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9

한국체육학회지, 2023, 제62권 제5호, 311-319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23, 62(5), 311-319

https://doi.org/10.23949/kjpe.2023.9.62.5.21 ISSN 1738-964X(Print) / ISSN 2508-7029(Online)

한국 프로농구리그 내에서의 제도변경에 따른 경쟁균형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Efficiency Analysis of the Competitive Balance by System Changes in the Korean
Basketball League (KBL)
박주호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초빙연구원ㆍ조정환* 한라대학교 강사
Park, Juho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ㆍCho, Junghwan Halla Univ.
요약
1997년 한국프로농구리그(KBL)가 설립된 이래 매년 KBL의 팀들 간의 경쟁균형을 알아보고,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하
여 매년 이루어지는 제도변경을 통한 경쟁균형의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시간 경과에 따
른 규제변경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팀 기록, 연간 입장수익, 연간 관람객수)는 KBL연감을 통해 수집되었다. 경쟁균형을 측
정하기 위해 팀의 연간 성적을 활용하여 나타난 Herfindahl-Hirschman(HHI) 지수를 투입변수로, 연간 입장수익 및 관람객
수는 산출변수로 지정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세 개의 시즌(2011-2012, 2013-2014,
2016-2017)이 효율적인 시즌으로 분석되었으며, 나머지 시즌은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중
1997년 시즌이 시작된 이래로 5개의 시즌이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으로 나타났다. 효율성이 가장 좋은 3개의 시즌의 규제변
경을 검토하는 결과는 비디오판독(VAR) 도입, 외국인선수 자유계약제 및 드래프트제, 샐러리캡 인상, 24초 공격제한시간 룰
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쟁균형 달성에 기여한 규제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실질적인 의미가 있다.

주요어: 한국프로농구리그(KBL), 경쟁균형, Herfindahl-Hirschman Index(HHI), 자료포락분석(DEA), 효율성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etitive balance between KBL teams every season and to test the efficiency of
the competitive balance in the KBL in relation to various regulatory changes that have occurred since the league’s
establishment in 1997 using DEA. Information pertaining to regulatory changes that have occurred over time was
obtained from the KBL’s annual guidebook. Among the variety of data sets offered by the guidebook, team records,
annual income, and annual spectator attendance were used for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o be specific,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HHI) for measuring competitive balance was used as an input variable by utilizing the
team’s annual performance (i.e., total wins for each teams). Also, the annual income and the number of spectators
were used as output variabl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ree seasons (i.e.,
2011-12, 2013-14, and 2016-17)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On the other hand, the statistical analysis
identified the remaining seasons as being less effective. In examining the regulatory changes of three efficient seasons
noted above, it was revealed that video assistant referees, free agency in relation to foreign players, an increase of
the salary cap, and the implementation of a 24-second shot clock were the main pillars of the regulatory changes
that had occurred. H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ractical implications because the findings identify regulatory
changes that contributed to the attainment of competitive balance.

Key words: Korean Basketball League(KBL), Competitive balance, Herfindahl-Hirschman Index(HHI),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Efficiency

* cjh8526@naver.com
Copyrightⓒ2023 KAHPERD
312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서론 표라고 주장했으며, Brandes & Franck (2007)의 연구


