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2

과학 중2

4.식물과 에너지

조승현 (trillion@eduzone.co.kr)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22년03월22일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3. zb3 ) 그림은 식물의 잎을 이용하여 광합성 산물을 확


1. zb1 ) 식물의 광합성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인하는 실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물음에 답하시
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는 기공에서 흡수하고, B 는 뿌리에서 흡수한다.


(1) (가)에서 실험 전에 어둠상자에 넣는 이유를 서술하시
C 는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과 반응하는 물질
오.
이다.
D 는 이산화탄소이다.
(2) (다)에서 에탄올을 넣은 곳이 A 인지 B 인지 고르고, 에
E 는 다른 생물의 호흡에 이용된다.
탄올을 사용하는 이유와 물중탕을 하는 이유를 서술하
광합성 결과 만들어진 D 는 C 로 바뀌어 엽록체에 저장 시오.
된다.

(3) (라)에서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에 의해 색이


변하는 부분이 (나)의 ㉠인지 ㉡인지 고르고, 어떤 색깔
인지 쓰시오.

2. zb2 ) 그림은 식물 세포 안에 있는 초록색 알갱이 A 의 (4) 실험 결과를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광합성이 일어나
모습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는 장소와 광합성 산물을 쓰시오.

A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광합성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동물 세포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엽록소에 의해 초록색으로 보인다.
숫자가 많을수록 광합성이 활발히 일어난다.
초록색 빛은 광합성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1 -
2022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고난도] 4.식물과 에너지

4. zb4 ) 그림과 같이 물이 들어 있는 시험관에 검정말을 6. zb6 ) 그림은 식물의 잎을 이용하여 실험한 것을 나타


넣은 후, 시험관을 물이 든 비커에 거꾸로 세워 빛 낸 것이다.
이 잘 비치는 곳에 두고 시험관의 물 높이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 실험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식물을 하루 동안 어두운 곳에 둔다.


ㄱ. 실험 결과 생성된 물질은 산소이다. (나) 잎의 일부를 알루미늄박(㉡)으로 가리고 햇빛이 잘
ㄴ. 시간이 지나면서 시험관의 물 높이가 점점 낮아진다. 비추는 곳에 둔다.

ㄷ. 이 실험 장치를 어둠상자에 넣은 후 실험을 하여도 (다) 잎을 에탄올에 넣어 물중탕한다.


같은 결과를 얻는다. (라) 잎에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을 떨어뜨린다.
ㄱ ㄴ 위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ㄷ ㄱ, ㄴ (가) 과정은 증산 작용을 막기 위한 목적이다.
ㄴ, ㄷ (나)에서 알루미늄박은 산소를 차단하는 목적이다.
(다)는 엽록체 속의 엽록소를 제거하여 탈색시키는 과정
이다.
(라)에서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은 포도당을 검
출하는 시약이다.
5. zb5 ) 그림은 광합성으로 생성되는 기체에 대해 알아보
(라) 과정 결과 ㉠의 엽록체는 갈색으로, ㉡의 엽록체는
는 실험으로, 검정말을 A , B 와 같이 각각 장치하여
청람색으로 관찰된다.
빛이 잘 비치는 곳에 두었다.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광합성 결과 발생한 기체는 시험관 위쪽에 모인다.
광합성은 물이 충분하면 빛이 없어도 일어난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A 시험관의 물 높이는 증가한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B 시험관의 물 높이는 변하지 않
는다.
광합성 결과 발생한 기체에 불을 갖다 대면 불이 꺼진
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2 -
2022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고난도] 4.식물과 에너지

7. zb7 ) 그림은 BTB 용액이 노란색이 될 때까지 숨을 불 9. zb9 ) 그래프 (가)와 (나)는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어 넣은 후 햇빛이 비치는 창가에 장치한 실험이다. 에 따른 광합성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는 온도에 따른 광합성량을 나타낸 것이다.


