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0

즉, cos`A=;4#;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

Ⅰ. 삼각비 4
C

은 직각삼각형 ABC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BCÓ="Ã4Û`-3Û`='7이므로
1 삼각비 '7
sin`A= , tan`A=
4
'7
3
A
3
B

'7 '7
∴ sin`A_tan`A= _ =;1¦2;
4 3
1 7~13쪽

유제 6 3`tan`A-1=0에서 tan`A=;3!; C
'6 3'3Œ4 1
유제 1 ② 유제 2 유제 3 ② 유제 4
3 34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 A B
3
각형 ABC를 생각할 수 있다.
유제 5 ② 유제 6 -2 유제 7 ;;Á5ª;; 유제 8 ③
이때 ACÓ="Ã3Û`+1Û`^='1Œ0이므로
유제 9 ;1!7%; 유제 10 ③ 유제 11 ⑴ ;2!; ⑵ 0 1 '1Œ0 3 3'1Œ0
sin`A= = , cos`A= =
'1Œ0 10 '1Œ0 10
유제 12 ② 유제 13 2-'3 유제 14 ③ 유제 15 '2 sin`A+cos`A

sin`A-cos`A
'1Œ0 3'1Œ0 '1Œ0 3'1Œ0
유제 1 △ABC에서 BCÓ="Ã(4'1Œ3)Û`-8Û`=12이므로 ={ + }Ö{ - }
10 10 10 10
BDÓ=;2!; BCÓ=;2!;_12=6 2'1Œ0 '1Œ0
= Ö{- }
5 5
△ABD에서 ADÓ="Ã8Û`+6Û`=10
2'1Œ0
}=-2
5
= _{-
∴ sin`x=
BDÓ
=;1¤0;=;5#; 5 '1Œ0
ADÓ
유제 7 △ABC에서 ∠C=90ù이므로 ∠A+∠B=90ù
유제 2 △EFG에서 EGÓ="Ã4Û`+4Û`^=4'2 ∴ sin`(90ù-A)=sin`B=;1°3;
이때 △CEG는 ∠CGE=90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A
CEÓ="Ã(4'2 )Û`+4Û`^=4'3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
13
각형 ABC를 생각할 수 있다. 5
EGÓ 4'2 '6
∴ cos`x= =
CEÓ 4'3
=
3 이때 BCÓ="Ã13Û`-5Û`^=12이므로 B C

tan`A=;;Á5ª;;
6 '2
유제 3 cos`B= = 에서 ABÓ=9'2
ABÓ 3
유제 8 △ABD »△HAD`(AA 닮음) A D
∴ ACÓ="Ã(9'2 )Û`-6Û`^=3'1Œ4
x
이므로 ∠ABD=∠HAD=x
BCÓ 6 '1Œ4 △ABD에서
9
따라서 tan`A= = = , x H
ACÓ 3'1Œ 4 7
BDÓ="Ã9Û`+12Û`^=15이므로 B C
ACÓ 3'1Œ4 '7
12
sin`B= = = 이므로 ADÓ
ABÓ 9'2 3 sin`x= =;1!5@;=;5$;
BDÓ
'1Œ4 '7 '2
tan`A_sin`B= _ = ABÓ
7 3 3 cos`x= =;1»5;=;5#;
BDÓ

10 ∴ sin`x+cos`x=;5$;+;5#;=;5&;
유제 4 tan`B= =;4%;에서 BCÓ=8
BCÓ

∴ CDÓ=;4#; BCÓ=;4#;_8=6 유제 9 △ABC »△EDC`(AA 닮음)이므로


∠ABC=∠EDC=x
△ADC에서 ADÓ="Ã6Û`+10Û`^=2'3Œ4
3'3Œ4
△ABC에서 BCÓ="Ã8Û`+15Û`^=17이므로
CDÓ 6
∴ sin`x= = = ABÓ ACÓ
ADÓ 2'3Œ 4 34 cos`x= =;1¥7;, tan`x= =;;Á8°;;
BCÓ ABÓ
유제 5 16xÛ`-24x+9=0에서 (4x-3)Û`=0 ∴ x=;4#; ∴ cos`x_tan`x=;1¥7;_;;Á8°;;=;1!7%;

2 정답과 해설
유제 10
tan`30ù 따라서 삼각비의 값을 작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_(sin`60ù+'2`sin`45ù-2`cos`60ù)
cos`30ù ㄴ–ㄹ–ㄱ–ㄷ–ㅁ이다.
'3 '3 '3 '2
= Ö _{ +'2_ -2_;2!;}
3 2 2 2
유제 15 45ù<x<90ù일 때, 0<sin`45ù<sin`x<1이므로
'3 2 '3
= _ _{ +1-1} sin`x+sin`45ù>0, sin`45ù-sin`x<0
3 '3 2
'3 '3 ∴ "Ã(sin`x+sin`45ù)Û`^-"Ã(sin`45ù-sin`x)Û`^
=;3@;_ =
2 3 =(sin`x+sin`45ù)+(sin`45ù-sin`x)
'3 '3 '2
① sin`30ù=;2!; ② cos`30ù= ③ tan`30ù= =2`sin`45ù=2_ ='2
2 3 2
'2
④ sin`45ù= ⑤ tan`60ù='3
2
따라서 주어진 식의 값과 같은 것은 ③이다.

유제 11 ⑴ 0ù<x<30ù에서 0ù<2x<60ù
∴ 30ù<2x+30ù<90ù 2 14~16쪽

이때 cos`60ù=;2!;이므로 2x+30ù=60ù
1⑤ 2③ 3② 4④
2x=30ù ∴ x=15ù
5⑤ 6④ 7② 8④
∴ tan`3x-sin`(x+15ù)=tan`45ù-sin`30ù
9① 10 ⑤ 11 ④ 12 ④
=1-;2!;=;2!;

⑵ 5ù<x<35ù에서 15ù<3x<105ù H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F에서 DEÓ에 A E 3 D
∴ 0ù<3x-15ù<90ù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x
x
2
이때 tan`45ù=1이므로 3x-15ù=45ù ∠DEF=∠BEF`(접은 각), x
B C
3x=60ù ∴ x=20ù F
∠EFB=∠DEF`(엇각)
∴ sin`3x-cos`(x+10ù)=sin`60ù-cos`30ù 이므로 △BFE는 이등변삼각형이다. G
'3 '3
= - =0 즉, BFÓ=BEÓ=DEÓ=3, BGÓ=DCÓ=2이므로
2 2
△BGF에서 GFÓ="Ã3Û`-2Û`^='5
이때 HDÓ=FCÓ=GFÓ='5이므로
유제 12
ACÓ
△ADC에서 tan`45ù= =1 ∴ ACÓ=3'3
EHÓ=EDÓ-HDÓ=3-'5
3'3
3'3 '3 HFÓ 2 3+'5
△ABC에서 tan`30ù= = ∴ BCÓ=9 따라서 △EFH에서 tan`x= = =
BCÓ 3 EHÓ 3-'5 2

유제 13 △ADC에서 15ù A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DHÓ의 연장선과 A

2 15ù 2 BCÓ의 교점을 M이라 하면 12


sin`30ù= =;2!; B
30ù
ADÓ 4 D 213 C CMÓ=;2!; BCÓ=;2!;_12=6 x
B D
∴ ADÓ=4
△DMC에서
'3 M H
2
tan`30ù= = ∴ CDÓ=2'3 DMÓ="Ã12Û`-6Û`^=6'3 C
CDÓ 3
이때 △ABD에서 15ù+∠BAD=30ù이므로 이때 점 H는 △BCD의 무게중심이므로
∠BAD=15ù DHÓ=;3@; DMÓ=;3@;_6'3=4'3
즉, △ABD는 BDÓ=ADÓ=4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따라서 △AHD에서 AHÓ="Ã12Û`-(4'3 )Û`^=4'6
ACÓ 2
△ABC에서 tan`15ù= = =2-'3 AHÓ 4'6
BCÓ 4+2'3 ∴ tan`x= = ='2
DHÓ 4'3

유제 14 0ùÉxÉ90ù인 범위에서 x의 크기가 커지면


ACÓÓ
sin`x, tan`x`(x+90ù)의 값은 각각 증가하므로 3 △ABC에서 tan`B= 4 ='5 ∴ ACÓ=4'5

sin`25ù<sin`45ù=cos`45ù<1, 이때 △ADE »△ABC`(AA 닮음)이므로


1=tan`45ù<tan`50ù<tan`65ù DEÓ`:`BCÓ=AEÓ`:`ACÓ에서
이때 cos`0ù=1이므로 '5`:`4=AEÓ`:`4'5 , 4AEÓ=20 ∴ AEÓ=5
sin`25ù<cos`45ù<cos`0ù<tan`50ù<tan`65ù ∴ ECÓ=ACÓ-AEÓ=4'5-5

Ⅰ. 삼각비 3
3
=;3!; AEÓ '3
4 △ADC에서 sin`y= ∴ ADÓ=9 8 △FAE에서 cos`30ù= 16 = 2 ∴ AEÓ=8'3 (cm)
ADÓ
∴ ACÓ="Ã9Û`-3Û`^=6'2 ADÓ '3
△EAD에서 cos`30ù= =
2
∴ ADÓ=12(cm)
이때 BCÓ=3+3=6이므로 8'3
'3
△ABC에서 ABÓ="Ã6Û`+(6'2 )Û`^=6'3 ACÓ
△DAC에서 cos`30ù= 12 = 2 ∴ ACÓ=6'3 (cm)
△ACD »△BED`(AA 닮음)이므로
따라서 △CAB에서
ADÓ`:`BDÓ=DCÓ`:`DEÓ에서
ABÓ '3
cos`30ù= = ∴ ABÓ=9(cm)
9`:`3=3`:`DEÓ, 9DEÓ=9 ∴ DEÓ=1 6'3 2
∴ AEÓ=ADÓ+DEÓ=9+1=10 BCÓ
sin`30ù= =;2!; ∴ BCÓ=3'3 (cm)
AEÓ 10 5'3 6'3
따라서 △ABE에서 cos`x= = =
9 27'3
(cmÛ`)
ABÓ 6'3
∴ △ABC=;2!;_9_3'3=
2

5 2`cos`A-3=-3`cos`A에서 5`cos`A=3
9 △AEB에서 B
∴ cos`A=;5#;
4 4
sin`30ù= =;2!; ∴ ABÓ=8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C ABÓ F
45ù
E
'3
45ù
ABC를 생각할 수 있다. 4 45ù
5 tan`30ù= = ∴ AEÓ=4'3
3
이때 BCÓ="Ã5Û`-3Û`^=4이므로 AEÓ
30ù G
△EAD에서 ADÓ=DEÓ이므로 45ù
tan`A=;3$;, cos`(90ù-A)=cos`C=;5$; A B A D
3 ∠EAD=∠AED=45ù C

tan`(90ù-A)=tan`C=;4#;, sin`A=;5$; DEÓ '2


sin`45ù= = ∴ DEÓ=2'6
4'3 2
1 1
∴ tan`A_ + _sin`A 이때 ∠AEF=90ù-45ù=45ù이므로
cos`(90ù-A) tan`(90ù-A)
∠BEF=90ù-45ù=45ù
=;3$;_;4%;+;3$;_;5$;=;3%;+;1!5^;=;1$5!;
BFÓ '2
△BFE에서 sin`45ù= 4 = 2 ∴ BFÓ=2'2

6 △ADC에서 DEÓ Û`=AEÓ_CEÓ=6_9=54 즉, CDÓ=FEÓ=BFÓ=2'2이므로


∴ DEÓ=3'6 (∵ DEÓ>0) ACÓ=ADÓ-CDÓ=DEÓ-CDÓ=2'6-2'2 =2('6-'2 )

△EDC에서 CDÓ="Ã(3'6 )Û`+9Û`^=3'1Œ5 따라서 △BAC에서

이때 △ADC »△BDA`(AA 닮음)이므로 ACÓÓ 2('6-'2 ) '6-'2


cos`75ù= = =
ABÓ 8 4
∠ACD=∠BAD=x
DEÓÓ 3'6 '1Œ0
△EDC에서 sin`x= = =
CDÓ 3'1Œ5 5 10 cos`a=;3@;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C

또 △EDC »△DAC`(AA 닮음)이므로 직각삼각형 ABC를 생각할 수 있다. 3


∠EDC=∠DAC=y 이때 BCÓ="Ã3Û`-2Û`^='5 이므로
DEÓÓ 3'6 '1Œ0 a
△EDC에서 cos`y= = = '5 A
2
B
CDÓ 3'1Œ5 5 tan`a=
2
'1Œ0 '1Œ0 2'1Œ0 mx-2y+1=0에서 2y=mx+1
∴ sin`x+cos`y= + =
5 5 5
m
∴ y= x+;2!;
2
xÛ`-x+;4!;=0에서 {x-;2!;} =0
2
∴ x=;2!; 이때 직선의 기울기는 tan`a의 값과 같으므로
7
m '5
= ∴ m='5
즉, sin`a=;2!;이므로 a=30ù`(∵ 0ù<a<90ù) 2 2

'3`tan`a '3`tan`30ù

tan`2a
-3`tan`a=
tan`60ù
-3`tan`30ù ABÓ '7
11 △AOB에서 sin`a= 12 = 4 ∴ ABÓ=3'7
'3
'3 _ '3
=
3
-3_ ∴ OBÓ="Ã12Û`-(3'7 )Û`^=9
'3 3
이때 BDÓ=ODÓ-OBÓ=12-9=3이므로
1 '3
= -'3= -'3 AEÓ=BDÓ=3
'3 3
2'3 또 △CAE∽△AOB`(AA닮음)이므로
AEÓ`:`OBÓ=CEÓ`:`ABÓ에서
=-
3

4 정답과 해설
3`:`9=CEÓ`:`3'7, 9 CEÓ=9'7 ∴ CEÓ='7 02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C가 내접 y
A 5 F
3'7
∴△CAE=;2!;_3_'7= 하도록 각 변이 모두 x축 또는 y축
2 3 x C
에 평행한 직사각형을 그린 후 꼭짓
점을 각각 D, E, F라 하면 H
12 45ù<A<90ù일 때, 0<cos`A<sin`A이므로 -4 -1 2
△ADB에서 O x
sin`A+cos`A>0, cos`A-sin`A<0 D B -1 E
BDÓ=-1-(-4)=3,
∴ "Ã(sin`A+cos`A)Û`^-"Ã(cos`A-sin`A)Û`^
ADÓ=5-(-1)=6이므로
=sin`A+cos`A+(cos`A-sin`A)
ABÓ="Ã3Û`+6Û`^=3'5
=2`cos`A
△BEC에서
즉, 2`cos`A=;7^;이므로 cos`A=;7#; BEÓ=2-(-1)=3, CEÓ=3-(-1)=4이므로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ABC를 C BCÓ="Ã3Û`+4Û`^=5
생각할 수 있다. △ACF에서
이때 BCÓ="Ã7Û`-3Û`^=2'1Œ0이므로 7 AFÓ=2-(-4)=6, CFÓ=5-3=2이므로
cos`(90ù-A)_tan`A=cos`C_tan`A ACÓ="Ã6Û`+2Û`^=2'1Œ0
2'1Œ0 2'1Œ0 A B △ABC의 꼭짓점 A에서 B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_ 3
△ABH에서 AHÓÛ`=(3'5 )Û`-(5-CHÓ)Û`
7 3
y`㉠
=;2$1);
△AHC에서 AHÓÛ`=(2'1Œ0)Û`-CHÓÛ` y`㉡
㉠, ㉡에서 (3'5 )Û`-(5-CHÓ)Û`=(2'1Œ0)Û`-CHÓÛ`
10 CHÓ=20 ∴ CHÓ=2
이때 △AHC에서 AHÓ="Ã(2'1Œ0)Û`-2Û`^=6
AHÓÓ 6 3'1Œ0
∴ sin`x= = =
ACÓ 2'1Œ0 10

03 빛의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A


2a
D
∠QPC=∠APD=∠QRB=x
3 17~19쪽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를 R
x
x
2a`(a>0)라 하면 a P
x
3'1Œ0 5'2
01 ;4!; 03 ;3$; BRÓ=;2!; ABÓ=a이므로 B C
02 10 04 27 k Q

'2 BQÓ BQÓ


05 8 06 2 07 ;1&5&; 08 2'2 △BQR에서 tan`x= =
a
BRÓ
이때 BQÓ=k`(k>0)라 하면
09 1 10 2-'3 11 ;3!; 12 OFÓ
△DAP»△BQR`(AA 닮음)이므로
DAÓ`:`BQÓ=DPÓ`:`BRÓ에서
01 오른쪽 그림에서 △ABC는 이등변삼각형 A
2a`:`k=DPÓ`:`a ∴ DPÓ=
2aÛ`
36ù k
이므로
x
또 △CQP∽△BQR`(AA 닮음)이므로
∠B=∠C=;2!;_(180ù-36ù)=72ù H
D CPÓ`:`BRÓ=CQÓ`:`BQÓ에서
72ù
이때 BDÓ가 ∠B의 이등분선이므로 36ù
}`:`a=(2a-k)`:`k, 2ak-2aÛ`=2aÛ`-ak
2aÛ`
B
72ù
C {2a-
k
∠DBA=∠DBC=;2!;_72ù=36ù I
y
3ak=4aÛ` ∴ k=;3$; a
즉, △ABD, △BCD는 이등변삼각형이다.
꼭짓점 D에서 AB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따라서 BQÓ=;3$; a이므로
ABÓ=ACÓ=x, BCÓ=BDÓ=ADÓ=y라 하면
BQÓ
AHÓÓ x tan`x= =;3$;aÖa=;3$;
△AHD에서 cos`36ù= =;2{;Öy= a
ADÓ 2y
또 꼭짓점 A에서 B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하면
BIÓ y 04 △DHG에서 DGÓ="Ã6Û`+6Û`^=6'2 (cm)
△ABI에서 cos`72ù= =;2};Öx=
ABÓ 2x 이때 AMÓ=DMÓ=;2!;_6=3(cm)이므로
x y
∴ cos`36ù_cos`72ù= _ =;4!;
2y 2x △GDM에서 GMÓ="Ã(6'2 )Û`+3Û`^=9(cm)

Ⅰ. 삼각비 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M에서 G 08 오른쪽 그림과 같이 BEÓ를 그으면 D'

AG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하면 △ABE와 △C'BE에서 A


E D
x A'
△GDA에서 612 cm
∠BAE=∠BC'E=90ù,
613 cm
ABÓ=C'BÓ=2'6,
GAÓ="Ã(6'2 )Û`+6Û`^=6'3 (cm) 9 cm I
30ù
30ù
C'
BEÓ는 공통이므로 30ù
이므로 △GMA에서 D A B 216
C
3 cm
M
3 cm △ABEª△C'BE`(RHS 합동)
;2!;_MAÓ_GDÓ=;2!;_GAÓ_MIÓ
∴ ∠ABE=∠C'BE=;2!;_(90ù-30ù)=30ù
즉, ;2!;_3_6'2=;2!;_6'3_MIÓ 이므로 따라서 △ABE에서
3'3 MIÓ=9'2 ∴ MIÓ='6 (cm) AEÓ '3
tan`30ù= = ∴ AEÓ=2'2
3
따라서 △GMI에서 GIÓ="Ã9Û`-('6 )Û`^=5'3 (cm)이므로 2'6

MIÓ '6 GIÓ 5'3


sin`x= = , cos`x=
9
=
9 09 OAÓ=1이므로
GMÓ GMÓ
OPÁÓ OPªÓ
'6 5'3 5'2 tan`1ù= =OPÁÓ, tan`2ù= =OPªÓ,
∴ sin`x_cos`x= _ = OAÓ OAÓ
9 9 27
OP¥»Ó
y, tan`89ù= =OP¥»Ó
OAÓ
05 7`sin`A=9`cos`A에서 sin`A`:`cos`A=9`:`7 ∴ OPÁÓ_OPªÓ_y_OP¥»Ó
∠B=90ù인 직각삼각형에서 =tan`1ù_tan`2ù_y_tan`89ù
BCÓ ABÓ
sin`A`:`cos`A= `:` =BCÓ`:`ABÓ 그런데
ACÓ ACÓ OAÓ 1
즉, BCÓ`:`ABÓ=9`:`7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C △AOPÁ에서 tan`89ù= =
OPÁÓ tan`1ù
,
같은 직각삼각형 ABC를 생각할 수 있다. OAÓ 1
9 △AOPª에서 tan`88ù= = ,
따라서 tan`A=;7(;이므로 OPªÓ tan`2ù
y

