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97

K-water

연구원
2015-WS-RR-3-15


Int
eri
m Repor
t



상수도 시설 내진 취약성

평가 및 보강대책 연구



(Ⅰ)
ASt
udyontheAdvanc
edSei
smi
cEv
aluat
i
on
평 ofExi
st
ingDams(
Ⅰ)





(Ⅰ) 20
14.12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
ON

K- er연구원
wat
상수도 시설 내진 취약성 평가
및 보강대책 연구 (
Ⅰ)
A Studyont heSeis
micVul
ner
abil
i
tyAsses
smentand
Rei
nforcementMeasuresf
orWaterSuppl
yFaci
l
it
ies(Ⅰ)

2
014
.12

K-
wat
er연구원
제 출 문

사 장 귀하

이 보고서를 2014년도 K-
wat
er연구원 기반시설연구소에서 수행한 “상수
도 시설 내진 취약성 평가 및 보강대책 연구”의 1차년도 중간 보고서로 제
출합니다.

2014.12.31

연구책임자 :K-
wat
er연구원 책임연구원 박 동 순
연구수행자 :K-
wat
er연구원 책임연구원 정 우 성
K-
wat
er연구원 책임연구원 임 정 열
K-
wat
er연구원 책임연구원 이 두 진
겸직연구원 :수 도 관 리 처 토 목 3급 노 준 래

- i -
연구개발결과 활용보고서
활용보고서
[2
015-WS-RR-3-15]

(1)연구과제명 상수도 시설 내진 취약성 평가 및 보강대책 연구 (Ⅰ)

성명 박 동 순
K-water연구원 소속 기반시설연구소
(2)수행부서 (3)연구책임자
기반시설연구소 전화번호 042) 870-7611
E-mail fulgent@kwater.or.kr

(총기간) 2014.01.01. ~ 2015.


12. 31 (총 2년 ) 212,000천원(총액)
(4)연 구 기 간 총액
(당해년) 2014.01.01. ~ 105,000천원(당해년)
2014.12.31. (12개월)
(5)총연구개발비
(6)협 동 기 관 (천원) 정부

(7)참 여 기 업 기업

P.건설교통 -
구조물지반공학기술 -
(8)기 술 분 야 내진/내풍 (9)참여 연구원 6명
구조물기술(N82)

1. (10)연구개발목표
연구 ◦ (전체목표) 지진재해대책법에 의거 기존 상수도시설(Testbed)에 대한 시범적 내진
총괄 취약부 조사 및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도입가능한 내진 보강공법을 구체적으로
연구함으로서 지진시 중단없는 용수공급체계 구축에 기여
◦ (당해년 목표) 최근 수립한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을 Testbed 부지(울산공
업용수도)에 선도적으로 적용하여 내진 취약성을 평가하고, 평가요령을 보다 올바
른 방향으로 개정 정립함
(11)주요연구내용

◦ 상수도 시설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가, 보강 대책 가이드라인 기초 연구


◦ 상수도 내진 분야를 구조물 자체와 지반의 액상화로 구분하여 연구 추진
◦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가는 Testbed를 시범 선정하여 용역으로 시행
◦ 지진시 지반 액상화는 주요한 파괴 모드로서 그동안 연구가 미진하여, 금번 연구
에서는 자체 연구개발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
◦ 상수도 시설 구조물은 울산공업용수도를 연구대상 testbed로 선정하여 관로, 수로
터널, 취수탑, 토목구조물로 구별하여 내진 취약성 평가
◦ 내진보강 공법은 1차년도에 해외(미국, 일본, 뉴질랜드)에서 적용하는 기술 중심
으로 거시적 가이드라인 제시 연구

- ii -
(12) 연구결과의 활용 (2차년도)
기술실용화 설계기준,
교육 및
실용화 실용화 실용화 선행 정책활용 시방서, 기타
구분 지도
완료 추진중 보류(중단) 연구 지침에 활용
○ ○ ○ ○
기타를 선택한 경우 구체적 활용실적 기재.
2. 개방형 연구활동 특별 기술세미나 1건, 학술기고 2편
연구
성과 (13) 주요 연구성과 및 기술 개발단계
활용 ∘기 술 명 :
유형 - 연구성과 실용화 1건 완료
및 *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정 ∘기술의 완성도
주요 기초, 탐색연구단계 ( ), 응용연구단계 (○),
- 학술기고 2편(한국지반공학회)
연구 개발연구단계 ( )
- 기술 세미나 1회
성과 - 울산공업용수도 정밀안전진단 기업화 준비단계 ( ), 상품화 완료단계 ( )
내진과업 대체 수행
∘기술 수명주기
- 수도시설 정밀안전진단 과업지시서
기술개념 정립기 ( ), 기술 실험기 ( )
내진과업 수행요령 명시화 발주 기술적용 시작기 ( ), 기술적용 성장기 (○)
기술적용 성숙기 ( ), 기술적용 쇠퇴기 ( )
∘기술특성 :
- 실용화, 학술기고, 사내 발주설계 지원

(14) 현장적용실적
물량 R&D
① 공사명 공사기간 발주기관 시공기관
(총물량) 참여자 역할
공사현장
정보

가. 현장명
기존 개선 단위효과 현장 향상도 적용현장
구분 (A) (B) 총물량 A - B
X 1 0 0 ) 총효과
(C=A-B) (D) A (C×D)
3. 공사비
경제적 (백만원/㎡)1)

효과 ② 유지관리비
(백만원/㎡)1)
공사
현장별 기타비용절감 1)
(백만원/㎡)
적용효과
사고율
(명/UC)
고 용
(명/UC)
공 기
(일/UC)
내구성
(年)

- iii -
(15) 기술개발목표 달성도
지표명 개발전 당개발사업 개발결과 현재국내 세계 최고
구분
(단위) 국내수준 최종목표치 실제달성치 기술수준 기술수준
기존 구조물 별
개정 수도시설 지반 액상화
수도시설 관로위주 통합적
내진평가요령 기초단계 포함 심화연구
기술 내진성능 편중, 주관적 내진평가요령
평가 요령 제시 상당수준 진행
성능 제개정
지표

4. (16) 산업재산권 (발명특허‧실용신안‧의장‧s/w )


기술적 출원 및 출원 등록
구분 명칭 출원국
효과 등록자 출원일 출원번호 등록일 등록번호

(17) 건설신기술 지정
명 칭 출 원 일 고 시 일 보호기간 지정번호

(18) 기타 등록 및 지정현황(상품, 서비스 등록, KT 마크 등)


명 칭 출 원 일 고 시 일 보호기간 기 타

(19) 국내외 전문학술지 게재


구분 논문제목 학술지명 국명 통권, 호 년,월
SCI
학술지

일반
학술지
(20) 학술회의 발표
논문제목 학술회의 명칭 국 명 연 도 ‧ 호
5.
학술적
효과 지반 액상화의 최신 연구 동향 한국지반공학회지 2014.04

SPT 기반의 지반 액상화 평가 요령 한국지반공학회지 2014.07

- iv -
(21) 법․제도 (설계기준, 시방서, 지침) 등에 활용

구분 명칭 및 조항1) 시행일시 기 존 내 용 신 규 내 용

규정/지침

기존 상수도시 구조물 별 세분화


관로중심 내진평
기준 설 내진성능평 2014.12 된 내진평가 요령

가 요령 제시

시방서

(22) 정책수립에 활용

정책추진
정책명 정책추진 실적 담당부처․팀 기대효과
일시

6.
공공적 (23) 교육 및 지도에 활용
효과
구분 교육명 교육내용 교육대상 교육시간 교육인원 교육회수

교육훈련

기술상담

현장기술지도

(24) 사회적 성과

◦지진재해대책법의 차질없는 이행 및 지진에 대한 중단없는 용수공급체계에 기여


◦‘안심국토’ 최우선 정책 기조에 부응 및 국정감사, 감사원감사 등에 능동적 대처
◦지반 액상화 및 상수도 내진평가 분야 국내 선도기술 보유
◦울산공업용수도 정밀안전진단(2014) 내진과업비용 약 3억원 이상 절감
*시특법 개정 시행(
2014.
07)
으로 20년 이상 노후 시설 정밀안전진단 시 내진과업
의무화
◦외부에 전적으로 기술지침 개발 위탁연구 수행 시, 약 3년 300백만원 소요, 자체
수행으로 절감액 약 195백만원 예상
◦향후 상수도 시설 정밀안전진단 시 내진과업 분야 기술표준으로 확산 적용 예상

- v -
요 약 문

1. 연구제목
상수도 시설 내진 취약성 평가 및 보강대책 연구 (Ⅰ)

2. 연구기간
2014. 01. 01 ~ 2014. 12. 31

3. 연구목적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지진재해대책법에 의거 기존 상수도시설(Testbed)에 대한
시범적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도입가능한 내진 보강공법을
구체적으로 조사·검증함으로서 지진시 중단없는 용수공급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성
과 실용화를 통한 기술정립에 공헌하는 데에 있다.

Table 1은 연도별 연구목표 및 내용이며, 2014년은 전체 연구의 1차년도 연구에 해


당한다.

Table 1. 연차별 연구 목표 및 내용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내용
ㅇ 상수도시설 내진 취약부 평가 및 보강방법 사례
연구 ( 미국,일본 등)
ㅇ 지반 액상화 상세평가 기법 개발
(해외문헌연구 및 실험 연구)
ㅇ 내진 취약부
ㅇ Test
bed시설 선정,내진 취약부 평가
조사·평가 및
1차년도 (
관로,수로터널,취수탑,지중구조물,건축구조물,지반
내진보강
(
2014) 액상화)
가이드라인
ㅇ 상수도 시설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가 가이드라인
기초 연구
제시
ㅇ 취약부 내진보강 공법 국내 도입가능 기술안 제시
ㅇ 연구성과 반영,“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개정
ㅇ 상수도시설 내진 취약부 평가 및 보강 문헌연구
ㅇ 시범 시설물 확대,내진 취약성 조사 및 평가
(
관로,수로터널,취수탑,지중구조물,건축구조물,지반
ㅇ 내진 취약부 액상화)
조사·평가 및 ㅇ 구조물 내진 보강효과 검증 연구
2차년도
보강공법 (수치모델링)
(
2015)
시범 적용 및 ㅇ 지반 액상화 보강공법 검증실험
검증 (CDSS실험,원심모형실험)
ㅇ 기술컨설팅을 통한 공신력 확보
ㅇ 연구성과 반영,“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보강 요령”
제정

- vi -
4. 연구결과

연 구 완 료(
연 차)보 고 서
연구과제명 상수도 시설 내진 취약성 평가 및 보강대책 연구 (
1차년도)

연구기간 014.01.01~ 2014


2 .1 12개월)
2.31(

시행방법 자체(
위탁)

총연구참여자 내부 :5명 (
책임자 :박동순) 외부(
위촉연구원):-명
당해연도 당해연도
외부수행분(
천원)
예산현황 예산(천원) 집행액(
천원)
105,
000 73, 예정)
839( 5
5,0
00
기존)문제점
( 개선된 사항
ㅇ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ㅇ 상수도시설물에 대한 내진성능평가
개정 수립 (
국내 기술선도,연구실용화)
와 연구개발,보강대책의 수립은 지
ㅇ 지반 액상화 상세평가 기법 개발 및
진재해대책법에 의거,법적인 책무
정립
로 지정
ㅇ Te
stbed 시설 선정(
울산공업용수도)
,
ㅇ 노후 S OC 시설 안전관리에 대한
개정 내진평가 요령 최초 현장 적용,
정부정책은 최우선적 정책 기조
구조물 별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가
ㅇ ‘
12감사원 감사 시 상수도 내진평가
ㅇ 관로,수로터널,지중구조물은 대체로
에 대한 통일성 있는 기준수립 지적
양호하나,하천변 사질토 관로주변 지
ㅇ 현행 관로 중심의 내진평가 외에
반 액상화 및 노후 취수탑은 내진 취
지반 액상화 및 각 구조물 별 지진
약성 제시
취약성 및 보강대책 연구개발은 걸
ㅇ 지반 액상화 및 상수도 시설 내진보
음마 수준
강공법 거시적 제시

개선에 따른 기대성과

ㅇ 지진재해대책법의 차질없는 이행 및 지진에 대한 중단없는 용수공급체계에 기여


ㅇ 안심국토’최우선 정책 기조에 부응 및 국정감사,감사원감사 등에 능동적 대처

ㅇ 지반 액상화 및 상수도 내진평가 분야 국내 선도기술 보유
ㅇ 울산공업용수도 정밀안전진단( 2014)내진과업비용 약 3억원 이상 절감
*시특법 개정 시행(
2014.
07)
,20년 이상 노후 시설 정밀안전진단 시 내진과업 의무화
ㅇ 외부에 전적으로 기술지침 개발 위탁연구 수행 시,약 3년 300백만원 소요,
자체 수행으로 절감액 약 195백만원 예상
ㅇ 향후 상수도 시설 정밀안전진단 시 내진과업 분야 기술표준으로 확산 적용 예상

주요 실용화 건 /수도관리처
1 논문발표 학술기고 2
편(한국지반공학회)
추진성과 기술지원 지식재산권
당해년도 기준) 기타
( 개방형 연구활동 특별 기술세미나 1

외부기관 ㅇ (
위탁)울산공업용수도 내진성능평가 및 향상 대책 용역,
수행내역 주)
( 에스디이엔지,55백만원

- vii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ㅇ 기술적 측면
-상수도시설물에 대한 종합적인 내진 취약성 조사 및 평가,보강대책의 수립은
거시적인 틀에서 지진재해대책법에 의거,재난관리책임기관의 법적인 책무
로 명시되어 있음
*지진재해대책법 :2009.
03.
25.최초 제정시행,현재 2013.
04.
23.개정법률로 운
영 중
-기존 시설의 내진성능평가,내진보강대책의 수립,
추진 의무화,그러나 국내 전
문가 부족과 실효적인 기술이행에서 걸음마 수준에 불과하여 적극적 연구개
발이 필요
- 국내 주요 연구개발은 2004년 기준(
한국시설안전공단)
에 머물러 있으나,내용
적 측면에서 개정의 여지가 매우 많으며,현재 K-wat
er연구원에서 1차 구축한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은 실제 현장에 있어 Tes
tbed적용에 따른
내진 취약성 조사 및 보강대책 수립 적용성 평가가 필요
-또한 시특법 개정(
2014.
07)시행에 따른 20년 이상 노후 시설물 내진평가 의
무화 조항의 선제적 기술개발 및 이행이 필요

ㅇ 경제․산업적 측면
-용수공급체계 개선을 위해 복선화와 개대체,갱생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나,지
진의 위험은 피해 발생시 그 규모가 광역적이고,동시다발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기존 사업여부와 관계없이 용수공급 중단을 초래할 수 있음
-최근 상대적으로 내진설계와 지진에 대한 급수체계 대비가 잘 되어 있는 것으
로 평가받고 있는 주요 국가에서 상당한 수도시설의 피해가 지반 액상화로
발생
-일반적인 광역상수도 및 공업용수도 시설에서 구미단수사고와 같은 취약부는
지진 발생시에도 동일한 취약부를 형성하므로 이러한 위해도와 파급효과가 큰
곳 중심의 평가방법 개발 및 보강공법 수립은 연구개발이 반드시 필요

ㅇ 사회․문화적 측면
-SOC 시설물 관리에 대한 정부정책의 중심 기조화 (
국민안전-재난재해 예방
관리)
를 반영한 시설물 운영관리 필요

- viii -
(2) 주요연구 수행내용

ㅇ (
연구목표)지진재해대책법에 의거 기존 상수도시설(
Test
bed)
에 대한 시범적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도입가능한 내진 보강공법을 구
체적으로 조사·
검증함으로서 지진시 중단없는 용수공급체계 구축에 기여

ㅇ (
1차년도 주요 목표)최근 수립한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을 Test
bed
부지(
울산공업용수도)
에 선도적으로 적용하여 내진 취약성을 평가하고,평가
요령을 보다 올바른 방향으로 개정 정립하는 데에 있음
- 1차년도는 내진보강 분야를 거시적으로 다루며,2차년도에 내진보강 요령을
상세히 정립

ㅇ 1차년도 계획 대비 실적 (
요약)

계획 실적

ㅇ 미국 상수관로 내진 가이드라인,
ㅇ 상수도시설 내진 취약부 평가 및
관로 Monogr
aph,일본 수도시설
보강방법 국외 사례 연구 (
미국,일본,
내진공법 지침 요약 정리
뉴질랜드 등)
*뉴질랜드 최근 지진 사례 등
현황조사 요약

ㅇ 지진 시 상수관로의 가장 주된 피해
ㅇ 지반 액상화 상세평가 기법 개발
모드인 지반 액상화 평가 요령 개정
(해외문헌연구 및 실험 연구)
정립

ㅇ Test
bed시설
ㅇ Tes
tbed시설 선정,내진 취약부
선정(울산공업용수도),구조물 별
평가
내진 취약부 평가 완료
(
관로,수로터널,취수탑,지중구조물,
*관로,수로터널,지중구조물은 대체로
건축구조물,지반 액상화)
양호
*하천변 사질토 매설관로 지반
액상화,노후 취수탑은 대체로 내진성
취약
ㅇ 상수도 시설 내진 취약부 조사 및
ㅇ 상수도 시설 구조물 별 내진성능평가
평가 가이드라인 제시
가이드라인 개정 정립 (연구성과
실용화에 편입)
ㅇ 취약부 내진보강 공법 국내 도입가능
ㅇ 지반 액상화 및 상수도 시설
기술안 제시
내진보강공법 거시적( 일반적)제시
ㅇ 연구성과 반영,“
기존 상수도시설
ㅇ 연구성과 실용화,“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개정
내진성능평가 요령”개정 완료

- ix -
□ 연구 성과 및 보고서의 구성

ㅇ (
1장)서론
-연구개요 및 연구 배경,필요성,주요 연구내용 등을 요약식으로 수록
-지진재해대책법 시행에 따른 재난관리책임기관으로서 연구개발 필요분야 분
석,정리

ㅇ (
2장)상수도 시설 내진 취약부 조사,
평가 문헌연구
-상수도 시설에 내진 취약부 평가,보강 등 국내외 주요 문헌 중심 연구 및 사
례 요약
• 미국 Sei
smi
cGui
del
i
nesf
orWat
erPi
pel
i
nes(
ALA 2005)
• 일본 수도협회 내진공법 지침·
해설 (
2009)
• 미국 MCEER Monogr
aph,Sei
smi
c des
ign ofbur
ied and of
fshor
e pi
pel
i
nes
(
O’Rour
keandLi
u2012)등

ㅇ (
3장)지반 액상화 상세평가 기법 개발
-지진 시 매설관로의 주된 파괴모드인 지반 액상화에 대한 평가요령 상세 개정
정립
*지반 액상화는 하천횡단관로 또는 연약지반 관통 관로 등에서 현저한 문제
*가장 최근 국제적인 기준(
EERIMonogr
aph,I
dri
ss& Boul
anger2008)
을 채택
하여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 개정 정립
-(
기존)1단계 Seed& I
dri
ss간편법으로 평가 후 2단계 실내 반복삼축시험으로
평가
→ (
개정)기존의 국가적 근간에 의거한 방법을 인정하되,신규로 보다 updat
e된
I
dri
ss& Boul
anger(
2008)반경험적 평가방법 또는 실내 동적실험(
반복삼축시험
또는 단순전단시험)방법으로 평가토록 개정
-개정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 학술기고 수록(
한국지반공학회지,‘
14.
07)

ㅇ (
4장-9장)Test
bed시설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가
-연구 제의부서(
수도관리처)
와의 긴밀한 협의에 의거,Tes
tbed로서 노후관로 및
하상지반이 많은 울산공업용수도 선정
-울산공업용수도 시설 각 구조물에 대한 K-wat
er기준(
2013)최초 실 적용 및
내진성능평가 수행
-특히 지반 액상화 평가는 울산 태화강변 미포신설계통에서 1개소를 선정,사
실상 국내 최초로 액상화 파악 목적으로 시추지반조사,하향식 탄성파탐사,불
교란시료채취,반복삼축시험,SPT시험 수행
-취약부 조사 및 평가 결과 (
PGA =0.
154g)
*관로,수로터널은 대체로 양호

- x -
*해안 인접 하천변 사질토 매설관로 지반 액상화,노후 취수탑은 대체로
내진성 취약
구조물
대상 구조물 선정 평가 방법 평가 결과
구분
예비평가, 지반응답해석, 응
대암-선암계통 강관 답변위법에 의한 관체 응력 내진 안정성 확보
매설관로
(D2,
000)등 19개소 및 변형율 평가,ALA Char t예측
평가법
느슨한 포화 사질토
지반에서 액상화 발
지반 태화강변 미포신설계통 Seed& I dri
ss(1971)
,
생 가능 예측,확장
액상화 직접시추조사 등 6 개소 I
dri
ss& Boul
anger(2008)
가능성은 추가조사
필요
원동취수장-대암댐 계 예비평가, 응답변위법, 시간 내진 안정성 확보
수로터널
통 제1터널 등 4개소 이력 동해석 예측
일부 내진 안정성
온산정수장 응집지,침 확보, 일부 미확보,
토목 RC
전지, 배수지, 조정조 응답변위법( fr
ame 해석) 추후 보다 상세한
구조물
4개소 자료 확보에 의한
해석 필요
유사정적해석,시간이력 동해
취수탑 대암댐 취수탑 1 개소 내진 안정성 미확보

ㅇ (
4장-9장)내진 취약부 보수보강 공법 제시
-해외의 내진성능 향상기술 사례연구 및 Tes
tbed적용연구를 바탕으로 내진 취
약부 보강 공법 거시적 제시
*1차년도(
2014)
는 일반적 보강공법 제시,2차년도(
2015)
에 상세 보강공법 도입
기술 및 보강효과 실험 검증 예정

ㅇ (
10장)결론

ㅇ (
부록)연구성과 실용화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정 (
수도관리처)

- xi -
3. 개발기술의 파급효과
ㅇ 기술적 파급효과
-동분야(
상수도시설 및 지반 액상화 내진평가)국내 최고 기술력 보유 및 연구
개발 선도로 향후 정밀안전진단 시 기술지침화 등 시장경쟁력 탁월
- 상수도시설 지진 취약부에 대한 능동적 보수보강 기술개발로 관련기술 발전
선도
-상수도시설 내진보강의 신규 업무영역 창출에 기여
-향후 국가적 관련 기준이나 지침 제개정시 우리 공사의 기술로 표준화에 기여
-향후 상수도 정밀안전진단 용역 발주 시 본 기술요령 적용한 과업 수행 의
무화

ㅇ 경제적 파급효과 및 시장경쟁력(


정량적 산출근거 제시)
-외부에 전적으로 기술지침 개발 위탁연구 수행 시,약 3년의 연구 및 위탁사
업비 약 300백만원 소요 → 적은 예산(
105백만원)
으로 단기간 집중적인 자체
(
부분위탁)연구과제로 추진하여 예산 절감 (
절감액 약 195백만원)
- 수행중인 울산공업용수도 정밀안전진단 내진과업비용 대체수행으로 약 3억
원 이상 절감
*시특법 개정 시행(
2014.
07)
으로 20년 이상 노후 시설 정밀안전진단 시 내진
과업 의무화
-상수도시설 내진분야 기술개발 선도를 통한 정부정책(
국민안전)실현 기여 및 대
외위상 제고
-대규모 산업단지에 공급하는 급수체계에 중단없는 공급을 통한 안심국토 실현
및 국가 생산능력 보존 (
안전은 금액적으로 대체할 수 없는 부분)

ㅇ 향후 실용화 계획
-“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개정 적용 (수도관리처,2014.
12)
-“
K-wat
er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향상 요령”제정 (
수도관리처,2015.
12)
-지반 액상화 조사 및 평가절차 기술지침 제시 (
기술안전처,2016.
12)
- 향후 정밀안전진단 발주용 내진분야 표준 과업지시서 정립,적용 (
각 지역본
부,2016)
-필요시 내진보강사업의 선제적 추진

- xii -
4. 주요추진성과

ㅇ 실용화 실적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정 시행 (
수도관리처,2014.
11)
ㅇ 기타 실적
-학술기고 2건
*지반 액상화의 최신 연구동향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2014.
04)
*SPT기반의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2014.
07)

5. 특별추진성과
ㅇ 개방형 연구활동을 위한 특별 기술세미나 1회
- 상수도시설 내진평가 및 보강 관련 개방형 연구활동 세미나 및 기술토론회
(
인천대 허종완,김동욱 교수,2014.
08.
)

- xiii -
5. 초록

본 연구과제의 최종목표는 지진재해대책법에 의거 기존 상수도시설(Testbed)에 대


한 시범적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도입가능한 내진 보강공법
을 구체적으로 조사·검증함으로서 지진시 중단없는 용수공급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성과 실용화를 통한 기술정립에 공헌하는 데에 있다.

1차년도(2014) 연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내구년수가 오래 된 울산공업용수도 시설


물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자체 개정 평가요령에 의거하여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관로 자체와 수로터널은 대체로 내진성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후 취수
탑과 일부 RC 토목 구조물의 내진성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진 시 대부분의 상수도 시설 피해사례들로부터 지반 액상화에 대한 중요


성이 부각되어, 기존의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여
Idriss and Boulanger (2008) 방법을 도입한 새로운 자체 액상화 평가 요령을 제시하
였다.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을 울산공업용수도에 적용한 결과, 대부분 안전하였으나
해안가 인근의 하천변 느슨한 사질토 지반에서 국부적으로 액상화가 예상되어 추후
광역적인 조사 및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상수도 시설에 대하여 내진성능이 부족한 경우, 거시적인 내진 보강 공법들


을 소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상수도 시설에 대한 내진성능평가 요령을 선도적으로 정립하


고, 적절한 평가와 보강을 통하여 지진시에도 중단없는 급수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
으로 판단된다.

- xiv -
SU M M A R Y

1. Project Title/Subtitle
A Study on the Seismic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einforcement Measures for
Water Supply Facilities (Ⅱ)

2. Research Period
2014. 01. 01 ~ 2014. 12. 31

3. Outline of Research
Recently, procedures to seismic evaluation was developed for water supply facilities.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line including guideline was made
for soil liquefaction, water supply pipelines, water supply tunnels, underground RC
structures, building structures, and intake towers.

A seismic guideline for soil liquefaction was added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recent major earthquake damages on water supply facilities was dominantly from the
consequences of liquefaction. Hence, a seismic evaluation procedure for soil liquefaction
was presented in a concise manner.

An important concept of PGV (Peak Ground Velocity) was introduced to account for
seismic safety of underground water supply structures. Preliminary seismic evaluation
guideline was simplified from previous four classification system to two classification
system for underground structures. Evaluation procedures were improved in a more
objective and intuitive manner.

For the detailed seismic guidelines for water supply tunnels and underground RC
structures, both the seismic displacement method and the time history dynamic analysis
were presented together. A guideline for building structures was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recently updated national seismic design procedure for building for compatibility.

This newly developed guideline, “The seismic evaluation guidelines for existing water
supply facilities” was necessary to be applied to the testbed water supply facilities. As a
testbed facilites, Ulsan industrial waterworks was chosen. For the site, seismic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einforcement measures for water supply facilities were
performed.

- xv -
4. Content,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Year Pur
pose Cont
ent
s

ㅇ Seismic
ㅇ Cas es t
udyabouts eismicall
yweakwat erworks
Vulnerabil
i
ty
fac i
li
ti
es
Ass essment
ㅇ Dev elopmentofli
quef acti
ont ri
gger inganal y
s i
s
and
s
t ㅇ Sel ec ti
onoftest
bedf ac i
lit
i
es,s eis
mi cev al
uati
on
1 y ear Reinforcement
(pipelines,watersupplyt unnels,i ntaketower ,RC
(2014) Meas ures
under groundstr
uct
ures ,s oi
lliquefac ti
on)
-bas i
c
ㅇ Dev elopmentofupgr adeds eismi cev al
uati
on
research
gui delinesforexi
sti
ngwat ers uppl yf aci
l
it
ies
focusedon
ㅇ Introduc i
nggenerals eismicr einforcementmeas ur
es
evaluati
on

ㅇ Extendedcas es t
udyabouts ei
smi c
all
yweak
ㅇ Sei smic waterwor ksf aci
li
ti
es
Vul nerabil
i
ty ㅇ Prooft esti
ngaboutl i
quef acti
onandmi t
igat
i
onof
As ses sment li
quefiables oil
s
nd
2 y ear and (geo-c entr
if
uget ests,cy cli
cs i
mpl es hear)
( 2015) Rei nforcement ㅇ Extendeds eismicev aluat ion
Meas ures (pi
pelines,wat ers uppl
yt unnels ,intaketower,RC
-f oc usedon under grounds tr
uc t
ures,s oilli
quef act
ion)
reinforcement ㅇ Dev elopmentofs ei
smicr einforcementmeas uresf
or
exist
ingwat ers upplyfaciliti
es

5. Research Resul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firstly to develop an improved guideline for seismic
evaluation of existing water supply facilities, and secondly to establish seismic
reinforcement measures to put into practice.

Through the first year of research in 2014, we have conducted the comprehensive
seismic evaluation for Ulsan industrial waterworks facilities including pipelines, water
supply tunnels, RC civil structures, intake tower, and liquefaction around embedded
pipelines. As a result, pipelines and water supply tunnels are believed to be safe for
safety evaluation earthquake (0.154g). However, an aging intake tower and a few RC
civil structures are expected to be damaged seismically. Most sites are not liquefiable,
but one specific test site near a river to the seashore is evaluated as potentially
liquefiable, based on the liquefaction triggering analysis introducing a new procedure,

- xvi -
Idriss and Boulanger (2008). More site investigation and geotechnical tests are necessary
to judge if liquefiable zone is widely distributed.

A general seismic reinforcement measures are addressed for possible decision-making


in case of seismic deficiency.

Henc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ensure seismic safety of existing water supply
structures and to build up leading evaluation techniques nationwide.

- xvii -
목 차

제출문 ·········································································································································· 1
요약문 ·········································································································································· 6
목 차 ······································································································································· 18

제 1 장.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배경 ····························································································································· 1
1.3 연구개발 내용 ····················································································································· 6
1.4 추진전략 및 방법 ··············································································································· 7
1.5 기대효과 ······························································································································· 8

제 2 장. 상수도시설 내진 문헌연구 ······································································01


2.1 개요 ····································································································································· 10
2.2 일본수도협회(2009) 수도시설 내진공법 지침·해설 ··················································· 11
2.3 미국 MCEER Monograph (2012) ·················································································· 17
2.4 미국 ALA 가이드라인(2005) ·························································································· 21
2.4.1 내진 평가방법 ············································································································ 22
2.4.2 내진 평가방법에 대한 Flow Chart ········································································· 23

제 3 장. 지반 액상화 상세평가 기법 개발 ··························································52


3.1 개요 ····································································································································· 25
3.2 지반 액상화 최신 연구동향 ··························································································· 26
3.2.1 동향조사 개론 ············································································································ 26
3.2.2 액상화 후 사면안정성과 변형 ················································································ 27
3.2.3 간극 재배열(Void Redistribution) 효과 ··································································· 30
3.2.4 중간토 및 점성토의 동적 거동 ·············································································· 33
3.2.5 결언 ······························································································································ 38
3.3 SPT 기반의 지반 액상화 평가 절차 ············································································ 38
3.3.1 기본방향 ······················································································································ 38
3.3.2 지반 액상화 예비평가 ······························································································ 39
3.3.3 CSR과 CRR ················································································································· 39
3.3.4 SPT 기반의 액상화 유발 평가 ··············································································· 43
3.3.5 액상화로 인한 측방유동 변위 및 액상화 후 재압밀 침하 ······························ 53
3.3.6 SPT 기반의 액상화 평가 사례 ··············································································· 57
3.4 결론 ····································································································································· 60

- xviii -
제 4 장. Testbed 시설 내진성능평가 개요 ···························································· 16
4.1 Testbed 시설 개요 ············································································································ 61
4.1.1 관로시설 ······················································································································ 62
4.1.2 토목구조물 온산정수장 ···························································································· 64
4.1.3 수로터널 ······················································································································ 64
4.1.4 댐 ·································································································································· 66
4.2 내진성능평가 대상 시설물 선정 ··················································································· 67
4.3 평가 지진력 및 지반운동 산정 ····················································································· 68
4.3.1 지반운동수준 결정 ···································································································· 68
4.3.2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 68
4.3.3 인공지진파 생성조건 ································································································ 69
4.3.4 시간이력곡선 작성 ···································································································· 69
4.3.5 인공지진파 적합성 검토 ·························································································· 71

제 5 장. Testbed 지반 액상화 평가 ········································································ 73


5.1 개요 ····································································································································· 73
5.2 액상화 평가방법 ··············································································································· 74
5.3 액상화 평가 대상 선정 ··································································································· 75
5.4 기존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 76
5.4.1 액상화 평가 지역지층 현황 ···················································································· 76
5.4.2 액상화 예비 평가 ···································································································· 79
5.4.3 설계정수 ······················································································································ 80
5.4.4 지반응답해석 ·············································································································· 82
5.4.5 Seed and ldriss(1971) 액상화 간이 평가 ······························································· 85
5.4.6 반복삼축시험에 의한 액상화 상세평가 ································································ 91
5.4.7 ldriss and Boulanger (2008) 액상화 본 평가 ························································ 92
5.4.8 기존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결과 ·············································· 98
5.5 추가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 99
5.5.1 지반조사 ···················································································································· 100
5.5.2 액상화 예바평가 ······································································································ 107
5.5.3 지반응답해석 ············································································································ 108
5.5.4 Seed and Idriss(1971) 액상화 간이 평가 ····························································· 110
5.5.5 Seed and Idriss(1971) 액상화 상세 평가 ····························································· 110
5.5.6 Idriss and Boulanger(2008) 액상화 평가 ······························································ 111
5.5.7 액상화 평가 방법 비교 ·························································································· 113
5.5.8 액상화 후 재압밀 침하량 산정 ············································································ 114
5.6 보강공법 ··························································································································· 115

- xix -
제 6 장. Testbed 매설관로 내진평가 ···································································· 118
6.1 서론 ··································································································································· 118
6.1.1 개요 ···························································································································· 118
6.1.2 매설관로 현황 ·········································································································· 118
6.2 내진성능 평가 대상 선정 ····························································································· 121
6.3 내진성능 예비평가 ········································································································· 122
6.4 내진성능 상세평가 ········································································································· 122
6.4.1 분절관 ························································································································ 123
6.4.2 연속관 ························································································································ 125
6.5 Chart 평가법에 의한 내진성능 평가 ·········································································· 132
6.5.1 Chart 평가 방법 ······································································································· 132
6.5.2 Chart 평가법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 133
6.6 보강대책 ··························································································································· 134
6.6.1 일반사항 ···················································································································· 134
6.6.2 상수도관로의 내진성능 향상방법 ········································································ 134

제 7 장. Testbed 수로터널 내진평가 ···································································· 136


7.1 개요 ··································································································································· 136
7.2 시설물 현황 ····················································································································· 137
7.3 내진성능 평가 대상 선정 ····························································································· 138
7.4 예비평가 ··························································································································· 139
7.4.1 대상지역 설계지반 운동수준 ················································································ 139
7.4.2 내진성능 예비평가 ·································································································· 140
7.5 상세평가 ··························································································································· 141
7.5.1 설계조건 ···················································································································· 141
7.5.2 응답변위법 ················································································································ 142
7.5.3 동적해석법 ················································································································ 148
7.5.4 응답변위법 및 동적해석법 결과 비교 ································································ 152
7.6 보강대책 ··························································································································· 153
7.6.1 쉴드(shield) 공법 ······································································································ 153
7.6.2 굴착식 공법 ·············································································································· 155

제 8 장. Testbed RC토목구조물 내진평가 ·························································· 156


8.1 현황 ··································································································································· 156
8.1.1 온산정수장 현황 ······································································································ 156
8.1.2 온산정수장 시설물 현황 ························································································ 156
8.2 평가 대상 선정 ··············································································································· 157
8.3 상세평가 ··························································································································· 158

- xx -
8.3.1 응답변위법 ················································································································ 158
8.3.2 등가정적해석법 ········································································································ 185
8.3.3 동적해석법 ················································································································ 202
8.4 해석결과 요약 ················································································································· 215
8.5 보강공법 및 공사비 산정 ····························································································· 216
8.5.1 시설물의 내진 성능 향상방법 ·············································································· 216
8.5.2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방법 ················································································ 217
8.5.3 공사비 산정 ·············································································································· 222

제 9 장. Testbed 취수탑 내진평가 ········································································ 223


9.1 현황 ··································································································································· 223
9.2 적용 설계정수 산정 ······································································································· 224
9.2.1 지반 조건 ·················································································································· 224
9.2.2 사용 재료 ·················································································································· 224
9.3 상세평가 ··························································································································· 225
9.3.1 해석 단면 ·················································································································· 225
9.3.2 등가정적 해석 ·········································································································· 225
9.3.3 시간이력 동적해석 ·································································································· 237
9.3.4 결론 ···························································································································· 241
9.4 보강공법 및 공사비 산정 ····························································································· 242
9.4.1 시설물의 내진 성능 향상방법 ·············································································· 242
9.4.2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방법 ················································································ 243
9.4.3 공사비 산정 ·············································································································· 243

제 10 장. 결론 ·········································································································· 244
10.1 종합 결론 ······················································································································· 244
10.2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 연구 요약 ············································································· 244
10.3 Testbed 시설(울산공업용수도) 내진성능평가 요약 ················································ 245
10.3.1 평가 지반운동 ········································································································ 245
10.3.2 액상화 평가 ············································································································ 246
10.3.3 매설관로 내진성능 평가 ······················································································ 247
10.3.4 수로터널 내진평가 ································································································ 249
10.3.5 지중RC구조물 내진평가 ······················································································· 249
10.3.6 취수탑 내진평가 ···································································································· 250
10.3.7 평가 소결 ················································································································ 251

REFERENCES ························································································································· 252

- xxi -
표 목 차

Table 1-1. 주요 영향력있는 해외 연구기관 연구사례 ····················································· 3


Table 1-2. 국내 주요 연구개발 실적 ····················································································· 4
Table 1-3. 지진재해대책법 상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의무(법 3조 및 시행령 2조) 및
R&D 수요분석 ··························································································································· 5
Table 1-4. 연차별 연구 수행 목표 및 내용 ········································································· 6
Table 1-5. 개정「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안의 차이점 ··························· 8

Table 2-1. 일본 효고현 남부지진 (1995) 후의 대규모 지진 시 피해 규모 ·············· 13


Table 2-2. 일본의 지진으로 인한 법령 및 지침 제개정 현황 ······································· 14
Table 2-3. 일본의 기존 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참고자료 ············································· 16
Table 2-4. 유연한 이음의 변형 성능 ··················································································· 19

Table 3-1. 액상화 평가를 위한 SPT 절차의 추천 특징들 (Seed et al. 1985). ············ 47
Table 3-2. SPT N치 표준화를 위한 보정계수들 (Idriss and Boulanger 2008) ············· 48
Table 3-3. SPT 기반 액상화 유발 평가 ·············································································· 57
Table 3-4. 액상화 유발 안전율 평가 예제 ········································································· 58
Table 3-5. 액상화로 인한 측방유동 변위 및 재압밀 침하량 산정 예제 ····················· 58

Table 4-1. 관로시설 현황 ······································································································· 62


Table 4-2. 토목구조물 현황(온산정수장) ············································································ 64
Table 4-3. 원동(기존)취수장~대암댐 계통 수로터널 현황 ············································ 64
Table 4-4. 대암댐~선암댐 계통 수로터널 현황 ······························································· 65
Table 4-5. 원동(확장)취수장~온산가압장 계통 수로터널 현황 ···································· 65
Table 4-6. 대암댐 현황 ··········································································································· 66
Table 4-7. 내진성능평가 시설물 선정 ················································································· 67
Table 4-8. 지반운동수준 ········································································································· 68
Table 4-9. 인공지진파 생성 조건 ························································································· 69
Table 4-10.설계응답스펙트럼과의 오차범위 산정 결과 ··················································· 71
Table 4-11. 인공지진파의 응답스펙트럼 계산 주기 간격 검토 결과 ··························· 71
Table 4-12. 강진구간 지속시간 검토 결과 ········································································· 72
Table 4-13. 독립성 검토 결과 ······························································································· 72

Table 5-1. 액상화 평가 대상지역 선정 ··············································································· 75

- xxii -
Table 5-2. 미포신설계통 1지역 지층현황(BH-17) ····························································· 77
Table 5-3. 미포신설계통 2지역 지층현황(BH-3) ······························································· 77
Table 5-4. 대암댐~선암댐 지층현황(BB-84) ····································································· 77
Table 5-5. 미포기존계통 지층현황(BH-55) ········································································· 78
Table 5-6. 사염댐~선암댐 지층현황(BB-104) ··································································· 78
Table 5-7. 온산정수장 지층현황(UB-2) ··············································································· 79
Table 5-8. 실내토질시험 결과 ······························································································· 79
Table 5-9. 기존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예비평가 결과 ··················································· 80
Table 5-10. 표준관입시험치(N)와 전단파속도(Vs) 경험적 추정식 (일본지반공학회,
1998) ··········································································································································· 81
Table 5-11. 입력설계정수 ······································································································· 81
Table 5-12. 미포신설계통 1 지역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 82
Table 5-13. 미포신설계통 2지역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 83
Table 5-14. 미포기존계통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 83
Table 5-15. 대암댐~선암댐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 84
Table 5-16. 사연댐~선암댐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 84
Table 5-17. 사연댐~선암댐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 85
Table 5-18. 미포신설계통 1지역 액상화 평가 결과 ························································· 86
Table 5-19. 미포신설계통 1지역 응력비 및 액상화 안전율 ··········································· 86
Table 5-20. 미포신설계통 2지역 액상화 평가 결과 ························································· 87
Table 5-21. 미포신설계통 2지역 응력비 및 액상화 안전율 ··········································· 87
Table 5-22. 미포기존계통 액상화 평가 결과 ····································································· 88
Table 5-23. 미포기존계통 응력비 및 액상화 안전율 ······················································· 88
Table 5-24. 대암댐~선암댐계통 액상화 평가 결과 ························································· 89
Table 5-25. 대암댐~선암댐계통 응력비 및 액상화 안전율 ··········································· 89
Table 5-26. 사연댐~선암댐 액상화 평가 결과 ································································· 90
Table 5-27. 사연댐~선암댐계통 응력비 및 액상화 안전율 ··········································· 90
Table 5-28. Seed and Idriss 액상화 간이평가법 평가결과 ·············································· 91
Table 5-29. Idriss & Boulanger(2008) 액상화 평가시 입력변수 ····································· 92
Table 5-30. 미포신설계통 1지역 Idriss & Boulanger(2008) 액상화 본 평가 결과 ····· 93
Table 5-31. Seed & Idriss 간이평가와 Idriss & Boulanger(2008)방법의 액상화 안전율
비교 ············································································································································ 93
Table 5-32. 미포신설계통 2지역 액상화 평가 결과 ························································· 94
Table 5-33. Seed & Idriss 간이평가와 Idriss & Boulanger(2008)방법의 액상화 안전율
비교 ············································································································································ 94
Table 5-34. 미포기존계통 액상화 평가 결과 ····································································· 95
Table 5-35. Seed & Idriss 간이평가와 Idriss & Boulanger(2008)방법의 액상화 안전율
비교 ············································································································································ 95

- xxiii -
Table 5-36. 대암댐~선암댐 액상화 평가 결과 ································································· 96
Table 5-37. Seed & Idriss 간이평가와 Idriss & Boulanger(2008)방법의 액상화 안전율
비교 ············································································································································ 96
Table 5-38. 사연댐~선암댐 액상화 평가 결과 ································································· 97
Table 5-39. Seed & Idriss 간이평가와 Idriss & Boulanger(2008)방법의 액상화 안전율
비교 ············································································································································ 97
Table 5-40. 기존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결과 ······································· 99
Table 5-41. 조사항목 ············································································································· 100
Table 5-42. 시추조사 결과 ··································································································· 101
Table 5-43. 표준관입시험 결과 ··························································································· 103
Table 5-44. 지하수위 측정 결과 ························································································· 103
Table 5-45. 하향식 탄성파 탐사 시험현황 ······································································· 103
Table 5-46. 지층별 검층결과 ······························································································· 104
Table 5-47. P파 및 S파 속도 - 탄성계수 상관관계 ······················································· 104
Table 5-48. 주시곡선, 심도별 탄성파속도 분포 및 동적물성치 분포 ························ 105
Table 5-49. 전단파속도와 지반분류 ··················································································· 105
Table 5-50. 지진규모별 등가진동재하회수 (Seed et al, 1986) ····································· 106
Table 5-51. 반복삼축시험 결과 ··························································································· 106
Table 5-52. 입도시험 결과 ··································································································· 107
Table 5-53. 토층별 적용 동적곡선 ····················································································· 108
Table 5-54. CASE별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 108
Table 5-55. Proshake Input Data ·························································································· 109
Table 5-56.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 109
Table 5-57. 심도별 액상화 안전율 ····················································································· 110
Table 5-58. 심도별 액상화 안전율 ····················································································· 110
Table 5-59. 지표면 최대 가속도 ························································································· 112
Table 5-60. 심도별 액상화 안전율 ····················································································· 113
Table 5-61. 추가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결과 ······································· 114
Table 5-62. 액상화 후 재압밀 침하량 ··············································································· 115
Table 5-63. 액상화 보강대책 방법 ····················································································· 116

Table 6-1. 매설관로 현황 ····································································································· 119


Table 6-1. 매설관로 현황(계속) ·························································································· 120
Table 6-2. 매설관로 내진성능 평가 대상지역 ································································· 121
Table 6-3. 내진 그룹화 및 예비평가 결과 ······································································· 122
Table 6-4. 관체응력에 의한 내진안전성 ··········································································· 123
Table 6-5. 이음부의 신축량에 의한 내진안전성 ····························································· 124
Table 6-6. 관체응력에 의한 내진안전성 ··········································································· 124

- xxiv -
Table 6-7. 이음부의 신축량에 의한 내진안전성 ····························································· 124
Table 6-8. 기능수행 수준 결과 ··························································································· 125
Table 6-9. 붕괴방지 수준 결과 ··························································································· 126
Table 6-10. 기능수행 수준 결과 ························································································· 126
Table 6-11. 붕괴방지 수준 결과 ························································································· 126
Table 6-12. 기능수행 수준 결과 ························································································· 127
Table 6-13. 붕괴방지 수준 결과 ························································································· 127
Table 6-14. 기능수행 수준 결과 ························································································· 128
Table 6-15. 붕괴방지 수준 결과 ························································································· 128
Table 6-16. 기능수행 수준 결과 ························································································· 129
Table 6-17. 붕괴방지 수준 결과 ························································································· 129
Table 6-18. 기능수행 수준 결과 ························································································· 130
Table 6-19. 붕괴방지 수준 결과 ························································································· 130
Table 6-20. 기능수행 수준 결과 ························································································· 131
Table 6-21. 붕괴방지 수준 결과 ························································································· 131
Table 6-22. 관종별 보강방법 ······························································································· 133
Table 6-23. 지반응답해석 결과 ··························································································· 133
Table 6-24. 각 구간별 보강방법 ························································································· 134

Table 7-1. 원동(기존)취수장∼대암댐 계통 수로터널 현황 ·········································· 137


Table 7-2. 대암댐∼선암댐 계통 수로터널 현황 ····························································· 137
Table 7-3. 원동(확장)취수장∼온산가압장 계통 수로터널 현황 ·································· 137
Table 7-4. 수로터널 내진성능 평가 대상 선정 ······························································· 138
Table 7-5. 기존 지반조사 적용위치 ··················································································· 138
Table 7-6. 재현주기에 따른 성능 수준 ············································································· 139
Table 7-7. 지진구역의 구분(소방방재청, 2013) ······························································· 139
Table 7-8. 위험도계수(소방방재청, 2013) ········································································· 139
Table 7-9. 예비평가 결과 ····································································································· 140
Table 7-10.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울산공업용수도 제3회 정밀안전진단종합보고서,
K-water 2010) ························································································································ 141
Table 7-11. 제1구간[원동(기존)취수장∼대암댐] 1터널 제원 ······································· 142
Table 7-12. 전단변형율 및 지반변위 ················································································· 142
Table 7-13. 해석결과 ············································································································· 143
Table 7-14. 부재력 검토 결과 ····························································································· 143
Table 7-15. 제2구간 [대암댐∼선암댐] 2터널 제원 ························································ 144
Table 7-16. 전단변형율 및 지반변위 ················································································· 144
Table 7-17. 부재력 검토 ······································································································· 145
Table 7-18. 부재력 검토 결과 ····························································································· 145

- xxv -
Table 7-19. 제3구간 [원동(확장)취수장∼온산가압장] 1터널 제원 ····························· 146
Table 7-20. 전단변형율 및 지반변위 ················································································· 146
Table 7-21. 부재력 검토 ······································································································· 146
Table 7-22. 부재력 검토 결과 ····························································································· 147
Table 7-23. 응답변위법 검토 결과 ····················································································· 147
Table 7-24. 풍화토의 전단변형률에 따른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 곡선 ················· 149
Table 7-25. 풍화암의 전단변형률에 따른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 곡선 ················· 150
Table 7-26. 연암의 전단변형률에 따른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 곡선 ····················· 150
Table 7-27. 부재력 검토 결과 ····························································································· 151
Table 7-28. 부재력 검토 결과 ····························································································· 151
Table 7-29. 부재력 검토 결과 ····························································································· 152
Table 7-30. 응답변위법과 시간이력 동적해석 결과 ······················································· 153

Table 8-1. 온산정수장 현황 ································································································· 156


Table 8-2. 온산정수장 시설물 현황 ··················································································· 156
Table 8-3. 온산정수장 내진성능평가 대상 선정 ····························································· 157
Table 8-4.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 158
Table 8-5. 심도별 변위 및 동적설계정수 ········································································· 159
Table 8-6. 지진시 지반변위 ································································································· 165
Table 8-7. 하중조합 ··············································································································· 169
Table 8-8. 응답변위법 해석결과 ························································································· 169
Table 8-9. 조정조 Frame 해석 내진성능평가 ·································································· 170
Table 8-10.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 171
Table 8-11. 심도별 변위 및 동적설계정수 ······································································· 172
Table 8-12. 지진시 지반변위 ······························································································· 177
Table 8-13. 하중조합 ············································································································· 182
Table 8-14. 응답변위법 해석결과 ······················································································· 182
Table 8-15. 배수지 적용 철근량 ························································································· 183
Table 8-16. 배수지 Frame 해석 내진성능평가 ································································ 184
Table 8-17. 하중조합 ············································································································· 191
Table 8-18. 등가정적해석법 해석결과 ··············································································· 192
Table 8-19. 응집지 적용 철근량 ························································································· 193
Table 8-20. 응집지 Frame 해석 내진성능평가 ································································ 193
Table 8-21. 하중조합 ············································································································· 200
Table 8-22. 등가정적해석법 해석결과 ··············································································· 200
Table 8-23. 침전지 적용 철근량 ························································································· 201
Table 8-24. 침전지 Frame 해석 내진성능평가 ································································ 201
Table 8-25.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 203

- xxvi -
Table 8-26. 조정조 시간이력해석 내진성능평가 ····························································· 204
Table 8-27. 조정조 모델링 ··································································································· 204
Table 8-28. 조정조 시간이력해석 결과 ············································································· 205
Table 8-29. 조정조 부재력도 ······························································································· 206
Table 8-30. 조정조 시간이력해석 내진성능평가 ····························································· 207
Table 8-31.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 208
Table 8-32. 배수지 시간이력해석 내진성능평가 ····························································· 209
Table 8-33.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 210
Table 8-34. 응집지 시간이력해석 내진성능평가 ····························································· 211
Table 8-35.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 213
Table 8-36. 침전지 시간이력해석 내진성능평가 ····························································· 214
Table 8-37. 구조물별 해석방법 및 해석결과 ··································································· 215
Table 8-38. 상부슬라브 보강공법 ······················································································· 217
Table 8-39. 하부슬라브 보강공법 ······················································································· 221
Table 8-40. 벽체(기둥) 보강공법 ························································································ 221
Table 8-41. 지중RC구조물 보강 공법 비교 ····································································· 222

Table 9-1. 설계에 적용된 지진계수 ··················································································· 226


Table 9-2. 구조물 높이에 따라 분배된 수평지진력(Fx) ················································ 228
Table 9-3. 수심방향의 동수압력 분포 ··············································································· 229
Table 9-4. 수평 전단력에 의한 단면력 ············································································· 233
Table 9-5. 내부 동수압에 의한 단면력 ············································································· 233
Table 9-6. 외부 동수압에 의한 단면력 ············································································· 233
Table 9-7. 지진에 의한 총 설계단면력 ············································································· 234
Table 9-8. 단면의 저항능력 검토 ······················································································· 236
Table 9-9. 붕괴방지수준 지진에 대한 저항능력비 검토 ··············································· 236
Table 9-10. 기능수행수준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층 변위 검토 ································· 237
Table 9-11. 붕괴방지수준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층 변위 검토 ································· 237
Table 9-12. 구조물의 고유주기 ··························································································· 239
Table 9-13. 시간이력 동적해석에 의한 총 설계단면력 ················································· 240
Table 9-14. 붕괴방지수준 지진에 대한 저항능력비 검토 ············································· 241
Table 9-15. 붕괴방지수준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층 변위 검토 ································· 241
Table 9-16. 취수탑 보강공법 공사비 산정 ······································································· 243

Table 10-1. 기존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결과 ····································· 246


Table 10-2. 추가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결과 ······································· 246
Table 10-3. 관체응력에 의한 내진안전성 ········································································· 247
Table 10-4. 이음부의 신축량에 의한 내진안정성 ··························································· 247

- xxvii -
Table 10-5. 붕괴방지수준 검토결과 ··················································································· 248
Table 10-6. 수로터널 내진성능 상세평가 결과 ······························································· 249
Table 10-7. 지중RC 구조물별 내진성능 평가결과 ························································· 250
Table 10-8. 붕괴방지수준에 대한 시간이력 동적해석 결과(저항능력비) ·················· 250

- xxviii -
그 림 목 차

Fig. 1-1. 뉴질랜드 Christchurch 지진(’10 - ’11) 시 관로보수 현황 (O'Rourke et al.


