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인천항 기본계획 (해양수산부 고시 제2020-231호)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5

제4차('21∼'30) 전국 무역항 기본계획

3 인천항 기본계획
인천항 기본계획

1. 항만육성 기본방향

◦환황해권 첨단물류․고품격 해양문화관광 거점항으로 육성


◦항만별 특화 및 친환경 항만 구축 강화
◦인천신항은 수도권의 대중국 물류 연계 강화 및 환황해 첨단물류 관문항으로 육성
◦남항은 내항 재개발 및 월미관광 특구 등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한 해양관광
벨트의 핵심 거점으로 구축
◦북항은 수도권 원자재 화물 처리를 위한 산업지원 거점항만으로 육성

2. 항만의 현황

가. 위 치 : 인천광역시 중구, 남구, 연수구 일원


나. 항 종 : 무역항(국가관리항)
다. 항만구역 : 현면적 332,923천㎡(수상 : 317,963천㎡, 육상 : 14,960천㎡)
◦ 수상구역
북위 37도 32분 49.84초, 동경 126도 35분 58.13초 지점과 북위 37도 33분 34.44초,
동경 126도 35분 32.37초(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 거첨도 남단) 지점을 연결한 선과
북위 37도 35분 36.05초, 동경 126도 34분 08.57초(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지점에서
북위 37도 34분 44.05초, 동경 126도 33분 20.58초(세어도 북단) 지점 및 북위 37도
32분 04.07초, 동경 126도 30분 52.59초(영종도 북단) 지점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과
북위 37도 26분 47.11초, 동경 126도 29분 10.60초(영종도 남단) 지점에서 북위 37도
21분 41.14초, 동경 126도 26분 26.62초(해녀도) 지점, 북위 37도 18분 56.16초, 동경
126도 28분 49.61초(남장자서) 지점 및 북위 37도 17분 19.17초, 동경 126도 31분
58.59초(대부도 서북단 타구봉 끝단) 지점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 안의 해면. 다만,
수도권 제2외곽순환도로(송도에서 시화멀티테크노밸리 사이) 끝단에서 오이도
선착장 끝단, 옥귀도, 군자매립지 선착장 끝단 지점을 연결한 선 안의 해면과 시화호
방조제 및 한화교 내륙쪽 해면은 제외한다.
자료 : 항만법 시행령 「별표1」, 2020. 12. 10.
라. 항만시설 현황
안벽(m) 소형선 부두(m) 잔교(기) 방파제(m) 상옥(동) 야적장(천㎡)
25,988 1,443 27 2,423 17 4,099
Ÿ 접안능력 : 125선석(여객 및 유류포함)
Ÿ 하역능력 : 144,204천RT/년
자료 : 2019년 12월 기준
3. 중·장기 개발계획

가. 시설수급 전망
(단위 : 천RT/년, 천TEU/년)
구 분 2019 2030 비 고
총 물 동 량 157,452 185,384
97,228 116,463 유류 및
시 설 소 요
(2,664) (3,773) 카페리제외

144,204 144,204
현재하역능력
(2,924) (2,924)
46,975 27,741
과 부 족
(260) (-849)
주 : ( )내는 컨테이너

나. 품목별 물동량 전망
(단위 : 천RT/년, 천TEU/년)
구 분 2019 2030 2040 비 고
총 물 동 량 157,452 185,384 216,092
양 곡 5,567 5,434 5,470
시 멘 트 4,437 3,648 3,548
석 탄 15,451 14,794 14,795
목 재 1,306 958 632
모 래 1,922 7,684 8,120
철 광 석 5 55 55
철 재 5,054 5,495 5,596
고 철 2,040 1,932 1,933
자 동 차 5,961 6,019 6,008
기 타 광 석 3,573 3,994 4,484
화학공업생산품 2,564 2,530 2,936
잡 화 3,758 3,641 3,659

컨 테 이 너 54,408 68,903 96,428


( 천 T E U ) (3,092) (4,224) (5,908)
유 류 51,403 60,299 62,428
유류 및
시 설 소 요 97,228 116,463 144,498
카페리제외
자료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0년 품목별 항만물동량 예측보고서, 2020
다. 항만개발 규모
구 분 2021~2030 비 고
방파제 800m
외곽 인천신항 방파호안 1,300m
시설 호 안 6,343m
합 계 8,443m
5만GT급 1선석
국제여객
남항 3만GT급 1선석
소 계 2선석
계류
컨테이너 4천TEU급 3(3)선석
시설
인천신항 LNG벙커링 5천CBM급 1선석
소 계 4(3)선석
합 계 6(3)선석
북항 도 로 1,650m 공사중(교량포함)
임항 남항 도 로 1,260m
교통
시설 인천신항 도 로 5,500m
합 계 8,410m
기능 북 항 76천㎡ 공사중
시설 합 계 76천㎡
지원 인 천 신 항 6,236천㎡ 공사중
시설 합 계 6,236천㎡
친수 내 항 15천㎡
시설 합 계 15천㎡
항만 남 항 3,312천㎡ 공사중
배후 인 천 신 항 2,553천㎡ 공사중
단지 합 계 5,865천㎡
제1항로 증심준설 1식
북항
진 입 항 로 준 설 1식
연안부두 소형선 부두 120m
내항
연안부두 수제선정비 400m
예 부 선 계 류 지 300m
기타
남항 유 어 선 부 두 750m
시설
관 리 부 두 1식 부잔교 2기
해 경 부 두 400m
보 안 부 두 600m
인천신항
신항항로연장 및 증심준설 1식
육상전원공급설비(AMP) 1식
주 : ( )내는 컨테이너
4. 항만의 관리・운영계획

