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6

육아지원연구

2014. 제 9 권 1호, 309-324

만 5세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에 대한 고찰*

정가윤(명지대학교 아동학과 조교수)


이영미(한양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신정아(광운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조교수)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학을 중심으로 개발된 도구인 WIDA (World-class Instructional
Design and Assessment)를 사용해 만 5세 유아의 영어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전 영역에 걸친 종
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일과시간에 서로 다른 영어교육 프로그
램을 제공하고 있는 유치원 세 곳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 91명이다. 1학기 후반에 검사한 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만 5세 유아는 6단계 중 1단계에 속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만 5세 유아는 친숙한 물
건의 이름을 영어로 알고 간단한 영어 단어를 따라 말할 수 있는 수준의 영어능력을 보였다. 둘째, 유
아의 영역별로 영어 능력의 차이가 있어 영어 읽기․쓰기 능력인 문어 능력이 듣기․말하기 능력인 구
어 능력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만 5세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 및 영역별 영
어 능력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보여주면서, 앞으로의 유아 영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주제어 : 만 5세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5-year-olds’ overall English proficiency)


문어․구어 능력(oral and literacy proficiency)
표준화된 영어능력검사(standardized English proficiency test)

* 본 논문은 한양여자대학교 2013학년도 2기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Corresponding Author : Lee, Young-mi,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nyang Women's
University, 200 Salgoji-gil, Seongdong-gu, Seoul, 133-817, Korea
e-mail: rosalee500@gmail.com
3 1 0 육아지원연구 제 9권 1호

Ⅰ. 서 론

막대한 재원과 시간이 가정과 유치원에서 유아 영어 교육에 투자되고 있다. 최근 만


3-5세 유아를 가진 학부모 약 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65%가 어학
원이나 학습지 지도교사 방문 과외 등 가정에서의 사교육을 통해 유아에게 영어를 가르치
고 있다고 했다(김명선, 2007; 반경하, 서현아, 2009). 특히 유아기에 영어교육에 노출되면
영어 듣기와 말하기 능력 발달에 효과적이라고 믿어 영․유아기 사교육 열풍이 불면서 영
어 놀이학원과 문화센터, 학습지 등을 공부하는 데 연간 2조가 넘는 비용이 들어가고 있다
(송민섭, 2012. 12. 25).
그리고 2008년 당시 유아영어교육이 불법인 상황에서 전국 단위 조사에서 274개의 사립
유치원 중 95.6%가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김소연, 2008. 10. 23). 이에 정
부는 2011년부터 음성화되어 파행적으로 운영되는 유아영어교육을 양성화하기 위해 정규
일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시간에 영어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허용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김은영, 2011). 현재 유치원에서의 유아영어교육은 상업화된 영어 교육 프로그램에
의해 주로 진행되고 있는데(전홍주, 2009; 정미라, 이영미, 박수경, 2011), 대부분은 특별 활
동비를 들여 외부에서 강사를 초빙하여 유아 영어 교육을 운영하는 상황이다(김경철, 홍정
선, 2002; 박영예, 송정미, 2000; 윤소연, 2000). 그러나 이와 같이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막대
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유아 영어 능력에 대한 검증된 연구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선행 연구에서 주로 이루어진 영어 능력 검사는 유아가 수업시간에 배운 어휘를 얼마나
기억(retention)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예를 들어, 김순환(2010)의 연구는 담임
교사와 방문교사의 영어 수업을 비교하기 위해 만 3세, 5세 유아의 영어 어휘 이해도를 검
사하였다. 연구자는 교사들로부터 15회기 수업계획안을 미리 받아 47개의 목표 어휘를 선
정하고 그 중 10개의 어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검사문항을 만들었다. 선정된 10개의 어
휘를 가지고 알파벳 철자 인식, 철자에 대한 음성 인식, 그림과 함께 제시된 경우 어휘 인
식, 그림 없이 어휘만 제시된 경우 어휘 인식의 네 가지 유형으로 질문하여 유아의 영어
어휘 이해도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이미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영어 어휘 이해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유아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을 평가했다고 할 수 없다.
오은순(2004) 연구도 손유희를 통한 영어 교수법의 효과를 일반적인 영어 교수법의 효
과와 비교하기 위해 유아의 단어 재생 능력과 파지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도구로 사용
한 두 가지 영어이야기에서 21개의 단어를 질문 문항으로 사용하여 사전검사로 실시하고
실험처지 중 5번에 거쳐 검사하고 단어 파지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주일 후, 2주일 후에도
만 5세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에 대한 고찰 3 1 1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도 이전에 배운 내용을 얼마나 재생하고 유지하는가


