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방제학 Ⅰ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9

2023학년도 1학기 한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계획표

교과목명 본초방제학(I) 교과목번호 OM9600260 분반 001

개설학과 한의학과 개설학년 2학년 교과구분 전공필수(대학원)

강의시간
학점-이론-실습 5.5 - 5.00 - 1.00
및 강의실

연구실 405 상담가능시간 09:00-18:00


담당교수 김형우
연락처 8458 이메일 kronos7@pusan.ac.kr

대면
수업방식
강의식 및 TBL

평가방법
*장애학생의 경우 시험시간의 연장이 가능하며, 대필이나 컴퓨터를 활용하여 시험에 응할 수 있습니다.
선수과목 및
관련지식
본초방제학Ⅰ은 한의학 기초 학문 분야인 본초학 및 방제학에 상응하며, 한의학에서 치료 수단 중 하나인
약물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체득할 수 있도록 함을 목표로 한다. 본초학 및 방제학의 역사, 주요 서적,
교수목표
기미론, 약물배합론 등에 관한 총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론 부분에서는 약재 개별 특성 및 배합
규율 등에 관한 내용을 학습한다.

본초학 총론, 방제학 총론을 우선 학습하고, 임상에서의 상용약재를 위주로 본초학 각론 수업이 진행되며
이어서 이러한 상용 약재들로 이루어진 처방들의 배합 원칙을 이해한다. 각론의 구체적 내용으로는 개개
약물의 기원, 이명, 학명, 산지, 채취시기, 성미, 귀경, 포제법, 효능, 주치, 임상응용, 용량, 금기 등을
강의개요
학습하며 이를 바탕으로 이들 약재들로 구성된 처방들의 구성시기, 처방 창제자의 임상에서의 사용 목표
등을 학습하여 임상에서의 활용 방안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장애학생의 경우 장애학습지원센터와 강의 및 과제에 대한 사전 협의가 가능합니다.

졸업성과 핵심성과 시기성과 과정성과

교과목관련 한의사로서 약물 활용에


학습성과 한의학과 의학지식을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일반적인 한의학/의학적
이해하고 적용할 수 치료적 접근 습득하고, 다양한 임상적
치료법을 설명할 수 있다.
있는 한의사 상황에 맞춰 약물을
응용할 수 있다.
교재 및 참고 자료

주교재

참고자료

강의계획

강좌 강의내용 교수학습방법 과제 및 기타사항 담당교수 수업성과 지식, 술기, 태도

본초방제학 교과목의
학습 목표와 성과를
오리엔테이션, 확인하고 향후 지속될
1강좌 이부균
본초방제학의 역사 등 학습 과정을 이해하며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본초방제학 교과목의
강좌 강의내용 교수학습방법 과제 및 기타사항 담당교수 수업성과 지식, 술기, 태도

학습 목표와 성과를
본초방제학의 개요 강의실 강의 김형우 확인하고 향후 지속될
학습 과정을 이해하며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울
수 있다.
1강좌 본초방제학 교과목의
학습 목표와 성과를
오리엔테이션, 확인하고 향후 지속될
김원남
본초방제학의 역사 등 학습 과정을 이해하며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본초방제학의 역사적
사실을 이해함으로써
한약재와 한약 처방에
이부균
대한 심층 이해를
도모하며, 이를 응용할
수 있다.
기미론, 처방의 형성
본초방제학의 역사적
사실을 이해함으로써
한약재와 한약 처방에
2강좌 김원남
대한 심층 이해를
도모하며, 이를 응용할
수 있다.
본초방제학의 역사적
사실을 이해함으로써
한약재와 한약 처방에
본초방제학의 역사1 강의실 강의 김형우
대한 심층 이해를
도모하며, 이를 응용할
수 있다.
기미론과 다양한 한의
이론을 이해함으로써
이부균
한약의 성능에 설명할 수
약용식물학,
있다.
용법/용량/금기, 약물의
기미론과 다양한 한의
채집과 저장
이론을 이해함으로써
3강좌 김원남
한약의 성능에 설명할 수
있다.
기미론과 다양한 한의
이론을 이해함으로써
한약의 성능1 강의실 강의 김형우
한약의 성능에 설명할 수
있다.
본초방제학의 역사적
사실을 이해함으로써
전탕/복용/도량형, 한약재 한약재와 한약 처방에
김원남
감별 대한 심층 이해를
도모하며, 이를 응용할
4강좌 수 있다.
본초방제학의 역사적
사실을 이해함으로써
한약재와 한약 처방에
본초방제학의 역사2 강의실 강의 김형우
대한 심층 이해를
도모하며, 이를 응용할
강좌 강의내용 교수학습방법 과제 및 기타사항 담당교수 수업성과 지식, 술기, 태도