(가)의 A 구간에서는 광합성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나)는 이산화 탄소 농도에 따른 광합성량의 변화를 나
실험 결과 BTB 용액의 색깔이 변하는 시험관은 A 이
타낸 것이다.
다.
(나)의 B 구간은 광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변성되어
이 실험을 통해 광합성으로 생성되는 기체가 무엇인지
그 기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확인할 수 있다.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증가시키면 광합성량은
시험관 A 와 B 를 비교하면 광합성에 산소가 필요하다
계속해서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관 B 와 C 를 비교하면 광합성에 이산화 탄소가 필
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관 B 를 알루미늄 박으로 감싼 이유는 대조군으로
실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10. zb1 0 ) 그림은 빛의 세기를 다르게 하였을 때 온도와 이
산화탄소( CO )농도에 따른 광합성량을 나타낸 것이
8. zb8 ) 실험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다.
<실험>
(가)  개의 시험관 A ~C 에 똑같은 양의 초록색 BTB 용
액을 각각 넣는다.
(나) A 는 그대로 두고, B 와 C 에 검정말을 넣는다.
(다) 시험관의 뚜껑을 덮은 다음, C 는 알루미늄박으로 감
싼다.
(라)  개의 시험관을 약  시간 동안 한낮에 햇빛이 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비치는 곳에 둔다. 고른 것은?

<보기>
ㄱ. 빛의 세기에 관계없이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광합성
량은 감소한다.
ㄴ. 약한 빛의 경우가 강한 빛의 경우보다 온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ㄷ. 빛의 세기에 관계없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일정 수
준에 도달하면 광합성량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ㄱ ㄴ
(1)  시간 뒤, 관찰할 수 있는 B , C 시험관의 BTB 용액
ㄱ, ㄷ ㄴ, ㄷ
의 색깔을 쓰시오.
ㄱ, ㄴ, ㄷ

(2) 시험관 B 에서 색깔 변화가 나타난 까닭을 검정말의 광


합성과 호흡, 기체종류, BTB 용액의 액성과 관련지어
설명하시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3 -
2022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고난도] 4.식물과 에너지

11.
zb1 1 ) 그림은 검정말이 든 표본병에 탄산수소나트륨 수 13.
zb1 3 ) 식물의 증산 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그림과 같이
용액을 넣고 빛의 세기를 달리하며 빛의 세기와 광 장치하여 햇빛이 잘 비치는 곳에 두었다.
합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이에 대한 설
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유리관에서 줄어든 물의 양을 측


정하였을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와 (다)는 줄어든 물의 양이 같다.
발생하는 기체는 산소이다.
물이 가장 많이 줄어든 것은 (나)이다.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나)와 (다)를 비교하면 습도가 낮을수록 증산 작용이
발생하는 기체 수는 광합성의 양을 나타낸다.
더 활발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은 이산화탄소를 공급해 주기 위
이 실험을 통해 증산 작용은 잎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한 것이다.
알 수 있다.
빛을 밝게 할수록 비례하여 공기방울의 수는 계속하여
이 실험을 통해 잎의 앞면보다 뒷면에서 증산 작용이
증가한다.
더 활발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12. 표의 (가)~(마)는 광합성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14. 잎이 없는 나뭇가지  개와 서로 같은 수의 잎이
zb1 2 )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 다른 조건으로 수행한


zb1 4 )

있는 나뭇가지  개를 그림과 같이 장치하고 빛이


실험을 나타낸 것이다. (단, 빛의 세기에 따른 광합
잘 드는 곳에 일정 시간 동안 두었다.
성량은 lx 에서 최대가 된다.)

빛의 세기 이산화
실험 온도(℃)
( lx ) 탄소 (%)
(가)   
(나)   
(다)   
(라)   
(마) 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식용유는 물이 증발하도록 도와준다.
고른 것은?
(나)보다 (가)에서 물이 더 많이 줄어든다.
<보기>
식물의 줄기에서 증산 작용이 잘 일어난다.
ㄱ. 광합성량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실험은 (라)이
(가), (나), (다) 중 (다)의 수면의 높이가 가장 많이 낮
다.
아진다.
ㄴ. 온도가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교
(다)의 비닐봉지 안에 맺힌 물방울은 잎에서 빠져나온
해야 할 실험은 (나)와 (다)이다.
수증기가 액화된 것이다.
ㄷ. 이산화탄소 농도가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교해야 할 실험은 (가)와 (마)이다.
ㄱ ㄷ
ㄱ, ㄴ ㄴ,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4 -
2022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고난도] 4.식물과 에너지

15.
zb1 5 ) 그림은 하루 동안 어떤 식물 잎에서의 물 증산량 17.
zb1 7 ) 그림은 식물 잎의 표피를 벗겨 현미경으로 관찰
과 뿌리에서의 물 흡수량을 측정한 것이다. 이에 대 한 모습이다.
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는 엽록체를 갖고 있어 초록색을 띤다.