에 초점을 맞춘 측정 도구들이 사용되었다. 또한, 우남희와 서아람(2010)의 논문에서는 그
림책과 단어카드를 이용해서 유아의 단어 기억 능력 및 어휘 응용 능력을 테스트하였다.
연구자가 단어 카드를 제시하면 유아가 카드에 쓰인 단어와 그림을 보고 그 사물을 지칭
하는 단어를 영어로 답을 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이 기존 논문들에서 사용한 검
사 방법은 영어 단어를 기억해서 맞추는 유아의 어휘력 및 기억력을 측정한 것으로, 유아
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을 평가한 방법이라고 볼 수 없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유아 영어 능력 검사는 연구자에 의해 임의로 개발된 것들
이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어, 이귀옥(2003)의 연구는 유아의 모국어 발달 수준과 영어 학
습 수준과의 관계를 보기 위해서, 수업 교재에서 단어를 선택하여 음운지각 12문항, 단어
지각 12문항, 통사지각 12문항, 발음 11문항으로 구성하여 영어 학습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김은미(2003) 연구에서도 연구자에 의해 임의로 개발된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유
아의 영어 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수업의 주교재의 영어 진단 평가 문제를 참고하여 듣고
이해하기 13문항과 말하기 12문항을 연구자와 원어민 교사가함께 제작하였다. 연구자는
몸짓, 물건을 보여 주면서 질문하여 단서를 통해 유아가 기억을 회상하는 방식으로 유아
의 영어 성취도를 평가하였다. 수업 시간에 배웠던 교재의 내용인 신체 부위, 교실 물건,
색깔 및 모양, 숫자, 인사 및 동작 동사를 이용하여 그림에 동그라미하거나 색칠하는 방식
으로 유아가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학습했는지에 대한 평가 방법으로, 유아의 전반적
인 영어 능력을 측정한 검사 방법은 아니었다.
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지 않는 도구를 사용한 기존 연구도 있었다. 예를 들어, 박유진과
정동빈(2010)의 연구에서는 도식구성도를 활용한 영어동화읽기 지도와 일반적인 영어동
화읽기 지도가 유아의 영어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유아
의 영어 어휘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영어동화읽기 지도를 위해 사용한 두 책에서 목표 어
휘를 선정하였고 각 책마다 목표 어휘를 추출하고 이에 맞게 10개의 단어를 선정하여 총
20문항을 구성하였다. 20문항을 책에서 사용된 목표 어휘를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4지선다
형으로 제시하여 유아가 답 선택하도록 하였다. 학습지 형식인 4지선다형 시험지(paper
and pencil type)는 유아 발달 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평가 방법으로 유아의 영어 능력 수
준을 제대로 반영한 평가라고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능력, 또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영역별
영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유아 영어 검사 도구를 이용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학을 중심으로 개발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유아의 영어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인 WIDA(World-class Instructional Design and
Assessment) 검사를 이용하여 만 5세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및 영역별 능력을 평가
3 1 2 육아지원연구 제 9권 1호

하고자 한다. 현재 대부분의 유아 교육 기관에서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유아 영어 능력에 대한 표준화된 평가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
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표준화된 영어능력 측정도구인 WIDA 검사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 참여한 만 5세 유


아의 종합적인 영어능력은 어느 수준인지 알아본다.
2. 본 연구에 참여한 만 5세 유아의 구어능력과 문어능력 별로 영어능력에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본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1) 유치원

본 연구를 위하여 선정한 세 개의 유치원은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중산층 이상


거주지 밀집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관에서 하루 일과 중 영어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곳이었다. 각 유치원은 우리나라 유아 영어 교육의 3가지 대표적인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A 유치원에서 진행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은 노래를 중심으로 한 프로
그램으로 스토리 리딩과 스토리를 노래로 부르기, 전자칠판을 활용한 활동위주의 영어수
업을 진행하였다. B 유치원은 파닉스(Phonics) 중심의 영어교육 프로그램으로 스토리북과
파닉스 교재를 가지고 전자칠판을 활용하여 활동위주의 영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C 유치
원에서는 영어 뮤지컬 프로그램으로 유아가 익숙한 스토리를 뮤지컬로 구성하여 아이들
이 역할을 맡아서 참여하는 방식이었다. 영어 수업은 영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회사에서
교사 교육을 받은 영어 강사가 일주일에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그 업체에서 개발된 교재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하였다. 하루 일과 중 영어 시간을 살펴보면, A 유치원은 주 4회 총 80
분, B 유치원은 주 5회 총 100분, C 유치원은 주 3회 총 60분 수업을 하였다. 또한, A와
B 유치원은 총 영어 교육 시간 중 주 1회 20분씩 업체에서 파견된 원어민 강사가 진행하
고 나머지 시간은 한국인 영어강사가 수업을 진행하였다.

