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0

연구결과서

팀명 띵호와 두부
중금속, 두부로 해결할 줄은 몰랐지?
연구주제
: 발효 순물을 이용한 킬레이트제 제작
지도교사 박명호

학생 1. 박시영 2. 지영은
INDEX 01 연구 동기
02 연구 목적
03 실험 과정 및 결과
04 결론 및 제언
2
1. 연구동기

연구 동기 풍부한 영양분을 미생물 배지로!

어떤 미생물을 배양할까?
Rhizopus
Aspergillus microspours
niger var.
oligosporus
시트르산, 푸마르산 발효균 → Chelate effect

두부 제조 과정의 폐기물, 순물

고영양 폐기물 → 부영양화 → 폐기 처리…


특정 유기산이
부영양화로 환경 오염 심각한 환경 문제, 여러 자리 리간드로 작용하여
중금속 오염 중금속 이온을 흡착한다

연간 60만 톤 이상의 폐기량


폐기물인 순물의 유기산 발효를 통해
10,000원/톤 의 폐기 비용 중금속 문제를 해결하자.
3
2. 목적

연구 목적
발효 필요성 확인 및 발효균 선택 시판 제품과 성능 비교

As
VS

시중의 제품과
중금속 흡착력 비교
Grovita AQUA SAFE
citrate fumarate
Cuprisorb
발효 최적화 시판 제품과 친환경성 비교

발효 촉진 물질 첨가
VS
Glucose, Yeast Extract
→ 최적 조건 결정
시중의 제품과
친환경성 비교
4
3. 실험과정 및 결과

순물 발효하기
순물 얻기 종배양

Aspergillus niger
– 시트르산 발효균
시트르산

Rhizopus microspours var.


oligosporus
– 푸마르산 발효균
푸마르산

본배양 Glucose 혹은 Yeast extract를 순물에 추가한다.

7days

압축 과정에서 나오는
순물을 얻는다.
5
3. 실험과정 및 결과

FS 분말화

활성탄 흡착 중화 동결 건조

FS(Fermented 순물) 분말 완성!


활성탄 흡착 후, 중력 여과,
감압 여과, 원심분리(20m, 7000rpm) KOH로 pH를 7로 중화 C.FS(Citric acid FS)
하여 흡착한 활성탄을 제거
F.FS(Fumaric acid FS)

균체 등 고형분 제거 사용 시 산성화 방지
실험의 정량화

6
3. 실험과정 및 결과

중금속 흡착 확인 방법 O
C
핵심 원리
O O

중금속 Chelating 중금속 C

O O
Band gap 의 변화 → 흡수 파장대 다르다 O
C
UV spectrum 을 통해 파장 별 흡광도를 비교
흡광도
중금속 흡착제 중금속 파장
흡광도 감소

중금속 킬레이트 파장
용액 흡광도 증가

Pb UV spectrophotometry
파장 7
3. 실험과정 및 결과

중금속 결정 과정
6 0.7

5 0.6
흡광도(𝑚𝑊/𝑐𝑚2)

흡광도(𝑚𝑊/𝑐𝑚2)
0.5
4
0.4
3
0.3
2
0.2
1 0.1

0 0
381
300
327
354

408
435
462
489
516
543
570
597
624
651
678
705
732
759
786
813
840
867

300
328
356
384
412
440
468
496
524
552
580
608
636
664
692
720
748
776
804
832
860
파장( nm) 파장(nm)

아연 납 철

𝑪𝒖𝟐+ 는 peak가 812nm로,


𝒁𝒏 , 𝑷𝒃 , 𝑭𝒆 는 peak가
𝟐+ 𝟐+ 𝟑+
UV spectrum 범위에서 나타남
UV spectrum 범위에서 보이지 않음

𝑪𝒖𝟐+ 결정
𝑪𝒖(𝑵𝑶𝟑 )𝟐 수용액 사용
8
3. 실험과정 및 결과

발효 필요성 확인 및 발효균 선별
발효를 거친 순물

여과

동결건조

아무 처리 X 순물 Aspergillus niger Rhizopus microsporus


var. oligosporus

순물/발효순물 반응 전,후
UV spectrum 비교
교반 후
상층액 채취
중금속
용액

Cu2+
9
3. 실험과정 및 결과

발효 필요성 확인 및 발효균 선별
0.8

0.7

0.6 Cu peak : 812nm 0.605


0.5
흡광도(𝑚𝑊/𝑐𝑚2)

발효X순물 peak : 806nm 0.627


0.4

0.3

0.2

0.1 Aspergillus peak : 795nm 0.483


0
542
300
322
344
366
388
410
432
454
476
498
520

564
586
608
630
652
674
696
718
740
762
784
806
828
850
872
Rhizopus peak : 789nm 0.495
-0.1

-0.2
파장(nm)

구리 발효X순물 Asp Rhi

중금속 흡착력 : 발효X < Rhizopus < Aspergillus


발효균 Aspergillus 결정 10
3. 실험과정 및 결과

발효 최적화
발효순물

발효 촉진 물질 첨가 중금속
용액
Cu2+
반응 전,후
교반 후 UV spectrum 비교
상층액 채취
Glucose Yeast extract
0.5-1.0-1.5 0.1-0.3-0.5

