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80

수학〈하〉
정 답 과 풀 이
Speed Check

I. 집합과 명제

본문 p. 9~19
01 집합

001 ⑴ _ ⑵ ◯ ⑶ ◯ 002 ⑴ < ⑵ < ⑶ ² ⑷ < 003 풀이 참조


004 ⑴ {1, 2, 4, 5} ⑵ {-3, -2, 4, 6} ⑶ {5, 8, 10, 13} 005 ⑴ 유 ⑵ 무 ⑶ 유, 공 006 ⑴ 3 ⑵ 1 ⑶ 0 ⑷ 5
007 ‌⑴ B,A ⑵ A=B ⑶ A,B
008 ⑴ á, {x}, {y}, {x, y} ⑵ á, {a}, {b}, {c}, {a, b}, {a, c}, {b, c}, {a, b, c} ⑶ á, {1}, {7}, {1, 7}
009 ‌a=1, b=-1 010 á, {1}, {3}, {5}, {1, 3}, {1, 5}, {3, 5} 011 ‌⑴ 16 ⑵ 15 ⑶ 8 012 ‌8
013 ⑴ {1, 2, 3, 4, 6, 8, 10, 12} ⑵ {2, 4, 6, 12} ⑶ {5, 7, 8, 9, 10, 11} ⑷ {8, 10}
014 ⑴ {x|-3ÉxÉ2} ⑵ {x|-1ÉxÉ1} ⑶ {x|-4Éx<-1 또는 1<xÉ4} 015 B와 C
016 ⑴ ◯ ⑵ ◯ ⑶ ◯ ⑷ ◯ ⑸ ◯ ⑹ ◯ 017 ⑴ {a, b, e} ⑵ {a} 018 {3, 5, 7}
019 ㈎ 드모르간의 법칙 ㈏ 분배법칙 020 ⑴ A ⑵ A ⑶ B 021 3 022 ⑴ 48 ⑵ 25 ⑶ 2
023 28 024 ①, ⑤ 025 ㄷ 026 ④ 027 5 028 ⑤ 029 ⑤
030 ②, ⑤ 031 ㄱ, ㄷ 032 ③ 033 ⑤ 034 A,C,B 035 ① 036 ③ 037 2
038 ① 039 22 040 ④ 041 56 042 ⑤ 043 ④ 044 12 045 ⑤
046 ① 047 ⑤ 048 -1 049 ④ 050 ③ 051 ⑤ 052 8 053 ⑤
054 ④ 055 ㄱ, ㄴ 056 ③ 057 ③ 058 ① 059 ③ 060 ⑤
061 A'B 062 ③ 063 ④ 064 128 065 ③ 066 ④ 067 21 068 ②
069 ⑤ 070 13 071 ⑤ 072 ② 073 16 074 ③ 075 ④ 076 8
077 ③ 078 ⑤ 079 ④ 080 49 081 ③ 082 3 083 ④ 084 ①
085 8 086 36

02 Speed Check
본문 p. 21~29
02 명제

087 ⑴ ◯ ⑵ ◯ ⑶ _ 088 풀이 참조 089 ⑴ xÉ3 또는 y>-2 ⑵ 3x+1¾8 ⑶ -2<xÉ3


090 ⑴ {5} ⑵ {-3, 2} ⑶ {-3, -2, -1, 0, 1, 2, 3} 091 ⑴ 거짓 ⑵ 거짓 ⑶ 참 ⑷ 참 ⑸ 거짓 ⑹ 참
092 ⑴ 참 ⑵ 거짓 ⑶ 참 093 풀이 참조 094 ⑴ 역 ⑵ 대우 095 풀이 참조 096 ③ 097 ⑤
098 ④ 099 ⑴ 충분 ⑵ 필요 ⑶ 필요충분 100 ⑴ 필요조건 ⑵ 필요조건 ⑶ 필요충분조건 101 ④
102 ④ 103 ㄱ, ㄷ, ㄹ 104 ② 105 ③ 106 -3<xÉ-1 또는 2<xÉ4 107 ②
108 ⑤ 109 ㄴ 110 ② 111 ④ 112 16 113 ⑤ 114 ③
115 풀이 참조 116 ④ 117 ③ 118 5 119 ③ 120 ㈎ 3k-2 ㈏ 3k-1 ㈐ 3kÛ`-2k
121 ② 122 ㈎ 유리수 ㈏ 유리수 ㈐ 유리수 ㈑ 무리수 ㈒ 무리수 123 ② 124 ②
125 필요, 충분 126 ③ 127 ⑤ 128 ㄷ 129 ④ 130 ② 131 ① 132 ④
133 ⑤ 134 ㄱ, ㄴ 135 ⑤ 136 ⑤ 137 ③ 138 ② 139 필요, 충분 140 ①
141 ① 142 ③ 143 풀이 참조 144 16

본문 p. 31~37
03 절대부등식

145 ⑴ ◯ ⑵ ◯ ⑶ ◯ ⑷ ◯ ⑸ ◯ ⑹ _ ⑺ ◯ ⑻ _ ⑼ ◯ ⑽ ◯ ⑾ ◯ ⑿ ◯ ⒀ ◯ ⒁ ◯ ⒂ ◯
b
146 ⑴ ◯ ⑵ ◯ ⑶ _ ⑷ _ ⑸ ◯ 147 ㈎ 2 ㈏ a=b=0 148 ㈎ 2'¶ab ㈏ ¾ ㈐ ¾

1
149 ㈎ 'a-'b ㈏ ¾ ㈐ ¾ 150 ㄱ, ㄴ 151 ㄷ, ㄹ, ㅂ 152 ㈎ 2 ('a-'b )Û` ㈏ a=b 153 ⑴ 2 ⑵ 10 ⑶ 12

x y
154 ⑴ 6 ⑵ 20 ⑶ 4 155 ㈎ bx-ay ㈏ a = 156 최댓값`: 6, 최솟값`: -6 157 ③ 158 ②
b
159 풀이 참조 160 ④ 161 AÉB 162 ㈎ |ab| ㈏ |ab|+ab ㈐ |ab|=-ab ㈑ É 163 ② 164 ③
165 4 166 ③ 167 ② 168 ② 169 2 170 8 171 ④ 172 ④
173 ② 174 6 175 ② 176 ⑤ 177 40 178 ⑤ 179 ④ 180 ②
181 ① 182 ④ 183 ① 184 ④ 185 ③ 186 ⑤ 187 ① 188 ②
81
189 ② 190 ③ 191 ③ 192 18 193
20

Speed Check 03
Speed Check

II. 함수와 그래프

본문 p. 41~53
04 함수

194 ‌풀이 참조 195 정의역 : {1, 2, 3}, 공역 : {4, 5, 6}, 치역 : {4, 5}


196 ⑴ {0, 1, 2} ⑵ {-2, -1} ⑶ {-1, 0} 197 ⑴ 서로 같은 함수이다. ⑵ 서로 같은 함수이다. ⑶ 서로 같은 함수가 아니다.
198 풀이 참조 199 ⑴ ㄱ, ㄹ ⑵ ㄱ, ㄹ ⑶ ㄱ ⑷ ㄴ 200 ⑴ ㄱ, ㄴ ⑵ ㄱ, ㄴ ⑶ ㄱ ⑷ ㄹ
201 ⑴ b ⑵ d ⑶ 1 ⑷ 3 202 ⑴ -4xÛ`-4x-1 ⑵ -2xÛ`+1 ⑶ 4x+3 ⑷ -xÝ 203 ㄱ, ㄴ

204 ⑴ 1 ⑵ 8 205 정의역 : {x|x¾4}, 치역 : { y|y¾0} 206 ⑴ y=;3!;x-;3@; ⑵ y=3x+;3!; ⑶ y=;2!;x+3 (x¾-2)

207 ⑴ 3 ⑵ 3 ⑶ 1 208 ⑴ y=2x+2 ⑵ y=;2!;x-1 ⑶ 풀이 참조 209 ④ 210 ①

211 ㄴ, ㄹ 212 ④ 213 ③ 214 -1+'3 215 ③ 216 ④ 217 ① 218 ④


219 ② 220 3 221 ④ 222 ① 223 3 224 ② 225 ③ 226 10
227 ⑤ 228 ① 229 8 230 ④ 231 ⑤ 232 8x-19 233 ②
234 풀이 참조 235 풀이 참조 236 ④ 237 ① 238 1 239 ② 240 ⑤ 241 14
242 ⑤ 243 ①, ④ 244 4 245 ③ 246 ② 247 ② 248 ③ 249 ②
250 d 251 ④ 252 ③ 253 4 254 ② 255 ③ 256 ㄹ 257 ⑤
258 ③ 259 9 260 ④ 261 ④ 262 ④ 263 ③ 264 ① 265 0
266 ② 267 1 268 ④ 269 3 270 ② 271 12 272 ④ 273 ⑤
274 ② 275 ③ 276 ⑤ 277 풀이 참조 278 2

04 Speed Check
본문 p. 55~67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2y
279 ②, ④ 280 ⑴ 5x ⑵ x+4

4aÜ 3xÛ (x+2)(x+3) (x-2)Û`


281 ⑴ , ⑵ ,
12aÛ`bxÛ`y 12aÛ`bxÛ`y (x-2)(x-3)(x+3) (x-2)(x-3)(x+3)
1 x+1 (x+4)(x-4) 2 4
282 ⑴ x-1 ⑵ x+2 ⑶ xÛ`-xy+yÛ` ⑷ 283 ⑴ ⑵
(x+2)(x-2) x(x+2) (x+1)(x+5)
x 4 1 13
284 ⑴ x+1 ⑵ x-2 285 ⑴ 7 ⑵ 2 ⑶ 25 286 ㄱ, ㄹ

4 1
287 ⑴ [x|x+- 3 인 실수] ⑵ {x|x+Ñ3인 실수} 288 풀이 참조 289 y= x-2 +1 290 풀이 참조

1 2 -2x-1 x-1
291 ⑴ y= x-1 +3 ⑵ y=- x-2 -1 292 ‌풀이 참조 293 ⑴ y= x-1 ⑵ y=
2x-4
294 ①

4x+10
295 ④ 296 297 ③ 298 ① 299 ② 300 ①
(x+1)(x+2)(x+3)(x+4)
10
301 ③ 302 7 303 ③ 304 ① 305 306 ② 307 15 308 ②
21
309 ⑤ 310 ① 311 -52 312 ① 313 ② 314 2 315 ② 316 ②
100 (8-a)
317 -2 318 ② 319 ① 320 1 321 ④ 322 ① 323 x=
b-8
324 ② 325 -6 326 ㄱ과 ㄹ 327 ③ 328 ① 329 10 330 ③ 331 ④
5
332 333 ④ 334 ① 335 ⑤ 336 ② 337 ⑤ 338 21 339 ⑤
4

340 ② 341 1 342 ② 343 ③ 344 ;4#; 345 ① 346 ② 347 2

1
348 ② 349 ⑤ 350 ① 351 ① 352 -;2!; 353 ① 354 ③ 355 ④
2
47
356 -1 357 ;2!; 358 ④ 359 9 360 ④ 361 ④ 362 363 4
50

Speed Check 05
Speed Check

본문 p. 69~81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10
364 ⑴ 6 ⑵ 3-'6 365 ‌⑴ 2'2 ⑵ 18-5'1Œ0 ⑶ 366 ‌⑴ x¾-1 ⑵ x¾5 ⑶ -2ÉxÉ4 ⑷ 4Éx<7 367 0
21
368 ‌⑴ -1 ⑵ 6 ⑶ 2
3'2 x+y-2'¶xy
369 ⑴ ⑵ '5+2 ⑶ 3-2'2 ⑷ ⑸ "Ãx(x+1)-x ⑹ 2a+1-2"Ãa(a+1)
2 x-y
2'x
370 ⑴ ⑵ 2'Äa+1 371 '3+1 372 ⑴ x=3, y=-1 ⑵ x=-1, y=2 ⑶ x=4, y=-2
x-y
4
373 ㄱ, ㄴ 374 ⑴ {x|x¾-2} ⑵ {x|xÉ3} ⑶ [x|x¾- ] ⑷ {x|-2ÉxÉ2} 375 풀이 참조
3
376 풀이 참조 377 ⑴ 0 ⑵ 0 ⑶ y 378 ⑴ y=-'¶2x ⑵ y='¶-2x ⑶ y=-'¶-2x
379 y="Ã3(x+2)+5 380 a=-3, b=-7 381 ⑴ 1 ⑵ 2 ⑶ 1, 2 382 풀이 참조 383 ④
384 ③ 385 6 386 ② 387 ③ 388 ② 389 4x+2 390 10 391 ⑤
'6+'2
392 ③ 393 2'3 394 ① 395 396 ① 397 2+6'3 398 ⑤ 399 ③
2
'3
400 401 ③ 402 ② 403 ④ 404 4 405 5 406 ② 407 ④
3
408 {y|yÉ1} 409 ② 410 ③ 411 -16 412 ⑤ 413 ④ 414 -6 415 ⑤
416 ⑤ 417 ⑤ 418 ⑤ 419 1 420 -2 421 ④ 422 ③ 423 ⑤
1
424 5 425 ⑤ 426 ⑤ 427 ② 428 k> 429 ④ 430 ③ 431 8
8
432 ④ 433 ② 434 ④ 435 ⑤ 436 ① 437 ① 438 ③ 439 ④
440 ② 441 ② 442 5 443 ② 444 ③ 445 ⑤ 446 ③ 447 32
1
448 ② 449 ④ 450 ④ 451 20 452 -1ÉmÉ
2

06 Speed Check
III. 경우의 수

본문 p. 85~95
07 경우의 수와 순열

453 ⑴ 홀수의 눈이 나온다. ⑵ 3 454 ⑴ 3 ⑵ 8 ⑶ 6 ⑷ 8 455 ⑴ 11 ⑵ 24 456 5


457 ⑴ 3 ⑵ 10 458 ‌6 459 ⑴ 6 ⑵ 9 ⑶ 8 460 ⑴ 9 ⑵ 25 461 ⑴ 15 ⑵ 16 ⑶ 16
462 ‌⑴ 29 ⑵ 24 463 ‌1280 464 ⑴ 6 ⑵ 60 ⑶ 1 ⑷ 120 465 ‌⑴ 1 ⑵ 6 ⑶ 3 ⑷ 4
466 ⑴ 60 ⑵ 120 467 ‌380 468 ‌12 469 ⑴ 48 ⑵ 72 470 12
471 5번째 472 ⑤ 473 ③ 474 34 475 ③ 476 ② 477 ④ 478 ⑤
479 ⑤ 480 ③ 481 ① 482 ③ 483 34 484 ① 485 ③ 486 ②
487 ⑤ 488 ⑤ 489 ⑤ 490 ④ 491 ③ 492 40 493 ④ 494 ④
495 ④ 496 ③ 497 ③ 498 22 499 ④ 500 48 501 ⑤ 502 ④
503 ② 504 144 505 ② 506 ④ 507 5 508 ⑤ 509 ① 510 24
511 ⑤ 512 ③ 513 ① 514 33 515 ① 516 72 517 ④ 518 ②
519 ③ 520 ③ 521 ⑤ 522 16 523 ④ 524 13 525 ③
526 1728 527 ① 528 12 529 657

본문 p. 97~103
08 조합

530 ⑴ 1 ⑵ 15 ⑶ 56 ⑷ 10 531 ⑴ 5 ⑵ 8 ⑶ 2 ⑷ 3 532 15 533 ⑴ 126 ⑵ 60 534 108


535 ⑴ 6 ⑵ 3 536 6 537 ⑴ 26 ⑵ 96 538 ‌3 539 ④ 540 ⑤ 541 6명
542 ① 543 ② 544 ④ 545 ③ 546 ④ 547 11 548 ⑤ 549 ⑤
550 ④ 551 ③ 552 ③ 553 ④ 554 ④ 555 ③ 556 60 557 ③
558 ① 559 ③ 560 45 561 ③ 562 22 563 ① 564 234 565 ④
566 65 567 ④ 568 ③ 569 ③ 570 ④ 571 60 572 ② 573 80
574 ③ 575 16 576 ② 577 180 578 48

Speed Check 07
정답과 풀이

I. 집합과 명제
006
01 집합
⑶ 공집합은 원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원소의 개수는 0이다.
⑷ 10 이하의 홀수는 1, 3, 5, 7, 9이므로 원소의 개수는 5이다.
답 ⑴3 ⑵1 ⑶0 ⑷5
개념 콕콕 본문 p. 9~10

007
001 ⑴ A={2, 4, 6, 8, y}, B={4, 8, 12, 16, y}이므로 B,A
⑶ 가장 작은 자연수는 1이므로 가장 작은 자연수의 모임은 원소가 1뿐인
⑵ xÛ`=9에서 (x+3)(x-3)=0
집합이다.
∴ x=-3 또는 x=3
답 ⑴_ ⑵◯ ⑶◯
따라서 A={-3, 3}이므로 A=B
⑶ 모든 정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
002 답 ⑴ B,A ⑵ A=B ⑶ A,B
A={1, 2, 3, 6}이므로
⑴1 < A ⑵2 < A ⑶4 ² A ⑷6 < A
답 ⑴< ⑵< ⑶² ⑷<
008
답 ⑴ á, {x}, {y}, {x, y}
⑵ á, {a}, {b}, {c}, {a, b}, {a, c}, {b, c}, {a, b, c}
003 ⑶ á, {1}, {7}, {1, 7}
원소나열법 조건제시법 벤다이어그램
A

A={1, 2, 4, 8} A={x|x는 8의 양의 약수}


1 2 009
4 8 A=B이므로 2a+4=6, -b+4=5
∴ a=1, b=-1
B
2
3
답 a=1, b=-1
B={2, 3, 5, 7} B={x|x는 10보다 작은 소수}
5 7

1
C 010
C={1, 2, 5, 10} C={x|x는 10의 양의 약수} 2 X={1, 3, 5}이므로 집합 X의 진부분집합은
5
10
á, {1}, {3}, {5}, {1, 3}, {1, 5}, {3, 5}
답 풀이 참조 답 á, {1}, {3}, {5}, {1, 3}, {1, 5}, {3, 5}

004 011
⑴ a<A, b<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 ⑴ n(A)=4이므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b
면 오른쪽 표와 같다. 2 3
a 24=16
∴ {1, 2, 4, 5} -1 1 2 ⑵ n(A)=4이므로 진부분집합의 개수는
2 4 5
24-1=15
⑵ a<A, b<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면 b ⑶ 3을 반드시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 3
오른쪽 표와 같다. a
24-1=23=8
∴ {-3, -2, 4, 6} -1 -2 -3
답 ⑴ 16 ⑵ 15 ⑶ 8
2 4 6

⑶ a<A, b<B에 대하여 bÛ`


{aÛ`|a<A}={1, 4}, {bÛ`|b<B}={4, 9} aÛ`
4 9 012
1 5 10 구하는 부분집합은 집합 {b, d, e}의 각 부분집합에 c를 포함시키면 되므
이므로 aÛ`+bÛ`의 값을 구하면 오른쪽 표와
4 8 13 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같다.
25-2=23=8 답 8
∴ {5, 8, 10, 13}
답 ⑴ {1, 2, 4, 5} ⑵ {-3, -2, 4, 6} ⑶ {5, 8, 10, 13}
013
005 U={1, 2, 3, y, 12}, A={1, 2, 3, 4, 6, 12},
⑴ {1, 2, 3, y, 10}이므로 원소의 개수가 10인 유한집합이다. B={2, 4, 6, 8, 10, 12}이므로
⑵ {5, 10, 15, y}로 원소의 개수가 무수히 많으므로 무한집합이다. ⑴ A'B={1, 2, 3, 4, 6, 8, 10, 12}
⑶ 2보다 작은 소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집합이고, 공집합은 유한집 ⑵ A;B={2, 4, 6, 12}
합이다. ⑶ AC={5, 7, 8, 9, 10, 11}
답 ⑴ 유 ⑵ 무 ⑶ 유, 공 ⑷ B-A={8, 10}

08 정답과 풀이
다른 풀이 020
주어진 조건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 U ⑴ A;(A'BC)=(A;A)'(A;BC)
5
A B 7 =A'(A-B)
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2 8
1 9 =A
⑴ A'B={1, 2, 3, 4, 6, 8, 10, 12} 4 6
3 12 10
⑵ A;B={2, 4, 6, 12} 11
⑵ A'(A-BC)=A'{A;(BC)C}
C
⑶ A ={5, 7, 8, 9, 10, 11} =A'(A;B)
⑷ B-A={8, 10} =A
답 ⑴ {1, 2, 3, 4, 6, 8, 10, 12} ⑵ {2, 4, 6, 12} ⑶ (A'B);(AC'B)=(A;AC)'B
⑶ {5, 7, 8, 9, 10, 11} ⑷ {8, 10} =á'B
=B
답 ⑴A ⑵A ⑶B
014
⑴ A'B={x|-3ÉxÉ2}
⑵ A;B={x|-1ÉxÉ1}
021
n(A;B)=n(A)+n(B)-n(A'B)
⑶ A;B={x|-1ÉxÉ1}이므로
=6+7-10=3 답 3
(A;B)C={x|-4Éx<-1 또는 1<xÉ4}
답 ⑴ {x|-3ÉxÉ2} ⑵ {x|-1ÉxÉ1}
⑶ {x|-4Éx<-1 또는 1<xÉ4}
022
⑴ n(A'B)=n(A)+n(B)-n(A;B)
=35+23-10=48
015 ⑵ n(A;BC)=n(A-B)
A={1, 3, 5}, B={1, 2, 4}, C={5, 10, 15, 20, y}이므로 =n(A)-n(A;B)
A;B={1}+á, A;C={5}+á, B;C=á =35-10=25
따라서 서로소인 두 집합은 B와 C이다. 답 B와 C ⑶ n(A ;B )=n((A'B)C)
C C

=n(U)-n(A'B)
=50-48=2
016 답 ⑴ 48 ⑵ 25 ⑶ 2
⑸ A,B일 때, A-B=á이므로 (A-B),B
답 ⑴◯ ⑵◯ ⑶◯ ⑷◯ ⑸◯ ⑹◯
023
n(X'Y'Z)
017 =n(X)+n(Y)+n(Z)-n(X;Y)-n(Y;Z)-n(Z;X)
⑴ (A'B);(A'C)=A'(B;C) +n(X;Y;Z)
={a, b}'{e} =15+7+20-4-3-8+1=28 답 28
={a, b, e}
⑵ (A;B)'(A;C)=A;(B'C)
={a, b};{a, c, d, e}
={a}
다른 풀이

⑴ (A'B);(A'C)={a, b, d, e};{a, b, c, e}
={a, b, e}
⑵ (A;B)'(A;C)={a}' á={a}
답 ⑴ {a, b, e} ⑵ {a}

유형 콕콕 본문 p. 11~17

018 024 ①, ⑤ 025 ㄷ 026 ④ 027 5 028 ⑤ 029 ⑤


AC;BC=(A'B)C, A'B={1, 2, 4, 6, 8}이므로 030 ②, ⑤ 031 ㄱ, ㄷ 032 ③ 033 ⑤ 034 A,C,B
AC;BC=(A'B)C={3, 5, 7} 답 {3, 5, 7} 035 ① 036 ③ 037 2 038 ① 039 22 040 ④
041 56 042 ⑤ 043 ④ 044 12 045 ⑤ 046 ①
047 ⑤ 048 -1 049 ④ 050 ③ 051 ⑤ 052 8
019
(A;B)'(A 'C )C C C 053 ⑤ 054 ④ 055 ㄱ, ㄴ 056 ③ 057 ③ 058 ①
㈎ 드모르간의 법칙
=(A;B)'(A;C) 059 ③ 060 ⑤ 061 A'B 062 ③ 063 ④
㈏ 분배법칙
=A;(B'C) 064 128 065 ③ 066 ④ 067 21 068 ② 069 ⑤
답 ㈎ 드모르간의 법칙 ㈏ 분배법칙 070 13

01. 집합 09
정답과 풀이

024 032
① {5, 10, 15, 20, 25, y}이므로 집합이다. ① 공집합은 집합 A의 원소이므로 á<A
② ‘10에 가까운’은 조건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②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á,A
③ ‘키가 큰’은 조건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③ {1}은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므로 {1}²A
④ ‘소리가 큰’은 조건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④ {1, 2}는 집합 A의 원소이므로 {1, 2}<A
⑤ 1보다 작은 자연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집합이다. ⑤ ‌1, 2는 집합 A의 원소이므로 {1, 2}는 A의 부분집합이다. 
따라서 집합인 것은 ①, ⑤이다. 답 ①, ⑤ ∴ {1, 2},A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답 ③
025
ㄷ. ‘높은’은 조건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033
ㄹ. {3, 6, 9, y, 48}이므로 집합이다. A={2, 4, 6}, B={2}, C=á이므로 C,B,A 답 ⑤
따라서 집합이 아닌 것은 ㄷ이다. 답 ㄷ

034
026 x<A, y<A에 대하여 2x-y의 값을 y
①, ②, ③, ⑤ {1, 2, 3, y, 8} 0 1 2
구하면 오른쪽 표와 같다. x
④ {1, 2, 3, y, 9} 0 0 -1 -2
∴ B={-2, -1, 0, 1, 2, 3, 4}
따라서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④이다. 답 ④ 1 2 1 0
2 4 3 2
027 가
a<A, b<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면 b
-1 1 x<A, y<A에 대하여 x-y의 값을 y
오른쪽 표와 같다. a 0 1 2
구하면 오른쪽 표와 같다. x
∴ C={-2, -1, 0, 1, 2} -1 -2 0
∴ C={-2, -1, 0, 1, 2} 0 0 -1 -2
0 -1 1
따라서 집합 C의 원소의 개수는 5이다. 1 1 0 -1
1 0 2
2 2 1 0
 답 5 나

∴ A,C,B
028 다
① 6=2Ú`_3Ú`
단계 채점 요소 비율
② 12=2Û`_3Ú`
가 집합 B의 원소 구하기 40 %
③ 18=2Ú`_3Û`
나 집합 C의 원소 구하기 40 %
⑤ 36=2Û`_3Û`
다 세 집합 A, B, C 사이의 포함 관계 나타내기 20 %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답 ⑤
 답 A,C,B
029
A={1, 2, 4, 8, 16}이므로 5²A
035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답 ⑤ 두 집합 A, B를 수직선을 이용하여 나타 B
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A,B가 성 A

030 립하려면 k<-1, 2k+7¾3이어야 한다. k -1 3 2k+7 x


① {1, 2, 3, y}이므로 무한집합이다. 즉, k<-1, k¾-2에서 -2Ék<-1
② 공집합이므로 유한집합이다. 따라서 정수 k는 -2의 1개이다. 답 ①
③ {4, 8, 12, y}이므로 무한집합이다.
④ {8, 10, 12, y}이므로 무한집합이다.
⑤ {6, 12, 18, y, 48}이므로 유한집합이다.
036
세 집합 A, B, C를 수직선을 이용하여 나타 C
따라서 유한집합인 것은 ②, ⑤이다. 답 ②, ⑤ B
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A,B,C가
A
성립하려면 3<mÉ7이어야 한다.
031 따라서 정수 m은 4, 5, 6, 7의 4개이다.
3 m 7 x

ㄱ. {6, 12, 18, y}이므로 무한집합이다.


 답 ③
ㄴ. {1, 2, 4, 5, 10, 20, 25, 50, 100}이므로 유한집합이다.

ㄷ. [;2!;, ;3!;, ;4!;, y]이므로 무한집합이다.


037
ㄹ. {100, 101, 102, y, 999}이므로 유한집합이다. A,B가 성립하려면 3<A이므로 3<B이어야 한다.
ㅁ. {-2, 2}이므로 유한집합이다. 즉, a+1=3 또는 aÛ`-6=3
따라서 무한집합인 것은 ㄱ, ㄷ이다.  답 ㄱ, ㄷ ∴ a=-3 또는 a=2 또는 a=3

10 정답과 풀이
Ú ‌a=-3일 때,  043
A={3, 5}, B={-2, 0, 3}이므로 AøB U={1, 2, 3, 4, 5, 6}, A'B={1, 2, 4, 6}이므로
Û ‌a=2일 때,  (A'B)C={3, 5}
A={0, 3}, B={-2, 0, 3}이므로 A,B 따라서 집합 (A'B)C의 모든 원소의 합은
Ü ‌a=3일 때,  3+5=8 답 ④
A={3, 5}, B={0, 3, 4}이므로 AøB
Ú~Ü에서 a=2  답 2 044
주어진 조건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 U
A B
038 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4
A=B이므로 aÛ`-3a=4 A={2, 4, 6} 2
6
1 7

aÛ`-3a-4=0, (a+1)(a-4)=0 5
3
∴ a=-1 또는 a=4

Ú ‌a=-1일 때, 
따라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A={2, 3, 4}, B={2, 3, 4}이므로 A=B
2+4+6=12
Û ‌a=4일 때, 

A={-8, 4, 8}, B={2, 3, 4}이므로 A+B
단계 채점 요소 비율
Ú, Û에서 a=-1 답 ①
가 벤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집합 A의 원소 구하기 80 %

나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 구하기 20 %
039
A={x|xÛ`+4x-3=0}, B={a, b}에 대하여 A,B, B,A, 즉  답 12
A=B이므로 a, b는 이차방정식 xÛ`+4x-3=0의 두 실근과 같다.
가 045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 5}이므로 2<A
a+b=-4, ab=-3 aÛ`-a-10=2에서 aÛ`-a-12=0
∴ aÛ`+bÛ`=(a+b)Û`-2ab=(-4)Û`-2_(-3) (a+3)(a-4)=0   ∴ a=-3 또는 a=4
=16+6=22 Ú ‌a=-3일 때,
나 A={2, 3, 5}, B={0, 2, 12}이므로 
A;B={2}
단계 채점 요소 비율
Û ‌a=4일 때, 
가 a, b가 이차방정식 xÛ`+4x-3=0의 두 실근과 같음을 알기 60 %
A={2, 3, 5}, B={2, 5, 7}이므로 
나 aÛ`+bÛ`의 값 구하기 40 %
A;B={2, 5}
 답 22 Ú, Û에서 a=4 답 ⑤

040 046
3, 4는 반드시 원소로 갖고, 6은 원소로 갖지 않는 집합 S의 부분집합 X A;B={1, 4}이므로 4<A
의 개수는 aÛ`-5=4에서 aÛ`=9   ∴ a=-3 또는 a=3
28-2-1=25=32 답 ④ Ú ‌a=-3일 때, 
A={1, 2, 4}, B={1, 3, 4}이므로 
041 A;B={1, 4}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Û ‌a=3일 때, 
(전체 부분집합의 개수)-(홀수를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 A={1, 2, 4}, B={4, 7, 15}이므로
와 같다. A;B={4}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6=64 Ú, Û에서 a=-3 답 ①
이때, 홀수 1, 3, 5를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6-3=23=8 047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A;B={1, 2}에서
64-8=56 답 56 a-1=2 또는 a+3=2   ∴ a=3 또는 a=-1
b=1 또는 b+2=1   ∴ b=1 또는 b=-1
a, b는 자연수이므로 a=3, b=1
042
A={1, 3, 5, 7, 9, 11, 13, 15}, B={1, 4, 7, 10, 13}이므로 즉, A={1, 2, 6}, B={1, 2, 3}이므로 A'B={1, 2, 3, 6}
A'B={1, 3, 4, 5, 7, 9, 10, 11, 13, 15}, A;B={1, 7, 13} 따라서 집합 A'B의 모든 원소의 합은
∴ (A'B)-(A;B)={3, 4, 5, 9, 10, 11, 15} 답 ⑤ 1+2+3+6=12 답 ⑤

01. 집합 11
정답과 풀이

048 보충 설명

A={1, 3, 6, aÛ`+2a}, A-B={6}이므로 집합 S={1, 2, 3, 4, 5}의 부분집합 중 집합 {1, 2}와 서로소인 집합은
1, 3, aÛ`+2a는 집합 B의 원소이다. 집합 S에서 1과 2를 원소로 갖지 않는 집합 {3, 4, 5}의 부분집합과 같으
이때, B={-1, 1, -a+2}이므로 므로 직접 구해 보면 á, {3}, {4}, {5}, {3, 4}, {3, 5}, {4, 5},
3=-a+2, aÛ`+2a=-1 {3, 4, 5}이다. 답 8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답 -1

053
049 A'B=A에서 B,A
A={1, 2, 3, 6}이므로 ① AC,BC
① {2, 3};A={2, 3};{1, 2, 3, 6}={2, 3} ②, ③ A;B=B
② {4, 6};A={4, 6};{1, 2, 3, 6}={6} ④ A-B+á
③ {1, 3, 5};A={1, 3, 5};{1, 2, 3, 6}={1, 3}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답 ⑤
④ {4, 8, 12, y};A={4, 8, 12, y};{1, 2, 3, 6}=á
⑤ {2, 3, 5};A={2, 3, 5};{1, 2, 3, 6}={2, 3}
따라서 집합 A와 서로소인 집합은 ④이다. 답 ④

054
① BC,AC
050 ② A'B=B
A={1, 2, 3, 6}, B={1, 2, 4, 8}, C={6, 12, 18, y}, ③ A'BC+U
D={3, 6, 8, 10}이므로 ⑤ B-A+á
A;B={1, 2}, A;C={6}, B;C=á, B;D={8}, C;D={6}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답 ④
따라서 서로소인 집합은 B와 C이다. 답 ③

051 055
각각의 보기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A;B=B에서 B,A
ㄱ. ‌A;BC=A-B이므로 ㄱ. B,A이므로 AC,BC
U U U ㄷ. AC'B+U
A B A B A B
ㄹ. A-B+á
Ö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 ㄱ, ㄴ

AÖBC AÖB á
ㄴ. ‌ U U U
A B A B A B
Ö = 056
① A'(B;C) ② A;(B'C)
A-B B-A á U U
A A
ㄷ. A ;B =(A'B) 이므로
C C C

‌ U U U
A B A B A B
Ö =
B C B C

ACÖBC AÖB á
④ A-(B;C) ⑤ A-(B-C)
따라서 서로소인 것은 ㄱ, ㄴ, ㄷ이다. 답 ⑤ U U
A A

052
집합 S={1, 2, 3, 4, 5}의 부분집합 중 집합 {1, 2}와 서로소인 집합의
B C B C
개수는 집합 S에서 1과 2를 원소로 갖지 않는 집합 {3, 4, 5}의 부분집합
의 개수와 같으므로 따라서 주어진 벤다이어그램의 색칠한 부분을 나타내는 집합은 ③이다.
25-2=23=8  답 ③

12 정답과 풀이
057 062
(A'B);(A-B)C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A'X=A에서 X,A

U U U (A-B)'X=X에서 (A-B),X
A B A B A B ∴ (A-B),X,A yy ㉠
Ö = 이때, A-B={8, 10}이므로 ㉠을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8, 10},X,{2, 4, 6, 8, 10}
AÕB {A-B}C B 따라서 집합 X의 개수는 집합 A={2, 4, 6, 8, 10}의 부분집합 중 8, 10
C
∴ (A'B);(A-B) =B 답 ③ 을 반드시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25-2=23=8 답 ③
058
② A;(C-B) ③ A-(B'C)
063
U U
{1, 3}'X={3, 6, 9}'X에서
A A
{1, 3}, [{3, 6, 9}'X]이므로 1<X
{3, 6, 9}, [{1, 3}'X]이므로 6<X, 9<X
즉, 집합 X는 전체집합 U={1, 2, 3, 6, 9, 18}의 부분집합 중 세 원소
B C B C 1, 6, 9를 반드시 포함하는 집합이다.
따라서 집합 X의 개수는 26-3=23=8 답 ④
④ A-(B;C) ⑤ A-(B-C)
U U
A A 064
X'(A;B)=X에서 (A;B),X
X;(A'B)=X에서 X,(A'B)
∴ (A;B),X,(A'B) yy ㉠
B C B C 가

이때, A;B={4}, A'B={1, 2, 3, 4, 5, 6, 7, 8}이므로 ㉠을 원소


따라서 주어진 벤다이어그램의 색칠한 부분을 나타내는 집합은 ①이다.
나열법으로 나타내면
 답 ①
{4},X,{1, 2, 3, 4, 5, 6, 7, 8}

059
따라서 집합 X의 개수는 집합 {1, 2, 3, 4, 5, 6, 7, 8}의 부분집합 중 4
(A-BC)C;A={A;(BC)C}C;A
를 반드시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 A;B )C;A

=( `AC'BC` );A 28-1=27=128
=( AC;A )'(BC;A) 라

= á '(A;B ) C 단계 채점 요소 비율
가 (A;B),X,(A'B)임을 구하기 20 %
= A-B  답 ③
집합 A;B와 집합 A'B의 원소를 구하여 원소나열법으로
나 10 %
나타내기
060 다 나 를 만족시키는 집합 X의 조건 구하기 40 %
① AC-BC=AC;(BC)C=AC;B=B-A 라 집합 X의 개수 구하기 30 %
② (A;B)'(A;BC)=A;(B'BC)=A;U=A
 답 128
③ (A-B)C=(A;BC)C=AC'B
④ A'B=U이면 AC,B, BC,A
⑤ (A-BC)-C={A;(BC)C};CC 065
n(AC'BC)=n((A;B)C)
=(A;B);CC
=n(U)-n(A;B)
=A;(B;CC)
=n(U)-{n(A)+n(B)-n(A'B)}
=A;(B-C)
이므로 37=40-{22+15-n(A'B)}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답 ⑤
∴ n(A'B)=34 답 ③

