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

중세국어 한 장 정리본

초성 초성 제자원리 초성 상형의 원리 적기방법

전청 차청 불청불탁 전탁
가획자
(예사) (거센) (울림) (된) 기본자 병서자 이체자
(소리세짐)
어금닛소리(⽛⾳) ㄱ ㅋ  ㄲ
어금닛소리(⽛⾳) ㄱ ㅋ ㄲ ᅌ 어금닛소리(⽛⾳)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① 이어적기(연철) : 표음적 표기(발음대로) 예) 기픈, 니믈
혓소리(⾆⾳) ㄷ ㅌ ㄴ ㄸ
혓소리(⾆⾳) ㄴ ㄷ,ㅌ ㄸ ㄹ 혓소리(⾆⾳) 혀가 윗잇몸에 붙은 모양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의 경계가 모호
입술소리(脣⾳) ㅂ ㅍ ㅁ ㅃ
입술소리(脣⾳) 입 모양 ② 끊어적기(분철) : 표의적 표기(의미를 살려서) 예) 깊은,
잇소리 (⿒⾳) ㅈ,ㅅ ㅊ ㅉ,ㅆ 입술소리(脣⾳) ㅁ ㅂ,ㅍ ㅃ
님을
목구멍소리(喉⾳) ᅙ ㅎ ㅇ  잇소리(⿒⾳) ㅅ ㅈ,ㅊ ㅆ,ㅉ ᅀ 잇소리(⿒⾳) 이 모양
③ 거듭적기(중철) : 과도기적 표기(①+②) 예) 깁픈, 님믈
반혓소리(半⾆⾳) ㄹ 목소리(喉⾳) 목구멍 모양
목소리(喉⾳) ㅇ ᅙ,ㅎ ᅘ
반잇소리(半⿒⾳) 

중성 중성 제자원리(11개) 방점
① 글자 왼쪽에 찍는 점(좌가점, 사성점)
② ③
① 기본자 이름 특 징 보 기 ② 성조(소리의 높낮이) 발생
초출자(①+①) 재출자(②+ㅣ)
단모음 ,ㅡ,ㅣ,ㅗ,ㅏ,ㅜ,ㅓ (7개) 天(양성 초출자 ‘ ’가 하나만 쓰임 ㅏ,ㅓ,ㅗ,ㅜ ③ 임란 후 소멸(현대 국어의 경상도, 함경도 방언에 잔재)
*중세 때 ㅚ,ㅟ,ㅐ,ㅔ는 이중모음이었고 지금은 단모음 모음) 하늘  ㅗ ㅏ ㅛ ㅑ 재출자 ‘ ’ 가 둘이 쓰임 ㅑ,ㅕ,ㅛ,ㅠ ④ 현대에서는 소리의 장단으로 변화(상성 ⇒ 긴소리)
(깊다) 초출자끼리, 제출자
양성모음 ㆍ ㅗ ㅏ ㅛ ㅑ ㅚ ㅐ 동출합용자 ㅘ,ᆄ,ㅝ,
地(음성 끼리 합한 것 종류 소리 방점 수 예
음성모음 ㅡ ㅓ ㅜ ㅠ ㅕ ㅢ ㅟ ㅔ 땅 ㅡ ㅜ ㅓ ㅠ ㅕ ‘ㅣ’합용 일자 중성자 하나가‘ㅣ’와 ,ㅢ,ㅚ,ㅐ,ㅟ 평성 낮음 0 나
모음) 합용자
중성 합한 것 ㅔ,,ㅐ,,ㅖ 거성 높음 1 ․미
중성모음 ㅣ ⼈(중성 ‘ㅣ’합용 이자 중성자 둘이 ‘ㅣ’와 상성 낮음 → 높음 2 :말
모음) 인간 ㅣ ㅙ,ㅞ,,ㅣ,ᆅ
중성 합한 것 빨리 끝을 닫음 0, 1,
입성 엿, ․랏, :
(얕다) 받침 ‘ㄱ,ㄷ,ㅂ,ㅅ’으로 끝남 2