수 있다.
본초방제학의 역사적
사실을 이해함으로써
전탕/복용/도량형, 한약재 한약재와 한약 처방에
4강좌 이부균
감별 대한 심층 이해를
도모하며, 이를 응용할
수 있다.
기미론과 다양한 한의
치료방법, 포제학, 치법 이론을 이해함으로써
김원남
및 처방의 분류 한약의 성능에 설명할 수
있다.
기미론과 다양한 한의
이론을 이해함으로써
5강좌 한약의 성능2 강의실 강의 김형우
한약의 성능에 설명할 수
있다.
기미론과 다양한 한의
치료방법, 포제학, 치법 이론을 이해함으로써
이부균
및 처방의 분류 한약의 성능에 설명할 수
있다.
한약재의 기원식물에
대하여 이해하고
한약의 감별법1 강의실 강의 김정훈
개괄적인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한약재의 기원식물에
대하여 이해하고
6강좌 김원남
개괄적인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포제학, 제형
한약재의 기원식물에
대하여 이해하고
이부균
개괄적인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한약재의 기원식물에
대하여 이해하고
한약의 감별법2 강의실 강의 김정훈
개괄적인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한약재의 기원식물에
대하여 이해하고
7강좌 김원남
개괄적인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보익약류
한약재의 기원식물에
대하여 이해하고
이부균
개괄적인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한약재의 채집과 저장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약재
한약의 채칩과 저장 강의실 강의 김정훈
관리의 개요를 설명할 수
있다.
8강좌
한약재의 채집과 저장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약재
보익약류 김원남
관리의 개요를 설명할 수
있다.
강좌 강의내용 교수학습방법 과제 및 기타사항 담당교수 수업성과 지식, 술기, 태도

한약재의 채집과 저장에


8강좌 보익약류 이부균 대한 이해를 통해 한약재
관리의 개요를 설명할 수
있다.
한약재의 포제에 대한
보익처방,
김원남 개요를 이해하고 1차
방향성화습약류
포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약재의 포제에 대한
9강좌 포제학1 강의실 강의 김형우 개요를 이해하고 1차
포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약재의 포제에 대한
보익처방,
이부균 개요를 이해하고 1차
방향성화습약류
포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약재의 전탕법, 복용법
및 금기와 도량형을
이부균
이해함으로써 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소식약류, 이기약류 등
한약재의 전탕법, 복용법
및 금기와 도량형을
10강좌 김원남
이해함으로써 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한약재의 전탕법, 복용법
전탕법, 복용법, 금기와 및 금기와 도량형을
강의실 강의 조수인
도량형 이해함으로써 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2차 포제의 의미와
이기약류, 온리약류 이부균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보료를 활용할 수 있다.
2차 포제의 의미와
11강좌 포제학2 강의실 강의 김형우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보료를 활용할 수 있다.
2차 포제의 의미와
이기약류, 온리약류 김원남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보료를 활용할 수 있다.
2차 포제의 다양한
청열약류 이부균 방법들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2차 포제의 다양한
12강좌 포제학3 강의실 강의 김형우 방법들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2차 포제의 다양한
청열약류 김원남 방법들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각 국가별 공정서의
개괄적 이해를 통하여
청열처방 이부균 한약의 기원 분류와
유통에 대해 이해하고,
13강좌 이를 응용할 수 있다.
각 국가별 공정서의
개괄적 이해를 통하여
한약과 공정서 강의실 강의 김정훈 한약의 기원 분류와
강좌 강의내용 교수학습방법 과제 및 기타사항 담당교수 수업성과 지식, 술기, 태도

유통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다.
각 국가별 공정서의
개괄적 이해를 통하여
13강좌 청열처방 김원남 한약의 기원 분류와
유통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다.
한약 처방이 구성되는
이부균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지혈약류
한약 처방이 구성되는
14강좌 김원남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한약 처방이 구성되는
처방의 형성 강의실 강의 김형우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질병 치료의 방법과
종류를 포괄적으로
김원남
이해하고 임상적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이혈처방, 보익연계처방
질병 치료의 방법과
종류를 포괄적으로
15강좌 이부균
이해하고 임상적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질병 치료의 방법과
종류를 포괄적으로
치료의 방법과 종류 강의실 강의 김형우
이해하고 임상적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질병 치료에 사용되는
처방을 효능에 따라
16강좌 처방의 분류와 분석 강의실 강의 김형우
분류하고, 임상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기초 처방들이 어떤
방식으로 응용
17강좌 처방의 형태1 강의실 강의 김형우 변용되는지를 이해하고,
임상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기초 처방들이 어떤
방식으로 응용
지식,술기,태
18강좌 처방의 형태2 강의실 강의 김형우 변용되는지를 이해하고,