061
(AC'B)-B=(AC'B);BC 066
=(AC;BC)'(B;BC) n(A'B)=n(A)+n(B)-n(A;B)

=(A'B)C'á ={n(A)-n(A;B)}+n(B)

=(A'B)C =n(A-B)+n(B)

∴ {(A 'B)-B} ={(A'B) } =A'B


C C C C
답 A'B =22+17=39 답 ④

01. 집합 13
정답과 풀이

067 ∴ n(A'B)=n(A)+n(B)-n(A;B)
A;C=á에서 A;B;C=á이므로 =23+27-n(A;B)
n(A;C)=0, n(A;B;C)=0 =50-n(A;B)
가 B,(A'B)에서 n(B)Én(A'B)
또한 n(A'B)=n(A)+n(B)-n(A;B)에서 (A'B),U에서 n(A'B)Én(U)
18=12+9-n(A;B)이므로 즉, n(B)Én(A'B)Én(U)이므로
n(A;B)=3 27É50-n(A;B)É40
나 ∴ 10Én(A;B)É23
n(B'C)=n(B)+n(C)-n(B;C)에서 이때, A 강좌만을 신청한 학생의 집합은 A-B이므로
12=9+6-n(B;C)이므로 n(A-B)=n(A)-n(A;B)
n(B;C)=3 즉, n(A;B)=10일 때 A 강좌만을 신청한 학생 수가 최대이므로 구하
다 는 학생 수의 최댓값은
∴ n(A'B'C) n(A-B)=23-10=13 답 13
=n(A)+n(B)+n(C)-n(A;B)-n(B;C)-n(C;A)
+n(A;B;C)
=12+9+6-3-3-0+0=21

단계 채점 요소 비율
가 n(A;C), n(A;B;C)의 값 구하기 30 %
실력 콕콕 본문 p. 18~19
나 n(A;B)의 값 구하기 20 %
071 ⑤ 072 ② 073 16 074 ③ 075 ④ 076 8
다 n(B;C)의 값 구하기 20 %
077 ③ 078 ⑤ 079 ④ 080 49 081 ③ 082 3
라 n(A'B'C)의 값 구하기 30 %
083 ④ 084 ① 085 8 086 36
답 21

071
ㄱ. á은 집합 A의 원소이므로 á<A
068
ㄴ.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á,A
수학을 신청한 학생의 집합을 A,
ㄷ. á<A이므로 {á},A
영어를 신청한 학생의 집합을 B라 하면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n(A)=30, n(B)=20, n(A'B)=33
보충 설명
n(A'B)=n(A)+n(B)-n(A;B)에서
33=30+20-n(A;B) {á}은 집합 A의 원소이므로 {á}<A이다. 답 ⑤
∴ n(A;B)=17
따라서 수학만 신청한 학생 수는 072
n(A-B)=n(A)-n(A;B) 두 집합 A={a+1, aÛ`}, B={2a-1, 3a-2}에 대하여 A=B이므로

=30-17=13 답 ② a+1=2a-1 또는 a+1=3a-2


3
∴ a=2 또는 a=
2
Ú a=2일 때,
069
A={3, 4}, B={3, 4}이므로 A=B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인터넷 강의로 국사를 공부하는 학생의 집합을
3
A, 세계사를 공부하는 학생의 집합을 B라 하면 Û a= 일 때,
2
n(U)=50, n(A)=30, n(B)=27, n(A;B)=17
A=[ 9 , 5 ], B=[2, 5 ]이므로 A+B
∴ n(A'B)=n(A)+n(B)-n(A;B) 4 2 2
=30+27-17=40 Ú, Û에서 a=2 답 ②
따라서 두 과목 중 어느 것도 인터넷 강의로 공부하지 않는 학생 수는
n((A'B)C)=n(U)-n(A'B) 073
=50-40=10 답 ⑤ P(S)는 집합 S={1, 2, 3, 4}의 모든 부분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이
고, 집합 S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Ý`=16
070 따라서 집합 P(S)의 원소의 개수는 16이다.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A 강좌를 신청한 학생의 집합을 A, B 강좌를 신 보충 설명

청한 학생의 집합을 B라 하면 n(S)=k이고, P(S)={X|X,S}이면


n(U)=40, n(A)=23, n(B)=27 n(P(S))=2k 답 16

14 정답과 풀이
074 078
A={x|x는 0ÉxÉ10인 정수}={0, 1, 2, y, 10}, (A-BC)'(BC-AC)
B={x|x는 16의 양의 약수}={1, 2, 4, 8, 16}, ={A;(BC)C}'{BC;(AC)C}
C={x|x는 10 이하의 소수}={2, 3, 5, 7} =(A;B)'(BC;A)
이므로 A;B={1, 2, 4, 8}, A;C={2, 3, 5, 7} =A;(B'BC)
즉, (A;B)'X=(A;C)'X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집합 X가 1, =A;U=A
3, 4, 5, 7, 8을 반드시 원소로 가져야 한다. 이때, (A-BC)'(BC-AC)=A'B이므로
따라서 집합 A의 부분집합 X의 개수는 A'B=A   ∴ B,A
11-6 5
2 =2 =32 답 ③ ① A'B=A
② A;B=B
③ ‌집합 AC'B는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 U
075 A
으므로 A 'B+U
C
B
A-(A;B)=A에서 A;B=á이므로 집합 B의 개수는 전체집합
④ B-A=á
U={1, 2, 3, 4, 5}의 부분집합 중 2, 3을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의
⑤ (A'B)-A=A-A=á
개수와 같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따라서 집합 B의 개수는
 답 ⑤
25-2=23=8 답 ④

079
076 A6={6, 12, 18, 24, y},
A'(B-A)=A'(B;AC) A8={8, 16, 24, 32, y},
=(A'B);(A'AC) A12={12, 24, 36, y}이므로
=(A'B);U (A6'A12);(A8'A12)=(A6;A8)'A12
=A'B=A =A24'A12
이므로 B,A =A12
이때, A={2, 3, 5, 7}, A-B={2, 7}이므로 B={3, 5} 따라서 An,(A6'A12);(A8'A12)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최솟값
따라서 집합 B의 모든 원소의 합은 은 12이다. 답 ④
3+5=8 답 8

080
A12;A16=A48={48, 96}이므로
077
오른쪽 벤다이어그램에서 색칠하지 않은 부분은 U Am,(A12;A16),An에서 Am,{48, 96},An
A
(A;B)'(A;C)=A;(B'C) 이때, m=48 또는 m=96이고, n은 48과 96의 최대공약수인 48의 양의
이므로 벤다이어그램에서 색칠한 부분은 약수이므로 자연수 m, n에 대하여 m+n의 최솟값은
{A;(B'C)} =A '(B'C)  C C C m=48, n=1일 때이다.
B C 따라서 m+n의 최솟값은 49이다. 49
=A '(B ;C )
C C C 답

따라서 벤다이어그램의 색칠한 부분을 나타내는 집합은 ③이다.


081
다른 풀이
(A'B);X=X이므로 X,(A'B)
① AC'B'CC ② AC'(B;C) (A-B)'X=X이므로 (A-B),X
U U ∴ (A-B),X,(A'B) yy ㉠
A A
이때, A={1, 3, 5, 7}, B={1, 2, 3, 6}이므로
A'B={1, 2, 3, 5, 6, 7}, A-B={5, 7}
즉, ㉠을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B C B C {5, 7},X,{1, 2, 3, 5, 6, 7}
따라서 집합 X의 개수는 집합 {1, 2, 3, 5, 6, 7}의 부분집합 중 5, 7을
④ AC;BC;C ⑤ AC;(B'CC)
반드시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U U
A A 26-2=24=16 답 ③

082
U={x|x는 10 이하의 짝수인 자연수}={2, 4, 6, 8, 10}이고,
B C B C
A'B=U, A;B=á이므로 S(A)=x라 하면
따라서 주어진 벤다이어그램의 색칠한 부분을 나타내는 집합은 ③이다. S(B)=(2+4+6+8+10)-x=30-x
 답 ③ 이때, S(A)_S(B)=200이므로 x(30-x)=200

01. 집합 15
정답과 풀이

xÛ`-30x+200=0, (x-10)(x-20)=0 B,C, C,B   ∴ B=C


∴ x=20 (∵ S(A)>S(B)) 가

한편, S(A)=20, S(B)=10인 경우는 즉, 4<C이므로 4<B이어야 한다.


Ú A={2, 8, 10}, B={4, 6}일 때 ∴ a=4
Û A={4, 6, 10}, B={2, 8}일 때 나
Ü A={2, 4, 6, 8}, B={10}일 때 ∴ (A;B);C=A;(B;C)
따라서 순서쌍 (A, B)의 개수는 3이다. 답 3 =A;B=B (∵ B,A)
={1, 2, 4}

083 따라서 집합 (A;B);C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n(A;B)=n(A)+n(B)-n(A'B) A
2Ü`=8
n(A;B)=15+16-18=13 라
오른쪽 벤다이어그램에서 색칠한 부분은
단계 채점 요소 비율
(A;B)-(A;B;C)
B C 가 두 집합 B, C에 대하여 B=C임을 알기 30 %
이므로 구하는 원소의 개수는
나 실수 a의 값 구하기 20 %
n(A;B)-n(A;B;C)=13-7=6 답 ④
다 집합 (A;B);C 구하기 30 %

라 집합 (A;B);C의 부분집합의 개수 구하기 20 %

8
084  답

축구, 농구, 배드민턴을 신청한 학생들의 집합을 각각 A, B, C라 하면


n(A)=10, n(B)=7, n(C)=5, n(A;B)=4, n(A'C)=12, 086
n(B;C)=0이고, n(A;B;C)=0이므로 Ú n(A;B)의 값이 최대인 경우
n(A;C)=n(A)+n(C)-n(A'C) A,B, 즉 A;B=A일 때이므로
=10+5-12=3 n(A;B)=n(A)=22
∴ n(A'B'C) 따라서 n(A;B)의 최댓값은 22이다.
∴ =n(A)+n(B)+n(C)-n(A;B)-n(B;C)-n(C;A) 가

+n(A;B;C) Û n(A;B)의 값이 최소인 경우


∴ =10+7+5-4-0-3+0=15 n(A'B)É40이므로
따라서 축구, 농구, 배드민턴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신청한 학생 수는 15 n(A)+n(B)-n(A;B)É40
이다. 22+32-n(A;B)É40

다른 풀이
∴ n(A;B)¾14
따라서 n(A;B)의 최솟값은 14이다.
오른쪽 벤다이어그램에서 축구, 농구, 배드민턴 B A C

을 신청한 학생들의 집합을 각각 A, B, C라 하 a b c d e
Ú, Û에서 n(A;B)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고, 각 영역에 해당하는 원소의 개수를 각각 a,
22+14=36
b, c, d, e라 하면

n(A)=b+c+d=10
단계 채점 요소 비율
n(B)=a+b=7 yy ㉠
가 n(A;B)의 최댓값 구하기 40 %
n(C)=d+e=5
n(A;B)=b=4 나 n(A;B)의 최솟값 구하기 50 %

n(A'C)=b+c+d+e=12 yy ㉡ 다 n(A;B)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 구하기 10 %

b=4를 ㉠에 대입하면 a=3  답 36


b+c+d=10을 ㉡에 대입하면 e=2
∴ n(A'B'C)=a+b+c+d+e
∴ n(A'B'C)=a+(b+c+d)+e
∴ n(A'B'C)=3+10+2=15
따라서 축구, 농구, 배드민턴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신청한 학생 수는 15
이다. 답 ①

085
(B-C)'(C-B)=á에서
B-C=á, C-B=á이므로

16 정답과 풀이
I. 집합과 명제 ⑶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3xÛ`¾0이므로 3xÛ`+2>0이다. 따라서 주어진

02 명제
명제는 참이다.
답 ⑴ 참 ⑵ 거짓 ⑶ 참

개념 콕콕 본문 p. 21~22
093
⑴ 어떤 자연수 n에 대하여 nÛ`+1이다.
087
⑴ 3은 짝수가 아니므로 이 문장은 거짓인 명제이다. ⑵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9이다.

⑵ 2는 집합 {2, 4}의 원소이므로 이 문장은 참인 명제이다. ⑶ 버스로 등교하지 않는 학생도 있다. (어떤 학생은 버스로 등교하지 않

⑶ ‘야구는 재미있다.’에서 ‘재미있다.’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참, 거짓 는다.)

을 판별할 수 없으므로 명제가 아니다. 답 풀이 참조

답 ⑴◯ ⑵◯ ⑶_

094
088 답 ⑴ 역 ⑵ 대우
⑴ 1+1+2 (거짓)
1
⑵ 은 유리수이다. (참)
4
095
⑶ 1은 합성수도 아니고 소수도 아니다. (참)
⑴ 역 : x가 6의 배수이면 x는 3의 배수이다.
답 풀이 참조
대우 : x가 6의 배수가 아니면 x는 3의 배수가 아니다.
⑵ 역 : x>10이면 x>5이다.
089 대우 : xÉ10이면 xÉ5이다.
⑴ xÉ3 또는 y>-2 ⑶ 역 : a+0이면 ab+0이다.
⑵ 3x+1¾8 대우 : a=0이면 ab=0이다.
⑶ xÉ3이고 x>-2이므로 -2<xÉ3 답 풀이 참조
답 ⑴ xÉ3 또는 y>-2 ⑵ 3x+1¾8 ⑶ -2<xÉ3

096
090 명제 p 2Ú ~q가 참이므로 항상 참인 명제는 그 대우인
⑴ x=5이므로 조건 p의 진리집합은 {5}
③ q 2Ú ~p이다. 답 ③
⑵ xÛ`+x-6=0에서 (x+3)(x-2)=0
∴ x=-3 또는 x=2
따라서 조건 p의 진리집합은 {-3, 2}
097
⑶ -4<x<4이므로 조건 p의 진리집합은 명제 q 2Ú ~p의 역인 ~p 2Ú q가 참이므로 항상 참인 명제는 이것의
{-3, -2, -1, 0, 1, 2, 3} 대우인 ⑤ ~q 2Ú p이다. 답 ⑤
답 ⑴ {5} ⑵ {-3, 2} ⑶ {-3, -2, -1, 0, 1, 2, 3}

098
091 P,Q이므로 명제 p 2Ú q가 참이다.
⑴ a=0이면 aÛ`=0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따라서 항상 참인 명제는 그 대우인 ④ ~q 2Ú ~p이다. 답 ④
⑵ m=1, n=2이면 mn=2(짝수)이지만 m은 홀수이므로 주어진 명제
는 거짓이다.
⑶ (홀수)+(홀수)=(짝수)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099
⑷ aÛ`+bÛ`=0이면 a=b=0 ⑴ 두 조건을 p : x=4, q : xÛ`=16이라 하고 그 진리집합을 각각 P, Q
따라서 ab=0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라 하면 P={4}, Q={-4, 4}
⑸ x=12이면 x는 12의 약수이지만 6의 약수는 아니므로 주어진 명제는 이때, P,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거짓이다. ⑵ 두 조건을 p : -10ÉxÉ10, q : |x|<10이라 하고 그 진리집합을
⑹ 정사각형은 네 내각이 모두 직각이므로 직사각형이다. 따라서 주어진 각각 P, Q라 하면
명제는 참이다. P={x|-10ÉxÉ10}, Q={x|-10<x<10}
답 ⑴ 거짓 ⑵ 거짓 ⑶ 참 ⑷ 참 ⑸ 거짓 ⑹ 참 이때, Q,P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⑶ 두 조건을 p`:`x=1 또는 x=3, q`:`xÛ`-4x+3=0이라 하고 그 진리

092 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1, 3}, Q={1, 3}


⑴ n=3이면 nÛ`=9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이때, P=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⑵ x=0이면 |x|=0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답 ⑴ 충분 ⑵ 필요 ⑶ 필요충분

02. 명제 17
정답과 풀이

100 105
xÛ`+yÛ`=0 HjK x=0, y=0이므로 (x-y)Û`+(y-z)Û`+(z-x)Û`=0의 부정은
⑴ x=0 또는 y=0`Hjj`x=0, y=0 (x-y)Û`+(y-z)Û`+(z-x)Û`+0
따라서 x=0 또는 y=0은 xÛ`+yÛ`=0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 x+y 또는 y+z 또는 z+x
⑵ x+y=0 HjK x=-y 즉, x, y, z 중에서 서로 다른 것이 적어도 하나 있다. 답 ③
따라서 x+y=0은 xÛ`+yÛ`=0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⑶ |x|+|y|=0 HjK x=0, y=0
따라서 |x|+|y|=0은 xÛ`+yÛ`=0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106
답 ⑴ 필요조건 ⑵ 필요조건 ⑶ 필요충분조건 ‘~p 또는 q’의 부정은 ‘p이고 ~q’이다.
p`:`-3<xÉ4, ~q`:`xÉ-1 또는 x>2이므로
‘p이고 ~q’는 -3<xÉ-1 또는 2<xÉ4이다.
답 -3<xÉ-1 또는 2<xÉ4

107
유형 콕콕 본문 p. 23~27 1 1 1
① [반례] x= 이면 >0이지만 <1이다.
2 2 2
101 ④ 102 ④ 103 ㄱ, ㄷ, ㄹ 104 ② 105 ③ ② 주어진 명제에서 두 조건을 p`:`2x-1=3, q`:`xÛ`+2x-8=0이라 하
106 -3<xÉ-1 또는 2<xÉ4 107 ② 108 ⑤ 고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109 ㄴ 110 ② 111 ④ 112 16 113 ⑤ 114 ③ 2x-1=3에서 x=2
115 풀이 참조 116 ④ 117 ③ 118 5 119 ③ xÛ`+2x-8=0에서 (x+4)(x-2)=0
120 ㈎ 3k-2 ㈏ 3k-1 ㈐ 3kÛ`-2k 121 ② ∴ x=-4 또는 x=2
122 ㈎ 유리수 ㈏ 유리수 ㈐ 유리수 ㈑ 무리수 ㈒ 무리수 ∴ P={2}, Q={-4, 2}
123 ② 124 ② 125 필요, 충분 126 ③ 127 ⑤ 따라서 P,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128 ㄷ ③ [반례] x=2이면 x는 2의 배수이지만 4의 배수는 아니다.
④ [반례] n=2이면 2는 소수이지만 2Û`은 짝수이다.

101 ⑤ [반례] x=0, y=1이면 xy=0이지만 xÛ`+yÛ`=1+0이다.


ㄱ. 거짓인 명제이다. 따라서 참인 명제는 ②이다. 답 ②
ㄴ. x-2=x+3에서 -2=3이므로 거짓인 명제이다.
ㄷ. 5x=3x+2x에서 0=0이므로 참인 명제이다.
ㄹ. x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므로 108
명제 ‘~p이면 q이다.’가 거짓임을 보이려면 PC의 원소 중에서 Q의 원소
명제가 아니다.
가 아닌 것, 즉 반례를 찾으면 된다.
따라서 명제인 것은 ㄱ, ㄴ, ㄷ이다. 답 ④
따라서 반례가 속하는 집합은 ⑤ PC;QC이다. 답 ⑤

102
① 거짓인 명제이다.
109
② 참인 명제이다.
ㄱ. [반례] x=1, y=2, z=0이면 xz=yz=0이지만 x+y이다.
③ 거짓인 명제이다.
ㄴ. 주어진 명제에서 두 조건을 p`:`xÛ`+yÛ`=0, q`:`|x|+|y|=0이라 하
④ x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므로 명제가 아니다.
고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실수 x, y에 대하여
⑤ 참인 명제이다.
xÛ`+yÛ`=0이면 x=0, y=0이므로
따라서 명제가 아닌 것은 ④이다. 답 ④
P={(x, y)|x=0, y=0}
|x|+|y|=0이면 x=0, y=0이므로
103 Q={(x, y)|x=0, y=0}
ㄱ. 참인 명제이다.
따라서 P=Q, 즉 P,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ㄴ. x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므로 명제가 아니다.
ㄷ. [반례] x=3, y=-1이면 x+y=2>0이지만 xy=-3<0이다.
ㄷ. 거짓인 명제이다.
ㄹ. [반례] x=-2, y=-2이면
ㄹ. 거짓인 명제이다.
(x-1)(y-1)=-3_(-3)=9>0이지만 x<1, y<1이다.
따라서 명제인 것은 ㄱ, ㄷ, ㄹ이다. 답 ㄱ, ㄷ, ㄹ
따라서 참인 명제는 ㄴ이다. 답 ㄴ

104
|a|+|b|=0 HjK a=0이고 b=0 110
따라서 조건 ‘|a|+|b|=0’의 부정은 P'Q=R이면 P,R, Q,R이므로
|a|+|b|+0 HjK a+0 또는 b+0 답 ② 두 명제 p 2Ú r, q 2Ú r가 참이다. 답 ②

18 정답과 풀이
111 118
명제 p 2Ú q가 참이면 P,Q이므로 P-Q=á 답 ④ 두 조건 p`:`x<a, q`:`-2<x<5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x|x<a}, Q={x|-2<x<5}

112 가

P={2, 3, 5, 7}이고 명제 ~p 2Ú q가 참이려면 P ,Q이어야 한다.


C
명제 ~p 2Ú ~q가 참이면 대우 q 2Ú p P
Q
가 도 참이므로 Q,P이다.
∴ a¾5 -2 5 a x
따라서 {1, 4, 6, 8, 9, 10},Q,U를 만족시키는 집합 Q의 개수는
10-6 4
2 =2 =16 나

나 따라서 a의 최솟값은 5이다.


다
단계 채점 요소 비율
가 ~p 2Ú q가 참이려면 PC,Q이어야 함을 구하기 30 % 단계 채점 요소 비율

나 집합 Q의 개수 구하기 70 % 가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 구하기 40 %

나 a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
 답 16
다 a의 최솟값 구하기 20 %

113  답 5
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¾0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② [반례] x=3이면 (x+2)(x-1)=5_2=10+0이다.
③ [반례] x=1이면 x-2=-1<0이다.
119
④ 2와 3 사이에는 자연수가 없으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m이 3의 배수가 아니면 m= 3kÑ1 (k는 0 또는 자연수)로 놓을 수
⑤ x=1이면 4-xÛ`=4-1=3>0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있다.
따라서 참인 명제는 ⑤이다. 답 ⑤
이때, n은 n=3l-1 또는 n=3l 또는 n=3l+1 (l은 0 또는 자연수)
중의 하나이다.
114 먼저 n=3l일 때, mÛ`+nÛ`=3(3kÛ`+3lÛ`Ñ2k)+1이므로 mÛ`+nÛ`은 3의
① [반례]
‌ x=2이면 xÛ`>0이다.
배수가 아니다.
② 모든 x에 대하여 |x|É3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③ x=-2일 때, 4>0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또한 n=3lÑ1일 때, mÛ`+nÛ`= 3(3kÛ`+3lÛ`Ñ2kÑ2l)+2 이므로

④ [반례]
‌ x=1, y=2이면 xÛ`+yÛ`=5이다. mÛ`+nÛ`은 3의 배수가 아니다.
⑤ ‌|x+y|>6을 만족시키는 x, y는 U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주어진 명 같은 방법으로 n이 3의 배수가 아닌 경우 mÛ`+nÛ`은 3의 배수가 아니다.
제는 거짓이다. 따라서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이다. 답 ③
따라서 참인 명제는 ③이다. 답 ③

115 120
⑴ ‌주어진 명제의 부정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16¾8x이다.’이고,
n이 3의 배수가 아니면 n= 3k-2 또는 3k-1 (k는 자연수)로 놓을
xÛ`-8x+16=(x-4)Û`¾0이므로 주어진 명제의 부정은 참이다.
수 있다.
⑵ ‌주어진 명제의 부정은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x|<x이다.’이고,
먼저 n= 3k-2 일 때, nÛ`=9kÛ`-12k+4=3(3kÛ`-4k+1)+1이므로
|x|<x를 만족시키는 실수 x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주어진 명제의 부
정은 거짓이다. nÛ`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이다. 즉, nÛ`은 3의 배수가 아니다.
 답 풀이 참조 또한 n= 3k-1 일 때, nÛ`=3( 3kÛ`-2k )+1이므로 nÛ`은 3의 배수가
아니다.
116 따라서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이다.
주어진 벤다이어그램에서 R,P, R,Q이므로 r 2Ú p, r 2Ú q가 모  답 ㈎ 3k-2 ㈏ 3k-1 ㈐ 3kÛ`-2k
두 참이다.
또한 PC,RC, QC,RC이므로 ~p 2Ú ~r, ~q 2Ú ~r도 모두 참이
다.  답 ④
121
주어진 명제의 결론을 부정하여 a, b, c가 모두 홀수 라 가정하면 aÛ`,
117
ㄱ. ‌명제 ~r 2Ú q가 참이므로 대우 ~q 2Ú r도 참이다.
bÛ`, cÛ`은 모두 홀수이다.

따라서 두 명제 p 2Ú ~q, ~q 2Ú r가 참이므로 명제 p 2Ú r는 참 이때, aÛ`+bÛ`은 짝수 이고 cÛ`은 홀수 이므로 aÛ`+bÛ`+cÛ`이 되어 가정


이다. 에 모순이다.
ㄷ. 명제 p 2Ú ~q가 참이므로 대우 q 2Ú ~p도 참이다. 따라서 자연수 a, b, c에 대하여 aÛ`+bÛ`=cÛ`이면 a, b, c 중 적어도 하나
따라서 항상 참인 명제는 ㄱ, ㄷ이다. 답 ③ 는 짝수이다. 답 ②

02. 명제 19
정답과 풀이

122 127
3+'2 를 유리수 라 가정하면 3+'2 와 -3은 유리수 이고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q jjK p
(3+'2)+(-3)='2에서 (유리수)+(유리수)=(유리수)이므로 '2
∴ Q,P
① P;Q=Q ② P'Q=P
는 유리수 이다.
③ P;QC+á ④ PC;Q=á
그런데 이것은 '2가 무리수 라는 사실에 모순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답 ⑤
따라서 3+'2 는 무리수 이다.
답 ㈎ 유리수 ㈏ 유리수 ㈐ 유리수 ㈑ 무리수 ㈒ 무리수 128
주어진 벤다이어그램에서
ㄱ. Q,R이므로 q`jjK`r
123 따라서 q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ㄱ. aÛ`+bÛ`=0이면 a=0, b=0이고 ab=0이므로 p`jjK`q
ㄴ. P,RC이므로 p`jjK`~r
‘ab=0이면 aÛ`+bÛ`=0이다.’는 거짓이므로 q`jjK
/ p
따라서 ~r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반례] a=2, b=0
ㄷ. RC,QC이므로 ~r`jjK`~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따라서 ~r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ㄴ. a=b=c이면 (a-b)(b-c)=0이므로 q`jjK`p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ㄷ이다. 답 ㄷ
‘(a-b)(b-c)=0이면 a=b=c이다.’는 거짓이므로 p`jjK
/ q
[반례] a=1, b=1, c=2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ㄷ. aÛ`-1=0이면 a=Ñ1이고 |a|=1이므로 p`jjK`q
|a|=1이면 aÛ`-1=0이므로 q`jjK`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그러므로 p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인 것은 ㄴ이다. 답 ② 실력 콕콕 본문 p. 28~29

129 ④ 130 ② 131 ① 132 ④ 133 ⑤


124 134 ㄱ, ㄴ 135 ⑤ 136 ⑤ 137 ③ 138 ②
두 조건을 p`:`xÛ`=1, q`:`x=1이라 하면 ‘xÛ`=1이면 x=1이다.’는 거짓이 139 필요, 충분 140 ① 141 ① 142 ③
므로 p`jjK
/ q 143 풀이 참조 144 16
[반례] x=-1
x=1이면 xÛ`=1이므로 q`jjK`p
129
aÛ`+bÛ`=0 HjK a=0이고 b=0이므로
따라서 xÛ`=1은 x=1이기 위한 필요 조건이다.
또한 xÛ`=1은 x=-1 또는 x=1이므로 xÛ`=1은 x=-1 또는 x=1이 aÛ`+bÛ`=0의 부정은 aÛ`+bÛ`+0, a+0 또는 b+0
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이다. 답 ② 따라서 aÛ`+bÛ`=0의 부정과 같은 것은 ㄱ, ㄷ이다. 답 ④

130
125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 두 조건을 p`:`aÛ`-bÛ`=0, q`:`a=b라 하자.
P={1, 2, 3, 4, 6}, Q={1, 2, 4, 8}
a=b이면 aÛ`-bÛ`=0이므로 q`jjK`p
따라서 ‘p 그리고 q’의 진리집합은 P;Q={1, 2, 4}이므로 a=3
‘aÛ`-bÛ`=0이면 a=b이다.’는 거짓이므로 p`jjK
/ q
‘~p 그리고 q’의 진리집합은 PC;Q=Q-P={8}이므로 b=1
[반례] a=2, b=-2
‘~p 또는 ~q’의 진리집합은
따라서 aÛ`-bÛ`=0은 a=b이기 위한 필요 조건이다. PC'QC=(P;Q)C={3, 5, 6, 7, 8, 9, 10}이므로 c=7
㈏ 두 조건을 p`:`a<b, q`:`a<|b|라 하자. ∴ a+b+c=3+1+7=11 답 ②
a<b이면 a<|b|이므로 p`jjK`q
‘a<|b|이면 a<b이다.’는 거짓이므로 q`jjK
/ p
131
[반례] a=-1, b=-2 주어진 명제가 참이 되려면
따라서 a<b는 a<|b|이기 위한 충분 조건이다. {x|0<xÉ4},{x|2a+2<x<-a+1}
답 필요, 충분 이어야 하므로 다음 그림에서

126 2a+2 0 4 -a+1 x

주어진 벤다이어그램에서 R,Q이므로 r jjK q 2a+2É0, 4<-a+1


즉, r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q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aÉ-1, a<-3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답 ③ ∴ a<-3 답 ①

20 정답과 풀이
132 ㈏에서 q 또는 ~s는 ~r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주어진 벤다이어그램에서 R,Q ~r jjK (q 또는 ~s) yy ㉡
따라서 R,Q이면 Q ,R 이므로 명제 ~q 2Ú ~r는 참이다.
C C
답 ④ ㈐에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q jjK ~p yy ㉢

133 ㉠의 대우는
ㄱ. ‌xÛ`-2x+3=(x-1)Û`+2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r jjK ~q yy ㉣
xÛ`-2x+3>0이다. 이때, ㉢, ㉣에서 ~r jjK ~p
따라서 모든 x에 대하여 xÛ`-2x+3¾0이므로 참이다. ㉡, ㉣에서 ~r jjK ~s이므로 그 대우는 s jjK r이다.
ㄴ. x=0이면 xÛ`-1<0이므로 참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얻어낼 수 있는 결론은 ㄱ, ㄴ이다.  답 ③
ㄷ. x=0, y=0이면 xÛ`+yÛ`É0이므로 참이다.
따라서 참인 명제는 ㄱ, ㄴ, ㄷ이다. 답 ⑤
138
x+a가 xÛ`+x-6+0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명제
134 ‘xÛ`+x-6+0이면 x+a이다.’는 참이다.
ㄱ. ‌주어진 명제의 대우 ‘x=1이고 y=1이면 xy=1이다.’가 참이므로 명
따라서 이 명제의 대우인 ‘x=a이면 xÛ`+x-6=0이다.’는 참이다.
제 p 2Ú q는 참이다.
즉, aÛ`+a-6=0에서 (a+3)(a-2)=0이므로
ㄴ. ‌x, y가 실수일 때, x>0이고 y>0이면 x+y>0, xy>0이므로 명제
a=-3 또는 a=2
p 2Ú q는 참이다.
따라서 구하는 양수 a의 값은 2이다.  답 ②
ㄷ. ‌명제 p 2Ú q는 거짓이다.
[반례] x=0이고 y=1이면 xÛ`+yÛ`=1+0에서 p가 성립하지만 xy=0
에서 q가 성립하지 않는다. 139
따라서 명제 p 2Ú q가 참인 것은 ㄱ, ㄴ이다. 답 ㄱ, ㄴ xy=0 HjK x=0 또는 y=0이고,
|x|+|y|=0` HjK x=0, y=0

135 따라서 xy=0은 |x|+|y|=0이기 위한 필요 조건이다.


① ‌역 : a>-1이면 a>1이다. (거짓) xÛ`-2xy+yÛ`=0 HjK (x-y)Û`=0 HjK x=y이고,
[반례] a=0  |x|-|y|=0` HjK |x|=|y|` HjK x=Ñy
대우 : aÉ-1이면 aÉ1이다. (참)
따라서 xÛ`-2xy+yÛ`=0은 |x|-|y|=0이기 위한 충분 조건이다.
② ‌역 : aÛ`<bÛ`이면 a<b이다. (거짓)
 답 필요, 충분
[반례] a=-1, b=-2
대우 : ‌aÛ`¾bÛ`이면 a¾b이다. (거짓)
[반례] a=-2, b=-1 140
③ ‌역 : aÛ`=4이면 a=2이다. (거짓)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반례] a=-2 이므로 P,Q가 성립한다.
대우 : aÛ`+4이면 a+2이다. (참) p : xÛ`-6x+8=0에서
④ ‌역 : a+b>-2이면 a>-1, b>-1이다. (거짓) (x-2)(x-4)=0, x=2 또는 x=4
[반례] a=-2, b=4 ∴ P={2, 4}
대우 : a+bÉ-2이면 aÉ-1 또는 bÉ-1이다. (참) 이때, P,Q가 성립하려면 q : x>a`(`a는 정수)에서 aÉ1을 만족시켜야
⑤ ‌역 : aÛ`+a이면 a+1이다. (참) 한다.
대우 : ‌aÛ`=a이면 a=1이다. (거짓)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1이다. 답 ①
[반례] a=0
따라서 역은 참이고 대우는 거짓인 명제는 ⑤이다. 답 ⑤
141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136 p : -3<x-a<3에서 a-3<x<a+3
P'Q=P에서 Q,P이고 PC=á에서 P=U이다.
q : -7<x-3<7에서 -4<x<10
ㄱ. Q,P이므로 명제 q 2Ú p는 참이다.
이므로 P={x|a-3<x<a+3}, Q={x|-4<x<10}
ㄴ. ‌á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PC=á,Q
그런데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Q
따라서 명제 ~p 2Ú q는 참이다.
Q
ㄷ. 명제 q 2Ú p가 참이므로 대우 ~p 2Ú ~q도 참이다. P

따라서 참인 명제는 ㄱ, ㄴ, ㄷ이다. 답 ⑤ -4 a-3 a+3 10 x

∴ a-3¾-4 , a+3É10
137 ∴ -1ÉaÉ7
㈎에서 q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는 -1, 0, 1, 2, y, 7이므로 모든 정수
q jjK r yy ㉠ a의 값의 합은 -1+0+1+y+7=27 답 ①

02. 명제 21
정답과 풀이

142 I. 집합과 명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므로 q`jjK`~p, ~p`jjK
/ q U
03 절대부등식
즉, Q,PC, PCøQ이다. P Q

따라서 두 집합 P, Q 사이의 관계를 벤다이어 개념 콕콕 본문 p. 31~32


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P;Q=á 145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답 ③ ⑹ [반례] 2>-4이지만 2Û`<(-4)Û`이다.
⑻ [반례] a=0이면 aÛ`=0이다.
143 보충 설명
b+0이라 가정하자.
⑹ a>0, b>0일 때, a>b HjK aÛ`>bÛ`이다.

