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6

A Study on the Space Analysis of SANAA’s Houses

based on Space Syntax Theory

Kiseok Lee
First Author. Division of Architecture, Sunmoon University

(Background and Purpose) The interest in detached houses, which was dominant before the exponential increase in
population, is growing again. According to the recent interest in detached hous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ouses of
SANAA in Japan that seek the new concept of spaces continuously and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planning detached
houses in Korea. (Method) In this study, prior studies related to housing by SANAA were reviewed, and the selected
houses were analyzed by space syntax together with content analysis in view of their construction plan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by the times, they were analyzed by space purposes including common living space, personal living space,
and housework space; the distribution was compared with integrated space and segregated space upon integration analysis;
and the changes of privacy considerations were reviewed upon the trend analysis of integration values on the master
bedroom where is the representative personal living space. (Results) In case of the SANAA houses in early 2000s, share of
segregated spa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ntegrated space, which may reflect the period when more segregated
space plans were dominant to eliminate the corridors and to seek the relationship between rooms. Consideration of the
privacy on the master bedrooms was excellent in the houses in 1990s, however, that in the early 2000s was very poor, and
consideration of proper level of privacy has been changed in the houses since mid-2000s upon lowering integration of the
master bedroom. (Conclusions) The stud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houses of SANAA in 1990s had sought the
relationship between rooms and corridor, and between personal space and common space, providing new experiments upon
changing ordinary organizations. Amid the new space experiments, privacy was well secured upon lowering accessibility to
the personal spaces by the strategies to lower the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of personal spaces such as installing stairs to
upstairs directly to lead the entrance of upstairs and making long moving line to the entrance intentionally. Second, the
corridors were elimina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ooms were sought at the houses in early 2000s, when the
separations of personal space and common space were not clear, and personal spaces were segregated more. The houses at
this time showed very poor privacy security on their personal spaces with higher or lower integration of personal space
than average. Third, external spaces played a crucial role for connecting spaces in mid to late 2000s when the relationships
between houses and gardens, and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were sought. Integration of common spaces became higher
and that of personal spaces was lower, changing into remarkable separations between common and personal spaces again.

Keywords Space Syntax, SANAA, Connectivity, Control Value, Integration


Received June. 25, 2019 Reviewed July. 17, 2019 Accepted August. 31, 2019
ISSN 1976-4405 www.kisd.or.kr
10.35216/kisd.2019.14.4.65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4 No.4 65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SANAA 주택 작품의 공간 분석 연구

이기석
제1저자. 선문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건축학전공 전공

(연구배경 및 목적) 과거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전에 대세 주거형태였던 단독주택에 대한 관심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단독주택에 대한 관심의 증가에 따라 꾸준하게 새로운 공간개념을 연구하는 일본 SANAA의 주택작품들을 공간적으로 분
석하여 우리나라 단독주택 계획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SANAA 주거와 관련된 선
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선정된 주택들을 각각 건축계획적인 내용분석과 함께 공간구문론으로 분석한다. 시대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 성격별(공동생활공간, 개인생활공간, 가사노동공간) 분석을 시도하고, 통합도 분석을 통해 ‘통합성 공간’과 ‘분격
성 공간’의 분포 비율을 비교하며, 대표적인 개인생활공간인 주침실의 통합도 값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여 프라이버시에 대한 고
려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고찰한다. (결과) SANAA의 2000년대 초반 주택의 경우에 ‘통합성 공간’보다 ‘분격성 공간’의
비율이 현격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시기 주택들은 복도가 소멸되고 방과 방의 관계를 탐색하는 시기로 공간들을 더욱
세분화하는 계획이 주를 이루는 시기였기에 이러한 결과값이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1990년대 주택의 경우 대부분 주침실 프라
이버시에 대한 고려는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2000년대 초반의 주택들은 대부분 주침실 프라이버시에 대한 고려가 매우 미흡하
게 나타났고, 2000년대 중반이후 주택들은 주침실의 통합도를 낮게하여 적절한 프라이버시를 유지시키는 계획으로 변화하고 있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SANAA의 1990년대 주택은 방과 복
도와의 관계, 개인공간과 공용공간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모색하는 시기로 일반적인 구성을 역전시켜 새로운 실험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공간실험을 하면서도 2층으로 직접 올라가는 계단을 설치하여 2층 현관으로 유도한다거나, 진입동선을 인위적으
로 길게 유도한다거나, 개인공간들의 연결도와 통합도를 낮추는 전략들을 통해 개인공간들의 접근성을 낮추어 프라이버시를 잘
유지시키고 있다. 둘째, 2000년대 초반 주택은 복도가 소멸하고 방과 방의 관계를 탐색하는 시기로 개실공간들과 공용공간들
간의 구분이 두드러지지 않고 개실공간들도 더욱 세분화 되어 가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주택들은 개인공간의 통합도 값이 통합
도 평균값 보다도 오히려 높거나 평균값 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개인공간들의 프라이버시 유지면에서는 매우 미흡한 시기이
다. 셋째, 2000년대 중반이후 주택의 경우는 주택과 정원, 내부와 외부와의 관계에 대해서 탐색하는 시기로 이 시기에는 공간
의 연결을 위해 외부공간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으며, 공용공간들의 통합도는 높아지고, 개인공간들의 통합도는 낮아지며 공
용공간과 사적공간들의 구분이 다시 뚜렷해지는 시기로 변화하고 있다.

Keywords 공간구문론, 사나,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Received June. 25, 2019 Reviewed July. 17, 2019 Accepted August. 31, 2019
ISSN 1976-4405 www.kisd.or.kr
10.35216/kisd.2019.14.4.6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4호 통권 58호 66


1. 서론 시형 단독주택을 대상으로 시대별로 공간구문론으로
분석한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SANAA작품에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대한 연구는 최근 많아지고 있지만, 단독주택만을 집

최근 삶의 안정성과 그 안에서 추구하는 삶의 가치 중하여 정량적으로 공간분석 한 연구사례는 거의 없는

를 효율만큼 중요하게 생각하는‘워라밸(Work & 실정이다. 정량적이고 구체적인 평가를 위해 공간구문

Life Balance)’이 사회적인 트랜드가 되면서 주택시 론(Space Syntax)의 Convex Analysis 프로그램 도
장에서도 미묘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는데, 과거 대세 구를 이용했고, 평면도 내의 공간들을 수치화 하여 공

주거형태였던 단독주택에 대한 관심이 다시 증가하고 간 구조를 비교 분석하여 객관성을 높이고자 했다. 본

있다는 것이다. 한국감정원 자료에 따르면 2018년 4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변수로 연결도(Connectivity), 통

월 전국에서 거래된 단독주택 매매 건수는 총 13,399 제도(Control Value), 통합도(Integration) 등 세 가

건으로 2018년 1월 12,103건에서 4개월 만에 지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먼저

10.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아파 SANAA 주거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선정

트 매매건수가 24%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거래가 상 된 주택들을 각각 건축계획적인 내용분석과 함께 공간

당히 활발하게 진행된 것이라는 평가이다.1) 구문론으로 분석한 내용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시대

단독주택을 찾는 수요가 증가한 이유로는 주거문화 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 성격별(공동생활공간,

의 변화를 꼽을 수 있는데, 주택산업연구원의‘2025 개인생활공간, 가사노동공간)로 분석을 시도하고, 통합

년 미래주택시장 트렌드’에 따르면 수도권 거주 만 도 분석을 통해 통합성 공간수와 분격성 공간수의 분

25~64세 성인 1,020명 중 35%가 집 구매시 ‘주거 포 비율을 비교하며, 대표적인 개인생활공간인 주침실

의 쾌적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선택했다. 또한 의 통합도 값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여 프라이버시에 대

2014년 국토연구원이 실시한 ‘주택가치 인식에 관한 한 고려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고찰한다.

