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64

1 다음 두 점 A , B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⑴ A     , B    ⑵ A      , B     

2 다음 도형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    ⑵     

10 Ⅰ. 이차곡선
포물선
포물선의 뜻을 알고, 포물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포물선이란 무엇일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F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각


각 , , , ⋯ , 인 원,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에 접하는 직
선 , 직선 과 평행하고 간격이 인 직선이 있다. 이때 점 P 에
서 점 F 에 이르는 거리와 직선 에 이르는 거리는 각각 로 서
로 같다.

원과 직선의 교점 중에서 점 F 와 직선 에 이르는 거


리가 각각 , , ⋯ , 로 같은 점들을 모두 찾아 표시
해 보자.

위의 에서 원과 직선의 교점 중 점 F 와 직선  에 이르는 거리가 각각 같


은 점들을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결하면 다음 그림과 같은 모양이 된다.

이와 같이 평면 위의 한 점 F 와 이 점을 지나지 않는
한 직선  이 주어질 때, 점 F 와 직선  에 이르는 거리가
각각 같은 점들의 집합을 포물선이라 하고, 점 F 를 포물
선의 초점, 직선  을 포물선의 준선이라고 한다.
이때 포물선의 초점 F 를 지나고 준선  에 수직인 직
선을 포물선의 축, 포물선과 축의 교점을 포물선의 꼭짓
점이라고 한다.

1. 이차곡선 11
포물선의 방정식은 어떻게 구할까

좌표평면에서 점 F     ≠   을 초점으로 하고 직선    를 준선으로 하


는 포물선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포물선 위의 점 P   에서 준선    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 라고 하면 H    이다.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F  
PH
이므로

            
이다.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①
역으로 점 P   가 방정식 ①을 만족시키면
P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H
이므로 점 P 는 초점이 점 F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   인 포물선 위에 있
다.
따라서 방정식 ①은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포물선   의 꼭짓점은 포물선의 방정식 (1)


원점이고, 축의 방정식은 초점이 점 F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  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  이다.
    (단,  ≠ )

초점이 점 F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  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다음 포물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초점이 점 F 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   인 포물선 炷肌

 

⑵ 초점이 점 F  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   인 포물선
 

y 르제

12 Ⅰ. 이차곡선
포물선    의 초점의 좌표와 준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초점의 좌표를    이라고 하면
      × 
이므로 
따라서
초점의 좌표는   
준선의 방정식은   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풀이 참조

다음 포물선의 초점의 좌표와 준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⑴    ⑵   

좌표평면에서 점 F    ≠   를 초점으로 하고


직선    를 준선으로 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을 앞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구하면
   
이다.
포물선   의 꼭짓점은
원점이고, 축의 방정식은
  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포물선의 방정식 (2)



  에서     이므

초점이 점 F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  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로 포물선   는 이차함     (단,  ≠ )

수     의 그래프와 같

다.

다음 포물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초점이 점 F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   인 포물선


⑵ 초점이 점 F  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   인 포물선

1. 이차곡선 13
포물선     의 초점의 좌표와 준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초점의 좌표를     라고 하면

      ×  


이므로  

따라서

초점의 좌표는   



준선의 방정식은   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풀이 참조

다음 포물선의 초점의 좌표와 준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⑴    ⑵   

태양에너지를 모으는 장치의 단면은 다음 그림과 같이 초점이 F 이고 꼭짓점이 O 인


포물선 모양이다. 포물선 위의 두 점 A , B 는 직선 OF 에 대하여 대칭이고 직선 AB 와
직선 OF 의 교점을 H 라고 할 때, 
AH  
BH   m , 
OH   cm 이다. 이 포물선의 꼭
짓점 O 와 초점 F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i
0i셰마 12
H
P1

i i i (ii)
l
포물선     를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축
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방정식    이 나타          
내는 도형을 축의 방향으로 이때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   , 초
 만큼,  축의 방향으로  만
점의 좌표는      , 준선의 방정식은
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
은              , 축의 방정식은    이다.

14 Ⅰ. 이차곡선
포물선           의 초점의 좌표와 준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주어진 방정식을 변형하면


         
포물선   의 이 포물선은 포물선   를 축의 방향으
초점의 좌표는   
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준선의 방정식은 
것이다.
따라서
초점의 좌표는     
준선의 방정식은   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풀이 참조

다음 포물선의 초점의 좌표와 준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⑴           ⑵         

다음 포물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초점이 점 F 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   인 포물선


⑵ 초점이 점 F  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   인 포물선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를 접어 보고, 종이가 접힌 자국에서 포물선 모


양이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해 보자.
➊ 종이의 내부에 한 점을 표시한다.
➋ 종이의 한 변이 점을 지나도록 종이를 접었다 편다.
➌ 종이의 한 변이 점과 만나는 위치를 바꾸면서 ➋의 과정을 반복한다.

1. 이차곡선 15
타원
타원의 뜻을 알고, 타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타원이란 무엇일까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F , F ′을 각각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 , , ⋯ , 인 원이 있다.
이때 점 P 에서 두 점 F , F ′에 이르는 거리의 합은 
이다.

점 Q 에서 두 점 F , F ′에 이르는 거리의 합을
구해 보자.

원들의 교점 중에서 두 점 F , F ′에 이르는 거


리의 합이 인 점들을 모두 찾아 표시해 보자.

위의 에서 원들의 교점 중 두 점 F , F ′ 에 이르는 거리의 합이  인 점들


을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결하면 다음 그림과 같은 모양이 된다.

이와 같이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두 점 F , F ′ 에서
의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을 타원이라 하
고, 두 점 F , F ′ 을 타원의 초점이라고 한다.
타원의 두 초점 F , F ′ 을 잇는 직선이 타원과 만
나는 두 점을 각각 A , A ′ , 선분 FF ′ 의 수직이등
타원의 두 초점은 장축 위에
분선이 타원과 만나는 두 점을 각각 B , B′ 이라고
있고, 타원의 중심은 선분
AA′, 선분 BB′의 중점이다.
할 때, 네 점 A , A ′ , B , B′ 을 타원의 꼭짓점이라고 한다. 또 선분 AA ′ 을 타원의
또 타원은 장축, 단축 및 중심 장축, 선분 BB′ 을 타원의 단축이라 하고 장축과 단축의 교점을 타원의 중심이라고
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다. 한다.

16 Ⅰ. 이차곡선
타원의 방정식은 어떻게 구할까

좌표평면에서 두 점 F    , F ′    을 초점으로 하고 두 초점 F , F ′ 에서의


거리의 합이        인 타원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타원 위의 점을 P   라고 하면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  
PF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이고, 다시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이다.
이때      이므로      으로 놓으면
         
이고, 양변을   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 
    …… ①
 
역으로 점 P   가 방정식 ①을 만족시키면

PF  
PF ′  
이므로 점 P 는 두 초점 F  , F ′   에서의 거리의 합이  인 타원 위에
있다.
따라서 방정식 ①은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타원의 방정식 (1)


 
타원           두 초점 F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합이 인 타원의 방정식은
 
의 초점과 장축은 축 위에  

   (단,     ,      )
있다.  

1. 이차곡선 17
두 초점 F     , F ′      에서의 거리의 합이 인 타원의 방정식을
 
          
 
이라고 하면   이고   에서   이므로
      
 
따라서 타원의 방정식은    
 

다음 타원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두 초점 F 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합이  인 타원


⑵ 두 초점 F 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합이  인 타원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타원 

       
 
의 두 초점을 F   , F ′        이라고 하
면      에서   
   이므로
F 
      , F ′        
이다. 또 타원의 꼭짓점은
A   , A ′     ,
장축의 길이는 타원 위의 점에
서 두 초점에 이르는 거리의 B    , B′    
합과 같다. 이고, 장축의 길이는 
AA ′   , 단축의 길이는 
BB′   이다.

 
타원      의 초점의 좌표와 장축, 단축의 길이를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
 
오.
타원의 한 초점의 좌표를    이라고 하면
  
    
따라서
초점의 좌표는     ,     
장축의 길이는 ×  
단축의 길이는  × 
   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풀이 참조

다음 타원의 초점의 좌표와 장축, 단축의 길이를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   
⑴    ⑵   
   

18 Ⅰ. 이차곡선
좌표평면에서 두 초점 F   , F ′    에서의 거리
의 합이        인 타원의 방정식을 앞에서와 같
은 방법으로 구하면
 
       
   
 
이다. 이때   
   이므로
F  
     , F ′   
    
이고, 장축의 길이는 
BB′   , 단축의 길이는 
AA ′   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타원의 방정식 (2)


두 초점 F    , F ′      에서의 거리의 합이 인 타원의 방정식은
 
 
타원            
       (단,            )
 
의 초점과 장축은 축 위에 있
다.

다음 타원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두 초점 F 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합이  인 타원


⑵ 두 초점 F 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합이  인 타원

 
타원      의 초점의 좌표와 장축, 단축의 길이를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
 
오.
타원의 한 초점의 좌표를    라고 하면
  
 
따라서
초점의 좌표는        
장축의 길이는 ×  
단축의 길이는  × 
  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풀이 참조

다음 타원의 초점의 좌표와 장축, 단축의 길이를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   
⑴    ⑵   
   

1. 이차곡선 19
 
타원 

        을  축의 방향으
 
로  만큼,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타
원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타원을 평행이동해도 장축과 이때 이 타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 초점의
단축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이다.
다.

타원             의 중심과 초점의 좌표를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


시오.

   
주어진 방정식을 변형하면        

 
타원     의

이 타원은 타원     을 축의

중심의 좌표는  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초점의 좌표는
평행이동한 것이다.

  ,  
  
따라서
중심의 좌표는    
초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풀이 참조

다음 타원의 중심과 초점의 좌표를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   
⑴         ⑵           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타원            의 한
 
꼭짓점    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은
타원의 초점을 지난다. 그 이유를 설명해 보자.

20 Ⅰ. 이차곡선
타원 만들기

타원(楕圓)에서 타(楕)는 ‘길고 둥글다’는 뜻으로 타원은 ‘길고 둥근 원’이


라는 뜻이다. 실제로 원을 적당한 눈높이에서 내려다보면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처럼 보이는데, 원기둥의 겨냥도를 그릴 때 밑면의 모양을 타원으로 그
리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두 원이 각각 다른 원의 바깥쪽에 있으면서 두 원이 한 점에서 만날 때 두 원은 외접한다


고 하고, 한 원이 다른 원의 안쪽에 있으면서 두 원이 한 점에서 만날 때 두 원은 내접한다고
한다.
한 원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이 그리는 도형이 타원인 경우를 알아보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중심이 O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C 와


원 C 의 내부에 있는 O 가 아닌 점 A 에 대하여 원 C 에 내접하면서
점 A 를 지나는 원의 중심을 P 라고 하자.
두 원의 접점을 B 라고 하면

PO 
OB 
PB   
PB
이다. 이때 
PA  
PB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PA  
PO 
PA    
PB  
즉 점 P 에서 두 점 A , O 에 이르는 거리의 합이 로 일정하므로 점 P 가 그리는 도형은
타원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C 과 원 C 내부에 있


는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C 에 대하여 원 C 에 내접하면서 원 C
에 외접하는 원의 중심을 P 라고 하자. 이때 점 P 가 그리는 도형이
타원임을 설명해 보자.
(단, 두 원 C , C 의 중심은 일치하지 않는다.)

원          에 내접하면서 원          에 외접하는 원의 중심 P 가 그리
는 도형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1. 이차곡선 21
쌍곡선
쌍곡선의 뜻을 알고, 쌍곡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쌍곡선이란 무엇일까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F , F ′을 각각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 , , ⋯ , 인 원이 있다. 이
때 점 P 에서 두 점 F , F ′에 이르는 거리의 차는 이다.

점 Q 에서 두 점 F , F ′에 이르는 거리의 차를
구해 보자.

원들의 교점 중에서 두 점 F , F ′에 이르는 거


리의 차가 인 점들을 모두 찾아 표시해 보자.

위의 에서 원들의 교점 중 두 점 F , F ′ 에 이르는 거리의 차가  인 점들을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결하면 다음 그림과 같은 모양이 된다.

이와 같이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두 점 F , F ′ 에서의 거
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을 쌍곡선이라 하고, 두
점 F , F ′ 을 쌍곡선의 초점이라고 한다.
쌍곡선의 두 초점 F , F ′ 을 잇는 직선이 쌍곡선과 만나
는 두 점을 각각 A , A ′ 이라고 할 때, 두 점 A , A ′ 을 쌍
쌍곡선은 주축의 연장선과 주
축의 수직이등분선 및 중심에
곡선의 꼭짓점이라 하고, 선분 AA ′ 을 쌍곡선의 주축,
대하여 각각 대칭이다. 선분 AA ′ 의 중점을 쌍곡선의 중심이라고 한다.

22 Ⅰ. 이차곡선
쌍곡선의 방정식은 어떻게 구할까

좌표평면에서 두 점 F   , F ′    을 초점으로 하고 두 초점 F , F ′ 에서의


거리의 차가        인 쌍곡선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쌍곡선 위의 점을 P   라고 하면 쌍곡선의 정의


에 의하여

PF 
PF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이고, 다시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이다.
이때      이므로      으로 놓으면
         
이고, 양변을   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 
    …… ①
 
역으로 점 P   가 방정식 ①을 만족시키면

PF 
PF ′   
이므로 점 P 는 두 초점 F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차가  인 쌍곡선 위에
있다.
따라서 방정식 ①은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쌍곡선의 방정식 (1)


 
 
쌍곡선     의 초점 두 초점 F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차가 인 쌍곡선의 방정식은
 
과 주축은 축 위에 있다.  
     (단,     ,      )
 

1. 이차곡선 23
두 초점 F    , F ′      에서의 거리의 차가 인 쌍곡선의 방정식을
 
          
 
이라고 하면   이고   에서   이므로
        
 
따라서 쌍곡선의 방정식은    
 

다음 쌍곡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두 초점 F 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차가  인 쌍곡선


⑵ 두 초점 F 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차가  인 쌍곡선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쌍곡선 

      의
 
두 초점을 F   , F ′     이라고 하면
     에서   
   이므로
F 
      , F ′        
이다. 또 쌍곡선의 꼭짓점은
주축의 길이는 쌍곡선 위의 점 A   , A ′    
에서 두 초점에 이르는 거리의
이고, 주축의 길이는 
AA ′   이다.
차와 같다.

 
쌍곡선      의 초점의 좌표와 주축의 길이를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 
쌍곡선의 한 초점의 좌표를    이라고 하면
  
    

따라서
초점의 좌표는  
   ,   
  
주축의 길이는  ×   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풀이 참조

다음 쌍곡선의 초점의 좌표와 주축의 길이를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   
⑴    ⑵   
   

24 Ⅰ. 이차곡선
좌표평면에서 두 초점 F   , F ′    에서의 거리
의 차가        인 쌍곡선의 방정식을 앞에서와 같
은 방법으로 구하면
 
          
 
이다. 이때   
   이므로
F  
    , F ′   
   
이다. 또 쌍곡선의 꼭짓점은
B    , B′    
이고, 주축의 길이는 
BB′   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쌍곡선의 방정식 (2)


  
쌍곡선      의 초 두 초점 F    , F ′      에서의 거리의 차가 인 쌍곡선의 방정식은
  
점과 주축은 축 위에 있다.  
     (단,     ,      
 

다음 쌍곡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두 초점 F 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차가  인 쌍곡선


⑵ 두 초점 F 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차가  인 쌍곡선

 
쌍곡선     의 초점의 좌표와 주축의 길이를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 
쌍곡선의 한 초점의 좌표를  라고 하면
  
 
따라서
초점의 좌표는     ,     
주축의 길이는 ×  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풀이 참조

다음 쌍곡선의 초점의 좌표와 주축의 길이를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   
⑴      ⑵     
   

1. 이차곡선 25
 
쌍곡선의 방정식 

  에서  를  에 대한
 
식으로 나타내면


 ±  
  
 


이다. 이 식에서    의 값이 한없이 커지면  의

 
값은 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쌍곡선은 두 직선     ,     에 한없이 가
 
까워진다.
이 두 직선을 쌍곡선의 점근선이라고 한다.
   
또 쌍곡선 

  의 점근선도 두 직선     ,     이다.
   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쌍곡선의 점근선
   
쌍곡선     ,     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다음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  
⑴    ⑵      
  

 
쌍곡선 

  을  축의 방향으로 
 
만큼,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쌍
곡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쌍곡선을 평행이동해도 주축 이때 이 쌍곡선의 중심의 좌표는
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   , 초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이다.

26 Ⅰ. 이차곡선
쌍곡선             의 초점, 꼭짓점의 좌표와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오.

주어진 방정식을 변형하면


   
       

 
쌍곡선     의 초점의

이 쌍곡선은 쌍곡선       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축의 방향

좌표는
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  ,  
  
따라서
꼭짓점의 좌표는
 ,    초점의 좌표는
점근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꼭짓점의 좌표는
         
점근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또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풀이 참조

다음 쌍곡선의 초점, 꼭짓점의 좌표와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래프를 그리시


오.
       
⑴    ⑵            
 

오른쪽 그림은 세 쌍곡선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 세 쌍곡선의 점근선을 비교해 보자.

 
2 두 직선    ,    를 점근선으로 갖는 쌍곡
 
선을 세 개 이상 찾아보자.

1. 이차곡선 27
이차곡선이란 무엇일까

지금까지 배운 포물선, 타원, 쌍곡선의 방정식은 모두  ,  에 대한 이차방정식이


다.
 
예를 들어 포물선의 방정식    , 타원의 방정식 

  , 쌍곡선의 방
 
 
정식 

  은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에 대한 이차방정식 일반적으로 계수가 실수인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지 않는  ,  에 대한


      은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상수)
으로 인수분해되므로 두 직선
     ,      을 나타 이 나타내는 곡선을 이차곡선이라고 한다.
낸다.

      처럼 실근이 한 쌍이거나          처럼 실근이 존재하


지 않는 경우에는 이차곡선을 나타내지 않는다.

다음 방정식이 나타내는 도형을 말하시오.

⑴        ⑵        
⑶        ⑷          

원뿔곡선

원뿔을 꼭짓점을 지나지 않는 평면으로 자를 때 평면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다음 그림


과 같이 단면에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이 나타난다. 따라서 지금까지 배운 이차곡선을 원
뿔곡선이라고도 부른다.

고대 그리스 수학자 아폴로니오스(Apollonios, B.C. 262?~B.C. 190?)는 타원(ellipse), 포


물선(parabola), 쌍곡선(hyperbola)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각각 ‘부족하다(ellipsis)’,
‘일치하다(parabole)’, ‘초과하다(hyperbole)’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것이다.
(출처: 박세희, 수학의 세계)

28 Ⅰ. 이차곡선
이차곡선 그리기

컴퓨터 기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타원을 그려 보자.

➊ 점 A 를 중심으로 하는 원과 원의 내부에 A 가 ➋ 직선 AC 와 선분 BC 를 그린다.


아닌 점 B 를 그리고 원 위에 점 C 를 그린다.

➌ 수직이등분선을 선택하여 선분 BC 의 수직 ➍ 자취 그리기를 선택하고 점 P 와 점 C 를 차

례대로 선택하면 점 P 의 자취인 타원이 그려진다.


이등분선을 그리고, 교점을 선택하여 수직

이등분선과 직선 AC 의 교점 P 를 그린다.

위에서 점 P 가 그리는 도형이 타원인 이유를 설명해 보자.

위에서 점 B 를 원의 외부에 그리면 점 P 가 그리는 도형이 쌍곡선임을 컴퓨터 기하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그 이유를 설명해 보자.

1. 이차곡선 29
➊ 포물선 1 다음 포물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평면 위의 한 점과 이 점을 지나지 않는 한 직선에 대하여
점과 직선에 이르는 거리가 같은 점들의 집합을
⑴ 초점이 점 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이라고 한다.    인 포물선

⑵ 초점이 점 F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인
⑵ 초점이 점     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인 포물선
   (단,  ≠  )

2 포물선    의 초점의 좌표와 준선의 방


정식을 구하시오.
➋ 타원
⑴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두 점에서의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을 이라고 한다.
⑵ 두 초점 F  , F ′    에서의 거리의 합이
3 다음 타원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두 초점 F 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인 타원의 방정식은
  
합이  인 타원
     (단,      ,   )
  ⑵ 두 초점 F    , F ′     에서의 거리
의 합이  인 타원

➌ 쌍곡선
4  
타원      의 초점의 좌표와 장축, 단축
 
⑴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두 점에서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의 길이를 구하시오.
점들의 집합을 이라고 한다.
⑵ 두 초점 F  , F ′   에서의 거리의 차가
인 쌍곡선의 방정식은
5 다음 쌍곡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  
     (단,      ,   ) ⑴ 두 초점 F    , F ′     에서의 거리의
 
차가  인 쌍곡선
⑵ 두 초점 F    , F ′     에서의 거리
의 차가  인 쌍곡선
➍ 이차곡선
일반적으로 계수가 실수인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
지 않는  ,  에 대한 이차방정식 6  
쌍곡선      의 초점의 좌표와 주축
 
             
의 길이,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  ,  ,  ,  ,  ,  는 상수)
이 나타내는 곡선을 이라고 한다.

30 Ⅰ. 이차곡선
• 정답 및 풀이 151쪽

7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포물선의 초점 F 를 지나는 직선이 포물선과 만


나는 두 점을 각각 P , Q 라 하고, 두 점 P , Q 에서 포물선의 준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 , H ′이라고 하자.  PH  , 
QH ′ 일
때, 선분 PQ 의 길이를 구하시오.

8 두 포물선      와      의 초점이 일치할 때,   의 값을 구하


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단, , 는 상수이다.)

9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A , B 를 초점으로 하고 장축의 길이가


, 단축의 길이가 인 타원이 있다. 타원 위의 두 점 C , D 가 타
원의 장축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에 있을 때, 사각형 ACBD 의 둘
레의 길이를 구하시오. (단, 네 점 A , B , C , D 중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다.)

10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타원      과 포물선
 
    의 한 교점 A 에서 직선   에 내린 수선
의 발을 C 라고 할 때, 점 B     에 대하여

AB 
AC 의 값을 구하시오.

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F , F ′을 초점으로 하고 주축의 길이가


인 쌍곡선에 대하여 점 F 를 지나는 직선이 쌍곡선과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 B 라고 하자. 
AF ′  
BF ′   일 때, 선분 AB 의 길
이를 구하시오.

1. 이차곡선 31
• 정답 및 풀이 152쪽

12 쌍곡선 
 
    의 두 꼭짓점과 타원   
 
  의 두 초점이 일치할 때,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는 상수이다.)

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F , F ′을 초점으로 하는


  
타원      과 쌍곡선       의 한 교
  
 
점을 P 라고 할 때,  
PF ′  
PF  의 값을 구하시
오.

14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점 O 를 초점으로 하는 두 포물


선        ,        와 축에 평행한
직선이 만나는 점을 각각 A , B 라 하고, 두 포물선의
꼭짓점을 각각 C , D 라고 하자. 
CD 일 때, 삼각형
AOB 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시오. (단, , 는 상수이
고, 점 A 의 좌표는 점 B 의 좌표보다 작다.)

