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82

㈎ ㈑ YYZZ YZ이므로

 ㈎ Y YZ


 
Z

YYZZ YZ
∴ ㈎Y Z  Y YZ Z  YYZZ
YZYYZZY YZ Z
 
Y YZZ
∴ "YYZZ
‫׮‬೦ध੄҅࢑ ∴ #"Y YZ Z YYZZ

Y YZ ZY YZ Z
Y YZ Z
 ‫׮‬೦ध੄ؔࣅҗࡓࣅ 

⑴ Y Z  Y Z

⑵ Z  Z  YY

 ‫׮‬೦ध੄ؔࣅҗࡓࣅ 

0001 

" #$ $ 0005 ④

"# $$ " 99 "# 에서


"# $ " 99" #이므로 9" #
 Y Y   Y YY YY  ∴ 9" #
Y Y YY Y YY   Y YZZ 
Y YZ Z
 
Y Y Y  Y 
YZ Z 
Y
YZ Z 

따라서 B, C, D, E이므로 Y 


YZ Z 

B C D E   
주의 다항식의 계산에서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괄호를 풀 때, 괄호 앞의 부호
가
이면 괄호 안의 부호를 반대로 쓴다.
" #$ "# $ 0006 YYZ Z
다항식의 계산
9#"#에서 9"#이므로
⑴ 다항식의 덧셈 : 동류항끼리 모아서 동류항의 계수의 덧셈으로 계산한다.
9Å"#
⑵ 다항식의 뺄셈 : 빼는 식의 각 항의 부호를 바꾸어 더한다.
………………………………………………………………………………… ➊

∴ 9Å"#
0002 ①
Å Y YZ Z [ÅY YZ ÅZ]
"# Y Y  YY 
Y YZ Z YYZZ
Y YY Y
 
Y YZ Z
Y Y
………………………………………………………………………………… ➋

채점 기준 배점
0003 YYZ Z ➊ 9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40%

Y YZ 
Z ¦ Y YZZ   ➋ 다항식 9 구하기 60%
   
 Y YZ Z  Y YZZ

Y YZ ZY YZ Z
YYZ Z
0007 ②

0004
" #Y YZ Z UU ㉠
Y YZ Z 
# $Y YZ UU ㉡
㈑ YZ YYZZ YZ이므로 $ "Y YZZ UU ㉢
     
㈑Y Z  Y Z  Y YZZ ㉠ ㉡ ㉢을 하면
YZY ZY YZ Z  " # $
  
Y YZ Z  Y YZ Z YYZ Y YZZ
   
∴ #Y YZ Z Y YZZ

2 정답과 풀이
∴" # $ Y YZZ –Y YZZ 0010 ②
따라서 B, C, D이므로
BC  B C 의 전개식에서 BC항은
B C D   

1
B@C C @BBCBCBC
따라서 BC의 계수는 이다.

0008  다항식의 전개식에서 계수를 구할 때에는 모두 전개해도 되지만 필요한 항


만 쏙 뽑아서 계산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YY UU ㉠
"#YY UU ㉡
㉠@㉡을 하면
 "#  "#  YY  YY 0011 ②
"#" #YYY Y 
Y Y Y Y L 의 전개식에서 Y항은
"YY  ∴ "YY 
Y@L  @YLYY L Y
………………………………………………………………………………… ➊
이때 Y의 계수가 이므로
위의 식을 ㉠에 대입하면
L, L ∴ L
 YY  #YY
∴ #YY  YY
YY Y Y
Y 
 0012 
………………………………………………………………………………… ➋
 
 YY YY 의 전개식에서 Y의 계수는 Y항과는
∴ " # Y Y  Y 
관계가 없으므로  YY Y 의 전개식에서 Y의 계수와
YY Y 
 YY YY 의 전개식에서 Y의 계수는 서로 같다.
YY 
∴ BC
………………………………………………………………………………… ➌
 YY Y   YY Y  YY Y
따라서 B, C, D이므로
이 식의 전개식에서 Y항은
B C D  
@Y Y@ Y Y @Y Y@
………………………………………………………………………………… ➍
YYY YY
채점 기준 배점 
즉,  YY Y 의 전개식에서 Y의 계수는 이므로
➊ " 구하기 30% B
➋ # 구하기 30% ∴ B C  
 
➌ " # 계산하기 30%
➍ B C D의 값 구하기 10%

0013 ②

Y  Y  Y  U Y  에서 임의의 개의 일차식에서는


Y항을, 나머지 개의 일차식에서는 상수항을 선택하여 곱하면
 ‫׮‬೦ध੄੹ѐधীࢲ҅ࣻҳೞӝ Y항이 되므로 이 식의 전개식에서 Y항은
Y@ Y@ Y@ Y@ Y@ Y@ Y@

0009 ① Y@ Y@


    U    YY
   
Y Y Y Y Y  의 전개식에서 Y 항은
따라서 Y의 계수는 이다.
Y@ Y @Y  @YYYY
Y
따라서 Y의 계수는 이다.
다항식과 다항식의 곱셈
0014 

다항식과 다항식의 곱셈은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전개하고 동류항이 있으


Y BY  Y CY  의 전개식에서 Y항은
면 간단히 정리한다. Y@CY BY@YCY BY B C Y

………………………………………………………………………………… ➊

B C D E BD BE CD CE Y항은
③ ① ② ③ ④ Y@ BY@CY @YY BCY  BC Y

………………………………………………………………………………… ➋

Ⅰ. 다항식 3
이때 Y의 계수와 Y의 계수가 모두 이므로
0017 ②
B C,  BC ∴B C, BC
………………………………………………………………………………… ➌ " # $ %
   
따라서 BC  B C BC@  이므로  B C D B C D BC D B CD
  
|BC|  B C D BC CD DB
  
………………………………………………………………………………… ➍ B C D BC CDDB
  
B C D BCCD DB
채점 기준 배점
B C D BCCDDB
➊ Y항 구하기 25%
B C D
25%

➋ Y 항 구하기
➌ B, C 사이의 관계식 구하기 25%
➍ |BC|의 값 구하기 25% 주어진 식의 네 개의 다항식 모두 다음의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전개하면
된다.
B C D B C D BC CD DB

0015 

G Y  Y YBYB 라 하면 G Y 의 상수항과 계수들의


총합은 G  의 값과 같으므로
0018 ③
G  @ BB  B
즉,  B 이므로 Y Y  Y  Y  Y 
   
B, B ∴ B  Y  Y  Y  Y 
  
………………………………………………………………………………… ➊  Y  Y  Y 

∴ G Y  Y Y 
Y   Y Y 

이 식의 전개식에서 Y 항은  Y

Y@Y  @YYYY 이때 Y이므로

따라서 Y의 계수는 이다. Y


………………………………………………………………………………… ➋

채점 기준 배점
➊ B의 값 구하기 60%
0019 ③
➋ Y의 계수 구하기 40%
Y Z [에서
Y Z[, Z [Y, Y [Z
전개식이 아닌 다항식의 곱 꼴에서 상수항과 계수들의 총합을 구할 때에는 ∴ Y Z Z [ [ Y
직접 전개하지 않아도 Y을 대입하여 얻은 값이 상수항과 계수들의 총
 [ Y Z
합과 같음을 이용하면 된다.
 Y Z [
 Y Z [  YZ Z[ [Y YZ[
@ @  

 ғࣅҕधਸ੉ਊೠ‫׮‬೦ध੄੹ѐ  

0016 ④

  ғࣅҕधਸ੉ਊೠ‫׮‬೦ध੄੹ѐ 
Y BZ
Y BZ 
 
@Y@BZ @BZ@ 
@  @Y 0020 ②
  
Y BZ  BYZYBZ
YZ  Y @ Y @Z @Y@ZZ
Y BZ 을 전개한 식이 Y

BZ  YZ CY DZ이므로    
Y Y Z YZ Z
Y BZ  YZ CY DZY BZ  BYZYBZ
이므로
B, C, DB 
YZ Y Z  YYZ YZZ Y Z 의 전개식
따라서 BÅ, C, D이므로 에서 YZ항은
YZ@Z YZ@YYZ YZYZ
BCDÅ@  @  
따라서 YZ의 계수는 이다.

4 정답과 풀이
0021 ⑤ 따라서 YZ의 계수는 , YZ의 계수는 이므로
D 
① Y Y Y   Y Y ………………………………………………………………………………… ➌

1
② Y Z  Y 
@ Y @Z @Y@ Z 
Z 
∴B C D  
   
Y Y Z YZ Z ………………………………………………………………………………… ➍
③ YZ Y Z YYZ Z Y YZ Z
채점 기준 배점
\ YZ Y YZ Z ^\ Y Z YYZ Z ^
➊ B의 값 구하기 30%
 YZ Y Z
➋ C의 값 구하기 30%
 Y  Z 

➌ D의 값 구하기 30%
YZ
➍ B C D의 값 구하기 10%
④ Y Z [ Y Z [YZZ[[Y
Y Z [ @Y@Z@[
 
Y Z [YZ[
⑤ Y YZ Z YYZ Z
\ Y 
Y@Z Z ^\ Y Y@Z

Z^  ҕాࠗ࠙੉੓‫ח‬ध੄੹ѐ
   
 Y Y @Z Z

0024
   
Y Y Z Z ②
따라서 다항식의 전개가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B CD BC D 에서

CD U로 놓으면
B CD BC D  B U BU
0022  B U 

UCD을 대입

B CD 

Y Y  \ Y Y  ^


 
B CCD D
 Y 
BCD CD
 Y @ Y @ @Y@
따라서 B 의 계수는 , C 의 계수는 , D의 계수는 이므로
 

YY Y
Y, Z, [
………………………………………………………………………………… ➊
∴Y Z [   
따라서 B, C, D이므로

0025
BCD  

………………………………………………………………………………… ➋

채점 기준 배점 B C \ B C B C ^에서
➊ Y 
Y 
 을 전개하여 정리하기 70% B CU로 놓으면

➋ BCD의 값 구하기 30% B C \ B C B C ^

 U U U 
U
이때 U이므로 U

0023  ∴ B C 

㈎ BY 을 전개한 식에서 상수항과 계수들의 총합은 Y을


대입하여 얻은 값과 같고 이 값은 이므로
0026 

B  Y Y Y  Y 


따라서 B이므로 B \ Y Y  ^\ Y Y  ^
 
………………………………………………………………………………… ➊  Y Y Y Y
 
㈏ CY  Y ………………………………………………………………………………… ➊
 CY CY CY  YY  Y YU로 놓으면

C Y 
C 
 Y 
C Y  Y Y Y Y
이때 Y의 계수가 이므로  U U

C, C ∴ C U U 
UY Y를 대입
………………………………………………………………………………… ➋  Y Y  Y Y 
㈐ YZ 
YZ Y YZ Z Y Y YYY 
        
Y Y Z YZ Z Y Z Y Y Y Y 
YYZ YZZ ………………………………………………………………………………… ➋

Ⅰ. 다항식 5
따라서 Y의 계수는 , Y의 계수는 이므로
 ғࣅҕध੄߸ഋBOŸCO੄ч
B, C
∴ BC  
………………………………………………………………………………… ➌ 0029 ①

채점 기준 배점 Y Z Y Z YZ에서
➊ Y Y Y  Y  을 공통부분이 생기도록 짝을 
  YZ, YZ
40%
지어 곱하기
YZ ∴ YZ
➋ 공통부분을 U로 놓고 식을 정리하기 40%  
∴Y Z Y Z YZ Y Z
➌ BC의 값 구하기 20%
  @@


0027 

 B ", B #라 하면 0030 ③


     
\  B  B ^ \  B B ^ YZ YZYZ Y Z
 
 "#  " # 이때 Y Z Y Z YZ@이므로
   
" "# # " "# # YZ YZYZ Y Z @
"#
 
"  B , # B 을 대입
  B B
\  B B ^
 B 
0031 ②

 @ ∵ B
YZ YZ 
YZ YZ 에서
@

다른 풀이  YZ@, YZ ∴ YZ

 B", B#라 하면
\  B  B ^\  B 
B ^
 "#  " # 

" " #   
# "  
"# # 0032 ⑤

"# YZ YZ 


YZ YZ 에서
 
  B B  
YZ@, YZ ∴ YZ
 B 
Z Y Y Z YZ  YZ
∴  
Y Z YZ YZ
 @
 

0028 

B C D BC D B CD BCD


 B C D BCD B CD BC D
0033 ③
\B C D ^\B C D ^\B CD ^\B CD ^
\B C D ^\B CD ^ Y Z Y Z YZ Y Z 에서

BB CCD D B C CD D C D 
CD   YZ@, YZ ∴ YZ
   

B B C   
B CDB D B C B CDB D        
C D   ∴Y Z Y Z YZ @  

B B C B D     
C C D  
D ∴ Y Z Y Z YZ Y Z  YZ 

B C DBCCDDB @  


………………………………………………………………………………… ➊
따라서 BC의 계수는 , CD의 계수는 , DB의 계수는 
이므로 Y, Z, [
∴Y Z [   
0034 

………………………………………………………………………………… ➋ Y Z Y Z

Z Y YZ
채점 기준 배점
이때 YZ    이므로
➊ 주어진 식을 전개한 후 정리하기 70%
YZ ∵ Y, Z
➋ Y Z [의 값 구하기 30% ………………………………………………………………………………… ➊

6 정답과 풀이
Y Z 
 


 이므로 0037 ②
Y Z Y Z YZ @
  
∴Y Z ∵ Y, Z [Y ] Y 
Y Y

1
………………………………………………………………………………… ➋
 
∴ Y Z Y Z YZ Y Z 이때 Y에서 Y , 즉 Y 이므로
Y Y

  @@ 
Y 
 Y
   
………………………………………………………………………………… ➌ ∴ Y [Y ] [Y ]
Y Y Y
Y Z Y Z 
∴       @  
Z Y YZ 
………………………………………………………………………………… ➍

채점 기준 배점
➊ YZ의 값 구하기 30% 0038 

➋ Y Z의 값 구하기 30% Y 이므로 YY 의 양변을 Y로 나누면


30%
 
➌Y Z 의 값 구하기  
Y  ∴Y 
Y Z Y Y

Z Y
의 값 구하기 10%
………………………………………………………………………………… ➊
   
Y [Y ] [Y ]
Y Y Y

 @

0035 ③
………………………………………………………………………………… ➋
   
∴ Y Y [Y ] [Y ]
Y Z Y Z Y YZ YZ Z Y Y Y Y
Y Z YZ Y Z @ @
이므로 ………………………………………………………………………………… ➌
       
Y Z Y Z Y Z Y Z Y Z UU ㉠ 채점 기준 배점
이때 
➊Y
Y
의 값 구하기 20%
  
Y Z Y Z YZ Y Z 
40%

➋Y 의 값 구하기
Y
@  @
➌ 주어진 식의 값 구하기 40%
Y Z Y Z YZ@  
㉠에서
Y Z Y Z Y Z YZ Y Z
@  @ 
0039 
       
∴Y Z Y Z  Y Z  Y Z
Y 이므로 YY 의 양변을 Y로 나누면

 
Y ∴ Y 
Y Y
   
Y [Y ] [Y ] @
Y Y Y
 
∴ Y  Y 
Y Y 
   
ғࣅҕध੄߸ഋBOŸ ੄ч [Y ] 
BO Y
 

0036 ④

Y 이므로 YY의 양변을 Y로 나누면 0040 


 
Y  ∴ Y  Y Y Y Y  
Y Y Y Y
Y Y Y
   
∴ Y [Y ] [Y ]  
Y Y Y [Y ] [Y ]
 Y Y
 @
   
[Y ] [Y ] [Y ]
Y Y Y
Y을 YY에 대입하면  이므로 Y 이다.   
[Y ] [Y ] UU ㉠
Y Y

Ⅰ. 다항식 7
Y 이므로 YY 의 양변을 Y으로 나누면 0044 
 
Y  ∴ Y 
Y Y B C D B C D  BC CD DB 에서

      BC CD DB ∴ BC CD DB
Y [Y ] 에서
Y Y
B C D B C D B C DBCCDDB BCD에서
   
[Y ]  ∴ [Y ]  @\  ^ BCD ∴ BCD
Y Y
B C D이므로

이때 Y이므로 Y  B CD, C DB, D BC
Y
㉠에서 ∴ BC B C CD C D DB D B
  
Y Y Y Y    BC D CD B DB C
[Y ] [Y ]
Y Y Y BCBCD CDBCD DBBCD
@  BC CD DB BCD
@    

 ғࣅҕध੄߸ഋBO CO DO੄ч 0045 

B C DBCCDDB
0041 


B C DBCCDDB

B C D B C D  BC CD DB 에서

  \ BBC C CCD D DDB B ^
   BC CD DB ∴ BC CD DB 
∴ B C D B C D B C DBCCDDB BCD   
 \ BC CD DB ^ UU ㉠
@  @ 
BC, BD를 변끼리 빼면
C D ∴ CD

0042
㉠에서

B C DBCCDDB
B C D B C D  BC CD DB 에서 
 \ BC 
CD 
DB ^
 
   BC CD DB ∴ BC CD DB

    \  
^
에서 
B C D
   BC CD DB 
  
B C D BCD BCD
∴ BCD
 ғࣅҕधਸ੉ਊೠࣻ੄҅࢑

0043  0046 ④

   @@@        


BC CD DB
      
 BBC C CCD D DDB B
       
 B C D  BC CD DB
………………………………………………………………………………… ➊


이때 B C D B C D  BC CD DB 에서

0047

  BC CD DB ∴ BC CD DB 
………………………………………………………………………………… ➋
∴ BC 
CD 
DB   

@     @    
 B C D  BC CD DB
 
@@   
   


………………………………………………………………………………… ➌ 다른 풀이

채점 기준 배점 B라 하면
➊ BC 
CD  
DB 을 변형하기 40%  B B
 
@    B B 
B   
B  
➋ BC CD DB의 값 구하기 40%
B
➌ BC 
CD 
DB 의 값 구하기 20%   B
B

8 정답과 풀이
라 하면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 겉넓이가 이므로
BC B 
BC   
C B C 을 이용하여 식을 간단히 한다.  B C D ,  BC CD DB 
∴B C D, BC CD DB

1
B C D B C D  BC CD DB

0048 ② ™A@
  
∴ "#“āB C ƒD `
@@B의 좌변에서 Y라 하면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
@@ Y Y Y  Y\ Y  Y ^
Y Y YY 세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B, C, D인 직육면체의
M
대각선의 길이를 M이라 하면 D

 @ ∵ Y
이때 @B이므로 MāB C D C
B
B@ ∴ B ÃB™A >ÂC>™A>
참고 한 모서리의 길이가 B인 정육면체의 대각선
의 길이

0049  āB B BB

B, `C라 하면
 `  ` 

0052

Y 
B C  BC 

B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B BC BC C BBC BCC
 Y  @Y@ Y  @Y
B
 
Y Y Y Y Y 
Y
B BC

B Y 
 
B C
@ @ h 
∵ B, Ch
@ @
따라서 @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 @의 일의 자리의
0053 

숫자는 이므로 주어진 수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이다. 직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각각 B, C라
하면 원의 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0050
B C ∴ B C C

…………………………………………………… ➊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이므로 B
@ [ ]이므로
   B C  ∴B C
    ………………………………………………………………………………… ➋
B[ ][ ][ ][ ]
   
B C B C BC에서
    
[ ][ ][ ][ ][ ] BC, BC ∴ BC
    
    ………………………………………………………………………………… ➌
[ ][ ][ ][ ]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는 이다.
   ………………………………………………………………………………… ➍
[  ][ ][ ]
  
채점 기준 배점
  
[  ][ ][  ] ➊ 직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각각 B, C라 할 때, B C의 값
   30%
구하기
B 
즉,   이므로 ➋ B C의 값 구하기 30%
 
 B  B  ➌ BC의 값 구하기 30%
 ,   ∴ 
    B ➍ 직사각형의 넓이 구하기 10%

직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

가로의 길이가 B, 세로의 길이가 C인 직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를 M이라 하면 M
 ғࣅҕध੄‫ب‬ഋী੄ഝਊ C
 
MāB C
B
0051  참고 한 변의 길이가 B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
ăB BB
직육면체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 높이를 각각 B, C, D

Ⅰ. 다항식 9
0054  0058 

"$“B, #$“C라 하면 " 0•"“B, 0#“C, 0$“D라 하면 $



"#“이므로 B ㈎에서 B C D D
B C   #
C
$ …………………………………………… ➊ #
0 C
삼각형 "#$의 넓이가 이므로    B
㈏에서 BC CD DB
   "

BC ∴ BC ∴ BC CD DB

  
B C B C BC @ ………………………………………………………………………………… ➋
∴B C ∵ B, C B C D B C D  BC CD DB
   
B C B C BC B C  @
  

 @@ ∴ 0•"“ 0#“ 0$“B C D
 
∴ "$“ #$“B C ………………………………………………………………………………… ➌

채점 기준 배점
➊ 0•"“B, 0#“C, 0$“D라 할 때, B C D의 값 구하기 30%

0055 ③
➋ BC CD DB의 값 구하기
 
➌ 0•"“ 0#“ 0$“의 값 구하기

30%
40%
BCD B C D  CDB B CD 에서
\B C D ^\B C D ^\ CD B^\ CD B^
   
B C D  CD B
B C CD D  CCD D B
BCCDDCCD DB
BC D ∴ C DB
따라서 삼각형 "#$는 빗변의 길이가 B인 직각삼각형이다.

 ‫׮‬೦ध੄ա‫ݿࣅׅ‬җա‫ݠ‬૑

0056 
0059 
"$“B, #$“C라 하면 "#“B C
Y 
두 정육면체의 부피의 합이 이므로
YYŽYY Y 
B C  
Y Y  Y
B C B C BC B C 에서
 Y Y 
 BC@ ∴ BC 
 Y Y 
B C B C BC
Y 
@
따라서 2 Y Y, 3 Y Y 이므로
따라서 두 정육면체의 겉넓이의 합은
2  3      
B C B C @

0057 

세 정사각형 ", #, $의 넓이의 합이 이므로 0060 

B C D Y Y 


세 정사각형 ", #, $의 둘레의 길이의 합이 이므로 YŽY Y  
B C D ∴B C D Y Y
한편, 4#C, 4% B C C D 이므로 Y

4%4#
 B C C D C YY
BC BD C CDC Y 
BC CD DB Y
B C D B C D  BC CD DB 에서 

  BC CD DB ∴ BC CD DB 따라서 B, C, D, E이므로
∴ 4%4# B C D E   

10 정답과 풀이
0061  0064 

Y  G Y  Y Y  Y 


Y ŽYY

1
Y  
Y Y  Y  YY
Ž 
YYY ∴ G Y  Y  Y  Y Y
Y Y  따라서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Y 
Y Y  Y, 나머지는 이므로 Y
Y  B, C, D 
따라서 몫은 Y , 나머지는 Y 이므로 ∴ BC D@  
B, C, D, E
∴ BE CD  @ @
0065 Y 

0062  " Y Y  Y



Y
# Y Y  Y Y 
BY  YCY Y이므로 ………………………………………………………………………………… ➊
BY YCY Y ∴ BC ∴ Y" #Y Y Y Y Y 
   
또한 Y Y  CY Y 이므로 Y 
Y Y 
Y 
Y 
C Y ∴ C, B Y Y 
………………………………………………………………………………… ➊ ………………………………………………………………………………… ➋
주어진 식에서 BY  DEY F이므로 Y 
BDY DEY F ∴ BDE, DF YYŽY Y 
또한 Y EY F 이므로 YY Y
E Y F ∴ E, F, D Y Y 
………………………………………………………………………………… ➋ 
Y Y
따라서 B, C, D, E, F이므로 Y 
B C D E F     따라서 Y" 
#를 Y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Y , 나머지
………………………………………………………………………………… ➌ 는 Y 이므로 구하는 합은
채점 기준 배점 Y  Y  Y 
➊ B, C의 값 구하기 40% ………………………………………………………………………………… ➌

➋ D, E, F의 값 구하기 40% 채점 기준 배점
➌ B C D E F의 값 구하기 20% ➊ 두 다항식 ", # 구하기 20%
➋ 다항식 Y" # 구하기 20%

➌ 다항식 Y" #를 Y Y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의
60%
합 구하기

 ‫׮‬೦ध੄ա‫"ࣅׅ‬#2 3
0066 

0063
Y 
YY 
YY CŽYY BY
 
Y 
Y 
Y" Y 
Y Y 이므로 Y Y CY
" Y 
Y Y 
Y 
Y Y  Y BC Y
Y 
Y 
Y Y YC
∴ " Y 
Y 
Y – Y 
Y BC Y C
Y Y 
 이때 YY BY이 YY C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나머지가
Y YŽY Y Y 이어야 한다.
  
Y Y Y BC,  C이므로 B, C
Y Y Y ∴B C 
YY Y

0067
Y Y

Y Y
 밑면의 넓이가 BB , 높이가 G B 이고

∴ "Y Y  부피가 B B B이므로

Ⅰ. 다항식 11
BB  G B BB B 
따라서 Y1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Y2 Y ,
   
즉, B B B를 B B 로 나누면 나누어떨어지고 그 몫
나머지는 이다.
은 G B 이다.
B 
BB ŽBB B

B B 
B 0071 ①
B B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지가 Y 
B B
이므로

G Y  Y  2 Y Y 
따라서 G B B이므로
∴ \ G Y ^\ Y  2 Y Y ^
G  G   @ @ 
\ Y  2 Y ^ \ Y  2 Y ^ Y 

Y 
 Y  \2 Y ^  Y  Y  2 Y
0068 ① Y Y 
   
  Y  \2 Y ^  Y  Y  2 Y
Y Y
YYŽY YYY Y  Y
  

Y Y Y    Y  [ Y  \2 Y ^  Y  2 Y ] Y

Y  Y Y  따라서 \ G Y ^을 Y 로 나눈 나머지는 Y이므로
Y YY 3 Y Y
 ∴ 3  @
∴ YYYY YY Y Y 

이때 Y Y이므로 구하는 식의 값은 이다.

 ઑ݀ઁߨਸ੉ਊೠ‫׮‬೦ध੄ա‫ࣅׅ‬

⑴ 몫: Y Y , 나머지: 
 ‫ݿ‬җա‫ݠ‬૑੄߸ഋ
⑵ 몫: YY , 나머지: 

0069 ① ⑴ Y Y Y  – Y 

     
1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 나머지가 3이므로
   
    
1 Y [Y ]2 Y 3
 
몫: Y Y  , 나머지: 

 Y 2 Y 3 
 ⑵ YY Y  –[Y ]


 Y @ 2 Y 3
 Å    
    
따라서 1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2 Y , 나머지는

   
3이다. 
 몫: Y Y  , 나머지: 

0070 ②
0072 ③

 Y BY Y C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조립


1 Y 를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 나머지가 이므로

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다음과 같다.

1 Y [Y ]2 Y    B  C

  B  B
∴ Y1 Y Y[Y ]2 Y Y
  B B  B C
 주어진 조립제법에서
 Y Y  2 Y Y  

L, D

 Y  < Y2 Y = B이므로 B


12 정답과 풀이
B E이므로 E 
Y Y[Y ] Y Y 

B C이므로  C ∴ C
 Y  Y Y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1

따라서 B 이고 2 Y Y Y, 3이므로


0073
B@2  @3 @   @  
③ 

주어진 조립제법에서 B이므로 B


즉, Y Y 를 Y로 나누었을     
0077 몫: ÅQY ÅR, 나머지 : S
때의 몫과 나머지를 조립제법을 이용   
하여 구하면 오른쪽과 같다.     주어진 조립제법에서

따라서 C이므로 
G Y [Y ] QY R S

B C 

 Y  QY R S

 
 Y  [ QY R] S
0074
 

 
따라서 G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QY R, 나머
 
 B C D E
지는 S이다.
  
   

주어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안에 알맞은 수를 구하면 위와 0078 


같으므로
    
B
  
C이므로 C
    
D이므로 D
 
E이므로 E
  
∴B C D E   
위와 같이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Y YY을 Y 으로 나

누었을 때의 몫은 Y Y이므로
2 Y YY
0075 
따라서 2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Y이므로
 2 Y Y
YY Y 을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조립
 ∴ 2  @
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다음과 같다.

Å    
  
   

YY Y [Y ] YY  

 Y YY  
 
따라서 G Y Y Y , H Y Y Y 이므로
G  H   @@  @  

0076 ④


Y Y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다음과 같다.

Å    
  
   

Ⅰ. 다항식 13
0083 ①

Y Y , Y Y
 
 Y Y  Y Y  Y Y Y Y 

0079 ④  Y 
Y  Y 
Y  Y 
Y  Y
Y
 
Y Y Y Y
" #$ #$
이 전개식에서 Y항은
"# $ #$
Y@ @Y @YY
" # $
따라서 Y의 계수는 이다.
 YYY  YY   Y Y
다른 풀이
YYY YY Y Y
Y Y , Y Y
YYY
 
 Y Y  Y Y  Y Y Y Y 


이때 Y YU라 하면

U  U  U UU U  U U U
0080 ① U U 
 Y Y 
 Y Y 
" # Y Y Y  Y UU ㉠
   
 Y Y Y Y Y 
"# Y Y  Y UU ㉡
따라서 Y의 계수는 이다.
㉠ ㉡을 하면
 
" # "# Y Y 

"Y 
Y  
∴ " Y
 
Y 
0084 ③
 
B C    
  
" Y Y 을 ㉡에 대입하면 B C  BC  
 
  
 
     이때 B, C, 즉 BC이므로 BC
[ Y Y ]#Y ∴ # Y Y
    BC이므로 |B||C| ∴B C
9"#에서 9" #이므로 9의 상수항은 B C B C BC @  
 @   ∴B C ∵ B C
∴ B C B C BC B C

  @  @  

0081 ④

 Y Y Y U Y 


0085 ①

  Y Y Y U Y    


[Y ][Y  ]Y  Y 이므로
   Y Y Y Y
@  Y Y Y U Y
   
이 식의 전개식에서 Y 항은  Y [Y ][Y  ][Y ]
Y Y Y Y
 @Y Y@Y Y@Y @YY 이때 Y 이므로 YY의 양변을 Y로 나누면

따라서 Y 의 계수는 이다.  
Y  ∴ Y 
Y Y
  
Y  [Y ]  
Y Y
0082    
Y

Y  [Y ] [Y ] 
Y
Y
㈏    
∴ Y  [Y ][Y  ][Y ]
Y Y Y Y Y Y Y

㈎ Y Y
@

0086
주어진 표에서 ㈏의 위치에 알맞은 다항식을 H Y 라 하면

H Y Y Y Y Y Y Y이고,
H Y Y G Y Y Y이므로 B C DBCCDDB
Y Y Y Y  Y G Y 
 B C DBCCDDB
  
∴ G Y Y Y Y Y  Y

Y YY   \ BBC C CCD D DDB B ^

Y Y
  
 \ BC CD DB ^
∴ G    

14 정답과 풀이
   ∴ Y Z Z [ Z [ [ Y [ Y Y Z
이므로 \ BC CD DB ^
  
 YZ Y[ Z Z[ Z[ YZ [ Y[
이때 B, C, D는 실수이므로
Y[ Z[ Y YZ

1
BC, CD, DB ∴ BCD
Y Z [  YZ Z[ [Y
따라서 B이므로 C, D
 @
∴C D 

0090 ②
0087 
[그림 ]의 직육면체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 높이를
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각각 B, C, D라 하면 각각 B, C, D라 하면 [그림 ]의 입체도형의 겉넓이는 이고, 모
세 삼각형의 넓이의 합이 이므로 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이므로
    BC CD DB  ∴ BC CD DB
BCATJOA± CDATJOA± DBATJOA±
  
 B C D  ∴B C D

BC CD DB  B C D B C D  BC CD DB


∴ BC CD DB UU ㉠  @
세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의 합이 이므로 이므로
B C D ∴B C D UU ㉡ āB C Du
㉠, ㉡에서 따라서 [그림 ]의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이다.
   
B C D B C D  BC CD DB
@
일부분을 잘라 낸 직육면체의 겉넓이  자르기 전의 직육면체의 겉넓이
삼각형의 넓이 구하기 - 끼인각이 예각일 때

삼각형 "#$에서 두 변의 길이 B, D와 그 "


끼인각 #의 크기를 알면 삼각형의 넓이 4 DATJOA#
D
를 구할 수 있다. ∠#가 예각일 때

 # $
4 BDATJOA# )
 B

0091 ①

0088 ③

Y Y 
Y Y ŽYY Y 
"         
Y Y 
Y 

   
Y YY
         

YY Y

   
  
  
 YY 


 Y Y 
     
 
 ∴ YYY  YY  Y Y  
   

 
이때 Y Y 이므로 구하는 식의 값은 이다.

 

이때 은 모든 자리의 숫자가 인 자리 자연수이므로


 은 모든 자리의 숫자가 인 자리 자연수이다. 0092 ③

따라서 O, L이므로 Y 


O L  YY ŽY YY
YY Y

Y Y

0089
YY 

Y
Y Z [ Y Z [  YZ Z[ [Y 에서 따라서 2 Y Y , 3 Y Y이므로

   YZ Z[ [Y ∴ YZ Z[ [Y 2  3      

Ⅰ. 다항식 15
0093 ③ ∴B

C

DBC

CD DB
∴B C D B C D  BC CD DB
큰 물통의 부피 LS S  L S S 
 @

작은 물통의 부피 L@@ S L S

S S을 S로 나누면 몫은 S SA 
S 
S , 나머지는 이다. SŽS S 0098 ③
 
이때 S이므로 작은 물통의 S S


S 주어진 조립제법에서 삼차다항식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최대 개수는 S S 이다. 
따라서 B, C, D이므로 SS 
몫을 2 Y 라 하면 2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Y,
S 
B C D  
S 나머지는 이므로

 
2 Y [Y ] Y 


이때 삼차다항식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므로

0094 ② 
G Y [Y ]2 Y 


G Y  Y Y  Y  Y
 
 [Y ]<[Y ] Y = 
 Y  Y Y  Y    
 Y  Y Y     
[Y ] Y [Y ] 
따라서 2 Y Y 
Y , 3이므로  

2  3   @    Y Y  Y 

 Y Y Y 
따라서 2 Y Y, 3 Y Y 이므로
0095 ⑤ 2  3    @  

1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 나머지가 3이므로

0099
1 Y  Y 2 Y 3

Y1 Y Y Y 2 Y 3Y
Y Y 2 Y 3@ Y  ㈎에서 Y ZB이고 Y Z Y Z YZ이므로
Y Y 2 Y Y 3 3 Y Z YZB UU ㉠
 Y \Y2 Y 3^ 3 ㈏에서 Y ZC Y Z 이고
따라서 Y1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Y2 Y 3, Y Z Y Z YZ Y Z 이므로
나머지는 3이다. Y 
Z YZ Y Z C Y Z
Y Z 이므로 위의 식의 양변을 Y Z로 나누면

Y Z YZC UU ㉡
0096 ②
㉠㉡을 하면 BCYZ이고, ㈐에서 BC이므로
YZ
Å    
따라서 YZ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Y, Z의 순서쌍은
  
,  , ,  , ,  , ,  , ,  의 개이다.
   

Y YY [Y ] Y Y 

 Y Y Y  0100 

따라서 2 Y Y Y, 3,
" #Y YZZ UU ㉠
2 Y Y Y, 3이므로  
"#Y YZZ UU ㉡
2 Y 3 2 Y 3
㉠ ㉡을 하면
 Y Y @  Y Y @ 
" Y YZZ Y YZZ Y YZZ

Y Y 
∴ "Y YZZ UU ㉢
………………………………………………………………………………… ➊

0097 ④
㉢을 ㉠에 대입하면
Y YZZ #Y YZZ
B CBC, C DCD, D BDB를 변끼리 더하면 ∴ #Y YZZ Y YZZ YYZ Z
B C DBC CD DB ………………………………………………………………………………… ➋

16 정답과 풀이
∴ "#Y YZZ YYZ Z 2 Y 3 2 Y 3
∴   
Y 
YZZ Y  
YZZ  2 Y 3 2 Y 3
………………………………………………………………………………… ➌
Y YZZ

1
………………………………………………………………………………… ➌ 채점 기준 배점
30%
 
따라서 B, C, D이므로 ➊ Y Y Y  Y 2 Y 3으로 나타내기

BCD  @@   ➋ 2 Y , 3를 각각 2 Y , 3을 이용하여 나타내기 40%


………………………………………………………………………………… ➍ 2 Y 3
➌  의 값 구하기 30%
2 Y 3
채점 기준 배점
➊ " 구하기 30%
➋ # 구하기 30%
➌ "# 계산하기 30%
➍ BCD의 값 구하기 10%

0101 ⑴  ⑵  0103 ①

⑴ 직육면체의 겉넓이가 이므로  Y Y  Y Y  Y 에서 Y항은


 BC CD DB  ∴ BC CD DB @@Y @Y@ Y@@Y
 
대각선 "(의 길이가 Ä{이므로 Y Y Y Y Y Y Y Y Y 에
āB C DÄ{ ∴ B C D 서 Y항은
………………………………………………………………………………… ➊ @@ Y @ Y @ Y @@Y
   
B C D B C D  BC CD DB 따라서 Y의 계수는
 @   
∴B C D ∵ B C D
………………………………………………………………………………… ➋
0104 ⑤
⑵B C D에서
0$“B, $%“C라 하면 ㈎에서 B
B CD, C DB, D BC " %
B CY Z  UU ㉠
∴ BC B C CD C D DB D B BCD C
C B
%"“B, "#“C, #0“B이므로 ㈏에서
BC D CD B DB C BCD # B 0 $
B C BY Z 
 BC CD DB
B CY Z  UU ㉡
@
………………………………………………………………………………… ➌
㉡㉠을 하면
BY  ∴ BY 
채점 기준 배점
이것을 ㉠에 대입하면
➊ BC CD DB, B C D의 값 구하기 30%
Y  CY Z  ∴ CZ 
➋ B C D의 값 구하기 30%
따라서 직사각형 "#$%의 넓이는
➌ BC B C CD C D DB D B BCD의 값 구하기 40%
B@C Y  Z 

0102  0105 

다항식 Y Y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 @     @



나머지가 3이므로    @    
Y YY  Y 2 Y 3   @   
………………………………………………………………………………… ➊ Y라 하면

   @    
Y YY [Y ]2 Y 3
   @   
  Y  Y Y 
 Y   Y Y Y 
[Y ]?2 Y 3
   
Y  Y Y  Y 
이므로
Y Y 
  
Y Y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2 Y ,   

나머지는 3이다. 
∴ 2 Y 2 Y , 33 이므로 주어진 수는 일곱 자리 자연수이다.
………………………………………………………………………………… ➋ ∴ O

Ⅰ. 다항식 17
0106 ④ ∴ B C BC BC B C B C
@
Y Z Y Z Y Z YZ YZ에서
Y Z Y Z Y Z YZ Y Z
이때 Y  
Z Y Z YZ@, 0109 
   
Y Z Y Z YZ Y Z  @@
다항식 1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이므로
1 Y  Y  2 Y Y BY 
Y Z Y Z Y Z YZ Y Z 
 Y  Y  2 Y  Y Y Y BY 
@@  
 Y  Y  2 Y  Y Y  Y BY 
∴ N  
 Y  Y  2 Y  Y Y  B Y
B C D이므로
 Y  Y  2 Y  Y  
B Y
B CD, C DB, D BC
 Y  \ Y  2 Y ^ B Y
B C C D D B 
이때 1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Y C이므로
 D B C
B YY C ∴ B, C
 B C D  BC CD DB BCD
따라서 B, C이므로
@ @    
B C  
∴ O 다른 풀이
∴N O  
다항식 1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1 Y  Y  2 Y Y BY 

0107
 
 이때 Y  2 Y 는 Y  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다항식
1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다항식 Y BY 


㈎에서 Y Z [ 이므로 을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같다.


 
  Y Z [  YZ Z[ [Y Y@ Z @ [  
 Y Z [  YZ Z[ [Y YZ[ UU ㉠ Y Y ŽY BY 
㈏에서  Y Z [ YZ Z[ [Y이므로 Y 
Y 
 Y Z [  YZ Z[ [Y B Y
이것을 ㉠에 대입하면 한편, 1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Y C이므로
 YZ Z[ [Y  YZ Z[ [Y YZ[ B YY C
 ∴ B, C
YZ[ ∴ YZ[

따라서 B, C이므로

∴ YZ[@  B C  

다른 풀이

㈎에서 Y이라 하자.


㈏에서  Y Z [ YZ Z[ Y[에 Y을 대입하면
0110 ③

  Z [ Z Z[ [ Y 

 Z [Z Z[ [ Y Y  Y
Ž Y Y 

 Y Y Y
Z[ ∴ Z[
 Y Y 

∴ YZ[@@  Y Y 

Y 
이므로

0108 ③ Y Y



Y

 Y Y  Y  Y 
Y Y Y  Y 
∴ Y 
B C BC BCB BC BC C Y Y  Y Y 
B B C C B C  Y 
Y 
 B C B C Y  Y 

이때 B C B C BC에서 Y 
Y 
 BC ∴ BC  
Y
Y Y  
즉, 의 값이 정수가 되려면 이 정수가
B C B C BC B C Y Y  Y 
@  @ 되어야 한다.
B C B C BC Y † 의 약수 이어야 하므로 가능한 Y의 값은
@   , , , 

18 정답과 풀이
이때 주어진 분수식에서 분모는 이 될 수 없으므로

0113 
Y Y  , Y  Y  
㈏에서
∴Y , Y 

1
G Y  G Y ,
따라서 구하는 Y의 값은 , , 이므로 그 합은
G Y  G Y ,
   
G Y  G Y .
G Y  G Y

0111
G Y  G Y 에서 G Y  G Y

이때 G Y  G Y 이므로 G Y  G Y
G Y  Y 2 Y 3이므로 양변에 Y 를 곱하면 G Y  G Y
Y  G Y  Y  2 Y 
3 Y  이때 G Y  G Y 이므로 G Y  G Y
YG Y  G Y  Y  2 Y 
3 Y  UU ㉠ G Y  G Y
또한 G Y  Y  2 Y 3이므로 양변에 Y를 곱하면 이때 G Y  G Y 이므로 G Y  G Y
Y G Y  Y 2 Y 3 Y ∴ G Y  G Y
Y G Y  G Y  Y  2 Y 
3 Y UU ㉡  G Y
㉠ ㉡을 하면  Y  Y 
 Y 
 
Y G Y  Y  \2 Y 
2 Y ^ 3 3 Y  33 Y 에서 Y항은 @Y@  Y
양변을 로 나누면  Y 에서 Y항은 \@Y@  ^Y
3 3 2 Y 2 Y  Y 에서 Y항은 Y
Y G Y  Y < Y 33 =
  따라서 G Y 의 Y의 계수는
2 Y 2 Y   
따라서 Y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

3 3
나머지는  Y 33 이다.

0114 ②

1)“Y, 1•*•Z라 하면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0112  01“āY Z ∴ Y Z
삼각형 1*)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의 넓이
 B C D E
L
가 이므로

 B Q   L   
LS ,S ∴ S ∵ S
  
 
B R S 한편, 삼각형 1*)의 넓이  YZ S Y Z  이므로
 
위의 조립제법에 의하여 
YZ Y Z  ∴Y ZYZ UU ㉠
   
BY CY DY E Y BY QY 
㉠의 양변을 제곱하면
 Y \ Y  BY R S^ 
Y Z YZYZYZ 
 Y Y  BY R S Y 
 YZYZYZ , YZYZ
 Y Y  BY R SYS 

 Y Y  Y Y YZ YZ  ∴ YZ ∵ Y, Z

이므로 B, S UU ㉠ 이것을 ㉠에 대입하면

㉠을 BY QY Y  BY R S에 대입하면 
Y Z@ 
Y QY Y  Y R  
 

Y RY Y R 따라서 1)“ 1*•Y Z이므로


  
Y R  Y R Y Z Y Z YZ Y Z
  
즉, R이므로 R @ @ 
  
QR 이므로 Q
따라서 조립제법을 완성     
하면 오른쪽과 같으므로    ∠$±인 직각삼각형 "#$에서 내접원 *의 "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C, D, E D
  * C
∴B CD E   
@B@C @S@ B

C D
S
       # $
B


Ⅰ. 다항식 19
∴ Y B  Y B B  Y B B B

Y CY
೦١धҗա‫ݠ‬૑੿ܻ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 , B B C, B B B
B 에서 B
 ೦١धীࢲ޷੿҅ࣻҳೞӝ҅ࣻ࠺Үߨ
B B C에 B을 대입하면
 C ∴ C
0115  ∴B C  

Y BY Y C Y DY 에서
등식의 우변을 정리하면
0119 
Y BYY C D Y CD YC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Y CZ
L L는 상수 라 하면
YZ
C DB, CD, C
BY CZL YZ
C에서 C
BL Y C L Z L
CD에 C를 대입하면 D ∴ D
………………………………………………………………………………… ➊
BC D에 C, D을 대입하면 B 
위의 등식이 Y, Z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 C D  
BL, C L,  L
………………………………………………………………………………… ➋

0116   L에서 L


BL에 L을 대입하면 B
B Y Z C YZ Y Z에서 C L에 L을 대입하면 C
등식의 좌변을 정리하면 ∴B C  
BY BZCY CZY Z ………………………………………………………………………………… ➌
BC Y B C ZY Z
채점 기준 배점
위의 등식이 Y, Z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➊ 주어진 식을 상수 L로 놓고 Y, Z에 대하여 정리하기 40%
BC UU ㉠
➋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20%
B C UU ㉡
➌ B C의 값 구하기 40%
㉠㉡을 하면 C ∴ C
C을 ㉡에 대입하면 B  ∴ B
∴ BC@
0120 

Y△Q △Y  Z△R △ 에서


0117  YQY Q Y Y  ZRZ R   
  Q  Y R Z QR  
LY Y LZ ZL을 L에 대하여 정리하면
  위의 등식이 Y, Z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Y Z  L Y Z 
Q , R, QR 
위의 등식이 L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Q, R
Y Z, Y Z ∴ Y Z, Y Z
∴ QR
Y Z Y Z YZ이므로

 YZ, YZ ∴ YZ

0121 ②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한다.’라는 표현이 있는 경우
Y Y B YY 2 Y CY 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
L  꼴로 정리하여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한다.
로 2 Y 는 Y에 대한 일차식이어야 한다.
이때 좌변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므로

0118
2 Y Y D D는 상수 라 하면

Y Y B YY Y D CY 
   
G Y Y Y Y에 Y 대신 Y B를 대입하면 Y D Y CD YD 
G Y B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Y B  Y B  Y B  D, CD, D B
     
Y BY B Y B Y BY B Y B D에서 D
Y B  Y B B  Y B B B CD에 D를 대입하면 C ∴ C

20 정답과 풀이
D B에 D를 대입하면 B ㉠㉡을 하면 B ∴ B
∴ BC@ B를 ㉠에 대입하면  C ∴ C
∴ CB  

 ೦١धীࢲ޷੿҅ࣻҳೞӝࣻ஖‫؀‬ੑߨ 1
0126 

0122 ② 주어진 등식의 좌변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므로 B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Y, Y, Y를 각각 대입한다. ∴ Y Y Y 


C Y 
D Y E

양변에 Y을 대입하면 C ∴ C 위의 등식의 양변에 Y, Y, Y를 각각 대입한다.

양변에 Y을 대입하면  D ∴ D 양변에 Y을 대입하면  E ∴ E

양변에 Y를 대입하면  B ∴ B 양변에 Y을 대입하면  CD

∴B C D   ∴ CD UU ㉠


양변에 Y를 대입하면   C D
∴C D UU ㉡

0123 ③
㉠ ㉡을 하면 C
C을 ㉡에 대입하면 
∴ C
D ∴ D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Y, Y, Y를 각각 대입한다. ∴ BE CD@ @
양변에 Y을 대입하면 D ∴ D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 B
양변에 Y를 대입하면 
 C ∴ C
B C
0127 

∴B C D   B1 Y C1 Y D1 Y EY YY 에서


BY Y  Y  CY Y  DY EY YY 
위의 등식의 우변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므로 B

0124  ∴ Y Y  Y  CY Y  DY EY YY 


위의 등식의 양변에 Y, Y, Y를 각각 대입한다.
주어진 등식의 좌변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므로 D 양변에 Y을 대입하면 E
………………………………………………………………………………… ➊
양변에 Y을 대입하면 D E   
∴ Y BYY C Y Y  Y  D  ∴ D
위의 등식의 양변에 Y, Y을 각각 대입한다. 양변에 Y를 대입하면 CD E   
양변에 Y을 대입하면 C C   ∴ C
………………………………………………………………………………… ➋
∴ BCDE@  @  @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C
B ∴ B
………………………………………………………………………………… ➌
∴B C D    ઑѤਸ݅઒दః‫ח‬೦١ध
………………………………………………………………………………… ➍

채점 기준 배점 0128 ⑤
➊ D의 값 구하기 20%
이차방정식 Y L Y L  N O 이 을 근으로
➋ C의 값 구하기 40%
가지므로 Y을 이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➌ B의 값 구하기 30%
 L LN N O 
➍ B C D의 값 구하기 10%
∴  N L N O 
위의 등식이 L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N, N O ∴ N, O
0125  ∴N O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Y, Y 을 각각 대입한다.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C
∴B C UU ㉠ 0129 
양변에 Y 을 대입하면  B C
Y 
 Z 의 양변에 를 곱하면
∴ B C UU ㉡  

Ⅰ. 다항식 21
YZ  ∴ YZ  0133 ③
이것을 BY CZ의 좌변에 대입하면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Z  CZ ∴ B C Z B
B C D E ∴B C D E
위의 등식이 Z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 C, B ∴ B, C
∴ BC  

0134 ④
0130 ④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Y, Y을 각각 대입한다.
Y Z에서 ZY 양변에 Y을 대입하면
이것을 B C YCZ 의 좌변에 대입하면 B B B B U B B UU ㉠
B C YC Y  ∴ B C Y C  양변에 Y을 대입하면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B BB UB B UU ㉡
B C, C ∴ C, B ㉠㉡을 하면
∴ B C  
  B B B U B B

∴ B B B U B B

0131 

YZ에서 ZY 위의 풀이에서 ㉠ ㉡을 하면


  B B B U B B
이것을 주어진 등식의 좌변에 대입하면
 
QY RY  Y Y Y S Y  ∴ B B B U B B

QY RY YY Y Y SYS 

∴ Q  Y R S Y S
………………………………………………………………………………… ➊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Q , R S, S 0135 ⑤
∴ Q, S, R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Y, Y을 각각 대입한다.
………………………………………………………………………………… ➋
양변에 Y을 대입하면
∴ QR S  
 B B U B B UU ㉠
………………………………………………………………………………… ➌
양변에 Y을 대입하면
채점 기준 배점 
 BB UB B UU ㉡
➊ ZY를 주어진 등식에 대입하여 정리하기 40% ㉠ ㉡을 하면
➋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Q, R, S의 값 구하기 40%   B B B B B B
➌ QR S의 값 구하기 20% 
   
∴ B B B B B B 
 

 ೦١धীࢲ҅ࣻ੄೤ҳೞӝ

0132  0136 ②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Y, Y를 각각 대입한다.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Y, Y을 각각 대입한다.
양변에 Y을 대입하면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B BB U BB UU ㉠
 B B B B B B B UU ㉠
양변에 Y를 대입하면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B B B U B B UU ㉡
BB BB BB B UU ㉡
㉠ ㉡을 하면
㉠ ㉡을 하면   B B B B
∴ B  B B B U B
B B B

∴ B B B U B UU ㉢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위의 풀이에서 ㉠㉡을 하면
㉢에 B을 대입하면
 B B B ∴ B B B
B B U B

22 정답과 풀이
 ‫׮‬೦ध੄ա‫ࣅׅ‬җ೦١ध 0140 

Y BYY C를 Y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0137
1
① Y DY E D, E는 상수 라 하면
Y BYY C YY Y DY E Y
Y BY C를 Y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Y D D는 상수  
Y D Y ED Y
라 하면
ED  YE
Y BY C YY Y D Y 
………………………………………………………………………………… ➊
Y D YDYD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D, BED, ED , CE
BD, D, CD 
∴ D, E, B, C
∴ D, B, C
………………………………………………………………………………… ➋
∴ BC@
∴ BC@  
………………………………………………………………………………… ➌
Y에 대한 삼차식을 이차식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일차식 LY D 꼴이다. 채점 기준 배점
이때 나누는 식과 나누어지는 식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모두 이므로 몫의
➊ 몫을 Y DY E D, E는 상수 로 놓고 나눗셈에 대한 등식 세
최고차항의 계수도 이다. 즉, 몫은 Y D 꼴이다. 50%
우기
➋ B, C, D, E의 값 구하기 40%
➌ BC의 값 구하기 10%

0138 
Y에 대한 사차식을 이차식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이차식 LY DY E
Y BY C를 Y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Y D D는 상수
꼴이다. 이때 나누는 식과 나누어지는 식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모두 이므
라 하면 로 몫의 최고차항의 계수도 이다. 즉, 몫은 Y DY E 꼴이다.
Y BY C YY  Y D 
Y D Y D  Y D
………………………………………………………………………………… ➊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D, BD , CD  ੌରधਵ‫۽‬ա‫঻־‬ਸ‫੄ٸ‬ա‫ݠ‬૑
∴ D, B, C
………………………………………………………………………………… ➋ ⑴ ⑵
∴B C 
………………………………………………………………………………… ➌ ⑴ G  @  @  
 
채점 기준 배점  
➊ 몫을 Y D D는 상수 로 놓고 나눗셈에 대한 등식 세우기 50%      
⑵ G [ ]@[ ] @[ ] 
   
➋ B, C, D의 값 구하기 40%
  
➌ B C의 값 구하기 10%   
  

Y에 대한 다항식 G Y 를 일차식 Y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나머

0139 
지를 3라 하면 G Y  YB 2 Y 3가 성립한다.
이 등식은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YB를 대입하면
Y B를 Y YC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Y D D는 상수 라 G B 3
같은 방법으로 Y에 대한 다항식 G Y 를 일차식 BY C로 나누었을 때의
하면
몫을 2 Y , 나머지를 3라 하면
Y B Y YC Y D G Y  BY C 2 Y 3
Y D  Y DC YCD C
이 등식은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Y 를 대입하면
B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C
D , DC, BCD G [ ]3
B
∴ D, C, B
∴ B C  
 

0141 
나누는 식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 나누어지는 식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고, H Y 를 Y로
이므로 몫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이다. 즉, 몫은 Y D 꼴이다.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Ⅰ. 다항식 23
G  , H   G  H  , G  H  
따라서  G Y H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 G  B, H  C라 하면
정리에 의하여 B C, BC
 G  H  @@   따라서 \ G Y ^ \H Y ^을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0142  \ G  ^ \H  ^B
 B
C
C BC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리에  @ 

의하여 G  
따라서 Y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
리에 의하여 0146 
 G  @
G Y 를 YB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 G Y 를 Y B로 나누
었을 때의 나머지가 3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0143 ⑤
G B 3, G B 3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Y으로 나누었을 때의 3 G B B BB 
 
나머지가 으로 같으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3 G B B B B 
G   G   ………………………………………………………………………………… ➊

G Y Y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이때 3 3이므로

G   B C ∴B C UU ㉠ B BB  B B B  


 
G   B C ∴ B C UU ㉡ B  ∴ B 
………………………………………………………………………………… ➋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따라서 G Y Y Y 
이므로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따라서 G Y 를 YB, 즉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지정리에 의하여



G   @  G    
………………………………………………………………………………… ➌

0144 
➊ 나머지정리를 이용하여 3, 3 를 B 를 사용한 식으로 나타내기
채점 기준 배점
50%
G Y H Y 를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고, 
➋ B 의 값 구하기 30%
G Y H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 ➌ G Y 를 YB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구하기 20%
리에 의하여
G  H   UU ㉠
G  H  
㉠ ㉡을 하면  G  
UU ㉡
∴ G  
0147 

………………………………………………………………………………… ➊ G Y H Y  YY  YY 



G  를 ㉠에 대입하면  H   Y Y UU ㉠
∴ H   ………………………………………………………………………………… ➊

………………………………………………………………………………… ➋ \ G Y ^\H Y ^ YY I Y 이므로


따라서 G Y H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 \ G Y H Y ^[\ G Y ^ G Y H Y \H Y ^ ]

에 의하여  Y Y I Y
G  H  @   ∴ I Y \ G Y ^ G Y H Y \H Y ^ ∵ ㉠
………………………………………………………………………………… ➌ ………………………………………………………………………………… ➋
따라서 G  @@, H   
채점 기준 배점
이므로 I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
➊ G  의 값 구하기 50%
하여
➋ H  의 값 구하기 30%
I  \ G  ^ G  H  \H  ^
➌ G Y H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구하기 20% 
   @   
………………………………………………………………………………… ➌

0145  채점 기준 배점

G Y H Y 를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고,


➊ G Y H Y 구하기 20%

G Y H Y 를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 ➋ I Y 구하기 40%

리에 의하여 ➌ I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구하기 40%

24 정답과 풀이
G  B C ∴ B C UU ㉡
 ੌରधਵ‫۽‬ա‫঻־‬ਸ‫੄ٸ‬ա‫ݠ‬૑޷੿҅ࣻҳೞӝ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⑴  ⑵ ∴B C  

⑴ G  이므로  B  ∴ B 1


0152
⑵ G  이므로 B  ∴ B

0148
㈎를 ㈏에 대입하면

Y G Y Y Y G Y Y BY Y C
    
G Y Y BY CY 이라 하면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Y Y G Y Y BY Y C
나머지가 이고,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 ∴ Y Y  G Y Y BY Y C UU ㉠
지정리에 의하여 G  , G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C
G   B C  ∴B C UU ㉠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C
G   BC  B C ∴ B
BC ∴ CB UU ㉡ 즉, Y Y  G Y Y
Y Y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Y Y Y Y Y  Y  Y 
G Y   
Y Y  Y Y  
∴ BC  
Y Y
이때 H Y Y G Y 이므로 H Y 

따라서 H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
0149 
하여 H  





G Y Y BY 라 하면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와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서로 같으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G   G 
G   B B   ੉ରधਵ‫۽‬ա‫঻־‬ਸ‫੄ٸ‬ա‫ݠ‬૑

G   B B 
즉, B B 이므로 B 0153 

G Y 를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고, Y로 나누었


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0150 ②
G  , G  

G Y Y Y BY 
라 하면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 G Y 를 Y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G   3 Y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즉, G  B 이므로 G Y  Y Y 2 Y BY C
B ∴ B  Y  Y 2 Y BY C UU ㉠
 
Y Y Y  Y 2 Y 이므로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Y 2 Y Y Y Y   G  B C ∴ B C UU ㉡
Y Y Y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Y Y  Y G  B C ∴ B C UU ㉢
위의 식의 양변을 Y로 나누면 2 Y Y Y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 2 B 2  @ 따라서 3 Y Y 이므로
3  @ 

0151 

Y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고,


0154 ⑤

Y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 1 Y 를 Y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지


정리에 의하여 가 Y 이므로
 G  ,  G   1 Y  Y Y 2 Y Y 
∴ G  , G    Y  Y 2 Y Y 

G Y Y BY C에서 따라서 1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
G   B C ∴ B C UU ㉠ 하여 1   

Ⅰ. 다항식 25
0155 Y 0157 ⑤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고, Y 로 나누었을 G Y 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다항식이므로 ㈏에서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G Y  Y Y L  Y L는 상수 UU ㉠
G  , G   라 하면
………………………………………………………………………………… ➊ ㈎에서 G  이므로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YY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나머지를 G  L ∴ L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 G Y  Y Y   Y 공통인수

Y Y G Y  Y  2 Y 
BY C Y로 묶기
 Y \ Y Y  ^
 Y  Y 2 Y BY C UU ㉠  Y YY 

………………………………………………………………………………… ➋  Y Y Y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Y Y Y
G  B C ∴ B C UU ㉡  Y Y Y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이때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이므로
 G  B C ∴ B C UU ㉢ 2 Y Y Y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 2  @  
………………………………………………………………………………… ➌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Y이다.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다항식 G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 ➍
나머지가  Y 이다.
채점 기준 배점 삼차식을 이차식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일차식이고, 삼차식과 이차식
➊ 나머지정리를 이용하여 G  , G  의 값 구하기 20% 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모두 이므로 몫의 최고차항의 계수도 이다.
➋ 구하는 나머지를 BY C B, C는 상수 로 놓고 나눗셈에 대한
30%
등식 세우기
➌ B, C의 값 구하기 40%
➍ 나머지 구하기 10%

0158 

G Y 를 YY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나머지를 3 Y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G Y  YY 2 Y BY C

0156
 Y  Y 2 Y BY C UU ㉠
Y 
………………………………………………………………………………… ➊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의 등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나머지가 Y 이므로 G  G   ∴ G  

G Y  Y  2 Y Y  ㈏의 등식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Y  Y 2 Y Y  G  G   ∴ G   ∵ G  
∴ G  , G   ………………………………………………………………………………… ➋

G Y 를 Y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나머지가 Y 이므로 G  B C ∴ B C UU ㉡

G Y  Y Y 2 Y Y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Y  Y 2 Y Y  G  B C ∴ B C UU ㉢
∴ G  , G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G Y 를 Y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 ➌

나머지를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따라서 3 Y Y 이므로


G Y  Y Y 
 2 Y BY C 3    
………………………………………………………………………………… ➍
 Y Y 2 Y BY C UU ㉠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채점 기준 배점
G  B C ∴B C UU ㉡ ➊ 몫을 2 Y , 나머지를 3 Y BY C B, C는 상수 로 놓고
20%
나눗셈에 대한 등식 세우기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G  B C ∴ B C UU ㉢
➋ G  , G  의 값 구하기 30%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➌ B, C의 값 구하기 40%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Y 이다. ➍ 3  의 값 구하기 10%

26 정답과 풀이
0159  한편,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
리에 의하여
BY CY Y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
G  

1
지가 Y 이므로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BY CY Y Y 2 Y Y 
G  B ∴ B
 Y  Y 2 Y Y  UU ㉠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의 우변에 B을 대입하면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Y  YY Y이므로
B C  ∴B C UU ㉡
C, D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C D   
B C ∴ BC UU ㉢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한편, Y Y Y를 Y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
0162 
면 나머지가 DY이므로
Y Y Y Y Y 2 Y DY G Y 를 Y Y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Y Y  2 Y DY UU ㉣ 하면 나머지는 Y Y 이므로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G Y  Y Y Y 2 Y Y Y 
 D ∴ D 위의 식의 양변에 Y, Y을 각각 대입하면
따라서 B, C, D이므로 G  , G  
B C D   G Y 를 Y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지
가 BY C이므로
G Y  YY  2 Y BY C
 Y Y 2 Y BY C UU ㉠
 ࢖ରधਵ‫۽‬ա‫঻־‬ਸ‫੄ٸ‬ա‫ݠ‬૑

㉠의 양변에 Y 을 대입하면


0160 Y Y   
G [@ ] G   B
 
C ∴


B C UU ㉡

G Y 를 Y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나머지를 ㉠의 양변에 Y



을 대입하면
 
BY CY D B, C, D는 상수 라 하면
  
G Y  Y Y 2 Y BY CY D UU ㉠ G [@ ] G   B
 
C ∴

B C UU ㉢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Y 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에서 BY CY D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Y 이다. ∴B C  
∴ BY CY DB Y Y  UU ㉡ 다른 풀이
㉡을 ㉠에 대입하면
G Y 를 Y Y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G Y  Y Y 2 Y B Y Y  UU ㉢ 하면 나머지는 Y 
Y 이므로
한편,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
G Y  Y Y Y 2 Y Y Y 
정리에 의하여
양변에 Y 대신 Y를 대입하면
G  
G Y  Y Y Y 2 Y Y Y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Y Y Y 2 Y Y Y 
G  B  ∴ B  
 Y Y Y  2 Y  Y Y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의 우변에 B를 대입하면
Y
 Y Y Y Y  따라서 YBY C이므로 B, C
∴B C  

0161 

G Y 를 Y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
0163 

지가 BY CY D이므로 YY Y를 Y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G Y  Y  Y 2 Y BY CY D UU ㉠ 나머지를 3 Y BY CY D B, C, D는 상수 라 하면
   
G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Y이므로 ㉠에서 Y Y Y 
  
BY CY D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Y이다.  Y Y 2 Y BY CY D
∴ BY CY DB Y  
Y UU ㉡ Y Y  Y 2 Y BY CY D UU ㉠
㉡을 ㉠에 대입하면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D
 
G Y  Y  Y 2 Y B Y  Y UU ㉢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Ⅰ. 다항식 27
B C D ∴B C UU ㉡ G Y  YY 2 Y Y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Y  Y 2 Y Y  UU ㉠
BC D ∴ BC UU ㉢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G   G 
따라서 3 Y Y이므로 이때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구하는 나머지는
3  @ G  
다항식의 나눗셈에서의 나머지 다른 풀이

G Y 를 YY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지


다항식 G Y 를 H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3 Y 는
⑴ H Y 가 일차식 3 Y 는 상수 는 Y 이므로
3 Y B B는 상수 G Y  YY 2 Y Y 
⑵ H Y 가 이차식 3 Y 는 상수이거나 일차식  Y  Y 2 Y Y  UU ㉡
3 Y BY C B, C는 상수 ㉡의 양변에 Y 대신 Y를 대입하면
⑶ H Y 가 삼차식 3 Y 는 상수이거나 이차 이하의 다항식
G Y  Y Y 2 Y  Y 
3 Y BY CY D B, C, D는 상수
 Y Y 2 Y Y
이때 Y Y 2 Y 는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Y을 Y로

0164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같다.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G Y 를 Y  Y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
나머지를 3 Y BY CY D B, C, D는 상수 라 하면
G Y  Y  Y  Y 2 Y BY CY D UU ㉠
G Y 가 Y

 Y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0166 
BY CY DB Y  Y UU ㉡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 Y로 나누었을 때
㉡을 ㉠에 대입하면
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G Y  Y  Y  Y 2 Y B Y  Y UU ㉢
G  , G  
………………………………………………………………………………… ➊
따라서  G Y G Y 를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한편, G Y 를 Y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하면 나머지는 Y이므로
 G @ G   G  G 
G Y  Y  Y  2 Y Y UU ㉣
@ 
………………………………………………………………………………… ➋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B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즉, B이므로 B
0167 ③

………………………………………………………………………………… ➌ G Y 를 Y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지는


따라서 3 Y  Y  Y 이므로 BY B이므로
3  @   G Y  YY 2 Y BY B
………………………………………………………………………………… ➍ Y Y 2 Y B Y  UU ㉠

채점 기준 배점 이때 다항식 G Y  을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➊ G Y 를 Y  Y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40%
놓고 나눗셈에 대한 등식 세우기 G  
➋ G Y 를 Y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로 놓고
30%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나눗셈에 대한 등식 세우기
G  B ∴ B
➌ B의 값 구하기 20%
➍ 3  의 값 구하기 10%

0168 

G Y 를 Y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


 G BY C ܳY=‫۽‬ա‫঻־‬ਸ‫੄ٸ‬ա‫ݠ‬૑ 지는 Y이므로
G Y  Y Y 2 Y Y UU ㉠

0165  Y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


리에 의하여
G Y 를 YY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지
 
<@[ ] = G [@[ ] ] G 
는 Y 이므로  

28 정답과 풀이
이때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B  ∴ B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2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1
 G   2  이므로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2  
2  , 2  

0169 
∴ 2  

G Y  을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


지정리에 의하여 0172 ①
G    G  

1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 나머지가 이므로
G Y Y BY C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1 Y  Y 2 Y  UU ㉠
G  B C ∴ BC UU ㉠
2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지가 이
………………………………………………………………………………… ➊
므로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
2 Y  Y 2 Y  UU ㉡
지정리에 의하여
㉡을 ㉠에 대입하면
G    G  
1 Y  Y \ Y 2 Y ^ 
G Y Y BY C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Y Y 2 Y Y
G   B C ∴B C UU ㉡
따라서 3 Y Y이므로
………………………………………………………………………………… ➋
3  @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 BC@
………………………………………………………………………………… ➌
0173 ①
채점 기준 배점
Y Y Y을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이므로 나머지를
➊ ㉠의 식 구하기 40%
3라 하면
➋ ㉡의 식 구하기 40%
Y Y Y Y 2 Y 3
➌ BC의 값 구하기 20%
위의 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3
∴ Y Y Y Y 2 Y  UU ㉠
2 Y 를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0170  의하여 2  이므로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2  , 2  
G Y H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고,
∴ 2  
G Y H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므로 나머지
정리에 의하여
G  H   UU ㉠
0174 
G  H   UU ㉡
㉠㉡을 하면  G   ∴ G   G Y 를 Y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 나머지가 Y이

G  를 ㉠에 대입하면 므로

 H   ∴ H   G Y  Y Y  2 Y Y UU ㉠

따라서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 2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지가 이

에 의하여 므로

G @  G   2 Y  Y 2 Y  UU ㉡
………………………………………………………………………………… ➊
㉡을 ㉠에 대입하면
G Y  Y Y  \ Y 2 Y ^ Y
 ‫ݿ‬2 Y ܳY=‫۽‬ա‫঻־‬ਸ‫੄ٸ‬ա‫ݠ‬૑  Y 
Y  Y 2 Y  Y 
Y  Y
Y Y Y  Y

0171 
 Y 2 Y
………………………………………………………………………………… ➋
Y Y

YY B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 나머지가 따라서 3 Y Y Y이므로


이므로 3   
YY BY  Y  2 Y  UU ㉠ ………………………………………………………………………………… ➌

Ⅰ. 다항식 29
채점 기준 배점 0178 
➊ ㉠, ㉡의 식 구하기 50%
Y라 하면 Y 
➋ G Y  Y 2 Y Y Y로 나타내기 30% 
Y 을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나머지를 3라 하면
➌ 3  의 값 구하기 20%
Y Y  2 Y 3 UU ㉠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3
Y Y  2 Y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2 
0175


따라서 @을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다.
G Y Y Y Y U YO O은 자연수 을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이므로 나머지를 3라 하면
G Y  Y  2 Y 3 UU ㉠
0179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3 Y라 하면 Y


이때 G    U       Y  YY 

U
U
9
U
U



O개 Y 
∴ 3 이므로
2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Y 을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나머지를 3라 하면
2  이므로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Y  Y 2 Y 3 UU ㉠
G  2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이때 G     U  O이므로  3 ∴ 3

U
U
9
U
U


O개 Y  Y 2 Y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O2  ∴ 2  O  @2  
따라서  을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다.
다른 풀이

Y라 하면
 ա‫ݠ‬૑੿ܻܳഝਊೠࣻ੄ա‫ࣅׅ‬      Y  YY 

Y 

0176

② G Y Y 이라 하면 Y이므로 주어진 식을 로 나
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Y 을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Y라 하면 Y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Y을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나머지를 3라 하면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Y Y 2 Y 3 UU ㉠ G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3
Y Y 2 Y
0180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2  
따라서 을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다. Y라 하면 Y 
Y Y Y을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나머지를 3
라 하면
Y Y Y Y
0177
 2 Y 3 UU ㉠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3
다항식 Y  
을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나머지를 3라 Y Y Y Y  2 Y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하면   2  
Y  
Y2 Y 3 \2  ^ 
위의 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3이므로 3  이다.  \2  ^ 
 따라서   을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등식 Y  Y2 Y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이다.
 @2  
@2  @ 
@\2  ^  0181 

따라서 을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다.   


@@
즉, B, C, D이므로 ………………………………………………………………………………… ➊
B C D   Y라 하면 Y 

30 정답과 풀이
Y을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나머지를 3라 하면 ∴B C UU ㉠

Y  Y  2 Y 3 UU ㉠ G Y  가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3 G    G  

1
………………………………………………………………………………… ➋ 이때 G   B C 이므로 B C 
Y Y  2 Y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 B C UU ㉡

@ 2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2  ^  ∴ CB  
\2  ^ 
따라서 을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다.
………………………………………………………………………………… ➌

채점 기준 배점
0186 
➊ @으로 나타내기 20%
G Y 이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➋ Y라 할 때, Y을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구하기 30%
G   G  
➌ 을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구하기 50%
G Y  이Y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G    G  
 ੋࣻ੿ܻੌରधਵ‫۽‬ա‫҃ח־‬਋ ………………………………………………………………………………… ➊
G   B C이므로  B C

0182
∴B C UU ㉠

G  B C이므로 B C
  
G Y Y BY Y CY라 하면 G Y 가 Y , Y로 ∴ BC UU ㉡
각각 나누어떨어지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G  , G   ………………………………………………………………………………… ➋
G   B C이므로 BC ∴ G Y YY
∴ BC UU ㉠ 따라서 G Y 를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G  B  C이므로 B C  의하여
∴ BC UU ㉡ G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 ➌
∴ BC@ 채점 기준 배점
➊ 나머지정리를 이용하여 G  , G  의 값 구하기 30%

0183  ➋ B, C의 값 구하기 40%


➌ G Y 를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구하기 30%
G Y 가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G @  G  
이때 G   B 이므로 B
∴ B
 ੋࣻ੿ܻ੉ରधਵ‫۽‬ա‫҃ח־‬਋

0184 

G Y BY YBY 라 하면 G Y 가 Y로 나누어떨어지


0187 

므로 G   G Y Y Y BY C라 하면 G Y 가 Y Y 로 나누어


이때 G  B B 이므로 떨어지므로
B B , BB, B  B  G  , G  
∴ B 또는 B G    B C이므로 B C 
따라서 ., N이므로 ∴B C UU ㉠
.N   G    B C이므로 B C 
∴ B C UU ㉡

0185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 G Y Y YY 
G Y Y BY CY 을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 따라서 G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G   의하여
이때 G   B C 이므로 B C  G     

Ⅰ. 다항식 31
0188  위의 조립제법에서
G Y  Y \Y B  Y B C ^
YY  Y Y 이고 G Y 이 YY 으로 나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누어떨어지므로
2 Y Y B  Y B C 
G  , G  
한편, 2 Y 도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 G  , G  
2  
G Y  을 Y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이때 2   B  B C 이므로 B C 
나머지를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 B C UU ㉡
G Y   YY 2 Y BY C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Y Y 2 Y BY C UU ㉠
∴ CB  
㉠의 양변에 Y, Y을 각각 대입하면 다른 풀이
G  C, G  B C
G Y Y BY CY라 하면 G Y 가 Y 으로 나누어떨어
∴ C, B C
지므로 G  
따라서 B, C이므로 구하는 나머지는 이다.
이때 G   B C이므로 B C
∴ CB UU ㉢

0189    B

B
B 


YY Y  Y 이고 G Y 는 YY로 나누어떨   B   
어지므로 G  , G    B 
………………………………………………………………………………… ➊  B  B 
G Y 는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위의 조립제법에서 B  ∴ B
G   ∴ G   ㉢에서 CB  
………………………………………………………………………………… ➋ ∴ CB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3 Y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G Y 가 Y= 으로 나누어떨어지면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
G Y  Y 2 Y BY C
이 Y=로 다시 나누어떨어진다.
 Y  Y 2 Y BY C UU ㉠ 즉, G Y  Y= 2 Y  Y= \ Y= 2 Y ^에서 G Y 를 Y=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B C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인 Y= 2 Y 는 Y=로 다시 나누어떨어진다.
∴ B C G   UU ㉡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B C
∴B C G   UU ㉢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 ➌
따라서 3 Y Y 이므로
3  @ 
………………………………………………………………………………… ➍

채점 기준 배점
0191 
➊ G  , G  임을 보이기 20%
G Y BY CY D B, C, D는 상수, B  라 하면 G Y 를
➋ G  의 값 구하기 10%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➌ B, C의 값 구하기 50%
G   G   ∴ D
➍ 3  의 값 구하기 20%
∴ G Y BY CY 
Y G Y Y은 Y  Y 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0190 
 G  ,  G  
∴ G  , G  
G Y Y BY CY라 하면 G Y 가 Y 으로 나누어떨어 G  BC 이므로 BC 
지므로 G   ∴ BC UU ㉠
이때 G   B C이므로 B C G  B C 이므로 B C 
∴B C UU ㉠ ∴ B C UU ㉡
  B C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B  B C  따라서 G Y Y Y 이므로
 B  B C  B C G   

32 정답과 풀이
YY Y Y YY  
 ઑ݀ઁߨਸ੉ਊೞৈ೦١ध੄޷੿҅ࣻҳೞӝ
 Y \ Y Y ^ 
 Y [ Y \ Y ^ ] 
0192
1
  Y \ Y 
 Y ^ 
 
     Y  Y  Y 
조립제법을 완성하면 오른쪽과 같으므로
이므로
Y Y Y Y    

     Y   Y
Y 
 Y \ Y ^ G Y 

Y 
 Y  Y  
.   .   . 
따라서 B, C, D이므로   ∴ G . 
. 
B CD    .  @ .  @. 

 
   
Y Y@ Y   Y 과 같이 다항식을 Y에 대하
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식에서 계수 , , 은 조립제법을 연속으로 이
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

0193 ③
0195 

    
Å    
  
  
     E
Å     E
 
 
    D
Å    D


  C
  C


B


B
YY Y  Y YY  YYY 
 Y \ Y Y ^  
[Y ] YY 
 Y [ Y \ Y ^]  

 Y \ Y Y ^   
[Y ]<[Y ]@Y= 
   
 Y Y  Y 
  
따라서 B, C, D, E이므로 [Y ]<[Y ]<[Y ] => 
  
BECD@@    
   
[Y ]<[Y ] [Y ]= 
다른 풀이   
 
B Y C Y D Y E     
[Y ] [Y ] [Y ] 
     
BY BY BYB CY CY C DYD E

 Y  Y  Y 
BY B C Y BC D YB CD E
………………………………………………………………………………… ➊
YY Y 
∴ B, C, D, E
이므로
∴ BE CD@ @    
B, B C, BC D, B CD E
………………………………………………………………………………… ➋
따라서 B, C, D, E이므로
BECD   채점 기준 배점
➊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기 80%

0194
➋ BE CD의 값 구하기 20%


    
  
    

0196
 

   
 YY YEB Y 
C Y 
D Y 에서
  
Y Y 
YEB Y 
C Y 
D Y D이므로

Ⅰ. 다항식 33
    E
 ੋࣻ੿ܻ੄਽ਊ
  
    E D
  0198 
    D
G   G   G  이므로 G Y 는 Y , Y, Y로 각

각 나누어떨어진다.
  C
이때 G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식이므로


B
G Y  Y  Y Y
위의 조립제법에서
따라서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YY YE Y Y  E
G  @  @  
 Y \ Y Y  ^ E
 Y [ Y \ Y ^ ] E

 Y \ Y  Y ^ E

0199
 
 Y  Y  Y E

 
B Y C Y D Y D
따라서 B, C, D이고, ED에서 E이므로 G   G   G  에서
BCDE@@@ G  , G  , G  이므로
G Y 은 Y, Y, Y으로 각각 나누어떨어진다.
이때 G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식이므로
G Y  Y Y Y
∴ G Y  Y Y Y 
따라서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
하여 G  @@ 

0197 

G Y BY CY DY E B, C, D, E는 상수 라 하면
G Y  B Y




C Y  
D Y  E 0200 
Y Y Y
G  , G  , G  에서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을 Y 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G  , G  , G  이므로
    
G Y Y는 Y, Y, Y으로 각각 나누어떨어진다.
  
이때 G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식이므로
     E
G Y Y Y Y Y
 
∴ G Y  Y Y Y Y
    D
따라서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

하여 G  @  @   
  C


Y Y Y Y  Y Y  
 Y  \ Y  Y ^
 Y  [ Y  \ Y  ^ ] 0201 

 Y  \ Y   Y  ^ G B  G C  G D 이므로 G Y 는 YB, YC, YD로 각각


 
 Y   Y  Y   나누어떨어진다.
따라서 B, C, D, E이므로 이때 G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식이므로
G Y YY Y G Y  YB YC YD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Y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즉, YY LY YB YC YD
     ………………………………………………………………………………… ➊
   YY LYY B C D Y BC CD DB YBCD
    좌변과 우변의 각 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따라서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Y , 나머지는  B C D, BC CD DBL, BCD
이므로 ………………………………………………………………………………… ➋
2 Y Y , 3 이때 합이 이고 곱이 인 서로 다른 세 자연수는 오직 , , 뿐
∴ 2  3@   이다.

34 정답과 풀이
∴ LBC CD DB@ @ @ 0205 
………………………………………………………………………………… ➌
YYBY Y  C Y  Y DY Y 의 양변
채점 기준 배점

1
에 Y, YA, Y를 각각 대입한다.
➊ YY LY YB YC YD 임을 보이기 40%
양변에 Y을 대입하면 C ∴ C
➋ B C D, BC CD DBL, BCD임을 보이기 40%

➌ L의 값 구하기 20% 양변에 Y을 대입하면 D ∴ D


양변에 Y를 대입하면 B ∴ B

 
∴ BC D  
 

0206 ④

Y Z에서 ZY
이것을 주어진 등식의 좌변에 대입하면
Y B Y 
CY D

∴ B  Y B C Y B D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 , B C, B D
∴ B, C, D
∴ BC D  

0202 ①

G Y 를 Y YB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Y , 나머지는 


이므로 0207 ③
G Y  Y YB Y  
1 Y 2 Y , 1 Y 2 Y 를 각각 Y로 나누었을 때의 나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머지가 , 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1  2   UU ㉠
G  @ B @ 
1  2   UU ㉡
 B , B ∴ B
㉠@ ㉡을 하면
1   ∴ 1  

0203 ④
1  을 ㉠에 대입하면
 2   ∴ 2  
G Y YBY 라 하면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따라서 1 Y 2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서로 같으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 1  2   
여 G  G 
G  B B
G  B B
즉, BB ∴ B
0208 ⑤

0204
G Y 는 이차식이므로 G Y BY CY D B, C, D는 상수 라 하면

 G Y  G Y Y에서

YZ B ZY C YZ에서 등식의 좌변을 정리하면 \B Y C Y D^ BY CY D Y
BC  Y BC  Z ∴ BY CB Y BC DY
위의 등식이 Y, Z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C , BC  B, CB, BC D ∴ B, C, D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따라서 G Y Y Y 이므로

∴B C   G  @  @   

Ⅰ. 다항식 35
0209 ③ ∴ YBY

C YY

 Y  BY C
이때 Y BY C를 Y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Y 이
Y Y  Y   Y  Y 1 Y BY C의 양변에
므로
Y, Y을 각각 대입한다.
BY CY 
양변에 Y을 대입하면
위의 등식은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 C ∴ BC UU ㉠
B, C ∴ B, C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C
∴B C 
∴B C UU ㉡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Y Y  Y   Y  Y 1 Y Y 
BC이므로 위의 등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0212 ④
1   ∴ 1  
G Y 를 Y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 1 BC 1  
나머지가 Y이므로
G Y  Y Y  2 Y Y UU ㉠
ㄱ. 다항식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3이라 하면
0210 ① 3 G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이므로
Y Y 
B BY U BY BY UU ㉠
3 
ㄱ.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ㄴ. 다항식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3라 하면
ㄴ.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B U B B
3 G @    G 
ㄱ에서 B이므로
ㄱ에서 G  이므로 3
B B U B B

ㄷ. ㄴ에서 B B U B B UU ㉡ ㄷ. Y G [ Y]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3이라 하면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3@ G [ @] G 
 
BB BUB B 
∴ BB BUB B UU ㉢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G  이므로 3
㉡ ㉢을 하면 @  B 
B U B B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B B U B B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0213 ②

0211
G Y 를 Y Y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③ 
3 Y BY CY D B, C, D는 상수 라 하면


Y BY C를 Y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G Y  Y Y Y 2 Y BY CY D UU ㉠

2 Y QY R Q, R는 상수 라 하면 G Y 를 Y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Y 이므로
YBY C YY  QY R Y  BY CY DB YY Y  UU ㉡

이때 Y 의 계수가 이므로 Q ㉡을 ㉠에 대입하면
즉, 2 Y Y R이므로 G Y  Y YY 2 Y B YY Y 
 
Y BY C Y Y  Y R Y  한편,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
 
Y R Y R  Y R  리에 의하여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G  B  ∴ B
R, BR , CR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YY Y Y 이므로

∴ R, B, C 3 Y Y 

∴B C  ∴ 3    
다른 풀이

다항식 YBY C를 YY 로 직접 나누면 다음과 같다.

0214
Y 

YY ŽY  BY C
YY Y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지가 Y 
Y B  Y C 이므로
Y Y  G Y  Y 2 Y Y 
BY C  Y  Y 2 Y Y  UU ㉠

36 정답과 풀이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0218 ④

3 G [@ ] G 
 1 Y 를 Y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

1
이때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G   나머지가 Y 이므로
∴ 3 1 Y  Y Y 2 Y Y  UU ㉠
G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 1 Y 를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리
에 의하여 에 의하여
3 G    G  1  
이때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G   2 Y 를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 3 2  이므로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 3 3  1  2  
따라서 2  이므로 2  
∴ 2  

0215 

Y  Y Y B C Y 을 Y Y 로 나누었을 때의 0219 ②

몫을 2 Y 라 하면 2 Y 는 일차식이다. G   G   G  L L는 실수 라 하면
Y  Y Y B C Y  Y Y  2 Y G  L, G  L, G  L이므로 G Y L는 Y,
Y \ Y  Y B C^ Y Y  2 Y Y, Y으로 각각 나누어떨어진다.
이때 Y Y 는 Y을 인수로 갖지 않으므로 이때 G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식이므로
2 Y Y G Y L Y Y Y
∴ Y Y  Y  Y B C ∴ G Y  Y Y Y L
Y  B Y B C 한편, G Y 는 Y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즉,  B, B C이므로 B, C G  
∴B C  이때 G  @  @  L L이므로
 L ∴ L
따라서 G Y  Y Y Y 이므로
0216 ⑤ G  @  @  

G Y 를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고,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0220 ⑤
G  , G  
G Y Y BY Y C라 하면 G Y 는 Y 로 나누어떨어지고
G   B C B C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B C UU ㉠
G  , G  
G   B  C B C 이므로
G   B CB C
B C   ∴ B C UU ㉡
B C이므로 B C UU ㉠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G   B  CB C 
∴ G Y YY Y 
B C 이므로 B C UU ㉡
따라서 G Y 를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의하여
∴ B C  
 
G  @    

0221 

0217 ④
G Y Y BY C라 하면 G Y 가 Y 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 G  
Y라 하면 Y 이때 G   B C이므로  B C

Y 을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나머지를 3라 하면 ∴ B C UU ㉠

Y  Y 2 Y 3 UU ㉠     B C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3    B 

Y  Y 2 Y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B  B C 

@ 2   위의 조립제법에 의하여
따라서 을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다. G Y  Y \Y Y Y B  ^

Ⅰ. 다항식 37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G   B C이므로  B C
 
2 Y Y Y Y B  ∴ B C UU ㉢
한편, 2 Y 도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2   따라서 G Y Y Y이므로
이때 2     B 이므로 B  G   
∴ B UU ㉡
㉡을 ㉠에 대입하면  C ∴ C
2 Y Y Y Y를 Y로 나누면 0223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지가


   Y 이므로
    G Y  Y 2 Y Y 

즉, 2 Y Y Y 이므로  Y  Y 2 Y Y  UU ㉠
 
2   @    H Y 를Y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라 하면 나머지가
∴B C 2     Y이므로
다른 풀이 H Y  Y Y 2 Y Y
 
G Y Y BY C라 하면 G Y 가 Y 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Y  Y 2 Y Y UU ㉡
G   ………………………………………………………………………………… ➊
이때 G   B C이므로  B C G Y H Y 를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
∴ CB UU ㉢ 정리에 의하여
    B B G  H @  G  H 
   B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G  
    B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H  
   ………………………………………………………………………………… ➋

   B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위의 조립제법에서 G  H    
………………………………………………………………………………… ➌
B 이므로 B
㉠에서 C@   채점 기준 배점
즉, 2 Y Y 
Y 이므로 2   
@  ➊ G Y ,H Y 를" Y 2 Y 3 Y 꼴로 나타내기 40%
∴B C 2     ➋ G  , H  의 값 구하기 40%
➌ G Y H Y 를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구하기 20%

0222 
0224 

G Y 는 Y 로 나누어떨어지고 이차항의 계수가 이므로 몫을 Y YY G Y 라 하면


Y L L는 상수 라 하면 G   @
G Y  Y  Y L UU ㉠ ………………………………………………………………………………… ➊
G Y 는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즉,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이고, 나머지정리에
G   ∴ G   의하여 나머지가 이므로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G    L G Y  Y 2 Y  UU ㉠
 L ∴ L 2 Y 를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L을 ㉠에 대입하면 G Y  Y  Y 나머지를 L L는 실수 라 하면
따라서 G Y  Y  Y 이므로 2 Y  Y  2 Y L UU ㉡
G  @ ㉡을 ㉠에 대입하면
다른 풀이 G Y  Y \ Y  2 Y L^ 
이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다항식 G Y 를 ………………………………………………………………………………… ➋
G Y Y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G Y 가 Y 로 나 즉, Y YY Y \ Y  2 Y L^ 
누어떨어지므로 위의 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L 
G  B C이므로 B C  L  ∴ L
∴ B C UU ㉡ 따라서 2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다.
G Y 가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G   ………………………………………………………………………………… ➌

38 정답과 풀이
채점 기준 배점 0227 ②
20%
 
➊ G Y Y Y Y라 할 때, G  의 값 구하기
㈏에서 G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➋ 몫과 나머지를 사용하여 나눗셈에 대한 등식 세우기 40%

1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몫과 나머지가 같으므로
➌ 2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구하기 40% 
G Y  Y  BY C BY C UU ㉠
㈎에서 G  이므로 B C
∴ CB 
이것을 ㉠에 대입하면

0225  G Y  Y  
BY B 

BY B 
 BY B  \ Y  ^
    
G [ ] G [ ] G [ ] G [ ]이므로 G Y 는 \B Y  ^\ Y  ^
   
 
    B Y   Y  B Y  
Y ,Y ,Y ,Y 로 나누어떨어진다.
    따라서 G Y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B, 나머지는

이때 G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사차식이므로 3 Y  Y  B Y  이므로
    3  B , 3  B 
G Y [Y ][Y ][Y ][Y ] UU ㉠
   
이때 3  3  이므로
………………………………………………………………………………… ➊
B B , B ∴ B
한편,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
따라서 3 Y  Y   Y  이므로
여 G  이므로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3  @ @  
   
G   @ @ @ 
   
따라서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다.
………………………………………………………………………………… ➋
0228 ④

G Y 의 차수를 O이라 하면 좌변의 차수는 O, 우변의 차수는


채점 기준 배점
O 이므로 OO  ∴ O
➊ G Y 구하기 60%
즉, G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일차식이다.
➋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구하기 40%
\ G Y ^Y G Y Y Y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 G  ^ , \ G  ^  ∴ G  
G Y Y L라 하면 G  이므로 L
∴ G Y Y 
ㄱ. G Y Y 이므로 G  
ㄴ. G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G  
ㄷ. \ G Y ^을 Y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3 Y QY R Q, R는 상수 라 하면
 
\ G Y ^  Y  2 Y QY R
 Y  Y 2 Y QY R UU ㉠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 G  ^Q R
G  이므로 Q R UU ㉡

0226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 G  ^Q


G  이므로 Q R
R
UU ㉢
Y Y B C G Y D G Y E G Y 에서 ㉡, ㉢을 연립하여 풀면 Q, R
Y Y  즉, 3 Y Y 이므로 3  
B C Y D Y Y E Y Y Y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UU ㉠
이므로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0229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B C
 
G Y  Y 에서 G Y  Y
 C ∴ C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C D ∴  G Y Y Y  Y
 
 D ∴ D \G Y ^ 을  G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 Y ,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C DE 3 Y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E ∴ E \G Y ^  G Y 2 Y 3 Y
∴B C D E      Y  Y 2 Y BY C UU ㉠

Ⅰ. 다항식 39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또한 다항식 Y1 Y Y을 Y Y  로 나누었을 때의

\ G  ^ B C 몫을 2 Y 라 하면
G  이므로 B C UU ㉡ Y1 Y Y Y Y  2 Y UU ㉠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위의 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 B C 1   ∴ 1  
G  이므로 B C UU ㉢ 1 Y BY CY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1  B C  ∴B C UU ㉡
㉡, ㉢을 연립하여 풀면 B , C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따라서 3 Y  Y 이므로 1   ∴ 1  
 

1 Y BY CY 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3   @    ∴ BC
    1  BC  UU ㉢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따라서 1 Y Y Y 이므로

0230 ② 1    

㈎에서 1 Y  2 Y  은Y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나머지


정리에 의하여
1   2    ∴ 1  2   0232 O

이차다항식 1 Y 의 Y의 계수가 , 일차다항식 2 Y 의 Y의 계수  이상의 자연수 O에 대하여 YO Y 을 Y로 나누었을 때의
가 이므로 1 Y Y BY C, 2 Y Y D B, C, D는 상수 라 몫이 2 Y 이므로 나머지를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하면 Y O
Y  Y  2 Y 
BY C
1 Y 2 Y Y BY C Y D  Y  Y 2 Y BY C

Y B Y CD 위의 식의 양변에 Y, Y을 각각 대입하면
위의 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1  2  CD B C, B C
CD ∴ CD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 1 Y 2 Y Y B Y 따라서 YO Y  Y  Y 2 Y Y 이므로
㈏에서 1 Y 2 Y 이 중근을 가지므로 O
Y  Y  Y 2 Y
Y B Y이 중근을 갖는다. Y YO YO U Y   Y  Y 2 Y
B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 , B  ∴ B

YO YO U Y  Y  2 Y
한편, 1 Y 2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위의 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1  2  
O2  ∴ 2  O
1 Y 2 Y Y Y C Y C
따라서 2 Y 의 상수항과 모든 계수들의 총합은 2 Y 에 Y을
Y Y C
대입한 값과 같으므로 O이다.
위의 식의 양변에 Y를 대입하면
1  2    C
C ∴ CD
따라서 1 Y Y Y 이므로 0233 ②

1     ㈎에서 G Y H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가 서로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질 조건 같으므로 몫과 나머지를 각각 B B는 실수 라 하면

B  G Y H Y B Y B
이차방정식 Y BY C이 중근을 가지려면 C[ ] 이어야 한다.
 B Y
즉, G Y H Y 는 Y로 나누어떨어진다.
㈏에서 G Y H Y 가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몫을 2 Y 라 하면

0231
G Y H Y  Y 2 Y

 Y  Y 2 Y UU ㉠
1 Y BY CY D B, C, D는 상수, B  라 하자. 즉, G Y 와 H Y 는 모두 Y로 나누어떨어진다.
1 Y  을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H Y 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고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H Y  Y Y C C는 상수 라 하면 H  이므로
1   1   H   C  
1 Y BY CY D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C , C ∴ C
1  D ∴ D ∴ H Y  Y Y

40 정답과 풀이
한편, ㉠에서 G Y H Y 가 Y  Y 로 나누어떨어지는데 0236 
H Y 가Y 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으므로 G Y 가 Y 로 나누어
YO Y BY C 를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O Y
떨어진다.

