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9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수능특강 언어와 매체 학습 계획표


2025학년도 “언어와 매체” 수능 및 내신 만점을 위한 보충 자료

2025학년도
짧고 굵고 치열한 승리를 위해
<수능특강 언어와 매체> 놓치는 내용, 개념 하나 없이 제대로 잡고 가자

노트 활용 방법

강의 중 강의 후

개념의 빈틈
+ 연습 문제로 복습
& 플러스 개념

완료 지점에 ✓ 표시

강의 수강 성지가 될 선지 강의 수강 성지가 될 선지

01강 14강

02강 15강

03강 16강

04강 17강

05강 18강

06강 19강

07강 20강

08강 21강

09강 22강

10강 23강

11강 24강

12강 25강

13강 ★ 완강! ★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01강 [개념] 음운 수능특강 p.12

개념의 빈틈 최소 대립쌍 출제 포인트!


: 전체 음소의 개수는 같되 하나의 음운만 차이가 남으로써 그 뜻이 구별되는 단어 묶음
⇨ 최소 대립쌍을 성립하게 하는 말소리들을 모두 별개의 ‘음운’으로 본다.

① 머리-파리 ② 김-곰ː

③ 고기-곡기 ④ 오리-소리

⑤ 거울-겨울 ⑥ 사고-사과

개념의 빈틈 음절의 특징

표기(기저형) 발음(표면형)

먹어 [머거]

유형 예

➀ 중성 아, 오, 우

➁ 초성 + 중성 까, 모, 푸

➂ 중성 + 종성 옴, 입, 억

➃ 초성 + 중성 + 종성 각, 빵, 살, 민

개념의 빈틈 음절의 끝소리 규칙 적용 환경


✰ 음절의 끝소리 환경
➀ 뒤에 아무 말도 오지 않는 경우 예 팥[ ]

➁ 뒤에 자음이 오는 경우 예 팥도[ ]

➂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가 오는 경우 예 팥알[ ] ⇨ 음절의 끝소리 규칙 적용 후 연음됨

✰ 음절의 끝소리 환경이 아닌 경우


: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오는 경우
⇨ 음절의 끝소리 규칙 적용하지 않고 연음됨 예 팥에[ ]

Q. 헛웃음[ ]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3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 비음화 연습 문제
1. ‘ㅂ, ㄷ, ㄱ’의 비음화
: ‘ㅂ,ㄷ,ㄱ’이 비음 ‘ㄴ,ㅁ’ 앞에서 각각 비음 ‘ㅁ,ㄴ,ㅇ’으로 바뀜

ㅂ + ㄴ,ㅁ ㄷ + ㄴ,ㅁ ㄱ + ㄴ,ㅁ


예 돕는다 [돔는다] 예 닫는다 [단는다] 예 국물 [궁물]

밥맛 [ → ] 꽃나무 [ → ] 짝눈 [ ]

앞마당 [ → ] 맞물리다 [ → ] 낚는 [ → ]

2. ‘ㄹ’의 비음화
: ‘ㄹ’이 ‘ㄹ’을 제외한 다른 모든 자음 뒤에서 비음 ‘ㄴ’으로 바뀜

ㄱ, ㄴ, ㄷ, ㅁ, ㅂ, ㅇ + ㄹ
예 박람회 [박남회 → 방남회]

석류 [ → ] 입원료 [ ]

공신력 [ ] 몇리 [ → → ]

압력 [ → ] 섭리 [ → ]

담력 [ ] 침략 [ ]

종로 [ ] 강릉 [ ]


★ 유음화 연습 문제
: ‘ㄴ’이 유음 ‘ㄹ’을 만났을 때, ‘ㄹ’로 변하는 현상

‘ㄹ+ㄴ’ → ‘ㄹㄹ’ (순행적 유음화) ‘ㄴ+ㄹ’ → ‘ㄹㄹ’ (역행적 유음화)

예 설날 [설랄] 예 진로 [질로]

달님 [ ] 신라 [ ]

하늘나라 [ ] 대관령 [ ]

칼날 [ ] 전라도 [ ]

개념의 빈틈 ’ㄴ+ㄹ‘ 환경에서의 두 가지 변동 현상


➀ ‘ㄴ+ㄹ’ → ‘ㄴㄴ’ (비음화)
예 의견란[의견난], 등산로[등산노], 입원료[이붠뇨]

➁ ‘ㄴ+ㄹ’ → ‘ㄹㄹ’ (유음화)