2012) ············································································································································· 2

Fig. 2-1. 지진파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할 때 다양한 파에 따른 입자 운동


(O’Rourke and Liu 2012) ········································································································ 19
Fig. 2-2. 지진파의 전파에 의한 보수 비율과 최대 입자 속도 (O’Rourke and Liu
2012) ··········································································································································· 20
Fig. 2-3. ALA 파의 전파에 의한 취약도 관계 (O’Rourke and Liu 2012) ··················· 20
Fig. 2-4. ALA 영구 지반 변형 취약도 곡선 (O’Rourke and Liu 2012) ······················· 21
Fig. 2-5. Chart Method 적용 절차 ························································································ 23
Fig. 2-6. Equivalent Static Method 적용 절차 ····································································· 24
Fig. 2-7. Finite Element Method 적용 절차 ········································································ 24

Fig. 3-1. 변형율 연화 거동 지반재료의 정적 전단응력과 잔류강도 ··························· 27


Fig. 3-2. 비배수 전단 시험에서 한계상태 이론에 기초한 흐름 파괴와 측방유동 메커
니즘 ············································································································································ 28
Fig. 3-3. 다양한 학자들에 의한 Sr 과 N1,60 사이의 관계 ············································· 29
Fig. 3-4. 잔류강도와 관입 저항력과의 관계 (Olson and Johnson 2008) ······················ 29
Fig. 3-5. 지진동 작용 시 조밀한 모래의 간극 재배열에 의한 변형율 집중화 파괴 메
커니즘 ········································································································································ 30
Fig. 3-6. 원심모형실험에서 얇은 수막 형성에 따른 지진동 후 지연된 변형율 집중화
및 전단파괴 거동(Malvick et al. 2008) ··············································································· 31
Fig. 3-7. 잔류 전단강도비와 관입저항력과의 관계 곡선(Idriss and Boulanger 2008) 32
Fig. 3-8. 비배수 반복하중 시험에서 Cloverdale 점토에 대한 응력-변형율 거동과 유
효응력 경로 (Zergoun and Vaid 1994) ················································································ 34
Fig. 3-9. 유사모래에서 유사점토까지의 거동을 보여주는 도표와 거동변화에 있어
실무 추천 가이드라인 (Idriss and Boulanger 2008) ·························································· 37
Fig. 3-10. 15회의 비배수 사이클 횟수에서 ru = 100%에 필요한 반복 전단응력(CSR)
의 추정 ···································································································································· 40
Fig. 3-11. 유효 압밀응력과 CRR과의 관계 곡선 예시 ··················································· 41
Fig. 3-12. 깊이와 지진 규모에 따른 응력 감소계수(rd)의 변화 (Idriss 1999). ············ 44
Fig. 3-13. 지진 규모 M과 거리, 단층 유형이 주어진 경우 감쇠 관계로부터 구하는

- xxix -
도표 (Abrahamson and Silva 1997) ····················································································· 45
Fig. 3-14. 다양한 학자에 의한 PEER-NGA 스펙트럼
(http://peer.berkeley.edu/peer_ground_motion_database/site) ·················································· 46
Fig. 3-15. 상재응력 보정 정규화 계수 (Idriss and Boulanger 2008) ····························· 49
Fig. 3-16. 세립분에 대한 Δ(N1)60 ······················································································ 50
Fig. 3-17. 다양한 학자들에 의한 Magnitude scaling factor ············································· 50
Fig. 3-18. Kσ 관계곡선 ·········································································································· 51
Fig. 3-19. 유효 상재응력 1기압 및 4기압에서 관입저항력 별 Kα의 변화 ················ 52
Fig. 3-20. M = 7½ and σ’vo = 1 atm (≈ 1 tsf)인 경우 깨끗한 모래에 대한 CRR과
(N1)60 관계곡선. 두꺼운 선이 CRRM=7.5,σ’vc=1atm에 대한 경계선임 ···························· 52
Fig. 3-21. M=7½ and σvc' = 1 atm인 깨끗한 모래에 대한 SPT 기반의 액상화 상관
관계와 예상되는 전단 변형율(Idriss and Boulanger 2008) ·············································· 54
Fig. 3-22. 깨끗한 모래에 대한 비배수 반복하중 시험 시 최대 전단 변형율과 액상화
후 체적 변형율과의 관계 (Ishihara and Yoshimine 1992) ··············································· 55
Fig. 3-23. 서로 다른 상대밀도 별 깨끗한 모래에 대한 액상화 유발 안전율과 액상화
후 체적 변형율과의 관계 (Ishihara and Yoshimine 1992) ··············································· 56
Fig. 3-24. M=7½ and σvc' = 1 atm의 깨끗한 모래에 대한 SPT 기반의 액상화 상관
관계와 재압밀 시 체적 변형율의 변화(Idriss and Boulanger 2008) ······························ 56
Fig. 3-25. 예제 액상화 평가 사례. (a) 측정 N치 및 보정 N치, (b) CSR 및 CRR, (c)
액상화 안전율, (d) 전단 변형율 분포, (e) 재압밀 변형율 분포, (f) PGA에 따른 LDI
민감도 분석 ······························································································································ 59

Fig. 4-1.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 68


Fig. 4-2. 인공지진파 A의 시간이력곡선 ············································································· 69
Fig. 4-3. 인공지진파 B의 시간이력곡선 ············································································· 70
Fig. 4-4. 인공지진파 C의 시간이력곡선 ············································································· 70

Fig. 5-1. 액상화 평가흐름도(한국시설안전공단, 2004) ···················································· 74


Fig. 5-2. 액상화 평가 대상 위치도 ····················································································· 76
Fig. 5-3. 시추조사 위치 ······································································································· 100
Fig. 5-4. 미포신설계통 1지역 명촌대교 인근 시추 주상도(BH-1) ······························ 102
Fig. 5-5. GL.(-)5.5~6.5m 시료의 입도분포에 따른 액상화 평가 ································ 107
Fig. 5-6. 지진 규모 M과 거리, 단층 유형이 주어진 경우 감쇠 관계로부터 구하는
도표 (Abrahamson and Silva 1997) ····················································································· 111
Fig. 5-7. 다양한 학자에 의한 PEER-NGA 스펙트럼 ······················································ 112

Fig. 7-1. 수로터널 내진성능 평가 절차 ··········································································· 136


Fig. 7-2. 내진그룹화 방법 ··································································································· 140

- xxx -
Fig. 7-3. 씰재의 이미지 그림 ····························································································· 154
Fig. 7-4. 록볼트 및 숏크리트 설치 ··················································································· 155
Fig. 7-5. ○○터널의 내진보강 사례(일본) ······································································· 155

Fig. 8-1. 전단변형율 및 지반변위 ····················································································· 159


Fig. 8-2. 조정조 평면 및 단면도 ······················································································· 160
Fig. 8-3. 고정하중 ················································································································· 162
Fig. 8-4. 연직토압 지하수 미고려시 ················································································· 162
Fig. 8-5. 연직토압 지하수 고려시 ····················································································· 162
Fig. 8-6. 활하중 ····················································································································· 163
Fig. 8-7. 횡토압 ····················································································································· 163
Fig. 8-8. 지하수압 ················································································································· 164
Fig. 8-9. 관성력 ····················································································································· 164
Fig. 8-10. 단위 횡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 ······························································· 165
Fig. 8-11. 지반변위에 의한 토압 증분치 ········································································· 166
Fig. 8-12. 주면 전단력 ········································································································· 167
Fig. 8-13. 동수압 ··················································································································· 167
Fig. 8-14. 해석모델 ··············································································································· 168
Fig. 8-15. 배수지 평면 및 단면도 ····················································································· 173
Fig. 8-16. 고정하중 ··············································································································· 175
Fig. 8-17. 연직토압 지하수 미고려시 ··············································································· 175
Fig. 8-18. 활하중 ··················································································································· 175
Fig. 8-19. 횡토압 ··················································································································· 176
Fig. 8-20. 지하수압 ··············································································································· 176
Fig. 8-21. 관성력 ··················································································································· 177
Fig. 8-22. 단위 횡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 ······························································· 177
Fig. 8-23. 지반변위에 의한 토압 증분치 ········································································· 178
Fig. 8-24. 주면전단력 ··········································································································· 180
Fig. 8-25. 동수압 ··················································································································· 180
Fig. 8-26. 해석모델 ··············································································································· 180
Fig. 8-27. 응집 및 침전지 평면도 ····················································································· 185
Fig. 8-28. 응집지 단면도 ····································································································· 186
Fig. 8-29. 고정하중 ··············································································································· 187
Fig. 8-30. 연직토압 지하수 미고려시 ··············································································· 187
Fig. 8-31. 활하중 ··················································································································· 188
Fig. 8-32. 횡토압 ··················································································································· 188
Fig. 8-33. 관성력 ··················································································································· 188
Fig. 8-34. 지진시 지반의 동토압 ······················································································· 189

- xxxi -
Fig. 8-35. 동수압 ··················································································································· 189
Fig. 8-36. 해석모델 ··············································································································· 190
Fig. 8-37. 응집 및 침전지 평면도 ····················································································· 194
Fig. 8-38. 침전지 단면도 ····································································································· 195
Fig. 8-39. 고정하중 ··············································································································· 196
Fig. 8-40. 연직토압 지하수 미고려시 ··············································································· 196
Fig. 8-41. 활하중 ··················································································································· 197
Fig. 8-42. 횡토압 ··················································································································· 197
Fig. 8-43. 관성력 ··················································································································· 197
Fig. 8-44. 지진시 지반의 동토압 ······················································································· 198
Fig. 8-45. 동수압 ··················································································································· 198
Fig. 8-46. 해석모델 ··············································································································· 198
Fig. 8-47. 조정조 모델링 단면 ··························································································· 203
Fig. 8-48. 배수지 모델링 단면 ··························································································· 208
Fig. 8-49. 응집지 모델링 단면 ··························································································· 211
Fig. 8-50. 침전지 모델링 단면 ··························································································· 213
Fig. 8-51. 내진성능 향상절차 ····························································································· 216
Fig. 8-52. 슬라브 하부 보강 개요도 ················································································· 218
Fig. 8-53. 강판접착공법(주입법) ························································································· 218
Fig. 8-54. 강판접착공법(압착법) ························································································· 219
Fig. 8-55. 기존 구조물의 증설 예 ····················································································· 219
Fig. 8-56. 보강개요도 ··········································································································· 220

Fig. 9-1. 취수탑 평면 및 종단도 ······················································································· 223


Fig. 9-2. 취수탑 일반구조도 ······························································································· 225
Fig. 9-3. 취수탑 FRAME MODEL ····················································································· 230
Fig. 9-4. 수평관성력 작용시 단면력도 ············································································· 231
Fig. 9-5. 내부동수압 작용시 단면력도 ············································································· 231
Fig. 9-6. 외부동수압 작용시 단면력도 ············································································· 232
Fig. 9-7. 지진시 변위도 ······································································································· 232
Fig. 9-8. 수심방향의 유체의 부가질량 ············································································· 238
Fig. 9-9. 취수탑 3D MODEL ······························································································ 238
Fig. 9-10. 시간이력 동적해석 단면력도 ··········································································· 239
Fig. 9-11. 지진시 변위도 ····································································································· 240
Fig. 9-12. 내진성능 향상절차 ····························································································· 242

- xxxii -
제 1 장 . 서론

1.1 연구 목적

본 상수도 시설 내진 취약성 평가 및 보강대책 연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지진재


해대책법에 의거 기존 상수도시설(Testbed)에 대한 시범적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
가 기법을 개발하고, 도입가능한 내진 보강공법을 구체적으로 조사·검증함으로서 지
진시 중단없는 용수공급체계 구축에 기여하는 데에 있다.

2014년도는 전체 2차년 연구 중 1차년도에 해당하며, 주요 목표는 최근 수립한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을 Testbed 부지(울산공업용수도)에 선도적으로 적용
하여 내진 취약성을 평가하고, 평가요령을 보다 올바른 방향으로 개정 정립하는 데
에 있다. 1차년도는 내진보강 분야를 거시적으로 다루며, 2차년도에 내진보강 요령
을 상세히 정립할 예정이다.

1.2 연구 배경

상수도시설물에 대한 종합적인 내진 취약성 조사 및 평가, 보강대책의 수립은 거


시적인 틀에서 지진재해대책법에 의거, 재난관리책임기관의 법적인 책무로 명시되
어 있다. 참고로 지진재해대책법은 2009.03.25. 최초 제정되었고, 여러차례 개정을
통해 현재 2014.11.19.에 공포된 내용이 시행 중이다.

기존 상수도시설의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대책 수립(법 3조,16조 및 령 2조, 11조)


은 기존 시설의 내진성능평가와 함께 내진보강대책의 수립과 내진보강 추진에 대한
의무를 명시하고 있으나, 국내 전문가 부족과 실효적인 기술이행에서 걸음마 수준
에 불과하여 적극적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동법 22조에는 지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지진재해 저감을 위한 연구와 기술개발의 의무도 명시하고 있다.

현재 우리 공사의 수도 사업은 용수공급체계 개선을 위해 복선화와 개대체, 갱생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나, 지진의 위험은 피해 발생시 그 규모가 광역적이고, 동시다
발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기존 사업여부와 관계없이 용수공급 중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크다 하겠다.

미국과 일본 등 급수체계에 대한 내진설계가 가장 잘 적용되어 있는 국가에서도


지진 피해사례를 통해 용수공급 중단에 대한 산업시설과 생활용수 공급에 마비를

- 1 -
유발한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상수도 관로 피해를 유발한 주요 지진은 다
음과 같다.

* 1989 캘리포니아 Loma Prieta 지진 (M6.9)

* 1994 캘리포니아 Northridge 지진 (M6.7)

* 1995 일본 Kobe 지진 (M6.8)

* 2008 중국 Wenchuan 지진 (M7.9)

* 2011 뉴질랜드 Christchurch 지진 (M6.3)

* 2011 일본 Tohoku 지진 (M9.0) 등

한 가지 특징 중 하나는 최근 상대적으로 내진설계와 지진에 대한 급수체계 대비


가 잘 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주요 국가에서 상당한 수도시설의 피해가
지반 액상화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인 광역상수도 및 공업용수도 시설
에서 구미단수사고와 같은 취약부는 지진 발생시에도 동일한 취약부를 형성하므로
이러한 위해도와 파급효과가 큰 곳 중심의 평가방법 개발 및 보강공법 수립은 연구
개발이 반드시 필요한 분야라 할 수 있다.

Fig. 1-1. 뉴질랜드 Christchurch 지진(‘10 - ’11) 시 관로보수 현황 (O'Rourke et al. 2012)

- 2 -
또한 최근 SOC 시설물 관리에 대한 정부정책의 중심이 국민안전-재난재해 예방
관리로 조성되면서 이를 반영한 시설물 운영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안심국토 실
현은 차순위가 아닌 우선순위의 문제이며, 그 당위성에 있어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현안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국내에서도 현재 내진성 확보와 내진보강은 필수적인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아직 대부분의 정부기관이나 재난관리책임기관(우리 공사 포함)에서 전문가 부족과
생소한 공학적 지식으로 인해 실질적인 실행율이 미흡한 실정이다. 국제적으로는
미국과 일본, 뉴질랜드 등을 중심으로 Lifeline 시설에 대한 상당한 내진관련 연구개
발이 이루어져 국가적인 지침으로 정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Table 1-1. 주요 영향력있는 해외 연구기관 연구사례

연구수행기관 연구개발 내용 연구개발성과의 활용현황

American Lifelines Alliance,


FEMA, NIBS 상수관로에 대해 미국토안보부 FEMA 주관의 내진
Seismic Guidelines for Water
(미국, 2005) 가이드라인 작성 및 기술지침으로 활용 중
Pipelines

미국내 지반지진공학 분야의 지진액상화등에 관한


EERI Monograph: Soil Liquefaction
전세계적인 최신 연구성과들을 집약한 기술자료로
(미국, 2008) during Earthquakes
현재 업계의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음

일본 내 수도시설에 대한 내진성능평가 방법,


일본수도협회 수도시설 내진공법 지침, 내진성능향상 공법에 대한 종합적 기술지침서로
(2009) 해설 발간 2009년 개정 시행됨 (개정 이전본이 현재 국내
기준으로 활용 중)

- 3 -
Table 1-2. 국내 주요 연구개발 실적
연구수행기관 연구개발 내용 연구개발성과의 활용현황
환경부 상수도시설 내진 설계기준 마련
신설되는 상수도시설 내진설계시 활용
(1999) 연구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평가시 활용
건설교통부 기존 상수도 내진성능 평가 및
(매설관로 중심이며 현재까지 기존
(2004) 향상요령
상수도 시설 내진평가의 근간을 이룸)

기존 상수도시설(17개) 내진성능
K-water연구원 이후 발주 정밀안전진단에
예비평가 및 5개시설 상세평가
(2006) 내진성능평가 본격 시행
연구

K-water연구원 수도시설물 내진성능 평가절차 자체기준 제정 및 이를 근간으로


(2008) 요령 예비·상세평가 시행(매설관로 중심)

감사원 감사 답변자료로 활용,


K-water연구원 기존 상수도시설 통합적
향후 정밀안전진단 과업 발주시 참고
(2013) 내진성능평가 요령 제시
기준 적용

Testbed(울산공업용수도) 현장 적용 후
K-water연구원 기존 상수도시설 통합적
개선 및 보완사항 도출
(2014) 내진성능평가 개정 요령 제시
요령 개정

국내의 수도분야 내진설계 및 성능평가에 대한 주요 연구개발은 현재까지 일본의


개정이전 지침을 수용한 2004년 기준(건설교통부, 한국시설안전공단)에 머물러 있으
나, 내용적 측면에서 개정의 여지가 매우 많으며, 현재 연구 진행중인 기존 상수도
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정 연구는 짧은 기간내에 거시적인 틀에서의 기술적 개
정 내용들을 취급하므로, 실제 현장에 있어 적용가능한 상세 내진 취약성 조사 및
보강대책 수립은 별도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정밀안전진단 등에서 다루어 온 상수관로에 대한 상세내진평가 결과는


모두 관 자체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검토함으로서, 대부분 안전하다고 평가해 왔으
나, 최근 선진국의 실제 지진 피해사례에서는 지반 액상화 등 지반공학적 원인에
의한 피해 사례가 주를 이루어, 하천횡단관로 및 연약지반 등 취약부 조사와 평가,
보강기술의 연구개발이 반드시 선행, 검증되어야 한다.

또한 지진재해대책법의 본격적 시행에 따라 상수도시설에 대한 법적인 의무를 다


해야 하는 실정(Table 1-3)에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개발은 대단히 미흡한 상황이다.

- 4 -
Table 1-3. 지진재해대책법 상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의무(법 3조 및 시행령 2조) 및 R&D 수요분석

R&D
항목 및 근거 재난관리책임기관 책무 내용
필요

내진설계기준 설정 수도시설 내진설계기준의 설정 및 이행에 필요한 조치 수행


대상시설 "
수도시설" 이란 원수나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취수(
取水)·저수(貯水)
·도수(
導水)·정수(
淨水)·
송수(
送水) ·
배수시설(
(법 14조 및 령 配水施設),급수설비,그 밖에 수도에 관련된 시설 (
수도법 3조
4항10조) 1
7호)
지진재해 경감대책
강구 지진재해 경감대책의 강구 ○
(
법 3조 및 령 2조)
지진방재 교육 및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은 지진재해 관련 업무종사자에 대한
훈련,
홍보 (법 11조) 지진방재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기존 시설물의 내진성능에 대한 평가 및 보강대책 수립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기본계획에
따라 소관 시설물에 대한 내진보강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기존 상수도시설의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은 내진보강대책에 따라 내진보강 등을
내진성능평가 및
추진한다.내진보강대책에는 다음 각 호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보강대책 수립
한다. ○
(법 3
조,16조 및 령 1.내진보강의 목적 및 대상 시설물 현황
2조,11조)
2.내진성능 평가 및 내진보강 추진계획
3.내진보강 대상 시설물별 내진보강방법
4.연도별 시행계획(재정투자계획을 포함한다)

상수도 공공시설
내진대책 강구 공공시설과 저층 건물 등의 내진대책 강구
(
법 3
조 및 령 2조)

긴급지원체계의 구축 지진재해대응 및 긴급지원체계의 구축 (


지진재해대응체계를
(
법 1
9조) 활용하여 긴급지원계획을 수립)
지진 대처요령
작성,활용 지진과 지진해일의 대처요령 작성,
활용
(
법 3조 및 령 2조)

지진재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와 기술개발


지진재해경감 연구 및
기존 시설물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에 대한 연구개발 의무 명시
기술개발
및 정부의 연구개발 행정,재정 지원(정부출연금,재난 및 ○
(
법 2
2조) 안전관리 기본법 67조에 의한 관리기금)을 할 수 있음을 명시

지진 원인 조사, 분석,
위험도 평가 지진재해의 원인 조사,
분석 및 피해 시설물의 위험도 평가 ○
(
법 3조 및 령 2조)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이 추진한 조사· 연구 및 각종 계획수립,


사업시행 등과 관련하여 조사한 지질 및 지반 자료는
지질,
지반조사 자료 소방방재청장이 정하는 기관에 제출하여야 하며,다음 각 호의
축적,관리 등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
법 1
3조 2항) 1.지질 및 지반조사의 위치,목적,일자
2.조사자와 조사방법
3.지질 및 지반조사 자료

국가는 지진재해의 예방과 대비· 대응·복구 등을 원활히


내진보강사업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그 비용( 제16조에 따른
내진보강대책의 수립· 추진 비용과 제25조에 따른 손실보상금을
국고보조
포함한다) 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하거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
(
법 2
6조)
재난관리책임기관에 보조할 수 있다. <개정 20 13.
8.
6.
>[시행일
:2014
.8.
7]제26조

- 5 -
1.3 연구개발 내용

본 연구의 연차별 연구목표와 내용은 Table 1-4 과 같다.

Table 1-4. 연차별 연구 수행 목표 및 내용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내용

ㅇ 상수도시설 내진 취약부 평가 및 보강방법 사례


연구
(미국,일본 등)
ㅇ 지반 액상화 상세평가 기법 개발
ㅇ 내진 취약부 (해외문헌연구 및 실험 연구)
조사·평가 및 ㅇ Tes
tbed시설 선정,내진 취약부 평가
1차년도
내진보강 (
관로,수로터널,취수탑,지중구조물,건축구조물,지반
(
2014)
가이드라인 액상화)
기초 연구 ㅇ 상수도 시설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가 가이드라인
제시
ㅇ 취약부 내진보강 공법 국내 도입가능 기술안 제시
ㅇ 연구성과 반영,“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개정

ㅇ 상수도시설 내진 취약부 평가 및 보강 문헌연구


ㅇ 시범 시설물 확대,내진 취약성 조사 및 평가
(
관로,수로터널,취수탑,지중구조물,건축구조물,지반
ㅇ 내진 취약부 액상화)
조사·평가 및 ㅇ 구조물 내진 보강효과 검증 연구
2차년도
보강공법 (수치모델링)
(
2015)
시범 적용 및 ㅇ 지반 액상화 보강공법 검증실험
검증 (CDSS실험,원심모형실험)
ㅇ 기술컨설팅을 통한 공신력 확보
ㅇ 연구성과 반영,“기존 상수도시설 내진보강 요령”
제정

- 6 -
1.4 추진전략 및 방법

1차년도(2014)의 주요 연구목표는 개정 내진성능평가 요령을 적용하여 Testbed 시


설에 대한 구조물 별 내진 취약부 평가를 수행하고, 내진보강 공법 사례연구와 내
진성능평가 가이드라인 개정안 마련에 있다.

우선 상수도시설에 대한 내진 취약부 평가 방법에 대한 국외 사례 연구 내용을


정리하였다.

지반 액상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현재 국가적인 틀에서의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


외에 국제적으로 연구된 성과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상세평가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광역상수도 및 공업용수도 계통 전체 시설물에 대한 내진 취약부 평가 및


보강공법 개발은 연구단계에서 현실적으로 적용성과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1개소
계통을 현업부서와 협의하에 Testbed로 선정(울산공업용수도)하여 개별 시설물에 대
한 내진 취약부 평가를 수행하였다. Testbed는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하천 횡단
관로 및 천부 수로터널 구간을 포함하는 비교적 오래된 시설계통으로서 울산공업용
수 시설로 선정하였다. 상수도 시설물의 내진 취약성 평가는 내진해석의 상이한 적
용 기법 대상 구조물 종류별로 대별하여 관로, 수로터널, 취수탑, 지중토목구조물,
지반 액상화로 분류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취약부에 대한 일반적 내진보강 공법을 요약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


으로 연구성과를 반영하여,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을 개정하여 실용
화 보고서로 제시하였다. 금번에 개정된 내용을 구조물 종류별로 요약하면 다음
Table 1-5과 같다.

- 7 -
Table 1-5. 개정「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안의 차이점

구분 당초 요령 (‘04.05) 개정 요령(‘14.11)

개정전 내진등급 및 성능목표만 내진등급, 내진성능 목표 제시, 지반가속도


평가지진 산정
제시 산정기준 등 신규 제시

간편평가, 상세평가를 상세평가로 통합


상세평가 방법으로 Idriss & Boulanger (2008)
방법 도입
지반 액상화 언급없음 실내 진동삼축시험 및 동적단순전단시험
방법 허용
안전율 개정(1.0) 및 액상화 시 변형량
산정식 추가 제시

각 구조물 별 포괄적 내진성능 예비평가


매설관로 위주의 예비평가 구성
예비평가 요령 요령 제시
평가항목이 주관적이고 복잡함
평가항목을 단순화, 주관성 저감

관체(분절관, 연속관) 내진성능 기존 관체 내진성능 평가방법에 ALA


매설관로
평가방법 제시 가이드라인에 의한 Chart 평가법 병행 제시

응답변위법에 의한 지하맨홀 현행 국가기준 호환성 유지, 응답변위법 및


수로터널
내진해석 방법 제시 시간이력 동해석 기법 제시

지중 응답변위법에 의한 지하맨홀
응답변위법 및 시간이력 동해석 제시
토목구조물 내진해석 방법 제시

건축구조물 언급없음 개정 건축 내진설계기준 반영 제시

기존 정역학적 해석법 외에 동역학적 해석법


취수탑 언급없음
추가 제시

평가 예제 관로 및 지하맨홀만 예제 제시 다양한 구조물 별 평가 예제 수록

1.5 기대효과

본 연구과제의 수행으로 상수도시설 및 지반 액상화 내진평가 분야에서 국내 최


고 실행력 있는 기술력을 보유할 예정이며, 관련 연구개발 선도로 향후 정밀안전진
단 시 기술지침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상수도시설 지진 취약부에 대한 능동적 보수보강 기술개발로 관련기술의 발


전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국가적 관련 기준이나 지침 제개정시 우리 공사
의 기술로 표준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8 -
궁극적으로는 상수도시설 내진분야 기술개발 선도를 통한 정부정책(국민안전) 실
현 기여 및 대외위상 제고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대규모 산업단지 등에 공급
하는 급수체계에 중단없는 공급을 통한 안심국토 실현 및 국가 생산능력 보존에 이
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 9 -
제 2 장 . 상수도시설 내진 문헌연구

2.1 개요

상수도시설은 매설관로를 비롯하여 취수탑, 수로터널, 지중 RC 토목구조물, 건축


구조물, 수관교 등 내진성능평가 절차가 서로 다른 다양한 구조물들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이러한 복잡한 상수도시설에 대한 내진성능평가 절차는 따라서 각 구조
물의 종류별로 별도의 국가적 기준 또는 지침을 따라 시행될 수 있으나, 상수도시
설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통합된 포괄적 내진성능평가 요령은 2012년까지 존재하
지 않았었다. 다만 2013년에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K-water 자체의 상수도시설에
대한 내진성능평가요령을 발간한 바 있다(KIWE-IRC-13-08,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
가 요령 개선 연구).

통합적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선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관련 기술


요령들을 참조하여 적절히 설계 또는 보강되었다.

• 상수도시설 내진설계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 (환경부 1999)


• 기존 상수도의 내진성능 평가요령 (한국시설안전공단 2004)
• 구조물 기초설계기준(한국지반공학회 2008) 및 해설(한국지반공학회 2009)
• 건축구조기준 (국토해양부, KBC-2009)
• 기존 시설물(건축물) 내진성능 평가요령 (한국시설안전공단 2011)
• 기존 시설물(교량) 내진성능 평가요령 (한국시설안전공단 2011)
• 기존 시설물(터널) 내진성능 평가요령 (한국시설안전공단 2011)
• 기존 상수도의 내진성능 평가요령 (한국시설안전공단 2004)
• 기존 시설물의 기초및지반의 내진성능 평가요령 (한국시설안전공단 2004)
•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국토해양부 2007)
• 도로교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2010)
• 상수도시설 내진설계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 (환경부 1999)
• 상수도시설기준 (환경부 2010)
• 일본 수도시설 내진공법 지침·해설 (일본수도협회 2009)
• ALA(American Lifelines Alliance) Seismic Guidelines for Water Pipelines (FEMA
and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2005)
• Seismic Design of Buried and Offshore Pipelines (MCEER Monograph by O’Rourke
and Liu 2012)

- 10 -
본 절에서는 상수도시설에 대한 지진 시 피해 사례들은 이미 2013년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선 연구에서 상세하게 소개하였고, 일본수도협회에서 발간한
“수도시설 내진공법 지침·해설(2009)”에서도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수도시설에 대한 해외의 내진성능평가 기술지침은 간략히 소개하는
것이 타당하므로, 본 장에서는 일본수도협회(2009)의 수도시설 내진공법 지침·해설
의 자료와, 미국 Seismic Design of Buried and Offshore Pipelines (MCEER Monograph
by O’Rourke and Liu 2012) 및 ALA(American Lifelines Alliance)의 Seismic
Guidelines for Water Pipelines (FEMA and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2005)
연구성과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하기로 한다.

2.2 일본수도협회 (2009) 수도시설 내진공법 지침 ·해설

일본수도협회(2009)의 수도시설 내진공법 지침·해설은 1부 총론편과 2부 각론편으


로 나누어 대단히 상세한 상수도시설 내진설계 및 보강에 관한 지침과 사례, 연구
성과등을 기술하고 있다.

총론에서는 내진설계의 기본방침으로서 수도시설 지진대책의 기본철학과 내진설


계 기본방침, 설계 지진동, 내진성능 대조조사의 원칙 및 내진평가 방법에 대해 다
루고 있다. 내진평가에서는 구조물 별로 매설관로와, 공동구 및 쉴드터널, 지하 배
수로, 지장구조물, 지상수조, 수관교 및 수로교, 건축구조물 등으로 분류하여 각각에
대한 상세한 정적, 동적 내진해석법을 다루고 있다.

각론에서는 내진공법과 대책, 이와 관련한 구조 세목을 다루고 있으며, 내진성능


평가와 보강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과 기준, 방법등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내진성능
평가 및 보강에 대한 사례와 수도시설 지진피해 사례, 수도시설 내진공법 지침의
연혁등을 매우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내진보강 공법과 대책에서는 콘크리트 또는
강구조물, 관로 구조물 및 부속시설 (매설관로, 쉴드터널, 수관교, 관로 부대구조물,
급수장치), 건축물, 기계 및 전기계장 설비 등으로 분류하여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
고 있다.

기본적으로 일본에서 수도는, 지진 등 재해 발생 시에 있어서도 일정의 급수를


확보하는 것이 기본적 사명으로 되어있다. 수도시설의 정비에 있어서는, 수도를 구
성하는 개개의 수도시설의 구조적 내진화를 도모하는 것과 동시에, 수도시설에 발
생한 손상과 기능장해에 대해, 신속히 복구 가능한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수도시
설 전체로 급수 확보가 가능한 시설을 정비함과 동시에, 지진발생후의 응급 급수,
응급복구 계획을 미리 책정할 것에 유의 한다.

수도시설의 계획·설계·시공에 있어서는, 수도시설의 중요도에 따라, 지진동에 의

- 11 -
한 작용에 대해 안전한 구조이어야 하며, 발생한 지반변상과 액상화, 측방유동 등에
의한 영향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지진에 의해 시설이 손상된 경우에도,
수도 시스템 전체에 의해 신속히 일정 급수가 확보 가능한 시설정비를 하도록 명시
하고 있다.

일본은 지진 시 수도시설 피해에 대한 통계 조사가 상당히 양호한 편이며, 다음


Table 2-1은 일본 고베지진(1995) 이후부터 2008년까지의 주요 지진 시 수도시설 피
해사례를 정리한 자료이다.

- 12 -
Table 2-1. 일본 효고현 남부지진 (1995) 후의 대규모 지진 시 피해 규모
명 칭 발생일시 진 원 규 모 인적 ․ 주가피해 단수 호수
2000년 톳토리현 서 톳토리현 서부 M=7.3 부 상 자 182명 8,338호
2000년
부지진 북위 35.2도 진도6강 주택전괴 435동 (돗토리현, 시마네현,
10월 6일
동경 133.2도 반 괴 3,101동 오카야마현, 가가와현)
13시 30분
깊이 9km 일부파손 18,544동

아티나다 M=6.7 사 망 자 2명 40,938호


2001년 게이요 지진 2001년
북위 34.1도 진도6약 부 상 자 288명 (히로시마현, 야마구치현,
3월 24일
동경 132.7도 주택전괴 70동 시마네현, 에히메현)
15시 27분
깊이 46km 반 괴 774동
일부파손 49,223동
화 재 4건
미야기현 북부를 진원 미야기현 북부 M=6.4 중 상 자 51명 13,721호
2003년
으로 하는 지진 북위 38.2도 진도6강 경 상 자 626명 (미야기현)
7월 26일
동경 141.1도 주택전괴 1,276동
7시 13분
깊이 12km 반 괴 3,809동
일부파손 10,976동
화 재 2건
2003년 토카치오키 지 토카치오키 M=8.0 행방불명 2명 15,956호
2003년
진 북위 41.5도 진도6약 중 상 자 69명 (홋카이도)
9월 26일
동경 144.0도 경 상 자 780명
4시 50분
깊이 45km 주택전괴 116동
반 괴 368동
일부파손 1,580동
화 재 4건
2004년 니가타현 나카고 니카타현 나카고에 M=6.8 사 망 자 68명 129,750호
2004년
에 지진 북위 37.2도 진도7 중 상 자 633명 (니가타현,)
10월 23일
동경 138.5도 부 상 자 4,172명
17시 56분
깊이 13km 주택전괴 3,175동
반 괴 13,808동
일부파손 104,917동
건물화재 9건
후쿠오카현 세이호오키를 후쿠오카현 세이호오키 M=7.0 사 망 자 1명 849호
2005년
진원으로 하는 지진 북위 33.7도 진도6약 중 상 자 76명 (후쿠오카현, 사가현,
3월 20일
동경 130.2도 경 상 자 1,011명 오이타현)
10시 53분
깊이 9km 주택전괴 133동
반 괴 244동
일부파손 8,620동
건물화재 2건
미야기현 바다를 진원 미야기현 바다 M=7.2 중 상 자 12명 49호
2005년
으로 하는 지진 북위 38.2도 진도6약 경 상 자 88명 (미야기현, 아키타현,
8월 16일
동경 142.3도 주택전괴 1동 후쿠시마현)
11시 46분
깊이 42km 일부파손 984동
노토반도 바다 M=6.9 사 망 자 1명 13,290호
2007년 노토반도 지진 2007년
북위 37.1도 진도6강 중 상 자 91명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3월 25일
동야 136.4도 경 상 자 265명
9시 41분
깊이 11km 주택전괴 684동
반 괴 1,733동
일부파손 26,935
니가타현 카미주에츠 M=6.8 사 망 자 15명 58,961호
2007년 니가타현 주 2007년
오키 진도6강 중 상 자 329명 (니가타현, 나가노현)
에츠오키지진 7월 16일
북위 37.3도 경 상 자 2,016명
10시 13분
동경 138.4도 주택전괴 1,319동
깊이 17km 반 괴 5,621동
일부파손 35,070동
건물화재 1건
5,560호
이와테현 내륙 남부 M=7.2 사 망 자 13명
2008년 이와테 ․ 미 2008년 (이와테현, 미야기현,
북위 39.0도 진도6강 행방불명 10명
야기 내륙지진 6월 14일 아키타현, 야마가타
동경 140.5도 중 상 자 80명
8시 43분 현)
깊이 8km 경 상 자 370명
주택전괴 28동
주택반괴 112동
일부파손 1,693동
건물화재 4건

- 13 -
일본에서 이러한 잦은 지진에 대해 각각의 주요 지진 발생 때마다 국가적으로 각
종 법령 및 기술적 제도를 변경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다음 Table 2-2은 이러한
일본에서 시대별 법령과 관련 지침의 제개정 내용들을 요약한 자료이다.

Table 2-2. 일본의 지진으로 인한 법령 및 지침 제개정 현황


발생한 지진 나라 ․ 관계법령의 움직임 지침 발간 ․ 개정의 움직임

1923 (T12) 관동 지진
1949년 1924 (T13) 시가화 건축물법 개정
1943 (S18) 톳토리 지진
이전
1946 (S23) 후쿠이 지진

1950 (S25) 건축기준법 제정


1950년대 1953 (S28) .10
①「수도시설의 내진공법 (1953)」
1964 (S39) 니가타 지진
1960년대 1966 (S41) .4
1968 (S43) 주에츠오키 지진 ②「수도시설의 내진공법 (1966)」
1977 (S52) 신 내진설계법 (안)
1978 (S53) 이즈오오시마 근해 지진
미야기현 앞바다 지진
1970년대
1979 (S54) 건축기준법 대개정 1979 (S54) .12
③「수도시설 내진공법 지침 ․ 해설
(1979)」
1980년대 1983 (S58) 일본해 중부지진 1981 (S56) 신 내진설계법
1993 (H5) 쿠시로 앞바다 지진
홋카이도 남서바다 지진
1994 (H6) 홋카이도 동쪽바다 지진
산리쿠하루카오키 지진
1990년대 1995 (H7) 효고현 남부지진 1995 (H7) 후생성 「수도 내진화
대책조사회」
1997 (H9) 후생성 「수도의 내진화 1997 (H9) .3
계획 책정지침 (안)」 ④「수도시설 내진공법 지침 ․ 해설
(1997)」

2000 (H12) 톳토리현 서부 지진 2000 (H12) 건축기준법 대개정


2001 (H13) 게이요 지진 2004 (H16) 후생성 「수도비전」 공표
2004 (H16) 니가타현 나카고에 지진 2005 (H17) 소방법 개정
2007 (H19) 노토반도 지진 2007 (H19) 후생성 「관로의 내진화에
니가타현 주에츠오키 지진 관한 검토회」
2008 (H20) 이와테 ․ 미야기 내륙지진 후생성 「수도시설의 내진화에
관한 검토회」
후생성 「후생 과학심의회
생활환경수도부회」
2000년대
2008 (H20) 후생성 「수도의 내진화 계획
등 책정지침」
후생성 「수도시설의 기술적
기준을 정하는 성령 일부 개정
(10.1 시행)
후생성 「수도비전」 개정
2009 (H21)
• 「수도시설 내진공법 지침 ․ 해설
(2009)」

- 14 -
일본에서 기존 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의 기본 목적은 지진에 의한 수도시설의 피
해를 억제해 급수에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진 대책의 필요성,
긴급성, 우선순위 등의 검토를 하기 위해서 실시한다.

기존의 수도시설의 대부분은 건설되고 나서 수십년을 경과하고 있어, 경년화에


의한 열화나 최신의 내진설계 규준의 레벨 등을 감안하면, 요구되는 내진성능을 만
족하지 않는 것이 많다고 생각할 수 있다. 효고현 남부 지진 이후에도 일본 각지에
서 대규모 지진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수도시설의 재해가 일상생활이나 산업활
동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것, 또 수도시설의 재해에 의한 2차재해의 발생도 걱정되
는 것을 감안하면 수도시설의 지진대책은 지극히 중요하다. 그렇지만, 어려운 수도
사업의 재정사정을 고려하면, 계획적인 내진보강이나 보수, 백업시설의 활용 등에
의해서, 기존시설을 보다 한층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기존
시설의 열화도를 조사하는 것으로써 건전도 평가를 실시하고, 지침 외 관계 법령
및 규준 등에 근거해 지금 가지고 있는 내진성능을 정확하게 파악해 내진보강의 필
요 불필요나 방법의 검토 등을 실시하는 내진진단이 중요하다.

현재 일본의 기존 수도시설 내진평가와 관련한 기준 및 참고자료는 Table 2-3과


같다.

- 15 -
Table 2-3. 일본의 기존 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참고자료
참고자료명 발행자
수도의 내진화계획 등 책정지침 후생노동성
하수도시설의 내진대책 지침과 해설 (2006년판) 일본하수도협회

수도 유지관리 지침 일본수도협회
수도시설 갱신 지침 일본수도협회
수도시설 기능진단의 안내 수도기술연구센터
지진에 의한 수도피해의 예측 및 탐사에 관한 기술개발
수도기술연구센터
연구보고서 (제1권)

수도의 지진대책 매뉴얼 수도기술연구센터
지진대책에 관한 대조조사 보고서 후생성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설계
토목학회
~시공간에 대한 설계의 과제와 가까운 미래상~

수 2007년 제정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토목학회
지 〔유지관리편〕
관 수도시설 지장구조물의 강철에 의한 개량 매뉴얼 일본수도협회

콘크리트의 균열조사, 보수 ․ 보강지침
- 2003 - 일본콘크리트공학협회
수관교 설계기준 (내진설계편) 일본수도강관협회

관 도로교 시방서 ․ 동해설 (Ⅴ 내진설계편) 일본도로협회
교 기설 수관교 내진보강의 기본방침 일본수도강관협회
관 기존 도로교의 내진보강에 관한 참고자료 일본도로협회

수관교 내진성 간이진단 수법 일본수도강관협회
댐 하천구조물의 내진성능 대조조사 지침 (안) ․ 동해설 국토교통성하천국
관 대규모 지진에 관한 댐 내진성능 대조조사 지침 (안) ․ 동
련 국토교통성하천국
해설
항만시설의 기술상 기준 ․ 동해설 일본항만협회


매립지의 액상화 대책 핸드북 (개정판)
연안개발기술연구센터
2001년 개정판 기존 철근 콘크리트조 건축물의 내진진단
일본건축방재협회
기준 ․ 내진개수설계 지침 ․ 동해설

축 내진개수촉진법을 위한 기존 철골조 건축물의 내진진단
일본건축방재협회
물 및 내진개수 지침 ․ 동해설 (1996)
관 개정판 기존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 건축물의 내진진단
련 일본건축방재협회
기준 ․ 개수설계 지침 ․ 동해설
관청시설의 종합내진진단 ․ 개수기준 및 동해설 건축보전센터

- 16 -
2.3 미국 MCEER Monograph (2012)

MCEER은 University at Buffalo에 소재하고 있으며, 1986년 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에 의해 설립된 최초의 지진공학분야 국가적 연구센터이다. 매설관로 분
야의 본래 Monograph는 1999년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의 Michael O’Rourke
교수와 Liu 박사가 최초 작성하였으며, 2012년 상당 부분 최신연구들을 반영하여 개
정 발간되었다. 향후, 우리 공사의 상수도 매설관로의 내진 기술지침 향상 및 내진
안전성 확보에 있어 중요한 기술 문서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절에서는 간단히
그 주된 내용만을 언급하기로 한다.

* O’Rourke, M. J. and Liu, (Jack) X. (2012) “Seismic design of buried and offshore
pipelines” MCEER (Multidisciplinary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Monograph, MCEER-12-MN04

본 서에서는 우선 지진 위험요소들을 다루고 있는데, 특별히 단층의 이격, 산사


태, 측방유동과 지진으로 인한 지반침하를 포함하는 PGD (Permanent Ground
Deformation)을 다루고 있다. 지반 변위량을 추정하는 경험적, 해석적 관계들을 제시
하고 있다. 그리고 매설관로에 특히 중요한 측방유동 존의 공간적 확장성에 관한
제한적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파의 전파에 대하여도 언급하고 있는데, 지진파의 다른 유형들과 그 결과 얻게


되는 지반 변형율에 대한 단순화된 해석적 관계들을 소개한다. 전달되는 파의 불일
치성 또는 임의성(전달 경로를 따른 파 모양의 변화)의 중요성과 유효 전달 속도 개
념을 설명한다. 또한 지하 매질의 국부적 특성 차이로 인한 일시적 지반 변형율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4장에서는 파이프의 한계상태(limit state)와 파괴 규준을 논의하고 있다. 연속관의


경우 다양한 그룹에 의해 추천하는 설계 인장 변형율과 설계 압축 변형율을
butt-welded 관 및 welded slip joint 관에 대해 그리고 PGD와 파의 전달 위험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비록 제한된 내용이긴 하나 분절관에 대한 한계 상태 추천사항도
기술하고 있다.

5장에서는 육상 및 해상 관로에 대해 지반과 관로 경계부에서의 상호작용력에 대


한 현재의 정보를 제시한다. 현재의 추천사항들은 넓은 의미에서 실내실험에 기초
하기 때문에 경험적이다. 그러나 독자들이 경험적 결과들을 평가하는 근거를 가질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충분한 역학적 설명을 첨부하고 있다.

6장에서 8장까지는 다양한 유형의 PGD에 대한 연속관의 거동을, 9장에서는 분절


관의 거동을 다루고 있다. 특히 길이방향 PGD에 대한 연속관의 거동을 6장에서 제
시하고 있다. 이는 butt-welded 관이 특별히 길이방향 PGD로부터의 피해에 취약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팽창/수축 이음의 영향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는데, 그러한 특수

- 17 -
이음의 사용은 주어진 환경에 따라 이로울 수도 있고 해로울 수도 있다.

7장에서는 횡단 PGD에 대한 연속관의 거동을 설명하고 있다. 육상 관로에 대해


관의 거동은 PGD가 급작스럽거나 분산되어 있거나 하는 양상에 따라 상당히 다르
다. 분산된 횡단 PGD에 종속된 육상 관로에서는 대표적 변위가 충분히 작고 그러
한 존의 폭이 충분히 넓어서 결과적으로 관로의 변형율은 상대적으로 작다. 해상
관로에서는 지반 변위와 PGD 존의 공간적 분포가 꽤 커질 수 있으며 관로 변형율
에 대한 적용가능한 해석적 관계를 7장에서 제시하고 있다.

8장에서는 단층의 이격에 따른 연속관의 거동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관로가 인


장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에 대해 유한요소 해석 결과와 더불어 해석적 정해를 제시
하고 있다. 원심모형실험 결과도 함께 소개하고 있으며, 그 결과 strike-slip 이격으로
인한 인장상태가 strike-slip 이격으로 인한 압축상태보다 더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
다. 유사하게 원심모형실험 결과, 정단층이 역단층보다는 더 낫다는 점도 알게 되었
다.

9장에서는 분절관이 길이방향 PGD, 횡단 PGD, 그리고 단층 이격시에 거동을 다


루고 있다. 결과적으로 분절관은 분산된 횡단 PGD에서도 견딜 수 있을 것이나, 급
작스런 횡단 PGD, 길이방향 PGD, 또는 표면 단층에는 견디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
었다.

10장과 11장에서는 파의 전달 위험에 대한 연속관과 분절관의 거동을 각각 다루


고 있다. 특히 10장에서는 파의 전달에 의한 연속관에서 유발되는 관체 변형율에
대한 간편 관계를 제시, 설명하고 있다. 더 나아가 연속관에 대한 파의 전달에 의한
손상이 가능하지만 흔하지는 않다는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한다. 유사하게 관이 탱크
나 건물에 들어갈 때 관체 변형율에 대한 간편 관계들도 제시된다. 또한 최소한 지
반의 변형율 수준이 0.1% 미만인 경우, 엘보우(elbow; 휨 + 일부 축변형)에서의 전
체 변형율은 엘보우 (주로 모두 축변형)에서 떨어진 경우보다 일반적으로 작다는 것
도 보여준다.

11장에서는 파의 전파 위험에 대한 분절관의 거동을 다룬다. 평균적인 이음부에


서 기대되는 거동에 대한 간편 상관관계를 제시한다. 그러나 특별히 약하거나 유연
한 이음에서의 거동은 복잡하며, 이음에서 이음까지의 이음 물성의 변화에 대한 정
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견해를 확인하는 컴퓨터 모의와 실험적 관찰 결과도 제시하
고 있다.

12장에서는 분절관에 대한 취약도 관계(fragility relations)를 제시한다. 지반 변형


율에 기반한 상관관계가 (PGV에 기초한) 파의 전달 단독의 관계나 (변위량에 기초
한) PGD 단독의 관계보다 파의 전달(wave propagation) 및 PGD 관련 피해 둘 모두
에 대해 보다 잘 맞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허용가능한” 수준의 피해량에 대
한 추천사항을 다양한 유형의 관에 대한 지반 변형율의 허용 량으로 변환하여 설명
하고 있다.

- 18 -
13장에서는 가능한 경감 대책들에 대해 다루고 있다. 또한 본 서에서는 보강공법
의 서로 다른 접근법을 조사하여 길이방향 PGD 존을 가로지르는 관로에 대한 예제
와, 분절 cast iron 상수관에 대한 파의 전달에 의한 피해 추청 예제, 그리고 대규모
잠재적 진흙 활동파괴에 걸쳐 있는 해상 관로에 대한 추천 배열에 대한 예제를 수
록하고 있다.

Fig. 2-1. 지진파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할 때 다양한 파에 따른 입자 운동(O’Rourke and Liu 2012)

Table 2-4. 유연한 이음의 변형 성능

- 19 -
Fig. 2-2. 지진파의 전파에 의한 보수 비율과 최대 입자 속도 (O’Rourke and Liu 2012)

Fig. 2-3. ALA 파의 전파에 의한 취약도 관계 (O’Rourke and Liu 2012)

- 20 -
Fig. 2-4. ALA 영구 지반 변형 취약도 곡선 (O’Rourke and Liu 2012)

2.4 미국 ALA 가이드라인 (2005)

미국에서 매설 상수관로의 내진설계나 평가 요령 체계는 ALA (American Lifelines


Alliance)에서 2005년 발간한 “Seismic Guidelines for Water Pipelines”에 잘 소개되어
있다. 미국의 경우 1980년대에 상수도의 내진성능평가에 대해서 특별히 제도화 하
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미국의 여러 매설관로들이 Permanent Ground
Deformation (PGD) 혹은 Peak Ground Velocity (PGV)에 취약한 모습을 보여 왔다.

미국 FEMA의 Seismic Guidelines for Water Pipelines는 지진 발생 시 많은 관로들


이 기능을 상실하고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주기에 이를 방지코자 만들어 졌으며, 규
격이 아닌 가이드라인으로서 강제성을 띠고 있지는 않다.

Seismic Guidelines for Water Pipelines의 목적은 지진에 대한 관로의 내구성을 각


관로의 목적에 맞게 증대시키고 지진 후 복구를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할 수 있도록
관로를 디자인 할 수 있게 도와주는데 있다. 또, 관로 시스템의 데미지를 효율적으
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이러한 관리로 인해 지진 발생 후 복구에 중요한 역
할을 하는 소방, 병원 등을 최우선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2.4.1 내진 평가방법

미국의 가이드라인의 기본적인 접근 방식은 아래와 같다.


◦ 관로의 Function Class를 I, II, III, IV로 분류한다.
◦ 디자인 방식을 Chart method, Equivalent Static Method (ESM) 또는 Finite
Element Method (FEM)로 선택한다.
◦ 카테고리 A, B, C, D, E를 따라 관로를 디자인한다.

대부분의 경우 Chart Method로 충분한 내진 성능을 디자인 할 수 있다. 다만, 특


별하고 정밀성이 요구되는 경우 Equivalent Static Method (ESM) 또는 Finite Element
Method (FEM)를 사용된다. 가이드라인에는 관로에 대해서만 기술되어 있으며, 물탱
크, 펌프장등과 같은 부속시설 등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가이드라인은 세 가지 해석 모델을 제공하며, 각각의 모델 설명은 다음과 같


다.
◦ Chart Method: 간단한 사용방법이 장점. 수식은 사용하지 않으며, 설계자가 장
소와 환경에 따라 적절한 변수를 사용해야 한다.
◦ Equivalent Static Method (ESM) : 간단한 수치 모델로 지진으로 인해 관로에 가
해지는 힘, 변형률, 변위 등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를 바탕으로 관로를 설
계하거나 복잡한 계산 없이 만족스러운 용량을 지닌 관로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 Finite Element Method (FEM) : 수치해석 모델을 사용하여 PGA, PGV, 혹은
PGD에 의해 관로에 가해지는 힘을 구한다. 이후 빔 모델을 사용하여 응력, 변형
률, 변위 등을 구할 수 있다.

