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강화기구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6

제 5장 재료강화기구

• 결정립 미세화 강화 (grain refinement strengthening)


• 고용(체) 강화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 석출경화 (precipitation hardening) 또는 시효경화(aging)
• 분산강화(dispersion strengthening)
• 가공경화 (work hardening, strain hardening)
• 마르텐사이트 강화(martensitic strengthening)
• 복합재료강화 (composite strengthening, fiber strengthening)
• 규칙화 강화 (order strengthening)
• 집합조직에 의한 강화 (texture strengthening)
결정립 미세화 강화 (grain refinement strengthening)
결정립 미세화 강화 (grain refinement strengthening)
• 결정입계는 고유의 강도를 가지고 있지 않고 있으나, 결정립내의 슬립에 대한 상호작용
및 전위집적(pile-up)에 의해 재료를 강화시킨다.
(Bi-crystal의 경우 불일치각(misorientation :θ)이 증가할수록 강도증가)

• fcc 단결정의 응력 변형율곡선으로부터 다결정의 응력 변형율 성질 계산

σ
• 단결정의 분해전단응력 : τ  σ cos cosλ  σ  m  m : Schmid factor
M M : 방위인자(Orientation factor)
(Schmid factor의 역수)

• 다결정 변형에너지 = 단결정 각개의 변형 에너지의 합


n
 d   1d 1   2 d 2   3d 3   x d n   i d i    (1)
x 1

  M    (2), 이므로, 1   2     n 이라 하면
n

 
d i
(1)과 (2)로부터  i 1  M    (3)
 d

Von-Mises 항복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소 5조 이상의 슬립계가 가동한다고 할 때


 d 2 d
  M,  에서 M
M d d
fcc의 경우 M  3.07 이므로 다결정의 가공 경화속도가 단결정의 경우보다 9.5배가 크다.
Hall-Petch 관계식

• 다결정의 강도는 단결정의 강도보다 작고, 가공경화속도는 크다.


• Hall과 Petch는 입계의 증가에 따르는 전위밀도 및 전위집적 효과에 의한 항복응력 증가에
대한 실험식 제안
1
 0   i  aGb 2  0  항복 응력,  i 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   전위밀도


1 k =전위 집적 정도를 나타내는 상수
 0   i  kd 2 d=결정립의 지름, G=전단탄성계수, b=Burger’s vector
결정입도 측정법의 예
단위길이당 교차 결정립수
①선 : 10EA/5cm
②선 : 13EA/5cm
③선 : 10EA/5cm
평균 : 11EA/5cn
5cm 2
역수를 취하면 11ea  0.4545 10 m / ea
5 x100
배율(x100)으로 나누면  4.5454 10 m / ea

μm 단위를 위해 106 을 곱하면 평균입도=45.4 μm /ea이다.

<예제> σi  150MPa k  0.7MPa m 일 때, ASTM #6 입도의 항복응력은?

ASTM #6는 45 μm = 45x10-6m 이므로


1 1 1
 
6
σ 0  σi  kD 2
 150MPa  0.7MPa m (45 10 m)
2 2
 254.3MPa
참고 (재료 강화기구와 관련된 거동의 하나)

변형시효(strain aging)

변형시효는 항복점현상 (Yield point phenomena)과 관련된 거동의 일종으로, 냉간 가공 후 상대적


으로 낮은 온도에서 가열할 때 금속의 강도가 증가하고 연성이 감소하는 현상.

영역 A : 항복점 현상
영역 B : 항복점 현상 소멸
→ 질소나 탄소 원자의 분위기로부터 전위가 벗어나 있기 때문
영역 C : 130℃에서 재가열 후(시효처리 후) 항복점 현상 재생성
→ 탄소나 질소 원자가 시효기간 중 전위로 확산하여 전위주위에
새로운 코트렐 분위기(용질원자 분위기) 형성
(전반적으로 가공경화에 의한 항복강도증가)

• 철의 경우 질소가 탄소보다 변형시효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함.


→ 질소의 용해도와 확산계수가 탄소의 경우보다 더 크고 서냉하는 동안 석출이 덜 일어나기 때문.

• 변형시효에 의해 항복점 현상이 나타나면 또 다시 변형무늬(Lüders band or stretcher strain)가 다시 나타남.

