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0

수학

정답 및 풀이

Ⅲ 도형의 방정식
1. 평면좌표
2. 직선의 방정식
3. 원의 방정식
4. 도형의 이동

문제의 정답과 풀이를 수록하였습니다.


학교 시험 출제에 문제를 이용할 때 참조하십시오.
6
Ⅲ-1. 평면좌표-①회 3~5쪽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BC 를 축,
1 ④ 2 ② 3  
BC 의 수직이등분선을 축으로 잡
고, 꼭짓점의 좌표를 각각
4 ④ 5 ①
A , B   , C  
6 ㈎      ㈏      으로 놓으면
  
AB  AC             
7 ④ 8 ② 9 
     
10 ④ 11 ③ 12      M 이므로
  
AM  
  
13  m 14  BM      
AC    
   
∴
AB   AM  
BM
1
AB  
          
 7
   
2

AB 의 중점의 좌표는    이므로
  
 
A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따라서 
AB 는   일 때, 최솟값 
 를 갖는다.         

3 8
점 P  가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가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AP 
BP 에서 
AP  
BP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9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4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점 P 의 좌표를  라 하면 ∴  
  
AP

BP             
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   에서
  
따라서   일 때, 최솟값 을 갖는다.
P  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5  ×    ×    ×    ×  
외심을 P 라 하면  
 
 
   
PA  
PB  PC 즉,  
  
PA  
PB 에서
               
11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PA   PC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12
     
점 P  은 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이고, 점 Q  는 
AB
따라서 삼각형 ABC 의 외심의 좌표는 

를  로 내분하는 점, 점 R  은 
AB 를  로 외분하는 점

  

- 2 -
이다.
Ⅲ-1. 평면좌표-②회 6~8쪽
따라서 세 점 P , Q , R 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 2 ⑤ 3 ⑤

∴        4 ③ 5 ① 6 ①

7  8   9 ②
13
본관을 좌표평면에서 원점 O , 동서 방향을 축, 남북 방향을 10 ① 11 ⑤ 12 ④
축으로 잡고 체육관, 도서관, 강당의 위치를 각각
A , B , P  라 하자.

13  14      
OP AP BP 에서
   
OP  
AP  
BP 1
            에서

AB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2
     
  
점 P의 좌표를  이라 하면 AP

BP 이므로
∴P 
따라서 구하는 거리는                

     m


 
따라서    이므로 점 P 의 좌표는    이다.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각 지점을 좌표로 나타내기 30 % 3
해결 과정 점 P의 좌표를  라 하면
강당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의 좌표 구하기 50 %
  
PA

PB  
PC

답 구하기 강당과 본관 사이의 거리 구하기 20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
         


AB 를   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따라서 점 P 의 좌표는  이다.
     
 
 
   4
  
이 점이 축 위에 있으므로    AB  
          
 
BC 
          
 

∴  
이때 , 은 서로소인 자연수이므로 AC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AC  BC 이므로 삼각형 ABC 는 
  AC  
BC 인 이등변
∴    삼각형이다.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5

AB 를    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를
해결 과정 50 %  × 
 ,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  이므로      ∴  

답 구하기    의 값 구하기 50 %
6
두 점 A B 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 이라 하
면 ∆PAA′ 과 ∆PBB′ 은 닮음이므로
 
AP BP  
AA′  
BB′    

7

AB 를   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3 -
이 점이 직선      위에 있으므로 13
        
    AC  
BC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은 서로소인 두 자연수이므로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     
해결 과정 AC  
BC 임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50 %

답 구하기  의 값 구하기 50 %
8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 G 는 변 AB 의 중점 M에 대하여

CM 을   로 내분하는 점이다. 따라서 점 C 의 좌표를 14
 라 하면 ∆OAP  ∆OBP 에서
× ×  × ×  
AP  
BP   
  ,    ∴   ,   
 
즉, 점 P 는  AB 를   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따라서 점 C 의 좌표는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점 P 의 좌표는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이 점이 직선      위에 있으므로 
AP 와 
BP 의 길이의 비 구하기 30 %
해결 과정
        ,    
점 P가 
AB 를 외분하는 점임을 알기 30 %
∴  
답 구하기 점 P 의 좌표 구하기 40 %

10

BC 의 중점을 M이라 하면

AG  
GM    이므로

AM  
AG    
이때 AG  
         이므로
   
AM  
AG  ×   
  
  

AM   BC   이므로 BC  

 
 
∴ ∆ABC   × 
   
 

11
점 C  는  AB 를   으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AD 는 ∠A의 이등분선이므로  AB  
AC  
BD 
DC
     
AB         
AC  
          

 
∴ BD DC  AB  
AC    
점 D는 BC 를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 ×  × × 

D  
   
∴ D 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4 -
즉,    또는   
Ⅲ-1. 평면좌표-③회 9~11쪽
이때   는   이 되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1 ④ 2 ③ 3 ④   
따라서 정사각형 OABC 의 넓이는 이다.
4  5 ⑤ 6 

7 ④ 8 ④ 9 ② 5
 ×    ×    ×   × 
10 ➀ 11 ➀ 12      ,     
  
13    ,   14  ∴      

1 6
  두 대각선 AC , BD 의 중점이 일치하므로
AB ≤ 에서 AB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BC
 이므로
또, AB
∴ ≤  ≤ 
따라서 정수 는  ,  ,  , , 의 개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또는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점 P 의 좌표를  라 하면 AP

BP 이므로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이므로 점 P 의 좌표는 7
  꼭짓점 C 의 좌표를  라 하면 ∆ABC 의 무게중심 G 의
좌표가  이므로
3 
   ∴  
두 점 P , Q 의 좌표를 각각  ,  라 하면 

AP 
BP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꼭짓점 C 의 좌표는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AQ BQ 에서 8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PQ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점 P 는 AB 를  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P   AB   ×   
 
4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 , 점 P의 좌표를  라 하면
9
     ⋯⋯ ㉠