2) 유아

연구 대상은 유치원 세 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에서 만 5세 유아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검사도구가 만 5세 이상의 유아의 발달
만 5세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에 대한 고찰 3 1 3

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었으며, 우리나라 학부모들의 영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초등학교 취


학 전 연령의 자녀에게 높아 이들의 영어 능력의 발달 정도를 살펴보는 것이 의미 있기
때문이다. 영어권 국가에서 거주하여 기관에 다닌 경험이 있는 5명(A 유치원 3명, B 유치
원 1명, C 유치원 1명)의 유아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 하고 총 102명의 유아(남아: 55, 여아:
47)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A 유치원은 만 5세 반이 두 반이어서 55명(남아: 31, 여아: 24)
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B 유치원은 만 5세반이 한 반으로 19명(남아: 10, 여아: 9)이 참여
하였고, C 유치원은 만 5세반이 한 반으로 28명(남아: 14, 여아: 14)이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 대상을 확보하기 위해 사전에 기관 및 부모님의 동의를 얻었다. 본 연구에 참
여하는 유아의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영어 사교육의 실태와 영어에 대한 노출 정도를 알아
보기 위하여 부모님의 동의를 얻어 연구대상 유아의 현재까지 영어교육 실시여부 및 시작
연령, 주된 영어교육방법 등에 관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각 원의 담임교사가
유아를 통해 가정에 2011년 6월 셋째 주에 배포하였으며 A 유치원에서 55부, B 유치원에
서 18부, C 유치원에서 18부 회수되어 총 91부 회수되었다. 설문지를 제출한 총 91명 유아
의 자료만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91명(남아: 42, 여아: 49)의 평균연령은 66.75개
월(SD = 3.31)이다. A 유치원의 55명(남아: 26, 여아: 29)의 평균 연령은 66.87개월(SD =
3.47), B 유치원의 18명(남아: 9, 여아: 9)의 평균 연령은 66.39개월(SD = 3.03), C 유치원의
18명(남아: 7, 여아: 11)의 평균 연령은 66.72개월(SD = 3.23)이었다. 연구대상의 유치원 외
에서의 영어교육 관련 배경은 표 1과 같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대상의 영어교육 시작 연령이 만 4세라고 답한 사람이 34.1%으
로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의 영어교육 시작 평균연령은 3.9세(SD = 1.13)였다. 유치원별로
살펴보면, A 유치원 유아의 영어교육 시작의 평균 연령은 3.8세(SD = 1.16)였고 B 유치원
의 평균 연령은 4.10세(SD = .74)였으며 C 유치원 유아의 평균 연령은 4.11세(SD = 1.13)였
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서 영어 교육 시간을 포함하여 주당 평균 207.91분을 영어교육에
쓰고 있었다. 연구대상의 약 70% 가정에서의 영어 사교육을 참여하고 있었다. 가정에서
영어 사교육 시간의 주당 평균은 127.91분으로 평균적으로 유치원에서 영어 교육 시간보
다 긴 시간 가정에서 영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유치원 외에 영어 사교육시간의 양
을 구간별로 나누었을 때, 매주 180분이상의 영어수업을 받고 있는 유아가 39.6%으로 가
장 많았다. A 유치원은 29.0%, B 유치원은 72.2%, C 유치원은 38.9%로 유아가 주당 180
분 이상 가정에서 영어 사교육을 받고 있었다. 가정에서 영어 사교육을 위한 방법적인 측
면을 살펴보면, 영어학원에 다니거나 가정에서 개인 및 그룹 영어지도를 받는 유아가
48.4%로 가장 많았다. 영어학원에 다니거나 가정에서 개인 및 그룹 영어지도를 받는 유아
가 A 유치원은 36.3%, B 유치원은 55.6%, C 유치원은 66.7%로 나타났다.
3 1 4 육아지원연구 제 9권 1호

<표 1> 연구대상의 영어교육 관련 배경


A유치원 B유치원 C유치원
구분 내용 총합
N(%) N(%) N(%)
만 3세 이전 3( 5.5) 0( 0.0) 1( 5.6) 4( 4.4)
만 3세 22(40.0) 2(11.1) 3(16.7) 27(29.7)
영어교육
만 4세 18(32.7) 5(27.8) 8(44.4) 31(34.1)
시작연령
만 5세 11(20.0) 3(16.7) 6(33.3) 20(22.0)
무응답 1( 1.8) 8(44.4) 0( 0.0) 9( 9.9)
주 0 분 20(36.3) 3(16.7) 5(27.8) 28(30.8)
가정에서 주 60분 미만 7(12.7) 0( 0.0) 2(11.1) 9( 9.9)
영어
주 120분 미만 6(10.9) 0( 0.0) 4(22.2) 10(11.0)
사교육
시간 주 180분 미만 6(10.9) 2(11.1) 0( 0.0) 8( 8.8)
주 180분 이상 16(29.0) 13(72.2) 7(38.9) 36(39.6)
유아 스스로 하는 영어교육
16(29.0) 3(16.7) 2(11.1) 21(23.1)
주된 (CD, DVD, 학습지 등)
영어 부모와 함께하는 영어교육
16(29.0) 2(11.1) 5(27.8) 23(25.3)
사교육 (영어동화책 읽어주기 등)
방법 외부교사와 진행하는 영어교육
20(36.3) 13(55.6) 11(66.7) 44(48.4)
(다중응답) (영어학원, 개인 및 그룹 지도)
기타(사촌언니 지도 등) 3( 7.2) 0( 0.0) 0( 0.0) 3( 3.3)
전체 55(100) 18(100) 18(100) 91(100)