예 신라[실라], 진리[질리]. 권력[궐력]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4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 구개음화 연습 문제
: 받침 ‘ㄷ,ㅌ’이 모음 ‘ㅣ’나 반모음 ‘j’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날 때, ‘ㅈ,ㅊ’으로 변하는 현상

‘ㄷ’ + ‘ㅣ’ → ‘ㅈ’ ‘ㅌ’ + ‘ㅣ’ → ‘ㅊ’


예 굳이 [구지] 예 같이 [가치]

땀받이 [ ] 밭이 [ ]

맏이 [ ] 벼훑이 [ ]

해돋이 [ ] 갇히다 [ → ]

미닫이 [ ] 굳히다 [ → ]

개념의 빈틈 구개음화 출제 포인트


① 구개음화는 실질 형태소 사이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예 홑이불 : [혿이불] → [혿니불] → [혼니불]
예 밭이랑 : [받이랑] → [받니랑] → [반니랑]

⇨ 어제 밭이랑[ ] 논에 비료를 주었다.


⇨ 밭이랑[ ]에는 옥수수와 콩을 심었다.

② 구개음화는 하나의 형태소 내부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예 견디다[견디다], 느티나무[느티나무]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5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02강 [개념] 음운 수능특강 p.13


★ 경음화(된소리되기) 연습 문제
: 평음이 일정한 조건에서 경음으로 바뀌는 현상
1. 받침 ‘ㄱ,ㄷ,ㅂ’ 뒤의 된소리되기 2. 어간 받침 ‘ㄴ, ㅁ’ 뒤의 된소리되기

예 국밥 [국빱] 예 껴안고 [껴안꼬]

부엌도 [ → ] 신다 [ ]

깎지 [ → ] 담다 [ ]

닫지 마 [ ] 더듬지 [ ]

낯설다 [ → ]

입술 [ ]

덮개 [ → ]

3. 한자어 ‘ㄹ’ 받침 뒤 ‘ㄷ,ㅅ,ㅈ’의 된소리되기 4. 관형사형 어미 ‘-ㄹ’ 뒤의 된소리되기

예 갈등[갈뜽] 예 갈 데 [갈떼]

일시 [ ] 할 사람 [ ]

열정 [ ] 먹을 것 [ ]

[플러스+ 개념] 사잇소리 현상에서의 된소리되기


예 밤길[밤낄] 등불[등뿔]

개념의 빈틈 어간 받침 ‘ㄴ, ㅁ’ 뒤의 경음화 출제 포인트


➀ 체언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예 경찰에 신고[신고]해라. vs 신발만 신고[신꼬] 갈게!

➁ 피‧사동 접미사 ‘-기-’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예 그의 품에 안기다[안기다] vs 그를 안고[안꼬] 가다

[플러스+ 개념] 반모음화 연습 문제


: 단모음 ‘ㅣ’, ‘ㅗ/ㅜ’가 반모음 ‘j’, ‘w’가 되는 현상

1. ‘j’ 반모음화 2. ‘w’ 반모음화

예 가리‑ + ‑어 → [가려] 예 보‑ + ‑아서 → [봐서]

차리‑ + ‑어 [ ] 주‑ + ‑어서 [ ]

피‑ + ‑어서 [ ] 오‑ + ‑아라 [ ]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6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 ‘ㄴ’ 첨가 연습 문제
: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모음 ‘ㅣ’나 반모음 ‘ j ’로 시작할 때 ‘ㄴ’이 그 사이에 첨가되는 현상

예 맨입 [맨닙] 솜이불 [ ]

물약 [물냑(ㄴ첨가) → 물략(유음화)] 올여름 [늗여름(음 .끝) → 늗녀름(ㄴ첨가) ]

색연필 [색년필(ㄴ첨가) → 생년필(비음화)] 내복약 [늗여름(음 .끝) → 늗녀름(ㄴ첨가) ]

늦여름 [늗여름(음.끝) → 늗녀름(ㄴ첨가) → 는녀름(비음화)] 홑이불 [늗여름(음.끝) → 늗녀름(ㄴ첨가) → 는녀름(비음화)]

풀잎 [풀입(음.끝) → 풀닙(ㄴ첨가) → 풀립(유음화)] 가랑잎 [늗여름(음 .끝) → 늗녀름(ㄴ첨가) ]


★ 반모음 첨가 연습 문제
: 모음으로 끝나는 형태소 뒤에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올 때, 반모음 ‘j’가 덧붙는 현상. 반드시 일어나는 현
상은 아님.

