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08

건축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른

건축자재 도면표기 가이드

2020. 4.
목 차

1. 배경 및 필요성 ········································································1

2. 건축자재 도면표기방법 ····························································2


1) 개요 ······························································································2
2) 예시도면 활용방법 ········································································3
3) 도면작성요령 ·················································································4
(1) 실내·외 재료마감표 ·································································4
(2) 건축자재일람표 ········································································5
(3) 평면도 ······················································································7
(4) 입면도 ······················································································8
(5) 단면도 ······················································································9
(6) 방화구획상세도 ······································································10
(7) 외벽마감 단면상세도 ·····························································11

첨 부
1. 건축자재 도면표기 예시도면 ····················································15
2. 건축법 시행규칙 [별표 4의2] ··················································42
3.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자재 분류체계 ··········································46
4.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자재정보센터 ··········································100
 배경 및 필요성

건축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건축자재에 관련된 사항을 착공신고 시 설계도서에


표기하여야 함 (시행예정일 : 2020.05.19. / 건축법 시행규칙 「별표 4의2」 관련)

ㅇ 건축법 시행규칙 [별표 4의2]*의 개정(2019.11.18.)으로 착공신고도서에 건축자


재의 정보 및 방화구획 관련 사항 등을 표기하여야 함
* 건축법 시행규칙 [별표 4의2] (첨부 2)
착공신고에 필요한 설계도서(제14항제1항 관련) - 2020.5.19. 시행예정

<현 행 > <개 정 안 >


도서의
표시하여야 할 사항 표시하여야 할 사항
종류
실내마감재 및 건축자재의 성능
실내마감재료 및 외벽 마감재료, 외단열재의 성능, 품명,
마감재료표 및 품명, 규격, 재질, 질감, 색상
규격, 재질, 질감 및 색상 등의 구체적 표기
등의 구체적 표기

각층및 방화구획(방화문,자동방화셔터,내화충전구조,방화댐퍼를
방화 구획 및 방화벽의 위치
지붕평면도 포함한다) 계획

주요 내외벽, 중심선 또는 마감선


주요 내외벽, 중심선 또는 마감선 치수, 외벽 마감재료
치수, 외부마감재료
입면도 건축자재 성능 및 품명, 규격, 재질, 질감, 색상 등의 구
건축자재 성능 및 품명, 규격, 재질,
체적 표기
질감, 색상 등의 구체적 표기
방화구획(방화문,자동방화셔터,내화충전구조,방화댐퍼를
단면도 <신 설>
포함한다) 계획
방화구획 방화문,자동방화셔터,내화충전구조,방화댐퍼 설치부분 상
<신 설>
상세도 세도
외벽마감 외벽 및 외벽에 설치되는 단열재, 마감재료의 종류(법
<신 설>
단면상세도 제52조제2항에 따른 건축물에 한함)

ㅇ 설계도면 작성 시부터 건축사가 자재를 선택함으로써 부실자재 사용으로 인한


부실건축 방지 등 국민의 안전 도모

ㅇ 도면 작성 시 필요한 자재의 정보를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자재정보센터


(http://kiramat.kira.or.kr/main.do)를 통해 확인 가능토록 함으로써 업무상
편의 및 건축자재정보센터 활성화 도모

- 1 -
 건축자재 도면표기방법
1) 개 요

첨부로 제공하는 건축자재 도면표기 예시도면(이하“예시도면”이라 한다)은 2020.05.19.


시행하는 ‘건축법 시행규칙 [별표4의 2] 착공신고에 필요한 설계도서’ 개정에 따른 도면
표기내용을 표현한 예시도면임 (첨부 1)
- 시행규칙의 개정에 따른 내용만을 작성한 것으로 해당 사항만 참고

ㅇ 예시도면의 표기방법은 개정된 내용을 설계도서에 표현하여야 함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고자 작성된 내용이므로 법적 의무사항은 아니며 별도의 방법으로 표현
하거나 생략이 가능할 시 생략하여도 무방함

① 예시도면의 용도
- 다세대주택, 근린생활시설, 업무시설

② 예시도면의 종류
- 실내·외 마감재료표 - 건축자재일람표(신설)
- 평면도(방화구획 포함) - 방화구획 상세도
- 단면도(방화구획 포함) - 외벽마감 단면상세도
- 입면도(자재정보 표기)

③ 건축자재일람표의 기호(A~W)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자재정보센터의 자재 분류코드* 적용 (첨부 3)
- 법적인 규정 사항 아님 (건축자재정보센터 확인용도)
* 추후 수정·보완 예정

④ 예시도면의 재료명
- 도면 형식의 완성을 위해 기입
- 건축물의 용도와 성능, 디자인, 예산 등에 맞춰 적절한 재료 선정 필요

⑤ 예시도면의 NOTE
- 설명 목적으로 작성, 설계 시 필요사항 기입

- 2 -
2) 예시도면 활용방법

방법 1) 대한건축사협회 홈페이지(http://www.kira.or.kr) 다운로드


회원업무지원 바로가기 → 법령자료실 → 건축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른 건축자재 도면표기방
법 안내 (dwg 및 pdf 다운로드)

방법 2)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자재정보센터(http://kiramat.kira.or.kr) 다운로드


고객지원 → 자료실 → 건축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른 건축자재 도면표기방법 안내 (dwg 및
pdf 다운로드)

① 다세대주택 특기사항
- 규모상 방화구획 대상 아님, 필요 시 작성
- 키맵과 범례로 방화구획 표기
- 방화구획상세도 및 외벽마감 단면상세도 : 단면도에 표기

② 근린생활시설 특기사항
- 규모상 방화구획 대상 아님, 필요 시 작성
- 키맵과 범례로 방화구획 표기
- 방화구획상세도 : 단면도에 표기
- 외벽마감 단면상세도 : 별도의 도면 작성

③ 업무시설 특기사항
- 방화구획 표현 : 범례 활용 및 방화구획도 작성
- 외벽마감 단면상세도
: 평·입·단면 상세도 및 재료의 범례를 포함한 별도 도면 작성

④ 기타사항
- 방화댐퍼 설치부분 상세도 : 기계설비도면으로 첨부 (건축도면X)

- 3 -
3) 도면 작성요령

(1) 실내·외 재료마감표

① 도면의 명칭 변경 : 실내재료마감표 → 마감재료표


② 기존에 작성하던 실내재료마감표의 내용에 자재일람표의 기호와 번호를 결합한
자재번호 표기 (A-01, B-02 등)
③ 실외마감재료표를 신설하여 외벽의 마감재료, 외단열재 등을 표기

- 4 -
(2) 건축자재일람표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 5 -
① 기호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자재정보센터에 등록된 자재의 분류코드 준용

자재일람표 자재일람표
자재분류 자재분류
적용 기호 적용 기호

벽돌·블록 A 건축·창호철물 M

조립식판 B 전시물시설재 N

석재 C 유리 O

타일 D 도료 P

방수재 E 바닥재 Q

지붕재 F 단열보온재 R

조립식건물용재 G 내장재(합판·보드) S

미장재 H 내장재(천장재) T

플라스틱창호재 I 내장재(실내장식마감재) U

금속창호재 J 가구 V

목재창호재 K 기타 W

기타창호재 L

※ 건축자재정보센터의 자재 분류코드(건축부문)를 준용하여 순서대로 알파벳 적용 (첨부3 참조)

② 분류 : 해당 자재의 카테고리 (석재, 방수재, 바닥재 등)


③ 번호 : 동일 기호 내의 자재 순번
④ 분류코드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자재정보센터의 자재분류코드 (첨부3)
(http://kiramat.kira.or.kr/main.do)
⑤ 자재명 : 해당 자재의 통상적인 명칭 (복층유리, 벽지, 석고보드 등)
⑥ 제품명 : 해당 자재의 제조사 제품명
⑦ 규격(성능) : 해당 자재의 규격 및 성능
⑧ 제조회사 : 해당 자재를 제조한 회사

- 6 -
(3) 평면도

- 방화구획의 표현 : 방화구획 대상 건축물인 경우 방화구획 부분 표현 (필요 시)


- 별도의 방화구획도를 키맵으로 작성하거나 범례를 활용하여 표현

- 7 -
(4) 입면도

- 외벽마감재료의 표현 (자재일람표의 자재번호 포함)


- NOTE에 건축자재일람표의 자재성능을 적용할 것을 명기

- 8 -
(5) 단면도

- 방화구획의 표현 : 방화구획 대상 건축물인 경우 방화구획 부분 표현 (필요 시)

- 9 -
(6) 방화구획상세도 (필요 시)

- 방화문, 자동방화셔터, 내화충전구조, 방화댐퍼 설치부분 상세도 작성


- 예시도면은 층간방화구획에 따른 내화충전구조의 상세도를 작성한 것으로 방화문,
자동방화셔터, 방화댐퍼 등의 설치 시 해당부분 상세도를 작성
- 단면도에 포함 또는 별도의 도면으로 작성 가능

- 10 -
(7) 외벽마감 단면상세도

- 11 -
- 외벽의 마감 부분에 대한 상세 도면 작성
- 단면도에 포함 또는 별도의 도면으로 작성 가능

- 12 -
첨부 1 건축자재 도면표기 예시도면

1) 근린생활시설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2) 다세대주택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3) 업무시설

- 29 -
- 30 -
- 31 -
- 32 -
- 33 -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첨부 2 건축법 시행규칙 [별표 4의2]

착공신고에 필요한 설계도서(제14조제1항 관련)

분 야 도서의 종류 내 용
1. 건축 가. 도면 목록표 공종 구분해서 분류 작성
나. 안내도 방위, 도로, 대지주변 지물의 정보 수록
다. 개요서 1) 개요(위치ㆍ대지면적 등)
2) 지역ㆍ지구 및 도시계획사항
3) 건축물의 규모(건축면적ㆍ연면적ㆍ높이ㆍ층
수 등)
4) 건축물의 용도별 면적
5) 주차장 규모
라. 구적도 대지면적에 대한 기술
마. 마감재료표 바닥, 벽, 천정 등 실내 마감재료 및 외벽 마감
재료(외벽에 설치하는 단열재를 포함한다)의 성
능, 품명, 규격, 재질, 질감 및 색상 등의 구체
적 표기
바. 배치도 축척 및 방위, 건축선, 대지경계선 및 대지가
정하는 도로의 위치와 폭, 건축선 및 대지경계
선으로부터 건축물까지의 거리, 신청 건물과
기존 건물과의 관계, 대지의 고저차, 부대시설
물과의 관계
사. 주차계획도 1) 법정 주차대수와 주차 확보대수의 대비표,
주차배치도 및 차량 동선도 차량진출입 관련
위치 및 구조
2) 옥외 및 지하 주차장 도면
아. 각 층 및 지붕 평면도 1) 기둥ㆍ벽ㆍ창문 등의 위치 및 복도, 계단,
승강기 위치
2) 방화구획 계획(방화문, 자동방화셔터, 내화
충전구조 및 방화댐퍼의 설치 계획을 포함한
다)
자. 입면도(2면 이상) 1) 주요 내외벽, 중심선 또는 마감선 치수, 외
벽 마감재료
2) 건축자재 성능 및 품명, 규격, 재질, 질감,
색상 등의 구체적 표기
3) 간판 및 건물번호판의 설치계획(크기ㆍ위치)