주격조사 목적격조사 관형격조사 받침

형태 환 경 보 기 형태 환 경 특 징 보 기 용비어천가 = 종성부용초성 : 초성에 오는 것 종성에 씀 (곶)


‘ㅣ’모음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 부텨+ㅣ→부톄, 孔⼦ 형태 환경 보 기
ㅣ 무정명사, 높임명사 뒤에 쓰 歧王ㅅ 집(기왕의 집) 세종어제 = 8종성표기법 : ㄱㄴㄷㄹㅁㅂㅅ
언 뒤에 쓰임 ㅣ (마음을), 나라(나라를), 이들(이뜻 ㅅ
/을 자음뒤 임 나랏 말(나라의 말씀) 근대국어 = 7종성표기법 : ㄱㄴㄹㅁㅂㅅ
이 자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 쓰임 사+이→ 사미 을)
 양성모음 뒤 유정명사 뒤에  ⾹(말의 향기) 지금 = 종성부용초성 함
‘ㅣ’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 ㅣ쓰 불휘+ ㅣ→불 휘( 뿌리 /를 모음뒤 놀애(노래를), 天下(천하를), 를(뼈를)
ø 의 음성모음 뒤 쓰임 崔九의 집(최구의 집)
임(ㅣ+ㅣ→ㅣ) 가)

호격조사 부사격조사 의문형 종결어미 명사형 어미


① ‘에/애/예’ : 현대어의 ‘에’와 똑같은 의미이다.
- 높임명사에 붙는 ‘하’가 따로 있는 점이 특이하다. 형태 환경 보기
형 태 환 경 보 기
형태 환 경 보 기 양 성 모 음 ㄴ고 설명의문 어더한고 옴/움
애 바래 가니(바다에 가니)
하 높임명사 뒤 님금하(임금이시여) 世尊하(세존이여) 뒤
아, 야 일반명사 뒤 阿難아(아난아) ⾧者야(장자야) 음 성 모 음 ㄴ가 판정의문 몬한가 명사파생 접사는 ( , 음)
에 굴허(구렁에, 구덩이에)
(이)여 감탄의 의미 觀世⾳이여(관세음이여) 뒤
ㄴ다 2인칭주어 어데 안다
예 ‘ㅣ’모음 뒤 예(배에)

변화과정 1) 변화과정 2) ㅎ종성체언

환경 보기

 ⇨  ⇨ 을 ⇨ 마을 고 ⇨ 고와 뒤에 모음 이어씀 땅(ㅎ)+이=땅히
 ⇨  ⇨ 을 ⇨ 가을 더 ⇨ 더워 뒤에 ㄱㄷ 축약 땅(ㅎ)+도=땅토
뒤에 ㅅ 생략 땅(ㅎ)+ㅅ=땅ㅅ

