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물개척전차 (K600) 개발 성공에 대한 소고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

장애물개척전차(K600)

개발 성공에 대한 소고
’18년 8월 장애물개척전차 연구개발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
라 육군은 기동부대 임무수행 능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장애물개척전차(K600)는 ’14년부터 연구개발에 착수하였으며 우수
한 기동력과 방호력 및 지뢰제거능력을 바탕으로 지뢰제거에 최적화
되도록 개발된 무기체계이다. 특히, 우리 군이 운용중인 K1 계열전차
김기택 조한철
를 기반으로 공용부품을 사용하고 핵심부품을 국산화하여 운영유지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 가 용이하도록 개발되었다.
기동사업부 기동사업부
육군 준장 육군 소령
이 글에서는 지뢰제거를 위해 개발된 장애물개척전차의 개발배경 및
주요 특징 등을 소개하고 개발성과와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04 • 무기체계 Weapon Systems

www.dbpia.co.kr
최근 전쟁의 개념과 수행방식이 변화하면서 정밀타 기를 장착한 형태의 Trojan 전차를 운용중이며, 독일
격무기 또는 드론 등의 무인체계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은 레오파드2 전차 차체에 지뢰제거쟁기를 장착한 형
그러나 지상작전을 수행함에 있어서 지역을 점령하고 태의 Dachs 및 Kodiak 전차를 운용중이다.
확보해야 하는 지상군의 특징을 고려할 때 지뢰제거 눈여겨 볼 사항은 미국, 영국, 독일 등 해당 국가에
소요는 여전히 지속적으로 발생될 전망이다. 서 사용중인 주력전차의 차제를 기본 플랫폼으로 활
추후 비무장지대 평화지대 구축이나 자연재해, 화 용하고 있으며, 영국 Pearson사에서 생산한 지뢰제거
재 등이 발생하여 민간 구조장비 및 인력이 접근하기 쟁기를 공통으로 장착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려운 상황에서 차량 통로 및 인원 대피로 구축 등에 미국은 추가 개발비용이 필요하지 않고, 즉각적
투입된다면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많은 으로 실전배치가 가능한 동맹국의 완성단계 품목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Non-Developmental Item에 대해 검사 및 평가 프로
지뢰제거용 장비는 운용모습에 따라 쟁기, 도리깨, 그램을 실시하여 테스트를 통과한 품목을 구매하는
롤러 형태로 구분되는데 매설깊이 및 지뢰기폭 후 지 FCTForeign Comparative Test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속 사용여부 등을 고려하여 미국, 영국 및 독일 등 서 ABV에 적용된 지뢰제거쟁기가 FCT를 적용한 사례이
방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쟁기 형태의 장비를 장착한 다. 한국형 장애물개척전차(K600) 역시 선진국에서 사
장애물개척전차를 운용중에 있다. 용중인 지뢰제거쟁기를 장착함으로써 개발비용을 절
해외 유사체계를 살펴보면, 미국은 M1A1 전차 차 감하면서도 군 요구성능 및 전력화시기를 충족할 수
체에 지뢰제거쟁기를 장착한 ABV Assault Breacher 있도록 효율적으로 사업이 추진되었다.
Vehicle를 육군 및 해병대에서 운용하고 있다. 영국은 장애물개척전차의 주요 특징은 지뢰제거 전용 장비
자국의 주력전차인 챌린저2 전차 차체에 지뢰제거쟁 로서 장애물 극복능력과 지뢰제거 지역에 대한 표시

[그림 1] 장애물개척전차 형상

105

www.dbpia.co.kr
[그림 2] 세계 각국 장애물개척전차(왼쪽부터 미국 ABV, 영국 Trojan, 독일 Kodiak)