- 22 -
2.4.2 내진 평가방법에 대한 Flow Chart

위에서 언급한 3가지 디자인 방법에 대한 flow chart는 아래 그림과 같다. Flow
chart는 각 상황과 정보에 따라 약간씩 변형될 수 있으며, 현장의 설계자들이 필요
하다고 생각되는 절차를 추가할 수 있게 되어있다.

Fig. 2-5. Chart Method 적용 절차

- 23 -
Fig. 2-6. Equivalent Static Method 적용 절차

Fig. 2-7. Finite Element Method 적용 절차

- 24 -
제 3 장 . 지반 액상화 상세평가 기법 개발

3.1 개요

지반 액상화는 상수도시설의 특성상 관로가 느슨하게 포화된 연약지반 또는 하천


변, 해안가 인근을 따라 매설되어 있는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해외의 지
진 시 관로의 주요 피해 사례가 지반 액상화로 인한 경우가 다수임을 감안할 때 현
실적인 지반 액상화 평가 방법의 연구는 매우 중요하고 시의적절하다 하겠다.

현행 국가적인 틀에서의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은 다음 기준서에 명시되어 있다.


• 구조물 기초설계기준(한국지반공학회 2008) 및 해설(한국지반공학회 2009)
• 기존 시설물의 기초및지반의 내진성능 평가요령 (한국시설안전공단 2004)

기존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의 고찰 결과(K-water연구원 2013), 향후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항목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의견이 있을
수 있다.
* 정규화된 SPT (N1)60 계산식은 보다 현대적인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 지반의 전단파속도(Vs) 파악을 위해서는 많은 상수도시설물이 1등급에 속하므로, 2
종류 이상의 현장 탄성파시험 결과를 비교하도록 하고 있으나, 보다 현대적인 탐사
기법들도 포함될 필요가 있다.
* 액상화 상세평가시, 진동삼축시험만을 명시하고 있으나 사실 해외의 경우, 동적 단
순전단시험 (cyclic direct simple shear) 시험을 많이 수행하고 있으며, 이 두 가지를
함께 명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현행 지반의 액상화 평가는 Seed and Idriss 반경험식을 이용한 간편 예측법과 실내
반복시험을 이용한 상세예측법으로 대별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액상화에 취약한
느슨한 포화 사질토층은 실내실험을 위한 현장 샘플링이 거의 어려운 실정이므로
실무적으로 쉽지 않은 평가법이며, 실내실험은 충분히 가치가 있는 한 방법이나, 액
상화 평가의 최종 상세평가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 또한 간이평가 액상화 안전율 1.5에 대해서도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간이평가로
지정된 반경험적 평가에 있어서도 많은 기술개발을 통해 upgrade 된 부분들을 반영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반경험적 평가 방법, 현장 실험, 실내실험 모두 상세평
가기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되므로, 간이평가와 상세평가의 구분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결론적으로 필요한 후속연구의 제안 또는 보다 advanced 된 연구성과에 의한 절차
는 허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25 -
3.2 지반 액상화 최신 연구동향

3.2.1 동향조사 개론

지반의 액상화는 오늘날 지반 지진공학(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분야


의 필수적인 연구분야가 되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UC Berkeley의
Harry Bolten Seed 교수를 중심으로 지반 지진공학 분야의 새 역사를 써 내려가는
동안 액상화에 대한 연구는 일본 니가타 대지진 이래로 가장 주목받는 연구 주제가
되어왔다. 많은 학자들이 포화된 느슨한 모래의 전단거동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결
과적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댐이나 하천 제방, 자연사면 및 인공사면의 안정성
검토와 액상화로 인한 변형량 예측이라는 목표를 향해 적용성을 평가하여 왔다.

이에 부합하여 현재까지 수많은 데이터와 양질의 연구자료들이 해외에서 축적되


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지진 계측의 역사가 짧고 중대규모 지진이력이 거의 없는
관계로 아직도 액상화의 유발과 결과, 분석에 대한 사항들은 20세기 후반의 해외
연구자료들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중국 Wenchuan 대지진(2008) 및 일본 Tohoku 대지진(2011) 등의 영향으로


국내 주요 시설물의 내진성능에 대한 재평가와 더불어 액상화 현상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국내에서 많은 SOC 시설물들의 설계사례에
서 지반의 액상화에 대한 검토는 거의 필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편이다. 이러한
액상화의 가능성을 보유한 잠재적 대상 구조물은 의외로 국내 건설현장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데, 각종 하천 횡단 관로, 하천공사 등의 영향으로 조성된 하천 수위
하부의 사질토 지반, 산업단지의 연약지반, 해안가 토목시설물 기초지반 등 실제로
다양한 환경이 존재한다.

현재 국내에서 지반 액상화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는 구조물 기초설계 기준과 기존


시설물(기초 및 지반)의 내진성능평가 요령 등을 근간으로 Seed and Idriss 간편법과
상세평가 시 진동삼축시험을 통한 사질토의 실험적 평가법을 표준으로 제시하고 있
다.

해외의 경우, 주요 지진 발생시마다 지반 액상화에 대한 새로운 경험과 인식을


따라 다양한 신규 연구 성과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지진동 이후의 액
상화로 인한 강도 저하를 고려한 액상화 후 사면안정 해석이라든지, 간극 재배열
(void redistribution) 현상을 고려한 평가, 그리고 소성지수값이 고소성(highly plastic)
과 비소성(non-plastic) 사이에 분포하는 중간토에 있어서의 액상화 평가, 예민 점토
에 대한 연화 현상(cyclic softening)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따라서 현
재 미국 등 액상화의 유발과 결과에 대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그룹들의 다양한
논문들과 주요 흐름들을 지면을 빌어 정리해 보는 일은 의미있는 과업이라 판단된

- 26 -
다. 이에 본 절에서는 액상화로 인한 사면의 강도저하와 변형에 관한 최신 연구들
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3.2.2 액상화 후 사면안정성과 변형

3.2.2.1 잔류강도와 정적 전단응력

지반 액상화의 결과는 주로 잔류 전단강도(residual strength; Sr)와 초기 정적 전단


응력(initial static shear stress;  ) 사이의 관계에 따라 흐름(flow) 파괴로 대표되는 안
정성(stability)의 문제와 측방유동(lateral spreading)으로 대표되는 변형(deformation)의
문제로 대별될 수 있다.

여기서 정적 전단응력이라 함은 정적인 힘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단


응력으로 정의하며, 주로 한계평형해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Fig. 3-1). 잔류 전단
강도는 한계상태 전단강도 또는 유사 한계상태 전단강도 등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불리어지나, 여기서는 간극 재배열과 토립자 혼합 등과 같은 매우 복잡한
양상까지를 포함하는 현장에서 매우 큰 변형이나 변형율에서 파괴면에 발현되는 전
단강도로 정의한다.

흐름 파괴(flow failure)는 개념적으로 정적 전단응력이 잔류 전단강도보다 훨씬


더 클 때 중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므로 안정성의 문제가 된다(Fig. 3-2). 반면에 측
방유동(lateral spreading)은 정적 전단응력이 잔류 전단강도와 유사하거나 작을 때 발
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변형량 추정이 보다 중요한 관심사가 된다(Fig. 3-2).

Fig. 3-1. 변형율 연화 거동 지반재료의 정적 전단응력과 잔류강도

주) Sy = 항복강도 또는 첨두강도, γ = 전단 변형율, σ’v = 연직 유효응력, Ko = 정지토압계


수, Kf = 파괴시 토압계수

- 27 -
Fig. 3-2. 비배수 전단 시험에서 한계상태 이론에 기초한 흐름 파괴와 측방유동 메커니즘

주) CSL = 한계상태선, u = 간극수압

3.2.2.2 잔류강도와 관입저항력 상관관계

액상화 연구의 주류를 이루는 많은 학자들은 잔류 전단강도와 SPT N치로 표현할


수 있는 관입저항력과의 관계에 기반하여 액상화의 결과를 이해하려고 노력해 왔
다.

Poulos et al. (1985)과 Davis et al. (1988)은 활동 토체가 비배수 정상상태 전단강
도를 넘어서는 관성이 발생할 때 활동이 발생한다는 이론에 입각하여 잔류강도와
관입저항력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Seed and Harder (1990)는 역
산한 잔류 전단강도와 몇몇 실제 파괴 사례들로부터 얻은 관입저항력 사이의 관계
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이후 다양한 학자들의 재해석에 대한 모태가 되었다. 초기
Seed and Harder (1990) 그래프는 이후 추가적인 데이터와 재해석에 의하여 Stark
and Mesri (1992), Castro et al. (1992), Baziar and Dobry (1995)등이 업그레이드하였
으며, 특히 Wride et al. (1999)은 최소 관입저항력 개념을 사용하여 사례들을 재해석
한 바 있다. 데이터의 보충에 있어 괄목할만한 성장은 Olson and Stark (2002), Olson
and Stark (2003), Olson and Johnson (2008), Idriss and Boulanger (2007; 2008)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주된 재해석 기법은 Newmark 활동 블록 해석과 등가정적 사면안정
해석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Park and Kutter (2009)와 Park (2013)은 지진 후 사면의 안정성 해석을 위해 주로


이용하는 다양한 학자들이 제시한 잔류 전단강도와 관입저항력의 관계 그래프들을
함께 고찰하였는데, 결과적으로는 다양한 원인에서 기인하는 불확실성이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Fig. 3-3). 그러나, 실내실험에서 재현하기 어렵고, 현장에서만 발생가

- 28 -
능한 다양한 현상들을 포함하려는 노력들에 의해 개선된 최근의 연구 성과들은 참
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지반 액상화의 조사와 평가 지침 등에 대
한 개정 연구시 주목할만한 연구결과는 그 중에서 방대한 현장사례 데이터를 규합
한 Olson and Johnson (2008) (Fig. 3-4)과 간극 재배열의 개념을 도입한 Idriss and
Boulanger (2008)라 할 수 있겠다.

Fig. 3-3. 다양한 학자들에 의한 Sr 과 N1,60 사이의 관계

Note, N1,60 는 정규화된 SPT 타격횟수임

Fig. 3-4. 잔류강도와 관입 저항력과의 관계 (Olson and Johnson 2008)

- 29 -
3.2.3 간극 재배열 (Void Redistribution) 효과

간극 재배열(void redistribution)은 지반 액상화 연구에 있어 비교적 최근에 인식,


연구되고 있는 개념이다. 간극 재배열은 간극수의 이동에서 기인하며, 1985년
Whitman에 의해 최초 소개된 바 있다. 이 개념은 상대적으로 낮은 투수성의 지반층
이 액상화 가능한 사질토층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기본 전제로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진동이 발생하면, 느슨한 사질토층에서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하고 액상화
가 유발될 수 있으며, 사질토층 내에서는 지진동이 멈춘 후 과잉간극수압의 소산을
위해 하부에서 상부로 간극수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며, 이 간극수는 사질토층 위의
낮은 투수성의 흙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질토층 상부에서 dilatancy
와 연관된 얇은 수막(water film)이 형성되고, 사질토층의 상부 간극은 팽창(dilation)
으로 인해 보다 느슨해지고, 하부로 갈수록 수축(contraction)으로 인해 보다 조밀해
지는 간극의 재배열이 발생하게 된다(Fig. 3-5).

이 간극 재배열이 물리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조밀측 사질지반이라 할지라도 간극


재배열이 지배적인 지반인 경우 수막층에서의 전단변형율 집중으로 대단히 큰 변형
율 연화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Fig. 3-5. 지진동 작용 시 조밀한 모래의 간극 재배열에 의한 변형율 집중화 파괴 메커니즘

상대적으로 낮은 투수성의 지반 아래에 상향 침투류로 인해 발생하는 수막현상


연구는 여러 원심모형실험 결과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Fiegel and Kutter 1994;
Kulasingam et al. 2001; Kulasingam et al. 2004; Malvick et al. 2006; 2008). Malvick et
al. (2006; 2008)은 특별히 원심모형실험을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투수성 지반 층 아
래에 간극 재배열로 인해 형성된 팽창 존이 지진동에 의한 과잉간극수압의 소산을
저해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지연된 변형율 집중화와 큰 변형이 발생함
을 발견하였다(Fig. 3-6).

- 30 -
Fig. 3-6. 원심모형실험에서 얇은 수막 형성에 따른 지진동 후 지연된 변형율 집중화 및 전단파괴 거동
(Malvick et al. 2008)

간극 재배열 현상이 지배적인 현장에서는 전단 파괴 거동이 매우 얇은 수막을 따


라 발생하고 심각한 강도손실과 대단히 큰 변형을 수반하며, 간극수의 이동(과잉간
극수압의 소산)에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진동이 멈춘 후 어느 정도 시간 경과
와 함께 매우 큰 변형이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게 된다.

실제 현장에서의 사례들에서도 이러한 간극 재배열 현상 - 즉 수막의 형성에 의


한 지진동 후 전단 변형율 집중화를 확인하는 몇몇 경우들이 보고되어 오고 있다
(Holzer et al. 1989; Kokusho 2003; Idriss and Boulanger 2008). Statk and Mestri (1992)
역시 많은 현장의 지반 액상화로 인한 파괴가 물의 배수와 흐름과 관련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잘 알려진 1971 San Fernando 지진 시 Lower San Fernando 댐의 흐름 파괴는 지


진동이 멈추고 약 20초에서 30초 후에 발생하였다(Idriss and Boulanger 2008). 이러
한 큰 변형은 지진동 자체로 인한 것이라기보다는 정적 하중의 영향이었으며, 액상
화가 발생한 투수성 지반으로부터의 물의 이동 결과로 인한 느슨해진 영역이 주 원
인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간극 재배열 현상에 대한 연구는 특별히 제작된 실험 도구와 수치 모델링을 통해

- 31 -
서도 이루어졌다(Boulanger and Truman 1996; Kokusho 1999). Kokusho (2003)는 1964
년 Niigata 지진 시 낮은 투수성 지반층 아래에서 간극 재배열로 인해 전단응력의
격리와 함께 큰 흐름 파괴를 보였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간극 재배열 현상은 통상적인 실내 실험에서 구현될 수 없는데, 이는 과


잉간극수압의 소산에 따른 수막의 형성과 매우 얇은 전단 변형율 집중화를 모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포화된 Toyoura 모래에 대한 ICU 시험에 따르면 상대
밀도 38%에서 한계상태 전단강도는 약 7 atm이었다. 이 경우, Idriss and Boulanger
(2008)의 환산식에 의하면, N1,60는 약 7에 상당한다. Olson and Jonson (2008) 도표에
의하면, 실내실험에서 얻은 한계상태 전단강도 값보다 현저히 낮은 잔류강도(Sr) 값
을 산출하게 된다. 이렇게 경험적 도표와 실내실험 사이의 Sr 값의 차이는 지진동
후 간극 재배열과 토립자의 혼합과 같은 복잡한 메커니즘의 결과에서 기인한다.

Idriss and Boulanger (2008)는 이러한 간극 재배열이 심한 경우와 무시할 수 있는


경우를 구분하여 잔류 전단강도비와 관입저항력 사이의 관계 도표(Fig. 3-7)를 제시
한 바 있다.

Fig. 3-7. 잔류 전단강도비와 관입저항력과의 관계 곡선 (Idriss and Boulanger 2008)

- 32 -
3.2.4 중간토 및 점성토의 동적 거동

간극 재배열 현상에 대한 이해와 고려, 그리고 지진 후 사면 안정성 검토를 위한


잔류 전단강도 특성 연구외에 최근 중간토 및 소성 점토의 동적 거동에 대한 연구
가 또한 활발하다. 특별히 본 절에서는 최근 사질토의 지반 액상화 거동에 추가하
여 중간토(intermediate soil)와 점토, 소성 실트의 동적 거동 연구 내용들을 집약하여
정리한 EERI monograph (Idriss and Boulanger 2008)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3.2.4.1 지진 시 포화 점토와 소성 실트의 거동

지진 시 점토층과 소성 실트(즉 “점성” 지반) 퇴적층에서 지반 파괴도 관찰되어


온 게 사실이지만, 이러한 파괴는 포화 모래와 다른 비점성 지반 퇴적층에서보다는
상당히 덜 보편적이다. 1964년 Alaska의 Prince William Sound 지진 당시 Anchorage
의 Fourth Avenue 슬라이딩이 Bootlegger Cove 점토층에서 발생하였으며 수 미터에
이르는 횡방향 및 연직 방향 변위를 일으킨 바 있다(Idriss 1985). 기타 점토와 소성
실트층에서의 지반 및 기초 파괴 사례도 보고되어 오고 있다.

포화 점토 지반에서 급격한 변형율 증가를 유발시키는 동적 반복하중 가능성은


Fig. 3-8에서 정규압밀 Cloverdale 점토에 대한 반복 삼축시험 결과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다(Zergoun and Vaid 1994). 전반적인 결과는 깨끗한 모래에서 보인 것과 유사
하다. 그러나 응력-변형율 루프는 깨끗한 모래에서 관찰된 것보다 상당히 더 큰 에
너지를 소산시켰다(즉 히스터레틱 루프는 더 넓어졌다). 게다가 점토에 대한 응력-
변형율 루프는 모래에서 일시적으로 ru=100%에 도달한 후에 관찰되는 매우 평평한
중간부(즉 전단 강성이 0인 지점)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형의 응력-변형율 거동은 지진동 동안 심각한 지반 변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
는 많은 경우 모래 지반의 액상화가 지반 변형을 일으킨 부지들에서 관찰된 지반
변위와 구분짓기 어려울 수 있다.

- 33 -
Fig. 3-8. 비배수 반복하중 시험에서 Cloverdale 점토에 대한 응력-변형율 거동과 유효응력 경로
(Zergoun and Vaid 1994)

점토와 소성 실트의 특성은 정적, 동적 강도를 특징화하는 매우 다른 공학적 절


차의 개발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모래와 같은 비점성 지반 특성과는 상당히 다르
다. 따라서 Idriss and Boulanger(2008)는 포화된 모래와 기타 비점성 지반에서 강도
저하와 변형에 연관된 용어를 “액상화(liquefaction)” 로 호칭하고, 반면에 점토와 소
성 실트에서 강도 저하와 변형에 관련된 사항은 “반복 연화(cyclic softening)”라는 용
어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Idriss and Boulanger (2008)는 반복 연화 현상에 대해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논


의하였다: (1) 점토와 소성 실트의 동적 강도 평가, (2) 세립질 지반에서 유사 모래
(sand-like)에서 유사 점토(clay-like) 거동으로의 변화에 대응하는 지반 특성, 그리고
(3) 유사 점토 세립질 지반에서 반복 연화의 결과.

- 34 -
3.2.4.2 CRR 예측

포화 점토의 CRR과 소성 실트는 세가지 다른 접근법을 통해 추정될 수 있다:


- 동적 실내실험으로부터 직접 CRR을 측정하는 방법
- 현장실험 또는 실내실험으로 Su(비배수 전단강도)를 측정하고 그것에 CRR 추정
을 위해 경험적 계수를 곱하는 방법
- 응력이력 프로파일과 정규화된 동적 강도비에 대해 추정한 값에 기초하여 경험
적으로 CRR을 추정하는 방법

우선, 비배수 전단강도 프로파일 적용에 의한 CRR의 경험적 추정식을 이용할 수


있다. Idriss and Boulanger (2008)은 점토에 대한 CRRM=7.5 (규모 7.5에 대한 CRR)를
다음 식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Su
CRRM =7.5 = 0.80 ×
s 'vc
다른 방법으로서 압밀응력 이력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CRR을 추정할
수 있다. 동적 강도는 압밀응력 이력과 연관시키는 경험적 관계와 연동시킴으로서
계산할 수 있다. CRRM=7.5에 대한 결과적 표현식은,

균질한 퇴적 점토(CL 및 CH)에서는 간단히 S = 0.22, m = 0.8을 사용할 수 있으


므로(Ladd 1991), CRRM=7.5는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CRRM =7.5 = 0.18 × OCRm


애터버그 한계 도표에서 A-line 아래에 해당하는 소성 실트와 유기질 지반의 퇴적
토층에 대해 Ladd(1991)는 S값으로 균질한 퇴적 점토층에서 사용했던 0.22보다 상향
된 약 0.25 정도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실트와 유기질 흙, 점토 사이에 다양한 고려
사항들에 대한 CRR의 의존성을 분명히 정의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그
러므로 A-line 아래에 표시되면서 여전히 PI ≥ 7인 실트와 유기질 흙의 CRR은 앞
서 기술한 CL과 CH 지반의 식과 동일한 식들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실트와 점토의 동적 강도, 압밀응력 이력, 그리고 지반 특성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동적 실내실험 데이터의 축적이 필요하다 하겠다.

- 35 -
안전율 및 참조 응력의 선택

지진으로 인한 CSR과 지반의 CRR이 결정되는 참조 응력수준으로서 첨두 응력의


65%를 점성토에 대해서도 선택할 수 있다. 주어진 지진 규모 M에 대한 CRR은,
t peak
CRRM = 0.65 ×
s ' vc

여기서, τpeak는 지진으로 인한 최대 전단응력이다. 이 경우 CRR과 정적, 동적 비


배수 전단강도 사이의 경험적인 관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Su
CRRM = 0.80 × MSF × K a
s ' vc

여기서 MSF는 지진 규모 보정계수이며, Kα는 정적 전단응력 보정계수이다. Kα


=1인 경우, 반복 연화(3% 전단변형율)에 대한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
다.
CRRM
FSg =3% =
CSRM
Su
0.80 MSF
s 'vc
FS g =3% =
t peak
0.65
s 'vc

Su
FS g =3% = 1.23 MSF
t peak

3.2.4.3 세립질 지반에서 유사모래와 유사점토 거동의 점진적 변화

세립질 흙의 거동은 모래에 더 유사한 거동에서 점토에 더 유사한 거동에 이르기


까지 상당히 좁은 애터버그 한계 범위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점진적 변화의 한쪽면에는 주요 관점에서 본질적으로 비소성이면서 모래


와 매우 유사하게 거동하는 세립질 지반이 있다. 이러한 흙은 샘플을 얻기가 어려
우며 시료 교란에 강하게 영향을 받으며, 고유한(unique) 응력 이력으로 정규화된 강
도정수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유사모래 지반의 동적 강도는 현장시험에 기반
한 액상화 상관관계의 틀 내에서 보다 적절히 추정될 수 있다.

점진적 거동변화의 다른쪽 면에는 보다 쉽게 시료를 얻을 수 있고, 시료 교란의


영향을 덜 받으며, 응력 이력으로 정규화된 강도 물성값들을 나타내는 점토와 소성
실트가 존재한다. 이러한 흙의 동적 강도는 현장시험, 실내시험, 그리고 그러한 흙

- 36 -
의 정적 비배수 전단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절차에 기초하거나 그와 유사
한 경험적 상관관계에서 얻는 정보를 토대로 보다 적절히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모래에서 유사점토 거동으로의 점진적 변화는 지진 시 거동을 평가하


기에 가장 적합한 공학적 절차 유형에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는다. 세립질 지반에서
유사모래와 유사점토 사이의 거동 변화는 의심할 여지없이 애터버그 한계의 좁은
범위에 걸쳐 일어나는데, 이는 실제 흙의 거동이 소성도 (또는 점토 성분)의 증가와
함께 부드럽게 점진적으로 변화할 것이기 때문이며, 또한 애터버그 한계와 같은 단
순한 지수 시험으로는 흙의 복잡한 응력-변형율 특성을 온전하게 연관지을 수 없기
때문에도 그러하다. Fig. 3-9에는 이러한 점진적 변화를 도식적으로 나타냈는데, 이
는 PI가 약 3에서 8까지 증가하는 동안 흙의 동적 강도가 어떻게 합리적으로 변화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Fig. 3-9. 유사모래에서 유사점토까지의 거동을 보여주는 도표와 거동변화에 있어 실무 추천 가이드라인


(Idriss and Boulanger 2008)

Idriss and Boulanger (2008)는 실무에서는 세립질 지반의 경우 PI ≥ 7 일 때 유사


점토 거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합리적인 예측을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 기준은 정
의에 의해 모든 CL 지반을 포함하며, 유사모래 혹은 유사점토 변화 간격을 다소 보
수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해 준다. 만약 지반이 CL-ML로 도시된다면, 이 때 PI 기
준은 1-2 정도 감소할 수 있으나 여전히 Fig. 3-9의 데이터와 일치한다. 이러한 흙의
동적 강도는 현장시험, 실내시험, 그리고 그러한 흙의 정적 비배수 전단강도를 평가
하기 위해 만들어진 절차에 기초하거나 그와 유사한 경험적 상관관계에서 얻는 정
보를 토대로 추정하여야 한다.

상기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세립질 지반은 상세한 현장시험 또는 실내시험을 통


해 규명되지 않는 한, 유사모래 거동(즉 액상화 가능한 지반)을 나타낼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반의 동적 강도는 현재 현장시험에 기초한 액상화 상관관계
의 틀 안에서 추정되어야만 한다.

- 37 -
PI 값이 3 – 6인 세립질 지반의 경우 동일한 SPT 또는 CPT 관입 저항력에서 비
소성의 세립질 지반에 대한 동적 강도보다 더 큰 동적 강도를 지닌 중간토 거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소성 실트와 점토질 실트의 실내실험
은 기존의 액상화 상관관계에 전적으로 의지하여 얻을 수 없는 상당한 장점들을 제
공할 것이다. 따라서 위 기준은 지반의 불균질성, 지진 위험도의 수준, 그리고 기타
프로젝트 고유의 조건들을 함께 고려하는 보다 상세한 실내실험을 통해 부수적으로
가능한 잇점들을 평가할 수 있으며, 그 후에 합리적인 검토(screening) 지침으로 활
용할 수 있다.

3.2.5 결언

본 절에서는 지반의 액상화 연구에 있어 해외에서 최근 중점적인 논의와 연구가


진행중인 동향을 Idriss and Boulanger (2008)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별히 액
상화 후 잔류 전단강도와 SPT N치로 대표되는 관입저항력과의 관계들에 대해 고찰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사면의 안전성과 변형에 관련된 흐름파괴와 측방유동에 미치
는 영향을 언급하였다. 또한 사질토의 상대밀도에 관계없이 심각한 전단변형율과
강도손실을 유발할 수 있는 간극 재배열 현상의 메커니즘과 증거, 실험적 연구 노
력에 대해서도 요약,제시하였다. 또한 고소성의 점성지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복
연화 거동과 중간토에 있어서 동적 강도(CRR)를 산정하는 방법과 유사모래 및 유사
점토 거동을 구분하는 절차 등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지반 액상화에 대한 평가는 내진설계와 내진성능평가에 있어 구조물의 종류와 상


관없이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절차이므로, 향후 평가방법의 발전과 관련 기술
자들의 이해 증진을 위해 부족하나마 최신 연구 동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최근
내진성능 강화 추세와 더불어 내진분야 연구 다변화를 기대해 본다.

3.3 SPT 기반의 지반 액상화 평가 절차

3.3.1 기본방향

지반 액상화는 내진설계 또는 내진성능평가에 있어 구조물 또는 시설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고려하는 항목이다. 국내의 지반 액상화 평가는 Seed and
Idriss (1971) 간편법으로 불리우는 반경험적 방법과 상세평가 단계에서 반복 삼축시
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 가운데 Seed and Idriss 간편법은 미국을

- 38 -
중심으로 많은 기술적 진전이 있어 왔고, 또한 반복 삼축시험뿐만 아니라 수평방향
의 지진력 모사를 보다 현실성있게 수행할 수 있는 반복 단순전단시험(cyclic direct
simple shear)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하여 K-water의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정편에서는 기존의 지반 액상화 평가 방법과 별도
로 예비평가 후 Idriss and Boulanger (2008) 본 평가 방법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
다.

따라서 Idriss and Boulanger (2008)가 집필한 지반 액상화에 대한 Monograph 내용


을 중심으로 주요 용어 정의와 개념을 요약하고 액상화 유발의 평가와 액상화로 인
한 재압밀 침하량 산정방법에 대해 기술적 발전내용과 더불어 예제를 겸하여 제시
함으로서 새로운 절차에 대한 개념과 이해를 돕고자 한다.

3.3.2 지반 액상화 예비평가

액상화 예비평가는 수집한 관련자료에 근거하여 지반의 액상화 가능성에 대해 개


괄적으로 판단하고 액상화 가능성이 거의 없을 경우에는 액상화 평가를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즉, 다음 경우에는 액상화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보고 액상화 평가를
생략한다.
(1) 지하수위 상부 지반
(2) 주상도상의 표준관입저항치(N)가 20 이상인 지반
(3) 지반심도가 20m 이상인 지반
(4) 소성지수(PI)가 10이상이고 점토성분이 20%이상인 지반
(5) 세립토 함유량이 35%이상인 경우
(6) 상대밀도가 80% 이상인 지반
(7) 대상 지반의 입도분포곡선으로부터 액상화가 발생 가능한 입도분포 영역 외에
분포 하는 경우
(8) 지진구역 Ⅱ에서의 내진 2등급 구조물
(9) 기타, 경제성을 위해서 내진 2등급 구조물에서는 전문가와 상의 후에 액상화
평가를 생략할 수 있다.

3.3.3 CSR과 CRR

3.3.3.1 개념적 이해

반복 전단응력비로 번역할 수 있는 CSR(cyclic shear stress ratio)은 일정 반복 전


단응력을 초기 유효 구속응력으로 나눈 값이다. 진동대 시험이나 단순 전단시험
(simple shear test)에 대한 CSR은 수평면에 작용하는 반복 전단응력(τcyc)을 연직 유

- 39 -
효 압밀응력(σ’vc)으로 나누어 줌으로서 정의된다. 반면에 등방 압밀된 반복삼축시
험에 대한 CSR은 최대 반복 전단응력 (qcyc/2)을 등방 압밀응력(σ’3c)으로 나눈 값으
로 정의된다. 즉 CSR은 가해진 동적 하중을 의미한다.
t cyc qcyc / 2
CSR = =
s 'vc s ' 3c
반복 저항응력비로 칭하는 CRR(cyclic resistance ratio)은 주어진 하중 재하 횟수에
서 액상화에 도달하는 데에 필요한 CSR 값으로 정의한다. CRR은 일종의 저항능력
이다. CRR은 지반의 물성으로서 예를 들어 3.5%의 전단 변형율을 발생시키기 위한
CSR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CRR은 사이클 횟수, N의 명시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

실내실험을 통한 CRR의 계산은 다음 예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


대밀도 50%에서 Ko 압밀된 포화 모래 시료에 대한 비배수 반복 단순전단시험을 수
행한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때 가해진 반복하중은 일정한 정현파의 전단 하중이라
할 때, 세가지 다른 초기 연직 유효 압밀응력에서 얻어진 시험 성과는 Fig. 3-10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이 경우 15회의 비배수 일정 하중 사이클 횟수에서 간극수압
계수, ru = 100%를 유발하는 데에 필요한 CSR은 압밀하중 40, 160, 600kPa에 대해
각각 0.147, 0.132, 0.112가 될 것이다(Fig. 3-10).
0.300
σvc′ = 40 kPa σvc′ = 160 kPa σvc′ = 600 kPa

0.250

0.200

0.147
CSR

0.150
0.132
0.100 0.112

0.050

0.000
Fig. 3-10. 15회의 비배수 사이클 횟수에서 ru = 100%에 필요한 반복 전단응력(CSR)의 추정

따라서 15회의 비배수 하중 사이클에서의 CRR 값은 유효 압밀응력에 따라 다음


Fig. 3-11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초기 연직 압밀응력 450 kPa
를 갖는 시료의 15회 비배수 하중 사이클에서의 CRR 값은 0.118이 될 것이다(Fig.
3-11). 또한 15회의 사이클에서 액상화를 유발하는 반복 응력은
0.118 ´ 450 = 53.1kPa 로 계산할 수 있다.

- 40 -
0.16

0.15
CRR in 15 loading cycles 0.14

0.13
0.118
0.12

0.11

0.1

0.09

0.08
450
0 100 200 300 400 500 600

Fig. 3-11. 유효 압밀응력과 CRR과의 관계 곡선 예시

CRR 값은 상대밀도와 구속압, 응력 상태, 변형율 이력 효과, OCR, 그리고 토립자


의 배열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만약 등방압밀 조건(Ko = 1)에서의 CRR 값을 알고 있다면, 비등방 압밀된(Ko ≠


1) 시료에 대한 CRR 값은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æ1 + 2Ko ö
CRRK ¹1 = ç ÷ × CRRK =1
è 3 ø
o o

또한 삼축시험으로부터 CRR을 구하였다면, 단순 전단시험에서의 CRR은 다음 식


으로 유추할 수 있다.

æ 1 + 2( K o ) SS ö
CRRSS = ç ÷ × CRRTX
è 3 ø
정규압밀 모래에서는 Ko이 0.45 ~ 0.50에 해당하므로, CRRSS = (0.63 ~ 0.67)
CRRTX 가 된다.

그런데 실제 현장에서의 CRR은 실내실험 조건과 다르므로, ICU(Isotropically


consolidated undrained) 반복삼축시험이나 단순전단시험에서 측정한 CRR로부터 현장
에서의 CRR 값을 계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의 CRR은 2방향
의 단순전단 하중으로서 가장 잘 근사화될 수 있다. 현장에서와 같이 두 번째 방향
의 반복하중을 더하는 것은 수평 지반 조건에 대해 약 10 ~ 15% 정도 CRR을 감소
시킨다. 따라서 한쪽 방향으로의 반복 단순전단시험에서의 CRR 값은 현장 조건을
표현하기 위해서 약 10% 정도 감소시켜야 한다. 따라서 실내실험에서 얻은 CRR 값
을 현장 조건으로 전환해 주기 위해서는 다음 관계식을 이용할 수 있다.

- 41 -
æ 1 + 2( K o ) field ö
CRR field = 0.9 ´ CRRSS = 0.9 × çç ÷÷ × CRRTX
è 3 ø
æ 1 + 2( K o ) field ö
CRR field = 0.9 × çç ÷÷ × CRRSS
è 1 + 2( K o ) SS ø

3.3.3.2 구속압 의존성과 사면 경사의 영향

CRR을 실제 현장조건을 고려하여 액상화 평가에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두 가지


추가적인 개념의 이해를 필요로 한다. 그 하나는 CRR의 구속압 의존성이며, 또 하
나는 사면경사의 영향이다. CRR의 구속압 의존성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상재압 보
정계수, Kσ를 도입할 수 있으며, 사면경사의 영향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정적 전단
응력 보정계수, Kα를 도입할 수 있다.

상재압 보정계수, Kσ는 Seed(1983)가 소개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CRRs '=s '
Ks =
CRRs '= Pa
여기서, Pa = 1은 대기압, 즉 101 kPa에 상당하는 압력을 의미한다. Kσ는 CRR의
압밀응력에 대한 의존성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물리적 의미로는 매우 깊은 토층에
서의 지반은 높은 구속압을 갖게 되므로, 보다 수축하려는 거동 경향을 보이게 된
다. 따라서 지하수위로 포화되어 있을 때, 지진동에 의해 ‘정’의 과잉간극수압이 축
적되므로 보다 액상화가 발생하기 용이한 조건을 형성하게 되어, CRR에 대한 일종
의 감소 계수를 Kσ로 적용하는 것이다.

정적 전단응력 보정계수, Kα는 다음과 같이 어떠한 α값을 갖는 동적 강도를 α


= 0일 때의 동적 강도로 나누어준 계수로 정의되며, 여기서 α는 정적 전단응력비
로서,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CRRa =a ts
Ka = a=
CRRa =0 , s 'vc
만약, α = 0이면 정적 전단응력이 초기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수평지반임을
의미한다. 정적 전단응력의 존재(경사진 사면)는 과잉간극수압의 발현과 잔류 간극
수압(동적인 하중이 멈춘 후 남아있는 간극수압)의 크기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Kα
는 CRR에 대한 초기 정적 전단응력비(α)의 영향을 나타내는 계수이다. 임계 ru ( =
Δue / σ’3c)는 α가 증가할수록 감소하게 된다. 즉, 경사진 지반에서는 간극수압이
수평지반보다 적어지게 되며, 간극수압 역시 100% (ru ≠ 1)로 올라가지 않게 된다.

- 42 -
3.3.4 SPT 기반의 액상화 유발 평가

본래 Seed and Idriss의 반경험식 또는 간편법으로 알려진 액상화 평가법은 SPT와


CPT로 대표되는 관입저항력으로부터 CRR을 구하고 가해진 하중인 CSR과의 비교
를 통해 액상화가 발생할 것인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Idriss and
Boulanger (2008)는 그간의 지반 액상화 연구를 발전시키고 다양한 학문적 진전들을
추가하여, 개정된 반경험식 또는 간편법을 제시하였다. 본 고에서는 Idriss and
Boulanger (2008)의 액상화 평가 반경험식을 수식과 도표로 함께 소개하고자 하였으
며, 예제를 함께 수록하여 실제 엔지니어들의 평가를 돕고자 하였다. 본래 관입저항
력은 SPT와 CPT의 두 가지 방법 모두에 대해 액상화 평가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본 고에서는 지면 관계 상 SPT에 대한 액상화 평가법만을 소개하였다.

3.3.4.1 액상화 평가를 위한 CSR

액상화 유발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해진 동적 하중 항인 CSR 값을 파악해


야 한다. CSR은 다음과 같이 지반이 강체가 아닌 변형체임을 감안하여 고안된 응력
감소계수(rd)를 도입함으로서 수식 또는 도표(Fig. 3-1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즉 변
형체에서의 최대 전단응력은 강체에서의 최대 전단응력보다 작은 값을 보일 것이므
로,
(t max ) d = rd ´ (t max ) r
(t max ) defomable
rd =
(t max ) rigid

여기서, (t max ) d : 실제 변형체에서의 최대 전단응력

a max a
(t max ) r = s v = g z max
g g : 강체의 저면에서 최대 전단응력으로서 강체

의 질량에 최대 수평 지표 가속도, a max 를 곱해 줌으로서 얻어짐

- 43 -
여기서 rd 는 응력 저감계수이며, 다음 식 또는 도표로 구할 수 있다.

rd = ea ( z )+ b ( z ) M for z £ 34m

æ z ö
a ( z) = -1.012 - 1.126 sin ç + 5.133 ÷
è 11.73 ø
æ z ö
b ( z ) = 0.106 + 0.118 sin ç + 5.142 ÷
è 11.28 ø
rd = 0.12 ´ e 0.22 M for z > 34m

Fig. 3-12. 깊이와 지진 규모에 따른 응력 감소계수(rd)의 변화 (Idriss 1999).

여기서 몇 가지 물리적 의미를 고찰해보면, 얕은 토층일수록 rd 값이 1에 가까워


지는데, 이는 깊이가 증가할수록 전단응력은 강체에서의 전단응력에 비해 상대적으
로 더 감소함을 의미한다. 또한 지진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rd 는 1에 다가가는데, 이
는 보다 큰 지진에서 rd 는 덜 영향 받게 됨을 의미한다. 이론적으로 낮은 N치를 갖
는 깊은 심도의 토층은 높은 구속압과 느슨측(loose of critical)에 속하였다는 점에서,
수축성의 경향을 보이고, 지진 발생시 상부보다 쉽게 액상화가 일어날 수 있게 된
다.

CSR의 산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는 해당 부지에서의 최대 가속도


값을 추출하는 것이다. 국내의 경우 계기 지진 기록이 미약하여 산정에 어려움이
있지만, 미국 캘리포니아의 경우에는 지진학자들에 의해 정립되고 개선된 감쇠 관
계식 또는 도표로부터 평가 대상 부지에서의 최대 가속도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아

- 44 -
래 Fig. 3-13 및 Fig.3-14는 PEER(Pacif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에서
업데이트한 2008 NGA (Next Generation Attenuation Model 2008) 지반운동 예측 식
이전과 이후의 감쇠 관계식 사례이다.

PEER의 NGA 프로그램은 http://peer.berkeley.edu/peer_ground_motion_database 웹사


이트를 통해 무료로 배포되고 있으며, 이전의 감쇠 곡선에 비해 이 모델의 적용 기
반은 지진 규모 5 - 8.5, 거리 0 - 200km, 스펙트럴 주기 0 - 10초의 경우에 해당한
다. 토사와 암반 지반이라는 부지 범주를 대신하여, 부지 특성은 상부 30m 토층의
평균 전단파속도(VS30)와 공학적으로 암반까지의 깊이(VS=1000 m/s까지의 깊이)를 사
용한다.

Fig. 3-13. 지진 규모 M과 거리, 단층 유형이 주어진 경우 감쇠 관계로부터 a max 구하는 도표


(Abrahamson and Silva 1997)

- 45 -
Fig. 3-14. 다양한 학자에 의한 PEER-NGA 스펙트럼
(http://peer.berkeley.edu/peer_ground_motion_database/site)

결론적으로 지진동으로 인한 전단응력비 (CSR; cyclic stress ratio)는 임의 규모와


구속압에서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Seed and Idriss, 1971).
t max s a
CSRM ,s 'vc = 0.65 = 0.65 vc max rd
s 'vc s ' vc g

또는 전단응력비를 규모 7.5의 참조 수준과 표준 구속압, 100kPa로 보정한 CSR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계산식은 지진 규모 보정계수, MSF(magnitude scaling
factor)를 도입하여 다음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1 1 1
CSR M =7.5,s 'vc =1 = CSR M ,s 'vc
MSF K s K a

3.3.4.2 액상화 평가를 위한 CRR

액상화 유발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CRR 값은 해당 토층의 관입저항력의 합리적


산정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대표적인 관입저항력으로서는 SPT(Standard
Penetration Test)의 N 치를 들 수 있다.

액상화 분석을 위해 SPT를 만족스럽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험기기와 절차를


ASTM D-6066 표준과 일치시키는 것이 좋다. 국내에서는 대부분 액상화 평가용으로
SPT를 적용하는 경우가 흔하지 않으므로 측정한 N치 자체 또는 에너지 효율을 고
려함으로서 얻어지는 N60 값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Table 3-1에

- 46 -
서 요약한 바와 같이 액상화 평가를 위해 Seed et al. (1985)이 추천한 절차상의 특
징들을 고려한 시험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Table 3-1. 액상화 평가를 위한 SPT 절차의 추천 특징들 (Seed et al. 1985).
특징 설명
시추공(borehole) 안정을 위해 드릴링 머드와 함께 4-5인치 직경의 로타리 시추공
작업; 드릴링 머드는 충분히 두껍게 유지되어야 하며, 시추공은
항상 온전해야 한다. 부압(suction)을 피하기 위해 시추공에서
로드를 끌어올릴 때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드릴 비트 드릴링 머드의 상향 처짐(deflection) (예. Tricone 또는 baffled
drag bit)
샘플러 외경 = 2인치
내경 = 1.38인치 (일정함; 즉 배럴에 라이너 공간이 없음; no
room for liners in barrel)
드릴 로드 심도 < 50 ft에 대해 A 또는 AW
보다 깊은 심도는 N, BW 또는 NW
샘플러에 전달되는 에너지 2,520 in-lb. (즉 30인치 낙하에 이론적 최대 140파운드의 60%)
타격 속도 분당 30 – 40 타격
관입 저항력 측정 지반에 6 - 18인치 관입에 대한 측정

가장 중요한 변수들 중에 하나는 각각의 SPT 해머 타격시 드릴 로드 스템(drill


rod stem)에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이다. 전달되는 에너지의 범위는 장비의 종류와
운영 조건에 따른 마찰과 기계적 저항력에 있어 손실되는 에너지 양에 의존하여 이
론적인 최대 에너지(140파운드의 해머 무게에 30인치의 낙하 높이를 곱한 값)의 30
– 90%가 될 수 있다. N 값은 전달되는 에너지에 필연적으로 반비례한다
(Schmertmann and Palacios 1979). Seed et al. (1984)은 N60를 표준으로서 추천하였다.
N60값은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
     


여기서 Nm은 측정된 타격 횟수이며, ERm은 측정된 전달되는 에너지 비를 %단위


로 표시한 값이며, N60은 에너지 비 60%에 대한 타격 횟수이다. ERm/60 비는 또한
에너지 비 보정 계수, CE로 참조되기도 한다. 에너지 비는 신뢰할만한 N60값을 얻는
데에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에너지 비를 항상 액상화 평가의 일
부분으로서 측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보다 표준화된 N60값을 얻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보정 계수들이 필요할 수 있다


(Table 3-2). 결과적인 관계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여기서 CE는 위에서 설명한 에너지 비 보정 계수이며, CB는 시추공 직경에 대한


보정 계수, CR은 로드 길이에 대한 보정 계수이며, CS는 라이너 없이 사용되지만 라
이너 공간을 가진 샘플러에 대한 보정 계수이다. 각각의 계수에 대한 추천 값의 범
위는 아래 표에 명시하고 있다.

- 47 -
Table 3-2. SPT N 치 표준화를 위한 보정계수들 (Idriss and Boulanger 2008)
계수 설명
에너지 비 전달되는 에너지 비를 결정하기 위해 또는 사용되는 특정 장비를 보정하기 위해
에너지의 측정이 필요하다. 보정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  

여기서 ERm은 이론적 최대값의 % 로 표현되는 측정된 에너지 비이다.
(로드 길이가 10m 또는 그 이상인 경우) 경험적인 CE 추정값은 상당한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범위를 갖는다.
도넛 해머 CE=0.5-1.0
안전 해머(safety hammer) CE=0.7-1.2
자동 트립해머(triphammer) C E=0.8-1.3
(Seed et al. 1984, Skempton 1986, NCEER 1997)
시추공 시추공 직경 65-115mm C B=1.0
직경 시추공 직경 150mm CB=1.05
시추공 직경 200mm CB=1.15
(Skempton 1986)
로드 길이 여기서 ERm은 로드 길이 10m 또는 그 이상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한 값이며, 실제
전달되는 에너지는 보다 짧은 로드 길이가 사용된다면 추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Youd et al. (2001)에 의해 추천하는 값들은 다음과 같다.
로드 길이 < 3m CR=0.75
로드 길이 3-4m C R=0.80
로드 길이 4-6m C R=0.85
로드 길이 6-10m C R=0.95
로드 길이 10-30m C R=1.00
샘플러 라이너 공간이 없는 표준 스플릿 스푼 (내경이 일정하게 1⅜ 인치)인 경우, CS=1.0.
라이너를 위한 공간이 있지만 라이너는 없는 스플릿 스푼 샘플러의 경우 (이 경우
드라이빙 슈(driving shoe) 뒤로 내경이 1½ 인치까지 증가한다):

(Seed et al. 1984로부터, 수식은 Seed et al. 2001에서)

다양한 보정을 한 후에 SPT N60값은 유효 상재 응력과 모래의 상대밀도, 그리고


다른 특성들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 결과적으로 유효 상재 응력에 대한 N 값의 추
가적인 보정을 요구한다. 관입 저항력은 만약 연직 유효응력이 1 atm (101 kPa)이었
다면 동일한 모래에서 얻어졌을 등가의 값에 연관지을 수 있다. 상재압 보정 관입
저항력(overburden corrected penetration resistances), (N1)60는 깨끗한 모래의 경우 상재
압 보정계수(overburden correction factor), CN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   

- 48 -
여기서 참고로 상대밀도와 관입 저항력의 경험적 관계식은 다음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 N 1 ) 60
Dr = ( N 1 ) 60 = 46 × Dr 2
46

CN의 개념은 직접적으로 Fig. 3-15과 같은 실험적 결과로부터 얻어지는데, 이로부


터 각각의 σ’v에 대한 CN값들은 σ’v=1atm에서 얻어진 관입 저항력을 σ’v≠1atm의
동일한 모래에서 얻은 관입 저항력으로 나누어 줌으로서 결정된다. 그 결과 (N1)60
값들은 연직 유효응력과 독립적인 값이 되며, 그 값들은 동일한 부지 내에서 또는
한 부지와 다른 부지에서의 값을 보다 합리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모래 물성과 상
대밀도의 지수로서 활용할 수 있다. 결국 CN을 결정하기 위한 다음 표현식을 얻게
된다.
0.784 -0.0768 ( N1 ) 60 CS
æ P ö
C N = çç a ÷÷ £ 1. 7
Pa = 101kPa, g w = 9.81kPa
è s ' vc ø

여기서,      이고, 순환참조에 의해 CN 값은 위 식 또는 아래 그래프를


통해 구할 수 있다.

Fig. 3-15. 상재응력 보정 정규화 계수 (Idriss and Boulanger 2008)

그런데, 상당수의 사질토 지반은 깨끗한 모래 또는 명백한 모래로 구성되기보다는


실트질이 포함된 액상화 가능한 모래층도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편이나, 현재의 평가에 있어서 실트질 모래 지반에 대해서는 아래 식 또는 Fig.
3-16에 의해 SPT 관입 저항력을 등가의 깨끗한 모래에서의 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 49 -
( N1 ) 60CS = ( N1 ) 60 + D ( N1 ) 60

æ 2ö
ç 1.63+ 9.7 - æç 15.7 ö÷ ÷
ç FC + 0.1 è FC + 0.1 ø ÷ø
세립분에 대한 보정은, D ( N 1 ) 60 = e è

여기서, FC 는 % 단위이다.

Fig. 3-16. 세립분에 대한 Δ(N1)60

또한 지진 에너지의 세기를 나타내는 지진 규모는 매우 다양하므로, CRR은 지진


규모 M과 직접적으로 연관지을 수 있는 하중 사이클 횟수의 영향을 받게 된다(Seed
et al. 1975). 이 때문에 Fig. 3-17과 같이 지진 규모 보정 계수(MSF; magnitude
scaling factor)를 도입하여, CSR 또는 CRR을 규모 7.5에 대한 값으로 보정하기도 한
다. 이 때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M
CRRM
MSF = = 6.9 ´ e 4
- 0.058 £ 1.8
CRR M = 7.5 (Idriss, 1999)

만약 지진 규모, M = 7.5인 경우, MSF = 1이 된다.

Fig. 3-17. 다양한 학자들에 의한 Magnitude scaling factor

- 50 -
CSR 또는 CRR 계산에 있어 상재압 보정계수, K s 는 다음과 같은 식 또는 Fig.
3-18을 통해 적용이 가능하다.
æs ' ö
K s = 1 - Cs lnçç vo ÷÷ £ 1.0
è Pa ø
1
Cs =
18.9 - 2.55 ( N 1 ) 60CS for ( N 1 ) 60 £ 37

Fig. 3-18. Kσ 관계곡선

또한 정적 전단응력 보정계수, K a 는 재성형된 모래에 대한 실험적 결과로부터


유도된 다음과 같은 관계식 또는 Fig. 3-19을 이용하여 표현 가능하다.
æ -x R ö
ç ÷
Ka = a + b × e è c ø

a = 1267 + 636a 2 - 634ea - 632e -a


2
b = e -1.11+12.3a +1.31×ln(a +0.0001)

c = 0.138 + 0.126a + 2.52a 3


ts
a =
s ' vc
1 ( N1 ) 60
xR = -
æ 100(1 + 2 K o )s ' vo ö 46
Q - ln çç ÷÷
è 3 Pa ø
a £ 0.35, - 0.6 £ x R £ 0.1

- 51 -
Fig. 3-19. 유효 상재응력 1기압 및 4기압에서 관입저항력 별 Kα의 변화

실제 액상화 유발 여부를 각 현장 사례들로부터 수집하여 정립하기 위해서는 각


각의 사례들이 보정될 수 있는 어떠한 표준 참조 조건을 채택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를 위해 Idriss and Boulanger (2008)는 M = 7.5, σ’vc = 1 atm의 참조 조건을 선택
하였다. 깨끗한 모래의 경우, 다음 식 또는 Fig. 3-20로 구분할 수 있다.
ìï ( N 1 ) 60 CS æ ( N 1 ) 60 CS ö 2 æ ( N 1 ) 60 CS ö 3 æ ( N 1 ) 60 CS ö 4 üï
í +ç ÷ -ç ÷ +ç ÷ - 2 .8 ý
ïî 14.1 è 126 ø è 23.6 ø è 25.4 ø ïþ
CRRM = 7.5,s ' VC =1atm =e

Fig. 3-20. M = 7½ and σ’vo = 1 atm (≈ 1 tsf)인 경우 깨끗한 모래에 대한 CRR과 (N1)60 관계곡선.
두꺼운 선이 CRRM=7.5,σ’vc=1atm에 대한 경계선임

- 52 -
위의 CRR 관계식은 다른 지진 규모와 유효 상재응력에 대해서까지 다음 식을 이
용해 확장할 수 있다.

CRRM ,s ' VC
= CRRM = 7.5,s ' VC =1atm ´ MSF ´ Ks ´ Ka

3.3.4.3 액상화 유발 안전율 평가

해당 지반에 대해 지진시 액상화가 개시될 것인가에 대한 안전율은 사질토의


CRR과 CSR의 비로서 계산할 수 있으며, 다음 식과 같은 형태가 될 것이다.
CRRM ,s ' CRRM =7.5,s ' =1atm
FSliquefaction = VC
or FSliq = VC

CSRM ,s '
VC
CSRM =7.5,s '
VC =1atm

3.3.5 액상화로 인한 측방유동 변위 및 액상화 후 재압밀 침하

액상화가 발생하면 측방유동(lateral spreading)에 의한 지반의 변형과 함께, 액상화


후 재압밀에 의한 침하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고에서는 이에 대한 Idriss and
Boulanger (2008)가 정리한 반경험식도 함께 수록하였다.