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세 곳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 및 듣기, 말


하기, 읽기, 쓰기 등의 영역별 영어 능력을 검사하기 위하여 위스콘신 주립대를 중심으로 27
개주에서 공동으로 협력하여 개발하여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유아의 영어 능력을 평가하는
WIDA Model for Kindergarten을 사용하였다(WIDA Consortium, 2008). WIDA 검사는 표
준화된 영어 능력 검사 도구로 2006-2007년도에 미국 학교의 28%가 모국어가 영어가 아닌
학생의 영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다(Wolf, Kao, Griffin, Herman,
Bachman, Chang, & Farnsworth, 2008). 유아의 영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
서 WIDA 검사를 사용한 이유는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WIDA 검사는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유아의 영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평가도구이므로, 한국어가 모국
어인 우리나라 유아의 영어 능력을 평가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표준화된 검사를 통
해서 현재 우리나라 유아의 영어 능력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해볼 수 있다. WIDA
검사가 미국 내에서 영어를 ESL맥락에서 습득하게 된 유아뿐만 아니라 EFL맥락에서 영
만 5세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에 대한 고찰 3 1 5

어를 접하고 처음 미국으로 이민 온 가정의 유아 또한 대상으로 한 평가 도구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유아가 바로 학교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영어
능력 검사도구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과 같은 EFL맥락에서 영어를 접하고 있는
유아에게도 바로 적용될 수 있다. 둘째, WIDA 검사는 유아교육학자, 언어학자, 교육학자
등 전문가들이 Pre-12학년 별로 일관성 있게 개발한 검사도구이기 때문에 유아의 발달에
적합하게 전반적인 영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좋은 도구이다(Butler, Stevens, & Castellon,
2007; Linn & Gronlund, 2000). 셋째, WIDA 검사는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등 영역별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뿐만 아니라 각 영역별, 그리고 구어능력
과 문어능력 별로 유아의 영어 능력을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
렇게 세 가지 장점을 지닌 WIDA 검사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만 5세 유아의 영어능력의
수준을 알아보았다.

1) 문항구성 및 내용

WIDA 검사는 두 가지 형태, 이야기형(narrative)과 설명형(expository) 활동으로 나뉜


다. 두 검사 모두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영역은
모두 1-5단계의 하위영역으로 구분된다. 자세한 단계별 내용은 표 2에 제시하였다. 이야
기형 검사는 유아에게 WIDA 검사에서 제공하는 그림책을 읽어주고 책의 이야기를 기초
로 그림카드를 이용하여 유아에게 질문하고 유아의 반응을 반응지에 기록한다. 설명형 검
사를 위해 검사자는 WIDA 검사에서 제공하는 그림이 있는 활동판과 그림카드, 글자카드
를 사용한다. 이야기형 검사 후에 설명형 검사가 이루어지는데, 표 2에서와 같이 문항의
구성에 있어서 듣기/말하기, 읽기는 각 단계별로 3문항씩 구성되어 있다. 설명형에서는 따
라쓰기, 보고쓰기, 시작하는 발음이나 끝나는 발음 듣고 한 글자 쓰기 등 구조화된 활동들
이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WIDA 검사의 신뢰도는 네 개의 영역 모두 .90 이상으로 보
고되고 있다(Wolf et al., 2008).

<표 2> WIDA 문항구성


영역 이야기형 설명형 신뢰도
1단계 1단어 듣고 그림 찾기 (3문항)
1단어 말하기 (3문항)
2단계 2단어 듣고 그림 찾기 (3문항)
듣기 2단어나 구로 말하기(3문항) .94
이야기형과 동일한 구성
/말하기 3단계 단문듣고 그림찾기 (3문항) /.90
문장으로 말하기 (3문항)
4단계 복문듣고 그림찾기 (3문항)
그림비교를 통한 복문 말하기 (3문항)
3 1 6 육아지원연구 제 9권 1호

영역 이야기형 설명형 신뢰도


5단계 2문장 듣고 그림 배치하기 (3문항)
4문장 이상 말하기 (3문항)
자유 쓰기 구조화된 쓰기 활동
1단계 이름을 바르게 쓰기 1단계 따라쓰기
쓰기 2단계 소리와 글자 연결 못하고 글자쓰기 2단계 보고쓰기 .92
3단계 소리와 글자 연결하여 글자쓰기 3단계 발음듣고 1글자쓰기
4-5단계 단어, 관용구, 문장 쓰기 4-5단계 단어, 문장 쓰기
1단계 모양 구별하기 (3문항)
2단계 1글자 소리내기 (3문항)
읽기 3단계 1단어 읽기 (3문항) 이야기형과 동일한 구성 .95
4단계 2단어 읽기 (3문항)
5단계 3단어 문장 읽기 (3문항)