<변형시효를 줄이는 방안>


• N, C등의 침입형 고용체를 안정한 탄화물이나 질화물로 만들어 그 고용량을 줄인다.
→ Al, V, Ti, Nb, B등 첨가
• 조질 압연(skin rolling) : 1-2%의 pre-rolling을 통해 용질원자 분위기 억제
참고 (재료 강화기구와 관련된 거동의 하나)

동적 변형시효 (Dynamic strain Aging) or Portevin Lechatelier 효과

• 재료 내에서 용질의 확산속도가 충분히 크면 변형 중에도 전위가 용질원자에 묶일 수 있음.


- 전위의 pinning (내부응력의 증가)

• 변형이 계속되어 새로운 전위가 생기는 과정과 전위의 pinning이 반복되면, 인장시험곡선에
톱니 모양의 파동선 (serration)이 나타남.
(단, 고온에서는 전위주위의 용질원자 분위기가 확산되어 없어지기 때문에 serration이 없어짐.)

• 담금질시효(Quench aging) : 철강 중의 C, N, O의 용해도는 저온에서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약 600℃이상에서 급냉하면 이들의 원소가 과포화 상태에서 서서히 석출하는 현상을 일으킨다.
고용체 강화(solid solution strengthening)
• 합금원소가 고용하면 용질원자 주위에 결정격자(lattice)의 탄성적 strain발생
→ 전위의 운동을 방해하여 재료 강화

• 용질원자에 의한 강화량은 용질원자농도의 평방근에 비례 : 즉  C (C : 용질원자의 양)

•부가적 효과
-용질원자와 전위 주위에 분위기를 형성하여 전위를 고착시키는 Cottrell효과.
- α-Fe에 있어서의 C, N등의 침입형 고용원자가 전위 주위에 규칙 배열하여 전위를 고착시키는
Snoek pinning효과.

• 고용체 형태 : 치환형 고용체, 침입형 고용체

• 치환형 고용체의 경우 :
- 용질원자와 용매원자간의 원자크기 비가 클수록 강화량 크게 증가
- 원자 크기비가 클수록 고용량이 적어지므로, 고용체 강화만으로는 강한 재료를 얻기는 힘듦.

• 침입형 고용체의 경우 :
- 철 격자 중의 침입형 C, N등은 결정격자를 비대칭으로 변형
(치환형 원자의 등방성 변형보다 전위와의 상호작용이 매우 큼)

• 침입형 고용 강화효과 > 치환형


고용체 강화(solid solution strengthening)
• 치환형 고용체 형성 경향(Hume-Rothery법칙)

1)만일 두 원자 크기의 차이비가 15%미만일 경우 고용체 형성 경향.

2)서로 강한 화학적 친화력이 없는 재료는 고용체를 형성 경향.


but 전기 음성도(electro-negativity)차이가 큰 금속끼리는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 경향.

3)원자가가 작은 용매 속으로의 원자가가 큰 금속의 용해도가 이와 반대인 경우보다 더 크다.

4)전율고용체를 형성하려면 용질 원자가 용매원자의 결정구조 동일해야 함.


혼합상 에 의한 강화기구( 석출경화, 분산강화, 복합재료 강화)

 혼합 복합체의 종류
a) 군집체(aggregated structure)
b) 분산상(dispersed structure)

 두 상 혼합 복합재의 재료 강도 변화 거동은 복합재료, 분산강화재료, 석출경화재료와 동일.

 phase 1의 부피분율이 f1이고 phase 2의 분율이 f2 일 때 f1+ f2=1

 avg  f1 1  f 2 2
 avg  f11  f 2 2
석출경화와 분산강화의 차이점
Consideration for effective dispersion strengthening

(a) the precipitate phase shall be hard and discontinuous


(b) the dispersion phase shall be small and numerous
(c) the dispersion phase shall be round rather than needlelike
(d) larger amounts of dispersed phases increase
strengthening
석출경화(precipitation hardening ) or 시효경화(aging)

모상에 석출상의 핵이 발생하고 성장하는 과정에 의한 재료강화 현상 :


성장 초기 단계에서는 모상과 석출물과의 사이에 격자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정합상태 : coherency state)
→ 정합변형(coherency strain)에 의한 큰 격자변형 → 전위 운동 방해 → 재료 강화

Modified Hall-Petch 관계식


1 1
 
   0  k1D  k2 L
2 2

• 석출경화시 정합간섭성을 이루며 탄성변형장(strain field)를 구성할 때 경화도가 커지며, 입자


가 너무 조대해져서 부정합 간섭성(incoherency)을 이루는 경우에는 그 경화도가 떨어진다.
L L

L
NiAl
석출경화의 예

• Cu 5%-Al 합금의 경우 용체화처리(700℃이상)후 급냉하면 용질원자(Cu)가 과포화된 고용


체 α 생성:
(고온열처리 혹은 서냉하면 안정한 상의 α 와 CuAl 2 ( ) 로 분해)

