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읽기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9

Fo

rei
gnLi
ter
atur
eSt
udi
e,26,2007년 5월
s

난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읽기: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성, 인종, 그리고 혁명*
1)

송 병선
단독, 울산대학교

〔국문요약〕

19
75년에 발표된 난시 모레혼 Nanc
y Mor
ejón의 시 「흑인 여인
Muj
ernegr
a」은 아프리카계 여성의 문화적․역사적 정체성을 탐구하
면서 동시에 쿠바라는 역사적․사회적․정치적 경계 속에서 쿠바 여인
으로서의 경험을 서술하는 작품이다.본 논문은 서정적 서사시라고 부
를 수 있는 이 시의 예술적 표현을 쿠바의 정치적․문화적 맥락 안에
서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흑인 여인의 정수를 반영하는 기호들을
명확하게 밝혀주고,모레혼의 작품에 나타난 미학적이고 문화적이고
정치적인 의미를 해석한다.
이런 해석을 통해 본 논문은 모레혼이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투쟁
을 통해 쿠바 혁명 정부가 주장하는 민족 투쟁의 연속성 속에서 역사
다시 쓰기를 강조하며,자유를 향한 적극적 참여자로 여성 노예의 역할
을 재평가한다는 것을 밝힌다.또한 모레혼이 과거에 목소리가 없던 사
람들에게 목소리를 줌으로써 카스트로 체제의 평등주의 윤리를 실천하
려고 노력하는 작품임을 지적한다.

〔텍스트 분석 /아프리카계 쿠바 문학 /난시 모레혼 /쿠바 혁명〕

* 이 논문은 2006년도 울산대학교 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68 외국문학연구 제2
6호

Ⅰ.아프리카계 쿠바인이며 여성이고 혁명 시인인 난시 모레혼

난시 모레혼Nanc
yMor
ejón은 흑인이며,여성이고,쿠바 혁명의 대표적인 시인이
다.이런 젠더적․인종적․문화적 주변성과 쿠바 혁명 질서 내에서의 중심성이 보여
주듯이,그녀는 니콜라스 기옌Ni
col
ásGui
ll
én으로 대표되는 스페인어권의 흑인주의
ne
gri
smo를 계승하고,거기에 우머니즘적1) 성향을 가미하여 쿠바의 사회․정치적
변동을 반영하면서,카리브 해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자리 잡는다.우리나라에서는 생
소하지만,이 아프리카계의 쿠바2)시인은 세 번째 시집인 『피리를 가져온 리처드와
또 다른 이야기들 Ri
char
dtr
ajos
ufl
aut
ayot
rosar
gument
os』(
196
7)를 출판한 후
미국과 유럽에 널리 알려진다.
20
01년도 쿠바 국가문학상 수상자인 난시 모레혼은 오늘날 가장 널리 알려진 흑
인 쿠바 여성시인이다.그녀는 아바나 대학에서 프랑스문학을 전공했고,또한 번역가
로서도 인정받고 있다.그녀는 1962
년에 『침묵 Mut
ismo』을 출판하기 시작하여
『사랑,이유의 도시 Amor
,ci
udadat
ribui
da』(
1964
), 『한 시대의 장소들 Par
ajes
deunaépoc
a』(
1979
),『불가피한 10월 Oc
tubr
eimpr
esc
indi
ble』(
1982)
,『춤의 찬
양 El
ogi
odel
adanza』(
198
2),『반들반들한 돌 Pi
edr
apul
ida』(
1986)
,『꿈을 위
한 발라드 Bal
adaspar
auns
ueño』(
1989)
,『유명한 풍경들 Pai
saj
esc
élebr
es』
(
1993)
,『칭찬과 풍경 El
ogi
oypai
saj
es』(
1997)
,『몰리노스 저택 LaQui
ntade
l
osMol
inos
』(2000)등의 작품을 발표한다.
많은 비평가들과 독자들은 난시 모레혼 시에 드러난 여러 가지 주제 중에서 특히
두 가지 면에 관심을 보인다.그 중의 하나는 아프리카계 여성으로서의 문화적․역사
적 정체성 탐구이고,다른 하나는 쿠바라는 지리적․역사적․사회적․정치적 경계 속
에서 쿠바인으로서의 경험을 살피는 것이다(
Gar
cíaChí
che
ste
r232
).가령 캐서린 데

1) 우머니즘 womanism은 퓰리처상 수상자인 미국의 작가 앨리스 워커 Alice Walker가 채택한


용어이다. 워커는 『어머니의 정원을 찾아서 In Search of Our Mother's Garden』(1983)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여 아프리카계 미국 여인들의 관점과 경험을 서술한다. 워커는 초기 페미
니즘 운동이 여성의 참정권과 같은 사회적 변화를 주장했던 백인 여성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 용어를 만들어낸다. 페미니즘 운동은 주로 성차별에 바탕을 두고 여
성이 받은 억압에 주로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대부분 백인 중산층의 운동이었던 이 페미니
즘 운동은 인종차별과 계급차별에 기초한 억압에는 눈을 돌리지 않았다. 워커는 이 용어를
통해 흑인 여성들이 백인 여성들이 받은 억압과 다른 종류의 억압을 경험했고 그 정도도 훨
씬 강도 높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2) 원래 아프리카계 쿠바여인은 쿠바의 물라토 여인을 지칭하지만, 여기서는 흑인 여인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난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읽기: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성,인종,그리고 혁명․송병선 69

이비스는 『라틴아메리카 문학 백과사전 Enc


ycl
opedi
aofLat
inAmer
ica
nLi
ter
atur
e』에서,모레혼은 “
시 속에 계급,인종,국가,그리고 젠더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서술
한다.
”(Davi
s566)
라고 지적한다.1
960
년대와 1
970
년대에 걸쳐 그녀의 시는 이런 점들
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면서 혁명 이전에 투사된 흑인 여성의 이미지를 쇄신하기 위해
투쟁한다.한편 196
0년대 말부터 ‘
파디야 사건’
을 비롯한 일련의 정치적․문화적 사건
으로 인해 쿠바 정부가 혁명의 목표와 양립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적이고 교훈적인
시를 쓰도록 장려하자,모레혼은 쿠바 내에서 흑인 쿠바인들의 경험을 살피기 시작한
다.그러나 비평가들은 모레혼의 작품들이 이 기간에 쿠바에서 생산된 선전 작품의
어조를 채택하지 않는다고 조심스럽게 지적하는데,이것은 바로 그녀의 작품들에 시
의 미학인 시적인 목소리가 담겨 있기 때문이었다(
Gar
cíaChí
che
ste
r23
2).
본 글의 분석 대상인 「흑인 여인 Muj
erne
gra」은 1975
년 5
월에 『아메리카의
집 Cas
adel
asAmér
ic 』에 처음 출판되었으며,후에 그녀의 시집 『한 시대의 장
as
소들』에 수록되었다.이 시는 그녀의 시 중에서 가장 널리 번역되고 알려진 작품으
로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을 혁명적 인물로 그린다.이 작품은 계급,인종,국가,그리
고 젠더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서술할 뿐만 아니라,동시에 쿠바인으로서 지리적․역
사적․사회적․정치적 경계 속에서의 경험을 보여주면서,모레혼 작품의 두 가지 특
징을 한데 아우르고 있다.여기서 모레혼은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관점으로 19세
기 반노예주의 소설과 20세기 흑인주의 소설에 걸쳐 전개된 노예제와 인종차별의 주
제를 비판적으로 다시 쓰면서,젠더의 문제를 포함시켜 그 주제들을 발전시킨다.그
녀는「흑인 여인」에서 여자노예의 목소리를 역사적으로 반란자인 흑인의 목소리
속에 삽입시키고 쿠바 혁명 안에서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역할을 정의한다.