임상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2차 포제의 수행과정을
19강좌 포제학 실습 김형우 이해하고, 직접 수행할
수 있다.
해표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20강좌 해표약류1 강의실 강의 조수인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본초방제학 총론에
관하여 필수 지식을
21강좌 평가 1 기타 김형우
강좌 강의내용 교수학습방법 과제 및 기타사항 담당교수 수업성과 지식, 술기, 태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해표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22강좌 해표약류2 강의실 강의 조수인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해표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23강좌 해표약류3 강의실 강의 조수인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해표약류의 기원에 따른
24강좌 해표약류실습1 조수인 식물의 특성과 한약재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해표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25강좌 해표약류4 강의실 강의 조수인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해표 처방의 효능 주치에
대해 이해하고
26강좌 해표제 1 강의실 강의 김형우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해표 처방의 효능 주치에
대해 이해하고
27강좌 해표제 2 강의실 강의 김형우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해표약류의 기원에 따른
28강좌 해표약류실습2 조수인 식물의 특성과 한약재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청열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29강좌 청열약류 1 강의실 강의 김정훈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청열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30강좌 청열약류 2 강의실 강의 김정훈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청열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31강좌 청열약류 3 강의실 강의 김정훈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청열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32강좌 청열약류 4 강의실 강의 김정훈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청열약류의 기원에 따른
33강좌 청열약류실습1 김정훈 식물의 특성과 한약재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청열약류의 기원에 따른
34강좌 청열약류실습2 김정훈 식물의 특성과 한약재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청열약류의 기원, 성미,
강좌 강의내용 교수학습방법 과제 및 기타사항 담당교수 수업성과 지식, 술기, 태도

35강좌 청열약류 5 강의실 강의 김정훈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청열약류의 기원에 따른
36강좌 청열약류 6 김정훈 식물의 특성과 한약재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청열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37강좌 청열약류실습3 강의실 강의 김정훈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청열 처방의 효능 주치에
대해 이해하고
38강좌 청열제 1 강의실 강의 김형우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본초방제학 각론에
관하여 필수 지식을
39강좌 평가 2 기타 김형우
이해하고 임상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청열 처방의 효능 주치에
대해 이해하고
40강좌 청열제 2 강의실 강의 김형우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화해 처방의 효능 주치에
대해 이해하고
41강좌 화해제 강의실 강의 김형우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사하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42강좌 사하약 강의실 강의 김정훈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거풍습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43강좌 거풍습약 1 강의실 강의 조수인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거풍습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44강좌 거풍습약 2 강의실 강의 조수인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사하약류의 기원에 따른
45강좌 사하약실습 김정훈 식물의 특성과 한약재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거풍습약류의 기원에
따른 식물의 특성과
46강좌 거풍습약실습 조수인
한약재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방향화습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47강좌 방향화습약류 강의실 강의 조수인 주치에 대해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2차 포제를 숙지하고,
강좌 강의내용 교수학습방법 과제 및 기타사항 담당교수 수업성과 지식, 술기, 태도

48강좌 포제 및 제형 실습 1 김형우 탕전, 산제, 환제 등


제형을 순서에 맞게
조제할 수 있다.
2차 포제를 숙지하고,
탕전, 산제, 환제 등
49강좌 포제 및 제형 실습 2 김형우
제형을 순서에 맞게
조제할 수 있다.
이수삼습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50강좌 이수삼습약류 1 강의실 강의 김형우 주치에 대해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이수삼습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51강좌 이수삼습약류 2 강의실 강의 김형우 주치에 대해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한약재 기원 식물의
성상, 특성, 분류의
52강좌 현장학습 1 기타 김형우
요점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한약재 기원 식물의
성상, 특성, 분류의
53강좌 현장학습 2 기타 김형우
요점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한약재 기원 식물의
성상, 특성, 분류의
54강좌 현장학습 3 기타 김형우
요점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의안에 등장하는 처방을
선별하여 효능 주치에
55강좌 의안연구 1 기타 김형우 대해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방향화습약류의 기원에
따른 식물의 특성과
56강좌 방향화습약실습 조수인
한약재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이수삼습약류의 기원에
따른 식물의 특성과
57강좌 이수삼습약실습 김형우
한약재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이기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58강좌 이기약류 1 강의실 강의 조수인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이기약류의 기원, 성미,
귀경과 효능 주치에 대해
59강좌 이기약류 2 강의실 강의 조수인
이해하고 임상상황에
맞게 응용할 수 있다.
이기약류의 기원에 따른
강좌 강의내용 교수학습방법 과제 및 기타사항 담당교수 수업성과 지식, 술기, 태도

60강좌 이기약류실습 김형우 식물의 특성과 한약재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