에서는 경쟁균형을 통해 관중 수를 예측할 수 있다고
논의하였다. 따라서 프로스포츠산업에서의 연구자 및
과거 2015년 이전까지 한국 프로농구리그(KBL)는
실무자들은 경쟁력의 가치를 받아들여 중요한 성과
정규리그 관중 100만 명을 넘어서며 ‘한국농구의 전
측정 요소로 채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개별 팀들
성기’라 불리우며 프로스포츠 산업에서 큰 역할을 담
의 경쟁 능력을 제한하고 있다(Soebbing & Mason,
당하고 있는 종목 중 하나로 그 명성을 지켜오고 있
2009).
었다. 1997년 프로농구리그가 개막한 이후로 기존 농
경쟁균형은 예측 가능한 결과를 원하지 않는 스포
구대잔치에서의 농구선수들에 대한 열광적인 팬덤과
츠 팬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전의 다양한 연구
그 인기는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거기에 외국인선
들에서는 프로 스포츠 리그의 경쟁균형이 관중수
수 드래프트 제도가 생겨나면서 한국 프로농구의 발
(Forrest & Simmons, 2002; Levin, 2009; Schmidt &
전에 대한 기대는 극대화되었었다. 하지만 2011-2012
Berry, 2001; Zimbalist, 2002)와 경기수익(Dietl,
시즌 총관중수 1,190,525명(정규시즌 기준)을 기록한
Grossmann, Lang, 2011; Dobson, Goddard, 2004;
이후 2016-17시즌에는 약 832,293명으로 급격한 감소
Kesenne, 2006; Szymanski & Kesenne, 2004)과 같은
추세를 보였다(KBL, 2022).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데
다양한 결과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예측 변수로 작용
에는 경기 내외적으로 여러가지 원인이 존재할 것이
되었다. 예를 들어, Lowry(2003)는 미국 국가 축구 리
다. 경기 외적으로는 스타선수의 부재, 지도자의 권위
그(NFL)의 경쟁균형이 잘 이루어질수록 관중의 참여
적 강압적 태도, 선수와 팬과의 소통부재, 심판의 자
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에 대한 관련성을 입증하였다.
질, 수도권에 집중된 연고지 정책 등이 영향을 미쳤
이러한 이유에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프로스포츠
을 것이며, 내적으로는 샐러리캡(하드캡) 제도, 자유계
리그에서는 매년 공식 규정 및 규칙을 개정하면서 각
약 제도, 드래프트 제도, 외국인 선수선발 및 출전 규
시즌의 팀의 경쟁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KBL 역시 매
정, 경기 시간 변경 등 일관성이 없는 제도 변경 및
년 새로운 규정과 규칙을 경기에 적용하면서 팀의 경
심판오심으로 인해 팬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이러한
쟁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유로 2012년 이후 관중 수가 감소하고 TV 시청률
KBL은 신인 드래프트 시스템, 외국 선수와의 계약,
도 약 0.1%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KBL,
외국 선수들의 플레이 시간에 대한 규칙 등 각종 규
2022). 뿐만 아니라, 여기에 코로나19까지 악재를 보
칙을 매년 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규제를 변
태면서, 현재는 예전의 그 열기는 찾아보기 힘든 시
경하면서 좋지 않은 예도 생겼는데, 그 예로
기를 겪고 있다.
2018-2019시즌에 장신 외국인 선수의 키가 2m, 단신
이러한 KBL의 비극적인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앞
신수는 186cm를 초과하는 선수와의 계약을 허용하지
서 언급한 것처럼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팀 경쟁
않기로 결정하였으나 다음 시즌에 바로 폐지하면서
력의 균형 또한 한국프로농구의 하락세에 영향을 주
세계의 많은 매체에 비웃음을 받았다.
고 있다. 여기서 ‘경쟁균형(Competitive Balance)’은 각
이렇게 규정 변화의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면서 국
팀의 경기력의 평등 정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Owen,
내 프로농구리그는 조금씩 최적의 경쟁균형 유지에
Ryan, & Weatherston, 2007). 즉, 경쟁균형은 프로스
관한 노력을 해왔다. 이러한 경쟁균형의 변화는 프로
포츠에서 성공 수준을 정의하는 기본적인 요소 중 하
농구리그의 관중 유치 및 경기수익에 직결됨과 동시
나로 간주될 수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팬들이
에 스포츠 팀의 안정적인 재정 관리에도 매우 중요한
경기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울 때 열광적인 행동을 보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Biscaia, 2016; Ko, Zhang,
인다는 것을 입증해왔다. 예를 들어, Levin(2009)은 경
Cattani, & Pastore, 2011). 또한 관중수의 기대치는
쟁균형이 팬들이 인식하는 경쟁력 성과의 중요한 지
마케팅 전략 수립에 사용될 수 있기에 리그에서의 경
한국 프로농구리그 내에서의 제도변경에 따른 경쟁균형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313

쟁균형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경쟁균형 욱, 님상석, 2019).