표준 발음법 [제22항]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피어] [뛰어] [되어]


피어 뛰어 되어
예 [피여] [ ] [ ]


★ 자음군 단순화 출제 포인트!
: 음절의 끝에 두 개의 자음이 올 때, 이 중에서 한 자음이 탈락하는 현상

주의 된소리는 자음군이 아니다.


예 밖[박](음절의 끝소리 규칙)

개념의 빈틈 읽다[ ] vs 읽고[ ]

겹받침 ㄺ
발음 [ㄱ] [ㄹ]
용언의 어간 받침 ‘ㄺ’이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구분 원칙
접사와 결합할 때

예 맑다[막따], 읽다[익따] 맑고[말꼬], 읽고[일꼬], 읽기[일끼]

주의 닭+고기[닥꼬기]
개념의 빈틈 넓다[ ] vs 밟다[ ]

겹받침 ㄼ
발음 [ㄹ] [ㅂ]

•‘밟다’는 모든 경우에 [밥]으로 발음됨


구분 원칙
•‘넓다’는 합성어나 파생어를 만들 때, [넙]으로 발음됨

짧다[짤따], 짧네[짤레] 밟다[밥따], 밟고[밥꼬]



넓다[널따], 넓지[널찌] 넓둥글다[넙뚱글다]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7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개념의 빈틈 자음군 단순화 적용 환경
✰ 음절의 끝소리 환경
➀ 뒤에 아무 말도 오지 않는 경우 예 닭[ ]

➁ 뒤에 자음이 오는 경우 예 닭도[ ]

➂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가 오는 경우 예 닭 앞에[ ] ⇨ 자음군 단순화 적용 후 연음됨

✰ 음절의 끝소리 환경이 아닌 경우


: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오는 경우
⇨ 자음군 단순화 적용하지 않고 연음됨 예 닭을[ ]

주의 겹받침 중 한 자음이 그 다음 음절의 초성 자음과 축약 : 자음군 단순화 X


예 잃다[일타], 읽히다[일키다]


★ ‘ㅎ’ 탈락 연습 문제
: ‘ㅎ’으로 끝나는 어간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날 때, ‘ㅎ’이 탈락하는 현상

예 좋아 → [조아] 놓은 [ ]

귀찮아 [ ] 싫어 [ ]

개념의 빈틈 않은[아는] vs 않는[안는]

발음 않는 → [안는] 않은 → [아는]

환경 ㄶ + 음절의 끝소리 환경 ㄶ + 모음 형식 형태소


음운 변동 자음군 단순화 ‘ㅎ’ 탈락


★ ‘ㅡ’ 탈락 연습 문제
: ‘ㅡ’로 끝나는 어간이 ‘ㅏ/ㅓ’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날 때, 어간의 ‘ㅡ’가 탈락하는 현상

예 쓰­ + ­어 → [써] 잠그­ + ­아 [ ]

아프­ + ­아 [ ] 뜨­ + ­어서 [ ]


★ 동일 모음 탈락 연습 문제
: ‘ㅏ/ㅓ’로 끝나는 어간이 ‘ㅏ/ㅓ’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날 때, ‘ㅏ/ㅓ’가 탈락하는 현상

예 가­ + ­아서 → [가서] 건너­ + ­어서 [ ]

타­ + ­아서 [ ] 켜­ + ­어서 [ ]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8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플러스+ 개념] 반모음 ‘j’ 탈락


: 경구개음 뒤에 반모음 ‘j’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이 올 때, 반모음 ‘j’가 탈락한다.
예 지- + -어 → (져) → [저] 살찌- + -어 → (살쪄) → [살쩌]


★ 격음화(거센소리되기) 연습 문제
: 예사소리 ‘ㄱ, ㄷ, ㅂ, ㅈ’과 ‘ㅎ’이 만나 각각 거센소리 ‘ㅋ, ㅌ, ㅍ, ㅊ’으로 바뀌는 현상

예 막히다 [마키다] 맏형 [ ]

옳지 [ ] 읽히다 [ ]

개념의 빈틈 꽂힌[ ] vs 낮하고[ ]

꽂힌 → [꼬친] 낮하고 → [낟하고] → [나타고]


발음
읽히다 → [일키다] 흙화덕 → [흑화덕] → [흐콰덕]

꽂-, 읽- + -히- 낮, 흙 + 화덕, 하고


환경
꽂-, 읽- : 독립하여 홀로 쓸 수 없는 단어 낮, 흙 : 독립하여 홀로 쓸 수 있는 단어

자음군 단순화 or 음절의 끝소리 규칙 적용 후


음운 변동 곧바로 거센소리되기 적용
거센소리되기 적용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