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M의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 사례 연구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4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제20권 4호 2021년 12월 pp. 19 ∼ 32 DOI: https://doi.org/10.12814/jkgss.2021.20.4.

019
J.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20 No.4 December 2021 pp. 19 ~ 32 ISSN: 2508-2876(Print) ISSN: 2287-9528(Online)

심층혼합처리공법(DCM)의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n the Design, Construction, Quality Control of
Deep Cement Mixing Method

김병일1, 박언상2*, 한상재3


Byung-Il Kim1, Eon-Sang Park2*, Sang-Jae Han3

1
Member, Director, Expert Group for Earth & Environment, 53 Seonggogae-ro, Uiwang-si, Gyeonggi-do 16006, Republic of Korea
2
Member, Assistant Professor, Construction System Engineering, Soongsil Cyber University, 23 Samil-daero 30-gil, Jongno-gu, Seoul
03132 Republic of Korea
3
Member, President, Expert Group for Earth & Environment, 53 Seonggogae-ro, Uiwang-si, Gyeonggi-do 16006, Republic of Korea

ABSTRACT
In this study, evaluation and consideration of domestic/overseas design, construction, and quality control performed by the
authors on the deep cement mixing method were performed, and improv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CM method
were suggested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correction for strength
is required during the laboratory test of mix proportion, and caution is required because the extrapolation method may lead
to different results from the actual one. Applicable design methods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improvement ratio and the type of improvement during desig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llowable compressive strength
to which the safety factor was applied refers to the standard value for stability review and not the design parameters. In
the case of the stress concentration ratio, rather than applying a conventional value, it was possible to perform economical
design by calculating the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ress concentration ratio reflecting the design conditions. In the case
where pre-boring is expected during construction, if the increased water content is not large compared to the original, there
were cases where a major problem did not occur even if the result that did not consider the increase in water content
was us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ratio of the top treatment length to the improved length is high,
a small amount of design cement contents per unit length can be injected during construction. In the case of quality control,
it was evaluated that D/4~2D/4 for single-axis and D/4 point for multi-axis were optimal for coring of grouting mixtures.
As an item for quality control, it is judged that the standard that considers the TCR along with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grouting mixtures is more suitable for the domestic situation.

요 지
본 연구에서는 심층혼합처리공법에 관하여 저자들에 의해 수행된 국내/외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에 대한 평가와 고찰을 수행
하였고, 추후 DCM 공법의 발전을 위한 개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실내배합실험 시 강도에 대한 단면적 보정이
필요하고, 외삽법 적용 시 실제와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설계 시 개량율과 개량형식
등을 모두 고려하여 적용 가능한 설계법을 선정해야 하며, 안전율이 적용된 허용압축강도는 안정성 검토를 위한 기준치를
의미하는 것이지 설계 지반정수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응력분담비의 경우 관행적인 값을 적용하기 보다는 설계 조건을 반영한
실험 및 이론적 응력분담비를 산정해야 경제적인 설계를 수행할 수 있었다. 시공 시 선천공이 예상되는 경우 증가된 함수비가
원지반 대비 크지 않은 경우 함수비 증가를 고려하지 못한 결과를 사용하여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개량길이 대비 선단처리 길이의 비율이 높은 경우 시공 시 단위길이당 설계 시멘트량이 적게 주입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품질관리 시 개량체 코어링은 1축 개량체는 D/4~2D/4, 다축 개량체는 D/4 지점이 최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품질관리를
위한 항목으로 개량체의 일축압축강도와 더불어 TCR을 고려하는 기준이 국내 실정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 Deep cement mixing method, Laboratory mixing test, DCM construction, Quality control

Received 13 Oct. 2021, Revised 15 Nov. 2021, Accepted 19 Nov. 2021


*Corresponding author
Tel: +82-2-708-7869; Fax: +82-2-708-7749
E-mail address: pes6971@naver.com (E. S. Park)

