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속담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7

제4장 한국 문화를 담은 언어코드: 속담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때린다 (dù là chó cũng không được đánh trong lúc ăn cơm): trời đánh tránh bữa
ăn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tai vách mạch rừng – lời nói bí mật đến thế nào đi nữa thì cũng
chắc chắn tới tai người khác nên phải thận trọng trong lời ăn tiếng nói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chó con một ngày tuổi không biết sợ hổ): điếc không sợ súng –
không hiểu biết, không nhận thức được hậu quả mà cứ nói bừa, làm bừa

1. 속담과 언어
1.1. 속담이란?

속담이란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온 일상생활에서 얻은 경험과 지혜, 고휸 풍자 등을 담은 짧은


말이다.
- 언제? 예전부터
- 어떻게 전해지나? 구전되는(입에서 입으로 내려오는), 집단을 통해
- 왜? 경험, 교훈, 풍자가 들어 있으니까
- 무엇을 담고 있나? 생활, 사고방식, 언어습관, 행위규범 등
-> 속담이란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온 일상생활에서 얻은 경험과 지혜, 교훈 풍자 등을 담은
짦은 말이다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lời nói đi có hay thì lời nói lại mới đẹp – đối xử với người ta sao
thì người ta đối xử lại như thế

* 잘되면 제 탓, 못되면 조상 탓: tốt thì do mình, xấu đổ tại tổ tiên

* 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마라: đừng ngó nhìn cái cây mà mình không trèo lên được – không
nên tham lam việc bất khả năng với mình

* 부부 싸움은 칼로 물 베기: vợ chồng cãi nhau như dao chém nước – vợ chồng dù có cãi nhau cũng dễ
làm hoà

*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dù là cầu đá cũng phải giậm chân thử rồi hãy bước qua): dù là việc
biết rõ hay chắc chắn thì vẫn phải cẩn thận xem xét lại một lần nữa

1.2. 속담의 특징

- 운율, 리듬

- 짧은 구조, 내용 간결

- 사회적 산물

- 지역, 향토성 반영

- 시대상 반영
- 가치관 반영

- 의사소통에 도움

- 오래됨

1.3. 속담과 언어문화

- 속담에서 알 수 있는 것? 언어습관, 가치관, 사고방식, 행위규범

* 누워서 떡 먹기: dễ như ăn bánh

*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않는데 김칫국부터 마신다 (Người cho bánh teok còn được nghĩ đến mà đã
uống canh kim chi): người làm cho còn chưa nghĩ đến mà bản thân đã hành động như thể chắc chắn người
đó sẽ làm cho mình -> 잘못된 추측

* 남의 떡이 커 보인다: đứng núi này trông núi nọ -> 비교, 욕심

* 싼 게 비지떡: của rẻ là của ôi -> 가치

* 우물가에 가서 숭뇽 찾는다 (tìm cơm cháy ở đáy giếng): mọi việc đều có trật tự và thứ tự nhưng lại
không biết mà hấp tấp, vội vàng -> 급한 성격

* 벼 이삭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lúa càng chín càng cúi thấp đầu – càng là người có năng lực
vượt trội hay ở vị trí cao thì càng khiêm tốn -> 겸손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nếu cùng giá thì chọn váy hồng – nếu cùng điều kiện hay giá cả thì chọn cái có
chất lượng tốt và ưu nhìn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mất bò mới lo làm chuồng

-> 쌀 주식 문화권; 기다림과 겸손


2. 생활을 보여주는 속담 – 의식주
밥솥 콩팥 이웃사촌 팥빙수 우정
거만하다 시장하다=배고프다
2.1. 식생활

- 한국 음식의 일반적인 특성?

+ 쌀 주식 문화

+ 주식 (밥과 국) (개별) + 부식 (공유)

+ 식구: 밥 같이 먹는 사람들

- 식생활 문화를 표현한 속담과 관영 표현:

*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 꿩 대신에 닭: gà thay chim trĩ – 원하는 것이 없을 때 비슷한 것으로 대신함


* 한술 밥에 배 부르랴=첫술에 배부르랴: bất cứ việc gì cũng ko thể thành công được trong một lần

-> 노력

* 거짓말을 세 끼 밥 먹듯하다: nói dối như cơm bữa

* 시장이 반찬: khi đói thì ăn gì cũng ngon -> 상황, 감사

* 그 나물에 그 밥: có gì khác đâu (그 나물에 그 밥이겠지)/ nồi nào úp vung nấy

* 제 눈에 안경: dù là cái không có giá trị nhưng mình hài lòng thì vẫn xem là tốt

* 식은 국도 불고 먹는다=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 두부 먹다가 이 빠진다=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dù là người đã làm tốt một việc gì đó lâu năm
thì thỉnh thoảng cũng có lúc phạm sai lầm.