- 40 -
차. 단면도(종ㆍ횡단면도) 1) 건축물 최고높이, 각 층의 높이, 반자높이
2) 천정 안 배관 공간, 계단 등의 관계를 표현
3) 방화구획 계획(방화문, 자동방화셔터, 내화충전
구조 및 방화댐퍼의 설치 계획을 포함한다)
카. 수직동선상세도 1) 코아(Core) 상세도(코아 안의 각종 설비관
련 시설물의 위치)
2) 계단 평면ㆍ단면 상세도
3) 주차경사로 평면ㆍ단면 상세도
타. 부분상세도 1) 지상층 외벽 평면ㆍ입면ㆍ단면도
2) 지하층 부분 단면 상세도
파. 창호도 창호 일람표, 창호 평면도, 창호 상세도, 창호
입면도
하. 건축설비도 냉방ㆍ난방설비, 위생설비, 환경설비, 정화조,
승강설비 등 건축설비
거. 방화구획 상세도 방화문, 자동방화셔터, 내화충전구조, 방화댐퍼
설치부분 상세도
너. 외벽 마감재료의 단면 상 외벽의 마감재료(외벽에 설치하는 단열재를 포
세도 함한다)의 종류별 단면 상세도(법 제52조제2항
에 따른 건축물만 해당한다)

2. 일반 가. 시방서 1) 시방내용(국토교통부장관이 작성한 표준시방서


에 없는 공법인 경우만 해당한다)
2) 흙막이공법 및 도면
3. 구조 가. 도면 목록표
나. 기초 일람표
다. 구조 평면ㆍ입면ㆍ단면도 1) 구조내력상 주요한 부분의 평면 및 단면
(구조안전 확인 대상 건축 2) 주요부분의 상세도면(배근상세, 접합상세, 배근
물) 시 주의사항 표기)
3) 구조안전확인서
라. 구조가구도 골조의 단면 상태를 표현하는 도면으로 골조의
상호 연관관계를 표현
마. 앵커(Anchor)배치도 및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설치도
바. 기둥 일람표
사. 보 일람표
아. 슬래브(Slab) 일람표

- 41 -
자. 옹벽 일람표
차. 계단배근 일람표
카. 주심도
4. 기계 가. 도면 목록표
나. 장비일람표 규격, 수량을 상세히 기록
다. 장비배치도 기계실, 공조실 등의 장비배치방안 계획
라. 계통도 공조배관 설비, 덕트(Duct) 설비, 위생 설비 등
계통도
마. 기준층 및 주요층 기구 공조배관 설비, 덕트 설비, 위생 설비 등 평면
평면도 도
바. 저수조 및 고가수조 저수조 및 고가수조의 설치기준을 표시
사. 도시가스 인입 확인 도시가스 인입지역에 한해서 조사 및 확인

5. 전기 가. 도면 목록표
나. 배치도 옥외조명 설비 평면도
다. 계통도 1) 전력 계통도
2) 조명 계통도
라. 평면도 조명 평면도
6. 통신 가. 도면 목록표
나. 배치도 옥외 CCTV설비와 옥외방송 평면도
1) 구내통신선로설비 계통도
2) 방송공동수신설비 계통도
다. 계통도
3) 이동통신 구내선로설비 계통도
4) CCTV설비 계통도
1) 구내통신선로설비 평면도
2) 방송공동수신설비 평면도
라. 평면도
3) 이동통신 구내선로설비 평면도
4) CCTV설비 평면도
7. 토목 가. 도면 목록표
나. 각종 평면도 주요시설물 계획
다. 토지굴착 및 옹벽도 1) 지하매설구조물 현황
2) 흙막이 구조(지하 2층 이상의 지하층을 설치
하는 경우 또는 지하 1층을 설치하는 경우로
서 법 제27조에 따른 건축허가 현장조사ㆍ검
사 또는 확인시 굴착으로 인하여 인접대지 석
축 및 건축물 등에 영향이 있어 조치가 필요
하다고 인정된 경우만 해당한다)
3) 단면상세
4) 옹벽구조
라. 대지 종ㆍ횡단면도

- 42 -
마. 포장계획 평면ㆍ단면도
바. 우수ㆍ오수 배수처리 평
면ㆍ종단면도
사. 상하수 계통도 우수ㆍ오수 배수처리 구조물 위치 및 상세도,
공공하수도와의 연결방법, 상수도 인입계획, 정
화조의 위치
아. 지반조사 보고서 시추조사 결과, 지반분류, 지반반력계수 등 구조
설계를 위한 지반자료
(주변 건축물의 지반조사 결과를 적용하여 별도
의 지반조사가 필요 없는 경우, 「건축물의 구조
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른 소규모건축물로
지반을 최저 등급으로 가정한 경우, 지반조사를
할 수 없는 경우 등 허가권자가 인정하는 경우
에는 지반조사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을 수 있
다)
8. 조경 가. 도면 목록표
나. 조경 배치도 법정 면적과 계획면적의 대비, 조경계획 및 식
재 상세도
다. 식재 평면도
라. 단면도
비고
법 제21조에 따라 착공신고하려는 건축물의 공사와 관련 없는 설계도서는 제출하지 않는다.

- 43 -
첨부 3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자재 분류체계

건축자재 분류체계
(V2.1)

2019. 10.

대한건축사협회

- 44 -
Contents
PART 01 건축자재 분류체계의 개요 ··················································································49
01 건축자재 분류체계의 관계도 ·········································································································50
02 국외 건축자재(건설정보) 분류체계의 종류 ···················································································50
03 국내 건축자재(건설정보) 분류체계의 종류 ···················································································51
04 건축자재 분류체계(안) ···················································································································53

PART 02 건축자재 분류체계(안) ·························································································54


01 건 축 ·············································································································································55
02 기계설비 ········································································································································65
03 전기통신 ········································································································································78
04 소방설비 ········································································································································86
05 토 목 ·············································································································································88
00 공 통 ·············································································································································95

- 45 -
PART 01

개요

- 46 -
1. 건축자재 분류체계의 관계도
건축자재 분류체계는 설계도면, 시방서, 내역서와 직접적인 연관도를 가짐

[그림1-1] 건축자재 분류체계 관계도

2. 국외 건축자재(건설정보) 분류체계의 종류

2.1 유럽의 건설정보 분류체계 (Uniclass)

- 장점 : SfB 계열의 분류체계는 체계화된 색인을 갖추고 있어 검색이 쉽고 실무분야의 자료분류가 용이, 분류
기호의 사용법칙이 명확함
- 단점 : 사용이 복잡하고 분류기호의 조합이 어려움. 문헌위주 분류체계로 정보화시대의 전산화에 부적합

[표2-12] Uniclass 분류체계

Table A 정보 Form of information


Table B 분야 Subject disciplines
Table C 관리 Management
Table D 시설 Facility
Table E 특수건축 Construction entities
Table F 공간 Spaces
Table G 건축요소 Elements for building
Table H 토목요소 Elements for civil engineering works
Table J 건축공종 Work section for building
Table K 토목공종 Work section for civil engineering works
Table L 건축 산물 Construction Products
Table M 건축 보조물 Construction aids
Table N 속성과 특성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Table P 자재 Materials
Table Q 국제십진법 분류 Universal Decimal Classfication

- 47 -
2.2 북미의 건설정보 분류체계 (CSI Format for Building Specification/ Master Format)

- 장점 : 1986년 Sweet’s Catalog에 채택되었고 북미 건설공사 분류에 막강한 영향 / 건설산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공사비관리, 시방서체계, 프로젝트관리, 자료정비에 유리
- 단점 : 파셋에 의한 분류체계에 비해 표현이나 사용 목적에 다소 제한 있음

[표2-13] CSI Format – 16 Division

DIVISION 1 공사일반 General Requirement


DIVISION 2 토공 및 대지조성공사 Site Construction
DIVISION 3 콘크리트공사 Concrete
DIVISION 4 조적공사 Masonry
DIVISION 5 금속공사 Metal
DIVISION 6 목공사 및 플라스틱공사 Wood and Plastics
DIVISION 7 단열 및 방수공사 Thermal and Moisture Protection
DIVISION 8 창호공사 Door and Windows
DIVISION 9 마감공사 Finishes
DIVISION 10 잡공사 Specialties
DIVISION 11 장비 Equipment
DIVISION 12 가구 Furnishings
DIVISION 13 특수공사 Special Construction
DIVISION 14 운송시스템 Conveying System
DIVISION 15 기계공사 Mechanical
DIVISION 16 전기공사 Electrical

3. 국내 건축자재(건설정보) 분류체계의 종류

3.1 통합건설정분류체계
- 특징 : Uniclass를 기초로하여 크게 시설물(Facility), 공간(Space), 부위(Element), 공종 (Works), 자원
(Resource) 분류의 5개의 파셋 (Facet) 으로 구성됨
자원(Resource)는 다시 자재(M), 장비(Q), 인력(L) 로 구분되며, 자재분류는 조달청 물품목록 체계를 적용

[표3-1]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기본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기호 분류체계상 주체
자리수 자리수 자리수 자리수 자리수
F 시설물 5 1 1 1 2
S 공간 5 1 1 1 2
E 부위 5 1 1 1 2
W 공종 4 2 2 1 -
M 자재 4 2 2 - -
R Q 자원 장비 4 2 2 - -
L 인력 4 2 2 - -

- 48 -
3.2 조달청 물품목록번호체계

- 특징 : G2B 물품목록번호 체계는 총 16자리 숫자로 물품분류번호(8자리)와 물품식별번호(8자리)로 <표3-2>와


같이 구성됨. 물품목록번호는 2자리씩 4단계 계층구조로 이루어진 8자리 숫자로 구분함

[표3-2] 조달청 물품목록번호체계


구분 번호내용 사용명칭
대 12(운송기기)
중 10(자동차) 물품분류번호 물품세부품명번호
소 15(버스 및 승용차) 물품목록번호
(8자리) (10자리)
(16자리)
03(일반승용차)- 25101503 25101503-01
품명 25101503-
01 (세부번호)
23405433
식별 23405433
(생산자 + 번호) (무의미 일련번호)