Ⅱ.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역사:「흑인 여인」

「흑인 여인」은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들이 보여준 집단적 저항의 역사를 재구성


한다.이 시에서 주인공이자 화자인 흑인 여인은 아프리카의 서해안과 서인도 제도
를 잇는 대서양 중앙항로의 여행부터 혁명의 현재에 이르는 역사를 들려준다.모레
혼은 여성 중심적 서사를 통해 흑인여성 노예를 쿠바 국가독립의 상징으로 위치시킨
다.이 시의 탄생 배경에 관해 모레혼은 자기 방에서 시인을 바라보고 있던 흑인 여
인의 꿈에서 나왔다고 설명한다.“
나는 그날을 완벽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나는 잠
을 자고 있었지요.그런데 우리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던 조그만 방에서 어느 흑인
70 외국문학연구 제2
6호

여자의 모습을 보고 잠을 깼지요.그 여자는 덩치가 컸기에 나는 무서운 나머지 계


속해서 잠을 잘 수가 없었습니다.그녀가 그곳에서 사라질 때까지,나는 제발 내가
계속 잠을 자게 해 달라는 간절한 눈빛으로 그녀를 뚫어지게 쳐다보았지요.다음날
아침,잠에서 깨자마자 그녀의 모습이 떠올랐습니다.그 흑인여자가 내게 돌아와 시
를 불러준 것이지요.하지만 그 시의 마지막 부분을 쓰기는 어려웠습니다.그 여자의
서정적인 ‘
나’가 서사적인 ‘
우리’
가 되었고,그래서 1970년대 쿠바에서의 내 경험과
뒤섞여버렸기 때문입니다.
”(송병선,241)이렇게 시적 ‘
나’는 집단적인 ‘
우리’
가 되고,
거기에서 각 개인들은 투쟁 속에서 하나가 된다.
「흑인 여인」은 총 7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각 연은 흑인 여인의 관점에서 바
라본 역사를 서술한다.그리고 각 연의 사이에는 흑인 노예의 속박된 신분에서 반항
으로 향하는 흑인 여인의 길을 연대기적으로 보여주는 짧은 행이 삽입되어 있다.여
기에서는 윌리엄 루이스의 견해3)에 따라,각 연을 중심으로 그곳에서 언급되고 있는
쿠바의 문화적․정치적 맥락을 설명하면서,이 시의 예술적 표현이 어떤 특정한 의
미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이런 방법은 모레혼의 작품에 나타난 흑인 여
인의 정수를 반영하는 기호들을 명확하게 보게 만들어 주고,따라서 모레혼의 작품
에 나타난 미학적이고 문화적이며 정치적인 의미를 해석하는 가장 좋은 접근 방식이
라고 여겨진다.

II.1. 아프리카에서 신세계로: 1연 분석

아직도 나는 맡는다,건너야만 했던 바다 거품 냄새를.


그 밤,나는 그 밤을 기억하지 못한다.
바다도 그걸 기억할 수 없었으리라.
그러나 나는 저 멀리서 보았던 첫 갈매기를 잊지 않는다.
순진한 증인처럼 구름은 저 하늘 높이 떠 있었다.
아마도 나는 잃어버린 해안선이나 내 조상의 언어도 잊지 않았으리라.

3) 「난시 모레혼의 시에서의 미학 정치학」에서 윌리엄 루이스는 모레혼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쿠바의 역사적 사건들과 정치와 나란히 읽어야 한다.”(Luis 35)라고 주장한다. 문
화적․정치적 맥락은 대부분의 예술 작품을 연구하는데 매우 필요한 요소이지만, 현대 쿠바
작가들의 작품에서는 특히 중요하다. 실제로 흑인 여성 시인으로서 모레혼의 역할을 이해하
기 위해서는 혁명 아래서 국가 정체성을 지키려는 쿠바의 투쟁이 국가의 문화생산을 지배했
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모레혼의 작품에서 국가와 예술가의 연결 관계를 강조하는
것은 모레혼의 작품이 쿠바 혁명 과정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난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읽기: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성,인종,그리고 혁명․송병선 71

나를 여기에 내려 주었고,나는 여기에서 살았다.


그리고 짐승처럼 일했기에
나는 여기서 다시 태어났다.
4)
얼마나 많은 만딩가의 서사시에 나는 의지하려 했던가.(86)

「흑인 여인」은 여자 흑인노예가 아프리카에서 대서양을 건너오는 장면에서 시


작한다.흔히 시각적 효과 뒤에 후각이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여기서 모레혼은
후각(
“맡는다”
)을 시각(
“바다”
)보다 먼저 제시하면서,시각적 상징의 힘을 약화시킨
다.그렇게 독자들을 뜻하지 않은 곳으로 이끌어 교란에 빠뜨리면서 무방비 상태에
이르게 한다.이렇게 시적 화자이자 흑인 여인인 ‘
나’는 독자들과 무방비라는 조건을
공유한다.이런 무방비의 결과는 깊은 심리적 방향감각의 상실로 나타난다.(
“밤,나
는 그걸 기억할 수 없네.
/바다도 그걸 기억할 수 없다네.
”).그러나 방향감각의 상실
로 인해 인간의 본질에서 멀어지는 기독교인들과는 달리,흑인 여인은 새로운 환경
속에서 다시 태어나게 된다.
이 첫째 연에서 독자들은 동사의 사용을 통해 아프리카계 여성의 힘을 느낄 수
있다.“
건너야만 했던”
과“나를 여기에 내려 주었다”
는 흑인 여인이 타의적으로 아프
리카에서 신세계로 왔다는 것을 보여준다.한편 “
나는 여기에서 살았다”
는 이후 그
녀가 쿠바의 삶에 자발적으로 적응했다는 것을 강조한다.여기서 눈에 띄는 것은 이
런 적응이 강제 이주처럼 수동적이 아니라,1인칭 능동형 동사로 표현된다는 것이다.
그것들은 적응과 저항이 흑인 여인의 의식적 행동임을 의미한다.
이 부분에서 아프리카로부터 카리브 해로 오는 흑인 여인의 여정을 재구성하고,
아프리카인으로서의 정체성보다 쿠바에서의 적응을 보여주는 의식은 매우 특별한

