연 46.89억원 DTIMS
(구. 군사용 생체모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응용 곤충생체 복합거동 자율로봇 기술 ‘28~’32 미정 33억원 DTIMS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소형 기어 최적 설계제작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 대비 격차는 작으나, 생체모방드론은 아직 초기단계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드론을 향후 개발하기 위해 필요
∙ 명세 : “소형 기어 최적 설계제작 기술”은 조류형 드론에 적합한 초소형, 초경량, 고정밀
특성을 지닌 기어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벌새 날개짓 모방 드론 구동 메커니즘 설계 기술, Aero


새 모방 비행체 구동 메커니즘 설계 기술, 국방과학연구소/
Vironment(미국)
한화/건국대학교
2. 갈매기 날개짓 구동 메커니즘 설계 기술, Festo(독일)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군사용 곤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응용 ‘19~’23 산학연 46.89억원 DTIMS
(구. 군사용 생체모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응용 곤충생체 복합거동 자율로봇 기술 ‘28~’32 미정 33억원 DTIMS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많은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은 조류형 드론의 작은 프레임에 탑재 가능할
정도로 소형, 경량이며, 최소한의 전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는 모터를 개발하고
제작 할 수 있는 기술임

226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DC모터: F20, T-motor(중국)


없음, 전량 수입에 의존
- 정격전압 : 7.4V ~ 14.8V
* 예) Ku Beetle, 건국대학교
* PigeonBot(2020년) 기준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제4장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날갯짓 주파수제어 메커니즘 분석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방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많은 기술 개발 필요 드

∙ 명세 : “날갯짓 주파수제어 메커니즘 분석 기술”은 조류 및 곤충들에 대한 비행형태 기
분석을 통해 날개 종류, 구조에 따른 Hz단위의 날갯짓 주파수를 분석하고 공학적 술

기구물에서 이를 구현한 기계적 구조상에서 분석된 내용을 최적화하여 구현할 수 드

있도록 메커니즘을 설계 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벌새 날개짓 모방 드론 구동 메커니즘 설계 기술, Aero


장수풍뎅이 날개짓 주파수제어 메커니즘 분석, 건국대학교
Vironment(미국)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군사용 곤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응용 ‘19~’23 산학연 46.89억원 DTIMS
(구. 군사용 생체모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응용 곤충생체 복합거동 자율로봇 기술 ‘28~’32 미정 33억원 DTIMS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초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10%이고, 기술격차는 10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격차가 매우 크고 국내연구 사례가 없어 드론 개발을
위해 많은 기술 개발 필요

22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명세 : “초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은 곤충형 드론의 작은 프레임에 탑재 가능할


정도로 소형, 경량이며, 최소한의 전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는 모터를 개발하고
제작 할 수 있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DC 모터: 자체 제작 Coreless 모터 (전력 0.8 W).


없음, 전량 수입에 의존
Servo : 정보 없음
* 예) Ku Beetle, 건국대학교
* Metafly 기준, Bionic Bird(프랑스)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운용 거리를 고려한 저전력/저중량 통신모듈 및 안테나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격차가 매우 크고 국내연구 사례가 없어 드론 개발을
위해 많은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운용 거리를 고려한 저전력/저중량 통신모듈 및 안테나 기술”은 조류형, 곤충형
생체모방 드론이 기술적, 작전적으로 적합한 운용거리에 따라 최적화된 목표성능을
고려하여 저전력/저중량/초소형화 된 통신모듈 및 안테나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초소형/초경량 Power Manage System 기술, Aero


초소형/초경량 Power Manage Sysyem 기술, 건국대학교
Vironment(미국)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군사용 곤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응용 ‘19~’23 산학연 46.89억원 DTIMS
(구. 군사용 생체모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응용 곤충생체 복합거동 자율로봇 기술 ‘28~’32 미정 33억원 DTIMS


선도형 초소형 지상로봇 군집운용 통제기술 ‘21~’26 산학연 288.1억원 DTIMS

228
국방 드론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가혹환경(위성항법성능 불량, 비가시, 투과형 장애물)에서


드론 운용을 위한 실시간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위치 추정 및 인공지능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격차가 크고 국내연구 사례가 없어 드론 개발을 위해
많은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가혹환경(위성항법성능 불량, 비가시, 투과형 장애물)에서 드론 운용을 위한
실시간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위치 추정 및 인공지능 기술”은 실내환경(위성항법,
통신네트워크 성능 불량), 비가시(저조도, 연무), 광학투과형장애물(유리, 거울)등의
제4장
가혹환경에서 무인이동체 운용을 위한 다종센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3차원
공간정보를 실시간으로 구축하고 위치정보를 추정하는 기술임 국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론
GPS 음영지역 자율 비행 기술, Skydio(미국) GPS 음영지역 자율 비행 기술, 한국과학기술원 기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맵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동종/이종 초소형 로봇의 자율기동을 위한 인공지능


응용 ‘23~’27 산학연 71.5억원 DTIMS
기반 환경인식 기술

응용 생체모방 청각센서 및 신호처리기술 ‘22~’26 산학연 30억원 DTIMS


응용 생체모방로봇용 네트워크 기반 위치추정기술 ‘22~’25 산학연 42억원 DTIMS

선도형 초소형 지상로봇 군집운용 통제기술 ‘21~’26 산학연 288.1억원 DTIMS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기반 OS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55.4%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대비 격차가 매우 크고 국내연구 사례가 없어 드론 개발을
위해 많은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기반 OS 기술”은 미션 응용을
위한 OS 기술 확보 및 상용화 및 고성능 비전 프로세싱, 머신러닝 등을 위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 실시간 GPGPU 스케줄링 기술임

22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영상 처리를 드론 제어에 연동은 통합 등의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지상 영상 분석을 통한 탐지 및 도시 수준 기술 도입 단계임.
영상 처리 알고리즘의 급격한 발전으로 많은 기능들이 개발 되고
시스템 통합 및 경량화 선행 필요. 영상 처리 기술의 연구개발은
있으며, 영상 추적, 안면 혹은 사람 인식 등의 간단한 기능은 드론에
많이 진행 되고 있으며 드론 운용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탑재 되어 비행까지 연동되고 있음, Nvidia(미국)/ DJI(중국)
듀얼 OS 개발, 서울과학기술대/ 한국과학기술원/한국전자통신
연구원

∙ 국방전략기술 : 5-26 지상무인 생체모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무기체계용 고신뢰 내장형 실시간 보안 OS 기술개발


응용 (구. 모바일 내장형 실시간 보안OS 적용성 및 안정성 ‘17~’21 국과연 63.06억원 DTIMS
검증 기술)

핵심SW 초소형 생체모방 로봇용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기술 ‘20~’24 산학연 47.85억원 DTIMS

- [임무장비 – 독립장치 배터리] 독립장치 센서용 초소형 고출력 베타전지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9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독립장치 센서용 초소형 고출력 베타전지 기술”은 원자력 전지 중 하나인
베타전지는 주로 Ni-63과 트리튬을 사용하여 방출되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해 이용하는 전지이며 충전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전지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1. ‘Ni-63’과 ‘트리튬’ 기반의 약 5 ~ 500 nW 수준의 베타전지 1. ‘NI-63’기반의 베타전지 원천기술을 확보하였으며 출력이
개발하였음, Citylab(미국) 147nW 수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 ‘19년 50년간 사용할 수 있는 동위원소 ‘Ni-63’기반 2. ‘21년 이온빔 기술을 활용한 설계를 통해 질화갈륨 기반의
베타전지 개발하였음, 국영 연료회사(TVEL)(러시아) 새로운 베타전지 구조를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

∙ 국방전략기술 : 8-2 신재생 에너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230
국방 드론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은 영상센서 집적도 향상,
저조도 성능향상 기술 비냉각형 적외선 센서의 경량화 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Inpixal社 ASIO-155(프랑스)/AVT社 CM-142(호주),
Controp社 U-STAMP(이스라엘) 새론 S&I/이오시스템
제4장
- 중량 : 2kg 내외 - 중량 : 0.35kg
- Ball 직경 : 150mm 내외 - EO 인지 성능(차량) : 1km
- EO 인지 성능(전차기준) : 5km 내외 - IR 인지 성능(차량) : 0.6km


- IR 성능(전차기준) : 1km 내외 - EO 해상도 : 1280x720
- EO 해상도 : 1280x720 수준 - IR 해상도 : 640x512 드
- IR 해상도 : 640x480 수준 론



∙ 국방전략기술 : 1-8 감시정찰용 다중대역 IR 검출 기술 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곤충 시각을 모사한 거동인식 센서기술 ‘22~’25 산학연 88.7억원 DTIMS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은 AI를 활용해 동영상내의 형상에 대해 딥러닝
기반으로 동영상 내의 형상을 통해 객체를 인식하고 영상 내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시스템 구현, Boeing(미국) 새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시스템 구현, LIG넥스원
- 무게 : 확인제한 - 중량 : 450g
- 크기 : 확인제한 - 크기 : 90.0 x 180.0 x 60.0 mm
- 객체 인식 : 확인제한 - 객체 인식 : 7개 이하

∙ 국방전략기술 : 1-8 감시정찰용 다중대역 IR 검출 기술

23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사물인식 및


핵심SW ’21~’25 산학연 90.00억원 DTIMS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

응용 복안영상 기반의 적응형 환경인식기술 ‘21~’25 산학연 40.5억원 DTIMS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은 영상정보의 객체 인식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센서 자세를 제어하여 이동물체 등을 추적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 기반 자율 객체 추적 시스템 구현, Boeing(미국) 새AI 기반 자율 객체 추적 시스템 구현, LIG넥스원


- 무게 : 확인제한 - 중량 : 450g
- 크기 : 확인제한 - 크기 : 90.0 x 180.0 x 60.0 mm
- 객체 인식 : 확인제한 - 객체 인식 : 7개 이하

∙ 국방전략기술 : 1-17 인공지능 기반 자율인식 지능형 센서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사물인식 및


핵심SW ’21~’25 산학연 90.00억원 DTIMS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

응용 복안영상 기반의 적응형 환경인식기술 ‘21~’25 산학연 40.5억원 DTIMS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두)] 드론용 초소형 경량 탄두 설계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용 초소형 경량 탄두 설계기술”은 대상 표적에 따른 최적화 탄두
설계기술임

232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ROTEM-L 및 Kargu, IAI(이스라엘)/STM(터키)


비 드론용 탄두(HE), 풍산
- 탄두 종류 : EFP, Shape Charge, HE, PFHE

∙ 국방전략기술 : 3-6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두)]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제4장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방

∙ 명세 :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은 목표물과 충돌 시 탄두기폭을 위한 론
신관설계기술로 탄두의 특징, 표적의 특징에 따라 HE탄 탄두를 최적의 형태로 기

기폭하는 기술임 로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맵

ROTEM-L 및 Kargu, IAI(이스라엘/STM(터키)


비 드론용 탄두(EFP, Shape Charge, HE, PFHE), 풍산
- 탄두 종류 : EFP, Shape Charge, HE, PFHE

∙ 국방전략기술 : 3-6 유도무기용 고성능 탄두/신관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은 무인기를 제어하기 위해 모든 제어 요소를
운용자가 각각 제어하는 것이 아닌 임무에 대한 Task 기반의 항목별 제어만으로 통한
운용자의 Workload를 감소시키기 위한 통제 자동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Task 기반의 운용자 행위 분류를 통한 Task 별 드론제어로직 개별 제어를 중심으로 운용자가 운용하기 복잡한 부분에 대해서
자동화,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Locheed 자동화를 구현하여 개발. 전체적인 운용자행위 분류 및 자동화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관련 기술개발 계획, 국방과학연구소

23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국방전략기술 : 5-12 무인기 자율임무 통제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센터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19~’25 산학연 121.00억원 DTIMS

응용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25~’28 국과연 72.45억원 DTIMS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은 다양한 전투환경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감시
정찰을 수행하기 위한 드론의 군집협업기술 및 운용통제기술임
* 개발 시 감시정찰능력을 강화 가능하고 다수의 군집개체수를 작전지역에 동시에 투입함으로서 군의
상황정보능력 증대 가능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정찰 및 타격을 위한 동종 다수의 군집운용 관련 기술 개발이


정찰 및 타격을 위한 동종 다수의 군집운용 관련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기종 군집 운용 및 군집 개체수를 늘려가는
학교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핵심기술 위주의 10대 미만의
중,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개체 수에 대한 군집 연구가 진행 되고 있음, 한국과학기술원 등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특화센터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19~’25 산학연 121.00억원 DTIMS
응용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25~’28 국과연 72.45억원 DTIMS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은 동시에 여러 지역/시점에서

234
국방 드론

감시정찰하고 탐지된 다중 목표물을 즉각 공격하기 위해 감시정찰무인기와 공격용


무인기를 군집으로 운용하기 위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정찰 및 타격을 위한 동종 다수의 군집운용 관련 기술 개발이
정찰 및 타격을 위한 동종 다수의 군집운용 관련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기종 군집 운용 및 군집 개체수를 늘려가는
학교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핵심기술 위주의 10대 미만의
중,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개체 수에 대한 군집 연구가 진행 되고 있음, 한국과학기술원 등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제4장

∙ 관련국방연구목록 국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드
시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5~’29 산학연 250.00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드