15 축 위의 점 A ,  축 위의 점 B 에 대하여 
AB  일 때, 선분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 P 가 그리는 도형의 방정식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16 쌍곡선        위의 한 점 P 에서 이 쌍곡선의 두 점근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


각 Q , R 라고 할 때, 
PQ × 
PR 의 값이 일정함을 보이시오.

32 Ⅰ. 이차곡선
1 다음 이차방정식의 근을 판별하시오.

⑴         ⑵         ⑶        

2 다음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점    를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


⑵ 점     를 지나고 축에 평행한 직선

2. 이차곡선과 직선 33
포물선과 직선
포물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포물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    은 포물선    에 접한다.

포물선     와 직선     의 교점의 개수를 말해


보자.

포물선     와 직선     의 교점의 개수를 말해


보자.

포물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이차방정식의 판별을 이용하여 알아보자.

포물선과 직선의 방정식을 각각


    …… ①
     …… ②
이라고 할 때, 포물선과 직선의 교점의 개수는 방정식 ①, ②를 모두 만족시키는 실
수  ,  의 순서쌍    의 개수와 같다.
②를 ①에 대입하면
      , 즉
             …… ③
이므로 포물선과 직선의 교점의 개수는 방정식 ③의 실근의 개수와 같다.
따라서  ≠  일 때, 이차방정식 ③의 판별식을 
라고 하면 포물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➊ 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➋ 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➌  만나지 않는다.

  인 직선, 즉 포물선의 축에 평행한 직선은 포물선과 항상 한 점에서


만나지만 접선은 아니다.

34 Ⅰ. 이차곡선

포물선    와 직선      의 위치 관계를 조사하시오. (단, 는 상수이다.)


     를   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①   , 즉    일 때,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②   , 즉    일 때,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③   , 즉    일 때, 만나지 않는다.

풀이 참조

포물선    와 직선     가 만나지 않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


시오.

포물선의 접선의 방정식은 어떻게 구할까


포물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   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을      이라 하고, 이것을


포물선의 방정식   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이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고 하면
포물선과 직선이 접하므로          ×  ×   
   이다.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단,  ≠  )

2. 이차곡선과 직선 35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포물선의 접선의 방정식 - 접선의 기울기가 주어질 때


포물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 ≠  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이므로 포물선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다음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포물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직선


⑵ 포물선     에 접하고 직선        에 평행한 직선

포물선     위의 점 P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  ≠  일 때, 접선의 기울기를   ≠   이라고 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즉
         …… ①

이다. 한편 포물선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②

이다. 직선 ①, ②의  절편을 비교하면

       

이고, 이 식의 양변에  을 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이므로

점 P    이 포물선   ±       
   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다. 이것을 ①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③
    일 때,    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   이므로 이 경우에도 ③이 성립

한다.

36 Ⅰ. 이차곡선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포물선의 접선의 방정식 - 접점의 좌표가 주어질 때


포물선     위의 점  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과 한편 포물선    위의 점 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를 연립한 이차방정
          이다.
식이 중근을 가짐을 이용한다.

     ×   ×  포물선    위의 점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이므로   
   ×    ×     , 즉     

다음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포물선     위의 점     에서의 접선


⑵ 포물선    위의 점     에서의 접선

점       에서 포물선   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모두 구하시오.


접점을 P      이라고 하면 점 P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이 직선이 점       를 지나므로           …… ①


또 점 P     은 포물선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②

①, ②를 연립하여 풀면
  

  
또는
  

  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점    에서 포물선    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모두 구하시오.

포물선     의 준선    위의 한 점에서 포물선에 그은 두 접선이 서로 수직임


을 증명해 보자. (단, 는 상수이다.)

2. 이차곡선과 직선 37
타원과 직선
타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타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    ,     는 타원
 
    에 각각 접한다.
  

 
타원      과 직선     의 교점의 개수를
 
말해 보자.
 
타원      과 직선     의 교점의 개수를
 
말해 보자.

타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하여 알아보자.

타원과 직선의 방정식을 각각


 
 
  …… ①
 
     …… ②
이라고 할 때, 타원과 직선의 교점의 개수는 방정식 ①, ②를 모두 만족시키는 실수
 ,  의 순서쌍     의 개수와 같다.
②를 ①에 대입하면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③
이므로 타원과 직선의 교점의 개수는 방정식 ③의 실근의 개수와 같다.
따라서 이차방정식 ③의 판별식을  라고 하면
타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➊ 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➋ 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➌  만나지 않는다.

38 Ⅰ. 이차곡선

타원       과 직선     의 위치 관계를 조사하시오.

(단, 는 상수이다.)

    를     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①   , 즉  
    
 일 때,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②   , 즉   ± 
 일 때,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③   , 즉    또는    일 때, 만나지 않는다.
풀이 참조

타원        와 직선     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은 어떻게 구할까


 
타원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 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을      이라 하고, 이것을
 
타원의 방정식 

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고 하면
타원과 직선이 접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한 타원에 대하여 기울기가 같    ±     
은 접선은 개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 - 접선의 기울기가 주어질 때


 
타원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2. 이차곡선과 직선 39
 
타원 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즉    ± 

다음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 
⑴ 타원 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직선
 
 
⑵ 타원      에 접하고 직선      에 평행한 직선
 

 
 
타원 
 
  위의 점 P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 
  ≠  일 때, 접선의 기울기를  이라고 하면 구하

는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즉
         …… ①
 
이다. 한편 타원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 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②
이다. 직선 ①, ②의  절편을 비교하면
       ± 
     

이고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다. 이때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  

 
 
  
    
    에서 이다. 따라서    이므로 이것을 ①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일 때,   ±  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  ±  이므로 이 경우에도 ③이 성

립한다.

40 Ⅰ. 이차곡선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 - 접점의 좌표가 주어질 때


 
타원  
   위의 점  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타원     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즉   
 
 

다음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 
⑴ 타원      위의 점  
  에서의 접선
 
⑵ 타원      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

점  에서 타원        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모두 구하시오.


접점을 P      이라고 하면 점 P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이 직선이 점     을 지나므로
       , 즉        …… ①
또 점 P     은 타원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②
 
  
   

①, ②를 연립하여 풀면 또는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점     에서 타원        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모두 구하시오.

직각이등변삼각형 ABC 의 두 변 AB , BC 가 각각 좌표축에 평행하고 세 변이 타원


       에 모두 접할 때, 직선 AC 의 방정식을 모두 구해 보자.

2. 이차곡선과 직선 41
이차곡선의 반사 성질을 이용한 장치

포물선의 축과 평행하게 들어온 빛은 포물선에 반사되어 초점에 모이고, 타원의 한 초점에


서 나온 빛은 타원에 반사되어 다른 초점을 지난다. 우리 주변에는 포물선과 타원의 이와 같
은 성질을 이용한 유용한 장치들이 많이 있다.

➊ 파라볼라 안테나
파라볼라 안테나의 단면의 모양은 포물선으로 포물선
의 축과 평행하게 들어온 전파는 안테나의 반사기에 반
사되어 초점의 위치에 설치된 수신기에 모인다. 파라볼
라 안테나는 멀리에서 오는 전파를 수신할 때 적합하여
주로 위성 방송 수신이나 마이크로파 중계에 사용된다.

➋ 체외 충격파 쇄석기
체외 충격파 쇄석기는 몸속에 생긴 결석을 수술하
지 않고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 이 장치에서 반사경
의 단면의 모양은 타원의 일부분이다. 결석이 타원
의 한 초점에 오도록 맞추고 다른 초점에서 충격파
를 발생시키면 반사경에 반사된 충격파가 결석에 모
여 신체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결석을 분
쇄한다.
(출처: 과학동아, 년 월 호)

오른쪽 그림과 같이 초점이 점 F   인 포물선   


    위의 한 점 P      에서의 접선이 축과 만나는 점을
T 라고 할 때, 접선 위의 점 Q 와 점 P 를 지나고 축과 평행한 직
선 위의 점 X 에 대하여
∠ TPF  ∠ QPX
임을 증명해 보자.

포물선과 타원의 반사 성질을 이용한 장치를 조사하고 그 원리를 설명해 보자.

42 Ⅰ. 이차곡선
쌍곡선과 직선
쌍곡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쌍곡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    ,     은 쌍곡선


 
    에 각각 접한다.
  

 
쌍곡선      과 직선     의 교점의 개수
 
를 말해 보자.
 
쌍곡선      과 직선     의 교점의 개수
 
를 말해 보자.

쌍곡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하여 알아보자.


쌍곡선과 직선의 방정식을 각각
 
    …… ①
 
     …… ②
이라고 할 때, 쌍곡선과 직선의 교점의 개수는 방정식 ①, ②를 모두 만족시키는 실
수  ,  의 순서쌍    의 개수와 같다.
②를 ①에 대입하면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즉  ±  이므로 쌍곡선과 직선의 교점의 개수는 방정식 ③의 실근의 개수와 같다.

이면 직선은 쌍곡선의 점근선 따라서     ≠  일 때, 이차방정식 ③의 판별
과 일치하거나 평행하므로 쌍 식을  라고 하면 쌍곡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는 다음
곡선과 만나지 않거나 한 점에
과 같다.
서 만난다.

➊ 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➋ 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➌  만나지 않는다.

2. 이차곡선과 직선 43
 
쌍곡선      과 직선     의 위치 관계를 조사하시오.
 
(단, 는 상수이다.)
 
    를    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①   , 즉    또는   일 때,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②   , 즉   ± 일 때,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③   , 즉      일 때, 만나지 않는다.
풀이 참조

쌍곡선       과 직선     가 접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모두 구


하시오.

쌍곡선의 접선의 방정식은 어떻게 구할까


 
쌍곡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 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을      이라 하고, 이것
 
을 쌍곡선의 방정식 

  에 대입하여 정리하
 

                

     이면 항상 이다.       일 때,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 이므로 접선이 아니다.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쌍곡선과 직선이 접하므로
  이다.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단,       )
  

44 Ⅰ. 이차곡선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쌍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 접선의 기울기가 주어질 때


 
쌍곡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단,       )
  

 
쌍곡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즉    ± 


다음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 
⑴ 쌍곡선 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직선
 
⑵ 쌍곡선      에 접하고 직선      에 평행한 직선

 
 
쌍곡선 

  위의 점 P 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 

  ≠  일 때, 접선의 기울기를  이라고 하면 구하

는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즉
         …… ①
이다.
 
한편 쌍곡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 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②
이다. 직선 ①, ②의  절편을 비교하면
       ± 
     

이고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이다.

2. 이차곡선과 직선 45
     
    에서 이때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  

 
 
  
이다.
    




 에서 따라서   
 이므로 이것을 ①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일 때,    ±  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  ±  이므로 이 경우에도 ③이 성

립한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쌍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 접점의 좌표가 주어질 때


 
쌍곡선      위의 점  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같은 방법으로 쌍곡선 

  위의 점  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 
  
구하면 

  이다.
 

 
쌍곡선      위의 점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즉 
  
 

다음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 
⑴ 쌍곡선      위의 점  
  에서의 접선
 
⑵ 쌍곡선      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

46 Ⅰ. 이차곡선
점    에서 쌍곡선        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모두 구하시오.

접점을 P      이라고 하면 점 P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이 직선이 점    을 지나므로
       …… ①
또 점 P     은 쌍곡선  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②
①, ②를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또는
   
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점      에서 쌍곡선        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모두 구하시오.

카세그레인식 망원경

포물선의 축과 평행하게 들어온 빛은 포물선에 반사되어 초점에 모이고, 쌍곡선의 한 초


점을 향한 빛은 초점에 가까운 곡선에 반사되어 다른 초점에 모인다. 천문 관측용으로 사용
하는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은 포물선과 쌍곡선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만든 것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의
주경(A )의 단면은 포물선 모양이고, 부경(B )
의 단면은 쌍곡선 모양이다. 이때 포물선의 초
점은 점 C 이고, 쌍곡선의 초점은 점 C 와 점
D 이다. 주경에 반사된 빛이 포물선의 초점 C
로 향하다가 초점 C 앞에 위치한 부경에 반사되어 쌍곡선의 다른 초점 D 로 모이고, 이 빛
으로 물체를 볼 수 있다.
(출처: Hannu Karttunen 외, Fundamental Astronomy)

2. 이차곡선과 직선 47
➊ 포물선과 직선 1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수 의 값 또는 범

⑴ 포물선    와 직선      에서  를 소거하


위를 정하시오.
여 만든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고 하면 ⑴ 포물선     와 직선     가 서로
①  에서 만난다.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②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  
⑵ 타원     고 직선      가 접
③  만나지 않는다.   

⑵ 포물선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 ≠  인 직 한다.
선의 방정식은

⑶ 포물선   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
 ⑶ 쌍곡선     과 직선   
   가

식은 만나지 않는다.

➋ 타원과 직선
 
⑴ 타원      과 직선      에서  를 소거하
 
여 만든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고 하면
①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2 포물선    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오.
② 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⑴ 기울기가  인 접선의 방정식
③ 만나지 않는다.
⑵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  
⑵ 타원 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
 
식은
  
⑶ 타원     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
 
식은
3  
타원      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오.
 
➌ 쌍곡선과 직선 
⑴ 기울기가  인 접선의 방정식
   
⑴ 쌍곡선      과 직선      에서  를 소거
  ⑵ 점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하여 만든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고 하면
①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②  에서 만난다. (접한다.)
③  만나지 않는다.
  
⑵ 쌍곡선 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
  4 쌍곡선        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
정식은 (단,       )
오.
 
 
⑶ 쌍곡선 
  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의 방 ⑴ 기울기가 인 접선의 방정식
 
정식은 ⑵ 점 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48 Ⅰ. 이차곡선
• 정답 및 풀이 153쪽

5 포물선    위의 점과 직선     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6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이 원점 O 이고 축을 축으로 하


는 포물선의 초점을 F , 준선을 이라고 하자. 포물선 위의 점
중에서 원점이 아닌 점 P   에서의 접선이 축과 만나는
점을 Q 라 하고, 점 P 에서 준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고 할 때, 다음에 답하시오.
⑴ 점 Q 의 좌표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시오.
⑵ 사각형 HQFP 가 마름모임을 보이시오.

7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타원      위의 점 P 에서 축, 
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 , H ′이라고 하자. 또 점 P 에서의
접선이 축,  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Q , R 라고 할 때,

OH × 
OQ 
OH ′× 
OR
의 값을 구하시오.
(단, O 는 원점이고, 점 P 는 타원의 꼭짓점이 아니다.)

8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타원      의 꼭짓점 A     ,
 
B   와 타원 위의 점 P 에 대하여 삼각형 ABP 의 넓이가
최대일 때, 점 P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2. 이차곡선과 직선 49
• 정답 및 풀이 154쪽

9 타원       과 쌍곡선       의 교점 중에서 제사분면 위의 점을 P


라고 하자. 점 P 에서 타원에 그은 접선의 기울기를 , 쌍곡선에 그은 접선의 기울기를
라고 할 때, 의 값을 구하시오.

10 쌍곡선        위의 점     에서의 접선과 두 점근선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11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쌍곡선      위의 점
 
P 
   
 에서의 접선을 이라 하고, 쌍곡선의 두
초점 F , F ′에서 직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 ,
H ′이라고 할 때, 
FH × 
F ′ H ′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
과 답을 쓰시오.

12  
점     에서 타원      에 그은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일 때, 양수 의 값을
 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13 쌍곡선      과 직선     가 서로 다른 두 점 A , B 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
수 에 대하여 선분 AB 의 중점이 그리는 도형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50 Ⅰ. 이차곡선
• 정답 및 풀이 154쪽

01 두 포물선       ,       의 초점 05 점 P 와 직선    사이의 거리를 , 점 P 와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점 A     사이의 거리를 라고 할 때,       
이다. 이때 점 P 가 그리는 도형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02 좌표평면에서 포물선    의 초점 F 와 포물
선 위의 점 A 에 대하여 
AF   이다. 준선과 축의
교점을 B 라고 할 때, 선분 AB 의 길이를 구하시오.
06  
다음 그림과 같이 쌍곡선     의 두 초
 
점 A , B 를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과 쌍곡선이
만나는 한 점을 P 라고 할 때, 삼각형 PAB 의 넓이를
구하시오.

03 포물선     의 초점을
지나고 기울기가 양수인 직선
이 포물선과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 B 라고 하자. 
AB 
일 때, 직선 의 방정식을 구하
시오.

07  
타원      과 두 초점을 공유하는 쌍곡선
 
04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의 한 점근선의 방정식이     일 때, 이 쌍곡선
중심이 원점 O 이고 두 점
의 주축의 길이를 구하시오.
F , F ′을 초점으로 하는 타
원과  축의 한 교점을 A
라고 하자. 삼각형 AF ′ F
가 한 변의 길이가 인 정
삼각형일 때, 이 타원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대단원 마무리 51
08  
쌍곡선      의 두 초점 F , F ′과 쌍곡선 12  
타원      위의 점 P 에서의 접선이 
   
위의 점 P 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삼각형 축,  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 B 라고 할 때, 삼각형
PF ′ F 의 넓이를 모두 구하시오. OAB 의 넓이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단, O 는 원점이고, 점 P 는 제사분면 위의 점이다.)
㈎ 점 P 는 제사분면 위의 점이다.
㈏ 삼각형 PF ′ F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13 직선   
 
   이 쌍곡선      에 접
09 직선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
 
할 때, 이 쌍곡선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이동하면 포물선    에 접한다. 이때 의 값을
(단, 는 상수이다.)
구하시오.

10 포물선     위의 서로 다른 두 점       ,
14  
점 P 에서 쌍곡선     에 그은 두 접선
     에서의 접선이 서로 수직일 때,     의 값을  
구하시오. 이 서로 수직일 때, 점 P 가 그리는 도형의 넓이를 구
하시오.

11 
직선      가 포물선    와 서로


다른 두 점에서 만나고, 타원       과 만나지

않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52 Ⅰ. 이차곡선
• 정답 및 풀이 155쪽

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17 포물선     위의 점 P 에서의 접선


  이 축, 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Q , R 라고 할 때,
타원      의 두
  
PR

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초점 F , F ′과 타원 위의 RQ
점 P 에 대하여 선분 PF 가
축과 수직일 때, 삼각형
PFF ′의 넓이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16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쌍곡선의 주축의


18  
쌍곡선      에 접하는 기울기가 인 두
 
길이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직선 사이의 거리가 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는 풀
㈎ 두 초점의 좌표는    ,      이다. 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단,     )
㈏ 두 점근선은 서로 수직이다.

➊ 포물선의 뜻을 알고, 포물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➋ 타원의 뜻을 알고, 타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➌ 쌍곡선의 뜻을 알고, 쌍곡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➍ 이차곡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부족한 부분을 어떻게 채울지 계획을 세워 보세요.

대단원 마무리 53
원뿔과 이차곡선

원뿔곡선에 대한 연구로 가장 유명한 사람은 아폴로니오스(Apollonios, B.C.  ?~B.C.   )이지만, 아폴로니오스
이전에도 원뿔곡선에 대한 연구는 있었다. 대표적으로 고대 그리스 수학자 메나이크모스(Menaechmos, B.C.
  ~B.C.   )는 원뿔을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 꼭지각의 크기가 예각, 직각, 둔각일 때, 원뿔을
모선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모양이 각각 타원, 포물선, 쌍곡선임을 알았다.

한편 벨기에 수학자 단델린(Dandelin, G. P.,  ~ )은 다음과 같이 원뿔과 평면에 접하는 구를 이용하여 원뿔
곡선이 포물선, 타원, 쌍곡선의 정의를 만족시킴을 증명하였다.

(출처: 두산백과사전, ,


C. Stanley Ogilvy, Excursions in Mathematics)

원뿔을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의 모양이 포물선, 타원, 쌍곡선임을 증명하는 방법을 조사하여 발표해

보자.

54 Ⅰ. 이차곡선
이차곡선과 건축

예로부터 건축가들은 포물선, 타원, 쌍곡선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기하학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하거나 건축물의 실용성을 높여 왔다.

현수교는 주로 높은 절벽이나 바다와 같이 교각을 세우기 어려운 장소에 건설하


는 다리로 현수교의 주탑 사이의 케이블을 상판과 연결하면 케이블의 모양은 포물
선이 된다. 현수교는 대부분 규모가 크고 시각적으로 아름다워 부산의 광안 대교나
인천의 영종 대교와 같이 도시의 상징적인 건축물로 여겨진다.
한편 원형 경기장이나 원형 극장으로 알려진 고대 로마의 콜로세움이나 이탈리아의 아레나 극장의 실제 모양은 타원이
다. 또 바티칸시티의 성 베드로 광장이나 중세 성당 등에서도 타원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천장을 타원 모양으로
만들면 한 초점의 위치에서 낸 소리가 다른 초점의 위치에서 잘 들리는 현상이 생긴다.
쌍곡선을 이용한 구조물은 적은 재료로 보다 튼튼하게 설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수직 구조물보다 외부의 힘에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안정
성을 요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냉각탑이나 지반이 불안정한 곳에 세우는 고층 건물의
설계에 쌍곡선을 이용한다. 대표적으로 일본의 고베 포트 타워와 중국의 광저우 타워
의 단면의 모양이 쌍곡선이다.
(출처: 수학동아, 년 월 호,
수학동아,  년  월 호)

도시 계획 기술자 | 기존 도시의 재개발 또는 신도시 건설을 위해 도시 및 단


지를 계획하고 설계한다. 해당 지역의 인문 환경과 자연환경을 조사, 분석하
고 향후 그 지역의 발전 및 확장 정도를 추정하며, 시공에 따라 발생하는 제
반 사항에 대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현장 점검, 안전 진단 등의 업무를 한다.
(출처: 커리어넷, )

세상 속 수학 55
1 오른쪽 평행사변형 ABCD 에서 다음을 구하시오.

⑴ 선분 AB 와 평행한 선분
⑵ 선분 AB 와 길이가 같은 선분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
AB 
AC  이고 
BC  인 이등변삼각형 ABC 에서

AM  , 
MN ⫽ 
BC 일 때, 
MN 의 길이를 구하시오.

58 Ⅱ. 벡터
벡터
벡터의 뜻을 안다.

벡터란 무엇일까

우리 주변에서 양을 나타낼 때, 크기만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


다. 예를 들어 넓이는 크기만으로 충분히 나타낼 수 있지만 바람은 세기와 방향을 모두 표시해
야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다음에서 크기만으로 나타낼 수 있는 양과 크기와 방향을 모두 나타내어야 하는 양을


구별해 보자.

길이, 넓이, 부피, 속력 등은 그 양을 하나의 실수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속도


나 가속도, 물체에 작용하는 힘 등은 그 양을 크기뿐만 아니라 방향도 함께 나타내
크기만을 갖는 양을 스칼라라 어야 한다. 이와 같이 크기와 방향을 함께 갖는 양을 벡터라고 한다.
고 한다.

벡터를 그림으로 나타낼 때에는 선분에 화살표로 방향을 표시하여 나타낸다. 이


때 선분의 길이는 벡터의 크기를 나타내고, 화살표의 방향은 벡터의 방향을 나타낸
다.