2) 실시방법

검사자는 검사 시 상호작용하는 내용이 담긴 검사도구의 매뉴얼을 숙지하고 검사에 필


요한 준비물인 그림책, 그림카드, 활동판, 교사의 질문목록, 유아의 반응 기록지, 연필, 지
우개 등을 매뉴얼에 제시된 방식으로 자리를 배치하여 구성한다. WIDA 검사 매뉴얼은 검
사를 위한 환경, 검사자가 해야 하는 행동, 검사자가 유아에게 상호작용할 내용을 대본처
럼 영어로 명시하고 있다. 검사자는 매뉴얼의 지시대로 검사를 유아에게 소개하도록 되어
있다. 검사는 1단계부터 유아가 응답할 수 있는 단계까지 실시한다. 각 단계 3문항 중 2문
항 이상 맞추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3) 채점방법

검사 점수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각 언어형태별로 산출한 후 듣기와 말하기 점수 중 낮


은 점수를 바탕으로 구어 능력(Oral) 점수를 산출하고, 읽기와 쓰기 중 낮은 점수를 바탕으로
문어 능력(Literacy) 점수를 환산하게 되어있다.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Overall Composite
Proficiency Level)은 구어 능력 대 문어 능력을 3 대 7의 비율로 배분하여 환산하게 되어 있다.
환산 점수가 1점대이면 1단계, 2점대이면 2단계와 같은 형식으로 점수 매겨진다. 소수점은 아
래 숫자는 제외하고 단계가 구분되어진다. WIDA 검사를 통하여 유아의 영역별 및 전반적인
영어 능력 수준은 6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이 단계는 유아가 영어를 모국어 이외의 언어로 습득
할 때 언어 발달 단계를 근거하여 구분한 것이다(WIDA Consortium, 2008).
예를 들어, 말하기 1단계(Entering Level) 유아들은 자신의 생각을 한 단어나 단어의 조합
으로 표현하고, 2단계(Beginning Level) 유아들은 짧은 문장으로 표현한다. 3단계(Developing
Level) 유아들은 단문이나 복합문을 사용하여 다양한 문형을 사용하여 말할 수 있다. 4단
계(Expanding Level) 유아들은 문형이 다양하고 복잡하며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면서도
만 5세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에 대한 고찰 3 1 7

자세하게 말할 수 있다. 5단계(Bridging Level) 유아들은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기 위해 말할


때 체계화된 구조가 있으며 다양한 문장의 길이, 문형을 사용할 수 있다. 6단계(Reaching
Level) 유아들의 영어로 학습이 가능하다. 이처럼 유아의 언어능력이 어느 수준인지 단계
별로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3. 연구방법 및 절차

1) 검사자 훈련

모든 검사절차가 영어로 진행되기 때문에 검사자는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이면


서 대학원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1인을 훈련하였다. 연구자는 연구대상이 아닌
만 5세 유아 5명을 대상으로 검사자가 WIDA 검사를 실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검사자
가 WIDA 검사도구 매뉴얼에 맞게 검사를 진행하는 지 관찰한 후, 본 검사 때 검사자가
실수하지 않도록 개별 훈련도 실시하였다.

2) 본 검사

본 검사는 2011년 6월 셋째 주부터 7월 둘째 주까지 실시하였다. 훈련된 검사자는 검사


도구에서 명시된 질문에 따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검사하고 유아의 반응을 준
비된 응답지에 기록하였다. 검사 시간은 교육현장의 수업에 방해되지 않는 시간, 즉 차량
을 기다리는 시간, 종일반의 오후 시간, 자유선택활동시간 중에 연구자에 의해 조용한 개
별공간에서 일대일로 진행하였다. 처음에는 유아와 한국어로 인사하고 선생님과 영어로
놀이할 거라고 설명한 후 영어로 진행을 시작하여 유아들이 부담스럽지 않도록 하였다.
검사자는 모든 과정을 영어로 실시하고 유아가 한국말로 질문하더라도 검사자는 영어
로만 매뉴얼에 제시된 말과 모델링 행동을 반복하였다. 유아가 영어 지시사항을 알아듣지
못하더라도 따로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분명한 자료와 검사자의 모델링을 통해 유아는
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검사에 소요된 시간은 한 유아의 영어 능력에 따라 달라
짧게는 10분 길게는 20분 정도이었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WIDA 검사를 사용하여 만 5세 유아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 및 영역별


영어 능력 수준을 기술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기술통계에 의해 전반적인 영어 능력
의 평균 및 표준 편차 및 각 영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다. 영어 영역별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 t-검정을 사용하였다.
3 1 8 육아지원연구 제 9권 1호

Ⅲ. 연구결과

WIDA 검사를 실시한 결과, 세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의 영어 종합적인 영어


능력과 영역별 수준의 기술통계 및 구어 능력 수준과 문어 능력 수준의 차이에 대한 추리
통계는 표 3과 같다.