B 는 이산화 탄소와 산소가 드나드는 통로이다.
B 는 투명하여 빛이 잘 투과되어 광합성이 활발하다.
<보기>
C 는 삼투현상에 의해 B 의 팽압이 증가하여 열린다.
ㄱ. 햇빛이 강한 낮에 증산 작용이 활발하다.
C 는 안쪽 세포벽이 바깥쪽 세포벽보다 얇아 개폐를 조
ㄴ. 잎에서의 물 증산량이 많을수록 뿌리에서의 물 흡수 절한다.
량도 많아진다.
ㄷ. 밤에는 낮 동안 증산 작용 및 광합성으로 인해 손실
된 물이 보충된다.
ㄱ ㄴ
ㄱ, ㄷ ㄴ, ㄷ 18.
zb1 8 ) 그림은 두 가지 상태의 기공을 나타낸 것이다.

ㄱ, ㄴ, ㄷ

16.
zb1 6 ) 다음 보기 중 잎에서 일어나는 증산 작용의 의의
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정답  위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개)
(A )는 엽록체이다.
식물은 증산 작용이 일어나는 동안 광합성 결과 생성된
낮에는 주로 (가) 상태로 유지된다.
불필요한 산소를 식물 밖으로 내보낼 수 있다.
(가) 상태일 때 (나)보다 방출하는 산소의 양이 많다.
증산 작용이 일어날 때 식물체 내부의 물을 밖으로 내
보내어 수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기공이 (나)에서 (가) 상태로 변
한다.
기공을 통해 빠져나간 수증기가 식물체 밖에서 액화되
면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여 식물체 내부의 온도를 조 세포 내에 녹말이 많이 축적될 때는 (나) 상태가 관찰된
절한다. 다.

기공을 통해 물이 빠져나가면서 잎에 부족한 물을 보충


하기 위하여 잎맥과 줄기, 뿌리 속의 물을 연속적으로
끌어 올린다.
증산 작용을 통해 기공에서 이산화탄소가 교환되는 속
도를 증가시킨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5 -
2022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고난도] 4.식물과 에너지

※ 다음은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물질을 확인하는 실험 과정이다.


21.
zb2 1 ) 그림과 같이 싹이 트고 있는 콩을 석회수가 들어
<실험 과정> 있는 보온병에 넣고 온도계를 꽂은 다음 일정 시간
1. 두 개의 페트병 A , B 에 같은 양의 물과 검정말을 각 이 지난 후 온도와 석회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넣고 빨대로  분 정도 숨을 불어 넣는다.
2. 페트병 A , B 의 뚜껑을 닫고 B 에만 어둠상자를 씌워
A 와 B 를 빛이 비치는 곳에 하루 동안 놓아둔다.
3. A 와 B 의 뚜껑을 열고 향불을 넣어 본다.
4. A 와 B 의 잎을 하나씩 떼어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5. 에탄올에 넣고 물 중탕한 A 와 B 의 검정말 잎에 아이
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을 떨어뜨린 후 현미경으
로 관찰한다.

19. 그림 (가)~(다)는 위 실험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할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zb1 9 )

수 있는 검정말 잎의 모습이다. (단, (가)는 초록색


것은?
물질, (나)는 청람색 물질이 보이고 (다)는 특정 색
의 물질이 보이지 않는다.) <보기>
ㄱ. 온도가 높아질 것이다.
ㄴ.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질 것이다.
ㄷ. 콩의 호흡으로 산소와 열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ㄱ ㄱ, ㄴ
ㄱ, ㄷ ㄴ, ㄷ
 번과  번의 실험 결과 A , B 잎의 모습으로 가장 적합
ㄱ, ㄴ, ㄷ
한 그림을 찾아 바르게 짝지은 것은?

 번A  번B  번A  번B
(가) (가) (나) (다)
(가) (나) (다) (다)
(나) (가) (나) (다)
22.
zb2 2 ) 광합성과 호흡을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나) (다) (나) (다) 구분 광합성 호흡


(다) (나) (다) (가) 시기 낮 밤
장소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반응물 물 이산화탄소
생성물 이산화탄소 물
에너지 변화 에너지 방출 에너지 저장
20.
zb2 0 )  번의 실험 결과 A 의 향불은 불꽃이 커지고 B
의 향불은 잘 타지 않았을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3.
zb2 3 ) 그림은 식물에서 일어나는 포도당의 합성과 분해
A 에서 산소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를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는 각각 호흡과 광합
B 에서 광합성이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성 중 하나이고, A 와 B 는 서로 다른 기체이다.
A 와 B 모두 광합성이 활발히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A 와 B 모두 증산 작용이 활발히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가), (나), A B 에 해당하는 것을 각각 쓰고, (가)와 (나)
향불을 통해 이산화 탄소 발생 여부를 알 수 있다. 의 차이점을 에너지와 연관 지어 서술하시오.