방향이 점 A 에서 점 B 로 향하고 크기가 선분 AB 의 길


이와 같은 벡터를 벡터 AB 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AB
와 같이 나타낸다. 이때 점 A 를 벡터 
AB의 시점, 점 B 를
벡터 
AB의 종점이라 하고, 벡터 
AB의 크기는  
AB 와
같이 나타낸다.
한편 크기가  인 벡터를 단위벡터라고 한다. 또 벡터 
AA, 
BB 등과 같이 시점
과 종점이 일치하는 벡터를 영벡터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타낸다. 영
벡터의 크기는  이고 방향은 생각하지 않는다.

1. 벡터의 연산 59
벡터를 한 문자로 나타낼 때에는
, , , ⋯

와 같이 나타내고, 벡터 의 크기는    와 같이 나타낸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눈금의 크기가 인 모눈종이 위


의 두 벡터 
AB, 에 대하여
➊  AB 
AB         


 

➋     이므로 벡터  는 단위벡터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ABCD 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O


라고 하자. 
AB  , 
BC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
AC  ⑵ 
BO 

오른쪽 그림에서 벡터 
AB를 평행이동하면 벡터 
CD와 포
개지므로 두 벡터 
AB와 
CD는 시점의 위치가 다르지만 그
크기와 방향이 각각 같다.

이와 같이 두 벡터 , 의 크기와 방향이 각각 같을 때 두


벡터 , 는 서로 같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 

와 같이 나타낸다.
한편 벡터 와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반대인 벡터를 기호로
 와 같이 나타낸다.
즉  
AB이면   
BA이다.

오른쪽 평행사변형 ABCD 에서  , 


AB  라
AD
고 하면
➊ 벡터 
BC는 벡터 
AD와 크기와 방향이 각각 같으
므로
 
BC  
AD
➋ 벡터 
CD는 벡터 
AB와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반대이므로
 
CD    
AB

60 Ⅱ. 벡터
오른쪽 그림의 벡터 와 한 점 A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두
벡터 
AB, 
AC를 그리시오.

⑴  
AB ⑵   
AC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육각형 ABCDEF 의 세 대각선의 교점


을 O 라고 할 때, 정육각형의 각 꼭짓점 또는 점 O 를 시점과 종
점으로 하는 벡터 중에서 다음 벡터를 모두 구하시오.

⑴ 벡터 
AB와 같은 벡터
⑵ 벡터 
AF와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인 벡터

남서풍  ms 는 남서쪽에서 초속  m 의 세기로 불어오


는 바람을 말하는데, 이것을 오른쪽 그림의 화살표와 같이
나타내기로 하자. 북서풍  ms 를 벡터 라고 할 때, 다음
에 답하시오.

⑴ 오른쪽 그림에 벡터 를 그리시오.


⑵ 오른쪽 그림에 벡터  를 그리고  가 나타내는 바
람의 방향과 세기를 말하시오.

벡터의 역사

벡터 개념의 기원은 물리학에서 찾을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역학책에서는 속


도를 크기와 방향을 함께 갖는 양으로 생각하고 평행사변형을 이용하여 두 속도의 합
을 다뤘고, 이후 뉴턴이 물체에 작용하는 두 힘을 평행사변형의 대각선을 이용하여 설
명했다.
속도나 힘을 평행사변형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은 벡터 개념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직접적인 것은 아니었으며, 오히려 복소수의 발견이 벡터 개념의 확립에 결정
뉴턴(Newton, I.,
1642~1727) 적인 영향을 미쳤다. 1545년 카르다노(Cardano, G., 1501~1576)는 Ars Magna에
서 복소수를 처음 출판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후 수학자들이 복소수를 기하적으
로 해석하려고 시도하는 과정에서 벡터를 수와 같은 연산의 대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1797년 베셀(Wessel, C., 1745~1818)이 벡터의 물리적 아이디어와 수학의 좌표 체계
를 최초로 결합했으나 널리 알려지지 않았고 이후 아르강(Argand, J. R., 1768~1822)
과 가우스(Gauss, K. F., 1777~1855)가 베셀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독립적으로 발견하
여 발표하면서 벡터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확대되었다.
(출처: Michael J. Crowe, A History of Vector Analysis,
Frank Swetz 외, Learn from the Masters!)

1. 벡터의 연산 61
벡터의 덧셈과 뺄셈
벡터의 덧셈과 뺄셈을 할 수 있다.

벡터의 덧셈은 어떻게 할까

정호는 북쪽 방향으로 글라이더를 날렸다.

서풍이 불면 글라이더가 어느 방향으로 날아가는지 말해 보자.

두 벡터 
 의 덧셈을 알아보자.

두 벡터 
 에 대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벡터 

의 시점과 종점을 각각 A , B 라 하고, 벡터 를 평행이


동하여  가 되도록 점 C 를 잡는다.
BC
 라고 할 때 벡터 를 두 벡터  의 합이라
AC
하고, 이것을 기호로
 

와 같이 나타낸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
AB  
BC AC

한편 평행사변형을 이용하여 두 벡터의 합을 나타낼 수도 있다.


평행사변형을 이용하여 두 벡 두 벡터 
 에 대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AB,
터의 합을 구할 때에는 두 벡  
AD가 되도록 세 점 A , B , D 를 잡고 사각형 ABCD
터의 시점을 일치시킨다.
가 평행사변형이 되도록 점 C 를 잡으면   
AD BC이므로
 
AB  
AD  
AB  
BC AC
이다.

두 벡터 , 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 를 그리시오.

⑴ ⑵ ⑶

62 Ⅱ. 벡터
벡터의 덧셈에 대한 연산 법칙을 알아보자.

두 벡터 , 에 대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AB,  
BC
가 되도록 세 점 A , B , C 를 잡고 사각형 ABCD 가 평행
사변형이 되도록 점 D 를 잡으면
   
AB  
BC AC,
    
AD  
DC AC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즉 벡터의 덧셈에 대한 교환법칙이 성립한다.

오른쪽 그림을 이용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설명해 보자.


      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벡터의 덧셈에 대한 연산 법칙
벡터 에
 대하여 세 벡터 , , 에 대하여
①   ➊ 교환법칙    

  

② 
  
  
➋ 결합법칙       

세 벡터의 덧셈에서

 
  와
 
 
 

의 결과가 같으므로 이를 보통
괄호 없이 
 
 로
 나타낸

다.

 
AB  
CD BC를 간단히 하시오.
 
AB  
CD  
BC  
AB  
CD BC
 
AB  
CD 
BC
 
AB  
BC 
CD
 
AB BD

AD

AD

1. 벡터의 연산 63
다음을 간단히 하시오.

⑴  
AC  
BD CB ⑵  
QR  
PQ RS 
ST

삼각형 ABC 에서 다음이 성립함을 설명하시오.

 
AB  
BC CA 

벡터의 뺄셈은 어떻게 할까


두 벡터 , 의 뺄셈을 알아보자.

두 벡터 , 에 대하여 와  의 합    를 에서 를 뺀 차라 하고, 이
것을 기호로
 

와 같이 나타낸다. 즉 다음과 같다.


    

두 벡터 , 에 대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AB,

 AC가 되도록 세 점 A , B , C 를 잡고 사각형 ACBD 가 평

행사변형이 되도록 점 D 를 잡으면


 
AB  
AC  
 
  

  
AB BD


AD


CB
이다.

두 벡터 , 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 를 그리시오.

⑴ ⑵ ⑶

64 Ⅱ. 벡터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행사변형 ABCD 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O 라고 하자. 
OA ,   라고 할 때, 다음
OB
벡터를 , 로 나타내시오.

⑴ 
AB ⑵ 
AD

⑴  
AB  
OB OA  
⑵   
AD  
OD OA  OB  
OA
 
 

⑴   ⑵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육각형 ABCDEF 의 세 대각선의 교점을


O 라고 하자.   , 
AB  라고 할 때, 다음 벡터를 , 로
BC
나타내시오.
⑴ 
AF ⑵ 
DF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배를 타고 북쪽 방향으로 시속  km


의 속력으로 강을 가로질러 건너가려고 했는데 강물의
영향으로 인해 실제로는 배가 북동쪽 방향으로 시속
 km 의 속력으로 움직였다. 이때 강물의 흐르는 방향과
속력을 구하시오.

오른쪽 삼각형 ABC 에서  , 


AB  라고 하자.
BC

1 오른쪽 그림에  를 그려 보자.

2 1의 결과를 이용하여

              


가 성립함을 설명해 보자.

1. 벡터의 연산 65
벡터의 실수배
벡터의 실수배를 할 수 있다.

벡터의 실수배란 무엇일까

북극해 연안에 거주하는 이누이트족은 얼음 위를 이동할 때


개가 끄는 썰매를 이용한다고 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은 방
향으로 개 한 마리가 썰매를 끄는 힘을 벡터 라고 하자.
오른쪽 그림과 같은 방향으로 개 두 마리가 썰매를
끄는 힘을 벡터 와 비교하여 설명해 보자.
(단, 각각의 개가 썰매를 끄는 힘의 크기는 같다.)

벡터 의 실수배를 알아보자.

영벡터가 아닌 벡터 에 대하여 벡터 와 방향이 같고


크기가    의  배인 벡터는  로 나타난다.

또 벡터 와 방향이 반대이고 크기가    의  배인 벡터


는   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실수  와 벡터 의 곱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이것을 벡터 


의 실수배라고 한다.

벡터의 실수배
실수 와 벡터 에 대하여
➊ ≠
 일 때,

(ⅰ)   이면 는 와 방향이 같고 크기가  인 벡터이다.


(ⅱ)   이면   이다.
(ⅲ)   이면  는 와 방향이 반대이고 크기가    인 벡터이다.
➋  일 때,   이다.

  ,    

66 Ⅱ. 벡터
두 벡터 , 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벡터를 그리시오.

 
⑴    ⑵    
 


 일 때, 벡터  는 벡터 와 방향이 같은 단위벡터임을 설명하시오.
≠
  

벡터의 실수배에 대한 연산 법칙을 알아보자.

다음 그림에서 두 벡터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벡터의 실수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연산 법칙이 성립한다.

벡터의 실수배에 대한 연산 법칙
두 실수 , 과 두 벡터 , 에 대하여
➊ 결합법칙     
➋ 분배법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벡터의 연산 67
다음을 간단히 하시오.

⑴         



 
⑵          
  

벡터의 평행이란 무엇일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 의 방향


이 같거나 반대일 때 와 는 서로 평행하다고 하고, 이
것을 기호로
⫽
 

와 같이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다음이 성립한다.

벡터의 평행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 와 이 아닌 실수 에 대하여
⫽
    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 에 대하여   ,     이면
  이므로
⫽
 

세 벡터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일 때, 두 벡터 
 와 
 는 서로 평행함을 보이시오.

(단, 두 벡터  ,  는 영벡터가 아니다.)

오른쪽 삼각형 ABC 에서 두 변 AB , AC 의 중점을 각각 M , N


이라고 할 때, 벡터를 이용하여

 BC , 
MN ⫽  MN   
BC

임을 보이시오.

68 Ⅱ. 벡터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세 점 A , B , C 에 대하여
 
AC AB
를 만족시키는  이 아닌 실수  가 존재하면

AB⫽ 
AC
이므로 세 점 A , B , C 는 한 직선 위에 있다.
역으로 세 점 A , B , C 가 한 직선 위에 있으면   
AC AB를 만족시키는  이 아
닌 실수  가 존재한다.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네 점 O , A , B , C 에 대하여

OA ,  , 
OB     
OC
일 때, 세 점 A , B , C 라 한 직선 위에 있음을 보이시오.
두 벡터 
AB와 
AC를 각각 , 로 나타내면
 
AB  
OB OA  ,
 
AC  
OC OA      
    
이므로  
AC 
AB
따라서 세 점 A , B , C 는 한 직선 위에 있다. 풀이 참조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네 점 O , A , B , C 에 대하여


OA   ,  
OB   ,    
OC
일 때, 세 점 A , B , C 가 한 직선 위에 있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두 벡터 , 는 영벡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다.)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 의 합이 영벡터가 되는 경우를 알아보자.

1    를 만족시키는 실수 가 존재할 때, , 의 관계를 말해 보자.

2 두 벡터 , 가 서로 평행하지 않을 때, 두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이 성립함을 증명해 보자.

1. 벡터의 연산 69
두 벡터로 평면의 벡터 나타내기

벡터의 덧셈과 실수배를 이용하면 평행하지 않은 두 벡터로 평면 위의 모든 벡터를 나타낼


수 있다.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 가 서로 평행하지 않을 때, 임의의 벡


터 에 대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OA,  
OB,  
OC가 되
도록 네 점 O , A , B , C 를 잡는다.
또 직선 OA 위에 OB ⫽  A ′ C 를 만족시키는 점 A ′을 잡고, 직선
OB 위에 
OA ⫽ 
B′ C 를 만족시키는 점 B′을 잡으면 다음이 성립한
다.
 
OA ′  
OB′
이때 세 점 O , A , A ′이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OA ′  
OA 
를 만족시키는 이 아닌 실수 가 존재하고, 세 점 O , B , B′도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OB′   
OB
를 만족시키는 이 아닌 실수 이 존재한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

이와 같은 방법으로 평면 위의 모든 벡터를 두 벡터 , 로 나타낼 수 있다.

세 벡터 , , 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벡터 를 , 로 나타내어 보자.

⑴ ⑵
迎一 5)
' =

片奸呵 5
.

i
>

i
F
'
= -
T t 2

5 = 3개

70 Ⅱ. 벡터
• 정답 및 풀이 158쪽

➊ 벡터 1 두 벡터 , 가 오른쪽 그림


^

⑴ 방향이 점 A 에서 점 B 로 향하고 크기가 선분 AB 의 과 같을 때, 다음 벡터를 그리 >

길이와 같은 벡터를 와 같이 나타낸다. 시오.


⑵ 벡터 의 크기는 와 같이 나타낸다. ⑴  
⑶ 크기가  인 벡터를 라고 한다. ⑵  
⑷ 영벡터는 크기가 인 벡터이다.

➋ 벡터의 덧셈과 뺄셈
⑴ 벡터의 덧셈과 뺄셈
① 
2
 
AB 
BC 오른쪽 직사각형 ABCD 에
②   
AB 
AC  , 
서 AB AD 일 때,
⑵ 벡터의 덧셈에 대한 연산 법칙   
CB CD
세 벡터 
, , 에 대하여
의 크기를 구하시오.
① 
 
 
 

②  
 
  
 
  
 

➌ 벡터의 실수배
⑴ 벡터의 실수배
실수  와 벡터 에 대하여
3 다음을 간단히 하시오.
⑴  
AB  
BC DC ⑵  
AB  
AC BC
① ≠
 일 때,

(ⅰ) 이면 는 와 방향이 같고 크기가  



인 벡터이다.
(ⅱ)    이면 
 이다.

(ⅲ) 이면 는 와 방향이 반대이고 크기가


  인 벡터이다. 4 다음을 간단히 하시오.

② 
 일 때,   이다. ⑴   
  
 
 

⑵ 벡터의 실수배에 대한 연산 법칙 ⑵          


두 실수  ,  과 두 벡터 , 에 대하여
①  
    

②     
 
  

 
 
  
 

⑶ 벡터의 평행
5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 가 서로 평행하지 않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 와  이 아닌 실수  에 대하
을 때, 두 벡터  ,     가 서로 평행하


  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을 구하시오.

1. 벡터의 연산 71
6 오른쪽 삼각형 ABC 에서 세 변 AB , BC , CA 의 중점을 각각
D , E , F 라고 하자.   , 
AD DF 라고 할 때, 다음 벡터를
, 로 나타내시오.

⑴ 
AC ⑵ 
EA

7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육각형 ABCDEF 의


세 대각선의 교점을 O 라고 할 때, 다음 벡터의 크기를 구하시오.
⑴  
AB CD
⑵   
CO AE

8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 ABCD 에서


  , 
AB AD  ,  라고 할 때, 다음을 구하시오.
AC
⑴    
⑵     

9 다음에서 벡터  를 두 벡터 , 로 나타내시오.


⑴ 
     
⑵     
        


10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두 점 A , B 에 대하여

AP   
BP
일 때, 점 P 의 위치를 설명하시오.

72 Ⅱ. 벡터
• 정답 및 풀이 158쪽

11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네 점 O , A , B , C 에 대하여

OA ,
   
OB  ,  
OC  

일 때, 세 점 A , B , C 가 한 직선 위에 있음을 보이시오.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육각형 ABCDEF 의 세 대각선의 교점을


O 라고 할 때,
  
AB  
AC  
AD  
AE AF  
AO
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13 오른쪽 사각형 ABCD 에서 두 변 AB , CD 의 중점을 각각 M ,


N 이라고 할 때,
  
AD  
BC MN
임을 보이시오.

14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강가의 두 지점 A , B 에 대하여 직선


AB 는 강둑과 수직이다. 강물이 분속  m 의 속력으로 흐
를 때, 배가 A 지점에서 직선 AB 와  의 각을 이루면서 출
발했더니 강물의 영향으로 배가 분속  m 의 속력으로
움직여 B 지점에 도착했다고 한다. 이때 tan  의 값과 흐르
지 않는 물에서의 배의 속력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1. 벡터의 연산 73
1 다음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⑴ A     , B    ⑵ A    , B   

2 다음 도형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점    을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


⑵ 중심의 좌표가      이고 원점을 지나는 원

74 Ⅱ. 벡터
위치벡터
위치벡터의 뜻을 안다.

위치벡터란 무엇일까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면 위에 여섯 개의 벡터 , , , , ,



가 있다.

시점이 점 O 와 일치하도록 벡터를 평행이동하였을 때,


종점이 일치하는 벡터끼리 짝 지어 보자.

평면에서의 벡터를 평면벡터라고 한다.

평면에서 한 점 O 를 모든 벡터들의 시점으로 정하면 임의의


벡터 에 대하여  
OP인 점 P 가 유일하게 정해진다.
역으로 임의의 점 P 에 대하여   인 벡터 가 유일하
OP
게 정해진다.
따라서 시점을 한 점 O 로 고정하면 점 P 와 이 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벡터 
OP는 일대일로 대응한다.

점 O에 대한 점 P의 위치벡터 이와 같이 평면에서 한 점 O 를 시점으로 하는 벡터 


OP를 점 O 에 대한 점 P 의
를 간단히 점 P의 위치벡터라
위치벡터라고 한다.
고 한다.

벡터를 시점과 종점의 위치벡터를 이용하여 나타내어 보자.


점 O 에 대한 두 점 A , B 의 위치벡터를 각각 , 라고
하면

OA ,  
OB
이고,  
AB  
OB OA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AB

세 점 A , B , C 의 위치벡터를 각각 , , c라고 하면



AB        
BC
    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75
세 점 A , B , C 의 위치벡터를 각각 , , 라고 할 때, 다음 벡터를 , , 로 나타내
시오.
⑴  
AC CA
⑵  
AB  
AC BC

두 점 A , B 의 위치벡터를 각각 , 라고 할 때, 선분 AB


를            으로 내분하는 점 P 의 위치벡터
는

 
     
두 점 A , B 의 위치벡터를 각 
각 ,
 라고
 할 때, 선분 AB
의 중점 M의 위치벡터 
은 임을 보이시오.
 
  
   
AP  
BP     이므로
 
AP   AB

이때 
AP  ,    이므로
AB

 
 
 
 


 
    

 

두 점 A , B 의 위치벡터를 각각 , 라고 할 때, 선분 AB 를

   (  ,   ,  ≠ )으로 외분하는 점 Q 의 위치벡


터 는
 
     

임을 보이시오.

두 점 A , B 의 위치벡터를 각각 , 라고 할 때, 다음 점의 위치벡터를 , 로 나타내


시오.
⑴ 선분 AB 를    로 내분하는 점
⑵ 선분 AB 를    로 외분하는 점

76 Ⅱ. 벡터
세 점 A , B , C 의 위치벡터를 각각 , , 라고 할 때,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
G 의 위치벡터 는

  
     
 

임을 보이시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선분 BC 의 중점을 M 이라고 하


면 점 M 의 위치벡터 
은

 

  …… ①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 G 는 중선 AM 을   로
 
내분하므로     
 
이때 ①에서     이므로
  
     
 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을 G 라고 할 때,



GA  
GB  
GC
임을 보이시오.

두 점 A , B 의 위치벡터를 각각  OA, 
OB라고 할 때, 실수 에 대하여 점 P 의 위치벡터 
OP가

OP      
OA OB
를 만족시킨다고 하자. 컴퓨터 기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 ≤  ≤ 일 때 점 P 의 위치를 확인해
보자.

➊ 세 점 O , A , B 를 그리고 벡터를 선택하여 두 위치벡터 


OA, 
OB를 그린다.

➋ 슬라이더를 선택하여 최솟값이 , 최댓값이 인 의 슬라이더를 그린다.

➌ 입력창에 t *벡터 (O, A)+(1-t)*벡터 (O, B)를 입력한 후 점으로부터의 벡터를 선택하여

OP를 그린다. 점 P 의 자취가 보이도록 설정한 후 의 슬라이더를 움직인다.
➊ ➋ ➌

실수 의 값의 범위가 다음과 같을 때 점 P 의 위치를 컴퓨터 기하 프로그램으로 확인해 보자.


⑴ ≤≤ ⑵  ≤  ≤ 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77
평면벡터의 성분
평면벡터와 좌표의 대응을 이해한다.

평면벡터의 성분이란 무엇일까

오른쪽 그림에서 두 벡터 
, 
 는 각각 좌표평면 위의 두 점
E   , E   의 위치벡터이고, 두 점 A , A 는 각각 점

A  에서  축,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이다.

두 벡터 
OA, 
OA를 
 , 
 로 나타내어 보자.

OA를 
벡터  , 
 로 나타내어 보자.

일반적으로 평면에서 위치벡터의 시점은 좌표평면의 원점 O로 잡는다.

좌표평면에서 위치벡터와 좌표의 관계를 알아보자.


좌표평면에서 원점 O 를 시점으로 하고 두 점 E    ,
E     을 각각 종점으로 하는 두 위치벡터를

    
    
OE 
 , 
OE 
 

로 나타낸다.

좌표평면 위의 점 A    의 위치벡터를 라고 할 때,


벡터 를 
 , 
 로 나타내어 보자.

점 A 에서  축,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     ,
A     라고 하면

OA   
 , 
OA   
 

이고, 
OA 
OA  
OA 이므로
    
     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 ,  를 벡터 의 성분이라 하고,  을  성분, 
를  성분이라고 한다.
벡터 는 성분을 이용하여

 이면
 
  이다.     
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8 Ⅱ. 벡터
점 A     과 두 벡터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OA  
  
      

다음에서 두 벡터 
 , 
 로 나타낸 벡터는 성분으로, 성분으로 나타낸 벡터는 
 , 
 

로 나타내시오. (단, 
     , 
     )

⑴  
   
  ⑵   
   
 

⑶ 
     ⑷ 
 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벡터      에서 원점 O 와 점


A    에 대하여 벡터 의 크기는 선분 OA 의 길이와

같다. 즉
    
OA

 
  

이다.