국민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6명이 2024


년쯤 살고 싶은 집으로 단지형 단독주택 또는 타운하 2. SANAA 주거건축 관련 선행연구
우스를 꼽았다. 답답한 아파트 생활보다 전원생활이
가능한 단독주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다.2)
신은기, 백진(2012)은 SANAA의 주거공간을 근대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최근 불고 있는 단독주
핵가족의 변화에 대응하는 관점으로 개실 구성의 변화
택에 대한 관심에 따라 새로운 공간개념을 지속적으로
과정을 시대별로 연구하였는데, 1990년대는 개인공간
탐색해 나가는 일본 SANAA3)의 주택작품들을 공간
과 공용공간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모색하는 시기로
적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 단독주택 계획시 도움을 줄
두 공간 사이의 차이를 극대화하는 방향과 점차 공용
수 있는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간과 개인공간의 차이를 두지 않으려는 두 가지 방
향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밝혔다. 2000년대 전반은 개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실에 대한 정의의 변화시기로 개실의 관계는 점차 동
본 연구의 대상범위는 세지마 카즈요와 니시자와 류
등한 위계의 여러 개실들의 집합으로 나타난다고 파악
에가 개별적으로 작업한 또는 SANAA 공동사무소 이
하였다. 개실 공간들과 공용공간의 구분이 두드러지지
름으로 작업한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 그리고
않고 이에 더해 각 개실 공간에 대한 정의도 기존의
2000년대 중반이후 현재까지 국제적인 건축저널인 El
거주자 단위에서 더 세분화된 단위가 나타난다고 하였
croquis에 소개된 단독주택 작품들을 중심으로 한다.
다. 예를 들어 플롬그로브 주택에서 자녀들의 방은 침
주택과 관련된 연구는 2000년 이전까지는 건축 및
대를 위한 방과 책상을 위한 방 즉, 가구 단위로 방이
주거학 전공분야 등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졌지
분할된다. 공간단위의 구획 및 독립성을 보여주지만,
만, 2010년 이후부터는 단독주택의 평면 분석에 대한
벽체에 있는 개구부는 각 공간 사이를 시각을 통한 연
연구는 흔하지 않다. 이전 연구들은 연구자의 정성적
결 관계를 만들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2000년대 중반
인 비교평가에 의해 이루어진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일
에 이르러서는 SANAA의 주택에서 자유로운 곡선에
부 아파트 평면 또는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선정한 도
의해 방의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적극적으로 나타난다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4 No.4 67


고 밝혔는데, 정원 & 주택에서는 각 층의 실내 공간은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 분석의 용이성을 위해 자유로
가구 및 사물 요소들에 의해 공간의 외곽선이 결정되 운 곡선의 평면 작품은 배제하고 장용순(2015)이 언
어 자유로운 곡선형태를 갖게 되었다. 즉, 실내공간의 급한 주택과 정원, 내부와 외부와의 관계와 관련된 작
가구 배열에 따라 실내공간의 경계가 만들어진다. 품들과 직선 또는 사선적인 평면의 준공 작품 위주로
Flower 주택의 경우에는 각 가구들을 중심으로 곡면 선정하였다(단, 중국 주택은 미준공작임). 본 연구의
이 들어가고 나옴을 통해 영역을 한정하고 이것이 일 공간구문론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종의 방이 되었다. 이러한 방의 정의, 배열관계를 통한 결과값과 선행 연구된 정성적인 내용들과 어떠한 연관
nLDK의 재정의와 함께 SANAA는 건축 재료 및 구조 성을 갖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물을 통한 지각적 경험이라는 점을 도입하여 주거와
도시의 관계, 주거 내부의 실내 사이의 경계에 있어서
3. SANAA 사례주택 공간분석
통합과 분리를 이중적으로 보여주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Cinn, Eun-Gee, & Baek, Jin,
2012). 3.1 사례조사 대상 주택

장용순(2015)은 SANAA의 주거건축에 나타난 공 본 연구의 사례조사 대상 주택은 1990년대는 Y-

간 관계의 재구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는데, 방과 복도 주택(Y-House), M-주택(M-House), S-주택

와의 관계, 방과 방의 관계(복도의 소멸), 내부와 외부 (S-House), 주말 주택(Weekend House) 등 4작품,

의 관계 이렇게 세 가지 관점으로 분석한 바 있다. 2000년대 초반은 작은 주택(Small House), 카마쿠라

SANAA는 1990년대 주거건축에서 방과 복도가 갖는 주택(Kamakura House), 플럼그로브 주택(Plum

일반적인 관계에 대하여 의심을 하고 새로운 배치방식 Grove House), 중국 주택(China House) 등 4작품,

을 제안했는데, 유닛 내부에서 복도를 통해서 방으로 2000년대 중반이후는 모리야마 주택(Moriyama

들어가고 방이 외기에 접하는 방식이 아니라, 외기에 House), 하야마 주택(Hayama House), 정원 & 주택

면한 복도를 통해서 방으로 접근하는 방식이다. 2000 (Garden & House), 단고자카 주택(Dangozaka

년대 초에는 주거공간에서 방과 방의 관계에 대한 재 House) 등 4작품으로 총12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분

정의에 집중하였는데, 방들은 간막이벽에 의해서 구획 석하였다. <표 1>의 작품명 하단의 괄호 속에 작품준

되고 복도는 바깥쪽의 툇마루로 빠져있고, 방과 방은 공년도 또는 작품설계년도를 표기하였고, 설계한 건축

복도 없이 연결된다. SANAA는 이렇게 방과 방이 직 가의 이름을 명시하였다.

접 만나는 구성을 통해서 복도가 가지고 있던 어두운 <표 1> 사례조사 SANAA 작품 주택 목록
작품명 작품명
매개 공간적 성격을 제거하고 방과 방이 경계 없이 직 이미지 이미지
(년도, 건축가) (년도, 건축가)
접 만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방과 복도라는 위 플럼그로브
Y-주택
주택
계가 없이 방들이 상황에 따라서 거주하는 공간 또는 (1994)
(2003)
(Sejima) 2000
이동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Sejima)
년대
M-주택
초반 중국주택
고 했다. 2000년대 중반이후에 등장하는 주거건축에 (1997)
(2003-)
(Sejima+
서 SANAA는 주택과 정원, 내부와 외부와의 관계에 1990 Nishizawa)
(Nishizawa)

대해서 깊이 연구하기 시작한다고 밝혔다(Chang, 년대 S-주택 모리야마


(1997) 주택
Yong-Soon, 2015). (Sejima+ (2005)
Nishizawa) (Nishizawa)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자들에 의 하야마
주말 주택
해 정성적으로 연구된 SANAA작품들을 중심으로 주택
(1998)
2000 (2010)
1990년대, 2000년대 초반, 2000년대 중반이후 작품 (Nishizawa)
년대 (Sejima)
으로 구분하여 공간구문론에 의한 정량적인 분석을 시 작은 주택 중반 정원&주택
(2000) 이후 (2011)
도하여 객관적인 결과값을 도출하여 정성적으로 선행
2000 (Sejima) (Nishizawa)
연구된 내용과 비교하고자 한다. 다만, 선행연구의 신 년대
카마쿠라 단고자카
초반
은기, 백진(2012)은 2000년대 중반이후 작품에서 자 주택 주택
(2001) (2014)
유로운 곡선 형태 작품들의 등장을 언급하였으나 본 (Nishizawa) (Sejima)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4호 통권 58호 68


3.2 사례주택별 공간분석 <표 3> Y-주택 공간구문론 분석

3.2.1 Y-주택(Y-House, 1993) ID 실명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Y-주택의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은 6 1_TR(W) 3 1.000000 0.977780
30 1_S 2 0.666667 0.965558 Max
<표 2>와 같고, 공간구문론 각 지표의 분석값은 <표 29 2_S 3 1.333333 0.930658
3>과 같다. 5 1_W 4 2.333333 0.858273
19 2_L-2 3 1.000000 0.804631
1_Tr(MR
<표 2> Y-주택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10 4 2.166667 0.772446
)
… … … … …
17 2_L-1 3 1.166667 0.671692
4 1_B 2 1.250000 0.660210
7 1_T 1 0.250000 0.649114
20 2_D 3 1.333333 0.628005
… … … … …
21 2_K 2 0.666667 0.5088188
Min
… … … … …
3F Plan(게스트룸) 12 1_MR 1 0.333333 0.498352
… … … … …
15 2_T 1 0.500000 0.354333
평균 2.19 1.000000 0.612492 Integration
* 실명 표기방법 : 층수_실명 약어(실위치)
예시) 1_Tr(MB) : 1층의 주침실 안쪽에 있는 전이공간을 의미함.
명칭이 동일 할 경우는 별도로 괄호 안에 실위치 및 단위공간 넘버
까지 추가 표기함.
2F Plan
3.2.2 M-주택(M-House, 1997)
M-주택의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은
<표 4>와 같고, 공간구문론 각 지표의 분석값은 <표
5>와 같다.