(1) (가): ______, (나): ______, A : ______, B : ______

(2) (가)와 (나)의 차이점: ______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6 -
2022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고난도] 4.식물과 에너지

24.
zb2 4 ) 그림은 광합성과 호흡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햇 발표 내용이 옳은 학생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빛이 비치는 창가에 장치한 후 일정 시간 두었다. 것은?

<보기>
구구 : (가)에서 낮에 풀은 광합성 작용을 활발하게 하기
때문에 증산 작용을 한다는 다다의 생각은 잘못된 것
입니다.
나나 : 다다가 ㉠처럼 생각한 이유는 낮에 광합성이 활발
하면 증산 작용도 활발하고, 물이 빠져나가면서 주변
의 열을 빼앗기 때문입니다.
로로 : 낮에 산책하는 비비보다 밤에 산책하는 다다가 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소 농도가 높은 공기를 더 많이 마실 수 있습니다.
시험관 A 는 파란색으로 산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구구 나나
있다.
구구, 나나 나나, 로로
시험관 B 는 시험관 C 와 동일한 액성을 띤다.
구구, 로로
시험관 B 는 파란색으로 광합성에는 빛이 필요하다.
시험관 C 에 금붕어 대신에 싹튼 콩을 넣어줘도 파란색
으로 나타난다.
BTB 용액 대신 석회수와 반응하였을 때 뿌옇게 흐려지
는 시험관은 A 와 C 이다. 26.
zb2 6 ) BTB 용액과 식물의 기체교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BTB 용액은 산소의 농도가 높을 때 파란색으로 변한


다.
BTB 용액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을 때 노란색으로
변한다.
식물은 빛이 없을 때 광합성을 하지 않고 호흡만 하므
로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식물은 강한 빛 아래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양이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양보다 많다.
식물은 약한 빛 아래에서 기체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것
이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양이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양과 같은 것이다.

25.
zb2 5 ) 아래 그림을 보고 자신의 의견을 발표한 것이다.

27.
zb2 7 )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잎에 저장된 녹말은 물에 녹지 않는다.


밤이 되면 녹말은 설탕으로 전환되어 이동한다.
설탕은 물관을 통하여 식물체의 각 부분으로 이동한다.
식물은 이렇게 이동된 양분을 생명유지에 필요한 양분
으로 사용한다.
식물체는 광합성으로 만든 양분을 식물체를 구성 하는
성분으로 사용한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7 -
2022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고난도] 4.식물과 에너지

28.
zb2 8 ) 다음 글은 열대야가 과일의 당도에 미치는 영향 30.
zb3 0 )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을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으로 설명한 것이다.
<보기>
식물은 광합성으로 양분을 만들어 열매, 뿌리, 줄기 등 물질㉠은 동물의 호흡계에 의해 배출되는 물질이다.
에 저장한다. 과일에는 단맛을 내는 포도당, 과당 등이
물질㉡은 식물의 잎에서 증산작용을 통해 기공으로 빠
포함되어 있다. 과일의 당 함량은 과일 맛을 결정하는 주
져나가는 물질이다.
요 요인으로 당도로 나타낸다.
물질㉣은 감자의 줄기에서 많이 발견되는 물질이다.
여름에 폭염이 지속되면 사람도 불편함을 느끼지만 농
물질㉣은 물질㉢이 모여 만들어진 물질이다.
작물도 큰 피해를 입는다. 한낮은 물론 새벽까지 고온이
물질㉠은 호흡의 재료이다.
이어지는 날씨를 열대야라고 한다.
물질㉡은 호흡의 재료이다.
야간 고온 현상인 열대야가 계속되면 식물은 호흡 활동
물질㉢은 식물이 스스로 만들어내지만 동물은 스스로
이 더욱 활발해져 저장되어 있던 양분을 더 소비한다. 따
만들어 내지 못한다.
라서 저장되어 있던 당의 양이 감소하여 과일의 당도가
떨어지게 된다. 물질㉣은 식물에서 체관을 통해 이동하는 물질이며, 저
장기관에서 녹말로 전환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물질㉠과 물질㉡은 식물에서 낮에 주로 생성되어 밤에
기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이다.
<보기>
ㄱ. 밤에 기온이 높으면 과일 나무에서 호흡량이 많아진
다.
ㄴ. 여름철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클수록 과일의 당도가 높
아진다.
ㄷ. 여름철 낮에 맑고 밤에 온도가 낮을 때보다 낮에 맑
고 밤에 온도가 높을 때 과일의 당도가 더 높다.
ㄱ ㄴ
ㄱ, ㄴ ㄱ, ㄷ
ㄱ, ㄴ, ㄷ

29.
zb2 9 ) <보기>는 식물의 광합성 산물 형태를 기호로 나
타낸 것이다.