한편 두 벡터 
     
  ,
    
  가 서로 같으면 두 벡터의 대응하는 성분

이 각각 같다. 즉
      ,    

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성분으로 나타낸 평면벡터의 크기와 서로 같을 조건


     ,      일 때
   

➊      
  

➋       ,    

➊     일 때,

    
    
➋     ,      일 때,  이면
  ,   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79
다음 벡터의 크기를 구하시오.

⑴      ⑵     

두 벡터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일 때, , 의 값을 구

하시오.

성분으로 나타낸 평면벡터의 연산은 어떻게 할까


성분으로 나타낸 평면벡터의 덧셈, 뺄셈, 실수배를 알아보자.

두 벡터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➊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➋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➌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80 Ⅱ. 벡터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성분으로 나타낸 평면벡터의 연산


     ,      일 때
   

➊          

➋          

➌       (단, 는 실수이다.)

     ,     일 때

➊                          


➋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다음 벡터를 성분으로 나타내시오.

⑴   ⑵  


⑶      ⑷        

세 벡터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를 만족

시키는 두 실수 , 의 값을 구하시오.
   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     ,     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두 벡터      ,      에 대하여 벡터 가 다음과 같을 때,    


를 만족시키는 두 실수 , 의 값을 구하시오.
⑴ 
     ⑵ 
    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81
원점 O 와 두 점 A    , B    에 대하여 벡터 
AB를 성분으로 나타내고,
그 크기를 구해 보자.

OA     ,      
OB 
  이므로 AB 를 성분으

로 나타내면
 
AB  
OB OA
         
        

이고, 
AB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AB    
         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면벡터 
AB의 성분과 크기
두 점 A    , B    에 대하여
➊          
AB    

AB    
➋          

다음 두 점 A , B 에 대하여 벡터 
AB를 성분으로 나타내고, 그 크기를 구하시오.

⑴ A    , B   ⑵ A     , B  

[그림 ]과 같이 추가 두 줄에 연결되어 천장에


매달려 있을 때, 두 줄이 추를 잡아당기는 힘을
각각 
 , 
라 하고, 추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힘을 
 이라고 하자. 이때 세 힘 
  , 
 , 
   

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그림 ]와 같다.


1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을 각각 성분으로 나타내어
보자.

2 두 줄이 추를 잡아당기는 힘의 합 
 
와 추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힘 
이 평

형을 이루는 것을 이용하여     
 일 때, , 의 값을 구해 보자.

82 Ⅱ. 벡터
평면벡터의 내적
두 평면벡터의 내적의 뜻을 알고, 이를 구할 수 있다.

두 평면벡터의 내적이란 무엇일까

물리학에서 일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일) (물체의 이동 방향으로 작용한 힘의 크기)×(이동 거리)

오른쪽과 같이 바닥 위에 놓여 있는 짐에 바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인 힘 
를 가하여 짐을  만큼 이동하였다.

짐의 이동 방향으로 작용한 힘의 크기를 구해 보자.

힘 
가 한 일을 구해 보자.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 에 대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OA,  
OB
가 되도록 세 점 O , A , B 를 잡을 때,
∠ AOB   ° ≤  ≤ ° 
를 두 벡터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라고 한다.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하자.


° ≤  ≤ ° 일 때,
    cos 
를 와 의 내적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두 평면벡터 와
 의
 내적 ⋅
 
⋅
 는
 실수이다.
와 같이 나타낸다.
한편 °   ≤ ° 일 때, 와 의 내적은
     cos°   
이다.

또   또는  일 때에는 ⋅


   으로 정한다.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83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면벡터의 내적
두 평면벡터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하면
➊ ° ≤  ≤ °일 때,
⋅
      cos 

➋ °   ≤ °일 때,
⋅
      cos °   

    ,     인 두 평면벡터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하면


➊   °일 때,
⋅
 
     cos°


  ×  ×  

➋   °일 때,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인 두 평면벡터 ,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다음과 같을 때,
⋅
 를 구하시오.

⑴ ° ⑵ ° ⑶ °

평면벡터 에 대하여 ⋅


 
    임을 보이시오.

다음 삼각형 ABC 에서 
AB⋅ 
AC를 구하시오.

⑴ ⑵

84 Ⅱ. 벡터
평면벡터의 내적을 성분으로 나타내어 보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OA       , 
      
OB   가 이루는 각의 크

기를  라고 하자.
 가 예각일 때, 삼각형 OAB 의 꼭짓점 B 에서 직선
OA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하면 두 직각삼각형
HAB 와 OHB 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
AB   AB
   AH
   
BH
 
 
OA  
OH    
OB  
OH 
 

OA  
OB   × 
OA × 
OH
OA  
 OA , OB
 OB 이 

OA  

OB   × 
OA × 
OBcos 
므로

OA    
OB    
OA⋅ 
OB
 OBcos  
OA×   
OA⋅ OB
이때 벡터의 크기를 성분으로 나타내면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이 식을 정리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이 식은   ° , ° ≤  ≤ ° 일 때에도 성립하고,   또는  일 때에


도 성립한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면벡터의 내적과 성분
두 벡터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두 벡터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다음 두 벡터 , 의 내적을 구하시오.

⑴      ,      


⑵      ,     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85
평면벡터의 내적에는 어떤 성질이 있을까

평면벡터의 내적의 성질을 알아보자.

세 벡터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➊ ⋅
            
       

 ⋅
 

➋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벡터 
     
  ,
    
  와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가 성립함을 설명해 보자.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면벡터의 내적의 성질
세 평면벡터 , , 에 대하여
➊ ⋅
  ⋅
 

➋ ⋅
    ⋅  ⋅
 

 ⋅  ⋅


  ⋅
 

➌  ⋅  ⋅


    ⋅
  (단, 는 실수이다.)

두 평면벡터 , 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Ⅱ. 벡터
두 평면벡터 , 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⑴           ⋅


    

⑵  ⋅          

두 평면벡터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
시오.

⑴ ⋅
  ⑵     

⑴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⑴  ⑵ 

두 평면벡터 ,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고      ,      일 때,      
를 구하시오.

두 평면벡터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를 구하시
오.

세 평면벡터 , , 에 대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AB,


 
AC,  
CD가 되도록 네 점 A , B , C , D 를 잡고, 두 점
C , D 에서 직선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E , F 라고 하자.
오른쪽 그림을 이용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설명해 보자.
⋅
    ⋅
  ⋅
 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87
두 평면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어떻게 구할까

두 평면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내적을 이용하여 구해 보자.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     ,   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 라고 하자.
⋅
 ≥
  이면 ° ≤  ≤ ° 이므로 내적의 정의에 의하여
⋅
      cos

이다. 따라서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한편 ⋅
   이면 °   ≤ ° 이므로 내적의 정의에 의하여
⋅
      cos°   

이다. 따라서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두 평면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     ,   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 라고 할 때
➊ ⋅
 ≥
  이면

⋅
      
cos   
        

  

➋ ⋅
   이면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88 Ⅱ. 벡터
두 벡터 
   , 
    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하시오.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두 벡터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라고 하면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이므로 구하는 각의 크기는 °이다. °

다음 두 벡터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하시오.

⑴  
    ,      ⑵      ,     

두 평면벡터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이다. 두 벡터 , 가 이
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cos 의 값을 구하시오.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 일


때 와 는 서로 수직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
 와 같이

나타낸다.
두 평면벡터 , 가 서로 수직이면
⋅
      cos°  

이다. 즉 ⊥
 이면 ⋅    이고, 그 역도 성립한다.

한편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 가 서로 평행하면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  는 ° 또는 ° 이다.
와
 의
 방향이 같으면 (ⅰ)   ° 일 때,
  ° ⋅
      cos °      

와
 의
 방향이 반대이면 (ⅱ)   ° 일 때,
  ° ⋅
      cos °  ° 

     
이상에서 ⫽
 이면
⋅
  ±     

이고, 그 역도 성립한다.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89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면벡터의 내적과 수직, 평행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일 ➊ ⊥
  ⋅
  
때,
⊥
  ➋ ⫽
  ⋅
  ±     
      

두 벡터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이므로 두 벡터 , 는 서로 수직이다.

두 벡터 
   , 
    가 서로 수직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마름모 ABCD 의 두 대각선 AC , BD 에 대하여



AC ⊥ 
BD
임을 벡터의 내적을 이용하여 보이시오.
 , 
AB AD 라고 하면

      
이때    , 
AC   이므로
BD
AC⋅    ⋅  
BD
       

따라서 
AC⊥ 
BD, 즉 
AC ⊥ 
BD 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O 의 지름 AB 와 원 위의 점 P 에 대

하여 
OA ,
 OP 라고 할 때, 벡터의 내적을 이용하여
∠ APB  °임을 보이시오.

90 Ⅱ. 벡터
도형에서 벡터의 내적 구하기

평면 위의 세 점 O , A , B 에 대하여 
OA ,
 
OB 라 하고

두 벡터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라고 할 때,


와 의 내적은
⋅
      cos

이다. 이때 점 B 에서 직선 OA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하면
  cos    
OB cos    
OH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OA  
OH 

이를 이용하여 도형에서 벡터의 내적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오른쪽 그림은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 ABCD 와 선분 CD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이다. 원 위의 점 P 에 대하여 
BC⋅ 
BP의 최
댓값과 최솟값을 구해보자.
점 P 에서 직선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하면

BC⋅   
BP BC  
BH    
BH 
이다.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 ≤   BH  ≤ 이다.
따라서  ≤   
BH  ≤ 이므로
≤ BC⋅  BP≤ 
이다. 즉 
BC⋅ 
BP의 최솟값은 , 최댓값은 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 ABCD 와 정삼각형


EAD 가 있다. 정삼각형 EAD 위의 점 P 에 대하여 
BA⋅ 
BP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해 보자.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91
직선과 원의 방정식
좌표평면에서 벡터를 이용하여 직선과 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주어진 벡터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을 어떻게 구할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      와 벡터 
    가 있다. 이
때 점 A 는 직선 과 축의 교점이고 점 P     ≠   는 직선 
위의 점이다.

두 벡터 
AP와 
가 서로 평행한지 말해 보자.

점 A 를 지나고 영벡터가 아닌 벡터 
에 평행한 직선  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 위의 한 점을 P 라고 하면

AP⫽ 
이므로

AP  

인 실수  가 존재한다.
이때 두 점 A , P 의 위치벡터를 각각 , 라고 하면

AP  
이므로
   
, 즉    
 …… ①
이다. 역으로 방정식 ①을 만족시키는 벡터 를 위치벡터로 하는 점 P 는 직선 
위에 있다.
따라서 방정식 ①은 벡터로 나타낸 직선  의 방정식이다.
이때 벡터 
를 직선  의 방향벡터라고 한다.


       일 때, 방정식 ①을 벡터의 성분을 이용하여 나타내어 보자.
A      , P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이므로 방정식 ①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92 Ⅱ. 벡터
즉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일 때 이 식에서  를 없애면 직선
 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 을 변형하면  
   

        
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즉 한 점     을 지나고

기울기가  인 직선임을 알
 방향벡터를 이용한 직선의 방정식
점 A     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     인 직선 위의 점을
수 있다.
  

P    라고 하면 그 직선의 방정식은


➊ 벡터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
 
 

(단, , 는 각각 두 점 A , P 의 위치벡터이고, 는 실수이다.)
➋ 성분을 이용하여 나타내면
 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일 때의 직선의 방정식은

(ⅰ)     ,   ≠  일 때,   

(ⅱ)   ≠  ,     일 때,   

점    을 지나고 벡터 
     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즉  
   

다음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점     를 지나고 벡터 
      에 평행한 직선
⑵ 점     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
    인 직선

벡터를 이용하여 다음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A     , B    ⑵ A     , B   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93
두 직선  ,  의 방향벡터를 각각 
, 라 하고,  과
두 직선 , 이 이루는 각의  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와 가 이루는 각의 크
크기를 라고 하면 기를  라고 하면  는  와 °   중 크지 않은 쪽
° ≤  ≤ °
이다.
두 직선 , 의 방향벡터가 (ⅰ) ° ≤  ≤ ° 일 때,
각각 
, 일 때,  
⋅
cos   cos  
(ⅰ) ⫽  
⫽     

 
⋅ (ⅱ) °   ≤ ° 일 때,
±  
   
⋅
(ⅱ) ⊥  
⊥ cos   cos°     

   
 
⋅  
이상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
cos   

   

직선의 방향벡터를 이용하여 좌표평면에서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해


보자.

 
두 직선    ,     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구하시오.
 
주어진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 , 라고 하면

   ,    
이므로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이다.


°

   
두 직선     ,    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cos 의 값
  
을 구하시오.

다음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하시오.

    
⑴    ,  
   
   
⑵   ,  
   

94 Ⅱ. 벡터
주어진 벡터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어떻게 구할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      와 벡터 
     이 있다.
이때 점 A 는 직선 과  축의 교점이고 점 P      ≠   는 직
선  위의 점이다.

두 벡터 
AP와 
이 서로 수직인지 말해 보자.

점 A 를 지나고 영벡터가 아닌 벡터 
에 수직인 직선  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 위의 한 점을 P 라고 하면

AP⊥ 
이므로

AP⋅  

이다.
이때 두 점 A , P 의 위치벡터를 각각 , 라고 하면

AP  
이므로
 ⋅ 
  …… ①
이다. 역으로 방정식 ①을 만족시키는 벡터 를 위치벡터로 하는 점 P 는 직선 
위에 있다.
따라서 방정식 ①은 벡터로 나타낸 직선  의 방정식이다.
이때 벡터 
를 직선  의 법선벡터라고 한다.

   일 때, 방정식 ①을 벡터의 성분을 이용하여 나타내어 보자.



A      , P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방정식 ①에 의하여


         ⋅    

이므로 직선  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95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법선벡터를 이용한 직선의 방정식


점 A     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
   인 직선 위의 점을
P    라고 하면 그 직선의 방정식은
➊ 벡터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 ⋅ 
  (단, , 는 각각 두 점 A , P 의 위치벡터이다.)
➋ 성분을 이용하여 나타내면
              

점     를 지나고 법선벡터가 


   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즉       

다음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점     을 지나고 벡터      에 수직인 직선



⑵ 점     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
      인 직선

벡터를 이용하여 점     를 지나고 다음을 만족시키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직선        에 평행한 직선
  
⑵ 직선    에 수직인 직선
 

두 직선  ,  의 방향벡터는 각각 
 , 
 이고, 법선벡터는 각각 
, 
이다.

1 두 방향벡터 
 ,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두 법선벡터 
, 
가 이

루는 각의 크기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 보자.


2 두 직선       과     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구해 보자.

96 Ⅱ. 벡터
좌표평면에서 벡터를 이용하여 원의 방정식을 어떻게 구할까

벡터를 이용하여 원의 방정식을 나타내어 보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위의 한 점을 P 라고 하면

AP   
이다. 이때 두 점 A , P 의 위치벡터를 각각 , 라고 하면

AP  이므로
      …… ①
이다. 역으로 방정식 ①을 만족시키는 벡터 를 위치벡터로 하는 점 P 는

AP    를 만족시킨다.
따라서 방정식 ①은 점 A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의 방정식이
다.
또 방정식 ①의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이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
다.
 ⋅     …… ②

방정식 ②를 벡터의 성분을 이용하여 나타내어 보자.


좌표평면에서 A     , P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방정식 ②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원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좌표평면 위의 점 A 의 위치벡터를 라고 하자. 임의의 점 P 의 위치벡터를 


라고 할
때,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P 가 그리는 도형을 설명하시오.
⑴ 
     ⑵ 
 ⋅ 
   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 B 의 위치벡터를 각각 , 라고 하자. 임의의 점 P 의 위치벡


터를 
라고 할 때,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P 가 그리는 도형을 설명하시오.
⑴  ⋅
   
   ⑵  
⋅  ⋅
  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97
➊ 위치벡터 1 두 점 A , B 의 위치벡터를 각각   ,  
 라

평면에서 한 점 O 를 시점으로 하는 벡터 
OP를 점 O 에 고 할 때, 벡터  AB를 , 로 나타내시오.
대한 점 P 의 라고 한다.

➋ 성분으로 나타낸 평면벡터의 연산



     , 
     일 때 2 두 벡터     ,      에 대하여
   
다음을 구하시오.
① 
 
  , 
 
 ⑴     ⑵       
②         

③ 
  ,  (단,  는 실수이다.)

➌ 평면벡터의 내적
3      ,      인 두 평면벡터 , 가 이루는
⑴ 두 평면벡터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하면
각의 크기가 다음과 같을 때, ⋅  를 구하시오.
① ° ≤  ≤ ° 일 때,
⋅
 
 ⑴ ° ⑵ °

② °   ≤ ° 일 때,
⋅
 
   cos 
 
⑵ 두 벡터     ,     에 대하여
⋅
 

⑶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 에 대하여 4 두 벡터     ,      가 다음을 만족

① ⊥
  ⋅
 
 시키도록 하는 의 값을 구하시오.
② ⫽
  ⋅
 ±
    ⑴ ⊥
  ⑵ ⫽
 

➍ 직선의 방정식

⑴ 점 A   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    인 직
선의 방정식은
5 다음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      
⑴ 점     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  (단,  ≠  ) 
       인 직선
⑵ 점 A   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   인 직선
 ⑵ 점    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
    인
의 방정식은 직선
          

98 Ⅱ. 벡터
• 정답 및 풀이 161쪽

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형 OAB 에서 선분 OA 의 중점을 P ,


선분 AB 를   으로 내분하는 점을 Q 라고 하자.

OA ,   라고 할 때, 벡터 
OB PQ를 , 로 나타내시
오.

7 
두 벡터        ,    이 서로 같을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8 세 벡터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은 실수이다.)

9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각형 ABC 에서


 , 
AB  라고 할 때,     를 구하시오.
AC

10 벡터     일 때,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벡터 를 모두 구하는 풀이 과


정과 답을 쓰시오.

㈎ ⫽
  ㈏     

2.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99
• 정답 및 풀이 161쪽

11 다음 두 직선  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일 때, 양수 의 값을 모두 구하시오.


  
       ,       
 

12 두 점 A    , B     에 대하여 


AP⋅ 
BP  을 만족시키는 점 P 가 그리는 도
형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시오.

13 오른쪽 삼각형 ABC 의 내부의 한 점 D 에 대하여



DA    
DB  
DC
이다. 삼각형 ABC 의 넓이가 일 때, 삼각형 ABD 의 넓이를
구하시오.

14 오른쪽 그림과 같이 거리가 인 두 점 O  , O  를 각각 중심으


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두 원의 교점을 A , B 라고 하자.
호 AO  B 위의 점 P 와 호 AO  B 위의 점 Q 에 대하여

O P⋅ 
O Q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 

15 
벡터를 이용하여 직선        와 점 P     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풀이 과정

과 답을 쓰시오.

100 Ⅱ. 벡터
• 정답 및 풀이 162쪽

01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행 04 좌표평면 위의 세 점 A    , B    ,


사변형 ABCD 의 두 대각선의 C     에 대하여  
AB CA를 성분으로 나타내
교점을 O 라고 할 때, 다음 중 시오.
옳지 않은 것은?

①   
AB  
AD AO
②   
OD 
CB 
AO
③   
AB  
CD  
AD CB
05 두 벡터    ,      에 대하여 벡터
④   
AC  
AB AD
  의 크기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을
⑤   
CO  
AB BO
구하시오.

06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각형 OAB 가 있
02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같은
다.  
⋅ OA ,  
⋅  를
OB
간격의 평행선으로 이루어진 도
형 위의 네 점 O , A , B , C 에 대 만족시키는 벡터  에 대하여

  
OA 
OB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하여   
OC OA OB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은 실수이다.)
(단, , 은 실수이다.)

07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팔각


형의 네 대각선의 교점을 O 라
하고, 
OA ,
   라고 하
OB
03 평면 위의 세 점 O , A , B 에 대하여  OA , 자.          일 때,

OB 라고 하자. 선분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을   ⋅    를 구하시
P , 외분하는 점을 Q 라고 할 때, 벡터  PQ를 , 로 오.
나타내시오.

대단원 마무리 101


08 다음 그림과 같이 중심이 점 C    이고 반지 11 다음 그림과 같이 당구대의 틀이 좌표축과 평행
름의 길이가 인 원이 있다. 두 점 A     , 하고 B 지점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평면에서 A 지점에
B    과 원 위의 점 P 에 대하여 
AB⋅ 
AP의 최 있던 당구공을 쳤더니 B 지점을 지나 C 지점을 향하여
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굴러갔다. 두 점 A , C 의 좌표가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당구공의 경로와  축이 이루는 각의 크기  를
구하시오.

09 두 평면벡터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일 때, 두 벡터 , 가 이루는 각의 12 다음 두 직선 , 의 교점과 점 A      을
크기를 구하시오. 지나는 직선의 방향벡터 중에서 단위벡터를 모두 구
하시오.
 
   ,       
 

10두 벡터 
      ,      에 대 13 좌표평면 위의 세 점 A    , B ,
C    에 대하여 점 P 가    
AP BP 
CP   를
하여 두 벡터  ,   가 서로 수직일 때, 의
만족시킨다. 이때 점 P 와 원점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
값을 구하시오.
을 구하시오.

102 Ⅱ. 벡터
• 정답 및 풀이 163쪽

14 오른쪽 삼각형 ABC 에 16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 에 대하여


서 
AB  , 
AC  이고, 점         이면 ⊥
 임을 증명하시오.

D 는 각 BAC 의 이등분선과
선분 BC 의 교점이다.   , 
AB  라고 할 때,
AC
벡터 AD를 , 로 나타내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
오.

17 다음 삼각형 ABC 에서  AB , 


AC 이고

AB⋅ 
AC 
 일 때, 삼각형 ABC 의 넓이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15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   , B  와 직

선    위의 점 P 에 대하여  
PA 
PB 의 최

솟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➊ 벡터의 뜻을 알고, 그 연산을 할 수 있다.

➋ 위치벡터의 뜻을 알고, 평면벡터와 좌표의 대응을 이해하고 있다.

➌ 두 평면벡터의 내적의 뜻을 알고, 이를 구할 수 있다.

➍ 좌표평면에서 벡터를 이용하여 직선과 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부족한 부분을 어떻게 채울지 계획을 세워 보세요.

대단원 마무리 103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

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같은 방향으로 달리는 자동차는 정지


한 것처럼 보이거나 느리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반면에 반대 방향
으로 달리는 자동차는 빠르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이 운
동하는 관찰자가 운동하는 대상을 보았을 때의 속도를 상대속도라고
한다.

상대속도는 다음과 같이 벡터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관찰자 A 의 속도를 
 , 운동하는 대상 B 의 속도를 
 라고 하면 A 가 바라보는 B 의 상대속도 
 는

  
  
 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과 같이 A 자동차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시속  km 로 달리고,


B 자동차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시속  km 로 달린다고 하자. 이때 A 자동차에 타고
있는 사람이 바라본 B 자동차의 속도는
  
OQ OP 
PQ
이고, 그 속력은
PQ   
        kmh 
이다.