분석/평가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은 군집객체 임무학습 프레임워크,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임무 모의환경을
구축하여 군집체계에 특화된 학습모델 도출, 군집객체 인공지능 자율임무 수행기술
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군집에 대한 운용성 및 효과성 증대와 전술 개발 등을 목적으로
시뮬레이션환경 기반의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형 드론 및 로봇에 대한 군집 알고리즘 개발을 목적으로
시뮬레이션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을 드론 및 로봇에 탑재하는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등의 연구가 일부 진행되고있음,
시연도 포함,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국방과학연구소
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제어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23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지상장비 - GCS]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은 필드에서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 친화적이며 조작성능이 우수한 원격조작시스템 기술, 운용자의 훈련교육
시간을 줄이고 제한된 시간에 직관적으로 운용이 가능한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및 전략입력 분야에서 가장 앞서나간다고 할 수 있는 게임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여 다양한 군집전략 조합을 선택하여 명령으로 지시하고 효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융합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게임의 조작을 모티브로 직관적인 조작에 의한 군집운용에 대한
운용자 통제 기술 개발이 개발되고 있음, Boeing(미국)/
사용자에 친숙한 핸들형 조종기 드로나이더가 개발됨, 드론팟
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Martin(미국)/
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2-3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통신 단말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어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은 숙련도
연령대 등 운용자 간의 차이(between difference)를 고려한 무인이동체 운용 기술
및 피로도 과부하 등 동일운용자(with-in difference)의 동적 상황을 고려한
무인이동체 운용 기술 초보로서의 실수 혹은 피로에 의한 실수 등 인간 운용자의
한계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인터페이스를 통한 구현 기술을 융합한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미군은 다양한 무인기의 운용에 따른 운용자 피로도를 고려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해왔으며, Lockheed Martin의 VCSi-4586은
STANAG-4586 등의 표준을 기반으로한 지상통제장비
STANAG-4586을 기반으로한 사용자 UI를 개발하여 운용자의
공통화를 위한 핵심기술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LIG넥스원
편의를 도모함 Boeing(미국)/ Northrop Grumman(미국)/
ockheed Martin(미국)/ IAI(이스라엘) 등

236
국방 드론

∙ 국방전략기술 : 2-3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통신 단말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미래도전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15~’24 국과연 44.27억원 DTIMS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선도형 ’19~’23 산학연 369.22억원 DTIMS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

- [지상장비 - GCS]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제4장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75%이고, 기술격차는 2.5년으로

분석되며, 세계적으로도 많이 개발이 진행되지 않은 기술이나,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방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드

∙ 명세 :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은 조작자의 음성 및 문자를 기

인식하여 무인이동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 가능하도록 인간친화적인 로
인터페이스 설계하고 다양한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 등을 기반으로 운용자의 제어 드

의도를 파악하여 무인이동체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용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키보드와 마우스, 조종간이 아닌 다양한 입력장치를 통한
인터페이스 기술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드론이
AI기반 음성인식 드론 개발 및 동작인식 분야 연구 (드론,로봇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비행 가능(수직, 대각선 상승, 원 등),
적용), KT/팜캣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2-25 VR/AR/MR 환경 응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5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며, 세계적으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기술이나,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은 운용자의 뇌파/시선 등의
생체신호를 직접 파악하여 조종신호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기술임

23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뇌파를 이용한 드론 제어 연구 및 뇌파 제어 드론 상용모델 출시,


뇌파를 인식하여 드론 비행 제어 기술 개발, 한국뇌연구원
DARPA(미국)/UDRONE(미국)

∙ 국방전략기술 : 2-25 VR/AR/MR 환경 응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은 다수의
운용자에게 동기화되어 동시 지원이 가능한 가상현실/증강현실 플랫폼 및 개별
무인이동체 제어/임무 수행/무인이동체 그룹 관리 등 운용자의 임무별 차별화된
가상현실/증강 현실 플랫폼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최근 영상 및 컴퓨터의 발전으로 가상현싱 및 증강현실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무인이동체 제어 분야에도 기술이
Interactive AR/VR 연구 및 VR/AR 적용한 지능형관제 및
연구되고 있으며 VR/AR 시스템 및 AI와의 Fusion 연구도
훈련센터 등 개발, 전자부품연구원(KETI)/네비웍스
수행,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2-25 VR/AR/MR 환경 응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3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은 HMD 등의 장비를 통해 원격 운용
환경을 구현하여, 운용자가 편리하게 조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AR 구현기술 AR
운용시 불편한 착용감, 공간정보의 왜곡(시각정보의 불일치)으로 인한 멀미나
어지럼증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임

238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HMD 및 AR구현기술은 운용자의 운용 편의를 위해 훈련, 정비


및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투과형 HMD를
혼합현실 HMD 오딧세이 제공 및 핀홀 기술 HMD 개발,
통한 영상 제공 및 Wearable Display를 통한 드론 영상 제공 기술
삼성래티널
개발,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Google(미국)/VUFine(미국) 등

∙ 국방전략기술 : 2-25 VR/AR/MR 환경 응용 기술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제4장


- [지상장비 - GCS]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 방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기
∙ 명세 :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은 지상에서 군집 무인기의 술

운영 개념, 임무수준, 표적 종류 및 위치에 따른 최적의 무인기 임무 조합(정찰임무, 드

통신임무, 공격임무 등) 및 수량을 결정하고,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군집
전체 혹은 그 부분이 수행할 임무계획을 재설정 및 재할당 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군집임무의 핵심인 통합 임무계획 및 재계획 기술은 다양한


군집임무의 핵심인 통합 임무계획 및 재계획 기술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 검증을 통해 개발되고 실현되고 있음, Boeing(미국)/
알고리즘이 학교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핵심기술 개발
Northrop Grumman(미국)/Lockheed Martin(미국)/
예정, 국방과학연구소
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전술 군집 무인기 임무계획 및 자율 임무 재계획 기술 ’22~’26 산학연 133.50억원 DTIMS

- [지상장비 - GCS]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60%이고, 기술격차는 4년으로
분석되어, 국내 기술수준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23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명세 :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은 다중 센서를 활용한 정밀 위치 인식,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다중센서를 통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융합 기술 발전하고 있음,
다출처영상융합체계 사업에서 단일센서가 아닌 다중센서를 통한
Boeing(미국)/Northrop Grumman(미국) /Lockheed
다양한 형태의 정보융합 기술 발전하고있음, 한화시스템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장거리 다중파장 센서의 영상융합기술 ’22~’25 산학연 5.00억원 DTIMS

- [지상장비 -]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은 AI를 활용하여 과거 발생한 이상탐지 혹은
조건을 입력 및 학습한 뒤 영상 내에 유사한 상황 발생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임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를 활용한 영상처리는 운용자의 운용지원 및 정확한 상황인식을
다출처영상융합체계 사업에서 AI를 활용한 영상처리는 운용자의
위한 보조기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도나 속도, 동시 인식
운용지원 및 정확한 상황인식을 위한 보조기능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체 수 등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 Boeing(미국)/Northrop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한화시스템
Grumman(미국)/ 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 없음

- [지상장비 - GCS]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 분석사유 : 세계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수준이 80%이고, 기술격차는 2년으로
분석되며, 향후 세계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을 위해 기술 개발 필요
∙ 명세 :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은 AI를 활용해 형상(차량, 탱크, 발사체 등)을
학습시키고, 동영상 내의 형상을 자동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임

240
국방 드론

세계최고수준 국내최고수준

AI를 활용한 영상처리는 운용자의 운용지원 및 정확한 상황인식을


다출처영상융합체계 사업에서 AI를 활용한 영상처리는 운용자의
위한 보조기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도나 속도, 동시 인식
운용지원 및 정확한 상황인식을 위한 보조기능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체 수 등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 Boeing(미국)/Northrop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한화시스템
Grumman(미국)/Lockheed Martin(미국)/IAI(이스라엘) 등

∙ 국방전략기술 : 5-13 무인기 협업/자율비행 시스템


∙ 관련국방연구목록
제4장

구분 과제명 기간 주관 예산 출처

응용 가변형상물체(Deformable Object) 인식 기술 ’19~’23 국과연 34.34억원 DTIMS 방






24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제3절 기술로드맵

01 회전익 국방 드론

가. 회전익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총괄표

<회전익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녹색은 민간주도 기술개발, 적색은 국방주도 기술개발, 황색은 민군공동 기술개발 제안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1 2 비행체 다기능 구조물 제조 기술 23 27
2 3 기체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 27 31
3 3 기체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 23 27
4 3 기체 비행 중 기체 형상변형기술 23 27
드론용 하이브리드동력원시스템
5 4 하이브리드 장치 22 27
설계 및 개발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6 4 연료전지 22 26
시스템 개발
연료전지 동력원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7 4 연료전지 23 27
통합설계 기술

8 4 연료전지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터빈엔진 개발 23 28

9 4 연료전지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 23 25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10 4 전지 23 27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11 4 전지 25 28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팩 시스템

12 4 전지 수계전지 기반저온 작동리튬이차전지기술 << 24

13 4 전지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 << 23


14 4 전지 드론 고속 충전 기술 23 27
15 4 FCS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 23 29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16 4 FCS 23 26
신호처리기술

242
국방 드론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항법센서의
17 4 FCS 23 26
신호처리기술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18 4 구동장치 23 27
추력시스템 기술
19 4 구동장치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 23 27
드론용 고효율 소형모터 및 제어기
20 4 구동장치 23 26
설계기술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21 4 항법시스템 24 28 제4장
위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 고장
22 4 항법시스템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
22 27 국

실내, 비가시 환경에서 드론 운용을 위한
23 4 항법시스템 네트워크 및 자기장계 응용 22 24

관성복합항법기술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24 4 임무컴퓨터 22 24 술
처리 기술

25 4 임무컴퓨터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22 25

플랫폼 기반 OS 기술 맵
26 4 임무컴퓨터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 << 25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27 4 임무컴퓨터 22 25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28 3 정찰장비(EO/IR) 23 26
저전력화 기술
29 3 정찰장비(EO/IR)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23 26
30 3 정찰장비(EO/IR)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23 26
드론용 SAR 센서의
31 3 정찰장비(SAR) 23 26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32 3 정찰장비(SAR)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 23 26

33 3 정찰장비(SAR)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 23 26
공격장비
34 3 충격흡수 및 발사제어장치 기술 23 26
(발사형 장비)
공격장비
35 3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 23 26
(탄약형 장비)
공격장비
36 3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23 26
(탄약형 장비)
공격장비
37 3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23 26
(탄약형 장비)
지원장비 드론용 복합방식(MD+GPR)
38 3 23 26
(지뢰탐지장비) 지뢰탐지기를 위한 지면 적응 기술
지원장비 드론 탑재용 화생방 탐지용
39 3 << 28
(화생방탐지장비) 초소형 센서 기술

24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지원장비
40 3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 23 25
(수송장비)
지원장비
41 3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 23 26
(LIDAR장비)
42 4 비행/임무 통제장치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 25 28
43 4 비행/임무 통제장치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23 26

44 4 비행/임무 통제장치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23 26


45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3 26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46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24 27
분석/평가 기술

47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23 26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상태를


48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4 27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49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3 26

50 4 비행/임무 통제장치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7 31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51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3 26
VR/AR 플랫폼 기술
52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23 25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53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3 27
재계획 기술
54 4 영상분석장치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23 26
55 4 영상분석장치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23 26
56 4 영상분석장치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 23

57 4 이동형 스테이션 드론자동이착륙및무선충전스테이션기술 22 24

58 3 지휘통제시스템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 23

59 3 지휘통제시스템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 << 23


60 2 데이터링크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 << 23
61 3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 23 28

62 3 항공 데이터링크 지능형드론데이터통신네트워크관리기술 26 30

63 3 항공 데이터링크 무인이동체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22 26


64 3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 23 26
65 3 항공 데이터링크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 23 26
66 3 항공 데이터링크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 24 28
67 3 지상 데이터링크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 22 26

244
국방 드론

나. 구성요소에 따른 회전익 국방 드론 기술 분석

 [비행체]다기능 구조물 제조 기술
- “다기능 구조물 제조 기술”은 Electronic Part(Actuator / Antenna / Sensor) 일체형
구조물 및 전력원(Solar Panel / Battery) 일체형 구조물 및 대변형 대응 복합재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술로 분석결과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제4장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국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 드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술



 [비행체 - 기체]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
-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은 마이크로캡슐 및 미세관 네트워크(Vascular
network)의 재료 내 적용을 이용한 자가치유 구조, 재료의 가역 분자 결합(Reversible
molecular bond) 방식을 이용하여 자체 복원력을 가진 모르타르(Mortar) 적용 블록형
자가복원 구조 등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로 분석결과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7 31

 [비행체 - 기체]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


-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은 복합재료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구조 제작 기술로 분석결과 관련연구로 국방에서는 “3D 프린팅 기반 초경량/고강도/
잡형상 섬유강화복합소재 제조 기술” 등이 있으나, 복합재료 프린팅 기술을 드론에

24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적용한 해외사례 대비 국내에는 적용 사례가 없어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기체] 비행 중 기체 형상변형기술


- “비행 중 기체 형상변형기술”은 다양한 요구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회전익 블레이드 형상
변형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기체 - 하이브리드 장치] 드론용 하이브리드 동력원시스템 설계 및 개발