⑻ 실수 a에 대하여 aÛ`¾0이다.
a+b'3=0에서 '3=- 이다.
a
b 답 ⑴◯ ⑵◯ ⑶◯ ⑷◯ ⑸◯
a ⑹_ ⑺◯ ⑻_ ⑼◯ ⑽◯
이때, a, b가 유리수이므로 - 는 유리수이다.
b ⑾◯ ⑿◯ ⒀◯ ⒁◯ ⒂◯
즉, '3이 유리수이고 이것은 '3이 무리수라는 사실에 모순이다.
∴ b=0

146
1 1
⑶ [반례] a=2, b=1이면 2>1>0이지만
또한 b=0을 등식 a+b'3=0에 대입하면 a=0 2<1
다 ⑷ [반례] a=-1, b=-2이면 -1>-2이지만 (-1)Û`<(-2)Û`이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⑸ a>b이면
라 aÜ`-bÜ`=(a-b)(aÛ`+ab+bÛ`)

bÛ`+ bÛ`}
1 3
단계 채점 요소 비율 =(a-b){aÛ`+ab+
4 4
가 결론을 부정하기 20 %
1 Û` 3
=(a-b)[{a+ b} + bÛ`]>0
나 모순을 이끌어 내어 결론이 참임을 보이기 50 % 2 4
1 Û` 3 '3 Û`
{∵ a-b>0, {a+ b} + bÛ`={a+ b}Û`+{
a의 값 구하기 1
다 20 % b} >0}
2 4 2 2
라 주어진 명제가 참임을 보이기 10 %
∴ aÜ`>bÜ`
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1 1
144 ⑶ a>b>0일 때,
a<b
이다.
x¾a는 4ÉxÉ8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명제 ‘4ÉxÉ8이면 x¾a이
⑷ a>b¾0일 때, aÛ`>bÛ`이다.
다.’가 참이다.
답 ⑴◯ ⑵◯ ⑶_ ⑷_ ⑸◯

x
a 4 8
147
∴ aÉ4 1 3
aÛ`+bÛ`-ab=aÛ`-ab+ bÛ`+ bÛ`
가 4 4

={a- ;2B; }`Û + bÛ`


또한 b<x<7은 4ÉxÉ8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명제 3
4
‘b<x<7이면 4ÉxÉ8이다.’가 참이다.
이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 ;2B; }`Û ¾0, bÛ`¾0
3
4
4 b 7 8 x

이므로 {a- ;2B; }`Û + bÛ`¾0


3
∴ 4Éb<7 (∵ b<7) 4

∴ aÛ`+bÛ`¾ab (단, 등호는 a=b=0 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a의 최댓값은 4, b의 최솟값은 4이므로 구하는 곱은
b
4_4=16 답 ㈎ ㈏ a=b=0
2

단계 채점 요소 비율 148
가 a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 ('a+'b )Û`-('Äa+b )Û`=('a )Û`+2'a'b+('b )Û`-(a+b)
나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 = 2'¶ab ¾0
다 a의 최댓값과 b의 최솟값의 곱 구하기 20 %
∴ ('a+'b )Û` ¾ ('Äa+b )Û`
답 16 그런데 'a+'b¾0, 'Äa+b¾0이므로

22 정답과 풀이
'a+'b ¾ 'Äa+b 답 ‌㈎ 2'¶ab ㈏ ¾ ㈐ ¾ 153
1
⑴ ‌x>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

x+ ¾2¾Ðx_ =2 {단, 등호는 x= , 즉 x=1일 때 성립한다.}


1 1 1
149 x x x
('Äa-b )Û`-('a-'b )Û`
1
=(a-b)-(a-2'a'b+b) 따라서 x+ 의 최솟값은 2이다.
x
=2'a'b-2b 25
x >0이므로
⑵ x>0,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2'b( 'a-'b )¾0 (∵ a¾b¾0)
25 25
x+ ¾2¾Ðx_ =10
∴ ('Äa-b )Û` ¾ ('a-'b )Û` x x
그런데 'Äa-b¾0, 'a-'b¾0이므로 25
{단, 등호는 x= x , 즉 x=5일 때 성립한다.}
'Äa-b` ¾ `'a-'b 답 ‌㈎ 'a-'b ㈏ ¾ ㈐ ¾
25
따라서 x+ 의 최솟값은 10이다.
x
4
⑶ 9x>0,
x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150
ㄱ.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1)Û`¾0이므로 (x-1)Û`+1>0 4 4
9x+ ¾2¾Ð9x_ =12
x x
ㄴ. ‌(x-1)(xÜ`-1)=(x-1)(x-1)(xÛ`+x+1)
4 2
{단, 등호는 9x= x , 즉 x= 3 일 때 성립한다.}
=(x-1)Û` {xÛ`+x+ + }
1 3
4 4
4
따라서 9x+ 의 최솟값은 12이다.
=(x-1)Û` [{x+ }Û`+ ]¾0
1 3 x
2 4
 답 ‌⑴ 2 ⑵ 10 ⑶ 12
{∵ (x-1)Û`¾0, {x+ }Û`+ >0}
1 3
2 4
ㄷ. x=-3이면 (-3+1)Ü`+1=-7<0이므로 절대부등식이 아니다.
따라서 절대부등식인 것은 ㄱ, ㄴ이다. 답 ‌ㄱ, ㄴ

154
⑴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151 a+b¾2'¶ab =2'9 =6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한다.)
ㄱ. 3x+6>0에서 x>-2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6이다.
ㄴ. ‌x=-2이면 (x+2)Û`=0이다. 즉, 부등식 (x+2)Û`>0의 해는
⑵ ‌a>0, 4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2인 모든 실수이다.
a+4b¾2'Äa_4b =2'¶4ab =2'Ä4_25=20
ㄷ. ‌2|x|¾0   ∴ |x|¾0
(단, 등호는 a=4b일 때 성립한다.)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x|¾0이므로 절대부등식이다.
따라서 a+4b의 최솟값은 20이다.
ㄹ. (실수)Û`¾0이므로 절대부등식이다.
⑶ ‌a>0, 9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ㅁ. ‌(x-1)Û`<xÛ`+1에서
a+9b¾2'Äa_9b=6'¶ab (단, 등호는 a=9b일 때 성립한다.)
xÛ`-2x+1<xÛ`+1, -2x<0   ∴ x>0
12¾6'¶ab (∵ a+9b=12)
ㅂ. ‌(x+1)Û`>xÛ`+2x에서
2¾'¶ab
xÛ`+2x+1>xÛ`+2x   ∴ 1>0
양변을 제곱하면 
즉,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절대부등식이다.
4¾ab
따라서 해의 집합이 실수 전체의 집합인 부등식, 즉 절대부등식인 것은
따라서 ab의 최댓값은 4이다.
ㄷ, ㄹ, ㅂ이다. 답 ‌ㄷ, ㄹ, ㅂ
 답 ‌⑴ 6 ⑵ 20 ⑶ 4

152
a>0, b>0일 때
a=('a )Û`, b=('b`)Û`, '¶ab='a 'b이므로 155
a+b 1 (aÛ`+bÛ`)(xÛ`+yÛ`)-(ax+by)Û`
2 -'¶ab = 2 (a+b-2'¶ab ) =aÛ`xÛ`+aÛ`yÛ`+bÛ`xÛ`+bÛ`yÛ`-(aÛ`xÛ`+2abxy+bÛ`yÛ`)
1
= 2 {('a )Û`-2'a'b +('b )Û`} =bÛ`xÛ`-2abxy+aÛ`yÛ`
=( bx-ay )Û`¾0
= ;2!;('a-'b )Û` ¾0 ∴ (aÛ`+bÛ`)(xÛ`+yÛ`)¾(ax+by)Û`

a+b
등호는 'a='b, 즉 {단, 등호는 bx=ay, 즉 ;a{;=;b}; 일 때 성립한다.}
2 ¾'¶ab (단, a=b 일 때 성립한다.)

1 x y
 답 ‌ ㈎ bx-ay ㈏ a =
2 ('a-'b )Û`
 답 ‌㈎ ㈏ a=b b

03. 절대부등식 23
정답과 풀이

156 이때, 등호는 a-b=0, b=0, 즉 a=b=0일 때 성립한다.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 aÛ`-2ab+2bÛ`¾0 (단, 등호는 a=b=0일 때 성립한다.)
z w ⑵ aÛ`+bÛ`+cÛ`-(ab+bc+ca)
(xÛ`+yÛ`)(zÛ`+wÛ`)¾(xz+yw)Û` {단, 등호는 x = y 일 때 성립한다.}
=aÛ`+bÛ`+cÛ`-ab-bc-ca
36¾(xz+yw)Û` (∵ xÛ`+yÛ`=3, zÛ`+wÛ`=12)
1
= 2 (2aÛ`+2bÛ`+2cÛ`-2ab-2bc-2ca)
∴ -6Éxz+ywÉ6
따라서 xz+yw의 최댓값은 6, 최솟값은 -6이다. 1
= 2 (aÛ`-2ab+bÛ`+bÛ`-2bc+cÛ`+cÛ`-2ca+aÛ`)
답 최댓값`: 6, 최솟값`: -6
1
= 2 {(a-b)Û`+(b-c)Û`+(c-a)Û` }

a, b, c가 실수이므로
(a-b)Û`¾0, (b-c)Û`¾0, (c-a)Û`¾0
1
2 {(a-b)Û`+(b-c)Û`+(c-a)Û` }¾0

∴ aÛ`+bÛ`+cÛ`-(ab+bc+ca)¾0
이때, 등호는 a-b=0, b-c=0, c-a=0, 즉 a=b=c일 때 성립한
유형 콕콕 본문 p. 33~35
다.
157 ③ 158 ② 159 풀이 참조 160 ④ ∴ aÛ`+bÛ`+cÛ`¾ab+bc+ca (단, 등호는 a=b=c일 때 성립한다.)
161 AÉB 162 ㈎ |ab| ㈏ |ab|+ab ㈐ |ab|=-ab ㈑ É 답 풀이 참조
163 ② 164 ③ 165 4 166 ③ 167 ② 168 ②
169 2 170 8 171 ④ 172 ④ 173 ② 174 6
160
175 ② 176 ⑤ 177 40 |a|+|b|¾0, |a+b|¾0이므로
(|a|+|b|)Û`¾|a+b|Û`임을 보이면 된다.

157 (|a|+|b|)Û`-|a+b|Û`=(|a|Û`+2|a||b|+|b|Û`)-(a+b)Û`
A-B=(2xÛ`-yÛ`)-(xÛ`+2xy-3yÛ`) =(aÛ`+2|ab|+bÛ`)-(aÛ`+2ab+bÛ`)
=xÛ`-2xy+2yÛ` =2( |ab|-ab )¾0 (∵ |ab|¾ab)
=(xÛ`-2xy+yÛ`)+yÛ` 이때, 등호는 |ab|=ab, 즉 ab¾0일 때 성립한다.
=( x-y )Û`+yÛ` ∴ (|a|+|b|)Û`¾|a+b|Û` (단, 등호는 ab¾0일 때 성립한다.)
x, y가 실수이므로 ∴ |a|+|b|¾|a+b| (단, 등호는 ab¾0 일 때 성립한다.) 답 ④

( x-y )Û`¾0, yÛ`¾0

∴ A-B=(x-y)Û`+yÛ` ¾ 0 161
이때, 등호는 x-y=0, y=0, 즉 x=y=0일 때 성립한다. A="Ãa`Û +bÛ``¾0, B=|a|+|b|¾0이므로 제곱의 차, 즉
AÛ`-BÛ`을 구하여 대소를 비교한다.
∴ A ¾ B (단, 등호는 x=y=0 일 때 성립한다.) 답 ③
AÛ`-BÛ`=("Ãa`Û +bÛ` )Û`-(|a|+|b|)Û`
=(aÛ`+bÛ`)-(aÛ`+2|a||b|+bÛ`)
=(aÛ`+bÛ`)-(aÛ`+2|ab|+bÛ`)
158
A-B=(aÛ`+bÛ`+2)-2(a+b) =-2|ab|É0

=aÛ`+bÛ`-2a-2b+2 (단, 등호는 |ab|=0, 즉 ab=0일 때 성립한다.)

=(aÛ`-2a+1)+(bÛ`-2b+1) ∴ AÛ`ÉBÛ`

=(a-1)Û`+(b-1)Û` 그런데 A="Ãa`Û +bÛ` ¾0, B=|a|+|b|¾0이므로

a, b가 실수이므로 AÉB 답 AÉB


(a-1)Û`¾0, (b-1)Û`¾0
∴ A-B=(a-1)Û`+(b-1)Û`¾0 162
이때, 등호는 a-1=0, b-1=0, 즉 a=b=1일 때 성립한다. |a|+|b|¾0, |a-b|¾0이므로
∴ A¾B (단, 등호는 a=b=1일 때 성립한다.) 답 ② (|a|+|b|)Û`¾|a-b|Û`임을 보이면 된다.
(|a|+|b|)Û`-|a-b|Û`=(|a|Û`+2|a||b|+|b|Û`)-(a-b)Û`
=(aÛ`+2 |ab| +bÛ`)-(aÛ`-2ab+bÛ`)
159
=2( |ab|+ab )¾0 (∵ |ab|¾-ab)
⑴ aÛ`-2ab+2bÛ`=aÛ`-2ab+bÛ`+bÛ`
=(a-b)Û`+bÛ` ∴ (|a|+|b|)Û`¾|a-b|Û`

a, b가 실수이므로 ∴ |a|+|b|¾|a-b|

(a-b)Û`¾0, bÛ`¾0 (단, 등호는 |ab|=-ab , 즉 ab É 0일 때 성립한다.)


∴ (a-b)Û`+bÛ`¾0 답 ㈎ |ab| ㈏ |ab|+ab ㈐ |ab|=-ab ㈑ É

24 정답과 풀이
163 따라서 3x+4y의 최솟값은 24이다. 답 ②
1 1 a+b 8
a + b = ab = ab (∵ a+b=8) yy ㉠

한편,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168


a+b¾2'¶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한다.) y 9x
4x >0, y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8¾2'¶ab (∵ a+b=8)
y 9x y 9x
4¾'¶ab 4x + y ¾2¾Ð 4x _ y
∴ abÉ16 3
=2_ 2
1 1
ab ¾ 16
따라서 이므로 ㉠에서
y 9x
=3 {단, 등호는 4x = y , 즉 `y=6x일 때 성립한다.}
1 1 8 8 1
a + b = ab ¾ 16 = 2 y 9x
따라서 + 의 최솟값은 3이다. 답 ②
1 1 1 4x y
따라서 + 의 최솟값은 이다. 답 ②
a b 2

164 169
a b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b >0, a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9xÛ`+4yÛ`¾2"Ã9xÛ`_4yÛ`
a b a b a b
b + a ¾2¾Ð b _ a =2 {단,
등호는 = , 즉 a=b일 때 성립한다.}
(단, 등호는 9xÛ`=4yÛ`, 즉 3x=2y일 때 성립한다.) b a
72¾2"Ã36xÛ`yÛ` (∵ 9xÛ`+4yÛ`=72) a b
b + a ¾m이
따라서 항상 성립하기 위한 실수 m의 최댓값은 2이다.
72¾12xy
∴ xyÉ6  답 2

따라서 xy의 최댓값은 6이다. 답 ③

170
165 a>0, b>0, c>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1 1 a+b
{ + }{ + }{ + }
+ = =1 a b b c c a
a b ab b c c a a b
∴ a+b=ab yy ㉠ a b b c c a
¾2¾Ð b _ c _2¾Ð c _ a _2¾Ð a _ b
한편,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8¾ c _¾ a _¾ b   =8 (단, 등호는 a=b=c일 때 성립한다.)
a+b¾2'¶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한다.) a b c
∴ ab¾2'¶ab (∵ ㉠)

양변을 제곱하면
따라서 { + }{ + }{ + }¾m이 항상 성립하기 위한 실수 m
a b b c c a
aÛ`bÛ`¾4ab (∵ ab¾2'¶ab >0) b c c a a b
양변을 ab로 나누면 의 최댓값은 8이다.
ab¾4 (∵ ab>0) 나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4이다. 답 4
단계 채점 요소 비율
가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 이용하기 60 %
166 나 실수 m의 최댓값 구하기 40 %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8=x+2y¾2'Äx_2y=2'¶2xy (단, 등호는 x=2y일 때 성립한다.) 보충 설명

∴ 2'¶2xyÉ8 a b b c c a
이 문제에서는 세 식 + , + , + 에서 등호가 성립할 조건이
∴ ('x+'¶2y )Û`=x+2y+2'x'¶2y b c c a a b

=x+2y+2'¶2xy 동시에 성립하므로 위와 같이 각각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

É8+8=16 하여 풀 수 있다. 답 8
즉, ('x+'¶2y )Û`É16에서
0<'x+'¶2yÉ4 (∵ 'x+'¶2y>0)
171
따라서 'x+'¶2y의 최댓값은 4이다. 답 ③ a>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1 9
{a+ a } {a+ a }‌=aÛ`+ +10
9
167 aÛ`
3x>0, 4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9
¾2¾ÐaÛ`_ +10
aÛ`
3x+4y¾2'Ä3x_4y 
9
=2'Ä12xy =16 {단, 등호는 aÛ`= , 즉 `a='3일 때 성립한다.}
aÛ`
=2"12Û` (∵ xy=12)
따라서 {a+ } {a+ }의 최솟값은 16이다. 
1 9 답 ④
=24 (단, 등호는 3x=4y일 때 성립한다.) a a

03. 절대부등식 25
정답과 풀이

172 한편,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2x+3y¾2'Ä2x_3y=2'¶6xy (단, 등호는 2x=3y일 때 성립한다.)
36¾2'¶6xy (∵ ㉠)
(a+2b){ + }= + +20
2 9 4b 9a
a b a b
36Û`¾24xy
4b 9a
¾2¾Ð a _ b +20 ∴ xyÉ54
이때, 등호는 2x=3y일 때 성립하므로
=32
2x+3y=36에서 2x=3y=18
4b 9a
{단, 등호는 a = b , 즉 3a=2b일 때 성립한다.}
∴ x=9, y=6
따라서 가로의 길이가 9`m, 세로의 길이가 6`m일 때, 구역의 전체 넓이
따라서 (a+2b){ + }의 최솟값은 32이다.
2 9 답 ④
a b
의 최댓값은 54`mÛ`이다. 답 ②

173
(a+b+c){
1
+ }={(a+b)+c}{
1 1
+ }
1 176
a+b c a+b c B(a, 0), C(0, b)이므로
a+b c 삼각형 OBC의 넓이를 S라 하면
=1+ + +1
c a+b
1
a+b c S= 2 ab yy ㉠
=2+ +
c a+b
x y
또한 점 A(3, 4)가 직선
a + b =1
a>0, b>0, c>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위의 점이므로
c 
¾2+2¾Ð c _ a+b  
a+b a+b c 3 4
2+ + + =1
c a+b a b
=2+2=4 (단, 등호는 a+b=c일 때 성립한다.)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4이다. 답 ② 3 + 4 ¾2¾Ð 3 _ 4 =2¾Ð 12 (단, 등호는 4a=3b일 때 성립한다.)
a b a b ab
12 3 4
ab {∵ a + b =1}
∴ 1¾2¾Ð
174
a>0, b>0, c>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12
양변을 제곱하면 1¾4_ 이므로
a+b b+c c+a ab
c + a + b ab¾48 yy ㉡
a b b c c a 1 1
=c+c+a+a+b+b ㉠, ㉡에서 S= ab¾ _48=24
2 2
={ + }+{ + }+{ + }
a c b c b a 따라서 삼각형 OBC의 넓이의 최솟값은 24이다. 답 ⑤
c a c b a b

a c b c b a
¾2¾Ð c _ a +2¾Ð c _ b +2¾Ð a _ b 177
A D
=2+2+2
a c b c b a
=6 {단, 등호는 c = a , c = b , a = b , 즉 a=b=c일 때 성립한다.}
y

철수네
나 영희네 B C
x
a+b b+c c+a BCÓ=x, CDÓ=y라 하면 xy=1200
따라서 + + 의 최솟값은 6이다.
c a b
철수가 설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울타리의 총 길이는

1 3
2y+x+ 2 x= 2 x+2y
단계 채점 요소 비율
가 주어진 식 변형하기 40 % 한편,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나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 이용하기 40 % 3 3
2 x+2y¾2¾Ð 2 x_2y =2'¶3xy=120
다 주어진 식의 최솟값 구하기 20 %
3
{단, 등호는 2 x=2y일 때 성립한다.}
 답 ‌6
3
2 x=2y일
이때, 등호는 때 성립하므로 xy=1200에서

175 3 3 3
x_ 4 x=1200 {∵ 2 x=2y에서 y= 4 x}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바깥쪽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x`m, 세로의 길이를 y`m라 하면 구역의 ym xÛ`=1600
전체 넓이는 xy`mÛ`이고, 철망의 전체 길이가 ∴ x=40
36`m이므로 xm 따라서 BCÓ=40일 때, 철수가 지불해야 하는 설치 비용이 최소가 된다.
2x+3y=36 yy ㉠  답 40

26 정답과 풀이
실력 콕콕 본문 p. 36~37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 ②

178 ⑤ 179 ④ 180 ② 181 ① 182 ④ 183 ①


184 ④ 185 ③ 186 ⑤ 187 ① 188 ② 189 ②
181
0<b<a에서 P>0, Q>0, R>0이므로
81
190 ③ 191 ③ 192 18 193 20 'a-'b Û`
} -{¾Ð 2 }Û`
a+b
PÛ`-QÛ`={
'2
('a-'b)Û` a+b
= -
178 2 2
ㄱ. aÉ|a|이고 |a|<|b|이므로 a<|b|이다. a+b-2'¶ab a+b
= -
2 2
ㄴ, ㄷ. 0É|a|<|b|이므로
=-'¶ab<0
|a|<|b| HjK |a|Û`<|b|Û` HjK aÛ`<bÛ`
∴ PÛ`<QÛ`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답 ⑤
∴ P<Q (∵ P>0, Q>0) yy ㉠
'a+'b Û`
QÛ`-RÛ`={¾Ð 2 }`Û -{
a+b
179 }
'2
1<a<b에서
a+b ('a+'b)Û`
= -
b 2 2
A= a >1 yy ㉠
a+b a+b+2'¶ab
= -
1<a<b에서 0<a-1<b-1이므로 2 2
a-1 b-1 =-'¶ab<0
B= b-1 <1, C= a-1 >1 yy ㉡
∴ QÛ`<RÛ`
b b-1 ∴ Q<R (∵ Q>0, R>0) yy ㉡
A-C= -
a a-1
㉠, ㉡에서 P<Q<R 답 ①
b(a-1)-a(b-1)
=
a(a-1)

=
ab-b-ab+a
a(a-1)
182
ㄱ. [반례] a=2, b=-1이면
a-b
= <0 (∵ a-b<0, a>0, a-1>0) |a+b|=1, |a-b|=3이므로 |a+b|<|a-b|
a(a-1)
∴ A<C ㄴ. Ú |a|¾|b|일 때

이때, ㉠, ㉡에서 A>1이고 B<1이므로 A>B |a|-|b|¾0, |a-b|¾0이므로

∴ C>A>B 답 ④ (|a|-|b|)Û`-|a-b|Û`
=aÛ`-2|ab|+bÛ`-(aÛ`-2ab+bÛ`)

180 =2(ab-|ab|)É0 (∵ |ab|¾ab)


1<a<b이므로 ∴ (|a|-|b|)Û`É|a-b|Û`
1-a<0, 1-b<0, b-a>0 yy ㉠ ∴ |a|-|b|É|a-b| (단, 등호는 ab¾0일 때 성립한다.)
1 1 Û |a|<|b|일 때
ㄱ. -
1-b 1-a |a|-|b|<0, |a-b|¾0이므로
(1-a)-(1-b)
= |a|-|b|<|a-b|
(1-b)(1-a)
Ú, Û에 의하여 |a|-|b|É|a-b|
b-a
= >0 (∵ ㉠) ㄷ. ("Ã|a|+"Ã|b|)Û`-{"Ã2(|a|+|b|)}Û`
(1-b)(1-a)
1 1 =|a|+|b|+2"Ã|a|"Ã|b|-2(|a|+|b|)
1-b > 1-a

=-(|a|-2"Ã|a|"Ã|b|+|b|)
b a =-{("Ã|a|)Û`-2"Ã|a|"Ã|b|+("Ã|b|)Û`}
ㄴ. -
1-b 1-a
=-("Ã|a|-"Ã|b|)Û`É0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한다.)
b(1-a)-a(1-b)
=
(1-b)(1-a) ∴ "Ã|a|+"Ã|b|É"Ã2(|a|+|b|)
b-a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 ④
= >0 (∵ ㉠)
(1-b)(1-a)
b a

1-b > 1-a 183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b a
ㄷ. -
1-a 1-b 50=3x+5y¾2'Ä3x_5y=2'Ä15xy
b(1-b)-a(1-a) (단, 등호는 3x=5y일 때 성립한다.)
=
(1-a)(1-b)
∴ 2'Ä15xy É50 yy ㉠
(a-b)(a+b-1)
= <0 (∵ a+b>2) ∴ ('¶3x+'¶5y )Û`=3x+5y+2'Ä15xy
(1-a)(1-b)
É50+50 (∵ ㉠)
b a
1-a < 1-b

=100

03. 절대부등식 27
정답과 풀이

즉, ('¶3x+'¶5y  )Û`É100에서
따라서 {2a+ } {a+ }는 a=1일 때 최솟값 9를 갖는다.
1 2
a a
0<'¶3x+'¶5y É10 (∵ '¶3x +'¶5y  >0)
∴ m=9, n=1
따라서 '¶3x +'¶5y  의 최댓값은 10이다. 답 ‌①
∴ m+n=9+1=10 답 ‌①

184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188
ab+a+b=15에서 a+b=15-ab yy ㉠
(2a+3b){ + }=4+ + +9
2 3 6a 6b
a b b a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¾13+2¾Ð b _ a 
6a 6b a+b¾2'¶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한다.)
15-ab¾2'¶ab (∵ ㉠)
=13+12=25
ab+2'¶ab -15É0
6a 6b
{단, 등호는 b = a , 즉 a=b일 때 성립한다.} ('¶ab )Û`+2'¶ab -15É0
2 3 ('¶ab +5)('¶ab -3)É0
따라서 (2a+3b){ + }의 최솟값은 25이다. 답 ‌④
a b ∴ 0<'¶ab  É3 (∵ '¶ab >0)
∴ 0<abÉ9

185 따라서 ab의 최댓값은 9이다. 답 ‌②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3y+ } {4x+ }=12xy+18+2+ 


1 6 3
2x y xy 189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¾20+2¾Ð12xy_ xy 
3
a b
(2Û`+3Û`)(aÛ`+bÛ`)¾(2a+3b)Û` {단, 등호는 2 = 3 일 때 성립한다.}
=20+12=32
3 1 13¾(2a+3b)Û` (∵ aÛ`+bÛ`=1)
{단, 등호는 12xy= xy , 즉 xy= 2 일 때 성립한다.}
∴ -'1Œ3 É 2a+3b É '1Œ3
1 6 따라서 2a+3b의 최댓값은 '1Œ3 , 최솟값은 -'1Œ3 이다.
2x } {4x+ y }
따라서 {3y+ 의 최솟값은 32이다. 답 ‌③
∴ M='1Œ3 , m=-'1Œ3
∴ MÛ`+mÛ`=13+13=26 답 ‌②
186
x>1에서 x-1>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6+ x-1 =(x-1)+ x-1 +7


1 1 190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1 x
¾2¾Ð(x-1)_ x-1 +7 (2Û`+1Û`){xÛ`+(3y)Û` }¾(2x+3y)Û` {단, 등호는 2 =3y일 때 성립한다.}

1
=2+7=9 {단, 등호는 x-1= x-1 일 때 성립한다.} 25¾(2x+3y)Û` (∵ xÛ`+9yÛ`=5)
∴ -5É2x+3yÉ5
1
이때, 등호는 x-1= 일 때 성립하므로 따라서 2x+3y의 최댓값은 5이다. 답 ‌③
x-1
(x-1)Û`=1   ∴ x=2 (∵ x>1)
1
따라서 x>1일 때, x+6+
x-1 x=2에서
은 최솟값 9를 갖는다. 19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를 각 xm
∴ m=9, n=2
각 x`m, y`m라 하면
∴ m+n=9+2=11 답 ‌⑤
xÛ`+yÛ`=8Û`=64 ym
8m
1
2 xy`mÛ`
구하는 꽃밭의 넓이는 이고, x>0, y>0이므로
187
a>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64=xÛ`+yÛ`¾2"ÃxÛ`yÛ`=2xy
{2a+ } {a+ }=2aÛ`+4+1+ 
1 2 2
a a aÛ` (단, 등호는 xÛ`=yÛ`, 즉 x=y일 때 성립한다.)
2
=5+2aÛ`+ 32¾xy
aÛ`
2 1
2 xyÉ16
¾5+2¾Ð2aÛ`_ ∴
aÛ`
2 따라서 꽃밭의 넓이의 최댓값은 16`mÛ`이다. 답 ‌③
=5+4=9 {단, 등호는 2aÛ`= 일 때 성립한다.}
aÛ`
2
이때, 등호는 2aÛ`= 일 때 성립하므로
aÛ` 192
aÝ`=1   ∴ a=1 (∵ a>0) x>1에서 x-1>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28 정답과 풀이
18 18 II. 함수와 그래프
2x+ =2(x-1)+ +2
x-1 x-1
18
¾2¾Ð2(x-1)_ x-1 +2 04 함수
=12+2
18 개념 콕콕 본문 p. 41~42
=14 {단, 등호는 2(x-1)= x-1 일 때 성립한다.}

가 194
18 ⑴ X의 원소 3에 대응하는 Y의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이때, 등호는 2(x-1)= 일 때 성립하므로
x-1
⑵ X의 각 원소에 Y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하므로 함수이다.
(x-1)Û`=9 ∴ x=4 (∵ x>1)
⑶ X의 원소 3, 7에 대응하는 Y의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⑷ X의 원소 0에 대응하는 Y의 원소가 2, 3의 2개이므로 함수가 아니다.
18
따라서 x>1일 때, 2x+ 은 x=4에서 최솟값 14를 갖는다. ⑸ X의 원소 1에 대응하는 Y의 원소가 1, 3의 2개이고, X의 원소 4에
x-1
대응하는 Y의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답 풀이 참조
∴ a=4, b=14 ∴ a+b=4+14=18

단계 채점 요소 비율 195
식을 변형하고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하여 부등
답 정의역 : {1, 2, 3}, 공역 : {4, 5, 6}, 치역 : {4, 5}
가 40 %
식 세우기
등호가 성립할 때의 x의 값 구하기
196
나 30 %

다 최솟값 구하기 20 % ⑴ f(x)=x+1에 대하여


라 a+b의 값 구하기 10 % f(-1)=0, f(0)=1, f(1)=2
답 18 따라서 치역은 {0, 1, 2}이다.
⑵ f(x)=xÛ`-2에 대하여
f(-1)=-1, f(0)=-2 , f(1)=-1
193
ABÓ Û`+BCÓ Û`=ACÓ Û`이므로 A 따라서 치역은 {-2, -1}이다.

6Û`+8Û`=ACÓ Û`=100 ⑶ f(x)=|x|-1에 대하여


10
∴ ACÓ=10 6 f(-1)=0, f(0)=-1, f(1)=0
P b
2 따라서 치역은 {-1, 0}이다.
a
B 8
C 답 ⑴ {0, 1, 2} ⑵ {-2, -1} ⑶ {-1, 0}

△ABC=△PAB+△PBC+△PCA이므로 197
1 1 1 1 ⑴ 두 함수 f(x), g(x)의 정의역과 공역이 각각 서로 같고
_8_6= _6_2+ _8_a+ _10_b
2 2 2 2 f(-1)=g(-1)=-1, f(0)=g(0)=0, f(1)=g(1)=1
24=6+4a+5b ∴ 4a+5b=18 yy ㉠ ∴ f=g

⑵ 두 함수 f(x), g(x)의 정의역과 공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고
4a>0, 5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 (x¾0) x (x¾0)
4a+5b¾2'Ä4a_5b (단, 등호는 4a=5b일 때 성립한다.) f(x)=|x|=[ , g(x)=[
-x (x<0) -x (x<0)

이므로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x)=g(x)
18¾4'¶5ab (∵ ㉠) ∴ f=g
9
2 ¾'¶5ab
⑶ 함수 f(x)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고 함수 g(x)의 정의역은
x+1인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f와 g의 정의역이 서로 다르다.
81 81
4 ¾5ab
양변을 제곱하면 ∴ abÉ ∴ f+g
20
81 답 ⑴ 서로 같은 함수이다. ⑵ 서로 같은 함수이다.
따라서 ab의 최댓값은 이다.
20 ⑶ 서로 같은 함수가 아니다.

단계 채점 요소 비율
198
가 선분 AC의 길이 구하기 20 % f(x)=x-2에서 y
나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하여 a, b에 대한 관계식 세우기 30 % 2
f(1)=-1, f(2)=0, f(3)=1
1
다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하여 부등식 세우기 30 %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
O 1 2 3 x
라 다 를 이용하여 ab의 최댓값 구하기 20 % 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81
20 답 풀이 참조

04. 함수 29
04
정답과 풀이

199 1 1
y= x- 에서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3 9
답 ⑴ ㄱ, ㄹ ⑵ ㄱ, ㄹ ⑶ ㄱ ⑷ ㄴ
1 1 1
x=y+ ∴ x=3y+
3 9 3
1
200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3x+
3
답 ⑴ ㄱ, ㄴ ⑵ ㄱ, ㄴ ⑶ ㄱ ⑷ ㄹ ⑶ 함수 y=2x-6은 집합 {x|x¾2}에서 집합 {y|y¾-2}로의 일대일
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 역함수의 정의역은 원래 함수의 치역
이므로 역함수의 정의역은 {x|x¾-2}이다.
201 y=2x-6에서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⑴ (g ç f )(a)=g( f(a))=g(1)=b
1
⑵ (g ç f )(d)=g( f(d))=g(3)=d 2x=y+6 ∴ x= y+3
2
⑶ ( f ç g)(2)=f(g(2))=f(a)=1 1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 x+3 (x¾-2)
⑷ ( f ç g)(3)=f(g(3))=f(d)=3 2
답 ⑴b ⑵d ⑶1 ⑷3 1 2 1 1
답 ⑴ y= x- ⑵ y=3x+ ⑶ y= x+3 (x¾-2)
3 3 3 2

202 207
⑴ (g ç f )(x)=g( f(x))=-(2x+1)Û`=-4xÛ`-4x-1 ⑴ f -1(6)=3
⑵ ( f ç g)(x)=f(g(x))=2(-xÛ`)+1=-2xÛ`+1 ⑵ ( f -1 ç f )(3)=3
⑶ ( f ç f )(x)=f( f(x))=2(2x+1)+1=4x+3 ⑶ ( f ç f -1 ç f -1)(8)=f -1(8)=1
⑷ (g ç g)(x)=g(g(x))=-(-xÛ`)Û`=-xÝ` 답 ⑴3 ⑵3 ⑶1
답 ⑴ -4xÛ`-4x-1 ⑵ -2xÛ`+1 ⑶ 4x+3 ⑷ -xÝ`
208
⑴ 주어진 그래프의 x절편이 -1, y절편이 2이므로
203 x y
+ =1 ∴ y=2x+2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일대일대응이어야 하므로 ㄱ, ㄴ이다. -1 2

답 ㄱ, ㄴ ⑵ y=2x+2에서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1
2x=y-2 ∴ x= y-1
2
1
204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
2
x-1
-1
⑴ f (2)=a에서 f(a)=2이므로 ⑶ 함수 y= f -1(x)의 그래프는 함수 y y=f{x}
y=x
3a-1=2 ∴ a=1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에 대하여
2
⑵ f -1(b)=3에서 f(3)=b이므로 대칭이므로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 y=f -1{x}
1
f(3)=3_3-1=b ∴ b=8 -1 1
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O 2 x
답 ⑴1 ⑵8 -1
-2

1
답 ⑴ y=2x+2 ⑵ y= x-1 ⑶ 풀이 참조
205 2
함수 y=xÛ`+4의 정의역이 {x|x¾0}이므로 치역은 { y|y¾4}이다.
따라서 함수 y=xÛ`+4의 역함수의 정의역은 {x|x¾4}, 치역은
{ y|y¾0}이다.
답 정의역 : {x|x¾4}, 치역 : { y|y¾0}
유형 콕콕 본문 p. 43~51

209 ④ 210 ① 211 ㄴ, ㄹ 212 ④ 213 ③


206 214 -1+'3 215 ③ 216 ④ 217 ① 218 ④
⑴ 함수 y=3x+2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219 ② 220 3 221 ④ 222 ① 223 3 224 ②
존재한다.
225 ③ 226 10 227 ⑤ 228 ① 229 8 230 ④
y=3x+2에서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231 ⑤ 232 8x-19 233 ② 234 풀이 참조
1 2
3x=y-2 ∴ x= y-
3 3 235 풀이 참조 236 ④ 237 ① 238 1 239 ②
1 2 240 ⑤ 241 14 242 ⑤ 243 ①, ④ 244 4 245 ③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 x-
3 3 246 ② 247 ② 248 ③ 249 ② 250 d 251 ④
1 1 252 ③ 253 4 254 ② 255 ③ 256 ㄹ 257 ⑤
⑵ 함수 y= x- 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
3 9
258 ③ 259 9 260 ④ 261 ④ 262 ④
가 존재한다.