       점 D는 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이다.
⋯⋯ ㉡
 
        ⋯⋯ ㉢ 이때 점 D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즉   


 
 
  ∴ D   

이때 은 직선 OD 의 기울기이므로
  
㉢  ㉠에서     , 즉    
   

  의 값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10


AB 를    으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5 -
×× ××
 
 

14
높이가 같은 두 삼각형의 넓
∴     이의 비는 밑변의 길이의 비
와 같으므로
11 ∆ABP  ∆ACP    에서
 ×    ×    ×    × 

P  
   
BP 
CP   
또, 선분 AP 는 ∠A의 이등
∴P  
분선이므로
 ×    ×    ×    × 

Q  
     AC
AB   BP
  CP   

∴ Q     즉, 
AB   
AC 에서
   
따라서  PQ 의 중점의 좌표는 AB   AC
 
        A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C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12       
선분 AB 를   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그런데 는 양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점  가 직선      위에 있으므로 점 P가 
BC 를    로 내분하는 점임을 알 20 %
    기
   ×   ,    해결 과정
 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을 이용하여 식 세우
∴   60 %

답 구하기  의 값 구하기 20 %
13
  
AP  
BP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점 C 의 좌표를  로 놓으면
  
AB  
AC 에서 
AB  
AC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P   CP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또는   ,   
이때 B 이므로 점 C 의 좌표는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 
AP  BP 임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20 %

해결 과정 
AB  
AC 임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20 %


BP  
CP 임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20 %

답 구하기  의 값과 점 C 의 좌표 구하기 40 %

- 6 -
    이므로
Ⅲ-1. 평면좌표-④회 12~14쪽
     일 때     

1 ①, ⑤ 2 ② 3 ③      일 때     

이때 점 C 는 제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4 ⑤ 5 ① 6 ④
    
 ,     

7 
 8 ③ 9 ④ ∴       
     
   

10 ④ 11 ③ 12 ⑤
5
13 
 14   선분 AB 위에 세 점 C , D , E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두 점 A    , B     사이의 거리가 
 이므로 ① 점 A는 선분 CE를   으로 외분하는 점이다.

        
  
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P    에서 P  
  
 ×    ×   ×    ×  
2 
Q    에서 Q  
  
AB  
           
     선분 PQ 의 중점의 좌표가  이므로
     
B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AB  
BC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
AB   
BC 에서  AB  
BC    
3 즉, 점 C 는 선분 AB 를   로 내분하거나   로 외분한다.
A   , B   , P  로 놓으면 주어진 식은 (ⅰ) 점 C 가 선분 AB 를   로 내분할 때
   ×   ×   ×   × 
AP

BP 와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C  
   
∴ C  

AP BP
(ⅱ) 점 C 가 선분 AB 를   로 외분할 때
≥ AB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 이다.   
C  
  
∴ C  
4 (ⅰ), (ⅱ)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C 의 좌표는
 ,  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ABC 는 정삼각형이므로 
AB  
BC  
CA 에서

 
AB

BC  
CA
         

이때
   8
AB          , 
BC       ,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의 좌표가  이므로

CA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9
     ∴      선분 AC 를   으로 내분하는 점 P 의 좌표는
    를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선분 BC 를   으로 외분하는 점 P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
㉠, ㉡에서   
     
⋯⋯ ㉢ ∆OCD  ∆OAD    에서  CD 
AD   이므로
   점 D 는 선분 AC 를   로 내분한다. 즉,
ㄱ.   ,   ,   ,   이면 ㉢에서  ×   ×   ×   × 


     


D  
   
 
       ,    ∴    (참) 
 
∴ D  
  
ㄴ. [반례]   ,   ,   ,   이면 따라서 점 D 의 좌표와 좌표의 합은
   
㉠에서  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13
 
∴     (거짓)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M이라 하면
ㄷ. ㉠의 양변에   을 곱하면
   AC
  CM
AM    ×   
       ⋯⋯ ㉣ 
 

㉡의 양변에   을 곱하면  
       ⋯⋯ ㉤
 DM   
BM   BD   ×   
 
㉣  ㉤을 하면      삼각형 ABC 에서 변 AC 의 중점이 M이므로
    BC
    AM
   BM

∴    (∵   ) (참) AB
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 BC    
 
BC      
10 ∴ BC  
□ABCD 가 평행사변형이면 두 대각선 AC , BD 의 중점이 일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치하므로
    
AM , 
BM 의 길이 구하기 30 %
   ,   해결 과정
    중선 정리를 이용하여 식 세우기 40 %
    ,      ∴   ,   
답 구하기 
BC 의 길이 구하기 30 %
∴   

11 14
 ×    ×   ×    ×  
점 P 는 선분 AB 를      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C    에서
   
점 P 의 좌표를  라 하면 C  
 ×       ×   점 Q 의 좌표를  라 하면 점 C 가 선분 PQ 의 중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점 P 가 제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따라서 점 Q 의 좌표는  이다.
 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   
   ,    ∴     ⋯⋯ ㉡ 점 C 의 좌표 구하기 30 %
   
 해결 과정 점 C 가 선분 PQ 의 중점임을 이용하여 식
㉠, ㉡에서 공통부분을 구하면      40 %
 세우기

답 구하기 점 Q 의 좌표 구하기 30 %
12
두 삼각형 OCD , BCD 의 넓이
가 서로 같으므로
 
OC BC
즉, 점 C 는 선분 OB 의 중점이
므로
C  
한편, 두 삼각형 OCD , OAD 의 밑변을 각각 
CD , 
AD 로 정하
면 두 삼각형의 높이가 같으므로 넓이의 비는 밑변의 길이의
비와 같다.