-> 방심

* 말이 고마우면 비지 사러 갔다가 두부 들고 온다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 콩밭에 가서 두부 찾는다 = 우물가에 가서 숭늉 찾는다 -> 성격이 급하면 안 된다

* 콩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도 믿지 않는다: có chết cũng không tin

* 보기 좋은 떡이 먹기에도 좋다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 두 손의 떡: không thể đưa ra lựa chọn

* 귀한 자식 한 대 더 때리고 미운 자식 떡 한 개 더 준다: thương cho roi cho vọt, ghét cho ngọt cho
bùi

* 빈 수레가 더 요란하다: thùng rỗng kêu to = 속 빈 강정

-> 식생활 속담으로 ( )을 알 수 있다


+쌀 주식 문화
+먹는 것의 중요성, 밥이 중심 -> 사람은 밥심/밥힘으로 산다
+주식과 부식의 구별 (식사 예절을 결정)
+ 밥을 같이 먹는 사람들 = 식구
-> 음식에는

+ 조상의 지혜, 마음

+ 민족의 역사, 문화

+ 식사 예절

+ 자연 환경

+ 사회계층

2.2. 주생활 관련된 속담


- 집의 구성요소: 대문, 마당, 방, 문, 기동, 지봉, 방바닥, 창문, 현관/댓돌

- 남향집 (앞산=남산)

- 안채 (안주인은 생활하는 칸 + 부엌)

- 사랑채 (바깥양반은 생활하는 칸+ 손님)

- 문간방 (대문 옆에): 집에 일하는 사람이 생활하는 곳

- 뒷간 (사랑체 뒤에): nhà xí

- 곳간/광 (안채 옆에): kho lương thực (말린 음식) -> 안채의 주인이 곳간의 열쇠를 가져간다

- 한국 집의 특성과 관련 표현:

+ 안채-사랑채, 큰방 (어른) – 작은방 (어린이)=건넌방 (phòng đối diện với phòng ngủ)

+ 온돌

+ 대청마루, 마당

+ 문간방

+ 뒷간, 곳간 (광), 외양간 (소가 살고 있는 간)

* 마당발: người có quan hệ rộng

* “이리 오너라”: (ngày xưa) sử dụng khi đứng trước cổng nhà người khác rồi gọi người làm của nhà đó

* 까막까치도 집이 있다: chim có tổ, người có tông

* 벽에도 귀가 있다 =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 말을 조심해야 한다

*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모든 일은 원인이 있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gieo nhân nào gặp quả đó

* 광에서 인심 난다= 쌀독에서 인심 난다: lòng nhân từ thì nhà kho mới có -> cuộc sống phải đầy đủ
thì mới giúp người được

* 안방에 가면 시어머니 말이 옳고 부엌에 가면 며느리 말이 맞다: 양편의 말이 모두 일리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가 어렵다
(옳다 = 맞다; 가리다=선택하다; 일리; 시비)

* 목수가 많으면 기동이 기울어진다: 여럿이 일하는데 의견이 너무 많으면 도리어 일을 망친다.

(목수; 기울어지다; 여럿; 도리어; 망치다)

* 주생활 관련 핵심 어휘

- 문:

+ 문단속/문단속하다: đóng cửa

+ 문턱을 (못) 넘다=문턱에 걸리다


- 기둥:

+ 집의 중심 (우리 집의 기둥= 아버지, 아들)

+ 기둥 뿌리가 뽑힌다 (집의 경제가 흔들린다)

- 마당:

+ 마당발

+ 마당쇠, 마당지기:người ở (ngày xưa)

- 지봉: 기와집, 초가집

- 광 (곳간): 재물, 부유함 (광에서 인심 난다)

