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1

CASE REPORT https://doi.org/10.4047/jkap.2020.58.3.

257

하악 흡착식 의치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 증례

박민혁  박상원  임현필  박찬  윤귀덕*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Fabrication of mandibular suction denture for complete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Minhyuk Park, Sang-Won Park, Hyun-Pil Lim, Chan Park, Kwi-Dug Yun*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Republic of Korea

The goal of suction denture is to enhance retention of dentures by the formation of negative pressure between the denture base and the underlying tissue and sealing around
the denture by the mucosa. This patient has been converted to a completely edentulous state after the extraction of residual teeth. Fabrication of suction denture was planned
because it was estimated that the conventional compete would be hard to achieve retention due to the absorption of residual ridge and lack of sublingual fold. Through appro-
priate clinical and laboratory technique such as preliminary impression on the mandibular rest position, provisional vertical dimension determination with Centric Tray®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 closed mouth definitive impression and jaw relation record using individual tray with Gnathometer M®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 artificial teeth arrangement considering stability of the denture, and proper polymerization technique that minimizes polymerization shrinkage, restor-
ing the patient with suction denture resulted in satisfaction throughout the function and asesthetic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257-67)

Keywords: Bilateral balanced occlusion; Closed-mouth impression; Suction denture

서론 하면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더구나 하악 무치악의 경우에


는 상악에 비해 좁은 의치 지지 면적, 혀의 움직임과 구강저의 유
치아상실은 결과적으로 기능 및 심미면에서 불리한 상황을 초 동성 등의 문제로 기능적으로 양호한 총의치 제작에 상대적으로
래하게 되며, 완전무치악 환자는 보다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게 더 큰 어려움이 존재한다.2
된다. 특히 저작에 관해서는 잔존치조제만으로 치근막지지를 대 1970년에 Boucher CO에 의해 발표되었던 기존의 총의치 제
체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1 해부학적 및 생역학적 뿐만 아 작 개념은 의치상 피개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구강 내
니라 환자의 나이, 식습관, 경제적 형편 등 종합적인 판단을 통해 근육 부착부까지 의치상을 연장함으로써 의치의 유지 및 안정을
수복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임플란트의 도입은 기존에 해결하기 획득하는 것을 주 골자로 한다. 따라서 근육 부착부를 명확히 하
어려웠던 무치악이라는 난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했지만, 전신 기 위하여 술자가 직접 구강점막을 당기고 압력을 가하면서 정
건강이나 경제적 또는 심리적인 문제로 임플란트를 이용한 수복 밀인상을 채득하게 된다.3
이 제한되는 환자도 여전히 존재한다. 반면에 Abe 등이 주창한 흡착식 의치 제작법은 의치상을 구강
총의치는 완전무치악 환자가 기능 및 심미면에서 만족할 수 있 점막에 긴밀하게 접촉시켜 주위를 봉쇄함으로써 의치 내면에 음
는 경제적인 비수술적 방법이다. 그러나 총의치로부터 전달되는 압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 이를 위해 상악과 하악의 트
하중을 부담하는 점막의 면적은 자연치열의 치근막 면적과 비교 레이가 맞물리는 폐구 상태에서 환자가 직접 기능운동을 하도록

*Corresponding Author: Kwi-Dug Yun c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c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33 Yongbong-ro, Buk-gu, Gwangju 61186, Republic of Korea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
+82 (0)62 530 5631: e-mail, ykd@jnu.ac.kr 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Article history: Received March 23, 2020 / Last Revision June 3, 2020 / Accepted July 9,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2020 properly cited.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257