<보기>
㉠설탕 ㉡엿당 ㉢포도당 ㉣단백질 ㉤녹말
고구마의 경우 광합성 산물이 생성 및 저장되는 형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
㉠→㉡→㉢→㉤
㉢→㉤→㉠→㉡
㉢→㉤→㉠→㉣
㉢→㉤→㉠→㉤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8 -
2022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고난도] 4.식물과 에너지

4)B시험관에서는 광합성이 일어나 산소가 발생하


므로 물 높이가 낮아진다. 5)광합성 결과 발생하
는 기체인 산소는 다른 물질이 타는 것을 돕는
1) [정답] 기체이므로 불을 갖다 대면 더 잘 잘 타오르게
[해설] 1)A는 물로 뿌리에서 흡수하고 B는 이산화탄 된다.
소로 기공에서 흡수한다. 2)C는 포도당이다. 아이
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과 반응하는 물질은 6) [정답]
녹말이다. 3)D는 녹말이다. 4)E는 산소로 다른 [해설] 1)(가)는 빛을 차단하여 광합성 작용을 막기 위
생물의 호흡에 이용된다. 5)광합성 결과 만들어진 한 목적이다.
C는 D로 바뀌어 엽록체에 잠시 저장된다. 2)(나)에서 알루미늄박은 빛을 차단하는 목적이
다.
2) [정답] 3)(다)는 엽록체 속의 엽록소를 제거하는 탈색 과
[해설] A는 엽록체로 광합성이 일어나는 장소이고 엽 정으로 탈색 후 투명하게 보인다.
록소가 들어 있어 초록색으로 보인다. 엽록체가 4)(라)에서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은 엽
많을수록 광합성이 활발하고 엽록소는 초록색을 록체 속에 들어있는 녹말을 검출하기 위한 시약
반사하기 때문에 초록색으로 보이는 것이므로 초 이다.
록색 빛은 광합성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 5)(라) 과정 결과 ㉠의 엽록체에는 광합성이 일어
을 알 수 있다. 2)엽록체는 식물 세포에만 있다. 나 녹말이 생성되었으므로 청람색, ㉡의 엽록체에
는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 갈색으로 보인다.
3) [정답] (1) 잎에 만들어져 있던 양분(녹말)을 제거
하기 위해서이다. 7) [정답]
(2) A, 엽록소를 제거하기 위해 에탄올을 사용하 [해설] 1)시험관 A의 검정말은 광합성을 하면서 이산
고, 에탄올은 불이 붙기 쉽기 때문에 물중탕을 화탄소를 흡수하므로 BTB용액이 파란색으로 변
한다. 하고 B와 C는 변하지 않는다. 2)이 실험을 통해
(3) ㉠, 청람색 광합성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3)시
(4) 광합성은 엽록체에서 일어나고 광합성 산물은 험관 A와 B를 비교하면 광합성에 빛이 필요하다
녹말이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4)광합성에 이산화탄소가 필
[해설] (1)실험 전에 어둠상자에 넣어두면 잎에 이미 요하다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시험관 A와 C를
만들어져 있던 양분인 녹말이 다른 곳으로 이동 비교해야 한다. 5)시험관 B를 알루미늄박으로 감
하여 잎에 양분이 남아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싼 이유는 빛을 차단하여 실험 조건을 변화시킨
(2)잎을 에탄올에 넣고 물중탕하면 엽록소가 제거 것이다. 대조군은 실험 조건에 변화를 주지 않은
되어 아이오딘 반응 결과를 잘 관찰할 수 있으므 시험관 C이다.
로 A에는 에탄올, B에는 물이 들어 있다. 에탄올
은 불이 붙기 쉽기 때문에 물중탕하여 간접적으 8) [정답] (1) B-파란색, C-노란색
로 가열한다. (3)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 (2) 검정말이 호흡보다 광합성을 더 많이 하여 이
은 녹말과 반응하여 청람색이 되며 잎에서 색이 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BTB용액이 염기성
변하는 부분은 햇빛을 받아 광합성이 일어난 부 이 되면서 파란색으로 변한다.
분이므로 ㉠이다. (4)현미경으로 잎을 관찰했을 [해설] BTB용액은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면 산성이 되
때 엽록체가 청람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 어 노란색이 되고 이산화탄소가 적어지면 염기성
으며 이를 통해 광합성은 엽록체에서 일어나고 이 되면서 파란색으로 색이 변한다. 시험관 A는
광합성 결과 녹말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그대로 두었으므로 초록색을 띠고 시험관 B는 검
정말이 빛을 받아 광합성을 하면서 이산화탄소를
4) [정답] 흡수하기 때문에 파란색으로 변하고 시험관 C는
[해설] ㄱ, ㄴ)검정말이 빛을 받아 광합성을 하게 되 알루미늄박에 의해 빛이 차단되어 검정말이 호흡
면 산소를 배출하므로 시험관 윗부분에 기체가 만 하므로 이산화탄소가 증가하여 노란색으로 변
모이게 되어 시험관 속 물의 높이가 점차 낮아진 한다.
다.
9) [정답]
5) [정답] [해설] 1)(가)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나 빛의 세기에 따
[해설] 1)광합성 결과 발생하는 기체는 산소로 물에 른 광합성량을 나타낸 것이다. 2)(가)의 A구간에
잘 녹지 않아 시험관 위쪽에 모인다. 2)광합성은 서는 광합성이 최대로 일어나고 있다. 3)(나)는
빛이 있을 때만 일어난다. 3)A의 검정말은 호흡 온도에 따른 광합성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을 하므로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정 4)(나)의 B구간은 온도가 너무 높아 식물세포 내
시간이 지난 후 A시험관의 물 높이도 낮아진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9 -
2022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고난도] 4.식물과 에너지