30 정답과 풀이
209 214
각 대응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대응 f 가 함수이려면 x=1에서 함숫값이 1개이어야 하므로
① X Y ② X Y -2_1-1=1+a   ∴ a=-4
2-'3 <1, '3 >1이므로
0 0
0 0
1 1
1 1 f(2-'3)=2-'3-4=-2-'3
2 2
2 2
3 3 f('3)=-2_'3-1=-1-2'3
∴ f(2-'3)-f('3)=-2-'3-(-1-2'3)
③ X Y ④ X Y
0 0 =-1+'3 답 -1+'3
0 0
1 1
1 1
2 2
2 2
3 3 215
X={1, 2, 3, 4, 5, 6}에서
⑤ X Y
0 Ú x가 홀수, 즉 x=1, 3, 5일 때,
0
1 f(x)=-x+4이므로
1
2 f(1)=3, f(3)=1, f(5)=-1
2
3
Û x가 짝수, 즉 x=2, 4, 6일 때,
①, ②, ③, ⑤ X의 각 원소에 Y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하므로 함수 f(x)=x-3이므로
이다. f(2)=-1, f(4)=1, f(6)=3
④ X의 원소 2에 대응하는 Y의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Ú, Û에서 함수 f의 치역은 {-1, 1, 3}이다. 답 ③
따라서 X에서 Y로의 함수가 아닌 것은 ④이다. 답 ④

216
210 음이 아닌 정수 k에 대하여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y축에 평행한 직선 x=a를 그었을 때, 그래프와 Ú x=2k일 때,
오직 한 점에서 만나면 그 그래프는 함수의 그래프이다. 3xÛ`=3_(2k)Û`=12kÛ`=6_2kÛ`이므로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인 것은 ㄱ, ㄷ이다. 답 ① f(x)=0
Û x=2k+1일 때,
3xÛ`=3_(2k+1)Û`=12kÛ`+12k+3=6(2kÛ`+2k)+3이므로
211
f(x)=3
각 대응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ㄱ. X Y ㄴ. X Y
Ú, Û에서 함수 f의 치역은 {0, 3}이다. 답 ④

-1 0 -1 0
0 1 0 1 217
1 2 1 2
f(-1)=(-1)Ü`-a_(-1)=-1+a, f(0)=0,
f(2)=2Ü`-a_2=8-2a
ㄷ. X Y ㄹ. X Y
이때, 함수 f의 치역은 {-1+a, 0, 8-2a}이고, 모든 원소의 합이 10이
-1 0 -1 0
므로
0 1 0 1
1 2 1 2 (-1+a)+(8-2a)=10
-a+7=10   ∴ a=-3 답 ①
ㄱ. X의 원소 1에 대응하는 Y의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ㄷ. X의 원소 -1에 대응하는 Y의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218
따라서 X에서 Y로의 함수인 것은 ㄴ, ㄹ이다. 답 ㄴ, ㄹ f(1)=g(1)에서 a+b=5 yy ㉠
f(2)=g(2)에서 2a+b=7 yy ㉡
212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f(5)=5-6=-1 ∴ ab=2_3=6 답 ④
f(-2)=-2_(-2)=4
∴ f(5)+ f(-2)=-1+4=3 답 ④
219
ㄱ. ‌f(-1)=-2, g(-1)=|-1-1|=2이므로  f(-1)+g(-1)

213 ∴ f+g
3은 유리수이므로 ㄴ. ‌f(-1)=g(-1)=-1, f(0)=g(0)=0, f(1)=g(1)=1이므로
f(3)=1-3=-2 f=g
'3-2는 무리수이므로 ㄷ. ‌f(-1)=g(-1)=0, f(0)=g(0)=1이지만
f('3-2)='3-2 f(1)=2, g(1)=0이므로 f+g
∴ f(3)- f('3-2)=-2-('3-2)=-'3 답 ③ 따라서 f=g인 것은 ㄴ뿐이다. 답 ②

04. 함수 31
정답과 풀이

220 225
f=g 이려면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함수 f 가 항등함수이려면 f(x)=x (x<X)이어야 한다.
f(x)=g(x)이어야 하므로 ①, ②, ④, ⑤ f(-1)=-1, f(0)=0, f(1)=1이므로 항등함수이다.
xÛ`=2xÛ`-3x+2 ③ ‌f(-1)=-1, f(0)=0, f(1)=-1이므로 항등함수가 아니다.
xÛ`-3x+2=0, (x-1)(x-2)=0 따라서 항등함수가 아닌 것은 ③이다. 답 ③
∴ x=1 또는 x=2

226
따라서 집합 X는 집합 {1, 2}의 부분집합 중 공집합을 제외한 집합이므 일대일대응을 f`:`X`1Ú`X라 하면
로 {1}, {2}, {1, 2}의 3개이다. f(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3, 5 중 하나이므로 3개
나 f(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1)의 값을 제외한 2개

단계 채점 요소 비율 f(5)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1), f(3)의 값을 제외한 1개


가 f(x)=g(x)를 만족시키는 x의 값 구하기 50 % 즉,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3_2_1=6   ∴ p=6

나 집합 X의 개수 구하기 50 %
이때 항등함수는 1개이므로 q=1
또한 상수함수는 3개이므로 r=3
 답 3
∴ p+q+r=6+1+3=10 답 10

221
ㄱ. ‌직선 y=b와 일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함수의 그래프가 아니다. 227
ㄴ. ‌정의역의 각 원소 a에 대하여 직선 x=a와 일치하는 경우가 있으므 합성함수는 결합법칙이 성립하므로

로 함수의 그래프가 아니다. (g ç (h ç f ))(1)=((g ç h) ç f )(1)

ㄷ, ‌ㄹ. 치역의 각 원소 b에 대하여 직선 y=b와 오직 한 점에서 만나고, (g ç (h ç f ))(1)=(g ç h)( f(1))

치역과 공역이 같은 것이므로 일대일대응의 그래프이다. (g ç (h ç f ))(1)=(g ç h)(0)

따라서 일대일대응의 그래프인 것은 ㄷ, ㄹ이다. 답 ④ (g ç (h ç f ))(1)=4_0+2=2 답 ⑤

222 228
xÉ5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f(x)의 값도 증가한다. ( f ç g)(3)+(g ç f )(-1)= f(g(3))+g( f(-1))
즉, 함수 f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점 (5, 5)를 지나야 하므로 = f(1)+g(-8)
f(5)=15+2a=5 =-2+7=5 답 ①
∴ a=-5 답 ①

229
223 (h ç (g ç f ))(2)=h(g( f(2)))
f(x)=xÛ`-2x y (h ç (g ç f ))(2)=h(g(0))=h(3)
y=f{x}
=xÛ`-2x+1-1 a (h ç (g ç f ))(2)=3Û`-1=8 답 8
=(x-1)Û`-1
이므로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1 230
O a x ( f ç h)(x)=f(h(x))=2h(x)+4
이때, 함수 f 의 정의역은 X={x|x¾a}이고, -1
이때, ( f ç h)(x)=g(x)이므로
f 는 X에서 X로의 일대일대응이므로
2h(x)+4=6xÛ`-2, 2h(x)=6xÛ`-6
a¾1 yy ㉠
∴ h(x)=3xÛ`-3 답 ④
또한 공역 X={x|x¾a}와 치역 {y|y¾f(a)}가 서로 같으므로
a=f(a), a=aÛ`-2a, a(a-3)=0
∴ a=0 또는 a=3 yy ㉡ 231
x+2 x+2
㉠, ㉡에서 a=3 3 f{ 3 }=x-2에서 3 =t로

놓으면

x=3t-2이므로 f(t)=(3t-2)-2=3t-4
224 따라서 f(x)=3x-4이므로
함수 g가 항등함수이므로 g(x)=x에서 g(3)=3
f(2)=3_2-4=2
즉, 조건 ㈎에 의하여 f(2)=g(3)=h(6)=3
다른 풀이
한편, f(2)=3이고 함수 f 는 일대일대응이므로 조건 ㈏에서
f(2)f(3)=f(6)이 성립하려면 f(3)=2, f(6)=6이어야 한다. x+2
3 =2에서 x+2=6  
∴ x=4
또한 h(6)=3이고 h는 상수함수이므로
x+2
h(x)=3   ∴ h(2)=3 x=4를 f { 3 }=x-2의 양변에 대입하면
∴ f(3)+h(2)=2+3=5 답 ② f(2)=4-2=2 답 ⑤

32 정답과 풀이
232 Ú ~ Ü에서  y

3x-5 y={ g`© f}{x} 1


f{ y=(g ç f )(x)
2 }=6x-1에서
1 (x<-1 또는 x>1)
3x-5 =[ -1 O 1 x
2 =t로
놓으면 -1 (-1ÉxÉ1)
-1
3x-5=2t이므로 따라서 합성함수 y=(g ç f )(x)의 그래프는
2t+5 오른쪽 그림과 같다.
x= 3  답 풀이 참조
2t+5
∴ f(t)=6_ -1=4t+9
3
따라서 f(x)=4x+9이므로 236
f(2x-7)=4(2x-7)+9=8x-19 답 8x-19 f(x)=ax+b에서
f ÑÚ`(-2)=2이므로 f(2)=-2
233 ∴ 2a+b=-2 yy ㉠
( -1 (x<-1) f ÑÚ`(7)=-1이므로 f(-1)=7
함수 f(x)= { x (-1Éx<1) 이므로 ∴ -a+b=7 yy ㉡
9 1 (x¾1) ㉠, ㉡을 연립하여 풀면
Ú x<-1일 때, a=-3, b=4
Ú ( f ç f )(x)=f( f(x))=f(-1)=-1 ∴ aÛ`+bÛ`=(-3)Û`+4Û`=25 답 ④
Û -1Éx<1일 때,
Û ( f ç f )(x)=f( f(x))=f(x)=x
Ü x¾1일 때,
237
f(x)=ax+b에서
Ü ( f ç f )(x)=f( f(x))=f(1)=1
f ÑÚ`(3)=0이므로 f(0)=3 ∴ b=3
Ú~Ü에서 합성함수 y=( f ç f )(x)의 그래 y
y={ f ©f }{x} ( f ç f`)(0)=f( f(0))=f(3)=6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 3a+b=6 yy ㉠
따라서 합성함수 y=( f ç f )(x)의 그래프의 개 -1
O 1 x b=3을 ㉠에 대입하면 3a+3=6 ∴ a=1
형으로 알맞은 것은 ②이다.
-1 따라서 f(x)=x+3이므로
f(-1)=-1+3=2 답 ①
 답 ②

234 238
2x (0Éx<2) 3x+1 3x+1
함수 f(x)=[ , g(x)=-x+4 (0ÉxÉ4)이므로 f{ 2 }=-6x+4에서 2 =t로
놓으면
4 (2ÉxÉ4)
2t-1
2g(x) (0Ég(x)<2) 3x=2t-1이므로 x=
( f ç g)(x)=f(g(x))=[  3
4 (2Ég(x)É4) 2t-1
3 +4=-4t+6
∴ f(t)=-6_
2(-x+4) (0É-x+4<2)
=[ 
4 (2É-x+4É4) ∴ f(x)=-4x+6
-2x+8 (2<xÉ4) 가
=[
4 (0ÉxÉ2) f ÑÚ`(2)=k라 하면 f(k)=2
따라서 합성함수 y=( f ç g)(x)의 그래프는 오 y 따라서 -4k+6=2이므로 k=1   ∴ f ÑÚ`(2)=1
y={ f`©g}{x}
른쪽 그림과 같다. 4 나

단계 채점 요소 비율
가 f(x) 구하기 50 %
O 2 4 x 나 f  ÑÚ`(2)의 값 구하기 50 %

 답 풀이 참조 다른 풀이

f ÑÚ`(2)=k라 하면 f(k)=2
235 1
Ú x<-1일 때, f(x)<0이므로 -6x+4=2에서 6x=2   ∴ x= 3
Ú y=(g ç f )(x)=g( f(x))=1 1 3x+1
x= 3 을 f { 2 }=-6x+4의 양변에 대입하면
Û -1ÉxÉ1일 때, f(x)¾0이므로
3_;3!;+1
f  { }=2, f(1)=2
Ú y=(g ç f )(x)=g( f(x))=-1
Ü x>1일 때, f(x)<0이므로 2
Ú y=(g ç f )(x)=g( f(x))=1 ∴ f ÑÚ`(2)=1 답 1

04. 함수 33
정답과 풀이

239 245
(g ç ( f ç g)ÑÚ` ç g)(6)=(g ç gÑÚ` ç f ÑÚ` ç g)(6) 1
y= 2 x+3으로 놓고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 f ÑÚ` ç g)(6) (∵ g ç gÑÚ`=I)
1
2 x=y-3  
= f ÑÚ`(g(6))= f ÑÚ`(-2) ∴ x=2y-6
이때, f ÑÚ`(-2)=k라 하면 f(k)=-2
x와 y를 서로 바꾸면 y=2x-6
3k+4=-2, 3k=-6   ∴ k=-2 따라서 f ÑÚ`(x)=2x-6이므로
∴ (g ç ( f ç g)ÑÚ` ç g)(6)=-2 답 ② a=2, b=-6
∴ a+b=2+(-6)=-4 답 ③
240
(g ç f )ÑÚ`(1)=k라 하면 (g ç f )(k)=1
(g ç f )(k)=g( f(k))=g(k-2)
246
(g ç f )(x)=g( f(x))=x이므로 `f(x)=gÑÚ`(x)
=(k-2)+3=k+1
∴ g(x)= f ÑÚ`(x)
이때, k+1=1이므로 k=0
즉, 함수 g(x)는 함수 f(x)의 역함수이므로
∴ (g ç f )ÑÚ`(1)=0 답 ⑤
y=2x-3으로 놓고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1 3
2x=y+3   ∴ x= 2 y+ 2
241
( f ç (g ç f )ÑÚ` ç f )(-3) 1 3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2 x+ 2
=( f ç f ÑÚ` ç gÑÚ` ç f )(-3)
1 3
=(gÑÚ` ç f )(-3) (∵ f ç f ÑÚ`=I) ∴ g(x)= f ÑÚ`(x)= x+ 
2 2 답 ②
=gÑÚ`( f(-3))=gÑÚ`(-9)
이때, gÑÚ`(-9)=k라 하면 g(k)=-9
-k+5=-9   ∴ k=14 247
15
∴ ( f ç (g ç f )ÑÚ` ç f )(-3)=14 답 14 y=3x- 2 로 놓고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15 1 5
3x=y+ 2    ∴ x= 3 y+ 2
242
함수 f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함수 f 는 일대일대응이어야 한다. 1 5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3 x+ 2
함수 y=f(x)의 그래프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1 5
f(1)=a, f(4)=b 따라서 f ÑÚ`(x)= x+ 이므로
3 2
이때, f(1)=2_1+1=3, f(4)=2_4+1=9이므로 hÑÚ`(x)=( f ç g ÑÚ`)ÑÚ`(x)=( g ç f ÑÚ`)(x)
a=3, b=9 1 5
hÑÚ`(x)=g( f ÑÚ`(x))=g { 3 x+ 2 }
∴ ab=3_9=27 답 ⑤
1 5 3
hÑÚ`(x)=3 { 3 x+ 2 }- 2 =x+6
243 ∴ hÑÚ`(x)=x+6 답 ②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일대일대응이어야 하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 중
역함수가 존재하는 것은 ①, ④이다. 답 ①, ④
248
직선 y=x를 이용하여 y축과 점선이 만나는 점의 y y=x
244 y=f{x}
함수 f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함수 f는 일대일대응이어야 한다. y좌표를 구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e
d
가 f ÑÚ`(c)=k라 하면 c
즉, x¾0일 때의 직선의 기울기와 x<0일 때의 직선의 기울기는 부호가 f(k)=c   ∴ k=b b
a
같아야 하므로 (-a+2)(a+3)>0 f ÑÚ`(d)=l이라 하면
O a b c d e x
나 f(l)=d   ∴ l=c

(a+3)(a-2)<0   ∴ -3<a<2 ∴ f ÑÚ`(c)- f ÑÚ`(d)=b-c 답 ③

따라서 정수 a는 -2, -1, 0, 1의 4개이다.


다 249
단계 채점 요소 비율
직선 y=x를 이용하여 y축과 점선이 만나는  y y=f{x} y=x
함수 f 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함수 f 는 일대일대응이어야 점의 y좌표를 구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e
가 30 % d
함을 알기
( f ç f ç f )(e)= f( f( f(e))) c
x¾0, x<0일 때의 직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a의 값의 범위 b

구하는 식 세우기
60 % ( f ç f ç f )(e)= f( f(d)) a
다 정수 a의 개수 구하기 10 % ( f ç f ç f )(e)=f(c)=b O a b c de x

 답 4  답 ②

34 정답과 풀이
250 254
직선 y=x를 이용하여 y축과 점선이 만나는 y y=x 함수 f(x)는 우함수, 함수 g(x)는 기함수이므로
점의 y좌표를 구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e f(-x)=f(x), g(-x)=-g(x)
d y=f{x} ㄱ. ‌F(x)={`f(x)}Û`으로 놓으면
f ÑÚ`(b)=k라 하면 f(k)=b c
b
a F(-x)={`f(-x)}Û`={`f(x)}Û`=F(x)
k=c   ∴ f ÑÚ`(b)=c
∴ ( f ç f )ÑÚ`(b)=( f ÑÚ` ç f ÑÚ`)(b) O abcd e x ㄱ. ‌즉, F(-x)=F(x)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우함수이다.
= f ÑÚ`( f ÑÚ`(b)) ㄴ. ‌F(x)=5g(x)로 놓으면
= f ÑÚ`(c) F(-x)=5g(-x)=-5g(x)=-F(x)
이때, f ÑÚ`(c)=l이라 하면 ㄱ. 즉, F(-x)=-F(x)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기함수이다.
f(l)=c에서 l=d   ∴ f ÑÚ`(c)=d f(x)
ㄷ. ‌F(x)= (g(x)+0)로 놓으면
g(x)
∴ ( f ç f )ÑÚ`(b)=d` 답 d
f(-x) f(x) f(x)
ㄱ. ‌F(-x)= = =- =-F(x)
g(-x) -g(x) g(x)
ㄱ. 즉, F(-x)=-F(x)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기함수이다.
251
ㄹ. ‌F(x)=f(x)+{ g(x)}Û`으로 놓으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은 함수 y=f(x)의 그래프
F(-x)=f(-x)+{ g(-x)}Û`
와 그 역함수 y=f ÑÚ`(x)의 그래프의 교점과 같으므로
ㄹ. ‌F(-x)=f(x)+{-g(x)}Û`
;2!;x+2=x 에서 ;2!;x=2
ㄹ. ‌F(-x)=f(x)+{ g(x)}Û`=F(x)
∴ x=4 ㄹ. ‌즉, F(-x)=F(x)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우함수이다.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4, 4)이므로 a=4, b=4 따라서 우함수인 것은 ㄱ, ㄹ이다. 답 ②
∴ a+b=4+4=8 답 ④

255
252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는 기함수이다.
함수 y= 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g(x) y y=f{x} ① ‌y=xÛ`에서 x 대신 -x를 대입하면 (-x)Û`=xÛ`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y=x
우함수이다.
역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보면 오른쪽 그림과 같 y=g{x}
② ‌y=xÛ`+2에서 x 대신 -x를 대입하면 (-x)Û`+2=xÛ`+2이므로 주
다. 즉,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O x
어진 함수는 우함수이다.
교점의 개수는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③ ‌y=xÜ` 에서 x 대신 -x 를 대입하면 (-x)Ü`=-xÜ` 이므로 주어진 함
y=x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수는 기함수이다.
따라서 구하는 교점의 개수는 3이다.  답 ③ ④ ‌y=xÛ`+x에서 x 대신 -x를 대입하면 (-x)Û`+(-x)=xÛ`-x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우함수도 기함수도 아니다.
⑤ ‌y=xÝ`+xÛ`에서 x 대신 -x를 대입하면 (-x)Ý`+(-x)Û`=xÝ`+xÛ`이
253
므로 주어진 함수는 우함수이다.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따라서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는 ③이다. 답 ③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
분의 넓이는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이의 2배이다.
256
오른쪽 그림에서  y
y=x f(-x)=-f(x), g(-x)=g(x)이므로 함수 f(x)는 기함수이고, 함수
y=g{x}
1 4 g(x)는 우함수이다.
SÁ= 2 _1_2=1 y=f{x}
2
이때,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는 기함수이다.
1
Sª= 2 _1_2=1 1 S™ ㄱ. ‌( f ç g)(-x)=f(g(-x))=f(g(x))=( f ç g)(x)이므로 주어진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O 2 4 x 함수는 우함수이다.

2(SÁ+Sª)=2(1+1)=4 ㄴ. ‌(g ç f )(-x)=g( f(-x))=g(-f(x))=g( f(x))=(g ç f )(x)

다른 풀이
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우함수이다.
ㄷ. ‌{`f(-x)}Û`={-f(x)}Û`={`f(x)}Û`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우함수이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g(x) y
y=x
y=g{x} 다.
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4
y=f{x} ㄹ. ‌f(-x)g(-x)=-f(x)g(x)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기함수이다.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로 둘러
2 따라서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는 ㄹ뿐이다. 답 ㄹ
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에서 선대칭도형인 사 1
각형이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O1 2 4 x
1
2 _"Ã(4-0)Û`+(4-0)Û`_"Ã(1-2)Û`+(2-1)Û` 257
f(a)=-2이므로 -2Éa<-1 yy ㉠
1
= 2 _'3Œ2_'2=4 답 4 f(b)=4이므로 4Éb<5 yy ㉡

04. 함수 35
정답과 풀이

㉠, ㉡에서 2Éa+b<4 1
Û 직선 y=m(x+2)-1이 점 { 3 , 0}을 지날 때,
Ú 2Éa+b<3일 때,
7 3
f(a+b)=[a+b]=2 0=m_ 3 -1 ∴ m=
7
Û 3Éa+b<4일 때,
따라서 함수 y=|3x-1|의 그래프와 직선 y=m(x+2)-1이 만나도
f(a+b)=[a+b]=3
록 하는 m의 값의 범위는
Ú, Û에서 서로 다른 모든 f(a+b)의 값의 합은 2+3=5 답 ⑤
3
m<-3 또는 m¾ 7 답 ④

258
Ú -2Éx<-1일 때, 261
[x]=-2이므로 y=x-[x]=x+2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2x|의 그래프와 y
y=|2x|
Û -1Éx<0일 때, 직선 y=a (a>0)의 교점의 x좌표는
a
[x]=-1이므로 y=x-[x]=x+1 1 1 y=a
|2x|=a에서 x=
2a
또는 x=- a
Ü 0Éx<1일 때, 2
[x]=0이므로 y=x-[x]=x 이때,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18이므로
1 O 1 x
1 1 1 1 - a a
2 [ 2 a-{- 2 a}]a=18, 2 aÛ`=18
Ý 1Éx<2일 때, 2 2

[x]=1이므로 y=x-[x]=x-1
aÛ`=36, a=Ñ6
Þ x=2일 때,
그런데 a>0이므로 a=6 답 ④
[x]=2이므로 y=x-[x]=0 y
Ú~Þ에서 -2ÉxÉ2일 때, 함수 1 y=x-<x>

y=x-[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 262 y


므로 치역은 { y|0Éy<1}이다. -2 -1 O 1 2 x 함수 y=|x-1|에서
y=|x-1|
Ú x<1일 때, y=-x+1
답 ③ k
Û x¾1일 때, y=x-1 1 y=- x
3
Ú, Û에서 함수 y=|x-1|의 그래프는 오
259 른쪽 그림과 같다.
O 1 x

h(x)=(g ç f )(x)=g( f(x))=g(x+2)=[x+2]


k
또한 직선 y= x는 k의 값에 관계없이 원점을 지난다.
가 3
Ú 0Éx<1일 때, k
따라서 함수 y=|x-1|의 그래프와 직선 y= x가 서로 다른 두 점에
2Éx+2<3이므로 h(x)= [x+2]=2 3
Û 1Éx<2일 때, 서 만나려면
3Éx+2<4이므로 h(x)= [x+2]=3 k
0< 3 <1 ∴ 0<k<3 답 ④
Ü x=2일 때,
x+2=4이므로 h(x)= [x+2]=4

Ú~Ü에서 함수 h(x)의 치역은 {2, 3, 4}이므로 모든 원소의 합은


2+3+4=9

단계 채점 요소 비율
가 함수 h(x) 구하기 20 % 실력 콕콕 본문 p. 52~53
나 0Éx<1, 1Éx<2, x=2일 때 함숫값 구하기 60 %
263 ③ 264 ① 265 0 266 ② 267 1 268 ④
다 치역의 모든 원소의 합 구하기 20 %
269 3 270 ② 271 12 272 ④ 273 ⑤ 274 ②
답 9
275 ③ 276 ⑤ 277 풀이 참조 278 2

260
직선 y=m(x+2)-1은 m의 값에 관계없 y
263
y=|3x-1| ㄱ. f(-1)=|-1|=1<X, f(1)=|1|=1<X
이 점 (-2, -1)을 지난다. Œ
1 이므로 f 는 X에서 X로의 함수이다.
-3x+1 {x<;3!;}
ㄴ. g(-1)='¶-1 ²X, g(1)='1=1<X

이때, y=|3x-1|=[
-2 O

{x¾;3!;}
1 x
3x-1 -
3 이므로 g 는 X에서 X로의 함수가 아니다.
-1
ㄷ. h(-1)=|-1|= 1 =-1<X, h(1)=|1|=1<X
이므로
y=m{x+2}-1 -1 -1 1
Ú 직선 y=m(x+2)-1이 직선
이므로 h는 X에서 X로의 함수이다.
y=-3x+1과 평행할 때,
따라서 X에서 X로의 함수는 ㄱ, ㄷ이다. 답 ③
m=-3

36 정답과 풀이
264 268
f(-1)=3_(-1)-2=-5, f(0)=3_0-2=-2, f(x)=3x+k에서 x¾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f(x)의 값도 증가한다.
f(1)=3_1-2=1, f(2)=3_2-2=4 따라서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f(1)=1이어야 하므로
즉, 함수 f의 치역은 {-5, -2, 1, 4}이다. 3+k=1   ∴ k=-2 답 ④
따라서 함수 f의 치역의 모든 원소의 합은
-5+(-2)+1+4=-2 답 ‌① 269
f(x)=a|x+1|-2x+4
(-a-2)x-a+4 (x<-1)
f(x)=[
265   (a-2)x+a+4 (x¾-1)
f(x)=ax+b라 하면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x<-1, x¾-1일 때 함수의 그래프의
Ú a>0일 때,
기울기의 부호가 같아야 하므로
f(-2)=-1, f(4)=2이므로
(-a-2)(a-2)>0
-2a+b=-1, 4a+b=2
(a+2)(a-2)<0   ∴ -2<a<2
∴ a= 1 , b=0 따라서 정수 a는 -1, 0, 1의 3개이다. 답 3
2
그런데 조건 b>0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Û a<0일 때,
270
g는 항등함수이므로
f(-2)=2, f(4)=-1이므로
g(1)=1, g(2)=2, g(3)=3
-2a+b=2, 4a+b=-1
∴ f(1)=g(1)=h(1)=1
∴ a=-;2!;, b=1 이때, h는 상수함수이고 h(1)=1이므로
h(2)=1, h(3)=1
Ú, Û에서 2a+b=2_{-;2!;}+1=0 답 0
∴ f(2)=h(3)+g(2)=1+2=3
한편, f 는 일대일대응이므로 f(3)=2
∴ f(3)+g(2)+h(1)=2+2+1=5 답 ②
266
정수 n에 대하여
Ú x=n일 때,
271
합성함수 g ç f`:`X`1ÚX에서
f(n)=[n-1]+[1-n]=(n-1)+(1-n)=0
(g ç f )(1)=g( f(1))=g(2)=4
Û n<x<n+1일 때,
(g ç f )(2)=g( f(2))=g(1)=5
n-1<x-1<n이고, -n<1-x<1-n이므로
(g ç f )(3)=g( f(3))=g(4)=3
f(x)=[x-1]+[1-x]=(n-1)+(-n)=-1
(g ç f )(4)=g( f(4))=g(2)=4
Ú, Û에서 함수 f(x)의 치역은 {-1, 0}이다. 답 ‌②
(g ç f )(5)=g( f(5))=g(4)=3
이므로 합성함수 g ç f의 치역은 {3, 4, 5}이다.
따라서 합성함수 g ç f의 치역의 모든 원소의 합은
267
3+4+5=12 답 12
2 f(x)+f { 1 }=2x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x

2 f(1)+f { 1 }=2  yy ㉠ 272


2
두 함수 f(x)=x-1, g(x)=xÛ`+x-2에 대하여
또한 2 f(x)+f { 1 }=2x의 양변에 x= 1 을 대입하면 ( f ç g)(x)= f(g(x))
2x 2
( f ç g)(x)=(xÛ`+x-2)-1
2 f { 1 }+f(1)=1 yy ㉡
2 ( f ç g)(x)=xÛ`+x-3
㉠_2-㉡을 하면 3 f(1)=3 ( g ç f )(x)=g( f(x))
∴ f(1)=1 ( g ç f )(x)=(x-1)Û`+(x-1)-2
다른 풀이 ( g ç f )(x)=xÛ`-x-2
이때, ( f ç g)(a)=(g ç f )(a)가 성립하려면
2 f(x)+f { 1 }=2x yy ㉠
2x aÛ`+a-3=aÛ`-a-2

㉠에 x 대신 1 을 대입하면 2a=1   ∴ a= 1  답 ④
2x 2

2 f { 1 }+f(x)= 1  yy ㉡
2x x 273
㉠_2-㉡을 하면 3 f(x)=4x- 1 ( f ç (g ç h))(x)=(( f ç g) ç h)(x)
x
( f ç (g ç h))(x)=( f ç g)(h(x))=h(x)-2
4xÛ`-1
따라서 f(x)= 이므로 `f(1)=1 답 1 ( f ç (g ç h))(x)=(ax+4)-2=ax+2
3x

04. 함수 37
정답과 풀이

이때, ( f ç ( g ç h))(x)=3x+2b이므로 277


ax+2=3x+2b에서 a=3, b=1 두 함수 f(x)와 g(x)는 각각 다음과 같다.
∴ a+b=3+1=4 ⑤ 2x (0Éx<1) -x+1 (0Éx<1)
f(x)=[ , g(x)=[

`2` (1ÉxÉ2) `2x-2 (1ÉxÉ2)


274 Ú 0Éx<1일 때,
점 (4, 1)이 함수 y= f ÑÚ`(x)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점 (1, 4)는 함수 f(x)=2x이므로
y= f(x)의 그래프 위의 점이다. ( g ç f )(x)=g( f(x))
즉, f(1)=4이므로 1+4+k=4 -f(x)+1 (0Éf(x)<1)
=[
∴ k=-1` 답 ② `2f(x)-2 (1Éf(x)É2)

-2x+1 {0Éx<;2!;}
275
(g ÑÚ` ç f )(3)+(g ç f ÑÚ`)(4)
= [
4x-2 {;2!;Éx<1}
=g ÑÚ`( f(3))+g( f ÑÚ`(4))

=g ÑÚ`(1)+g(4) (∵ f(4)=4)
Û 1ÉxÉ2일 때,
=0+4 (∵ g(0)=1)
f(x)=2이므로
=4 답 ③
( g ç f )(x)=g( f(x))=g(2)
=2_2-2=2
276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 f(x)의 그래프 y 나
y=f{x}
는 그 역함수 y=f ÑÚ ` (x)의 그래프와 직선 y=x Ú, Û에서 합성함수 y=( g ç f )(x)의 그래프는 y
y={g © f }{x}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y=x에 대하여 대칭이고, 직선 y=-x+k는 A
5
직선 y=x와 수직이므로 두 점 A, B는 직선 y=f -1{x} 1
B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O 5 x
즉, 선분 AB의 길이의 최솟값은 함수 y=f(x) O 1 1 2 x
y=-x+k -
2
의 그래프 위의 임의의 점 P와 직선 y=x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의 2배 다
이다.
단계 채점 요소 비율
점 P의 좌표를 (a, aÛ`+5) (a¾0)라 하면 점 P와 직선 y=x, 즉
가 0Éx<1일 때, 합성함수 (g ç f)(x)의 식 구하기 40 %
-x+y=0 사이의 거리 d는
나 1ÉxÉ2일 때, 합성함수 (g ç f)(x)의 식 구하기 20 %
|{a-;2!;}Û`+;;Á4»;;|
|-a+aÛ`+5| 다 합성함수 y=(g ç f)(x)의 그래프 그리기 40 %
d= =
"Ã(-1)Û`+1Û` '2
 답 ‌풀이 참조
19'2 ;;Á4»;;
이므로 d의 최솟값은 = 이다.
'2 8
따라서 선분 AB의 길이의 최솟값은
278
f  ÑÚ`(a)=k라 하면
2d=2_ 19'2 = 19'2 ( g ç f  ÑÚ`)(a)=g( f  ÑÚ`(a))=g(k)
8 4
다른 풀이 =kÛ`-2k=3
이므로 kÛ`-2k-3=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y=x와 평행하고, y y=f{x}
y=x+m (k+1)(k-3)=0   ∴ k=-1 또는 k=3
함수 y=f(x)의 그래프에 접하는 직선의
y=x 가
방정식을 y=x+m이라 하면 이차방정식 A
5 Ú  f  ÑÚ`(a)=-1일 때,
xÛ`+5=x+m, 즉 xÛ`-x+5-m=0의 판 y=f -1{x}
B
a=f(-1)=2_(-1)-1=-3
별식 D=0이어야 하므로
O 5 x Û ‌ f  ÑÚ`(a)=3일 때,
D=(-1)Û`-4(5-m)=0
a=f(3)=2_3-1=5
4m-19=0   ∴ m= 19
4 나

Ú, Û에서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이때, 두 직선 y=x와 y=x+ 19 는 평행하므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4
-3+5=2
직선 y=x 위의 점 (0, 0)과 직선 y=x+ 19 , 즉 4x-4y+19=0 사이 다
4
의 거리와 같으므로 거리 d는 단계 채점 요소 비율

19'2
= 19 =
|19| 가 f  ÑÚ`(a)=k에서 상수 k의 값 구하기 40 %
d=
"Ã4Û`+(-4)Û` 4'2 8
나 상수 a의 값 구하기 50 %
따라서 선분 AB의 길이의 최솟값은 다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 구하기 10 %
19'2 19'2
2d=2_ =  답 ⑤  답 ‌2
8 4

38 정답과 풀이
II. 함수와 그래프 xÛ`-3x-4 xÛ`-x-2
⑷ Ö
xÛ`-x-6 xÛ`+x-12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
(x+1)(x-4) (x+1)(x-2)
Ö
(x+2)(x-3) (x+4)(x-3)
(x+1)(x-4) (x+4)(x-3)
= _
개념 콕콕 본문 p. 55~56 (x+2)(x-3) (x+1)(x-2)
(x+4)(x-4)
=
(x+2)(x-2)
279
1 x+1 (x+4)(x-4)
x+1 2xÛ +1 답 ⑴ ⑵ ⑶ xÛ`-xy+yÛ` ⑷

3
,④
2
은 다항식이므로 분수식이 아니다. 답 ②, ④ x-1 x+2 (x+2)(x-2)

280

14xÛ`yÜ`zÛ` 2y
= 283
35xÜ`yÛ`zÛ` 5x 1 1
⑴ +
xÜ`+3xÛ`-4x x(xÛ`+3x-4) x(x+1) (x+1)(x+2)
⑵ =
xÛ`-x x(x-1)
1 1 1 1
x(x+4)(x-1) = x - x+1 + x+1 - x+2
=
x(x-1)
x+2-x 2
= =
=x+4 x(x+2) x(x+2)
2y 3 1
답 ⑴ ⑵ x+4 ⑵ +
5x (x+1)(x+4) (x+4)(x+5)
3 1 1 1 1
= { - }+ x+4 - x+5
(x+4)-(x+1) x+1 x+4
281
a 1 1 1 1 1
⑴ , 의 분모를 12aÛ`bxÛ`y로 통분하면 = x+1 - x+4 + x+4 - x+5
3bxÛ`y 4aÛ`by
4aÜ 3xÛ (x+5)-(x+1)
, =
12aÛ`bxÛ`y 12aÛ`bxÛ`y (x+1)(x+5)
⑵ xÛ`-5x+6=(x-2)(x-3), xÛ`-9=(x+3)(x-3)이므로 두 식을 4
=
(x+1)(x+5)
통분하면
2 4
(x+2)(x+3) (x-2)Û` 답 ⑴ ⑵
, x(x+2) (x+1)(x+5)
(x-2)(x-3)(x+3) (x-2)(x-3)(x+3)
4aÜ 3xÛ
답 ⑴ ,
12aÛ`bxÛ`y 12aÛ`bxÛ`y


(x+2)(x+3)
,
(x-2)Û`
(x-2)(x-3)(x+3) (x-2)(x-3)(x+3)
284
1 1 x
⑴ = = x+1
1 x+1
1+ x x
282
xÛ x+1 xÛ`+x+1 4 xÛ`-4
+ = x- x x
⑴ xÛ`-4
xÜ`-1 xÜ`-1 xÜ`-1 ⑵ = =
x+2 x+2 x+2
xÛ`+x+1 x x
=
(x-1)(xÛ`+x+1) (x+2)(x-2)
1 = x+2 =x-2
= x-1
x
답 ⑴ ⑵ x-2
x-2 4x+1 x-2 4x+1 x+1
x-5 - xÛ`-3x-10 = x-5 - (x+2)(x-5)

(x-2)(x+2)-(4x+1)
=
(x+2)(x-5)

=
xÛ`-4x-5 285
(x+2)(x-5)
x y
x`:`y=4`:`3이므로 4 = 3
(x+1)(x-5)
=
(x+2)(x-5)
x y
4 = 3 =k (k+0)라
이때, 하면 x=4k, y=3k
x+1
= x+2
x 4k 4k 4
x+y = 4k+3k = 7k = 7

xÜ`+yÜ` xÛ`+xz-xy-yz
x+z _

xÛ -yÛ 2x-y 8k-3k 5k 1
x+2y = 4k+6k = 10k = 2

(x+y)(xÛ`-xy+yÛ`) x(x+z)-y(x+z)
= x+z _
(x+y)(x-y) xÛ`-xy+yÛ` 16kÛ`-12kÛ`+9kÛ` 13kÛ` 13
(x+y)(xÛ`-xy+yÛ`) (x-y)(x+z)
⑶ = = = 25
= _ xÛ`+yÛ` 16kÛ`+9kÛ 25kÛ
x+z (x+y)(x-y)
4 1 13
답 ⑴ ⑵ ⑶
=xÛ`-xy+yÛ` 7 2 25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39


정답과 풀이

286 ⑵ y=
1
의 그래프는 y=;[!;의 그래프를 y
1
x-2 y=
1 1 x-2
ㄱ. xÛ`- 은 x에 대한 다항식이므로 y=xÛ`- 은 다항함수이다.
3 3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O
x+5 x+5 오른쪽 그림과 같고 2 x
ㄹ. 는 x에 대한 다항식이므로 y= 는 다항함수이다. 1
--
7 7 2
정의역은 { x|x+2인 실수},
 답 ‌ㄱ, ㄹ 치역은 { y|y+0인 실수}이다.
2
287 ⑶ ‌y= 그래프는 y=;[@;의 그래 y
x-1 +3의 y=
2
+3
x-1
4 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
⑴ 3x+4=0에서 x=- 이므로 주어진 유리함수의 정의역은
3 3
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4 1
[x|x+- 3 인 실수] 그림과 같고 1
-
3
O 1 x
⑵ xÛ`-9=0에서 x=Ñ3이므로 주어진 유리함수의 정의역은 정의역은 { x|x+1인 실수},
{x|x+Ñ3인 실수} 치역은 { y|y+3인 실수}이다.
1
4
⑴ [x|x+- 인 실수] ⑵ {x|x+Ñ3인 실수} ⑷ ‌y=- 그래프는 y=-;[!;
x-3 -2의
 답 y 1
3 5 y=- x-3 -2
-
2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O 3 x
288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3 -2
⑴ y= 에서 3>0이므로 그래프는 제1 사분면과 y 3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5
x y=- --
3 x 3
정의역은 { x|x+3인 실수},
제3 사분면에 있다. 따라서 그래프는 오른쪽 그
-3 -1 1 치역은 { y|y+-2인 실수}이다.
림과 같다. O 1 3 x
-1  답 ‌풀이 참조
-3

3 291
⑵ y=- 에서 -3<0이므로 그래프는 제 2 사 3 y
x y=-- 3x-2 3(x-1)+1 1
⑴ y=
x 3 x-1 = x-1 = x-1 +3
분면과 제4 사분면에 있다. 따라서 그래프는 오
11 3 x -(x-2)-2
x -x 2
⑵ y=
른쪽 그림과 같다. -3 -1 O 2-x = x-2 = x-2 =- x-2 -1
-1
-3 1 2
⑴ y=
x-1 +3
⑵ y=-
x-2 -1
 답

1
⑶ y= 에서 ;2!;>0이므로 그래프는 제 1 사분 y 1
2x 1
-- 1
y=-
2x 292
면과 제3 사분면에 있다. 따라서 그래프는 오 2 1
- x+3 (x+1)+2 2 
⑴ y=
x+1 = x+1 = x+1 +1
-1 2 y
른쪽 그림과 같다. O - 1 1 x
2 x+3
-1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의 그래 3
y=
x+3
1 x+1 1
x+1
--
2 -1
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 x
-3 O
1
⑷ y=- 에서 -;2!;<0이므로 그래프는 제2 y=--
1 y 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2x 2x
1 -1 같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x=-1, y=1이다.
1
사분면과 제 4 사분면에 있다. 따라서 그래프 - 2
2 1 x 2x-1 (2x+3)-4 2
⑵ y=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
1 O 2x+3 = 2x+3 =- x+;2#; +1
2
-1
1
-- 2x-1
2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의 2x-1 y
2x+3 y=
 답 ‌풀이 참조 2x+3
3 1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y축의 -
2
2 1
289 O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 3 x
1 --
함수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 2 1
--
x 쪽 그림과 같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3
1 1 3
x-2 +1이다. y= x-2 +1
행이동하면 y= 답 x=- 2 , y=1이다.