<표 4> M-주택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1F Plan
Y-주택은 지상3층 규모로서 1층에 주침실, 욕실, 세면실,
예비실 등이 배치되어 있고, 2층에 현관, 거실, 식당, 주
방 및 공용화장실이 배치되어 있으며, 3층에는 게스트룸
이 배치되어 있음. 일반적으로 공용공간을 1층에 배치하
고 사적공간을 2층에 배치하는 방식을 뒤집어서 2층에 공
계획적
용공간을 배치하고 직접 2층으로 진입하게 하였고, 1층과
특징 1F Plan
3층에 사적공간을 분리 배치하여 주침실과 게스트룸을 분
리시킨 형태임. 1층의 사적공간들은 건물 양측에 계획된
외부공간을 통하여 바로 진입도 가능하나, 주요 출입은 2
층 현관을 통해 진입하도록 하여 1층 사적공간들의 프라
이버시를 잘 유지 시키고 있음.
Y-주택에서 통합도가 가장 높은 공간은 1층의 6번( 전이
공간)과 30번 (계단실) 공간이고, 2층의 29번(계단실) 공 B1F Plan
공간 간임. 1층과 2층 계단실 공간의 접근도가 가장 높게 계획 M-주택은 지하1층, 지상1층 규모로서 지하1층에는 거실,
구문적 되어 있음. 프라이버시가 가장 필요한 12번(주침실)의 경 주방, 식당, 작업실, 작은방 등이 배치되어 있고, 지상1층
특징 우는 비록 1층에 배치되어 있지만, 연결도, 통제도와 통 에는 현관, 게스트룸, 주침실, 예비실 등이 배치되어 있음.
합도 값이 모두 낮게 계획되어 사적공간들의 프라이버시 일반적인 경우는 거리에서의 소음 및 프라이버시 등을 고
를 잘 유지시키고 있음. 려하여 사적공간을 지하층에, 공용공간을 1층에 계획하겠지
* 볼록공간 분석에서는 편의상 실명을 영문 약자(대소문자구분) 만, M-주택에서는 이것을 역전시켜 1층에 사적공간, 지하
계획적
로 표기하였는데, 본 논문에서의 표기방식은 다음과 같다. 층에 공적공간 위주로 계획하였음. 현관과 게스트룸, 주침
특징
A: 별관, A.R: 오디오룸, B: 욕실, Bo: 보일러실, C: 복도, D: 실, 예비실이 동일한 1층에 위치하지만 인위적으로 동선을
식당, Dr: 드레싱룸, E: 현관, G.R: 게스트룸, K: 주방, L: 거실, 연장하여 각 실의 접근성을 떨어뜨리고 있음. 1층 중정과
Lo: 로비, M.R: 주침실(안방), O: 외부공간, P: 주차장, R: 방, 주차장 사이의 수직적으로 계획된 광정은 지하층 거실 공
S: 계단실, Sa: 응접실, S.R: 예비실, StR: 서재, St: 수납, 창 간에 자연채광을 가능하게 하고, 1층 게스트룸 옆의 수직적
고, Sh: 샤워실, So: 일광욕실, T: 화장실, Te: 테라스, Tr: 전이 으로 계획된 광정은 지하층 식당과 주방에 자연채광을 가
공간, U: 다용도실, W: 세면실, W.R: 작업실. 능하게 하였음.
* Tr(전이공간)과 St(수납,창고)는 실넘버는 부여하지 않았으며, M-주택에서 통합도가 가장 높은 공간은 5/4/10/9번 공간
주요실과 C(복도), S(계단실)은 동일 층에 동일 용도의 실이 2개 으로 지하1층의 거실과 그 주변의 전이공간들임. 1층에 주
공간
이상일 경우 실넘버를 부여하였다. 침실(M.R), 예비실(S.R), 게스트룸(G.R) 등의 사적공간들
구문적
* 실명에서 ‘복도(C)’는 공간과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공간을 을 계획하였으나 접근 방식을 인위적으로 연장하여 사적공
특징
의미하며, ‘통로(Tr)’는 공간과 공간 사이에 생기는 여분의 전 간들의 통합도값을 낮추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전략을
이공간을 의미한다. 취하고 있음.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4 No.4 69


<표 5> M-주택 공간구문론 분석 <표 7> S-주택 공간구문론 분석
ID 실명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ID 실명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5 B1_Tr(L) 4 2.083333 0.794065 2 1_E 6 2.900000 1.401654
4 B1_L 4 1.500000 0.786713 13 1_S 2 0.500000 1.245915
10 B1_Tr(L) 3 1.500000 0.758616 4 1_C-2 5 3.000000 1.096947
9 B1_Tr(L) 4 2.083333 0.751903 Max 25 2_S 3 0.833333 1.096947
12 B1_C-1 2 0.450000 0.745307 3 1_C-1 5 3.166667 1.085152
13 B1_Tr(R) 5 2.666667 0.690772 … … … … … Max
11 B1_S-1 2 0.583333 0.674325 12 1_L 2 1.166667 0.961134
3 B1_K 2 0.750000 0.620183 18 1_St(E) 1 0.166667 0.943169
1 B1_D 2 0.750000 0.620183 1 1_C-3 3 1.700000 0.862557
… … … … … 5 1_K 2 0.533333 0.855247
14 B1_R 1 0.200000 0.551721 … … … … …
… … … … … 33 2_L-1 5 2.250000 0.788431
18 1_GR 3 1.666667 0.464290
… … … … …
15 B1_WR 1 0.500000 0.464290
26 2_L-2 4 1.200000 0.782319
… … … … … Min 15 1_MR 3 2.500000 0.764539
29 1_MR 3 1.333333 0.330603
… … … … …
… … … … …
1_Dr(MR 34 2_K 4 0.916667 0.731298 Min
28 2 0.666667 0.295017 11 1_D 1 0.500000 0,720851
)
평균 2.30 1.000000 0.537354 Integration 19 1_T-1 1 0.333333 0.663942
22 1_SR 2 1.500000 0.646917
10 1_R 2 1.500000 0.642797
3.2.3 S-주택(S-House, 1997) … … … … …
S-주택의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은 32 2_T 1 0.333333 0.452552
평균 2.43 1.000000 0.788356 Integration
<표 6>과 같고, 공간구문론 각 지표의 분석값은 <표
7>과 같다. 3.2.4 주말 주택(Weekend House, 1998)
주말 주택의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은
<표 6> S-주택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표 8>과 같고, 공간구문론 각 지표의 분석값은 <표
9>와 같다.