에서 광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변성되어 그 활발하게 일어나는 사실을 알 수 없다.


기능을 상실했기 때문에 광합성량이 급격히 감소
14) [정답]
하고 있다. 5)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증가
[해설] 1)식용유는 물의 자연 증발을 막아준다. 2)증
시키면 광합성량은 어느 정도 수준에서 일정해지
산작용은 주로 잎에서 일어나므로 (가)보다 (나)의
거나 오히려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이 더 많이 줄어든다. 3)식물의 잎에서 증산 작
10) [정답] 용이 잘 일어난다. 4)(다)는 비닐봉지에 의해 습
[해설] ㄱ)온도에 따른 광합성량의 그래프에서 강한 도가 점차 높아지고 증산 작용은 습도가 낮을수
빛일 때와 약한 빛일 때 모두 온도가 40℃이상이 록 잘 일어나므로 수면의 높이가 가장 많이 낮아
되면 광합성량이 감소한다. ㄴ)약한 빛에서는 온 지는 것은 (나)이다. 5)증산작용은 식물체 내의
도에 따라 광합성량이 거의 변화 없지만 강한 빛 물이 수증기 형태로 잎의 기공을 통해 빠져나오
에서는 온도에 따라 광합성량이 크게 변한다. 따 는 현상으로 (다)의 비닐봉지 안에 맺힌 물방울은
라서 강한 빛의 경우가 온도의 영향을 더 많이 잎에서 빠져나온 수증기가 액화되면서 비닐봉지
받는다. ㄷ)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른 광합성량 에 달라붙은 것이다.
그래프에서 강한 빛, 중간 정도의 빛, 약한 빛 모
15) [정답]
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광합성량
도 증가하다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더 이상 증 [해설] ㄱ)잎에서의 물 증산량이 12시를 전후로 가장
많으므로 햇빛이 강한 낮에 증산 작용이 활발하
가하지 않고 일정해진다.
다. ㄴ)잎에서의 물 증산량 곡선과 뿌리에서의 물
11) [정답] 흡수량 곡선이 비슷한 형태를 이루므로 잎에서의
[해설] 1)검정말이 광합성을 하면서 산소가 발생한다. 물 증산량이 많을수록 뿌리에서의 물 흡수량도
2)빛의 세기가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많아진다. ㄷ)낮에는 뿌리에서 물을 흡수하는 양
실험이므로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 보다 잎에서의 물 증산량이 더 많아 물이 손실되
다. 3)발생하는 기체의 수가 많을수록 광합성의 지만 밤에는 뿌리에서의 물 흡수량이 잎에서의
양도 많아지는 것이다. 4)탄산수소나트륨은 광합 물 증산량보다 많으므로 낮 동안 손실된 물이 보
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해준다. 5)빛을 밝 충된다.
게 할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다가 일정 수준 이
16) [정답] ,
상에서는 광합성량이 일정해지므로 공기방울의
[해설] 증산작용은 잎의 기공을 통해 물이 수증기 형
수도 증가하다 일정해진다.
태로 빠져나가는 현상이다. 증산작용은 뿌리에서
12) [정답] 흡수한 물을 잎까지 끌어올리는 원동력이며 물이
[해설] ㄱ)광합성량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실 기화할 때 열을 흡수하여 식물체의 온도를 조절
험은 빛의 세기, 이산화탄소의 농도, 온도가 높은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식물체 내의 무기양분이
(라)이다. ㄴ)온도가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농축되고 식물체의 수분량을 조절한다.
보기 위해서는 온도만 다르고 빛의 세기와 이산
17) [정답]
화탄소의 농도는 같아야 하므로 (가)와 (다)를 비
교해야 한다. ㄷ)이산화탄소 농도가 광합성에 미 [해설] 1)A는 표피세포로 엽록체가 없다. 2)이산화탄
소와 산소가 드나드는 통로는 기공(C)이다. 3)B는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의 농
공변세포로 엽록체가 있어 초록색을 띤다. 4)B에
도만 다르고 빛의 세기와 온도는 같아야 하므로
(나)와 (다)를 비교해야 한다. 서 광합성이 일어나면 세포 내 농도가 높아져 삼
투현상에 의해 주위의 물이 B로 들어가 팽압이
13) [정답] 증가하면서 C가 열린다. 5)B는 안쪽 세포벽이 바
[해설] 1)증산 작용은 습도가 낮을 때 잘 일어나므로 깥쪽 세포벽보다 두꺼워 C의 개폐를 조절한다.
줄어든 물의 양은 (가)가 (다)보다 많다.
18) [정답]
2)증산 작용이 일어나는 장소인 잎이 없는 (나)에
[해설] 1)표피세포에는 엽록체가 없다. (A)는 핵이다.
서는 물이 가장 적게 줄어든다.
2)낮에는 주로 기공이 열려있는 (나) 상태가 유지
3)(가)와 (다)를 비교하면 습도가 낮을수록 증산
된다.
작용이 더 활발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3)기공이 열려 있는 (나) 상태일 때 닫혀 있는
4)(가)와 (나)를 통해 증산 작용은 잎에서 일어나
(가)보다 기체교환이 활발하게 일어나 방출하는
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소의 양이 많다.
5)이 실험을 통해서는 증산 작용이 식물의 잎에
4)빛의 세기가 강한 낮에는 (가)에서 기공이 열리
서 일어나며 습도가 낮을수록 활발하게 일어나는
는 (나) 상태로 변한다.
것을 알 수 있고 증산작용이 잎의 뒷면에서 더
5)기공이 열려 있는 상태인 (나)에서 기체 교환이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10 -
2022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고난도] 4.식물과 에너지