4) 이 글에서 인용되는 「흑인 여인」의 원문은 Where the Island Sleeps Like a Wing. San
Francisco: The Black Scholar Press, 1985에 실린 것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 시의
인용은 괄호 안의 페이지로만 표시한다.
Todavía huelo la espuma del mar que me hicieron atravesar.
La noche, no puedo recordarla.
Ni el mismo océano podría recordarla.
Pero no olvido al primer alcatraz que divisé.
Altas, las nubes, como inocentes testigos presenciales.
Acaso no he olvidado ni mi costa perdida, ni mi lengua ancestral
Me dejaron aquí y aquí he vivido.
Y porque trabajé como una bestia,
aquí volví a nacer.
A cuanta epopeya mandinga intenté recurrir.
72 외국문학연구 제2
6호

의미를 지닌다.화자는 대서양 항로로 시작하지만,그 ‘


디아스포라 경험’
의 상처를 그
리 강조하지 않는다.그녀는 비감정적인 담론을 사용하면서 19
세기 쿠바 작품들이
보여주는 감정적인 반노예문학의 전통에서 벗어난다.이 연에서는 그 어떤 자기연민
이나 노예의 수동성 개념을 강화시키거나 연민을 자아내는 탄식의 표현을 찾아볼 수
없다.즉,등장인물은 노예상태의 희생이나 순교보다는,그 어느 것에도 파괴되지 않
는 그녀의 강인한 생존력을 잘 보여준다.
아프리카인이라는 과거와 분리되려는 강력한 표현은 “
얼마나 많은 만딩가의 서사
시에 나는 의지하려 했던가.
”에서 잘 나타난다.여기서 주인공은 노예제로 인해 자기
문화가 타의적으로 절단되었다고 묘사하는 것을 거부한다.대신 그녀는 과거,즉 현
재의 상황과 연결 관계를 상실한 자신의 과거와 의식적으로 작별하려고 한다.따라
서 이후 2
연의 첫 행을 구성하는 “
나는 반항했다”
는 주인공의 두 가지의 반항을 암
시한다.하나는 노예제에 대한 반항이고,또 다른 하나는 신세계 흑인들에 의한 아프
리카의 심리적 복구 운동에 대한 반항이다.
시인의 이런 관점은 보다 광범위하게 진행된 카리브 해의 논쟁 속에 위치할 때
완전한 의미를 갖는다.민족적 성격을 규정하는 과정에서,카리브 해의 흑인이 아프
리카 사람인지 아니면 신세계의 정체성을 가져야 하는지에 관해 상당한 논쟁이 있었
다(
Ros
eGr
een-Wi
ll
iams19
2).「흑인 여인」의 화자는 ‘
카리브 중심성’
을 강조하는
사람들의 입장에 선다.즉,이 작품은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기원을 아프리카에 위
치시키지만,동시에 아프리카 정체성을 긍정해야 한다는 생각을 피하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짐승처럼 일했기에/나는 여기서 다시 태어났다.
”라는 대목은 그녀가 노동
으로 돌아가면서 노예제의 상처를 극복하여 얻게 된 심리적 회복을 보여준다.
이런 재탄생은 그녀를 아프리카의 기원과 멀리 떨어지게 해주고,그녀의 정체성을
쿠바에 뿌리박게 만든다.이런 의미에서 “
일했기에”
라는 말은 쿠바를 근대국가로 만
든 노예제 아래에서 경제적․정치적 삶에 공헌함으로써 사회적 질서 내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려는 도전적 태도임을 암시한다.이것은 식민지배 체제를 영속화시키
면서 그녀를 주변적 사회존재로 선고하고자 하는 사람들과,아프리카의 기원을 강조
하면서 이런 권리를 인정하려고 하지 않거나 무시하는 사람들에 대한 도전이 합당하
다는 것을 보여주는 전략이기도 하다.
한편 “
아마도 나는 잃어버린 해안선이나 내 조상의 언어도 잊지 않았으리라.
”에서
도 ‘
아마도’
의 사용을 통해 아프리카와의 연속성을 축소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모레혼의 스승인 니콜라스 기옌의 흑인주의 작품과 프랑스어권의 네그리튀
드 운동5)뿐만 아니라 카리브 해의 수많은 인류학적 연구에서도 아프리카와의 연결
난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읽기: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성,인종,그리고 혁명․송병선 73

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이상하게 여겨질 수 있다.아프리카의 기원에 대한 심리적


관계에 의문을 던지는 이 대목은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과 아프리카와의 연속성을 최
소화시키기 위해 나타나지만,그것은 아프리카계 쿠바의 혼합주의가 이제는 여러 쿠
바 문화에서 구성적 요인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
Rose
Gre
en-Wi
ll
iams192)
.
또한 이 연은 여성 인물들을 통해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많은 현대 여성 작가들
의 경향을 보여준다.1인칭 서술 형식을 통해 화자-작가의 동일시는 암시되어 있지
만,모레혼이 선택한 여성의 목소리는 모든 쿠바의 흑인 여인들을 위해 말하고,그들
의 공통된 역사를 모두 포함하려고 한다.이 시에서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이미지
는 기존의 중산층 백인 중심의 페미니즘 의식에 반발한 우머니즘에 의해 형성된 것
으로 보이는데,이것은 주인공에게 문학과 다른 담론 장르에서 발견되는 아프리카계
카리브 해 여인의 지배적 이미지에 반항하도록 만들어준다.「흑인 여인」에서 흑인
여인은 1인칭 담론의 주체일 뿐만 아니라,자기의 역할을 행위자로 규정짓는다.그렇
게 그녀는 흑인 여인을 미적 대상,즉 남성 관객의 기쁨을 야기하기 위한 관능적인
댄서의 역할을 맡는 섹스의 대상(
Hampt
on169)
으로만 보았던 남성 중심적 문학적
이미지와 반대되는 모델을 형성한다.

II.2. 3중으로 수탈된 흑인 여자 노예: 2연과 3연 분석

나는 반항했다.

그분은 어느 광장에서 나를 샀다.


나는 그분의 프록코트에 수를 놓았고,그분에게 남자 아이를 낳아주었다.
내 아들은 이름이 없었다.
그리고 그분은 나무랄 데 없는 영국 주님 손에 죽었다.