을 관리하는 것은 모든 팀이 최고의 선수단을 보유하
고 싶어 하는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어떤 방법으로 1. 허핀달-허쉬만 지수(Herfindahl-Hirschman Index)
경쟁균형을 이루어야 효율적일지는 연구자들의 숙제
일 것이다(Soebbing & Mason, 2009). HHI란 한 시장의 집중도를 파악하는 지표 중 하나
따라서 기존 연구들을 기반으로 경쟁균형의 효율성 로 경쟁균형의 일반적인 측정방법으로 이용된다
을 분석하여 어떤 경쟁균형 규칙이 최상의 결과를 가 (Depken, 1999). HHI는 시장 점유율의 제곱의 합에 기
져오는지 확인해야 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기존의 여 반한 지표이며, 본 연구에서는 시즌 내 팀들 간의 승
러 분야의 연구에서 활용되었던 자료포락분석(Data 리 분포에 적용할 때, 시장점유율은 해당 시즌 리그
Envelopment Analysis, DEA)을 본 연구에서도 활용하 내 모든 팀의 총 승리에 대한 각 팀의 승리 수를 비
여 각 시즌별로 효율성을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율로 나타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Owen & Owen,
하였다. 사실 DEA는 유사한 활동을 추구하는 단위들 2022; Owen, Ryan, & Weatherston, 2007). HHI 공식
을 평가하기 위한 잘 수립된 상대적 성과 측정 방법 은 다음과 같다.
론입니다.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DEA는 여러 주제에
자주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환경분야(Bresciani,     
Puertas, Ferraris, & Santoro, 2021; Shuai & Fan,
    

2020), 보건서비스 분야(Borden, 1988; Pina & Torres,


 
 
   

1992), 스포츠관련 분야(Arabzad, Ghorbani, & Shahin,
2013; Haas, 2003; 박주호, 원도연, 정지명, 2014; 배정
( : 한팀의 총 승리수, 
 
 : 리그의 총 승리수)

섭, 박주호, 원도연, 2015) 등의 연구들에서 많이 사용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1997년 한국프로농구리그 리그에 소속된 팀들의 총 승리수의 차이가 적어야
(KBL)가 설립된 이래 매년 KBL의 팀들 간의 경쟁균 전력균형지수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는 다시말해, HHI
형을 알아보고,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하여 매년 지수값이 낮을수록 경쟁균형에 평준화에 가까워져 치
이루어지는 규제변경을 통한 경쟁균형의 효율성을 검 열한 경쟁이 있음을 의미하며, 높은 지수값을 보일수
증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록 독점적인 팀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방법 2.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모형의 출발점인 효율성 개념은 Debreu(1951)


자료포락분석(DEA)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가장
와 Koopmans(1951)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시작되었으
우선적으로 시즌 간의 경쟁균형을 계량화하는 절차가
며. Farrell(1957)이 체계적으로 기업의 생산 과정을
필요하였다. 이에 각 시즌의 경쟁균형지수를 나타내기
산재하는 상대적 효율성을 그 기업이 효율적인 집합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표 중 스포츠분야에서
에서 떨어져 있는 거리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
특정 연도 및 시즌의 전력균형을 측정하는데 활용되고
다(배준호, 2010). 하지만 비율비효율성을 측정하지 못
있는 허핀달-허쉬만 지수(Herfindahl-Hirschman Index,
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Charnes, Cooper, &
HHI)를 사용하였으며, 도출된 지수를 가지고 최종적으
Rhodes(1978)는 효율성을 완전한 형태로 측정할 수
로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해 자료포락분석을 실시하였
있는 선형계획기법을 제안하였는데 이것이 DEA이다.
다(Depken, 1999; Owen & Owen, 2022; 한진욱, 오승
DEA 모형은 Charnes et al.(1978)에 의해 개발된 단일
314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측도(single value)를 도출하는 선형계획기법(Linear 만든 궤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시말해, 효율적인