활발하게 일어나 광합성량이 증가하여 세포 내에 24) [정답]


녹말이 많이 축적된다. [해설] 1)시험관 A는 파란색으로 광합성에 이산화탄소
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시험관 B와 C
19) [정답]
에서는 호흡이 일어나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아져
[해설] (가)에서 보이는 초록색 물질은 엽록체로 광합
동일한 액성인 산성을 띤다. 3)시험관 B는 알루
성 여부와 상관없이 잎에 들어있어 4번의 A와 B
미늄박에 의해 빛이 차단되어 호흡만 일어나 노
모두에 보인다. (나)에서 보이는 청람색 물질은
란색이 된다. 4)싹튼 콩은 호흡이 활발하기 때문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에 금붕어 대신 싹튼 콩을 넣어줘도 노란색으로
광합성 결과 생성된 양분인 녹말과 반응한 것으
나타난다. 5)이산화탄소는 석회수와 반응하여 뿌
로 광합성 작용이 일어난 5번의 A에 해당한다.
옇게 흐려지므로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는 시험관
(다)에서는 특정 색의 물질이 보이지 않는 것은
B와 C가 석회수와 반응한다.
에탄올에 넣고 물 중탕 후 초록색을 띠는 엽록체
의 엽록소가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이때 광합성을 25) [정답]
하지 않은 5번의 B는 아이오딘-아이오딘 칼륨과 [해설] (가)에서 낮에 풀은 광합성 작용도 활발하지만
반응할 녹말이 없기 때문에 색이 변하지 않게 된 증산 작용도 활발히 일어나므로 다다의 말처럼
다. 증산 작용에 의해 기화열이 흡수되므로 풀의 온
도가 낮아진다. 낮에는 식물의 광합성이 활발하여
20) [정답]
산소 발생량이 많지만 밤에는 식물이 호흡만 하
[해설] 1)광합성 작용이 일어난 A에 향불을 넣었을
기 때문에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하
때 불꽃이 살아나는 것을 통해 광합성 결과 생성 므로 산소 농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낮에 산책하
된 기체는 산소임을 알 수 있다.
는 비비가 밤에 산책하는 다다보다 산소 농도가
2)빛이 없는 B에서는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는다.
높은 공기를 더 마실 수 있다.
3)A에서만 광합성이 일어났다.
4)이 실험을 통해서는 증산작용이 얼마나 일어났 26) [정답]
는지 알 수 없다. [해설] BTB용액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감소할 때 파
5)향불을 통해 산소 발생 여부를 알 수 있다. 란색으로 변하고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을 때
노란색으로 변한다. 산소는 BTB용액의 색 변화에
21) [정답]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식물은 빛이 없을 때는 호
[해설] ㄱ)호흡이 일어날 때 열이 발생하므로 온도가
흡만 하므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고, 빛이 강할
높아질 것이다. ㄴ)호흡 결과 이산화탄소가 발생
때는 광합성량이 호흡량보다 많아지므로 이산화
하므로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질 것이다. ㄷ)콩의
탄소를 흡수하며, 빛이 약할 때는 광합성량과 호
호흡으로 이산화탄소와 열이 발생됨을 알 수 있