1
이므로 몫을 2 Y 라 하면
따라서 G Y  Y  Y , H Y  Y Y 이므로
YO Y BY C  Y 2 Y O Y UU ㉠
G  H    
위의 등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O  B C  ∴ CB UU ㉡
㉡을 ㉠에 대입하면
YO Y BYB  Y 2 Y O Y
0234 ④ 이때
Y BYBY BYB
㈎에서 G Y 를 Y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Y 이므로 나머지를
 Y  Y B Y
BY CY D B, C, D는 상수 라 하면
 Y Y  B
G Y  Y  Y  BY CY D

이므로
 Y  Y Y  Y  BY CY D

YO Y Y  B  Y 2 Y O Y
이때 ㈏에서 G Y 를 Y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Y \ Y 2 Y O^
Y이므로
위의 등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G Y  Y  YY  Y  B YY  Y

YO Y  B  Y 2 Y O
 Y Y  \ Y  Y  B^ Y
위의 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O  B O
 YY  Y Y B  Y UU ㉠
이때 O 이므로  B ∴ B
㈐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G  이므로 ㉠의 양변에 Y
따라서 ㉡에 B를 대입하면 C
을 대입하면
∴B C 
G  @ B  B 
즉, B 이므로 B
따라서 G Y  YY  Y Y Y이므로
G  @   0237 ④

㈎에서 G Y 를 Y , Y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모두 Q


이므로 G Y Q은 Y , Y 로 각각 나누어떨어진다.
이때 G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사차식이므로

0235 ③ G Y Q Y
∴ G Y  Y 

Y 
Y


Y
Y
B
B B는 상수
Q UU ㉠

Y Y 를 YB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로 나머지정리 ㈏에서 G   G  이므로
에 의하여 G  @@  B Q B Q,
 
B B  ∴ B B  UU ㉠ G  @@  B Q 
B Q에서

Y Y  1 Y 를 YB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므  B Q B Q, B ∴ B
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 G Y  Y  Y 
 Y Q 

BB  1 B   Y  Y Y  Q


    Y Y  Q
이때 BB [B ] 이므로 BB  
   
Y  Q UU ㉡

∴ 1 B   한편, ㈐에서 YQ가 G Y 의 인수이므로 G Q 
B B 
1 Y ㉡의 양변에 YQ를 대입하면
따라서 를 YB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B   B Q Q, Q
1 B  Q ∴ Q ∵ Q

B   B B   B BB 
인수정리


B  B B  BB  다항식 1 Y 에 대하여
 ⑴ 1 = 이면 1 Y 는 일차식 Y=로 나누어떨어진다.
 
B  B  ⑵ 1 Y 가 일차식 Y=로 나누어떨어지면 1 = 이다.
㉠에서
 B B 다음은 모두 다항식 1 Y 가 Y=로 나누어떨어짐을 나타낸다.
  참고
B  B
①1 Y 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다.
 ②1 = 

BB
㉠에서 ③1 Y  Y= 2 Y
 BB ④1 Y 가 Y=를 인수로 갖는다.
 


Ⅰ. 다항식 41
0243 ④

ੋࣻ࠙೧ YZY

Y

 Z

Y


Y Z  Y   Z  Y 
 Z \Y Y  Y^
 ੋࣻ࠙೧ҕधਸ੉ਊೠ‫׮‬೦ध੄ੋࣻ࠙೧  Z  Z YY Y

 
 Z  Z Y
⑴ Y  ⑵ BC
따라서 인수가 아닌 것은 ④이다.
⑶ Y Z YZ ⑷ B B

0238 ② 0244 

Y Z YZ YZY YZ YZ Z


② Y  Y  YY   
Y Y Z Z Y Z
 Y Z Y Z
0239 ②  Y Z \Y 
Z ^
 Y Z \ Y Z YYZ Z ^
YZY Z 

 Y Z YYZ Z
 YZ Y YZ Z
………………………………………………………………………………… ➊
∴ B
따라서 B, C, D이므로
B C D  
0240 ② ………………………………………………………………………………… ➋

YYZZYZ Y Z 채점 기준 배점
70%
   
 Y Z YZ  Y Z ➊ 다항식 Y Z Y Z YZ 인수분해하기

 Y Z YZ ➋ B C D의 값 구하기 30%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②이다. 다른 풀이

Y Z YZ YZY YZ YZ Z

0241 ⑤
Y Y
 Y Z
Z
Y 
Z Y
Z
Z

YY YYY YY Y  Y Z \Y Z ^


 
Y\Y Y   Y ^  Y Z \ Y Z YYZ Z ^
   
Y\Y Y  Y  Y ^  Y Z Y YZ Z

Y Y \Y Y  ^
Y Y Y Y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⑤이다. 0245 장

B BCBCC
0242 ② B B 
C C B C
 B C BC
ㄱ. Y Z Y 
Z 

 B C B C BC
 Y Z YYZ Z
 
 B C B C BBC C BC B BC C
ㄴ. YYZ YZZ
이고
Y@Y@Z @Y@ Z  Z 

 B C B C BBC C BC B BC C
 YZ
    
 B C BC B C B BC C B BC C
ㄷ. BC C
 BC B C B BC C BBC C
 BC  C 
     
  B C B BC C
 BCC \ BC BC @C C ^
    이므로 주어진 다항식의 인수가 적힌 카드는 색칠한 것이다.
 BC B BC C BCC C
 BC 
B BC C  B BC C BC BC
ㄹ. YZ [ YZ[
B C B C B C
Y Z 
[ @Y@ Z @[

 YZ [ Y Z [ YZ Z[[Y BC B BC C BBC C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ㄹ이다. 따라서 주어진 다항식의 인수가 적힌 카드는 장이다.

42 정답과 풀이
다른 풀이 Y Y  Y Y  U  U 
      
B B C B C C U U
BC BCBC  U  U

1

 B 
C  
B C   
B C B C  
 Y Y  Y Y
     
 B C B BC C  Y  Y  Y  Y
       
 B C B C B BC C B BC C 따라서 인수가 아닌 것은 ①이다.
     
 B C BC B C B BC C B BC C

0250
    
 B C B C B BC C BC B BC C ④
 B C B C BC
Y YU로 놓으면

Y Y Y Y  U U  
     
BC B BC C B C 이므로 B C 은 주어진 다항식의 인수이다.
U U
 U  U
 Y Y  Y Y

 Y  Y Y Y 
따라서 B, C이므로
 ҕాࠗ࠙੉੓‫׮ח‬೦ध੄ੋࣻ࠙೧ B C 

0246 ④ 0251 

Y  Y  Y Y  Y Y Y Y L


\ Y  Y ^\ Y  Y ^ \ Y Y ^\ Y Y ^ L
 
 Y 
Y Y 
Y   Y Y  Y Y  L
Y 
YU로 놓으면 ………………………………………………………………………………… ➊

Y Y Y Y  U U  YYU로 놓으면


UU YY  YY  L U  U  L

U U U U  L UU ㉠
 Y 
Y Y 
Y ………………………………………………………………………………… ➋

Y Y  Y 
Y 주어진 식이 Y에 대한 이차식의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되려면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④이다. ㉠이 U에 대한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되어야 하므로
 
 L[ ]  ∴ L


0247 B C B C ………………………………………………………………………………… ➌

채점 기준 배점
B CU로 놓으면
➊ 주어진 식을 공통부분이 생기도록 짝을 지어 전개하기 30%
B C  B C  U  U 

➋ 공통부분을 하나의 문자로 치환하여 전개하기 30%
U U 
➌ L의 값 구하기 40%
 U U
 B C B C
0252 

0248 ③ Y Y Y  
 Y  Y Y  Y  
Y ZU로 놓으면 \ Y  Y  ^\ Y Y  ^
Y Z  Y Z UU  Y Y  Y Y 
 U  U Y YU로 놓으면
 Y Z  Y Z Y 
Y  Y Y  U  U 
따라서 B, C, D이므로 UU
B C D     U  U

 Y Y  Y Y

0249

 Y  Y Y

따라서 B, C, D이므로
Y YU로 놓으면 BCD@@  

Ⅰ. 다항식 43
Y   Y  

 Y BY CԜ੄‫׮‬೦ध੄ੋࣻ࠙೧  
9 9 
 99  9
0253   9  9 


 9 9 99
Y9로 놓으면

\ Y   Y  ^\ Y   Y  ^
YY 99 
 
 Y Y  Y Y 
 9 9
  따라서 B, C, D이므로
 Y  Y 
B CD 
 Y  Y Y  Y
이때 BCDE이므로
B, C, D, E
∴ BECD@  @
 ‫ޙ‬੗оৈ۞ѐੋ‫׮‬೦ध੄ੋࣻ࠙೧

0254  0258 

Y9로 놓으면 주어진 식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YY 99  YYZZY Z Y Z  Y ZZ

 9  Y Z  Y Z  Z

 Y    \Y Z  ^\Y Z ^

\ Y  Y ^  YZ Y Z

 Y  
Y  따라서 B, C, D, E

이때 BC이므로 B, C 또는 B, C, D, E이므로

   BCDE@  @@  


∴   
BC   

0259 ⑤

0255 ③ 주어진 식을 D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CBCD BCBD B BC D C BC
    
Y Y  Y Y  Y  B C BD C B C
 Y   Y 
 B C CBD
 Y Y  YY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⑤이다.
따라서 B, C, D, E이므로 다른 풀이
B C D E    CBCD BCBDC CBD B CBD
 CBD B C

0256 
0260 ⑤
         
Y Y Z Z  Y Y Z Z Y Z
주어진 식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Y Z  YZ 
YYZZ Y ZY Z Y ZZ 
   
 Y YZ Z Y YZ Z
Y Z Y Z Z
………………………………………………………………………………… ➊
\Y Z ^\Y Z ^
따라서 B, C 또는 B, C이므로
 Y Z YZ 
B C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⑤이다.
………………………………………………………………………………… ➋

➊ Y   
Y Z 
Z 인수분해하기
채점 기준 배점
70%
0261 Y  Y YZ

➋ B C의 값 구하기 30% 주어진 식을 Z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Y Z  Y Z Y ZYYZY YZY Z
  
 Y Y  Z Y Y Y

0257 ②
 YY Z
 YY YZ
Y YY

Y 9로 놓으면  Y  Y YZ

44 정답과 풀이
0262 ④ 이때 1 Y Y Y라 하면
1   
주어진 식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1 Y 를 인수분해하면

1
Y YZ ZYZ Y Z Y ZZ 
    

Y Z Y Z Z
  
\Y Z ^\Y Z ^
   
 Y Z Y Z  
1 Y Y Y 
따라서 두 일차식의 합은
 Y  Y Y
Y Z Y Z Y Z
따라서 B, C, D이므로
BCD@@  

0263 

주어진 식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0266 ③

YYZZ BYZ  1 Y YY YY이라 하면


Y ZB Y Z Z 1     

Y  ZB Y Z 
Z 1   

Y  ZB Y Z Z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1 Y 를 인수분해하면
………………………………………………………………………………… ➊      
주어진 식이 Y, Z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Z   Z  ZB      
………………………………………………………………………………… ➋   
Z Z B ∴ B    
………………………………………………………………………………… ➌ 1 Y YY YY
채점 기준 배점  Y  Y YY 
➊ 주어진 식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기 40% 따라서 B, C, D이므로
➋ 주어진 식이 Y, Z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는 조건 B C D  
40%
구하기

0267
➌ B의 값 구하기 20%

1 Y Y Y YY이라 하면


1    
1    
 ੋࣻ੿ܻ৬ઑ݀ઁߨਸ੉ਊೠੋࣻ࠙೧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1 Y 를 인수분해하면
     

0264     
     
1 Y Y YY이라 하면
  
1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1 Y 를 인수분해하면   
1 Y Y Y Y Y
    
 Y Y  Y Y 
  
 Y Y  Y  Y 
    
 Y Y  Y 
1 Y Y YY
따라서 인수가 아닌 것은 ①이다.
 Y Y Y 

0268
 Y Y  Y 

따라서 B, C, D 또는 B, C, D이므로
BC D  1 Y Y B  YB B Y B이라 하면
 
1  BB B B 

0265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1 Y 를 인수분해하면

  B B B B
나무 블록의 부피는  B B
Y Y  @Y Y  B B 

Ⅰ. 다항식 45
1 Y Y B  YB B Y B B  ∴ B
 
 Y Y BYB B를 ㉠에 대입하면 C
 Y Y B YB ∴ BC@
이때 세 일차식의 상수항의 합은 이므로 다른 풀이

 B B , B   B C 


∴ B  B  BC
  B B C  BC 

0269
 B 

 B B C 
    
Y Y Y YY Y Y Y 이때 Y 
BY 
CY 이 Y 
 을 인수로 가지므로
 
I Y Y Y Y이라 하면 BC , B C 
I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I Y 를 인수분해하면 ∴ BC@
    
  
    0271 ⑤

I Y Y Y Y G Y Y Y BY가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Y Y Y  G    B ∴ B

 Y Y  ∴ G Y Y YY
∴ Y Y YYY Y Y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 ➊     
G Y , H Y 는 각각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식이고   
G  , H  이므로 G Y 는 Y을 인수로 갖지 않고,    
H Y 는 Y를 인수로 갖지 않는다. G Y Y  
Y Y
∴ G Y Y Y  , H Y  Y Y   Y Y Y 
………………………………………………………………………………… ➋
 Y Y  Y 
∴ G  H  @  @ 따라서 G Y 의 인수인 것은 ⑤이다.
………………………………………………………………………………… ➌

채점 기준 배점
➊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하기 40% 0272 

➋ G Y , H Y 구하기 30% 1 Y Y Y BY CY 라 하면 1 Y 가 Y, Y 를 인


➌G  H  의 값 구하기 30% 수로 가지므로
1    B C 
∴B C UU ㉠
1   BC 
 ੋࣻо઱য૕‫ࣻ҅੿޷ ٸ‬ҳೞӝ BC ∴ BC UU ㉡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0270 
………………………………………………………………………………… ➊
즉, 1 Y Y YY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
  
1 Y Y BY CY 이라 하면 1 Y 가 Y  을 인수로 가 해하면
지므로      
1   BC     
∴ CB  UU ㉠      
따라서 1 Y Y BY B  Y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   
여 인수분해하면    
  B B   1 Y Y YY 
 B    Y Y  Y Y
  B   ………………………………………………………………………………… ➋
 B  따라서 2 Y Y Y이므로
 B B  2  
이때 1 Y 가 Y  을 인수로 가지므로 ………………………………………………………………………………… ➌

46 정답과 풀이
채점 기준 배점
 ࣽജೞ‫ח‬Ԝ੄‫׮‬೦ध੄ੋࣻ࠙೧
➊ B, C의 값 구하기 50%

0276
➋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 인수분해하기 40%

1

➌ 2  의 값 구하기 10%
주어진 식을 B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B CD C D B D BC BCD
    
B CD C DBC BD CD BCD
   
 ҅ࣻо‫؀‬டੋࢎରध੄ੋࣻ࠙೧  CD B  C CD D BC D CD
 CD B CD BCD CD

0273
 CD \B CD BCD^

 CD BC B D
   BC CD D B
YY YY Y[YY  ]
Y Y

0277
 
Y<Y [Y ] = ②
Y Y
  
Y<[Y ] [Y ] = 주어진 식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Y Y
   YZ Y Z Z[ Z [ [Y [Y
Y<[Y ] [Y ] =
Y Y YZ YZZ[Z[Y[ Y[
 놓으면
Y Y U로    Z [ Y Z[ YZ[Z[
UU  U U Y[Y ][Y ]
Y Y 
 Z [ Y Z [ Z[ YZ[ Z [
 YY  YY 

 Z [ \Y Z[ YZ[^
 Y YY 
 Z [ Y Z Y[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⑤이다.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②이다.

0274 
0278 

  주어진 식의 분자를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


YYY Y Y[YY ]
Y Y
하면
 
Y<Y [Y ]= YZ 
Z[ 
[Y 
Y Y
   
    Y Y Z YZ Z ZZ[ Z[[
Y<[Y ] [Y ]=
Y Y [[Y [YY
  
Y Z 
YZ Z[

Z[[Y [Y
Y<[Y ] [Y ]=
Y Y

Y Y U로 놓으면 YZ [Y YZ[YZ[ Z[
  
UU U  U Y [Y ][Y ]  Z[ Y  Z[ YZ[ Z[
Y Y

 Y Y YY  Z[ Y  Z [ Z[ YZ[ Z[

이때 B이므로 B, C, D, E  Z[ \Y  Z [ Y Z[^
∴ CDBE@  @    Z[ YZ Y[
 YZ Z[ [Y
YZ  Z[ 
[Y 
 YZ Z[ [Y
0275 ③

YZ Z[ [Y

YZ Z[ [Y


 
YYYY Y[YY ]
Y Y
   ઑѤ੉઱য૓‫׮‬೦ध੄ੋࣻ࠙೧
Y<Y [Y ]=
Y Y

0279
  
Y<[Y ] [Y ]= ③
Y Y
  
Y<[Y ] [Y ]= Y Z[에서 [Y Z
Y Y
    
Y Y U로 놓으면 ∴ Y YZ [ Y YZ Y Z
 

U U U  U Y[Y ][Y ] 
Y Y Y Y Z Y Z
 Y Y  YY   Y Z \Y Y Z ^
따라서 두 이차식의 합은  Y Z Y Z
Y Y  YY  YY  [ Y Z

Ⅰ. 다항식 47
0280 ⑤ BBC BD BCCCD
 BC D BBC BCC
Y YZZ YYZ Z  
 BC D B BC C BC
 
  YZ
 BC D B C 
  YZ Y Z 
즉, BC D B C 이고 D B C 이므로
이때 Y Z 에서  YZ, Z Y
BC ∴ BC
∴  YZ Y Z  ZZ YY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BC인 이등변삼각형
 Z @ Y YZ
이다.
다른 풀이

주어진 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0281 ㄹ BBC BD BCCCD
BCBC BC BDCD
YZ [에서 [YZ
 BC B BC C BC BC D BC
∴ YZYZYZYZ[YZYZYZYZ YZ
 
 BC B C D
YZYZYZ YZ
 
즉, BC B C D 이고 B C D 이므로
YZ YZYZ 
BC ∴ BC
YZ Y Z
………………………………………………………………………………… ➊
이때 YZ [에서 YZ[
∴ YZ Y Z  [ Y Z
 Y Z [
………………………………………………………………………………… ➋

채점 기준 배점
0284 ③

➊ [YZ를 이용하여 주어진 식 인수분해하기 50% G Y Y B C Y  B  C Y B C B C 이라 하면


➋ YZ[를 이용하여 ➊에서 정리한 식 변형하여 답 구히기 50% 다항식 G Y 가 YD로 나누어떨어지므로
G D 
∴ D B C D B C D B C B C 
이 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D B C D B C D B C B C
  
D D B C  B C D B C
  
 D B C D B C
 ੋࣻ࠙೧ܳ੉ਊೞৈ࢖пഋ੄‫ݽ‬ন౸‫ױ‬ೞӝ
즉, D B C DBC 이고 D B C 이므로
DBC ∴ DB C
0282 ③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빗변의 길이가 D인
직각삼각형이다.
주어진 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BBC BDBDCDD
BD BDBDBCCD
 BD B BD D BD BD C B D

 BD B BD D C B

D

0285
 BD B D C B D

 B D \ BD B D C^
 B D BDC B C DBCD에서 B C DBCD
즉, B D BDC 이고 B D 이므로 이 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B D C  ∴ BC D B C DBCD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빗변의 길이가 B인  B C D B C DBCCDDB
직각삼각형이다.   
 B C D \ BC CD DB ^

 
즉, B C D \ BC CD DB ^이고

0283
B C D 이므로
④  
BC CD DB 
주어진 식의 좌변을 D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 BC, CD, DB
하면 ∴ BCD

48 정답과 풀이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정삼각형이고, 정삼각
0290 

형의 둘레의 길이가 이므로 한 변의 길이는 이다.
 주어진 식을 B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1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B C D BC CD DB BCD
 BC BCD BD BC CD BCD BCD CD BDBCD
@@@TJO ±

 C D B C CD D B CD CD
 C D B C D B CD C D
 C D \B C D B CD^
 C D B C B D
 ੋࣻ࠙೧ܳ੉ਊೞৈध੄чҳೞӝ   @@ 


0286 ③

Y ZYZYZY YZ Z YZ


 YZ
 YZ
YZ
YZ Y YZ Z
0291 


 YZ Y YZ Z 주어진 식을 B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 Y 
Z YZ^\ Y 
Z YZ^ BCBC CDCD BDBD

\  @  ^\    ^  C D B C D B

CDCD
  CD B C D CD BCD CD

 CD \B C D BCD^
 CD \B C D B CD^
0287 ④  CD BC BD
 BC CD DB
Y Z    
………………………………………………………………………………… ➊
YZ    

이때 BC , CD 을 변끼리 더하면
∴YZ YZ Y ZYZ Y Z Y Z
BD ∴ DB
 Y Z YZ 
………………………………………………………………………………… ➋
@  
∴ BCBC CDCD BDBD

 BC CD DB
   @  @  

0288
………………………………………………………………………………… ➌

채점 기준 배점
B C DBCD B C D B C DBCCDDB ➊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하기 60%
이때 B C D이므로 ➋ DB의 값 구하기 20%
  
B C D BCD ➌ 주어진 식의 값 구하기 20%
∴ B C DBCD
B C D BCD
∴  
BCD BCD

0289 ⑤

B C D에서 C DB, D BC, B CD이므로  ੋࣻ࠙೧ܳ੉ਊೠࠂ੟ೠࣻ੄҅࢑


B C D C D B D B C BCD

0292
 B C D

이때 B C DBCD B C D B C DBCCDDB
에서 B C D이므로    
B C DBCD       
  
∴B C D BCD@        
∴ B C D C D B D B C BCD @ @ @ @
 B C D @    
 

Ⅰ. 다항식 49
0293 ② 0297 

Y라 하면   


  Y     

  YY          
Y  YY 
 @@@
YY 
@@@
Y 
………………………………………………………………………………… ➊
 
따라서 구하는 두 자리 자연수는 , @, @,

@, @, @, @, @,
@, @, @, , 의 개이다.
0294 ③ ………………………………………………………………………………… ➋

G   , G  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➊ 을 인수분해 공식을 사용하여 소인수분해하기 50%
      ➋ 을 나누어떨어지도록 하는 두 자리 자연수의 개수 구하기 50%
   
     
  
   
 
G Y Y Y Y
 Y Y  YY 

 Y Y  Y

 Y Y 
∴ G .  . @ . 

0298

. @.. ⑤

0295
Y Y  Y Y  Y
 
 Y  Y 

Y라 하면  Y Y  YY 
    
@@@ Y Y  Y  Y   Y Y Y Y Y Y  
\Y Y  ^\ Y  Y  ^  Y Y  
 Y Y Y Y    Y Y 
 
Y YU로 놓으면  Y Y  Y Y
  
Y Y Y Y  U U   따라서 두 다항식의 공통인수는 Y Y 이다.

U U 

0299

 U 

 Y Y  

  @  
   
 @   
∴ ‚@@@  @@
이때 BC이므로 B, C

0296 ①
∴B C 

0300
Y라 하면

@  @   @
Y Y Y  Y Y Y 
Y Y Y Y 
 Y Y 

Y Y Y   Y Y YU로 놓으면
 Y \Y Y  ^ Y Y 
 Y Y U U

 Y Y Y   U U 
 Y Y  Y   Y Y Y Y 

@@  Y  Y Y Y 
∴Q R S   따라서 인수가 아닌 것은 ④이다.

50 정답과 풀이
0301 ④ 따라서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은
  
 
Y YY Y Y[Y Y ]
Y Y
0305
Y<Y

Y
[Y

Y
]=
[Y, Y ][Y, Y ]

1
  
Y<[Y ]  [Y ]= YYY\ Y Y   Y  Y  ^
Y Y
  
   Y Y  Y YY  
Y<[Y ] [Y ]=
Y Y 
Y Y  
 놓으면
Y Y U로    Y9로 놓으면
U 
U U  U Y [Y ][Y ]
Y Y
 YY99
 Y Y  YY 
 9 9 
 Y Y  Y 
 
 Y  Y 
따라서 B, C, D이므로
 Y  Y Y 
BC D@  

0302 ③ 0306 ②

Y Y  Y Y  Y 주어진 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Y 
 Y  B D BCBDCD BD C B DBD

 Y Y  YY   BD C BD 

 YY  \ Y   Y  ^  BD C BD

따라서 G Y YY  또는 G Y  YY  이므로  B D BD B CD

|G  || | 즉, B D BD B CD 이고 B D 이므로


  
BD 또는 B C D 

0303 ② ∴ BD 또는 DB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BD인 이등변삼각형
C

주어진 식을 C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또는 빗변의 길이가 D인 직각삼각형이므로 ㄱ, ㄹ이다.


BC BC B B C  B B  C B B 

0307

 B B  C  ③

 B  C 
이때 @이므로 B , C  Y  Y  Y  Y  YY
따라서 B, C이므로 \ Y  Y  ^\ Y  Y  ^ Y Y 
  
B C   Y Y  Y Y   Y Y 
Y Y9로 놓으면

0304 ③ 주어진 식  9  9   9 


 9  9
Y라 하면
 Y Y  Y Y
   
 @ @ Y Y Y 
 Y  Y  Y  Y
1 Y Y YY 라 하면
따라서 인수가 아닌 것은 ③이다.
1    

0308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1 Y 를 인수분해하면

    
   1 Y Y BYY CY 이라 하면
    1 Y 가 Y  을 인수로 가지므로
1 Y Y YY  1  BC 
 Y Y 
Y BC  ∴ CB  UU ㉠
  
 Y Y Y  따라서 1 Y Y BY Y B  Y 이므로 조립제법
 Y 
Y  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 @ 1    B  B  
  @  
 A B  B 
 @    B B  
 @@   A B  B
@  B B  B

Ⅰ. 다항식 51
이때 1 Y 가 Y  을 인수로 가지므로 따라서 G Y Y 이므로
B ∴ B G   
B을 ㉠에 대입하면 C 다른 풀이

∴ 1 Y Y YY Y  YY G Y


 
 Y  Y Y   Y Y = Y >
따라서 2 Y YY 이므로  Y \Y = > Y =>^
 
2  2      Y = > Y => => Y=>
즉, = >에서

0309
= >이고, =>이므로


G Y  \ => => Y=>^

B, C라 하면

BC,  Y 

  
@ B B C C B BC C 이므로 Y 
  
 B C
 BC B BC

C 0312 ③
@  @ 
1 O O O O 라 하면
@\@   ^
1    
@ @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1 O 을 인수분해하면
따라서 을 @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이다.
  
   
0310 ④ 1 O O 
O 
O 

 O  O O 
주어진 식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O  O  O 
Y YZZYZ Y Z Y Z Z 
 O  O 
Y Z Y Z  Z
즉, 한 변의 길이가 O 인 정사각형 모양의 타일은 세로 방향으로
\Y Z ^\Y Z  ^
O  O  개 필요하다.
 Y Z YZ
또한 O  O  이므로 한 변의 길이가 O 인 정사각형
이때 YZ에서 YZ, YZ 이므로
모양의 타일은 가로 방향으로 개 필요하다.
주어진 식  Z Z \ Z  Z^
따라서 필요한 정사각형 모양의 타일의 개수는
Z Z 
 O  O 

0311 ⑤ 0313 

G Y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주어진 식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Y Y 
 G Y Y Y  
BY C YYZ Z BY ZY ZB Y Z Z

1 Y Y Y  
BY C라 하면 Y를 인수로 가지므로 Y ZB Y Z Z 
………………………………………………………………………………… ➊
1   B C
주어진 식이 Y, Z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 CB UU ㉠
Œ  Z  Z   ZB 일 때,
따라서 1 Y YY BYB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Z Z B ∴ B
인수분해하면
  Z   Z  ZB 일 때,
   B B
ZZ B ∴ B
 AA B
………………………………………………………………………………… ➋
  B 
 
Œ, 에서 모든 정수 B의 값의 합은
1 Y Y Y BYB
  
 Y Y B
………………………………………………………………………………… ➌
즉, Y = Y > Y B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Y = > Y =>Y B
∴= >, =>B
➊ 주어진 식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기 40%

그런데 =>이므로 B ➋ 정수 B의 값 모두 구하기 40%

B을 ㉠에 대입하면 C@   ➌ 모든 정수 B의 값의 합 구하기 20%

52 정답과 풀이
0314 

주어진 식을 B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1
G B, C, D G C, D, B G D, B, C
B CD C DB D BC 0316 
    
 CD B  C D B C DCD
B, C라 하면
 CD B CD B CD CD
@@  BBC C
 CD B C D CD B CD CD  
@ B BCC
 CD \B C D B CD^ BBC C BC

 CD BC BD BBCC
B C  BC 

 BC CD DB 
BBCC
………………………………………………………………………………… ➊
B BCC BBCC


이때 B, C, D는 연속하는 세 짝수이고 BCD이므로 


BBCC
BC, CD, DB B BCC


………………………………………………………………………………… ➋  @


따라서 구하는 식의 값은  
 BC CD DB   @  @ 
………………………………………………………………………………… ➌

채점 기준 배점
➊ G B, C, D G C, D, B G D, B, C 를 인수분해하기 50%
0317 
➋ BC, CD, DB의 값 구하기 30%
GO Y YYO Y B YC B, C는 자연수 에서
➌ G B, C, D G C, D, B G D, B, C 의 값 구하기 20%
YYOY BC YBC
∴ BC, BCO

0315 
이때 BC의 값은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B, C의 값을 구하면 다음
과 같다.
Y Y Y  Y  L B     U  
\ Y Y  ^\ Y Y  ^ L C     U  
 Y Y Y Y L BC     U  
Y YU로 놓으면
 따라서 구하는 다항식의 개수는 이다.
Y Y Y Y L U U L
UU  L UU ㉠
………………………………………………………………………………… ➊
주어진 식을 \ G Y ^ 꼴로 나타내려면 ㉠이 U에 대한 완전제곱식 0318 ②
으로 인수분해되어야 하므로
OO  O O  O
 
 L[

]  ∴ L  O   O 

………………………………………………………………………………… ➋  O O  OO 

L를 ㉠에 대입하면 이 자연수가 소수가 되려면 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져야 한다.

UU  U  즉, O O  또는 OO 이어야 한다.



 Y 
Y  ŒO O 일 때,

∴ G Y Y 
Y O O , O  
………………………………………………………………………………… ➌ ∴ O
따라서 G   이므로  OO 일 때,
L  OO , O 
 
G   ∴ O
………………………………………………………………………………… ➍ Œ, 에서 O은 자연수이므로 O
채점 기준 배점
➊ 주어진 다항식을 치환을 이용하여 전개하기 40%
➋ L의 값 구하기 30%
0319 ⑤
➌ G Y 구하기 20%
L 직육면체 1, 2, 3, 4, 5의 부피가 각각 Q, R, S, T, U이므로
➍ 의 값 구하기 10%
G  QB, RC, SB, TC, UBC BC

Ⅰ. 다항식 53
이때 QR
  
S

T U이므로 0322 
B C B C BC BC
Y을 Y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2 Y 이므로 나머지
BCBCBC BC 
3 Y 를 3 Y BY C B, C는 상수 라 하면
BC B BC C  B C BC BC 
    Y Y 2 Y BY C
BC B C  B C 
위의 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C BC 
B C ∴ CB
그런데 B C 이므로 BC
∴ Y Y 2 Y BYB
∴ BC

 Y 2 Y B Y
 Y \ Y 2 Y B^ UU ㉠
Y 이 Y을 인수로 가지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Y을


0320
인수분해하면

    U  
  
1 Y Y Y BY CY 라 하면 1 Y 가 Y 로 나누어떨   U  
어지므로    U  
1   BC  
Y  Y Y 
Y 
Y 
U Y  UU ㉡
∴ BC UU ㉠ ㉠, ㉡에서
또한 1 Y 를 Y로 나누면 나머지가 이므로 Y Y Y U Y  Y 2 Y B
1    B C  위의 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C UU ㉡    U  B ∴ B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따라서 3 Y Y이므로 3  이고,
즉, 1 Y Y YYY 이고 Y Y Y U Y  Y 2 Y 이므로
1  , 1    이므로 조립제법을 위의 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이용하여 1 Y 를 인수분해하면 2   ∴ 2  
      ∴ 2  3   
   
     

0323
  

   
1 Y Y YYY  O O가 O O 의 배수가 되기 위해서는

 Y  Y Y
Y O O가 O, O를 인수로 가져야 한다.
따라서 Q, R, S이므로      
QRS@@      
     
  
   

0321  위의 조립제법에서


O O O O O O 
Y라 하면  O \ O O 
O  ^
  Y YY   O O O 
O   O
1 Y Y YY 라 하면 이때 O O O O  은 O O 로 나누어떨
1      어지므로 O  
O 가 O O 의 배수가 되기 위해서는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1 Y 를 인수분해하면  O 이 O O 의 배수이어야 한다.
     즉,  O  O O L L는 자연수 이므로
    O L ∵ O 
    따라서 L일 때, 즉 O일 때, O이 가장 큰 값을 가지므로
1 Y Y YY  구하는 O의 값은 이다.

 Y  Y Y 
∴ 1      

0324
@

따라서 B, C 또는 B, C이므로
B C  ㄱ. B, C이므로

54 정답과 풀이
G Y Y 즉, Y Y Y 1 Y 2 Y 이므로
  
 Y  Y  1 Y 2 Y Y Y Y
   
 Y  Y Y  ∴ 1 Y 2 Y Y Y Y 

1
∴ / ,   1  2    
 
ㄴ. BQ, C이므로 G Y Y QY  1  2   
  
이때   @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1 Y 2 Y Y Y Y 의 우변을
   
G Y  Y  Y  또는 G Y  Y  Y  인수분해하면
이 중에서 Y Y   Y  Y Y  인 경우      
에만 / Q,  이므로    
   
Y  Y  Y Y  ∴ Q      
ㄷ. BR, C이므로 G Y Y RY    
이때 @  @  @  @  이므로    
   
G Y  Y  Y  또는 G Y  Y  Y  또는 Y 
Y  
Y  Y Y  Y Y 
   
G Y  Y  Y  또는 G Y  Y  Y   Y 
Y Y 
Y 
이 중에서 Y Y  Y  Y Y  Y 이때 ㈎에서 1 Y 2 Y 이고 1 Y 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
인 경우에만 / R,  이므로 정수 R의 개수는 이다. 수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1 Y YY , 2 Y Y Y 
∴1  2        

0325 

1 Y Y L Y L Y이라 하면


1   L L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1 Y 를 인수분해하면 0327 ④

  L L  ㈎에서 주어진 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L  CD B CCDD B CCD
 L    CD B CD C D B C CD
  
1 Y Y L Y L Y  CD B CD C D B C C D CD

 Y \Y L Y ^  CD \B C D B C C D ^
이때 Y L Y  Y B Y C B, C는 정수 라 하면  CD B C B C D
Y L Y Y B C Y BC에서 즉, CD B C B C D 이고
LB C, BC B C , B C D 이므로
Œ B, C일 때, CD ∴ CD

1 Y  Y Y 이므로 서로 다른 세 일차식의 곱으로 따라서 삼각형 "#$는 CD인 이등변삼각형이다.
인수분해된다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에서 B CD이므로 CD를 대입하면
 B, C일 때,  "
B CC, BC ∴ B C
L ∴ L 
그림과 같이 삼각형 "#$의 밑변의 길이를 D C
Ž B, C일 때,
L ∴ L 
B C라 하면 높이 ")는
 # $
 B, C일 때, )
     B
L ∴ L ")“|±C [ B] |±C[ @ C]

  
Œ~에서 ., N이므로     
|±C[ C] |± C C
.N     
한편, ㈐에서 삼각형 "#$의 넓이는 이므로

@B@")“에서 "

0326 ⑤   
@ C@ C


C
  
㈏에서
 
C , C ∴ C
\1 Y ^ \2 Y ^  # $
)
\1 Y 2 Y ^1 Y 2 Y \1 Y 2 Y ^ ∴ B, D 
C

@1 Y 2 Y @ ∵ ㈎ 따라서 삼각형 "#$의 둘레의 길이는
1 Y 2 Y B C D  

Ⅰ. 다항식 55
0331 
  J
 J J
 J
 J J
J J 
 J J
 J
 J
ࠂࣗࣻ 
 J  J J
따라서 B, C이므로 B C 
 ࠂࣗࣻ੄‫ڷ‬җ࠙‫ܨ‬

⑴ 실수부분:


, 허수부분: 


0332 

⑵ 실수부분: , 허수부분:  J [J에서


⑶ 실수부분:  , 허수부분:  J J  J
[ 
J J  J
 JJ   J
 
0328
  

 J
① J는 순허수가 아니다. 따라서 B, C이므로 B C 
③ J의 실수부분은 , 허수부분은 이다.

0333
④ J의 실수부분은 이다.

⑤ BJ, C이면 B , C이지만 B CJJ는 허수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②이다. ① J  J JJ J
②  J  J   J
J JJ
J
0329 
③ J ™AJJ
허수는 J,  J, J, J이다. ④ J ™A  J ™A     
이 중 순허수는 J, J이므로 주어진 수 중 순허수가 아닌 허수  J J  J ™A J ™A
⑤ 
J  J J  J
는 J, J의 개이다.
 J J
 =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0330 

uJ, J ™A, J ™A  이므로


0334 ③

허수는 J, u, J이고 이 중 순허수는 u의 개 J  J  JJ  J


이므로 B  J  J  J J J
실수는 , J ™A, L, , J ™A 의 개이므로 C J  J  JJ 
복소수는 개이므로 D ∴ B
∴ BC D 

0335 


 J  J
 J
 J
 JJ
 J J
 J
 ࠂࣗࣻ੄ࢎ஗ো࢑ J
 
⑴  J ⑵  J ⑶ J ⑷  J J  J
J J
J
⑶  JJ J J J
 J  J 따라서 B, C이므로
 J  J
⑷    J
J J  J  B™AC  ™A@  

56 정답과 풀이
0336 ③ 0341 

 J J ™  J ™A Y™AZ YZ™AYZ Y Z

1
  J \ J  J ^™A YZ  J J J J ,
  J   ™A Y Z  J  J  J J
 J ∴ Y™AZ YZ™AYZ Y Z @
따라서 B, C이므로

0342
CB

0337  J  J  J  J
 [    J에서
J J  J 

[„ J  J   [ J


J J ™A J J 양변을 제곱하면 [™A [ 
[m   
 J  J J    ∴ [™A [ 
J ∴ [šA [™A [ [ [™A [  [ 
∴ [„[m@  J J
 [ 
따라서 B, C이므로  J J
C™AB™A  ™A™A

0343  J
0338 ②
Y™A J에서 Y™A J

 J JJ J  J J 양변을 제곱하면 Y›A Y™A 
=™A[ ]  , >™A[ ] 
J   J  
∴ Y›A Y™A 
∴ =™A  >™A   J  J 

  양변을 Y로 나누면 YšA Y 
Y
 
∴ Y›A YšA Y™A Y Y›A Y™A [YšA Y ]
0339
Y Y

Y›A Y™A
 J △ J   J  J   J J  Y›A Y™A  Y™A
 J J J J  Y™A
 JJ   J 
 J  J
………………………………………………………………………………… ➊
따라서 구하는 실수부분은 이다.
………………………………………………………………………………… ➋

채점 기준 배점
 ࠂࣗࣻ[оपࣻ‫ࣽחژ‬ೲࣻо‫ؼ‬ઑѤ
➊  J △ J 를 간단히 하기 80%
➋  J △ J 의 실수부분 구하기 20%
0344 ③

[J B J ™AJ B™A BJ B B™A J


[가 실수가 되려면 B™A
B™A ∴ B ∵ B
∴ =
 ࠂࣗࣻо઱য૕‫੄ٸ‬ध੄чҳೞӝ
B을 [B B™A J에 대입하면
[ ∴ >
0340  ∴= > 

J
Y 에서 YJ
0345


양변을 제곱하면 Y™AY 
Y™AY ∴ Y™AY YJ YJ  Y J Y™AYJYJYJ
∴ Y™AY Y™AY   Y™AY  Y  J
@   이 복소수가 순허수가 되려면 Y™AY, Y  

Ⅱ. 방정식 57
Y™AY에서 Y  Y  0350 
∴ Y 또는 Y UU<㉠
[ B J  J B  BJ
Y  에서 Y  UU<㉡
B BJ JB B™AJ
㉠, ㉡에서 Y
 B B™A B  J
[™A이 양의 실수가 되려면 [는 이 아닌 실수이어야 하므로
0346 ③
B , B™A B 
[„ Y™AY  Z™A Z  J에서 [„이 순허수가 되려면 B 에서 B  UUA㉠
Y™AY , Z™A Z   B™A B 에서 B  B  
Y Y , Z  Z   ∴ B 또는 B UUA㉡
∴ Y 또는 Y이고 Z , Z  UU<㉠ ㉠, ㉡에서 B
[m Y™AY  Z™AZ J에서
J[m Z™AZ Y™AY  J
J[m가 순허수가 되려면 Z™AZ, Y™AY
Z  Z , Y Y 
 
0351 

∴ Z 또는 Z이고 Y , Y  UU<㉡ [™A이 실수가 되려면 [는 실수 또는 순허수이어야 하므로


㉠, ㉡에서 Y, Z B™AB  또는 B™A B
∴Y Z  ………………………………………………………………………………… ➊
Œ B™AB 에서 B B 
∴ B 또는 B
………………………………………………………………………………… ➋
 B™A B에서 B  B 
∴ B 또는 B
 ࠂࣗࣻ[˜A੉पࣻ‫חژ‬ন ਺ ੄पࣻо‫ؼ‬ઑѤ
………………………………………………………………………………… ➌
Œ, 에서 B 또는 B 또는 B
0347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B의 값의 합은
  
[Y J   J
………………………………………………………………………………… ➍
YYJ J
채점 기준 배점
 Y Y  J
➊ [™A이 실수가 되는 조건 알기 20%
[™A이 음의 실수가 되려면 [는 순허수이어야 하므로
Y, Y   ➋ B™AB 을 만족시키는 B의 값 구하기 30%

∴ Y ➌ B™A B을 만족시키는 B의 값 구하기 30%


➍ 모든 실수 B의 값의 합 구하기 20%

0348 Ä

 J YJ YJ YJ 


Y  Y J UUA㉠ 0352 ①

㉠을 제곱하여 양의 실수가 되려면 ㉠은 이 아닌 실수이어야 하므로 [B™  J B J   J


Y  , Y ∴ YÄ B™A B™AJ BBJJ
 B™A B B™AB J
Œ [™A이 실수가 되려면 [는 실수 또는 순허수이어야 하므로
0349  B™A B 또는 B™AB
B  B  또는 B  B 
= OJ ™A
 O ™A O J ∴ B 또는 BÅ 또는 B
 O™AO  O J
 [J B™A B B™AB JJ
=™A이 음의 실수가 되려면 =는 순허수이어야 하므로
 B™A B B™AB J
O™AO,  O 
이 복소수가 실수가 되려면
O™AO에서 O  O 
B™AB, B  B 
∴ O 또는 O
∴ B 또는 B
 O 에서 O 
이때 O은 자연수이므로 구하는 자연수 O의 값은 이다. Œ, 에서 B

58 정답과 풀이
Y J Z  J   J
 ࠂࣗࣻоࢲ‫۽‬эਸઑѤ 
 J J J  J
Y Z  YZ J   J
⑴ B, C ⑵ B, C 
  

⑴ B C J CJ에서
Y Z  YZ J J
………………………………………………………………………………… ➊
1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B C, C Y Z,  YZ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Z
B, C 
⑵ B C BC JJ에서 ………………………………………………………………………………… ➋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 YZ@@


B C, BC
………………………………………………………………………………… ➌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채점 기준 배점
B, C
➊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각각 B CJ 꼴로 나타내기 40%
➋ Y, Z의 값 구하기 40%
0353 ② ➌ YZ의 값 구하기 20%

Y J Z J J에서


YYJZ
YZ
ZJJ
Y Z JJ
0357 ①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Y™A Z™AJYZJJ에서


YZ, Y Z Y™AY Z™AZ J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Z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Y Z   Y™AY, Z™AZ
Œ Y™AY에서 Y  Y 

0354
∴ Y 또는 Y

 Z™AZ에서 Z  Z 
B B  J ∴ Z 또는 Z
J J
J J  J Œ, 에서 Y Z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B  J
 J    또는   또는

   또는  
B B  J
따라서 Y Z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①이다.
B B  J CJ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B, CB  
∴B C  0358 

B B BJ BB™AJ B B™A


0355
    J
  BJ  BJ BJ  B™A  B™A  B™A
이므로
 ZJ B B™A
 J Y J의 양변에 J를 곱하면 Y ZJ J
J
 B™A  B™A
 J J Y  ZJ J J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J Y  ZJJ B B™A
Y , Z
Y  Y Z JJ  B™A  B™A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이때 YZ이므로
Y , Y Z B B™A B B™A
@ ,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A  B™A  B™A
B B™AB™A, B™A B 
Y, Z
B  B   ∴ B ∵ B는 정수
∴Y Z  

0356  0359 

B  J C J  BC B C J이고, 의 제곱근은


Y Z 
 에서
 J J J †J이므로

Ⅱ. 방정식 59
Œ  BC B C JJ일 때 0364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
BC, B C [q 에서 J [q[™A
J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이때 [qBJ이므로
∴ B™A C™A™A ™A
J BJ  B J ™A,  BJB™A BJ
  BC B C JJ일 때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B™A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 B™A
BC, B C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 B™A C™A  ™A  ™A
0365 

Œ, 에서 B™A C™A    J   J


[    J
J J  J 
다른 풀이
이므로 [qJ
B  J C J  BC B C J UU<㉠
∴ [  [q   J  J
㉠을 제곱하여 , 즉 음의 실수가 되려면 ㉠은 순허수이어야 하
  J @ J J
므로
따라서 JB CJ이고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BC , B C  ∴ BC, B C
B, C
CB를 ㉠에 대입하면 BJ
∴ BC  
따라서 BJ ™A이므로 B™A
∴ B™A, C™AB™A
∴ B™A C™A 

 ைۨࠂࣗࣻо઱য૕‫੄ٸ‬ध੄чҳೞӝ


⑴  ⑵


 ைۨࠂࣗࣻ੄҅࢑ Y Z  J J , YZ  J J  이므로


⑴ Y™A YZ Z™A Y Z ™AYZ™A

0360  ⑵

Y
 Y Z
Z

YZ


   J   J
[    J
J J  J  
따라서 [qJ이므로 0366 ⑤
[ [q [[q  J J  J J  
Y™A Z™A Y Z ™AYZ
:\ <Z 
YZ YZ

0361 ① 이때
Y Z  J J ,
[q J이므로 YZ  J J  
 J [q  J  J  J J J 이므로
Y Z ™AYZ ™A@
:\ <Z  
0362
YZ 

다른 풀이

=qJ, >q J이므로 J  J J ™A  J ™A


:\ <Z 
=q> =>q \ J  J ^\  J   J ^  J J  J J
  J J   J  J
 
 

0363 f 0367 

[qJ이므로 Y™A Z™AYZ Y Z ™AYZ


[q  J  J  J J 이때
  
[  J  J  J J Y Z  J J ,
 J J   J
  f ÄJ YZ  J J  
  
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실수부분은 f이다.
Y™A Z™AYZ Y Z ™AYZ™A@

60 정답과 풀이
0368 oo 0371 ④

YšA ZšA Y Z šAYZ Y Z [B CJA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1
이때 [[q에서 B CJBCJ, CJ ∴ C
J  J 즉, [B이므로 [는 실수이다.
Y Z ,
 
②  J J J
J  J   
YZ @   ④   J ™A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복소수 [는 ④이다.
이므로
 
YšA ZšA Y Z šAYZ Y Z šA@ @
 

0372 

0369 J [B CJA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 [q에서 B CJ BCJ , B ∴ B
YšA Y™AZYZ™AZšAY™ Y Z Z™ Y Z
즉, [CJ이므로 [는  또는 순허수이다.
 Y Z Y™AZ™A
따라서 [가 될 수 있는 것은 J,   J, , J의 개이다.
 Y Z ™ YZ
………………………………………………………………………………… ➊
이때

Y
  J
 
 J
J, 0373 Å
 J
J J  
   J   J [B CJA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Z    J
J J  J   [[q에서 B CJBCJ, CJ ∴ C
이므로 따라서 [B이고 [ 이므로 [는 이 아닌 실수이다.
Y Z J  J , ………………………………………………………………………………… ➊
YZ J   J J [ Y™A Y™AY J에서
………………………………………………………………………………… ➋ Y™A , Y™AY
∴ YšA Y™AZYZ™AZšA Y Z ™A YZ Y™A 에서 Y™A 
™A@ J J ∴Y † UUA㉠
………………………………………………………………………………… ➌ ………………………………………………………………………………… ➋

채점 기준 배점 Y™AY에서 Y  Y 
➊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하기 40% ∴ YÅ 또는 Y UUA㉡
➋ Y Z, YZ의 값 구하기 40%
………………………………………………………………………………… ➌
➌ 식의 값 구하기 20%
㉠, ㉡에서 YÅ

………………………………………………………………………………… ➍

채점 기준 배점
➊ [가 이 아닌 실수임을 알기 30%
 ைۨࠂࣗࣻ੄ࢿ૕
➋ Y™A 을 만족시키는 Y의 조건 구하기 30%
➌ Y™AY을 만족시키는 Y의 조건 구하기 30%
0370 ③ ➍ Y의 값 구하기 10%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① [[q B CJ BCJ B™A C™A이므로 실수이다.
②[ BCJ B이므로 실수이다.
[q B CJ
0374 ①
    BCJ B CJ CJ
③      이므로
[ [q B CJ BCJ B CJ BCJ B™A C™A [B CJA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또는 순허수이다. [ [q에서 B CJ BCJ , B ∴ B
④ [[q이므로 [[q 즉, [CJ이고 [ 이므로 [는 순허수이다.
B CJBCJ에서 CJ ∴ C [ J Y™AYJJ 
즉, [B이므로 [는 실수이다.  Y™A  Y™AY J
⑤ [qBCJ가 순허수이면 B, C  이므로
즉, [CJ이므로 [도 순허수이다. Y™A , Y™AY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Y™A 에서 Y™A ∴ Y† UUA㉠

Ⅱ. 방정식 61
Y™AY 에서 Y  Y  0378 ⑤
∴Y , Y  UUA㉡
㉠, ㉡에서 Y =>q에서 =q>x = >q 
 
따라서 > , >q 이므로
=q =

0375 ㄷ, ㅁ >



>q =q
=J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이므로
[ [q B CJ BCJ B,
0379 ②
[[q B CJ BCJ B™A C™A,
[[q B CJ  BCJ CJ   =q >

=q > =q>
[ B CJ B CJ ™A B™AC™A BC
ㄱ.    J 이때 =>q이므로 =q>x =>q 
[q BCJ BCJ B CJ B™A C™A B™A C™A
이때 BC 이면 실수가 아니다. = >qJ이므로 =q >x = >q J

  [q[ [[q C   =q > J


ㄴ.     J ∴   J
[ [q =q > =q> 
[[q [[q B™A C™A
이므로  또는 순허수이다.
ㄷ. [  [q  [[q  [ [q  0380 
B™A C™A B 
 
이므로 항상 실수이다. ==q>>q에서 = , >
=q >q
ㄹ. [™A [q ™A [ [q [[q  
= >J에서 J
B@CJBCJ =q >q
이므로  또는 순허수이다.  =q >q
J,  = >“ J =>“
ㅁ. [  [q  [[[q [ [q [ =q@>q
 J qJ =>“, JJ =>“
[[q [ [q 
=>“ ∴ =>
 B™A C™A B 
이므로 항상 실수이다.
따라서 항상 실수인 것은 ㄷ, ㅁ이다. 0381 

X  J  J
[  
X   J   J
………………………………………………………………………………… ➊
 J  J  J  J“
∴ [[q @Š[ ] @
 J  J  J  J“
 ைۨࠂࣗࣻ੄ࢿ૕ਸ੉ਊೞৈध੄чҳೞӝ

 J
@
J

 

 J J  

0376
………………………………………………………………………………… ➋

채점 기준 배점
==q =q> =>q >>q=q = > >q = > ➊ 복소수 [ 구하기 30%
 = > =q >q ➋ [[q의 값 구하기 70%
 = > = >“
이때 = >  J J  J, = >“J이므로
==q =q> =>q >>q = > = >“ 0382 

  J J   = = = =q


[[q @Š[ ] @
= = = =q
==q
0377
 UUA㉠
J ==q = =q 
 J J
이때 = 이므로 =q
[„ [m  [„[m  [„[m   
이때 [„[m“[„•[m• J이므로 [„[mJ 
J J
= =q =
 
[„[m“[„•@[m• J이므로 [„[mJ
 J J  
∴ [„ [m  [„[m  [„[m  ==q @  
  
J  J 
㉠에서
J J
==q @
[[q  
J ==q = =q  @ 

62 정답과 풀이
다른 풀이
0386 ②
 J
@   J   J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 
[   
=

1
 J  J  J  J [ J [q J에서


 J B CJ J BCJ  J
  J   J   J   J
∴ [[q @Š< = @ B CJ BJC BJ C J
 J  J  J   J
 B C B C J J
  J  J   
 @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J J  
B C, B C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따라서 [J이므로 [[q J  J  

0387 
 ઑѤਸ݅઒दః‫ࣻࣗࠂח‬ҳೞӝ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0383
[ J[ B CJ J B CJ B CJ BJC BC B C J

이므로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 J[“ BC  B C JJ
 J [ J [q J에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J B CJ J BCJ  J BC, B C
B CJ BJC BJ C J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Å, CÄ
BC B C J J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따라서 [Å ÄJ이므로
BC, B C
J[J[Å ÄJ]J J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 [J

0388 ②

0384 ③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에서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 J  B CJ  J
 J [q J [에서
 B C  J
 J BCJ J B CJ 
가 양의 실수이므로
BCJ BJ C B CJBJ C
B, C  ∴ B, C
B C ∴B C
㈏에서 [[q B CJ BCJ 
따라서 B C을 만족시키는 복소수는 ㄴ, ㄹ이다.
∴ B™A C™A
위의 식에 C를 대입하면 B™A 

0385 †J B™A ∴ B ∵ B


따라서 [J이므로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 [q J  J 
[ [q에서 B CJ BCJ 
B ∴ B
………………………………………………………………………………… ➊
[[q에서 B CJ BCJ 
B™A C™A,  C™A, C™A ∴ C†
………………………………………………………………………………… ➋  ೲࣻ‫ױ‬ਤJ੄Ѣٟઁғ

∴ [†J
⑴J ⑵ ⑶J ⑷
………………………………………………………………………………… ➌

채점 기준 배점
⑴ J  J ›A A@JJ
➊ [B CJ라 할 때, B의 값 구하기 40% ⑵ J AJ ›A@J ™AJ ™A  
➋ C의 값 구하기 40% ⑶ J žAJ žAJ ›A@J šAJ šA J J
➌ 복소수 [ 구하기 20% ⑷ J  J  J ›A 
@J ™A J ›A 
J ™A  

Ⅱ. 방정식 63
0389 ④ 0392 

JJ œAJ ŸAUJ , J ™AJ AJ UJ , JJ œAJ ŸAU, J ™AJ AJ U,
J šAJ žAJ UJ J , J ›AJ dAJ UJ 이므로 J šAJ žAJ UJ, J ›AJ dAJ U이므로

J J ™A J šA U J G L 이 되려면
 JJ  JJ  U JJ  J G L  J J ™A U JL
J   JJ  JJ U  JJ
이어야 하므로 L는 , , , U, 즉 L 이 의 배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자연수 L는 , , , U, 의 개이다.

0390 

JJ œAJ ŸAUJ , J ™AJ AJ UJ ,


J šAJ žAJ UJ J, J ›AJ dAJ UJ 이므로
0393 

     JJ œAJ ŸAU, J ™AJ AJ U,


U
J J ™A J šA J ›A J  J šAJ žAJ UJ, J ›AJ dAJ U이므로
        JJ ™A J šAJ ›A J œAJ A J žAJ dA U
[ ] U [  ]
J J ™A J šA J ›A J J  J  J 
J J J J U
 
J  J     U   U J UUA㉠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의 실수부분이 , 허수부분이
[  ] [  ]
J J J J 이어야 한다.
   이때   ,   이므로
U [  ] 
J J J
O

 J
J
따라서 JB CJ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B, C
0394 

∴B C    J J   J @ J ›A dA@J šA  J @ J J


 J J   J @ J ›A ŸA  J @ J

 J J   J @ J ›A ŸA@J  J @J J

 J J   J @ J ›A ŸA@J ™A  J @  J
0391  ∴ 1 ,  , 1 ,  , 1 ,  , 1 , 
네 점 1, 1, 1, 1을 좌표평면 위에 Z
JJ œAJ ŸAUJ , J ™AJ AJ UJ ,  1fg
    나타내면 그림과 같으므로 구하는 사각형
J šAJ žAJ UJ J, J ›AJ dAJ UJ 이므로
의 넓이는 1fi 
J J ™A J šA U J  J  
 0   Y
 JJ  JJ  ™A@[Å@@]  1fs
U JJ  J 1fh 
 J J U J J


개
 J J
 J 0395 
………………………………………………………………………………… ➊
JJ œAJ ŸAJ J , J ™AJ AJ J J ,
따라서  JB CJ이므로
J šAJ žAJ J J J, J ›AJ dAJ J J 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J J ™A J šA J ›AJ œA J A J žA J dAUJ  J  J  J 
B, C
J  J  J  J 
………………………………………………………………………………… ➋
∴ J J ™A J ™A J šA J šA J ›A U J  J 
∴ BC 
 J J ™A U J J ™A J šA U J 
………………………………………………………………………………… ➌
\ J J ™A U J  J  J ^ \ J J ™A U J  JJ ^
채점 기준 배점
 J J 
➊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간단히 하기 70% 따라서 B CJ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➋ B, C의 값 구하기 20% B, C
➌ BC의 값 구하기 10% ∴ B C ™A@  ™A

64 정답과 풀이
다른 풀이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J J JJ이므로 B, C ∴ B, C
J J™A J™A JšA JšA J›A U J  J  ∴ BC  @  
J
 J™A
\ J™A
JšA
J™A
J›A U
JšA JšA
J 
J›A J›A U J  J  ^ J 

0399 J
1
\ J  J J  J U J  J ^
@    J  J ™ J
  J
J J  J 

0396
J J ™ J
⑤   J
 J  J J 

자연수 L에 대하여  J  J   


∴[ ] [ ] J  J
J  J
Œ NL일 때
J  J J 
J LJ, J L
J이므로 
@ J›A @JšA
[NJ J 
JšAJ
 NL일 때
J L, J L
이므로
[N 0400 ②
Ž NL일 때
J J
[™A[ ]A J이므로 [›A [™A ™A J ™A,
J LJ, J L
J이므로  
[NJ J [dA [›A ™A  ™A
 NL일 때 ∴ [™A [›A [A [dA [ [
L L
J , J 이므로   [™A [›  [™A [dA  [™A [
[N    [™A   [™A  [™A [
ㄱ. [N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존재하지 않는다.  [™A [›A š
ㄴ. @이므로 [, J  šAJ
@이므로 [ 다른 풀이

∴ [ [   J  J


[™A[ ] J이므로 [›A [™A ™A J ™A
ㄷ.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은 실수이므로 [N[N“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A[›A@[™A  @ J J, [dA [›A ™A  ™A


∴ [™A [›A [A [dA [ [ [™A [›A [A [dA [dA [™A [›A
J J  [™A [›
 [™A [›
 ࠂࣗࣻ੄Ѣٟઁғ
JJ
⑴  ⑵ 

⑴  J \  J ™A^ J @J 


0401 ㄱ, ㄷ

 J   @   J  J
⑵[ ] J J J™A ㄱ. [™A[ ] J
J J 
∴ [›A [™A ™A J ™A
ㄴ. [™AJ이므로 [A [™A šA J šAJšAJ
0397 ③
∴ [™A [A
 J 
\  
J ™A^  J  
 @ J›A A@J J   J O  J
ㄷ. [O[ ] 에서 [
 J J
J \ J ™A^ J 
  
@ J›A A@JJ
    [™AJ
∴  J J  J  J 
 J J
[šA[™A@[ J @ 
J 
0398  [›A

J ™ J
J J [œA[›A@[[
  J이므로 J
 J  J J 
[A[›A@[™A  @ J J
J  
[ ]  J J  J›A 
@J™AJ™A
 J  J  J
[žA[A@[J@ 
J  J 
[ ] BCJ J에서
 J [dA [›A ™A  ™A
 BCJ J ∴ B CJJ
U

Ⅱ. 방정식 65
즉, O이 의 배수일 때 [O이다.
 ਺ࣻ੄ઁғӔ੄҅࢑
J  J  J
ㄹ. [šA 에서 ƒ[šA , [žA 이므로 [žA ƒ[šA
   ⑴  ⑵ J ⑶ J ⑷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⑴ uuJ@JJ ™A
⑵ ‚@JJ
` ` 
⑶   J
u J J
0402 

‚ `J
 
u J
J J ™A J
  J
 J  J J 
 J
J

 J ™A
J  J
J
 J

0404 ③

J O  J O ① uJ@`J‚
∴ G O [ ] [ ]
 J J
② uuJ@J`J ™A`
O
 J J OJ O J O  O
  J
………………………………………………………………………………… ➊ ③   mÄ Jm‡Ä
u J 
즉, O이 홀수일 때 G O   이고 u J
④  mÄ
O이 짝수일 때 G O  이므로 u J
G  G  G  U G      U   u J
⑤  mÄ Jm‡Ä
@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 ➋

채점 기준 배점
➊ G O 을 간단히 하기 50% ⑴ B, C 이외의 경우에는 BCuBC
B
➋G  G  G  U G  의 값 구하기 50% ⑵ B, C 이외의 경우에는
C
mA 단, C 

0405 ④

0403  ① uuJ@JJ ™A


② u`J@J

[„ 에서 `  
 J ③   J
u J J
  
[„™A[ ]  J ④ u ™A u ™A J ™AJ ™A
 J J
u J
 J ⑤  J
[„šA[„™A@[„ J @   
 J  J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A [„™A ™A J ™A
 
[„œA[„›A@[„  @ 
 J  J
[„A[„›A@[„™A  @ J J 0406 
 J
[„žA[„A@[„J@  u J J
 J  J [  
 u  J  J
[„dA [„›A ™A  ™A J ™A J
  J
U

 J J 
 J ∴[ [qJ J
[m 에서

 J  J J
[m™A[ ] 
0407
  

J  J  
[mšA[m™A@[m @  
  
` ‚  
uu J@J
U

u u J J


따라서 O이 의 배수일 때 [„O이고, O이 의 배수일 때 [mO J 
이므로 [„O[mO을 만족시키는 가장 작은 자연수 O은 과 의 최소 J
공배수인 이다. ………………………………………………………………………………… ➊

66 정답과 풀이
따라서 JB CJ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 ā Y ™A ]Y]]Y] ]Y]
B, C  Y  Y
………………………………………………………………………………… ➋ Y  Y

1
∴ BC  
………………………………………………………………………………… ➌

채점 기준 배점 0412 ㄱ, ㅁ
➊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간단히 하기 60%
BCuBC이고 B , C 이므로 B, C
➋ B, C의 값 구하기 30%
ㄱ. B C이므로 ]B C]BC
➌ BC의 값 구하기 10%  ]B] ]C]BC
∴ ]B C]]B] ]C]

0408
C
 ㄴ. m@!
B
` ㄷ. ăB™ ăC™A]B]@]C] B @ C BC
 u u u‚
u ㄹ. ÄaB™ACăB™A@CBC
 ㅁ. B, C이므로 uBC‚BC
  J J J@J
J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ㅁ이다.
J J J


0413 B C

0409 J B
mA이고 B , C 이므로 B, C
C
Y이므로 Y, Y
∴ BC
‚Y Y
∴ m‡ ‚Y‚YuYhY ∴ ā BC ™A ]B]ăC™ ]BC] ]B]]C]
‚Y Y
‚Y Y BC B C
 @m‡ ‚YJ@‚YhY J@hY
‚YJ Y B C

 @J Y JYJ
J
J YJYJJ
0414 CD

‚BC‚DBā BC DB 이고 BC , DB 이므로


BC, DB ∴ DBC
………………………………………………………………………………… ➊
CB, CD, DB이므로
 ਺ࣻ੄ઁғӔ੄ࢿ૕
]CB] ]CD] ]DB]CB CD  DB
CB CDD B
0410 ⑤ CD
………………………………………………………………………………… ➋
B B
m 이고 B , C 이므로 B, C 채점 기준 배점
C C
① ÄaB™ACăB™A@CBC ∵ ăB™A]B]B ➊ B, C, D의 대소를 비교하기 50%
② ÄaBC™AB@ăC™ACB ∵ ăC™A]C]C ➋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하기 50%
C C
③ m
B B

0415
④ BCuBC

⑤ B, C이므로 uBC‚BC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BCuBC이고 B , C 이므로 B, C
D
mA"이고 C , D 이므로 C, D
C
0411  ∴ BD, B C

‚Y ∴ ā BD ™A ăD™A]B C]]BD] ]D]]B C]


Y
m‡ 이고 Y , Y 이므로
‚Y Y  BD D B C
Y, Y B D D B C
이때 Y에서 Y C D

Ⅱ. 방정식 67
0416 ① 0421 ②

C [šA [q [ [q šA[[q\[™A [q ™A^[[q\ [ [q ™A[[q^


㈎에서 m@! 이고 B , C 이므로 B, C
B 이때 [qJ이므로
∴ BC
[ [
q  J J 
㈏에서 ]B C] ]B D]이므로
[[q  J J  
B C, B D
∴ [šA [q [ [q šA[[q\ [ [q ™A[[q^
B C에서 CB
@ ™A@
B D에서 DB C 
@  
이때 C이므로 CD
∴ BCD

0422 ③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 [q
에서
 J J
B CJ BCJ

 J J
B CJ J BCJ  J

 J J
BBJ CJ C B BJCJ C

0417


∴B C
① J ™A이므로 실수이다. 따라서 B C을 만족시키는 복소수가 될 수 없는 것은 ③이다.
② J의 실수부분은 이다.
③ J의 허수부분은 이다.
④B , C이고 B가 실수이면 B CJ는 실수, B가 허수이면
0423 ①
B CJ도 허수이므로 복소수이다.
BšA CšABC B C šABC B C BC
이때

0418 ④ B

 J

J
J J
J,


 J △  J   J  J   J   J    J
C   J
 J JJJ J J  J
 J 이므로
B C J  J 
BC J  J  
0419 ③ ∴ BšA CšABC B C šABC B C BC
šA@@
B™ACD는 B™A의 값이 최소가 되고 CD의 값이 최대가 될 때 최솟값을
갖는다.
B™A은 BJ일 때 최솟값 J ™A를 갖고,
CD는 CJ, DJ 또는 CJ, DJ일 때 최댓값 0424 ⑤

J@J을 갖는다. Y Z
 J“에서
따라서 B™ACD의 최솟값은  J J
 Y J Z  J
J
 J J
Y Z Y Z J
J
0420


Y Z Y Z JJ
u  u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uu 
u u  Y Z, Y Z
`J  `J
J@J  
J J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 Z

  J J

∴ Y Z@ @
 J 

68 정답과 풀이
0425 ③ 0429 ①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J J J JJ J


   J
 J  J J   

1
J[ J [qJ에서
J  J
J B CJ  J BCJ J [ ] J
J 
BJC BCJBJC J
J  J 
BC B C JJ
∴[ ] [ ]  J  J 
 J J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J  J 
BC, B C J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 J ›A @J ™A
따라서 [J이므로 J ™A
[[q J  J  

0430 ⑤

 J Y™A Z J Y J에서


0426 ② Y™AYZ Y™AY J J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q =>q =q> >>q= =q >q > =q >q
Y™AYZ UUA㉠
 =q >q = >
Y™AY UUA㉡
 = > “ = >
㉡에서 Y™AY, Y  Y 
이때
= > J  J ∴ YÄ 또는 Y
 J JJ 이때 Y는 정수이므로 Y
이므로 = >“ J Y를 ㉠에 대입하면 Z이므로
∴ ==q =>q =q> >>q = > “ = > Z ∴ Z
  J J ∴Y Z 
 

0431 ②

[Y™A J Y J Y™AY Y  J


0427 ③ Œ [[q, 즉 [가 실수가 되려면 Y  ∴ Y

   =q  >q ∴ B
==q>>q에서 = , > 이므로  , 
=q >q =  >   [™A이 음의 실수가 되려면 [가 순허수이어야 하므로
  =q >q Y™AY, Y  
= > [ ] = > [ ]
= >   Y™AY에서 Y  Y 
Å = > =q >q ∴ Y 또는 Y UUA㉠
Y  에서 Y  UUA㉡
Å = > = >“ ㉠, ㉡에서 Y ∴ C
∴B C 
Å@

0432 ②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0428 ① ㄱ. [[q B CJ BCJ B™A C™A에서

J  J x[[
q B™A C™AB™A C™A이므로 x[[는
q 실수이다.
J  JJ   J
[     J에서
J J  J    ㄴ. [J이면 [™A이므로 [™A은 실수이지만
[J [ ™A J ™AJ이므로 [ ™A은 허수이다.
양변을 제곱하면 [™A[  ㄷ. [ J이면
∴ [™A[  [™A [q ™A  J ™A J ™AJ J 이지만
∴ [šA [™A[ [ [™A[  [  [ 이다.
[  ㄹ. [™A B CJ ™AB™AC™A BCJ가 허수이면 BC 
  J  즉, B , C 이므로 [는 허수이다.
J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ㄹ이다.

Ⅱ. 방정식 69
0433 ① 0437 ⑤

B C  Y BC이 Y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J


G ,   ,
J
B C , BC
 J  J
∴B C, BC G ,    ,
J J
이때 B C이고 BC이므로 B, C
 J  J
G ,    ,
∴ BCuBC J J
∴ B C ™AB C BC

U
B CuBC  J  J
G ,   
 J J
 J  J  J  J J  J
이때   
J J  J   

0434
∴ G ,  G ,  G ,  U G , 

 J
@  J

㈎에서 uBC‚BC이고 B , C 이므로
다른 풀이
B, C ∴ B, C
CB이면
∴ CB
B BJ  J  J
㈏에서 C D ™A B C ™A이므로 G B, C  G B, B    ∵B 
BBJ J 
C D, B C
∴ G ,  G ,  G ,  U G , 
C D에서 DC
 J
@  J
B C에서 CÄB이므로 DÄB 

이때 B, D이므로 BD


∴ CBD
0438 

 J   J  J  J


[ ]  
0435 ④
   
 J   J  J  J J J
[ ] @   J
X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X•BCJ     
 J 
X• B CJ이므로 [ ] J ™A

G X•  G B CJ
 J 
B CJJ  [ ]   ™A

 B   C  J ………………………………………………………………………………… ➊
즉, B   C  JJ이므로  J O
따라서 OLA L는 자연수 꼴일 때 [ ] 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B , C  ƒLƒ을 만족시키는 L의 값은 . , U, 이므로 구하

∴ B, C 는 자연수 O은 개이다.


………………………………………………………………………………… ➋
따라서 XJ이므로
G X  G  J  JJ J 채점 기준 배점
 J O  J O
➊[

] , [

] 을 만족시키는 O의 값 구하기 50%

0436 ⑤
➋ 자연수 O의 개수 구하기 50%

       
    U  J,      U  ,
0439
J J J J J J J J
†J
       
  U  J,      U  이므로
J  J  J  J J J J J
 
    Å[[ ]에서 [ 
U [ [
J J ™A J šA J 
 [[q
 J J  J J  [[q이므로 [ [ [ [q
[ [
U J J  J J ………………………………………………………………………………… ➊
  J  J 이때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J [ [q에서 B CJ BCJ 
따라서 B, C이므로 B ∴ B
CB   ………………………………………………………………………………… ➋

70 정답과 풀이
[[q에서 B CJ BCJ B™A C™A
™A C™A, C™A ∴ C†
………………………………………………………………………………… ➌

0441 1
∴ [†J
J
………………………………………………………………………………… ➍

채점 기준 배점 [m[„• J  J J J


➊ [ [q의 값 구하기 30% [f[m• J   J J  J
➋ [B CJ로 놓고 B의 값 구하기 30% [e[f• J  J J J
➌ C의 값 구하기 30% [s[e• J   J J  J

U
➍ [의 값 모두 구하기 10%
즉, [O의 실수부분은 O이고, [O의 허수부분은 O이 짝수일 때 ,
O이 홀수일 때 이다.
따라서 [J, [ J이므로
0440  [ [ J  J J


복소수 이 실수이므로
[™A

Š[

],


 0442 ③
[™A [™A [™A [™A
[B CJ, XD EJ B, C, D, E는 실수 라 하면
[™A[™A, [™A[q ™A
두 복소수 [, X는 실수가 아니므로 C , E 
[™A[q ™A ∴ [[q [ [q 
………………………………………………………………………………… ➊
[ X B D C E J가 실수이므로
C E ∴ CE UUA㉠
그런데 [는 허수이므로 [ [q
[X BDCE BE CD J가 실수이므로
∴[ [q
………………………………………………………………………………… ➋ BE CD UUA㉡

이때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 [ B CJ BCJ B ∴ B BEDE, E BD 


q
따라서 [의 실수부분은 이다. BD ∵ E  ∴ BD
………………………………………………………………………………… ➌ ∴ [B CJ, XBCJ[q
ㄱ. [q X[q [q[q, [ X•[ [[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q X [ X•
➊ 켤레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q [ [q 임을 보이기 50%
ㄴ. [qX[q[q, [X•[[이므로
➋ [ [q임을 보이기 20%
[qX[X•
➌ [의 실수부분 구하기 30%
ㄷ. [X는 실수이므로 [X[X“
다른 풀이
ㄹ. [X•[@[[™A, [qX[q@[q [q ™A이므로
[B CJA B, C는 실수, C  라 하면 [X• [qX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A  B CJ ™A  B™AC™A BCJ
 B™A C™A BCJ
 
B™A C™A BCJ B™A C™A ™A B™AC™A
가 실수이므로 BC ∴ BA ∵ C  0443 ①

ㄱ. => ™A=™A>™AJ@ J 


∴ => 또는 =>
ㄴ. =™A >™AJ J 이므로
= > ™A=™A >™A =>=>
이때 => 또는 =>이므로
= > ›A => ™A
ㄷ. =™A >™A이므로
=>  => A™ =™A >™A=> =>
[ ]   
= > = > ™A =™A >™A => =>
=>  =>
이때 [ ] 이 음수이므로 는 순허수이다. 즉, 실수가
= > = >
아니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Ⅱ. 방정식 71
0444  다른 풀이

㈎에서 [Y Y J이므로


[B CJ B, C는 실수, C  라 하면 [qBCJ
[qY Y J
[q BCJ
[[q 에서 B CJ BCJ  ∴[ [qY,
[ B CJ
BCJ ™A [[q Y ™A Y ™AY™AY 
B™A C™A 
B CJ BCJ ㈏에서 [™A [q ™A이므로
B™AC™ABCJ [™A [q ™A [ [q ™A[[q
B™A C™A 
B™A C™A  Y ™A Y™AY 
B™AC™A BC
B™A C™A  J Y™A Y
B™A C™A B™A C™A
Y™A Y, Y  Y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 Y 또는 Y
B™AC™A BC
B™A C™A ,  
B™A C™A B™A C™A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Y의 값의 합은  
BC
이때 C 이고 
B™A C™A
이므로 B
0447 † J
B™AC™A
B을 B™A C™A 에 대입하면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B™A C™A
C™A ∴ C™A [™A B CJ ™A J
∴ [[q ™A CJ ™AC™A@ B™AC™A BCJ J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B™AC™A, BC

0445 ⑤ BC에서 C@Ä이므로 이것을 B™AC™A에 대입하면

ㄱ. [™A[가 실수이므로 [™A[도 실수이다. 


B™A , B›AB™A
B™A
ㄴ. [B CJ에서
B™A  B™A 
[™A[ B CJ ™A B CJ
그런데 B™A  이므로 B™A ∴ B™A
B™AC™A BCJBCJ
∴ B†, C† 복부호동순
 B™AC™AB B CJ
∴ [†  J
이때 [™A[가 실수이므로 B C
[™A J에서 [™AJ
∴ BÅ ∵ C  ∴ [Å CJ 양변을 제곱하면 [›A[™A 
∴ [›A[™A
∴[ [q[Å CJ] [ÅCJ]
 [›A[™A 
∴ [šA[ 
[ [
ㄷ. [[q[Å CJ][ÅCJ]Å C™A
 

†  J
이때 C 이므로 C™A ∴ [[qÅ C™AÅ
 J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  J J
 J
   J
 

0446 ② 0448 ④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qBCJ 4J J ™A J šA U JO


㈏에서 [™A [q ™A이므로 B CJ ™A BCJ ™A J OL
B™AC™A BCJ B™AC™ABCJ '  J OL
9A L는 자연수
B™AC™A, B™AC™A ∴ B™AC™A '  OL
㈎에서 B CJY Y J이므로  OL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ㄱ. @, @이므로 4, 4
BY, CY ∴ 44
이것을 B™AC™A에 대입하면 Y ™A Y ™A ㄴ. 4O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OL일 때이므로
Y™AY™AY , Y™A Y  이하의 자연수 O은 , , , U, 의 개이다.
Y™A Y, Y  Y  ㄷ. 4„ 4m 4f U 4
∴ Y 또는 Y  J J  J J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Y의 값의 합은 U J J 
    J  J

72 정답과 풀이
ㄹ. 4OJ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OL일 때이므로
0451 
 이하의 자연수 O은 , , , U, 이고 그 최댓값은 이다.
B„, Bm, Bf, U, B 중 , J, J의 개수를 각각 Y, Z, [라 하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ㄹ이다.

1
Y Z [ UUA㉠
 ™A, J ™A, J ™AJ이므로
B„™A Bm™A Bf™A U B™A@Y  @Z J @[

0449
YZ[J

즉, YZ[JJ이므로
Œ "버튼만 누를 때 화면에 표시되는 수는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J YZ UUA㉡
번 누르면
 [ ∴ [ UU<㉢

J J 
 ㉠, ㉡, ㉢을 연립하여 풀면 Y, Z, [
번 누르면 [ ] J
 
∴ B„ Bm Bf U B  @ J@ J @
 J   J  J
번 누르면 [ ] @J  J J
  
 J  J
번 누르면 [ ] J ™A
 따라서 B„ Bm Bf U B의 실수부분은 , 허수부분은 
따라서 "버튼을 번 누르면 화면에 이 나타난다. 이므로 구하는 합은
 #버튼만 누를 때 화면에 표시되는 수는   
 J
번 누르면

 J  J
번 누르면 [ ] J
 
번 누르면

[
 J   J
] @ J 
 J 0452 
  
=>, =>이므로 =, >
 J 
번 누르면 [ ]  J ™A = = > >
 ∴m  , m  , =h>u=>
> > = =
따라서 #버튼을 번 누르면 화면에 이 나타난다.
= > = > = > = >
Ž "와 #버튼을 번씩 누를 때 화면에 표시되는 수는 m m    UUA㉠
> = > = B> u=>
 J  J  이때
@  
  
= > ™A => ™A =>
따라서 "와 #버튼을 번씩, 총 번 누르면 화면에 이 나타난다.
  ™A @ 
Œ _ Ž에서 화면에 다시 이 나타낼 때까지 버튼을 누른 횟수의

최솟값은 이다.
]=]]>]이므로 =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  
0450
m m    J
 > = u=> u J

= >
주사위를 던져서 , , 가 적어도 한 번 나오면 나온 수들의 곱이 ∴ [m m ]  J  ™A
> =
가 될 수 없다.   J
 J ™AJ,  J ™A@J,  J ›A J ™A이므로  J
주사위에 적힌 수들의 곱이 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JQ RJ이므로
Œ šA@ J ™A인 경우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가 번, J가 번 나오면 되므로 Q, R
O  ∴ Q™AR™A  ™A  ™A
 šA@  J ™A@J인 경우
가 번,  J가 번, J가 번 나오면 되므로
O  
Ž šA@  J ›A인 경우
가 번,  J가 번 나오면 되므로
O 
Œ _ Ž에서 가능한 O의 값은 , , 이므로 구하는 합은
  

Ⅱ. 방정식 73
0456 

੉ରߑ੿ध Y™A  Y의 양변에 를 곱하면


Y™A  Y
Y™A  Y
 ੉ରߑ੿ध੄ಽ੉ 양변을 로 나누면
†` Y™A  Y, Y  Y 
⑴ YÅ 또는 Y ⑵ YÅ ⑶ Y
 ∴ Y 또는 Y
따라서 유리수인 근은 이다.
⑴ Y™AY에서 Y  Y 

∴ YÅ 또는 Y Y™A의 계수가 무리수인 이차방정식은 Y™A의 계수를 유리화한 후 인수분해
또는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다.
⑵ Y™AY 에서 Y ™A

∴ YÅ

⑶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해를 구하면


0457 

  †Ä  ™A@@  Y¦Y  ¦Y 에서


Y
 Y™AYY  YY 
†` Y™AY YY 


Y™A Y 
양변을 로 나누면
Y™A Y , Y  Y  
∴ Y 또는 Y

0453 ③ ………………………………………………………………………………… ➊
따라서 주어진 식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Y의 값의 합은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해를 구하면   
  †Ä  ™A@@ †`J ………………………………………………………………………………… ➋
Y 
@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B, C이므로
B C  ➊ Y¦Y  ¦Y 을 만족시키는 실수 Y의 값 구하기 80%
➋ 모든 실수 Y의 값의 합 구하기 20%

0458 Y 또는 Y 

0454 Y
†

 Y™A  Y의 양변에 
   Y™A  
을 곱하면
 Y   
Y™AY에서 Y™A   Y, Y  Y 
Y™AY ∴ Y 또는 Y 
  †}x  ™A@  †
∴ Y 
 

 ೠӔ੉઱য૓੉ରߑ੿ध

0455 ② 0459 

Y A™ 이차방정식 Y™A B YB의 한 근이 이므로


ÄY Y  Y  의 양변에 을 곱하면

 ™A B @  B
Y Y  Y  Y ™A
B B
Y™A YY Y™AY 
B ∴ B
Y™A Y 
이차방정식 LY™AY L 의 한 근이 이므로
†Ä™A@ †`
∴ Y  L@™A@ L 
 
` L L , L
따라서 = 이므로 =`
 ∴ L
∴ = ` ∴ BL@

74 정답과 풀이
0460  0464 

이차방정식 Y™AY B의 한 근이 이므로 이차방정식 Y™AY 의 한 근이 =이므로

1
™A@ B,  B ∴ B =™A= 
B을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 이므로 양변을 =로 나누면
Y™AY , Y Y   
=  ∴= 
= =
∴ Y 또는 Y
………………………………………………………………………………… ➊
따라서 C이므로
  
B C  ∴ =™A [= ] ™A
=™A =
………………………………………………………………………………… ➋
0461  채점 기준 배점

이차방정식 Y™A LY 의 한 근이 이므로 ➊=
=
의 값 구하기 60%
 ™A L   
➋ =™A 의 값 구하기 40%
=™A
 L  
L   , L   

0465
∴ L

0462  이차방정식 Y™AY 의 한 근이 =이므로


=™A= 
이차방정식 Y™A N  Y N의 한 근이 이므로
=™A=, =™A=Å
™A N  @ N

N N
∴ =›A[=Å] =™A= Å
N ∴ N
………………………………………………………………………………… ➊ ∴ =›A=™A =[=™A= Å]=™A =Å
N을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Y™AY, Y  Y 
∴ Y 또는 Y
따라서 O이므로
 ੺؆чӝഐܳನೣೠ੉ରߑ੿ध
………………………………………………………………………………… ➋
N   
  ⑴ Y 또는 Y ⑵ Y 또는 Y
O   
………………………………………………………………………………… ➌

채점 기준 배점
⑴ Œ YÅ일 때,  Y  
➊ N의 값 구하기 40%
Y ∴ Y
➋ O의 값 구하기 40%

N
의 값 구하기 20%  YyÅ일 때, Y 
O
Y ∴ Y

0463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Y 또는 Y

다른 풀이

이차방정식 LY™A B  Y L C의 한 근이 이므로  ]Y ]에서 Y †


L B  L C  Œ Y 일 때, Y ∴ Y
 C L BC    Y 일 때, Y ∴ Y
위의 등식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⑵ ]Y]Y 에서
 C, BC 
Œ Y일 때,  Y Y 
∴ B, C
∴B C   Y ∴ YÅ
항등식에 대한 여러 가지 표현
 Yy일 때, YY 
다음은 모두 L에 대한 항등식을 나타낸다.
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는 등식 Y ∴ YÄ
⑵ 모든 L에 대하여 성립하는 등식
⑶ 임의의 L에 대하여 성립하는 등식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YÅ 또는 YÄ

Ⅱ. 방정식 75
0466 ⑤ ∴ Y 또는 Y
그런데 Yy이므로 Y
Y™A ]Y]에서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Œ YÄ일 때, Y™A Y  Y 또는 Y
따라서 모든 실수 Y의 값의 곱은
Y™AY , Y™AY
 @
∴ Y†

그런데 YÄ이므로 Y

 YyÄ일 때, Y™A Y 0469 

Y™A Y, Y  Y  ]Y™AY ]에서 Y™AY †


∴ Y 또는 Y Œ Y™AY 일 때, Y™AY
그런데 YyÄ이므로 Y ∴ Y†
………………………………………………………………………………… ➊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 Y™AY 일 때, Y™AY 
Y 또는 Y
∴ Y†J
∴= >  
………………………………………………………………………………… ➋
B, C, D, E는 유리수이므로 B, C, D, E
∴B C D E   
0467 YÅ 또는 YÅ ………………………………………………………………………………… ➌

Y™A ]Y]에서 채점 기준 배점

Œ Y일 때, Y™AY ➊ Y™AY 일 때, Y의 값 구하기 40%


➋ Y™AY 일 때, Y의 값 구하기 40%
Y  Y  ∴ YÅ 또는 Y
➌ B C D E의 값 구하기 20%
그런데 Y이므로 YÅ

 Yy일 때, Y™A Y

Y  Y  ∴ Y 또는 YÅ 0470 ③

그런데 Yy이므로 YÅ ăY™A]Y], ā Y ™A]Y]이므로


Y™AăY™Aā Y ™A 에서 Y™A]Y]]Y]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Œ Y일 때, Y이므로
YÅ 또는 YÅ Y™A Y Y 

다른 풀이
Y™A YY  , Y™A Y
Y  Y  ∴ Y 또는 Y
Y™A]Y]™A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그런데 Y이므로 Y
]Y]™A ]Y]
 ƒY일 때, Y이므로
]Y] ]Y]  
Y™AY Y 
그런데 ]Y]y이므로 ]Y]Å
Y™AYY  , Y™A
∴ Y†
∴ YÅ 또는 YÅ
그런데 ƒY이므로 Y†은 근이 아니다.
Ž Yy일 때, Yy이므로
Y™AY Y 
0468 ② Y™AY ∴ Y†
그런데 Yy이므로 Y 
]◎Y]Y◎Y에서 ]YY]Y™AYY
Œ_Ž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 ]Y]Y™AY
Y 또는 Y 
Œ Y일 때,  Y Y™AY
Y™AY, Y  Y  절댓값 기호를 개 포함한 방정식

∴ Y 또는 Y 절댓값 기호를 개 포함한 방정식 ]YB] ]YC]DA BC, D
그런데 Y이므로 Y 는 YB, BƒYC, YyC로 Y의 값의 범위를 나누어 푼다.
이때 각각의 범위에서 구한 Y의 값 중 해당 범위에 속하는 것만이 방정식
 Yy일 때, YY™AY
의 근이다.
Y™AY , Y Y 

76 정답과 풀이
0471  0474 Y  또는 Y

āY™AY ā Y ™A]Y]이므로 Y™AY<Y>에서

1
Y™AY āY™AY 에서 Œ ƒY일 때, <Y>이므로
Y™AY ]Y] Y™AY ∴ Y†
………………………………………………………………………………… ➊ 그런데 ƒY이므로 Y 
Œ Y일 때, Y™AY Y  ………………………………………………………………………………… ➊
Y™AYY   ƒY일 때, <Y>이므로
Y™AY  Y™AY, Y  Y 
∴ Y†` ∴ Y 또는 Y
그런데 Y이므로 Y` 그런데 ƒY이므로 Y
………………………………………………………………………………… ➋ ………………………………………………………………………………… ➋
 Yy일 때, Y™AY  Y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Y™AY Y Y  또는 Y
Y™AY ………………………………………………………………………………… ➌
∴ Y† 채점 기준 배점
그런데 Yy이므로 Y  ➊ ƒY일 때, Y의 값 구하기 40%
………………………………………………………………………………… ➌ ➋ ƒY일 때, Y의 값 구하기 40%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➌ 주어진 방정식의 근 구하기 20%
Y` 또는 Y 
따라서 B, C이므로
BC
………………………………………………………………………………… ➍
 ੉ରߑ੿ध੄ഝਊ
채점 기준 배점
➊ 주어진 방정식을 간단히 정리하기 20%
➋ Y일 때, Y의 값 구하기 30% 0475 AN

➌ Yy일 때, Y의 값 구하기 30% 처음 정사각형 모양의 땅의 한 변의 길이를 YAN라 하면


➍ BC의 값 구하기 20% 새로 만들어진 직사각형 모양의 땅의 가로의 길이는 Y  AN,
세로의 길이는 Y AN이므로

Y  Y eqY™A

Y™A YY™A, Y™A YY™A

Y™A Y, Y  Y 


 о਋झӝഐܳನೣೠߑ੿ध ∴ Y 또는 Y
그런데 Y에서 Y이므로 Y

0472 ②
따라서 처음 정사각형 모양의 땅의 한 변의 길이는 AN이다.

<Y>™A <Y>에서
<Y>  <Y> 
0476 
∴ <Y> 또는 <Y>Å
변 "#의 길이를 Y라 하면 직각삼각형 "#$에서
그런데 <Y>는 정수이므로 <Y> #$“āY™A ™AāY™A 
∴ ƒY 이므로 사각형 #%&$의 넓이는
#$“ ™AY™A 
이때 사각형 #%&$의 넓이는 삼각형 "#$의 넓이의 배이므로

0473 ③ Y™A @[Å@@Y]

<Y>™A<Y>에서 Y™A Y, Y™AY 


<Y>  <Y>  Y Y 
∴ <Y> 또는 <Y> ∴ Y 또는 Y
∴ ƒY 또는 ƒY 그런데 "#“"$“에서 Y이므로 Y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해가 아닌 것은 ③이다. 따라서 변 "#의 길이는 이다.

Ⅱ. 방정식 77
0477 ⑤ 0481 AN™A

길의 폭을 YAN라 하면 길을 제외한 땅의 가로의 길이는 처음 땅의 세로의 길이를 YAN라 하면 AN

Y AN, 세로의 길이는 Y AN이므로 가로의 길이는 Y  AN이므로


YAN
Y Y  처음 땅의 넒이는 Y Y  AN™A이다.
Y™AY , Y™AY  길을 제외한 땅의 넓이는 그림에서 색 AN
Y  AN
Y™AY , Y Y  칠한 부분의 넓이와 같고,
∴ Y 또는 Y 색칠한 부분은 가로의 길이가 Y  AN,
그런데 Y, Y에서 세로의 길이가 Y AN인 직사각형이다.
Y이므로 Y
길을 제외한 땅의 넓이가 처음 땅의 넓이의 Ä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길의 폭은 AN이다.
Y  Y ÄY Y 

………………………………………………………………………………… ➊

0478
Y™A YÄ Y™A Y

Y™A YY™A Y
처음 직사각형의 넓이는
Y™AY, Y  Y 
@ DN™A
∴ Y 또는 Y
U초가 지난 후의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는 U ADN, ………………………………………………………………………………… ➋
세로의 길이는  U ADN이므로
그런데 Y에서 Y이므로 Y
U  U 
따라서 처음 땅의 넓이는
 U  U , U  U 
@ N™A
 UU™A, U™AU ………………………………………………………………………………… ➌
U U  ∴ UA ∵ U
채점 기준 배점
➊ 문제의 뜻을 파악하여 이차방정식 세우기 40%
➋ 이차방정식의 근 구하기 40%

0479
➌ 처음 땅의 넓이 구하기 20%

처음 정삼각형 "#$의 한 변의 길이를 YADN라 하면


"•$“YA DN , #•$“YA DN
삼각형 "#$은 직각삼각형이므로
Y ™A Y ™AY™A
Y™AY
Y
Y™A, Y™AY
Y 

0482 

∴ Y 또는 Y Y
기름값을 YA 내린 가격은 B[ ]원

그런데 Y에서 Y이므로 Y
Y
따라서 처음 정삼각형 "#$의 한 변의 길이는 ADN이다. 이때 증가한 기름 판매량은 C[ ]A-

전체 판매액은 A 증가하였으므로
Y Y 
B[ ]@C[ ]BC[ ]
  

0480 ADN Y  Y 


 YY™A
처음 종이의 세로의 길이를 YADN라 하면 가로의 길이는 YADN이다. Y™AY , Y™AY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는 Y ADN, Y Y 
세로의 길이는 Y ADN, 높이는 ADN이므로 ∴ Y 또는 Y
Y Y @ 그런데 Y이므로 Y
Y Y , Y™AY 
Y™AY, Y  Y 
B원인 물건의 가격을
∴ Y 또는 Y
Y Y
그런데 Y에서 Y이므로 Y ⑴ YA 인상한 가격 B B@
B[ ](원)
 
따라서 처음 종이의 가로의 길이는 Y Y
⑵ YA 인하한 가격 BB@ B[ ](원)
 
@ DN

78 정답과 풀이
B™AB ƒ, B ™Aƒ
 ౸߹धਸ੉ਊೠ੉ରߑ੿ध੄Ӕ੄౸߹
이때 모든 실수 B에 대하여 B ™Ay이므로 B ™A
⑴ 서로 다른 두 허근 ⑵ 서로 다른 두 실근 ⑶ 중근 B ∴ B

각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Aƒ이면 모든 실수 "에 대하여 "™Ay이므로 "™A이다.


1
⑴ %  ™A@@
따라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
⑵   ™A@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0487 

% N™A Y™A  N Y 이 이차방정식이므로


⑶   ™A@
 N™A , N  N 
따라서 중근을 갖는다. ∴N , N  UUA㉠
이차방정식 N™A Y™A  N 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0483  %

 N ™A N™A 

이차방정식 Y™A L  Y L™A의 판별식을 %라 하면 N™AN N™A 


% N™A N, N  N 
\ L  ^™A L™A 
 ∴ N 또는 N UUA㉡
 ㉠, ㉡에서 N
L™A L L™A , L  ∴ L

따라서 가장 작은 정수 L의 값은 이다.
Y™A의 계수가 문자인 Y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근을 판별할 때에는 판별식의
부호를 조사하고, Y™A의 계수 임에 주의한다.