연말
-> 주생활 속담으로 ( )을 알 수 있다
+신분 문화
+ 공간 분리 – 역할 구분: 안채 (안주인); 사랑채 (바깥양반); 광; 부엌

+ 성별 역할 구별

(어머니의 힘: 안방=주부의 권력)

+ 같이 사는 사람들의 관계, 효문화 (안방/건너방, 큰방/작은방)

-> 한국의 집을 통해 ( ) 를 알 수 있다

+ 사회 계층, 신분 강조

+ 가족 구성원의 역할

+ 효 문화

+ 자연 환경

* 채 (많은 방이 있다) # 간 (là nơi cần thiết nhưng ko dùng để ngủ, sinh hoạt) # 방

2.3. 의생활

- 한국 전통 옷: 한복, 갓 (mũ truyền thống), 신 (giày truyền thống)

- 옷은 나이로 입는다 (나이와 예절에 맞게 옷을 입어라)

+ 나이, 결혼 여부 (기혼/미혼), 신분

+ 아가씨 (10-20 대): 다홍치마 + 색동저고리/노랑저고리

+ 신부 (cô dâu/mới kết hôn được 1-2 năm), 좋은 날: 다홍치마+연두저고리 (xanh lá nhạt)

+ 기혼 여성

자주색 고름 (=남편 있음) (고름: dây buộc áo Hanbok; 자주색: màu tía)
남색 끝동 (=아들 있음) (남색: màu chàm; 끝동: gấu tay áo Hanbok)

+ 30-40 대: 홍색/옥색 (màu xanh ngọc) 치마 + 녹색 저고리

+ 50 대: 남색/회색 (màu xám tro)치마+연보라 (màu tím nhạt)나 옥색저고리


(Khi đứng trước vua thì phải giấu tay vào trong áo)

* 한복의 구조

+ 가마 타고 옷고름 단다: 미리 준비를 해 놓지 않아서 임박해서야 허둥지둥하게 된다

(임박하다; 허둥지둥)

+ 오지랖이 넓다: tò mò, thọc mạch chuyện người khác

+ 소매치기: móc túi; kẻ móc túi

+ 새치기: chen ngang

(소매: tay áo)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 버선:

+ 버선 신고 발바닥 긁기: 문제를 바로 해결하지 못 한다

(버선: tất truyền thống; 긁다: gãi)

+ 버선 발로 뛰어 나가다: 기다리던 일이 왔다, 반가움

- 신:

+ 짚신도 제 짝이 있다: giày rơm cũng có đôi – ai rồi cũng có đôi có cặp

-> 의생활 속담으로 ( )을 알 수 있다

+ 신분 문화

+ 체면의 중요성

-> 한국의 의생활을 통해 ( ) 를 알 수 있다

+ 삶의 방식

+ 예절 문화

+ 사회 계층 강조

심부름하다 두레박과 항아리


3. 인간관계를 보여주는 속담
3.1. 부부관계

* 부부 싸움은 칼로 물 베기
* 옷은 새 옷이 좋고 임은 옛 임이 좋다: áo mới thì đẹp, người xưa thì tốt

(임=사랑하는 사람)

* 바늘 가는 데 실 간다: (단짝친구) kim đâu chỉ đó – thân thiết nên lúc nào cũng đi cùng nhau

* 금슬이 좋다: vợ chồng hoà thuận

3.2. 부모와 자식 관계

*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함함하다 = 호랑이도 제 새끼는 안 잡아 먹는다: hổ dữ không ăn thịt con

(고슴도치; 함함하다)

* 피는 물보다 진하다: một giọt máu đào hơn ao nước lã

* 귀한 자식 매 한 대 더 준다, 미운 자식 떡 하나 더 준다

-> 자녀교육

3.3. 가족 외의 관계

- 선생님과 관계

+ 아버지/스승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 không dẫm lên bóng của thầy cô -> 존경하는 선생님에 대한
태도
스승날: 5 월 15 일

- 곁에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

+ 사람은 헌 사람이 좋고 옷은 새 옷이 좋다

+ 먼 사촌보다 가까운 이웃이 낫다 = 이웃 사촌

- 연습문제:

* 금강산도 식후경: núi Guemgang cũng phải ăn xong mới ngắm – có thực mới vực được đạo

-> 먹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고방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