3.3.5.1 측방유동 변위

액상화로 인한 측방유동 변위를 산정하기에 앞서 전단 변형율이 주어진 지반 조


건에서 얼마만큼까지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즉 임계 전단 변

형율(limiting shear strain, g lim )은 Fig. 3-21에서와 같이 음영으로 걸쳐진 영역의 중


간 범위 정도로 근사화될 수 있으며,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  ≤  인 경우, lim   ×   
   

- 53 -
Fig. 3-21. M=7½ and σvc' = 1 atm인깨끗한모래에대한 SPT 기반의액상화상관관계와예상되는전단변형율
(Idriss and Boulanger 2008)

여기에서 음미할 만한 현상은 (N1)60CS 값이 높을수록 어떠한 최대 전단 변형율을


일으키기 위한 CSR은 증가한다는 점이다.

최대 전단 변형율과 액상화에 대한 안전율 사이의 관계는 다음 식에 의해 합리적


으로 근사화될 수 있다.

g max = 0 if FS liquefaction ³ 2
g max = g lim if FS liquefaction £ A
g max = min( B, g lim ) if A £ FS liquefaction £ 2

A = 0.535 + 0.398 max(5.6, ( N 1 ) 60 CS ) - 0.0924 ´ max(5.6, ( N 1 ) 60 CS )

æ 2 - FS liquefaction ö
B = 0.035(1 - A)ç ÷
ç FS liquefaction - A ÷
è ø

- 54 -
액상화 시 측방유동에 의한 변위는 최대 전단 변형율을 깊이에 대해 적분함으로
서 계산될 수 있다. Zhang and Robertson (2004)은 잠재적인 최대 변위량을 표현하는
항으로서 “측방 변위지수(lateral displacement index; LDI)”를 제시한 바 있으며, LDI
값의 계산은 다음과 같다.
Z max
LDI = ò g max × dz = å g max,i ´ hi
0

3.3.5.2 지표 침하량

한편 액상화 후 재압밀에 의한 체적 변형율은 대부분 실내실험 연구로부터 유도


된 관계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Figs. 3-22 ~ 3-24).

æ g ö
e v = 0.114 ´ e - 0.354 ( N1 ) 60CS
´ minç1.0, max ÷
è 0.08 ø

Fig. 3-22. 깨끗한 모래에 대한 비배수 반복하중 시험 시 최대 전단 변형율과 액상화 후 체적 변형율과의 관계


(Ishihara and Yoshimine 1992)

- 55 -
Fig. 3-23. 서로 다른 상대밀도 별 깨끗한 모래에 대한 액상화 유발 안전율과 액상화 후 체적 변형율과의 관계
(Ishihara and Yoshimine 1992)

Fig. 3-24. M=7½ and σvc' = 1 atm의깨끗한모래에대한 SPT 기반의액상화상관관계와재압밀시체적변형율의변화


(Idriss and Boulanger 2008)

- 56 -
일차원적 재압밀(횡방향 유동 변위가 없는 경우)에 대한 지표면 침하량은 연직
변형율을 체적 변형율까지 적분해줌으로서(1D 재압밀에 적절하게) 계산할 수 있으
며, 수치해석적으로는 연직 변형율을 깊이에 대해 적분함으로서 얻어진다.
Z max
SV -1D = ò e v dz = å e v ,i ´ hi
0

3.3.6 SPT 기반의 액상화 평가 사례

마지막으로 위에서 설명한 Idriss and Boulanger(2008)의 향상된 SPT 기반의 액상


화 평가법을 간단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본 예제는 해당 부지에서 지진
규모 6.9의 지진에 의하여 최대 지반가속도 0.28g의 값이 예상되는 경우를 가정하였
다. 지하수위는 지표 하 1.5m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하수위 상부 토층의 단위중량은
19 kN/m3, 지하수위 하부 토층의 단위중량은 20 kN/m3이며, 통일분류법에 의한 지
반분류는 아래와 같이 사질토 중심의 지반이다. 그 외 지반 조건은 Table 3-3와 같
다고 할 때, 액상화에 대한 안전율과 LDI, 재압밀 침하량은 Table 3-4와 3-5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에 대한 계산 결과 그래프는 Fig. 3-25과 같이 얻어질 수
있다.

Table 3-3. SPT 기반 액상화 유발 평가

입력변수
최대 지반 가속도(g) = 0.28
지진 규모, M = 6.9
지하수위 심도 (m) = 1.5
시추공 직경(mm) = 100
지하수위 상부 평균 γ (kN/㎥) = 19
지하수위 하부 평균γ (kN/㎥) = 20
샘플러 아리너에 대한 보정 필요성(Yes/No) No

- 57 -
에너지
SPT 심도 점토일 경우 세립분
측정 N 치 지반분류 효율 비,
샘플 no. (m) 표기 (%)
ER(%)
1 4.88 13 SP 1 75
2 5.64 10 SP 1 75
3 6.40 10 SP 1 75
4 7.16 5 SP 1 75
5 7.92 7 SM 24 75
6 8.69 5 SM 24 75
7 9.45 6 SM 25 75

Table 3-4. 액상화 유발 안전율 평가 예제

Table 3-5. 액상화로 인한 측방유동 변위 및 재압밀 침하량 산정 예제

- 58 -
(a) (b)
Blows/ft CSR & CRR
0 10 20 30 40 0.0 0.1 0.2 0.3 0.4
0 0

CSR CRR
2 2

4 4
Depth (m)

Depth (m)
6 6

8 8
N60 (N1)60

(c) (d)
Factor of Safety for Liquefaction Max. shear strain
0.0 0.5 1.0 1.5
0.0 0.2 0.4 0.6 0.8
0
0

2
2

4
Depth (m)

4
Depth (m)

6 6

8 8

(e) (f)
1-D vertical reconsolidation strain
2.5
0.00 0.02 0.04 0.06 0.08
0
2.0
2
1.5
LDI (m)
Depth (m)

4
1.0
6

0.5
8

0.0
Fig. 3-25. 예제 액상화 평가 사례. (a) 측정 N치 및 보정 N치, (b) CSR 및 CRR, (c) 액상화 안전율,
(d) 전단 변형율 분포, (e) 재압밀 변형율 분포, (f) PGA에 따른 LDI 민감도 분석

- 59 -
3.4 결론

지반 액상화는 내진설계 또는 내진성능평가에 있어 구조물 또는 시설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고려하는 항목이다. 본 장에서는 지반의 액상화 연구에 있어
해외에서 최근 중점적인 논의와 연구가 진행중인 동향을 살펴보았다. 특별히 액상
화 후 잔류 전단강도와 SPT N치로 대표되는 관입저항력과의 관계들에 대해 고찰하
였으며, 결과적으로 사면의 안전성과 변형에 관련된 흐름파괴와 측방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다. 또한 사질토의 상대밀도에 관계없이 심각한 전단변형율과 강도
손실을 유발할 수 있는 간극 재배열 현상의 메커니즘과 증거, 실험적 연구 노력에
대해서도 요약,제시하였다. 또한 고소성의 점성지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복 연화
거동과 중간토에 있어서 동적 강도(CRR)를 산정하는 방법과 유사모래 및 유사점토
거동을 구분하는 절차 등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현행 국내의 지반 액상화 평가는 예비평가를 통해 액상화 평가 대상 지반을 선별


한 후 Seed and Idriss (1971) 간편예측법으로 불리우는 반경험적 방법(안전율 기준
1.5)과 액상화 상세예측법으로 반복 삼축시험을 이용하는 방법(안전율 기준 1.0)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액상화 가능지반의 시료 샘플링의 현실적 어려움이나
그간 상당한 연구성과를 토대로 기술적 진전이 이루어진 Seed and Idriss 간편법과,
반복 삼축시험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지진력 모사를 보다 현실성있게 수행할 수
있는 반복 단순전단시험(cyclic direct simple shear)의 적용성, 그리고 안전율 기준에
있어서의 문제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본 K-water의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
능평가 요령 개정편에서는 기존의 지반 액상화 평가 방법과 별도로 예비평가 후
Idriss and Boulanger (2008) 본 평가 방법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Idriss and Boulanger (2008)에 의한 지반 액상화 평가 간편법을 요약


정리하였으며, 특별히 국내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는 관입시험법인 SPT N
치를 이용하여 CRR (Cyclic Resistance Ratio)을 산정하는 방법과 CSR (Cyclic Stress
Ratio)과의 비교를 통해 액상화에 대한 안전율을 산출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액상
화 저항성을 산정함에 있어 구속압 의존성과 사면 경사의 영향을 함께 고려하는 과
정을 소개하였으며, 추가로 액상화로 인한 측방유동 변위 및 액상화 후 재압밀 침
하량을 산정하는 절차도 요약하였다. 또한 실무자들이 본 절차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간단한 예제 평가 사례를 수록하였다.

- 60 -
제 4 장 . Testbed 시설 내진성능평가 개요

4.1 Testbed 시설 개요

금번 연구에서는 우리 공사 최초로 개정된 포괄적 기존 상수도 내진성능평가 요


령(2013)에 의거하여 실제 내진평가를 적용할 대상 연구 시설로 사업부서와의 협의
를 거쳐 비교적 노후도가 높고 평가 대상 구조물이 고르게 분포하며, 산업시설 등
과의 재해에 대한 중요도가 매우 높은 울산공업용수도 시설로 선정하였다.

“울산공업용수도 제3회 정밀 안전진단 종합보고서(2010.3)”에 수록되어 있는 시설


물중 본 연구와 관련된 관로시설, 토목구조물(온산정수장), 수로터널, 댐의 시설물
현황은 다음과 같다.

- 61 -
4.1.1 관로시설
Table 4-1. 관로시설 현황
관경 관종별 연장(m)
계통 (mm) 터널
SP PC PCC HP DCIP 계
2,000 1,000.30 1,000.30

원동(기존)취수장 1,800 6,112.60 6,112.60


∼ 1,650 7,999.60 7,999.60
대암댐 1,000 8,139.20 8,139.20
계 23,251.70 23,251.7 15,401.5
2,100 620.0 620.0
2,000 5,468.8 5,444.5 10,913.3

대암댐 1,800 121.70 121.70


∼선암댐 1,650 154.00 154.00
1,500 1,446.0 1,199.0 2,645.00
계 7,688.8 6765.2 14,454.0 5,686.0
1,500 3,530.16 3,530.16
대암댐∼
800 577.00 577.00
사연댐 계통 직결
계 4,107.16 4,107.16
1,350 381.0 381.0
사연댐
1,200 1,534.0 5,693.0 7,301.0 14,528.00
∼선암댐
계 1,534.0 5,693.0 7,682.0 14,909.00

사연댐∼ 1,650 1,717.50 1,717.50


대암댐계통 직결 계 1,717.50 1,717.50

1,200 484.37 484.37


사연댐∼
1,500 3,239.01 3,239.01
천상정수장
계 3,239.01 484.37 3,723.38
1,350 2,115.80 1,135.00 3,250.80
온산가압장
계 2,115.80 1,135.00 3,250.80
∼덕하분기
1,350 3,061.00 3,061.00

온산가압장 계 3,061.00 3,061.00


∼온산정수장 1,350 1,652.0 159.50 1,811.5

1,200 957.5 1,079.00 2,036.5


1,100 208.00 398.50 606.50
1,000 1,593.00 269.00 1,862.00
900 785.50 785.50

온산(기존) 350 390.0 390.0


계통 300 335.0 335.0
250 616.0 616.0
200 777.0 777.0
150 1,106.0 1,106.0
계 5,196.0 1,637.0 3493.0 10,326.0

덕하분기 1,650 5,774.50 5,774.50


∼한비분기 계 5,774.50 5,774.50

- 62 -
Table 4-1. 관로시설 현황(계속)
관경 관종별 연장(m)
계통 터널
(mm) SP PC PCC HP DCIP 계
1,200 576.00 866.00 534.00 1,976.00
1,100 424.00 424.00
1,000 655.00 655.00
선암댐∼
900 103.30 463.60 566.90
삼성정밀화학 450 284.00 284.00
200 603.4 197.40
계 1,103.30 2,268.6 1,137.4 4,509.30
사연댐 계통∼ 1,200 621.00 621.00
삼성정밀화학계통 계 621.00 621.00
직결
1,200 129.50 129.50
900 964.00 1,287.50 1,541.00 3,792.50
선암댐∼영남화력 700 832.00 870.00 1,702.00
500 1,505.00 1,505.00
계 1,925.50 1,287.50 3,916.00 7,129.00
사연댐 계통∼ 1,200 617.00 617.00
영남화력계통 계 617.00 617.00
직결
900 2,141.50 4,094.00 6,235.50
800 577.00 577.00
500 1,539.0 1,539.0
미포(기존)계통 200 214.0 214.0
150 614.0 614.0
100 1,911.5 1,911.5
계 2,141.50 4,671.00 4,278.5 11,091.0
1,100 10,218.5 10,218.5
미포(신설)계통 계 10,218.5 10,218.5
2,400 9,003.20 9,003.20
2,200 6,155.80 6,155.80
원동(확장)취수장
2,000 170.00 170.00
∼ 1,500 503.60 503.60
온산가압장 1,000 101.50 101.50
계 15,934.1 15,934.10 25,286.5
900 749.00 749.00
온산(확장)계통 1,000 6,339.00 6,339.00
계 7,088.00 7,088.00
800 14,648.50 14,648.50
양산동부계통 계 14,648.50 14,648.50
900 601.00 601.00
800 65.70 1,200.00 1,265.70
600 19.90 19.90
500 39.20 670.00 4,242.00 4,951.20
350 390.00 390.00
300 1,115.30 335.00 1,450.30
수용가 250 616.00 616.00
200 68.70 2,291.00 2,359.70
150 1,720.00 1,720.00
100 3.00 4,647.70 4,650.70
80 0.00
50 21.80 680.00 701.80
계 1,914.70 1,200.00 0.00 670.00 14,941.6 18,726.3

- 63 -
Table 4-1. 관로시설 현황(계속)
관경 관종별 연장(m)
계통 터널
(mm) SP PC PCC HP DCIP 계
대암회야 Tie 2,000 36.30 36.30
(금회 점검 대상
계 36.30 36.30
제외)
온산가압장∼용연 1650 1176.9 1176.9
(금회 점검 대상 900 755.62 3353.1 4108.72
제외) 계 1932.52 0 0 0 3353.1 5285.62

4.1.2 토목구조물 온산정수장

Table 4-2. 토목구조물 현황(온산정수장)


시설물명 시 설 현 황 비고
◦위 치 : 울산 울주군 온산읍 학남리 산24-3
◦시설용량 : 221천㎥/일
온 산
◦시설구조
정수장
- 확장시설
착수정2지, 혼화지2지, 응집지6지, 침전지6지, 배수지2지

4.1.3 수로터널

Table 4-3. 원동(기존)취수장~대암댐 계통 수로터널 현황


총연장
계통 터널명 터널 시․종점 현황 비고
(m)
제1~7터 시점 Sta.No. 447+9.0 형식:마제형 콘크리트 라이닝
12,274 규격:2.2(R)m
널 종점 Sta.No. 762+10.0
준공년도:1975~1976년
시점 Sta.No. 92+0.0 ※터널연장은 실측거리임
제8,9터널 2,800
종점 Sta.No. 161+28.0
원동(기존) 제1터널: 1,090 ; 제5터널: 2,407
취수장 제2터널: 1,667 ; 제6터널: 2,705
~대암댐 본터널
제3터널: 1,943 ; 제7터널: 868
제4터널: 1,594 ; 제8터널: 2,800

제1호사갱: 40.7 ; 제4호사갱:129.5


사갱 제2호사갱: 147.0 ; 제5호사갱: 74.6
제3호사갱: 180.0 ; 제6호사갱: 35.3

- 64 -
Table 4-4. 대암댐~선암댐 계통 수로터널 현황
총연장
계통 터널명 터널 시․종점 현황 비고
(m)

시점 Sta.No. 95+8.0 형식:마제형 콘크리트 라이닝


제1,2터널 1,596.3 규격:2.2(R)m
종점 Sta.No. 135+28.0 준공년도:1975~1976년
※터널연장은 실측거리임
대암댐 시점 Sta.No. 178+2.0
제3터널 962.2
~선암댐
종점 Sta.No. 202+13.0

시점 Sta.No. 286+0.0
제4,5터널 3,008.3
종점 Sta.No. 361+11.0

Table 4-5. 원동(확장)취수장~온산가압장 계통 수로터널 현황


총연장 규격
계통 터널명 형식 비고
(m) (R, m)

제1터널(확 원형 콘크리트 준공년도 : 1994년


3,088 3.0
원동(확장)취 장) 라이닝 ※터널연장은 실측거리임
수장
~온산가압 제2터널(확 원형+마제형 제2터널 총연장 : 22,180m
장 장) 3,597 3.0~3.3 콘크리트 준공년도 : 1994년
(2-3T구간) 라이닝 ※터널연장은 실측거리임

- 65 -
4.1.4 댐

Table 4-6. 대암댐 현황


구 분 시설물현황
위 치 울산시 울주군 구수리 386-2번지
수계 및 하천 태화강(국가하천), 대암천(태화강 지류)
유역면적 77.0㎢
유 역 총저수용량 9.50백만㎥
및 유효저수용량 5.0백만㎥
저수지 설계홍수량 698.0㎥/s
계획홍수위 EL.52.90m
상시만수위 EL.48.5m
저 수 위 EL.44.5m
형 식 중앙차수벽식 토석언제
댐마루표고 EL.55.0m(댐 코어마루)
댐 체
댐높이, 댐길이 27.0m, 318.0m
사면경사 상류측 1 : 2.0 , 하류측 1 : 2.0
형 식 월류형 Chute식
월류웨어 길이 35.0m
여수로 웨어마루표고 EL.48.5m
수 문 없음
계획방류량 285.0㎥/s
형 식 철근콘크리트 Gerber교
SPAN 폭 2.2m
공도교
SPAN 길이 13.6m
SPAN 개수 3개
Rubber Dam H0.9m×L31.8m
형 식 철근콘크리트 원통형
높이, 내경 23.0m, 5.0m
취수탑 철근콘크리트 Gerber교
연결교량 폭2.2m×총길이21.2m (SPAN 수:2개, SPAN
길이:10.6m)
단면형식 원형
길 이 414.0m
복 통
크 기 4.8m
개 수 1
건 설 기 간 착공 : 1968.02.26 준공 : 1969.12.31
설계․감리자 삼안건설기술공사
시 공 자 극동건설주식회사

- 66 -
4.2 내진성능평가 대상 시설물 선정
본 연구에서는 울산공업용수도 시설물 중 매설관로, 수로터널, 지중 RC구조물,
취수탑에 대해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며, 각 시설물 중 지반조사 자료 및 시설물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내진성능평가가 가능한 구간을 선정하였다. 다음은 각 시설
물별로 선정된 검토대상 구간 및 시설물이다.

Table 4-7. 내진성능평가 시설물 선정


매설관로 액상화 수로터널 지중RC 취수탑
① 미포신설계통 ① 제1구간
① 온산(기존)계통 ① 조정조 ① 대암댐 취수탑
1지역 1터널
② 덕하분기
② 미포신설계통 ② 제2구간
② 배수지
2지역 2터널
~삼성정밀화학계

③ 선암댐
③ 제3구간
③ 미포기존계통 ③ 응집지
1터널
~삼성정밀화학계

④ 사연댐
④ 대암댐∼선암댐 ④ 침전지
~삼성정밀화학계

⑤ 선암댐 ⑤ 사연댐~선암댐
~영남화력계통
⑥ 사연댐 ⑥ 온산정수장
~영남화력계통
⑦ 미포(기존)계통

⑧ 미포(신설)계통

⑨ 온산(확장)계통

- 67 -
4.3 평가 지진력 및 지반운동 산정

상수도 시설물의 내진성능평가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평가 지진력에 대한 정의


와 입력지진파의 생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2013년 K-water 상수도시설 내진성
능평가 요령에서는 평가지진력 및 입력지진파 생성 가이드라인을 생략한 바 있으므
로, 본 연구를 통하여 추천가능한 지반운동 산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엄밀한
의미에서 세부적인 기준은 추후 정립이 필요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되, 의무성을 부여하지는 않기로 한다.

지역적인 특성과 지반성질을 고려한 설계 지반운동의 특성은 기본적으로 응답스


펙트럼으로 표현한다. 설계응답스펙트럼은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해설((사)한국지
반공학회, 2009)”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을 적용하여 작성한다.

4.3.1 지반운동수준 결정

Table 4-8. 지반운동수준


내진등급 성능수준 재현주기 지진구역 지반조건 지진구역계수 위험도계수(I) 지진계수
붕괴 Ca=0.154
1등급 1,000년 1구역 SB지반 0.11 1.40
방지 Cv=0.154

4.3.2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지반운동수준을 고려한 5% 감쇠비에 대한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은 다음 그림과
같이 정의 된다.

통제주기
TS = CV / 2.5Ca
스펙트럼 가속도 (g)

2.5Ca
TO = 0.2T S

CV/T
Ca

TO TS
주기 (초)

(a)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b)지반운동수준을 고려한 설계응답스펙트럼

Fig. 4-1.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 68 -
4.3.3 인공지진파 생성조건
인공지진파 작성 소프트웨어는 EQMAKER를 비롯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쓰이
고 있다. 본 절에서 울산공업용수도 내진성능평가를 위해서는 SIMQKE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공지진파 생성조건은 앞에서 소개한 참고문헌을 이용하여 보수적인 값으
로 산정하였으며 생성조건은 아래와 같다.

Table 4-9. 인공지진파 생성 조건


지진 최소 최대 진도포락 강진 강진 총 시간
규모 주기 주기 함수 시작시간 종료시간 지속시간 간격
6.5 0.02초 5초 복합형 3초 11초 20.48초 0.01초

4.3.4 시간이력곡선 작성
인공지진파 생성조건을 이용하여 최대가속도 0.154g의 각각 독립적인 3개의 인공
지진파를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파의 지진시간이력 곡선은 아래와 같다.

가. 인공지진파 A

Fig. 4-2. 인공지진파 A의 시간이력곡선

- 69 -
나. 인공지진파 B

Fig. 4-3. 인공지진파 B의 시간이력곡선

다. 인공지진파 C

Fig. 4-4. 인공지진파 C의 시간이력곡선

- 70 -
4.3.5 인공지진파 적합성 검토

생성된 인공지진파에 대한 적합성을 검토할 수 있는 체계는 현재 상수도시설에


대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본 절에서는 일종의 예시같이 참고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소개하고자 한다.

(1) 설계응답스펙트럼과의 오차범위

Table 4-10.설계응답스펙트럼과의 오차범위 산정 결과


설계스펙트럼
최대값 최소값
이하 절점개수
구 분 판정
인공지진 인공지진
기준 기 준 인공지진파 기 준
파 파
인공지진파 A 119.4% 130% 96.2% 90% 4 5 O.K
인공지진파 B 125.8% 130% 100.0% 90% 1 5 O.K
인공지진파 C 127.3% 130% 101.0% 90% 0 5 O.K

오차범위 검토결과, 생성된 3개의 인공지진파는 설계응답스펙트럼과의 오차범위


상한값과 설계스펙트럼 이하 절점개수를 모두 만족하고 있다

(2) 인공지진파의 응답스펙트럼 계산주기 간격 검토

시간이력의 응답스펙트럼을 계산하는 주기의 간격은, 주기의 간격을 축소할 경우,


계산된 스펙트럼 값의 변화가 10%이하가 되도록 충분히 작아야 한다.

Table 4-11. 인공지진파의 응답스펙트럼 계산 주기 간격 검토 결과


최 대 값
구 분 판정
인공지진파 기준

인공지진파 A 7.9% 10% O.K

인공지진파 B 8.2% 10% O.K

인공지진파 C 8.0% 10% O.K

생성된 3개의 인공지진파는 스펙트럼값의 변화가 7.9~8.2%로 10% 이하의 기준


을 만족하고 있다.

- 71 -
(3) 강진구간 지속시간 검토

Table 4-12. 강진구간 지속시간 검토 결과

5% Arias Intensity 75% Arias Intensity


시간이력 강진구간
구분 지속시간 지속시간 판정
(초) 값 시간(sec) 값 시간(sec) (sec)

인공지진파
20.48 0.258 2.750 3.814 12.345 9.595 O.K
A
인공지진파 B 20.48 0.232 2.940 2.940 11.830 8.890 O.K

인공지진파 C 20.48 0.103 2.930 1.521 11.830 8.900 O.K

강진구간 지속시간 검토결과 생성된 3개의 인공지진파의 아리아스강도가 8.89~


9.595초로 기준을 만족하고 있다.

(4) 독립성 검토

생성된 3개의 지진시간이력을 상호간의 통계학적 독립성을 검토하기 위해 서로


다른 2개의 지진시간이력에 대해 상호상관계수를 검토한 결과, 상관계수가 0.3보다
낮아 지진시간이력이 상호 독립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진해석을 위한 설계입
력지진파로 생성된 인공지진파를 적용할 수 있다.

Table 4-13. 독립성 검토 결과


구 분 r 기준 판정

인공지진파 A-B 8.05E-06 0.3 O.K

인공지진파 B-C 1.05E-05 0.3 O.K

인공지진파 A-C 9.58E-04 0.3 O.K

- 72 -
제 5 장 . Testbed 지반 액상화 평가

5.1 개요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액상화 검토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구조물 기초설계
기준(한국지반공학회 2008) 및 해설(한국지반공학회 2009), 기존 시설물의 기초 및
지반의 내진성능 평가요령(한국시설안전공단 2004)에서 제시한 방법을 적용하여 액
상화 현상을 평가하였다.

또한 액상화 현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추가적인 연구성과가 이루어지면서 해외


프로젝트의 실무에서 액상화 평가방법으로 적용하고 있는 Idriss and Boulanger(2008)
가 “Soil Liquefaction during Earthquakes(EERI, 2008)"에 제시한 방법을 소개하고 현
재 국내에서 적용하는 액상화 평가 방법과 비교하여 향후 액상화 평가 방법으로 적
용시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 상수도 시설물중 관로시설물은 시설물 특성상 종단상의 연장이 긴 구조물이


며 관로 설치 전 지반조사가 미 수행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지역을 피해 관로시설물을 배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나 현실적으로
불가하며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지역은 지반개량 또는 관로시설물을 보강하여 액
상화 피해를 최대한 줄이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실무에서의 대처방안이라고 판단
된다.

내진성능 평가 대상 지역인 울산공업용수도 관련 시설물은 대부분 준공년도가 오


래 되어 관련 자료가 부족하고 기존에 내진설계가 고려되지 않아 내진평가를 위한
지반조사 자료가 미흡한 상태이다. 특히 관로시설물이 위치한 지역은 분포범위가
넓고 종단상의 구조물 특징상 시추조사가 미 시행된 구간이 대부분이며 기본적인
지층 구성 상태 및 입도분포 등의 조사자료를 활용하기가 어려운 상태이다. 그러나
인근의 도로 및 산업단지 공사시에 수행한 시추조사 자료와 표준관입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N값을 이용한 간이평가는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문헌자료와 국토교통부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www.geoinfo.or.kr) 지반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액상화 발
생 가능지역을 선정하여 표준관입시험의 N값을 이용한 간이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리고 간이평가에서 기준안전율을 만족하지 못해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있는 지역
중 1개소를 선정하여 현장시험 및 실내시험을 수행하고 예비평가, 간이평가 및 상
세평가를 수행하였다.

상세평가에서 기준안전율을 만족하지 못하는 지역은 액상화 대책공법이 필요하며


후반부에는 대표적인 액상화 대책공법을 선정하여 대책공법 적용시의 액상화 안전
율을 재평가 하였다.

- 73 -
5.2 액상화 평가방법
지반 액상화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는 구조물 기초설계 기준(한국지반공학회 2008)
및 해설(한국지반공학회 2009), 기존 시설물의 기초 및 지반의 내진성능 평가요령
(한국시설안전공단 2004)에서 제시하는 예비평가, Seed and Idriss 간편법과 반복삼축
시험을 통한 상세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최근 사질토의 지반 액상화 현상에서 간극 재배열에 의한 액상화 현상을 평


가한 Idriss and Boulanger(EERI 2008)방법을 소개하고 기존의 액상화 평가방법인
Seed and Idriss방법과 비교하여 향후 국내 적용시에 참고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현
재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액상화 평가의 흐름도는 아래 Fig. 5-1과 같다.

Fig. 5-1. 액상화 평가흐름도(한국시설안전공단, 2004)

- 74 -
앞서 소개했던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에 대한 문제점과 기술적 논의에도 불구하
고, 현행 국가적인 기술 가이드라인은 구조물 기초설계 기준(한국지반공학회, 2008)
및 해설(한국지반공학회, 2009), 그리고 기존시설물(기초및지반) 내진성능 평가 및
향상요령(한국시설안전공단, 2004)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립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정
립된 방법으로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고 최근 해외에서 액상화 평가에 이용되는 방
법을 소개하여 향후 적용시 병행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5.3 액상화 평가 대상 선정
액상화 평가 대상 지역은 기존 지반조사 자료 및 대상지역에서 가장 근접한 국토
교통부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www.geoinfo.or.kr)를 활용하여 액상화 발생 가능
성이 높은 지하수위 아래 느슨한 모래가 분포하는 지역 중 관로시설 5개소와 정수
장시설 1개소를 선정하였다.

Table 5-1. 액상화 평가 대상지역 선정


액상화 평가
계 통 조사명 조사위치 대상층 평균 비고
N치
x:
태화강 제방겸용도로
① 미포신설계통 232402.861 국토지반정보
개설공사 8
1지역 y: DB참조
실시설계(BH-17)
227717.297
x:
태화강 제방겸용도로
② 미포신설계통 231169.006 국토지반정보
개설공사 9
2지역 y: DB참조
실시설계(BH-03)
227962.081
울산-포항 복선전철 x:
1공구 232842.8956 국토지반정보
③ 미포기존계통 10
노반실시설계 y: DB참조
지반조사보고서(BH-55) 229078.7325
상북-울산간 도로4차선
x: 217384.0 국토지반정보
④ 대암댐∼선암댐 확장 3
y: 229432.0 DB참조
및 포장공사(BB-84)
상북-울산간 도로4차선
x: 222485.0 국토지반정보
⑤ 사연댐~선암댐 확장 5
y: 228991.0 DB참조
및 포장공사(BB-104)
x:
온산정수장
217838.109 기존 보고서
⑥ 온산정수장 시설개량사업 5
y: 참조
실시설계 보고서(UB-02)
230095.390

- 75 -
4 3
5
2
1

Fig. 5-2. 액상화 평가 대상 위치도

5.4 기존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수집한 관련자료와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에서 상수도 시설물과 근접한 지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예비평가, 간이평가 및 상세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5.4.1 액상화 평가 지역지층 현황


관로 매설지역 5개소와 정수장지역 1개소의 지층 및 구조물 현황은 다음과 같다.

5.4.1.1 미포신설계통 1지역

해석단면에서 약 30m인근에 위치한 BH-17 시추조사 자료를 활용

- 76 -
Table 5-2. 미포신설계통 1 지역 지층현황(BH-17)

종류 심도(m) 층두께(m) N값 평균 N 비고

매립층 0.0 ∼ 1.8 1.8 10(가정) 10


모래 1.8 ∼ 8.5 6.7 8 ∼9 8 -매립층 층후 및 N값은
사질 점토 8.5 ∼ 18.3 9.8 2 ∼3 2 가정
-표고 EL.(+) 1.8m
모래 18.3 ∼ 36.6 18.3 12 ∼ 50 33 -지하수위 EL.(-) 0.8m
자갈 36.6 ∼ 37.8 1.2 50이상 50이상

5.4.1.2 미포신설계통 2지역

해석단면 지역에서 약270m인근에 위치한 BH-3 시추조사 자료를 활용

Table 5-3. 미포신설계통 2 지역 지층현황(BH-3)


종류 심도(m) 층두께(m) N값 평균 N 비고
매립층 0.0 ~ 1.6 1.6 10(가정) 10
사질 실트 1.6 ~ 5.9 4.3 3~5 4
-매립층 층후 및 N 값
모래 5.9 ~ 11.9 6.0 3~15 9 추정
사질 점토 11.9 ~ 14.3 2.4 3 3 -표고 EL.(+) 1.6m
-지하수위 EL.(-) 4.6m
모래 자갈 14.3 ~ 26.2 11.9 12~49 30
풍화암 26.2 ~ 27.8 2.4 50 50

5.4.1.3 대암댐~선암댐

해석단면 지역에서 105m인근에 위치한 BB-84 시추조사 자료를 활용.

Table 5-4. 대암댐~선암댐 지층현황(BB-84)


종류 심도(m) 층두께(m) N값 평균 N 비고
매립층 0.0 ~ 6.0 6.0 10(가정) 10 -매립층 층후 및 N 값
추정
실트질 모래 6.0 ~ 10.5 4.5 3~4 3 -표고 EL.(+) 28.8m
연암 10.5 ~ 13.5 3.0 - - -지하수위 EL.(+) 22.7m

- 77 -
5.4.1.4 미포기존계통

해석단면 지역에서 약60m인근에 위치한 BH-55 시추조사 자료를 활용

Table 5-5. 미포기존계통 지층현황(BH-55)


종류 심도(m) 층두께(m) N값 평균 N 비고
매립층 0.0 ~ 4.3 4.3 10(가정) 10
점토질 자갈 4.3 ~ 5.5 1.2 10(가정) 10
실트질 점토 5.5 ~ 6.6 1.1 5~7 6
실트질 모래 6.6 ~ 9.0 2.4 7~13 10 -매립층 층후 및 N 값
추정
점토질 모래 9.0 ~ 11.9 2.9 0 0
-표고 EL.(+) 2.7m
실트질 점토 11.9 ~ 31.1 19.2 0 0 -지하수위 EL.(-) 1.6m
점토질 모래 31.1 ~ 35.2 4.1 1~5 3
모래질 자갈 35.2 ~ 41.1 5.9 5~41 26
연암 41.1 ~ 43.3 2.2 - -

5.4.1.5 사연댐~선암댐

해석단면 지역에서 약 140m인근에 위치한 BB-104 시추조사 자료를 활용

Table 5-6. 사염댐~선암댐 지층현황(BB-104)


종류 심도(m) 층두께(m) N값 평균 N 비고
매립층 0.0 ~ 3.7 3.7 10(가정) 10
모래섞인
3.7 ~ 5.9 2.2 3~8 5
자갈층 -매립층 층후 및 N 값
실트질 모래층 5.9 ~ 8.2 2.3 10(가정) 10 추정
모래섞인 -표고 EL.(+) 11.7m
8.2 ~ 10.1 1.9 20(가정) 20 -지하수위 EL.(+) 6.3m
자갈층
10.1 ~
연암 2.0 - -
12.1

- 78 -
5.4.1.6 온산정수장

온산정수장 시설개량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시 수행한 지반조사 자료중 UB-2,


UB-3의 시추주상도 및 실내시험 결과는 아래와 같다.

Table 5-7. 온산정수장 지층현황(UB-2)


표고 및
종류 심도(m) 층두께(m) N값 평균 N
지하수위
매립층 0.0 ~ 4.8 4.8 4~5 5 -표고
EL.(+) 53.9m
풍화토 4.8 ~ 6.5 1.7 22 22
-지하수위
연암 6.5 ~ 9.5 3.0 - - EL.(+) 52.5m

교란시료에 대한 물리시험 결과 매립층은 자갈(GM)이며 풍화토층은 실트(ML)로


구성되어 있다.

Table 5-8. 실내토질시험 결과


Atterberg Limits
심도 함수비 입도분석(통과율, %)
공번 비중 (%) USCS
(G.L. -m) (%)
LL PI #4 #10 #40 #200

UB-2 3.0 21.5 2.64 NP - 64.1 58.4 50.7 42.9 GM

UB-3 9.0 28.7 2.68 32.9 3.8 98.1 96.9 95.2 93.6 ML

5.4.2 액상화 예비 평가
해석단면 인근에서 수집된 기존 지반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지반의 액상화 발생에
대해 개괄적으로 판단하고 액상화 가능성이 거의 없을 경우는 액상화 평가를 생략
하는 것으로 한다. 예비평가 항목을 참조하여 선정된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액상화
예비 평가 내용은 아래와 같다.

- 79 -
Table 5-9. 기존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예비평가 결과
액상화 평가
구분 지층 SPT-N 값 예비평가 간편평가
층후(m)
① 미포신설계통
ML 8~9 5.9 N.G 필요
1지역
② 미포신설계통
SM 3~15 5.7 / 2.0 N.G 필요
2지역

③ 미포기존계통 SW, SC 0~13 5.3 N.G 필요

④ 대암댐∼선암댐 - 3~4 1.3 N.G 필요

⑤ 사연댐~선암댐 SM 10(가정) 2.3 N.G 필요

⑥ 온산정수장 GM 4~5 - O.K 불필요

액상화 예비평가에서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있는 지역 5개소에 대해서는 액상화 평가 대상


층후에 대해서 SPT-N값을 이용한 간편법으로 액상화 평가를 수행한다.

5.4.3 설계정수

5.4.3.1 설계정수 산정 방법

국토교통부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www.geoinfo.or.kr) 자료 중 표준관입시험 결


과를 참조하여 설계 정수를 적용하고 전단파속도는 평가 대상지역의 내진평가를 위
한 지반조사가 수행되지 않아 점토와 사질토등의 토사지반의 값은 일본지반공학회
(1998)에서 제시한 경험식을 적용하고 그 외의 암반층에 대한 동적 설계입력값은 울
산공업용수도 제3회 정밀안전진단 종합보고서(한국K-water연구원, 2010)를 참조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정규화전단탄성계수 곡선과 감쇠비 곡선은 Proshake에 내장된 비선
형곡선을 적용하여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 80 -
Table 5-10. 표준관입시험치(N)와 전단파속도(V s) 경험적 추정식 (일본지반공학회, 1998)
토질종류
제안자
점성토 사질토
今井,吉村
Vs=76 N0.33
(1970)
Imai(1982) Vs=97 N0.314
大場,鳥海
Vs=125 N0.3
(1990)
大場,鳥海
Vs=84 N0.31
(1990)
Vs=a×Nb Vs=a×Nb
今井(1997) a=102, b=0.29(충적점토) a=81, b=0.33(충적사)
a=114, b=0.29 (홍적점토) a=97, b=0.32(홍적사)

5.4.3.2 동적 설계 입력값

액상화 평가를 위한 동적 설계 입력값은 경험적 추정식 및 울산 인근 지역의 지


질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적용하였다.

Table 5-11. 입력설계정수


3
구분 γsat(kN/m ) Vs(m/s) 산정방법 G/Gmax-γ 곡선 D-γ 곡선

a=102,
점토 17.0 Clay(Seed and Sun 1989)/(Idriss 1990)
b=0.29(충적점토)

실트/모
18.0 a=81, b=0.33(충적사) Sand(Seed&Idriss)- Average

자갈 19.0 a=81, b=0.33(충적사) Gravel(Seed et al.)

풍화토 20.0 a=81, b=0.33(충적사) Sand(Seed&Idriss)- Upper Bound

풍화암 20.0 330 Gravel(Seed et al.)

연암 22.0 767 ROCK

기반암 23.0 1,079 ROCK

- 81 -
5.4.4 지반응답해석
지반의 지진발생시 전단응력을 산정하기 위해 입력지진파에서 생성한 3개의 입력
지진파를 적용하여 1차원 등가선형해석 프로그램인 Proshake에서 암반노두에 0.154g
의 입력지진파를 입력하여 심도별 가속도 값을 산정하고 액상화 평가시 적용하였
다.

5.4.4.1 미포신설계통 1 지역 지반응답해석 결과

Table 5-12. 미포신설계통 1 지역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지표면 가속도 : 0.213g 지표면 가속도 : 0.163g 지표면 가속도 : 0.178g

- 82 -
5.4.4.2 미포신설계통 2 지역 지반응답해석 결과

Table 5-13. 미포신설계통 2 지역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지표면 가속도 : 0.192g 지표면 가속도 : 0.156g 지표면 가속도 : 0.160g

5.4.4.3 미포기존계통 지반응답해석 결과

Table 5-14. 미포기존계통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지표면 가속도 : 0.059g 지표면 가속도 : 0.055g 지표면 가속도 : 0.055g

- 83 -
5.4.4.4 대암댐~선암댐 지반응답해석 결과

Table 5-15. 대암댐~선암댐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지표면 가속도 : 0.147g 지표면 가속도 : 0.126g 지표면 가속도 : 0.123g

5.4.4.5 사연댐~선암댐 지반응답해석 결과

Table 5-16. 사연댐~선암댐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지표면 가속도 : 0.214g 지표면 가속도 : 0.214g 지표면 가속도 : 0.213g

- 84 -
5.4.4.6 지반응답해석 결과 요약

본 검토에서는 N값을 이용한 경험적 방법에 의한 전단파속도를 산정하고 프로그


램에 내장되어 있는 비선형 변형특성곡선을 적용하여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여 실
제 현장의 동적특성을 고려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지반응답해석 결과, 미포기존계통, 대암댐~선암댐 구간은 지층을 통과하면서 입


력지진파보다 감쇄하는 경향을 보이며 그 외 구간은 지표면에서 다소 증폭되는 경
향을 보인다. 이것은 전단파속도가 심도가 깊어질수록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전단
파속도가 불규칙한 분포(연약층이 교호로 나타날 경우)로 인해 발생되는 것으로 판
단되며 응답해석 결과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지반조사 수행후에 상세검토
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17. 사연댐~선암댐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기반암 지표면 가속도(g)
구분 가속도
(g)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① 미포신설계통 1지역 0.213 0.163 0.178

② 미포신설계통 2지역 0.192 0.156 0.160

③ 미포기존계통 0.154 0.059 0.055 0.055

④ 대암댐~선암댐 0.147 0.126 0.123

⑤ 사연댐~선암댐 0.214 0.214 0.213

5.4.5 Seed and ldriss(1971) 액상화 간이 평가


예비평가에서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있는 구역에 대해서 Seed & Idriss(1971)의
표준관입시험 N값을 이용한 간이 평가방법으로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 85 -
5.4.5.1 미포신설계통 1 지역
가. 평가결과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심도에 대한 간이평가 결과, 안전율이 0.66~0.93으로 기


준안전율 1.5이하이므로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있어 상세평가가 필요하다.

Table 5-18. 미포신설계통 1 지역 액상화 평가 결과

Soil Depth 지반가속도(g) CSR CRR F.S 판 정


액상화검토
N
Type (m) A 파 B파 C파 A 파 B 파 C파 간편 A 파 B 파 C파 A파 B 파 C파 대상층

모래 2.6 0.210 0.162 0.177 0.137 0.105 0.115 8 0.174 1.27 1.65 1.51 N.G O.K O.K ×(수위상부)

모래 3.5 0.205 0.161 0.176 0.293 0.230 0.251 8 0.215 0.73 0.93 0.85 N.G N.G N.G ○

모래 4.5 0.196 0.160 0.173 0.280 0.229 0.248 8 0.190 0.68 0.83 0.77 N.G N.G N.G ○

모래 5.5 0.184 0.158 0.170 0.262 0.226 0.243 8 0.174 0.66 0.77 0.72 N.G N.G N.G ○

모래 6.5 0.168 0.155 0.166 0.239 0.222 0.237 8 0.162 0.68 0.73 0.68 N.G N.G N.G ○

모래 7.5 0.149 0.152 0.161 0.213 0.217 0.230 8 0.152 0.71 0.70 0.66 N.G N.G N.G ○

모래 8.5 0.130 0.146 0.152 0.186 0.209 0.217 8 0.145 0.78 0.69 0.67 N.G N.G N.G ○

사질점토 9.3 0.113 0.142 0.142 0.162 0.204 0.204 2 0.071 0.44 0.35 0.35 N.G N.G N.G ×(점토층)

나. 심도별 액상화 안전율

Table 5-19. 미포신설계통 1 지역 응력비 및 액상화 안전율


응력비 액상화 간이평가 안전율

- 86 -
5.4.5.2 미포신설계통 2 지역
가. 평가결과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심도에 대한 간이평가 결과, 안전율이 1.11~1.77로 기준


안전율 1.5이하를 보이는 심도에서는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있어 상세평가가 필요
하다.

Table 5-20. 미포신설계통 2 지역 액상화 평가 결과


Soil Depth 지반가속도(g) CSR CRR F.S 판 정 액상화검토
N
Type (m) A 파 B파 C파 A 파 B파 C파 간편 A 파 B파 C파 A 파 B파 C파 대상층
모래 6.2 0.117 0.128 0.130 0.076 0.083 0.085 9 0.136 1.78 1.63 1.60 O.K O.K O.K ×(수위상부)
모래 6.6 0.115 0.127 0.129 0.075 0.083 0.084 9 0.133 1.77 1.60 1.57 O.K O.K O.K ○
모래 7.2 0.110 0.126 0.127 0.078 0.089 0.090 9 0.132 1.70 1.48 1.47 O.K N.G N.G ○
모래 8.2 0.108 0.127 0.128 0.081 0.095 0.096 9 0.129 1.58 1.35 1.33 O.K N.G N.G ○
모래 9.2 0.107 0.128 0.129 0.085 0.102 0.103 9 0.126 1.47 1.23 1.22 N.G N.G N.G ○
모래 10.2 0.111 0.128 0.129 0.092 0.107 0.108 9 0.123 1.33 1.15 1.14 N.G N.G N.G ○
모래 11.2 0.117 0.126 0.123 0.102 0.109 0.107 9 0.121 1.18 1.11 1.13 N.G N.G N.G ○
사질점토 12.4 0.125 0.122 0.116 0.113 0.111 0.105 3 0.072 0.64 0.65 0.69 N.G N.G N.G ×(점토층)
중간생략
모래자갈 17.5 0.123 0.112 0.112 0.124 0.113 0.113 30 0.329 2.65 2.91 2.91 O.K O.K O.K ×(N>20)
모래자갈 19.5 0.119 0.108 0.110 0.123 0.112 0.114 15 0.152 1.23 1.35 1.33 N.G N.G N.G ○
모래자갈 21.5 0.134 0.136 0.140 0.143 0.144 0.149 30 0.291 2.04 2.02 1.96 O.K O.K O.K ×(N>20)

나. 심도별 액상화 안전율

Table 5-21. 미포신설계통 2 지역 응력비 및 액상화 안전율


응력비 액상화 간이평가 안전율

- 87 -
5.4.5.3 미포 기존계통
가. 평가결과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심도에 대한 간이평가 결과, 안전율이 0.72~3.45로 기준


안전율 1.5이하를 보이는 심도에서는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있어 상세평가가 필요
하다.

Table 5-22. 미포기존계통 액상화 평가 결과


Soil Depth 지반가속도(g) CSR CRR F.S 판 정
액상화검토
N
Type (m) A파 B 파 C파 A 파 B파 C파 간편 A 파 B 파 C파 A 파 B파 C파 대상층
실트질
6.6 0.058 0.054 0.054 0.047 0.043 0.043 6 0.108 2.31 2.49 2.49 O.K O.K O.K ×(수위상부)
점토
실트질
7.0 0.058 0.053 0.053 0.048 0.044 0.044 10 0.153 3.20 3.45 3.45 O.K O.K O.K ○
모래
실트질
8.0 0.057 0.053 0.053 0.050 0.047 0.047 10 0.148 2.94 3.16 3.17 O.K O.K O.K ○
모래
실트질
9.0 0.057 0.053 0.053 0.053 0.049 0.049 10 0.144 2.73 2.95 2.96 O.K O.K O.K ○
모래
점토질
9.9 0.057 0.053 0.052 0.054 0.050 0.050 1 0.064 1.18 1.29 1.29 N.G N.G N.G ○
모래
점토질
10.9 0.070 0.069 0.068 0.069 0.068 0.067 1 0.064 0.93 0.95 0.96 N.G N.G N.G ○
모래
점토질
11.9 0.088 0.086 0.085 0.089 0.087 0.086 1 0.064 0.72 0.74 0.75 N.G N.G N.G ○
모래
실트질
13.1 0.082 0.081 0.082 0.085 0.084 0.085 1 0.064 0.75 0.76 0.75 N.G N.G N.G ×(점토층)
점토

나. 심도별 액상화 안전율

Table 5-23. 미포기존계통 응력비 및 액상화 안전율


응력비 액상화 간이평가 안전율

- 88 -
5.4.5.4 대암댐~선암댐
가. 평가결과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심도에 대한 간이평가 결과, 안전율이 0.85~0.98로 기준


안전율 1.5이하를 보이는 심도에서는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있어 상세평가가 필요
하다.

Table 5-24. 대암댐~선암댐계통 액상화 평가 결과

Soil Depth 지반가속도(g) CSR CRR F.S 판 정 액상화검토


N
Type (m) A 파 B파 C파 A 파 B 파 C파 간편 A 파 B 파 C파 A파 B파 C파 대상층

매립층 6.0 0.125 0.117 0.121 0.081 0.076 0.079 10 0.149 1.83 1.96 1.89 O.K O.K O.K ×(수위상부)

실트질모
6.6 0.117 0.114 0.121 0.080 0.078 0.082 3 0.076 0.95 0.98 0.93 N.G N.G N.G ○

실트질모
7.3 0.110 0.117 0.124 0.079 0.084 0.089 3 0.075 0.96 0.89 0.85 N.G N.G N.G ○

실트질모
8.3 0.113 0.123 0.128 0.086 0.094 0.098 3 0.075 0.86 0.79 0.76 N.G N.G N.G ×(전석층)

나. 심도별 액상화 안전율

Table 5-25. 대암댐~선암댐계통 응력비 및 액상화 안전율


응력비 액상화 간이평가 안전율

- 89 -
5.4.5.5 사연댐~선암댐
가. 평가결과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심도에 대한 간이평가 결과, 안전율이 0.88~1.02로 기준


안전율 1.5이하를 보이는 심도에서는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있어 상세평가가 필요
하다.

Table 5-26. 사연댐~선암댐 액상화 평가 결과

Soil Depth 지반가속도(g) CSR CRR F.S 판 정 액상화검토


N
Type (m) A 파 B파 C파 A 파 B 파 C파 간편 A 파 B 파 C파 A파 B파 C파 대상층
모래자갈 5.9 0.179 0.195 0.192 0.122 0.133 0.131 5 0.096 0.79 0.72 0.73 N.G N.G N.G ×(수위상부)
실트질모
6.9 0.214 0.195 0.197 0.159 0.145 0.146 10 0.148 0.93 1.02 1.01 N.G N.G N.G ○

실트질모
8.2 0.200 0.184 0.188 0.161 0.148 0.152 10 0.142 0.88 0.96 0.94 N.G N.G N.G ○

모래자갈 8.8 0.171 0.166 0.165 0.142 0.138 0.137 20 0.268 1.88 1.94 1.95 O.K O.K O.K ×(N>20)

※지반가속도(g)값은 proshake 지층모델링 상부의 값임

나. 심도별 액상화 안전율

Table 5-27. 사연댐~선암댐계통 응력비 및 액상화 안전율


응력비 액상화 간이평가 안전율

- 90 -
5.4.5.6 액상화 간이평가 결과 요약

Table 5-28. Seed and Idriss 액상화 간이평가법 평가결과


계통 간이평가 액상화 안전율 기준안전율 평가 상세평가

① 미포신설계통 1지역 0.66 ~ 0.93 액상화 발생 가능 필요

② 미포신설계통 2지역 1.11 ~ 1.77 액상화 발생 가능 필요

③ 미포기존계통 0.72 ~ 3.45 1.5 액상화 발생 가능 필요

④ 대암댐~선암댐 0.85 ~ 0.98 액상화 발생 가능 필요

⑤ 사연댐~선암댐 0.88 ~ 1.02 액상화 발생 가능 필요

5.4.6 반복삼축시험에 의한 액상화 상세평가


간이 액상화 평가에서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반복삼축시험으로 지진
시 지반이 저항하는 CRR을 산정하여 지진에 의한 지진전단응력인 CSR과의 비로서
정의되는 안전율이 1이하인 경우는 액상화가 발생한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기존 지
반조사 자료에는 반복삼축시험 결과 자료가 없어 본 연구에서 수행한 태화강인근의
추가 지반조사 개소에 대해서만 수행하였다.

- 91 -
5.4.7 ldriss and Boulanger (2008) 액상화 본 평가
현재 국내 액상화 평가는 예비평가에서 액상화 평가 대상층으로 선정된 경우는
Seed and Idriss 반경험식을 이용한 간이평가법으로 액상화를 평가한 후 액상화 발생
이 예상되면 반복삼축시험을 통해 상세평가를 수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액상화 발생층은 느슨한 포화 사질토층으로 불교란시료의 채취 및 시험시 공시체
성형이 어려워 실무적으로는 적용하기가 어려우며 시험결과의 신뢰도 또한 떨어진
다. 따라서 액상화 평가의 최종 평가 기준으로 실내시험을 이용한 방법을 규정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수평방향의 지진력을 현실성있게 모사할 수 있는
반복단순전단시험 등의 실내시험과 현장시험을 이용한 액상화 평가를 최종 평가기
준으로 설정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과업에서는 현장시험을 이용한 간이평가 방법들 중 최근 연구 결과들을 반영


한 개선된 방법인 Idriss & Boulanger(2008) 액상화 평가방법을 예비평가 후 수행하
는 본 평가 방법으로 용어를 붙이고 예비평가에서 액상화 대상층으로 판정된 경우
Idriss & Boulanger (2008)평가 방법으로 안전율 1.0을 기준으로 액상화 발생 여부를
판단하였다. 또한 기존의 수행방법인 Seed & Idriss 간이평가와 비교하였다.