현기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시속  km 의 속력으로 걸어가면서 수경이를 바라


볼 때 수경이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시속  km 의 속력으로 걸어가는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수경이의 실제 속도를 오른쪽 그림에 나타내고, 수경이의 실제
속력을 구해 보자.

우리 생활 주변에서 벡터의 연산으로 설명할 수 있는 상황을 찾아보자.

104 Ⅱ. 벡터
비행기를 밀어 주는 바람

어느 항공사의 인천과 로스앤젤레스의 직항 항공 편의 비행시간은 다음과 같다.

두 지역을 왕복할 때, 비행시간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비행기의 비행시간은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비행기가 역풍을 받으면서 비행하면 비행기의 속도와 바람
의 속도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비행기의 속력이 줄어들어 비행시간이 길어진다. 반대로 순풍을 받으면서 비행하
면 비행기의 속도와 바람의 속도의 방향이 같으므로 비행기의 속력이 빨라져 비행시간이 짧아진다.
지구 북반구에서는 여름에 북위 ° 근처의 상공에서 시속 ~ km 의 기
류가 서쪽에서 동쪽을 향하여 흐르는데, 이 기류를 제트 기류라고 한다. 제트
기류는 겨울철이 되면 북위 °까지 내려오면서 속력이 시속 ~ km 정
도로 빨라진다.
비행기가 인천에서 로스앤젤레스(동쪽)로 갈 때는 이 제트 기류가 뒤쪽에서
비행기를 밀어 주어 비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반면에 비행기가 로스앤젤레
스에서 인천(서쪽)으로 올 때는 제트 기류가 비행기의 속력에 방해가 된다. 따
라서 비행기가 제트 기류를 피해 북극 항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행시간이 늘
어난다. (출처: 주간동아, . . .)

비행기 조종사 | 여객기나 화물 수송기 등을 조종하고 비행과 항공기에


관련된 모든 사항을 관리․감독한다. 비행 중 생기는 모든 상황을 판단하
고 관제탑과 주요 정보를 주고받아 승객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진다.
(출처: 커리어넷, 2017)

세상 속 수학 105
1 오른쪽 직육면체에서 다음을 구하시오.

⑴ 모서리 AB 와 평행한 모서리


⑵ 면 ABCD 와 평행한 모서리

2 오른쪽 직각삼각형 ABC 에서 ∠ C  °이고 


AB , 
CA  이다. ∠ B 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cos  의 값을 구하시오.

108 Ⅲ. 공간도형
위치 관계
직선과 직선, 직선과 평면, 평면과 평면의 위치 관계에 대한 간단한 증명을 할 수 있다.

평면을 하나로 결정하는 조건은 무엇일까

오른쪽과 같은 사면체가 있다.

세 점 A , B , C 를 포함하는 면의 개수를 구해 보자.

네 점 A , B , C , D 를 모두 포함하는 면이 있는지 확인해 보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공간에서 서로 다른 두 점 A , B 를


지나는 평면은 무수히 많지만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 A, B, C를 지나는 평면은 오직 하나뿐이다.
즉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서로 다른 세 점이 주어지
면 평면이 하나로 결정된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경우에 평면이 단 하나로 결정됨을 알 수 있다.

평면의 결정 조건
평면에서와 마찬가지로 공간 ➊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 ➋ 한 직선과 그 위에 있지 않은 한 점
에서도 한 점을 지나는 직선은
무수히 많지만 서로 다른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단 하나로
결정된다.
➌ 한 점에서 만나는 두 직선 ➍ 평행한 두 직선

한 평면 위에 있지 않은 네 점 A , B , C , D 중에서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을 때, 이 네 점으로 결정되는 서로 다른 평면의 개수를 구하시오.

1. 공간도형 109
공간에서 직선, 평면은 어떤 위치 관계가 있을까

오른쪽은 미술가 저드(Judd, D., ~  의 작품으로 똑같은 직육면


체 여러 개를 벽에 나란히 고정한 것이다.

직선 과 직선 의 위치 관계를 말해 보자.

가장 위에 있는 직육면체의 밑면과 가장 아래에 있는 직육면체의


밑면의 위치 관계를 말해 보자.

공간에서 서로 다른 두 직선의 위치 관계는 다음 세 가지 경우가 있다.

두 직선 , 이 한 평면 위에 ➊ 한 점에서 만난다. ➋ 평행하다. ➌ 꼬인 위치에 있다.


있으면서 만나지 않을 때, 두
직선 , 은 평행하다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과 같이
나타낸다.

두 직선이 만나지도 않고 평행
하지도 않을 때, 두 직선은 꼬
인 위치에 있다고 한다.

공간에서 직선과 평면의 위치 관계는 다음 세 가지 경우가 있다.

직선 과 평면 가 만나지 않 ➊ 포함된다. ➋ 한 점에서 만난다. ➌ 평행하다.


을 때, 직선  과 평면 는 평
행하다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타낸다.

공간에서 서로 다른 두 평면은 만나는 경우와 만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서로 다른 두 평면이 만날 때 두 평면의 공통부분은 직선이고, 이 직선을 두 평
면의 교선이라고 한다.
한편 두 평면  ,  가 만나지 않을 때 두 평면  ,  는 평행하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 와 같이 나타낸다.

110 Ⅲ. 공간도형
공간에서 서로 다른 두 평면의 위치 관계는 다음 두 가지 경우가 있다.

➊ 만난다. ➋ 평행하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이 정육각형인 육각기둥이 있다. 이 육각


기둥의 각 면을 포함하는 평면 중에서 평면 ABHG 와 다음의 위
치관계에 있는 평면을 모두 구하시오.

⑴ 만난다.
⑵ 평행하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행한 두 평면 , 가 평면 와 만날


때 생기는 두 교선을 각각 , 이라고 하자. 두 직선 , 
이 평행함을 증명하시오.

⫽이므로 두 평면   는 만나지 않는다.


이때 직선 은 평면  위에 있고 직선 은 평면  위에 있으므로 두 직선
, 도 만나지 않는다.
즉 두 직선 , 은 평행하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그런데 두 직선 , 은 모두 평면  위에 있으므로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과 평면 가 평행할 때, 직선 을 포


함하는 평면 와 평면 의 교선 은 직선 과 평행함을 증명
하시오.

1. 공간도형 111
평면  위에 있지 않은 한 점 P 를 지나고 평면 에 평행
한 서로 다른 두 직선 , 에 의하여 결정되는 평면을 
라고 할 때, 두 평면 , 가 평행함을 증명하시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평면   가 평행하지 않


고 교선 을 공유한다고 가정하자.
직선 은 평면  위에 있고 ⫽, ⫽이므로
직선 은 두 직선 , 과 만나지 않는다.
그런데 세 직선 , , 은 모두 평면  위에 있
으므로 ⫽, ⫽
즉 ⫽이고 이것은 두 직선 , 이 한 점 P 에서 만난다는 조건에 모순
이므로
⫽

평행한 두 직선 , 에 대하여 직선 은 포함하고 직선 은


포함하지 않는 평면 가 있다. 이때 평면 와 직선 이 평행
함을 증명하시오.

서로 다른 세 평면 , , 에 대하여 두 평면 , 가 평행하
고 두 평면 , 가 평행하면, 두 평면 , 가 평행함을 증명하
시오.

다음은 공간에서 서로 다른 세 직선 , , 과 서로 다른 두 평면 , 에 대하여 세 학


생이 말한 내용이다. 각 학생이 말한 내용의 참, 거짓을 판별하고, 거짓인 경우 반례를 찾
아 설명해 보자.

112 Ⅲ. 공간도형
투영법

입체도형을 평면 위에 나타내는 그림은 조감도, 전개도, 겨냥도, 단면도 등으로 다양하지


만 주로 입체도형의 한쪽만 나타내기 때문에 전체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투영법을 이용한다. 투영법은 정면과 위,
옆에서 보이는 물체의 모습을 평면 위에 그려 전체를 쉽게 파
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투영법으로 그린 그림을 투영도라고
한다. 이때 물체를 정면, 위, 아래, 옆, 뒤에서 보고 그린 그림을
차례대로 정면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 배면도라고 한다.

투영법의 기초인 화법기하학은 프랑스 수학자 몽주(Monge,


G., ~)가 고안한 것으로 차원 공간의 입체를 차원
평면에 투사하는 방법을 연구하면서 탄생했다. 투영법을 이용하면 설계도를 간단하고 쉽게
그릴 수 있어 가구, 자동차, 선박, 건물의 설계에 널리 쓰인다.
(출처: 두산백과사전, )

오른쪽 도형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를 각각 그려 보자.

오른쪽은 어떤 입체도형의 정면도, 평면도, 저


면도, 좌우측면도, 배면도이다. 이 입체도형의
겨냥도를 그려 보자.

1. 공간도형 113
삼수선의 정리
삼수선의 정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공간에서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은 어떻게 정의할까

오른쪽은 여러 개의 막대를 끈으로 연결하고 막대의 양쪽 끝에 물체


를 매달아 만든 모빌이다.

두 막대 , 을 포함하는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


하는 방법을 말해 보자.

공간에서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을 알아보자.

한 점에서 만나는 두 직선은 한 평면을 결정하므로 그 평면에서 두 직선이 이루


는 각을 정할 수 있다.

한편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   이 이루는 각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두 직선 ′ 과  이 만나서 생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 위의 한 점 O 를 지나고 직
기는 각의 크기는 점 O의 위
선  과 평행한 직선을 ′ 이라고 하면 두 직선 ′  은 한
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또
직선  위의 한 점 O′ 을 지나
평면을 결정한다. 이때 두 직선 ′  이 이루는 각을 두
고 직선 과 평행한 직선을 직선   이 이루는 각이라고 한다.
이용해도 각의 크기는 같다.

일반적으로 두 직선이 이루는 오른쪽 정육면체에서 직선 AB 와 직선 FH 가 이루는 각


각은 크기가 크지 않은 쪽을
의 크기는 ∠ ABD 또는 ∠ EFH 의 크기와 같으므로
생각한다.
°이다.

오른쪽 정팔면체에서 다음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하


시오.
⑴ 직선 AB 와 직선 CD
⑵ 직선 AC 와 직선 DF

114 Ⅲ. 공간도형
공간에서 어떤 경우에 직선과 평면이 수직일까

직선과 평면이 수직이 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이 평면 와 한 점 O 에서
만나고 점 O 를 지나는 평면  위의 서로 다른 두 직
직선 이 평면 와 한 점 O에 선 , 과 각각 수직이면 직선 과 평면 는 서로 수
서 만나고 점 O를 지나는 평 직임을 증명하시오.
면  위의 모든 직선과 수직
일 때 직선  와 평면 는 서로
수직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O 를 지나는 평면 
로 ⊥와 같이 나타낸다. 이 위의 임의의 한 직선을  라 하고, 점 O 를 지
때 직선 을 평면 의 수선이
나지 않고 세 직선 , ,  와 각각 한 점에
라고 하며, 직선 과 평면 가
만나는 점 O 를 수선의 발이라 서 만나는 직선을 그어 세 직선과의 교점을
고 한다. 각각 A , B , C 라고 하자.
직선  위에  ′ 인 서로 다른 두 점
OP  OP
P , P ′을 잡으면 두 직선 , 은 모두 선분
PP ′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AP  
AP ′ , 
BP 
BP ′
따라서 ∆ ABP ≡ ∆ ABP ′이므로
∠ PAC  ∠ P ′ AC
또 ∆ PAC ≡ ∆ P ′ AC 이므로

PC 
P ′C
이등변삼각형 CPP ′에서 
PO 
P ′ O 이므로

PP ′⊥ 
OC
즉 ⊥ 이다.
직선 이 평면  위의 평행하 따라서 직선 은 점 O 를 지나는 평면  위의 모든 직선과 수직이므로
지 않은 두 직선과 각각 수직 ⊥
이면
⊥

오른쪽 정사면체에서 모서리 CD 의 중점을 M 이라고 할 때,


다음을 증명하시오.
⑴ 
CD ⊥ (평면 ABM )
⊥
⑵ AB CD

1. 공간도형 115
삼수선의 정리란 무엇일까

민서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의 거울에 직각삼각형 모


양의 지지대를 붙여 탁상용 거울을 만들었다. 이때 직선 PR 는 평면
에 수직이고, 직선 QR 는 직선 BC 와 수직이다.

직선 PQ 와 직선 BC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추측해 보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면  위에 있지 않은 점 P 에서
평면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O 라 하고, 점 O 를 지나지 않
는 평면  위의 한 직선을  이라고 하자.
점 O 에서 직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할 때, 직
선 PH 와 직선 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자.

PO⊥이면 직선 PO는 평면 
PO ⊥ 이고 직선  은 평면  위의 직선이므로
 위의 모든 직선과 수직이 
PO ⊥
다.
이다. 또 
OH ⊥ 이므로 직선  은 직선 PO 와 직선 OH 를 포함하는 평면 POH 에
수직이다. 이때 직선 PH 는 평면 POH 에 포함되므로

PH ⊥
이다.

일반적으로 다음이 성립하고 이것을 삼수선의 정리라고 한다.

삼수선의 정리
➊ 
PO ⊥ , 
OH ⊥ 이면 
PH ⊥
➋ 
PO ⊥ , 
PH ⊥ 이면 
OH ⊥
 ⊥ , OH
➌ PH  ⊥ , PO
⊥ 
OH 이면 
PO ⊥
➊ ➋ ➌

삼수선의 정리 ➋, ➌을 증명해 보자.

116 Ⅲ. 공간도형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면  위에 있지 않은 점 P 에서
평면 에 내린 수선의 발을 O , 점 O 에서 평면  위의
직선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하자. 
OP   ,
 , 
OH   AH   일 때, 다음에 답하시오.

⑴ 삼각형 PAH 가 직각삼각형임을 보이시오.


⑵ 선분 PA 의 길이를 구하시오.

⑴ 
PO ⊥ , 
OH ⊥ 
AB 이므로 삼수선의 정리 ➊에 의하여

PH ⊥ 
AB
따라서 삼각형 PAH 는 직각삼각형이다.
⑵ 직각삼각형 POH 에서  PH  
  
   
따라서 직각삼각형 PAH 에서 PA  
        

풀이 참조

오른쪽 직육면체에서

AB , 
AD , 
AE 
이다. 점 D 에서 선분 EG 에 내린 수선의 발을 I 라고 할 때, 선분
DI 의 길이를 구하시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문 B 를 지나는 직선 도로와 정문 B


에서 국기 게양대까지의 길은 수직이고, 직선 도로 위의 한
지점 A 에서 정문 B 까지의 거리는  m , 정문 B 에서 국기
게양대까지의 거리는  m 이다. 국기 게양대의 끝부분 C 에
대하여 ∠ BAC  °일 때, C 지점에서 지면까지의 거리를
구하시오.
(단, 국기 게양대는 지면과 수직이고, 정문과 국기 게양대의 크기는 무시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에서 만나는 두 평면   와 두 평면


,  위에 있지 않은 점 P 가 있다. 두 점 Q , R 는 각각 점 P 에서
평면 , 평면 에 내린 수선의 발이다.

1 두 점 Q , R 에서 직선 에 각각 내린 수선의 발이 일치함을
설명해 보자.

2 두 점 Q , R 에서 직선 에 각각 내린 수선의 발을 S 라고 할 때, 네 점 P , Q , R ,
S 가 한 평면 위에 있음을 설명해 보자.

1. 공간도형 117
정사영
정사영의 뜻을 알고, 이를 구할 수 있다.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은 어떻게 정의할까

노트북을 오른쪽과 같이 펼쳤을 때, 선분 PO 는 평면 AOPD 와


평면 BOPC 의 교선이고, 점 M 은 선분 PO 의 중점이다.

∠ AOB , ∠ AMB , ∠ APB 의 크기를 비교해 보자.

∠ AOB 와 ∠ DPC 의 크기를 비교해 보자.

공간에서 직선과 평면이 이루는 각을 알아보자.

평면  에 수직이 아닌 직선  이 평면  와 점 O 에서 만
날 때, 직선  위의 점 P 에서 평면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하자. 이때 ∠ POH 를 직선  과 평면  가 이루는
각이라고 한다.
한편 직선  이 평면  와 평행할 때, 직선  과 평면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
이다.

공간에서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을 알아보자.

평면 위의 한 직선은 그 평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 을 공유하는 두 반평면  , 


을 두 부분으로 나누는데, 그
로 이루어진 도형을 이면각이라고 한다. 이때 직선  을 이
각각을 반평면이라고 한다.
면각의 변, 두 반평면  ,  를 각각 이면각의 면이라고 한
다.
이면각의 변  위의 한 점 O 를 지나고 직선  에 수직인
두 반직선 OA , OB 를 두 반평면  ,  위에 각각 그을 때, ∠ AOB 의 크기는 점 O
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고 이 각의 크기를 이면각의 크기라고 한다.

서로 다른 두 평면이 만나면 네 개의 이면각이 생기는데, 일반적으로 이 중에서


크기가 크지 않은 한 이면각의 크기를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라고 한다. 특히
두 평면 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 일 때 두 평면  ,  는 서로 수직이라 하
고, 이것을 기호로 ⊥ 와 같이 나타낸다.

118 Ⅲ. 공간도형
오른쪽 정육면체에서 평면 ABCD 와 평면 AFGD 가 이
루는 각의 크기는 ∠ BAF 또는 ∠ CDG 의 크기와 같으
므로 °이다.

오른쪽 직육면체에서 
AB 
AD , 
AE 이다. 평면
ABCD 와 평면 BDE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cos  의 값을 구하시오.

밑면이 정사각형이고 옆면이 정삼각형인 사각뿔 모양의


피라미드가 있다. 이 피라미드의 밑면과 옆면을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cos  의 값을 구하시오.

평면 에 수직인 직선 을 포함하는 평면 는 평면 에 수직임을 증명하시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평면  의 교선을


이라 하고, 직선 과 평면 의 교점을 O 라
고 하자. 평면  위에 점 O 를 지나고 직선 
에 수직인 직선 을 그으면
⊥ ⊥
이므로 두 평면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직선  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이때 ⊥이고 직선 은 평면 에 포함되므로
⊥
따라서 ⊥이다.

평면 에 수직인 평면  위의 한 점 A 에서 두 평면   
의 교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O 라고 할 때, 직선 AO 는 평
면 에 수직임을 증명하시오.

1. 공간도형 119
정사영이란 무엇일까

오른쪽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의 학생증이 있다. 빛이 지면에 수직으로 비출


때, 지면에 생기는 학생증의 그림자의 모양을 살펴보려고 한다.

그림자의 모양이 될 수 있는 도형을 모두 말해 보자.

한 점 P 에서 평면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 이라고 할 때, 점 P ′ 을 점 P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이라고 한다.
또 도형  에 속하는 각 점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으로 이루어진 도형  ′ 을 도
형 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이라고 한다.

다음 그림은 여러 가지 도형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이다.

직선이 평면 와 수직이면 직 일반적으로 평면 위로의 정사영에서 점의 정사영은 점이고, 직선의 정사영은 직


선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은
선이거나 한 점이다. 또 다각형의 정사영은 다각형이거나 선분이고, 구의 정사영은
한 점이다.
또 다각형을 포함하는 평면이
원이다.
평면 와 수직이면 다각형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은 선분 오른쪽 정육면체에서
이다.
➊ 점 B 의 평면 EFGH 위로의 정사영은 점 F 이다.
➋ 대각선 BH 의 평면 EFGH 위로의 정사영은 선분
FH 이다.

오른쪽 직육면체에서 다음을 구하시오.

⑴ 대각선 AG 의 평면 EFGH 위로의 정사영


⑵ 삼각형 AFC 의 평면 DHGC 위로의 정사영

120 Ⅲ. 공간도형
정사영의 길이와 넓이는 어떻게 구할까

선분의 길이와 그 선분의 정사영의 길이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선분 AB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


을 선분 A ′B′ 이라 하고, 평면  와 직선 AB 가 이루는 각
의 크기를  °    °  라고 하자.
이때 
AA ′⊥ , 
BB′⊥ 이므로 
AA ′⫽ 
BB′ 이다.
또 점 A 에서 직선 B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C 라고 하면

A ′ B′⫽ 
AC
이므로 ∠ BAC   이다.
또 
A ′ B′  
AC 이고 삼각형 ABC 에서 
AC 
ABcos  이므로

A ′ B′  
ABcos  …… ①
이다.
한편 직선 AB 와 평면  가 평행하거나 수직인 경우에도 ①이 성립한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사영의 길이
선분 AB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을 선분 A ′ B′, 직선 AB 와 평면 가 이
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 라고 하면

A ′ B′  
ABcos 

선분 AB 의 길이가 이고 직선 AB 와 평면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일 때, 선분 AB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을 선분 A ′ B′이라고 하면

A ′ B′  
ABcos °

  ×    

선분 AB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을 선분 A ′ B′, 직선 AB 와 평면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
AB  ,   ° 일 때, 선분 A ′ B′ 의 길이
⑵ 
AB  , 
A ′ B′    
 일 때,  의 값

1. 공간도형 121
도형의 넓이와 그 도형의 정사영의 넓이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자.
삼각형 ABC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을 삼각형 A ′B′C′ 이라 하고, 평면  와 평
면 ABC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 라고 하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BC 와 평면  가 평행한 경우
에 변 BC 를 포함하고 평면  에 평행한 평면을 ′ 이라
하고, 점 A 에서 변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하자.
이때 평면 ′ 과 직선 AA ′ 의 교점을 A ″ 이라고 하면
삼수선의 정리 ➋에 의하여 
A ″H ⊥ 
BC 이므로
∠ AHA ″   이다.
또 삼각형 ABC 와 삼각형 A ′B′C′ 의 넓이를 각각  ,
 ′ 이라고 하면  ′ 은 삼각형 A ″BC 의 넓이와 같으므로
 
′   
BC × 
A ″H   
BC × 
AH cos 
 

이고    
BC × 
AH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cos …… ②
한편 직선 BC 가 평면  와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②가 성립하고, 평면 ABC
와 평면  가 평행하거나 수직인 경우에도 ②가 성립한다.

일반적으로 도형의 넓이와 그 도형의 정사영의 넓이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


가 성립한다.

정사영의 넓이
평면  위에 있는 도형의 넓이를  , 이 도형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의 넓
이를  ′이라고 할 때, 두 평면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라고 하면
 ′   cos

두 평면 ,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고 평면  위에 있는 도형의 넓


이가 일 때, 이 도형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
 cos°   ×    

두 평면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고 평면  위에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


각형이 있다. 이 정삼각형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구하시오.

122 Ⅲ. 공간도형
오른쪽은 한 모서리의 길이가 인 정사면체이다. 다음을 구
하시오.