3.3 물가협회 자재분류체계

- 특징 : 물가협회의 자재분류는 대분류는 9가지 (공통자재, 건축자재, 토목자재, 기계설비자재, 소방설비자재,


공해방지시설, 전기통신자재, 기계공구, 기타 원자재, 괸리 및 생활용품) 으로 구분됨
물가협회의 자재분류는 가장 오랜기간 방대한 자료를 축적하고 있는 측면의 장점이 있으며, 반면 계속
발생하는 신규자재를 코드에 추가하는 과정에서 품종코드, 품목코드의 연속성이 일부 결여되어 있는
단점이 있음

[표3-3] 물가협회 자재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품종코드 품목코드 규격코드
자리수 자리수 자리수 자리수 자리수
2 2 4 4 임의자리

3.4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자재정보센터 자재분류체계

- 특징 : 대한건축사협회의 자재분류체계는 북미 Master Format 체계와 같이 대중소 각2자리의 분류체계를


자지고 있으며, Sweet’s Clatalog의 분류체계와 연동하는 구조로 되어있음
대분류 : 물성기준 및 실무용어 분류 (Master Format 일부 참조)
중분류 : 자재종류 분류 (국내 건축자재종류 재구성)
소분류 : 자재특성분류 (물가정보, 건축재료도서, 실무사용용어 기준 분류)

[표3-4] 대한건축사협회 자재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소분류
자리수 자리수 임의자리
2 2 2 4

- 49 -
4. 건축자재 분류체계 (안)
- 국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자료 축적이 많은 물가협회 자재분류체계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방
대한 자료가 축척된 Sweet’s Catalog가 채택한 Master Foramat를 결합하여 재정리
- 자재분류코드는 Master Format (대중소 각2자리)를 사용하고 코드의 내용은 물가협회 자재분류체계를 적용

[그림4-1] 건축자재 분류체계 (안)

- 상기의 내용에 따라 작성된 건축자재 분류체계(안)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표4-1] 건축자재 분류체계(안) 사례

코드1 대분류 코드2 중분류 코드3 소분류


02 건축자재 01 벽돌·블록 01 고벽돌
02 내화벽돌/내화물
03 벽돌연결보강철물
04 비소성흙벽돌/블록
05 속빈콘크리트블록
06 점토벽돌
07 콘크리트벽돌
08 특수벽돌
09 특수블록
99 기타
02 조립식판 01 경량기포콘크리트블록/패널/인방
02 금속내·외장패널
03 난연성우레탄사이딩에코보드
04 내·외장복합패널
05 내진불연시스템 내/외장패널
~ (중간생략)
99 기타
03 석재 01 대리석
02 인조대리석
03 인조석/자연석 판석(건축용)
04 인조석/천연석 타일
05 천연석재(천연슬레이트)
06 테마자연석
07 투수스톤블록
08 화강석
99 기타

- 50 -
PART 02

건축자재 분류체계(안)

- 51 -
01. 건축

- 52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코드1 대분류 코드2 중분류 코드3 소분류
01 건축자재 01 벽돌·블록 01 고벽돌
02 내화벽돌/내화물
03 벽돌연결보강철물
04 비소성흙벽돌/블록
05 속빈콘크리트블록
06 점토벽돌
07 콘크리트벽돌
08 특수벽돌
09 특수블록
99 기타
02 조립식판 01 경량기포콘크리트블록/패널/인방
02 금속내·외장패널
03 난연성우레탄사이딩에코보드
04 내·외장복합패널
05 내진불연시스템 내/외장패널
06 노출콘크리트패널
07 법랑패널
08 벽체환기형불연지하이중벽
09 섬유강화치장시멘트패널
10 세라믹패널
11 속빈PC판
12 알루미늄복합패널
13 알루미늄세라믹패널
14 알루미늄하니컴패널
15 압출성형경량콘크리트패널
16 압출성형시멘트패널
17 외장유니트패널
18 우레탄사이딩보드(15T)/우레탄징크보드(18T)
19 인터폰D코팅패널
20 점토자기질·천연화강석패널
21 준불연단열일체형 브릭스패널
22 준불연단열일체형패널
23 티타늄아연판/티타늄/ETFE/열반사방수시트
24 폴리카보네이트복층내외장시스템패널
99 기타
03 석재 01 대리석
02 인조대리석
03 인조석/자연석 판석(건축용)
04 인조석/천연석 타일
05 천연석재(천연슬레이트)
06 테마자연석
07 투수스톤블록

- 53 -
08 화강석
99 기타
04 타일 01 기능성황토아트타일
02 내/외장타일
03 도자기질타일
04 디지털세라믹인쇄아트타일
05 벽화타일
06 석재타일
07 수영장타일
08 스테인리스타일
09 시각장애인용안전유도타일
10 외장타일
11 친환경기능성내장타일
12 태양광바닥블록타일
13 테라죠타일/계단
14 특수타일
99 기타
05 방수재 01 결로방지재
02 고분자합성수지시트 지붕방수재
03 구체방수재
04 도막방수재
05 모르타르방수재
06 발수제
07 방수재
08 방수테이프
09 방화코킹/실링재
10 복합방수재
11 세라믹방수재
12 시트방수재
13 신축이음재
14 아스팔트루핑
15 아스팔트방수재
16 아스팔트펠트
17 에폭시방수재
18 차열단열방수
19 차열방수/결로방지코팅재
20 침투성방수재
21 폴리우레아코팅방수재
99 기타
06 지붕재 01 F.R.P썬라이트/폴리카보네이트(P.C)
02 Seaming징크패널고정용고강력클램프
03 가압시멘트판기와
04 경량알루미늄복합시트지붕재
05 금속기와

- 54 -
06 금속슬라이딩시스템단열지붕(곡면,저경사)
07 돌기와
08 동지붕재(동기와)
09 두겁대(AL포인트캡)
10 무용접프레임
11 아스팔트기와
12 유약기와(청기와)
13 전통한식기와(문화재기와)
14 징크(ZINC)
15 태양광조명(집광채광)시스템
16 텐션막구조물
17 평판형 점토기와
18 폴리카보네이트복층지붕시스템패널
19 폴리카보네이트시트
20 학교용 알루미늄 난간두급대(옥상/띠장)
21 함석
22 흙기와(그을림점토기와)
23 흡음ㆍ단열지붕시스템패널
99 기타
07 조립식건물용재 01 경량철골천정부재
02 반건식외단열마감/외벽보수시스템
03 버스승강장시설물
04 샌드위치단열패널
05 아파트화재대피시설
06 조립식건물부품재
07 조립식아치형패널
08 칸막이
09 컨테이너/이동식초소
10 흡음/단열시스템패널
99 기타
08 미장재 01 미장모르타르
02 뿜칠재
03 외벽단열마감재
04 인조석(종석)
99 기타
09 플라스틱창호재 01 3K 단열복합창(AL+PVC발포)
02 건축물실내·외도어
03 플라스틱창문틀
04 합성수지문
99 기타
10 금속창호재 01 ABS학교전용창
02 UAW시스템단열창호
03 기능성복층판연결도복도
04 내풍압셔터/산업용자동도어

- 55 -
05 단열 스테인리스 자동도어(효율관리 기자재)
단열 스테인리스 하이브리드 복층유리 도어(효
06
율관리기자재)
07 단열 알미늄 하이브리드 폴딩도어
08 단열바 스테인리스 프레임
09 단열복합창
10 단열커튼월(ABS · 일반형)
11 대문자바라
12 레일은폐시스템창호
13 미서기시스템창(APW)
14 미세먼지 차단 나노방진필터(창호)
15 반자동문
16 방음문
17 방음시창/흡음보드
18 방충망
19 방화문
20 스테인리스연결도복도/알루미늄기능성창호
21 스틸새시도어
22 시스템창호
23 알루미늄단열안전창
24 알루미늄새시
25 알루미늄셔터/복층적립식셔터
26 알루미늄창호
27 알루미늄친환경그린창
28 일반 스테인리스 세이프 강화(복층)유리 도어
29 자동문
30 특수문/방폭시창
31 하이브리드 복층/방범(삼중)유리
32 하이브리드 전동 스크린(셔터)
33 학교교실출입문
34 회전문
99 기타
11 목재창호재 01 교실전용 목재래핑도어 및 창
02 기성목재문
03 목재문/무늬목도어/몰딩
04 목재창호
05 학교교실용행거슬라이딩도어
99 기타
12 기타창호재 01 단열 스테인리스 시스템 세이프도어(고기밀성)
02 단열바 스테인리스 자동 프레임
03 단열바 스테인리스 프레임
04 스테인리스 세이프강화도어
05 추락·침입방지 방충망 및 미세먼지 차단망
99 기타

- 56 -
13 건축·창호철물 01 건축부속철물(타카핀)
02 경첩
03 논슬립
04 도어록
05 도어클로우저(도어체크)
06 드레인(배수구)
07 디지털 도아록
08 비드
09 손끼임방지경첩
10 우편물수취함
11 익스펜션조인트커버시스템
12 자동경첩
13 점검구
14 줄눈대
15 창호철물
16 카드키/암호버튼키
17 플로어힌지
18 피봇힌지
99 기타
14 전시물시설재 01 문화재보호시설(박물관건축물)
99 기타
15 유리 01 강화유리
02 거울원판
03 그라피코장식유리(장식/복층/접합)유리
04 단열간봉 복층유리
05 디지털그래픽UV실사유리
06 디지털그래픽세라믹(초자)인쇄유리
07 디지털그래픽실사인쇄유리
08 디지털그래픽인쇄복층유리
09 복층유리
10 블라인드 복층유리(수동형)
11 알루피코/타일피코
12 유리단열안전필름
13 유리블록
14 유리타일
15 인테리어 패턴 장식유리
16 접합 및 특수유리(특수용접합유리)
17 접합유리
18 특수유리
19 판유리
99 기타
16 도료 01 KSM 도료
02 가정용페인트(벽지대용)
03 고기능녹/부식방지페인트

- 57 -
04 내화도료
05 도로용페인트(KS제품, 일반제품)
06 도장용구
07 락카
08 목재전용 방수방부방충도료/목재방부제
09 바니시
10 방청도료
11 방화,방염,내열페인트
12 본타일페인트
13 불법광고물부착방지도료
14 소부페인트
15 수성도료
16 스프레이도료
17 시너
18 에폭시페인트
19 우레탄페인트
20 유성도료(아크릴도료)
21 유성도료(에나멜)
22 유성도료(조합페인트)
23 은분페인트
24 중방식용도료
25 천연페인트(친환경)
26 친환경세라믹페인트
27 친환경페인트
28 특수도료
29 퍼티
99 기타
17 바닥재 01 PVC타일
02 PVC탄성바닥재
03 고강도 바닥재(중보행용·상업용)
04 고무시트바닥재
05 고무타일
06 기능성바닥마감재
07 나노플레이트폴리싱
08 노면광고용 시트바닥재
09 다기능성 바닥재(중·경보행용)
10 닥터프로아 폴리싱 바닥마감재
11 단일구조형 의료시설 전용 바닥재
12 목재마루판(플로어링보드)
13 미끄럼방지바닥재
14 불연성무기계수성폴리머수지몰탈마감재
15 비닐무석면타일
16 비닐시트바닥재
17 수맥파제거/균열방지바닥재