={1+;7(;}Ö{;7(;-1}
1+tan`A A
7
B
tan`A-1 OAÓ 1
△AOP44에서 tan`46ù= =
OP¢¢Ó tan`44ù
=;;Á7¤;;_;2&;=8
이므로
tan`1ù_tan`2ù_y_tan`89ù
=tan`1ù_tan`2ù_y_tan`44ù_tan`45ù
06 △AEC에서 AEÓ="Ã1Û`+1Û`^='2
1 1 1
△ADE와 △BAE에서 _ _y_ _
tan`44ù tan`2ù tan`1ù
AEÓ`:`BEÓ='2`:`2=1`:`'2 , DEÓ`:`AEÓ=1`:`'2 =tan`45ù=1
∠BEA는 공통이므로
△ADE ∽△BAE`(SAS 닮음) 10 △BFE에서
∴ ∠DAE=∠ABE=x BEÓÓ '3
sin`60ù= = ∴ BEÓ=2'3
이때 △ADE에서 ∠AEC=x+y이므로 4 2
ECÓ 1 '2 EFÓÓ
cos`60ù= =;2!; ∴ EFÓ=2
cos`(x+y)= = = 4
AEÓ '2 2
△ABE에서
ABÓ '2
07 △AOB »△OCB`(AA 닮음)이므로 cos`45ù= = ∴ ABÓ='6
2'3 2
∠BAO=∠BOC 이때 △ABE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즉, tan`(∠BAO)=tan`(∠BOC)=;1¥5;이므로 AEÓ=ABÓ='6
또 ∠DEF=180ù-(45ù+90ù)=45ù이므로
a=tan`(∠BAO)=;1¥5;
△DEF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BCÓÓ DEÓ '2
△BCO에서 tan`(∠BOC)= 5 =;1¥5; ∴ BCÓ=;3*; cos`45ù= = ∴ DEÓ='2
2 2

∴ OBÓ=¾Ð5Û`+{;3*;} =;;Á3¦;; ∴ DFÓ=DEÓ='2


2

따라서 △EBF에서 ∠EBF=180ù-(60ù+90ù)=30ù이고,


이때 직선 y=;1¥5;x+b가 점 {0, ;;Á3¦;;}을 지나므로 b=;;Á3¦;; △BCF에서 ∠FBC=90ù-(45ù+30ù)=15ù이므로
CFÓ DCÓ-DFÓ '6-'2
∴ b-a=;;Á3¦;;-;1¥5;=;1&5&; tan`15ù= = = =2-'3
BCÓ AEÓ+DEÓ '6+'2

6 정답과 해설
11 △BCD는 BCÓ=CDÓ=1인 직각이등변삼
2
A
45ù
각형이므로 삼각비의 활용
1 45ù E
∠BDC=∠DBC=45ù D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A에서 BDÓ의 45ù 1
x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 하면
B
45ù
C
1 21~26쪽
∠ADE=∠BDC=45ù`(맞꼭지각) 1
유제 1 ② 유제 2 20('3-1)`m
즉, △ADE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BCD에서 BDÓ="Ã1Û`+1Û`^='2 유제 3 ⑴ 3'5 ⑵ 5('2+'6 )
DEÓ '2 '2 유제 4 ⑴ 5('3-1 ) ⑵ 2(3+'3 )
△ADE에서 cos`45ù= 1 = 2 ∴ DEÓ=
2 유제 5 ⑤ 유제 6 18`cmÛ` 유제 7 ④
'2 3'2
∴ BEÓ=BDÓ+DEÓ='2+ = 유제 8 200'2`cmÛ` 유제 9 ③
2 2
'2 유제 10 4'7`cm
따라서 △ABE에서 AEÓ=DEÓ= 이므로
2
AEÓ '2 3'2
tan`x= = Ö =;3!; 유제 1 △CFG에서
BEÓ 2 2
'3
FGÓ=8`cos`30ù=8_ =4'3 (cm)
OFÓ 2
12 △EOF에서 tan`x= 5
CGÓ=8`sin`30ù=8_;2!;=4(cm)
이때 ABÓEFÓ이므로
∴ (직육면체의 부피)=4'3_7_4=112'3 (cmÜ`)
∠OAB=∠OEF=x`(동위각)
따라서 △AOB에서
유제 2 △DAC에서 CDÓ=20`tan`45ù=20_1=20(m)
OBÓ OBÓ OBÓ
sin`x= = , cos`y= 이므로 △BAC에서 ∠BAC=15ù+45ù=60ù이므로
OAÓ 5 5
OFÓ OBÓ OBÓ BCÓ=20`tan`60ù=20_'3=20'3 (m)
5(tan`x-sin`x+cos`y)=5{ - + }
5 5 5 ∴ BDÓ=BCÓ-CDÓ=20'3-20=20('3-1)(m)
=OFÓ
유제 3 ⑴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C A

에서 AB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9 H
x
H라 하면
△BCH에서 45ù
B C
CHÓ=6'2`sin`45ù 612

'2
=6'2_ =6
2
'2
BHÓ=6'2`cos`45ù=6'2_ =6
2
∴ AHÓ=ABÓ-BHÓ=9-6=3
따라서 △AHC에서 x="Ã3Û`+6Û`^=3'5
⑵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 A

점 A에서 BCÓ에 내린 수선 1012

의 발을 H라 하면 B
30ù 45ù
C
H
x
△ABH에서
AHÓ=10'2`sin`30ù=10'2_;2!;=5'2

'3
BHÓ=10'2`cos`30ù=10'2_ =5'6
2
5'2 5'2
△AHC에서 CHÓ= tan`45ù = 1 =5'2
∴ x=BHÓ+CHÓ=5'6+5'2=5('2+'6 )

유제 4 ⑴ AHÓ=h라 하면
h h
△ABH에서 BHÓ= tan`45ù = 1 =h

Ⅰ. 삼각비 7
h '3 유제 8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팔각형은 꼭
△AHC에서 CHÓ= tan`30ù =hÖ 3 ='3 h
360ù 10 cm
지각의 크기가 =45ù이고, 합 10 cm 45ù
이때 BCÓ=BHÓ+CHÓ이므로 10=h+'3 h 8
동인 8개의 이등변삼각형으로 나누 O
10
(1+'3 )h=10 ∴ h= =5('3 -1)
1+'3 어진다.
⑵ AHÓ=h라 하면 ∴ (정팔각형의 넓이)
h h
△ABH에서 BHÓ= tan`45ù = 1 =h =8_{;2!;_10_10_sin`45ù}
h
h '3 '2
△ACH에서 CHÓ= tan`60ù = = h =8_{;2!;_10_10_ }
'3 3 2
'3 =200'2 (cmÛ`)
이때 BCÓ=BHÓ-CHÓ이므로 4=h- h
3
3-'3 12
h=4 ∴ h= =2(3+'3 ) 유제 9 ∠BAD`:`∠B=3`:`1이므로
3 3-'3
1
[다른 풀이] ∠B=180ù_ 3+1 =45ù
AHÓ=h라 하면
∴ △AMC=;2!;△ABC
∠BAH=45ù이므로 △ABH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 BHÓ=AHÓ=h =;2!;_;2!;  ABCD
h
△ACH에서 tan`60ù= h-4 ='3이므로
=;4!;  ABCD
'3 h-4'3 =h, ('3-1)h=4'3
=;4!;_(8_14_sin`45ù)
4'3
∴ h= =2(3+'3 )
'3-1 '2
=;4!;_{8_14_ }=14'2 (cmÛ`)
2

유제 5 △ABC=;2!;_8_13_sin`60ù
유제 10 등변사다리꼴의 두 대각선의 길이는 같으므로
'3
=;2!;_8_13_ =26'3 (cmÛ`) ACÓ=BDÓ=x`cm라 하면
2
 ABCD=;2!;_x_x_sin`(180ù-120ù)=28'3 에서
∴ △ADG=;2!;△ABG
'3
xÛ`=28'3 , xÛ`=112 ∴ x=4'7 (∵ x>0)
=;2!;_;3!;△ABC 4
∴ ACÓ=4'7 cm
=;6!;△ABC

13'3
=;6!;_26'3= (cmÛ`)
3

유제 6 △ABC에서 BCÓ=12`cm이므로
ABÓ=12`sin`30ù=12_;2!;=6(cm) 2 27~29쪽

이때 ∠ABC=180ù-(90ù+30ù)=60ù이므로 1④ 2③ 3③ 4③
∠ABD=60ù+90ù=150ù 5④ 6② 7⑤ 8②
∴ △ABD=;2!;_6_12_sin`(180ù-150ù) 9④ 10 ① 11 ①

=;2!;_6_12_;2!;=18(cmÛ`)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A에서 A

B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유제 7 △ABC에서 9 cm
△ABH에서
ACÓ=8`tan`60ù=8_'3=8'3 (cm) B C
H
∴  ABCD=△ABC+△ACD BHÓ=9`cos`B=9_;3!;=3(cm)

=;2!;_8_8'3+;2!;_8'3_12_sin`30ù ∴ AHÓ="Ã9Û`-3Û`^=6'2 (cm)


△AHC에서
=32'3+;2!;_8'3_12_;2!;
6'2 '3
ACÓ= =6'2Ö =6'6 (cm)이므로
=32'3+24'3 sin`C 3
=56'3 (cmÛ`) CHÓ="Ã(6'6 )Û`-(6'2 )Û`^=12(cm)

8 정답과 해설
∴ BCÓ=BHÓ+CHÓ=3+12=15(cm) 5 오른쪽 그림의 △GAH에서 G B

∴ △ABC=;2!;_15_6'2=45'2 (cmÛ`) AHÓ=6`m이므로


A 30ù C
H
GHÓ=6`tan`30ù
'3
=6_ =2'3 (m)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A D 3 60ù
F
BCÓ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 6 cm
12 cm
△CDF에서 DFÓ=4`m이므로 E D
C 6m Q 4m
을 H라 하면 △AHC에서 H B CDÓ=4`tan`60ù
60ù
sin`(∠ACH)=;1¤2;=;2!; =4_'3=4'3 (m)
이때 BCÓ=GHÓ=2'3`m이므로
∴ ∠ACH=30ù
BDÓ=BCÓ+CDÓ=2'3+4'3=6'3 (m)
∠DAC=∠BCA=30ù (엇각),
∠BAC=∠DAC=30ù (접은 각)이므로 따라서 △BDF에서 BFÓ="Ã(6'3 )Û`+4Û`^=2'3Œ1 (m)
∠BAC=∠BCA
즉, △ABC는 ABÓ=BC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BCÓ에 D

∴ ∠ABH=30ù+30ù=60ù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6 '3 △ABH에서 C
H
B
△AHB에서 ABÓ= sin`60ù =6Ö 2 =4'3 (cm)이므로 45ù
AHÓ=36`sin`45ù
30ù
BCÓ=ABÓ=4'3 `cm '2 75ù 36 m
=36_ =18'2 (m)
2
∴ △ABC=;2!;_4'3_6=12'3 (cmÛ`) A
△AHC에서
∠CAH=75ù-45ù=30ù이므로
3 µAP=µ PQ=µ QB이므로 18'2 '3
ACÓ= =18'2Ö =12'6 (m)
cos`30ù 2
∠AOP=∠POQ=∠QOB=;3!;_90ù=30ù
따라서 △ADC에서
△POR에서 ∠POR=30ù+30ù=60ù이므로 '3
CDÓ=12'6`tan`30ù=12'6_ =12'2 (m)
'3 3
PRÓ=4'3`sin`60ù=4'3_ =6
2
ORÓ=4'3`cos`60ù=4'3_;2!;=2'3 7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E에서 BCÓ A
D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60ù E
△QOS에서 ∠QOS=30ù이므로 612
EHÓ=h라 하면 h
QSÓ=4'3`sin`30ù=4'3_;2!;=2'3 △BCD에서 B
45ù 30ù
C
H
'3 6'2 '2
OSÓ=4'3`cos`30ù=4'3_ =6 BCÓ= =6'2Ö =12
2 sin`45ù 2
'3 h h
△EBH에서 BHÓ= tan`45ù = 1 =h
△TOR에서 TRÓ=2'3`tan`30ù=2'3_ 3 =2
∴ (색칠한 부분의 넓이) h '3
△EHC에서 CHÓ= tan`30ù =hÖ 3 ='3 h
=(사분원 AOB의 넓이)-△POR-△QOS+△TOR
이때 BCÓ=BHÓ+CHÓ이므로 12=h+'3 h
=;4!;_p_(4'3 )Û`-;2!;_2'3_6-;2!;_6_2'3
12
(1+'3 )h=12 ∴ h= =6('3-1)
1+'3
+;2!;_2'3_2
∴ △EBC=;2!;_12_6('3-1)=36('3-1)
=12p-6'3-6'3 +2'3
=12p-10'3
8 CDÓ=x`cm라 하면 △ABC=△BCD+△ADC이고,
∠ACB=30ù+120ù=150ù이므로
4 △ABC에서 ACÓ="Ã8Û`+8Û`^=8'2 (cm)이므로
;2!;_6'3_12_sin`(180ù-150ù)
AHÓ=;2!; ACÓ=;2!;_8'2=4'2 (cm)

△OAH에서 =;2!;_6'3_x_sin`30ù+;2!;_x_12_sin`(180ù-120ù)
4'2
OAÓ= =4'2Ö;2!;=8'2 (cm) 18'3=
3'3
x+3'3 x,
9'3
x=18'3 ∴ x=4
cos`60ù 2 2
OHÓ=4'2`tan`60ù=4'2_'3=4'6 (cm) ∴ △ADC=;2!;_4_12_sin`(180ù-120ù)
따라서 △OAH의 둘레의 길이는 '3
=;2!;_4_12_ =12'3 (cmÛ`)
8'2+4'2+4'6=12'2+4'6 (cm) 2

Ⅰ. 삼각비 9
9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A에 A
D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R
서 B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10 cm PQR를 생각할 수 있다.
30ù
하면 6 cm
이때 PQÓ="Ã('1Œ0)Û`-3Û`^=1이므로 1410 3
'1Œ0
45ù H
△ABH에서 B C 1
812 cm cos`a= =
AHÓ=10`sin`45ù '1Œ0 10
P
a
Q
'2
=10_ =5'2 (cm)
2
'2
BHÓ=10`cos`45ù=10_ =5'2 (cm)
2
∴ CHÓ=BCÓ-BHÓ=8'2-5'2=3'2 (cm)
△AHC에서 ACÓ="Ã(5'2 )Û`+(3'2 )Û`^=2'1Œ7 (cm)
∴  ABCD=△ABC+△ACD 3 30~32쪽

=;2!;_8'2_5'2+;2!;_2'1Œ7_6_sin`30ù
'2Œ1 '1Œ0
01 54'5 02 ;3@; 03 14 04 4
=40+;2!;_2'1Œ7_6_;2!;

=40+3'1Œ7(cmÛ`) 05 11.6`m 06 20'1Œ3`km 07 9'3 m 08 7

09 '3`cm 10 (8'3-12)`cmÛ` 11 84'3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PQÓ를 긋고, A
3a
D
ABÓ=3a라 하면 x
BPÓ=DQÓ=2a, 3a
2a 01 오른쪽 그림에서 C
x
Q PQÓSRÓCBÓ이므로
CPÓ=CQÓ=a이므로 a S 12
∠APQ=∠ACB x P
APÓ=AQÓ="Ã(3a)Û`+(2a)Û`^='1Œ3 a B
2a P a
C 3 x
=∠ASR=x A B
Q3R
∴  ABCD
△AQP에서
=△ABP+△APQ+△PCQ+△AQD
AQÓ=3`tan`x=3_2=6
=;2!;_3a_2a+;2!;_'1Œ3 a_'1Œ3 a_sin`x+;2!;_a_a
∴ ARÓ=AQÓ+QRÓ=6+3=9
+;2!;_3a_2a 9
△ARS에서 SRÓ= tan`x =;2(;
=3aÛ`+;;Á2£;; aÛ``sin`x+;2!; aÛ`+3aÛ` △ABC에서 ABÓ=12`tan`x=12_2=24
∴ ACÓ="Ã24Û`+12Û`^=12'5
=;;Á2£;; aÛ`+;;Á2£;; aÛ``sin`x
∴ SRÓ_ACÓ=;2(;_12'5=54'5
즉, 9aÛ`=;;Á2£;; aÛ`+;;Á2£;; aÛ``sin`x이므로

;;Á2£;;`sin`x=;2%; ∴ sin`x=;1°3; 02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B에서 A

A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45ù


BCÓ=a라 하면 H
11  OABC=△OAB+△OBC
△BCH에서 45ù
60ù 45ù
B P
=;2!;_6_4+;2!;_3_4 '3 a C
BHÓ=a`sin`60ù= a
2
=12+6=18
이때 △ABH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OAC에서 ACÓ="Ã3Û`+6Û`^=3'5 '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B에서 y AHÓ=BHÓ= a
2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B(4, 4)
'3 2 '3 2 '6
C(0, 3) ∴ ABÓ=¾Ð{ a} +{ a} = a
하면 a 2 2 2
P
OHÓ=4, BHÓ=4이므로 x △ABP와 △CBA에서
O H A(6, 0) ∠APB=∠CAB, ∠B는 공통이므로
△BOH에서
BOÓ="Ã4Û`+4Û`^=4'2 △ABP »△CBA`(AA 닮음)
즉, ABÓ`:`CBÓ=BPÓ`:`BAÓ이므로
∴  OABC=;2!;_3'5_4'2_sin`a
'6 '6
=6'1Œ0`sin`a a`:`a=BPÓ`:` a ∴ BPÓ=;2#; a
2 2
즉, 6'1Œ0`sin`a=18이므로 sin`a=
3 BCÓ
=aÖ;2#; a=;3@;
'1Œ0

BPÓ

10 정답과 해설
03 정삼각형 ABC의 한 변의 길이를 2a라 하면 05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바이킹 A'
O

점 D는 ACÓ의 중점이므로 의 중심 기둥이 처음 위치에 60ù


서 점 O를 중심으로 왼쪽으 20 m
ADÓ=CDÓ=;2!; ABÓ=;2!;_2a=a B' H
로 60ù만큼 회전하였을 때
△BCD에서 BDÓ="Ã(2a)Û`-aÛ`^='3 a A, B, C 지점의 변화된 위 C
C'(A)
'3
B
1.6 m
∴ BEÓ=DEÓ=;2!; BDÓ=;2!;_'3 a= a 치를 각각 A', B', C'이라 하
2
고, 점 B'에서 바이킹의 중심 기둥의 처음 위치인 OBÓ에 내린
'3 '7
△ECD에서 CEÓ=¾ÐaÛ`+{ 2 a} = 2 a
2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이때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OB'H에서 OHÓ=20`cos`60ù=20_;2!;=10(m)


∠ABD=∠CBD=;2!;∠B=;2!;_60ù=30ù ∴ BHÓ=OBÓ-OHÓ=20-10=10(m)
이때 지면으로부터 점 B'까지의 높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E에서 BCÓ A

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 하면 BHÓ+1.6=10+1.6=11.6(m)
△BFE에서 2a D 따라서 바이킹이 움직이기 시작하여 중심 기둥이 처음 위치
EFÓ=BEÓ`sin`30ù 30ù
E a 에서 점 O를 중심으로 왼쪽으로 60ù만큼 회전하였을 때, 중심
'3 '3 30ù 기둥의 B 지점은 지면으로부터 11.6`m 높이에 있다.
= a_;2!;= a B
F x
C
2 4
따라서 △EFC에서
06 자동차 P가 40분 동안 달린 거리는 120_;6$0);=80(km)
EFÓ '3 '7 '2Œ1
sin`x= = aÖ a=
CEÓ 4 2 14 ∴ OAÓ=80`km
[다른 풀이] 자동차 Q가 40분 동안 달린 거리는 90_;6$0);=60(km)
정삼각형 ABC의 한 변의 길이를 2a라 하면
∴ OCÓ=60`km
ADÓ=CDÓ=;2!; ABÓ=;2!;_2a=a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C에서 OAÓ에 A

△BCD에서 BDÓ="Ã(2a)Û`-aÛ`^='3 a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OCH에서 80 km

'3 '3 H
∴ BEÓ=DEÓ=;2!; BDÓ=;2!;_'3 a= a CHÓ=60`sin`60ù=60_ =30'3 (km)
2
2 60ù
O
'3 2 '7 OHÓ=60`cos`60ù=60_;2!;=30(km)
△ECD에서 CEÓ=¾ÐaÛ`+{ 2 a} = 2 a 60 km
C