- 8 -
(ⅱ) 수직일 때,  ×    ×    이므로   
Ⅲ-2. 직선의 방정식-①회 16~18쪽
 
(ⅰ) , (ⅱ)에서    ,   이므로     
1 ⑤ 2  3 ①  

4 ③ 5   6 ⑤ 7
7  8 ⑤ 9 ⑤   
두 직선이 평행하려면    ≠  에서
  

10       11 ② 12 ④       ,        ∴   또는   


따라서 모든 상수 의 값의 합은  이다.
13        14 
8
직선     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를 이라 하면
1
 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P  , Q  이므로

 기울기가   이고 점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OPQ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 ×  ×   
(직선 AB 의 기울기)     
 
  9
(직선 AC 의 기울기)    
 
 
  직선 AB 의 기울기는   
따라서    에서            
  
즉, AB 를 수직이등분하는 직선의 기울기는 
   ∴    (∵  )
또, AB 를 수직이등분하는 직선은  AB 의 중점   을 지
나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3
       ∴    

AB 를 외분하는 점은  AB 의 연장선 위에 있으므로 두 점
A  , B 을 지나는 직선 AB 의 방정식은
10
  
        ∴       공원 입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 H는 점 P   에서 직선
  
 를 외분하는 점의 좌표가 될 수 있는 것은       에 내린 수선의 발이다. 이때 점 H의 좌표를
따라서 AB
 라 하면  PH 와 직선       은 수직이므로
①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4
또, 점 H 는 직선  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이므로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에서       (∵ ≠ )이므로 기울

기는 음수, 절편은 양수이다.


 


따라서 점 H의 좌표는    

 
따라서 그래프의 개형으로 적당한 것은 ③이다.
11
 ×    ×    
5    
    
구하는 직선은 변 AC 의 중점  을 지나므로 직선의 방정

식은         ∴        12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6    ±   
    ∴    또는   
(ⅰ) 평행할 때,    ≠  이므로    따라서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이다.
   

- 9 -
13
Ⅲ-2. 직선의 방정식-②회 19~21쪽
두 직선의 방정식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1  2 ③ 3 ②
 
   ,   

4 ⑤ 5 ③ 6 ②
 
 
따라서 두 점    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7 ⑤ 8      9 ⑤

      ∴      
 10 ① 11 ① 12  m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13   14 
해결 과정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 구하기 50 %
1
답 구하기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50 %
두 점 -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14    
두 점 A  B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이 직선이 두 점    ,  를 지나므로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점 C   과 직선 AB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AB            

 이고, 삼각형 ABC 의
2
넓이가 이므로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이므로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
  이므로    

직선 AB 의 방정식 구하기 20 %
따라서 기울기가 양수이고 절편이 양수인 직선이므로 제 사
점 C 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 구하기 30 % 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해결 과정
삼각형 ABC 의 넓이가  임을 이용하여
30 % 3
식 세우기
점 C 를 지나고 삼각형 ABC 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변
답 구하기 양수  의 값 구하기 20 %
AB 의 중점 M을 지나므로 두 점 C  , M  을 지나
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4
          에서           
이 등식이 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5
        에서          ⋯⋯ ㉠
직선 ㉠은 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 을 지난다.
직선       의 절편과 절편은 모두 이므로 두 직선
의 교점이 제 사분면 위에 있으려면 직선 ㉠은 점  을 지
나는 직선과 점  을 지나는 직선 사이에 있어야 한다.

- 10 -
(ⅰ) 직선 ㉠이 점  을 지날 때,      ,    직선      위의 한 점  와 직선 ㉠ 사이의 거리는
(ⅱ) 직선 ㉠이 점  을 지날 때,      ,     ×        
   
(ⅰ), (ⅱ)에서 실수 의 값의 범위는      
   
   

6 12
     ×    ,        정문을 좌표평면에서 원점 O , 동서 방향을 축, 남북 방향을
       ∴    (∵  ) 축으로 잡으면
A , B 
7 이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직선     에 평행하고 점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 
      ∴        ⋯⋯ ㉠
정식은        ∴      
이 직선이 점   를 지나므로    따라서 구하는 산책로의 길이는 점 C 과 직선 ㉠ 사이
의 거리이므로
8   ×    ×     
      m
     
직선 AB 의 기울기는   
 
즉, 직선 AB 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13
한편, 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ⅰ) 두 직선       ,        의 기울기가 다르므
 ×    ×    ×     ×   로 세 직선이 평행할 수 없다.
 
 
  (ⅱ) 두 직선       ,       이 평행할 때,
∴     
   이므로   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즉      두 직선        ,       이 평행할 때,

   이므로   
9 
ㄱ.   를 대입하면   이므로 주어진 직선은 점 (iii) 직선       이 두 직선       ,
  을 지나지 않는다. (거짓)        의 교점    을 지날 때,
ㄴ.   을 대입하면   이므로 주어진 직선은 축에 평행  ×    ×     
하다. (참) ∴  
ㄷ.           에서            (ⅰ)~(iii)에서    또는   
이므로     ,         따라서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주어진 직선은 의 값에 관계없이 점   을 지
세 직선이 모두 평행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30 %
난다.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세 직선 중에서 두 직선이 평행할 때,  의 값
해결 과정 30 %
구하기

10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 의 값 구하기 30 %

직선 의 기울기를  이라 하면 직선  의 방정식은 답 구하기 모든 실 수  의 값의 합 구하기 10 %


      ∴       
점  와 직선  사이의 거리가   이므로 14
   
  ,     
      점  에서 두 직선에 이르는 거리가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직선  의 방정식은       이므로 절편은
 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구하는 식을 이용하
50 %
 해결 과정 여 식 세우기

 식을 간단히 하기 30 %

답 구하기 양수  의 값 구하기 20 %
11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므로   
∴       ⋯⋯ ㉠

- 11 -
    
Ⅲ-2. 직선의 방정식-③회 22~24쪽  

1 ① 2 ⑤ 3 ④ 따라서 두 점 A, B 를 지나는 직선은 점 P를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이므로
4 ① 5      6 ④       
∴     
7 ① 8 ⑤ 9 ③

10 ② 11 ④ 12 
6
13  14      직선     의 기울기는 이므로 이 직선과 서로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 이다.