중금속 흡착 실험으로
Aspergillus niger 최적의 발효 조건을 찾는다

11
3. 실험과정 및 결과

발효 최적화
0.8

0.7

0.6
Cu peak : 812nm 0.605
0.5
흡광도(𝑚𝑊/𝑐𝑚2)

0.4
Glucose 0.5% peak : 764nm 0.426
0.3

0.2
Glucose 1.0% peak : 797nm 0.367
0.1

0
740
762
300
322
344
366
388
410
432
454
476
498
520
542
564
586
608
630
652
674
696
718

784
806
828
850
872
-0.1 Glucose 1.5% peak : 802nm 0.323
-0.2
파장(nm)

구리 G 0.5% G 1.0% G 1.5%

중금속 흡착력 : Glucose 0.5% < Glucose 1.0% < Glucose 1.5%
Glucose 1.5% 최적(많을수록 좋음) 12
3. 실험과정 및 결과

발효 최적화
0.8

0.7

0.6 Cu peak : 812nm 0.605


0.5
흡광도(𝑚𝑊/𝑐𝑚2)

0.4
Y.E 0.1% peak : 789nm 0.485
0.3

0.2

0.1 Y.E 0.3% peak : 790nm 0.425


0
454
476
300
322
344
366
388
410
432

498
520
542
564
586
608
630
652
674
696
718
740
762
784
806
828
850
872
-0.1
Y.E 0.5% peak : 790nm 0.410
-0.2
파장(nm)

구리 Y 0.1% Y 0.3% Y 0.5%

중금속 흡착력 : Y.E 0.1% < Y.E 0.3% < Y.E 0.5% (0.3%와 비슷)
Yeast Extract 0.3% 최적 13
3. 실험과정 및 결과

시제품 비교 실험

흡착제

중금속
용액
Grovita 액체상태이므로 Cu2+
AQUA SAFE 농축&동결건조
반응 전,후
교반 후
UV spectrum 비교
상층액 채취

잘게 부순다
CupriSorb

14
3. 실험과정 및 결과

시제품 비교 실험
0.8
Cu peak : 812nm 0.605
0.7

0.6

0.5 Glucose 1.5% peak : 802nm 0.323


흡광도(𝑚𝑊/𝑐𝑚2)

0.4

0.3
Y.E 0.3% peak : 790nm 0.425
0.2

0.1

0 Grovita peak : 806nm 0.337


410
300
322
344
366
388

432
454
476
498
520
542
564
586
608
630
652
674
696
718
740
762
784
806
828
850
872
-0.1

-0.2
파장(nm) CupriSorb peak : 806nm 0.370
구리 Y 0.3% G 1.5% cuprisorb grovita

중금속 흡착력 : Y.E 0.3% < CupriSorb < Grovita < Glucose 1.5%
15
3. 실험과정 및 결과

친환경성 확인 선행 연구
‘발효법에 의해 얻은 유기질 비료’가
FS의 친환경성을 보장한다

물 FS

X2
Cupri Grovita
Sorb A.S

생장상태가 비슷한 고추 모종 구입
세 가지 중금속 흡착제와 물을 20mL씩 7일 주고
물을 주며 7일 더 키운다 (x 2)

16
3. 실험과정 및 결과

친환경성 확인 선행 연구
‘발효법에 의해 얻은 유기질 비료’가
FS의 친환경성을 보장한다

대조구 FS Grovita CupriSorb

대조구의 생장 상태가 가장 좋았고


FS>Grovita>CupriSorb 순서로 생장 상태가 좋았다

17
4. 제언 및 결론

대량생산 방안

두부 공장 → 순물
대형 발효기 Ultrafiltration Spray dryer

𝑯𝟐 𝑶𝟐

From “두부제조 부산물의


저장성 개선 방법”
분말 형태로 사용
순물 100L 당 30% 과산화수소
액상 형태로 사용
0.4~0.7L 첨가
18
4. 제언 및 결론

공정 / 비용 예측 비슷한 공정의 연구 제품 CMO와 비교


전체공정도
수거운반인건비 (3,600만원/년) 필요 없음
건조 및 파쇄 연료비(경유) (528만원/년) 필요 없음
수거차량구입비 (1억원/대) 필요 없음
가수분해 FS 에는 필요 없음 가수분해반응기 (1억원/대) 필요 없음
황산 (1,187만원/년) 필요 없음
여과
발효균 초기 비용만 필요
연속발효
좋은 열효율 공장에서 높은 온도로 배출됨
세포제순환장치
편리한 최적화 일정한 성분

농축
FS 에는 필요 없음
액상
시중세품 혼합 1,000원/kg 인 CMO 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 가능
건조 및 파쇄
19
4. 제언 및 결론

추가 실용화 방안
순물이 부족하면?
비지 사용! 고형분 33.3%
(순물 고형분 8.9%)

연간 12만톤 이상
(순물 60만톤 이상)

Glucose 도 폐기물에서!
사탕수수 사용! 식혜 당화 공정의
폐기물 사용!

2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