박민혁박상원임현필박찬윤귀덕 하악 흡착식 의치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 증례

유도함으로써 치조제 흡수가 큰 증례에서도 개인트레이의 위치 10년 전 제작한 상·하악의 국소의치는 레스트 파절과 인공치
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마모의 문제로 재제작이 필요한 상태였다. 단일 또는 연결고정
본 증례는 하악의 잔존치조제의 높이에 따른 ACP의 분류5에 서베이드 금속도재관으로 수복된 잔존지대치인 #11, #12, #13,
의거하여 Type 3에 속하는 치조제 흡수가 뚜렷한 상·하악 완전 #23, #32, #33는 전반적인 동요와 이차우식이 존재하는 상태였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 증례로서, 기능 시 의치 유지에 대한 으며, 특히 #23, #32, #33에서는 치은열구 배농이 확인되어 모두
환자의 요구를 흡착을 통해 만족시킬 수 있었기에 보고하고자 국소의치 지대치로서의 예후가 불량한 상태로 판단되었다. 하악
한다. 양측 후방부위의 잔존치조제는 구치부 조기상실 후 흡수가 상대
적으로 많이 진행된 상태로 확인되었다.
증례 고령과 전신건강에 대한 부담으로 임플란트 식립 대신 의치 제
작을 희망했던 환자 및 보호자와의 상담을 통해, 하악 잔존치조
본 증례의 환자는 88세의 여성으로 3일 전에 왼쪽 턱 밑이 부 제 흡수량을 고려하여 예후 불량 잔존치 발거 후 흡착식 총의치
었는데 원인치아 발치가 필요하고, 이 기회에 오래된 틀니를 새 를 제작하는 것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그에 따라 복용중
로 만들고 싶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의과적 병력으로는 고혈 인 혈전용해제 중단 하에 예후가 불량한 모든 잔존치를 모두 발
압으로 10년 간 관련 약물 복용중이었고, 내원 3일 전에는 이하 거 후 (Fig. 2), 임시의치를 제작 및 장착하였다.
간극농양으로 응급실 내원하여 항생제 요법으로 진료를 받은 바 발거 부위의 치유가 완료된 후 (Fig. 3), 흡착식 의치 제작의 성
있었다 (Fig. 1). 공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Jiro Abe가 제시한 흡착 저해인자

Fig. 1. Panoramic radiograph (Pre-extraction). Fig. 2. Panoramic radiograph (Post-extraction).

Fig. 3. Intraoral photographs (Post-extraction).

25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3호, 2020년 7월


박민혁박상원임현필박찬윤귀덕 하악 흡착식 의치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 증례

에 기초한 평가를 진행하였다.6 먼저 하악위에 대한 평가결과, 임 이어 구강내 조직에 대한 흡착 저해인자 관련 평가를 진행하였
시의치 제작을 위한 악간관계 채득 시 2급 또는 3급의 악간관계 다. 첫째,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상에서 이공 상,하부의 골량을
를 보이지 않았고, 교합 시 편위 또한 없었으며, 개폐구시 편위나 비교한 결과, 좌측은 비슷한 수준인 반면 우측은 흡수가 더 진행
편향이 없는 것으로 보아 악관절 기능장애 역시 존재하지 않는 됨을 확인하였다 (Fig. 4). 둘째, 설측 의치상연을 피개함으로써
것으로 미루어 보아 하악위와 관련된 흡착 저해인자는 없는 것 의치봉쇄력을 확보하는 설하주름부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이 확
으로 판단하였다. 인되었다 (Fig. 5). 셋째, 후구치삼각융기의 설측 하부를 평가한
결과, 좌측에는 의치상이 연장될 수 있는 공간이 다소 부족한 상
태였다 (Fig. 6). 끝으로, 개구 시 무의식 중에 혀가 다소 후퇴되
는 경향에 따라 의치상의 설측 변연에서 봉쇄가 깨질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흡착 저해인자를 Abe의 제안에 따라 종합적으로 평가
한 결과, 설하주름부의 부족을 제외한 나머지 인자들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어 성공적인 하악 흡착식 의치 제작이 가
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Fig. 7).

Fig. 4. Extent of mandibular residual ridge based on location of mental foramen.

Fig. 5. Less spongy tissue in sublingual fold. Fig. 6. Moderate retromylohyoid fossa space.

Fig. 7. Examination sheet for fabrication of mandibular suction dentu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3호, 2020년 7월 259