정동민국어논술학원 이대건T 010-4051-2274 @Swwweet.daekun


주체높임 선어말 어미 상대높임 선어말어미 객체 높임 선어말어미 소실문자 순서
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 : 중세국어의 상대높임법은 매우 단순한 객체높임 선어말 어미 : 겸손법, 겸양법 10원(ᅙ)을 가지고 산(ᅀ)에 올라가서 사과(ᅌ)를 따먹었더니 씨
체계이다. 하오체, 하게체는 17세기에, 해체나 해요체는 1930년대 (ㆍ)만 남았다.
어간의 끝소리 형태 다음어미의 첫소리 보 기
주체높임 선어말어미 : 선어말 어미 ‘-시-/-샤-’가 쓰임 에 형성된 것이다.
 자음 막거늘(막다)
ⅰ. ‘-시-’ : 자음어미 앞  가시고, 가시니 구 분 등 분
형태소 보 기 ㄱ,ㅂ,ㅅ,ㅎ
 모음 돕니(돕다) 소실 문자 소멸 시기 변천 과정
ⅱ. ‘-샤-’ : 모음어미 앞(뒷말이 아,오 같은 말이면) 이다, 니다, 리다(평서
쇼셔체 아주높임 /  자음 듣게(듣다) ① 동국정운식 한자음 초성에 사용 예) 安
 가샤, 가샴, 가샤, 미드샷다, 형)니가(의문형) 쇼셔(명령형) ㄷ,ㅌ,ㅈ,ㅊ,
 모음 얻(얻다) ᅙ(여린 15세기 중엽(세조 
定샨, 펴샤 다(평서형), 라(명령형) 히읗) 이후) ② 된소리 부호 예)  배
라체 아주낮춤 없음 유성음  자음 보게(보다)
다, 다(의문형) ③ 절음 부호(끊어서 발음) 예)  노미
반말 없음 니, 시리(평서/ 의문형) (모음,ㄴ,ㅁ,ㄹ)  모음 초(갖추다) ① 오(양성 모음) 예) 돕+아 ⇒ 도
ᄫ(ㅂ 15세기 중엽(세조 ② 우(음성 모음) 예) 덥+어 ⇒ 더
의미 확대 의미 축소 의미 이동 순경음) 이후) ③ ㅇ(중성 모음) 예) 쉽+이 ⇒ 쉬 ⇒
쉬이
(3) 의미의 이동
(1) 의미의 확대 15세기 중엽(세조 ① ㅋ 예) 다 ⇒ 켜다
(2) 의미의 축소 1) 정의 : 의미의 축소나 확대와 달리 본래의 의미를 잃고 다른 ᅘ(쌍히읗)
1) 정의 : 의미가 변화하여 그 적용되는 영역이 원래 영역보다 넓 이후) ② ㅆ 예) 물 ⇒ 썰물
1) 정의 : 의미가 변화하되 그 적용 영역이 원래 영역보다 좁아지 의미를 가지게 되는 현상 15세기 중엽(세조 ㅇ 예)  +이+여 ⇒  이여 ⇒  
어지는 현상 ᅇ(쌍이응)
는 현상 2) 단순한 이동 이후) ⇒  여 ⇒  여 ⇒ 하여
2) 다의성을 가지게 되는 어휘는 대개 의미 확대에 해당함.
2) 예시  ‘어리다’ : ‘어리석다’>‘나이가 어리다’ 16세기 ㅅ ⇒ ㅿ ⇒ ㅇ 예) 짓+으니 ⇒ 지니 ⇒
 ‘다리(脚)’ : 사람이나 짐승의 다리 > 무생물에까지 적용 ᅀ(반치음)
 ‘즁’ > ‘짐승’ : 유정물 전체를 가리키는 불교용어에서 인 ‘싁싁하다’ : ‘엄하다’>‘씩씩하다’ 말(임진왜란 이후) 지으니
‘영감’ : 당상관에 해당하는 벼슬을 지낸 사람 > 남자 노인 16세기
간을 제외한 동물을 가리키는 말로 적용 영역이 축소됨 ‘어엿브다’ : ‘불쌍하다’>‘어여쁘다’ ᅌ(옛이응) ㅇ 예) 바 ⇒ 올 ⇒ 방올 ⇒ 방울
‘세수하다’ : 손만 씻는 동작 > 얼굴을 씻는 행위 말(임진왜란 이후)
‘놈’ : 일반적인 남자 > 사용범위가 축소되어 욕하는 뜻으 3) 반대의 뜻으로의 이동 ① ㅏ(첫글자) 예)  ⇒ 가을
‘방석’ : 네모난 모양의 깔개만 지칭 >둥근 것 까지도 지칭 음가(16세기부터
로 사용됨.  ‘빋다’ : ‘값이 나가다’>‘값이 나가다’ ② ㅡ(둘째 글자) ⇒ 항상 규칙적인 것은
‘핵’ : 열매의 씨를 보호하는 속껍데기 > 사물의 중심이 되 문란, 18세기 초
‘계집’ : 일반적인 여자 > 사용범위가 축소되어 욕하는 뜻으 ‘다’ : ‘값이 나가다’> ‘값이 싸다‘ 아래 아) 아님
는 알맹이, 원자의 핵 소실)
로 사용됨. ‘엉터리’ : ‘대강 갖추어진 틀’ >‘갖추어진 틀이 없음’ ③ 그 외에도 ‘ㅗ,ㅜ,ㅓ’등으로 변천
문자(1933년 이후)
‘에누리’ : ‘값을 더 얹어서 부르는 일’ >‘값을 깎는 일’ (모음조화 붕괴의 원인)