이때 ∴ AHÓ=OAÓ-OHÓ=80-30=50(km)
따라서 △AHC에서 ACÓ="Ã50Û`+(30'3 )Û`^=20'1Œ3 (km)
△BCE=;2!;_BEÓ_CDÓ=;2!;_BCÓ_CEÓ_sin`x이므로
'3 '7
;2!;_ a_a=;2!;_2a_ a_sin`x 07 1초에 0.2ù씩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5분, 즉 300초 후에는
2 2
'3 '7 '2Œ1 0.2ù_300=60ù만큼 회전한다.
aÛ`= aÛ``sin`x ∴ sin`x= A'
4 2 14 오른쪽 그림과 같이 관람차의 중심을
O, 5분 후 A, B의 위치를 각각 A', 18 m
60ù
B'이라 하고, ABÓ와 HB'Ó이 평행하도 A
O
B
04 오른쪽 그림의 △DGH에서 A D
록 점 H를 원 O 위에 잡으면
60ù
DHÓ=2`tan`60ù=2_'3=2'3 B C ∠A'B'H=∠A'OA=60ù`(동위각) H B'
2 45ù
DGÓ= =2Ö;2!;=4 60ù 이므로
cos`60ù E I
x
H '3
이때 △BFG는 직각이등변삼각형 45ù 2 △A'HB'에서 A'HÓ=18`sin`60ù=18_ 2 =9'3 (m)
F
G
이므로 FGÓ=BFÓ=DHÓ=2'3 따라서 ABÓ와 지면이 평행할 때부터 5분 후에 A칸은 B칸보
∴ BGÓ="Ã(2'3 )Û`+(2'3 )Û`^=2'6 다 9'3 `m만큼 더 높은 곳에 있다.
BDÓ를 그으면 △BCD에서 BDÓ="Ã(2'3 )Û`+2Û`^=4
즉, △DBG는 DBÓ=DG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D에서
08 △BML=;2!;_BLÓ_BMÓ_sin`B
BG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하면

IGÓ=;2!; BGÓ=;2!;_2'6='6 =;2!;_;3@; ABÓ_;2!; BCÓ_sin`B

따라서 △DIG에서 DIÓ="Ã4Û`-('6 )Û`^='¶10이므로 =;3!;_{;2!;_ABÓ_BCÓ_sin`B}


DIÓ '1Œ0
sin`x= =
4 =;3!;△ABC=;3!;_24=8
DGÓ

Ⅰ. 삼각비 11
△MCN=;2!;_CMÓ_CNÓ_sin`C ∴ △EBF=△EBC-△FBC

=;2!;_4_4_sin`60ù-;2!;_4_2(3-'3 )
=;2!;_;2!; BCÓ_;4!; ACÓ_sin`C
'3
=;2!;_4_4_ -4(3-'3 )
=;8!;_{;2!;_BCÓ_ACÓ_sin`C} 2
=4'3-12+4'3
=;8!;△ABC=;8!;_24=3 =8'3-12(cmÛ`)

△ALN=;2!;_ALÓ_ANÓ_sin`A
180ù_(6-2)
11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6
=120ù
=;2!;_;3!; ABÓ_;4#; ACÓ_sin`A
오른쪽 그림과 같이 큰 정육각형의 120ù A
212
=;4!;_{;2!;_ABÓ_ACÓ_sin`A} 한 꼭짓점을 A, 이웃하는 두 변의 212
30ù
B C
중점을 각각 B, C라 하고, H 30ù
=;4!;△ABC=;4!;_24=6
△ABC의 꼭짓점 A에서 B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LMN=△ABC-△BML-△MCN-△ALN
ABÓ=ACÓ=;2!;_4'2=2'2이고,
=24-8-3-6
=7 ∠ABC=∠ACB=;2!;_(180ù-120ù)=30ù이므로
'3
△ABH에서 BHÓ=2'2`cos`30ù=2'2_ 2 ='6
09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C의 120ù A
H
6 cm
내접원의 중심을 O라 하고, 꼭 10 cm ∴ BCÓ=2 BHÓ=2'6
O
짓점 C에서 BAÓ의 연장선에 내 B C 즉, 작은 정육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2'6이다.
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360ù
이때 정육각형은 꼭지각의 크기가 =60ù이고, 합동인
6
△ACH에서 ∠CAH=180ù-120ù=60ù이므로
6개의 정삼각형으로 나누어진다.
'3
CHÓ=6`sin`60ù=6_ =3'3 (cm) ∴ (두 정육각형의 넓이의 합)
2
AHÓ=6`cos`60ù=6_;2!;=3(cm) =6_{;2!;_4'2_4'2_sin`60ù}

△BCH에서 BCÓ="Ã(3'3 )Û`+(10+3)Û`^=14(cm) +6_{;2!;_2'6_2'6_sin`60ù}

'3
이때
=6_{;2!;_4'2_4'2_ }
△ABC=;2!;_10_6_sin`(180ù-120ù) 2
'3
'3 +6_{;2!;_2'6_2'6_ }
=;2!;_10_6_ 2
2
=48'3+36'3=84'3
=15'3 (cmÛ`)
이므로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ABC=△OAB+△OBC+△OCA에서
15'3=;2!;_r_(10+14+6)
33~36쪽
15r=15'3 ∴ r='3
따라서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3`cm이다. '7
01 4 02 5 03 ② 04 ;5!;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F에서 BCÓ에 A


E
D 05 ④ 06 ;2(; 07 y='3 x+4'3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3'3
F 08 09 ④ 10 (144-42'3 ) cmÛ`
BHÓ=x`cm라 하면 4 cm 8
CHÓ=4-x(cm) 11 4'1Œ9 12 (9'6+27'2 ) m 13 ③
45ù 60ù
이때 ∠DBC=45ù이므로 B C
x cm H '5 '3
△FBH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14 39'3 15 ③ 16 5 17 3
∴ FHÓ=BHÓ=x`cm 18 6'3 19 ③
△FHC에서 ∠FCH=60ù이므로
x 서술형 문제 <과정은 풀이 참조>
tan`60ù= ='3에서 x=4'3-'3 x
4-x
'3
4'3 20 ;6%; 21 '2+1 22 50'6 `m 23 4
('3+1)x=4'3 ∴ x= =2(3-'3)
'3+1

12 정답과 해설
01 점 M은 △ABC의 외심이므로 A △ABC에서 ACÓ=12`sin`30ù=12_;2!;=6
AMÓ=BMÓ=CMÓ=;2!;ABÓ=;2!;_8=4 8 '3
M H △ADC에서 CDÓ=6`cos`30ù=6_ 2 =3'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M에서 ACÓ에 x '3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B C
△DEC에서 DEÓ=3'3`sin`60ù=3'3_ 2 =;2(;
6
△ABC에서 MHÓ=;2!; BCÓ=;2!;_6=3
따라서 △MCH에서 CHÓ="Ã4Û`-3Û`^='7 '3
07 sin`a= 2 이므로 a=60ù
CHÓ '7
∴ cos`x= =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y=mx+n이라 하면
CMÓ 4
m=tan`60ù='3
직선 y='3 x+n이 점 (-4, 0)을 지나므로
02 △PQH에서 tan`a= 10 =;2%; 0=-4'3+n ∴ n=4'3
QHÓ
5 QHÓ=20 ∴ QHÓ=4 ∴ y='3 x+4'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인 원 O의 반 H
4
'3
r
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ABÓ ABÓ
2
08 sin`60ù= = =ABÓ=
△HQO에서 rÛ`=4Û`+(r-2)Û` A
Q O
B OAÓ 1 2
CDÓ CDÓ
=CDÓ='3
4r=20 ∴ r=5 r-2
tan`60ù= =
ODÓ 1
따라서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
OBÓ OBÓ
이는 5이다. cos`60ù= = =OBÓ=;2!;
OAÓ 1
∴  ABDC=△COD-△AOB
03 ∠B=90ù인 직각삼각형에서 '3
=;2!;_1_'3-;2!;_;2!;_
BCÓ ABÓ 2
sin`A`:`cos`A= `:` =BCÓ`:`ABÓ '3 '3 3'3
ACÓ ACÓ = - =
2 8 8
즉, BCÓ`:`ABÓ=8`:`15이므로 오른쪽 그 C

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ABC를 생각할 8


수 있다. A 09 3xÛ`-2x-1=0에서 (3x+1)(x-1)=0
15 B
이때 ACÓ="Ã15Û`+8Û`^=17이므로 ∴ x=-;3!; 또는 x=1

cos`(90ù-A)=cos`C=;1¥7; 그런데 0ù<B<90ù에서 tan`B>0이므로 x=1


∴ tan`B=1
즉, B=45ù이므로 0ù<A<45ù
04 BDÓ`:`DCÓ=16`:`9이므로
'2
BDÓ=16k, DCÓ=9k`(k>0)라 하면 이때 sin`45ù=cos`45ù= 이므로
2
ADÓÛ`=16k_9k=144kÛ` ∴ ADÓ=12k`(∵ k>0) '2
0<sin`A< <cos`A<1
따라서 △ADC에서 ACÓ="Ã(9k)Û`+(12k)Û`^=15k 2
12k 9k 따라서 cos`A+sin`A>0, cos`A-sin`A>0이므로
∴ cos`x-sin`x= - =;5!;
15k 15k Á°(cos`A+sin`A)Û`¤-Á°(cos`A-sin`A)Û`¤
=cos`A+sin`A-(cos`A-sin`A)
05 x=a, y=2a, z=3a`(a>0)라 하면 =cos`A+sin`A-cos`A+sin`A
a+2a+3a=180ù, 6a=180ù ∴ a=30ù =2`sin`A
즉, x=30ù, y=60ù, z=90ù이므로
tan`x`:`cos`y`:`sin`z=tan`30ù`:`cos`60ù`:`sin`90ù
10 △BCE에서 ∠EBC=90ù-60ù=30ù이므로
'3
= `:`;2!;`:`1 '3
3 CEÓ=6'3`tan`30ù=6'3_ =6(cm)
3
=2`:`'3`:`2'3
∴ DEÓ=CDÓ-CEÓ
=6'3-6=6('3 -1)(cm)
06 오른쪽 그림의 △ABC에서 A
이때 ∠DEH=180ù-(60ù+90ù)=30ù이므로
12 D
∠A=180ù-(30ù+90ù)=60ù 60ù
30ù
DHÓ=DEÓ`tan`30ù
이므로
30ù '3
B C =6('3 -1)_
∠ACD=180ù-(90ù+60ù)=30ù E
60ù 3
∴ ∠DCE=90ù-30ù=60ù =2(3-'3 )(cm)

Ⅰ. 삼각비 13
∴  ABEH 14 ∠BOC=180ù-120ù=60ù이므로
= ABCD-△BCE-△EDH
△OBC=;2!;_BOÓ_5_sin`60ù=10'3 에서
=6'3_6'3-;2!;_6'3_6 '3
;2!;_BOÓ_5_ =10'3
2
-;2!;_6('3 -1)_2(3-'3 )
5'3
BOÓ=10'3 ∴ BOÓ=8
=108-18'3 -24'3 +36 4

=144-42'3 (cmÛ`) 이때 ACÓ+BDÓ=25이므로


ACÓ+(8+5)=25 ∴ ACÓ=12
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D에서 A D
∴  ABCD=;2!;_(8+5)_12_sin`60ù
BCÓ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8 120ù
'3
H라 하면
120ù
=;2!;_13_12_ =39'3
B
12 C
H 2
△DCH에서
∠DCH=180ù-120ù=60ù이므로
15 c=;2A;+b의 양변을 제곱하면 cÛ`={;2A;+b} `
2

'3
DHÓ=8`sin`60ù=4_ =4'3
2
∴ cÛ`= +ab+bÛ`
aÛ`
y`㉠
4
CHÓ=8`cos`60ù=8_;2!;=4
이때 △ABC는 직각삼각형이므로
∴ BHÓ=BCÓ+CHÓ=12+4=16 cÛ`=aÛ`+bÛ` y`㉡
따라서 △DBH에서
㉠, ㉡에서 aÛ`+bÛ`= +ab+bÛ`
aÛ`
BDÓ="Ã16Û`+(4'3 )Û`^=4'1Œ9
4
;4#; aÛ`=ab, 3a=4b ∴ ;aB;=;4#;
12 오른쪽 그림과 꼭짓점 B에서 ACÓ에 A
∴ tan`B=;aB;=;4#;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60ù H
△BCH에서
BHÓ=54`sin`45ù 75ù 45ù 16 △ABC에서 A
B C
'2 BCÓ="Ã5Û`+10Û`^=5'5 5 D
54 m F 10
=54_ =27'2 (m) x y
2 이때 △ABC ∽△EBD`(AA 닮음) y x
'2 B C
E G
CHÓ=54`cos`45ù=54_ =27'2 (m) 이므로 ∠ACB=∠EDB=x 515
2
또 △ABC ∽△GFC`(AA 닮음)이므로
이때 ∠A=180ù-(75ù+45ù)=60ù이므로
∠ABC=∠GFC=y
27'2 27'2
△ABH에서 AHÓ= tan`60ù = =9'6 (m)
'3 따라서 △ABC에서

∴ ACÓ=AHÓ+CHÓ=9'6 +27'2 (m) ACÓ 10 2'5 ABÓ 5 '5


cos`x= = = , cos`y= = =
BCÓ 5'5 5 BCÓ 5'5 5
2'5 '5 '5
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B에서 H A D ∴ cos`x-cos`y=
5
-
5
=
5
45ù
ADÓ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 a cm
을 H라 하면 45ù
B C 17 ECÓ=a라 하면
∠BAH=∠ABC=45ù`(엇각)
∠ABC=15ù+30ù=45ù이므로 △ABC는 직각이등변삼각
이므로
형이다.
a '2
△BAH에서 ABÓ=
sin`45ù
=aÖ ='2 a(cm)
2 ∴ ACÓ=BCÓ=a+1
이때 ∠BAC=∠DAC`(접은 각), ∠DAC=∠BCA`(엇각) ACÓ a+1
△AEC에서 tan`75ù= =
a
ECÓ
이므로 ∠BAC=∠BCA
a+1
즉, △ABC는 ABÓ=BC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이때 tan`75ù=2+'3이므로 =2+'3
a
∴ BCÓ=ABÓ='2 a`cm 2a+'3 a=a+1, (1+'3 )a=1
'3-1
따라서 ;2!;_'2 a_'2 a_sin`45ù=18'2이므로 ∴ a=
1
=
1+'3 2
'2 '3-1 '3+1
;2!;_'2 a_'2 a_ =18'2 ∴ ACÓ=BCÓ= +1=
2 2 2
'2 따라서 △BCD에서
aÛ`=18'2, aÛ`=36
2 '3+1 '3 3+'3
∴ a=6`(∵ a>0) CDÓ=BCÓ`tan`30ù= _ =
2 3 6

14 정답과 해설
'3+1 3+'3 '3 이등변삼각형의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하
∴ ADÓ=ACÓ-CDÓ= - =
2 6 3 므로

18  ADPF에서 ∠ADP=∠AFP=90ù, ∠A=60ù이므로 BHÓ=CHÓ=;2!; BCÓ=;2!;_10=5(cm) …ⅲ

∠DPF=360ù-(90ù+90ù+60ù)=120ù 따라서 △OBH에서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면 ∠DPE=120ù, ∠EPF=120ù BHÓ
sin`A=sin`(∠BOH)= =;6%; …ⅳ
OBÓ
△PDE=;2!;_x_y_sin`(180ù-120ù)
채점 요소 비율
'3 '3
=;2!;_x_y_ = xy ⅰ ∠ABO=∠BAH임을 알기 20 %
2 4
ⅱ ∠BOH=∠A임을 알기 30 %
△PEF=;2!;_y_z_sin`(180ù-120ù) ⅲ BHÓ의 길이 구하기 20 %

'3 '3
ⅳ sin`A의 값 구하기 30 %
=;2!;_y_z_ = yz
2 4

△PFD=;2!;_z_x_sin`(180ù-120ù)
21 OAÓ=OCÓ=;2!; ABÓ=;2!;_4'3=2'3 …ⅰ
'3 '3
=;2!;_z_x_ = zx △COD에서 ∠COD=180ù-135ù=45ù이므로
2 4
∴ △DEF=△PDE+△PEF+△PFD '2
CDÓ=2'3`sin`45ù=2'3_ ='6
2
'3
= (xy+yz+zx) '2
4 ODÓ=2'3`cos`45ù=2'3_ ='6 …ⅱ
2
'3
= _24=6'3 이때 △AO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4
∠OAC=∠OCA
=;2!;_(180ù-135ù)=22.5ù … ⅲ
19 △ABM=;2!;△ABC=;2!;_;2!;  ABCD=;4!;  ABCD
따라서 △ADC에서
△AND=;2!;△ACD=;2!;_;2!;  ABCD=;4!;  ABCD ∠ACD=180ù-(22.5ù+90ù)=67.5ù이므로
△MCN=;2!;△BCN=;2!;_;2!;△BCD=;4!;△BCD ADÓ 2'3+'6
tan`67.5ù= = ='2+1 …ⅳ
CDÓ '6
=;4!;_;2!;  ABCD=;8!;  ABCD 채점 요소 비율

ⅰ OAÓ, OCÓ의 길이 구하기 20 %


이므로
ⅱ CDÓ, ODÓ의 길이 구하기 30 %
△AMN
ⅲ ∠OAC의 크기 구하기 20 %
= ABCD-(△ABM+△AND+△MCN)
ⅳ tan`67.5ù의 값 구하기 30 %
= ABCD-{;4!;  ABCD+;4!;  ABCD+;8!;  ABCD}

= ABCD-;8%;  ABCD
22 △BDC에서
=;8#;  ABCD ∠BCD=180ù-(105ù+45ù)=30ù …ⅰ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B에서 B
=;8#;_(6_6_sin`45ù) 50 m
105ù
CD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2 27'2 45ù 30ù
=;8#;_{6_6_ }= (cmÛ`) △BDH에서 D
H
C
2 4
BHÓ=50`sin`45ù
'2
2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BCÓ에 A =50_ =25'2 (m)
2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ABC 6 cm △BHC에서
는 원에 내접하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25'2
O BCÓ= =25'2Ö;2!;=50'2 (m) …ⅱ
AHÓ는 원의 중심 O를 지난다. 6 cm sin`30ù
H
이때 OAÓ=OBÓ=6`cm이므로 B C 따라서 △ABC에서
10 cm
△ABO는 이등변삼각형이다. ACÓ=50'2`tan`60ù=50'2_'3=50'6 (m) …ⅲ
∴ ∠ABO=∠BAH … ⅰ 채점 요소 비율

또 ∠BAH=∠CAH이므로 ⅰ ∠BCD의 크기 구하기 20 %


△ABO에서 ⅱ BCÓ의 길이 구하기 50 %

∠BOH=∠ABO+∠BAO=2∠BAH=∠A …ⅱ ⅲ ACÓ의 길이 구하기 30 %

Ⅰ. 삼각비 15
23 PDÓ=x, PEÓ=y라 하면
△ABC는 정삼각형이고, Ⅱ. 원의 성질
△ABC=△ABP+△APC이므로
;2!;_2_2_sin`60ù=;2!;_2_x+;2!;_2_y
1 원과 직선
'3
x+y=;2!;_2_2_ ∴ x+y='3 y`㉠ …ⅰ
2
이때 PDÓÛ`+PEÓÛ`=1이므로 xÛ`+yÛ`=1 y`㉡
㉠, ㉡을 xÛ`+yÛ`=(x+y)Û`-2xy에 대입하면 1 39~44쪽

1=('3 )Û`-2xy ∴ xy=1 y`㉢ …ⅱ


유제 1 ④ 유제 2 8 cm 유제 3 ⑤
 ADPE에서
유제 4 36'3 cmÛ` 유제 5 ③
∠DPE=360ù-(60ù+90ù+90ù)=120ù
유제 6 24 cm 유제 7 ②
∴ △DPE=;2!;_x_y_sin`(180ù-120ù)
유제 8 (24-4p) cmÛ` 유제 9 ① 유제 10 13 cm
'3
=;2!;_x_y_ 유제 11 ⑤ 유제 12 (20-4'§21) cm
2
'3 '3
= xy= _1`(∵ ㉢)
4 4 유제 1 현의 수직이등분선은 그 원의 중심 2 cm C
'3
= …ⅲ 을 지나므로 원의 중심을 O라 하 A
4 cm 4 cm
B
4 M
고,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 r cm
채점 요소 비율
라 하면 O
ⅰ PDÓ+PEÓ의 값 구하기 40 %
OAÓ=r cm, OMÓ=(r-2) cm이므로
ⅱ PDÓ_PEÓ의 값 구하기 30 %
ⅲ △DPE의 넓이 구하기 30 % △AOM에서 rÛ`=(r-2)Û`+4Û`
4r=20 ∴ r=5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5 cm이다.