- “드론용 하이브리드 동력원시스템 설계 및 개발 기술”은 드론 출력과 운용시간 증대를
통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이차전지+엔진+신재생에너지 등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동력원을 개발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하이브리드 동력원시스템 설계 및 개발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7

246
국방 드론

 [비행체 - 기체 - 연료전지]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기술”은 장시간 운용을 위한 드론
연료전지 시스템 성능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제4장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6 방


 [비행체 - 기체 - 연료전지] 연료전지 동력원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통합설계 기술


- “연료전지 동력원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통합설계 기술”은 연료전지를 드론 적용에 로

적용하기 위한 통합설계, 최적설계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현재 국내 맵
기술을 기반으로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연료전지 동력원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통합설계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기체 - 연료전지]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터빈엔진 개발


-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터빈엔진 개발”은 3D 프린팅 기술 활용 고효율 경량
동력원을 개발하고, 드론 동력원 시스템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경량 소재 및 내열소재
등 첨단 소재 적용 고효율 스마트 엔진 개발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4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터빈엔진 개발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8

 [비행체 - 기체 - 연료전지]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


-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은 loT 기술을 기반으로 센서 소형화/고성능화
기반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엔진탑재형 상태 감시장치 무선 독립 데이터 저장장치로
구성되는 실시간 엔진 상태감시 및 진단 시스템 개발하고 주기정비에 따른 추진시스템
운용성 저하 및 과도 예방정비를 방지할 수 있는 유지비용 절감 기술을 개발하며 소형
강건한 에너지 하베스트 무선 센서장치를 개발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5

 [비행체 - 기체 - 전지]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


-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은 높은 황
활용률(>60%) 및 높은 황 전극로딩랑(>5 mg/cm2)을 가지는 고에너지 밀도 양극,
상용카본(그라파이트, 케첸블랙, 슈퍼-피 등)을 이용한 고성능 전극 개발,
리튬폴리설파이드의 전해액 용해와 셔틀링을 조절하는 셸구조 및 소재기술 젤폴리머
전해질, 리튬-황전지 드론 탑재를 위한 전극 대면적화, 적층기술, 전해액 최적화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또한 본 기술의 개발을 위해서는 리튬-황전지 파우치 설계 및 제조기술 확보 모듈/팩
설계 및 제조 등 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술 개발이 병행되어야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48
국방 드론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기체 - 전지]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 팩 시스템


-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팩 시스템”은 드론 적용을
위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확보되고 리튬이온전도도가 우수한 전해질 기술 및 전고체
제4장
전해질과 전극간의 밀착 계면을 형성/유지하고 전기화학적 부반응을 억제하는 기술
개발을 통해 고안정성 셀 및 팩을 개발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국

단・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론
기술개발을 제안함 기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로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 팩 시스템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5 28

 [비행체 - 기체 - 전지]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리튬이차전지 기술


-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리튬이차전지 기술”은 수계(water base)의 전해질과
고농도염을 적용한 리튬기반 이차전지 기술 및 기존 유기계에 비해 저온 성능이 향상되며
-20°C 이하에서 충전이 가능한 전지를 개발하는 기술로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국방 연구개발 사업 “난연, 소안전성 함수 전해질 및 전지 기술”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국방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리튬이차전지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4

 [비행체 - 기체 - 전지]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


-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은 유도무기용 전원으로 사용되는 군용 열전지

24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기술을 기반으로 드론 탑재를 위해 비에너지밀도를 향상시킨 열전지 기술로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국방 연구개발 사업 “용융리튬 함침형 금속 다공체 기반 리튬전극(LiMFA) 기술 개발”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3

 [비행체 - 기체 - 전지] 드론 고속 충전 기술
- “드론 고속 충전 기술”은 1~2시간 충전에, 30분 내외를 비행하는 드론의 배터리 기술을
보완하기 위해 연속 임무 수행이 가능한 수준의 급속 충전 기술로 드론의 임무 지속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FCS]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


-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은 항법센서 등의 센서정보로 부터 드론의 자세, 위치
제어 및 경로 유지 비행, 상황에 따른 비행 제어를 위한 장치의 HW 및 SW기술로 FCS는
드론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해당 기술은 드론의 임무수행에 큰 영향을
미치기 SW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단・중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하며, 우선 오픈소스 기반의 FCS제어용 SW기술 개발 이후 FCS
HW기술까지 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50
국방 드론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9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FCS]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은 FCS에서 드론에 적합한 IMU의
최적 신호처리((자세센서) IMU 센서 처리 기술, (자세계산) AHRS 알고리즘) 방법을
제4장
개발하는 기술로 드론에 필수적인 FCS 관련 기술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국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소형

고정익무인항공기를 위한 자세방위기준센서 일체형 비행제어컴퓨터 모듈 개발 론
(도약협력사업, 오스텍, ’16~’17)”, “동적 시각인식 센서 기반 고속 주변 상황인지 기술 기

개발(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전자부품연구원, ’19 ~’22)” 등 유사 민간 개발 로

기술사례 다수로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맵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FCS]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은 FCS에서 드론에 적합한
GNSS의 최적 신호처리((위치센서) GNSS 센서 처리 기술, (자세-위치 통합) INS 통합
기술) 방법을 개발하는 기술 드론에 필수적인 FCS 관련 기술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25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추력시스템 기술


-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추력시스템 기술”은 수직이착륙 분산전기추진시스템
관련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축소기술시연기(SVD, Subscale Vehicle Demonstrator)로
기술을 검증하고 단일 추력시스템을 여러 형태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무인기에 적용
가능하도록 모듈화 하여 비행체 크기에 상관없는 추력시스템 개발하며, 인구 밀집 도심
운용 활성화를 위한 친환경 저소음 분산추력시스템 개발, 전기모터에 최적화된 고효율
추력시스템 개발 및 구동 모터 고장에도 비행안전성 확보를 위한 분산추력시스템의 추력
안정화 기술로 때문에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추력시스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


-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은 플랫폼에 따른 저소음 동력장치를 개발하는 기술로 드론의
저소음화는 군 작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드론용 고효율 소형모터 및 제어기 설계기술


- “드론용 고효율 소형모터 및 제어기 설계기술”은 고효율/고속 모터 설계 기술,
전기모터에 최적화된 추력시스템 개발 및 구동 모터 고장에도 비행안전성 확보를 위한
분산추력시스템의 추력 안정화 기술,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드론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고성능 서보 드라이브 및 제어 알고리즘 개발 기술로 국내 민간기술로 우수한 모터가

252
국방 드론

개발된 사례가 있으나, 다양한 체급의 드론에 적용 가능한 모터에 대한 개발이 시급하며,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국내
민간기술로 우수한 모터가 개발된 사례가 있어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고효율 소형모터 및 제어기 설계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제4장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항법시스템]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위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 론

-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위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은 실제 항법위성 술
신호와 교란신호의 구분과 재밍/스푸핑 상황탐지를 위한 항법 신호 처리 알고리즘 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맵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에도
위성통신 기술은 많이 성숙해 있으나, 군용위성 연동 등을 고려 및 기 계획된 국방 주도
기술개발 사업 “초소형 항재밍 위성항법장치 기술”, “초광대역 주파수 집성 항재밍
통신기술”, “지능형 군집항법 기술” 등을 통해 기술을 통해 단・중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위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8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항법시스템]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
-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은 위치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동종 및 이종 센서의 중첩 및 센서 신호처리를 통한
항법성능 실시간 감지 및 고장대응을 위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25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7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항법시스템] 실내, 비가시 환경에서 드론 운용을 위한 네트워크


및 자기장계 응용 관성복합항법기술
- “실내, 비가시 환경에서 드론 운용을 위한 네트워크 및 자기장계 응용 관성복합항법
기술”은 관성항법장치와 네트워크 신호세기 및 자기장 패턴 등의 다양한 신호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한 무인이동체 3차원 위치추정을 위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보유한 기술을 기반의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4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처리 기술


-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처리 기술”은 각각의 드론이 탑재하고 있는
연산능력을 활용하여 협력 임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드론 자율운항 지원을 위한
중앙/분산 연계 실시간 시스템을 개발하며, 드론 운용을 위한 decentralized 알고리즘
개발 및 시스템 구축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보유한 기술을 기반의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54
국방 드론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처리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4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기반 OS 기술
-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기반 OS 기술”은 미션 응용을 위해 고성능
제4장
비전 프로세싱, 머신러닝 등을 위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 및 실시간 GPGPU 스케줄링
기술이 적용된 드론에 필요한 고성능/고신뢰성의 OS 기술을 확보하고 상용화하는 국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보유한 기술을 기반의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론

- 또한 영상 처리를 드론 제어에 연동은 통합 등의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지상 술
영상 분석을 통한 탐지 및 도시 수준 기술 도입 단계이며 OS에 기능을 탑재하기 위해서는 로

시스템 통합 및 경량화 및 연구 등을 포함하여 기술개발이 필요함 맵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현재 진행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무기체계용 고신뢰 내장형 실시간 보안 OS 기술 개발(’17
- ’21)”을 기반으로 민군공동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 OS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5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


-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은 전장 상황 객체(병력, 무기체계, 환경요소 등)를
정형화되게 표현하고 이를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는 기술로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국방 연구개발 사업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사물인식 및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5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5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은 다양한 임무장비를
장착할 수 있는 표준 장착대 및 표준 인터페이스 개발하는 기술로 현재 기술은 어느 정도
성숙한 편이나,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국방 드론에 적용될 군 드론 표준에 관한 연구로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5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은 영상센서 집적도 향상, 저조도
성능향상 기술 비냉각형 적외선 센서의 경량화하는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군공동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은 AI를 활용해 동영상내의 형상에 대해 딥러닝 기반으로
동영상 내의 형상을 통해 객체를 인식하고 영상 내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256
국방 드론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분야에서도 기술이 활발히 개발 중이나, 데이터 학습을 위한 표적정보(적 전차, TEL
등)는 보안사항으로 국방 분야에 한정하여 사용 할 수 있으므로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제4장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은 영상정보의 객체 인식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센서 자세를 론
제어하여 이동물체 등을 추적하는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기

필요함 로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맵
민간분야에서도 기술이 활발히 개발 중이나, 데이터 학습을 위한 표적정보(적 전차, TEL
등)는 보안사항으로 국방 분야에 한정하여 사용 할 수 있으므로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정찰장비(SAR)]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은 드론 장착용 SAR의 RF 처리부에 대한
소형/경량/저전력 설계 기술로 국내에도 개발되었으나, 세계최고수준 대비 보완이
필요하며,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SAR의
경우 국방 분야 활용성이 높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5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정찰장비(SAR)]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


-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은 드론용 SAR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소형
안테나와 구동을 위한 짐벌세트의 소형/경량화/저진동 설계 기술로 국내에도
개발되었으나, 세계최고수준 대비 보완이 필요하며,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SAR의
경우 국방 활용성이 강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정찰장비(SAR)]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


-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은 드론용 SAR 안테나를 보호하는 레이돔 구조
소형/경량화 설계 기술로 국내에도 개발되었으나, 세계최고수준 대비 보완이 필요하며,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국방분야에서 다양한 SAR 및 레이돔이 개발된 사례가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258
국방 드론

 [임무장비 - 공격장비(발사형 장비] 충격흡수 및 발사제어장치 기술


- “충격흡수 및 발사제어장치 기술”은 비행환경에서 목표물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고,
목표물을 정확히 타격하기 위한 발사충격 흡수, 자세제어 및 발사제어 기술로 국내에도
개발되었으나, 표적사격 정확도 등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아 세계최고수준을 고려 시
보완이 필요하며,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군공동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제4장

충격흡수 및 발사제어장치 기술 국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방
23 26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약형 장비)]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 로

-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은 목표물을 탐지하고, 투발형 및 자폭형 탄약을 탑재한 맵
멀티콥터형 드론으로 신속 정확이 표적을 타격하기 위한 정밀유도제어 기술로
국내개발사례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아 세계최고수준을 고려 시
보완이 필요하며,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탄두 관련
기술로 민간에서 다루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약형 장비)]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은 대상 표적에 따른 최적화 탄두 설계기술이며
드론에 적합하도록 초소형화 하여야 하고, 대상표적에 따라 EFP, Shape Charge, HE,
PFHE 등 다양한 탄두를 최적의 형태로 장착하는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탄두 관련

25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기술로 민간에서 다루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약형 장비)]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은 목표물과 충돌 시 탄두기폭을 위한 신관설계기술로
탄두의 특징, 표적의 특징에 따라 EFP, Shape Charge, HE, PFHE등 다양한 탄두를
최적의 형태로 기폭하는 기술임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탄두 관련
기술로 민간에서 다루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지원장비(지뢰 탐지장비)] 드론용 복합방식(MD+GPR) 지뢰탐지기를 위한