6-2x -2(x-2)+2 2
⑶ y=
x-2 = = x-2 -2
290 x-2 y
y=
6-2x
x-2
2 2 y 6-2x 2
⑴ y= -1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y축 2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 의 그
x x y=--1 x-2 x O
x
2 3 x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 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 -2
2 x
른쪽 그림과 같고 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 -3
O
-1
정의역은 { x|x+0인 실수}, 림과 같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y=-2
치역은 { y|y+-1인 실수}이다. 이다. 답 ‌풀이 참조

y
2
y=--1
40 정답과 풀이 x

2 x
O
-1
293 295
x-1 2 2 4
⑴ y= 에서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x+2 1-x + 1+x + 1+xÛ`
y(x+2)=x-1, xy+2y=x-1 2(1+x)+2(1-x) 4
= +
(1-x)(1+x) 1+xÛ`
x(y-1)=-2y-1
-2y-1 4 4
= +
∴ x= 1-xÛ` 1+xÛ`
y-1
4(1+xÛ`)+4(1-xÛ`)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
(1-xÛ`)(1+xÛ`)
-2x-1
y= x-1 8
= 답 ④
1-xÝ`
1
⑵ y=
2x-1 +2에서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1
y= 2x-1 +2=
1+2(2x-1) 4x-1
= 2x-1
296
2x-1 x+2 x+3 x+4 x+5
y(2x-1)=4x-1 x+1 - x+2 - x+3 + x+4

2xy-y=4x-1, x(2y-4)=y-1 x+1+1 x+2+1 x+3+1 x+4+1


= x+1 - x+2 - x+3 + x+4
y-1
∴ x= 1 1 1 1
2y-4 ={1+ x+1 }-{1+ x+2 }-{1+ x+3 }+{1+ x+4 }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1 1 1 1
x-1 = x+1 - x+2 - x+3 + x+4
y= 2x-4
1 1
-2x-1 x-1 = -
답 ⑴ y= ⑵ y= (x+1)(x+2) (x+3)(x+4)
x-1 2x-4
(x+3)(x+4)-(x+1)(x+2)
=
(x+1)(x+2)(x+3)(x+4)
4x+10
=
(x+1)(x+2)(x+3)(x+4)
4x+10

(x+1)(x+2)(x+3)(x+4)

297
xÜ`-yÜ` xÛ`-yÛ`
x+y Ö xÛ`+2xy+yÛ`
xÜ`-yÜ` xÛ`+2xy+yÛ`
= x+y _
xÛ`-yÛ`
유형 콕콕 본문 p. 57~65 (x-y)(xÛ`+xy+yÛ`) (x+y)Û`
= x+y _
(x+y)(x-y)
4x+10 =xÛ`+xy+yÛ`
294 ① 295 ④ 296 (x+1)(x+2)(x+3)(x+4) 답 ③

297 ③ 298 ① 299 ② 300 ① 301 ③ 302 7


10 298
303 ③ 304 ① 305 21 306 ② 307 15 308 ② xÛ`-16yÛ` x-4y
_
309 ⑤ 310 ① 311 -52 312 ① 313 ② 314 2 xÛ`-8xy+16yÛ` xÛ`+4xy
(x+4y)(x-4y) x-4y
315 ② 316 ② 317 -2 318 ② 319 ① 320 1 = _
(x-4y)Û` x(x+4y)
100(8-a)
321 ④ 322 ① 323 x= b-8 324 ② 1
=x 답 ①
325 -6 326 ㄱ과 ㄹ 327 ③ 328 ① 329 10 330 ③
5
331 ④ 332 4 333 ④ 334 ① 335 ⑤ 336 ② 299
337 ⑤ 338 21 339 ⑤ 340 ② 341 1 342 ② xÛ`-8x+15 xÛ`+5x+4 x-3
_ Ö x-4
xÛ`-16 xÛ`-25
3
343 ③ 344 4 345 ① 346 ② 347 2 (x-3)(x-5) (x+4)(x+1) x-4
= _ _
(x+4)(x-4) (x+5)(x-5) x-3
x+1
= x+5 ②
294

a b c
+ +
(a-b)(a-c) (b-a)(b-c) (c-a)(c-b)
-a(b-c)-b(c-a)-c(a-b)
300
= xÛ`-x-2=(x+1)(x-2)이므로 주어진 식의 양변에
(a-b)(b-c)(c-a)
-ab+ca-bc+ab-ca+bc (x+1)(x-2)를 곱하여 정리하면
= =0 답 ①
(a-b)(b-c)(c-a) 4(x+1)+a(x-2)=5x+b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41


정답과 풀이

∴ (4+a)x+(4-2a)=5x+b 305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4+a=5, 4-2a=b f(x)=4xÛ`-1=(2x-1)(2x+1)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1 1 1 1
= =;2!; { 2x-1 - 2x+1 }
∴ ab=1_2=2 답 ① f(x) (2x-1)(2x+1)

1 1 1 1
301 ∴ ‌
f(1)
+
f(2)
+
f(3)
+y+
f(10)

xÛ`-1=(x+1)(x-1)이므로 주어진 식의 양변에
=;2!; {1-;3!;}+;2!; {;3!;-;5!;}+y+;2!; { 19 - 21 }
1 1
(x+1)(x-1)을 곱하여 정리하면
1 1
a(x+1)+b(x-1)=2 =;2!; [{1-;3!;}+{;3!;-;5!;}+y+{ 19 - 21 }]
∴ (a+b)x+(a-b)=2
1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b=0, a-b=2 =;2!; {1- 21 }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1 10
=;2!;_;2@1);= 21
∴ a+2b=1+2_(-1)=-1 답 ③

302 단계 채점 요소 비율

xÜ`+1=(x+1)(xÛ`-x+1)이므로 주어진 식의 양변에 1


가 을 부분분수로 변형하기 30 %
f(x)
(x+1)(xÛ`-x+1)을 곱하여 정리하면
나 주어진 식의 값 구하기 70 %
a(xÛ`-x+1)+(bx+c)(x+1)=4x+1
10
∴ (a+b)xÛ`+(-a+b+c)x+(a+c)=4x+1  답
21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306
a+b=0, -a+b+c=4, a+c=1
1 1
2- =2-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1, c=2 1 1
1- 1-
1 x-1
나 1- x x
∴ a+2b+3c=-1+2_1+3_2=7 1
=2-
다 x
1-
x-1
단계 채점 요소 비율
=2- 1 =2+(x-1)
가 주어진 식 정리하기 40 %
-1
x-1
나 a, b, c의 값 구하기 40 % =x+1
다 a+2b+3c의 값 구하기 20 % x+1=ax+b이므로
 답 7 a=1, b=1
∴ a+b=1+1=2 답 ②

303
1 1 1 307
+ +y+
x(x+2) (x+2)(x+4) (x+8)(x+10) 17 1 1 1 1
= = = 1 = 1
22 22 5
1 1 1 1 1 1 1+ 1+
=;2!; { x - x+2 }+;2!; { x+2 - x+4 }+y+;2!; { x+8 - x+10 }
1+
17 17 17 2
3+
5 5
1 1 1 1 1 1
=;2!;[ { x - x+2 }+{ x+2 - x+4 }+y+{ x+8 - x+10 }] 이므로 a=1, b=3, c=5
∴ abc=1_3_5=15 답 15
1 1 5
=;2!; { x - x+10 }=
x(x+10)

따라서
5
=
a
이고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308
x(x+10) x(x+10) 2(a-b)+2(a+b)
2 2
a+b + a-b (a+b)(a-b)
=
a=5 답 ③

1 1 a-b-(a+b)
a+b - a-b (a+b)(a-b)
304 4a 2a
= -2b =- b  답 ②
1 1 1
2_4 + 4_6 +y+ 12_14
1 1
=;2!;[{;2!;-;4!;}+{;4!;-;6!;}+y+{ 12 - 14 }] 309
1 1 1 1 15
1 3 aÛ`- ={a+ a } {a- a }=;2%; {a- a }= 4 이므로
=;2!; {;2!;- 14 }= 14 aÛ`
1
따라서 a=3, b=14이므로 a-b=3-14=-11 답 ① a- a =;2#;

42 정답과 풀이
1 1 Ü` 1 ㉠을 ㉣에 대입하면 5k+2z=11k
∴ aÜ`- ={a- a } +3 {a- a }
aÜ`

={;2#;}3`+3_;2#;= 8 
2z=6k   ∴ z=3k
63
답 ⑤ z=3k를 ㉢에 대입하면 2_3k+x=8k
∴ x=2k
x=2k를 ㉠에 대입하면 2k+3y=5k
310
3y=3k   ∴ y=k
1 Û` 1
{x+ x } =xÛ`+ +2=2+2=4 x+y+z 2k+k+3k 6k
xÛ` 2
x-2y+z = 2k-2_k+3k = 3k =2
∴ 답
1
∴ x+ =2 (∵ x>0)
x

∴ xÜ`+
1 1 Ü` 1
={x+ x } -3 {x+ x } 315
xÜ`
x+3y=10z yy ㉠
=2Ü`-3_2 [
x-3y=4z yy ㉡
=2 답 ①
㉠+㉡을 하면
2x=14z   ∴ x=7z
311 ㉠-㉡을 하면
ab+0이므로 aÛ`+4ab+bÛ`=0의 양변을 ab로 나누면
6y=6z   ∴ y=z
a b b a
b +4+ a =0에서 a + b =-4 x+8y+3z 7z+8_z+3z 18z
x+y+z = 7z+z+z = 9z =2
∴ 답 ②

∴ + ={ + } -3 { + }
bÜ` aÜ` b a Ü` b a
aÜ` bÜ` a b a b 316
=(-4)Ü`-3_(-4)=-52 x+y=2z yy ㉠
[
나 x-y=4z yy ㉡
㉠+㉡을 하면
단계 채점 요소 비율
2x=6z   ∴ x=3z
b a
a+b
가 의 값 구하기 60 %
㉠-㉡을 하면
bÜ` aÜ` 2y=-2z   ∴ y=-z
나 + 의 값 구하기 40 %
aÜ` bÜ`
xy+yz+zx 3z_(-z)+(-z)_z+z_3z
 답 -52 ∴ = 
xÛ`+yÛ` (3z)Û`+(-z)Û`
-3zÛ`-zÛ`+3zÛ`
= 
10zÛ`
312
x=3k, y=2k, z=k (k+0)로 놓으면 -zÛ` 1
= =- 10  답 ②
10zÛ`
xyz
(x-y)(y-z)(z-x)

=
3k_2k_k 317
(3k-2k)(2k-k)(k-3k) x-3y-z=0 yy ㉠
6kÜ` [
= =-3 답 ① 2x+4y+3z=0 yy ㉡
-2kÜ`
㉠_3+㉡을 하면
5x-5y=0   ∴ x=y
313 가
x y
3 = 5 =k (k+0)로
놓으면 x=3k, y=5k x=y를 ㉠에 대입하면
8y 2x  8_5k 2_3k y-3y-z=0   ∴ z=-2y
x+y + x-y = 3k+5k + 3k-5k
∴ 

40k 6k 3x y z
= 8k + -2k 
y-z + x+z + 2x-y

=5-3=2 답 ② 3_y y -2y
∴= + +
y-(-2y) y+(-2y) 2_y-y

314 ∴ =1-1-2=-2
x+3y 3y+2z 2z+x 다
5 = 9 = 8 =k (k+0)로
놓으면
단계 채점 요소 비율
x+3y=5k yy ㉠
[ 3y+2z=9k yy ㉡


x=y임을 구하기

z=-2y임을 구하기
30 %

30 %
2z+x=8k yy ㉢
다 주어진 식의 값 구하기 40 %
㉠+㉡+㉢을 하면 2(x+3y+2z)=22k
∴ x+3y+2z=11k  yy ㉣  답 -2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43


정답과 풀이

318 a b 8
100_ 100 +x_ 100 =(100+x)_ 100
;3{;=;2};=;4Z;에서 3+2+4=9+0이므로
위의 식의 양변에 100을 곱하면
2y
3x  z 100a+bx=8(100+x)
3_3 = 2_2 = 4
(b-8)x=800-100a
3x+2y+z
= 9+4+4 100(8-a) 100(8-a)
∴ x=  답 x=
b-8 b-8
3x+2y+z
= 17
∴ a=17 답 ②
324
3x+4 (3x-2)+6 6
y= 3x-2 = 3x-2 = 3x-2 +1
319
2x+y y-z 3z+5x 6 2
y= +1= +1
2 = 3 = 4
에서 2+3+4=9+0이므로
3{x-;3@;} x-;3@;
-2(2x+y) 2(y-z) 3z+5x
‌
-2_2 = 2_3 = 4 2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
x
-2(2x+y)+2(y-z)+3z+5x
= -4+6+4 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x+z 2
= 6 따라서 a= , b=1, k=2이므로
3
11
∴ k=6 ① a+b+k=;3@;+1+2= 3 

답 ②

320
Ú 3a+2b+c=0일 때, 2b+c=-3a이므로 325
2b+c -3a 5
y=- 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
3a = 3a =-1
∴ k=-1 행이동하면
Û 3a+2b+c+0일 때, 5 -5-3(x-2) -3x+1
y=- x-2 -3= x-2 = x-2
2b+c c+3a 3a+2b 2(3a+2b+c)
3a = 2b = c = 3a+2b+c =2 이 그래프가 y=
ax+b
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x-c
∴ k=2
a=-3, b=1, c=2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k의 값의 합은 -1+2=1 답 1
∴ abc=-3_1_2=-6 답 -6

321
작년과 3년 전의 매출액을 각각 x, y라 하면 326
2x-1 2(x-1)+1 1
ㄱ. y=
a b
x {1+ 100 }=y {1+ 100 }에서 x-1 = x-1 = x-1 +2

x+1 (x-1)+2 2
ㄴ. y=
x(a+100) y(b+100)
= x-1 = x-1 = x-1 +1
100 100
2x-1 2(x-2)+3 3
ㄷ. y=
∴ x=
b+100 x-2 = x-2 = x-2 +2
a+100 y
3x+4 3(x+1)+1 1
ㄹ. y=
따라서 작년 매출액은 3년 전 매출액의
b+100
배이다. 답 ④ x+1 = x+1 = x+1 +3
a+100
따라서 평행이동에 의하여 그래프가 서로 겹쳐질 수 있는 것은 ㄱ과 ㄹ이
다. 답 ㄱ과 ㄹ
322
남자의 수를 x, 여자의 수를 y라 하면 남자의 전체 연령의 합은 50x세,
여자의 전체 연령의 합은 56y세이고, 남녀 전체의 평균 연령이 54세이 327
므로 -;3@;(3x-2)-;3!;
1-2x
50x+56y y= 3x-2 = 3x-2
x+y =54에서
-;3!;
50x+56y=54x+54y, 4x=2y y= 3x-2 -;3@;
∴ x`:`y=2`:`4=1`:`2 답 ①
2
따라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x=;3@;, y=- 이므로
3
323 2
a=;3@;, b=- 3
포도 원액 8`%가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포도 주스 전체의 양은
2 Û`
∴ aÛ`+bÛ`={ } +{-;3@;} =;9*;
(100+x)`L이므로 포도 원액의 양에 대한 등식을 세우면 Û`
3

44 정답과 풀이
다른 풀이 두 점근선의 교점 (-b, a)가 두 직선 y=x+3, y=-x-2의 교점이므로
2 a=-b+3, a=b-2
⑴ (분모)=0에서 x=
3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2 1
⑵ 일차항의 계수의 비에서 y=- 
3
답 ③ a= 2 , b=;2%;


328 ∴ ab=;2!;_;2%;=;4%;
1
함수 y=
x+2 -3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y=-3이므로 a=-2, b=-3
단계 채점 요소 비율
∴ a+b=-2+(-3)=-5 답 ①
가 점근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

나 a, b의 값 구하기 40 %
329
다 ab의 값 구하기 20 %
bx+c
함수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1, y=3이므로
x+a 5
 답
k 4
y= x+1 +3`(k+0)  yy ㉠

으로 놓을 수 있다. 이때, ㉠의 그래프가 점 (2, 4)를 지나므로 333


k k
4= 2+1 +3, ;3K;=1   ∴ k=3 함수 y=
x-p +q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가 x=-1, y=-2이므로 p=-1, q=-2


k=3을 ㉠에 대입하면 k
따라서 함수 y=
x+1 -2의
그래프가 점 (0, 2)를 지나므로
3 3+3(x+1) 3x+6
y= x+1 +3= x+1 = x+1 k
2= 1 -2   ∴ k=4
따라서 a=1, b=3, c=6이므로
∴ k+p+q=4+(-1)+(-2)=1 답 ④

a+b+c=1+3+6=10

334
k
함수 y=
x+a +b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단계 채점 요소 비율
k x=3, y=2이므로 a=-3, b=2
가 주어진 함수를 y= +3으로 나타낼 때 k의 값 구하기 50 %
x+1
k
따라서 함수 y=
x-3 +2의
나 a, b, c의 값 구하기 30 %
그래프가 점 (2, 0)을 지나므로

다 a+b+c의 값 구하기 20 % k
0= 2-3 +2, -k+2=0   ∴ k=2
 답 10
∴ a+b+k=-3+2+2=1 답 ①

330 335
3x 3(x-1)+3 3
y= x-1 = = x-1 +3 주어진 그래프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이 x=5, y=-3이므로
x-1
k
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x=1, y=3이다. y= x-5 -3 (k<0)으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그래프는 두 점근선의 교점 (1, 3)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이 그래프가 점 (3, 0)을 지나므로
a=1, b=3 k
0= 3-5 -3   ∴ k=-6
∴ a+b=1+3=4 답 ③
-6 -3(x-5)-6 -3x+9
∴ y=
x-5 -3= x-5 = x-5
331
-3x+9 ax+b
2x-3 2(x-2)+1 1 따라서
x-5 = x+c
에서
y= x-2 = x-2 = x-2 +2
a=-3, b=9, c=-5
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y=2이다.
∴ a+b+c=-3+9+(-5)=1 답 ⑤
두 점근선의 교점 (2, 2)가 직선 y=-x+k 위의 점이므로
2=-2+k   ∴ k=4 답 ④
336
xÛ`-x-2É0에서 (x+1)(x-2)É0   ∴ -1ÉxÉ2
332 2x+3 2(x+2)-1 1
ax+7 a(x+b)-ab+7 -ab+7 y= x+2 = x+2 =- x+2 +2
y= x+b = = +a
x+b x+b
2x+3
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x=-b, y=a이다. 이므로 y= 의 그래프는 y=-;[!;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
x+2
가 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45


정답과 풀이

2x+3 x-1
따라서 -1ÉxÉ2에서 y=
x+2
의 그래프는 2x+3 y f Ü`(x)=( f Û` ç f)(x)= f Û`( f(x))=f Û`{ x }
y= 7
x+2 -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1일 때 최솟값 1, 4 2 -1
f Ü`(x)= =x
7 x-1
x=2일 때 최댓값 4 을 갖는다.
1 -1
x
-2 -1 O 2 x
7 따라서 함수 f Ü`(x)= f 6(x)= f 9(x)=y= f 3n(x)`( n은 자연수)는 항
즉, m=1, M= 이므로
4 등함수이므로
11
M+m=;4&;+1= 4  답 ② f 7(x)= f 3_2+1(x)= f(x)
4-1
4 =;4#;
∴   f 7(4)= f(4)=  답 ⑤

337
x+3 (x+1)+2 2
y= x+1 = x+1 = x+1 +1
340
x
f(x)= x-1 이므로
x+3
이므로 y= 의 그래프는 y=;[@;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
x+1 ( f ç f ç f)(3)=f( f( f(3)))
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3
= f { f { 2 }}
x+3 y
따라서 0ÉxÉ3에서 y= 의 그래프는
x+1 3 3
- 3 y= x+3 = f(3)= 2  답 ②
2
3 x+1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3일 때 최솟값 ,
2 1
-1
3 x
x=0일 때 최댓값 3을 갖는다. O
341
즉,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3x+1
f(x)= x-3 에서
3
3+ 2 =;2(; 답 ⑤
f Û`(x)=( f ç f)(x)= f( f(x))
3x+1
3_ x-3 +1
f Û`(x)= f { }=
3x+1
338 x-3 3x+1
4x+k 4(x+3)+k-12 k-12 y x-3 -3
y= = = +4
x+3 x+3 x+3 4x+k 9x+3+x-3
y=
k x+3 x-3
k>12이므로 k-12>0 - 10x
3 f Û`(x)= = =x
3x+1-3(x-3) 10
4x+k 4
따라서 0ÉxÉa에서 y= 의 그래프는 x-3
x+3
O a x f Ü`(x)=( f ç f Û`)(x)= f( f Û`(x))= f(x)
오른쪽 그림과 같다. -3
f 4(x)y=( f ç f Ü`)(x)= f( f Ü`(x))
x=0일 때, 최댓값이 6이므로
k
= f(
-f(x))= f Û`(x)=x
k 3
3 =6  
∴ k=18

가 4 f(x) (n이 홀수)
∴ f n(x)=[ x
x=a일 때, 최솟값이 5이므로 -3 O a x (n이 짝수)
4a+18 가
a+3 =5  
∴ a=3
3_(-2)+1
∴ f 9(-2)= f(-2)=
나 -2-3 =1
∴ a+k=3+18=21 나

단계 채점 요소 비율
단계 채점 요소 비율 가 n이 홀수일 때와 n이 짝수일 때의 f (x) 구하기 n
70 %
가 k의 값 구하기 40 % 나 9
f   (-2)의 값 구하기 30 %
나 a의 값 구하기 40 %
 답 1
다 a+k의 값 구하기 20 %

 답 21 342
2x-3
두 함수 f(x)=
x-1 g(x)=x+1에
, 대하여
339 (  f -1 ç g ç f -1)(1)= f -1(g(  f -1(1)))이므로
x-1
f(x)= x 에서   f -1(1)=k라 하면 f(k)=1
2k-3
x-1
f Û`(x)=( f ç f)(x)= f( f(x))=f{ x } k-1 =1, 2k-3=k-1
∴ k=2
x-1
x -1 ∴ f -1(g(f -1(1)))= f -1(g(2))
f Û`(x)= x-1 = -1
x-1
x = f -1(3)

46 정답과 풀이
또한 f -1(3)=l이라 하면 f(l)=3이므로 x+1 -ax+1
2x+a = 2x-1
2l-3
l-1 =3, 2l-3=3l-3 ∴ a=-1 답 ②
∴ l=0
∴ ( f -1 ç g ç f -1)(1)= f -1(3)=0 답 ② 347
-6x+1 ax+b
두 함수 `f(x)=
2x-6 g(x)= 2x+c
, 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
343
5x 하여 대칭이므로 두 함수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다.
함수 f(x)= 의 그래프와 함수 y=g(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x+2 -6x+1
y= 2x-6 로 놓으면 y(2x-6)=-6x+1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함수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다.
즉, g(x)= f -1(x)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6y+1
g(3)=k라 하면 f(k)=3이므로 (2y+6)x=6y+1 ∴ x=
2y+6
5k
k+2 =3, 5k=3k+6
∴ k=3 6x+1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2x+6
∴ g(3)=3 답 ③
6x+1
따라서 f(x)의 역함수는 `f -1(x)=
2x+6
344 ax+b 6x+1
2x+c = 2x+6
즉, 이므로
( f -1 ç g)-1(5)=(g-1 ç f )(5)=g-1( f(5))
5 a=6, b=1, c=6
f(5)= 5-2 =;3%;이므로 g-1( f(5))=g-1 {;3%;}
∴ a+2b-c=6+2_1-6=2 답 2
5
g-1 { 3 }=k라 하면 g(k)=;3%;

3k-1 3
k =;3%;
에서 9k-3=5k, 4k=3 ∴ k=
4
5 3 3
∴ ( f -1 ç g)-1(5)=g-1 { }= 답 실력 콕콕 본문 p. 66~67
3 4 4

1
348 ② 349 ⑤ 350 ① 351 ① 352 - 2 353 ①
345
g( f(x))=x이므로 g(x)= f -1(x) 1
354 ③ 355 ④ 356 -1 357 2 358 ④ 359 9
-3x+1
y= x+a 로 놓으면 y(x+a)=-3x+1 47
360 ④ 361 ④ 362 50 363 4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ay+1
(y+3)x=-ay+1 ∴ x=
y+3 348
-ax+1 1 1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x+3 1+x + 1+y =1의
양변에 (1+x)(1+y)를 곱하면

-ax+1 (1+y)+(1+x)=(1+x)(1+y)
따라서 f(x)의 역함수는 f -1(x)=
x+3
2+x+y=1+x+y+xy
-ax+1 bx+1 ∴ xy=1
즉, g(x)=
x+3 = cx+3
이므로
∴ xÛ`+yÛ`=(x+y)Û`-2xy=3Û`-2_1=7 답 ②
-a=b, c=1
∴ a+b+c=a+(-a)+1=1
보충 설명
349
1 1 1
= -
g-1(x)= f(x)임을 이용하여 풀 수도 있다. 답 ① a(a+1) a a+1
1 1 1
= -
(a+1)(a+2) a+1 a+2
346
x+1 1 1 1
y= 2x+a 로 놓으면 y(2x+a)=x+1 = -
(a+2)(a+3) a+2 a+3
이므로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1 1 1 1 1 1 3
(2y-1)x=-ay+1 { a - a+1 }+{ a+1 - a+2 }+{ a+2 - a+3 }= 10
-ay+1
∴ x= 1 1 3
2y-1
a - a+3 = 10
-ax+1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2x-1 양변에 10a(a+3)을 곱하면

-ax+1 10(a+3)-10a=3a(a+3), 10a+30-10a=3aÛ`+9a


따라서 f(x)의 역함수는 f -1(x)=
2x-1 aÛ`+3a-10=0, (a+5)(a-2)=0
f(x)=f -1(x)이므로 ∴ a=2 (∵ a>0) 답 ⑤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47


정답과 풀이

350 이때, 고등학교의 전체 남녀 학생 수는 각각 6a+2b, 5a+3b이다.


1 (x-1)-1 두 고등학교의 전체 남녀 학생 수의 비가 4`:`5이므로
1- x-1 x-1
1- =1-  (6a+2b)`:`(5a+3b)=4`:`5
1 (x+1)+1
1+ x+1
x+1 4(5a+3b)=5(6a+2b)
x-2 ∴ b=5a  yy ㉠
x-1

(x-2)(x+1) 이투스 고등학교의 전체 학생 수와 청솔 고등학교의 전체 학생 수는 각각
=1- x+2 =1-
(x-1)(x+2)
x+1 11a, 5b이므로
(x-1)(x+2)-(x-2)(x+1) (이투스 고등학교의 전체 학생 수)`:`(청솔 고등학교의 전체 학생 수)
=
(x-1)(x+2)  =11a`:`5b
2x 2x =11a`:`25a (∵ ㉠)
= =  답 ‌①
(x-1)(x+2) xÛ`+x-2
=11`:`25 답 ‌①

351
x+y y+2z 2z+x 354
2z = x = y =k (k+0)라
하면
b 3
x+y=2kz, y+2z=kx, 2z+x=ky  yy ㉠ ;a!;(ax+b)-;aB;+3 -;aB;+3 - +
aÛ` a
위의 세 식을 더하면 y=
x+3
= =
1
+ =  1
+
ax+b ax+b ax+b a a
x+ b
2x+2y+4z=kx+ky+2kz a
2(x+y+2z)=k(x+y+2z) 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이때, x+y+2z+0이므로 양변을 x+y+2z로 나누면 b 1
x=- a , y= a    ∴ a=2
k=2
5
2 }를
이를 ㉠에 대입하면 또한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2, 지나므로
x+y=4z  yy ㉡ 5
;2%;= 2a+b    ∴ b=-2
y+2z=2x  yy ㉢
2z+x=2y  yy ㉣ ∴ a+b=2+(-2)=0 답 ‌③
㉡-㉢을 하면 x=2z
이것을 ㉣에 대입하면 y=2z
xÜ`+yÜ`+zÜ` (2z)Ü`+(2z)Ü`+zÜ` 17zÜ` 17 355

xyz = 2z_2z_z = = 4 3x+7 3(x+2)+1 1
4zÜ` y= x+2 = = x+2 +3
x+2
보충 설명
3x+7 1
이므로 y= 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
가비의 리를 이용하여 상수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x+2 x
(x+y)+(y+2z)+(2z+x) 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k= 2z+x+y 3x+7
이때,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y y=mx+n
2(x+y+2z) x+2
k= x+y+2z =2 답 ‌①
림과 같이 점 (-2, 3)을 지나고, 기울기
3x+7
y=
가 Ñ1인 직선에 대하여 대칭이다. x+2

그런데 구하는 직선의 기울기 m>0이므 y=3


352
로 O x
1 1 b-1
a+ b =1에서 a=1- b = b
y-3=x-(-2)
2 2 2 ∴ y=x+5 x=-2
b+ c =1에서 c =1-b   ∴ c= 1-b
따라서 m=1, n=5이므로 m+n=1+5=6
b-1 2
∴ abc=
b _b_ 1-b =-2 보충 설명

만약 m<0이면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2!;
1
abc =-;2!;
∴ 답
y-3=-{x-(-2)}   ∴ y=-x+1 답 ④

353 356
두 상수 a, b에 대하여 이투스 고등학교와 청솔 고등학교의 남녀 학생 수
2x-2 2(x-3)+4 4
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x-3 = x-3 = x-3 +2

구분 이투스 고등학교 청솔 고등학교 계 2x-2 4


이므로 y= 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
x-3 x
남학생 6a 2b 6a+2b
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여학생 5a 3b 5a+3b
2x-2
계 11a 5b 따라서 -1ÉxÉ2에서 y= 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x-3

48 정답과 풀이
y 2x-2 이때, f(x)= f -1(x)이므로
y=
x-3
ax+b 3x+b
x-3 = x-a
   ∴ a=3

2 a+b
또한 f(1)=
1
1-3 =-3에서
2
-1 O 3 x a+b=6   ∴ b=3
-2
∴ ab=3_3=9 답 ‌9

즉, x=-1일 때 최댓값 1을 갖고, x=2일 때 최솟값 -2를 가지므로


M=1, m=-2 360
∴ M+m=1+(-2)=-1 답 ‌-1 ( f ç g)(x)=x이므로 `f (g(x))=x에서 g(x)= f -1(x)이고,
f(x)=g(x)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은 두 함수 y=f(x), y=g(x)의 그래
프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357 한편,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은 함수 y=f(x)의
1
f(x)= 1-x 에 대하여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과 같다.

1 x-1 2x+6
x+1 =x에서 xÛ`-x-6=0
f Û`(x)=( f ç f )(x)=f( f(x))= = x 즉,
1
1-
1-x 따라서 f(x)=g(x)를 만족시키는 모든 x의 값의 합은 이차방정식의 근
1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이다. 답 ‌④
1-x -1
f Ü`(x)=( f Û` ç f )(x)=f Û`( f(x))= =x
1
1-x
이므로 f Ü`(x)= f 6(x)= f 9(x)=y= f 1002(x)=x 361
f 1003(x)=( f 1002 ç f )(x)=f(x) f( f(x))=x 이므로 f(x)=f -1(x)
f 1004
(x)=( f 1003
ç f )(x)=( f ç f )(x)= f Û`(x) ax
y= 2x-1 로 놓으면 y(2x-1)=ax
;2!;
2-1
2 =;2!;
∴ f 1004(2)=f Û`(2)=  답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y
(2y-a)x=y   ∴ x= 2y-a

358 x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2x-a
4x+6 2(2x+a)-2a+6
f(x)= 2x+a = 2x+a x
따라서 f(x)의 역함수는 f -1(x)=
2x-a
6-2a 3-a
f(x)= 2x+a +2= +2 f(x)=f -1(x)이므로
x+;2A;
ax x
2x-1 = 2x-a
   ∴ a=1
a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y=2이다.
2
다른 풀이
bx+2 b(x-c)+bc+2 bc+2
g(x)= x-c = x-c = x-c +b 함수 f 가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 f(x))=x를 만족시키면
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c, y=b이다. f ç f=I이다. 즉, ` f -1=f
따라서 두 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같으므로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유리

a=-2c, b=2 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1
또한 f (1)=-1에서 f(-1)=1이므로 ;2A;(2x-1)+;2A; ;2A; ;4A;
ax a a
y= 2x-1 = = +2= +2
2 2x-1 2x-1 x-;2!;
a-2 =1, a-2=2  
∴ a=4, c=-2
a
∴ a+b+c=4+2+(-2)=4 답 ‌④ 즉, 두 점근선의 방정식이 x=;2!;, y= 이므로 a=1 답 ‌④
2

359
ax+b 362
y= x-3 로 놓으면 y(x-3)=ax+b x-2y+z=0 yy ㉠
[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2x+y-2z=0 yy ㉡
4
3y+b ㉠_2+㉡을 하면 4x-3y=0   ∴ y= x
(y-a)x=3y+b   ∴ x= y-a 3

3x+b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x-a
5
㉠+㉡_2를 하면 5x-3z=0   ∴ z= x
3
3x+b
따라서 f(x)의 역함수는 f -1(x)=
x-a 나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49


정답과 풀이

xy+yz+zx ;3$;xÛ`+;;ª9¼;;xÛ`+;3%;xÛ`
II. 함수와 그래프
∴ =
xÛ`+yÛ`+zÛ` xÛ`+;;Á9¤;;xÛ`+;;ª9°;;xÛ`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9¦;;xÛ`
47
= = 50
;;°9¼;;xÛ` 개념 콕콕 본문 p. 69~71


364
단계 채점 요소 비율 ⑴ "Ã(-6)Û`='3Œ6="6Û`=6
⑵ 3-'6>0이므로 ¿¹(3-'6)Û`=3-'6
가 두 방정식을 연립하여 y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35 %

나 두 방정식을 연립하여 z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35 %


보충 설명
다 주어진 식의 값 구하기 30 %
a (a¾0)
47 "a`Û =[

50 -a (a<0)
답 ⑴ 6 ⑵ 3-'6

363
2x+1 3x-7
두 함수 y=
x+1 y= x-2
, 에서 365
2x+1 -1 ⑴ '1Œ8+'3Œ2-'5Œ0=3'2+4'2-5'2=2'2
y= x+1 = x+1 +2 yy ㉠
⑵ (3'5+2'2 )(2'5-3'2 )=30-9'1Œ0+4'1Œ0-12
3x-7 -1 =18-5'1Œ0
y= x-2 = x-2 +3 yy ㉡
5 7 3 5 7 5 3
21 {¾Ð 15 +¾ÐÐ 35 }=¾Ð 21 _ 15 +¾Ð 21 _ 35
가 ⑶ ¾Ð

이때, 함수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1 1 10


= 3 + 7 = 21
평행이동하면

y-q=
-1
+2 답 ⑴ 2'2 ⑵ 18-5'1Œ0 ⑶ 10
(x-p)+1 21

-1
∴ y=
x-p+1 +q+2 yy ㉢

나 366
두 함수 ㉡과 ㉢이 일치해야 하므로 ⑴ x-'Äx+1의 값이 실수이려면 'Äx+1의 값이 실수이어야 한다.