유제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O의 중심 A 413 cm


에서 AB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M
M
이라 하면 r cm
O
AMÓ=;2!; ABÓ
B
;2R; cm

=;2!;_8'3=4'3 (cm)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 하면

OMÓ=;2!; OAÓ=;2R; (cm)이므로

△AOM에서 rÛ`={;2R;}Û`+(4'3)Û`
rÛ`=64 ∴ r=8 (∵ r>0)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8 cm이다.

유제 3 OMÓ=ONÓ이므로 ABÓ=CDÓ=9 cm

∴ BMÓ=;2!; ABÓ=;2!;_9=;2(;(cm)
BMÓ 3 '
△BOM에서 OBÓ= cos`30ù =;2(;Ö 2 =3'3(cm)
∴ (원 O의 넓이)=p_(3'3)Û`=27p(cmÛ`)

유제 4 OPÓ=OQÓ=ORÓ이므로 ABÓ=BCÓ=CAÓ
이때 ABÓ=2APÓ=2_6=12(cm)이므로 △ABC는 한
변의 길이가 12 cm인 정삼각형이다.

∴ △ABC=;2!;_12_12_sin`60ù
'3
=;2!;_12_12_ =36'3 (cmÛ`)
2

16 정답과 해설
유제 5  APBO에서 △DEC에서 xÛ`=(18-x)Û`+12Û`
∠PAO=∠PBO=90ù이므로 36x=468 ∴ x=13
∠AOB=180ù-60ù=120ù ∴ DEÓ=13 cm
오른쪽 그림과 같이 POÓ를 그으 A [다른 풀이]
413 cm
AIÓ=AFÓ=BFÓ=BGÓ=;2!; ABÓ=;2!;_12=6(cm)이므로

30ù 120ù
P O
△PAOª△PBO(RHS 합동)
DHÓ=DIÓ=CGÓ=15-6=9(cm)
이므로
B EGÓ=EHÓ=x cm라 하면
∠APO=∠BPO=;2!;∠APB DEÓ=(9+x) cm, CEÓ=(9-x) cm이므로
=;2!;_60ù=30ù △DEC에서 (9+x)Û`=(9-x)Û`+12Û`
36x=144 ∴ x=4
3 '
△PAO에서 OAÓ=4'3 tan 30ù=4'3_ 3 =4(cm) ∴ DEÓ=9+4=13(cm)
∴ (색칠한 부분의 넓이)
유제 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O 10 cm
= APBO-(부채꼴 OAB의 넓이) A D
의 중심에서 BCÓ, CDÓ에
=2△PAO-(부채꼴 OAB의 넓이)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E, O
=2_{;2!;_4'3_4}-p_4Û`_;3!6@0); 10 cm F
F라 하고, 원 O'의 중심 5 cm
r cm
=16'3-;;Á3¤;;p(cmÛ`) 에서 OEÓ에 내린 수선의
B
H
C
E
발을 H라 하자. O'

유제 6 ∠PAO=90ù이므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가 ;2!;_10=5(cm)이므로


△PAO에서 PAÓ="Ã13Û`-5Û`=12(cm)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 하면
이때 AQÓ=CQÓ, BRÓ=CRÓ이므로
OO'Ó=(5+r) cm, O'HÓ=(5-r) cm,
(△PQR의 둘레의 길이)=PQÓ+QRÓ+PRÓ
OHÓ=(5-r) cm이므로
=PAÓ+PBÓ=2PAÓ
△OHO'에서 (5+r)Û`=(5-r)Û`+(5-r)Û`
=2_12=24(cm)
rÛ`-30r+25=0 ∴ r=15-10'2 (∵ 0<r<5)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15-10'2) cm이다.
유제 7 ADÓ=AFÓ=x라 하면
BEÓ=BDÓ=6, CEÓ=CFÓ=5이므로
유제 12 오른쪽 그림에서 2 cm
2(x+6+5)=30, x+11=15 ∴ x=4 A E D
CDÓ=DEÓ=x cm라 하면
∴ ADÓ=4
p_xÛ`_;4!;=9p이므로
유제 8 △ABC에서 ABÓ="Ã8Û`+6Û`=10(cm) O H
xÛ`=36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 하면 B C
∴ x=6 (∵ x>0)
CEÓ=CFÓ=r cm이므로
∴ BCÓ=ADÓ=2+6=8(cm)
BDÓ=BEÓ=(8-r) cm, ADÓ=AFÓ=(6-r) cm
이때 원 O의 중심에서 CD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이때 ABÓ=ADÓ+BDÓ이므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 하면
10=(6-r)+(8-r), 2r=4 ∴ r=2
DOÓ=(6+r) cm, DHÓ=(6-r) cm, OHÓ=(8-r) cm
∴ (색칠한 부분의 넓이)=;2!;_8_6-p_2Û` 이므로
=24-4p(cmÛ`) △DOH에서 (6+r)Û`=(6-r)Û`+(8-r)Û`
rÛ`-40r+64=0 ∴ r=20-4'§21 (∵ 0<r<3)
유제 9 오른쪽 그림과 같이 OEÓ를 그으 A H D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20-4'§21) cm이다.
면  OEBF는 정사각형이므로
O G
BFÓ=OFÓ=5 cm E 10 cm

CGÓ=CFÓ=12-5=7(cm) 5 cm
B C
∴ DHÓ=DGÓ F
12 cm
=10-7=3(cm) 2 45~47쪽

유제 10 DEÓ=x cm라 하면  ABED가 원 O에 외접하므로 1⑤ 2① 3③ 4②


ABÓ+DEÓ=ADÓ+BEÓ에서 5⑤ 6② 7③ 8①
12+x=15+BEÓ ∴ BEÓ=x-3 (cm)
9② 10 ⑤ 11 ① 12 ④
이때 CEÓ=15-(x-3)=18-x (cm)이므로

Ⅱ. 원의 성질 17
1 ABÓ⊥OMÓ, ACÓ⊥ONÓ이므로 AMÓ=BMÓ, ANÓ=CNÓ 이때 PJÓ=PIÓ=PHÓ=PGÓ=PFÓ=(21-a) cm이므로
PEÓ=PJÓ+EJÓ=(21-a)+(a-8)=13(cm)
△ABC에서 MNÓ=;2!; BCÓ=;2!;_12=6(cm)

5 오른쪽 그림과 같이 OPÓ를 그으면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O △OAPª△OBP (RHS 합동)이므로 O 120ù
에서 AB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O ∠AOP=∠BOP=;2!;∠AOB A 60ù B
라 하고, 큰 원의 반지름의 길이
a cm b cm
를 a cm, 작은 원의 반지름의 길 A B =;2!;_120ù=60ù 1213
H O'
H
이를 b cm라 하면
△OAP에서
paÛ`-pbÛ`=16p ∴ aÛ`-bÛ`=16
12'3 12'3
P
OAÓ= = =12
△OAH에서 tan`60ù '3
AHÓ="ÃaÛ`-bÛ`='§16=4(cm) 12'3 '3
OPÓ= =12'3Ö =24
sin`60ù 2
∴ ABÓ=2AHÓ=2_4=8(cm)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O'PÓ=OPÓ-OO'Ó=24-(12+r)=12-r
3 OMÓ=ONÓ이므로 ACÓ=BCÓ이고,
이때 점 O'에서 PA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ABC=∠BAC=60ù이므로 ∠ACB=60ù
△OAP»△O'HP (AA 닮음)이므로
즉, △ABC는 정삼각형이다.
12`:`r=24`:`(12-r)
오른쪽 그림과 같이 OCÓ를 그으면 A
36r=144 ∴ r=4
△OMCª△ONC (RHS 합동) 60ù
M
∴ (원 O'의 둘레의 길이)=2p_4=8p
이므로 O
4 cm
∠OCN=;2!; ∠ACB B C 6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D에서 BCÓ에 A
4 cm
D
N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2!;_60ù=30ù
CHÓ=6-4=2(cm) P
O
△ONC에서 CDÓ=DPÓ+CPÓ=DAÓ+CBÓ
4
OCÓ= =4Ö;2!;=8(cm) =4+6=10(cm)
sin`30ù B C
'3
△DHC에서 H
4 6 cm
CNÓ=
tan`30ù
=4Ö =4'3 (cm)
3 DHÓ="Ã10Û`-2Û`=4'6 (cm)
이때 OPÓ를 그으면 ABÓ=DHÓ=4'6 cm이므로
∴ BCÓ=2 CNÓ=2_4'3=8'3 (cm)
OPÓ=;2!; ABÓ=;2!;_4'6=2'6 (cm)
∴ (색칠한 부분의 넓이)=p_8Û`-;2!;_8'3_8'3_sin`60ù
'3 ∴ △OCD=;2!;_10_2'6=10'6 (cmÛ`)
=64p-;2!;_8'3_8'3_
2
=64p-48'3 (cmÛ`)
7 ADÓ=AEÓ, CEÓ=CFÓ, BDÓ=BFÓ이므로
ADÓ+AEÓ=ABÓ+BCÓ+CAÓ
4 P
=12+13+15=40
21 cm O¢
F JE
N ∴ AEÓ=;2!;_40=20
OÁ 4 cm
A I
G O£ D ∴ CFÓ=CEÓ=AEÓ-ACÓ=20-15=5
K Oª H
8 cm
16 cm L △ABC에서 CPÓ=CRÓ=x라 하면
CM
12 cm AQÓ=APÓ=15-x, BQÓ=BRÓ=13-x
B
위의 그림과 같이 원과 접선의 접점을 각각 F, G, H, I, J, 이때 ABÓ=AQÓ+BQÓ이므로
K, L, M, N이라 하고, AFÓ=AKÓ=a cm라 하면 12=(15-x)+(13-x)
BKÓ=(16-a) cm 2x=16 ∴ x=8
BLÓ=BGÓ=BKÓ=(16-a) cm이므로 ∴ FRÓ=CRÓ-CFÓ=8-5=3
CLÓ=12-(16-a)=a-4(cm)
CMÓ=CHÓ=CLÓ=(a-4) cm이므로 8 오른쪽 그림과 같이 ODÓ, OFÓ를 그 A
x
DMÓ=8-(a-4)=12-a(cm) 으면 CEÓ=CFÓ=OEÓ=3 15 D x
DNÓ=DIÓ=DMÓ=(12-a) cm이므로 AFÓ=ADÓ=x라 하면 O
F
ENÓ=4-(12-a)=a-8(cm) BEÓ=BDÓ=15-x, ACÓ=x+3 3 3
B C
∴ EJÓ=ENÓ=(a-8) cm BCÓ=(15-x)+3=18-x E 3

18 정답과 해설
△ABC에서 15Û`=(18-x)Û`+(x+3)Û`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Q에서 4 cm
r cm
xÛ`-15x+54=0, (x-6)(x-9)=0 OP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 P
Q H
∴ x=6 또는 x=9 고, 원 Q의 반지름의 길이를
8 cm O
그런데 ACÓ<BCÓ이므로 r cm라 하자.
원 P의 반지름의 길이는 4 cm이므로
x+3<18-x에서 x<;;Á2°;;
QPÓ=(4+r) cm, QOÓ=(8-r) cm,
∴ x=6
PHÓ=POÓ-HOÓ=(4-r) cm
따라서 ACÓ=6+3=9, BCÓ=18-6=12이므로 Û
△PQH에서 QHÓ`=(4+r)Û `-(4-r)Û` y㉠
(색칠한 부분의 넓이)=;2!;_12_9-p_3Û` △QOH에서 QHÓÛ`=(8-r)Û`-rÛ` y㉡
=54-9p ㉠, ㉡에서 (4+r)Û`-(4-r)Û`=(8-r)Û`-rÛ`
32r=64 ∴ r=2
따라서 원 Q의 반지름의 길이는 2 cm이다.
9 △ABE에서 AEÓ=ADÓ=12 cm이므로
BEÓ="Ã12Û`-10Û`=2'§11(cm)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E와 A
12 cm
D
내접원의 세 접점을 각각 P, Q,
3 48~50쪽
R라 하고,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 10 cm
R
이를 r cm라 하면 P 01 125p 02 52p cmÛ` 03 36'3+66p
ARÓ=APÓ=(10-r) cm, B Q E C 04 16 cm 05 10(2'3-3) cm 06 54 cmÛ`
r cm
ERÓ=EQÓ=(2'§11-r) cm 07 25 08 '§30 cm 09 1 10 24'2 cmÛ
이때 AEÓ=ARÓ+ERÓ이므로
12=(10-r)+(2'§11-r), 2r=2'§11-2 11 {;;°3¤;;p+16'3} cm
∴ r='§11-1
따라서 △ABE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11-1) cm
0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O에서 C
이다.
ABÓ, CD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12
O
M, N이라 하면 N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A에서 A 6 cm D
A M 6 B
AMÓ=BMÓ=;2!; ABÓ 16 P 8
B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D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 하 O
=;2!;_(16+6)=11
r cm

AHÓ=CDÓ=2r cm
B H C CNÓ=DNÓ=;2!; CDÓ=;2!;_(12+8)=10
10 cm
BHÓ=10-6=4(cm) ∴ OMÓ=NPÓ=10-8=2
이때 ABÓ+CDÓ=ADÓ+BCÓ이므로 △OAM에서 OAÓ="Ã11Û`+2Û`=5'5
ABÓ+2r=6+10 ∴ ABÓ=(16-2r) cm ∴ (원 O의 넓이)=p_(5'5)Û`=125p
△ABH에서 (16-2r)Û`=(2r)Û`+4Û`
64r=240 ∴ r=;;Á4°;; 0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접시의 중 A 6 cm E
M
H D
심을 O, 점 O에서 ADÓ, BCÓ에 2 cm F 8 cm
B N G C
∴ (원 O의 넓이)=p_{;;Á4°;;}Û`=;;ª1ª6°;;p(cmÛ`)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M, N 4 cm
O
이라 하고, ONÓ=x cm라 하면

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O'CÓ, O'DÓ, B EMÓ=;2!; EHÓ=;2!;_8=4(cm),


OO'Ó을 긋고 원 O'의 반지름의 OMÓ=(x+2) cm이므로
D
길이를 r cm라 하면 (12-r) cm O' △EOM에서 OEÓ Û`=4Û`+(x+2)Û` y㉠
△O'OCª△O'OD (RHS 합동) 60ù r cm BNÓ=AMÓ=6+4=10(cm)이므로
이므로 O A
30ù C FNÓ=10-4=6(cm)
12 cm
∠O'OC=;2!;∠BOA=;2!;_60ù=30ù △FON에서 OFÓ Û`=6Û`+xÛ` y㉡
이때 OEÓ=OFÓ이므로
이때 △O'OC에서 OO'Ó=(12-r) cm이고,
㉠, ㉡에서 4Û`+(x+2)Û`=6Û`+xÛ`
r=(12-r) sin`30ù이므로
4x=16 ∴ x=4
r=(12-r)_;2!; ∴ r=4 ∴ OEÓ=OFÓ="Ã6Û`+4Û`=2'§13(cm)(∵ OEÓ>0, OFÓ>0)
∴ (원 O'의 넓이)=p_4Û`=16p(cmÛ`) ∴ (접시의 넓이)=p_(2'§13)Û`=52p(cmÛ`)

Ⅱ. 원의 성질 19
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OAÓ, OCÓ를 그으면 A
M
B 두 점 P, Q가 점 A에 도착할 때까지 걸린 시간을 t라 하면
△AOM에서 613
2a+b 7 b 7
= _ , 2a+b= b
3
∴ b= a y㉠
AMÓ="Ã12Û`-(6'3)Û`=6
12 t 3 t 3 2
135ù
O
이때 OMÓ=ONÓ이므로 ABÓ=CDÓ D Ú △ABC=;2!;_BCÓ_ACÓ=;2!;_(a+3)_(b+3)
12
∴ AMÓ=BMÓ=CNÓ=DNÓ=6
C
N =;2!;(ab+3a+3b+9)
△AOM에서
6'3 '3 =;4#;aÛ`+;;Á4°;;a+;2(;(∵ ㉠)
cos (∠AOM)= =
12 2
그런데 ∠AOM<90ù이므로 ∠AOM=30ù Û △ABC=△OAB+△OBC+△OCA
△OAMª△OCN (RHS 합동)이므로 =;2!;_(a+b)_3 +;2!;_(a+3)_3
∠CON=∠AOM=30ù
∴ ∠AOC=360ù-(30ù+135ù+30ù)=165ù +;2!;_(b+3)_3

=3a+3b+9=;;Á2°;;a+9(∵ ㉠)
∴ (색칠한 부분의 넓이)
=△AOM+△CON+(부채꼴 AOC의 넓이)
따라서 Ú, Û에서 ;4#;aÛ`+;;Á4°;;a+;2(;=;;Á2°;;a+9,
=;2!;_6_6'3+;2!;_6_6'3+p_12Û`_;3!6^0%;
aÛ`-5a-6=0, (a-6)(a+1)=0
=36'3+66p
∴ a=6(∵ a>0)

04 DAÓ=DGÓ, CBÓ=CGÓ이므로 ∴ △ABC=;;Á2°;;_6+9=54(cmÛ`)


PAÓ+PBÓ=PCÓ+CDÓ+PDÓ=14+13+11=38(cm)

이때 PAÓ=PBÓ이므로 PAÓ=;2!;_38=19(cm) 07  ABCD의 둘레의 길이가 70이므로


ABÓ+BCÓ=35
∴ DAÓ=19-11=8(cm)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O와 A D
따라서 EAÓ=EHÓ, FGÓ=FHÓ이므로
ABÓ, BCÓ의 접점을 각각 G, H라 E O'
(△DFE의 둘레의 길이) x
하고, ABÓ=x라 하면 5
=DEÓ+EFÓ+DFÓ=DAÓ+DGÓ G F
BCÓ=35-x O
=2DAÓ=2_8=16(cm) 5
이때 OGÓ=OHÓ=OEÓ=5이므로 B C
H
ACÓ=AEÓ+ECÓ=AGÓ+CHÓ
x cm
0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원 P, Q, R =(ABÓ-BGÓ)+(BCÓ-BHÓ)
가 접하는 점을 각각 A, B, C라 하 P
=(x-5)+(35-x-5)=25
고, 점 O에서 세 접선 OAÓ, OBÓ, A C △ABC에서 25Û`=xÛ`+(35-x)Û`
OCÓ를 그으면 Q
O
R
B xÛ`-35x+300=0, (x-15)(x-20)=0
OAÓ⊥PQÓ, BPÓ⊥QRÓ, OCÓ⊥PRÓ
∴ x=15 또는 x=20
이때 세 원 P, Q, R가 합동이므로
그런데 ABÓ<BCÓ이므로 ABÓ=15, BCÓ=20
△PQR는 정삼각형이고, OAÓ=OCÓ이므로
∴ AEÓ=AGÓ=15-5=10
△OAPª△OCP (RHS 합동)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면 CFÓ=10이므로
∴ ∠CPO=;2!;∠QPR=;2!;_60ù=30ù EFÓ=ACÓ-(AEÓ+CFÓ)=25-(10+10)=5
원 P의 반지름의 길이를 x cm라 하면 OPÓ=(10-x) cm ∴  EOFO'=2△EOF=2_{;2!;_5_5}=25
x '3
따라서 △OPC에서 cos`30ù= = 이므로
10-x 2
10'3 08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꼭짓점 A 8 cm D
(2+'3)x=10'3 ∴ x= =10(2'3-3)
2+'3 A, D에서 BCÓ에 내린 수선의
13 cm 11 cm
따라서 원 P의 반지름의 길이는 10(2'3-3) cm이다. 발을 각각 E, F라 하고, O

BEÓ=x cm라 하면 B C
x cm E 8 cm F
06 오른쪽 그림에서 원 O의 반지름의 A ABÓ+CDÓ=ADÓ+BCÓ이므로 (8-x) cm
길이가 3 cm이므로 b`cm
13+11=8+BCÓ ∴ BCÓ=16(cm)
Q
OFÓ=OEÓ=ODÓ=CDÓ=CEÓ=3 cm b`cm △ABE에서 AEÓÛ`=13Û`-xÛ` y㉠
F
이때 BDÓ=BFÓ=a cm, O △DFC에서 DFÓÛ`=11Û`-(8-x)Û` y㉡
a`cm E
AEÓ=AFÓ=b cm라 하면 3`cm 이때 AEÓ=DFÓ이므로
B C
(점 P가 움직인 거리)=(2a+b) cm, P a`cm D 3`cm
㉠, ㉡에서 13Û`-xÛ`=11Û`-(8-x)Û`
(점 Q가 움직인 거리)=b cm이므로 16x=112 ∴ x=7