<표 8> 주말 주택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2F Plan

1F Plan
주말 주택은 1층 규모의 주택으로 작업실과 방 2개, 로비,
거실, 주방, 식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10cm정도의 얇은
목재 각기둥으로 3m x 3m 모듈로 구성된 완전한 정사각형
1F Plan 의 평면 형태임. 외부적으로는 폐쇄적인 형태이나 내부적으
S-주택은 지상2층 규모로서 지상1층에 주침실, 작은방, 예 계획적 로는 3개소의 광정에 의해 자연채광을 받아들이며 각 공간
비실, 응접실, 주방, 식당 등이 배치되어 있고, 지상2층에 특징 들이 시각적으로 소통되고, 유기적인 흐름으로 연결되는 개
거실과 주방 등이 배치되어 있음. 일반적으로 1층에 공적인 방적인 구성을 띠고 있음. 공용공간과 사적공간은 평면적으
공간을 배치하고 2층에 사적인 공간을 배치하는 것과는 정 로 분리되어 있는데, 공용공간과 사적공간 경계부위는 광정
계획적 개념이 도입되어 자연채광을 받아들이는 장치가 되고 중정
반대의 계획임. S-주택은 주요실들이 외곽부의 복도공간에
특징 또는 현관 진입부 역할을 하게 됨.
의해 둘러싸여 있다는 것이 평면계획상 독특한 점임. 복도
의 외벽은 폴리카보네이트라는 소재로 채광과 프라이버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였다. 외부로의 조망은 2층에 있는 2 주말 주택에서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가 모두 가장 큰 공간
개소의 창문에 의해서만 가능함. 은 6번(로비) 공간으로서 주택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주택의
상부와 하부, 좌측과 우측 공간들을 모두 연결해 주는 중요
S-주택에서 통합도가 가장 높은 공간은 1층의 2번( 현관), 공간 한 단위공간임. 11번(방1=0.805072), 1번(방2=0.673632),
13번(계단실) 순이다. 15번(주침실)의 통합도값(0.764539) 구문적 27번(작업실=0.673632) 공간의 통합도 값 모두 통합도 평
공간
은 통합도 평균값(0.788356) 보다는 작지만, 10번(작은방 특징 균값(0.870090) 보다는 낮은 값을 보이고는 있지만, 11번
구문적
=0.642797), 22번(예비실=0.646917) 보다는 작지 않아 (방1) 공간이 주침실로 판단되는데 11번(방1) 공간은 프라
특징
주침실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고려가 다른 방들 보다 미흡 이버시 고려 측면에서 1번(방2), 27번( 작업실) 공간에 비
한 계획임을 알 수 있음. 해서 미흡한 편이라고 볼 수 있음.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4호 통권 58호 70


<표 9> 주말 주택 공간구문론 분석 <표 11> 작은 주택 공간구문론 분석
ID 실명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ID 실명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6 Lo-1 8 2.916667 1.737261
20 2_S 3 1.166667 1.097594
16 L 4 0.958333 1.320318
14 Tr(Lo) 3 1.375000 1.222517 21 1_S 3 1.166667 1.097594
Max 19 3_S 2 0.666667 0.882380 Max
18 Tr(Lo-1) 3 1.375000 1.200289
5 Tr(R2) 3 0.750000 1.178856 22 B1_S 2 0.666667 0.882380
15 Lo-2 2 0.375000 1.178856
12 2_StR 3 1.333333 0.818207
… … … … …
19 D 4 1.166667 1.000241 … … … … …
25 Lo-3 4 2.333333 0.916888 6 1_SR 2 0.833333 0.616457
… … … … … 10 2_L 2 0.833333 0.616457
11 R1 2 1.333333 0.805072
… … … … …
… … … … …
20 K 3 1.083333 0.750181 1 B1_R 2 0.833333 0.569637
… … … … … … … … … …
Min Min
1 R2 3 1.500000 0.673632
11 2_D/K 2 1.000000 0.494520
27 WR 1 0.250000 0.673632
… … … … … … … … … …
3 St(R2) 2 0.833333 0.536715 3 B1_T 1 0.500000 0.384627
평균 2.43 1.000000 0.870090 Integration 평균 2.18 1.000000 0.658360 Integration

3.2.5 작은 주택(Small House, 2000) 3.2.6 카마쿠라 주택(Kamakura House, 2001)


작은 주택의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은 카마쿠라 주택의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표 10>과 같고, 공간구문론 각 지표의 분석값은 <표 은 <표 12>와 같고, 공간구문론 각 지표의 분석값은
11>과 같다. <표 13>과 같다.
<표 10> 작은 주택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표 12> 카마쿠라 주택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3F Plan

2F Plan

2F Plan

1F Plan
카마쿠라 주택은 지상2층 규모로서 1층에는 현관, 거실, 식
1F Plan 당 그리고 주방이 별동으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음. 2층에
는 방, 욕실, 화장실, 세면공간이 계획되어 있는데, 욕실과
화장실이 분리되어 별도의 실로 계획 되어 있고, 세면대는
외부로 빠져나와 설치되어 있음.
계획적
1층에 공용공간, 2층에 사적공간을 배치한 전형적인 평면
특징
B1F Plan 구성임. 1층에는 주방 공간만 별개 동으로 빠져나와 있고,
작은 주택은 지하1층, 지상3층 규모로서 지하1층에는 방, 거실공간에는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이외에는 아무런 구
화장실, 샤워실, 1층에는 현관, 예비실, 2층에는 거실, 주 획하는 벽체가 없음. 2층에는 계단실 옆으로 화장실, 욕실,
계획적 방, 식당, 서재, 3층에는 욕실, 화장실, 테라스가 배치되어 세면공간이 설치되어 일반적인 침실(R)과 서재(StR)를 벽
특징 있음. 중앙부의 원형계단을 중심으로 주요실들이 둘러싸여 체 구획 없이 구분하고 있음.
있으며, 층마다 실의 크기가 달라지면서 외부 입면 매스 크
기의 변화를 주고 있음. 카마쿠라 주택에서 통합도가 가장 높은 공간은 1층의 3번
작은 주택에서 통합도가 높은 공간은 20/21/19/22번 중앙 (계단실) 공간, 2층의 9번(계단실) 공간과 11번(서재) 공간
공간
의 원형계단공간으로 각 층에서 가장 통합도가 높아 접근 임. 사적공간인 17번(방(주침실))의 통합도값(0.585427)은
공간 구문적
성이 가장 좋은 공간임. 사적공간인 지하1층 1번(방(주침 통합도 평균값(0.638363) 보다는 낮으나, 개인공간들 중에
구문적 특징
실)) 공간의 통합도는 통합도 평균값보다는 낮으나 다른 개 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것은 아니므로 침실공간의 프라
특징
인공간들의 통합도값과 비교해서 낮은 편은 아니어서 프라 이버시 측면에서는 미흡한 계획으로 볼 수 있음.
이버시 측면 고려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음.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4 No.4 71


<표 13> 카마쿠라 주택 공간구문론 분석 <표 15> 플럼그로브 주택 공간구문론 분석
ID 실명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ID 실명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9 2_S 2 0.833333 0.944236 12 2_S 5 2.916667 1.284878
3 1_S 2 0.833333 0.914729 8 1_S 4 1.600000 1.201082
Max 7 1_C 5 2.833333 1.042448
11 2_StR 3 1.083333 0.914729
13 3_S 3 1.200000 1.023144 Max
5 1_L/D 3 1.500000 0.836324
15 2_MR-1 3 1.700000 0.920829
15 2_W 4 2.166667 0.731783 6 1_Lo 3 1.533333 0.837118
10 2_Tr 3 1.833333 0.696936 14 2_StR-1 1 0.200000 0.837118
4 1_L-2 2 0.833333 0.636333 17 2_R 1 0.200000 0.837118
6 1_C 2 0.833333 0.636333 10 1_R-2 1 0.250000 0.800721
17 2_R 3 1.250000 0.585427 … … … … …
… … … … … 1 1_L/D 1 0.200000 0.726971
9 1_K 1 0.200000 0.726971
2 1_L-1 2 1.500000 0.496124
19 2_MR-2 2 1.333333 0.682096
8 1_K 2 1.500000 0.496124
Min … … … … …
… … … … … 2 1_R-1 2 1.333333 0.531248 Min
1_St(K … … … … …
7 1 0.500000 0.395559
) 20 3_GR 1 0.333333 0.488936
평균 2.12 1.000000 0.638363 Integration … … … … …
3 1_St(R-1) 1 0.500000 0.435037
3.2.7 플럼그로브 주택(Plum Grove House, 2003) 평균 2.00 1.000000 0.742469 Integration

플럼그로브 주택의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 3.2.8 중국 주택(China House, 2003-)


징은 <표 14>와 같고, 공간구문론 각 지표의 분석값 중국 주택의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은
은 <표 15>와 같다. <표 16>과 같고, 공간구문론 각 지표의 분석값은 <표
<표 14> 플럼그로브 주택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17>과 같다.

