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원리 논술 자료 (2차시)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

사. 복식 서비스 라인 아.

복식 경기 라인
■ 배드민턴의 과학적 원리(2차시)

1. 경기 규칙
가. 서비스 규칙 리시버
1) 셔틀콕은 허리 아래에서
2) 셔틀콕을 치는 순간 라켓의 헤드가 서버의 손 전체
보다 아래에
3) 서버와 리시버는 서비스 코트 안에서 대각선으로
4) 라켓의 움직임은 서비스 시작부터 끝까지 연속으로
서버
5) 서비스하는 쪽의 점수를 기준으로 점수가 짝수일 때
는 오른쪽, 홀수일 때는 왼쪽에서 서브
6) 서비스하는 쪽에서 득점했을 경우는 자리를 이동 후
연속으로 서브
2. 스트로크(플라이트)의 종류
가. 스매시: 상대방 코트에 내리꽂는 스트로크
나. 폴트(반칙을 의미)
나. 하이클리어: 백 바운더리 라인까지 높고 길게
1) 라켓 헤드의 높이가 손보다 높은 위치에서 서비스했
다. 푸시: 네트 부근에 높이 뜬 타구를 짧게 끊어서
을 때
라. 헤어핀: 셔틀콕이 네트를 타고 가볍게 넘어가도록
2) 셔틀콕을 2번 이상 쳤을 때
마. 드라이브: 네트를 넘어 바닥과 수평으로 빠르게
3) 라켓 헤드가 허리보다 높은 지점에서 서비스했을 때
바. 드롭: 상대 코트의 네트 바로 앞에 살짝 떨어뜨리는
4) 네트를 건드렸을 때
5) 셔틀콕이 네트를 넘어오기 전에 건드리거나 쳤을 때

다. 레트(우발적인 상황이 발생한 경우)


1) 리시버가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서비스했을 때
2) 서비스 중 서버와 리시버 둘 다 폴트를 범했을 때
3) 심판이 보지 못했거나 판정할 수 없을 때
4) 코치에 의해 상대방 선수가 방해받았을 때

라. 그 밖에 규칙들
- 경기 종목은 남녀단식, 남녀복식, 혼합복식으로 구성
- 한 경기당 3세트, 21점 3. 배드민턴에 적용되는 과학적 원리
<셔틀콕을 백 엔드라인 보내는 효과적인 방법>
마. 단식 서비스 라인 바. 단식 경기 라인 가. 간결하고 빠른 스윙 방법 찾기: 어깨의 회전만으로
셔틀콕을 치면 셔틀콕을 빠르고 멀리 보낼 수 없다.
즉, 어깨-팔꿈치-손목의 순서로 힘을 전달한다.

리시버 나. 순간적인 힘 이용하기: 셔틀콕을 치기 직전에 순간


적으로 힘을 모아 끊어서 치는 것이 중요하다.

다. 치는 타이밍 찾기: 셔틀콕을 치기 전에 스윙 에너지


를 충분히 충전하고 정확한 타이밍을 찾는다.

※ 순차적 가속
서버 운동량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몸의 말단으로 갈수록
질량과 부피가 감소하기 때문에 인체의 회전속도가 증
가한다. 즉, 어깨-팔꿈치-손목 관절의 순차적 가속을
통한 회전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강한 힘을 발휘
할 수 있다. 채찍질 효과라고도 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