- 58 -
18 시스템마루틀
19 에폭시및기타수지계바닥재
20 이중바닥재
21 장애인편의시설
22 전도성비닐타일
23 차열그레눌바닥마감재
24 차음방진플로어링시스템
25 천연바닥재(중/경보행용)
26 출입문매트
27 층간소음방지재
28 친환경 침투식 도료 바닥재
29 친환경 컬러 침투 콘크리트 바닥재
30 친환경 환기용걸레받이
31 친환경교육시설용바닥재
32 친환경무기질바닥재
33 친환경세라믹바닥재
34 친환경환기용PVC걸레받이
35 침투식도막형바닥재
36 카펫
37 카펫타일
38 컬러콘크리트포장마감재
39 킹세라믹폴리싱
40 특수강화바닥재(스톤코트)
41 특수방진바닥재
42 폴리우레탄시공물
99 기타
18 단열보온재 01 경질우레탄 단열재(JY그린보드)
02 경질폴리우레탄단열재(더죤보드)
03 고성능준불연·내화성능페놀폼단열재
04 내화피복재
05 단열초배지
06 미네랄울보온재
발포폴리스티렌단열재(스티로폼/인슈블록/프로
07
폴)
발포폴리스티렌단열재(압출: 아이소핑크/하이폴
08
/핑크폼)
09 암면판(암면유공흡음판·유리면유공흡음판)
10 외벽단열마감재
11 외벽단열재
12 우레탄단열재
13 유리섬유보온재
준불연 단열재(안티화이어보드, Anti-Fire
14
Board)
15 준불연 복합단열재(B-PF Gold)
16 준불연 스티로폼 단열재(진보드)

- 59 -
17 준불연 저방사복합단열재
18 진공단열재/다층구조반사단열재
19 질석(퍼라이트)
20 충진재(백업재)
21 퍼라이트시공물
22 폴리에스터흡음단열재
폴리에틸렌발포단열재/방수층보호재/방통측면완
23
충재
99 기타
내장재(합판·보
19 01 MDF(중밀도섬유판)
드)
02 PB(파티클보드)
03 가공합판·내장합판
04 석고보드
05 섬유강화 보드
06 섬유강화시멘트 보드
07 아트사운드보드
08 합판
99 기타
20 내장재(천장재) 01 금속(흡음)천장재
02 금속제 내진 천장재
03 금속제 천장틀
04 내진시스템 천장재
05 내진용흡음 천장재
06 불연천장재
07 열경화성수지천장재 · PVC 천장재
08 입체형 멀티 천장틀
09 천장재(PVC·EMC)
10 컬러알루미늄천장재
99 기타
내장재(실내장식
21 01 건물내부(벽/천장)마감재
마감재)
02 건물내부흡음(벽)방염마감재
03 기능성인테리어마감재(친환경, 흡음)
04 내진용 흡음 천장재
05 도배용품 및 부자재
06 방염기능성흡음패널
07 버티컬/블라인드/폴딩도어
08 벽·천장용 흡음재
09 벽지
10 불연건축내장재
11 에코폰
12 인테리어필름표면마감재
13 천연석고 천장재
14 친환경 불연 질석 흡음보드·불연 내장 UV보

- 60 -

15 친환경 환기용 걸레받이
16 친환경금속흡음재
17 친환경기능성내부(벽/천장)마감재
18 친환경불연흡음내장재
19 포멕스
20 포클립 벽패널 시스템
99 기타
22 가구 01 고정형 가구
02 이동형 가구
99 기타
18 친환경불연흡음내장재
19 포멕스
20 포클립 벽패널 시스템
99 기타

- 61 -
02. 기계설비

- 62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코드1 대분류 코드2 중분류 코드3 소분류
강관 및 이음 PEP-DU, PEP-DL연결구일체형확관링조인트 및
02 기계설비 01 01
쇠 관이음쇠
PEP-S 누수 감지관용 홈/링조인트 및 관이음쇠(3
02
층피복)
03 PEP-U 기능성 강관용조인트 및 관이음쇠
04 가단주철제관이음쇠(흑관,백관)
05 가스관
06 강관연결용이음관
07 그루브조인트 및 그루브관이음쇠
08 나사식강관제관이음쇠
누수감지용 폴리에틸렌 에폭시 피복강관(PEP-S,조
09
인트용)
10 단열이중보온관 및 이형관
11 단조관이음쇠
12 단조플랜지
13 맞대기용접식관이음쇠
14 배관용탄소강관(흑관,백관)
15 분기관 연결구(KIC-T JOINT)
16 분말용착식 폴리에틸렌 3층피복강관 및 이형관
17 분말용착식폴리에틸렌피복이형관
18 송유관
19 압력배관용탄소강관
20 압출식 폴리에틸렌 3층 피복강관
21 연결구일체형상수도용도복장강관
와이어부착폴리에틸렌(PEP)피복강관홈,링조인트용기
22
능성에폭시
23 용접용강관제관이음쇠(흑관,백관)
24 이중보온관및이형관
25 이중지수 폴리에틸렌 피복강관
26 타이튼조인트PE피복STS관
파손감지용 폴리에틸렌 에폭시 피복강관(PEP-S,용
27
접용)
28 판플랜지
29 폴리에틸렌3층피복강관,폴리우레아도장강관
30 폴리에틸렌피복강관(가스용)
31 폴리우레아도장강관
32 홈&링조인트(배관용)
33 홈(그루브드)조인트 및 홈(그루브드)관이음쇠
홈,링조인트용 폴리에틸렌(PEP) 피복강관 및 이형
34

35 환봉연결구
99 기타
02 주철관 및 이 01 KP 닥타일 주철관 2종 및 이형관

- 63 -
음쇠
02 배수용 주철관
03 배수용 주철이형관(NO-HUB TYPE)
04 배수용 주철이형관(후렌지 TYPE)
05 배수용주철이형관(HUB TYPE)
06 배수용커플링(NO-HUB)
07 상수도 배관부속자재
08 수도용 닥타일주철관 및 접합부품
09 수도용닥타일주철이형관
10 이탈방지 압륜(KP나이프형)
11 자석플랜지패킹
99 기타
스테인리스관
03 01 EZ-조인트(원터치삽입식STS관이음쇠)
및 이음쇠
02 SUS.LT(랩)조인트
03 wepi-조인트
04 공업배관용 스테인리스관
05 스테인리스 플랜지
06 스테인리스관이음쇠
07 스테인레스관이음쇠(용접식)
08 스테인리스관이음쇠(메가톱죠인트)
09 스테인리스지하수양수파이프
10 스폴파이프
슬립인조인트(신축가동식관이음쇠) 및 엔에스 조인
11

12 원터치삽입식스테인리스관 이음쇠(HOOK-조인트)
13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관
일반배관용스테인레스강관프레스식관이음쇠(SR죠인
14
트)
15 프레스식 스테인리스관이음쇠(EQ죠인트)
16 확관식 스테인리스 강관 및 이음쇠(원죠인트)
99 기타
동관 및 이음
04 01 동관이음쇠

02 동파이프
03 황동관이음쇠
99 기타
PVC관 및 이
05 01 DCP추진관(HIVP)-SSPS
음쇠
02 EDR시스템(고강도지하횡주관 PIPE/FITTING)
03 MEGA 점검구
04 Mega오수받이 및 일체형 고강성 PVC이중벽관
05 OKP식 이음관
06 PVC 이음관(URF,저소음NC 이음관)
07 PVC소형맨홀 및 차집유량제어장치

- 64 -
08 PVC파이프
09 PVC파이프 이음관
10 SR Type 내충격 PVC하수관. 이음관
11 고강성 PVC 다원립파이프
12 고강성 PVC 이중벽하수관
13 고강성 PVC리브관
고강성 PVC이중벽관 이음관 및 덕트용 파이프이음
14

15 고강성PVC이중벽하수관및이음관
16 내충격 PVC 하수관 TS(본드접합) 이형관
17 내충격PVC 오수받이 및 소형맨홀
18 내충격PVC수도관
19 내충격PVC하수관 및 이음관,이형관
20 내충격PVC하수관(수도관) 및 이음관
21 내충격PVC하수관용 이형관 및 부속
22 내충격수도관
23 내충격수도관(HI-VP)
24 내충격용 수도관, 은나노항균 내충격수도관
25 오수/우수받이
26 오수받이, 우수받이 및 소형맨홀
27 저소음NC관,저소음삼중엘보
99 기타
PE관 및 이음 HDPE 이중벽관(O링형 이중벽관),이음관,MEGA맨
06 01
쇠 홀
02 HDPE 폴리에틸렌파이프
03 HI-3KP식 이음관(수도용)
04 HI-3S 나사식 이음관(수도용)
05 HMS 폴리에틸렌 하수도관 직관 및 이음관
06 MKP PE수도관 및 이형관(접합부속 포함)
07 MKP PE하수관 및 MKP PP하수관/이형관
08 PETR 그라우팅관
09 PE고강성·이중하수관·이음관, 분기구, 오수받이
10 PE다중벽관,PE이중벽관,이형관,이음관
11 PE복합관 및이음관
12 PE수도관신KS규격조임식이음관
13 PSS관 및 이음관
14 PS수도관 및 이음관
15 X-L 온돌파이프 및 이음관
16 가스, 수도용PE파이프 이음관
17 가스관/전자융착식가스이음관
가스용 및 수도용 폴리에틸렌 전기 융착식 이음관
18
(E/F)
19 가스용 폴리에틸렌 전기융착식 이음관(E/F)
20 강판보강 폴리에틸렌(PE) 복합관
21 고강도 삼중벽/이중벽 PE하수관 이경티

