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

III.

일제 식민지 재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04. 사회 문화의 변화와 사회 운동
1. 사회 모습의 변화

1. 식민지 도시화가 진행되다


1) 근대 도시의 발달: (1)일제의 경제 참략과 식민 지배 정책에 따라 도시화 진행 <자동차에 밀려 직업을
<모던 걸과 모던 보이 풍자화>
(2)개항 후: 서울, 평양, 개항장과 철도, 항만 건설에 따라 신흥 도시 성장(물산의 집산지: 대전, 신의주 등/항만도시: 목포, 군산) 잃어버린 인력거꾼>
(3)일제 강점기: 1/식민지 공업화 추진에 따라 함흥, 청진 등 북부 지방에 공업 도시 성장
2/서울, 부산, 평양 등 대도시의 팽창, 인구 증가
3/공주, 개성, 경주 등 전통 도시 식민지 지배 정책에서 소외 → 상대적으로 성장 더딤
2) 도시의 변화: (1)중심지: 신작로 건설, 새로운 시가지 형성 → 일본인이 시가지의 중심 차지
(2)도시변두리: 토막집

2. 대도시를 중심으로 대중문화가 유행하다


1) 형성: (1)1920-1930년대 신문, 잡지, 영화 등을 통해 서양 문화의 유입 → 서울 등 도시를 중심으로 형성, 유행
2) 내용: (1)신문이 문화와 스포츠 등 소개, <신여성>, <삼천리> 등 잡지에 패션이나 화장법 소개
(2)영화 상영, 백화점 운영, 다방과 카페 등장, 라디오 방송과 레코드 보급으로 유행가 등장, 야구, 축구, 자전거 등 스포츠 대중문화의 영역이 됨
3) 특징: (1)모던 보이, 모던 걸 등으로 대표되는 자본주의적 소비 문화

3. 도시 빈민의 삶은 어떠하였을까?
1) 도시 빈민의 형성: (1)식민지 공업화와 함께 도시화 → 노동자의 수 증가, 노동자의 상당수 날품팔이 미숙련 노동자 → 도시 빈민층 형성
2) 도시 빈민의 생활: (1)도시 변두리 토막에 거주(토막민)
(2)문화적 혜택에서 소외
<토막집>
4. 몰락해 가는 농민의 삶
1) 농민층의 분해: (1)배경: 식민지 수탈 정책 → 일본 토지 회사나 소수의 대지주에 토지 집중
(2)분해: 자작농과 자소작농 수 감소, 소작농 크게 증가, 소작농의 화전민, 도시 빈민화, 만주, 연해주 일본으로 이주하는 농민 증가
2) 농촌 진흥 운동: (1)배경: 대공황 이후 농민층 몰락, 격렬한 소작 쟁의 전개
(2)내용: 농촌 효율적 통제 → 식민지 체제 안정 도모
(3)방식: 빈곤의 책임을 농민에게 전가, 근면과 절약을 강조하는 정신운동으로 추진

5. 국외 이주 동포의 시련
1) 대표 사례: (1)간도 참변(1920)
(2)연해주 한인의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1937)
(3)관동 대지진 때의 한국인 학살(1923)

<제1회 조선 야구 대회에서 시구하는 이상재>

<거적을 두른 토막에 사는 도시 변두리의 빈민>

<장안동참안 유지(간도참변)> <관동 대지진때의 한국인 학살>

<일제 강점기 농민층의 분해 과정>


<연해주 한인의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
III. 일제 식민지 재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04. 사회 문화의 변화와 사회 운동
2. 사회적 차별을 철폐하려는 움직임

1. 여성의 지위 향상을 추구하다


1) 배경: (1)1920년대 이후 여성의 사회 진출 활발 → 새로운 직업군 등장, 여성 노동자의 수 증가
(2)남존여비의 가부장적 인습 존속, 일제의 여성 차별 법제화 → 여성의 지위 열악
2) 여성 운동 전개: (1)신식 교육을 받은 신여성 등장 → 여성 인권의 신장과 양성평등 주장
(2)여성 운동 단체 조직 → 여성 계몽, 여성 차별 철폐 등 주장
3) 근우회의 활동: (1)대표적 여성 단체, 신간회의 여성 자매단체
(2)조직(1927):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여성 인사 대부분 참여
(3)강령: ‘조선 여자의 공고한 단결을 도모함’, ‘조선 여자의 지위 향상을 도모함’
(4)활동: 국내와 도쿄, 간도 등지에 수십 개의 지회 조직 → 강연회, 부인 강좌, 야학 등의 활동, 노동 여성의 조직화, 여성 계몽에 노력