20 정답과 해설
∴ AEÓ="Ã13Û`-7Û`=2'§30(cm) ∠O'OH'=30ù`, ∠OO'H'=60ù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따라서 ∠AOB=360ù-(2_30ù+2_90ù)=120ù,
;2!; AEÓ=;2!;_2'§30='§30(cm) ∠DO'C=2_60ù=120ù이므로
(필요한 끈의 최소 길이)
=µ AB+µ CFD+ADÓ+BCÓ
09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O와  ABED의 A x S x D
접점을 각각 P, Q, R, S라 하고, 원 O의 x =2p_4_;3!6@0);+2p_12_;3@6$0);+8'3+8'3
4
P R
반지름의 길이를 x라 하면 O Q E
=;3*;p+16p+16'3
12
APÓ=ASÓ=DRÓ=DSÓ=x이므로
ADÓ=BCÓ=2x
8
={;;°3¤;;p+16'3}(cm)
DEÓ=12-8=4 O'
B C
이때  ABED가 원 O에 외접하므로 2x

ABÓ+DEÓ=ADÓ+BEÓ에서
12+4=2x+BEÓ
∴ BEÓ=16-2x
△BCE에서 (16-2x)Û`=8Û`+(2x)Û`
64x=192 ∴ x=3 ∴ BCÓ=6
이때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y라 하면

△BCE=;2!;_6_8=;2!;_y_(8+6+10)=24
12y=24 ∴ y=2
따라서 두 원 O, O'의 반지름의 길이의 차는
3-2=1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OPÓ, O'QÓ를


긋고, 점 O'에서 OPÓ에 내린 수선 O
8 cm 4 cm
R
의 발을 H라 하면 O'
H
HPÓ=O'QÓ=4 cm이므로
P M Q
OHÓ=8-4=4(cm)
△OHO'에서
OO'Ó=8+4=12(cm)이므로
HO'Ó="Ã12Û`-4Û`=8'2 (cm)
이때 △OPMª△ORM (SSS 합동),
△O'RMª△O'QM (SSS 합동)이므로
△OMO'=;2!;  OPQO'

=;2!;_[;2!;_(8+4)_8'2 ]=24'2(cmÛ`)

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O 4 cm
D
H
에서 O'DÓ, O'CÓ에 내린 수선의 발 A

을 각각 H, H'이라 하면 O O' F
16 cm
B 12 cm
O'HÓ=O'DÓ-DHÓ
H'
=12-4=8(cm) C

△OO'H에서 OO'Ó=4+12=16(cm)이므로
OHÓ="Ã16Û`-8Û`=8''3(cm)
∴ ADÓ=OHÓ=8''3 cm
8'3 '3
이때 △OO'H에서 cos`(∠O'OH)= = 이고
16 2
∠O'OH<90ù이므로 ∠O'OH=30ù
∴ ∠OO'H=180ù-(30ù+90ù)=60ù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면
BCÓ=OH'Ó=8'3 cm이고,

Ⅱ. 원의 성질 21
2
유제 5 오른쪽 그림과 같이 BDÓ를 그으면 120ù
원주각 ∠ADB=90ù이므로
C D

E
△DEB에서 120ù=90ù+∠EBD x
A B
∴ ∠EBD=30ù O

1 52~58쪽 이때 µAC=µ CD이므로


∠ABC=∠CBD=30ù
'5 따라서 △DAB에서 ∠x=180ù-(90ù+30ù+30ù)=30ù
유제 1 ⑤ 유제 2 24ù 유제 3 ④ 유제 4
3
유제 5 ③ 유제 6 50ù 유제 7 ③ 유제 8 76ù
유제 6 오른쪽 그림과 같이 BCÓ를 그으면
유제 9 ③ 유제 10 85ù 유제 11 ② 유제 12 38ù D
A
유제 13 ② 유제 14 47ù
∠ABC=180ù_;6!;=30ù P
B
이때 µAC`:`µ BD=3`:`2이므로
C
∠ABC`:`∠BCD=3`:`2
유제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OAÓ, OBÓ를
A 즉, 30ù`:`∠BCD=3`:`2이므로 ∠BCD=20ù
그으면
O 60ù C 따라서 △PCB에서 ∠DPB=20ù+30ù=50ù
∠AOB=2∠ACB
=2_60ù=120ù P
B
이때 ∠PAO=∠PBO=90ù 유제 7  ABCD가 원에 내접하므로

이므로 (55ù+∠x)+105ù=180ù ∴ ∠x=20ù


∠APB=180ù-∠AOB △ABD에서 ∠y=180ù-(55ù+20ù+50ù)=55ù
=180ù-120ù=60ù 이때 ∠DBC=∠x=20ù이므로
∠ABC=55ù+20ù=75ù ∴ ∠z=∠ABC=75ù
∴ ∠x+∠y+∠z=20ù+55ù+75ù=150ù
유제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BCÓ를 그 C
으면 A
P x 74ù 유제 8 오른쪽 그림과 같이 CEÓ를 그으면 A E
∠ACB=;2!;∠AOB
O
B
26ù  ABCE가 원에 내접하므로 136ù
D D
=;2!;_26ù=13ù 82ù+∠AEC=180ù O x
∴ ∠AEC=98ù 82ù
∠CBD=;2!;∠COD=;2!;_74ù=37ù 따라서 ∠CED=136ù-98ù=38ù B C

따라서 △PBC에서 이므로 ∠x=2∠CED=2_38ù=76ù


∠x+13ù=37ù ∴ ∠x=24ù
유제 9 ① ∠ABP=∠ADC이면 한 외각의 크기가 그와 이웃한
유제 3 오른쪽 그림과 같이 ACÓ를 그으면 P 내각의 대각의 크기와 같으므로  ABCD는 원에 내
D x 접한다.
∠DAC=;2!;∠DOC C
② ∠BAD+∠BCD=180ù이면 한 쌍의 대각의 크기의
40ù
=;2!;_40ù=20ù 합이 180ù이므로  ABCD는 원에 내접한다.
A O B
이때 ABÓ가 반원 O의 지름이므로 ③ ∠AQB=90ù인 사각형 중에서 마름모는 원에 내접하

∠ACB=90ù 지 않는다.
따라서 △PAC에서 ④ △ACDª△BDC이면 ∠CAD=∠DBC이므로
 ABCD는 원에 내접한다.
∠x=180ù-(20ù+90ù)=70ù
⑤ ABÓCDÓ이고, ∠ADC=∠BCD이면  ABCD는
등변사다리꼴이므로 항상 원에 내접한다.
유제 4 오른쪽 그림과 같이 BOÓ의 연장선이 A
D 따라서  ABCD가 원에 내접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지
원 O와 만나는 점을 D라 하면
않은 것은 ③이다.
∠BDC=∠BAC O

이때 BDÓ가 원 O의 지름이므로 3
유제 10 ∠CAD=∠CBD=35ù이므로  ABCD는 원에 내접한
∠BCD=90ù B 4 C
다.
△BCD에서 BDÓ=2BOÓ=2_3=6,
이때 ∠ADB=∠ACB=30ù이고, ABÓ=ADÓ이므로
CDÓ="Ã6Û`-4Û`=2'5
2'5 '5 ∠ABD=∠ADB=30ù
∴ cos`A=cos`D= = 따라서 △ABC에서 ∠x=180ù-(30ù+35ù+30ù)=85ù
6 3

22 정답과 해설
유제 11 원주각의 크기는 호의 길이에 정비례하므로
2 µ BCE의 길이가 원주의 ;9$;이므로
∠ACB`:`∠BAC`:`∠ABC=µ AB`:`µ BC`:`µ CA
=4`:`3`:`5 ∠BOE=360ù_;9$;=160ù
3 오른쪽 그림과 같이 BDÓ를 그으면 A
따라서 ∠BAC=180ù_ =45ù이므로
4+3+5 C 70ù
∠BDE는 µ BFE에 대한 원주각이
∠CBT=∠BAC=45ù D
므로 100ù
B E
유제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ATÓ를 그 B ∠BDE=;2!;_(360ù-160ù) 160ù O
으면 42ù
A
=100ù
∠ATP=∠ABT=42ù이고, 100ù C F
△ABD에서
 ATCB에서 x
P
T
100ù=∠ABD+70ù ∴ ∠ABD=30ù
∠BAT=180ù-100ù=80ù
∴ ∠COD=2∠CBD=2_30ù=60ù
이므로
△APT에서 80ù=∠x+42ù ∴ ∠x=38ù
'3
[다른 풀이] 3 sin`60ùÙ=
2
이고, ∠C<90Ùù이므로 ∠C=60Ùù
∠BTP=∠BCT=100ù이므로 △BPT에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AOÓ의 연장선이 C

∠x=180ù-(42ù+100ù)=38ù 원 O와 만나는 점을 D라 하고, 60ù


D
BOÓ, BDÓ를 그으면 O
60ù
유제 13 ① ∠ABP=∠APE=∠CPF=∠CDP 120ù
∠ACB=∠ADB=60Ùù A
② ∠BAP=∠BPF=∠DPE=∠DCP B
∴ ∠AOB=2∠ACB
③ ∠ABP=∠CDP(엇각)이므로 ABÓCDÓ
=2_60Ùù=120ùÙ
④, ⑤ △ABP와 △CDP에서 ∠ABP=∠CDP,
이때 µAB=2p_OAÓ_;3!6@0);=8p이므로 OAÓ=12
∠APB=∠CPD이므로 △ABP»△CDP(AA 닮음)
∴ APÓ`:`CPÓ=BPÓ`:`DPÓ ∴ ADÓ=2 OAÓ=2_12=24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따라서 △ABD는 ∠B=90ù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3
ABÓ=24`sin`60Ùù=24_ =12'3
유제 14 ∠BAP=∠BPT=∠CDP=68ù이므로 2
△DCP에서 68ù+∠x=115ù ∴ ∠x=47ù
4 오른쪽 그림과 같이 ADÓ를 그으면 D
C
P
∠ABD`:`∠CAD`:`∠BAC
=µ AD`:`µ DC`:`µ CB=3`:`4`:`2 A B
2
O
59~61쪽
이때 ∠ADB=90ù이므로

1② 2③ 3⑤ 4③
∠ABD+∠CAD+∠BAC=90ù

5④ 6② 7⑤ 8③ ∴ ∠ABD=90ù_;9#;=30ù, ∠BAC=90ù_;9@;=20ù

9③ 10 ④ 11 ② 12 ① 따라서 △ABP에서
∠CPB=30ù+20ù=50ù
[다른 풀이]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O에서 P
∠CPB=∠ABD+∠BAC이고,
AB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원 8
O 6 모든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r
∠CPB=;2!;_;9%;_180ù=50ù
OAÓ=r, OHÓ=;2R;이므로 A
H
;2R;
B

OHÓ
△OAH에서 cos`(∠AOH)= =;2R;Ör=;2!; 5 오른쪽 그림과 같이 BNÓ, CMÓ을 긋고, M B
OAÓ
b
그런데 ∠AOH<90ù이므로 ∠AOH=60ù ∠ACM=∠BNM=∠a, 50ù P
b
x
이때 △OAHª△OBH (RHS 합동)이므로 ∠ABN=∠CMN=∠b라 하면 A
Q a
∠AOB=2∠AOH=2_60ù=120ù 한 원에서 모든 호에 대한 원주각의 a C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 ∠APB=;2!;∠AOB=;2!;_120ù=60ù N
2∠a+2∠b+50ù=180ù
∴ △PAB=;2!;_8_6_sin`60ù 2(∠a+∠b)=130ù ∴ ∠a+∠b=65ù
따라서 △PNB에서
'3
=;2!;_8_6_ =12'3 ∠x=∠a+∠b=65ù
2

Ⅱ. 원의 성질 23
6 ∠ABC=180ù_;4#;=135ù이므로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E
b
∠ACT=∠a, ∠BDT=∠b A F B
l
 ABCD에서 135ù+∠ADC=180ù b D
라 하고, 점 T를 지나는 공통인 a a b
∴ ∠ADC=45ù O T O'
접선이 직선 l과 만나는 점을
a
∠BAD=180ù_;3!;=60ù이므로 F라 하자. C
 ABCD에서∠DCE=∠BAD=60ù ATÓ, BTÓ를 그으면
∴ ∠ADC+∠DCE=45ù+60ù=105ù ∠FAT=∠FTA=∠ACT=∠a,
∠FBT=∠FTB=∠BDT=∠b
△ATB에서
7 오른쪽 그림과 같이 ADÓ를 그으면 A
F ∠a+(∠a+∠b)+∠b=2(∠a+∠b)=180ù이므로
 ABCD는 원에 내접하므로 B
∠a+∠b=90ù
∠B+∠CDA=180ù E
따라서 △ECD에서
또  ADEF도 원에 내접하므로 C
∠CED=180ù-(∠a+∠b)=180ù-90ù=90ù
∠F+∠ADE=180ù D
∴ ∠B+∠D+∠F
=∠B+∠CDA+∠ADE+∠F
=180ù+180ù=360ù

8  ABCD가 원에 내접하려면
∠ABC+126ù=180ù ∴ ∠ABC=54ù
△ABF에서 ∠EAD=54ù+32ù=86ù 3 62~64쪽

따라서 △ADE에서
126ù=∠x+86ù ∴ ∠x=40ù 01 8`cm 02 (6'3, 6) 03 ;2(;`cm 04 2'2+2'6

05 15ù 06 119ù 07 8p 08 70ù


9 오른쪽 그림과 같이 ACÓ를 그으면 B 09 80ù 10 60ù 11 94ù 12 6
∠CAB=90ù이고, O
µAC`:`µAB=∠ABC`:`∠ACB
C 01 오른쪽 그림과 같이 BIÓ를 그으면 점 I 6 cm A
=3`:`7 x
P
A 가 △ABC의 내심이므로
이므로 ∠ABC=90ù_;1£0;=27ù ∠BAI=∠CAI, ∠ABI=∠CBI I

∴ ∠CAP=∠ABC=27ù △ABI에서 B C
8 cm
따라서 △PAB에서 ∠BID=∠BAI+∠ABI
D
∠x=180ù-(27ù+90ù+27ù)=36ù 이때 ∠DBC=∠DAC이므로
∠BID=∠DBI
따라서 △BDI는 DBÓ=DI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원 O B
BDÓ=DIÓ=8`cm
B'
의 지름 AB'을 그으면 x
x
∠AB'T=∠ABT=∠ATP=x O y
A
6
0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을 C P
이때 ∠ATB'=90ù이므로
P 라 하고, BCÓ, OCÓ를 그으면 30ù
T B
△AB'T에서 x
∠BCO=2∠BPO=2_30ùÙ=60ù 60ù
6 '3 이때 BCÓ=OCÓ이므로
C
B'TÓ= =6Ö =4'3
tan`x 2 O H A x
∠OBC=∠BOC
∴ AB'Ó=¿¹6Û`+(4'3)Û`=2'§21
∴ (원 O의 둘레의 길이)=2p_'§21=2'§21p =;2!;_(180ù-60ùÙ)=60ùÙ

즉, △BOC는 정삼각형이므로 OCÓ=BCÓ=OBÓ=12


11 ∠ATE=∠ACT=70ù이므로 이때 점 C에서 OA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BTD=180ù-(45ù+70ù)=65ù ∠COH=90Ùù-60Ùù=30ùÙ이므로
이때 △DBT에서 DBÓ=DTÓ이므로 '3
△COH에서 OHÓ=12`cos`30ùÙ=12_ 2 =6'3
∠DBT=∠DTB=65ù
따라서 △ATB에서 CHÓ=12`sin`30Ùù=12_;2!;=6
65ù=∠TAB+45ù ∴ ∠TAB=20ù 따라서 원의 중심의 좌표는 (6'3, 6)이다.

24 정답과 해설
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을 O라 6 cm C 06 오른쪽 그림과 같이 BDÓ를 그으면 A
3 cm
하고, COÓ의 연장선이 원 O와 만나는 A B △ABCª△ADE이므로 △ABD 58ù
D E
점을 E라 하면 O 2 cm
는 ABÓ=AD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C
△CAE와 △CDB에서 ∴ ∠ABD=;2!;_(180ù-58ù)=61ù
B D
∠CAE=∠CDB=90ù,
E 이때 네 점 A, B, D, E가 한 원에 있으므로
∠AEC=∠ABC이므로
 ABDE에서 ∠AED=180ù-61ù=119ù
△CAE»△CDB (AA 닮음)
∴ ∠ACB=∠AED=119ù
이때 ACÓ`:`CDÓ=CEÓ`:`CBÓ이므로
6`:`2=CEÓ`:`3, 2 CEÓ=18 ∴ CEÓ=9(cm)
07  ABCD가 원 O에 외접하므로
따라서 원래의 접시의 반지름의 길이는 ;2(; cm이다. ABÓ+CDÓ=ADÓ+BCÓ에서
12+3=ADÓ+10 ∴ ADÓ=5
오른쪽 그림과 같이 A
04 오른쪽 그림과 같이 AOÓ의 연장선이 105ù
C a
30ù  ABCD와 내접원 O의 접 E a
원 O와 만나는 점 B'이라 하면 H 5-a
45ù H 점을 각각 E, F, G, H라 하 12-a r
A B D
∠ACB'=90ù, O 5-a
O B' 고, AEÓ=AHÓ=a, 원 O의 a-2 G
∠AB'C=∠ABC 30ù B
12-a F C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a-2
=180ù-(45ù+105ù)=30ù
BFÓ=BEÓ=12-a
이때 AB'Ó=2 OAÓ=2_4=8이므로
DGÓ=DHÓ=5-a
△AB'C에서
CGÓ=CFÓ=10-(12-a)=a-2
ACÓ=8`sin`30ù=8_;2!;=4 △AEO와 △OFC에서
점 C에서 AB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AEO=∠OFC=90ù,
△ACH에서 ∠EAO=;2!;∠BAD
'2
AHÓ=4`cos`45ù=4_ =2'2
2 =;2!;_(180ù-∠BCD)
'2
CHÓ=4`sin`45ù=4_ =2'2 =90ù-;2!;∠BCD
2
△BCH에서 =90ù-∠OCF=∠FOC
2'2 '3 이므로 △AEO»△OFC (AA 닮음)
BHÓ= =2'2Ö =2'6
tan`30ù 3
이때 AEÓ`:`OFÓ=EOÓ`:`FCÓ이므로
∴ ABÓ=AHÓ+BHÓ=2'2+2'6
a`:`r=r`:`(a-2) ∴ rÛ`=a(a-2) y㉠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면
05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Ó, BDÓ를 긋 A
△BFO»△OGD (AA 닮음)이므로
x
고, ∠CAD=∠x라 하면 BFÓ`:`OGÓ=OFÓ`:`DGÓ에서
△ACE에서 ∠ACB=∠x+40ù D (12-a)`:`r=r`:`(5-a)
이때 µAB=µ BC=µAD이므로 40ù
B C
E ∴ rÛ`=(12-a)(5-a) y㉡
∠BAC=∠ABD=∠ACB ㉠, ㉡에서 a(a-2)=(12-a)(5-a)
=∠x+40ù 15a=60 ∴ a=4
원에서 모든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a=4를 ㉠에 대입하면 rÛ`=8 ∴ r=2'2 (∵ r>0)
3(∠x+40ù)+∠x=180ù ∴ (내접원 O의 넓이)=p_(2'2)Û`=8p
4∠x=60ù ∴ ∠x=15ù
∴ ∠CAD=15ù 08 오른쪽 그림과 같이 PAÓ, BQÓ를 긋자. P Q
72ù
[다른 풀이] 이때 µAM=µ BM이므로
ABÓ, CDÓ를 긋고, ∠CAD=∠x라 하면 ∠APM=∠BQM=∠a라 하면 38ù
A B
△ACE에서 ∠ACB=∠x+40ù △PMQ에서 R S
이때 µAB=µ BC=µAD이므로 ∠PQM=180ù-(72ù+38ù)=70ù이고, M
∠ACB=∠BAC=∠ACD=∠x+40ù  ABQP가 원에 내접하므로
 ABCD가 원에 내접하므로 ∠PAB+∠PQB=180ù에서
∠BAD+∠BCD=180ù에서 ∠PAB=180ù-(70ù+∠a)=110ù-∠a
(∠x+40ù+∠x)+2(∠x+40ù)=180ù 따라서 △APR에서
4∠x=60ù ∴ ∠x=15ù ∠PRA=180ù-(∠a+110ù-∠a)=70ù

