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데이 일반물리학 자료 (챕터1-36, 34제외)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56

백종성의 강의노트 1장 측정 - 1 -

제 1 장 측정

1-1 길이를 포함한 물리량의 측정

단위 어떤 물리량의 크기를 표현하기 위해 도입한 “표준(또는 기준)”을 단위라고 한다.

☞ SI 단위계에서 길이의 표준은 “ 미터( m)”인데, 이때 “m(미터)”를 길이의 “단위(unit)”라


한다. 예를 들면 “ m”는 길이가 “ m”의 “ 배”라는 뜻이다.

국제단위계(SI 단위계) SI 단위계(International System of Units)는 1971년 국제도량형총회


에서 채택한 단위계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 개의 기본 물리량의 SI 단위는 표 1-1과 같다.

표 1-1 기본 물리량의 SI 기초단위


물리량 단위명칭 단위기호
길이 미터(meter) m
시간 초(second) s
질량 킬로그램(kilogram) kg
전류 암페어(ampere) A
온도 켈빈(kelvin) K
물질의 양 몰(mol) mol
광도 칸델라(candela) cd

접두어 “ m 또는   m”와 같이 너무 크거나 작은 물리량을 표현할 때 사용하면


편리한데, SI 단위에 사용하는 접두어는 표 1-2와 같다.

표 1-2 SI 단위의 접두어


크기 접두어 기호 크기 접두어 기호
  
 요타(yotta) Y  욕토(yocto) y
  
 제타(zetta) Z  젭토(zepto) z
  
 엑사(exa) E  아토(atto) a
  
 페타(peta) P  펨토(femto) f
  
 테라(tera) T  피코(pico) p
 
 기가(giga) G  나노(nano) n
 
메가(mega) M    마이크로(micro) 
 
 킬로(kilo) k  밀리(milli) m
 
 헥토(hecto) h  센티(centi) c
 
 데카(deka) da  데시(deci) d
백종성의 강의노트 1장 측정 - 2 -

☞ 단위계 및 접두어의 기호를 사용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를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해야 된다.

☞ 접두어를 사용하면  m 및   m를 다음과 같이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 m   ×  m   Mm
  m   ×    m   m

단위환산 전환인자(에 해당하는 두 단위 사이의 비율)를 활용하여 단위를 바꿀 수 있다.

예) “ min( 분)”이라는 시간을 “초(s)”로 변환하는 경우, “ mim   s”와 같은 전환인자를 사


용하여 다음과 같이 변환.

⑴ 첫 번째 방법 : “ s   mim  ”의 관계를 활용

 min   min     min  s   min    s

⑵ 두 번째 방법 : “ mim   s”의 관계를 직접 활용.

 min    s    s

길이의 단위 SI 단위는 미터(m). 미터원기(백금-이리듐 합금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여기에 새


겨진 두 눈금 사이의 거리를  m로 정의)는 파리 근교에 위치한 국제도량형국에 보관.

☞  m는 빛이 진공 속에서 초 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이다.

보기문제 1.01) 단면이 정사각형(한 변의 길이가    mm)인 줄을 감아서 반지름이  m인 공을


만들었다. 이 줄의 길이 을 어림하여라.

풀이) 빈틈이 없이 줄을 감아서 만든 반지름이  인 공의 부피  는 다음과 같다.(어림하여 푸는


문제이므로  으로 놓고 풀이!)

      
     (a)
 

그리고 단면적이  이고 길이가  인 줄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b)

식 (a), (b)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줄의 길이  이 구해진다.

   m 
          ×   m   ×   km     km (c)
  ×    m 
백종성의 강의노트 1장 측정 - 3 -

1-2 시간

시간의 표준 시간의 SI 단위는 초(s)인데, s는 세슘   원자에서 방출된 특정한 파장의 빛


이      번 진동하는데 걸린 시간으로 정의.

1-3 질량

표준 킬로그램 질량의 SI 단위는 킬로그램(kg)이다. 백금-이리듐 합


금으로 제작된  kg의 표준원기는 그림 1-1과 같은 모습(높이와 지름이
각각   cm인 원통)으로서 이는 국제도량형국에 보관.

두 번째 표준질량 탄소   원자의 질량을  원자질량단위(u)로


정의하는데,  u는 다음과 같다.


 u      ×  kg (1.1)
그림 1-1

보기문제 1.02) 모래의 공간비는   v 와


g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 g은 모래알갱이(grains)의
총 부피이고,  v는 알갱이 사이의 빈 공간(voids)의 총 부피이다. 가 을 넘으면
모래가 액화될 수 있다.   일 때 모래(sand)의 밀도 s 를 구하시오. 단, 모래의 주성분인
SiO 의 밀도는 SiO    ×   kgm이다.

풀이)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으로 정의된다. 빈 공간의 질량은 v  이고, 모래알갱이의 밀도


g가 SiO 의 밀도 SiO 와 같다고 놓으면, 알갱이와 빈 공간으로 구성된 모래의 밀도는 다음과 같
이 구해진다.

s g  v g g  g g SiO 
s       
s g  v g  v    v  g      

  ×   kgm 
   ×   kgm  (a)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1 -

제 2 장 직선운동

직선운동 물체가 직선을 따라 운동하는 모습을 직선운동이라 하는데, 여기서는 물체가 운동하
는 직선을 축으로 취하고, 그 운동모습을 살펴본다.

2-1 위치, 변위, 평균속도

위치 기준점에 대해 물체가 위치한 지점(장소).

⑴  축을 따라 물체가 운동하는 직선운동의 경우, 원점을 기준점으로 취한다.

⑵ 위치는 벡터량(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물리량. 벡터 양(  )의 방향


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3장에서 공부한다.)인데, 
차원 직선운동의 경우 그림 2-1과 같이 오른쪽 방 음( )의 방향
 
향을  방향, 왼쪽 방향을  방향으로 취하면 ●

“ ” 또는 “ ” 부호로 위치의 방향을 기술.


원점 그림 2-1
☞ 물체의 위치가     m인 경우, 물체가 원점에서  방향으로  m 떨어진 지점에 있다
는 뜻.

∆의 의미와 사용 ∆(델타, delta)는 어떤 물리량의 변화를 표현할 때 사용. 어떤 물리량 앞


에 ∆를 붙이면 그 물리량의 변화량을 의미하는데, 이는 마지막 값에서 처음 값을 뺀 것이다.

변위 ∆ “위치의 변화량”를 변위라고 부른다.

☞ 그림 2-2와 같이 어떤 물체가 축을 따라 움직이는 경우, 처음(시간이    s) 위치가


     m이고 마지막(   s) 위치가     m이면, 시간의 변화량(시간간격) ∆와 변위
∆는 다음과 같다.

마지막 시간
처음 시간
  s    s
∆       s   s   s (2.1) ● ●

∆         m    m    m (2.2) 그림 2-2
처음 위치
마지막 위치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2 -

평균 속도 avg 시간간격 ∆ 동안 물체의 위치가 변위 ∆ 만큼 변할 때, 평균 속도  avg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avg   (2.3)
∆   

☞  avg에서 “”는 “velocity(속도)”의 맨 앞 글자에서, 아래첨자 “ avg”는 “average(평균)”에서


가져왔다.

☞  avg의 SI 단위는 m s이다.

☞  avg는 벡터량인데, 차원 직선운동의 경우 부호로 그 방향을 기술.

예) 그림 2-3과 같이 두더지가  축
을 따라 움직이는 경우.

시간구간  s   s에 대해 평균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s   s   s

∆         m    m 
 

∆ m
 avg      m s
∆ s 그림 2-4

☞ 그림 2-4와 같이 평균속도는
곡선의 평균 기울기와 같다. 그림 2-3

평균 속력  avg 시간간격 ∆ 동안 물체가 총 거리  만큼 움직일 때, 평균 속력  avg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avg  (2.4)
∆

☞  avg에서 “”는 “speed(속력)”의 맨 앞 글자에서 가져왔으며,  avg의 SI 단위는 m s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3 -

보기문제 2.01) 직선도로를  km  h로 달리다가   km되는 지점에서 연료가 떨어져서 트럭이 멈


춰 섰다. 운전사는  분 동안 도로를 따라 걸어서   km 떨어진 주유소에 도착했다.

  처음 운전을 시작했을 때부터 주유소에 도착했을 때까지의 변위는 얼마인가?

풀이) 출발지점을   으로 놓자. 주유소의 위치를  로 놓으면  와 변위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km   km   km (a)

∆          km      km (b)

  처음 운전을 시작했을 때부터 주유소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간격을 얼마인가?

풀이) 먼저 출발하여 트럭이 멈출 때까지의 시간 ∆dr을 다음과 같이 구하자.

∆ dr ∆ dr  km
 avgdr  ∆dr      h (c)
∆dr  avgdr  km  h

따라서 총 시간간격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dr  ∆wlk   h   h   h (d)

  처음 운전을 시작했을 때부터 주유소에 도착



그림 2-5
할 때까지의 평균 속도를 구하시오. 계산과 그림
으로 답을 구하여라.

풀이) 식 (b), (d)의 결과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km
 avg    km h (e) 
∆   h

그리고 그림으로 문제의 상황을 표현하면 그림


2-5와 같다.  

  운전사가 휘발유를 사들고 다시 트럭이 있는 곳으로  분 동안 걸어왔다. 원점에서 트럭으로


되돌아왔을 때까지의 평균속력은 얼마인가?

풀이) 총 시간간격 ∆와 총 이동거리  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dr  ∆wlk f  ∆wlkb    h    h      h (f)

  dr  wlk f  wlkb    km    km    km    km (g)

따라서 평균 속력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4 -

   km
avg    kmh (h)
∆   h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5 -

2-2 순간 속도와 속력

순간 속도 시간간격 ∆ 가  에 접근할 때의 평균 속도를 순간 속도로 정의한다.


∆ 
  lim ∆   (2.5)
∆ 

☞ 순간 속도 는 위치 를 시간  로 한 번 미분한 모습으로서,    그래프에서 곡선의 순간


기울기에 해당한다.

☞ 순간 속도 는 벡터량인데, 일반적으로 “순간”이라는 말을 생략하고 사용한다.

순간 속력  순간 속력은 다음과 같이 순간 속도의 크기로 정의한다.


   (2.6)

보기문제 2.02) 정지해 있던 승강기가 양의 방향인 위


쪽으로 움직이다가 다시 정지했다. 그림 2-6 는 승
강기의 운동을 위치함수  로 나타낸 모습이다.  
의 그래프를 그려라.

풀이) 그림 2-6  를 다음과 같이 구간별로 분석하자.

⑴   s 및 s  구간에서 곡선의 기울기


가  이므로 순간속도는 다음과 같다.
그림 2-6
 (a)

⑵ s   s구간에서 곡선이 직선이므로 평균


기울기와 순간 기울기가 같다. 따라서 이 구간에
서 순간 속도와 평균 속도가 동일하므로 다음과
같이 순간속도를 구할 수 있다.

∆  m   m
   avg      m s (b)
∆ s  s

이상을 고려하면 세 구간    s,  s   s,
s 에서   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결국  s   s 구간에서    그래프의 곡선의 기


울기가 일정하게 증가하고,  s   s 구간에서 일
정하게 감소한다면 그림 와 같이  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그림  는 잠시 후에 공부하게 될 가속도   의 그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6 -

래프인데, 이는 그림  로부터 구할 수 있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7 -

2-3 가속도

평균 가속도 avg 시간간격 ∆ 동안 물체의 속도가 ∆ 만큼 변할 때, 평균 가속도 avg는 다


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avg   (2.7)
∆   

☞ avg에서 “”는 “acceleration(가속도)”의 맨 앞 글자에서 가져왔으며, 가속도의 SI 단위는


m  s 이다.

☞   와   은 시간이 각각  와  일 때 물체의 순간 속도이다.

순간 가속도  시간간격 ∆가  에 접근할 때의 평균 가속도를 순간 가속도로 정의한다.


∆ 
  lim   (2.8)
∆  ∆ 

☞ 순간 가속도 는 속도 를 시간  로 한 번 미분한 모습으로서,    그래프에서 곡선의 순


간 기울기에 해당한다.


보기문제 2.03)  축을 따라 움직이는 입자의 위치가       와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 의 단위는 m이고,  의 단위는 s이다.

  입자의 속도함수   와 가속도함수   를 구하시오.

풀이) 속도와 가속도의 정의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m s  (a)
 
 
            m  s   (b)
 

    일 때가 있는가?

풀이) 식 (a)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s  (c)

   일 때 입자의 운동을 논하시오.

풀이)      m,       m  s,    이고,      s구간에서   ,       m,


   , 그리고    s 구간에서   이다. 따라서   일 때 입자는    m에서  방향으로
출발하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속력이 점차 감소하여    s일 때     m에서 순간적으로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8 -

정지한 후, 그 후(   s) 입자는  방향으로 운동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9 -

2-4 등가속도 운동

등가속도 운동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이 항상 일정.(미분과 적분을 행할 때,  는 상수)

시간이  일 때의 위치와 속도를   와   , 그리고 시간  


●  m 
이  일 때의 위치와 속도를  와  로 놓으면 이들의  
모습을 그림 2-7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그림 2-7

⑴ “     ” 도출 : 가속도(   )의 정의를 고려!


      (2.9)


식 (2.9)의 양변에 적분기호를 취하고 다음과 같이 정리하자.(그림 2-7을 고려하여 “시간이   


일 때 물체의 속도를   , 시간이   일 때 물체의 속도를 ”와 같이 적분구간을 설정)

 


    


좌변    

         

 
우변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일정하므로 적분 밖으로
            (2.10)

 
⑵ “         ” 도출 : 속도(    )의 정의를 고려!


           (2.11)


식 (2.11)의 양변에 적분기호를 취하고 다음과 같이 정리하자.(그림 2-7을 고려하여 “시간이


  일 때 물체의 위치를  , 시간이   일 때 물체의 위치를 ”와 같이 적분구간을 설정)

 
    
 
   


좌변    

         

    
우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와  는 일정
           (2.12)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10 -

⑶ “         ” 도출 : 가속도(   )의 정의를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좌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우변   
   
   

           (2.13)

보기문제 2.04) 자동차(car)와 오토바이(motor cycle)경기.


자동차와 오토바이(motor cycle)가 처음에는 동일한 지점(원점.    ,     )에서 정지 상태

(   ,     )에서 출발. 오토바이는 시간  동안 일정하게     m  s의 가속도로 가속되
어 최고속도     m  s에 도달한 후 등속운동을 하고, 자동차는 처음부터 계속    ms
으로 가속될 때 자동차가 오토바이를 따라잡는데 걸린 시간 는 얼마인가?

풀이) 자동차와 오토바이가 만나는 지점을     로 놓고, 오토바이와 차의 운동을 고려하면 다


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ms
                   s
  m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 or  s
    s

등가속도 운동의 다른 표현
( 이 내용은 이미 설명했음!)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11 -

2-5 자유낙하 가속도

자유낙하가속도 어떤 물체가 지표면 근처에서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일 때, 공


기의 영향을 무시하면 물체가 아래 방향으로 일정하게 가속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그림 2-9 참조), 이를 자유낙하가속도라 부른다. 자유낙하가속도의 크기는 인데,

지표면 근처에서 그 크기는 다음과 같다.

     m s (2.14)
그림 2-9

☞ 자유낙하가속도의 방향은 언제나 아래 방향이다. 그림 2-9와 같이 위쪽을  방향으로 취하



면 자유낙하가속도는         m  s이다.

2-4절에서 살펴본 내용( 축을 따라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물체의 운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2.15)

      (2.16)

           (2.17)

물체가  축을 따라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경우, 식 (2.15) (2.17)을 첨자“  ”를 도입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2.18)

        (2.19)

            (2.20)

물체가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일 때, 그림 2-9와 같이 위쪽을  방향으로 취하면,    이므로


식 (2.18) (2.20)은 결국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          (2.21)

       (2.22)

            (2.23)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12 -

보기문제 2.05) 투수가 처음속력  m s로 야구공을 그림 2-12


처럼  축 방향으로 던져 올렸다.

  가장 높은 위치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구하여라.

풀이) 최고점에서   이므로 식 (2.22,       )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m (a)
  

  공이 도달하는 최고 높이를 구하여라.

풀이) 식 [2.23,            ]을


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그림 2-10
         m (b)
    

 공이 투수의 손으로부터  m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을 구하여라.

풀이) 식 (2.21,           )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 or   (c)
   

    s는 공이 올라갈 때,     s는 공이 내려올 때 높이가  m인 지점을 통과하는 시간이


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장 직선운동 - 13 -

2-6 그래프 적분을 이용한 운동 해석

  그래프의 해석 가속도의 정의(  )를 고려하면 시간구간   에 대해 다음


관계식을 만들 수 있다.
  


    

      

(2.24)

☞ 식 (2.24)의 정적분 항은    동안 속도의 변화로서, 이는


그래프에 제시한 면적과 같다.(   은 시간일  일 때의 속도) 그림 2-11

   그래프의 해석 속도의 정의(  )를 고려하면 시간구간   에 대해 다음


관계식을 만들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2.25) 그림 2-12

☞ 식 (2.25)의 정적분 항은    동안 위치의 변화로서, 이는


그래프에 제시한 면적과 같다.(  은 시간일  일 때의 위치)

보기문제 2.06) 그림 2-13  는 달리는 자동


차(  km  h로 운행)가 정지해 있는 자동차와
충돌할 때, 정지해 있던 자동차의 운전자의
몸과 머리에서 관측된 가속도를 시간의 함수
로 나타낸 모습이다. 충돌 순간의
시간을   으로 취했다. 머리가 가속되는
순간 몸통(torso)의 속력은 얼마인가? 단, 충
돌은 정지해 있는 자동차의 뒷부분에서 발생 그림 2-13
했다.

풀이) 문제의 조건에서 정지해 있는 자동차에


있는 운전자의 초기속도는    임을 알 수
있다. 그림  를 보면 머리가 가속되기 시작
하는 시간은    ms이므로,    ms 동안 몸통의 속도변화를 구하면 문제의 답을 구
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몸통의 속도변화는 몸통의 가속도곡선과 시간축이 만드는 면적이므로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ms   
 
 ms  m s     ms  m s  

  ms m s        s  m  s    m  s      km h   

  km h
백종성의 강의노트 3장 벡터 - 1 -

제 3 장 벡터

3-1 벡터와 성분

벡터(vector) 위치, 속도, 가속도, 힘, 선운동량, 등의 물리량은 크기와 함께 방향성을 가지


는데, 이와 같이 크기와 방향성을 동시에 가지는 물리량을 벡터라 한다.

스칼라(scalar) 길이, 질량, 시간, 온도 등과 같이 오직 크기만 가지고 있는 물리량을 스칼라


(scalar)라 한다.

벡터의 표현

① 그림으로 표현하는 방법 :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벡터 크기


의 방향이고, 화살표의 길이가 벡터의 크기.
시작점
끝점
② 문자로 표현하는 방법 : 두꺼운 글씨체(bold)로 쓰거나 문자 벡터
그림 3-1
위에 화살표를 표기.

    
“벡터 에이” 또는 “에이 벡터”와 같이 읽는다.
  
 


③ 그림과 문자를 동시에 사용한 벡터의 표현 : 그림 3-2와 같이 벡터그림 옆


에 문자를 표기. 

④ 수식으로 표현하는 방법 : 이 방법은 단위벡터에 대한 개념이 필요하므로 그림 3-2


잠시 미루자.



벡터의 특성 

① 벡터의 평행이동 : 벡터를 평행 이동시켜도 그 특성이 변하지 않는다. 그림 3-3



② 
와  
의 의미 : 어떤 벡터 앞에 “ ” 부호를 붙이면 크기는 동일하
고 방향이 반대인 벡터를 뜻한다.


그림 3-4
백종성의 강의노트 3장 벡터 - 2 -

기하학적으로 벡터 더하기

벡터 더하기 벡터를 평행 이동시켜도 그 특성이 변하지 않는 성질을 활용.

⑴     의 계산 : 그림 3-5 와 같이 두 벡터 ,  가


 주어졌을 때, 두 벡터의 합
    는 그림 와 같이 의 시작점이 의
 끝점에 오도록 를 평행이동 시킨 후, 의

시작점에서 의  끝점을 연결하는 벡터를 그리면 가  구해진다.

⑵ 교환법칙 성립 : 그림  는   를


 표현한 모습인데, 그림  ,  를 비교해 보면   

와   가
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      가
 성립한다.


  
  


    
그림 3-5

⑶ 결합법칙 성립 : 그림 3-6은 주어진 세 벡터 ,  , 를


 더하는 모습인데, 그림으로부터 다

음을 알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그림 3-6

     

벡터 빼기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벡터(예, 와  )를


 활용.        

그림 3-7
백종성의 강의노트 3장 벡터 - 3 -

벡터성분

벡터의 분해 “벡터 더하기”를 역으로 진행하면,


벡터를 분해할 수 있다.

  cos     sin (3.1)

벡터의 크기  크기는 “ ” 또는 “”와 같이


의 
표현.

그림 3-8에서 의
 크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

        (3.2)

벡터 가
  차원 공간에 놓여있는 경우,

       (3.3)


그림 3-8

벡터 가
  축과 만드는 각 .

tan 



  tan   
  (3.4)
백종성의 강의노트 3장 벡터 - 4 -

3-2 단위벡터

단위벡터 “크기가 ”인 벡터를 단위벡터(unit vector)라 한다.

⑴ 어떤 벡터의 단위벡터는 그 자신과 방향이 같고 크기가 인 벡터이다.

⑵ 벡터 의
 단위벡터는   또는  와 같이 표현한다. 단위벡터의 경우 문자 위에 “ (hat)” 기
호를 표기.
 그림 3-9
⑶ 그림 3-9를 고려!
 
  
 (3.5) 

매우 중요한 그림!
단위벡터 , , 
  축,  축, 그리고  축 방향으로 각 잘 기억해 두자!
각 놓여있는 세 개의 단위벡터를 그림 3-10과 같이 
, 
,
 로 각각 정의한다.

그림 3-10

보기문제 
는   방향을 향하고 크기가  인 벡터이고, 는   방향을 향하고 크기가  인
벡터이다. 
와 
를 , 
, 
 를 사용하여 표현하시오.

풀이)  좌표계에 
와 
를 그림으로 표현(파란색으로 표현한 벡터)하면 그림 3-11과 같다.


는 
 와 방향이 동일하고 크기는 , 즉 
 의  배이므로 다 
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a)  

그리고 
는 단위벡터 
 와 방향이 반대이고, 크기는 이므로 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 (b) 그림 3-11
백종성의 강의노트 3장 벡터 - 5 -

벡터성분으로 벡터 더하기

단위벡터 , , 
 를 사용한 벡터의 표현

       (3.6)
그림 3-12

☞  ,  는 각각 의 , 성분

식 (3.6)을 다음과 같이 변형해 보자!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3.7)

  cos
☞ 여기서  인데, 이는 벡터 의 단위벡터.
  sin

 차원 공간(좌표계)에 놓여있는 벡터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 (3.8)

벡터성분으로 벡터 더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 벡터의 더하기와 빼기는 같은 성분끼리 더하거나 빼주면 된다.

보기문제    와 같이 주어질 때, 의


    크기와 의
 단위벡터 
를 구하시오.

풀이) 벡터의 크기는 각각의 성분을 제곱한 결과들을 모두 더한 후, 여기에 제곱근호(루트)를 취


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즉,

                   (a)


값이 인 경우는 쓰지 않아도 된다.

는 를
단위벡터   그 자신의 크기로 나누면 되므로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b)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장 벡터 - 6 -

보기문제 3.01) 는 동쪽을 향하는 크기가  km인 벡터, 는 동북쪽 o을 향하는 크기가  km인
벡터, 는
 서쪽을 향하는 크기가  km인 벡터이다. 이와 같이 주어진 세 벡터를 서로 더하거나
빼서 만든 가장 큰 벡터의 크기는 얼마인가? 그리고 그 방향은 어떻게 되는가?

풀이) 동쪽을  방향, 북쪽을  방향으로 취하면, 주어진 세 벡터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단,
세 벡터의 단위는 km이다.)
        cos o   sin o          
   (a)

따라서 세 벡터를 서로 더하거나 빼서 만든 가장 큰 벡터를 로


 놓으면, 는
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결국 의
 크기와 와
  축(동쪽)이 만드는 각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km (c)

  tan  

   tan  

  
    o (d)

보기문제 3.02) 공항에서 북동쪽으로  o, 거리가  km인 지점에서 경비행기가 관측되었다. 경
비행기는 공항에서 동쪽과 북쪽으로 각각 얼마나 떨어진 지점에 있는가?

풀이) 동쪽을  방향, 북쪽을  방향으로 취하면, 경비행기의 위치 는


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coso


  sin o
   
   
  
   
 km  (a)

따라서 비행기는 공항에서 동쪽으로   km, 북쪽으로   km 떨어진 지점에 있다.

보기문제 3.03)  축을 기준으로 각을 표현!    m.    o.    m.    o.    m.


    o.

풀이)
   cos    sin    cos 
  sin  
   cos  
  sin 

  m cos   sin    m   cos      sin        m cos o
o o o  o 
  sin o

  m        m      m 

  
    m 

  
            m 

 
  tan     tan  

 
      o
백종성의 강의노트 3장 벡터 - 7 -

보기문제 3.04) 세 벡터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m,       m,     


     m 

주어진 세 벡터의 합 와


 의
 크기, 그리고 방향을 구하시오.

풀이) 벡터의 합은 같은 성분끼리 더해주면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m 

위 결과로부터 의
 크기와 방향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m (b)

  tan  

   tan  
 
     o (c)
백종성의 강의노트 3장 벡터 - 8 -

3-3 벡터 곱하기

스칼라곱(scalar product) 두 벡터를 곱한 결과가 스칼라가 되는 벡터의 곱.

    cos (3.10)
그림 3-13
⑴ 사용하는 기호가 “ (dot)”이므로, “dot product”라고도 한다.

⑵ , 는 ,
 의 크기. 는 와
 의
 시작점이 한 점에 모여 있을

때, 두 벡터가 만드는 각이다.(단   )

⑶  ,  ,  사이의 스칼라곱


 
    cos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cos       

⑷ 
, 
, 
 를 사용한 스칼라곱의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1)
     
   

보기문제 3.05) 두 벡터    ,    


     
의 사이 각 를 구하시오.

풀이) 먼저 주어진 두 벡터의 스칼라곱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그리고 스칼라곱의 정의(     cos)를 활용하면 다음과 같이 를 구할 수 있다.


   
cos    (b)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o (c)
백종성의 강의노트 3장 벡터 - 9 -

벡터곱(vector product) 두 벡터를 곱한 결과가 벡터가 되는 벡터의 곱.

 ×    sin
 (3.12)
“  ×  ”를 시행한 결과의 단위벡터

⑴ 사용하는 기호가 “× (cross)”이므로, “cross product”라고도 한다.

⑵ 단위벡터 

 의 방향은 두 벡터 ,
①   가 동시에 놓여있는 면에 수직한데,
그림 3-14
오른손 규칙을 따른다.

② 두 벡터의 벡터 곱에서 계산순서를 바꾸면, 크기는 동일하지만


부호가 바뀐다.

 ×     ×  (3.13)

⑶  ,  ,  사이의 벡터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4)

⑷ 
, 
, 
 를 사용한 벡터곱의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5)

식 (3.15)는 비교적 복잡한데, 우변의 항을 아래와 같이 하나씩 정리해보자.

스칼라는 “cross(× )”에 적용되지 않으므로 앞으로 빼서 정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8)

위 식들을 식 (3.15)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9)
백종성의 강의노트 3장 벡터 - 10 -

보기문제 3.06) 그림 3-15와 같이  평면위에 있


 그림 3-15
는 벡터 의 크기는 ,  축에 대한 방향각은
o  크기는 이며  축과 평
 이다. 또한 벡터 의
행하다. 벡터곱   ×
 를
 구하라.

풀이) 와
 가
 수직하므로, 의
 크기는 다음과 같

이 구해진다.

   sin    sino   (a)

한편, 는
 와
 에 수직하므로 오른손 규칙을 적

용하면 는  평면에서 보다


 시계방향으로  o
회전한 방향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축에 대한 의
 방향각은 o   o  이다.
o

   와 같이 두 벡터가 주어질 때,   ×


보기문제 3.07)       ,      를
 계산

하시오.

풀이) 벡터곱의 정의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풀이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4장 2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 - 1 -

제 4 장 2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

4-1 위치와 변위

위치  차원 공간에 위치한 점  의 위치벡터 을 다음과 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4.1)
 m    m  
           (4.2)

   m  
예) 그림 4-1과 같이 원점에서  방향으로  m,  방향
으로  m,  방향으로  m 떨어진 점  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그림 4-1
  
  
 m  (4.3)

변위  차원의 경우 변위 ∆ 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 식 (4.4)에서  과  는 시간이 각각  및  일 때의 위치.


백종성의 강의노트 4장 2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 - 2 -

보기문제 4.01) 주차장을 뛰어다니는 토끼의 위치가 다음과 같이 시간 의 함수로 주어진다.

        m,         m  (a)

여기서 의 단위는 초(s)이다.

     s일 때, 토끼의 위치벡터 을 단위벡터  ,  ,  와 크기-각도로 표현하라.

풀이) 식 (a)에    s를 대입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m 

그리고 의 크기와  축에 대한 방향각 는 다음과 같이 구


그림 4-2
할 수 있다.

              m  (c)

  tan  

   tan  
 
     o
(d)

     s 구간에 대해 토끼의 경로를 그려라.

풀이) 주어진 시간구간(   s)에 대해 식 (a)로 주어지


는 ,  좌표를 찾으면 그림 4-2와 같은 토끼의 경로를 구할
수 있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4장 2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 - 3 -

4-2 평균속도와 순간속도

평균속도
  
∆             
 a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 ∆ ∆

순간속도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4.6)
∆  ∆ 

    는 일정하므로, 미분 할 때 상수로 취

  
  ,   ,    (4.7)
  

보기문제 4.02) “보기문제 4.01)”에서 시간이    s일 때 토기의 속도 를


 구하시오.

풀이) 토끼의 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a)

토끼의 속도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m  s 

   s일 때 토기의 속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s  (c)

의
 크기와  축에 대한 방향각  :

               ms  (d)

  tan  

   tan  
 
      o
(e)
백종성의 강의노트 4장 2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 - 4 -

4-3 평균가속도와 순간가속도

평균가속도
  
∆   
 avg   (4.8)
∆   

순간가속도
∆    
   
 
lim avg  lim         (4.9)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0)
  

보기문제 4.03) “보기문제 4.01)”에서 시간이    s일 때 토기의 가속도 를


 구하시오.

풀이) “보기문제 2)”에서 구한 토끼의 속도 :

      


     
 m  s  (a)

가속도에 대한 일반적인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s   (b)

의
 크기와  축에 대한 방향각  :

             ms   (c)

  tan  

   tan  
 
       o
    o  o   o (d)
백종성의 강의노트 4장 2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 - 5 -

4-4 포물체 운동
그림 4-3

발사체 운동 어떤 물체를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



가  인 초기속도  로 발사하면, 이 물체는 옆 그림
과 같이 포물선 궤도를 그리면서 운동한다.

☞ 물체에 작용하는 가속도는 오직 중력가속도 .

성분(수평운동)

  ,      cos ,     (4.11)


                cos        cos   (4.13)
 

 성분(수직성분)

   ,      sin ,     (4.14)

 
               sin      (4.16)
 

경로방정식 식 (4.13), (4.16)을 고려!



    cos     (4.17)
  cos 

    sin     

sin 



   sin      
  cos 

  
  cos    
cos 
 

   cos   
 

 tan      


 ⇐ 경로방정식 (4.18)
   cos  

수평 도달거리 그림 4-3에서 은   인 지점! 식 (4.18)에서   로 놓고 풀면,

  tan      

   cos   
   tan  


  cos   

   

   출발점이므로 의미가 없는 해!

    sin 
 

tan  cos       cos   

 cos    수평도달거리 은   


  sin  cos     sin  일 때, 최댓값을 가진다.
    (4.19)
 
백종성의 강의노트 4장 2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 - 6 -

보기문제 4.04) 그림 4-4는 구조비행기가 물


에 빠진 조난자의 위치를 향해 고도
 m, 속력    km  h   m  s로
 비
행하는 모습이다. 비행기 안의 구조원이 구명
장비를 떨어뜨려서 조난자의 바로 앞에 놓으
려고 한다.

  구명장비를 떨어뜨릴 때 조난자 방향으로 그림 4-4


비행사의 시선각도 는 얼마여야 하는가?

풀이) 그림과 같이 수평방향을  축, 수직방향을  축으로 취하고, 구명장비를 떨어뜨리는 지점을


원점 , 그리고 그 순간을   으로 놓자.  초 후, 구명장비가 조난자에게 도착한다고 하면 다
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cos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b)
  

식 (b)에     m를 대입하면,

 
             s (c)
  

따라서        m  s   s   이므로


m 시선각도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tan  

   tan  

 
  o
(d)

 단위벡터와 크기-각도로 표기하시오.


  구명장비가 물에 닿을 때의 속도 를

풀이)        ms
와 같이 일정하므로,  방향의 속력을 다음과 같이 구하자.

                 ms (e)

따라서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m  s  (f)
 

그리고 의
 크기와  축에 대한 방향각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m  s  (g)

  tan  

   tan         o
(h)
백종성의 강의노트 4장 2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 - 7 -

보기문제 4.05) 발사각도   o, 비행거리   m, 비행시간     s.

  발사될 때의 속력   는 얼마인가?

풀이)

   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s
     s
   ms
     cos       m
cos  coso

  수면에 도착할 때의 속력 는 얼마인가?

풀이)               를
 고려!

          sin       m sin o   m  s   s     m s

        ms     ms    ms


백종성의 강의노트 4장 2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 - 8 -

4-5 등속 원운동

입자가 반지름이  인 원주 위에서 등속 원운동을 하는 경우를 



고려!( 등속은 속력이 일정하다는 뜻이다.) 

          cos
   sin
 

  cos
  sin
    (4.20) 

☞ 
 : 원의 중심에서 원주 상의 점 를 향하는 단위벡터.

그림 4-5
각위치 의  축에 대한 방향각 .

 rev   deg   rad (4.21)   

 rad
평균 각속도  avg 

∆   
 avg   rad s  (4.22) 그림 4-6
∆    

순간 각속도 
∆ 
  lim   (4.23)
∆  ∆ 

속도  속도는 위치 (식,


 4.20)을 시간 로 한 번 미분!

      cos
  sin
 
       cos
  sin
 미분기호를 변형
    

   sin
  cos
    
 (4.24)
원운동하는 입자의 경우, 중심에서
점 에서 원주에 접하는 단위벡 입자까지의 거리 은 항상 일정

☞ 속도 의 크기(속력)는   , 방향은 원주에 접하는 


 방향 접선속도.

등속 원운동의 주기 원주를 따라 원운동을 한 번 하는데 걸린 시간을 등속 원운동의 주기


 ,  s 동안 원운동을 하는 횟수를 진동수 .
  
          (4.25)
  
 
    (4.26)
 
백종성의 강의노트 4장 2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 - 9 -

등속 원운동의 가속도  가속도는 속도 를 시간으로 한 번 미분!



        sin   cos        sin
  cos

   

   cos
  sin
        등속 원운동에서    일 (4.27)

☞ 등속 원운동을 하는 입자의 가속도 의
 크기는       , 방향은 원주에서 원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 
) 구심가속도.

보기문제 4.06) 전투기가 속도      


 m  s로
 수평운동을 시작해서,  s 후에
    
    m  s로
 원을 떠난다. 조종사 가속도의 크기를 중력가속도  단위로 구하시

오.

풀이) 문제에 제시된 처음 속도 와 마지막 속도  가 서로 반대방향인데, 이로부터 전투기는 주


어진 시간동안 원을 반 바퀴 회전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운동의 주기는   s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식 (4.25,    )로부터 다음과 같이 반지름 에 대한 표현을 구할 수 있다.


  (a)


이상을 고려하면 구심 가속도(     )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g
 
  






   m s      m s  
 m s 
  (b)
백종성의 강의노트 4장 2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 - 10 -

4-6 차원 상대운동

그림 4-7은 틀(frame)  에 대해 일정한 상대속도  


 로 움직이는 틀  의 모습이다. 그림을 보면 틀 그림 4-7
틀  틀 
에 대한 점  의 상대위치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틀  에 대한 점  의 상대위치”는 “틀     
● 
에서 관측한  의 위치”이다.) 
         
          (4.28)

틀 에 대한 점  의 상대속도 :

 
                    (4.29)
   

식 (4.29)를 시간 로 다시 한 번 미분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4.30)
일정

보기문제 4.07) 그림 4-6에서     km  h이고, 점  는 음의  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  틀 에서 관측한 점  의 속도가      km 라


h 면, 틀  에서 관측한 점  의 속도   는
얼마인가?

풀이) 식 (4.29,          )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km  h    km h     km h (a)

  만약 점  가 시간    s 동안 일정하게 감속하여 정지한다면, 틀  에서 관측한 점  의 가


속도는 얼마인가?

풀이) 틀  에서 관측한 점  의 초기속도가       km  h     m이므로,


s 가속도는 다음
과 같이 구해진다.

     m s 
     ms (b)
 s

  점  가 감속될 때, 틀 에서 관측한 점  의 가속도는 얼마인가?


풀이) “    km  h 
일정”이므로,       ms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4장 2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 - 11 -

4-7 차원 상대운동

그림 4-8은 틀(frame) 에 대해 일정한 상대속도 로 움직이는   



틀  의 모습이다. 그림을 보면 틀  에 대한 점  의 상대위치는 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4.31) 틀 

틀 에 대한 점  의 상대속도 : 틀 
 
그림 4-8
  
              (4.32)
      

식 (4.32)를 시간 로 다시 한 번 미분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4.33)
 
일정

보기문제 4.08) 그림 4-9  에서 바람에 대한 비행기의


상대속도  의 크기는  km  h이고 방향은 동남쪽으
로 각도 를 이룬다. 지면에 대한 바람의


상대속도   의 크기는  km h이고 방향은 북동쪽으 
로 o의 각을 이룬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비행기는 동
쪽으로 비행한다고 할 때, 지표면에 대한 비행기의 상대
그림 4-9
속도 의 크기와 각도 를 구하시오.

풀이)  와  를 단위벡터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
   cos   sin   km  h  (a)
 o o
   sin   cos   kmh  (b)

따라서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o o
        cos   sin     sin   cos  

 cos  sino 
   sin  cos o 
 kmh  (c)

그런데, 는 오직  성분만 가지므로,  sin  coso  이다.


 따라서  의 크기( 성분
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sin  cos 
    o
(d)

         cos o  sin o   km  h  (e)


백종성의 강의노트 5장 힘과 운동 1 - 1 -

제 5 장 힘과 운동 1

5-1 Newton의 제 및 제  운동법칙

Newton의 제  법칙 : 물체에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물체의 속도는 변하지 않는다.

☞ 물체에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정지해 있던 물체는 계속 정지 상태에 있고, 움직이던 물체는


같은 속도(같은 크기와 방향)로 계속해서 움직인다.

힘  물체에 힘(force)이 작용하면 물체의 운동 상태가 변한다. 즉, 속도가 변한다.


   (5.1)

⑴ 힘 
는 크기와 방향성을 모두 가지는 벡터량이다.

⑵ 힘의 SI 단위 :

 N   kg ms    kg ‧ ms (5.2)


    
 N   kg m  s    g   cm s   g cm  s   dyne (5.3)

관성기준틀 Newton의 법칙이 적용되는 기준틀을 관성기준틀이라 부른다.

질량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그 결과로 생기는 가속도를 연관시켜주는 물리적 특성.

☞ 어떤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 N일 때, 물체에 생기는 가속도가  ms인 경우, 그 물체의 질


량을  kg으로 정의할 수 있다.

Newton의 제  법칙 : 물체에 작용한 알짜 힘은 물체의 질량과 가속도의 곱과 같다.



    (5.4)
n et
백종성의 강의노트 5장 힘과 운동 1 - 2 -

보기문제 5.01) 그림 5-1과 같이 질량이    kg인 하키 퍽에 힘이 작용하여 마찰이 없는 빙판


에서  축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있다. 그림에서   N,    N,    N이며,  와  축이 만

드는 각은    o이다. 그림에 표현된 세 경우 A, B, C 에 대하여 각각의 가속도를 구하시오.

그림 5-1

풀이) 하키 퍽의 운동이  축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퍽에 작용하는 알짜 힘의  성분만 고려하여


운동방정식을 세운 후, 가속도의  성분만 구하면 된다.

A 의 경우 :  차원 문제이므로 벡터표현을 생략하고 다음과 같이 풀이.


 N
        m  s  (a)
   kg

B 의 경우 : 는 음의 방향을 향하므로 부호를 “ ”로 취한다.

    N  N
           m  s  (b)
   kg

o
C 의 경우 :    cos   cos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풀이하자.

    cos o   N       N
     cos o     
  kg
     m s  (c)
백종성의 강의노트 5장 힘과 운동 1 - 3 -

보기문제 5.02) 그림 5-2  는 질량이    kg인 과자통이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서 크기


 가속되는 모습이다. 이때 과자통에 작용하는 힘은 세 힘인데, 그 중 두 힘
 m  s 의 가속도 로
의 크기는   N,    N이고 이들의 방향은 그림에 표현한 바와 같다. 세 번째 힘  를
 

구하시오.

그림 5-2

풀이) 
, 
, 를
 다음과 같이 단위벡터를 사용하여 표현하자.


    coso   sino   (a)

  
 (b)
  coso
  sin o
 (c)

이상을 고려하여 알짜 힘을 구한 후, 운동방정식( 


n et   )을 세우면 문제의 답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coso
  sin o   
     
(알짜 힘) (d)
n et 

  coso
  sin o   
      coso
  sin o
  (운동방정식) (e)


  coso
  sin o
     cos o
  sin o
   

  coso    coso
   sino    sino    

   cos o   cos o
    sin o   sino   

 
       N  (f)

그리고 
의 크기와  축에 대한 방향각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N  (g)

  tan  
   tan  
  
     o
(h)
백종성의 강의노트 5장 힘과 운동 1 - 4 -

5-2 특별한 힘

중력 중력은 물체의 질량에 의해 물체들 사이에 서로 당기는 힘이다. 지구를 관성틀이라고


가정할 때, 질량이 인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이고 방향은 지구 중심을 향한다.

위쪽 방향을  축 방향으로 설정하면 질량이 인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은 다음과 같다.

        (5.5)

무게  무게(weight)는 물체가 자유낙하를 하지 못하도록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 힘으로서 지


상에서 측정한 값이다. 지면에 대한 가속도가   인 물체의 경우,

                (5.6)

☞ 지면이 관성틀이라고 가정할 때, 물체의 무게  는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와 같다.

수직력 
 물체가 어떤 표면에 힘(또는 압력)을 가할 때, 그 표면이 물체에게 작용하는 힘을
수직력(normal force) 
 이라 하는데, 수직력은 항상 면에 수직한 방향이다.

그림 5-3
자유물체도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표현하기 위하
여, 적당히 좌표계를 선택하여 물체를 점으로 표현한
후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표현한 그림을 자유물체도표
(자유물체그림)이라 부른다. 그림 5-3  는 그림 5-3
 의 토막에 대한 자유물체도표이다.

            (5.7)

  이면  은 다음과 같다.

   (5.8)

마찰력  마찰은 물체의 운동을 방해하는 요소로서, 마찰력은 물체가 움직이거나 움직이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마찰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  장에서 공부한다.

장력  줄이 팽팽히 당겨진 긴장상태에 있을 때, 줄을 통해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장력이라 부른다.

그림 5-4
백종성의 강의노트 5장 힘과 운동 1 - 5 -

5-3 Newton의 법칙 응용

Newton의 제 법칙 두 물체가 상호작용할 대 서로에게 작용하는 힘은 항상 크기가 같고 방


향이 반대이다.


  
  (5.9)

 

 

☞ 
가 작용할 때, 
 는 
에 대한 반작
용이므로, Newton의 제  법칙을 작용과 반작
용의 법칙이라고도 부른다. 그림 5-5

Newton 법칙의 응용 방법 Newton의 법칙을 응용할 때 다음과 같이 단계별로 생각하면 문


제 해결이 쉽다.

⑴ 문제에 제시된 조건을 고려하여 물체(또는 계)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파악한다.

⑵ 문제의 상황과 문제풀이에 적합한 좌표계를 선택한 후, 자유물체도표를 그린다.

☞ 좌표축의 방향을 우리가 지금까지 사용했던 방향에서 문제의 상황에 맞게 그 방향을 바꾸


면 편리한 경우도 많다.

⑶ 힘의 총 합(알짜 힘)을 구하여 운동방정식( 


n et   )을 세운다.

⑷ 이상의 결과를 활용하여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을 구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5장 힘과 운동 1 - 6 -

보기문제 5.03) 그림 5-6  는 마찰이 없는 수평면 위에 놓여있는 질량이    kg인 토막 


가 질량과 마찰을 무시할 수 있는 줄과 도르래를 통해 질량이     kg인 토막  와 연결되어
있는 모습이다. 토막  는 아래로 내려오면서 토막  는 오른쪽으로 미끄러진다.   토막  의 가
속도   토막  의 가속도   줄의 장력을 구하시오.

   

그림 5-6

풀이) 계에 작용하는 힘은 그림  와 같으므로, 그 


림  와 같이 자유물체도표를 그릴 수 있다.

그림   알짜 힘은 n et     
.



     (운동방정식)   
  
● 

   kg   m  s 
  토막  토막 
   kg    kg


   m s  (a) 
 

☞ 두 토막의 가속도 크기는 모두    m  s이
고, 토막  의 가속도의 방향은 오른쪽, 그리고 토막  의 가속도의 방향은 아랫방향이다.

토막  에 대해서만(또는 토막  에 대해서만) 고려하면 장력을 구할 수 있다. 토막  에 작용하는


알짜 힘은  이므로 다음과 같이 운동방정식을 세워서 장력을 구한다.

      kg ms   N (b)


백종성의 강의노트 5장 힘과 운동 1 - 7 -

보기문제 5.04) 그림 5-7  는 수평경사각이    o인 마찰이 없는 경사면을 따라 줄로 상자를


끌어올리는 모습이다. 상자의 질량은    kg이고, 줄이 당기는 장력의 크기는  N이다. 상자의
가속도 의 경사면 성분은 얼마인가?

그림 5-7

풀이) 그림  와 같이 경사면의 위쪽방향을 양의  축


방향, 경사면에 수직한 방향을  축 방향으로 취하고 자
유물체도표를 그리자. 계에 작용하는 알짜 힘을 구하기
위하여 중력을 그림  와 같이  성분과  성분으로 분
해하면 다음과 같이 성분별로 알짜 힘을 구할 수 있다.

⑴  성분 :

n et      sin (a)

⑵  성분 :

n et      cos   (b)


축 방향의 속도변화가 없으므로, n et   

따라서  성분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계(상자)의 가속도를 구할 수 있다.

 
   sin       sin     sin      m s  (c)
 
백종성의 강의노트 5장 힘과 운동 1 - 8 -

보기문제 5.05) 그림 5-8  는 마찰이 없는 마루 위에 놓여있는 질량이    kg의 토막에 작용


하는 힘을 보여준다. 한 힘의 크기는 일정하고 양의  축과 각도 를 이룬다. 다른 힘  는 크기
와 각도가 일정하게 수평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림  는  o   o의 구간에서 토막의 가속도의
수평성분  의 변화이다.    o에서  는 얼마인가?

풀이) 토막의 운동이  방향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 방향에 대해서만 고찰하자.
토막에 작용하는 알짜 힘의  성분은 다
음과 같다.

n et    cos   (a)

따라서 다음과 같이 운동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그림 5-8
 cos     (b)

그림  에서    o일 때,     m  s이므로

이를 식 (b)에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 coso     kg  m s     N (c)

의 부호가 양이므로, 


의 방향은 양의  축 방향이다. 그리고   o일 때,    m s인데,
이 값과    N을 식 (b)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이 구해진다.

 coso   N   kg  m s     N   N   N (d)

이상의 결과를 식 (b)에 대입하면   o일 때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N   N
 N cos o    N   kg       m s (e)
 kg
백종성의 강의노트 5장 힘과 운동 1 - 9 -

보기문제 5.06) 그림 5-9  처럼 승강기 바닥에 저울이


그림 5-9
놓여있고, 그 위에 질량이     kg인 승객이 올라서
있다.

  승강기가 수직방향으로 어떻게 운동하면 저울의 눈금


이 어떻게 변할 지에 대한 일반적인 답을 구하시오.

풀이) 그림  와 같이 자유물체도표를 그리면 다음과 같


이 운동방정식을 세워서 수직력 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a)

결국 저울의 눈금, 수직력은 식 (a)와 같이 주어진다.

  승강기가 정지해 있거나, 위로   m  s의 등속력으로 움직일 때 저울의 눈금은 얼마인가?

풀이) 승강기가 정지해 있거나, 위로  ms의 등속력으로 움직이는 경우   이다. 따라서 식
(a)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다.

           kg  m s   N (b)

  승강기가 위 또는 아래로  m  s의 가속도로 움직일 때 저울의 눈금은 얼마인가?

풀이) 승강기가 위쪽으로 가속되면 가속도의 부호는 양( )이고, 아래쪽으로 가속되면 가속도의 부
호는 음( )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두 경우에 대한 답을 구한다.

         kg  m s   m s   (위로


N 가속) (c)
         kg  m s   m s   (아래로
N 가속) (d)

   에서 승강기가 위로 운동하면서 가속되는 경우 승객에게 작용하는 알짜 힘의 크기 n et은


얼마이며, 승강기틀에서 측정한 승객의 가속도  은 얼마인가? 승강기 틀에서도    
p cab n et p cab

이 성립하는가?

풀이) 운동방정식을 고려!

n et     kg  m s   N (b)

승강기에서 볼 때 승객은 저울 위에 정지해 있으므로 승강기틀에서 측정한 승객의 가속도 p cab는
 이다. 따라서 
n et   p cab은 성립하지 않는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5장 힘과 운동 1 - 10 -

보기문제 5.07) 그림 5-10  에서 app   N,    kg,    kg이다. 토막들이 놓여있는


면은 마찰이 없다.

그림 5-10

  토막들의 가속도는 얼마인가?

풀이) 두 개의 토막으로 구성된 계에 작용하는 알짜 힘은  n et  app.

app  N
app           m s (a)
    kg   kg

  토막  가 토막  에 작용하는 힘  는 얼마인가?

풀이) 토막  에 작용하는 알짜 힘은 n et   .

      kg  m s    N (b)


백종성의 강의노트 6장 힘과 운동 2 - 1 -

제 6 장 힘과 운동 2

6-1 마찰

마찰력  마찰력(frictional force)은 두 물체가 접촉하는 면에 작용하는 힘인데, 접촉면의 성질


과 수직력에 따라 결정된다.

⑴ 마찰력의 크기는 다음 식과 같이 표현된다. 


 
app

    (6.1) 

⑵ 마찰력은 물체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


   
정지해 있는 물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물체가 운동 그림 6-1
하려고 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⑶ 물체가 운동하는 경우에는 운동마찰계수  , 정지해 있는 경우에는 정지마찰계수  를 적용


한다. 일반적으로    이다.

     (운동마찰력) (6.2)

  m ax    (최대 정지마찰력) (6.3)

보기문제 6.01) 정지해있던 벽돌에 작용하는 비스듬한 힘


그림 6-2
   N,    kg,   ,   .

풀이) 알짜 힘의  성분( n et   ) 

n et      sin          sin     sin


  m ax          sin          sin o     N
         sin          sin o     N
   cos   coso    N 

최대 정지 마찰력과 미끄럼 마찰력이 모두     N보다 크므로 토막은 계속 정지해 있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6장 힘과 운동 2 - 2 -

보기문제 6.02)    m  s. 그림 6-3

    일 때, 미끄러지는 거리


는 얼마인가? 

 
풀이) 제동하는 동안 자동차에 작용
하는 알짜 힘은 n et   .