종성 표기법 원순 모음화 어두자음군 국어의 변화


합용병서(다른 자음끼리 합하여 글자를 이룸)를 초성에 사용함, 임
수록 작품 훈민정음 소학언해 동명일기 독립 신문 창간사
① 종성부용초성 : 받침에 모든 글자가 올 수 있음(훈민정음 창제 진왜란 후 ㅅ계로 통일 1459년(15세 1587년(16세
간행 연도 1722년(18세기) 1896년(19세기)
당시, 해례본) 예) 들, 메, 미니라 기) 기)
② 8종성 : 받침에 ㄱ,ㄴ,ㄷ,ㄹ,ㅁ,ㅂ,ㅅ,ㅇ 만 옴(언해본) 예)  ㅁ,ㅂ,ㅍ 아래의 ㅡ 가 ㅜ 로 변함 예) 믈 ⇒ 물, 불 ⇒ 불, · 만 사용 · 만 사용
ᅌ, · 만
문자 모두 사용 음가소실, 문자만 음가소실, 문자만
디, 벗 스믈 ⇒ 스물 ‘ㅂ’계와 ‘ㅅ’계로 나누어지며, 어두에 자음을 허락하지 않는 음운상 사용
존재 존재
③ 7종성 : 8종성에서 ㄷ 생략(17세기부터) 예)  ⇒ , 의 특징 때문에 얼마 안 가서 모두 된소리로 변함.
어두자음
듣고 ⇒ 듯고 (예) ᄡ, ᄠ, ᄭ, ᄯ 등 사용 간혹 사용 ㅅ 계로 변화

④ 7종성 : 8종성에서 ㅅ 생략(현대국어 발음상) 모음조화 엄격 문란 파괴
규칙적
동국정운식 한자표기법 표기법 구개음화
양성모음 -
명사형 문란

어미 옴 / 움 + 기
음성모음 -
① 이상적 한자음(중국의 원음에 가깝게 표기) 움
병서(ㅸㅏ쓰기) (옆) 1) 합용병서 : ᄡ, ᄠ, ᄭ, ᄯ
예) 中  國 귁, 便 뼌 安  르 불규칙 ㄹㅇ 형 ㄹㄹ 형 ㄹㄴ 형
2) 각자병서 : ㄲ , ㄸ
② 형식 종성(글자의 완성도를 위해 초성, 중성, 종성을 모두 갖 방점 사용 사용 소멸
춤) 예) 世 솅 宗  ㄷ,ㅌ 이 ㅣ 앞에서 구개음(ㅈ,ㅊ)으로 변화하는 현상 동국정운식
연서(니어쓰기) (위아래) : ㅸ (4개 밖에 없음) 한자음
③ 초성에 각자병서 및 ㅸ, , , ᅙ을 씀(예 : 步뽕, 字, 穰 예) 굳이 ⇒ 구디 ⇒ 구지, 같이 ⇒ 가티 ⇒ 가치 (이상적 현실적 한자음
표기
한자음)
)
부서 (초성 중성) 1) 우서 : 가, 나 받침 법칙 8종성 8종성 7종성
④ 종성은 성음법에 따라 받침이 없는 경우에도 ‘ㅇ’ 이나 ‘ᄝ’을
2) 하서 : 고, 구 이어적기 +
붙였으며(예 : 虛헝, ⽃), 입성 표기를 위해 종성 ‘ㄹ’에는 ‘ᅙ’을 적기방식 이어적기 이어적기 + 끊어적기 + 거듭적기
끊어적기
덧붙였다.(戌) - 이영보래 띄어쓰기 미사용 사용