나는 걸었다.

5) 브레스웨이트 Edward Brathwaite는 신세계노예들과 그들의 문화적 뿌리의 연결을 지적하기


위해 아프리카를 '조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지칭하고, 고든 루이스 Gordon Lewis는 ‘명백
한 아프리카성’을 지닌 노예의 하위문화를 일종의 저항이나 주장으로 다룬다. (RoseGreen-
Williams 191)
74 외국문학연구 제2
6호

여기는 내가 엎드린 채 채찍을 맞았던 땅이다.


나는 이 땅의 모든 강을 따라 노를 저었다.
이 땅의 태양 아래 나는 씨를 뿌렸고 수확했지만,그 수확물을 먹지 못했다.
내 집은 팔렌케였다.
나는 손수 돌을 가져와 그 집을 지었지만,
6)(
내 땅의 새들이 부르는 자연의 리듬에 맞추어 노래 불렀다. 86)

로즈그린 윌리엄스는 「흑인 여인」의 특징으로 생략과 간접성을 지적한다


(
Rose
gre
en-Wi
ll
iams191)
.이런 기법을 통해 이 시는 흑인 여자노예가 참고 견뎌야
만 했던 세 종류의 억압,즉 일반적인 인종차별과 경제적 차별,그리고 백인 주인의
성적 수탈을 기록한다.이렇게 이 연들은 흑인 여자노예가 처했던 복잡한 상황을 잘
드러내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이런 어려움을 모두 극복하고 살아남는 흑인 여인의
반항적 힘을 보여준다.우선 2연에서는 성적 수탈의 현실을 지적한다.여기서 주인의
프록코트에 수를 놓는 행위와 아이를 낳는 행위의 비연결성으로 이런 성적 수탈의
현실적 효과는 더욱 강조된다(
Rose
gree
n-Wi
ll
iams1
91)
.이와 마찬가지로 3연에서는

씨를 뿌렸고 수확”
했지만 수확물을 먹지 못했다는 말을 통해 흑인 여자 노예가 쿠
바 경제를 지탱시키는 도구였지만 경제적 궁핍을 면치 못했다고 지적하면서,노예의
경제적 수탈을 언급하고 있다.
비록 주인공은 학대와 남용의 희생자이지만 그런 호된 시련에 관해 말하지 않고,

6) Me rebelé.

Su Merced me compró en una plaza.


Bordé la casaca de su Merced y un hijo macho le parí.
Mi hijo no tuvo nombre.
Y su Merced murió a manos de un impecable lord inglés.

Anduve.

Esta es la tierra donde padecí bocabajos y azotes.


Bogué a lo largo de todos sus ríos.
Bajo su sol sembré, recolecté y las cosechas no comí.
Por casa tuve un barracón.
Yo misma traje piedras para edificarlo,
pero canté al natural compás de los pájaros nacionales.

Me sublevé.
난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읽기: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성,인종,그리고 혁명․송병선 75

반항적 어머니로서 힘을 보여준다.성적․인종적 학대와 관련하여 2연의 2-3행인



나는 그분의 프록코트에 수를 놓았고,그분에게 남자 아이를 낳아주었다.
/내 아들
은 이름이 없었다.
”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만일 2행의 첫 부분이 아이를 낳는 대
상,즉 출산 기계의 일종으로서의 흑인 여자를 보여준다면,둘째 부분은 그녀가 미혼
모가 되는 극적인 상황을 시사한다.이 시구는 시에서 묘사된 억압이 특히 인종적이
며 성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
이름’
도 문제시된다.아프리카의 전통에서 고귀한 인간 영혼의 물
질적 표현이자 정체성의 상징인 고유명사는 이 시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McKe
nzi
e
92)
.또한 이런 익명성과 더불어 무력함이 2연을 지배한다.개인적 존엄성을 빼앗긴
채 물건처럼 팔린 아프리카 여인,선택이 여지없이 주인의 성적 남용에 복종해야만
하는 여자 노예,마음과 의지를 가진 사람을 낳는 출산 기계로서의 여자,아버지의
이름이나 그의 재산도 요구하지 않는 아들,죽으면서 하느님의 정의의 심판을 받는
주인이 묘사되지만 이름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특히 흑인 여인과 그녀의 아들이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은 그녀의 국가도 그렇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 그녀는 새로운 신분을 받아들여야 한다.
여기에서 시적 언어는 흑인 여자들의 고통을 끔찍하게 묘사하지는 않지만,성적
수탈을 통해 얼마나 극단적인 어려움을 참고 견뎌야 했는지 보여준다.한편 성적 수
탈의 결과로 혼종 mi
sce
genat
ion이 등장하지만,흑인 여인은 아프리카에서 노예의
신분으로 쿠바로 왔기에 수동적 역할을 수행한다.앞서 모레혼이 이 시의 창작 과정
에 관해 언급했던 것처럼,여기서 주인공의 경험은 노예로 쿠바로 왔던 다른 흑인
여인들의 경험과 다르지 않다.그것은 화자 ‘
나’가 집단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7)이런 의미에서 여자 주인공은 쿠바의 국가 건설 단계
구성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흑인 여인들의 제유로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3연의 전반부는 흑인 여자 노예가 어떻게 경제적으로 수탈당했는지를 보여주지만,
후반부는 흑인 여자 노예의 저항이 시작한다는 것을 암시한다.즉,전반부는 굶주린
채 모든 권리를 빼앗긴 흑인 여인의 수탈을 핵심적으로 보여준다.하지만 그녀는 감
옥과 같은 상태에서 벗어나기로 결심한다.그녀가 집을 짓는 행위는 아프리카 여인

7) 난시 모레혼은 가브리엘 A. 아부두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힌다. “이 시는 자전적이 아닌


1인칭 목소리로 말합니다. 아마도 위대한 미국 시인 월트 휘트만이 제안했듯이 거기서 ‘나’
는 동시에 ‘우리’일 것입니다. 그래서 내가 ‘나’에 관해 말할 때면, 그것은 ‘우리’입니다. 이
것은 서사적 관점의 이야기입니다. 이것은 서사시입니다. 이것은 인류의 중요한 장을 장식했
던 역사입니다. 여성의 관점에서 서아프리카 해변에서 아메리카로 온 아프리카 노예의 역사
를 서술한 것입니다.”(Abudu 39)
76 외국문학연구 제2
6호

의 육체적 강인함을 암시할 뿐만 아니라 자기가 있는 땅에 살기로 결심한다는 것을


상징한다.이런 의식은 “
내 땅의 새들이 부르는 자연의 리듬에 맞추어 노래 불렀다.