<표 3> 만 5세 유아의 영어 능력 수준(Level)의 기술통계 및 t 검증 결과 (N = 91)


구어/문어 능력 영역 M SD 구어/문어 능력 별 M(SD) t
듣기 1.31 1.03
구어 능력 1.36 (1.12)
말하기 1.37 1.19 **
6.14
읽기 2.07 1.51
문어 능력 2.02 (1.27)
쓰기 2.08 1.32
종합적 영어능력 1.49 1.08
**
p < .01

첫 번째 연구 문제인 만 5세 유아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의 수준은 평균 1.49로 1단계(Entering


Level)에 해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인 영어 능력은 아직 2단계(Beginning Level)
에 미치지 못하는 단계로, 우리나라 만 5세 유아들은 교실과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물건
등 친숙한 것의 이름을 영어로 알고 간단한 영어 단어를 따라 말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의 이름을 찾을 수 있고 글자와 그림을 구분하고 몇몇 알파벳을
찾거나 점선으로 따라 글자를 쓸 수 있는 수준이다. 그러나 아직 간단한 지시를 따르거나
Wh-의문문(who, where, when, what, why, how로 시작되는 의문문)에 답하거나 간단한
관용구를 사용하여 그림을 기술할 수 없는 단계이다.
만 5세 유아의 영역별 영어 능력의 수준을 알아보는 두 번째 연구 문제의 결과로, 듣기
영역평균 1.31, 말하기 영역 평균 1.37로, 듣기․말하기를 합친 구어 능력 수준은 1.36으로
1단계이었다. 구어 능력 1단계 수준은 일상생활에서 익숙한 단어를 알고 이해하는 수준이
다. 반면 읽기 영역 평균 2.07, 쓰기 영역 평균 2.08로 읽기․쓰기를 포함한 문어 능력 수
준은 2.02로 2단계이었다. 우리나라 만 5세 유아들은 문어 능력 수준에서는 같은 글자를
찾고 글자모양을 모방하고 글자와 소리를 연결할 수 있는 2단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역
별 능력의 수준, 즉 구어 능력 수준과 문어 능력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
다(t = 6.14, p < .01).
만 5세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에 대한 고찰 3 1 9

개별 유치원에서 영어 능력의 수준의 기술통계 및 구어 능력 수준과 문어 능력 수준의


차이에 대한 추리통계는 표 4와 같다. A 유치원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은 1.40으
로 1단계이고 세 유치원의 평균인 1.49에 근접했다. B 유치원 유아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
수준은 2.21로 2단계를 넘은 것으로, 세 유치원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C 유치원의 전
반적인 영어 능력 수준은 1.06로 1단계로 세 유치원의 평균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에서 제시하는 것과 같이 영역별 영어 능력 수준을 살펴보면, A 유치원 유아의 구
어 능력 평균은 1.11이고 문어 능력 평균 1.91이었다. 두 영역에서 모두 1단계로 나타났지
만, 대응 t-검정한 결과, 구어 능력과 문어 능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
다(t = 6.00, p < .01). B 유치원 유아의 구어 능력 평균은 2.44이고 문어 능력의 평균은 2.67
이었다. 두 영역이서 모두 2단계이었고, 구어 능력과 문어 능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 = .84, p > .05). C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구어 능력 평균은
1.06이고 문어 능력 평균은 1.72이었다. 모든 영역에서 1단계를 보였지만 구어 능력과 문
어 능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 = 2.92, p < .05).

<표 4> 개별 유치원 영어 능력 수준(Level)의 기술통계 및 t-검증 결과(N = 91)


유치원 구어/문어 능력 영역 M SD 구어/문어 능력 별 M(SD) t
듣기 1.05 0.56
구어 능력 1.11 ( .71)
말하기 1.37 1.19
A 6.00**
읽기 1.89 1.41
(N = 55) 문어 능력 1.91 (1.18)
쓰기 2.07 1.32
종합적 영어능력 1.40 0.92
듣기 2.33 1.68
구어 능력 2.44 (1.82)
말하기 2.50 2.01
B 0.84
읽기 2.72 1.74
(N = 18) 문어 능력 2.67 (1.41)
쓰기 2.67 1.28
종합적 영어능력 2.21 1.48
듣기 1.17 0.71
구어 능력 1.06 (0.42)
말하기 1.06 0.42 *
C 2.92
읽기 1.94 1.51
(N = 18) 문어 능력 1.72 (1.23)
쓰기 1.50 1.15
종합적 영어능력 1.06 0.73
* **
p < .05, p < .01
3 2 0 육아지원연구 제 9권 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표준화된 유아 영어 능력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 입학 전 만 5세 유아의 전반