지면 적응 기술
- “지면 적응 기술”은 지뢰탐지센서와 지면 간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지면 추종기술
및 드론 흔들림에 따라 지뢰탐지 센서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기술, 드론 고정밀
포지셔닝 기술(DGPS 등), 원격통제기와 고속 통신 기술(TBD)을 융합한 기술로 현재
드론에 장착하는 지뢰탐지기가 국내 상용화 된 것이 없어, 국내 기술은 세계최고수준
대비 제한적이기 때문에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세계최고수준 대비 보완이 필요하며,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현재 개발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드론을 이용한 지면 폭발물 실시간 광역 공중탐지체계 개발”은
화학/금속탐지식이며, 최근 개발된 체계인 “지뢰탐지기 2”와 같이 목함 지뢰 등을 탐지
할 수 있는 지면투과레이더를 활용한 복합방식(MD+GPR)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지뢰
등의 국방 분야에 한정되어 시험 및 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60
국방 드론

드론용 복합방식(MD+GPR) 지뢰탐지기를 위한 지면 적응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지원장비(화생방 탐지장비)] 드론 탑재용 화생방 탐지용 초소형 센서 기술


- “드론 탑재용 화생방 탐재용 초소형 센서 기술”은 대기에 존재하는 인체 유해물질(수포
등 화학작용제, 탄저균 등 생물학작용제 및 방사능)에 대한 탐지를 위한 초소형 센서를
제4장
개발하는 기술로 국내에서는 기초적인 기술 개발 및 적외선 분광식의 센서를 시험개발
중임 국

- 국방 연구개발 사업 “적외선 분광칩 기반 소형 원거리 화학탐지기술(구. 적외선 분광 드
MEMS기술)”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및 상용화 가능한 시제를 확보 가능할 론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적인 기술은 현재 계획 중인 “소형 지표면 화학오염 탐지센서 술
기술”로부터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로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맵

드론 탑재용 화생방 탐재용 초소형 센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8

 [임무장비 - 지원장비(수송장비)]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


-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은 다양한 화물 탑재 물건 보관 및 고정을 위한 수송박스
설계 기술로 기술격차가 많이 나지는 않지만, 화물의 충격 흡수, 환경영향성 배제를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 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5

26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임무장비 - 지원장비(LIDAR장치)]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


-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은 맵핑 드론에 활용하는 LIDAR장치의 드론 탑재를
위한 장비경량화 (1 kg 이하), Laser 성능 향상기술로 맵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장비이나, 국내 기술은 세계최고수준 대비 제한적이기 때문에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민간주도 기술 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


-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은 위협도 분석과 무기체계 특성을 고려한 최적 임무
할당과 비행계획수립 등을 인공지능 기반으로 자동 수립하고 수행 관리할 수 있는 기술로
현재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드론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은 중기적 개발이 필요함
- 국방 연구개발 사업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진행에 따라 중기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5 28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은 무인기를 제어하기 위해 모든 제어 요소를 운용자가 각각
제어하는 것이 아닌 임무에 대한 Task 기반의 항목별 제어만으로 통한 운용자의
Workload를 감소시키기 위한 통제 자동화 기술로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현재까지
많은 관련 국방 연구개발 사업이 진행되었고,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기술개발을 계획
중이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62
국방 드론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은 다양한 전투 환경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감시 정찰을
수행하기 위한 드론의 군집협업기술 및 운용통제기술로 개발 시 감시정찰능력을 강화
제4장
가능하고 다수의 군집개체수를 작전지역에 동시에 투입함으로서 군의 상황정보능력을
증대 가능하므로 국방 드론에 빠른 적용 및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국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드론 론
전술운용 방식의 이해에 따른 기술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기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로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은 동시에 여러 지역/시점에서 감시정찰하고
탐지된 다중 목표물을 즉각 공격하기 위해 감시정찰무인기와 공격용 무인기를 군집으로
운용하기 위한 기술로 개발 시 국방 드론의 전술임무 운용성 강화가 예상되므로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드론
전술운용 방식의 이해에 따른 기술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26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
-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은
군집객체 임무학습 프레임워크,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임무 모의환경을 구축하여
군집체계에 특화된 학습모델 도출, 군집객체 인공지능 자율임무 수행기술 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드론
전술운용 방식의 이해에 따른 기술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7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은 필드에서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
친화적이며 조작성능이 우수한 원격조작시스템 기술, 운용자의 훈련교육 시간을 줄이고
제한된 시간에 직관적으로 운용이 가능한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및 전략입력
분야에서 가장 앞서나간다고 할 수 있는 게임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여 다양한
군집전략 조합을 선택하여 명령으로 지시하고 효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융합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 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은 숙련도 연령대
등 운용자 간의 차이(between difference)를 고려한 무인이동체 운용 기술 및 피로도

264
국방 드론

과부하 등 동일운용자(with-in difference)의 동적 상황을 고려한 무인이동체 운용


기술 초보로서의 실수 혹은 피로에 의한 실수 등 인간 운용자의 한계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인터페이스를 통한 구현 기술을 융합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STANAG-4586 등의 민간에서 확보하기 제한되는 문서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개발이
필요하며, 현재 연구개발 중인 유사과제를 바탕으로 개발 시 효율적이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제4장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국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방

24 27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로

-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은 조작자의 음성 및 문자를 인식하여 맵
무인이동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 가능하도록 인간친화적인 인터페이스
설계하고 다양한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 등을 기반으로 운용자의 제어 의도를 파악하여
무인이동체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용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 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은 운용자의 뇌파/시선 등의 생체신호를 직접
파악하여 조종신호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세계적으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으나, 소수의 초기형태의 상용드론이 존재하는 등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기 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국내 기술을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26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 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7 31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
-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은 다수의 운용자에게
동기화되어 동시 지원이 가능한 가상현실/증강현실 플랫폼 및 개별 무인이동체
제어/임무 수행/무인이동체 그룹 관리 등 운용자의 임무별 차별화된 가상현실/증강
현실 플랫폼 기술로 국내 기술을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 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은 HMD 등의 장비를 통해 원격 운용 환경을
구현하여, 운용자가 편리하게 조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AR 구현기술 AR 운용 시
불편한 착용감, 공간정보의 왜곡(시각정보의 불일치)으로 인한 멀미나 어지럼증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 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66
국방 드론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5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
-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은 지상에서 군집 무인기의 운영
제4장
개념, 임무수준, 표적 종류 및 위치에 따른 최적의 무인기 임무 조합(정찰임무, 통신임무,
공격임무 등) 및 수량을 결정하고,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군집 전체 혹은 국

그 부분이 수행할 임무계획을 재설정 및 재할당 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론
- 국방 연구개발 사업 “전술 군집 무인기 임무계획 및 자율 임무 재계획 기술” 진행에 따라 기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로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맵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지상장비 - GCS - 영상분석장치]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은 다중 센서를 활용한 정밀 위치 인식,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 멀티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 진행 중인 개발 사업 “다출처영상융합체계”의 개발 결과 및 계획된 국방 연구개발
사업 “장거리 다중파장 센서의 영상융합기술”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26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지상장비 - GCS - 영상분석장치]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은 AI를 활용해 형상(차량, 탱크, 발사체 등)을 학습시키고,
동영상내의 형상을 자동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국방에
사용하는 표적정보(적 전차, 장갑차 등)은 민간에 공개가 어렵고 탐지 기술 성능은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많이 좌우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영상분석장치]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은 다중 센서를 활용한 정밀 위치 인식,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 진행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가변형상물체(Deformable Object) 인식 기술”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3

 [지상장비 - GCS - 이동형 스테이션] 드론 자동 이착륙 및 무선충전 스테이션 기술


- “드론 자동 이착륙 및 무선충전 스테이션 기술”은 드론을 탑재하고 운용자가 GCS를 통해
통제 및 운용을 수행, 드론의 자동 이착륙 및 자동충전 까지 수행하는 이동형 스테이션
기술로 국내외 적으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나, 세계 최고수준대비 국내
기술에 대한 보완점이 많아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 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68
국방 드론

드론 자동 이착륙 및 무선충전 스테이션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4

 [지상장비 - 지휘통제시스템]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은 지상통제시스템에 탑재하여 상위 C4I 망과의 연동을
보장하는 무인체계의 상호운용성이 반영된 KVMF 2.0 메시지처리 기술로 드론 및 타
제4장
체계 간 상호운용을 위해 중요한 기술이기 때문에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 진행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지상전술데이터링크 탑재 KVMF 2.0 메시지처리 국

SW 플랫폼”을 통해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론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드
<< 23 맵

 [지상장비 - 지휘통제시스템]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


-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은 이기종 체계 간 운용되는 각종 군사부호를 표준화하여
상호운용성 보장 및 국방 환경에 적합한 국방 고유의 표준 기술로 세계 최고수준대비
격차는 크지 않지만,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단기간
개발이 필요함
- 현재 진행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지상전술데이터링크 탑재 KVMF 2.0 메시지처리
SW 플랫폼”을 통해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3

 [데이터링크]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


-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은 대대급 이하 소형 드론 운용개념에 적합한 상용
개방형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링크 표준 프로토콜 확보하는 기술로 드론운용을 위해

26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중요한 기술이기 때문에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 진행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 을 통해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3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


-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은 기존 네트워크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군집드론
개체 간 안정적이고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구성 및 독립적인 FANET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개발 및 인공지능 기반 임무 수행을 위한 비행로봇과 인공지능 서버 간
실시간 통신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작전환경 및 통신망 등에 대한 민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으며, 현재 연구개발
중이거나, 향후 추진계획에 있는 여러 유사과제와 연계하여 개발 시 효율적이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8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지능형 드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관리 기술


- “지능형 드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관리 기술”은 다수의 드론으로 부터 받는 많은 데이터
중 효과적인 데이터 처리를 위해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전송 우선순위에 따른
QoS(Quality Of Service) 를 보장하기 위한 상황인지 기반 가변적 네트워크 기술 및
초저지연 기술 기반 공중 로봇 제어 및 고속 통신을 통한 대용량 데이터 관리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작전환경 및 통신망 등에 대한 민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으며, 현재 연구개발

270
국방 드론

중이거나, 향후 추진계획에 있는 여러 유사과제와 연계하여 개발 시 효율적이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지능형 드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관리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6 30

제4장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무인이동체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 기술”은 드론의 영상 전송과 같은 임무 데이터 량이 많아짐에 국

따라 전송률을 향상 시키는 기술로 통신 군집 위성 기반의 대규모 군집 로봇 통신 환경

구축을 위해 중요하기 때문에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론

필요함 술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기존 민간 로

인프라(4G, 5G 망 등)를 활용하는 방법은 민간 분야개발 기술 도입을 제안하고, 국방 맵
전용망을 활용하는 방법은 민간 기술을 도입하기 제한되는 점이 많고 현재까지 국방
연구개발 수행한 연구과제와 시너지 효과를 고려하여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한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무인이동체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6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
-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은 임무를 수행하는 드론들이 접근권한이 부여된 서버의
명령만을 수행하기 위해서 객체 상호인증, 사용자 인증 및 키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 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7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


-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은 드론들에게 전달되는 명령 메시지와 드론들 사이에
교환 및 저장하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보호하는 기술로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여 PUF
(Physical Un-cloneable Function) 기능의 경량 보안 프로토콜 시스템, 공중 군집
지능 기반의 네트워크 보안 상황 판단 및 대응을 위한 자율 보안 프로토콜 기술, 드론
제어용 통신에 대한 항재밍 통신 기술 등이 포함되어 실제 드론운용에 중요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데이터
보호를 위한 기술은 국방 및 민간에서 두루 개발하여 왔으나, 보안 네트워크 환경의
안전을 고려시 민간 접근이 제한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계획 되어 있는 국방 연구개발 사업인 “사이버위협 방어를 위한 IoT기기 경량형 네트워크 접속제어 기술 개발”을
통해 일부 확보 예상되는 기술을 제외한 군 전용망에 대한 드론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에 한정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


-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은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해상에서도 운용 가능하며,
재해가 발생하여 지상이 인프라가 파괴된 상황에서도 통신의 제약을 받지 않는 위성통신
기반의 드론 통신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에도
위성통신 기술은 많이 성숙해 있으나, 군용위성 연동 등을 고려 및 기 계획된 국방주도
기술개발 사업 “초소형 항재밍 위성항법장치 기술”, “초광대역 주파수 집성 항재밍
통신기술”, “지능형 군집항법 기술”등을 통해 기술을 통해 단・중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72
국방 드론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8

 [데이터링크 - 지상 데이터링크]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


-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단 없는 링크를 유지할
수 있는 적응형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제4장
기술개발이 필요함
- 진행 예정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군집무인기 통합네트워크 기술” 을 통해 단기간에 국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 기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술

22 26 드

27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02 고정익 국방 드론

가. 고정익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총괄표

<고정익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녹색은 민간주도 기술개발, 적색은 국방주도 기술개발, 황색은 민군공동 기술개발 제안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1 2 비행체 다기능 구조물 제조 기술 23 27

2 3 기체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 27 31

3 3 기체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 23 27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4 4 연료전지 22 26
시스템 개발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터빈엔진
5 4 연료전지 23 28
개발

6 4 연료전지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 23 25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7 4 전지 23 27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8 4 전지 25 28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 팩 시스템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9 4 전지 << 24
리튬이차전지 기술

10 4 전지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 << 23

11 4 전지 드론 고속 충전 기술 23 27

12 4 FCS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 23 29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13 4 FCS 23 26
신호처리기술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항법센서의


14 4 FCS 23 26
신호처리기술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15 4 구동장치 23 27
추력시스템 기술