가. 항만기능 재정립

◦부두별 화물 처리 특성 및 전망에 따라 화물의 효율적 처리, 항만운영의 최적화를


고려하여 기능을 재정립
- 북 항 : 철재, 목재 등 원자재 처리기능 유지
- 내 항 : 제1, 8부두 항만재개발 기본계획에 따른 친수 및 문화공간 조성
- 연 안 항 : 남항 국제여객터미널 완공 후 국제여객(카페리)은 남항으로 이전하고
기존부두는 연안여객으로 활용
- 남 항 : 국제여객터미널 완공 후 국제여객(크루즈) 수용, 석탄부두 폐쇄 후
물동량은 타 지역(동해․묵호항 등)으로 이전
- 인천신항 : 컨테이너 등 수도권 화물 및 환황해권 국제물류 처리기능 부여,
남항 컨테이너 기능종료 시 발생하는 컨테이너 화물 수용
◦배후산업단지 지원 항만으로 기존 기능을 유지 및 발전, 공항과 연계한 첨단산업
클러스터 육성
◦도시와 항만의 연계성 강화를 위해 친수시설 및 관광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기능부여

취 급 화 물
구 분
현 행 2030년

제1부두 #10,11,12,13,14 잡화 기능폐쇄(재개발)

내 항 제1부두 #15,16,17,18,19 잡화 공용부두

제8부두 #82,84 잡화 기능폐쇄(재개발)

석 탄 부 두 석탄, 유류 기능폐쇄

남 항 영 진 부 두 잡화 기능폐쇄

E 1 C T 컨테이너 기능폐쇄(재정립)

국 제 여 객 부 두 국제여객 연안여객
연안항
보 안 항 구 해군, 해경 어선부두

주 : 공용부두는 하역능력 및 선석수 제외


나. 항만운영 및 관리

◦북항과 내항, 남항 및 인천신항 등 항만별 기능 특화 운영을 통해 환황해권 첨단


물류 및 해양문화관광 거점으로서의 전반적인 인천항의 경쟁력 극대화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 본격 개장에 따른 자동화・스마트 기술 도입 및 컨테
이너부두(1-2단계)를 적기 개발하여 고효율・지속가능 물동량 창출 기반 마련
◦인천신항 항만배후단지를 조기 확충하여 항만물류산업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수
도권 배후 생산지와 소비지에서 발생·처리되는 고부가가치 물류 창출 기능 강화
◦내항은 항만 재개발 및 월미관광 특구 등의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으로 해양관광
벨트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
◦북항은 배후 물류단지 추가 조성 및 원자재 화물 처리・가공을 위한 클러스터화
추진으로 수도권 원자재 화물 처리를 위한 산업지원 거점항만으로 육성
◦남항 신국제여객터미널 완전 개장 및 예비선석 조기 개발을 통해 여객운송 기
능을 일원화하여 고품격 글로벌 해양문화관광 허브항으로 개발
◦내항기능 재정립은 ‘제3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20년말 예정)에 따라 단계적인
부두기능 재배치 추진 및 운영계획 수립
◦석탄부두는 타 항만의 부두 확보 현황, 이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천시 등 관계기관과 지속적인 협의 추진
◦인천신항 해경부두의 개발 및 운영은 국방부와 인천시 등 관계기관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단계적으로 추진

다. 항만 환경개선

◦선박배출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선박연료유 황함유량 기준을 강화(ʼ20.1, 3.5%→


0.5%)하고, 보다 강화된 연료유 기준(0.1%)이 적용되는 배출규제해역을 지정·운영
(ʼ20.9 정박선박, ʼ22.1 모든선박)
◦미세먼지 저감 등 항만대기질 개선을 위한 육상전원공급설비(AMP) 도입
◦시민 친수시설의 확충
- 월미도 관광자원과 연계한 휴식 및 위락 공간 조성
5. 시설계획

가. 개발계획
계획
개 발 계 획 비 고
기간

□ 친수시설
내 ◦월미도 친수시설 : 15,200㎡(호안 580m 포함)