미국 ABV 영국 Trojan 독일 Kodiak


*출처 : 위키백과사전

능력이 탁월하다는 점이다. 한반도 특유의 단단한 토 순위를 고려하여 개발 착수가 다소 지연되는 어려움
질 특성, 강우 및 강설, 수풀 및 경사지 등 다양한 환경 을 겪었다. 그러나 주요 구성품에 대한 국외도입품 적
조건에서 30cm 깊이로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고 표식 용을 통해 개발기간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하고 완성도
봉을 자동으로 발사하여 안전통로를 표시할 뿐만 아 높은 사업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전력화 일정을 준수할
니라 자기감응지뢰에 대한 무능화 능력도 보유하고 수 있었다.
있다. 기존 운용중인 전투장갑도저(KM9ACE)는 장갑차를
또한 시험평가 과정에서 실물지뢰 기폭을 통해 방 기본 플랫폼(295마력)으로 개발된 무기체계이기 때문
호력 및 차체의 안전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하였다. 차 에 K1(1,200마력), K2(1,500마력) 전차 등과 함께 기동할
체 우측에는 굴삭팔을 장착함으로써 낙석제거, 진지 수 있는 기동성 및 방호력이 부족하였고, 주요 기능이
및 도하지점 진출입로 개설 등 공병 장비로서 전천후 흙을 밀어내는 도징Dozing이기 때문에 매설된 지뢰를
임무수행능력을 발휘한다. 굴삭팔은 상용품을 적용하 제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기계화 부대를 원활하게
여 손쉽게 부품을 확보하고 교환 및 정비를 가능케 하 지원하는 데에는 제한사항이 많았다.
였다. 그러나 장애물개척전차는 기존 장비의 제한사항을
그 밖에도 공병장비 최초로 한국형가변메시지포맷 대폭 개선함으로써 육군의 성공적 작전 수행 측면에
KVMFKorea Variable Message Format을 적용한 전술단 서 결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K1계열
말기를 장착함으로써 실시간 전장정보 공유가 가능하 전차 차체 공용품을 다수 적용하고 개조개발을 최소
며, 피지원부대의 전차 및 장갑차와 상호운용성 확보 화하여 기존 부품의 호환성을 향상시켰기 때문에 후
가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장애물개척전차는 혹서기 속군수지원 측면에서 운영유지 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해치 밀폐 하 지뢰제거쟁기 및 굴삭팔 운용이 가능토 수 있다.
록 냉방장치, 열상카메라, 전방/후방/작업용 카메라를 장애물개척전차는 해외 유사장비와 비교하여 동등
장착함으로써 기존 장비와 비교하여 승무원의 편의성, 이상의 성능을 발휘하면서도 가격측면에서 유리하여
안전성 및 조작 용이성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켰다. 충분한 수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K2 전차
한국형 장애물개척전차(K600)의 개발 성공 요인은 수출협상 시 장애물개척전차가 패키지 요소로 포함된
해외 개발동향을 적절하게 벤치마킹하여 사업계획에 바 있다. 올해부터 ’23년까지 전력화 물량에 대한 생산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사업은 ’06년 육군에서 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 일정규모 이상의 생산유발
소요가 제기되었으나 전투지원장비로서 전력화 우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06 • 무기체계 Weapon Systems

www.dbpia.co.kr
[그림 3] VR 및 AR 적용모습 [그림 4] 굴삭팔 어태치먼트(유압집게)

*출처 : 국방일보, “영국 챌린저 스트리트파이터Ⅱ 전차개발”, 2020. 3.

전쟁의 개념과 수행방식은 기술의 발전 속도와 더


불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장애물개척전
차도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성능개량 소요를
고민해 나가야 한다. 장애물개척전차 체계개발은 기존
주력전차 차체를 활용하고 지뢰제거 관련 장비를 장
*출처 : 월간 중장비
착함으로써 비용 및 일정 측면에서 효율적인 개발이
이루어진 사례이다. 이와 유사하게 기존 운용중인 무
기체계를 기반으로 성능개량 소요를 지속적으로 고민 앞서 제시한 기술 및 장치의 적용 방안 등은 방위사
하다보면 합리적인 방안들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업청에서 추진중인 신속시범획득사업, 민군협력사업
것이다. 또는 경미한 성능개량으로 추진이 가능하다고 판단되
예를 들면, 장애물개척전차의 경우 운용상의 특징 며 방위사업청의 정책목표인 방위력 개선 및 방산육
을 고려했을 때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및 증강현 성에 부합할 수 있을 것이다.
실ARAugmented Reality 기술을 적용할 경우 승무원의 지금까지 장애물개척전차에 대한 소개와 개발성과
시계가 제한되는 해치 밀폐 하 운용조건에서 효율적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개념연
으로 지뢰제거 및 굴삭팔 운용이 가능하다. 구를 통해 소요가 창출되고, 우수한 기술을 접목한 장
상용 굴삭팔 특성을 고려할 때 운용 목적에 따라 다 애물개척전차 성능개량 버전이 군에 배치 및 운용됨
양한 어태치먼트Attachment 1를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 으로써 장병 생명 보호와 군 전력증강에 기여할 뿐만
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물개척전차의 운용개념과 국 아니라 대민지원에도 많은 쓰임새가 있기를 기대해
내 통신 및 제어기술을 접목하여 플랫폼에는 사람이 본다. D&T

탑승하지 않고 이격된 지상통제소에서 원격으로 운용


할 수 있는 무인화 키트를 개발할 경우에는 인명손실
을 최소화 한 가운데 장비를 운용할 수 있는 환경을
1 기
 계의 몸체에 설치하여 그 기계의 성능을 높이거나 몸체만으로는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할 수 없는 작용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치

107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