• 시효 초기단계 : 합금이 용질 편석영역(clustering)함유 – GPI


• GPI 영역 출현 → 국부변형 → 전위 이동제한 → 경도 증가
• 시효 진행에 따라 기지의 {110}면에 구리 원자 배열 → 경도 더욱 증가 → GPII(θ”) 영역
• 시효가 더욱 진행되면 기지의 {110}면에 기지와 정합을 이룬 판상석출물 (θ’) 형성
→ 반정합 석출 물 → 큰 변형장 → 경도 증가 또는 peak
• 시효 후반부에서는 θ’ 로 부터 평형상 CuAl 2 ( ) 의 형성 → 부정합 → 강도저하
 PPT behavior is represented
in the diagram:
 With increasing time, the har
dness increases, reaching a
maximum (peak), then decre
asing in strength.
 The reduction in strength an
d hardness after long period
s is overaging (continued pa
rticle growth). Small solute-enriched regions in a s
olid solution where the lattice is iden
tical or somewhat perturbed from th
at of the solid solution are called Gu
inier-Preston zones.
분산강화(dispersion strengthening )
분산강화(dispersion strengthening )
• 금속기지(matrix)또는 세라믹기지 속에 분산된 불용성의 제2상의 입자에 의해 생기는
강화현상
• 미시적으로는 석출경화와 유사, 거시적으로는 입자 강화복합재료(Particulate
composite)와 유사
• 분산강화재료는 그 입자의 크기가 입자복합재료의 경우보다 작고(~less than 1 m ),
전위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강화기구로서 복합재료와 차이가 있다.
• 분산강화재는 Al2O3 , Y2O3 , AlN, Cr2O3 및 WC등의 탄화물, BN 등의 붕화물 이용
(이들은 기지재료에 용해되지 않고 고온에서도 그 고용도가 대단히 작기 때문에 고온 강
도 우수)

• 분산강화재료 제조법 예 :
분말야금법 : 금속분말과 제2상 입자를 혼합, 성형, 소결.
내부산화법 : (貴)/비 (卑)금속의 합금에서 비(卑)금속 이 우선 산화
→ 귀금속 내부에서 비금속 산화물이 분산

제 2상의 입자로부터 생기는 강화의 연성기지내의 입자의 분포에 따라 달라지며 입자


의 모양, 부피분율(f), 평균입자크기(r )및 입자 간격( L )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4(1  f)r
1

L 이며    0  K ( L) 2
3f
 석출물 주위 응력장에 의한 재료의 강화량( p)은
1 1 3
r
 p  2G f 또는   6G( ) 2 f 2 ε 2 으로 표시
p
b
→ 석출입자 분율 f와 그 입자반경 r에 비례하여 강해진다.

 Orowan의 이론 : 전위가 석출입자를 빠져나갈 때 그 입자둘레에 전위 루프를 남기는 경우 고려


Gb Gb
 p  2 제안 (여기서  는 석출입자의 간격이다.) 즉 (  o  )
 

1
GbG' 2
석출입자의 강도가 약하여 전위가 만일 입자의 중간을 절단 통과할 때 :    [ ]
β : 상수, G : 전단탄성계수, G’ : 석출물의 전단탄성계수 2 
λ : 입자간격, b : 버거스 벡터
(예제) Al-Cu Alloy (4% Cu)의 항복응력이 600MPa 일 때 입자간격 ( ) 와 입자크기
를 계산하여라. (G=27.6GPa, b=0.25nm)
σ 0 600MPa
τ0    300MPa
2 2
Gb 27.6 109 Pa  2.5 1010 m 2Gb
λρ    2.3 108 m  23nm  τp 
τ0 3 10 Pa
8

54  4
①에서의 α(Al) Wt.%   93.5%
54  0.5 T
4  0.5
①에서의 θ(CuAl2 ) Wt.%   6.5%
54  0.5 α θ(CuAl2)
무게 93.5g 5.6
α의부피   34.6cm 3
밀도 2.7g/cc α+θ
←①
무게 6.5g Al
θ의부피    1.5cm 3
밀도 4.43g/cm 3

34.6
α의부피분율  100%  96%
34.6  1.5
θ의부피분율  100  96%  4%
3fλ ρ 3  0.04  23nm
θ의입자반경 r    0.7nm
4(1  f) 4(1  0.04)
복합재료강화 (fiber composite strengthening)
• 입자강화 복합재료, 섬유강화 복합재료(단섬유, 장섬유)
• FRP(fiber reinforced plastic), MMC(metal matrix composite), CMC