적인 영어 능력 및 영역별 영어 능력의 수준을 알아보았다. 미국에서 영어가 모국어가 아
닌 유아의 영어 능력 수준을 검사하는 표준화된 도구로서 검증된 WIDA 검사를 이용하였
다. 분석한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 수준은 1.49
로 1단계(Entering Level)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DA 검사 결과에서 1단계는 유
아들이 자신의 생각을 한 단어나 단어의 조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단계를 의미한다. 연구
대상 모두가 주당 60분 이상 유치원에서 영어 교육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WIDA를 사용
한 검사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만 5세 유아는 교실과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물건 등 친
숙한 것의 이름을 영어로 알고 간단한 영어 질문에 행동으로 또는 yes/no로 답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그리고 자신의 이름을 찾을 수 있고 글자와 그림을 구분하고 몇몇 알파벳을
찾을 수 있고 또한 점선으로 된 글자를 따라 쓸 수 있는 수준이었다. 이와 같은 평가 결과
는 상당한 재원과 시간이 유아 영어 교육에 투자되고 있는 상황에서 1단계의 유아 영어
능력 수준은 과연 현재의 유아 영어 교육이 효과적인가 하는 의문이 들게 한다.
둘째, 연구 대상의 영역별 영어 능력 수준을 평가하였을 때, 본 연구에 참여한 만 5세
유아는 문어 능력 수준이 구어 능력 수준보다 더 높이 나타났다. 구어 능력은 1단계로 나
타났고, 문어 능력은 2단계로 나타났다. 일반적 유아 언어 발달 과정과 다르게 만 5세 유
아의 영어는 문어 능력의 발달이 구어 능력에 비해 앞서고 있었다. 구어능력과 문어능력
의 차이가 심하게 나온 유치원 A의 영어 수업에서 사용되는 교재를 분석해보면 알파벳
따라 쓰기, 그림을 보고 상황에 맞는 알파벳이나 단어를 스티커에서 찾아 워크북에 붙이
기 등의 파닉스 활동 위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는 유아기 영어 학습에 있어서 듣기, 말
하기, 읽기, 쓰기 교육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유아 언어 교육의 균형적 맥락에
서 볼 때,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읽기․쓰기 중심의 영어 교육의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이경우, 2004; Rixon, 2000; Shin, 2006). 즉, 유아의 발달에 적절하지 않은
수업 방식을 통한 읽기와 쓰기를 강조한 보여주기식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해
석된다(박유진, 정동빈, 2010; 정동빈, 백겸순, 정명자, 2009).
또한, 듣기․말하기 중심의 영어 교육이 강조되면서 어린 연령부터의 영어 교육의 필요
성이 대두되어 유아 영어 교육이 시작된 맥락과는 다르게, 유아의 영어 구어 능력 수준보
다는 문어 능력 수준이 더 높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영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만 5세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에 대한 고찰 3 2 1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유아 영어 교육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성찰부터, 문


어 능력에만 치중되지 않고 영어 발달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어 능력 향상
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진현정, 정동빈, 2007).
구어 능력과 문어 능력이 균형적으로 발달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B 유치원의 경우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B 유치원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들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
준도 다른 유치원에 비해 높게 나왔을 뿐만 아니라, 다른 두 유치원과 다르게 영역별로 균
형적으로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B 유치원이 다른 유치원에 비해서 주당 유치원 영
어 수업 시간 및 영어 사교육 시간이 길었다고 하지만, 단순히 시간만으로 B 유치원의 재
원 유아의 영어 능력이 영역별로 골고루 발달했다고 할 수는 없다. B 유치원 재원 유아의
영역별 영어 능력의 균형적 발달에 B 유치원에서 사용한 교수법 또는 교사 등 어떠한 요
인들이 크게 작용했는지에 대한 내용은 후속 연구에서 더 연구되어야 할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기존 연구에서 표준화된 검사없이 임의로 평가되었던 유아 영
어 능력의 수준을 표준화된 검사를 통해 종합적인 영어 능력의 수준 및 영역별 영어 능력
의 수준을 나누어 분석적으로 평가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에 참여한 만 5세
유아들의 표준화된 영어 능력 수치를 처음으로 알 수 있었고, 또한 각 영역에 따라 세분화
된 수치를 처음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이 결과가 우리나라 만 5세 전체의 영어 능력 수준
을 대표하지 못한다는 연구의 제한점이 있지만 처음으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다른 나라
의 유아들의 영어능력과 비교 가능한 표준화된 영어 능력 수치를 도출한데 의의가 있다.
대부분의 유아 교육 기관에서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부모들의 유아영어교육에 대
한 관심이 높은 현재 상황에서 유아 영어 능력에 대한 표준화된 평가 수치와 세분화된 영
역별 수치를 살펴본 데에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수의 유아를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WIDA의 활용하여 유아영어 능력의
평가가 이루어지면서 각 유치원에서 제공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인지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그에 따른 프로그램의 영역별 질적인 제고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이경우, 2004; Freppon & Dahl, 1998). 또한, 유아의 균형적인 영어 능력의 발달
을 위하여 영어 교사의 교수법, 교수 매체, 영어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 등 수업의 질적
인 부분에 대한 분석을 통한 유아 영어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후속 연
구가 필요하다.
3 2 2 육아지원연구 제 9권 1호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아교육 선진화를 위한 종합적인 발전 방안 마련- 5개 정책분야, 25개 핵