<표 16> 중국 주택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3F Plan

2F Plan

1F Plan
1F Plan
플럼그로브 주택은 지상3층 규모로서 1층에는 로비, 거실/ 중국 주택은 지상1층 규모로서 각 공간들이 복도 공간 등
식당, 주방, 방2개 등이 배치되고, 2층에는 주침실, 서재, 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실과 실의 구획만으로 이루진 구
자녀방 등이 배치되었으며, 3층에는 게스트룸, 선룸, 테라 성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임. 평면의 형태는 가로로 긴 직
계획적
계획적 스 등이 배치되어 있음. 1층에는 공용공간인 로비, 식당, 사각형 형태로 중앙부에 십자 형태로 공용공간을 형성하
특징
특징 주방 외에도 사적공간인 2번(R-1) 방1과 10번(R-2) 방2 고, 사적공간들을 그 외곽부로 배치한 구성이며, 공용공간
가 계획되었고, 3층에는 공용공간인 일광욕식, 테라스 외에 과 사적공간들이 만나는 경계부분에는 외부공간들이 적절
도 사적공간인 20번(G.R) 게스트룸, 24번(B) 욕실과 25번 힌 배치된 평면계획임.
(T) 화장실이 계획되었음.
중국 주택에서 통합도가 높은 공간은 20번(거실-2) 공간,
플럼그로브 주택에서 통합도가 높은 공간은 2층의 12번(계
21번(복도-8), 19번(로비) 공간으로 접근성이 가장 좋은
단실), 1층의 8번(계단실) 공간과 1층의 7번(복도) 공간임.
공간들임. 사적공간들 중에서 24번(주침실), 6번(방-1),
이 주택에서 실이 아닌 복도 공간의 개념으로 각 공간을 연 공간
공간 2번(방-2)의 경우는 통합도 평균값(0.676161) 보다 높은
결해 주고 있는 단위공간은 7번(복도) 공간이 유일함. 19번 구문적
구문적 값들을 보여주고 있어 프라이버시 측면에서는 미흡한 계
(주침실-2) 공간의 통합도 값은 통합도 평균값 보다는 낮 특징
특징 획이 되었고, 40번(방-3), 37번(방-4), 29번(방-5) 공간
아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있으나 15번(주침실-1) 공간의
들은 공간의 깊이감을 유지하여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에
통합도 값은 높은 편으로 접근성이 좋아 프라이버시 측면
서 유리하게 계획된 방들임.
에서는 불리한 공간임.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4호 통권 58호 72


<표 17> 중국 주택 공간구문론 분석 모리야마 주택은 총 10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붉
ID 실명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은색 경계부분의 임대 부분(Unit F, I, J)을 제외하고 공간
20 L-2 3 0.916667 1.166665 분석을 하였음. 공간들 자체가 각각 분리되어 계획되어 있
21 C-8 3 1.083333 1.115042 어 공간구문분석을 위해서는 외부공간들도 공간요소로 포함
계획적
19 Lo 4 1.666667 1.076921 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었음. 모리야마 주택은 지하1층, 지상
특징
24 MR 4 1.666667 0.969229 3층 규모로서 지하1층에는 오디오룸, 화장실 등이 배치되
6 R-1 3 1.000000 0.906473 어 있고, 1층에는 로비, 거실, 식당, 주방 등이 배치되어 있
17 D 3 1.083333 0.881117 음. 2층에는 서재, 방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3층에는 주침
5 Tr(R-2) 2 0.666667 0.863012 실이 배치되어 있음.
35 L-1 2 0.583333 0.863012 모리야마 주택에서 통제도가 높은 공간은 2층의 37번( 복도
… … … … … -2) 공간, 1층의 51번(외부공간-2) 공간과 1층의 11번(로
2 R-2 3 1.833333 0.696131 비) 공간들임. 이 주택에서는 개별 실들이 각각 분리되고 외
15 K 2 1.333333 0.692307 부공간들에 의해 내부 공간들이 연결되는 형태를 띄고 있어
… … … … …
51번(외부공간-2) 같은 외부공간의 통제도가 높게 나타나
40 R-3 3 1.0833333 0.636363
고 있음. 통합도가 높은 공간들은 11번(로비) 공간r과 10번
… … … … …
(거실-1) 공간만이 내부공간이고 50번, 51번, 52번, 53번
37 R-4 1 0.333333 0.588784
모두 외부공간들임. 모리야마 주택에서는 각 단위공간들의
29 R-5 3 2.333333 0.550217 공간
긴밀한 연결을 위해 외부공간들의 접근성을 높였음을 알 수
… … … … … 구문적
있음. 48번(주침실)의 통합도 값(0.255174)이 통합도 평균
11 T-1(R-1) 1 0.500000 0.439024 특징
평균 2.23 1.000000 0.676161 값(0.424957) 보다 매우 낮은 통합도 값을 보이고 있어 접
Max 근성을 가장 낮추어 프라이버시 보호를 철저히 한 계획임을
알 수 있음. 다른 유닛들은 별동으로 되어 있지만, 그 유닛
안쪽에 화장실까지 배치되어 있는데, A, B, C유닛의 경우는
내부에 화장실이 없고, 별동으로 있는 18번(화장실) 공간을
1F 사용하여야 함. 18번(화장실)의 통합도 값(0.539490)은 통
합도 평균값 대비 높은 편으로 비록 외부공간에 별동으로
위치하지만 접근성을 높여 계획하였음.

Min Integration
<표 19> 모리야마 주택 공간구문론 분석

3.2.9 모리야마 주택(Moriyama House, 2005) ID 실명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50 1_O-1 2 0.392857 0.639198
모리야마 주택의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51 1_O-2 4 2.833333 0.639198
11 1_Lo 7 2.400000 0.635007
은 <표 18>과 같고, 공간구문론 각 지표의 분석값은 52 1_O-3 3 1.250000 0.626787
<표 19>와 같다. 10 1_L-1 4 1.285714 0.595929
53 1_O-4 2 0.833333 0.588684
<표 18> 모리야마 주택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12 1_Tr 5 1.785714 0.554949
54 1_O-5 2 0.833333 0.551787
15 1_S 2 0.750000 0.545569
56 1_O-7 2 0.833333 0.545569
18 1_B 1 0.250000 0.539490
19 1_A 1 0.250000 0.539490
… … … … …
3F Plan 17 1_D/K-1 2 1.000000 0.453576
20 1_D/K-2 2 0.533333 0.437194
… … … … …
26 1_L-2 2 1.000000 0.427543
… … … … …
48 3_MR 1 0.500000 0.255174
평균 2.41 1.000000 0.424957
2F Plan
3F
Max
2F

1F Plan 1F

Min B1F
B1F Plan
Integr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4 No.4 73


3.2.10 하야마 주택(Hayama House, 2010) 3.2.11 정원 & 주택(Garden & House, 2011)
하야마 주택의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은 정원 & 주택의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표 20>과 같고, 공간구문론 각 지표의 분석값은 <표 은 <표 22>와 같고, 공간구문론 각 지표의 분석값은
21>과 같다. <표 23>과 같다.
<표 20> 햐야마 주택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표 22> 정원 & 주택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Roof Plan 4F Plan