   
   
            (a)
  

따라서 다음과 같이 미끄러지는 거리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s 
   m (b)
       m  s  

     일 때, 미끄러지는 거리 는 얼마인가?

풀이) 제동하는 동안 자동차에 작용하는 알짜 힘은  n et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  

따라서 다음과 같이 미끄러지는 거리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s 
   
  m (d)
       m  s  
백종성의 강의노트 6장 힘과 운동 2 - 3 -

6-2 항력과 종단속력

항력 물체가 유체(기체나 액체와 같이 흐를 수 있는 물질) 속에서 움직일 때, 유체가 물체의


운동을 방해하는 힘을 항력이라 부른다.

항력 
가 유체에 대한 물체의 상대속력 의 제곱에 비례하는 경우 :


       (6.4)

☞  는 항력계수, 는 유체의 밀도, 는 물체의 유효단면적.



그림 6-4는 질량이 인 물체가 유체 속에서 낙하하는 모습 :

     (운동방정식) (6.5) 
만약   이면   이므로 물체의 속력이 일정한데, 이때의 속력을 종단속력  
그림 6-4
라 한다. 항력이 식 (6.4)와 같이 주어지는 경우, 낙하하는 물체의 종단속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      (6.6)
  

보기문제 6.03) 반지름이    mm인 빗방울이 지상 높이    m의 구름으로부터 떨어진



다. 빗방울의 항려계수는   이고, 물의 밀도는 w   kg m이고 공기의 밀도는

air    kg m이다. 공중에서 떨어지는 동안 빗방울의 모양은 공 모양이라고 가정하자.

  빗방울의 종단속력은 얼마인가?

풀이) 식 (6.6,       )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답을 구할 수 있다.

  w     w


   
 air  
 air      air

  kgm   ×   m  ms  


   m  s  km  h (a)
    kg m  

 항력이 없다면 지상에 충돌하기 직전에 빗방울의 속력은 얼마인가?

풀이) 이 경우 빗방울은 자유낙하 하므로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s  (b)


백종성의 강의노트 6장 힘과 운동 2 - 4 -

6-3 등속 원운동

구심력 반지름이 인 원주를 따라 일정한 속력 로 원운동을 하는 물체의 구심가속도의 크기



는     과 같이 주어지며, 그 방향은 원의 중심을 향한다. 따라서 알짜 구심력(centripetal
force, 질량과 구심가속도의 곱)의 크기가  인 경우, 등속 원운동에 대한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
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6.7)

그림 6-5 :

 

 

         (6.8)
 

지구 주위를 도는 위성에 작용하는 구심력은 지구가 위성을


잡아당기는 중력이며, 자동차가 평탄한 곡선도로를 주행할 그림 6-5
때 자동차에 작용하는 구심력은 마찰력이다.

보기문제 6.04) 그림 6-6  는 반지


그림 6-6
름이     m인 인 공중돌기 틀에 
서 자전거를 타고 공연을 하는 모습
이다. 공연자가 틀의 최고점에서 떨
어지지 않을 최소 속력은 얼마인가?

풀이) 공연자가 떨어지지 않고 최고


점을 통과하는 순간에 대해 자유물    
체도표를 그리면 그림  와 같다.
이때 알짜 힘 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a)

여기서 운동방정식을 세운 후, 공연자가 최고점에서 떨어지지 않을 조건, 즉  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최소 속력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 m  s    m s (b)
백종성의 강의노트 6장 힘과 운동 2 - 5 -

보기문제 6.05) 경주용 자동차는 미끄럼 방


지를 위하여 음성양력(공기가 자동차를 누
르는 힘)  을 받도록 설계한다. 그림 6-7
 는 질량이    kg인 경주용 자동차 

가 반지름이    m인 평탄한 곡선도로


를 주행하는 모습이다. 자동차와 도로 사이   
의 정지마찰계수는    이다. 그림 6-7

  자동차이 속력이    m  s일 때, 자동차가 미끄러지기 시작한다면 음성양력 


 의 크기는
얼마인가?

풀이) 그림  와 같이 자유물체도표를 그리면, 수직힘과 마찰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 (a)
           (b)

여기서 원운동에 대한 운동방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이 음성양력의 크기  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운동방정식)
  

  
    kg 
  m  s 
 m  
  m  s    N (c)

  음성양력의 크기는 자동차의 속력의 제곱에 비례한다.  m  s의 속력에서 음성양력의 크기는


얼마인가?

풀이) 다음과 같이 비례식을 세워서 문제를 해결하자.

       ms    ms 


 m s   m s 
          N    N (c)
 m  s   m  s 

이때 자동차에 작용하는 중력은      kg   m  s    이다.


N 따라서 자동차가
천장에 거꾸로 매달려서 달릴 때 음성양력은 위로 작용하므로, 자동차의 속력이  m  s이면 자동
차에 작용하는 음성양력이 중력보다 커서 자동차가 천장에 거꾸로 매달려서 달릴 수 있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6장 힘과 운동 2 - 6 -

보기문제 6.06) 고속도로의 커브길은 자동차가 미


끄러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경사지게 만든다. 그
림 6-8  는 반지름    m의 경사면에서
   m  s의 속력으로 달리는 질량이 인 자동 
차의 모습이다. 도로의 마찰력이 없다고 가정하고,  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각 그림 6-8
를 구하시오.

풀이) 자동차에 작용하는 힘을 고려하면 그림  와 같이 자유물


체도표를 그릴 수 있다. 그림에서  성분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수직력의 크기  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cos  

  (a)
cos

따라서 수직력의 지름성분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sin   sin   tan
cos
(b)

결국 다음과 같이 원운동에 대한 운동방정식을 세워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tan   

  tan 



 

  tan     tan  

 m  s 
 m   m  s     o (c)
백종성의 강의노트 7장 운동에너지와 일 - 1 -

제 7 장 운동에너지와 일

7-1 운동에너지

운동에너지 질량이 인 물체가 속도 로 운동할 때, 물체의 운동에너지(kinetic energy) 를


다음과 같이 정의.


   (운동에너지) (7.1)

☞ 운동에너지  의 단위는 J.

kg m  s   kg m   s  kg m s  m  N m  J (7.2)

보기문제 7.01) 1896년 미국 텍사스의 와코에서 William Crush는   km 길이의 철로 양 끝에 서


있던 두 대의 기관차를 전속력으로 정면충돌시켰다. 이를 지켜보던 수백 명의 사람이 충돌 파면에
맞아 부상당했고 몇 명은 사망했다. 기관차 하나의 무게는  ×   N이며, 가속도는

    m  s이다. 충돌 직전 두 기관차의 총 운동에너지는 얼마인가?

풀이) 충돌 직전 기관차의 속력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m,    )

                  m s   m    m  s (a)

그리고 기관차의 질량 은 다음과 같다.

   ×   N
     ×   kg (b)
  m s

따라서 두 기관차의 총 운동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kg  m s    ×   J (c)

 메가톤 TNT의 폭발에너지는  ×   J이므로,  kg의 TNT가 폭발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는
 ×   J이다. 따라서 두 기관차 충돌할 때 소모된 에너지를 TNT의 질량으로 바꾸면,

 ×   J
  kg (d)
  ×   J kg 

정도 이다. 이 값은 어뢰에 장착된 TNT량의 약    정도이다. 따라서 두 기관차의 충돌을 가까


이에서 구경한 사람들이 부상당하거나 사망한 것은 당연하다! 히로시마 상공에서 폭발한 원자폭탄
의 에너지는  킬로톤 TNT의 폭발에너지( ×   J)에 해당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7장 운동에너지와 일 - 2 -

7-2 일과 운동에너지

일 힘 
가  만큼
 작용할 때, 힘 
가 한 일(work)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    cos (7.3)
 그림 7-1
⑴  는 “work”의 첫 글자에서 가져온 표현.

⑵ 일의 단위는 J(joule).

 J   N  m    N m (7.4)
   
 J   N  m    dyne  cm    dyne cm   erg (7.5)

가  에서  까지 주어진 경로를 따라


그림 7-2와 같이 힘  

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경우, 힘  가 한 일  는 다음과 같이
그림 7-2
표현된다. 
 


 
  

    (7.6)

 

 와  에서 아래첨자 “  ”와  는 각각 “initial


힘 가 작용한 경로
(처음의)”과 “final(마지막의)”에서 가져왔다. 

일정한 힘이 한 일 힘 
가 일정한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7.7)

    


일정한 량은 적분기호 밖으로  

그림 7-3과 같이 펑크가 난 자동차를 똑바로 밀기 


그림 7-3 
위하여 크기가  N인 힘을 운동방향에 대해  의
방향으로  m만큼 작용시켰을 때, 한 일  는 식 
(7.7)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N  m cos  J


백종성의 강의노트 7장 운동에너지와 일 - 3 -

일-운동에너지 정리 힘 가 질량이 인 물체에 일을 해주면 물체의 속도 가 변하여, 결


과적으로 물체의 운동에너지도 변하는데, 이를 일-운동에너지 정리라고 한다. 일-운동에너지 정
리는 다음과 같이 일의 정의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차원 방법으로 유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여기서 다음을 고려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식 (7.9)을 식 (7.8)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0)

적분 변수가 바뀌면, 적분구간도 변수에 맞게 변환한다!

식 (7.10)을 일-운동에너지 정리하고 하는데, 이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일-운동에너지 정리) (7.11)
 

전미분에 대한 간단한 고찰 그림 7-4에서 두 함수 ,



가  의 함수이고, , 는 직사각형의 두 변에 해당한다고
생각하자. 이때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면적 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7.12)

이때, 가로와 세로가 각각 , 만큼 변하면 면적  ′은 다 


그림 7-4
음과 같이 변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3)

와 가 매우 작은 미분요소이므로    이다. 이때 면적변화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7.14)

  를 식 (7.14)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7.15)

식 (7.15)를 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7.16)
백종성의 강의노트 7장 운동에너지와 일 - 4 -

보기문제 7.02) 그림 7-5에서 스파이 이 금고에 가하는 힘의 크기는   N, 그리고 스파


이 가 가하는 힘의 크기는    N이다. 두 스파이는 위에 주어진 힘의 크기로 그림  에
제시된 방향으로 금고를 수평방향으로     m만큼 이동시켰다.

그림 7-5


  변위 만큼 움직이는 동안 과 
가 금고에 한 알짜 일을 구하시오.

풀이) 일정한 힘이 한 일이므로, 식 (7.7,     cos)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한다.

        coso    coso   N  m coso   N  m coso


 J (a)

  주어진 변위 만큼
 움직이는 동안 
과 
 가 금고에 한 일을 구하시오.

풀이) 
과 
는 변위 에
 수직하다. 따라서 이들이 한 일은 다음과 같다.

     coso   (b)

     coso   (c)

  처음에 금고는 정지해 있었고, 금고와 바닥 사이에 마찰이 없다고 가정할 때 금고의 마직막
속력은 얼마인가? 단, 금고의 질량은    kg이다.

풀이) 일-운동에너지 정리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J 
                 m  s (d)
     kg
백종성의 강의노트 7장 운동에너지와 일 - 5 -

보기문제 7.03) 그림 7-6에서 와 는


 다음과 같 그림 7-6
이 주어진다.

       N  (a)
    m  (b)

  
가 한 일은 얼마인가?

풀이) 일정한 힘이 한 일이므로, 식 (7.7,   


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하자.

  
   
  
   
     J  (a)

  상자의 처음 운동에너지가    J이었다면, 상자의 마지막 운동에너지는 얼마인가?

풀이) 일-운동에너지 정리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J   J   J (b)

7-3 중력이 한 일

중력이 한 일 질량이 인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 


의 크기는 이므로 물체가 위 또는
아래로 만큼 이동할 때, 중력이 한 일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cos   cos
 (7.17)

☞ 물체가 위로 이동하면 는


 위쪽 방향이므로    ,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는    .

물체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외력이 한 일 

와 
외력  는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즉 
   
이므로
외력이 한 일  와 중력이 한 일  는 부호가 반대이다.
  물체

처음에 정지해 있던 물체를 준정적으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면 마지막


속도가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 이 경우에 대해 일
-운동에너지 정리를 고려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물체
         cos (    인
 경우) (7.18)
그림 7-7
☞ 식 (7.18)에서 는 중력 
와 변위  사이의 각도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7장 운동에너지와 일 - 6 -

보기문제 7.05) 질량이    kg인 승강기가    ms의 속력으로 내려오다가 줄이 미끄러지
면서 일정한 가속도    로 가속되기 시작한다.

  거리    m를 내려오는 동안에 중력 가 한 일  는 얼마인가?

풀이) 물체가 내려오므로 


와 의
 방향이 같다. 즉,    o이므로 식 (7.17,
   cos)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cos   kg  m s  m     ×  J (a)

     m를 내려오는 동안 승강기를 위로 당기는 장력 가 한 일  는


얼마인가?

풀이) 문제의 상황을 자유물체도표로 표현하면 그림 7-8과 같다. 그림을 고려하


면 다음과 같이 운동방정식을 세워서 장력  에 대한 표현을 구할 수 있다. 그림 7-8

                      (b)

장력 
와 변위 가
 서로 반대방향(   o)이므로, 다음과 같이  가 구해진다.

    cos       cos    

  
 cos    cos

    kg  m  s  m cos o     ×   J (c)

     m를 내려오는 동안 승강기에 한 알짜 일  는 얼마인가?

풀이) 문제  ,  의 풀이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이 알짜 일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J   ×  J   ×  J (c)

     m를 내려온 직후에 승강기의 운동에너지  는 얼마인가?

풀이) 일-운동에너지 정리(      )를


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J     kg  m s    ×  J (d)

백종성의 강의노트 7장 운동에너지와 일 - 7 -

7-4 용수철 힘이 한 일

용수철 힘

    (Hooke의 법칙) (7.19)


     (Hooke의 법칙) (7.20)

용수철상수 그림 7-9
용수철상수

 

  (7.21)

☞ 의 단위는 Nm인데, 의 값이 크면 용수철


을 늘리거나 압축시키는데 큰 힘이 필요하다.

용수철 힘이 한 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2)
 

   ,    로 놓으면 식 (7.22)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용수철 힘이 한 일) (7.23)

외부 힘이 한 일  용수철에 매달린 토막이 용수철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때 외부 힘


이 토막에 해준 일  을 일-운동에너지 정리를 통해 고찰해 보자. 토막이 이동하기 전과 후에
정지 상태에 있었다면 ∆             이다.
 이 경우에 대해 일-운동에너지 정리를
고려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  (7.24)

토막의 처음에 평형위치(   )에 있었고, 마지막에    의 위치에 있다면 식 (7.24)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외부 힘이 한 일) (7.25)

백종성의 강의노트 7장 운동에너지와 일 - 8 -

보기문제 7.06) 질량     kg인 토막이 마찰이 없


그림 7-10 
는 수평면에서     m s의 속력으로 움직이다가 용

수철 상수가    N  m인 용수철과 부딪혀 용수철 
  
을 압축한다. 토막이 용수철에 의해 순간적으로 멈추었
을 때 용수철의 압축된 길이 를 구하시오.
정지 접촉
풀이) 용수철의 길이방향을  축, 용수철이 압축되기
전 용수철의 오른쪽 끝점을 평형점(원점)으로 취하면 토막이 용수철에 접촉하는 순간의 위치와 속
력은 각각    와    이다. 그리고 토막이 멈추는 순간은     ,    이다. 이를 고려
하여 일-운동에너지 정리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kg
      m  s   ×    m    cm (a)
  N  m

보기문제 7.08) (7-5 강의 후 풀이!) 힘         N이


 입자에 작용하여 입자의 운동에너
지가 변했다. 입자가  m   m 에서  m   m 로 움직일 때 한 일은 얼마인가? 입자의 속력은 증
가하는가, 감소하는가, 불변인가?(단,  의 단위는 m이다)

풀이)  차원 힘이 한 일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J
 
(a)

그리고                    J 
이므로
 입자의 속력은 증가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7장 운동에너지와 일 - 9 -

7-5 변하는 힘이 한 일

차원 힘 일의 일반적인 정의식 :


   (7.6)

힘이 오직  성분만 가지는 경우, 즉 


   인 경우 
  를
 다음과 같이 정리.


    
 
           (7.26)

식 (7.26)을 식 (7.6)에 대입 :

   
  ( 차원 힘이 한 일) (7.27)

☞ 적분구간을  와  로 변환!

가 오직  만의 함수인 경우, 즉     이면 식 (7.27)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차원 힘이 한 일) (7.28)

☞ 식 (7.28)은 변하는  차원 힘이 한 일에 대한 표현인데, 이는 그림 7-11  와 같이 주어진


구간에 대해 힘의 곡선과  축이 만드는 면적과 같다.

     
   

   
   
그림 7-11

 차원 힘이 한 일 힘이  차원인 경우, 
  를
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9)

식 (7.29)를 식 (7.6)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 차원 힘이 한 일에 대한 표현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차원 힘이 한 일) (7.30)

☞ 적분구간을 각 좌표별로 설정해 준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7장 운동에너지와 일 - 10 -

7-6 일률

평균일률 힘 가 시간간격 ∆동안  만큼의 일을 행할 때, 평균일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


 avg  (7.31)
∆

☞ 일률(power)의 단위는 W.

J
  W (watt, 와트) (7.32)
s

☞  와트는  초 동안  주울의 일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일률의 단위로 널리 사용되는 마


력(hp, horse power)은 와트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 hp   W (7.33)

순간일률 일의 시간적 변화율을 순간일률로 정의한다.



  (7.34)


힘이 일정한 경우의 일률 작용하는 힘 


가 일정한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정적분의 적분상수
 
 

 


   
     cos (7.35)

보기문제 7.09) (page 190) 그림 7-13에서    N,    N이다. 그리고 토막과 바닥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은 없으며, 이 순간 토막의 속력은  m s이다. 상자에 작용하는 각 힘의 순간일률은
얼마인가? 순간 알짜 일률은 변하는가?

풀이) 문제에 제시된 두 힘 , 


의 크기와 방향이 그림 7-13
일정하므로, 식 (7.35,   
 
   cos
)를 사용. 마찰 없음

     coso   N  m s       W


     coso   N  ms    W

위 결과로부터 알짜 순간 일률  n et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n et          W    W   

 n et  이므로 토막에 전달되는 에너지가 없으므로 토막의 속도도 일정하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8장 에너지 보존 - 1 -

제 8 장 에너지 보존

8-1 퍼텐셜에너지

보존력과 비보존력

① 보존력 : 어떤 힘이 한 일이 힘이 작용한 경로에 무관.

② 비보존력 : 일이 행해진 경로에 따라 일이 다르다.

퍼텐셜에너지 퍼텐셜에너지의 변화 ∆ 는 물체에 보존력이 해준 일의 음의 값으로 정의.

∆  (8.1)

경로와 무관한 보존력

그림 8-1과 같이 두 점 , 를 연결하는 경로 과 경로를 따라 보존력이 작


용하여 입자에 한 일을 각각   과   로 놓으면,

       (8.2)

식 (8.2)의 증명

                (8.3)

     의
 관계를 고려하면 식 (8.3)은 결국 다음과 같이 정리!

             (8.4) 그림 8-1


백종성의 강의노트 8장 에너지 보존 - 2 -

보기문제 8.01) 그림 8-2  는 점 에서 점 로 마찰이 없는 트랙을 따라 미끄러지는 질량이


   kg인 치즈조각이다. 치즈조각이 트랙을 따라 움직인 전체 거리는  m이고, 수직거리는
    m이다. 미끄러지는 동안 중력이 치즈조각에 한 일을 구하시오.




그림 8-2

풀이) 중력은 보존력이므로 중력이 한 일은 경로에 무관!

       cos o    cos o   kg   m  s    m      J
백종성의 강의노트 8장 에너지 보존 - 3 -

퍼텐셜에너지 구하기

 차원에서 변하는 힘이 한 일 :

      ( 차원 힘이 한 일) (8.5)

식 (8.5)와 식 (8.1, ∆    )를 고려



∆       
    (보존력과 퍼텐셜에너지의 관계) (8.6)

중력 퍼텐셜에너지
위 방향을 양의  축 방향으로 선택. 식 (8.6)에    ,  를 대입!

∆   

                

(8.7)

∆      이므로
 식 (8.7)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8.8)

기준점에서 퍼텐셜에너지의 기준값  :    ,    ,   ,    .

   (중력 퍼텐셜에너지) (8.9)

탄성 퍼텐셜에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0)
  

기준을    ,    으로 취하고,    ,    로 놓으면


그림 8-3
다음을 얻는다.

    (탄성 퍼텐셜에너지) (8.11)

백종성의 강의노트 8장 에너지 보존 - 4 -

보기문제 8.02) 그림 8-4와 같이 나무늘보가 지상


그림 8-4
m 높이의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다.

  기준점   을 ⑴ 지면, ⑵ 지상  m, ⑶ 나뭇
가지, ⑷ 나뭇가지 위  m지점으로 취할 때 나무늘보
-지구계의 중력 퍼텐셜에너지 를 구하자.

풀이) 식 (8.9,   )에서  는 기준점에 대한 입


자의 상대위치이다. 따라서 식 (8.9)를 고려하면 다음
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⑴      kg   m  s  m    J

⑵      kg   m  s   m     J

⑶      kg ms    

⑷      kg   m  s    m      J

  나무늘보가 지면으로 떨어졌다. 각 기준점에 대


하여 나무늘보가 떨어지는 동안의 나무늘보-지구계
의 퍼텐셜에너지의 변화 ∆  를 구하시오.

풀이) 중력 퍼텐셜에너지의 변화 ∆ 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   ∆ (a)

즉, ∆  는 높이변화 ∆에 의존하므로 기준점(  )의 선택과 무관하다. 따라서 모든 경우에 대


해 ∆    m이므로, 모든 경우에 대해 퍼텐셜에너지의 변화 ∆  는 다음과 같다.

∆   ∆   kg  m  s   m     J (b)


백종성의 강의노트 8장 에너지 보존 - 5 -

8-2 역학에너지 보존

역학에너지 계의 역학에너지(mechanical energy) m ec는 운동에너지  와 퍼텐셜에너지  의


합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

 m ec    (역학에너지) (8.12)

일-운동에너지 정리(   ∆ )와 퍼텐셜에너지(∆    )를 고려!

∆   ∆ (8.13)
                     (8.14)

☞ 식 (8.13) : 역학에너지 보존원리.

식 (8.13)으로부터 역학에너지 보존원리를 다음과 같이 쓸 수 도 있다.

∆  m ec  ∆   ∆    (8.15)

보기문제 8.03) 그림 8-5에서 질량이  인 아이가 수면 위 높이


그림 8-5
가    m인 물 미끄럼틀의 꼭대기에서 내려온다. 물 미끄럼틀
은 마찰이 없다고 가정하고 아이가 바닥에 도달하는 순간의 속력
을 구하시오.

풀이)
- 바닥을 퍼텐셜에너지의 기준(  )으로 설정!
- 꼭대기(top)를 첨자 “  ”, 바닥(bottom)을 첨자 “  ”로 표현.
- 문제의 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s    m   m  s


백종성의 강의노트 8장 에너지 보존 - 6 -

8-3 퍼텐셜에너지 곡선 읽기

해석적으로 힘을 찾기   인 경우, 식 (8.1, ∆    )을 다음과 같다.

∆       (8.16)

차원 힘   가 ∆만큼 작용하여 한 일은     ∆.

∆   
∆        ∆      (8.17)
∆

식 (8.17)에 ∆ 의 극한을 취하면,


∆      
     lim    (8.18)
∆  ∆ 

☞    인 경우
  
     (8.19)


☞       인
 경우
  
   ,     ,     (8.20)
  

퍼텐셜에너지 곡선 읽기

그림 8-6
백종성의 강의노트 8장 에너지 보존 - 7 -

보기문제 8.04) 질량이   kg인 입자가  축을 따라  차원 운동을 하는 동안  축을 따라 보


존력이 작용한다. 그림 8-7  는 보존력의 퍼텐셜에너지  이다. 즉, 입자는   과    m
사이에 있으면 그림의  값을 가진다.     m에서 입자의 속도는      m  s이다.

그림 8-7

 그림 8-7 로부터      m에서 입자의 속력을 구하라.

풀이) 그림 8-7  를 보면      m에서     m ech      J   J  임을


J 알 수 있다.
따라서      m에서 속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J 
        m  s (a)
   kg

 입자의 되돌이점은 어느 곳인가?

풀이) 되돌이점은 입자에 작용하는 힘이 사라져서 입자의 운동방향이 바뀌는 점이다. 즉, 입자가
순간적으로 정지하므로    및   인 지점이다. 이 점은 퍼텐셜에너지와 계의 역학에너지가
같은 점이다. 그림  의 두 개의 직각삼각형은 닮은꼴이므로 다음과 같은 비례식을 고려하자.

  
                  m (b)


따라서 되돌이점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m     m   m   m (c)

   m    m 영역에서 입자에 작용하는 힘을 구하시오.

풀이) 주어진 영역에 대해      ∆    ∆


을 적용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J   J  J
         N (d)
∆ m  m m
백종성의 강의노트 8장 에너지 보존 - 8 -

8-4 외부력이 계에 한 일

일  는 에너지 이므로 외력이 계에 양의 일을 해주


공-지구계
면 계의 에너지가 증가하고, 음의 일을 해주면 계의
에너지가 감소한다.

∆  m ec ∆  ∆
마찰력이 없을 때
  ∆   ∆   ∆  m ec (8.21) 그림 8-8

마찰력이 있을 때
  ∆  m ec  ∆  th (8.22)

☞ ∆  th : 마찰에 의한 열에너지의 증가. (∆  th 임을 주목!)

그림 8-9 토막-마루계

보기문제 8.05) 질량이    kg인 상자를 크기가  N인 수평력 로 콘크리트 바닥에서 밀고
있다. 움직인 직선거리     m이고, 상자의 속력은     m  s에서    m  s로 감소했다.

(
의 방향은 상자가 이동하는 방향이라고 하자)

 힘 
가 한 일은 얼마인가? 어떤 계에 일을 하는가?

풀이) 
와 는
 방향이 같다.(   o) 따라서 
가 한 일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cos   N  m cos   J (a)

힘 
는 한 일은 양의 값인데, 상자의 속력은 느려졌다. 따라서 상자에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마찰에 의한 열에너지 변화 ∆  th가 존재한다.

 상자와 바닥의 열에너지 증가 ∆  th는 얼마인가?

풀이) 식 (8.26,   ∆  m ec  ∆  th
)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th    ∆  m ec   



     
 

 

  J     kg  m  s     kg   m s     J
 
(b)
백종성의 강의노트 8장 에너지 보존 - 9 -

8-5 에너지 보존

∆   ∆  m ec  ∆  th  ∆  in t (8.23)

☞  : 계의 총 에너지,  m ec : 역학에너지,  th : 열에너지,  in t : 내부에너지.

고립계 계가 주위로부터 고립되어 있으므로,   . 계의 총에너지  가 일정.

∆  m ec  ∆  th  ∆  in t   (8.24)

내부에너지 변화가 없는 고립계

∆  m ec  ∆  th   ∆   ∆   ∆  th  
          ∆  th         ∆  th       (8.25)

일률 힘이 작용하여 에너지가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전달되는 시간변화율.


∆
 avg  (평균일률) (8.26)
∆

  (순간일률) (8.27)
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1 -

제 9 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9-1 질량중심

 
입자계의 질량중심

 com   (9.1)
  
         
 com   (9.2) 그림 9-1
  

☞  은 계의 총 질량.

개의 입자가  축 위에 놓여있는 경우 :

           
 com 



   (9.3)
  
  
  
 com  
   ,
 
   com  
   ,
 
   com  
  
 
  (9.4)


com   com    com    co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원)

  (9.5)

고체의 질량중심
  
 com  

 ,  com  
  ,  com  
   (9.6)

☞  은 계의 총 질량. 식 (9.4)를 식 (9.6)과 같이 쓸 때, 더하고자 하는 대상이 연속적으로 분


포하므로 더하라는 명령을 “  ” 대신 적분기호를 사용.( 고체는 이 연속적으로 분포!)

    (     : 단위 길이 당 질량) (9.7)
    (     : 단위 면적 당 질량) (9.8)
    (     : 단위 부피 당 질량) (9.9)

덩어리 형태의 고체의 경우       


.
 
 com  
              (9.10)

 
 
 com    ,  com     (9.11)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2 -

보기문제 9.02) 그림 9-2  에 제시한 판 는 반지 그림 9-2


름이  인 균일한 원판  에서 반지름이  인 원판
 를 떼어낸 모습이다. 판  의 질량중심 com 를 구
하시오.

풀이) 그림  와 같이 반지름이  인 균일한 원판


 는 판  와 반지름이  인 원판  로 구성되었다고
생각하자. 이때 원판  의 질량중심은  com    ,
원판 의 질량중심은  com     이다. 그리고
이 판들의 면밀도를 로 놓으면, 원판  와 판  의
질량은 각각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b)

따라서  com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com      com  
 com     
  
   
 com      com       
   

 (c)

 
보기문제 9.01) 그림 9-3에서 입자들의 질량은 각
각     kg,     kg,     kg이고 이들
은 한 변의 길이가     m인 정삼각형의 꼭짓점  

에 놓여있다. 그림과 같이 좌표축을 선택할 대 계의


질량중심을 구하시오.

풀이) 질량중심의 정의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sino  ) 그림 9-3


        
 co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           
co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3 -

9-2 입자계에 대한 Newton의 제 법칙

입자계 질량중심의 운동에 대한 벡터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n et   com (입자계) (9.12)

☞ 
n et : 알짜 힘.  : 총 질량. com : 질량중심의 가속도.

식 (9.12)의 증명 식 (9.5)를 다시 쓰면,



com    com             
           (9.13)
 

식 (9.13)을 시간 로 한 번 미분

 com              (9.14)

☞ com   com  ,      .

식 (9.14)를 시간 로 한 번 미분하여 정리

 co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et (9.15)

☞ com   com (   com ),  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4 -

보기문제 9.03) 그림 9-4  에 있는 세 입자가 처음에는 정지해 있었다. 각 입자는 외부에 있는


물체로부터 외력을 받는다. 이때 세 힘의 크기는   N,    N,    N이고, 그들의 방
향은 그림과 같다. 질량중심의 가속도와 질량중심이 이동하는 방향을 구하라.

그림 9-4

풀이)

   kg   kg   kg   kg (a)

n et  
  
  
        coso
  sin o     

 
  
 N  (b)

운동방정식 질량중심의 가속도



n et
  N
   N


n et   com 
com  
  kg

  
 ms   (c)

 의 크기,  축에 대한 방향각  :


com

com  com    com          ms   (d)

  tan  
com  
com     tan  
 
     o
(e)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5 -

9-3 선운동량

선운동량  질량이  , 속도가 인 입자의 선운동량(linear momentum) 를 다



음과 같이 정의.
    (9.16) 그림 9-5

선운동량 보존법칙 입자가 운동하는 동안 질량 은 일정. 식 (9.16) 시간  로 미분 :


   
           n et (9.17)
  
일정한 물리량은 미분기호 밖으로

☞ 
n et  이면    이므로   일정한데 이를 선운동량 보존법칙이라 한다.
    일정 (또는       일정) (9.18)

입자계의 선운동량

 개의 입자로 이루어진 입자계의 선운동량  :


                       (9.19)

식 (9.19)와 식 (9.14,  com            비교!


 )를 


   com (9.20)

식 (9.20)의 양변을 시간 로 미분하면,


  
   com     com    com (9.21)
  

식 (9.21)과 식 (9.15, 
n et   com)를 비교!

 


n et   (9.22)


☞ 입자계의 경우도 
n et  이면 선운동량이 보존!

  
 (9.23)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6 -

9-4 충돌과 충격량

충돌의 분류 입자들이 서로 충돌할 때 n et   모든 충돌에서 선운동량은 보존.

⑴ 완전 탄성충돌 :   
,     .

⑵ 비탄성충돌 : 
  
,    ,     .
☞ 충돌 후, 두 물체가 하나로 합쳐지는 충돌을 완전비탄성충돌이라 부른다.

충격량 
그림 9-5

  
   (충격량의 정의) (9.24)

☞ 충격량의 단위는 kg m s.

 차원 충돌 :

  

  ( 차원 충돌) (9.25)

☞ 충격량은 충격력 곡선과 시간축이 만드는 면적.


그림 9-6

충격력이 일정한 경우
 
  

 avg   avg    

avg    

 avg ∆ (9.26)

선운동량-충격량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27)
     

적분구간 변경
 분수식처럼 취급 ①  : 시간이  일 때의 선운동량.

 하여  를 약분 ②  : 시간이  일 때의 선운동량.

는 충돌 전과 충돌 후, 선운동량의 변화량(∆     )으로


☞ 충격량   표현.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7 -

연속충돌

- 시간 ∆ 동안 개의 발사체가 표적과 충돌.


고정된
- 각 발사체의 초기 선운동량은 . 표적
발사체
- 충돌 후 선운동량의 변화를 ∆.
- ∆ 동안 발사체들의 총 선운동량의 변화는 ∆. 그림 9-7

∆ 동안 표적에 작용하는 충격량 는 ∆와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 :

   ∆ (9.28)

식 (9.26,   avg ∆)을 고려!

∆ ∆  ∆
avg ∆   ∆  avg       ∆ (9.29)
∆ ∆ ∆

☞ ∆은 ∆ 동안 표적과 충돌하는 발사체의 총 질량.

⑴ 충돌 후 발사체가 정지해 있는 표적에 붙는 경우(완전 비탄성충돌) :   .

∆              (9.30)
∆ ∆
avg          (9.31)
∆ ∆

⑵ 발사체가 표적과 탄성충돌을 하는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9.32)
∆ ∆
avg           (9.33)
∆ ∆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8 -

보기문제 9.04) 그림 9-8  는 경주로 벽에 충돌하는 경주용차의 경로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
다. 충돌 직전 차의 속력은    m  s이고, 충돌 직후 차의 속력은     m  s이며 차의 운동
방향은 그림에 표시된 것과 같다. 그리고 운전자의 질량은    kg이다.

그림 9-8

  충돌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 는 얼마인가?

풀이) 식 (9.27,       )로부터


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


                 coso   sino     coso
  sino
 

     coso    cos o


     sin o    sin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kg m s  (a)

의 크기와  축에 대한 방향각  :

               kg m s  (b)

  tan  

   tan  
 
     o
(c)

   o는 제  상한에 있는 각이다. 식 (a)를 보면 는 제  상한을 향하므로 는 식 (c)에서 구


한 값에 o를 더해야 된다. 따라서

   o   o   o (d)

이다. 여기서     는 가  축과 반시계방향으로 만드는 각이다. 따라서 그림  에 표현한


각은    o  o   이다.
o

  ∆   ms 동안 충돌이 지속되었다면 그동안 운전사에게 가해지는 평균력의 크기를 구하라.

풀이) 식 (9.26,   avg ∆)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


  kg m  s 
avg     N (e)
∆  s
avg  를 고려하면,   avg   N  kg   m s  
이다. 즉 가속도가 중력
가속도의 배 정도가 되는데, 이정도면 운전사에게 치명적인 상황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9 -

9-5 선운동량의 보존

선운동량 보존법칙 : 계에 작용하는 알짜 외력 n et(그리고 알짜 충력량 )이 인 고립계의 경우,


   이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일정 
  
 (닫힌 고립계) (9.34)

보기문제 9.05) 그림 9-9  는  측을 따라 우주를 여행하는 총질량이  인 우주비행선(hauler)과


화물칸(cargo module)이다. 우주비행선은 처음에 태양(sun)에 대해  kmh의 초기속도  로 

움직이다가 작은 폭발로 그림  와 같이 질량  의 화물칸이 우주비행선과 분리되었다. 폭발


후 우주비행선은  축을 따라 화물칸보다  km  h 더 빨리 비행한다. 태양에 대한 우주비행선의
상대속도  는 얼마인가?

우주비행선

화물칸

그림 9-9

풀이)  차원 문제이므로 벡터표현은 생략한다. 문제의 조건에서 화물칸에 대한 우주비행선의 상


대속도가  r el       km 와
h 같이 주어졌는데,    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r el            (a)

계에 작용하는 알짜 외력이 이므로 선운동량 보존법칙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b)

식 (a)와 식 (b)를 서로 더하여 정리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r el             r el        km h    km  h 


  km  h (c)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10 -

보기문제 9.06) 그림 9-10  는 질량이 인 코코넛열매가 내부폭발에 의해 세 조각  , ,  로


쪼개져 마루위에서 서로 밀려나는 모습을 위에서 본 그림이다. 이때 세 조각의 질량은 각각
    ,    ,    이다. 이때 조각  의 최종속력은     m  s이다. 그림을
참조하여 다음을 답하시오.

그림 9-10

  조각  의 속력   을 구하시오.

풀이) 선운동량 보존법칙을 고려하여 문제를 풀이. 그림  와 같이 좌표축을 선택한 후,  성분에


대한 선운동량 보존법칙을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o         sin o 

  sin o  sin o


    o  ms   ms
o 
(a)
  sin  sin

 조각  의 속력    를 구하시오.

풀이)  성분에 대한 선운동량 보존법칙을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o         coso 

     cos o      cos o     cos o   m  s     cos o  m  s 


  m s (b)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11 -

9-6 충돌의 선운동량과 운동에너지

차원 비탄성충돌 비탄성충돌에서는 운동에너지가 물체 물체 


보존되지 않으므로, 선운동량 보존법칙만 적용! 충돌 전

              (9.35)

그림 9-11
☞   또는   중 하나가 주어지면, 나머지 한 개를
, ,  ,  로 표현할 수 있다. 충돌 후

 차원 완전 비탄성충돌 충돌 후 두 물체가 하나로 합


쳐진 채 속도 로 운동.
충돌 전
  
          (9.35)
  
발사체 표적

질량중심의 속도 식 (9.20,    com)을 고려! 충돌 후

    그림 9-12


   
com   
   

    
 (9.36)
  

☞ 충돌과정에서 계의 선운동량은 보존되므로 질량중심의 속도 com 은 일정하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12 -

보기문제 9.07) 그림 9-13은 탄동진자의 모습이다. 그림에서


은 질량을 무시할 수 있는 줄을 통해 천장에 매달려 있는 나 그림
무토막의 질량이고, 은 나무토막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속력  9-13

로 운동하고 있는 탄환의 질량이다. 탄환이 나무토막에 박히는


순간 이들은 수평방향으로  의 속력으로 운동하다가, 진자형태
로 운동을 하여 최고높이  만큼 올라가서 순간적으로 멈춘 후,
다시 내려온다. 탄환의 처음속력 와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
에너지 ∆  th를 구하시오.     kg,     g.

풀이) 탄환이 나무토막에 박히기 직전과 직후에 대해 선운동량


보존법칙을 적용!

  
         (a)

탄환이 나무토막에 박힌 직후와 최고높이 만큼 올라간 순간에 대해 역학에너지 보존을 적용!


            (b)

식 (b)를 (a)에 대입 :

     kg   kg
         m  s    m    m  s (c)
   kg

탄환이 나무토막에 박히기 직전과 직후에 대해 계의 에너지 보존원리를 적용 :

  ∆  m ec  ∆  th  ∆  in t ∆   ∆    ∆  th   ∆  th   ∆  (d)

   
∆  t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kg ms    kg   kg ms   m 

   J    J  J (e)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13 -

9-7 차원 탄성충돌

정지한 표적 충돌 전 그림 9-14
⑴ 선운동량 보존
발사체 표적
         

           (9.37) 충돌 후

⑵ 운동에너지 보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8)

식 (9.38)을 식 (9.37)로 나누어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   (9.39)
         

식 (9.39)를 식 (9.37)에 대입한 후,   에 관해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0)
   

식 (9.40)을 식 (9.39)에 대입 :

   
             (9.41)
     

1. 동일질량   이므로 식 (9.40), (9.41)에  대신  을 대입.

   
       ,          (9.42)
     

2. 질량이 큰 표적  의 조건을 식 (9.40), (9.41)에 적용.

   
       ,        (9.43)
     

3. 질량이 큰 발사체  의 조건을 식 (9.40), (9.41)에 적용.

   
      ,      
    (9.44)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14 -

움직이는 표적

⑴ 선운동량 보존 물체 물체 

              충돌 전

              (9.45)
그림 9-15
⑵ 운동에너지 보존 충돌 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6)

식 (9.46)을 식 (9.45)로 나누어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7)

식 (9.47)을 식 (9.45)에 대입한 후,   에 관해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8)
      

식 (9.48)을 식 (9.47)에 대입한 후,   에 관해 정리.

   
          (9.49)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9장 질량중심과 선운동량 - 15 -

9-8 차원 탄성충돌

⑴ 선운동량 보존 그림 9-17

       (9.50)


 성분:        cos      cos  (9.51)

 성분:       sin      sin  (9.52)

⑵ 운동에너지 보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3)

☞ 결국, 식 (9.51), (9.52), (9.53)과 같은 세 개의 조건식이 도출되는데, 결정해야 될 물리량은


  ,  ,   ,   와 같이 총 네 개!!!

동일질량   이면 식 (9.50), (9.53)을 다음과 같이 정리.

     (9.54)


  

        (9.55)

식 (9.54)의 양변을 제곱해서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  cos (9.56)
   

여기서 는 와 가 만드는 각이다. 식 (9.56)에서 (9.55)를 빼주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cos (9.57)

cos      (9.58)

☞  는 충돌 후  의 속도  와  의 속도  가 만드는 각이므로,  차원 완전 탄성충돌에


서 두 물체의 질량이 동일하면 충돌 후 두 물체는 서로 수직한 경로를 따라 운동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1 -

제 10 장 회전
그림 10-1
10-1 회전변수

입자의 위치벡터  : 

         cos    sin


 
  cos
  sin    (10.1)

  cos
☞    sin
.

각위치 입자의 위치벡터 과


  축이 만드는 각.
  

라디안 반지름이  인 원의 중심에서 호의 길이 가반지름과 동일한 호의  rad


양 끝 지점까지 그린 두 직선이 만드는 각을  라디안( rad) 으로 정의. 

o
 rev     rad (10.2)
그림 10-2

각변위 ∆

∆       (10.3)

평균 각속도  avg
회전축
∆   
 avg   (10.4)
∆    

순간 각속도  그림 10-3

∆ 
  lim   (10.5)
∆  ∆ 

평균 각가속도 avg
∆   
 avg   (10.6)
∆    

순간 각가속도 
∆ 
  lim   (10.7)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2 -

보기문제 10.01) 그림 10-4  에서 원판이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목마처럼 회전한다. 원판 기준선
의 각위치   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의 단위는 라디안, 의 단위는 초이다.)

        (a)

그림 10-4

  시간을 수평축으로 하여   s   s구간에 대해 원판의 각위치를 그래프로 그려라. 또한


    s,  s,  s일 때와 그래프가  축과 만나는 시간에서 원판과 기준선의 각위치를 개략적으
로 그려보아라.

풀이) 식 (a)에     s를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rad      o    o (b)

을 얻을 수 있으며, 비슷한 방법으로       o,      o가 구해진다. 그리고 그래프가  축


과 만나는 시간에서   이다. 이상을 고려하면 그림  와 같은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  그림 10-4  에서 의 최소값  m in 과 그때의 시간 m in 을 구하라.

풀이) m in 에서    이므로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m in    s  (c)
 
 m in                        rad     o (d)

  시간을 수평축으로 하여   s   s 구간에 대해 원판의 각속도를 그래프로 그려라.

풀이) 각속도는   이므로 식 (a)를 고려하면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으며, 이 결과로


부터 그림  와 같은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e)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3 -

  이상의 결과로부터   s   s 구간에 대해 원판의 운동을 논하시오. 풀이) 그림 참조!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4 -

보기문제 10.02) 팽이의 각가속도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a)

여기서 의 단위는 s이고, 의 단위는 rads 이다.   일 때 각속도는     rad s이고 각위치
는     rad이다.

  팽이의 각속도   를 구하시오.

풀이) 식 (10.7,     )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ad s  (b)

  팽이의 각위치   를 구하시오.

풀이) 식 (10.5,   )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ad  (c)
 

각변수들은 벡터인가?

차원 직선운동  차원의 경우 양 또는 

음의 부호로 물리량의 방향을 설명.



회전축

회전운동 각위치 , 각속도 , 그리고 


각가속도 의 방향을 오른손 규칙으로 표현.

그림 10-6 그림 10-7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5 -

10-2 등각가속도 회전

등각가속도 회전운동은 차원 등가속도 운동과 식의 형태가 유사!

위치  각위치  (10.8)
 
속도   각속도   (10.9)
 
 
가속도     일정 각가속도    일정 (10.10)
 

 차원 등가속도 운동과 등각가속도 회전운동을 설명하는 관계식도 모두 동일한 형태!

  
                  (10.11)
 
            (10.12)

                        (10.13)

식 (10.11) (10.13)의 유도 시간이   일 때 각속도와 각위치를 각각   및   , 시간이


  일 때 각속도와 각위치를 각각  및 로 놓고,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적분구간을 설정.

⑴ 식 (10.12)의 유도   를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2)

⑵ 식 (10.11)의 유도    를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1)
 

⑶ 식 (10.13)의 유도     를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3)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6 -

보기문제 10.03) 그림 10-8과 같이 회전연마기가


그림 10-8
등각가속도    rad s으로 회전한다. 시간

  에서 각속도가       rad이
s 고 기준선의
각위치는    인 수평방향이다. 각 위 치

  기준선의 각위치가    rev   rad


인 시간
을 구하라. 기준선

풀이) 식 (10.11)로부터 다음과 같이 풀이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  (a)
  

     s에서 회전연마기의 운동을 논하시오.

풀이)       rad이
s 므로 처음에 음의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만 각가속도가 양수이기
때문에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속력이 점차 증가하여 어느 순간에 정지한 후, 다시 양의 방향으
로 회전한다. 문제 의 결과로부터    s일 때 기준선의 각위치가    rev   rad
임을
알 수 있다.

  회전연마기가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시간을 구하시오.

풀이) 문제의 조건과 식 (10.12,      )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s (b)


보기문제 10.04) 회전 놀이기구가  회전을 하는 동안 일정한 각가속도로 감속하여 각속력이


    rad s에서    rad s로 줄었다.

  각가속도 를 구하시오.

와 식 [10.13,           ]를
풀이)       rev   rad 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문
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rad s     rad s 
       rads  (a)
        rad 

  이때 소요된 시간은 얼마인가?

풀이) 문제  의 결과와 식 (10.12,      )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rads    rads
     s (b)
   rad s 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7 -

10-3 선변수와 각변수의 관계

그림 10-9
호의 길이 라디안의 비율(  )을 고려!

   (10.14) 

속도 식 [10.1,    cos   sin    


]을 시간 로 미분!

    
      cos
  sin
      cos
  sin

  
 
  cos
  sin
     sin
  cos
    
 (10.15)
 


   sin
☞   ,    cos
는 반시계방향으로 원에 접하는 단위벡터.

가속도 식 (10.15)를 시간으로 다시 한 번 미분!


         sin
  cos

         sin
  cos
 

 
 

 

 
 sin
  cos

      sin

  cos


 
   sin
  cos
       sin
  cos

 
   sin
  cos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10.16)

☞    : 구심가속도의 크기,    : 접선가속도의 크기,

등속 원운동의 주기 주기운동이 한 번 완성되는데 걸린 시간을 주기  라 하며,  초 동안


주기운동이 반복되는 회 수를 진동수  라 한다.

 
           (10.17)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8 -

10-4 회전 운동에너지

그림 10-11
질량이  인 입자(질점)가 반지름이 인 원주를 따라 움직일
때, 입자의 운동에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8) 

   (회전관성) (10.19)

☞ 은 회전축에서 입자(질점)까지의 거리.

☞ 회전관성의 단위는 kg m .

강체의 회전 운동에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1) ●
● ●
 
 ● ●
  

  (강체의 회전관성) (10.22)


그림 10-12

고체의 회전관성

    (고체의 회전관성) (10.23)

더하려는 대상이 연속적인 경우는 “ ”를 “  ”로 변환


    (     : 단위 길이 당 질량) (10.23)
    (     : 단위 면적 당 질량) (10.24)
    (     : 단위 부피 당 질량) (10.25)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9 -

10-5 회전관성 계산하기

평행축 정리

com    (평행축 정리) (10.27)

☞  : 점  를 지나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관성.


☞ com : 질량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관성.
☞  : 질량중심과 점  사이의 거리.
☞  : 강체의 질량.

평행축 정리의 증명

     (10.28)

   (10.29)
그림 10-13
질량중심이 원점에 위치 :

     com  ,      com   (10.30)

점  를 지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물체를 회전시킬 때 회전관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m     

  com

(10.31)

보기문제 10.06) 그림 10-14는 질량이 인 두 입자가 길이가  이고 질량을 무시할 수 있는 막


대로 연결되어 강체를 구성한 모습이다.

  막대에 수직하게 질량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관 그림 10-14


성 com :

 
 
 
 

   
    
   

(a)

  질량중심을 지나는 회전축과 평행하고 막대의 왼쪽 끝을


지나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관성  : (평행축 정리 고려!)

  



  com        
     
(b)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10 -

보기문제 10.07) 길이가 이고 회전축


그림 10-15
질량이  인 가늘고 균일한 막
대가 축 위에 놓여있다. 막대의
중심을 원점으로 취하자.
막대에 수직하고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관성 com 을
구하라. 그리고 막대에 수직하고 한 쪽 끝을 지나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관성  를 구하라.

풀이) 막대의 선밀도는    . 길이요소  부분의 질량은   . 회전축에서 까지 거
리는   .
             
co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평행축 정리와 식 (a)의 결과를 사용하면 막대에 수직하고 한 쪽 끝을 지나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


관성  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com        
    

(b)

보기문제 10.08) 질량이    kg이고 반지름이     m이    rev min
의 각속력으
로 회전하고 있다.(회전축은 원판에 수직하며 원판의 중심을 지난다.) 이 원판의 회전 운동에너지
를  를 구하시오.

풀이) 교과서의 표 10-2를 보면 원판이 원판의 중심을 지나며 원판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관성은      와 같이 주어진다.

   kg   m 


     kg m (a)
 

원판의 각속력을 다음과 같이 변환!

   rev min    rad  s    rads (b)

원판의 회전 운동에너지를  :

 
         kg m   rads   ×  J (c)
 

 kg TNT의 폭발에너지가   ×   J이므로, 문제에 제시된 원판의 회전 운동에너지는  kg TNT의


폭발에너지와 비슷하다. 수류탄 한 개의 폭발에너지가 약   kg TNT 정도라고 한다면, 원판의
회전 운동에너지는 수류탄 개가 동시에 폭발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와 유사하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11 -

10-6 토크

토크  토크(torque) 는
 물체를 회전시키는 근원인데,

이를 “돌림힘” 또는 “짝힘”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림 10-16

옆 그림 힘 
에 의해 토크 가 발생.

   × 
 (토크) (10.32) 회전축

⑴  : 회전중심에서 힘의 작용점까지의 위치벡터.  

⑵ 토크의 단위는 N m. 

⑶ 단위벡터 사이의 관계 :
손잡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3)

10-7 회전에 관한 Newton의 제  법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4)

☞    cos
×    sin  ×  sin
  cos

 cos    sin      
☞ 알짜 토크의 방향은  축 방향이고 크기는 n et  . 막대

☞ 원운동의 접선성분을 고려하면 다음 관계식을 얻을 수 있


는데, 이를 회전에 관한 Newton의 제  법칙이라 부른다. 회전축 그림 10-17

n et                  (10.35)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12 -

보기문제 10.09) 질량이    kg이고 반지름이


   m인 균일한 원판이 그림 10-18  와 같이
수평축에 끼워져 회전한다.    kg의 질량을 갖
는 토막이 원판 테두리에 감긴 줄에 연결되어 있다. 
낙하하는 토막의 가속도, 원판의 각가속도, 그리고
줄의 장력을 구하라. 줄은 질량이 없고 미끄러지지
않으며 축과 원판의 마찰도 없다.