0484 

이차방정식 Y™ABY B™AB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B ™A B™AB   0488 ƒL 또는 L

B™AB™A B, B ∴ B L Y™A  L  Y L 이 이차방정식이므로


따라서 자연수 B는 , , , , , 의 개이다. L  ∴L  UUA㉠
………………………………………………………………………………… ➊
이차방정식 L Y™A  L  Y L 의 판별식을 %라 하면

0485  %

 L  ™A L L  y

이차방정식 Y™AY L 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L™A L  L™A L y


%„ L y ∴ Ly UUA㉡
  ™A L 
 ………………………………………………………………………………… ➋
 L, L  ∴ L UUA㉠ ㉠, ㉡에서 실수 L의 값의 범위는
이차방정식 Y™A L  Y L 의 판별식을 %m라 하면 ƒL 또는 L
%m\ L  ^™A L   ………………………………………………………………………………… ➌
L™A L L
채점 기준 배점
L™AL, L  L 
➊ 주어진 방정식이 이차방정식이기 위한 L의 조건 구하기 30%
∴ L 또는 L UUA㉡
➋ 판별식을 이용하여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 ㉡에서 L
➌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0486 ④

Y  ™A Y B ™A에서 Y™A Y  Y™A BY B™A


0489 ①

Y™A B  Y B™A  이차방정식 Y™A  L N Y L™AL O의 판별식을 %라 하면


이차방정식 Y™A B  Y B™A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L N ™A L™AL O 

%
 B  ™A B™A  y
 L™A NL N™AL™A LO
B™A B B™Ay N  L N™AO

Ⅱ. 방정식 79
위의 등식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채점 기준 배점
N , N™AO ➊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따라서 N, OÅ이므로 ➋ 이차방정식 Y™A Y B  의 판별식의 부호 구하기 40%
➌ 이차방정식 Y™A Y B  의 근 판별하기 20%
N O ÅÄ

0494 서로 다른 두 실근

 ҅ࣻ੄ઑѤ੉઱য૓੉ରߑ੿ध੄Ӕ੄౸߹ 이차방정식 Y™A BY C™A 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B™A C™A  B™AC™A

0490 ① ∴ B™AC™A  UUA㉠

이차방정식 BY™A CYD의 판별식을 %라 하면 이차방정식 Y™ABY C 의 판별식을 %m라 하면


%m
%C™A BD UUA㉠  B ™A C 

CBD를 ㉠에 대입하면
B™AC
% BD ™A BD B D ™Ay
 C™A  CA ∵ ㉠
따라서 이차방정식 BY™A CYD은 실근을 갖는다.
C™AC 

[CÅ] Ä
0491 서로 다른 두 실근
따라서 이차방정식 Y™ABY C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
이차방정식 Y™ABY B™A B의 판별식을 %라 하면 는다.
%
 B ™A B™A B B 


0495
%
이때 B에서 B 이므로  ㄱ, ㄷ

따라서 Y™ABY B™A B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BCuBC이고 B , C 이므로 B, C
ㄱ. 이차방정식 Y™ABY C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0492 서로 다른 두 실근 %„ B ™ACB™AC


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이차방정식 BY™A C  Y D의 판별식을 %라 하면 ㄴ. 이차방정식 Y™ACYB의 판별식을 %m라 하면
% C  ™ABD UU<㉠ %m C ™A BC™A B
CB D에서 C B D UU<㉡ C™A B의 부호는 알 수 없으므로 근을 판별할 수 없다.
㉡을 ㉠에 대입하면 ㄷ. 이차방정식 BY™A YC의 판별식을 %f이라 하면
% B D ™ABD BD ™A %f™A BC BC
이때 B, D는 서로 다른 실수이므로 % BD ™A 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이차방정식 BY™A C  Y D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ㄹ. 이차방정식 CY™ABY의 판별식을 %e라 하면
갖는다. %e B ™A CB™A C
B™A C의 부호는 알 수 없으므로 근을 판별할 수 없다.

0493
따라서 항상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 이차방정식은 ㄱ, ㄷ이다.
서로 다른 두 허근

이차방정식 Y™AYB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A B

 ੉ରߑ੿ध੄౸߹धҗ࢖пഋ੄‫ݽ‬ন
 B ∴ B
………………………………………………………………………………… ➊
이차방정식 Y™A Y B  의 판별식을 %m라 하면 0496 ②

%m™A  B   B B  이차방정식 Y™A B C Y BC D™A의 판별식을 %라 하면


이때 B에서 B 이므로 %m %
\ B C ^™A BC D™A 
………………………………………………………………………………… ➋ 
따라서 이차방정식 Y™A Y B  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 B™A BC C™ABCD™A
는다. ∴ B™A C™AD™A
………………………………………………………………………………… ➌ 따라서 B, C, D를 세 변의 길이로 하는 삼각형은 예각삼각형이다.

80 정답과 풀이
0497 빗변의 길이가 B인 직각삼각형 0501 ③

이차방정식 Y™A CY B™AD™A의 판별식을 %라 하면 Y™A B Y B™A C가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1
% Y에 대한 이차방정식 Y™A B Y B™A C이 중근을 가
C™A B™AD™A C™AB™A D™A

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C™A D™AB™A
%
\ B ^™A B™A C 
따라서 B, C, D를 세 변의 길이로 하는 삼각형은 빗변의 길이가 B인 
직각삼각형이다. B™AB B™AC 
BC 
∴ CB UUA㉠
0498 ⑤ 이때 B, C는 자연수이므로 ㉠을 만족시키는 B, C의 순서쌍 B, C
는 ,  , ,  , ,  , ,  의 개이다.
이차방정식 Y™A B C Y BC의 판별식을 %라 하면
다른 풀이
%\ B C ^™ABC
Y™A의 계수가 이므로
B™A BC C™ABC
 B 
B™ABC C™A, BC ™A < = B™A C, B ™AB™A C

∴ CB B™AB B™A C ∴ CB
따라서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는
āB™A C™AāB™A
āB™A`BA ∵ B
B ™A
0502 

L Y™A L Y L이 Y에 대한 이차식이므로


L  ∴L 
0499 정삼각형 주어진 이차식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Y에 대한 이차방정식
L Y™A L Y L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Y™A B C D Y  BC CD DB 의 판별식을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라 하면
%
%  L ™A L L 
\ B C D ^™A BC CD DB  

L™AL  L™AL  
B™A C™A D™A BC CD DBBCCDDB
L™AL , L L 
B™A C™A D™ABCCDDB
∴ LA ∵ L 
양변에 를 곱하면

0503
B™A C™A D™ABCCDDB
빗변의 길이가 B인 직각삼각형
B™ABC C™A C™ACD D™A D™ADB B™A 
BC ™A CD ™A DB ™A B Y™A  CYD Y™A 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Y에 대한 이차
이때 B, C, D가 실수이므로 방정식 B Y™A  CYD Y™A ,
BC, CD, DB 즉 BD Y™ACY B D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 BCD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따라서 B, C, D를 세 변의 길이로 하는 삼각형은 정삼각형이다. %
 C ™A BD B D 

C™A B™AD™A , C™AB™A D™A
∴ C™A D™AB™A
 ੉ରध੉৮੹ઁғध੉‫ؼ‬ઑѤ 따라서 B, C, D를 세 변의 길이로 하는 삼각형은 빗변의 길이가 B인
직각삼각형이다.

0500 ⑤
0504 
L  Y™A L  Y L 가 Y에 대한 이차식이므로
Y™A BLC Y L™ADL 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L   ∴L 
Y에 대한 이차방정식 Y™A BLC Y L™ADL 이 중근을
주어진 이차식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Y에 대한 이차방정식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L  Y™A L  Y L 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 BLC ^™A L™ADL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B™AL™ABCL C™AL™A DL
% L  ™A L  L  
B™A L™A BC D L C™A
L™A L L™AL
위의 등식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L  ∴ L
B™A, BC D, C™A

Ⅱ. 방정식 81
∴ B, C, DA ∵ B, C 이때 Y에 대한 이차방정식 Y™A Z  Y Z™AZ B
∴B C D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Z  ™A Z™AZ B

0505  Z™A Z  Z™AZ B

Y™A B Y B™A B가  Y L ™A으로 인수분해되려면 Z™AZ B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 가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

즉, Y에 대한 이차방정식 Y™A B Y B™A B이 중근 즉, Z에 대한 이차방정식 Z™AZ B의 판별식을 %이라

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하면

%\ B ^™A B™A B  %


  ™A  B 

………………………………………………………………………………… ➊
 B, B
B™AB B™AB 
∴ B
B™AB , B B 
∴ BA ∵ B
………………………………………………………………………………… ➋ 0508 
따라서 주어진 이차식은 Y™AY 이고,
Y™AYZ Z™A YLZ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이것은  Y ™A으로 인수분해되므로 L
Y™A Z Y Z™ALZ
………………………………………………………………………………… ➌
………………………………………………………………………………… ➊
∴ BL  
이때 Y에 대한 이차방정식 Y™A Z Y Z™ALZ의
………………………………………………………………………………… ➍
판별식을 %라 하면
채점 기준 배점
%\ Z ^™A Z™ALZ
➊ 판별식을 이용하여 B에 대한 식 세우기 30%
Z™AZ Z™A LZ 
➋ B의 값 구하기 30% Z™A L Z 
➌ L의 값 구하기 30% 가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
➍ BL의 값 구하기 10% 즉, Z에 대한 이차방정식 Z™A L Z 의 판별식을 %이
라 하면
%
 L ™A

L™AL, L™AL
 ੉ରध੉‫ੌف‬ରध੄ғਵ‫࠙ࣻੋ۽‬೧‫ؼ‬ઑѤ
L  L  ∴ L 또는 L
………………………………………………………………………………… ➋
0506 ④ 따라서 모든 실수 L의 값의 합은

Y™AYZ NZ™A Y Z 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 ➌
Y™A Z Y NZ™A Z 
이때 Y에 대한 이차방정식 Y™A Z Y NZ™A Z 의 판별 채점 기준 배점
식을 %라 하면 ➊ 주어진 이차식을 한 문자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기 20%
%\ Z ^™A NZ™A Z  ➋ 판별식을 이용하여 L의 값 구하기 70%
Z™AZ NZ™AZ ➌ 모든 L의 값의 합 구하기 10%
 N Z™AZ
이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
즉, Z에 대한 이차방정식 N Z™AZ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
  ™A  N 
  ੉ରߑ੿ध੄Ӕҗ҅ࣻ੄ҙ҅ܳ੉ਊೞৈध੄ч
 N, N ҳೞӝ

∴ NÄ ⑴  ⑵ ⑶  ⑷

0507
⑶ =™A >™A = > ™A=>

  ™A@
Z™AY™A YZ YZ B를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⑷ = > => = > 
Y™A Z  Y Z™AZ B   

82 정답과 풀이
0509  0513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 >, =>
= >, =>Ä
이므로