Ⅱ. 원의 성질 25
[다른 풀이] 이때 ∠EDB=∠EAD이므로 ∠CAD=∠EAD
오른쪽 그림과 같이 BPÓ, BMÓ을 긋고, P Q 따라서 △ABC에서 ADÓ는 ∠BAC의 이등분선이므로
∠BPM=∠a라 하면 72ù
CDÓ=x라 하면
∠ABM=∠BPM=∠a이므로 38ù 15`:`9=(16-x)`:`x, 24x=144 ∴ x=6
S
A B
∠BMQ=∠BPQ=72ù-∠a R ∴ CDÓ=6
따라서 △BRM에서 M
∠BRM=180ù-(38ù+72ù-∠a+∠a)=70ù
∴ ∠PRA=∠BRM=70ù(맞꼭지각)

09 ∠CBA=∠a, ∠ADF=∠b라 B
65~68쪽

하면 a
50ù 01 2 cm 02 ③ 03 8 cm 04 8 cm
∠CAD=∠CBA=∠a b C E F
∠BDF=∠ADF=∠b D
A
05 ;3@; 06 ② 07 ④ 08 15 cm
b a
△EDA에서
09 142.5ù 10 50ù 11 ② 12 ⑤
50ù=∠a+∠b y㉠
208
△BDF에서 ∠DFA=∠a+∠b y㉡ 13 ;;Á8°;; 14 55ù 15 3
p-64'3
㉠, ㉡에서 ∠DFA=50ù 6'§14
16 cm 17 (10-5'2) cm 18 48ù
따라서 △EAF에서 7
∠BAC=180ù-(50ù+50ù)=80ù 19 72.5ù
서술형 문제 <과정은 풀이 참조>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CDÓ를 그으면 A D

∠ADC=90ù이고, 20 3 21 80ù 22 112ù 23 60ù


x
∠CDB=∠CBT'=20ù이므로 P
∠ADB=90ù-20ù=70ù
C 0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을 O라 C
이때 ADÓTT'Ó이므로 T B 20ù T' A B
하고,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 D
∠DBT'=∠ADB=70ù(엇각) 12 cm
라 하면 원 O의 넓이가 100p`cmÛ`이
∴ ∠DBC=70ù-20ù=50ù r cm
므로
따라서 ∠DAC=∠DBC=50ù이므로
p_rÛ`=100 ∴ r=10 (∵ r>0) O
△APD에서 ∠x=180ù-(50ù+70ù)=60ù
이때 ADÓ=;2!;ABÓ=;2!;_12=6(cm)이므로
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CDÓ를 그으면 △AOD에서
A
ODÓ="Ã10ÛÛ`-6Û`=8(cm)
∠ATP=∠ABT=∠DET=61ù C 61ù
53ù B
D F
이므로 ABÓDEÓ E ∴ CDÓ=OCÓ-ODÓ=10-8=2(cm)
∠ACD=∠x라 하면
∠DTC=∠ACD=∠x이고, 0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O에서
P T Q A M B
∠DCT=∠DET=61ù이므로 AB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면
△ATC에서
OAÓ=4`cm, OMÓ=;2!;_4=2(cm) 4 cm O 2 cm
53ù+(∠x+61ù)+∠x=180ù
2∠x=66ù ∴ ∠x=33ù △AOM에서
OMÓ
∴ ∠DFT=∠ACF (∵ 동위각) cos`(∠AOM)= =;4@;=;2!;이고,
=∠ACD+∠DCF OAÓ
∠AOM<90ù이므로 ∠AOM=60ù
=33ù+61ù=94ù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면 ∠BOM=60ù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그 따라서 ∠AOB=60ù+60ù=120ù이므로


은 두 원의 공통인 접선을 APê라 A µ AB=2p_4_;3!6@0);=;3*;p(cm)
15
하고, DEÓ를 그으면 B E P
9
∠DEA=∠DAP,
16 D
C 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O A
∠CBA=∠CAP이므로 6 cm M
에서 CD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M C
∠CAD=∠DAP-∠CAP O
이라 하면 10 cm
=∠DEA-∠CBA B
=∠EDB CMÓ=;2!; CDÓ=;2!;_6=3(cm), 6 cm
D

26 정답과 해설
OCÓ=;2!; BCÓ=;2!;_10=5(cm)이므로 10  ABCD가 원에 내접하므로

△OMC에서 OMÓ="Ã5Û`-3Û`=4(cm) ∠QAB=∠DCB=∠x


따라서 ABÓCDÓ이므로 두 현 AB, CD 사이의 거리는 △PBC에서 ∠PBQ=37ù+∠x
2 OMÓ=2_4=8(cm) 따라서 △AQB에서 43ù+(37ù+∠x)+∠x=180ù
2∠x=100ù ∴ ∠x=50ù

04 APÓ=AQÓ=x cm라 하면
DSÓ=DPÓ=(6-x) cm, ESÓ=EQÓ=(7-x) cm 11 ∠PDC=;2!;∠PO'C A
P D

이때 DEÓ=DSÓ+ESÓ이므로 x O
=;2!;_168ù=84ù O'
5=(6-x)+(7-x), 2x=8 ∴ x=4 168ù
오른쪽 그림과 같이 PQÓ를 그으면 B
∴ (△ABC의 둘레의 길이)=APÓ+AQÓ=2APÓ Q C
=2_4=8(cm)  PQCD가 원 O'에 내접하므로
∠PQB=∠PDC=84ù
05 AGÓ=AEÓ=BEÓ=BFÓ=2 cm이므로 이때  ABQP가 원 O에 내접하므로
CDÓ=ABÓ=2_2=4(cm) ∠x+84ù=180ù ∴ ∠x=96ù
DHÓ=DGÓ=CFÓ=8-2=6(cm)
이때 IHÓ=IFÓ=x cm이므로 12 ① ∠ADB=∠AEB=90ù이므로 네 점 A, B, D, E는 한
DIÓ=(6+x) cm, CÕIÕ=(6-x) cm 원 위에 있다.
△DIC에서 (6+x)Û`=4Û`+(6-x)Û` 즉,  ABDE는 원에 내접한다.
②  AFHE에서 ∠AFH+∠AEH=180ù이므로
24x=16 ∴ x=;3@;
 AFHE는 원에 내접한다.
③ ∠BFC=∠BEC=90ù이므로 네 점 B, C, E, F는 한
06 오른쪽 그림과 같이 BCÓ를 그으면 C B
원 위에 있다.
∠ABC=;2!;∠AOC=;2!;_36ù=18ù A
E
D
즉,  BCEF는 원에 내접한다.
36ù O 42ù
∠BCD=;2!;∠BOD=;2!;_42ù=21ù ④  BDHF에서 ∠BFH+∠BDH=180ù이므로
 BDHF는 원에 내접한다.
따라서 △BCE에서
따라서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이 아닌 것은 ⑤이다.
∠BED=18ù+21ù=39ù
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AOÓ의 연장선이 C
07 2µ BD`:`µAE에서 µ BD`:`µAE=1`:`2이므로 원 O와 만나는 점을 D라 하면 x
D
∠BED`:`∠ABE=1`:`2 ∴ ∠BEC=;2!;∠ABE ∠ADB=∠ACB O x Q
15
따라서 △BCE에서 =∠ABP=∠x A
x B

∠ABE=30ù+;2!;∠ABE ∴ ∠ABE=60ù 2p_AOÓ=17p이므로 AOÓ=;;Á2¦;;


P
즉, ADÓ=2AOÓ=2_;;Á2¦;;=17이고,
08 △ACP에서 61ù=∠PAC+25ù ∴ ∠PAC=36ù
∠ABD=90ù이므로
원의 둘레의 길이를 x cm라 하면
△ABD에서 BDÓ="Ã17Û`-15Û`=8
∠BAC`:`180ù=µµ BC`:`x이므로 ABÓ
∴ tan`x= =;;Á8°;;
36ù`:`180ù=3`:`x ∴ x=15 BDÓ
따라서 원의 둘레의 길이는 15 cm이다.
14 △ECF는 CEÓ=CF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09 오른쪽 그림과 같이 AEÓ를 그으면 C
∠CEF=∠CFE=;2!;_(180ù-54ù)=63ù
ABÓ는 원 O의 지름이고, x
O y
∴ ∠EDF=∠CEF=63ù
µAD=µ DE=µ EB이므로 A B
P 따라서 △DEF에서
∠x=∠BAE=90ù_;3!;=30ù ∠DFE=180ù-(62ù+63ù)=55ù
D E
µAC`:`µ BC=5`:`7이므로 [다른 풀이]

∠AEC=90ù_;1°2;=37.5ù △ECF는 CEÓ=CF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EP에서 ∠APE=180ù-(30ù+37.5ù)=112.5ù이므로 ∠CEF=;2!;_(180ù-54ù)=63ù


∠y=∠APE=112.5ù(맞꼭지각) ∠DEB=180ù-(62ù+63ù)=55ù이므로
∴ ∠x+∠y=30ù+112.5ù=142.5ù ∠DFE=∠DEB=55ù

Ⅱ. 원의 성질 27
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µAB를 일부 C ACÓ=2 OAÓ+OO'Ó=2'2r+2r(cm)
분으로 하는 원의 중심을 O'이라 x O △ABC에서 ACÓ="Ã10Û`+10Û`=10'2(cm)
A B
하면 CMÓ의 연장선은 원 O'의 중 813 M 즉, 2'2r+2r=10'2이므로
r 60ù
심을 지난다. ('2+1)r=5'2 ∴ r=10-5'2
O'
AÕMÓ=;2!;ABÓ=;2!;_16'3=8'3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10-5'2) cm이다.

OMÓ '3
△OAM에서 tan`x= = 이므로 OMÓ=4
6
18 ∠BDC=∠BAQ=∠x
8'3
△PAC에서 ∠x=28ù+∠ACP
∴ CMÓ=2 OMÓ=2_4=8
∴ ∠ACP=∠x-28Ùù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따라서 △QCD에서 68ùÙ=∠x+(∠x-28ùÙ)
△O'AM에서 rÛ`=(8'3)Û`+(r-8)Û`
2∠x=96Ùù ∴ ∠x=48Ùù
16r=256 ∴ r=16

이때 cos`(∠AO'M)=;1¥6;=;2!;이고, ∠AO'M<90ù이므로
19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원의 접 l

∠AO'M=60ù 점 C를 지나는 공통인 접선 l을 D F


따라서 △O'AMª△O'BM (RHS 합동)이므로 긋고, 직선 l과 ETê의 교점을 R C 35ù
O 35ù
O'
∠AO'B=2∠AO'M=2_60ù=120ù 라 하자. A
x
35ù
B
∴ (색칠한 부분의 넓이) ∠RCE=∠CFE=35ù R
E
=(부채꼴 AO'B의 넓이)-△AO'B-(원 O의 넓이) RCÓ=REÓ이므로 T

=p_16Û`_;3!6@0);-;2!;_16'3_8-p_4Û` ∠REC=∠RCE=35ù
∠CAB=∠x라 하면 ∠RCB=∠CAB=∠x
=;;ª;3%;¤;;p-64'3-16p ADÓBCÓ이므로
∠ADC=∠BCE =∠x+35ù(동위각)
=;;ª;3);¥;;p-64'3
이때  ABCD는 원 O에 내접하므로
∠CBE=∠ADC=∠x+35ù
16 ARÓ=APÓ=3 cm, BQÓ=BPÓ=15-3=12(cm) △CBE에서 (∠x+35ù)+(∠x+35ù)+35ù=180ù
CQÓ=CRÓ=9-3=6(cm) 2∠x=75ù ∴ ∠x=37.5ù
∴ BCÓ=BQÓ+CQÓ=12+6=18(cm) 따라서 △AEF에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A에 3 cm ∠FET=35ù+37.5ù=72.5ù
A
서 B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15 cm P
R 9 cm
하고, BHÓ=x cm라 하면 O
20 오른쪽 그림과 같이 BEÓ를 그으면 A x F D
B C E
CHÓ=(18-x) cm Q
H
∠BEC=90ù이고,
9 9
△ABH에서 AHÓ Û`=15Û`-xÛ` y㉠ BEÓ=ABÓ=9이므로
△ACH에서 AHÓ Û`=9Û`-(18-x)Û` y㉡ △BCE에서 B C
15
㉠, ㉡에서 15Û`-xÛ`=9Û`-(18-x)Û` CEÓ="Ã15Û`-9Û`=12 … ⅰ

36x=468 ∴ x=13 AFÓ=EFÓ=x라 하면


∴ AHÓ="Ã15Û`-13Û`=2'§14 (cm) CÕFÕ=12+x, DFÓ=15-x …ⅱ
이때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 하면 따라서 △CDF에서 (12+x)Û`=(15-x)Û`+9Û`

△ABC=;2!;_18_2'§14=;2!;_r_(15+9+18) 54x=162 ∴ x=3


∴ AFÓ=3 … ⅲ
6'1Œ4
21r=18'§14 ∴ r= 채점 요소 비율
7
6'1Œ4 ⅰ BEÓ를 긋고, CEÓ의 길이 구하기 40 %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cm이다.
7 ⅱ CFÓ, DFÓ의 길이를 AFÓ의 길이를 이용하여 나타내기 40 %
ⅲ AFÓ의 길이 구하기 20 %

17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O에서 ABÓ에 A


10 cm
D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원 O의 O
21 µ BC=µ CD=µ DE이므로
H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 하면 r cm ∠BAC=∠CAD=∠DBE=∠a라 하면 …ⅰ
OHÓ=AHÓ=r cm이므로 △BPQ에서 ∠AQD=52ù+∠a이므로
O'
OAÓ="ÃrÛ`+rÛ`='2r(cm) △AQD에서 ∠a+(52ù+∠a)+48ù=180ù
B C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면 2∠a=80ù ∴ ∠a=40ù …ⅱ
O'CÓ='2r cm이고, OO'Ó=r+r=2r(cm)이므로 ∴ ∠BAD=2∠a=2_40ù=80ù …ⅲ

28 정답과 해설
채점 요소

ⅰ ∠BAC=∠CAD=∠DBE=∠a로 놓기
비율

40 %
Ⅲ. 통계
ⅱ ∠a의 크기 구하기 40 %
ⅲ ∠BAD의 크기 구하기 20 %
1 대푯값과 산포도
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CEÓ를 그으면 A

 ABCE가 원에 내접하므로 118ù


50ù
∠AEC=180ù-118ù=62ù …ⅰ
B O
E
1 71~75쪽

이때 µ CD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같


C 유제 1 ① 유제 2 62 유제 3 ④ 유제 4 7.5
으므로 D
유제 5 ③ 유제 6 ㄴ, ㅁ, ㅂ 유제 7 ②
∠CED=∠CAD=50ù …ⅱ
∴ ∠AED=∠AEC+∠CED 유제 8 94 유제 9 ②, ④ 유제 10 B반
=62ù+50ù=112ù …ⅲ
채점 요소 비율 유제 1 변량을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할 때, 중앙값은
ⅰ CEÓ를 긋고, ∠AEC의 크기 구하기 50 % 8번째와 9번째에 있는 변량의 평균이므로
ⅱ ∠CED의 크기 구하기 30 % 76+80
a= =78
ⅲ ∠AED의 크기 구하기 20 % 2
80점이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b=80
∴ b-a=80-78=2
23 ∠BDC=∠BEC=90ù이므로 네 점 B, C, D, E는 한 원
위에 있고, BÕMÓ=CÕM이
Ó 므로 점 M은 원의 중심이다. … ⅰ 10_4+20_6+30_3+40_2
유제 2 (평균)=
이때 △ABD에서 15
∠ABD=180ù-(60ù+90ù)=30ù이므로 …ⅱ 330
= =22(분)
15
∠EMD=2∠ABD=2_30ù=60ù …ⅲ
∴ a=22
채점 요소 비율
통학 시간이 짧은 시간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할 때, 중앙
ⅰ 네 점 B, C, D, E가 한 원 위에 있기 위한 조건 알기 40 %
값은 8번째에 있는 변량이므로
ⅱ ∠ABD의 크기 구하기 30 %
(중앙값)=20(분) ∴ b=20
ⅲ ∠EMD의 크기 구하기 30 %
20분이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20(분) ∴ c=20
∴ a+b+c=22+20+20=62

유제 3 최빈값이 12이므로 a=12


6+12+10+5+12+13+10+12 80
(평균)= = =10
8 8
∴ b=10
∴ a-b=12-10=2

유제 4
7+a+2+10+b+1+9+12
평균이 7이므로 =7
8
∴ a+b=15 y㉠
이때 최빈값이 7이 되려면 a, b 중 적어도 하나는 7이어
야 하므로 ㉠을 만족시키는 a, b의 값은
a=7, b=8(∵ a<b)
변량을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1, 2, 7, 7, 8, 9, 10, 12
따라서 중앙값은 4번째와 5번째에 있는 변량의 평균이므로
7+8
(중앙값)= =7.5
2

유제 5 학생 D의 편차를 x`cm라 하면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2+4+1+x+(-1)=0 ∴ x=-2
∴ (학생 D의 키)=165+(-2)=163(cm)

Ⅲ. 통계 29
유제 6 ㄱ.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따라서 점수가 더 고른 반은 평균 8점에 학생 수가 더 밀
2+0+(-3)+x+4+(-1)=0 ∴ x=-2 집되어 있는 B반이다.
ㄴ. B의 편차가 0점이므로 점수는 평균과 같다.
ㄷ. E의 점수는 알 수 없다.
ㄹ. A와 C의 점수 차는 2-(-3)=5(점)이다.
ㅁ. 평균보다 점수가 낮은 학생은 편차가 음수인 C, D, F
의 3명이다. 2 76~78쪽

ㅂ. 점수가 평균과 가장 많이 차이나는 학생은 편차의 절


1② 2④ 3② 4④
댓값이 가장 큰 E이다.
5 ②, ⑤ 6 ①, ⑤ 7④ 8①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ㅁ, ㅂ이다.
9② 10 ② 11 ①
유제 7 평균이 5개이므로
2+7+6+8+x+(x+1) 1 몸무게가 55 kg인 학생을 제외한 11명의 몸무게의 총합을
=5
6
A kg이라 하고, 55 kg을 x kg으로 잘못 보았다고 하면
2x+24=30, 2x=6 ∴ x=3
A+55 A+x
각 학생의 편차를 차례로 구하면 æ -1=
12 12
-3개, 2개, 1개, 3개, -2개, -1개이므로 A+55-12=A+x ∴ x=43
(-3)Û`+2Û`+1Û`+3Û`+(-2)Û`+(-1)Û` 따라서 몸무게가 55 kg인 학생의 몸무게를 43 kg으로 잘못
(분산)=
6
보았다.
=;;ª6¥;;=;;Á3¢;;
'¶42 2 ㄱ. 9개의 변량의 평균은
∴ (표준편차)=¾Ð;;Á3¢;;= (개)
3 11+14+20+15+13+14+16+9+14 126
= =14
9 9
유제 8 평균이 5이므로 즉, a=14이면 평균은 변하지 않지만 a+14이면 평균은
3+7+x+y+2 변한다.
=5 ∴ x+y=13 y㉠
5 ㄴ. 9개의 변량을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분산이 6.2이므로 9, 11, 13, 14, 14, 14, 15, 16, 20
(-2)Û`+2Û`+(x-5)Û`+(y-5)Û`+(-3)Û` 14+14
=6.2 이때 a<14이면 중앙값은 =14,
5 2
∴ xÛ`+yÛ`-10(x+y)+67=31 y㉡ a¾14이면 중앙값은
14+14
=14이므로 변량 a를 추가
2
㉠을 ㉡에 대입하면
해도 중앙값은 변하지 않는다.
xÛ`+yÛ`-10_13+67=31 ∴ xÛ`+yÛ`=94
ㄷ. 9개의 변량에서 14가 세 번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나
머지 변량은 모두 한 번씩 나타나므로 변량 a를 추가해도
유제 9 ① 각 반의 학생 수는 알 수 없다.
최빈값은 변하지 않는다.
② 영어 성적이 가장 고른 반은 표준편차가 가장 작은 2반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이다.
③ 영어 성적이 가장 우수한 반은 평균이 가장 높은 4반이다.
42+58
④ 영어 성적의 산포도가 가장 큰 반은 표준편차가 가장 3 중앙값이
2
=50(쪽)이므로 x¾58
큰 3반이다. 이때 전체 쪽수가 196쪽이므로
⑤ 4반의 표준편차가 1반보다 작으므로 4반의 영어 성적 196-(42+58+34)=62에서
이 1반보다 평균 가까이에 밀집되어 있다. x=58, 59, 60, 61, 62 y㉠
따라서 옳은 것은 ②, ④이다. 평균이 48.5쪽 이하이므로
42+58+34+x
É48.5
6_5+7_5+8_5+9_5+10_5 4
유제 10 (A반의 평균)=
25 ∴ xÉ60 y㉡
=;;ª2¼5¼;;=8(점) 따라서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는 58, 59, 60의
3개이다.
6_3+7_5+8_9+9_5+10_3
(B반의 평균)=
25
=;;ª2¼5¼;;=8(점) 4 평균이 11이므로
8+a+12+9+12+b+13+5+c+11
즉, A, B 두 반의 쪽지 시험 점수의 평균은 8점으로 모두 =11
10
같다. ∴ a+b+c=40 y㉠