풀이) 그림  와 같이 좌표축을 선택 :

     ×         (a)

원판의 회전에 관한 Newton의 제  법칙 :

 
   
  
    (b)
 그림 10-18

   이므로 원판의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c)

원판의 가장자리와 토막은 줄로 연결 토막의 가속도는 원판의 접선가속도와 동일!

 
       (d)
 

여기서 그림 와 같은 토막의 자유물체도표를 고려하면 토막의 가속도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kg 
      m  s      m  s  (e)
     kg     kg 

토막이 음의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음의 부호!

토막의 가속도는 음의  방향. 식 (e)의 결과를 식 (d)에 대입하면 장력이 계산!

  kg   m s  
   N (f)

  와 식 (c)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각가속도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  m s
           rad s (g)
  m

식 (b)에서 각가속도의 방향이 음의  축 방향이므로 원판은 시계방향으로 회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0장 회전 - 13 -

10-8 일과 회전운동 에너지

일-운동에너지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6)  
 
☞ 회전운동에 대한 일-운동에너지 정리. 
 막대
일 힘 
가  만큼
 작용할 때 해준 일 : 

  
     cos          회전축 그림 10-19
    (10.37)

힘 
가 작용하여 각위치가  에서   로 변할 때 해준 일 :

    (일, 고정축에 대한 회전) (10.38)

일률 회전운동에서 일률  에 대한 일반적인 표현 :
 
 


   (10.39)

토크 가 일정할 때의 일률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0)

일정한 물리량은 미분, 적분 기호 밖으로 적분상수는 일정하므로 미분하면 

보기문제 10.11) “보기문제 10.09)”의 원판(질량이    kg이고 반지름이    m)이
정지상태에서 회전하기 시작한다. 질량이 없는 줄에 작용하는 장력은    N, 원판의 각가속도

는     rad s이다.    s일 때의 회전 운동에너지  는 얼마인가?

풀이) 문제의 조건 :     rad s,    .

           rad s    s     rad s (a)

원판의 회전 운동에너지  :



      

   
 

     kg   m    rad s    J

(b)
백종성의 강의노트 11장 굴림 운동, 토크, 각운동량 - 1 -

제 11 장 굴림 운동, 토크, 각운동량

그림 11-1
11-1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의 결합한 굴림
운동

굴림 운동 : 질량중심의 병진운동과 질량중심에 대


한 회전운동의 결합.

  (11.1)

  
 com       
  
  (유연한 굴림운동) (11.2)

순수한 회전운동으로 본 굴림 운동 그림 11-3 : 바퀴가 점 


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의 각속도로 회전하는 모습.

 top           com (11.3)

에 있는
그림 11-3 회전축
11-2 힘과 굴림 운동의 운동에너지

   
      com         com       
   
 
  com       com (11.4)
 
질량중심  를 지나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운동 에너지 병진운동 에너지

☞ 모든 질량  이 질량중심에 모여서  com 의 속도로 운동하는 병진


 에 있는
운동과 바퀴가 질량중심 를 지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그림 11-3 회전축
회전운동의 합.
백종성의 강의노트 11장 굴림 운동, 토크, 각운동량 - 2 -

굴림 운동의 힘

마찰과 굴림 운동 질량중심의 가속도 com :

 
com        (유연한 굴림운동) (11.5)
 

경사면을 내려오는 굴림운동 그림 11-5 :


com
com       (11.6)

☞ 바퀴가 경사면 아래쪽(음의  방향)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부호 그림 11-4
가 음( )이다.

바퀴에 작용하는 알짜 힘 n et      sin


병진운동의 운동방정식 :

     sin   com (11.7)

바퀴에 작용하는 알짜 토크 :
n et   ×        ×      
회전운동의 운동방정식 :

  com 

 
com 


com

com

 
com com
  (11.8)
 그림 11-5

식 (11.8)을 식 (11.7)에 대입 :
com com  sin
 
   sin   com com   (11.9)
   com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1장 굴림 운동, 토크, 각운동량 - 3 -

보기문제 11.01) 질량이  kg이고 반지름이  인 균일한 공이 경사각이    o인 경사면을


따라 그림 11-5와 같이 정지 상태로부터 유연하게 굴러서 내려온다.

  공기 수직높이     m만큼 내려와서 바닥에 도착했을 때의 속력은 얼마인가?

풀이) 역학에너지 보존원리를 적용 :

            

 com

 
       com   (a)

   com 과 com      을 식 (a)에 대입하여 정리!


  

    com
  
    com   

 

 com
 

 com 


     ms  m    ms

(b)

  공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방향과 크기는 얼마인가?

풀이) 식 (11.9)를 고려!

 sin  sin  sin


com      
  com              

  m s  sin
     m s (c)
  
☞ com 은 질량과 반지름에 무관.
이 결과를 식 (11.8)에 대입 :

com com      com  com   kg    m s  


        
   
   N (d)
☞ 마찰력의 크기는 질량에 따라 변화.
백종성의 강의노트 11장 굴림 운동, 토크, 각운동량 - 4 -

11-3 요요
그림 11-6

그림 11-5의 경사면을 굴러 내려오는 바퀴와 그림 11-6의 요요 모


습을 비교!

 
,  ,   o (11.10)

식 (11.10), 식 (11.9)

 sin  
com   
   (11.11)
  com     com 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1장 굴림 운동, 토크, 각운동량 - 5 -

11-4 다시 살펴본 토크

토크의 정의!

   ×  (토크) (11.12)

그림 11-7을 고려!

   sin   sin   (11.13)

   sin   sin    (11.14)

☞ 여기서  은 에 수직한 


의 성분,  은 
에 수직한 의 성분.

그림 11-7



 

보기문제 11.02) 그림 11-8에서 크기가 각각  N인 세 개의 힘이 입자에 작용한다. 입자가 위치


한 점  는 평면 위에 놓여있으며    m,   이다. 이때 
, 
, 
는 각각 , ,  축에
평행하다. 각각의 힘에 의한 원점 에 대한 토크를 구하라.

풀이) 문제에 제시된 조건과 그림 11-8을 고려하여 


, 
, 
, 에
 대한 표현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11-8

     N , 
     N , 
     N  (a)
   cos     
   sin 
     m  (b)
 

이상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토크를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m  (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m  (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m (e)
백종성의 강의노트 11장 굴림 운동, 토크, 각운동량 - 6 -

11-5 각운동량

각운동량  질량이 인 입자가 속도 로 운동할 때, 선운동량은    . 이때 원점에 대한


입자의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을 다음과 같이 정의!

   ×    ×   (11.15)

☞ 각운동량 의 단위는 m kg m  s   kg m . s

식 (11.15)와 그림 11-9를 고려!

   sin    sin    (11.16)

   sin   sin     (11.17)

☞  은 에 수직한 의 성분,  은 에 수직한 의 성분.

그림 11-9



 

보기문제 11.03) 그림 11-10에서 입자  의 선운동량의


그림 11-10
크기는    kg m s이고     m이다. 그리고 입
자의 선운동량의 크기는    kg m s이고
    m이다. 두 입자로 이루어진 물리계의 원점 에

대한 알짜 각운동량의 의 크기와 방향을 구하시오.

풀이) 식 (11.17,       )을 고려!

       m  kg m  s    kg m  s (a)

       m  kg ms    kg m  s (b)

그림을 보면    × 은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이고,    × 는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이
다.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을 양의 부호로 선택!

       kg m  s     kg m  s    kg m  s (c)

☞ 
의 크기는  kg m   s, 방향은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 양의 부호).
백종성의 강의노트 11장 굴림 운동, 토크, 각운동량 - 7 -

11-6 회전운동에 대한 Newton의 제 법칙

입자의 각운동량 :

   ×    ×   (11.18)

식 (11.18)을 시간  로 한 번 미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19)
스칼라는 “ ”에 걸리지 않으 동일한 벡터끼리 “× ”하면
므로 앞으로 이동할 수 있다. .
 
☞ 각운동량의 시간적 변화율은 토크! 다음식과 비교!

 
  
 (11.20)


보기문제 11.04)     kg,         


일 때 각운동량과 토크를 구하는 문제.

먼저 속도 를
 구한 후, 각운동량을 다음과 같이 구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kg m s  

위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이 토크를 구한다.



       
  
 N m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1장 굴림 운동, 토크, 각운동량 - 8 -

11-7 강체의 각운동량

여러 개의 입자로 이루어진 입자계의 총 각운동량 :

       
     
 (11.21)

입자계의 각운동량 보존법칙 식 (11.21)을 시간  로 한 번 미분!


  


     





   

  n et (11.22)


언제 더해도 그 결과가 동일한 경우, “ ”는 자유롭게 “ ” 안으로 들어가거

나, 밖으로 나갈 수 있다.

☞  는  번째 입자에 작용하는 알짜 토크, n et는 입자계 전체에 작용하는 알짜 토크.

  이면 식 (11.22)로부터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n et



   
   
 일정


  
 (입자계의 각운동량 보존법칙) (11.23)

고정된 축 주위로 회전하는 강체의 각운동량


  

  

 ×   

  sin o 
그림 11-12

 

    

  

     

강체
    

     
  (11.24)

    (스칼라 형태) (11.25)

토크 식 (11.24)의 양변을 시간  로 한 번 미분하여 정리!


   

          
 (11.26)
  
회전축이 고정된 경우, 는 일

식 (11.22), (11.26) 강체의 회전에 대한 운동방정식 :


   
 (벡터 형태) (11.27)
n et

n et    (스칼라 형태) (11.28)


백종성의 강의노트 11장 굴림 운동, 토크, 각운동량 - 9 -

11-8 각운동량 보존

각운동량 보존법칙 식 (11.22,    n et)를 고려!



  이면,     
   
  

n et

 
     (11.29)
   

☞ 각운동량의 보존 : 크기와 방향이 모두 일정. 즉,       이고 


와 
의 방향이 동일.

각운동량 보존의 예

   

     
그림 11-13
     
  

그림 11-14

그림 11-15
백종성의 강의노트 11장 굴림 운동, 토크, 각운동량 - 10 -

보기문제 11.05) 그림 11-16  에서 수직축에 대해 자유롭게 돌 수 있는 의자에 학생이 앉아 있


다. 처음의 정지 상태에서 학생이 바퀴의 테두리에 납을 채운 자전거 바퀴를 들고 있다. 자전거

바퀴의 중심축에 대한 회전관성은     kg m이며, 자전거 바퀴의 처음 각속력은
    rev이
s 며, 위에서 내려다 볼 때 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이다. 따라서 바퀴의 각운동량

은 위쪽을 향한다. 학생이 바퀴를 그림  처럼 뒤집으면 바퀴의 각운동량은  


이 되며,

그 결과 학생, 의자, 바퀴로 이루어진 복합체가 회전한다. 복합체의 회전관성은     kg m이
다. 복합체는 어떤 각속력  로 어떤 방향으로 회전하는가?

 

   
그림 11-16

풀이) 계에 작용하는 알짜 토크가 이므로 각운동량이 보존된다. 위쪽을 양의 방향으로 취하자.


위에서 볼 때 바퀴가 처음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바퀴의 처음 각운동량 벡터는 위쪽을 향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각운동량 보존법칙을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kg m    rev s 
             rev s
   kg m 
이 결과가 양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복합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기문제 11.06) 질량이 인 바퀴벌레가 반지름이  이고 질량이


인 원판위에 그림 11-17과 같이 놓여있다. 원판의 처음 각속력
은     rad s로 중심축에 대해 회전목마처럼 회전한다. 바퀴벌
레가 처음에 반지름이    인 곳에 있다가 가장자리로 기어간
다고 할 때, 마지막 각속력은 얼마인가?

풀이) 원판을 첨자 , 바퀴벌레를 첨자 로 표현하면서 다음과 같 회전축 그림 11-17


이 각운동량 보존법칙을 적용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ads   rads
백종성의 강의노트 11장 굴림 운동, 토크, 각운동량 - 11 -

식 (11.9)를 에너지 보존법칙으로 풀이!

둥글고 균일한 물체가 위치한 처음지점을 원점, 그리고 경사면 위쪽 방향을   방향으로 설정.

 
   com        com sin    com   
 

  com
  
   com sin     com           com
     
   com sin
 com        com
    
   sin

    
 com  com  com 
com      com       com 
   com  com
    sin  sin
      com    

   com          
------------------------------------------------------------------------
옆 그림과 역학 에너지 보존법칙을 고려하여 
다음과 같이 의 속도에 대한 표현을 구하자.

처음에 원판과 토막이 모두 정지해 있고, 토막의 위치를  


  으로 취하면 처음에 계의 역학에너지는 이다. 그

리고 의 위치가 일 때, 원판의 각속력이 이고 의

속도를 로 놓으면 다음과 같이 속도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co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이다.( 루트를 취할 때, 속도의 부호를 음으로 취한 이유는 이 아래로 움직이기 때문!)

그리고 가속도는 다음과 같이 속도를 시간 로 미분하여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2장 평형과 탄성 - 1 -

제 12 장 평형과 탄성

12-1 평형

평형상태 평형상태가 되기 위한 두 가지 조건 :

 상수,   상수. (12.1)

평형조건

① 물체가 병진운동에 대해 평형상태에 있으면 


  상수, 즉  
  .


   (힘의 균형, 제  평형조건) (12.2)
n et

② 회전운동에 대해 평형상태에 있으면 


  상수, 즉  
  .

n et   (토크의 균형, 제  평형조건) (12.3)


백종성의 강의노트 12장 평형과 탄성 - 2 -

무게중심

⑴ 물체의 각 부분에 작용하는 각각의 중력 


의 총 합을 
라 할 때, 
는 “무게중심(cog)”이
라고 부르는 하나의 점에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⑵ 물체의 각 부분에 작용하는 각각의 중력  가 만드는 알짜 토크 n et와 어떤 점에 작용하는


중력 
가 만드는 토크 가
 동일할 때, 그 점을 “무게중심(cog)”으로 정의한다.

증명
 



 cog


  무게중심
 cog ●
    
●  ● 
   cog
그림   원점 를 지 회전축 회전축
그림 12-1
나는 회전축에 대한 토크 :

   
n e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4)

물체의 모든 부분에 대해 가 동일하면,


“첨자  ”를 뗄 수 있다.

그림   
가 원점 를 지나는 회전축에 대해 만드는 토크 :

   ×   cog


   cog
  ×   
      cog 
 (12.5)
cog

☞  : 물체의 전체 질량.

무게중심의 정의( n et  )와


 식 (12.4), (12.5)를 고려!


 

     cog  cog 
  

  (12.6)

식 (12.6)의 우변은 질량중심(com)의 정의식과 동일하다. 따라서 가 물체의 모든 부분에 대해


동일한 경우, 질량중심(com)과 무게중심(cog)는 일치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2장 평형과 탄성 - 3 -

12-2 정적 평형의 몇 가지 보기

보기문제 12.01) 그림 12-2  는 길이가 , 질량


이     kg인 균일한 막대의 양 끝이 저울 위
에 놓여있는 모습이다. 질량이     kg인 물체
를 막대의 왼쪽으로부터   만큼 떨어진 지점에
올려놓은 경우, 저울의 눈금은 얼마인가?
 

풀이) 힘의 균형조건 :

n et        
 그림 12-2

  
    
  

        (a)

토크의 균형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b)

식 (b)를 식 (a)에 대입하여 정리 :

                  N  (c)


백종성의 강의노트 12장 평형과 탄성 - 4 -

보기문제 12.02) 그림 12-3  는 질량이   kg인 금고가 지지대에 연결된 밧줄에 매달려
있는 모습니다. 지지대는 질량이    kg인 균일한 막대, 길이가     m인 강철 줄, 그리고
경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경첩에서 강철 줄까지의 수직거리는     m이다. 여기서 강철
줄과 밧줄의 질량은 무시한다.

그림 12-3

회전
중심

경첩
   

  강철 줄에 걸리는 장력  는 얼마인가?

풀이) 밧줄에 걸리는 장력은 금고의 무게와 같으므로    . 원점 를 회전중심으로 취하고


토크의 균형조건을 적용.


n e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a)


  경첩이 막대에 가하는 알짜 힘의 크기를 구하여라.

풀이) 힘의 균형조건을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et

      N  (b)

                  N  (c)

            N  (d)


백종성의 강의노트 12장 평형과 탄성 - 5 -

보기문제 12.03) 그림 12-4  


그림 12-4
는 길이가   m이고 질량
이    kg인 사다리가 마찰
이 없는 벽에 기대어 있는 모습
이다. 사다리의 위쪽 끝의 높이
는     m이고, 사다리의 질
량중심은 아래쪽에서  되는
지점에 있다. 벽면은 마찰이 없
으며 바닥면은 마찰이 있을 때,
질량이    kg인 소방관이
자신의 질량중심이 사다리의 중
간에 있도록 올라간 경우, 벽과
바닥면이 사다리에 작용하는 힘
을 구하여라.(사다리는 미끄러
지지 않는다.)
  
풀이) 그림   : 사다리가 바닥
과 만나는 지점을 원점(회전중심)으로 설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이상의 내용을 고려하여 토크의 균형(제  평형조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 가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e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N

그리고 힘의 균형(제  평형조건)을 고려하면 나머지 문제를 다음과 같이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et

      
         
  

     N  (d)

             N  (e)


백종성의 강의노트 13장 중력 - 1 -

제 13 장 중력

13-1 Newton의 중력법칙

 
  (Newton의 중력법칙) (13.1)
 그림 13-1

⑴ 의 크기는 두 입자의 질량의 곱에 비례, 떨어진 거리
의 제곱에 반비례.

⑵ 중력상수(gravitational force constant)  :

   ×   N m   kg (13.2)

13-2 중력과 중첩원리

중력의 중첩  개의 입자로 이루어진 입자계에서, 질량이  인 입자에 작용하는 중력 


 :


  
  
  
   
   
  
 (13.3)

 

질량이 인 입자가   에 작용하는 중력

유한한 크기의 물체가 한 입자에 작용하는 중력 :


  
 (13.4)

☞ 
 : 물체의 질량요소 이 입자에 작용하는 중력.
백종성의 강의노트 13장 중력 - 2 -

보기문제 13.01) 그림 13-2에서 입자  의 질량은


   kg, 입자  와  의 질량은      kg이다. 그리 그림 13-2

고    cm이다. 입자  에 작용하는 알짜 중력 
을 구하 

라. 



 

풀이) 입자  가 입자  에 작용하는 힘 
와 입자  가 입자
 에 작용하는 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b)
 
  ×   

따라서 
과 
의 크기, 그리고  축에 대한 방향각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d)

  tan  

 
 tan  
 ×   
  ×      o (e)

식 (c)와 그림을 보면  은 제  상한에 있다. 따라서    o는 문제의 답이 아니다. 즉, tan
의 주기는  o이므로 
의  축에 대한 방향각은 다음과 같다.

    o   o   o (f)


백종성의 강의노트 13장 중력 - 3 -

13-3 지면 근처의 중력

지면 근처의 중력 지구가 질량이 인 균일한 구라고 가정! 지구중심에서 거리  만큼 떨어


진 지구 외부에 위치한 질량이 인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 :

 
   (13.5)

☞ 껍질정리에 의하면 구는 모든 질량이 중심에 모여 있는 것처럼 그 외부에 위치한 물체에게
중력을 작용!

Newton의 제  법칙( n et  )을 고려 :

  
 
    (13.6)
 

중력가속도  :


   (13.7)


자유낙하 가속도 지구의 자전(각속도 로


상자 저울
중심축에 대해 회전)을 고려!

그림 13-3   :

상자
         (13.8)

은 저울로 측정한 물체의 무게 와 동일!

      
       (13.9)
  그림 13-3  
☞ 지구의 자전효과를 무시하면   이므
로,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3장 중력 - 4 -

보기문제 13.02)   키가     m인 우주비행사가 지구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   ×  m인 궤도를 선회하는 우주비행선 안에서 발을 아래로 하고 떠 있다. 우주비행사의
발과 머리 사이에서 중력가속도의 차이는 얼마인가?

풀이) 식 (13.7,    )을 고려!

    
          (a)
    

☞ 는 의 미소변화 에 의한 중력가속도의 비소변화. 식 (a)에서 을 로 교체.

  ×    N m  kg  ×   kg


          m 
  ×  m
    ×   m s  (b)

  우주비행사가 질량이      ×   kg


인 블랙홀로부터 같은 거리    ×   m인 궤도에
떠 있다면, 우주비행사의 발과 머리 사이에서 중력가속도의 차이는 얼마인가?

풀이) 식 (a)를 고려!

   ×    N m  kg   ×   kg 


         m 
   ×   m
    m  s  (c)
백종성의 강의노트 13장 중력 - 5 -

13-4 지구 내부의 중력

Newton의 껍질정리

1. 구형의 균일한 껍질은 외부에 있는 입자에 껍질의 모든 질량이 중심에 모여 있는 것처럼 중


력을 작용한다.

2. 구형의 균일한 껍질은 내부에 있는 입자에 아무런 중력도 작용하지 않는다.

지구 내부의 중력
그림 13-4와 같이 지구중심을 관통하는 터널 속에 있는 질량이 인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에 대한 표현식을 구해보자. 단 지구를 반지름
이  , 질량이  , 그리고 밀도 가 균일한 구라고 생각한다. 

껍질 정리를 고려! 터널 속에 위치한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 :

  in s
     
 
  in s   in s  

      그림 13-4
    (a)
  

☞  in s : 반지름이 보다 작은 구형 껍질들의 총 질량.

 그리고     로
지구 중심을 원점 로 취하고 물체가 놓여 있는 지점의 위치벡터를 ,
놓으면 식 (a)는 다음과 같이 벡터 형태로 쓸 수 있다.

     (b)

☞ 식 (b)에서 음의 부호( )는 


와 이
 서로 반대방향이라는 뜻.
백종성의 강의노트 13장 중력 - 6 -

13-5 중력 퍼텐셜에너지

중력 퍼텐셜에너지
그림 13-5
① 퍼텐셜에너지의 기준점을 지평면으로 선택 :

   (13.10)

② 지구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인 지점을 퍼텐셜에너지의 기준


점으로 선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11)

입자계의 중력 퍼텐셜에너지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13-6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  ) (13.12)

그림 13-6과 같이 질량이 각각 , , 인 세 입자로 이루어진 계의 중력 퍼텐셜에너지 :

      

  
   

  
  (13.13)

퍼텐셜에너지와 힘 식 [8.19,        


]을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13.14)
백종성의 강의노트 13장 중력 - 7 -

탈출속력    ,   를 고려.

            그림 13-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탈출속력) (13.15)

☞ 탈출속력  는 물체가 행성에서 발사되는 방향과 무관하다! 

지구 : 반지름이    km, 질량이     ×   kg


.


  


  ×   N m   kg   ×   kg 

 m
   ×   m  s 

보기문제 13.03) 지구를 향하는 소행성이 지구중심에서 지구반지름의  배의 거리에 있을 때 지


구에 대한 상대속력은  km  s이다. 지구의 대기효과를 무시하고, 지면에 도달할 때의 속력   를
구하라.

풀이) 역학에너지 보존원리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m   kg  ×   kg 
    m  s   
   ×   m 
   ×  m  s  (a)

    ×   m   s     ×   m  s (b)
백종성의 강의노트 13장 중력 - 8 -

13-6 행성과 위성: Kepler의 법칙

행성의 운동

타원의 모습 :

 : 장축 반지름
 : 단축 반지름
,  ′ : 초점
 : 이심률(eccentricity)
 : 타원의 중심에서 초점까지의 거리
그림 13-8
지구궤도의 이심률은    .

Kepler의 법칙

① 궤도법칙 : 모든 행성은 태양을 하나의 초점으로 하는 타원궤도를 따라 공전운동을 한다.

② 면적법칙 : 태양과 행성을 연결하는 선분  은 같은 시간 동안 같은 면적을 휩쓸고 지나간다.


즉, 휩쓸고 지나가는 면적  의 시간적 변화율은 일정하다.


 일정 (13.16)


그림 13-9

면적법칙 증명 그림 13-9  를 보면, 시간 ∆ 동안 이 휩쓸고 지나가는 면적은 다음과 같다.

 ∆   ∆
∆   (13.17)
 
식 (13.17)의 양변을 ∆로 나눈 후, 다음과 같이 정리.

∆  ∆ ∆ 
∆     
∆

 ∆
lim    lim      (13.18)
∆   ∆  ∆   ∆    

그림  를 참고하면 태양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행성의 각운동량과 토크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3장 중력 - 9 -

      ×              (13.19)

      × 
    sin   (13.20)

행성에 작용하는 토크가   이므로    의 관계를 고려하면, 행성의 각운동량이 일정!


     일정     일정 (13.21)

과 이 모두 일정.

식 (13.21)을 식 (13.18)에 대입 :

   
   일정. (면적법칙) (13.22)
  

③ 주기법칙 : 행성의 공전주기  의 제곱은 장축 반지름 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주기법칙 증명
그림 13-10
행성이 원 궤도를 따라 움직일 때, 행성에 작용하는 알짜 힘은 중
력이므로 다음과 같이 운동방정식을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13.23)
 

식 (13.23)을 정리 :

 
 
 

(13.24)
백종성의 강의노트 13장 중력 - 10 -

보기문제 13.04) Halley 혜성의 주기는  년이고, 근일점 거리는    ×  m이다.

  혜성의 원일점 거리  는 얼마인가?

풀이) 그림 13-8

   
       (a)

  로 생각하면 식 (13.24)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식 (b)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 :



      ×    N m  kg   ×   kg  ×  ×  s 
      ×   m

   ×   m (c)

 Halley 혜성궤도의 이심률 은 얼마인가?

풀이) 그림 13-8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리 :

   
               (d)
        

식 (d)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 :

   ×  m 
       (e)
 ×   m    ×  m
백종성의 강의노트 13장 중력 - 11 -

13-7 위성: 궤도와 에너지

위성의 운동 그림 13-11은 질량이 인 위성이 질량 ●


이 인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모습인데, 여기서 위성의

역학적 에너지를 고찰해 보자.

위성이 원 궤도(이심률이   인 타원)를 돌 때, 위성에


작용하는 중력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운동방정식을 쓸
수 있고, 이로부터 위성의 속력  및 운동에너지  를 구
그림 13-11
할 수 있다.


 

  

   


(13.25)

 
 





       
 

(13.26)

이므로 따라서 위성의 전체 역학적 에너지 


그리고 위성의 중력 퍼텐셜에너지는    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13.28)
  

한편, 타원궤도를 도는 위성에 대해서는 식 (13.28)에  대신 장축 반지름 를 대입하면 된다. 따


라서 타원궤도를 도는 위성의 역학적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13.29)


보기문제 13.05) 우주비행사가 질량이     kg인 볼링공을 고도가    km인 지구 주위의
궤도에 올려놓았다고 가정하자.

  이 궤도에서 공의 역학에너지  는 얼마인가?

풀이)        ×  m    ×  m    × 를



m식 (13.28,      
)에 대
입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이 구해진다.

   ×    N m  kg   ×   kg   kg 


       ×   J (a)
   ×  m 

 발사대에서 공의 역학에너지  와 발사대에서 궤도까지 공의 역학에너지 변화 ∆  를 구하라.

풀이) 발사대에서       ×   m


이고, 공이 정지해 있으므로    이다. 따라서  와
∆  는 다음과 같이 각각 구해진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3장 중력 - 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J  (b)
  ×  

∆            ×   J     ×   J     ×   J (c)


백종성의 강의노트 14장 유체 - 1 -

제 14 장 유체
( 14-3절은 강의 및 시험범위 제외)

14-1 유체, 밀도 압력

고체(solid) 흐를 수 없는 물질.
용기
⑴ 고체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제외하면, 형태가  
항상 일정하다.

⑵ 고체표면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그림 14-1


고체 유체
  와 같이 고체표면에 수직한 성분  과 표
면에 접하는 성분  ∥ 이 모두 작용할 수 있다.
 그림 14-1  

유체(fluid) 흐를 수 있는 물질.

⑴ 액체와 기체를 유체로 분류하는데, 이들은 담겨진 용기의 형태에 따라 그 모양이 변한다.

⑵ 유체표면에 접선방향으로 유체에 힘을 작용시킬 수 없다.

밀도와 압력

밀도 유체내의 어느 한 점에서 그 점을 포함하는 작은 부피 ∆  의 질량이 ∆일 때 그 점


의 밀도 를 다음과 같이 정의.

∆
  (14.1)
∆

  (균일한 밀도) (14.2)

☞ 밀도의 SI 단위는 kgm .

압력  압력은 면적당 작용하는 수직 힘으로 정의.


∆ ∆
  (14.3)
∆
☞ 압력의 SI 단위는 파스칼(pascal, P a). ∆

 P a   N m  (14.4) 그림 14-2
 atm    P a   torr    psi (14.5)


  (편평한 면에 작용하는 균일한 힘에 의한 압력) (14.6)

백종성의 강의노트 14장 유체 - 2 -

보기문제 14.01) 방바닥의 면적은    m ×   m


이고 높이는   m이다.

  방 안의 공기 압력이  atm일 때 공기의 무게는 얼마인가?

풀이) 압력이  atm일 때 공기의 밀도는    kg m.

      kg m    m ×   m ×   m   m  s    N (a)

  공기가 방바닥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얼마인가?

풀이)  atm     P의


a 관계를 고려.

     P a  m ×  m    ×  N (b)

☞ 이 힘은 방바닥부터 대기권의 끝까지 쌓여있는 공기기둥의 무게에 해당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4장 유체 - 3 -

14-2 정지해 있는 유체

그림 14-3은 밀도가  인 유체가 용기에 고요히 담겨져


그림 14-3
있는 모습니다.
공기
그림에서 점선으로 표현한 단면적이  인 유체기둥 표 
유체 

본은 정지해 있으므로 표본에 작용하는 알짜 힘은 이
다. 유체표면을 원점으로 취하고,   및  인 지점의 압
력을 각각  ,  라 놓으면    ,     이므로
표본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


n e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7)
  

여기서

   ,   ,    ,   

로 놓으면 유체표면에서 깊이가 인 지점의 압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단,  는 대기압이다.


   atm.)

               (깊이 인 지점의 압력) (14.8)

보기문제 14.02) 초보 스쿠버 다이버가 수영장에서 잠수연습을 하고 있다. 깊이가  인 지점에서


공기탱크로부터 공기를 최대한 들이마신 후 탱크를 버리고 수면으로 헤엄쳐 올라왔다. 그런데 올
라오면서 숨을 내쉬는 것을 잊어버리고 수면까지 올라왔더니 수면에서 외부의 압력과 허파 속의
압력 차이가   kP a이 되었다. 초기에 숨을 들이마신 깊이  은 얼마인가? 다이버에게 닥치는 치
명적인 위험은 무엇인가?

풀이) 식 (14.8,     )를 사용하여 문제에서 요구하는 깊이  을 다음과 같이 구하자.

     ×   P a
           m (a)
  kgm   ms  

이 깊이는 얼마 되지 않는다. 그러나   kP a의 압력차는 허파를 터트리기에 충분할 뿐만 아니라,


압력이 낮아진 혈액 속으로 공기가 밀려들어가서 심장에 도달하면 잠수부는 죽게 된다. 따라서 잠
수부가 수면으로 올라오면서 서서히 숨을 내쉬어야 허파 속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이 같아져서 치
명적인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4장 유체 - 4 -

보기문제 14.03) 그림 14-4는 U자 관에 기름과 물이 담긴 채 정적평형을 이루고 있는 모습이다.



물의 밀도가   kg m이라면, 기름의 밀도  는 얼마인가? 여기서    mm,
   mm이다.

풀이) 기름과 물이 만나는 경계면의 압력을 로 놓으면 식 (14.8,


    )로부터 기름과 물에 대해 다음 관계식을 각각 쓸 기
그림 14-4
수 있다. 름

      (a)

          (b) 물

이상을 고려하면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경계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kg m  (c)
백종성의 강의노트 14장 유체 - 5 -

14-4 Pascal의 원리

Pascal의 원리 갇혀있는 비압축성 유체에 가해진 압력은 유체의 모든 부분과 유체를 담고 있


는 그릇의 모든 부분에 동일하게 전달된다.

Pascal 원리의 예 그림 14-8

     ex t (14.12)

☞ ex t : 납으로 된 탄알(lead shot)에 의한 부가적인 압력.

탄알을 조금 더 올려놓으면 ex t는 ∆ext만큼 증가

′         ∆   (14.13)

점 에서 압력변화 ∆ :

∆  ′    ∆ext (14.14)

☞ 식 (14.14)를 보면 압력변화 ∆는 와 무관하므로 액체의 모든 부분이 ∆의 압력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Pascal의 원리와 유압지렛대


그림 14-9 출력
  
∆       (14.15) 입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14.16)

☞ ∆ : 의 힘으로 단면적이  인 입력부분을 누


를 때 나타나는 압력변화.
백종성의 강의노트 14장 유체 - 6 -

14-5 Archimedes의 원리

Archimedes의 원리 유체에 잠긴 물체는 위로 향하는 부력(buoyant force)  을 받는데, 그


크기는 물체가 유체에 잠기면서 밀어낸 유체의 무게와 같다.

      (부력) (14.17)

☞ 는 유체의 밀도,  는 유체에 잠긴 부분의 부피.

떠 있는 물체 어떤 물체가 유체에 떠 있으면 물체에 작용하는 부력과 중력의 크기가 같다.

       (떠 있는 물체) (14.18)

☞  는 물체에 의해 밀려난 유체의 질량이다.

유체 속에서 겉보기 무게 유체 속에서 물체의 무게를 잴 때, 저울이 가리키는 무게.

(겉보기 무게) = (실제 무게) - (부력의 크기) (14.19)


보기문제 14.04) 그림 14-10은 밀도가    kg m인 토막

이 밀도가    kgm인 유체에 떠 있는 모습이다. 토막
의 높이는    cm이다.
그림 14-10
  토막이 잠긴 깊이 를 구하시오.

풀이) 토막이 떠 있기 때문에 토막의 무게와 부력이 같다. 그리고 토막이 밀어낸 유체의 부피  
는 토막이 잠긴 부피와 같으므로 식 (14.18,    )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
다.(토막의 질량을 , 토막의 밑면적을 로 놓고 문제를 풀이한다.)
  kg m 
               cm    cm (a)
  kgm 

  토막을 눌러서 완전히 잠갔다가 놓으면 토막의 가속도의 크기는 얼마인가?

풀이) 토막이 완전히 잠겼을 때 부력의 크기는     .

     
n et            (b)
 

주어진 값을 식 (b)에 대입 :
        
    
   
 kg m    kg m 
   m s      m  s (c)
 kg m  그림 14-11
백종성의 강의노트 14장 유체 - 7 -

14-6 이상유체의 운동

유체요소(fluid element) 유체의 운동을 기술하기 위하여 유체를 아주 작은 체적소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유체요소라고 부른다.
그림 14-12

유선(streamline) 정상류가 흐르는 경우, 유체요소가 이동


하는 경로를 따라 그린 곡선을 유선이라 부른다. 유선

⑴ 유체입자의 속도의 방향은 유선의 접선방향이고, 유선은 유체요소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⑵ 유선의 밀도(단위면적당 통과하는 유선의 수)는 유체입자의 속도에 비례한다.

이상유체의 흐름 이상유체는 다음과 같은 가지 특성을 만족한다.

⑴ 정상(steady) 흐름 어떤 점을 지나는 모든 유체요소의 속도가 동일하면, 유체의 흐름은 정


상적이라 한다.

⑵ 비회전(irrotational) 흐름 유체가 흐르는 동안 자신의 질량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유체요소가 회전(자전)을 하지 않으면, 유체의 흐름은 비회전적이라 한다. 유체요소의 회전
이 있으면 소용돌이현상이 나타나는데, 이 경우 유체의 흐름은 회전적이라 한다.

⑶ 비압축성(incompressible) 흐름 유체가 흐르는 동안 모든 점에서 유체의 밀도가 일정하면,


유체의 흐름은 비압축성이다.

⑷ 비점성(nonviscous) 흐름 유체의 흐름에서 점성은 고체의 운동에서 마찰에 대응된다. 즉,


점성은 유체층의 상대적인 운동에서 접선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요소가 되므로 에너지 손
실을 가져온다. 따라서 유체가 흐르는 동안 점성에 의해 접선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없으
면, 유체의 흐름은 비점성적이라 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4장 유체 - 8 -

연속방정식
∆ 


그림 14-13 ∆동안 면   을 통과한 유 
체의 질량∆과 면   를 통과한 유체의 질
량 ∆는 동일! ● ●

    ∆      ∆
  시간 
         일정 (14.20) 

☞ 연속방정식. ∆

     
   
  
   상수 (14.21)
상수
        (14.22)
  시간   ∆
그림 14-13
☞  : 부피흐름율.  : 질량흐름율.

보기문제 14.05) 그림 14-14는 수도꼭지에서 흘러나오는 물줄기의


모습이다.      cm,     cm,    mm인 경우, 수도꼭
지에서 흘러나오는 물의 부피흐름률  는 얼마인가?

풀이)   지점의 좌표를    , 그리고  지점의 좌표를   


로 놓고, 연속방정식과 자유낙하운동을 고려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a) 그림 14-1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s  (b)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부피흐름률 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m   ms   ×    m  s   cm  s (c)


백종성의 강의노트 14장 유체 - 9 -

14-7 Bernoulli 방정식

베르누이(Bernoulli) 방정식은 유체역학 문제를 해


    
결하는데 아주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림 14-15의 모습에 일-운동에너지 정리를 적용 




하면 베르누이 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는데,    

⑴ “영역  ”의 역학에너지는 변화가 없으므로, 



∆ 
⑵ 그림  의 영역 ∆  (진한 청색)과 그림  의
영역 ∆  (녹색)에 관심을 두고 이를 도출해 ∆

보자.  

시간 ∆동안 면   을 통과한 유체요소가 ∆   만


큼 이동할 때, 면   를 통과한 유체요소는 ∆   만     

큼 이동한다. 이때 그림  의 영역 ∆  과 그림  
의 영역 ∆  의 질량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14.23)

따라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14.24)
 


시간이 에서   ∆ 로 바뀌는 동안 중력   및
  그림 14-15
    ,       등이 유체에 해준 일을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14.25)

  
 ∆ 
    ∆       ∆      (14.26)


  
 ∆ 
     ∆        ∆       (14.27)

이상의 내용을 일-운동에너지 정리(   ∆ )에 적용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n e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ernoulli 방정식) (14.28)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4장 유체 - 10 -

보기문제 14.06) 그림 14-16과 같은 관에 밀


 
도가   kgm인 에틸알코올이 흐르고
있다. 여기서     ×   m이고,

     이며 관은 수평이로 놓여있다. 관


양쪽 압력차가  P a일 때, 에틸알코올의 
부피흐름률  는 얼마인가?
그림 14-16
풀이) 문제의 조건과 부피흐름률  을 고려
하여 다음과 같이   ,   를  로 표현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한편 관이 수평으로 놓여있기 때문에    이다. 이상의 내용을 Bernoulli 방정식에 대입한 후


 에 대해 풀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a 
      ×    m     ×    m  s (b)
   kgm  

보기문제 14.07) 그림 14-17과 같이 물통의 구멍을 통해


물이 나오고 있다. 이때 구멍은 수면에서 아래로 만큼 떨
어진 지점에 있다. 구멍에서 나오는 물의 속력을 구하시
오.

풀이) 물 표면을 첨자 , 구멍이 있는 지점을 첨자 로 표


현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의 조건을 정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이상의 조건을 Bernoulli 방정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 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14-17
   (a)
백종성의 강의노트 15장 단순조화운동 - 1 -

제 15 장 진동
( 15-3, 5절은 강의 및 시험범위 제외)

15-1 단순조화운동

주기운동(periodic motion)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동일한 모


습으로 되풀이되는 운동. 그림 15-1
매단 점

⑴ 주기(period)  : 주기운동이  회 완료되는데 필요한 시간.

⑵ 진동수(frequency)  :  초 동안 주기운동이 반복되는 횟수. 단


위는 Hz(  , hertz).


  (15.1)

⑶ 주기함수(periodic function)    :

           ±  ±   ±  (15.2)
백종성의 강의노트 15장 단순조화운동 - 2 -

단순조화진동(simple harmonic oscillation)에 대한 힘의 법칙

물체가 평형위치에서  만큼 변위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15-2   
     (15.3)


식 (15.3)의 해 :

    cos     (15.4)

☞ 진폭(amplitude)   : 물체의 최대 변위.


☞ 위상각(또는 위상상수)  : 초기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
☞ 각진동수(angular frequency)  :


   (각진동수) (15.5)


  





 
   (진동수)
  (15.6)

 


 
     (주기)
   (15.7)

속도 및 가속도
 
       cos          sin     (15.8)
 
 
        sin            cos          (15.9)
 

각속도 식 (15.9) 에서 시간이   일 때의 가속도  를 고려!


              (15.10)


위상각  식 (15.4), (15.8)로부터 시간이   일 때의 위치  와 속도   를 고려!


         cos (15.11)

          sin (15.12)
   sin




  cos
   tan   tan   

   (15.13)
백종성의 강의노트 15장 단순조화운동 - 3 -

보기문제 15.01) (page 469) 질량이    kg인 토막이 용수철상수가    N  m인 용수철에
매달려 있다. 토막을 평형위치   에서     m 당겼다가   인 순간에 놓았다. 바닥의
마찰은 무시한다.(     kg.    N  m)

  운동의 각진동수 , 진동수 , 주기 를 구하라.

풀이) 식 (15.5) (15.7)을 고려.

  Nm
      rad s (a)
   kg
   rad s  
     Hz
,       s (b)
    Hz

  운동의 진폭은 어떻게 되는가?

풀이) 토막을 놓아줄 때 변위가 최대이므로 진폭은    m이다.

  토막의 최대속력   은 얼마인가? 어느 곳에서 토막의 속력이 최대가 되는가?

풀이) 식 [15.8,      sin   ]을


 보면   은 속도의 진폭  .

        rads   m     m  s (c)

최대속력은 토막이 원점을 통과하는 순간이다.

 토막의 최대 가속도의 크기  은 얼마인가?

풀이) 식 [15.9,        cos   ]을


 보면  은 가속도의 진폭    .

        rad s    m    m  s  (d)

  운동의 위상각 는 얼마인가?

풀이) 시간이   일 때    이므로 이를 식 [15.4,     cos   ]에


 대입 :

      cos        cos      rad (e)

  토막의 변위 함수   를 구하시오.

풀이) 이상의 결과를 식 [15.4,     cos   ]에


 대입 :

     cos    m  (f)


백종성의 강의노트 15장 단순조화운동 - 4 -

보기문제 15.02)  일 때 그림 15-2와 같은 선형진동자의 변위는        cm이고, 그때


의 속도는        m ,s 그리고 가속도는      m  s이다.(       cm.

       m .s      m  s)

  계의 각진동수 를 구하라.

풀이) 식 (15.10,       )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를 구할 수 있다.

 m  s
      rads (a)
   m

  위상각 와 진폭   을 구하라.

풀이) 식 [15.13,   tan         ]으로부터


 다음과 같이 를 구할 수 있다.

  tan   
   m  s
 rads  m     또는
o
   o    o   o (b)

☞ 탄젠트 함수의 주기는 o.

    o와    o를 식 [15.10,       cos]에 대입하면


  m
  m    cos          m (c)
cos    
  m
  m    cos        m (d)
cos  

이다. 그런데 진폭   은 항상 양수이므로, 위상각은    이고 진폭은      m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5장 단순조화운동 - 5 -

( 원운동은 15-4절에 있는 내용! 편의상 미리 살펴본다!)

단순조화운동과 등속 원운동 그림 15-3에서 점 그림 15-3


의 위치 :

   cos    (15.14)

원운동의 주기를  :

         

  (15.15)

☞ 등속원운동의 주기와 단순조화진동자의 주기는 동일


하므로, 식 (15.7)은 타당!

그림 15-4 그림 15-5

그림 (15-4), (15-5)는 점  ′의 속도와 가속도를 나타낸 모습 :

        sin         sin    (15.16)

        cos           cos     (15.17)


백종성의 강의노트 15장 단순조화운동 - 6 -

15-2 단순조화운동의 에너지

단순조화운동의 에너지
  
       sin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sin     

(15.18)

  
         cos          cos     (15.19)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cos    
   
 
    sin       cos           일정
 (15.20)
 

☞ 식 (15.20)을 보면 운동에너지와 퍼텐셜에너지의 그림 15-6


합은 일정. 그림 15-6 참조!

☞ 식 (15.20)을 다기 정리 :

  
               (15.21)
  

보기문제 15.03) 토막-용수철 계에서 토막의 질량은


    ×   kg
이고, 진폭과 진동수는 각각
     m 및    Hz이다.

  토막-용수철 계의 전체 역학에너지  는 얼마인가?

풀이)    을 고려  결정!

             Hz    ×  kg    ×   N  m (a)


    ×   N m  m 
     ×  J (b)
 

  평형점을 통과하는 토막의 속력은 얼마인가?

풀이) 토막이 평형점을 통과할 때   .

      ×   J 
               m  s (c)
    ×  kg
백종성의 강의노트 15장 단순조화운동 - 7 -

15-4 진자

물리진자 그림 15-9에서 중력  에 의한 토크 의 크기  :


  
 × 
    
   ×   
그림 15-9
  sin (15.28)

☞ 알짜 토크는 물체가 안정한 위치에 가도록 작용하므


로 n et    sin
. 음의 부호( )는 복원을 의미!

  sin    (운동방정식)
  
 sin   (15.29)
  

 이면 sin .  라고 가정!

    
           (15.30)
  

   (물리진자의 각진동수) (15.31)

식 (15.30)은 단순조화진동자의 운동에 대한 미분방정식과 동일한 형태!

    cos    (물리진자의 운동에 대한 해) (15.32)



 


  

(물리진자의 주기) (15.33)

☞  : 회전중심에 대한 진자의 회전관성.  : 회전중심에서 질량중심까지의 거리.

물리진자가 가속되는 승강기 안에 매달려 있는 경우 :


    
    ±  (물리진자의 주기, 계가 가속될 때) (15.34)

단진자(simple pendulum) 단진자를 물리진자로 취급.


그림 15-10
  
   
  
    


 
  

  

(15.35)

백종성의 강의노트 15장 단순조화운동 - 8 -

물리진자를 이용한 의 측정    .
에 대한 회전관성  :

  com               (15.40)

식 (15.33) 주기  를 결정 자유낙하 가속도 에 대한 표현 도출.

    
  


 
    
    (15.41)

  
  (15.42)
 

그림 15-11

보기문제 15.05) 그림 15-12  에서 길이  m의 미터자가 질량중


심에서 만큼 떨어진 자의 한끝을 회전축으로 하여 진동하고 있
다.

  진동주기  는 얼마인가?

풀이)     이고, 회전관성  는 다음과 같다. 

  com                (a)

식 (15.33,     )로부터 다음과 같이 주기를 결정. 그림 15-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  s (b)
   ms 

  매단 점 와 미터자 진동중심 사이의 거리  는 얼마인가?

풀이) 물리진자의 진동중심은 물리진자와 주기가 같은 단진자의 길이이다. 따라서 길이가  인


단진자의 주기와 길이가 인 막대(물리진자)의 주기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m    m

(c)
백종성의 강의노트 15장 단순조화운동 - 9 -

15-6 강제 진동과 공명(forced harmonic oscillator, resonance)

그림 15-15에서 고정대를 각진동수  로 움직여 물체에 주기적인


힘을 가하면 물체를 강제로 진동하게 만들 수 있다.  고정대

강제 진동하는 계의 각진동수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각진동수와 그림 15-15


관련 있다.

⑴ 고유 각진동수  : 계를 순간적으로 교란시킨 후, 자유 진동


하는 계의 각진동수. 

⑵   : 강제진동을 일으키기 위한 외력의 각진동수. 액체

강제진동자는 외력의 각진동수  로 진동하는데, 이때 변위 는 다 저항 판


음과 같이 주어진다. 감쇠상수 

    cos      (15.47)

식 (15.47)과 같은 해는 운동방정식을 세운 후, 미분방정식을 풀면 얻을 수 있는데 여기서는 그


과정을 생략한다.(별로 어렵지는 않지만 풀이과정이 약간 길다. 이 풀이과정은 수학시간에 미분방
정식을 공부할 때 배운다.)

한편 변위진폭   은 와  를 포함하는 복잡한 함수 형태인데, 진동의 속도진폭   은 상대적으


로 쉽게 기술할 수 있다. 속도진폭   은 다음 관계가 만족될 때 최대가 되는데 이 경우를 공명이
라 한다.

    (공명조건) (15.48)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1 -

제 16 장 파동-I
( 16-3, 4절은 강의 및 시험범위 제외)

16-1 가로파동

1. 역학적 파동 파동의 전파에 매질이 필요한 파(예 : 줄을 따라 전파하는 파동, 음파, 수면파,
지진파 등)

2. 전자기파 라디오파, 빛,  선, 그리고  선 등.

3. 물질파 전자, 양성자, 그리고 다른 소립자 등은 분명히 입자임에도 불구하고 파동처럼 행동을
하는데, 이와 같은 물질의 파동적 특성을 물질파라고 부른다. 정지질량이 이고 선운동량이 
인 입자의 드브로이 파장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J ,s Planck 상수) (16.1)
 

가로파동과 세로파동

가로파동(transverse wave, 횡파) 매질의 운동방향과 파동의 진행방향이 수직한 파동.

세로파동(longitudinal wave, 종파) 매질의 운동방향과 파동의 진행방향이 나란한 파동.

사인모양 파동 공기



그림 16-1 그림 16-2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2 -

파장과 진동수

줄 요소의 변위    sine 함수 형태로  방


향으로 파동이 진행할 때, 시간이 일 때 위치 에서
줄 요소의 변위      :

      sin    (16.2) 그림 16-3

⑴ 진폭(amplitude)  : 줄 요소의 최대 변위.

⑵ 진동수(frequency)  : 줄 요소가  초 동안 상하로 진동하는 횟수. (단위 : Hz)

⑶ 주기(period)  : 줄 요소가 상하로 한 번 진동하는데 걸린 시간.

⑷ 파장(wave length)  : 파동의 모양이 반복될 때, 형태가 동일한 것 한 개의 길이.



⑸     : 각진동수(angular frequency). (단위 : rad s) (16.3)


⑹    : 각파동수(wave number, 파수). (단위 : rad m) (16.4)

위상상수 파동의 방정식에 위상상수 를 도입하면 식 (16.2)를


다음과 같이 일반화 할 수 있다.

        sin       (16.5)

☞ 이 파동은   일 때    근처에서 그림 16-4  처럼 보 그림 16-4

인다. 즉, 그림  가  방향으로 만큼 평행 이동한 모습.

진행파동의 속력

그림 16-5에서 녹색 그림은 시간이   일 때 파동 그림 16-5


의 모습이고, 갈색 그림은 시간이   ∆일 때 파동

의 모습이다.

점  과 점  에서 줄 요소의 변위가 동일하므로, 


이들의 위상도 동일.
 시간이  ∆ 일 때 파
         시간이    일 때 파동

    일정 (16.6)
   
              (16.7)
   

 

 
      (파동속력 : 위상이 동일한 점이 이동하는 속력) (16.8)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3 -

보기문제 16.01) 축으로 이동하는 가로파동은      sin  ±   


와 같이 표현된다.
“교과서 521쪽 그림 16-8”에 표현된 파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        sin  ±   의
 형
태로 표현하다.

풀이) “교과서 521쪽 그림 16-8(a)”를 보면 진폭은     mm이고 파장은    mm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림 (b)를 보면 주기는   ms이다. 따라서 파수 와 각진동수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radm
  ×    m
 
      rad s
  ×    m
그리고 그림 (a)는   일 때의 그림임을 고려하면   에서    mm이므로 다음과 같이 위상
상수 를 구할 수 있다.

  mm   mm sin  ±       sin   

  rad

그리고 이동방향은 오른쪽 방향( 의 부호가 -)이므로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mm sin       rad 

보기문제 16.02) 줄을 따라 진행하는 파동의 방정식이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 단, 식에 포함된 숫


자들은 SI 단위계로 표현된 값이다.

    sin    (a)

    m,     s일 때 줄 요소의 가로 속도 와 가로 가속도  를 구하시오.