1

직선     에 평행하므로 구하는 직선의 기울기는  이때 기울기가   인 직선은 ④이다.

이 직선이 점   를 지나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7
 
      에서      
 
2
이때 직선       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이다.
두 점  ,   을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이 직선이 점  을 지나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점   을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8
∴      
      에서      
 
3  
      에서       (∵ ≠ )
 
직선        는 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 
C   를 지난다.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면     에서   
 
또, 두 직선 CA, CB 의 기울기는 각각
한편,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이므로 직선        가 두 점 A, B 사이를 지나려면
따라서   ,   이므로
주어진 직선의 기울기, 즉 의 값의 범위는 <<
  

4
9
 
      에서       직선 AB 의 기울기는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두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평행하여야 하므로
 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이고,
 
  에서    이 점은 직선  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5
10
삼각형의 중점연결 정리를 이용하면  AB 와 QR 가 서로 평행 원점에서 직선       에 내린 수선의 길이가 이므로
하므로 두 점 A, B 를 지나는 직선은 점 P 를 지나고 QR 에 평 
  , 
    ,     ,   
행한 직선이다. 
   

이때 
QR 의 기울기는 ∴  ± 

- 12 -
11   
  
 ,    ± 
A 라 하면  AP AQ 에서   
          그런데   이므로   
 
     
    따라서 직선 CD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       또는        
점 A 의 좌표 구하기 30 %
   또는    해결 과정

  일 때, 
AP ×     
AQ  


답 구하기
직선 CD 의  절편 구하기

직선 CD 의 방정식 구하기
40 %

30 %

AQ    
 
  일 때, 
AP ×   
 

따라서 
AP× 
AQ 의 최댓값은 

12

(넓이)     이므로   

 
     에서       
 
이때 원점에서 이 직선까지의 거리는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일 때, 원점에서 직선까지의 거리의 최댓값은


 


13

PA 
PB , 
QA 
QB 이므로 두 점 P , Q 는 
AB 의 수직이등분
선 위의 점이다.

AB 의 중점의 좌표는  , 
AB 의 수직이등분선의 기울기
가 이므로  AB 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따라서 P  , Q   이므로
 
PQ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AB 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
해결 과정
두 점 P , Q 의 좌표 구하기 30 %

 
답 구하기 PQ 의 값 구하기 30 %

14
점 A의 좌표를     라 하면
  
AB      
따라서   이므로 점 A의 좌표는  
직선 AB 의 기울기가  이므로 직선 CD 의 방정식을
    , 즉       으로 놓으면 점 B  과 직선
CD 사이의 거리는

- 13 -
  
Ⅲ-2. 직선의 방정식-④회 25~27쪽 이므로    ≠ 
  
1 ② 2 ② 3 ③ 따라서 두 직선  ,  은 평행하다. (참)
ㄴ.   이면       ,       
4 ⑤ 5 ⑤ 6  즉,     ,     이므로 두 직선 ,  은 수직이다.
(참)
7 ① 8 ④ 9 ①
ㄷ.   이면         ,         
10 ③ 11 ③ 12 ③   
이므로     
  
13  14 
따라서 두 직선  ,  은 일치한다. (참)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1
두 점의 좌표가 모두 이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6
 직선       이 직선       에 평행하므로
즉,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선분 AB 를   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또, 직선       이 직선       과 수직이므로
 ×    ×    ×    ×  두 직선       과       도 서로 수직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두 점 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7
3 두 직선       ,       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     ⋯⋯ ㉠ 방정식은
은 의 값에 관계없이 점  을             
지나는 직선이다. ∴              ⋯⋯ ㉠
따라서 직선 ㉠과 선분 AB 가 한 점 직선 ㉠이 직선       과 서로 수직이므로
에서 만나기 위해서는 오른쪽 그림         
의 (ⅰ)과 (ⅱ) 사이에 있어야 한다.      ∴   
(ⅰ) 직선 ㉠이 점 A  를 지나   을 ㉠에 대입하면
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ⅱ) 직선 ㉠이 점 B  를 지나므로 
즉, 직선  의 방정식이      이므로 직선  의 절편은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ⅰ), (ⅱ)에서 구하는 의 값의 범위는  

 ≤  ≤ 
 8
            에서
4            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  가 이 식이 에 대한 항등식이면
삼각형 OAB 의 한 꼭짓점 O 를 지나       ,       
므로 삼각형 OAB 의 넓이를 이등분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하려면 선분 AB 의 중점   ,   
  즉, 직선 ㉠은 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  를 지난다.
  
  , 즉  
이때 점  과 직선 ㉠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려면 두 점
를 지나야 한다.   ,  을 지나는 직선이 직선 ㉠과 수직이어야 하므로
따라서 직선   가 점  를 지나므로       
  ×   
    
5       ,    
ㄱ.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14 -
9 
        ∴     
서로 다른 세 직선이 좌표평면을 네 부분으로 나누려면 세 직 
선이 모두 평행해야 한다. 따라서 직선  과 축의 교점 A의 좌표는  
두 직선       ,       이 서로 평행해야 하므 한편, 직선  과 직선   의 교점 B 의 좌표는
로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B  
또, 두 직선       ,       도 서로 평행해야 따라서 삼각형 OAB 는 오른쪽 그
하므로 림과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10 직선  의 방정식 구하기 35 %
해결 과정
점  와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는 두 점 A , B 의 좌표 구하기 35 %
 ×    ×   
  답 구하기 삼각형 OAB 의 넓이 구하기 30 %
    
   ,    ± 
   또는    14
∴    또는    삼각형 ABC 에서  AB 를 밑변으로 하면 점 C 와 직선 AB 사이
따라서 양수 의 값은 이다. 의 거리가 높이가 된다.
AB  
           