2F Plan
3F Plan

1F Plan

2F Plan

B1F Plan
하야마 주택은 일본의 작은 여름 별장 파빌리온 같은 개념
1F Plan
으로 계획되었으며, 지하1층, 지상2층 규모로 계획되었음
정원 & 주택은 지상4층 규모의 주택으로서 1층에는 거실,
지하1층은 콘서트가 가능한 응접실(살롱), 화장실이 위치하
주방, 서재 등이 배치되어 있고, 2층에는 방, 수납공간과
며, 소음방지를 위해 완벽하게 감싸여 있음. 1층은 거실, 계획적
계획적 외부공간 등이 배치되어 있음. 3층에는 욕실과 화장실, 외
식당/주방이 위치하며, 사면이 유리월로 개방되어 있고 바 특징
특징 부공간 등이 배치되어 있고, 4층에는 방, 수납공간과 외부
닥마감은 외부바닥과 동일하게 벽돌마감으로 되어 있음. 2
공간 등이 배치되어 있음.
층은 침실과 화장실, 욕실, 세면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2
통합도가 높은 공간은 2층의 28번(계단), 8번(전이공간), 3
층에서 바로 연결되는 옥상공간은 해변을 전망할 수 있는
층의 31번(계단), 15번(전이공간) 공간들임. 침실의 통합도
데크공간이 마련되어 있음.
값은 9번(0.440665), 26번(0.324329) 모두 통합도 평균값
하야마 주택에서 통합도가 높은 공간은 15, 24번으로 1층 공간
(0.489424) 보다 낮아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모두 유리하게
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공간임. 입구의 현관 역할을 하 구문적
계획되었음. 특히 26번 주침실 공간은 통합도값이 가장 낮
공간 는 공간인 16번 공간은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가 모두 높 특징
은 값을 보이고 있음. 공동생활공간인 1번(거실=0.443073)
구문적 은 공간임. 10번(거실)과 11번(식당/주방) 공간은 통합도
공간은 통합도 값이 평균값 보다도 낮게 나타나 공간의 접
특징 평균값보다 높은 편이고, 1번 지하1층 응접실과 17번 주침
근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실 공간은 통합도 평균값보다 낮게 분석되었으나, 주침실
공간의 공간 깊이는 아주 높은 편은 아님.
<표 23> 정원 & 주택 공간구문론 분석

<표 21> 하야마 주택 공간구문론 분석 ID 실명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8 2_Tr 4 1.500000 0.737112
ID 실명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28 2_S 2 0.750000 0.737112
15 1_S 2 0.833333 0.655833
31 3_S 2 0.833333 0.723949 Max
16 1_Tr 3 1.500000 0.655833 Max
15 3_Tr 3 1.500000 0.698986
24 2_S 2 0.833333 0.644327 29 2_S 3 1.000000 0.653890
13 1_Tr 2 0.666667 0.627806 11 2_Tr 3 1.250000 0.623710
26 2_Tr 3 1.250000 0.622485 30 3_S 2 0.833333 0.614260
12 1_Tr 3 1.500000 0.602076 … … … … …
10 1_L 2 0.833333 0.578372 1 1_L 2 0.833333 0.443073
11 1_D/K 2 0.833333 0.556464 9 2_R 2 1.500000 0.440665
14 1_S 2 0.833333 0.556464 … … … … …
… … … … … 4 1_D 4 3.000000 0.397462
17 2_R 3 1.083333 0.453415 … … … … … Min
1 B1_Sa 3 1.166667 0.403589 Min 7 1_K 1 0.250000 0.346506
… … … … … … … … … …
8 B1_T 1 0.333333 0.320757 26 4_R 1 0.333333 0.324329
평균 2.33 1.000000 0.482905 Integration 평균 2.06 1.000000 0.489424 Integr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4호 통권 58호 74


3.2.12 단고자카 주택(Dangozaka House, 2014) 3.4 공간 성격별 공간분석
단고자카 주택의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주택의 공간 성격을 분류하는 기준은 다음 세가지로
은 <표 24>와 같고, 공간구문론 각 지표의 분석값은 분류해 볼 수 있다. 첫째는 공동생활공간으로 거실, 식
<표 25>와 같다. 당, 가족실, 현관, 복도 등과 같은 공간으로 다른 공간

<표 24> 단고자카 주택 볼록공간 분석 및 공간구문적 특징 들과 원활한 연결과 출입이 이루어져야 하는 공간들이
다. 둘째는 개인생활공간으로 주침실, 자녀방 등의 침
실공간과 화장실 등 생리위생공간으로 사적인 독립성
과 프라이버시가 확보되어야 하는 공간이라고 볼 수
4F Plan 있다. 셋째는 가사노동공간은 부엌, 다용도실, 창고 등
의 작업공간으로 주부에게 배려가 필요한 공간으로 구
분할 수 있다(Hwang, 2017). 공동생활공간은 공간들
간의 원활한 연결과 접근성이 중요하므로 연결도, 통
3F Plan
제도, 통합도의 수치값이 상대적으로 다른 단위 공간
들보다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고, 개인생활공간은 주
거공간 내에서 어느 정도의 독립성과 개인 프라이버시
2F Plan 가 보장되어야 하기에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의 수치
값이 상대적으로 다른 공간들 보다 낮은 경향을 보이
고 있다. 가사노동공간은 공동생활공간과 개인생활공
간의 중간정도의 수치값들이 나오는 경향을 보이고 있
1F Plan 다.
단고자카 주택은 4층 규모로서 1층은 식당, 주방, 서재와
서고로 이루어져 있고, 2층은 자녀방, 세면실, 욕실로 구성 다음 <표 26>, <표 27>, <표 28>은 앞에서 분석한
되었음. 3층은 가족실로서 공간의 중심에 위치함. 가족실에
계획적 SANAA 주택들을 공동생활공간, 개인생활공간, 가사노
서 다섯단 정도 올라가면 주침실이 위치함. 4층의 테라스공
특징
간은 가족실에서 접근 가능함. 이 주택에서는 가족들 삶의 동공간으로 분류하여 공간구문론 지표값을 정리한 표
미묘한 경계가 존재하나 각 공간들은 하나의 볼륨을 형성하
는 느슨한 계획으로 되어 있음.
이다. 공동생활공간의 각 시기별 공간구문지표 평균값
통합도가 가장 큰 공간은 12번, 7번 공간인 1층에서 2층으 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표 26).
로 올라가는 계단과 13번 세면실 공간임. 공동생활공간인
공간 1번(식당) 공간은 통합도 평균값 보다는 높지만 전체적으로 <표 26> 공동생활공간의 공간구문 지표 평균값 분석
구문적 는 크게 높은 편은 아님. 3층 18번(가족실) 공간은 통제도
공동생활공간
특징 는 매우 높으나 통합도는 평균값 보다도 낮음. 23번(주침 유형
실)의 통합도는 매우 낮아 프라이버시를 잘 유지하고 있는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계획이라고 볼 수 있음. Y-주택 2.50 1.016667 0.691132
M-주택 2.68 1.125439 0.612309
<표 25> 단고자카 주택 공간구문론 분석 1990
S-주택 2.86 1.168254 0.863045
년대
ID 실명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주말 주택 3.08 1.263889 1.092269
12 2_S 3 1.833333 0.691576 평균 2.78 1.14 0.81
13 2_W 3 1.833333 0.691576
작은 주택 2.50 1.066667 0.791147
7 1_S 2 0.583333 0.660494
16 2_Tr 2 0.833333 0.660494 Max 카마쿠라
2.10 0.991667 0.668281
6 1_Tr 4 1.583333 0.618778 2000 주택
15 2_S 2 1.000000 0.618778 년대 플롬그로브
19 3_S 2 1.000000 0.570718 2.80 1.411667 0.861741
초반 주택
1 1_D 4 1.583333 0.539302
중국 주택 2.53 1.038889 0.807877
14 2_B 1 0.333333 0.539302
17 2_R 1 0.333333 0.539302 평균 2.48 1.13 0.78
5 1_K 3 1.000000 0.524857 모리야마
… … … … … 2.61 1.046053 0.457513
주택
18 3_FR 4 3.000000 0.470271 2000 하야마 주택 2.44 1.080000 0.491833
… … … … … 년대
2 1_StR 2 0.833333 0.441984 Min 정원 & 주택 2.39 1.120370 0.556196
중반
… … … … … 이후 단고자카
2.39 1.120370 0.528191
23 4_MR 2 1.500000 0.317751 주택
4_St(M
24 1 0.500000 0.281263 평균 2.46 1.09 0.51
R)
평균 2.15 1.000000 0.495838 Integration 전체 평균 2.57 1.12 0.70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4 No.4 75