⑴ 삼각형 ABC 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


⑵ 평면 ABC 와 평면 BCD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cos 의 값

⑴ 꼭짓점 A 에서 평면 BCD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하면 삼각형 ABC 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
∆ABH ≡ ∆ACH ≡ ∆ADH 형 HBC 이다. 이때 점 H 는 삼각형 BCD 의 무게중심
이므로 
BH 
CH 
DH 이고, 삼각형 BCD 의 넓이는
즉 점 H 는 삼각형 BCD의 외
 
심이다. 이때 정삼각형의 외  ×   


심과 무게중심은 일치하므로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점 H 는 삼각형 BCD의 무게
중심이다.  
 × 
 
 

⑵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 이므로 
 cos    에서


cos   

 
⑴  ⑵ 
 

오른쪽 정육면체에서 평면 AFC 와 평면 EFGH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cos  의 값을 구하시오.

정다면체의 이면각의 크기

정다면체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의 종류이고, 각 정


다면체에서 두 면이 이루는 이면각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일정하다.

1. 공간도형 123
정사영을 이용하여 타원의 넓이 구하기

지면에 비스듬히 빛을 비추고 동전을 빛에 수직으로 놓으면 지면에 생기는 동전의 그림자
의 모양은 타원이다. 이를 통해 타원의 정사영이 원임을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타원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평면 ,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


이고, 평면  위에 장축의 길이가 , 단축의 길이가 인 타
원이 있다. 이 타원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이 지름의 길이가
인 원일 때, 타원의 장축의 정사영이 원의 지름이므로

 cos   , cos   

이다. 이때 타원의 넓이를  라고 하면
 cos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cos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평면 ,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고,


평면  위에 있는 타원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의 반지름의 길이
가 인 원일 때, 다음을 구해 보자.

⑴ 타원의 넓이

⑵ 타원의 장축의 길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기둥을 밑면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 °    °  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타원이다. 원기둥의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일 때, 다음을 답해 보자.

⑴ 타원의 장축, 단축의 길이를 와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 보자.

⑵ 타원의 넓이를 와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 보자.

124 Ⅲ. 공간도형
• 정답 및 풀이 166쪽

➊ 평면의 결정 조건 1 오른쪽 직육면체의 모서


①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 리를 연장한 직선 중에
② 한 직선과 그 위에 있지 않은 한 점 서 직선 AF 와 꼬인 위
③ 한 점에서 만나는 두 직선 치에 있는 직선의 개수
④ 한 두 직선
를 구하시오.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➋ 삼수선의 정리

PO ⊥ , 
OH ⊥ 이고
평면  위에 있지 않은 점 P , 평 
PO  , 
OH   일 때,
면  위의 직선  , 직선  위의 점
점 P 와 직선  사이의 거
H , 직선  위에 있지 않은 평면 
리를 구하시오.
위의 점 O 에 대하여
⑴ 
PO ⊥ , 
OH ⊥ 이면

⑵ 
PO ⊥ , 
PH ⊥ 이면
3 직사각형 모양의 판자가

 ⊥ , OH
 ⊥ , PO
 ⊥ 바닥과 수직인 벽면에 오
⑶ PH OH 이면
른쪽 그림과 같이 비스듬
히 세워져 있다.

AB  m , 
BC  cm 일
때, 판자가 바닥과 이루는
➌ 정사영
⑴ 한 직선을 공유하는 두 반평면으로 이루어진 도형을
각의 크기를 구하시오.
이라고 한다. (단, 판자의 두께는 무시한다.)
⑵ 평면  위에 있지 않은 점 P 에서 평면  에 내린 수선의
발 P ′ 을 점 P 의 평면  위로의 이라고 한다.
⑶ 정사영의 길이 4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평면
선분 AB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을 선분 A′ B′ , 직선 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AB 와 평면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 이고 평면  위에
라고 하면 
AB 
BC  인 직각이등변

A′B′ 
삼각형 ABC 가 있다. 직선
⑷ 정사영의 넓이
BC 가 두 평면  ,  의 교선과 평행할 때, 다음
평면  위에 있는 도형의 넓이를  , 이 도형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 ′ 이라고 할 때, 두 평면  , 을 구하시오.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라고 하면 ⑴ 선분 AB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
′  ⑵ 삼각형 ABC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의 넓

1. 공간도형 125
5 삼각기둥의 꼭짓점으로 결정되는 서로 다른 평면의 개수를 구하시오.

6 서로 다른 두 직선 , 과 서로 다른 두 평면 , 에 대하여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 ⊥이면 ⫽이다.


ㄴ. ⫽, ⊥이면 ⊥이다.
ㄷ. ⊥, ⫽이면 ⊥이다.

7 오른쪽 사면체에서 
OA ⊥ 
OB , 
OB ⊥ 
OC , 
OC ⊥ 
OA 이고

OA   , 
OB  , 
OC  일 때, 삼각형 ABC 의 넓이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8 오른쪽 직육면체에서 
AD  , 
CD  , 
AE  이다. 직선
DF 가 세 평면 ABCD , AEHD , DHGC 와 이루는 각의 크기
를 각각 , , 라고 할 때, cos    cos    cos   의 값을
구하시오.

126 Ⅲ. 공간도형
• 정답 및 풀이 166쪽

9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 cm 이고 높이가  cm 인 원기둥


모양의 물통에 물을 가득 채운 후 오른쪽 그림과 같이 기울여서

물의 양이 처음의  만 남게 하였다. 이때 수면의 넓이를 구하

시오. (단, 물통의 두께는 무시한다.)

10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 ABCD 를 오른쪽 그림과 같이 대


각선 BD 를 접는 선으로 하여 면 ABD 와 면 BCD 가 수직이 되
도록 접었을 때, 점 A 와 직선 CD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모서리의 길이가 인 정사면체 ABCD


에서 모서리 CD 의 중점을 M 이라고 할 때, 삼각형 ABM 의
평면 ABC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구하시오.

12 오른쪽 그림은 밑면이 정사각형이고 옆면이 정삼각형인 사


각뿔에서 네 옆면의 내접원의 밑면 ABCD 위로의 정사영을
그린 것이다. 
AB 일 때, 네 정사영으로 둘러싸인 빗금 친
부분의 넓이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1. 공간도형 127
1 다음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를 구하시오.

⑴ ⑵

2 두 점 A      , B    에 대하여 다음 점의 좌표를 구하시오.

⑴ 선분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 ⑵ 선분 AB 를   로 외분하는 점

128 Ⅲ. 공간도형
점의 좌표
좌표공간에서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공간에서 점의 위치는 어떻게 나타낼까

오른쪽과 같은 층 공연장의 입장권에는 좌석의 위치가 층, 열, 번


호로 표시된다.

좌석의 위치를 (층, 열, 번호)의 순서쌍으로 표시하기로 할


때,   D   로 표시된 좌석의 위치를 설명해 보자.

층 B 열 번 좌석의 위치를 탐구 ①에서와 같이 순서쌍


으로 나타내어 보자.

직선에 있는 점의 위치는 수직선에서 하나의 실수로 나타낼 수 있고, 평면에 있


는 점의 위치는 좌표평면에서 두 실수의 순서쌍으로 나타낼 수 있다.

공간에 있는 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을 알아보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개의 수직선을 공간의 한 점


O 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그린다. 이때 점 O 를 원점,
세 개의 수직선을 각각  축,  축,  축이라 하고, 세 개
의 축을 좌표축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좌표축이 정해진 공간을 좌표공간이라고
한다.
또  축과  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 평면,  축과 
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 평면,  축과  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 평면이라 하고,
세 개의 평면을 좌표평면이라고 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공간의 한 점 P 에 대하여 점


P 를 지나고  축,  축,  축에 각각 수직인 평면이 이들
축과 만나는 점을 차례로 A , B , C 라고 하자.
이때 세 점 A , B , C 의  축,  축,  축에서의 좌표를
각각  ,  ,  라고 하면 점 P 에 대응하는 세 실수의 순서
쌍     가 단 하나로 정해진다.

2. 공간좌표 129
역으로 세 실수의 순서쌍     가 주어지면  축,  축,  축에 각각    를
좌표로 하는 세 점 A B C 가 정해지고 세 점 A B C 를 지나고  축,  축,  축
에 각각 수직인 평면들의 교점 P 가 단 하나로 정해진다.
따라서 좌표공간의 점 P 와 세 실수의 순서쌍     는 일대일로 대응한다.
좌표공간에서 원점 O의 좌표 이때 순서쌍     를 점 P 의 공간좌표 또는 좌표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는    이다.
P   
와 같이 나타낸다. 또    를 각각 점 P 의  좌표,  좌표,  좌표라고 한다.

다음 그림은 세 모서리가 좌표축 위에 있는 직육면체이다. 세 점 P , Q , R 의 좌표를 구


하시오.
⑴ ⑵

점 P      에 대하여 다음 점의 좌표를 구하시오.

한 직선 또는 한 평면이 선분 ⑴ 점 P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
AB 를 수직이등분하면 두 점
⑵ 점 P 에서  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
A B 는 그 직선 또는 그 평면
⑶ 점 P 와 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
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또
선분 AB 의 중점이 원점이면 ⑷ 점 P 와  축에 대하여 대칭인 점
두 점 A B 는 원점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좌표공간에서 평면 위의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과 같이  좌표가 모


두 이므로 평면의 방정식은   으로 나타낼 수 있다.
1 점 P     의  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좌표를 구해 보

자. 또  평면 위의 점의 좌표의 특징을 말하고,  평면


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2 평면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130 Ⅲ. 공간도형
두 점 사이의 거리
좌표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좌표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어떻게 구할까

준하는 공원의 풍경을 찍기 위해 무인기를 조종하고 있다. 무인기는


준하가 있는 곳으로부터 남쪽으로  m , 동쪽으로  m 떨어진 지점
의 지면으로부터  m 의 상공에 떠 있다.

준하의 위치를 O , 무인기의 위치를 A 라고 할 때, 선분 OA 를


대각선으로 하는 직육면체를 오른쪽 좌표공간에 그려 보자.
탐구 ①에서 그린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를 구해 보자.

좌표공간에서 두 점 A        , B        사이의 거리를 구해 보자.

직선 AB 가 세 좌표평면 중 어느 것과도 평
행하지 않은 경우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선분
AB 를 대각선으로 하고 각 면이 좌표평면과
평행한 직육면체를 생각하면
P        , Q       

이므로 이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의 길이는


수직선에서 두 점 M  , 
PQ        , 
AP         , 
BQ       
N  사이의 거리는
이다. 따라서 두 점 A , B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MN     
AB  
                     …… ①
직선 AB 가 세 좌표평면 중 어느 한 평면과 평행한 경우에도 ①이 성립한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좌표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
좌표공간에서 두 점 A         , B         사이의 거리는

AB  
                    

특히 원점 O 와 점 A       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OA  
       

2. 공간좌표 131
➊ 두 점 A       , B      사이의 거리는

AB 
                 

➋ 원점 O 와 점 A       사이의 거리는
OA  
           


다음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⑴ A     , B      ⑵ O     , A     




세 점 A      B      C     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 가


정삼각형임을 설명하시오.

두 점 A       B       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축 위의 점의 좌


표를 구하시오.

축 위의 점은 좌표와 좌 구하는 점을 P  이라고 하면 


AP  
BP 이므로
표가 모두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좌표는     이다.
    

두 점 A      B       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축 위의 점의 좌표를 구하


시오.

두 산봉우리의 A 지점과 C 지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두 산봉우리를 지도 위에 표시하면 오른쪽 그림
과 같다. 지도에서 눈금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고, 눈
금 한 칸의 실제 거리는  m 이다.
1 눈금 한 칸을 , 등고선의  m 를 이라 하
고, 점 A 의 좌표를   , 점 B 의 좌표를
       라고 할 때, 점 C 의 좌표를 구
해 보자.

2 두 지점 A , C 사이의 실제 거리를 구해 보자. (단, 


   로 계산한다.)

132 Ⅲ. 공간도형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좌표공간에서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좌표공간에서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의 좌표는 어떻게 구할까

좌표공간의 두 점 A B 에 대하여 점 P 는 선분 AB 를   로 내분
하는 점이고, 세 점 A ′  B′  P ′은 각각 세 점 A B P 의 평면
위로의 정사영이다.


A ′P ′  
P ′ B′ 을 구해 보자.

선분 AB 위의 점 P에 대하여 좌표공간의 두 점 A        , B        에 대하여 선분 AB 를



AP 
PB   
        으로 내분하는 점 P    의 좌표를 구해 보자.
  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점 A B P 의  평면 위
일 때, 점 P는 선분 AB 를
   으로 내분한다고 한다. 로의 정사영을 각각 A ′ B′ P ′ 이라고 하면
A ′         , B′         ,
P ′      
이고
세 직선   에 대하여 
A ′P ′  
P ′ B′  
AP  
PB
⫽⫽이면 
 
이므로 점 P ′ 은 선분 A ′B′ 을    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이때 세 점 A ′ , B′ , P ′ 은  평면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다.
같은 방법으로 세 점 A B P 의  평면 또는  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이용하
여 점 P 의  좌표를 구하면
    


이다.
따라서 선분 AB 를    으로 내분하는 점 P 의 좌표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2. 공간좌표 133
좌표공간의 두 점 A        B       에 대하여 선분 AB 를    으로
선분 AB 의 연장선 위의 점 Q 외분하는 점 Q 의 좌표가
에 대하여
  
AQ Q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확인해 보자. (단,        ≠  )
일 때, 점 Q는 선분 AB 를
  으로 외분한다고 한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좌표공간에서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좌표공간의 두 점 A         , B         에 대하여
➊ 선분 AB 를           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➋ 선분 AB 를             ≠   으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특히 선분 AB 의 중점의 좌표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두 점 A       B       에 대하여
➊ 선분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➋ 선분 AB 를   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두 점 A       B        에 대하여 다음 점의 좌표를 구하시오.

⑴ 선분 AB 를    로 내분하는 점
⑵ 선분 AB 를    로 외분하는 점
⑶ 선분 AB 의 중점

평행사변형 ABCD 의 세 꼭짓점이 A        , B      , C      일


때, 꼭짓점 D 의 좌표를 구하시오.

134 Ⅲ. 공간도형
세 점 A         B         C        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 G 의 좌표가

  
 

  
  


  


     

임을 증명하시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선분 BC 의 중점을


M  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무게중심 G 의 좌표를       라
고 하면 점 G 가 선분 AM 을   로 내분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무게중심 G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삼각형 ABC 의 두 꼭짓점이 A        , B       이고 무게중심이


G    일 때, 점 C 의 좌표를 구하시오.

오른쪽 직육면체에서 점 D 와 직선 EG 사이의 거리를 구하려고


한다. 유진이와 현수가 생각한 방법으로 거리를 구해 보자.

삼수선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어.

좌표공간에서 선분의 내분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어.

2. 공간좌표 135
구의 방정식
구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구의 방정식은 어떻게 구할까

오른쪽은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 모양의 공을 중심을 원점 O 로 하여


좌표공간에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점 P      는 공 위의 점이다.


OP  임을     를 사용한 식으로 나타내어 보자.

공간에서 한 점 C 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 P 의 집합을 구라 하고, 점 C 를


구의 중심, 선분 CP 를 구의 반지름이라고 한다.
좌표공간에서 중심이 점 C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구의 방정식을 구
해 보자.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 위의 한 점을 P     라고
하면 
CP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이고,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   …①
이다.
역으로 방정식 ①을 만족시키는 점 P     는 중심이 점 C    이고 반
지름의 길이가  인 구 위에 있다.
따라서 방정식 ①은 구하는 구의 방정식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의 방정식
중심이 점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특히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구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136 Ⅲ. 공간도형
➊ 중심이 점   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➋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의 방정식은
        

다음 구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중심이 점  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구


⑵ 중심이 원점이고 점      를 지나는 구

두 점 A        , B       를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구의 방정식


을 구하시오.

구의 중심을 C 라고 하면 점 C 는 선분 AB 의 중점이므로
             

C      , 즉 C      
   
따라서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CA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점 A      , B      을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구의 방정식을 구하시


오.

중심이 점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에 대하여 구의 중심과 좌표평면 사이의


거리가 이면 구는 좌표평면에 접한다. 또 구의 중심과 좌표축 사이의 거리가 이면 구는
좌표축에 접한다.
1 구가 평면에 접할 때, 를 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 보자.

2 구가  축에 접할 때, 를 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 보자.

2. 공간좌표 137
  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     이 나타내는 도형은 무엇일까

구의 방정식              의 좌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①
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역으로 방정식 ①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면 로 변형된다. 이때             이면 방정식 ①은 중심이 점
방정식 ①은

   
             인 구를 나타
     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점      
  
   
를 나타내고, 낸다.
           이면
방정식 ①을 만족시키는 세 실
방정식                   을 변형하면
수 , , 는 존재하지 않는
다.                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중심이 점  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 인 구를 나타낸다.

방정식                  이 나타내는 구의 중심의 좌표와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시오.

방정식                   이 구를 나타내도록 실수 의 값의 범위를


정하시오.

구 모양의 타이어

구 모양의 타이어는 미국의 한 시사 주간지가 선정한 년 올해의 발명품 가지 중


하나이다. 기존의 타이어와 비교하여 구 모양의 타이어는 자동차를 어느 방향으로든 움직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제자리에서 돌릴 수도 있고, 직각으로 차
선을 변경할 수도 있으며 평행 주차를 쉽게 할 수도 있다.
반편 구 모양의 타이어는 도로와 접하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안정성에 문제
가 생길 수 있다. 현재 전문가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여 구 모양의 타이어를 상
용화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출처: KISTI의 과학향기, 호)

138 Ⅲ. 공간도형
두 점으로부터 거리의 비가 일정한 점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 B 에 대하여

AP  
PB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점 P 가 그리는 도형은 선분 AB 를   으
로 내분하는 점 C 와   으로 외분하는 점 D 를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이다. 이 원은 고대 그리스 수학자 아폴로
니오스(Apollonios, B.C.  ~B.C.  )의 이름을 따서 아폴로니오스의 원이라고 한다.

아폴로니오스의 원을 좌표공간으로 확장하면 다음과 같다.

좌표공간에서 두 점 A , B 에 대하여

AP  
PB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점 P 가 그리는 도형은 선분 AB 를   으로 내분하는 점과   으로
외분하는 점을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구이다.

예를 들어 두 점 A       , B      에 대하여 선분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  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이므로 이 두 점을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구의 방정식은             이다. 이 구의 점 P 에 대하여

AP  
PB   임을 컴퓨터 기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해 보자.

➊ 두 점 A , B 와 구         를

그리고 대상 위의 점을 선택하여 점

P 를 그린다.

➋ 거리 또는 길이를 선택하여 
AP , 
PB

의 길이를 구한다.
➌ 점 P 의 위치를 움직여 보면서

AP 
PB   임을 확인한다.

두 점 A       , B       에 대하여 
AP  
PB    을 만족시키는 점 P 가 그리
는 도형의 방정식을 구해 보고, 
AP  
PB   임을 컴퓨터 기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
해 보자.

2. 공간좌표 139
➊ 점의 좌표 1 점 P       에 대하여 다음 점의 좌표를 구

⑴ 좌표축이 정해진 공간을 이라고 한다.


하시오.

⑵ 좌표공간의 점 P 에 대응하는 세 실 ⑴ 점 P 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


수의 순서쌍    를 점 P 의 ⑵ 점 P 에서 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
또는 좌표라 하고, 이것을 ⑶ 점 P 와 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
기호로 P   와 같이 나타낸 ⑷ 점 P 와 축에 대하여 대칭인 점
다.

➋ 두 점 사이의 거리
좌표공간에서 두 점 A     , B     사이
의 거리는 2 다음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AB ⑴ A        B     
⑵ O       C     

➌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좌표공간의 두 점 A     , B     에 대하

⑴ 선분 AB 를          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3 두 점 A        B      에 대하여
다음 점의 좌표를 구하시오.
⑴ 선분 AB 를   으로 내분하는 점
⑵ 선분 AB 를           ≠  으로 외분 ⑵ 선분 AB 를   으로 외분하는 점
하는 점의 좌표는

➍ 구의 방정식 4 다음 구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중심이 점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의 방정식 ⑴ 중심이 점   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
⑵ 두 점              을 지름
의 양 끝 점으로 하는 구

140 Ⅲ. 공간도형
• 정답 및 풀이 168쪽

5 두 점 A       B      와  평면 위의 점 P 에 대하여 
AP  
BP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6 두 점 A       B      에 대하여 직선 AB 와 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


를 구하시오.

7 평행사변형 ABCD 의 세 꼭짓점이 A       B      C      일 때,


삼각형 BCD 의 무게중심의 좌표를 구하시오.

8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모서리의 길이가 인 정육면체에서 선


분 DF 를   로 내분하는 점을 P 라고 할 때, 선분 EP 의 길이
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9 구                   이  평면에 접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을 구
하시오.

2. 공간좌표 141
• 정답 및 풀이 169쪽

10 구                  위의 점 P 와 원점 O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11 두 점             를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구가 평면과 만나서 생


기는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12 좌표공간의  평면 위에 원           이 있다. 이 원 위의 점 P 와 점
A       에 대하여 선분 PA 의 길이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13 정사면체의 무게중심은 한 꼭짓점과 그 점에서 밑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연결한 선분을


꼭짓점으로부터   로 내분하는 점이다. 좌표공간에서 네 점 A     ,
B  , C    , D   를 꼭짓점으로 하는 도형이 정사면체일 때,
정사면체 ABCD 의 무게중심의 좌표를 구하시오.

14 점       를 지나고 평면,  평면, 평면에 동시에 접하는 두 구가 있다. 이


두 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142 Ⅲ. 공간도형
• 정답 및 풀이 169쪽

01 다음 중 평면이 하나로 결정되는 경우가 아닌 것 04 다음 그림과 같이 평면  위에 있지 않은 점 P


은? 에서 평면 에 내린 수선의 발을 O 라 하고, 점 O 에
①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 서 평면  위의 직선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② 평행한 두 직선 하자. 
AP  ,  , 
AH    OH   일 때, 선분
③ 한 점에서 만나는 두 직선 PO 의 길이를 구하시오.
④ 한 직선과 그 위에 있지 않은 한 점
⑤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

02 다음 전개도로 만든 정팔면체에서 서로 평행한


05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점 A , B 는 각각 서로 수직
면끼리 짝 지은 것은?
인 두 평면 ,  위에 있고, 점 P 는 두 평면 , 의
교선  위에 있다. 직선 과 두 직선 PA , PB 가 이루
는 각의 크기가 각각 °, °일 때, 두 직선 PA ,
PB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하자. 이때 cos 의
값을 구하시오.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06 밑면인 원의 지름의 길이가 


03 서로 다른 세 직선 , , 과 서로 다른 세 평면
이고 높이가 인 원기둥을 오른쪽
, , 에 대하여 다음 중 항상 옳은 것은?
그림과 같이 밑면의 지름을 지나고
① ⊥, ⊥이면 ⫽이다. 다른 밑면의 둘레의 한 점을 지나는
② ⫽, ⫽이면 ⫽이다.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의 넓
③ ⊥, ⊥이면 ⫽이다. 이를 구하시오.
④ ⫽, ⫽이면 ⫽이다.
⑤ ⊥, ⊥이면 ⫽이다.

