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

강간의 성립조건으로 ‘항거불능’ 상태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장애인의 경우, 신체적이ㄴ나 지적으로


장애가 있는 경우이므로, 항거불능 상태에 대한 적용 범위가 넓다고 하였습니다. 단순 장애 정도를
고려하는 것을 넘어 피해자의 성지식과 의사표현 능력, 주변 상황, 가해자와 관계의 특성과 행위 등
다양한 맥락을 보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청각 장애 여학생을 성폭행한 일명 ‘도가니 사태’ 는
장애인에 대한 성범죄의 경각심을 알리기에 충분 했고, 산골 동네에서 장애인을 집단 성폭행한
사건은 우리에게 충격을 가져왔다고 하였습니다. 그 이후로 우리 법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를 강력하게 엄벌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장애인의 성적자기결정권에 대한 내용은 더욱
구체화하며 보호되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성범죄의 유죄 유무는 범행
당시 장애인이 성적자기결정권을 실질적으로 표현 및 행사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판단이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K 씨는 오래전부터 동료 장애 여성인 P 씨와 친근하게 지냈다고 하였습니다. 어느 하루, 우발적인
상황에서 K 씨는 P 씨와 성관계를 가졌다고 하였습니다. 이에 대하여 수사기관은 둘 사이의 성관계
과정에서 P 씨의 항거불능 이용 등의 가해 행위가 있다고 판단하여 K 씨를 기소하였습니다. 이에 K
씨는 억울함을 호소하며 형사전문 변호사를 찾아왔다고 하였습니다. 형사전문변호사는 수사단계와 1
심에서 의뢰인을 위해 전문적인 법적 조력을 다하여, 무죄판결을 받았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수사기관은 1 심의 무죄 판결이 부당하다며 항소를 하여, 의뢰인 역시 다시 형사전문변호사를 찾아와
조력을 요청하였다고 하였습니다.
형사전문변호사는 의뢰인을 위해 새로운 TF 팀을 구성하였고, 검사의 항소이유와 항소 기각을 위해
사건 진행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검사의 항소이유에서 확인할 수 있는 논리적인
허점과 이를 반박할 수 있는 대법원과 하급심 판례들을 준비하였습니다. 그리하여 항소이유에 대한
답변서를 준비하고, 제 1 심 판결이었던 무죄 판결의 정당성을 지지할 논리와 자료 등을 체계적으로
준비했다고 하였습니다. 의뢰인은 법원에 대해 억울함을 밝히는 각종 자료와 가족들의 간절한 탄원
등에 관한 자료를 준비하여 형사전문변호사에게 도움을 주었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의뢰인은
형사전문변호사와 많은 회의를 거치며, 수시기관이 제 2 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송전략을 예상하여
각각의 대응책을 치밀하게 준비했다고 하였습니다.
형사전문변호사와 의뢰인의 노력으로, 재판부는 검사(수사기관)의 항소는 이유가 없고, 피고인에
대한 장애인준강간죄 적용 주장은 합리적 의심 없이 증명되지 못했음을 인정하여 항소를
기각하였습니다. 앞서 언급한 도가니 사태 이후,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성범죄는 엄격하게
처벌되므로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않을 경우 심각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특히, 무죄
선고를 받았지만 검찰의 항소로 항소심에서 결과가 바뀔 수 있는 가능성은 얼마든지 존재한다고
하였습니다. 판결 확정 전에는 결과가 충분히 바뀔 수 있으므로 안일하게 대처하면 바람직하지
않다고 형사전문변호사는 언급하였습니다. 따라서, 장애인 성범죄 사건의 경우 무엇보다 능동적인
대처가 필요하고, 전문적인 조력을 함께 해야 한다고 형사전문변호사는 강조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수사과정에서부터 함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성범죄의 특성상 물질 증거가 없기에, 무엇보다 진술이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그렇기에
범죄사실의 입증 책임은 검사에게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범죄의 경우 피고인이 객관적 증거를
제시하여 무죄 입증에 실패한다면 유죄가 선고되도록 된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장애인 피해자의
진술의 경우, 행위가 범죄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고, 대상이 헷갈릴 수도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처럼, 피해자의 진술에 의문이 있음에도 유죄 판결이 선고되는 사례가 많은 것을 보면
억울한 피고인이 발생한다는 문제점 역시 제기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처럼 무죄추정의 원칙이
성범죄, 더욱이 특수한 경우인 장애인 성범죄 사건에서는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10
명의 범인을 놓치더라도 1 명의 억울한 사람을 만들면 안 되는 것처럼, 죄 없는 사람이 처벌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성범죄의 처벌만이 명쾌한 해답은 아니라고 하였습니다.
장애인의 항거 불능 상태를 이용하여 성적 욕구를 채우는 범죄 행위의 경우 엄격하게 처벌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교화를 위한 교육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나아가, 장애인이 장애인을
성추행한 경우 역시 처벌과 더불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장애가 있다고 형사처벌에서
예외가 될 수는 없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장애인의 죄에 대해서는 교육을 통해 재범을 막으며
보호적이며 합리적인 제도를 통해 예방에 초점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