개인생활공간의 각 시기별 공간구문지표 평균값은 도 평균값(1.83)이 가장 낮다. 전체적으로 통제도는
2000년대 초반 상승했다가 2000년대 중반이후는 다 공동생활공간의 통제도 평균값(1.12)이 가장 높게 나
시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표 27). 타났고, 가사노동공간의 통제도 평균값(0.78)이 개인

<표 27> 개인생활공간의 공간구문 지표 평균값 분석 생활공간의 통제도 평균값(0.84) 보다 낮았다. 전체적
개인생활공간 으로 통합도는 공동생활동간의 통합도 평균값(0.70)이
유형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사노동공간의 통합도 평균값
Y-주택 2.05 1.008333 0.578388
M-주택 1.75 0.822222 0.413900 (0.55)과 개인생활공간의 통합도 평균값(0.54)은 서
1990
S-주택 1.54 0.764102 0.681656 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년대
주말 주택 1.73 0.727273 0.723792
평균 1.77 0.83 0.60 정리하면, SANAA주택의 공동생활공간은 개인생활
작은 주택 1.91 0.939394 0.552540 공간, 가사노동공간 보다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값
카마쿠라
2000 주택
2.40 1.016667 0.655535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개인생활공간과 가사노동공
년대 플롬그로브
1.50 0.763095 0.658381 간의 통합도 값은 서로 비슷한 수준이다. 연결도 값은
초반 주택
중국 주택 2.12 0.983974 0.603824 개인생활공간보다 가사노동공간이 더 높았고, 통제도
평균 1.98 0.93 0.62 값은 개인생활공간이 가사노동공간에 비해서 높은 것
모리야마
주택
2.06 0.928704 0.353957 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는 1990년대에서 2000년대
2000
년대
하야마 주택 1.75 0.541667 0.408712 초반, 중반이후로 갈수록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평균
정원 & 주택 1.69 0.891025 0.407964
중반
단고자카
값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1.43 0.690476 0.408499
주택
평균 1.73 0.76 0.39
전체 평균 1.83 0.84 0.54
3.5 공간 통합도 분석
어떤 단위공간의 통합도는 그 공간으로부터 전체 공
가사노동공간의 각 시기별 공간구문지표 평균값은
간조직에 포함된 다른 모든 공간으로 이동하는데 필요
연결도를 제외하고는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한 공간 전이단계의 합계를 역으로 하여 계산된다. 따
수 있다(표 28).
라서 어떤 특정 공간의 통합도가 높다는 것은 그 공간
<표 28> 가사노동공간의 공간구문 지표 평균값 분석 으로부터 다른 모든 공간으로 이동하는데 적은 전이단
가사노동공간 계를 거쳐 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어떤 공간
유형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Y-주택 2.00 0.666667 0.508188 의 통합도가 높다는 것은 그 공간으로의 접근성이 좋
M-주택 2.00 0.875000 0.566010 다는 것을 의미한다(Choe, 2006, p.22).
1990
S-주택 3.33 0.844444 0.727900
년대 <표 29>에서는 각 유형별 평면도의 통합도 평균값
주말 주택 2.40 0.966667 0.658717
평균 2.43 0.84 0.62 을 기준으로 각 실의 통합도 값이 평균값 보다 높은
작은 주택 2.00 1.000000 0.494520
경우는 왼쪽 High Integration Space 쪽에 배열하고
카마쿠라
1.50 1.000000 0.445842 ‘통합성 공간’으로 설정하고, 각 실의 통합도 값이
2000 주택
년대 플롬그로브 평균값 보다 낮은 경우는 Low Integration Space 쪽
1.00 0.200000 0.726971
초반 주택
중국 주택 1.50 0.916667 0.628665 에 배열하고 ‘분격성 공간’으로 설정하여 공간수를
평균 1.50 0.78 0.57 비교하였다. M-주택(51.52%) > 단고자카 주택
모리야마
주택
2.00 0.766667 0.445385 (50.00%) > S-주택(48.65%) > 하야마 주택
2000
하야마 주택 2.00 0.833333 0.556464 (46.67%) 순으로 통합성 공간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
년대
정원 & 주택 1.00 0.250000 0.346506
중반 타났다. 가장 높은 M-주택의 경우 33개 단위공간들
단고자카
이후 3.00 1.000000 0.524857
주택 중에서 17개의 단위공간들이 연결도 평균값 보다 높
평균 2.00 0.71 0.47
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데 그 중에는 공동생활공간이
전체 평균 1.98 0.78 0.55
14개, 개인생활공간이 2개, 가사노동공간이 1개의 분
전체적으로 연결도는 공동생활공간의 연결도 평균값 포를 보이고 있다.
(2.57)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사노동공간의 연결도 <그림 1>의 통합성 공간과 분격성 공간 분포를 나
평균값(1.98)이 그 다음 순이고, 개인생활공간의 연결 타낸 그래프를 보면, 2000년대 초반 주택의 경우에는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4호 통권 58호 76


통합성 공간보다 분격성 공간의 비율이 현격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시기 주택들은 복도가 소멸되
고 방과 방의 관계를 탐색하는 시기로 공간들을 더욱
세분화하는 계획이 주를 이루는 시기였기에 이러한 결
과값이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표 29> 통합도 평균값을 기준으로 한 공간수(N) 분석

High Integration > ≥ Low Integration


평균값 <그림 1> 통합성 공간과 분격성 공간 분포 비율
유형 Space Space
(공간수)
통합성 공간수 분격성 공간수

18 (58.06%) 3.6 주침실 공간의 통합도 분석


13 (41.94%) 0.612492
Y-주택 (공동:4, 개인:13,
(공동:6, 개인:7) (31) <표 30>에서는 개인생활공간들 중에 가장 사적인
가사:1)
공간인 주침실(안방)의 통합도 값을 각 주택의 통합도
17 (51.52%) 16 (48.48%)
0.537354 평균값과의 차이값을 비교하였다. 그 차이값이 클수록
M-주택 (공동:14, 개인:2, (공동:5, 개인:10,
(33)
가사:1) 가사:1)
접근성이 떨어져 프라이버시면에서 유리하다고 볼 수
1990 18 (48.65%) 19 (51.35%) 있고, 차이값이 작거나 음(-)의 값이 나올수록 프라이
0.788356
년대 S-주택 (공동:13, 개인:4, (공동:8, 개인:9,
(37) 버시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계획이라고 판단할 수 있
가사:1) 가사:2)