심층혼합처리공법(DCM)의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 사례 연구 19


1. 서 론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자들의 다양한 국내외 경험과 사례
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에서 설계 및 시공되고 있는 DCM
연약지반상의 구조물 시공이 증가하면서 하부 지반의 공법에 대한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에 대한 현 기술에 대
개량을 위해 연직배수공법(Plastic board drain, 이하 PBD), 한 평가와 고찰을 수행하였고, 추후 DCM 공법의 발전을
다짐말뚝공법(Sand compaction pile, 이하 SCP; Gravel 위한 추후 개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compaction pile, 이하 GCP), 심층혼합처리공법(Deep cement
mixing, 이하 DCM) 등의 적용이 증가하였다. 일반적으로 2. 설계 사례 및 고찰
공기에 여유가 있는 경우 가장 경제적인 PBD공법이 적용
되고 있고, SCP나 GCP의 경우 천연 모래나 골재 등의 수
2.1 실내배합시험
급이 어려워 점차 적용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에
개량기간이 짧고, PBD공법과 같이 기성 제품인 시멘트를 2.1.1 실내배합강도 산정(단면적 보정)
자유롭게 공급받으면서 보강 효과가 우수한 DCM 공법의 시멘트혼합처리토의 일축압축시험은 일반 토질역학시
적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험에 준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시멘트혼합처리토를 일반
DCM 공법은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슬러리를 주입하면 콘크리트로 간주하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은 시각이 일축
서 교반날개로 강제 교반혼합하여 지중에 쏘일시멘트개량 압축강도에 대한 단면적 보정을 실시하지 않아야 되는 것
체를 조성하는 공법으로 최근에는 환경 영향이 적은 시멘 으로 귀결된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여러 시멘트혼합처리
트 등을 사용한 친환경 공법이라 할 수 있다. 본 공법은 토는 약 1.5~3.0% 내외의 변형율에서 파괴된다(Fig. 1(a)).
주로 유럽과 일본에서 개발되어 발전되어 오던 공법이지 이와 달리 콘크리트는 약 0.003%에서 파괴된다. 시멘트혼
만, 국내 대규모 공사에서의 적용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면 합처리토의 파괴변형율( )이 매우 작다면 단면적 보정이
서 설계 및 시공 능력이 크게 발전하였고, 해외에서도 국 필요 없을 것이다. Fig. 1(b)는 단면적 보정 전과 후의 일축
내 건설업체가 대규모 공사를 시행하는 등 유럽과 일본의 압축강도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면적 보정 후
기술 수준과 대등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강도는 파괴변형율과 보정 전 강도의 함수로 나타나는데
그러나, DCM 공법에 대한 시공 기술은 급격하게 증가 아래의 식 (1)과 같다. 따라서, 시멘트혼합처리토의 보정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설계 방법 및 기준, 품질관리 방법 후 강도는 파괴변형율이 클수록 감소하므로 반드시 단면
과 기준 등은 주로 일본의 방법과 기준을 그대로 적용해 적 보정을 해야 한다.
왔던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시공 기술에 적합한 설계 방
법이나 기준이 모호하거나, 일본의 설계 기준 중 가장 보       ⋅  (1)
수적인 방법만을 적용하거나, 국내에 적용하기에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적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여기서,   : Corrected unconfined compre-

(a) Stress-strain curve (after correction) (b) Strength before/after area correction
Fig. 1. Area correction of DCM soil(Hyundai E&C, 2018)

20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제20권 제4호


ssion strength 적용 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소요기준강도가 낮
  : Uncorrected unconfined com- 거나 높은 경우 시멘트량은 추세선법 또는 2점 보간법 단
pression strength 독 적용 시 강도 급변 구간(2점간)이 존재하므로 기준강도
 : Strain at failure 를 만족하지 못하는 시멘트량이 선정될 수 있다.

2.1.2 설계 시멘트량 산정(외삽법, 내삽법) 2.1.3 물-시멘트비(W/C) 산정


실내배합시험의 궁극적인 목적은 소요 실내배합강도 시멘트 슬러리 제작을 위해 적용되는 W/C의 경우 설계
( )에 해당하는 시멘트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시 0.8~1.0, 시공 시 1.0~1.2를 선호한다. W/C가 작은
실내배합시험은 약 4개~5개 정도의 시멘트량에 대하여 경우 일축압축강도가 높게 측정되어 소요 시멘트량이 적
실시한다. 시멘트량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내삽법 어 설계 측면에서는 작은 값을 적용하려는 경향이 높고,
(Interpolation)과 외삽법(Extrapolation)이 있고, 내삽법에 시공 측면에서는 W/C가 높아야 작업성(Workability)이 좋
는 다시 추세선법(Regression line)과 2점 보간법(2 Point 기 때문에 높은 값을 적용하려 한다. 여러 문헌을 참조하
line)이 있다. 추세선법은 시멘트 함량과 강도간의 관계가 여도 W/C의 결정 방법은 기존 사례를 참조할 뿐 명확한
1차 선형적인 관계라 가정하여 산정하는데 지반 불확실성 선정 기준은 제시되지 않았다.
및 실험 오차 등이 개선될 수 있다. 2점 보간법은 실내배합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였다(Table 1).
강도를 만족하는 인접 구간 시멘트량만을 적용하므로 정 W/C별 직접 실내배합시험을 수행하면서 시료와 슬러리
확도가 높을 수 있다. 혼합 시 작업성을 평가하였고, 직관적으로 시료의 혼합 품
Fig. 2는 하나의 사례를 제시한 것으로, Fig. 2(a)와 Fig. 질과 작업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W/C를 쉽게 찾을
2(b)의 차이는 회귀분석 시 직선성이 떨어지는 구간을 제 수 있었다. Table 1은 실내배합시험 결과 중 각 시멘트량
외한 회귀분석과 전체 데이터에 대한 회귀분석의 차이이 별 일축압축시험 결과에 대한 표준편차를 분석한 것으로
다. Fig. 2(a)는 잘못된 회귀분석으로 결정되는 시멘트량은 W/C를 0.8에서 1.0으로 증가시킬 경우 표준편차는 116~
실제와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 Fig. 179% 정도 크게 개선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2(b)의 시멘트량 350kg/㎥을 실험하지 않았다면 외삽법을 실내배합시험에서의 작업성과 일축압축강도의 표준편차
적용해야 하는데 실제 실험결과를 고려할 경우 외삽법은 를 고려한 W/C 산정법도 하나의 대안이라 판단된다.