풀이) 양의 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동의 방정식 :

        sin     (b)

식 (a), (b)를 비교!

     m,     rad m,     rad s (c)

   ,     를 고려!

 
    sin         cos   (d)
  
 
          cos          sin         (e)
 

식 (d), (e)에 주어진 값을 대입 :

       cos    rad     ×   m s (f)


             ×    m  s  (g)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4 -

16-2 팽팽한 줄에 생긴 파동의 속력

∆ 부분에 작용하는 알짜 힘 n et은 장력 의


 수
 sin
 cos ∆
직성분!  인 경우 sin .

n et    sin    
(16.9) 

    ∆   (운동방정식)

    


(16.10)

그림 16-6

  (16.11)

☞ ∆ 부분의 질량은 ∆  ∆    . 는 줄의 선밀도.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5 -

16-5 파동의 간섭

간섭 두 개 이상의 파동이 중첩될 때 나타나는 간섭(interference)현상은 합성되는 파동들 사이


의 위상차에 의해 그 결과가 결정. 다음과 같은 두 파동을 고려!

       sin     (16.26)

         sin       ( : 위상상수) (16.27)

 과   의 위상차는             .

⑴   일정 : 두 파동은 간섭성(coherence)을 가진다.

⑵  일정 : 두 파동은 비간섭성(incoherence)을 가진다.

진폭이 동일한 경우의 간섭 삼각함수의 덧셈공식을 활용!


  
                  sin  sin    sin cos 
 
   sin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cos     cos  sin     
    (16.28)

코사인 함수는 우함수

⑴   
 cos 
  : 합성파의 진폭.

⑵ 합성파의 진폭은 cos  에 의해 결정.


완전 보강간섭 cos 

 ± 이면, 합성파의 진폭은 극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완전 보강간섭) (16.29)
☞ 두 파동 사이의 위상차가  의 정수 배 만큼 차이가 나면 완전 보강간섭을 일으킨다.

두 파동의 경로차가 ∆  이면, 위상차가   만큼 발생!


    ∆    ∆  (16.30)


식 (16.29)를 식(16.30)에 대입하여 정리.

  
∆      (완전 보강간섭) (16.31)
 
☞ 합성되는 두 파동 사이에 경로차가 파장의 정수 배 만큼 존재하면 완전 보강간섭을 일으킨
다. 그림 16-9에서  ,   참조.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6 -


완전 소멸간섭 cos  이면, 합성파의 진폭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완전 소멸간섭) (16.32)

식 (16.32)를 식 (16.30)에 대입하여 정리.

     
∆ 




  

(완전 소멸간섭) (16.33)

☞ 두 파동 사이에 경로차가 파장의 반정수 배 만큼 존재하면 완전 소멸간섭을 일으키는데, 이


를 “상쇄간섭”이라고도 한다. 그림 16-9에서  ,   참조.

중간간섭 파동의 간섭이 완전 보강간섭도 아니고 완전 소멸간섭도 아닌 경우. 그림  ,  .

완전 완전
중간간섭
보강간섭 소멸간섭

그림 16-9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7 -

보기문제 16.04) 팽팽한 줄에서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인모양의 동일한 두 파동이 서로 간섭


한다. 각 파동의 진폭은    mm이고 위상차는    o이다.

  두 파동의 간섭으로 생기는 합성파동의 진폭 ′  을 구하라.

풀이) 합성되기 전 두 파동을 각각 다음과 같이 놓자.

       sin   


,        sin      (a)

삼각함수의 덧셈공식을 활용 :

′                sin        sin      

  cos



sin     
  (b)

따라서 합성파동의 진폭에 대한 문제의 조건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  이 구해진다.

o

′     cos      mm  cos
     mm (c)

 합성파동의 진폭이  mm가 되는 위상상수를 rad과 파장으로 표현하라.

풀이) 식 (b)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cos 

  cos 
′ 
  cos  
  mm

   mm 
±  o ±  rad
(d)

여기서 식 (16.30)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위상상수 에 해당하는 경로차를 구할 수 있다.

 ±  rad
∆     ±  (e)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8 -

16-6 위상자

위상자(phasor)를 원점 주위를 각진동수  로 회전하는 벡터로


  그림 16-10
생각!

위상자를 도입하면 삼각함수의 덧셈을 적용하지 않고 합성파동을


구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두 파동의 간섭을 고려해 보자.

          sin     (16.34)

          sin       (16.35)

위상자를 도입하면 식 (16.34) 및 (16.35)과 같이 표현되는 두  


함수를 그림   와 같이 표현.

합성파동 ′   :

′        sin       (16.36)

그림   를 고려하면 합성파동의 진폭과 위상상수는 다음과 같이


구해지는데, 이를 식(16.36)에 대입하면 합성파동에 대한 표현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cos     sin  (16.37)

   sin
  tan  
       cos  (16.38)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9 -

보기문제 16.05)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두 파동의 합성파동을 구하시오. 단,   이고,


    mm 및      mm이다.

          sin    

          sin      

풀이) 두 파동의 위상차가  이므로,


그림 16-11
두 위상자   ,   를 그림 16-11  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합성
파동의 진폭 ′  과 위상상수 는 그림
 와 같은 모습이다.

이때 합성파동은 다음과 같다.

′      ′  sin       (a)

그림  로부터 합성파동 진폭의 수평성분 ′  와 수직성분 ′  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cos    cos   mm   mm cos     mm (b)

′      sin     sin      mm sin     mm (c)

이상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합성파동의 진폭 ′  과 위상상수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mm     mm   mm (d)

  tan  
′  
′     tan  
  mm
 mm    
(e)

이상의 결과를 식 (a)에 대입하면 합성파동   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sin         mm  (f)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10 -

16-7 정지파와 공명

정지파 파장과 진폭이 같은 사인모양의 두 파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할 때 형성.

       sin     (16.39)

         sin     (16.40)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sin       sin cos (16.41)

위치 에서 시간 변화에 따라
진폭을 결정 줄의 진동을 결정
⑴ 마디 진폭이  인 지점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42)
 
   

⑵ 배 진폭이 최대가 되는 지점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43)

그림 16-12

그림 16-13은 오른쪽 끝이 고정된 줄의 왼쪽 끝을 진동시킬 때


형성되는 정지파의 파형을 찍은 섬광사진 모습이다.

그림 16-13
경계면에서의 반사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11 -

경계   
입사 모습 입사 모습
그림 16-14
반사, 투과 모습 반사, 투과 모습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12 -

정지파와 공명

조화모드의 파장과 줄의 길이 사이의 관계 :

⑴ 제 조화모드

 (16.48)

⑵ 제  조화모드

  (16.49)

⑶ 제  조화모드

   (16.50)

그림 16-14
이상을 고려!


  (16.51)


  (16.5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53)
백종성의 강의노트 16장 파동-I - 13 -

보기문제 16.06) 길이가   m, 질량이     g인 줄에 장력    N이 걸리면서 생긴


공명진동의 모습을 그림 16-15에 나타냈다. 정지파를 만드는 가로파동의 파장 는 얼마인가? 조
화차수 은 얼마인가? 가로파동과 수직으로 진동하는 줄 요소의 진동수 는 얼마인가?
    m인 곳에서 진동하는 줄 요소의 가로속도의 최대값  은 얼마인가? 어디에서 줄 요소
의 가로속도가 최대가 되는가?

풀이) 그림을 보면 줄의 길이  속
그림 16-15
에 고리모양이  개 존재한다. 따라
서 조화차수는

   (a)

이다. 그리고 파장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고리모양  개의 길이가 파장에 해당.)

   m
        m (b)
 

  의 관계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진동수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N   m 


       Hz (c)
      m   kgm

정지파는        sin cos


와 같이 표현되므로 가로속도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sin cos      sin sin (d)
 

그림을 보면    mm이므로     mm이다. 이상을 고려하면    m인 곳에서 가로속


도의 최대값   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sin     
     sin  

   Hz   m sin     m      m  s



 (e)
 m

그림에서 정지파의 마디를 제외한 줄 요소는  축을 중심으로 조화진동자처럼 위, 아래로 진동한


다. 따라서 줄 요소가  축을 지나는 순간 가로속도가 최대가 된다.( 조화진동자가 평형점을 통
과하는 순간 조화진동자는 최대속력을 가진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7장 파동-II - 1 -

제 17 장 파동-II
( 17-1, 2, 3, 4, 8절은 강의 및 시험범위 제외)

17-5 음악적인 음원

공기 관에 형성되는 정지파 : 막힌 부분에는 마디가


형성되고, 열린 부분에는 배가 형성.
그림 17-10

양쪽이 열린 관 그림 17-10  

          (17.27)

 
            (17.28)
 

한쪽만 열린 관 그림 17-11  

           (17.29)

  양쪽이 열린 관
              (17.30) 그림 17-11
 

한쪽만 열린 관
백종성의 강의노트 17장 파동-II - 2 -

보기문제 17.05) 관 는 양쪽이 열려있고 길이는   m이다. 관 ,  , 는 한쪽만 열려


있고 길이는 각각      ,       ,      이다. 음속은    m  s라고 가정하자.
관 ,  , 에 정지파가 형성되어 있다고 할 때, 이 가운데 어떤 관에 형성된 정지파가 관  에
정지파를 만들 수 있을까?

풀이) 관  는 양쪽이 열린 관 이므로(     ) “          ”을 고려하면,


 
 
 

  
   (a)

이다. 따라서 관 는     의    배의 정지파를 만들 수 있다. 한편 관 ,  , 는 한쪽


만 열려있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사용하면 다음을 얻
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b)

관 는     의    배의 정지파를 만든다.
   
   
   
     

  
    (c)

관  는     의      배의 정지파를 만든다.


    
   
      
 

     (d)

관 는     의    배의 정지파를 만든다.


이상을 고려하면 관 ,  에 형성된 정지파는 관 에 정지파를 만들 수 있지만, 관 에 형성된
정지파의 진동수는     의 정수배가 되지 못하므로 관  에 정지파를 만들 수 없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7장 파동-II - 3 -

17-6 맥놀이

그림 17-13      Hz,       Hz

s

다음과 같이 표현되는 두 파동(   )을 고려하여 맥놀이 현상을 정량적으로 고찰!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cos        (17.31)

  인 지점을 고려하면,   에서 두 파동의 변위는 다음과 같다.

     cos         cos,      cos         cos   (17.32)

삼각함수의 덧셈공식을 고려하면,   에서 두 파동의 합성파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cos      cos      cos  cos  
 
      
   cos  cos      cos′ cos (17.33)
 
합성파의 진폭을 결정
  
    
′  ,    (17.34)
 
☞ 합성파의 진폭은 cos′에 의해 결정!
☞ cos′는 한 주기 동안 두 번의 극값을 가지므로 맥놀이 각진동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35)
백종성의 강의노트 17장 파동-II - 4 -

보기문제 17.06) 황제펭귄은 울음판이라는 소리기관의 두 면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므로 목구멍과


입안에서 정지파를 만드는데, 이는 양 끝이 열린 관에 정지파가 만들어지는 모습과 동일
하다. 면 에서 진동수가   Hz인 제  조화진동수를 만들고, 다른 면 에서 진동수가
    Hz인 제  조화진동수를 만든다.

(a) 두 제  조화진동수 사이의 맥놀이 진동수를 구하라.

풀이) 식 (17.35,        )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Hz   Hz   Hz (a)

(b) 두 제  조화진동수 사이의 맥놀이 진동수를 구하라.

풀이) 목구멍과 입안에서 정지파가 만들어지는 부분의 길이  은 변화가 없다. 따라서 양 끝이 열


린 관에 형성되는 정지파에 대한 조건(식 17.28,                )로부터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Hz    Hz (b)
       

   
            Hz    Hz (c)
    

따라서 두 제  조화진동수 사이의 맥놀이 진동수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Hz   Hz   Hz (d)


백종성의 강의노트 17장 파동-II - 5 -

17-7 Doppler 효과 정지한 음원 그림 17-14


파동면
Doppler 효과 : 음원과 관측자의 상대운동에 의해 관측자가 느
끼는 음원의 진동수 변화. 
 ● ●

검출기(관측자)가 속도  로 움직이는 경우

정지한 음원 파동면
 초 후, 검출기의 위치
  

● ● ●

   검출기가 정지해 있을 때, 시간
 동안 검출기를 통과하는 파동

검출기가 속도  로 음원에 접    
검출기가 속도  로 음원에
근할 때, 시간  동안 더 듣는 량 접근할 때, 시간  동안 듣는
그림 17-15

⑴ 음원과 검출기가 모두 정지해 있는 경우 : 시간 동안 검출기를 통과한 파장수는    .

   
    (17.36)
  

⑵ 검출기가 속도   로 정지해있는 음원에 접근하는 경우 : 정지한 경우에 비해   만큼 더 통


과. 시간  동안 검출기를 통과한 파장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37)
    

⑶ 검출기가 속도   로 정지해있는 음원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 정지한 경우에 비해   만큼


덜 통과. 시간 동안 검출기를 통과한 파장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38)
    

이상을 고려!

 ± 
′   (17.39)

검출기  는 정지해있고 음원이 움직이는 경우

⑴ 음원과 관측가자 모두 정지해 있는 경우 검출기에 측정되는 소리의 파장은 다음과 같다.

   (17.40)
백종성의 강의노트 17장 파동-II - 6 -

그림 17-16

 
  ′     

  
●●●● ●
   
    
′
음원  가 움직이지 않고   의 위치에
있었을 경우,  가 만든 파동면
 

⑵ 음원이   의 속도로 정지해 있는 검출기에 접근하는 경우 주기  동안 음원이    만큼 검출


기를 향해 접근하므로, 소리의 파장이    만큼 짧아지는 것으로 관측.

   
′      (17.41)
′              

⑶ 음원이   의 속도로 정지해 있는 검출기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주기  동안 음원이    만큼


검출기로부터 멀어지므로, 소리의 파장이    만큼 길어지는 것으로 관측.

   
′         (17.42)
′              

이상을 고려!


′   (17.43)
 ± 

(17.39), (17.43)을 한 개의 식으로 묶으면,

 ± 
′   (Doppler 효과에 대한 일반식). (17.44)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7장 파동-II - 7 -

보기문제 17.07) 박쥐가     m s 의 속도로 진동수가      kHz


인 초음파를 발사하면

 
서 나방을 쫓아가고 있다. 이때 나방의 속도는      m s 이다. 나방이 탐지하는 진동수  
는 얼마인가? 나방에서 반사되어 박쥐가 탐지하는 메아리의 진동수  는 얼마인가?

풀이) Doppler 효과의 일반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a)
 ± 

나방(검출기)이 박쥐(음원)로부터 멀어지는 상황이므로   (   )의 부호는 음이다. 그리고 박쥐가


나방에 접근하므로  (   )의 부호도 음이다.

    ms   ms


        kHz     kHz (b)
    m  s   m  s

다음은 박쥐가 탐지하는 메아리의 진동수를 구해보자. 이 경우는 멀어지는 음원(나방)을 향해 관


측자(박쥐)가 접근하는 모습이다. 즉,   (   )과  (   )가 모두 양의 부호를 가진다. 그리고 음
원은 나방에서 반사된 메아리이므로 음원의 진동수는       kHz
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다음
과 같이 박쥐가 탐지하는 메아리의 진동수  를 구할 수 있다.

    m  s   m s
         kHz      kHz (c)
    ms   ms
백종성의 강의노트 18장 온도, 열, 열역학 제1법칙 - 1 -

제 18 장 온도, 열, 열역학 제1법칙


( 18-6절은 강의 및 시험범위 제외)

18-1 온도

온도 온도 는 일곱 가지 SI 기본물리량 중 하나로서, 단위는 K(켈빈, Kelvin).

절대영도 더 이상 내릴 수 없는 온도를 절대영도라 하는데, 이는    K.

열적 고립 외부에서 계로 열이 유입될 수도 없고, 계에서 외부로 완전한 단열재


열이 방출될 수도 없는 상태.

열평형 열적 고립상태에 있는 계 와 를 서로 접촉시켰을 때


에서 로 이동하는 열  와 에서 로 이동하는 열  가 같
은 경우, 즉      . 그림 18-1

열역학 제 법칙 열적 고립상태에 있는 계 와 가 다른 물체  와 각각 열평형을 이룬다면


와 도 열평형을 이룬다.

단열막

  그림 18-2    

☞ 그림 는 검온기  와 계  가 열평형을 이루고, 그림 는  와 계 가 열평형을 이루는


모습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8장 온도, 열, 열역학 제1법칙 - 2 -

온도의 측정 수증기
그림 18-3

기체
물의 삼중점 액체상태의 물, 고체상태의 얼음, 그리고 기체상태의
온도계
수증기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온도를 물의 삼중점   로 표현. 용기

    K (18.1)

얼음

그림 18-4 일정부피 기체온도계 수은 용기
눈금자  를 올리거나 내리면 기체용기의 부피를 일정하게 유지.
기체용기 
   (18.2)

☞       


 





  

    K   

(18.3)

 
높이가 인 수은기둥에 작용하는 힘을 고려!
       
  
          (18.4)
 

용기에 채워지는 기체의 종류에 따라 식 (18.3)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채워진 기체의
양이 에 접근함에 따라 그 값들이 수렴하므로, 식 (18.3)은 다음과 같이 보정!

   K  lim 
gas 


(18.5)

18-2 섭씨온도와 화씨온도

온도의 척도
     (18.6)

     (18.7)
 
☞ 섭씨온도   의 단위는 이고 화씨온도   의 단위는 .
백종성의 강의노트 18장 온도, 열, 열역학 제1법칙 - 3 -

보기문제 18.01) 어떤 온도척도 Z에서 물의 끓는점과 어는점을 각각   Z와     Z로 정의한


다고 한다.      Z는 화씨로 몇 도인가? 단, 온도척도  Z는 선형으로 정의되었다.

풀이) 온도척도 Z와 화씨온도  에서 물의 끓는점과 어는점 사이의 간격 ∆  와 ∆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Z    oZ    oZ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Z는 온도척도 Z에서 어는점   Z에 비해   Z   oZ   만큼


o
Z 낮다.
이 온도 차이를 화씨온도의 구간 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Z    
∆  
  Z  

  Z Z    (c)

따라서      Z는 화씨온도의 어는점( ) 보다   만큼 낮은 온도이므로, 문제의 답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Z        (d)

18-3 열팽창

선팽창계수 
 ∆
∆
∆    ∆   (18.8)
 ∆

☞ 일반적으로 의 크기는     정도.
그림 18-5

부피팽창계수 
∆
∆    ∆     (부피팽창계수) (18.9)
 ∆

 의 증명

 ′     ∆  (18.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11)
 ,  의  차항 이상은 무시
∆    ′      ∆  (18.12)
  ∆     ∆     (18.13)
백종성의 강의노트 18장 온도, 열, 열역학 제1법칙 - 4 -

보기문제 18.02) 유조차의 운전기사가 경유를 운송하고 있다. 더운 곳에서  L(리터)의 경유
를 싣고 온도가  K 낮은 곳에 경유를 배달했다면 배달된 경유는 몇 리터인가? 경유의 부피팽창
계수는     ×  
 이고, 강철탱크의 선팽창계수는  ×     이다.

풀이) 온도변화가 ∆    K    인 경우, 경유의 부피변화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  ∆     ×      L       L (a)

강철탱크의 열팽창은 이 문제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 따라서 배달된 경유량은 다음과 같다.

 del    ∆    L    L    L (b)

18-4 열흡수

열의 단위 물  g을  에서  로 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을  cal로 정의.

 cal    J (18.14)

열용량 물체가 열 를 흡수하거나 방출하면 온도가 ∆  만큼 변할 때,

   ∆        (18.15)

비열 질량이  인 물체가 외부로부터  의 열량을 흡수하여 온도가 ∆  만큼 변하는 경우,

   ∆        (18.16)
 
  (18.17)
 ∆

몰비열  물질  mol(몰)의 온도를  K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   (18.18)

변환열  상태변화에 필요한 열.


   (18.19)
   calg   kJ mol   kJ kg
(물의 융해열) (18.20)
    calg   kJ mol   kJ kg
(물의 증발열) (18.21)
백종성의 강의노트 18장 온도, 열, 열역학 제1법칙 - 5 -

보기문제 18.03) 온도가  이고 질량이    g인 구리덩어리를    g의 물이 담


긴 비커에 떨어뜨렸다. 비커의 열용량은    cal K이고, 물과 비커의 초기온도는     이
다. 이들이 열평형을 이루는 최종온도  는 얼마인가? 단, 물의 비열은    cal g K이고,
구리의 비열은    calg K
이다.

풀이)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동안 물, 비커, 구리에 전달된 에너지를 각각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   (a)

계의 총에너지는 보존되므로 이들의 총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al g K  g     cal K     cal g K  g  

 cal g K  g    cal K   cal g K  g 
  (b)

보기문제 18.04)   의 얼음  g을  의 물로 만드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계산하


시오. 얼음과 물의 비열은     calg 및    cal g 이고, 그리고 얼음의 융해열은
   calg
이다. 얼음에  kJ의 에너지만 공급했다면 최종상태와 온도는 얼마인가?

풀이) 온도가   (   )인 얼음을  (   )까지 올리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 ,  의 얼음을 녹이


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 , 그리고  의 물을  (  )까지 올리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 로 놓으
면 이들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calg  g          cal (a)

        calg  g    cal (b)

            calg  g       cal (c)

따라서 총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tot            cal   cal   cal   cal


  J   J  kJ (d)

그리고  kJ    cal     인데,


cal 앞의 풀이과정을 고찰해 볼 때 이 에
너지가 계에 투입되면   (  )의 얼음을  (  )까지 올리는데  cal이 사용되고, 나머지의
에너지  r em는 얼음을 부분적으로 녹이는데 사용된다.(얼음을 완전히 녹이려면  cal이 필요한
데,  r em은 이보다 작다!) 이때  r em으로 녹일 수 있는 얼음의 질량 은 다음과 같다.

 r em  cal   cal


     g    kg (e)
   calg

따라서 최종온도는  이고, 이때  g(  g   g


)의 얼음이  의 상태로 남아있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18장 온도, 열, 열역학 제1법칙 - 6 -

18-5 열역학 제 법칙

열과 일 그림 18-6

피스톤을 미는 힘 
가 미소변위  만큼
 이동할 때, 계가
한 일  :

  
             
   (18.22)

부피가  에서  로 변할 때 계가 한 일 :

       (18.23)

☞ 식 (18.22), (18.23)은  와


 
의 방향이 같은 경우
에 대해 얻은 식인데, 이들의 방향이 반대방향인 경
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방향이 같으면     이므
로   이고, 방향이 반대방향이면     이므로
  이다.

☞ 기체가 한 일  는    그래프에서    곡선과 가로축이 만드는 면적.

그림 18-7
백종성의 강의노트 18장 온도, 열, 열역학 제1법칙 - 7 -

열역학 제 법칙

∆ in t  in t    in t     (열역학 제  법칙) (18.24)

☞  : 계에 전달된 열.  : 계가 외부에 한 일. ∆  in t : 내부에너지 변화.

 in t     (열역학 제  법칙 : 계의 상태가 미세하게 변할 때) (18.25)

☞  와  는 완전미분이 아니고, 단순히 매우 작은 에너지(무한소 에너지)를 의미.

열역학 제  법칙의 특수한 경우

단열과정 계가 외부와 열적으로 완전히 차단된 상태.   .

∆  in t            (18.26)

등적과정 계의 부피변화가 없으므로, 계는 일을 할 수 없다.        . 

∆  in t           (18.27)

순환과정 순환과정은 계의 상태가 처음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이므로, 계의 내부에너지의 변화가


없다( 내부에너지는 상태함수!). ∆  in t  .

∆  in t          (18.28)

단열자유팽창 외부와 열적으로 완전히 차단되어 있으므 잠금마개


로   ,   .

∆  in t       (18.29)

진공
고립계 고립계는 외부와 모든 상황이 완전히 차단되어 있
으므로   이고,   .

∆  in t       (18.30) 단열벽 그림 18-8


백종성의 강의노트 18장 온도, 열, 열역학 제1법칙 - 8 -

보기문제 18.05) 그림 18-9과 같이  의 물  kg이 열저


장고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   atm의 일정한 압력
에서  의 수증기로 변환되었다. 이때  물의 초기부
 
피는    ×  m이고, 수증기가 되었을 때의 최종부피

는      m 이다. 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a) 계가 한
일 , (b) 계에 공급된 열 , 그리고 (c) 계의 내부에너지의
변화량 ∆  in t를 구하시오. 물의 증발열은     cal g이다.


풀이) 문제의 조건을 다음과 같이 정리! 벽

    calg
  ×  J    kg   kJ  kg
그림 18-9
   atm    ×   P a

(a)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압력이 일정하므로, 계가 한 일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P a   m     ×    m    ×  J   kJ (a)

(b)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 의 물  g이  의 수증기로 변환되는데, 이때 필요한 열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kJ kg  kg    kJ   ×  J (b)

(c) 열역학 제  법칙을 고려하면 내부에너지의 변화량 ∆  in t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in t        ×   J    ×   J   ×   J (c)


백종성의 강의노트 19장 기체운동론 - 1 -

제 19 장 기체운동론
( 19-5, 6, 9절은 강의 및 시험범위 제외)

19-1 Avogadro 수

몰(mol)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의 수가 Avogadro 수 와 같을 때, 그 양을  mol로 정의.

Avogadro 수
    ×   mol  (19.1)

몰 수

  (19.2)


☞  : 입자의 총 수.

분자를 취급할 때 물질의 량을 몰 수 으로 표현하면 편리!

   sam
     (19.3)
   

☞  : 분자  개의 질량.  sam : 시료의 질량.     :  몰의 질량.

19-2 이상기체

   (이상기체 법칙) (19.4)


      J mol K (기체 상수) (19.5)
    ×    J  K (볼츠만 상수, Boltzmann's constant) (19.6)
            (이상기체 법칙) (19.7)

☞ 이상기체 법칙을 응용할 때, 의 단위는 P a  N  m  ,  의 단위는 m ,  의 단위는 K.

온도가 일정할 때 이상기체가 한 일 “   ,   일정”을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ln

(19.8)

일정한 물리량 “  ”는 적분 밖으로


백종성의 강의노트 19장 기체운동론 - 2 -

압력이 일정할 때 한 일 “  일정”을 고려!


 
      
          ∆  (19.9)

압력과 부피가 일정할 때 “부피가 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10)

보기문제 19.01) 단열이 잘 되어있는 실린더 내부에 산소가 들어있다. 산소의 처음온도는
   , 부피는     L, 그리고 압력은    atm이었다. 피스톤에 힘을 가하여 산소의
마지막 부피를      L로 변화시켰더니 온도가     로 변했다. 마지막 상태에서 기체의
압력  는 몇 기압인가? 산소를 이상기체라고 가정하고 문제를 풀이하라.

풀이) 문제에 제시된 조건을 다음과 같이 SI 단위계로 정리.

         K  ,K         K   K

    L   ×   m,      L   ×   m 

   atm   ×  ×   P a    ×  P a

계가 변하는 동안 기체의 질량 변화는 없으므로 “  일정”이다. 이상기체 법칙과 문제에 제시된


조건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일정 
  
     ×   P a  ×    m   K 
     ×   P a   atm
     ×    m   K 

보기문제 19.02) 산소(이상기체라고 가정하자)  몰이  K의 일정한 온도에서 초기부피


    L에서 최종부피     L로 팽창했다. 팽창하는 동안 기체가 한 일은 얼마인가?

풀이) 등온과정에 대해 이상기체가 한 일에 대한 표현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a)

따라서 이 과정에서 기체가 한 일 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
   ln    mol Jmol K  K  ln   ×   m 
 ×   m    J (b)
백종성의 강의노트 19장 기체운동론 - 3 -

19-3 압력, 온도 및 rms 속력

그림 19-1 :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육면체 내부에


그림 19-1
몰의 이상기체(기체분자의 총 수   )가 들어있는 모
습이다. 기체분자의 질량은  이고, 이들은 제 각각의
면 에
속력으로 사방으로 운동을 하다가 벽과 탄성충돌!
수직한 선

∆ 동안 기체분자의 선운동량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19.11)

☞ ∆ : 기체분자가 왼쪽 면에서 출발하여 오른쪽


면  와 탄성충돌한 후, 왼쪽 면까지 돌아오는데 걸린 시간.

∆ 동안 기체분자  개가 면 에 전달한 선운동량 ∆  :

∆   ∆   ∆    ∆    (19.12)

선운동량 보존!

기체분자  개가 면  에 작용하는 힘  :

∆     
     (19.13)
∆    
   ∆ ∆   

 개의 기체분자가 면 에 작용하는 힘 와 압력  :

            
    (19.1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15)

분자들의 운동방향이 임의적인(random) 방향이므로 다음을 고려!

               avg (19.16)


  avg
  avg    avg    avg    avg     avg   avg  (19.17)

식 (19.16), (19.17)을 고려하여 식 (19.15)를 다음과 같이 정리.

   avg 

    avg    avg
       (19.18)
     
   sam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9장 기체운동론 - 4 -

제곱평균제곱근(root mean square) 속력  r m s   avg와 같이 정의하면, 식 (19.18)

  r m s
  (19.19)

이상기체법칙과 식 (19.19)을 고려하면,

   r m s  
  r m s  (19.20)
  

보기문제 19.03) , , , ,  등 다섯 개의 수자에 대해 평균값 avg와 rms 값 r m s를 구하


라.

풀이)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하면 된다.

        
avg     (a)

          
r m s     (b)

19-4 병진운동에너지

식 (19.20,  r m s    )을 고려!

 avg 




 
 
 r m 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21)


☞ 온도가  인 단원자 이상기체분자  개의 병진운동 에너지는   .

☞ 기체분자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독립적인 방법을 자유도(degree of freedom) 라 하
는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은 병진운동에 의한 방법과 회전운동에 의한 방법이 있다.

☞ 단원자 이상기체는  방향(, ,  방향)의 병진운동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 :   .



☞  개의 자유도 당   의 에너지가 분배.


☞ 그림 19-2와 같이 아령 모양으로 생긴  원자 이상기체 분자의 축
자유도는   .(병진 , 회전 ).

☞  원자 이상의 다원자 이상기체 분자는 회전운동에 대한 자유도


가  이므로, 총 자유도는   .

☞ 자유도가 인 이상기체분자  개의 에너지는    .
   그림 19-2
백종성의 강의노트 19장 기체운동론 - 5 -

19-7 이상기체의 몰비열

내부에너지 int 식 (19.21, avg  )을 고려하면, 단원자 이상기체  몰의 내부에너지
 in t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내부에너지는 병진운동에너지의 합으로 가정한다.)

 in t    avg    




       

  

(19.35)

몰 속에 들어있는 기체분자의 총 수


∆  in t    ∆  (19.36)

몰 비열  에 대한 고찰 비열  의 정의와 질량이  인 몰의 이상기체를 고려!

    ∆    ∆    ∆  (19.37)

☞  는 몰 비열이고,  은  몰의 질량이다.

부피가 일정할 때의 몰 비열 

    ∆  (19.38)

☞   는 등적 몰비열인데, “  ”에서 아래 첨자 “  ”는 “부피가 일정한 상태”를 의미한다.

등적과정의 경우,

∆  in t
∆  in t          ∆    (19.39)
 ∆

식 (19.36)을 식 (19.39)에 대입 :

 ∆     
    (19.40)
 ∆ 

식 (19.40)을 식 (19.35)에 대입 :

 
 in t        

(19.41)

∆  in t   ∆  (19.42)
백종성의 강의노트 19장 기체운동론 - 6 -

압력이 일정할 때의 몰비열

 ∆  (19.43)

☞   는 등압 몰비열인데, “   ”에서 아래 첨자 “”는 “압력이 일정한 상태”를 의미한다.

압력을 일정할 때,   ∆ 이므로, 이 경우에 대해 열역학 제  법칙을 적용 :

∆  in t     ∆  in t   ∆    ∆  (19.44)

식 (19.36)으로부터 온도가 ∆  만큼 변할 때 계의 내부에너지 변화 :


∆  in t   ∆  (19.45)

    이므로, 등압과정에 대해서도 다음 관계가 성립!

∆  in t   ∆  (19.46)

압력이 일정한 경우(∆  ), 이상기체 법칙을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19.47)

식 (19.46), (19.47)을 식 (19.44)에 대입하여 정리 :

  ∆     ∆    ∆       (19.48)

따라서 단원자 이상기체의 경우,     이므로  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   (19.49)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9장 기체운동론 - 7 -

보기문제 19.07)  mol의 헬륨 기체방울 하나가 물속에 잠겨있고, 일정한 압력에서 물의 온도


(따라서 헬륨온도도) ∆    증가하면, 기체방울이 팽창한다. 헬륨을 단원자 이상기체라 생
각하고 문제를 풀이하라.

  온도가 증가하는 동안 얼마나 많은 열에너지가 헬륨에 더해지는가?

풀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기체에 열 를 전달하면 기체의 온도가 ∆  만큼 변하는데,


이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a)

헬륨을 단원자 이상기체로 가정했으므로,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b)
 

따라서 문제에서 요구하는 열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mol   J  mol K  




    ∆      ∆    


  J (c)

  온도가 증가하는 동안 헬륨의 내부에너지 변화 ∆  in t는 얼마인가?

풀이) 온도가 ∆  만큼 변할 때 내부에너지 변화는 ∆  in t    ∆ 이므로, 문제의 답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mol  J  mol K  



  
∆  in t   ∆      ∆     
 
  J (d)

  온도가 올라가는 동안 헬륨 기체방울이 한 일은 얼마인가?

풀이) 열역학 제  법칙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일  를 구할 수 있다.

∆  in t         ∆  in t   J   J   J (e)


백종성의 강의노트 19장 기체운동론 - 8 -

19-8 자유도와 몰비열

자유도가 인 이상기체분자  개의 에너지 :

in t   


  (19.50)

식 (19.50) 자유도가 인 이상기체 몰의 내부에너지 :

  
   

  
 in t    in t                   

(19.51)

온도가 ∆  만큼 별할 때 내부에너지 변화 :


∆  in t    ∆  (19.52)

정적 몰비열 :

∆  in t    ∆   
         J  mol K   J  mol K (19.53)
 ∆  ∆  

보기문제 19.08) 이원자 기체에    J의 열에너지를 가해서 등압상태로 팽창시킨다. 기체분
자는 내부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지만 진동을 하지는 않는다.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기체의 내부
에너지로 전달되는가? 그 중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분자의 병진운동에너지  tr an와 회전운동에너
지  r ot로 전달되는가?

풀이) 이원자 기체이므로 자유도가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b)
 

정압과정에서 열 가 계에 전달될 때 계의 온도변화 ∆  :


    ∆  ∆  (c)
 

이상을 고려하면 계의 내부에너지 변화는 다음과 같이 정리.

      J 
∆  in t   ∆      
 

 

   
 J (d)

이원자 이상기체의 “병진운동의 자유도는  , 회전운동에 대한 자유도는  ”을 고려!


백종성의 강의노트 19장 기체운동론 - 9 -

 
∆ tr an ∆  in t     J    J (e)
 
 
∆  r ot   ∆  in t     J   J (f)
 
백종성의 강의노트 19장 기체운동론 - 10 -

양자론의 단서

Bohr의 원자모형에 의하면 수소원자에서 전자의 에너지는 다음과 같


eV 
이 표현된다.(물론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 학기 때 자세히 공부  

한다.)
  
 
  eV    
           (19.54) 


여기서 eV는 에너지의 단위로서  eV   ×    이다.


J 그리고 그림 19-7
은 주양자수인데    와 같은 값만 가질 수 있으므로,  도
그림 19-6과 같이 이에 대응되는 불연속적인 값만 가질 수 있다. 이  
   
와 같이 물리상태가 불연속적으로 존재할 때, 이를 양자화되었다라고 
한다.

그림 19-8은 수소기체(  )의 온도


그림 19-8
에 대한   을 나타낸 모습이다.
식 (19.53)을 보면,        이
므로 이 그림은 수소기체의 자유도
와 관련된 그림으로 해석하면 되는
데, 이를 다음과 같이 구간별로 해
석해 보자.

⑴ 온도가  K이하의 영역에서


는        이므로 자유도
가  이다. 따라서 이 구간은
병진운동 자유도만 비열에 기
여한다고 볼 수 있다.

⑵ 온도가  K 이상 증가하면    도 점차 증가하다가 그 값이   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이 나타나는데, 이 구간은 회전운동 자유도  가 더 합산된 모습이다. 수소기체는 이원
자 분자이므로 회전운동에 대한 자유도가  라는 것을 고려하면, 이 모습은 기체분자가 회전
운동을 하려면 부가적인 최소한의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의미를 가진다.

⑶ 그리고 온도가 계속 증가하여,  K이상이 되면 수소기체분자의 두 원자들이 서로 멀어지


고 가까워지는 진동운동에 의한 자유도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온도가  K
이상이 되면 원자들의 진동에 의해 원자결합이 파괴되어 분자가 두 개의 원자로 분리되기
때문에 그래프를 점선으로 표현했다.

그림 17-8로부터 기체분자의    가 분자의 자유도에 따라 구간별로 양자화 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0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 1 -

제 20 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20-1 엔트로피

가역과정 닫힌계에 어떤 행위를 하면 계의 상태가 처음상태 에서 최종상태 로 변한다. 이때


계에 했던 행위를 거꾸로 했을 때 계의 상태가 처음상태로 돌아오면, 이 과정을 가역과정이라 한다.

비가역과정 닫힌계에 어떤 행위를 하면 계의 상태가 처음상태 에서 최종상태 로 변한다. 이


때 계에 했던 행위를 거꾸로 해도 계의 상태가 처음상태로 돌아오지 않으면, 이 과정을 비가역가정
이라 한다.

엔트로피 계는 무질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스스로 변하려는 성질이 있는데, 이는 정렬된


상태보다 무질서한 상태가 에너지가 작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계는 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방향으
로 스스로 변하려는 성질이 있는데, 이는 열역학 제  법칙의 표현 중 하나이다.(열역학 제  법칙의
표현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열역학 제  법칙을 기술할 때, “엔트로피(entropy) ”라는 새로
운 개념을 도입하면 편리한데, 엔트로피는 무질서의 정량적인 척도를 기술하는 양이다. 다음 절에
서 엔트로피를 정의하겠지만 다음의 기술은 엔트로피의 핵심을 적절히 설명해 준다.

닫힌계에서 비가역과정이 일어나면 계의 엔트로피  는 한상 증가하며 결코 감소하지 않는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0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 2 -

엔트로피 변화

계가 초기상태 에서 최종상태 로 변할 때, 계의 엔트로피 변화 ∆ 를 다음과 같이 정의.


 

∆     

    
(엔트로피 변화의 정의) (20.1)

☞ 엔트로피  의 SI 단위는 J  K.

등온과정의 엔트로피 변화
 
  
∆  


   
 
(엔트로피 변화, 등온과정) (20.2)

“ 일정”이므로 적분 밖으로

계의 온도변화 ∆ 가 매우 작을 때 계의 온도변화 ∆  가 처음온도  와 최종온도 


보다 매우 작은 경우, 엔트로피 변화를 다음과 같이 평균온도  avg를 사용하여 표현!


∆ (20.3)
avg

자유팽창에 대한 엔트로피 변화 자유팽창과정은 등온과정이므로  in t  . 열역학 제  법


칙을 고려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20.4)

      

비가역과정
진공

  초기상태  그림 20-1   최종상태 


백종성의 강의노트 20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 3 -

엔트로피는 상태함수 계가 미세하게 변하는 경우, 열역학 제 법칙 :

 in t     (20.5)

기체가 평형상태에 있는 가역과정으로 진행하면    이고,  in t   이므로 이상기체


법칙을 고려하면 식 (20.5)을 다음과 같이 정리 :

   in t             

  
      (20.6)
  

따라서 계의 엔트로피 변화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ln

(20.7)

☞ 식 (20.7)을 보면,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는 계의 처음상태의 특성(  및  )와 최종상태


의 특성(   및  )에 의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보기문제 20.01) 그림 20-2  는 질량이     kg인 동일한 두 구리토막이 단열상자


안에서 단열 칸막이로 서로 차단되어 있는 모습이다. 토막 의 온도는     이고, 토막  의
온도는    이다. 그림  와 같이 칸막이를 제거하면 토막들은 평형상태에 도달하여 최종
온도가     가 된다. 이와 같은 비가역과정 동안 두 구리토막으로 이루어진 계의 알짜 엔트
로피 변화는 얼마인가? 구리의 비열은    J  kg K
이다.

그림 20-2 움직이는 단열벽 그림 20-3


단열 칸막이
단열벽

비가역과정 열저장고
      단계    단계


 
  
 
풀이) ∆   

    
   


   ln
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b)

“          K  ,K      K,       K


”을 고려!

  
∆   ∆    ∆      ln     ln     ln
      
 K 
  J  kg K   kg ln   J K (c)
 K  K 
백종성의 강의노트 20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 4 -

보기문제 20.02)    mol의 질소기체가 그림 20-1  와 같이 왼쪽 용기에 갇혀있다. 꼭지를


열어서 기체의 부피가 두 배로 되었다. 계의 엔트로피 변화는 얼마인가?

풀이) 질소기체를 이상기체로 취급하고 문제를 풀이한다. 자유팽창과정에서 계의 내부에너지 변화


는 ∆ in t   ∆   이므로
 계의 온도는 일정하다. 자유팽창은 비가역과정이지만 이를 가역
등온팽창으로 취급하면 열역학 제  법칙으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a)

식 (20.1)과 이상기체법칙을 고려하면 엔트로피변화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b)

   ,

따라서 문제에 제시된 조건을 식 (b)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
∆    ln    mol   J  mol

 
 
K  ln 
 
  J  K (c)

열역학 제 법칙

그림 20-4의 역과정을 생각해 보자. 제거했던 납알을 조금씩 피스톤 위에 올


려놓으면 기체계의 부피는 처음 부피  로 복귀된다. 이때 열저장고와 기체계
의 온도는 일정하므로, 기체계에서 열  가 빠져나가는데 이 열은 열저장고
에 전달된다. 따라서 기체계의 엔트로피 변화 ∆  gas와 열저장고의 엔트로피
변화 ∆  r es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gas   (20.8)

 
∆  r es    (20.9) 그림

20-4
기체계와 열저장고를 하나의 계로 생각하면, 전체계의 엔트로피 변화 :

   
∆   ∆  gas  ∆  r es        (20.10)
 

따라서 기체계와 열저장고로 이루어진 하나의 닫힌계에서 가역과정이 진행될


때 계의 엔트로피 변화는 없다. 결국, 닫힌계에서 비가역과정이 발생하면 계
의 엔트로피가 증가하고, 가역과정에서는 일정하므로, 결코 엔트로피가 감소
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내용을 다음과 같이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이는 열역학 제 법칙의 표현 가운데 하나이다.

∆  (20.11)
백종성의 강의노트 20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 5 -

엔트로피 때문에 생기는 힘


꼬여 있음 고무줄
그림 20-5와 같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 채 외력 
를 가하여, 

준 정적과정으로 고무줄을  만큼 늘리는 경우, 고무줄의 복원력이
한 일은     이다. 이때 고무줄의 온도가 일정하다고 생각했으 ○
므로, 내부에너지 변화  in t  이다. 이 경우에 대해 열역학 제  법
칙을 적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힘과 엔트로피 사이의 관계를 그림
풀려 있음
알 수 있다. 20-5


 in t                (20.12)

  

☞ 고무는 꼬여있는 고분자 사슬로 구성되어 있는데, 힘을 가하면 꼬였던 사슬이 풀리면서 정열
하므로, 무질서 정도가 감소하여 엔트로피가 감소한다.(    ) 따라서 가했던 힘을 제거
하면 무질서 정도(엔트로피)가 증가하기 위해 고무줄은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간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0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 6 -

20-2 일상생활의 엔트로피: 기관

열기관 증기기관 및 자동차 엔진과 같은 피스톤

열기관은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이를 Carnot


일로 바꾸는 장치이다. 기관
실린더

Carnot(카르노) 기관 모든 과정은 가 작동물질


역적이고 에너지 손실이 없는 이상적인 열
기관.
그림 20-7
A. 과정 ( “ 과정”을 간단히 “과
정”으로 표현!) 그림 20-6
⑴ 등온( )팽창과정으로서, 열  를
  : 단열수축.
흡수하면서 양의 일을 한다. 온도(     ) 그림 20-8
 
⑵ 열  를 흡수 ∆  .
  : 등온( )팽

B. 과정  를 흡수
⑴ 단열팽창 과정인데, 이때 온도가   에서  로 양의 일을 한다.

변하면서 양의 일을 한다. 열의 이동이 없으므로   : 단열팽창


온도(   )
엔트로피 변화도 없다.

C. 과정 
⑴ 등온(  )수축과정으로서, 열  을 방출하면서
음의 일을 한다.
   음의 일을   : 등온(   )수
⑵ 열  를 방출 ∆   .
 한다. 축
 을 방출
D. 과정
⑴ 단열수축 과정인데, 이때 온도가  에서   로 변하면서 음의 일을 한다. 열의 이동이 없으
므로 엔트로피 변화도 없다.

일 Carnot 기관이 한 번 순환하면 계의 상태가 처음상태로 복귀 ∆  in t  .

∆  in t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3)

☞ 식 (20.13)과 같이 표현되는 일  는 순환과정으로 둘러싸인 곡선의 면적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0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 7 -

엔트로피 변화 ∆
그림 20-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4)
       

Carnot 기관의 효율
 
   (열기관의 효율) (20.15)
 

식 (20.13)을 식 (20.15)에 대입 :

            
       (Carnot 기관의 효율) (20.16)
        

여기에 식 (20.14)의 관계를 적용 :

   
         (20.17)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식 (20.17)을 보면     이므로,   인데, 만약에


영구기관 : 열을 전
  이 되면, 열저장고에서 뽑아낸 열을 전부 일로 바꿀 부 일로 변환한다.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이 실현된다면 그림 20-10
과 같이 주위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여 스스로 작동하는 열
기관, 즉 영구기관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불가능하
다. 따라서 열역학 제 법칙을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열저장고에서 뽑아낸 열을 전부 일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 그림 20-10


다. 즉, 영구기관은 없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0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 8 -

Stirling(스털링) 기관 식 (20.17)은 모든 이상기관에 적


용되는 것은 아니고, Carnot 기관에만 적용된다. Stirling 기 그림 20-11
관의 순환과정을 그림 20-11에 나타냈는데, Stirling 기관의 Stirling 기관의
단계
등온곡선은 두 개의 등적과정( 과정, 과정)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두 등적과정에서 열의 이동이 추가되므로, 
개의 모든 과정에서 엔트로피 변화가 나타난다. 따라서 식
(20.17)을 Stirling 기관에 적용할 수 없다.

Stirling 기관의 효율은 Carnot 기관의 효율 보다 낮으므로


오랫동안 무시되어 왔는데, 현재 우주비행선 및 자동차용으
로 개발되고 있다.

보기문제 20.03) 두 온도   K,     K 사이에서


작동하는 Carnot 기관이 있다. 기관이 한 순환과정 당
   J의 일을 하는데  s가 걸린다.

(a) 기관의 효율은 얼마인가?

풀이) 식 (20.17)을 고려 :
  K
           (a)
  K

(b) 기관의 평균일률은 얼마인가?

풀이) 일률의 정의를 고려! 주기     s.


  J
     W (b)
  s

(c) 매 순환과정마다 고온의 열저장고에서 뽑아내는 열에너지   는 얼마인가?

풀이)
     J
        J (c)
   

(d) 매 순환과정마다 저온의 열저장고에 주는 열에너지    는 얼마인가?

풀이) “          ”을
 고려!
           J   J   J (d)

(e) 작동물질로 열이 전달될 때, 작동물질에서 열이 빠져나갈 때 계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하시오.

풀이) 엔트로피의 정의를 고려 :

    J     J
∆      JK
, ∆       JK (e)
  K   K
백종성의 강의노트 20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 9 -

보기문제 20.04) 한 발명가가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 사이에서 작동하는 효율 의 기관을 만들


었다고 주장한다. 가능한가?

풀이)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 사이에서 작동하는 Carnot 기관의 효율  :

     K
            (a)
     K

☞ 실제기관의 효율은   이상이 될 수 없으므로, 발명가의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20-3 냉동기와 실제기관

냉동기 냉동기는 거꾸로 작동하는 열기관으로 생각! 그림 20-12


와 같이, 냉동기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일  를 사용하여 저온 열
장고에서   의 열을 뽑아 고온 열저장고로   의 열을 전달.

          냉동기
(20.18)

냉동기의 작동계수(performance coefficient)  :

  
  (20.19) 그림
 
20-12
식 (20.17,              )을
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20.20)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20-13은 망상가들의 꿈인 영구냉동기의 모습! 한 순환과정에서 냉동


그림 20-13
기의 엔트로피 변화는 없다. 그러나 저온 열저장고와 고온 열저장고는 다
음과 같은 엔트로피 변화가 발생!.

   
∆   , ∆    (20.21)

  

전체 계의 엔트로피 변화 :

   
∆  ∆  ∆      (20.22)
   

☞     이므로, 식 (20.22)로 표현되는 전체 계의 엔트로피 변화는


음수! 즉, 영구 냉동기가 작동하면 전체 계의 엔트로피가 스스로 감
소하는데, 이는 열역학 제  법칙에 위배된다. 따라서 열역학 제 법
칙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일의 공급 없이 저온 열저장고에서 고온 열저장고로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없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0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 10 -

실제기관의 효율

Carnot
냉동기
기관

영구냉동기

그림 20-14

고온 와 저온  사이에서 작동하는 실제 기관의 효율이 동일한 두 온도에서 작동하는 Carnot


기관의 효율보다 클 수 없음을 증명해 보자.

그림 20-14  는 어떤 기관  와 Carnot 냉동기가 결합된 결합체의 모습인데, Carnot 냉동기에


공급되는 일은 기관  가 순환과정 당 공급하는 일과 일치하도록 조절했다고 하자. 즉, 결합체의
알짜 일이 이 되도록 조절했다.

기관  의 효율이 Carnot 기관의 효율보다 크다면, 즉    이라면 효율의 정의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20.23)
 ′   

기관  의 효율 Carnot 기관의 효율

여기서 “       ′ ”는
 결합체가 고온 열저장고에 전달한 열 이다. 그리고 기관  가 한 일과
Carnot 냉동기에 공급된 일이 같으므로 그림에 열역학 제 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한 순환과정 후 계가 처음상태로 돌아오므로 ∆  in t  임을 생각하자!)

  ′    ′        ′    ′   
(기관  가 한 일) (20.24)

               (Carnot 냉동기에 공급된 일) (20.2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6)

식 (20.26)에서 “        ′ ”은 저온 열저장고에서 결합체에 전달한 열 인데, 이 값이 결합체


가 고온 열저장고에 전달한 열 와 동일하므로, 결합체는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일 없이 저온 열
저장고에서 열을 뽑아 고온 열저장고로 보내는 영구냉동기처럼 작동한다. 이는 열역학 제  법칙에
위배 되므로, 기관  의 효율이 Carnot 기관의 효율보다 크다는 것은 모순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0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 11 -

20-4 통계역학적 관점에서 본 엔트로피

표 20-1 상자 속의 여섯 개의 분자
● ● ●
● ● ●

 
그림 20-15 단열벽

● ● ●
● ● ●

  차단벽

지금까지는 열역학적 방법으로 계의 엔트로피를 고찰했는데, 여기서는 통계역학적 방법으로 계의


엔트로피를 살펴본다. 두 방법은 서로 다르지만 도달하는 결론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거시상태 그림 20-15 는 구별할 수 없는 여섯 개의 동일한 기체분자가 단열벽으로 구성된


상자 안에 놓여있는 모습이다. 이때, 상자를 동일한 부피로  등분 하면 각각의 방에 기체분자들
이 존재하는 확률이 동일한데, 이와 같은 관점에서 계의 모습을 표현한 것을 “거시상태”라 한다.