18 (64.29%)
다. 1990년대 주택의 경우 일부 주택(S-주택)을 제
주말 10 (35.71%) 0.870090
주택 (공동:9, 개인:1) (28)
(공동:3, 개인:10, 외하고 대부분 주침실 프라이버시에 대한 고려는 우수
가사:5)
하게 나타났다. 2000년대 초반의 주택들은 대부분 프
0.70
평균 14.50 (44.96%)
(32.25)
17.75 (55.04%) 라이버시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14 (63.64%)
특히, 플롬그로브 주택과 중국 주택의 경우에서는 통
작은 8 (36.36%) 0.658360
주택 (공동:6, 개인:2) (22)
(공동:4, 개인:9, 합도 평균값보다도 주침실의 통합도 값이 높아 차이값
가사:1)
이 음(-)의 값이 나와서 주침실 공간의 프라이버시
11 (64.71%)
카마쿠라 6 (35.29%) 0.638363 측면에서는 매우 불리한 계획으로 분석되었다. 2000
(공동:6, 개인:3,
주택 (공동:4, 개인:2) (17)
가사:2) 년대 중반이후 주택들은 일부 주택(하야마 주택)을 제
2000
15 (60.00%) 외하고 주침실의 통합도를 낮게하여 적절한 프라이버
년대 플롬그로 10 (40.00%) 0.742469
(공동:4, 개인:10, 시를 유지시키는 계획으로 다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초반 브 주택 (공동:6, 개인:4) (25)
가사:1)
분석되었다.
17 (39.53%) 26 (60.47%)
중국 0.676161 <표 30> 주침실(안방)의 통합도 분석
(공동:11, 개인:5, (공동:4, 개인:21,
주택 (43) 유형 통합도 평균값 주침실 통합도 차이값
가사:1) 가사:1)
Y-주택 0.612492 0.498352 0.114140
0.68 M-주택 0.537354 0.330603 0.206751
평균 10.25 (38.32%) 16.50 (61.68%) 1990
(26.75) S-주택 0.788356 0.764539 0.023817
년대
27 (46.55%) 주말 주택 0.870090 0.805072 0.065018
모리야마 0.424957 31 (53.45%) 평균 0.70 0.60 0.10
(공동:23, 개인:2,
주택 (58) (공동:15, 개인:16)
가사:2) 작은 주택 0.658360 0.569637 0.088723
카마쿠라
하야마 14 (46.67%) 0.482905 16 (53.33%) 0.638363 0.585427 0.052936
2000 주택
주택 (공동:13, 가사:1) (30) (공동:12, 개인:4) 년대 플롬그로브
2000 0.742469 0.801463 -0.058994
18 (56.25%) 초반 주택
년대 정원 & 14 (43.75%) 0.489424 중국 주택 0.676161 0.969229 -0.293068
(공동:6, 개인:11,
중반 주택 (공동:12, 개인:2) (32) 평균 0.68 0.73 -0.05
가사:1)
이후
모리야마
13 (50.00%) 0.424957 0.255174 0.169783
단고자카 0.495838 13 (50.00%) 주택
(공동:10, 개인:2, 2000
주택 (26) (공동:8, 개인:5) 하야마주택 0.482905 0.453415 0.029490
가사:1) 년대
정원 & 주택 0.489424 0.324329 0.165095
중반
0.47 단고자카
평균 17.00 (46.58%) 19.50 (53.42%) 이후 0.495838 0.317751 0.178087
(36.50) 주택
평균 0.47 0.34 0.14
전체 평균 13.92 (43.72%) 31.84 17.92 (56.28%)
전체 평균 0.62 0.56 0.06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4 No.4 77


정원, 내부와 외부와의 관계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연
구하는 시기로 주택을 각각의 단위공간으로 분할하여
평면적으로 흩어지게 배치하여 외부공간들과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한다든가(모리야마 주택), 주택의 각 실들
을 단위공간으로 세분하여 수직적으로 적층하고 그 사
이공간에 정원이나 외부공간을 만나게 하는 방식을 취
하고 있다(정원 & 주택). 이 시기에는 내부단위공간들
<그림 2> 주침실(안방) 공간의 통합도값 비교 의 연결을 위해 외부공간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으
며, 공용공간들의 통합도는 높아지고, 개인공간들의 통
합도는 낮아지며 공용공간과 사적공간들 사이의 구분
4. 결론 이 다시 뚜렷해지기 시작한다. 1층에 공용공간들이 배
치되고, 2층 이상에 사적공간들이 배치되며, 수평적인
SANAA의 단독주택 작품을 1990년대 4작품, 또는 수직적인 방식으로 외부공간(정원)이 세분화된
2000년대 초반 4작품, 2000년대 중반이후 4작품 등 단위공간들 사이로 끼어들도록 계획하였다.
총 12작품을 공간구문론을 통하여 분석한 결론은 다 선정된 SANAA 주택의 작품수가 제한적이어서 일
음과 같다. 반화시키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추후 지속적인
첫째, 1990년대 주택들은 방과 복도와의 관계, 개 SANAA주택에 대한 추적 연구를 통해 주택에서의 새
인공간과 공용공간 사이의 관계를 다시 모색하는 시기 로운 공간 실험과 그에 따른 공간구문론상의 정량적인
로 일반적인 공간구성을 뒤집어서 새로운 공간 실험을 분석값과의 연관성을 밝혀 점차 평면구성이 획일화되
전개하였다. 개인공간을 1층에, 공용공간을 2층에 배 어 가는 우리나라 주택 설계시 작은 변화의 방향을 모
치하거나(Y-주택), 개인공간을 1층에, 공용공간을 지 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하층에 배치하거나(M-주택), 개인공간을 1층에, 공용
공간을 2층에 주로 배치하고, 복도에 의해 1층의 모든 References
실들이 둘러싸인 구성을 취하기도 한다(S-주택). 기 Chang, Yong-Soon, (2015). A Study on the
Recomposition of Spatial Relations in SANAA Houses
존의 공간구성방식에 대한 새로운 실험을 전개하면서
and Housing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도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을 설치하여 2층 공용공간 Korea, 31(2), 27-35.
으로 직접 유도한다거나(Y-주택), 개인공간으로의 진 Cinn, Eun-Gee, & Baek, Jin, (2012). A Study on
입동선을 인위적으로 길게 유도한다거나(M-주택), 개 SANAA’s Domestic Spaces for Changes of Modern
Nuclear Famil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인공간들의 연결도와 통합도를 낮추는 방법 등을 통해
Korea, 28(8), 83-90.
개인공간들의 접근성을 상대적으로 낮추어 프라이버시 Hawang, Yong-Woon, (2017). The Change of Space
를 잘 유지시키는 계획을 하였다. 둘째, 2000년대 초 Arrangement of Korea Detached House by Space
반 주택들은 복도는 소멸되고 방과 방 사이의 관계를 Syntax – A Focusing on the Detached Houses which
were Designed by Famous Architects after 1980’s -.
집중적으로 탐색하는 시기로 개실공간들과 공용공간들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사이의 구분이 두드러지지 않고 또한 개실공간들은 더 26(3), 63-70.
욱 세분화 되어 가는 시기이다. 평면적인 복도공간은 Jang, Seong-Jun, & Choi, Doo-Won, (1996). Problems
사라지고 중앙의 계단실이 수직적인 일종의 복도 공간 of convex space drawing in space syntax ; Case of 4
model houses with concave space. Journal of the
역할을 하며 직접적으로 각 실로 연결되고(작은 주택,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2(4), 43-51.
플롬그로브 주택), 복도 공간 없이 그리드 구성만으로 Kim, Hyoung-Jun, (2006). A Study on the Spacial
평면구성이 이루어지기도 한다(중국 주택). 이 시기의 Boundary in Sejima Kazuyo’s Housing Architecture.
주택들은 개인공간의 통합도 값이 통합도 평균값 보다 Journal of the Korean Housinh Association, 17(1),
1-9.
도 오히려 높거나 평균값 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개
최윤경, (2006). 7개의 키워드로 읽는 사회와 건축공간, 서울:
인공간들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시기이 시공문화사.
다. 셋째, 2000년대 중반이후 주택의 경우는 주택과 EL croquis editorial, (2000). Kazuyo Sejima 1983-199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4호 통권 58호 78


Kazuyo Sejima+Ryue Nishizawa 1995-2000. Madrid: El
croquis.
EL croquis editorial, (2004). SANAA, Kazuyo Sejima+Ryue
Nishizawa 1998-2004. Madrid: El croquis.
EL croquis editorial, (2008). SANAA, Kazuyo Sejima+Ryue
Nishizawa 2004-2008. Madrid: El croquis.
EL croquis editorial, (2011). SANAA, Kazuyo Sejima+Ryue
Nishizawa 2008-2011. Madrid: El croquis.
EL croquis editorial, (2015). SANAA, Kazuyo Sejima+Ryue
Nishizawa 2011-2015. Madrid: El croquis.

Endnotes

1) 매일경제신문, 단독주택의 귀환...삶의 질을 따지다, 201


8.06.15
2) 매일경제신문, 단지형 단독주택에 3040도 눈독, 2018.0
3.01
3) ‘SANNA’라는 이름은 이 그룹을 구성하는 멤버인 세지
마 카즈요(KAZUYO SEJIMA)와 니시자와 류에(RYUE NISHI
ZAWA )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이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지마 카즈요 사무소 의 주택작품, 니시자와 류에 사무소의
주택작품, 공동사무소인 SANAA의 주택작품을 모두 ‘SANA
A 작품’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4 No.4 7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4호 통권 58호 8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