Programming Technique)의 일종으로 하나 이상의 투 DMU는 선형 상에서 나타나고, 비효율적인 DMU는 선
입물과 산출물로 이루어진 의사결정단위(Decision 형 상에서 벗어난 형태로 나타난다(Charnes et al.,
Making Units, DMU)를 유사한 속성을 가진 집단 내에 1978) 이때 선형 상에 있는 DMU를 참조 DMU로 설정
서 평가하는 상대적 기법이다(Charnes et al., 1978). 할 수 있으며, 참조 DMU는 선형 상에서 벗어난 DMU
모수(parameter) 추정 접근방식인 회귀모형과 달리 비 들의 벤치마킹이 된다(박주호 등, 2014).
모수적 접근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함수형태
를 가정하며 투입과 산출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밝히 3. 투입, 산출요소 선정
기 어려운 DMU의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안정남, 2007). 또한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들 간의 자 DEA를 통한 상대적 효율성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료를 이용하여 경험적인 프론티어를 도출한 후 평가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설정하였다.
대상들이 효율적인 프론티어 상에서 얼마나 떨어져 Fitzsimmons & Fitzsimmons (1994)에 의하면 DMU
있는지 측정하여, 효율적 DMU와 비효율적 DMU의 비 의 수는 최소한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의 합의 2배 또
교를 통해 성과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할 는 3배 이상이어야 한다고 정의하였다. 이에 맞춰 본
수 있다(안상돈, 강병규, 안진용, 2009).
DEA 모형은 크게 Charnes et al.(1978)의 CCR모델 표 1. DMU, 투입, 산출요소 구성
과 Banker, Charnes, & Cooper(1984)의 BCC모델로 구
투입 산출
분할 수 있다. 두 모델은 투입과 산출 중 어디에 초 시즌
HHI 관중수 연간수익
점을 맞추는가에 따라 투입지향과 산출지향으로 구분
2016∼2017 0.106721536 832,293 7,333,451,050
된다. 본 연구에서는 규모수익 불변(Constant Returns 2015∼2016 0.105514403 937,056 6,215,219,294
to Scale)을 가정하는 투입지향 모델인 CCR모델을 사 2014∼2015 0.112373114 1,043,515 6,409,868,606
용하였다(박주호 등, 2014). CCR모델은 다음과 같은 2013∼2014 0.111138546 1,180,388 6,504,740,873
선형계획함수로 설정된다. 2012∼2013 0.112318244 1,097,515 5,630,423,092
2011-2012 0.110315501 1,190,525 5,506,899,997
   
 
min      2010-2011 0.110233196 1,030,107 4,650,005,238
 
2009-2010 0.113964335 994,399 4,780,240,621
        , i = 1,…, m

 

  
2008-2009 0.106200274 1,084,026 5,344,868,396
λ      , r = 1, …, s

 

  2007-2008 0.108312757 1,062,786 4,407,024,988
2006-2007 0.104663923 1,030,731 3,956,281,600
λ ,  
 ,  ≥  ∀
2005-2006 0.106886145 999,318 4,003,917,700
2004-2005 0.105624143 1,006,547 4,228,202,400
위 함수에서 λ 는 DMU들의 가중치를 의미하고,  2003-2004 0.109849108 950,689 3,768,891,364
와 는 투입요소과 산출요소의 여유변수를 의미한다. 2002-2003 0.106639232 943,772 3,405,765,164
모든 DMU의 효율성 값은 1 이하의 값을 가지게 되 2001-2002 0.104087791 953,078 3,463,026,720
고, CCR 효율성 값이 1이면 효율적이라 할 수 있고, 2000-2001 0.110241975 747,460 2,709,468,150
1 미만의 값을 가지는 DMU는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 1999-2000 0.105817284 748,931 3,411,363,110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프론티어를 기반으로 한 1998-1999 0.114192593 678,576 3,630,610,000
접근의 경우에는 효율적 DMU를 규명한다는 점에서 1997-1998 0.105343210 636,921 4,440,726,000
비프론티어적 접근과는 구별되어 프론티어의 집합이 1997 0.137755102 306,666 2,358,874,000
한국 프로농구리그 내에서의 제도변경에 따른 경쟁균형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315