(a) Total regression and interpolation method (b) Proportion regression and interpolation method
Fig. 2. Calculation of design cement content

Table 1. Standard deviation of UCS with W/C and cement contents

Cement contents Standard deviation (kPa)


(kg/m3) W/C=0.8 W/C=1.0 Improved ratio (%)
200 185.5 119.0 156
240 196.4 109.5 179
280 193.1 118.0 164
320 192.7 166.6 116

심층혼합처리공법(DCM)의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 사례 연구 21


2.2 설계 2.0~2.5D(D=1,000mm)로 간주한다면, 응력중첩이 발생
되지 않아 단말뚝으로써 거동을 하는 개량율은 12.6~
2.2.1 설계법(복합지반 설계법과 구조체 설계법의 구분) 19.8% 이하가 된다. 즉, 약 20.0% 이하에서는 단일말뚝으
DCM은 복합지반 설계법과 구조체 설계법을 적용할 수 로 거동하므로 단일말뚝 설계법 즉, 구조체 설계법을 적용
있다. 일본의 경우 개량형식에 따라 설계법을 구분 적용하 한다. 무리말뚝의 최대 응력구근이 중첩되기 시작하면서
는 경향이 있지만(말뚝식은 복합지반, 접원 이상의 격자식 완전 접원형태가 되는 범위는 최대 25.6~34.9%이다. 개
과 블록식은 구조체), 국내의 경우 개량율이 매우 높은 블 량율이 78.5%가 되면 개량체가 직접 중첩되게(접원) 된다.
록식 또는 매우 낮은 말뚝식에서도 복합지반과 구조체 설 접원하는 개량체는 일체화 거동을 하므로 하나의 구조체
계법이 혼용되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설계법의 구분을 즉, 대형 피어(Pier)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는
위한 적용 경계가 모호하다. 구조체적 설계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개
구조체 설계법의 가정은 개량체가 서로 중첩되어 폐합 량율 25.6~34.9% 이상 78.5% 이내인 경우 응력구근은
된 구조(격자식, 블록식)를 갖고, 하중 작용시 개량체 전체 모두 중첩되지만, 개량체는 접원되지 않는다. 본 영역이
가 일체화된 거동을 할 것으로 예상하여 하나의 구조체로 복합지반 설계법을 적용하는 구간이라 판단된다. 이와 유
간주하는 것이다. 즉, 구조체 설계법은 개량율과 상관없이 사하게 일본의 DCM 매뉴얼 등을 참조해 보면, 말뚝식의
일체화된 거동을 가정하여 기존의 말뚝 설계법이나 옹벽 경우 30~50% 이상을 적용해야 복합지반적 거동을 한다고
등의 설계법을 이용하므로 비교적 논란의 소지가 없다. 그 제시되어 있다(Civil Engineering Research Center, 2004).
러나, 개방된 구조(벽식, 말뚝식)를 갖는 개량 형식에 적용 국내의 경우 개량체 배치간격을 기준으로 2.5D 이내에서
할 수 있는 복합지반 설계법의 기본은 개량체와 미개량 지 만 복합지반 설계법을 적용하기도 하였다(Samsung E&C,
반이 동일한 거동 즉, 균등침하(균등 변형)를 전제로 하기 2018). 따라서, 개량체 직경과 응력 중첩 등을 고려한 설계
때문에 응력구근(Stress bulb)이 서로 중첩되어야 한다. 기 법의 적용이 요구된다.
초공학에서 군말뚝의 영향은 2.5D를 기준으로 한다. 만약
아래의 Fig.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2.0~2.5D를 기준으로 2.2.2 설계기준강도와 허용압축강도
할 경우 직경, 중첩폭 등에 따라 설계법의 경계가 변화됨 구조물기초설계기준해설(Korean Geotechnical Society,
을 알 수 있다. 2015)에 따르면 말뚝의 경우 재료의 장기 허용압축강도는
Fig. 3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말뚝의 응력 영향범위를 설계기준강도의 최대 25%까지 적용한다고 제시되어 있

(a) Stress bulb=2.5D, D=1,000 mm

(b) Stress bulb=2.0D, D=1,000 mm


Fig. 3. Relationship between stress bulb with DCM spacing

22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제20권 제4호


다. 허용압축강도가 설계기준강도에 안전율을 도입한 개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면 2축 또는 4축을 말뚝식 형태로
념임을 간주한다면 안전율은 4.0임을 알 수 있다. DCM 개량하거나 1축 개량이라도 벽식으로 개량하는 경우가 다
설계는 보통 안전율 3.0을 적용한다.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첩이 있는 말뚝식이나 벽식의 경우
일반적인 허용응력 설계법은 “부재응력(사용하중에서 허용압축강도 산정 시 적용되는  계수는 말뚝체의 안정
가장 불리한 상태) ≤ 허용응력(재료강도/안전율)”로 설계 처리토를 중첩시켜 개량체를 형성할 경우 미처리 부분을
한다. 본 개념을 기본으로 하면 허용압축강도는 내적 안정 보정하기 위한 계수이다.  는 시공 시 발생되는 중첩면의
성 검토를 위한 기준치를 의미하는 것이지 설계 지반정수 강도와 개량체 강도의 비로 선 시공 개량체와 결합시키기
가 아니다. Table 2에 국내외 설계기준강도, 허용압축강도 까지의 시간간격, 처리장비의 교반능력, 슬러리의 토출방
및 지반정수 산정식을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Table 2에 제 법 등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0.8~0.9를 적용한다. 즉,
시된 바와 같이 국내의 경우 강도정수를 허용압축강도로 허용응력 산정 시 적용되는  와  는 개량체의 강도 저감
부터 산정하고, 탄성계수는 설계기준강도로부터 산정하는 계수이다.  와  계수가 강도저감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
등 오류가 발견된다. 또 허용압축강도로 산정된 강도정수 라면, 장비 중첩만이 있는 다축 말뚝식 개량 또는 시공 중
를 사용하여 원호활동과 같은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는데, 첩만 있는 단축 벽식 개량인 경우  와  계수는 설계기준
이와 같은 경우 각 항목별로 별도의 안전율이 중복 적용되 강도 산정 시에 적용되어야 한다(Table 3). 다만, 아래의
는 문제점을 갖기 때문에 적용 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방법으로 설계기준강도를 결정한 경우 현장 품질관리를
판단된다. 위한 기준강도는 위의 Table 2에 제시된 값 즉,  와  계