- 65 -
22 고강도폴리에틸렌삼중벽관(HIPOL하수관)
23 고강도폴리에틸렌이중벽관(HIPOL하수관)
24 고밀도폴리에틸렌파이프
25 고밀도폴리에틸렌파이프(HDPE)수도관 및 하수관
26 고밀도폴리에틸렌파이프수도관
27 고밀도폴리에틸렌파이프이음관
28 관갱생용 PPR LINER
29 다중벽(복층벽) 폴리에틸렌 이음관
30 다중벽(복층벽) 폴리에틸렌관 (DRP하수관)
31 단열이중특수보온관
32 복합철판매입파형관및이음관
33 삼중(복층)벽폴리에틸렌파이프 및이음관
34 상수관 보수,보강제품
35 수도용 NIT식 폴리에틸렌 수도관
36 수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PE)관/지열관/스페이서
37 수도용 내충격성 경질염화비닐관(HIVP-3L/HIVP)
수도용 폴리에틸렌 WEL관(다층복합관)/WEETA
38
(고압용PIPE)
39 수도용 폴리에틸렌 이음관
40 수도용 폴리에틸렌 이음관(ISO규격)
41 수도용 폴리에틸렌 전기융착식 이음관(E/F)
42 수도용 폴리에틸렌(PE)관 이음관
43 수도용PE파이프(유공, 무공관, 소방배관)
44 수도용폴리에틸렌(PE)관 맞대기(융착식)이음관
45 수도용폴리에틸렌관
46 수도용폴리에틸렌관(PEC수도관)
47 수도용폴리에틸렌파이프
48 수도용폴리에틸렌파이프이형관(융착식)
49 신규격 폴리에틸렌가스관 및 이음관
50 연결구일체형 JP PE/PP 이형관
외압강도보강구조 충진벽하수관,차수,다중,충진벽관
51
및 이음관
52 이중, 다중벽하수관 및 연결구
53 이중벽 폴리에틸렌관 (DRP 하수관)
54 이중벽(단층) 폴리에틸렌관(DRP하수관) 이음관
55 이중벽관(하수관) 및 다중벽관(복층벽관)
56 이중벽하수관, 복층벽관 및 이형관
57 이중벽하수관이음,연결밴드,이경티
58 이중벽하수관이음관
59 이지 PE파이프 및 연결구
중밀도폴리에틸렌파이프 융착식 및 전기융착식이음
60
관(MDPE)
61 중밀도폴리에틸렌파이프(MDPE)
62 지수단관
63 지열관(고밀도PE파이프)

- 66 -
64 지열관(지열용 지중열교환기)
65 차수벽관, 이중벽관, 연결소켓
66 폴리에틸렌 가스관 및 이음관
폴리에틸렌 복합압력 알루미늄관 및 이음쇠(프레스
67
식)
68 폴리에틸렌 이음관(주철재-볼트조임식)
폴리에틸렌(PE)관(이중벽/다중벽/차수벽 하수
69
관,WEETA-K PIPE)
70 폴리에틸렌관 및 이음관
71 폴리에틸렌관 부속류(JDP,JMP,JCP)
72 폴리에틸렌관 이경티(JDP,JMP,JCP)
73 폴리에틸렌관(JEP1,JEPT,JDC)
74 폴리에틸렌파이프 및 폴리프로필렌파이프, 이형관
75 폴리에틸렌파이프(HDPE)
76 하수관 및 하수이음관
77 하수도관의 연결구, 분기관연결구, PVC물받이
78 하수이음관
99 기타
07 기타배관재 01 GRP PIPE(RTRP)
02 GRP맨홀(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맨홀)
03 GRP파이프/GRP밸브실
04 YN카프링(배관연결 및 누수보수용클램프)
05 고강도 저소음 AS(PPF관)파이프 및 이음관
06 메탈히터(METAL HEATER)
07 배관용마감테이프
08 배관용부식방지외부도복장재
09 스테인리스SEAMLESS강관
10 유리섬유 곡관, 복합관 및 연결구
11 조이클램프
12 지하매설물탐사용경고테이프
13 파이프커플링
14 파이프행거
15 폴리부틸렌파이프(PB)
16 프리케스트인버트 및 하수관자재
17 환봉지지결합형연결구, 보수용클램프
18 후렉시블조인트.콘넥타
99 기타
08 밸브류 01 3중편심메탈시트 버터플라이밸브
02 GS밸브·썩션디퓨자·파이브원첵크밸브·GS감압밸브
03 KNIFE-GATE밸브
04 감압밸브
05 스트레이너
06 공기구동형헬리컬트림제어밸브
07 관로세척점검구

- 67 -
08 관세척점검(청소)구 및 청소용 포리피그
09 그루브드 커플링
10 급속공기밸브
11 기타상하수도밸브
12 내산밸브
13 농업용밸브(급수개폐기)
14 높이조절장치부착형밸브실
15 닥타일 제수밸브
16 단조밸브
17 동 밸브
18 디스크교체형버터플라이밸브(이상식)
19 디스크교체형버터플라이밸브(일상식)
20 메탈시트버터플라이밸브
21 무용접배관시스템
22 밸브실
23 밸브실(맨홀장치)
24 버터플라이밸브
25 버터플라이밸브 금속시트
26 버터플라이밸브(금속분삽입몸통시트형)
27 버터플라이밸브(스팀용외)
28 버터플라이밸브(카트리지TYPE)
29 버터플라이밸브(폴리우레탄 제수밸브)
30 버터플라이형 체크밸브
31 복합밸브
32 복합패널밸브실 및 기존관폐쇄
33 볼밸브
34 볼밸브(후렌지식)
35 비금속(HDPE)수문
36 셔틀밸브
37 소프트실 제수밸브
38 수도용 버터플라이밸브
39 수도용 소프트실 제수밸브
40 수도용 청동밸브
41 수도용덕타일주철신축관이음
42 수도용소프트제수밸브
43 수도용스테인리스제수밸브(밸브대,디스크일체형
44 수도용제수밸브
45 스테인리스밸브
46 스테인리스볼밸브
47 스테인리스단조밸브
48 스테인리스제수밸브
49 스테인리스메탈시트버터플라이밸브
50 스팀트랩
51 신축관이음(밸브접합관)

- 68 -
52 신축디스크스텐레스제수밸브
53 신축형 버터플라이밸브
54 안전밸브
55 앵글밸브·후드밸브·체크밸브
56 양방향및T형관소프트실제수밸브
57 오리피스조절장치
58 온도조절밸브
59 원통디스크형제수밸브
60 이중경사 양압형 버터플라이밸브
61 이중실링 메탈 및 고무시트 버터플라이밸브
62 이중실링 스테인레스 버터플라이밸브
63 이중실링버터플라이밸브
64 자동바란싱밸브
65 자동밸브
66 자동버터플라이밸브
67 전동구동장치
68 제수겸용다기능세척밸브및상수관로세척용폴리피그
69 제수밸브
70 제수밸브 및 감압밸브
71 제트콘트롤밸브
72 주강제밸브
73 주철제밸브
74 지역냉난방용조절밸브
75 체크밸브
76 통기밸브.정압완화기
77 편심 플러그밸브
78 폴리에틸렌 볼 밸브
79 플라스틱 밸브
80 플랩밸브
81 합류식우수토실유량제어밸브
99 기타
09 계기류 01 동파방지수도계량기보호통
02 무선원격검침시스템
03 상수도자동검침기및원격자동검침시스템
04 수도계량기보호통
05 수도미터
수도미터 및 원격검침시스템(Smart Metering
06
System)
07 유량계
08 유량원격관리시스템
09 지열보온식 수도미터박스
99 기타
10 배수기구 01 그리스트랩·고효율기름제거장치
02 새들붙이분수전

- 69 -
03 자유회전식스테인리스친환경새들분수전
04 제수밸브보호통·지수전보호통
05 종합배수구
06 철개및이탈방지압륜
07 트렌치
08 횡주관보호덮개
99 기타
11 위생기재 01 마블욕조·마블위생기·욕조및세면대
02 무전원 소.대변세척기(Urinal Cleaner)
03 물안쓰는소변기
04 비데
05 비데및전자감지기
06 수전금구
07 아크릴욕조및세면대
08 위생도기
09 인조대리석욕조및세면대
10 핸드드라이어(손건조기)
11 화장실 유지관리 소모품
12 화장실 편의물품
99 기타
12 탱크류 01 FRP물탱크
02 PDF 복합판넬 물탱크 (볼트조립식 PLF"형)
03 PDF 물탱크
04 PE 물탱크
05 PE 케미칼탱크
06 PLS판넬(일체형PES TYPE)물탱크
07 SMC물탱크
08 SP패널탱크,STS패널탱크
09 내진용 EPDF물탱크
10 수충격완화장치
11 스테인리스물탱크
12 스테인리스벽체패널라이닝
13 스테인리스복합 P.L판넬물탱크(볼트조립식)
14 온수탱크
15 팽창기체분리기(AIR-SEP)/인라인체크밸브
99 기타
13 정화조 01 FRP오수처리시설
02 고효율오수처리시설
03 이동식화장실
04 자연발효위생화장실
99 기타
14 주방기기 01 가스온수기
02 급식소 방충 자동고속문
03 대형냉장고

- 70 -
04 레인지후드
05 싱크대
06 전기온수기
07 전해살균소독수생성기
08 주방기구
99 기타
15 보일러·연소기 01 가스보일러
02 고형연료(RDF, RPF)전용연소기
03 기름보일러
04 난방용 전열관
05 버너
06 버너노즐팁
07 열교환기
08 온수가열기
09 전기보일러
10 전기스팀보일러
11 주철제 증기/온수 보일러
12 주철제보일러
13 주철제전열핀식증기/온수/무압온수보일러
14 태양열플랜트
15 펠렛보일러
99 기타
16 냉·난방기기 01 가스온풍기
02 건식(조립식)온수난방시스템
03 고압터보냉동기
04 공기순환장치(Ener Saver)시스템
05 냉각탑
06 냉난방기(에어컨)GHP, EHP
07 냉난방기용 축열조
08 냉난방기자동리모콘
09 냉동기(소형및터보냉동기)
10 냉매회수및정제장치
11 냉온수기
12 스크류냉동기
13 시스템에어컨디셔너
14 온돌패널
15 온돌히터
16 온풍난방기
17 원적외선복사난방
18 원적외선필름난방
19 저온냉동기
20 적외선히터
21 전기라디에이터·전기컨벡터
22 전기온수매트

- 71 -
23 전기온풍기
24 전열교환기
25 제트공조시스템
26 천장매입형 선풍기 박스
27 천정복사패널
28 축열식전기온풍기
29 판형전기히터(고급방수형)
30 팬코일유니트
31 폐열회수기(Heat_Pipe)
32 흡수식냉동기
33 흡수식냉온수기
99 기타
17 공조·환기기기 01 가변풍량조절기(V.A.V_UNIT)
02 가습기
03 공기 여과기
04 공기순환장치시스템
05 공기조화기
06 공기청정기
07 무진무균장치
배기폐열회수 환기장치(열회수공기청정
08
기,HRB,ERV)
09 송풍기
10 제습기
11 풍량측정장치/폐열회수환기
12 항온항습기(항온항습시험기)
13 환풍기
99 기타
JY그린덕트-준불연덕트시스템 (준불연알루미늄복합
18 덕트류 01
패널)
02 각형덕트
03 덕트기구
04 세이크 크린덕트시스템
05 스테인리스2중관연도덕트
06 스파이럴덕트(원형덕트)
07 스파이럴덕트부품
08 페놀릭폼패널덕트
09 플렉시블덕트
10 피트레덕트시스템(알루미늄복합패널P.I.R, 페놀덕트)
99 기타
19 패킹·가스켓류 01 보온마감재·패킹·가스켓류
99 기타
RAPID 단열재 (압착결합구조 일체형 착탈식 단열
20 보온·보냉재 01
장치)
02 가교발포폴리에틸렌보온재
03 그라스울 보온/보냉재