-p+1=-2, q+2=3에서 p=3, q=1 따라서 x+1¾0이므로 x¾-1


다 ⑵ 'Äx-5+'Äx+1의 값이 실수이려면 'Äx-5, 'Äx+1의 값이 모두 실수

∴ p+q=3+1=4 이어야 한다.

라 'Äx-5에서 x-5¾0 ∴ x¾5 yy ㉠


'Äx+1에서 x+1¾0 ∴ x¾-1 yy ㉡
단계 채점 요소 비율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x¾5
2x+1 3x-7 k

두 함수 y=
x+1 y= x-2
, 을 y=
x-p +q의
꼴로 변
40 % ⑶ 'Ä4-x-'Ä3x+6 의 값이 실수이려면 'Ä4-x, 'Ä3x+6 의 값이 모두
형하기
실수이어야 한다.
'Ä4-x에서 4-x¾0
나 주어진 조건에 따라 평행이동한 함수의 식 구하기 30 %
∴ xÉ4 yy ㉠
다 p, q의 값 구하기 20 %
'Ä3x+6에서 3x+6¾0 ∴ x¾-2 yy ㉡
라 p+q의 값 구하기 10 %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2ÉxÉ4
답 4 ⑷ 'Äx-4- 1 의 값이 실수이려면 'Äx-4, 1 의 값이 모두 실
'Ä7-x 'Ä7-x
수이어야 한다.
'Äx-4에서 x-4¾0 ∴ x¾4 yy ㉠
1 에서 7-x¾0이고 7-x+0 ∴ x<7 yy ㉡
'Ä7-x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4Éx<7
답 ⑴ x¾-1 ⑵ x¾5 ⑶ -2ÉxÉ4 ⑷ 4Éx<7

367
a<0이므로
"ÃaÛ`-|-a|-"Ã(-a)Û` +|a|=-a-(-a)-(-a)+(-a)
=0 답 0

50 정답과 풀이
368 372
⑴ ('Ä2x-1+'Ä2x )('Ä2x-1-'Ä2x ) ⑴ x, y가 유리수이면 x-3, y+1도 유리수이므로 무리수가 서로 같을

=('Ä2x-1 )Û`-('Ä2x )Û` ` 조건에 의하여
=(2x-1)-2x=-1 x-3=0, y+1=0
⑵ ('Äx+3 -'Äx-3 )('Äx+3 +'Äx-3 ) ∴ x=3, y=-1

=('Äx+3 )Û`-('Äx-3 )Û` ` ⑵ x, y가 유리수이면 x+y, x-y도 유리수이므로 무리수가 서로 같을
=(x+3)-(x-3)=6 조건에 의하여
⑶ ('§x +'Äx-2 )('§x-'Äx-2 ) x+y=1, x-y=-3

=('§x )Û`-('Äx-2 )Û` `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x-2)=2 x=-1, y=2
 답 ‌⑴ -1 ⑵ 6 ⑶ 2 ⑶ x, y가 유리수이면 x-y-3, x+y도 유리수이므로 무리수가 서로 같
을 조건에 의하여
369 x-y-3=3, x+y=2
3'2 3'2
⑴ 3 = =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2 '2'2 2
x=4, y=-2
1 = '5+2 '5+2 ⑴ x=3, y=-1 ⑵ x=-1, y=2 ⑶ x=4, y=-2
⑵ = ='5+2  답
'5-2 ('5-2)('5+2) 5-4
'2-1 ('2-1)Û` 3-2'2
⑶ = = =3-2'2
'2+1 ('2+1)('2-1) 2-1
'x-'y ('x-'y)Û` x+y-2'¶xy 373
⑷ = =
'x+'y ('x+'y )('x-'y ) x-y ㄱ. y='¶5 x 는 무리함수이다.
'x 'x('Äx+1-'x )
⑸ = ㄴ. y="ÃxÛ`+1은 무리함수이다.
'Äx+1+'x ('Äx+1+'x)('Äx+1-'x ) 
ㄷ. y='3x에서 '3x는 x에 대한 일차식이므로 일차함수, 즉 다항함수
"Ãx(x+1)-x
‌=  이다.
(x+1)-x
="Ãx(x+1)-x ㄹ. y="Ã(x+1)Û`=|x+1|이므로 무리함수가 아니다.

'Äa+1-'a 따라서 무리함수인 것은 ㄱ, ㄴ이다. ㄱ, ㄴ



('Äa+1-'a)Û`
⑹ =
'Äa+1+'a ('Äa+1+'a )('Äa+1-'a ) 
(a+1)-2"Ãa(a+1)+a
= 
(a+1)-a
374
=2a+1-2"Ãa(a+1)
⑴ ‌무리함수 y='Äx+2에서 근호 안의 식의 값이 0보다 크거나 같아야
x+y-2'¶xy
 답 ⑴ 3'2 ⑵ '5+2 ⑶ 3-2'2 ⑷ 하므로 x+2¾0, 즉 x¾-2이어야 한다.
2 x-y
⑸ "Ãx(x+1)-x ⑹ 2a+1-2"Ãa(a+1) 따라서 무리함수 y='Äx+2 의 정의역은 {x|x¾-2}이다.
⑵ ‌무리함수 y='Ä-x+3에서 근호 안의 식의 값이 0보다 크거나 같아야
370 하므로 -x+3¾0, 즉 xÉ3이어야 한다.
1 1 'x-'y+'x+'y 2'x 따라서 무리함수 y='Ä-x+3 의 정의역은 {x|xÉ3}이다.
⑴ + = =
'x+'y 'x-'y ('x+'y )('x-'y ) x-y ‌ 리함수 y=-'Ä3x+4+1에서 근호 안의 식의 값이 0보다 크거나
⑶ 무
a a
⑵ +
'Äa+1+1 'Äa+1-1 같아야 하므로 3x+4¾0, 즉 x¾-;3$;이어야 한다.
a('Äa+1-1)+a('Äa+1+1)
= 따라서 무리함수 y=-'Ä3x+4+1의 정의역은 [x|x¾-;3$;]이다.
('Äa+1+1)('Äa+1-1)
a'Äa+1-a+a'Äa+1+a ⑷ ‌무리함수 y="Ã4-xÛ` 에서 근호 안의 식의 값이 0보다 크거나 같아야
=
(a+1)-1 하므로 4-xÛ`¾0, 즉 -2ÉxÉ2이어야 한다.
= 2a'Äa+1 따라서 무리함수 y="Ã4-xÛ` 의 정의역은 {x|-2ÉxÉ2}이다.
a
답 ⑴ {x|x¾-2} ⑵ {x|xÉ3}
=2'Äa+1 (∵ a+0)
2'x ⑶ [x|x¾- 4 ] ⑷ {x|-2ÉxÉ2}
 답 ⑴ ⑵ 2'Äa+1 3
x-y

371
1 - 1 = ('x+1)-('x-1) 375
'x-1 'x+1 ('x-1)('x+1)  ⑴ 함수 y='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y
'x+1-'x+1 y= x
= = 2 정의역은 {x|x¾0}, 치역은 { y|y¾0}이다.
x-1 x-1
1
x='3을 대입하면
2('3+1) 2('3+1)
2 = '3+1 O 1 x
= ='3+1 
'3-1 ('3-1)('3+1)

3-1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51


정답과 풀이

⑵ ‌함수 y=-'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y 379


1
같고, 정의역은 {x|x¾0}, 치역은 { y|yÉ0} 함수 y='¶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
O x
이다. 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1
y="Ã3 {x-(-2)}+5="Ã3(x+2)+5 답 y="Ã3(x+2)+5
y=- x

⑶ 함수 y='¶-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y


y= -x
‌같고, 정의역은 {x|xÉ0}, 치역은 { y|y¾0}
이다. 1 380
y='Ä3x+9-7="Ã3(x+3)-7
-1 O x 즉, 함수 y='Ä3x+9 -7의 그래프는 함수 y='Ä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
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7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⑷ 함수 y=-'¶-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y
∴ a=-3, b=-7 답 a=-3, b=-7
같고, 정의역은 {x|xÉ0}, 치역은 { y|yÉ0} -1
O x
이다.
-1

y=- -x
381
 답 풀이 참조
함수 y='Äx-1+2에 대하여
⑴ 정의역은 {x|x¾ 1 }이다.

⑵ 치역은 { y|y¾ 2 }이다.


⑶ ‌함수 y='Äx-1+2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376
y 으로 1 만큼, y축의 방향으로 2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답 ⑴ 1 ⑵ 2 ⑶ 1, 2
{3} y= 3x

3 {2} y= 2x

3 {1} y= x
2
382
1
2 ⑴ y='Ä-x+2="Ã-(x-2) y

O 1 2 3 4 x 즉, 함수 y='Ä-x+2의 그래프는 함수 y= -x+2


y='Ä-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 2
답 풀이 참조
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
고, 정의역은 {x|xÉ2}, 치역은 { y|y¾0} O 2 x

이다.
⑵ y='Ä2x+4+1="Ã2(x+2)+1 y
y= 2x+4+1 3
377 즉, 함수 y='Ä2x+4+1의 그래프는 함수
함수 y='¶ax (a>0)에 대하여 y='Ä2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
1
⑴ 정의역은 {x|x¾ 0 }이다. 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
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정의역은 -2 O x
⑵ 치역은 { y|y¾ 0 }이다.
{x|x¾-2}, 치역은 { y|y¾1}이다.
⑶ ‌함수 y='¶ax (a>0)의 그래프는 함수 y='¶-ax (a>0)의 그래프
⑶ y='Ä4-x-1="Ã-(x-4)-1 y
와 y 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즉, 함수 y='Ä4-x-1의 그래프는 함수
 답 ⑴0 ⑵0 ⑶y 1 y= 4-x-1
y='Ä-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O 3 4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x
-1
오른쪽 그림과 같고, 정의역은 {x|xÉ4},
치역은 { y|y¾-1}이다.

378 ⑷ y=-'Ä4-2x +3=-"Ã-2(x-2)+3


y
⑴ y 대신 -y를 대입하면 즉, 함수 y=-'Ä4-2x+3의 그래프는 함
3
-y='¶2x   ∴ y=-'¶2x 수 y=-'Ä-2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5 1
--
⑵ x 대신 -x를 대입하면 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 2 O
2 x
y="Ã2_(-x)   ∴ y='¶-2x 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y=- 4-2x+3

⑶ x 대신 -x, y 대신 -y를 대입하면 정의역은 {x|xÉ2}, 치역은 { y|yÉ3}


-y="Ã2_(-x)   ∴ y=-'¶-2x 이다.
 답 ⑴ y=-'¶2x ⑵ y='¶-2x ⑶ y=-'¶-2x  답 풀이 참조

52 정답과 풀이
유형 콕콕 본문 p. 72~79 387
1 1
+
383 ④ 384 ③ 385 6 386 ② 387 ③ 388 ② 'Äx+1+'Äx-1 'Äx+1-'Äx-1
389 4x+2 390 10 391 ⑤ 392 ③ ('Äx+1-'Äx-1 )+('Äx+1+'Äx-1 )
=
'6+'2 ('Äx+1+'Äx-1)('Äx+1-'Äx-1)
393 2'3 394 ① 395 2
396 ①
2'Äx+1
=
'3 ('Äx+1 )Û`-('Äx-1 )Û`
397 2+6'3 398 ⑤ 399 ③ 400 3 401 ③
2'Äx+1
= ='Äx+1 답 ③
402 ② 403 ④ 404 4 405 5 406 ② 407 ④ (x+1)-(x-1)
408 {y|yÉ1} 409 ② 410 ③ 411 -16 412 ⑤
413 ④ 414 -6 415 ⑤ 416 ⑤ 417 ⑤ 418 ⑤
419 1 420 -2 421 ④ 422 ③ 423 ⑤ 424 5 388
1 '3 2'2
425 ⑤ 426 ⑤ 427 ② 428 k> 8 429 ④ 430 ③ +
'6-'3 2+'2
431 8 432 ④ 433 ② 434 ④ 435 ⑤ 436 ① '3('6+'3 ) 2'2(2-'2 )
= +
('6-'3 )('6+'3 ) (2+'2 )(2-'2 )
3'2+3 4'2-4
383 =
3
+
2
-1<a< 1 에서 0<a+1< 3 , -3<2a-1<0이므로 ='2+1+2'2-2
2 2
=-1+3'2 답 ②
"ÃaÛ`+2a+1+"Ã4aÛ`-4a+1
="Ã(a+1)Û` +"Ã(2a-1)Û`
=|a+1|+|2a-1|
389
'Äx+1-'x 'Äx+1+'x
=(a+1)+{-(2a-1)}
+
=a+1-2a+1 'Äx+1+'x 'Äx+1-'x
=-a+2 답 ④ ('Äx+1-'x )Û`+('Äx+1+'x )Û`
=
('Äx+1+'x)('Äx+1-'x)
('Äx+1-'x )Û`+('Äx+1+'x )Û`
384 =
('Äx+1 )Û`-('x )Û`
-2<a<2에서 -4<a-2<0, 0<a+2<4이므로
(x+1)-2"Ãx(x+1)+x+(x+1)+2"Ãx(x+1)+x
"Ã(a-2)Û`+|a+2|=|a-2|+|a+2|
=
(x+1)-x
=-(a-2)+(a+2) =4x+2 답 4x+2
=-a+2+a+2
=4 답 ③
390
자연수 x에 대하여
385 1
= 1
x=aÛ`+9, y=6a이므로 f(x) 'x+'Äx-1
'Äx+y+'Äx-y 'x-'Äx-1
=
="ÃaÛ`+9+6a+"ÃaÛ`+9-6a ('x+'Äx-1)('x-'Äx-1)
="Ã(a+3)Û`+"Ã(a-3)Û` 'x-'Äx-1
=
('x )Û`-('Äx-1 )Û`
=|a+3|+|a-3|
'x-'Äx-1
=(a+3)+{-(a-3)}`(∵ 3Éa+3<6, -3Éa-3<0) =
x-(x-1)
=a+3-a+3=6 답 6 ='x-'Äx-1

386 ∴
1
+
1
+
1
f(2) f(3) f(4)
+y+
1
f(121)
'Äa+1 =-¾Ð a+1 이므로
=('2-1)+('3-'2 )+('4-'3 )+y+('¶121-'¶120)
'Äa-1 a-1
a+1¾0, a-1<0에서 -1Éa<1 ='¶121-1

x=(a-1)Û`이므로 =11-1=10

'x+'Äx+4a ="Ã(a-1)Û`+"Ã(a-1)Û`+4a 나

=|a-1|+"ÃaÛ`-2a+1+4a 단계 채점 요소 비율
=|a-1|+"Ã(a+1)Û` 가 f(x)의 분모를 유리화하기 40 %
=|a-1|+|a+1| 1 1 1 1 의 값 구하기
나 + + +y+ 60 %
f(2) f(3) f(4) f(121)
=-(a-1)+(a+1)`(∵ -2Éa-1<0, 0Éa+1<2)
=2 답 ② 답 10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53


정답과 풀이

391 x+y='6, x-y=2, xy= 1


2
'Äx+1+'Äx-1
'Äx+1-'Äx-1 'x+'y

('x+'y )Û`
∴ =
('Äx+1+'Äx-1 )Û` 'x-'y ('x-'y )('x+'y )
= x+y+2'¶xy
('Äx+1-'Äx-1 )('Äx+1+'Äx-1 ) =
x-y
(x+1)+2"Ã(x+1)(x-1)+(x-1)
=
('Äx+1 )Û`-('Äx-1 )Û` '6 +2_ 1
'2
(x+1)+2"ÃxÛ`-1+(x-1) =
= 2
(x+1)-(x-1)
'6 +'2 '6+'2
=x+"ÃxÛ`-1 =  답 ‌
2 2
따라서 이 식에 x='5 를 대입하면
'5+'Ä5-1='5+2 ⑤

396
x='2+1에서 x-1='2
392 양변을 제곱하면
1 + 1 xÛ`-2x+1=2   ∴ xÛ`-2x=1 yy ㉠
"ÃxÛ`+4x+4 "ÃxÛ`-4x+4
∴ xÜ`-2xÛ`+2x+1=x(xÛ`-2x)+2x+1
= 1 + 1
"Ã(x+2)Û` "Ã(x-2)Û` =x+2x+1 (∵ ㉠)
1 =3x+1
= + 1
|x+2| |x-2|
=3('2+1)+1
따라서 이 식에 x='3 을 대입하면
=4+3'2 답 ①
1 + 1 ‌= 1 + 1 
|'3+2| |'3-2| 2+'3 2-'3
397
= 2-'3+2+'3
(2+'3 )(2-'3 ) x=2-'3에서 x-2=-'3
=4 답 ‌③ 양변을 제곱하면
xÛ`-4x+4=3   ∴ xÛ`-4x=-1 yy ㉠
393 ∴ xÜ`-4xÛ`+7x-14 =
x(xÛ`-4x)+7x-14
'3 xÛ`-4x xÛ`-4x 
x= 일 때, 1+x>0, 1-x>0이므로
2
= -x+7x-14 (∵ ㉠)
1-x 'Ä1+x 'Ä1-x 
-1
¾Ð 1-x -¾Ð 1+x =
1+x
-
'Ä1-x 'Ä1+x =-6x+14
('Ä1+x )Û`-('Ä1-x )Û` =-6(2-'3 )+14
= 
"Ã(1-x)(1+x) =2+6'3 답 2+6'3
(1+x)-(1-x)
= 
"Ã1-xÛ`
2x 398
=
"Ã1-xÛ` 2<'5<3이므로 4<2+'5<5   ∴ 4<a<5
'3 따라서 [a]=4, a-[a]=(2+'5)-4='5-2이므로
따라서 이 식에 x= 을 대입하면
2
[a] 4('5+2)
'3 '3 = 4 = =8+4'5 ⑤
a-[a] '5-2 ('5-2)('5+2)

= =2'3 답 ‌2'3
¾Ð1-;4#; ;2!;
399
2<'5 <3이므로 -3<-'5<-2, 즉 0<3-'5<1
394
따라서 3-'5의 정수 부분은 0, 소수 부분은 3-'5이다.
x='2-'3, y='2+'3에서
∴ a=0, b=3-'5
x+y=2'2, xy=-1

b 0+ 3-'5 
1+1 xÛ`+yÛ` 4 4
∴ a+ =
=
xÛ` yÛ` xÛ`yÛ` xÛ`+yÛ` (x+y)Û`-2xy
∴ = = 
1 1 x+y xy(x+y) xy(x+y) 4(3+'5 )
+
x y = 
xy (3-'5 )(3+'5 )

(2'2 )Û`-2_(-1) 4(3+'5 )
= = =3+'5 답 ‌③
(-1)_2'2 4
10 5'2
= =-  답 ‌①
-2'2 2
400
1<'3<2이므로 2<'3+1<3
395
따라서 '3+1의 정수 부분은 2,소수 부분은 '3-1이다.
'3+'2 '6+2 '3-'2 '6-2
x= = , y= = 이므로
'2 2 '2 2 ∴ x=2, y='3-1

54 정답과 풀이
y '3-1
∴ x-1- =2-1- 
a, b가 유리수이므로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3 '3 7-2a+b=0, a-4=0
1
=1-{1- }  ∴ a=4, b=1
'3

1 '3 '3
= = 3  ‌
'3
답 ∴ a+b=4+1=5
3

401 단계 채점 요소 비율
'3+1 ('3+1)Û` 3+2'3+1
=
가 f('3-2)=0임을 알기 50 %
=
'3-1 ('3-1)('3+1) 2
나 a, b의 값 구하기 40 %
4+2'3
= 2 =2+'3 다 a+b의 값 구하기 10 %

이때, 1<'3 <2이므로 3<2+'3<4  답 5


'3+1
따라서 의 정수 부분은 3, 소수 부분은 (2+'3 )-3='3-1이다.
'3-1
406
∴ a=3, b='3-1
함수 y='Ä-5x+a+b의 정의역은
2(b+1) 2'3 2'3
= = 2 ='3
-5x+a¾0에서 xÉ a 이므로 [x|xÉ a ]이다.
∴ 답 ‌③
b('a+1) ('3-1)('3+1)
5 5
이때, 이 함수의 정의역이 {x|xÉ1}이므로
402 a =1   ∴ a=5
a b  a('2-1)+b('2+1)  5
+ =
'2+1 '2-1 ('2+1)('2-1) 또한 이 함수의 치역은
=a'2-a+b'2+b  'Ä-5x+a¾0에서 y='Ä-5x+a+b¾0+b=b이므로 { y|y¾b}이다.
=(-a+b)+(a+b)'2 이때, 이 함수의 치역이 { y|y¾1}이므로 b=1
=1+3'2 ∴ ab=5_1=5 답 ②
a, b가 유리수이므로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b=1, a+b=3
∴ a=1, b=2
407
함수 y='Ä-3x+3+b의 정의역은
∴ ab=1_2=2  답 ②
-3x+3¾0에서 xÉ1이므로 {x|xÉ1}이다.
∴ a=1
403 또한 이 함수의 치역은
(3+2'2 )(2-'2 )=6-3'2+4'2-4 'Ä-3x+3¾0에서 y='Ä-3x+3+b¾0+b=b이므로 { y|y¾b}이다.
=2+'2 이때, 이 함수의 치역이 { y|y¾2}이므로 b=2
=a+b'2 ∴ ab=1_2=2 답 ④
a, b가 유리수이므로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2, b=1
408
∴ a+b=2+1=3 답 ④
함수 y=b-'Äax+9에서
ax+9¾0이므로 ax¾-9
404 이때, 이 함수의 정의역이 {x|xÉ3}이므로 a<0이고
(x+'3 )(y+'3 )=2'3에서 9
양변을 a로 나누면 xÉ-
(xy+3)+(x+y)'3=2'3 a
x, y가 유리수이므로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9
즉, - =3이므로 a=-3
a
xy+3=0, x+y=2

∴ x+y=2, xy=-3
∴ y=b-'Ä-3x+9
따라서 (x-y)Û`=(x+y)Û`-4xy=2Û`-4_(-3)=16이므로
x-y=4 (∵ x>y) 답 4 이때,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 5 , -1}을 지나므로
3
-1=b-'Ä-5+9
405 -1=b-2   ∴ b=1
f(x)=xÛ`+ax+b가 x+2-'3 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나

f('3-2)=('3-2)Û`+a('3-2)+b 따라서 y=1-'Ä-3x+9=-'Ä9-3x+1이고, 이 함수의 치역은


=7-4'3+a'3-2a+b -'Ä9-3xÉ0에서 y=-'Ä9-3x+1É0+1=1이므로
=(7-2a+b)+(a-4)'3=0 { y|yÉ1}
가 다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55


정답과 풀이

단계 채점 요소 비율 ∴ a=-2, b=6, c=-1


가 a의 값 구하기 30 % ∴ a+b+c=-2+6+(-1)=3 답 ⑤
나 b의 값 구하기 30 %

다 무리함수의 치역 구하기 40 %
413
 답 {y|yÉ1} ㄱ. y=-'x의 그래프는 y='Ä-x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
한 것이다.
ㄷ. y=-'Ä2-x=-"Ã-(x-2)
409
이므로 y=-'Ä2-x의 그래프는 y='Ä-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
무리함수 y='¶k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
로 2만큼 평행이동한 다음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y="Ãk(x-3)+2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5, 4)를 지나므로 ㄹ. y=;3!;'Ä9x-2+1=¾Ð 1 (9x-2)+1=¾Ðx-;9@; +1
9
4='¶2k+2, '¶2k=2
이므로 y= 1 'Ä9x-2+1의 그래프는 y='Ä-x의 그래프를 y축에 대
2k=4   ∴ k=2 답 ② 3

하여 대칭이동한 다음 x축의 방향으로 2 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


9
410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Ä-2x+8-3="Ã-2(x-4)-3 따라서 그래프가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에 의하여 y='Ä-x의 그래프와
따라서 함수 y='Ä-2x+8-3의 그래프는 함수 y='Ä-2x의 그래프를 포개지는 함수는 ㄱ, ㄷ, ㄹ이다.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다른 풀이
따라서 p=4, q=-3이므로
무리함수의 그래프가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에 의하여 y='Ä-x의 그래
p+q=4+(-3)=1 답 ③
프와 포개지는 함수를 찾으려면 두 함수의 근호 안의 x의 계수의 절댓값
을 비교한다.
y='Ä-x의 근호 안의 x의 계수는 -1이므로
411
ㄱ. y=-'¶x 에서 |1|=|-1|
함수 y='Äax+1+b의 그래프는 함수 y='Ä-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
ㄴ. y='Ä-3x에서 |-3|+|-1|
향으로 c만큼, y축의 방향으로 d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ㄷ. y=-'Ä2-x에서 |-1|=|-1|
y="Ã-2(x-c)+d='Ä-2x+2c+d
즉, a=-2, 2c=1, d=b이므로 ㄹ. y=;3!;'Ä9x-2+1=¾Ð 1 (9x-2)+1=¾Ðx-;9@; +1에서
9
1
a=-2, c= 2 , d=b |1|=|-1|


따라서 그래프가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에 의하여 y='Ä-x의 그래프와
포개지는 함수는 ㄱ, ㄷ, ㄹ이다. 답 ④
∴ y='Ä-2x+1+b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4, -1)을 지나므로
-1='Ä8+1+b, -1=3+b
414
∴ b=d=-4 y='Ä-x+2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

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 abcd=(-2)_(-4)_ 1 _(-4)=-16 y="Ã-(x-1)+2-2
2
∴ y='Ä-x+3-2 yy ㉠


단계 채점 요소 비율 ㉠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가 a, c의 값 구하기 40 %
-y='Ä-x+3-2
나 b, d의 값 구하기 40 % ∴ y=-'Ä-x+3+2
다 abcd의 값 구하기 20 % 나

 답 -16 이 함수의 그래프가 y=-'Äax+b+c의 그래프와 포개지므로


a=-1, b=3, c=2
∴ abc=-1_3_2=-6
412 다
무리함수 y='Äa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y="Ãa(x-3)-1 단계 채점 요소 비율
가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 구하기 40 %
이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나 대칭이동한 그래프의 식 구하기 40 %
y="Ãa(-x-3)-1='Ä-ax-3a-1
이 함수의 그래프가 y='Ä2x+b+c의 그래프와 포개지므로 다 abc의 값 구하기 20 %

-a=2, -3a=b, -1=c  답 -6

56 정답과 풀이
415 y="Ã2(x+2)-3
‌y='Ä2x+4-1="Ã2(x+2)-1 y ∴ y='Ä2x+4-3
즉, 이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Ä2x의 그 따라서 a=2, b=4, c=-3이므로
1 y= 2x+4-1
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 a+b+c=2+4+(-3)=3 답 ⑤
-2
O x
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
-1
쪽 그림과 같다.
419
ㄱ. 정의역은 {x|x¾-2}이고, 치역은 { y|y¾-1}이다. (참)
함수 y='Äax+b+c의 그래프는 함수 y='¶ax (a<0)의 그래프를
ㄴ. ‌함수 y='Ä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참)
y="Ãa(x-2)-1 (a<0) yy ㉠
ㄷ. ‌함수 y='Ä2x+4-1의 그래프는 위의 그림과 같으므로 제3 사분면을
㉠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므로
지난다. (참)
1='Ä-2a -1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 ⑤
2='Ä-2a
4=-2a   ∴ a=-2
416 a=-2를 ㉠에 대입하면
y='Ä8-2x-3="Ã-2(x-4)-3 y
y= 8-2x-3 y="Ã-2(x-2)-1
즉, 이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Ä-2x의 그래 4 ∴ y='Ä-2x+4-1
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3 O x
따라서 a=-2, b=4, c=-1이므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2-3
-3 a+b+c=-2+4+(-1)=1 답 1
y=Â8-Ê2ÊxÊ-3
① y='Ä8-2x-3에 x= 1 , y=0을 대입하면
2
0+'7-3
420
따라서 함수 y='Ä8-2x-3의 그래프는 점 { 1 , 0}을 지나지 않는다. 함수 y=-'Äax+b+c의 그래프는 함수 y=-'¶ax (a>0)의 그래프를
2
② 정의역은 {x|xÉ4}이다.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③ 치역은 { y|y¾-3}이다. y=-"Ãa(x-1)+2 (a>0) yy ㉠


④ ‌함수 y='Ä-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의 그래프가 점 (5, 0)을 지나므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0=-'Ä4a+2
⑤ ‌함수 y='Ä8-2x-3의 그래프는 위의 그림과 같으므로 제1 사분면을 'Ä4a=2
지나지 않는다. 4a=4   ∴ a=1
따라서 함수 y='Ä8-2x-3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⑤이다. 답 ⑤ 가

a=1을 ㉠에 대입하면
y=-'Äx-1+2
417
따라서 a=1, b=-1, c=2이므로
ㄱ. ‌함수 y=a'Äx-b+c의 그래프는 함수 y=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

향으로 b만큼, y축의 방향으로 c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참)
abc=1_(-1)_2=-2
ㄴ. ‌x-b¾0에서 x¾b이므로 정의역은 {x|x¾b}이다.

a<0이면 a'Äx-bÉ0이므로
y
y=a'Äx-b+cÉ0+c=c 단계 채점 요소 비율

따라서 치역은 {y|yÉc}이다. (참) c 가 a의 값 구하기 40 %

ㄷ. ‌a<0, b<0, c>0, a'¶-b+c<0이면 주 나 b, c의 값 구하기 40 %


b O x
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 aÂ-Êb+
Ê c 다 abc의 값 구하기 20 %

므로 제 1 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참) y=a¸x-b˛+c


 답 -2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 ⑤

421
418 y
함수 y='Äax+b+c의 그래프는 함수 y='¶ax (a>0)의 그래프를 함수 y=4-'Ä3x+4=-¾Ð3 {x+ 4 }+4의 4
3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3
그래프는 y=-'¶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2
y=4- 3x+4
y="Ãa(x+2)-3 (a>0) yy ㉠
4 4 x
으로 - 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
㉠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므로 3 4 O
--
3 -1
-1='Ä2a-3 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2='Ä2a 따라서 -1ÉxÉ4에서 이 함수는 x=-1일 때 최댓값 3, x=4일 때 최
4=2a   ∴ a=2 솟값 0을 가지므로
a=2를 ㉠에 대입하면 M=3, m=0   ∴ Mm=3_0=0 답 ④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57


정답과 풀이

422 2-x=xÛ`-2kx+kÛ`
함수 y='Äx+2-2의 그래프는 y='x의 그 y ∴ xÛ`-(2k-1)x+kÛ`-2=0
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 x+2-2
-2 1
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 O D={-(2k-1)}Û`-4(kÛ`-2)=0
2 7 x
쪽 그림과 같다. -2 -4k+9=0   ∴ k= 9
4
따라서 2ÉxÉ7에서 이 함수는 x=2일 때
Û 직선 y=-x+k가 점 (2, 0)을 지날 때,
최솟값 0, x=7일 때 최댓값 1을 가지므로
0=-2+k   ∴ k=2
M=1, m=0   ∴ M+m=1+0=1 답 ③
Ú, Û에서 함수 y='Ä2-x 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423 2Ék< 9  답 ‌⑤


4
y
함수 y=-'Ä2x-5+1=-¾Ð2{x- }+1
5
2 1
3 a
의 그래프는 y=-'¶2x 의 그래프를 x축의 O 5 x 426
2
5 -2 Ú 함수 y='Ä3x-6 의 그래프와 직선 y {i}{ii}
방향으로 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
2 y=-Â2xÊ-5˛ +
˛ 1 y=x+k
y=x+k가 접할 때,
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y= 3x-6
'Ä3x-6=x+k의 양변을 제곱하면
즉, 3ÉxÉa에서 이 함수는 x=3일 때 최댓값 0을 가지므로 b=0 O
3x-6=xÛ`+2kx+kÛ` 5 2 x
또한 x=a일 때 최솟값 -2를 가지므로 --
∴ xÛ`+(2k-3)x+kÛ`+6=0 4
-'Ä2a-5+1=-2, -'Ä2a-5=-3 -2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a-5=9   ∴ a=7
D=(2k-3)Û`-4(kÛ`+6)=0
∴ a+b=7+0=7 답 ⑤
-12k-15=0   ∴ k=- 5
4
Û 직선 y=x+k가 점 (2, 0)을 지날 때,
424
0=2+k   ∴ k=-2
f(x)='Äa-3x+b=¾Ð-3{x- a }+b
y
y=f{x} Ú, Û에서 함수 y='Ä3x-6 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한 점에서 만
3 5
에서 a>0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3
른쪽 그림과 같다. k<-2 또는 k=- 5  답 ‌⑤
b 4
즉, -4ÉxÉ0에서 함수 f(x)는 x=-4일 때
-4 a
O - x
최댓값 5, x=0일 때 최솟값 3을 가지므로 3
f(-4)='Äa+12+b=5  yy ㉠ 427
y
f(0)='a+b=3 yy ㉡ {i}
㉠에서 'Äa+12=5-b
y=mx+2
2 y= x-5
∴ a+12=(5-b)Û` yy ㉢
㉡에서 'a=3-b O 5 9 x

∴ a=(3-b)Û` yy ㉣ {ii}

㉣을 ㉢에 대입하면 Ú 함수 y='Äx -5 의 그래프와 직선 y=mx+2가 접할 때,


(3-b)Û`+12=(5-b)Û` 'Äx-5 =mx+2의 양변을 제곱하면
bÛ`-6b+21=bÛ`-10b+25 x-5=mÛ`xÛ`+4mx+4
4b=4   ∴ b=1 ∴ mÛ`xÛ`+(4m-1)x+9=0
b=1을 ㉣에 대입하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3-1)Û`=4 D=(4m-1)Û`-36mÛ`=0
∴ a+b=4+1=5 답 5 20mÛ`+8m-1=0, (2m+1)(10m-1)=0

∴ m=- 1 또는 m= 1
2 10
425 그런데 위의 그림에서 m>0이므로 m= 1
y
10
함수 y='Ä2-x의 그래프와 직선 
{ii} {i} 9
- Û 직선 y=mx+2가 점 (5, 0)을 지날 때,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 4
면 직선이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에 2
y=-x+k 0=5m+2   ∴ m=- 2
y= 2-x
5
있어야 한다. 2
Ú, Û에서 함수 y='Äx-5 의 그래프와 직선 y=mx+2가 만나도록 하
O 2 x
Ú ‌함수 y='Ä2-x의 그래프와 직선
는 m의 값의 범위는 - 2 ÉmÉ 1
y=-x+k가 접할 때, 5 10
'Ä2-x=-x+k의 양변을 제곱하면 따라서 정수 m은 0의 1개이다. 답 ②

58 정답과 풀이
428 431
함수 y='Ä1-x-2의 그래프와 직선 y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 y=f -1{x}
y=-2x+k y=x
y=-2x+k가 접할 때, y=f ÑÚ`(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
1
'Ä1-x-2=-2x+k
- {4, 4}
8 여 대칭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두 그래
y= 1-x-2 2 3
y=f{x}
'Ä1-x=-2x+k+2
1
-3 O x 프의 교점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
-12 O x
양변을 제곱하면 -1 선 y=x의 교점과 같다.
-2
1-x=4xÛ`-4(k+2)x+kÛ`+4k+4 'Äx+12=x에서 x+12=xÛ` -12
∴ 4xÛ`-(4k+7)x+kÛ`+4k+3=0 xÛ`-x-12=0, (x+3)(x-4)=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x=-3 또는 x=4
D={-(4k+7)}Û`-16(kÛ`+4k+3)=0 이때, x=-3은 역함수의 정의역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16kÛ`+56k+49-16kÛ`-64k-48=0 x=4
-8k+1=0 가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4, 4)이므로


∴ k= 1
8
a=4, b=4
따라서 함수 y='Ä1-x-2의 그래프와 직선 y=-2x+k가 만나지 않도

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 a+b=4+4=8
k> 1  답 ‌k> 1 다
8 8
단계 채점 요소 비율
가 교점의 x좌표 구하기 60 %

나 a, b의 값 구하기 30 %

429 다 a+b의 값 구하기 10 %


함수 y='Äx+1-1의 치역은 { y|y¾-1}이므로 역함수의 정의역은
 답 ‌8
{x|x¾-1}이다.
y='Äx+1-1에서
y+1='Äx+1 432
( f ÑÚ` ç g ÑÚ`)(3)=f ÑÚ`( g ÑÚ`(3))에서 g ÑÚ`(3)=k라 하면
양변을 제곱하면
g(k)=3
(y+1)Û`=x+1
g(k)='Ä2k-1=3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2k-1=9   ∴ k=5
x=(y+1)Û`-1
따라서 f ÑÚ`( g ÑÚ`(3))=f ÑÚ`(5)에서 f ÑÚ`(5)=t라 하면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f(t)=5
y=(x+1)Û`-1=xÛ`+2x (x¾-1)
f(t)='Ät+7-2=5
따라서 a=2, b=0, c=-1이므로
'Ät+7=7
a+b+c=2+0+(-1)=1 답 ④
t+7=49   ∴ t=42
∴ ( f ÑÚ`ç g ÑÚ`)(3)=f ÑÚ`( g ÑÚ`(3))=f ÑÚ`(5)=42  답 ‌④

430 433
함수 y=9-'Ä3x-6 의 치역이 { y|yÉ9}이므로 역함수의 정의역은 ( f ÑÚ` ç g) ÑÚ`(2)=( g ÑÚ` ç f )(2)
{x|xÉ9}이다. =g ÑÚ`( f(2))
y=9-'Ä3x-6 에서 =g ÑÚ`(1) (∵ f(2)='Ä2-1=1)
y-9=-'Ä3x-6 이때, g ÑÚ`(1)=k라 하면 g(k)=1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g(k)='Ä2k+4=1
(y-9)Û`=3x-6 2k+4=1   ∴ k=- 3
2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 ( f ÑÚ` ç g) ÑÚ`(2)=g ÑÚ`(1)=- 3  ‌②
x= 1 (y-9)Û`+2

2
3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 1 (x-9)Û`+2 (xÉ9)
434
3 ( f ç ( g ç f ) ÑÚ` ç f )(2)=( f ç f ÑÚ` ç g ÑÚ` ç f )(2)
따라서 a= 1 , b=-9, c=2, d=9이므로 =(I ç g ÑÚ` ç f )(2)
3
=( g ÑÚ` ç f )(2)
ab+cd= 1 _(-9)+2_9=15  답 ‌③ =g ÑÚ`( f(2))
3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59


정답과 풀이

2 2
( f ( g f ) ÑÚ` f )(1)=g ÑÚ` {;3@;} {∵ f(2)= 2+1 = 3 } 437
4 4
2 ¾ÐaÛ`+ +4+¾ÐaÛ`+ -4
이때, g ÑÚ` {;3@;}=k라 하면 g(k)= 이므로 aÛ` aÛ`
3
2 2
2 =¾Ð{a+ a }Û` +¾Ð{a- a }Û`
g(k)='Ä3k-2 = 3
2 2
4 22 =|a+ a |+|a- a |
3k-2= 9 ∴ k=
27
2 2 2
2 22 ={a+ a }+[-{a- a }] {∵ 0<a<1이므로 a >a}
∴ ( f ç ( g ç f ) ÑÚ` ç f )(2)=g ÑÚ` { }= 답 ④
3 27
2 2
=a+ a -a+ a

4
=a
435 답 ①

함수 y='Äax+b+c=¾Ða{x+ b }+c``(a+0)의 그래프가 시작하는 점


a
b 438
{- a , c}가 제2 사분면에 있으므로
"Ã-xÛ`(xÛ`-1)Û` 이 실수가 되려면
b -xÛ`(xÛ`-1)Û`¾0
- a <0, c>0
xÛ`(xÛ`-1)Û`É0
직선 ax+by+bc=0, 즉 y=- a x-c에 대하여 xÛ` {(x+1)(x-1)}Û`É0
b
{x(x+1)(x-1)}Û`É0
기울기는 - a <0 {∵ - b <0},
b a 이때, x가 실수이므로 x(x+1)(x-1)은 실수이고, 실수의 제곱은 0보
y절편은 -c<0 (∵ c>0) 다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따라서 직선 ax+by+bc=0의 기울기는 음수 y x(x+1)(x-1)=0
ax+by+bc=0
이고, y절편도 음수이므로 그래프는 오른쪽 그 ∴ x=-1 또는 x=0 또는 x=1
림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실수 x의 개수는 3이다. 답 ③
O x
따라서 직선의 개형으로 알맞은 것은 ⑤이다.