 이고, 직선 AB 의 방정
11 식은
두 직선       ,       이 서로 평행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평행한 두 직선       ,        사이의 거리 이때 점 C   과 직선     , 즉        사
는 직선        위의 한 점   과 직선 이의 거리는
     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그런데   이므로 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AB 의 길이 구하기 30 %
해결 과정
12
삼각형 ABC 의 높이 구하기 40 %
접은 선을 직선  이라 하면 직선 은 선분 AB 의 수직이등분선
이다. 답 구하기 삼각형 ABC 의 넓이 구하기 30 %
 
직선 AB 의 기울기는    이고 선분 AB 의 중점의 좌
 
 
 
표는    , 즉  이므로 직선  은 기울기가 
 
이고 점  을 지난다.
따라서 직선 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즉, 접은 선의 방정식이       이므로 원점과 접은 선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13
두 점  ,  를 지나는 직선  의 방정식은

- 15 -
Ⅲ-3. 원의 방정식-①회 29~31쪽

따라서 점 P 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   이고 반지름의
  
1 ① 2 ⑤ 3 ③  
길이가  인 원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 이다.
 

4 ③ 5   6 ③
 6
7 ① 8 ③ 9 ② 원의 중심   과 직선          사이의 거리는
 보다 커야 하므로
10 ④ 11 ⑤ 12        
  ,      
    
13    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7
∴                  에서
따라서 주어진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이고 반지름의 길
        
이는 이므로   ,   ,    ∴      
원의 중심   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는 반지
름의 길이   와 같아야 하므로
2
     
원의 중심의 좌표를  , 반지름의 길이를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8
또, 원의 중심  가 직선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를 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따라서 정수 는  ,  , , , 의 개이다.
원           이 점   를 지나므로
       ⋯⋯ ㉠
9
          에서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이 원이 축에 접하므
원의 중심   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는
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것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    이므로 원 위의 점에서 직선
∴           에 이르는 거리의
  
4 최댓값은       
 
구하는 원의 방정식을      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최솟값은       
 
  을 대입한 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10
접선의 방정식은     
5 이 접선이 점  를 지나므로      ∴  

AP 
BP   이므로
 
AP   
BP
 11
이때 점 P 의 좌표를  라 하면 직선     과 원     의 교점을 구하면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16 -
이것을     에 대입하면
Ⅲ-3. 원의 방정식-②회 32~34쪽
  일 때   ,   일 때   
제  사분면 위에 있는 직선과 원의 교점은 1 ④ 2  3 ③
   
따라서 이 교점에서의 원의 접선의 방정식은 
4 ③ 5   6 ④

      ∴       
7  8 ① 9 ④
12
10 ④ 11 ⑤ 12 ⑤
원 위의 점 P 의 좌표를  라 하면      ⋯⋯ ㉠
삼각형 ABP의 무게중심 G 의 좌표를  라 하면 13  14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이므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을
따라서 무게중심 G 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         이라 하면 이 원이 점  을 지나므
 ×   
로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점 P 의 좌표를 무게중심 G 의 좌표를 이용         
40 %
하여 나타내기
해결 과정
무게중심 G 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 구하 2
40 %

          에서
답 구하기 무게중심 G 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 구하기 20 %
              
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     
13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따라서 원의 중심  과 축 사이의 거리는 이고, 원의 반 3
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구하는 선분의 길이는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이 이차방정식이 원을 나타내려면
원의 방정식 변형하기 30 % 
해결 과정      ,       ∴      

원의 중심과  축 사이의 거리 구하기 30 %
따라서 상수 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③이다.
답 구하기 선분의 길이 구하기 40 %

4
원의 중심은 선분 AB 의 중점과 같으므로   
 
반지름의 길이는  AB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5
 
점 P의 좌표를  라 하면 
PA  
PB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이므로 구하는 원의 넓이는  
 

6
원의 방정식을           으로 놓으면

- 17 -
         ,        
CP 
      ∴    또는    CA 
두 점 A, C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따라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이다. 원의 중심과 접점을 이은 직선 CP 는 접선 AP 와 수직이므로
 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이다.
∆ACP 는 CA
7 
AP   CP  
 
∴ CA   
     

원의 중심  와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13
    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           에서
 
서 만나려면

          
   
       에    ,    를 대입하면
따라서 자연수 의 최솟값은 이다.  

      ∴  

8
  

AB  ,  AH  
      에서       
 
원의 중심을 C 라 하면

       에   ,    를 대입하면
CH 
  
AC   AH 
   
     ∴  
 ⋯⋯ ㉠ ∴   
점 C   와 직선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       사이의 거리가  CH 이므로
 의 값 구하기 50 %
  ×     ×         해결 과정
CH   ⋯⋯ ㉡
     의 값 구하기 30 %

㉠, ㉡에서    또는   이므로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답 구하기  의 값 구하기 20 %


     

14
9
원  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에서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기울기는  이다.
원의 중심   과 점 P   사이의 거리는
즉,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두 직선   ,   의 교점의 좌표는  이므로
따라서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10 ∴        
 × 
  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원 위의 한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에서  의
11 50 %
값 구하기
  해결 과정
접선의 방정식은     , 즉      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 의 값
  30 %
구하기

이 접선이 직선     와 평행하므로     답 구하기    의 값 구하기 20 %

∴    ⋯⋯ ㉠
점  는 원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이 식에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이때 는 양수이므로   ,   
∴  

12
          에서          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고, 중심을 C 라 하면 C  에서

- 18 -
5
Ⅲ-3. 원의 방정식-③회 35~37쪽
          에서
1 ④ 2 ② 3 ⑤         
이므로 원의 중심을 C 라 하면
4 ③ 5  6 ⑤

OC   
7 ③ 8  9 ② 즉,   
OC  
CB  

 
  OC  AC  

10  11 ① 12   
∴  

13  
 14 

6
1
    를   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중심의 좌표가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의 방정
        
식은          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 가
이 식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이므로   


2
7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      의 중심 O  

     
에서 직선       에 내린 수
원의 방정식은
선의 발을 H, 원과 직선의 두 교점
         
을 각각 A, B 라 하면
이 식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AH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  OH    

   

OA 
       

3
∴  
OA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8
          에서
점  과 직선     , 즉  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   
 
⋯⋯ ㉡ 반지름의 길이 과 같으므로
∣∣
직선     가 원 ㉠의 중심   를 지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찬가지 방법으로

 
직선     이 원 ㉡의 중심    를 지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4 이때      ≥ 에서
중심이 축 위에 있는 원의 방정식을   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를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9
 직각삼각형 OPQ 에서 

PQ  

OQ  
따라서 원의 넓이는  

- 19 -

PQ 의 길이의 최솟값은  OQ 의 길이가 최소일 때이다. 