- 72 -
04 내열성단열재
05 미네랄울파이프카바
06 밸브보온락킹커버
07 슈퍼라이트
08 슈퍼라이트-K 보온재
09 알루미늄테이프
10 에어로젤단열재
11 엘보보온락킹커버
12 유리섬유셀프카바
13 유리섬유파이프카바
14 친환경 EPDM 고무발포 보온재 AEROFLEX
15 친환경 난연접착제
16 친환경NBR·EPDM고무발포보온재(HIFLEX)
17 친환경고무발포단열재아마플렉스(Armaflex)
18 테이프식 보온보냉 외장재
19 파이프보온락킹커버
20 하이퍼라이트보온재
99 기타
공해방지 대기공해방지
21 01 대기오염방지여과필터
시설 시설
02 유화장치
03 집진장치
04 친환경조류퇴치기
05 탈취장치(광화학적산화방식)
06 폐기물하역현장 공해방지장치
99 기타
22 용수처리장치 01 비점(점오염)수질정화시스템
02 비점오염저감장치
03 사우나기기
04 살균소독시스템
05 섬유여과장치
06 수영장기기
07 수질정화시스템(호수,저수지,댐)
08 여과제
09 용수처리장치
10 이온수처리기
11 자기수처리기기
12 자외선유수살균장치
13 전해수처리장치
14 지하수상부보호공
15 초기우수처리시설
16 하수유량조절장치
99 기타
23 분뇨및폐수처 01 분뇨및폐수처리장치

- 73 -
리장치
02 상등수 배출장치 신축주름관
03 오/폐수처리장치
99 기타
수질오염처리
24 01 녹조방지용세라믹스톤및고도처리용담체

02 수처리제
03 악취제거(탈취)제
04 오/폐수처리용미생물접촉재
05 해양오염처리기재
99 기타
환경오염분석
25 01 수질측정분석기기
기기
02 지하수관측설비시스템
99 기타
자원재활용기
26 01 음식물쓰레기처리기

99 기타
27 소각장치 01 무연무취화장로기기
02 연소가스 안정성 향상 화장로
99 기타
소음진동방지
28 01 내진시스템
시설
02 방음벽
03 방음벽기초
04 방음재
05 소음진동방지기
06 지진흔들림방지버팀대
07 차음및진동방지재
99 기타
29 엘리베이터 01 덤웨이터
02 엘리베이터
03 화물용 엘리베이터
04 차량주차용 승강기
99 기타
02 연소가스 안정성 향상 화장로
99 기타

- 74 -
03. 전기통신

- 75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코드1 대분류 코드2 중분류 코드3 소분류
03 전기통신 01 송배전선 01 전기용나동선(AS,HS)
99 기타
02 절연전선 01 0.6/1KV 고무절연캡타이어케이블(PNCT)
0.6/1KV 트레이용 난연 비닐절연접지용전선
02
(F-GV,TFR-GV)
03 300/500V 내열비닐절연전선(HIV)
04 450/750V 일반용 유연성 단심비닐절연전선(KIV)
05 450/750V 저독성 가교폴리올레핀 비닐절연전선(HFIX)
06 600V 옥외용 비닐절연전선(OW)
07 600V 인입용 비닐절연전선(DV)
08 XLPE 절연비닐시스 트레이용케이블(F-CV,TFR-CV)
09 고무케이블(CTF)
10 비닐코드선
11 테프론전선
99 기타
전력케이 22.9KV 동심중성선 수밀형전력케이블(CV/CN-W,
03 01
블 FR-CN/CO-W)
99 기타
제어케이 0.6/1KV XLPE 절연저독성 난연폴리올레핀시스전력용
04 01
블 케이블(HFCO)
0.6/1KV 비닐절연난연비닐시스트레이용제어케이블
02
(F-CVV,-S,-SB)
03 0.6/1KV 트레이용저독성난연제어케이블(HFCCO)
04 0.6/1KV 트레이용저독성난연제어케이블(HFCCO-S)
05 0.6/1KV 트레이용저독성난연제어케이블(HFCCO-SB)
99 기타
소방용케
05 01 0.6/1KV 저독성난연 폴리올레핀 내화케이블(NFR-3)
이블
02 0.6/1KV 저독성난연 폴리올레핀 내열케이블(NFR-8)
0.6/1KV 트레이용XLPE절연난연비닐시스 내열전선
03
(TFR-3,FFR-3)
04 0.6/1KV 트레이용난연 내화전선(TFR-8,FFR-8)
99 기타
통신케이
06 01 CPEV 전화케이블

02 LAN(UTP) 케이블 및 접속자재
03 SH 국내케이블
04 광케이블
05 동축케이블
06 발파선
07 인터폰선
08 전화선
09 점퍼선(TJV선)
10 컴퓨터용 데이터케이블

- 76 -
99 기타
기타케이
07 01 0.6/1KV 알루미늄CV전선(AL-TFR-CV)

02 Free Wiring System(Excelline)
03 MCIF 케이블 부속자재
04 가요성알루미늄피케이블(ACF,ACFV)
05 가요성알루미늄피케이블(MCIF)
06 고압케이블부속자재
07 공압 포설용 광튜브케이블 및 접속자재
08 난연 폴리프렉스구출선(MLFC)
09 누액(누수,누산,누유)감지시스템
10 부스덕트(BUS_DUCT)
11 부스바(동대)
12 수중케이블(CVF)
13 에나멜동선
14 용접케이블(WCT)
15 전등,전열 배선시스템(Smart Wiring System)
16 전등,전열배선시스템(In-Flex System)
17 히팅케이블
99 기타
전선접속 U.T.POLE/MULTI_WIRE_DUCT(Cable Trunking &
08 01
재 Ducting system)
02 관통형커넥터 및 교량점검등
03 슬리브
04 알루미늄몰드,덕트 및 부속품
05 알플렉스 배선시스템(ACF용)
06 압착단자및동관단자
07 와이어커넥터
08 접속마감재
09 케이블 단말처리재
10 케이블 종단접속재
11 케이블 직선접속재
99 기타
전선관로
09 01 1종 금속제가요전선관

02 ELP 지중전선관 부속품
03 ELP 지중전선관
04 FC통신관/판도전기통신관/난연PE전선관
05 LITE-WAY (배선회로 일체형 연접설치 등기구)
06 PVC 박스
07 RACE WAY
08 강제전선관
09 강제전선관부품
10 경질비닐전선관(HI/HI-VE)
11 경질비닐전선관부품

- 77 -
12 고강도 합성수지파형전선관 및 이음관
13 고장력 코플렉스후렉시블 전선관 및 커넥터
14 광케이블용 내외관일체형전선관(PE COD관, SCD관)
15 금속제박스및커버
16 나사없는 전선관 및 부속품
17 라이팅부스웨이용 LED 조명기구(일체형 등기구)
18 멀티덕트/유니플로어시스템
19 전선관용 철물
20 지중송.배전관로 비굴착 보수시스템
21 철근콘크리트 케이블트로프
22 케이블레더 및 트레이,C찬넬고정철판용 파스너(앵커)
23 케이블보호캡
24 케이블트레이 및 부속품
25 폴리에틸렌전선관(CD-P)
26 합성수지 전기함
27 합성수지 케이블트로프
28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
99 기타
10 전력기기 01 기기용콘덴서
02 리액터(Reactor)
03 무정전전원장치(UPS/CVCF)
04 변압기
05 소프트스타터
06 소형전압조정기(TRANS)
07 연료전지(발전장치) 및 부대시설
08 인버터유도모터가변속장치(VVVF)
09 자가화재진압형 태양광 접속반 및 인버터
10 자동전압조정기
11 절전시스템
12 직류전동기(D.C MOTOR)
13 진상용콘덴서
14 충전기/정류기
15 태양광모듈 출력 전원자동 차단장치
16 태양광발전장치
17 히팅볼트분해조립시스템
99 기타
11 배전기기 01 노이즈필터
02 무정전 절체스위치
03 배전용 보호기
04 유리관퓨즈 및 퓨즈홀더
05 저항기
06 전력량계
07 전자접촉기
08 진공접촉기

- 78 -
09 통전표시기
10 퓨즈홀더(P.F.H)및 퓨즈링크(P.F.L)
11 한류형퓨즈(CLPF)
99 기타
12 수배전반 01 RMU(Ring Main Units)
02 배전반용리프터
03 분전반
04 분전함
99 기타
배전제어
13 01 ECOG건물관리용전력제어시스템
기기
02 PCS시스템
03 RFID 시설물 정보화시스템
04 계기용 변성기
05 고압개폐기
06 고압기중부하개폐기(L.B.S)
07 고압진공절체개폐기(V.T.S)
08 고장구간자동개폐기(A.S.S)
09 고장점 표정장치
10 기중절체차단기(ATCB)
11 기중차단기(A.C.B)
12 누설전류통합감시기
13 누전차단기(ELB)
14 능동형필터
15 다기능(Multiple) RTU
16 배선용차단기(MCCB)
17 배선용차단기함
18 보조계전기
19 보호용 계전기
20 분산형공정제어시스템(DCS)
21 분전반용 내장형 영상고조파 필터
22 비상전원절체개폐기(ATS)
23 수위조절기
24 스마트절전시스템
25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26 일체형모터보호콘트롤
27 전력 제어용스위치
28 전력선통신기반통합제어시스템
29 전자개폐기
지능형 통합전력설비의 전기안전(화재예측)감시.관리시스
30

31 지시전기계기 및 디지털메타
32 진공차단기(V.C.B)
33 초소형차단기

- 79 -
34 최대수요전력감시제어장치
35 통합감시제어장치 및 자동복귀내진장치
99 기타
자동제어
14 01 IoT 원격제어시스템
기기
02 빌딩자동제어장치
03 산업용자동제어기기부품
04 원격제어장치
05 자동제어시스템
06 전자통신계측기
07 프로그래머블콘트롤러(PLC)
99 기타
접지·피뢰
15 01 접지 및 피뢰자재
자재
99 기타
16 배선기구 01 멀티탭
02 센서스위치류
03 스마트스위치
04 스위치류
05 전자식스위치
06 콘센트류
07 플레이트류
99 기타
17 조명기구 01 ESS(Electric Saving System)
02 LED경관조명기구
03 LED전구
04 가로등기구
05 경관조명
06 고조도형광등기구및반사갓
07 다운라이트등기구
08 도로용등기구
09 등기구필터
10 몰드바
11 무대장치
12 무전극램프시스템
13 방폭등기구
14 보안등기구
15 수은.나트륨.백열등기구
16 저손실충격댐퍼형등기구
17 터널등기구
18 투광등
19 형광등기구
99 기타
18 램프 및 01 고휘도방전(HID)램프용 전자식안정기