5장에서의 검토 조건은 기존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평가이므로 상세평가를 위


한 반복삼축시험 결과가 없어 Seed & Idriss의 간이평가 결과와 Idriss &
Boulanger(2008) 본 평가 방법을 비교하였다.

Idriss & Boulanger(2008)액상화 본 평가 방법의 필요한 입력 변수는 아래와 같고


기존 조사자료에서 불명확한 자료는 일반적인 국내적용 값으로 가정하였다.

Table 5-29. Idriss & Boulanger(2008) 액상화 평가시 입력변수


지반가속도 ․4.4장 지반응답해석의 심도별 지반가속도 적용
지진규모 ․6.5
에너지 효율비 ․63.1% CE = 1.0적용
시추공 직경 ․76.0mm CB = 1.0적용
로드길이 ․10∼30m CR = 1.0적용
샘플러 라이너에대한 보정 필요성 ․없음 CS = 1.0적용

- 92 -
5.4.7.1 미포신설계통 1 지역
가. 평가결과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심도에 대한 Idriss & Boulanger(2008)의 상세평가 결과,


안전율이 0.77~1.0으로 기준안전율 1.0이하를 보이므로 액상화가 발생할 것으로 검
토되어 액상화 대책공법이 필요하다.

Table 5-30. 미포신설계통 1 지역 Idriss & Boulanger(2008) 액상화 본 평가 결과


CSR CRRfor F.S
MSF 판 정
Soil Depth Kσfor M=7.5& 액상화 검토
N for CRR
Type (m) A 파 B파 C파 sand sand σ've
A파 B 파 C파 A 파 B 파 C파 대상층
=1atm
모래 2.6 8 0.133 0.103 0.112 1.30 1.08 0.13 0.19 1.41 1.83 1.67 O.K O.K O.K ×(수위상부)
모래 3.5 8 0.281 0.220 0.241 1.30 1.10 0.15 0.22 0.79 1.00 0.92 N.G O.K N.G ○
모래 4.5 8 0.264 0.215 0.233 1.30 1.10 0.14 0.20 0.77 0.95 0.87 N.G N.G N.G ○
모래 5.5 8 0.242 0.209 0.224 1.30 1.08 0.13 0.19 0.78 0.90 0.84 N.G N.G N.G ○
모래 6.5 8 0.216 0.200 0.214 1.30 1.06 0.13 0.17 0.81 0.87 0.82 N.G N.G N.G ○
모래 7.5 8 0.188 0.192 0.203 1.30 1.05 0.12 0.16 0.88 0.86 0.81 N.G N.G N.G ○
모래 8.5 8 0.160 0.180 0.187 1.30 1.03 0.12 0.16 0.98 0.87 0.84 N.G N.G N.G ○
사질
9.3 2 0.137 0.172 0.173 1.30 1.02 0.07 0.10 0.70 0.56 0.55 N.G N.G N.G ×(점토층)
점토

나. Seed & Idriss 간이평가 방법과 비교

Seed & Idriss 간이평가시 안전율 0.66~0.93으로 기준안전율 1.5이하로 평가되었


고 Idriss & Boulanger 평가시에는 0.77~1.0으로 대부분 심도에서 기준안전율 1.0 이
하로 평가되어 액상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Table 5-31. Seed & Idriss 간이평가와 Idriss & Boulanger(2008)방법의 액상화 안전율 비교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 93 -
5.4.7.2 미포신설계통 2 지역
가. 평가결과

Idriss & Boulanger(2008)의 상세평가 결과, 안전율이 1.02~2.07로 기준안전율 1.0


이상을 보이므로 액상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Table 5-32. 미포신설계통 2 지역 액상화 평가 결과


CSR CRRfor F.S
Dept MSF Kσfo 판 정
Soil M=7.5& 액상화 검토
h N for r CRR
Type A 파 B 파 C파 sand sand σ've
A파 B 파 C파 A 파 B파 C파 대상층
(m)
=1atm
모래 6.2 9 0.069 0.076 0.077 1.30 1.00 0.11 0.14 2.05 1.88 1.85 O.K O.K O.K ×(수위상부)
모래 6.9 9 0.067 0.074 0.076 1.30 0.99 0.11 0.14 2.07 1.87 1.84 O.K O.K O.K ○
모래 7.2 9 0.069 0.079 0.080 1.30 0.99 0.11 0.14 2.01 1.74 1.73 O.K O.K O.K ○
모래 8.2 9 0.071 0.083 0.084 1.30 0.98 0.11 0.13 1.91 1.62 1.61 O.K O.K O.K ○
모래 9.2 9 0.072 0.087 0.087 1.30 0.98 0.10 0.13 1.82 1.52 1.50 O.K O.K O.K ○
모래 10.2 9 0.076 0.089 0.089 1.30 0.97 0.10 0.13 1.69 1.45 1.44 O.K O.K O.K ○
모래 11.2 9 0.082 0.088 0.086 1.30 0.97 0.10 0.13 1.54 1.43 1.47 O.K O.K O.K ○
사질점토 12.4 3 0.088 0.086 0.082 1.30 0.97 0.07 0.09 1.02 1.05 1.10 O.K O.K O.K ×(점토층)
중간생략
모래자갈 17.5 30 0.084 0.076 0.076 1.30 0.90 0.24 0.28 3.39 3.71 3.71 O.K O.K O.K ×(N>20)
모래자갈 19.5 15 0.079 0.072 0.073 1.30 0.93 0.12 0.14 1.80 1.98 1.94 O.K O.K O.K ○
모래자갈 21.5 30 0.086 0.087 0.090 1.30 0.88 0.22 0.25 2.87 2.83 2.75 O.K O.K O.K ×(N>20)

나. Seed & Idriss 간이평가 방법과 비교

Seed & Idriss 간이평가시 안전율 1.11~1.77로 일부 구간에서 기준안전율 1.5이하


로 평가되었고 Idriss & Boulanger 평가시에는 1.02~2.07로 기준안전율 1.0이상이므
로 액상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able 5-33. Seed & Idriss 간이평가와 Idriss & Boulanger(2008)방법의 액상화 안전율 비교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 94 -
5.4.7.3 미포기존계통
가. 평가결과

Idriss & Boulanger(2008)의 상세평가 결과, 안전율이 1.17~3.98로 기준안전율 1.0


이상을 보이므로 액상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Table 5-34. 미포기존계통 액상화 평가 결과


CSR CRRfor F.S 판 정
Dept MSF Kσfo
Soil M=7.5& 액상화 검토
h N for r CRR
Type σ've 대상층
(m) A 파 B 파 C파 sand sand A파 B 파 C파 A 파 B파 C파
=1atm
실트질점토 6.6 6 0.042 0.0390.039 1.30 1.01 0.09 0.12 2.93 3.16 3.16 O.K O.K O.K ×(수위상부)
실트질모래 7.0 100.043 0.0400.040 1.30 1.01 0.12 0.16 3.69 3.97 3.98 O.K O.K O.K ○
실트질모래 8.0 100.044 0.0410.041 1.30 1.00 0.12 0.15 3.46 3.72 3.73 O.K O.K O.K ○
실트질모래 9.0 100.045 0.0410.041 1.30 0.99 0.11 0.15 3.29 3.56 3.56 O.K O.K O.K ○
점토질모래 9.9 1 0.045 0.0420.041 1.30 0.99 0.06 0.08 1.85 2.01 2.02 O.K O.K O.K ○
점토질모래 10.9 1 0.056 0.0550.054 1.30 0.99 0.06 0.08 1.48 1.51 1.53 O.K O.K O.K ○
점토질모래 11.9 1 0.070 0.0680.068 1.30 0.98 0.06 0.08 1.17 1.20 1.22 O.K O.K O.K ○
실트질점토 13.1 1 0.065 0.0640.065 1.30 0.98 0.06 0.08 1.26 1.27 1.26 O.K O.K O.K ×(점토층)

나. Seed & Idriss 간이평가 방법과 비교

Seed & Idriss 간이평가시 안전율 0.72~3.45로 일부 구간에서 기준안전율 1.5이하


로 평가되었고 Idriss & Boulanger 평가시에는 1.17~3.98로 기준안전율 1.0이상이므
로 액상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able 5-35. Seed & Idriss 간이평가와 Idriss & Boulanger(2008)방법의 액상화 안전율 비교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 95 -
5.4.7.4 대암댐~선암댐
가. 평가결과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심도에 대한 Idriss & Boulanger(2008)의 상세평가 결과,


안전율이 1.21~1.38로 기준안전율 1.0이상을 보이므로 액상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
으로 검토되었다.

Table 5-36. 대암댐~선암댐 액상화 평가 결과


CSR CRRfor F.S
MSF 판 정
Soil Depth Kσfor M=7.5& 액상화 검토
N for CRR
Type (m) A 파 B파 C파 sand sand σ've
A파 B 파 C파 A 파 B파 C파 대상층
=1atm
매립층 6.0 10 0.074 0.069 0.072 1.30 1.00 0.12 0.15 2.06 2.21 2.13 O.K O.K O.K ×(수위상부)
실트질
6.6 3 0.072 0.070 0.074 1.30 1.00 0.07 0.10 1.34 1.38 1.31 O.K O.K O.K ○
모래
실트질
7.3 3 0.070 0.075 0.079 1.30 0.99 0.07 0.10 1.37 1.28 1.21 O.K O.K O.K ○
모래
실트질
8.3 3 0.075 0.081 0.085 1.30 0.99 0.07 0.09 1.26 1.16 1.11 O.K O.K O.K ×(전석층)
모래

나. Seed & Idriss 간이평가 방법과 비교

Seed & Idriss 간이평가시 안전율 0.85~0.98로 기준안전율 1.5이하로 평가되었고


Idriss & Boulanger 평가시에는 1.21~1.38로 기준안전율 1.0이상이므로 액상화가 발
생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able 5-37. Seed & Idriss 간이평가와 Idriss & Boulanger(2008)방법의 액상화 안전율 비교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 96 -
5.4.7.5 사연댐~선암댐
가. 평가결과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심도에 대한 Idriss & Boulanger(2008)의 상세평가 결과,


안전율이 1.07~1.17로 기준안전율 1.0이상을 보이므로 액상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
으로 검토되었다.

Table 5-38. 사연댐~선암댐 액상화 평가 결과


CSR CRRfor F.S 판 정
MSF
Soil Depth Kσfor M=7.5& 액상화 검토
N for CRR
Type (m) A 파 B파 C파 sand sand σ've A파 B 파 C파 A 파 B파 C파 대상층
=1atm
모래
5.9 5 0.112 0.122 0.120 1.30 1.00 0.09 0.11 1.02 0.93 0.95 O.K N.G N.G ×(수위상부)
자갈
실트질
6.9 10 0.142 0.130 0.131 1.30 1.00 0.12 0.15 1.07 1.17 1.16 O.K O.K O.K ○
모래
실트질
8.2 10 0.140 0.128 0.132 1.30 0.99 0.11 0.15 1.04 1.14 1.11 O.K O.K O.K ○
모래
모래
8.8 20 0.122 0.118 0.118 1.30 0.98 0.19 0.24 1.98 2.04 2.05 O.K O.K O.K ×(N>20)
자갈

나. Seed & Idriss 간이평가 방법과 비교

Seed & Idriss 간이평가시 안전율 0.88~1.02로 기준안전율 1.5이하로 평가되었고


Idriss & Boulanger 평가시에는 1.07~1.17로 기준안전율 1.0이상이므로 액상화가 발
생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able 5-39. Seed & Idriss 간이평가와 Idriss & Boulanger(2008)방법의 액상화 안전율 비교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 97 -
5.4.8 기존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결과

5.4.8.1 액상화 평가 절차

울산공업용수도의 액상화 안정성을 평가하기위해 관로시설 5개소와 정수장 1개소


에 대해서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액상화 평가지역에서 가장 근접한 기존 지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Seed and Idriss에 의한 액상화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예비 평가에서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지역은 표준관입시험의 N값
을 이용한 간이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기준안전율 1.5를 만족하지 못해 액상화 발생
이 예상되는 검토지역은 반복삼축시험을 이용한 상세평가를 수행하여야 하지만 기
존 지반조사 자료에는 내진 안정성 평가를 위한 지반조사 자료가 부족하여 상세평
가는 수행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해외에서 액상화 평가 방법으로 적용하고 있는 Seed and Idriss 간이평가


를 개선한 Idriss & Boulanger(2008) 본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최종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5.4.8.2 액상화 평가 결과

온산정수장 검토구간은 예비평가에서 액상화에 대해 안정한 것으로 평가 되었으


나 나머지 5개소는 액상화가 의심되어 Seed and Idriss 간이평가 방법으로 검토하였
다. 5개소에 대한 간이평가 결과, 액상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되어 반복삼축시험
에 의한 상세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그러나 반복삼축시험에 의한 액상
화 평가는 여건상 불가하므로 Idriss & Boulanger(2008) 본 평가를 이용하여 최종 액
상화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최종 액상화 안정성 평가 결과, 미포신설계통 1지역을 제외한 지역은 액상화에


대해서는 안정한 것으로 검토 되었으며 미포신설계통 1지역은 액상화 발생이 예상
되어 액상화 평가에 필요한 지반조사를 수행하여 예비평가, 간이평가 및 상세평가
를 재검토하였다.

- 98 -
Table 5-40. 기존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결과

Seed and Idriss Idriss & Boulanger


최종액상화
계통 예비평가 간이평가
기준 액상화 기준 안정성
액상화 평가 평가
안전율 안전율 안전율
안전율
① 미포신설계통
NG 0.66 ~ 0.93 NG 0.77 ~ 1.0 NG 불안정
1지역
② 미포신설계통
NG 1.11 ~ 1.77 NG 1.02 ~ 2.07 OK 안정
2지역
③ 미포기존계통 NG 0.72 ~ 3.45 1.5 NG 1.17 ~ 3.98 1.0 OK 안정

④ 대암댐~선암댐 NG 0.85 ~ 0.98 NG 1.21 ~ 1.38 OK 안정

⑤ 사연댐~선암댐 NG 0.88 ~ 1.02 NG 1.07 ~ 1.17 OK 안정


⑥ 온산정수장 OK 미 수행 미 수행 안정

5.5 추가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울산공업용수도 내진성능 평가를 위해 액상화 발생 가능 지역을 조사하고 기존


지반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액상화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액상화 평가를 위해서는
CSR 산정을 위해 지반응답해석 해석시 지층 구성상태, 전단파속도 분포 등의 자료
가 필요하지만 기존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평가 대상 인근 지역의 시추조사 자
료와 문헌자료를 이용하여 개략적인 액상화 평가만을 수행하였다. 또한 액상화 상
세평가를 위해서는 반복삼축시험을 통한 액상화 CRR 산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평
가지역중 지반조사가 용이하고 액상화 가능성이 예측되는 미포신설계통 1지역인 명
촌대교 북단 사거리 인근지역에서 시추조사, 현장 및 실내시험을 수행하여 예비평
가를 수행하고 액상화가 예상되는 경우 Seed and Idriss의 반경험식을 이용한 간이평
가 및 상세평가를 재 수행하였다. 또한 Idriss and Boulanger(2008) 본 평가방법과 기
존 방법을 비교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99 -
5.5.1 지반조사

5.5.1.1 지반조사 위치

조사위치는 지장물 간섭이 없고 조사를 위해 접근성이 좋은 지역을 도상에서 계


획 후 답사를 통해 조사위치를 수정 ․ 보완하여 위치를 결정하였다.

Fig. 5-3. 시추조사 위치

5.5.1.2 지반조사 항목

현장 및 실내시험 항목은 아래와 같다.

Table 5-41. 조사항목


구 분 단위 수량 활용방안
시추조사 공 1 ∙지층 분포 확인
지하수위측정 회 2 ∙시추종료 후 안정수위 측정
현장조사
∙진동삼축압축시험을 위한 모래층 불교란시료
불교란시료 채취 회 2
채취
∙지층의 조밀도, 연경도 파악 및 액상화 가능성
현장시험 표준관입시험 회 27
평가
물리검층 하향식탄성파탐사 회 1 ∙동적 물성치 파악
∙기본물성시험(함수비, 비중, 액·소성한계,
토질물성시험 회 2
실내시험 입도시험)
반복삼축시험 회 1 ∙액상화 가능성 평가

- 100 -
5.5.1.3 지반조사 결과

가. 시추조사

시추조사를 통해 지층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지층분포 현황은 아래와 같다.

Table 5-42. 시추조사 결과


N값
공번 지층 심도(GL.-m) 두께(m) 구성상태
(TCR/RQD)
매립층 0.0 ∼ 4.0 4.0 자갈섞인 점토 10/30~19/30
4.0 ∼ 5.5 1.5 중립질 모래(SP) 4/30
5.5 ∼ 7.0 1.5 중립질 모래(SM) -
BH-1
퇴적층 7.0 ∼ 11.0 4.0 중립질 모래(SP) 4/30~15/30
11.0 ∼ 29.0 18.0 실트질 모래 3/30~18/30
29.0 ∼ 30.0 1.0 중립질 모래(SP) 12/30~15/30

나. 지층분석

1) 매립층

본 층은 최상부 지층으로 두께는 4.0m분포하고, 자갈 섞인 점토로 구성되어 있다.


표준관입시험 결과 N값은 10/30∼19/30으로 견고∼매우 견고한 상태이고, 함수상태
는 습윤상태이며, 색조는 암회색~암갈색을 띤다.

2) 퇴적층

매립층 하부에 분포하는 지층으로 출현심도는 26.0m이상의 두께로 분포한다. 중


립질모래(SP,SM), 실트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준관입시험에 의한 N값은 3/30
∼18/30로 매우 느슨∼보통 조밀한 상대밀도를 보인다. 함수상태는 습윤상태이고,
색조는 황갈색, 암회색을 띤다.

- 101 -
Fig. 5-4. 미포신설계통 1지역 명촌대교 인근 시추 주상도(BH-1)

- 102 -
다. 표준관입시험

표준관입시험(S.P.T)은 1.0m마다 실시하였으며, 지층별 N값 분포는 다음과 같다.

Table 5-43. 표준관입시험 결과


N값
구분
N값 범위 N값 평균 상대밀도/연경도
매립층(CL) 10/30∼19/30 13/30 견고
퇴적층(SP) 4/30∼15/30 9/30 느슨
퇴적층(SM) 3/30∼18/30 6/30 느슨

라. 지하수위 측정

지하수위 측정은 시추종료 후 시추공 내에서 1차로 실시하였으며, 시추작업 완료


후 공내에 PVC Pipe를 매설하여 24시간 이상 경과한 뒤에 재 측정하여 안정된 지
하수위를 측정하였다. 지하수위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5-44. 지하수위 측정 결과


공 번 지하수위 (GL.-m) 수위분포 지층
BH-1 4.90 퇴적층

마. 하향식 탄성파 탐사
1
)시험현황

Table 5-45. 하향식 탄성파 탐사 시험현황


공 번 시추심도 (GL.-m) 검층구간 (GL.-m) 검층간격
BH-1 30.0 1.0∼30.0 1.0m
2
)시험결과

Down hole test를 실시하여 얻은 종파(P파) 및 횡파(S파) 속도, 동탄성 계수는 원


지반 측정치로서 현지 지반의 물성치를 대변한다. Down hole test 결과와 지반분류
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103 -
Table 5-46. 지층별 검층결과
심도 Vs Vp 동적물성치 (MPa) 적용밀도
지층 νd
(m) (m/s) (m/s) Gd Ed Kd (kN/m3)
매립층 0.0∼4.0 167 409 0.400 4.74E+01 1.33E+02 2.21E+02 17.0
퇴적층 4.0∼11.0 235 569 0.398 1.01E+02 2.82E+02 4.58E+02 18.0
11.0∼29.
퇴적층 362 870 0.396 2.37E+02 6.60E+02 1.05E+03 18.0
0
29.0∼30.
퇴적층 411 990 0.396 3.04E+02 8.49E+02 1.36E+03 18.0
0
분석결과 단단한 토사지반(SD)

3) 시험결과 분석

Table 5-47. P파 및 S파 속도 - 탄성계수 상관관계


종파(P파)속도 - 탄성계수 상관관계 횡파(S파)속도 - 탄성계수 상관관계

- 104 -
Table 5-48. 주시곡선, 심도별 탄성파속도 분포 및 동적물성치 분포
주시곡선 심도별 탄성파속도 분포 심도별 동적물성치 분포

4
)전단파속도와 지반분류

Table 5-49. 전단파속도와 지반분류


공 번 시험방법 구간(GL.(-)m) GL.(-)30.0m구간 전단파속도 지반분류
다운홀
BH-1 1.0∼30.0 281 m/sec SD
시험(D.H.T)

바. 반복삼축시험

지진시 발생하는 지반의 응력, 변형특성을 파악하여 지반의 액상화 저항능력을


산정하는 반복삼축시험을 수행하여 지진규모에 맞는 반복회수를 선정하여 지반의
저항능력을 산정하였다. 반복 전단응력비가 증가함에 따라 액상화에 도달하는데 필
요한 반복하중의 재하회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지진규모별 등가진동재하
회수는 아래 표와 같다.

- 105 -
Table 5-50. 지진규모별 등가진동재하회수 (Seed et al, 1986)
지진규모 0.65τmax에 대한 등가진동재하횟수 적용
8.5 26
7.5 15
6.75 10 ◎
6.0 5∼6

Table 5-51. 반복삼축시험 결과


액상화
압밀압력 f 양단변형 축차응력 N=10일때
공번 응력비 발생재하
(kPa) (Hz) (%) (kPa) 응력비
회수, N
40 0.200 23
5 45 0.225 7 0.220
50 0.250 4
BH-1 100.0 0.1
45 0.200 25
10 45 0.225 8 0.224
50 0.250 5

양단변형 5% 양단변형 10%

지진규모 6.5에 해당하는 반복재하회수 N=10인 조건일 때 CRR을 산정한다. 또한


지진의 방향성 및 현장응력상태를 고려하여 보정한 CRR과 지반응답해석에서 얻어
진 CSR을 비교하여 액상화 상세평가를 수행한다.

- 106 -
5.5.2 액상화 예바평가
시추조사 자료와 기본물성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액상화 예비평가를 수행하였다.
시추 주상도에서 지하수위 GL(-)4.9m 하부에 N값 10이하의 느슨한 모래층이 분포하
며 GL.(-)5.5~6.5m에서 채취한 시료의 입도분포곡선으로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평
가한 결과, 액상화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조건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간이평가 및
상세평가를 수행한다.

Table 5-52. 입도시험 결과


Grain Size Distribution %, Finer than (mm)
Boring Depth U.S.
No. (GL.(-)m C.S
0.005 0.075 0.106 0.250 0.425 0.845 2.00 4.75 9.5 19.0
100. 100.
BH-1 4.5∼5.5 29.0 86.4 87.5 90.8 93.7 96.0 98.2 99.6 CL
0 0
100. 100. 100. 100.
BH-1 5.5∼6.5 7.7 32.4 35.9 61.9 85.2 96.8 SM
0 0 0 0

Fig. 5-5. GL.(-)5.5~6.5m 시료의 입도분포에 따른 액상화 평가

- 107 -
5.5.3 지반응답해석

5.5.3.1 비선형 동적 곡선 선정

Proshake Program을 통해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할 경우 지반의 비선형 변형 특성


을 고려하기 위해 공진주시험 또는 비틂전단시험등의 실내시험으로 정규화전단탄성
계수-전단변형률(G/Gmax-γ)과 감쇠비-전단변형률(D-γ)곡선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시험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는 프로그램내에 내장되어 있는 토질별 비선형 곡선을
선택하여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적용 곡선의 종류에 따라 심도
별 가속도 값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므로 동적곡선을 적용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토층별로 적용 가능한 동적곡선에 대해 예비 평가를 한 후 적정한 동적곡선
을 선정하였다.

Table 5-53. 토층별 적용 동적곡선


구분 CASE 1 CASE 2 CASE 3
Clay(Seed and Sun 1989)
점성토 Vucetic - Dobry (PI=10.0) Vucetic - Dobry (PI=10.0)
/ Clay(Idriss 1990)
사질토 Sand(Seed&Idriss)- Average Sand(Seed&Idriss)- Average Sand(Seed&Idriss)- Lower

Table 5-54. CASE 별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CASE 1 CASE 2 CASE 3

지표면 최대 가속도 : 0.309g 지표면 최대 가속도 : 0.302g 지표면 최대 가속도 : 0.366g

3가지 Case에서 지반증폭의 경향성은 유사하나 Case 3의 증폭이 Case 1,2에 비해


크게 평가되며 중간정도의 증폭 현상을 나타내는 Case 1의 지반 비선형 동적곡선을
적용하여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 108 -
5.5.3.2 지반응답해석

추가적인 시추조사 및 현장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지층별 탄성파속도를 산정하고


3개의 입력지진파를 암반노두에 적용하여 심도별 가속도 값을 산정하여 액상화 간
이 및 상세평가에 적용하였다. 시추조사시 기반암 출현심도를 확인하지 못해 조사
종료 심도를 기반암이라고 가정하고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가. Proshake Input Data

Table 5-55. Proshake Input Data


층번 두께 깊이 γsat Vs
토질 G/Gmax-γ 곡선 D-γ 곡선
호 (m) (m) (kN/m3) (m/s)
1 1.0 1.0 매립층 17.0 167 Vucetic - Dobry PI = 10.0
중간 생략
4 4.0 1.0 매립층 17.0 167 Vucetic - Dobry PI = 10.0
5 5.0 1.0 중립질모래 18.0 235 Sand(Seed&Idriss)- Average
중간 생략
11 11.0 1.0 중립질모래 18.0 235 Sand(Seed&Idriss)- Average
12 12.0 1.0 실트질모래 18.0 362 Sand(Seed&Idriss)- Average
중간 생략
29 29.0 1.0 실트질모래 18.0 362 Sand(Seed&Idriss)- Average
30 30.0 1.0 중립질모래 18.0 411 Sand(Seed&Idriss)- Average
31 무한대 무한대 기반암 23.0 1079.0 ROCK

나. 지반응답해석 결과
지반응답해석 결과, 지층을 통과하면서 입력지진파보다 증폭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것은 심도가 깊어질수록 전단파속도가 커지는 지층 분포 특성을 반영한 결과이
며, 가속도 증폭이 예상되는 퇴적층의 심도가 30m이상 분포하여 지표면 가속도가
크게 평가되었다.

Table 5-56. 지반응답해석 결과-가속도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지표면 최대 가속도 : 0.309g 지표면 최대 가속도 : 0.269g 지표면 최대 가속도 : 0.269g

- 109 -
5.5.4 Seed and Idriss(1971) 액상화 간이 평가
간이평가 결과, 안전율이 0.46~0.9로 기준안전율 1.5이하이므로 액상화 발생 가능
성이 있어 상세평가가 필요하다.

Table 5-57. 심도별 액상화 안전율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5.5.5 Seed and Idriss(1971) 액상화 상세 평가


상세평가 결과, 안전율이 0.64~0.84로 기준안전율 1.0이하이므로 액상화가 발생하
여 액상화 대책공법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Table 5-58. 심도별 액상화 안전율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 110 -
5.5.6 Idriss and Boulanger(2008) 액상화 평가

5.5.6.1 지표면 최대 가속도 산정

부지의 최대 가속도 값은 실제 지진에 의한 계측값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


지만 국내는 계기 지진 기록이 미약하여 설계지반운동 수준에 지반종류에 따른 지
진계수를 고려하여 지표면 최대가속도를 가정하는 방법과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여
심도별 가속도값을 산정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본 절에서는 미국의 계측된 지진을 분석하여 도표로 부지의 최대 가속도 값을 산


정하는 간편법을 소개하고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도
록 참고자료로 제시하였다. 아래 도표는 PEER(Pacif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에서 업데이트한 2008 NGA (Next Generation Attenuation Model
2008) 지반운동 예측식 이전과 이후의 감쇠 관계식 사례이다.

가. 감쇠 관계 도표로부터 가속도 값 산정

감쇠 관계 도표로 평가 대상 부지에서의 최대 가속도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지진


규모 6.5, 거리 10km로 가정했을 경우 지표면 최대 가속도 값은 도표에서 약 0.28g
로 산정한다.

Fig. 5-6. 지진 규모 M과 거리, 단층 유형이 주어진 경우 감쇠 관계로부터 a max 구하는 도


표 (Abrahamson and Silva 1997)

- 111 -
나. 스펙트럼에 의한 최대 가속도 값 산정

부지 특성은 상부 30m 평균 전단파속도(Vs=30)을 적용하여 고유주기를 계산 한


후 아래 그림에 의해 최대 가속도 값을 산정한다.

Fig. 5-7. 다양한 학자에 의한 PEER-NGA 스펙트럼


    
   
   
  ×          초
   

위 Fig. 5-7로부터 0.423초에 해당하는 가속도 값은 약 0.21g로 산정할 수 있다.

다. 지표면 최대 가속도 값 비교

지반응답해석을 통해 산정하는 방법과 감쇠관계 도표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주


기에 따른 스펙트럼 가속도 값을 이용하는 법으로 산정된 최대 지반 가속도 값은
아래 표와 같다.

Table 5-59. 지표면 최대 가속도


지반응답 해석
구 분 감쇠관계 도표 주기별 스펙트럼
A파 B파 C파
지표면 최대
0.31 0.27 0.27 0.28 0.21
가속도(g)

본 검토에서는 내진관련 지반조사를 수행하여 지층별 동적 입력정수를 이용하여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으므로 Proshake에서 산정된 심도별 가속도를 이용하여 액
상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 112 -
5.5.6.2 미포신설계통 (추가지반조사)

Idriss & Boulanger(2008)의 상세평가 결과, 안전율이 0.74~1.04로 대부분 기준안


전율 1.0이하를 보이므로 액상화가 발생하여 대책공법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
되었다.

Table 5-60. 심도별 액상화 안전율


인공지진파 A 인공지진파 B 인공지진파 C

5.5.7 액상화 평가 방법 비교
Seed and Idriss(1971)의 간이평가 및 상세평가 방법과 Idriss and Boulanger(2008)
방법 을 적용하여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액상화 평가 결과는 아래와 같다.

미포신설계통 1지역인 명촌대교 북단 사거리 인근 지역의 매설관로 지역에 대해


서 추가지반 조사를 수행하여 예비평가, 간이평가 및 상세평가를 수행한 결과 액상
화 발생이 예상되는 것으로 검토 되었으나 조사지점이 1개소로 액상화 발생 범위를
예측하기에는 부족한 자료이므로 추후에 추가조사를 통해 액상화 발생범위가 광범
위하게 분포할 경우는 보강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driss and
Boulanger(2008)본 평가 방법은 실내시험을 통한 상세평가 후 최종 액상화 평가를
하는 기존 방법과 다르게 예비평가에서 발생가능성이 있는 경우 Idriss and
Boulanger(2008) 본 평가를 수행하여 최종 액상화 판정에 이용하여도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추후 연구를 통해 적용성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113 -
Table 5-61. 추가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결과

Seed and Idriss


Idriss & Boulanger 최종
계통 간이평가 상세평가 액상화
기준 기준 액상화 기준 안정성
안전율 평가 안전율 평가 평가
안전율 안전율 안전율 안전율
①미포신설계통
0.46~0.
1지역 1.5 NG 0.64~0.84 1.0 NG 0.74 ~ 1.04 1.0 NG 불안정
9
(추가지반조사)

5.5.8 액상화 후 재압밀 침하량 산정


추가지반조사를 수행한 미포신설계통 1지역이 액상화가 발생할 것으로 검토되어
Idriss and Boulanger(2008)가 제시한 반경험식을 이용하여 액상화 발생시 침하량을
검토하였다.

5.5.8.1 임계 전단 변형율 산정

임계 전단 변형율(limiting shear strain, g lim )은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  ≤  인 경우, lim   ×   
   

5.5.8.2 지표 침하량 산정

액상화 후 재압밀에 의한 체적 변형율은 대부분 실내실험 연구로부터 유도된 관


계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ε   × 
 
  
 
×  
 
일차원적 재압밀(횡방향 유동 변위가 없는 경우)에 대한 지표면 침하량은 연직
변형율을 체적 변형율까지 적분해줌으로서(1D 재압밀에 적절하게) 계산할 수 있으
며, 수치해석적으로는 연직 변형율을 깊이에 대해 적분함으로서 얻어진다.

     
ε   ε   ×

- 114 -
Table 5-62. 액상화 후 재압밀 침하량
Thi
cknes
Soil Depth γmax Vertical reconsol. strain Sv-1D
s (
N1) 60CS
Type (m) (%) εv (m)
(
m)
중립질모래 6.0 1.0 9.5 2.05 0.0098 0.0098
중립질모래 7.0 1.0 9.0 2.06 0.0101 0.0101
중립질모래 8.0 1.0 8.6 2.07 0.0104 0.0104
중립질모래 9.0 1.0 8.3 2.08 0.0107 0.0107
중립질모래 10.0 1.0 8.0 2.08 0.0109 0.0109
중립질모래 11.0 1.0 7.7 2.09 0.0112 0.0112
실트질모래 12.0 1.0 4.9 2.16 0.0141 0.0141
실트질모래 13.0 1.0 4.7 2.17 0.0143 0.0143
실트질모래 14.0 1.0 4.6 2.17 0.0146 0.0146
실트질모래 15.0 1.0 4.4 2.18 0.0148 0.0148
실트질모래 16.0 1.0 4.3 2.18 0.015 0.015
실트질모래 17.0 1.0 4.1 2.19 0.0152 0.0152
실트질모래 18.0 1.0 4.0 2.19 0.0154 0.0154
실트질모래 19.0 1.0 3.9 2.20 0.0155 0.0155
실트질모래 20.0 1.0 3.8 2.20 0.0157 0.0157
합 계 0.198

액상화 발생시 지표침하량은 19.8cm 발생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5.6 보강공법
액상화 상세평가 결과 액상화가 예상되는 지역은 액상화 대책공법이 필요하게 된
다. 액상화 대책의 설계에서는 액상화의 메커니즘, 구조물의 피해원인과 그 형태를
고려하면 아래 표와 같다.

- 115 -
Table 5-63. 액상화 보강대책 방법
원 적용 환경에
공법명 개 요 비 고
리 깊이 미치는 영향

소음·진동이
강관케이싱을 지중에 삽입시켜 세립분 함유율
GL-3 크다.
SCP 인발 시에 모래를 압입하여 25∼30% 정도까지의 지반에
5m 정도는
공법 다짐한 모래기둥을 타설하고 대하여 다짐효과가 크다.
정도 시공기계에
주변지반을 측방으로 다짐 N 치가 25∼30정도까지 증가
따라 다름
SCP 공법보다는 세립분 함유율
진동 GL-2 Rod의 진동 압입과
약간 적으나 15∼20% 정도까지의 지반에
봉 0m 지표면으로부터의 보급재 충전에
소음·진동이 대하여 다짐효과가 크다.
공법 정도 의해 지반을 다짐
있음 N 치가 15∼20정도까지 증가

짐 바이
다른
브로 편심하중을 내장한 진동체에 의한 세립분 함유율
GL-2 다짐공법과
플로 수평진동과 선단노즐의 사수에 15∼20% 정도까지의 지반에
0m 비교하여
테이 의해 주변지반을 다짐하고 간극에 대하여 다짐효과가 크다.
정도 소음·진동이
션공 보급재 충전 N 치가 15∼20정도까지 증가
적음

중력 GL-1
10∼30tf 중량을 자유낙하시켜 세립분이 많을 경우에 다짐이
낙하 0m 소음·진동이 큼
충격하중으로 지반을 다짐 곤란
공법 정도

케이싱을 소정의 위치까지 다짐에 의한 대책공법적용이


자갈 GL-2 삽입시킨 후 쇄석을 넣고 곤란한 경우 사용되는 수가
간 배수 0m 케이싱을 빼 쇄석말뚝을 만든다. 적음 많음. 세립분 함유량이 크고
극 공법 정도 쇄석말뚝에 의해 지진시의 저투수성 지반에는 적용이
수 과잉간극수압을 소산시킴 곤란.

소 배수
시공법에 따라
산 기능 유공말뚝을 지반중에 타설하여 말뚝에 의해 부상 및
- 소음·진동이
보유 액상화 대책 실시 침하방지효과를 기대
있음
말뚝
지반에 시멘트 등의 안정재료를 성토 등 기설구조물
심층
GL-3 각반·혼합하여 경화시킨다. 하부지반에 액상화 가능성이
혼합
0m 지반전체를 경화시키는 적음 있는 경우에도 그 주변에
처리
정도 전면개량과 벽 모양으로 개량하는 개량벽을 설치함으로써 액상화
공법
고 부분개량이 있음 대책이 가능

사전 매립토사에 미리 시멘트 등의 안정재가
매립과 동시에 액상화 대책이
혼합 안정재료를 첨가혼합하여 놓고 혼합된 토사를
- 되므로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처리 매립을 실시. 따라서 매립후의 수중투하하므로
대량처리 가능
공법 액상화 대책이 필요없음 수질관리 필요
GL-5
치 치환 액상화 가능성이 있는 지반을 굴삭토 처분이 관리된 재료로 대상단면을
m정
환 공법 액상화 하지 않는 재료로 치환 필요 치환하므로 시공이 확실


15∼ 지하수위저하에

Deep 20m 액상화 대책 지반주위를 널말뚝 따른 주변영향 기설구조물의 하부에 적용가능.

Well 정도 등의 지수벽으로 둘러 deep well로 및 가동 경비가 들며 투수성이

공법 수위 지하수위를 내림 지반압밀침하에 불확실함

저하 주의

- 116 -
Table 5-63. 액상화 보강대책 방법(계속)
적용 환경에
원리 공법명 개 요 비 고
깊이 미치는 영향


액상화 가능성이 있는
단 액상화한
지중 지반을 지중벽으로
변 주변지반으로부터의
연속벽 - 싸고 지진시의 적음
형 과잉간극수압 전달을
공법 전단변형을 억제하여
억 방지가능
액상화 방지를 도모

하중분산이 있으므로
성토폭과의 성토에 의한 pre-load를 지중에 전달되는
성토 적음
관계 지반에 가해 과압밀 응력산정을 실시하여



지하수위저하
재 먼저 액상화 대책
Deep 15∼20m 정 에 따른 기설구조물의 하부에
하 지반의 지하수위를
Well 도 수위 주변영향 및 적용이 가능.
낮추고 그 후에
공법 저하 지반압밀침하 투수성이 불확실
회복시킴
에 주의
액상화가 발생해도
말뚝
- 견딜 수 있도록 말뚝의 적음
구 기초
강도를 키움

Sheet Pile 액상화한
적 지반을 Sheet Pile 로
타설시에 주변지반으로부터의
대 널말뚝 - 감싸 액상화 후의
소음·진동이 과잉간극수압 전달도
책, 전단변형을 억제
있음 방지 가능

팽이형태를 가진
타 팽이 가옥 등의 소형
- 블록을 지반에 놓고 적음
기초 건축물에 적용됨
직접기초로 사용

- 117 -
제 6 장 . Testbed 매설관로 내진평가

6.1 서론

6.1.1 개요
매설관로는 전체 상수도 시설물 중에서 지진시 가장 빈번히 피해가 발생하는 구
조물이다. 본 장에서는 울산공업용수도 전체 현황에서 대표단면을 선정하여 예비평
가를 수행하고 내진그룹을 “내진보강 중요시설”과 “내진보강 유보시설” 2개 그룹으
로 분류하여 우선수위를 부여하였다. 우선순위가 높은 내진그룹에 속하는 시설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내진성능 상세평가를 수행하였다.

6.1.2 매설관로 현황
3
울산공업용수도 전체 시설용량은 1,425,000m /일 이며, 관종은 강관(SP), 콘크리트
관(PC), 흄관(HP), 덕타일 주철관(DCIP)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매설관로 현황은 아
래 표와 같다.

- 118 -
Table 6-1. 매설관로 현황
관종별 연장(m)
구 계통 관경
DCI 터널
분 (Sta, 터널포함) (mm) SP PC PCC HP 계
P
2,000 1,000.30 - - - - 1,000.30 -

원동(기존)취 1,800 6,112.60 - - - - 6,112.60 -


수장 1,650 7,999.60 - - - - 7,999.60 -
01
∼대암댐
(0+0∼762+10) 1,000 8,139.20 - - - - 8,139.20 -
15,401.5
계 23,251.70 - - - - 2,3251.70
0
2,000 8,971.80 2,561.50 - - - 11,533.30 -

1,800 - 121.70 - - - 121.70 -


대암댐∼선암
02 댐 1,650 154.00 - - - - 154.00 -
(0+0∼503+20)
1,500 1,937.00 708.00 - - - 2,645.00 -

계 11,062.80 3,391.20 - - - 14,454.00 5,686.00


대암댐∼ 1,500 3,530.16 - - - - 3,530.16 -
사연댐계통직
03 결 800 577.00 - - - - 577.00 -
(0+0∼102+27. 계 4,107.16 - - - - 4,107.16 -
16)
사연댐∼선암
1,200 2,383.00 5,413.00 7,113.00 - - 14,909.00 -

04
(27+9∼399+38
계 2,383.00 5,413.00 7,113.00 - - 14,909.00 -
)
317
사연댐∼ 1,200 - - - - 317.00 -
.00
대암댐계통직
05 1,650 1,717.50 - - - - 1,717.50 -

(0+0∼50+34.5) 317
계 1,717.50 - - - 2,034.50 -
.00
484
1,200 - - - - 484.37 -
사연댐∼ .37
06 천상정수장 1,500 3,239.01 - - - - 3,239.01 -
(0+0∼93+3.38) 484
계 3,239.01 - - - 3,723.38 -
.37
온산가압장∼ 1,350 2,115.80 1,135.00 - - - 3,250.80 -
07 덕하분기
(0+0∼81+10.8) 계 2,115.80 1,135.00 - - - 3,250.80 -
온산가압장∼ 1,350 3,061.00 - - - - 3,061.00 -
08 온산정수장
(0+0∼503+20) 계 3,061.00 - - - - 3,061.00 -

- 119 -
Table 6-1. 매설관로 현황(계속)
관종별 연장(m)
구 계통 관경
PC 터널
분 (Sta, 터널포함) (mm) SP PC HP DCIP 계
C
1500 60.00 - - - - 60.00 -
1350 1,632.50 159.50 - - - 1,792.00 -
1200 917.00 1,079.00 - - - 1,996.00 -
온산( 기존)계통
09 1100 208.00 398.50 - - - 606.50 -
(0+0∼177+22) 1000 1,593.00 - - - 269.00 1,862.00 -
900 785.50 - - - - 785.50 -
계 5,196.00 1,637.00 - - 269.00 7,102.00 -
덕하분기∼ 1650 5,774.50 - - - - 5,774.50 -
삼성정밀
10
화학계통직결
계 5,774.50 - - - - 5,774.50 -
(0+0∼144+14.5)
1,200 576.00 - - 866.00 534.00 1,976.00 -
1,100 424.00 - - - - 424.00 -
1,000 - - - 655.00 - 655.00 -
선암댐∼
900 103.30 - - 463.60 - 566.90 -
11 삼성정밀화학
600 - - - 406.00 - 406.00 -
(0+0∼112+33.4) 450 - - - 284.00 - 284.00 -
200 - - - - 197.40 197.40 -
계 1,103.30 - - 2,674.60 731.40 4,509.30 -
사연댐계통∼ 1,200 621.00 - - - - 621.00 -
12 삼성정밀화학
(0+0∼15+21) 계 621.00 - - - - 621.00 -
1,200 129.50 - - - - 129.50 -
선암댐∼ 900 964.00 1,287.50 - 1,541.00 - 3,792.50 -
13 영남화력 700 832.00 - - 870.00 - 1,702.00 -
(0+0∼41+14) 500 - - - 1,505.00 - 1,505.00 -
계 1,925.50 1,287.50 - 3,916.00 - 7,129.00 -
사연댐계통∼영 1,200 617.00 - - - - 617.00 -
14 남화력계통직결
(0+0∼15+17) 계 617.00 - - - - 617.00 -
900 2,141.50 4,094.00 - - - 6,235.50 -
마포(기존)계통 800 - 577.00 - - - 577.00 -
15 (95+14.5∼265+27) 700 5,655.00 - - - - 5,655.00 -
(0+0∼141+15) 계 7,796.50 4,671.00 - - - 12,467.50 -
마포( 신설)계통 1,100 12,459.00 - - - - 12,459.00 -
16
(0+0∼228+16) 계 12,459.00 - - - - 12,459.00 -
2,400 9,003.20 - - - - 9,003.20 -
원동(확장) 취수장 2,200 6,155.80 - - - - 6,155.80 -
∼온산가압장 2,000 170.00 - - - - 170.00 -
17
(0+0∼854+21.5) 1,500 503.60 - - - - 503.60 -
(0+0∼159+5) 1,000 101.50 - - - - 101.50 25,286.50
계 15,934.10 - - - - 15,934.10 -
900 749.00 - - - - 749.00 -
온산( 확장)계통
18 1,000 6,339.00 - - - - 6,339.00 -
(0+0∼177+8) 계 7,088.00 - - - - 7,088.00 -
양산동부계통 800 14,648.50 - - - - 14,648.50 -
19 (0+0∼74+31)
(0+0∼291+17.5) 계 14,648.50 - - - - 14,648.50 -

- 120 -
6.2 내진성능 평가 대상 선정
평가 대상 선정을 위해 취약도 평가기준을 이용하여 각 구간별 관종류, 지반상태,
관경, 관로 이음부 상태, 주요시설물 존재 여부, 이음부 처리방법에 따라 검토하였
으며, “울산공업용수도 제3회 정밀안전진단 종합보고서(한국K-water연구원, 2010)"를
참조하여 대상을 선정하였다.

Table 6-2. 매설관로 내진성능 평가 대상지역


구 토피고 관경
계 통 Sta. no 지반 관종
간 (m) (mm)
01 원동(기존)취수장∼대암댐 NO. 6+20 SD SP 0.8 1,000

02 대암댐∼선암댐 NO. 31+00 SD SP 1.2 2,000

03 대암댐∼사연댐계통 직결 NO. 95+27.5 SD SP 1.1 800

04 사연댐∼선암댐 NO. 35+32 SD SP 0.5 1,200

05 사연댐∼대암댐계통 직결 NO. 36+00 SD SP 0.35 1,650

06 사연댐∼천상정수장 NO. 50+00 SD SP 2.0 1,500

07 온산가압장∼덕하분기 NO. 46+00 SD SP 1.35 1,350

08 온산가압장∼온산정수장 NO. 4+00 SD SP 1.24 1,350

09 온산(기존)계통 NO. 37+00 SD SP 1.05 1,350


덕하분기∼삼성정밀화학계통
10 NO. 16+00 SD SP 1.15 1,650
직결
11 선암댐∼삼성정밀화학 NO. 13+14 SD HP 1.8 1,200
사연댐계통∼삼성정밀화학직
12 NO. 10+00 SD SP 2.0 1,200

13 선암댐∼영남화력 NO. 56+19.5 SD HP 1.6 900
사연댐계통∼영남화력계통직
14 NO. 1+00 SD SP 2.2 1,200

15 미포(기존)계통 NO. 88+00 SD SP 1.2 700

16 미포(신설)계통 NO. 228+00 SD SP 1.3 1,100

17 원동(확장)취수장∼온산가압장 NO. 12+00 SD SP 1.2 2,400

18 온산(확장)계통 NO. 3+00 SD SP 1.0 1,000

19 양산동부계통 NO. 93+30.5 SD SP 0.9 800

- 121 -
6.3 내진성능 예비평가
지진도 등급에서 2그룹으로 분류된 구간은 “내진보강 유보구조”로 분류하여 상세
평가를 생략하고 지진도 등급에서 1그룹으로 평가된 지역에 대해서 취약도 지수를
평가한 후 35이상이면 “내진보강 중요구조“로 분류하여 내진성능 상세평가를 수행
하였다.

내진그룹화 결과 “내진보강 중요구조”로 분류된 구간은 아래와 같으며 이 구간에


대해서 내진성능 상세평가를 수행한다. 상세평가 수행시 “국토교통부 국토지반정
보 통합DB센터( www.geoinfo.or.kr)”를 참조하여 관로매설 하부 30m의 평균 지층에
대해 지반분류를 수행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Table 6-3. 내진 그룹화 및 예비평가 결과


구간 행정구역 위치 대표관종 지진 구역 지진도 평가 취약도 평가 최종평가결과
09 경남 울주군 SP I 1 그룹 50.4 내진보강
중요구조
10 울산시 SP I 1 그룹 46.2 내진보강
중요구조
11 울산시 HP I 1 그룹 45.6 내진보강
중요구조
12 울산시 SP I 1 그룹 46.8 내진보강
중요구조
13 울산시 HP I 1 그룹 47.4 내진보강
중요구조
14 울산시 SP I 1 그룹 46.8 내진보강
중요구조
15 울산시 SP I 1 그룹 64.0 내진보강
중요구조
16 울산시 SP I 1 그룹 50.4 내진보강
중요구조
18 경남 울주군 SP I 1 그룹 52.2 내진보강
중요구조

6.4 내진성능 상세평가

예비평가시 “내진보강 중요구조”로 분류된 9개 구간에 대해서 내진성능 상세평가


를 수행하였다. 이 중 매설관은 크게 분절관과 연속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내진
성능 상세평가 방법은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선연구(K-water연구원,
2013)에 수록된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 122 -
6.4.1 분절관

6.4.1.1 검토기준

분절관은 기능수행수준과 붕괴방지수준의 평가방법이 동일하며 분절관의 내진성


능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가. 관체발생응력 ≤ 허용응력

관체발생응력=(내압+자동차하중+지진)으로 인한 축방향 응력

나. 이음새의 신축변형률 ≤ 허용신축변형률

이음새 신축변형률=(내압+자동차하중+온도변화+부등침하+지진)에 의한 신축량

6.4.1.2 분절관 평가결과


가. 11구간 (선암댐∼삼성정밀화학) STA. NO. 13+14

1) 관체응력에 의한 내진안정성

Table 6-4. 관체응력에 의한 내진안전성


항목 관체응력 (MPa)

상시하중에 의한 설계내압 (P=1.0MPa) 1.16


축방향응력 차량하중 1.03
지진에 의한 축방향응력 0.35
축방향응력합계 2.54
허용응력 27.50

축방향응력 합계=2.
54(
MPa)<허용응력=2
7.5
0(MPa)
이므로 ∴O.
K

- 123 -
2) 이음부의 신축량에 의한 내진안전성의 조사

Table 6-5. 이음부의 신축량에 의한 내진안전성


항목 신축량 (m)
설계내압 (P=1.0MPa) 0.00035
차량하중 0.00031
상시하중에 의한 신축량
온도효과 (ΔT=15°) 0.00090
부등침하 (Δ=0.30m) 0.00067
지진에 의한 신축량 0.00220
신축량합계 0.00443
허용신축량 0.031
신축량합계=0
.00
443(
m)< 허용신축량=0.
031(
m)이므로 ∴O.
K.

나. 13구간 (선암댐∼영남화력) STA. NO. 56+19.5

1) 관체응력에 의한 내진안정성

Table 6-6. 관체응력에 의한 내진안전성


항목 관체응력 (MPa)
상시하중에 의한 설계내압 (P=1.0MPa) 1.10
축방향응력 차량하중 1.19
지진에 의한 축방향응력 0.36
축방향응력합계 2.65
허용응력 27.50
축방향응력 합계=2.
65(
MPa)<허용응력=2
7.5
0(MPa)
이므로 ∴O.
K

2) 이음부의 신축량에 의한 내진안전성의 조사

Table 6-7. 이음부의 신축량에 의한 내진안전성


항목 신축량 (m)
설계내압 (P=1.0MPa) 0.00033
차량하중 0.00036
상시하중에 의한 신축량
온도효과 (ΔT=15°) 0.00090
부등침하 (Δ=0.30m) 0.00067
지진에 의한 신축량 0.00215
신축량합계 0.00440
허용신축량 0.031

신축량합계=0
.00
44(
m)<허용신축량=0.
031(
m)이므로 ∴O.
K

- 124 -
6.4.2 연속관

6.4.2.1 검토기준

연속관은 기능수행수준과 붕괴방지수준의 평가방법이 다르며 연속관의 내진성능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가. 기능수해수준 : 축방향 변형률 ≤ 허용변형률(항복변형률)

나. 붕괴방지수준 : 축방향 변형률 ≤ 허용변형률(국부 좌굴개시 변형률)

축방향 변형률=(내압+자동차하중+온도변화+부등침하+지진)에 의한 변형률

6.4.2.2 연속관 평가결과


가. 9구간 (온산계통) STA. NO. 37+00
1
)기능수행 수준

Table 6-8. 기능수행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81
차량하중 0.0023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06
지진 0.0010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300
항복점 변형률 εy=23t/D(%) 0.23

축방향 변형률 합계 =0
.03(
%)< 항복점 변형률 =0.
23(
%)이므로 ∴O.
K

- 125 -
2
)붕괴방지수준

Table 6-9. 붕괴방지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81
차량하중 0.0023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06
지진 0.0077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367
항복점 변형률 εy=46t/D(%) 0.46
축방향 변형률 합계= 0
.03
67(
%)<허용변형률 = 0.
46(
%)이므로 ∴O.
K

나. 10구간 (덕하분기∼삼성정밀화학계통직결) STA. NO. 16+00


1
)기능수행 수준

Table 6-10. 기능수행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98
차량하중 0.0037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09
지진 0.0060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384
항복점 변형률 εy=23t/D(%) 0.23
축방향 변형률 합계 =0
.03
84(
%)<항복점 변형률 =0.
23(
%)이므로 ∴O.
K

2
)붕괴방지수준

Table 6-11. 붕괴방지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98
차량하중 0.0037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09
지진 0.0168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492
항복점 변형률 εy=46t/D(%) 0.46
축방향 변형률 합계=0.
049
2(%)<허용변형률 = 0.
46(
%)이므로 ∴O.
K

- 126 -
다. 12구간 (사연댐계통∼삼성정밀화학직결) STA. NO. 10+00
1
)기능수행 수준

Table 6-12. 기능수행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76
차량하중 0.0037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16
지진 0.0133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442
항복점 변형률 εy=23t/D(%) 0.23

축방향 변형률 합계 =0
.04
42(
%)<항복점 변형률 =0.
23(
%)이므로 ∴O.
K

2
)붕괴방지수준

Table 6-13. 붕괴방지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76
차량하중 0.0037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16
지진 0.0248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558
항복점 변형률 εy=46t/D(%) 0.46

축방향 변형률 합계=0.