미시상태 그림  와 같이 오른쪽 방에 존재하는 수와 왼쪽 방에 존재하는 수를 구체적으로 구


분하여 이들이 존재할 수 있는 경우의 수(multiplicity) 로 계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데, 이와
같은 관점에서 계의 상태를 표현한 것을 미시상태(microstates)라 한다. 이때 미시상태의 수가 경
우의 수  가 된다. 그림에서 빨간색으로 표현한 분자와 파란색으로 표현한 분자는 동일한 분자
인데, 이들이 있는 위치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각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표현했다.

미시상태의 수  는 계의 엔트로피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이를 고찰


●●●●●
해 보자. 그림 와 같이 구별할 수 없는  개의 동일한 기체분자를 오
●●●●●●
른쪽 방에  개, 왼쪽 방에  개에 넣는 경우의 수  는 이들을 꺼내어 ●●●●●●
그림 20-16과 같이 배열하는 경우의 수와 동일한데, 이는 다음과 같이 ●●●●●●
생각할 수 있다.(방의 위치를 구분하기 위해 동일한 분자지만 서로 다른 ●●●●●●
●●●●●●
색으로 표현).  개의 분자를 배열하는 방법은  ×  ×  ×  ×  ×   

●●●●●●
데, 오른쪽 방에서 꺼낸  개를 서로 구별할 수 없고, 왼쪽 방에서 꺼낸 
●●●●●●
 개도 서로 구별할 수 없으므로, 이들을 배열하는 방법  및 로 을 ●●●●●●
나누면      
가 된는데, 이 방법의 수가  가 된다. ●●●●●●
●●●●●● 
따라서  개의 기체분자를 오른쪽 방에  개 왼쪽 방에  에 배열하는 ●●●●●●
●●●●●●
경우의 수  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배열에 대한 경우의 수) (20.27)
     그림 20-16
백종성의 강의노트 20장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 - 12 -

확률과 엔트로피 1877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Boltzmann은 배열에 대한 경우의 수 와


엔트로피 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  ln  (20.28)

☞     ×  인데 이를 Boltzmann 상수라 한다.
J K

Stirling 어림식  일 때 다음 관계식이 성립!

ln     ln     (Stirling 어림식) (20.29)

☞ Stirling 어림식은 gamma 함수   을 사용하면 간단히 증명!

보기문제 20.05) 그림 20-15  와 같은 상자 안에   개의 구별할 수 없는 동일한 분자가 들


어 있다.   ,   인 배열을 갖는 미시상태와   ,   인 미시상태는 몇 개인가?

풀이) 식 (20.27)로부터   ,   인 배열을 갖는 미시상태(경우의 수)의 수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a)
   

그리고   ,   인 배열을 갖는 미시상태의 수 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b)
    
   

보기문제 20.06) “보기문제 20.01)”에서  mol의 이상기체가 자유팽창하여 부피가 두 배로 되면


엔트로피변화가 ∆          ln
가 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계역학적으로 구하라.

풀이)  mol의 이상기체 속에 들어있는 기체분자수를  으로 놓으면(    ), 초기에는  개의


분자가 모두 왼쪽 방에 있는 상태이고, 마지막에는 왼쪽 방과 오른쪽 방에 각각   개 씩 나누어
진 상태이다. 따라서 초기배열은    이고, 최종배열은       이
 므로 미시상태의 수는 다음
과 같이 주어진다.(왼쪽 방과 오른쪽 방의 부피는 동일하다. 그리고    의 관계사용!)

 
   ,    (a)
           

따라서 Stirling 어림식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계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ln     ln     ln    ln     ln      ln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ln       
   ln      ln   ln      ln     ln   ln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1 -

제 21 장 전하

21-1 Coulomb의 법칙

어떤 물리현상을 다루는가?

원자의 구조 그림 21-2에 보어(Bohr)의 원


자모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냈는데, 이는 다음과
◯◯◯◯
같이 설명된다.(원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40 ◯◯◯◯◯
장과 42장에서 취급한다.) ◯◯◯◯
⑴ 원자의 중심에 위치한 원자핵은 그림 ◯ : 원자
21-3과 같이 양성자(proton)와 중성자   
(neutron)로 구성되어 있는데, 핵에 있는
그림 21-1  물질의 일반적인 모습.  원
양성자의 수가 그 원자의 원자번호 이 자적 관점에서 관측한 물질의 구조. 물질은 수많
다. 은 원자들이 모여 구성되어 있다.

⑵ 핵 주위에 위치한 전자(electron)들은 반지름이  인 원 궤도를 따라 돌고 있는데, 중성상태


원자의 경우 전자의 수와 양성자의 수가 동일하다.

⑶ 원자핵과 전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전자는 원자에 구속된다.

전자



● ●  


●  
● 핵
●●

● 
◯◯
◯◯

◯ ◯ ◯ : 양성자
◯◯◯



◯ ◯◯◯ ◯
◯◯◯◯

◯◯
◯ ◯ : 중성자
● ◯◯◯◯◯

그림 21-3원자핵의 모습. 원자핵은
그림 21-2 원자의 구조.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다.


 Si : 질량수가 인 Si (21.1)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2 -

전자(electron)

⑴      ×    C : 여기서 “C ”는 전하의 SI 단위로서 “쿨롱(coulomb)”이라고 읽는다.


전자는 더 이상 쪼갤 수 없으므로 전하의 최소 단위는   ×    C 인데, 이를 “기본전하
 ”라 한다. 즉,     ×    C 이다. 따라서 전자의 전하는     이다.

⑵    ×    kg

⑶ 전자를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그림 13-2와 같이 특정한 원자에 구속되어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구속전자(bound electron)와 특정한 원자 또는 분자에서 떨어져 나와 물
질 내부를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자유전자(free electron)로 구분할 수 있다.

양성자(proton)

⑴    ×   C    : 전자의 전하와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다.

⑵    ×    kg : 전자 질량에 비해 약 배 큰 값이다.

중성자(neutron)
⑴    :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⑵    ×    kg : 전자 질량에 비해 약   배 큰 값이다.

전하
●◯◯◯◯ ◯ : 원자

◯ ◯ ● ◯◯◯◯◯ ◯ : 양이온
원자 양이온 자유전자 ◯◯◯◯
● : 자유전자

그림 21-4 전기적으로 중성상태인 그림 21-5 고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원자가  가 양이온과 자유전자로 분리 일부가 가 양이온과 자유전자로 분리
되는 모습. 되어 있는 모습.

◯ : 원자 ◯ : 양이온 ● : 자유전자


◯◯◯◯


● ●◯◯◯◯ ●
● ◯◯◯◯
● ● ◯◯◯◯


◯◯◯◯◯ ◯◯◯◯◯ ◯◯◯◯◯ ◯◯◯◯◯


◯◯◯◯ ●

◯◯◯◯ ●

◯◯◯◯ ◯◯◯◯

● ●

① ② ① ②
   

그림 21-6  두 물체 모두 전기적으로 중성상태에 있는 모습.  물체  에 있던 자유전자의


일부가 물체  로 이동한 모습.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3 -

대전, 전하의 양자화, 전하보존 그림 21-6  는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일부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이온화 되어 물질 내부에 자유전자와  가 양이온이 생성된 모습이다. 이때 자유전자
의 전하량과  가 양이온의 전하량이 동일하므로 두 물체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두 물체가 적당
한 과정을 통해 그림  와 같이 변한 경우를 생각해 보자. 즉, 물체  에 있던  개의 자유전자가
물체  로 이동한 경우, 물체  의 전하량  과 물체  의 전하량  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21.2)
    (21.3)

이와 같이 물체가 알짜 전하량을 가지는 현상을 “대전(electrification)”이라 한다. 즉, 전기적으로


중성이던 물체가 외부로부터 자유전자를 받아들이거나 외부로 자유전자를 방출하면 대전된다. 이
상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① 그림 21-5 또는 그림 21-6와 같이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일부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


해 이온화 되어 물질 내부에 자유전자와 양이온이 생성된다. 양이온은 격자점에 고정되어 있
지만, 자유전자는 물질 내부에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다. 물질의 전기적 특성을 공부하는
동안 이 그림을 잘 기억해 두자.

② 외부로부터 자유전자를 받아들인 물체는 음으로 대전되며, 자유전자를 방출한 물체는 양으로
대전된다. 즉 물체가 대전되는 현상은 자유전자의 교환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물체의 알짜
전하 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 (21.4)

☞ 물체가 가질 수 있는 전하량은 기본전하의 정수배만 허용되는데, 이를 “전하의 양자화”라


한다.

③ 그림 21-6과 같이 물체가 대전되는 현상은 다른 물체와 자유전자를 교환하는 과정이다. 즉,


전하는 스스로 생성되거나 소멸될 수 없는데, 이를 “전하 보존”이라 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4 -

유도전하 자유전자의 이동에 의해 형성.

그림 21-7

중성 구리막대

음(-)으로 대전된
플라스틱 막대

전기력의 방향

유리막대 유리막대

유리막대 플라스틱막대

그림 21-8

도체, 절연체, 반도체

① 도체 : 금속과 같이 물질내부에서 전하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물질.


② 절연제 : 유리 및 플라스틱 등과 같이 물질 내부에서 전하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물질.
③ 반도체 : 실리콘 및 게르마늄 등과 같이 도체와 절연체의 중간성질을 가지는 물질.

접지, 방전 그림 21-9와 같이 도선을 이용하여 물체와 지


명주실
표면 사이에 전하의 이동로를 만들어주는 것을 접지시킨다고 한
다. 대전된 물체를 접지시키면 물체에 있던 과잉전하(알짜전하) 
 
가 지표면으로 이동하는데, 이와 같이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도선
과잉전하가 이동하는 현상을 방전(electric discharge)이라고 한 지표면

다. 접지된 물체의 알짜전하는 결국   이 된다.  그림 21-9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5 -

라이프세이버 사탕에서 나오는 푸른빛 섬광 그림 21-10은


라이프세이버 사탕을 씹어서 두 조각으로 쪼개질 때 조각  가 조
각  보다 자유전자를 조금 더 가지고 있는 모습이다. 이때 희미한
푸른 빛이 나오는 현상을 다음과 같이 해석해 보자.

조각  에 있는 자유전자는 조각  에 있는 양이온이 당기는 힘에
의해 조각  로 건너뛸 수 있는데, 이때 자유전자가 질소분자와 충
돌하여 자외선을 방출한다. 자외선은 우리 눈으로 볼 수 없지만, 사 그림 21-10
탕표면에 붙어있는 윈터그린향 분자가 자외선을 흡수한 후, 우리가
볼 수 있는 푸른 빛을 방출하므로서 사탕을 씹을 때 푸른 빛이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 
Coulomb의 법칙 1735년 Coulomb는 두 점전 


하  ,  가 그림21-16과 같이 거리  만큼 떨어져
있을 때  에 작하는 정전기력을 다음과 같이 정리. 그림 21-11

  
      (Coulomb의 법칙) (21.5)


    ×   N ‧ m   C  (21.6)
 
   ×    C   N ‧ m  (21.7)

☞   는 자유공간(free space)의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또는 유전율(permittivity).


☞ 자유공간 : 아무 것도 없이 완전히 비어있는 공간. 즉, 완전한 진공상태의 공간.

정전기상수 를 고려하면 Coulomb의 법칙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Coulomb의 법칙) (21.8)
  

☞ 두 점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구할 때, 식 (21.8)을 사용하여 크기와 방향을 한 번에


구해도 좋으나, 숙달되기 전까지는 두 점전하의 부호를 고려하여 방향을 결정하고 크기는
다음 식으로 구하여 그 결과들을 결합시켜도 된다.

   
   (Coulomb의 법칙 : 힘의 크기) (21.9)
  

전기력의 중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10)
        
가  에 작용하는 정전기력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6 -

보기문제 21.01) 전하량이    ×   C ,     ×    C ,        ×   C 인


 개의 점전하가 있다. 이들이 그림 21-12, ,  와 같이 위치해 있을 때,  에 작용하는
힘을 구하시오. 단   m 이고,     이다.

그림  의 풀이 :  과  의 부호가 동일하므로  는 그림  와 같이  방향이다. 여기서 힘


의 크기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따라서 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N 


그림  의 풀이 :
 과  의 부호는 동일하고,  과  의 부호는
서로 다르므로  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그림  와 같다.  
는 앞 문제에서 구했으므로,   의 크기만 다음과 같이 구해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따라서  에 작용하는 힘 
 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N     ×   
 N 
 
   ×   N 
그림 21-12

그림  의 풀이 : 문제에 제시된 조건에서    ,    이므로    이다. 그리고 전하들
의 부호를 고려하면  에 작용하는 힘을 그림   와 같이 그릴 수 있다. 따라서  가  에 작용하
는 힘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cos   sin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N 

따라서  에 작용하는 힘 
 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7 -

보기문제 21.02) 그림 21-13  와 같이  은 원점에 위치해


그림 21-13
있고,  는   인 지점에 있다.   ,    일 때
전하량이  인 양성자를 어떤 위치에 놓을 때 평형(양성자에
작용하는 알짜 힘이 인 상태)을 이룰 수 있는가? 이 평형은
안정한가, 불안정한가?

풀이) 양성자는 양의 전하  를 가지는데(  ), 양성자가


위치하는 영역별로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을 살펴보자.

1) 그림  와 같이 양성자가      영역에 위치할 때.

 이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  과  가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



 가 모두  방향을 향하므로 이들의 합이 이 될 수 없으

므로 이 영역에서 평형을 이룰 수 없다. 

2) 그림  와 같이 양성자가    영역에 위치할 때.

 과  가 각각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은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인데     이고,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      을


만족하는 평형점은 없다.( 차원 문제이므로, ±부호로   과  방향을 표현했다.)

3) 그림  와 같이 양성자가    영역에 위치할 때.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따라서   을 만족하는 위치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d)

제곱근을 구할 때  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때는     이 된다. 이는 의미가 없는 해이므로


버려야 된다.

    이 안정한 평형점이 되려면 양성자가     에서  방향으로 약간 이동했을 때 식 (c)


로 표현되는 힘이  방향을 향하고,  방향으로 약간 이동했을 때 힘이  방향을 향해야 되
는데, 식 (c)를 보면 힘이 양성자가 평형점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    은 불안정
한 평형점이다.(안정한 평형점이 되려면 물체가 평형점에서 벗어났을 때 작용하는 힘이 복원력 형
태로 작용해야 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8 -

보기문제 21.03) 그림 21-14  는 동일한 두 도체공 ,  가 거리 만큼 떨어져 있는 모습이다.


이때 공  에는   의 양전하가 대전되어 있으며 공  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공의 크기에 비
해 가 매우 크다고 생각하고 다음을 답하시오.

         
그림 21-14

(a) 두 도체공을 도선으로 연결했다가 시간이 충분히 경과한 후, 도선을 제거했을 때 두 도체공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의 크기는 얼마인가?

풀이) 두 도체공일 동일한 경우, 그림  와 같이 두 도체공을 도선으로 연결시켜주면 이들이 평


형을 이룰 때까지 방전되어 그림  와 같이 각각의 공에 동일한 전하량이 분포한다. 따라서 이때
작용하는 정전기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b) 다음은 도체공  를 그림  와 같이 접지시켜 완전히 방전되었을 때, 이들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은 어떻게 되는가?

풀이) 그림  와 같이 도체공  가 완전히 방전되면 공  의 알짜 전하량이 이므로, 두 공 사이


에 작용하는 정전기력도 이 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9 -

21-2 전하는 양자화되어 있다

전하의 양자화는 21-1절에서 이미 살펴본 바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물체가 가지고 있던 자유전자를 빼앗기거나 외부로부터 자유전자를 받아들일 때 물체가 대전


된다. 즉 물체가 가지는 알짜 전하량 는 자유전자의 이동에 의한 결과이므로, 물체의 알짜
전하량은 자유전자 전하량의 정수배만 허용되는데,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21.11)


보기문제 21.04) 철 원자의 핵은 반지름이 약   ×  m 이고,  개의 양성자를 가지고 있다.

(a)   ×     떨어져 있는 두 양성자가 서로 밀어내는 정전기력의 크기를 구하시오.

풀이) 양성자의 전하량은      ×    C 이므로, Coulomb의 법칙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


이 두 양성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a)
       ×  

(b) 두 양성자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얼마인가?

풀이) 양성자의 질량은    ×   kg이므로, Newton의 법칙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두
양성자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b)
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10 -

21-3 전하는 보존된다.

이미 여러 번 고찰한 바와 같이 물체가 대전되거나 방전되는 현상은 자유전자가 한 물체에서 다


른 물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즉 고립계의 알짜 전하량은 언제나 일정하므로, 고립계의 전하량은
보존된다.

원자핵이 다른 종류의 원자핵으로 변화하는 원자핵의 방사성 붕괴에서도 전하가 보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예로서 다음과 같은 방사성 붕괴를 고찰해 보자.

 
U Th   He (21.12)
입자

우라늄  (질량수가  인 우라늄)은 원자번호가    이므로 양성자 수가  개 이고,


토륨 는 원자번호가   이므로 양성자 수가 개 이다. 그리고 입자는 헬륨의 원자핵인
데 헬륨은 원자번호가   이므로 양성자 수가  개 이다. 따라서 붕괴 전 후에 양성자 수의 변
화가 없으므로 방사성 붕괴과정에서도 전하가 보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질량수도 변화가
없다.

전하보존의 또 다른 예로서 반입자들의 쌍생성과 소멸과정을 고찰해 보자. 1928년 Dirac은 전자


(  )와 질량과 스핀은 같으나 전하량이 반대인 입자의 존재를 예언했다. 이와 같이 질량과 스핀은
동일하나 전하량이 반대인 입자를 반입자(antiparticle)라 한다. 전자에 대응되는 반입자를 양전자
(  , positron)라고 한다. 전자  양전자 쌍은 대전된 고에너지 입자나   선이 물질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쌍생성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쌍생성) (21.13)

그리고 쌍생성의 역과정, 즉 전자와 양전자가 두 개의   선으로 변환되는 쌍소멸 과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쌍소멸) (21.14)

식 (21.13)과 (21.14)의   선은 동일한 것이 아니고 에너지가 서로 다른 별개의   선 이다. 이


와 같은 반입자들의 쌍생성과 소멸과정에서도 과정의 전과 후에 알짜전하량이 모두 이므로 전하
가 보존됨을 알 수 있다.

반입자에 대한 내용은 44장에서 공부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2장 전기장 - 1 -

제 22 장 전기장

22-1 전기장

양의 시험전하  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이  인 경우, 대전된 물체가


 가 놓여있는 점  에 만든 전기장  를 다음과 같이 정의.

 점 의
 
  (전기장) (22.1) 시험전하
 대전된
물체
☞ 전기장 
 의 단위는 N C .
 

그림 22-1
전기장선

점  에서
① 전기장의 방향은 전기장선의 접선 방향과 일치. 전기장

② 전기장의 크기는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전기장선의 수에 비례.

③ 전기장선의 방향은 양전하(positive charge)에서 나오며, 음전하 


(negative charge)로 들어가는 방향.

④ 전기장선은 서로 교차할 수 없다.

◯ ◯

그림 22-2 양(positive)으로 대전된 그림 22-3 음(negative)으로 대전된


구 형 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선의 모습. 구 형 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선의 모습.
백종성의 강의노트 22장 전기장 - 2 -

그림 22-4 그림 22-5

면전하

그림 22-6 양으로 대전된 무한평면


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선의 모습.(평면을 그림 22-7양으로 대전된 무한히 긴
옆에서 관측한 모습이다.) 직선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선.

  
22-2 점전하가 만드는 전기장 ●
  

점전하가 만드는 전기장 그림 22-8


 



  
   

  
   (점전하 가 만드는 전기장) (22.3)
    

☞ 
 은 점전하  에서 점  를 향하는 단위벡터이므로, 양전하  가 만드는 전기장은   의 방향

과 같고, 음전하  가 만드는  과 반대 방향이다.( 양전하는    , 음전하는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2장 전기장 - 3 -

점전하계가 만드는 전기장 개의 점전하가 모여서 이루어진 점전하 무리의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22.5)
      

☞ 
  :  에서 점  를 향하는 단위벡터.  :  에서 점  까지 거리.

보기문제 22.01) 세 점전하     ,    , 그리고     가 그림 22-9와 같이 위치


해 있다. 이들이 원점에 만드는 전기장을 구하시오. 단,   이다.

   
그림 22-9  

풀이) 원점을 중심으로  과  는 대칭을 이루고 있고    ,     이므로 이들이 원점에


만드는 전기장의 크기와 방향이 동일하다. 이들의 부호를 고려해 볼 때, 전기장은 원점에서  를
향하는 방향이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그림 참조)]

  
  
    cos   sin  
  
원점에서 를 향하는 단위벡터
전기장의 크기

그리고  는 음전하이므로  가 만드는 전기장 


 는 그림 와 같이 원점에서  를 향하므로,

  
    cos
  sin 

  
원점에서  를 향하는 단위벡터

와 같다. 따라서 원점에 형성되는 전기장 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cos  sin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cos o
   
   
  
    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2장 전기장 - 4 -

22-3 전기쌍극자가 만드는 전기장



전기쌍극자모멘트
    
(22.6)

☞  : 크기는 두 점전하 사이의 거리  이고, 방향은   에서   를 향한다. 

그림 22-10

그림 22-11   와  가 점  에 만드는 전기장  및 


 는 각
각   축 방향과   축 방향을 향한다. 따라서 ± 부호로 전기장의
방향을 표현하면, 이들이 점  에 만드는 전기장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7)

여기서   인 경우를 고려해보자.   이면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쌍극자
± (22.8) 중심

이다. 따라서   인 경우 점  에서 전기장은 다음과 같다. 그림 22-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9)

전기장  의 부호가 “ ”이므로 점  에서 전기장은   축 방향을 향한다. 따라서 식 (22.9)를


다음과 같이 벡터형태로 쓸 수 있다.

    
        (22.10)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2장 전기장 - 5 -

보기문제 22.02) 그림 22-12는 도깨비불 사진이다. 이와 같은



도깨비불은 그림  와 같이 지표면에서 구름 쪽으로 거대한 양의
음전하가 이동할 때, 관측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높이가 인 지점
으로 음전하  가 이동하므로서 지표면 아래  인 지점에  
가 유도되어 전기쌍극자가 형성된 다고 가정하자.    C 이
고,    km 이라고 할 때, 고도    km 인 지점과 
    km 지점에서 전기장을 구하라. 구름

전하
  
풀이) 지표면을 원점으로 취하면 고도가  인 지점에서 전기장의 이동  
크기는 다음 식과 같으며, 방향은 지표면을 향하는 방향이다. 지표

    
  (a)
    
그림 22-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C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C  (c)
        × 

22-4 선전하가 만드는 전기장

연속적인 전하분포가 만드는 전기장 연속적인 전하분포는 미소전하 가 연속적으로 존


재하는 경우.

 
    (22.11)
  

☞ 
 :  에서 점  를 향하는 단위벡터.  :  에서 점  까지 거리.

① 선전하가 만드는 전기장 : 선전하밀도  는 단위 길이( m )에 분포하는 전하량을 의미.  에


분포하는 전하량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22.12)
그림 22-13
선적분


         C  m  (22.13)

          (22.14)
백종성의 강의노트 22장 전기장 - 6 -

② 면전하가 만드는 전기장 : 면전하밀도 는 단위 면적( m )에 분포하는 전하량을 의미하는


데, 이를 도입하면 미소면적  에 분포하는 전하량은    .

    
 
  
  
 

 
(22.15)

면적분

③ 부피전하가 만드는 전기장 : 부피전하밀도 는 단위 체적( m  )에 분포하는 전하량인데, 이


를 미소부피  에 존재하는 전하량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16)

부피적분

원형 고리에 분포하는 전하가 만드는 전기장


  (22.17)
 
    (22.18)

가 점  에 만드는 전기장의 크기  :

    
       (22.19)
        

전기장  
는  축에 수직한 성분  과 평행한 성분  으로 분해할
수 있는데, 가 원점  에 대해 대칭적으로 분포하므로, 들이 점 
에 만드는 전기장의 수직성분  는 상쇄된다.  ∥   cos 의 관계
그림 22-14
를 고려하면, 점  에 형성되는 전기장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20)

반지름이  인 원주를 따라 전하가


와 은  의 함수가 아니므로
분포하므로, 적분구간은 원주의 길이
적분 밖으로 나갈 수 있다.

  인 경우,

   
     (22.21)
  
    

원형 고리의 중심(   )에서,

   
     (22.22)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2장 전기장 - 7 -

보기문제 22.03) 그림 22-15  는 반지름이  이고 중심각이  인 원호를 따라 놓여있는 플라


스틱막대에 전하  가 균일하게 분포해 있는 모습이다. 이와 같은 전하분포가 원점에 놓여있는
점  에 만드는 전기장을 구하시오.

로 대전된
플라스틱 막대


′

대칭요소 ′

그림 22-15

풀이) 그림  를 고려하면 원호의 미소길이는    이고,  에 존재하는 전하는     이


다. 여기서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a)
 
    
   

그림  에서 와 ′ 은 음전하이므로, 이들이 만드는 전기장은 각각 점  에서 와 ′ 를 향


하는 방향이다. 그런데 와 ′ 은  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분포하므로, 와 ′ 이 만드는 전기
장의  성분은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점  에 형성되는 전기장은 가 만드는 전기장의  성분만
남게 되므로 점  에서 전기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cos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sin        sin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결국 전기장  는   방향을 향하므로, 식 (a)로 표현되는 선전하밀도를 식 (b)에 대입하면 점


 에 형성되는 전기장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c)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2장 전기장 - 8 -

22-5 대전된 원판이 만드는 전기장

반지름이  인 원형 고리에 전하 가 균일하게 분포할 때, 고리의 중심에서


 축 방향으로  만큼 떨어진 점  에 형성되는 전기장 :

 
  (22.23)
     

그림 22-14의 원형 고리와 그림 22-17에 표현된 원형 고리 띠를 서로 비


교해 보면, 식 (22.23)의 물리량을 다음과 같이 변환!

  : 원형 고리 띠의 반지름 (22.24)

        : 원형 고리 띠의 전하 (22.25)

  : 가 점  에 만드는 전기장 (22.26)

원형 고리 띠의 전하 가 점  에 만드는 전기장  : 그림 22-17

   
     
  (22.27)
           

따라서 대전된 원판이 점  에 만드는 전기장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28)

  이면 대전된 원판을 무한평면전하로 생각할 수 있는데, 식 (22.28)을 고려하면  인 경


우 전기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분무기
   (22.29) ● ● ●

 

● ●
● ●



분무된 ● ●
● ●

기름방울 ●
● ●

절연된


22-6 전기장 안의 점전하 상자벽

기름 
방울 
기본전하의 측정 미국의 물리학자 Millikan은 기본전 현미경

하  를 측정하기 위해 그림 22-19와 같은 장치를 사용.


그림 22-19
       ±  ±    (22.31)
백종성의 강의노트 22장 전기장 - 9 -

보기문제 22.04) 질량이 이고 전하량이  인 입자가 초


기속도   로 그림 22-20과 같이   방향으로 균일한 전기 그림 22-20
장이 형성된 공간에 입사되었다. 거리  을 이동하는 동안
편향된 거리 를 구하시오. 단,  는 음전하이다.

  
풀이)        (a)

입자가 거리  을 이동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로 놓으면,


      (b)


따라서 편향된 거리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


22-7 전기장 안의 쌍극자

전기쌍극자에 작용하는 힘 


        
 (22.32)

    
    
 (22.33) 그림 22-21

  
  
  
   
   (22.34)

전기쌍극자에 작용하는 토크

  
  × 
   × 
     × 
 (22.35)
  
각각 질량중심에서  및   까지의 위치벡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3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37)
  
 

전기쌍극자의 위치에너지

    sin (22.38)
☞ “ 부호”는  가 작용하면 전기쌍극자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
 
    

     
  sin     cos  

   cos   cos        cos    


 (22.39)
백종성의 강의노트 22장 전기장 - 10 -

보기문제 22.05) 수증기 상태에 있는 중성의 물분자(H O )는    ×   C m 의 전기쌍극자


모멘트를 가지고 있다.

(a) 쌍극자를 형성하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중심들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가?

풀이) 물 분자에는 열 개의 양성자와 전자가 있으므로, 물분자의 전기쌍극자모멘트는    


이다. 따라서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C m
         ×    m    pm
   ×   C 

(b) 물분자가    ×   N  C 의 전기장 안에 위치할 때, 물분자에 작용하는 최대 토크는 얼마


인가?

풀이) 식 (22.38)로부터 토크의 최대값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 ax     ×    C m  ×   N  C    ×    N m

(c) 쌍극자가 완전히 정렬된     인 위치에서 방향이   바뀌는 동안 외력이 쌍극자에 해준
일은 얼마인가?

풀이) 외력이 해준 일  와 전기력이 한 일  는 부호가 반대이므로 다음과 같이  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sin     cos  
   
 
 
   ×  C m  ×   N C   ×    J
백종성의 강의노트 23장 Gauss의 법칙 - 1 -

제 23 장 Gauss의 법칙

23-1 전기다발 그림 23-1

면적벡터의 면적벡터의 크기는 면의 넓이, 그리고


방향은 물체의 표면에 수직하면서 물체 내부에서 밖을 

 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
  
     (오른쪽 면) (23.1)

    
 (왼쪽 면) (23.2) 

Gauss 면 어떤 전하를 포함하는 가상적인 폐곡면을 “Gauss 면”이라 한다.

전기다발  그림 23-3과 같이 전기장이 


 인 공간에 놓여있는 작은 면적

∆  를 통과하는 전기장 다발 ∆ 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23.5)
  
  
 (23.6)

면  를 통과하는 전기장 다발 : 그림 23-3

  
  
 (23.7)

면적적분의 적분구간

폐곡면(closed surface)  를 통과하는 전기장 다발은 적분기호에 “ ”를 붙여서 표시 :

    
 (Gauss 면을 통과하는 전기장 다발, 단위는 N m  C ) (23.8)

식 (23.5)를 고려하면 전기장의 크기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  (23.9)
∆
☞ 여기서, ∆  는 전기장선에 수직한 미소 면적임을 주목하자!
백종성의 강의노트 23장 Gauss의 법칙 - 2 -

보기문제 23.01) 그림 24-4와 같이 반지름이


Gauss 면
인 원통 모양의 Gauss 면이 원통의 축에 그림 23-4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균일한 전기장  안
에 놓여있다. Gauss 면을 통과하는 전기장
다발을 구하시오.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각각 원통의 오른쪽 면과 왼쪽 면의 면적을 의미(    )

보기문제 23.02) 그림 23-5와 같이 한 변의 길이가


 m 인 정육면체로 구성된 Gauss 면이 있다. 공간에 Gauss 면
형성된 전기장이         N C 인 경우, 오
른쪽 면, 왼쪽 면, 그리고 윗면을 통과하는 전기장 다
발  ,  ,  를 구하시오.

풀이) 오른쪽 면에서   이므로 


  
  
이 그림 23-5
다. 그리고 면적벡터는   방향을 향하므로,  은 다
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N


m  C 

왼쪽 면에서   이므로 
  
  
 이다. 그리고 면적벡터는   방향을 향하므로,  은 다
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N m  C 

윗면에서 면적벡터가   방향을 향하므로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N

m  C 
백종성의 강의노트 23장 Gauss의 법칙 - 3 -

23-2 Gauss의 법칙

Gauss의 법칙  (Gauss 면)를 통과하는 알짜 전기장 다발 와 폐곡면 내부에 존재하는 알짜


전하량   사이의 관계를 설명.

     (Gauss의 법칙) (23.10)

  
   (Gauss의 법칙) (23.11)

⑴  : Gauss 면 내부에 존재하는 총 알짜 전하량.

⑵ 
 : Gauss 면을 구성하는 미소면적벡터.

⑶ 
 : 
 가 위치한 지점의 전기장.

Gauss 법칙과 Coulomb 법칙 Gauss 면


Gauss 면 내부에 존재하는 알짜 전하는    이므로, Gauss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23.13) 그림 23-8

결국 전기장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23.14)
      

☞ 이 결과는 Coulomb의 법칙을 사용하여 구한 식 (22.3)과 동일하다. 따라서 Gauss의 법칙과


Coulomb의 법칙은 표현방식은 다르지만 동일한 물리현상을 설명하는 법칙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3장 Gauss의 법칙 - 4 -

보기문제 23.03)   ,    ,    cm ,    cm ,    cm .


( 교과서에는 의 값이 제시되지 않았음. 풀이과정은 수업시간에!)

보기문제 22.04) “보기문제 23.02”에 제시한 Gauss


면 안의 알짜 전하는 얼마인가? Gauss 면

풀이) 이미 오른쪽 면, 왼쪽 면, 윗면을 통과하는 전


기장 다발은 구했다. 따라서 앞면, 뒷면, 그리고 밑면
(base)을 통과하는 전기장 다발  ,  ,  를 다음
과 같이 구하자. 그림 23-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m  C 
  

이상의 결과로부터 Gauss면을 통과하는 전기장 다발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m  C 

여기서 Gauss의 법칙을 사용하면,  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C   N m   N m  C    ×   C


백종성의 강의노트 23장 Gauss의 법칙 - 5 -

23-3 고립된 도체

그림 23-9 그림 23-10

고립된 도체

구리표면 Gauss 면

Gauss 면 구리표면

외부 전기장

 도체 도체외부
내부

 그림 23-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도체 안에서    와  는 수직, 


 
 . 
 와 
 는 평행, 
 
  

             



 (23.16)


  (23.17)


보기문제 23.05) 그림 23-12와 같이 안쪽 반


그림 23-12
지름이 인 두꺼운 도체 구껍질 내부에
    C 의 음전하가 존재할 때, 구껍질 안쪽
및 바깥쪽 표면에 유도되는 전하량은 얼마인가?

풀이) 도체내부에서 전기장이  이므로, 그림 


와 같이 Gauss 면을 취하면 Gauss 면 안에 존
재하는 알짜 전하가  이 되어야 하므로, 구껍질   
안쪽 표면에        C 의 전하가 유도
되고,        C 의 전하가 바깥쪽 표면에 유도된다. 따라서 그림 와 같이 전기장
선이 형성된다.(전기장은 전기장선의 접선방향)
백종성의 강의노트 23장 Gauss의 법칙 - 6 -

23-4 Gauss 법칙의 적용: 원통대칭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와  는 수직, 
 
 . 
 와 
 는 평행, 
 
  

              



  일정 원통 옆면적은 
 
   (23.18)
     

보기문제 23.06) 음으로 대전된 비구름에 그림 23-14


의해 몸 안의 전도전자 일부가 그림 23-15
 와 같이 땅으로 빠져나가면 사람의 몸은
Gauss 면 양으로 대전되어 상향방전이 나타난다. 상향
방전이 발생하기 위한 임계
전기장이      MN  C 인
그림 23-15
경우, 사람을 길이가  m ,
반지름이   m 인 원통으로 상향
생각할 때, 식 (23.18)로부 방전
터 상향방전이 일어나기 위

그림 23-13 한 전하량  는 다음과 같


    
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  C
백종성의 강의노트 23장 Gauss의 법칙 - 7 -

23-5 Gauss 법칙의 적용: 면대칭

얇은 절연체판 그림 23-18  와 같이 무한히 크고 얇은 절연체판에 양의 면전하가 균일하게


분포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면전하밀도 )

  그림 23-1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와 
 는 평행, 
 
   와  는 수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정 원통 옆면적은 
 
   (23.19)
    

☞ 면전하밀도가 인 절연체판이 만드는 전기장의 방향은 판에 수직하고, 크기는    .
 

두 도체판

그림 23-23

  
   (23.26)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3장 Gauss의 법칙 - 8 -

보기문제 23.07) 그림 23-26 와 같이 각각     C m  ,       C m  의 면전하밀도


를 갖는 넓은 두 평행판이 있다. 평행판들의 왼쪽과 오른쪽, 그리고 평행판 사이에서 전기장 ,
  ,   를 구하시오.

그림 23-26

풀이) 양전하(  )와 음전하(  )가 만드는 전기장의 크기   ,  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   
     ×   N  C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NC  (b)
     ×    

그림  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  ,   ,   를 구할 수 있다.(오른쪽 방향을  , 왼쪽방향을


 로 표현한다.)

            ×  NC    ×  NC     ×  NC  (c)

            ×  N C    ×  N C     ×  N C  (d)

            ×  N C    ×  N C     ×  N C  (e)

23-6 Gauss 법칙의 적용: 구대칭

껍질 정리

외부   를 Gauss 면으로 취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23-27
  (구 껍질 외부) (23.27)
  

☞ 구 껍질의 모든 전하가 그 중심에 모여 있는 것처럼 구 껍질 외부에 놓여있는 전하에 정전


기력을 작용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3장 Gauss의 법칙 - 9 -

내부  을 Gauss 면으로 취하면,     .

      (23.28)

식 (23.28)이 항상 성립하려면,    이어야 하므로, 구 껍질 내부에서 전기장은 다음과 같다.

   (구 껍질 내부) (23.29)

☞ 구 껍질 내부에서 전기장이    이므로, 구 껍질 내부에 존재하는 전하에 작용하는 정전


기력은  이다.

구형 전하분포 전하가 균일하게 분포하는 구 껍질이 모여서 구형 전하분포를 이룬다고 생각할


수 있다.

반지름이  인 구 내부에 부피전하밀도 가 구의 중심  로부터 떨어진 거리  의 함수로 주어지


는 경우,

   
    (23.30)

와 같이 부피적분을 통해  를 구한다. 따라서 구 내부에서 전기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23.31)
  

Gauss 면
균일한 구형 전하분포 반지름이  인 구 내부에 전하  가 균일
하게 분포할 때, 구 내부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구해보자.

부피전하밀도가 균일한 경우 전하량은 부피에 비례하므로, Gauss 면
을 그림 23-28과 같이 취하면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23.32)
  

따라서 다음과 같이 Gauss의 법칙을 정리할 수 있다. 그림 23-28

 

 
    
              
 

(23.33)

와  는 평행,   일정 Gauss 면을 구성하는 모든  를 합하라는 뜻.



 
     
이는 반지름이  인 구의 표면적(  ).

결국 전기장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균일한 전하밀도,   에서 전기장) (23.34)
백종성의 강의노트 24장 전기퍼텐셜 - 1 -

제 24 장 전기퍼텐셜

24-1 전기퍼텐셜

전기 퍼텐셜에너지 변화 ∆

∆       (24.1)

☞   는 계의 처음 전기 퍼텐셜에너지이고,   는 마지막 전기 퍼텐셜에너지.

대전된 입자들 사이의 거리가 만큼 떨어져 있는 상태를 전기 퍼텐셜에너지의 기준으로 정하면,


    이므로 마지막 상태의 전기퍼텐셜에너지를  라고 하면,

   (24.2)

☞  는 계가 처음 상태(입자들이 서로 만큼 떨어져있는 상태)에서 최종 상태(입자들이 서


로 유한한 거리에 있는 상태)로 변하는 과정에서 정전기력이 계에 해준 일이다.

전기퍼텐셜 전기장이  인 공간에 놓여있는 점전하  의 전기 퍼텐셜에너지가  인 경우, 점전


하  가 위치한 지점의 전기퍼텐셜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24.3)

☞ 전기퍼텐셜의 단위는 볼트(V , volt).  V   J  C .

전기 퍼텐셜에너지 식 (24.3)을 고려하면, 점전하  가 전기퍼텐셜이  인 지점에 놓여있을


때,  의 전기 퍼텐셜에너지  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24.4)

두 점 사이의 전기퍼텐셜차 식 (24.3)과 전기 퍼텐셜에너지의 정의를 고려하면 전기장 안의


두 점 와  사이의 전기퍼텐셜차 ∆  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24.5)
    

☞  는 전기장 안에서  를 에서  로 이동시킬 때 정전기력이 한 일이다.


   (전기퍼텐셜의 정의) (24.6)

☞  는 전기장 안에서  를 에서 마지막 위치로 이동시킬 때 정전기력이 한 일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4장 전기퍼텐셜 - 2 -

외력이 한 일 외력 
 과 전기력 
 는 서로 반대방향.     .

         ∆     ∆  (24.7)  


 


전자볼트 기본전하  를 전기퍼텐셜이  V 만큼 차이가 있는 지점으로


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 V (전자볼트)로 정의. 그림 24-2

 V    V     ×   C  J  C     ×    J

보기문제 24.01) 지표면 근처에는 연직하방으로    N  C 의 균일 그림 24-1 


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에서 전자가 연직상방으로
   m 만큼 이동할 때 전자의 전기퍼텐셜에너지의 변화 ∆  는 얼
마인가?

풀이) 그림 24-1과 같이 연직상방을   방향으로 취하면 다음과 같이 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J 

24-2 등퍼텐셜면과 전기장

등퍼텐셜면 전기퍼텐셜이 동일한 점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면. 등퍼텐셜면과 전기장은 수직.

식 (24.5)로부터 점  에서 점  로 점전하  가 이동 그림 24-3


 
할 때, 정전기력이 한 일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24.8)  

 
그림 24-3은 퍼텐셜이 각각   ,   ,   ,   인 
개의 등퍼텐셜면의 모습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4장 전기퍼텐셜 - 3 -

전기장에서 퍼텐셜 구하기

전기장이  인 공간에 놓여있는 시험전하  가 점  경로 전기장선 그림 24-4


에서 점  로 이동할 때, 정전기력이 한 일을 고려하
면, 두 점사이의 퍼텐셜 차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7)

점  를 퍼텐셜의 기준으로 정하면     이므로, 점  에서 퍼텐셜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24.8)

보기문제 24.02) 옆 그림을 고려하여 다음을 답


하라.

(a) 그림  와 같이 균일한 전기장 


 안에서
두 점  와  는 같은 전기장선 위에 있으며 거리
 만큼 떨어져 있다. 양의 시험전하  를 전기장
과 평행한 경로를 따라  에서  로 이동시키는 그림 24-5
경우에 대해 정전기력이 한일을 고려하여 두 점   
사이의 퍼텐셜차를 구하시오.

풀이) 전기퍼텐셜의 정의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b) 그림  와 같은 경로를 고려하여 “문제 (a)”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라.

풀이) 그림을 고려하면, “문제 (a)”와 비슷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cos    

  cos 
sin
  (b)
백종성의 강의노트 24장 전기퍼텐셜 - 4 -

24-3 점전하에 의한 퍼텐셜

양의 점전하 가 만드는 퍼텐셜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  

      
  
  

  
 24-6

 
 
   
가  가 위치한 지
점에 만드는 전기장
    
      (24.9)
       

     이므로   ,  로 변환하면, 식 (24.9)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
   (점전하  가 만드는 전기퍼텐셜) (24.10)
  

점전하 무리가 만드는 퍼텐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11)

보기문제 24.03) 그림 24-7와 같이 한 변


의 길이가    인 정사각형의 꼭지점에
 개의 점전하     nC ,     nC ,
    nC ,     nC 가 놓여있을 때
정사각형의 중심  에서 전기퍼텐셜은 얼마인
가?
그림 24-7

풀이)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사각형의 꼭지점에서 정사각형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    이므


로 점  에서 퍼텐셜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 


그리고 그림  의 점선은 점  와 퍼텐셜이 같은 등퍼텐셜 곡선의 모습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4장 전기퍼텐셜 - 5 -

보기문제 24.04) 다음을 답하시오.

(a) 그림 24-8  는  개의 전자가 반지름이


 인 원주에 동일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는
모습이다. 원의 중심에서 퍼텐셜과 전기장을
구하시오.

풀이)  개의 전자가 원의 중심  에 만드는


퍼텐셜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그림 24-8

그리고  개의 전자가 원의 중심  에 대해 대칭적으로 분포하므로 이들이  에 만드는 전기장은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 에서    이다.

(b) 그림  와 같이  개의 전자가 분포할 때  에서 퍼텐셜과 전기장은 어떻게 되는가?

풀이) 퍼텐셜은 스칼라량이기 때문에  에 형성되는 퍼텐셜은 “문제


(a)”와 동일하다. 그러나 전자들의 분포가 원의 중심  에 대해 대칭
을 이루지 않으므로 전기장은  이 아닌 값을 가진다.

24-4 전기쌍극자가 만드는 퍼텐셜

그림 24-9 전기쌍극자의 방향은   축 방향을 향하며, 그 중심


은 원점에 있다.   와   가 점  에 만드는 퍼텐셜을   와   ,
그리고   와   에서 점  까지의 거리를 각각  ,  로 놓으면
점  에서 퍼텐셜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그림 24-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12)

  이면    이고, 그림  와 같이  와  가 평행하므
로,      cos 이다. 이를 고려하여 식 (24.12)를 다시 정
리하면 점  에서 퍼텐셜은 다음과 같다.

  cos   cos
   
  (24.13)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4장 전기퍼텐셜 - 6 -

24-5 연속적인 전하분포가 만드는 퍼텐셜

연속적인 전하분포는 점전하가 거의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이므로, 전기퍼텐셜은 다음다.

 
  (24.19)
 

☞  :  에서 전기퍼텐셜을 구하고자하는 지점까지의 거리.

① 선전하가 만드는 전기퍼텐셜 : 단위 길이당 전하밀도  를 도입하면    .

  
  
 

 
   

(24.20)

② 면전하가 만드는 전기퍼텐셜 :단위 면적당 전하밀도  를 도입하면    .

   
  
 

 
  
(24.21)

③ 부피전하가 만드는 전기퍼텐셜 : 단위 부피당 전하밀도  를 도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24.22)

직선전하 그림 24-10와 같이 길이가  이고 선전하밀도가(  )인 가는 막대.(교과서에는


 대신  로 표현!)

 에서 점  까지의 거리  :

      (24.33) 
 
 가 점  에 만드는 전기퍼텐셜  : 
   
       (24.34)
         
 그림 24-10
따라서 전체 선전하가 만드는 전기퍼텐셜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35) 

식 (24.35)의 적분은 쌍곡선 함수(hyperbolic function)를 도입

하면 해결된다.  를  sinh 로 치환하면, 적분계산에 필요한 물
리량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4장 전기퍼텐셜 - 7 -

  sinh (24.36)


  cosh    cosh  (24.3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h   (24.38)

식(24.36) (24.38)을 식 (24.35)에 대입하면,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   cosh 
 
      
 
      cosh 
 
 
 





       (24.39)
 

식 (24.39)는 계산이 완전히 종료된 상태가 아니다. 적분계산과정에서  를  sinh 로 치환했으므


로, 적분구간도  에 대한 구간으로 변경해야 되는데,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이  를  의 함수로 표
현하면 해결된다.

식 (24.36)을 고려하면 다음 관계식을 만들 수 있다.

      
 sinh              (24.40)
  

식 (24.40)에 근의 공식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24.41)

  이므로, “  ”부호의 항은 버린다.

을 얻는다. 식 (24.41)의 양변에 자연로그(밑이  인 로그)를 취하면,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ln   ln  
    


  



  ln  
   


   (24.42)

식 (24.41)을 식 (24.39)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 가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ln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ln (24.42)
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4장 전기퍼텐셜 - 8 -

대전된 원형 고리

그림을 고려하면       이므로, 점  에 형성되는 퍼텐셜은 다음 그림


24-11
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43)

고리에 존재하는 총 전하 를 의미

대전된 원판 그림 24-12와 같이 반지름이  인 원판을 반지름이  ′


이고 폭이  ′인 원형 고리가 모여서 원판이 구성되었다고 생각!
그림
24-12
원형 고리에 존재하는 전하는      ′ ′  . 식 (24.43)를 고려하면
원형 고리 전하  가 점  에 만드는 퍼텐셜  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으로 변환)
     ′ ′
     (24.44)
   
 ′    
    ′

따라서 대전된 원판이 점  에 만드는 퍼텐셜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45)
 

24-6 퍼텐셜에서 전기장 구하기

양의 시험전하  가 미소변위   만큼 인접한 등퍼텐셜면


으로 이동할 때, 전기력이 한 일  와 전기 퍼텐셜에너지
의 변화는 부호가 반대이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24.46)

 두 개의
 로부터,    및    
 등전위면
그림 24-13
그림 24-13을 고려하면, 전기력이 한 일  :

             cos   (24.47)


백종성의 강의노트 24장 전기퍼텐셜 - 9 -

따라서 식 (24.46)과 식 (24.47)로부터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cos        cos   (24.48)


그림 24-13과 같이   방향으로 좌표축  를 선정하면,  cos 는 전기장의  성분, 즉   가 된다.


그리고   는  축을 따라 관측한  의 변화(변수  가 관측함 함수  의 기울기)이므로,  에
여러 개의 변수가 포함된 경우,   는 편미분 형태로 바꿔야 된다. 따라서 식 (24.48)을 다음
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24.49)


 가 오직  만의 함수이면, 즉      와 같이 변수 한 개만 포함하고 있는 경우 :


    (24.50)


전기장이 균일한 경우 :

∆
   (24.51)
∆

     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24.52)
  

     인 경우 :


    (24.53)


보기문제 24.05) 반지름이  인 원판이 면전하밀도  로 균일하게 대전되어 있을 때, 원판의 중심


축을 따라  만큼 떨어진 점에 형성되는 퍼텐셜은 식 (24.25)로부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a)
 

이를 사용하여 원판의 중심축을 따라  만큼 떨어진 점에서 전기장을 구하시오.

풀이)  가 오직  만의 함수이므로, 편미분을 전미분으로 바꿔서 풀이해도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이 결과는 22-7절에서 Coulomb의 법칙을 사용하여 구한 결과와 동일하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4장 전기퍼텐셜 - 10 -

24-7 대전입자계의 전기 퍼텐셜에너지

전기퍼텐셜 의 정의(   )를 고려하면, 점전하  가 전기퍼텐셜이  인 지점에 놓여있을


때,  의 전기 퍼텐셜에너지  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24.59)

그림 24-14와 같이 두 점전하  과  가 거리  만큼 떨어져 있을 때,  이  가 위치한 지점에


만드는 전기퍼텐셜 :

 
  (24.60)
   그림 24-14

두 점전하  과  가 거리  만큼 떨어져 있을 때, 이 계의 전기 퍼텐셜에너지  :

  
      (24.61)
  

 개의 점전하로 이루어진 전점하계의 경우, 전기 퍼텐셜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62)
  

보기문제 24.06)    ,    ,    가 그림 24-15와 같이 존재할 때, 이 계의 전


기퍼텐셜에너지를 구하라.    ×    C ,    m 이다.

풀이) 식 (24.62)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을 구


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J  그림 24-15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4장 전기퍼텐셜 - 11 -

보기문제 24.07) 알파입자는 두 개의 중성자와 두 개의 양성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알파입자


의 전하량은     이다. 그리고 금(gold)의 원자핵은  개의 중성자와  개의 양성자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금 원자핵의 전하량은     이다.
무한대의 거리에 있던 알파입자가 속력   로 금의 원자핵
을 향해 입사하다가 그림 24-16과 같이 이들 사이의 거리
가    fm 인 지점에서 순간적으로 정지한 후, 입사 알파입자
했던 경로를 따라 되돌아간다. 금의 원자핵은 정지해있다
고 가정할 때, 알파입자의 초기 운동에너지   는 얼마인 그림 24-16 금의 원자핵

가?

풀이) 그림 24-16과 같이 두 입자 사이의 거리가  인 경우를 최종상태  로 표현하면     이


다. 두 입자사이의 거리가 무한대이면     이므로,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J    MV 
 ×  

24-8 고립된 대전 도체의 퍼텐셜

고립된 도체구 반지름이  인 고립된 도체구에 과잉전하  가 존재하는 경우, Gauss의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도체구 내부와 외부에서 전기장을 구할 수 있다.