439
x y x y x y
답 ⑤ {¾ y +¾ x }`Û = y +2+ x {∵ xy=2이므로 y >0, x >0}

y x
= x + y +2
436
함수 y=a'Äbx+c (a+0, b+0)의 그래프에서 xÛ`+yÛ`
= xy +2
a<0, b>0
(x+y)Û`-2xy
c
함수 y=a'Äbx+c=a¾Ðb {x+ c } 의 그래프가 시작하는 점 {- , 0}이 = xy +2
b b
(-4)Û`-2_2
x축의 x<0인 부분 위에 있으므로 - c <0 = 2 +2=8
b
x y x y
y +¾ x =2'2 `{∵ ¾ y +¾ x >0}
∴ c>0`(∵ b>0) ∴¾ 답 ④
b
x-a +c의
따라서 유리함수 y= 그래프의 개형으로 알맞은 것은 ①이다.

답 ① 440
a='6+'5-1, b='6-'5+1이므로
a+b=2'6
ab={'6+('5-1)}{'6-('5-1)}
=('6)Û`-('5-1)Û`
=6-(5-2'5+1)=2'5
∴ aÜ`+bÜ`=(a+b)Ü`-3ab(a+b)
=(2'6 )Ü`-3_2'5_2'6
=48'6-12'3Œ0=12(4'6-'3Œ0 )
∴ k=12 답 ②
실력 콕콕 본문 p. 80~81

437 ① 438 ③ 439 ④ 440 ② 441 ② 442 5


443 ② 444 ③ 445 ⑤ 446 ③ 447 32 448 ②
441
'5+'3 ('5+'3 )Û` 5+2'1Œ5+3
x= = = =4+'1Œ5
'5-'3 ('5-'3 )('5+'3 )
1 5-3
449 ④ 450 ④ 451 20 452 -1ÉmÉ 2
x-4='1Œ5

60 정답과 풀이
양변을 제곱하면 445
xÛ`-8x+16=15   ∴ xÛ`-8x=-1 yy ㉠ f(x)='Äax+b+c (x¾0)라 하면  f{x}= ax+b+c{x 0}
∴ xÜ`-9xÛ`+9x+12=x(xÛ`-8x)-(xÛ`-8x)+x+12 a>0, b>0일 때, 함수
=-x-(-1)+x+12`(∵ ㉠) f(x)='Äax+b+c (x¾0)의 그래프는 {0, 2}

=13  답 ‌② 오른쪽 그림과 같고, 최솟값이 2이므로


f(0)=2이다. b 0
--
a
즉, f(0)="b+c=2  
∴ "b=2-c
이때, "b=2-c>0이므로
442 c<2이고 b=(2-c)Û`
1 2+'3 따라서
= =2+'3이고
2-'3 (2-'3 )(2+'3 )
b+cÛ`=(2-c)Û`+cÛ`=2cÛ`-4c+4
1<'3 <2이므로 3<2+'3<4
=2(c-1)Û`+2
1
따라서 의 정수 부분은 3, 소수 부분은 이므로 b+cÛ`은 c=1, b=1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답 ‌⑤
2-'3
(2+'3 )-3='3-1
∴ a=3, b='3-1
a-b  3-('3-1 ) 446
a+b = 3+('3-1) 

함수 y=x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b, c, d, e, k의 값을 x축, y축 위에 나
4-'3 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
2+'3 
y
(4-'3 )(2-'3 ) y=x
=
(2+'3)(2-'3) 
a y= x
=11-6'3 b
k
=p+q'3 c
이때, p, q가 유리수이므로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d
p=11, q=-6 e
∴ p+q=11+(-6)=5 답 ‌5 O e d c kb x

따라서 'c=k이므로
kÛ`=c 답 ‌③

443
447
xÛ`=7+2'1Œ2, yÛ`=7-2'1Œ2이므로
함수 y='Ä2x+16="Ã2(x+8)의 그래프는 함수 y='Ä2x의 그래프를 x
xÛ`+yÛ`=14, xÛ`yÛ`=1
축의 방향으로 -8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 그림에서 빗금친 두
이때, x>0, y>0이므로 xy=1
부분의 넓이는 같다.
∴ (x+y)Û`=xÛ`+yÛ`+2xy=14+2_1=16
y
∴ x+y=4 (∵ x+y>0)
y= 2x+16
∴ xÜ`+yÜ`=(x+y)(xÛ`-xy+yÛ`)=4_(14-1)=52  답 ‌② y=4 4 y= 2x

-8 O 8 x

따라서 구하는 부분의 넓이는 네 점 (0, 0), (8, 0), (8, 4), (0, 4)를 꼭
짓점으로 하는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444 8_4=32 답 ‌32
함수 y="Ãax+b+c의 그래프는 y='¶ax (a>0)의 그래프를 x축의 방
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y="Ãa(x+2)-1 448
∴ y='Äax+2a-1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 y=f -1{x} y=x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므로 y=f ÑÚ`(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4 y=f{x}
1='¶2a-1, '¶2a=2 대칭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두 함수의 그
4 2
2a=4   ∴ a=2 래프의 교점은 함수 f(x)='Ä6x-8의 그래프 -
3
O
따라서 구하는 무리함수의 식은 `y='Ä2x+4-1이므로 와 직선 y=x의 교점과 같다. 4 2
-
4 x
3
a=2, b=4, c=-1 'Ä6x-8=x에서 xÛ`-6x+8=0
∴ a+b+c=2+4+(-1)=5 답 ‌③ (x-2)(x-4)=0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61


정답과 풀이

∴ x=2 또는 x=4 y
y=mx+1 {i}
따라서 두 교점의 좌표는 (2, 2), (4, 4)이고, 두 교점 사이의 거리는
"Ã(4-2)Û`+(4-2)Û`=2'2
y= 3x-3
답 ‌② 1
O 1 x

449 {ii}

( f½f½f )(2)=f( f( f(2)))  가

=f( f('2 ))  Ú 함수 y='Ä3x-3의 그래프와 직선 y=mx+1이 접할 때,


=f(8)  mx+1='Ä3x-3의 양변을 제곱하면
='8=2'2  답 ‌④ mÛ`xÛ`+2mx+1=3x-3
∴ mÛ`xÛ`+(2m-3)x+4=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2m-3)Û`-16mÛ`=0
450 4mÛ`+4m-3=0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2m+3)(2m-1)=0
a<0
2 1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 m=- 또는 m=
3 2
b 1
- 2a >0   ∴ b>0 그런데 위의 그림에서 m>0이므로 m=
2
원점을 지나므로 c=0 나
b
즉, y='Äax+b+c=¾Ða {x+ } 에서 y Û 직선 y=mx+1이 점 (1, 0)을 지날 때,
a
y=ÂaxÊ+˛b˛+c 0=m_1+1   ∴ m=-1
b
a<0, - a >0이므로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다
O b x Ú, Û에서 구하는 실수 m의 값의 범위는
그림과 같다. --
a
따라서 함수 y='Äax+b+c의 그래프의 개형으 1
-1ÉmÉ 2
로 알맞은 것은 ④이다. 답 ④‌

단계 채점 요소 비율
A;B+á의 의미를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
451 가
계로 설명하기
30 %

a('3-b'2 )+(b-6)'3+8'2 =0 나 직선과 무리함수의 그래프가 접할 때의 m의 값 구하기 30 %

a'3-ab'2+(b-6)'3+8'2 =0 다 직선이 점 (1, 0)을 지날 때의 m의 값 구하기 20 %


(a+b-6)'3+(8-ab)'2=0 라 A;B+á이 되는 실수 m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

1
 답 ‌-1ÉmÉ
이때, a+b-6, 8-ab가 유리수이므로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2
a+b-6=0, 8-ab=0
∴ a+b=6, ab=8

∴ aÛ`+bÛ`=(a+b)Û`-2ab
=6Û`-2_8
=20

단계 채점 요소 비율
가 주어진 식을 무리수로 묶어 정리하기 35 %

나 a, b에 대한 관계식 구하기 35 %

다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aÛ`+bÛ`의 값 구하기 30 %

 답 ‌20

452
A;B+á이므로 함수 y='Ä3x-3의 그래프와 직선 y=mx+1은 다음
그림과 같이 서로 만나야 한다.

62 정답과 풀이
III. 경우의 수 Ý 십의 자리의 숫자가 4인 경우 : 42의 1개
Ú~Ý에서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1+2+1+1=5
07 5

경우의 수와 순열
457
⑴ 양의 정수 x, y에 대하여 x+yÉ3을 만족시키는 x+y의 값은 2, 3이
개념 콕콕 본문 p. 85~86
므로 각각의 경우의 순서쌍 (x, y)는 다음과 같다.
Ú x+y=2일 때, (1, 1)의 1개
453
답 ⑴ 홀수의 눈이 나온다. ⑵ 3 Û x+y=3일 때, (1, 2), (2, 1)의 2개
Ú, Û에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순서쌍 (x, y)의 개수는
454 1+2=3
두 개의 주사위에서 나온 눈의 수를 각각 a, b라 하여 a, b의 순서쌍 ⑵ 음이 아닌 정수 x, y에 대하여 x+yÉ3을 만족시키는 x+y의 값은 0,
(a, b)로 각 경우를 나타내 보자. 1, 2, 3이므로 각각의 경우의 순서쌍 (x, y)는 다음과 같다.
⑴ 두 눈의 수의 합이 4가 되는 경우의 수는 Ú x+y=0일 때, (0, 0)의 1개
(1, 3), (2, 2), (3, 1)의 3 Û x+y=1일 때, (0, 1), (1, 0)의 2개
⑵ Ú 두 눈의 수의 합이 6이 되는 경우의 수는 Ü x+y=2일 때, (0, 2), (1, 1), (2, 0)의 3개
(1, 5), (2, 4), (3, 3), (4, 2), (5, 1)의 5 Ý x+y=3일 때, (0, 3), (1, 2), (2, 1), (3, 0)의 4개
Û 두 눈의 수의 합이 10이 되는 경우의 수는 Ú~Ý에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순서쌍 (x, y)의 개수는
(4, 6), (5, 5), (6, 4)의 3 1+2+3+4=10
Ú, Û에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답 ⑴ 3 ⑵ 10
5+3=8
⑶ Ú 두 눈의 수의 합이 10이 되는 경우의 수는 458
(4, 6), (5, 5), (6, 4)의 3 A → B로 가는 방법이 2가지이고, 그 각각에 대하여 B → C로 가는 방
Û 두 눈의 수의 합이 11이 되는 경우의 수는 법이 3가지이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2_3=6 답 6
(5, 6), (6, 5)의 2
Ü 두 눈의 수의 합이 12가 되는 경우의 수는 459
(6, 6)의 1 ⑴ (a+b)(x+y+z)에서 a, b 각각에 x, y, z가 곱해지므로 구하는 항

Ú~Ü에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의 개수는 2_3=6

3+2+1=6 ⑵ (a+b+c)(x+y+z)에서 a, b, c 각각에 x, y, z가 곱해지므로 구하

⑷ 두 눈의 수의 차가 2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는 항의 개수는 3_3=9

Ú a-b=2인 경우의 수는 ⑶ (a+b)(p+q)(x+y)에서 a, b 각각에 p, q가 곱해지고, 이들 각각

(3, 1), (4, 2), (5, 3), (6, 4)의 4 에 x, y가 곱해지므로 구하는 항의 개수는 2_2_2=8

Û b-a=2인 경우의 수는 답 ⑴6 ⑵9 ⑶8

(1, 3), (2, 4), (3, 5), (4, 6)의 4


Ú, Û에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460
⑴ 두 수의 곱이 홀수이려면 두 수가 모두 홀수이어야 한다.
4+4=8
이때, 주사위에서 홀수의 눈의 수는 1, 3, 5의 3가지이므로 구하는 경
답 ⑴3 ⑵8 ⑶6 ⑷8
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3_3=9
⑵ 십의 자리의 숫자가 될 수 있는 수 중에서 홀수인 것은 1, 3, 5, 7, 9의
455
⑴ 1부터 50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7의 배수는 7개, 11의 배수는 4개이 5가지, 일의 자리의 숫자가 될 수 있는 수 중에서 홀수인 것은 1, 3, 5,
고, 7과 11의 최소공배수인 77의 배수는 없으므로 합의 법칙에 의하 7, 9의 5가지이다.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여 구하는 개수는 5_5=25
7+4=11 답 ⑴ 9 ⑵ 25
⑵ 1부터 50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3의 배수는 16개, 4의 배수는 12개이
고, 3과 4의 최소공배수인 12의 배수는 4개이므로 합의 법칙에 의하 461
여 구하는 개수는 ⑴ 24의 양의 약수는 1, 2, 22, 23, 24의 5개

16+12-4=24 32의 양의 약수는 1, 3, 32의 3개

답 ⑴ 11 ⑵ 24 이 중에서 각각 하나씩 택하여 곱한 수는 모두 24_32의 양의 약수가


되므로 구하는 양의 약수의 개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456 5_3=15
3의 배수이려면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이 3의 배수이어야 한다. ⑵ 120을 소인수분해하면 23_3_5
Ú 십의 자리의 숫자가 1인 경우 : 12의 1개 23의 양의 약수는 1, 2, 22, 23의 4개
Û 십의 자리의 숫자가 2인 경우 : 21, 24의 2개 3의 양의 약수는 1, 3의 2개
Ü 십의 자리의 숫자가 3인 경우 : 30의 1개 5의 양의 약수는 1, 5의 2개

07. 경우의 수와 순열 63
정답과 풀이

이 중에서 각각 하나씩 택하여 곱한 수는 모두 120의 양의 약수가 되 ⑶ 5Pr=60=5_4_3이므로


므로 구하는 양의 약수의 개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r=3
4_2_2=16 ⑷ nPn=n!이고 24=4_3_2_1이므로
⑶ 210을 소인수분해하면 2_3_5_7 n!=4_3_2_1
2의 양의 약수는 1, 2의 2개 ∴ n=4
3의 양의 약수는 1, 3의 2개  답 ‌⑴ 1 ⑵ 6 ⑶ 3 ⑷ 4
5의 양의 약수는 1, 5의 2개
7의 양의 약수는 1, 7의 2개 466
이 중에서 각각 하나씩 택하여 곱한 수는 모두 210의 양의 약수가 되 ⑴ 5P3=5_4_3=60
므로 구하는 양의 약수의 개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⑵ 5!=5_4_3_2_1=120
2_2_2_2=16  답 ‌⑴ 60 ⑵ 120
 답 ‌⑴ 15 ⑵ 16 ⑶ 16

467
462 20명의 학생 중에서 2명을 택하는 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⑴ 100원짜리 동전을 지불하는 방법은 0개, 1개의 2가지
20 P2=20_19=380 답 ‌380
50원짜리 동전을 지불하는 방법은 0개, 1개, 2개의 3가지
10원짜리 동전을 지불하는 방법은 0개, 1개, 2개, 3개, 4개의 5가지
이때, 0원을 지불하는 것은 제외하므로 지불하는 방법의 수는
468
A, B, C, D, E에서 E를 제외한 4개의 문자 A, B, C, D 중에서 2개를
2_3_5-1=29
뽑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⑵ ‌100원짜리 동전 1개와 50원짜리 동전 2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이
4 P2=4_3=12 답 ‌12
100원으로 같으므로 100원짜리 동전 1개를 50원짜리 동전 2개로 바
꾸어 생각하면 구하는 금액의 수는 50원짜리 동전 4개와 10원짜리 동
전 4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수와 같다. 469
⑴ 여학생 2명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여 4명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50원짜리 동전 4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4!=4_3_2_1=24
0원, 50원, 100원, 150원, 200원의 5가지
그 각각에 대하여 여학생 2명이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2!=2
10원짜리 동전 4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0원, 10원, 20원, 30원, 40원의 5가지
24_2=48
이때, 0원을 지불하는 경우는 제외하므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수는
⑵ ‌남학생 3명을 일렬로 세우고, 그 사이사이와 양 끝에 여학생 2명을 일
5_5-1=24
렬로 세워야 한다.
 답 ‌⑴ 29 ⑵ 24
남학생 3명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3!=6
남학생 사이사이와 양 끝의 4개의 자리에 여학생 2명을 일렬로 세우는
463
경우의 수는
A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5가지
4 P2=4_3=12
B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A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C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B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6_12=72
D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C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답 ‌⑴ 48 ⑵ 72
E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D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5_4_4_4_4=1280 답 ‌1280 470
부모 사이에 자녀 두 명 중 적어도 한 명이 서게 되는 경우의 수는 전체
경우의 수에서 부모 사이에 자녀가 한 명도 서지 않는 경우의 수를 빼면
464
⑴ 6P1=6 된다.

⑵ 5P3=5_4_3=60 부모 사이에 자녀가 한 명도 서지 않는 경우는 부모가 이웃한 경우이므로

⑶ 6P0=1 부모를 한 묶음으로 생각하면

⑷ 5P5=5!=5_4_3_2_1=120 3!_2!=6_2=12

 답 ‌⑴ 6 ⑵ 60 ⑶ 1 ⑷ 120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12=24-12=12 답 ‌12

465
⑴ 10Pr=10이므로 r=1 471
⑵ nP3=n(n-1)(n-2)이므로 A , B 의 꼴인 문자열의 개수는 2_2!=4
n(n-1)(n-2)=120=6_5_4 따라서 CAB는 C   의 첫 번째 문자열이므로 5번째에 오는 문자열
∴ n=6 이다. 답 ‌5번째

64 정답과 풀이
유형 콕콕 본문 p. 87~93 (1, 3), (2, 4), (3, 5), (4, 6), (5, 7), (6, 8),
(3, 1), (4, 2), (5, 3), (6, 4), (7, 5), (8, 6)의 12개
472 ⑤ 473 ③ 474 34 475 ③ 476 ② 477 ④
Ú~Ü에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478 ⑤ 479 ⑤ 480 ③ 481 ① 482 ③ 483 34
8+14+12=34 답 34
484 ① 485 ③ 486 ② 487 ⑤ 488 ⑤ 489 ⑤
490 ④ 491 ③ 492 40 493 ④ 494 ④ 495 ④
496 ③ 497 ③ 498 22 499 ④ 500 48 501 ⑤ 475
집합 A={1, 2, 3, 4, 5}의 원소의 개수는 5이고, 집합 B={2, 4, 6, 8}
502 ④ 503 ② 504 144 505 ② 506 ④ 507 5
의 원소의 개수는 4이므로 곱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순서쌍의 개수는
508 ⑤ 509 ① 510 24 511 ⑤ 512 ③ 513 ①
5_4=20 답 ③

472
세 번 던져서 나온 눈의 수를 각각 a, b, c라 하여 a, b, c의 순서쌍 476
(a, b, c)로 나타내면 십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Ú 눈의 수의 합이 15가 되는 경우 1, 3, 5, 7, 9의 5개
(3, 6, 6), (4, 5, 6), (4, 6, 5), (5, 4, 6), (5, 5, 5), 일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5, 6, 4), (6, 3, 6), (6, 4, 5), (6, 5, 4), (6, 6, 3)의 10가지 1, 2, 3, 6의 4개

Û 눈의 수의 합이 16이 되는 경우 따라서 곱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4, 6, 6), (5, 5, 6), (5, 6, 5), (6, 4, 6), (6, 5, 5), 5_4=20 답 ②

(6, 6, 4)의 6가지


Ü 눈의 수의 합이 17이 되는 경우 477
(5, 6, 6), (6, 5, 6), (6, 6, 5)의 3가지 다음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보자.
Ý 눈의 수의 합이 18이 되는 경우 Ú 십의 자리의 숫자는 홀수이고, 일의 자리의 숫자는 짝수인 경우
(6, 6, 6)의 1가지 십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1, 3, 5, 7, 9의 5개이고, 일의 자리에
Ú~Ý에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올 수 있는 숫자는 0, 2, 4, 6, 8의 5개이므로
10+6+3+1=20 답 ⑤ 5_5=25
Û 십의 자리의 숫자는 짝수이고, 일의 자리의 숫자는 홀수인 경우
473 십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2, 4, 6, 8의 4개이고, 일의 자리에 올
100을 소인수분해하면 수 있는 숫자는 1, 3, 5, 7, 9의 5개이므로
100=22_52 4_5=20
이때, 100의 소인수가 2, 5이므로 100과 서로소인 자연수는 2의 배수도 Ú, Û에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아니고 5의 배수도 아닌 수이다. 25+20=45 답 ④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2의 배수의 집합을 A, 5의 배수의 집합
을 B라 하면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478
n(AC;BC)=n((A'B)C)=100-n(A'B) Ú A → B → C → D로 가는 방법의 수는 2_3_2=12
이때, n(A)=50, n(B)=20이고 Û A → C → B → D로 가는 방법의 수는 1_3_1=3
집합 A;B는 2와 5의 공배수, 즉 10의 배수의 집합이므로 Ú, Û에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의 수는
n(A;B)=10 12+3=15 답 ⑤
∴ n(A'B)=n(A)+n(B)-n(A;B)
=50+20-10=60
479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A도시에서 B도시로 가는 방법의 수는 2
n(AC;BC)=100-60=40 답 ③ B도시에서 C도시로 가는 방법의 수는 3
C도시에서 D도시로 가는 방법의 수는 2
474 따라서 곱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의 수는
꺼낸 두 개의 공에 적힌 수를 각각 a, b라 하여 각 경우를 a, b의 순서쌍 2_3_2=12 답 ⑤
(a, b)로 나타내 보자.
Ú |a-b|=0일 때, 순서쌍 (a, b)는 480
(1, 1), (2, 2), (3, 3), (4, 4), (5, 5), (6, 6), (7, 7), (8, 8)의 A지점에서 출발하여 C지점을 거쳐 다시 A지점으로 돌아오는데 B지점
8개 을 한 번만 거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Û |a-b|=1일 때, 순서쌍 (a, b)는 Ú A → B → C → A로 가는 방법의 수는 3_2_2=12
(1, 2), (2, 3), (3, 4), (4, 5), (5, 6), (6, 7), (7, 8), Û A → C → B → A로 가는 방법의 수는 2_2_3=12
(2, 1), (3, 2), (4, 3), (5, 4), (6, 5), (7, 6), (8, 7)의 14개 Ú, Û에서 합의 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의 수는
Ü |a-b|=2일 때, 순서쌍 (a, b)는 12+12=24 답 ③

07. 경우의 수와 순열 65
정답과 풀이

481 1000원짜리 지폐 45장으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240과 180의 최대공약수는 60이므로 240과 180의 양의 공약수의 개수 0원, 1000원, 2000원, y, 45000원의 46가지
는 60의 양의 약수의 개수와 같다. 이때, 0원을 지불하는 경우는 제외하므로
2
이때, 60을 소인수분해하면 60=2 _3_5이므로 양의 약수의 개수는 b=46-1=45
(2+1)(1+1)(1+1)=12 Ú, Û에서
따라서 구하는 양의 공약수의 개수는 12이다. 답 ‌① a-b=71-45=26
 답 ‌①
482
22_3a의 양의 약수의 총합은
485
(1+2+22)(1+3+y+3a)=280이므로 100원짜리 동전 4개로 지불하는 방법은 0개, 1개, 2개, 3개, 4개의 5가지
1+3+y+3a=40 50원짜리 동전 3개로 지불하는 방법은 0개, 1개, 2개, 3개의 4가지
이때, 1+3+32+33=40이므로 a=3 답 ‌③ 10원짜리 동전 2개로 지불하는 방법은 0개, 1개, 2개의 3가지
이때, 0원을 지불하는 경우는 제외하므로
483
5_4_3-1=59  답 ‌③
540=22_33_5이므로 540의 양의 약수의 개수는
(2+1)(3+1)(1+1)=24

486
3
500원짜리 동전 1개로 지불하는 금액과 100원짜리 동전 5개로 지불하는
이 중 짝수가 아닌 약수는 3 _5의 약수이므로 그 개수는
금액이 500원으로 같으므로 500원짜리 동전 3개를 100원짜리 동전 15개
(3+1)(1+1)=8   ∴ m=24-8=16
로 바꾸어 생각하면 구하는 금액의 수는 100원짜리 동전 20개와 50원짜리

2
동전 2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수와 같다.
또한 3의 배수가 아닌 약수는 2 _5의 약수이므로 그 개수는
또한 100원짜리 동전 1개로 지불하는 금액과 50원짜리 동전 2개로 지불
(2+1)(1+1)=6   ∴ n=24-6=18
하는 금액이 100원으로 같으므로 100원짜리 동전 20개를 50원짜리 동전

40개로 바꾸어 생각하면 구하는 금액의 수는 50원짜리 동전 42개의 일부
∴ m+n=16+18=34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수와 같다.

50원짜리 동전 42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단계 채점 요소 비율
0원, 50원, 100원, y, 2100원의 43가지
가 540의 양의 약수의 개수 구하기 30 %
이때, 0원을 지불하는 경우는 제외하므로
나 m의 값 구하기 30 %
43-1=42 답 ‌②
다 n의 값 구하기 30 %

라 m+n의 값 구하기 10 % 487


 답 ‌34 A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5가지
B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A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484 C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A, B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Ú 지불하는 방법의 수 D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A, C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10000원짜리 지폐 3장으로 지불하는 방법은 E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A, D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0장, 1장, 2장, 3장의 4가지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5000원짜리 지폐 2장으로 지불하는 방법은 5_4_3_3_3=540 답 ‌⑤
0장, 1장, 2장의 3가지
1000원짜리 지폐 5장으로 지불하는 방법은
488
0장, 1장, 2장, 3장, 4장, 5장의 6가지 A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5가지
이때, 0원을 지불하는 것은 제외하므로 C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A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a=4_3_6-1=71 D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A, C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Û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수 B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C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10000원짜리 지폐 1장으로 지불하는 금액과 5000원짜리 지폐 2장으 E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D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로 지불하는 금액이 10000원으로 같으므로 10000원짜리 지폐 3장을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5000원짜리 지폐 6장으로 바꾸어 생각하면 구하는 금액의 수는 5000 5_4_3_4_4=960 답 ‌⑤
원짜리 지폐 8장, 1000원짜리 지폐 5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수와 같다. 489
‌또한 5000원짜리 지폐 1장으로 지불하는 금액과 1000원짜리 지폐 5 Ú ‌B, D영역에 같은 색을 칠하는 경우
장으로 지불하는 금액이 5000원으로 같으므로 5000원짜리 지폐 8장 B, D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4가지, A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을 1000원짜리 지폐 40장으로 바꾸어 생각하면 구하는 금액의 수는 B(D)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C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1000원짜리 지폐 45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지불할 수 있는 B(D)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이므로 방법의 수는 
금액의 수와 같다. 4_3_3=36

66 정답과 풀이
Û ‌B, D영역에 다른 색을 칠하는 경우 Ú~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B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4가지, D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B영 12+16+12=40
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A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B, D영역 라

에 칠한 색을 제외한 2가지, C에 칠할 수 있는 색은 B, D영역에 칠한 단계 채점 요소 비율


색을 제외한 2가지이므로 방법의 수는  가 s와 e 사이에 r만 오도록 배열하는 경우의 수 구하기 30 %
4_3_2_2=48 s와 e 사이에 r와 다른 알파벳 하나가 오도록 배열하는 경우
나 30 %
의 수 구하기
Ú, Û에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s와 e 사이에 r와 다른 알파벳 2개가 오도록 배열하는 경우의
36+48=84 답 ‌⑤ 다
수 구하기
30 %

라 경우의 수 구하기 10 %

 답 ‌40
490
남자 3명, 여자 3명, 즉 6명이 한 줄로 서는 경우의 수는
a=6!=720 493
또한 여자 3명 중 2명이 양 끝에 서는 경우의 수는 3P2=6이고, 그 각각 Ú ‌백의 자리에는 0이 올 수 없으므로 백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1,
에 대하여 나머지 4명이 한 줄로 서는 경우의 수는 4!=24이므로 2, 3, 4, 5, 6의 6가지이고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에는 남은 6개의 숫
b=6_24=144 자 중에서 2개의 숫자가 올 수 있으므로 6P2=30
∴ a-b=720-144=576 답 ‌④ 따라서 세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6_30=180
Û 양쪽 끝에 모두 홀수가 오는 경우는 3P2=6이고,

491 가운데 자리에는 양쪽 끝에 온 홀수를 제외한 숫자가 올 수 있으므로


자음은 p, r, m, s의 4개, 모음은 o, i, e의 3개이므로 자음과 모음이 교 5가지이다.
대로 오는 경우는 자음 4개를 일렬로 배열하고 그 사이사이에 모음 3개를 따라서 양쪽 끝이 모두 홀수인 세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배열하면 된다. 6_5=30
자음 4개를 일렬로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Ú, Û에서 적어도 한쪽 끝이 짝수인 자연수의 개수는
4!=24 180-30=150 답 ‌④
자음 사이사이에 모음 3개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3!=6
494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짝수이려면 일의 자리의 숫자가 0 또는 2이어야 한다.
24_6=144 답 ‌③
Ú 일의 자리의 숫자가 0인 짝수의 개수
백의 자리와 십의 자리에는 0을 제외한 3개의 숫자 중에서 2개를 택
하여 일렬로 배열하면 되므로 3P2=6
492 Û 일의 자리의 숫자가 2인 짝수의 개수
Ú s와 e 사이에 r만 오도록 배열하는 경우 백의 자리에는 0과 2를 제외한 2개의 숫자가 올 수 있고, 십의 자리에
s, r, e를 한 묶음으로 생각하여 3개의 문자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는 백의 자리에 온 숫자와 2를 제외한 2개의 숫자가 올 수 있으므로
3!이고, 그 각각에 대하여 s, e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2!이므로 구
2_2=4
하는 경우의 수는
Ú, Û에서 구하는 짝수의 개수는
3!_2!=12
6+4=10 답 ‌④

Û s와 e 사이에 r와 다른 알파벳 하나가 오도록 배열하는 경우


s와 e 사이에 r와 u가 오도록 배열하는 경우는 s, r, u, e를 한 묶음으 495
로 생각하여 2개의 문자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2!이고, 그 각각에 천의 자리의 숫자와 일의 자리의 숫자가 모두 홀수인 경우의 수는 홀수

대하여 s, e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2!이고, 그 각각에 대하여 r, u 3, 5 중에서 2개를 택하여 배열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2P2=2

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2!이므로 2!_2!_2!=8 백의 자리와 십의 자리에 남은 3개의 숫자 0, 2, 4 중에서 2개를 택하여

이때, s와 e 사이에 r와 p가 오도록 배열하는 경우도 마찬가지 방법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3P2=6

로 8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네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8+8=16 2_6=12  답 ‌④

Ü s와 e 사이에 r와 다른 알파벳 2개가 오도록 배열하는 경우


496
s, e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2!이고, r, u, p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5의 배수이려면 일의 자리의 숫자가 0 또는 5이어야 한다.
3!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Ú 일의 자리의 숫자가 0인 5의 배수의 개수
2!_3!=12 0을 제외한 6개의 숫자 중 2개를 택하여 일렬로 나열하는 방법의 수
다 와 같으므로 6P2=30

07. 경우의 수와 순열 67
정답과 풀이

Û 일의 자리의 숫자가 5인 5의 배수의 개수 단계 채점 요소 비율


백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0과 5를 제외한 5가지이고, 십의 자리 가 4의 배수가 되는 경우 나누기 30 %
에 올 수 있는 숫자는 백의 자리에 온 숫자와 5를 제외한 5가지이므로 나 각각의 경우의 수 구하기 50 %
5_5=25 다 3의 배수이면서 4의 배수가 되는 경우의 수 구하기 20 %
Ú, Û에서 구하는 5의 배수의 개수는
 답 ‌22
30+25=55 답 ‌③

499
남학생 3명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여 5명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5!=120
497 남학생 3명이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3!=6
3의 배수이려면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이 3의 배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이때, 5개의 숫자 0, 1, 2, 3, 4에서 서로 다른 3개를 택하여 그 합이 3의
120_6=720 답 ‌④
배수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0, 1, 2 또는 0, 2, 4 또는 1, 2, 3 또는 2, 3, 4
Ú 0, 1, 2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500
W와 T를 한 문자로 생각하여 4개의 문자를 일렬로 배열하는 방법의 수
2_2!=4
는 4!=24
Û 0, 2, 4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W와 T의 자리를 바꾸는 방법의 수는 2!=2
2_2!=4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Ü 1, 2, 3으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24_2=48 답 ‌48
3!=6
Ý 2, 3, 4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3!=6 501
Ú~Ý에서 구하는 3의 배수의 개수는 여학생 3명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여 (n+1)명을 일렬로 세우는 방법의

4+4+6+6=20 답 ‌③ 수는 (n+1)!