Table 2. Design strength and ground properties with design methods

Item Composite method Structure method


Design strength    ⋅     ⋅ 
①   ⋅  ①   ⋅ 
  ∼⋅   ⋅ 
Japan
②   ⋅⋅⋅  ②   ⋅⋅⋅ 
Allowable   ∼⋅⋅⋅   ⋅⋅⋅ 
strength ①   ⋅  ①   ⋅ 
 ⋅   ⋅ 
Korea
②   ⋅⋅⋅  ②   ⋅⋅⋅ 
 ⋅⋅⋅   ⋅⋅⋅ 
Mechanical properties Mechanical properties
(    ,    ) (     ,   )
Japan
Deformation property Deformation property
Ground (   ⋅  ) (   ⋅  )
properties Mechanical properties Mechanical properties
(   ,    ) (     ,   )
Korea
Deformation property Deformation property
(   ⋅  ) (   ⋅  )
Note 1) Allowable strength is used for internal stability analysis, ground properties is used for external stability analysis
Note 2) ①: Without overlap, ②: With overlap
Note 3) Parameters are refered in Kitazume and Terashi (2013)

Table 3. Design strength and ground properties with design methods for pile type

Item Composite method Structure method


Design strength    ⋅⋅⋅     ⋅⋅⋅ 

Allowable strength   ⋅    ∼⋅    ⋅   ⋅ 


Equivalent ground(composite) Each ground
Ground (    ,    ) (    ,    )
properties Deformation property Deformation property
(   ⋅  ) (   ⋅  )

심층혼합처리공법(DCM)의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 사례 연구 23


수가 적용되지 않는 값이 되어야 하므로 적용 시 주의가 전단저항(  )에 개선이 없거나(Type 1과 Type 2) 취약한
요구된다. 개량체(Type 1과 Type 3)가 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
또한, 위의 Table 2에 제시된 구조체 설계법을 개량체가 나, 엇갈림 단면을 기준으로 보면 개량 단면적이 동일하거
개별 거동을 하는 저개량율(응력중첩이 발생하지 않는 경 나 증가하고 단면2차모멘트, 미개량부가 적어 단면성능은
우, 약 20% 이하) 조건에 적용하는 경우 원호활동을 포함 더 우수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현행 기준을 적용할 경우
한 수치해석 시 등가의 지반(복합지반)이 아닌 개별 말뚝 압축력이 지배적인 조건( )에서만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
과 미개량 원지반으로 각각 구성된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 다(Samsung E&C, 2016). 이에 대한 추가 연구 및 설계기
이다. 본 설계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Shin et al.(2014), 준 검토가 요구된다.
Kim et al.(2018)의 참고문헌을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강도계수(  )는 육상(0.5)과 해상(1.0)에 대하여 각
각 적용하는데, 해상의 경우 고품질 개량이 가능한 전용선
2.2.3 강도저감계수 을 기준으로 강도계수가 제안되었다. 국내의 경우 해상공
시멘트 혼합처리공법의 경우 주로 말뚝식, 접원식, 중첩 사에서 항내나 조수 간만의 차가 큰 경우 평바지(Flat
식 개량을 적용하는데 중첩식의 경우 이를 고려하기 위해 barge)에 크레인 또는 파일드라이버를 조립한 조합선을
강도저감계수를 적용한다. 중첩식에 대한 강도저감계수의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는 고품질의 개량체
적용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Table 4에 조성이 가능한 전용선과는 다른 육상 장비를 활용하므로
제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설계법을 적용할 경우 엇갈림 시 강도계수(  ) 적용 시 해상 또는 육상 어느 값을 적용해야

Table 4. Strength reduction factor with DCM arrangement()

Item Square type(01) Parallel type(02) Parallel type(03)

Concept

Area A=4.9337 m2 A=4.9337 m2 A=5.1322 m2


 
Equipment     min    
Coefficient            
overlap  
of effective  
width Construc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overlap   
Coefficient of effective   
              
area   

Note 1)   : Total area,   : Improved area

Table 5. Calculation of stress concentration ratio

Method Research Formula



Composite method (1D) Civil Engineering Research Center (2004)  

Es Es   c   b 
Composite method (2D) Japan Building Center (2010) n     ⋅
Ec ⋅c Ec   c 

Ground arch method Carlsson (1987)   
 × × tan
3D plastic method Japan Civil Engineering 
 
(ALLiC) Research Institute (2007) 

Note 1)   : Coefficient of volume compressibility of unstabilized soil,   : the coefficient of volume compressibility of the stabilized soil,   : Elastic modulus
of soil,   : Elastic modulus of column,   : Poisson’s ratio of soil,   : Poisson’s ratio of column,  ; Spacing,  ; Diameter,  : Stress of column,   :
Stress of soil