= > A™ =>  ™A@ => ™A = > ™A=>


=™A >™A
∴  
=> ™A = > A™ =>   ™A@   
 ™A@
이때 =>에서 =>이므로
 =>`
 

∴ =šA>šA => šA => =>
 ` šA @  @`
```

0510 Å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Ä
0514 

]Y™AY]에서 Y™AY†
∴ => ™A = > ™A=>
 Œ Y™AY, 즉 Y™AY의 두 근을 =, >라 하면
[] @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ioÅ
………………………………………………………………………………… ➊

∴ ]=>]Å  Y™AY, 즉 Y™AY 의 두 근을 ?, @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➋

0511 ②
Œ, 에서
    = > ?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A =™A =šA >šA
∴  ………………………………………………………………………………… ➌
= > =>
= > šA=> = > 채점 기준 배점

=> ➊ Y™AY의 두 근의 합과 곱 구하기 35%
šA@@
  ➋ Y™AY의 두 근의 합과 곱 구하기 35%

   

= > ? @
의 값 구하기 30%

0512 ②

이차방정식 Y™A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0515 ②

%  ™A UUA㉠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Å
= >, => UUA㉡
이므로
㉠, ㉡에서 =, >이므로
=™A >™A = > ™A=>
= > ™A= > =>
= > u=> ™A@[Å]
  ∴ =›A >›A =™A >™A ™A=™A>™A
∴ = >  =™A >™A ™A => ™A

™A@[Å] cy
두 실수의 합과 곱이 양수이면 두 실수는 모두 양수이다.
∴ =œA> =>œA=> =›A >›A
따라서 ㉠에서 =, >는 실수이고 ㉡에서 = >, =>이므로
=, > [Å]@cycy

Ⅱ. 방정식 83
 ੉ରߑ੿ध੄Ӕ੄ࢿ૕җӔҗ҅ࣻ੄ҙ҅ܳ 0520 
੉ਊೞৈध੄чҳೞӝ
이차방정식 Y™A Y 의 두 근이 =, >이므로
=™A = , >™A > 
0516 ② ∴ =™A =, >™A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Y™AY 의 두 근이 =, >이므로
= >, =>
=™A= , >™A> 
∴  = =™A =šA  > >™A >šA
∴ =™A= =, >™A> >
\ = = = =™A ^\ > > > >™A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A=  >™A>   = >
 = > =>
=> = > 
@  @
 

0521 

0517 
이차방정식 Y™A Y의 두 근이 =, >이므로
이차방정식 Y™A Y의 한 근이 =이므로 =™A =, >™A >
=™A = ∴ =™A=  ∴ =™A =, >™A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➊

=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A>= > = >, =>
 = >  ………………………………………………………………………………… ➋

@   ∴ =œA >œA =›A >›A=šA>šA


=šA =™A = >šA >™A >
 =šA >šA
\ = > šA=> = > ^

0518 ② \  šA@  @  ^


………………………………………………………………………………… ➌
이차방정식 Y™A B Y 의 두 근이 =, >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A B = , >™A B > 
➊ =™A =, >™A >의 값 구하기 25%
∴ =™AB= =, >™AB> >
➋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 >, =>의 값 구하기 25%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➌ =œA >œA =›A >›A=šA>šA의 값 구하기 50%
=>
∴ =™AB=  >™AB>   = @ >
=>
@ 0522 `

이차방정식 Y™A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A UU<㉠

0519
이차방정식 Y™AY 의 두 근이 =, >이므로

=™A= , >™A> 
이차방정식 Y™AY 의 두 근이 =, >이므로 ∴ =™A =, >™A >
=™A= , >™A>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A = =, >™A > > = >, => UUA㉡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에서 =, >이므로
= >, => = > ™A= > =>
> = > = > = = > u=>
∴  
=™A =  >™A >  = > = >
 
 =™A >™A \ = > A™ =>^
  ∴ = >`
=> =>
 ™A@ ∴ ā=™A  ā>™A u= u>
 
  = > `

84 정답과 풀이
 Ӕҗ҅ࣻ੄ҙ҅ܳ੉ਊೞৈ޷੿҅ࣻҳೞӝ Å N N  N™AN
mӔ੄ઑѤ੉઱য૓҃਋
양변에 를 곱하면

1
N™ANN™AN
0523 Å N™A N 
따라서 모든 실수 N의 값의 곱은 이다.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 =  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L, =L 0527 ②

∴ =L UUA㉠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 A =는 정수 이라 하면


=@=L™A , =™AL™A  UUA㉡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을 ㉡에 대입하면 = =  L  ∴ L= UUA㉠
L™AL™A , L™A = =  L  ∴ =™A =L  UUA㉡
L™AÅ ∴ LÅA ∵ L ㉠을 ㉡에 대입하면
=™A = = , =™A =

0524 Å =  = 


=를 ㉠에 대입하면 L@  
∴ = 또는 =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 =  라 하면 =를 ㉠에 대입하면 L@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그런데 L이므로 L
= =N, =N
∴ =N
=@=N™A  ∴ =™AN™A 
UUA㉠
UUA㉡
0528 

㉠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 =  라 하면


@ N ™AN™A , N™AN™A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B™AB
N™A, N™AÅ
B™AB, B  B 
∴ NÅA ∵ N ∴ B 또는 B UUA㉠
=@ = B 이고 두 근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0525 B  ∴ B UUA㉡



㉠, ㉡에서 B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 A =는 자연수 이라 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서로 다른 두 실근
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BY™A CY D의 두 실근 =, >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 =  L ∴ L=  UUA㉠
서로 다르면
= =  L  UUA㉡ C D
= > , => 
㉠을 ㉡에 대입하면 B B

=™A = =  
=™A ==
=™A=, = 
, =™A=
= 
0529 

이때 =는 자연수이므로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곱이 이


∴ L= , >=  므로 두 근의 부호는 서로 다르다.
∴> L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 =  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526  = =  L
∴ =L UUA㉠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 라 하면
=@ = , =™A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또는 =
= =   N
………………………………………………………………………………… ➊
=  N, =N
=를 ㉠에 대입하면 L ∴ L
∴ =Ä N UUA㉠ =를 ㉠에 대입하면 L ∴ L
………………………………………………………………………………… ➋
= =  N™AN UUA㉡
㉠을 ㉡에 대입하면 따라서 모든 실수 L의 값의 합은
 
[Ä N][Ä N Ä]N™AN
………………………………………………………………………………… ➌

Ⅱ. 방정식 85
채점 기준 배점   = >
에서 
= > =>
➊ =의 값 구하기 50%
B
➋ L의 값 구하기 40%  ∴ BC UUA㉡
C
➌ 모든 실수 L의 값의 합 구하기 10%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 BC  @  

 Ӕҗ҅ࣻ੄ҙ҅ܳ੉ਊೞৈ޷੿҅ࣻҳೞӝ 0534 ②
mӔ੄ҙ҅ध੉઱য૓҃਋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L, =>L
0530  ∴ =™A> = =>™A >=> = > =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L , =>L   L L 

∴ => ™A = > ™A=> L™A L

 L  ™A L  =™A> = =>™A >에서

L™A L L L™A L, L™A L

L™AL L  L  ∴ L 또는 L


=> ™A에서 L™AL
그런데 L는 정수이므로 L
L™AL, L  L 
∴ LA ∵ L

0535 
0531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B, =>B
L  L B에서 =>이므로
= > , =>
  ]=] ]>] ™A=™A >™A ]=>]
  = > L   L  =™A >™A=>
∴   @ 
= > =>  L L
 = > ™A=>
  L 
에서    B ™A@ B
= > L
L L, L ∴ L B™A B
]=] ]>] ™A  ™A에서 B™A B이므로

0532
B™A B, B  B 

∴ BA ∵ B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 >, =>이므로
L =™A >™A = > ™A=>
= >, =>

  ™A@  
∴ =šA >šA = > šA=> = >
L
šA@ @

L
=šA >šA에서 L
 Ӕҗ҅ࣻ੄ҙ҅ܳ੉ਊೞৈ޷੿҅ࣻҳೞӝ
L ∴ LÅ m‫੉ف‬ରߑ੿ध੉઱য૓҃਋

∴ L@Å
0536 ②

0533
이차방정식 Y™ABYC의 두 근이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B, =>C UUA㉠
= >B, =>C 이차방정식 Y™A B  Y C의 두 근이 = >, =>이므로
 =  > 에서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C ∴B C UUA㉠ = > =>B , = > =>C UUA㉡

86 정답과 풀이
㉠을 ㉡에 대입하면 채점 기준 배점
BCB , B@ C C ➊ = >, =>의 값 구하기 20%
∴ B, C ➋ B, C의 값 구하기 70%

1
∴ B™A C™A  ™A  ™A ➌ BC의 값 구하기 10%

0537 
0540 
이차방정식 Y™ABY C의 두 근이 , 이므로
이차방정식 Y™A QY R의 두 실근이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C
= >Q, =>R UUA㉠
∴ B, C
이차방정식 Y™AQY  R 의 두 근이 =™A, >™A이므로
이차방정식 BY™A B Y B C에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C를 대입하면
=™A >™AQ, =™A>™A R
Y™A Y
∴ = > ™A=>Q, => ™A R UUA㉡
따라서 구하는 두 근의 곱은 이다. ㉠을 ㉡에 대입하면
Q™ARQ, R™AR
R™AR에서 R™AR 

0538 
R ™A ∴ R
Q™ARQ에 R을 대입하면 Q™AQ
이차방정식 Y™AY B의 두 근이 =, >이므로 Q™AQ, Q  Q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Q 또는 Q
= >, =>B UUA㉠ 그런데 =™A >™AQ에서 Q이므로 Q
이차방정식 Y™ACY 의 두 근이 = , > 이므로 ∴ QR@
=  >  C, =  >  
∴= > C, => = >  UUA㉡
㉠을 ㉡에 대입하면
 C, B  
∴ B, C  ੉ରߑ੿ध੄੘ࢿ
∴B C 
⑴ Y™AY ⑵ Y™AY 
⑶ Y™AY 

0539 
⑵ 두 근의 합이    ,
이차방정식 Y™A BY 의 두 근이 =, >이므로 두 근의 곱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므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Y™AY 
B ⑶ 두 근의 합이  J J ,
= > , =>Å UUA㉠

두 근의 곱이  J J  
………………………………………………………………………………… ➊
이므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Y™AY 
 
이차방정식 Y™A YC의 두 근이 , 이므로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541 Y™A Y 
, @ C
= > = > 이차방정식 Y™AY 의 두 근이 =, >이므로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C
=> =>
 = >, =>
∴ = >=>, => UUA㉡
C
㉠을 ㉡에 대입하면 ∴ = > = >,
B 
 , Å ∴ B, C = > => = >  
 C
………………………………………………………………………………… ➋
따라서 =, >을 두 근으로 하고 Y™A의 계수가 인 이차방정식은
∴ BC@  
[Y™A Y ] ∴ Y™A Y 
………………………………………………………………………………… ➌

Ⅱ. 방정식 87
0542 ④ ㉠을 ㉡에 대입하면
 => ∴ =>
이차방정식 Y™ABY C의 두 근이 =, >이므로
따라서 =, >를 두 근으로 하고 Y™A의 계수가 인 이차방정식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AY 
= >B, =>C



=
 = > B  
>

=>
 , @ 


C = > => C

0546 

  B  이차방정식 Y™A BY C의 두 근이 , =이므로


따라서 , 을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은 Y™A Y 
= > C C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CY™ABY 
 =B, =C
∴ B=, C= UUA㉠
이차방정식 Y™A B  Y C의 두 근이 , >이므로
0543 Y™AY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라 하면  > B  , >C
"#“")“ #)“이므로 = > ∴ B>, C>  UUA㉡
반원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삼각형 1"#는 ∠"1#±인 직각삼각형이다. =>, => 
즉, 1)“ ™A")“@#)“이므로 ™A=> ∴ => ∴ =>, =>
따라서 =, >를 두 근으로 하고 Y™A의 계수가 인 이차방정식은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AY  =, >
따라서 , 을 두 근으로 하고 Y™A의 계수가 인 이차방정식은
Y™A Y 이므로 Q, R

0544 
∴Q R 

이차방정식 Y™AY의 두 근이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➊  ੜ‫ࠁޅ‬Ҋ಻੉ରߑ੿ध
∴ =™A >™A = > ™A=>

0547
™A@  ,
Y 또는 Y
=™A>™A => ™A  ™A
………………………………………………………………………………… ➋ 수지는 B와 D를 바르게 보고 풀었으므로 두 근의 곱은
따라서 =™A, >™A을 두 근으로 하고 Y™A의 계수가 인 이차방정식은 D
  @
B
Y™AY 이므로 B, C
∴ DB UUA㉠
∴B C 
………………………………………………………………………………… ➌
경수는 B와 C를 바르게 보고 풀었으므로 두 근의 합은
C
채점 기준 배점      
B
➊ = >, =>의 값 구하기 20% ∴ CB UUA㉡
➋ =™A >™A, =™A>™A의 값 구하기 50% ㉠, ㉡을 BY™A CY D에 대입하면
➌ B C의 값 구하기 30% BY™ABYB
B 이므로 양변을 B로 나누면
Y™AY, Y  Y 

0545 ②
∴ Y 또는 Y

"&“=, ")“>라 하면 " >) % 0548 


직사각형 1'$(의 둘레의 길이가 이므로 =
1 > 미연이는 C를 바르게 보고 풀었으므로 두 근의 곱은
\ = > ^ & (
C
 = >  =  ∴ C

∴= > UUA㉠ # $
' 유미는 B를 바르게 보고 풀었으므로 두 근의 합은
직사각형 1'$(의 넓이가 이므로
B
 Ä ∴ B
= >  
 = > => UUA㉡ ∴B C  

88 정답과 풀이
0549 Y™AY  D
B
이므로 Q, R

원래의 이차방정식을 Y™A BY CA B, C는 상수 이라 하자. ∴ QR  

1
………………………………………………………………………………… ➊
문익이는 C를 바르게 보고 풀었으므로
C  J J    ੉ରध੄ੋࣻ࠙೧
………………………………………………………………………………… ➋

0551
재형이는 B를 바르게 보고 풀었으므로

B     ∴ B
………………………………………………………………………………… ➌ Y™A Y 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Y†Ä™A@†J
Y™AY  ∴ Y™A Y \Y  J ^\Y J ^
………………………………………………………………………………… ➍  Y J Y  J
채점 기준 배점
➊ 원래의 이차방정식을 Y™A BY C으로 놓기 20% 0552 ②
➋ C의 값 구하기 30%
Y™AY 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➌ B의 값 구하기 30%
  †Ä  ™A@ †J
➍ 원래의 이차방정식 구하기 20% Y 
 
 J J
∴ Y™AY [Y ][Y ]
 

0550  Å YJ Y J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②이다.


C†ÄC™ABD
이차방정식 BY™A CY D의 근의 공식을 Y 로
B
잘못 적용하여 얻은 두 근이 , 이므로
C āC™ABD CāC™ABD
0553 
 
B B Y™AY 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C Y  †Ä  ™A@†J
 ∴ CB UUA㉠
B
………………………………………………………………………………… ➊
C āC™ABD CāC™ABD
@ @ ∴ Y™AY \Y  J ^\Y J ^
B B
C™A C™ABD  YJ Y J
D
 
B™A B ………………………………………………………………………………… ➋
∴ DB UUA㉡ 따라서 B, C이므로
㉠, ㉡을 BY™A CY D에 대입하면 BC@
BY™ABYB ………………………………………………………………………………… ➌
B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이 이차방정식의 올바른 두 근의 합은 , 두 근의 곱은
B
➊ 이차방정식 Y™AY 의 근 구하기 40%
B
이므로 Q, R ➋ 주어진 이차식을 인수분해하기 40%
B
∴ QR   ➌ BC의 값 구하기 20%
다른 풀이

이차방정식 BY™A CY D에 대한 근의 공식은


C†ÄC™ABD  ੉ରߑ੿धG Y ੄Ӕਸ੉ਊೞৈ
Y 이므로
B G BY C ੄Ӕҳೞӝ
D
주어진 근의 공식은 D를 로 잘못 대입한 것과 같다.


즉, 이차방정식 BY™A CY
D
의 두 근이 , 이므로
0554 ③

G = , G > 이므로 G Y 이려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 또는 Y>
C
두 근의 합은  C–B ∴  
B =  > 
∴ Y 또는 Y
 
D D
두 근의 곱은  @ –B ∴ 
 B 따라서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의 합은
C =  >  = >   
따라서 이 이차방정식의 올바른 두 근의 합은  , 두 근의 곱은   
B    

Ⅱ. 방정식 89
다른 풀이
0559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이 =, >이므로
G = , G > 이므로 G Y 이려면
G Y B Y= Y> B  로 놓으면
Y= 또는 Y>
G Y 에서
= >
G Y B Y= Y>  ∴ Y 또는 Y
 
=  >  따라서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의 곱은
∴ Y 또는 Y
 
= >  = > =>
따라서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의 합은 @ 
  
=  >  = >   
   @ @[Å]
   
 


0555 ③

방정식 G Y 이 을 근으로 가지므로 G    G = G > Lܳ݅઒दః‫੉ח‬ରधG Y ҳೞӝ


각 방정식의 좌변에 Y를 대입하면

0560
ㄱ. G   G   ㄴ. G   G 

ㄷ. G @  G  ㄹ. G ™A  G  
따라서 를 반드시 근으로 갖는 이차방정식은 ㄱ, ㄹ이다. G =  G > 이므로 G = , G > 
따라서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이 =, >이고,
G Y 의 Y™A의 계수가 이므로

0556 
G Y  Y=
∴ G Y Y™AY
Y> Y™AY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을 =, >라 하면 ∴ G    ™A@  


=>이고 G = , G > 
G Y 이려면
Y= 또는 Y>
= >
0561 
∴ Y 또는 Y
  G = , G > 이므로 G = , G > 
따라서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의 곱은 따라서 이차방정식 G Y , 즉 Y™AY 의 두 근이
= > =>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G  ™A@ 

0557 ②

G = , G > 이므로 G Y 이려면 0562 ④

Y= 또는 Y> G = , G > 이므로 G = , G > 


=  >  따라서 이차방정식 G Y , 즉 Y™A Y의 두 근이 =, >
∴ Y 또는 Y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의 곱은
= >, =>
=  >  => = >    
@    = > =™A >™A = > ™A=>
    ∴  
> = => =>
 ™A@  
  
 

0558 합A:A, 곱A:A

0563
G =  , G >  이므로 G Y 이려면

Y=  또는 Y> 
∴ Y=  또는 Y>  이차방정식 Y™AY의 두 근이 =, >이므로
따라서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의 합과 곱은 각각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G =  G > = >에서 G =  G > 이므로
 @   ………………………………………………………………………………… ➊

90 정답과 풀이
G = , G > 
 ੉ରߑ੿ध੄ைۨӔ
즉,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이 =, >이므로
G Y B Y™AY B  로 놓을 수 있다. ⑴ B, C ⑵ B, C

1
이때 G  이므로
B ∴ B ⑴ B, C가 유리수이므로 이차방정식 Y™A BY C의 한 근이
………………………………………………………………………………… ➋  이면 다른 한 근은 이다.
따라서 G Y  Y™AY 이므로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➌    B ∴ B
G  \  ™A@  ^     C ∴ C
………………………………………………………………………………… ➍
⑵ B, C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Y™A BY C의 한 근이  J
채점 기준 배점 이면 다른 한 근은 J이다.
➊ G = , G > 의 값 구하기 20%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➋ G Y B Y™AY B  로 놓고 B의 값 구하기 40%  J J B ∴ B
➌ G Y 구하기 20%  J J C ∴ C
➍ G  의 값 구하기 20%

0566 

   
0564 Y™AY  

  
 

B, C가 유리수이면 B , C도 유리수이므로 이차방정식


이차방정식 Y™AY 의 두 근이 =, >이므로
Y™A B  Y C의 한 근이  이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다른 한 근은 이다.
= >, =>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B  ,    C

G = >, G > =에서 G = =, G > >이므로 B, C

G = =, G > > ∴ B, C

따라서 이차방정식 G Y Y의 두 근이 =, >이고, ∴ CB  

G Y 의 Y™A의 계수가 이므로

G Y Y Y= Y> Y™AY 


0567 ①

∴ G Y Y™AY  B, C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Y™A BY C의 한 근이 J이


면 다른 한 근은  J이다.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565
J  J B, J  J C

이므로
이차방정식 Y™AY의 두 근이 =, >이므로 B, C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C 

= >, =>



=

>, =
>
0568 

    J  J
이때 >1 = , =1 > 에서 1 =  , 1 >  이므로  J
> =  J
 J J  
1 = =, 1 > > B, C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Y™A BY C의 한 근이 J이면
∴1 = =, 1 > > 다른 한 근은  J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 1 Y Y의 두 근이 =, >이고,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Y 의 Y™A의 계수가 이므로 J  J B,  J J C
이므로 B, C
1 Y Y Y= Y> Y™AY
∴ G Y Y™AY 
∴ 1 Y Y™AY 따라서 G Y 를 Y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 1    ™A@  
G  ™A@ 

Ⅱ. 방정식 91
0569 ③

N, O이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Y™A NY O의 한 근이


 J이면 다른 한 근은 J이다.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572 ①
 J J N,  J J O
이차방정식 Y™A YB의 한 근이 이므로
이므로 N, O
 ™A @  B
   
∴ Å Å, @ Å@ÅÅ B ∴ B
N O N O
  이차방정식 Y™A CY B, 즉 Y™A CY의 한 근이 이
, 을 두 근으로 하고 Y™A의 계수가 인 이차방정식은
N O 므로

∴ Y™AY @  ™A C@  
[Y™AY Å] 
C, C ∴ C
따라서 B, C이므로
∴ BC@
CB  

0570 
0573 ④
CJ CJ J C  C  J
  Y△ Y△Y  △Y 에서
 J  J J 
………………………………………………………………………………… ➊ Y△ Y™AY Y  ™A@ Y 
B, C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Y™AY B의 한 근이 Y△ Y™AY   Y 
C  C  J C C  J Y™AY Y™AYY
이면 다른 한 근은 이다.
  Y™AY, Y™AY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Y  Y  ∴ Y 또는 Y
C  C  J C C  J 따라서 모든 실수 Y의 값의 합은

 
 
C ∴ C
………………………………………………………………………………… ➋
즉, 두 근은  J, J이므로 두 근의 곱은
 J J  ∴ B 0574 ④

………………………………………………………………………………… 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C  = >, =>
………………………………………………………………………………… ➍
∴ >1 = =1 > > =™A= = >™A>
채점 기준 배점 =™A>=> =>™A=>
CJ

 J
의 분모를 유리화 하기 20% => = > =>
➋ C의 값 구하기 50% @  @  @ 
➌ B의 값 구하기 20%  

➍ B C의 값 구하기 10%

0571 ① 0575 ⑤

이차방정식 Y™AY 의 두 근이 =, >이므로


㈎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G  이므로
=™A= , >™A> 
 Q R ∴Q R UUA㉠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Q, R가 실수이므로 ㈏에서 이차방정식 Y™A QY R의 한 근
= >, =>
이B J이면 다른 한 근은 BJ이다.
> =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A=  >™A> 
B J BJ Q, B J BJ R > =

∴ QB, RB™A  UUA㉡  =™A=  =  >™A>  >
㉡을 ㉠에 대입하면 > =  =™A >™A
 
= > =>
B B™A  , B™AB 
\ = > ™A=>^
B ™A ∴ B 
=>
따라서 Q, R이므로  ™A@
 
Q R @ 

92 정답과 풀이
0576 ② 0579 ④

이차방정식 Y™A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이차방정식 Y™AY 의 두 근이 =, >이므로

1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 UUA㉠

= >,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G =  G > =>에서 G =  G > 이므로
= >, => UUA㉡
G = , G > 
㉠, ㉡에서 =, >이므로
즉,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이 =, >이므로
h= h> ™A= > =>
G Y B Y™AY  B  으로 놓을 수 있다.
= > u=>
이때 G  이므로 B ∴ B
 
따라서 G Y Y™AY 이므로
∴ h= h>`, h=h>u=>
G = >  G  ™A@ 
따라서 h=, h>를 두 근으로 하고 Y™A의 계수가 인 이차방정식은
Y™A`Y 이므로 B`, C
∴ B™A C™A ` ™A ™A

0580 ①

0577 ② B, C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Y™A BY C의 한 근이 J


이면 다른 한 근은  J이다.
B와 D를 바르게 보고 풀었을 때의 두 근이 , Å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J  J B ∴ B
D
  @ÅÄ ∴ DÄB UUA㉠ J  J C ∴ C
B
따라서 이차방정식 Y™A BCY B™A C™A, 즉 Y™A Y 
B와 C를 바르게 보고 풀었을 때의 두 근이 , Ä이므로
의 두 근이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C = >, =>
  Ä ∴ CB UUA㉡
B
이때 =는 Y™A Y 의 한 근이므로
BY™A CY D에 ㉠, ㉡을 대입하면
=™A =  ∴ =™A =
BY™ABYÄB ∴ =šA =™A =>>= =™A = =>>
= =>>
B 이므로 양변을 B로 나누면 Y™AYÄ
=> = >
양변에 를 곱하면 @  
Y™AY, Y  Y 

∴ YÅ 또는 Y

따라서 원래의 이차방정식의 두 근의 차는

[Å] 0581 ⑤

|Y™A|Y 에서
Y™A Y  Y
Œ Y일 때, Y™A이므로 Y™AY 
0578 ② Y™AY, Y  Y 
∴ Y 또는 Y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그런데 Y이므로 Y, Y는 근이 아니다.
%
 āC™AD CD™A D™AB ™AB C™A BC DB 
  ƒY일 때, Y™Aƒ이므로  Y™A Y 
C™AD CD™A D™ABBC™AB™ACDB™A Y™A Y , Y™A Y
C™A DB C D™AB™A BD DB  Y  Y  ∴ Y 또는 Y
C™A DB C D B DB BD DB  Ž Yy일 때, Y™Ay이므로 Y™AY 
DB \C™A C D B BD^ Y™AY, Y  Y 
DB C D C B  ∴ Y 또는 Y
그런데 C D, C B이므로 DB 그런데 Yy이므로 Y
∴ BD Œ _ Ž에서 Y 또는 Y 또는 Y
따라서 B, C, D를 세 변의 길이로 하는 삼각형은 BD인 이등변삼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각형이다.   

Ⅱ. 방정식 93
0582 ⑤ %„ B ™AB™AB ,
%m
 B ™A B  ™AB
G Y 의 이차항의 계수가 이고, ㈎에서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의 곱이 이므로 G Y Y™A BY A B는 상수 로 놓을 수 있다. ㄱ. G Y 가 완전제곱식이면 이차방정식
㈏에서 이차방정식 Y™AY 의 두 근이 =, >이므로 G Y Y™A B Y B™A이 중근을 가지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 BÅ
= >, =>
ㄴ. 이차방정식 H Y Y™ABY B  ™A의 두 근의 곱은
이때 =™A >™A = > ™A=>™A@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A이므로  또는 양수이다.
G = G >  =™A B=  >™A B> 
ㄷ. 이차방정식 G Y 이 실근을 가지면
=™A >™A B = > 
%„B y이므로 By
 B 
%m
즉,  B 이므로 B 따라서 y이므로 이차방정식 H Y 이 항상 실근을

∴ B
갖는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G Y Y™AY 이므로
ㄹ. 이차방정식 G Y 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면
G    ™A@  
%„B 이므로 B
%m
따라서 이므로 이차방정식 H Y 은 서로 다른 두 허

0583 ②
근을 갖는다.
㈏에서 양의 약수가 개인 자연수는 소수의 제곱인 수이고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ㄹ이다.
㈎에서 D, E는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D, E가 될 수 있는 수는
™A, ™A, ™A, ™A, 즉 , , , 

0586
이때 이차방정식 Y™ABY C의 두 근이 D, E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D EB, DEC Q RJ ™AJ에서 Q™AR™A QRJJ
㈎에서 B, C는  이하의 서로 다른 자연수이므로 순서쌍 B, C 는 ∴ Q™AR™A, QR
 , @ ,  , @ , Q™AR™A에서 Q™AR™A ∴ Q†R
즉 ,  , ,  의 개이다. QR에서 QR
Œ QR를 QR에 대입하면
R™A ∴ R™A
0584 ③
그런데 이를 만족시키는 실수 R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차방정식 Y™AY L™AL의 두 근을 =, =™A =  이라 하면  QR를 QR에 대입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R™A ∴ R™A
=™A =이므로 =™A = ∴ R 또는 R
=  =  ∴ = 또는 = R일 때, QR에서 Q ∴ Q
=@=™AL™AL이므로 =šAL™AL R일 때, QR에서 Q ∴ Q
Œ =을 =šAL™AL에 대입하면 그런데 Q이므로 Q, R
L™AL, L™AL  Œ, 에서 이차방정식 Y™A BY C의 두 실근이 , 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B   ∴ B
  ™A이므로 L는 허수이다.
 C@  
 =를 =šAL™AL에 대입하면 ∴ B™A C™A  ™A  ™A
L™AL, L™AL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m라 하면
%m

  ™A 이므로 L는 실수이고, 이차방정식의
0587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실수 L의 값의 합은 이다.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을 =, >라 하면
Œ, 에서 모든 실수 L의 값의 합은 이다.
= >
이때 G = , G > 이므로 G Y 이려면

0585 ② Y= 또는 Y>


= >
이차방정식 G Y Y™A B Y B™A의 판별식을 %„, 이차방 ∴ Y 또는 Y
 
정식 H Y Y™ABY B  ™A의 판별식을 %m라 하면 ………………………………………………………………………………… ➊

94 정답과 풀이
따라서 구하는 두 근의 합은 즉, "1“Y라 하면 $2“"1“Y이므로
= >  = > 1#“2#“Y

  
삼각형 "1%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1

  1%“ ™AY™A 

………………………………………………………………………………… ➋
삼각형 1#2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12“ A Y ™A Y ™A
채점 기준 배점
삼각형 %12는 정삼각형이므로 1%“ ™A12“ ™A
➊ G Y 의 두 근을 =, >로 놓고 G Y 의 두 근을 =,
60% Y™A  Y ™A Y ™A
>를 사용하여 나타내기
➋ G Y 의 두 근의 합 구하기 40% ………………………………………………………………………………… ➋
Y™A Y™AY 
Y™AY  ∴ Y†

0588
………………………………………………………………………………… ➌

그런데 Y이므로 Y
이차방정식 Y™AY의 두 근이 =, >이므로 따라서 선분 "1의 길이는 이다.
=™A=, >™A> ………………………………………………………………………………… ➍
∴ =™A=, >™A> 채점 기준 배점
………………………………………………………………………………… ➊
➊ △"1%f△$2%임을 설명하기 20%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➋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문제의 뜻에 맞는 이차방정식 세우기 40%
= >, =>
➌ 이차방정식을 만족시키는 Y의 값 구하기 20%
………………………………………………………………………………… ➋
➍ 선분 "1의 길이 구하기 20%
∴ ā=›A=šA =™A = ā>›A>šA >™A > ™A
 ā =™A= ™A = ā >™A> ™A > ™A
 ‚=  ‚>  ™A
=  ‚= ‚>  > 
 = >  ā =  > 
∵ = =™Ay, > >™Ay
 = >  ā=>  = > 
@  ā@  @ 
  
………………………………………………………………………………… ➌

채점 기준 배점

0590
➊ 이차방정식의 근의 성질에 의하여 =™A=, >™A>임을
15% 
알기
➋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임
15% ㈎에서 이차방정식 1 Y 의 계수가 모두 실수이므로
을 알기
➌ ā=›A=šA =™A = ā>›A>šA >™A > ™A의 값 구하기 70% 한 근이 J이면 다른 한 근은  J이다.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J  J ,  J J 
이차방정식 Y™AY의 판별식을 %라 하면 이므로 1 Y B Y™AY  A B  로 놓을 수 있다.
%
  ™A  UU<㉠ ㈏에서 1  이므로

=™A=, >™A>에서 =™A= , >™A> 이므로 B ™A@   ∴ B
= y, > y UU<㉡ ∴ 1 Y  Y™AY  Y™AY 
㉠, ㉡에서 ‚= ‚> ā =  > 
㈐에서 이차방정식 2 Y 은 를 중근으로 가지므로
2 Y C Y ™AA C  으로 놓을 수 있다.
㈑에서 2  이므로

0589  C ∴ C


∴ 2 Y  Y ™AY™AY 
삼각형 %12는 정삼각형이므로 " 
% 방정식 1 Y 2 Y 에서
삼각형 "1%와 삼각형 $2%에서 Y
1 Y™AY Y™AY 
∠1"%∠2$%±, ∴ Y™AY
Y
%1“%2“, "%“$%“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 △"1%f△$2%A 3)4 합동 # $ 
Y 2 Y  
………………………………………………… ➊ 

Ⅱ. 방정식 95
0591  △"%'v△"#$A "" 닮음 이므로
"%“A:A"#“%'“A:A#$“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L A:A=LA:A>
hO hO āO O  O =L> =L , = > L=>
=O >O 
āO O  O āO O  O āO O  O
=>
hO āO O  O O‚O OO ∴ L Å
  = >
O O  O™A O 
즉, 정사각형 %#&'의 넓이는 [Å] Å, 둘레의 길이는 @Å
‚O hO
위의 식에 O, , , U, 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이므로 Å, 를 두 근으로 하고 Y™A의 계수가 인 이차방정식은
=„ >„
=m >m <Y™A[Å ]Y Å@=
=f >f
[Y™AY Å] ∴ Y™AY 
U

= >`` 따라서 N, O이므로


∴ =„ =m U = >„ >m U > N O 
 =„ >„ =m >m =f >f U = >
    U ``
` 0594 ③

LY™A L Y B L 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이차방정식
LY™A L Y B L 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0592  % L ™ABL L 


L™AL BL™A BL
이차방정식 Y™AY의 두 근이 =, >이므로 B L™A B L  UUA㉠
=™A=에서 =™A= Œ B 일 때, L의 값이 오직 한 개뿐이려면 이차방정식 ㉠
>™A>에서 >™A> 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즉, ㉠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B ™A B 
= >, => 
∴ "=œA >œA=›A>›A=šA>šA B™AB  B
=œA=›A=šA >œA>›A>šA B™AB, B B 
=šA =™A= >šA >™A> ∴ B 또는 B
=šA >šA 그런데 B는 자연수이므로 B
 = > šA=> = >  B, 즉 B일 때,
šA@  @ ㉠에 B를 대입하면 L 이므로 L
# = > = > = >
Œ, 에서 B 또는 B
\ = > =>^\ = > =>^\ = > =>^
따라서 가능한 모든 자연수 B의 값의 합은  
   
@@

0595


∴" #  
B, C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Y™A BY C의 한 근이 허수 =이
면 다른 한 근은 =q이다.
즉,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593 ⑤
= =qB, ==qC UUA㉠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Y™ACY B 의 한 근이 = 이므로 다른 한 근
= >, => 은= “=q 이다.
" 즉,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q  C, =  =q  B 
= L
& ∴= =q C, ==q  = =q B  UUA㉡
# $
> ㉠을 ㉡에 대입하면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형 "#$에 내접하는 정사각형 %#&'의 한 = =q C에서 B C
변의 길이를 L라 하면 ∴B C UUA㉢

96 정답과 풀이
==q  = =q B 에서
따라서 "1“의 길이는 Å이다.
CB B  ∴ BC UUA㉣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0598
1
∴ BC@ ④

㈏에서 Q는 소수이고 두 근이 서로 다른 자연수이므로


0596 ③ Y™ABY Q Y YQ 

이차방정식 BY™A CY D의 한 근이  이므로 또는 Y™ABY Q Y YQ 

B   ™A C   D Œ Y™ABY Q Y YQ 인 경우

B   C C D Y 또는 YQ

∴ B C D B C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Q

이때 B, C, D는 유리수이므로 이때 ㈎에서 B는 의 배수인 두 자리 자연수이고 QB이

B C D, B C 므로

B C에서 CB B일 때, Q

CB를 B C D에 대입하면 B일 때, Q

BB D ∴ DB B일 때, Q

따라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BY™ABYB B일 때, Q

B 이므로 양변을 B로 나누면 B일 때, Q

Y™AY B일 때, Q

이 이차방정식의 근은 B일 때, Q

Y  †}x  ™A@  † 따라서 소수 Q의 값은 , , 의 개이다.

∴ >  Y™ABY Q Y YQ 인 경우

  Y 또는 YQ
∴=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Q
  B
  이때 ㈎에서 B는 의 배수인 두 자리 홀수이고 Q 이므로
   
     B일 때, Q
B일 때, Q
B일 때, Q
BY™A CY D에서 C는 유리수가 아니므로 이 방정식의 다른 한
근은 이 아니다. B일 때, Q
따라서 소수 Q의 값은 의 개이다.
Œ, 에서 구하는 소수 Q는   개
0597 ③

"1“Y라 하면 0599 

△"#%v△40%A "" 닮음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A40“"%“A:A4%“
= >B, =>B UUA㉠
A:AYA:A4%“ ∴ 4%“Y
이때 B이므로 = >, =>
직사각형 "104의 넓이는
즉, =와 >는 부호가 서로 다르고 = >, ]=]]>]이므로
"1“@"4“"1“@ "%“4%“
=, >
Y Y YY™A
∴ ]=] ]>]=>
직사각형 02$3의 넓이는
즉, >=이므로
02“@03“ 42“40“ @03“
= >= = = UUA㉡
 "#“"1“ @4%“
=>= = =™A= UUA㉢
 Y @YYY™A
㉠에서 =>B = > 이므로
이때 직사각형 "104의 넓이와 직사각형 02$3의 넓이의 합이
㉡, ㉢을 대입하면 =™A= = 
이므로
=™A==
YY™A YY™A
=™A= , =™A= 
Y™AY , Y Y 
= =  ∴ = 또는 =
∴ YÅ 또는 YÄ Œ =이면 >@
 =이면 >@
그런데 "1“1#“이므로 YY
그런데 =, >이므로 =, >
즉, Y이므로 YÅ
∴ =šA >™AšA  ™A

Ⅱ. 방정식 97
0600 ② G Y Y Y= Y> Y™A Y 
따라서 G Y Y™A Y 이므로 Q, R
=B CJA B, C는 실수, C  라 하면 Q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Q R 
Y™AQY Q 의 한 근이 =이면 다른 한 근은 =qBCJ이다. 다른 풀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q B CJ BCJ Q이므로 BQ
= >, =>
Q
∴ B UUA㉠ G =™A =, G >™A >이므로

==q B CJ BCJ Q 이므로 B™A C™AQ  UUA㉡ =›A Q=™A R= UUA㉠

이때 >›A Q>™A R> UUA㉡


㉠ ㉡을 하면
=šA B CJ šABšA B™ACJBC™ACšAJ
 BšABC™A B™ACCšA J =›A >›A Q =™A >™A R = > UUA㉢

이므로 =šA이 실수이려면 B™ACCšA이어야 한다. 이때

즉, C B™AC™A 이고 C 이므로 =™A >™A = > ™A=>  ™A@,


Q™A =›A >›A =™A >™A ™A=™A>™A  ™A@™A
B™AC™A ∴ C™AB™A A ∵㉠
 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Q R
Q™A Q™A ∴ QR UUA㉣
B™A , C™A 을 ㉡에 대입하면
 
㉠㉡을 하면
Q™A Q™A
Q  ∴ Q™AQ =›A>›A Q =™A>™A  =>
 
=™A>™A =™A >™A Q =™A>™A  =>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실수 Q의 값
= > => =™A >™A Q = > =>  => 
의 곱은 이다.
다른 풀이
 @ => @  Q@  @ =>  => 
=>Q =>  => 
이차방정식 Y™AQY Q 의 한 근이 =이므로
 => Q => , => Q 
=™AQ= Q 
∴ QA ∵ = > Y™A 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AQ=Q %™A
Q를 ㉣에 대입하면 따라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 =šAQ=™AQ==
R, R ∴ R
Q Q=Q Q==
∴Q R 
Q™A=Q™AQQ==
다른 풀이
 Q™AQ =Q™AQ
G =™A B, G >™A >에서 G =™A =, G >™A >
이때 Q는 실수, =는 허수이므로 =šA이 실수이려면 Q™AQ이어
이므로 이차방정식 G Y™A Y의 두 근이 =, >이다.
야 한다.
즉, G Y™A YY›A QY™A Y R가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실수 Q의 값
Y= Y> Y™A Y 로 나누어떨어진다.
의 곱은 이다.
Y™AY Q
Y™A Y  Y›A QY™A Y R
0601  Y›A YšA Y™A

이차방정식 Y™A Y 의 두 근이 =, >이므로 YšA Q Y™A Y R

=™A =  UU<㉠ YšA Y™A Y

>™A >  UU<㉡ QY™A Y R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QY™A QY Q
= >이므로 = >, > = Q Y RQ
= >를 ㉠에 대입하면 따라서 Q Y RQ이므로 Q, RQ
=™A> ∴ >=™A ∴ Q, RQ
> =를 ㉡에 대입하면 ∴Q R 
>™A= ∴ =>™A
이때 G =  G >™A >, G >  G =™A =이므로
G = >, G > =
위의 식에 각각 =>, >=을 대입하면
G =  = , G >  > 
G = =, G > >
즉, 이차방정식 G Y Y의 두 근이 =, >이고 G Y 의 이
차항의 계수가 이므로

98 정답과 풀이
=™A = , =  =  

∴ = 또는 =Ä UUA㉢


੉ରߑ੿धҗ੉ରೣࣻ
1
㉢을 ㉠에 대입하면 B 또는 B
따라서 모든 상수 B의 값의 곱은 이다.
 ੉ରೣࣻ੄Ӓ‫ې‬೐৬Y୷੄Ү੼

⑴ ,  ⑵ ,  ⑶ ,  ⑷ ,  0604 

꼭짓점의 좌표가 ,  이므로


⑴ Y™A YY Y  에서 Y 또는 Y
주어진 이차함수를 ZB Y ™A이라 하면
⑵ Y™AY  Y Y 에서
ZB Y ™ABY™ABY B UUA㉠
Y 또는 Y
이때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Y이고
⑶ Y™A Y Y  Y 에서
12“이므로 두 점 1, 2의 Y좌표는 각각 , 이다.
Y 또는 Y
즉, , 은 이차방정식 BY™ABY B의 두 근이므로
⑷ Y™A YY Y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 또는 Y
B
@ , B ∴ BÅ
B

0602 
………………………………………………………………………………… ➊

BÅ 을 ㉠에 대입하면 ZÅY™AY


이차함수 ZY™A BY C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가
, 이므로 , 는 이차방정식 Y™A BY C의 두 근이다. ∴ C, D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➋
B C
  , @
  ∴B C DÅ [] 
따라서 B, C이므로
………………………………………………………………………………… ➌
B C  
채점 기준 배점
➊ B의 값 구하기 60%
➋ C, D의 값 구하기 20%

0603  ➌ B C D의 값 구하기 20%

다른 풀이
이차방정식 Y™A BY의 두 근을 =, >라 하면
주어진 이차함수를 ZB Y ™A이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이차방정식 B Y ™A에서 Y ™A
= > , =>Ä UUA㉠ B

 
이때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 Y†m ∴ Y†m
B B
가 이므로 ]=>]  
즉, 두 점 1, 2의 Y좌표가  m , m 이고
B B
양변을 제곱하면 => ™Aio 12“이므로
 
 m [m ]
∴ = > ™A=>io UUA㉡ B B
 
B™A m ,  ∴ BÅ
㉠을 ㉡에 대입하면 io B B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는
B™A ∴ B†
따라서 모든 상수 B의 값의 곱은 이다. ZÅ Y ™AÅY™AY
다른 풀이
이므로 C, D
이차방정식 Y™A BY의 두 근을 =, = 라 하면
∴B C DÅ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 [= ] UUA㉠


=[= ]Ä UUA㉡


0605 ④

이차함수 ZY™ABY C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가


㉡에서 =™A = Ä
, 이므로 , 는 이차방정식 Y™ABY C의 두 근이다.

Ⅱ. 방정식 99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ରೣࣻ੄Ӓ‫ې‬೐৬Y୷੄ਤ஖ҙ҅
 B, @C
∴ B, C
이차함수 ZY™ACYB, 즉 ZY™A Y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0608 
점의 Y좌표는 이차방정식 Y™A Y의 근이므로
N™A
이차함수 ZY™A N Y 의 그래프가 Y축과 서로 다른
Y Y   ∴ Y 또는 Y 
따라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N™A
두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Y™A N Y 의 판

  
별식을 %라 하면
N™A
%\ N ^™A@@ 


0606
N ∴ NÄ

따라서 정수 N의 최댓값은 이다.
ZY™AY Y ™A이므로 Z ZY™AY

대칭축은 Y, Z절편은 이다.


그림과 같이 두 점 1, 2의 Y좌표를 각각 Y
2 0  1
=, >< =, > 라 하면 3 0609 ①
= >, =>
이차함수 ZY™A Y B의 그래프가 Y축과 접하므로
01“ ™A 02“ ™A]=]™A ]>]™A Y
이차방정식 Y™A Y B의 판별식을 %라 하면
=™A >™A
%
 = > ™A=> ™AB ∴ B

™A@   다른 풀이
이고, 점 3의 Z좌표가 이므로 ZY™A Y B Y  ™A B이므로
03“ ™A™A 이차함수 ZY™A Y B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 13“ ™A 23“ ™A01“ ™A 03“ ™A 02“ A™ 03“ ™A , B
01“ ™A 02“ ™A 03“ ™A 이차함수 ZY™A Y B의 그래프가 Y축과 ZY™A Y B
 @ 접하므로 그래프는 그림과 같아야 한다.
즉, 꼭짓점의 Z좌표가 이어야 하므로
B ∴ B  AB Y

0607 ①

0610
㈎에서 G  이므로

G  B@  @ C BC ∴ BC
즉, B, C는 자연수이므로 각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B, C 또는 B, C ㄱ. Y™A Y 에서 %™A@@
Œ B, C일 때, Z ZG Y 이므로 Y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주어진 이차함수는  %
ㄴ. Y™A Y 에서 ™A  @
G Y  Y Y 이므로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의 이므로 Y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ㄷ. Y™AY 에서 %  ™A@@

그런데 Yƒ에서 G Y ƒ 0   Y 이므로 Y축과 만나지 않는다.

이므로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ㄹ. Y™A Y에서 %™A@  @  

 B, C일 때, Z ZG Y 이므로 Y축과 만나지 않는다.

주어진 이차함수는 따라서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지 않는 것은 ㄷ, ㄹ이다.



G Y  Y Y 이므로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의

0611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l
이때 Y에서 G Y 이므로 0   Y
㈏를 만족시킨다. 이차함수 ZY™A N Y N™A N의 그래프가 Y축과 만
Œ, 에서 G Y  Y Y 이므로 나므로 이차방정식 Y™A N Y N™A N의 판별식을
G  @  @   %라 하면

100 정답과 풀이
% N ™A N™A N y %\ L B ^™A L™A CL  
∴  BC L B™A UUA㉠
N y ∴ Nƒl
………………………………………………………………………………… ➊

1
따라서 실수 N의 최댓값은 l이다. ㉠이 실수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BC, B™A
∴ B, C 또는 B, C
∴ B™A C™A 
0612  ………………………………………………………………………………… ➋

이차함수 ZY™A LYL의 그래프가 Y축과 한 점에서 만나므로 채점 기준 배점

이차방정식 Y™A ➊ 이차함수 ZY™A L B Y L™A CL 의 그래프가 Y축에 접


LYL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60%
하도록 하는 식 세우기
%„ L ™A@@ L 
➋ B™A C™A의 값 구하기 40%
L™A L, L L  
항등식의 성질
∴ L 또는 L UUA㉠
⑴ BY C이 Y에 대한 항등식 ⇨ B, C
………………………………………………………………………………… ➊
⑵ BY™A CY D이 Y에 대한 항등식 ⇨ B, C, D
또한 이차함수 ZY™A Y L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지 않으므 ⑶ BY™A CY DBY™A CY D이 Y에 대한 항등식
로 이차방정식 Y™A Y L의 판별식을 %m라 하면 ⇨ BB, CC, DD
%m™A@  @L,  L

∴ LÅ UUA㉡

………………………………………………………………………………… ➋

㉠, ㉡에서 L이므로
0615 ④

B ∴ B ㄱ. 이차함수 ZY™A NY O의 그래프가 Y축에 접하므로


………………………………………………………………………………… ➌ 이차방정식 Y™A NY O의 판별식을 %라 하면
N™A
채점 기준 배점 %N™AO에서 O y을 만족시킨다.

➊ 이차함수 ZY™A LYL의 그래프가 Y축과 한 점에서 만나도
40% ㄴ.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ZY™A NY O ZY™A NY O
록 하는 L의 값 구하기
의 그래프가 Y축에 접할 때 실수 전체
➋ 이차함수 ZY™A Y L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지 않도록 하
40% 에서 함숫값은 항상  이상이다.
는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➌ B의 값 구하기 20% Y일 때 함숫값이 Y
N Oy이므로 NOƒ이다.
ㄷ. Y일 때 함숫값이 N Oy이므로
NOƒ이다. 즉, NO을 만족시킨다.
0613 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이차함수 ZY™A BY C의 그래프가 점 ,  를 지나므로


 B C ∴ CB UUA㉠ ㄴ. 이차함수 ZY™A NY O의 그래프가 Y에서 Y축에 접하면
또한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Y축에 접하므로 Y일 때 함숫값이 이므로
N O, 즉 NO
이차방정식 Y™A BY C의 판별식을 %라 하면
%
B™A@C ∴ B™AC UUA㉡

㉠을 ㉡에 대입하면 B™AB, B™A B
B B   ∴ BA ∵ B
B을 ㉠에 대입하면 C
 ੉ରೣࣻ੄Ӓ‫ې‬೐৬੉ରߑ੿ध੄पӔ੄೤
∴B C 

⑴ ,  ⑵ ,


0614  ⑴ Y™AY에서 Y  Y 


∴ Y 또는 Y
이차함수 ZY™A L B Y L™A CL 의 그래프가 Y축에 접하
⑵ Y™AY에서 Y  Y 
므로 이차방정식 Y™A L B Y L™A CL 의 판별식을 %라
∴ YÅ 또는 Y
하면

Ⅱ. 방정식 101
0616  Y B, Y B에서
YB 또는 YB 
G Y Y™AY  Y Y
이때 이차방정식 G Y B 의 두 실근의 합이 이므로
이차함수 G Y 에 Y 대신 Y을 대입하면
B B  , B ∴ B
G Y  Y Y
 Y Y

0619
즉, G Y 의 두 근은 Y 또는 Y이므로

두 근의 합은
G Y H Y 에서 G Y H Y UUA㉠
 z
㉠의 근은 두 함수 Z G Y , ZH Y 의 그래프의 교점의 Y좌표와
따라서 B, C이므로 같으므로
B C  Y 또는 Y
다른 풀이 따라서 모든 근의 합은
G Y Y™AY  Y Y 의 두 근이 , 이므로  
G  , G  

0620
G Y 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은

Y, Y에서 Y 또는 Y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Y축과 서로 다른 두 점 N,  ,
즉,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의 합은
O,  에서 만나므로
 z G Y B YN YO A B 
Y
따라서 B, C이므로 이차함수 G Y 에 Y 대신 을 대입하면

B C 
Y Y Y
G[ ]B[ N][ O] 
  

0617
ÅB YN YO A B 

Y
즉, G [ ]의 두 근은 Y N 또는 Y O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와 Y축과의 
교점은 , 이므로 Y
이때 N O이므로 이차방정식 G [ ]의 두 근의 합은

G Y  Y  Y
 N  O   N O
이차함수 G Y 에 Y 대신 Y을 대입하면
 @
G Y  Y  Y
 Y  Y

즉, G Y 의 두 근은 YÅ 또는 Y이므로 0621 

두 근의 합은 두 이차함수 Z G Y , ZH Y 의 그래프가 만나는 두 점의 Y좌표


가 , 이므로 G Y H Y 의 근은 , 이다.
Å 
즉, G Y H Y 의 근이 , 이므로
G Y H Y B Y  Y B Y™A Y A B 

0618
………………………………………………………………………………… ➊

이차방정식 G Y H Y 에 Y 대신 LY를 대입하면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고 Y축과 서로 다른 두 G LY H LY B\ LY ™A  LY ^
점 ,  , ,  에서 만나므로 B\Y™A L  Y L™A L^
G Y L Y  Y L ………………………………………………………………………………… ➋

이차함수 G Y 에 Y 대신 Y B를 대입하면 이때 방정식 G LY H LY 의 두 근의 합이 이므로


G Y B L Y B  Y B L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즉, G Y B 의 두 근은  L 
 ∴ L

YB 또는 YB 
………………………………………………………………………………… ➌
이때 G Y B 의 두 실근의 합이 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B B  , B ∴ B
다른 풀이
➊ 이차함수 G Y H Y 의 식 세우기 40%

G  , G  이므로 ➋ 이차함수 G Y H Y 에 Y 대신 LY를 대입하여 정리하기 40%

G Y B 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은 ➌ L의 값 구하기 20%

102 정답과 풀이
B
 ੉ରೣࣻ੄Ӓ‫ې‬೐৬૒ࢶ੄Ү੼ Y„ Ym

이때 Y„ Ym이므로
⑴ ,  ⑵ , 

1
B
  ∴ B

⑴ ZY™A Y , ZY 에서
Y™A Y Y , Y™AY
Y  Y  ∴ Y 또는 Y
⑵ ZY™A Y, ZY 에서 0626 ②

Y™A YY , Y™AY  곡선 ZY™AY B와 직선 ZY 의 두 교점의 Y좌표를 각각


Y Y  ∴ Y 또는 Y =, >라 하면 =, >는 이차방정식 Y™AY BY , 즉
Y™AY B의 두 근이다.

0622 ④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
이차함수 ZY™A BY의 그래프와 직선 ZY C의 두 교점의 Y좌 
표가 , 이므로 , 은 이차방정식 Y™A BYY C, 즉 이때 두 교점의 Y좌표의 곱이 , 즉 =>이므로
Y™A B YC의 두 근이다. B
 ∴ B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 @C
이므로 B, C
∴B C  0627 

이차함수 ZY™AY 의 그래프와 직선 ZNY의 두 교점의 Y좌


표의 차가 이므로 이차방정식 Y™AY NY, 즉
Y™A N  Y 의 두 근의 차가 이다.
0623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라 하면
]=>] UUA㉠
이차함수 ZBY™A CY D의 그래프와 직선 ZNY O의 두 교점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의 Y좌표가 , 이므로 , 은 이차방정식
= >N , => UUA㉡
BY™A CY DNY O, 즉 BY™A CN Y DO의 두 근이다.
㉠의 양변을 제곱하면 => ™A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실근의 곱은
∴ = > ™A=> UUA㉢
@
㉡을 ㉢에 대입하면 N  ™A
N™A N, N N  
∴ N ∵ N

0624 

이차함수 ZY™AY 의 그래프와 직선 ZBY C의 두 교점의


0628 
Y좌표가 , 이므로 , 는 이차방정식 Y™AY BY C,
즉 Y™A B  Y C의 두 근이다. 이차함수 ZY™A QY R의 그래프와 직선 ZY 의 두 교점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중 한 점의 Y좌표가 이므로 는 이차방정식

B  C Y™A QY RY , 즉 Y™A Q  Y R의 한 근이다.


  , @
  ………………………………………………………………………………… ➊
이므로 B, C 이때 이차방정식 Y™A Q  Y R의 계수가 모두 유리수이
∴B C   고 한 근이 이므로 다른 한 근은  이다.
………………………………………………………………………………… ➋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Q 

0625 
 
이므로 Q, R
 R

이차함수 G Y Y™A Y의 그래프가 직선 ZBY과 서로 ∴ Q, R


다른 두 점 Y„, G Y„ , Ym, G Ym 에서 만나므로 Y„, Ym는 이차방 ………………………………………………………………………………… ➌
정식 Y™A YBY, 즉 Y™A B Y 의 두 근이다. ∴ QR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➍

Ⅱ. 방정식 103
채점 기준 배점 식을 %라 하면
➊ 를 한 근으로 갖는 이차방정식 세우기 30% % L ™A@

➋ 이차방정식의 다른 한 근이  임을 알기 30%


L™AL, L  L 
∴ L 또는 L
➌ Q, R의 값 구하기 30%
따라서 모든 실수 L의 값의 합은
➍ QR의 값 구하기 10%
 

0629 ③

원점을 지나는 직선 M의 방정식을 ZBY B 라 하면 0631 ①

이차함수 ZY™A의 그래프와 직선 ZBY의 교점의 Y좌표는 이차 이차함수 ZY™A NY N™A의 그래프와 직선 ZY 이
방정식 Y™ABY, 즉 Y™A BY의 실근이다.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려면 이차방정식
Y™A BYY Y B 에서 Y 또는 YB Y™A NY N™AY , 즉 Y™A  N  Y N™A이
∴ " B, B™A 실근을 가져야 한다.
Z ZLY™A
이때 0"“A:A0#“A:A에서 0#“Å 0"“ 이므 M 따라서 이차방정식 Y™A  N  Y N™A의 판별식을 %
라 하면
로 두 점 ", #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
각각 ", #이라 하면 두 삼각형 0"", #  N  ™A N™A y
" 
# 0 Y
0##은 서로 닮음이고, 닮음비가 A:A이다.
N y ∴ NyÅ
따라서 점 #의 좌표는 [ÅB, ÅB™A]이고, 이
"
를 ZLY™A에 대입하면
ZY™A

ÅB™AL@[ÅB] , ÅB™AL@B™A

L
0632 
Å ∴ L

이차함수 ZY™AY L의 그래프와 직선 ZY 이 만나지 않
으므로 이차방정식 Y™AY LY , 즉 Y™AY L의
판별식을 %라 하면
 ੉ରೣࣻ੄Ӓ‫ې‬೐৬૒ࢶ੄ਤ஖ҙ҅ %  ™A L 

L ∴ L
⑴ 만나지 않는다. ⑵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⑶ 한 점에서 만난다. 따라서 자연수 L의 최솟값은 이다.

⑴ ZY™AY, ZY에서 이차방정식


Y™AYY, 즉 Y™A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A 0633 

따라서 만나지 않는다. 이차함수 ZY™ALY 의 그래프가 직선 ZYL™A보다 항상


⑵ ZY™A Y, ZY 에서 이차방정식 위쪽에 있으려면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이 만나지 않아야 한다.
Y™A YY , 즉 Y™A Y의 판별식을 %라 하면 따라서 이차방정식 Y™ALY YL™A, 즉
%™A@   Y™A L Y L™A 의 판별식을 %라 하면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 L ^™A@ L™A  
⑶ ZY™A Y , ZY 에서 이차방정식 ………………………………………………………………………………… ➊

Y™A Y Y , 즉 Y™A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L ∴ L


%
  ™A ………………………………………………………………………………… ➋

따라서 한 점에서 만난다. 따라서 정수 L의 최솟값은 이다.
………………………………………………………………………………… ➌

채점 기준 배점

0630
➊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직선보다 항상 위쪽에 있도록 하는
⑤ 60%
조건 구하기

이차함수 ZY™A LY 의 그래프와 직선 ZY이 접하므로 ➋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이차방정식 Y™A LY Y, 즉 Y™A L Y 의 판별 ➌ 정수 L의 최솟값 구하기 20%

104 정답과 풀이
0634 
 ੉ରೣࣻ੄Ӓ‫ې‬೐ী੽ೞ‫ח‬૒ࢶ੄ߑ੿ध
이차함수 ZY™A BY C의 그래프와 직선 ZY 가 접하므로

0637
1
이차방정식 Y™A BY CY , 즉 Y™A B  Y C의 ④
판별식을 %„이라 하면
직선 ZBY C가 직선 ZY 에 평행하므로
%„ B  ™A C 
B
∴ B™A BC  UU<㉠
직선 ZY C가 이차함수 ZY™AY 의 그래프와 접하므로
이차함수 ZY™A BY C의 그래프와 직선 ZY 이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Y™AY Y C, 즉 Y™AY C의 판별식
이차방정식 Y™A BY CY , 즉 Y™A B Y C의
을 %라 하면
판별식을 %m라 하면
%
%m B ™A C    ™A C ,  C ∴ C

∴ B™ABC  UU<㉡
∴ BC  
㉠㉡을 하면 B ∴ B
B을 ㉠에 대입하면
 C , C ∴ C 두 직선 ZBY C, ZBY C이 서로 평행하면 BB, C C이다.

∴ BC@

0635 

직선 ZY L가 이차함수 ZY™AY 의 그래프와 서로 다른


0638 
두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Y™AY Y L, 즉
Y™AY L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직선 ZY N을 Z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  ™A L  방정식은


ZY NNYN
 L ∴ Li
직선 ZYN이 이차함수 ZY™AY 의 그래프와 접하므
직선 ZY L가 이차함수 ZY™A Y 의 그래프와 만나지 않 로 이차방정식 Y™AY YN, 즉 Y™AY  N의
으므로 이차방정식 Y™A Y Y L, 즉 Y™A Y L의 판별식을 %라 하면
판별식을 %m라 하면 %
  ™A  N 
%m™A L  
N ∴ N
 L ∴ Ly

따라서 Bi, Cy이므로

CBy[i]

0639 ⑤

0636  기울기가 이고 Z절편이  이상인 직선의 방정식을


ZY C Cy 라 하자.
Y에 대한 이차함수 ZY™ABY B™A 의 그래프와 이차함수 ZY™A LYL™A의 그래프와 직선 ZY C가
직선 ZYL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한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Y™A LYL™AY C, 즉
Y™ABY B™A YL, 즉 Y™A B  Y B™A  L 의 Y™A L  Y L™A C의 판별식을 %라 하면
판별식을 %라 하면 %
\ L  ^™A L™A C 
% 
\ B  ^™A B™A  L 
 L C ∴ CL 
BL ∴ LB 이때 Cy이므로 L y ∴ Ly
즉, L는 B보다 작은 자연수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
연수 L의 개수 B는
Œ B일 때, L에서 
 B일 때, L에서 

0640
Ž B일 때, L에서 

 B일 때, L에서 
Œ ~에서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ZB Y  이라 하자.
       직선 ZB Y  이 이차함수 ZY™AY 의 그래프와 접

Ⅱ. 방정식 105
하므로 이차방정식 Y™AY B Y  , 즉
 ੉ରೣࣻ੄୭‫ ؀‬୭ࣗ
Y™A B  Y B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B  ™A@@ B   ⑴ 최댓값 : 없다., 최솟값 : 
B™A B B ∴ B™AB ⑵ 최댓값 : , 최솟값 : 없다.
이차방정식 B™AB의 두 실근을 =, >라 하면 =, >는 두 직 ⑶ 최댓값 : 없다., 최솟값 : 
선의 기울기이므로 구하는 기울기의 곱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 ⑷ 최댓값 : , 최솟값 : 없다.

의 관계에 의하여
=> ⑴ Z Y  ™A 은 Y일 때 최솟값 을 가지고,
최댓값은 없다.
⑵ Z Y ™A은 Y일 때 최댓값 을 가지고,
이차방정식 B™AB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최솟값은 없다.
%
  ™A@  
 ⑶ ZY™A은 Y일 때 최솟값 을 가지고, 최댓값은 없다.
이므로 이차방정식 B™AB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⑷ ZY™A Y  Y ™A 는 Y일 때 최댓값 를
가지고, 최솟값은 없다.

0643 ③

0641 
이차함수 ZY™A

BYB C가 Y에서 최솟값 을 가지므

이차함수 ZY™ALYL™A L의 그래프와 Y™A BYB C Y  ™AY™A Y


직선 ZBY B™AC 가 접하므로 B, B C이므로
이차방정식 Y™ALYL™A LBY B™AC , 즉 B, C
Y™A  B L Y L™AL B™AC 의 판별식을 %라 하면 ∴B C  
%
 B L ™A L™AL B™AC  

∴ B  L C UUA㉠ Y의 값의 범위가 실수 전체일 때, 이차함수 G Y BY™A CY D에 대하여
Œ B이면 G Y 는 최솟값을 가지고, 최댓값은 없다.
이때 ㉠이 실수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 B이면 G Y 는 최댓값을 가지고, 최솟값은 없다.
B , C ∴ BÅ, C 즉, 이차함수 ZY™A Y의 이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최솟값을 구
할 수 있다.
∴ BC@[Å]

0644 z

ZÅY™AY LÅ Y ™AÅ L이므로

0642 Z
Y에서 최솟값 Å L를 갖는다.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ZNY O이라 하자. ZY™AYL Y  ™A L이므로
직선 ZNY O이 이차함수 ZY™ABY B™A 의 그래프와 접 Y에서 최댓값 L를 갖는다.
하므로 이차방정식 Y™ABY B™A NY O, 즉 이때 최솟값과 최댓값이 같으므로
Y™A B N Y B™A O의 판별식을 %라 하면
Å LL ∴ Lz
%\ B N ^™A B™A O 
∴ NB N™A O  UUA㉠
………………………………………………………………………………… ➊
이때 ㉠이 실수 B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0645 

N, N™A O ∴ N, O 이차함수 G Y BY™A CY D가 Y에서 최솟값 을 가지므로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G Y B Y ™A
Z G  에서 B  ™A
………………………………………………………………………………… ➋
B ∴ B
채점 기준 배점 ………………………………………………………………………………… ➊
➊ 직선이 이차함수 ZY™ABY B™A 의 그래프와 항상 접하기 G Y  Y ™AY™AY
60%
위한 조건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이므로 C, D
➋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 ➋

106 정답과 풀이
∴ B C D@    따라서 기울기가 이고 Z절편이 인 직선 ZY 가 곡선 ZG Y
………………………………………………………………………………… ➌ 에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B Y ™A Y , 즉
채점 기준 배점 BY™A B  Y B의 판별식을 %라 하면

1
➊ B의 값 구하기 50% %
\ B  ^™AB@B

➋ C, D의 값 구하기 30%
➌ B C D의 값 구하기 20% B  ∴ BÅ

따라서 G Y Å Y ™A 이므로

0646  G  Å  ™A g

G Y Y™A BY  B™A B YB A™ B™A B 이므로


G Y 는 YB에서 최댓값 B™A B 를 갖는다. 0651 
∴ H B B™A B  B  ™A
㈏에서 이차함수 G Y 의 최댓값이 이므로
따라서 H B 는 B에서 최솟값 을 갖는다.
G Y B YN ™A  B 이라 하자.
㈎에서 G  이므로
B N ™A , 즉 B N ™A UUA㉠
0647 ③ ………………………………………………………………………………… ➊

직선 ZY B가 이차함수 ZY™A CY 의 그래프와 접하므로 ㈐의 방정식 G Y 에서 B YN ™A  

이차방정식 Y™A CY Y B, 즉 Y™A C  Y B의 즉, BY™ABNY BN™A 의 두 실근의 합이 이므로

판별식을 %라 하면 BN
 ∴ N
B
% C  ™A B 
………………………………………………………………………………… ➋
C  ™A B ∴ BÅ C  ™A  N를 ㉠에 대입하면

따라서 실수 B는 C에서 최댓값 을 갖는다. B ∴ BÅ

………………………………………………………………………………… ➌

0648
따라서 G Y Å Y ™A 이므로 이차방정식

G Y Y™A Y L Y ™A L 이므로 Å Y A™ , 즉 Y™AY의 두 실근의 곱은 이차방

G Y 는 Y에서 최댓값 L 를 갖는다. 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다.


G Y 가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G Y ƒ를 만족시키므로 ………………………………………………………………………………… ➍
L ƒ ∴ Lƒ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실수 L의 최댓값은 이다. ➊ ㈎, ㈏를 이용하여 식 세우기 30%
➋ N의 값 구하기 30%
➌ B의 값 구하기 10%
0649  ➍ 이차방정식 G Y 의 두 실근의 곱 구하기 30%

방정식 G Y H Y , 즉 G Y H Y 의 두 근이 , 이므로


G Y H Y Y™A BY C NY O
 Y Y
Y™A Y

[Y]   ઁೠ‫ߧػ‬ਤীࢲ੉ରೣࣻ੄୭‫ ؀‬୭ࣗ

따라서 G Y H Y 는 Y에서 최댓값  를 갖는다. ⑴ 최댓값 : , 최솟값 :  ⑵ 최댓값 : , 최솟값 : 

⑴ ƒYƒ에서 Z G Y 의 그래프는 Z ZG Y

0650
그림과 같고 G  , G  , 

G  
㈎에서 G Y 는 Y에서 최댓값 를 가지므로 따라서 G Y 는 Y에서 최댓값 을

G Y B Y ™A  B 라 하자. 갖고, Y에서 최솟값 을 갖는다. 0  
 Y
㈏에서 직선 YZ , 즉 ZY 의 기울기가 이므로 

이 직선과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이다.

Ⅱ. 방정식 107
⑵ ƒYƒ에서 Z 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Z ZG Y H Y Y™A Y L Z
L 
같고 G  , G     Y ™A L  L  ZH Y
따라서 G Y 는 Y에서 최댓값 을 갖 ƒYƒ에서 ZH Y 의 그래프는
고, Y에서 최솟값 를 갖는다.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H Y 는 Y에서 최댓값 L 를 L
0  
 Y 갖고 Y에서 최솟값 L를 갖는다. 
 0 Y
 ……………………………………………………➋
이때 G Y 와 H Y 의 최댓값과 최솟값이
각각 같으므로
0652 ③
L , L ∴ L
G Y Y™AY L Z ………………………………………………………………………………… ➌

 Y  ™A  L  L 채점 기준 배점
ƒYƒ에서 Z G Y 의 그래프는  L ➊ G Y Y™A Y 로 놓고 Z G Y 의 최댓값과 최솟값 구하기 40%
0 Y
그림과 같다.  ➋ H Y Y™A Y L로 놓고 ZH Y 의 최댓값과 최솟값 구하기 40%
따라서 G Y 는 Y에서 최댓값  L를 갖 ➌ G Y 와 H Y 의 최댓값과 최솟값이 각각 같음을 이용하여 L의
20%
고, Y에서 최솟값  L를 갖는다. 값 구하기
 L
G Y 의 최솟값이 이므로 ZG Y
 L ∴ L
따라서 G Y 의 최댓값은  L  0656 ②

G Y Y™A Y L Y  ™A L
0653  ƒYƒ에서 G Y 는 Y에서 최솟값 L를 갖고, Y
에서 최댓값 L 을 갖는다.
ZY™A Y B Y  ™A B
G Y 가 ƒYƒ에서 G Y 를 만족시키려면
ƒYƒ에서 Y일 때 최댓값은 B 이고,
L  ∴ L
Y일 때 최솟값은 B이다.
따라서 정수 L의 최댓값은 이다.
따라서 구하는 차는 B   B 

0654 ② 0657 

G Y Y™A Y C  C™A


이차함수 G Y BY™A CY B[Y ] 에서
 Y ™A B B

By이면 G Y 는 ƒYƒB에서 Y일 Z C


꼭짓점의 Y좌표는 Y
 B 0 B
때 최댓값 를 갖는다.  Y
 C
따라서 ƒYƒB에서 최댓값이 이려 ㈎에서 B, C이므로  

B
면 B이어야 한다. 즉, ƒYƒ에서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는 Y의 값이 증가할
ƒYƒB에서 Z G Y 의 그래프는 그림 때 Z의 값은 감소한다.
과 같다. ㈏에서 이차함수 Z G Y 는 Y에서 최댓값 을 가지므로
 ZG Y
G  이므로 G Y 는 Y에서 G  B C  ∴B C
최솟값을 갖고, YB에서 최댓값을 갖는다. 이때 B, C는 음의 정수이므로
따라서 G B 이므로 B, C
B™A B, B™AB 따라서 G Y Y™AY 이므로
B B   ∴ B ∵ B G    ™A  

0655 
0658 ⑤
G Y Y™A Y  Z ZG Y
 G  이므로 이차함수 G Y 를 G Y BY™A CY 라 하면
 Y  ™A 
G Y   G Y B Y  ™A C Y  BY™ACY
ƒYƒ에서 Z G Y 의 그래프는
BY B C
오른쪽 그림과 같다.
BY B CY 에서
따라서 G Y 는 Y에서 최댓값 를 갖고,
 B, B C ∴ B, C
Y에서 최솟값 를 갖는다. 

……………………………………………………… ➊
 0  Y ∴ G Y Y™AY [Y] 

108 정답과 풀이
ƒYƒ에서 G Y 는 이때 주어진 함수는
Y에서 최댓값을 갖고 이때 최댓값은 Z Y™AY  ™A  Y™AY L 
. G  @  ™A@   U™A  U L 

1
 U ™A L Uy
Y에서 최솟값을 갖고 이때 최솟값은
따라서 U일 때 최댓값은 L이므로
N G [] L ∴ L

∴. N 

0662 ①

 ҕాࠗ࠙੉੓‫ח‬ೣࣻ੄୭‫ ؀‬୭ࣗm஖ജਸ੉ਊ Z Y  ›A  Y  ™A L에서


Y  ™AU로 놓으면 Uy

0659 ⑤
ZU™A
 U ™A
U L
L  Uy
Z Y™AY  ™A Y™AY  에서 U UY™AY  따라서 U일 때 최댓값은 L 이다.

Y™AY U로 놓으면 U에서 Y  ™A
U Y ™A  
Y † ∴ Y 또는 Y
ƒYƒ이므로 그림에서 
ƒUƒ 이때 B는 정수이므로
 0   Y
이때 주어진 함수는 B
Z Y™AY  ™A Y™AY   또한 최댓값은 이므로
U™AU  L  ∴ L
 U ™A ƒUƒ ∴ BL
따라서 U일 때 최솟값은 이고, U일 때 최댓값은 이므로

0663
최댓값과 최솟값의 곱은

@
G Y B Y™A Y  ™A B Y™A Y  C에서
Y™A Y U로 놓으면
0660  U Y  ™A y
Z Y ™A Y 에서 H U BU™A BU C UU<㉠
YU로 놓으면 라 하면

ƒYƒ에서 ƒUƒ H U B[U Ä] B C
이때 주어진 함수는
이므로 Uy에서 H U 가 최솟값을 가지려면 B이어야 한다.
Z Y ™A Y 
이때 H U 는 U일 때 최솟값이 이므로 H  
U™AU 
따라서 ㉠에서 H  B B C
 U ™A ƒUƒ
∴ B C UU<㉡
따라서 U일 때 최솟값은 N이고,
Y일 때, U  ™A @  
U일 때 최댓값은 .™A이므로
즉, G  H  이므로 ㉠에서
.N  
H  B B C
다른 풀이
∴ B C UU<㉢

Z Y ™A Y [YÄ]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 H U U™A U 
따라서 ƒYƒ에서 YÄ일 때 최솟값은 N
따라서 Y일 때, U  이므로

Y일 때 최댓값은 .@[]  G  H    

∴ .N  
0664 

0661 ④ G Y Y™A ]Y]에서


Œ Y일 때,
Z Y™AY  ™A  Y™AY L 에서
G Y Y™AY
Y™AY U로 놓으면 
[Y Å] 
U Y ™Ay

Ⅱ. 방정식 109
 Yy일 때,

0668 
G Y Y™A Y 
Z 
 0  Y™AYZ Z™A Z L

[YÅ]   Y


 Å Y™AYZ Z™A Z L
Œ, 에서 함수 Z 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Å\ Y™AYZ Z™A Z™A Z  ^ L

∴ G Y ƒ ZG Y
Å\ YZ ™A Z  ™A^ L
………………………………………………………………………………… ➊
이때 Y, Z가 실수이므로
Z\ G Y ^™A G Y 에서 G Y U로 놓으면
YZ ™Ay, Z  ™Ay
ZU™A U  U  ™A [Uƒ]
∴ Y™AYZ Z™A Z LyL
따라서 U, 즉 G Y 일 때 Z의 최솟값은 이다.
………………………………………………………………………………… ➊
………………………………………………………………………………… ➋
즉, Y™AYZ Z™A Z L는 YZ, Z 일 때 최솟값 Å
채점 기준 배점
➊ G Y 의 값의 범위 구하기 60% 을 가지므로
➋ Z의 최솟값 구하기 40% =>, > , LÅ

따라서 =Ä, >, L이므로

=> L@[Ä]@  

 ৮੹ઁғधਸ੉ਊೠ੉ରध੄୭‫ ؀‬୭ࣗ ………………………………………………………………………………… ➋

채점 기준 배점

0665 ④ ➊ Y™AYZ Z™A Z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50%


➋ => L의 값 구하기 50%
Y™AY Z™A Z  Y ™A  Z  ™A 
이때 Y, Z가 실수이므로
Y ™Ay, Z
∴ Y™AY Z™A
 ™Ay
Z y
0669 ⑤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이다. Y™A YU로 놓으면


Y™A Y ™A Y™A Y Z Z™AZ L
U™AUZ Z™AZ L

[UÅZ] ÄZ™AZ L

0666 
[UÅZ]

Ä Z ™A L
Y™A Z™A [™A YZ [  이때 U, Z가 실수이므로
 Y  ™A  Z ™A  [  ™A 
[UÅZ] y, Z ™Ay
이때 Y, Z, [가 실수이므로
Y  ™Ay, Z ™Ay, [  ™Ay ∴ Y™A Y ™A Y™A Y Z Z™AZ LyL
∴ Y™A Z™A [™A YZ [ y 따라서 최솟값이 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이다. L에서 L

 ઑѤਸ݅઒दః‫੉ח‬ରध੄୭‫ ؀‬୭ࣗ

0667 ③
0670 
Y™AZ™A ZY™A Z ™A 
YZ 에서 YZ
이때 Y, Z가 실수이므로
∴ Y™A Z™AZ Z ™A Z™AZ
Y™Ay, Z ™Ay
Z™AZ 
∴ Y™AZ™A Zƒ

따라서 Y™AZ™A Z은 Y, Z에서 최댓값 을 가지므로 [ZÄ] 
=, >, ?
따라서 ZÄ일 때 최솟값은 이다.
∴= > ?  

110 정답과 풀이
0671  0674 d

이차방정식 Y™A  B Y B™A B 이 서로 다른 두 실근 =,


BC에서 CÅB

1
>를 가지므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➊
%
 B ™A B™A B  
∴ BCB[ÅB]Å B ™A 

………………………………………………………………………………… ➋ B  ∴ B

이때 ƒBƒ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일 때 최댓값은 이고, B일 때 최솟값은 이다. = > B , =>B™A B 
따라서 BC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 > => = > 
  B™A B   B 
………………………………………………………………………………… ➌ B™A B

채점 기준 배점 [B Ä] d
➊ C를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20%
➋ BC를 B에 대한 이차식으로 나타내기 30% 이때 B이므로 BÄ일 때 최솟값은 d이다.
➌ BC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 구하기 50%

0675 ④

점 1 B, C 는 직선 ZÅY  위의 점이므로

0672 y CÅB  UU ㉠

두 점 ", #의 좌표는 각각 ,  , ,  이고 이때 점 1는 점 "


점 1 B, C 가 직선 Y Z 위의 점이므로
에서 점 #까지 움직이므로 Y좌표의 범위는 ƒBƒ
B C ∴ CB 
㉠을 B™A C에 대입하면
B™A C™ B™A B  ™
B™AB  B™A CB™A [ÅB ]

[By] y B™AB 
 B ™A  ƒBƒ
따라서 By일 때 최솟값은 y이다. 따라서 B일 때 최솟값은 이다.

아래로 볼록한 이차함수 Z B ™A 이 B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ƒBƒ에서 B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B일 때 최댓값을 가지고,
B일 때 최솟값을 가진다.
0673 

점 "는 이차함수 ZY™AY 의 그래 Z ZY™AY 


 ੉ରೣࣻ੄୭‫ ؀‬୭ࣗ੄ഝਊ
프와 Z축의 교점이므로 " ,  "
두 점 #, $는 이차함수 ZY™AY 의
그래프와 Y축의 교점이므로  
0676 ③

Y™AY , Y Y  0 # $ Y


이차함수 ZY™A 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는 ,
∴ Y 또는 Y 이므로 점 #의 좌표를 B,  B 이라 하면
∴ # ,  , $ ,  $ B, B™A 
점 1 B, C 가 이차함수 ZY™AY 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 "#“B, #$“B™A 
CB™AB  따라서 직사각형 "#$%의 둘레의 길이는
이때 점 1가 점 " ,  에서 점 $ ,  까지 움직이므로  B™A B   B ™A 
ƒBƒ 이때 B이므로 B일 때 최댓값은 이다.
∴ B™A C B™A B™AB   따라서 직사각형 "#$%의 둘레의 길이의 최댓값은 이다.
B™AB 

0677
 B ™A A ƒBƒ

따라서 B™A C 은 B일 때 최댓값 를 갖고, B일 때 최솟
값 를 가지므로 구하는 합은 ZY™A Y  Y ™A  Yy
  따라서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때는 초 후이다.

Ⅱ. 방정식 111
0678 원 0681 ADN

사과 한 개의 가격이 Y 원일 때 하루 판매량은  Y 개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를


이므로 하루 판매액을 Z원이라 하면 YADN라 하면 가로의 길이는
YADN
Z Y  Y Y ADN이다.
Y™A Y  이때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모두 양수이므 ADN
 Y ™A  로 Y, Y
따라서 Y일 때 사과의 하루 판매액이 최대가 되므로 이때의 ∴ Y
사과 한 개의 가격은 직사각형의 넓이를 ZADN™A라 하면
 원 ZY Y
Y™A Y
 Y ™A 

0679
이때 Y이므로 직사각형의 넓이는 Y일 때 최댓값은 이
AN
다.
그림과 같이 닭장의 가로의 길이를 YAN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가 최대일 때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는
라 하면 세로의 길이는 Y AN이 ADN이고 가로의 길이는 @ DN 이므로 가로의 길이
다. 와 세로의 길이의 차는  DN
벽 Y AN
이때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모두 양수이
므로
Y, Y ∴ Y
YAN
0682 ⑤
………………………………………………………………………………… ➊
그림과 같이 직선 M„ 위의 직사각형의 꼭 Mm Z M„
닭장의 넓이를 ZAN™A라 하면
짓점을 1, 직선 Mm 위의 직사각형의 꼭짓 
ZY Y Y™A Y 
점을 2라 하고 두 점 1, 2의 Y좌표를 각
 Y ™A  
 1 2
각 B, C [ÅB, C]라 하면 
………………………………………………………………………………… ➋
이때 Y이므로 닭장의 넓이는 Y일 때 최댓값은 0B  C  Y
1 B, B  , 2 C, C 
이다. 이때 선분 12는 Y축과 서로 평행하므로 두
따라서 가로의 길이는 AN, 세로의 길이는 @ N 점 1, 2의 Z좌표는 같다.
일 때 닭장의 넓이가 최대가 되므로 닭장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즉, B C 에서 CB 이므로
길이의 합은 12“CB B  BB 
  N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를 4라 하면
………………………………………………………………………………… ➌ 412“@ 점 1의 Z좌표
채점 기준 배점  B  @ B 
➊ 닭장의 가로의 길이의 범위 구하기 40% B™A B 

➋ 닭장의 넓이를 이차식으로 나타내기 40% [BÅ] ig
➌ 닭장의 넓이가 최대가 될 때 가로와 세로의 길이의 합 구하기 20%
이때 ÅB이므로 BÅ일 때 최댓값은 ig 이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은 ig 이다.

0680 Å!ÅL

U초 후 원뿔의 밑면의 넓이는 U  L이고 높이는 U이다.


이때 변의 길이는 양수이므로 U
원뿔의 부피를 7라 하면

7Å@ U  L@ U

w U™A U 


w U ™A L


이때 U이므로 U일 때 최댓값은 L이다.


따라서 원뿔의 부피의 최댓값은 L이다.


112 정답과 풀이
 Å

다른 풀이

1
G Y 의 두 근이 , 이므로
0683  G  , G  
G Y  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은
ZBY™A CY D의 그래프가 점 ,  를 지나므로
D ∴ ZBY™A CY Y , Y 에서 Y 또는 YÅ
ZBY™A CY의 그래프가 점  ,  을 지나므로
따라서 G Y  의 두 근의 합은
 는 이차방정식 BY™A CY의 한 근이다.
 Å
이때 이차방정식 BY™A CY의 계수가 모두 유리수이고 한 근
이  이므로 다른 한 근은 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C 0687 ④
B
이차함수 Z G Y 가 G  Y  G Y 를 만족시키므로 Y

    에 대칭인 함수이다.
B
이므로 B, C 즉,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를 =,
∴ BCD@@   >라 하면
= >
 ∴= >


0684 ② G Y B Y= Y> B  이므로 Y 대신 Y를 대입하면


G Y B Y= Y>
이차함수 ZY™A  BL Y L™A L C의 그래프가 Y축에 접하 따라서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은
므로 이차방정식 Y™A  BL Y L™A L C의 판별식을 %라 Y = 또는 Y >
하면 이때 = >이므로 G Y 의 두 근의 합은
%  =  >  = >
 BL ™A L™A L C 

 
B™ABL L™AL™ALC
∴ B L B™AC UUA㉠
㉠이 실수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이차함수 Z G Y 에 대하여 G B Y  G CY 를 만족시키면 G Y 는
B, B™AC B C
Y 에 대칭인 함수이다.

따라서 B, C이므로
CB  

0688 ④

0685 
이차함수 ZY™A Y 의 그래프와 직선 ZBY C가 만나는
점 B, C 가 이차함수 ZY™AY 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두 점 중 한 점의 Y좌표가  이므로  는 이차방정식
CB™AB  Y™A Y BY C, 즉 Y™A B Y C의 한 근이다.
∴ B™ACB™A B™AB   이때 이차방정식 Y™A B Y C의 계수가 모두 유리수이
B™A B 고 한 근이  이므로 다른 한 근은 이다.
 B  ™A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B일 때 최솟값은 이다.     B
   C
이므로 B , C
0686 ② ∴ B, C
∴B C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Y축과 서로 다른 두 점
,  , ,  에서 만나므로
G Y B Y  Y B 라 하자.
0689 
이차방정식 G Y 에 Y 대신 Y 을 대입하면
이차함수 ZY™A Y, 즉 Z Y  ™A의 그래프를
G Y  B Y  Y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따라서 G Y  의 두 근은 Y 또는 YÅ 이므로 두 근
Z  Y  ™A
의 합은 ∴ Z Y  ™A

Ⅱ. 방정식 113
이차함수 Z Y  ™A의 그래프와 직선 ZNY가 만나는 두 점 0693 ③
1, 2의 Y좌표를 각각 =, >라 하면 =, >는 이차방정식
직선 ZBY C가 직선 ZY에 평행하므로
Y  ™ANY, 즉 Y™A N Y의 두 근이다.
B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직선 ZY C가 이차함수 ZY™AY 의 그래프와 접하므로
= >N
이차방정식 Y™AY Y C, 즉 Y™AY C의 판별
두 점 1, 2의 Y좌표의 합이 , 즉 = >이므로
식을 %라 하면
N ∴ N
%
  ™A C 

C ∴ CÄ

0690 ③ ∴ BC@Ä

직선 ZYN O이 이차함수 ZY™A의 그래프와 항상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YN OY™A,
즉 Y™AY NO의 판별식을 %라 하면
%  ™A NO  0694 ③
∴ NO
직선 ZNY O이 이차함수 ZY™ABY B™A B의 그래프
와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Y™ABY B™A BNY O, 즉
Y™A B N Y B™A BO의 판별식을 %라 하면

0691 ④ %\ B N ^™A B™A BO 


∴ N B N™A O   UUA㉠
ㄱ. Y™AY Y Y  에서 Y 또는 Y
이때 ㉠이 실수 B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즉, 이차함수 ZY™AY의 그래프와 Y축이 만나는 두 점의 Y
N, N™A O 
좌표는 , 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  ]이다.
∴ N, O
ㄴ. O일 때, 이차함수 ZY™AY의 그래프와 직선
∴N O  
ZY 가 만나는 점의 개수는 이차방정식
Y™AYY , 즉 Y™AY의 근의 개수와
같으므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0695
%
  ™A   

따라서 이차함수 ZY™AY의 그래프와 직선 ZY 는
B  B™A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G Y Y™A BY C ™A[Y ]   C ™A
 
ㄷ. 이차함수 ZY™AY의 그래프와 직선 ZY O이 접하므 ㈎에서 함수 G Y 는 Y에서 최솟값을 가지므로
로 이차방정식 Y™AYY O, 즉 Y™AYO의 B
  ∴ B
판별식을 %라 하면 
% ㈏에서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와 직선 ZDY가 한 점에서만
  ™A O  O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Y™A BY C ™ADY, 즉
∴ O Y™A BD Y C ™A의 판별식을 %라 하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 BD ™A  C ™A
이때 BD ™Ay,  C ™Ay이므로
BD ™A,  C ™A

0692
따라서 BD, C이므로

B C D  
이차함수 ZY™ABY B™A의 그래프와 직선 ZY L가 만
나지 않으므로 이차방정식 Y™ABY B™AY L, 즉
Y™A B Y B™AL의 판별식을 %라 하면
%

\ B ^™A B™AL  0696 

∴ LB™A B G Y BY™ABY CB Y ™AB C라 하자.


Œ B일 때, L이므로 G   Œ B일 때,
 B일 때, L이므로 G   G Y 는 Y에서 최댓값 을 가지고, Y에서 최솟값 을
Ž B일 때, L이므로 G   가지므로
Œ ~Ž에서 G  G  G     G  B C, G  B C

114 정답과 풀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Å, C 0699 ⑤

∴B CÅ  ZÅ Y™AY ™A Y™AY L에서

 B일 때,
G Y 는 Y에서 최솟값 을 가지고, Y에서 최댓값 을
Y™AYU로 놓으면 U Y ™A
ƒYƒ에서 Y일 때 최댓값은 이고, Y일 때 최솟값
1
가지므로 은 이므로 ƒUƒ
G  B C, G  B C 이때 주어진 함수는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Å, C ZÅ Y™AY ™A Y™AY LÅU™A U L

∴B CÅ  Å U  ™A LÅA ƒUƒ

Œ, 에서 B C
따라서 U일 때 최솟값은 LÅ이므로

LÅ ∴ L
주어진 Y의 값의 범위에 꼭짓점이 포함된 경우, 이차함수의 최고차항의 계
수가 양수일 때 꼭짓점의 Z좌표가 최솟값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일

0700
때에는 꼭짓점의 Z좌표가 최댓값이다.


Y™AYU로 놓으면
0697  Y™AY ™A Y™AY Z Z™AZ L
U™AUZ Z™AZ L
㈎에서 Y에 대한 방정식 G Y 의 두 근이 와 이므로
 UZ ™A Z ™A L
G Y B Y  Y B  라 하면
이때 U, Z가 실수이므로
G Y B Y™AY B Y ™AB
UZ ™Ay, Z ™Ay
㈏에서
∴ UZ ™A Z ™A LyL
Œ B일 때
따라서 최솟값이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ƒYƒ에서 G Y Z ZG Y
L ∴ L
는 Y일 때 최댓값 을 갖는다.

따라서 G  이므로
G  B@@B 0
0701 
즉, B이므로 B    Y
 점 1 B, C 는 이차함수 ZY™AY 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 B일 때
CB™AB 
오른쪽 그림과 같이 ƒYƒ에서 G Y Z
 ZY™AY  Y Y 에서 Y 또는 Y
는 Y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0 Y ∴ " ,  , # ,  , $ , 
하지만 G  B@@B
이때 점 1가 점 " ,  에서 점 $ ,  까지 움직이므로
즉, B이므로 최댓값이 이 될 수
ƒBƒ
없다.
ZG Y
∴B C B B™AB  
Œ, 에서 B이므로
B™AB 
G Y  Y  Y
 B ™A 
∴ G  @  @  
따라서 B일 때 최솟값은 , B 또는 B일 때 최댓값은 이
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0698   

0702
Z Y™A Y ™A  Y™A Y 에서 UY™A Y U
ADN™A
Y™A YU로 놓으면 

U Y  ™A 두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각각 BADN, CADN라 하면


ƒYƒ이므로 그림에서 ƒUƒ  B C ∴ CB
0 Y
Z Y™A Y ™A  Y™A Y  이때 변의 길이는 양수이므로 B, B
U™A U ∴ B
 U  ™A ƒUƒ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따라서 U일 때 최솟값은 이고 U일 때 최댓값은 이므로 B™A C™AB™A B ™A
., N B™AB 
∴. N  B ™A 

Ⅱ. 방정식 115
이때 B이므로 B일 때 최솟값은 이다. ∴ Y™A Z™A YZ y
따라서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의 최솟값은 ADN™A이다. ………………………………………………………………………………… ➊
따라서 Y™A Z™A YZ 는 Y , Z

0703
즉, Y, Z에서 최솟값 를 가지므로

B, C, D
G Y Y™ABY B YB ™AB™A B Z ZG Y ………………………………………………………………………………… ➋

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 BCD@@  


" B, B™A B ………………………………………………………………………………… ➌

∴ # B,  채점 기준 배점
" B AB™A B A
∴ 0#“B, "#“B™A B
0 # B A Y ➊ Y™A Z™A YZ 의 값의 범위 구하기 50%
따라서 0#“ "#“H B 라 하면 ➋ B, C, D의 값 구하기 30%
H B B B™A B ➌ BCD의 값 구하기 20%
B™A B B ™A 
이때 B이므로 B에서 최댓값 를 갖는다.

0706
따라서 0#“ "#“의 최댓값은 이다.


0704
그림에서 U초 후 "1“$3“U, " U 4 U %
 U
"4“$2“U 1
U
이차방정식 Y™A QY R의 두 근이 =, = 이므로 이므로
U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3“U 3
U
Q = =  =  UUA㉠ #2“%4“U # $
U 2 U
R = =  UUA㉡ 이때 U이고 변의 길이는 양수이므로
………………………………………………………………………………… ➊ U
이차방정식 Y™ARYQ의 두 근이 =, = 이므로 두 직각삼각형 "14, $32의 넓이는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Å@U@UU™A
R= =  =  UUA㉢
………………………………………………………………………………… ➊
Q= =  UUA㉣
또한 두 직각삼각형 #12, %34의 넓이는
………………………………………………………………………………… ➋
㉠, ㉣에서 = = =  Å@ U @ U U™AU 
=™A=, =  =  ………………………………………………………………………………… ➋
∴ = 또는 = UUA㉤ 따라서 사각형 1234의 넓이를 4라 하면
㉡, ㉢에서 = =  =  4™A\U™A U™AU  ^
=™A, =  =  U™A U
∴ = 또는 = UUA㉥  U ™A 
㉤, ㉥에서 = ………………………………………………………………………………… ➌
………………………………………………………………………………… ➌
이때 U이므로 U일 때 최댓값은 이다.
=를 ㉠, ㉢에 대입하면 따라서 사각형 1234의 넓이의 최댓값은 이다.
Q, R ………………………………………………………………………………… ➍
∴Q R =  
채점 기준 배점
………………………………………………………………………………… ➍
➊ U초 후의 두 직각삼각형 "14, $32의 넓이 구하기 40%
채점 기준 배점
➋ U초 후의 두 직각삼각형 #12, %34의 넓이 구하기 30%
➊ 이차방정식 Y™A QY R의 두 근의 합과 곱 나타내기 20%
➌ 사각형 1234의 넓이를 U에 대한 이차식으로 나타내기 20%
➋ 이차방정식 Y™ARYQ의 두 근의 합과 곱 나타내기 20%
➍ 사각형 1234의 넓이의 최댓값 구하기 10%
➌ =의 값 구하기 40%
➍ Q R =의 값 구하기 20%

0705 

Y™A Z™A YZ  Y  ™A  Z ™A


이때 Y, Z가 실수이므로
Y  ™Ay, Z ™Ay

116 정답과 풀이
G = = , G > > 
이때 직선 ZY 의 기울기 ZG Y

가 이므로 삼각형 "#$는 직 " = AAG = # > AAG =

1
±

0707
각이등변삼각형이다.

즉, 직각이등변삼각형 "#$의
$ > AAG >
0"“0#“이므로 " =,  , # =,  = 이라 하면 넓이가 이므로
ZY 
=, =는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이다. Å@ >= ™A
이때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의 합이 이므로
>= ™A
= =에서 =
∴ >= ∵ => UUA㉢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한편, 이차방정식 G YL 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은
YL, YL에서 =Å, >
L L  이것을 ㉡에 대입하면
Y 또는 Y
 
이차방정식 G YL 의 두 근의 합이 이므로 Å@L  ∴ Lid
L L 
 따라서 G Y Y™A Y id이므로
 

L , L ∴ L G  ™A @ iddo

0708 ④
0710 ②
Z G Y 를 Z축에 대칭인 이차함수라 하면 "#“M이므로
이차함수 Z G Y 의 이차항의 계수는 이고 Z G Y 의 그래프와
M M
"[ , ], #[ , ] Y축의 교점의 Y좌표가 =, >이므로 =, >는 이차방정식 G Y 의
 
M M 두 근이다.
∴ ZB[Y ][Y ] 단, B  UUA㉠
  ∴ G Y  Y= Y> A 단, => UUA㉠
그림에서 Z이면 ㉠의 그래프는 Z ZG Y
또한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와 직선 ZH Y 의 두 교점의
M 
M  Z Y좌표가 =, ?이므로 =, ?는 이차방정식 G Y H Y ,
점[ , ]을 지나므로 & '

M  즉, G Y H Y 의 두 근이다.
M  M M  M Z
B[ ][  ] $
M
% ∴ G Y H Y  Y= Y?
   
" 0 # Y
 ∴ H Y  G Y  Y= Y?
∴ [M Å]@Å UUA㉡
B  Y= Y>  Y= Y? ∵㉠
M   Y= Y>Y ?
Z이면 ㉠의 그래프는 점 [ , ]를 지나므로

 Y= ?>
M  M M  M
B[ ][  ]  Y= ∵ ?>
   
 이때 H  이므로
∴ [M Ä]@Ä UUA㉢
B = ∴ =
㉢㉡@를 하면 ÄM  M   >=에서 > ∴ >
?>에서 ? ∴ ?
ÅM  ∴ M 따라서 G Y  Y Y 이므로
G = > ?  G  @

0709 do

이차함수 G Y Y™A Y L의 그래프와 직선 ZY 이 두


0711 ⑤

점에서 만나고, 그 교점의 Y좌표가 각각 =, > => 이므로 ㄱ. ZY™A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O O은 자연수 만큼,
=, >는 이차방정식 Y™A Y LY , 즉 Y™AYL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의 두 근이다. Z YO ™A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G Y  YO ™A 
= > UUA㉠ 즉, Z G Y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가 O,  이므로 함수
=>L  UUA㉡ G Y 의 최솟값은 이다.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와 직선 ZY 은 ㄴ. O일 때, G Y  Y ™A 이므로
두 점 " =, G = , $ >, G > 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G Y 에서 Y ™A , 즉 이차방정식

Ⅱ. 방정식 117
Y™A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한편, 이차함수의 식에 Y을 대입하면 ZB 이므로
% $ , B 
  ™A

"#“ B  B , 0$“B 이므로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
△"#$Å@"#“@0$“
의 관계에 의하여 서로 다른 두 실근의 합은 이다.
O
ㄷ. 이차방정식 YO ™A Y ,즉 Å B  B 

Y™A O  Y O™A O 의 판별식을 %라 하면
Ä B B 
%
\ O  ^™A O™A O  O

Ä B™AB
%
이때 O이 자연수이므로 O이다. 

Ä[BÅ] ig
O
따라서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와 직선 ZY 는

이때 B이므로 BÅ일 때 최댓값은 ig이다.
만나지 않는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따라서 삼각형 "#$의 넓이의 최댓값은 ig이다.
다른 풀이

0714
ㄴ. O일 때, G Y  Y ™A 이므로 Z G Y 의 그래프의

대칭축은 직선 Y이다.
즉, 방정식 G Y 의 서로 다른 두 실근 =, >에 대하여 두 이차함수 ZY™AY , ZY™A Y 의 그래프가 만나는
= > 점의 Y좌표는 이차방정식 Y™AY Y™A Y , 즉
이므로 두 실근의 합은 = >이다.

Y™AY의 실근과 같으므로 Y Y 

∴ Y 또는 Y ∴ " ,  , #[, ]

0712 ④ Z YL
ZY™AY 

%
LƒYƒL 에서 이차함수 ZY™A Y 의 함숫값의 범위가 " 
BLƒZƒCL이므로 최솟값이 BL이고, 최댓값이 CL이다. 
#

ㄱ. ZY™A Y  Y  ™A  $
0  Y
ƒYƒ일 때, 주어진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가 최

ZY™A Y 
소이다.
또한 두 점 $, %의 Y좌표가 L이므로
이때 최솟값은 G  이고, 최댓값은 G   G  
$ L, L™AL  , % L, L™A L 
이므로 L일 때 BL, CL이다.
∴ $%“ L™A L   L™AL  L™A L
따라서 CLBL의 최솟값은 이다.
한편, 두 점 ", #에서 직선 YL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ㄴ. ㄱ에 의하여 CLBLy이고 CLBL인 실수 L의 값은
)„, )m라 하면
로 오직 하나뿐이다.
N인 상수 N에 대하여 ")“„L, #)“mL
CLBLN을 만족시키는 실수 L의 개수는 항상 이므로
삼각형 "$%의 넓이는
CLBL를 만족시키는 실수 L는 개 존재한다.
Å@$%“@")“„Å@ L™A L @L
ㄷ. BL이면 LƒYƒL 에 Y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LƒƒL 에서 ƒLƒ 삼각형 #$%의 넓이는
이때 CL가 L일 때 최솟값 을 가지고, L 또는
Å@$%“@#)“mÅ@ L™A L @[L]
L일 때 최댓값 을 가진다.
∴ ƒCLƒ 이므로 사각형 "$#%의 넓이를 5 L 라 하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5 L Å@ L™A L @<L [L]=

 L™A L

0713 ② [L]

šA

이차함수 ZY™A B  Y B 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 šA
이때 L이므로 L일 때 최댓값은 이다.

의 Y좌표는 Y™A B  Y B 에서
šA
YB Y  따라서 =, 4 이므로

∴ YB  또는 Y 
=™A 
@[] @ 
그런데 B이므로 " B ,  , # ,  4 šA

118 정답과 풀이
∴ G Y  Y Y™AY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AY  
ৈ۞о૑ߑ੿ध ∴ Y 또는 Y
†J

1

따라서 =, >, ?이므로
 ࢖ରߑ੿धҗࢎରߑ੿ध੄ಽ੉ = >? 

⑴ Y 또는 Y 또는 Y


†J
⑵ Y 또는 Y 또는 Y
0717


†
⑶ Y 또는 Y

G Y YšA Y라 하면
G   
⑴ YšAY™AY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Y Y™AY , Y Y  Y 
    
∴ Y 또는 Y 또는 Y
  
⑵ Y›AYšA Y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YšA Y Y , Y YšA  
∴ G Y  Y Y™A Y 
Y  Y Y™AY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A Y  
†J
∴ Y 또는 Y 또는 Y 이때 삼차방정식 YšA Y의 두 허근 =, >는 이차방정식

⑶ G Y YšAY™A 이라 하면 G    Y™A Y 의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의하여

     = >, =>
   > = =™A >™A = > ™A=>
∴  
= > => =>
   
 ™A@
∴ G Y  Y Y™AY  Ä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AY 
†
∴ Y 또는 Y

인수정리 0718 ⑤

다항식 G Y 에 대하여 G B 이면 G Y 는 일차식 YB로 나누어떨어 G Y YšAY™A Y이라 하면


진다. G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0715 ⑤    

YšAY™AY 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 G Y  Y Y™AY 


Y™A Y  Y , Y Y™A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AY  
Y  Y Y  ∴ Y 또는 Y 또는 Y 이때 삼차방정식 YšAY™A Y의 두 허근 =, >는 이차방정
따라서 가장 큰 근은 , 가장 작은 근은 이므로 식 Y™AY 의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 에 의하여
∴ =>   =>
또한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의 한 허근이 =이면 =q도 근이므로
=q>, >q=

0716
∴ ==q >>q=>


G Y YšAY™A Y이라 하면

0719
G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G Y Y›AYšA Y™A Y이라 하면
   G    
    G    

Ⅱ. 방정식 119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 =šA >šA = > šA=> = >
      šA@  @
    ………………………………………………………………………………… ➋
      ∴ =šA >šA ?šA šA
   ………………………………………………………………………………… ➌
   
채점 기준 배점
∴ G Y  Y  Y Y™AY  ➊ 주어진 방정식을  꼴로 정리한 후 좌변을 인수분해하기 40%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 Y™AY   ➋ =šA >šA의 값 구하기 40%
………………………………………………………………………………… ➊
➌ =šA >šA ?šA의 값 구하기 20%
∴ Y 또는 Y 또는 Y†J
………………………………………………………………………………… ➋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 ➌
0722 ②
채점 기준 배점
G Y Y›A YšAY™AY이라 하면
➊ 주어진 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기 50%
G   
➋ 방정식의 해를 모두 구하기 30%
G   
➌ 모든 실근의 합 구하기 2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0720
   

     
G Y Y›AYšAY™A Y라 하면   
G       
G    ∴ G Y  Y  Y  Y™A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Y  Y  Y  Y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  Y  Y 
    ∴ Y 또는 Y 또는 Y 또는 Y
      ∴ = > ? @
      @   @   @ 
    
∴ G Y  Y Y  Y™AY  다른 풀이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  Y™AY   사차방정식 Y›A YšAY™AY의 네 근이 =, >, ?, @이
이때 사차방정식 Y›AYšAY™A Y의 두 허근 =, >는 이차 므로
방정식 Y™AY 의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Y›A YšAY™AY Y= Y> Y? Y@
관계에 의하여 위의 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 >, => = > ? @  
∴ =™A >™A = > ™A=>
™A@

0721 

Y Y Y  Y에서


Y Y Y   Y 
 ҕాࠗ࠙੉੓‫ࢎח‬ରߑ੿ध੄ಽ੉m஖ജ੉ਊ

Y \ Y Y  ^ ⑴ Y 또는 Y 또는 Y 또는 Y


∴ Y Y™AY  †J
⑵ Y 또는 Y 또는 Y
………………………………………………………………………………… ➊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은 이고 나머지 두 근은 이차방정식
Y™AY의 근이다. ⑴ Y™A Y ™A Y™A Y 에서
이때 ?라 하면 =, >는 이차방정식 Y™AY의 두 근이므 Y™A Y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9™A9, 9 9 
= >, => ∴ 9 또는 9

120 정답과 풀이
 Œ 9일 때, Y™A Y에서 0725 ③
Y Y   ∴ Y 또는 Y
Y™AY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 9일 때, Y™A Y에서

1
9™A 9 , 9  9  
Y™A Y, Y  Y 
∴ 9 또는 9
∴ Y 또는 Y
Œ 9일 때, Y™AY에서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해는
Y™AY 
Y 또는 Y 또는 Y 또는 Y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⑵ Y™AY ™A Y™AY 에서
%„  ™A@@
Y™AY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9™A9, 9  9 
 9일 때, Y™AY에서
∴ 9 또는 9
Y™AY 
 Œ9일 때, Y™AY에서
†J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m라 하면
Y™AY  ∴ Y
 %m  ™A@@
  9일 때, Y™AY에서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Y™AY, Y  Y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두 실근은 방정식 Y™AY 의
∴ Y 또는 Y 근이므로 구하는 모든 실근의 곱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해는 에 의하여 이다.
†J
Y 또는 Y 또는 Y

Œ 9일 때, Y™AY에서
Y™AY , Y Y 

0723 ④ ∴ Y 또는 Y


인수분해가 가능하면 인수분해를 사용하여 해를 구해도 된다.
Y™A Y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9™A9 , 9 9 
∴ 9 또는 9
Œ 9일 때, Y™A Y에서
0726 ⑤

Y™A Y, Y  Y  Y™A Y Y™A Y  에서


∴ Y 또는 Y Y™A Y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 9일 때, Y™A Y에서 9 9  , 9™A 9
Y™A Y, Y  Y  9  9  ∴ 9 또는 9
∴ Y 또는 Y Œ 9일 때, Y™A Y에서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음의 근은 , 이므로 구하는 합은 Y™A Y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A@@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 9일 때, Y™A Y에서
0724 ① Y™A Y

Y™AY ™AY™A Y 에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m라 하면

Y™AY ™A Y™AY %m™A@@  

Y™AY ™A  Y™AY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Y™AY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두 허근 =, >는 방정식 Y™A Y 

9™A 9, 9  9  의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9 또는 9 =>

Œ 9일 때, Y™AY에서 또한 =q>, >q=이므로

Y™AY , Y Y  ==q >>q=>@

∴ Y 또는 Y

0727
 9일 때, Y™AY에서

Y™AY ∴ Y†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해는 Y™A Y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Y 또는 Y 또는 Y† 9 ™A9, 9™A9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이 아닌 것은 ①이다. 9  9  ∴ 9 또는 9

Ⅱ. 방정식 121
Œ 9일 때, Y™A Y에서 0729 ⑤
Y™A Y 
Y Y Y  Y  에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 Y Y  ^\ Y Y  ^ 
%„™A@@
Y™A Y Y™A Y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이때 Y™A Y9로 놓으면
 9일 때, Y™A Y에서
9 9 , 9™A9 
Y™A Y
9 9  ∴ 9 또는 9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m라 하면
Œ 9일 때, Y™A Y에서
%m™A@@  
Y™A Y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A@@  
두 실근은 방정식 Y™A Y의 근이고,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두 허근은 방정식 Y™A Y 의 근이다.
 9일 때, Y™A Y에서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A Y
B, C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m라 하면
∴ CB  
%m™A@@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모든 실근의 곱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728   @  

Y Y  Y  Y  에서
\Y Y  ^\ Y  Y  ^
Y™A Y Y™A Y  
이때 Y™A Y9로 놓으면
9 9  , 9™A 9
9  9  ∴ 9 또는 9
………………………………………………………………………………… ➊
 YšA BY˜A CԜ੄ߑ੿ध੄ಽ੉
Œ 9일 때, Y™A Y에서
Y™A Y  ⑴ Y†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J †J
⑵ Y 또는 Y
 
%„™A@@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 ➋ ⑴ Y™A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 9일 때, Y™A Y에서 9™A9 , 9 ™A
Y™A Y ∴ 9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m라 하면 따라서 Y™A이므로 Y†
%m™A@@   ⑵ Y›A Y™A 에서 Y›A Y™A  Y™A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Y™A  ™AY™A, Y™A Y  Y™AY  
………………………………………………………………………………… ➌ Y™A  또는 Y™AY 
Y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두 허근 =, >는 이차방정식 †J †J
∴ Y 또는 Y
 
Y™A Y 의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0730 
∴ = > ™A  ™A
Y™A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 ➍
9™A9 , 9 9 
채점 기준 배점
∴ 9 또는 9
➊ Y™A Y9로 놓고 9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해 구하기 25%
즉, Y™A 또는 Y™A이므로
➋ 9일 때, 근을 판별하기 25% Y† 또는 Y†
➌ 9일 때, 근을 판별하기 25% ∴ ]=] ]>] ]?] ]@]]] ]] ]] ]]
➍ = > ™A의 값 구하기 25% 

122 정답과 풀이
0731  이때 Y

Y
9로 놓으면

Y™A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9™A 9 , 9  9  

1
9™A9, 9  9  ∴ 9 또는 9
∴ 9 또는 9 
Œ 9일 때, Y 에서
Y
즉, Y™A 또는 Y™A이므로
Y™A Y  ∴ Y†
Y†J 또는 Y†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허근은 †J이므로 두 허근의 곱은  9일 때, Y 에서
Y
J @ J J ™A †J
Y™A Y  ∴ Y


0732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은 †이다.


Y›AY™A 에서
Y›AY™A  Y™A, Y™A ™A Y ™A 0735 
Y™A Y Y™AY 
방정식 Y›A YšAY™A Y 의 양변을 Y™A으로 나누면
Y™A Y 또는 Y™AY
   
∴ Y† 또는 Y† Y™A Y , Y™A [Y ]
Y Y™A Y™A Y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두 양의 근은  ,  이므로   
∴ [Y ] [Y ]
= >      Y Y

이때 Y L이므로 L™A L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
Y
0733  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L의 값의 합은 이다.

Y›A Y™A 에서


Y›A Y™A  Y™A, Y™A  ™AY™A
Y™A Y  Y™AY   0736 
………………………………………………………………………………… ➊
방정식 Y›AYšA Y™AY 의 양변을 Y™A으로 나누면
Y™A Y  또는 Y™AY     
Y™AY  , Y™A [Y ] 
방정식 Y™A Y 의 두 근을 =, >, Y Y™A Y™A Y
방정식 Y™AY 의 두 근을 ?, @라 하면   
∴ [Y ] [Y ] 
Y Y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이때 Y 9로 놓으면
Y
………………………………………………………………………………… ➋
9™A9 , 9 9 
    = > ? @ 
∴   Å ∴ 9 또는 9
= > ? @ => ?@ 