16 4 구동장치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 23 27

274
국방 드론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17 4 항법시스템 24 28
위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 고장
18 4 항법시스템 22 27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19 4 임무컴퓨터 22 24
처리 기술
제4장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20 4 임무컴퓨터 22 25
플랫폼 기반 OS 기술 국

21 4 임무컴퓨터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 << 25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론
22 4 임무컴퓨터 22 25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기

23 3 정찰장비(EO/IR)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23 26

저전력화 기술 드

24 3 정찰장비(EO/IR)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23 26

25 3 정찰장비(EO/IR)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23 26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26 3 정찰장비(SAR) 23 26
저전력화 기술

27 3 정찰장비(SAR)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 23 26

28 3 정찰장비(SAR)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 23 26

공격장비
29 3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 23 26
(탄약형 장비)
공격장비
30 3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23 26
(탄약형 장비)
공격장비
31 3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23 26
(탄약형 장비)
지원장비
32 3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 23 25
(수송장비)
지원장비
33 3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 23 26
(LIDAR장비)

34 4 비행/임무 통제장치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 25 28

35 4 비행/임무 통제장치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23 26

36 4 비행/임무 통제장치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23 26

27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7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3 26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38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24 27
분석/평가 기술

39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23 26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상태를


40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4 27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41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3 26
기술

42 4 비행/임무 통제장치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7 31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43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3 26
VR/AR 플랫폼 기술

44 4 비행/임무 통제장치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23 25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45 4 비행/임무 통제장치 23 27
재계획 기술

46 4 영상분석장치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23 26

47 4 영상분석장치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23 26

48 4 영상분석장치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 23

49 3 지휘통제시스템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 23

50 3 지휘통제시스템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 << 23

51 2 데이터링크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 << 23

52 3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 23 28

53 3 항공 데이터링크 지능형드론데이터통신네트워크관리기술 26 30

54 3 항공 데이터링크 무인이동체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22 26

55 3 항공 데이터링크 초고속/대용량 영상정보 데이터링크 기술 22 25

56 3 항공 데이터링크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 23 26

57 3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 23 26

58 3 항공 데이터링크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 24 28

59 3 지상 데이터링크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 22 26

276
국방 드론

나. 구성요소에 따른 고정익 국방 드론 기술 분석

 [비행체]다기능 구조물 제조 기술
- “다기능 구조물 제조 기술”은 Electronic Part(Actuator / Antenna / Sensor) 일체형
구조물 및 전력원(Solar Panel / Battery) 일체형 구조물 및 대변형 대응 복합재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술로 분석결과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제4장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국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 드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술



 [비행체 - 기체]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
-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은 마이크로캡슐 및 미세관 네트워크(Vascular
network)의 재료 내 적용을 이용한 자가치유 구조, 재료의 가역 분자 결합(Reversible
molecular bond) 방식을 이용하여 자체 복원력을 가진 모르타르(Mortar) 적용 블록형
자가복원 구조 등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로 분석결과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자가손상탐지 및 치유 융합구조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7 31

 [비행체 - 기체]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


-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은 복합재료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구조 제작 기술로 분석결과 관련연구로 국방에서는 “3D 프린팅 기반 초경량/고강도/
복잡형상 섬유강화복합소재 제조 기술” 등이 있으나, 복합재료 프린팅 기술을 드론에

27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적용한 해외사례 대비 국내에는 적용 사례가 없어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복합재료 3D 프린팅 구조 개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기체 - 연료전지]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기술”은 장시간 운용을 위한 드론
연료전지 시스템 성능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장시간 운용 드론을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6

 [비행체 - 기체 - 연료전지]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터빈엔진 개발


-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터빈엔진 개발”은 3D 프린팅 기술 활용 고효율 경량
동력원을 개발하고, 드론 동력원 시스템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경량 소재 및 내열소재
등 첨단 소재 적용 고효율 스마트 엔진 개발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78
국방 드론

3D 프린팅 기반 소형 스마트 터빈엔진 개발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8

 [비행체 - 기체 - 연료전지]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


-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은 loT 기술을 기반으로 센서 소형화/고성능화
기반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엔진 탑재형 상태 감시장치 무선 독립 데이터 저장장치로
제4장
구성되는 실시간 엔진 상태감시 및 진단 시스템 개발하고 주기정비에 따른 추진시스템
운용성 저하 및 과도 예방정비를 방지할 수 있는 유지비용 절감 기술을 개발하며 소형 국

강건한 에너지 하베스트 무선 센서 장치를 개발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론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

기술개발을 제안함 로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맵

지능형 소형엔진 자가진단 및 복구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5

 [비행체 - 기체 - 전지]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


-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은 높은 황
활용률(>60%) 및 높은 황 전극로딩랑(>5 mg/cm2)을 가지는 고에너지 밀도 양극,
상용카본(그라파이트, 케첸블랙, 슈퍼-피 등)을 이용한 고성능 전극 개발,
리튬폴리설파이드의 전해액 용해와 셔틀링을 조절하는 셸구조 및 소재기술 젤폴리머
전해질, 리튬-황전지 드론 탑재를 위한 전극 대면적화, 적층기술, 전해액 최적화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또한 본 기술의 개발을 위해서는 리튬-황전지 파우치 설계 및 제조기술 확보 모듈/팩
설계 및 제조 등 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술 개발이 병행되어야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7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리튬-황 이차전지 파우치 셀의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부품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기체 - 전지]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 팩 시스템


-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팩 시스템”은 드론 적용을
위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확보되고 리튬이온전도도가 우수한 전해질 기술 및 전고체
전해질과 전극간의 밀착 계면을 형성/유지하고 전기화학적 부반응을 억제하는 기술
개발을 통해 고안정성 셀 및 팩을 개발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고율방전 전고체 이차전지 기술을 이용한 무인이동체 파워 팩 시스템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5 28

 [비행체 - 기체 - 전지]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리튬이차전지 기술


-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리튬이차전지 기술”은 수계(water base)의 전해질과
고농도염을 적용한 리튬기반 이차전지 기술 및 기존 유기계에 비해 저온 성능이
향상되며 -20°C 이하에서 충전이 가능한 전지를 개발하는 기술로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국방 연구개발 사업 “난연, 소안전성 함수 전해질 및 전지 기술”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수계전지 기반 저온 작동 리튬이차전지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4

280
국방 드론

 [비행체 - 기체 - 전지]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


-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은 유도무기용 전원으로 사용되는 군용 열전지
기술을 기반으로 드론 탑재를 위해 비에너지밀도를 향상시킨 열전지 기술로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국방 연구개발 사업 “용융리튬 함침형 금속 다공체 기반 리튬전극(LiMFA) 기술 개발”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 제4장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3 방


 [비행체 - 기체 - 전지] 드론 고속 충전 기술 기

- “드론 고속 충전 기술”은 1~2시간 충전에, 30분 내외를 비행하는 드론의 배터리 기술을 로

보완하기 위해 연속 임무 수행이 가능한 수준의 급속 충전 기술로 드론의 임무 지속성에 맵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열전지 기반 저온 작동 비축전지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FCS]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


-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은 항법센서 등의 센서정보로 부터 드론의 자세, 위치
제어 및 경로 유지 비행, 상황에 따른 비행 제어를 위한 장치의 HW 및 SW기술로 FCS는
드론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해당 기술은 드론의 임무수행에 큰 영향을
미치기 SW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단・중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하며, 우선 오픈소스 기반의 FCS제어용 SW기술 개발 이후 FCS
HW기술까지 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8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드론용 고속연산 FCS 개발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9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FCS]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은 FCS에서 드론에 적합한 IMU의
최적 신호처리((자세센서) IMU 센서 처리 기술, (자세계산) AHRS 알고리즘) 방법을
개발하는 기술로 드론에 필수적인 FCS 관련 기술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소형
고정익무인항공기를 위한 자세방위기준센서 일체형 비행제어컴퓨터 모듈 개발
(도약협력사업, 오스텍, ’16~’17)”, “동적 시각인식 센서 기반 고속 주변 상황인지 기술
개발(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전자부품연구원, ’19 ~’22)” 등 유사 민간 개발
기술사례 다수로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초소형 IMU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FCS]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은 FCS에서 드론에 적합한
GNSS의 최적 신호처리((위치센서) GNSS 센서 처리 기술, (자세-위치 통합) INS 통합
기술) 방법을 개발하는 기술 드론에 필수적인 FCS 관련 기술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초소형 GNSS 기반 항법센서의 신호처리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282
국방 드론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추력시스템 기술


-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추력시스템 기술”은 수직이착륙 분산전기추진시스템
관련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축소기술시연기(SVD, Subscale Vehicle Demonstrator)로
기술을 검증하고 단일 추력시스템을 여러 형태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무인기에 적용
가능하도록 모듈화 하여 비행체 크기에 상관없는 추력시스템 개발하며, 인구 밀집 도심
운용 활성화를 위한 친환경 저소음 분산추력시스템 개발, 전기모터에 최적화된 고효율
추력시스템 개발 및 구동 모터 고장에도 비행안전성 확보를 위한 분산추력시스템의 추력
안정화 기술로 때문에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제4장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국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추력시스템 기술 기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로
23 27 드

 [비행체 - 비행체 시스템 - 구동장치]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


- “드론용 고효율 분산전기 추진형 추력시스템 기술”은 플랫폼에 따른 저소음 동력장치를
개발하는 기술로 드론의 저소음화는 군 작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중저소음 동력장치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항법시스템]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위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
-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위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은 실제 항법위성
신호와 교란신호의 구분과 재밍/스푸핑 상황탐지를 위한 항법 신호 처리 알고리즘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28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에도


위성통신 기술은 많이 성숙해 있으나, 군용위성 연동 등을 고려 및 기 계획된 국방주도
기술개발 사업 “초소형 항재밍 위성항법장치 기술”, “초광대역 주파수 집성 항재밍
통신기술”, “지능형 군집항법 기술”등을 통해 기술을 통해 단・중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전파교란상황에서의 드론 자율이동을 위한 교란 탐지 및 대응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8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항법시스템]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
-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은 위치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동종 및 이종 센서의 중첩 및 센서 신호처리를 통한
항법성능 실시간 감지 및 고장대응을 위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 항법신뢰도 향상을 위한 센서고장 감지 및 중첩센서 시스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7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처리 기술


-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처리 기술”은 각각의 드론이 탑재하고 있는
연산능력을 활용하여 협력 임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드론 자율운항 지원을 위한
중앙/분산 연계 실시간 시스템을 개발하며, 드론 운용을 위한 decentralized 알고리즘
개발 및 시스템 구축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보유한 기술을 기반의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284
국방 드론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분산컴퓨팅 시스템 기반 군집데이터 처리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4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제4장
기반 OS 기술
-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기반 OS 기술”은 미션 응용을 위해 고성능 국

비전 프로세싱, 머신러닝 등을 위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 및 실시간 GPGPU 스케줄링

기술이 적용된 드론에 필요한 고성능/고신뢰성의 OS 기술을 확보하고 상용화하는 론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보유한 기술을 기반의 단기적 기

기술개발이 필요함 로

- 또한 영상 처리를 드론 제어에 연동은 통합 등의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지상 맵
영상 분석을 통한 탐지 및 도시 수준 기술 도입 단계이며 OS에 기능을 탑재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통합 및 경량화 및 연구 등을 포함하여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현재 진행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무기체계용 고신뢰 내장형 실시간 보안 OS 기술 개발(‘17
- ’21)”을 기반으로 민군공동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 OS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5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


-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은 전장 상황 객체(병력, 무기체계, 환경요소 등)를
정형화되게 표현하고 이를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는 기술로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국방 연구개발 사업 “고효율 AI 반도체 기반 고속・고정밀 사물인식 및 추적지원 플랫폼
개발”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8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AI기반 객체식별 및 추적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5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임무컴퓨터]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은 다양한 임무장비를
장착할 수 있는 표준 장착대 및 표준 인터페이스 개발하는 기술로 현재 기술은 어느 정도
성숙한 편이나,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국방 드론에 적용될 군 드론 표준에 관한 연구로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기구 및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5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은 영상센서 집적도 향상, 저조도
성능향상 기술 비냉각형 적외선 센서의 경량화하는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군공동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은 AI를 활용해 동영상내의 형상에 대해 딥러닝 기반으로
동영상 내의 형상을 통해 객체를 인식하고 영상 내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286
국방 드론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분야에서도 기술이 활발히 개발 중이나, 데이터 학습을 위한 표적정보(적 전차, TEL
등)는 보안사항으로 국방 분야에 한정하여 사용 할 수 있으므로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제4장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은 영상정보의 객체 인식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센서 자세를 론
제어하여 이동물체 등을 추적하는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기

필요함 로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맵
민간분야에서도 기술이 활발히 개발 중이나, 데이터 학습을 위한 표적정보(적 전차, TEL
등)는 보안사항으로 국방 분야에 한정하여 사용 할 수 있으므로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정찰장비(SAR)]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은 드론 장착용 SAR의 RF 처리부에 대한
소형/경량/저전력 설계 기술로 국내에도 개발되었으나, 세계최고수준 대비 보완이
필요하며,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SAR의
경우 국방 분야 활용성이 높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8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드론용 SA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정찰장비(SAR)]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