로 강화된다.또한 집을 짓는다는 것은 그녀 자신이 통제받는 위치에서 통제하는 능
동적 위치로 변화했음을 의미한다.

II.3. 쿠바 중심성과 백인 우월주의에 대한 저항: 4연-6연 분석

나는 분연히 일어났다.

바로 이 땅에서 나는 젖은 피와
수많은 다른 사람들의 썩은 뼈를 만졌다.
나와 마찬가지로 바로 이곳으로 왔거나 와야만 했던 사람들이었다.
이제 나는 기니로 가는 길을 더 이상 생각하지 않았다.
기니였을까?베냉이었을까?마다가스카르였을까?
아니면 카보베르데였을까?

나는 더욱 열심히 일했다.
나는 수천 년 된 나의 노래와 희망을 더욱 굳건하게 다졌다.
여기에 나는 내 세상을 건설했다.

나는 산으로 도망쳤다.
나의 진정한 독립은 팔렌케였고
나는 마세오의 부대와 함께 말을 타고 갔다.
단지 1세기 후에
내 후손들과 함께
8)(
푸른 산에서, 88)

8) Me sublevé.

En esta tierra toqué la sangre húmeda


y los huesos podridos de muchos otros,
traídos a ella, o no, igual que yo.
Ya nunca más imaginé el camino a Guinea.
¿Era a Guinea? ¿A Benín? ¿Era a
Madagascar? ¿O a Cabo Verde?
난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읽기: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성,인종,그리고 혁명․송병선 77

4연에서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은 노예의 수동적 위치에서 벗어나 분연히 일어난


다.그녀 안에 반항정신이 가득해지면서,그녀는 다른 억압받는 사람들과 연결된다.

바로 이 땅에서 나는 젖은 피와/수많은 다른 사람들의 썩은 뼈를 만졌다.
/나와 마
찬가지로 바로 이곳으로 왔거나 와야만 했던 사람들이었다.
”라는 대목이 보여주듯이,
억압받은 다른 사람들과 연결된다.그리고 흑인 여인은 쿠바라는 섬에서 자신의 정
체성을 다시 규정한다.이제 익명성과 자신의 무력함으로 야기된 내적 좌절감을 주
위환경과 조화시키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이제 나는 기니로 가는 길을 더 이상 생
각하지 않았다.
/기니였을까?베냉이었을까?마다가스카르였을까?/아니면 카보베르
데였을까?”
라는 대목은 이제 그녀가 더 이상 과거를 바라보지 않고,대신 자기 주변
의 삶을 관찰하면서 아프리카와의 관계를 청산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모레혼의 작품 연구에서 항상 등장하는 질문은 이 시가 아프리카 중심성인지 아
니면 민족적 정체성에 바탕을 둔 쿠바 중심성 혹은 카리브 해 중심성을 그리는지에
관한 것이다.이 시의 시적 주체인 흑인 여인은 아프리카의 장소들을 너무나 쉽게
떠올리지만,그것을 잊어버리려고 한다.이것은 바로 그녀가 ‘
원하는’기억 상실이며,
이로서 흑인 여자의 기원인 아프리카에 집착하려는 생각은 결정적으로 사라진다.즉

장소’
는 아무런 의미도 없게 되는데,이것은 아프리카의 문화적 유산보다 쿠바의 새
로운 국가 건설을 더욱 중요시하기 때문이다.5연은 아프리카의 기원 문제를 청산하
고 쿠바라는 섬나라의 세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그린다.
한편 6연은 “
팔렌케”
와“마세오”
라는 핵심 단어를 통해 흑인 여인의 저항이 쿠바
역사 속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팔렌케’
는 예속 상태에서 도망친
노예들의 거주지이며,오랫동안 식민체제와 노예제에 반대한 유일한 중심지라는 점
에서(
Ros
eGr
een-Wi
ll
iams195
)그녀의 저항이 노예제시기에 시작되었다는 것을 암
시하는 대목이다.또한 이것은 흑인 분리주의에 관한 언급이기도 하다.‘
팔렌케’
는인

Trabajé mucho más.

Fundé mejor mi canto milenario y mi esperanza.


Aquí construí mi mundo.

Me fui al monte.
Mi real independencia fue el palenque
y cabalgué entre las tropas de Maceo.
Sólo un siglo más tarde,
junto a mis descendientes,
desde una azul montaña.
78 외국문학연구 제2
6호

종 탄압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은 흑인 의식을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이다.모레혼


은 앞의 연과는 달리 다시 반노예주의 담론으로 돌아가 아프리카계 쿠바인들이 백인
의 법에 의해 분리된 자신들의 사회를 버릴 때에는 진정한 자유를 잃어버린다는 것
을 보여준다.그런 의미에서 “
나의 진정한 독립”
은 백인 자유주의자들이 흑인들에게
독립전쟁에서 싸우도록 했지만,절대로 흑인들을 자신들과 동일하게 여기지 않았던
사실을 지적한다고 볼 수 있다.사실,백인 쿠바인들의 대부분은 흑인들을 두려워했
고,흑인의 증가는 아이티의 혁명처럼 그들이 반란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Howe45
).
한편 그녀가 19세기에 일어난 쿠바 최초의 독립전쟁에 참여했다는 사실은 “
나는
마세오의 부대와 함께 말을 타고 갔다.
”에 요약되어 있다.최초의 독립전쟁 초기에
자유 여자노예들은 농장의 일보다는 전쟁터에 직접 참가하여 공헌하려고 했다는 사
실은 분명하다.하지만 주인공이 아프리카계 쿠바인 지도자와 연대했다는 사실은 독
립운동의 백인 창립 아버지들을 떠받든 쿠바 역사의 판본을 거부하는 것으로도 읽힐
9)그것은 또한 인종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에 바탕을 둔 것이라고 볼 수도
수 있다.
있다(
Ros
eGr
een-Wi
ll
i .안토니오 마세오10)는 인종적 정체성보다 민족적 애
ams195)
국주의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다원적이고 다인종적인 쿠바를 채택함으로써 백인우월
주의 이데올로기에 반기를 들었던 지도자들 중의 하나로,피델 카스트로는 그를 “

륭하고 똑똑한 흑인대장”
(Ramone
t28
)라고 평가한다.
그러나 아직도 「흑인 여인」의 주인공은 “
이제 나는 존재한다.
”라고 외칠 수 없
다.그것은 그녀가 “
후손들과 함께”그녀의 장소를 발견한 이후에나 이루어진다.그
러면서 모레혼은 진정한 성취와 정의는 혼혈 공동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지 단
하나의 사람이나 인종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II.4. 쿠바 혁명의 성공과 혁명 이데올로기: 7연 분석

나는 산맥에서 내려왔다.