연구에서의 DMU의 수는 1997년 리그 설립 이후 리그 결과 및 논의


부터 총 21개로 구성하였으며, 투입요소로는 우리나라
프로농구 10개 구단에 대한 시즌별 HHI 지수, 산출요
1. HHI 지수 결과분석
소로는 시즌별 총관중수와 연간수익으로 구성하였다
<표 1>.
프로농구리그 내 경쟁균형을 알아보기 위해 HHI
지수를 함수에 적용하여 나타난 결과, 가장 경쟁균형
4. 자료처리
이 잘 이루어진 시즌은 HHI 지수는 가장 낮은 수치
0.104087791를 보인 2003-2004시즌으로 나타났다. 다
DEA를 이용한 국내 프로농구리그(KBL)의 시즌별
음으로 2004-2005시즌, 1998-1999시즌, 2007-2008시즌
규제변경의 상대적 효율성을 비교평가하기 위해 KBL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경쟁균형이 이루어지지
2021-2022 연감에서 제공하는 데이터(팀 관련 데이터,
않은 시즌은 1997년 설립 당시 해의 시즌으로 나타났
관중수, 연간수익, 변경된 규제)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으며 HHI지수는 0.137755102로 나타났다<표 2>.
처리는 Excel 2021과 Frontier Analyst 4.0을 활용하여
결과적으로 해석해보면, 97년 설립 당시 규정이나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자료 처리된 데이터를 이용하
규칙이 체계적이지 못했던 것이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여 매년 변경된 리그 내 규제를 비교하였다.
있다. 그 이외의 시즌에서 나타난 HHI지수는 큰 차이

표 2. 시즌별 효율성 분석결과(CCR 모델)

시즌 효율성값 HHI Target HHI(%) 관중수 Target 관중수(%) 연간수익 Target 연간수익(%)
2011-2012 100 0.105514403 0.105514403(-) 1,190,525 1,190,525(-) 5,506,899,997 5506899997(-)
2016-2017 100 0.112373114 0.112373114(-) 832,293 832,293(-) 7,333,451,050 7333451050(-)
2013-2014 100 0.106721536 0.106721536(-) 1,180,388 1,180,388(-) 6,504,740,873 6504740873(-)
2008-2009 95.11 0.111138546 0.105703871(-4.9) 1,084,026 1,084,026(-) 5,344,868,396 5344868396(-)
2015-2016 93.9 0.110315501 0.103586255(-6.1) 937,056 937,056(-) 6,215,219,294 6215219294(-)
2014-2015 93.49 0.112318244 0.105006326(-6.5) 1,043,515 1,043,515(-) 6,409,868,606 6409868606(-)
2012-2013 91.38 0.113964335 0.104140609(-8.6) 1,097,515 1,097,515(-) 5,630,423,092 5630423092(-)
2006-2007 91.25 0.110233196 0.100587791(-8.7) 1,030,731 1,030,731(-) 3,956,281,600 4767755856.29(20.5)
2007-2008 90.92 0.106200274 0.096557289(-9.1) 1,062,786 1,062,786(-) 4,407,024,988 4916029667.76(11.5)
2004-2005 88.3 0.104663923 0.092418244(-11.7) 1,006,547 1,006,547(-) 4,228,202,400 4655890192.38(10.1)
2005-2006 86.63 0.105624143 0.091502195(-13.4) 999,318 999,318(-) 4,003,917,700 4622451684.09(15.4)
2010-2011 86.59 0.106886145 0.092552713(-13.4) 1,030,107 1,030,107(-) 4,650,005,238 4764869477.93(2.5)
2001-2002 84.85 0.108312757 0.091903374(-15.2) 953,078 953,078(-) 3,463,026,720 4408563646.58(27.3)
2002-2003 82.01 0.106639232 0.087454834(-18.0) 943,772 943,772(-) 3,405,765,164 4365517753.91(28.2)
2009-2010 81.12 0.109849108 0.089109597(-18.9) 994,399 994,399(-) 4,780,240,621 4780240621(-)
2003-2004 80.19 0.104087791 0.083468(-19.8) 950,689 950,689(-) 3,768,891,364 4397513073.01(16.7)
1997-1998 66.05 0.110241975 0.072814825(-34.0) 636,921 636,921(-) 4,440,726,000 4440726000(-)
1999-2000 65.58 0.105817284 0.069394975(-34.4) 748,931 748,931(-) 3,411,363,110 3464259987.53(1.6)
2000-2001 62.83 0.114192593 0.071747206(-37.2) 747,460 747,460(-) 2,709,468,150 3457455720.59(27.6)
1998-1999 55.79 0.10534321 0.058770977(-44.2) 678,576 678,576(-) 3,630,610,000 3630610000(-)
1997 25.97 0.137755102 0.035775(-74.0) 306,666 306,666(-) 2,358,874,000 2358874000(-)
316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를 보이지 않았던 이유는 매 시즌 조금씩 변경되는 역시 앞서 언급한 두 시즌과 비교하여 벤치마킹이 이