 ×
 ×    PH ∴
PH 

OQ 의 길이의 최솟값은 원점 O 와 직선     , 즉 
       사이의 거리이므로 
∴
PQ  
PH 

   
   

  
   
 
 13


 

PQ≥  


  
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    과 직선
          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따라서 
PQ 의 길이의 최솟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따라서    일 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최댓값은

직선       , 즉     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 
 
는 
원     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   ±     해결 과정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
50 %
내기
∴   ± 

답 구하기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최댓값 구하기 50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14
11 두 점 A  , B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을   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두 점 A  , B   사이의 거리는
즉, 교점의 좌표는 AB  
     
 ,     원의 중심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는
원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을   이라 하면 직선   의 방정식  
 
은      
    
원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 
따라서 ∆PAB 의 높이는  이므로 ∆PAB 의 넓이의 최댓값은
의 방정식을   라 하면 직선   의 방  
정식은        
 ×  ×   
 
따라서 두 직선   ,   의 기울기는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  ,   이므로 구하는 값은

∆PAB 의 밑변의 길이 구하기 50 %

  
 ×    

해결 과정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30 %
∆PAB 의 높이 구하기
답 구하기 ∆PAB 의 넓이의 최댓값 구하기 20 %
12
원의 중심이 O  이고 반지
름의 길이가 이므로

OP 
OA 
      
직각삼각형 OAP 에서
 
AP    OP
OA 

 

     

 와 PQ
OA  의 교점을 H라 하면  OA⊥ 
PQ 이므로
 
∆OAP   ×  AP× OP   × 
OA× 
PH
 
 OP
즉, AP×   OA× PH  에서

- 20 -
5
Ⅲ-3. 원의 방정식-④회 38~40쪽
 

AP 
BP    에서 
BP  
AP 이므로 
BP   
AP
1 ② 2 ③ 3  점 P의 좌표를  라 하면
          
4 ④ 5 ③ 6 ②
        ,         
7 ③, ⑤ 8 ③ 9 ①
∴       
10 ④ 11 ⑤ 12 ③ 따라서 점 P 가 그리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  이고 반
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므로 구하는 둘레의 길이는
13 
 14   ×   

1 6
중심의 좌표가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의 방정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C 에서
식은           선분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이 식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라 하자. ∆ABC 의 넓이가 최대
           가 되려면 CH 의 길이가 최대이
따라서   ,   ,   이므로 어야 한다.
          두 점 A   , B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2     
원점과 직선     , 즉
원         의 중심의 좌표는   이고, 원
 
         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중심의 좌        사이의 거리는 
OH    


표가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의 방정식은
  OH
∴ CH     
         
따라서 ∆ABC 의 넓이의 최댓값은
이 원이 점   를 지나므로
   
            × AB × C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원이 축에 접하므로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7
이 원이 점  를 지나므로 
구하는 접선은 직선      에 수직이므로 기울기가 이
          
     ∴    다. 기울기가 이고 원     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또는     

4 8
원의 중심이 직선    위에 있으므로 중심의 좌표가 원      위의 점 P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원이 두 점   ,  을 지나므로 이 접선의 기울기가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점 P  는 원      위의 점이므로
㉡  ㉠을 하면
     ⋯⋯ ㉡
     ∴   
  
  를 ㉠에 대입하면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그런데 점 P 는 제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  ,   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원의 넓이는 이다. ∴   

- 21 -
  
 를 ㉠에 대입하면   
  
CP   

CT  PT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
9       
접선의 기울기를 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이때 원          의 중심   와 직선 12
       , 즉          사이의 거리가 원
직선     은 의 값에
의 반지름의 길이 와 같으므로
관계없이 항상 점   을 지
      
  ,     
   나므로 서로 다른 개의 교점을
    가질 때는 오른쪽 그림의 (ⅰ)과
양변을 제곱하면 (ⅱ) 사이의 직선인 경우이다.
          (ⅰ)의 경우,
∴         직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기울기의 곱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에 의하여 (ⅱ)의 경우,
  직선     , 즉       과 원
  
        이 접할 때이므로 원의 중심  과 직
선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과 같다. 즉,
10   
  ,  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반지름    
의 길이를 라 하고, 원과 직선 양변을 제곱하면
의 두 교점을 A, B , 원의 중심을
    ,   
C , 점 C 에서 직선

      에 내린 수선의 ∴   

발을 H라 하자. 