9) 이 점에 관해서는 모레혼의 글 “Cuba and Its Deep Africanity", Callaloo 28.4 (2005), pp.
933-950을 참고할 것.
10) 안토니오 마세오 그라할레스(1845-1896)는 쿠바 독립을 위해 투쟁한 가장 유명한 투사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해방군의 총 부사령관의 직위까지 올랐으며, 두 개의 커다란 전쟁에서
혁혁한 공적을 세웠다. 그 중에는 서부지방의 공격도 포함된다. 명민한 정치 사상가이기도
했던 그는 1896년 12월 7일 산 페드로 전투에서 숨을 거둔다.
난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읽기: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성,인종,그리고 혁명․송병선 79

자본주의자들과 고리대금업자들,
장군들과 부르주아에게 종지부를 찍기 위해.
이제 나는 존재한다.단지 오늘에야 우리는 갖고 만든다.
아무 것도 남의 것이 아니다.
땅은 우리의 것이다.
바다와 하늘은 우리의 것이다.
마술과 꿈은 우리의 것이다.
나는 동료들이 우리가 공산주의를 심었던
나무 주위로 춤추고 있는 것을 본다.
11)
그것이 맺은 풍요의 나무가 이미 울려 퍼진다. (88)

7연의 첫 행에 있는 “
산맥”
은 카스트로가 게릴라 전투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던 마
에스트라 산맥Si
err
aMae
str
a을 일컫는다.여기서 흑인 여자 주인공은 혁명을 절대
적 만병통치약으로 보고,그 수단을 통해 마침내 정체성을 획득하면서 “
이제 나는
존재한다.
”라고 외친다.그것은 사회적․정치적 관점에서 인종과 특별한 관련 없이
구성된 것이다.이렇게 아프리카계 쿠바인의 아프리카 중심적인 요소의 의미를 축소
시키고 쿠바의 국가 정체성을 강조하는 것은 “
아무 것도 남의 것이 아니다/땅은 우
리의 것이다.
”에서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그렇게 모레혼은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
에게 성공적인 혁명 경험을 부여하면서,그녀가 가지고 있던 이전의 아프리카 문화
가 새로운 질서 속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 시의 마지막에서 모레혼은 공산주의를 아프리카계 쿠바여인의 미래를 위한 해
결책으로 선택하면서 이렇게 노래한다.“
바다와 하늘은 우리의 것이다.
/마술과 꿈은
우리의 것이다.
/나의 모든 것이 우리가 공산주의를 심었던/나무 주위로 춤추고 있

11) Bajé de la Sierra

Para acabar con capitales y usureros,


con generales y burgueses.
Ahora soy: sólo hoy tenemos y creamos.
Nada nos es ajeno.
Nuestra la tierra.
Nuestros el mar y el cielo.
Nuestras la magia y la quimera.
Iguales míos, aquí los veo bailar
alrededor del árbol que plantamos para el comunismo.
Su pródiga madera ya resuena.
80 외국문학연구 제2
6호

는 것을 나는 본다.
/그것이 맺은 풍요의 나무가 이미 울려 퍼진다.
”즉,혁명은 흑인
여인 투쟁의 절정이자 성공적인 해결을 의미한다.그리고 혁명의 다른 후손들을 “

료들”
이라고 언급하면서 시인은 계급투쟁의 끝이 인종적 편견과 인종차별의 끝과 동
12) 여기서 나무는 상징적인 의미
시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를 지닌다.그것은 수많은 뿌리와 수많은 가지,즉 수많은 인종을 지니고 있지만,혼
혈이라는 몸통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마지막 대목에서 과연 공산주의가 아프리카계 흑인 여인의 투쟁에서 만병통치
약인지 물어보게 되지만,그것은 혁명 정부가 국가적 과제에 흑인을 포함시키려는
전략으로 이해해야 한다.이 시의 마지막 대목은 혁명과의 정치적 약속이나 슬로건
을 분명하게 보여준다.소유형용사 ‘
우리의’
의 반복적 사용은 사회주의적 소유이자
공산주의적 분배를 드러낸다.게다가 공산주의 나무 주변에서 즐겁게 춤추는 행위는
흑인 여인의 미래의 긍정적 관점을 시사하며,그녀를 노예주의 시기의 반란의 역사
뿐만 아니라 2
0세기 쿠바 혁명 속에서 능동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런 모레혼의 입장은 아프리카계 쿠바 종교처럼 ‘
분리주의적’이데올로기를 ‘
반사
회적’실천으로 간주하면서 저지하던 쿠바 공산당과 암묵적으로 동의하고 있음을 암
시한다.이 시에서 보여주는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이런 입장은 아프리카의 역사
가 아니라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1963년에 체 게바라가 표현
한 믿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Ros
eGr
een-Wi
ll
iams19
7).「흑인 여인」에서 민족주
의적 감정은 정치적으로 합당하다고 여겨지지만,특정한 인종적 감정은 그렇지 않다
는 인상을 받게 된다.이런 점에서 이 시의 제목은 아이러니컬하게 보인다.그것은
제목이 보여주는 인종적 특수성과는 달리,이 시는 인종을 초월한 민족주의를 주장
하기 때문이다.바로 여기서 모레혼이 흑인 여인을 혁명 이데올로기의 대변인으로
사용하는 것은 카스트로 체제의 생각을 수용하는 것이며,쿠바 흑인의 문제는 새로
13)
운 사회질서 안에서 해결되었다고 믿는 것이라는 정치적 해석이 가능하다.

12) 이냐시오 라모네 Ignacio Ramonet와의 인터뷰에서 피델 카스트로는 쿠바가 인종차별이 전


세계에서 가장 적은 나라라고 단언하지만, 사회적으로 인종차별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
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쿠바 혁명 정부가 인종차별과 어떻게 싸웠으며 현재는 어떻게 싸우
고 있는지에 관해서는 Fidel Castro, biografía a dos voces (Barcelona: Debate, 2006)의 10장을
참고할 것.
13) 1960년대 중반에 모레혼은 두 개의 사건에 연루되면서, 쿠바 문화기관들과 불편한 관계에
있게 된다. 그것은 ‘엘 푸엔테 El Puente’(1965) 문학 그룹 설립으로 야기된 스캔들과 인종
문제를 토론하기 위한 아프리카계 흑인들의 모임들인데, 그 모임은 「흑인선언문」을 발
난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읽기: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성,인종,그리고 혁명․송병선 81

Ⅲ.「흑인 여인」이 남긴 과제

앞서 살펴보았듯이 난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은 역사를 구조적 장치로 사용하