규제에 의해 경쟁균형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을 것 루어져야 할 것이며, 2014-2015시즌의 경우는 효율적
이다. 결국 본 연구의 목적인 시즌별 효율성을 알아 선상에서 2016-2017시즌보다는 2013-2014시즌에 조금
보기 위해서는 앞서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던 것처럼 더 가까이 있기 때문에 벤치마킹 타켓은 2013-2014시
경쟁균형이 관람객수와 입장수익에 어떤 관계를 가지 즌이 되어야 할 것이다.
고 있는지 분석하는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 가장 효율적인 시즌에서 변경된 규제를 분석한 결
다(Biscaia, 2016; Ko et al., 2011). 과, 비디오 판독, 24초 슛클락 시스템 도입, 연봉 상
한액 증가, 그리고 국내, 외국인 선수 관련 자유계약
2. 시즌별 효율성 평가 결과분석 및 드래프트 시스템 변경이 주요 특징이었다. 구체적
으로, 2011-2012시즌의 경우, 경기 관련해서 공식 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1-2012, 용구가 변경이 되었으며, 비디오 판독을 전경기 시행
2013-2014, 2016-2017 세 개의 시즌이 효율성값 100 한 첫해였다. 선수 관련해서는 국내 선수의 경우 샐
으로 가장 효율성이 높은 시즌으로 나타났다. 반면, 러리캡이 20억 원으로 상향되었으며, 외국인 선수의
1997년 시즌은 효율성값이 25.97로 가장 낮은 시즌으 경우 선수선발제도가 드래프트제에서 자유계약제로
로 나타났으며, 1997년 설립 이후 5년 간의 시즌이 도입되어 각 구단이 1명 보유 1명 출전을 시킬 수 있
모두 효율성값이 70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그 게 되었다. 2013-2014시즌의 경우, 공격제한시간 24초
설립 이후 제도적 불안정한 시즌을 보낸 것으로 해석 룰이 진행되었으며, 샐러리캡은 22억 원으로 상향되었
힐 수 있다. 하지만 그 이후 모든 시즌이 효율성값 80 다. 마지막으로 2016-2017시즌의 경기 관련된 룰은
이상으로 나타나 불안정한 상태에서 벗어난 것으로 전년도와 비교해서 변경된 사항은 없었지만, 팀별 외
분석결과 나타났다<표 2>. 국인선수 2명 중 1, 4쿼터에는 1명 출전시킬 수 있고
<그림 1>에서와 같이 효율성 프론티어에 나타난 시 2, 3쿼터에는 2명 모두 출전가능하게 규정을 변화시
즌별 결과를 세세하게 분석해보면, 비효율적인 DMU 켰다. 특히, 4∼6라운드에서는 1∼3쿼터 2명 모두 출
과 효율적 DMU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효율적 프론티 전 가능한 시즌이었음을 보여줌으로써 효율성이 높게
어 선으로 향하는 방향에 가까운 DMU와 비교해야 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다(박주호 등, 2014). 따라서 1997시즌의 경우는
2013-2014 또는 2016-2017시즌과 비교하여 벤치마킹
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1997-1998, 2015-2016시즌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국내 프로농구리그 내에서의 다양한 규