24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제20권 제4호


Table 6. Calculation conditions of stress concentration ratio

Item Diameter (m) Spacing (m) Arrangement Improvement ratio (%)


Value 1.2 2.2 Square 23.4

Unit weight Deformation modulus Cohesion


Item Poisson’s ration Internal friction angle (˚)
(kn/m3) (kpa) (kpa)
Original ground 17.0 4,000 0.40 0 30
Improved materials 17.0 200,000 0.28 0 500

Table 7. Calculation results of stress concentration ratio

Item Case study Composite method Ground arch method 3D plastic method
Value 10.0~20.0 29.8 59.0 82.8

하는지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를 DCM으로 개량하고자 하는 경우 관입속도나 관입능력


등이 현저히 저하된다.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물
2.2.4 응력분담비 만 주입하는 선천공을 실시한 후 재차 관입하는 2 Cycle
복합지반설계법에서 개량지반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시공을 시행하기도 한다. 여기서 첫 번째 관입 시 물을 주
침하량 산정 시 응력분담비(n)를 적용하게 된다. 이 때 응 입하게 되면 기존 실내배합시험에서 사용한 원지반 점성
력분담비는 과거의 사례로부터 약 10.0~20.0 정도를 관행 토의 함수비보다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적으로 적용한다. 그러나, 응력분담비는 작용 하중, 강도, 본 연구에서는 식 (2)를 활용, 실제 물 주입량을 고려하
치환율, 개량체 특성, 지반 특성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 여 계산된 함수비 변화를 산정하였고, 실제 물주입시에도
을 받고, 여러 산정 방법이 제안되어 이용되고 있다. 실험 함수비 변화량은 크지 않아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던 사
적, 이론적 및 경험적 방법에 의한 응력분담비 산정방법이 례를 제시하였다(Halla E&C, 2015). Table 8~9에 제시한
Table 5와 같이 많은 연구자에 의해 제안되었으나 국내에 바와 같이 원지반 평균 함수비가 37%에서 43%로 약 6%
서는 실제 적용 사례가 많지 않다(상세 내용은 각 참고문 증가하지만 원지반 함수비 분포폭(25%~47%) 이내임을
헌을 참고). 다만, Han(2019)의 경우 저개량율 조건에서는 알 수 있었다. 다만, 본 사례와 달리 원지반 함수비 분포폭
관행적인 값(10~20)보다는 지반 아칭효과를 고려한 3차원 을 벗어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소성각법으로 산정한 값이 적정함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Table 6과 같은 조건에 대하여 위에 제시 ⋅ ⋅
     ⋅⋅     ⋅ 
 
된 여러 방법으로 응력분담비를 산정해 보았다. 가정 개량 (2)

⋅     ⋅  ⋅
율에 대하여 기존사례, 지반아칭이론, 소성각법 등을 통해 
획득한 응력분담비는 Table 7과 같다. 일반적으로 적용되
는 값보다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심층혼합 여기서,  =Weight of soil solid,  =Unit Weight of soil,
처리 공법을 설계하는 경우 관행적인 값을 적용하기 보다  =Void ratio,  =Volume
는 설계 조건을 반영한 응력분담비 중 보수적인 값을 적용
하되 경제적인 시공이 될 수 있는 값을 적용하는 것도 필 3.2 슬러리 토출방식(인발/관입 주입)
요함을 알 수 있다.
슬러리 토출구가 최하부에 있고, 교반날개가 상부에 있

3. 시공 사례 및 고찰 는 롯드를 사용하면서 인발토출방식(관입, 인발 시 토출


및 교반)을 적용하는 경우 하부에서 토출을 시행하면서 상
부에서 교반날개가 회전교반하는 방식이 되므로 토출된
3.1 선천공(Pre-boring)과 물주입
슬러리의 교반이 불가능하다(Fig. 4(a) 참조). 그럼에도 불

견고한 점성토 지반 또는 원지반 함수비가 낮은 점성토 구하고 인발 시 토출을 적용하는 경우도 경험하였다. 본

심층혼합처리공법(DCM)의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 사례 연구 25


Table 8. Conditions of water injection

Area Specific gravity Unit weight Injection flow Penetration rate Water flow
(A, ㎡) (Gs) (  , kN/m3) (l/min) (m/min) (l/m)
3.024 2.70 10.3 480 2.00 240

Table 9. Variation of water content with water injection during pre-boring

Before water injection After water injection


Volume Water content
(vol, m3) Solid weight Water Weight Water Content Solid weight Water Weight Water Content (△wn, %)
(ws, kN) (ww, kN) (wn, %) (ws, kN) (ww, kN) (wn, %)
3.024 42.30 15.48 36.6 42.30 17.95 42.4 5.8

(a) Lower injection type (Single type) (b) Lower/upper injection type (Double type)
Fig. 4. Injection type with outlet location

(a) Record (1) (water vs. slurry) (b) Record (2) (crane vs. pile driver)
Fig. 5. The measurements of electric current (Hyundai E&C, 2019)