30 정답과 해설
이때 최빈값이 13이 되려면 a, b, c 중 적어도 2개는 13이어 (-6)Û`+2Û`+(-3)Û`+3Û`+4Û` 74
∴ (분산)= = =14.8
야 한다. 5 5

Ú a=b=c=13이면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8 a, b, c, d의 평균이 4이므로
Û a, b, c 중 2개가 13이면 ㉠에서 나머지 변량의 값은 14
a+b+c+d
이다. =4 ∴ a+b+c+d=16 y㉠
4
따라서 Ú, Û에 의해 변량을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a, b, c, d의 표준편차가 2이므로
(a-4)Û`+(b-4)Û`+(c-4)Û`+(d-4)Û`
=2Û`
나열하면
5, 8, 9, 11, 12, 12, 13, 13, 13, 14 4
12+12 ∴ (a-4)Û`+(b-4)Û`+(c-4)Û`+(d-4)Û`=16 y㉡
∴ (중앙값)= =12
2 -3a, -3b, -3c, -3d의 평균과 분산을 각각 구하면
(-3a)+(-3b)+(-3c)+(-3d)
(평균)=
2+4+x+8+10 24+x 4
5 (평균)=
5
=
5 -3(a+b+c+d)
=
변량을 다음과 같이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4
-3_16
Ú xÉ4일 때 = =-12`(∵ ㉠)
4
x, 2, 4, 8, 10 또는 2, x, 4, 8, 10이므로 중앙값은 4이다.
∴ m=-12
24+x
즉, =4이므로 x=-4 (분산)
5
Û 4<x<8일 때 (-3a+12)Û`+(-3b+12)Û`+(-3c+12)Û`+(-3d+12)Û`
=
4
2, 4, x, 8, 10이므로 중앙값은 x이다.
=(-3)Û`_
(a-4)Û`+(b-4)Û`+(c-4)Û`+(d-4)Û`
24+x 4
즉, =x이므로 x=6
5 16
=9_ =36`(∵ ㉡)
Ü x¾8일 때 4
2, 4, 8, x, 10 또는 2, 4, 8, 10, x이므로 중앙값은 8이다. 즉, (표준편차)='¶36=6이므로 n=6
24+x ∴ m-n=-12-6=-18
즉, =8이므로 x=16
5 [다른 풀이]
따라서 Ú~Ü에 의해 x의 값이 될 수 있는 자연수는 6, 16
a, b, c, d의 평균이 4, 표준편차가 2이므로
이다.
m=-3_4=-12, n=|-3|_2=6
∴ m-n=-12-6=-18
6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xÛ`+4x+3)+(-4)+(3xÛ`-x+2)+(x-6) 9 A 모둠의 인터넷 사용 시간에 대한 (편차)Û`의 합은
+(2x-3)=0 8_2Û`=32
2xÛ`+6x-8=0, xÛ`+3x-4=0 B 모둠의 인터넷 사용 시간에 대한 (편차)Û`의 합은
(x+4)(x-1)=0 ∴ x=-4 또는 x=1 10_('¶13)Û`=130
Ú x=-4일 때 따라서 A, B 두 모둠 전체의 인터넷 사용 시간의 분산은
3xÛ`-x+2=3_(-4)Û`-(-4)+2=54 32+130 162
= =9
평균이 30이므로 c=54+30=84 18 18
Û x=1일 때
10 자료 A는 1, 2, 3, y, 100
3xÛ`-x+2=3_1Û`-1+2=4
자료 B는 101, 102, 103, y, 200
평균이 30이므로 c=4+30=34
자료 C는 2, 4, 6, y, 200
따라서 Ú, Û에 의해 변량 c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34, 84
세 자료 A, B, C의 변량의 개수는 모두 100개이다.
이다.
이때 표준편차는 자료가 평균을 중심으로 흩어진 정도를 나
타내므로 자료 A와 자료 B의 표준편차는 같고, 자료 C의 표
7 민지의 수학 점수를 x점이라 하면
준편차는 두 자료 A, B의 표준편차보다 크다.
학생 A B C D E ∴ x=y<z
수학 점수 (점) x-7 x+1 x-4 x+2 x+3
11 각 종목에서 지빈이가 얻은 점수의 편차를 구하면
(x-7)+(x+1)+(x-4)+(x+2)+(x+3)
(평균)= 수영은 29-26=3(점), 사이클은 26-17=9(점), 마라톤은
5
5x-5 27-28=-1(점)이므로 지빈이는 다른 선수에 비해 사이클
= =x-1(점)
5 의 성적이 가장 좋다고 할 수 있다.
각 학생의 편차를 차례로 구하면 또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자료의 분포가 고르므로 이 대회에
-6점, 2점, -3점, 3점, 4점 서 선수들의 득점이 가장 고른 종목은 수영이다.

Ⅲ. 통계 31
Ú 17과 22가 각각 3개인 경우
3 79~81쪽
14+17+17+17+19+22+22+22+x
=19이므로
9
01 31 02 189 03 4, 18 04 25 150+x=171 ∴ x=21
05 7개 06 69.5점 07 ㄴ, ㅁ 08 '7 이때 x는 가장 큰 변량이 아니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

09 145분 10 C와 D 는다.
Û 17과 22가 각각 2개인 경우
14, 17, 17, 19, 22, 22, x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변량
01 가장 작은 변량을 a, 가장 큰 변량을 b, 나머지 변량을 을 각각 a, b`(a<19<b)라 하면
xÁ, xª, y, x¥이라 하면 14+17+17+19+22+22+x+a+b
=19
b+(xÁ+xª+y+x¥) 9
=33에서
9 111+x+a+b=171 ∴ x+a+b=60
b+(xÁ+xª+y+x¥)=297 y`㉠ 이때 x가 가장 큰 변량이 되려면 a, b는 주어진 범위에서
a+(xÁ+xª+y+x¥)
=29에서 가장 작아야 하고, 17과 22가 아닌 서로 다른 수이어야
9
a+(xÁ+xª+y+x¥)=261 y`㉡ 한다.

㉠+㉡을 하면 즉, a=15, b=20이므로 x=25

a+b+2(xÁ+xª+y+x¥)=558 따라서 Ú, Û에 의해 x=25

이때 a+b=62이므로 62+2(xÁ+xª+y+x¥)=558
∴ xÁ+xª+y+x¥=248 05 자료 A의 중앙값이 13이므로 a=13 또는 b=13이어야 한다.
따라서 10개의 변량의 평균은 Ú a=13일 때
(a+b)+(xÁ+xª+y+x¥) 62+248 310 두 자료 A, B를 합친 전체 자료에서 b, b+1을 제외한
= = =31
10 10 10
변량을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11, 12, 12, 13, 13, 14, 16, 17
02 x를 제외한 변량을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이므로 중앙값이 12.5가 되려면 bÉ11이어야 한다.
2, 4, 5, 6, 12, 13, 18, 24이므로
즉,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는
Ú xÉ6일 때
(13, 5), (13, 6), (13, 7), (13, 8), (13, 9), (13, 10),
f(1)=f(2)=f(3)=f(4)=f(5)=f(6)=6
(13, 11)
Û 6<x<12일 때
Û b=13일 때
f(7)=7, f(8)=8, f(9)=9, f(10)=10, f(11)=11
두 자료 A, B를 합친 전체 자료에서 a를 제외한 변량을
Ü x¾12일 때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f(12)=12, f(13)=12, y, f(20)=12
11, 12, 12, 13, 13, 14, 14, 16, 17
∴ f(1)+f(2)+f(3)+y+f(20)
이때 aÉ12이므로 a의 값에 상관없이 중앙값은
=6_6+7+8+9+10+11+12_9=189
13+13 =13
2
3+6+3+a+3+11+5 31+a 즉,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03 (평균)= 7
=
7
따라서 Ú, Û에 의해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이때 a의 값에 상관없이 최빈값은 3이고, 평균, 중앙값, 최빈
(a, b)의 개수는 7개이다.
값이 모두 다르므로 중앙값은 a 또는 5이다.
Ú 중앙값이 a, 즉 3<a<5일 때
31+a 31+a 06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3<a< 이므로 a=;2!;{3+ }
7 7 -2+c+4+d=0 ∴ c+d=-2 y㉠
52+a 희진이와 진수의 국어 성적의 차가 72-64=8(점)이므로
2a= , 13a=52 ∴ a=4
7
c-d=8 y㉡
Û 중앙값이 5, 즉 a¾5일 때
㉠, ㉡을 연립하여 풀면
31+a 31+a
3<5< 이므로 5=;2!;{3+ } c=3, d=-5
7 7
52+a 이때 희진이의 국어 성적과 편차에서
10= , 52+a=70 ∴ a=18
7 (평균)=72-3=69(점)이므로
따라서 Ú, Û에 의해 a의 값이 될 수 있는 자연수는 4, 18이다. a=69+(-2)=67, b=69+4=73
따라서 각 변량을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04 ㈎에서 중앙값이 19이므로 변량을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 64점, 67점, 72점, 73점
로 나열할 때 5번째 변량의 값은 19이고, ㈏, ㈐에서 최빈값
이 17과 22이므로 17과 22는 각각 2개 또는 3개이다. 이므로 중앙값은 67+72 =69.5(점)
2

32 정답과 해설
10 5개의 끈 A, B, C, D, E 중 2개를 이어 붙여 4개의 끈을 만
07 학생 F의 편차를 x회, 학생 G의 편차를 y회라 하면 평균과
들 때, 끈의 길이의 평균은
중앙값이 같으므로 x=0 또는 y=0이다.
12+11+4+5+8 40
이때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 =10(cm)
4 4
x=0, y=-1 또는 x=-1, y=0 이때 평균보다 긴 끈 2개를 이어 붙이면 편차는 더 커지므로
ㄱ. B의 방문 횟수는 평균보다 3회 많으므로 중앙값보다 3회 네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의 표준편차를 가능한 한 작게 하
많다. 려면 10`cm보다 길이가 짧은 끈 C, D, E 중 2개의 끈을 이
ㄴ. C의 편차는 -4회, G의 편차는 -1회 또는 0회이므로 어 붙이면 된다.
C의 방문 횟수는 G보다 적다. Ú C와 D를 이어 붙인 경우
ㄷ. 7개의 변량의 편차를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 C와 D의 길이의 합은 4+5=9(cm)이므로 네 변의 길
하면 -4, -1, -1, 0, 1, 2, 3이므로 최빈값은 편차가 이의 편차는 각각 2`cm, 1`cm, -1`cm, -2`cm
-1회인 학생 A의 방문 횟수와 같다. 2Û`+1Û`+(-1)Û`+(-2)Û` 10
(분산)= = =2.5
ㄹ. F의 편차가 -1회 또는 0회이므로 F의 방문 횟수는 평 4 4
균과 같거나 평균보다 1회 적다. ∴ (표준편차)='¶2.5(cm)
ㅁ. 편차가 음수인 학생은 A, C, F 또는 A, C, G이므로 평 Û D와 E를 이어 붙인 경우
균보다 적게 방문한 학생은 모두 3명이다. D와 E의 길이의 합은 5+8=13(cm)이므로 네 변의 길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ㄴ, ㅁ이다. 이의 편차는 각각 2`cm, 1`cm, -6`cm, 3`cm
2Û`+1Û`+(-6)Û`+3Û` 50
(분산)= = =12.5
4 4
08 세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각각 x, y, z라 하면 한 ∴ (표준편차)='¶12.5(cm)
모서리의 길이의 평균이 8이므로 Ü C와 E를 이어 붙인 경우
x+y+z C와 E의 길이의 합은 4+8=12(cm)이므로 네 변의 길
=8
3 이의 편차는 각각 2`cm, 1`cm, 2`cm, -5`cm
∴ x+y+z=24 y㉠ 2Û`+1Û`+2Û`+(-5)Û` 34
(분산)= = =8.5
또 겉넓이의 평균이 426이므로 4 4
6(xÛ`+yÛ`+zÛ`) ∴ (표준편차)='¶8.5(cm)
=426
3 따라서 C와 D를 이어 붙였을 때, 네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
∴ xÛ`+yÛ`+zÛ`=213 y㉡ 이의 표준편차가 가장 작다.
따라서 세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의 분산은
(x-8)Û`+(y-8)Û`+(z-8)Û`
3
xÛ`+yÛ`+zÛ`-16(x+y+z)+192
=
3
213-16_24+192
= (∵ ㉠, ㉡)
3
21
= =7
3
∴ (표준편차)='7

09 처음 공부 시간의 평균이 120분이고, 각자의 공부 시간에 a배


를 한 후 b분을 더한 공부 시간의 평균이 170분이므로
120a+b=170 y㉠
처음 공부 시간의 표준편차가 4분이고, 각자의 공부 시간에
a배를 한 후 b분을 더한 공부 시간의 표준편차는 5분이므로

4a=5 ∴ a=;4%;

a=;4%;를 ㉠에 대입하면

120_;4%;+b=170 ∴ b=20

따라서 원래 하루에 100분 동안 공부하는 학생의 바뀐 공부


시간은

100_;4%;+20=145(분)

Ⅲ. 통계 33
말하기
2
유제 4 듣기 점수와 말하기 점수의 차 10
상관관계 가 2점 이상인 학생은 오른쪽 8
(점)
6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 (경계선
4
포함)에 속하므로 12명이다. 또
2
1 83~85쪽 오른쪽 그림의 대각선에서 멀
O 2 4 6 8 10
리 떨어져 있을수록 듣기 점수 듣기 (점)
유제 1 ⑤ 유제 2 65점 유제 3 ③ 유제 4 17 와 말하기 점수의 차가 크므로 그 차가 가장 큰 학생은 듣
유제 5 ②, ④ 유제 6 ⑴D ⑵ D 기 점수가 9점, 말하기 점수가 4점이다.
∴ (두 점수의 차)=9-4=5(점)
따라서 a=12, b=5이므로 a+b=12+5=17
기말고사

유제 1 ① 기말고사 점수가 60점 100


이상 80점 이하인 학생 90
유제 5 물의 온도와 설탕의 용해도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점) 80
m
은 오른쪽 그림에서 두 70 ①, ⑤ 음의 상관관계
직선 l, m 사이 (경계선 60 l
50 ②, ④ 양의 상관관계
포함)에 속하므로 12명 O 50 60 70 80 90 100 ③ 상관관계가 없다.
이다. ④ 중간고사 (점)
따라서 주어진 상관관계와 같은 것은 ②, ④이다.
② 중간고사 점수와 기말고사 점수가 같은 학생은 위의 그
림에서 대각선 위에 있으므로 6명이다. 유제 6 ⑴ A, B, C, D, E 중에서 미술 점수에 비해 음악 점수가
∴ ;2¤0;_100=30(%) 가장 높은 학생은 D이다.

미술
⑵ 오른쪽 그림과 같이 대각선을 그 E
③ 중간고사 점수가 기말고사 점수보다 높은 학생은 위의
었을 때, 대각선에서 멀리 떨어 (점)
그림에서 대각선보다 아래쪽에 있으므로 6명이다. B
져 있을수록 두 과목의 점수의 C
④ 중간고사 점수와 기말고사 점수가 모두 70점 미만인
차가 크다. D
학생 수는 3명이다. A
따라서 A, B, C, D, E 중에서 O
⑤ 중간고사 점수와 기말고사 점수 중 적어도 하나가 90점 음악 (점)
두 과목의 점수의 차가 가장 큰
이상인 학생은 위의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 (경계선 포
학생은 D이다.
함)에 속하므로 8명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기말고사

유제 2 중간고사 점수가 60점 이하인 100


학생은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 90
(점) 80
한 부분 (경계선 포함)에 속하 70 2 86~87쪽
므로 6명이다. 60
50 1 ③, ⑤ 2② 3④ 4③
이 학생들의 기말고사 점수는 O 50 60 70 80 90 100
50점, 60점, 60점, 70점, 70점, 중간고사 (점) 5④ 6③ 7 ①, ④ 8 ③, ④
80점이므로
(기말고사 점수의 평균)
1 ① 필기 점수가 75점인 학생이 4명 ⑤
실기

50+60+60+70+70+80 100
= 으로 가장 많으므로 필기 점수
6 (점) 90
의 최빈값은 75점이다.
390 80
= =65(점)
6 ② 필기 점수가 70점 이상인 학 70
생 중에서 실기 점수가 75점 60

미만인 학생은 5명이다. O


말하기

60 70 80 90 100
유제 3 듣기 점수와 말하기 점수의 평 10 ② 필기 (점)
균이 7점 이상, 즉 듣기 점수와 8 ∴ ;2°0;_100=25(%)
(점)
6
말하기 점수의 합이 ③ 필기 점수와 실기 점수 중 적어도 하나가 85점 이상인 학
4
2_7=14(점) 이상인 학생은 생은 위의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 (경계선 포함)에 속하므
2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
O
로 8명이다.
2 4 6 8 10
분 (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듣기 (점) ④ 필기 점수와 실기 점수가 모두 70점 미만인 학생은 위의 그
8명이다. 림에서 빗금 친 부분 (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3명이다.

∴ ;2¥5;_100=32(%) ∴ ;2£0;_100=15(%)

34 정답과 해설
⑤ 실기 점수가 90점 이상인 학생은 6명이고, 이 학생들의 필 6 상위 20 %와 하위 20 % 이내에 드는 학생 수는 각각
기 점수는 85점, 90점, 90점, 95점, 95점, 100점이므로 25_;1ª0¼0;=5(명)
85+90+90+95+95+100
(필기 점수의 평균)= 작년에 읽은 책의 수가 상위 20 % 이내에 드는 학생들이 읽
6
555 은 책의 수는 8권 이상이고, 이 학생들이 올해에 읽은 책의
= =92.5(점)
6 수는 6권, 8권, 9권, 9권, 10권이므로 그 평균은
따라서 옳은 것은 ③, ⑤이다. 6+8+9+9+10
=;;¢5ª;;=8.4(권)
5

2학기
2 2학기보다 1학기에 도서관을 방문 8 또 작년에 읽은 책의 수가 하위 20 % 이내에 드는 학생들이
한 횟수가 더 많은 학생은 오른쪽 7
읽은 책의 수는 3권 이하이고, 이 학생들이 올해에 읽은 책의
(회) 6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 (경계선 제 5
4 수는 1권, 2권, 3권, 5권, 6권이므로 그 평균은
외)에 속하므로 8명이고, 이 학생 3
1+2+3+5+6
2 =;;Á5¦;;=3.4(권)
들의 1학기 동안의 도서관 방문 1 5
O 1 2 3 4 5 6 7 8
횟수는 3회, 4회, 5회, 6회, 6회, 따라서 구하는 평균의 차는 8.4-3.4=5(권)
1학기 (회)
6회, 7회, 7회이다.
따라서 1학기 동안의 도서관 방문 횟수의 평균은 7 6개의 점을 추가하면 오른쪽 그림과 y
50
같다. 이때 산점도는 x의 값이 증가 40
3+4+5+6+6+6+7+7
=;;¢8¢;;=5.5(회)
8 함에 따라 y의 값도 대체로 증가하 30
20
므로 두 변량 x, y 사이에는 양의 상
기말고사

10
3 중간고사에서 시연이보다 높은 100 관관계가 있다.
O 10 20 30 40 50 x
점수를 받은 학생이 7명이므로 80 ①, ④ 양의 상관관계
시연이를 나타내는 점은 오른쪽 (점)
60 ② 상관관계가 없다.
그림에 표시된 4개의 점 중 하나 40 ③, ⑤ 음의 상관관계
이다. 이때 기말고사 점수가 중간 O 따라서 주어진 산점도와 상관관계가 같은 것은 ①, ④이다.
40 60 80 100
고사 점수보다 높은 학생은 대각 중간고사 (점)
선보다 위쪽에 있는 점이다. 8 ③ B의 키는 155 cm이고, E의 키는 180 cm이므로
즉, 시연이를 나타내는 점은 4개의 점 중에서 가장 위에 있는 155+180 335
두 사람의 키의 평균은 = =167.5(cm)
2 2
점이므로 시연이의 중간고사 점수는 80점, 기말고사 점수는
이때 D의 키는 170 cm이므로 B와 E의 키의 평균은 D보
90점이다.
다 작다.
따라서 구하는 두 점수의 합은 80+90=170(점)
④ A, B, C, D, E 중에서 키에 비해 몸무게가 가장 적게 나
과학

4 두 과목의 점수의 평균이 A보다 가는 학생은 C이다.