• 복합재료(특히 장 섬유 복합재료)의 복합법칙의 가정


1) 기지금속은 연성이며 탄성률이 매우 낮으며, 섬유(fiber)는 탄성률이 매우 높다.
2) 섬유는 외력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 섬유와 기지간의 결합 완전, 계면에서는 슬립이 일어나
지 않는다.
• 복합재료의 탄성률

1) 변형의 초기 단계 : 섬유와 기지 모두 탄성변형


복합재료의 탄성률 (Ec) = Ef Vf  E m Vm  Ef Vf  E m (1  Vf ) - - - -(1)
(Ef  섬유의탄성률, Vf  섬유의체적분율, E m  기지의탄성률, Vm  기지의체적분율)

2) 섬유는 탄성변형을 하고, 기지는 소성변형을 하는 영역:


탄성률 (Ec) : 이 때는 식(1)의 Em 대신에 가공경화계수 (d m / d m ) 를 대입한다.
Ec  Ef Vf  (dσ m /dε m )ε  (1  Vf ) - - - -(2)
보통 순금속에서 는 E m  (dσ m /dε m )ε 이므로
식(2)는 근사적으로, EC  Ef Vf    (3)

3) 섬유와 기지가 다같이 소성변형을 하는 영역 :


매우 복잡한 역학관계, 일반적으로 고려사항에서 제외
대부분의 고탄성 섬유는 소성영역에 들어가기 전에 파단 된다.
(예제) E f  380GPa 인 Boron fiber를 알루미늄에 일방향으로 배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
하였을 때, fiber의 vol %가 10%와 60%일 때의 탄성계수를 구하여라. (E m  60 GPa)
10%  E c  E f Vf  E m (1  Vf )  (380GPa)(0.1)  (60GPa)(0.9)  92GPa
60%  E c  E f Vf  E m (1  Vf )  (380GPa)(0.6)  (60GPa)(0.4)  252GPa

• 복합재료의 인장 강도에서의 고려사항


복합재료의 인장강도
• 섬유의 배합비가 어떤 한계값 (Vmin)을 넘는 경우, 복합재료의 인장강도(σC)는
σc  σf Vf  σ m' (1  Vf )    (4)
여기서, σf 는 섬유의 인장강도, Vf 는 섬유의 체적분율, σ’m 는 복합재료의 파단 스트레인와
동일한 strain에 있어서의 기지의 인장응력.

식(4)는 섬유의 함유량이 한계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 섬유가 파단하는 시점에서, 기지는 인장강도에 도달하지 않으며 가공경화를 계속하기 때문
이다.

• 섬유가 기지만의 강도에 의해서 복합재료의 강도를 부담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에는


σc  σμ (1  Vf ) - - - (5), σμ  기지의 강도

• Vmin 은 식(4)과 식(5)의 교점으로부터 구해진다. …


σ μ  σ' m
Vmin       (6)
σ f  σ μ  σ' m equation (4)
σμ (  )

σ c  σ f Vf  σ' m (1  Vf )  σ μ (1  Vf ) equation (5)


σ’m
σ μ  σ' m
 Vf 
σ f  σ μ  σ' m
복합재료의 인장강도

또 섬유를 복합해서 그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기지만으로부터 얻어진 인장강도 (σμ )보다
복합재료의 인장강도(σC )가 커야 한다. 즉 (σC > σμ )
이 부등호를 같게 놓아서 얻은 섬유의 체적분율(Vf) 을 복합강화에 필요한 섬유의 임계체적분율
(Vcri) 이라 고 하면,
σ μ  σ' m
Vcri     ( 7 )
σ f  σ' m

σ c  σ f Vf  σ' m (1  Vf )  σ μ equation (4)


(  )
σμ
 σ f Vf  σ' m Vf  σ μ equation (5)
σ’m
σ μ  σ' m
 (σ f  σ' m )Vf  σ μ  σ' m Vf  (Vcri ) 
σ f  σ' m

- 식(7)로부터 Vcri은 섬유와 기지의 강도 및 기지의 가공경화능 ( σμ – σ’m )에 의존함을 알 수 있음.

- 재료의 조합에 따라서는 Vcri 이 크게 되어서 다량의 섬유를 복합하지 않으면 강화작용이 나타나
지 않는 경우도 있다.

- 그러나 통상 강도가 큰 섬유가 사용되고 (σf >>σμ ), 기지의 경화능이 그리 크지 않으므로 Vcri
및 Vmin 은 매우 작은 값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