   (도체구 내부) (24.64)


 
   (도체구 외부) (24.65)
  

무한대에서 퍼텐셜이  이 되도록 정하면, 도체구 외부에서 퍼텐셜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66)
       

그리고      의 관계와 식 (24.64)를 고려해 볼 때, 도체 


그림 24-17
 
구 내부에서 퍼텐셜은 일정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체구 내부의

모든 점에서 퍼텐셜이 동일한 값을 갖는데, 이 값은 도체표면의 퍼
텐셜과 같아야 된다.( 어떤 경계지점을 지나면서 물리량이 변하
는 경우, 경계지점의 값과 그 전, 후의 값이 연속되어야 하므로)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4장 전기퍼텐셜 - 12 -

대전된 도체의 불꽃방전 구형 도체의 표면에 과잉정하가 분포할 때 표면전하밀도는 균일하


지만, 구가 아닌 다른 형태의 도체표면의 전하밀도는 균일하지 않다. 특히 뾰족한 점이나 가장자
리의 표면전하밀도는 다른 부분보다 커서 그와 인접한 외부 전기장은 매우 큰 경우가 있다. 따라
서 뾰족한 점 근처의 공기는 강한 전기장에 의해 이온화될 수 있으며, 이때 코로나 방전이 일어난
다. 폭풍우가 밀려올 때 구름 아래 부분은 많은 양의 음전하를 가지고 있는데, 이 음전하에 의해
높은 지점에 있는 물체는 유도전하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물체의 뾰족한 부분에서 방전이 일어
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
황에 처하게 된다면 전기장이  인 공간으로 몸을 피하는 것이 좋
다. 자동차(창문은 유리로 되어 있지만)를 도체껍질로 생각할 수 있
으므로, 폭풍우가 밀려올 때 자동차 안으로 대피하면 안전하다.


외부전기장에 놓인 고립된 도체 그림 24-18과 같이 고립된
도체가 전기장 안에 놓이게 되면 도체표면에 유도전하가 발생하는
데, 이 유도전하는 외부 전기장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전기장을 만들
기 때문에 도체 내부의 전기장은 언제나  이다.(물론 Gauss의 법칙
그림 24-18
으로도 도체 내부의 전기장이  이라는 것을 설명할 수 있지만 )
백종성의 강의노트 25장 전기용량 - 1 -

제 25 장 전기용량

25-1 전기용량

축전기 그림 25-1

⑴ 축전기는 두 개의 극판으로 구성

⑵ 극판에 전하를 저장하므로서 축전기는 전기에너지를 저장.

⑶ 축전기의 두 극판에는 반드시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인


전하가 대전된다. 한 쪽 극판에   가 대전되면, 다른 쪽
극판에는 반드시   가 대전된다.

전기용량 그림 25-2에서,
  (25.1)

비례상수  를 도입.

   (25.2)

여기서  를 계(축전기)의 전기용량으로 정의.  


  (전기용량의 정의) (25.3) 그림 25-2

☞  의 단위는 “F (farad, 패럿)”.  F   C  V .
 
☞ 식 (25.3)에서  는 축전기의 두 극판 사이의 전기퍼텐셜 차
의 크기인데, 퍼텐셜차는 ∆  로 표기하지만, 축전기를 취급
하는 동안은 관습적으로  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  

축전기 대전시키기 전기용량이  인 축전기가 퍼텐셜차  로 완전히 충전되는 경우, 축전기


의 극판에 대전되는 전하량  는 전기용량  의 정의로부터 다음과 같이 주어짐을 알 수 있다.

   (25.4)

그림 25-3 단자

  단자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5장 전기용량 - 2 -

25-2 전기용량 계산하기

평행판 축전기 면적이  이고, 두 극판 사이의 거리가 인 평행판 축전기.

과정 1) 전기장 구하기(Gauss 법칙을 사용).

        


     

     




도체 안에서    개의 옆면에서,  와  는 수직

             




밑면에서, 
 와 
 는 평행


  (25.7)
 
과정 2) 퍼텐셜차 구하기.
Gauss 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8)

과정 3) 전기용량  구하기. 
    를 구할 때 적분경로
     (25.9)
        그림 25-4

원통형 축전기 안쪽 반지름이 , 바깥쪽 반지름이 , 그리고 길이가  인 원통형 축전기.

과정 1) 전기장 구하기(Gauss 법칙을 사용).  


그림
25-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10)
   

과정 2) 퍼텐셜차 구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25.11)

과정 3) 전기용량  구하기.

    
     (25.12)
     ln   ln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5장 전기용량 - 3 -

식 (25.12)를 사용하면 원통형 축전기의 단위길이 당 전기용량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25.13)
ln   

구형 축전기 반지름이  인 도체 구껍질(또는 도체구)과 반지름이  인 도체 구껍질로 구성된


구형축전기의 단면은 그림 25-5와 동일하다. 단,    이다.

과정 1) 전기장 구하기(Gauss 법칙을 사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25.14)
  

과정 2) 퍼텐셜차 구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11)
             

과정 3) 전기용량  구하기.

    
     (25.12)
        

  

고립된 구의 전기용량 (25.12)에  ,   로 교체.

  
  lim      (25.13)
   

보기문제 25.01) 그림 25-6에서    V , 그림 25-6


 
   F ,    ×  m , 두께는    cm
이다. 스위치를 닫아서 축전기가 완전히 충전되었을 때 자유전자가 판 속으로 침투하는 침투깊이
 를 구하시오. 단, 축전기 극판을 구성하는 구리의 자유전자수밀도는     ×   m   이다.

풀이)        ×         ×   C  (축전기에 충전되는 전하량)


   ×    C
       ×   개 (전도전자의 수  )
   ×    C

 은 표면적이  이고 깊이가  인 부피 안에 들어있는 수와 동일!


   ×  
           ×    m 
  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5장 전기용량 - 4 -

25-3 축전기의 병렬연결과 직렬연결

축전기의 병렬연결 그림을 보면, ,  ,   , 그 단자

리고   의 양단에 걸리는 퍼텐셜이 모두  .

     ,     ,     (25.14)
     (25.15)
단자

전체전하는        .
그림 25-7
            
         (25.16)

 개의 축전기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 :


 

    (25.17)
  단자

축전기의 직렬연결 그림 25-8에서,           의 관계


를 고려!

               (25.18)

     (25.19)

   
  
      
   
     (25.20)
 
     
단자 
 개의 축전기가 직렬로 연결된 경우 : 그림 25-8

 





 
(축전기  개의 직렬연결) (25.21)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5장 전기용량 - 5 -

보기문제 25.02) 그림 25-9 에서   F ,     F , 그리고     F 이다.

그림 25-9

(a) 이 회로의 등가 전기용량을 구하시오.

풀이)          F   F   F (a)


    
       F  
     F  F

    F   F (b)


(b) 입력단자에    V 의 퍼텐셜이 걸릴 때,   에 저장된 전하량  은 얼마인가?

풀이)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풀이하다.

⑴ 그림  를 고려하여 전체전하  를 구한다.

       F    V     C (c)

⑵ 그림  ,  로부터      이고, 그림  ,  로부터     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C
        V (d)
  F
        F  V    C (e)

보기문제 25.03) 그림 25-10에서     F , 그리고     F 이다. 그림  와 같이 전


지를 사용하여   에     V 의 퍼텐셜차를 가하여 완전히 충전시킨 후, 전지를 제거하고 스
위치를 닫았다. 평형상태에 도달했을 때 각각의 축전기의 전하를 구하시오.

     
 
     
   
그림 25-10
백종성의 강의노트 25장 전기용량 - 6 -

풀이) 그림 를 고려하면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F   V    C (a)

스위치를 닫아서 회로가 그림  와 같이 된 경우, 전하보존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b)

따라서        의 관계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 , 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F   C 


      F (d)
       F   F
       F    F   F (e)

25-4 전기장에 저장된 에너지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25-11    

그림 에서 ′을 아래쪽 극판에서 위쪽극판이로 이동시키면 계의 전기 퍼텐셜에너지를  만


큼 증가한다.

   ′′ (25.22)

따라서 그림  와 같이 전기용량이  인 축전기가 만큼 충전되었을 때,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퍼텐셜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23)

    의 관계를 고려하면 식 (25.23)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25.24)
 

에너지 밀도
           
        (25.25)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5장 전기용량 - 7 -

보기문제 25.04) 반지름이     cm 이고, 전하가     nC 으로 대전된 도체공이 있다. 대
전된 고체공의 전기장에 저장된 전기 퍼텐셜에너지  와 공 표면의 전기에너지 밀도를 구하시오.

풀이) 고립된 도체구의 전기용량과 (25.23)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 가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J  (a)
         ×    

공 표면에서 전기에너지 밀도는 공 표면에 형성되는 전기장  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J m   (b)

25-5 유전체를 넣은 축전기


 

축전기의 극판 사이에 유전체를 채우면 전기용량이  배 증가  
하는데,  를 물질의 유전상수라 한다. 자유공간의 유전상수는
 이고, 공기의 유전상수는    로서 자유공간의 값
과 거의 유사하다.

      (25.27)   일

☞   은 극판 사이에 공기만 채워져 있을 때의 전기용량.
 
그림 25-10는 전지 B 를 사용하여 축전기에 일정한 전압 그림 25-12
  를 유지시켜 주면서 극판 사이에 유전상수가  인 유전체를
채웠을 때 극판에 대전되는 전하량의 변화를 관측한 모습인데,  
유전체를 채우면  가 처음보다  배 증가. 
 

   (25.28)

그림  는 전하량  로 대전된 축전기에 유전체를 채울 때


극판 양단의 퍼텐셜변화를 관측한 모습이다. 유전상수가  인  
유전체를 극판 사이에 채우면 퍼텐셜이 처음보다  배 감소. 
 


  (25.29)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5장 전기용량 - 8 -

보기문제 25.05) 전기용량이   pF 인 평행판 축전기를 전지를 사용하여 극판 사이의 퍼텐


셜차가     V 가 되도록 그림 25-13와 같이 충전시켰다. 그 후 전지를 끊고 유전상수가
    인 세라믹판을 그림  와 같이 극판 사이에 넣었다.

(a) 판을 넣기 전에 축전기의 퍼텐셜에너지  는 얼마인가?

풀이) 식 (25.24)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J  (a)
 

(b) 판을 넣은 후, 축전기와 판으로 이루어진 계의 퍼텐셜에너지   는 얼마인가?

풀이) 유전상수가  인 물질을 채우면 전기용량이  배 증가하지만, 축전기에 대전된 전하  는 변


화가 없으므로 계의 퍼텐셜에너지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J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25-13

유전체: 원자적 관점

극성 유전체

 ′  ′
극성 분자

  
 그림 25-14 
백종성의 강의노트 25장 전기용량 - 9 -

비극성 유전체
   ′  ′
그림 25-15
비극성 분자

   ′    ′    

합성전기장의 크기는     ′인데, 이는 물질의 유전상수  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
  (전기장이    로 약해진다.) (25.30)

25-6 유전체와 Gauss의 법칙

그림 25-16에서   :
Gauss 면

           


  (25.31)


그림  에서 전기장의 크기  :

  ′      
     
그림 25-16
  ′
  (25.32)
 Gauss 면

여기서 식 (25.30), (25.31), 그리고 (25.32)를 고려하


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33)

식 (25.33)을 식 (25.32)의 도입부에 대입 :


   
  

  
   (유전체에서 Gauss의 법칙) (25.34)
백종성의 강의노트 25장 전기용량 - 10 -

보기문제 25.06) 그림 25-17은 면적이  ,


극판 사이의 간격이  인 평행판 축전기이 Gauss 면Ⅰ

다. 전지로 극판 사이에   의 퍼텐셜차를




가하여 축전기를 전하  로 대전시킨 후, 
전지를 제거했다. 그 후, 두께가  이고 유
전상수가  인 유전체판을 극판 사이에 넣
었다.    ,     cm , Gauss 면Ⅱ

    cm ,    cm ,      V . 그림 25-17

(a) 유전체를 넣기 전 전기용량   는 얼마인가?

   ×    ×    


풀이)      ×    F     pF 
   ×   

(b) 극판에 존재하는 자유전하  는 얼마인가?

풀이)        ×       ×    C   pC

(c) 유전체가 없는 극판 사이의 공간에서 전기장   는 얼마인가?


풀이) 그림에 제시된 Gauss 면Ⅰ 에 대해 Gauss의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공기
의 유전상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  m
     ×      ×   

(d) 유전체판 안에서 전기장   은 얼마인가?


풀이) 그림에 제시된 Gauss 면Ⅱ 에 대해 Gauss의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Gauss 면 안에 존재하는 자유전하만 고려한다는 것을 명심하자!)

     
        윗면에서 와   는 반대방향
  
     V m
     

(e) 판을 넣은 후, 극판 사이의 퍼텐셜차는 얼마인가?


풀이) 전기장과 퍼텐셜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V

(f) 극판 사이에 유전체판이 들어 있는 축전기의 전기용량  는 얼마인가?


풀이) 전기용량의 정의식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F     pF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6장 전류와 저항 - 1 -

제 26 장 전류와 저항

주요내용

전류 , 전류밀도 , 전도전자의 유동속력  , 저항  , 비저항 , 전도도 , Ohm의 법칙, 전기


회로의 일률 

26-1 전류

전류  어떤 면  를 통해 시간  동안 전하  가 흐를
때, 면  를 통해 흐르는 전류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그림 26-1


  (26.1)


☞ 전류의 SI 단위는 A (ampere).  A   C s.

☞ 전류의 방향은 양전하의 이동방향. 자유전자의 이동방


향과 전류의 방향은 반대방향.

☞ 그림 26-1에서 전류의 방향을 화살표( )로 표현했는데, 이는 도선을 따라 이동하는 양전하


의 이동방향으로 해석하면 된다.

식 (26.1)로부터 시간  동안 면  를 통과하는 전하  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26.2)

보기문제 26.01) 물이 부피흐름률        cm   s   ×    m  s로 정원용 호스를


통해 흐를 때, 음전하의 전류는 얼마인가?

풀이) 문제가 복잡하므로 다음과 같이 문제의 상황을 정리해 보자.


⑴ 물의 몰질량 :    gmol   kgmol. 물의 밀도 :      kg m 
⑵ 물 분자  개는  개의 전자가 존재. 물  mol에 존재하는 전자수는      . 음전하량
은                  .   는 아보가드로 수.
⑶  초 동안 흐르는 물의 부피를  , 이에 해당하는 몰(mol) 수를  라 하면, 이때 흐르는 음전
하의 크기는               가 된다.
⑷ 문제풀이순서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6장 전류와 저항 - 2 -

물의 부피흐름률을  로 놓으면, 초 동안 흐르는 물의 부피  와 질량  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a)
 

            (b)

따라서  초 동안 흐르는 물의 몰 수  와 음전하의 크기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c)
 

  
   
      
 
     

(d)

따라서 전류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e)


☞ 계산에 포함된 모든 물리량을 SI 단위로 통일. 계산결과는 전류의 SI 단위인 A (암페어).

26-2 전류밀도

전류밀도 단면적이  인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류  가 흐르는 경우, 전류밀도의 크기  는 다


음과 같이 주어진다.

  A  m   (26.3)

전류밀도의 정의를 고려하면, 면  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26.4)

유동속력 입자가   의 속력으로 거리  만큼 이동하


는데 걸린 시간을  로 놓으면,      이므로, 이 시간 
동안 면  를 통과하는 입자 수는     이고, 면 
를 통해        와 같은 전하량이 흐른다. 그림 26-2

따라서 면  를 통해 흐르는 전류와 전류밀도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26.5)
 
    
               (26.6)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6장 전류와 저항 - 3 -

보기문제 26.02) 반지름이    mm 인 원통형 도선.

(a) 전류밀도는     ×  A  m  인데, 도선의 단면에 균일하다.


이때 중심으로부터 거리  과  사이인 도선의 바깥부분을 통과
하는 전류 ′ 은 얼마인가?

풀이) 전류밀도가 도선의 단면에서 균일하므로 전류는 단면의 면적


이 비례한다. 중심으로부터 거리 과  사이인 도선의 바깥부
분의 단면적을  ′으로 놓으면, 다음과 같이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그림 26-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b) 전류밀도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 에 따라    과 같이


주어지는 경우, 중심으로부터 거리 과  사이인 도선의 바깥
부분을 통과하는 전류 ′ 은 얼마인가? 단,    ×   Am  이다.  

풀이) 전류밀도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는 식 (26.4)를 사용하여 다


음과 같이 문제를 풀이한다.(전류밀도와 단면의 면적벡터는 서로 평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보기문제 26.03) 반지름이    m 인 구리도선에    mA 의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전


도전자의 유동속력은 얼마인가? 구리 원자 하나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자가  개 있으며 전류밀
도는 균일하다. 구리의 몰 질량은     ×   kgmol,      ×   kg m  이다.

풀이) 원자  개에 자유전자가  개 있는 경우, 자유전자수 밀도  은 단위 부피 당 원자수와 동일


하다. 부피가  인 구리의 질량은    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몰(mol) 수는        이
다. 따라서 부피  안에 존재하는 원자 수는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     × 

이므로. 유동속력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  s 
 ×    ×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6장 전류와 저항 - 4 -

26-3 저항과 비저항

그림 26-4와 같이 물체 양단에 퍼텔셜차 를 가할 때,


전류 가 흐르면 물체의 저항  을 다음과 같이 정의.


  (26.7)

☞ 저항의 SI 단위는  (ohm, 옴).     V A . 저 그림 26-4


항기는 회로도에서 로 표시.

전도도와 비저항

   또는     (26.8)

☞ 전도도(conductivity)  와 비저항(resistivity)  와 서로 역수관계.


  (26.9)

비저항  를 사용한 전기장과 전류밀도의 관계 :

   
  또는    (26.10)

비저항에서 저항 구하기 전기장이 일정한 공간에서 전기장 방향을 따라  만큼 떨어진 두


지점 사이의 전위차는    .

      
             (26.11)
     

식 (26.7)과 식 (26.11)을 비교하면 단면적이  , 길이가  , 그리고 비저항이  인 물체의 저항 


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26.12)

온도에 따른 변화 일반적으로 물질의 비저항은 온도의존성을 가진다. 온도가  일 때 비저항


이  인 물질이 온도가  로 변하면 비저항도  로 변하는데, 비저항의 온도계수  를 도입하면
이들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26.13)
백종성의 강의노트 26장 전류와 저항 - 5 -

보기문제 26.04) 그림 26-5는 크기가   cm ×   cm ×  cm 인 직육면체 쇠막대의 모습이다. 그


림에 표현한  와  를 구하시오. 쇠막대의 비저항은     ×     m 이다.

풀이)  와 같이 저항을 측정할 때 단면적   :

    cm    cm    ×   m 



그림 26-5
따라서 다음과 같이 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m  ×    m 
     ×    
   ×    m 

비슷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 를 구할 수 있다.

    cm  cm    cm    ×   m 


  ×    m   ×   m 
     ×    
   ×    m 

26-4 Ohm의 법칙

그림 26-7는 어떤 물체  의 양단에 퍼텐셜차  를 인가하여, 물체


에 전류  가 흐르는 모습이다. 그림  는 그림  에서 관측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모습.  

“전류  가 퍼텐셜차  에  차 비례하는 현상을 Ohm의 법칙”이라 함. 그림 26-7

 

퍼텐셜차  그림 26-7 퍼텐셜차


   

Ohm의 법칙에 대한 미시적 관점

구리 막운동의 유효속력은     ×   m  s.    ×    m  s.

도체에 전기장  를 인가하면, 전도전자는      와 같은 전기력


을 받으므로 : 운동방정식 자유전자의 가속도의 크기

         (26.14) 그림

26-8
백종성의 강의노트 26장 전류와 저항 - 6 -

전도전자가 충돌 사이의 평균 자유시간 동안 가속도  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평균속력을 유동속


력  로 정의하면,     .
  
    
 
 

(26.15)

식(25.15)와 식 (26.6,     )을 고려,


  



 


  
 (26.16)

따라서 식 (26.16)을 식 (26.10,    )과 비교하면 비저항 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26.17)
  

보기문제 26.05) 구리; 비저항    ×    m , 자유전자수밀도     ×   m  .

(a) 구리 안에 있는 전도전자의 충돌 사이의 평균 자유시간  는 얼마인가?

풀이) 식 (26.17)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s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과정에 포함된 물리량의 값을 SI 단위로 변환했기 때문에 풀이과정에 단위를 생략했다.

(b) 구리에서 전도전자의 유효속력이     ×  m  s이라고 가정하면, 구리 안에 있는 전도


전자의 평균 자유거리  는 얼마인가?

풀이) “문제 (a)”에서 구한 결과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m s  ×    s    ×    m   nm

26-5 일률, 반도체, 초전도체

일률

시간  동안  가 소자  를 통해  에서  로 이동하는 경우,
그림 26-9
 의 전기퍼텐셜이  만큼 감소하므로  의 전기 퍼텐셜에너지는
 만큼 감소한다. 전기퍼텐셜의 정의(    )를 고려 :

    



 




   (26.18)

          (26.20)


        
(26.21)
백종성의 강의노트 26장 전류와 저항 - 7 -

보기문제 26.06) 니켈-크롬-철의 합금인 니크롬으로 만든 열선의 저항은     이다.

(a) 전체 열선에    V 의 퍼텐셜이 걸릴 때, 에너지 소모율을 계산하시오.

풀이) 문제에 제시된 조건과 식 (26.21)을 고려하면, 에너지 소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     W  (a)
 

(b) 이 열선을 반으로 나누어 두 조각으로 만든 후, 각각에  V 의 퍼텐셜을 가할 때, 발생하는


전체 에너지 소모율을 계산하시오.

풀이) 문제에 제시된 열선은 비저항이 , 단면적이  , 그리고 처음 길이가  이라고 하면, 처음
저항은      이다. 그리고 반으로 나눈 조각의 저항  ′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b)

반으로 나누어진 한 조각의 에너지 소모율을  ′으로 놓으면, 전체 에너지 소모율  는 다음과 같
이 계산된다.

   ′  

′  
  

  W  (c)

반도체

표 26-1 구리와 실리콘의 전기적 특성


특 성 구 리 실리콘
물질의 종류 금속 반도체
전하운반자밀도 , m    ×    ×  
비저항 ,  m   ×     ×  

비저항의 온도계수 , K    ×     ×  

초전도체
  
1911년 네덜란드 물리학자인 카멀링 오네스(Kamerlingh Onnes) 그림 26-10
는 약  K 이하의 온도에서 수은의 비저항이  이 되는 현상 발견.

초전도체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성을 가진다.

⑴ 전기 비저항이  이다.
⑵ 초전도체 내부에 자기력선이 들어갈 수 없다.(마이스너 효
K
과, Meissner effect)
백종성의 강의노트 27장 회로이론 - 1 -

제 27 장 회로이론

27-1 단일고리회로

기전력장치 전기 회로의 어떤 두 점 사이에 퍼텐셜차를 만들어 주는 장치. 전기회로에서 기전


력의 기호는 그림 27-2와 같다.

기전력  가 기전력장치의  극(퍼텐셜이 낮은 쪽)에서  극 그림 27-1


(퍼텐셜이 높은 쪽)으로 이동할 때 기전력장치가  에 일 
를 해주는데, 기전력장치의 기전력  을 다음과 같이 정의.


  J C  V  (27.1)


☞ 이상적인 기전력장치는 내부저항이  이므로, 기전력장치


양끝의 퍼텐셜차가 기전력.

단일고리회로에서 전류 계산하기 그림 27-2

에너지 방법 그림 27-3
퍼텐셜이
높은 지점
⑴ 저항기는 시간  동안    의 에너지를 열로 소모.

⑵ 식 (27.1)을 고려해 보면, 기전력장치는 시간  동안


퍼텐셜이
        의 일을 해준다.
낮은 지점


             (27.2)

퍼텐셜 방법 이 방법은 Kirchhoff(키르히호프)의 고리규칙을 적용하는 것인데, Kirchhoff의 고


리규칙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고리규칙) (27.3)

☞ 회로의 고리(closed circuit)을 일주하면서 나타나는 퍼텐셜차를 모두 더하면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7장 회로이론 - 2 -

그림 27-3의 점 에서부터 시계방향을 따라 고리를 일주하면서 고리규칙을 적용!


           (27.4)

저항기 양끝의 퍼텐셜차 크기는 이고, 전류의 방향(전기장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퍼텐셜이 감소하므로 부호가 “”이다.

기전력장치 양끝의 퍼텐셜차 크기는 인데, 기전력장치의 극에서


으로 이동하면 퍼텐셜이 증가하므로 부호가 “”이다.

다른 단일고리회로

내부 저항 그림 27-4는 내부저항이  인 기전력장치가 회로에 연결된 모습.

기전력장치 저항기
실제 전지
그림 27-4

그림  의 점  에서 출발하여 시계방향을 따라 고리를 일주하면서 고리규칙에 적용!


                (27.6)
 

기전력장치 양끝의 퍼텐셜차 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를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7)
백종성의 강의노트 27장 회로이론 - 3 -

직렬연결의 저항 그림 27-5  는  개의 저항 ,  ,  가 직렬로 연결된 모습인데, 이를


그림  와 같이 저항이  인 하나의 저항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때  를 등가저항이라 한다.

   

그림 27-5

그림 , 는 동일한 회로이므로, Kirchhoff의 고리규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  를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27.8)
     


             (27.9)


식 (27.8), (27.9)로부터 등가저항  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27.10)

이 결과를  개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로 확장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27.11)
 

두 점 사이의 퍼텐셜차

그림 27-6에서 점  와  사이의 퍼텐셜차   를 구해보자!

             
  V
    A (27.12)
    
그림 27-6
            

              V   A      V (27.13)

회로에서 두 점사이의 퍼텐셜차는 한 점에서 출발하여 다른 점까지 회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나


타나는 퍼텐셜차를 모두 더하면 구해진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7장 회로이론 - 4 -

실제 전기의 퍼텐셜차 그림 27-6에서 점 ,  는 전지의 양


끝이므로, 는 전지 양끝의 퍼텐셜차  가 된다. 따라서  는 다
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  (27.14)

☞    이면    .   이면  는  에 따라 변화.


회로의 접지 도선으로 회로를 지표면과 연결하는 것을 접지라
고 하는데, 지표면의 퍼텐셜이  이므로 접지된 부분의 퍼텐셜도 그림 27-7
 이 된다. 접지는 기호 ( )를 사용한다.

그림 27-7 : 점  를 접지    .

             V   A      V 27.15)

그림 27-7  : 점  를 접지    .
 
             A      V    V (27.16)

일률, 퍼텐셜, 기전력 식 (27.14)의 양변에 전류  를 곱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27.17)

⑴     : 기전력장치가 양전하  를  극에서  극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 에 해준 일률.

⑵      : 기전력장치가 내부저항과 전하에 전달한 에너지의 일률.


⑶       : 기전력장치의 내부에서 열로 소모되는 에너지의 비율.

보기문제 27.01) 그림 27-8의 회로에서 기전력과


저항은     V ,     V ,       ,
     ,     이다.  
그림 27-8
(a) 회로에 흐르는 전류  는 얼마인가?

풀이) 전류  가 시계방향으로 흐른다고 가정! 그림  


의 점  에서부터 반시계방향을 따라 고리규칙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V   V

           

  A   mA

☞ 전류  의 부호가  이므로 전류는 시계방향으로 흐른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7장 회로이론 - 5 -

(b) 그림 27-8  의 회로에서 전지  의 양 끝에 나타나는 퍼텐셜차는 얼마인가?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V   V

그림  는 그림  의 점  에서부터 반시계방향을 따라 고리를 일주하면서 관측한 퍼텐셜의


모습이다. 이때     으로 놓고 그림을 그렸다.

27-2 다중고리 회로

⑴ (   )에 대해 적용
             (27.18)

⑵ 에 대해 적용
             (27.19)
그림 27-9
⑶ 에 대해 적용
             (27.20)

식 (27.18) (27.20)는 서로 독립된 식처럼 보이지만, 식 (27.18), (27.19)에서    를 소거하면


식 (27.20)과 같다. 따라서 독립된 다른 식 한 개가 더 필요한데,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되는
Kirchhoff의 접점규칙(또는 전류법칙)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   (접점규칙) (27.21)

☞ 접점(branch point)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총합은  이다.

이 회로에는 두 개의 접점 ,  가 있는데, 점  에 접점규칙을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27.22)

저항의 병렬연결 그림 27-10를 는  개의 저항  ,  ,  가 병렬로 연결된 모습인데,


이를 그림  와 같이 저항이  인 하나의 저항으로 생각할 수 있다.

  

그림 27-10
백종성의 강의노트 27장 회로이론 - 6 -

고리규칙과 접점규칙을 적용!


       (27.23)


          (27.24)
 


          (27.25)
 


        (27.26)

                  (27.27)

식 (27.23) (27.26)을 식 (27.27)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저항의 병렬연결에 대한 등


가저항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27.28)
 
       
     

이 결과를  개의 저항이 병렬로 연결된 경우로 확장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27.29)
   

보기문제 27.02) 그림 27-11   


는 하나의 이상적인 전지(내부저항
이 )와 네 개의 저항을 가진 다
중고리회로이고 그 크기는 각각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그림 27-11
   V .

(a) 전지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얼마인가?

      
풀이)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b)
         

(b)  를 흐르는 전류   는 얼마인가?

풀이)  와  가 병렬연결!

             A      V (c)


  V
      A (d)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7장 회로이론 - 7 -

(c) 를 흐르는 전류 는 얼마인가?

  V
풀이)       A (e)
  

보기문제 27.03) 전기뱀장어는 생물학적 기전력장치인 전기세포가 있어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


다. 남미의 강에 서식하는 전기뱀장어의 전기세포는  개의 열을 이루고 각 열은  개의 전
기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전기세포는     V 의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    의 내부저항을 가진다.

(a) 전기뱀장어 주변 물의 저항이     인 경우, 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얼마인가?

풀이) 전기뱀장어 한 열은  개의 전기세포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한 열의 기전력  


와 저항  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V    V (a)
             (b)

따라서 전기뱀장어는 그림  와 같이 기전력이     V 이고 내부저항이      인


기전력장치  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   V
                 A (d)
        

(b) 각각의 열을 따라 흐르는 전류    는 얼마인가?

풀이)  개의 열이 모두 동일하므로, 전체 전류가 각각의 열로 동일하게 나누어지므로    는 다


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A
       ×    A (e)
 

그림 27-13
백종성의 강의노트 27장 회로이론 - 8 -

보기문제 27.04) 그림 27-12는 회로소자들이 다


음과 같은 값을 갖는 회로이다.
  V ,    V ,     ,     .

세 갈래길에서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구하시오.

풀이) 점  에 접점규칙을 적용.


       
     (a) 그림 27-12

왼쪽 고리에 대해 점  부터 시작하여 시계방향을 따라 고리규칙을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오른쪽 고리에 대해 점  부터 시작하여 반시계방향을 따라 고리규칙을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식 (b), (c)를 연립으로 풀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A (d)
          A      A (e)

이 결과를 식 (a)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  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A    A     A (f)

27-3 전류계와 전압계


그림 27-14

전류계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장치를 전류계라고


하는데, 전류계의 기호는 Ⓐ 이다.

그림 27-14와 같이 전류계는 전류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직렬로 연결한다. 따라서 전류계의 내부저항  는 회로 내의
다른 저항에 비해 매우 작아야 된다.

전압계 두 지점사이의 퍼텐셜차를 측정하는 장치를 전압계


라고 하는데, 전압계의 기호는 Ⓥ 이다.

그림 27-14와 같이  양끝의 퍼텐셜차를 측정하려면 전압계를  과 병렬로 연결하면 된다. 전


압계의 내부저항은 회로 내의 다른 저항에 비해 매우 커야 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7장 회로이론 - 9 -

27-4  회로

축전기의 충전 그림 27-15에서 축전기가 완전히 방전


된 상태(   ).

⑴ 스위치 를 점  에 연결하는 순간을    .


⑵ 일 때 .
그림 27-15
       (27.30)

 를 점  에 연결한 후, 전류의 방향을 따라 고리규칙을 적용.


                    (27.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분방정식) (27.32)
   

여기서  를 다음과 같이 치환.

     (27.33)

식 (27.33)을 식 (27.32)에 대입한 후, 다음과 같이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정”이므로, 이를 미분하면  .
  
 
   (27.34)
 

식 (27.34)의 양변을  로 나눈 후,  를 곱하고 풀이.

 
   (27.35)
 

  

  

 
    일정.

  은 적분상수.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36)

식 (27.36)을 식 (27.33)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 에 대한 표현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27.37)

  는 적분상수. 식 (27.30)의 초기조건을 식 (27.37)에 적용!


백종성의 강의노트 27장 회로이론 - 10 -

                    (27.38)

식 (27.38)을 식 (27.37)에 대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39)

식 (27.39)에서  는  회로의 시간상수인데,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

   (27.40)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43)
    

 그림 27-16  

축전기의 방전 그림 27-15에서 스위치를 점  에 연결한 후, 시간이 충분히 경과하여 축전기


의 위쪽 극판에   , 그리고 아래쪽 극판에는   만큼 전하량이 충전되었다고 하자. 이때 스위
치를 단자  에 연결하면 축전기에 충전되었던 전하가 방전되면서 회로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축
전기의 전하량  와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구해보자.

스위치  를 점  에 연결하는 순간을    으로 취하면,

     (27.44)

고리규칙을 적용하여 회로방정식을 구한 후, 이를 다음과 같이 풀이.


               

(27.45)

   
        (27.4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27.47)
백종성의 강의노트 27장 회로이론 - 11 -

식 (27.44)의 초기조건을 식 (27.47)에 대입.


 
              (27.48)

축전기가 방전되는 동안 전하  는 다음과 같다.

 
    (27.49)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식 (27.49)의 양변을 시간  로 미분하면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27.50)

보기문제 27.05) 그림 27-17  에서


그림 27-17
자동차와 도로면이 전기용량이
   pF 인 하나의 축전기, 각각의
타이어는 저항이 tir e   G  인 저
항체와 같이 행동하는 모습인데, 이를
그림 , 와 같은 회로로 생각할 수
있다.   일 때, 차와 땅 사이의 퍼텐
셜 차가     kV 이라면 계의 에너
지가 임계값  fir e   mJ 에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얼마인가?

풀이) 문제의 상황을 그림  와 같이 생각하면,

        G 
           G  (a)
 tir e   
tir e  tir e tir e tir e  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표현식(      ), 전기용량의 정의(   ), 식 (27.49)를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fir e     
   


  fir e   fir e
     ln     ln 
   

 
   fir e
    ln 
  

 
 ×     ×    F 

ln
  ×    J 
 ×    F  ×   V    s (b)
백종성의 강의노트 28장 자기장 - 1 -

제 28 장 자기장

28-1 자기장과 의 정의

기원전 수 세기경 마그네시아(Magnesia, 현재 터키의 서부지역)에서 자철광(magnetite, Fe O  )이


쇳조각을 잡아당기는 현상을 발견하므로서 자기(magnetism)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그 당시 자철
광은 마그네시아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으며, 이 지역의 이름으로부터 “magnet”라는 용어가
파생되었다.

 
무엇이 자기장을 만드는가?
자기의 기원(origin of magnetism)은 전류(electric
current)다. 즉, 움직이는 전하(electric charge)가           
전류를 만들며,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된다.          
영구자석(permanent magnet)은 스스로 자기장을         ●  

만드는 특성을 가지는데, 원자적인 관점에서 관측


해보면 영구자석을 구성하는 자기원자 또는 자기이 그림 28-1  영구자석.  영구자석의
일부분을 원자적 관점에서 관측한 모습. 
온 내부에 흐르는 전류(atomic current)에 의해 영 자기원자를 매우 작은 영구자석과 같이 생각
구자석이 자성을 가지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한 모습.  그림 와 같이 표현한 자기원
자를 기호로 표현한 모습.

자기장 
의 정의

    ×  (28.1)

☞  의 속도  와 자기력 
 를 측정하면,  가 운동하는 공간의 자기장 
 를 구할 수 있다.

☞ 식 (28.1)에서 자기장 
 의 단위는 NC ms 인데, 이를 테슬라(T, tesla)라고 한다.

자기장선 그림 28-2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8장 자기장 - 2 -

보기문제 28.01) 그림 28-4에서 크기가  mT인 균일한 자기  (북)


장이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  MeV 의 운 그림 28-4 양성자의
동에너지를 갖는 양성자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수평하게 자기장 경로

속으로 들어올 때 양성자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구하라.

풀이) 운동에너지가 이고, 질량이  인 양성자의 속력은 다음


과 같이 구해진다.  (동)
 
    
 
따라서 그림과 같이 동쪽을  방향, 북쪽을  방향으로 취하면 전하량이  인 양성자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 ×   

28-2 교차장: 전자의 발견

전기장 
 와 자기장 
 가 서로 수직일 때 이를 교차장이라 한다. 교차장 속에서 움직이는 전하는
전기력과 자기력을 동시에 받는다.

 
 
 편향판( 극)

그림 28-5
× × × ×●

 
  ●
 ● ● 


× × × × ×
 
  
편향판(  극)

그림 28-5는 1897년 J. J. Thomson이 전자를 발견한 실험장치를 현대화한 모습이다. 다음과


같은 두 번의 과정을 고려하면 입자의 질량 과 전하량    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① 전기장이 
 이고 자기장이 
   이면, 입자는 전기력만 받아서 그림  의 포물선 경로를
따라 운동하는데, 전기력     와     을 고려하면 편향된 거리 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28.7)

    
    

       
    

 
(28.8)
백종성의 강의노트 28장 자기장 - 3 -

② 자기장을 인가하여 전기력을 상쇄시키면 입자는 그림  의 직선경로를 따라 운동하는데, 입


자에 작용하는 힘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전자의 초기속도에 대한 표현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9)

식 (28.9)를 식 (28.8)에 대입한 후,    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28.10)
         

28-3 교차장: Hall효과

1879년 존스 홉킨스 대학의 대학원생이었던 24살의 그림 28-6 V V


Edwin Hall은 도체 내에서 전하운반자의 부호와 밀
도를 결정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실험을 수행.

그림 28-6와 같이 도체(두께: , 너비: ) 안의


전하운반자가 전도전자인 경우 자기력, ● ● ●

 높 낮 낮 높
      
 ×  
 음 음 음

  
 (28.11)

그림   : 전기력과 자기력이 균형(평형상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12)

그리고 Hall 전기장에 의해 도체판의 왼쪽이 오른쪽보다 퍼텐셜이  만큼 높은데, 이는 다음과 같
이 주어진다.

   (28.13)

식 (28.12)와 전류밀도(     )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도체판 내에 존재하는 전도전자수 밀


도  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28.14)
         
한편 그림  는 전하운반자가 양공(hole)인 경우의 모습인데, 이때 전하운반자에 작용하는 자기
력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28.15)

따라서 양공은 도체판의 오른쪽 가장자리로 이동하므로, 도체판의 왼쪽 가장자리는 음전하가 모인


다. 이 경우 Hall 전기장은   방향을 향하므로 도체판의 오른쪽이 왼쪽보다 퍼텐셜이 높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8장 자기장 - 4 -

보기문제 28.02) 한 변의 길이가    cm 인 금속 정육면


체가 일정한 속도로 균일한 자기장      T 내에서 그
림 28-7과 같이 속도      m  s로 움직인다.

(a) 정육면제가 자기장 내에서 움직일 때, 정육면체의 어느


쪽 면의 전기퍼텐셜이 높은가?

풀이) 전도전자에 작용하는 자기력 :


그림 28-7
    × 
     
  × 

     (a)

☞ 자기력이   방향으로 작용 전도전자가   방향으로 이동 왼쪽 면은 음으로, 오른


쪽 면은 양으로 대전 오른쪽 면에서 왼쪽 면을 향하는 전기장 형성 오른쪽 면의 전
기퍼텐셜이 높고, 왼쪽 면은 전기퍼텐셜이 낮음.

(b) 전기퍼텐셜이 높은 면과 낮은 면 사이의 퍼텐셜차를 구하여라.

풀이) 평형상태에서 전기력과 자기력은 서로 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m s  T  m    V   mV (c)


백종성의 강의노트 28장 자기장 - 5 -

28-4 원운동하는 대전입자

원운동하는 대전입자 질량이 , 전하량이  인 입자가 × × × × ×


자기장이  인 공간에서 
 와 수직방향의 속도  로 운동 :
× × × × × ×

    × 
 의 관계 자기력은 운동방향과 항상 수직 

등속원운동 × × × ×  × ×
 
원운동에 대한 운동방정식 : × × × × × ×

       

  (28.16) ×
그림 28-8
× × × × ×

식 (28.16)으로부터 입자의 원운동과 관련된 물리량을 다음 × × × × × ×

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⑴ 원궤도의 반지름 , 등속원운동의 속력 , 그리고 운동에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17)

⑵ 등속원운동의 주기  와 진동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18)

나선형 궤도 대전된 입자의 속도  가 자기장과 각 


를 이루면, 입자는 그림 28-9와 같이 나선형 궤도를 따
라 운동한다. 자기장과 수직한 속도의 성분  은 입자를
원운동 시키고, 평행한 성분  은 자기장 방향으로 직선
운동 시키므로, 식 (28.18)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입자
가 원운동을  회 하면서 자기장 방향으로 진행한 거리
(피치) 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cos 
   
 cos
 (28.19)
   그림 28-9

보기문제 28.03) 전자가    eV 의 운동에너지로 크기가    ×    T인 균일한 자기


장 속에서 운동할 때, 나선궤도의 피치를 구하라. 자기장과 속도 사이의 각은     이다.

     ×   ×    J 
풀이)           ×  m  s
    ×    kg
 cos    ×    kg   ×  m  s cos 
     m    cm
     ×    C   ×    T 
백종성의 강의노트 28장 자기장 - 6 -

보기문제 28.04) 그림 28-12는 질량분석기



의 모습이다. 질량이  이고 전하량이  
인 입자가 점  에서 정지 상태에서 출발한
후, 퍼텐셜차  에 의해 가속되어  지점에
도달한다. 균일한 자기장이 형성된 공간에
들어온 입자는 반원궤도를 따라 운동하다가
결국 점  에 도착한다.
  

(a) 점  와 점  사이의 거리, 즉 반원궤도
의 지름이 인 경우, 입자의 질량  에 대
한 표현식을 구하시오. 단, 점  와 점  사
이의 퍼텐셜차는  이다. 그림 28-12

풀이) 입자가 점  에서 점  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에너지 보존법칙을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입자가 반원궤도를 따라 운동하는 동안 입자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고려한 운동방정식 :

     
 
   
 

(b)

   와 식 (b)를 고려하면   는 다음과 같이 정리.

   
      (c)
 

식 (a), (c)로부터 다음과 같이 입자의 질량  에 대한 표현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d)

(b)    mT,    V ,     ×    C ,    m 인 경우, 입자의 질량  을


원자질량단위( u    ×   kg)로 얼마인가?

풀이) 식 (d)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C   T    m 


     ×    kg
   V 
   ×   
kg
u
  ×   kg    u
백종성의 강의노트 28장 자기장 - 7 -

28-5 사이클로트론과 싱크로트론

사이클로트론 그림 28-13은 두 개의 디이(dee)로 구성된 사이클로트론을 위에서 본 모습.

내부가 진공상태인 D 자 형태의 디이는 구리판으로 만


드는데, 전기진동자(oscillator)로 두 디이 사이에 형성 디이 디이

되는 전기퍼텐셜을 주기적으로 바꿔주면 두 디이 사이


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주기적으로 바꿀 수 있다.

  
          (28.20)

입자살

양성자 싱크로트론 싱크로트론에서는 양성자의 궤


도가 나선궤도가 아니고 원형궤도. 미국 있는 Fermi 국
편향판
립가속기 연구소의 양성자 싱크로트론의 원둘레는 약
 km 이며, 여기서 약  TeV 의 양성자를 만들 수 있 그림 28-13 진동자
다.

보기문제 28.05) 진동수가     MHz 인 진동자로 반지름이    cm 인 사이클로트론을


작동시킨다고 하자.

(a) 사이클로트론에서 질량이     ×    kg인 중양성자를 가속시키는데 필요한 자기장의


크기는 얼마인가?

풀이) 중양성자는 한 개의 양성자와 한 개의 중성자가 있으므로, 중양성자는     ×    C 의


전하량을 갖는다. 식 (28.20)을 고려하면 문제의 답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kg ×   s   


     T (a)
   ×    C

(b) 가속된 중양성자의 운동에너지는 얼마인가?

풀이) 식 (28.17)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m   ×    C   T 


     ×  m  s (b)
   ×    kg
 
       ×    kg ×   ms  ×    J  MeV (c)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8장 자기장 - 8 -

28-6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작용하는 자기력

그림 28-14는 자기장 안에 놓여있는 직선형태의 도선에 전류  가


흐르는 모습이다. 시간  동안 전도전자가 거리  만큼 이동하는 경
우, 이 시간 동안 평면  를 통과하는 전하량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28.21)

길이가  인 부분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22)
그림 28-14
☞ 유동속도  와 
 은 서로 반대방향이다.(
     )

도선이 직선이 아니거나 자기장이 불균일한 경우, 미소길이  


 부분에 작용하는 자기력 :


   
 × 
 (28.23)

식 (28.23)을 전류가 흐르는 구간에 대해 적분하면 다음과 같이 전체 자기력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28.24)

그림 28-15와 같이 도선이 직선은 아니지만 도선이 놓여있는 공간의 


● ● ●
자기장이 균일하면, 식 (28.24)로부터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25) 
일정한 물리량은 ● ● ● ●
자기력을 구하고자 하는 처음 적분 밖으로
지점에서 최종 지점까지의 벡터 그림
● ● ● 28-15

보기문제 28.06) 수평방향의 구리도선에    A 의 전류가 흐르고 


있다. 도선을 떠 있게 하기 위해 필요한 자기장을 구하라. 단, 도선의
선밀도는     g m    kg m 이다.

풀이) 그림 28-16과 같이 좌표축을 선택하면 전류의 방향은   방향,



자기장의 방향은   방향이다. 따라서 길이가  인 부분에 작용하는 
자기력은 다음과 같다.

풀이) 
   
 × 
      ×       그림 28-16


      
     

    kg  m  s  
  
   
    
    ×   T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8장 자기장 - 9 -

28-7, 8 전류고리에 작용하는 토크, 자기 쌍극자모멘트

그림 28-18은 교과서의 그림을 수정하여 그린 모습이다.



전류고리에 작용하는 힘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  cos  (28.26)


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  sin
  cos
 (28.2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2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28-18
 
 (28.29)

따라서 전류고리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총 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30)

전류고리에 작용하는 토크 전류고리의 회전축은 질량중심을 통과하는데, 이를 고려하여 구


간별로 토크를 구하면, 다음과 같이 계의 총 토크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cos
   (28.31)

 sin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 (28.32)

   × 
     ×  
    × 
     (28.33)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28.34)

               sin
 (28.35)
    

전류고리가 만드는 면적벡터 


 와 전류고리의 자기 쌍극자모멘트  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전류고리가 만드는 면적벡터) (28.36)


   
 (전류고리의 자기쌍극자모멘트) (28.37)

☞  는 전류고리의 면적, 
  는 오른손 규칙으로 정의. 교과서에는 자기쌍극자모멘트를
     와 같이 정의했는데, 여기서  은 전류고리의 감긴 수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8장 자기장 - 10 -

이와 같이 정의되는 면적벡터와 자기 쌍극자모멘트를 그림 28-18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28.38)

   
  
 (28.39)

식 (28.39)와 그림 28-18에 표현된 자기장을 고려하면 다음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sin   cos
     sin  (28.40)

식 (28.40)을 식 (28.35)에 대입하면 전류고리에 작용하는 토크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   sin
  
 × 
 (자기쌍극자에 작용하는 토크) (28.41)

전류고리의 자기 퍼텐셜에너지 식 (28.41)에서 토크는   축 방향을 향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전류고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 식 (28.41)을 다음과 같이 쓰자.

    sin (28.42)

☞ “ ”부호는  가 작용하면 자기쌍극자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식 (28.42)와 회전동력학에서 정의되는 퍼텐셜에너지  를 고려!


  
        

      sin    sin
 
(28.43)

한편, 기준점(  )에서 퍼텐셜에너지가  이 되도록 기준을 설정하므로,       을 퍼텐셜에너지의


기준점으로 취하면, 식 (28.43)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     
sin    cos       cos   
 
 (28.44)

보기문제 28.07) 그림 28-20은 감긴 수  회, 단면적   ×     , 그리고  A 의 전류


가 흐르는 원형 줄고리(코일)이다. 줄고리는 자기장의 크기가     T인 일정한 자기장 안에
정지해 있으며, 자기 쌍극자모멘트는 처음에 자기장과 나란히 놓여있다.

(a) 줄고리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어떻게 되는가?

풀이) 오른손 규칙을 적용하면, 전류는 줄고리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흐


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8-20

(b) 외부에서 작용한 토크에 의해 줄고리가 처음 방향에서   회전하는 동안 외부에서 해준 일


은 얼마인가?

풀이)                     cos     cos    


       ×    A   ×    m   T   ×   J
백종성의 강의노트 29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1 -

제 29 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29-1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Biot-Savart의 법칙 전류가 공간에 만드는 자기장을 기술. 그림 29-1

   × 
   (Biot-Savart의 법칙) (29.1)
 

☞   의 방향은 전류의 방향과 동일하다.  의 방향은   에


서 점  를 향한다.

☞  는 자유공간의 투자상수(permeability).
전류분포
   ×    T ‧ m  A (29.2)

전체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 
  ×  

  
  
 
  
(29.3)

전류가 흐르는 경로로서, 선적분의 적분구간에 해당된다.

긴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 가 점  에 만드는 자기장 : 

   ×    sin



    
   (29.4) 그림 29-2
   

☞ 
는 지면에 수직하게 들어가는 방향.

  가 점  에 만드는 자기장의 크기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5)
       

전체전류가 만드는 자기장의 크기 :

   
 
 
 

    

(29.6)

☞  에 관한 적분이므로  의 함수가 아닌   은 적분 밖으로 이동.


백종성의 강의노트 29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2 -

그림 29-2를 고려하여 식 (29.6)을 다음과 같이 치환.

   tan (29.7)

   sec  (29.8)

      ,         (29.9)

           tan        tan        
sin  
cos   
 
cos    sin  
cos      

cos   
   sec  (29.10)

식 (29.7) (29.10)을 식 (29.6)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적분계산을 할 수 있다.

   
 sec      
    
 
        sec  

 
 
   

 sec

  
   
cos

     
  sin       sin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29.11)
 

결국,   축 방향으로 흐르는 무한 직선전류  가  만큼 떨어진 지점에 만 그림


드는 자기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29-3 
  

⑴ 자기장의 크기는    이다.
 

⑵ 자기장의 방향은 그림 29-2에서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원호 도선의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그림 29-4의  


와 같이 반지름이  이고 중심각이  인 원호에 흐르는 전류
 가 원호의 중심  에 만드는 자기장.

그림  에서  와  이 수직.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29.12)
  그림 29-4

  ,    을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13)

원은 중심각이    . 반지름이  인 원주에 흐르는 전류  가 원의 중심에 만드는 자기장 :

     
   (29.14)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9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3 -

보기문제 29.01) 그림 29-6와 같이 반


지름이  이고 중심각이   인 원호와 양 
쪽 직선의 연장선을 따라 흐르는 전류 

가 원호의 중심  에 만드는 자기장을 구
하시오.

풀이) 세 부분의 길이요소   의 방향이


다르므로, 전류가 흐르는 구간을 세 부분
으로 나누어 문제를 해결하면 된다.
구간  과 구간  의 경우,   와  이 만드
는 각이 각각   와  이므로, 식 (29.1)
을 고려해보면 이 두 구간에 흐르는 전류
가 점  에 만드는 자기장은  이다.
그림 29-6
구간  (원호 구간)의 경우,  와  이 수
직하므로, 전류요소 가  에 만드는 자기장 :
   ×    sin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의 관계를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보기문제 29.02) 그림 29-7와 같이 서로 



평행한 두 도선에 반대방향으로 전류   ,   가
  
흐를 때 점  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구하시오.  