AB ⊥ CH 이므로 그런데   이므로   

  따라서 구하는 의 값의 범위는
AH   
AB
 
  
  ×      

또, 점 C   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13

CH    점   를 지나고 축, 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은
    
제 사분면 위에 있다.
직각삼각형 CAH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 하면 중심의 좌표는   이므로
   AH
CA    
CH 이므로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  이다. 점   는 이 원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11 ∴      
 
          에서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  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
          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을     ,   
C , 접점을 T라 하면
두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    이므로 두 원의 중

PT  , CT⊥  PT 이므로
심 사이의 거리는
∆CTP 는 ∠CTP  인 직각삼각형이다. 
C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CP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


CT    
     × 
따라서 직각삼각형 CTP에서  


- 22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Ⅲ-4. 도형의 이동-①회 42~44쪽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라 하고 원의 방정식


30 % 1 ② 2 ② 3 
해결 과정 세우기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 사이의 관계 구하기 30 % 4  5 ② 6 ④

답 구하기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 구하기 40 % 7 ① 8 


 9 ③

10 ⑤ 11 ④ 12 
14
13 

AP  , 
BP  라 하면 ∠APB 는 지름에 대한 원주각이므로
∠APB  
즉, ∆ PAB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1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AP  BP  , 즉
    라 하면 의 값은 오
2
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점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
    가 원      에
행이동하면 점  로 옮겨진다고 하면
접할 때 최대이다.
          ∴     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
따라서 원     은 원          로 옮겨진
므로
다.
 
 
   
3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      ∴   
따라서   AP  
BP 의 최댓값은 이다.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4

AP   , 
BP   로 놓고  ,  사이의 관계 점 A     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A′ 의 좌
40 %
식 구하기 표는        
해결 과정

AP  
BP 의 값이 최대일 때의 상황 파악 이 점의 좌표가      와 일치하므로
30 %
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구하기 
AP  
BP 의 최댓값 구하기 30 %

5
ㄴ.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 ∴     
ㄷ.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  ∴      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ㄹ이다.

6
직선       에 수직이고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
정식은     
이 직선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7
   은   에 대신  를 대입한 것이므로

- 23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13
따라서 구하는 부분의 넓이는 원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

 ××   큼 평행이동하면           ⋯⋯ ㉠

원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    
8
               ⋯⋯ ㉡
점 A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이라
 
하면 A′  원 ㉡이           과 같으므로

AP 
BP A′P  
BP≥ 
A′B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      
A′B  
 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9 주어진 원을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 구하
30 %
ㄱ.     →      (거짓) 기
해결 과정 평행이동한 원을 다시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
ㄴ.     →      (거짓) 30 %
정식 구하기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ㄱ, ㄴ의 개이다.
   의 값 구하기 30 %

10 답 구하기      의 값 구하기 10 %
직선   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 
이 직선이 원의 중심    을 지나야 하므로
   
∴  

11
   
 
선분 AP의 중점    가 직선        위에 있
 
으므로
 
       ∴      ⋯⋯ ㉠
 
직선 AP 가 직선       과 수직이므로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12
A′      , B′       , C′      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이 원점이므로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세 점 A′ , B′ , C′ 구하기 40 %
해결 과정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이 원점임을 이
40 %
용하여 식 세우기

답 구하기    의 값 구하기 20 %

- 24 -
        
Ⅲ-4. 도형의 이동-②회 45~47쪽
∴      ⋯⋯ ㉠
1 ② 2 ④ 3 ③ (ⅱ) 직선 PQ 와 직선     이 서로 수직이므로
 
4 ④ 5   
 
  ∴      ⋯⋯ ㉡
6 ㈎  ㈏  ㈐  7 ④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8  9           ,  
 
10 ③ 11 ⑤ 12   
∴㈎  ㈏   ㈐ 
 
13 
7
1 처음 직선의 기울기를 이라 하면 직선의 방정식은
점   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      
만큼 평행이동하면 이 직선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 
       이 직선이 점   를 지나므로
이 점이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8
2 포물선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  →   →   →   →   →   만큼 평행이동하면
따라서 점 P가 번 이동한 후의 점의 좌표는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것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     ∴         
3 이 포물선이 포물선       과 겹쳐지므로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ㄴ.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주어진 원과 겹쳐지지 않는다.
ㄷ.           에서           9
따라서 주어진 원과 겹쳐지는 것은 ㄱ, ㄷ이다. 원의 중심인 점  을 점 P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의 좌표를  라 하면
4   
     
주어진 평행이동은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 
만큼 평행이동하는 것이다. ∴      
따라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포물선     가 옮겨지는 따라서 중심이 점  로 옮겨진 원의 방정식은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포물선이 포물선       과 겹쳐지므로 10
∴   ,   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 위의 임의의 점 P  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Q ′ ′  이라 하

5 ′    , ′  
점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점 Q ′ ′ 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  R ″  ″ 이라 하면
점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 ′
B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방정식은      이다.
∴ AB             
  

11
6 두 원의 중심  ,   를 이은 선분의 중점   이
  직선        위에 있으므로
(ⅰ)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25 -
또, 두 점  ,   를 지나는 직선이 직선
Ⅲ-4. 도형의 이동-③회 48~50쪽
      과 수직이므로

   
×     ∴   

1 ④ 2 ① 3 ②

이것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 4 ③ 5  6  


∴   
7 ② 8 ③ 9 ⑤

12 10 ⑤ 11  12 ①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13  14 
∴         
직선        위의 한 점   과 직선
1
         사이의 거리가   이므로
점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      
  
 ,      평행이동하면 점   로 옮겨진다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점   은 점  로 옮겨진다.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 2
해결 과정    에서  대신   ,  대신   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두 직선 사이의 거리가 
 임을 이용하여
40 %
식 세우기         
답 구하기 양수  의 값 구하기 20 % 이 포물선의 방정식이       와 일치하므로
     ∴   

13
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 를 직선
점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AB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 ,
평행이동하면 점  으로 옮겨진다고 하면
점 Q 를 직선 CD 에 대하여 대칭이
     ,      ∴      
동한 점을 Q′ 이라 할 때, 최단 거리
따라서       에서  대신   ,  대신   을 대입
는 
P′Q′ 이다.
하면           , 즉       
따라서 구하는 최단 거리는
P′Q′  
      4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직선     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두 점 P , Q 를 대칭이동하여 최단 거리를 선
해결 과정 60 %          ∴     ⋯⋯ ㉠
분으로 나타내기
직선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
답 구하기 최단 거리 구하기 40 %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두 직선 ㉠, ㉡의 교점의 좌표가  이므로   ,   을
㉠과 ㉡에 각각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5
          에서
        