대단원 마무리 143


07 다음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 m 인 구 모 10 세 점 A       B      C 에 대하여
양의 풍선이 지면 위에 떠 있다. 태양 광선이 지면과 삼각형 ABC 가 정삼각형일 때, 점 C 가 그리는 도형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일 때, 이 풍선의 그림자의 넓 은 원이다. 이 원의 중심의 좌표와 반지름의 길이를
이를 구하시오. 구하시오.

11 두 점 A        B       에 대하
여 선분 AB 가  평면에 의하여   으로 내분될
때, 양수 의 값을 구하시오.

08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모 12 구                   의 부


서리의 길이가 인 정육면체에 피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실수 의 값과 그때의 부피
서 개의 모서리 AD, AE, 를 구하시오.
EF , FG , GC , CD 의 중점을
각각 M , N , O, P, Q, R라고
하자. 평면 MNOPQR와 평면 ABCD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cos  의 값을 구하시오.

13 [그림 ]과 같이 꼭짓점이 A      인 원뿔


과 구 C             이 있다. 점 A 와 구
의 중심 C 를 지나는 평면으로 원뿔을 자른 단면이 항
상 [그림 ]와 같이 원이 삼각형에 내접할 때, 원뿔과
구의 교선의 길이를 구하시오.

09 점 A       의 평면,  평면, 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B , C , D 라고 하면 삼각형
BCD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   이다. 이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144 Ⅲ. 공간도형
• 정답 및 풀이 170쪽

14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16 오른쪽 원뿔은 밑면인 원의 반


모서리의 길이가 인 정육면 지름의 길이가 이고 높이가 이
체의 내부에 밑면이 정육면체 다. 이 원뿔의 꼭짓점 O와 옆면 위
의 한 면과 합동이고 옆면의 의 두 점 A , B 에 대하여 두 선분
모양이 정삼각형인 사각뿔이 OA , OB의 원뿔의 밑면 위로의 정
들어 있다. 평면 OEH 와 평면 사영을 각각 선분 O ′ A ′, 선분 O ′ B′이라고 하자.
AEHD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cos  의 
O ′A ′   , 
O ′ B′   , ∠ A ′ O ′ B′  °일 때, 두 점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A , B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
오.

15 두 점 A      , B     에 대하여

17 구                   이 직선 
PA  
PB    를 만족시키는 점 P 가 그리는 도형의
과 만나는 두 점을 A , B 라 하고, 구의 중심을 점 C 라
겉넓이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고 하자. 
AB  일 때, 삼각형 ABC의 넓이를 구하
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➊ 직선, 평면의 위치 관계에 대한 간단한 증명을 할 수 있다.

➋ 삼수선의 정리를 이해하고, 정사영을 구할 수 있다.

➌ 좌표공간에서 점의 좌표, 두 점 사이의 거리,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➍ 구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부족한 부분을 어떻게 채울지 계획을 세워 보세요.

대단원 마무리 145


정다면체로 공간 채우기

다면체를 이용하여  차원 공간을 가득 채우는 것을 공간 테셀레이션이라고 한다. 다면체로


포개짐 없이 공간을 채우려면 다면체가 만나는 꼭짓점 또는 모서리에서 이면각의 크기의 합이
° 이어야 한다.
정육면체의 경우 모든 모서리에서 이면각의 크기가 ° 이므로 정육면체로 공간을 채울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두 정다면체인 정사면체, 정팔면체로 공간을 채울 수 있음을 확인해 보자.


정사면체와 정팔면체의 이면각의 크기를 각각  ,  라고 하면 다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이다.


즉 정사면체와 정팔면체의 이면각의 크기의 합은 ° 이므로 한 모서리에서 만나는 정사면체와 정팔면체의 이면각의
크기의 합이 ° 가 되도록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정다면체로 포개짐 없이 공간을 채울 수 있다.

건축에서 사용되는 옥텟 트러스라는 골조 구조는 정사면체와 정팔면체를 교대로


배치하여 만든 것으로 가볍고 튼튼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면체로 공간을 채울 수 있는 경우를 조사해 보자.

146 Ⅲ. 공간도형
모션 캡처와 컴퓨터 그래픽

모션 캡처란 신체나 물체에 감지기를 부착하거나 적


외선 카메라로 찍어 그 움직임을 디지털 형태로 기록하
는 작업을 말한다. 신체의 여러 부분에 감지기를 부착한
후 각 점의 위치를 높이, 폭, 깊이를 세 개의 축으로 하는
공간좌표를 이용하여 수치 데이터로 저장한 다음, 컴퓨
터로 만든 가상의 물체를 통해 똑같은 움직임을 재연한
다.
영화에서 가상의 캐릭터가 살아 있는 것처럼 자연스
럽게 움직이는 것은 실제 배우의 연기를 여러 대의 적
외선 카메라로 찍어 컴퓨터로 기록한 다음 그 움직임을 가상의 캐릭터가 표현하도록 합성한 결과이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인물의 동작뿐만 아니라 표정까지 수치 데이터로 추출하여 캐릭터를 제작할 수 있다.

모션 캡처 기술은 병원의 재활 의학과에서 환자의 보행을 교정하거나 운동선수들의 자세 교정에도 이용되는 등


활용 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있다.
(출처: 류재형, 명화를 만든 가지 시각효과)

가상 현실 전문가 | 차원 모델링 및 가상 현실 모델링 언어 등


을 이용하여 가상의 시․공간에서 가상 시스템을 개발한다. 사용
자가 원하는 가상 세계를 파악하여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개발
된 시스템의 오류를 테스트한다.
(출처: 커리어넷,  )

세상 속 수학 147
148 수학 용어 맞히기
⑴ 초점의 좌표:  
준선의 방정식:   


⑵ 초점의 좌표:   
  

준선의 방정식:   

본문 10쪽

1 ⑴  ⑵ 

m
2 ⑴         ⑵          

⑴ 초점의 좌표:     
  
본문 11~15쪽 
준선의 방정식:   

11쪽

⑵ 초점의 좌표:   


준선의 방정식:   

⑴   
⑴       
⑵   
⑵           
⑴ 초점의 좌표:  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종이 내부의
준선의 방정식:   
 점을 F , 종이를 접었을 때 점 F 와 겹쳐지
는 변 위의 점을 A 라 하고, 점 A 를 지나
고 변에 수직인 직선과 접힌 선의 교점을
P 라고 하면
⑵ 초점의 좌표:    
PF 
PA
준선의 방정식:    따라서 종이접기를 반복할 때, 점 P와 같은 방법으로 찾은 점들
의 집합은 종이의 한 변을 준선으로 하고 내부의 점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선이다.

⑴    
⑵    
본문 16~20쪽

16쪽 

Ⅰ . 이차곡선 149
⑵ 중심의 좌표           
:   
초점의 좌표
:      

A  라 하고 원과
축의 두 교점을 각각 F , F′ 이
라고 하면 오른쪽 그림에서
   
⑴    ⑵    
AF 
AF′ , 
AO 
   
⑴ 초점의 좌표 이므로

: 
      
    OF′ 
OF    
장축의 길이:  따라서 두 교점의 좌표가  
      ,        이
단축의 길이:  므로 두 교점은 주어진 타원의 초점이다.

본문 21쪽
⑵ 초점의 좌표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원
:        
C C 의 중심을 각각 O O 라 하
장축의 길이: 

고, 두 원 C C 와 점 P 를 중심으
단축의 길이: 

로 하는 원의 접점을 각각 A, B 라고
하면
    
⑴    ⑵    PO  
OA 
PA  
PA ,
   
⑴ 초점의 좌표 
PO  
OB 
PB   
PB
:      이때 
PA 
PB 이므로 
PO 
PO   
장축의 길이: 
즉 점 P 에서 두 점 O O 에 이르는 거리의 합이   로 일정
단축의 길이: 
하므로 점 P 가 그리는 도형은 타원이다.
 
   
 
⑵ 초점의 좌표
:     
장축의 길이:  
단축의 길이: 
 본문 22~28쪽

22쪽 

⑴ 중심의 좌표
:   
초점의 좌표
:  
   ,
 
    

  
⑴      ⑵ 
  

150 정답 및 풀이
⑴ 초점의 좌표 1 모두 같다.
:          
2     ,     ,     
주축의 길이:     
⑴ 원 ⑵ 쌍곡선 ⑶ 타원 ⑷ 포물선

본문 29쪽
⑵ 초점의 좌표

PB 
PC 이므로
:  
    
  

PA 
PB 
PA 
PC 
AC
주축의 길이: 
즉 점 P 가 그리는 도형은 두 점 A , B 에서의 거리의 합이 일정
한 타원이다.

PB 
PC 이므로

    
PA 
PB    
PA 
PC 
⑴      ⑵     
    
AC
즉 점 P 가 그리는 도형은 두 점
⑴ 초점의 좌표 A B 에서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      쌍곡선이다.
주축의 길이: 

본문 30~32쪽

⑵ 초점의 좌표 ➊ ⑴ 포물선 ⑵     
:      ➋ ⑴ 타원 ⑵    
주축의 길이:  ➌ ⑴ 쌍곡선 ⑵    
➍ 이차곡선

1 
⑴     ⑵   

    2 초점의 좌표:     , 준선의 방정식:   
⑴         ⑵        
   
3     
⑴ 초점의 좌표 ⑴  ⑵   
   
:  
     ,
4 초점의 좌표:  
     
   ,
 
    
장축의 길이: 
 , 단축의 길이: 

꼭짓점의 좌표
5   
:          ⑴  ⑵     
  
점근선의 방정식
6 초점의 좌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축의 길이:  ,
 
 
⑵ 초점의 좌표 점근선의 방정식:        
 
:   
  ,
7 
PF 
PH , 
QF 
QH′   이므로
   
  

PQ 
PF 
QF 
꼭짓점의 좌표
:        
점근선의 방정식
:      ,     

Ⅰ . 이차곡선 151
8 포물선         의 초점의 좌표는 15 A  B 라고 하면 
AB 에서
     40 % 
     ,      …… ㉠ 30 %

포물선       의 초점의 좌표는 
점 P 의 좌표를     라고 하면    ,
     40 % 

두 초점이 일치하므로  
   이므로        30 %
 
       ,     20 %
이것을 ㉠에 대입하면
9 
AD 
DB  , 
AC 
CB 이므로 사각형 ACBD 의 
 
둘레의 길이는       ,

  
 

40 %


AD 
DB 
AC 
CB 
16 점 P 의 좌표를    라고 하면     
 
10  
타원     의 두 초점의 좌표는 
  쌍곡선      , 즉     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      
 
이고, 장축의 길이는           , 즉     ,     
 
포물선   의 초점의 좌표는    이때 점 P 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는
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이때 B′ 이라고 하면 
 
     

AB 
AC 
AB 
AB′  또 점 P 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11 AF′ 
AF , 
BF′ 
BF 이므로  

  
  

AB 
AF 
BF  
AF′     
BF′ 
               
 
AF ′ 
BF ′         PQ× 
PR  ×     

   
12    따라서 
PQ× 
PR 의 값은 일정하다.
쌍곡선      의 두 꼭짓점의 좌표는
 
      
  
위의 두 꼭짓점이 타원     의 두 초점과 일치하므로
 

     ,     

13   
타원     에서 PF ′ 
PF  본문 33쪽
 
 1 ⑴ 서로 다른 두 실근 ⑵ 서로 다른 두 허근
쌍곡선     에서 
PF ′ 
PF   
 ⑶ 중근
 
 PF′  PF     
PF′ 
PF 
PF′ 
PF  2 ⑴      ⑵   
 

14 C    ,
본문 34~37쪽
D   에서
34쪽  
    
점 A 에서 포물선
  
    의 준선
 
  에 내린 수선의 ⑴      ⑵   
 
발을 H , 점 B 에서 포물선 
⑴       ⑵     
    의 준선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고 
하면 삼각형 AOB 의 둘레의 길이는

AO 
OB 
AB 
AH 
BH′ 
AB 
HH′
       

152 정답 및 풀이
 ① 자동차의 전조등: 포물선의 초점에 광원을 놓으
          
 면 빛이 포물선 모양의 반사판에 반사되어 포물선의 축과 평행
하게 앞으로 나간다.
준선    위의 한 점    에서 포물선에 그은 ② 치과에서 사용하는 조명: 타원의 초점에 광원을 놓고 다른
접선의 기울기를   ≠   이라고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초점에 치료할 치아를 놓으면 빛이 타원 모양의 반사판에 반
 사되어 치아를 비춘다.
    


이 직선이 점    를 지나므로     
 본문 43~47쪽

이 식의 양변에  을 곱하여 정리하면


43쪽  
        …… ㉠
이때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 라고 하면
± 

      이므로 이차방정식 ㉠은 항상 서로 다른 두
⑴    ± 
 ⑵    ± 

실근을 갖고, 이 두 실근은 각각 두 접선의 기울기이다.
⑴   
  ⑵     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곱,
         

즉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  이므로 두 접선은 서로

수직이다.
본문 48~50쪽

본문 38~41쪽

➊ ⑴ 서로 다른 두 점,    ⑵     

38쪽  
⑶        
 
    

 ➋ ⑴       ⑵    ± 
  
⑴    ± 
 ⑵     ± 

   
⑶   
⑴   
  ⑵       
        ➌ ⑴   , 한 점 ⑵    ± 
  
  
⑶   
직선 AC 의 기울기는  또는  이므로 기울기가   
 1 ⑴    ⑵  ± 
 ⑶  
    

또는  이고 타원      , 즉      에 접하는 직

선의 방정식은
2 ⑴      ⑵     

   ± 
 ,    ± 
 3 
⑴   ± ⑵     

4 ⑴    ± 
 ⑵     
본문 42쪽
5 포물선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포물선    위의 점 P    에서의 접선의 방

정식은        이므로 T      


TF    구하는 거리의 최솟값은 직선      위의 점    와 직
한편 
PF 는 점 P 에서 준선까지의 거리와 같으므로 
선      , 즉      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PF         , 
TF 
PF
 ×    
따라서 삼각형 PTF 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   
 
       
 
∠TPF  ∠PTF
이때 
PX⫽ 
TF 이므로 ∠PTF  ∠QPX
∠TPF  ∠QPX

Ⅰ . 이차곡선 153
6 주어진 포물선의 방정식을   라고 하자.  
  
 
  

FH× 
F′H′  × 
 
⑴ 점 P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이므로
 20 %
Q   
 
⑵ ⑴에서 Q   이고 H  , F  이므로 12  
타원 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직
 

PH 
FQ     
선의 방정식은    ± 
  
또 
PH⫽ 
FQ 이므로 사각형 HQFP 는 평행사변형이다.
이 직선이 점     를 지나므로
이때 
PH 
PF 이므로 사각형 HQFP 는 마름모이다.
   ± 
    ,    ± 
   
7 P  라고 하면 점 P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이므로
 
  



Q     R  
           50 %

이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이 접선의 기울기이므로


OR    ×       ×   
  
OH× 
OQ 
OH′× 
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8 삼각형 ABP 의 넓이가 최대일 때는 점 P 에서의 접선이
직선 AB 와 평행하고 절편이 음수일 때이다. 이때   이므로   
 50 %


이때 직선 AB 의 기울기가   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
13     를   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두 점 A B 의 좌표를 각각  , 라고 하면 ,  는 이차방정

     
 식 ㉠의 두 근이다. 이때 이차방정식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9      과      를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또는    또는    
  
또는     또 두 점 A B 는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A    B    
이므로 P  
따라서 선분 AB 의 중점의 좌표는
점 P 에서 타원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은     이므로

  

 
   , 즉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방정식은   
점 P 에서 쌍곡선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은     이므로


  

10 점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쌍곡선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      본문 51~53쪽
두 직선     ,   의 교점의 좌표는  
두 직선     ,   의 교점의 좌표는     01 포물선      의 초점의 좌표는    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포물선      의 초점의 좌표는  


 따라서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직선 의 방정식은
02 점 A에서 준선   까지의 거리가 이므로 점 A 의
    
 , 즉     
  40 %
좌표는 
이때 F 
  F′  
  라고 하면 따라서 점 A 의 좌표는   또는     이고,
     
  
  
 AB 
B     이므로 

FH           


   
   
03 포물선   의 초점의 좌표가    이므로 직선 의
  
  
  
  

F′H′    40 % 기울기를     이라고 하면 직선 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즉     

154 정답 및 풀이
    을 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08   
쌍곡선     의 두 초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두 점 A B 의 좌표를 , 라고 하면  , 는 이차방정식 ㉠
F    F′    이라 하고 
PF 라고 하면
의 두 근이다. 이때 방정식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PF′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ⅰ) 
PF′ 
FF′ , 즉     일 때,
   
 오른쪽 그림에서 삼각형 PF′F 의 넓
한편 두 점 A B 와 준선    사이의 거리는 각각   , 이는
  이고 
AB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ⅱ) 
PF 
FF ′ , 즉   일 때,
   
즉   이므로   , 
 오른쪽 그림에서 삼각형 PF′F 의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넓이는

×  × 
 
04 
타원의 방정식을 

        이라고 하자.      

 
 
 (ⅰ), (ⅱ)에서 삼각형 PF′F 의 넓이는 
 , 
 이다.
AF 
AF′ 이므로   , 
또 
FF ′  에서 F  , F′   이므로 09 직선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포물선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두 직선 ㉠, ㉡이 일치하므로
05 점 P 의 좌표를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   이므로 10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 ≠  ,  ≠ 

           점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즉        
   

06 A  B   이라고 하면 


AB  점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PA , 
PB 라고 하면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삼각형 PAB 의 넓이는
11  
       를   ,      에 각각 대입하여
   ×     

 
정리하면          …… ㉠
07  
타원     의 두 초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 라고 하면

         ×   


주어진 쌍곡선의 방정식을          이라고
     …… ㉢
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이라고 하면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또는    …… ㉣
따라서 구하는 주축의 길이는 
 이다.  

Ⅰ . 이차곡선 155
㉢, ㉣에서 구하는 의 값의 범위는 15  
타원     의 두 초점의 좌표는
   
      또는   
       40 %
F   F′    이라고 하면
12 P      라고 하면 점 P 에서의 접선의 방
정식은
 
 
P  
  또는 P 

  40%

  
  따라서 삼각형 PFF′ 의 넓이는
  
이므로 
 

A     B  
   

× ×  
 
20 %

삼각형 OAB 의 넓이는 16   


주어진 쌍곡선의 방정식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고 하자. 20 %
 
  조건 ㈎에 의하여
한편     이므로
 
    

…… ㉠ 20 %


 
   


  ≥   ×  (단, 등호는   일 때 성립)
   조건 ㈏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20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따라서  ≥ 이므로 삼각형 OAB 의 넓이의 최솟값은 이   
    
 20 %

다. 따라서 주축의 길이는

   × 
  
 20 %
13 쌍곡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 인 직선의
 
17 포물선    위의 점 P 에서의 접선
방정식은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즉     
즉  
    이므로  이므로 Q    R    50 %
 
 
따라서 쌍곡선     의 두 초점의 좌표는 PR 
따라서          
 ,
 
RQ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PR
이므로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
 이다.   50 %

RQ
14   
쌍곡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   
  18 쌍곡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인 직
 
정식은
선의 방정식은
   ± 
    (단,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40 %
점 P 의 좌표를     라고 하면 이 직선이 점 P 를 지나므로
직선     
   위의 점  
    와 직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사이의 거리는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

    
  
 ≠ 일 때, 이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이 접선의 기울기이므로

 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  이므로    20 %

  
  ,     
  
본문 54쪽
따라서 점 P 가 그리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이므로
생략
그 넓이는  ×   

156 정답 및 풀이

 
   
AB  
BC AC이므로

 
 
  
 AC
 CD 
AD …… ㉠
또 
    
BC  
CD BD 이므로

  
 
 
AB   
BD AD …… ㉡
본문 58쪽
㉠, ㉡에서         
1 ⑴ 선분 DC ⑵ 선분 DC

2  ⑴ AD ⑵ PT

  
AB  
BC  
CA  
AB  
BC CA
 
AC CA
  
AA

⑴ ⑵
본문 59~61쪽

59쪽 크기: 튀김 기름의 온도, 풍선의 부피


크기와 방향: 혜성의 속도


⑴  ⑵ 

⑴ 
  ⑵  
 

방향: 동쪽, 속력: 시속  km

1
⑴   
FO  
OC ED ⑵   
FA  
OB  
EO DC

2 삼각형 ABC 에서

AB 
BC 
CA, 
AC 
AB 
BC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⑵ 남동풍  ms
        
          

본문 62~65쪽

본문 66~69쪽
62쪽 북동쪽
⑴ ⑵ 66쪽 벡터 와
 방향이 같고 크기가   의  배이다.

Ⅱ . 벡터 157
 
 × 에서
 
  이므로 벡터 와
 방향이 3 ⑴ 
AD ⑵ 
 
 

    

4 ⑴    ⑵   

같고 크기가  ×      이다.
   5 
 6 ⑴   
AF  
AD  
DF   이므로
따라서 벡터  는 벡터 와  방향이 같은 단위벡터이다.
     
AC   
AF  

⑴  
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에서 ⑵   
AE  
AB BE  AD     이므로
DF
     
EA

 
  
 

따라서 두 벡터  와  는 서로 평행하다. 7 ⑴   


AB  
CD  
AB  
BO AO 이므로
   
AB  라고
AC  하면   
AB CD    
AO   
  
BC  
AC  
AB   ⑵   
CO  
AE  
DE EA DA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CO AE    
DA   
MN AN AM   
  
8 ⑴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BC이므로  BC , 
MN⫽ 

MN  
MN 
 
BC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⑵          
 
 

1 두 벡터 
 가
 평행하다.
이고  
 는 오른쪽 그림에서 벡터

2 
  
 에서 
   
DE와 같으므로

이때 두 벡터  가
 평행하지 않으므로        
 
     
DE 

역으로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9 ⑴    
⑵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본문 70쪽
 
   
⑴     ⑵  
     
    
   

10    
BP   
AP  
PA PA이므로
 
PA 
PB
본문 71~73쪽
따라서 두 벡터 
PA와 
PB는 시점이 점 P 로 같고 방향이 반대

➊⑴ 
AB ⑵    ⑶ 단위벡터 ⑷  이며 크기가 같으므로 점 P 는 선분 AB 의 중점이다.

11       
 
  
  ,
➋⑴   
AC CB AB OB OA
      
 
  
 
➌ ⑴       ⑶ ⫽
  AC OC OA
따라서 
AB 
AC이므로 세 점 A , B , C 는 한 직선 위에 있
1
다.