□ 기타시설

◦연안부두 소형선 부두 : 120m
◦연안부두 수제선정비 : 400m

□ 임항교통시설
◦영종도 항만재개발 진입도로 : 1,650m(교량 90m포함) 공사중

북 □ 기능시설
◦ 북성포구 항만시설용부지 : 76천㎡(호안 160m 포함) 공사중

□ 기타시설
2021 ◦제1항로 증심준설 : 1식
∼ ◦진입항로준설 : 1식
2030
□ 계류시설
◦국제여객부두(3단계) : 5만GT급×1선석(310m)
3만GT급×1선석(260m)

□ 임항교통시설
남 ◦남항 우회도로 : 1,260m

□ 항만배후단지

◦남항 2단계 항만배후단지: 3,312천㎡ 공사중

□ 기타시설
◦예부선 계류지 : 300m
◦관리부두 : 부잔교 2기
◦유어선부두 : 750m
계획
개 발 계 획 비 고
기간

□ 외곽시설
◦보안부두 방파제 : 800m
◦보안부두 방파호안 : 1,300m
◦준설토 투기장호안 : 6,343m

□ 계류시설
◦컨테이너부두(1-2단계) : 4천TEU급×3선석(1,050m)
◦LNG벙커링 터미널 : 5천CBM급×1선석(130m)

□ 임항교통시설
◦인천신항 진입도로 지하차도 : 4,300m

2021 ◦인천신항 진입도로 확장 : 1,200m


신 □ 지원시설
2030
항 ◦항만시설용부지(Ⅰ) : 3,676천㎡(호안 6,281m 포함) 공사중
◦항만시설용부지(Ⅱ) : 2,560천㎡(호안 6,016m 포함)

□ 항만배후단지
◦항만배후단지(1-1단계) : 2,146천㎡ 공사중
◦항만배후단지(1-2단계) : 407천㎡

□ 기타시설
◦해경부두 : 400m
◦보안부두 : 600m
◦신항항로연장 및 증심준설 : 1식
◦육상전원공급설비(AMP) : 1식
나. 개발효과
(단위 : 천RT/년, 천TEU/년)
구 분 2019 2030 비 고
총 물 동 량(A) 157,452 185,384
97,228 116,463 유류 및
시 설 소 요(B)
(2,664) (3,773) 카페리제외

144,204 148,936
하 역 능 력(C)
(2,924) (4,094)
125 115
선 석 수 여객 및 유류포함
(9) (11)
46,975 32,473
과 부 족 ( C - B )
(260) (321)
148.3% 127.9%
시설확보율(C/B)
(109.8%) (108.5%)
주 : ( )내는 컨테이너

○ 접안능력 : 4천TEU급 등 6선석 증가, 항만재개발 등 기능폐쇄 16선석 (125 ➡ 115선석)


○ 하역능력 : 4,732천RT/년 증가 (144,204 ➡ 148,936천RT/년)

다. 임항교통시설
길이
구 분 개발계획 시ㆍ 종점 비 고
(km)

영종도 항만재개발 영종도 →


 1.650 공사중
진입도로 영종도 항만재개발

영진공사 →
 남항 우회도로 1.260
도 인천중부소방서

로 인천신항 진입도로 송도바이오대로 →


 1.200
확장 한진터미널

인천신항 진입도로 송도 5교 →
 4.300
지하차도 인천신항대교
라. 항만시설 설치예정지역

구 분 좌 표 면적(천㎡)

① X=530,799 Y=165,209 ⑨ X=529,958 Y=161,965

② X=528,899 Y=165,209 ⑩ X=530,799 Y=162,284


③ X=528,899 Y=163,209 ⑪ X=529,392 Y=162,806

④ X=529,099 Y=163,209 ⑫ X=529,363 Y=162,812


 1,583
⑤ X=529,099 Y=165,009 ⑬ X=529,362 Y=162,810

⑥ X=530,499 Y=165,009 ⑭ X=528,899 Y=162,898


⑦ X=530,499 Y=162,181 ⑮ X=528,899 Y=162,892

⑧ X=529,954 Y=161,974 ⑯ X=529,390 Y=162,798

① X=527,164 Y=166,567 ③ X=527,164 Y=165,867


 105
② X=527,014 Y=166,567 ④ X=527,014 Y=165,867

① X=527,238 Y=169,567 ④ X=527,240 Y=169,217


 ② X=527,014 Y=169,567 ⑤ X=527,165 Y=169,388 66
③ X=527,014 Y=169,217

① X=528,384 Y=170,547 ③ X=528,222 Y=170,559


 13
② X=528,316 Y=170,632 ④ X=528,289 Y=170,473
마. 계획평면도
바. 항만시설 설치예정평면도
사. 임항교통시설 계획평면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