풀이) 그림  를 고려!(    A ,     A ,  


  

    cm )    


  
  
 
그림 29-7  
    cos    sin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    T

   o  tan  

 
 tan  
  ×  
 ×    o    o
백종성의 강의노트 29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4 -

29-2 두 평행 전류 사이에 작용하는 힘


식 (29.11)과   의 방향을 고려해 보면,   가 도


선  가 놓여있는 지점에 만드는 자기장은 다음과 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29.17) 

그림 29-8 ( 가 만드는
따라서 도선  에서 길이가  이 부분에 작용하는
자기장)
자기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18)

☞ 전류   와   의 방향이 같으면, 그들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은 인력(attractive force)이다.


이때, 단위길이당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29.19)
  

궤도총 그림 29-9는 궤도총의 모습이 


그림 29-9
다. 전도레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도퓨즈가
발사체
녹으면서 기화되어 퓨즈가 있던 자리에 전
전도퓨즈
도성 기체가 생긴다. 그림  는 그림  를
전도기체
위에서 본 모습이다. 그림  와 같이 좌표

축을 선택하면, 전도레일을 따라 흐르는 전  
 
류  는 레일 사이에   축 방향의 자기장을 전도레일
만든다. 따라서 길이가  인 전도기체 영역
에 
      ×  
    
 와 같은
자기력이 작용하여, 결국 발사체를 가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사체를  ×   의
가속도로 가속시킬 수 있으며,  ms동안  km  s의 속력에 도달시킬 수 있다.(여기서  는 중력
가속도!)
백종성의 강의노트 29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5 -

29-3 Ampere의 법칙

Ampere의 법칙 자기장의 크기를 구할 때 유용하게 사용.


적분
      (29.21)
방향

⑴   는 Ampere 고리 내부를 흐르는 전류인데, 오른손 규칙으로


전류의 부호를 결정.

⑵   : Ampere 고리를 구성하는 미소길이벡터. 


 :   가 위치
한 지점의 자기장. 그림 29-10

전류가 흐르는 긴 직선 도선 외부의 자기장 그림 29-11과 같이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


으로 나오는 직선전류  가 수직거리  만큼 떨어진 지점에 만드는 자기장을 구해보자.

 
                  

(29.23)

와  는 평행하므로,  일정.


적분경로를 구성하는 모든  을 합하
 라는 의미인데, 이는 결국 반지름이
    cos     .

적분기호 밖으로  인 원의 둘레에 해당된다.
나갈 수 있다.

도선
Ampere
표면
고리
도선표면

Ampere
고리
그림 29-11 그림 29-12

전류가 흐르는 긴 직선 도선 내부의 자기장 그림 29-12와 같이 반지름이  인 도선에


균일한 전류  가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흐를 때, 도선 내부에서 자기장을 구해보자.


               (29.2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25)


 와  는 평행.  일정. 적분경로를 구성하는 모든
 를 합하라는 의미.
백종성의 강의노트 29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6 -

보기문제 29.03) 그림 29-13는 안쪽 반지름    cm , 바


깥쪽 반지름    cm 인 긴 원통 도체의 단면이다.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며 단면에서 전류밀도의 크기는
  이다. 여기서    ×  A  m  인 경우, 원통의 중심축
에서  cm 떨어진 곳의 자기장을 구하라.

풀이) 그림  와 같이 Ampere 고리를 선택하고, Ampere 고리 


내부를 흐르는 전류를 구해보자.
그림 29-13
 
               



Ampere
        
   고리
   

그림과 같이 시계방향을 따라 오른손을 쥐면 엄지가 지면에 들


 
어가는 방향을 가리키므로,    의 부호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 m  A  ×   A  m    m    m  
 
  m 
   ×    T

중심축으로부터  cm 떨어진 지점에서 자기장의 크기 :

   ×   T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평면에 나란히 놓여있는 무한 직선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 ◯
l ◯
l ◯
l ◯
l ◯
l ◯
l ◯
l

도선이 놓여
있는 면 
 
×

×
 

 
       ×
 
그림 29-14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9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7 -

29-4 솔레노이드와 토로이드

솔레노이드의 자기장 그림 29-19  는 약간 느슨하게 감긴 솔레노이드(단위 길이 당 감긴


수  ) 전류  가 흐를 때 솔레노이드 내부와 외부에 형성되는 자기장선의 모습이다.

  그림 29-19  

그림  와 같이 적분경로(Ampere 고리)를 취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간의 길이 를 의미. (29.27)


이 구간에서, 일정.

토로이드의 자기장 그림 29-21는 단면이 둥그런 모습의


토로이드이다. 여기에 전류  가 흐르면 토로이드의 축 방향으로
균일한 자기장이 형성된다.(토로이드는 솔레노이드를 구부린 형태
그림 29-21
이므로 ). 토로이드의 감긴 수가  인 경우 그림 와 같이
Ampere 고리를 선택하면, 고리 내부를 흐르는 총 전류는   가
된다. 이때 시계방향을 따라 적분하면 전류의 부호는  이고, 자기
장의 방향과   의 방향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토로이드 내부) (29.28)


토로이드 외부 공간에서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9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8 -

보기문제 29.04) 길이가   m 인 솔레노이드에 전류     A 가 흐르고 있다. 이 솔레노


이드는 길이  에  번 감겨져 있는데, 총  겹이 감겨져 있다. 솔레노이드의 안쪽 지름이
    cm 인 경우, 솔레노이드의 중심에서 자기장은 얼마인가?

풀이) 총 감긴 수가    ×  turns   turns이므로,  은 다음과 같다.

  turns
     turns  m (a)
   m

식 (29.27)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T m A  turns m   A    ×    T (b)

29-5 전류고리와 자기쌍극자

전류고리가 만드는 자기장 그림 29-22는 전류 고리가 만드는 자기장선의 모습이다. 전류


고리를 제거한 후, 그 자리에 막대자석을 놓으면 동일한 형태의 자기장선을 만들 수 있다.

그림 29-23
 





 
  

그림 29-22  

그림 29-23은 반지름이  인 원형도선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전류  가 흐르는 모습이다. 그림


에 표현한 , ,   은 다음과 같다.


   cos   sin   (29.29)
   
       cos
   sin
  
 (29.30)


      sin
  cos (29.31)

 ×     sin   cos   ×   cos    sin  



  sin      sin    cos  
   cos

  cos    sin    sin   cos  
 

  cos
   sin
  
 (29.32)
백종성의 강의노트 29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 9 -

이상을 고려하면 전류요소  가 점 에 만드는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cos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29.33)
          

따라서 전류고리가 점  에 만드는 자기장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29.34)
     

여기서, 전류고리의 자기 쌍극자모멘트  에 대한 표현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29.35)

식 (29.35)를 고려하면, 식 (29.34)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29.36)
                  

그리고   인 경우, 식 (29.36)은 다음과 같다.

  

  (29.37)
 

교과서 방법으로도 풀이!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1 -

제 30 장 유도와 유도용량

30-1 Faraday 법칙과 Lenz 법칙

두 가지 실험

첫 번째 실험 그림 30-1은 민감한 전류계에 전류고리가 연결된 모습.

두 번째 실험 그림 30-2는 두 개의 전류고리를 가까이 위치시킨 모습이다.

그림 30-1 그림 30-2

Faraday의 유도법칙
그림 30-1 자석의 움직임 고리를 통과하는 자기다발  를 변화 기전력  이 유도.


   (Faraday의 법칙) (30.1)


☞ 식 (30.1)에서 “ ”부호는 기전력(emf, electromotive force)  의 방향, 즉  에 의해 전류고


리에 흐르는 전류  의 방향을 설명해주는데, 이를 “Lenz의 법칙”이라 한다.

☞ Lenz의 법칙 : 유도전류는 전류고리를 통과하는 자기다발의 변화를 억제시키려는 방향으로


흐른다.

전류고리가 번 감겨져 있는 경우, 유도 기전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번 감겨진 고리) (30.2)
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2 -

면 에서 자기장이  인 경우 이 면을 통과하는 자기다발은

  
  
 (30.3)

이므로, 식 (30.1)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Faraday의 법칙) (30.4)

면 
 에서 자기장이 
 가 균일한 경우 이 면을 통과하는 자기다발은

    
  
    
   cos (30.5)

이므로 Faraday의 법칙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cos (  가 균일한 경우 - Faraday의 법칙) (30.6)


☞ 는 면 
 와 자기장이 
 가 만드는 각이다.

보기문제 30.01) 단위 길이 당 감긴 수
가    turns m 이고, 지름이
   cm 인 솔레노이드 S에
    A 의 전류가 그림 30-3과 같이
흐르고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중심
에는 촘촘하게    번 감긴 지름 그림 30-3
이     cm 인 코일 C 가 놓여있다.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가 ∆   ms 동안 일정한 비율로 감소하여    이 되는 동안 코
일  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의 크기를 구하라.

풀이) 솔레노이드 내부에 위치한 단면적이          인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다발은

 
      

  
(a)

  ,    ms로 놓으면,     A 와     .

     ×    T m  A  turn m  A   m 


       ×    W b
 
      ×    T m  A  turn m    m 
     
 

 ∆     ×    Wb


     ×    W b s     ×    V (b)
 ∆  ×    s
∆

∆ 
     turn    ×    V    ×   V   mV (c)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3 -

Lenz의 법칙 유도전류는 전류고리를 통과하는 자기다발의 변화를


그림
방해하는 방향.
30-4
면 에서 자기장이  인 경우 이 면을 통과하는 자기다발

  
  
 (30.7)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4 -

보기문제 30.02) 그림 30-6은 반지름이    m 인 반원


과 세 직선 부분으로 구성된 도체 전류고리의 모습이다. 반
원은 균일한 자기장  속에 놓여있는데, 자기장의방향은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이고 크기는       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 의 단위는 T이고 시간의 단위는 s이다.
이 전류고리에 기전력이    V 인 이상적인 전지가 연결
되어 있고, 고리의 저항은     이다.    s일 때 전 그림 30-6
류고리에 유도되는 기전력  의 크기와 방향, 그리고 전류
를 구하시오.

풀이) 자기장이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균일 고리를 통과하는 자기다발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V (c)

      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자기장이 계속 증가 유도전류는 자기장의 방향을


감소시키는 방향 오른손 규칙을 고려하면 유도전류의 방향은 시계방향 유도기전력  은
전지의 기전력  와 반대방향.

시계방향을 따라 Kirchhoff의 고리규칙을 적용,

    V   V


             A (d)
 

보기문제 30.03) 그림 30-7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불균일 그림 30-7

한 자기장      안에 놓여있는 폭이    m , 높이


가    m 인 직사각형 전류고리의 모습이다.     s일
때 전류고리에 유도되는 기전력  의 크기와 방향을 구하
시오. 단, 모든 물리량의 단위는 SI 단위이다.

풀이) 자기장이 불균일 자기다발을 적분을 통해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V (c)

    시간이 증가하면 자기장의 크기가 계속 증가 오른손 규칙을 고려하면 유도전류


의 방향은 반시계방향이며, 유도기전력도 반시계방향.(  의 방향이 지면 속으로 들어가는 방향!)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5 -

30-2 유도와 에너지 전달

자기다발 그림
30-8
     
      
     (30.8)

유도 기전력 Faraday의 법칙을 고려!

  

  

   

  

   (30.9)
☞   는 전류고리가 이동하는 속력  이다.

유도전류 의 방향과 크기 전류고리를 오른쪽으로 이동 면적 감소 자기장 증가 요구


오른손 규칙을 고려하면 유도전류는 시계방향.

전류고리의 저항이  인 경우, 유도전류의 크기:

  
   (30.10)
 

도선에 작용하는 자기력 그림과 같이 오른쪽 방향을  축, 위쪽 방향을  축으로 선택하면,

      ×         (30.11)

  
  ×  
    
 (30.12)

   
  ×  
     
 (30.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14)

일률 외력 
 가 도선에 공급하는 일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15)

열에너지 방출률 전류고리의 저항 값이  , 유도전류  .


     
        
 
  (30.16)

☞ 식 (30.15)와 (30.16)은 정확히 일치하는데, 이는 다음을 의미한다. 즉, 자기장 안에서 전류


고리를 당길 때 외력이 해준 일은 모두 전류고리에서 열에너지로 전환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6 -

소용돌이 전류 그림 20-10에서 도체판


그림 30-10
을 오른쪽으로 당기면 도체판과 자기장 사이
의 상대운동에 의해 도체판에 유도전류 발생.
이 유도전류를 구성하는 전도전자가 전류고리
를 따라 일정하게 이동하지 않고 마치 소용돌
이 물살에 걸린 것처럼 소용돌이치는데, 이런
전류를 소용돌이 전류(eddy current)라고 함.

30-3 유도전기장

그림 30-11 :
원궤도
⑴ 자기장의 세기를 일정한 비율로
증가 시켜주면 전류고리 내부를 통
과하는 자기다발이 변화.  
 
그림 30-11
⑵ 전류고리에 기전력이 유도되어 반
시계방향으로 유도전류가 흐른다.

⑶ 전류고리에 전류가 흐르려면 도선


을 따라 전도전자를 이동시키는 전
기장이 필요하다. 이 전기장은 자기
장의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데, 이를
 
유도전기장이라 부른다.

유도전기장은 전류고리가 없어도 그림  와 같이 반지름이  인 원에 접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원은 전기장선에 해당한다.

그림  에서 시험전하  가 원궤도를 따라 한 바퀴 이동할 때, 유도전기장이  에 해준 일 :

   (30.17)

닫힌 고리를 따라  가 한 바퀴 도는 동안 유도전기장이  에 한 일 :

          (30.18)

식 (30.17), (30.18)로부터

      (30.19)

식 (30.1,      )과 식 (30.19)를 결합.


     

(Faraday의 법칙) (30.20)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7 -

전기퍼텐셜에 대한 새로운 관점 전기퍼텐셜은 정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에서만 의미가 있고,


유도전기장에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데 이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정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이 인 공간에서 두 점  와  사이의 퍼텐셜차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30.21)

만약 두 점  와  가 같은 점이라면 이들을 연결하는 경로는 닫힌 고리가 되고,      이다. 이


경우에 대해 식 (30.21)을 적용하면,

          (정전하가 만든 전기장에서) (30.22)

이다. 그러나 자기장의 변화가 만든 전기장에 대해서는


     

 (자기장의 변화가 만든 전기장에서) (30.23)

이다. 식의 형태만 보면 식 (30.22)와 (30.23)이 서로 모순에 빠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식


(30.22)는 정전하가 만든 전기장에서 성립하는 식이고, (30.23)은 자기장의 변화가 만든 전기장에
서 성립하는 식이다. 따라서 자기장의 변화가 만든 전기장에서 전기퍼텐셜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고 결론지어야 한다.

보기문제 30.04) 그림 30-11에서     cm ,       Ts인 경우, 다음 을 답하시오.

(a) 자기장 안에 있으며 자기장의 중심에서 반지름  인 곳에서 유도전기장의 크기에 대한 표현식
을 유도하고,     cm 일 때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Faraday의 법칙 :


      

(a)

  인 경우, 반지름이  인 원에 대해 식 (a)를 적용 : 


 와   가 평행.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 
(c)

 반지름이 인 원의 면적.


 

      (d)
  

 

  
    


  
  
 
(e)

    m   Ts 


       ×    V  m    mV  m (f)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8 -

(b) 자기장의 외부에 있는 반지름이 인 점에서 유도전기장에 대한 표현식과    cm 일 때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식 (a)의 좌변의 선적분은 식 (b)과 동일하므로,  인 경우 반지름이  인 원 내부에 형


성되는 자기다발과 자기다발의 시간적 변화율만 구해보자.(그림을 보면 자기장은 반지름이  인
원 내부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면적분에서 면적은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g)




        (h)
  
  
 

   
  
   

  
 
(i)

    m   Ts 


     ×   V  m   mV  m (j)
     m 

30-4 유도기와 유도용량

유도용량 단면적이  이고 총 감긴 수가  인 코일(coil)에 전류  가 흐를 때, 코일 내부를 통


과하는 총 자기다발   와 전류  는 다음 관계를 만족.

     (30.24)

       (30.25)
 
  H  (유도용량, 인덕턴스, inductance) (30.26)

☞  는 코일  회 감긴 수( turn ) 당 통과하는 자속.  H   T m  A .


☞ 코일을 유도기 또는 인덕터(inductor)라 부르는데, 전기회로에서 의 기호로 표시.

솔레노이드의 유도용량 단면적  , 길이 . 총 감긴 수  인 솔레노이드(   )

단위 길이 당 감긴 수가  인 솔레노이드에 전류  가 흐르면, 내부의 자기장은     .

               (30.28)



     
          (30.29)
 

솔레노이드의 단위 길이 당 인덕턴스 :

     
      (30.30)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9 -

30-5 자체유도

총 감긴 수가 이고 인덕턴스가  인 유도기에 전류 가 흐를 때, 유도기 내부를 통과하는 총


자기다발은      . Faraday의 법칙을 고려하면 유도기에 발생하는 자체 유도기전력  :

  
               (30.32)
  

☞  부호는 Lenz의 법칙으로서, 자체 유도기전력의 방향은 전류  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


로 생긴다는 것을 의미.

30-6 RL 회로

전류의 증가 그림 30-12에서 스위치  를 점  에 연결하


면 회로는 그림 30-13과 같은 모습이 된다. 스위치  를 점
 에 연결하는 순간을    으로 취하면,

       (30.33)
그림 30-12
그림 30-13에 대해 점  에서 시작하여 전류의 방향을 따라
Kirchhoff의 고리규칙을 적용 :


       








   
  (30.34)

여기서       과 같이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30-13

 
    
 
 
    (30.35)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37)
 
                 (30.3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3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40)
   

☞     인데, 이를 “유도 시간상수” 또는 “  회로의 시간상수”라고 부른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10 -

전류의 감소 그림 30-12에서 스위치 를 점  에 연결한 후, 시


간이 충분히 경과하면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    에 도달한다.
이때 스위치를 점  로 순간적으로 옮기면, 회로는 그림 30-14와 같
은 모습이 된다. 스위치  를 점  에 연결하는 순간을    으로 취
하면,
그림 30-14
        (30.41)

그림 30-14에 대해 전류의 방향을 따라 Kirchhoff의 고리규칙을 적용한 후, 식을 정리 :

   
             (30.42)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30.43)
 
                 (30.44)
 
    (30.45)

보기문제 30.05) 그림 30-15는


   인 동일한 세 개의 저항기와
   mH 인 동일한 두 개의 유도기, 기
전력이    V 인 이상적인 전지로 구성
된 회로이다.

(a) 스위치를 닫는 순간 전지를 통해 흐르


는 전류  는 얼마인가?

풀이) 스위치를 닫는 순간 유도기에 흐르


는 전류는  이므로, 유도기가 위치한 부분
은 그림  와 같이 회로가 끊어진 것과 그림 30-15

같다. 따라서 이 순간 전지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V
          A (a)
 

(b) 스위치를 닫고 시간이 충분히 지난 후, 전지를 통해 흐르는 전류  는 얼마인가?

풀이) 스위치를 닫고 시간이 충분히 지나면 유도기는 도선처럼 행동하므로, 이때는 그림  와 같


은 모습이다. 그림  에서 세 개의 저항이 병렬 연결되어있는데, 이들의 등가저항이  이므로
이를 그림  와 같이 생각할 수 있다. 다라서 전지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V 
          A (b)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11 -

보기문제 30.06) 어떤 솔레노이드의 유도용량은  mH 이고 저항은      이다. 여기


에 전지를 연결하면 언제 평형전류의 반에 해당하는 전류가 흐르는가?

풀이) 이 문제는 기전력이  인 전지에 유도용량이    mH 인 유도기와 저항이      인


저항기를 직렬로 연결한 회로(그림 30-13)와 동일하다. 따라서 회로에 흐는 전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a)

평형전류  는 시간이 충분히 경과했을 때의 전류이므로, 이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
   (b)
 

따라서 문제의 조건을 다음과 같이 식으로 표현하면, 평형전류의 반에 해당하는 전류가 흐르는 시
간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c)
   

식 (c)의 양변에 자연로그(ln )를 취하여  에 관해 정리한 후, 문제에서 제시된 값을 대입하면 다


음과 같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시간을 구할 수 있다.

ln        ln 
  
    ln

  ×   H  
   ln  s (d)
   

30-7 자기장에 저장된 에너지

그림 30-16에 대해 Kirchhoff의 고리규칙을 적용 :

          
 

      (30.46)

 그림 30-16
         (30.47)

⑴  : 기전력장치가 회로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율.

⑵    : 저항기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에너지의 시간적 변화율.



⑶    : 유도기  에 저장되는 자기에너지   의 시간적 변화율.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30.48)
 
 
 
 

      


 (자기에너지) (30.49)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12 -

보기문제 30.07) 유도용량이  mH 이고 저항이     인 전류고리가 있다.

(a)  V 의 기전력을 전류고리에 연결할 때 전류가 평형 값에 도달한 후 자기장에 저장된 에너지


는 얼마인가?

풀이) 평형상태에서 유도기는 도선처럼 행동하므로, 이때 흐르는 전류는


  V
    A (a)
  

이므로, 이때 자기장에 저장된 에너지는 식 (30.49)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    H   A 
      J (b)
 

(b) 시간상수의 몇 배가 지난 후 자기장에 저장된 에너지가 평형 값의 반에 도달하는가?

풀이) 문제의 조건을 식으로 표현한 후, 이를 차례대로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30-8 자기장의 에너지밀도

단면적이  , 길이가 , 단위 길이 당 감긴 수가  인 솔레노이드의 유도용량  :

       (30.50)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에 전류  가 흐를 때, 솔레노이드에 저장된 자기에너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30.51)
   

식 (30.51)의 양변을 솔레노이드의 부피(  )로 나누면,

 
   (자기에너지 밀도) (30.52)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13 -

30-9 상호유도

그림 30-18에서 원형으로 감겨져 있는 두 코일의 중심축은 같


은데, 이 모습을 통해 상호유도에 대해 살펴보자.

그림  에서 코일  의 감긴 수는 , 코일  의 김긴 수는  
이다. 코일  에 흐르는 전류   이 코일  내부에 만드는 자기
다발을  로 놓으면, 코일  를 통과하는 전체 자기다발   
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30.53)

여기서   은 코일  에 흐르는 전류   과 코일  를 통과하는


전체 자기다발    사이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계수인데, 이
를 상호유도용량이라 부른다. 따라서   을 다음과 같이 정의
할 수 있다.

   
   (30.54)
 그림 30-18

한 개의 코일에 대해 정의했던 유도용량(     )과 식


(30.54)를 비교해 보면 그 형태가 동일하다. 따라서 상호유도
용량   의 단위도 유도용량  과 단위가 같다. 즉   의 단
위도 H (헨리)이다.

식 (30.53)과 Faraday의 법칙을 고려하면   이 변할 때, 코일


 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  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30.55)
  

그림  와 같이 코일  에 전류   가 흐르는 경우도, 그림  
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술되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30.56)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57)
  

  와   은 다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동일하므로 이를 간단히  으로 표현한다. 즉,

       (30.58)

이므로, 두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30.59)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0장 유도와 유도용량 - 14 -

보기문제 30.08) 그림 30-19에서 반지름이 인 줄고리


(코일)의 감긴 수는   , 반지름이  인 줄고리의 감긴
수는   이고, 이들의 중심은 같으며, 동일평면에 놓여있
다. 그리고   인 경우, 상호유도용량을 구하라.

풀이)   이므로 반지름이  인 줄고리에 흐르는


전류   이 반지름이  인 줄고리가 놓여있는 지점에 만
드는 자기장은 균일하다고 생각하자. Biot-Savart의 법칙
을 고려하면, 반지름이  인 줄고리에 흐르는 전류   이
중심에 만드는 자기장은        인데, 반지름이 
인 줄고리의 감긴 수가   이므로 반지름이  인 줄고리 그림 30-19
가 놓여있는 지점의 자기장은          이다. 따라
서 다음과 같이 상호유도용량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기문제: 보충문제) 유도기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에 대한 등가 유도용량.

1) 유도기의 직렬연결 : 그림 30-23,  과 고리규칙을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b)

        (c) 그림 30-23

2) 유도기의 병렬연결 : 그림 30-23, 과 고리규칙, 접점규칙을 고려!


    
       (e)
  
    
         (f)
  
  
         (g)
   
    
             (h)
  
     
          (i)
           
제 31 장 전자기적 진동과 교류

31-1  진동

 진동의 정성적 분석 및 전기와 역학의 비교

그림 31-1

표 31-1 두 진동계의 에너지 비교


토막-용수철 계  진동기
요소 에너지 요소 에너지
  
용수철 탄성 퍼텐셜에너지  축전기 전기에너지  
 
  
토막 운동에너지      유도기 자기에너지     
 
 
   
 

 
 
  
 

토막-용수철 계에서 각진동수가     이므로, 대응관계를 고려하면  진동의 각진동수는


  (31.1)
 
 진동의 정량적 분석

토막-용수철 진동 토막-용수철 계에서 계의 에너지는 토막의 운동에너지와 용수철의 퍼텐셜


에너지로 구성되므로 계의 전체 에너지 :

 
          (31.2)
 

식 (31.2)를 시간  로 미분.(  는 일정하므로,     을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3)
 

식 (31.3)의 일반해 :

   cos     (단순조화진동자의 위치) (31.4)

☞  : 진폭,     : 각진동수,  : 위상상수.

 진동 진동하는  회로의 전체에너지 :

 
           (31.5)
 

식 (31.5)를 시간  로 미분하여 정리.(  는 일정하므로,     을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6)
 

전하와 전류의 진동 식 (31.3)과 식 (31.6)의 형태가 동일.  회로에서 축전기의 전하  에


대한 해는 식 (31.4)와 동일한 형태!

   cos     (전하) (31.7)

☞  : 전하  의 진폭,      : 전자기 진동의 각진동수,  : 위상상수.

식 (31.7)을 시간  로 한 번 미분 :

 
      cos         sin        sin     (31.8)
 
☞     는 전류  의 진폭.
각진동수 를 시간  로 두 번 미분 :

  
 cos          cos          (31.9)
 

식 (31.9)를 식 (31.6)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 에 대한 표현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31.10)
    

위상상수  는 문제에서 적절한 조건이 주어지면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이    일 때


   라는 조건이 주어지면, 이를 식 (31.7)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 를 결정할 수 있다.

     cos       cos      (31.11)

전기에너지와 자기에너지의 진동 식 (31.7), (31.8)을 고려하면, 주어진 시간에 계의 전기


에너지  와 자기에너지   , 그리고 전체 에너지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cos     (31.12)
 
   
           sin        sin      (31.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sin         (31.14)
 

그림 31-2를 보면 계의 전체에너지는 일정하고, 전기에너지와


자기에너지는 서로 교환하는(주고받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림 31-2

보기문제 31.01) 전기용량이    F 인 축전기가 퍼텐셜차    V 로 충전되어 있다. 전지


를 떼어내고 유도용량이    mH 인 유도기를 축전기에 직렬로 연결하여  진동이 일어나게
했다. 회로의 저항이 없는 경우,

(a) 유도기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값  는 얼마인가?

풀이)     로부터     ×   F  V     C .

 
           m ax     m ax     
 
  ×    C
      A (a)

   H   ×   F 
(b) 유도기에 걸리는 퍼텐셜차를 시간의 함수로 표시하여라.

풀이)  회로에서   cos    . 여기에 문제의 조건(   일 때    )을 적용.

     cos       cos      (b)

따라서 일반해는 다음과 같다.

   cos (c)

 회로에서 유도기와 축전기는 서로 병렬연결(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cos (d)
 

여기서   는 축전기에 걸리는 최대 퍼텐셜차인  V 와 같고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rad s (e)
   H   ×  F

따라서   은 다음과 같다.

   cos   V (f)

(c) 회로에 흐르는 전류  의 변화율   의 최대값은 얼마인가?

풀이) 식 (c)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한다.

 
    cos     sin (g)
 
 
      sin      cos (h)
 
  


 
m ax
         


 
 A  s (i)
31-2  회로의 감쇠진동

그림 31-4와 같은 회로에 저장된 전체 에너지 :

 
      (31.24)
 

회로에 전류  가 흐를 때, 저항기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에너지율 :


    (31.25) 그림 31-4


식 (31.24)를 시간  로 한 번 미분한 후, 식 (31.25)와 결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2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27)
      

식 (31.27)의 일반해 :

        cos′   (  회로에서 전하  에 대한 일반해) (31.32)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cos ′   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 (31.33)
 

보기문제 31.02) 유도용량    mH , 전기용량     F, 저항     의  직렬회


로가 있다.   에서 진동을 시작한다.

(a) 시간이 얼마나 지나면 회로에서 일어나는 전하 진동의 진폭이 처음 값의  가 되는가?

풀이) 식 (31.32)를 보면  의 진폭은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H ln 
 ln   ln  ln   s  ms
   

(b) “문제 (a)”에서 구한 시간동안 몇 번의 진동이 이루어지는가?

풀이) ′  
      인데, 이 문제의 경우       이므로, ′     .

      s
       
     
       H   ×   F 
☞ 약  번 진동하는 동안 진폭이  감소한다.
31-3 세 간단한 회로의 강제진동

교류 진동하는 형태의 전류를 교류(alternating 그림 31-5


current, AC)라 한다. 전기회로에서 교류기전력 의
기호는 .

면적이 인 고리가 균일한 자기장  안에서 각속도


 로 회전하면, 자기장과 면적벡터가 만드는 각  가
    로 변하므로 다음과 같이 교류기전력이 발생.

 
      cos 
 
   sin    sin  (31.34)

교류 전류  :

   sin      (31.35)

☞  는 전류의 진폭. 식 (31.34)와 식 (31.35)를 보면 기전력과 전류의 위상이  만큼 다르다.

간단한 세 회로
그림 31-6
   sin  (31.36)

   sin      (31.37)

☞  과  는 기전력과 전류의 진폭,  는 기전력과 전류


사이에 발생하는 위상차.

저항형 회로 그림 31-7에 고리규칙을 적용 :

     (31.38)

      sin      sin   (31.39)


  그림 31-7
   sin    sin  (31.40)
 
     (31.41)

☞   :   의 진폭.  :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   의 진폭.

☞ 저항기 양끝에 걸리는 퍼텐셜차와 저항


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위상차는  .

그림 31-8
보기문제 31.03) 그림 31-7에서 저항은    , 교류기전력의 진폭은    V , 그리고
진동수는    Hz 이다.

(a) 저항에 걸리는 퍼텐셜차를 시간  의 함수로 표기하여라. 퍼텐셜차의 진폭은 얼마인가?

풀이)    sin    sin      sin    V  (a)

어떤 특정한 시간에 대해 고리규칙을 적용 :

    (b)

      sin    V  (c)

☞   의 진폭은     V .

(b) 저항에 흐르는 전류   과   의 진폭  은 얼마인가?

  sin    V 
풀이)      sin    A  (d)
  

☞   의 진폭은    A .

용량형 회로 그림 31-9에 고리규칙을 적용 :

     (31.42)
      sin     sin  (31.43)

☞   는   의 진폭. 그림 31-9

전기용량의 정의를 고려!

         sin   (31.44)
 
     sin        cos 
 

  sin        (31.45)

 
         (31.46)  
     에 나타낸 순간
      (31.47)
그림 31-10

  (용량형 리액턴스) (31.48)
   로 회전
☞  :   의 진폭.   는 용량형 리액턴스(단위는  ). 하는 위상자

☞   와   는 각각   와  의 수직성분

☞   는  의 위상보다   만큼 느리며, 이들은 각속도 


  로 회전.
보기문제 31.04) 그림 31-9에서 전기용량은  F , 교류기전력의 진폭은    V , 그리
고 진동수는   Hz 이다.

(a) 축전기에 걸리는 퍼텐셜차  와   의 진폭   는 얼마인가?

풀이)    sin    sin      sin    V  (a)

어떤 특정한 시간에 대해 고리규칙을 고려 :

     (b)

      sin    V  (c)

☞   의 진폭은     V .

(b)   의 진폭  와 전류   를 구하시오.

    V
풀이)        A (d)
 
   
       Hz  ×    F 

그리고 식 (31.45)로부터   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sin        sin         sin        A  (e)

유도형 회로 그림 31-11에 고리규칙을 적용 :

     (31.49)

      sin      sin   (31.50) 그림


☞   은   의 진폭. 31-11

        이므로, 식(31.50)으로부터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sin    (31.52)

 
  sin      cos  
  
  sin        (31.53)
 
     (31.54)
  
그림
     (유도형 리액턴스) (31.55) 31-12

☞  은   의 진폭,   은 유도형 리액턴스(단위 :  )

☞   과   은 각각   과  의 수직성분.

☞   은  의 위상보다   만큼 빠르다.
보기문제 31.05) 그림 31-11에서 유도용량은  mH ,    V ,    Hz 이다.

(a) 유도기에 걸리는 퍼텐셜차  과   의 진폭   는 얼마인가?

풀이)    sin    sin     sin   V  (a)

어떤 특정한 시간에 대해 고리규칙을 고려.

     (b)
      sin   V  (c)

☞   의 진폭은     V .

(b)   의 진폭  과 전류   을 구하시오.

    V
풀이)       A (d)
       Hz   H 

그리고 식 (31.53)으로부터   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sin        sin       sin      A  (e)

그림 31-6

31-4 직렬  회로

그림 31-6 :  ,  ,  ,  이 직렬 진폭은 모두 동일.

        (31.56)

전류진폭 그림 31-13 : 직렬  회로에서 각각의 소자


에 걸리는 전압의 진폭과 전류의 진폭을 위상공간에서 표현.

⑴   은 전류의 진폭과 동일한 위상,


⑵   는 전류의 진폭보다  만큼 느리며,
⑶   은 전류의 진폭보다   만큼 빠르다.
그림
그림 31-13 기전력의 진폭을 다음과 같이 정리. 31-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57)


     
                (31.58)


  
               

   (임피던스, 단위 :  ) (31.59)
위상상수 그림 31-13 위상상수 를 다음과 같이 정리.

             
tan  



  tan 
   (31.61)

공명 식 (31.60)에서         이면 전류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데, 이와 같은 조건을 공명


(impedance matching)이라 부른다.

 
       (31.62)
  

☞ 기전력의 강제 각진동수   와  회로의 자연 각진동수  가 같을 때 공명이 발생.

보기문제 31.06) 그림 31-6에서     ,    F ,    mH ,    V ,    Hz


이다.

(a) 전류진폭  는 얼마인가?

풀이)    를 활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a)
 

(b) 외부 기전력에 대한 전류의 위상상수 를 구하라.

  
풀이) 
  tan     tan  
 
  
 
    o    rad (b)
31-5 교류회로의 전력

sin     의 평균 주기가 인 주기함수   의 평균     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  (31.63)
 


 sin     cos     
sin      cos      
 
 

 
 

  sin        cos    
 
  

 sin      cos       sin     


 
(31.64)

sin       cos            (31.65)

식 (31.64), (31.65)를 결합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sin        cos      (31.66)

교류회로의 전력 그림 31-6의 저항에서 열에너지로 전환되는 에너지의 순간적 비율  와 평


균  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sin             sin       (31.67)
  
       sin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31.68)

        sin        


(31.69)

 
   ,      (30.71)

 

교류회로에서 전류계나 전압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들은     ,     ,    . rms 값을 사용하면


식 (31.60)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31.72)
             

그림 31-13에서 cos      인데, 이를 전력인자(power factor)라고 부른다. 전력인자를 다음


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
cos      (31.73)
  
식 (31.72), (31.73)을 고려하면 식 (31.70)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31.74)

☞ cos가 최대가 되는 조건이 공명조건이 됨을 알 수 있다.


18-3 교류 백종성의 강의노트

보기문제 31.07) 진동수   Hz ,      V 의 기전력이 연결된 직렬  회로에


    의 저항과     의 유도기,      의 축전기가 들어있다.

(a) 회로의 전력인자 cos, 위상상수 , 저항에서 발산되는 에너지의 평균율   를 구하라.

풀이) 임피던스  를 먼저 구한 후, 이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해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cos     (b)
   
  cos      o (      이므로  부호 선택) (c)

   
       
  
    

 V    
  
 W (d)

(b) 축전기만    로 교체했더니   가 최대가 되었다. 이때 사용한    는 얼마인가?

풀이) 공명조건을 만족할 때   가 최대 ;


 

   
        ×    F (e)

         
    Hz   

31-6 변압기

에너지 전송의 조건 송전선을 오직 저항만 존재하는 회로 송전선의 위상상수   .

         cos         cos           (31.75)

발전소에서      kV 의 전위로       A 의 전류를  km 떨어진 곳에 송전 :

            ×     MW  (31.76)

송전선이     km 의 저항을 가지면, 송전선의 저항은       km  km     이므


로, 저항(송전선)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              MW  (31.77)

발전소에서 보내는 전압을 반으로 줄이면 동일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류를 두 배로 증가 :

              MW  (31.78)


이상적인 변압기 그림 31-13과 같이 폐회로 형태의 철
심에 차 코일(primary coil)과 차 코일(secondary coil)이
각각 과   번 감겨져있는 변압기를 고려.

차 코일 양단에 교류기전력    sin이 인가 :

    
 

   



  

(31.79) 그림 31-13

         
     
   (31.80)
  

     
           (31.81)
    
  

에너지 손실이 없는 이상적인 변압기 : 차 코일에 투입된 전기에너지가 차 코일로 모두 전환.

   
               (31.82)
   

그리고 차 코일의 부하저항  을 고려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83)

 
   
   (31.84)

☞ 차 코일에 투입된 교류기전력    sin은 식 (31.84)와 같은 부하저항을 느낀다.

보기문제 31.08) 전신주 변압기의 차 코일 전압     kV , 가정에 공급되는 전압


    V , cos  인 변압기.

(a)      를 구하라.
   V
풀이)       (a)
   V

(b) 가정에서 소비하는 평균전력       kW 일 때,  와  를 구하라.

    W
풀이)              A (b)
  V
    W
              A (c)
  V

(c)  와  를 구하라.

  V   V
풀이)        ,        (c)
  A   A
백종성의 강의노트 32장 Maxwell 방정식, 물질의 자성 - 1 -

제 32 장 Maxwell 방정식, 물질의 자성

32-1 자기장에 대한 Gauss 법칙

자기장에 대한 Gauss의 법칙

⑴ 자석을 잘게 부수어 자기홀극(magnetic


monopole)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

⑵ 임의의 폐곡면을 통과하는 자기다발은 .

       (32.1)
그림 32-1 그림 32-2

32-2, 3 유도자기장, 변위전류

Faraday의 법칙 :


     

(Faraday의 법칙) (32.2)

☞ 변하는 자기장은 전기장을 만든다.

☞ 대칭성 변하는 전기장이 자기장을 만들지 않을까?


        

(Maxwell의 유도법칙) (32.6)


     (변위전류) (32.7)


☞ 변위전류(displacement current)   : 변하는 전기장에 의해 형성.

Ampere-Maxwell의 법칙 전도전류와 변위전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
            

(Ampere-Maxwell의 법칙) (32.9)

또는

             (Ampere-Maxwell의 법칙) (32.10)


백종성의 강의노트 32장 Maxwell 방정식, 물질의 자성 - 2 -

유도자기장 구하기

    (축전기 안에서 변위전류) (32.11)

내부( ) :

            


      (32.12)

  그림 32-3  

       (32.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형 축전기 내부) (32.14)
  

외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형 축전기 외부) (32.15)
 

보기문제 32.01) 그림 32-3은 반지름이  인 원통형 축전기가 대전되는 모습이다. 그림  는 축


전기를 옆에서 관측한 모습이고, 그림  는 축전기 단면의 모습이다.

(a) 축전기 내부(  , 점 )에 유도되는 유도자기장에 대한 표현식을 구하시오.

풀이) 축전기 내부는 유전체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축전기 내부에는 전도전류가 흐를 수 없다.

 
            

   
     (a)

좌변   
         
   (b)

  
우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 
      
         (d)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2장 Maxwell 방정식, 물질의 자성 - 3 -


(b)    mm ,     ×  V m s인 경우, 자기장의 크기를 구하시오.

풀이) 식 (d)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     ×    T (e)
  

(c)   인 경우 유도자기장에 대한 표현식을 구하시오.

풀이) 풀이과정은 “문제 (a)”와 동일!

좌변                 (f)

  
 
우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
 
      
           (h)
   

보기문제 32.02) “보기문제 32.01)”에서 축전기가 전류  로 대전되고 있는 경우, 다음을 답하시


오.

(a) 극판 사이의 중심으로부터    인 곳에서    를 구하시오.

풀이) 축전기 내부에서 Ampere-Maxwell의 법칙 :

         (a)

그림  에서 반지름이  (  )인 원을 통해 흐르는 전류 :


                   (b)

    를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b)    인 곳에서 유도자기장의 크기를 최대 유도자기장의 크기  m ax 로 나타내시오.

       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d)

    
 m ax        (e)
  
        m ax
        (f)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2장 Maxwell 방정식, 물질의 자성 - 4 -

Maxwell 방정식

지금까지 공부했던 개의 전자기 법칙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는데, 이를 Maxwell 방정식이


라 부른다.

⑴ 전기에 대한 Gauss 법칙 : 알짜 전기장 다발과 Gauss 면 내부에 존재하는 알짜 전하 사이


의 관계.

     (32.16)

⑵ 자기에 대한 Gauss 법칙 : 알짜 자기다발과 Gauss 면 내부에 존재하는 알짜 자하 사이의


관계. 자기홀극 불가를 설명한다.

  
   (32.17)

⑶ Faraday의 법칙 : 유도 전기장과 변화하는 자기다발 사이의 관계.


     

(32.18)

⑷ Ampere-Maxwell의 법칙 : 유도자기장과 변화하는 전기장 다발 및 전도전류 사이의 관계.


            

(32.19)
백종성의 강의노트 32장 Maxwell 방정식, 물질의 자성 - 5 -

32-4 자석

지구자기 그림 32-4는 지리적 관점에서 본 지구의 모습과 자


기적 관점에서본 지구의 모습이다.


지구 자기쌍극자 모멘트는   ×  J  T.

⑴ 자기편각 : 지리적 북쪽과 자기장의 수평성분이 만드는 각


인데, 이는 나침반을 사용하여 측정하면 된다.

⑵ 경사각 : 수평면과 자기장이 만드는 각인데, 이는 경사계로


그림 32-4
측정한다.

32-5 자기와 전자

스핀 자기 쌍극자모멘트 전자스핀은 원자스펙트럼의 다중구조(multiplet structure)를 설명하


기 위하여 도입.

한 전자와 다른 전자 사이의 고에너지 산란현상을 관측해 보면, 전자의 직경은    ×    m


정도인데, 이때 전자의 스핀 각운동량(간단히 스핀이라고 함)의 크기는   ℏ 이다.(단,
ℏ  ,  는 Planck 상수) 이와 같은 스핀을 갖기 위해 필요한 전자표면의 접선속력을 다음
과 같이 계산해 보자. 즉, 전자를 질량이  이고 반지름이  인 구라고 생각하면, 전자의 자전에
의한 각운동량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32.20)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접선속력을 계산할 수 있다.

       
   ℏ   
    
      ×   J s 
     ×   m  s (32.21)
    ×    kg   ×   m 

이상과 같이 전자의 스핀은 실험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모형이다. 전자는


스핀 각운동량(간단히 스핀이라 함)  와 스핀 자기 쌍극자모멘트 
 를 갖는 것 

으로 관측.

  
    (32.22)

☞  부호는 그림 32-5와 같이 
 와 
 가 서로 반대방향이라는 뜻이다. 그림
32-5
백종성의 강의노트 32장 Maxwell 방정식, 물질의 자성 - 6 -

특정한 방향에 대해 측정한 의 성분은 양자화(불연속적인 값만 허용됨) 되어 있는데, 


 의  축
성분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32.23)

여기서  를 스핀 자기양자수라고 부른다.   가  축 방향을 향하면    이고 전자는
“위 스핀(spin up)” 상태에 있고,   축 방향을 향하면      이고 전자는 “아래 스핀(spin
down)”상태에 있다고 한다.

식 (32.23)을 고려하면  의  성분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24)

☞ 식 (32.24)에서   가  축 방향이면  부호,   축 방향이면  부호이다.

  의 크기는 식 (32.24)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    C   ×    J s
        ×    J  T (32.25)
   ×    kg 

이 값을 Bohr 자기량  라 부른다. 즉,     ×    J  T이다. 따라서        이다.

한편, 전자가  축 방향을 향하는 외부 자기장   안에 놓이면 스핀 자기 쌍극자모멘트에 의해


다음과 같은 퍼텐셜에너지  를 갖는다.

  
 
           (32.26)

궤도 자기 쌍극자모멘트 원자 안에 있는 전자는 스핀과 함께 궤도 각운동량   도 가지는


데, 궤도 각운동량과 궤도 자기 쌍극자모멘트 
or  사이에 다음 관계가 있다.

  
     (32.27)
  

☞  부호는 
  와 
  가 서로 반대방향이라는 뜻이다.

한편, 특정한 방향에 대해 측정한 


  의 성분은 양자화 되어 있는데, 
  의  축 성분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  ±    ± ) (32.28)

여기서  은 궤도 자기양자수, 그리고  은 궤도 양자수이다.

식 (32.28)을 고려하면   의  성분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29)
백종성의 강의노트 32장 Maxwell 방정식, 물질의 자성 - 7 -

한편, 원자가 축 방향을 향하는 외부 자기장  안에 놓이면 궤도 자기 쌍극자모멘트에 의해




다음과 같은 퍼텐셜에너지  를 갖는다.

     
         (32.30)

전자궤도에 관한 고리모형 그림 32-6과 같이 전자가


그림 32-6
반지름이  인 원을 따라 접선속도  로 돌고 있는 경우, 전자
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다음과 같은 전류가 형성된다.

  
    (32.31)
   
☞  는 원운동의 주기이다.

따라서 전자의 궤도 자기 쌍극자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32.32)

한편 전자의 궤도 각운동량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32.33)

따라서 식 (32.32), (32.33)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32.34)
   

전류의 방향과 전자의 운동방향이 반대이므로, 그림과 같이 


  와   는 반대방향이다. 결국 이
들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32.35)
  

자성물질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고, 원자는 원자핵과 핵 주위를 돌고 있는 전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핵 주위를 돌고 있는 전자가 물질의 자성에 기여한다.

⑴ 핵 주위를 돌고 있는 전자는 스핀 자기 쌍극자모멘트와 궤도 자기 쌍극자모멘트를 가지므로


전자의 자기 쌍극자 모멘트는 이들의 벡터 합으로 주어진다.

⑵ 하나의 원자에 포함된 모든 전자들의 자기 쌍극자모멘트가 벡터적으로 합해져 원자의 자기


쌍극자모멘트를 구성한다.

⑶ 물질을 구성하는 모든 원자들의 자기 쌍극자모멘트가 벡터 합으로 결합되어 물질의 자기 쌍


백종성의 강의노트 32장 Maxwell 방정식, 물질의 자성 - 8 -

극자모멘트를 만든다.

⑷ 현대물리학에서 공부하겠지만, 특정한 원자에 소속된 전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전자)의 상


태는  개의 양자수(주양자수 , 궤도양자수 , 궤도 자기양자수  , 스핀 자기양자수  )
로 표현되는데, 이와 관련된 파울리의 배타원리와 훈드 규칙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 파울리의 배타원리(Pauli's exclusion principle) : 한 원자 내에서 두 전자가 동일한  개


의 양자수들을 가질 수 없다.

⒝ 훈드 규칙(Hund rule) : 동일한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부껍질에 전자가 채워질 때, 가능하
면 짝을 이루지 않는 방법으로 전자들이 채워진다.

⑸ 한 원자 내에서 두 전자의 양자수가 스핀 자기양자수  만 다르고, 나머지  개의 양자수는


동일할 때, 이들을 쌍을 이룬 전자(paired electron)라고 한다.  는  (spin up) 또는
   (spin down)과 같이 두 개의 값만 가지므로 쌍을 이룬 두 전자의 자기모멘트의 합은
 이다. 따라서 쌍을 이룬 전자로만 구성된 원자의 알짜 자기모멘트는  이다. 쌍을 이루지
못한 전자(unpaired electron)를 가지는 원자는 알짜 자기모멘트를 갖는데, 이와 같이 원자
자기 모멘트(atomic magnetic moment)를 갖는 원자를 자기원자(magnetic atom)라 한다.

⑹ 자기원자는 자기 쌍극자모멘트를 가지므로, 물질 안에서 그림 32-8와 같  


이 작은 자석처럼 행동한다. 이와 같은 자기원자를 편의상 그림  와 같이
●  
표시하는데, 이 모습은 작은 공 모양의 원자가 화살표 방향의 자기 쌍극자모
멘트를 가진다는 뜻이다. 경우에 따라 공 모양을 생략하고 그림  와 같이 
화살표만 사용하기도 한다. 그림 32-8

32-6 반자성
그림 32-11     

외부 자기장이 인가될 때 물질의 자기 쌍극자모멘  


반자성 물질
트가 외부 자기장과 반대방향으로 정렬하는 현상이 
자석 
 
반자성인데, 결국 반자성의 기원은 Lenz의 법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   

32-7 상자성

상자성 물질은 알짜 자기 쌍극자모멘트  를 갖는 자기원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32-12 는


외부에서 자기장을 가하지 않았을 때 상자성체를 구성하는 원자들의 자기 쌍극자모멘트의 모습이
다. 각각의 원자들을 자기 쌍극자모멘트를 갖지만 그들의 방향이 random 하여 물질의 알짜 자기
쌍극자모멘트는  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32장 Maxwell 방정식, 물질의 자성 - 9 -

그러나 그림  와 같이 외부에서 자기장을 가하면 원자


들의 자기 쌍극자모멘트가 그림  와 같이 자기장 방향
으로 약간씩 회전하여 물질 전체적으로는 알짜 자기 쌍
극자모멘트를 갖게 된다. 그림  는 그림  의 내부 모 sam  
습을 확대한 그림인데, 빨간색 가는 화살표는 자기장을     
 
상자성 물질
가하지 않았을 때의 쌍극자모멘트의 모습(그림  와 동일
한 모습)이고, 파란색 굵은 화살표는 자기장에 의해 쌍극
자모멘트가 약간 회전한 모습이다. 결국 상자성체에 자
기장을 가하면 자기장 방향의 알짜 자기 쌍극자모멘트가

sam
생기는데, 그 크기가 강자성체에 비해 매우 작다.
  
 그림 32-12  
 

보기문제 32.03) 상온(    K )에 있는 상자성 기체가 크기가    T인 균일한 외부 자기


장에 놓여있다. 기체 원자들의 자기 쌍극자모멘트는     이다. 기체원자의 평균 병진운동에
너지  를 계산하고, 원자의 자기 쌍극자모멘트 정열이 외부 자기장과 평행일 때와 반 평행일 때
의 에너지차 ∆   를 구하시오.

풀이) 상자성 기체를 단원자 이상기체로 취급하면 다음과 같이 병진운동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J  K  K    ×   J   eV (a)
 

그리고 자기 퍼텐셜에너지는     
 
    cos 와 같이 주어지므로, 쌍극자 모멘트가
자기장과 평행한 경우(  )와 반 평행한 경우(    )에 대한 차이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cos     cos           ×    J  T   T 


 ×    J  eV (b)

32-6 강자성

강자성체의 가장 큰 특성은 교환결합(exchange interaction, 교환 상호작용이라고도 함)이라고 하


는 상호작용을 통해 이웃한 원자 자기 쌍극자모멘트들이 서로 평행하게 정렬하는 현상이다. 이와
같은 정렬을 통해 강자성체는 영구자성을 갖게 된다.

그림 32-14에서 세 종류의 작은 화살표( ,


자기
, )는 원자 자기 쌍극자모멘트를 의미한다. 구역
자벽
여기서 보면 원자 자기 쌍극자모멘트의 방향이
서로 평행한 세 영역이 존재하는데 이를 자기 자기
구역(magnetic domain, 간단히 자구하고도 함) 구역
이라고 부른다. 즉, 자기구역은 이웃한 원자 자
기 쌍극자모멘트들이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자벽   그림 32-14  
있는 영역인데, 이는 이웃한 원자 자기 쌍극자
백종성의 강의노트 32장 Maxwell 방정식, 물질의 자성 - 10 -

모멘트 사이의 교환결합을 통해 형성된다. 자기구역의 모습 그림  를 간단히 그림  와 같이


표현한다.( 원자 자기 쌍극자모멘트들을 모두 그릴 수 없고, 그렇게 하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

보기문제 32.04) 순수한 철로 만든 나침반 바늘의 길이는   cm , 너비는    mm , 그리고



두께는    mm 이다. 철원자의 자기 쌍극자모멘트는 F e    ×  J  T이다.