정동민국어논술학원 이대건T 010-4051-2274 @Swwweet.daekun


용비어천가 훈민정음 소학언해

주제:조선 건국의 정당성과 후대 왕에 대한 권계


1. 주제와 내용 이해
의의:① 한글(훈민정음)로 기록된 최초의 작품(장편 영웅 서사시) 1. 훈민정음의 창제자 : 세종 대왕이 집현전의 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창제
ㆍ효(孝) - 부자유친(⽗⼦有親)
2. 훈민정음의 창제 동기 : 자주 정신, 애민 정신, 실용 정신(창조 정신)
① 효의 시작 : 신체 보중(保重)
창작 동기 : ① 조선 건국의 정당성 도모 3. 훈민정음 창제 연대 : ① 창제 : 1443년 ② 반포 : 1446년
② 효의 끝 : 입신양명(⽴⾝揚名)
② 후대왕(後代王)에 대한 권계 4. 훈민정음 종류
ㆍ벗 - 붕우유신(朋友有信)
③ 훈민정음의 시험과 국자(國字)의 권위 부여 ① 해례본 - 한문본, 원본, 세종 28년(1446년)
① 유익한 벗 : 딕 이, 신실 이, 들온 것 한 이
완성:세종 27년(1445) ② 언해본 - 한글본, 번역본, 세조 5년(1459년), 교과서 수록본
② 해로운 벗 : 거동만 니근 이, 아당기 잘  이, 말만 니근 이
간행:세종 29년(1447)
→ 근묵자흑(近墨者⿊)에 대한 경계
⇨ 음운 ⇨

• ‘ᅙ,ᅀ,ᄫ’을 사용하지 않음
① △(반치음), ㆁ(옛 이응), ‘ᅙ,ᅀ,ㆍ,ᄫ,ᅌ’ 모두 사용함 (예)수
(예)해로온(15C 해로)
ㆆ(여린 히읗), ㅸ(순경음 비읍) • 모음 조화가 규칙적임 (예)메
• 모음 조화가 문란해짐 (예)비르소미오, 들온
ㆍ ·(아래 아) 사용 • 어두 자음군을 사용함 (예)들, 메
• 어두 자음군이 간혹 보임 (예) 
② 된소리 사용 • 방점의 규칙적 사용
• 방점의 혼란

⇨ 문법 ⇨
① 체언+ 조사 결합시 체언의 형태 변화 명사형 어미 ‘-옴/-움’에 혼란이 옴
명사형 어미 ‘-옴/-움’이 규칙적으로 출현함
남 +  = 남 [나모] (예)비르소미오, 이니라
(예)메
② 모음조화 사용 • 명사형 어미 ‘-기’가 사용됨
• 명사형 어미 ‘-기’가 쓰이지 않음
③ 객체, 주체, 상대높임법 사용 (예)아당기
• ‘ㄹㅇ’형 활용형이 규칙적으로 출현함
④ 안긴문장, 이어진 문장 사용 • ‘ㄹㅇ’형 활용형이 ‘ㄹㄹ’로 나타남
(예)달아
⑤ 구조가 복잡한 문장이 쓰임 (예)닐러
⇨ 표기 ⇨
①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② 이어적기 사용 각자 병서가 사라짐 (예)말
③ 방점사용- 성조표시 각자 병서가 사용됨 (예)말 • 끊어적기(분철)가 확대됨
- 평성: 점X, 낮은 소리 • 이어적기(연철)가 보편적임 (예)말미, 미니라 (예)들온, 몸이며, 머리털이며
- 거성 : 점1, 높은 소리 • 다양한 사잇소리가 사용됨 • 사잇소리가 ‘ㅅ’으로 통일됨
- 상성 : 점2, 낮→ 높 • 8종성법에 따라 표기함 (예)디 • 8종성법에 따라 표기함
- 입성 : 관계없음. 끝을 빨리 닫는 소리 (예) 벋>벗(이후에 7종성이 적용됨)
[안울림소리로 끝나면 무조건 입성