제변경과 관련하여 KBL의 팀경쟁균형의 효율성을 검
증하였다.
우선 독점적 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년
경기규칙과 국내⋅외선수 관련 제도(드래프트제, 자유
계약제, 샐러리캡 등)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았
으며, HHI 지수를 이용하여 리그의 경쟁균형을 분석
하였다. 또한 HHI 지수(투입요인)과 관람객수 및 연간
수익(산출변수)을 통해 효율성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
출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효율적인
그림 1. 효율성 프론티어 결과
한국 프로농구리그 내에서의 제도변경에 따른 경쟁균형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317

시즌과 비효율적인 시즌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시 참고문헌


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효율적인 3개의 시즌(2011-2012, 2013-2014,
김동원, 이태민, 강명수(2003). 지각된 위험과 지각
2016-2017)과 나머지 시즌과 비교하였을 때 여러가지
된 품질이 모바일 상거래 수용에 미치는 영
규제변경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선수
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35(2),
드래프트 시스템은 탱킹(Tanking)을 방지하기 위해 국
171-193.
내 선수들에 대한 선수선발 제도가 자유계약 방식과
박주호, 원도연, 정지명(2014). DEA모형을 통한 프
드래프트 방식으로 번갈아가면 변경되었는데, 2011-
로배구단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체육과학
2012시즌부터 2014-2015시즌까지 드래프트 방식을 자
연구, 25(4), 796-805.
유계약 방식으로 바뀌었다가 2015-2016시즌부터는 다
배정섭, 박주호, & 원도연. (2015). DEA 모형을 통
시 드래프트 방식으로 환원되었다. 또한 드래프트 방
한 프로야구 FA 선수들의 상대적 효율성 분
식이 1, 2위를 제외한 순위에 상관없이 무작위 추첨
석. 체육과학연구, 26(3), 582-595.
제로 변경되면서 이또한 경쟁균형을 통한 효율성을
배준호(2010). DEA분석을 이용한 특급호텔 외식사
평가하는데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
업부의 경영효율성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었다.
레스토랑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청구
외국인선수 선발방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2012시즌에 드래프트제에서 새롭게 자유계약제
안상돈, 강병규, 안진용(2009). DEA 모형을 이용한
로 변경하고, 다시 2013-2014와 2016-2017시즌에는 드
지역농협 가공식품 사업의 경영 효율성 분
래프트제로 환원시켜 경쟁균형을 이루려고 했으며, 또
석. 한국협동조합 연구, 26(2), 43-66.
한 외국인선수들의 경기시간을 쿼터별로 제한하면서
안정남(2007). 비교 쇼핑을 위한 판매자 추천 방법
경쟁균형을 이뤄 효율성을 높이는데 일조하였다고 생
에 관한 연구: DEA모형을 이용해서. 미간행
각된다.
박사학위청구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러한 시즌별 규제변경을 통한 경쟁균형 달성은
한진욱, 오승욱, 남상석(2019). 프로야구 리그 확장
많은 관람객을 동원하고 리그의 수익을 높이는데 꼭
이 경쟁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
필요한 요소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진행한
업경영학회지, 24(1), 1-14.
시즌별 경쟁균형을 통한 상대적 효율성 분석은 경쟁
Arabzad, S. M., Ghorbani, M., & Shahin, A. (2013).
균형을 달성하는데 있어 실무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실
Ranking players by DEA the case of
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English Premier League. International
본 연구의 제한점은 KBL에서 제공하는 입장수익에
Journal of Industrial and Systems
대한 데이터는 2017년 이후부터 제공되지 않기에 데
Engineering, 15 (4), 443-461.
이터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경쟁균형을
Banker, R. D., Charnes, A., & Cooper, W. W.
분석하는데 있어 팀의 승리수를 사용한 HHI 지수만이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아닌 다른 요인들도 포함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한층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깊은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 (9), 1078-1092.
Biscaia, R. (2016). Revisiting the role of football
spectators’ behavioral intentions and its
antecedents. The Open Sports Sciences
318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Journal, 9 (1), 3-12.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Borden, J. P.(1988). An assessment of the impact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Statistics in
of diagnosis-related group (DRG)-based Society, 120 (3), 253-281.
reimbursement on the technical efficiency Fitzsimmons, J. A., & Fitzsimmons, M. J. (1994).
of New Jersey hospitals using data Service management for competitive
envelopment analysis. Journal of advantage. NY: MacGraw-Hill.
Accounting and Public Policy, 7 (2), 77-96. Forrest, D., & Simmons, R. (2002). Outcome
Brandes, L., & Franck, E. (2007). Who made who? uncertainty and attendance demand in