(a) 바늘의 원자가  만큼 정렬하여 자기화 되었다면, 바늘의 자기 쌍극자모멘트의 크기 는


얼마인가?

풀이) 문제에서 철원자의 자기 쌍극자모멘트와 정렬된 비율이 제시되었으므로, 바늘에 들어있는


철원자의 수  을 구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은 바늘의 질량   과 원자 한 개의 질량
 으로부터 구해지는데, 이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           kgm   m  m  m   ×    kg


   ×   kg mol
     ×    kg
   ×   mol 
     ×    kg
     ×   atoms (a)
   ×    kg

☞    kg m   는 철의 밀도,     ×    kg mol 은 철  mol의 질량이다.

따라서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늘의 자기 상극자모멘트의 크기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F e      ×     ×   J T    ×    J  T (b)

(b) 나침반 바늘을 (수평의) 남북 평형위치로부터 약간 밀어 놓으면 바늘은 평형위치에 대하여 진


동한다. 진동주기가     s라면 나침반이 위치한 지점에서 자기장의 수평성분은 얼마인가?

풀이) 이 문제는 바늘에 작용하는 토크를 구하여 회전에 대한 운동방정식을 세우면 해결할 수 있
다. 바늘이 평형위치로부터 약간 벗어났으므로  이다. 따라서 sin  를 고려하면, 바늘에
작용하는 토크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sin
×   (c)

바늘을 질량이   이고, 길이가  인 막대로 생각하면 바늘의 회전관성은       이므
로 다음과 같이 회전에 대한 운동방정식을 세워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kg   m 
  ×    T (e)
   s    ×    J  T 

☞ 진동하는 나침반의 주기를 측정하여 어떤 지점의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33장 전자기파 - 1 -

제 33 장 전자기파

33-1 전자기파

Maxwell의 무지개

그림 33-1은 파장 또는 진동수 
를 기준으로 전자기파를 분류한 모습
이다. 이때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전자 그림 33-1
기파는    의 관계를 만족한다.(
는 진공 중에서 광속)

 × 

그림 33-2 : 눈에 보이는 파장영역의 중심은 황록색(  nm )


영역이다. 가시영역은  nm  nm 정도가 된다.
그림 33-2

진행하는 전자기파의 정성적 이해

전자기파는 전하가 가속될 때 발생한다.

⑴ 전기장  와 자기장 
 는 전자기파의 진행방향과 항상 수
직하다.

⑵ 전기장 
 와 자기장 
 도 항상 수직이다.

⑶ 전자기파의 진행방향은 
 × 
 의 방향과 같다.

⑷ 전기장 
 와 자기장 
 의 크기는 사인함수 형태로 바뀌며, 자유공간을 진행할 때 이들의 위
상은 언제나 동일하다.(전공과정에서 공부하면 알 수 있는데, 매질에 따라 전기장과 자기장
의 위상이 다른 경우도 있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33장 전자기파 - 2 -

그림 33-5   방향으로 진행하는 선편광된 전자기파의 전기장벡터와 자기장 벡터의 모습.

  sin     (33.1)

    sin     (33.2)

☞   : 각파동수, 파동면 광선


 : 파장,

    : 각진동수, 그림 33-5

 : 진동수.

  과   은 각각 전기장
과 자기장의 진폭.


  (33.3)
  
전기장 자기장 성분
 성분
  (33.4)


진행하는 전자기파의 정량적 이해

식 (33-4)와 유도 전기장 그림 33-6에 점선으로 표시  


한 점선을 선 적분경로로 취하고,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Faraday의 법칙을 적용해 보자.( 그림 33-6에서 위치가

 만큼 변할 때 전기장은   만큼 변하고, 자기장은 노란색 
사각형 안에서 균일하나 시간에 따라 변한다.)



    
     (33.6)
그림 33-6

식 (33.6)의 우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7)

적분경로가 반시계방향  이므로, 적분경로내부의 면적 :


이므로, 와 
는 평행   균일     일정

   
좌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8)
백종성의 강의노트 33장 전자기파 - 3 -

식 (33.7), (33.8)을 식 (33.6)에 대입하여 정리 :

    
          (33.9)
    

☞ 그림 33-6에서 전기장은  에 따라 변하고, 자기장은  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생각했기 때


문에 식 (33.9)를 도출하는 마지막 단계에서 미분기호 “ ”를 “”로 교체!

식 (33.1), (33.2), (33.9)로부터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sin        cos     (33.10)
 
 
   sin         cos   (33.11)
  
 
  cos           cos         (33.12)
 

식 (33-3)과 유도자기장 Ampere-Maxwell의 법칙과 그림 33-7


그림 33-7을 고려!
 
자유공간에서 Ampere-Maxwell의 법칙 :

 
      

    
  
   (33.13)

   
좌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14)

     
우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15)

적분경로가 반시계방향  이므로, 적분경로내부의 면적 :


이므로, 와  는 평행   균일     일정

식 (33.14), (33.15)를 식 (33.13)에 대입하여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16)
    
 
       sin         cos     (33.17)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cos     (33.18)
 
  
   cos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33.19)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3장 전자기파 - 4 -

33-2 에너지 수송과 Poynting 벡터

Poynting 벡터 전자기파는 전기장 벡


터와 자기장 벡터로 구성되므로, 전자기파 그림 33-8
의 진행은 전자기 에너지의 전파로 생각
할 수 있다.

그림과 같이 전자기파가  방향으로 진


행할 때, 어떤 순간에 면적이 이고 두께
가 인 판 내부에 존재하는 전자기 에너
지 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20)

식 (33.20)을 고려하면 단위시간당 면  를 통과하는 에너지률  와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에너지


률  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33.21)
 
 
     (Poynting 벡터의 크기) (33.22)
 

전자기파의 진행방향과 이를 구성하는 전기장 벡터와 자기장 벡터의 방향, 그리고 식 (33.22)를
고려하면 Poynting 벡터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Poynting 벡터) (33.23)


☞ Poynting 벡터는 단위시간당 단위면적을 통과하는 에너지로 정의되므로, 단위는 W  m  .

전기장과 자기장 사이의 관계    를 고려하면 식 (33.22)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33.24)
  

세기 Poynting 벡터의 평균을 파동의 세기  라 부르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33.25)
   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3장 전자기파 - 5 -

전기에너지 밀도와 자기에너지 밀도의 관계 전기장과 자기장 사이의 관계  를 고


려하면, 전자기파가 진행할 때 전기에너지 밀도와 자기에너지밀도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26)
       

거리에 따른 세기 변화 점샘(point source)  에서 출력   의 전자기파가 나오는 경우, 점샘


에서  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세기 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33.27)
 

보기문제 33.01)    ly 거리에 있는 북극성은 태양일률       ×  W 의  ×   배


비율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북극성을 바라볼 때, 눈으로 직접 들어오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rms
값을 구하여라. 단, 대기권의 흡수는 무시하라.(“ly”는 빛이  년 동안 진행하는 거리.)

풀이) 식 (33.27)로부터 눈으로 직접 들어오는 빛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W 
    
  ×   W  m  (a)
   ly ×  ×  ×  ×  m  ly

여기서 식 (33.25)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   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T m  A  ×   m  s   ×    W  m  


  ×    V  m (b)

식 (b)의 결과로부터   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V m
       ×    T   pT (c)
  ×   m

33-3 복사압

Maxwell 이론에 의하면, 시간 ∆동안 ∆  의 복사에너지가 면  에 흡수될 때, 면  에 전달되는


운동량 변화 ∆는 다음과 같다.

∆
∆  (완전흡수) (33.28)

 ∆
∆  (완전반사) (33.29)

     ∆  ∆  로부터 ∆     ∆ 와 같이 주어지므로,

∆ ∆     ∆ 
     (완전흡수) (33.30)
∆ ∆  ∆ 
∆  ∆      ∆  
      (완전반사) (33.31)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3장 전자기파 - 6 -

결국 복사압(광압)은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힘이므로 다음과 같다.

 
   (완전흡수) (33.32)
 
 
    (완전반사) (33.33)
 

33-4 편광

편광 그림 33-9를 보면 전기장 벡터가 오직  축 방향 진동평면

으로만 진동하는데, 전기장 벡터가 한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경우, 전자기파는 “편광(polarization)되었다”라고 한다.

그림 33-9는 그림 와 같이 편광된 전자기파를 진행방


양에서 관측한 전기장 벡터의 두 순간의 모습이다.

그림 33-10

그림 33-9

   

편광된 빛 그림 33-9와 같이 편광된 빛의 전기장 벡


터는 한 방향 성분만 가진다. 그러나 태양 또는 전구에서 나
오는 빛은 비편광(또는 막편광)된 빛이므로, 이를 관측해보
면 그림 33-10와 같이 전기장 벡터의 진동방향이  
평면에서 마구잡이 형태로 나타난다. 그림  는 그림  의 모든 전기장 벡터를  성분과  성분
으로 나누어 합한 모습이다. 따라서 비편광된 빛을 표현할 때, 그림 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간
단하다.


전기장의 진동이 그림 33-10와 같이 마구잡이 방향도 아니고,
그림 33-9 와 같이 한 방향도 아닌 경우를 부분편광이라 부른
다. 부분편광된 빛(두 성분을 갖지만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은 그 

림 33-11과 같이 서로 수직한 한 쌍의 화살표를 서로 다른 크기


로 그려주면 된다. 그림 33-11
백종성의 강의노트 33장 전자기파 - 7 -

편광판 1932년 Edwin Land은 특정한 긴 분자들을 플라스


입사광선
틱에 섞어서 폴라로이드라고 하는 편광판을 제작했다.
그림 33-12
그림 33-12와 같이 빛이 편광판을 지날 때, 전기장 벡터는 비편광된 빛
한 가지 성분, 즉 편광판 방향의 성분만 통과할 수 있다.
편광판

편광판을 투과한 빛의 세기
수직방향으로 편광된 빛
비편광된 빛이  방향의 편광판을 투과하는 경우 :      .

⑴ 편광판을 지나기 전 처음 빛 세기  :
그림 33-13 
  
  
           (33.34)
 
  
   
 
    (33.35) 비편광된 빛
     
 편광판
⑵ 편광판을 투과한 빛의 세기  :
 
      방향으로 편광된 빛
      (절반규칙) (33.36)
     
 그림 33-14
편광된 빛이 편광판을 통과하는 경우 : 편광된 빛의 전기장 벡터
가  방향의 편광판과 각  를 이루면, 편광판을 지날 때  성분만
통과.(그림 33-14)

   cos   
     cos     cos  (33.37)
     

☞ 코사인제곱 규칙 또는 말뤼스(Malus)의 법칙.

보기문제 33.02) 그림 33-15에서 첫 번째 편광판의


편광방향은  축과 평행하고, 두 번째 편광판의 방향 그림 33-15

은 반시계방향으로  축과  의 각을 이루며, 세 번
째 편광판의 방향은  축과 평행하다. 세 편광판을
모두 통과한 후, 빛의 세기는 처음세기  의 얼마인
가?

풀이)     ,    cos  ,

   cos    cos  cos 
  
   
  



 
  

만약에 두 번째 편광판이 없으면, 첫 번째 편광판과


세 번째 편광판이 만드는 각이   이므로 세기는     cos    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33장 전자기파 - 8 -

33-5 반사와 굴절
법선
그림 33-16
반사
반사와 굴절 입사광선 광선

    ′ (반사법칙) (33.38)
파동면
 sin    sin  (굴절법칙) (33.39)
경계면 
☞ 여기서   은 입사각,   ′은 반사각,   는 굴절각인데,
이는 법선과 광선이 이루는 각.
굴절광선
굴절률과 파장
 공기(진공) 매질
  (33.40)
 (굴절률 : ) (굴절률 :  )

☞  : 진공 중에서 파장.  
☞  : 굴절률이  인 매질에서 파장  .

굴절률이 인 매질 내에서 빛의 속력  :
 

      


  
 

(33.41)
그림 33-17

색의 분산 그림 33-18은 파장에 따라 굴절률이 변하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여기서 보면 파장이 짧으면 굴절률이 크고, 파장 그림 33-18
이 길면 굴절률이 작은데, 이와 같이 굴절률이 파장에 따라 변하는
현상을 분산(dispersion)이라 한다.

입사 백색광 반사 백색광 법선
법선
입사 백색광 반사 백색광
공기 
유리  그림 33-20
유리 
공기  프리즘
백색광
그림 33-19 굴절광 직진경로 굴절광
백종성의 강의노트 33장 전자기파 - 9 -

무지개 색 분산에서 가장 찬란한 현상이 무지개이다.

 차 무지개 그림 33-23

차 무지개

그림 33-22

  
보기문제 33.03) 그림 33-23은 단 공기

색광이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에서 반사 및 굴절되는 모습이다. 여기서    ,   이다.

(a) 그림  의 점 에서 반사각과 굴절각은 얼마인가?

풀이)           
  ′      (a)

 sin    sin     sin  



 
sin   sin  

 
sin    (b)

(b) 그림 의 점  에서 반사각과 굴절각은 얼마인가?

풀이)   ′      (c)

 sin    sin 

  

   sin    sin   sin    sin 
     (d)
백종성의 강의노트 33장 전자기파 - 10 -

33-6 내부전반사
임계상황
공기
 sin    sin 
유리
  sin 
  

   sin   (33.42)

그림 33-25
☞ 내부전반사는    인 경우에
만 발생.

33-7 반사에 의한 편광

그림 33-27

⑴ 비편광된 빛이 Brewster 각  로 경계면에 입


비편광된
사하면, 반사된 빛이 편광. 반사광선
입사광선

⑵ 반사광선과 굴절광선이 서로 수직.

        (33.43) 공기
유리
굴절법칙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  에 대한 표현
식을 구할 수 있다.

 sin    sin  그림 33-27 굴절광선



  sin     
  cos 
  지면에 수직한 성분
tan       tan    (33.44)
  지면에 평행한 성분

빛이 공기에서 입사하는 경우    이고,    으로 놓으면


tan       tan    (33.45)

백종성의 강의노트 35장 간섭 - 1 -

제 35 장 간섭

35-1 빛의 파동현상 그림
35-1

Huygens의 원리 파동면의 모든 점은  차구면파의 점샘(point


source)이다. 시간  후의 파동면은  차파동들의 접면이 된다.

굴절법칙

☞ 그림 35-2에서 파동면의 간격은


광선  법선
한 파장 간격. 파동면

☞ 파동의 주기를 로 놓으면 각각


광선  
의 매질에서 파장은 다음과 같다. 

       (35.1)
 

 매질 ( ) 
        (35.2)
 
매질  ( )   
이상의 내용과 그림을 고려! 

     
sin    ,
 
 
    
sin      (35.3) 그림 35-2
 

 sin     sin 

 sin    sin  (35.4)

☞ 식 (35.4)를 “Snell의 법칙”이라 한다. 교과서에서는 점  를  로 표현했는데,  는 광속과


표기가 중복되어 여기서는  로 표현했다.

공기(진공) 매질
파장과 굴절률 자유공간(진공)에서 파장이 인 빛이 굴절률이
(굴절률 : ) (굴절률 :  )
인 매질 속으로 들어가는 경우.(그림 35-3 참조)
  
  (35.5)

  
           (35.6)
  
 
☞ 진동수  는 불변!
그림 35-3
백종성의 강의노트 35장 간섭 - 2 -

파장의 수 그림 35-4와 같이 진공 중에서 파장이 같은 두 광선이 굴절률이 각각 ,  인 두


매질을 통과할 때, 길이 에 들어있는 파장의 수   과  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35.7)
    
   
       (35.8)
  
그림 35-4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35.9)
   
☞ 두 매질을 입사하기 전에 동일한 위상을 갖더라도,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하면 위상차  가
발생.

서로 다른 두 매질을 통과한 파동이 합성되는 경우 :

∆         (보강간섭) (35.10)
∆                 (소멸간섭) (35.11)

굴절률에 대한 고찰 물질의 유전상수와 투자상수는 각각     와     .


     
      
 (35.12)
                 

☞   
  .

무지개와 광학적 간섭 분산효과 이외에 간섭현상도


추가하여 무지개를 고려! 각각의 빗방울을 통과하는 빛은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진행하므로 위상차가 생겨서 이들
주 무지개
은 서로 간섭현상을 일으킨다. 부차적인 무지개띠는 각각
의 빗방울에서 나온 빛들이 보강간섭을 일으켜서 나타난 부차적인
그림 35-5 무지개띠
결과이다.

보기문제 35.01) 그림 35-4에서 진폭과 위상차가 같은 두 광선이 매질  과  에 입사하기 전에


파장이    nm 라 하자. 매질  은 공기이고, 매질  는 굴절률이    , 두께가
   m 인 투명한 플라스틱 박막이다.

(a) 매질을 통과한 파동들의 위상차를 파장, 라디안 및 각도로 표시하여라. 유효 위상차는 몇 파
장에 해당하는가?

   ×    m
풀이) ∆                 (a)
  ×   m

☞ 두 광선이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하는 동안 만큼의 위상차가 발생.


백종성의 강의노트 35장 간섭 - 3 -


            rad   rad   o (b)

유효 위상차는  에서 소수점 이하 부분이므로,

유효 위상차   (c)

인데 이를 라디안 및 각도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rad  rad   o (d)

(b) 두 광선이 약간 비스듬하게 멀리 떨어진 점에 입사한다면 그 점에서 어떤 간섭이 일어나는가?

풀이) 유효 위상차   이므로 완전 상쇄간섭(유효 위상차   ) 보다 완전보강간섭(유효


위상차   )에 가까우므로, 보강간섭을 일으켜 밝은 무늬를 만든다.

35-2 Young의 간섭실험

회절

기하광학에서 빛은 직선경로를 따라 진행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점광원과 스크린 사이에 어떤 물체를 놓으면 스크린에 생기는 그림
자의 가장자리 부분이 그림 35-6과 같이 선명하지 않은 복잡한 모
습을 보인다. 이와 같은 현상은 빛이 진행하는 경로에 장애물이 있
으면 빛의 진행경로가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즉, 빛(파동)이 진행하다가 장애물을 만나면 진행경로가 바뀌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회절(diffraction)이라 한다. 따라서 기하광학으로
그림 35-6
회절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

그림 35-7는 물결파가 회절하는 모습이다. 오른쪽으로 진행하던 물


결파가 작은 구멍이 있는 장벽을 만날 때, 구멍을 통과한 물결파는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새로운 물결파를 만든다. 따라서 오른쪽 방향
이었던 물결파의 진행경로가 구멍을 지나면서 사방으로 퍼지는 방향
으로 바뀌는데, 이와 같은 모습도 회절현상이다. 그림 35-7
백종성의 강의노트 35장 간섭 - 4 -

Young의 간섭실험

간섭은 파동에서 관측되는 대표적인 현상이


다. 1801년 Thomas Young은 빛의 간섭현상
을 관측하므로서, 빛의 파동성을 증명하였다.

간섭무늬의 위치 그림 35-9는 Young의


간섭실험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모습이다.

☞ : ,   사이의 간격.

☞  : 실틈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 그림 35-8

☞  이므로, 두 실틈을 통과한 광선이 점  에 도달할 때 그들은 서로 평행한 경로를 따라


진행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입사파

  경로차 ∆
 
  그림 35-9

( 그림 35-9는 Young의 간섭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그림이다. 꼭 그려보자!)

두 실틈을 통과한 광선이 점  에 도달할 때, 두 광선의 경로차 :

∆    sin (35.13)

⑴ 보강간섭 : 경로차가 파장의 정수배 일 때

∆    sin             (극대점-밝은 무늬) (35.14)

⑵ 상쇄간섭 : 경로차가 파장의 반정수배 일 때

∆    sin   

 
           (극소점-어두운 무늬) (35.15)

식 (35.14)로부터, 중심축에서 두 번째 극대점(   )까지의 각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sin     sin      (35.16)


백종성의 강의노트 35장 간섭 - 5 -

식 (35.15)로부터, 중심축에서 두 번째 극소점(   )까지의 각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sin   

 
      sin      (35.17)

보기문제 35.02) 그림 35-9의 스크린  에서 간섭무늬의 중앙 극대에 있는 서로 이웃한 두 극


대점 사이의 거리는 얼마인가? 빛의 파장    nm , 실틈의 간격은     mm , 실틈과 스
크린 사이의 거리는    cm 이다. 그리고  는 매우 작다고 가정하자.

풀이) 그림 35-10과 극대조건을 고려!



tan  (a)


 sin   sin  (b)

입사파
☞   : 중앙극대에서  번째 극대까지의 거리.

문제의 조건에서   이므로, tan sin 이다. 따


라서 식 (a), (b)로부터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c)
  
그림 35-10
     
    (d)

따라서 극대 사이의 간격 ∆  의 일반식과 문제의 답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e)
  
   m  ×    m 
∆      ×   m    mm (f)
   ×    m

보기문제 35.03) 그림 35-11는


Young의 간섭실험에서 관측된 중앙극
대와 두 개의 첫 번째 극대점의 모습이
다. 이때 두께가  이고 굴절률이
   인 투명한 플라스틱판으로 위
   
쪽, 아니면 아래쪽 실틈을 가렸더니 그 그림 35-11
림 와 같이 아래쪽 첫 번째 극대점이 중앙 극대의 위치로 이동했다. 어떤 실틈을 가려야 하는
가? 그리고 플라스틱판의 두께  은 얼마인가?

풀이) 그림  에서    은 두 경로차가      인 경우 이다. 이때 아래쪽 첫 번째 극대


점이 중앙극대로 이동하려면 경로  에 굴절률이 공기보다 큰 투명한 물질을 삽입하여 위상차를
 만큼 줄여주면 된다. 따라서 투명한 플라스틱판을 그림  와 같이 위쪽 실틈에 놓으면 된다.
이때 두께가  이고 굴절률이    인 공기를 빛이 지나갈 때 파장의 수를  으로 놓으면, 굴
절률이    인 플라스틱판을 지날 때는 파장의 수가    이므로,
백종성의 강의노트 35장 간섭 - 6 -


(a)

  
      (b)
   

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 m
              ×    m (c)
       

35-3 간섭과 이중슬릿의 세기

간섭성(결맞음)

간섭실험에서 간섭무늬가 관측되려면 합성되는 두 파동사이의 위상차가 일정해야 된다. 두 파동이


다음과 같이 주어질 때,

     sin (35.18)

     sin    (35.19)

⑴ 두 파동의 위상차  가 일정하면 두 파동은 “간섭성(coherence)” 또는 “결맞음”.

⑵  가 시간에 따라 변하면 두 파동은 비간섭성(incoherence)을 갖는다.

이중슬릿 간섭무늬의 세기

Young의 간섭실험 그림(그림 35-9)에서   과   를 각각 통과한 후, 점  에 도달하는 광선 :

     sin (35.20)

     sin     (35.21)

는 경로차 ∆    sin 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인데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 :


 sin
     sin     (35.22)

이때 점  에서 합성파는 다음과 같다.(삼각함수의 덧셈공식을 고려!)


           sin    sin    

    sin  

   
 
 
cos       cos  sin   
    (35.23)


합성파   의 진폭이   cos  이므로, 합성파의 세기  는 다음과 같다.(       를 생각!)

   cos       


    cos      cos   (35.24)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5장 간섭 - 7 -

극대 및 극소 조건 식 (35.24)를 보면 합성파의 세기는 에 의존


⑴ 보강간섭(극대) : cos  인 경우.

 
cos   ±                (35.25)
 

식 (35.22), (35.25)를 고려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sin
   sin            (35.26)


⑵ 상쇄간섭(극소) : cos    인 경우에 해당하므로, 다음과 같이 조건을 정리할 수 있다.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35.27)
     

식 (35.22), (35.27)을 고려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sin
 
      sin   

 
        (35.28)

보기문제 36.04) 어떤 점에서 다음과 같은  개의 전기장이 합성된다. 합성파를 구하시오.

    sin,      sin    ,


     sin    
그림 35-12
풀이) 이 문제는 위상자를 도입하여 해결하는 것이 좋다. 시간
이    일 때,   ,   ,   의 위상자를 그림 35-12와 같이
그릴 수 있다. 그림을 고려하면 합성파 진폭  의 수평성분
  와 수직성분 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  (a)


       sin    sin         
    
     (b)

식 (a), (b)로부터 합성파 진폭   과 위상각  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c)


   
  tan  

   tan            (d)

결국 합성파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sin        sin     (e)


백종성의 강의노트 35장 간섭 - 8 -

35-4 박막간섭

박막간섭의 핵심은 서로 다른 경계면에서 반사된 반사광들  


이 일으키는 간섭현상을 고찰하는 일이데, 이는 반사과정
에서 발생하는 위상변화와 경로차에 의한 위상차을 알면
해결할 수 있다.

⑴ 반사에 의한 위상 변화 : 두 경계면에서 반사될 때


각각 어떠한 위상변화가 있었는가? 
그림 35-13

⑵ 경로차에 의한 위상 변화 : 두 반사광선  과  가
갖는 경로차   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는 어떻게
경계면
되는가? 이 경우 빛이 굴절률이  인 매질을 진행하 입사 모습
므로, 경로차  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는 반드시
반사, 투과 모습
    를 사용하여 고찰해야 된다.

그림 35-14
반사에 의한 위상변화(그림 35-14)
입사 모습
⑴ 굴절광 : 위상변화가 없다.
반사, 투과 모습
⑵ 반사광 : 굴절률이 큰 매질에서 작은 매질로 진행하
다가 반사되면 위상변화가 없다. 그러나 굴절률이 작
은 매질에서 큰 매질로 진행하다가 반사되면 위상이
반 파장만큼 바뀐다.

그림 35-15

⑴    이므로 입사광선이 점  에서 반사될 때 위상 


공기 공기
이 반 파장만큼 변하므로,  은 반사과정에서 위상이
반 파장만큼 변한다.

⑵    이므로 굴절광선이 점  에서 반사될 때 위상


변화가 없으므로  는 위상변화가 없다. 따라서  과
 는 반사과정에서 반 파장만큼 위상차를 가진다. 그림 35-15  

⑶ 경로차  이 만드는 위상차가 파장의 반 정수배이면  과  는 보강간섭을 일으키고, 정수


배이면 상쇄간섭을 일으키므로 다음과 같이 간섭조건을 정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강간섭) (35.29)


            (상쇄간섭) (35.30)


☞  는 공기 중에서 파장이다. 식 (35.29), (35.30)는    및    인 경우에만 적용!


백종성의 강의노트 35장 간섭 - 9 -

보다 매우 얇은 박막 공기 중에 놓여있는 박막의 두께가


빛의 파장에 비해 매우 얇으면(  ), 식 (35.30)에서  인
경우로서 박막이 어둡게 보인다.(   이면 박막이 존재할 수 없
기 때문에    을   으로 근사하자!)

그림 35-16은 둥근 고리 형태의 테에 비눗물막이 형성된 모습인


데, 중력에 의해 위쪽은 두께가 매우 얇아서 상쇄간섭이 나타나는
영역이므로 검게 보인다. 아래쪽으로 가면서 막의 두께가 점차 증
가하여 여러 가지 빛에 대해 각각 보강간섭조건이 만족되어 그에
그림 35-16
해당하는 다양한 색을 띄게 된다.

보기문제 36.05) 파장이  nm 에서  nm 범위인 가시광선 영역에서 세기가 균일한 백색광이
수막에 수직하게 입사하고 있다. 공기 중에 떠있는 수막의 굴절률은    이고 두께는
   nm 이다. 수막에 의해 반사된 빛 중 관찰자가 볼
때 가장 밝은 파장을 구하시오.  
       
풀이) 입사광이 수막에 수직하게 입사 .
⑴    이므로  은 위상이 반 파장만큼 변하고,
⑶  는 위상변화가 없다.
반사과정에서  과  는 반 파장만큼 위상차가 발생하므
로, 이들이 보강간섭을 일으키려면 경로차   이 만드는 그림 35-20 
위상차가 파장의 반 정수배가 되어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a)

식 (a)를  에 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nm   nm


            (b)
          

문제의 조건에서  nm     nm 인데, 식 (b)에    을 대입하면    nm ,   을


대입하면    nm ,    를 대입하면     nm 이다. 따라서 문제의 조건에 만족하는 파
장은    nm 이다.

공기 MgF  유리
보기문제 35.06) 렌즈 표면의 반사를 줄이기 위하여 렌즈
           
의 한 쪽 표면을 굴절률이   인 MgF  를 그림
35-21과 같이 코팅했다. 가시광선 중심 파장(   nm ) 그림 35-21
을 없앨 수 있는 박막의 최소두께는 얼마인가? 유리의 굴
절률이    이다.

풀이)    ,    이므로, 반사과정에서 두 반사파는


모두 위상이 반파장 만큼 변하므로 반사에 의한 위상 차
이는 없다. 따라서 경로차   이 만드는 위상차가 파장의
백종성의 강의노트 35장 간섭 - 10 -

반 정수배가 되면 상쇄간섭이 일어나므로 다음과 같이 간섭조건을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a)

박막의 최소두께는    인 경우이므로 다음과 같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을 구할 수 있다.

  nm



     
 


    
 

   
  nm (b)

보기문제 35.07) 그림 35-22는 투명한 틈이 파인 플라스틱판이다(틈의 두께를 과장되게 그렸다).


파장이    nm 인 넓게 퍼진 빨간색 광선이 아랫방향으로 입사한다.(입사각이 ) 입사한 약
간의 빛은 그림  와 같이 공기 틈의 위, 아래에서 반사한다.(플라스틱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박막 역할을 할 수 없고, 오직 공기 틈만 박막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자.) 이때 그림  와 같이 여
섯 개의 어두운 무늬와 다섯 개의 밝은 무늬가 관측되었다면 ∆       은 얼마인가?

입사광선

그림 35-22

풀이) 플라스틱의 굴절률이 공기의 굴절률보다 크기 때문에 그림  에서    ,    이므로


공기층 위쪽에서 반사된 빛은 위상변화가 없고, 아래쪽에서 반사된 빛은 반 파장만큼 위상변화가
생긴다. 따라서 두 반사광선은 반사과정에서 반 파장만큼 위상변화가 생기므로 경로차가 파장의
정수배이면 상쇄간섭이 나타난다. 따라서 상쇄간섭조건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a)


왼쪽과 오른쪽 끝부분에서 발생하는 상쇄간섭의  을 각각  ,  로 놓으면  은  보다 


만큼 크므로, 식 (a)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b)
 
      nm 
∆                      nm (c)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5장 간섭 - 11 -

35-5 Michelson 간섭계

그림 35-22는 간섭무늬를 이용하여 작은 길이를 측정하는 Michelson 간섭계의 모습인데, 작동원


리는 다음과 같다.

점 에서 출발한 빛(단색광)은 반투명 거울  에 도달하 움직이는 거울


여 반사된 빛은 경로 를 따라 진행하고, 투과된 빛은
경로  을 따라 진행하여 결국 이들은 망원경  에 도착
한다. 이때 두 빛의 경로차      에 의해  에서 간
섭현상이 나타난다. 이때 움직이는 거울   를 이동시
키면 경로차가 변하여 간섭무늬가 옆으로 이동한다. 즉
  를 만큼 움직이면  만큼 경로차가 발생하여 간섭
무늬가 한 단계 이동한다.

이와 같은 간섭무늬의 이동은 경로  에 두께가  이고 박막


(두께 : )
굴절률이 인 투명한 물체를 삽입해도 발생하는데, 물체 그림 35-22
를 하면 삽입하기 전에 비해 다음과 같은 파장 수 차이에
의한 위상변화가 나타난다.

   
        
   

      (35.31)

따라서 투명한 물체를 삽입했을 때 나타나는 간섭무늬의 이동을 관측하면 식 (35.31)로부터 물체


의 두께  을 구할 수 있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1 -

제 36 장 회절

36-1 단일 슬릿 회절

회절과 빛의 파동이론

그림 36-1은 하나의 좁고 긴 실틈을 통과한 빛이 스크린


에 만든 회절무늬의 모습이다. 여기서 보면 중앙에 극대무
늬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다소 약한 극대무늬들
이 나타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극대무늬 사이에 어두운
극소무늬가 위치한다. 이와 같은 회절무늬는 기하광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다.
그림 36-2와 같이 빛이 면도칼의 모서리 부분을 지날 때
도 발생한다. 특히 면도칼의 안과 밖에서 극대무늬와 극소
무늬가 면도칼의 모양과 나란하게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36-1 그림 36-2

Fresnel의 밝은 점 Augustin Fresnel은 빛의 파동성을 믿었기 때문에


자신의 실험결과를 파동이론으로 설명한 논문을 프랑스 학술원의 논문집에
발표했다. S. D. Poisson은 Fresnel의 이론이 맞는다면 공에 빛을 비추면
공의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빛이 그림자 안쪽에 퍼져서 그림자의 중심에 밝
은 점이 형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술원의 포상위원회는 그의 예측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여 Fresnel의 밝은 점이라고 부르는 예측결과
가 실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그림 36-3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2 -

단일실틈이 만드는 회절: 극소위치


완전상쇄간섭



 경로차
중심축

 

 스크린
입사파   그림 36-4

그림 36-4   : 실틈을 등분.


◎ 점   : 보강간섭(밝은 무늬; 중앙 극대).

◎   : 첫 번째 극소. 실틈의 가운데 지점에서   을 연결한 직선과 중심축이 만드는 각을  .

 
∆  sin   sin   (첫 번째 극소) (36.1)
 

  
입사파


  과  의

 경로차
 

 
 


중심축

  와  의
경로차


   스크린  그림 36-5  

그림 36-5 : 실틈을  등분.   는 두 번째 극소.


 
∆    sin    sin   (두 번째 극소) (36.2)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3 -

실틈을 더 많은 영역( , , , )으로 나눈 후, 이상의 과정을 반복하면 모든 극소위치를 찾을


수 있다. 식 (36.1), (36.2)를 고려하면  번째 극소조건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sin         (극소-어두운 무늬) (36.3)

보기문제 36.01) 너비가  인 실틈에 백색광을 비추었다.

(a) 파장이    nm 인 빨간색 빛이    에서 첫 번째 극소가 일어나기 위한  를 구하라.

풀이) 식 (36.3)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nm 
    nm (극소-어두운 무늬) (a)
sin sin

(b)     에서 첫 번째 극대가 일어나는 파장 ′를 구하시오.

풀이) 첫 번째 극대는 중앙극대 바로 옆에 위치하는 극대인데, 이는 첫 번째 극소(  )와 두


번째 극소(  ) 중간에 위치하므로  sin   ′ 인 지점이므로, ′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sin  nm sin  


′    nm (b)
 

36-2 단일 슬릿 회절의 세기

단일 슬릿 회절의 세기(정성적 분석)

단일실틈이 만드는 회절무늬의 세기   를  의 함수로 표현하기 위하여, 실틈을     개의


작은 영역 ∆ 로 나누고 각 영역의 파동을 Huygens의 파동으로 생각하자. 이웃한 영역에서 출발
한 파동들이 중심축에서  방향에 위치한 점  에 도달할 때, 이들의 경로차는 ∆ sin 이므로 파
동들 사이의 위상차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sin  ∆ ∆ 

∆ sin  (36.4)

이때 점  에 도달하는 모든 파동들의 전기장의 진폭 ∆  가 모두 같다고 하면, 점  에서 전기장


의 진폭   는 위상자를 이용하여 모든 파동의 진폭 ∆  를 더하면 구해진다.

   


꼭대기 광선에 ∆ 바닥 광선에 
대한 위상자 대한 위상자
  
그림 36-6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4 -

단일실틈에 의한 회절무늬의 세기(정량적 분석)

36-7을 고려!
그림 36-7

   (36.5)

    sin



   sin
 
   sin  
 

sin

(36.6)

☞    .

점  에서 빛의 세기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sin
  
sin
  
  (36.7)

☞         은 중앙극대의 세기.

실틈의 꼭대기 영역과 바닥영역에서 출발한 파동들은  sin 와 같은 경로차를 가지므로, 이들의
위상차  와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sin
     sin     (36.8)

  sin
    (36.9)
 

극소조건 식 (36.7), (36.8)로부터     을 만족하는 극소조건을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sin                     (36.10)

             (36.11)
 sin
    sin           (36.12)

☞ 식 (36.3)과 (36.12)는 동일한 모습!

극대조건 식 (36.7)에서 sin  ± 을 만족하는 점이 극대점인데, 이 조건을 만족하는 극대조


건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는 첫 번째 극소보다 작으므로 이는 제외한다.)

sin  ±     

 
       (36.13)

               (36.14)


 sin
 
    


 sin     
          (36.15)

☞ 식 (36.15)에서        은 각각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극대에 해당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5 -

보기문제 36.02) 단일실틈 회절무늬에서 처음 세 개의  차 극대의 세기를 중앙극대의 세기에 대


한 비율로 나타내시오.

풀이) 식 (36.7)에서 sin  ± 을 만족하는 점이 극대점인데, 이 조건을 만족하는 극대조건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는 첫 번째 극소보다 작으므로 이는 제외한다.)

sin  ±     

 
         (a)

따라서 문제의 답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sin
    

  
sin
  
sin     
     (b)

 


 sin     (  인 경우) (c)

 sin    
  

      (  인 경우) (d)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인 경우) (e)
      

36-3 원형구멍에 의한 회절

너비가  인 가늘고 긴 단일실틈이 만드는 회절무늬에 대한 극소조건은


 sin          )이므로 첫 번째(  ) 극소조건은  sin  
인데, 그림 36-8과 같이 지름이  인 원형구멍이 만드는 회절무늬에서 첫 번째
극소조건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sin    sin    (36.16)
 그림 36-8
☞  는 원형구멍의 중심과 극소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중심축 사이의 각.

분해능

◎ 분리각  : 두 물체(점광원)와 눈을 연결
하는 두 개의 직선들이 만드는 각.
그림 36-9

◎ Rayleigh의 식별기준  : 두 물체를 구   


별할 수 있는 최소 분리각.

그림 36-9 에서 한 점광원이 만든 중앙극


대가 다른 점광원이 만든 첫 번째 극소와 일치하므로 식 (36.16)으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다.


sin      (36.17)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6 -

 이므로 sin    이다. 따라서 Rayleigh의 식별기준   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Rayleigh의 식별기준) (36.18)

보기문제 36.03) 그림 36-10


 는 점묘화의 색점들의 모습 관찰자
이다. 점들 사이의 평균 중심 색점

거리는     mm , 눈동자의
지름은     mm 일 때, 점
들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거리 그림 36-10
는 얼마인가?

풀이) Rayleigh의 식별기준은 다음과 같다.


      (a)

그림  에서  이므로 sin  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sin  (b)

    로 놓으면 식 (a), (b)로부터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c)
   

식 (c)를 보면 파장이 길면  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점묘화로부터 점점 멀어질 때 파


장이 가장 긴 빨간색 점들을 제일 먼저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이다. 모든 점들을 구별할 수 없는 최
소 거리는 파장이 가장 짧은 보라색(   nm ) 점들을 구별할 수 없는 경우이므로, 식 (c)에 보
라색 파장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을 구할 수 있다.

   ×    m   ×    m 
     m (d)
    ×    m 

보기문제 36.04) 지름이    mm 이고 초점거리가    cm 인 집광렌즈를 사용하여 물체의


영상을 얻고자 한다. 이때 사용하는 빛의 파장은    nm 이다.

(a) 렌즈의 회절을 고려할 때 멀리 있는 두 물체에 대해 스크린



Rayleigh의 식별기준을 만족하는 분리각은 얼마인가?  
 

풀이) 그림 36-11을 고려하면 분리각은 다음과 같이 구 ∆
해진다. 

   
    ×  m  
         
  ×    m 그림 36-11
  ×   rad (a)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7 -

(b) 렌즈의 초점면에 형성되는 회절무늬에서 두 중앙극대의 중심 사이의 거리 ∆ 를 구하여라.

풀이)     이고,    이므로 tan    로 근사하면 다음과 같이 문제의 답이 구해진다.

∆      m   ×    rad    ×    m (b)

36-4 이중 슬릿에 의한 회절

그림 36-12
그림 36-12
◈ 이중실틈을 사용한 간섭실험무늬.

◈ 실틈의 너비가 가시광선 파장 정도로 작다.

그림 36-13 그림 36-13
◈ 너비가  인 단일실틈이 만드는 회절무늬

◈ 실틈의 너비는 비교적 큰 상태.

그림 36-14 그림 36-14
◈ 이중실틈이 만드는 간섭무늬

◈ 그림 36-12와 그림 36-13을 곱한 모습.

그림 36-15
◈  는 이중 실틈의 간섭과 회절무늬의 사진 

◈ 실틈 한 개를 가리면 그림 와 같은 회절 


무늬만 나타난다. 그림 36-15

회절효과를 고려한 이중실틈이 만드는 간섭무늬의 세기 :



sin
    cos   
  (36.19)

 sin
  (이중실틈의 간섭효과와 관련된 항) (36.20)

 sin
   (단일실틈의 회절효과와 관련된 항) (36.21)

☞ 실틈의 너비가 무한히 작으면, 즉  이면,   및 sin   이므로, 식 (36.19)는 너


비가 무한히 작은 두 실틈이 만드는 간섭무늬의 세기에 대한 식으로 변환.
☞   이면 두 실틈이 서로 붙어 하나의 실틈이 되므로, 식 (36.19)는 단일실틈에 의한 회절
무늬의 세기에 대한 식으로 변환.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8 -

보기문제 36.05) 이중 실틈 실험에서 빛의 파장은   nm , 실틈의 간격은     m , 그리


고 실틈의 너비는     m 이다.

(a) 회절무늬의 중앙 극대에는 몇 개의 밝은 간섭무늬가 있는가?

풀이) 단일실틈에서 회절무늬의 극소조건을  으로, 그리고 이중 실틈에서 간섭무늬의 극대위치


를  를 사용하여 표현하면서 문제를 풀이하자.

단일실틈에서 회절무늬의 극소조건( sin   )을 고려하면 첫 번째(  ) 극소조건은 다음


과 같다.

 sin   (a)

이중실틈이 만드는 간섭무늬의 극대조건은 다음과 같다.

 sin              (b)

식 (a), (b)로부터, 다음과 같이  를 구할 수 있다.

    m
     (c)
     m

따라서   는 중앙극대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중앙 극대 한 개


와 그 주위에 있는 개 이므로, 총 수는 개 이다.

(b) 회절무늬의 첫 번째 극대에 들어있는 간섭무늬의 수는 얼마인가?

풀이) 단일실틈에서 회절무늬의 극소조건( sin   )을 고려하면 두 번째(  ) 극소조건은


다음과 같다.

 sin   (d)

식 (d), (b)로부터,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m  회절무늬의 세기
    (e)
  m
회절무늬의 세기
따라서         가 문제의 조건을 만족시
키는데,   는 첫 번째 회절무늬의 극소에 의
해 거의 제거 되므로(  에 해당하는 간섭무늬
는 매우 약함), 문제의 답은     이다.
그림 36-16
그림 36-16은 문제에 제시된 간섭무늬의 세기와
회절무늬의 세기(점선)를 나타낸 모습이다. 위쪽 그
림은 아래쪽 그림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이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9 -

36-5 회절격자

그림 36-1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는 너비가 매우 작은( ) 이중실틈(   )을 사용하여 얻은 간섭무늬의 세기.

☞ 그림  는 실틈의 수가    개인 경우에 관측된 간섭무늬.

☞ 그림  는    .

☞ 너비가 매우 작은  개의 실틈이 만든 간섭무늬의 세기는  에 비례하고, 피크의 폭은


   에 비례(  에 반비례).
그림 36-18 세기

회절격자(diffraction grating)
◈ 너비가 매우 좁은 실틈    개가 일정한 간격
 로 배열.

◈ 회절격자에는 mm 당 수 백 개의 실틈이 존재. 전형


적인 회절격자에는 mm 당  개의 실틈이 있다.

◈ 그림 36-18 는 헬륨-네온 레이저에서 나오는 빨


간색 빛을 회절격자에 비추었을 때 관측되는 회절무
늬의 모습. 중앙부터 차수  을          와
같이 부여.

극대조건 그림 36-19을 고려! 그림 36-19


입사파

◈ 실틈의 간격  에 비해 회절격자와 스크린 사이의 ●

거리  가 매우 크다. 

◈ 각각의 실틈에서 출발하여 점  에 도달하는 파동
들의 경로는 평행하므로 이웃한 광선들 사이에 다
음과 같은 경로차가 존재한다.

∆    sin (36.28)

◈ 점  에서 극대 회절무늬가 관측되려면 경로차가


파장의 정수배. 극대 회절무늬의 조건 :

 sin         (극대) (36.29)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10 -

회절무늬의 너비 반너비각 ∆  는 중심선에서  차 극


소점까지의 각으로 정의. 차 극소

◈ 너비가  인 단일실틈에서 극소조건은  sin   이므

로,  차 극소조건은  sin   .  sin 는 실틈의 꼭대기
와 바닥에서 출발한 두 광선이 만드는 경로차.    ∆ 
◈ 그림 36-20에서    인 경우, 회절격자의 꼭대기 광
선과 바닥광선이  차 극소점에 도달할 때 경로차는 
  sin∆   이므로  차 극소조건은 다음과 같다. 그림 36-20

  sin∆    (36.30)

∆  이므로, sin∆     이다. 따라서 중앙극대선


의 반너비각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sin∆    ∆   ∆    (36.31)


다른 극대선들의 반너비각은 선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증명생략!)


∆    (36.32)
  cos

회절격자 분광기 식 (36.29,  sin  )를 보면 회절무늬의 극대선이 파장에 의존하는 것


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차수의 극대선의 경우, 파장이 길면 극대선이 중앙극대선에서 먼
지점에 나타나고, 파장이 짧을수록 중앙 극대선 근처에 나타난다.(그림 36-21 참조)

그림 36-21

36-6 회절격자: 분산과 분해능

분산 회절격자가 분광기(비슷한 파장들을 서로 구분하는 장치)처럼 작동하려면 서로 다른 파장


이 만드는 회절무늬들이 멀리 떨어져야 한다. 분산이라고 하는 이 퍼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분산의 정의) (36.33)
∆

☞ ∆ 는 파장이 ∆ 만큼 다른 두 빛의 회절무늬의 분리각이다. 그리고 분산의 단위는 rad m


또는 degm 이다.

여기서 회절격자에서 극대조건을 기술하는 식 (36.29,  sin  )의 미소변화를 고려하면 다음


과 같은 관계식을 만들 수 있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11 -

∆ 
∆  sin   ∆    cos ∆    ∆   (36.34)
∆  cos

식 (36.34)을 식 (36.33)에 대입하면 분산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36.35)
∆  cos

☞ 실틈 사이의 간격  가 작고, 차수  이 크면 큰 분산을 얻을 수 있다.

분해능 파장이 비슷한 회절무늬를 분해하려면 회절무늬가 가늘면 좋은데, 이는 다음과 같이 정


의되는 회절격자의 분해능  에 따라 결정된다.

 
  (36.36)
∆

☞  는 겨우 분해할 수 있는 두 빛 파장의 평균이고, ∆ 는 두 파장의 차이다.

식 (36.34)에서 ∆ 가 회절격자에 의해 회절된 두 파동의 파장차이면, ∆ 는 회절무늬에서 선들


의 분리각이다. 만약 ∆ 가 최소 분리각이면 이는 식 (36.32)로 표현되는 반 너비각과 같아야 된
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   cos
∆  ∆     (36.37)
  cos ∆ ∆

식 (36.37)과 (36.34)를 결합하면 다음과 같이 분해능에 대한 표현을 얻을 수 있다.

   cos  
        (36.38)
∆  cos ∆
☞ 실틈의 수  이 많으면 분해능이 좋아진다.

분산과 분해능의 비교 식 (36.35,    cos )와



같이 주어지는 분산과, 식 (36.38,    )으로 표현되는    mm
분해능에 대해 다시 살펴보자.

분산은 두 회절무늬 사이의 간격을 설명하는 물리량이고,


분해능은 회절무늬 세기의 폭을 설명하는 물리량이다. 따라
서 분산이 크면 두 회절무늬가 멀리 떨어지게 되며, 분해능   
   mm
이 좋으면 회절무늬가 날카롭고 선명한 모습이 된다.

그림 36-24에 세 종류의 회절격자가  nm 근처의 파장을


갖는 두 빛을 분리한 모습이다.(  ) 회절격자  는 회절
격자  보다 실틈의 수  이 많기 때문에 분해능이 좋아서   
회절무늬 세기의 폭이 좁은 선을 배출한다. 회절격자  는    mm

회절격자  보다 실틈 사이의 간격  가 작기 때문에 분산


그림 36-24
이 좋아서 회절무늬 사이의 간격을 더 멀리 떨어지게 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12 -

보기문제 36.06) 너비   mm 에   ×  개의 실틈이 있는 회절격자에 소듐 증기


램프에서 나오는 노란색 빛을 수직으로 비춘다. 노란색 빛은 파장이     nm ,
   nm 인 아주 비슷한 방출선(나트륨 이중선)으로 되어있다.

(a) 어떤 각도에서 파장이     nm 인 빛이  차 극대를 갖는가?

풀이) 먼저, 문제에 제시된 회절격자의 너비    mm 와 실틈의 수     ×   로부터


다음과 같이 실틈사이의 간격을 구하자.

  ×    m
     ×    m   nm (a)
  ×  

식 (a)와 식 (36.29,  sin  )로부터 다음과 같이  차 극대(  )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  sin  

   sin    ×    m 
 ×    m   

(b)  차 회절무늬 사이의 분리각을 구하시오

풀이) 식 (36.35,   ∆  ∆    cos )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 ×   m    ×    m 


∆     ×    rad    o
 cos  ×    m cos  

(c)  차 회절무늬에서 소듐 이중선을 구별하기 위한 실틈의 최소 개수는 얼마인가?

풀이) 식 (36.38,   ∆   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nm
       개
 ∆    nm 
백종성의 강의노트 36장 회절 - 13 -

36-7 X 선 회절

X 선 회절 X 선은 파장이 ( 
m    nm ) 정도인 전
자기파이다.

식 (36.29,  sin  , 회절격자의 극대조건)를 고려하면 


차 극대조건은  sin   인데, 이 조건에  선의 파장
    nm 와 실틈 사이의 간격    nm 를 대입하면  차
극대에 해당하는 각 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sin  

   sin  
  ×    m
 ×   m 
 ×   rad   o (36.39)
☞ 이 값은 너무 작아서  차 극대가 중앙극대와 거의 붙는
모습이다. 따라서 가시광선 영역의 회절격자로  선 영역
의 전자기파를 구별할 수 없다.

1912년 독일의 물리학자 Max von Laue는 규칙적인 원자배열


을 갖는 결정고체가 엑스선에 대해 자연적인  차원 회절격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결정에 입사된 엑스선은 산란되어 방향에 따라 상쇄간섭과 보


강간섭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산란과 간섭은 지금까지 살펴본
빛의 회절과는 다르지만 일종의 회절현상이다.

그림  에서 입사광선 , ,  은 서로 다른 세 면에서 반사되


는데, 그림  를 보면 이들의 경로차는  sin 이다.( 는 결정
면 사이의 간격) 이때  sin 가 엑스선 파장의 정수배일 때 보
강간섭이 나타난다.

 sin           (36.40)
그림
☞  은 극대의 차수.  는 결정면 사이의 거리. 36-25
☞ 식 (36.40)을 Bragg의 법칙이라 한다. 여기서 Bragg 각 
는 입사광선과 결정면이 만드는 각이라는 것을 명심하자!

그림 36-26과 같이 결정면을 취할 때, 그림을 고려하면 결정면


사이의 간격 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36.41)


이와 같은 관계를 고려하면 결정면 사이의 간격  로부터 단위세


포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그림 36-2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