-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은 드론용 SAR의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소형
안테나와 구동을 위한 짐벌세트의 소형/경량화/저진동 설계 기술로 국내에도
개발되었으나, 세계최고수준 대비 보완이 필요하며,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SAR의
경우 국방 활용성이 강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소형 안테나/짐벌 설계 및 제작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정찰장비(SAR)]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


-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은 드론용 SAR 안테나를 보호하는 레이돔 구조
소형/경량화 설계 기술로 국내에도 개발되었으나, 세계최고수준 대비 보완이 필요하며,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국방
분야에서 다양한 SAR 및 레이돔이 개발된 사례가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소형 레이돔 설계 및 제작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288
국방 드론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약형 장비)]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


-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은 목표물을 탐지하고, 투발형 및 자폭형 탄약을 탑재한
멀티콥터형 드론으로 신속 정확이 표적을 타격하기 위한 정밀유도제어 기술로
국내개발사례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아 세계최고수준을 고려 시
보완이 필요하며,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탄두 관련
기술로 민간에서 다루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제4장

목표물 탐지 및 유도제어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방
23 26 드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약형 장비)]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로

-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은 대상 표적에 따른 최적화 탄두 설계기술이며 맵
드론에 적합하도록 초소형화 하여야 하고, 대상표적에 따라 EFP, Shape Charge, HE,
PFHE등 다양한 탄두를 최적의 형태로 장착하는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탄두 관련
기술로 민간에서 다루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약형 장비)]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은 목표물과 충돌 시 탄두기폭을 위한 신관설계기술로
탄두의 특징, 표적의 특징에 따라 EFP, Shape Charge, HE, PFHE등 다양한 탄두를
최적의 형태로 기폭하는 기술임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탄두 관련
기술로 민간에서 다루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8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지원장비(수송장비)]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


-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은 다양한 화물 탑재 물건 보관 및 고정을 위한 수송박스
설계 기술로 기술격차가 많이 나지는 않지만, 화물의 충격 흡수, 환경영향성 배제를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다목적 수송박스 설계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5

 [임무장비 - 지원장비(LIDAR장치)]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


-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은 맵핑 드론에 활용하는 LIDAR장치의 드론 탑재를
위한 장비경량화 (1 kg 이하), Laser 성능 향상기술로 맵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장비이나, 국내 기술은 세계최고수준 대비 제한적이기 때문에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경량 LIDAR 센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


-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은 위협도 분석과 무기체계 특성을 고려한 최적 임무
할당과 비행계획수립 등을 인공지능 기반으로 자동 수립하고 수행 관리할 수 있는 기술로
현재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드론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은 중기적 개발이 필요함
- 국방 연구개발 사업 “무인체계용 지능형 학습/추론 엔진 기술 개발” 진행에 따라 중기에

290
국방 드론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기반 작전임무계획 수립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5 28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제4장
-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은 무인기를 제어하기 위해 모든 제어 요소를 운용자가 각각
제어하는 것이 아닌 임무에 대한 Task 기반의 항목별 제어만으로 통한 운용자의 국

Workload를 감소시키기 위한 통제 자동화 기술로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드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현재까지 론

많은 관련 국방 연구개발 사업이 진행되었고,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기술개발을 계획 술

중이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드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맵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은 다양한 전투환경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감시 정찰을
수행하기 위한 드론의 군집협업기술 및 운용통제기술로 개발 시 감시정찰능력을 강화
가능하고 다수의 군집개체수를 작전지역에 동시에 투입함으로서 군의 상황정보능력을
증대 가능하므로 국방 드론에 빠른 적용 및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드론
전술운용 방식의 이해에 따른 기술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9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은 동시에 여러 지역/시점에서 감시정찰하고
탐지된 다중 목표물을 즉각 공격하기 위해 감시정찰무인기와 공격용 무인기를 군집으로
운용하기 위한 기술로 개발 시 국방 드론의 전술임무 운용성 강화가 예상되므로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드론
전술운용 방식의 이해에 따른 기술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
-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은
군집객체 임무학습 프레임워크,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임무 모의환경을 구축하여
군집체계에 특화된 학습모델 도출, 군집객체 인공지능 자율임무 수행기술 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드론
전술운용 방식의 이해에 따른 기술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7

292
국방 드론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은 필드에서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
친화적이며 조작성능이 우수한 원격조작시스템 기술, 운용자의 훈련교육 시간을 줄이고
제한된 시간에 직관적으로 운용이 가능한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및 전략입력
분야에서 가장 앞서나간다고 할 수 있는 게임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여 다양한
군집전략 조합을 선택하여 명령으로 지시하고 효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융합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제4장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국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기
23 26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은 숙련도 연령대
등 운용자 간의 차이(between difference)를 고려한 무인이동체 운용 기술 및 피로도
과부하 등 동일운용자(with-in difference)의 동적 상황을 고려한 무인이동체 운용
기술 초보로서의 실수 혹은 피로에 의한 실수 등 인간 운용자의 한계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인터페이스를 통한 구현 기술을 융합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STANAG-4586 등의 민간에서 확보하기 제한되는 문서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개발이
필요하며, 현재 연구개발 중인 유사과제를 기반으로 개발 시 효율적이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7

29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은 조작자의 음성 및 문자를 인식하여
무인이동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 가능하도록 인간친화적인 인터페이스
설계하고 다양한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 등을 기반으로 운용자의 제어 의도를 파악하여
무인이동체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용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은 운용자의 뇌파/시선 등의 생체신호를 직접
파악하여 조종신호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세계적으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으나, 소수의 초기형태의 상용드론이 존재하는 등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기 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국내 기술을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7 31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
-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은 다수의 운용자에게
동기화되어 동시 지원이 가능한 가상현실/증강현실 플랫폼 및 개별 무인이동체
제어/임무 수행/무인이동체 그룹 관리 등 운용자의 임무별 차별화된 가상현실/증강

294
국방 드론

현실 플랫폼 기술로 국내 기술을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제4장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은 HMD 등의 장비를 통해 원격 운용 환경을 론
구현하여, 운용자가 편리하게 조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AR 구현기술 AR 운용 시 기

불편한 착용감, 공간정보의 왜곡(시각정보의 불일치)으로 인한 멀미나 어지럼증을 로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맵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5

 [지상장비 - GCS - 비행/임무통제장치]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
-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은 지상에서 군집 무인기의 운영
개념, 임무수준, 표적 종류 및 위치에 따른 최적의 무인기 임무 조합(정찰임무, 통신임무,
공격임무 등) 및 수량을 결정하고,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군집 전체 혹은
그 부분이 수행할 임무계획을 재설정 및 재할당 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국방 연구개발 사업 “전술 군집 무인기 임무계획 및 자율 임무 재계획 기술”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9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지상장비 - GCS - 영상분석장치]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은 다중 센서를 활용한 정밀 위치 인식,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 진행 중인 개발 사업 “다출처영상융합체계”의 개발 결과 및 계획된 국방 연구개발
사업 “장거리 다중파장 센서의 영상융합기술”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 영상분석장치]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은 AI를 활용해 형상(차량, 탱크, 발사체 등)을 학습시키고,
동영상내의 형상을 자동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국방에
사용하는 표적정보(적 전차, 장갑차 등)은 민간에 공개가 어렵고 탐지 기술 성능은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많이 좌우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296
국방 드론

 [지상장비 - GCS - 영상분석장치]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은 다중 센서를 활용한 정밀 위치 인식,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 진행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가변형상물체(Deformable Object) 인식 기술”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제4장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3 방


 [지상장비 - 지휘통제시스템]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기

-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은 지상통제시스템에 탑재하여 상위 C4I 망과의 연동을 로

보장하는 무인체계의 상호운용성이 반영된 KVMF 2.0 메시지처리 기술로 드론 및 맵
타체계 간 상호운용을 위해 중요한 기술이기 때문에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 진행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지상전술데이터링크 탑재 KVMF 2.0 메시지처리
SW 플랫폼”을 통해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공통메세지 규격 및 처리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3

 [지상장비 - 지휘통제시스템]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


-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은 이기종 체계간 운용되는 각종 군사부호를 표준화하여
상호운용성 보장 및 국방 환경에 적합한 국방 고유의 표준 기술로 세계 최고수준대비
격차는 크지 않지만, 향후 세계 최고수준의 드론 개발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단기간
개발이 필요함
- 현재 진행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지상전술데이터링크 탑재 KVMF 2.0 메시지처리
SW 플랫폼”을 통해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9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군사부호 표준화 및 도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3

 [데이터링크]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


-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은 대대급 이하 소형 드론 운용개념에 적합한 상용
개방형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링크 표준 프로토콜 확보하는 기술로 드론운용을 위해
중요한 기술이기 때문에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 진행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드론봇 통합작전과 유・무인기 상호운용을 위한
공통 아키텍처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을 통해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소형 드론용 데이터링크 표준화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3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


-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은 기존 네트워크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군집드론
개체 간 안정적이고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구성 및 독립적인 FANET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개발 및 인공지능 기반 임무 수행을 위한 비행로봇과 인공지능 서버 간
실시간 통신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작전환경 및 통신망 등에 대한 민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으며, 현재 연구개발
중이거나, 향후 추진계획에 있는 여러 유사과제와 연계하여 개발 시 효율적이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망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8

298
국방 드론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지능형 드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관리 기술


- “지능형 드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관리 기술”은 다수의 드론으로 부터 받는 많은 데이터
중 효과적인 데이터 처리를 위해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전송 우선순위에 따른
QoS(Quality Of Service) 를 보장하기 위한 상황인지 기반 가변적 네트워크 기술 및
초저지연 기술 기반 공중 로봇 제어 및 고속 통신을 통한 대용량 데이터 관리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작전환경 및 통신망 등에 대한 민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으며, 현재 연구개발
제4장
중이거나, 향후 추진계획에 있는 여러 유사과제와 연계하여 개발 시 효율적이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국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

지능형 드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관리 기술 기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로
26 30 드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무인이동체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 기술”은 드론의 영상 전송과 같은 임무 데이터 량이 많아짐에
따라 전송률을 향상 시키는 기술로 통신 군집 위성 기반의 대규모 군집 로봇 통신 환경 구축을
위해 중요하기 때문에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기존 민간
인프라(4G, 5G 망 등)를 활용하는 방법은 민간 분야개발 기술 도입을 제안하고, 국방
전용망을 활용하는 방법은 민간 기술을 도입하기 제한되는 점이 많고 현재까지 국방
연구개발 수행한 연구과제와 시너지 효과를 고려하여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무인이동체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6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초고속/대용량 영상정보 데이터링크 기술


- “초고속/대용량 영상정보 데이터링크 기술”은 초고해상도 영상 획득 무인기를 위한
대용량 영상정보 무선 전송 기술로, 회전익 대비 통신장비 운용이 용이한 고정익

29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드론에서 고해상도의 영상을 전송함으로써 운용자의 판단을 지원하는 중요한 기술이기


때문에,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 계획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감시정찰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링크 기술” 을 통해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초고속/대용량 영상정보 데이터링크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5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


-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은 드론들에게 전달되는 명령 메시지와 드론들 사이에
교환 및 저장하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보호하는 기술로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여 PUF
(Physical Un-cloneable Function) 기능의 경량 보안 프로토콜 시스템, 공중 군집
지능 기반의 네트워크 보안 상황 판단 및 대응을 위한 자율 보안 프로토콜 기술, 드론
제어용 통신에 대한 항재밍 통신 기술 등이 포함되어 실제 드론 운용에 중요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데이터
보호를 위한 기술은 국방 및 민간에서 두루 개발하여 왔으나, 보안 네트워크 환경의
안전을 고려 시 민간 접근이 제한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계획 되어 있는 국방 연구개발 사업인 “사이버위협 방어를 위한 IoT기기 경량형 네트워크 접속제어 기술 개발”을
통해 일부 확보 예상되는 기술을 제외한 군 전용망에 대한 드론 통신 네티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에 한정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보호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
-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은 임무를 수행하는 드론들이 접근권한이 부여된 서버의
명령만을 수행하기 위해서 객체 상호인증, 사용자 인증 및 키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300
국방 드론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 인증 및 키 관리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제4장
 [데이터링크 - 항공 데이터링크]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
-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은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해상에서도 운용 가능하며, 국

재해가 발생하여 지상이 인프라가 파괴된 상황에서도 통신의 제약을 받지 않는 위성통신

기반의 드론 통신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중기적 기술개발이 론
필요함 기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에도 로

위성통신 기술은 많이 성숙해 있으나, 군용위성 연동 등을 고려 및 기 계획된 국방주도 맵
기술개발 사업 “초소형 항재밍 위성항법장치 기술”, “초광대역 주파수 집성 항재밍 통신기술”,
“지능형 군집항법 기술”등을 통해 단・중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위성통신 기반 드론 통신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8

 [데이터링크 - 지상 데이터링크]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


-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단 없는 링크를 유지할
수 있는 적응형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진행 예정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군집무인기 통합네트워크 기술” 을 통해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적응형 메쉬링크 구성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6

30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03 생체모방 국방 드론

가. 생체모방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총괄표

<생체모방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녹색은 민간주도 기술개발, 적색은 국방주도 기술개발, 황색은 민군공동 기술개발 제안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경량 구조물 공력 및 구조 특성해석 및
1 4 동체 22 25
신소재 기반 정밀제작 기술