- 80 -
안정기
02 나트륨램프및안정기
03 메탈할라이드램프및안정기
04 전구식형광램프 및 백열전구
05 형광램프
99 기타
19 LED조명 01 LED조명
99 기타
20 특수조명 01 무대및특수조명장치
02 비상라이트
03 태양광가로등경관등
04 항공등화(항공장애표시등)
99 기타
21 조명장치 01 가로등방수형접속함
02 가로등자동점멸기
03 자동승강조명기구
04 형광등 재실감지센서
05 형광등기구 보강대
99 기타
22 가선재료 01 LED경관조명다용도등주커버
02 가로등보안등기초
가변형 POLE BASE COVER & 코인용샤워기 콘트롤
03
판넬
04 관로구방수장치
05 배전금구류
06 변전금구류
07 송전금구류
08 전차선가선철물
09 전철금구류
10 철탑
99 기타
23 전주 01 LED태양광/가로등/보안등
02 가로등주 및 공원등주
03 가로등주 커버
04 강관전주
05 불법광고물부착방지판
06 스테인리스가로등주
07 스테인리스제공원등주
08 알루미늄가로등주
09 콘크리트근가
10 콘크리트전주
11 콘크리트전주용 부속자재
12 태양광가로등
99 기타

- 81 -
24 절연재료 01 애자
02 절연테이프
99 기타
방송신호
25 01 CATV기기
경비기기
02 CCTV카메라
03 교통신호기
04 방송음향기기
05 시각장애인용리모콘식음성안내장치
99 기타
26 전광판 01 전광판/스코어보드/전광표시기/설비시계
99 기타
유무선통
27 01 무선송수신기
신기기
02 비상통신장비
03 열차무선시스템
04 전자카드 근무시스템
05 전화기
06 지하종합무선중계시스템
07 초고속LAN자재
08 키폰
09 통신함
10 홈오토메이션
99 기타
28 축전지/건전지 01 건전지
02 산업용축전지
03 차량용축전지
04 축전지
99 기타

- 82 -
04. 소방설비

- 83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코드1 대분류 코드2 중분류 코드3 소분류
04 소방설비 01 소방설비 01 노즐
02 메탈히터 동파방지시스템
03 방열복
04 방화및내화재
05 소방면허진단및점검기구
06 소방용비상라이트
07 소방호스
08 소화기
09 소화기받침대
10 소화용스프링클러헤드/밸브
11 소화전함
12 송수구
13 스프링클러용후렉시블조인트
14 앵글밸브
15 이동식 방수총
16 자동소화시스템
17 자동소화장치.폼탱크
18 전기화재예측시스템
19 제연설비
20 화재감지시스템
21 화재경보기및방재기기
22 내화충전구조
99 기타
02 소방안전보호시설 01 재난경보관리시스템(속보/예보)
02 재난예ㆍ경보시스템
03 초축광고휘도안전유도표지
04 피난기구
99 기타

- 84 -
05. 토목

- 85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코드1 대분류 코드2 중분류 코드3 소분류
05 토목자재 01 도로 및 탄성포장재 01 고무블록/고무매트/고무탄성포장재
02 기능성자연규사투수포장
03 도로포장용보수재
04 도막형바닥재포장
05 미끄럼방지포장재
06 석분
07 세라믹스 맥,이온콘 도로포장재
08 아스팔트콘크리트(ASPHALT CONCRETE)
09 에폭시계자연자갈포장마감재
10 우레탄계천연골재포장재
11 유화아스팔트
12 장수명 칼라아스팔트
13 체육시설재(탄성포장재)
14 칼라무늬콘크리트
15 코르크 포장재
16 탄성포장재
17 투수블록
18 투수콘크리트
19 황토 이온콘 도로포장재
20 흙포장재
99 기타
02 도로블록 01 경계석(수입석)
02 경계석(화강석)
03 경계석(화강수입석)
04 경계석받침대,경계석설치받침대
다형상블록,디자인블록,투수저장석재블록및조립경사
05

06 보도용시각장애우점자블록
07 보차도용점토블록
08 보차도용친환경포장블록
09 보차도용콘크리트블록
10 보차도용콘크리트조립블록
11 보차도용투수블록
12 인조화강석경계블록
13 인조화강석블록 및 조경용블록
14 인터로킹
15 조립식축광안전경사로
16 차선규제콘크리트블럭
17 천연석재(화강석)블록
18 천연석재(화강석)투수블록
19 축광보차도블록
20 콘크리트경계블록

- 86 -
21 태양광블록
22 투수강화세라믹블록
23 합성수지경계블록
24 흙경계블록
99 기타
03 도로안전용품 01 가드레일(GUARDRAIL)
02 도로교통안전시설물
03 도로명판
04 도로반사경
05 도로안전방책용품
06 도로안전시설물
07 도로안전중앙분리대
08 시선유도시설물
09 차량방호책및가드레일
10 충격흡수시설
99 기타
맨홀/그레이팅/PE
04 01 그레이팅 새들클립과 파스너(앵커)
구조물
02 그레이팅 칼라 덮개(악취,오물방지용)
03 그레이팅(플라스틱그레이팅)
04 기존관 폐쇄충진
05 도로용폴리에틸렌제품/악취방지장치
06 맨홀
07 맨홀뚜껑(잠금형,완전방수,경사각조절)
08 맨홀사다리
09 발전설비용 가압밀폐식 출입용 맨홀
10 빗물저류조
11 스틸그레이팅(ROAD STEEL GRATING)
12 악취방지용 맨홀 및 그레이팅 덮개(속뚜껑)
13 전처리 스크린 (비점오염원저감용)
14 친환경 빗물침투 시설
99 기타
05 토목용블록 01 APC기초,벽체일체식옹벽
02 OBW옹벽 및 SPD네일, SPD앵커
03 PSP(PPP)옹벽 및 강관네일,강관앵커
04 U-블록/그린판넬식옹벽
05 강재틀옹벽
06 경관석벽 및 다단수목옹벽
07 델타락 결속 토낭식 보강토 옹벽
08 목재틀재형옹벽
09 법면보호(옹벽)용콘크리트블록
10 법면보호(조경)용콘크리트블록
11 법면블록 및 옹벽
12 보강토옹벽블록

- 87 -
13 보강토옹벽시스템
14 보강토조립식옹벽(TAI SYSTEM)
15 블록식보강토옹벽
16 블록식보강토옹벽시스템
17 비탈면(사면)보강및네일합벽옹벽자재
18 사면보강용자재
19 산벽
20 산석옹벽
21 생태구조물
22 선스톤(SUN STONE)블록보강토옹벽시스템
23 식물자생용호안블록
24 에코 멀티셀자재
25 우수유출저감시설,비점오염저감시설,잔디블록
26 자연형바이오블록
27 조립식간이흙막이공법(TS판넬시스템)
28 조립식자연옹벽시스템,조립식옹벽시스템
29 중력식 경관옹벽 시스템,경관옹벽
30 친환경(호안/법면/옹벽/조경/바닥)생태블록
친환경배수성식생토낭옹벽시스템(ECO DRAIN
31
BAG)
32 친환경식생토낭옹벽시스템
33 코너스톤/원스톤블록식보강토옹벽
34 토목용법면보호블록
35 패널옹벽블록
36 팽이파일블록
37 한스톤보강토옹벽블록(MB블록)
38 호안(하천배수)용콘크리트블록
99 기타
06 토목용관 01 HD 폴리에틸렌이음관(하수도분기관)
02 HPL파형강관
03 P.E 피복파형강관(P-SCP)
04 PC관(Prestressed Con'c Pipe)
05 PE 2중(내부,외부)피복파형강관
06 PF파형강관
07 SRS 폴리에틸렌이음관(하수도분기관)
08 그라우팅관(S-PE)
내식성3LC파형강관 · 내식성2LC파형강관 · 내식
09
성파형강관
10 다중겹침내부평활관(스마트파이프)
11 리브강관
12 배수유공관및집수정
13 상수관보수/보강 제품
14 수밀성 PE2중피복파형강관
15 수지파형강관(플랜지평활형)3LC

- 88 -
16 암거배수관/사면보호공
17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흄관)
18 진동/전압철근콘크리트관(VR관)
19 토목용조립식배수로
20 파형강관
21 파형강판구조물
22 하수관보수/보강제품
99 기타
07 수로용재 01 PC호안라이닝
02 R.I.D관(사각침투 배수관)
03 경계수로관
04 금속제배수로,측구수로관
05 도로용철근콘크리트측구,사각수로관
06 배수자재 드레인벨트,드레인파이프
07 수로관
08 슬로트배수로
09 앵글부착형측구수로관
10 원형사각수로관
11 원형수로 및 집수정
12 자연생태보호 배수로(AL원형배수로)
13 철근콘크리트벤치플륨3종관
14 철근콘크리트플륨관
15 측구수로관
16 친환경콘크리트제품
99 기타
08 토목용말뚝 01 PHC말뚝 볼트식 이음밴드
02 U형강널말뚝(열간압연)
Z형&광폭U형강널말뚝(냉간성형/STEEL SHEET
03
PILE)
04 강관말뚝선단보강용밴드
05 복합말뚝
06 복합말뚝(EPC_CP)
07 복합말뚝이음,무용접밴드,머리보강
08 스파이럴강관파일
임플란트파일 (Implant pile) 및 D-BOX
09
(Divided Box)
10 전기저항용접강관파일
11 토목 및 건축 구조물 설치용 지지대
12 프리텐션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흙막이벽체 말뚝
13 프리텐숀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PHC PILE)
항만.해양강관 페트로레이텀 TAPE방식 및 특수
14
도장방식재
15 해양강관 말뚝 ANODE 방식재
16 해양강관파일 및 강널말뚝,벽강관부식방지도복장재
17 흙막이용 지지말뚝 및 열연차수강판(P.S.M)판넬

- 89 -
99 기타
09 파쇄용재 01 발파자재
02 산업용화약
99 기타
기타토목용재(지반및
10 01 도로 측구 보호 장치
지하구조물보강재)
02 드레인보드
03 복합소재구조물
04 시멘트콘크리트포장 성형줄눈재