2.아이에서 어린이로, 소년 운동이 일어나다


1) 배경: 어린이의 열악한 지위 → 교육 기회가 적음, 공장 취업 시 낮은 임금과 장시간의 노동
2) 내용: (1)천도교 소년회: 방정환의 활약, 어린이날 제정,잡지 <어린이> 간행
(2)소년 운동 확산 → 조선 소년 연합회 결성(1927, 전국적인 조직체)
3) 탄압: 1930년대 일제가 민족 운동으로 간주하여 탄압 → 중일 전쟁 이후 완전히 금지

3. 형평 운동, 저울처럼 평등한 사회를 만들자


1) 배경: (1)갑오개혁 이후에도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천대가 계속됨
(2)일제가 호적에 붉은 점등으로 백정 신분을 표시하여 차별
2) 내용: (1)백정이 자신들에 대한 차별 폐지 요구, ‘저울처럼 평등한 세상’을 만든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전개
(2)조선 형평사 창립(1923, 진주) → 전국으로 확대, 다른 사회 운동 단체와 연대하여 항일 민족 운동을 전개하기도. 함
III. 일제 식민지 재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04. 사회 문화의 변화와 사회 운동
3. 민족 문화를 지키려는 노력

1. 일제, 식민 사관을 날조하다


1) 목적: (1)한국 강점과 식민 통치의 합리화
2) 식민 사관: (1)한국사 왜곡 자율적, 주체적 발전 부정, 부정적인 면 강조
(2)타율성론: 한국 역사는 중국, 일본 등 외세에 의해 타율적으로 움직여 왔다는 주장
(3)정체성론: 한국사는 중세 봉건 사회를 거치지 못하여 스스로 자본주의적 근대 사회로의 발전 불가 주장
<박은식>
(원시 공산 사회-고대 노예 사회-중세 봉건 사회-근대 자본주의)
(4)당파성론: 민족의 분열성이 강하여 항상 내분하여 싸웠다는 주장(삼국, 붕당, 호족)
(5)총독부 산하에 조선사 편수회 설치

2. 민족주의 사학, 역사를 지켜야 나라를 되찾을 수 있다


1) 방향: (1) 자주적 민족사 연구, 민족정신 강조 → 민족 운동의 일환으로 연구
2) 박은식: (1)‘조선 국혼’ 강조
(2)<한국통사>(고종-경술국치), <한국독립운동 지혈사>(갑신정변-3.1운동)
3) 신채호: (1)민족 중심의 자주적 역사관 수립 강조
(2)고대사 연구에 주력 <조선상고사>(단군-백제멸망, 부흥운동), <조선사연구초>(묘청, 조선 역사상 일천 년대 제일 대사건)
4) 정인보(조선얼), 문일평, 안재홍: 1930년대 중반 조선학 운동 전개(실학,정약용 강조)
<백남운>

3. 식민 사관 극복에 나선 사회 경제 사학, 그리고 실증 사학


1) 사회 경제 사학: (1)유물 사관(마르크스)의 영향
(2)백남운이 <조선사회경제사> 저술, 한국사도 세계사적인 일원론적 역사 법칙에 의해 발전하였음 주장 → 정체성론 비판
2) 실증 사학: (1)진단 학회 조직, 문헌 고증을 통해 객관적으로 역사 서술

4. 조선어 학회, 한글을 지키다


1) 조선어 연구회(1921): (1)‘가갸날(한글날)’ 제정, 잡지 <한글> 간행
2) 조선어 학회(1931): (1)최현배, 이극로 등 중심, 한글 표준화에 기여, 우리말 <큰사전> 편찬 주력, 한글 강습 교재 만들어 문맹 퇴치 운동 적극적 참여
→ 일제가 조선어 학회 사건을 조작하여 탄압(1942)
<조선어 학회 회원들>

5. 언론 활동과 교육 운동을 펼치다


1) 언론: (1)3.1운동 이후 신문, 잡지간행 → 새로운 사상 전파, 문화 발전에 기여(동아일보, 조선일보)
2) 교육 운동: (1)일제의 식민지 우민화 교육에 저항 → 민족 교육 실시(사립학교, 개량 서당), 야학(1920년대) 활성화

6. 종교계, 민족 운동에 나서다


1) 대종교: (1)단군 신앙 전파, 종단 중앙 기구의 만주 이동, 무장 투쟁(중광단)
2) 천도교: (1)제2의 독립 선언 운동 계획(1922),<개벽>, <신여성>등 잡지 발간
3) 불교: (1)한용운이 불교 대중화 노력, 조선 불교 유신회 조직
4) 개신교: (1)교육, 의료 사업, 신사 참배 거부 운동(주기철 목사의 순교)
5) 천주교: (1)보육원, 양로원 등 사회 사업, 의민단 조직(간도지역, 무장 투쟁)
6) 원불교: (1)박중빈이 창시(1916), 허례 폐지, 근검 절약, 협동 단결 등 새 생활 운동 전개 <한용운> <주기철> <박중빈>

<전형필, 훈민정음 해례본>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