2 

158 정답 및 풀이
12   
AB  
AC  
AD  
AE AF 이때   
AQ  ,   
AB  이므로

 AE
   AC
 AF
  
AD 
 
 
  AB   
 

 
AD   
AD AD  
    

    × 
AD AO   
 
AO 70 %    
⑴     ⑵    
 
즉   
AO AO 이므로
 30 % 네 점 A B C G 의 위치벡터를 각각 ,
 , , 라
  
13   
MA  
MB    
DN  이므로
CN    
고 하면   
  
AD  
BC  
AD  
MA  
MB  
BC  
DN 
CN 
GA    
GB GC
   
MA  
AD   
DN  
MB  
BC 
CN
  
 
   
 
  
 

  
MN  
MN MN
 
 
 
  
 
 
 
  
 
 

14 강물이 흐르지 않을 때,  
배가 A지점에서 출발한 지 분 후의
배의 위치를 C′, 강물이 흐를 때 분
후의 배의 위치를 B′ 이라고 하자. 30 %
⑴ ⑵
흐르지 않는 물에서의 배의 속도를 , 강물의 속도를
라고
 하면 배의 실제 속도는  이므로 

    ,       30 %

따라서 직각삼각형 AB′C′ 에서


 
tan     20 %
 
AC′ 
또          
 이므로 흐르지 않는 물
본문 78~82쪽
에서의 배의 속력은 분속 
 m이다. 20 %

78쪽 
OA  
   
OA  
 
  
OA    
 

⑴    ⑵ 


    

⑶ 
 
  
  ⑷ 
 
 

⑴ 
 ⑵ 
본문 74쪽      
1⑴ ⑵ 
 ⑴   ⑵    
⑶     ⑷   
2 ⑴     
 
⑵             
⑴       ⑵      
⑴ 
AB      
AB   

   
⑵ AB   ,  AB   
본문 75~77쪽

75쪽 와
 ,
 와
 ,
 와 

⑴   
   ⑵   
  
 

⑴ 
AQ 
BQ    이므로
   
AQ  AB
 

Ⅱ . 벡터 159
   
AB×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AF
AB×  
AE 
EF

    
AB× 
AE 
AB× 
EF
2        
AB ×  AE  AB × 
CF ′
 
AB  
AC cos∠CAB   
AB  
CD  cos∠DCF′
  
AB⋅  
AC  
AB⋅ CD
본문 83~90쪽  ⋅
 
 ⋅
 

83쪽 
 cos 
 cos × 
⑴ ° ⑵ °

⑴   ⑵   ⑶  
  

⋅
 
     cos°
      이고   
PA  ,    
PB  이므로
    ×        
PA⋅   
PB  ⋅
  
 

⑴  ⑵ 
         
⑴  ⑵  
따라서 
PA⊥ 
PB이므로 ∠APB  °이다.
⋅
 
    ⋅   
   

   
본문 91쪽
⋅
 
     ⋅         
        최댓값:   
 , 최솟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본문 92~97쪽
⋅
   ⋅     ⋅   
92쪽 평행하다.
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     ⑵    

     ⋅
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95쪽 수직이다.

 

⑴        ⑵       
⑴        ⑵       
점 C 에서 선분 DF 에 내린 수
선의 발을 F′ 이라고 하면

CF′ 
EF 이므로 1  또는 °   2 °
⋅
   
⑴ 점 A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이다.
  
AB⋅ AD
⑵ 점 A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 
AB  
AD  cos∠DAB

160 정답 및 풀이
⑴ 선분 AB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이다.  
    

⑵ 선분 OA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이다.
10 조건 ㈎에 의하여 이 아닌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

라고 할 수 있다. 40 %

조건 ㈏에 의하여     이므로



      ,   
본문 98~100쪽 
 
➊ 위치벡터    또는    40 %
 
➋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벡터 는
➌ ⑴     cos  °   ⑵    ⑶  
    또는 
      
  
 20 %
➍ ⑴  ⑵ 
11 두 직선  의 방향벡터를 각각 
 라고 하면
1   
  
   
  

2 ⑴  ⑵ 
    
⋅    
 cos ° 이므로  
  
3 ⑴  ⑵  
     
       
 

 이때   이므로
4 ⑴  ⑵ 
        ,    ± 

5   
⑴   ⑵        12 점 P 의 좌표를    라고 하면  
AP⋅  에서
BP
 
        ⋅          
6      
OP  O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B OA   
OQ    이므로
    
 따라서 점 P 가 그리는 도형은 중심이 점    이고 반지름의
 OQ
PQ  
OP 
 
     
     
   길이가 인 원이므로 구하는 둘레의 길이는
 ×   
   
   
 
 13 선분 AD 의 연장선과 선분 BC 의 교점을 E 라고 하면 세
  점 A, D , E 는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7     ,     에서    ,    이므로
  
  DA DE (단,  ≠ 이다.) …… ㉠
 이때 점 E 가 선분 BC 를      로 내분한다고 하면
  
        
DE DC DB …… ㉡
8    에서
한편 주어진 식에서
               
 
DA DB  DC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이므로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 DB  DC      
DB DC
     
 
9         이고 두 벡터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므로         
 
°이므로  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 벡터 161
즉 
BE 
EC   이므로 삼각형 ABE 의 넓이는   
OC  
OA OB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
AD 
DE    이므로 삼각형 ABD 의 넓이는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14  
두 벡터 OP 와 OQ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 ≤  ≤ °라고 하면  
OP    ,    이므로
OQ
 
03        
  ,
  
OP⋅  cos 
OQ  ° ≤  ≤ ° 
  cos °    °   ≤ °
OP   
 

 
따라서 
O P⋅ 
O Q 는   °일 때 최댓값을 가지므로 최댓값         이므로
OQ
  

은     
PQ OQ OP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OP⋅ OQ 는   °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최솟값은    
    
 cos °  °   ×     

15 점 P 에서 직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을 04            


AB
Q  라고 하면 점 Q 는 직선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이므로
CA
   
AB CA          
     ,     …… ㉠ 20 %

   
또 PQ      이고, 직선 의 방향벡터를

AB 
 CA 
AB   
AC CB

라고 하면 
    이므로 
  
PQ⋅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0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30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 
      
따라서 
PQ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거리는
따라서   일 때 벡터   의 크기가 최소이다.

 06

PQ      
    
   
  
 20 %
∠AOB  ° 이므로
  ×  × cos °  
⋅OB
OA 


       
⋅ OA   OA  OB⋅ OA

  
OA     
OB⋅ OA
 
 ×    ×     
 

본문 101~103쪽 즉     이므로      …… ㉠


⋅ OB  
   
OA  
OB⋅ OB
01 ⑤
   
OA⋅   
OB OB 
02 오른쪽 그림에서
   
 ,  
OA   ×    ×      
 
    ,
OB 
     즉      이므로      …… ㉡
OC 

162 정답 및 풀이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11 
BA  

  ,



   
07 °
∠AOB    ° 이므로


BC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B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C       ,

 
  
 
 

  


  

08 두 벡터 
AB, 
AP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라고 하면
  
BA⋅ 
BC  

    



  
AB⋅  
AP AB  
AP  cos  
 

점 P 에서 직선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  
BA⋅  이므로 두 벡터 
BC  
BA BC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AP  cos   
AH 이므로
  °   ≤ ° 라고 하면
AB⋅  
AP AB  
AP  cos 
  
BA⋅ BC

AB× 
AH  
AH cos °    
 BA  BC 
  
이때  ≤ 
AH≤ 에서  ≤  
AH≤ 


따라서   
AB⋅ AP의 최댓값은  , 최솟값은 이다. 
점 P 의 좌표를    라고 하면 따라서 °    °이므로

AB⋅ 
     ⋅            
AP °   °
      °
 
이때   ≤  ≤ 이므로
12  
 ≤      ≤  , 즉  ≤ 
AB⋅
AP≤  두 방정식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따라서 최댓값은  , 최솟값은  이다.      
09       
 의 양변을 제곱하면 이므로 두 직선   의 교점을 P 라고 하면 P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   이므로 두 점 A P 를
AP

  ⋅
 
  ×   , ⋅
 
  지나는 직선의 방향벡터는   ≠   의 꼴이다.
⋅
 
 이므로 두 벡터   가
 이루는 각의 크기를 또 
AP   이므로 구하는 단위벡터는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13 점 P 의 좌표를    라고 하면
 
AP  
BP C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이므로 구하는 각의 크기는 °이다.         

10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AP BP CP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 이므로 따라서 점 P 가 그리는 도형은 중심이 점    이고 반지름의
       ⋅        길이가 인 원이므로 구하는 최댓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반직선 AD 가 각 BAC 의 이등분선이므로

BD 
CD 
AB 
AC   

Ⅱ . 벡터 163
즉 점 D 는 선분 BC 를   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50 %
 
     
AD 
   
     50 %
 
본문 108쪽
15 점 P 의 좌표를   라고 하면
 1 ⑴ 모서리 DC , 모서리 EF , 모서리 HG
  20 %
 ⑵ 모서리 EF , 모서리 FG , 모서리 GH , 모서리 HE
  
PA              
PB 
2 

       
          30 %

  
PA   
PB           본문 109~112쪽

     
    
 
30 % 109쪽  없다.


따라서    
PA PB 는    일 때 최솟값 

 




  를 갖는다.

20 % 110쪽 평행하다. 평행하다.

16         의 양변을 제곱하면


⑴ 평면 AGLF , 평면 BHIC , 평면 CIJD , 평면
     ⋅
 
         ⋅
 
   
FLKE , 평면 ABCDEF , 평면 GHIJKL
 ⋅
   70 % ⑵ 평면 DJKE
즉 ⋅
 
  이므로 ⊥
 이다.
 30 % ⫽이므로 직선 과 평면 는 만나지 않는다. 이때

17   
AB⋅ 
AC   이므로 두 벡터 
 AB, 직선  은 평면  위에 있으므로 두 직선 ,  도 만나지 않는

AC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라고 하면 다. 즉 두 직선  은 평행하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그런데
 AC  두 직선   은 모두 평면  위에 있으므로
AB⋅
cos°      ⫽
 AB  AC 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면 와 직
 

  선 이 평행하지 않고 점 P 를 공유한다
×
 고 가정하자.
 50 %
 이때 ⫽이므로 두 직선    을 모두 포함하는 평면은 오직
따라서 °    °이므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하나 존재하고, 이 평면을  라고 하면 점 P 는 직선  위에 있
    으므로 평면  위에 있다.
 AB× AC× sin°   ×  ×  × 
   따라서 점 P 는 두 평면 ,  위에 있으므로 두 평면의 교선 
 위에 있다. 즉 두 직선   은 점 P 에서 만나고 이것은 ⫽
 50 %

에 모순이므로
⫽
본문 104쪽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면  위에
있고 한 점에서 만나는 두 직선을 , 
이라고 하면 ⫽ 이므로
⫽ ⫽

속력: 시속  km
비오는 날 우산을 쓰고 걸을 때 우산을 걷는 방향으
로 기울여 써야 한다.

164 정답 및 풀이
두 직선  이 평면 와 만난다고 가정하면 ⫽이므로 두 또 
PH⊥이므로 직선 은 직선 PO 와 직선 PH 를 포함하
직선   은 평면 와도 만난다. 는 평면 POH 에 수직이다. 이때 직선 OH 는 평면 POH 에
이것은 ⫽ ⫽ 에 모순이므로 포함되므로 
OH⊥
⫽ ⫽
➌ 
PH⊥이고 
OH⊥ 이므로 직선 은 직선 PH 와 직선 OH
이때 두 직선   은 모두 평면  위에 있으므로
를 포함하는 평면 POH 에 수직이다. 이때 직선 PO 는 평면
⫽
POH 에 포함되므로 PO⊥
또 
PO⊥ 
OH 이므로 직선 PO 는 직선 과 직선 OH 를 포함
진택: 참
하는 평면 에 수직이다.
하은: 거짓, 오른쪽 그림에서 ⫽이고
⫽ 이지만   는 만난다.

현진: 거짓, 오른쪽 그림에서 ⫽이고 
⫽이지만   은 한 점에서 만난다.
m

본문 113쪽
1 점 Q 에서 직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고, 점
정면도: 평면도 : R 에서 직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고 하자.
삼수선의 정리 ➊에 의하여 
PH⊥ 
PH′⊥ 이고, 점 P 에서
직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은 유일하므로 점 H와 점 H′ 은 같다.
우측면도: 2 직선 은 두 평면 PQS , PRS 와 각각 수직이다. 직선  위의
점 S 를 지나고 직선 에 수직인 평면은 유일하므로 네 점
P Q R S 는 한 평면 위에 있다.

본문 118~123쪽

118쪽 ∠AOB  ∠AMB  ∠APB


∠AOB  ∠DPC

본문 114~117쪽 

114쪽 막대 과 평행하고 막대 과 만나는 새로운 막

대를 놓고 이 막대와 막대  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한다.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평
⑴ ° ⑵ ° 면   의 교선을 이라고 하면
⑴ 삼각형 ACD 와 삼각형 BCD 는 모두 정삼각형이 
AO⊥ …… ㉠
고 점 M은 선분 CD 의 중점이므로
평면  위에 
BO⊥ 인 점 B 를 잡
 
CD⊥ AM 
CD⊥ 
BM
으면 ⊥이므로

CD⊥ (평면 ABM) 
AO⊥
BO …… ㉡
⑵ 
CD⊥ (평면 ABM )이고 직선 AB 는 평면 ABM 에 포함되므 
㉠, ㉡에서 AO⊥
로 
AB⊥ 
CD

120쪽 선분, 사각형


116쪽 °

⑴ 선분 EG ⑵ 삼각형 DGC
➋ 
PO⊥ 이고 직선 은 평면  위의 직선이므
⑴  ⑵ °

로 OP⊥ 

Ⅲ . 공간도형 165
  
  × 
 ×   
 30 %
  

8 
DB     
cos       ,
본문 124쪽 
DF 
    
   

⑴ 
 ⑵ 
 
DE     

cos       ,

DF 
    
   


⑴ 장축의 길이 :  
cos , 단축의 길이: 
DG     
cos      
 
DF 
    
   
⑵ 
cos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cos  cos  cos      
  


9 오른쪽 그림에서 수면과 밑면이 이루


는 각의 크기를 라고 하면
본문 125~127쪽 
cos  

➊ 평행 따라서 수면의 넓이를  라고 하면
➋⑴ 
PH⊥ ⑵ 
OH ⊥ ⑶ 
PO⊥ 
 ×    × 
➌ ⑴ 이면각 ⑵ 정사영 ⑶ 
ABcos ⑷  cos 
  cm 
1 

2  10 점 A 에서 직선 BD 에 내린 수선의
을 H, 점 H에서 직선 CD 에 내린 수선의
3 °
발을 I 라고 하면 삼수선의 정리 ➊에 의하
4 ⑴ 
 ⑵ 

여 
AI ⊥ 
CD 이므로 구하는 거리는 선분
5  AI 의 길이와 같다.
6 ㄱ, ㄴ, ㄷ 이때   
AH  HI 이므로
7 점 O 에서 직선 AB 에 AI 
 
     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하면 삼각형
11 모서리 AB 의 중점을 N 이라고
OAB 에서
하면 
AB ⊥ 
CN이므로
 
 ×  ×    × 
   × 
OH 
CN 

 
 이등변삼각형 ABM에서

OH  20 %

 
AB ⊥ 
MN 이므로
또 
OB⊥ 
OC 
OC⊥ 
OA 에서 (평면 ABO )⊥ 
OC 이므로 
MN 


OC⊥ 
OH 또 이등변삼각형 CDN 에서 
CD⊥ 
MN 이므로 두 평면 ABC ,
직각삼각형 OHC 에서 ABM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라고 하면

  
  
 
CH     

 

  20 %
MN
cos    

CN 

삼수선의 정리 ➊에 의하여 
이때 삼각형 ABM의 넓이는  ×  × 
  
 이므로 구

CH⊥ 
AB 30 % 
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 

 ×  
 

따라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166 정답 및 풀이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본문 131~132쪽
옆면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131쪽
라고 하면
 
   ×  ×   

 
또 삼각형 OAB 의 넓이는

 ×   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 라고 하면 

 ⑴  ⑵ 
   ×    × 
   

   
AB    
BC  CA 
 이므로 삼각형
   30%
ABC 는 정삼각형이다.
한편 삼각형 OAB 의 평면 ABCD 위로의 정사영의      

넓이는  × ×   

1       또는     
이므로 평면 OAB 와 평면 ABCD 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
라고 하면
2  m
 
cos     40%
 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본문 133~135쪽


 ×  cos   × 
   ×  133쪽  


     30% 점 Q 의 좌표를      라 하고 세 점 A, B ,

Q 의 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A′ B′ Q′ 이라고 하면
A′   B′     Q′  

이고 
A′Q′ 
Q′B′ 
AQ 
QB    이므로 점 Q′ 은 선분 A′B′
을   으로 외분하는 점이다.
본문 128쪽
이때 세 점 A′ B′ Q′ 은  평면 위의 점이므로
1 ⑴ 
 ⑵ 
       
  ,   
2 ⑴   ⑵       
같은 방법으로 세 점 A B Q 의 평면 또는 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이용하면
본문 129~130쪽
    

129쪽 층 D 열  번  B   
따라서 점 Q 의 좌표는

⑴ P      Q   R    


⑵ P      Q   R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     ⑵      
⑴     ⑵     
⑶      ⑷     

   
⑶    
   
1 정사영의 좌표:    , 특징: 좌표가 모두  이        
다., 평면의 방정식:   
2 

Ⅲ . 공간도형 167
유진: 점 D 에서 선분 EG 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라고
하면 삼수선의 정리 ➋에 의하여 
HP⊥ 
EG

            
➌ ⑴    
      
따라서 점 P 는 선분 EG 의 중점이므로


           
⑵ 
 
  
    
HP  × 
 
   
    ➍                 

DP 
      1 ⑴    ⑵   

현수: 점 H를 원점으로 하고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 EH , GH , ⑶      ⑷    


DH 를 각각 축,  축, 축 위에 놓으면 2 ⑴ 
 ⑵ 

D    E
     G 
   3 ⑴     ⑵      
선분 EG 를      로 내분하는 점을 I 라고 하면
4 ⑴             
I 
      
   
⑵               
점 D 와 직선 EG 사이의 거리는 선분 DI 의 길이의 최솟값과
같으므로 5 점 B 와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을 B′ 이라고 하면
B′   

DI  

      
     
AP 
BP 
AP 
B′P

    
    

≥
AB′

따라서 선분 DI 의 길이의 최솟값은 


  이다.  
               

6 AB 
                   

본문 136~138쪽
두 점 A B 의 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A′ B′이라고 하
면 A′   , B′    이므로
136쪽 
        A′B′ 
            
따라서 직선 AB 와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 하면
⑴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에서 cos 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7 점 D 의 좌표를      라고 하면 평행사변형의 두 대
각선 AC BD 의 중점의 좌표가 같으므로
1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중심의 좌표:     , 반지름의 길이: 
따라서 D     이므로 삼각형 BCD 의 무게중심의 좌표
  

본문 139쪽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8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H 를 원점으로 하고, 정육면체의 세
모서리 EH, GH , DH 를 각각 축,
축, 축 위에 놓으면
D    , E    ,
F    40 %

점 P 의 좌표는

본문 140~142쪽  

  


  
× 
, 즉      30 %

➊ ⑴ 좌표공간 ⑵ 공간좌표 EP 


             30 %

➋ 
                   

168 정답 및 풀이
9                 에서 꼭짓점 A 에서 면 BCD 에 내린 수선의 발은 삼각형 BCD 의 무
게중심과 같으므로 그 좌표는
              
이때 주어진 구가 평면에 접하므로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10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따라서 정사면체 ABCD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구의 중심     과 원점 O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14 주어진 구의 방정식을
이고,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
 30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     , 최솟값은
이라고 하면 구가 점      를 지나므로
    이다. 40 %
               
11 주어진 구의 중심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또는   
따라서 두 구의 중심          사이의 거리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도형의 반
지름의 길이는

 
     

이므로 구가 평면과 만나서 생기 본문 143~145쪽

는 도형의 넓이는  ×  
   
01 ⑤
12 점 A 의 평면 위로의 정사
02 ①
영을 A′ 이라고 하면
A′     03 ③

이때 점 A′     과 주어진 04 삼수선의 정리 ➊에 의하여 


PH⊥ 
AB 이므로 삼각형

원의 중심      사이의 거리 APH에서 PH 


   
   
는 따라서 삼각형 POH 에서 PO 
     

         
05 점 A 에서 직선  에 내린 수
따라서 선분 A′P 의 길이의 최댓값은     이므로 선분 선의 발을 H , 점 H 에서 직선
PA 의 길이의 최댓값은 P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이라

    
 고 하면 삼수선의 정리 ➊에 의하
또 선분 A′P 의 길이의 최솟값은     이므로 선분 PA의 여
길이의 최솟값은      
 
AH′⊥ 
PB

13    따라서 ∠APH′  이다.


AC  
AD 에서

AP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H × °   ,


  
  PH′   ×  °   
BC  
BD 에서  
             
PH′ 
이므로 cos    

PA 
             


Ⅲ . 공간도형 169
06 단면의 밑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 

  11 선분 AB 를   으로 내분하는 점이 평면 위에 있으
 ×  ×    
 
므로
단면과 밑면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라고 하면 
  ,  
  
cos     

  
  
12                 에서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  

     
     
07 오른쪽 그림과 같이
태양 광선과 수직이고 풍 이므로   일 때 최솟값 을 갖는다.

선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 이때 구의 부피는

이 지면과 이루는 각의 크 
  ×   

기는 °이다.
그림자의 넓이를  라고 하면 13           에서

 cos °  ⋅ ,   m              


C     이므로 
AC 
08 정육각형 MNOPQR 의 한 변의 길이가 
 이므로 그 넓
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뿔과 구의 교선 위
이는
의 한 점을 P 라고 하면 주어진 구의 반지름


 ×  × 
    
 의 길이가 이므로

정육각형 MNOPQR 의 평면 ABCD 위로 AP 
     

의 정사영은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 이때 원뿔과 구의 교선은 원이고, 이 원의 반
과 같으므로 그 넓이는 지름의 길이를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cos    이므로 



cos   
 따라서 구하는 교선의 길이는
 
09 B    C    D    이므로 삼각  ×    
 
형 BCD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14 점 O 에서 평면
 
     , 즉       
    
 



 EFGH 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 직선
  EH 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라고 하면
따라서           이므로
 
 
OQ  ×   
,
 
  
 
PQ 
10 점 C 가 그리는 원의 중심은 선분 AB 의 중점과 같으므로
이므로 OP 
  
     
 50 %

     
    
    , 즉     점 O 에서 평면 AEHD 에 내린 수선의 발을 R 라고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선분 AB 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하면 ∠OQR   


QR 
OP 
 이므로

높이와 같으므로 
QR 
cos      50 %

OQ 

   
 × AB  × 
             
 

170 정답 및 풀이
15 
PA 
PB    에서  
PA  
PB 이므로 본문 146쪽
 

PA   
PB 20 % 삼각기둥, 사각기둥과 같이 평면 테셀레이션이 가능
이때 P     라고 하면 한 다각형을 밑면으로 하는 각기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

따라서 구하는 겉넓이는


본문 148쪽
 ×    40 %

1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O′ 을 원점으로 하고, 세 점 A′, B′,
O 를 각각 축, 축, 축 위에 놓으면

AA′  
BB′ 
이므로
A    B    
60 %

따라서 두 점 A , B 사이의 거리는


AB 
              
 40 %

17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40 %

점 C 에서 직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하면
CH 
     
 40 %

따라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  × 
  
 20 %

Ⅲ . 공간도형 17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