055
8(%)<허용변형률 = 0.
46(
%)이므로 ∴O.
K

- 127 -
라. 14구간 (사연댐계통∼영남화력계통직결) STA. NO. 1+00
1
)기능수행 수준

Table 6-14. 기능수행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76
차량하중 0.0034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17
지진 0.0132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440
항복점 변형률 εy=23t/D(%) 0.23
축방향 변형률 합계 =0
.04
4(%)<항복점 변형률 =0.
23(
%)이므로 ∴O.
K

2
)붕괴방지수준

Table 6-15. 붕괴방지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76
차량하중 0.0034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17
지진 0.0248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555
항복점 변형률 εy=46t/D(%) 0.46

축방향 변형률 합계=0.


055
5(%)<허용변형률 = 0.
46(
%)이므로 ∴O.
K

- 128 -
마. 15구간 (미포계통-기존) STA. NO. 88+00
1
)기능수행 수준

Table 6-16. 기능수행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71
차량하중 0.0018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05
지진 0.0060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334
항복점 변형률 εy=23t/D(%) 0.23

축방향 변형률 합계 =0
.03
34(
%)<항복점 변형률 =0.
23(
%)이므로 ∴O.
K

2
)붕괴방지수준

Table 6-17. 붕괴방지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71
차량하중 0.0018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05
지진 0.0444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718
항복점 변형률 εy=46t/D(%) 0.46

축방향 변형률 합계=0.


071
8(%)<허용변형률 = 0.
46(
%)이므로 ∴O.
K

- 129 -
바. 16구간 (미포계통-신설) STA. NO. 228+00
1
)기능수행 수준

Table 6-18. 기능수행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78
차량하중 0.0068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14
지진 0.0206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546
항복점 변형률 εy=23t/D(%) 0.23
축방향 변형률 합계 =0
.05
46(
%)<항복점 변형률 =0.
23(
%)이므로 ∴O.
K

2
)붕괴방지수준

Table 6-19. 붕괴방지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78
차량하중 0.0068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14
지진 0.0441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781
항복점 변형률 εy=46t/D(%) 0.46

축방향 변형률 합계=0.


078
1(%)<허용변형률 = 0.
46(
%)이므로 ∴O.
K

- 130 -
사. 18구간 (온산계통-확장) STA. NO. 3+00
1
)기능수행 수준

Table 6-20. 기능수행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89
차량하중 0.0027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06
지진 0.0011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313
항복점 변형률 εy=23t/D(%) 0.23

축방향 변형률 합계 =0
.03(
%)< 항복점 변형률 =0.
23(
%)이므로 ∴O.
K

2
)붕괴방지수준

Table 6-21. 붕괴방지 수준 결과


항 목 변형률(%)
설계내압 (Pi=1.0MPa) 0.0089
차량하중 0.0027
온도변화 (ΔT=15°C) 0.0180
부등침하 0.0006
지진 0.0113
축방향 변형률 합계 0.0415
항복점 변형률 εy=46t/D(%) 0.46

축방향 변형률 합계=0.


04(
%)< 허용변형률 =0.
46(
%)이므로 ∴O.
K

- 131 -
6.5 Chart 평가법에 의한 내진성능 평가
미국의 상수관로의 내진설계 가이드라인으로 적용하고 있는 ALA (American
Lifelines Alliance)의 “Seismic Guidelines for Water Pipelines"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계
방식에는 Chart method, Equivalent Static Method(ESM), Finite Element Method(FEM)
방식이 있다. ALA에서 제시하는 방법 중 ESM과 FEM방법은 특별하고 정밀성이 요
구되는 경우에 적용하고 일반적인 상수관로 시설물에는 Chart method 방법을 적용
한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국내 적용 가능성이 높은 Chart method 방법으로 내진성
능을 평가하고 최대지반속도(PGV)를 이용한 보강방법을 제시하였다.

6.5.1 Chart 평가 방법
Chart 평가법은 아래의 순서에 따라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가. 상수도 매설지역에 대한 부지 고유의 동적 지반응답 해석을 수행

매설지역의 주상도, 입력 지진파 및 동적곡선 등 지반응답해석에 필요한 기본 입


력 정보들을 적용하여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한다. 지반응답해석은 등가선형 또는 비
선형 해석법을 적용한다.

나. 지반응답해석에서 최대지반속도(Peak Ground Velocity, PGV)값을 산출

여기서 PGV는 깊이에 무관하게 지반에서 발생한 최대속도를 의미한다. PGV는


계산된 속도 시간이력으로부터 계산한다. 지반응답해석 프로그램이 속도 시간이력
을 결과물로 제공하는 경우 이를 사용하거나 또는 가속도 시간이력을 적분해서 속
도 시간이력을 계산할 수 있다.

다. 산출된 PGV와 【표 Ⅳ-23】의 기준에 따라 보강방법 결정

PGV를 이용한 설계법은 미국 ALA(2005)의 Chart method를 참고하여 제시하였다.


단, 국내 지진 여건과 시대적 요청을 고려하여 ALA(2005) 기준(PGV=60 cm/s)에 비
하여 보수적인 기준(50 cm/s)을 적용하였다.

- 132 -
Table 6-22. 관종별 보강방법
PGV (cm/s) 주철관 연속관

PGV ≤ 50 일반 메카니칼 조인트 단일 용접

PGV > 50 내진 보강된 조인트 겹치기 용접

6.5.2 Chart 평가법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6.5.2.1 각 구간별 PGV 산정 결과

“내진보강 중요구조“로 분류된 9개소에 대한 PGV 산정결과는 아래와 같다.

Table 6-23. 지반응답해석 결과


구 분 PGA (g) PGV (cm/s)
9 구간 0.354 18.4
10 구간 0.242 22.5
11 구간 0.104 20.6
12 구간 0.104 20.6
13 구간 0.104 20.6
14 구간 0.104 20.6
15 구간 0.214 20.5
16 구간 0.243 20.1
18 구간 0.354 18.4

- 133 -
6.5.2.2 보강방법 결정

“내진보강 중요구조“로 분류된 9개소에 대한 Chart 평가법에 의한 보강방법 평가


결과는 아래와 같다.

Table 6-24. 각 구간별 보강방법


PGV (cm/s)
관종
구간 계통 Sta. No 보강방법
산정결과 기준 (연속관)

9 온산(기존)계통 NO. 37+00 18.0 SP(강관) 단일 용접


덕하분기∼삼성정밀화학
10 NO. 16+00 23.7 SP(강관) 단일 용접
계통직결
메카니칼
11 선암댐∼삼성정밀화학 NO. 13+14 22.3 HP(흄관)
조인트
사연댐계통∼삼성정밀화
12 NO. 10+00 22.3 SP(강관) 단일 용접
학직결
50
메카니칼
13 선암댐∼영남화력 NO. 56+19.5 22.3 HP(흄관)
조인트
사연댐계통∼영남화력계
14 NO. 1+00 22.3 SP(강관) 단일 용접
통직결
15 미포(기존)계통 NO. 88+00 23.0 SP(강관) 단일 용접
16 미포(신설)계통 NO. 228+00 21.6 SP(강관) 단일 용접
18 온산(확장)계통 NO. 3+00 18.0 SP(강관) 단일 용접

6.6 보강대책

6.6.1 일반사항
상수도 시설의 내진성능 향상은 재해 시 급수 확보를 최우선으로 하여 내진성능
평가를 해야 하며 저수시설, 취수시설, 정수시설 , 도수․배수․송수간선 및 배수지 등
기간 시설의 내진성능 강화를 우선적으로 진행해야하지만, 부분적으로 피해가 발생
하더라도 단수 등으로의 영향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6.6.2 상수도관로의 내진성능 향상방법

6.6.2.1 관체 교체방법

지중에 매설되는 상수도관로는 내진성능 평가에서 관체에 발생한 응력이 과도하


여 관체의 내진 안정성이 불안전일 경우, 혹은 관체의 신축변형량이나 변형률이 과

- 134 -
도한 경우에 구조적 성능이 우수한 관체로 교체하는 방법이다.

6.6.2.2 신축이음 종류의 변경

상수도관에 적용하는 신축이음 종류에는 관체 발생 변형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


지가 있다. 기존 적용된 신축이음이 허용할 수 있는 측방향 변형량과 부등침하량,
변형율이 지진에 의한 변형보다 적어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 지진에 의한 관체
변형특성에 적합한 신축이음을 적용하여 교체 설치한다.

6.6.2.3 신축이음의 추가 설치

관로에 설치된 신축이음의 간격이 큰 경우, 지진에 의한 응력 및 변형에 대하여


제어하기 매우 어렵다. 이러한 경우에 기존 신축이음의 중간부에 신축이음을 추가
로 설치하여 지진에 의한 관체 발생응력 및 변형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해 주는 공
법이다.

6.6.2.4 부분보수공법

상수도 관로의 성능이 부분적으로 저하되어 내진에 대한 안정성에 취약한 경우에


부분 보수에 의하여 내진에 대한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비굴착 부분 보수공법
으로는 C.P.L공법, SEALING공법, Snap Lock공법이 있으며, 제시된 공법을 최저기준
으로 현장에 가장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여 품질관리 및 시공관리를 하여야 한다.

6.6.2.5 불량 관거 비굴착 전체보수 공법

상수도 관로의 성능이 전체적으로 저하되어 내진에 대한 안정성이 취약한 불량관


거의 경우는 비굴착 전체보수공법으로 반전 삽입공법, 윈치견인 삽입공법, 제관공
법, 신관 삽입공법등이 있으며, 제시된 공법을 최저기준으로 하여 공사착수 전에 현
장에 가장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여 품질관리 및 시공관리를 하여야 한다.

- 135 -
제 7 장 . Testbed 수로터널 내진평가

7.1 개요

수로터널은 상수도시설에도 포함되지만, 광역적인 의미에서 댐의 부속시설물로도


기능하므로 수로터널은 광역적인 의미에서 용수공급용 도수터널과 터널식 보조여수
로 등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내진성능 평가 절차는 우선 내진설계가 수행되지 않
은 기존 수로터널에 대해 예비평가를 수행하여 상세평가의 수행여부를 결정한다.

울산공업용수도 수로터널의 내진성능평가에서는 원동(기존)취수장∼대암댐, 대암


댐∼선암댐, 원동(확장)취수장∼온산가압장 구간의 수로터널에서 토피가 낮고 지층
이 연약하다고 판단되는 4개소를 선정하여 예비평가를 수행하고, 상세평가가 필요
한 구간에 대해서는 응답변위법과 시간이력 동적해석을 수행하여 내진성능을 평가
하였다.

Fig. 7-1. 수로터널 내진성능 평가 절차

- 136 -
7.2 시설물 현황
울산공업용수도 수로터널 시설물은 1975∼1976년에 준공된 기존 수로터널 구간과
1994년에 준공된 확장 구간으로 구분되며 세부적인 시설물별 현황은 아래와 같다.

Table 7-1. 원동(기존)취수장∼대암댐 계통 수로터널 현황


계통 터널명 총연장(m) 터널 시·종점 현황 비 고

시점 Sta. No. 447+9.0


제1∼7터널 12,274 형식:마제형
원동(기존) 종점 Sta. No. 762+10.0 콘크리트라이닝
취수장 규격:R=2.2m
∼ 준공연도:1975∼1976년
대암댐
시점 Sta. No. 92+0.0 관리주체:K-Water
제8, 9터널 2,800 울산권관리단
종점 Sta. No. 161+28.0

Table 7-2. 대암댐∼선암댐 계통 수로터널 현황


계통 터널명 총연장(m) 터널 시·종점 현황 비 고

시점 Sta. No. 95+8.0


제1, 2터널 1,596.3
종점 Sta. No. 135+28.0
형식:마제형
시점 Sta. No. 178+2.0 콘크리트라이닝
대암댐
제3터널 962.2 규격:R=2.2m

종점 Sta. No. 202+13.0 준공연도:1975∼1976년
선암댐
관리주체:K-Water
울산권관리단
시점 Sta. No. 286+0.0
제4, 5터널 3,008.3
종점 Sta. No. 361+11.0

Table 7-3. 원동(확장)취수장∼온산가압장 계통 수로터널 현황


총연장 규격
계통 터널명 (m) (R, m) 형 식 비 고

출입가능 2개소
원형
제1터널(확장) 3,088 3.0 (밸브실내 맹플랜지)
원동(확장) 콘크리트라이닝
준공년도 : 1994년
취수장
∼ 출입가능 2개소
온산가압장 3.0 원형+마제형 (지상 내 맹플랜지)
제2터널(확장)
3,597 ∼
(2-3T구간) 콘크리트라이닝 제2터널 총연장:22,180m
3.3
준공년도 : 1994년

- 137 -
7.3 내진성능 평가 대상 선정
토피고가 낮고 지반이 연약한 단면을 선정하여 제1구간 2단면, 제2구간 1단면, 제
3구간 1단면을 선정한 결과는 아래표와 같으며, 선정 대상지역에서 가장 근접한 국
토지반정보 DB자료를 활용하여 수로터널 내진평가를 수행하였다.(울산공업용수도
제3회 정밀안전진단 종합보고서(한국수자원공사, 2010)" 참고)

Table 7-4. 수로터널 내진성능 평가 대상 선정


준공 최저 안전
시설물 시설 규모 선정
년도 토피고 진단
제1터널 15m B ◎
제2터널 20m C
제3터널 30m C
제1구간 제4터널 1975 63m C
마제형
[원동(기존)취수장 ∼ 제5터널 ∼ 50m B
B2.4×H2.8
대암댐] 제6터널 1976 15m B
제7터널 15m B
제8터널 3.5m B
제9터널 4m B ◎
제1터널 4m B
1975
제 2구간 제2터널 마제형 4m B ◎

[대암댐∼선암댐] 제3터널 B2.4×H2.8 5m B
1976
제4,5터널 5m B
제 3구간 제1터널 6m B ◎
원형 D3.7
[원동(확장)취수장 ∼ 1994
제2터널 마제형B3.7×H4.0 20m B
온산가압장]

Table 7-5. 기존 지반조사 적용위치

계 통 조사명 조사위치 STA. 비고


부산울산고속도로
x: 395834.1406 국토지반정
① 제1구간 1터널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 STA.468+00
y: 227032.9317 보DB참조
6공구
x: 207983 국토지반정
② 제1구간 9터널 양산북정 택지개발사업 STA.92+00
y: 204553 보DB참조

울산공업용수도
x: 399592.1325 국토지반정
③ 제2구간 2터널 급수체계변경공사 지질 STA.135+28
y: 232564.5999 보DB참조
및 토질조사보고서
양산물금지구
x: 381272.167 국토지반정
④ 제3구간 1터널 택지개발사업 STA.144+00
y: 205716.4034 보DB참조
조성공사(3단계)

- 138 -
7.4 예비평가

7.4.1 대상지역 설계지반 운동수준

7.4.1.1 구조물의 내진성능 수준 결정

붕괴방지수준의 내진 1등급

Table 7-6. 재현주기에 따른 성능 수준


재현주기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50 내진 2등급
100 내진 1등급
200 내진 특 등급
500 내진 2등급
1000 내진 1 등급
2400 내진 특등급

7.4.1.2 설계지반운동 수준 결정

행정구역을 이용한 설계지반운동 수준 결정

PGA = Z × I = 0.11 × 1.40 = 0.154(g)

Table 7-7. 지진구역의 구분(소방방재청, 2013)


구역 계수,
지진구역 행정구역
Z(g 값)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Ⅰ 0.11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강원도 남부*
Ⅱ 도 강원도 북부**, 제주도 0.07
* 강원 남부 : 영월, 정선, 삼척, 강릉, 동해, 원주, 태백
** 강원 북부 : 홍천, 철원, 화천, 횡성, 평창, 양구, 인제, 고성, 양양, 춘천, 속초

Table 7-8. 위험도계수(소방방재청, 2013)

재현주기(년) 50 년 100 년 200 년 500 년 1,000 년 2,400 년 4,800 년

위험도계수, I 0.4 0.57 0.73 1.00 1.40 2.0 2.6

- 139 -
7.4.2 내진성능 예비평가
수로터널 내진성능 평가 대상지역 4개소에 대해 예비평가를 수행하여 상세평가의
수행여부를 결정하는 판단자료로 활용한다.

Fig. 7-2. 내진그룹화 방법

지진도와 취약도를 산정한 후 내진 그룹화 과정을 통하여 상수도 시설물을 “내진


보강 중요구조”, “내진보강 유보구조”의 내진등급으로 그룹화 한다.

Table 7-9. 예비평가 결과


구 간 지진도 평가 취약도 평가(VI) 최종 평가결과
내진보강
제1터널 제1그룹 60.0
제1구간 중요구조
[원동(기존)취수장∼대암댐] 내진보강
제9터널 제2그룹 -
유보구조
내진보강
제 2구간 [대암댐∼선암댐] 제2터널 제1그룹 63.0
중요구조
제 3구간 내진보강
제1터널 제1그룹 57.0
[원동(확장)취수장∼온산가압장] 중요구조

선정한 4개 구간 중 “내진보강 중요구조”로 분류된 3개 구간에 대해서 상세평가


를 수행한다.

- 140 -
7.5 상세평가

수로터널의 내진 해석은 지반 조건, 구조물 조건 등을 고려하여 등가정적해석법,


응답 변위법으로 내진성능을 평가하며 터널형상 및 지반조건등이 복잡할 경우는 동
적 해석법으로 계산 결과 및 거동특성을 확인하기도 한다. 수로터널은 일반적으로
터널 내부를 무압력 터널로 해석하나, 외수압과 내수압의 변화가 무시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수압변화를 고려한 해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검토에서는
예비검토에서 “내진보강 중요구조”로 분류된 3개 구간에 대해서 응답 변위법과 시
간이력 동적 해석법을 적용하여 내진성능 상세평가를 수행하였다.

7.5.1 설계조건

7.5.1.1 적용 설계정수

수치해석 및 지반응답해석을 위한 설계정수 값은 “정밀 안전진단 울산공업용수도


제3회 종합보고서(I)" 결과를 참고하였다. 단, 수치해석시 탄성계수 값은 지반응답해

석과 동일한 전단파속도를 적용하기 위해서    및    를 적
 ×  
용하여 산정하였다.

Table 7-10.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울산공업용수도 제3회 정밀안전진단종합보고서, K-water 2010)


전단파 정규화
단위중량 점착력 전단 탄성계수 포아 감쇠비
구분 3 2 2 속도 전단탄성계수
(kN/m ) (kN/m ) 저항각 (kN/m ) 송비 곡 선
(m/s) 곡선
Sand Sand
토사층 18.0 0 25 111,150 150 0.3 (Seed&Idriss) (Seed&Idriss)
- Average - Average
Sand Sand
풍화토 19.0 30.0 30 308,750 250 0.3 (Seed&Idriss) (Seed&Idriss)
- Upper - Upper
Gravel Gravel
풍화암 20.0 50.0 30 557,568 330 0.28
(Seed et al.) (Seed et al.)
연암층 22.0 100.0 35 3,301,478 767 0.22 ROCK ROCK

7.5.1.2 입력 지진파

본 연구에서 생성한 인공지진파 A, B, C를 모두 적용하였다.

- 141 -
7.5.2 응답변위법

7.5.2.1 제1구간 1터널


가. 수로터널 제원

Table 7-11. 제1 구간[원동(기존)취수장∼대암댐] 1 터널 제원

단면도 제원

⦁단면형상 : 마제형

⦁상부 지반고(H) : 풍화토 10.6m

풍화암 4.4m

⦁터널직경(D) : 2.2m

⦁콘크리트 라이닝두께(t) : 0.3m

나. 전단변형률 및 지반변위

PROSHAKE 해석결과 후 심도별 전단변형률 값으로 지반의 변위를 산정하고 이


를 속도로 변환하여 연속체 해석 시 경계면 하중으로 적용하였다.

Table 7-12. 전단변형율 및 지반변위


전단변형률 지반변위

- 142 -
다. 터널의 지진응답

FLAC-2D를 사용하여 연속체 해석을 하였으며 해석순서는 아래와 같다.

① 굴착 전 지중응력 계산 (K0 = 1.0)

② 굴착 (이완하중 50%)

③ 라이닝 설치 (이완하중 100%)

④ 지중변위 입력 (속도로 변환하여 입력)

라. 해석 결과

해석에 의한 단면력은 지진하중 작용시 최대값이며 결과는 아래와 같다.

Table 7-13. 해석결과


구 분 축력 (kN) 모멘트 (kN∙m) 전단력 (kN)
인공지진파 A 77.80 3.70 13.30
인공지진파 B 103.20 4.92 18.30
인공지진파 C 99.87 4.77 17.67

마. 안정성 평가 결과

해석결과에 의한 단면력의 크기가 허용 단면력 이하의 값이므로 적용한 지진력에


대해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14. 부재력 검토 결과


최대값(MPa) 허용값 안전율
구분 판정
A파 B파 C파 (MPa) A파 B파 C파
휨응력 0.51 0.67 0.65 9.6 19.0 14.3 14.7 O.K
전단응력 0.04 0.06 0.06 0.39 8.8 6.4 6.6 O.K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2007)

    

허용 휨 압축응력 :     = 9.6 MPa

허용 전단응력 :   


 = 0.39 MPa

※ 휨응력 : σ = P + M
A Z

전단응력 : τ = V
A

- 143 -
7.5.2.2 제2구간 2터널
가. 수로터널 제원

Table 7-15. 제2 구간 [대암댐∼선암댐] 2 터널 제원

단면도 제원
⦁단면형상 : 마제형

⦁상부 지반고(H) : 토사층 4.0m

⦁터널직경(D) : 2.2m

⦁콘크리트 라이닝두께(t) : 0.3m

나. 전단변형률 및 지반변위

Table 7-16. 전단변형율 및 지반변위

전단변형률 지반변위

- 144 -
다. 터널의 지진응답 해석결과

Table 7-17. 부재력 검토


구 분 축력 (kN) 모멘트 (kN∙m) 전단력 (kN)
인공지진파 A 18.29 0.86 3.48
인공지진파 B 16.52 0.76 3.06
인공지진파 C 16.57 0.76 3.07

라. 안정성 평가 결과

해석결과에 의한 단면력의 크기가 허용 단면력 이하의 값이므로 적용한 지진력에


대해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18. 부재력 검토 결과


최대값(MPa) 허용값 안전율
구분 판정
A파 B파 C파 (MPa) A파 B파 C파
휨응력 0.12 0.11 0.11 9.6 81.1 90.8 90.7 O.K
전단응력 0.01 0.01 0.01 0.39 33.6 38.2 38.1 O.K

- 145 -
7.5.2.3 제3구간 1터널
가. 수로터널 제원

Table 7-19. 제3 구간 [원동(확장)취수장∼온산가압장] 1 터널 제원

단면도 제원
⦁단면형상 : 마제형

⦁상부 지반고(H) : 토사층 2.7m

연 암 3.3m

⦁터널직경(D) : 3.3m

⦁콘크리트 라이닝두께(t) : 0.4m

나. 전단변형률 및 지반변위

Table 7-20. 전단변형율 및 지반변위


전단변형률 지반변위

다. 터널의 지진응답 해석결과

Table 7-21. 부재력 검토


구 분 축력 (kN) 모멘트 (kN∙m) 전단력 (kN)
인공지진파 A 8.35 0.63 2.47
인공지진파 B 8.16 0.61 2.39
인공지진파 C 7.78 0.57 2.25

- 146 -
라. 안정성 평가 결과

해석결과에 의한 단면력의 크기가 허용 단면력 이하의 값이므로 적용한 지진력에


대해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22. 부재력 검토 결과


최대값(MPa) 허용값 안전율
구분 판정
A파 B파 C파 (MPa) A파 B파 C파

휨응력 0.04 0.04 0.04 9.6 217.1 223.3 236.7 O.K


전단응
0.01 0.01 0.01 0.39 63.1 65.2 69.3 O.K

7.5.2.4 응답변위법 결과

3개의 구간 모두 허용 부재력 이하로 단면력이 발생하므로 내진성능을 만족한다.

Table 7-23. 응답변위법 검토 결과

연속체 해석 결과 부재력 검토(MPa) 안전율


구분 축력 모멘트 전단력 휨응력 전단응력 휨 전단 판정
(kN) (kN・m) (kN) 부재력 허용값 부재력 허용값 응력 응력
A
77.80 3.70 13.30 0.51 0.04 19.00 8.80 O.K
1구 파
간 B 103.2
4.92 18.30 0.67 0.06 14.30 6.40 O.K
1터 파 0
널 C
99.87 4.77 17.67 0.65 0.06 14.70 6.60 O.K

A
18.29 0.86 3.48 0.12 0.01 81.10 33.60 O.K
2구 파
간 B
16.52 0.76 3.06 0.11 9.6 0.01 0.39 90.80 38.20 O.K
2터 파
널 C
16.57 0.76 3.07 0.11 0.01 90.70 38.10 O.K

A
8.35 0.63 2.47 0.04 0.01 217.1 63.10 O.K
3구 파
간 B
8.16 0.61 2.39 0.04 0.01 223.3 65.20 O.K
1터 파
널 C
7.78 0.57 2.25 0.04 0.01 236.7 69.30 O.K

- 147 -
7.5.3 동적해석법
동적해석법은 구조물 및 주변지반을 동역학 모델로 바꾸어 놓고 지진동하중을 가
하여 구조물의 응력을 동적으로 구하는 것이다. 지반-구조물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고, 지진 시 시간에 따른 지반과 구조물의 거동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
어 구조물의 중요도가 높은 수로터널 내진평가에 적합한 해석방법으로 판단된다.

7.5.3.1 제1구간 1터널

3개의 인공지진파를 이용하여 모델링 하부에 적용하였다. 하부라이닝과 측면라이


닝이 만나는 경계에 대해 부재력을 산정하였으며, 수평변위값은 측면 라이닝에서
산정하였다.

가. 해석조건
1
)경계조건
(
1)해석영역 -해석영역은 좌우 3.
0D,하부 3.
0D 적용
(
2)하부경계조건 -점성댐퍼 적용

(점성댐퍼는 Deconvolution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
3)측면경계조건 -자유장 경계(
Fre
eFi
eld)적용

2
)구성모형
Mohr
-Coul
omb모델

3
)동적곡선
FLAC의 Si
g3모델 적용

  
      
(
a,b,x0의 피팅계수를 이용해 비선형 동적곡선 생성)

4
)최대 요소 크기
수직방향으로 전파되는 전단파의 경우,요소의 높이가 H일때,이 요소가 전파할

수 있는 최대 주파수는    이다.즉,요소의 크기가 과도하게 크다
 ×
면 f
max 이상의 주파수를 모두 필터링하게 되어 해석결과가 크게 과소예측될

수 있다.f
max는 2
0Hz를 적용하였다.

- 148 -
 풍화토
제1구간 1터널의 최대 요소 크기는        이
 ×  ×
다. 따라서, 최대 요소 크기를 최대 1.0m 이하로 적용하여 모델링하였다.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6
권 6호 2
010년 6
월 pp.71∼ 85)

나. 적용 동적곡선

각 지층에 적용된 Sig3모델의 변수들은 아래와 같다.

1) 풍화토

Table 7-24. 풍화토의 전단변형률에 따른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 곡선


G/
Gmax Dampi
ng(
%)

a = 1.38, b = -0.65, x0 = -1.80

- 149 -
2) 풍화암

Table 7-25. 풍화암의 전단변형률에 따른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 곡선


G/
Gmax Dampi
ng(
%)

a = 1.00, b = -0.70, x0 = -1.80

3) 연암

Table 7-26. 연암의 전단변형률에 따른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 곡선


G/
Gmax Dampi
ng(
%)

a = 1.49, b = -2.40, x0 = -1.20

- 150 -
다. 터널의 지진응답
1
)해석모델링은 응답변위법과 동일하고 FLAC 2D를 사용하여 연속체 해석을 하
였으며 해석순서는 아래과 같다.
① 굴착 전 지중응력 계산 (
K0 = 1.
0)
② 굴착 (
이완하중 50%)
③ 라이닝 설치 (
이완하중 100%)
④ 생성한 3
개의 시간이력곡선에 대해 해석 수행

2
)각 인공지진파에 대해 모멘트,축력,전단력,변위를 산정하였다.부재력은 측면
과 하부라이닝이 만나는 곳을 검토하였으며,변위는 측면라이닝으로 검토하였
다.

3
)안전율이 FS=9.
1~31
.8로 평가되어 지진력에 대하여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27. 부재력 검토 결과


최대값(MPa) 허용값 안전율
구분 판정
A파 B파 C파 (MPa) A파 B파 C파
휨응력 0.30 0.35 0.35 9.6 31.8 27.1 27.3 O.K
전단응력 0.04 0.02 0.02 0.39 9.1 17.8 19.2 O.K

7.5.3.2 제2구간 2터널 지진응답 해석결과

안전율이 FS=20.4 ~ 123.0를 보이므로 지진력에 대하여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28. 부재력 검토 결과


최대값(MPa) 허용값 안전율
구분 판정
A파 B파 C파 (MPa) A파 B파 C파
휨응력 0.08 0.08 0.08 9.6 116.1 123.0 122.9 O.K
전단응력 0.02 0.02 0.02 0.39 19.7 20.4 20.4 O.K

- 151 -
7.5.3.3 제3구간 1터널 지진응답 해석결과

안전율이 FS=31.0~235.1를 보이므로 지진력에 대하여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29. 부재력 검토 결과


최대값(MPa) 허용값 안전율
구분 판정
A파 B파 C파 (MPa) A파 B파 C파
휨응력 0.2 0.2 0.2 9.6 173.3 221.6 235.1 O.K
전단응
0.03 0.04 0.04 0.39 31.0 38.5 41.3 O.K

7.5.4 응답변위법 및 동적해석법 결과 비교

7.5.4.1 평가결과

3구간 1터널의 결과는 응답변위법의 안전율이 동적해석에 비해 크게 평가되었고,


1구간 1터널 및 2구간 2터널은 동적해석의 안전율이 크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어떤
해석방법이 보수적인 결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는 없으며 2가지 평가방법의 장단점
을 분석하여 적절할 방법으로 상세예측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응답변위법은 경험식 또는 지반응답해석으로 지진시 지반변위를 산정하고 연속체


해석의 경계하중으로 입력하는 다소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시간이력
동적해석은 입력정수의 신뢰성이 크다면 응답변위법 보다는 지진시 거동을 보다 더
정확하게 예측 할 수 있지만 해석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2가지 상세
예측법을 지층 및 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라 적절할 방법을 선택하여 상세예측법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152 -
Table 7-30. 응답변위법과 시간이력 동적해석 결과
응답변위법 동적해석법 안전율

구분 응답변위 동적해석
축력 모멘트 전단력 축력 모멘트 전단력
(kN) (kN・m) (kN) (kN) (kN・m) (kN) 휨 전단 휨 전단
응력 응력 응력 응력
A파 77.80 3.70 13.30 16.5 3.3 12.8 19.00 8.80 31.8 9.1
1구간 103.2
B파 4.92 18.30 7.9 1.6 6.6 14.30 6.40 27.1 17.8
1터널 0
C파 99.87 4.77 17.67 10.1 1.4 6.1 14.70 6.60 27.3 19.2

A파 18.29 0.86 3.48 7.6 1.4 5.9 81.10 33.60 116.1 19.7
2구간
B파 16.52 0.76 3.06 8.2 1.4 5.7 90.80 38.20 123.0 20.4
2터널
C파 16.57 0.76 3.07 8.2 1.4 5.7 90.70 38.10 122.9 20.4

A파 8.35 0.63 2.47 12.8 1.3 5.0 217.1 63.10 173.3 31.0
3구간
B파 8.16 0.61 2.39 8.3 1.0 4.0 223.3 65.20 221.6 38.5
1터널
C파 7.78 0.57 2.25 7.9 1.0 3.8 236.7 69.30 235.1 41.3

7.6 보강대책

7.6.1 쉴드 (shield) 공법

7.6.1.1 가요세그먼트(segment)의 적용에 의한 방법

가요세그먼트(segment)는 지수고무와 내력 바로 구성된 강철제품의 세그먼트


(segment)이며, 휨, 축방향, 전단방향의 모든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것을 실
드 종단방향의 일부에 달아 지진시에 발생하는 변형을 흡수하는 것으로 단면력의
저감을 도모한다. 가요세그먼트(segment)로 흡수할 수 있는 변형량은 수cm∼수10cm
로 크고, 다른 대책공과 비교해 단면력 저감효과도 높기 때문에 국소적인 변형이나
단면력이 집중하는 개소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점에
서, 지층변화 개소와 같이 비교적 불명료한 확대를 가지는 범위로의 단면력 저감에
적용하는 것보다도 입갱접합부와 같은 이종구조물과의 경계부 등의 변형이나 단면
력의 집중을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는 개소에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 153 -
7.6.1.2 탄성 와셔의 적용에 의한 방법

이 방법은 링 이음새에 종래의 동제 와셔로 바꾸어 탄성와셔를 다는 것으로 이음


새 강성을 작게 해 세그먼트(segment)나 이음새 구조 부재에 생기는 지진시의 단면
력을 저감하는 방법이다. 탄성와셔에는 섬유보강 고무제, 우레탄제, 에폭시제 같은
것이 있다. 다만, 제품에 의한 역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목표로 하는 이음새 성
능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정한다.

7.6.1.3 지수성능의 향상에 의한 방법

이 방법은 지진력의 작용에 의해서 이음새부에 생기는 目聞き에 대해서도, 지수


가 가능해지도록 체적팽창율을 가진 Fig. 7-3.과 같은 씰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Fig. 7-3. 씰재의 이미지 그림

- 154 -
7.6.2 굴착식 공법

7.6.2.1 공법개요

도로 및 철도 터널 등은 지진피해로 인하여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


로, 지진시 터널 라이닝의 국부적인 박락 및 탈락, 균열 발생 및 기존 균열의 심화,
노면융기 등의 지진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내진대책공법을 필요로 한다.

내진대책공법으로는 터널내부의 록볼트, 숏크리트, 배면주입, 내면보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공법은 지진에 대비한 공법이면서도 복구공법으로도 적용될 수 있
다.

7.6.2.2 보강개요도

Fig. 7-4. 은 터널 내부에서 록볼트 또는 숏크리트로 보강을 실시하는 개요도를


나타낸 것이고, Fig. 7-5. 은 일본의 터널 내부 보강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Fig. 7-4. 록볼트 및 숏크리트 설치

Fig. 7-5. ○○터널의 내진보강 사례(일본)

- 155 -
제 8 장 . Testbed RC토목구조물 내진평가

8.1 현황

8.1.1 온산정수장 현황
원동취수장에서 제1, 2 확장 수로터널을 통하여 온산가압장까지 도수되면 펌프로
가압을 한 후 선암댐과 온산정수장에 공급된다. 온산정수장에 공급된 원수는 정수
처리 후 온산산업단지, 울산공업단지 등의 수요자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온산정수
장의 시설현황은 다음과 같다.

Table 8-1. 온산정수장 현황


구분 내 용 시설공사 공용년도
위치 울산 울주군 온산읍 학남리 산24-3 기존 : 1977.04 ∼ 1977.12 기존 : 37년
기존 : 120,000m3/일 확장 : 1990.10 ∼ 1994.12 확장 : 20년
용량
확장 : 221,000m3/일 신설 : 2012 신설 : 2년

8.1.2 온산정수장 시설물 현황


Table 8-2. 온산정수장 시설물 현황
시설물명 구조형식 규격(B×L×H) 지수 비고
R.C조 지하식 기존 : 5.0m×6.5m×4.6m 2지
착수정
R.C조 반지하식 확장 : 7.3m×5.7m×3.5m 2지
기존 : 3.5m×3.5m×4.6m 2지
혼화지 R.C조
확장 : 18.0m×6.7m×4.0m 2지
기존 : 15.0m×15.93m×3.9m 4지 철거
응집지 R.C조 확장 : 18.0m×16.0m×3.9m 6지
정수
신설 : 18.0m×16.0m×3.9m 2지
생산시설
기존 : 15.0m×62.0m×4.4m 4지 철거
침전지 R.C조 확장 : 18.0m×63.0m×4.5m 6지
신설 : 18.0m×63.0m×4.5m 2지
약품탱크 R.C조 확장 : φ7.6m×4.15m 2지
기존 : 23.6m×43.6m×5.4m 2지
배수지 지중 R.C조
확장 : 27.0m×72.0m×5.0m 2지
회수조 R.C조 확장 : 5.5m × 7.6m × 4.2m 2지
R.C조 확장 : 4.0m × 15.2m × 4.9m 2지
조정조
지중 R.C조 신설 : 12.0m × 20.3m × 3.7m 1지
배출수 분배조 R.C조 확장 : 4.0m × 4.3m × 3.1m 1지
처리시설 확장 : 15.2m × 15.2m × 5.0m 4지
농축조 R.C조
신설 : 15.2m × 15.2m × 5.0m 2지
슬러지저류조 R.C조 확장 : 4.0m × 5.5m × 4.4m 2지
여포세정수조 R.C조 확장 : 150m × 5.5m × 4.4m 1지

- 156 -
8.2 평가 대상 선정

온산정수장은 1977년 준공이후 확장공사 및 시설개량사업으로 구조물별 공용년수


가 각기 다르다. 따라서, 내진성능평가 대상 구조물 선정시 지중 RC구조물중 공용
년수와 울산공업용수도 정밀점검 종합보고서(2012년) 시설물 상태평가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Table 8-3. 온산정수장 내진성능평가 대상 선정


준공년 상태평
시설물명 구조형식 규격(B×L×H) 선정
도 가
R.C조 지하식 기존 : 5.0m×6.5m×4.6m 1977년 C등급
착수정
R.C조 반지하식 확장 : 7.3m×5.7m×3.5m 1994년 B등급
기존 : 3.5m×3.5m×4.6m 1977년 C등급
혼화지 R.C조
확장 : 18.0m×6.7m×4.0m 1994년 B등급
기존 : 15.0m×15.93m×3.9m 철거 -
응집지 R.C조 확장 : 18.0m×16.0m×3.9m 1994년 B등급 ◎
정수
생산 신설 : 18.0m×16.0m×3.9m 2012년 -
시설
기존 : 15.0m×62.0m×4.4m 철거 -
침전지 R.C조 확장 : 18.0m×63.0m×4.5m 1994년 B등급 ◎
신설 : 18.0m×63.0m×4.5m 2012년 -
약품탱크 R.C조 확장 : φ7.6m×4.15m 1994년 -
기존 : 23.6m×43.6m×5.4m 1977년 B등급 ◎
배수지 지중 R.C조
확장 : 27.0m×72.0m×5.0m 1994년 A등급
회수조 R.C조 5.5m × 7.6m × 4.2m 1994년 B등급
R.C조 4.0m × 15.2m × 4.9m 1977년 B등급
조정조 신설 : 12.0m × 20.3m ×
지중 R.C조 2012년 - ◎
3.7m
배출 분배조 R.C조 4.0m × 4.3m × 3.1m 1994년 B등급

처리 15.2m × 15.2m × 5.0m 1994년 B등급
시설 농축조 R.C조 신설 : 15.2m × 15.2m ×
1994년 -
5.0m
슬러지저류
R.C조 4.0m × 5.5m × 4.4m 1994년 B등급

여포세정수
R.C조 150m × 5.5m × 4.4m 1994년 B등급

- 157 -
8.3 상세평가

RC 토목구조물 중에서 지중에 완전히 묻혀있는 조정조, 배수지 그리고 부분적으


로 지상으로 노출되어있는 응집지, 침전지 RC 구조물에 대해 상세평가를 수행하였
다. RC 토목구조물인 조정조, 배수지 구조물은 응답변위법과 시간이력해석법으로
부재력을 검토하였으며, 지상으로 노출되어 있는 응집지, 침전지 구조물은 등가정적
해석법과 시간이력해석법으로 부재력을 검토 비교하였다.

8.3.1 응답변위법
RC 토목구조물을 frame 요소로 모형화하여 주변 지반을 스프링으로 모사하는 방
법과 주변지반을 일정크기의 요소로 모델링하는 연속체해석으로 응답변위 해석을
수행하였다.

8.3.1.1 조정조 내진성능평가

지반변위는 1차원 지반응답해석 프로그램(PROSHAKE)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적 방


법으로 지반의 변위를 계산하여 적용하였다.

가. 지층조건 및 설계정수

수치해석시 적용되는 설계정수 산정은 “온산정수장 시설개량사업 실시설계 보고


서"중 UB-2 시추공을 참고하였으며 아래 표와 같다.

Table 8-4.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전단파 정규화
층후 단위중량
구분 속도 동포아송비 전단탄성계수 감쇠비 곡선 비고
(m) (kN/m3)
(m/s) 곡선
Sand Sand
전단파 속도
매립층 4.7 19 127 0.48 (Seed&Idriss) (Seed&Idriss) 1/3
Vs = 81×N
- Average - Average
Sand Sand
전단파 속도
풍화토 1.7 19 224 0.48 (Seed&Idriss) (Seed&Idriss) 1/3
Vs = 81×N
- Upper - Upper
전단파 속도
연암층 3.0 23 1385 0.45 Rock Rock 실험결과
적용

- 158 -
나. 입력 지진파

본 연구에서 생성한 3가지 파를 모두 적용하였으며, 연암층 하부지층을 기반암으


로 가정하여 적용하였다.

다. 지반변위 및 전단변형률

변형율이 가장 큰 인공지진파 B에 대해 심도별 전단변형률 값으로 지반의 변위


를 산정하고 이를 지진시 하중으로 적용하였고, 심도별 변위 및 동적설계정수는 아
래 표와 같다.

Fig. 8-1. 전단변형율 및 지반변위

Table 8-5. 심도별 변위 및 동적설계정수


동전단탄성계수 동탄성계수
지층 심도(m) Strain(%) 누적변위(m) 상대변위(m)
(kPa) (kPa)
0.50 0.01163 5.30E-03 3.28E-03 25,889 76,632
1.20 0.03466 5.24E-03 3.22E-03 20,543 60,808
1.90 0.06285 5.00E-03 2.98E-03 16,877 49,956
매립층 2.60 0.09119 4.56E-03 2.54E-03 14,409 42,650
3.30 0.11579 3.92E-03 1.90E-03 12,825 37,962
4.00 0.15605 3.11E-03 1.09E-03 10,868 32,169
4.70 0.19607 2.02E-03 0.00E+00 9,701 28,714
5.70 0.03159 6.47E-04 - - -
풍화토
6.55 0.03639 3.31E-04 - - -
7.40 0.00059 2.14E-05 - - -
연 암 8.40 0.00065 1.64E-05 - - -
9.40 0.00071 9.90E-06 - - -

- 159 -
라. 해석단면

13000

500 2200 2350 600 600 4550 500


600 500 600

500
600
1000
1400

1000
3000
21300

EL.(+) 55.50
15300

1000

2000 500
800
SQ.
1000
500
20

(a)조정조 평면도
13000

500 600 2200 2350 600 600 4550 600 500


500
400 300

F.G.L (+) 55.80


EL.(+) 55.50
EL.(+) 54.90
300x600
3700
4700

500x500

EL.(+) 51.40
600

500 500 5750 500 5750 500 500

13000

(b)조정조 단면도

Fig. 8-2. 조정조 평면 및 단면도

- 160 -
마. 설계조건
1
)사용재료

(
1)콘크리트

① 설계기준강도 :  =27.0 MPa

 
② 탄성계수 :     =26,701 MPa

③ 포아송비 : =0.167

④ 단위중량 : =24.5 kN/m3

(
2)철근

① 종 류 : KSD3504 SD30 이형철근

② 항복강도 :  =300 MPa

③ 탄성계수 :  =200,000 MPa

2
)내진조건
(
1)내진등급 :내진Ⅰ등급
(
2)지진구역 :Ⅰ구역(
울산광역시)
(
3)내진성능목표 :붕괴방지수준
(
4)위험도계수 :1.
4(재현주기 1,
000년)
5)지진계수 :=0.
( 16, =0
.23
( 지반)

바. 하중산정

1
)고정하중(
D)
(
1)구체의 자중 :콘크리트 단위중량을 입력하여 구조해석 프로그램에서 자동 재
하.
(
2)조정조 내부 물 하중 :조정조 내부 H.
W.L(
+)54.
9수위 고려

   ∙   10.0 × 3.5 = 35.0 kN/m2

- 161 -
D₁= 35.0 kN/㎡ D₁= 35.0 kN/㎡

Fig. 8-3. 고정하중

2
)연직토압(
Hv)
Hv = 5.70 kN/㎡ Hv = 5.70 kN/㎡

Hv = 86.6 kN/㎡ Hv = 86.6 kN/㎡

Fig. 8-4. 연직토압 지하수 미고려시

Hv = 5.70 kN/㎡ Hv = 5.70 kN/㎡

Hv = 73.7 kN/㎡ Hv = 73.7 kN/㎡

Fig. 8-5. 연직토압 지하수 고려시

- 162 -
3
)활하중(
L)
L = 10.0 kN/㎡ L = 10.0 kN/㎡

L = 5.0 kN/㎡ L = 5.0 kN/㎡

Fig. 8-6. 활하중

4
)횡토압(
Hh)

Ph1 = 4.75 kN/㎡ Ph1 = 4.75 kN/㎡

Ph2 = 44.65 kN/㎡ Ph2 = 44.65 kN/㎡

(a)횡토압 지하수 미고려시

Ph1 = 4.75 kN/㎡ Ph1 = 4.75 kN/㎡

Ph2 = 31.35 kN/㎡ Ph2 = 31.35 kN/㎡

Ph3 = 38.35 kN/㎡ Ph3 = 38.35 kN/㎡

(b)횡토압 지하수 고려시

Fig. 8-7. 횡토압

- 163 -
5
)지하수압(
Hw)

Pw = 14.0 kN/㎡ Pw = 14.0 kN/㎡

Pb = 6.0 kN/㎡ Pb = 6.0 kN/㎡


Pb = 17.0 kN/㎡ Pb = 17.0 kN/㎡

Fig. 8-8. 지하수압

6
)지진하중(
E)

(
1)관성력

지진시 구체 중량에 의한 관성력은 지반응답해석에 의한 구체 중심의 지진가속도


0.245g를 적용하여 구조해석 프로그램에서 자동재하

w = 0.245g

Fig. 8-9. 관성력

- 164 -
(
2)지진토압

- 지반응답해석에 의한 지반변위

Table 8-6. 지진시 지반변위


깊이 Z(m) 지반변위(m) 상대변위(m) 비 고

0.50 0.00504 0.00300 상부슬래브


1.20 0.00501 0.00297 -
1.90 0.00486 0.00282 -
2.60 0.00455 0.00251 -
3.30 0.00404 0.00200 -
4.00 0.00323 0.00119 -
4.70 0.00204 0.00000 하부슬래브

(
3)유연도비(
F)

주변지반이 RC 토목구조물보다 상대적으로 유연한 경우(F≤1.0) 자유장 지표층의


변위량으로 구한 상대변위량을 적용하고, RC 토목구조물이 주변지반보다 상대적으
로 유연한 경우(F>1.0) 상대변위량을 2배하여 구한 수정 상대변위량을 구조물에 가
하여 부재력을 계산한다.

1.0

0.000014

0.000011

0.000008

0.000005

0.000003

0.000001

0.000000

Fig. 8-10. 단위 횡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

- 165 -
 ×   ×
      
 ×  ×

여기서, F : 유연도비
S Δ)
: 횡방향 단위하중에 의한 변위( 의 역수
Δ=0.
( Δ=71428.
000014m,S=1/ 57)
2
G : 지반의 전단탄성계수(
kN/
m)
2 2 2
G=Vs×ρ =127×1.
939=31274.
131kN/
m
Vs : 지반의 전단파속도
Vs=127m/
s
ρ : 지반의 단위질량
2 2
ρ =γ/
g=19/
9.8=1.
939kN·
s/m

RC 토목구조물이 주변지반보다 상대적으로 유연한 경우에 속하므로(F>1.0) 자유


장 지표층의 변위량으로 구한 상대변위량의 2배를 구조물에 가하여 부재력을 계산
한다.

- 지진토압

지진시 토압 증분     ∙      

Pe1 = 54.177 kN/㎡ Pe1 = 54.177 kN/㎡

Pe2 = 53.635 kN/㎡ Pe2 = 53.635 kN/㎡

Pe3 = 50.927 kN/㎡ Pe3 = 50.927 kN/㎡

Pe4 = 45.328 kN/㎡ Pe4 = 45.328 kN/㎡

Pe5 = 36.118 kN/㎡ Pe5 = 36.118 kN/㎡

Pe6 = 21.490 kN/㎡ Pe6 = 21.490 kN/㎡

Fig. 8-11. 지반변위에 의한 토압 증분치

- 166 -
(
4)지진시 주면전단력
τu = 0.608 kN/㎡

τw = 4.805 kN/㎡
τw = 4.805 kN/㎡

τb = 9.002 kN/㎡

Fig. 8-12. 주면 전단력

(
5)동수압

- 되메우기재의 투구계수는 일반적으로 k=5.0×10-4 m/sec 이하이므로 벽체 배면에

작용하는 동수압은 미고려

Pdw = 6.532 kN/㎡ Pdw = 6.532 kN/㎡ Pdw = 6.532 kN/㎡ Pdw = 6.532 kN/㎡

Fig. 8-13. 동수압

- 167 -
사. 해석모델

조정조 구조물 해석을 위해 구조해석 전산프로그램 MIDAS CIVIL의 Frame 요소


를 이용하여 절점수 43개소, 요소수 44개를 이용하여 다음의 그림과 같이 모델링하
였다.

Fig. 8-14. 해석모델

아. 지반반력계수 산정
1
)기초저면
-연직지반반력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동적 변형계수
  저면의 환산재하폭(
m)
  
  
 ×  
-전단지반반력계수
  ∙    ×  

2
)측벽
-수평지반반력계수

- 168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동적 변형계수
  벽체의 환산재하폭(
m)
  
  
 ×  
-전단지반반력계수
  ∙    ×  

자. 하중조합

하중조합은 콘크리트 구조기준 해설(2012년)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Table 8-7. 하중조합


고정하중 연직토압 활하중 토 압(Hh) 수압 지진하중
구분
(D) (Hv) (L) 지하수無 지하수有 (Hw) (E)
COMBO1 1.20 1.20 1.00 1.00 - - 1.00
COMBO2 1.20 1.20 1.00 - 1.00 1.00 1.00
COMBO3 0.90 0.90 - 1.00 - - 1.00
COMBO4 0.90 0.90 - - 1.00 1.00 1.00

차. 구조해석 결과

구조해석 결과, 지진시 하중조합에 의한 최대 휨모멘트 및 전단력은 다음과 같다.

Table 8-8. 응답변위법 해석결과


단면위치 계수모멘트 계수전단력 비고
단부 -134.8 102.7 -
상부슬래브
중앙부 49.4 - -
상단 -134.8 164.8 -
외측벽체
하단 106.0 155.6 -
단부 -41.5 84.3 -
하부슬래브
지점부 159.8 128.8 -
중앙벽체 65.4 48.9 -

- 169 -
카. 내진성능평가

내진성능 평가기준은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


한다.