박민혁박상원임현필박찬윤귀덕 하악 흡착식 의치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 증례

먼저, 후구치융기 부위를 삭제하여 직접 제작한 트레이와 주 분석과 지표 기입을 마친 예비모형 상에서 근육부착부와 소대
사기를 이용하여 임시의치의 수직고경과 동일한 하악 안정위에 를 회피하여 개인트레이를 제작하였고(Fig. 11), 자가중합형 패
서 예비인상을 채득하여 후구치융기 및 협붕 부위 조직의 변형을 턴레진 (Pattern Resin LS, GC Dental Co., Tokyo, Japan)을 이용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Fig. 8) 그리고 동일한 수직고경 계측치에 하여 Gnathometer M®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
서 Centric Tray®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 stein)을 개인트레이에 부착하였다 (Fig. 12). 개인트레이를 구내
로 잠정적인 교합을 채득하였고, UTS 3D® (Ivoclar Vivadent 시적하여 안모정중선과의 일치와 동공간선 및 비익-이주선과의
AG, Schaan, Liechtenstein)를 이용하여 안궁이전 (Fig. 9) 및 교 평행 여부를 점검하였고 (Fig. 13), 폐구정밀인상을 위한 기능운
합기 (Stratos 200,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 동 교육 및 연습을 진행하였다 (Fig. 14).
에 부착하였다 (Fig. 10). Virtual® Fast Set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

Fig. 8. Preliminary impression using customized tray and alginate.

A B

Fig. 9. Bite taking and facebow transfer. (A) Centric Tray® bite, (B) UTS 3D facebow.

Fig. 10. Articulator mounting.

26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3호, 2020년 7월


박민혁박상원임현필박찬윤귀덕 하악 흡착식 의치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 증례

Fig. 11. Mark of anatomical landmark and fabrication of individual tray.

Fig. 12. Attachment of Gnathometer M® on individual tray.

Fig. 13. Individual tray try-in and evaluation.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3호, 2020년 7월 261


박민혁박상원임현필박찬윤귀덕 하악 흡착식 의치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 증례

Fig. 14. Exercise for closed-mouth definitive impression.

stein)을 최종인상재로 이용하여 Heavy body로 변연형성 및 A B


Light body로 폐구정밀인상을 채득하였고 (Fig. 15), 이때 사전
에 연습한대로 동작하도록 하여 순협측 및 구강저 점막과 구강
내 근육의 움직임이 잘 인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임시의치 사용기간 동안에 평가된 수직고경 계측치와 발음평
가를 참고하여 Gothic arch tracing을 통해 중심위 채득 (Fig. 16)
및 안궁이전하여 주모형을 교합기에 부착하였다 (Fig. 17). 모형
분석을 통해 기입한 지표선을 참고하여 (Fig. 18) 양측성 균형교
합양식을 부여하여 인공치 배열을 진행하였다. 먼저 치은엽 이행
부의 거리와 수직피개량을 참고하여 상악 전치부 수직적 길이를
결정 및 배열 후 하악 견치 위치를 결정하였으며, 전후 및 측방만
곡을 적절히 부여하도록 하였다 (Fig. 19).
원활한 저작 및 연하를 위해 음식물의 이동을 잘 유도할 있도
록 납의치의 연마면을 형성하였고, 구내에 시적하여 교합과 심미
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의 만족을 확인하였다 (Fig. 20). 이후 SR-
Ivocap system®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으
로 레진 전입을 진행하여 중합수축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였다
(Fig. 21).
기공실 및 진료실 재부착을 통해 기공 및 교합 오차를 수정하 Fig. 15. Bordermolding and definitive impression. (A) Bordermolding using
heavy body (Virtual fast set®), (B) Definitive impression using light body
였고, 최종 의치를 환자에게 장착하여 교합 및 변연봉쇄를 확인 (Virtual fast set®).
하였다 (Fig. 22). 환자 및 보호자는 심미적인 안모의 회복과 기
능 간 흡착을 통한 의치의 유지에 만족하였다 (Fig. 23).

26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3호, 2020년 7월


박민혁박상원임현필박찬윤귀덕 하악 흡착식 의치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 증례

Fig. 16. Vertical dimension determination using Gnathometer M® and Centric relation taking using Gothic arch tracer.

Fig. 17. Articulator mounting of master cast using UTD 3D® facebow.

Fig. 18. Reference line for artificial teeth arrangement.

Fig. 19. Artificial teeth arrangement.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3호, 2020년 7월 263


박민혁박상원임현필박찬윤귀덕 하악 흡착식 의치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 증례

Fig. 20. Trial denture try-in.

Fig. 21. Polymerization of denture base.

26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3호, 2020년 7월


박민혁박상원임현필박찬윤귀덕 하악 흡착식 의치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 증례

Fig. 22. Definitive denture delivery.