………………………………………………………………………………… ➊
………………………………………………………………………………… ➌

채점 기준 배점 Œ 9일 때, Y 에서 Y™AY 
Y
➊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하기 30%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➋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 >, =>, ? @, ?@ %„  ™A@@
40%
의 값 구하기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 > ? @
의 값 구하기 30% ………………………………………………………………………………… ➋

 9일 때, Y 에서 Y™AY 
Y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m라 하면
%m
  ™A@

 BYšA CY™A DY˜A CY BԜ੄ߑ੿ध੄ಽ੉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 ➌
0734 ① Œ, 에서 =는 방정식 Y™AY 의 근이므로

방정식 Y›A YšA Y™A Y 의 양변을 Y™A으로 나누면 =™A= 

    이때 = 이므로 양변을 =로 나누면


Y™A Y  , Y™A [Y ] 
Y Y™A Y™A Y  
=  ∴= 
   = =
[Y ] [Y ] 
Y Y ………………………………………………………………………………… ➍

Ⅱ. 방정식 123
채점 기준 배점 ∴ G Y  Y  Y™A Y
  Y  Y  Y
➊Y
Y
9로 놓고 9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해 구하기 30%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  Y 
➋ 9일 때, 근을 판별하기 30%
∴ Y 또는 Y 또는 Y
➌ 9일 때, 근을 판별하기 30%
따라서 나머지 두 근은 , 이다.

➍=
=
의 값 구하기 10%

0738 ③

0737 ⑤
방정식 YšALY™A L  Y의 한 근이 이므로
방정식 Y›A YšA Y™A Y 의 양변을 Y™A으로 나누면 L  L  
    L ∴ L
Y™A Y  , Y™A [Y ] 
Y Y™A Y™A Y 즉, 주어진 방정식은 YšAY™A Y이므로
   G Y YšAY™A Y라 하면 G  
∴ [Y ] [Y ] 
Y Y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이때 Y 9로 놓으면
Y     
9™A 9 , 9  9     
∴ 9 또는 9    
 ∴ G Y  Y Y™AY 
Œ 9일 때, Y 에서
Y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AY  
Y™A Y  이때 =, >는 이차방정식 Y™AY 의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 = >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L = > 

 9일 때, Y 에서
Y
Y™A Y 

0739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m라 하면

%m™A@@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방정식 YšA Y™ABY C의 한 근이 이므로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두 실근은 방정식 Y™A Y 의   šA  ™AB C
근이고, 두 허근은 방정식 Y™A Y 의 근이다.  B C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C B 
B, C B, C가 유리수이므로  C, B
∴ CB   따라서 B, C이므로
BC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

⑴ 유리수 Q, R와 무리수 uN에 대하여


Q RuN Q, R
⑵ 유리수 Q, R, S, T와 무리수 uN에 대하여
 Ӕ੉઱য૓࢖•ࢎରߑ੿ध Q RuNS TuN QS, RT

B, 나머지 두 근: , 

0740
방정식 YšA BY™AY의 한 근이 이므로

 B  ∴ B
즉, 주어진 방정식은 YšA Y™AY이므로 방정식 Y›AYšA BY™A Y 의 한 근이 이므로
G Y YšA Y™AY이라 하면 G     B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B ∴ B
     즉, 주어진 방정식은 Y›AYšAY™A Y 이므로
   G Y Y›AYšAY™A Y 이라 하면 G  
    G    

124 정답과 풀이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즉, Y™A 또는 Y™A이므로
      Y† 또는 Y†
    따라서 구하는 네 근의 곱은

1
      @@  @
   ………………………………………………………………………………… ➌
   
채점 기준 배점
∴ G Y  Y  Y  Y™AY  ➊ B, C의 값 각각 구하기 50%
 Y  Y  Y Y ➋ Y™A9로 놓고 9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해 구하기 25%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  Y Y  ➌ 네 근의 곱 구하기 25%
∴ Y 또는 Y 또는 Y 또는 Y
따라서 B, C이므로
B C 


0741
Ӕ੄ઑѤ੉઱য૓࢖ରߑ੿ध
Å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이 , 이므로


 BC B에서
0743 ②

BC UUA㉠ G Y YšA L  YL라 하면


BC  B에서 G   L L
B C UUA㉡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L   L
즉, 주어진 방정식은 Y›AYšAY™A Y 이므로     L
   L 
G Y Y›AYšAY™A Y 라 하면 G  , G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 G Y  Y  Y™AYL
      이때 방정식 G Y 이 중근을 가지려면
    Œ 방정식 Y™AYL이 Y을 근으로 갖는 경우
       L ∴ L
  
     방정식 Y™AYL이 중근을 갖는 경우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G Y  Y  Y Y™A
%  ™A@@ L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 Y™A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나머지 두 근은 방정식 Y™A의 근이므  L ∴ Lt

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구하는 곱은 Å이다. Œ, 에서 모든 실수 L의 값의 합은

 [t]f

0742  0744 ④

사차식 Y›A BY™A C가 이차식 Y  Y 으로 나누어떨어지 G Y YšAY™A L  YL라 하면


므로 Y, Y 은 사차방정식 Y›A BY™A C의 근이다. G    L  L
Y, Y 을 방정식 Y›A BY™A C에 각각 대입하면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B C ∴B C UUA㉠    L  L
 B C ∴ B C UUA㉡   L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L 
………………………………………………………………………………… ➊ ∴ G Y  Y Y™AY L
즉, 주어진 방정식은 Y›AY™A  이때 방정식 G Y 의 근이 모두 실수가 되려면 이차방정식
Y™A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Y™AY L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9™A9 , 9 9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9 또는 9 %
  ™A@Ly, Ly ∴ Lƒ
………………………………………………………………………………… ➋ 

Ⅱ. 방정식 125
0745  Œ, 에서 N의 값의 합은
 
YšA Y™A LY L에서 Y™A Y  L Y  
∴ Y  Y™A L 
………………………………………………………………………………… ➊
이때 주어진 방정식이 한 개의 실근과 두 개의 허근을 가지려면 이
0748 Å
차방정식 Y™A L이 두 개의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
G Y YšAY™A L  YL라 하면
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G   L L
%™A@@L, L ∴ L
………………………………………………………………………………… ➋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따라서 정수 L의 최솟값은 이다.    L  L


………………………………………………………………………………… ➌     L
   L 
채점 기준 배점
∴ G Y  Y Y™AY L
➊ 주어진 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기 30%
………………………………………………………………………………… ➊
➋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50%
이때 방정식 G Y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➌ 정수 L의 최솟값 구하기 20%
Y™AY L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
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0746 L %

  ™A@L ∴ L UUA㉠

G Y YšA Y™A L YL라 하면 또한 Y을 Y™AY L에 대입하면 성립하지 않아야 하므로
G    LL  L  ∴L  UUA㉡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 ㉡에서 L
………………………………………………………………………………… ➋
   L L
이차방정식 Y™AY L의 두 실근을 =, > => 라 하면
  L
  L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UUA㉢
∴ G Y  Y Y™A Y L
=>L
이때 방정식 G Y 의 서로 다른 실근이 한 개뿐이려면
, =, >가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되려면
Œ 이차방정식 Y™A Y L이 실근을 갖지 않는 경우
Œ 빗변의 길이가 일 때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A >™A이므로 = > ™A=>
%
™A@L ∴ L
 ™AL, L ∴ LÄ
 이차방정식 Y™A Y L이 Y을 중근으로 갖는 경우
그런데 L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를 만족시키는 L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 ➌
Œ, 에서 실수 L의 값의 범위는
 빗변의 길이가 >일 때
L
 =™A>™A, >™A=™A
> = >= ,  >= 
0747 ①
∴ >=Å UUA㉣
G Y YšA Y™A NYN라 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Ä, >
G    NN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 L=>Ä@Å
   N N
………………………………………………………………………………… ➍
    N 
   N   Œ, 에서 LÅ
∴ G Y  Y Y™A Y N  ………………………………………………………………………………… ➎
이때 방정식 G Y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이려면 채점 기준 배점
Œ 방정식 Y™A Y N 이 Y을 근으로 갖는 경우 ➊ 주어진 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기 20%
  N  ∴ N
➋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 방정식 Y™A Y N 이 중근을 갖는 경우
➌ 빗변의 길이가 일 때, L의 값 구하기 25%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➍ 빗변의 길이가 >일 때, L의 값 구하기 25%
%
™A@ N   ∴ N ➎ L의 값 구하기 10%


126 정답과 풀이
0749 ④ = > ?, => >? ?=, =>?
∴ = >  ? 
G Y LYšA L  Y™A L YL로 놓으면
 =  >  ? 

1
G  L L  LL
=>? => >? ?= = > ?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L L  L L
  L L  L 
 L L  L  
∴ G Y  Y \LY™A  L  Y L ^
0752 ①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LY™A  L  Y L ^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세 근을 =, =, =< =  라 하면


이때 방정식 Y \LY™A  L  Y L ^이 서로 다른 세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실근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LY™A  L  Y L 이 이 아 = = =, = ∴ =
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따라서 세 근이 , , 이므로
%라 하면 @ @ @B, @@C
% ∴ B, C
 L  ™AL@ L  , L 
 ∴B C 
∴ L UUA㉠
또한 Y을 이차방정식 LY™A  L  Y L 에 대입하면

0753
성립하지 않아야 하므로

L  L  L  , L   ∴L  UUA㉡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세 근을 =, =, = A =는 정수 이라 하면
㉠, ㉡에서 L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자연수 L는 , , 이므로 그 합은
= = =  , = ∴ =
  
………………………………………………………………………………… ➊
따라서 세 근이 , , 이므로
 @   @   @  B
∴ B
………………………………………………………………………………… ➋
 ࢖ରߑ੿ध੄Ӕҗ҅ࣻ੄ҙ҅
 @  @  C ∴ C
 ………………………………………………………………………………… ➌
⑴  ⑵  ⑶ ⑷

∴ BC
………………………………………………………………………………… ➍
삼차방정식 YšA Y™AY의 세 근이 =, >, ?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⑴= > ? ➊ 세 근을 =, =, = A =는 정수 이라 할 때, =의 값 구하기 50%

⑵ => >? ?= ➋ B의 값 구하기 20%

⑶ =>? ➌ C의 값 구하기 20%


   => >? ?=  ➍ BC의 값 구하기 10%
⑷   Å
= > ? =>? 

0750 Å 0754 

삼차방정식 YšA Y™AY 의 세 근이 =, >, ?이므로 삼차방정식 YšA Y™ANY 의 세 근이 =, >, ?이므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N, =>?
   = > ?  이때 = >?, > ?=, ? =>이므로
∴   Å
=> >? ?= =>?  = > > ? ? =
 ? = >

0751
 = > ?  => >? ?= =>?

@  @ N  
==, > >, ? ?이라 하면 N 
삼차방정식 YšAY™A Y 의 세 근이 =, >, ?이므로 이때 = > > ? ? = 이므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N , N ∴ N

Ⅱ. 방정식 127
0755 ② 즉,
  
, , 을 세 근으로 하고 YšA의 계수가 인 삼차방정식은
= > ?
방정식 Y Y Y  Y를 전개하여 정리하면 YšAY™A Y 
YšAY™AY  따라서 B, C, D이므로
삼차방정식 YšAY™AY 의 세 근이 =, >, ?이므로 B C D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세 근이 =, >, ?인 삼차방정식
= > ?, => >? ?=, =>?
삼차방정식 BYšA CY™A EA BE  의 세 근이 =, >, ?이면
DY
∴ =šA >šA ?šA
  
EYšA DY™A CY B의 세 근은 , , 이다.
 = > ? =™A >™A ?™A=>>??= =>? = > ?
 = > ? \ = > ? ™A => >? ?= ^ =>?
@\™A@  ^ @ 

0758 YšAY™A Y 

삼차방정식 YšAY™AY 의 세 근이 =, >, ?이므로

0756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이차방정식 Y™AY Q의 두 근을 =, >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 =  >  ?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Q  => >? ?=  = > ? 
이때 =, >가 삼차방정식 YšAY™A RY 의 근이므로 나머지  @ ,
한 근을 ?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R, =>? =>? => >? ?= = > ? 
………………………………………………………………………………… ➊    
= > ?에서 = >이므로 S 따라서 = , > , ? 을 세 근으로 하고 YšA의 계수가 인
=>?에서 =>Q, S이므로 Q 삼차방정식은
=> >? ?==> ? = > R에서 YšAY™A Y 
= >, =>, ?이므로 R
………………………………………………………………………………… ➋

0759
∴ Q™A R™A™A  ™A
YšAY
………………………………………………………………………………… ➌

채점 기준 배점 삼차방정식 YšAY 의 세 근이 =, >, ?이므로


➊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 > ?, => >? ?=, =>?의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50%
값 구하기 = > ?, => >? ?=, =>?
➋ Q, R의 값 구하기 40% 이때 = >?, > ?=, ? =>이므로
➌ Q™A R™A의 값 구하기 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ରߑ੿ध੄੘ࢿ =>?
따라서 = >, > ?, ? =를 세 근으로 하고 YšA의 계수가 인 삼차

0757  방정식은
YšAY
삼차방정식 YšA Y™AY 의 세 근이 =, >, ?이므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760
= > ?, => >? ?=, =>?

   => >? ?= 
∴   ,
= > ? =>? 
G   G   G  에서
   = > ? 
  , G   G   G  
=> >? ?= =>? 
     이므로 삼차방정식 G Y 의 세 근이 , , 이다.
@ @   
= > ? =>?  ………………………………………………………………………………… ➊

128 정답과 풀이
이때 , , 를 세 근으로 하고 YšA의 계수가 인 삼차방정식은
0763 
YšA    Y™A @ @ @ Y@@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계수가 유리수이므로 가 근이면  
∴ YšAY™A Y

1
………………………………………………………………………………… ➋ 도 근이다.

즉, G Y YšAY™A Y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세 근이 , ,  이므로

∴ G Y YšAY™A Y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방정식 G Y  C


     에서
B
의 모든 근의 곱은 이다.
C
………………………………………………………………………………… ➌  UUA㉠
B
채점 기준 배점 D
 @ @       에서
B
➊ 삼차방정식 G Y 의 세 근 구하기 30%
D
➋ , , 를 세 근으로 하고 YšA의 계수가 인 삼차방정식 구하기 40%  UUA㉡
B
➌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방정식 G Y 의 
30%  @@    에서 B
모든 근의 곱 구하기 B
B을 ㉠, ㉡에 각각 대입하면
C, D
∴ BC D  

 ࢖ରߑ੿धҗࢎରߑ੿ध੄ைۨӔ
0764 

0761 ④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J가 근이면
 J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계수가 유리수이므로  이 근이면
 J도 근이다.
도 근이다.
나머지 한 근이 D이므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나머지 한 근을 =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J  J D에서 D  ∴ D
=    B에서
J  J D  J D J B에서
= B UUA㉠
D B UUA㉠
=      =  C에서
D  J J C에서
=C UUA㉡
CD UUA㉡
=    에서 = ∴ =
D를 ㉠, ㉡에 각각 대입하면
=를 ㉠, ㉡에 각각 대입하면
B, C
B, C
∴ BCD@  @
∴ BC  
다른 풀이

방정식 YšA BY™A CY의 한 근이  이므로


0765 
  šA B   ™A C   
  B   C C B, C, D, E가 실수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이 J, J이면 다
  B B C C 른 두 근은 J,  J이다.
 B C  B C  이때 J, J, J,  J를 네 근으로 하고 Y›A의 계수가 인 사차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방정식은
 B C,  B C YJ Y J \Y J ^\Y  J ^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Y™A  Y™AY  
∴ BC   ∴ Y›AYšA Y™AY 
따라서 B, C, D, E이므로
B C D E   
0762 J

0766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J가 근이면  J도 근

이다.
나머지 한 근을 =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삼차방정식 G Y 의 계수가 유리수이므로 가 근이면
J  J =에서 = ∴ =  도 근이다.
따라서 나머지 두 근의 합은 즉, 삼차방정식 G Y 의 세 근이 , ,  이므로 삼차
 J  J 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Ⅱ. 방정식 129
     =을 ㉠, ㉡, ㉢에 각각 대입하면
 @ @       B, C, D
 @@    따라서 B, C, D를 세 근으로 하고 YšA의 계수가 인 삼차방정식은
………………………………………………………………………………… ➊ Y  Y  Y  이므로
따라서 , ,  를 세 근으로 하고 YšA의 계수가 인 삼차 G Y  Y  Y  Y 
방정식은 YšAY™A Y 이므로 ∴ G     @   @   
G Y YšAY™A Y 
………………………………………………………………………………… ➋
∴ G   
………………………………………………………………………………… ➌
 ߑ੿धY™A Y™A੄ೲӔ੄ࢿ૕
채점 기준 배점
➊ 켤레근을 이용하여 삼차방정식 G Y 의 각 항의 계수 구하기 50%
➋ G Y 구하기 40% 0769 

➌ G  의 값 구하기 10% J


T 에서 TJ

양변을 제곱하면 T™AT 
0767 ② T™AT  ∴ T™AT 
양변에 T 을 곱하면 T  T™AT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J가 근이면
TšA  ∴ TšA
J도 근이다.
∴ TATœA T›ATšA
이때  J J  이므로  J, J는 이차
 TšA ™ATšA T™AT 
방정식 Y™A BY 의 두 근이 될 수 없다.
  ™A  @
이차방정식 Y™A BY 의 나머지 한 근을 O이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N OB UUA㉠ 0770 
이때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šA에서 YšA , 즉 Y  Y™AY  이므로
 J J NB
T는 Y™AY 의 한 허근이다.
∴ NB UUA㉡
∴ TšA, T™AT 
㉠, ㉡에서 N O N이므로 O
∴ T™A T›AT™A TšA@T
따라서 Y™A BY 의 한 근이 이므로
T™AT
 B , B ∴ B
 T T
즉,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Y™AY 이므로
T
Y Y  ∴ Y 또는 Y
따라서 B, C이므로
따라서 공통인 근은 이므로 N
B C  

0768 
0771 ①
㈎에서 삼차방정식 1 Y 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J가 근이면
YšA에서 YšA, 즉 Y Y™A Y  이므로
 J도 근이다.
T는 Y™A Y 의 한 허근이고, 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이때 삼차방정식 YšABY™A CYD의 나머지 한 근을 =라
T의 켤레복소수인 T•도 Y™A Y 의 근이다.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TšA, T™A ™
T , T•A T• , T T•, TT•
J  J =B에서
ㄱ. T T T TšA œA TšA A@T™A TšA dA@T
= B UU<㉠
 T™A T
J  J = J =  J C에서
  
= C UU<㉡ ㄴ. 
T™A T  T•™A T•  T™A T  T 
J  J =D에서 
=D UU<㉢ T•™A T•  T• 
한편, ㈏에서 1  이므로  

T  T• 
1  B CD
T T• 
∴ BC D UU<㉣ 
TT• T T• 
㉠, ㉡, ㉢을 ㉣에 각각 대입하면
 
 
=   =  = ∴ =   

130 정답과 풀이
ㄷ. YT를 Y™AY 에 대입하면 0774 
T ™A T T™AT 
YšA에서 YšA, 즉 Y Y™A Y  이므로
 T™AT 

1
T는 Y™A Y 의 한 허근이다.
 TT 
∴ TšA, T™A T 
 T
   TšA TšA 
T ∴ 
T  T™A  TšA  T™A T  
이때 T 이므로 T는 Y™AY 의 근이 아니다.
TT™A Å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ÅÄ

이때 TšA에서 TT›ATžAU이고,
0772 ③
T™ATœATdAU이므로
YšA에서 YšA, 즉 Y Y™A Y  이므로    
U @Ä
T  T™A  TšA  T 
T는 Y™A Y 의 한 허근이고, 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T의 켤레복소수인 T•도 Y™A Y 의 근이다.
∴ TšA, T™A T ™
, T•A T• , T T•, TT•
ㄱ. TœA T›A TšA@T™A TšA@T 
T™A T 
ㄴ.  T  T™A  TšA  T›A  TœA  TA 0775 
  T  T™A    T  T™A  
YšA에서 YšA , 즉 Y  Y™AY  이므로
  T ™A  T™A ™A
T는 Y™AY 의 한 허근이다.
 T™A ™A T ™A
∴ TšA, T™AT 
TA
G T TšA BT™A CT D
T™A  T  T T™A 
ㄷ.   T  B T CT D
T  T™A  T™A T T
 T™A T  B C T B D
  
T T T
 T• T 이므로 B C, B D
ㄹ. 
T
T• T T•
∴B C UU<㉠
 T T•
 BD UU<㉡
 T T• TT•
  이때 G   B C D에서
 
   B C D UU<㉢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을 ㉢에 대입하면 D
D를 ㉡에 대입하면 B
B을 ㉠에 대입하면 C

0773  ∴ BCD

YšA 에서 Y  Y™AY  이므로


T는 Y™AY 의 한 허근이고, 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T의 켤레복소수인 T•도 Y™AY 의 근이다.
∴T T•, TT•


T  T

T T• 0776 
T   T  T  T• 
YšA에서 YšA, 즉 Y Y™A Y  이므로
TT• T T• 
 T는 Y™A Y 의 한 허근이다.
TT• T T• 
@@  ∴ T™A T , TšA
 
   ………………………………………………………………………………… ➊
켤레복소수의 성질 이때

두 복소수 [„, [m의 켤레복소수를 각각 [„•, [m•라 할 때 G   T™AT

⑴ x [„• [„ G   T›A TšA@T TT™A


⑵ [„ [m“[„• [m•, [„[m“[„•[m• G   TA TšA ™A
[„ [„• G   TdA TšA ™A@T™A T™A G 
⑶ [„[m“[„•@[m•, ‡[ [m ] A 단, [m 
[m•
G   T TšA šA@T T G 

Ⅱ. 방정식 131
G  
U
T TšA ›A G  0779 ②

" 입체도형의 부피 YšA DNšA


이므로
# 입체도형의 겉넓이 Y™A DN™A
G   G   G   G  T
"# 에서 @YšAY™A 
G   G   G   G  T™A
YšAY™A
G   G   G   G  
………………………………………………………………………………… ➋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 G  G  G  U G      
    
\ G  G  G  ^
    
\ T T™A ^
\  ^ 위의 조립제법으로부터
 Y Y™A
  Y
………………………………………………………………………………… ➌ †`J
∴ Y 또는 Y

채점 기준 배점
그런데 Y이므로 Y
➊ T™A T , TšA임을 구하기 20%
➋ G  , G  , G  , U, G  의 값 구하기 60% 0780 ③
➌G  G  G  U G  의 값 구하기 20%
상자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는 Y ADN,
세로의 길이는 Y ADN이고, 높이는 YADN인 뚜껑 없는 직육
면체 모양의 상자의 부피가 ADNšA이므로
Y Y Y
 ࢖ରߑ੿ध੄ഝਊ YšAY™A Y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0777      


    
L@™A@LY™A Y 이므로     
YšAY™A
위의 조립제법으로부터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Y Y™AY  
     †`
     ∴ Y 또는 Y

     그런데 Y는 자연수이므로 Y
위의 조립제법으로부터
Y Y™A Y   0781 
∴ Y 또는 Y†J YADN
밑면인 오각형은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과
그런데 Y에서 Y이므로 Y
사다리꼴로 나눌 수 있으므로
ADN
밑넓이
0778 ADN
Y Y  Å@\Y Y  ^@ YADN

처음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YADN라 하면 Y  ADN


Y™A Y  Y 
직육면체의 부피 @ 처음 정육면체의 부피 이므로 Y™A Y  DN™A
………………………………………………………………………………… ➊
Y  Y  Y YšA
이때 오각기둥의 높이는 Y  ADN이고, 부피가 ADNšA이므로
YšAY™A Y  Y™A Y  Y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YšA Y™A Y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위의 조립제법으로부터     
Y Y™AY  위의 조립제법으로부터
∴ Y 또는 Y† Y Y™A Y  
그런데 Y는 자연수이므로 Y ∴ Y 또는 Y†`J
따라서 처음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ADN이다. ………………………………………………………………………………… ➋

132 정답과 풀이
그런데 Y이므로 Y YZ UUA㉠
⑵ <@
………………………………………………………………………………… ➌ Y™A YZ Z™A UUA㉡
채점 기준 배점 ㉠에서 ZY UUA㉢

1
➊ 주어진 오각기둥의 밑넓이 구하기 50% ㉢을 ㉡에 대입하면
➋ 부피를 구하는 식을 세운 후, 삼차방정식 풀기 40% Y™A Y Y Y ™A, Y™AY 

➌ 조건을 만족시키는 Y의 값 구하기 10%


Y™AY , Y Y 
∴ Y 또는 Y
이것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Y Y
0782 
<@
Z
또는 <@
Z

큰 사각뿔과 작은 사각뿔의 밑면은 닮음이고 두 밑면의 넓이의 비


가 A:A이므로 닮음비는 A:A이다.
즉, 큰 사각뿔과 작은 사각뿔의 부피의 비는 šAA:AšAA:A이므로
작은 사각뿔과 사각뿔대의 부피의 비는 A:A  A:A이다.
0783 ④

 YZ UUA㉠
이때 사각뿔대의 부피가 이므로 작은 사각뿔의 부피는 <@
 Y™A Z™A UUA㉡
   ㉠에서 ZY UUA㉢
@ 
  
㉢을 ㉡에 대입하면
 
따라서 큰 사각뿔의 부피는 @ 이므로 Y™A Y ™A, Y™AY 
 
  Y Y  ∴ Y 또는 Y
@ Y  @ Y @ Y  
  이것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YšA Y™AY Y, Z 또는 Y, Z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 =, > 또는 =, >
     ∴ => 또는 =>
     따라서 =>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④이다.
    
위의 조립제법으로부터
Y  Y™A Y

∴ Y 또는 Y
†`J 0784 

Y Z UUA㉠
그런데 Y에서 Y이므로 Y <@
YZ™A UUA㉡
㉠에서 YZ UUA㉢
㉢을 ㉡에 대입하면
 Z Z™A, Z™A Z
Z  Z  ∴ Z 또는 Z
이것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
ੌରߑ੿ध
Ԝ੄ো݀੉ରߑ੿ध Y, Z 또는 Y, Z
੉ରߑ੿ध
이때 =, >이므로 =, >
Y Y Y Y ∴ =>@
⑴ <@ 또는 <@ ⑵ <@ 또는 <@
Z Z Z Z

0785
Y Z UUA㉠
⑴ <@ ②
Y™A Z™A UUA㉡
㉠에서 ZY  UUA㉢ Y™AYZ Z™A UUA㉠
<@
㉢을 ㉡에 대입하면 Y Z UUA㉡
Y™A Y  ™A, Y™AY  ㉠에서 YZ ™A ∴ ZY
Y™AY , Y Y  ㉡에 ZY를 대입하면
∴ Y 또는 Y Y Y, Y ∴ Y
이것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 ZY@
Y Y 따라서 =, >이므로
<@ 또는 <@
Z Z = > 

Ⅱ. 방정식 133
0786 
 <@
੉ରߑ੿ध
Ԝ੄ো݀੉ରߑ੿ध
੉ରߑ੿ध
YZ UUA㉠
<@
Z™A YZ UUA㉡ Y Y Y Y
<@ A또는A<@ A또는A<@ A또는A<@
㉠에서 ZY UUA㉢ Z Z Z Z
㉢을 ㉡에 대입하면
Y ™A Y Y , Y™AY  Y™AZ™A UUA㉠
<@
Y Y  Y™A YZ Z™A  UUA㉡
∴ Yg 또는 Y ㉠에서 Y Z YZ 
∴ YZ 또는 YZ
이것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Œ YZ를 ㉡에 대입하면
Yg, ZÄ 또는 Y, Z Z™AZ™A Z™A, Z™A ∴ Z†
∴ Y†, Z A 복부호동순
∴Y Z 또는 Y Z
 YZ를 ㉡에 대입하면

따라서 Y Z의 최댓값은 이다. Z™A Z™A Z™A, Z™A, Z™A ∴ Z†


∴ Y†, Z†A 복부호동순
Œ, 에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Y Y Y Y
<@ 또는 <@ 또는 <@ 또는 <@
Z Z Z Z

0787  0788 

Y™AYZZ™A  UUA㉠
두 연립방정식의 공통인 해는 연립방정식 <@
Y™A Z™A UUA㉡
YZ UUA㉠
<@ ㉠에서 Y Z YZ 
Y™A Z™A UUA㉡
∴ YZ 또는 YZ
을 만족시킨다.
Œ YZ를 ㉡에 대입하면
………………………………………………………………………………… ➊
Z™A Z™A, Z™A ∴ Z†`
㉠에서 ZY  UUA㉢
∴ Y†`, Z ` 복부호동순
㉢을 ㉡에 대입하면
 YZ를 ㉡에 대입하면
Y™A Y  ™A, Y™A Y
Z™A Z™A, Z™A ∴ Z†
Y  Y  ∴ Y 또는 Y
∴ Y†, Z† 복부호동순
이것을 ㉢에 대입하면 위의 연립방정식의 해는
Œ, 에서 Y, Z는 정수이므로
Y, Z 또는 Y, Z
Y, Z 또는 Y, Z
………………………………………………………………………………… ➋
∴ YZ
Œ Y, Z를 Y ZB, YCZ에 각각 대입하면
B,  C
∴ B, C
 Y, Z을 Y ZB, YCZ에 각각 대입하면 0789 ①
 B, C
Y™AYZ Z™A  UUA㉠
∴ B, C <@
Y™AZ™A UUA㉡
Œ, 에서 B, C는 자연수이므로
㉠에서 YZ YZ 
B, C
∴ YZ 또는 YZ
………………………………………………………………………………… ➌
Œ YZ를 ㉡에 대입하면
∴ B™A C™A™A ™A
Z™AZ™A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➍
 YZ를 ㉡에 대입하면
채점 기준 배점
Z™AZ™A, Z™A, Z™A ∴ Z†
➊ 두 연립방정식의 공통인 해를 갖는 연립방정식 구하기 20%
∴ Y†, Z† 복부호동순
➋ ➊에서 구한 연립방정식의 해 구하기 30% Œ, 에서 =„=m이므로
➌ 자연수 B, C의 값 구하기 30% =„, >„, =m, >m
➍ B™A C™A의 값 구하기 20% ∴ >„>m

134 정답과 풀이
0790  YZ를 ㉠에 대입하면
Z™A Z™AZ™A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Y™AYZ Z™A  UUA㉠
<@ 즉, 이 경우에는 위의 연립방정식을 만족시키는 Y, Z의 값이 존재

1
Y™A YZ Z™A UUA㉡
하지 않는다.
㉠에서 YZ YZ 
YZ를 ㉠에 대입하면
∴ ZY 또는 ZY
Z™A Z™AZ™A, Z™A, Z™A ∴ Z†
………………………………………………………………………………… ➊
∴ Y†, Z† 복부호동순
Œ ZY를 ㉡에 대입하면
즉, 주어진 두 연립방정식의 공통인 해는
Y™A Y™A Y™A, Y™A ∴ Y†
Y, Z 또는 Y, Z
∴ Y†, Z†A 복부호동순
Œ Y, Z를 Y™ABZ™A, YBZC에 각각 대입하면
∴= > 또는 = >
B,  BC ∴ B, C
………………………………………………………………………………… ➋
 Y, Z를 Y™ABZ™A, YBZC에 각각 대입하면
 ZY를 ㉡에 대입하면
B, BC ∴ B, C
Y™A Y™A Y™A, Y™A ∴ Y†
Œ, 에서 B, C는 자연수이므로
∴ Y†, Z†A 복부호동순
B, C
∴= > 또는 = >
∴B C 
………………………………………………………………………………… ➌
Œ, 에서 = >의 최댓값은 이다.
………………………………………………………………………………… ➍

채점 기준 배점
➊ 주어진 연립방정식에서 Y, Z에 대한 관계식 구하기 30%  ‫؀‬டഋ੄धਵ‫ܖ੉۽‬য૓ো݀੉ରߑ੿ध
➋ ZY인 경우의 해를 구하고 그때의 = >의 값을 각각 구하기 30%
Y Y
➌ ZY인 경우의 해를 구하고 그때의 = >의 값을 각각 구하기 30% <@ 또는 <@
Z Z
➍ = >의 최댓값 구하기 10%

Y Z, YZ를 만족시키는 Y, Z는 이차방정식 U™AU 의


두 근이다.

0791  U™AU 에서 U U 


∴ U 또는 U
Y™AZ™A UUA㉠ 따라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
Y Z ™A Y Z  UUA㉡ Y Y
㉡에서 Y ZU로 놓으면 <@ 또는 <@
Z Z
U™AU, U  U 
∴ U 또는 U
이때 Y, Z이므로 U ∴ U 0793 ,  , ,  , ,  , , 
∴Y Z UUA㉢
Y ZV, YZW로 놓으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에서 Y Z YZ 이므로 ㉢을 대입하면
V™AW  UUA㉠
 YZ  ∴ YZ UUA㉣ <@
W UUA㉡
㉢, ㉣을 연립하여 풀면
㉡을 ㉠에 대입하면
Y, ZÅ V™A, V™A ∴ V†
Œ V, W, 즉 Y Z, YZ일 때,
∴ YZ@@Å
Y, Z는 이차방정식 U™AU 의 두 근이므로
U U  ∴ U 또는 U
Y Y
∴ <@ 또는 <@
0792
Z Z

 V, W, 즉 Y Z, YZ일 때,
두 연립방정식의 공통인 해는 연립방정식 Y, Z는 이차방정식 U™A U 의 두 근이므로
Y™A YZZ™A UUA㉠ U  U   ∴ U 또는 U
<@
Y™AYZ Z™A UUA㉡ Y Y
∴ <@ 또는 <@
을 만족시킨다. Z Z
㉡에서 YZ YZ  Œ, 에서 구하는 순서쌍 Y, Z 는
∴ YZ 또는 YZ ,  , ,  , ,  , , 

Ⅱ. 방정식 135
0794 
 ೧ী‫؀‬ೠઑѤ੉઱য૓ো݀੉ରߑ੿ध
Y ZV, YZW로 놓으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
VW UUA㉠ 0796 ②
V™AW UUA㉡
Y™A Z™A  UUA㉠
㉠에서 WV UUA㉢ <@
Y ZL UUA㉡
㉢을 ㉡에 대입하면
㉡에서 ZLY
V™A V , V™AV
이것을 ㉠에 대입하면
V  V  ∴ V 또는 V
Y™A LY ™A, Y™A L™ALY Y™A
이것을 ㉢에 대입하면
∴ Y™ALY L™A
V, W 또는 V, W
이를 만족시키는 Y의 값이 오직 한 개 존재해야 하므로
Œ V, W, 즉 Y Z, YZ일 때,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Y, Z는 이차방정식 U™A U의 두 근이므로
%
U  U  ∴ U 또는 U  L ™A@ L™A 

Y Y
∴ <@ 또는 <@ L™A ∴ L†
Z Z
따라서 모든 실수 L의 값의 곱은
∴= >
@  
 V, W, 즉 Y Z, YZ일 때,
Y, Z는 이차방정식 U™AU 의 두 근이므로

0797
U U  ∴ U 또는 U

Y Y
∴ <@ 또는 <@
Z Z Y Z UUA㉠
<@
∴= > Y™A YZL  UUA㉡
Œ, 에서 = >의 최댓값은 이다. ㉠에서 ZY
이것을 ㉡에 대입하면
Y™A Y Y L
∴ Y™AY L 
이를 만족시키는 실수 Y의 값이 존재해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A@@ L  y

0795  Ly ∴ Lƒ

Y ZV, YZW로 놓으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따라서 실수 L의 최댓값은 이다.


V W
<@
VW
V, W는 이차방정식 T™A T의 두 근이므로
T  T  ∴ T 또는 T 0798 
V V
∴ <@ 또는 <@ YZ UUA㉠
W W <@
Y™AZL UUA㉡
Œ V, W, 즉 Y Z, YZ일 때,
㉠에서 ZY
Y, Z는 이차방정식 U™A U 의 두 근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Y™A Y L
U  U   ∴ U 또는 U
∴ Y™AY L UUA㉢
Y Y
∴ <@ 또는 <@ 이를 만족시키는 Y의 값이 오직 한 개 존재해야 하므로
Z Z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YZ 또는 YZ
%
  ™A@ L 
 V, W, 즉 Y Z, YZ일 때, 
Y, Z는 이차방정식 U™AU의 두 근이므로  L ∴ L
U  U  ∴ U 또는 U L을 ㉢에 대입하면
Y Y Y™AY , Y ™A ∴ Y
∴ <@ 또는 <@
Z Z Y를 ㉠에 대입하면 Z
∴ YZ 또는 YZ 따라서 =, >이므로
Œ, 에서 YZ의 최솟값은 이다. = > L  

136 정답과 풀이
0799  0802 

주어진 연립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실수 Y, Z는 이차방정식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을 =라 하면

1
U™A L U L™A의 두 근이다. =™A L=L   UUA㉠
<@
………………………………………………………………………………… ➊ =™A =L™A L UUA㉡
이 이차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므로 ㉠㉡을 하면 L = L™AL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L = L L , L = L 
% ∴ L 또는 =L 
\ L ^™A L™A 

Œ L일 때, 두 이차방정식은 일치하므로 서로 다른 두 이차방정
L  ∴ L
식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➋
 =L 일 때, 이것을 ㉠에 대입하면
따라서 구하는 정수 L의 최솟값은 이다.
L  ™A L L  L 
………………………………………………………………………………… ➌
L  ∴ L
채점 기준 배점
➊ Y, Z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 구하기 30% Œ, 에서 L
➋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50%
➌ 정수 L의 최솟값 구하기 20%

0803 

두 방정식 G Y , H Y 의 공통인 근을 =라 하면


=™A N= O  UUA㉠
<@
=™A O= N  UUA㉡

 ҕాੋӔਸы‫੿ߑח‬ध ㉠㉡을 하면 NO =  ON 


NO =  ∴ NO 또는 =

0800
그런데 NO이면 두 이차방정식은 일치하므로 서로 다른 두 이차

식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이 =이므로 ∴ =
=™A L=   UUA㉠ 공통인 근이 아닌 G Y 의 나머지 근과 H Y 의 나머지 근의
<@
=™A = L  UUA㉡ 비가 A:A이므로 두 근을 U, UA U  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을 하면 L = L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L =  ∴ L 또는 =  UN, @UO ∴ NU, OU
Œ L일 때, 두 이차방정식은 일치하므로 서로 다른 두 이차방정  UO, @UN ∴ OU, NU
식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즉, UU, UU이므로 UÄ
 =일 때, 이것을 ㉠에 대입하면
 L  ∴ L 따라서 NÄ, O이므로
Œ, 에서 L = 
NO@[Ä]@[]

0801 N, 공통인 근A:A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을 =라 하면
 ো݀੉ରߑ੿ध੄ഝਊ
=™A N =  UUA㉠
<@
=™A N =  UUA㉡
㉠㉡을 하면 = ∴ = 0804 ADN
………………………………………………………………………………… ➊
원에 내접하는 직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를 ㉠에 대입하면
길이를 각각 YADN, ZADN라 하면 ADN
@ N  ∴ N ZADN
 Y Z 
………………………………………………………………………………… ➋ <@ YADN
Y™A Z™A™A
채점 기준 배점
Y Z UUA㉠
➊ 공통인 근 구하기 50% 즉, <@
Y™A Z™A  UUA㉡
➋ N의 값 구하기 50% ㉠에서 ZY UUA㉢

Ⅱ. 방정식 137
㉢을 ㉡에 대입하면 ㉢을 ㉡에 대입하면
Y™A Y ™A, Y™AY  Y™A Y ™A, Y™AY 
Y Y  ∴ Y 또는 Y
Y Y  ∴ Y 또는 Y
이것을 ㉢에 대입하면
이것을 ㉢에 대입하면
Y, Z 또는 Y, Z
따라서 직사각형의 긴 변의 길이는  DN이다. Y, Z 또는 Y, Zz

그런데 YZ이므로 Y, Z

0805  따라서 정사각형 "의 한 변의 길이는 ADN이다.

처음 수의 십의 자리의 숫자를 Y, 일의 자리의 숫자를 Z라 하면


Y™A Z™A UUA㉠
<@
Z Y Y Z   UUA㉡ 0808 AN

………………………………………………………………………………… ➊ 처음 종이의 가로의 길이를 YAN, 세로의 길이를 ZAN라 하면


㉡에서 Y Z, Y Z Y™A Z™A UUA㉠
∴ ZY UUA㉢ <@
Y  Z  YZ   UUA㉡
㉢을 ㉠에 대입하면 ………………………………………………………………………………… ➊
Y™A Y ™A, Y™AY  ㉡에서 YZ Y Z YZ , Y Z
Y Y  ∴ Y 또는 Y ∴ ZY UUA㉢
이것을 ㉢에 대입하면 ㉢을 ㉠에 대입하면
Y, Z 또는 Y, Z Y™A Y ™A, Y™AY 
그런데 YZ이므로 Y, Z Y Y  ∴ Y 또는 Y
………………………………………………………………………………… ➋ 이것을 ㉢에 대입하면
따라서 처음 수는 이다. Y, Z 또는 Y, Z
………………………………………………………………………………… ➌ ………………………………………………………………………………… ➋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처음 종이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의 차는
➊ 연립이차방정식 세우기 30%  N
➋ 연립이차방정식의 해 구하기 50% ………………………………………………………………………………… ➌

➌ 처음 수 구하기 20% 채점 기준 배점
➊ 연립이차방정식 세우기 30%
50%
0806
➋ 연립이차방정식의 해 구하기

➌ 처음 종이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의 차 구하기 20%
반지름의 길이가 서로 다른 두 원을 각각 0„, 0m라 하고, 다른 풀이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S„, Sm라 하면 ㉡에서 Y Z
LS„ LSmL S„ Sm UUA㉠ 이때 Y Z ™AY™A Z™A YZ이므로
<@ , 즉 <@
LS„™A LSm™AL S„™A Sm™A  UUA㉡  YZ ∴ YZ
㉠에서 SmS„ UUA㉢ 따라서 YZ ™A Y Z ™AYZ™A@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YZ]
S„™A S„ ™A, S„™AS„  즉, 처음 종이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의 차는 AN이다.
S„ S„  ∴ S„ 또는 S„
이것을 ㉢에 대입하면

0809
S„, Sm 또는 S„, Sm
원
따라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차는
 할인하기 전 제품 "의 개당 판매 가격을 Y원, 할인하기 전 판매량을
Z개라 하면

0807
YZ UUA㉠
③ <@
Y Z    UUA㉡
정사각형 "와 정사각형 #의 한 변의 길이를 YADN, 정사각형 $의 ㉡에서 YZ YZ
한 변의 길이를 ZADNA YZ 라 하면 ∴ YZ YZ
@Y Z UUA㉠ ㉠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
Y™A Z™A UUA㉡  YZ
㉠에서 Y Z ∴ ZY UUA㉢ YZ ∴ ZY UUA㉢

138 정답과 풀이
㉢을 ㉠에 대입하면 이때 Y, Z는 이 아닌 정수이므로
Y Y , Y™AY Y     
Y  Y  ∴ Y 또는 Y Z     

1
그런데 Y이므로 Y Y Y Y Y Y
따라서 할인하기 전 제품 "의 개당 판매 가격은 원이다. ∴ <@ 또는 <@ 또는 <@ 또는 <@ 또는 <@
Z Z Z Z Z
………………………………………………………………………………… ➋
따라서 YZ의 최솟값은 이다.
………………………………………………………………………………… ➌
 ੿ࣻઑѤ੄ࠗ੿ߑ੿ध
채점 기준 배점

,  , ,  , ,  , ,  ➊ 주어진 식을 일차식 @ 일차식  정수 꼴로 정리하기 40%


➋ 가능한 Y, Z의 값 구하기 40%

Y  Z 에서 Y, Z가 정수이므로 ➌ YZ의 최솟값 구하기 20%

Y     
Z    

∴ <@
Y
Z
또는 <@
Y
Z
또는 <@
Y
Z
또는 <@
Y
Z
0813 

따라서 정수 Y, Z 의 순서쌍은 이차방정식 Y™A B Y B 의 두 근을 =, >라 하면 이차


,  , ,  , ,  , ,  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B UUA㉠
0810  =>B  UUA㉡
㉡㉠@를 하면
YZYZ에서
=> = > , =>=>
Y Z  Z 
= >  > 
∴ Y Z 
∴ = > 
이때 Y, Z는 자연수이므로
이때 =, >가 정수이므로
Y   
=    
Z   
>    
Y Y Y
∴ <@ 또는 <@ 또는 <@ = = = =
Z Z Z ∴ <@ 또는 <@ 또는 <@ 또는 <@
> > > >
따라서 Y Z의 최댓값은 이다.
∴= > 또는 = >

0811
Œ= >일 때

㉠에 대입하면 B ∴ B
YZYZ 에서 = >일 때
Y Z  Z  ㉠에 대입하면 B ∴ B
∴ Y Z  Œ, 에서 모든 B의 값의 합은
이때 Y, Z가 자연수이므로  

Y    
Z    

Y Y Y Y


∴ <@ 또는 <@ 또는 <@ 또는 <@
Z Z Z Z
따라서 자연수 Y, Z 의 순서쌍은 ,  , ,  , ,  ,
 पࣻઑѤ੄ࠗ੿ߑ੿ध
,  의 개이다.
Y, Z
0812 
Y™A Z™AY Z 에서
  Y Z
Å에서 Å Y™AY  Z™A Z  
Y Z YZ
Y ZYZ, YZYZ ∴ Y ™A Z  ™A
Y Z  Z  이때 Y, Z가 실수이므로
∴ Y Z  Y, Z 
………………………………………………………………………………… ➊ ∴ Y, Z

Ⅱ. 방정식 139
0814 ③

Y™A YZ Z™AY Z 에서


Y™A YZ Z™A Y™AY  Z™A Z  
∴ Y Z ™A Y ™A Z  ™A 0817 ⑤
이때 Y, Z가 실수이므로
G Y YšAY™A Y라 하면
Y Z, Y, Z 
G   
∴ Y, Z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Y Z  
    
    
    
∴ G Y  Y Y™A Y 
0815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A Y  

Y™AYZ Z™AZ 에서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허근은 이차방정식 Y™A Y 의 두

Y™AYZ Z™A Z™AZ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구하는 곱은

∴ YZ ™A Z ™A 이다.

이때 Y, Z가 실수이므로
YZ, Z

∴ YÅ, Z

∴ YZ@Å

0818 ⑤

Y›AY™A 에서
Y›AY™A   Y ™A, Y™A ™A Y ™A
0816  Y™A Y Y™AY 
Y™A Y 또는 Y™AY
Y™A YZ Z™AY에서
∴ Y† 또는 Y†
Y™A  Z Y Z™A  UUA㉠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네 실근 중 가장 큰 근은  ,
이를 만족시키는 Y, Z가 양의 정수이므로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가장 작은 근은 이므로
실근을 가져야 한다.
= , >
Y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    
%
 Z ™A Z™A y
  
Z y ∴ Zƒ
그런데 Z는 양의 정수이므로 Z 또는 Z
………………………………………………………………………………… ➊
Œ Z일 때, Y™AY
∴ Y†

0819
그런데 이것은 Y가 양의 정수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➋
 Z일 때, Y™AY  방정식 Y›A YšA Y™A Y 의 양변을 Y™A으로 나누면
Y ™A ∴ Y    
Y™A Y  , Y™A [Y ] 
………………………………………………………………………………… ➌ Y Y™A Y™A Y
Œ, 에서 Y, Z이므로   
[Y ] [Y ] 
Y Y
YZ@

………………………………………………………………………………… ➍ 이때 Y 9로 놓으면
Y
채점 기준 배점 9™A 9 , 9  ™A ∴ 9
➊ Z의 값 구하기 40%  
즉, Y 의 한 근이 =이므로 = 
Y =
➋ Z일 때, 양의 정수 Y의 값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기 25%
  
➌ Z일 때, Y의 값 구하기 25% ∴ =™A [= ] 
=™A =
➍ YZ의 값 구하기 10%   ™A

140 정답과 풀이
0820 ② G Y Y›A YšAY™A Y이라 하면
G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한 허근이 [이고, 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이므
G  

1
로 [의 켤레복소수 [q도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근이다.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G Y YšA L Y™AL라 하면
     
G   LL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L  L     
   L L     
  L L 
∴ G Y  Y Y  Y™AY 
∴ G Y  Y Y™A LY L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  Y™AY  
이때 방정식 Y Y™A LY L 의 두 허근 [, [q는 이차방정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두 허근은 이차방정식 Y™AY 의 두 근
식 Y™A LY L의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구하는 합은 이다.
에 의하여
[ [qL

0823
이때 [ [q이므로

L ∴ L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한 근이  J이면
J도 근이다.
나머지 한 근이 D이므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821 ⑤  J J D UU<㉠


 J J D J D  J B
Y Y Y Y  에서
UU<㉡
\Y Y ^\ Y Y  ^
 J J DC UU<㉢
Y™AY Y™AY 
㉠에서 D
이때 Y™AY9로 놓으면
㉡에서 DB ∴ B
9 9 , 9™A9
㉢에서 DC ∴ C
9  9  ∴ 9 또는 9
∴B C D  
Œ 9일 때, Y™AY에서
Y™AY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A@
0824 ⑤

Y™AYZ Z™A  UUA㉠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
Y™A YZ UUA㉡
 9일 때, Y™AY에서
㉠에서 YZ YZ 
Y™AY
∴ YZ 또는 ZY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m라 하면
Œ YZ를 ㉡에 대입하면
%m
  ™A@   Z™A Z™A, Z™A ∴ Z†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 Y†, Z† 복부호동순
Œ,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두 실근 =, >는 이차방정식 ∴= > 또는 = >
Y™AY의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 ZY를 ㉡에 대입하면
의하여 Y™A Y™A, Y™A ∴ Y†
= >, => ∴ Y†, Z† 복부호동순
∴ =™A >™A = > ™A=>™A@   ∴= > 또는 = >
Œ, 에서 = >의 최댓값 ., 최솟값 N이므로
.N  

0822 ③

방정식 Y›A YšABY™A B Y의 한 근이 이므로


0825 ④

 B B ∴ B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즉, 주어진 방정식은 Y›A YšAY™A Y이므로 = > ?, => >? ?=, =>?

Ⅱ. 방정식 141
> ? ? = = > = > ? ③ TšA이므로
∴ 
= > ? = > ?
T TšA 
  

  
    ④ T™AT 이므로
= > ?
 T™A  T
   T   
[ ] T T T
= > ?
⑤ TšA, T™AT 이므로
=> >? ?=
@ 
=>?  T›A  T  T™A
T™A   
T™A T™A T™A T™A
@ 따라서 그 값이 다른 하나는 ⑤이다.

0829 ②
0826 ④
두 연립방정식의 공통인 해는 연립방정식
Y Z UUA㉠ Y Z UUA㉠
<@ <@
Y™A YZ L UUA㉡ Y™AZ™A UUA㉡
㉠에서 YZ 을 만족시킨다.
이것을 ㉡에 대입하면
㉠에서 Y ZÅ ∴ ZÅY  UUA㉢
Z ™A Z Z L
Z™AZ L  ㉢을 ㉡에 대입하면

이를 만족시키는 실수 Z의 값이 존재해야 하므로 Y™A[ÅY] , YÅ ∴ Y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이것을 ㉢에 대입하면 Z
  ™A L  y

YÄ, Z를 Y ZB, YZC에 각각 대입하면
L y ∴ LƒÅ
B@[Ä] , CÄ

∴ BC@  

0827 ②

G Y YšAY™A L  Y L라 하면 0830 ①

G   L  L Y ZV, YZW로 놓으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V W UUA㉠
<@
    L   L V™AW UUA㉡
    L ㉠에서 WV UUA㉢
   L  ㉢을 ㉡에 대입하면
∴ G Y  Y Y™A YL V™A V , V™A V
이때 방정식 G Y 이 한 개의 실근과 두 개의 허근을 가지려면 V  V  ∴ V 또는 V
이차방정식 Y™A YL이 두 개의 허근을 가져야 한다. 이것을 ㉢에 대입하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V, W 또는 V, W
%™A@@ L  Œ V, W, 즉 Y Z, YZ일 때

 L ∴ LÅ Y, Z는 이차방정식 U™A U 의 두 근이므로


U  U   ∴ U 또는 U
따라서 정수 L의 최댓값은 이다.
Y Y
∴ <@ 또는 <@
Z Z
∴ ]YZ]

0828
 V, W, 즉 Y Z, YZ일 때

Y, Z는 이차방정식 U™AU의 두 근이므로
YšA에서 YšA , 즉 Y  Y™AY  이므로 U U  ∴ U 또는 U
T는 Y™AY 의 한 허근이고, 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Y Y
∴ <@ 또는 <@
T의 켤레복소수인 T•도 Y™AY 의 근이다. Z Z
①, ②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YZ]
T T•, TT• Œ, 에서 ]YZ]의 최솟값은 이다.

142 정답과 풀이
0831  Œ Y, Z을 Y™AYZ Z™AB, Y CZ에 각각 대
입하면
이차방정식 Y™A N  YN의 두 근을 =, >라 하면 이
 B, C

1
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B, C
= >N   UUA㉠
=>N  UUA㉡  Y, Z를 Y™AYZ Z™AB, Y CZ에 각각 대입하면
㉠ ㉡을 하면 => = >  B,  C
> =  =   ∴ B, C
∴ =  >   Œ, 에서 B, C는 정수이므로
이때 =, >가 정수이므로 B, C
=      ∴B C  
>     

= = = =


∴ <@ 또는 <@ 또는 <@ 또는 <@
> > > >
∴ = > 또는 = >
Œ= >일 때 0834 
㉠에 대입하면 N  ∴ N
Y™A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 >일 때
9™A L 9 L, 9™A L 9  L 
㉠에 대입하면 N  ∴ N
9 \9 L ^
Œ, 에서 모든 정수 N의 값의 곱은
∴ 9 또는 9L
 @  
9일 때, Y™A에서 Y†이므로
이 방정식은 두 개의 실근을 갖는다.
즉, 9L일 때, Y™AL가
두 개의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0832 ④ L ∴ L
따라서 자연수 L는 , , , 이므로 그 합은
구멍을 파낸 후 남은 부분의 부피가 ANšA이므로
   
YšA@@ÄY, YšAY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0835 ③
위의 조립제법으로부터
사차방정식 Y›AYšA Y™AY 의 양변을 Y™A으로 나누면
Y Y™A Y  
  
∴ Y 또는 Y†J Y™AY  , Y™A [Y ] 
YY™A Y™A Y
그런데 Y이므로 Y   
∴ [Y ] [Y ] 
Y Y

Y 9로 놓으면
Y
9™A9 , 9 ™A ∴ 9
0833 ③
즉, Y

의 한 근이 =이므로 =


Y =
YZ Y™A Z™A 이때
두 연립방정식 <@ 와 <@ 의 공통인 해는
Y™AYZ Z™AB Y CZ   
=™A [= ] ™A
YZ UUA㉠ =™A =
연립방정식 <@ 을 만족시킨다.
Y™A Z™A UUA㉡     
=šA [= ] =@ @[= ]šA@
=šA = = =
㉠에서 ZY UUA㉢
   
㉢을 ㉡에 대입하면 =œA [=šA ][=™A ][= ]@
=œA =šA =™A =
Y™A Y ™A, Y™AY
이므로
Y  Y  ∴ Y 또는 Y
   
=šA =œA [=šA ] [=œA ]
이것을 ㉢에 대입하면 위의 연립방정식의 해는 =šA =œA =šA =œA
Y, Z 또는 Y, Z  

Ⅱ. 방정식 143
0836 ① 0838 ⑴  ⑵ 

G Y YšA B  Y™A B  YB에서 ⑴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을 =라 하면


G  B B B, =™A B=C  UUA㉠
 <@
G   B   B  B =™A C=B  UUA㉡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을 하면
  B B  B BC =C B, BC = BC 
   B B BC =   ∴ BC 또는 =
  B B  이때 B C이므로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은 이다.
   B ………………………………………………………………………………… ➊
  B  ⑵ ㉠의 나머지 한 근이 Q, ㉡의 나머지 한 근이 R이므로
∴ G Y  Y Y YB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즉, 주어진 방정식은 Y Y YB  @QC, @RB ∴ BR, CQ
∴ Y 또는 Y 또는 YB ………………………………………………………………………………… ➋
  한편, =이므로 ㉠에 대입하면
이때 G [B ]에서 B 은 방정식 G Y 의 한 근이므로
B B BC
   이때 BR, CQ이므로
B  또는 B  또는 B B
B B B
RQ ∴Q R

ŒB 일 때, ………………………………………………………………………………… ➌
B
B™AB 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또한 QR이므로
%  ™A@@ BC ™A RQ ™A QR ™A Q R ™AQR
즉,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A@  
 ………………………………………………………………………………… ➍
B 일 때,
B
채점 기준 배점
B™AB 이므로 B ™A ∴ B
➊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 구하기 40%

ŽB B일 때, ➋ B, C를 Q, R에 대한 식으로 각각 나타내기 20%
B
 ➌ Q R의 값 구하기 20%
B B이므로 이 경우는 성립하지 않는다.
B ➍ BC ™A의 값 구하기 20%
Œ ~Ž에서 실수 B의 값은 이다.

0837 ⑤

삼차방정식 YšAY™A BY C의 나머지 두 근을 =, >라 하면 0839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B
즉, = >, =™A >™A이므로 =, >는 연립방정식 ………………………………………………………………………………… ➊
Y Z UUA㉠ ∴ = > ? = > ?
<@
Y™A Z™A UUA㉡ = > > ? ? =
의 해이다. => >? ?= = > ? 
㉠에서 ZY  UUA㉢ @ 
㉢을 ㉡에 대입하면 = > ?
Y™A Y ™A, Y™AY =>? => >? ?= = > ? 
Y  Y  ∴ Y 또는 Y B B
이것을 ㉢에 대입하면 연립방정식의 해는 즉, =, >, ?을 세 근으로 하고 YšA의 계수가 인 삼차방
Y, Z 또는 Y, Z 정식은
즉,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나머지 두 근은 , 이다. YšAY™AY B 
따라서 삼차방정식 YšAY™A BY C의 세 근이 , , 이므 따라서 C, D,  B 이므로
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C, D
B@ @ @   ………………………………………………………………………………… ➋
C  @@ ∴ C ∴B C D   
∴ CB   ………………………………………………………………………………… ➌

144 정답과 풀이
채점 기준 배점 C D E
ㄹ. ㉠의 양변을 =šA으로 나누면 B 
= =™A =šA
➊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 > ?,
30%     
=> >? ?=, =>?의 값 구하기 ∴ E[ ] D[ ] C[ ] B
= = =

1
➋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실수 B, C, D의 값 구
50% 
하기 따라서 은 EYšA DY™A CY B의 근이다.
=
➌ B C D의 값 구하기 20%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 ㄹ이다.

0842 YšAY™A Y

0840 AN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의 길이를 =, >, ?라 하면
현수막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각각 YAN, ZAN라 하면 부피 =>? UUA㉠
Y™A Z™A UUA㉠ 겉넓이  => >? ?= 
<@
Y Z YZ UUA㉡ ∴ => >? ?= UUA㉡
………………………………………………………………………………… ➊ 대각선의 길이 ā=™A >™A ?™A`
㉡에서 YZYZ YZ ∴ =™A >™A ?™A
Y Z ∴ ZY  UUA㉢ 이때
㉢을 ㉠에 대입하면 = > ? ™A=™A >™A ?™A  => >? ?=
Y™A Y ™A, Y™AY   
Y Y  ∴ Y 또는 Y ∴= > ? ∵ =, >, ?는 양수 UUA㉢
이것을 ㉢에 대입하면 ㉠, ㉡, ㉢에서 세 모서리의 길이를 세 근으로 하고 YšA의 계수가
Y, Z 또는 Y, Z 인 삼차방정식은
그런데 YZ이므로 Y, Z YšAY™A Y
………………………………………………………………………………… ➋
따라서 처음 현수막의 가로의 길이는  N이다.
………………………………………………………………………………… ➌
0843 ③

채점 기준 배점 Y™A Z™A  YZ Y에서


Y™AZ™A Y™AYZY 
➊ 연립이차방정식 세우기 30%
Y™AZ™AYZ  Y™AY  
➋ 연립이차방정식의 해 구하기 50%
∴ YZ ™A Y ™A
➌ 처음 현수막의 가로의 길이 구하기 20%
이때 Y, Z가 실수이므로

YZ, Y ∴ YZ, YÅ

따라서 YÅ, Z이므로

Y Z@Å 

0844 ②

방정식 G Y 의 세 근이 =, >, ?이므로 방정식 G Y 에서

0841 ⑤
Y= 또는 Y> 또는 Y?
=  >  ? 
∴ Y 또는 Y 또는 Y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한 근이 =이므로   
B=šA C=™A D= E  UUA㉠ =  >  ?  = > ? 
∴ 
   
ㄱ. ㉠의 양변에 을 곱하면 B=šAC=™AD=E
 
즉, =는 BYšACY™ADYE의 근이다.  

ㄴ. ㉠에서 B = šAC = ™A D = E
삼차방정식의 근의 변형
따라서 =는 BYšACY™A DYE의 근이다.
삼차방정식 G Y 의 세 근이 =, >, ?이면
C D E
ㄷ. ㉠의 양변을 =šA으로 나누면 B    G = , G > , G ? 이므로
= =™A =šA
G BYC  B  의 세 근은
    
∴ E[ ] D[ ] C[ ]B BYC=, BYC>, BYC?에서
= = =
= C > C ? C
 Y 또는 Y 또는 Y
따라서  은 EYšADY™A CYB의 근이다. B B B
=

Ⅱ. 방정식 145
0845  0848 

YšA에서 YšA , 즉 Y  Y™AY  이므로 Œ YZ일 때,


T는 Y™AY 의 한 허근이고, 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NBY Y, Z Y, NJO Y, Z Z이므로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T의 켤레복소수인 T•도 Y™AY 의 근이다. YY Z  UUA㉠
 <@
∴ TšA, T™AT , T T•, TT• ZY™AZ™A UUA㉡
O
T ㉠에서 YZ UUA㉢
T O[ ] 에서
T T• ㉢ 을 ㉡에 대입하면
O
T
T O T™A OTO, [ ] TO이므로 Z Z ™AZ™A, Z™A Z
T T•
TOTO Z  Z  ∴ Z 또는 ZÅ
TOTO에서 TOTO, TO TO 
이것을 ㉢에 대입하면
이때 TO 이므로 TO
Y, Z 또는 Y, ZÅ
즉, TšA이므로 자연수 O은 의 배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보다 작은 자연수는 , , 의 개 그런데 YZ이므로 Y, Z
이다. ∴ YZ
 YZ일 때,
NBY Y, Z Z, NJO Y, Z Y이므로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ZY Z  UUA㉣

0846
 <@
② YY™AZ™A UUA㉤
㉣에서 ZY UUA㉥
Y™AY Y™AY  L Y™AY 
㉥ 을 ㉤에 대입하면
 Y™AY B Y™AY C
YY™A Y ™A, Y™A Y 
에서 Y™AY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Y  ™A ∴ Y 중근
9 9  L9  9 B 9 C
이것을 ㉥에 대입하면
9™A L  9 9™A B C 9 BC
Y, Z
∴B CL , BC UUA㉠
∴ YZ
㉠에서 BC이고 B, CA BC 가 자연수이므로
Œ, 에서 YZ의 값은 이다.
B, C 또는 B, C
Œ B, C인 경우
L B C 
0849 

∴ L 방정식 YšA N  Y™AY N™A 의 한 근이 이므로


 B, C인 경우  N   N™A 
L B C  N™AN, N  N 
∴ L ∴ N 또는 N
Œ, 에서 모든 상수 L의 값의 합은 Œ N일 때, YšAY™AY 
  Y™A Y  Y , Y™A Y 
Y  Y ™A
∴ Y 또는 YA 중근
그런데 이것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음의 정수인 근을 갖는다는

0847 ②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N일 때, YšA Y™AY
㈎에서 G Y 는 Y를 인수로 가지므로 는 방정식 G Y 의 G Y YšA Y™AY이라 하면
한 근이다. G   
㈏에서 방정식 G Y 의 한 근이  이고 계수가 유리수이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로 도 근이다.
    
삼차방정식 Y  šA B Y  ™A C Y  D에서     
G Y  이므로     
Y  또는 Y   또는 Y 
∴ G Y  Y Y™A Y 
 
∴ Y 또는 Y 또는 Y  Y Y  Y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Y Y  Y  
따라서 모든 근의 곱은
  ∴ Y 또는 Y 또는 Y
@ @[ ]Å
  Œ, 에서 N

146 정답과 풀이
0850 ① 0852  DN

   두 원 ", #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Y DN, Z DN라 하면


삼차방정식 YšAY™A Y의 세 근이 , , 이므로
=> >? ?=

1
두 원 ", #의 지름의 길이의 합이  DN이므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 Z, Y Z
  
, ∴ YZ  UUA㉠
=> >? ?=
또한 원 $의 지름의 길이는
     
@ @ @ , 원 "의 지름의 길이  원 #의 지름의 길이 YZ DN
=> >? >? ?= ?= =>
   이므로 원 %의 반지름의 길이는
@ @ 
=> >? ?=
Å\ 원 #의 지름의 길이  원 $의 지름의 길이 ^
=
> ? => >? ?= 
∴ , ,   UUA㉠
=>? =>? ™A =>? ™A
Å\Z YZ ^Y Z DN
이때 =, >, ?가 삼차방정식 YšA BY™A CY D의 세 근이므로
= > ?B, => >? ?=C, =>?D 두 원 ", %의 넓이의 차가 LADN™A이므로
이것을 ㉠의 각 식에 대입하면 LY™AL Y Z ™AL
B C  Y™A Y™AYZ Z™A 
, , 
D D™A D™A YZZ™A
따라서 BD, CD™A, D™A이므로 ∴ YZZ™A  UUA㉡
B™A, C™A, D™A ㉠을 ㉡에 대입하면
∴ B™A C™A D™A   Z ZZ™A, Z™AZ 

Z Z  ∴ ZÄ 또는 Z

이것을 ㉠에 대입하면
0851 
Yid, ZÄ 또는 Y, Z
G Y BYšA CY™A CY B라 하면
그런데 Yid, ZÄ이면 원 %의 반지름의 길이가
G  B CC B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Y Zid g이 되어 음수이다.
 B C C B
∴ Y, Z
  B  BC  B
 B  BC  B  따라서 원 "의 반지름의 길이는  DN이다.

∴ G Y  Y  \BY™A BC Y B^


이때 삼차방정식 G Y 이 서로 다른 세 정수를 근으로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BY™A BC Y B은 가 아닌 서로 다른 두
정수를 근으로 가져야 한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두 근의 곱이 이므로 가능한 두 근은
B
Y, Y 또는 Y, Y
즉, 두 근의 합은  또는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
계에 의하여
 BC  BC
 또는 
B B

∴ CÄB 또는 CBA 단, B 

Œ CÄB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B, C 는

,  , ,  , U, ,  , ,  , ,  , U,


,  의 개이다.

 CB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B, C 는

,  , ,  , U, ,  , ,  , ,  , U,


,  의 개이다.
Œ,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B, C 의 개수는
 

Ⅱ. 방정식 147
0855 ㄱ, ㄷ
 ㄱ. B DC D에서 B DDC DD ∴ BC
B C
ㄴ.  에서 D이면 BC
D D
ㄷ. D이므로 BDCD의 양변을 D으로 나누면 BC
 
ੌରࠗ١ध ㄹ. B, C이면  이지만 BC이다.
B C
 
ㅁ. B , C 이면 BC이지만 BCC이다.
 
 ࠗ١ध੄ӝࠄࢿ૕ 따라서 항상 성립하는 것은 ㄱ, ㄷ이다.

1. ⑴ 
0856
⑵ ⑶ ⑷
ㄷ, ㅁ
2. ⑴  ⑵ ⑶ ⑷
ㄱ. BC에서 |B||C|
2. ⑴ BC의 양변에 B를 더하면 B BC B ∴ BB C ㄴ. B, D이면
⑵ C이므로 BC의 양변에 C를 곱하면 BCC BD이지만 |B||D|이다.
⑶ BC의 양변에 를 곱하면 BC ㄷ. BC에서 |B||C|이므로 BC
위의 식의 양변에 을 더하면 B C  ㄹ. BC에서 BC
⑷ BC의 양변에 을 곱하면 BC ㅁ. C, D이므로 C, D ∴ CD
위의 식의 양변에 을 더하면 B C  따라서 옳은 것은 ㄷ, ㅁ이다.

0853 ㄱ, ㄷ 0857 ⑤

① B, C이므로 BC


ㄱ. BC에서 BDCD
② BC, C이므로 BCC
ㄴ. B, C이면
B
  ③ C이므로 BC의 양변을 C로 나누면 
BC 이고 BC이지만  이다. C
B C
④ BC에서 |B||C|이므로 BC
ㄷ. BC에서 B DC D UU ㉠
B C
DE에서 C DC E UU ㉡ BC이므로 BC의 양변을 BC로 나누면 
C B
㉠, ㉡에서 B DC E ⑤ BC에서 BC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B C
BC이므로 BC의 양변을 BC로 나누면 
BC일 때, ?Å 과 @Å 의 대소 비교 C B
따라서 항상 성립하는 것이 아닌 것은 ⑤이다.
BC일 때,
다른 풀이
 
⑴ B와 C의 부호가 같으면  이다.
B C B
④ ③에서  UU ㉠
  C
⑵ B와 C의 부호가 다르면  이다.
B C
C
B이므로 BC의 양변을 B로 나누면  UU ㉡
B
C B C B
0854
㉠, ㉡에서  이므로 
④ B C B C

① BC에서 BC
② BC에서 BC ∴ BC
 ࠗ١धBYC੄ಽ੉
B C B C
③ BC에서  ∴  
   

0858
   
④ BC에서  B C ∴ B  C  ③
   
 
⑤ B, C이면 BC이지만 B C 이다.
BY C, 즉 BYC의 해가 Y이므로 B
따라서 항상 성립하는 것은 ④이다.
C
∴ Y
BC일 때, B과 C의 대소 비교 B
C
BC일 때, 따라서  이므로 CB
B
⑴ BC이면 |B||C|이므로 BC이다.
CB를 B C YyC에 대입하면 BYyB
⑵ BC이면 B과 C의 대소는 알 수 없다.
⑶ BC이면 |B||C|이므로 BC이다. 
이때 B에서 B이므로 양변을 B로 나누면 Yƒ


148 정답과 풀이
0859 Y 0864 Y

BY Y B에서 B Y B BC Y BCƒ에서 BC YƒB C

1
이때 B에서 B이므로 양변을 B로 나누면 이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Y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Y BC, B C
BC에서 CB이므로
B C에 CB를 대입하면 B B

0860
B ∴ B

CB를 BC Y BC에 대입하면
B C에서 CB UU ㉠ BB Y BB ∴ BYB
㉠을 주어진 부등식에 대입하면 이때 B에서 B이므로
B B YƒB B ∴ BYƒB Y
이 부등식의 해가 Yy이므로 B
B
∴ Yy
B
B
따라서 이므로 BB ∴ B
B  ো݀ੌରࠗ١ध੄ಽ੉
B를 ㉠에 대입하면 C
∴B C  1. ⑴ Yy ⑵ Y ⑶ Y
2. ⑴ ƒYƒ ⑵ ƒY

2. ⑴ Yy에서 Yy UU ㉠
0861 Bƒ Yƒ에서 Yƒ UU ㉡

..Y. YB 에서 Y YB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B  ƒYƒ
YYB, YB ∴ Y   Y
 ⑵ Y y에서 Yy
이때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Y가 ∴ Yy UU ㉠
하나도 없으려면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Y Y에서 Y
B   B  ∴ Y UU ㉡
ƒ, B ƒ ∴ Bƒ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ƒY
  Y

0862 ⑤

YBBYC에서 B YBC 0865 ③

이 부등식의 해가 없으려면 YY에서 Y ∴ Y UU ㉠


B, BCy ∴ B, Cƒ Y ƒ Y  에서 Y ƒY 
따라서 실수 C의 최댓값은 이다. 
Yƒ ∴ Yy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0863 해는 없다.  ƒY
 


 Y

BY BƒY에서 B YƒB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이 부등식이 성립하려면
0866 ①
B, By ∴ B
………………………………………………………………………………… ➊ 
Y Y에서 Y ∴ Y UU ㉠

B를 BYY에 대입하면
Y Y 에서 Y UU ㉡
Y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따라서 ×Y이므로 해는 없다. ㉠

………………………………………………………………………………… ➋ Y Y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B , C이므로

➊ B의 값 구하기 50%

➋ 부등식 BYY의 해 구하기 50% BC @


Ⅲ. 부등식 149
0867  0870 ①

 Y  Y  에서 YY Y 


.(Y .( 에서
 
Y ∴ Y UU ㉠
  Y 
  Y 
Y Y 의 양변에 을 곱하면    
 
양변에 을 곱하면
YY , Y ∴ Y UU ㉡
㉡ Y  Y , Y 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Y ∴ Y UU ㉠
  Y 
따라서 정수 Y의 최댓값은 이다.
Y
Y y의 양변에 을 곱하면

Y Y y, YY y
0868 
Yy ∴ Yy

UU ㉡

Y  Y
y 의 양변에 을 곱하면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Y  y Y , Y yY  
 ƒY 이므로 Y
   
∴ Yƒ 
Yy UU ㉠  
 
. Y .. Y  의 양변에 을 곱하면 B , C
 
 Y  Y  , Y Y  이것을 BYC에 대입하면
     
Y ∴ Y UU ㉡  Y ,  Y ∴ 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따라서 해가 아닌 것은 ①이다.


Yƒ Y
  

따라서 자연수 Y는 , , 의 개이다.

0869   "#$Ԝ੄ࠗ١ध੄ಽ੉


Y.ƒY .의 양변에 을 곱하면

YƒY , Yƒ
0871 ①

∴ Yy UU ㉠ YƒY 에서 Yƒ ∴ Yy UU ㉠


………………………………………………………………………………… ➊ Y ƒY에서 Yƒ ∴ Yƒ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Y ƒ.의 양변에 을 곱하면 ㉠
 ƒYƒ
Y ƒ, Yƒ   Y
따라서 B, C이므로
 B C  
∴ Yƒ UU ㉡

………………………………………………………………………………… ➋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ƒYƒ

 

 Y 0872 ④

………………………………………………………………………………… ➌  
 Y에서  Y ∴ Y UU ㉠
 
이때 ƒYƒ이므로
 
ƒY ƒ Y에서 Y ∴ Y UU ㉡
 
따라서 Y 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므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구하는 합은    ㉠
Y
………………………………………………………………………………… ➍   Y
따라서 정수 Y는 , , , , , , 의 개
채점 기준 배점 이다.

➊ Y.ƒY .의 해 구하기
 20% 다른 풀이

➋ .Y

ƒ.의 해 구하기 20%  
  Y의 각 변에 을 더하면  Y
 
➌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 구하기 30% 각 변에 를 곱하면 Y
➍ Y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 구하기 30% 따라서 정수 Y는 , , , , , , 의 개이다.

150 정답과 풀이
0873 ④ B
B



 Y  Y 에서 Y Y  B에서 B UU ㉢

1
Y ∴ Y UU ㉠ B 
 에서 B , B

Y ƒ  Y 에서 Y ƒ Y
∴ B UU ㉣
Yƒ ∴ Yy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 B
ƒY B
Y  
  따라서 정수 B는 이다.
………………………………………………………………………………… ➋

채점 기준 배점
0874 ②
➊ .의 값 구하기 50%

YƒY 에서 Yƒ ∴ Yy UU ㉠ ➋ B의 값 구하기 50%


Y Y 에서 Y ∴ Y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ƒY
  Y
ㄱ. 정수인 해는 , , , 의 개이다.
 ౠࣻೠ೧ܳы‫ח‬ো݀ੌରࠗ١ध
ㄴ. 자연수인 해는 의 개이다.
 ⑴ 해는 없다. ⑵ Y ⑶ 해는 없다.
ㄷ. Y 은 부등식의 해가 아니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Yƒ UU ㉠
⑴ <
Y UU ㉡

0875 ⑤ ㉠, ㉡의 공통부분이 없으므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없다.
㉠ ㉡

Y
 
Y Y  ⑵ Yy UU ㉠
 의 양변에 를 곱하면
 
Yƒ에서 Yƒ UU ㉡ ㉡
 Y  Y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Y , Y ∴ Y UU ㉠ Y
Y 
Y 
ƒ.Y .의 양변에 을 곱하면 ⑶Y 에서 Y UU ㉠

 Y  ƒY  Y에서 Y UU ㉡ ㉡
㉠, ㉡의 공통부분이 없으므로 주어진 ㉠
Y ƒY , Yƒ ∴ Yƒ UU ㉡
연립부등식의 해는 없다.  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Yƒ ㉠

0877
따라서 해가 아닌 것은 ⑤이다.   Y

 Y  Y에서 Y Y
0876  Y ∴ Y UU ㉠
Y Y  에서 YY 
Y  Y 
 의 양변에 을 곱하면 
   Y ∴ Y UU ㉡
 ㉡ ㉠
 Y   Y 
㉠, ㉡의 공통부분이 없으므로 주어진 연립 Y
Y Y  ∴ Y UU ㉠  
부등식의 해는 없다. 

Y  Y 
ƒ 의 양변에 을 곱하면
  
 Y ƒ Y  0878 ㄴ, ㄹ
Y ƒY , Yƒ
ㄱ. Y y에서 Yy ∴ Yy
∴ Yy UU ㉡
Yy에서 Yƒ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ƒY이므로 .
  Y Y  Y

………………………………………………………………………………… ➊
ㄴ. Y 에서 Y ∴ Y
Yƒ에서 Yƒ ∴ Yƒ
B 
.을 B. 에 대입하면 Y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없다. 

Ⅲ. 부등식 151
ㄷ. YY에서 Y ∴ Y ㄷ. B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해는
Y Y에서 Y ∴ Y Y
B Y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Y
Y
ㄹ. .Y .에서 Y 
Y ∴ Y
Y
y에서 Yy ∴ Yy  ೧о઱য૓ো݀ੌରࠗ١ध

  Y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없다.

ㅁ. . Y ƒ 에서  Y ƒ

0881 

 B
Yƒ, Yƒ ∴ Yƒ Y BY 에서 YB ∴ Y
 
 Y ƒY 에서 Yƒ ∴ Yy
Y .y.에서 Y y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CƒY이므로
 B
Yy ∴ Yy ∴ B, C
 , C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 CB  
 
ƒYƒ   Y
 
0882
 
따라서 해가 없는 것은 ㄴ, ㄹ이다. ②

B 
YB에서 YB  ∴ Y


0879 Y Y C에서 YC ∴ Y


C

Y Y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Y이므로
 yÅ에서 Y Y  y
  B 
에서 B  ∴ B
YYy, Yy 
∴ Yƒ UU ㉠ C
 에서 C ∴ C

………………………………………………………………………………… ➊
∴B C  
Y  Y
y 에서  Y  y Y
 
Y
∴ Yy
yY, Yy
UU ㉡
0883 ④

………………………………………………………………………………… ➋ Y Y
Bƒ Å에서 Y Bƒ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B
Y YƒB ∴ Yy

 Y
. Y  y.Y .에서  Y  yY 
………………………………………………………………………………… ➌ Y yY  ∴ Yy
채점 기준 배점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Yy이므로
Y Y  B
➊ 
 
yÅ의 해 구하기 40%  , B

Y  Y


y

의 해 구하기 40% 
B ∴ B
➌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 구하기 20% 

0884 

0880 ㄴ
YƒY B에서 YƒB  ∴ Yy
B



YƒY에서 Yƒ ∴ Yy  Y  ƒY C에서 Y ƒY C


YƒY B에서 YƒB C
YƒC ∴ Yƒ
ㄱ. B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해는 
ƒYƒB 
 B Y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Y 이므로

ㄴ. B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해는
B 
없다. Y  에서 B  ∴ B
B  

152 정답과 풀이
C B , C
에서 C ∴ C

∴ B, C
∴B C 
∴B C 

1
………………………………………………………………………………… ➍

0885
채점 기준 배점
ÄYƒ
➊ Y BƒY의 해 구하기 20%
B ➋ CYy Y 의 해 구하기 40%
YBƒYB에서 YƒB ∴ Yƒ

➌ 주어진 해를 이용하여 B와 C에 대한 식 세우기 20%
YBYC에서 YBC ∴ YB C
➍ B C의 값 구하기 20%
잘못 푼 연립부등식의 해가 Yƒ이므로
B
 , B C ∴ B, C

따라서 처음 부등식은 Y ƒY Y 이므로
Y ƒY 에서 Yƒ ∴ Yƒ UU ㉠

Y Y 에서 Y ∴ Y



UU ㉡
 ೧ܳыѢաы૑ঋ‫ח‬ো݀ੌରࠗ١ध


0888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④
처음 부등식의 해는
  Y
 Yy에서 Yy ∴ Yƒ
Yƒ 

BƒYB에서 YƒB ∴ YyB
주어진 연립부등식이 해를 갖지 않으려면

0886
그림에서  B Y

B ∴ B
 
Y  Y 에서 Y Y Y
YY , Y  ∴ Y
BY Y
y Å에서  BY yY 
0889 ④
 
YƒYB에서 YƒB  ∴ YyB
BYyY , YyB
YƒY에서 Yƒ ∴ Yƒ
B
∴ Yƒ UU ㉠
 주어진 연립부등식이 해를 가지려면
Yy Y C 에서 YyY C  그림에서
B  Y
∴ YyC  UU ㉡ Bƒ ∴ Bƒ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Y이므로 따라서 B의 최댓값은 이다.
B
 에서 B, B ∴ B

C 에서 C ∴ C
0890 Ly
∴ BC
Y 
Y Å 에서 Y Y 


0887
Y ∴ Y

Y  YL
ƒ 에서  Y  ƒ YL
 
Y BƒY에서 YƒB
Y ƒYL ∴ YƒL
B 
∴ Yy UU ㉠ 주어진 부등식이 해를 갖지 않으려면

………………………………………………………………………………… ➊ 그림에서 L  Y

CYy Y 에서 CYyY 


Lƒ, Lƒ ∴ Ly

∴ C Yy UU ㉡
이때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ƒYƒ이므로 부등식 ㉠의 해는

0891
Yy, 부등식 ㉡의 해는 Yƒ이어야 한다.


즉, C이므로 Yƒ
C Y 
BY 에서 YBY 
………………………………………………………………………………… ➋  
B   B 
따라서 ,  이므로 YB  ∴ Y
 C 
………………………………………………………………………………… ➌ ………………………………………………………………………………… ➊

Ⅲ. 부등식 153
. Y y.Y.에서  Y yY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정수인 해가
YyY, Yy ∴ Yƒ , , 이려면 그림에서
    Y
………………………………………………………………………………… ➋ ƒB, ƒB 
 B

주어진 연립부등식이 해를 가지려면 
∴  Bƒ
그림에서 
B   Y 따라서 정수 B의 값은 이다.
B  
  

………………………………………………………………………………… ➌
B , B
따라서 정수 B의 최솟값은 이다.
∴ B
0895 ƒB

………………………………………………………………………………… ➍ BY ƒB에서 BYƒB


B
채점 기준 배점 ∴ YƒB

Y 


BY

의 해 구하기 20% ………………………………………………………………………………… ➊
➋ . Y y.Y.의 해 구하기 20% 주어진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➌ 주어진 연립부등식이 해를 가질 조건을 이용하여 B에 대한 부등
40% 정수 Y가 와 뿐이려면     Y
식 세우기 B B
오른쪽 그림에서 
➍ 정수 B의 최솟값 구하기 20%
B
ƒ , ƒB

를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 ➋
즉, ƒB, ƒB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공통부분을 구하면
 ੿ࣻੋ೧‫חژ‬೧੄ѐࣻо઱য૓ো݀ੌରࠗ١ध    B
ƒB
………………………………………………………………………………… ➌
0892 ② 채점 기준 배점

Y Y 에서 Y ∴ Y ➊ 주어진 부등식의 해 구하기 30%

YB Y  에서 YBY  ➋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B에 대한 부등식 세우기 40%

B  ➌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YB  ∴ Y

주어진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Y가 개이려면 그림에서


B 
, ƒB 

B


    Y
0896 ⑤
 
Y 에서 Y
∴ ƒB
B 
YB 에서 Y

주어진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Y의 값의 합이 이므로

0893 ƒL 모든 정수 Y는 , , 이다.


B 
즉, 그림에서  ƒ이므로
 
Yy에서 Yy ∴ Yy
 Y
B ƒ ∴ Bƒ     
주어진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B 
따라서 자연수 B의 최댓값은 이다.

정수 Y가 하나뿐이려면 그림에서
  L  Y
ƒL 

0894 ③  ো݀ੌରࠗ١ध੄ഝਊ

Y Y B
0897
Åy 에서 YyY B
   ③
YyB  ∴ YƒB
오렌지의 개수를 Y라 하면 사과의 개수는 Y이므로
 Y  yY에서 Y yY
Y Y
 <
Yy ∴ Yy
 Y  Y ƒ

154 정답과 풀이
Y Y 에서 YY   
Y Y ƒ
 
Y ∴ Y UU ㉠ 9
 
Y  Y ƒ에서 Y Y y
  

1
Y  Y ƒ, Y Yƒ
 
Yƒ ∴ Yƒ UU ㉡ Y Y ƒ에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Yƒ, Yƒ
Yƒ ∴ Yƒ UU ㉠
따라서 오렌지의 개수가 될 수 있는 것은 ③이다.  
Y Y y에서
 
Y Yy, Yy

0898  ∴ Yy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ƒYƒ
Y 따라서 섭취해야 하는 식품 "의 양은 AH 이상 AH 이하이다.
<
Y

Y에서 Y ∴ Y UU ㉠


Y에서 Y ∴ Y UU ㉡
  ো݀ੌରࠗ١ध੄ഝਊ  җࠗ઒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0902
 
Y 
 
따라서 Y는 정수이므로 이다.
상자의 개수를 Y라 하면 마스크의 개수는 Y 이므로
 Y ƒY  Y 

0899
 Y ƒY 에서

YƒY , Yƒ
세로의 길이를 YADN라 하면 ∴ Yƒ UU ㉠
 Y  Y 에서
가로의 길이는 Y Y DN 이므로
 Y Y, Y
 ∴ Y UU ㉡
YYƒ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ƒ

YY에서 YY 이때 Y는 자연수이므로 Y

Y ∴ Y UU ㉠ 따라서 상자의 개수가 이므로 마스크의 개수는
YƒY에서 Yƒ × 
∴ Yy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ƒY 0903 ④
따라서 세로의 길이는 ADN 이상 ADN 미만이다.
학생 수를 Y라 하면 YY
Y에서 Y UU ㉠

0900 AH 이상 AH 이하


Y에서 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UU ㉡

A의 설탕물을 YAH 섞는다고 하면 따라서 이 반의 학생은 명 이상 명 이하이다.


   
@ƒ Y Y ƒ @
   
ƒY  Y ƒ 0904 

ƒY ƒ 상자의 개수를 Y라 하면


ƒYƒ Y ƒƒY
∴ ƒYƒ ………………………………………………………………………………… ➊
따라서 A의 설탕물을 AH 이상 AH 이하로 섞어야 한다. 
Y ƒ에서 Yƒ ∴ Yƒ UU ㉠

ƒY에서 Yƒ ∴ Yy UU ㉡

0901  H 이상  H 이하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섭취해야 하는 식품 "의 양을 YAH이라 하면 ƒYƒ

식품 #는 Y H 섭취해야 하므로 ………………………………………………………………………………… ➋

Ⅲ. 부등식 155
이때 Y는 자연수이므로 Y
0908 ②
따라서 상자의 개수는 이다.
………………………………………………………………………………… ➌ |Y B|에서 Y B
∴ BYB 
채점 기준 배점
B가 정수이고 정수 Y의 최솟값이 이므로
➊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연립부등식 세우기 30%
B, B ∴ B
➋ 연립부등식의 해 구하기 50%
➌ 상자의 개수 구하기 20%

0909 ③

0905 ⑤ \Y


B\ƒC에서 C이므로 CƒY


BƒC

의자의 개수를 Y라 하면 학생은 Y  명이므로  


 BCƒYƒ B C
 
 Y ƒY ƒ Y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ƒYƒ이므로
 Y ƒY 에서 YƒY 
 
∴ Yƒ UU ㉠  BC,  B C
 
Y ƒ Y 에서 Y ƒY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Yƒ ∴ Yy UU ㉡ ∴B C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ƒYƒ

따라서 의자의 개수가 될 수 없는 것은 ⑤이다. \Y B\ƒC에서


Œ C일 때, \Y B\ƒ

 
이때 \Y B\는 음수가 될 수 없으므로 \Y B\
 

∴ Y B

 ]BY C]D ]BY C]DԜ੄ࠗ١ध
 C일 때, \Y

B\ƒC의 해는 없다.

⑴ Y ⑵ Yy 또는 Yƒ 
Œ, 에서 부등식 \Y B\ƒC의 해가 ƒYƒ이면 C일 수 밖

에 없다.
⑴ |Y|에서 Y ∴ Y
⑵ |Y|y에서

0910
Yƒ 또는 Yy
Bƒ 또는 By
Yƒ 또는 Yy
∴ Yy 또는 Yƒ |YB|에서
YB 또는 YB

0906
∴ YB 또는 YB 

따라서 YB 또는 YB 이 Y를 포함하려면 그림에서
|Y|에서 Œ 
Y 또는 Y
Y 또는 Y ∴ Y 또는 Y   B Y B    Y

따라서 B, C이므로 Œ By에서 By


B C  B ƒ에서 Bƒ
Œ, 에서 Bƒ 또는 By

0907 

Y ƒ에서 Yƒ ∴ Yƒ UU ㉠


0911 ②

|Y|ƒ에서 ƒYƒ |YB| yC에서 |YB|yC


∴ ƒYƒ UU ㉡ Cƒ이면 |YB|yC의 해가 모든 실수가 되므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C ∴ C
ƒYƒ |YB|yC에서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Y는 , , , YBƒC  또는 YByC
, , , 의 개이다. ∴ YƒBC  또는 YyB C

156 정답과 풀이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Yƒ 또는 Yy이므로  Yy일 때, Yy이므로
BC , B C YƒY  ∴ ×Yƒ
∴ BC, B C 따라서 해는 모든 실수이다.

1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그런데 Yy이므로 Yy
∴ BC@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Yy
∴ B
0912 Y 또는 Y

|Y |에서
Y  또는 Y  0915 Y
∴ Y 또는 Y UU ㉠
|Y|Y에서
………………………………………………………………………………… ➊
Œ Y일 때, YY
|Y |에서 Y 
Y ∴ Y
∴ Y UU ㉡
그런데 Y이므로 Y
………………………………………………………………………………… ➋
 Yy일 때, Y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 Y
Y 또는 Y
그런데 Yy이므로 Yy
………………………………………………………………………………… ➌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채점 기준 배점
Y
➊ |Y |의 해 구하기 30%
➋ |Y |의 해 구하기 30%
➌ 주어진 부등식의 해 구하기 40%
0916 ⑤

Y|Y |에서
0913  
Œ Y 일 때, Y 이므로

C이면 |BY |yC의 해가 모든 실수가 되므로 C Y Y  , YY
이때 BC이므로 B Y ∴ Y
|BY |yC에서  
그런데 Y 이므로 Y
BY ƒC 또는 BY yC  
BYƒC 또는 BYyC 
 Yy 일 때, Y y이므로

C C
∴ Yy 또는 Yƒ ∵ B YY , Y ∴ Y
B B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Yƒ 또는 Yy이므로  
그런데 Yy 이므로  ƒY
 
C C
,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B B
∴ CB, CB Y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따라서 모든 정수 Y는 , , , 이므로 구하는 합은
∴B C     

0917 

 ]BY C]DY EԜ੄ࠗ١ध |Y |Y에서


Œ Y일 때, Y 이므로

0914
 Y  Y

YY ∴ Y
|Y|ƒY 에서 그런데 Y이므로 Y
Œ Y일 때, Y이므로  Yy일 때, Y y이므로
 Y ƒY , Y ƒY  Y Y, Y ∴ Y
Yƒ ∴ Yy 그런데 Yy이므로 해는 없다.
그런데 Y이므로 ƒY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Y

Ⅲ. 부등식 157
B Œ~Ž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Y B에서 YB ∴ Y

Yƒ 또는 Yy
이때 두 부등식의 해가 일치하므로
따라서 B, C이므로
B
, B B C 

∴ B

0920 ④
0918 
|Y| |Y|ƒ에서
|Y| Yy에서
Œ Y일 때, Y, Y이므로
Œ Y일 때, Y이므로
Y Y ƒ, YY ƒ
 Y Yy, Y  Yy
Yƒ ∴ Yy
Yy ∴ Yƒ
그런데 Y이므로 ƒY
그런데 Y이므로 Yƒ
 ƒY일 때, Yy, Y이므로
………………………………………………………………………………… ➊
Y Y ƒ, YY ƒ
 Yy일 때, Yy이므로
∴ ×Yƒ
 Y Yy, Y Yy
따라서 해는 모든 실수이다.

Yy ∴ Yy 그런데 ƒY이므로 ƒY

Ž Yy일 때, Y, Yy이므로

그런데 Yy이므로 Yy
 Y Yƒ, Yƒ ∴ Yƒ
………………………………………………………………………………… ➋ 그런데 Yy이므로 ƒYƒ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Œ~Ž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ƒYƒ
Yƒ 또는 Yy

………………………………………………………………………………… ➌
따라서 자연수 Y의 최솟값은 이다.
………………………………………………………………………………… ➍ 0921 

채점 기준 배점 |Y | |Y|에서
➊ Y일 때 부등식의 해 구하기 30% Œ Y일 때, Y , Y이므로
➋ Yy일 때 부등식의 해 구하기 30%  Y   Y , YY 
➌ 주어진 부등식의 해 구하기 20% Y ∴ Y
➍ 자연수 Y의 최솟값 구하기 20% 그런데 Y이므로 Y
 ƒY일 때, Y y, Y이므로
Y  Y , Y Y 
∴ @Y
따라서 해는 모든 실수이다.
 ੺؆чӝഐܳѐನೣೠࠗ١ध 그런데 ƒY이므로 ƒY
Ž Yy일 때, Y , Yy이므로

0919 
Y  Y, Y
그런데 Yy이므로 ƒY
∴ Y

|Y| |Y |y에서 Œ~Ž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Œ Y일 때, Y, Y 이므로 Y
 Y  Y  y, Y Yy 따라서 정수 Y는 , , , 의 개이다.
Yy ∴ Yƒ
그런데 Y이므로 Yƒ

0922
 ƒY일 때, Y, Y y이므로
Y
 Y Y y, Y  Y y
∴ @Yy ā Y  |Y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따라서 해는 없다. |Y| |Y |Y 
Ž Yy일 때, Yy, Y 이므로 Œ Y일 때, Y, Y 이므로
Y Y y, Yy ∴ Yy  Y  Y  Y , Y YY 
그런데 Yy이므로 Yy Y ∴ Y

158 정답과 풀이
그런데 Y이므로 해는 없다.
0924 ①
………………………………………………………………………………… ➊
 ƒY일 때, Y, Y y이므로 |Y|Bƒ에서 |Y|ƒB 

1
 Y Y Y , Y  Y Y  이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Y ∴ Y B  ∴ B

그런데 ƒY이므로 Y


………………………………………………………………………………… ➋
Ž Yy일 때, Yy, Y 이므로 0925 ②
Y Y Y  ∴ Y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모든 실수이려면
그런데 Yy이므로 ƒY
 
………………………………………………………………………………… ➌ B ƒ, Bƒ ∴ Bƒ
 
Œ ~Ž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따라서 정수 B의 최댓값은 이다.
Y
………………………………………………………………………………… ➍

채점 기준 배점 0926 ④
➊ Y일 때 부등식의 해 구하기 30%
 
➋ ƒY일 때 부등식의 해 구하기 30% \ Y\ B에서 \ Y\B
 
➌ Yy일 때 부등식의 해 구하기 30% 이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려면
➍ 주어진 부등식의 해 구하기 10% B ∴ B

0923 ②

||Y ||ƒ에서 ƒ|Y |ƒ


∴ ƒ|Y |ƒ
그런데 |Y |y이므로 ƒ|Y |ƒ
ƒY ƒ ∴ ƒYƒ
따라서 ., N이므로
. N  
다른 풀이

||Y ||ƒ에서
Œ Y일 때, Y 이므로 0927 ③

| Y  |ƒ, |Y|ƒ Y yY에서 Yy ∴ Yy UU ㉠


|Y |ƒ, ƒY ƒ YY 에서 Y ∴ Y UU ㉡
∴ ƒYƒ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그런데 Y이므로 ƒY ƒY
 Yy일 때, Y y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를 수직선 위에 바르게 나타낸 것은
|Y |ƒ, |Y|ƒ ③이다.
ƒYƒ ∴ ƒYƒ
그런데 Yy이므로 ƒYƒ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ƒYƒ
0928 

따라서 ., N이므로 YZ에서 ZY


. N   이것을 주어진 부등식에 대입하면
YY ƒY 
∴ YYƒY 
YY에서
Y ∴ Y UU ㉠
 ੺؆чӝഐܳನೣೠࠗ١ध YƒY 에서
 ೧੄ઑѤ੉઱য૓҃਋ Yƒ ∴ Yy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y
⑴ Bƒ ⑵ B ⑶ B ⑷ Bƒ
따라서 음의 정수 Y는 , , , , 의 개이다.

Ⅲ. 부등식 159
0929 ④ ∴ Yƒ


UU ㉡

Y   Y 에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Y Y, Y Y  
ƒYƒ

Y  ∴ Y
그런데 Y는 자연수이므로 Y
YB Y 
y 에서
   따라서 테마 "를 체험하는 횟수는 이다.
 YB yY , YByY 
B 
YyB  ∴ Yƒ
 0933 
Yƒ Y C 에서
텐트의 개수를 Y라 하면 학생은 Y  명이므로
YƒY C , YƒC 
 Y ƒY ƒ Y 
∴ YyC
 Y ƒY 에서 YƒY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Y이므로
∴ Yƒ UU ㉠
B  
 에서 B , B ∴ B Y ƒ Y 에서 Y ƒY
 
C에서 C ∴ C Yƒ ∴ Yy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BC @  
 ƒYƒ
따라서 텐트의 최소 개수는 이다.

0930 Bƒ

.Y .ƒ.에서 Y ƒ


0934 ①

Yƒ ∴ Yƒ |YB|에서 YB


Y Bƒ Y  에서 Y BƒY  ∴ BYB  UU ㉠
YƒB ∴ YyB B가 자연수이므로 ㉠을 만족시키는 정수 Y는 B, B, B 이다.
주어진 연립부등식이 해를 가지려면 모든 정수 Y의 값의 합이 이므로
Bƒ ∴ Bƒ B B B  , B
∴ B

0931 

YY 에서
0935 Bƒ

Y ∴ Y |Y |Y 에서


Y ƒY B에서 YƒB Œ Y일 때, Y 이므로
 Y  Y , YY 
Y ∴ Y
          Y
그런데 Y이므로 해는 없다.
B
 Yy일 때, Y y이므로
주어진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Y의 개수가 이려면 그림에서
Y Y , Y ∴ Y
ƒB ∴ ƒB
그런데 Yy이므로 Y
따라서 자연수 B의 값은 이다.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Y

0932  따라서 Y이 YB에 포함되려면


그림에서 Bƒ
B  Y
테마 "를 체험하는 횟수를 Y라 하면
테마 #를 체험하는 횟수는 Y이므로

0936
Y  Y ƒ
< 
Y  Y ƒ
Y  Y ƒ에서 |Y ||Y|y에서
Y  Y ƒ, Y Yƒ Œ Y일 때, Y , Y이므로
Yƒ ∴ Yy UU ㉠  Y   Y y, Y Yy
Y  Y ƒ에서 ∴ Yy
Y Yƒ, Yƒ 그런데 Y이므로 해는 없다.

160 정답과 풀이
 ƒY일 때, Y y, Y이므로 0939 
 Y   Y y, Y  Yy
Y BƒY에서 YƒB 

Yy ∴ Yy

1
 B 
∴ Yƒ UU ㉠


그런데 ƒY이므로 ƒY
 YƒC Y  에서 YƒCY C
ŽYy일 때, Y , Yy이므로 C YƒC UU ㉡
 Y   Y y, Y Y y 이때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ƒYƒ이므로 부등식 ㉠의 해는
Yy ∴ Yƒ Yƒ, 부등식 ㉡의 해는 Yy이어야 한다.
그런데 Yy이므로 ƒYƒ C
즉, C이므로 Yy
C
Œ~Ž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B  C
 따라서 , 이므로
ƒYƒ  C

B , CC 
따라서 정수 Y는 , , , U, 의 개이다.
∴ B, C
∴ CB  

0937 ④
0940 Bƒ

Y B Y
B  y 에서 YByY
① C이므로 BC의 양변을 C로 나누면    
C
B
B C YyB ∴ Yy
② E이므로 BC의 양변을 E로 나누면  
E E
Y yY에서
 
③ DE이므로  Yy ∴ Yƒ
D E
     Y
B B 주어진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B
B이므로 양변에 B를 곱하면 
D E 음의 정수 Y가 개뿐이려면 
④ BC에서 BECE UU ㉠ 그림에서
DE에서 DE ∴ CDCE UU ㉡ B
 ƒ, Bƒ
㉠, ㉡에서 BECD 

⑤ BC, D이므로 BDCD UU ㉢ ∴ Bƒ

DE, C이므로 CDCE UU ㉣


㉢, ㉣에서 BDCE
0941 
따라서 항상 성립하는 것은 ④이다.
다른 풀이
āYY ā Y |Y|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B B BEBD B ED |Y|ƒB 


③   
D E DE DE 이 부등식의 해가 오직 한 개만 존재하려면
이때 BC, DE에서 B, ED, DE이므로 B  ∴ B
B ED B B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은 |Y|ƒ이므로 구하는 해는
 ∴ 
DE D E
Y ∴ C
④ BE  CD  BC DE
∴B C 
이때 BC에서 BC, DE에서 DE이므로
BC DE  ∴ BECD
0942 

B
Y B에서 YB ∴ Y

………………………………………………………………………………… ➊
0938 ⑤ YyY C에서 YyC

B YYB Y  에서 C
∴ Yƒ


B YYBY B, BB YB 
………………………………………………………………………………… ➋
B  B YB 
주어진 그림에서 Y, Yƒ이므로
Œ B일 때, ×Y이므로 해는 없다.
B C
 B일 때, ×Y이므로 해는 모든 실수이다. ,  
 
Œ, 에서 B ………………………………………………………………………………… ➌

Ⅲ. 부등식 161
B, C Œ B B일 때
∴ B, C BB, B  B 
∴B C   ∴ B 또는 B
………………………………………………………………………………… ➍  BB일 때
채점 기준 배점 BB, B  B 
➊ Y B의 해 구하기 20% ∴ B 또는 B
➋ YyY C의 해 구하기 20% Œ, 에서 B
………………………………………………………………………………… ➋
➌ 수직선 위의 해를 이용하여 B와 C에 대한 식 세우기 40%
|Y|B에서 |Y|
➍ B C의 값 구하기 20%
Y, Y ∴ Y
따라서 정수 Y는 , , , , , 이므로

0943
구하는 합은      
Y
………………………………………………………………………………… ➌
Y, Y, Y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Y, Y ➊ 주어진 부등식과 해를 이용하여 B에 대한 식 세우기 30%
∴ Y UU ㉠ ➋ 조건을 만족시키는 B의 값 구하기 40%
………………………………………………………………………………… ➊
➌ 정수 Y의 값의 합 구하기 30%
Œ 세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을 때,
YY에서 Y ∴ Y
 가장 긴 변의 길이가 Y일 때, ]Y B]ƒB™AB의 해가 ƒYƒ이므로
YY에서 Y ∴ Y UU ㉡ B™AB을 만족시킨다. 즉, B B 이므로
B 또는 B
또한 YY Y이어야 하므로
Œ, 에서 B의 값은 이를 모두 만족시킨다.
Y ∴ Y UU ㉢
㉡, ㉢에서 Y
Ž 가장 긴 변의 길이가 Y일 때,
YY에서 Y ∴ Y UU ㉣
또한 YY Y이어야 하므로
Y ∴ Y UU ㉤
㉣, ㉤에서 Y
Œ~Ž에서 Y UU ㉥
………………………………………………………………………………… ➋
㉠, ㉥에서 Y
………………………………………………………………………………… ➌
채점 기준 배점
➊ 삼각형의 변의 길이 임을 이용하여 Y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➋ 가장 긴 변의 길이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합 임을 이용하
여 Y의 값의 범위 구하기
60% 0945 

➌ Y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에서 uY uYā Y Y 이므로


삼각형의 변의 길이 Y, Y 또는 Y 또는 Y
∴ Yƒ 또는 Y UU ㉠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주어질 때
‚Y  Y 
⑴ 삼각형의 변의 길이  ㈏에서 m‡ 이므로
‚Y Y
⑵ 가장 긴 변의 길이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합
Y , Y 또는 Y , Y 
∴ ƒY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0944  ƒYƒ
   따라서 정수 Y는 , , , , , , 의 개이다.
|Y B|ƒB B에서 B BƒY BƒB B
∴ B BƒYƒBB 음수의 제곱근의 성질

이때 부등식의 해가 ƒYƒ이므로 실수 B, C에 대하여


B B, BB ⑴ BCuBC 이면 B, C 또는 B 또는 C
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B
⑵ mA 이면 B, C 또는 B, C 
C
………………………………………………………………………………… ➊

162 정답과 풀이
0946 ③ 0949 ④

|Y|ƒ에서 ƒYƒ Œ ƒY일 때, Y, Y y, Y이므로

1
∴ ƒYƒ UU ㉠ |Y| |Y | |Y|
|Z |ƒ에서 ƒZ ƒ  Y Y   Y
ƒZƒ ∴ ƒZƒ UU ㉡ Y  Y Y 
×㉠ ㉡을 하면 Y 
ƒY Zƒ 이때 ƒY에서 Yƒ
따라서 Y Z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므로 구하는 합은 ∴ Y ƒ
    ƒYƒ일 때, Yƒ, Y , Yy이므로
부등식의 사칙계산 |Y| |Y | |Y|
 Y Y  Y
실수 Y, Z에 대하여 BYC, DZE일 때
⑴ B DY ZC E
Y  Y  Y
⑵ BEYZCD Y 
⑶ "YZ# 이때 ƒYƒ에서 ƒY ƒ
단, BD, BE, CD, CE 중 가장 작은 값이 ", 가장 큰 값이 #이다. Œ, 에서 ƒ|Y| |Y | |Y|ƒ이므로 Bƒ
Y
⑷ $ % 따라서 자연수 B의 최댓값은 이다.
Z
B B C C
단, DE이고, , , , 중 가장 작은 값이 $, 가장 큰 값이 %이다.
D E D E

0950 ①

|Y|에서

0947 ③ Y, Y ∴ Y




YY B에서 YB  BYB C에서 BYBC UU ㉠
YBY 에서 YB  연립부등식의 해가 Y이므로 부등식 ㉠의 해는 Y이어
∴ YB 야 한다.
주어진 연립부등식이 해를 가지려면 BC
즉, ㉠에서 B이므로 Y
B
그림에서
B B  Y BC
BB , B 따라서 이므로 BCB
B
∴ B UU ㉠ ∴ CB
또한 주어진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양수 Y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CB를 부등식 B C YB C에 대입하면
B ƒ ∴ Bƒ UU ㉡ BYB B, BYB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이때 B, 즉 B이므로 Y
Bƒ

0951 

0948  BY ƒY B에서 B Yƒ B UU ㉠


Œ B일 때, B이므로 부등식 ㉠의 해는 Yƒ이고
아몬드의 총 개수는 Y 이므로
이때 연립부등식의 해는 Y가 될 수 없다.
 Y ƒY ƒ Y 
 B일 때, @Yƒ이므로 부등식 ㉠의 해는 모든 실수이고
 Y ƒY 에서
이때 연립부등식의 해는 Y가 될 수 있다.
YƒY  ∴ Yƒ UU ㉠
Ž B일 때,
Y ƒ Y 에서
B이므로 부등식 ㉠의 해는 Yy이고
Y ƒY ∴ Yy UU ㉡
이때 연립부등식의 해는 Y가 될 수 없다.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Œ~Ž에서 B
ƒYƒ
B을 CY BYB C에 대입하면
이때 ƒYƒ이므로
CY Y C ∴ C  YC 
ƒY ƒ
이 부등식의 해가 Y이므로 C 
따라서 아몬드의 최대 개수는 , 최소 개수는 이므로 구하는
C 
∴ Y
합은 이다. C 

Ⅲ. 부등식 163
C  Œ~Ž에서 부등식 |Y| |Y|ƒ의 해는
따라서 이므로
C 
ƒYƒ
C C , C ∴ C
따라서 ƒ01“ƒ에서 01“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므로 구하
∴ BC  
는 합은 이다.

0952 Lƒ 또는 Ly 0954 

|Y|OY에서
|Y |ƒY에서 |Y |ƒY 
Œ Y일 때, YOY

Œ Y 일 때,  Y  ƒY  YO ∴ YO

Yƒ ∴ Yy 그런데 O이고 Y이므로
  OY
그런데 Y 이므로 ƒY UU ㉠
   Yy일 때, YOY
 ∴ ×YO
 Yy 일 때, Y ƒY  ∴ Yƒ

이때 O이므로 해는 모든 실수이다.
 
그런데 Yy 이므로  ƒYƒ UU ㉡ 그런데 Yy이므로 Yy
 
㉠, ㉡에서 |Y |ƒY의 해는 ƒYƒ Œ, 에서 |Y|OY의 해는
L Y   Y 
L 에서 LY LY L  YO UU ㉠
L YL L  Y|Y| O에서
∴ L Y L  L UU ㉢ Ž Y일 때, Y Y O
Ž L일 때, ㉢에서 YL  YY O ∴ ×YO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없으려 이때 O이므로 해는 모든 실수이다.
면 그림에서 Y 그런데 Y이므로 Y
L   
L ƒ ∴ Lƒ  Yy일 때, YY O
그런데 L이므로 Lƒ YO ∴ YO
 L일 때, ㉢에서 @Y이므로 해는 없다. 그런데 O이고 Yy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없다. ƒYO
 L일 때, ㉢에서 YL  Ž, 에서 Y|Y| O의 해는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없으려 YO UU ㉡
면 그림에서   L  Y O, O이므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L y ∴ Ly OYO
그런데 L이므로 L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의 개수는 이므로
Ž~ 에서 Lƒ 또는 Ly O O 
O ∴ O

0953 ④ 0955 ƒB

"1“ #1“ƒ에서 |Y| |Y|ƒ |Y | |Y|ƒB에서


Œ Y일 때, Y, Y이므로 Œ Y일 때, Y , Y이므로
 Y  Y ƒ, Y Y ƒ  Y   Y ƒB, YY ƒB
Yƒ ∴ Yy YƒB ∴ YyB 
그런데 Y이므로 ƒY 그런데 B에서 B 이고 Y이므로
 ƒY일 때, Yy, Y이므로 B ƒY
Y Y ƒ, YY ƒ  ƒY일 때, Y y, Y이므로
∴ ×Yƒ Y  Y ƒB, Y Y ƒB
따라서 해는 모든 실수이다. ∴ @YƒB
그런데 ƒY이므로 ƒY 이때 B에서 B이므로 해는 모든 실수이다.
Ž Yy일 때, Y, Yy이므로 그런데 ƒY이므로 ƒY
Y Yƒ, Yƒ Ž Yy일 때, Y , Yy이므로
∴ Yƒ Y  YƒB, YƒB 
그런데 Yy이므로 ƒYƒ ∴ YƒB 

164 정답과 풀이
그런데 B에서 B 이고 Yy이므로
ƒYƒB 
Œ~Ž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ରࠗ١ध
1
BƒYƒ B
B B
Y  Ӓ‫ې‬೐ܳ੉ਊೠ੉ରࠗ١ध੄ಽ੉
        
B  B
⑴ =Y? ⑵ Yƒ= 또는 Yy?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Y의 개수가 이므로 그림에서 ⑶ Y> 또는 Y@ ⑷ >ƒYƒ@
Bƒ, ƒ B
∴ ƒB

0957 ④

G Y H Y y에서
0956 
G Y y, H Y y 또는 G Y ƒ, H Y ƒ
|YB <B>|C <C>에서 Œ G Y y, H Y y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의 범위는 이차함수
C <C>YB <B>C <C> Z G Y 의 그래프가 Y축보다 위쪽에 있거나 만나고 이차함수
∴ B <B>C <C>YB <B> C <C> ZH Y 의 그래프가 Y축보다 위쪽에 있거나 만나는 부분의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Y이므로 Y의 값의 범위이므로 =ƒYƒ>
B <B>C <C>, B <B> C <C>  G Y ƒ, H Y ƒ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의 범위는 이차함수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Z G Y 의 그래프가 Y축보다 아래쪽에 있거나 만나고 이차함수
B <B>, C<C> ZH Y 의 그래프가 Y축보다 아래쪽에 있거나 만나는 부분의
Œ B <B>에서 Y의 값의 범위이므로 ƒYƒ?
<B>O O은 양의 정수 이라 하면 OƒBO 이므로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O ƒB <B>O 
O =ƒYƒ> 또는 ƒYƒ?
 
∴ O ƒO O
O일 때, ƒ이므로 0958 ②
O<B>
부등식 G Y 의 해는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Y축보다
이것을 B <B>에 대입하면
위쪽에 있는 부분의 Y의 값의 범위이므로

B ∴ B Y

 C <C>에서 따라서 B, C이므로
<C>N N은 양의 정수 이라 하면 NƒCN 이므로 B C 
 
N ƒC <C>N N
∴ NƒN N 0959 ①
N일 때, ƒ이므로
G Y H Y ƒ에서 G Y ƒH Y
N<C>
이 부등식의 해는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이차함수
이것을 C <C>에 대입하면
ZH Y 의 그래프보다 아래쪽에 있거나 만나는 부분의 Y의 값의

C ∴ C 범위이므로

  ƒYƒ
∴ B C× ×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이 아닌 것은 ①이다.

0960 Y 또는 Y

BY CN Y DO에서 BY CY D NY O 



∴ BY CY DNY O
이 부등식의 해는 이차함수 ZBY CY D의 그래프가 직선
ZNY O보다 아래쪽에 있는 부분의 Y의 값의 범위이므로
Y 또는 Y

0961 

부등식 G Y H Y 의 해는 이차함수 ZH Y 의 그래프가

Ⅲ. 부등식 165
Y축보다 아래쪽에 있고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보다 위쪽에 0964 ㄴ, ㄹ
있는 부분의 Y의 값의 범위이므로
ㄱ. YY  Y y
Y
………………………………………………………………………………… ➊ 따라서 YY 의 해는 Y 인 모든 실수이다.

따라서 =, >이므로 ㄴ. Y Yy에서 YY ƒ


   
=>@ 그런데 YY [Y ] y 이므로 주어진 부등
  
………………………………………………………………………………… ➋
식의 해는 없다.
채점 기준 배점    
ㄷ. Y Y [ Y ] y
➊ G Y H Y 의 해 구하기 80%  
➋ =>의 값 구하기 20%  
따라서 Y Y ƒ의 해는 Y이다.

ㄹ.  Y Y에서 YY 
그런데 YY  Y y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해
는 없다.
 ੉ରࠗ١ध੄ಽ੉ ㅁ. YY에서 YY 
     
⑴ ƒYƒ ⑵ Yƒ 또는 Yy 그런데 Y Y [Y ] y 이므로 주어진 부등
   
 식의 해는 모든 실수이다.
⑶Y 인 모든 실수 ⑷ Y

따라서 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ㄴ, ㄹ이다.
⑸ 모든 실수 ⑹ 해는 없다.

⑴ YYƒ에서 Y
 
 Y ƒ ∴ ƒYƒ 0965 ②
⑵ Y Y ƒ에서 Y Yy
이차부등식 Y Y의 해가 =Y>이므로 이차방정식

Y  Y y ∴ Yƒ 또는 Yy Y Y의 해는 =, >이다.

⑶ Y Y  Y  y 따라서 = >, =>이므로
 
따라서 Y 
Y 의 해는 Y 인 모든 실수이다. = > = > =>  

  다른 풀이
⑷ Y ƒY에서 Y Y ƒ
그런데 YY  Y y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이차방정식 Y Y의 해는
 Y†
해는 Y 이다.
 이므로 이차부등식 Y Y의 해는
 
⑸ Y Y 에서 Y Y  Y 
     따라서 =, > 이므로
그런데 Y Y [Y ] y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
  
= >  
  
의 해는 모든 실수이다.
⑹ YyY에서 YY ƒ
그런데 YY  Y 
y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0966 ④
해는 없다.
Y  Y ƒ에서 Y Yƒ

Y Yƒ, Y  Y ƒ ∴ ƒYƒ
0962 ① ① |Y|ƒ에서 ƒYƒ ∴ ƒYƒ
② |Y|ƒ에서 ƒYƒ ∴ ƒYƒ
Y Y Y에서 YY
③ |Y |ƒ에서 ƒY ƒ ∴ ƒYƒ

Y  Y  ∴ Y 또는 Y ④ |Y |ƒ에서 ƒY ƒ ∴ ƒYƒ

 ⑤ |Y |ƒ에서 ƒY ƒ ∴ ƒYƒ
따라서 = , >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이차부등식과 해가 같은 것은 ④이다.

=> @

0967 

0963
B이므로 BYBYBy에서

YBYBƒ, YB Y B ƒ

Y Y에서 Y  Y  ∴ BƒYƒB
∴ Y ………………………………………………………………………………… ➊
따라서 정수 Y는 , , , , , U, 의 개이다. 따라서 =B, >B이므로 =  > 에서

166 정답과 풀이
B  B , B  B   ∴ Y
 그런데 Y이므로 Y
∴ B

 Yy일 때, Yy이므로

1
………………………………………………………………………………… ➋
YYY, YY
따라서 정수 B는 , 이므로 구하는 합은
Y  Y  ∴ Y
  
그런데 Yy이므로 ƒY
………………………………………………………………………………… ➌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채점 기준 배점 Y
➊ BYBYBy의 해 구하기 40% 따라서 정수 Y는 , , , , 의 개이다.
➋ =  > 의 해 구하기 40%
➌ 모든 정수 B의 값의 합 구하기 20%
0971 

YY 에서 Y Y  ∴ Y 또는 Y


|YY |ƒY 에서
Œ Y일 때, YY 이므로
 ੺؆чӝഐܳನೣೠ੉ରࠗ١ध੄ಽ੉
 YY  ƒY , Y YƒY 

∴ Y Y y
0968 ③ 이때 Y Y 
 Y 
y이므로 해는 모든 실수이다.

Y
|Y|y에서 그런데 Y이므로 Y
………………………………………………………………………………… ➊
Œ Y일 때, YYy
 Yƒ 또는 Yy일 때, YY y이므로
Y  Y y ∴ Yƒ 또는 Yy
 
Y Y ƒY , Y Yƒ
그런데 Y이므로 Yƒ
Y Y ƒ ∴ ƒYƒ
 Yy일 때, Y Yy
그런데 Yƒ 또는 Yy이므로
Y  Y y ∴ Yƒ 또는 Yy
ƒYƒ 또는 ƒYƒ
그런데 Yy이므로 Yy
………………………………………………………………………………… ➋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Yƒ 또는 Yy
ƒYƒ
따라서 =, >이므로
………………………………………………………………………………… ➌
= > 
따라서 정수 Y는 , , , , , , 이므로 구하는 합은
다른 풀이
      
Y|Y|이므로 |Y| |Y|y