100
낮은 학생은 두 과목의 점수의 합 (점) 90 ⑤ A, B, C, D, E 중에서 가장 키가 크고 몸무게도 많이 나
A
이 A보다 낮은 학생과 같다. 즉, 80 가는 학생은 E이고, 키에 비해 몸무게가 가장 많이 나가
70 는 학생은 A이다. 이때 E의 몸무게는 75 kg이고, A의
두 과목 점수의 합이
60
75+80=155(점) 미만인 학생은 몸무게는 70 kg이므로 75-70=5(kg)
O
60 70 80 90 100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 ④이다.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 (경 수학 (점)
계선 제외)에 속하므로 11명이다.

∴ ;2!5!;_100 =44(%)

3
영어

88~89쪽
5 3등인 학생의 국어 점수 100
는 80점, 영어 점수는 (점) 1등
80 2등
3등 01 15점 02 40 % 03 58.3 % 04 120점
100점이므로 그 평균은 60 공동 4등
80+100 180 공동 6등 05 12 % 06 6가지
= 40 9등
2 2 공동 10등
O 12등
=90(점) 40 60 80 100
과학

∴ a=90
국어 (점) 01 상위 24 % 이내에 드는 학생 수는 100
(점) 80
12등인 학생의 국어 점수는 60점, 영어 점수는 70점이므로 25_;1ª0¢0;=6(명)
60
그 평균은 두 과목 점수의 합이 높은 순으로 40
60+70 130 6명의 두 점수의 합을 나열하면 20
= =65(점) ∴ b=65
2 2 O
100+100=200(점), 20 40 60 80 100
∴ a-b=90-65=25 수학 (점)

Ⅲ. 통계 35
90+100=190(점), 80+90=170(점), 90+80=170(점), 따라서 중복된 점에 해당하는 학생의 음악 점수는 60점, 체
80+80=160(점), 90+70=160(점)이므로 육 점수는 60점이므로 그 합은
200+190+170+170+160+160 60+60=120(점)
(평균)=
6

기말고사
1050 05 ㈎ 중간고사 점수보다 기말고사
= =175(점) 100
6
점수가 향상된 학생은 오른쪽 80
이때 각 변량의 편차를 차례로 구하면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 (경계선 (점) 60
25점, 15점, -5점, -5점, -15점, -15점이므로 40
제외)에 속한다.
25Û`+15Û`+(-5)Û`+(-5)Û`+(-15)Û`+(-15)Û` 20
(분산)=
6 O
20 40 60 80 100
1350 중간고사 (점)
= =225
6

기말고사
㈏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점수 100
∴ (표준편차)='§225=15(점)
의 차가 20점 이상인 학생은 80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 (점) 60


02 (1차 시험 점수의 평균) 40
(경계선 포함)에 속한다.
5_1+6_3+7_2+8_4+9_2+10_3 20
=
15 O
20 40 60 80 100
117 중간고사 (점)
= =7.8(점)
15

기말고사
㈐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점수의 100
(2차 시험 점수의 평균)
평균이 70점 이상, 즉 중간고 80
5_4+6_4+7_2+8_2+9_2+10_1
= (점) 60
15 사와 기말고사 점수의 합이
40
102 70_2=140(점) 이상인 학생
= =6.8(점) 20
15 은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
2차

O
이때 1차, 2차 모두 평균 이상의 20 40 60 80 100
10 분 (경계선 포함)에 속한다. 중간고사 (점)
점수를 얻은 학생은 오른쪽 그림 (점) 9

기말고사
8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모두 만족 100
에서 색칠한 부분 (경계선 포함)에 7
6.8 6 시키는 학생은 오른쪽 그림에 표 80
속하므로 6명이다.
5 시한 3명이다. (점) 60
∴ ;1¤5;_100 =40(%) O
5 6 7 8 9 10
40
7.8 1차 (점) ∴ ;2£5;_100=12(%) 20
O
20 40 60 80 100
중간고사 (점)
03 각 선수가 넣은 슛의 개수를 순서쌍 (2점짜리, 3점짜리)로 나
멀리뛰기

타내면 (1, 0), (1, 1), (2, 1), (2, 3), (3, 2), (3, 4),
06 멀리뛰기 점수보다 높이뛰기 점수 10
(4, 1), (4, 2), (4, 3), (5, 3), (5, 5), (6, 4)이므로 8
가 높은 학생은 오른쪽 그림에서
이를 순서쌍 (a, b)로 각각 나타내면 (2, 0), (2, 3), (점) 6
색칠한 부분 (경계선 제외)에 속한
(4, 3), (4, 9), (6, 6), (6, 12), (8, 3), (8, 6), (8, 9), 4
다.
2
(10, 9), (10, 15), (12, 12)이다.
찢어진 부분에 있는 2명의 학생의 O
2 4 6 8 10
이때 ;aB;¾1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는 (2, 3), (4, 9), 높이뛰기 점수를 각각 높이뛰기 (점)

(6, 6), (6, 12), (8, 9), (10, 15), (12, 12)의 7개이다. a, b (aÉb)라 하면 높이뛰기 점수의 평균이 6점이므로
3_1+4_1+5_1+6_1+a+b
∴ ;1¦2;_100=58.33y(%) 6
=6

따라서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58.3 %이다. a+b+18=36 ∴ a+b=18


이때 찢어진 부분의 높이뛰기 점수는 7점, 8점, 9점, 10점이
므로 a=8, b=10 또는 a=9, b=9
04 중복된 점에 해당하는 학생의 음악 점수를 x점, 체육 점수를
또 찢어진 부분에 있는 2명의 학생의 멀리뛰기 점수를 각각
y점이라 하면
c, d (cÉd)라 하면 멀리뛰기 점수의 평균이 4점이므로
음악 점수의 평균이 74점이므로
2_1+3_1+4_2+c+d
50_2+60_2+70_2+80_4+90_3+100_1+x =4
=74 6
15
c+d+13=24 ∴ c+d=11
1050+x=1110 ∴ x=60
이때 찢어진 부분의 멀리뛰기 점수는 4점, 5점, 6점, 7점, 8점
또 체육 점수의 평균이 72점이므로
이므로 c=4, d=7 또는 c=5, d=6
50_2+60_4+70_1+80_3+90_3+100_1+y
=72
15 따라서 가능한 점수를 순서쌍
1020+y=1080 ∴ y=60 (높이뛰기 점수, 멀리뛰기 점수)로 나타내면

36 정답과 해설
(8, 4)와 (10, 7), (8, 7)과 (10, 4), (8, 5)와 (10, 6), (-3)Û`+5Û`+(x-6)Û`+(2-x)Û`+2Û`
=9.6
(8, 6)과 (10, 5), (9, 4)와 (9, 7), (9, 5)와 (9, 6)의 6가지 5
2xÛ`-16x+78=48, xÛ`-8x+15=0
이다.
(x-3)(x-5)=0 ∴ x=3 또는 x=5
따라서 모든 x의 값의 합은 3+5=8

a+b
06 a, b의 평균이 4이므로 2 =4
90~93쪽 ∴ a+b=8 y㉠
(a-4)Û`+(b-4)Û`
a, b의 분산이 2이므로 =2
01 72점 02 ④ 03 164 cm 04 ③ 2
aÛ`+bÛ`-8(a+b)+32=4 y㉡
05 ① 06 '7 07 C, A, B
㉠을 ㉡에 대입하면
08 10 g, 40 kcal 09 ⑤ 10 ④
aÛ`+bÛ`-8_8+32=4 ∴ aÛ`+bÛ`=36
11 ㄱ, ㄹ 12 ② 13 79ÉAÉ80 c+d
c, d의 평균이 8이므로 =8
14 6 15 2'2 16 170점 17 b 2
∴ c+d=16 y㉢
서술형 문제 <과정은 풀이 참조>
(c-8)Û`+(d-8)Û`
18 40 19 A 지역 20 37.5 % 21 88 c, d의 분산이 4이므로 =4
2
cÛ`+dÛ`-16(c+d)+128=8 y㉣
㉢을 ㉣에 대입하면
01 (반 전체의 수학 성적의 총점)=68_35=2380(점)
cÛ`+dÛ`-16_16+128=8 ∴ cÛ`+dÛ`=136
(남학생 전체의 수학 성적의 총점)=65_20=1300(점)
따라서 네 변량 a, b, c, d에 대하여
(여학생 전체의 수학 성적의 총점)=2380-1300
a+b+c+d 8+16 24
=1080(점) (평균)= = = =6
4 4 4
∴ (여학생 전체의 수학 성적의 평균)=;;Á;1)5*;¼';;=72(점) (분산)=
(a-6)Û`+(b-6)Û`+(c-6)Û`+(d-6)Û`
4
aÛ`+bÛ`+cÛ`+dÛ`-12(a+b+c+d)+144
=
02 평균이 5이므로 4
1+9+a+2+7+4+b 36+136-12_(8+16)+144
=5 ∴ a+b=12 y㉠ =
7 4
이때 중앙값이 5이고, a<b이므로 a=5 28
= =7
a=5를 ㉠에 대입하면 b=7 4
∴ (표준편차)='7
따라서 7개의 변량은 1, 9, 5, 2, 7, 4, 7이고, 7이 두 번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7이다.
2_2+4_3+6_1+8_1+10_1
07 (A의 평균)= 8
03 편차의 총합은 0이므로 40
= =5(점)
4+(-8)+1+e+0=0 ∴ e=3 8
이때 학생 D의 키가 163 cm이므로 ∴ (A의 분산)
(평균)=163-3=160(cm) (-3)Û`_2+(-1)Û`_3+1Û`_1+3Û`_1+5Û`_1
=
8
∴ a=160+4=164, b=160-8=152
56
c=160+1=161, d=160 = =7
8
따라서 학생 A의 키가 164 cm로 가장 크다. 2_1+4_1+6_2+8_1+10_3
(B의 평균)=
8
04 평균이 49회이므로 56
= =7(점)
8
47+50+48+x+53
=49 ∴ (B의 분산)
5
198+x=245 ∴ x=47 (-5)Û`_1+(-3)Û`_1+(-1)Û`_2+1Û`_1+3Û`_3
=
8
이때 각 변량의 편차는 -2회, 1회, -1회, -2회, 4회이므로
64
(-2)Û`+1Û`+(-1)Û`+(-2)Û`+4Û` = =8
(분산)= =;;ª5¤;;=5.2 8
5 2_1+8_4+10_3 64
(C의 평균)= = =8(점)
8 8
3+11+x+(8-x)+8 30 (-6)Û`_1+0Û`_4+2Û`_3 48
05 (평균)= 5
= =6
5
∴ (C의 분산)=
8
= =6
8
이때 분산이 9.6이므로 따라서 점수가 고른 사람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C, A, B이다.

Ⅲ. 통계 37
열량
08 A 음료수보다 당류의 양이 많 55 12 A, B, C, D 네 학생의 몸무게를 각각 a kg, b kg, c kg,
은 음료수가 6개이므로 A 음 (kcal) 45 d kg이라 하면
료수는 오른쪽 그림에 표시된 35 a+b
=68 ∴ a+b=136 y㉠
25 2
4개의 점 중 하나이다.
15 b+c
이때 A 음료수의 당류의 양은 =67 ∴ b+c=134 y㉡
O 2
5 7 9 11 13
10 g이고, A 음료수의 열량은 당류 (g) c+d
=64 ∴ c+d=128 y㉢
당류의 양의 3배, 즉 30 kcal보다 높으므로 A 음료수는 4개 2
의 점 중 가장 위에 있는 점이고, 그 열량은 40 kcal이다. 이때 ㉠+㉢을 하면
a+b+c+d=264 y㉣

09 a+b의 값이 35 이하인 a, b의 값을 순서쌍 (a, b)로 나타내면 ㉡을 ㉣에 대입하면


(4, 15), (5, 20), (6, 10), (6, 20), (6, 25), (7, 20), a+134+d=264 ∴ a+d=130
(9, 25), (10, 20), (10, 25)의 9가지이다. 따라서 A와 D의 몸무게의 평균은
a+d 130
∴ ;2»0;_100=45(%) 2
=
2
=65(kg)

10 ① 국어 점수와 과학 점수가 같 l 13 처음 15명의 수학 성적을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


과학

100
은 학생은 오른쪽 그림에서 m 하면 중앙값이 79점이므로 8번째 변량은 79점이다.
(점) 80
대각선 위에 있으므로 6명 60 이때 83_15-82_15=15(점)이므로 민석이의 성적은 지
이다. 40 ⑤ 형이의 성적보다 15점이 더 높다.
20
② 과학 점수가 국어 점수보다 즉, 지형이의 성적은 80-15=65(점)이므로 민석이가 전학
O 20 40 60 80 100
높은 학생은 오른쪽 그림에 국어 (점) 을 오기 전의 9번째 변량을 a점이라 하면
서 대각선보다 위쪽에 있으므로 9명이다. Ú 79Éa<80일 때, (중앙값)=a(점)
∴ ;2»5;_100=36(%) Û a¾80일 때, (중앙값)=80(점)
따라서 Ú, Û에 의해 A의 값의 범위는
③ 국어 점수와 과학 점수의 차가 30점인 학생은 위의 그림
79ÉAÉ80
에서 두 직선 l, m 위에 있으므로 5명이다.
④ 국어 점수와 과학 점수의 평균이 50점 이하, 즉 국어 점수
와 과학 점수의 합이 50_2=100(점) 이하인 학생은 위의 14 잘못 측정된 학생 5명의 앉은키를 각각 xÁ cm, xª cm,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 (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10명이다. x£ cm, 95 cm, 83 cm로 놓으면
⑤ 위의 그림의 대각선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국어 점수 평균이 90 cm이므로
와 과학 점수의 차가 크므로 그 차가 가장 큰 학생은 국어 xÁ+xª+x£+95+83
=90
5
점수가 90점, 과학 점수가 40점이다.
∴ xÁ+xª+x£=272 y㉠
∴ (두 점수의 차)=90-40=50(점)
분산이 20이므로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xÁ-90)Û`+(xª-90)Û`+(x£-90)Û`+5Û`+(-7)Û`
=20
5
11 ㄱ. 키가 클수록 던지기 기록이 대체로 좋아지는 경향이 있으 ∴ (xÁ-90)Û`+(xª-90)Û`+(x£-90)Û`=26 y㉡
므로 두 변량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xÁ cm, xª cm, x£ cm, 90 cm, 88 cm에 대하여
ㄴ. B는 A보다 키도 작고, 던지기 기록도 좋지 않다. xÁ+xª+x£+90+88
(실제 평균)=
5
ㄷ. A, B, C, D 중에서 키에 비해 던지기 기록이 가장 낮은
272+178 450
학생은 D이다. = = =90(cm)(∵ ㉠)
5 5
(던지기 기록) ∴ (실제 분산)
ㄹ. 의 값은 네 점 A, B, C, D와 원점 O를 각
(키)
(xÁ-90)Û`+(xª-90)Û`+(x£-90)Û`+0Û`+(-2)Û`
=
각 연결한 직선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5
던지기

각 직선을 산점도 위에 그려 보면 26+0+4 30


= = =6 (∵ ㉡)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기울기가 B A 5 5
(m) C
가장 작은 직선은 점 D를 지나는
직선이므로 A, B, C, D 중에서 D
15 100개의 변량을 xÁ, xª, y, xÁ¼¼이라 하면
(던지기 기록) O 키 (cm) xÁ+xª+y+xÁ¼¼=200 y㉠
의 값이 가장 작은
(키) xÁÛ`+xªÛ`+y+xÁ¼¼Û`=1200 y㉡
학생은 D이다. xÁ+xª+y+xÁ¼¼
(평균)= =;1@0)0);=2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ㄹ이다. 100

38 정답과 해설
(분산) 19 (A 지역의 평균)
(xÁ-2)Û`+(xª-2)Û`+y+(xÁ¼¼-2)Û` 12_4+14_7+16_5+18_3+20_1
= =
100 20
=
(xÁÛ`+xªÛ`+y+xÁ¼¼Û`)-4(xÁ+xª+y+xÁ¼¼)+4_100 =;;£2¼0¼;;=15(%)
100
1200-4_200+400 ∴ (A 지역의 분산)
= =;1*0)0);=8 (∵ ㉠, ㉡)
100 (-3)Û`_4+(-1)Û`_7+1Û`_5+3Û`_3+5Û`_1
=
∴ (표준편차)='8=2'2 20
=;;Á2¼0¼;;=5 …ⅰ

16 1차 점수와 2차 점수의 합이 상위 16 % 이내에 드는 학생 수는 (B 지역의 평균)


25_;1Á0¤0;=4(명) =
12_2+14_6+16_5+18_4+20_3
20
2차

1차 점수와 2차 점수의 합이 높 100


=;;£2ª0¼;;=16(%)
은 순으로 4명의 점수의 합을 나 (점) 80

열하면 100+100=200(점), 60 ∴ (B 지역의 분산)

100+90=190(점),
40 (-4)Û`_2+(-2)Û`_6+0Û`_5+2Û`_4+4Û`_3
=
20 20
90+90=180(점),
O 20 40 60 80 100 =;;Á2ª0¼;;=6 …ⅱ
90+80=170(점)이므로 상장을 1차 (점)
받는 학생의 두 점수의 최소의 합은 170점이다. 따라서 A 지역의 분산이 B 지역의 분산보다 작으므로 A 지
역의 자료의 분포가 더 고르다. …ⅲ
2학기

채점 요소 비율
17 1학기와 2학기의 봉사활동 시간 10 a
b ⅰ A 지역의 분산 구하기 40 %
이 평균 4시간을 초과하는 학생 8
(시간) c ⅱ B 지역의 분산 구하기 40 %
6 d
은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 e
4 A ⅲ 자료의 분포가 더 고른 지역 말하기 20 %
(경계선 제외)에 속하고, 이 중에
2
서 점 A에 해당하는 학생을 제외 O
2 4 6 8 10

실기
한 10명의 2학기의 봉사활동 시 2학기 (시간)
20 0Éa-bÉ10을 만족시키는 학 100
간의 평균은 생은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 (점) 90
4+5+6+6+7+7+8+8+8+9
=;1^0*;(시간) 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12명 80
10 70
이다. …ⅰ
이때 점 A가 될 수 있는 점은 a, b, c, d 중 하나이다. 60
2학기의 봉사활동 시간의 평균이 7시간이 되기 위해 추가해 ∴ ;3!2@;_100=37.5(%) …ⅱ O 60 70 80 90 100
야 할 시간을 x시간이라 하면 필기 (점)

4+5+6+6+7+7+8+8+8+9+x 68+x 채점 요소 비율
= =7
11 11 ⅰ 조건을 만족시키는 학생 수 구하기 60 %
68+x=77 ∴ x=9 ⅱ 조건을 만족시키는 학생은 전체의 몇 %인지 구하기 40 %
따라서 점 A는 b로 이동시켜야 한다.
기말고사

21 ㈎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중 적어 100


18 a, b, c를 제외한 자료에서 17점이 두 번으로 가장 많이 나타
도 하나의 점수가 60점 미만 80
나고, 12점은 한 번 나타나므로 최빈값이 12점이 되려면 a, (점) 60
인 학생은 오른쪽 그림에서
b, c 중 적어도 2개는 12이어야 한다. …ⅰ 40
색칠한 부분 (경계선 제외)에
즉, a, b, c의 값을 12, 12, x (x>12)라 하고, 중앙값이 14점 20
속하므로 13명이다.
이므로 주어진 변량을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O 20 40 60 80 100
∴ A=13 … ⅰ 중간고사 (점)
10, 12, 12, 12, x, 17, 17, 19
㈏ 중간고사 점수가 80점 이상인 학생은 빗금 친 부분 (경계
12+x
따라서 (중앙값)= =14(점)이므로 선 포함)에 속하므로 6명이고, 이 학생들의 기말고사 점수
2
12+x=28 ∴ x=16 …ⅱ 는 40점, 70점, 70점, 80점, 90점, 100점이므로
∴ a+b+c=12+12+16=40 …ⅲ 40+70+70+80+90+100
(기말고사 점수의 평균)=
6
채점 요소 비율
450
= =75(점)
ⅰ a, b, c 중 두 변량의 값 구하기 40 % 6
ⅱ a, b, c 중 나머지 한 변량의 값 구하기 40 % ∴ B=75 …ⅱ
ⅲ a+b+c의 값 구하기 20 % ∴ A+B=13+75=88 …ⅲ

Ⅲ. 통계 39
채점 요소 비율

ⅰ A의 값 구하기 40 %
ⅱ B의 값 구하기 40 %
ⅲ A+B의 값 구하기 20 %

40 정답과 해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