A B 고찰

완전무치악 환자에서 잔존치조제는 총의치의 유지 및 안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상악은 명확한 상악결절과 넓은 하중부
담영역이 존재하는 반면, 하악은 무치악 시기가 연장될수록 가
속되는 치조제의 평탄화와 혀 및 구강저의 유동성 등으로 인해
의치의 유지 및 안정성 확보가 제한된다.7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로 수복함으로써 하악 의치의 안정성
을 확보할 수 있으나,8 본 증례에서는 치료계획 수립 단계에서
고령으로 인한 전신적 부담으로 인해 임플란트 식립에 대한 거
부감이 있었다. 따라서 흡착식 의치를 제작함으로써 기능시 의치
의 유지 및 안정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먼저, 후구치융기 및 협붕 부위의 변형 최소화 및 후악설골
Fig. 23. Improvement of facial appearance. (A) Without denture, (B) With
와 부위의 재현을 위해 서로 다른 농도로 교반한 알지네이트를
denture. Frame Cut Back Tray (J. Morita Corp., Tokyo, Japan)의 개념으
로 직접 제작한 트레이와 주사기에 각각 담아 하악 안정위에서
예비인상을 채득하였다. 이렇게 획득된 예비모형 상에서 변연봉
쇄를 고려하여 가동점막 변연을 설계선으로 기입함으로써 정밀
인상 시 근육운동에 방해를 받지 않는 개인트레이를 제작할 수
있었다. 예비인상 채득과 동시에 Centric Tray®로 간단한 수직 및
수평악간관계를 채득함으로써, Gnathometer M®을 자가중합형
패턴레진으로 사전에 개인트레이에 부착하여 폐구 정밀인상 및
악간관계 결정 과정을 용이하게 하였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3호, 2020년 7월 265


박민혁박상원임현필박찬윤귀덕 하악 흡착식 의치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 증례

정밀인상 채득 전 개인트레이를 구강 내 시적하여 안모 정중선 Sang-Won Park https://orcid.org/0000-0002-9376-9104