소요강도(U) ≤ 설계강도(×공칭강도)
1
)부재 설계강도 산정

(
1)설계모멘트 산정


   ×  × ×  
 
(
2)설계전단력 산정

    

2
)내진성능평가

Table 8-9. 조정조 Frame 해석 내진성능평가


휨 강도 전단 강도 내진
단면위치 성능
  S.F   S.F 평가

상 부 단 부 -134.8 250.4 1.86 102.7 461.3 4.49 O.K


슬래브 중앙부 49.4 183.1 3.71 - - - O.K

외 측 상 단 -134.8 240.5 1.78 164.8 443.5 2.69 O.K


벽 체 하 단 106.0 191.2 1.80 155.6 354.8 2.28 O.K

하 부 단 부 -41.5 312.3 7.53 84.3 443.5 5.26 O.K


슬래브 지점부 159.8 419.9 2.63 128.8 591.4 4.59 O.K
중앙벽체 65.4 355.4 5.43 48.9 502.7 10.28 O.K

3
)검토결과

조정조 Frame 해석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결과 모든 부재에서 설계강도가 소요강


도 이상 확보하여 내진Ⅰ등급 붕괴방지수준의 내진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
보다 자세한 평가는 실제 구조물의 철근량 및 피복을 확인 후 설계강도가 소요강도
이상을 확보하는지를 확인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 170 -
8.3.1.2 배수지 내진성능평가
가. 지층조건 및 설계정수

“온산정수장 시설개량사업 실시설계 보고서(한국수자원공사, 2009)"중 UB-3 시추


공 자료를 참고할 수 있다.

Table 8-10.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전단파 정규화
층후 단위중량
구분 3 속도 동포아송비 전단탄성계수 감쇠비 곡선 비고
(m) (kN/m )
(m/s) 곡선
Sand Sand
전단파 속도
매립층 4.0 19 101 0.48 (Seed&Idriss) (Seed&Idriss) 1/3
Vs = 81×N
- Average - Average
Sand Sand
전단파 속도
풍화토 16.5 19 210 0.48 (Seed&Idriss) (Seed&Idriss) 1/3
Vs = 81×N
- Upper - Upper
전단파 속도
Gravel Gravel (제3회
풍화암 2.5 23 330 0.46
(Seed et al.) (Seed et al.) 정밀안전진단
종합보고서)
전단파 속도
연암층 3.0 23 1385 0.45 Rock Rock
실험결과 적용

- 171 -
나. 지반변위 및 전단변형률

변형율이 가장 큰 인공지진파 A에 대해 심도별 전단변형률 값으로 지반의 변위


를 산정하고 이를 지진시 하중으로 적용하였고, 심도별 변위 및 동적설계정수는 아
래 Table 8-11와 같다.

Table 8-11. 심도별 변위 및 동적설계정수


동전단탄성계수 동탄성계수
지층 심도(m) Strain(%) 누적변위(m) 상대변위(m)
(kPa) (kPa)
0.35 0.0072 1.17E-02 3.41E-03 14560 43096
매립층 1.30 0.0490 1.17E-02 3.39E-03 7944 23514
2.25 0.1432 1.12E-02 2.92E-03 4445 13158
3.20 0.0128 8.73E-03 4.07E-04 69067 204438
4.15 0.0166 8.68E-03 3.53E-04 65331 193380
5.10 0.0206 8.52E-03 1.95E-04 62078 183752
6.10 0.0253 8.33E-03 0.00E+00 58249 172417
풍화토 8.00 0.0341 8.07E-03 - - -
10.00 0.0438 7.42E-03 - - -
12.00 0.0538 6.55E-03 - - -
14.00 0.0621 5.47E-03 - - -
16.00 0.0670 4.23E-03 - - -
18.00 0.0687 2.89E-03 - - -
풍화암 19.30 0.0687 1.52E-03 - - -
20.85 0.0363 6.23E-04 - - -
23.10 0.0022 5.99E-05 - - -
연 암
24.10 0.0011 1.11E-05 - - -

- 172 -
다. 해석단면

44,400

400 19,800 23,800 400

A
4 00

3, 800
4 ,0 0 0
70 0 700
1 ,8 0 0

4 00

4 ,0 0 0

7 00 7 00
2 4 ,4 0 0

2 3 ,6 0 0

4 ,0 0 0

3,800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3,800
B
8 00 80 0
2 ,0 0 0

4 00

4 ,0 0 0
3 ,8 0 0
4 00

평 면 도

(a)배수지 평면도
20,200 24,200

3,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3,200 3,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3,200

400 3,400 400 3,600 400 3,600 400 3,600 400 3,600 400 3,400 400 3,600 400 3,600 400 3,600 400 3,600 400 3,600 400
400

EL.62.30
3 50 2 00

EL.62.00
EL.68.80
100

H.W.L EL.61.50

450 400 450


250 400 400 250 350 350
350 350 2,000
2,000
H =5 ,0 00
6, 450

EXPANSION JOINT

1,800
1,800
300 500 400 300
400 500 700 400 700
30 0

30 0

L.W.L EL.56.50
200

L.W.L EL.55.95

(b)배수지 단면도

Fig. 8-15. 배수지 평면 및 단면도

- 173 -
라. 설계조건

1
)사용재료

(
1)콘크리트

① 설계기준강도 :  =18.0 MPa(울산공업용수도 정밀점검 보고서, 2012)

 
② 탄성계수 :     =26,701 MPa

③ 포아송비 : =0.167

④ 단위중량 : =24.5 kN/m3

(
2)철근

① 종 류 : KSD3504 SD30 이형철근

② 항복강도 :  =300 MPa

③ 탄성계수 :  =200,000 MPa

2
)내진조건
(
1)내진등급 :내진Ⅰ등급
(
2)지진구역 :Ⅰ구역(
울산광역시)
(
3)내진성능목표 :붕괴방지수준
(
4)위험도계수 :1.
4(재현주기 1,
000년)
5)지진계수 :=0.
( 16, =0
.23
( 지반)

마. 하중산정

1
)고정하중(
D)
(
1)구체의 자중 :콘크리트 단위중량을 입력하여 구조해석 프로그램에서 자동 재
하.
(
2)배수지 내부 물 하중 :배수지 내부 H.
W.L(
+)61.
5수위 고려

   ∙   10.0 × 5.1 = 51.0 kN/m2

- 174 -
D₁= 51.0 kN/㎡

Fig. 8-16. 고정하중

2
)연직토압(
Hv)

Hv = 4.75 kN/㎡

Fig. 8-17. 연직토압 지하수 미고려시

3
)활하중(
L)
L = 10.0 kN/㎡

L = 5.0 kN/㎡ L = 5.0 kN/㎡

Fig. 8-18. 활하중

- 175 -
4
)횡토압(
Hh)

Ph1 = 3.325 kN/㎡ Ph1 = 3.325 kN/㎡

Ph2 = 57.950 kN/㎡ Ph2 = 57.950 kN/㎡

(a)횡토압 지하수 미고려시

Ph1 = 3.325 kN/㎡ Ph1 = 3.325 kN/㎡

Ph2 = 22.95 kN/㎡ Ph2 = 22.95 kN/㎡

Ph3 = 27.95 kN/㎡ Ph3 = 27.95 kN/㎡

(b)횡토압 지하수 고려시

Fig. 8-19. 횡토압

5) 지하수압(Hw)

Pw = 10.0 kN/㎡ Pw = 10.0 kN/㎡

Pb = 12.0 kN/㎡

Fig. 8-20. 지하수압

- 176 -
6
)지진하중(
E)

(
1)관성력

지진시 구체 중량에 의한 관성력은 지반응답해석에 의한 구체 중심의 지진가속도


0.212g를 적용하여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MIDAS CIVIL 2012에서 자동재하하였다.

w = 0.212g

Fig. 8-21. 관성력

(
2)지진토압

Table 8-12. 지진시 지반변위


깊이 Z(m) 지반변위(m) 상대변위(m) 비 고
0.35 0.01170 0.003410 상부슬래브
1.30 0.01170 0.003390 -
2.25 0.01120 0.002920 -
3.20 0.00873 0.000407 -
4.15 0.00868 0.000353 -
5.10 0.00852 0.000195 -
6.10 0.00833 0.000000 하부슬래브

(
3)유연도비(
F)
MIDAS/Civil
POST-PROCESSOR
DEFORMED SHAPE
X-DIRECTION

X-DIR= 1.602E-004
NODE= 61
Y-DIR= 0.000E+000
NODE= 1
Z-DIR= 0.000E+000
NODE= 1
0.000160 COMB.= 1.617E-004
NODE= 63

0.000125 SCALE FACTOR=


7.489E+003

0.000089

0.000055

0.000027

0.000008

0.000000
ST: UNIT LOAD

MAX : 61
MIN : 1
FILE: 유 연 도 비 *
UNIT: m
DATE: 10/23/2014
VIEW-DIRECTION
X: 0.000
Y:-1.000
Z: 0.000

Fig. 8-22. 단위 횡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

- 177 -
·  ×
      
·  ×

여기서, F : 유연도비
S Δ)
: 횡방향 단위하중에 의한 변위( 의 역수
Δ=0.
( Δ=6250.
00016m,S=1/ 0)
2
G : 지반의 전단탄성계수(
kN/
m)
2
35889.
0kN/
m(Si
mquake계산값)
ρ : 지반의 단위질량
2 2
ρ =γ/
g=19/
9.8=1.
939kN·
s/m

RC 토목구조물이 주변지반보다 상대적으로 유연한 경우에 속하므로(F>1.0) 자유


장 지표층의 변위량으로 구한 상대변위량의 2배를 구조물에 가하여 부재력을 계산
한다.

- 지진토압

지진시 토압 증분     ∙      

Pe1 = 134.747 kN/㎡ Pe1 = 134.747 kN/㎡

Pe2 = 133.956 kN/㎡ Pe2 = 133.956 kN/㎡

Pe3 = 115.384 kN/㎡ Pe3 = 115.384 kN/㎡

Pe4 = 16.083 kN/㎡ Pe4 = 16.083 kN/㎡

Pe5 = 13.949 kN/㎡ Pe5 = 13.949 kN/㎡


Pe6 = 7.705 kN/㎡ Pe6 = 7.705 kN/㎡

Fig. 8-23. 지반변위에 의한 토압 증분치

- 178 -
(
4)지진시 주면전단력

- 지표증 지반의 고유주기 

  ×
 
표층지반의 특성값 :  ∑     
 

표층지반의 고유주기 :      ×  

- 표준설계 응답스펙트럼  

 
      
  ×

     ×  

- 가속도 응답스펙트럼 

     × × ×  

- 속도 응답스펙트럼 

 
   ∙    ×  
 

- 주면전단력

  ∙
   ∙  ∙  ∙ 
∙   

상부슬래브 :    × × × 
 × 
 ×
 ×  = 3.650 kN/m
2

  × × ×   = 54.025 kN/m


  × 2
하부슬래브 : 
 ×  ×

      2
측 벽 :      = 28.838 kN/m
 

- 179 -
τu = 3.650 kN/㎡

τw = 28.838 kN/㎡
τw = 28.838 kN/㎡

τb = 54.025 kN/㎡

Fig. 8-24. 주면전단력

(
5)동수압

Pdw = 9.443 kN/㎡ Pdw = 9.443 kN/㎡

Fig. 8-25. 동수압

바. 해석모델

배수지 구조물 해석을 위해 구조해석 전산프로그램 MIDAS CIVIL의 Frame 요소


를 이용하여 절점수 85개소, 요소수 90개를 이용하여 다음의 그림과 같이 모델하였
다.

6167 6268 6369 6470 6571 6672 6773 6874 6975 7076 7177 7278 7379 7480 7581 7682 7783 7884 7985 8086 8187 8288 8389 8490 85
60

61

62

63

64

65

66

54 55 56 57 58 59 60
53

54

55

56

57

58

59

47 48 49 50 51 52 53
46

47

48

49

50

51

52

40 41 42 43 44 45 46
39

40

41

42

43

44

45

33 34 35 36 37 38 39
32

33

34

35

36

37

38

26 27 28 29 30 31 32
25

26

27

28

29

30

31

1 1 2 2 3 3 4 4 5 5 6 6 7 7 8 8 9 9 10 10 1111 12 12 1313 14 14 1515 16 16 17 17 18 18 1919 20 20 21 21 2222 23 23 24 24 25

Fig. 8-26. 해석모델

- 180 -
사. 지반반력계수 산정

1
)기초저면
-연직지반반력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동적 변형계수
  저면의 환산재하폭(
m)
  
  
 ×  
-전단지반반력계수
  ∙    ×  

2
)측벽
-수평지반반력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동적 변형계수
  벽체의 환산재하폭(
m)
  
  
 ×  
-전단지반반력계수
  ∙    ×  

- 181 -
아. 하중조합

하중조합은 콘크리트 구조기준 해설(2012년)을 고려한 지진시 하중조합은 다음과


같다.

Table 8-13. 하중조합


고정하중 연직토압 활하중 토 압(Hh) 수압 지진하중
구분
(D) (Hv) (L) 지하수無 지하수有 (Hw) (E)
COMBO1 1.20 1.20 1.00 1.00 - - 1.00
COMBO2 1.20 1.20 1.00 - 1.00 1.00 1.00
COMBO3 0.90 0.90 - 1.00 - - 1.00
COMBO4 0.90 0.90 - - 1.00 1.00 1.00

자. 구조해석 결과

구조해석 결과, 지진시 하중조합에 의한 최대 휨모멘트 및 전단력은 다음과 같


다.

Table 8-14. 응답변위법 해석결과


단면위치 계수모멘트 계수전단력 비고
단부 -66.9 55.4 -
상부슬래브
중앙부 18.5 - -
상단 -110.7 307.3 -
외측벽체
하단 296.8 278.8 -
단부 296.8 292.9 -
하부슬래브
중앙부 -27.3 - -

단면위치 계수 축력 계수모멘트 비고
기둥 387.2 2.4 부재력×기둥유효지간

- 182 -
차. 내진성능평가

내진성능 평가기준은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


한다.

소요강도(U) ≤ 설계강도(×공칭강도)

1
)부재 설계강도 산정

(
1)설계모멘트 산정

 
   ×  × ×  
 
(
2)설계전단력 산정

    

(
3)압축과 휨을 받는 띠철근 기둥의 단면력 산정

- 균형 축하중

       

- 균형 모멘트

  

2
)내진성능평가

배수지 설계시 적용된 피복은 울산공업용수도 정밀점검 보고서(2012)를 참조하였으


며 철근량은 확인할 수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가정하여 단면력을 산정하였다.

Table 8-15. 배수지 적용 철근량


단면위치 적용 피복 적용 철근량 비고
상 부 단부 60 D19@200 -
슬래브 중앙부 60 D16@200 -
외 측 상단 60 D19@200 -
벽 체 하단 60 D25@200 -
하 부 단부 60 D25@200 -
슬래브 중앙부 60 D25@200 -
기둥 60 D22×12EA -

- 183 -
Table 8-16. 배수지 Frame 해석 내진성능평가
휨 강도 전단 강도 내진
단면위치 성능
  S.F   S.F 평가

상 부 단부 -66.9 46.0 0.69 55.4 74.2 1.34 N.G


슬래브 중앙부 18.5 33.0 1.78 - - - O.K

외 측 상단 -110.7 119.1 1.08 307.3 180.3 0.59 O.K


벽 체 하단 296.8 203.6 0.69 278.8 180.3 0.65 N.G

하 부 단부 296.8 203.6 0.69 292.9 180.3 0.62 N.G


슬래브 중앙부 -27.3 203.6 7.46 - - - N.G

압축 강도 휨 강도 내진
단면위치 성능
  S.F   S.F 평가
기둥 387.2 1960.7 5.06 2.4 72.3 30.13 O.K

3
)검토결과

배수지 Frame 해석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결과 설계강도가 소요강도 이상을 확보


하지 못하여 내진Ⅰ등급 붕괴방지수준의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
며, 구조물의 정확한 안전성 확인을 위해서는 실제 구조물의 철근량 및 피복을 확
인 후 추가적인 안전성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184 -
8.3.2 등가정적해석법

8.3.2.1 응집지 내진성능평가


가. 해석단면

Fig. 8-27. 응집 및 침전지 평면도

- 185 -
Fig. 8-28. 응집지 단면도

나. 설계조건

1
)지반조건
배수지와 동일

2
)사용재료
(
1)콘크리트

① 설계기준강도 :  =24.0 MPa

 
② 탄성계수 :     =26,701 MPa

③ 포아송비 : =0.167

④ 단위중량 : =24.5 kN/m3

(
2)철근

① 종 류 : KSD3504 SD30 이형철근

② 항복강도 :  =300 MPa

③ 탄성계수 :  =200,000 MPa

3
)내진조건
(
1)내진등급 :내진Ⅰ등급
(
2)지진구역 :Ⅰ구역(
울산광역시)
(
3)내진성능목표 :붕괴방지수준
(
4)위험도계수 :1.
4(재현주기 1,
000년)
5)지진계수 :=0.
( 16, =0
.23
( 지반)

- 186 -
다. 하중산정
1
)고정하중(
D)
(
1)구체의 자중 :콘크리트 단위중량을 입력하여 구조해석 프로그램에서 자동 재
하.
(
2)조정조 내부 물 하중 :응집지 내부 H.
W.L(
+)63.
20(
가정)수위 고려

   ∙   10.0 × 3.9 = 39.0 kN/m2

D₁= 39.0 kN/㎡

Fig. 8-29. 고정하중

2
)연직토압(
Hv)

Hv = 74.1 kN/㎡ Hv = 74.1 kN/㎡

Fig. 8-30. 연직토압 지하수 미고려시

- 187 -
3
)활하중(
L)

L = 5.0 kN/㎡ L = 5.0 kN/㎡

Fig. 8-31. 활하중

4
)횡토압(
Hh)

Ph1 = 0.000 kN/㎡ Ph1 = 0.000 kN/㎡

Ph2 = 37.050 kN/㎡ Ph2 = 37.050 kN/㎡

Fig. 8-32. 횡토압

5
)지진하중(
E)

(
1)관성력

w = 0.224g

Fig. 8-33. 관성력

- 188 -
(
2)지진토압

Ph1 = 0.000 kN/㎡

Ph2 = 38.570 kN/㎡

Fig. 8-34. 지진시 지반의 동토압

(
3)지진시 동수압

Pdw = 6.874 kN/㎡ Pdw = 6.874 kN/㎡ Pdw = 6.874 kN/㎡ Pdw = 6.874 kN/㎡

Fig. 8-35. 동수압

라. 해석모델

응집지 구조물 해석을 위해 구조해석 전산프로그램 MIDAS CIVIL의 Frame 요소


를 이용하여 절점수 56개소, 요소수 58개를 이용하여 다음의 그림과 같이 모델하였
다.

- 189 -
74 79
70 75 80 76 81 77 82 78 83 79 84 80 85
71 81 86 82 87 83 88 84 89 85 90 86 91
72 87 92 88 93 89 94 90 95 91 96 92
73
75

76

77

78
68

69

70

71
63 64 65 66
61

62

63

64
56 57 58 59
54

55

56

57
49 50 51 52
47

48

49

50
22
24 23 25 24 26 25 27 26 28 27 29 28 30 29 31 30 32 31 33 32 34 33 35 34 36 35 37 36 38 37 39 38 40 39 41 40 42 41
43 42

Fig. 8-36. 해석모델

마. 지반반력계수 산정

1
)기초저면
-연직지반반력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동적 변형계수
  저면의 환산재하폭(
m)
  
  
 ×  

-전단지반반력계수
  ∙    ×  

- 190 -
2
)측벽
-수평지반반력계수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동적 변형계수
  벽체의 환산재하폭(
m)
  
  
 ×  

-전단지반반력계수
  ∙    ×  

바. 하중조합

지진시 하중조합은 다음과 같다.

Table 8-17. 하중조합


고정하중 연직토압 활하중 토 압(Hh) 수압 지진하중
구분
(D) (Hv) (L) 지하수無 지하수有 (Hw) (E)
COMBO1 1.20 1.20 1.00 1.00 - - 1.00
COMBO2 1.20 1.20 1.00 - 1.00 1.00 1.00
COMBO3 0.90 0.90 - 1.00 - - 1.00
COMBO4 0.90 0.90 - - 1.00 1.00 1.00

- 191 -
사. 구조해석 결과

구조해석 결과 지진시 하중조합에 의한 최대 휨모멘트 및 전단력은 다음과 같다.

Table 8-18. 등가정적해석법 해석결과


단면위치 계수모멘트 계수전단력 비고
단부 -35.6 37.4 -
상부슬래브
중앙부 12.2 - -
상단 -35.6 59.2 -
외측벽체
하단 149.8 92.1 -
단부 -51.5 65.9 -
하부슬래브
지점부 146.7 164.3 -
중앙벽체 52.6 68.2 -

아. 내진성능평가

내진성능 평가기준은 소요강도(U) ≤ 설계강도(×공칭강도)

1
)부재 설계강도 산정
(
1)설계모멘트 산정

 
  ×  × ×   
 
(
2)설계전단력 산정

    

2
)내진성능평가

응집지 설계시 적용된 피복은 울산공업용수도 정밀점검 보고서(2012)를 참조하였으


며 철근량은 확인할 수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가정하여 단면력을 산정하였다.

- 192 -
Table 8-19. 응집지 적용 철근량
단면위치 적용 피복 적용 철근량 비고
상 부 단 부 40 D19@200 -
슬래브 중앙부 40 D16@200 -
외 측 상 단 80 D19@200 -
벽 체 하 단 80 D22@200 -
하 부 단 부 80 D22@200 -
슬래브 지점부 80 D22@200 -
중앙벽체 50 D19@200 -

Table 8-20. 응집지 Frame 해석 내진성능평가


휨 강도 전단 강도 내진
단면위치 성능
  S.F   S.F 평가

상 부 단 부 35.6 54.6 1.53 37.4 98.0 2.62 O.K


슬래브 중앙부 12.2 38.7 3.17 - - - O.K

외 측 상 단 35.6 40.0 1.12 59.2 73.5 1.24 O.K


벽 체 하 단 149.8 150.9 1.01 92.1 196.0 2.13 O.K

하 부 단 부 51.5 150.9 2.93 65.9 196.0 2.97 O.K


슬래브 지점부 146.7 150.9 1.03 164.3 196.0 1.19 O.K
중앙벽체 52.6 69.2 1.32 68.2 122.5 1.77 O.K

3
)검토결과

응집지 Frame 해석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결과 모든 부재에서 설계강도가 소요강


도 이상 확보하여 내진Ⅰ등급 붕괴방지수준의 내진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
보다 정확한 평가는 실제 구조물의 철근량 및 피복을 확인 후 설계강도가 소요강도
이상을 확보하는지를 확인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 193 -
8.3.2.2 침전지 내진성능평가
가. 해석단면

Fig. 8-37. 응집 및 침전지 평면도

- 194 -
Fig. 8-38. 침전지 단면도

나. 설계조건
1
)지반조건
배수지와 동일

2
)사용재료
(
1)콘크리트

① 설계기준강도 :  =47.0 MPa

 
② 탄성계수 :     =26,701 MPa

③ 포아송비 : =0.167

④ 단위중량 : =24.5 kN/m3

(
2)철근

① 종 류 : KSD3504 SD30 이형철근

② 항복강도 :  =300 MPa

③ 탄성계수 :  =200,000 MPa

3
)내진조건
(
1)내진등급 :내진Ⅰ등급
(
2)지진구역 :Ⅰ구역(
울산광역시)
(
3)내진성능목표 :붕괴방지수준
(
4)위험도계수 :1.
4(재현주기 1,
000년)
5)지진계수 :=0.
( 16, =0
.23
( 지반)

- 195 -
다. 하중산정
1
)고정하중(
D)
(
1)구체의 자중 :콘크리트 단위중량을 입력하여 구조해석 프로그램에서 자동 재
하.
(
2)침전지 내부 물 하중 :침전지 내부 H.
W.L(
+)63.
20(
가정)수위 고려

   ∙   10.0 × 4.8 = 48.0 kN/m2

D₁= 48.0 kN/㎡ D₁= 48.0 kN/㎡

Fig. 8-39. 고정하중

2
)연직토압(
Hv)

Hv = 95.0 kN/㎡ Hv = 95.0 kN/㎡

Fig. 8-40. 연직토압 지하수 미고려시

- 196 -
3
)활하중(
L)

L = 5.0 kN/㎡ L = 5.0 kN/㎡

Fig. 8-41. 활하중

4
)횡토압(
Hh)

Ph1 = 0.000 kN/㎡ Ph1 = 0.000 kN/㎡

Ph2 = 47.500 kN/㎡ Ph2 = 47.500 kN/㎡

Fig. 8-42. 횡토압

6) 지진하중(E)

(
1)관성력

w = 0.224g

Fig. 8-43. 관성력

- 197 -
(
2)지진토압

Ph1 = 0.000 kN/㎡

Ph2 = 48.460 kN/㎡

Fig. 8-44. 지진시 지반의 동토압

(3) 지진시 동수압

Pdw = 8.592 kN/㎡ Pdw = 8.592 kN/㎡ Pdw = 8.592 kN/㎡

Fig. 8-45. 동수압

라. 해석모델

침전지 구조물 해석을 위해 구조해석 전산프로그램 MIDAS CIVIL의 Frame 요소


를 이용하여 절점수 42개소, 요소수 41개를 이용하여 다음의 그림과 같이 모델하였
다.

Fig. 8-46. 해석모델

- 198 -
마. 지반반력계수 산정

1
)기초저면
-연직지반반력계수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동적 변형계수
  저면의 환산재하폭(
m)
  
  
 ×  

-전단지반반력계수
  ∙    ×  

2
)측벽
-수평지반반력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동적 변형계수
  벽체의 환산재하폭(
m)
  
  
 ×  

-전단지반반력계수
  ∙    ×  

- 199 -
바. 하중조합

지진시 하중조합은 다음과 같다.

Table 8-21. 하중조합

고정하중 연직토압 활하중 토 압(Hh) 수압 지진하중


구분
(D) (Hv) (L) 지하수無 지하수有 (Hw) (E)

COMBO1 1.20 1.20 1.00 1.00 - - 1.00

COMBO2 1.20 1.20 1.00 - 1.00 1.00 1.00

COMBO3 0.90 0.90 - 1.00 - - 1.00

COMBO4 0.90 0.90 - - 1.00 1.00 1.00

사. 구조해석 결과

구조해석 결과 지진시 하중조합에 의한 최대 휨모멘트 및 전단력은 다음과 같다.

Table 8-22. 등가정적해석법 해석결과


단면위치 계수모멘트 계수전단력 비고
외측벽체 하단 602.6 154.7 -
단부 591.1 320.2 -
하부슬래브
지점부 85.5 75.6 -
중앙벽체 146.3 67.5 -

아. 내진성능평가

내진성능 평가기준은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


한다.

소요강도(U) ≤ 설계강도(×공칭강도)

1
)부재 설계강도 산정
(
1)설계모멘트 산정

 
   ×  × ×  
 

- 200 -
(
2)설계전단력 산정

    

2
)내진성능평가

침전지 설계시 적용된 피복은 울산공업용수도 정밀점검 보고서(2012)를 참조하였으


며 철근량은 확인할 수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가정하여 단면력을 산정하였다.

Table 8-23. 침전지 적용 철근량


단면위치 적용 피복 적용 철근량 비고
외 측 벽
하 단 80 D25@200 -

하 부 단 부 80 D25@200 -
슬래브 지점부 80 D25@200 -
중앙벽체 50 D19@200 -

Table 8-24. 침전지 Frame 해석 내진성능평가


휨 강도 전단 강도 내진
단면위치 성능
  S.F   S.F 평가
외측벽
하 단 602.6 196.0 0.33 154.7 196.0 1.27 N.G

하 부 단 부 591.1 259.3 0.44 320.2 257.2 0.80 N.G
슬래브 지점부 85.5 259.3 3.03 75.6 257.2 3.40 O.K
중앙벽체 146.3 69.2 0.47 67.5 122.5 1.81 N.G

3
)검토결과

침전지 Frame 해석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결과 설계강도가 소요강도 이상을 확보


하지 못하여 내진Ⅰ등급 붕괴방지수준의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
며, 구조물의 정확한 안전성 확인을 위해서는 실제 구조물의 철근량 및 피복을 확
인 후 추가적인 안전성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201 -
8.3.3 동적해석법
동적해석법은 구조물 및 주변지반을 동역학 모델로 바꾸어 놓고 지진동하중을 가
하여 구조물의 응력을 동적으로 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정조 구조물에 대
해 유한차분 법과 유한요소법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8.3.3.1 조정조 내진성능평가

가. 해석조건

1
)경계조건
(
1)해석영역 -해석영역은 좌우 3.
0D,하부 3.
0D 적용
(
2)하부경계조건 -점성댐퍼 적용
(
3)측면경계조건 -자유장 경계(
Fre
eFi
eld)적용

2
)구성모형
Mohr
-Coul
omb모델

3
)동적곡선
FLAC의 Si
g3모델 적용

4
)최대 요소 크기
 매립층
최대 요소 크기는        이다.
 ×  ×
따라서,최대 요소 크기를 최대 1.
0m 이하로 적용하여 모델링하였다.

5
)입력지진파
동해석시 모델링요소가 많은 관계로 시간-
가속도 그래프에서 최대 pe
ak값을 포함
하도록하고 총 지진발생시간인 20.
48초의 절반인 10
.24
초만 고려하여 해석에
반영하였다.

- 202 -
나. 적용 설계정수

Table 8-25.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전단파 정규화
단위중량 점착력 전단 탄성계수 포아 감쇠비
구분 속도 전단탄성계수
(kN/m3) (kN/m2) 저항각 (kN/m )
2
송비 곡 선
(m/s) 곡선
Sand Sand
매립층 19.0 0 25 79,677 127 0.3 (Seed&Idriss) (Seed&Idriss)
- Average - Average
Sand Sand
풍화토 19.0 30.0 30 247,869 224 0.3 (Seed&Idriss) (Seed&Idriss)
- Upper - Upper
3,301,47
연암층 23.0 100.0 35 767 0.22 ROCK ROCK
8

다. 모델링 단면

Fig. 8-47. 조정조 모델링 단면

- 203 -
라. 해석 결과(유한차분법)
1
)내진성능 평가

Table 8-26. 조정조 시간이력해석 내진성능평가


휨 강도 전단 강도 내진
단면위치 성능
  S.F   S.F 평가

상 부 단 부 106.0 250.4 2.4 -69.5 461.3 6.6 O.K


슬래브 중앙부 -81.6 183.1 2.2 - - - O.K

외 측 상 단 -78.6 240.5 3.1 58.2 443.5 7.6 O.K


벽 체 하 단 -174.4 191.2 1.1 -128.9 354.8 2.8 O.K

하 부 단 부 -109.8 312.3 2.8 134.4 443.5 3.3 O.K


슬래브 지점부 -83.7 419.9 5.0 108.8 591.4 5.4 O.K
중앙벽체 -122.8 355.4 2.9 63.8 502.7 7.9 O.K

2
)검토결과

조정조 시간이력해석(유한차분법)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결과 모든 부재에서 설계


강도가 소요강도 이상 확보하여 내진Ⅰ등급 붕괴방지수준의 내진성능을 확보한 것
으로 판단된다.

마. 해석 결과(유한요소법)

1
)조정조 모델링

Table 8-27. 조정조 모델링


전체 모델링 구조물 모델링

- 204 -
2
)조정조 시간이력해석결과

Table 8-28. 조정조 시간이력해석 결과


최대 축력 최대 축력 발생구간 시간이력

최대 모멘트 최대 모멘트 발생구간 시간이력

최대 전단력 최대 전단력 발생구간 시간이력

- 205 -
3
)조정조 최대부재력 발생 시간대에서의 부재력도

Table 8-29. 조정조 부재력도


t=13.68sec에서의 발생 축력

t=13.68sec에서의 발생모멘트

t=13.67sec에서의 발생전단력

- 206 -
4
)내진성능 평가

Table 8-30. 조정조 시간이력해석 내진성능평가


휨 강도 전단 강도 내진
단면위치 성능
  S.F   S.F 평가

상 부 단 부 47.89 250.4 5.2 17.80 461.3 25.9 O.K


슬래브 중앙부 47.16 183.1 3.9 - - - O.K

외 측 상 단 47.89 240.5 5.0 21.94 443.5 20.2 O.K


벽 체 하 단 166.03 191.2 1.2 87.80 354.8 4.0 O.K

하 부 단 부 166.03 312.3 1.9 79.00 443.5 5.6 O.K


슬래브 지점부 92.44 419.9 4.5 41.16 591.4 14.4 O.K
중앙벽체 184.88 355.4 1.9 72.35 502.7 6.9 O.K

5
)검토결과

조정조 시간이력해석(유한요소법)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결과 모든 부재에서 설계


강도가 소요강도 이상 확보하여 내진Ⅰ등급 붕괴방지수준의 내진성능을 확보한 것
으로 판단된다.

8.3.3.2 배수지 내진성능평가


가. 해석조건

1
)경계조건
(
1)해석영역 -해석영역은 좌우 3.
0D,하부 3.
0D 적용
(
2)하부경계조건 -점성댐퍼 적용
(
3)측면경계조건 -자유장 경계(
Fre
eFi
eld)적용

2
)구성모형
Mohr
-Coul
omb모델

3
)동적곡선
FLAC의 Si
g3모델 적용

- 207 -
4
)최대 요소 크기
 매립층
최대 요소 크기는        이다.
 ×  ×
따라서,최대 요소 크기를 최대 1.
0m 이하로 적용하여 모델링하였다.

5
)입력지진파

동해석시 모델링요소가 많은 관계로 시간-가속도 그래프에서 최대 peak값을 포함


하도록하고 총 지진발생시간인 20.48초의 절반인 10.24초만 고려하여 해석에 반영하
였다.

나. 적용 설계정수

Table 8-31.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전단파 정규화
단위중량 점착력 전단 탄성계수 포아 감쇠비
구분 속도 전단탄성계수
(kN/m3) (kN/m2) 저항각 (kN/m2) 송비 곡 선
(m/s) 곡선
Sand Sand
매립층 19.0 0 25 50,393 101 0.3 (Seed&Idriss) (Seed&Idriss)
- Average - Average
Sand Sand
풍화토 19.0 30.0 30 217,854 201 0.3 (Seed&Idriss) (Seed&Idriss)
- Upper - Upper
풍화암 20.0 50.0 30 557,568 330 0.28 Gravel Gravel

연암층 23.0 100.0 35 3,301,478 767 0.22 ROCK ROCK

다. 모델링 단면

Fig. 8-48. 배수지 모델링 단면

- 208 -
마. 해석 결과
1
)내진성능 평가

Table 8-32. 배수지 시간이력해석 내진성능평가


휨 강도 전단 강도 내진
단면위치 성능
  S.F   S.F 평가

상 부 단부 -32.6 46.0 1.
4 -33.2 74.2 2.
2 O.K
슬래브 중앙부 -37.85 33.0 - - - N.G
0.
9

외 측 상단 -33.2 119.1 3.
6 -56.6 180.3 3.
2 O.K
벽 체 하단 -143.0 203.6 -115.7 180.3 O.K
1.
4 1.
6

하 부 단부 -143.0 203.6 1.
4 -115.7 180.3 1.
6 O.K
슬래브 중앙부 -38.0 203.6 - - - O.K
5.
4

압축 강도 휨 강도 내진
단면위치 성능
  S.F   S.F 평가
기둥 424.0 1960.7 4.6 354.0 72.3 0.2 N.G

2
)검토결과

배수지 시간이력해석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결과 설계강도가 소요강도 이상을 확


보하지 못하여 내진Ⅰ등급 붕괴방지수준의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
되며, 구조물의 정확한 안전성 확인을 위해서는 실제 구조물의 철근량 및 피복을
확인 후 추가적인 안전성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8.3.3.3 응집지 내진성능평가


가. 해석조건

1
)경계조건
(
1)해석영역 -해석영역은 좌우 3.
0D,하부 3.
0D 적용
(
2)하부경계조건 -점성댐퍼 적용
(
3)측면경계조건 -자유장 경계(
Fre
eFi
eld)적용

2
)구성모형
Mohr
-Coul
omb모델

- 209 -
3
)동적곡선
FLAC의 Si
g3모델 적용

4
)최대 요소 크기
 매립층
최대 요소 크기는        이다.
 ×  ×
따라서,최대 요소 크기를 최대 1.
0m 이하로 적용하여 모델링하였다.

5
)입력지진파

동해석시 모델링요소가 많은 관계로 시간-가속도 그래프에서 최대 peak값을 포함


하도록 하고 총 지진발생시간인 20.48초의 절반인 10.24초만 고려하여 해석에 반영
하였다.

나. 적용 설계정수

Table 8-33.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전단파 정규화
단위중량 점착력 전단 탄성계수 포아 감쇠비
구분 속도 전단탄성계수
(kN/m3) (kN/m2) 저항각
2
(kN/m ) 송비 곡 선
(m/s) 곡선
Sand Sand
매립층 19.0 0 25 50,393 101 0.3 (Seed&Idriss) (Seed&Idriss)
- Average - Average

Sand Sand
풍화토 19.0 30.0 30 217,854 201 0.3 (Seed&Idriss) (Seed&Idriss)
- Upper - Upper

풍화암 20.0 50.0 30 557,568 330 0.28 Gravel Gravel

연암층 23.0 100.0 35 3,301,478 767 0.22 ROCK ROCK

- 210 -
다. 모델링 단면

Fig. 8-49. 응집지 모델링 단면

라. 해석 결과
1
)내진성능 평가

Table 8-34. 응집지 시간이력해석 내진성능평가


휨 강도 전단 강도 내진
단면위치 성능
  S.F   S.F 평가

상 부 단 부 18.7 54.6 2.9 -16.9 98.0 5.8 O.K


슬래브 중앙부 20 38.7 1.9 - - - O.K

외 측 상 단 18.4 40.0 2.2 35.5 73.5 2.1 O.K


벽 체 하 단 -155.3 150.9 0.97 -122.4 196.0 1.6 N.G

하 부 단 부 -95.6 150.9 1.6 120.8 196.0 1.6 O.K


슬래브 지점부 -17.9 150.9 8.4 40 196.0 4.9 O.K
중앙벽체 42.1 69.2 1.6 -18.3 122.5 6.7 O.K

2
)검토결과

응집지 시간이력해석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결과 설계강도가 소요강도 이상을 확


보하지 못하여 내진Ⅰ등급 붕괴방지수준의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
되며, 구조물의 정확한 안전성 확인을 위해서는 실제 구조물의 철근량 및 피복을
확인 후 추가적인 안전성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211 -
8.3.3.4 침전지 내진성능평가
가. 해석조건

1
)경계조건
(
1)해석영역 -해석영역은 좌우 3.
0D,하부 3.
0D 적용
(
2)하부경계조건 -점성댐퍼 적용
(
3)측면경계조건 -자유장 경계(
Fre
eFi
eld)적용

2
)구성모형
Mohr
-Coul
omb모델

3
)동적곡선
FLAC의 Si
g3모델 적용

4
)최대 요소 크기
 매립층
최대 요소 크기는        이다.
 ×  ×
따라서,최대 요소 크기를 최대 1.
0m 이하로 적용하여 모델링하였다.

5
)입력지진파
동해석시 모델링요소가 많은 관계로 시간-
가속도 그래프에서 최대 pe
ak값을 포함
하도록하고 총 지진발생시간인 20.
48초의 절반인 10
.24
초만 고려하여 해석에
반영하였다.

- 212 -
나. 적용 설계정수

Table 8-35. 설계정수 및 동적곡선


전단파 정규화
단위중량 점착력 전단 탄성계수 포아 감쇠비
구분 속도 전단탄성계수
(kN/m3) (kN/m2) 저항각 (kN/m )
2
송비 곡 선
(m/s) 곡선
Sand Sand
매립층 19.0 0 25 50,393 101 0.3 (Seed&Idriss) (Seed&Idriss)
- Average - Average

Sand Sand
풍화토 19.0 30.0 30 217,854 201 0.3 (Seed&Idriss) (Seed&Idriss)
- Upper - Upper

풍화암 20.0 50.0 30 557,568 330 0.28 Gravel Gravel

3,301,47
연암층 23.0 100.0 35 767 0.22 ROCK ROCK
8

다. 모델링 단면

Fig. 8-50. 침전지 모델링 단면

- 213 -
라. 해석결과
1
)내진성능 평가

Table 8-36. 침전지 시간이력해석 내진성능평가


휨 강도 전단 강도 내진
단면위치 성능
  S.F   S.F 평가
외측벽
하 단 -264.5 196.0 0.7 109.0 196.0 1.8 N.G

하 부 단 부 -282.7 259.3 0.9 -168.8 257.2 1.5 N.G
슬래브 지점부 34.1 259.3 7.6 20.1 257.2 12.8 O.K
중앙벽체 46.7 69.2 1.5 11.8 122.5 10.4 O.K

2
)검토결과

침전지 시간이력해석에 의한 내진성능평가 결과 설계강도가 소요강도 이상을 확


보하지 못하여 내진Ⅰ등급 붕괴방지수준의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
되며, 구조물의 정확한 안전성 확인을 위해서는 실제 구조물의 철근량 및 피복을
확인 후 추가적인 안전성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214 -
8.4 해석결과 요약

지중구조물인 조정조와 배수지는 1차원 지반응답해석을 통해 지반의 변위를 산정


하여 응답변위법과 시간이력 동적해석을 수행하여 부재력을 비교하였고, 응집지 및
침전지는 등가정적해석과 시간이력 동적해석으로 부재력을 비교하였다.

Table 8-37. 구조물별 해석방법 및 해석결과

응답변위법 등가정적해석 시간이력 동적해석 최종


시설물명 내진성능평
해석 해석 해석
해석방법 해석방법 해석방법 가
결과 결과 결과
∙Frame 해석
∙유한차분법
배수지 (MIDAS NG - - NG
(FLAC2D)
CIVIL)
실제
∙유한차분법 구조물의
∙Frame 해석
(FLAC2D) 철근량 및
조정조 (MIDAS OK - - OK
∙유한요소법 피복을
CIVIL)
- GTS NX 확인 후
∙MIDAS ∙유한차분법 안정성
응집지 - - OK NG 평가NG
CIVIL (FLAC2D)
∙MIDAS ∙유한차분법
침전지 - - NG NG
CIVIL (FLAC2D)

온산정수장 지중 RC 토목구조물중 선정된 4개소에 대한 내진성능 검토결과, 조


정조를 제외한 3개소인 배수지, 응집지 및 침전지는 설계강도가 소요강도 이상을
확보하지 못하여 내진 Ⅰ등급 붕괴방지수준의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검
토되었다.

그러나 부재력 검토시 필요한 실제 구조물의 철근량 및 피복두께 등의 자료가 미


흡하여 추가적인 자료 조사를 통해 안정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보강공법에 대
한 적용 여부도 추가적인 안정성 검토 후 논의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215 -
8.5 보강공법 및 공사비 산정

8.5.1 시설물의 내진 성능 향상방법


시설물의 내진 성능 향상절차를 요약하면 Fig. 8-51. 과 같다.

Fig. 8-51. 내진성능 향상절차

- 216 -
8.5.2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방법

8.5.2.1 상부슬래브

상수도 및 지하맨홀 구조물의 상부슬라브에 대한 성능 개선은 지하구조물의 특성


상 지반굴착을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조물 내부의 슬라브 하면에서 보강작업이
이루어져야하는 제한조건을 갖고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적용 가능한 성능향상방법
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Table 8-38. 상부슬라브 보강공법


일련
공법명 공법개요
번호
슬라브의 휨모멘트 및 전단 내하력 등이 부족하여 이에 대한
슬라브 하부두께
1 보강이 필요하고, 구조물의 특성상 부득이 부재하부에서
증가보강기법
보강조치가 가능한 경우에 적용하는 공법이다.

콘크리트 슬라브(상·하부 및 벽체슬라브)의 인장면에 강판을


강판접착공법
2 접착하고 기존 콘크리트 슬라브와 일체화시켜서 지진하중에
(주입법, 압착법)
대한 부재저항력을 증진시키는 공법이다.

기존구조물에 기둥 및 벽체를 추가로 설치하므로서 강성


3 부재증설 보강공법
증대에 의한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공법이다.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연결되는 우각부에 지진력에 의한
브레이싱 증설에 전단력 및 휨모멘트가 크게 발생하므로, 이들 부분에 H-형강
4
의한 보강 브레이싱을 설치하므로서 부재 내하력을 증진시키는
공법이다.

가. 슬라브 하부두께 증가보강기법

(
1)공법개요

구조물의 특성상 부득이 부재하부에서 보강조치가 가능한 경우에 적용한다. 부재


하부에 추가적으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추가 타설된 콘크리트의
수축 등에 의하여 신·구 콘크리트의 접합이 불확실해지기 쉬우므로 이에 대한 확실
한 대책이 필요하다.

- 217 -
Fig. 8-52. 슬라브 하부 보강 개요도

나. 강판접착공법

강판접착공법에는 주입공법과 압착공법의 두 가지가 있다

(
1)공법개요

콘크리트 슬라브(상·하부 및 벽체슬라브)의 인장면에 강판을 접착하고 기존 콘크


리트 슬라브와 일체화시켜서 지진하중에 대한 부재저항력을 증진시킨다. 접착하는
강판으로는 두께 4.5∼6mm정도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강판의 접착길이는 수요 휨
모멘트발생 구간보다 저항휨모멘트가 커지는 범위까지 충분히 길게 연장한다. 강판
접착공법은 주하중 단면방향뿐만 아니라 배력근 방향에 대하여도 부재저항력을 증
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
2)주입공법

콘크리트면과 강판면의 사이에 스페이서 등에 의해 빈 공간을 지지시키고 주위를


시일해서 한편으로 주입용 에폭시계 수지를 주입해서 공기를 빼면서 접착하는 공법
이다. 약간의 기포가 남아있을 위험이 있고, 주입에 상당한 시간을 요하지만 콘크리
트면이 평골하지 않고 일부 또는 전체면에 곡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강판을 접
착하는데에 적용시키고 있다.

Fig. 8-53. 강판접착공법(주입법)

- 218 -
(
3)압착공법

콘크리트면 및 강판면에 에폭시계 수지를 도포하고 다시금 콘크리트 면에 고정해


있는 앵커류를 이용해서 강판을 콘크리트면에 압착하는 공법이다. 에폭시계 수지의
일부를 압착에 의해 압출함과 동시에 접착면에 포함된 공기를 빼내면서 시공한다.
이 공법은 콘크리트면이 평골해서 콘크리트면에 압착용앵커보울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부분에 강판을 압착하는데에 적용시키고 있다. 강판 접착공법을 효과적으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에폭시계 수지의 선정과 충분한 시공관리가 필요하다.

Fig. 8-54. 강판접착공법(압착법)

다. 부재증설 보강공법
(
1)공법개요

기존구조물에 기둥 및 벽체를 추가로 설치하므로서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내


진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그 구조계는 강도와 함께 강성이 증가되면서 전체
구조계의 강성분포에 변화를 일이키므로 균형 있는 증설배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
다.

Fig. 8-55. 기존 구조물의 증설 예

- 219 -
라. 브레이싱 증설에 의한 보강
(
1)공법개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연결되는 우각부에 지진력에 의한 전단력 및 휨모멘트가


크게 발생하므로, 이들 부분에 H-형강 브레이싱을 설치하므로서 부재 내하력을 증
진 시키는 공법이다. 우각부에 설치하는 브레이싱 부재는 축방향 작용 지진하중에
대하여 효과적인 내하력을 발휘한다.

Fig. 8-56. 보강개요도

- 220 -
8.5.2.2 하부슬래브

하부슬라브에 대한 성능개선은 구조물 내부의 슬라브 상면에서 보강작업이 이루


어져야하는 제한조건을 갖고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적용 가능한 성능향상 방법에
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Table 8-39. 하부슬라브 보강공법


일련
공법명 공법개요
번호
구조물의 바닥슬라브 부재에서 휨모멘트 및 전단내하력 등이
슬라브 하부두께
1 부족하여 이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다. 구조물의 특성상 부득이
증가보강기법
부재상단에서 보강조치가 가능한 경우에 적용하는 공법이다.
콘크리트 슬라브(상·하부 및 벽체슬라브)의 인장면에 강판을
강판접착공법
2 접착하고 기존 콘크리트 슬라브와 일체화 시켜서 지진하중에
(주입법, 압착법)
대한 부재저항력을 증진시키는 공법이다.

기존구조물에 기둥 및 벽체를 추가로 설치하므로서 지진하중에


3 부재증설 보강공법
대한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공법이다.

8.5.2.3 벽체(기둥)

벽체(기둥)의 성능개선은 지하구조물의 특성상 지반굴착을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


서 구조물내 측 벽체에서 보강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제한조건을 갖고 있다. 이러
한 조건에서 적용 가능한 성능향상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Table 8-40. 벽체(기둥) 보강공법


일련
공법명 공법개요
번호
벽체(기둥) 두께 기존구조물의 두께를 증가시킴에 따라 내하력을 증진시키는
1
증가보강기법 공법이다.
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전단력에 대하여 기존기둥에 급격한
기둥의 띠판
2 전단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둥의 인성(Toughness)을 증진
보강공법
시키는 공법이다.

- 221 -
8.5.3 공사비 산정

Table 8-41. 지중RC 구조물 보강 공법 비교


브레이싱 증설에 의한
구분 강판보강공법 섬유보강공법
보강공법

공법
개요

· 우각부에 H-형강 브레 · 콘크리트 표면에 접착 · 기존 콘크리트표면에


이싱을 설치함으로서 수지로 강판을 접착시 에폭시수지를 사용하
부재 내하력을 증진 키는 공법 여 섬유시트를 접착시
시키는 공법 키는 공법

시공

사진

· 표면처리 · 바탕처리 · 바탕처리


· 앵커설치 · 에폭시프라이머도포 · 전용접착재 도포
시공 · 고정플레이트설치 · 철판부착 및 앵커작업 · 폴리머모르타르 충진
순서 · 회전봉설치 · 에폭시 주입 · 유리섬유망 피복형성
· 축력도입 · 방청도장 · 양생 마감
· 양생마감

· 구조물 내부에서 시공 · 중장비 필요 · 중장비 필요없음


시공성 · 설치가 간편 · 현장용접, 앵커필요 · 시공전 면처리 필요
· 공기 단축이 가능 · 시공장소 제한 · 시공기간이 짦음

단가 1,000,000원/EA 342,000원/m2 370,000원/m 2

- 222 -
제 9 장 . Testbed 취수탑 내진평가

9.1 현황

대암댐 취수탑은 Fig. 9-1에 보인 바와 같이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된 지반상에 건


설된 RC 원통형 축대칭 구조물이다. 취수탑은 지진구역 I에 건설되었으며, 중요도가
높은 시설로서 내진 I등급 구조물로 분류한다.

Fig. 9-1. 취수탑 평면 및 종단도

- 223 -
9.2 적용 설계정수 산정

9.2.1 지반 조건
1) 지반 종류 : SD

2) 습윤 단위 중량 : γt = 19 kN/m3

3) 수중 단위 중량 : γsub=10 kN/m3

9.2.2 사용 재료

9.2.2.1 콘크리트

1) 설계기준강도 : fck = 21 MPa

2) 탄성계수 : Ec = 8500 3 fcu =24,854.15 MPa, (fcu = fck+ △f = 21+4 = 25)

3) 포아송비 : ν = 0.167

4) 단위중량 : γc = 24.5 kN/m3

9.2.2.2 철근

1) 종 류 : KSD3504 SD30 이형철근

2) 설계기준강도 : fy = 300 MPa

3) 탄성계수 : Es = 200,000 MPa

9.2.2.3 내진조건

1) 내진등급 : 내진Ⅰ등급

2) 지진구역 : Ⅰ구역(울산광역시)

3) 내진성능목표 :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4) 위험도계수

- 기능수행수준 : 0.57 (재현주기 100년)

- 붕괴방지수준 : 1.40 (재현주기 1,000년)

5) 지진계수 : Ca = 0.16, Cv = 0.23 (SD지반)

- 224 -
9.3 상세평가

9.3.1 해석 단면

Fig. 9-2. 취수탑 일반구조도

9.3.2 등가정적 해석

9.3.2.1 고정 하중

작용점 Z는 기초 상단으로부터의 높이

가 . 지붕하중 (가정치 )

- W1=548.08 kN, Z1=23.95m

나 . 상판하중 (가정치 )

- W2=358.38 kN, Z2=22.60m

- 225 -
다 . 공도교 하중 (가정치 )

- W3=128.60 kN, Z3=22.45m

라 . 벽체 자중

-단위 높이 당 중량(
w):
π ×(
6.
2
4-5.
2
0) ×25=313.
37kN
4

- a-a 블록의 중량 : W4=2,616.64 kN, Z4=18.28m

- b-b 블록의 중량 : W5=1,410.17 kN, Z5=11.85m

- c-c 블록의 중량 : W6=3,008.35 kN, Z6=4.80m

마 . 구조물 총 중량
6
-구조물 총 중량(
W): Σ W i=8,
070.
22kN
i
=1

9.3.2.2 지진 하중

가 . 설계 수평가속도 계수 (Kh)

지표면 가속도계수(A)를 설계 수평가속도계수(Kh)로 결정한다.