연구에서 인발 시 토출을 계획하는 경우를 조사한 결과, 계 및 시공 시 토출 방식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게 제시되
주입 시멘트량이 많은 경우 관입 및 인발 주입을 통한 소 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 펌프 용량 감소 또는 시공속도 증가를 목적으로 하거
나, 다소 견고한 지반 또는 함수비가 낮은 서해안 점토에 3.3 시공 시 착저기준
서 롯드 인발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를 개선한 상/하부 토출이 가능한 롯드가 개발 시공 시 착저기준은 설계 착저기준에서의 표준관입시
되어 적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므로(Fig. 4(b)), 추후 설 험 N치와 동일한 심도에서의 전류(저항)치 그리고 관입속

26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제20권 제4호


도를 근거로 설정한다. Fig. 5는 동일 장소에서 수행된 시
공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관입속도와 전류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크레인 타입(A 타입)과 파일드라이버 타입에
따라 그리고 시공 장비의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변화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물을 주입할 때와 시멘트
슬러리를 주입할 때 전류 즉 저항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물을 주입하는 경우 슬러리 주입 대비 약 1.6배 정도 (a) W type
낮은 전류가 측정되므로 전류를 활용한 착저 기준 선정 시
이를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동일한 지층이라 하여도 관입속도를 빠르게 하면 저항
은 증가하거나, 회전속도(RPM)를 증가시키면 저항은 증
가한다. 또, 국내 장비의 경우 저항이 크게 증가하면 RPM
을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장치가 구비된 경우가 많다(Fig.
5(b)에서는 크레인 타입). 따라서, 관입속도, 전류 및 회전
속도 등의 착저기준에 더하여 추가적인 장치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4 선단고화와 시멘트 주입량

착저층에서의 선단고화를 위해 주로 “W”형태의 2


Cycle 개량을 실시한다(Fig. 6(a)). 문제는 2 Cycle 시 주입
(b) Cement decreasing
되는 시멘트량이 대부분의 설계에서 산출되지 않는다는
Fig. 6. Stabilization type of bearing layer and cement dosage
것이다. 저자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공 시에는 단위 길이당 주입량을 줄여서 설계기준강도이다. 위에서 제시한 현장강도(   ⋅)
개량체 본당 총 주입량을 동일하도록 조절하기도 한다. 개 는 가상의 Dummy 수치(현장에서 발현될 것으로 예상되
량체의 길이가 길어서 선단고화 시멘트량(약 2.0m)이 차 는 평균 강도)라는 것을 이해해야 하는데, 수많은 경우 현
지하는 비율이 적은 경우 감소시킨 시멘트량은 큰 문제가 장강도를 요구하는 사례가 많다. 이는 아마도 “현장”이라
되지 않는다. 그러나, Fig. 6(b)와 같이 길이가 짧은 경우 는 용어 때문에 발생되는 오해라 판단된다. 콘크리트를 참
단위 길이당 감소시킨 시멘트량(200kg/m3→170kg/m3)은 조하면, 배합강도, 호칭강도 또는 공칭강도(시멘트혼합처
상당히 증가한다. 이는 현장에서 발현되는 개량체의 강도 리토의 현장강도), 설계기준강도 중 설계기준강도가 품질
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직결되므로 반드시 설계 요구 시 관리 기준이 되는 것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될 것으로 판단
멘트량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된다.

4. 품질관리 사례 및 고찰   ⋅  ⋅⋅ (3)

4.1 품질관리 기준강도 여기서,  =Field strength factor,  =Ratio of UCS


또한, 국외의 경우 품질관리 기준을 살펴보면 통계학적
DCM에 관한 현장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관리기준치인 관리가 자주 수행되고 있다(Kitazume and Terashi, 2013).
기준강도가 명확히 제시되어야 한다. 심층혼합처리토의 Fig. 7에는 결정론적 방법(국내)과 통계학적 품질관리 개
강도로는 실내배합강도( ), 현장강도( ), 설계기준강도 념을 육상과 해상 조건에 대하여 설계기준강도 750kPa에
(  )가 도출되는데(식 3), 실제 현장에서의 관리기준치는 대하여 도식적으로 제시한 것이다(Hyundai E&C, 2015).

심층혼합처리공법(DCM)의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 사례 연구 27


국내의 경우 시공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준편차가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해당 부분은 교반 롯드의 중심으
계속 변화되는 상황에서 불량률을 적용한다는 것이 어려 로 관입, 인발 시 외곽으로 밀렸다가 제 위치로 들어온 경
워 모두 설계기준강도 이상이 나오도록 요구하기도 한다 우이며, 일정 정도의 공동이나 일정 부분 교반 효율이 저
(Daewoo E&C, 2018).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계학적 품질 감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일본 기준(Civil Engineering
관리는 각 구조물마다의 불량률을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Research Center, 2004)에서는 명확하게 D/4이내라 제시
향후 관련 기준에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하고 있으나, 국내 설계기준 또는 시방서에는 명시되어 있
지 않다.
4.2 코어링 위치 설계기준강도 산정방법과 함께 고려하면, 현행 설계기
준상 중첩부에서의 강도 저감계수 등이 고려되지 않는 순
하나의 원형 개량체를 중심으로 생각할 때, 코어 채취 수 개량부분의 강도가 설계기준강도(품질관리 기준강도)
위치는 교반 롯드 직경을 제외한 외부가 바람직하다. 일반 라 제시되어 있으므로 중첩부(시공) 역시 코어링을 실시해
적으로 원의 중심에서 코어 채취를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서는 안된다. 만약 중첩부에서 채취한 코어라면 품질관리