여 흑인 여인의 관점에서 쿠바 역사의 가장 중요한 순간인 아프리카 흑인의 강제 이
주,노예제 시대의 사탕수수농장,독립전쟁과 카스트로 혁명을 서술한다.따라서 이
시는 쿠바 혁명 역사의 관점에서 아프리카계 흑인 여인의 투쟁의 끝으로 읽힐 수 있
다.또한 이런 맥락에서 쿠바 혁명은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지난한 과정의 끝이기도
하다.이런 것을 보여주듯이 「흑인 여인」은 흑인 여자 주인공의 참여를 공통적으
로 서술하면서,과거의 독립전쟁과 현대의 혁명 투쟁을 연결시킨다.그리고 그런 투
쟁을 통해 혁명이 주장하는 민족 투쟁의 연속성이라는 역사 다시 쓰기를 강조한다.
특히 모레혼의 이 시가 다른 쿠바 혁명 작품과 다른 점은 여성 노예의 역할이 자유
의 적극적 참여자로 재평가된다는 사실이다(
Sanmar

n419) .이런 이유로 시적
14)


나’는 디아스포라의 경험을 강조하지 않으며,영웅적인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이
미지는 쿠바의 반노예문학에 지배적인 감상성과 대조를 이룬다.
모레혼은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이미지를 통해 새로운 영역을 열었다.이 시는
흑인 여인을 주변에서 쿠바의 중심으로 이동시킨다.이제 그녀는 식민 역사의 희생
자가 아니라 사회적․정치적 행위자로 행동하면서,억압에 대해 순종보다는 저항으
로 대답한다.그렇게 과거의 목소리를 내지 못한 상태를 벗어나 자신의 목소리를 가
지면서,전통적으로 흑인 여인을 타자로 간주하던 남성적 관점에서 해방된다.모레혼
은“
나는 쿠바 민중의 일부의 역사,즉 이 나라 여성들의 역사를 서사적 ‘
나’를 통해
재구성하려고 노력하면서 이 시를 썼다”
(Wi
ll
iams133)
라고 밝히면서,이 시를 통해

표하면서 절정에 달한다. 1965년에 몇몇 문화 관리와 젊은 지식인 그룹은 ‘엘 푸엔테’ 그룹


의 구성원들을 일탈된 행동과 반혁명미학으로 고발한다. 그들은 모레혼의 시학을 비판하
면서, 혁명적이라기보다는 신비주의적이고 신상징주의적이라고 비난한다. 쿠바 당국은 ‘엘
푸엔테’ 그룹을 해산시키고, 그 그룹의 대표인 호세 마리오를 1965년에 구속한다. ‘엘 푸엔
테’ 그룹에 속해 있던 작가들은 아나 마리아 시모Ana María Simo, 난시 모레혼, 헤라르도
푸예다 레온 Gerardo Fulleda León, 미겔 바르넷 Miguel Barnet 등이었다. 이 문제로 인해 모
레혼이 아프리카계 흑인여인의 정체성을 쿠바 혁명 이데올로기에 종속시킬 수밖에 없었다
는 주장이 제기된다. 여기에 관해서는 Howe, Linda S. “Nancy Morejón's Womanism”, in
Miriam DeCosta-Willis ed., pp. 153-168을 참고할 것.
14) 그것은 대부분의 혁명 작품이 남성 투사를 연대기적으로 기록하고, 여자노예를 희생자로서
만 그리기 때문이다. 여기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의 저항 이데올로기는 각 연을 여는 행위
동사의 사용 - “반항했다.” “걸었다” “분연히 일어났다”, “더욱 열심히 일했다” “산으로 도
망쳤다”, “산맥에서 내려왔다”-에서 잘 드러난다.
82 외국문학연구 제2
6호

쿠바 여성사의 공백을 매우고자 한다.이것은 과거에 목소리가 없던 사람들에게 목


소리를 줌으로써 카스트로 체제의 평등주의 윤리를 실천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
로 볼 수 있다.
쿠바 혁명은 분명히 아프리카계 흑인 여인의 평등에 공헌했다.그러나 이제는 쿠
바의 문화적 생산이 어떻게 흑인 여인의 이미지를 구성했는지 질문을 던져야 할 때
이다.그래서 베라 쿠친스키는 이렇게 묻는다.“
난시 모레혼 이외에 현대 쿠바에 아
프리카계 쿠바 여인들이 있는가?그녀 이전에 얼마나 있었는가?”
(Kut
zins
ki16
).이
것은 쿠바와 같은 나라에서 유색 여성작가들이 어떤 담론을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사실 「흑인 여인」이 커다란 반향을 일으킨 지 3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지만,아프리카계 쿠바 여인들의 지적․예술적 공헌은 피부색의 차
별이 없는 현대 쿠바 사회에서도 큰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이런 현상은
앞으로 아프리카계 쿠바 여인들의 예술적 표현에 어떤 한계가 있으며,흑인 여성의
주제에 관해 어느 정도나 말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일깨운다.

참고 문헌

송병선.「난시 모레혼:쿠바 혁명이 탄생시킨 흑인 여성 시인」.『현대문학』


(
2005년 3월)
,235
-24
4.
Abudu,Gabr
ielA.“
Nanc
yMor
ejón:AnI
nte
rvi
ew.
”InMi
ri
am De
Cos
ta-Wi
ll
ise
d.
37-42.
Bus
h, Bar
bar
a. Sl
ave Women i
n Car
ibbean Soc
iet
y. Bl
oomi
ngt
on: I
ndi
ana
Uni
ver
sit
yPr
ess,1990.
Cor
done
s-Cook,J
uanamar
ía.“
Vozy poe
síadeNancy Mor
ejón.
”Af
ro-Hi
spani
c
Revi
ew 1
5,No.1(
Spr
ing1996
):60-71.
Davi
s,Cat
her
ine
.“Nanc
y Mor
ejón.
”In Ve
rit
y Smi
the
d.Enc
ycl
opedi
aofLat
in
Amer
icanLi
ter
atur
e.Chi
cago:Fi
tzr
oyDear
bor
n,19
97,56
5-5
67.
DeCost
a-Wi
ll
is
,Mi
ri
am ed.Si
ngul
arLi
keaBi
rd:TheAr
tofNanc
yMor
ejón.
Washi
ngt
on:Howar
dUni
ver
sit
yPr
ess,1999.
Gar
cía Chí
ches
ter
,Ana.“
Nanc
y Mor
ejón.
”In Mar
ía A.Sal
gado e
d.Moder
n
Spani
sh Amer
ican Poet
s:Fi
rstSer
ies
.Ne
w Yor
k:Thoms
on & Gal
e,
2003
,231-241
.
난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읽기: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성,인종,그리고 혁명․송병선 83