과의 일치와 동공간선 및 비익-이주선과의 평행 여부를 확인함 Hyun-Pil Lim https://orcid.org/0000-0001-5586-1404
으로써 폐구 기능인상채득 및 악간관계 결정을 위한 교합평면을 Chan Park https://orcid.org/0000-0001-5729-5127
확인하였으며, 사전교육을 통해 인상채득 간 정확한 움직임을 Kwi-Dug Yun https://orcid.org/0000-0002-2965-3967
할 수 있도록 하였다. Gnathometer M®을 이용하여 Gothic arch
tracer 부착 및 발음을 통해 최종 수직고경을 결정하였고, 하악의 References
움직임을 유도하여 교합위를 채득하였다. 정밀인상과 동시에 악
간관계를 채득함으로써 내원 횟수를 줄일 수 있었고, 환자 주도 1. Atwood DA, Coy WA. Clinical, cephalometric, and densito-
로 악간관계를 획득했을 뿐 아니라 별도의 교합채득 기구를 제 metric study of reduction of residual ridges. J Prosthet Dent
작하는 수고도 줄일 수 있었다. 1971;26:280-95.
제작된 주모형 분석을 통해 인공치 배열을 위한 해부학적 지표 2. Tallgren A. The continuing reduction of the residual alveolar
ridges in complete denture wearers: a mixed-longitudinal
선을 기입하였다. 특히 하악 의치상의 주변 봉쇄와 교합력 분산
study covering 25 years. J Prosthet Dent 1972;27:120-32.
을 위해 하악 모형분석을 통해 교합평면을 결정하여 먼저 지표선 3. Collett HA. Final impressions for complete dentures. J Pros-
을 표시하였다. 인공치 배열의 과정에서는 하악 견치의 교두를 thet Dent 1970;23:250-64.
상악 측절치와 견치의 접촉점 부위에 위치시켜 하악 치열궁 설정 4. Abe J, Kokubo K, Sato K. Mandibular suction-effective den-
과 상하악 교합관계를 확립하는 기준치아로 활용하였다. 이후 ture and BPS: A complete guide. Tokyo; Quintessence Pub-
상악 구치의 설측교두의 감합의 고려하여 상·하악 구치부를 배 lishing Co. Ltd., 2012. p. 70-7.
열하였다. 끝으로 측방 운동 시 좌우 구치를, 전방 운동 시에는 5. McGarry TJ, Nimmo A, Skiba JF, Ahlstrom RH, Smith CR,
Koumjian JH. Classification system for complete edentu-
전치와 구치를 동시 접촉하도록 하여 양측성 균형교합을 부여하
lism. The American College of Prosthodontics. J Prosthodont
였다. 1999;8:27-39.
기능적인 의치상 연마면 형태는 저작, 연하, 발음, 심미와 관련 6. Abe J, Iwaki K, Sudo T, Kokubo K. Mandibular suction-
될 뿐만 아니라 변연 봉쇄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하악 총의치의 effective denture “The professional”. Tokyo; Quintessence
흡착 달성에 빠뜨릴 수 없는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연마면 형 Publishing Co. Ltd., 2018. p. 16-22.
성 과정은 상대적으로 간과되는 경향이 있어 치과의사의 특별한 7. Tallgren A. The continuing reduction of the residual alveolar
관심이 필요하다. 특히 본 환자의 경우에는 혀의 후퇴 경향이 존 ridges in complete denture wearers: a mixed-longitudinal
study covering 25 years. J Prosthet Dent 1972;27:120-32.
재하여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악 설측의 연마면을 설측으로
8. Misch CM, Misch CE. Introral autogenous bone grafts for
넓게 형성함으로써 개구 시 전방 상연부의 변연 봉쇄가 파괴되는 implant dentistry. In: Misch CE, ed. Contemporary implant
현상을 억제할 수 있었다. dentistry. 2nd ed. St. Louis, MO: Mosby Inc., 1999. p. 90.
의치상 레진 중합에 사용한 SR-Ivocap system® (Ivoclar Viva- 9. Eun SS, Kweon HS, Chung CH. A study on the physical
dent AG, Schaan, Liechtenstein)은 6기압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properties and volumetric stability of sr-ivocap resin system. J
레진을 공급하는 가압주사성형법으로, 주입선을 통해 온성 중 Korean Acad Prosthodont 1998;36:453-67.
발생하는 중합 수축을 보상함으로써 양호한 체적 안정성을 확
보하도록 하였다.9 실제 기공실 재부착 과정에서 교합 오차가 거
의 존재하지 않아 단시간에 교합 조정을 완료한 것으로 그 효과
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진료실 재부착 과정을 거쳐 구강 내 장착한 의치는 상하악에
서 모두 우수한 유지력을 보였으며, 특히 하악에서의 유지력은
매우 만족할 만 하였다. 이는 의치상의 구후 융기를 포함한 하부
조직과의 높은 내면 적합도와 의치상 주변 점막의 긴밀한 봉쇄
등으로 가능하였다.
또한 양측성 균형교합을 부여하여 저작 시 의치의 안정성을 확
보했고, 심미적인 연마면 형성으로 기능과 심미에 전반적인 만족
감을 얻을 수 있었다.

ORCID
Minhyuk Park https://orcid.org/0000-0002-4699-2506

26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3호, 2020년 7월


CASE REPORT

하악 흡착식 의치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 증례

박민혁  박상원  임현필  박찬  윤귀덕*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흡착식 의치의 목표는 의치상과 하부 조직 사이의 음압 형성과 점막에 의한 의치 주변의 봉쇄에 의해서 의치의 유지를 강화하는 것이다. 본 환자는 잔존
치 발거에 따라 완전무치악 상태로 전환하게 된 환자로, 잔존치조제의 흡수와 설하주름부의 부족으로 의치의 안정과 유지가 부족할 것으로 판단되어
하악 흡착식 의치 수복으로 보철계획을 수립하였다. 하악 안정위에서의 예비인상, Centric Tray®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를 이용
한 잠정적 수직고경 결정, Gnathometer M®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이 부착된 개인트레이를 이용한 폐구정밀인상 및 악간관계 채
득, 기능시 의치의 안정을 고려한 인공치 배열, 기능 및 심미를 고려한 연마면 형성, 중합수축을 최소화하여 의치상 내면적합도를 보전하는 의치상 중합
등의 임상 및 기공과정을 통해 기능 및 심미 전반에 걸쳐 만족스러운 하악 흡착식 의치로 수복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
지 2020;58:257-67)

주요단어: 양측성 균형교합; 폐구인상; 흡착식 의치;

*교신저자: 윤귀덕 c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61186 광주 북구 용봉로 33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cc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062 530 5631: e-mail, ykd@jnu.ac.kr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고접수일: 2020년 3월 23일 / 원고최종수정일: 2020년 6월 3일 / 원고채택일: 2020년 7월
9일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3호, 2020년 7월 26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