흡량이 같아져 기체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다.
보이지만 이산화탄소나 산소의 흡수량과 방출량
이 같은 상태이다.
22) [정답]
[해설] 광합성은 식물의 엽록체에서 빛에너지를 흡수
27) [정답]
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양분을 생성하고 [해설] 광합성 결과 생성된 포도당은 물에 녹지 않는
산소를 배출하는 작용이다. 주로 햇빛이 강한 낮
녹말 형태로 잎에 저장되어 있다가 밤이 되면 설
시간에 일어난다.
탕으로 전환되어 체관을 통하여 식물체의 각 부
호흡은 미토콘드리아 세포에서 산소를 이용하여 분으로 이동한다. 이동한 양분은 생명 활동에 이
양분을 분해하여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
용되고 식물체를 구성하는 성분으로도 사용하며
는 과정으로 항상 일어난다.
남은 양분은 저장되었다가 동물의 먹이로도 이용
된다.
23) [정답] (1)(가)-광합성, (나)-호흡, A-이산화탄소,
B-산소 (2)(가)는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양분에 저
28) [정답]
장하지만 (나)는 양분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방출
[해설] ㄱ)열대야가 계속되면 식물의 호흡 활동이 더
한다.
욱 활발해지므로 밤에 기온이 높으면 과일 나무
[해설] (가)는 물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포도당과
에서 호흡량이 많아진다. ㄴ)여름철 낮과 밤의 온
산소를 만들어내는 광합성작용이고 (나)는 포도당
도차가 크면 밤에 기온이 상대적으로 낮아 호흡
과 산소를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과일의 당도가 높아진다.
호흡이다. (가)는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양분에 저
ㄷ)여름철 낮에 맑고 밤에 온도가 낮을 때가 낮
장하고 (나)는 양분을 분해하여 생명활동에 필요
에 맑고 밤에 온도가 높을 때보다 과일의 당도가
한 에너지를 는다.
더 높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11 -
2022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고난도] 4.식물과 에너지

29) [정답]
[해설] 잎에서 광합성을 하면서 최초로 만들어진 양분
은 포도당(㉢)이고 녹말(㉤) 형태로 잠시 저장되었
다가 밤에 설탕(㉠)으로 전환되어 체관을 통해 이
동한 후 뿌리에서 녹말(㉤) 형태로 저장된 것이
고구마이다.

30) [정답]
[해설] 1)동물의 호흡계에 의해 배출되는 물질은 이산
화탄소(물질 ㉠)로 식물에서는 광합성의 재료로
쓰인다. 2)증산작용을 통해 기공으로 빠져나가는
물질은 물(물질 ㉡)이며 식물에서 광합성의 재료
로 쓰인다. 3)감자의 줄기에서 많이 발견되는 물
질은 녹말(물질 ㉣)로 포도당(물질 ㉢)이 모여 만
들어진 물질이다. 녹말은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만들지만 동물은 만들지 못한다. 4)식물에
서 체관을 통해 이동하는 물질은 설탕이다. 5)식
물에서 낮에 주로 생성되는 물질은 포도당과 산
소이고 밤에는 식물이 호흡만 하기 때문에 기공
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은 이산화탄소이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1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