Hampt
on,J
ane
tJ.“
Blac
kWome
nEmpower
ed:Por
trai
tsoft
heBl
ackWome
nin
t
hePoet
ryofNanc
yMor
ejón.
”InMi
ri
am De
Cos
ta-Wi
ll
ise
d.1
69-185.
Howe,Li
nda S.“
Raz
a y gé
ner
o en l
a poes
ía de Nanc
y Mor
ejón.
”Tal
lerde
Let
r Nov.2001
as( ):35-54.
McKe
nzi
e,Car
oli
neA.“
Language,Cul
tur
e,andConsc
ious
nessi
nthePoe
try of
Nanc
yMor
ejón.
”InMi
ri
am De
Cos
ta-Wi
ll
ise
d.pp.83-101.
Kut
zins
ki,Ve
ra M.Sugar
'sSec
ret
:Rac
e and Er
oti
csofCuban Nat
ional
ism.
Char
lot
svi
ll
e:Uni
ver
sit
yofVi
rgi
niaPr
ess
,1993.
Lagos
,Rami
ro.Muj
erespoet
asdeHi
spanoamér
ica.Bogot
á:Te
rce
rMundo,1986.
Lui
s,Wi
ll
iam.“
The Pol
it
ics ofAe
sthet
icsi
nthe Poe
try ofNanc
y Mor
ejón.

Af
ro-Hi
spani
cRevi
ew 15,No.1(
Spr
ing1996)
:35-43.
Már
que
z,Robe
rtoe
d.Lat
inAmer
icanRevol
uti
onar
yPoet
ry.New Yor
k:Mont
hly
Re
vie
w Pr
ess
,1974
.
Mor
ejón,Nanc
y.“
Groundi
ngt
heRac
eDi
alogue:Di
aspor
aandNat
ion.
”InPedr
o
Pér
ez Sar
duy and J
ean St
ubbs e
ds.Af
ro-Cuban Voi
ces (
Gai
nes
vil
le:
Uni
ver
sit
yPr
essofFl
ori
da,2000)
,16
2-1
69.
____
______
.Wher
ethe I
sland Sl
eepsLi
keaWi
ng.San Fr
anc
isc
o:TheBl
ack
Sc
hol
arPr
ess
,19
85.
Ramonet
,Ignaci
o.Fi
delCas
tro,bi
ogr
afí
aadosvoc
es.Bar
cel
ona:De
bat
e,2006
.
Ros
eGr
een-Wi
ll
iams
,C.“
Re-wr
it
ingt
heHi
stor
yoft
heAf
ro-CubanWome
n.”I
n
Mi
ri
am De
Cos
ta-Wi
ll
ise
d.1
87-200.
Sanmar

n,Paul
a.Cus
todi
ansofHi
stor
y:(
Re)
Cons
truc
tionofBl
ackWomenas
Hi
stor
ical and Li
ter
ary Subj
ecti
n Af
ro-Amer
ican and Af
ro-Cuban
Women'
sWr
iti
ng.Di
sse
rtat
ion.Aust
in:Uni
ver
sit
yofTe
xtasatAust
in,
2005
.
Wi
ll
iams,Lor
naV.“
TheRevol
uti
onar
yFe
mini
sm ofNanc
yMor
ejón.
”InMi
ri
am
DeCost
a-Wi
ll
ised.131
-15
2.
84 외국문학연구 제2
6호

Song,Bye
o ng Sun(20
07 )
.Re a
ding Na
ncy Mor
ejón'
s“Muj
er
negr
a”:Gender
,Ra cea nd Rev
olut
ionofAf
ro-
Cuban Woma
n.
Fore
ig
nLit
erat
ureStudi
es,26,67-
86.

〔Ab
str
act

Nanc
y Mor
ejón i
sar
epr
ese
ntat
ive of t
he ne
w gene
rat
ion of
Af
ro-Cubanwr
it
ers,whos
emai
npr
eoc
cupat
ioni
sthede
cons
truct
ion
and r
evi
si
on ofCuban hi
stor
y,wr
it
ten by t
he pr
e-r
evol
uti
onar
y
hi
stor
iansant
it
het
icalt
othei
nte
res
tofBl
acks,wome
n,andwor
ker
s.
Thi
s ar
ti
cl
e e
xami
nes Mor
ejón'
s be
st known poem “
Muj
er
negr
a”(
Black woman)i
nthecont
extofCuban r
aci
aland c
ult
ural
pol
it
ics
.Thi
spoe
mre
count
sthehi
stor
yofs
laver
yinAf
ri
ca,dur
ing
t
heMi
ddl
ePas
sage
,andofr
apeandoppr
ess
ionaf
terf
emal
esl
ave
ar
rive
din Cuba.Thepoe
ticvoi
ceal
sodoc
ume
ntst
hec
ont
ri
but
ion
shemadedur
ingt
heWarofI
nde
pende
nceandt
heCubanr
evol
uti
on.
Mor
ejónwr
it
es“
Muj
ernegr
a”f
rom t
hepe
rspe
cti
veoft
heabus
ed,
t
he under
dog, and t
he mi
str
eat
ed. But t
he poe
ttr
ans
cends
di
ff
ere
nces of r
ace and ge
nder by c
all
ing i
nto ques
tion t
he
st
ruc
tur
est
hathavec
reat
edt
hese
xualandr
aci
ali
nequi
ti
es.So,i
n
t
his poe
m,t
he poet
ic“
I” bec
omes a c
oll
ect
ive “
we” and t
he
i
ndi
vidualbe
come
sa pe
opl
euni
tedi
n st
ruggl
e,demons
trat
ing t
he
actofs
oli
dar
it
y.I
nsuc
hmanne
rMor
ejóns
uppor
tst
hei
nte
grat
ioni
st
pos
iti
on of t
he r
evol
uti
onar
y gover
nment and l
egi
ti
mat
es t
he
egal
it
ari
ane
thi
coft
heRe
vol
uti
on.

〔Te
xta
nal
ys
is/Af
ro-
Cuba
nLi
te
rat
ure/Na
ncyMor
ej
ón/Cuba
nRe
vol
uti
on〕

예시언어(Examplesin):Engli
sh
적용가능 언어( Appli
cableLanguages)
:English/Spani
sh
적용가능 수준( Appli
cableLevels)
:Secondar
y/ Col
lege
난시 모레혼의 「흑인 여인」읽기:아프리카계 쿠바 여인의 성,인종,그리고 혁명․송병선 85

논문투고일:2007년 4월 14일
게재확정일:2007년 5월 19일

송병선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스페인․중남미학과 교수
(
680-843)울산광역시 남구 옥동 1
31-10대공원롯데인벤스가 20
1-2
01
Tel
:05
2-2
57-7893,019-227-9485
E-mai
l:avi
onsun@mai
l.
uls
an.
ac.
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