- K=I×Ca

Table 9-1. 설계에 적용된 지진계수


구분 I Ca Cv 비고
기능수행수준 0.57 내진I등급,
0.11 0.11
붕괴방지수준 1.40 지반종류 SB

1) 기능수행수준(Kh1)

- Kh1=0.57×0.11=0.0627

2) 붕괴방지수준(Kh2)

- Kh2 = 1.40 × 0.11 = 0.154

- 226 -
3) 주기

- Ts=Cv/2.5Ca=0.11/2.5×0.11=0.4 sec

- T0=0.2Ts=0.2×0.4=0.08 sec

나 . 구조물의 고유주기

1) 구조물 높이(L)

W1
-L=H+ 2 2
=24.
20
π(
D1-D2)
×γc
4
여기서,L :지붕부 중량을 고려한 취수탑의 등가 콘크리트 원통형 높이
D1 :취수탑 외부 반경
D2 :취수탑 내부 반경

2) 홍수위시 고유주기(T)

πL2 2q′ a 2
-T= {
1+12( )}
=0.
228s
ec
a 3gE L
여기서,a : 수조의 외측반경
γc : 벽체 콘크리트의 단위중량
Ec : 벽체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2
g : 중력가속도(
9.8m/
sec)
√3·
a
t
anh( )
γw·
a L 3
q′ : γc + × = 47.
47kN/
m
2t √3·
a
L

- 227 -
다 . 설계지진력

1) 설계 바닥전단력(V)

Cv·
I기능수행
-V= W ≤2.
5·Ca·
I기능수행·
W=1265.
0kN
T

2) 최상층에 작용시킬 수평지진력(Ft)

- Ft = 0.07·T·V (단, T≤0.7인 경우, Ft = 0.0)

- Ft = 0.00 (∵T < 0.7 sec)

3) 구조물 높이에 따라 분배시킬 수평지진력(Fx)

(
V-Ft)
·W x·
hx
-Fx=
ΣWx·
hx
여기서,W x : 각 층의 중량
hx : 각 층의 높이

Table 9-2. 구조물 높이에 따라 분배된 수평지진력(Fx)


Wx hx Wx·hx Fx
총 중량
(kN) (m) (kN·m) (kN)
건축 하중(W1) 548.08 23.95 13126.52 161.085
상판 하중(W2) 358.38 22.60 8099.39 99.393
공도교 하중(W3) 128.60 22.45 2887.07 35.429
EL.31.60(W4) 2616.64 18.28 47819.10 586.822
벽체 EL.41.20(W5) 1410.17 11.85 16710.51 205.066
EL.46.517(W6) 3008.35 4.80 14440.08 177.204
Σ 3651.70 - 103082.66 1265.0

- 228 -
4) 지진시 동수압, P(z)

z
-P(
z γw·
)=Ah· π·a12·
I·( )
h
a1 2.
50 z
1
-취수탑 내부 : = =0.
117 , P1(
z1)=17.
907·
I·( )
h1 21.
30 h1
a2 3.
20 z
1
-취수탑 외부 : = =0.
150 , P2(
z2)=29.
339·
K·( )
21.h2
31 h1
z1 z2
여기서, I
·( ),K·
( ): Be
sse
l함수로부터 선형보간하여 결정.
h1 h2

Table 9-3. 수심방향의 동수압력 분포


취수탑 내부 취수탑 외부
z/h z1 z1 P1(z1) z2 z2 P2(z2)
I( ) K( )
(m) h1 (kN/m) (m) h2 (kN/m)
0.0 0.000 0.9995 17.898 0.000 0.9406 27.596
0.1 2.131 0.9994 17.896 2.131 0.9394 27.561
0.3 6.393 0.9978 17.868 6.393 0.9287 27.247
0.5 10.655 0.9906 17.739 10.655 0.9019 26.461
0.7 14.917 0.9590 17.173 14.917 0.8418 24.698
0.9 19.179 0.8170 14.630 19.179 0.6793 19.930
1.0 21.310 - 0.000 21.310 - 0.000

- 229 -
9.3.2.3 구조해석 모델

가. 해석모델

이 구조물은 높이에 비해 직경이 작기 때문에 지진 시 보 거동이 지배적일 것으


로 예상되므로 구조물을 보 요소로 이상화하여 해석 및 설계한다. 구조물 해석을
위해 구조해석 전산프로그램 MIDAS CIVIL의 Frame 요소를 이용하여 절점수 16개
소, 요소수 15개를 이용하여 다음의 그림과 같이 모델하였다.

Fig. 9-3. 취수탑 FRAME MODEL

나. 경계조건

취수탑의 벽체는 기초상단에서 고정지지된 캔탤레버 보로 해석한다 (상수도시설


내진 설계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1999 참조).

- 230 -
9.3.2.4 단면력도
가. 수평관성력 작용시

B.M.D S.F.D

Fig. 9-4. 수평관성력 작용시 단면력도

나. 내부동수압 작용시

B.M.D S.F.D

Fig. 9-5. 내부동수압 작용시 단면력도

- 231 -
다. 외부동수압 작용시

B.M.D S.F.D

Fig. 9-6. 외부동수압 작용시 단면력도

9.3.2.5 변위도

Fig. 9-7. 지진시 변위도

- 232 -
9.3.2.6 극한 휨강도(Mu) 및 극한 전단강도(Vu) 계산
가. 수평 전단력에 의한 단면력

Table 9-4. 수평 전단력에 의한 단면력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벽체 단면
전단력(kN) 모멘트(kN-m) 전단력(kN) 모멘트(kN-m)
EL.31.60 1265 20907 3107 51351
EL.41.20 1088 14835 2672 36437
EL.46.517 883 4459 2169 10952

나. 취수탑 내부에서 지진 동수압에 의한 단면력

Table 9-5. 내부 동수압에 의한 단면력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벽체 단면
전단력(kN) 모멘트(kN-m) 전단력(kN) 모멘트(kN-m)
EL.31.60 348 3424 855 8410
EL.41.20 176 907 433 2229
EL.46.517 83 218 205 536

다. 취수탑 외부에서 지진 동수압에 의한 단면력

Table 9-6. 외부 동수압에 의한 단면력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벽체 단면
전단력(kN) 모멘트(kN-m) 전단력(kN) 모멘트(kN-m)
EL.31.60 515 4962 1266 12187
EL.41.20 253 1279 622 3141
EL.46.517 116 301 286 739

※ 붕괴방지수준의 전단력과 모멘트는 기능수행수준의 전단력과 모멘트에 가속도계수비(RA)


를 곱하여 계산

- 233 -
라. 극한 단면력

가, 나와 다에서 계산된 결과를 더하여 극한 휨강도와 전단강도가 계산된다.

Table 9-7. 지진에 의한 총 설계단면력


설계 지진수준 벽체 단면 전단력(Vu) 모멘트(Mu)
EL.31.60 2128 29293
기능수행수준 EL.41.20 1517 17021
EL.46.517 1082 4978
EL.31.60 5528 71948
붕괴방지수준 EL.41.20 3727 41807
EL.46.517 2660 12227

9.3.2.7 내진성능 평가
가. 일반 사항
1
)정다각형의 단면은 등가의 정사각형 단면으로 가정한다.
2
)콘크리트의 등가압축응력분포는 플랜지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3
)유효높이 d는 등가의 면적을 갖는 상자형 단면의 압축단에서 인장측 철근의 도
심 까지의 거리로 가정한다.
4
)축방향 인장철근 단면적 As
는 인장측 1/4(
90°
)부분의 철근량으로 한다.

나. 부재 설계강도 산정

내진성능 평가기준은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


한다.

소요강도(U) ≤ 설계강도(×공칭강도)

- 234 -
1
)설계모멘트 산정
a
ΦMn = ΦAsf
y(d-
2
)

여기서, Φ : 휨 강도감소계수
인장지배단면 : 0.85
200
변화구간단면 : 0.65+(εt-0.02)
3
압축지배단면 : 0.65
As : 사용철근량(mm2)
fy : 철근의 항복강도(300 MPa)
d : 단면의 유효깊이(mm, 3.2.6의 가. 참조)
Asfy
a :등가응력깊이(mm)
0.
85fckb

2
)설계전단력 산정
ΦVn = Φ·
(Vc +Vs)

여기서, Φ : 전단 강도감소계수(0.75)
1
Vc : 콘크리트 전단강도( fck bwd)
6
f
ck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21MPa)
bw :단면의 복부폭(
mm,3.
2.
6의 가.참조)
d :단면의 유효깊이(mm,3.
2.
6의 가.참조)
Avf
yd
Vs : 철근의 전단강도( s
)
Av :거리 s
내의 전단철근의 단면적( mm2)
f
y :철근의 항복강도(
300MPa
)
s:전단철근의 간격(
mm)

- 235 -
다. 내진성능평가

기능수행수준 지진에 대한 벽체의 설계단면 검토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Table 9-8. 단면의 저항능력 검토


극한단면력 설계단면력 강도비
벽체 단면 판정
Mu Vu ΦMn ΦVn ΦMn/Mu ΦVn/V u
EL.31.60 29293 2128 4829 4597 0.165 2.160 N.G
EL.41.20 17021 1517 4829 4511 0.284 2.974 N.G
EL.46.517 4978 1082 2853 4443 0.573 4.106 N.G

라. 추가요건 검토

붕괴방지수준 지진에 대한 단면의 저항능력비를 검토한다.


1
)전단저항 능력비 (
Rr)

-Rrs =
ΦVn
Vu
2
)휨저항 능력비 (
Rr)

-Rrf =
ΦMn
Mu
3
)붕괴방지수준 지진에 대한 저항능력비 요건
Rrs
-Rf =
Rrf
≥ 2.
0

Table 9-9. 붕괴방지수준 지진에 대한 저항능력비 검토


벽체 단면 Rrs Rrf Rr 판정
EL.31.60 0.832 0.067 12.390 N.G
EL.41.20 1.210 0.116 10.479 N.G
EL.46.517 1.670 0.233 7.158 N.G

- 236 -
마. 변위 검토

Table 9-10. 기능수행수준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층 변위 검토


벽체 단면 EL.31.60 EL.41.20 EL.46.517 비고
-
구조물 변위 1.035 mm 2.808 mm 3.754 mm

Table 9-11. 붕괴방지수준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층 변위 검토


벽체 단면 EL.31.60 EL.41.20 EL.46.517 비고
구조물 변위 2.542 mm 6.87 mm 9.22 mm -

9.3.3 시간이력 동적해석

9.3.3.1 고정 하중

앞서 기술한 등가정적 해석의 고정하중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9.3.3.2 지진 하중
가. 평가용 가속도시간이력 SET

생성된 인공지진파 A, B, C를 적용하였다.

나. 지진시 유체의 영향

Goyal & Chopra(1989) 방법에 의한 부가질량 산정

(Ref. to "Response Spectra and Seismic Analysis for Concrete Hydraulic Structure",
1999, US Army Corps of Engineers)

- 237 -
취수탑 외부 유체의 부가질량 취수탑 내부 유체의 부가질량

Fig. 9-8. 수심방향의 유체의 부가질량

9.3.3.3 구조해석 모델
가. 해석 모델

구조해석 전산프로그램 MIDAS CIVIL의 PLATE 요소를 이용하여 절점수 661개


소, 요소수 656개를 이용하여 다음의 그림과 같이 모델하였다.

Fig. 9-9. 취수탑 3D MODEL

나. 경계조건

취수탑의 벽체는 기초상단에서 고정지지된 캔탤레버로 해석한다.

- 238 -
9.3.3.4 구조물 고유주기

Table 9-12. 구조물의 고유주기


주기 모드별 질량참여율(%)
Mode
(sec) TRAN-X TRAN-Y TRAN-Z ROTN-X ROTN-Y ROTN-Z
1 0.219 64.650 0.000 0.000 0.000 20.630 0.000
2 0.165 0.000 63.720 0.000 35.400 0.000 0.000
3 0.057 0.000 0.000 0.000 0.000 0.000 80.680
4 0.051 22.430 0.000 0.000 0.000 40.800 0.000
5 0.037 0.000 0.000 0.050 0.000 0.000 0.000
6 0.036 0.000 21.990 0.000 28.780 0.000 0.000
7 0.034 0.000 0.000 0.000 0.000 0.000 1.080
8 0.029 0.000 0.000 77.490 0.000 0.000 0.000
9 0.029 0.000 0.000 0.000 0.000 0.000 4.200
10 0.029 0.000 0.000 2.560 0.000 0.000 0.000
·
·
·
46 0.009 0.000 0.000 0.030 0.000 0.000 0.000
47 0.009 0.000 0.110 0.000 0.280 0.000 0.000
48 0.009 0.000 0.000 0.000 0.000 0.000 0.100
49 0.009 0.000 0.000 0.190 0.000 0.000 0.000
50 0.009 0.080 0.000 0.000 0.000 0.260 0.000
TOTAL 98.830 95.550 90.810 86.280 95.280 96.250

9.3.3.5 단면력도

B.M.D S.F.D

Fig. 9-10. 시간이력 동적해석 단면력도

- 239 -
9.3.3.6 변위도

Fig. 9-11. 지진시 변위도

9.3.3.7 극한 휨강도(Mu) 및 극한 전단강도(Vu) 계산

Table 9-13. 시간이력 동적해석에 의한 총 설계단면력


극한단면력
벽체 단면
Mu Vu
EL.31.60 181 155
EL.41.20 15 3
EL.46.517 3 9

- 240 -
9.3.3.8 내진성능평가

가. 부재 설계강도 산정

내진성능 평가기준은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


한다.

소요강도(U) ≤ 설계강도(×공칭강도)

1
)설계모멘트 산정
a
ΦMn = ΦAsf
y(d-
2
)

2
)설계전단력 산정
ΦVn = Φ·
(Vc +Vs)

나. 내진 성능 평가

Table 9-14. 붕괴방지수준 지진에 대한 저항능력비 검토


벽체 단면 Rrs Rrf Rr 판정
EL.31.60 0.555 0.657 0.844 N.G
EL.41.20 25.333 7.933 3.193 O.K
EL.46.517 7.556 10.143 0.745 N.G

다. 변위 검토

Table 9-15. 붕괴방지수준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층 변위 검토


벽체 단면 EL.31.60 EL.41.20 EL.46.517 비고
구조물 변위 1.767 mm 6.142 mm 8.835 mm

9.3.4 결론
정역학적 해석법 및 동역학적 해석법을 이용하여 취수탑의 구조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정역학적 해석법에서는 벽체의 모든 구간에서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동역학적 해석법에서는 벽체 중앙부를 제외한 구간에서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였
으며, 벽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 241 -
9.4 보강공법 및 공사비 산정

9.4.1 시설물의 내진 성능 향상방법


시설물의 내진 성능 향상절차를 요약하면 Fig. 9-12.과 같다.

Fig. 9-12. 내진성능 향상절차

- 242 -
9.4.2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방법
취수탑 구조물은 내진보강 공법은 RC 토목구조물을 참고하여 적용 가능하다.

9.4.3 공사비 산정

Table 9-16. 취수탑 보강공법 공사비 산정


구분 단면증설공법 강판보강공법 섬유보강공법

공법
개요

· 기존 콘크리트면에 철 · 콘크리트 표면에 접착 · 기존 콘크리트표면에


근콘크리트를 타설하 수지로 강판을 접착시 에폭시수지를 사용하
여 단면을 증가시키는 키는 공법 여 섬유시트를 접착시
공법 키는 공법

시공

사진

· 기존콘크리트파취 · 바탕처리 · 바탕처리


· 앵커볼트 및 철근설치 · 에폭시프라이머도포 · 전용접착재 도포
시공 · 신구접착제 도포 · 철판부착 및 앵커작업 · 폴리머모르타르 충진
순서 · 거푸집 설치 · 에폭시 주입 · 섬유망 피복형성
· 방청도장 · 양생 마감
· 양생마감
· 중장비 필요 · 중장비 필요 · 중장비 필요없음
시공성 · 시공시 소음, 분진 · 현장용접, 앵커필요 · 시공전 면처리 필요
· 시공장소제한 · 시공장소 제한 · 시공기간이 짦음
2 2 2
단가 300,000원/m 342,000원/m 370,000원/m

- 243 -
제 10 장 . 결론

10.1 종합 결론
본 연구과제의 최종목표는 지진재해대책법에 의거 기존 상수도시설(Testbed)에 대
한 시범적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도입가능한 내진 보강공법
을 구체적으로 조사·검증함으로서 지진시 중단없는 용수공급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성과 실용화를 통한 기술정립에 공헌하는 데에 있다.

1차년도(2014) 연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내구년수가 오래 된 울산공업용수도 시설


물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자체 개정 평가요령에 의거하여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관로 자체와 수로터널은 대체로 내진성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후 취수
탑과 일부 RC 토목 구조물의 내진성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진 시 대부분의 상수도 시설 피해사례들로부터 지반 액상화에 대한 중요


성이 부각되어, 기존의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여
Idriss and Boulanger (2008) 방법을 도입한 새로운 자체 액상화 평가 요령을 제시하
였다.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을 울산공업용수도에 적용한 결과, 대부분 안전하였으나
해안가 인근의 하천변 느슨한 사질토 지반에서 국부적으로 액상화가 예상되어 추후
광역적인 조사 및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상수도 시설에 대하여 내진성능이 부족한 경우, 거시적인 내진 보강 공법들


을 소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상수도 시설에 대한 내진성능평가 요령을 선도적으로 정립하


고, 적절한 평가와 보강을 통하여 지진시에도 중단없는 급수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
으로 판단된다.

10.2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 연구 요약


지반 액상화는 내진설계 또는 내진성능평가에 있어 구조물 또는 시설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고려하는 항목이다. 본 장에서는 지반의 액상화 연구에 있어
해외에서 최근 중점적인 논의와 연구가 진행중인 동향을 살펴보았다. 특별히 액상
화 후 잔류 전단강도와 SPT N치로 대표되는 관입저항력과의 관계들에 대해 고찰하

- 244 -
였으며, 결과적으로 사면의 안전성과 변형에 관련된 흐름파괴와 측방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다. 또한 사질토의 상대밀도에 관계없이 심각한 전단변형율과 강도
손실을 유발할 수 있는 간극 재배열 현상의 메커니즘과 증거, 실험적 연구 노력에
대해서도 요약,제시하였다. 또한 고소성의 점성지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복 연화
거동과 중간토에 있어서 동적 강도(CRR)를 산정하는 방법과 유사모래 및 유사점토
거동을 구분하는 절차 등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현행 국내의 지반 액상화 평가는 예비평가를 통해 액상화 평가 대상 지반을 선별


한 후 Seed and Idriss (1971) 간편예측법으로 불리우는 반경험적 방법(안전율 기준
1.5)과 액상화 상세예측법으로 반복 삼축시험을 이용하는 방법(안전율 기준 1.0)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액상화 가능지반의 시료 샘플링의 현실적 어려움이나
그간 상당한 연구성과를 토대로 기술적 진전이 이루어진 Seed and Idriss 간편법과,
반복 삼축시험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지진력 모사를 보다 현실성있게 수행할 수
있는 반복 단순전단시험(cyclic direct simple shear)의 적용성, 그리고 안전율 기준에
있어서의 문제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본 K-water의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
능평가 요령 개정편에서는 기존의 지반 액상화 평가 방법과 별도로 예비평가 후
Idriss and Boulanger (2008) 본 평가 방법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Idriss and Boulanger (2008)에 의한 지반 액상화 평가 간편법을 요약


정리하였으며, 특별히 국내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는 관입시험법인 SPT N
치를 이용하여 CRR (Cyclic Resistance Ratio)을 산정하는 방법과 CSR (Cyclic Stress
Ratio)과의 비교를 통해 액상화에 대한 안전율을 산출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액상
화 저항성을 산정함에 있어 구속압 의존성과 사면 경사의 영향을 함께 고려하는 과
정을 소개하였으며, 추가로 액상화로 인한 측방유동 변위 및 액상화 후 재압밀 침
하량을 산정하는 절차도 요약하였다. 또한 실무자들이 본 절차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간단한 예제 평가 사례를 수록하였다.

10.3 Testbed 시설 (울산공업용수도 ) 내진성능평가 요약


울산공업용수도와 관련된 시설물 중 매설관로, 수로터널, RC 토목구조물, 취수탑
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0.3.1 평가 지반운동
내진성능평가에 필요한 입력지진파는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을 지반운동수준과
5% 감쇠비를 고려하여 생성하였다. 생성된 인공지진파는 “도로교설계기준(2012)”에
서 제시하는 생성기준 적합성을 검토하고 상호 독립적임을 검증하여 향후 관련된

- 245 -
내진평가에서 입력지진파의 적용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10.3.2 액상화 평가
액상화 평가 대상 지역은 기존 지반조사 자료 및 대상지역에서 가장 근접한 국토
지반정보 DB자료를 활용하여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하수위 아래 느슨한 모
래가 분포하는 지역 중 관로시설 5개소와 정수장시설 1개소를 선정하여 평가를 수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10-1. 기존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결과

Seed and Idriss Idriss & Boulanger 최종액상


계통 예비평가 간이평가 화
기준 액상화 기준 안정성
액상화 평가 평가
안전율 안전율 안전율
안전율
① 미포신설계통
NG 0.66 ~ 0.93 NG 0.77 ~ 1.0 NG 불안정
1지역
② 미포신설계통
NG 1.11 ~ 1.77 NG 1.02 ~ 2.07 OK 안정
2지역
③ 미포기존계통 NG 0.72 ~ 3.45 1.5 NG 1.17 ~ 3.98 1.0 OK 안정

④ 대암댐~선암댐 NG 0.85 ~ 0.98 NG 1.21 ~ 1.38 OK 안정

⑤ 사연댐~선암댐 NG 0.88 ~ 1.02 NG 1.07 ~ 1.17 OK 안정


⑥ 온산정수장 OK 미 수행 미 수행 안정

기존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에서는 미포신설계통 1지역이 액상화


발생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액상화 평가를 위해서는 내진관련
지반조사 자료가 필요하지만 기존자료에서는 내진관련 지반조사를 미수행하여 액상
화 평가시 대부분의 입력정수를 경험식에 의존하여 평가하였다. 따라서 미포신설계
통 1지역에 내진평가에 필요한 지반조사를 통해 액상화 평가를 검증하였다.

Table 10-2. 추가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결과

Seed and Idriss


Idriss & Boulanger 최종
간이평가 상세평가
계통 액상화
안정성
기준 기준 액상화 기준
안전율 평가 안전율 평가 평가
안전율 안전율 안전율 안전율
①미포신설계통
1지역 0.46~0.9 1.5 NG 0.64~0.84 1.0 NG 0.74 ~ 1.04 1.0 NG 불안정
(추가지반조사)

- 246 -
추가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간이평가 및 상세평가를 재수행 한 결과, 미포신
설계통 1지역은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평가 지역
이 전체 관로계통중 일부인 1 개소에 대한 검토내용이며 액상화로 인한 피해 유발
을 위해서는 발생가능 지층 분포가 광역적으로 넓은 범위로 분포했을 때 발생할 가
능성이 있으므로 추후에 일정 구간별 상세검토가 필요하며, 액상화 발생범위가 광
범위하게 분포할 경우는 보강대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0.3.3 매설관로 내진성능 평가


19개소에 대한 예비평가 결과, 9개소에 대해 “내진보강 중요구조”로 분류되어 상
세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절관인 11구간과 13구간의 상세평가 결과, 관체발생응력 및 이음부의 신축량이


허용기준값 이하로 내진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0-3. 관체응력에 의한 내진안전성


상시하중에 의한
지진에
축방향응력(MPa) 축방향응력
구간 의한 허용응력 평가
합계
설계내압(1.0) 차량하중 축방향응력
11구간
선암댐∼삼성정밀 1.16 1.03 0.35 2.54 27.5 OK
화학
13구간
1.1 1.19 0.36 2.65 27.5 OK
선암댐∼영남화력

Table 10-4. 이음부의 신축량에 의한 내진안정성


지진에
상시하중에 의한 신축량 신축 허용
구간 의한 량 신축 평가
설계내압 차량하중 온도효과 부등침하 신축량 합계 량
11구간
0.0022 0.0044
선암댐∼삼성정밀 0.00035 0.00031 0.00090 0.00067 0.031 OK
0 3
화학
13구간 0.0021 0.0044
0.00033 0.00036 0.00090 0.00067 0.031 OK
선암댐∼영남화력 5 0

연속관인 5개 구간의 기능수행수준 및 붕괴방지수준에 대한 내진성능평가 결과


모든 구간에서 내진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47 -
Table 10-5. 붕괴방지수준 검토결과
상시하중에 의한 축방향 변형률(%)
지진 축방향 항복점

구간 축방향 변형률 변형률
설계내압 차량하중 온도변화 부등침하 변형률(%) 가
합계(%) (%)

9구간
0.0081 0.0023 0.0180 0.0006 0.0077 0.0367 0.46 OK
온산(기존)계통
10구간
덕하분기∼삼성
0.0098 0.0037 0.0180 0.0009 0.0168 0.0492 0.46 OK
정밀화학계통직

12구간
사연댐계통∼삼 0.0076 0.0037 0.0180 0.0016 0.0248 0.0558 0.46 OK
성정밀화학직결
14구간
사연댐계통∼영 0.0076 0.0034 0.0180 0.0017 0.0248 0.0555 0.46 OK
남화력계통직결
15구간
0.0071 0.0018 0.0180 0.0005 0.0444 0.0718 0.46 OK
미포(기존)계통
16구간
0.0078 0.0068 0.0180 0.0014 0.0441 0.0781 0.46 OK
미포(신설)계통
18구간
0.0089 0.0027 0.0180 0.0006 0.0113 0.0415 0.46 OK
온산(확장)계통

- 248 -
10.3.4 수로터널 내진평가
4개소에 대한 예비평가에서 3개 구간이 “내진보강 중요구조”로 평가되어 응답변
위법과 시간이력 동적해석으로 상세평가를 수행한 결과 최소안전율이 6.4이므로 내
진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0-6. 수로터널 내진성능 상세평가 결과


응답변위법 시간이력 동적해석법 안전율
시간이력
응답변위법
동적해석 판
구분
축력 모멘트 전단력 축력 모멘트 전단력 전 전 정

(kN) (kN・m) (kN) (kN) (kN・m) (kN) 휨 단 단

응력 응 응

력 력
1구간
[원동(기존)취수
103.2 4.92 18.3 7.9 1.6 6.6 14.3 6.4 27.1 17.8 OK
장∼대암댐]
1터널
2구간
[대암댐∼선암 33. 116.
18.29 0.86 3.48 7.6 1.4 5.9 81.1 19.7 OK
댐] 6 1
2터널
3구간
[원동(확장)취수 63. 173.
8.35 0.63 2.47 12.8 1.3 5.0 217.1 31.0 OK
장∼온산가압장] 1 3
1터널

10.3.5 지중 RC구조물 내진평가


구조물 형식별에 적합한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내진성능 상세평가를 수행한 결과,
조정조를 제외한 3개소에서 설계강도가 소요강도 이상을 확보하지 못하여 내진 Ⅰ
등급 붕괴방지수준의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그러나 부재력 검토시 필요한 실제 구조물의 철근량 및 피복두께 등의 자료가 미


흡하여 추가적인 자료 조사를 통해 안정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보강공법에 대
한 적용 여부도 추가적인 안정성 검토 후 논의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249 -
Table 10-7. 지중RC 구조물별 내진성능 평가결과

응답변위법 등가정적해석 시간이력 동적해석


최종
시설물 해
내진성능
명 해석 석 해석
해석방법 해석방법 해석방법 평가
결과 결 결과

∙Frame 해석
∙FDM(유한차분법)
배수지 (MIDAS NG - - NG NG
- FLAC2D
CIVIL)
∙FDM(유한차분법)
∙Frame 해석
- FLAC2D
조정조 (MIDAS OK - - OK OK
∙FEM(유한요소법)
CIVIL)
- GTS NX

∙FDM(유한차분법)
응집지 - - ∙MIDAS CIVIL OK NG NG
- FLAC2D
∙FDM(유한차분법)
침전지 - - ∙MIDAS CIVIL NG NG NG
- FLAC2D

10.3.6 취수탑 내진평가


등가정적 해석법 및 시간이력 동적해석법을 이용하여 대암댐 취수탑의 구조 안전
성을 검토한 결과, 등가정적 해석법에서는 벽체의 모든 구간에서 안전성을 확보하
지 못하였으며, 시간이력 동적해석법에서는 벽체 중앙부를 제외한 구간에서 안전성
을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벽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Table 10-8. 붕괴방지수준에 대한 시간이력 동적해석 결과(저항능력비)


벽체 단면 Rrs Rrf Rr 판정
EL.31.60 0.555 0.657 0.844 N.G
EL.41.20 25.333 7.933 3.193 O.K
EL.46.517 7.556 10.143 0.745 N.G

- 250 -
10.3.7 평가 소결
울산공업용수도 시설물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위해 기존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선 연구(한국수자원공사, 2013)”의 절차를 준수하
고 미흡한 부분은 관련된 기준서등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언을 도출할 수 있었다.

- 울산공업용수도 시설물중 대표적인 몇 개의 시설물을 선정하고 내진성능이 취


약할 것으로 판단되는 일부 구간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이므로 추후에 구간별로 상
세 조사를 통해 추가적인 안정성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내진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지층조건 및 내진해석을 위한 실내 및 현장시험을


통한 입력정수의 선정이 중요하지만 기존에 설치 운영중인 시설물의 건설 당시에는
이러한 내진설계와 관련된 조사를 미수행하여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공용
년수가 오래된 구조물들은 관련자료가 부족하여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 추가적인 조
사 수행 후 안정성 평가가 필요하다.

- 액상화 평가는 모든 구조물의 내진성능 평가보다 우선하여 검토되어야 하며 액


상화 평가를 위해서 수행하는 실내 반복삼축시험의 실무 적용시 문제점들의 개선
및 현장시험을 통한 액상화평가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
운 방법의 적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 관로시설 및 수로터널은 종단상의 긴 구조물이므로 현실적으로 지반조사를 통


해 모든 구간의 지층조건과 내진설계를 위한 설계정수를 확보하기는 어려움이 있으
므로 계통 중 중요도를 분류하고 기존 지반조사 자료들을 수집하여 대표적인 구간
에 대해서는 지반조사 등으로 상세평가를 수행하고 기타 구간은 기본적인 조사자료
를 활용한 경험적인 방법으로 설계입력정수를 산정하는 방법이 실무적인 접근 방법
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특히 액상화 발생이 예상되는 관로시설은 주변에 도시가스, 전기, 통신등의 시


설물이 동시에 매설된 경우가 많고 액상화 발생 범위에 대한 예측과 보강범위에 대
한 판정등의 어려움으로 보강공법 선정 및 내진성능 향상 대책을 수행할 시행처의
선정에도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기존에는 주로 관로중심의 내진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나 본 과업은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선 연구(한국수자원공사, 2013)”를 내진성능 평가 절차서로 활용하
여 중요 상수도 시설물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를 실제 시설물에 적용하여, 기준서로서의
활용도 및 개선점들을 도출하기 위해 울산공업용수도 지역을 Testbed로 선정하여 내진성
능을 평가하였고 향후 상세평가를 수행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
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선된 사항들을 반영한 “개정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
령”을 K-water 상수도시설에 한하여 연구성과 실용화로서 부록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 251 -
REFERENCES

국토교통부 (1997), 내진설계기준연구(Ⅱ)

국토교통부 (2005), 도로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국토교통부 (2009), 건축구조설계기준(KBC 2009), 대한건축학회

국토교통부 (2009), 도로설계요령 터널편

국토교통부 (2009),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박두희, 신종호, 윤세웅 (2010), 터널 횡방향 지진해석 Part II: 동적해석을 통한 터널


의 지진응답 예측

(사)일본수도협회 (2009) “수도시설 내진공법 지침·해설

한국K-water연구원 (2006), 수도시설물 지진피해 사례 보고서

한국K-water연구원 (2008) “수도시설물 내진성능평가 절차 요령”

한국시설안전공단 (2004), 기존 상수도의 내진성능 평가요령

한국시설안전공단 (2011), 기존 시설물(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요령

한국시설안전공단 (2011), 기존 시설물(터널)의 내진성능 평가요령

한국지반공학회(지반진동위원회) (2006) “지반구조물의 내진설계” 제18회 지반공학


회 계속 교육, 2006.02.21. ~ 02.22.

한국지반공학회 (2009)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

한국지진공학회 (2001) “도시철도의 내진설계” 제9회 기술강습회

한국터널공학회 (2002) “터널의 이론과 실무” 터널공학시리즈1

한국터널공학회 (2007) “터널설계기준”

환경부 (1999), 상수도시설 내진 설계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K-water연구원 (2013)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선 연구” K-water연구원 연


구보고서, KIWE-ISRC-13-07

Abrahamson, N. A., and Silva, W. J. (1997). "Equations for estimating horizontal


response spectra and peak acceleration from Western North American Earthquakes:
A summary of recent work."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68(1), 128-153.

American Lifelines Alliance (2005) “Seismic Guidelines for Water Pipelines” FEMA and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 252 -
Bathe, K.J., Wilson, E.L. (1976) “Numerical Methods in Finite Element Analysi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Baziar, M. and Dobry, R. (1995). “Residual Strength and Large-Deformation Potential of


Loose Silty Sands.” J. Geotech. Eng., 121(12), 896-906.

Boulanger, R.W., Truman, S.P. (1996). “Void redistribution in sand under


post-earthquake loading.” Can. Geotech. J., 33, 829-834.

Castro, G., Seed, R.B., Keller, T.O., and Seed, H.B. (1992). “Steady-State Strength
Analysis of Lower San Fernando Dam Slide.” J. Geotech. Eng., 118(3), 406-427.

Darendeli, M.B. (2001), Development of a new family of normalized modulus reduction


and material damping curves,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Davis, A.P., Poulos, S.J., and Castro, G. (1988). “Strengths Backfigured from
Liquefaction Case Histories.” Proc. 2ndInt.Conf.onCaseHistoriesinGeotech.Eng., St.
Louis, Mo., 1693-1701.

Dobry, R., Vucetic, M. (1987) “Dynamic Properties and Seismic Response of Soft Clay
Deposits” Proceedings, Int. Symposium on Geotech. Eng. of Soft Soils, Vol. 2,
Mexico City, p51-87

Fiegel, G.L., and Kutter, B.L. (1994). “Liquefaction-induced lateral spreading of mildly
sloping ground.” J. Geotech. Eng., 120(12), 2236-2243.

Hashash, Y.M.A., and Park, D. (2002), “Viscous damping formulation and high
frequency motion propagation in non-linear site response analysis”,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22, No.7, pp.611-624.

Holzer, T.L., Youd, T.L., and Hanks, T.C. (1989). “Dynamics of liquefaction during the
1987 Superstition Hills, California earthquake.” Science, 244, 56–59.

Ibata, T., Ishida, K., Nakachi, I., Yokozawa, J. (2011). Damage to storage tanks caused
by the 2011 Tohoku earthquake and tsunami and proposal for structural assessment
method for cylindrical storage tanks.

Idriss, I.M. (1985). "Evaluating seismic risk in engineering practice." Proceedings,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San
Francisco, Balkema, Rotterdam, 265–320.

Idriss, I. M. (1999). “An update to the Seed-Idriss simplified procedure for evaluating
liquefaction potential.” Proceedings, TRB Workshop on New Approaches to
Liquefaction, Publication No. FHWA-RD-99-165,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January.

Idriss, I. M., and Boulanger, R. W. (2004). “Semi-empirical procedures for evaluating


liquefaction potential during earthquakes.” Proceedings,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and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rthquake Geotechnical Engineering, D. Doolin et al., eds., Stallion Press, Vol. 1,

- 253 -
32–56.

Idriss, I.M., and Boulanger, R.W. (2007). “SPT- and CPT-based relationships for the
residual shear strength of liquefied soil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rthquake Geotechnical Engineering–Invited Lectures, K. D. Pitilakis, ed., Springer,
Netherlands, pp.1–22.

Idriss, I.M., and Boulanger, R.W. (2008). “Soil liquefaction during earthquakes.”
Monograph 12,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Ishihara, K., and Yoshimine, M. (1992). “Evaluation of settlements in sand deposits


following liquefaction during earthquakes.” Soils and Foundations, 32(1), 173–88.

Itasca Consulting Group (2008), FLAC (Fast Lagrangian Analyses of Continua) v.6.0.

J.W.S. Rayleigh and Robert B. Lindsay (1945), The Theory of Sound

Kokusho, T. (2003).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Flow Failure Considering Void


Redistribution in Liquefied Deposits.” Soil Dyn. Earthquake Eng., 23(7), 585-603.

Kokusho, T. (1999). “Water film in liquefied sand and its effect on lateral spread.” J.
Geotech. Geoenviron. Eng., 125(10), 817-826.

Kramer, S.L. (1996)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Prentice-Hall

Kulasingam, R., Malvick, E.J., Boulanger, R.W., and Kutter, B.L. (2001). “Void
redistribution and localization of shear strains in model sand slope with silt seams:
Report on first year activities.” Proc., U.S.-Japan Joint Workshop and
3rdGranteesMeeting, U.S.-Japan Cooperative Research in Disaster Mitigation, Seattle,
Wash., 117-128.

Kulasingam, R., Malvick, E.J., Boulanger, R.W., and Kutter, B.L. (2004). “Strength loss
and localization at silt interlayers in slopes of liquefied sand.” J. Geotech.
Geoenviron. Eng., 130(11), 1192–1202.

Kwok, A.O.L., Stewart, J.P., Hashash, Y.M.A., Matasovic, N., Pyke, R., Wang, Z., and
Yang, Z. (2007), Use of exact solutions of wave propagation problems to guide
implementation of nonlinear seismic ground response analysis procedure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3, No. 11, pp.1385-1398

Ladd, C.C. (1991). "Stability evaluation during staged construction." J. Geotechnical


Eng., ASCE, 117(4), 540–615.

Malvick, E.J., Kutter, B.L., Boulanger, R.W., and Kulasingam, R. (2006). “Shear
localization due to liquefaction-induced void redistribution in a layered infinite
slope.” J. Geotech. Geoenviron. Eng., 132(10), 1293-1303.

Malvick, E.J., Kutter, B.L., and Boulanger, R.W. (2008). “Postshaking shear strain
localization in a centrifuge model of a saturated sand slope.” J. Geotech.
Geoenviron. Eng., 134(2), 164-174.

- 254 -
National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NCEER) (1997). Proceedings of
the NCEER Workshop on Evaluation of Liquefaction Resistance of Soils, T. L.
Youd and I. M. Idriss, editors, Technical Report NCEER-97-022.

Olson, S.M., and Stark, T.D. (2002). "Liquefied strength ratio from liquefaction flow
case histories." Can. Geotech. J., 39, 629-647.

Olson, S.M., and Stark, T.D. (2003). “Yield Strength Ratio and Liquefaction Analysis of
Slopes and Embankments.” J. Geotech. Geoenviron. Eng., 129(8), 727-737.

Olson, S.M., and Johnson, C.I. (2008). “Analyzing liquefaction-induced lateral spreads
using strength ratios.” J. Geotech. Geoenviron., 134(8), 1035-1049.

O’Rourke, M., Liu, X. (2012). “Seismic Design of Buried and Offshore Pipelines.” An
update to Response of Buried Pipelines subject to Earthquake Effects published in
1999, MCEER-12-MN04, MCEER monograph.

O’Rourke, T.D. and S. Toprak (1997), GIS Assessment of Water Supply Damage from
the Northridge Earthquake, Spatial Analysis in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Frost, D. Ed.,ASCE,.

O’Rourke, T.D., S.S. Jeon, S. Toprak., M. Cubrinovski., J.K Jung. (2012), Underground
Lifeline System Performance during the Canterbury Earthquake Sequence, WCEE

Park, D., and Hashash, Y.M.A. (2004), “Soil damping formulation in nonlinear time
domain site response analysis”,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Vol.8, No.2,
pp.249-274.

Park, D.S. (2013). "Analyzing liquefaction induced instability and deformation of slopes
using static shear stress and residual strength." Geo-Congress,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Slopes and Embankments Ⅲ, Geo-Institute of ASCE.

Park, D.S. and Kutter, B.L. (2009). “Discussion of Analyzing liquefaction-induced lateral
spreads using strength ratios.” J. Geotech. Geoenviron., Dec.

Poulos, S.J. (1988). “Liquefaction and related phenomena.” In Advanced dam


engineering for design, construction, and rehabilitation, Eds. R.B. Jansen, V. N.
Reinhold, New York, 292-320.

Poulos, S.J., Castro, G., and France, W. (1985). “Liquefaction evaluation procedure.” J.
Geotech. Eng., 111(6), 772-792.

Robert W.D. (2002)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Handbook” McGraw-Hill, Ch.


7.1-7.27

Schmertmann, J. S., and Palacios, A. (1979). “Energy dynamics of SPT.” J.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 ASCE 105(GT8), 909–26.

Seed, H. B. (1983). “Earthquake resistant design of earth dams.” Proceedings,


Symposium on Seismic Design of Embankments and Caverns, Pennsylvania, ASCE,

- 255 -
NY, 41–64.

Seed, H. B. (1987). "Design problems in soil liquefaction." J. Geotechnical Eng., ASCE


113(8), 827–845.

Seed, H. B. (1979). “Soil liquefaction and cyclic mobility evaluation for level ground
during earthquakes.” J. Geotechnical Eng. Div, ASCE 105(GT2), 201–55.

Seed, H. B., and Idriss, I. M. (1971). "Simplified procedure for evaluating soil
liquefaction potential." J.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 ASCE 97(SM9),
1249–273.

Seed, H. B., and Idriss, I. M. (1982). “Ground Motions and Soil Liquefaction during
Earthquakes.”, Monograph, EERI, Oakland,CA.

Seed, H. B., Idriss, I. M., Makdisi, F., and Banerjee, N. (1975). "Representation of
irregular stress time histories by equivalent uniform stress series in liquefaction
analyses." Report No. EERC 75-29,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CA, October.

Seed, H. B., Tokimatsu, K., Harder, L. F. Jr., and Chung, R. (1984). "The influence of
SPT procedures on soil liquefaction resistance evaluations." Report No.
UCB/EERC-84/15,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Seed, H. B., Tokimatsu, K., Harder, L. F. Jr., and Chung, R. (1985). "Influence of SPT
procedures in soil liquefaction resistance evaluations." J. Geotechnical Eng., ASCE
111(12), 1425–445.

Seed, R. B., Cetin, K. O., Moss, R. E. S., Kammerer, A., Wu, J., Pestana, J., Riemer,
M. (2001). "Recent advances in soil liquefaction engineering and seismic site
response evaluation." Proceeding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Symposium on
Recent Advances in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and Soil Dynamics,
University of Missouri, Rolla, MO, Paper SPL-2.

Seed, R. B. and Harder, L.F. Jr. (1990). “SPT-based analysis of cyclic pore pressure
generation and undrained residual strength.” Proc., H.B. Seed Memorial Symp.,
Bi-Tech Publishing, 351-376.

Skempton, A. W. (1986). "Standard penetration test procedures and the effects in sands
of overburden pressure, relative density, particle size, aging and overconsolidation."
Geotechnique, 36(3), 425–47.

Stark, T.D., and Mesri, G. (1992). “Undrained Shear Strength of Liquefied Sands for
Stability Analysis.” J. Geotech. Eng., 118(11), 1727~1747.

TCLEE (2012), Report of the 11 March 2011 Mw 9.0 Tohoku, Japan Earthquake and
Tsunami, Technical Council on Lifeline Earthquake Engineering

Terry, R.H. (1983) “Seismic Design of Embankements and Caverns” Proceedings and

- 256 -
Symposium sponsored by ASCE, p142-197

Wang, Z. (2008), Strong Motion, Damage and Loss of Wenchuan Earthquake, Institute
of Engineering Mechanics, China Earthquake Administration

Whitman, R.V. (1985). "On liquefaction." Proceedings,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San Francisco, CA, A.A. Balkema, 923
–926.

Wolf, J.P. (1985) “Dynamic Soil-Structure Interaction” Prentice-Hall

Wride, C.E., McRoberts, E.C., and Robertson, P.K. (1999). "Reconsideration of case
histories for estimating undrained shear strength in sandy soils." Can. Geotech. J.,
36, 907-933.

Zergoun, M., and Vaid, Y. P., 1994. Effective stress response of clay to undrained
cyclic loading, Canadian Geotechnical J., 31, 714–27.

Zhang, G., Robertson, P. K., and Brachman, R. W. I. (2004). "Estimating liquefaction


induced lateral displacements using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or cone penetration
test." J.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 ASCE 130(8), 861–71.

- 257 -
(Appendix 1) 연구실용화 1. (개정)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 258 -
실 용 화 추 진 계 획 서

실용화
구 분 가. 기술기준, 규정 및 법령 등의 제·개정 계획 2014
년도

연구과제 연구과제
수도관리처 토목3급 노준래
제의부서 제의자
연구과제
상수도 시설 내진 취약성 평가 및 보강대책 연구

박동순, 정우성,
연구과제 연구과제
박동순 신동훈, 임정열,
책임자 수행자
이두진
연구수행
연구기간 2014.1.01~ 2015
.12.31(
당해 2
014.
01.
01.~ 12
.31
)

예산현황 105
,00
0천원

연구성과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정,내진 취약성 조사,평


물 가기법 정립,상수도시설 내진성능향상 요령(
내진보강 가이드라인)
(예정) 제시

제 목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정 적용
실용화
적용
부서명 수도관리처 담당자 토목3급 노준래
부서 및
담당자
-(
목적)상수도시설에 대한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가 실무
지침포함,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개정 적용
-(
적용 대상)수도관리처,수도개발처,엔지니어링처
내 용 -(
기대효과)내진안정성 확보 실현,정밀안전진단 표준 기술
지침서 적용
실 용 화
-(
확산계획)지진에 대한 사내 교육,실용화 지침서로 보급,
추진계획
사내 지식 제안을 통한 확산

실용화 추진기간 : 2014


.01
.01~ 201
4.1
2.3
1

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계


추진계획

- 30% 40% 30% 총계100%

실용화 1,000천원
소요예산 (
예산배정 부서 :K-
wat
er연구원)

- 259 -
참 여 연 구 원 현 황
연구원 참 여 내 역 비 고
◦연구업무총괄 ( 연구책임자)
◦참여분야 :연구 총괄,지반 액상화 연구,구조
물 내진평가,성과 실용화
◦참여내역
-(1장)서론
-(2장)상수도시설 내진 문헌연구 -'14.01~ ' 14.
12
-(3장)지반 액상화 상세평가 기법 개발 -K- wat er연구원
박 동 순 -(4장)Tes
tbed시설 내진성능평가 개요 기반시설연구소
-(5장)Tes
tbed지반 액상화 평가 -042- 870-76
11
-(6장)Tes
tbed매설관로 내진평가 -ful
ge nt@kwat
er.
or.
kr
-(7장)Tes
tbed수로터널 내진평가
-(8장)Tes
tbedRC토목구조물 내진평가
-(9장)Tes
tbed취수탑 내진평가
-(10장)결론
-(부록)개정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14.01~ ' 14.


12
◦참여분야 :수로터널 내진평가 연구
-K- wat e연구원
r
신 동 훈 ◦참여내역
기반시설연구소
-(7장)Tes
tbed수로터널 내진평가
-042- 870-
7640

◦참여분야 :취수탑,RC 토목구조물 내진평가 연구 -'14.01~ ' 14.


12
◦참여내역 -K- wat e연구원
r
정 우 성
-(8장)Tes
tbedRC토목구조물 내진평가 기반시설연구소
-(9장)Tes
tbed취수탑 내진평가 -042- 870-
7601

-'14.01~ ' 14.


12
◦참여분야 :관로 내진평가 연구
-K- wat e연구원
r
임 정 열 ◦참여내역
기반시설연구소
-(6장)Tes
tbed매설관로 내진평가
-042- 870-
7605

◦참여분야 :관체 구조적 취약성 조사,평가 -'


14.01~ '
14.
12
이 두 진 ◦참여내역 -K-wate
r연구원
-(6장)Tes
tbed매설관로 내진평가 상하수도연구소

◦참여분야 :연구성과 실용화 현업 협조


노 준 래
◦참여내역 -댐·
유역관리처
겸직)
(
-(부록)개정 기존 상수도시설 내진성능평가 요령

㈜에스디
◦참여내역 ㈜에스디
이엔지
-울산공업용수도 내진성능평가 용역 이엔지
기술용역)
(

- 260 -
서 지 자 료
(1) 출판물 고유번호 (2) 사업분류 (3) 발행일
2015-WS-RR-3-15 자체 연구개발 2014. 12.
(4) 제목/부제 (5) 연구기간
상수도시설 내진 취약성 평가 및 보강대책 연구 (Ⅰ) 2014.01.01. - 2014.12.31
(6) 연구수행기관 (7) 연구 수행자(소속)
K-water연구원 기반시설연구소 박동순 (K-water연구원, PI)
신동훈, 정우성, 임정열, 이두진
(K-water연구원)
노준래(수도관리처, 겸직)
(8) 수행기관 주소 (9) 연구의뢰기관 및 주소
대전시 유성구 유성대로 1689번길 125 K-water 수도관리처
(10) 공동 수행기간 (11) 계약 또는 인가번호
2015-WS-RR-3-15
(12) 초록
본 연구과제의 최종목표는 지진재해대책법에 의거 기존 상수도시설(Testbed)에 대
한 시범적 내진 취약부 조사 및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도입가능한 내진 보강공법
을 구체적으로 조사·검증함으로서 지진시 중단없는 용수공급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성과 실용화를 통한 기술정립에 공헌하는 데에 있다.
1차년도(2014) 연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내구년수가 오래 된 울산공업용수도 시설
물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자체 개정 평가요령에 의거하여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관로 자체와 수로터널은 대체로 내진성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후 취수
탑과 일부 RC 토목 구조물의 내진성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진 시 대부분의 상수도 시설 피해사례들로부터 지반 액상화에 대한 중요
성이 부각되어, 기존의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여
Idriss and Boulanger (2008) 방법을 도입한 새로운 자체 액상화 평가 요령을 제시하
였다. 지반 액상화 평가요령을 울산공업용수도에 적용한 결과, 대부분 안전하였으
나 해안가 인근의 하천변 느슨한 사질토 지반에서 국부적으로 액상화가 예상되어
추후 광역적인 조사 및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상수도 시설에 대하여 내진성능이 부족한 경우, 거시적인 내진 보강 공법들
을 소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상수도 시설에 대한 내진성능평가 요령을 선도적으로 정립하
고, 적절한 평가와 보강을 통하여 지진시에도 중단없는 급수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
으로 판단된다.

(13) 키-워드
지진, 내진, 상수도, 내진평가, 지반 액상화, 관로, 취수탑, 수로터널
(14) 사업고유번호
2015-WS-RR-3-15
(15) 공개여부 (16) 총면수 (17) 발행부수 (18) 가격
예 On-line PDF

- 261 -
BIBLIOGRAPHIC DATA SHEET

(1) Report ID (2) Project Classification(3) Report Date


2015-WS-RR-3-15 Dec. 31, 2014
(4) Title/Subtitle (5) Research Period
A Study on the Seismic Vulnerability 1/01/2014 ~ 12/31/2014
Assessment and Reinforcement Measures
for Water Supply Facilities (Ⅰ)
(6) Performing Organization (7) Author(s)
Infrastructure Research Center, KIWE, Park, Dong Soon (PI)
K-water Shin, Dong-Hoon, Lim, Jeong-Yeul,
Jung, Woo-Sung, Lee, Doo-Jin,
Noh, Jun-Rae
(8) Performing Organization Address (9) Sponsoring Agency and address
1689beon-gil 125, Yuseong-daero, K-WATER
Yuseong-gu, Daejeon, 305-730
(10) Co-performing Organization(s) (11) Contract or Authorization
2015-WS-RR-3-15
(12) Abstract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firstly to develop an improved guideline for seismic
evaluation of existing water supply facilities, and secondly to establish seismic
reinforcement measures to put into practice.
Through the first year of research in 2014, we have conducted the comprehensive
seismic evaluation for Ulsan industrial waterworks facilities including pipelines, water
supply tunnels, RC civil structures, intake tower, and liquefaction around embedded
pipelines. As a result, pipelines and water supply tunnels are believed to be safe for
safety evaluation earthquake (0.154g). However, an aging intake tower and a few RC
civil structures are expected to be damaged seismically. Most sites are not liquefiable,
but one specific test site near a river to the seashore is evaluated as potentially
liquefiable, based on the liquefaction triggering analysis introducing a new procedure,
Idriss and Boulanger (2008). More site investigation and geotechnical tests are
necessary to judge if liquefiable zone is widely distributed.
A general seismic reinforcement measures are addressed for possible decision-making
in case of seismic deficiency.
A newly developed guideline, “The seismic evaluation guidelines for existing water
supply facilities” was necessary to be applied to the testbed water supply facilities. As
a testbed facilites, Ulsan industrial waterworks was chosen. For the site, seismic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einforcement measures for water supply facilities were
performed.
Henc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ensure seismic safety of existing water supply
structures and to build up leading evaluation techniques nationwide.

(13) Keyword
Earthquake, Water supply, Seismic evaluation, Lifeline earthquake engineering,
Liquefaction, Pipeline, Intake tower, Water supply tunnel
(14) Project ID
2015-WS-RR-3-15
(15) Security (16) No. of Pages (17) Circulation (18) Price
Open to public On-line PDF

- 262 -
주의사항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수자원공사에 있으므로, 본 자료의
내용을 허가없이 인용, 복사, 전재, 재배포를 할 경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14
by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발행인 : K-water 사장 최 계 운
발행일 : 2014. 12.
발행처 :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대전직할시 유성구 왕골고갯길 49
Tel. (042) 870-7005

K-water는 친환경 기업윤리 이념을 구현하기


위하여 2002. 3. 12 『환경경영』을 선포하고,
모든 보고서 발간에 『재생용지 및 무코팅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