An empirical analysis of competitive sport: the case of English soccer. Journal
balance in European soccer leagues.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D:
Eastern Economic Journal, 33 (3), 379-403. The Statistician, 51 (2), 229-241.
Bresciani, S., Puertas, R., Ferraris, A., & Santoro, Haas, D. J. (2003). Technical efficiency in the
G. (2021). Innovation, environmental major league soccer. Journal of Sports
sustainabi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Economics, 4 (3), 203-215.
DEA-Bootstrap and multilevel analysis to KBL(2022), 2021-2022 프로농구연감. https://www.kbl.
compare two regions. Technological or.kr/story/ebook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72, Kesenne, S. (2006). Competitive balance in team
121040. sports and the impact of revenue sharing.
Charnes, A., Cooper, W. W., Rhodes, E. (1978).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0 (1), 39-51.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Ko, Y. J., Zhang, J., Cattani, K., & Pastore, D.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2011). Assessment of event quality in
Operational Research, 2 (6), 429-444. major spectator sports. Managing Service
Debreu, G. (1951). The coefficient of resource Qu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21 (3),
utilization. Econometrica: Journal of the 304-322.
Econometric Society, 273-292. Koopmans, T. C. (1951). Efficient allocation of
Depken, C. A. (1999). Free-agency and the resources. Econometrica: Journal of the
competitiveness of major league baseball. Econometric Society, 455-465.
Review of Industrial Organization, 14 (3), Levin, M. A. (2009). The value of competition:
205-217. competitive balance as a predictor of
Dietl, H. M., Grossmann, M., & Lang, M. (2011). attendance in spectator sports.
Competitive balance and revenue sha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arketing
in sports leagues with utility-maximizing and Sponsorship, 11 (1), 2-19.
teams. Journal of sports economics, 12 (3), Lowry, T. (2003, January 27). The NFL machine.
284-308. Business Week, p. 89.
Dobson, S., & Goddard, J. (2004). Revenue Owen, P. D., & Owen, C. A. (2022). Simulation
divergence and competitive balance in a evidence on Herfindahl-Hirschman
divisional sports league. Scottish Journal of measures of competitive balance in
Political Economy, 51 (3), 359-376. professional sports leagues. Journal of the
Farrell, M. J. (1957). The measurement of Operational Research Society, 73 (2),
한국 프로농구리그 내에서의 제도변경에 따른 경쟁균형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319

285-300. DEA-Tobit model. Journal of


Owen, P. D., Ryan, M., & Weatherston, C. R. environmental management, 261, 110227.
(2007). Measuring competitive balance in Soebbing, B. P., & Mason, D. S. (2009). Managing
professional team sports using the legitimacy and uncertainty in professional
Herfindahl-Hirschman index. Review of team sport: the NBA’s draft lottery. Team
Industrial Organization, 31, 289-302. performance management: an international
Schmidt, M. B., & Berri, D. J. (2001). Competitive journal, 15 (3/4), 141-157.
balance and attendance: The case of Major Szymanski, S., & Kesenne, S. (2004). Competitive
League Baseball. Journal of Sports balance and gate revenue sharing in team
Economics, 2 (2), 145-167. sport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52,
Shuai, S., & Fan, Z. (2020). Modeling the role of 165-177.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regional Zimbalist, A. S. (2002). Competitive balance in
green economy efficiency of China: sports leagues: An introduction. Journal of
Empirical evidence from super efficiency Sports Economics, 3 (2), 111-121.

논문투고일: 2023. 07. 31


논문심사일: 2023. 08. 14
심사완료일: 2023. 09. 1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