(a) Land (   ) (b) Offshore (   )


Fig. 7. The concept of statistic and deterministic quality control

(a) Single column (b) Multi-column


Fig. 8. Coring location within soil column

28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제20권 제4호


기준은 강도저감계수(  )가 고려된 값을 별도 적용해야 하 시추 시 발생된 균열은 RQD 산정 시 고려하지 않는데,
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코어링시 시추기의 수직도 유 일반적인 암반의 경우 절리와 인공 균열은 쉽게 판별되지
지가 매우 어렵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만 시멘트혼합처리토의 경우 판별이 쉽지 않다. 오히려 교
교반롯드 직경, 중첩부, 시추 경사 오차 등을 고려하여 반과 불교반의 경계를 절리로 판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Fig. 8과 같이 1축 개량체의 경우 D/4~2D/4(최적 1.5D/4), (Fig. 9(c) 참조). 교반과 불교반의 경계는 크게 두 가지 형
다축 개량체의 경우 D/4로 최적의 위치를 제안하였다. 태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교반되지 않은 점토
덩어리(Mud ball) 또는 점토 층(Layer)이 육안으로 구별되
4.3 TCR과 RQD 거나 시추 중 사용되는 물에 의해 손실되어 균열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이다.
코어링시 TCR(Total core recovery)과 RQD(Rock quality 암반공학에서 TCR은 불연속면의 수보다는 불연속면의
designation)를 품질관리 기준으로 선정하는 경우가 많다. 풍화상태 또는 불연속면 사이에 있는 암석의 풍화정도에
TCR과 RQD는 개량지반의 특성 뿐만 아니라 시추 장비 좌우되는 값이라 알려져 있다. 이를 DCM과 연관시키면
오퍼레이터의 숙련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하나의 예 불교반된 점토층의 연경도에 좌우되는 값이라 할 수 있다.
로 동일 시추공에서 동일 장비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 이로부터 DCM의 TCR은 교반된 길이와 불교반된 길이의
고 한 오퍼레이터는 TCR>85%을 채취하였고, 다른 오퍼 지표라 간주할 수 있다.
레이터는 코어 채취를 실시하지 못한 경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CR과 RQD는 다양한 인
코어를 채취하였지만 아래 Fig. 9(a)와 같이 코어링 시 발 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특히 심층혼합처리토의 경우
생된 균열(Crack)으로 인하여 실험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 시추 중 발생되는 균열과 협재된 불교반 점토의 구분이 어
도 있었다. 려운 경우 RQD는 큰 의미가 없다. 따라서 개량체의 일축

(a) Artificial crack

(b) Mud ball(○) and Washed mud(□)

(c) Low quality core


Fig. 9. Core with crack, mud ball and washed mud(Hyundai E&C, 2019)

Table 10. TCR and RQD standards

TCR
Item RQD
1~3 m run Total
FHWA (2013) Over 80~85% 85~90% Over 50~70% Over
Japan Building Center (2010) Over 85% 90% Over -
Kitazume and Terashi (2013) - 100% 90% Over

심층혼합처리공법(DCM)의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 사례 연구 29


(a) Good core (b) Bad core

Fig. 10. Strength characteristics with core qualities

압축강도에 대한 품질관리와 더불어 TCR 정도만을 고려 배(예, 10cm) 이상의 시료가 요구되므로 TCR이나 RQD
하는 일본 건축센터 기준이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 작은 경우, 선별할 수 있는 코어에 상당한 제약이 따르
Kitazume and Terashi(2013)의 품질관리 기준(TCR, RQD) 고, 실제 수많은 엔지니어들이 상태가 양호한 코어(강도가
을 국내에 적용할 경우 매우 엄격한 기준치가 될 수 있다 클 것으로 예상되는 코어)만을 선별하려는 경향이 있다.
(Table 10 참조). 추가적으로 국내의 경우 채취되는 코어 따라서, 실제 일축압축강도는 대부분 큰 쪽으로 측정되는
의 직경이 5.0cm이고, 1회당 코어의 길이는 3.0m이다. 그 경향이 있다.
러나, 일본을 비롯한 수많은 나라에서는 직경 6.0cm, 샘플 Fig. 10(a)의 경우 TCR이 높은 쪽에서 선별된 코어를
러의 길이 1.0m를 사용하기도 한다. Kitazume and Terashi 나타내며, Fig. 10(b)의 경우 교반 품질이 불량하여 TCR
(2013)의 연구를 살펴보면 직경 6.0cm, 코어 1.0m의 TCR 이 낮은 쪽에서 선별된 코어다. 두 결과는 상당한 편차가
과 RQD가 더 양호한 경우가 많으므로 일본의 TCR 기준치 있으므로 코어 선별시 해당 개량체의 대표성(Represen-
도 국내에서는 보수적일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tative sample)과 전체 개량체의 무작위성(Randomness
sample)을 나타낼 수 있는 코어의 선별이 매우 중요함을
4.4 샘플링(코어 선별) 알 수 있다.