이 원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
동한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이 원이 축과 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   ,    

- 26 -
   ± 에서   또는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에서   또는   
그런데   ,   이므로 10
  ,    ∴     원           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6           
점 B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 즉,          
동한 점을 B′ 이라 하면 이 원의 중심   과 직선         사이의 거리는
B′         
    
이때  BP B′P 이므로 
 
      


AP 
BP  
AP 
B′P ≥ 
AB′ 이때 원과 직선이 접하므로
직선 AB′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11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  원          의 중심을
C  라 할 때, 이 원을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중심을
7
C′ 이라 하면
직선   의 방정식은      , 즉     
C′  
직선   의 방정식은      , 즉     
점 C 에서 직선   에 내린 수선의
직선   의 방정식은       , 즉      발을 H, 두 원의 교점을 각각 A, B 라
따라서 직선     과 세 직 하면
선   ,   ,   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    
CH 
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   
즉, 구하는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CH

AH AC
 
  
   
8    AH
  
∴   AB 
직선   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
두 점 C  , C′   사이의 거리 는
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선        , 즉       과 직선
 
  12
      , 즉       의 기울기의 곱은  이므
 
두 직선   ,   가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A ,

B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OA OD  , 
OB  
OC  
∆AOD 와 ∆BOC 의 넓이의 합이 이므로
9    
      
 

직선      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 즉,      ⋯⋯ ㉠

 ∆AOD 와 ∆BOC 의 둘레의 길이의 합이     이므로
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즉,      

㉠, ㉡에서
이 직선이 직선     와 축 위에서 수직으로 만나므로

두 직선의 절편은 같고, 기울기의 곱은  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ABO    
  

- 27 -
13
Ⅲ-4. 도형의 이동-④회 51~53쪽
점 C 는 점 A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만
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1 ③ 2 ② 3 
          
4 ③ 5 ② 6 
즉,       
점 R 는 점 P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 7 ① 8 ④ 9 ④
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10 ⑤ 11 ⑤ 12 ④
          
즉,        13  14 

따라서 두 점 C 와 R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직선
       위의 점   과 직선        사 1
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2
점 C 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 구하기 30 %
점    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
해결 과정
점 R 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 구하기 30 % 만큼 평행이동하면
       , 즉      
답 구하기 두 점 C 와 R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 구하기 40 %
이 점이 직선  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      
14      ∴   

AA′ 의 중점을 M이라 하면
    3

M  
   주어진 평행이동은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직선 AA′ 과 직선   는 서로 수직이므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원     을 평행이동한 원의
 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이때           에서
점 M은 직선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 일치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4
∴         에서        
  을 ㉡에 대입하면 포물선        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           
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      이므로
AA′ 의 중점 M 의 좌표 구하기 20 %
     ,     
해결 과정  ,  사이의 관계식 구하기 30 %
∴ 
 , 의 값 구하기 30 %

답 구하기    의 값 구하기 20 % 5
직선   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이 직선이 마름모 ABCD 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마름모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야 한다.

- 28 -
이때 마름모의 대각선은 서로를 이등분하므로 대각선의 교점
은 선분 AC 의 중점의 좌표와 같다.
따라서 대각선의 교점의 좌표는
   
   
  , 즉  

이 점이 직선      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         ㄷ. 함수   의 그래프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그
∴        림 ]과 같고, [그림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그림 ]과 같다. (참)
6
점   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하면
    
점    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이 점의 좌표가 이므로
   ∴  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7 10
점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       에서       
행이동하면       에서        
     , 즉    
이때 두 포물선의 꼭짓점   ,  도 점 P  에
점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꼭짓점을 이은 선분의 중점이 P 이다.
원점과 점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이므로
 
이므로 원점과 점      사이의 거리는 
 이다. 즉,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11
 
 

       선분 AA′ 의 중점    는 직선      위에 있
        
∴    (∵   ) 으므로
  
     ∴    ⋯⋯ ㉠
 
8
직선 AA′ 과 직선     는 서로 수직이므로
원        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이 원이 자기 자신과 일치하므로
  
12
점 A   를 직선   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9 A′ ,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이라 하면
ㄱ. 함수  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 
AB  A′B , 
AC  
A″ C
동하면 [그림 ]과 같고, [그림 ]의 그래프를 축에 대하
이므로 삼각형 ABC 의 둘레의 길이는
여 대칭이동하면 [그림 ]와 같다. (거짓)
  BC
AB  
CA  
A′B  
BC  
A″ C ≥ 
A′A″
 
점 A′ 의 좌표를  라 하면  AA′ 의 중점   
 
 
가 직선  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ㄴ. 함수   의 그래프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그
또, 직선 AA′ 과 직선       은 서로 수직이므로
림 ]와 같고, [그림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 만

큼 평행이동하면 [그림 ]과 같다. (참)  ×    
   

- 29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A′   
한편, 점 A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A″ 이므
로 A″  
  BC
∴ AB   CA
 ≥ A′A″

         
 
따라서 삼각형 ABC 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
 이다.

13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원 ㉠의 중심    가 원 ㉡의 중심    로 이동하
였으므로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
행이동하였다.
따라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        을 옮긴
직선 ′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두 직선  , ′ 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
위의 한 점   과 직선  사이의 거리와 같다.
   
따라서 구하는 거리는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평행이동 구하기 40 %
해결 과정
직선 ′ 의 방정식 구하기 30 %

답 구하기 두 직선  , ′ 사이의 거리 구하기 30 %

14
포물선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
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  
이 포물선과 직선     의 교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일 때       
  일 때       
따라서 두 점 A, B 의 좌표는   ,  이므로
  
AB         

평가 내용 채점 기준 배점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 구하기 30 %


해결 과정 평행이동한 포물선과 직선의 교점의 좌표 구
30 %
하기

답 구하기 선분 AB 의 길이 구하기 40 %

- 3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