여학생 3명이 자리를 바꾸는 방법의 수는 3!=6
즉, (n+1)!_6=144이므로 (n+1)!=24=4!
n+1=4   ∴ n=3
따라서 남학생 3명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여 4명을 일렬로 세우는 방법의
498
수는 4!=24
4의 배수가 되려면 끝의 두 자리의 수가 4의 배수이어야 하므로 다음의
남학생 3명이 자리를 바꾸는 방법의 수는 3!=6
7가지의 경우로 나누고, 그 각각의 경우에서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이 3의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배수가 되는 경우를 구한다.

24_6=144 답 ‌⑤

Ú 끝의 두 자리의 수가 04일 때
2, 3 또는 3, 5를 일렬로 나열하면 되므로 2!+2!=4 502
Û 끝의 두 자리의 수가 12일 때 국어책 3권과 영어책 1권을 책꽂이에 일렬로 꽂는 방법의 수는 4!=24

앞의 두 자리의 수가 30이거나 4, 5를 일렬로 나열하면 되므로 국어책과 영어책 사이사이와 양 끝의 5개의 자리에 수학책 3권을 꽂는 방

1+2!=3 법의 수는 5P3=60

Ü 끝의 두 자리의 수가 20일 때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1, 3 또는 3, 4를 일렬로 나열하면 되므로 2!+2!=4 24_60=1440 답 ‌④

Ý 끝의 두 자리의 수가 24일 때
앞의 두 자리의 수가 30이거나 1, 5를 일렬로 나열하면 되므로 503
1+2!=3 여학생을 일렬로 세우는 방법의 수는 3!=6
Þ 끝의 두 자리의 수가 32일 때 여학생들 사이사이에 남학생 2명을 세우는 방법의 수는 2!=2
앞의 두 자리의 수가 10이거나 40이면 되므로 2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ß 끝의 두 자리의 수가 40일 때 6_2=12  답 ‌②
2, 3 또는 3, 5를 일렬로 나열하면 되므로 2!+2!=4
à 끝의 두 자리의 수가 52일 때 504
1, 4를 일렬로 나열하면 되므로 2!=2 A와 B를 한 문자로 생각하여 3개의 문자 AB, C, E를 일렬로 나열하는
나 경우의 수는 3!=6
Ú~à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A와 B가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2!=2
4+3+4+3+2+4+2=22 그 사이사이와 양 끝의 4개의 자리 중 2개의 자리에 AB C E
다 D, F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4P2=12

68 정답과 풀이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509
6_2_12=144 답 144 f(3)=1이므로 구하는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집합 X의 원소 2, 3, 4에서
서로 다른 3개를 뽑아 1, 2, 4에 대응시키는 순열의 수와 같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f 의 개수는
505 P3=3_2_1=6
3
답 ①
picture의 7개의 문자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7!=5040
모음 i, u, e 중 어느 것도 이웃하지 않는 경우의 p c t r 510
수는 자음 p, c, t, r의 4개의 문자를 일렬로 나열 f(1)¾1을 만족시키면서 정의역 A의 원소 1에 대 f
A A
한 다음 그 사이사이와 양 끝의 5개의 자리 중 3개의 자리에 모음 3개를 응될 수 있는 공역 A의 원소는 1, 2, 3, 4의 4개이 1 1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이므로 다. 2 2
4!_5P3=1440 3 3
f(2)¾2를 만족시키면서 정의역 A의 원소 2에 대
4 4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모음이 이웃하는 경우의 수는 응될 수 있는 공역 A의 원소는 2, 3, 4의 3개이다.
5040-1440=3600 답 ② f(3)¾3을 만족시키면서 정의역 A의 원소 3에 대응될 수 있는 공역 A
의 원소는 3, 4의 2개이다.
f(4)¾4를 만족시키면서 정의역 A의 원소 4에 대응될 수 있는 공역 A
506 의 원소는 4의 1개이다.
problem의 7개의 문자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7!=5040 따라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양 끝에 자음인 p, r, b, l, m의 5개의 문자 중에서 2개를 나열하는 경우
4_3_2_1=24 답 24
의 수는 5P2=20
가운데에 나머지 5개의 문자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511
5!=120
246보다 큰 세 자리의 자연수는
이므로 양 끝에 모두 자음이 오는 경우의 수는
25 , 26 , 3 , 4 , 5 , 6  
20_120=2400
의 꼴의 수이다.
따라서 적어도 한쪽 끝에 모음이 오는 경우의 수는
Ú 25 일 때, 일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0, 1, 3, 4, 6의 5개
5040-2400=2640 답 ④
Û 26 일 때, 일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0, 1, 3, 4, 5의 5개
Ü 3 , 4 , 5 , 6 일 때, 백의 자리의 숫자를 제외한 6개
의 숫자 중에서 2개를 택하여 나열하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507 4_6P2=120
6개의 자연수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6!=720
Ú~Ü에서 구하는 수의 개수는

5+5+120=130 답 ⑤
짝수의 개수를 n이라 하면 양 끝에 짝수가 오는 경우의 수는 짝수 n개 중
에서 2개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가 nP2=n(n-1)이고 가운데에 나머지
4개의 숫자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가 4!=24이므로
512
Ú A , B , C  , D    의 꼴인 문자
n(n-1)_24=24n(n-1)
열의 개수는 4_4!=96
이때, 적어도 한쪽 끝에 홀수가 오는 경우의 수가 240이므로
Û EAB 의 꼴인 문자열의 개수는 2!=2
720-24n(n-1)=240
Ú, Û에서 EACBD는 99번째, EACDB는 100번째에 오는 문자열이

다. 답 ③
24n(n-1)=480, n(n-1)=20=5_4
∴ n=5
따라서 짝수의 개수는 5이다.
513
1 의 꼴인 자연수의 개수는 4!=24

20 , 21 의 꼴인 자연수의 개수는 2_3!=12
단계 채점 요소 비율 따라서 구하는 수는 23 의 꼴인 수 중 세 번째로 오는 수이다.
가 6개의 자연수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 구하기 20 % 23014, 23041, 23104, y
나 문제의 조건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60 % 이므로 구하는 수는 23104이다. 답 ①
다 짝수의 개수 구하기 20 %

답 5

실력 콕콕 본문 p. 94~95

508 514 33 515 ① 516 72 517 ④ 518 ② 519 ③


구하는 일대일함수의 개수는 집합 Y의 원소 1, 3, 5, 7에서 서로 다른 3
520 ③ 521 ⑤ 522 16 523 ④ 524 13 525 ③
개를 택하는 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526 1728 527 ① 528 12 529 657
4 P3=4_3_2=24 답 ⑤

07. 경우의 수와 순열 69
정답과 풀이

514 (2+1)(2+1)(1+1)=18
36=22_32이므로 36과 서로소인 자연수는 2의 배수도 아니고 3의 배수 이 중 3의 배수가 아닌 약수는 2Û`_5의 양의 약수이므로 그 개수는
도 아니다. (2+1)(1+1)=6
100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2의 배수는 50개, 3의 배수는 33개, 2와 3의 따라서 구하는 3의 배수의 개수는
최소공배수인 6의 배수는 16개이므로 2의 배수 또는 3의 배수의 개수는 18-6=12 답 ‌②
50+33-16=67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519
100-67=33 답 ‌33 500원, 1000원, 2000원짜리의 공책을 각각 x권, y권, z권씩 산다고 하면
500x+1000y+2000z=7000
yy ㉠
515 ∴ x+2y+4z=14`(단, x¾1, y¾1, z¾1)
각 자리에 3을 제외하고 들어갈 수 있는 숫자는 9개이므로 만들 수 있는 Ú z=1일 때, ㉠에서 x+2y=10이므로 x, y의 순서쌍 (x, y)는
1000 미만의 자연수의 개수는 (8, 1), (6, 2), (4, 3), (2, 4)의 4개
9_9_9=729 Û z=2일 때, ㉠에서 x+2y=6이므로 x, y의 순서쌍 (x, y)는
세 자리의 숫자가 모두 0인 경우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외하면 구 (4, 1), (2, 2)의 2개
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Ú, Û에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729-1=728 답 ‌① 4+2=6 답 ‌③

516 520
Ú 4[A][B]의 꼴일 때
500원, 100원, 50원짜리 동전을 각각 x개, y개, z개씩 사용한다고 하면
B에는 0, 2, 6, 8의 4개, A에는 4와 B에 들어간 숫자를 제외한 8개가
500x+100y+50z=1000
들어갈 수 있으므로
∴ 10x+2y+z=20`(단, x¾0, y¾0, z¾0) yy ㉠
4_8=32
Ú x=0일 때, ㉠에서 2y+z=20이므로 x, y, z의 순서쌍 (x, y, z)는
Û 5[A][B]의 꼴일 때
(0, 10, 0), (0, 9, 2), (0, 8, 4), y, (0, 1, 18), (0, 0, 20)
B에는 0, 2, 4, 6, 8의 5개, A에는 5와 B에 들어간 숫자를 제외한 8
의 11개
개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Û x=1일 때, ㉠에서 2y+z=10이므로 x, y, z의 순서쌍 (x, y, z)는
5_8=40
(1, 5, 0), (1, 4, 2), (1, 3, 4), (1, 2, 6), (1, 1, 8), (1, 0, 10)
Ú, Û에서 구하는 수의 개수는
의 6개
32+40=72  답 ‌72
Ü x=2일 때, ㉠에서 2y+z=0이므로 x, y, z의 순서쌍 (x, y, z)는
(2, 0, 0)의 1개
517 Ú~Ü에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Ú ‌A지역에 있는 놀이기구를 처음으로 이용하는 경우를 수형도로 나타
11+6+1=18  답 ‌③
내면 다음과 같다.
2 C
B
2
A
3 D 521
2 2 B 치역의 모든 원소의 합이 2인 경우는 다음 두 가지 경우가 있다.
C
1 D Ú 치역이 {2}인 함수의 개수는 1이다.
이때, 코스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Û ‌치역이 {0, 2}인 함수의 개수는 공역이 {0, 2}인 함수의 개수에서 치
2_2+2_3+2_2+2_1=16 역이 {0} 또는 {2}인 함수의 개수를 뺀 것과 같으므로
Û ‌B지역에 있는 놀이기구를 처음으로 이용하는 경우를 수형도로 나타 25-2=30
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A
2
C
1+30=31 답 ‌⑤
2
2 A
2
B C
1 D
3
1
522
D C Ú 1번 방에서 출발하는 경우는 다음 그림과 같이`3가지의 경우가 있다.
이때, 코스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1 2 3 1 2 3 1 2 3
2_2+2_2+2_1+3_1=13
Ú, Û에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6 5 4 6 5 4 6 5 4
16+13=29  답 ‌④
‌같은 방법으로 3번, 4번, 6번 방에서 출발하는 경우도 3가지씩 있으
518 므로
180을 소인수분해하면 180=22_32_5이므로 3_4=12
180의 양의 약수의 개수는 Û 2번 방에서 출발하는 경우는 다음 그림과 같이`2가지의 경우가 있다.

70 정답과 풀이
1 2 3 1 2 3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6_6_2_24=1728  답 ‌1728

6 5 4 6 5 4
527
같은 방법으로 5번 방에서 출발하는 경우도 2가지의 경우가 있으므로
Ú 1   , 2   , 3   의 꼴인 자연수의 개수는
2_2=4
3_4!=72
Ú, Û에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Û 41 , 42 의 꼴인 자연수의 개수는
12+4=16 답 ‌16 2_3!=12
Ü 431 의 꼴인 자연수의 개수는

523 2!=2
영역 A에 칠할 수 있는 색은 5가지, 영역 B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영역 A Ú~Ü에서 43215는 87번째에 오는 수이다. 답 ‌①
에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영역 C에 칠할 수 있는 색은 두 영역 A, B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이다. 528
Ú ‌영역 B와 영역 D에 다른 색을 칠하는 경우 A, B는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C, D, E도 서로 직접 연결되어
영역 D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세 영역 A, B, C에 칠한 색을 제외한 2 있지 않으므로 도시를 여행하는 순서는 A, B와 C, D, E가 교대로 나타
가지, 영역 E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세 영역 A, B, D에 칠한 색을 제 나야 한다.
외한 2가지이므로 방법의 수는  가

5_4_3_2_2=240 Ú C, D, E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3!=6


Û ‌영역 B와 영역 D에 같은 색을 칠하는 경우 Û C, D, E의 사이사이에 A, B를 넣는 경우의 수는 2P2=2
영역 D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영역 B에 칠한 색과 같은 색이므로 1가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지, 영역 E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영역 A와 영역 B(D)에 칠한 색을 6_2=12
제외한 3가지이므로 방법의 수는 나

5_4_3_1_3=180
단계 채점 요소 비율
Ú, Û에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가 도시를 여행하는 순서 파악하기 40 %
240+180=420 답 ‌④
나 경우의 수 구하기 60 %

 답 ‌12
524
조건 ㈎, ㈏, ㈐를 만족시키는 세 자리의 자연수는 다음과 같다.
529
Ú 백의 자리의 숫자가 1인 경우 1부터 999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말하는 수는 3, 6, 9를 제외한 7개의 숫
131, 132, 133의 3가지 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개수는
Û ‌백의 자리의 숫자가 2인 경우 7_7_7=343
213, 231, 232, 233의 4가지 그중 0은 제외되므로
Ü ‌백의 자리의 숫자가 3인 경우 343-1=342
313, 321, 323, 331, 332, 333의 6가지 가
Ú~Ü에서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따라서 말하지 않는 수의 개수는
3+4+6=13 답 ‌13 999-342=657

525 단계 채점 요소 비율
일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2, 4의 2가지이다. 가 말하는 수의 개수 구하기 70 %
그 각각에 대하여 천의 자리, 백의 자리, 십의 자리에는 일의 자리에 사용 나 말하지 않는 수의 개수 구하기 30 %
한 숫자를 제외한 4개의 숫자에서 3개를 택하여 일렬로 배열하면 되므로
 답 ‌657
P3=4_3_2=24
4

따라서 구하는 짝수의 개수는


2_24=48  답 ‌③

526
같은 색 옷을 입은 사람들을 1명으로 생각하여 3명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
의 수는
3!=6
이때, 같은 색 옷을 입은 사람들끼리 서로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각각
3!=6, 2!=2, 4!=24

07. 경우의 수와 순열 71
정답과 풀이

III. 경우의 수
535
⑴ 1이 적힌 카드는 포함하므로 이미 선택되었다고 생각하고
08 조합
1이 적힌 카드를 제외한 2, 3, 4, 5가 적힌 카드 중에서 2장을 뽑는 방
법의 수는

개념 콕콕 4_3
본문 p. 97 C2= =6
4
2_1
⑵ 1이 적힌 카드는 포함하므로 이미 선택되었다고 생각하고, 2가 적힌
530
카드는 포함하지 않으므로 1, 2가 적힌 카드를 제외한 3, 4, 5가 적힌
⑴ 5C0=1
카드 중에서 2장을 뽑는 방법의 수는
6_5
⑵ 6C2= =15 C2=3C1=3
2_1 3

8_7_6 답 ⑴6 ⑵3
⑶ 8C5=8C3= =56
3_2_1
⑷ 10C9=10C1=10
536
답 ⑴ 1 ⑵ 15 ⑶ 56 ⑷ 10
a를 반드시 원소로 갖고 원소의 개수가 3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a를 제외
한 b, c, d, e 중에서 2개를 택하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531 C2=
4_3
=6 답 6
n(n-1)
4
2_1
⑴ nC2=10에서 =10
2_1
n(n-1)=20=5_4 ∴ n=5 537
⑵ nC3=nCn-3이므로 nCn-3=nC5 ⑴ 10개의 점으로 만들 수 있는 직선의 개수는
n-3=5 ∴ n=8 10_9
C2= =45
⑶ 10Cr=10C4-r에서
10
2_1
일직선 위에 있는 4개의 점 중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r=4-r ∴ r=2
5_4 5_4_3 4_3
⑷ 5C2+5C3= + =10+10=20 C2= =6
2_1 3_2_1
4
2_1
일직선 위에 있는 6개의 점 중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6_5_4
C3= =20이므로 r=3
6
3_2_1 6_5
C2= =15
6
2_1
다른 풀이
주어진 평행선 2개를 포함하면 구하는 직선의 개수는
⑷ n-1Cr+n-1Cr-1=nCr이므로
45-6-15+2=26
C2+5C3=6C3 ∴ r=3
5
⑵ 10개의 점으로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개수는
답 ⑴5 ⑵8 ⑶2 ⑷3
10_9_8
C3 = =120
10
3_2_1
일직선 위에 있는 4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532
6명의 사람이 서로 한 번씩 모두 악수를 한 총 횟수는 6명의 사람 중에서 4 C3=4C1=4

2명을 뽑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일직선 위에 있는 6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6_5 6_5_4
C2= =15 15 C3= =20
6
2_1
답 6
3_2_1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120-4-20=96
533 답 ⑴ 26 ⑵ 96
⑴ 9명 중에서 4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C4= 9_8_7_6 =126


9
4_3_2_1 538
구하는 평행사변형의 개수는
⑵ 남자 4명 중에서 2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4C2= 4_3 =6
2_1 C2_2C2=3C1_1=3 답 3
3

여자 5명 중에서 2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5C2= 5_4 =10


2_1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6_10=60
답 ⑴ 126 ⑵ 60 유형 콕콕 본문 p. 98~101

539 ④ 540 ⑤ 541 6명 542 ① 543 ② 544 ④


534 545 ③ 546 ④ 547 11 548 ⑤ 549 ⑤ 550 ④
남자 4명 중 2명, 여자 3명 중 1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각각 4C2, 3C1이
551 ③ 552 ③ 553 ④ 554 ④ 555 ③ 556 60
고, 뽑힌 3명을 순서대로 배열하는 방법의 수는 3!이므로
557 ③ 558 ① 559 ③ 560 45 561 ③ 562 22
구하는 방법의 수는 4C2_3C1_3!=6_3_6=108 답 108

72 정답과 풀이
539 544
2명의 성별이 같은 경우는 2명이 모두 남학생이거나 2명이 모두 여학생 8명 중에서 A, B를 포함하여 4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나머지 6명 중에서
인 경우이므로 2명만 뽑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Ú ‌2명이 모두 남학생인 경우의 수는 6_5
C2= =15
6
2_1
6_5
C2= =15 또한 뽑힌 4명을 일렬로 세울 때, A, B가 이웃하도록 세우는 방법의 수
6
2_1
Û ‌2명이 모두 여학생인 경우의 수는 는
5_4 3!_2!=12
C2= =10
5
2_1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5_12=180 답 ‌④
15+10=25 답 ‌④

545
8개의 팀 중에서 2개의 팀을 택하면 한 경기가 이루어지므로 구하는 경기
540 의 수는
두 수의 합이 짝수가 되는 경우는 8_7
C2= =28 답 ‌③
(홀수)+(홀수) 또는 (짝수)+(짝수) 8
2_1
Ú (홀수)+(홀수)인 경우
5개의 홀수 중 2개를 뽑는 경우의 수는 546
5_4 참석한 회원을 n명이라 하면 n명이 서로 한 번씩 악수하는 횟수는 n명
C2 = =10
5
2_1 중에서 2명을 택하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Û (짝수)+(짝수)인 경우 n(n-1)
C2= =780
4개의 짝수 중 2개를 뽑는 경우의 수는
n
2_1
n2-n-1560=0
4_3
4C2= =6
2_1 (n+39)(n-40)=0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n=40 (∵ n¾2)
10+6=16 답 ‌⑤ 따라서 참석한 회원 수는 40이다. 답 ‌④

547
541 10개의 팀이 모두 서로 한 번씩 시합하는 횟수는
여학생이 적어도 한 명은 포함되도록 뽑는 방법의 수는 8명 중에서 2명의 10_9
C2= =45
10
2_1
위원을 뽑는 방법의 수에서 2명의 위원 중 여학생이 한 명도 포함되지 않
그런데 시합한 횟수가 총 495이므로 10개의 팀 중 어느 두 팀이 서로 시
는, 즉 남학생만 2명을 뽑는 방법의 수를 뺀 것과 같다.
합한 경기의 수는
8명의 학생 중에서 2명의 위원을 뽑는 방법의 수는 8C2
495Ö45=11
남학생을 n명이라 하면 남학생만 2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nC2
따라서 두 팀 A, B가 서로 시합한 경기의 수도 11이다. 답 ‌11
∴ 8C2-nC2=13
8_7 n(n-1)
2_1
-
2_1
=13 548
2 원소의 개수가 7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집합 S의 10개의 원소 중에서 7개
n -n-30=0, (n+5)(n-6)=0
를 택하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 n=6 (∵ n>0)
따라서 구하는 남학생은 6명이다. 답 ‌6명 C7=10C3= 10_9_8 =120  답 ⑤
10
3_2_1

549
542 원소의 개수가 0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6C0=1
A는 선출되지 않고 B, C는 함께 선출되어야 하므로 남은 5명 중에서 2명 원소의 개수가 1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6C1=6
을 뽑는 경우의 수와 같다. 6_5
원소의 개수가 2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6C2= =15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_1

5_4 6_5_4
C2= =10 원소의 개수가 3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6C3= =20
5
2_1
답 ‌① 3_2_1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1+6+15+20=42 답 ‌⑤

543
크기가 가장 작은 공 1개를 선택하고 남은 9개의 공 중에서 2개를 선택하 550
전체집합 U={1, 2, 3, 4, 5}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면 되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n(A;B)=3이므로 전체집합 U의 5개의 원소 중에서 A;B에 들어갈
9_8
C2= =36 답 ‌②
9
2_1 3개의 원소를 뽑는 방법의 수는

08. 조합 73
정답과 풀이

5_4 Û 각 가로줄에서 선택한 세 수의 나머지의 합이 6일 때


C3=5C2= =10
5
2_1
3C1_2C1_3C1=3_2_3=18
이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전체집합의 남은 원소 U
A B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개가 들어갈 수 있는 곳은 오른쪽 그림의 ㉠, ㉠
12+18=30 답 ‌④
㉡, ㉢과 같이 3가지씩이므로 곱의 법칙에 의하 ㉡ ㉢

여 3_3=9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554
10_9=90 답 ‌④
6개의 자연수 중에서 3개를 택하여 a2>a4>a6을 만족시키도록 a2, a4,
a6을 정하는 방법의 수는
551 C3=
6_5_4
=20
6
3_2_1
1부터 18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4로 나눈 나머지가 r (r=0, 1, 2, 3)인
또한 나머지 3개의 숫자 중에서 2개를 택하여 a1>a5를 만족시키도록 a1,
수의 집합을 Ar라 하면
a5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A0={4, 8, 12, 16}, A1={1, 5, 9, 13, 17},
C2=3C1=3
A2={2, 6, 10, 14, 18}, A3={3, 7, 11, 15} 3

이고, 마지막에 남은 1개의 숫자를 a3으로 놓으면 된다.


이때, 두 수의 합이 4의 배수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경우가
따라서 구하는 배열의 개수는
있다.
20_3_1=60 답 ‌④
Ú (A0의 원소)+(A0의 원소)일 때
4_3
C2= =6
4
2_1
Û (A1의 원소)+(A3의 원소)일 때 555
5C1_4C1=5_4=20 x1<x2이면 f(x1)<f(x2)이므로 f(1)<f(2)<f(3)
Ü (A2의 원소)+(A2의 원소)일 때 즉, 집합 Y의 원소 1, 2, 3, 4 중에서 3개를 뽑아 작은 수부터 차례대로
5_4 f(1), f(2), f(3)에 대응시키면 되므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Y의 원소
C2= =10
5
2_1
4개 중에서 3개를 택하는 방법의 수와 같다.
Ú~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6+20+10=36 답 ‌③
4 C3=4C1=4 답 ‌③

552
1부터 30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3으로 나눈 나머지가 r (r=0, 1, 2)인 수 556
의 집합을 Ar라 하면 f(3)=6이고 x1<x2이면 f(x1)>f(x2)이므로
A0={3, 6, 9, y, 30}, A1={1, 4, 7, 10, y, 28}, 집합 Y의 원소 7, 8, 9, 10 중에서 2개를 뽑아 큰 수부터 차례대로
A2={2, 5, 8, y, 29} f(1), f(2)에 대응시키면 된다.
이때, 두 수의 합이 3의 배수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4_3
∴ 4C2= =6
2_1
있다.

Ú (A0의 원소)+(A0의 원소)일 때
또한 집합 Y의 원소 1, 2, 3, 4, 5 중에서 2개를 뽑아 큰 수부터 차례대로
10_9
C2= =45
10
2_1 f(4), f(5)에 대응시키면 된다.
Û (A1의 원소)+(A2의 원소)일 때 5_4
∴ 5C2= =10
2_1
10C1_10C1=10_10=100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6_10=60
45+100=145 답 ‌③

단계 채점 요소 비율
553
가 f(1), f(2)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 구하기 40 %
2의 거듭제곱의 지수가 짝수일 때는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이고, 홀수일
나 f(4), f(5)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 구하기 40 %
때는 3으로 나눈 나머지가 2이다.
다 함수의 개수 구하기 20 %
21 22 23 24 25
22 23 24 25 26  답 ‌60
3 4 5 6 7
2 2 2 2 2

이때, 각 가로줄에서 한 개씩 임의로 선택한 세 수의 합이 3의 배수인 경


우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다.
557
9개의 점 중에서 3개의 점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Ú 각 가로줄에서 선택한 세 수의 나머지의 합이 3일 때
9_8_7
C1_3C1_2C1=2_3_2=12 C3= =84
2
9
3_2_1

74 정답과 풀이
y 562
가로 방향의 직선 중에서 2개, 세로 방향의 직선 중에서 2개를 선택하면
9
하나의 직사각형이 결정되므로 직사각형의 개수는
6
C2_4C2=6_6=36
4
3
이때, 직선 사이의 간격을 1이라 하면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이 9
O 3 6 9 x 개,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이 4개, 한 변의 길이가 3인 정사각형이
이때, 일직선 위에 있는 3개의 점 중에서 3개의 점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1개 만들어진다.
8_3C3=8 따라서 정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의 개수는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36-(9+4+1)=22 답 22
84-8=76 답 ③

558
8개의 점 중에서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으므로 구하는 삼각
형의 개수는 실력 콕콕 본문 p. 102~103
8_7_6
8C3= =56 답 ①
3_2_1 563 ① 564 234 565 ④ 566 65 567 ④ 568 ③
569 ③ 570 ④ 571 60 572 ② 573 80 574 ③
575 16 576 ② 577 180 578 48
559
3개의 직선 중에서 2개의 직선이 평행할 때에는 삼각형을 만들 수 없으므
로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563
n-1 P2+4=n+1Cn-1에서
7_6_5
C3-2C2_5C1= -1_5=35-5=30 답 ③ P2+4=n+1C2
7
3_2_1 n-1

(n+1)n
(n-1)(n-2)+4=
2
n2-7n+12=0, (n-3)(n-4)=0
560
∴ n=3 또는 n=4 (∵ n¾3)
Ú 왼쪽 위에서 만들 수 있는 평행사변형의 개수는
C2_3C2=9 따라서 모든 n의 값의 합은 7이다. 답 ①
3

Û 오른쪽 위에서 만들 수 있는 평행사변형의 개수는


C2_4C2=18
3
564
Ü 아래쪽에서 만들 수 있는 평행사변형의 개수는 Ú 8이 반드시 포함되는 경우

C2_4C2=18 8을 제외한 8개의 수 중에서 2개의 수를 뽑는 경우의 수는


3
8_7
따라서 구하는 평행사변형의 개수는 C2= =28
8
2_1
9+18+18=45 답 45
이때, 뽑힌 두 수와 8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3!=6
따라서 8이 반드시 포함되는 경우의 수는
561 28_6=168
두 평행선에서 각각 두 점을 택할 때 사각형이 되고, 이 사각형은 사다리
Û 8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꼴이다.
각 자리의 숫자의 곱이 8의 배수가 되려면 4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
사다리꼴의 윗변과 아랫변의 길이를 각각 a, b라 하면 넓이는
고 2 또는 6이 포함되어야 한다.
1 _(a+b)_1=3이므로 a+b=6
2 2, 4가 포함되도록 뽑는 방법의 수는
Ú a=2, b=4일 때 C1=6
6

a=2인 경우는 3가지, b=4인 경우는 1가지이므로 이때, 만들 수 있는 세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3_1=3 3!=6
Û a=3, b=3일 때 따라서 2, 4가 포함된 경우의 수는
a=3인 경우는 2가지, b=3인 경우는 2가지이므로 6_6=36
2_2=4 같은 방법으로 4, 6이 포함되는 경우의 수는 36이다.
Ü a=4, b=2일 때 이때, 2, 4, 6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의 수는 3!=6이므로
a=4인 경우는 1가지, b=2인 경우는 3가지이므로 8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의 수는
1_3=3 36+36-6=66
따라서 구하는 사각형의 개수는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3+4+3=10 답 ③ 168+66=234 답 234

08. 조합 75
정답과 풀이

565 3n2-n-234=0
세 수의 합이 짝수가 되는 경우는 세 수가 모두 짝수인 경우와 짝수 한 개 (n-9)(3n+26)=0
와 홀수 두 개로 이루어진 경우이다. ∴ n=9 (∵ n¾1)
Ú 세 수가 모두 짝수인 경우 따라서 모임에 참석한 사람 수는 2_9=18이다. 답 ‌③
10 C3=120
Û 짝수 한 개와 홀수 두 개로 이루어진 경우
C1_10C2=10_45=450
570
10
선택한 세 곳이 모두 A지역인 경우의 수는 3C3=1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선택한 세 곳이 모두 B지역인 경우의 수는 4C3=4
120+450=570  답 ‌④
선택한 세 곳이 모두 C지역인 경우의 수는 5C3=10
선택한 세 곳이 모두 D지역인 경우의 수는 6C3=20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566
남학생과 여학생 전체 8명 중에서 4명을 뽑으면 남학생은 반드시 1명 이 1+4+10+20=35 

상 포함되므로 모두 남학생만 뽑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된다. 다른 풀이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C3+4C3+5C3+6C3=4C4+4C3+5C3+6C3


3

8C4-5C4=70-5=65  ‌65 =5C4+5C3+6C3


=6C4+6C3
=7C4=35 답 ‌④
567
사용하지 않는 문이 3개 이상이려면 사용하는 문이 1개 또는 2개이어야
한다.
571
먼저 A가 2종류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Ú 사용하는 문이 1개인 경우
5 C2=10
사용하는 문 1개를 택하는 방법은 5C1가지이고, 이 문을 4명의 학생이
이때, B는 A가 선택한 것 중 하나와 A가 선택하지 않은 나머지 셋 중 하
사용하는 경우는 1가지이다. 즉,
나를 선택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5 C1_1=5
2 C1_3C1=6
Û 사용하는 문이 2개인 경우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사용하는 문 2개를 A, B라 하면 A, B를 택하는 방법은 5C2가지이고,
10_6=60
A, B를 4명의 학생이 사용하는 경우는
다른 풀이
(A, B)=(1, 3), (2, 2), (3, 1)이므로
4 C1_3C3+4C2_2C2+4C3_1C1=14 5종류의 체험 프로그램을 a, b, c, d, e라 하자.
즉, 5C2_14=140 A, B가 모두 a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 나머지 1개는 b, c, d, e 프로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그램 중에서 각각 1개씩을 선택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5+140=145  답 ‌④ P2=12
4

A, B가 모두 선택한 체험 프로그램이 b, c, d, e 프로그램 중 하나인 경


우도 마찬가지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568 5_12=60 답 ‌60


철수를 포함하여 4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a=9C3
철수를 포함하지 않고 4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b=9C4
572
∴ a+b=9C3+9C4=10C4
Ú 5개의 돌 중에서 3개의 돌을 밟는 경우의 수는
다른 풀이
5C3=10
10명 중 4명을 뽑을 때, 철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철수를 포함하지 않을 Û 5개의 돌 중에서 4개의 돌을 밟는 경우의 수는
수도 있다. 5C4=5
∴ a+b=10C4 답 ‌③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0+5=15  답 ‌②

569
n쌍의 부부가 참석했다고 하자. 573
조건 ㈏에서 A;B의 원소가 될 수 있는 경우는
참석자들이 모두 한 번씩 악수를 했다고 하면 모두 2nC2번의 악수가 이루
5 C2=10
어지는데 여자들끼리는 악수를 하지 않았으므로 nC2번의 악수가 이루어
조건 ㈎에서 A'B=S이기 위해서는 공통인 원소가 아닌 세 원소가
지지 않았다.
A-B, B-A 중 한 곳에 들어가면 되므로 2_2_2=8
즉, 2nC2-nC2=117에서
따라서 순서쌍 (A, B)의 개수는
2n(2n-1) n(n-1)
- =117 10_8=80  ‌80
2 2 답

76 정답과 풀이
574 따라서 구하는 직사각형의 개수는
A, B가 지사장으로 발령되는 경우는 가, 나, 다, 라, 마 5개의 지사 중 두 C2=15 
6
답 ‌②
곳을 골라 본사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곳은 A, 먼 곳은 B를 배치하고, 그
중 A, B가 같은 거리인 가, 나에 배치되는 경우를 빼면 되므로
C2-1=9
577
5
Ú 모두 다른 색으로 칠하는 방법의 수는
이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C, D, E가 발령되는 경우의 수는 3!이므로
5 C4_4!=120
구하는 경우의 수는

9_3!=54  답 ‌③
Û 세 가지 색으로 칠하는 방법의 수는
B와 D에는 같은 색을 칠하고 A와 C에는 나머지 색을 칠하면 되므로
575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가운데 있는 섬을 A, 나머지 5 C3_3C1_2=60
B
섬을 각각 B, C, D라 하자. 나
A Ú, Û에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120+60=180
네 섬 A, B, C, D에서 두 섬을 연결하는 다리를 D
C
놓을 수 있는 곳은 모두 6군데이고, 이 중 3개를 다

택하는 방법의 수는 단계 채점 요소 비율
6C3=20 가 모두 다른 색으로 칠하는 방법의 수 구하기 40 %
이때, A, B, C 또는 A, B, D 또는 A, C, D 또는 B, C, D를 서로 연결 나 세 가지 색으로 칠하는 방법의 수 구하기 40 %
하는 다리 3개를 놓으면 네 섬이 모두 연결되지 않으므로 구하는 방법의 다 방법의 수 구하기 20 %
수는
 답 ‌180
20-4=16
다른 풀이

Ú A섬에 연결된 다리가 1개인 경우 578


A섬과 연결할 수 있는 섬은 B, C, D의 3개이다. 조건 ㈎에서 함수 f의 치역의 원소의 개수는 2이므로 함수 f의 치역을 정

A섬과 B섬을 연결하는 경우 네 섬이 모두 연결되도록 나머지 2개의 하는 방법의 수는

다리를 놓는 경우는 다음 그림과 같이 3가지이다. C2=6


4


B B B
함수 f의 치역을 {a, b}라 가정하자.
A A A 조건 ㈏를 만족시키려면 f(a)+f(b)이어야 하므로 a, b를 대응시키는
D D D
C C C
방법의 수는
f(a)=a, f(b)=b 또는 f(a)=b, f(b)=a
A섬과 C섬, A섬과 D섬을 연결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므로 방법의
의 2이다.
수는 3_3=9

Û A섬에 연결된 다리가 2개인 경우
한편, f(c), f(d)의 값은 각각 a, b 중의 하나이어야 하므로 c, d를 대응
A섬과 연결할 수 있는 섬은 B, C, D 중 2개이므로 방법의 수는
시키는 방법의 수는
3C2=3
22=4
A섬과 두 섬 B, C를 각각 연결하는 경우 네 섬이 모두 연결되도록 나

머지 1개의 다리를 놓는 경우는 다음 그림과 같이 2가지이다.
따라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B B
6_2_4=48
A A 라
D D
C C
단계 채점 요소 비율
가 함수 f의 치역을 정하는 방법의 수 구하기 30 %
A섬과 다른 두 섬을 연결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므로 방법의 수는
치역을 {a, b}라 가정할 때, 조건 ㈏를 만족시키도록 a, b를
3_2=6 나
대응시키는 방법의 수 구하기
30 %

Ü A섬에 연결된 다리가 3개인 경우의 방법의 수는 1이다. 다 c, d를 대응시키는 방법의 수 구하기 30 %
Ú~Ü에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9+6+1=16 답 ‌16 라 함수 f의 개수 구하기 10 %

 ‌48
576

원에 내접하는 직사각형의 대각선은 원의 지름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위에 같은 간격으로 놓인
12개의 점을 연결할 때 지름은 6개이고, 이들 중
2개의 지름을 택하면 이들을 대각선으로 하는 직
사각형이 하나 결정된다.

08. 조합 77
MEMO
MEMO
MEM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