………………………………………………………………………………… ➍
|Y|  |Y| y ∴ |Y|ƒ 또는 |Y|y
채점 기준 배점
그런데 |Y|y이므로 |Y|y
|Y|y에서 Yƒ 또는 Yy ➊ Y일 때 부등식의 해 구하기 30%

따라서 =, >이므로 ➋ Yƒ 또는 Yy일 때 부등식의 해 구하기 30%

= >  ➌ 주어진 부등식의 해 구하기 20%


➍ 모든 정수 Y의 값의 합 구하기 20%

0969 ③

|YY|에서
YY 또는 YY  о਋झӝഐܳನೣೠࠗ١ध੄ಽ੉
 
Y Y 또는 Y Y
Y Y  또는 Y  Y 
0972 ④
∴ Y 또는 Y 또는 Y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아닌 것은 ③이다. <Y> <Y>에서 <Y>  <Y> 
∴ <Y>

0970
이때 <Y>는 정수이므로 <Y>, , 

Œ <Y>일 때, ƒY

Y Y|Y|에서  <Y>일 때, ƒY
Œ Y일 때, Y이므로 Ž <Y>일 때, ƒY
 
Y Y Y , Y YY  Œ ~ Ž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YY, Y  Y  ƒY

Ⅲ. 부등식 167
0973 ƒY G Y ƒ에서 Y

Y ƒ
Y Yƒ, Y  Y ƒ
<Y><Y>이므로
∴ ƒYƒ
<Y><Y> ƒ에서 <Y> <Y> ƒ ………………………………………………………………………………… ➋

<Y> <Y> [Y] ƒ, <Y>[Y] ƒ 따라서 정수 Y는 , , , , , , , , 이므로 구하는 합은
<Y> <Y> ƒ ∴ ƒ<Y>ƒ         
이때 [Y]는 정수이므로 <Y>,  ………………………………………………………………………………… ➌
Œ <Y>일 때, ƒY
채점 기준 배점
 <Y>일 때, ƒY
➊ G Y 구하기 30%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➋ G Y ƒ의 해 구하기 50%
ƒY
➌ 모든 정수 Y의 값의 합 구하기 20%

 ೧о઱য૓੉ରࠗ١ध
 ੉ରࠗ١ध੄ಽ੉੉ରೣࣻ੄धҳೞӝ

⑴ YY ⑵ YY y

0974

 ⑶ Y Y  ⑷ Y Y ƒ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Y축과 두 점 ,  , ,  에서


⑴ Y  Y 에서 YY
만나므로
⑵ Y Y y에서 YY y
G Y B Y  Y B  
⑶ Y 에서 Y Y 
이라 하자. 이 그래프가 점 ,  을 지나므로  
⑷ Y  ƒ에서 Y Y ƒ

B ∴ B


∴ G Y 


Y  Y 0977 ①

 BY CY ƒ의 해가 ƒYƒ이므로 B


G Y 에서  Y  Y 

해가 ƒYƒ이고 Y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Y  Y , Y Y
Y Y ƒ ∴ YY ƒ
Y  Y  ∴ Y 
양변에 B를 곱하면 BY BY Bƒ ∵ B
따라서 =, >이므로
이 부등식이 BY CY ƒ과 같으므로
>=  
CB, B
 
따라서 B , C 이므로
0975 





BC [ ]


이차함수 ZBY CY D의 그래프가 Y축과 두 점 ,  , ,   
에서 만나므로 다른 풀이

ZB Y Y BY BY 


B B 이차방정식 BY CY 의 두 근이 ,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라 하면 CB, DB C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B B
이것을 BY DY C에 대입하면
   
BYBYB, YY ∵ B ∴ B , C
 
∴ BC [ ]
 
Y  Y  ∴ Y
따라서 정수 Y는 , , , , 의 개이다.
0978 YYƒ

0976
 
 해가  ƒYƒ 이고 Y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Y축과 두 점 ,  , ,  에서 만 [Y ][Y ]ƒ ∴ Y Y ƒ
   
나므로
따라서 양변에 을 곱하면 YYƒ
G Y B Y Y B

0979
이라 하자. 이 그래프가 점 ,  을 지나므로

B ∴ B
∴ G Y  Y Y 해가 Y 또는 YC이고 Y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 ➊ Y  YC  ∴ Y C YC

168 정답과 풀이
이 부등식이 Y BY 과 같으므로 양변에 B를 곱하면 BY BYB ∵ B
BC, C ………………………………………………………………………………… ➋
따라서 B, C이므로 이 부등식이 BY CY D과 같으므로

1
BC   CB, DB
………………………………………………………………………………… ➌

이것을 CY BYD에 대입하면
0980  BYBY B, YY  ∵ B

BY CY Dƒ의 해가 Yƒ 또는 Yy이므로 Y Y  ∴ Y

B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Y는 이다.
해가 Yƒ 또는 Yy이고 Y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 ➍
Y  Y  y ∴ Y Y y
채점 기준 배점
양변에 B를 곱하면 BY BY Bƒ ∵ B
➊ B의 부호 구하기 10%
이 부등식이 BY CY Dƒ과 같으므로
➋ 해가 Y이고 Y의 계수가 B인 이차부등식 세우기 30%
CB, DB
➌ C와 D를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20%
C @B
∴   ➍ 정수 Y의 값 구하기 40%
D B

0981 

  ࠗ١धG Y җࠗ١धG BY C ੄ҙ҅


해가 Y 이고 Y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Y
 

] ƒ ∴ Y Y


ƒ 0984 Y

이 부등식이 Y BY Cƒ과 같으므로 G Y ƒ의 해가 Yƒ 또는 Yy이므로


 G Y B Y  Y B
B, C

이라 하면

이것을 CY BY 에 대입하면 G Y B Y  Y

   B Y Y 
Y Y , Y Y
  G Y , 즉 B Y Y  에서
Y  Y  ∴ Y Y Y   ∵ B
따라서 정수 Y는 , , , , 의 개이다. ∴ Y
다른 풀이

G Y ƒ의 해가 Yƒ 또는 Yy이므로


0982 ④
G Y 의 해는 Y
㈎에서 G  이므로 G Y BY 
CY  B  이라 하자. 따라서 G Y 의 해는 Y
㈏에서 G Y 의 해가 Y 인 모든 실수이므로 B ∴ Y

해가 Y 인 모든 실수이고 Y 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Y  ∴ YY 
양변에 B를 곱하면 BY BY 
B ∵ B 0985 ③

이 부등식이 BY CY 과 같으므로
G Y 의 해가 Y이므로
CB, B
G Y B Y  Y B
∴ B, C
이라 하면
따라서 G Y YY 이므로
G Y  B Y   Y 
G   
B Y  Y
G Y  , 즉 B Y  Y 에서

0983
Y  Y  ∵ B

∴ Y

BY CY D의 해가 Y이므로 B 다른 풀이

………………………………………………………………………………… ➊ G Y 의 해가 Y이므로



해가 Y이고 Y 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G Y  의 해는 Y 
Y  Y  ∴ Y Y ∴ Y

Ⅲ. 부등식 169
0986 Y 또는 Y G[
Y

L
]B[
Y

L
][
Y

L
]

G Y BY CY D라 하면 G Y 의 해가 Y이므로 B


 Y L  Y L

G Y B Y  Y B
 Y L B
B Y  C Y  D, 즉 G Y  의 해는 G[ ]ƒ, 즉 Y L  Y L ƒ에서
 
B Y   Y  에서
Y L  Y L ƒ ∵ B
BY Y  , Y Y   ∵ B
∴ LƒYƒL 
∴ Y 또는 Y
이것이 ƒYƒ과 같으므로
다른 풀이
L, L  ∴ L
G Y BY CY D라 하면 G Y 의 해가 Y이므로 다른 풀이
G Y 의 해는 Y 또는 Y
주어진 그래프에서 G Y ƒ의 해는 ƒYƒ이므로

따라서 B Y  C Y  D, 즉 G Y  의 해는
Y L Y L
Y  또는 Y  G[ ]의 해는 ƒ ƒ
 
∴ Y 또는 Y ∴ LƒYƒL 
이것이 ƒYƒ과 같으므로
L, L  ∴ L

0987 Y 또는 Y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Y축과 두 점 ,  , ,  에서 만


나므로
G Y B Y Y B
 ੿ࣻੋ೧੄ѐࣻо઱য૓੉ରࠗ١ध
라 하면
………………………………………………………………………………… ➊

G[
Y
]B[
Y
][
Y
]
0989 
  
Y Y Bƒ에서 Y  Bƒ
B
 Y Y Y  B Y B ƒ

 ∴ BƒYƒ B ∵ B
 B Y Y
 이때 BƒYƒ B를 B B
………………………………………………………………………………… ➋ 만족시키는 정수 Y가 개이려면        Y
Y  그림에서 B  B
G[ ], 즉 B Y Y 에서
 
Bƒ, ƒ B
Y Y  ∵ B
∴ ƒB
∴ Y 또는 Y
따라서 자연수 B의 값은 이다.
………………………………………………………………………………… ➌

채점 기준 배점
30%
0990
➊ 주어진 그래프를 이용하여 G Y 를 이차식으로 나타내기
Y ②
➋ G[

] 구하기 30%

➌ G[
Y
]의 해 구하기 40% YB Y 에서 BY ∵ B

이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Y가
다른 풀이
개이려면 그림에서       Y
주어진 그래프에서 G Y 의 해는 B
ƒB
Y 또는 Y이므로
Y Y Y
G[ ]의 해는  또는 
  
∴ Y 또는 Y 0991 

YB에서 Y hB YhB 


∴ hBYhB
0988 ② ………………………………………………………………………………… ➊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Y축과 두 점 ,  , ,  에서 이때 hBYhB를 만족시키는 정수 Y가 개이려면 그림에서

만나므로 B B


         Y
G Y B Y  Y B
라 하면 B B

170 정답과 풀이

hBƒ, Bƒ ∴ Bƒ  ੉ରࠗ١ध੉೧ܳೠѐ݅о૕ઑѤ

………………………………………………………………………………… ➋
⑴ ⑵ , 

1
따라서 자연수 B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므로
., N
⑴ 이차부등식 YY Lƒ의 해가 오직 한 개 존재하므로
∴. N 
이차방정식 YY L의 판별식을 %라 하면
………………………………………………………………………………… ➌
%
채점 기준 배점    L 

➊ 주어진 이차부등식의 해 구하기 30% L  ∴ L
➋ 주어진 이차부등식의 정수인 해의 개수를 이용하여 B의 값의 ⑵ 이차부등식 YLY Ly의 해가 오직 한 개 존재하므로
40%
범위 구하기 
이차방정식 Y LY L의 판별식을 %라 하면
➌ . N의 값 구하기 30% 
% L L
L L, L L  
∴ L 또는 L

0994 ④

0992 ƒB
이차부등식 B YY Bƒ의 해가 오직 한 개 존재하

G Y Y BY B YB B 
B 려면
점 "의 Y좌표는 B이고 점 #의 Y좌표는 이므로 B ∴ B UU ㉠
부등식 G Y H Y ƒ, 즉 G Y ƒH Y 의 해는 또한 이차방정식 B YY B의 판별식을 %라 하면
ƒYƒB %
   B B 

이때 ƒYƒB를 만족시키는
BB, B B 
정수 Y가 개이려면 그림에서       Y
B ∴ B 또는 B UU ㉡
ƒB
㉠, ㉡에서 B

0995 

0993 ③ 이차부등식 Y



B  Y By의 해가 오직 한 개 존재하므로
이차방정식 Y B  Y B의 판별식을 %라 하면
Y O  Y Oƒ에서 Y YO ƒ 
% B  B
Œ O일 때,
B B , B  B  
Y YO ƒ에서 OƒYƒ
∴ B 또는 B
이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Y가
따라서 모든 실수 B의 값의 곱은
개이려면 오른쪽 그림에서     Y
O  @  
Oƒ
그런데 O이므로 Oƒ
 O일 때,

0996
Y YO ƒ에서 Y ƒ

이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Y는 뿐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차부등식 Y Y Lƒ의 해가 오직 한 개 존재하므로
Ž O일 때, 이차방정식 Y Y L의 판별식을 %라 하면
Y YO ƒ에서 ƒYƒO %
 L 
Y 
이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Y가    
O L , L ∴ L
개이려면 오른쪽 그림에서

따라서 Y Y Lƒ에 L을 대입하면
ƒO
Y Y ƒ ∴ Y  ƒ
그런데 O이므로 ƒO
 
Œ~Ž에서 Oƒ 또는 ƒO 이 부등식의 해는 Y 이므로 B
 
따라서 자연수 O은 , 이므로 구하는 합은

∴ BL @
  

Ⅲ. 부등식 171
0997 ① 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L ∴ L
이차부등식 NY N Y Ny의 해가 오직 한 개 존재하려면 
N UU ㉠
또한 이차방정식 NY N Y
0999
N의 판별식을 %라 하면

% N N
NN , N N  Œ B일 때,
∴ N 또는 N 주어진 이차부등식이 해를 가지려면
∴ N 또는 N 또는 N 또는 N UU ㉡ 이차방정식 B YY B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
㉠, ㉡에서 N 또는 N 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따라서 모든 실수 N의 값의 합은 %
  B B 
   
BB, B  B 

0998
∴ B

그런데 B이므로 B
이차부등식 B Y 
B Y 을 만족시키지 않는 Y의  B일 때,
값이 오직 한 개이려면 이차부등식 B Y B Y ƒ이 이차함수 Z B YY B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므로
오직 한 개의 근을 가져야 하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항상 존재한다.
B ∴ B UU ㉠ Œ, 에서 B 또는 B
………………………………………………………………………………… ➊
또한 이차방정식 B Y B Y 의 판별식을 %라 B이면 주어진 부등식은 이차부등식이 아니므로 B 
하면
% B  B 
BB , B B 
1000 
∴ B 또는 B UU ㉡
㉠, ㉡에서 B 이차부등식 Y Y B이 해를 가지려면

………………………………………………………………………………… ➋ 이차방정식 Y Y B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따라서 B Y 
B Y 에 B를 대입하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Y Y  ∴ Y  %B
  
이 부등식을 만족시키지 않는 Y의 값은 오직 뿐이므로 C B ∴ B
  
  따라서 정수 B의 최댓값은 이다.
∴B C 
 

1001
………………………………………………………………………………… ➌
Bƒ 또는 By
채점 기준 배점
➊ 부등식 B Y B Y ƒ이 한 개의 근을 가질 조건 이차부등식 Y  B  Yy이 해를 가지려면
20%
을 이용하여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이차방정식 Y  B  Y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➋ B의 값 구하기 4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➌ B C의 값 구하기 40%
%
 B  y

B By, B  B y
∴ Bƒ 또는 By

 ੉ରࠗ١ध੉೧ܳо૕ઑѤ

⑴ L 또는 L ⑵ L 1002 ①

Œ N일 때,

⑴ 이차부등식 Y LY 이 해를 가지려면 이차함수 ZNY Y N 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므

이차방정식 Y LY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 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항상 존재한다.
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N일 때,

%L  주어진 이차부등식이 해를 가지려면
L  L  ∴ L 또는 L 이차방정식 NY Y N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

⑵ 이차부등식 Y Y L이 해를 가지려면 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이차방정식 Y Y L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 %N N  

172 정답과 풀이
N N, N  N  ⑵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 LY L이 성립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Y LY L의 판별식을 %라 하면
∴ N
 
%L  L , L L

1

그런데 N이므로  N L  L  ∴ L


Œ, 에서  N 또는 N

따라서 N의 값이 아닌 것은 ①이다.
1004 ①

N이면 주어진 부등식은 이차부등식이 아니므로 N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BY  B Y B이 성립해야
하므로 B UU ㉠

또한 이차방정식 BY  B Y B의 판별식을 %라

1003 Ly 하면
%
\ B ^B B 
Œ L일 때, 
이차함수 Z L  Y  L  Y L 의 그래프는 아래로  BB  B B
 
볼록하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항상 존재한다. B B , B B
………………………………………………………………………………… ➊ B  B  ∴ B 또는 B UU ㉡
 L일 때,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Y y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모든 실수 Y에 B
대하여 성립한다.
………………………………………………………………………………… ➋
B이면 주어진 부등식은 이차부등식이 아니므로 B 
Ž L일 때,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려면
이차방정식 L  Y  L  Y L 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1005 ③
%\ L  ^ L  L  y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 L YL Ly이 성립해야
L L  L L  y  
하므로 이차방정식 Y  L YL L의 판별식을 %
LLy, L L ƒ
라 하면
L  L  ƒ ∴ ƒLƒ
%
그런데 L이므로 ƒL \ L ^ L L ƒ

………………………………………………………………………………… ➌
LL  LL ƒ, LL ƒ
Œ~ Ž에서 Ly 
L L ƒ ∴ ƒLƒ
………………………………………………………………………………… ➍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정수 L는 , , 이므로 구하는 합은

➊ L일 때,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항상 존재함을 보이기 30%   

➋ L일 때,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모든 실수임을 보이기 30%


➌ L일 때,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는 L의 값의 범위 구
30%
1006 
하기
➍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10% 이차부등식 Y L  YLƒ이 Y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
립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Y L  YL의 판별식을 %
라 하면
이차부등식이라는 조건이 없으므로 L 인 경우도 생각한다. % L  Lƒ, LL ƒ

L ƒ ∴ L

1007 

 ੉ରࠗ١ध੉೦࢚ࢿ݀ೡઑѤ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āY BY B 이 실수가 되려면 모든 실



수 Y에 대하여 Y BY B y이 성립해야 한다.
⑴ L ⑵ L 이차방정식 Y BY B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B  B  ƒ
 
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 Y L이 성립해야 하므로 B Bƒ, B  B ƒ
이차방정식 Y Y L의 판별식을 %라 하면 
∴  ƒBƒ

%
 L , L  ∴ L
 따라서 정수 B는 , , , 의 개이다.

Ⅲ. 부등식 173
1008 Lƒ %

 B ƒ

Œ L일 때, B ƒ ∴ By



@Y @Y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모든 실수 따라서 실수 B의 최솟값은 이다.
Y에 대하여 성립한다.
………………………………………………………………………………… ➊
L 일 때, 1011 ③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LY LY이 성립하려면
이차부등식 B YBY 의 해가 없으려면 모든 실수
L UU ㉠ 
Y에 대하여 B Y BY y이 성립해야 하므로
또한 이차방정식 LYLY의 판별식을 %라 하면

 B ∴ B UU ㉠
% L L 
 
L L, L L   이차방정식 B Y B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L UU ㉡ %
 B  B ƒ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BB ƒ, B ƒ
L
………………………………………………………………………………… ➋ ∴ B UU ㉡

Œ, 에서 Lƒ ㉠, ㉡에서 B


………………………………………………………………………………… ➌

채점 기준 배점  
B 이면 주어진 부등식은 이차부등식이 아니므로 B
 
➊ L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성립함을 보
30%
이기
➋ L 일 때,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50%
➌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1012 N

이차부등식 G Y yH Y , 즉 YNYyY N에서


이차부등식이라는 조건이 없으므로 L인 경우도 생각한다. Y NY N ƒ
이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해가 없으려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 NY N 이 성립해야 한다.

이차방정식 Y NY N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ରࠗ١ध੉೧ܳы૑ঋਸઑѤ N N  

NN, N  N 
1009 ② ∴ N

BY YyBY 에서 BY B Yy


이 부등식이 해를 갖지 않으려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1013 
BY B Y이 성립해야 하므로
B UU ㉠ 부등식 N  Y N  Y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BY 
B Y의 판별식을 %라 하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 B 
B N  Y N  Yƒ UU ㉠

B B , B  B   이 성립해야 한다.

∴ B UU ㉡ Œ N일 때,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Yƒ이므로 ㉠은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성

B 립한다.
………………………………………………………………………………… ➊
N 일 때,
B이면 주어진 부등식은 이차부등식이 아니므로 B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이 성립하려면
N  ∴ N UU ㉡

또한 이차방정식 N  Y  N  Y의 판별식을
1010  %라 하면
%
이차부등식 Y Y B 이 해를 갖지 않으려면 모든 실수 \ N  ^ N  ƒ

Y에 대하여 Y Y B y이 성립해야 한다. N  N   ƒ, N  N  ƒ
이차방정식 Y Y B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ƒNƒ UU ㉢

174 정답과 풀이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ƒYƒ에서 G Y ƒ이어야 하므로 Z
0   
ƒN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그림 Y
N 
………………………………………………………………………………… ➋ 과 같아야 한다.

1
Œ, 에서 ƒNƒ 이때 ƒYƒ에서 G Y 의 최댓값은
따라서 정수 N은 , 의 개이다. G  이므로
………………………………………………………………………………… ➌ ZG Y
G  N ƒ, Nƒ
채점 기준 배점 ∴ Nƒ
➊ N일 때, 부등식 N  Y N  Yƒ이 모든 따라서 실수 N의 최댓값은 이다.
30%
실수 Y에 대하여 성립함을 보이기
➋ N 일 때, N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➌ 정수 N의 개수 구하기 30% 1017 ƒBƒ

Y Y ƒ에서 Y  Y  ƒ

이차부등식이라는 조건이 없으므로 N , 즉 N인 경우도 생각


∴ ƒYƒ
한다. ………………………………………………………………………………… ➊
G Y Y BY B이라 하면 ZG Y
ƒYƒ에서 G Y ƒ이어야 하므
 
로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그림 Y

과 같아야 한다.
 ઁೠ‫ߧػ‬ਤীࢲ೦࢚ࢿ݀ೞ‫੉ח‬ରࠗ١ध 이때 ƒYƒ에서 G Y 의 최댓값
은 G  또는 G  이므로

1014 ⑤ Œ G  ƒ에서
B Bƒ, BB ƒ

G Y Y Y L 이라 하면 B B ƒ ∴ ƒBƒ

G Y  Y L  ………………………………………………………………………………… ➋
ƒYƒ에서 G Y y이어야 하므로 Z  G  ƒ에서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 ZG Y B Bƒ, BBƒ
아야 한다. B  B ƒ ∴ ƒBƒ
이때 ƒYƒ에서 G Y 의 최솟값은 0 ………………………………………………………………………………… ➌
G  이므로    Y
Œ, 에서 ƒBƒ
G    L y, Ly ………………………………………………………………………………… ➍
 채점 기준 배점
∴ Ly

20%

➊Y Y ƒ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의 범위 구하기
 
➋ G Y Y BY B 로 놓고 G  ƒ일 때 B의 값의 범
40%
1015
위 구하기

➌ G  ƒ일 때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G Y YYL 이라 하면 ➍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10%
G Y  Y L
ƒYƒ에서 G Y ƒ이어야 하므로 Z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가 그림과


0
  
Y
1018 B 또는 B
같아야 한다.
Y BBY B에서 YBY BB
이때 ƒYƒ에서 G Y 의 최댓값은 G  ZG Y G Y YBY BB라 하면
이므로 
G Y  YB B
G  L ƒ, Lƒ
Œ B일 때, ƒYƒ에서 G Y 의 최솟
∴ Ly
값은 G  이므로
따라서 L의 최솟값은 이다.
G  B BBBB  B
B B  ∴ B 또는 B   Y

1016
그런데 B이므로 B

 ƒBƒ일 때, ƒYƒ에서 G Y 의
  최솟값은 G B 이므로
G Y  Y Y N 이라 하면
  G B B ∴ B
 
G Y  Y N 
  B  Y

Ⅲ. 부등식 175
그런데 ƒBƒ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B의 값은 존재하지 양변에 를 곱하면
않는다. Y Y UU ㉡
ŽB일 때, ………………………………………………………………………………… ➋
ƒYƒ에서 G Y 의 최솟값은 G  이 ㉠과 ㉡이 같아야 하므로
므로 B B , BC ∴ B, C
   Y
G  B B B ∴ CB

B B  ………………………………………………………………………………… ➌
B B  ∴ B 또는 B 채점 기준 배점
그런데 B이므로 B ➊ 주어진 Y의 값의 범위가 부등식 Y B  Y BC
30%
Œ~ Ž에서 B 또는 B 의 해와 같음을 보이기
➋ 해가 Y 또는 Y인 이차부등식 세우기 40%
➌ CB의 값 구하기 30%

 ੉ରࠗ١धҗ‫ف‬Ӓ‫ې‬೐੄ਤ஖ҙ҅݅ա‫҃ח‬਋
1022 

1019 ② 이차함수 ZY NYN 의 그래프가 이차함수


ZY Y의 그래프보다 아래쪽에 있는 부분의 Y의 값의 범위는
이차함수 ZY BY C의 그래프가 직선 ZY 보다 아래쪽
Y NYN Y Y
에 있는 부분의 Y의 값의 범위는 
즉, Y N Y N UU ㉠
Y BY CY 
의 해와 같다.
즉, Y B  Y C UU ㉠
해가 Y 또는 YO이고 Y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의 해와 같다.
Y YO  ∴ Y O  Y O UU ㉡
해가 Y이고 Y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과 ㉡이 같아야 하므로
Y Y  ∴ YY  UU ㉡
N O  , NO
㉠과 ㉡이 같아야 하므로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N, O
B , C ∴ B, C
∴N O 
∴B C 

1020  1023 

이차함수 ZYY의 그래프가 Y축보다 위쪽에 있는 부분의 이차함수 ZBY CY B의 그래프가 직선 ZC 보다 위
Y의 값의 범위는 쪽에 있는 부분의 Y의 값의 범위는

Y Y BY CY BC 
 
의 해와 같으므로 즉, BY CY B C UU ㉠
  의 해와 같다.
Y  Y  ∴ Y 또는 Y
  ㉠의 해가 Y이므로 B
  해가 Y이고 Y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따라서 B , C 이므로
 
Y  Y  ∴ Y Y
 
CB [ ] 양변에 B를 곱하면
 
BY BYB ∵ B UU ㉡
㉠과 ㉡이 같아야 하므로

1021  CB, BCB


CB를 BCB에 대입하면
 
이차함수 ZY BY B의 그래프가 이차함수 ZY Y C BBB, B B
의 그래프보다 위쪽에 있는 부분의 Y의 값의 범위는 
B  B  ∴ B 또는 B
Y BY BYY C 
즉, Y B  Y BC UU ㉠ 그런데 B이므로 B


의 해와 같다.

………………………………………………………………………………… ➊ 따라서 CB 이므로

해가 Y 또는 Y이고 Y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B C [ ]
Y  Y  ∴ Y Y  

176 정답과 풀이
Œ B일 때,
 ੉ରࠗ١धҗ‫ف‬Ӓ‫ې‬೐੄ਤ஖ҙ҅݅ա૑ঋ‫҃ח‬਋
@Y @Y이므로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1024
1
③ ………………………………………………………………………………… ➊
B 일 때,
이차함수 ZY Y 의 그래프가 직선 ZBY보다 항상 위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이 성립하려면
쪽에 있으려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 Y BY, 즉
B ∴ B UU ㉡
Y B Y 이 성립해야 한다.
 또한 이차방정식 B Y  B Y의 판별식을 %라
이차방정식 Y B 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하면
% B 
% 
BB, B  B   B  B 

∴ B
B B  , B B  
따라서 정수 B는 , , , , , , 의 개이다.
∴ B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B
1025 ③ ………………………………………………………………………………… ➋
Œ, 에서 Bƒ
이차함수 ZLY  L  Y의 그래프가 Y축보다 항상 아래
따라서 정수 B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므로
쪽에 있으려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LY  L  Y이 성
., N
립해야 하므로
∴. N  
L UU ㉠
………………………………………………………………………………… ➌
또한 이차방정식 LY  L  Y의 판별식을 %라 하면
채점 기준 배점
% 
 L  L ➊ B일 때,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등식의 해가 모든 실수

40%
임을 보이기
L L , L  L  
➋ B 일 때,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 L UU ㉡
➌ . N의 값 구하기 20%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L

1026 
 ੉ରࠗ١ध੄ഝਊ
이차함수 ZNY Y 의 그래프가 직선 ZNY 보다 항
상 위쪽에 있으려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NY Y NY , 즉 1028 AN

NY N Y 이 성립해야 하므로 길의 폭을 YAN Y 라 하면 길을 제외한 꽃밭을 직사각형 모양
N UU ㉠ 으로 이어 붙였을 때, 가로, 세로의 길이는 각각
또한 이차방정식 NY N 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Y N, Y N이므로

% N N Y, Y ∴ Y
NN , N N  길을 제외한 꽃밭의 넓이가 AN 이상이 되려면
 Y Y y
∴ N UU ㉡
 
Y Y y, Y Y 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Yƒ 또는 Yy

N 그런데 Y이므로 Yƒ

따라서 정수 N은 이다. 따라서 길의 폭의 최댓값은 AN이다.

1027  1029 초

이차함수 ZBY Y의 그래프가 이차함수 ZY BY  물체의 높이가 AN 이상이려면
의 그래프보다 항상 아래쪽에 있으려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U Uy, UU ƒ
BY YY BY  U U ƒ ∴ ƒUƒ
즉, B Y  B Y UU ㉠ 따라서 물체의 높이가 AN 이상인 시간은  초 동안이
이 성립해야 한다. 다.

Ⅲ. 부등식 177
1030 Yy 1032 ⑤

새로 만든 직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이는 각각 YYƒ에서 Y  Y ƒ


 Y DN,  Y DN ∴ ƒYƒ UU ㉠
………………………………………………………………………………… ➊ YY에서 Y  Y 
 
새로 만든 직사각형의 넓이가 처음 직사각형의 넓이의 배 이상이 ∴ Y 또는 Y UU ㉡
 
되려면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Y y@@ ƒY 또는 Yƒ
 
………………………………………………………………………………… ➋ 따라서 정수 Y는 , , , , , , , , 의 개이다.
Y Yy, Y  Y y
∴ Yƒ 또는 Yy
그런데 Y이므로 Yy 1033 

………………………………………………………………………………… ➌ Yy에서 Yy UU ㉠


채점 기준 배점 YYƒ에서 YY ƒ
➊ 새로 만든 직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Y에 대한 식으로 나 Y Y ƒ ∴ ƒYƒ UU ㉡
20%
타내기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➋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Y에 대한 부등식 세우기 40%
ƒYƒ
➌ Y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따라서 =, >이므로
= > 

1031 ③
1034 
가격을 Y원 할인한다고 하면 하루 판매량이 Y그릇 늘어나므
Y YY Y 에서
로 하루의 라면 판매액의 합계는  
Y Y, Y Y
Y  Y 원
Y  Y  ∴ Y UU ㉠
하루의 라면 판매액의 합계가 원 이상이려면 ………………………………………………………………………………… ➊
Y  Y y
Y Y ƒY Y 에서

Y  Y y, Y Y ƒ
YY y, Y Y y
Y Y ƒ ∴ ƒYƒ
∴ Yƒ 또는 Yy UU ㉡
이때 ƒYƒ이므로 ………………………………………………………………………………… ➋
ƒYƒ ∴ ƒYƒ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따라서 라면 한 그릇의 가격의 최댓값은 원이다. Yƒ 또는 ƒY
………………………………………………………………………………… ➌
따라서 자연수 Y는 , , , , 이므로 구하는 합은
    
 ো݀੉ରࠗ١ध੄ಽ੉ ………………………………………………………………………………… ➍

⑴ ƒY ⑵ Y 또는 Yy 채점 기준 배점


30%
 
➊ 부등식 Y YY Y 의 해 구하기

30%
 
➋ 부등식 Y Y ƒY Y 의 해 구하기
⑴ YY 에서 Y
∴ Y UU ㉠ ➌ 연립부등식의 해 구하기 30%

Y Yƒ에서 Y  Y ƒ ➍ 모든 자연수 Y의 값의 합 구하기 10%

∴ ƒYƒ UU ㉡

1035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ƒ 또는 Y
ƒY
⑵ YYy에서 Y  Y y āYY  YY 
|± 이므로
∴ Yƒ 또는 Yy UU ㉠ āY 
Y Y Y
Y
Y에서 Y  Y  Y Y , Y

Y
∴ Y 또는 Y UU ㉡ 또는 YY , Y 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Œ Y Y 에서 Y Y 
Y 또는 Yy ∴ Y 또는 Y UU ㉠

178 정답과 풀이
Y Y에서 Y  Y  1038 
∴ Y UU ㉡
Y 에서 Y ∴ Y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1
………………………………………………………………………………… ➊
Y
|Y Y |에서 Y Y 
 YY 에서 Y Y 
 
Y Y 에서 Y Y 
∴ Y 또는 Y UU ㉢
 Y  Y   ∴ Y 또는 Y UU ㉡
Y Y 에서 Y  Y 
………………………………………………………………………………… ➋
∴Y , Y  UU ㉣
Y Y 에서 Y 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Y   ∴ Y UU ㉢
Y 또는 Y
………………………………………………………………………………… ➌
Œ, 에서 Yƒ 또는 Y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음수의 제곱근의 성질
Y 또는 Y
두 실수 B, C에 대하여 따라서 정수 Y는 . , 의 개이다.
⑴ BCuBC 이면 B, C 또는 B 또는 C ………………………………………………………………………………… ➍
B
⑵ mA이면 B, C 또는 B, C 
C 채점 기준 배점
➊ 부등식 Y 의 해 구하기 20%
30%

➋ 부등식 Y Y 의 해 구하기

30%

➌ 부등식 Y Y 의 해 구하기

➍ 정수 Y의 개수 구하기 20%
 ੺؆чӝഐܳನೣೠো݀੉ରࠗ١ध੄ಽ੉

1036 ③

Y Y에서 Y  Y 


   ೧о઱য૓ো݀੉ରࠗ١ध
∴  Y UU ㉠
 
Y|Y| ƒ에서
Œ Y일 때, Y Y ƒ이므로 1039 ③
Y  Y  ƒ ∴ ƒYƒ
YY에서 Y  Y 
그런데 Y이므로 ƒYƒ
∴ Y UU ㉠
 Yy일 때, YY ƒ이므로 
Y B  Y B에서 YB Y  UU ㉡
Y Y ƒ ∴ ƒYƒ
㉠과 ㉡의 해의 공통부분이 ㉡ ㉡
그런데 Yy이므로 ƒYƒ ㉠
Y이므로 그림에서
Œ, 에서 ƒYƒ 또는 ƒYƒ UU ㉡ B    Y
Bƒ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따라서 B의 최댓값은 이다.

 Yƒ


1040
다른 풀이

Y|Y|이므로 Y|Y| ƒ에서
|Y||Y| ƒ, |Y| |Y| ƒ YY에서 YY
ƒ|Y|ƒ 
Y  Y  ∴  Y UU ㉠
∴ ƒYƒ 또는 ƒYƒ 
YƒY B에서 YƒB UU ㉡

1037
 ㉠
⑤ ㉠, ㉡의 공통부분이  Y
 ㉡
이므로 그림에서   B Y
|Y|ƒ에서 ƒYƒ 
By ∴ By 
∴ ƒYƒ UU ㉠
YY 에서 Y Y 

1041
∴ Y 또는 Y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ƒY Y B D Y BD에서 YB YD 
따라서 정수 Y는 , , , , 의 개이다. ∴ YB 또는 YD ∵ BD UU ㉠

Ⅲ. 부등식 179
Y C E Y CE에서 YC YE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 BYY , 즉 YY B
∴ YC 또는 YE ∵ CE UU ㉡ 이 성립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YY B의 판별식을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라 하면
YB 또는 YE ∵ BCDE %
   B 

∴ B, E
 B, B ∴ B UU ㉡
이것을 Y BYE에 대입하면
………………………………………………………………………………… ➋
YY, Y  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Y

따라서 정수 Y는 , , , , 의 개이다.  ƒB

………………………………………………………………………………… ➌

채점 기준 배점
1042 ④ ➊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부등식 YƒY B가 성립하도록
40%
하는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연립부등식 ➋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부등식 Y 
BY Y 가 성립하도
40%
Y BY C UU ㉠ 록 하는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  ➌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Y DY Eƒ UU ㉡
의 해 ƒY 또는 Yƒ을 수직 ㉠ ㉠

선 위에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즉, Y BY C의 해는 Y 인 모    Y
든 실수이므로  ੿ࣻੋ೧੄ѐࣻо઱য૓ো݀੉ରࠗ١ध
 
Y , Y Y 
∴ B, C
또한 Y DY Eƒ의 해는 ƒYƒ이므로
1045 ②

Y Y ƒ, YY ƒ Y Y ƒ에서 Y  Y  ƒ


∴ D, E ∴ ƒYƒ UU ㉠
∴B C D E    YB에서 Y B YB 
∴ BYB ∵ B UU ㉡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정수 ㉡

1043 ③
Y의 값이 개이므로 그림에서
ƒB ∴ Bƒ      B Y
B
Y Yƒ에서 Y  Y ƒ 따라서 자연수 B의 값은 이다.
∴ ƒYƒ UU ㉠
YLYL에서 Y L YL 

1046
∴ YL 또는 YL ∵ L UU ㉡

주어진 연립이차부등식의 해가 존재하 ㉡ ㉡

려면 ㉠, ㉡의 공통부분이 존재해야 YYƒ에서 Y  Y ƒ
 L L  Y
하므로 그림에서 ∴ ƒYƒ UU ㉠
L 또는 L ㉠과 Y YB ƒ을 동 ㉠
 시에 만족시키는 정수 Y가 개
L 또는 L ∴ L Y
      
이므로 그림에서 B
이때 L이므로 L
Bƒ
따라서 양의 정수 L는 , , , , , 의 개이다.

1044 ƒB 1047 Bƒ

YY 에서 Y Y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ƒY B, 즉 Y Y B y이
∴ Y 또는 Y UU ㉠
성립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Y Y B 의 판별식을 %이 
Y B  Y B에서 Y YB  UU ㉡
라 하면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
% B  ƒ ㉠ ㉠
정수 Y의 값이 뿐이므로
 Y
Bƒ, By ∴ By UU ㉠ 그림에서     
 B
………………………………………………………………………………… ➊ Bƒ

180 정답과 풀이
1048 ④


|YL|ƒ에서 ƒYLƒ        Y
B

1
LƒYƒL  …… ㉠ Bƒ
YY에서 Y  Y  그런데 B이므로 Bƒ
Y 또는 Y …… ㉡ Ž, 에서 ƒB 또는 Bƒ
ŒL ƒ, 즉 Lƒ일 때 다른 풀이

㉡ ㉡ Y|Y|이므로 Y|Y|에서

Y
|Y||Y|, |Y| |Y|  ∴ |Y|
L  L  
  |Y|에서 Y  UU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정수 Y는 모두 보다 작으므로 그 |Y|에서 Y UU ㉤
합은 보다 작게 되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L이고 L , 즉 L일 때 Y 또는 Y

㉡ ㉡

L   L  Y

L이면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정수 Y는 , , 이고  ো݀੉ରࠗ١ध੄ഝਊ


그 합은 가 되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L이면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정수 Y는 , , 이고 그
합은 이 되어 조건을 만족시킨다.
1050 ③

Ž Ly, 즉 Ly일 때 주어진 그림에서 길의 넓이는


㉠ Y  Y  @Y Y N
㉡ ㉡
길의 넓이가 AN 이상 AN 이하이므로
 L   L  Y ƒY Yƒ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정수 Y는 두 개 이상이고 모두 보다 ƒY Y에서 Y Yy
크므로 그 합은 보다 크게 되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Y  Y y ∴ Yƒ 또는 Yy
Œ ~ Ž에서 L  

그런데 Y이므로 Yy UU ㉠

Y Yƒ에서 Y Yƒ

1049 ƒB 또는 Bƒ Y


Yƒ, Y  Y ƒ
∴ ƒYƒ
Y|Y|에서
그런데 Y이므로 Yƒ UU ㉡
Œ Y일 때, Y Y이므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Y   ∴ Y

그런데 Y이므로 Y ƒYƒ

Yy일 때, YY이므로
Y Y  ∴ Y
그런데 Yy이므로 Y 1051 

Œ, 에서 Y|Y|의 해는 Y, Y, Y 은 변의 길이이므로


Y 또는 Y UU ㉠ Y ∴ Y UU ㉠
Y B YB에서 Y  YB  ………………………………………………………………………………… ➊
ŽB일 때, 세 변 중 가장 긴 변의 길이는 Y 이므로 삼각형이 만들어질 조건
Y  YB 에서 BY UU ㉡ 에 의하여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정수 Y가 개이므로 다음 그림에서 Y Y Y
㉡ Y Y ∴ Y UU ㉡
㉠ ㉠
………………………………………………………………………………… ➋
   Y
B
또한 둔각삼각형이 되려면
ƒB Y   Y 
Y
그런데 B이므로 ƒY Y Y YY  Y

B일 때, Y Y, Y Y 
Y  YB 에서 YB UU ㉢ ∴ Y UU ㉢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정수 Y가 개이므로 다음 그림에서 ………………………………………………………………………………… ➌

Ⅲ. 부등식 181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ƒOƒ
따라서 자연수 Y는 , , , , 의 개이다. 따라서 하루에 판매되는 크림빵의 개수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 ➍ 이므로 구하는 합은
채점 기준 배점  
➊ 변의 길이가 양수임을 이용하여 Y의 값의 범위 구하기 10%
➋ 삼각형이 만들어질 조건을 이용하여 Y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➌ 둔각삼각형임을 이용하여 Y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1054 
➍ 자연수 Y의 개수 구하기 30%
그림에서 △"#$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 "
삼각형의 변의 길이의 성질 므로 △"13, △1#2도 직각이등변삼각 B
1 3
형이다. B 
⑴ 삼각형이 만들어질 조건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주어질 때 2$“B이므로 B

① 가장 짧은 변의 길이  B UU ㉠ # $
B 2 B
② 가장 긴 변의 길이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합 13“B, #2“B이므로 
⑵ 삼각형의 변과 각 사이의 관계
"3“13“B, 12“#2“B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B, C, D BƒCƒD 일 때,
 
① DB C 예각삼각형 ∴ 12$3B B , △"13 B, △1#2 B 

  
 
② D B C 빗변의 길이가 D인 직각삼각형
③ DB C 둔각삼각형 이때 12$3△"13이므로

B B  B, BB

B B  ∴ B UU ㉡
1052  또한 12$3△1#2이므로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이므로 가로의 길이를 Y라 하면 세로 B B  B , BB B B
 
의 길이는 Y이다.
BB , B B 
이때 Y, Y는 변의 길이이고,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 B UU ㉢
길거나 같으므로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Y, YyY
B
∴ ƒY UU ㉠
따라서 자연수 B는 , , 이므로 구하는 합은
직사각형의 넓이가  이상이므로
  
Y Y y
YY ƒ, Y Y ƒ
∴ ƒYƒ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ƒYƒ
 ੉ରߑ੿ध੄Ӕ੄౸߹җ੉ରࠗ١ध

따라서 가로의 길이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므로 구하는 합은


  1055 ③

이차방정식 Y B YB 이 허근을 가지므로 이

1053 ③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B  B  
하루 수입은 원 이하이므로 BB  B, BB
O O ƒ, OO y BB, B  B 

O O y, O O y 
∴  B
∴ Oƒ 또는 Oy 
그런데 Oy이므로 ƒOƒ 또는 Oy UU ㉠ 따라서 정수 B의 최댓값은 이다.
또한 크림빵 한 개의 원가가 원이므로 하루에 O개의 크림빵을
판매할 때 내는 순이익은
O O OO O 1056 ①
하루에 원 이상의 순이익을 내므로
이차방정식 Y L  Y L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O Oy, OO ƒ
가지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OO ƒ, O O ƒ
%
∴ ƒOƒ UU ㉡ \ L  ^ L 


182 정답과 풀이
L L L , L L 

 ੉ରߑ੿ध੄पӔ੄ࠗഐ
L L, L  L 
∴ L 
Lƒ


1
따라서 정수 L는 , , , U, 의 개이다.

Œ 이차방정식 Y Y L의 판별식을 %라 하면


%
1057
 L y
② 
Lƒ ∴ Lƒ UU ㉠
이차방정식 YLY L 이 실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방정
 두 근의 합 
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Ž 두 근의 곱 L
%
 L  L  y 
 L ∴ L UU ㉡


L Ly, L  L 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Lƒ 또는 Ly UU ㉠

Lƒ
이차방정식 Y LY L 이 허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방정 
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L  L
1060
 

L, L  L 
∴ L UU ㉡ Œ 이차방정식 Y  B Y B의 판별식을 %라 하면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B  B y
Lƒ 
BB B y, BB y
B B y ∴ Bƒ 또는 By UU ㉠
 두 근의 합  B 
1058 ⑤
B ∴ B UU ㉡
ZY 
Y의 그래프와 직선 ZLY이 만나지 않으려면 이 Ž 두 근의 곱 B
차방정식 Y YLY, 즉 Y L Y 이 허근을 ∴ B UU ㉢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 L   Bƒ ㉢
 B
L L , L L     

∴ L
따라서 자연수 L는 , , , , , , 의 개이다.

1061 ③

1059 B 이차방정식 YY


므로
LL의 두 근의 부호가 서로 다르

이차방정식 Y N  Y N BN이 서로 다른 두 두 근의 곱 LL


실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L  L  ∴ L
%   따라서 정수 L의 최솟값은 이다.
\ N  ^ N BN 

N N NBN , N  B N 

N B N  UU ㉠
………………………………………………………………………………… ➊
㉠이 실수 N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N에 대한 이
1062 

차방정식 N B N 의 판별식을 %라 하면 Œ 이차방정식 Y N  Y N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B   % N   N  
BB, B  B  N N N, NN
∴ B N  N  ∴ N 또는 N UU ㉠
………………………………………………………………………………… ➋  두 근의 합  N  
N  ∴ N UU ㉡
채점 기준 배점
Ž 두 근의 곱 N 
➊ N에 대한 이차부등식 세우기 40%

➋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60% ∴ N UU ㉢


Ⅲ. 부등식 183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ରߑ੿ध੄Ӕ੄ܻ࠙
㉠ ㉠

㉢ ⑴ y, ,  ⑵
   N
 

⑴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이 모두  ZG Y

 N 또는 N 보다 크므로 이차함수 Z G Y 의 그

따라서 정수 N의 최솟값은 이다. 래프는 그림과 같다.
 Y
∴ %y, G  , B
⑵ 이차방정식 G Y 의 두 근 사이에 ZG Y
가 있으므로 이차함수 Z G Y 의

1063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G  

Y

이차방정식 Y BB Y B의 두 근의 부호가 서


로 다르므로

두 근의 곱 
B
, B
1065 ②

G Y Y BY B 라 하면 이차방 ZG Y
B  B  ∴ B UU ㉠
정식 G Y 의 두 근이 모두 보다 크
………………………………………………………………………………… ➊
므로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는 오른
또한 두 근의 절댓값이 같으므로  Y
쪽 그림과 같다.
BB
두 근의 합   Œ G 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B B, B  B  %
B B  y

∴ B 또는 B UU ㉡
BBy, B  B y
………………………………………………………………………………… ➋
∴ Bƒ 또는 By UU ㉠
㉠, ㉡에서 B
 G  B B 
………………………………………………………………………………… ➌
B ∴ B UU ㉡
채점 기준 배점
Ž Z G Y 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YB이므로
➊ 두 근의 부호가 서로 다름을 이용하여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B ∴ B UU ㉢
➋ 두 근의 절댓값이 같음을 이용하여 B의 값 구하기 40%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➌ B의 값 구하기 20% ㉡
Bƒ ㉢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의 절댓값     B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서로 다른 부호일 때
⑴ |양수인 근||음수인 근|
두 근의 합 , 두 근의 곱  1066 
⑵ |양수인 근 ||음수인 근|
두 근의 합 , 두 근의 곱  G Y Y   L  Y L  L라 ZG Y
⑶ |양수인 근||음수인 근| 하면 이차방정식 G Y 의 서로 다른
두 근의 합 , 두 근의 곱  두 근 사이에 가 있으므로 이차함수 
Y
Z 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즉, G  이어야 하므로
 L  LL

L L, L  L 
1064 ①
∴ L
이차방정식 Y  
B B  YB 의 두 근의 부호가 서로 따라서 =, >이므로
다르므로 = > 
두 근의 곱 B  ∴ B UU ㉠

1067
또한 음의 근의 절댓값이 양의 근보다 크므로

두 근의 합  BB  
BB , B B  G Y YNY N라 하면 이차방 ZG Y
∴ B 또는 B UU ㉡ 정식 G Y 의 두 근이 모두 보다 작으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므로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는 오른
 Y
B 쪽 그림과 같다.

184 정답과 풀이
Œ G 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 N  N y  ㉢
ƒB ㉣

NN y, N N y B

1
따라서 정수 B의 값은 이다.      
∴ Nƒ 또는 Ny UU ㉠ 
………………………………………………………………………………… ➍
 G  N N ∴ N UU ㉡
N 채점 기준 배점
Ž Z G Y 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Y 이므로
 ➊ 판별식 y임을 이용하여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N ➋ G  , G  임을 이용하여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 N UU ㉢

➌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 ➍ 정수 B의 값 구하기 20%
Nƒ ㉢

따라서 N의 최댓값은 이다.     N

1068 Ld 또는 L


 ࢖hࢎରߑ੿ध੄Ӕ੄ઑѤ
YY에서 Y  Y 
∴ Y 또는 Y
즉, Y LY 의 한 근만이 와  사이에 있어야 하므로 1070 ①

G Y Y LY 라 하면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Y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같다.
9 B9 B UU ㉠
ZG Y ZG Y
이때 주어진 사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지려면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Y  Y Œ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따라서 G  G  이므로 B B 

L   L  ,  L L   B B, B  B 
 ∴ B 또는 B UU ㉡
L L   ∴ L 또는 L

 두 근의 합 B
∴ B UU ㉢
Ž 두 근의 곱 B

1069  ∴ B UU ㉣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G Y Y  B Y B라 하면 이 ZG Y B ㉣
차방정식 G Y 의 두 근이 모두  B
   
과  사이에 있으므로 이차함수 Z G Y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1071
Œ G 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B  B y


G Y Y LYLY이라 하면
B B y, B B y
G   LL
∴ Bƒ 또는 By UU ㉠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 ➊
  L L 
 G   B B
 L  

B ∴ B UU ㉡  L   


Ž G    B B G Y  Y \Y L  Y ^
∴ B UU ㉢ Y \Y L  Y ^에서
………………………………………………………………………………… ➋ Y 또는 Y L  Y 
 Z G Y 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YB 이므로 이때 Y가 양수인 근이므로 이차방정식 Y L  Y 의
B  두 근은 음수이다.
B ∴ B UU ㉣ ………………………………………………………………………………… ➊
………………………………………………………………………………… ➌ 이차방정식 Y L  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Ⅲ. 부등식 185
Œ % L  y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L Ly, L  L y C 
  , @ ∴ B, C
B B
∴ Lƒ 또는 Ly
∴B C  
 두 근의 합  L  
L  ∴ L

1075
Ž 두 근의 곱 

Œ ~ Ž에서 Ly
따라서 L의 최솟값은 이다. G Y Y Y Y  Y 이므로
………………………………………………………………………………… ➋ G Y  Y  Y  Y  Y
채점 기준 배점 G Y , 즉 Y  Y 에서
➊Y 
L  Y 의 두 근이 음수임을 보이기 30% Y
➋ 실수 L의 최솟값 구하기 70% 따라서 정수 Y는 , , , , , 이므로 구하는 합은
     
다른 풀이

1072 ③ G Y , 즉 Y
Y  Y 
Y의 해는
∴ Y
Y9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따라서 G Y 의 해는
9N9 NN UU ㉠ Y ∴ Y
이때 주어진 사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과 서로 다른 두 허근
을 가지려면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부호의 두 근을 가져야 하므로
두 근의 곱 NN 1076 
N  N  ∴ N
G Y L에서 Y L
따라서 정수 N은 , , , , , , 의 개이다.
hLYhL ∵ L ∴ hLY hL
이때 hLY hL를 만족시키는 정수 Y가 개이므로 그
림에서

L L
         Y

L  L


 hLƒ, hLƒ, Lƒ ∴ Lƒ

따라서 자연수 L는 , 이므로 구하는 합은
 

1073 ⑤

YY ƒY에서 YY ƒ


1077 ②
Y Y ƒ ∴ ƒYƒ
따라서 정수 Y는 , , , , 의 개이다. G Y 에서 YBY B
이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해가 없으려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BY By이 성립해야 한다.
이차방정식 YBY B의 판별식을 %라 하면

1074 ② %

 B Bƒ

BY CY의 해가 Y 또는 Y이므로 B BBƒ, B B ƒ


해가 Y 또는 Y이고 Y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 ƒBƒ

Y  Y  ∴ Y Y 따라서 정수 B는 , , , U, 의 개이다.
양변에 B를 곱하면 BYBYB ∵ B
이 부등식이 BY CY과 같으므로
CB, B 1078 
따라서 B, C이므로
YY ƒY L에서 YY Lƒ
B C   
G Y Y Y L라 하면
다른 풀이
  
이차방정식 BY CY의 두 근이 , 이므로 이차방정식 G Y [Y ] L
 

186 정답과 풀이
ƒYƒ에서 G Y ƒ이어야 하므 Z ∴ ƒYƒ UU ㉡

로 Z G Y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아야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0 Y
한다. ƒY

1
이때 ƒYƒ에서 G Y 의 최댓값은 ZG Y 따라서 정수 Y는 , 의 개이다.
G  이므로
G    Lƒ
∴ Ly 1083 ③
따라서 L의 최솟값은 이다. 이차방정식 Y BY  B 이 실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방
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1079
% B  B y

BB y, Bƒ
ZY Y 의 그래프가 ZY BY C의 그래프보다 위쪽에 Bƒ, B  B ƒ
있는 부분의 Y의 값의 범위는 ∴ ƒBƒ
Y Y Y BY C 따라서 정수 B는 , , , , 의 개이다.

즉, Y B Y C UU ㉠
의 해와 같다.
해가 Y 또는 Y이고 Y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1084 N
Y  Y  ∴ Y Y UU ㉡
G Y Y NY N이라 하면 이차 ZG Y
㉠과 ㉡이 같아야 하므로
방정식 G Y 의 한 근은 와  사이
B, C ∴ B, C
에 있고 다른 한 근은 과  사이에 있으 
∴B C    Y
므로 이차함수 Z G Y 의 그래프는 오른
쪽 그림과 같다.

1080
G  에서 N N

NN, N  N 
새로 만든 직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이는 각각 ∴ N 또는 N UU ㉠

 Y DN, Y DN이므로 G  에서 N 
Y, Y ∴ Y N  N 

새로 만든 직사각형의 넓이가 ADN 이상이 되려면 ∴ N UU ㉡

 Y Y y G  에서  N N 
YYƒ, Y  Y ƒ N N , N  N  
∴ ƒYƒ ∴ N 또는 N UU ㉢
그런데 Y이므로 Yƒ ㉠, ㉡, ㉢의 공통부분을 구 ㉢ ㉢

따라서 Y의 최댓값은 이다. 하면 ㉠ ㉠
N     N


1081 

Y Y에서 Y  Y 
1085 ③
∴ Y UU ㉠
YYy에서 Y  Y y G Y Y B Y BYB라 하면

 G   B BB
∴ Yƒ 또는 Yy UU ㉡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B B B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인수분해하면  B B

Yƒ 또는 ƒY G Y  Y Y BY B  B B 

Y Y BY B 에서
따라서 정수 Y는 , , U, , , , 의 개이다.
Y 또는 Y BY B
이때 Y이 실근이므로 이차방정식 Y BY B은 허근을 갖

1082 ②
는다.
이차방정식 Y BY B의 판별식을 %라 하면
|Y|에서 Y %BB
Y ∴ Y UU ㉠ B B  ∴ B

Y Y ƒ에서 Y Y ƒ 따라서 정수 B는 , , , , , , 의 개이다.

Ⅲ. 부등식 187
1086 ④ Ž N일 때,
이차함수 Z N Y N Y 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
G Y H Y I Y ƒ이려면
하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항상 존재한다.
G Y y, H Y y, I Y ƒ 또는 G Y y, H Y ƒ, I Y y
Œ ~ Ž에서 N 또는 Ny
또는 G Y ƒ, H Y y, I Y y 또는 G Y ƒ, H Y ƒ,
I Y ƒ이어야 한다.
이차부등식이라는 조건이 없으므로 N, 즉 N인 경우도 생각
ŒG Y y, H Y y, I Y ƒ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의 범위는
한다.
DƒYƒE
G Y y, H Y ƒ, I Y y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은 없다.
ŽG Y ƒ, H Y y, I Y y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은 없다.
G Y ƒ, H Y ƒ, I Y ƒ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의 범위는 1089 ②
BƒYƒC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 BY 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Œ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이차방정식 Y B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BƒYƒC 또는 DƒYƒE
% B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이 아닌 것은 ④이다.
B, B
B  B  ∴ B UU ㉠
이때 B, B 이므로 |B| |B |에서

1087   B  B  , B  B 


∴ B UU ㉡
Y Y에서 Y  Y  ∴ Y 또는 Y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Y|Y 에서
B
ŒY일 때, Y Y이므로
따라서 =, >이므로
 Y Y Y , YY Y 
=>
Y Y, Y Y  
∴ Y 또는 Y
그런데 Y이므로 Y
1090 
Yƒ 또는 Yy일 때, Y Yy이므로
Y YY , Y ZNYY 의 그래프가 ZY NY의 그래프보다 항상

∴ Y 위쪽에 있으려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  Y 
그런데 Yƒ 또는 Yy이므로 ƒY NYY Y NY

Œ,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즉, N  Y N  Y  UU ㉠
이 성립해야 한다.
Y
따라서 YyB는 Y를 포함하 ŒN일 때,

고 YC는 Y에 포함되 @Y@Y 이므로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이 성립

려면 그림에서 Bƒ, Cƒ B  C  Y 한다.

따라서 B C의 최댓값은 N 일 때,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이 성립하려면
 
N  ∴ N UU ㉡
또한 이차방정식 N  Y N  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1088 N 또는 Ny %\ N  ^ N  

ŒN일 때, N  N  , N  N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려면 이차방정식 ∴ N UU ㉢



N Y  N Y 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N

%\ N ^  N y  Œ, 에서 ƒN

N N y, N N y 따라서 정수 N은 , , , 의 개이다.

∴ Nƒ 또는 Ny

1091
그런데 N이므로 Ny

N일 때,
@Y@Y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존재하 YƒH Y 에서 Yƒ B Y C
지 않는다. B YyC

188 정답과 풀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B YyC가 성립해야 하므로 ⓐ 이차방정식 YNYN의 판별식을 %라 하면
B에서 B %
 N  N y

Cƒ에서 Cy UU ㉠

1
N N y UU ㉠
H Y ƒ G Y 에서 B Y CƒY Y 
     
Y B Y Cy 그런데 N N [N ] y 이므로 ㉠의 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 B Y Cy이 성립해야 하므
는 모든 실수이다.

로 이차방정식 Y B Y C의 판별식을 %라 하면
ⓑ 두 근의 합 N ∴ N
% B  C ƒ
ⓒ 두 근의 곱 N
BB  Cƒ

N ∴ N
B를 대입하면   Cƒ 
Cƒ ∴ Cƒ UU ㉡ ⓐ ~ ⓒ에서 N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Œ, 에서 Ny
ƒCƒ 

따라서 =, >이므로 >=의 최댓값은 따라서 정수 N의 최솟값은 이므로 L

>=   ∴ L

1094 

1092  이차부등식 BY B B Y B y의 해가 오직 한 개 존재


하려면
YYy에서 Y  Y y
B UU ㉠
∴ Yƒ 또는 Yy UU ㉠ ………………………………………………………………………………… ➊
Y BY B에서 Y  Y B  UU ㉡ 또한 이차방정식 BY B B Y B 의 판별식을 %라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정수 Y가 개이려면 하면
ŒB , 즉 B일 때,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
\ B B ^B B  
㉡ 
㉠ ㉠
………………………………………………………………………………… ➋
     Y
B B  B B 
B 
B B B B 
B ƒ
B B  B  B 
Bƒ ∴ ƒB
∴ B 또는 B 또는 B 또는 B UU ㉡
그런데 B이므로 ƒB
㉠, ㉡에서 B 또는 B
B , 즉 B일 때,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따라서 서로 다른 실수 B의 개수는 이다.
㉠ ㉠ ………………………………………………………………………………… ➌

     Y
채점 기준 배점
  
B  ➊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ƒB  ➋ 판별식 임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30%
ƒB ∴ Bƒ ➌ 서로 다른 실수 B의 개수 구하기 50%
그런데 B이므로 Bƒ

1095
Œ, 에서 ƒB 또는 Bƒ

따라서 정수 B는 , 이므로 구하는 합은
  <Y><Y>ƒ에서 <Y>  <Y> ƒ
∴ ƒ<Y>ƒ
………………………………………………………………………………… ➊
이때 <Y>는 정수이므로 <Y>, , , , , , 
1093 ② Œ<Y>일 때, ƒY

Œ한 근만 양의 실수일 때,  <Y>일 때, ƒY

나머지 한 근은 이거나 음의 실수이므로 ⋮

두 근의 곱 Nƒ ’ <Y>일 때, ƒY

 Œ ~ ’에서 <Y><Y>ƒ의 해는
Ny ∴ Ny
 ƒY
두 근이 모두 양의 실수일 때, ………………………………………………………………………………… ➋

Ⅲ. 부등식 189
Y BY
따라서 연립부등식 <  의 해가 ƒY이므로
Y Y Cy
Y은 Y Y C의 근이고 Y은 Y BY의 근

1097
이다.

 C,  B
∴ B, C Z G Y 의 그래프와 직선 ZY의 교점의 Z좌표가 , 이므
∴B C  로 이 교점의 좌표는 ,  , ,  이다.
………………………………………………………………………………… ➌ 이차부등식 G Y Y y, 즉 G Y yY의 해는 Z G Y 의
채점 기준 배점 그래프가 직선 ZY보다 위쪽에 있거나 만나는 부분의 Y의 값
➊ <Y>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의 범위와 같으므로

➋ <Y> <Y>ƒ의 해 구하기 40% ƒYƒ
➌ B C의 값 구하기 40% 따라서 정수 Y는 , , , U, 의 개이다.

1098 ƒBƒ

이차방정식 Y L YBL이 실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방정


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 L BLy

L L  BLy ∴ L  B L y

모든 실수 L에 대하여 L  B L y이 성립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L  B L 의 판별식을 %라 하면

1096 B 또는 B %



 B ƒ

G Y Y BY B YB 라 하면 BB ƒ, BBƒ, BBƒ


G   B B B  B B ƒ ∴ ƒBƒ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B B B 
 B  B
 B  B  1099 

G Y  Y \Y B  Y B^ 이차방정식 YBY B B  이 실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방



Y \Y B  Y B^에서 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Y 또는 Y B  Y B %
 B B B  y
이때 Y이 양수인 근이므로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세 실근의 곱 
이 양수가 되려면 이차방정식 Y B  Y B이 이 아 BBBy, BBy
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면서 두 실근의 곱이 양수이면 된다. B Bƒ, B B  ƒ
………………………………………………………………………………… ➊ 
∴  ƒBƒ UU ㉠

이차방정식 Y B  Y B의 판별식을 %라 하면
한편,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Œ% B  ™A B 
= >B, =>B B 
B B B , BB    
∴= > = > =>
B B  ∴ B 또는 B
 B B B 
Y을 Y B  Y B에 대입하면  
B B BB
 B  B , B  ∴B 
 
 ㉠에서 ƒBƒ 이므로 = >의 최댓값은 이다.
Ž두 실근의 곱 B ∴ B  


Œ ~ Ž에서 B 또는 B

………………………………………………………………………………… ➋

채점 기준 배점
1100 

➊ 방정식 Y B  Y B이 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양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ā L  Y  L  Y 의 값이 실수가


30%
의 실근을 가짐을 알기 되려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L 
 Y L  Y y이 성립
➋ 실수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70% 해야 한다.

190 정답과 풀이
Œ L일 때, 양변을 B로 나누면

@Y @Y y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모든 실수 YY y ∵ B
Y에 대하여 성립한다. ∴ Y y

1
L 일 때,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모든 실수이다.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L  Y  L  Y y이 성립하려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L  ∴ L UU ㉠

이차방정식 L  Y L  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L  ^ L  ƒ
1103 ①
L  L  ƒ, L  L ƒ
∴ ƒLƒ UU ㉡ Y Y O 에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Y Y O  O 

Lƒ Y O  YO  

Œ, 에서 ƒLƒ ∴ YO 또는 YO ∵ O UU ㉠


따라서 정수 L는 , , , U, 의 개이다. Y OO YO에서
Y O YO  ∴ OYO UU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OYO

1101
Y
① O, O은 정수이므로 정수 O O O O™

Y의 개수는
G Y YY Y  Y 이므로 O O OO
Œ G Y y, 즉 Yƒ 또는 Yy일 때, 정수 Y가 개 이하이므로
G Y G Y
H Y  G Y OOƒ

OOƒ, O  O ƒ
 G Y , 즉 Y일 때,
∴ ƒOƒ
G Y G Y
H Y   따라서 자연수 O은 , , , 이므로 구하는 합은

G Y Yƒ 또는 Yy    
Œ, 에서 H Y <
 Y
따라서 ZH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Z ZH Y
  
O O OO [O ] 이므로 OO이다.
같으므로 부등식 H Y ƒ의 해는  
ƒYƒ

1104
 0  Y


G Y YYB  Y B 이므로 G Y 의 최솟값



은 B 이다.

1102 ⑤ 또한 H Y Y
  
YB [Y ] B이므로 H Y 의
 
ㄱ. BY CY Dy의 해가 Y뿐이므로 이차방정식 최댓값은 B이다.
BY 
CY D의 판별식을 %라 하면 임의의 실수 Y, Y에 대하여 G Y H Y 가 성립하려면 함수
% G Y 의 모든 함숫값이 H Y 의 모든 함숫값보다 커야 하므로
CBD ∴ CBD
 G Y 의 최솟값  H Y 의 최댓값 에서
ㄴ. BY CY Dy의 해가 Y이므로 B B B, BB

해가 Y이고 Y 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B  B  ∴ B
Y ƒ ∴ YY ƒ 따라서 정수 B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므로 구하는 합은
양변에 B를 곱하면  
BYBY By ∵ B
이 부등식이 BY CY Dy과 같으므로
CB, DB
∴ CB, DB UU ㉠
1105 ④

이때 B이므로 C, D ∴ BCD 보관창고가 " 지점에서 YALN 떨어져 있다고 하면

ㄷ. ㉠을 CY DYBy에 대입하면 보관창고와 # 지점 사이의 거리는  Y LN,

BY BYBy 보관창고와 $ 지점 사이의 거리는 Y LN이므로

Ⅲ. 부등식 191
Y, Y ∴ Y UU ㉠ Ž G   L L 
공장과 보관창고 사이의 거리가 YALN일 때, 제품 한 개당 운송비 
L ∴ L UU ㉢

는 Y원이고 세 지점 ", #, $의 공장에서 하루에 각각 개, 개,
L
개를 생산하므로  Z G Y 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Y 이므로

" 지점의 공장에서 하루에 생산된 제품의 운송비는
L
  ∴ L UU ㉣
Y원 
# 지점의 공장에서 하루에 생산된 제품의 운송비는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Y 원  ㉢
 Lƒ ㉣
$ 지점의 공장에서 하루에 생산된 제품의 운송비는 
    L
 Y 원


하루에 드는 총 운송비가 원 이하가 되어야 하므로 

Y   Y 
 Y ƒ

Y Yƒ, Y  Y ƒ

1108

∴  ƒYƒ UU ㉡ ①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G Y Y B Y BB YB이라 하면
Yƒ  
G B B B B BB BB
따라서 보관창고는 " 지점에서 최대 ALN 떨어진 지점까지 지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인수분해하면
수 있다.
B  B BB B
B B B
B
1106
  
⑤  
G Y  YB Y Y B
Y Y에서 Y  Y  YB Y Y B 에서
∴ Y 또는 Y UU ㉠ YB 또는 Y Y B
|YB|ƒ에서 ƒYBƒ 즉, 삼차방정식 YB Y Y B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 BƒYƒB  UU ㉡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Y Y B 이 B가 아닌 서로 다른 두 실
주어진 연립부등식이 항상 해를 가지려면 ㉠, ㉡의 공통부분이 존 근을 가져야 한다.
재해야 하므로 Œ YB를 Y Y B에 대입하면
㉡  
ŒB, 즉 B일 때, ㉠ ㉠ B B B , B B , B B 
오른쪽 그림에서 주어진 연립부 B B   ∴B , B 
B   Y
등식은 항상 해를 갖는다. B   이차방정식 Y Y B의 판별식을 %라 하면
ƒB, 즉 ƒB ㉡ %
㉠ ㉠ B
일 때, 오른쪽 그림에서 

B  ∴ B  B  B  Y B, B  B 

그런데 ƒB이므로 B ∴ B

ŽBy, 즉 By일 때, 오른쪽 ㉡ Œ, 에서 B 또는 B


㉠ ㉠
그림에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은 따라서 정수 B는 , , , , , 의 개이다.
  B B  Y
항상 해를 갖는다.
Œ ~ Ž에서 B 또는 B

1109 ③

1107 ② 부등식 G Y ƒ의 해는 ƒYƒ이므로


LY LY
부등식 G [ ]ƒ에서 ƒ ƒ
G Y Y LY L 이라 하면 이차방 ZG Y  
정식 G Y 의 두 근이 모두 과  사이 ∴ LƒYƒL 
에 있으므로 Z 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이 부등식이 L LƒYƒL과 같으므로


  Y
그림과 같다. LLL, L L
Œ G Y 의 판별식을 %라 하면 LLL에서

%L  L  y LL , L L 
LLy, L  L y ∴ L 또는 L UU ㉠
 
∴ Lƒ 또는 Ly UU ㉠ L L 에서 L L
 G  L  ∴ L UU ㉡ L L   ∴ L 또는 L UU ㉡

192 정답과 풀이
㉠, ㉡에서 L Œ B일 때,
부등식 G Y 의 해는 Y 또는 Y이므로 BB  B 
 ,  이므로
   
부등식 G Y 에서

1
 
Y 또는 Y  ƒYƒ 에서 정수 Y는 , 의 개이다.
 
 
∴ Y 또는 Y  B일 때,
 
BB  B 
   ,  이므로
따라서 = , > 이므로    
 
 
    ƒYƒ 에서 정수 Y는 , 의 개이다.
=>    
  
Ž B일 때,
BB B
, 이므로
 
ƒYƒ에서 정수 Y는 , , 의 개이다.
따라서 ㈏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1110 ③  B일 때,
연립부등식 BB B
, 이므로
 
 Y C D Y CD UU ㉠
ƒYƒ에서 정수 Y는 , , 의 개이다.
9A  D BD
Y [B ]Y y UU ㉡ 따라서 ㈏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의 해 Yƒ 또는 ㉡ ㉡ Œ ~ 에서 실수 B는 , 이므로 구하는 합은

ƒY을 수직선 위에 나타내  
   Y
면 그림과 같다. 
즉, Y C D Y CD의 해는 Y이므로
Y  Y , Y Y
∴ C D, CD 1112 ④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두 이차함수의 Y의 계수의 절댓값이 이므로 주어진 그래프에서
C, D 또는 C, D
G Y  Y O YO , H Y  YO YO
이때 CD이므로 C, D
G Y H Y y에서
D BD
또한 Y[B ]Y y의 해는 Yƒ 또는 Yy이므로 G Y y, H Y y 또는 G Y ƒ, H Y ƒ
 

Y  Y  y, Y Y y Œ G Y y, H Y y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의 범위는
D BD OƒYƒO
∴ B ,  
   G Y ƒ, H Y ƒ을 만족시키는 Y의 값의 범위는
이때 D이므로 B OƒYƒO
Y C D Y  C D Bƒ에서 Œ, 에서 부등식 G Y H Y y의 해는
YYƒ, Y  Y ƒ OƒYƒO 또는 OƒYƒO
∴ ƒYƒ 이때 OƒYƒO을 만족시키는 정수 Y의 개수는
따라서 정수 Y는 , , , U, 의 개이다. O O O 
OƒYƒO을 만족시키는 정수 Y의 개수는
OO O 
부등식 G Y H Y y을 만족시키는 정수 Y가 개이므로
O  O  
1111 ③ O  ∴ O
∴ G Y  Y  Y , H Y  Y Y
YB B YB ƒ에서
부등식 H Y y G Y 에서
B BB BB B
= , > 또는 = , > 이므로
     Y Y y Y  Y
  
B B B Y YyY Y
>=\  \ ∵ ㈎
 
YY ƒ
|BB|
이 부등식의 해가 =ƒYƒ>이므로
BB 또는 BB
이차방정식 YY 의 두 근은 =, >이다.
BB 또는 BB 
즉,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B  또는 B B 
 
= > ∴ = > @ 
∴ B 또는 B 또는 B 또는 B  

Ⅲ. 부등식 193
채점 기준 배점
1 ➊ "#“$%“임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40%
➋ 모든 B의 값 구하기 40%
➌ 모든 B의 값의 합 구하기 20%

ಣ‫ݶ‬ઝ಴ 1117 ④

"#“ƒ에서 "#“ ™Aƒ™A이므로

 ‫੄੉ࢎ੼ف‬Ѣܻ Q ™A Q ™Aƒ


Q™A Q  Q™AQ ƒ
1. ⑴  ⑵  2. ⑴  ⑵  Q™AQƒ, Q™AQƒ
Q  Q ƒ ∴ ƒQƒ
1. ⑴ "#“]] 따라서 정수 Q는 , , , U, 의 개이다.
⑵ "#“]  ]
2. ⑴ }x  ™A  ™A`
⑵ }x  ™A  ™A`
1118 

동시에 출발한 지 U초 후에 두 점 1, 2의 좌표는 각각

1113
1 U,  , 2 , U

∴ 12“}x U ™A U ™A
"#“이므로 }x  ™A B ™A }xU™AU }x U ™A 
}xB™AB  따라서 U일 때, 두 점 1, 2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양변을 제곱하면 `이다.
B™AB , B™AB
B  B  ∴ B 또는 B
이때 B이므로 B

1114   э਷Ѣܻী੓‫੄੼ח‬ઝ಴

"#“#$“이므로 }xB™A  ™A}x B ™A  ™A


}xB™A }xB™A B  1119 ④
양변을 제곱하면
점 1가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점 1의 좌표를
B™A B™A B , B ∴ B
B, B 이라 하자.
이때 "1“#1“에서 "1“ ™A#1“ ™A이므로
1115  B  ™A B ™AB™A B ™A

"#“}x   ™A  ™A` B™AB B™AB , B ∴ B

따라서 선분 "#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넓이는 ∴ 1 , 


™
"#“ A ` ™A

1120 ②

1116 
"1“#1“에서 "1“ ™A#1“ ™A이므로
"#“$%“이므로 B ™A  ™A B ™A  ™A
}x B  ™A  ™A}x  ™A B ™A B™AB B™AB , B ∴ B
}xB™A B }xB™A B 
………………………………………………………………………………… ➊
양변을 제곱하면
1121 

 B™A B  B™A B  "1“#1“에서 "1“ ™A#1“ ™A이므로 B™A C ™AB™A C ™A
B™A B, B™A B B™A C™AC B™A
C™AC , C ∴ C
B  B  ∴ B 또는 B ™
한편 01“에서 01“ A이므로 B™A C™A
………………………………………………………………………………… ➋ 위의 식에 C을 대입하면
따라서 모든 B의 값은 합은   B™A  ∴ B™A
………………………………………………………………………………… ➌ ∴ C™AB™A

194 정답과 풀이
1122 ③ B C ∴ B C
B를 B C에 대입하면
1 B,  이라 하면 "1“#1“에서 "1“ ™A#1“ ™A이므로
 C ∴ C

1
B ™A  ™A B ™A  ™A
즉, 1 ,  이므로 "1“}x  ™A ™A`
B™AB B™AB , B ∴ B
따라서 구하는 거리는 `ALN이다.
∴ 1 , 
2 , C 라 하면
"2“#2“에서 "2“ ™A#2“ ™A이므로
 ™A C ™A  ™A C ™A
 ‫੄੉ࢎ੼ف‬Ѣܻ੄ഝਊ̻
 mࢶ࠙੄ӡ੉੄೤੄୭ࣟч
C™AC C™AC , C ∴ C


∴ 2[,

]
1125 `
따라서 삼각형 012의 넓이는
0 ,  , " B, C , # ,  라 하면
 
4Å@@  ∴ 4 }xB™A C™A }x B ™A C  ™A0"“ "#“
 
y0#“

1123 [=, ] }x™A


`
 ™A

삼각형 "#$의 외심을 1 B, C 라 하면 "1“#1“$1“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이다.


"1“#1“에서 "1“ ™A#1“ ™A이므로
B ™A C  ™A B ™A C™A
1126 ②
B™AB  C™A C B™AB  C™A
B C ∴ B C UUA㉠ " B,  , # ,  , $ ,  라 하면
™
#1“$1“에서 #1“ A$1“ ™A이므로 }x B ™A  }xB™A "#“ "$“

B ™A C™A B  ™A C ™A y#$“

B™AB  C™AB™A B  C™AC  }x  ™A  ™A

B C ∴ BC UUA㉡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따라서 삼각형 "#$의 외심의 좌표는 [=, ]이다. 1127 ②

" ,  , # ,  , $ Y, Z 라 하면
삼각형의 외심
}x Y  ™A Z ™A }xY™A Z ™A"$“ #$“
⑴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 " 외접원
y"#“
⑵ 삼각형의 외심에서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같다.
외심 }x™A  ™A
% 0 '
0"“0#“0$“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따라서 Q이므로 Q™A  ™A
# & $

1128 

1124 ② " B, B , # ,  , $ Y, Z 라 하면


}x YB ™A Z B ™A }x Y  ™A Z ™A
그림과 같이 세 지점 ", #, $를 지점 Z
"$“ #$“
"를 원점으로 하는 좌표평면 위에 나타  $ ………………………………………………………………………………… ➊
내면 # ,  , $ ,  #
 " 0  Y y"#“
물류창고를 지으려는 지점을 1 B, C 라
}x B ™A  B ™A
하면
}xB™A B 
"1“#1“$1“
………………………………………………………………………………… ➋
"1“#1“에서 "1“ ™A#1“ ™A이므로
이때 주어진 식의 최솟값이 `이므로
B™A C™A B  ™A C™A, B™A C™AB™A B  C™A
B™A B , B™A B 
B ∴ B
™
#1“$1“에서 #1“ A$1“ ™ A이므로 B  B   ∴ B 또는 B=

B  ™A C™A B ™A C ™A 따라서 정수 B의 값은 이다.


B™A B  C™AB™AB  C™AC  ………………………………………………………………………………… ➌

Ⅳ. 도형의 방정식 195


채점 기준 배점 채점 기준 배점
➊ 주어진 식을 "$“ #$“로 표현하기 30% ➊ 점 1의 좌표를 B를 사용하여 나타내기 20%
➋ "$“ #$“의 최솟값을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30% ➋ "1“A™ #1“A의
™ 값을 B에 대한 완전제곱식을 포함한 식으로 나타내기 40%
➌ 정수 B의 값 구하기 40% ➌ 점 1의 좌표 구하기 20%
➍ B™A C™A의 값 구하기 20%

1129  1132 ④

0 ,  , " ,  , # ,  , $ Y, Z 라 하면 1 B, C 라 하면

}xY™A Z™A }x Y ™A Z  ™A }x Y  ™A Z ™A "1“ ™A #1“ ™A $1“ ™A

0$“ "$“ #$“  B  ™A C ™A B™A C ™A B ™A C  ™A

y0"“ #$“A ∵ 0$“ "$“y0"“ B™AB C™AC 

이때 그림과 같이 세 점 0, ", #는 한 직선 Z  B ™A  C ™A 

위에 있고 점 $는 선분 0" 위의 점이다.
#  따라서 B, C일 때, "1“ ™A #1“ ™A $1“ ™A의 최솟값이 이므로

즉, 0"“ #$“의 최솟값은 점 $가 점 0와 일 점 1의 좌표는 ,  이다.



치할 때이다. Y
1133
 0 $
∴ 0"“ #$“y0"“ #0“ 
 "
"#“
점 1가 Z축 위의 점이므로 1 , B 라 하면
}x  ™A   ™A
"1“ ™A #1“ ™A  L ™A B ™A L ™A B ™A
`
B™AB L™A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이다.
 B ™A L™A 
따라서 B일 때, "1“ ™A #1“ ™A의 최솟값이 L™A 이므로
L™A , L™A, L™A
∴ LA ∵ L

1134 [, Å]


 ‫੄੉ࢎ੼ف‬Ѣܻ੄ഝਊ̼
mࢶ࠙੄ӡ੉੄ઁғ੄೤੄୭ࣟч 1 B, C 라 하면
"1“ A™ #1“ ™A $1“ ™A %1“ ™A

1130
 B ™A C ™A B  ™A C ™A

B  ™A C  ™A B ™A C  ™A
점 1가 Y축 위의 점이므로 1 B,  이라 하면 B™AB C™AC 
"1“ ™A #1“ ™A B ™A ™A B  ™A ™A 

 B ™A [CÅ]

B™AB 

 B ™A  따라서 B, CÅ일 때, 주어진 식의 최솟값이 이므로

따라서 B일 때, "1“ ™A #1“ ™A의 최솟값은 이다.
점 1의 좌표는 [, Å]이다.

1131 

점 1가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1 B, B  라 하면
………………………………………………………………………………… ➊
 ‫੄੉ࢎ੼ف‬Ѣܻ੄ഝਊ̽
"1“ ™A #1“ ™A B ™A B   ™A B  ™A B  ™A m࢖пഋ੄ࣁ߸੄ӡ੉৬‫ݽ‬ন
B™A B 
 B  ™A
………………………………………………………………………………… ➋

1135 ④

즉, B일 때, "1“ A™ #1“ A의


™ 최솟값이 이므로 1 ,  이다. "#“}x  ™A  ™A
………………………………………………………………………………… ➌ #$“}x   ™A  ™A`
따라서 B, C이므로 $"“}x  A™  ™A
B™A C™A  ™A ™A 따라서 "#“ A $"“ ™A#$“ ™A이므로 삼각형 "#$는 ∠"±인
™
………………………………………………………………………………… ➍ 직각삼각형이다.

196 정답과 풀이
1136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차방정식 BY™A CY D의 두 근을 =, >라 하면


"#“"$“에서 "#“ ™A"$“ ™A이므로
C D
= > , =>

1
 ™A B ™A  ™A B ™A B B
B™AB B™A B , B ∴ B

1140 ①

1137 
직각이등변삼각형 "#$에서 ∠#±이므로 "$“가 빗변이다.
™
Œ "$“ A"#“ A™ #$“ ™A이므로
삼각형 "#$가 정삼각형이므로 "#“#$“$"“
™
"#“#$“에서 "#“ A#$“ ™ A이므로   B ™AB™A  B ™A B ™A  ™A
 ™A  ™A B  ™A C  ™A B™A B , B  B  
∴ B™A C™A B C UUA㉠ ∴ B 또는 B
………………………………………………………………………………… ➊  삼각형 "#$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A#$“ ™A
#$“$"“에서 #$“ ™A$"“ ™A이므로 B™A  B ™A B ™A  ™A
B  ™A C  ™A B ™A C ™A B™A B, B  B 
B C ∴ BC UUA㉡ ∴ B 또는 BÅ
………………………………………………………………………………… ➋
Œ, 에서 B
㉡을 ㉠에 대입하면 C™A C™AC C
C™A, C™A ∴ C†
∴ B, C 또는 B, C
………………………………………………………………………………… ➌
그런데 점 $가 제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B, C
∴B C   ઝ಴ܳ੉ਊೞৈ‫ب‬ഋ੄ࢿ૕ഛੋೞӝ
………………………………………………………………………………… ➍

채점 기준 배점 1141 ㈎ . ㈏ D ㈐ B™A C™A D™A


➊ "#“#$“임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30% Z
그림과 같이 직선 #$를 Y축으로 하고,
➋ #$“$"“임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30% " B AC
점 .을 지나고 직선 #$에 수직인 직선
➌ B, C의 값 구하기 20%
을 Z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을 잡으면 점
➍ B C의 값 구하기 20%
. 은 원점이다.
# $ D A
이때 삼각형 "#$의 세 꼭짓점의 좌표 . 0 Y

1138
를 각각 " B, C , # D ,  , $ D,  이라 하면

"#“ A™ "$“ ™A DB ™A C ™A DB ™A C ™A
"#“}x  ™A  ™A B™A BD D™A C™A B™ABD D™A C™A
#$“}x   ™A  ™A B™A C™A D™A B™A C™A D™A
$"“}x  ™A  ™A 
"•.“ ™A #•.“ ™A B™A C™A D™A
이때 "#“$"“, "#“ ™A $"“ A#$“
™ ™A이므로 삼각형 "#$는
∴ "#“ ™A "$“ ™A "•.“ ™A #•.“ ™A
∠"±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따라서 삼각형 "#$의 넓이는
위와 같은 삼각형의 성질을 파푸스 1BQQVT 정리 또는 중선 정리라 한다.
Å@"#“@$"“Å@@

1142 `
1139 ②
두 점 " ,  , # ,  에서 Z
$
삼각형 "#1가 선분 "#가 빗변인 직각삼각형이 되려면 "#“  
"#“ ™A"1“ ™A #1“ ™A이어야 한다. 점 .이 선분 "#의 중점이므로 " #
"#“ ™A   A™  ™A "•.“  0 .  Y

"1“ ™A Q  A™  ™AQ™A Q  이때 삼각형 "#$에서


#1“ ™A Q ™A  ™AQ™AQ  $"“ ™A $#“ ™A $•.“ ™A "•.“ ™A 이므로
즉, Q™AQ 이므로 Q™AQ  ™A ™A $•.“ A™ ™A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Q의 값의 $•.“ ™A  ∴ $••.“ ™A
합은 이다. ∴ $•.“`A ∵ $•.“

Ⅳ. 도형의 방정식 197


1143 ⑤ 평행사변형의 성질

⑴ 두 쌍의 대변의 길이는 각각 같다.


그림과 같이 직선 #$를 Y축으로 하고, Z
1 Y AZ ⑵ 두 쌍의 대각의 크기는 각각 같다.
직선 "#를 Z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을 "
C % ⑶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잡으면 점 # 는 원점이다.
$
세 꼭짓점을 " , C , $ B,  , # 0 B Y
% B , C 라 하고 점 1의 좌표를
Y, Z 라 하면
 ࢶ࠙੄ղ࠙੼җ৻࠙੼
1"“ A™ 1$“ AY™
™ A Z™A YB ™A ZC ™A
1#“ ™A
1%“ ™AY™A Z™A YB ™A ZC ™A 1. ⑴  ⑵  ⑶ 
 
∴ 1"“ A™ 1$“ ™A1#“ ™A 1%“ A™ 2. ⑴ ,  ⑵ ,  ⑶[ , ]
 

1144  1. ⑴ 1[
@

@ 

], 즉 1 

"#“ ™A "$“ ™A "•.“ ™A #•.“ ™A 이므로 @@ 


⑵ 2[ ], 즉 2 

™A ™A "•.“ A™ ™A
 
"•.“ ™A ∴ "•.“A ∵ "•.“ ⑶ .[

], 즉 . 
  @ @ @ @ 
이때 "(“"•.“ 이므로 "(“@  2. ⑴ 1[ , ], 즉 1 , 
     
@@ @@ 
⑵ 2[ , ], 즉 2 , 
 
1145 
⑶ .[
 
,
 
], 즉 .[, Å]
 
"#“}x  ™A ™A Z $
점 .이 선분 "#의 중점이므로 #•.“ B
…………………………………………………… ➊
#  B 
1147 ①

이때 삼각형 #"$에서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 1의 좌표는
$#“ A™ $"“ ™A $•.“ ™A #•.“ ™A 이므로 .
" @  @ @ @ 
B™A B  ™A@\ ` ™A  ™A^ Y [ , ], 즉 , 
 0     
…………………………………………………… ➋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 2의 좌표는
B™A B, B  B  @  @ @@ 
[ , ], 즉 , 
∴ B 또는 B  
이때 B이므로 B 따라서 선분 12의 중점의 좌표는
………………………………………………………………………………… ➌   
[ , ], 즉 , 
 
채점 기준 배점
➊ #•.“의 길이 구하기 30%
➋ B에 대한 식 세우기 40% 1148 
➌ B의 값 구하기 30%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 1의 좌표는
@ @  @B @  B
[ , ], 즉 [, ]
    
1146 
따라서 C,
B
이므로 B, C

#%“}x  ™A  ™A
∴B C  
그림과 같이 #%“의 중점을 .이라 하면 평행 Z
 %
사변형의 성질에 의하여 점 .은 "$“와 #%“
"
의 중점이므로 #•.“Å#%“Å@  . $ 1149 ③
 
따라서 삼각형 "#$에서 # 점 "는 12“의 중점, 점 #는 12“를 A:A으로 내분하는 점, 점 $는
0   Y
#"“ ™A #$“ ™A #•.“ ™A "•.“ ™A 이므로 12“를 A:A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세 점 ", #, $를 수직선 위에 나
™A ™A ™A "•.“ ™A 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 ™A  ∴ "•.“ ™A
Y
∴ "•.“ ∵ "•.“ 1  # " 2  $

∴ "$“"•.“@ 따라서 세 점의 위치를 왼쪽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 ", $이다.

198 정답과 풀이
1150  B 

,
C

 ∴ B, C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 1의 좌표는 ………………………………………………………………………………… ➊

1
@B @  B 이때 # ,  , $ ,  이므로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 2의 좌표는 @@ @@
@B@  [ , ], 즉 ,  ∴ Y, Z
 
B
 ………………………………………………………………………………… ➋
두 점 1, 2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 YZ@
B B  ………………………………………………………………………………… ➌
\  B \, \ \
 
B  B  채점 기준 배점
 또는 , ∴ B 또는 B
  ➊ B, C의 값 구하기 50%
이때 B이므로 B ➋ Y, Z의 값 구하기 40%
➌ YZ의 값 구하기 10%

1151 

선분 "#를 A:A으로 내분하는 점 1의 좌표는 1154 ④


@  @ @ @  Z
[ , ], 즉 ,  선분 "#를 NA:AO으로 외분하는 점 2의 좌 2
   
N@O@ N@O@
………………………………………………………………………………… ➊ 표는 [ , ], 즉 #
NO NO
선분 "#를 A:A으로 외분하는 점 2의 좌표는  "
O NO
@  @ @@  [ , ]
[ , ], 즉 ,  NO NO
  O 0  Y
삼각형 0"2의 넓이가 이고, 삼각형 NO
………………………………………………………………………………… ➋
따라서 두 점 1, 2 사이의 거리는 0"#의 넓이가 Å@@이므로 삼각형

12“}x  ™A  ™A 0#2의 넓이는 이다.


………………………………………………………………………………… ➌ 삼각형 0#2의 밑변을 선분 0#로 하면
채점 기준 배점 0#“이므로 높이는 이다.
➊ 점 1의 좌표 구하기 40% O O
점 2의 Y좌표는 이므로 \ \
NO NO
➋ 점 2의 좌표 구하기 40%
이때 NO이므로
➌ 두 점 1, 2 사이의 거리 구하기 20%
O
, ONO
NO
O
NO ∴ Ä
1152
N

다른 풀이

점 $ B, C 는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삼각형 0"2의 넓이가 이고 삼각형 0"#의 넓이가 이므로 삼
@ @  @ @  각형 0#2의 넓이는 이다.
$[ , ], 즉 $ , 
   
삼각형 0"#와 삼각형 0#2는 각각 선분 "#와 선분 #2를 밑변
∴ B, C
으로 할 때 높이가 같으므로 두 삼각형의 밑변의 길이의 비는 두 삼
점 % D, E 는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각형의 넓이의 비와 같다.
@ @  @ @ 
%[ , ], 즉 % ,  "#“:#2“::이므로 "2“:#2“:
   
∴ D, E O
따라서 N:OA:A이므로 Ä
N
∴ BECD@  @

1153 
 ઑѤ੉઱য૓҃਋੄ࢶ࠙੄ղ࠙੼җ৻࠙੼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B
 

,
@ C

@ 

] 1155 ÅBÄ

B  C 선분 "#를 BA:A B 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즉, [ , ]
  B@ B @  B@ B @ 
[ , ]
이 점이 ,  과 같으므로 B B B B

Ⅳ. 도형의 방정식 199


즉, B, B
 ࢶ࠙੄ղ࠙੼җ৻࠙੼੄ഝਊ
이 점이 제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1160
B, B ∴ ÅBÄ


"#“#$“이므로 "#“A:A#$“A:A Z
 "
이때 B이므로 점 $는 그림과 같이 선분
1156 ④
"#를 A:A으로 외분하는 점이다.
B  
0  Y
@  @ @  @ #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B@
[ , ], 즉 , B 즉, $ , 
 
$ C
이 점이 Y축 위에 있으므로 따라서 B, C이므로
B C  
B, B ∴ B

1161 , 

1157 ① "#“#$“이므로 "#“A:A#$“A:A


"
Z

점 $가 선분 "# 위의 점이므로 그림과 같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이 점 $는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
@ @  @  @
[ , ], 즉 ,  이다. $
   
#
이 점이 직선 ZY L 위에 있으므로 @ @  @ @  0  Y
∴ $[ , ]
   
 L ∴ L
즉, $ , 

1158  1162 ④

선분 "#를 NA:AO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이므로 "#“A:A#$“A:A


N@ O@  N@  O@ Œ 점 $가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일 Z
[ , ]
N O N O 때 # 
NO N O @  @  $
즉, [ , ] [ ,
N O N O  

………………………………………………………………………………… ➊ @ @   0 Y
]
이 점이 Z축 위에 있으므로   
"
NO 즉, , 
, NO ∴ NA:AOA:A
N O  점 $가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 Z
$
………………………………………………………………………………… ➋ 일때 #
이때 N, O은 서로소인 자연수이므로 N, O 
@  @ 
[ ,
∴N O  
………………………………………………………………………………… ➌ @@  
] Y
  0
채점 기준 배점
즉, ,  
"
➊ 선분 "#를 NA:AO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 구하기 40%
Œ, 에 의하여 점 $의 Y좌표의 합은   
➋ NA:AO 구하기 30%
➌ N O의 값 구하기 30%

1163 

삼각형 0"$의 넓이가 삼각형 0#$의 넓이의 배이므로


1159 
"$“:#$“:
C„B„ ………………………………………………………………………………… ➊
YC„B„에서 Y
 이때 B이므로 점 $는 그림과 같이 선 Z
CmBm 분 "#를 :로 외분하는 점이다.  "
ZCmBm에서 Z
 #
@  @ @@ 
즉, 점 1 Y, Z 는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이다. ∴ $[ , ]
  $
따라서 "#“A:A#1“A:A이므로 즉, $ ,   0  Y
A:A#1“A:A ∴ #1“ ………………………………………………… ➋

200 정답과 풀이
따라서 B, C이므로
1166 
BC@
………………………………………………………………………………… ➌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1
B D  C   B D C 
채점 기준 배점 [ , ], 즉 [ , ]
   
➊ "$“:#$“ 구하기 40% 이 점이 원점이므로
➋ 점 $의 좌표 구하기 30% B D C 
, 
➌ BC의 값 구하기 30%  
따라서 B D, C이므로
높이가 같은 삼각형의 넓이의 비
B C D  
높이가 같은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는 밑변의 길 "
이의 비와 같다.
△"#$에서
△"#%A:A△"%$#%“:$%“
1167 , 
# $
NA:AO N % O
# B, C 라 하면 "#“의 중점의 좌표가 ,  이므로
 B  C
,  ∴ B, C
 
∴ # , 
1164  ………………………………………………………………………………… ➊
$ D, E 라 하면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이므로
선분 "#의 연장선 위에 점 $가 있어야 Z
$   D   E
하므로 그림과 같이 직선 "# 위에 세  ,  ∴ D, E
 
#
점은 $, #, "의 순서대로 놓여 있다.  ∴ $ , 
"
L"#“#$“에서 "#“A:A#$“A:AL  ………………………………………………………………………………… ➋
B 0   Y
점 $는 선분 "#를  L A:AL로 외분 따라서 #$“를 A:A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하는 점이므로 @@  @@
[ , ], 즉 , 
 L @L@  L @L@  
$[ , ]
 L L  L L ………………………………………………………………………………… ➌
즉, $ L , L  채점 기준 배점
이때 $ B,  이므로 ➊ 점 #의 좌표 구하기 35%
L B, L  ∴ L, B ➋ 점 $의 좌표 구하기 35%
∴B L 
➌ #$“를 A:A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 구하기 30%

1168 ⑤

"$“#$“에서 "$“ ™A#$“ ™A이므로


B  ™A C™AB™A C ™A
 ࢖пഋ੄‫ޖ‬ѱ઺ब
B™A C™A B B™A C™AC 
 
⑴ ,  ⑵[ , ] B C ∴B C
 
 B  C
이때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 ]이고
 
     
⑴[ , ], 즉 ,  이 점이 Z축 위에 있으므로
 
 B
       ∴ B
⑵[ , ], 즉 [, ] 
 
B를 B C에 대입하면

1165
 C, C ∴ CÅ

∴B C Å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가 ,  이므로
B C B
에서 B C UUA㉠

 B 

C 
에서 B C UUA㉡ 1169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 Y„, Z„ , # Ym, Zm , $ Yf, Zf 이라 하자.


∴ BC   선분 "#의 중점이 1 ,  이므로

Ⅳ. 도형의 방정식 201




Ym
,


Zm
 1171 

∴ Y„ Ym, Z„ Zm UUA㉠ 두 점 ", #의 Y좌표를 각각 =, >라 하면 두 점 ", #의 좌표는 각


같은 방법으로 선분 #$의 중점이 2 ,  이므로 각 =, =  , >, >  이다.
Ym Yf, Zm Zf UUA㉡ Y™AY Y 에서 Y™AY
선분 $"의 중점이 3 ,  이므로 이차방정식 Y™AY의 두 실근이 =, >이므로
Y„ Yf, Z„ Zf UUA㉢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에서 Y„ Ym Yf, Z„ Zm Zf 삼각형 0"#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➊ = > =  >   
[ , ], 즉 [ , ]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Y„ Ym Yf Z„ Zm Zf    
[ , ], 즉 ,  따라서 B , C 이므로 B C 
     
………………………………………………………………………………… ➋
따라서 B, C이므로 BC@
………………………………………………………………………………… ➌

채점 기준 배점
➊ Y„ Ym Yf, Z„ Zm Zf의 값 구하기 50%
 ࢎпഋীࢲ઺੼੄ഝਊ
➋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 구하기 30% mಣ೯ࢎ߸ഋҗܴ݃‫ࢿ੄ݽ‬૕
➌ B C의 값 구하기 20%

다른 풀이

삼각형 "#$의 무게중심은 삼각형 123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므로


1172 ⑤

      % B, C 라 하면 두 대각선 "$, #%의 중점이 일치하므로


([ , ], 즉 ( , 
     B   C
 , 
따라서 B, C이므로    
BC@ ∴ B, C
따라서 꼭짓점 %의 좌표는 ,  이다.
삼각형의 무게중심의 성질

삼각형 "#$의 세 변 "#, #$, $"를 NA:AO "

1173
N, O 으로 내분하는 점을 각각 %, &, N O
' 
'라 하면 %
삼각형 %&'의 무게중심 O ( N
두 대각선 "$, #%의 중점이 일치하므로 중점의 Z좌표에서
 삼각형 "#$의 무게중심 # $
N & O  C B
 ∴ CB
 
"#“"%“에서 "#“ ™A"%“ ™A이므로
 ™A B ™A™A  ™A
B™AB, B  B 
∴ B 또는 B
이때 B이므로 B

1170 ,  B를 CB에 대입하면 C


∴B C  
세 점 %, &, '의 좌표는
@@ @@
%[ , ], 즉 % , 
1174
 

@@ @@
&[ , ], 즉 & , 
 
두 대각선 "$, #%의 교점은 두 대각선 "$, #%의 각각의 중점
@@ @@
'[ , ], 즉 ' ,  이다.
 
 B  C
따라서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대각선 "$의 중점의 좌표는 [ , ]이므로
 
     
[ , ], 즉 ,   B  C
  ,  ∴ B, C
 
다른 풀이
 D  E
대각선 #%의 중점의 좌표는 [ , ]이므로
삼각형 %&'의 무게중심은 삼각형 "#$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므  
로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D  E
,  ∴ D, E
 
     
[ , ], 즉 , 
  ∴B C D E   

202 정답과 풀이
1175 ,  ∴ △"#%A:A△"$%#%“A:A$%“A:A
………………………………………………………………………………… ➌
$ B, C 라 하면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가 ,  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1
  B   C
,  ∴ B, C, 즉 $ ,  ➊ "#“, "$“의 길이 구하기 30%
 
………………………………………………………………………………… ➊ ➋ #%“A:A$%“ 구하기 40%
% D, E 라 하면 평행사변형 "#$%의 두 대각선 "$, #%의 중점 ➌ △"#%A:A△"$%를 가장 간단한 자연수의 비로 나타내기 30%
이 일치하므로
   D    E
 ,  ∴ D, E, 즉 % , 
   
………………………………………………………………………………… ➋ 1179 

채점 기준 배점 01“}x  ™A ™A` Z
 2
➊ 꼭짓점 $의 좌표 구하기 40% 02“}x™A ™A`
➋ 꼭짓점 %의 좌표 구하기 60% ∠102의 이등분선과 선분 12의 교점을 . .
1 
이라 하면
1•.“A:A.¬2“01“A:A02“`A:A`A:A  0  Y

즉, 점 .은 선분 12를 A:A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 @ 
점 .의 Z좌표는 
  
 п੄੉١࠙ࢶ੄ࢿ૕ 따라서 B, C이므로
B C 

1176 

"#“}x   ™A  ™A
"
Z

1180 
"$“}x   ™A  ™A
이때 "%“는 ∠"의 이등분선이므로 "#“}x  ™A  ™A`
#  
#%“A:A$%“"#“A:A"$“  0 Y "$“}x  ™A  ™A
% 이때 "%“는 ∠"의 외각의 이등분선이므로
A:AA:A
 $ #%“A:A$%“"#“A:A"$“`A:AA:A
즉, 점 %는 #$“를 A:A로 내분하는 점이
므로 즉, 점 %는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 @  @  @ @@ @@
%[ , ], 즉 %[, ] %[ , ], 즉 , 
     
따라서 B, C이므로
따라서 B, C이므로 BC@[]
B C   

1177 ③

삼각형 "#$에서 ∠"#$의 이등분선이 선분 "$의 중점을 지나


므로 삼각형 "#$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x  ™A B ™A}x B™A, #$“    ੼੄੗ஂ੄ߑ੿ध
이때 두 선분의 길이가 같아야 하므로 }x B™A

1181
양변을 제곱하면

 B™A, B™A ∴ B ∵ B
# B, C 라 하고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를 Y, Z

1178
라 하면
A:A
@B @ B  @C @ C 
Y  , Z 
     
"#“}x  ™A  ™A Z
" Y Z
 ∴ B , C UUA㉠
"$“}x  ™A  ™A  
………………………………………………… ➊
 % 이때 점 #가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이때 "%“는 ∠"의 이등분선이므로 # $
CB  UUA㉡
0   Y
#%“A:A$%“"#“A:A"$“ ㉠을 ㉡에 대입하면
A:AA:A Z
Y  ∴ YZ 
………………………………………………………………………………… ➋ 

Ⅳ. 도형의 방정식 203


1182 YZ  선분 01를 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즉 , 
1 Y, Z 라 하면 1"“ ™A1#“ ™A이므로    
Y ™A Z ™A\ Y ™A Z ™A^
Y Z ∴ YZ 

1188 
1183 Y Z
선분 "#를 A:AC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1 Y, Z 라 하면 "1“#1“에서 "1“ ™A#1“ ™A이므로 @ C@  @B C@ C B C
[ , ], 즉 [ , ]
Y ™A Z ™A Y  ™A Z  ™A  C  C  C  C
∴ Y Z 이 점이 ,  이므로
C
에서 CC ∴ C
 C
B C
에서 B C C, B C
 C
C을 B C에 대입하면
B , B ∴ B
∴B C 

1189 ②

1184 ⑤ "1“#1“$1“에서 "1“ ™A#1“ ™A$1“ ™A $


1  A
"1“ ™A  ™A   ™A이므로
"#“`이므로 }x B ™A  ™A`
#1“ ™A$1“ ™A"1“ ™A #
}xB™AB `
삼각형 "#$에서 "  A
양변을 제곱하면
"#“ ™A "$“ ™A "1“ ™A #1“ ™A
B™AB , B™AB
@   
B  B  ∴ B 또는 B
이때 B이므로 B

1185 ④ 1190 

점 1 B, C 가 직선 MA:AY Z 위의 점이므로


"#“ƒ에서 "#“ ™Aƒ™A이므로 N ™A N ™Aƒ
B C UUA㉠
N™A Nƒ, N™A Nƒ
"1“#1“에서 "1“ ™A#1“ ™A이므로
N  N ƒ ∴ ƒNƒ
B ™A C™AB™A C ™A
따라서 정수 N은 , , , , , 의 개이다.
B C ∴ BC UUA㉡

㉠, ㉡을 연립하여 풀면 B , C
1186 



∴ B C@ @
1 Y, Z 라 하면 
01“ A™ "1“ ™A #1“ ™AY™A Z™A Y  ™A Z™A Y™A Z  ™A
Y™A Y Z™A Z 
 Y  ™A  Z  ™A 
따라서 Y, Z일 때, 01“ ™A "1“ ™A #1“ ™A의 최솟값은 1191 [, Å]

이다. "0“}x™A ™A


"#“}x  ™A  ™A

1187
이때 "$“는 ∠0"#의 이등분선이므로

0$“A:A#$“"0“A:A"#“A:AA:A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 1의 좌표는 따라서 점 $는 0#“의 중점이므로 그 좌표는
@  @ @@
[ , ], 즉 ,  [, Å]
 

204 정답과 풀이
1192  이때 사각형 "#$%는 직사각형이므로 점 1는 "$“의 중점이다.
따라서 구하는 점 1의 좌표는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은 외심이다.
 
[ , ], 즉 , 

1
즉, 점 1 B, C 가 삼각형 "#$의 외심이므로 "1“#1“$1“  
™
"1“#1“에서 "1“ A#1“ ™ A이므로
B  ™A C ™A B ™A C  ™A
BC ∴ BC UUA㉠
#1“$1“에서 #1“ ™A$1“ ™A이므로 1196 
B ™A C  ™A B ™A C ™A
직선 ZY가 평행사변형 "#$%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두 대
B C ∴ BC UUA㉡
각선의 교점을 지난다.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이때 두 대각선의 교점은 대각선 "$와 대각선 #%의 중점과 같다.
∴B C 
B   D
대각선 "$의 중점은 [ , ] UUA㉠
 

1193 ⑤ 대각선 #%의 중점은 [


E C

,

] UUA㉡

"#“#$“이므로 "#“A:A#$“A:A 위의 두 점이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Œ 점 $가 선분 "#를 A:A으로 Z  D B 
㉠에서  ∴B D
   
외분하는 점일 때 0 Y
# 
C E
@  @ ㉡에서  ∴C E
$[ ,  

" ∴B C D E 
@  @  
]
 $
즉, $ , 
 점 $가 선분 "#를 A:A으로 Z

1197
$
외분하는 점일 때 
@  @
$[ , "(“}x  ™A  ™A
  
0 Y 그림과 같이 선분 #$의 중점을 .이라 Z
@  @  
] #
 하면  "
즉, $ ,  #
 " "•.“Ä"(“Ä@  (
0 .   Y
Œ, 에 의하여 두 점 사이의 거리는 이때 삼각형 "#$에서
$
}x  ™A   ™A "#“ ™A "$“ ™A "•.“ ™A #•.“ ™A 이므로
 @\  ™A #•.“ ™A^

1194 ③
#•.“ ™A ∴ #•.“ ™A
∴ #$“ A #•.“ ™A#•.“ ™A@
™
# B, C , $ D, E 라 하면
 B  C  D  E
Y„ , Z„ , Ym , Zm
   

1198
 B  D
Y„ Ym에서  ∴B D ④
 
 C  E 그림과 같이 세 학교 ", #, $를 " 학교를 Z
Z„ Zm에서  ∴C E
   #
원점으로 하는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따라서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  , $ ,   $
 B D  C E
[ , ], 즉 [, ] 도서관을 지으려는 지점을 1 B, C 라 하면
  " 0  Y
"1“#1“$1“
"1“#1“에서 "1“ ™A#1“ ™A이므로
1195 , 
B™A C™AB™A C ™A, C  ∴ C
1"“ 1$“y"$“, 1#“ 1%“y#%“이므로 Z "1“$1“에서 "1“ ™A$1“ ™A이므로
%
 $
1"“ 1#“ 1$“ 1%“ 1 B™A C™A B ™A C ™A ∴ B C
 1"“ 1$“ 1#“ 1%“ C을 B C에 대입하면
y"$“ #%“ 1 B  ∴ B
" #
따라서 1"“ 1#“ 1$“ 1%“의 값이 최소일 0  Y 따라서 1 ,  이므로 도서관과 각 학교 사이의 거리는
때, 점 1는 "$“와 #%“의 교점이다. "1“}x™A ™A` LN

Ⅳ. 도형의 방정식 205


1199  채점 기준 배점
➊ 점 (의 좌표를 B, C를 사용하여 나타내기 40%
삼각형 "#$가 정삼각형이므로 "#“#$“$"“
➋ B, C의 값 구하기 40%
………………………………………………………………………………… ➊
➌ B C의 값 구하기 20%
#$“$"“에서 #$“ ™A$"“ ™A이므로
CB ™A B ™A BC ™A  ™A 다른 풀이

B™AB , B B  점 "는 선분 .(를 :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 B 또는 B @@ @@
B , C 
 
이때 B이면 두 점 ", #는 일치하므로 B
∴B C 
………………………………………………………………………………… ➋
"#“$"“에서 "#“ ™A$"“ ™A이므로
BB ™A B ™A BC ™A  ™A
 ™A BC ™A  ∴ BC ™A
………………………………………………………………………………… ➌

채점 기준 배점
➊ "#“#$“$"“임을 알기 20%
➋ B의 값 구하기 40%
➌ BC ™A의 값 구하기 40%

1202 

1200 
1"“ 1$“y"$“, 1#“ 1%“y#%“이므로 Z
"

선분 "#를 LA:A으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1"“ 1#“ 1$“ 1%“  #
1
L@  @ L@  @  1"“ 1$“ 1#“ 1%“
[ , ]
L L y"$“ #%“ % 0
L L    Y
즉, [ , ] 따라서 1"“ 1#“ 1$“ 1%“의 값이 최소 
L L $
일 때, 점 1는 "$“와 #%“의 교점이다.
………………………………………………………………………………… ➊
두 점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UUA㉠
이 점이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L L 두 점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ZÄY Ä UUA㉡
 , LL L
L L
L ∴ L ㉠, ㉡을 연립하여 풀면 Y, Zi
………………………………………………………………………………… ➋
따라서 1[, i]이고, 점 1는 두 점 ", $를 지나는 직선 위에 있
채점 기준 배점
➊ 선분 "#를 LA:A으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를 L를 사용하여 나타
으므로 선분 "1의 길이  두 점 ", 1의 Z좌표의 차 이다.
50%
내기
∴ "1“i
➋ L의 값 구하기 50%

1203 ②

1201
#%“B, #&“C라 하면 삼각형 "#&에서

#"“ ™A #&“ ™A #%“ ™A "%“ ™A 이므로
점 (는 선분 ".을 :로 내분하는 점이다. ` ™A C™A B™A ™A ∴ B™AC™A UUA㉠
이때 두 점 ", .의 좌표가 각각 B, C , ,  이므로 삼각형 #$%에서 #$“ ™A #%“ ™A #&“ ™A $&“ A™ 이므로
@ @B @ @C  B  C ` ™A B™A C™A ™A ∴ B™AC™A UUA㉡
[ , ], 즉 [ , ]
      ㉠, ㉡을 연립하여 풀면 B™A, C™A
………………………………………………………………………………… ➊
이때 B, C이므로 B, C
 B
에서  B ∴ B ∴ #%“ #&“ 

 C
에서  C ∴ C

………………………………………………………………………………… ➋
1204 

∴B C  "e ,  이고, 점 #e의 Z좌표가 이므로 정사각형 "f"e#e$e
………………………………………………………………………………… ➌ 의 한 변의 길이는 , 즉 점 "f의 좌표는 "f ,  이다.

206 정답과 풀이
세 정사각형 0"„#„$„, "„"m#m$m, "m"f#f$f의 넓이의 비가 점 '는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A:AA:A이므로 한 변의 길이의 비는 "#“A:A'"“A:A 

0"“„A:A"•„"m“A:A"•m"f“A:AA:A 삼각형 "#$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 ' " #

1
점 "„의 Y좌표를 B B 라 하면 는 세 점 %, &, '를 그리면 그림과 같다. '

0"“„B, "•„"m“B, "•m"f“B #$“#%“이므로 △"#$△"#% "


0"“fB이므로 B &#“#$“이므로
%
즉, 0"“„, "•„"m“, "•m"f“이므로 #„ ,  , #f ,  △"&#△"#$△"#% & $
#
∴ #•„#f“ A™   ™A  ™A '#“"#“이므로
△'&#△"&#△"#% ∴ L

1205 ⑤

"#“}x  ™A  ™A, "$“}x™A  ™A


선분 "1와 선분 %$가 평행하므로 평행선의 성질에 의하여 1208 ⑤
"#“:"%“1#“:1$“
선분 .)의 길이가 이므로 점 .의 Y좌표는 이다.
이때 "%“"$“이므로 1#“:1$“:
점 .이 선분 12의 중점이므로 두 점 1, 2의 Y좌표를 각각 Q, R
따라서 점 1는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Q R
@@  @@  라 하면  ∴Q R
1[ , ], 즉 1[gg, co] 
 
ZBY™A과 ZY 이 서로 다른 두 점 1, 2에서 만나므로
삼각형에서 평행선 사이의 선분의 길이의 비 이차방정식 BY™AY의 두 근이 Q, R이다.
삼각형 "#$에서 두 변 "#, "$ 위의 점을 "  
Q R 이므로 B ∴ QR 
각각 %, &라 할 때, #$“∥%&“이면 B B
"#“A:A"%“"$“A:A"&“#$“A:A%&“ 따라서 1 Q, Q  , 2 R, R  이므로 선분 12의 길이는
% & 12“}x RQ ™A \ R   Q  ^™A
# $ }xR™AQR Q™A Q™AQR R™A
}x Q™A R™A QR
}x Q R ™AQR
}x@™A@ 
1206 ④
`
1 Y, Z , " Y„, Z„ , # Ym, Zm , $ Yf, Zf 이라 하면
"1“ A™ #1“ ™A $1“ A™
 YY„ ™A ZZ„ ™A YYm ™A ZZm ™A
YYf ™A
Y™A Y„ Ym
ZZf ™A
Yf Y Y„™A Ym™A Yf™A
1209 ⑤

Z™A Z„ Zm Zf Z Z„™A Zm™A Zf™A 그림과 같이 세 점 1, 2, 3에서 직선 M Z


1  A
Y„ Ym Yf  Z„ Zm Zf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 ., /이
[Y ] [Z ] Y„™A Ym™A Yf™A # / M
  라 하면 . "
-
Y„ Ym Yf ™A Z„ Zm Zf ™A 3  A
Z„™A Zm™A Zf™A  △1-"f△2." "4" 합동 이므로 $
 
1"“2"“ 0 2  A Y
Y„ Ym Yf Z„ Zm Zf
따라서 Y , Z 일 때, "1“ ™A #1“ ™A $1“ ™A 점 "는 선분 12의 중점이므로
 
의 값이 최소이므로 점 1는 △"#$의 무게중심, 즉 #$“의 중점 .    