심과제 선정․추진. 서울: 유아교육지원과.
김경철, 홍정선(2002).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어린이미디어연구, 14(1), 33-51.
김은영(2011). 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프로그램 추천제 소개. 육아정책포럼, 25, 6-16.
김명선(2007). 조기 영어 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김소연(2008. 10. 23). 사립유치원 96% 불법영어교육. 한겨례 뉴스. http://www.hani.co.kr/에서 검색
김순환(2010). 유치원에서의 영어담당교사별 수업특성과 영어어휘에 대한 유아 이해도. 미래유아교육
학회지, 17(2), 353-385.
김은미(2003). 유아영어교수법과 연령이 영어성취도와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2(2), 177-197.
반경하, 서현아(2009). 취학 전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성취 기대에 따른 조기영어교육
인식 및 실태 연구. 인문학논총, 14(1), 121-148.
박영예, 송정미(2000). 유치원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외국어 교육, 7(2), 139-161.
박유진, 정동빈(2010). 도식구성도를 활용한 영어 동화 읽기 지도가 유아의 영어 학습 흥미도와 어휘력
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4(1), 89-131.
송민섭(2012. 12. 25). 조기교육 열풍에 영․유아 사교육비 쑥. 세계일보. http://www.segye.com에서
검색.
오은순(2004). 손유희를 이용한 영어교수법이 유아의 영어 단어 재생에 미치는 효과. 영어어문교육,
10(1), 89-111.
우남희, 서아람(2010). 그림책과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유아 영어교육 방법의 비교분석 연구. 미래유아
교육학회지, 17(1), 23-47.
윤소연(2000). 유아영어교육 방법에 관한 교사의 인식조사 연구-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인제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우(2004). 유아 영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이귀옥(2003). 한국 유아의 모국어 발달 수준과 영어 학습 수준과의 관계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홍주(2009).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서 본 유아영어교육의 방향. 유아교육연구, 29(2),
191-213.
정동빈, 정재은, 김지영(2009). 유아영어문자지도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흥미도와 문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8(1), 41-68.
정미라, 이영미, 박수경(2011). 그림 표상활동을 통해 나타난 영어 능력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인식 분
석. 유아교육학논집, 15(1), 77-97.
진현정, 정동빈(2007). 어휘덩어리 지도가 수준별 5-6세 유아들의 유창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영어교
육, 62(5), 539-562.
Butler, F. A., Stevens, R., & Castellon, M. (2007). ELLs and standardized assessments: The
interaction between language proficiency and performance on standardized tests. In A. L. Bailey
(Ed.), The language demands of school: Putting academic English to the test (pp. 27-49). New
Heaven, CT: Yale University.
만 5세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에 대한 고찰 3 2 3

Freppon, P. A., & Dahl, K. L. (1998). Balanced instruction: Insights and considerations. Reading
Research Quarterly, 33(2), 240-251.
Linn, R. L., & Gronlund, N. E. (2000). Measurement and assessment in teaching (8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Rixon, S. (2000). Optimum age or optimum conditions? Issues related to the teaching of languages
to primary age children. http://www.britishcouncil.org에서 검색.
Shin, J. K. (2006). Ten helpful ideas for teaching english to young learners. English Teaching
Forum, 2, 1-13.
WIDA Consortium. (2008). WIDA MODEL for Kindergarten. Champaign, IL: MetriTech.
Wolf, M. K., Kao, J. C., Griffin, N., Herman, J. L., Bachman, P. L., Chang, S. M., & Farnsworth, T.
(2008). Issues in assess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measures
and accommodation uses. Los Angeles, CA: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UCLA.

2013년 11월 16일 투고/ 2014년 1월 13일 수정/ 2014년 1월 17일 채택


3 2 4 육아지원연구 제 9권 1호

ABSTRACT

Evaluation of Korean 5-year-olds’ English Proficiency


Using WIDA (World-class Instructional Design and Assessment)

Chung, Ka-youn(Myongji University)


Lee, Young-mi(Hanyang Women's University)
Shin, Jeong-ah(Kwangwoon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d Korean 5-year-olds' overall English proficiency and their level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91 children who received English lessons on a regular basis attending three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The children’s ability to speak, listen, read, and write in English
was measured using World-class Instructional Design and Assessment (WIDA), which
aims to assess English proficiency in children whose mother tongue is not English based
on their developmental stag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hildren's overall English
proficiency was Level 1, in which children are aware of the name of familiar objects in
English and they can repeat words or simple phra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ir
literacy proficiency (reading and writing ability) was one-level higher than their oral
proficiency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low and unbalanced 5-year-olds' English proficiency, yielding insights on English
programs in kindergartens.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