05 신축이음채움재

06 조립식PC암거
07 지반개량주입재
08 지수판
09 지하바닥용 배수판
10 친환경형섬유틀
11 토목섬유(토목용보강재)
12 토목용 교질화제
13 토목차수재
14 토양응고경화재
1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L형 측구
16 홍수방어벽
99 기타
11 수목/식생용재 01 길어깨 풀 식생억제시설(방초매트)
02 녹화마대/끈
03 다기능광시트
04 버섯재배시설
05 법면녹화자재
법면녹화자재(식생매트/식생방틀/매몰형지주목/잡초
06
매트/보행매트)
07 벽면녹화자재
08 비탈면녹화자재
09 비탈면보호용녹화자재
10 산림용 묘목 및 종자
11 생태관련정화시스템
12 생태복원 식생매트
13 생태복원 천연식생매트
14 생태복원용NET
15 생태복원용수질정화시스템
16 생태연못수질정화시스템
17 수목보호용지주대
18 수목보호판
19 수목지주대
20 시설원예기자재

- 90 -
21 식물·일년초,다년초,관엽,장미
22 식생완성형식물매트
23 식생완성형초화류매트
24 옥상녹화시스템
옥상농원용 자동급수 경량텃밭상자 시스템(특허제
25
10-1705488호)
26 인공토양
27 인조잔디
28 조경수
29 조경수(2019년 조달청 고시가격)
30 조경용 꽃탑 및 화분
31 조경용종자/지피식물(조경용초화류)
32 지피식물/야생화
33 천연잔디(수입)
34 천연잔디(국산)
35 친환경 비탈면녹화자재
36 침식방지생태복원식생매트
37 토양개량재
38 토양보습제
39 통나무여울보 및 수질개선식물
99 기타
12 조경용재 01 분수용기기
02 생활체육시설물
03 석재조형물ㆍ석재조경시설물(보령오석/화강석)
04 스프링클러
05 인공폭포
06 조경및유희시설물
07 조경및유희시설
08 조경석
09 조경용조형물
99 기타
13 울타리용재 01 휀스
02 울타리
99 기타

- 91 -
00. 공통

- 92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코드1 대분류 코드2 중분류 코드3 소분류
00 공통자재 01 봉강 01 에폭시피복철근
02 원형봉강
03 이형철근/특수철근
04 철근이음장치
99 기타
02 형강 01 ACT COLUMN
02 H형강/경량H형강
03 I형강
04 SMART BEAM
05 ㄱ형강
06 ㄷ형강
07 각강(각철)
08 레일
09 블랙C형강
10 상부개방형강판합성보
11 아연도C형강
12 아연도런너/스터드
13 조립식H형강
14 조립식경량철골구조물
15 컬러C형강
16 평강(평철)
99 기타
03 강판 01 갈바륨강판
02 갈바크린강판
03 강재토류판
04 고내식도금강판
05 광촉매 BLET COVER강판
06 냉연강판
07 무늬강판
08 보강형자립식흙막이연결부재
09 석도강판
10 아연도강판
11 알루미늄도금강판
12 열연강판
13 열연아연도강판
14 전기강판(규소강판)
15 전기아연도강판
16 컬러강판
17 크롬도금강판
18 프린트강판
99 기타
04 데크 01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 93 -
99 기타
05 강관 01 고내식 구조용강관
02 구조용강관/구조용컬러각관
99 기타
06 선재재품 01 PC강봉
02 강선
03 와이어로프
04 철/콘크리트못
05 철선
99 기타
07 특수강재 01 스테인리스강판
02 스테인리스관
03 스테인리스사각봉
04 스테인리스선
05 스테인리스앵글
06 스테인리스와이어로프
07 스테인리스원형봉
08 스테인리스육각봉
09 스테인리스평철
10 주강품
11 주철품
12 특수강
99 기타
08 비철제품 01 동제품
02 바벳트
03 비철지금
04 알루미늄제품
05 양백판
06 연제품
07 인청동판
08 합금주물
09 황동제품
99 기타
09 볼트·너트·나사류 01 TS볼트
02 U볼트
03 고장력볼트
04 너트
05 록볼트
06 리벳
07 석재용건식앵글 및 볼트
08 소켓볼트
09 스테인리스육각볼트
10 스테인리스작은나사
11 알루미늄 세라믹 육각볼트

- 94 -
12 앵커볼트
13 열교차단파스너
14 와셔
15 웰딩스터드
16 육각볼트
17 인서트
18 작은나사
19 전산볼트
20 조아앵글받침
21 직결나사
22 집성스크류
23 철판용작은나사
24 황동육각볼트
25 황동작은나사
99 기타
10 금속망 01 기타금속망
02 메탈라스
03 스테인리스망
04 엑스펜디드메탈
05 염화비닐피복철선
06 용접철망(디홈드/스텐/아연도)
07 용접철망(원형/블록)
08 체인링크철망(능형망)
09 크랏샤스크린철망
10 크림프철망
11 평직철망
99 기타
11 골재 01 마사토
02 모래/자갈(시내도착도)
03 모래/자갈(채취장상차도)
04 발파석(피복석)
05 사석
06 슬래그파쇄골재
07 투수블록용골재
99 기타
12 시멘트 01 드라이모르타르
02 방수·방청 시멘트
03 시멘트
04 타일시멘트
05 특수레미콘
06 특수시멘트
99 기타
13 레미콘 01 레미콘
02 모르타르

- 95 -
99 기타
14 혼화재 01 콘크리트강섬유
02 콘크리트보강섬유
03 콘크리트보수보강재
04 콘크리트혼화재
99 기타
15 접착제 01 접착제
99 기타
16 에폭시수지제품 01 에폭시수지제품
99 기타
17 목재 01 각재
02 목재방부방충제
03 목재용침투성방수스테인(친환경)
04 무늬목
05 방부목/조경목재
06 방염/난연/준불연 목재 및 내장마감재
07 압축목재
08 원목
09 천연목재
10 클립형데크마감재
11 탄화목재
12 특수목재
13 판재
14 합성목재
99 기타
18 가설용재 01 PPS지보재
02 가설(육교/교량)임대료
03 가설재임대료
04 강관비계
05 강관비계브라켓
06 강관서포트
07 갱폼
08 마이스트럿(MISTRUT)
09 무해체보거푸집(WIN DH-BEAM)
10 문양거푸집
11 박리제
12 박스형가설교량거더(B.T.B GIRDER)
13 보차도경계석L형측구거푸집(알루미늄)
14 복공판/안전발판
15 세파볼트
16 스페이서/레벨봉
17 안전망/건축용보호망/골프망
18 알루미늄폼임대료
19 야적시트

- 96 -
20 유로폼(EURO FORM)
21 조립식배관가대
22 조립식배관가대용지지금구류
23 조립식토공(수평)규준틀
24 조립식틀비계
25 천막지
26 콘크리트다목적조인트
27 폼타이·가설재부품
99 기타

- 97 -
첨부 4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자재정보센터

1) 접속방법
① 다음사이트 검색

② 주소창에 주소 입력
: http://kiramat.kira.or.kr/main.do

2) 자재검색방법
① 통합 검색
- 자재정보 기준의 검색결과 확인 가능
- 제조사, 카테고리, 분류체계별 옵션 조회 가능

② 화재안전자재 검색
- 복합자재, 단열재, 방화문, 자동방화셔터, 방화댐퍼, 내화충전구조
- 정보공개기관으로 지정된 화재안전자재에 대하여 별도 검색 가능

③ 법규별 검색
- 건축법규에 따라 법규에서 다루고 있는 자재를 분류
- 해당 법규별 관련 조항과 자재를 확인 가능

- 98 -
3) 건축자재 분류체계
- OMNICLASS, UNICLASS, CSI, MASTER FORMAT 등의 분류체계의
장점을 수용
- 물가협회 자재분류체계와 Master Format를 결합하여 재정리
- 자재분류코드는 Master Format (대중소 각 2자리)를 적용
- 코드의 내용은 물가협회 자재분류체게 적용

<건축자재 분류체계 관계도>

<건축자재 분류코드>

- 99 -
4) 건축자재 등록정보 (예시)
필수사항 선택사항

분류, 자재명, 용도, 개요, 색상, 재질, 성능정보, 업체물 카탈로그, 시방서, 상세도, 인증정보, 특허번호, CAD도
품번호, 조달물품번호, 규격, 단가기준, 가격, 시험성적서 면, BIM도면, 동영상, 시험성적서(화재안전자재가 아닐
(화재안전자재의 경우) 경우

(사례예시) 자재품명 : 인테리어 패널


회 사 명 (주)하나패널 대 표 자 김 정 기

주 소 전북 군산시 옥구읍 광월길 44-12

사업자번호 401-81-21226

전화번호 063)464-9916 팩스번호 063)464-9915

홈페이지 http://www.hanapanel.co.kr

자재정보
자재 용도 신축 외벽패널 및 리모델링 내장재
금형에 의해 성형된 제품으로 완벽한 평탄성과 규격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단열, 흡음, 자체
자재 개요 세척성 등을 가지고 있음. 또한 용접없는 체결방법 개선으로 화재예방 및 시공비
절감(특허출원)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자재 색상 금색, 황동색, 파란색, 청남색, 적색, 주황색, 검정색, 녹색, 은회색 등

수 자재 재질 불소수지 아연도금 칼라강판, 리얼징크, AL
사 시험성적서 190510-한국건설기술연구원-TAS-030981

· 내구성 : 우수
· 2중단차 드로우잉 : 코너막힘과 백업제없이 실리콘도포로 내구성/누수방지최고
성능정보
· 평탄도 : 우수
· 품질관리 : 철강업체 포스코의 색상 20년 보증
자재 규격 0.80*1000*600, 0.8*1000*275, 0.6*600*600, 0.6*300*600
자재 단가 1000*600 : 187,00원(장)/ 31,200원(㎡) , 1000*275 : 13,000원(장)/ 47,270원(㎡)
(시공비 제외) 600*600 : 10,500원(장)/ 29,160원(㎡) , 300*600 : 5,300원(장)/ 29,440원(㎡)
특허번호 제 10-0938110 호, 제 10-1369962 호
기술정보 출 원 일 2007년 11월 14일, 2014년 2월 26일

택 출 원 명 인테리어용 패널, 패널 설치구조 및 패널 설치방법
사 인증번호 (성능인증서) 제 24-164 호

인증기간 2014. 7. 31~ 2017. 07. 30
인증정보 인증기관 중소기업청
성능인증서 성능검사 (공공기관 납품용)
인증사유
(결합구조가 개선된 내,외장재 금속재 패널HNP)

<건축자재정보센터 자재정보 입력내용>

- 100 -
연구진

| 연구책임 남 상 득 건축정보센터 센터장

| 연구진행 서 민 원 건축정보센터 자문위원


장 창 길 건축정보센터 자문위원
홍 사 원 건축정보센터 위원

| 연구지원 강 주 석 건축법제국 국장
신 정 환 건축법제국 대리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