"[ , ], 즉 " , 
 
에 대하여 "•.“을 A:A로 내분하는 점이다.
또, △1-#f△3/#A "4" 합동 이므로 1#“3#“
   
점 #는 선분 13의 중점이므로 #[ , ], 즉 # , 
 
1207 
점 $는 선분 23의 중점이므로 $[



,



], 즉 $ , 
점 %는 선분 #$를 A:A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따라서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A:A%$“A:A  
     
([ , ], 즉 ([d, ]
#%“U, %$“U U 라 하면 #$“U # % $  
점 &는 선분 #$를 A:A으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따라서 Yd, Z이므로
&#“#$“@UU 

∴ #$“A:A&#“UA:AUA:A Y Zd 
& # $

Ⅳ. 도형의 방정식 207


직선 BY C Z 은 기울기가 이고
점 ,  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그 직선의 방정식은
૒ࢶ੄ߑ੿ध Z\Y  ^
ZY ∴ Y Z 
………………………………………………………………………………… ➋
 ೠ੼җӝ਎ӝо઱য૓૒ࢶ੄ߑ੿ध
따라서 B, C이므로 B, C
∴ BC
1. ⑴ ZY ⑵ ZY 
………………………………………………………………………………… ➌
2. ⑴ Z ⑵ Y ⑶ Y ⑷ Z
채점 기준 배점

1. ⑴ Z   Y ∴ ZY ➊ 직선 YZ 의 기울기 구하기 20%


⑵ Z\Y  ^ ∴ ZY  ➋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50%
2. ⑴ Y축에 평행한 직선이므로 Z ➌BC의 값 구하기 30%
⑵ Z축에 평행한 직선이므로 Y
⑶ Y축에 수직이면 Z축에 평행한 직선이므로 Y
⑷ Z축에 수직이면 Y축에 평행한 직선이므로 Z 1213 Z
좌표축에 평행한 직선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점 Y„, Z„ 을 지나고 Z      
[ , ], 즉 , 
⑴ Y축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  
ZZ„
ZZ„A 단, Z„  따라서 점 ,  를 지나고 Y축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은
Y„ AZ„
⑵ Z축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
Z
YY„A 단, Y„ 
삼각형의 무게중심
0 Y
YY„
세 점 " Y„, Z„ , # Ym, Zm , $ Yf, Zf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
의 무게중심 (의 좌표는
Y„ Ym Yf Z„ Zm Zf
1210
([ , ]
②  

두 점 ,  , ,  을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

,

], 즉 , 
1214 ZY 
점 ,  를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두 점 " ,  , # ,  에 대하여
Z\Y  ^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ZY  ∴ Y Z
@@  @  @
따라서 B, C이므로 [ , ], 즉 , 
 
B C   따라서 점 ,  를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Z\Y  ^ ∴ ZY 
좌표평면 위의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1211 
좌표평면 위의 두 점 " Y„, Z„ , # Ym, Zm 를 이은 선분 "#를
직선 Y Z , 즉 ZY의 기울기는 이다. NA:AO N, O 으로 내분하는 점을 1, 외분하는 점을 2, 중점을
기울기가 이고 점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이라 하면
NYm OY„ NZm OZ„
Z   Y ∴ ZY  ⑴ 1[ , ]
N O N O
직선 ZY 이 점 , L 를 지나므로 NYmOY„ NZmOZ„
⑵ 2[ , ] 단, N O
NO NO
L@  
Y„ Ym Z„ Zm
다른 풀이
⑶ .[ , ]
 
두 점 ,  , , L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이므로
L  L 
, , L  ∴ L
 
1215 ⑤


1212
직선 Y BZC은 기울기가 UBO ± 이고
 
점 ,  을 지나므로
직선 YZ , 즉 ZY 의 기울기는 이다.   
Z   Y , Z Y 
………………………………………………………………………………… ➊   

208 정답과 풀이
∴ YZ
1219 ZY 
따라서 B, C이므로
$ B, C 라 하면 삼각형 "#$의 무게중심 (의 좌표는
B, C 

1
  B   C  B  C
∴B C    [ , ], 즉 [ , ]
   
………………………………………………………………………………… ➊
이때 ( ,  이므로
 B  C
,  ∴ B, C, 즉 $ , 
 
………………………………………………………………………………… ➋

 ‫੼ف‬ਸ૑ա‫ח‬૒ࢶ੄ߑ੿ध 따라서 직선 $(의 방정식은



Z \Y  ^ ∴ ZY 
⑴ ZY  ⑵ ZY   
………………………………………………………………………………… ➌

⑴ 두 점 ,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채점 기준 배점


  ➊ $ B, C 라 할 때, 무게중심 (의 좌표를 B, C를 사용하여 나타내기 30%
Z   Y ∴ ZY 
 ➋ 점 $의 좌표 구하기 30%
⑵ 두 점 ,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➌ 직선 $(의 방정식 구하기 40%

Z \Y  ^ ∴ ZY  다른 풀이
 
삼각형 "#$의 무게중심 (는 세 중선의 교점이므로

1216
직선 $(는 선분 "#의 중점 .을 지난다.

" ,  , # ,  이므로 점 .의 좌표는
두 점 ,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즉 [, Å]
 

Z Y ∴ ZY 
 직선 $(는 두 점 .[, Å], ( ,  을 지나므로
두 점 , B , C,  가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B , C  ∴ B, C
∴B C  [Å]
Z[Å] <Y[]= ∴ ZY 
[]

1217 ④

YZ  UUA㉠ 1220 ③

Y Z UUA㉡ 두 점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을 하면 Z  ∴ Z 
Z \Y  ^ ∴ ZY
Z를 ㉠에 대입하면 Y  ∴ Y  
이 직선이 Y축, Z축에 의하여 잘려지는 선분의 Z
즉, 두 점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길이는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 ,  과
Z Y ∴ ZY   0 Y
 Z축과 만나는 점 ,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구하는 Z절편은 이다. 따라서 구하는 선분의 길이는
}x\  ^™A  ™A 

1218 ③

두 점 " ,  , # ,  에 대하여


1221 

선분 "#를 A:A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직선 "$의 방정식은 Z Y
@ @  
@ @
[ , ], 즉 , 
    ∴ ZY  UUA㉠
두 점 ,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직선 0#의 방정식은 Z UUA㉡

Z Y ∴ ZY  ㉠, ㉡을 연립하여 풀면 Y, Z


따라서 Y절편은 이므로 L 따라서 두 대각선의 교점의 좌표는 [, ]이므로 B, C

∴ L@ ∴ B C@ 

Ⅳ. 도형의 방정식 209


1222 
 Y੺ಞҗZ੺ಞ੉઱য૓૒ࢶ੄ߑ੿ध
점 $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 점 % Z Y Z Y Z Y Z
% ⑴  ⑵   ⑶ 
'      
에서 Z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0#f△#&$f△%'"A 3)" 합동  "

#&“, $&“이므로 $
BC 일 때, Y절편이 B, Z절편이 C인 직선은 두 점 B,  , , C 를 지나
$  ,  , 즉 $ ,  #
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0  & Y
%'“, '"“이므로 C C
Z YB , 즉 Y ZC
% ,   , 즉 % ,  B B
Y Z
………………………………………………………………………………… ➊ 양변을 C로 나누면 
B C
이때 직선 $%의 방정식은

Z Y ∴ ZY 

………………………………………………………………………………… ➋ 1225 ①

따라서 구하는 Y절편은 이다. Y절편과 Z절편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반대이므로


………………………………………………………………………………… ➌ Y절편을 BA B  라 하면 Z절편은 B이다.
채점 기준 배점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은
➊ 두 점 $, %의 좌표 구하기 50% Y Z
 ∴ ZYB
B B
➋ 직선 $%의 방정식 구하기 30%
이 직선이 점 ,  를 지나므로
➌ 직선 $%의 Y절편 구하기 20%
B ∴ B
따라서 직선 ZY의 Z절편은 이다.

1226 

1223 ④
Y절편이 이고 Z절편이 인 직선의 방정식은
㈎에서 △"%&v△"#$A "" 닮음 Y Z
 ∴ ZÅY
 
㈏에서 삼각형 "%&와 삼각형 "#$의 넓이의 비가 A:A이므로
이 직선이 점 , B 를 지나므로
두 삼각형의 닮음비는 A:A이다.
이때 점 &는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BÅ@
@ @ @  @
&[ , ], 즉 & , 
   
두 점 # ,  , & ,  을 지나는 직선 #&의 방정식은 1227 ②

Z Y ∴ ZÅY  Z
 직선 Y 이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  이므로

∴ LÅ 1 , 
Y Z
직선 이 Z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  이므로
 
2 , 
따라서 두 점 1, 2를 지나는 직선은

1224  Y절편이 , Z절편이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Z Z
 ∴Y 
두 점 " ,  , # ,  에 대하여   
"#“}x  ™A  ™A
이때 사각형 "#$%는 마름모이고 #$“가 Y축에 평행하므로
#$“"%“"#“이고 "%“도 Y축에 평행하다.
1228 

∴ $ ,  , % ,  Z절편을 B B  라 하면 Y절편은 B이므로 이 직선의 방정식은


직선 $%의 방정식은 Y Z

B B
 
Z Y ∴ ZY ………………………………………………………………………………… ➊
 
  이 직선이 점 ,  을 지나므로
따라서 Z절편은  이므로 B
    
,  ∴ B
 B B B
∴ B@[ ]
 ………………………………………………………………………………… ➋

210 정답과 풀이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Z

이므로 1232 ①

N, O 세 점 ", #, $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직선 "#와 직선 #$의

1
N O  기울기가 같아야 하므로
………………………………………………………………………………… ➌ B  B 
 , 
  B  B
채점 기준 배점
B B , B™AB
➊ Z절편을 B라 할 때, 직선의 방정식을 B를 사용하여 나타내기 30%
B  B  ∴ BA ∵ B
➋ B의 값 구하기 30%
➌ N O의 값 구하기 40%

1233 

1229  세 점 ", #, $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직선 "#와 직선 "$의


기울기가 같아야 하므로
Y Z Z
직선 의 Y절편이 B, Z절편이 C이 B    B  
B C  , 
C  B  B
고 제사분면을 지나지 않으므로 직선의 개
B  B , B™A B
형은 그림과 같다.
B  B  ∴ BA ∵ B
이때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이므로 0 B Y
………………………………………………………………………………… ➊
ÅBC ∴ BC 주어진 직선은 두 점 " ,  , $ ,  을 지나므로 그 직선
의 방정식은

1230
 
 Z   Y ∴ ZY

………………………………………………………………………………… ➋
Y Z
YZL에서   따라서 구하는 Z절편은 이다.
L L
L L Z …………………………………………………………………………………➌
즉, 이 직선의 Y절편은 , Z절편은  이고
 
0 L Y 채점 기준 배점
L이므로 직선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➊ B의 값 구하기 40%
이때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이므로
➋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L L 
L
Å@ @ , L™A  ➌ 직선의 Z절편 구하기 20%
 
∴ LA ∵ L

1234 ④

세 점 ", #,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으려면


세 점이 한 직선 위에 있어야 한다.
 ࣁ੼੉ೠ૒ࢶਤী੓ਸઑѤ 즉, 직선 "$와 직선 #$의 기울기가 같아야 하므로
B  B 
 , 
  B  B 
1231 YZ  B B  , B™AB 
세 점 ", #, $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직선 "#와 직선 "$의 B B  ∴ B 또는 B

기울기가 같아야 하므로 따라서 모든 실수 B의 값의 곱은 @

B  B 


 , 
  B   B 
B B , B™AB
B  B  ∴ BA ∵ B
따라서 주어진 직선은 두 점 " ,  , # ,  을 지나므로  ‫ب‬ഋ੄և੉ܳ࠙ೡೞ‫ח‬૒ࢶ੄ߑ੿ध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Z

 
\Y  ^, ZY  1235 ⑤

∴ YZ  점 "를 지나고 삼각형 "#$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직선 ZBY C가 선분 #$의 중점을 지나야 한다.
선분 #$의 중점 .의 좌표는
세 직선 "#, #$, "$ 중 두 직선의 기울기가 같음을 이용하여 식을 세울
때, 문자가 없는 점을 지나는 두 직선을 선택하는 것이 편리하다.    
[ , ], 즉 , 
 

Ⅳ. 도형의 방정식 211


두 점 " ,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BC@  
 ………………………………………………………………………………… ➌
Z Y ∴ ZY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B, C이므로
➊ 두 직사각형의 대각선의 교점 각각 구하기 50%
BC  
➋ B, C의 값 구하기 40%
➌ BC의 값 구하기 10%

1236 

Y Z Z ZNY
1239 ZY
직선 은 Y절편이 , Z절편이 이므
  
#
삼각형 "#%와 삼각형 "$%의 넓이의 비가 A:A이므로
로 그림과 같이 " ,  , # ,  이라 하자. 점 %는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이다.
.
삼각형 0"#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직선 이때 점 %의 좌표는
"
ZNY가 선분 "#의 중점을 지나야 한다. 0  Y @ @  @  @
[ , ], 즉 , 
선분 "#의 중점 .의 좌표는    
    따라서 두 점 " ,  ,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즉 [, ]
  
Z Y ∴ ZY

ZNY에 Y, Z를 대입하면

N ∴ N

 ҅ࣻ੄ࠗഐী‫ܲٮ‬૒ࢶ੄ѐഋ

1237 ④
⑴ 제사분면 ⑵ 제사분면
점 #의 좌표를 B,  이라 하면
점 " ,  가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이므로 B D
⑴ C 이므로 BY CZ D에서 Z Y
C C
 B
 ∴ B, 즉 # , 
 B D
이때 B, C, D에서  ,  
직선 ZNY가 삼각형 0"#의 넓이를 Z C C
따라서 주어진 직선의 기울기와 Z절편은 모두 Z
이등분하려면 직선 ZNY는 선분 "#의  
0 # Y 음수이므로 주어진 직선은 그림과 같이 제사
중점을 지나야 한다. . 0 Y
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선분 "#의 중점 .의 좌표는
 ZNY ⑵ C 이므로 BY CZ D에서
    "
[ , ], 즉 , 
  B D
Z Y
C C
ZNY에 Y, Z를 대입하면
B D
이때 B, C, D에서  ,  
N ∴ N C C
따라서 주어진 직선의 기울기는 양수이고 Z절 Z

편은 음수이므로 주어진 직선은 그림과 같이 0 Y


제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1238 

두 직사각형의 넓이를 동시에 이등분하려면 직선이 두 직사각형의


대각선의 교점을 모두 지나야 한다.
제사분면 위에 있는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의 좌표는 1240 ④
   
[ , ], 즉 ,  B 
  C 이므로 BY CZ 에서 Z Y
C C
제사분면 위에 있는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의 좌표는
이때 기울기는 양수, Z절편은 음수이므로
   
[ , ], 즉 ,  B 
   ,   ∴ B, C
C C
………………………………………………………………………………… ➊
 C
이때 직선 BY CZ이 두 점 ,  , ,  를 지나므로 YBZ C에서 Z Y
B B
B C, BC  C
이때 , 이므로 직선 YBZ C의 기울기와 Z절편은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B B
………………………………………………………………………………… ➋ 모두 음수이다.

212 정답과 풀이
따라서 직선 YBZ C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Z 따라서 직선 BY CZ D은 그림과 같이 Z

0 Y 제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0 Y

이차함수 ZBY˜A CY D의 그래프에서 B, C, D의 부호


1
1241 ③ 이차함수 ZBY™A CY D의 그래프에서
⑴ 그래프의 모양
B D ① 아래로 볼록 ⇨ B ② 위로 볼록 ⇨ B
C 이므로 BY CZ D에서 Z Y
C C ⑵ 축의 위치
B D ① Z축의 왼쪽 ⇨ BC ② Z축과 일치 ⇨ C
이때 BC, CD이므로 , 
C C ③ Z축의 오른쪽 ⇨ BC
B D ⑶ Z축과 만나는 점의 Z좌표
∴  ,  
C C ① 양수 ⇨ D ② 원점 ⇨ D ③ 음수 ⇨ D
따라서 주어진 직선의 기울기는 음수이고 Z절편은 Z

양수이므로 주어진 직선은 그림과 같이 제사분


면을 지나지 않는다. 1244 ④
0 Y
B D
C 이므로 BY CZ D에서 Z Y
C C
ㄱ. BD, CD에서 BC이므로 Z

1242 제사분면 B D
기울기  , Z절편   0 Y
C C
B D 즉, 그림과 같이 제, , 사분면을 지난다.
C 이므로 BY CZ D에서 Z Y
C C
이때 기울기는 음수이고, Z절편은 양수이므로 Z
ㄴ. BC, BD에서 CD이므로
B D
 ,   B D
C C 기울기  , Z절편  
C C
즉, BC, CD에서 B, D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BD
즉, 그림과 같이 제, , 사분면을 지난다. 0 Y
………………………………………………………………………………… ➊
B Z
D C ㄷ. BC에서 기울기  이고
B 이므로 DY BZ C에서 Z Y C
B B
CD에서 D
D C 0 Y
이때  ,  이므로 직선 DY BZ C의 기울기는 즉, 그림과 같이 제, 사분면을 지난다.
B B
양수이고 Z절편은 음수이다. D
ㄹ. CD에서 Z절편  이고 Z
………………………………………………………………………………… ➋ C
따라서 직선 DY BZ C은 그림과 같이 Z BC에서 B
제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0 Y 즉, 그림과 같이 제, 사분면을 지난다.
0 Y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ㄹ이다.

………………………………………………………………………………… ➌

채점 기준 배점
➊ BC, CD, BD의 부호 구하기 50%
➋ 직선 DY BZ C의 기울기, Z절편의 부호 구하기 30%  ੿੼ਸ૑ա‫ח‬૒ࢶ
➌ 주어진 직선이 지나지 않는 사분면 구하기 20%
⑴ ,  ⑵ , 

1243 ② ⑴ 주어진 식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Y Z , YZ 
이차함수 ZBY™A CY D의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B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Z
축이 Z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BC ∴ C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  이다.
Z절편이 양수이므로 D
⑵ LY ZL 을 L에 대하여 정리하면
B D
BY CZ D에서 Z Y Y L Z 
C C
이 식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B D
이때  ,  이므로 직선 BY CZ D의 기울기는
C C Y, Z  ∴ Y, Z
양수이고 Z절편은 음수이다.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  이다.

Ⅳ. 도형의 방정식 213


1245 ③ ∴ BC@
………………………………………………………………………………… ➍
주어진 식을 L에 대하여 정리하면
채점 기준 배점
Y Z  L Y Z 
➊ 주어진 식을 L에 대하여 정리하기 30%
이 식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➋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는 두 식 구하기 30%
Y Z , Y Z 
➌ B, C의 값 구하기 3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Z
➍ BC의 값 구하기 10%
∴ 1 , 
따라서 점 1 ,  와 원점 사이의 거리는
}x™A  ™A`

주어진 직선이 L의 값에 관계없이 일정한 점을 지나므로 주어진 식은 L에


대한 항등식이다.

1249 

직선 YZ이 점 B, C 를 지나므로
BC ∴ CB 
1246 ④ CB 을 CYBZ에 대입하면

주어진 식을 L에 대하여 정리하면 B  YBZ

YZ  LY Z 이 식을 B에 대하여 정리하면

이 식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YZ B Y 

YZ , Y Z 이 식이 B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Z YZ, Y 

따라서 주어진 직선은 항상 점 ,  을 지나므로 B, C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Z

∴ CB 따라서 직선 CYBZ은 항상 점 ,  를 지나므로


Q, R
∴ QR  

1247 ZY

주어진 식을 L에 대하여 정리하면


Y Z LYZ 
이 식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Y Z, YZ  1250 ⑤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Z 주어진 식을 L에 대하여 정리하면


∴ 1 ,  Y Z L Y Z 
따라서 기울기가 이고 점 1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ㄱ. 직선 M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Z   Y ∴ ZY Y Z, Y Z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Z
따라서 직선 M은 실수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  를
지난다.
1248 
ㄴ. L이면 직선 M은 Y  ∴ Y
주어진 식을 L에 대하여 정리하면 따라서 Z축에 평행하다.
YZ  L Y Z B ㄷ. L  Y L  ZL 에서 L 라 하면
………………………………………………………………………………… ➊ L  L
Z Y
L  L 
이 식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L 
YZ , Y Z B 즉, 직선 M의 기울기가  이므로 이 값을 라 하면
L 
………………………………………………………………………………… ➋
L 
 , L  L  ∴ 
이때 점 , C 는 위의 두 직선의 교점이므로 L 
C ,  C B 이를 만족시키는 L의 값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직선 M은 기울기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C 가 인 직선이 될 수 없다.
………………………………………………………………………………… ➌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214 정답과 풀이
 ੿੼ਸ૑ա‫ח‬૒ࢶ੄ഝਊ 따라서 =, >Å이므로

=>@Å
1251
1
ÅNÄ

NYZ N 에서
Y  NZ  UUA㉠
즉, 직선 ㉠은 N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  을 지난다.
1254 
이때 Y Z에서 ZY 이므로
그림과 같이 두 직선이 제사분면에서 만 Z LYZ L에서

나도록 직선 ㉠을 움직여 보면  Y  LZ UUA㉠

Œ 직선 ㉠이 점 ,  을 지날 때 즉, 직선 ㉠은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  을 지난다.


Œ  ………………………………………………………………………………… ➊
N  ∴ NÅ  0  Y Z
그림과 같이 직선 ㉠이 직사각형과 Œ
 ZY 
 직선 ㉠이 점 ,  를 지날 때 만나도록 직선 ㉠을 움직여 보면 
Œ 직선 ㉠이 점 ,  을 지날 때
N ∴ NÄ 

L ∴ L  
Œ, 에서 N의 값의 범위는 0  Y
 직선 ㉠이 점 ,  을 지날 때 
ÅNÄ
L ∴ L

Œ, 에서 L의 값의 범위는 ƒLƒ

1252 ① ………………………………………………………………………………… ➋

따라서 ., N이므로


N  YZN에서
Y N YZ UUA㉠ .N@
Y, YZ에서 Y, Z
………………………………………………………………………………… ➌
즉, 직선 ㉠은 N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  를 지난다.
Z 채점 기준 배점
그림과 같이 직선 ㉠이 제사분면을 지나지 Œ
 ➊ 직선 LYZ L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지나는 점의
않도록 직선 ㉠을 움직여 보면  30%
좌표 구하기
Œ 직선 ㉠이 원점을 지날 때
➋ 직선 LYZ L과 직사각형이 만나도록 하는 L의 값의
50%
N ∴ NÄ 범위 구하기
0  Y ➌.N의 값 구하기 20%
 직선 ㉠이 Y축에 평행할 때
N  ∴ N

Œ, 에서 N의 값의 범위는 ƒNƒÄ

따라서 정수 N의 값은 , 이므로 구하는 합은


1255 NÅ 또는 NÄ
  
ZNY N 에서 Y  NZ  UUA㉠
즉, 직선 ㉠은 N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  을 지난다.

1253
그림과 같이 직선 ㉠이 삼각형 "#$와 Z
① Œ
만나지 않도록 직선 ㉠을 움직여 보면 
"
 $
NY ZN에서 Œ 직선 ㉠이 점 " ,  를 지날 때

Y N Z UUA㉠ 0 
N ∴ NÄ  Y
즉, 직선 ㉠은 N의 값에 관계없이 점 ,  을 지난다. 
# 
Œ  직선 ㉠이 점 # ,  을 지날 때
그림과 같이 직선 ㉠이 선분 "#와 만나도 Z
 "
록 직선 ㉠을 움직여 보면 N  ∴ NÅ
Œ 직선 ㉠이 점 " ,  를 지날 때
Œ, 에서 N의 값의 범위는 NÅ 또는 NÄ
N  ∴ N 
0 
 직선 ㉠이 # ,  을 지날 때   Y

# 
N ∴ NÅ 직선 ㉠이 삼각형 "#$와 만나도록 하는 N의 값의 범위는
 
 ƒNƒ
Œ, 에서 N의 값의 범위는 ƒNƒÅ  

Ⅳ. 도형의 방정식 215


1256  L 를 ㉠에 대입하면

NY ZN에서 Y N Z UUA㉠


Y Z   YZ  ∴ YZ
즉, 직선 ㉠은 N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  를 지난다.
Z 따라서 B, C이므로
이때 " ,  이므로 직선 ㉠이 삼각형
" BC@  
"#$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선분 #$ 
  다른 풀이
의 중점을 지나야 한다.
0  Y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 두 직선 Y Z , YZ의 교점의 좌표는

    #  , 
[ , ], 즉 , 
  NY ZN 두 점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에 Y, Z를 대입하면  
Z   Y
N ∴ N 
ZY ∴ YZ
따라서 B, C이므로

1257 ,  BC@  

ZNY N 에서 Y  NZ  UUA㉠


즉, 직선 ㉠은 N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  를 지난다.
이때 직선 ㉠이 N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직사각형 "#$%의 넓이
를 이등분하려면 점 ,  는 두 대각선의 교점이어야 한다. 1259 ②
 B  C
$ B, C 라 하면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 , ]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이므로 YZ  L Y Z  A 단, L는 실수 UUA㉠

 B  C 직선 ㉠이 점 ,  를 지나므로
,  ∴ B, C
     L   
따라서 점 $의 좌표는 ,  이다. L ∴ L
다른 풀이 L을 ㉠에 대입하면
직선 ZNY N 가 직사각형 "#$%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YZ   Y Z  
이 직선이 두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야 한다. Y Z  ∴ ZY
$ B, C 라 하면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따라서 구하는 Z절편은 이다.
 B  C
[ , ]
 
이 점이 ZNY N  위의 점이므로
 C  B
 @N N 

 B

C
1260 `
[ ]N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이 식이 N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Y Z  L YZ   단, L는 실수 UUA㉠
 B C 직선 ㉠이 점 ,  를 지나므로
,  ∴ B, C
 
   L   , L ∴ L
따라서 점 $의 좌표는 ,  이다.
L를 ㉠에 대입하면
Y Z   YZ  
∴ YZ  UUA㉡
………………………………………………………………………………… ➊
㉡에 Z을 대입하면 Y  ∴ Y, 즉 " , 
㉡에 Y을 대입하면 Z  ∴ Z, 즉 # , 
 ‫ف‬૒ࢶ੄Ү੼ਸ૑ա‫ח‬૒ࢶ੄ߑ੿ध
………………………………………………………………………………… ➋
∴ "#“}x  ™A ™A`
1258 ② ………………………………………………………………………………… ➌

채점 기준 배점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➊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과 점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구
Y Z  L YZ A 단, L는 실수 UUA㉠ 50%
하기
직선 ㉠이 점 ,  을 지나므로
➋ 두 점 ", #의 좌표 구하기 30%
   L  , L ∴ L ➌ "#“의 길이 구하기 20%

216 정답과 풀이
1261 
 ‫ف‬૒ࢶ੄ಣ೯җࣻ૒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 ⑴  ⑵
 2. 평행 : ㄴ, 수직 : ㄷ, ㄹ

1
Y Z L YZ A 단, L는 실수 UUA㉠
직선 ㉠이 점 ,  을 지나므로
 L   ∴ L 1. ⑴ 두 직선이 평행하므로 N  ∴ N
L를 ㉠에 대입하면 ⑵ 두 직선이 수직이므로  N  

Y Z  YZ  Z N ∴ NÅ


YZ ∴ ZY Y
0   
따라서 이 직선의 Y절편은 , Z절편은 2. ㄴ.    =이므로 직선 YZ 과 평행하다.
이므로 그림에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ㄷ. @  @이므로 직선 YZ 과 수직이다.
Å@@ 
ㄹ. @  @이므로 직선 YZ 과 수직이다.
따라서 직선 YZ과 평행한 직선은 ㄴ, 수직인 직선은
ㄷ, ㄹ이다.

1264 

1262  두 직선 L Y Z, LYZ 이


L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Œ 평행하려면 
L  
BY B Z L\Y B Z^ 단, L는 실수
L L ∴ L
UUA㉠
직선 ㉠이 원점을 지나므로  수직이려면 L @L @  
L™AL, L  L 
L ∴ LÄ
∴ L 또는 L

LÄ 을 ㉠에 대입하면 Œ, 에서 B, CA ∵ C

BY B ZÄ\Y B Z^ C


∴ @Ä
B
∴ B Y B Z

이 직선의 기울기가 Ä이므로


1265 ④
B
Ä, BB 직선 B  YZ C이 직선 Y Z 에 수직이므로
B
B ∴ B B  @@ ∴ B
즉, 직선 YZ C이 점 ,  를 지나므로
 C ∴ C
∴ CB

1263  1266 Y

직선 YZ 의 Y절편은 이므로 " ,  두 직선 B Y Z, Y B  Z 이 서로 만나지
직선 Y Z의 Y절편은 이므로 # ,  않으면 평행하므로
  B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 , ], 즉 ,  
   B  
이때 점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B B  , B™A B
YZ  L Y Z A 단, L는 실수 UUA㉠ B B   ∴ B 또는 B
직선 ㉠이 점 ,  을 지날 때, 삼각형 "#$의 넓이를 이등분 이때 B이면 두 직선은 일치하므로 B
하므로 직선 BY B  Z 에 Z
  A
  L  , L ∴ L B을 대입하면
L을 ㉠에 대입하면 Z  ∴ Z
0  Y
YZ  Y Z ∴ YZ  따라서 직선 Z와 수직이고 점 , 
따라서 B, C이므로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Z

B™A C™A™A  ™A Y Y

Ⅳ. 도형의 방정식 217


1267 
 ࣻ૒‫חژ‬ಣ೯ઑѤ੉઱য૓૒ࢶ੄ߑ੿ध
직선 BY Z 이 점 ,  를 지나므로
B  ∴ B 1270 ④
………………………………………………………………………………… ➊
두 점 ,  , ,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직선 CY DZ이 점 ,  를 지나므로

CD ∴ CD UUA㉠ 
 
두 직선 Y Z , CY DZ이 수직이므로
C D UUA㉡ 기울기가 이고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을 연립하여 풀면 C, D


Z Y
………………………………………………………………………………… ➋
∴B CD    ZY  ∴ Y Z
………………………………………………………………………………… ➌
따라서 B, C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BC  
➊ B의 값 구하기 30%
➋ C, D의 값 구하기 50%
➌B CD의 값 구하기 20% 1271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1268 
[
 
,
 
], 즉 , 

두 점 " ,  , # ,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직선 NYZ 이 직선 OYZ과 수직이므로

N@O  @   ∴ NO 이므로 직선 "#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다.

직선 NYZ 이 직선 O YZ과 평행하므로 따라서 점 ,  를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N   ZY ∴ YZ 
 , NO ∴N O
O  
따라서 B, C이므로
∴ NšA OšA N O šANO N O
B C 
šA@  @
 
다른 풀이 1272 
직선 NYZ , 즉 ZNY 이 직선 OYZ, 즉
두 직선 Y Z, YZ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
O
Z Y과 수직이므로 정식을 Y Z L YZ A L는 실수 으로 놓으면

O L  Y L  ZL UUA㉠
N@  ∴ NO
 ………………………………………………………………………………… ➊
직선 ZNY 이 직선 O YZ, 즉 Z O Y 직선 ㉠이 직선 YZ에 평행하므로
과 평행하므로 L  L  L

NO ∴N O   

∴ NšA OšA N O šANO N O LL , L ∴ L


šA@  @
………………………………………………………………………………… ➋
 
L를 ㉠에 대입하면

1269  Y Z  ∴ YZ

………………………………………………………………………………… ➌
직선 Y Z 이 직선 YBZ과 수직이므로
이 직선의 Y절편은 , Z절편은 이므로 B, C
@ @ B , B ∴ B
∴B C  
직선 Y Z 이 직선 Y CZ 과 평행하므로
………………………………………………………………………………… ➍
 Z
Ä Å ∴ C 채점 기준 배점
C

Y Z ➊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L를 사용하여 나타내기 20%
따라서 직선 의 Y절편이 , Z절편
 
➋ L의 값 구하기 40%
이 이므로 그림에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Y
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20%
0 
Å@@ ➍ B C의 값 구하기 20%

218 정답과 풀이
다른 풀이
1275 
두 직선 Y Z, YZ의 교점의 좌표는
∠#"0∠"$0이므로
,  이고 직선 YZ의 기울기는 Å이므로

1
∠#"$∠#"0 ∠$"0∠"$0 ∠$"0±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즉, 두 직선 M„, Mm는 수직이다.
이때 두 점 " ,  , # ,  을 지나는 직선 M„의 기울기는
Z  Å Y ∴ YZ

이므로 직선 Mm의 기울기는 Ä이다.
이 직선의 Y절편은 , Z절편은 이므로 
B, C 직선 Mm에 평행하고 점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B C   Z  Ä Y ∴ Y Z 

따라서 B, C이므로


1273 ② B C 

직선 L  YZ 의 기울기가 L , Z절편이 이므로


직선 L  YZ 과 Z축에서 수직으로 만나는 직선은 기

울기가  , Z절편이 이다.
L 

∴ Z

Y 
1276 
L 
두 점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이 직선이 점 ,  을 지나므로

 Z Y ∴ ZY  UUA㉠
 , L  ∴ LÅ 
L 
이때 직선 ㉠과 직선 ZY는 기울기의 곱 Z ZY ZY
다른 풀이
이 이므로 수직이다.
Z축에서 만나는 두 직선의 Z절편은 같고 #
즉, 삼각형 0"#는 ∠"±인 직각삼각
직선 L  YZ 의 Z절편이 이므로 "
형이다.
두 점 ,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Z 두 직선 ZY, ZY 의 교점 "의 0 Y
Y
 ∴ Y Z 좌표는 , 
ZY 
 
직선 L  YZ 과 직선 Y Z이 수직으로 만나 두 직선 ZY, ZY 의 교점 #의 좌표는 , 
므로 0"“}x™A ™A
"#“}x  ™A  ™A
L  @  @, L  ∴ LÅ
∴ 삼각형 0"#의 넓이 Å@0"“@"#“

1274 ⑤ Å@@

직선 Y Z, 즉 ZÅY 의 기울기가 Å 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는 이다.


따라서 직선 ")의 방정식은
Z Y ∴ ZY 1277 

ZÅY , ZY을 연립하여 풀면 직선 Y Z의 Y절편은 , Z절편은 Z



이므로 이 직선과 Y축, Z축으로 둘러싸인
Y, Z ∴ ) , 
부분의 넓이는
따라서 B, C이므로 BC@
다른 풀이 Å@@
점 ) B, C 가 직선 Y 0  Y
Z 위의 점이므로
직선 Y Z과 직선 BY Z C이
B C UUA㉠
평행하므로
직선 Y Z, 즉 ZÅY 의 기울기가 Å 이므로  
Å ∴ B, C 
B C
직선 ")의 기울기는 이다.
C
따라서 직선 Y Z C의 Y절편은  , Z절편은 C이고
직선 ")의 기울기는 
C 이 직선이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 CB ∴ BC UUA㉡
B
C C™A
Å@\ \@]C]Å@,  ∴ C™A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 BC@ ∴ B›AC™A›A

Ⅳ. 도형의 방정식 219


 ࢶ࠙੄ࣻ૒੉١࠙ࢶ੄ߑ੿ध 1281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Z M

1278  수직이등분하므로 직선 M은 선분 "$의



"
%
수직이등분선이다.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
   
[ , ], 즉 ,      0    Y
  [ , ], 즉 , 
 
두 점 " ,  , # ,  을 지나는 직선 "#의 기울기는

직선 "$의 기울기는 Å
 


즉, 직선 M의 기울기는 이고 점 ,  를 지나므로 직선 M의 방정
따라서 선분 "#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Ä이고 식은
Z Y , ZY ∴ YZ
점 ,  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따라서 B, C이므로
ZÄ Y  ∴ Y Z
BC@  
따라서 B, C이므로 사각형의 성질
B C 
⑴ 평행사변형에서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⑵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⑶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⑷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1279 ③

직선 Y Z의 Y절편은 , Z절편은 이므로


" ,  , # ,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1282 
   
[ , ], 즉 [, ]
  Œ 선분 "$, 즉 두 점 " ,  , $ ,  의 중점의 좌표는

직선 Y Z, 즉 직선 ZY 의 기울기는     


[ , ], 즉 , 
 

따라서 선분 "#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이고 점 [, ]를 


직선 "$의 기울기는 
 
지나는 직선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즉, 선분 "$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Å이고 점 , 
Z Y ∴ YZ 
를 지나므로 그 직선의 방정식은
이 직선이 점 , B 를 지나므로
Z  Å\Y  ^ ∴ YZ UUA㉠

B  ∴ B
 ………………………………………………………………………………… ➊
 선분 #$, 즉 두 점 # ,  , $ ,  의 중점의 좌표는
   
[ , ], 즉 , 
 
 
직선 #$의 기울기는 
1280 

즉, 선분 #$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이고 점 ,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를 지나므로 그 직선의 방정식은
  B C B C Z   Y ∴Y Z  UUA㉡
[ , ], 즉 [, ]
  
………………………………………………………………………………… ➋
직선 YZ 이 이 점을 지나므로
B C ㉠, ㉡을 연립하여 풀면 YÅ, Z
@  ∴B C UUA㉠

즉, 교점의 좌표는 [Å, ]이다.
직선 YZ , 즉 ZÅY 의 기울기가 Å이므로
………………………………………………………………………………… ➌
직선 "#의 기울기는 이다.
CB 따라서 BÅ, C이므로
즉, 이므로 CB UUA㉡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B CÅ []

∴ BC@   ………………………………………………………………………………… ➍

220 정답과 풀이
채점 기준 배점
 ࣁ૒ࢶ੄ਤ஖ҙ҅
➊ "$“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 구하기 30%

1284
➋ #$“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 구하기 30%

1

➌ 교점의 좌표 구하기 30%
➍B C의 값 구하기 10% Y Z UUA㉠
YZ  UUA㉡
Y BZ UUA㉢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 외심 에서 만나므로 두 변의 수
이라 하면 주어진 세 직선이 삼각형을 이루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직이등분선의 교점을 구하면 된다.
같다.
다른 풀이 Œ 두 직선 ㉠, ㉢이 평행할 때
삼각형 "#$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 즉 외심을 1 B, C  
Å ∴ B
B 
라 하면 "1“#1“$1“가 성립한다.
 두 직선 ㉡, ㉢이 평행할 때
™
"1“#1“에서 "1“ A#1“ ™ A이므로
 
B  ™A C ™A B ™A C  ™A Å ∴ B, B 
B 
B™A B  C™AC B™AB  C™A C  Ž 직선 ㉢이 두 직선 ㉠, ㉡의 교점을 지날 때
∴ BC UUA㉠
㉠, ㉡을 연립하여 풀면 YÅ, ZÅ
#1“$1“에서 #1“ A$1“ ™A이므로
™
B ™A C  ™A B ™A C  ™A 즉, 직선 ㉢이 점 [Å, Å]을 지나므로
B™AB  C™A C B™AB  C™A C 
∴B C UUA㉡  ÅB ∴ B

㉠, ㉡을 연립하여 풀면 BÅ, C Œ_Ž에서 모든 B의 값의 합은


  
∴B CÅ []

1285 

주어진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려면 직선 LY Z이 두 직선


Y Z, YZ의 교점을 지나야 한다.
Y Z, YZ을 연립하여 풀면 Y, Z
따라서 직선 LY Z이 점 ,  를 지나므로
L ∴ L

1286 
1283 
두 직선 YZ , Y Z이 한 점에서 만나므로 직선
"$“이므로 }x O  ™A  ™A BY Z이 위의 두 직선 중 하나와 평행해야 한다.
양변을 제곱하면 Œ 직선 BY Z이 직선 YZ 과 평행하려면
O™A O  , O™A O B  
 ∴ B
O  O  ∴ OA ∵ O , 즉 $ ,    

사각형 "#$%가 마름모이므로 직선 M은 대각선 "$의 수직이등  직선 BY Z이 직선 Y Z과 평행하려면

분선이다. " ,  , $ ,  이므로 B 


 ∴ BÄ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 , ], 즉 ,  Œ, 에서 모든 B의 값의 곱은
 
 @Ä
직선 "$의 기울기는 Ä
 

따라서 직선 M은 기울기가 이고 점 ,  을 지나므로 직선 M의

방정식은
1287 
Z Y ∴ YZ
서로 다른 세 직선 BYZ, Y Z,
따라서 B, C이므로 Y CZ 에 의하여 좌표평면이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지려면
BC@   세 직선이 모두 평행해야 한다.

Ⅳ. 도형의 방정식 221


두 직선 BYZ, Y Z이 평행하려면 1290 
B  
 ∴ B
   점 ,  을 지나는 직선 M의 기울기를 N이라 하면 직선 M의 방정
두 직선 Y Z, Y CZ 이 평행하려면 식은
  ZN Y ∴ NYZN 
Ä ∴ CÅ
C 
원점과 직선 M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 BC@Å ]N@  @N ]
, ]N ]}x N™A 
}xN™A  ™A
양변을 제곱하면
N™AN N™A , N™A N 
1288  N  ™A ∴ N
서로 다른 세 직선 YZ , YZ , BY Z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기울기는 이다.
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이 직각삼각형이 되려면 세 직선 중 어느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어야 한다.
1291 ZY`
세 직선의 기울기가 각각 , Å, B이므로 직선 YZ 
직선 ZÅY 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구하는 직
과 직선 YZ 은 수직이 아니다.
Œ 직선 YZ 과 직선 BY Z이 수직이려면 선의 방정식을 ZY L, 즉 YZ L L는 상수 으로 놓을
수 있다.
@B  @ ∴ BÄ
………………………………………………………………………………… ➊
 직선 YZ 과 직선 BY Z이 수직이려면 원점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B  @ ∴ B ]@  @ L]
, ]L]` ∴ L†`
Œ, 에서 모든 B의 값의 곱은 Ä@ }x™A  ™A
………………………………………………………………………………… ➋
이때 제사분면을 지나지 않으려면 Z절편이 음수이어야 하므로 구
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ZY`
 ੼җ૒ࢶࢎ੉੄Ѣܻ ………………………………………………………………………………… ➌

채점 기준 배점
1. ⑴  ⑵ 2. ⑴  ⑵

➊ 직선 Z Y 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BY CZ D
 30%
]@ @  ]  꼴로 놓기
1. ⑴  
}x™A ™A  ➋ L의 값 구하기 50%
]@   @ ]  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20%
⑵  
}x™A  ™A 
2. ⑴ ]  ]
⑵ ]  ]
1292 ①
한 점과 직선 YQ 또는 ZR 사이의 거리
두 점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점 B, C 와 
⑴ 직선 YQ 사이의 거리
ZR Z Y ∴ YZ 

]QB] ]RC]
직선 YZ  위를 움직이는 점 1에 대하여 선분 01의 길이
⑵ 직선 ZR 사이의 거리 B AC ]QB]
의 최솟값은 점 0 ,  과 직선 YZ  사이의 거리와 같으
]RC]
YQ 므로
]@  @ ]  
B  
}x™A  ™A  

1289 ④
∴ B™A@[
 

] 
점 ,  과 직선 ZY O, 즉 YZ O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  @ O]

] O]

1293 ①

}x  ™A  ™A 
점 , L 에서 두 직선 YZ, Y Z에 이르는 거리가 같
| O|,  O†
으므로
∴ O 또는 O ]@  @L] ]@ @L]

따라서 양수 O의 값은 이다. }x™A  ™A }x™A ™A

222 정답과 풀이
]L] ]L]



, ]L]]L] 1296 Å

LL 또는 L L 선분 0"의 중점을 .이라 하면 점 (가 삼각형 0"#의 무게중심

1
이므로 #(“A:A(•.“A:A
∴ L 또는 L
두 점 #, (에서 직선 0"에 내린 수선 Z
따라서 모든 실수 L의 값의 곱은 #
의 발을 각각 %, &라 하면 (  A

@   삼각형 .#%와 삼각형 .(&는 서로


"
닮음이므로 Y
0 & .
#%“A:A(&“A:A %

점 #와 직선 0"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 (&“Å@
1294 ①
직선 0"의 기울기를 N이라 하면 직선 0"의 방정식은 ZNY,
세 점 0 ,  , " ,  , # , B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즉 NYZ이므로 점 (와 직선 0" 사이의 거리는
0"#의 무게중심 (의 좌표는 ]N@  @]
, ]N]}x N™A 
     B  B }xN™A  ™A
[ , ], 즉 [, ]
   양변을 제곱하면
 B N™AN N™A , N™AN 
∴ C UUA㉠

Z #  A
N N  ∴ NÅ 또는 N
직선 0"의 방정식은 ZÅY,

즉 YZ이고 이때 직선 0(의 기울기는 Å이고


(  A
점 ( , C 와 직선 YZ "  A 직선 0"의 기울기  직선 0(의 기울기 이므로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NÅ을 만족시키는 직선 0"의 기울기는 Å이다.
]@  @C] 0 Y

}x™A  ™A
]C]
, ]C]

C† ∴ C 또는 C

이때 B이므로 ㉠에서 C ∴ C

 B
C를 ㉠에 대입하면  ∴ B  ੼җ૒ࢶࢎ੉੄Ѣܻ੄୭؆ч

∴B C 

1297 

YZ  L Y Z 에서
L  Y L Z 

1295  점 ,  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 G L 는


] L  @  L @ ]
G L 
 L Y  L Z L에서 }x L  ™A L ™A
Y Z  L Y Z 

이 식이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xL™A L 
Y Z , Y Z G L 는 }xL™A L 의 값이 최소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Z ∴ " ,  }xL™A L }x L  ™A 이므로 G L 의 최댓값은
직선 BY Z C이 점 "를 지나므로 
G   
B C ∴ CB  UUA㉠ 
다른 풀이
즉, 원점과 직선 BY ZB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B@ @B ] YZ , Y Z을 연립하여 풀면
, ]B ]}x B™A 
}xB™A ™A Y, Z
양변을 제곱하면 즉, 직선 YZ  L Y Z 은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B™AB B™A , B™A B  점 ,  을 지난다.
B  B   ∴ BA ∵ B는 정수 따라서 점 ,  과 주어진 직선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B을 ㉠에 대입하면 C  두 점 ,  ,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 CB   }x   ™A  ™A

Ⅳ. 도형의 방정식 223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 
}xL™A L m‡[L Å] 이므로 G L 의 최댓값은
오른쪽 그림에서 E„E, EmE이므로 점 0

와 점 "를 지나는 임의의 직선 사이의 거리의 G [Å] `
최댓값은 점 0로부터 0"“와 수직인 직선에 E„ m
E "
이르는 거리 E, 즉 두 점 0, " 사이의 거리와 0
같다. Em

 ಣ೯ೠ‫ف‬૒ࢶࢎ੉੄Ѣܻ
1298 ②
⑴  ⑵ `
원점과 직선 L YZ  사이의 거리를 G L 라 하면
] L @  @ ] 
G L   ⑴ 두 직선 Y Z, Y Z 은 평행하므로 두 직선
}x L ™A  ™A }xL™AL 
사이의 거리는 직선 Y Z 위의 한 점 ,  과
G L 는 }xL™AL 의 값이 최소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직선 Y Z  사이의 거리와 같다.
}xL™AL }x L ™A 이므로 G L 의 최댓값은
따라서 구하는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G    ]@ @ ]
  
따라서 B, C이므로 }x™A ™A 
⑵ 두 직선 Y Z, Y Z 은 평행하므로 두 직선
BC@
사이의 거리는 직선 Y Z 위의 한 점 ,  와
직선 Y Z  사이의 거리와 같다.
따라서 구하는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1299  ]@ @ ]


`
}x™A ™A `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YZ  L Y Z A L는 실수 으로 놓으면
L  Y L Z  1301 ④
………………………………………………………………………………… ➊
두 직선이 평행하므로 직선 YZ 위의 한 점 , 
이 직선과 원점 사이의 거리를 G L 라 하면
과 직선 YZ L 사이의 거리가 이다.
] L  @ L @ ] 
G L   ]@  @  L]
}x L  ™A L ™A }xL™A  즉, 이므로
………………………………………………………………………………… ➋
}x™A  ™A
]L ], L † ∴ L 또는 L
G L 는 }xL™A 의 값이 최소, 즉 L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그런데 L이므로 L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G   

………………………………………………………………………………… ➌
1302 
채점 기준 배점
두 직선이 평행하므로 선분 "#의 길이의 최솟값은 평행한 두 직선
➊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L를 사용하여 나타내기 40%
사이의 거리와 같다.
➋ G L 구하기 40%
직선 Y Z 위의 점 ,  과 직선 Y Z  사이의 거
➌ 주어진 직선과 원점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 구하기 20%
리는
]@ @  ]
 
}x™A ™A 

1300 `
따라서 선분 "#의 길이의 최솟값은 이다.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YZ  L Y Z A L는 실수 으로 놓으면
1303 

 L Y L ZL  두 직선 N YZ, NY N Z 이


이 직선과 점 ,  사이의 거리 G L 는 평행하므로
]  L @ L @  L ] N  
G L  
}x  L ™A L ™A N  N 
 N N N, N™AN 

}xL™A L  N N  ∴ NA ∵ N은 정수
G L 는 }xL™A L 의 값이 최소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 ➊

224 정답과 풀이
즉, 두 직선의 방정식은 YZ, YZ 이므로 직선 평행한 두 직선 ZY 과 ZY 사이의 거리는 직선 ZY 
YZ 위의 한 점 ,  과 직선 YZ  사이의 거 위의 점 ,  과 직선 YZ 사이의 거리와 같다.
리는 ]@  @] 
)2“  

1
]@@ ]   }x™A  ™A 
 
}x™A  ™A   21“A:A)2“A:A에서
………………………………………………………………………………… ➋  
21“A:AA:A ∴ 21“ 
 
 
따라서 B 이므로 B@   
  따라서 B 이므로 B@ 
 
………………………………………………………………………………… ➌

채점 기준 배점
➊ N의 값 구하기 40%
➋ 두 직선 사이의 거리 구하기 50%
➌B의 값 구하기 10%

 ࣁԙ૙੼੄ઝ಴о઱য૓࢖пഋ੄և੉

1304  1307 

두 점 " ,  , # ,  사이의 거리는


정사각형 "#$%의 한 변의 길이 는 평행한 두 직선 ZNY ,
"#“}x  ™A  ™A
ZNY 사이의 거리와 같다.
직선 "#의 방정식은
이때 직선 ZNY  위의 한 점 ,  과 직선 ZNY, 즉

NYZ 사이의 거리는 Z Y ∴ YZ 

]N@@]
, }x N™A  점 $ ,  와 직선 "# 사이의 거리는
}xN™A  ™A ]@  @  ] 
양변을 제곱하면 
}x™A  ™A 
 N™A  , N™A  
∴ △"#$Å@@ 
N™A ∴ NA ∵ N 
다른 풀이

그림에서 Z
 "
△"#$ % &
1305 
 %#$& △"$& △"%#
그림과 같이 두 직선 "$, #% 사 Z Å@   @
$  0   Y
이의 거리는 점 "와 직선 #% 사이  # 
# [Å@@ Å@@]
의 거리와 같다.  $
" %
직선 #%는 직선 Y Z, 즉  0   Y 
Y Z
ZÅY 와 수직이므로 기울

기가 이고 점 # ,  를 지난다.
1308 ①
즉, 직선 #%의 방정식은
Z Y ∴ YZ 두 점 " ,  , # ,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점 " ,  과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x  ™A  ™A
]@   @]  직선 "#의 방정식은
 
}x™A  ™A  
Z Y ∴ Y Z

점 $ B,  과 직선 "# 사이의 거리는
]@B @] ]B]
1306

 }x™A ™A 
삼각형 "#$의 넓이가 이므로
그림과 같이 점 2에서 직선 ZY에 내린 Z ZY  ]B]
2 ZY Å@@ 
수선의 발을 )라 하면 직선 ZY이 Y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므로 ) ]B], B†
1
∠21)±±± ±
∴ B 또는 B
±
삼각형 1)2는 직각삼각형이므로 0 Y 따라서 모든 실수 B의 값의 합은
M
1)“A:A)2“A:A21“A:AA:A  

Ⅳ. 도형의 방정식 225


1309  따라서 △"#$Å@`@

`
이므로

직선 0"와 직선 YZ의 기울기가  로 같으므로 "#$%△"#$@

두 직선은 평행하다.
………………………………………………………………………………… ➊
따라서 삼각형 "01에서 0"“를 밑변으로 하면 원점에서 직선
YZ까지의 거리가 높이가 된다.
0"“}x™A ™A`
 ੗ஂ੄ߑ੿धm੼җ૒ࢶࢎ੉੄Ѣܻ
………………………………………………………………………………… ➋

1312
원점과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 

}x™A  ™A `
1 Y, Z 라 하면 점 1는 두 직선 Y Z, Y Z 으로
………………………………………………………………………………… ➌
부터 같은 거리에 있으므로

∴ △"01Å@`@  ]Y Z] ]Y Z ]
`  , ]Y Z]]Y Z ]
………………………………………………………………………………… ➍ }x™A ™A }x™A ™A
Y Z† Y Z 
채점 기준 배점
∴ YZ  또는 Y Z
➊ 직선 0"와 직선 YZ이 평행함을 알기 30% 이 중에서 기울기가 양수인 직선의 방정식은 YZ 이므로
➋ 0"“의 길이 구하기 20% B, C
➌ 원점과 직선 YZ 사이의 거리 구하기 30% ∴B C 
➍ 삼각형 "01의 넓이 구하기 20%

1313 ③

1310 
두 직선 YZ , Y Z 이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
YZ  UUA㉠ Z ㉡ ㉠ 위의 점을 1 Y, Z 라 하면 점 1에서 두 직선에 이르는 거리가 같
Y Z UUA㉡  " 으므로
Y Z UUA㉢ ]YZ ] ]Y Z ]
 , ]YZ ]]Y Z ]
$ }x™A  ™A }x™A ™A
두 직선 ㉠, ㉡의 교점을 ",  
 0  Y YZ † Y Z 
두 직선 ㉡, ㉢의 교점을 #, #
 ∴Y Z  또는 YZ 

두 직선 ㉠, ㉢의 교점을 $라 하면
따라서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ㄴ, ㄷ이다.
두 점 ", # 사이의 거리는
"#“}x  ™A  ™A`
점 $ ,  과 직선 ㉡ 사이의 거리는
]@  @] 
1314 Z 또는 Y Z

}x™A ™A ` 1 Y, Z 라 하면 13“14“이므로
 ]Y Z] ]Y Z]
∴ △"#$Å@`@  @
` }x™A ™A }x™A ™A
]Y Z]@]Y Z]
Y Z† Y Z
1311 
∴ Z 또는 Y Z
Z
"$“와 #%“의 중점의 좌표가 [Å, ]로 서로 " 

1315
일치하므로 사각형 "#$%는 평행사변형이다.  %

직선 "$의 방정식은
 #  점 ,  에서 두 직선 Y Z B, YZ에 이르
Z Y ∴ Y Z  Y
  0
는 거리가 같으므로
두 점 " ,  , $ ,  사이의 거리는  $
]@  @ B] ]@  @]

"$“}x  ™A  ™A` }x™A ™A }x™A  ™A
점 # ,  과 직선 "$ 사이의 거리는 ………………………………………………………………………………… ➊
]@  @]  ] B],  B† ∴ B 또는 B

}x™A ™A ` ………………………………………………………………………………… ➋

226 정답과 풀이
따라서 모든 실수 B의 값의 합은   1318 Å
………………………………………………………………………………… ➌
주어진 식을 L에 대하여 정리하면
채점 기준 배점

1
Y Z LY Z 
➊ 점 ,  에서 두 직선에 이르는 거리가 같음을 이용하여 식
50% 이 식이 L의 값에 관계없이 성립하려면
세우기
➋ B의 값 구하기 30% Y Z, Y Z 

➌ 모든 실수 B의 값의 합 구하기 2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Z
∴ 1 , 

따라서 점 1와 원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Å이다.

1316 YZ 또는 YZ 

두 점 " ,  , # ,  사이의 거리는 1319 


"#“}x   ™A  ™A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은 그 직사각형의 넓이
점 1와 직선 "# 사이의 거리를 I라 하면 삼각형 "#1의 넓이가
를 이등분한다.
이므로
직사각형 "#$%의 두 대각선의 교점은 선분 "$의 중점이므로
Å@@I ∴ I    
그 좌표는 [ , ], 즉 , 
 
즉, 점 1와 직선 "#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점 1의 자취는 직선
직사각형 &'()의 두 대각선의 교점은 선분 &(의 중점이므로
"#와 평행하고 직선 "#와의 거리가 인 직선이다.
   
 그 좌표는 [ , ], 즉 , 
직선 "#의 기울기는   
 
따라서 두 점 ,  , ,  을 지나므로 직선의 기울기는
직선 "#의 기울기는  이고 점 ,  을 지나므로 직선 "#의 
N Ä

방정식은
∴ N@Ä
Z\Y  ^ ∴ YZ 

이때 점 1의 자취의 방정식을 YZ LA L  이라 하면


이 직선과 점 " ,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   @ L] ] L]
1320 ③
, 
}x™A  ™A  Œ 두 직선 B Y Z과 Y B Z 이
] L],  L† 수직으로 만날 때
∴ L 또는 L
B @ @ B , B ∴ B
따라서 점 1의 자취의 방정식은
YZ 또는 YZ   두 직선 B Y Z과 Y B Z 이
서로 만나지 않을 때, 즉 평행할 때
B  
 , B B 
 B 
B™AB, B  B 
∴ B 또는 B
그런데 B이면 두 직선이 일치하므로 B

Œ, 에서 =, >이므로

=>@@

1321 ②
1317 YZ

직선 "1의 기울기는 Å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직선 #1의 기울기는 
[ , ], 즉 ,  O O
   
직선 "1와 직선 #1가 서로 수직이므로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은
따라서 점 ,  을 지나고 기울기가 Å인 직선의 방정식은
이다.

Z  Å Y ∴ YZ 즉, Å@ 에서 O
O

Ⅳ. 도형의 방정식 227


세 점 " ,  , # ,  , 1 ,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ZÅ Y ∴ YZ  UUA㉠
"#1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 , ], 즉 [, ]
     
[ , ], 즉 [, Å]
 
따라서 B, C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는 


B C 

즉, 선분 #$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이고 점 [, Å]

을 지나므로 그 직선의 방정식은


1322  Z[Å]Y ∴ YZ UUA㉡

∠"±이므로 직선 "#와 직선 "$의 기울기의 곱은 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Y , Z
L L 
직선 "#의 기울기는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 , ]이므로 B , C
L  
직선 "$의 기울기는 L
 
∴B C 
L 
@ L 이므로 L™A L

L™AL, L  L  1325 ①
∴ L 또는 L
점 B, C 가 직선 Y Z 위의 점이므로
따라서 B, C이므로
B C ∴ CB 
BC  
CB 를 BY CZ에 대입하면
BY B  Z

1323 ② 이 식을 B에 대하여 정리하면


YZ B Z 
Y Z UUA㉠
이 식이 B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YZ UUA㉡
YZ, Z 
LYZ UUA㉢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Z
이라 하면 주어진 세 직선이 삼각형을 이루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따라서 직선 BY CZ가 항상 지나는 점의 좌표는
같다.
,  이다.
Œ 두 직선 ㉠, ㉢이 평행할 때


L 
 

∴ L 1326 ⑤

 두 직선 ㉡, ㉢이 평행할 때 직선 BY CZ 위의 한 점 Y„, Z„ 에 대하여 점 Y„, Z„ 과 직선


   BY CZ, 즉 BY CZ  사이의 거리를 E라 하면
 ∴ L
L  
]BY„ CZ„ ]
Ž 직선 ㉢이 두 직선 ㉠, ㉡의 교점을 지날 때 E
}xB™A C™A
㉠, ㉡을 연립하여 풀면 Y, Z 한편 점 Y„, Z„ 은 직선 BY CZ 위의 점이므로
즉, 직선 ㉢이 점 ,  을 지나므로 BY„ CZ„
L ∴ LÄ 이때 B™A C™A이므로
] ] 
Œ_Ž에서 모든 L의 값의 합은 E  
 
  ÄÄ
1327 ①

1324 ③
직선 0"의 방정식은 ZÄY ∴ YZ

Œ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직선 0#의 방정식은 ZY ∴ Y Z


    그림과 같이 ∠"0#의 이등분선 위의 한 점 Z
[ , ], 즉 , 
   "
을 1 Y, Z 라 하면 점 1에서 두 직선에 이르

직선 "$의 기울기는  는 거리가 같으므로
 1
]YZ] ]Y Z] 0  Y
즉, 선분 "$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Å 이고 점 ,  을  
}x™A  ™A }x™A ™A  #
지나므로 그 직선의 방정식은 ]YZ]]Y Z]

228 정답과 풀이
YZ† Y Z 직선 BYZ이 점 ,  를 지나므로
∴ YZ 또는 Y Z B ∴ B
Œ ~Ž에서 모든 B의 값의 합은
이때 ∠"0#의 이등분선의 기울기를 B라 하면 B 이므

로 구하는 방정식은 YZ


 [Å] Ä
1
1330 ②
1328 ④
Y축 위의 점 % B,  A B 에 대하여 Z ZY
Y Z
직선 "#의 방정식은  ∴ YZ 삼각형 "#$의 넓이와 삼각형 "#%의 "
 
넓이가 같으려면 직선 "#와 점 $ 사이의  $
 
직선 #$의 방정식은 Z   Y
 거리와 직선 "#와 점 % 사이의 거리가
같아야 하므로 점 $를 지나고 직선 "#에 0 # % Y
ZÅY ∴Y Z  ZY 
평행한 직선 위에 점 %가 있어야 한다.

직선 $"의 방정식은 Z Y 직선 ZY 의 Z절편이 이므로 점 "의 좌표는 , 

직선 ZY의 Y절편이 이므로 점 #의 좌표는 , 
ZY  ∴ Y Z

1 B, C A B, C 라 하면 직선 "#의 기울기는 

삼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 즉 내심에서 세 변에 이르는 거리는
두 직선 ZY , ZY의 교점 $의 좌표는 ,  이므로
같으므로 점 1와 직선 "# 사이의 거리와 점 1와 직선 #$ 사이의
점 $를 지나고 직선 "#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은
거리가 같다.
Z Y ∴ ZY 
]BC] ]B C ]
 , ]BC]]B C ] 따라서 점 % B,  이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x™A  ™A }x™A ™A

BC† B C  ∴ B 또는 C B  ∴ B

이때 B, C이므로 C
또, 점 1와 직선 #$ 사이의 거리와 점 1와 직선 $" 사이의 거리
가 같으므로
]B C ] ]B C]
1331 ⑤
 , ]B C ]]B C]
}x™A ™A }x™A ™A 좌표평면 위의 세 점 " ,  , # ,  , $ B, C 에서 Y축에 내린
C을 대입하면 수선의 발이 ", #, $이므로
]B]]B], B† B ∴ B 또는 B " ,  , # ,  , $ B, 
이때 B이므로 B "•#“이므로 ㈎에서
따라서 1 ,  이므로 선분 01의 길이는 #•$“ ∴ B, 즉 $ , C Z
#
01“}x™A  ™A`  
㈏에서 직선 "#의 기울기가 이 $
 C
삼각형의 내심의 성질
고 두 직선 "#, #$가 서로 수직이므로 "

⑴ 삼각형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은 한 점 내심 에서 만난다. 0 " # $
직선 #$의 기울기는 Å이다.    Y
⑵ 삼각형의 내심에서 세 변에 이르는 거리는 같다.
따라서 직선 #$의 방정식은

ZÅ Y ∴Y Z

1329 Ä 점 $ , C 가 직선 #$ 위에 있으므로


 C ∴ C
서로 다른 세 직선이 좌표평면을 개의 부분으로 나누는 경우는 다 ∴ BC
음 그림과 같이 세 직선 중 두 직선이 평행할 때와 세 직선이 한 점 다른 풀이
에서 만날 때의 가지 경우가 있다. # ,  , $ , C 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는
C
Å, C ∴ C


1332
Œ BYZ이 Y Z와 평행할 때, B

 BYZ이 Y Z와 평행할 때, BÅ
두 점 " ,  , # ,  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Ž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Å
두 직선 Y Z와 Y Z의 교점의 좌표는 ,   

Ⅳ. 도형의 방정식 229


즉, 직선 "#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다.
1334 , 
………………………………………………………………………………… ➊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직선 ZNY N 이 직사각형 "#$%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 @  @ @ "$“의 중점을 지나야 한다.
[ , ], 즉 , 
    ………………………………………………………………………………… ➊
………………………………………………………………………………… ➋  B  C
$ B, C 라 하면 "$“의 중점의 좌표는 [ , ]이므로
따라서 기울기가 이고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Z Y ∴ ZY  C  B


N@ N  ∴  B NC
 
………………………………………………………………………………… ➌
………………………………………………………………………………… ➋
직선 ZY이 점 , B 를 지나므로
이 식이 N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B
 B, C ∴ B, C
………………………………………………………………………………… ➍
따라서 꼭짓점 $의 좌표는 ,  이다.
채점 기준 배점 ………………………………………………………………………………… ➌
➊ 직선 "#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 구하기 20%
채점 기준 배점
➋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 구하기 30%
➊ 직선 ZNY N 이 "$“의 중점을 지나야 함을 알기 20%
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30% ➋ $ B, C 라 할 때, 직선 ZNY N 을 B, C, N에 대한 식으
40%
➍ B의 값 구하기 20% 로 나타내기
➌ 꼭짓점 $의 좌표 구하기 40%

1333 YZ 

" Y„, Z„ , # Ym, Zm , $ Yf, Zf 이라 하면


세 변 "#, #$, $"의 중점이 각각 ,  , ,  , , 
이므로
Y„ Ym Ym Yf Yf Y„

,

,


1335 ③
∴ Y„ Ym, Ym Yf, Yf Y„ UUA㉠
삼각형의 외심은 각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이다.
㉠의 세 식의 양변을 모두 더하면
   
 Y„ Ym Yf  ∴ Y„ Ym Yf UUA㉡ 선분 13의 중점은 [ , ], 즉 , 
 
㉡에서 ㉠의 식을 각각 하나씩 빼면  
직선 13의 기울기는 
Y„, Ym, Yf 
………………………………………………………………………………… ➊ 즉, 선분 13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이고 점 ,  을
Z„ Zm Zm Zf Zf Z„ 지나므로 그 직선의 방정식은
, , 
   Z   Y ∴ ZY UUA㉠
∴ Z„ Zm, Zm Zf, Zf Z„ UUA㉢    
선분 23의 중점은 [ , ], 즉 , 
㉢의 세 식의 양변을 모두 더하면  
 Z„ Zm Zf  ∴ Z„ Zm Zf UUA㉣ 
직선 23의 기울기는 
 
㉣에서 ㉢의 식을 각각 하나씩 빼면
즉, 선분 23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이고 점 ,  를 지
Z„, Zm, Zf
나므로 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ZY  ∴ ZY  UUA㉡
………………………………………………………………………………… ➋
㉠, ㉡을 연립하여 풀면 Y, Z
따라서 직선 "#의 방정식은
즉, 삼각형 123의 외심의 좌표는 ,  이다.

Z Y ∴ YZ  따라서 점 ,  에서 직선 YZ 까지의 거리는

………………………………………………………………………………… ➌ ]@  @ ]
o
}x™A  ™A
채점 기준 배점
삼각형의 외심의 성질
➊ 세 점 ", #, $의 Y좌표의 값 구하기 40%
➋ 세 점 ", #, $의 Z좌표의 값 구하기 40% ⑴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 외심 에서 만난다.
➌ 직선 "#의 방정식 구하기 20% ⑵ 삼각형의 외심에서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같다.

230 정답과 풀이
1336  이때 두 점 1, 2는 제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L

즉, 직선 12의 방정식은 ZÅY이므로


두 직선 ZNY와 BY Z C은 직사각형 "#$%의 넓이를 이

1
등분하므로 직사각형 "#$%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야 한다. 직선 12의 Y절편은 , Z절편은 이다.
직사각형 "#$%의 두 대각선의 교점의 좌표는 따라서 B, C이므로
    B C  
[ , ], 즉 , 
 
직선 ZNY가 점 ,  를 지나야 하므로
N ∴ N
직선 ZY와 직선 BY Z C, 즉 ZBYC가 수직이므로 1339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은 이다. Z
정육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이므로
즉, B이므로 B & 1 %
정육각형 "#$%&'의 넓이
±
ZYC가 점 ,  를 지나므로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각형의 넓이 @ ' $
C ∴ C
따라서 B, C, N이므로 [Å@@@TJO±]@
0 " # Y
B C N   

삼각형 1&'의 넓이는 정육각형의 넓이의 이므로

 
1337 ① △1&'@  

선분 &1를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 1&'의 높이는 한 변의 길이가
㈎에서 점 1가 제사분면 위의 점이고, ㈏에서
인 정삼각형의 높이와 같으므로
△01#Å△0"#이므로 점 1는 선분 0"의 중점이다. 
@

   
점 1의 좌표는 [ , ], 즉 ,  
  △1&'Å@&1“@  에서 &1“
㈎에서 점 2는 제사분면 위의 점이고,
이때 점 &의 좌표가 ,  이므로 점 1의 좌표는
㈐에서 △012Ä△01#이므로
[ , ], 즉 [, ]
점 2는 선분 0#를 A:A로 외분하는 점이다.
@  @ @@ 따라서 직선 ZNY 이 점 1[,  ]을 지나므로
점 2의 좌표는 [ , ], 즉 , 
 

두 점 1 ,  , 2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N  ∴ N


Z Y , ZY  ∴ Y Z

따라서 N, O이므로
N O  1340 

직선 ZY L와 평행하고 곡선 ZY™A 에 접하는 직선의 방


정식을 ZY LA L은 상수 이라 하자.
1338  이차방정식 Y™A Y L, 즉 Y™A Y L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선분 12의 길이는 직선 ZY  위의 한 점 ,  과 직선
%
ZY, 즉 Y Z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L  ∴ L

]@ @ ]  따라서 직선 ZY L와 평행하고 곡선 ZY™A 에 접하는 직
12“  
}x™A ™A 
선의 방정식은 ZY 이다.
원점 0와 직선 12 사이의 거리를 I라 하면 삼각형 012의 넓이가
직선 ZY  위의 한 점 ,  와 직 Z ZY L
이므로
선 ZY L, 즉 YZ L 사이의 L ZY 
Å@@I ∴ I 거리의 최솟값이 이므로

직선 12는 직선 ZY 과 수직이므로 직선 12의 방정식을 ]@@ L]

}x™A  ™A ZY™A 
ZÅY L로 놓으면 원점과 직선 12, 즉 YZ L 사이의 ]L], L†
0 Y
거리가 이므로 ∴ L 또는 L
]@@ L] 이때 L이면 곡선 ZY™A 와 직선 ZY가 만나므로
, ]L]
}x™A  ™A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L] ∴ L 또는 L ∴ L

Ⅳ. 도형의 방정식 231


1341 ③ 따라서 ( ,  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는




직선 Mm의 기울기를 N이라 하면 직선 M„의 Z M„

1343
기울기는 N이다. N 2
Mm ①
그림과 같이 직선 Y과 직선 Mm, M„이 만나
N 직선 YZ 에서 Z
는 점을 각각 1, 2라 하면 1 YZ 

1 , N , 2 , N 0  Y " ,  $
Y 직선 NYZ N, 즉 
한편 직선 M„이 Y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
" #
을 직선 Mm가 이등분하므로 점 1와 직선 M„ 사이의 거리는 점 1와 ZN Y 은 N의 값에 관계  0  Y

Y축 사이의 거리와 같다. 없이 점 ,  을 지난다. NYZ N

직선 M„의 방정식은 ZNY, 즉 NYZ이므로 이때 "#“"$“이므로 삼각형 "#$는


]NN] ]N] 이등변삼각형이다.
N, N, |N|N}xN™A 
}x N ™A ™A }xN™A  두 직선 "#와 "$가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의 자취를 1 Y, Z 라
양변을 제곱하면 N™AN™A N™A  , N™A  하면 점 1와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점 1와 Y축 사
 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N™A, N™AÅ ∴ N†
 ]YZ ]
Z, ]YZ ]Z
이때 두 직선 M„, Mm는 원점과 제사분면을 지나므로 N }x™A  ™A
 ∴ YZ †Z
∴ N
 이때 점 1의 자취가 나타내는 직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따라서 직선 M„의 기울기는 N@  YZ Z ∴ ZÅY 

다른 풀이
이 직선과 직선 ZN Y 이 수직이므로 N
직선 Y이 Y축과 만나는 점을 3라 하면 직선 #$의 방정식은 △"#$는 "#“"$“ 이등변삼각형이므로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 #$를 수직이등분한다.
03“A:A02“13“A:A12“A:A Z Y  ∴ Y Z
A:A}x™A N ™AA:A ∴ }x N™A 점 #는 이 직선의 Y절편이므로 # , 
양변을 제곱하면 점 $는 이 직선과 직선 YZ 의 교점이므로 두 직선을
 연립하여 풀면 Y, Z ∴ $ , 
 N™A, N™A, N™AÅ ∴ N†

따라서 삼각형 "#$의 넓이는 Å@\  ^@

1342 ①
1344 ⑤
그림과 같이 점 "에서 Y축에 내린 수선 Z
( 삼각형 "#$에서 "-“#-“, "
의 발을 점 1, 점 $에서 Y축에 내린 수 % ' #•.“$•.“이므로 -•.“∥"$“ -  A  / B AC
선의 발을 점 2라 하면 " 
$
그림과 같이 두 직선 #/, -.의
(
△"1#f△#2$A 3)" 합동 1 # & 교점을 1라 하면 #
1
$
  0 2  Y .  A
"1“#2“, #1“$2“이므로
#/“⊥-•.“이므로 #/“⊥"$“
$ , 
이때 "/“$/“이므로 -1“.¬1“
% B, C 라 하면 선분 "$의 중점과 선분 #%의 중점은 같으므로
즉, 점 1가 -•.“의 중점이므로 점 1의 좌표는
     B  C  
[ , ][ , ]  
    [ , ], 즉 , 
 
 B C
, 이므로 B, C ∴ % ,  삼각형 "#$에서 #(“A:A(/“A:A, #1“/1“이므로
 
/1“  A:A /1“ A:A

직선 $&의 기울기는 Å이고 직선 $(와 직선 $&는 서
 /1“ /1“ ∴ /1“
로 수직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는 이다. 즉, }x B ™A C™A이므로 B ™A C™A UUA㉠
( D, E 라 하면 한편 -•.“⊥/1“이므로
E  C C
, ED ∴ ED @ ,  ∴ BC UUA㉡
D  B B
또한 $(“$&“}x  ™A  ™A`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x D ™A E ™A` C™A C™A, C™A ∴ C†
위의 식에 ED을 대입하면 }x D ™A D ™A` 그런데 무게중심 (가 제사분면에 있으므로 C
D ™A  D ™A,  D ™A ∴ D ™A C를 ㉡에 대입하면
이때 D이므로 D ∴ D B ∴ B
D를 ED에 대입하면 E ∴ BC@

232 정답과 풀이
1345 ② $%“}x  ™A  ™A이므로

Z Å@@&•)m“ ∴ &•)m“ UUA㉠
점 .을 원점, 직선 "#를 Y축으로 하는 


1
좌표평면에 직사각형 "#$%를 나타내면 % $ 직선 #$의 방정식은
&
. ,  , " ,  , # ,  ,  / 
Z \Y  ^ ∴ ZY 
$ ,  , % ,  , / ,   
" #
직선 ./의 방정식은  . 0  Y 점 &의 좌표를 [L, L ]@ L 라 하면

ZY UUA㉠
&)“m는 점 &[L, L ]와 직선 Y Z 사이의 거리이
& B, C 라 하면 #/“&/“이므로 점 #와 점 &는 직선 ./에 대
므로
하여 대칭이다.
\@L @[!L ]\ \Le\
C
점 # ,  과 점 & B, C 를 지나는 직선 #&의 기울기는 &)“m  UUA㉡
B }x™A ™A 
직선 #&와 직선 ./은 수직이므로
\Le\
C 
@, BC ∴ B C UUA㉡ ㉠, ㉡에서  , ]L]o
B  
B  C L†o ∴ L 또는 Lid
한편 #&“의 중점의 좌표는 [ , ]이고
 
이 점이 직선 ./ 위의 점이므로 ㉠에 대입하면 이때 L이므로 L ∴ &[, Ä]
C B 
@ , CB  ∴ BC UUA㉢ 이 점은 직선 %&, 즉 ZNY  위의 점이므로
 
    ÄN  ∴ Nz
㉡, ㉢을 연립하여 풀면 B , C ∴ &[ , ]
   
 즉, 직선 %&의 방정식은
이때 직선 &.의 기울기가 이므로 직선 &.의 방정식은

ZzY  ∴ YZ 

Z Y ∴ YZ
 따라서 B, C이므로
따라서 점 % ,  과 직선 &. 사이의 거리는 B C  
]@  @] 

}x™A  ™A 

1346 


직선 "$의 방정식은 Z \Y  ^
 
ZY  ∴ Y Z
% ,  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를 N이라 하면
직선 %&의 방정식은 ZNY 로 놓을 수 있다.
그림과 같이 두 점 # ,  , &에서 직선 Z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 )m라 하면
"$“}x   ™A  ™A이고 % )„
)m
#•)„“은 점 # ,  와 직선 Y Z # 
 & $
사이의 거리이므로
 0  Y
]@  @] 
#•)„“ 
}x™A ™A 

∴ △"#$Å@@ 

직선 %&가 삼각형 "#$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Å@

Ⅳ. 도형의 방정식 233


채점 기준 배점
➊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 구하기 40%
ਗ੄ߑ੿ध ➋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할 때, S™A의 값 구하기 50%
➌ 원의 방정식 구하기 10%

 ઺ब੄ઝ಴о઱য૓ਗ੄ߑ੿ध 좌표평면 위의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⑴ Y™A Z™A ⑵ Y ™A Z  ™A 두 점 " Y„, Z„ , # Ym, Zm 에 대하여 선분 "#를 NA:AO N, O
으로 내분하는 점을 1, 외분하는 점을 2라 하면
NYm OY„ NZm OZ„ NYmOY„ NZmOZ„
1[ , ], 2[ , ]
⑴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의 방정식은 N O N O NO NO
Y™A Z™A
⑵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의 방정식은
Y ™A Z  ™A 1351 

원 Y ™A Z  ™A의 중심의 좌표는 , 


1347 ③ 이 원과 중심이 같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Y ™A Z  ™AS™A
원 Y ™A Z  ™A의 중심의 좌표는 , 
이 원이 점 ,  을 지나므로 S™A 
이 원과 중심이 같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즉, 원 Y ™A Z  ™A이 점 , B 를 지나므로
Y ™A Z  ™AS™A
 B  ™A, B  ™A
이 원이 점 ,  를 지나므로 S™A 
B † ∴ B 또는 B
따라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따라서 모든 B의 값의 곱은
LS™AL
 @  

1348  1352 Y ™A Z ™A

원 Y ™A Z  ™A의 중심의 좌표가 ,  이고 삼각형 "#$의 무게중심 (의 좌표는


원 Y  ™A Z ™A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 , ], 즉 ,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 "(“ā   ™A  ™A
Y ™A Z  ™A
따라서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의
이 원이 점 , B 를 지나므로
방정식은
 B  ™A, B  ™A ∴ B
Y ™A Z ™A
좌표평면 위의 삼각형의 무게중심

1349  세 점 " Y„, Z„ , # Ym, Zm , $ Yf, Zf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


의 무게중심을 (라 하면
Y™A Z™AY Z에서 Y ™A Z  ™A™A Y„ Ym Yf Z„ Zm Zf
([ , ]
따라서 원 Y™A Z™AY Z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그 넓이는  

L@™AL ∴ L

1350 Y ™A Z ™A  ઺ब੉૒ࢶਤী੓‫ח‬ਗ੄ߑ੿ध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즉 ,  1353 ③

………………………………………………………………………………… ➊ 원의 중심이 Z축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 C , 반지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Y ™A Z ™AS™A Y™A ZC ™AS™A
이 원이 점 " ,  을 지나므로 S™A  이 원이 두 점 ,  , ,  을 지나므로
………………………………………………………………………………… ➋  C™AS™A,  C ™AS™A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C, S™A
Y ™A Z ™A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 ➌ Y™A Z  ™A

234 정답과 풀이
다른 풀이
1358 
원의 중심이 Z축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을 " , C 라 하고
Y™A Z™AYZ 에서
# ,  , $ ,  이라 하자.

1
Y ™A Z ™A
"#“"$“이므로 ā  ™A C ™Aā™A C ™A
직선 Y Z B이 이 원의 중심 ,  을 지나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B ∴ B
 C™AC C™A, C ∴ C
Y™A Z™A CYCZ 에서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ā  ™A ™A`

이므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Y C ™A [ZÄC] dC™A
Y™A Z  ™A
직선 Y Z이 이 원의 중심 [C, ÄC]를 지나므로
1354 
C C ∴ C
원의 중심이 Y축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B,  이라 하 ∴ BC
자. 또한 원의 넓이가 L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즉, 원의 방정식은 YB ™A Z™A 1359 
이 원이 점 ,  을 지나므로
원의 중심이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B ™A ™A, B™AB
B, B  ,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B  B  ∴ B 또는 B
YB ™A ZB ™AS™A
따라서 중심의 좌표는 ,  또는 ,  이므로
이 원이 두 점 ,  , ,  을 지나므로
=, > 또는 =, > ∴= >
B ™A B ™AS™A, B ™A B ™AS™A
1355 ㄱ, 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S™A
따라서 주어진 원의 방정식은
원의 중심이 Y축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B,  , 반지
Y ™A Z ™A
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 ➊
YB ™A Z™AS™A
위의 식에 Y을 대입하면
이 원이 두 점 ,  , ,  을 지나므로
 Z ™A, Z ™A
B ™A S™A, B ™A S™A
Z† ∴ Z 또는 Z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S™A
∴ " ,  , # ,  또는 " ,  , # , 
즉, 원의 방정식은 Y ™A Z™A
………………………………………………………………………………… ➋
ㄱ.  ™A ™A이므로 점 ,  을 지난다.
∴ "#“]  ]
ㄴ. 원의 중심은 ,  이다. ………………………………………………………………………………… ➌
ㄷ. 넓이는 L@L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➊ 원의 방정식 구하기 60%

1356 ④ ➋ 두 점 ", #의 좌표 각각 구하기 30%


➌ 선분 "#의 길이 구하기 10%
원의 중심이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B, B ,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YB ™A Z B  ™AS™A
이 원이 두 점 ,  , ,  을 지나므로
B ™A B™AS™A, B ™A B  ™AS™A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S™A  ‫੼ف‬ਸ૑ܴ੄ন՘੼ਵ‫۽‬ೞ‫ח‬ਗ੄ߑ੿ध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1357 Y ™A Z ™A 1360 ④

원의 중심의 좌표는 선분 "#의 중점의 좌표와 같으므로


원의 중심이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B, B
   
라 하면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의 방정식은 [ , ], 즉 , 
 
YB ™A ZB ™A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 원이 원점을 지나므로
Å"#“Åā\  ^™A  ™A`
B™A B™A, B™A ∴ B†
그런데 원의 중심은 제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Y  ™A Z ™A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B, C, D
Y ™A Z ™A ∴B C D  

Ⅳ. 도형의 방정식 235


1361 ② 1364 ecL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 $의 좌표는 삼각형 "#$에서 내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에 의하여
@@ @@ "#“A:A"$“#%“A:A%$“
[ , ], 즉 , 
 
"#“ā  ™A  ™A
원의 중심의 좌표는 선분 #$의 중점의 좌표와 같으므로
"$“ā  ™A  ™A
  
[ , ], 즉 ,  이므로 #%“A:A%$“A:AA:A
 
즉, 점 %는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따라서 B, C이므로 B C  
@ @  @  @ 
%[ , ], 즉 %[, ]
   
두 점 ", %를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Å"%“Åm‡  ™A [] 
1362 Y ™A Z  ™A
따라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YZ에 Z을 대입하면 
L@[] ecL
Y ∴ Y
YZ에 Y을 대입하면
Z ∴ Z
∴ 1 ,  , 2 , 
………………………………………………………………………………… ➊  ਗ੄ߑ੿ध੉‫غ‬ӝਤೠઑѤ
두 점 1, 2를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즉 ,  1365 ⑤

………………………………………………………………………………… ➋ Y™A Z™A LYZ 에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Y L ™A Z ™AL™A
Å 12“Åā  ™A  ™A` 이 방정식이 원을 나타내려면
L™A, L  L 
………………………………………………………………………………… ➌
∴ L 또는 L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1366
Y ™A Z  ™A

………………………………………………………………………………… ➍
 
채점 기준 배점
① Y™A Z™A Y Z에서 [Y Å] [Z Å] Å
➊ 두 점 1, 2의 좌표 각각 구하기 30%

➋ 원의 중심의 좌표 구하기 30% ② Y™A Z™AY Z에서 [YÅ] Z  ™Ag
➌ 원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30% 
③ Y™A Z™AY Z 에서 Y ™A [Z Å] Ä
➍ 원의 방정식 구하기 10%

즉, Ä이므로 원이 아니다.

④ Y™A Z™A Y Z 에서 Y  ™A Z  ™A


⑤ Y™A Z™AY Z 에서 Y ™A Z  ™A
1363  따라서 원의 방정식이 아닌 것은 ③이다.

1367
  
변 #$의 중점을 %라 하면 %[ , ], 즉 % ,  ②
 
꼭짓점 "에서 변 #$에 그은 중선을 지름으로 하는 원의 중심의
Y™A Z™AY ZL 에서
좌표는
Y ™A Z  ™AL 
  
[ , ], 즉 ,  이 방정식이 원을 나타내려면
 
L  ∴ L UUA㉠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 원이 Z축과 만나지 않으려면 반지름의 길이가 보다 작아야 하
Å"%“Åā\  ^™A  ™A
므로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Y ™A Z ™A, 즉 ‚L 
Y™A Z™AYZ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B, C, D L  ∴ L UUA㉡
∴ BCD     ㉠, ㉡에서 L

236 정답과 풀이
따라서 B, C이므로
1371 
B C  
원의 중심을 1 B, C 라 하면 1"“1#“1$“

1
1"“1#“에서 1"“ ™A1#“ ™A이므로
1368  B™A C
 ™A B ™A C ™A ∴B C UUA㉠
™ ™
1"“1$“에서 1"“ A1$“ A이므로
Y™A Z™ALY LZ L™A L 에서
B™A C  ™A B ™A C  ™A ∴ B C UUA㉡
YL ™A Z L ™AL™AL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이 방정식이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L, L 이고 반지
즉, 원의 중심은 1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름의 길이가 āL™AL인 원이다.
1"“ā  ™A  ™A`
이때 이 원의 넓이가 L이므로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L™AL, L™AL
Y ™A Z™A
L  L  ∴ L 또는 L
이때 점 % L,  이 이 원 위의 점이므로
그런데 L이므로 L
L ™A , L ™A
L† ∴ L 또는 L

1369  그런데 L이므로 L

Y™A Z™AY B™AB에서


Y ™A Z™AB™A B 
………………………………………………………………………………… ➊
이 방정식이 원을 나타내므로
1372 

B™A B , B™AB 세 점 " ,  , # B,  , $ B,  을 지나 Z


"
B  B  ∴ B 는 원을 0라 하면 원 0는 그림과 같다.
0
………………………………………………………………………………… ➋ 이때 현 #$의 수직이등분선은 원 0의 중심
1
원의 넓이가 최대이려면 반지름의 길이가 최대이어야 한다. 을 지나므로 원 0의 중심을 1라 하면 $ #
1 , C C 라 할 수 있다. B 0 B Y
āB™A B ā B ™A 
이므로 B에서 B일 때 반지름의 길이는 최대이고, 원 0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1"“에서
그때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C ∴ C
………………………………………………………………………………… ➌ ∴ 1 , 
채점 기준 배점 1#“이므로 직각삼각형 10#에서

➊ 주어진 방정식을 YQ ™A ZR ™AS™A 꼴로 변형하기 20%


B™A ™A™A, B™A ∴ BA ∵ B

➋ 원의 방정식이 되기 위한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➌ 넓이가 최대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40%

1373 L

YZ UUA㉠
Y Z UUA㉡
YZ UUA㉢
 ࣁ੼ਸ૑ա‫ח‬ਗ੄ߑ੿ध 두 직선 ㉠, ㉡의 교점을 ", 두 직선 ㉡, ㉢의 교점을 #, 두 직선
㉠, ㉢의 교점을 $라 하면

1370 ⑤ " ,  , # ,  , $ , 


외접원의 중심을 1 B, C 라 하면 1"“1#“1$“
원의 중심을 1 Q, R 라 하면 1"“1#“1$“
1"“1#“에서 1"“ ™A1#“ ™A이므로
™
1"“1#“에서 1"“ A1#“ ™A이므로
B ™A C ™A B ™A C ™A
Q R™A Q ™A R™A, Q
 ™A ∴ Q
∴ BC UUA㉣
™
1#“1$“에서 1#“ A1$“ ™A이므로
1#“1$“에서 1#“ A1$“ ™A이므로
™
Q ™A R™A Q ™A R ™A
B ™A C ™A B  ™A C  ™A
Q R 
∴B C UUA㉤
위의 식에 Q을 대입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R  ∴ R 즉, 원의 중심은 1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1"“ā  ™A \  ^™A
∴Q R []Å
따라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L@™AL

Ⅳ. 도형의 방정식 237


Y™A Z™A BYZ C에서
 Y୷‫חژ‬Z୷ী੽ೞ‫ח‬ਗ੄ߑ੿ध

B B™A
[Y ] Z ™A C 
 
⑴ Y ™A Z  ™A ⑵ Y ™A Z  ™A
………………………………………………………………………………… ➋
이 원이 Z축에 접하므로
⑴ 원이 Y축에 접하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Z좌표의 절댓값
B™A B
인 이다. |Š C \ \
 
∴ Y ™A Z  ™A B™A B™A
양변을 제곱하면 C  ∴ C
⑵ 원이 Z축에 접하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Y좌표의 절댓값  
인 이다. C을 ㉠에 대입하면
∴ Y ™A Z  ™A B  ∴ B
………………………………………………………………………………… ➌
∴B C 
1374 ④ ………………………………………………………………………………… ➍

Y™A Z™A Y LZ 에서 채점 기준 배점

L L™A ➊ B, C에 대한 방정식 세우기 20%


Y  ™A [Z ] 
  ➋ 주어진 원의 방정식을 YQ ™A ZR ™AS™A 꼴로 변형하기 20%
L
원의 중심 [,  ]가 제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➌ B, C의 값 각각 구하기 50%

➍B C의 값 구하기 10%
L
  ∴ L

또한 원이 Z축에 접하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Y좌표의 절댓
값과 같다.

즉, |Š
L™A
]]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1378 ③

L™A 원의 중심의 좌표를 B, C 라 하면 Z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은
, L™A ∴ LA ∵ L
 YB ™A ZC ™AB™A
이 원이 두 점 ,  , ,  를 지나므로
B ™A C ™AB™A에서
1375 ② C™ABC  UUA㉠

원의 넓이가 L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B ™A C ™AB™A에서

이 원이 점 ,  에서 Y축에 접하고, 중심이 제사분면 위에 있으 C™ABC  UUA㉡

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또는 B, C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B]이므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Y ™A Z  ™A 각각 , 이다.


따라서 구하는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1376 Y ™A Z ™A

원의 중심이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B, B  이라 하자. 1379 L
원이 Y축에 접하므로 원의 방정식은
"#“]  ], #$“ā  ™A  ™A,
YB ™A ZB ™A B  ™A
$"“ā  A™  A™ 이므로 삼각형 "#$는 정삼각형이다.
이 원이 점 ,  를 지나므로
정삼각형의 내심은 무게중심과 일치하므로
B ™A B ™A B  ™A
삼각형 "#$의 내심의 좌표는
B  ™A ∴ B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 , ], 즉 [, ]
  
Y ™A Z ™A 그림과 같이 내접원이 Y축에 접하므로 Z
 $
내접원의 방정식은
   
1377  Y™A [Z

] [

]

  " #
원 Y™A Z™A BYZ C이 점 ,  을 지나므로 ∴ Y™A [Z ]   0  Y

 B C ∴ B C UUA㉠
따라서 구하는 내접원의 넓이는 L이다.
………………………………………………………………………………… ➊

238 정답과 풀이
 Y୷ Z୷ী‫ز‬दী੽ೞ‫ח‬ਗ੄ߑ੿ध 1384 L

그림과 같이 주어진 원의 중심은 곡선 Z


ZY™A
Y ™A Z  ™A

1
ZY™A와 직선 ZY 또는
직선 ZY의 교점이다.
Y축, Z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Y좌표 또는
Œ Y™AY에서 Y™AY 0 Y
Z좌표 의 절댓값인 이다.
Y  Y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 Y 또는 Y
Y ™A Z  ™A ZY ZY
즉, 곡선 ZY™A와 직선 ZY의 

교점의 좌표는
1380  ,  , , 
 Y™AY에서 Y™A Y
점 ,  을 지나고 Y축과 Z축에 동시에 접하려면 원의 중심이 제
Y  Y  ∴ Y 또는 Y
사분면 위에 있어야 하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중심의
즉, 곡선 ZY™A와 직선 ZY의 교점의 좌표는
좌표는 S, S 이다.
,  , , 
즉, 원의 방정식은
Œ,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원은 모두 개이고, 네 원의 중심의
YS ™A ZS ™AS™A
좌표는 각각 ,  , ,  , ,  , ,  이므로 반지
이 원이 점 ,  을 지나므로
름의 길이는 각각 , , , 이다.
S ™A S ™AS™A, S™AS 
따라서 구하는 모든 원의 넓이의 합은
S S  ∴ S 또는 S
L L L LL
따라서 두 원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  , ,  이므로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ā  ™A  ™A 좌표평면 위에서 Y축과 Z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은 직선 ZY 또
는 직선 ZY 위에 있다.

1381 ④

Y™A Z™AY BZ C에서


Y ™A Z B ™AB™AC   ਗ߆੄ೠ੼җਗਤ੄੼ࢎ੉੄Ѣܻ
이 원이 Y축, Z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B]āB™AC
]B]에서 BA ∵ B

1385 ②

āB™AC 에서 C  ∴ C Y™A Z™AY Z에서


∴ BC@ Y ™A Z  ™A
이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이다.
점 " ,  와 원의 중심 ,  사이의 거리는
1382 Y ™A Z  ™A
ā\  ^™A  ™A`
원의 중심이 제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하면 중심의 좌표는 S, S 이다. .` , N`
이때 원의 중심 S, S 가 직선 YZ 위에 있으므로 ∴ .N `  ` 
S S ∴ S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1386 ①
Y ™A Z  ™A
원 Y™A Z™A의 중심의 좌표는 ,  이므로 점 " ,  과 원의
중심 ,  사이의 거리는

1383  ā™A ™A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선분 "1의 길이의 최솟값은
반지름의 길이가 B이므로 B

즉, 주어진 원이 지나는 점 B,  가 제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1387
주어진 원의 방정식은

YB ™A ZB ™AB™A
이 원이 점 B,  를 지나므로 원 Y™A Z™AS™A의 중심의 좌표는 ,  이므로 점 ,  과 원의
BB ™A B ™AB™A, B ™A 중심 ,  사이의 거리는
∴ B ā  ™A ™A

Ⅳ. 도형의 방정식 239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S이므로 점 ,  에서 원에 이르는
 ੗ஂ੄ߑ੿ध
거리의 최댓값은  S이다.
따라서  S이므로 S
1390 L

Y™A Z™A YZ에서


Y  ™A Z ™A
1388  이 원 위의 점 1의 좌표를 B, C 라 하면

Y™A Z™A YZ 에서 B  ™A C ™A UUA㉠

Y  ™A Z ™A 이때 선분 "1의 중점의 좌표를 Y, Z 라 하면

Y™A Z™AY Z 에서  B  C


Y , Z
 
Y ™A Z  ™A
∴ BY, CZ  UUA㉡
두 원의 중심의 좌표는 각각 ,  , ,  이다.
㉡을 ㉠에 대입하면
………………………………………………………………………………… ➊
Y  ™A Z  ™A
이때 중심 사이의 거리는 

ā\  ^™A  ™A ∴ [YÅ] Z™A


………………………………………………………………………………… ➋
따라서 선분 "1의 중점의 자취는 중심의 좌표가 [Å, ]이고 반지
또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 이

므로 주어진 두 원 위의 점 사이의 거리의 
  름의 길이가 인 원이므로 구하는 자취의 길이는

최댓값은    

최솟값은  L@ L

………………………………………………………………………………… ➌
따라서 구하는 곱은    
………………………………………………………………………………… ➍

채점 기준 배점
➊ 두 원의 중심의 좌표 각각 구하기 20% 1391 ③
➋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 구하기 20%
1 =, > , ( Y, Z 라 하면
➌ 두 원 위의 점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과 최솟값 각각 구하기 40%
  =  >
➍ 최댓값과 최솟값의 곱 구하기 20% Y , Z
 
∴ = Y , > Z  UUA㉠
점 1 =, > 가 원 Y™A Z™A 위의 점이므로
=™A >™A UUA㉡

1389 ③ ㉠을 ㉡에 대입하면
 Y ™A  Z  ™A ∴ Y ™A Z  ™A
그림과 같이 원 Y™A Z™A 위의 점 1에 대하 "  A
따라서 B, C, D이므로
여 선분 "1의 길이가 최소인 점을 1„, 최대
B C D  
인 점을 1m라 하자.
원 Y™A Z™A의 중심의 좌표는 ,  이므로 1„
점 " ,  와 원의 중심 ,  사이의 거  A
리는 1m

1392
ā™A ™A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1„“ 1"“ ™A 1#“ ™A에서 Y™A Z™A Y™A Z ™A
"•1m“  Y™A Z™AZ ∴ Y™A Z ™A
∴ ƒ"1“ƒ ∴ ZY™AZ\ Z ™A^Z™AZ

이때 선분 "1의 길이가 정수가 되는 점 1를 찾아보면
[ZÅ] Å 단, ƒZƒ
Œ "1“, 일 때
이를 만족시키는 점 1는 각각 개이다. 즉, ZY™A은 Z일 때 최댓값 를 갖고, ZÅ 일 때 최솟값 Å
 "1“, , 일 때
을 갖는다.
이를 만족시키는 점 1는 각각 개이다.
따라서 구하는 합은
Œ, 에서 구하는 점 1의 개수는
 [Å]
@ @

240 정답과 풀이
1393 ④ 채점 기준 배점
➊ 점 1의 자취의 방정식 구하기 50%
직각삼각형 0"1에서 0"“ ™A01“ ™A "1“ ™
➋ 삼각형 1"#의 넓이의 최댓값 구하기 50%

1
점 1의 좌표를 Y, Z 라 하면
™AY™A Z™A Y™A Z ™ , Y™A Z™AZ

1396
∴ Y™A Z ™A

이때 세 점 0, ", 1가 삼각형을 이루려면 세 점이 한 직선 위에 있
지 않아야 한다. 점 1의 좌표를 Y, Z 라 하면 "1“ : #1“A:A이므로
즉, Y 이어야 하므로 점 1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은 ™
"1“#1“, "1“ A#1“ ™
Y™A Z ™AA 단, Y  \ Y  ™A Z ™A^ Y ™A Z ™
다른 풀이 Y™A Z™A YZ 
∠01"±이므로 점 1 Y, Z 는 0"“를 지름으로 하는 원 위의 ∴ Y  ™A Z ™A
점이다. 따라서 점 1는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위를 움직인다.
0"“의 중점의 좌표는 ,  이고 Å 0"“이므로 점 1가 나타내
이때 ∠1#"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Z
는 도형의 방정식은 1
것은 그림과 같이 선분 #1가 원에 접
Y™A Z ™AA 단, Y  "
할 때이므로 원의 중심을 $라 하면 직 $

#
각삼각형 1$#에서   0  Y

#1“ā™A™A

 ੗ஂ੄ߑ੿ध m ইಫ‫פ۽‬য়झ੄ਗ

1394 ④  ‫ف‬ਗ੄ਤ஖ҙ҅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을 1 Y, Z 라 하면


"1“ : #1“A:A이므로 1397 ④
™
"1“#1“, "1“ A#1“ ™
두 원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  , ,  이므로 중심 사이의
Y  ™A Z™A\Y™A Z ™A^ 거리는 ā™A ™A
Y™A Z™AYZ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 S이므로 두 원이 서로 다른 두 점
∴ Y ™A Z ™A 에서 만나려면
따라서 구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이다. ]S]S 
Œ ]S]에서 S ∴ S

1395
그런데 S이므로 S

 S 에서 S
점 1의 좌표를 Y, Z 라 하면 "1“ : #1“A:A이므로 Œ, 에서 S
"1“#1“, "1“ ™A#1“ ™ 따라서 자연수 S의 값은 , , , , 이므로 구하는 합은
\ Y  ™A Z™A^ Y ™A Z™     
Y™A Z™A Y ∴ Y  ™A Z™A
………………………………………………………………………………… ➊
따라서 점 1는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1398 

원 위를 움직인다. Y™A Z™AYBZ 에서 Y ™A ZB ™AB™


그림과 같이 점 1에서 Y축에 내린 Z
Y™A Z™A Y Z 에서 Y  ™A Z  ™A
1
수선의 발을 )라 하면 두 원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 B , ,  이므로 중심 사이
) " #
△1"#Å@"#“@1)“  0  Y 의 거리는
 
ā  ™A B ™AāB™A B 
이때 "#“이고 1)“의 길이의 최
또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B], 이므로 두 원이 외접하려면
댓값은 반지름의 길이 과 같으므로
āB™A B ]B] 
삼각형 1"#의 넓이의 최댓값은
양변을 제곱하면
Å@@ B™A B B™A ]B] 
………………………………………………………………………………… ➋ ∴ B]B]

Ⅳ. 도형의 방정식 241


Œ B일 때, B에서 B
 ‫ف‬ਗ੄Ү੼ਸ૑ա‫ח‬૒ࢶ੄ߑ੿ध
 By일 때, B에서 B
그런데 By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YZ
Œ, 에서 B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A Z™AYZ Y™A Z™AY Z  
∴ YZ

1399 
1401 ZÅY
주어진 두 원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  , ,  이므로 중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심 사이의 거리는
Y™A Z™A YZ Y™A Z™AY Z 
ā\  ^™A  ™A
………………………………………………………………………………… ➊ YZ  ∴ ZÅY Å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 SA ∵ S 이므로 두 원이 접하
따라서 기울기가 Å이고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려면
Œ 두 원이 내접할 때 ZÅ Y ∴ ZÅY

 ]S]에서 S† 기울기와 한 점이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


∴ S 또는 S
기울기가 N이고 점 Y„, Z„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그런데 S이므로 S
ZZ„N YY„
………………………………………………………………………………… ➋
 두 원이 외접할 때
 S에서 S
………………………………………………………………………………… ➌
1402 

Œ, 에서 모든 양수 S의 값의 합은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A Z™A Y Y™A Z™AY Z 
………………………………………………………………………………… ➍ ∴ YZ 
이 직선의 Y절편은 , Z절편은 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 ,  , # , 
➊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 구하기 30%
따라서 삼각형 0"#의 넓이는
➋ 두 원이 내접하도록 하는 S의 값 구하기 30%
➌ 두 원이 외접하도록 하는 S의 값 구하기 30% Å@@
➍ 모든 양수 S의 값의 합 구하기 10%

1403 ①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A Z™A BY Z Y™A Z™A Y BZ 

1400 ② ∴ B Y
이 직선이 점 ,  를 지나므로
B Z 

주어진 두 원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  , ,  이므로 중  B  B 


심 사이의 거리는 B ∴ B
ā  ™A  ™A

1404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 SA ∵ S는 자연수 이므로 두 원이

만나지 않으려면
Œ 한 원이 다른 원의 내부에 있을 때 Y B ™A Z™A에서 Y™A Z™A BY B™A
 ]S]에서 S 또는 S Y™A Z  ™A에서 Y™A Z™A Z
∴ S 또는 S 따라서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이때 Sƒ인 자연수 S는 , , 의 개이다. Y™A Z™A BY B™A Y™A Z™A Z 
 한 원이 다른 원의 외부에 있을 때 ∴ BYZ B™A 
 S에서 S ………………………………………………………………………………… ➊
이때 Sƒ인 자연수 S는 , , , U, 의 개이다. 이 직선이 직선 Y Z와 수직이므로
Œ, 에서 구하는 자연수 S의 개수는 B@  @ ∴ B
  ………………………………………………………………………………… ➋

242 정답과 풀이
그림과 같이 두 원 Y™A Z™A, Z
채점 기준 배점
➊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50% Y™A Z™A YZ 의 중심을 각각
0, 0, 두 원의 교점을 ", #라 하고 두 0 
➋ B의 값 구하기 50%

1
#
선분 00, "#의 교점을 $라 하자. $
두 직선이 수직일 조건  0 Y
두 원의 공통인 현의 방정식은 "
두 직선 BY CZ D, BY CY D이 수직이면 Y™A Z™A Y™A Z™A YZ  
BB CC ∴ YZ 
원 Y™A Z™A의 중심 0 ,  과 공통인 현 사이의 거리는
]]
0$“ 
1405
ā™A  ™A

원 Y™A Z™A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0“
원 Y ™A Z ™AS™A이 원 Y ™A Z ™A의 둘레를 직각삼각형 "0$에서
이등분하려면 두 원의 공통인 현이 원 Y ™A Z ™A의 지 "$“ā™A™A
름이어야 한다. 따라서 공통인 현의 길이는
Y ™A Z ™AS™A에서 Y™A Z™AYZ S™A "#“"$“
Y ™A Z ™A에서 Y™A Z™AYZ
두 원의 공통인 현의 방정식은
Y™A Z™AYZ S™A Y™A Z™AYZ  1408 ④
∴ Y Z S™A
Y™A Z™A에서 Y™A Z™A
이 직선이 원 Y A™ Z A™ 의 중심 ,  을 지나야 하므로
Y ™A Z™A에서 Y™A Z™AY
  S™A, S™A
두 원 0, 0의 공통인 현의 방정식은
∴ S`A ∵ S
Y™A Z™A Y™A Z™AY 
Y ∴ Y
원 0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Z
1406 [g ÅÅ] "0“ 0
"
0

두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은 공통인 현을 수직이등분하므로 선분 ∴ "#“"0“ 0


0  Y
"#의 중점은 두 원의 공통인 현과 두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의 이때 0 ,  , 0 ,  이므로

교점이다. 0•0“
#
두 원의 공통인 현의 방정식은 따라서 삼각형 0"#의 넓이는

Y™A Z™A Z Y™A Z™AYZ  Å@@


∴Y Z UUA㉠
Y™A Z™A Z에서 Y™A Z  ™A

1409
Y™A Z™AYZ에서 Y ™A Z ™A

두 원의 중심 ,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그림과 같이 두 원 Y™A Z™A, Z
Z  Y ∴ ZY UUA㉡ Y™A Z™A

YB ™A Z™A의 두 교점을 각각
"
㉠, ㉡을 연립하여 풀면 Yg, ZÅÅ ", #라 하면 선분 "#가 원
0 B Y
YB ™A Z™A의 지름일 때,
따라서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g, ÅÅ]이다. #
공통인 현의 길이가 최대가 된다. YB ™A Z™A
" B,  라 하면 점 "는 원
Y™A Z™A 위의 점이므로
B™A ™A, B™A ∴ BA ∵ B
다른 풀이

Y™A Z™A에서 Y™A Z™A


 ҕాੋഅ੄ӡ੉ YB ™A Z™A에서 Y™A Z™ABY B™A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407
Y™A Z™A Y™A Z™ABY B™A 

∴ BYB™A
Y™A Z™A에서 Y™A Z™A 이 직선이 원 YB ™A Z™A의 중심 B,  을 지날 때, 공통인
Y™A Z™A YZ 에서 현의 길이가 최대가 되므로
Y  ™A Z ™A B™AB™A, B™A ∴ BA ∵ B

Ⅳ. 도형의 방정식 243


1410  따라서 ", #, $이므로
" # $  
그림과 같이 Y™A Z™A Y Z, Z

Y™A Z™AYL의 중심을 각각 0,


0Ä, 두 원의 교점을 ", #라 하고 두 "


0

 Y
1412 gL
선분 00Ä, "#의 교점을 $라 하자.
$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Y™A Z™A Y Z에서
0 #
Y  ™A Z  ™A 
Y™A Z™AY Z  L Y™A Z™A A L  UUA㉠

∴ 0 ,  , 0•"“ 이라 하면 이 원이 점 ,  을 지나므로


L ∴ L
"#“이므로 "$“Å"#“
L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직각삼각형 0$"에서 
Y™A Z™AY Z ∴ [YÅ] Z  ™Ag
0•$“ā  ™A™A UUA㉠
두 원의 공통인 현의 방정식은 따라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gL이다.
Y™A Z™A Y Z Y™A Z™AYL 
∴ Y Z L
점 0 ,  와 공통인 현 사이의 거리는
] L] ] L]
1413 
0•$“  UUA㉡
ā™A ™A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 L] Y™A Z™AZ L Y™A Z™A BYZ  A L 
㉠, ㉡에서 

UUA㉠
] L],  L†
이라 하면 이 원이 점 ,  을 지나므로
∴ L 또는 L
 L ∴ L
따라서 모든 상수 L의 값의 합은
L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B  B™A 
Y™A Z™A BYZ  ∴ [Y ] Z ™A
 
………………………………………………………………………………… ➊
이 원의 넓이가 L이므로
 ‫ف‬ਗ੄Ү੼ਸ૑ա‫ח‬ਗ੄ߑ੿ध B™A 
, B™A ∴ BA ∵ B

Y™A Z™AY Z  ………………………………………………………………………………… ➋

채점 기준 배점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➊ 두 원의 교점과 점 ,  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 구하기 60%
Y™A Z™AY Z  L Y™A Z™AYZ  A L  이라 ➋ 양수 B의 값 구하기 40%
하면 이 원이 점 ,  을 지나므로

 L ∴ LÅ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1414 ④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Y™A Z™AY Z Å Y™A Z™AYZ  
Y™A Z™A Y L Y™A Z™AYZ A L  이라 하면
Y™A Z™AY zZ  L  Y™A L  Z™A L  YLZL
이때 L 이므로
∴ Y™A Z™AY Z 
L  L L
Y™A Z™A Y Z  UUA㉠
L  L  L 

1411  이 원의 중심이 Z축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Y좌표는 이다.


즉, ㉠의 Y의 계수가 이어야 하므로
Y  ™A Z™A에서 Y™A Z™A Y L 
, L  ∴ L
Y  ™A Z ™A에서 Y™A Z™A YZ  L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L를 ㉠에 대입하면

Y™A Z™A Y L Y™A Z™A YZ  A L  UUA㉠ ∴ Y™A
Y™A Z™AZe [Z] ec
이라 하면 이 원이 원점을 지나므로
 L ∴ L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구하는 원의 둘레의 길이는
L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L@eL
Y™A Z™A YZ

244 정답과 풀이

 ਗҗ૒ࢶ੄ਤ஖ҙ҅mࢲ‫੼فܲ׮۽‬ীࢲ݅զ‫ٸ‬ , āN™A 
āN™A 
양변을 제곱하면 N™A , N™A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1
∴ N` 또는 N`
다른 풀이
원의 중심 ,  과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 ZNY 을 Y™A Z  ™A에 대입하면
 Y™A NY  ™A ∴  N™A Y™A NY 
ā™A  ™A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고 이므로 원 Y™A Z™A와 직선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
YZ 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에서 만나므로
%
 N ™A  N™A 

1415  N™A ∴ N` 또는 N`

원의 중심 ,  과 직선 ZYL, 즉 YZL 사이의


거리는
] L]

]L] 1418 ②
ā™A  ™A `
원이 두 직선과 네 점에서 만나므로 원과 두 직선은 각각 서로 다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
두 점에서 만난다.
서 만나려면
]L] 원의 중심 B,  과 직선 Y Z 사이의 거리는
`, ]L] ]B] ]B]
` 
ā™A ™A 
L ∴ L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 Y Z이 서로
따라서 정수 L는 , , , U, 의 개이다.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다른 풀이
]B]
ZYL를 Y ™A Z  ™A에 대입하면 , ]B]