2 4 동체 전부품 통합 다기능 구조화 기술 24 27

3 4 날개 유연체 유체-구조 연계 해석 기술 23 26

4 4 날개 (조류형) 조류 모방 깃털 모사 설계 기술 24 27

(곤충형) 곤충 모방 인공날개
5 4 날개 24 27
설계/제작기술

6 4 날개 (조류형) 가변 구조 메커니즘 설계 기술 24 27

7 3 동력장치(전지) 내장형 배터리 성능 향상 기술 23 26

8 3 비행체시스템 생체 모방 비행체 시스템 설계 기술 23 26

9 4 FCS 비행제어 시스템 기술 23 26

10 4 FCS (조류형) Flap-Gliding 비행제어 기술 23 26

11 4 FCS 상대풍 추정 기술 24 27

(조류형) 퍼칭(perching)을 위한
12 4 FCS 23 27
구동메커니즘 및 정밀제어기술

13 4 구동장치 기어/크랭크 메커니즘 설계기술 28 32

14 4 구동장치 (조류형)소형 기어 최적 설계제작 기술 28 32

15 4 구동장치 (조류형) 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 23 27

16 4 구동장치 날갯짓 주파수제어 메커니즘 분석 기술 25 29

17 4 구동장치 (곤충형) 초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 24 28

운용 거리를 고려한 저전력/저중량


18 3 항공전자 시스템 28 32
통신모듈 및 안테나 기술
가혹환경(위성항법성능 불량, 비가시,
투과형 장애물)에서 드론 운용을 위한
19 3 항공전자 시스템 22 27
실시간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위치
추정 및 인공지능 기술

302
국방 드론

단기 중기 장기
순번 Lv pWBS 기술명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20 3 항공전자 시스템 22 25
플랫폼 기반 OS 기술
독립장치 센서용 초소형 고출력
21 3 독립장치 배터리 29 32
베타전지 기술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22 3 정찰장비(EO/IR) 23 25
저전력화 기술

23 3 정찰장비(EO/IR) AI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23 26
제4장
24 3 정찰장비(EO/IR)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22 25

25 3 공격장비(탄두) 드론용 초소형 경량 탄두 설계기술 27 31




26 3 공격장비(탄두)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27 31 드

27 3 GCS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23 26

28 3 GCS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23 26 술

29 3 GCS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3 26 드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30 3 GCS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24 27
분석/평가 기술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31 3 GCS 23 26
기술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상태를
32 3 GCS 24 27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33 3 GCS 23 26
운용 기술

34 3 GCS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7 31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35 3 GCS 23 26
VR/AR 플랫폼 기술

36 3 GCS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23 26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37 3 GCS 23 27
재계획 기술

38 3 GCS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23 26

39 3 GCS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23 26

40 3 GCS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 23

30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나. 구성요소에 따른 생체모방 국방 드론 기술 분석

 [비행체 - 기체 - 동체] 경량 구조물 공력 및 구조 특성해석 및 신소재 기반 정밀제작 기술


- “경량 구조물 공력 및 구조 특성해석 및 신소재 기반 정밀제작 기술”은 경량/소형 동체
공력 설계와 구조 설계 및 해석, 적층제작기법 등을 적용하여 경량/구조설계 하는 기술로
초경량, 내열성, 유연성, 신뢰성 등이 높은 신소재를 개발하여 조류형, 곤충형 드론의
동체 외피에 적용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경량 구조물 공력 및 구조 특성해석 및 신소재 기반 정밀제작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5

 [비행체 - 기체 - 동체] 전부품 통합 다기능 구조화 기술


- “전부품 통합 다기능 구조화 기술”은 전지, 다종의 전자부품을 일체화 및 시스템
간소화를 통해 하나의 구조체로 하여 공간 효율성을 향상하는 기술로 현재 분석결과
세계최고수준으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개발 시 수요가 적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전부품 통합 다기능 구조화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7

 [비행체 - 기체 - 날개] 유연체 유체-구조 연계 해석 기술


- “유연체 유체-구조 연계 해석 기술”은 조류형, 곤충형 드론의 양력을 생성하기 위한
날갯짓에 따른 공력해석 및 하중분석에 따른 유연체 변형을 해석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304
국방 드론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유연체 유체-구조 연계 해석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제4장
 [비행체 - 기체 - 날개] (조류형) 조류 모방 깃털 모사 설계 기술
- “(조류형) 조류 모방 깃털 모사 설계 기술”은 조류형 드론의 효율적인 비행을 모사하기 국

위해 날개의 단위인 깃털, 조직 등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공학적 측면에서 최적화

가능하도록 모사하는 설계 기술로 조류형 생체모방 드론의 체계개발을 위해서는 론
필수적으로 확보해야하는 기술이므로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기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분야 로

개발 시 수요가 적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맵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조류형) 조류 모방 깃털 모사 설계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7

 [비행체 - 기체 - 날개] (곤충형) 곤충 모방 인공날개 설계/제작기술


- “(곤충형) 곤충 모방 인공날개 설계/제작기술”은 곤충형 드론의 효율적인 비행을 위해
날개의 조직 구조 및 고속의 날갯짓에 대한 궤적을 분석하고 이를 공학적 측면에서 최적화
가능하도록 모사 설계하는 기술로 비행형 곤충 모방 드론의 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기술이므로 단기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분야
개발 시 수요가 적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곤충형) 곤충 모방 인공날개 설계/제작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7

30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비행체 - 기체 - 날개] (조류형) 가변 구조 메커니즘 설계 기술


- “(조류형) 가변 구조 메커니즘 설계 기술”은 가변 구조로 구성된 조류형 생물체의 날개를
모사하여 최적의 양력, 기동성을 획득하고 실속 및 급기동 착륙 및 착지(perching 등)가
가능한 가변 날개구조 메커니즘을 설계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분야
개발 시 수요가 적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조류형) 가변 구조 메커니즘 설계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7

 [비행체 - 동력장치(전지)] 내장형 배터리 성능 향상 기술


- “내장형 배터리 성능 향상 기술”은 초소형 비행체 내부 샌드위치 구조물이나 적층 재료에
전지를 삽입하여 에너지 저장 기능과 구조물의 역할도 할 수 있는 기술로 현재 분석결과
관련연구로 국방 분야에서는 관련 과제가 없으나, 배터리를 활용하는 구조물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범용성 높은 기술이므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내장형 배터리 성능 향상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생체 모방 비행체 시스템 설계 기술


- “생체 모방 비행체 시스템 설계 기술”은 새나 곤충의 시스템을 모방하여 비행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센서, 구동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와의 유기적이고
안정적인 초경량 시스템 기술로 현재 분석결과 관련연구로 국방 분야에서는 관련 과제가
없으나, 세계최고수준으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306
국방 드론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생체 모방 비행체 시스템 설계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제4장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FCS(Flight Control System)] 비행제어 시스템 기술
- “비행제어 시스템 기술”은 새나 곤충모방 비행체의 최적 비행이 가능하도록 비행을 국

제어하고 위치, 자세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 기술로 현재 분석결과 관련연구로 국방 드
분야에서는 관련 과제가 없으나, 생체모방 드론의 비행최적화를 위한 필수 기술로 론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술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로

기술개발을 제안함 맵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비행제어 시스템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FCS] (조류형) Flap-Gliding 비행제어 기술


- “(조류형) Flap-Gliding 비행제어 기술”은 독수리, 까마귀, 갈매기 등에서 자주 보이는
날개짓(Flapping)을 하다가 날개를 펼쳐 활공(Gliding)하는 비행행동으로, 최적의
에너지로 비행할 수 있는 방법이며, 이러한 조류의 비행 방법을 분석하여 조류형 드론의
최적화된 비행을 위해 제어기를 구현하는 기술로 관련기술을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개발 시 수요가 적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30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조류형) Flap-Gliding 비행제어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FCS] 상대풍 추정 기술


- “상대풍 추정 기술”은 조류형, 곤충형 드론의 최적 양력 및 임무 지속성을 위해 물체의
운동 방향에 반대로 작용하는 바람을 추정하여 비행 제어에 반영하는 기술로 현재
분석결과 관련연구로 국방에서는 “군사용 곤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구. 군사용
생체모방형 지상이동로봇 기술)” 등이 있으나, “상대풍 추정 기술”과는 중복성이 없는
과제이다. 기술선진국 대비 70%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최고수준으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관점에서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개발 시 수요가 적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상대풍 추정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7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FCS] (조류형) 퍼칭(perching)을 위한 구동메커니즘 및


정밀제어기술
- “(조류형) 퍼칭(perching)을 위한 구동메커니즘 및 정밀제어기술”은 조류가 비행 중
전깃줄이나, 나뭇가지 등 조류의 다리보다 작은 공간에 균형을 않고 안정적으로
착륙・유지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공학적 구조인 퍼칭 관절계 구현을 위한 경량화/소형화
기술 및 공기력 제어기술로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는 2년으로 세계최고수준으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308
국방 드론

(조류형) 퍼칭(perching)을 위한 구동메커니즘 및 정밀제어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구동장치] 기어/크랭크 메커니즘 설계기술


- “기어/크랭크 메커니즘 설계기술”은 조류 및 곤충들의 움직임 분석에 따른 최적 구현을
위해 공학적 구조물인 기어/크랭크를 바탕으로 메커니즘을 설계하는 기술로
제4장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장기간의 국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론

기어/크랭크 메커니즘 설계기술 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드
28 32 맵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구동장치] (조류형)소형 기어 최적 설계제작 기술


- “(조류형)소형 기어 최적 설계제작 기술”은 조류형 드론에 적합한 초소형, 초경량, 고정밀
특성을 지닌 기어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장기간의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조류형)소형 기어 최적 설계제작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8 32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구동장치] (조류형) 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


- “(조류형) 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은 조류형 드론의 작은 프레임에 탑재 가능할
정도로 소형, 경량이며, 최소한의 전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는 모터를 개발하고
제작하는 기술로 현재 국내에서는 초소형 모터, 서보 기술기 확보되지 않아 출시된

30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제품이 없기 때문에 “(조류형) 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은 빠른 기술 확보를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소형/초소형 모터 및 서보모터의 민간 수요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국방주도의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조류형) 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구동장치] 날갯짓 주파수제어 메커니즘 분석 기술


- “날갯짓 주파수제어 메커니즘 분석 기술”은 조류 및 곤충들에 대한 비행형태 분석을 통해
날개 종류, 구조에 따른 Hz단위의 날갯짓 주파수를 분석하고 공학적 기구물에서 이를
구현한 기계적 구조상에서 분석된 내용을 최적화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메커니즘을 설계
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중기적 관점에서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
수요가 적은 기술로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날갯짓 주파수제어 메커니즘 분석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5 29

 [비행체 - 비행체시스템 - 구동장치] (곤충형) 초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


- “(곤충형) 초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은 곤충형 드론의 작은 프레임에 탑재 가능할
정도로 소형, 경량이며, 최소한의 전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는 모터를 개발하고
제작 할 수 있는 기술로 초소형 생체모방 드론의 구동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기술로 단기적
관점에서 신속한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 수요가
적을 것으로 예상되고, 신속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므로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310
국방 드론

(곤충형) 초소형 모터 및 서보제작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8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운용 거리를 고려한 저전력/저중량 통신모듈 및 안테나 기술


- “운용 거리를 고려한 저전력/저중량 통신모듈 및 안테나 기술”은 조류형, 곤충형
생체모방 드론이 기술적, 작전적으로 적합한 운용거리에 따라 최적화된 목표성능을
제4장
고려하여 저전력/저중량/초소형화 된 통신모듈 및 안테나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술로
현재 기술로는 통신모듈 및 안테나를 생체모방드론에 탑재할 만큼 초소형화 하기는 국

어려우나, 향후 기술발달에 따라 개발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개발이 필요함 론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국방주도 기

기술개발을 제안함 로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맵

운용 거리를 고려한 저전력/저중량 통신모듈 및 안테나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8 32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가혹환경(위성항법성능 불량, 비가시, 투과형 장애물)에서 드론


운용을 위한 실시간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위치 추정 및 인공지능 기술
- “가혹환경(위성항법성능 불량, 비가시, 투과형 장애물)에서 드론 운용을 위한 실시간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위치 추정 및 인공지능 기술”은 실내환경 (위성항법,
통신네트워크 성능 불량), 비가시(저조도, 연무), 광학투과형장애물 (유리, 거울)등의
가혹환경에서 무인이동체 운용을 위한 다종센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3차원
공간정보를 실시간으로 구축하고 위치정보를 추정하는 기술로 초소형인 생체모방
드론에 탑재할 만큼의 기술은 현재 제한되나, 부족기술을 확보하여 세계최고수준으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31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가혹환경(위성항법성능 불량, 비가시, 투과형 장애물)에서 드론 운용을 위한


실시간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위치 추정 및 인공지능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7

 [비행체 - 항공전자 시스템]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기반 OS 기술


-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기반 OS 기술”은 미션 응용을 위한 OS
기술 확보 및 상용화, 고성능 비전 프로세싱, 머신러닝 등을 위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실시간 GPGPU 스케줄링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군공동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 응용을 위한 고성능/신뢰성 오픈 플랫폼 기반 OS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5