품질관리를 위한 코어링이 완료되면 일축압축시험을 5. 결 론


수행하기 위해 국부적인 위치에서 코어를 선별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직경의 2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DCM 공법에

30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제20권 제4호


대한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에 대한 평가와 고찰을 수행 양한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시추 중 발생되는
하였고, 추후 DCM 공법의 발전을 위한 추후 개선 사항들 균열과 협재된 불교반 점토의 구분이 어려운 경우 RQD
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는 큰 의미가 없으므로 품질관리를 위한 항목으로 개
있다. 량체의 일축압축강도와 더불어 TCR을 고려하는 기준이
국내 실정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1) 실내 일축압축시험에서는 축방향 압축으로 인한 횡방 (6) 개량체의 품질관리를 위한 기준으로는 설계기준강도를
향 팽창이 발생하여 단면적이 증가하는데, 단면적 보 적용하되, 전체가 설계 기준강도를 넘도록 하기 보다
정 후 강도는 보정 전 강도보다 항상 작고 파괴변형율 는 통계학적 품질관리 등을 통해 유연한 관리가 될 수
이 클수록 감소하므로 반드시 보정해야 한다. 설계 시 있어야 하고, 각 구조물마다의 불량률을 고려할 수 있
멘트량 산정시 잘못된 회귀분석으로 결정되는 시멘트 는 통계학적 관리법이 관련 기준에 정립되어야 한다.
량은 실제와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외삽법은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References
(2) 개방 형식(말뚝식, 벽식)의 DCM 설계시 약 78% 이상
이 되면 개량체가 직접 접원 또는 중첩되는데, 중첩된 1. Carlsson, B. (1987), Reinforced Soil, Principles for Calculation,
개량체는 일체화 거동을 하므로 구조체적 설계법을 적 Terratemaab, Linkoping.
용할 수 있다. 개량율 25.6~34.9% 이상, 약 78% 이내 2. Civil Engineering Research Center (2004), Design and Con-
struction Manual for Deep Mixing Treatment in Land
인 경우 개량체는 중첩되지 않지만, 응력구근은 항상
Construction (Revised).
중첩되므로 본 영역에서는 복합지반 설계법을 적용할 3. Daewoo E&C (2018), Dangjin Waste Landfill Project,
수 있다. 또한, 약 20.0% 이하에서는 개량체와 응력구 Personal Communication.
근 모두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단일말뚝으로 거동하므 4. FHWA (2013),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Design
Manual: Deep Mixing for Embankment and Foundation
로 구조체 설계법을 적용하되 등가지반(복합지반)으
Support.
로의 환산이 아닌 개개 말뚝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5. Halla E&C (2015), DaeJook Site DCM Project, Personal
(3) 허용압축강도는 안정성 검토를 위해 안전율이 적용된 Communication.
기준치를 의미하는 것이지 설계 지반정수가 아니며, 6. Han, S. J. (2019), The Case Study of DCM Laboratory Tests,
Soft Ground TC Symposium, KGS.
허용압축강도로부터 산정된 강도 정수를 사용하여 원
7. Hyundai E&C (2015), Incheon International Port DCM
호활동 등의 안정성을 검토한 후 각 항목에 대한 안전 Project, Personal Communication.
율을 추가 적용하는 것은 과대설계 우려가 있다. 8. Hyundai E&C (2018), Matarbari Ultra Super Critical
(4) 함수비가 낮거나 견고한 점성토 등에 대하여 물을 주 Coal-Fired Project, Laboratory Test Report.
9. Hyundai E&C (2019), Matarbari Ultra Super Critical
입하는 선천공이 예상되는 경우 함수비 변화를 고려
Coal-Fired Project, DCM QA/QC Report.
한 배합시험을 선 시행하는 것이 공학적으로 타당하 10. Japan Building Center (2010), Design and Quality Control
지만, 선 시행되지 않았지만 계산된 함수비가 원지반 Guidelines for Improved Grounds for Buildings Q&A
Collection, Practical positions in the design and quality
대비 증가량이 크지 않은 경우 기존 결과를 사용하여
control of improved ground(Revised).
도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1. Japan Civi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2007), ALiCC
개량길이 대비 선단처리 길이의 비율이 높은 경우 시 method manual for ground improvement, Kashima publication.
공 시 단위길이당 설계 시멘트량이 주입될 수 있도록 12. Kim, B. I., Hong, K. H., Kim, Y. S. and Han, S. J. (2018),
The Study on The Numerical Analysis Method for Ground
선단고화 처리 방식을 반영한 총 시멘트량 산정이 요
Improved by Cement Mix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구된다. Geosynthetics Society, Vol.17, No.4, pp.41-52.
(5) 품질관리를 위한 개량체 코어링 시 롯드 직경, 중첩부, 13. Kitazume, M. and Terashi, M. (2013), The Deep Mixing
시추 경사 등을 고려할 경우 1축 개량체는 D/4~2D/4 Method, CRC Press.
14.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015), Foundation Design
(최적 1.5D/4), 다축 개량체는 D/4 지점이 최적인 것으
Code of Structure.
로 평가되었다. 심층혼합처리토의 TCR과 RQD는 다

심층혼합처리공법(DCM)의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 사례 연구 31


15. Samsung E&C (2016), Hong Kong Internatinal Airport Three
Runway System Project, Personal Communication.
16. Samsung E&C (2018), BuJeon-MaSan Double Subway
Project, Design Report.
17. Shin, H. Y, Kim, B. I., Kim, K. O. and Han, S. J. (2014),
A Comparative Study of Structural Analysis on DCM
Improved by Pile and Block Type,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0, No.4, pp.5-19.

32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제20권 제4호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