⇨ 의미 ⇨

① 한자어의 다량 유입 ★3. 의미의 변화 이해


② 몽골 차용어 사용 ① 어린 : 어리석은 > 나이가 적은 ② 놈 : 보통 사람 > 남자를 낮춘 말 ③ 어엿비
의미가 축소됨 (예)얼굴(형체>안면)
③ 현대국어와 비교했을 때 : 불쌍하게 > 어여쁘게
형태 의미가 다른 어휘가 있음

⇨ 한자표기 ⇨

• 동국정운식으로 표기함 (예)御․ 製․졩 현실적인 한자음으로 표기함 (예)⽗부母모

정동민국어논술학원 이대건T 010-4051-2274 @Swwweet.daekun


世 ·솅 宗  御 ·엉 製 ·졩 訓 ·훈 民 민 正 · ⾳ 

나 ·랏 :말  ·미 中  國 ·귁 ·에 달 ·아 ⽂ 문 字 · ·와 ·로 서 르   ·디 아 ·니  · ·이 런 젼 · ·로 어 ·린 百 · 姓 · ·이 니 르 ·고 ·져 · ·배 이 ·셔 ·도  · :내 제 · ·

들 시 ·러 펴 ·디 :몯  ·노 ·미 하 ·니 ·라 ·내 ·이 · 爲 ·윙 · ·야 :어 엿 ·비 너 ·겨 ·새 ·로 ·스 ·믈 여 ·듧 字 · ·  · 노 ·니 :사  :마 ·다 :  :수 · 니 ·겨 ·날 ·로 · ·메

便 뼌 安  ·킈  ·고 ·져    ·미 니 ·라

소 학 언 해

孔 ․공 ⼦ ․ 曾 증 ⼦ ․  ․려 닐 ․러   ․샤 ․ , ․몸 ․이 며 얼 굴 ․이 며 머 ․리 털 ․이 ․며 ․ ․ ⽗ ․부 母 : 모 ․ 받  ․온 거 ․시 ․라 , 敢 : 감 ․히 헐 ․워 샹  ․오 ․디 아 ․니 : 홈 ․이 : 효 ․도 ․

 비 ․르 ․소 미 ․오 , ․몸 ․을 셰 ․워 道 : 도 ․를 ⾏   ․야 일 : 홈 ․을 後 : 후 世 : 셰 ․예 :베 퍼 ․ ⽗ ․부 母 : 모  : 현 ․뎌 케 : 홈 ․이 : 효 ․도 ․  ․ ․이 니 ․라 .

: 유 ․익  ․이 :세 가 ․짓 : 벋 ․이 오 , : 해 ․로 온 ․이 : 세 가 ․짓 : 벋 ․이 니 , 直 ․딕  ․이 ․ : 벋  ․며 , : 신 ․실  ․이 ․ : 벋  ․며 , 들 : 온 ․것 한 ․이 ․ : 벋  ․면 : 유 ․익  ․고 , : 거 ․동 ․만

니 ․근 ․이 ․ : 벋  ․며 , 아 : 당  ․기 잘 ․ ․ ․이 ․ : 벋  ․며 , : 말  ․만 니 ․근 ․이 ․ : 벋  ․면 해 ․로 ․온 이 ․라 .

제 2 장

불 휘 기 픈 남    매 아 니 뮐  곶 됴 코 여 름 하  니  미 기 픈 므 른   래 아 니 그 츨  내 히 이 러 바  래 가  니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