 [임무장비 – 독립장치 배터리] 독립장치 센서용 초소형 고출력 베타전지 기술


- “독립장치 센서용 초소형 고출력 베타전지 기술”은 Ni-63과 트리튬을 사용하여
방출되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해 이용하는 전지이며 충전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전지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독립장치 센서용 초소형 고출력 베타전지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9 32

312
국방 드론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은 영상센서 집적도 향상, 저조도
성능향상 기술 비냉각형 적외선 센서의 경량화하는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군공동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EO/IR 센서의 소형 경량 저전력화 기술 제4장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5 방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기

-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은 AI를 활용해 동영상내의 형상에 대해 딥러닝 기반으로 로

동영상 내의 형상을 통해 객체를 인식하고 영상 내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로, 국방 드론 맵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군공동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 기반 자율 객체 인식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임무장비 - 정찰장비(EO/IR)]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은 영상정보의 객체 인식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센서 자세를
제어하여 이동물체 등을 추적하는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군공동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313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AI 기반 객체 추적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2 25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두)] 드론용 초소형 경량 탄두 설계기술


- “드론용 초소형 경량 탄두 설계기술”은 대상 표적에 따른 최적화 탄두 설계기술이며
생체모방드론에 적합하도록 약 수십 g에 불과한 면서도 적에 대한 피해를 최대화하기
위한 HE탄 탄두설계가 최적화 초소형화 하여야 하고 최적의 형태로 장착하기 위한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탄두 관련
기술로 민간에서 다루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7 31

 [임무장비 - 공격장비(탄두)]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 “드론용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은 목표물과 충돌 시 탄두기폭을 위한 신관설계기술로
탄두의 특징, 표적의 특징에 따라 HE탄 탄두를 최적의 형태로 기폭하는 기술로 국방
드론 발전을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탄두 관련
기술로 민간에서 다루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용 소형 고성능 탄두 설계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7 31

 [지상장비 - GCS]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은 무인기를 제어하기 위해 모든 제어 요소를 운용자가 각각
제어하는 것이 아닌 임무에 대한 Task 기반의 항목별 제어만으로 통한 운용자의

314
국방 드론

Workload를 감소시키기 위한 통제 자동화 기술로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고려할
때 현재까지 많은 관련 국방 연구개발 사업이 진행되었고,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기술개발을 계획 중이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Task 기반 임무통제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제4장



 [지상장비 - GCS]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은 다양한 전투환경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감시 정찰을 론
수행하기 위한 드론의 군집협업기술 및 운용통제기술로 개발시 감시정찰능력을 강화 기

가능하고 다수의 군집개체수를 작전지역에 동시에 투입함으로서 군의 상황정보능력을 로

증대 가능하므로 국방 드론에 빠른 적용 및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맵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드론
전술운용 방식의 이해에 따른 기술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드론 군집운용 통제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은 동시에 여러 지역/시점에서 감시정찰하고
탐지된 다중 목표물을 즉각 공격하기 위해 감시정찰무인기와 공격용 무인기를 군집으로
운용하기 위한 기술로 개발 시 국방 드론의 전술임무 운용성 강화가 예상되므로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드론
전술운용 방식의 이해에 따른 기술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31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전술임무를 위한 군집무인기 운용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
-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은
군집객체 임무학습 프레임워크,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임무 모의환경을 구축하여
군집체계에 특화된 학습모델 도출, 군집객체 인공지능 자율임무 수행기술 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군의 드론
전술운용 방식의 이해에 따른 기술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군집임무검증 및 분석/평가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4 27

 [지상장비 - GCS]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은 필드에서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
친화적이며 조작성능이 우수한 원격조작시스템 기술, 운용자의 훈련교육 시간을 줄이고
제한된 시간에 직관적으로 운용이 가능한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및 전략입력
분야에서 가장 앞서나간다고 할 수 있는 게임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여 다양한
군집전략 조합을 선택하여 명령으로 지시하고 효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융합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운용자 친화적인 고사용성 인터페이스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316
국방 드론

 [지상장비 - GCS]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 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은 숙련도 연령대 등
운용자 간의 차이(between difference)를 고려한 무인이동체 운용 기술 및 피로도
과부하 등 동일운용자(with-in difference)의 동적 상황을 고려한 무인이동체 운용
기술 초보로서의 실수 혹은 피로에 의한 실수 등 인간 운용자의 한계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인터페이스를 통한 구현 기술을 융합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제4장
STANAG-4586 등의 민간에서 확보하기 제한되는 문서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개발이
필요하며, 현재 연구개발 중인 유사과제를 기반으로 개발 시 효율적이기 때문에 국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드

운용자의 숙련도, 피로도 등 현재상태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기술 기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로
24 27

 [지상장비 - GCS]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은 조작자의 음성 및 문자를 인식하여
무인이동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 가능하도록 인간친화적인 인터페이스
설계하고 다양한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 등을 기반으로 운용자의 제어 의도를 파악하여
무인이동체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용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음성 및 제스처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317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지상장비 - GCS]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은 운용자의 뇌파/시선 등의 생체신호를 직접
파악하여 조종신호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세계적으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으나, 소수의 초기형태의 상용 드론이 존재하는 등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기 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국내 기술을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중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뇌파/시선 인식을 통한 드론 운용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7 31

 [지상장비 - GCS]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


-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은 다수의 운용자에게
동기화되어 동시 지원이 가능한 가상현실/증강현실 플랫폼 및 개별 무인이동체
제어/임무 수행/무인이동체 그룹 관리 등 운용자의 임무별 차별화된 가상현실/증강
현실 플랫폼 기술로 국내 기술을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다중 운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VR/AR 플랫폼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은 HMD 등의 장비를 통해 원격 운용 환경을
구현하여, 운용자가 편리하게 조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AR 구현기술 AR 운용시
불편한 착용감, 공간정보의 왜곡(시각정보의 불일치)으로 인한 멀미나 어지럼증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318
국방 드론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민간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운용자를 위한 드론 관점 AR 구현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제4장
 [지상장비 - GCS]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
-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은 지상에서 군집 무인기의 운영 국

개념, 임무수준, 표적 종류 및 위치에 따른 최적의 무인기 임무 조합(정찰임무, 통신임무,

공격임무 등) 및 수량을 결정하고,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군집 전체 혹은 론
그 부분이 수행할 임무계획을 재설정 및 재할당 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기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로

- 국방 연구개발 사업 “전술 군집 무인기 임무계획 및 자율 임무 재계획 기술” 진행에 따라 맵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군집 무인기 통합 임무계획 및 동적 임무 재계획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7

 [지상장비 - GCS]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은 다중 센서를 활용한 정밀 위치 인식,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 진행 중인 개발 사업 “다출처영상융합체계”의 개발 결과 및 계획된 국방 연구개발
사업 “장거리 다중파장 센서의 영상융합기술”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319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군집정찰드론 영상정보 통합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은 AI를 활용하여 과거 발생한 이상탐지 혹은 조건을 입력
및 학습한 뒤 영상 내에 유사한 상황 발생 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로 세계최고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까지의 관련기술 개발현황, 국방 분야에서의 개발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국방에
사용하는 표적정보(적 전차, 장갑차 등)은 민간에 공개가 어렵고 탐지 기술 성능은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많이 좌우되기 때문에 국방주도 기술개발을 제안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3 26

 [지상장비 - GCS]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 “AI기반 자동 이상 탐지 기술”은 다중 센서를 활용한 정밀 위치 인식,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 군집 드론의 영상 정보 통합 운용하는 기술로 세계최고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단기적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 진행 중인 국방 연구개발 사업 “가변형상물체(Deformable Object) 인식 기술”
진행에 따라 단기간에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현 시점의 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AI기반 형상 인식 기술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3

320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322
제5장
맺음말

제1절 연구 결과
제2절 연구 결과의 활용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제1절 연구 결과

 본 기술로드맵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국내 국방 드론 기술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발전시키는 전략수립 연구결과인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임

 국내・외 개발동향 등의 분석을 통해 국외대비 국내 드론 기술제한 사항을 확인함

 국방 드론의 발전을 위해 추가적으로 현 소요 기반의 공통 플랫폼과 그 임무장비를 분석・제시


하였으며, 미래전장환경에 우리 군에 요긴하게 쓰일 수 있는 드론 또한 제시함

 드론의 pWBS 및 기술수준 분석을 통해 국내 국방 기술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드론 기술을 분석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기술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함

 드론 기술은 국방과 민간이 동시에 보유한 기술로 군의 소요에 적합한 보다 우수한 드론을
개발하기 위한 민간 도입 기술, 국방주도 기술, 민군이 공동으로 기술을 추가적으로 식별함

01 국내・외 개발동향

 국내・외 개발된 다양한 국방 드론의 조사・분석을 수행함

 국내의 경우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력화는 정찰용 및 지원용 일부에


한정되며 국외의 경우 공격용, 정찰용, 지원용의 다양한 드론이 개발되고 전력화 됨

 국외대비 국내 드론 성능이 제한되는 문제는 전반적으로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324
국방 드론

02 국방 드론 추가 발전방안

 현 전군 드론 소요를 발전시키기 위해 공통 플랫폼 분석, 신규드론 소요 분석을 수행 함

 소요 71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통 플랫폼을 도출하고 공통 플랫폼별 임무장비를 분석하여


회전익-멀티콥터 형태의 드론에 대한 3가지 공통 플랫폼(10kg급, 25kg급, 150kg급) 및
해당 임무장비를 도출함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 10kg급은 8개 소요 170세트가 공통화 되었으며, EO/IR, EO, 조류 퇴치기 임무장비를
제5장
확인/분석하여 성능을 도출함
- 25kg급은 9개 소요 593세트가 공통화 되었으며, EO/IR, 조명/방송, 화생방 탐지, 맺

지뢰탐지기 임무장비를 확인/분석하여 성능을 도출함 말
- 150kg급은 중 3개 소요 58세트가 공통화 되었으며, 항공방제, 수송용 모듈의
임무장비를 확인/분석하여 성능을 도출함

 드론 관련 국방연구개발 추세 분석 및 현 전군 드론 소요를 바탕으로 추가 기술적 발전방안을


도출 하였으며, 미래 소요 4종을 분석・제시함
- 곤충형 멀티 드론 : 공중감시정찰이 제한되는 상황 하 감시/정찰/경계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충전, 통신을 수행하는 HIVE 및 다수 곤충형 드론으로 구성된 체계임
- 조류형 멀티 드론 : 해안가, 강가, 도심지역 등 다양한 공간에서 표적을 감시하기 위한
조류 모방 드론으로 충전, 통신을 수행하는 NEST 및 다수 조류형 드론으로 구성된
체계임
- 모함 드론 :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자드론에 대한 통신중계/이동/전력공급 등을 지원
가능한 모함드론 체계임
- 다목적 공통 플랫폼 드론 : 모듈화된 플랫폼, 임무장비를 레고식으로 결합 가능한 다목적
드론 체계로 기존 멀티콥터 드론을 대체 및 통합 가능한 체계임

 현 전군 드론 소요를 발전 연구를 통해 회전익-멀티콥터 형태의 드론에 대한 단기, 중기,


장기 발전방안을 정책적으로 제언함
* 현 시점의 조사・분석 결과이며, 향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 단기 : 현 소요를 기반으로 분석한 공통 플랫폼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구매 추진을
통해 효율적 국방 드론 획득 고려 필요함
- 중기 : 군 소요에 적합하여 보다 발전된 성능의 공통 플랫폼을 개발 및 공통 플랫폼에

325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적합한 소요 결합 고려 필요함
- 장기 : 신규드론 분석에서 도출된 다목적 공통 플랫폼을 전력화 고려 필요함

03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

 현 전군 드론 소요 71개 및 국방 드론 추가 발전방안에서 분석한 미래 드론 소요 등을 모두


포함하여 드론 pWBS 구성품별 세계 최고수준 대비 국내 기술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드론 기술로드맵을 분석

 회전익의 경우 국내 기술수준은 67.2%이며 67개의 드론 기술을 분석 및 로드맵을 제시

 고정익의 경우 국내 기술수준은 71.1%이며 59개의 드론 기술을 분석 및 로드맵을 제시

 생체모방의 경우 국내 기술수준은 71.3%이며 40개의 드론 기술을 분석 및 로드맵을 제시

326
국방 드론

제2절 연구 결과의 활용

 국방 드론 기술로드맵은 향후 국방 및 민간분야에서 다음과 같이 활용이 가능함

 미래전에 필요한 무기체계 및 전력지원체계 소요 기획


- 관련문서 : 장기 무기체계 발전방향(각군), 국방 전력지원체계 사업계획서(국방부), 각군
제5장
정책문서

 국방 중장기 핵심기술 과제기획 음
- 관련문서 : 국방기술기획서(방위사업청/국방기술진흥연구소) 말

 부처간 협력과제 기획
- (국방) 국방부, 방위사업청 및 산하 기관
- (민간) 산업통산자원부, 과기정통부, 국토교통부 및 산하기관

 기타 산업체, 학계 및 정부출연연구소 등 과제기획


- (기초연구) 과기정통부
- (원천기술)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 (부품 및 제품개발) 정부출연연구소 및 산업체

327
발 행 일 2022년 3월
발 행 처 국방기술진흥연구소
경상남도 진주시 동진로 420
www.krit.re.kr
T. 055-751-5428
디자인/인쇄 ㈜케이에스센세이션 02-761-003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