Y ™A YL  ™A B ∴ B UUA㉠
∴ Y™A L Y L™AL  원의 중심 B,  과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 ]B ] ]B ]

에서 만나야 하므로 }x™A  ™A 
%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 YZ 이 서로
 L ™A L™AL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L™A L , L™AL ]B ]
, ]B ]
L  L  ∴ L 
따라서 정수 L는 , , , U, 의 개이다. B  ∴ B UUA㉡
㉠, ㉡에서 B
따라서 정수 B는 , , , , , , 의 개이다.

1416 ③

원의 중심 ,  와 직선 Y Z  사이의 거리는


]  ]
g  അ੄ӡ੉
ā™A ™A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S이므로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Sg 1419 `

따라서 자연수 S의 최솟값은 이다. 그림과 같이 주어진 원의 중심을 $라 하면 Z ZY 


$ , 
$ #
점 $에서 직선 ZY , 즉 YZ  

1417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
N` 또는 N` 0  Y
] ] "
$)“ 
원의 중심 ,  과 직선 ZNY , 즉 NYZ  사이의 ā™A  ™A
거리는 원 Y  ™A Z ™A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 ]  "$“

āN™A  ™A āN™A  직각삼각형 $")에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x™A  ™A`
만나려면 ∴ "#“")“`

Ⅳ. 도형의 방정식 245


현의 성질 직각삼각형 $")에서

⑴ 원의 중심에서 현에 내린 수선은 그 현을 이등분한다. $"“}x™A  ™A


또한 원에서 현의 수직이등분선은 그 원의 중심을 지난다.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L이므로
⑵ 한 원에서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두 현의 길이는 같다. ‚L
또한 한 원에서 길이가 같은 두 현은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다. 양변을 제곱하면
L ∴ L

1420 ③
1423 ⑤
Y™A Z™AY Z에 Z을 대입하면
그림과 같이 주어진 원과 직선의 두 교점 Z
Y™AY, Y  Y 
을 ", #라 하면 두 점 ", #를 지나는 원
∴ Y 또는 Y
중에서 넓이가 최소인 것은 선분 "#를 $ 
따라서 주어진 원이 Y축과 만나는 두 점의 좌표는 ,  , #
지름으로 하는 원이다. 
,  이므로 구하는 현의 길이는 0 Y
주어진 원의 중심을 $라 하면 " )
]  ] YZ 
$ , 
점 $에서 직선 YZ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 ]
1421 `
$)“
ā™A  ™A


원 Y  ™A Z ™A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Y™A Z™AY Z에서
"$“
Y ™A Z  ™A
직각삼각형 $")에서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 ,  에서 Z
")“}x™A  ™A
직선 Y Z 에 내린 수선의 발 0 
" Y 따라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을 )라 하면  $
) L@™AL
] ]
$)“ 
ā™A ™A #
……………………………………………… ➊ Y Z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 1424 `


직각삼각형 $")에서
Y™A Z™AZ에서 Y™A Z ™A
")“ā™A™A` ∴ "#“")“`
$1“$2“이므로 삼각형 $12가 정삼각형이 되려면 12“이
………………………………………………………………………………… ➋
어야 한다.
따라서 삼각형 "#$의 넓이는 Z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에서 선분 12 NYZ
Å@`@`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1
………………………………………………………………………………… ➌ 1)“Å 12“ $
)
채점 기준 배점 직각삼각형 $1)에서 0 2 Y
➊ 원의 중심 $에서 직선 Y Z 에 내린 수선의 발까지의 

40% $)“m‡™A[]  UUA㉠
거리 구하기 
➋ 선분 "#의 길이 구하기 40% 점 $ ,  와 직선 NYZ 사이의 거리는
➌ 삼각형 "#$의 넓이 구하기 20% ]] 
$)“  UUA㉡
āN™A  ™A āN™A 
 
㉠, ㉡에서  , āN™A 
āN™A  
1422 ① 양변을 제곱하면
N™A , N™A ∴ N`A ∵ N
Y™A Z™AYZ L에서 Y ™A Z ™AL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을 $라 하면 Z
YZ 
$ ,  "
점 $에서 직선 YZ 에 내린 )

수선의 발을 )라 하면  $
#
0
")“Å"#“  Y  ਗҗ૒ࢶ੄ਤ஖ҙ҅m੽ೡ‫ٸ‬
] ]
$)“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x™A  ™A

246 정답과 풀이
원의 중심 ,  과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1427 ②
]]

ā™A  ™A Y축, Z축에 동시에 접하고 원의 중심이 제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1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 Y™A Z™A와 직선 YZ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의 중심의 좌표는 S, S 이다.
은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원의 중심 S, S 와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S S] ]S]

ā™A  ™A 
1425 ④ 이때 원과 직선이 접하므로
]S]
원의 중심 ,  와 직선 Y Z L 사이의 거리는 S, ]S]S

] L] ] L]
 S†S, S 또는 S
ā™A ™A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 S 또는 S
] L]
, ] L] 따라서 두 원 중 큰 원의 둘레의 길이는

L@L
 L† ∴ L 또는 L
그런데 L는 양수이므로 L
다른 풀이

Y Z L, 즉 YZL를 Y ™A Z  ™A에 대입 1428 Å


하면
원의 중심이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ZL ™A Z  ™A
B, B  이라 하면 원의 중심과 두 직선 YZ ,
∴ Z™A  L  Z L™A L
YZ 사이의 거리는 모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원과 직선이 접하므로
]B B  ] ]B B  ]
% 
\ L  ^™A L™A L  ā™A  ™A ā™A  ™A

]B]]B] ∴ B† B
L™AL, L  L 
Œ BB일 때
∴ L 또는 L
B ∴ B
그런데 L이므로 L
 B B 일 때
이를 만족시키는 B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Œ, 에서 B
즉,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이고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
p이므로 원의 방정식은
1426  ā™A  ™A
Y ™A Z ™Aet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LS™AL ∴ S`A ∵ S 따라서 B, C, Det이므로 BCD@@etÅ
………………………………………………………………………………… ➊
원의 중심 ,  와 직선 YZ L 사이의 거리는
]  L] ] L]
1429

ā™A  ™A ` 
………………………………………………………………………………… ➋
이때 원과 직선이 접하므로 원의 중심이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B, B
] L] 라 하면 원이 Y축과 Z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 L]
` ]B]이다.
 L† ∴ L† 점 B, B 와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 ➌ ]BB ] ]B ]

따라서 모든 실수 L의 값의 합은 ā™A  ™A 
    이때 원과 직선이 접하므로
………………………………………………………………………………… ➍ ]B ]
]B], ]B ]]B]

채점 기준 배점
양변을 제곱하면
➊ 원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10%
B  ™AB™A, B™A B
➋ 원의 중심과 직선 YZ L 사이의 거리 구하기 40% B  B  ∴ B 또는 B
➌ 실수 L의 값 구하기 40% 따라서 두 원의 중심 ", #의 좌표가 각각 ,  , ,  이므로
➍ 모든 실수 L의 값의 합 구하기 10% ™
"#“ A\  ^™A \  ^™A

Ⅳ. 도형의 방정식 247


1430 ③ 이때 △0"1f△0#1 3)4 합동 이므로

0"1#△0"1@[Å@`@]`
B, C는  또는  또는 이므로 B C이려면
B, C 또는 B, C
Œ B, C일 때
직선 Y ZL이 원 Y ™A Z™A에 접해야 하므로
]L]
`, ]L] 1433 ②
ā™A ™A
L† ∴ L 또는 L UUA㉠ Y™A Z™A YZ 에서
Y  ™A Z ™A  2
또한 직선 Y ZL이 원 Y  ™A Z  ™A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원의 중심을 $라 하면 $ , 
$  A 
]L] ∴ $1“ā\B  ^™A  ™A
`, ]L]
ā™A ™A āB™A B 
1 B A
L ∴ L UUA㉡ 접점을 2라 하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 ㉡에서 L $2“`
 B, C일 때 12“이므로 직각삼각형 $12에서
직선 Y ZL이 원 Y ™A Z™A과 서로 다른 두 점 B™A B ™A ` ™A, B™A B
에서 만나야 하므로 B  B  ∴ B 또는 B
]L] 그런데 B이므로 B
`, ]L]
ā™A ™A
L ∴ L UUA㉢
또한 직선 Y ZL이 원 Y  ™A Z  ™A에 접해

1434
야 하므로
`
]L]
`, ]L]
ā™A ™A 원의 중심을 $라 하면 $ , 
L† ∴ L 또는 L UUA㉣ ∴ 1$“ā\  ^™A  ™A` " $  A
㉢, ㉣에서 L ………………………………………………… ➊
Œ, 에서 모든 실수 L의 값의 합은 ±
이때 △$"1f△$#1 3)4 합동 이고
#
  ∠"1#±이므로 1  A

∠"1$Å∠"1#±

………………………………………………………………………………… ➋
따라서 직각삼각형 $"1에서

1"“` DPT ±`@ `

 ੽ࢶ੄ӡ੉
………………………………………………………………………………… ➌

1431
채점 기준 배점
`
➊ 원의 중심을 $라 하고 1$“의 길이 구하기 30%
Y™A Z™AY Z 에서 1  A 2 ➋ ∠"1$의 크기 구하기 30%
Y ™A Z  ™A ➌ 선분 1"의 길이 구하기 40%

원의 중심을 $라 하면 $ , 
$  A
∴ 1$“ā\  ^™A  ™A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2“
1435 
따라서 직각삼각형 1$2에서
12“}x™A  ™A` 원의 중심이 0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0  A  1
01“, 0"“ā™A  ™A

1432
3
① 직각삼각형 0"1에서 
2
"1“ā™A  ™A
원의 중심이 0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선분 0", 12의 교점을 3라 하면 "  A
0"“, 10“
0"“⊥12“이므로 삼각형 0"1의 넓이에서
직각삼각형 0"1에서
Å@"1“@01“Å@0"“@13“
1"“ā™A™A``

248 정답과 풀이
Å@@Å@@13“ ∴ 13“ 1438 

∴ 12“ 13“ 원 0의 중심 B, B 가 제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B

1
………………………………………………………………………………… ➊
원 0의 중심 B, B 와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BB ] ]B ]

ā™A  ™A 
………………………………………………………………………………… ➋
이때 원의 넓이가 L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고, 원과 직
선이 만나지 않으므로
 ਗҗ૒ࢶ੄ਤ஖ҙ҅m݅ա૑ঋਸ‫ٸ‬ ]B ]
, ]B ]

만나지 않는다.
B  또는 B 
∴ B 또는 B
원의 중심 ,  과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그런데 B이므로 B
]] ………………………………………………………………………………… ➌
`
ā™A  ™A
따라서 정수 B의 최댓값은 이다.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고 `이므로 원 Y™A Z™A과
………………………………………………………………………………… ➍
직선 YZ 은 서로 만나지 않는다.
채점 기준 배점
➊ B의 부호 구하기 10%
1436 ④ ➋ 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구하기 30%

원의 중심 ,  과 직선 ZN Y , 즉 NYZN 사이 ➌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50%

의 거리는 ➍ 정수 B의 최댓값 구하기 10%


]NN] ]N]

āN™A  ™A āN™A 

1439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N]
, ]N]ā N™A 
āN™A  두 점 ,  , ,  를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의 중심의
양변을 제곱하면 N™AN™A , N™A
좌표는
∴ N 또는 N
   
[ , ], 즉 , 
따라서 =, >이므로 >=    
다른 풀이 반지름의 길이는
ZN Y 를 Y ™A Z™A에 대입하면
Åā  ™A \  ^™A
Y ™A N™A Y ™A
원의 중심 ,  과 직선 Y Z L 사이의 거리는
∴  N™A Y™A N™A  Y N™A 
] L] ] L]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므로 
ā™A ™A 
%
\ N™A  ^™A  N™A N™A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 L]
N™A, N™A , ] L]

∴ N 또는 N
 L 또는  L
따라서 =, >이므로 >=  
∴ L 또는 L
따라서 자연수 L의 최솟값은 이다.

1437 L 또는 L

원의 중심 L,  과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ਗਤ੄੼җ૒ࢶࢎ੉੄Ѣܻ

]L ] ]L ]
1440

ā™A  ™A  ④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L ] Y™A Z™A Y Z에서 Y  ™A Z  ™A
, ]L ]
 원의 중심 ,  과 직선 Y Z 사이의 거리는
L  또는 L  ]]

∴ L 또는 L ā™A ™A

Ⅳ. 도형의 방정식 249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정삼각형 "#$의 넓이가 최대일 때의 높이는 , 최소일 때의
.  높이는 이므로 정삼각형 "#$의 넓이의 최솟값과 최댓값의 비는
N  ™AA:A  ™AA:A
∴. N  다른 풀이

높이가 인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B라 하면


 
B ∴ B
 

1441 ③ 이 정삼각형의 넓이는


    
B™A @[ ]
원의 중심 ,  과 직선 YZ L 사이의 거리는    
]L] ]L] 같은 방법으로 하면 높이가 인 정삼각형의 넓이는 이다.

ā™A  ™A  따라서 정삼각형 "#$의 넓이의 최솟값과 최댓값의 비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 위의 점 1와 직선 
A:AA:A
YZ L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이 이려면 
]L]
, ]L] ∴ LA ∵ L


 ਗ੄੽ࢶ੄ߑ੿धmӝ਎ӝо઱য૕‫ٸ‬

1442  ZY†`

Y™A Z™AY Z 에서 Y ™A Z  ™A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원의 중심 ,  과 직선 Y Z 사이의 거리는
ZY†@ā™A  ∴ ZY†`
]]
`
ā™A ™A
………………………………………………………………………………… ➊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 위의 점 1와 직선
1444 ZY†

Y Z 사이의 거리를 E라 하면 직선 Y Z, 즉 ZÅY 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ƒEƒ` `
이고, 원 Y™A Z™A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구하는 접선
∴ `ƒEƒ`
의 방정식은
………………………………………………………………………………… ➋
ZY†`@ā™A  ∴ ZY†
따라서 정수 E는 , , , , , 이고 각각의 거리에 해당하는
점 1가 개씩 있으므로 구하는 점 1의 개수는 이다.

1445
………………………………………………………………………………… ➌

채점 기준 배점
➊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 구하기 30% 직선 ZY 와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이고, 원 Y™A Z™A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➋ 점 1와 직선 사이의 거리의 범위 구하기 50%
ZY†ā™A  ∴ ZY†
➌ 점 1의 개수 구하기 20%
따라서 직선의 Z절편은 †이므로
L† ∴ L™A † ™A

1443 ③
1446 ④
원의 중심 0 ,  과 직선 ZY, 즉 YZ 사이의 거리는
접선의 방정식을 ZY L L는 상수 라 하면 원의 중심 , 
]]
 과 직선 ZY L, 즉 YZ L 사이의 거리는
ā™A  ™A
]  L] ] L]
그림과 같이 원 Y™A Z™A 위의 점 " Z "최대일 때 
Y™A Z™A "최소일 때 ā™A  ™A 
에서 직선 ZY에 내린 수선의 발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을 )라 하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0  Y
] L]
 ) , ] L]`
이므로 
")“의 길이의 최댓값    L†` ∴ L†`
ZY
 따라서 두 직선의 Z절편은 각각 `,  `이므로
")“의 길이의 최솟값  구하는 곱은
 `  ` 

250 정답과 풀이
1447  1449 ④

Y™A Z™AYZ 에서 Y ™A Z ™A 원 Y™A Z™A 위의 점 B, C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
기울기가 UBO ±, 즉 인 접선의 방정식을 ZY L L는 상수 B 
BY CZ ∴ Z Y
C C
라 하면 원의 중심 ,  와 직선 ZY L, 즉 YZ L
이 접선의 기울기가 이므로
사이의 거리는
] L] ] L] B
  ∴ BC UUA㉠
 C
}x  ™A  ™A 
………………………………………………………………………………… ➊ 점 B, C 는 원 Y™A Z™A 위의 점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B™A C™A UUA㉡


] L]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또는 B, C
, ] L]
 ∴ BC
 L† ∴ L 또는 L 
………………………………………………………………………………… ➋
따라서 1 ,  , 2 ,   또는 1 ,   , 1450 ⑤

2 ,  이므로 점 1가 제사분면에 있으므로 점 1의 좌표를


12“]     ] Y„, Z„ Y„, Z„ 이라 하자.
………………………………………………………………………………… ➌
원 Y™A Z™A 위의 점 1 Y„, Z„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채점 기준 배점 Y„Y Z„Z
➊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 구하기 40% 이 직선이 점 ,  을 지나므로
➋ L의 값 구하기 40%
Z„ ∴ Z„Å
➌ 선분 12의 길이 구하기 20%
점 1 Y„, Z„ 이 원 Y™A Z™A 위의 점이므로

Y„™A Z„™A, Y„™A [Å] 

1448   Y„™A




∴ Y„
A ∵ Y„

점 $와 직선 "#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 Z 


따라서 점 1의 Y좌표는 이다.
 
삼각형 "#$의 넓이가 최대이고, 이때는 #
$

그림과 같이 점 $에서의 접선이 직선 "#

1451
0   Y
와 평행할 때이다. 

 
직선 "#의 기울기는 이므  "
 원 Y™A Z™A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로 기울기가 인 접선의 방정식은 Y Z UUA㉠
ZY†ā™A  ∴ ZY† Y™A Z™A Y Z L에서
위의 그림에서 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ZY 이고 Y  ™A Z  ™AL UUA㉡
점 " ,  과 직선 ZY , 즉 YZ  사이 원 ㉡의 중심 ,  와 직선 ㉠ 사이의 거리는
의 거리는 ]]
`
] ] ] ] ā™A ™A
  
ā™A  ™A  원 ㉡의 반지름의 길이는 ‚L이고 직선 ㉠과 원 ㉡이 접하므로
이때 "#“ā™A \  ^™A이므로 삼각형 "#$의 넓이 `‚L
양변을 제곱하면
의 최댓값은 Å@@    
L ∴ L

1452 

Y™A Z™AY Z 에서 Y ™A Z  ™A


원의 중심 ,  와 점 ,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ਗ੄੽ࢶ੄ߑ੿धmਗਤ੄ೠ੼੉઱য૕‫ٸ‬  
Å

Y Z 즉,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Z   Y ∴ ZY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이 직선이 점 B,  을 지나므로
@Y @Z ∴Y Z B ∴ B

Ⅳ. 도형의 방정식 251


다른 풀이 Œ B, C일 때, CB@  
Y™A Z™AY Z 에서  B, C일 때, CB@
Y ™A Z  ™A Œ, 에서 CB의 최댓값은 이다.
원의 중심이 ,  이므로 원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Z  
1455 ①
∴ YZ
원 Y™A Z™A 위의 점 1 B, C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이 직선이 점 B,  을 지나므로
BY CZ
B  ∴ B
Y™A Z™AY 에서 Y ™A Z™A
이 원의 중심 ,  과 직선 BY CZ 사이의 거리는

1453
]B]
, 
āB™A C™A
Z 원 Y ™A Z™A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이 원과 직선이 서
원의 중심을 $ ,  라 하면 직선 "$의
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기울기는
]B]
   # , ]B]āB™A C™A
 āB™A C™A
  $
0  점 1 B, C 는 원 Y™A Z™A 위의 점이므로
즉, 점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Å 이므로  Y
 "  B™A C™A
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즉, ]B]이므로
B ∴ B UUA㉠
Z  Å Y
그런데 점 1 B, C 가 원 Y™A Z™A 위에 있으려면
∴ YZ UUA㉠ ƒBƒ UUA㉡
………………………………………………………………………………… ➊
㉠, ㉡에서 Bƒ

직선 #$의 기울기는 Å 따라서 정수 B는 의 개이다.

즉, 점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Z Y ∴ Y Z UUA㉡  ਗ੄੽ࢶ੄ߑ੿धmਗ߆੄ೠ੼੉઱য૕‫ٸ‬
………………………………………………………………………………… ➋
⑴ Y„Y Z„Z
㉠, ㉡을 연립하여 풀면 Y, Z
⑵ Y„, Z„ 또는 Y„, Z„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  이다.
⑶ Y Z, Y Z
………………………………………………………………………………… ➌

채점 기준 배점
⑵ 직선 Y„Y Z„Z가 점 ,  를 지나므로
➊ 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Z„ ∴ Z„
➋ 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점 Y„,  이 원 Y™A Z™A 위의 점이므로
➌ 두 접선이 만나는 점의 좌표 구하기 20% Y„™A ™A, Y„™A ∴ Y„†
∴ Y„, Z„ 또는 Y„, Z„
⑶ Œ Y„, Z„일 때

1454  Y Z


 Y„, Z„일 때
원 Y™A Z™A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Z
Y Z ∴ ZÅY z UUA㉠

점 B, C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456 f
B 
BY CZ ∴ Z Y UUA㉡
C C 접선의 기울기를 N이라 하면 기울기가 N이고 점 ,  을 지나는
두 직선 ㉠, ㉡이 서로 수직이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B ZN Y ∴ NYZN 
Å@[ ] ∴ BC UUA㉢
C
원의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점 B, C 는 원 Y™A Z™A 위의 점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B™A C™A UUA㉣ ]NN ] ]N ]
, 
㉢, ㉣을 연립하여 풀면 āN™A  ™A āN™A 
B, C 또는 B, C ]N ]āN™A 

252 정답과 풀이
양변을 제곱하면 양변을 제곱하면
N™A N N™A , N™A N N™A  B™A NBNBN™A 
N™A B N B™AB UUA㉠
N  N  ∴ N 또는 Nf

1
두 접선의 기울기의 합이 이므로 이차방정식 ㉠에서
따라서 두 접선의 기울기는 각각 , f이므로 구하는 곱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 B ∴ B
@ff 

1457 ③ 1460 

접선의 기울기를 N이라 하면 기울기가 N이고 점 , B 를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를 N이라 하면 기울기가 N이고 점 ,  를 지나
직선의 방정식은
는 직선의 방정식은
ZBN Y ∴ NYZN B
Z N Y ∴ NYZN
원의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NN B] ]N B]
]N] , 
, ]N]āN™A  āN™A  ™A āN™A 
āN™A  ™A
]N B]āN™A 
양변을 제곱하면
양변을 제곱하면
N™A N N™A , N™A N 
N™A B™A BN NBN™A 
N  N   ∴ N 또는 N
N™A B N B™AB UUA㉠
점 ,  에서 원 Y™A Z™A에 그은 두 접선의 방정식은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이다.
ZY , ZY
이차방정식 ㉠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두 접선이 각각 Z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B™AB
,  , ,  이므로 B, C 또는 B, C , B™AB 

∴B C B B  ∴ B 또는 B
따라서 모든 B의 값의 합은  

1458 ZY , ZY 

직선 M이 원 0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직선 M은 원 0의 중심


 ‫ف‬ਗী‫ز‬दী੽ೞ‫੄ࢶ੽ח‬ӡ੉

,  를 지난다.
직선 M의 기울기를 N이라 하면 직선 M의 방정식은 1461 `
ZN Y ∴ NYZ 
두원 Y  ™A Z  ™A, Z
원 0의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Y ™A Z  ™A의 중심을 각각 "
원 0와 직선 M이 접하려면 )
$, $이라 하면  
]] 0
$  # Y
, āN™A  $ ,  , $ , 
āN™A  ™A 
양변을 제곱하면 ∴ $•$“ $

N™A , N™A ∴ N† ā\  ^™A \  ^™A


따라서 직선 M의 방정식은 `
ZY , ZY  점 $에서 선분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
직각삼각형 $)$에서
1459  "#“$•)“}x ` ™A™A`

접선의 기울기를 N이라 하면 기울기가 N이고 점 , B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462 ①
ZBN Y ∴ NYZN B
두 원 Y™A Z™A, Y ™A Z™AS™A의 Z
Y™A Z™A YZ 에서 Y  ™A Z ™A
중심을 각각 0, 0이라 하면 
원의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
0 ,  , 0 ,  0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0   Y
]NN B] ]N B] ∴ 0•0“ 
,  #
āN™A  ™A āN™A  점 0에서 선분 0#의 연장선에 내 )
]N B]āN™A  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Ⅳ. 도형의 방정식 253


0•)“S  1465 
0)“"#“이므로 직각삼각형 0)0에서
원의 중심 B, C 가 직선 ZBY 위에 있으므로
0•)“}x™A  ™A
CB™A UUA㉠
따라서 S 이므로 S
원이 Y축에 접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C
C를 ㉠에 대입하면
B™A ∴ B†
1463 , `
∴ ]BC]
Y™A Z™AY Z에서
Y ™A Z  ™A 1466 , 

Y™A Z™AYZ 에서 원의 중심이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Y ™A Z ™A B, C 라 하면
두 원의 중심을 각각 1, 2라 하면 Z
) 2 CB UUA㉠

1 ,  , 2 ,  "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 12“ā  ™A \  ^™A #
YB ™A ZB  ™AS™A
0   Y
 이 원이 두 점 ,  , ,  을 지나므로
 1
점 2에서 선분 1"의 연장선에 내린 수 B ™A B  ™AS™A
선의 발을 )라 하면 ∴ B™AB S™A UUA㉡
1)“  B ™A B  ™AS™A
직각삼각형 12)에서 ∴ B™AB S™A UUA㉢
"#“)2“}x  ™A™A Z
㉡, ㉢을 연립하여 풀면 B, S™A
$
점 2에서 선분 1%에 내린 수선의 발을 B를 ㉠에 대입하면 C
 2
)이라 하면 %
따라서 구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이다.
0
)•1“ Y
) 
직각삼각형 2)1에서  1
1467 `
$%“2•)“}x  ™A™A`
직선 YZ, 즉 ZÅY=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고, 원 Y™A Z™A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ZY†ā  ™A  ∴ ZY†`
따라서 1 , ` , 2 , ` 또는 1 , ` ,
2 , ` 이므로
12“|` ` |`

1468 ③

점 ,  를 지나고 Y축, Z축에 동시에 접하려면 원의 중심이 제


사분면 위에 있어야 하므로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중심의 좌
표는 S, S 이다.
즉, 원의 방정식은 Y S ™A ZS ™AS™A
이 원이 점 ,  를 지나므로

1464 ⑤ 
S
S ™A
S 
S ™AS™A, S™AS
∴ S 또는 S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따라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Y ™A Z  ™AS™A  
∴ Y™A Z™AY Z S™A
이 식이 Y™A Z™A BY Z B과 일치하므로 1469 ③
B, S™AB ∴ B, S™A
원의 중심 ,  와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따라서 주어진 원의 방정식은

Y ™A Z  ™A 
 
⑤ Y, Z를 Y ™A Z  ™A에 대입하면
점 ,  에서의 접선은 위의 직선과 수직이므로 기울기가 Ä이다.
 ™A   ™A
즉, 점 ,  는 원 위의 점이다. 즉,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54 정답과 풀이
Q를 ㉠에 대입하면
ZÄ Y  ∴ ZÄY 
R ∴ R
따라서 그림에서 구하는 넓이는 Z
즉, 원의 중심은 1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1

Å@@ 1"“ā  ™A  ™A이므로 원의 방정식은
 A
Y ™A Z ™A, 즉 Y™A Z™AYZ
 따라서 B, C, D이므로
  0 Y
B C D   
다른 풀이

원 Y  A™ Z A™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Z 
∴ YZ  1473 
따라서 Y축, Z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  , ,  이므로
Z G Y BY CA B, C는 상수, B  라 하면
구하는 넓이는
원의 중심 ,  과 직선 BYZ C 사이의 거리는
Å@@ ]C] ]C]

āB™A  ™A āB™A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C]
1470 ② āB™A 
, ]C]āB™A 

양변을 제곱하면
Y™A Z™A  L  ZL™A L 에서
C™AB™A  ∴ B™AC™A
Y™A \Z L  ^™AL™AL
∴ G  G   B C B C
이 방정식이 반지름의 길이가  이하인 원을 나타내려면
B™A C™A B™AC™A 
āL™ALƒ ∴ L™ALƒ
다른 풀이
Œ L™AL에서 L L 
Z G Y BY CA B, C는 상수, B  라 하자.
∴ L 또는 LÄ ZBY C를 Y™A Z™A에 대입하면
 L™ALƒ에서 L™ALƒ Y™A BY C ™A
∴ B™A  Y™A BCY C™A
L  L ƒ ∴ ăLƒ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원과 직선이 접하므로
Œ, 에서 ăL 또는 ÄLƒ %
B™AC™A B™A  C™A  ∴ B™AC™A 

따라서 정수 L의 최솟값은 이다. ∴ G  G   B C B C
B™A C™A

1471 ③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1474 ④


Y™A Z™AYBZ  L Y™A Z™A Z A L  UUA㉠
두 원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  , ,  이므로 중심 사이의 거
이라 하면 이 원이 두 점 ,  , ,  을 지나므로
리는 이다.
BL, BL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S, 이므로 두 원이 만나려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L
Œ 두 원이 내접할 때
B, L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S]에서 S† ∴ S 또는 S
Y™A Z™AYZ ∴ Y ™A Z ™A
그런데 S이므로 S
따라서 구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이다.
 두 원이 외접할 때, S 에서 S
Œ, 에서 ƒSƒ

1472
따라서 자연수 S는 , , , U, 의 개이다.

다른 풀이

삼각형 "#$의 외심을 1 Q, R 라 하면 1"“1#“1$“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S, 이므로 두 원이 만나려면


™
1"“1#“에서 1"“ A1#“ ™A이므로 ]S]ƒƒS 
Q  ™A R ™A Q  ™A R™A Œ ]S]ƒ에서
∴ QR UUA㉠ ƒSƒ ∴ ƒSƒ
1#“1$“에서 1#“ ™A1$“ ™A이므로 그런데 S이므로 Sƒ
Q  ™A R™A Q ™A R™A  ƒS 에서 Sy
Q ∴ Q Œ, 에서 ƒSƒ

Ⅳ. 도형의 방정식 255


1475 ② 이므로 삼각형 1"$의 넓이에서

Z Å@"1“@"$“Å@1$“@")“
그림과 같이 두 원 Y™A Z™A,
Y ™A Z ™A의 중심을 각각 
Å@@`Å@@")“ ∴ ")“
"  0 
0, 0이라 하고, 두 원의 교점을 ", #,
$ 
선분 00, "#의 교점을 $라 하자. # ∴ "#“")“
Y

 0  
두 교점 ", #를 지나는 원의 넓이가 최
소가 되는 것은 선분 "#를 지름으로 할 
때이다.
Y™A Z™A에서 Y™A Z™A

1478
Y ™A Z ™A에서 Y™A Z™AYZ 

두 원의 공통인 현의 방정식은
Y™A Z™A Y™A Z™AYZ   두 원의 공통인 현의 중심은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과 두 원의
∴ Y Z 중심을 지나는 직선의 교점이다.
]]  Z
점 0 ,  과 공통인 현 사이의 거리는 0$“   Y™A Z™A
ā™A ™A 
ZY
직각삼각형 "0$에서
  ` 0 Y
"$“|Š™A[ ]  
 A
 
` Y™A Z™AY Z 
따라서 넓이가 최소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ZY
구하는 둘레의 길이는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L@ `L Y™A Z™A Y™A Z™AY Z  

YZ ∴ ZY UUA㉠

1476 L
원 Y™A
Y™A
Z™A의 중심의 좌표는 , 
Z™AY Z 에서
원 $가 Z축에 접하고 중심이 제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중심의 Y ™A Z  ™A
좌표를 B, C A B, C 라 하면 반지름의 길이는 B이다. 이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즉, 원의 방정식은 즉, 두 원의 중심 ,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B ™A ZC ™AB™A 
Z Y ∴ ZY UUA㉡
원 $와 Y축의 두 교점을 각각 ", # Z 
라 하면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YÄ, ZÄ
0 B Y
원의 중심을 $라 하고, 점 $에서
C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 따라서 BÄ, CÄ이므로 BCÄ[Ä]
Y Z 
")“Å"#“

직각삼각형 "$)에서
B™A  ™A C™A ∴ B™A C™A UUA㉠

1479
점 $ B, C 가 직선 Y Z  위에 있으므로
L
B C  UUA㉡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원 Y™A Z™A 위의 점 1의 좌표를 B, C 라 하면
따라서 원 $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구하는 원의 넓이는 B™A C™A UUA㉠
L@™AL 선분 "1를 A:A로 내분하는 점 2의 좌표를 Y, Z 라 하면
B  C
Y , Z
1477     

∴ BÄY, CÄZ UUA㉡
원의 중심을 $라 하면 $ ,  1  A
㉡을 ㉠에 대입하면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
  
1$“ā  ™A  ™A " [ÄY] [ÄZ]  ∴ [Y] Z™A
#
직각삼각형 1"$에서 )
$  A 따라서 점 2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 ]이고
1"“}x  ™A ` ™A
두 선분 "#, 1$의 교점을 )라 하면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므로 구하는 둘레의 길이는
$)“⊥"#“ L@L

256 정답과 풀이
1480 ② 1483 ②

점 1 B, C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Z ā B  ™A C ™A의 값은 원 Y™A Z™A 위의 점 1 B, C 와 점

1
BY CZ ,  사이의 거리와 같다.
  점 ,  와 원의 중심 ,  사이의 거리는
∴ "[ , ], #[, ] " 0 Y
B C
ā  ™A ™A
"#“이므로 직각삼각형 0"#에서 1 B AC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ā B  A™ C A™ 의 최댓값은
 
 
  #
|Š[ ] [ ] ,   
B C B™A C™A

∴ B™A C™AÅB™AC™A UUA㉠

1484
이때 점 1 B, C 는 원 Y™A Z™A 위의 점이므로

B™A C™A UUA㉡
㉡을 ㉠에 대입하면 ㈎에서 원 $A:AY™A Z™AYBZ B™A이 원점을 지나므로
ÅB™AC™A, B™AC™A ∴ BCA ∵ B, C B™A, B™A ∴ B 또는 B
Œ B일 때
Y™A Z™AY Z ∴ Y ™A Z  ™A

1481
 B일 때

Y™A Z™AYZ ∴ Y ™A Z ™A
원점과의 거리가 최대인 직선 M은 원점과 점 ,  를 지나는 직선 그림과 같이 B이면 원 $는 직선 Z

과 수직이다. Z와 만나지 않으므로 ㈏에서
B 
원점과 점 ,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직선 M의 기
즉, 원 $의 중심을 "라 하면 Y
0 
울기는 Ä이다. " ,  Z

따라서 직선 M의 방정식은 Œ

ZÄ Y ∴ Y Z Z


점 "에서 직선 Z에 내린 수선의
원의 중심 ,  와 직선 Y Z 사이의 거리는 발을 )라 하고 원 $와 직선 Z가 0
Y
] ] 만나는 두 점을 각각 1, 2라 하면 1 ) 2
e Z
ā™A ™A "1“`, ")“ "  A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점 1와 직선 M 사이의 거리의 최솟
직각삼각형 ")1에서 $
값 N은
1)“}x ` ™A™A
Ne ∴ N@ ∴ 12“1)“
다른 풀이

Y ™A Z  ™A에 Z를 대입하면

1482 ② Y ™A   ™A, Y ™A


∴ Y†
직선의 기울기를 N이라 하면 기울기가 N이고 점 , B 를 지나는 따라서 원 $와 직선 Z가 만나는 두 점의 좌표는 각각
직선의 방정식은 ,  ,  ,  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ZBN Y ∴ NYZN B |     |
Y™A Z™AY Z에서 Y ™A Z  ™A
원의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N N B]
,
]N  B]
 1485 ZY 
āN™A  ™A āNA™ 
]N  B]āN™A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양변을 제곱하면 Y™A Z™A Y Y™A Z™A Y Z 
N™A  B™ANBN BN™A  Y Z  ∴ ZÅY
N™A B  N B™A B UUA㉠
………………………………………………………………………………… ➊
두 접선의 기울기의 합이 Ä이므로 이차방정식 ㉠에서 이 직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기울기가 이고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B  Z  Y  ∴ ZY 
Ä, B  ∴ B
 ………………………………………………………………………………… ➋

Ⅳ. 도형의 방정식 257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B, C 이므로
➊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60% CB     
➋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에 수직이고 점 ,  을 지나 ………………………………………………………………………………… ➍
40%
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채점 기준 배점
➊ 두 점 ,  , ,  을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의 방정식
30%
구하기
20%
1486
➋ 원의 중심과 직선 Y ZL 사이의 거리 구하기
Y ™A Z  ™A
➌ 실수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➍ CB의 값 구하기 10%
@ @  @  @
[ , ], 즉 , 
   
선분 "#를 A:A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즉 , 
 
이때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즉 , 
 
………………………………………………………………………………… ➊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Åā\  ^™A  ™A 1488 ②

………………………………………………………………………………… ➋ Y™A Z™A YZ 에서 Y  ™A Z ™A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Y™A Z™AY Z 에서 Y ™A Z  ™A
Y ™A Z  ™A Y™A Z™ALY Z L™A에서 YL ™A Z  ™A
………………………………………………………………………………… ➌ 직선이 원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원의 중심을 지나야 하므로 세
채점 기준 배점 원의 중심 " ,  , # ,  , $ L,  은 한 직선 위에 있
➊ 원의 중심의 좌표 구하기 50% 어야 한다.
➋ 원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30% 세 점 ", #, $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직선 "#와 직선 "$의
➌ 원의 방정식 구하기 20% 기울기가 같아야 하므로
  
 , 
  L  L 
L  ∴ L

1487 

원의 중심의 좌표는 두 점 ,  , ,  의 중점의 좌표와 같으 1489 


므로
Y™A Z™ANY  N  Z N™A N에서
  
[ , ], 즉 ,  YN ™A Z N  ™AN™A N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 방정식이 원을 나타내려면
N™A N , N™AN
Åā  ™A  ™A
N  N  ∴ N
이때 두 점 ,  , ,  을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의 방 따라서 정수 N은 , , , , 의 개이다.
정식은
Y  ™A Z ™A
………………………………………………………………………………… ➊ 1490 
원의 중심 ,  와 직선 Y ZL 사이의 거리는
선분 "#의 중점을 .이라 하면 점 .의 좌표는
] L] ]L]
    
ā™A ™A ` [ , ], 즉 , 
 
………………………………………………………………………………… ➋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로 선분 12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의 중점도 .이다. ∴ 12“.¬1“
만나려면
점 . ,  와 원의 중심 0 ,  사이의 거리는
]L]
, ]L] 0•.“ā™A  ™A
`
L ∴ L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선분 .1의 길이의
………………………………………………………………………………… ➌ 최댓값은  , 최솟값은 

258 정답과 풀이
따라서 .@, N@이므로
Y™A Z™AY Z  Å Y™A Z™AY 
.N@
Y™A Z™AY Z  ∴ Y ™A Z  ™A

1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구하는 원의 둘레의 길이는
1491 ② L@L

p12는 그림과 같이 점 ,  에서 Z
Y ™A Z ™A
Y축에 접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의 일부이므로 p 12를 호로 
1494 
1
하는 원의 방정식은 2 ∠"1#∠"2#±이므로 두 점 1, 2는 선분 "#를 지름으로
Y ™A Z ™A  0   Y 하는 원 위에 있다.
이때 선분 12는 두 원 Y™A Z™A,  선분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선분 "#의 중점의
Y ™A Z ™A의 공통인 현이다. 좌표와 같으므로
Y™A Z™A에서 Y™A Z™A    
[ , ], 즉 , 
 
Y ™A Z ™A에서 Y™A Z™AYZ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직선 12의 방정식은
Y™A Z™A Y™A Z™AYZ   Å"#“Å}x\  ^™A \  ^™A
∴ Y Z 즉, 원의 방정식은 Y™A Z ™A이므로 ZY를
따라서 B, C, D이므로 Y™A Z ™A에 대입하면
B C D    Y™A Y ™A, Y™AY
Y Y  ∴ Y 또는 Y

1492
따라서 1 ,  , 2 ,  또는 1 ,  , 2 ,  이므로

Mā™A \  ^™A ∴ M™A
점 1가 제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반지름의 길이가 S이고 Y축, Z축
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은 제사분면 위에 있어야 한다.
즉, 원의 방정식은 1495 
Y S ™A ZS ™AS™A
점 1의 좌표를 Y, Z 라 하면
점 1 ,  이 이 원의 내부에 있으려면 원의 중심 S, S 와
"1“A:A#1“A:A이므로
점 1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짧아야 하므로
"1“ #1“, "1“ ™A #1“ ™A
ā\ S ^™A S ™AS
Y™A Z  ™A\ Y ™A Z™A^
양변을 제곱하면
Y™A Z™AYZ
 S ™A S ™AS™A, S™AS 
∴ Y ™A Z ™A UUA㉠
∴ S 
즉, 점 1는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이때 이므로 자연수 S의 값은
위를 움직인다.
, , , , , , 
Y Z Z
따라서 구하는 모든 자연수 S의 값의 합은 이때 직선 "#의 방정식은  이고
 
       원 ㉠의 중심 ,  가 이 직선 위의 점이 
# 
므로 직선 "#와 점 1 사이의 거리의 최댓 0  1 Y

1493
값은 원 ㉠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이때 "#“ā™A ™A이므로  "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삼각형 "#1의 넓이의 최댓값은


Y™A Z™AY Z  L Y™A Z™AY A L  UUA㉠ Å@@
이라 하자.
이 원이 Y축에 접하므로 이 접점의 좌표를 B,  이라 하면

1496
B™AB  L B™AB 

∴ L  B™A L  B  UUA㉡
이차방정식 ㉡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라 하면 점 1의 좌표를 B,  이라 하면 Z

% 직각삼각형 012에서 2

 L  ™A L   1
 B
12“ ™AB™A 0 Y

L™AL , L ™A ∴ LÅ Y™A Z™AY Z 에서 3


  "
Y ™A Z  ™A
$m
LÅ 을 ㉠에 대입하면
원 $m의 중심을 " ,  이라 하면

Ⅳ. 도형의 방정식 259


"1“ā B ™A ™AāB™AB  B C 
즉, , 이므로
B  C
직각삼각형 "13에서
B, C
13“ A™ B™AB ™A
따라서 :„ ,  , :m ,  이므로
B™AB 
:•„:m“ā\  ^™A \  ^™A
이때 12“13“에서 12“ ™A13“ ™A이므로
Œ 선분 )„)m의 길이가 최대일 때
B™AB™AB , B ∴ B
:•„:m“ 원 $„의 반지름의 길이 원 $m의 반지름의 길이
   
 선분 )„)m의 길이가 최소일 때
1497 ƒB :•„:m“ 원 $„의 반지름의 길이  원 $m의 반지름의 길이

Y™A Z™AYZB 에 Z을 대입하면
Œ, 에서 . , N
Y™AYB 
∴ .N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원이 Y축과 만나므로

  ™A B  y

 By ∴ By UUA㉠
Y™A Z™AYZB 에 Y을 대입하면
Z™AZB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m라 하면 원이 Z축과 만나지 않으므로
%m
  ™A B  

 B ∴ B UUA㉡
㉠, ㉡에서 ƒB

1498 `

원 Y™A Z™A 위의 점 1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Z
이 식에 Z을 대입하면

Y ∴ Yio

즉, 2[io, ]이므로

12“m‡<io  =  ™Aiz

이때 12“32“이므로 점 3의 좌표는

[io iz, ], 즉 [, ]


 `
13“m‡<  =  ™A

선분 2)는 선분 13를 수직이등분하므로
`
1)“Å 13“


1499 

두 원 $„, $m의 중심을 각각 9„, 9m라 하면


9„ ,  , 9m , 
두 점 9„, 9m에서 직선 M에 내린 Z M
)m
수선의 발을 각각  :m 
9„ 0 Y
:„ B, B , :m C, C 라 하면 1 2
두 직선 9„:„, 9m:m는 직선 M에 수 
:„ 9m
직이므로 기울기가 이다. )„

260 정답과 풀이
따라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  , 즉 ,  이
옮겨지는 점의 좌표는
‫ب‬ഋ੄੉‫ز‬  ,   , 즉 , 

1
………………………………………………………………………………… ➋

채점 기준 배점
 ੼੄ಣ೯੉‫ز‬
➊ B, C, N, O의 값 구하기 50%
⑴ ,  ⑵ ,  ➋ 점 B , C 가 옮겨지는 점의 좌표 구하기 50%

⑴ 점 ,  가 평행이동 Y, Z )Z Y , Z 에 의하여 옮겨지


는 점의 좌표는
 ,  , 즉 ,  1504 
⑵ 점 ,  이 평행이동 Y, Z )Z Y , Z 에 의하여 옮
점 ,  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Z축의 방향으로 O만큼 평행
겨지는 점의 좌표는
이동한 점의 좌표를 ,  이라 하면
 ,  , 즉 , 
 N,  O
∴ N, O
1500 ③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점 ,  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으로 C만큼 평행
따라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두 점 " B, C , # ,  가 " ,  ,
이동한 점의 좌표를 ,  라 하면
# D, E 로 옮겨지므로
 B,  C
B, C , D,  E
∴ B, C
∴ B, C, D, E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B C D E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  이 옮겨지는 점의 좌표는
,   , 즉 , 

1505 

1501 ④ 세 점 " ,  , # ,  , $ B,  를 꼭짓점으로 하는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점 ,  을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으로 C만큼 평행   
  B B 
[ , ], 즉 [ , ]
이동한 점의 좌표가 ,  이므로   
 B,  C B 
점[ , ]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C만

∴ B, C
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B C  
B  B
[ ,  C], 즉 [ ,  C]
 

1502
이 점이 △"#$의 무게중심 ,  와 일치하므로

B
,  C

점 B, C 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
∴ B, C
이동한 점의 좌표는 B , C , 즉 ,  이므로
∴B C 
B , C
∴ B, C
∴ CB  

 ੼੄ಣ೯੉‫੄ز‬ഝਊ

1503 , 

주어진 평행이동을 Y, Z )Z Y N, Z O 이라 하면
1506 

B N,  O,  N, C O 점 B, C 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
∴ B, C, N, O 이동한 점의 좌표는
………………………………………………………………………………… ➊ B, C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 Y™A Z™AY Z 에서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 ™A Z  ™A

Ⅳ. 도형의 방정식 261


이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이므로
B, C  ⑴ N O ™AN™A NO O™A에서
∴ B, C N™A O™A N O ™ANO
∴B C   ⑵ ]N O]y이므로
]N O]™A N O ™A

1507 ⑤

점 1의 좌표를 B, C 라 하면 점 1은 점 1를 Y축의 방향으로 만 1511 


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이므로
점 " ,  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점 #의 좌표는
1 B , C 
#  B, 
∴ 1•1“ā B B ™A C C ™A
점 #  B,  를 Z축의 방향으로 C만큼 평행이동한 점 $의 좌
ā™A ™A
표는
$  B,  C
세 점 ", #, $를 지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점 " ,  와
1508 ③ 원의 중심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ā\  ^™A  ™A
평행이동 Y, Z )Z Y , Z 에 의하여 점 ,  이 옮겨지
즉, 세 점 ", #, $를 지나는 원의 방정식은
는 점의 좌표는
Y ™A Z ™A UUA㉠
 ,  , 즉 , 
………………………………………………………………………………… ➊
이 점이 직선 ZNY  위의 점이므로
점 #  B,  는 원 ㉠ 위의 점이므로
N  ∴ N
 B ™A  ™A
B ™A, B†
∴ B 또는 B
1509 ⑤ 그런데 B이므로 B
………………………………………………………………………………… ➋
점 " ,  을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점 $  B,  C , 즉 $ ,  C 도 원 ㉠ 위의 점이므로
평행이동한 점을 "이라 하면
 ™A  C ™A
"  B,  , 즉 " B, 
C  ™A, C †
이때 원점 0로부터의 거리가 처음 거리의 배가 되었으므로
∴ C 또는 C
0•"“0"“, 즉 0•"“ ™A0"“ ™A에서
그런데 C이므로 C
B ™A  ™A@\  ™A ™A^
………………………………………………………………………………… ➌
B ™A, B†
∴ BC  
∴ B 또는 B
………………………………………………………………………………… ➍
그런데 B이므로 B
채점 기준 배점
➊ 세 점 ", #, $를 지나는 원의 방정식 구하기 30%
➋ B의 값 구하기 30%
1510  ➌ C의 값 구하기 30%

평행이동 Y, Z )Z Y B, Z C 에 의하여 점 " ,  가 옮겨지 ➍ BC의 값 구하기 10%

는 점 #의 좌표는
 B,  C
이때 "#“이므로
ā  B ™A  C ™A 1512 
양변을 제곱하면
△0"#은 정삼각형이고 △0"#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B™A C™A
△0"#도 정삼각형이다. Z #  A
또한 점 #와 직선 Y Z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0"“이므로
] B  C]
 0 "
ā™A ™A BÅ 0"“
C # B AC
∴ ]B C] 
C @
따라서 B™A C™A B C ™ABC에서 
0 B "  A Y
™ABC ∴ BC ∴ # , 

262 정답과 풀이
점 #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Z축의 방향으로 O만큼 평행이동한
1514 ②
점의 좌표는
직선 Y Z 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N,  O

1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이 점이 점 # ,  이므로
 Y Z  
 N,  O
∴ Y Z 
∴ N, O
이 직선이 Y Z B과 일치하므로
O
∴ 
N B
다른 풀이

정삼각형 0"#에서 0#“0"“이므로

1515
BADPTA±@Å


CATJOA±@  직선 YZ L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 # ,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정삼각형의 높이  Y  Z  L
∴ YZ L

한 변의 길이가 B인 정삼각형의 높이는 B이다. 이 직선이 점 ,  를 지나므로

  L ∴ L

1516 

직선 ZY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ZB YB 
 ‫ب‬ഋ੄ಣ೯੉‫ز‬m૒ࢶ
∴ ZYB
⑴Y Z  ⑵ YZ 이 직선이 ZY과 일치하므로
B ∴ B
⑴ 직선 Y Z 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Y Z  
∴Y Z  1517 ③
⑵ 직선 YZ 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직선 Y Z을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Y  Z   YB Z 
∴ YZ ∴Y ZB
따라서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Z

1513 ②
이므로
B  Y ZB
Å B  ™A, B  ™A
점 ,  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Z축의 방향으로 O만큼 평
행이동한 점의 좌표를 ,  이라 하면 B † ∴ B 또는 B
0 B  Y
 N,  O 그런데 B이므로 B

∴ N, O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1518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직선 Y Z이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옮겨지는 직선
의 방정식은 직선 ZBY C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Y  Z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Y Z  Z B Y C
이 직선이 직선 Y BZ C과 일치하므로 B, C ∴ ZBYB C
∴ BC ………………………………………………………………………………… ➊

Ⅳ. 도형의 방정식 263


이 직선이 직선 ZÅY 과 Z축 위에서 수직으로 만나므로 1521 ④

원 Y™A Z™A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ÅB, B C
Y ™A Z™A
∴ B, C
이 원이 점 , B 를 지나므로
………………………………………………………………………………… ➋
B™A ∴ BA ∵ B
∴ BC@
………………………………………………………………………………… ➌

채점 기준 배점

1522
➊ 직선 ZBY C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40% ⑤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➋ B, C의 값 구하기 50%
원 Y™A Z  ™A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➌ BC의 값 구하기 10%
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Y  ™A Z  ™A
Y  ™A Z  ™A
∴ Y™A Z™A Y Z 
1519  따라서 B, C, D이므로
B C D  
직선 MA:AY Z 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B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 N의 방정식은
Y  ZB 
∴Y ZB
이때 두 직선 M과 N 사이의 거리는 이므로 직선 M 위의 점 1523 ④
,  과 직선 N 사이의 거리는 이다.
점 ,  을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으로 C만큼 평행
]B]
즉, 이므로 이동한 점의 좌표를 ,  이라 하면
ā™A ™A
]B], B †  B,  C
∴ B 또는 B ∴ B, C
그런데 B이므로 B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A Z™AY Z 에서
Y ™A Z  ™A
이 원이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옮겨지는 원의 방정식은
 ‫ب‬ഋ੄ಣ೯੉‫ز‬mਗ
Y  ™A Z  ™A
⑴ Y  ™A Z ™A ∴ Y ™A Z ™A
⑵ Y  ™A Z  ™A 따라서 구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이다.

⑵ 원 Y ™A Z  ™A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


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1524
Y  ™A Z  ™A

∴ Y  ™A Z  ™A
Y™A Z™AY Z 에서

1520
Y ™A Z  ™A

이 원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Y™A Z™A YZ 에서 원 $m의 방정식은
Y  ™A Z ™A Y ™A ZB  ™A
평행이동 Y, Z AZ Y B, Z C 에 의하여 이 원이 옮겨지는 원 ∴ Y ™A ZB  ™A
의 방정식은 두 원 $„, $m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  , , B 이므로
YB  ™A ZC ™A ā  ™A \B  ^™A`
이 원의 중심이 원점이므로 ā B™A`
B, C  양변을 제곱하면
∴ B, C  B™A, B™A
∴B C   ∴ BA ∵ B

264 정답과 풀이
1525  ⑴ 포물선 ZY™A Y 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
로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Y™A Z™ABYCZ에서
Z Y  ™A Y  

1
B  C  B™A C™A
[Y ] [Z ]   ∴ ZY™A Y 
   
⑵ 포물선 ZY™AY 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
이 원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원의 방정식은
Z Y  ™A Y  
B  C  B™A C™A
[Y ] [Z ]  
    ∴ ZY™AY 
이때 중심의 좌표가 ,  이므로

1527
B C
 ,   ⑤
 
∴ B, C
ZY™AY 에서
또한 반지름의 길이가 S이므로
Z Y ™A
B™A C™A  ™A ™A
S|Š |Š  이 포물선을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
   
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B C S  
ZB  YB ™A
∴ Z YB ™A B
이 포물선의 꼭짓점 B , B 가 Y축 위에 있으므로

1526
B ∴ B
`

Y™A Z™AY Z 에서


Y ™A Z  ™A
이 원을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으로 C만큼 평행이동한 1528 ②

원의 방정식은 ZY™A Y 에서


YB ™A ZC  ™A Z Y  ™A 
이 원이 원 Y™A Z™A와 일치하므로 이 포물선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
B , C 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 B, C Z  Y  ™A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 Z Y  ™A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구하는 꼭짓점의 좌표는 , 
………………………………………………………………………………… ➊ 다른 풀이
Y™A Z™AZ에서 ZY™A Y 에서
Y™A Z ™A Z Y  ™A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이 원이 옮겨지는 원의 방정식은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 
Y  ™A Z ™A 따라서 꼭짓점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 Y  ™A Z ™A 평행이동하면
………………………………………………………………………………… ➋
 ,  , 즉 , 
따라서 원의 중심 ,  과 원점 사이의 거리는
ā  ™A ™A`
………………………………………………………………………………… ➌

채점 기준 배점 1529 
➊ 주어진 평행이동 구하기 50%
ZY™AY 에서
➋ 원 Y™A Z™AZ이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옮겨진 원
30% Z Y ™A
의 방정식 구하기
이 포물선을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으로 C만큼 평행이
➌ 옮겨진 원의 중심과 원점 사이의 거리 구하기 20%
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ZC YB ™A
∴ Z YB ™A C
이 포물선이 포물선 ZY™A과 일치하므로
 ‫ب‬ഋ੄ಣ೯੉‫ز‬mನ‫ࢶޛ‬ B,  C
∴ B, C
⑴ ZY™A Y  ⑵ ZY™AY 
∴ BC

Ⅳ. 도형의 방정식 265


1530 ③ 1532 

ZY™AY에서 포물선 ZY™AY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으로 C만


Z Y  ™A  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이 포물선이 도형 G Y, Z 을 도형 G Y B, ZB 으로 옮 ZC YB ™A YB
기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옮겨지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 ZY™A B  Y B™A B C
ZB Y B  ™A  이 포물선이 ZY™AY 과 같으므로
∴ Z Y B  ™A  B  B  , B™A B C
이 포물선의 꼭짓점 B,  B 가 직선 ZY 위에 있으 ∴ B, C
므로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B B , B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B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MA:AYZ이 옮겨지는 직선 M의 방
정식은
Y  Z  
∴ YZ
두 직선 M, M 사이의 거리 E는 직선 M 위의 점 ,  과 직선 M 사
1531  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
점 ,  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Z축의 방향으로 O만큼 E 
ā™A  ™A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N,  O ∴ E™A
이 점이 원점이므로
 N,  O
∴ N, O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
 ‫ب‬ഋ੄ಣ೯੉‫੄ز‬ഝਊ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➊
ZY™A Y에서 1533 

Z Y  ™A 직선 ZY L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이 포물선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Z Y  L
Z Y  ™A ∴ YZ L 
∴ Z Y  ™A 이 직선이 원 Y™A Z™A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  과 직선 사
………………………………………………………………………………… ➋
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꼭짓점의 좌표는 ,  이므로 ]L ]
즉, `이므로
B, C ā™A  ™A
………………………………………………………………………………… ➌ ]L ], L †
∴ BC   ∴ L 또는 L
………………………………………………………………………………… ➍ 그런데 L이므로 L
채점 기준 배점
➊ 주어진 평행이동 구하기 30%
➋ 포물선 ZY™A Y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➌ B, C의 값 구하기 20% 1534 ②

➍ BC의 값 구하기 10% 직선 YZ 을 Z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
다른 풀이 정식은
ZY™A Y에서 Y ZB 
Z Y  ™A ∴ YZ B  UUA㉠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  세 직선의 기울기가 모두 다르므로 삼각형을 이루지 않으려면 직선
이 꼭짓점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 ㉠이 두 직선 Y Z, Y Z의 교점을 지나야 한다.
동한 점의 좌표는 Y Z, Y Z을 연립하여 풀면
 ,   , 즉 ,  Y, Z
따라서 B, C이므로 따라서 직선 ㉠이 점 ,  을 지나야 하므로
BC    B  ∴ B

266 정답과 풀이
이 원이 Y축과 Z축에 모두 접하고 그 중심은 제사분면 위에 있으
세 직선이 삼각형을 이루지 않으려면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거나 세 직 므로
선 중 두 개 이상이 평행해야 한다. B, C 

1
∴ B, C
………………………………………………………………………………… ➋
∴ BC

1535  ………………………………………………………………………………… ➌

채점 기준 배점
직선 ZY을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으로 B만큼
➊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원 Y  ™A Z ™A이 옮겨진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40%
원의 방정식 구하기
ZB YB  ➋ B, C의 값 구하기 50%
∴ ZYB ➌ BC의 값 구하기 10%
이 직선이 원 Y  ™A Z ™A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원의
중심 ,  를 지나야 하므로
B, B
∴ B
1539 Ä

포물선 ZY™A Y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으로 B

1536 
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Z B YB ™A  YB
직선 YZ L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 Z YB ™A  YB B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두 점 ", #가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 =, = , # >, > 라 하
Y  Z  L 면 =, >는 이차방정식
∴ YZ L YB ™A  YB BY, 즉 Y™A B Y B™AB의
이 직선과 직선 ZY 위의 점 ,  사이의 거리가 이 두 근이다.
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L] = >B UUA㉠
, ]L]
ā™A  ™A 이때 선분 "#의 중점이 원점이므로
L† ∴ L 또는 L
= >
따라서 모든 L의 값의 합은  ∴= > UUA㉡

 
㉠, ㉡에서 B ∴ BÄ

1537 ⑤

원 Y  ™A Z  ™A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  ੼੄‫؀‬ட੉‫ز‬


로 B만큼 평행이동한 원이 $이므로 원 $의 방정식은
⑴ ,  ⑵ ,  ⑶ , 
Y  ™A ZB  ™A
⑷ ,  ⑸ , 
∴ Y ™A ZB  ™A
원 $의 넓이가 직선 Y Z에 의하여 이등분되려면

1540
이 직선이 원 $의 중심 , B 를 지나야 하므로

  B 

B ∴ B 점 1 ,  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2 , 
점 2 ,  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3 , 

1538  따라서 그림에서 삼각형 123의 넓이는 Z



1
ZY

Å@@
평행이동 Y, Z )Z Y B, Z C 에 의하여
 2
원 Y  ™A Z ™A이 옮겨지는 원의 방정식은
YB  ™A ZC ™A 0   Y
 3
………………………………………………………………………………… ➊

Ⅳ. 도형의 방정식 267


1541 ④ 채점 기준 배점
➊ 세 점 ", #, $의 좌표 구하기 30%
점 ,  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➋ B, C 사이의 관계식 세우기 40%
1 , 
➌ 직선 12의 기울기 구하기 30%
점 ,  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2 , 
∴ 12“ā  ™A  ™A
``

1545 , 

점 "는 직선 ZY  위의 점이므 Z ZY 


ZY
1542 ① 로 점 "의 좌표를 B, B  B
라 하자.
B 
"

B #
점 , B 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점 "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 B
0 B B  Y
" B,  동한 점은 $ B
점 "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 B , B
B,  ∴ "#“ā B B ™A BB ™A
이 점이 , C 와 같으므로 점 #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B, C $ B, B
∴B C   ∴ "$“ā BB ™A BB ™A B 
이때 점 $는 직선 ZY  위의 점이고 ∠"±이므로 삼각형
"#$는 직각삼각형이다.
삼각형 "#$의 넓이가 이므로
1543 ③
Å@@ B  
점 B, C 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B  ∴ B
B, C 따라서 점 "의 좌표는 ,  이다.
이 점이 제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B, C ∴ B, C
두 점 ", #는 직선 ZY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므로 선분 "#는 직선
점 B C, BC 를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ZY와 수직이고, 두 직선 ZY, ZY 가 평행하므로 선분 "#는 직
BC, BC
선 ZY 와 수직이다.
이 점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B C, BC
이때 B C, BC이므로 점 B C, BC 는 제사분면 위
에 있다.

 ‫ب‬ഋ੄‫؀‬ட੉‫ز‬m૒ࢶ

⑴ YZ  ⑵ YZ

1544 Å ⑶ Y Z


⑸ Y Z
⑷Y Z 

점 1 ,  을 Y축,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각각


" ,  , # ,  ⑴ 직선 Y Z 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점 2 B, C 를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Y Z  ∴ YZ 
$ B, C ⑵ 직선 Y Z 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 ➊ Y Z  ∴ YZ
이때 세 점 ", #, $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⑶ 직선 Y Z 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C C
 , Å Y Z  ∴Y Z
 B  B 
⑷ 직선 Y Z 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
CB ∴ BC
정식은
………………………………………………………………………………… ➋
Z Y  ∴Y Z 
따라서 직선 12의 기울기는
⑸ 직선 Y Z 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C C C
  Å 방정식은
B C  C
………………………………………………………………………………… ➌ Z Y  ∴Y Z

268 정답과 풀이
1546 ④ 이 직선이 직선 B Y C Z과 일치하므로
CB, B C
직선 ZY 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 BC, B C

1
ZY  ∴ ZY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이 직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Å이므로 기울기가 Å 이고 점 B, C
………………………………………………………………………………… ➋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BC
ZÅ Y ∴ ZÅY ………………………………………………………………………………… ➌

채점 기준 배점
➊ 직선 BYCZ 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두 직선 ZNY O, ZNY O에 대하여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면 40%
방정식 구하기
NN이다.
➋ B, C의 값 구하기 50%
➌ BC의 값 구하기 10%

1547 ④

직선 YZ 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1551
방정식은

@ Z @ Y 
∴ YZ  직선 L  Y L  Z  L 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L  @ Z L  @ Y  L 
∴ L  Y L  Z L 

1548 ① 좌변을 L에 대하여 정리하면


Y Z L Y Z 
직선 ZBY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이 직선은 L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두 직선 Y Z,
ZBY ∴ ZBY  Y Z 의 교점을 지난다.
직선 ZBY 이 점 ,  를 지나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 , B Y, Z
∴ B 따라서 B, C이므로
BC

직선 BY CZ D L BY CZ D은 상수 L의 값에 관계없이 두


1549  직선 BY CZ D, BY CZ D의 교점의 좌표를 지난다.

직선 ZÅY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M„의 방

정식은

YÅZ ∴ ZY 

직선 M„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Mm의 방정식은


Z@ Y  ∴ ZY  ‫ب‬ഋ੄‫؀‬ட੉‫ز‬mਗ
따라서 직선 Mm의 Y절편은 이다.

1552 ⑤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S인 원의 방정식은

1550
Y  ™A Z ™AS™A

이 원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직선 BYCZ 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 Y  ™A Z ™AS™A
정식은 ∴ Y  ™A Z  ™AS™A
BZCY  ∴ CYBZ 이 원이 점 ,  을 지나므로
………………………………………………………………………………… ➊ S™A™A ™A ∴ SA ∵ S

Ⅳ. 도형의 방정식 269


1553  원 $„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m의 방정식은
Z ™A Y  ™A
Y™A Z™A YZ 에서
∴ Y  ™A Z ™A
Y  ™A Z ™A Z
그림과 같이 두 점 1, 2 사이의 최소 거
$m
이 원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리는 두 원 $„, $m의 중심 사이의 거리
Y  ™A Z ™A 
에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뺀 것과 2 0
∴ Y ™A Z ™A  Y
같다. 1
이 원의 중심 ,  가 원점을 지나는 직선 M 위에 있으므로 직선 M
두 원 $„, $m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
을 ZBYA B는 상수 라 하면
,  , ,  이고 각 원의 반지름
B ∴ B
의 길이가 이므로 두 점 1, 2 사이의 최소 거리는
따라서 구하는 직선 M의 기울기는 이다.
ā  ™A \  ^™A

1554 
1557 ④
Y™A Z™AY Z 에서
Y ™A Z  ™A 원 $A:A Y ™A Z ™A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

이 원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의 방정식은

Z ™A Y  ™A Y ™A Z ™A

∴ Y ™A Z  ™A ∴ Y ™A Z  ™A

직선 ZY L가 이 원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원의 중심 ,  원 $A:A Y ™A Z ™A를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m

을 지나야 하므로 의 방정식은

 L ∴ L Y ™A Z ™A


∴ Y  ™A Z ™A
원 $A:A Y ™A Z ™A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f
의 방정식은
1555  Y ™A Z ™A
∴ Y  ™A Z  ™A
Y™A Z™AY Z에서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그림에서 $m
Z
Y ™A Z  ™A $
색칠한 부분의 넓이와 같으므로 
이 원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L@™AL
Z ™A Y  ™A  0  Y
∴ Y  ™A Z ™A 
………………………………………………………………………………… ➊ $f $„

이 원이 Z축과 만나는 점의 Z좌표는


™A Z ™A, Z ™A
Z† ∴ Z 또는 Z
………………………………………………………………………………… ➋
 ‫ب‬ഋ੄‫؀‬ட੉‫ز‬mನ‫ࢶޛ‬
따라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 ➌ 1558 

채점 기준 배점 포물선 ZY™A BY C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


➊ 원 Y™A Z™AY Z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
40% 식은
한 원의 방정식 구하기
Z Y ™A B@ Y C
➋ 대칭이동한 원이 Z축과 만나는 점의 Z좌표 구하기 40%
ZY™A BYC
➌ 두 점 사이의 거리 구하기 20%
B  B™A
∴ Z[Y ] C
 
B B™A
이 포물선의 꼭짓점 [ , C]가 점 ,  과 일치하므로
 

1556 ③ B

,
B™A

C

원 $„A:AY™AY Z™A Z 에서 ∴ B, C


Y ™A Z  ™A ∴B C 

270 정답과 풀이
1559 ④ 1563 ③

포물선 ZY™AY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 ㄱ. YZ 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

1
식은 정식은
ZY™AY ∴ ZY™A Y  Z  Y 
이 포물선이 점 , B 를 지나므로 ∴ YZ 
B   ㄴ. Y ™A Z  ™A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Z ™A Y  ™A
1560 ③ ∴ Y ™A Z  ™A
ㄷ. ZY™A 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포물선 ZY™ABY 를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
Y Z ™A 
식은
∴ Z™AY
Z Y ™AB@ Y 
따라서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할 때, 처음 도형과 일치하
ZY™A BY 
는 것은 ㄱ, ㄴ이다.
∴ Z Y B ™A B™A
이 포물선의 꼭짓점 B, B™A 이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B™AB , B™AB
B  B  ∴ B 또는 B
 ‫؀‬ட੉‫੄ز‬ഝਊ
그런데 B이므로 B

1564 ②

1561 ①
직선 Y ZB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포물선 ZBY™A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 Y @ Z B
ZBY™A ∴ ZBY™A ∴ Y Z B
이 포물선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이 직선이 원 Y  ™A Z ™A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ZB@ Y ™A ∴ ZBY™A ,  와 직선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와 같다.
]  B]
이 포물선이 점 [, ]를 지나므로 즉, 이므로
ā™A ™A
]B ], B †
B ∴ B
∴ B 또는 B
따라서 모든 B의 값의 합은
 
1562 

포물선 ZY™AY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


식은 1565 

Z Y ™A@ Y  원 Y ™A Z  ™A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


∴ ZY™AY  의 방정식은
………………………………………………………………………………… ➊
Z ™A Y  ™A
이 포물선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 Y  ™A Z ™A
Z Y ™A@ Y  직선 YBZ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M의 방정식은
ZY™A Y  YB@ Z  ∴Y BZ
∴ Z Y ™A  직선 M이 원 $의 중심 ,  을 지나므로
………………………………………………………………………………… ➋
 B ∴ B
이 포물선의 꼭짓점 ,  가 직선 ZBY 위에 있으므로
B, B ∴ B
………………………………………………………………………………… ➌
1566 ⑤
채점 기준 배점

➊ 포물선 ZY™AY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 직선 MA:AZ Y B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N
40% 
정식 구하기
의 방정식은
➋ ➊의 포물선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➌ B의 값 구하기 20% Y @ Z B ∴ YZ B


Ⅳ. 도형의 방정식 271


직선 M 위의 점 , B 와 직선 N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Y  ™A Z ™A
]B B] Y ™A Z  ™A
, ]B]
ā™A  ™A Y ™A Z ™A
 Z
∴ B A ∵ B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와 같으므로

L@  ™A@  ™AL 
  Y
1567
 0
 


Y™A Z™AY Z 에서
Y ™A Z  ™A
이 원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1570
Y ™A Z  ™A
B
∴ Y  ™A Z  ™A
이 원이 직선 ZBY, 즉 BYZ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Y™A Z™AYZ 에서
,  와 직선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과 같다. Y ™A Z ™A
]B ] 이 원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즉, 이므로 ]B ]āB™A 
āB™A  ™A Y ™A Z ™A
양변을 제곱하면
∴ Y ™A Z  ™A
B™AB B™A  ………………………………………………………………………………… ➊
∴ B™AB 
이 원이 직선 ZÄYB, 즉 YZB과 서로 다른 두 점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B의 값의 합은
 에서 만나므로 원의 중심 ,  와 직선 YZB 사이
 

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보다 작아야 한다.
………………………………………………………………………………… ➋
] B]
즉, 이므로
1568  ā™A  ™A
]B], B
포물선 ZY™A Y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 ∴ B
정식은 ………………………………………………………………………………… ➌
Z Y ™A @ Y 
채점 기준 배점
∴ ZY™A Y 
➊ 원 Y™A Z™AYZ 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이 포물선이 직선 ZBY 과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40%
방정식 구하기
Y™A Y BY , 즉 Y™A B Y 의 판별식을 %라 하 
➋ ➊의 원이 직선 Z YB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조건 이
면 %이어야 한다.
 30%
해하기
즉, % B ™A이므로 B ™A
➌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B† ∴ B 또는 B
그런데 B이므로 B
포물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

포물선 ZBY™A CY DA B, C, D는 상수 B AN ZBY™A CY D


와 직선 ZNY OA N, O은 상수 의
%
위치 관계는 방정식
%
BY™A CN Y DO
의 판별식을 %라 할 때
%  ੼җ‫ب‬ഋ੄ಣ೯੉‫ز‬җ‫؀‬ட੉‫੄ز‬ഝਊ
⑴ %이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 ZNY O
난다.
⑵ %이면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1571 ①

⑶ %이면 만나지 않는다. 원 Y ™A Z  ™A을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Z축의 방향


으로 C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YB ™A ZC  ™A UUA㉠

1569
원 Y ™A Z  ™A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의 방정식은
원 Y  ™A Z  ™A를 Y축, Z축,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Z ™A Y  ™A
원의 방정식은 각각 ∴ Y  ™A Z ™A UUA㉡

272 정답과 풀이
㉠과 ㉡이 겹쳐지므로 채점 기준 배점
B, C  ➊ 원 Y ™A Z ™A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
30%
∴ B, C 동한 원의 방정식 구하기

1
∴ BC ➋ ➊의 원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 구하기 30%
➌ ➋의 원이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 구하기 30%
➍ 선분 12의 길이 구하기 10%

1572 ③

1575
점 1의 좌표를 B, C 라 하면 점 1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B, C  점 " ,  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이 점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1 , 
B, C 점 # , L 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은
이 점이 점 ,  과 일치하므로 2 , L
B, C 직선 #1의 기울기는
∴ B, C L L

 
따라서 점 1의 좌표는 ,  이다.
직선 12의 기울기는
L L

 
이때 직선 #1와 직선 12가 서로 수직이므로
1573  L
@[
L
], L L 
 
포물선 ZY™AY B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L™AL , L L 
방정식은
∴ L 또는 L
Z Y ™A@ Y B
따라서 모든 실수 L의 값의 곱은
∴ ZY™AYB 
@
이 포물선을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Z Y™AYB 
∴ ZY™AYB 
이 포물선이 Z축과 만나는 점의 Z좌표는 B 이므로
1576 ①
B  ∴ B
직선 ZÅY을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

정식은

1574 
ZÅ YB 

이 직선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M의 방정식은


원 Y ™A Z ™A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YÅ ZB 
Y  ™A Z ™A ∴ Y ZB 
∴ Y  ™A Z ™A 직선 M이 원 Y  ™A Z ™A와 접하므로 원의 중심
………………………………………………………………………………… ➊ ,  과 직선 M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와 같다.
이 원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 B ]
즉, 이므로
Z  ™A Y ™A ā™A ™A
∴ Y  ™A Z ™A ]B ], B†
………………………………………………………………………………… ➋ ∴ B 또는 B
이 원이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는 따라서 모든 B의 값의 합은
Y  ™A  ™A, Y  ™A  
Y † ∴ Y 또는 Y 다른 풀이

………………………………………………………………………………… ➌ 직선 M의 방정식 ZY B을 Y  ™A Z ™A에 대입


따라서 1 ,  , 2 ,  또는 1 ,  , 2 ,  이므로 하면
12“   Y  ™A Y B ™A
………………………………………………………………………………… ➍ ∴ Y™A  B Y B™AB 

Ⅳ. 도형의 방정식 273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ㄷ.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 하면 G Y, Z 
 B ™A B™AB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Y축의 방향으로 
B™AB , B B 
만큼 평행이동하면 G Y, Z 
∴ B 또는 B
즉, 이 방정식이 나타내는 도형은 [그림 ]와 같다.
따라서 모든 B의 값의 합은
ㄹ.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
 
칭이동하면 G Z, Y 
방정식 G Z, Y 이 나타내는 도형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G Z, Y 
즉, 이 방정식이 나타내는 도형은 그림 Z
 ‫ب‬ഋG Y Z ੄ಣ೯੉‫ز‬җ‫؀‬ட੉‫ز‬
과 같다. 

1577 ③ 0

  Y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G Y, Z  따라서 [그림 ]와 같은 도형을 나타내는 방정식인 것은 ㄱ, ㄷ이다.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G Y, Z 
따라서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은 주어진 도형
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
한 것이므로 ③이다.

 ੼ B C ী‫؀‬ೠ‫؀‬ட੉‫ز‬

1578
,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점 1의 좌표는 두 점 ,  , ,  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
G Y, Z  표와 같으므로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Y축의 방향으로 만   
[  , ], 즉 , 
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G Y , Z 
따라서 방정식 G Y , Z 이 나타내는 도형은 주어진 도형
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1580 ③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②이다. 점 B,  을 점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가
, C  이므로
B  C 
, 
 

1579 ③ ∴ B, C


∴B C 
ㄱ.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하면 G Y, Z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G Y , Z 
즉, 이 방정식이 나타내는 도형은 [그림 ]와 같다.
ㄴ.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1581
하면 G Y, Z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Y축의 방향으로 만
큼 평행이동하면 G Y, Z  점 " ,  를 점 1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 B, C
즉, 이 방정식이 나타내는 도형은 Z 라 하면
그림과 같다. 
 B  C
, 
  
0  Y
∴ B, C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  이다.

274 정답과 풀이
1582 ⑤ 1585 

직선 Y Z 위의 점 1 Y, Z 를 점 ,  에 대하여 대칭 포물선 ZY™A BY 위의 점 1 Y, Z 를 점 ,  에 대하여 대칭이

1
이동한 점을 1 Y, Z 이라 하면 동한 점을 1 Y, Z 이라 하면
Y Y Z Z Y Y Z Z
,  , 
   
∴ YY, ZZ ∴ YY, ZZ
이것을 Y Z에 대입하면 이것을 ZY™A BY에 대입하면
Y  Z  Z Y ™A B Y
∴ Y Z  ∴ Z Y ™A B  YB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즉, 포물선 ZY™A BY를 점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Y Z  방정식은
ZY™A B  YB 
이 포물선과 직선 ZY이 만나는 두 점이 원점에 대하여 대칭
이므로 이차방정식 Y™A B  YB Y, 즉
Y™A B  Y B의 두 실근의 합은 이다.
1583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A Z™AY 에서 B  ∴ B
Y ™A Z™A
원의 중심 ,  을 점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가
B, C 이므로


B
,
C

 1586 ③

∴ B, C
직선 YZ  위의 점 1 Y, Z 를 점 [Å, Ä]에 대하여 대
이때 대칭이동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S 칭이동한 점을 1 Y, Z 이라 하면
∴B C S   Y Y Z Z
Å, Ä
 
∴ YY, ZZ
이것을 YZ 에 대입하면
 Y  Z 

1584  ∴ YZ

ZY™A Y 에서 Z Y  ™A  즉, 직선 YZ 을 점 [Å, Ä]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선의 방정식은


,  YZ
………………………………………………………………………………… ➊ 이 직선과 원 Y™A Z™A의 중심 ,  사이의 거리는
ZY™AY에서 Z Y  ™A  ]]
`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ā™A  ™A
,  따라서 그림과 같이 원과 직선의 두 교점을 ", "
#라 하면 
………………………………………………………………………………… ➋ #
"#“@}x™A ` ™A 
이때 점 1 B, C 는 두 꼭짓점 ,  , ,  를 이은 선분의 0

중점이므로
   
B , C 
 
………………………………………………………………………………… ➌
∴ BC@
………………………………………………………………………………… ➍  ૒ࢶZNY Oী‫؀‬ೠ‫؀‬ட੉‫ز‬
채점 기준 배점
➊ 포물선 ZY™A Y 의 꼭짓점의 좌표 구하기 30% 1587 ⑤
➋ 포물선 ZY™AY의 꼭짓점의 좌표 구하기 30%
두 점 ,  , ,  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➌ B, C의 값 구하기 30%
   
➍ BC의 값 구하기 10% [ , ], 즉 , 
 

Ⅳ. 도형의 방정식 275


이 점이 직선 ZBY C 위의 점이므로 이 점이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B C UUA㉠  C  B
 
 
또한 두 점 ,  , ,  를 지나는 직선이 직선 ZBY C와 수
∴ BC UUA㉠
직이므로
또한 두 점 ,  , B, C 를 지나는 직선이 직선 ZY과 수

@B ∴ BÅ
 직이므로
C 
BÅ을 ㉠에 대입하면 @
B
 ∴B C UUA㉡
 C ∴ C

㉠, ㉡을 연립하여 풀면

∴ CB [Å] B, C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Y  ™A Z ™A

1588 ④

점 1 ,  를 직선 ZY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2 B, C 1591 


라 하면 두 점 1 ,  , 2 B, C 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원 Y™A Z™A의 중심 ,  과 원 Y ™A Z  ™A의 중심
 B  C
[ , ]
  ,  를 이은 선분의 중점 ,  가 직선 BYCZ
이 점이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위의 점이므로
 C  B B C UUA㉠
  ∴ BC UUA㉠
  ………………………………………………………………………………… ➊
또한 직선 12가 직선 ZY 과 수직이므로 또한 두 점 ,  , ,  를 지나는 직선이 직선
C BYCZ과 수직이므로
@ ∴B C UUA㉡
B
 B
㉠, ㉡을 연립하여 풀면 @  ∴ CB UUA㉡
 C
B, C ………………………………………………………………………………… ➋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  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 ➌

1589  ∴ BC@
………………………………………………………………………………… ➍
직선 M의 방정식을 ZBY C라 하면 선분 12의 중점
채점 기준 배점
   
[ , ], 즉 ,  가 직선 M 위의 점이므로
  ➊ 중점 조건을 이용하여 B와 C 사이의 관계식 구하기 30%
B C UUA㉠ ➋ 수직 조건을 이용하여 B와 C 사이의 관계식 구하기 30%
또한 직선 12가 직선 M과 수직이므로 ➌ B, C의 값 구하기 30%
 ➍ BC의 값 구하기 10%
@B ∴ B
 
B를 ㉠에 대입하면
 C ∴ C
이때 직선 M의 방정식은 ZY  1592 ⑤
따라서 직선 M의 Y절편은 , Z절편은 이므로 직선 M과 Y축, Z축으
원 $„A:AY™A Z ™A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넓이는
만큼 평행이동한 원 $m의 방정식은
Å@@ Y ™A Z  ™A
∴ Y ™A Z™A
이때 두 원 $„, $m의 두 교점 ", #를 지나는 직선 "#의 방정식은

1590
Y™A Z ™A\ Y ™A Z™A^

Y™A Z™AZ Y™AY Z™A 
원 Y ™A Z  ™A의 중심 ,  를 직선 ZY에 대 ∴ YZ 
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 C 라 하자. 점 ,  를 직선 YZ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를
두 점 ,  , B, C 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B, C 라 하면 두 점 ,  , B, C 의 중점의 좌표는
 B  C  B  C
[ , ] [ , ]
   

276 정답과 풀이
이 점이 직선 YZ  위의 점이므로 "1“ 12“ 2#“"•1“ 12“ 2•#“
 B  C y"•#“
@ 
 
ā\  ^™A  ™A

1
∴ BC UUA㉠

또한 두 점 ,  , B, C 를 지나는 직선이 직선 YZ 과
따라서 "1“ 12“ 2#“의 최솟값은 이다.
수직이므로
C
@Å
B
∴ B C UUA㉡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1596 

그림과 같이 점 # ,  을 Y축에 대하여 대 Z


"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 ]이다. 
칭이동한 점을 #이라 하면
# ,   #

이때 $#“$•#“이므로 0 $  Y
삼각형 "#$의 둘레의 길이  #
 ‫؀‬ட੉‫ز‬ਸ੉ਊೠࢶ࠙੄ӡ੉੄୭ࣟч
"$“ $#“ #"“
"$“ $•#“ #"“
1593 ⑤ y"•#“ #"“

Z ā  ™A  ™A ā  ™A  ™A


그림과 같이 점 " ,  를 직선 ZY에
 # ZY `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이라 하면
따라서 삼각형 "#$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 이므로
" , 
B, C 또는 B, C
이때 "1“"•1“이므로 1
 " ∴B C
"1“ #1“"•1“ #1“  "
y"•#“ Y
0  
ā  ™A  ™A

따라서 "1“ #1“의 최솟값은 이다.
1597 , , 

그림과 같이 점 # ,  를 Z축에 대하 Z

1594

# #
③ 여 대칭이동한 점을 #이라 하면
# , 
그림과 같이 점 " ,  를 Y축에 대하여 Z 1
…………………………………………………➊
"
대칭이동한 점을 "이라 하면  # " 
이때 #1“#•1“이므로
" ,    0  Y
"1“ #1“"1“ #•1“
이때 "1“"•1“이므로 0 1 Y
y"•#“
"1“ #1“"•1“ #1“
 " ā\  ^™A  ™A
y"•#“

ā™A \  ^™A
따라서 "1“ #1“의 최솟값은 이다.

………………………………………………………………………………… ➋
따라서 "1“ #1“의 최솟값은 이다.
이때 두 점 " ,  ,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Z Y  ∴ ZY 
 

1595
………………………………………………………………………………… ➌

따라서 "1“ #1“의 값이 최소일 때의 점 1의 좌표는 ,  이다.
그림과 같이 점 " ,  를 Z축에 대 Z ………………………………………………………………………………… ➍
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 점 # ,  
" " 채점 기준 배점
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 1  # ➊ 점 # ,  를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의 좌표 구하기 20%
이라 하면
 ➋ "1“ #1“의 최솟값 구하기 30%
" ,  , # ,  0  2  Y
➌ 두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30%
이때 "1“"•1“, #2“#•2“이므로  # ➍ "1“ #1“의 값이 최소일 때의 점 1의 좌표 구하기 20%

Ⅳ. 도형의 방정식 277


1598 ⑤ 1602 

그림과 같이 점 " ,  을 Y축에 대하여 대 Z 점 " ,  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칭이동한 점을 "이라 하면 # , 
" ,  " # 점 " ,  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이때 "$“"•$“이므로 0 $ Y $ , 
"$“ #$“"•$“ #$“y"•#“ M 따라서 그림에서 삼각형 "#$의 넓이는 Z
 " ZY
" 
직선 "#가 직선 M과 수직일 때 선분 "#의 길이는 최소가 된다.
Å@@
점 " ,  을 지나고 직선 MA:AZY 에 수직인 직선 "#
 
의 방정식은 0 Y
$

ZY
# 
이 직선의 방정식과 직선 MA:AZY 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풀면

YÄ, ZÅ

따라서 "$“ #$“의 값이 최소일 때, 점 #의 좌표는 [Ä, Å]이므로


1603 , 

BÄ, CÅ ZY™AY에서


Z Y  ™A 
∴ B™A C™A Å
이 포물선을 Y축의 방향으로 B 만큼, Z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ZB  YB  ™A 
∴ Z YB  ™A B
이 포물선의 꼭짓점 B, B 이 Y축 위에 있으므로
B ∴ B
따라서 꼭짓점의 좌표는 ,  이다.

1604 ②
1599 ③
ㄱ. ZY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점 ,  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 YZ ∴ ZY
이동한 점의 좌표는 ,   , 즉 ,  이므로 ㄴ. ZY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B, C
YZ ∴ ZÅY
∴B C 
ㄷ. Y™A Z™A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Z™A Y™A ∴ Y™A Z™A
1600 ① ㄹ. ZY™AY 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
식은 YZ™AZ 
직선 YZ 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따라서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할 때, 처음 도형과 일치하는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것은 ㄱ, ㄷ이다.
 Y  Z   ∴ YZ
이 직선의 Y절편은 , Z절편은 이므로 Y축, Z축에 의하여 잘리
는 선분은 두 점 ,  , ,  을 이은 선분이다.
따라서 이 선분의 길이는 1605 ⑤
ā  ™A  ™A
점 ,  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 

1601
점 ,  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

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직선 ZLY 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   , 즉 , 
평행이동시킨 직선의 방정식은 점 ,  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Z L Y  ∴ ZLYL , 
이 직선이 원 Y ™A Z ™A의 중심 ,  를 지나므로 따라서 B, C이므로
LL ∴ L B C 

278 정답과 풀이
1606  1610 ③

Y™A Z™A YZ 에서 직선 ZY 를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1
Y  ™A Z ™A ZY 
이 원의 중심 ,  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의 중심
이 직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Å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
은 ,  이다.
또한 원 $„의 중심 ,  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m의 을 ZÅY BA B는 상수 , 즉 YZ B이라 하면 이 직선과
중심은 ,  이다.
원점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따라서 B, C이므로 ]B]
B C `, ]B]
ā™A  ™A
B† ∴ B†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1607 ①
YZ 또는 YZ 
Y™A Z™AYZ 에서
Y A™ Z A™ 
이 원을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Y ™A Z ™A
1611 ④
∴ Y  ™A Z ™A
이 원이 직선 Y ZL과 만나려면 원의 중심 ,  과 직선 0"의 기울기는
직선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보다 작거나 같아야 하므로 


] L] ]L]
ƒ, ƒ 직선 0#의 기울기는
ā™A ™A 
]L]ƒ, ƒL ƒ  
 단, B 
B B
∴ ƒLƒ
㈎에 의하여 두 직선 0", 0#는 서로 수직이므로

@  ∴ B
1608
B

즉, 점 #의 좌표는 ,  이다.
ZY™A Y 에서 Z Y  ™A  ㈏에 의하여 두 점 #, $는 직선 ZY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므로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  C, D
ZY™A Y에서 Z Y ™A 즉, 점 $의 좌표는 ,  이다.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  이때 직선 "$의 방정식은
이때 점 1 B, C 는 두 꼭짓점 ,  , ,  을 이은 선분의 
Z Y

중점이므로

   ∴ ZY
B Å, C  
 

따라서 직선 "$의 Z절편은 이다.
∴ CB[Å] 

1609 ④

점 ,  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B만큼 1612 ②


평행이동하면 점 , B 로 옮겨진다.
원 $„A:AY™A Z™AY Z 에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원 Y™A Z™A YZ , 즉
Y ™A Z  ™A
Y  ™A Z ™A가 옮겨지는 원의 방정식은
원 $„을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m의 방정식은
Y  ™A ZB  ™A
Z ™A Y  ™A
∴ Y ™A ZB ™A
∴ Y  ™A Z ™A
이 원이 원 Y™A Z™ACY Z D, 즉 Z
그림과 같이 두 점 1, 2 사이의 거리
C  C™A $m 
[Y ] Z  ™A D와 일치하므로 의 최솟값은 두 원 $„, $m의 중심 사 2
 
이의 거리에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 
C C™A Y
 , B,  D  0
  를 뺀 것과 같다.
1
∴ B, C, D 두 원 $„, $m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
∴B C D   ,  , ,  이고 각 원의 반지

Ⅳ. 도형의 방정식 279


름의 길이가 이므로 두 점 1, 2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 YB ™A Z C ™A
ā  ™A \  ^™A ………………………………………………………………………………… ➊
이 원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Y B ™A Z C ™A
1613 ADN ………………………………………………………………………………… ➋

Z 이 원이 Y축과 Z축에 모두 접하므로


그림과 같이 왼쪽 벽면을 Z축, 아래쪽
 # ] B]]C]
벽면을 Y축으로 하여 주어진 조건을
2
 ∴ B, CA ∵ B, C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고 처음 개미의
" ………………………………………………………………………………… ➌
위치를 ", 움직인 후의 개미의 위치를  #
∴B C 
#라 하면 Y
0 1  ………………………………………………………………………………… ➍
" ,  , # ,   "
점 "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채점 기준 배점

을 "이라 하면 ➊ 원 YB ™A ZC ™A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


30%
정식 구하기
" , 
➋ ➊의 원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 구
점 #를 직선 Z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이라 하면 30%
하기
# ,  ➌ B, C의 값 구하기 30%
이때 개미가 Y축인 벽면을 거치는 지점을 1, 직선 Z인 벽면을 ➍ B C의 값 구하기 10%
거치는 지점을 2라 하면 "1“"•1“, #2“#•2“이므로
"1“ 12“ 2#“"•1“ 12“ 2•#“
y"•#“
ā  ™A \  ^™A
 DN
따라서 개미가 움직인 최단 거리는 ADN이다.
1616 

 B  C
선분 "$의 중점 [ , ]가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1614  

C



B


직선 YZ 을 Z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 BC UUA㉠


방정식은 또한 직선 "$가 직선 ZY과 수직이므로
Y ZB  C
@
B
∴ YZ B 
∴B C UUA㉡
………………………………………………………………………………… ➊
㉠, ㉡을 연립하여 풀면
이 직선이 원 Y™A Z™A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  과 직선 사이
B, C
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와 같다.
………………………………………………………………………………… ➊
………………………………………………………………………………… ➋
]B ]  D  E
선분 #%의 중점 [ , ]가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즉, 이므로  
ā™A  ™A
 E  D
]B ], B †  
 
∴ B 또는 B
∴ DE UUA㉢
그런데 B이므로 B
또한 직선 #%가 직선 ZY과 수직이므로
………………………………………………………………………………… ➌
E
@
채점 기준 배점 D
➊ 직선 YZ 을 Z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직선 ∴D E UUA㉣
40%
의 방정식 구하기 ㉢, ㉣을 연립하여 풀면
➋ ➊의 직선이 원 Y™A Z™A에 접할 조건 이해하기 20% D, E
➌ B의 값 구하기 40% ………………………………………………………………………………… ➋
∴ BCDE@  @  
………………………………………………………………………………… ➌

1615  채점 기준 배점

원 YB ™A ZC ™A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


➊ B, C의 값 구하기 40%

식은 ➋ D, E의 값 구하기 40%

YB ™A ZC ™A ➌ BCDE의 값 구하기 20%

280 정답과 풀이
1620 ④

점 3의 좌표를 B,  이라 하 Z
"

1
고 점 3를 Y축에 대하여 대칭 

1617 ① 이동한 점을 3이라 하면


 #
 3
3 B,  Z
점 1가 점 " ,  에서 출발하여 점 #에 이르기까지 이동한 점의 B
이때 13“1•3“, 32“3•2“이  1 2  Y
좌표는 0 
3
므로
,  )Z ,  )Z ,  )Z ,  )Z , 
"1“ 13“ 32“ 2#“"1“ 1•3“ 3•2“ 2#“
이때 점 ,  은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에 의하여 더 이상
y"•3“ 3•#“
이동하지 않는다.
즉, "1“ 13“ 32“ 2#“의 최솟값은 "•3“ 3•#“의 최솟값과 같
따라서 점 #의 좌표는 ,  이고 점 "에서 점 #에 이르기까지 이
다.
동한 횟수는 이다.
점 #를 Z에 대하여 대 Z
"
칭이동한 점을 #이라 하면 
 #
# , 

이때 3•#“3•#“이므로 3
"•3“ 3•#“  1 0  Y
Z

1618  "•3“ 3•#“


y"•#“
점 1 B,  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ā\  ^™A  ™A  #
2 B,  
두 점 1, 2를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각각 따라서 "1“ 13“ 32“ 2#“의 최솟값은 이다.
3 , B , 4 , B
이때 네 점 1, 2, 3, 4를 꼭짓점으로 하는 Z
ZY
B 3
사각형의 넓이가 이므로 4
 1
Å B  ™AÅ B ™A
 0  B Y 1621 
B ∴ B
 2 Y™A Z™AZ 에서
Y™A Z ™A
이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주사위를 던져 나온 눈의 수가 이면 의 약수가 아니므로 직선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다.
이때 중심 ,  는 점 ,  으로 이동한다.

1619  주사위를 던져 나온 눈의 수가 이면 의 약수이므로 Y축의 방향으


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다.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이때 중심 ,  은 점 ,   , 즉 점 ,  로 이동한다.
G Y, Z 
주사위를 던져 나온 눈의 수가 이면 의 약수가 아니므로 직선
방정식 G Y, Z 이 나타내는 도형을 Z축의 방향으로 만
ZY에 대하여 대칭이동한다.
큼 평행이동하면
이때 중심 ,  는 점 ,  로 이동한다.
G Y, Z 
즉, 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
따라서 방정식 G Y, Z 이 나타 Z
% 이가 이므로

내는 도형은 주어진 도형을 원점에 대하여
" Y ™A Z ™A
대칭이동한 후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  $
∴ Y™A Z™AYZ 
행이동한 것이므로 그림과 같다. # 따라서 ", #, $이므로
이 도형 위의 점과 원점 사이의 거리의 최댓 0   Y
" # $  
값은 원점과 점 $ 또는 점 % 사이의 거리이므로
.ā™A ™A
또한 최솟값은 원점과 직선 "# 사이의 거리이고 직선 "#의 방정
식은 Y Z이므로 1622 ④
]] 
N  두 원의 공통인 현의 방정식은
ā™A ™A 
Y™A Z™A Y™A Z™A YZ 
∴ .™A N™A @Å
∴ YZ  UUA㉠

Ⅳ. 도형의 방정식 281


$m : Y™A Z™A YZ에서 따라서 B, C, D이므로
Y  ™A Z ™A B C D  
원 $m의 중심 ,  을 두 원의 공통인 현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B, C 이므로 두 점 ,  , B, C 를 이은 선분의 중점
 B  C
1624
[ , ]는 직선 ㉠ 위의 점이다.
  
 B  C
즉,  이므로
  두 점 ", #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
BC UUA㉡ 행이동한 점이 각각 $, %이므로 직선 "$와 직선 #%의 기울기는
또한 두 점 ,  , B, C 를 지나는 직선은 직선 ㉠과 수직이므로
Ä 이다.
C
@
B  YZ에서
∴ BC UUA㉢
ZY
㉡, ㉢을 연립하여 풀면
이때 직선 "#와 직선 "$는 기울기의 곱이 이므로 서로 수직
B, C
∴B 이다.
C @
마찬가지로 직선 "#와 직선 #%는 서로 수직이다.
즉, 사각형 "#$%는 직사각형이다.
점 $는 점 "를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1623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ā™A  ™A
그림과 같이 두 삼각형 0"#, 0"#에 내접하는 원을 각각 $, 원점에서 직선 YZ에 내 Z YZ
$이라 하자. 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
Z ]] 0 Y
0)“ = )
# ā™A  ™A $„ #
$ $
원 $„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  A $
0"“ $m
%
S 0 "  A
직각삼각형 0)"에서
0 "  A Y
 
")“m‡™A[ ] 
원 $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 $는 Y축과 Z축에 동시에 접 
하고 제사분면에 중심이 있으므로 원 $의 중심의 좌표는 S, S 
∴ "#“")“
이다. 

즉, 원 $의 방정식은 따라서 그림과 같이 선분 "$, 선분 #%, "


YS ™A ZS ™AS™A 호 "# 및 호 $%로 둘러싸인 색칠된 부분

직선 "#의 방정식은 의 넓이는 직사각형 "#$%의 넓이와 같으 $„


# $
Y Z 므로 구하는 넓이는

   $m
%
"#“@"$“ @
∴ Y Z 

원 $가 직선 "#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S, S 와 직선 "#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S와 같다.
]S S]
즉, S이므로
ā™A ™A
]S]S, S†S
∴ S 또는 S
S이면 원 $가 삼각형 0"#에 내접하지 않으므로
S
즉, 원 $의 방정식은
Y ™A Z ™A
점 " ,  을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
이동하면 점 " ,  가 되므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원 $가 평
행이동한 원 $의 방정식은
Y ™A Z ™A
Y ™A Z ™A
∴ Y™A Z™AYZ 

282 정답과 풀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