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13-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0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

IT CookBook, 기초 회로이론(개정판)

학습목표

Ø 푸리에변환(FT)과 라플라스변환(LT)의 정의 및 상호관계 이해

Ø 라플라스 변환의 성질 이해

Ø 라플라스 변환의 역변환 방법 중 부분분수확장 기법 이해

Ø 라플라스 변환 회로를 이용한 완전응답 계산 방법 이해

2/50

1
목차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13.3 라플라스 역변환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3/50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q 크기함수와 위상각함수
• 주파수 영역 함수 F (jω)를 그 특성을 살피기 위해
크기함수 |F (jω)|와 위상각함수 ∠F (jω)인 특성함수로 나눈다.

q 주파수응답(Frequency Response)
• 크기함수 |F (jω)|와 위상각함수 ∠F ( jω)를 합쳐서 주파수응답이라고 한다.

q 푸리에 변환(FT)
• 시간함수 f (t )를 주파수 영역 함수 F (jω)로 변환하여 주파수응답 계산을 할
수 있게 하는 변환
• 임의의 함수를 시간 영역(t )에서 주파수 영역(ω = 2πf )으로 매핑하는 변환

4/50

2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q 주파수응답의 예
• 정현파 함수 f (t ) = Fmcos(ωt + θ ) = 실수항[Fme j (ωt + θ )]의 주파수응답

• 정현파 함수 f (t )의 파형

5/50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q 라플라스 변환함수의 예
• 시간함수 g (t )가 g (t ) = Fmeσtcos(ωt + θ )라면

• 즉, 주파수영역이 아닌 s-영역(복소수영역)으로의 변환 (라플라스변환)

6/50

3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 시간함수 g (t )의 파형

7/50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q 라플라스 변환
• g (t )는 단순주파수 영역이 아닌 새로운 s = σ + jω 영역으로 변환,
즉, 단순 G 함수로 변환이 가능

• 시간영역에서 s 영역으로 변환되는 것

• 따라서 복잡한 형태의 함수도 s 영역에서 단순 함수 G (s )로 변환이 가능

8/50

4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q 라플라스 변환 가능한 다양한 함수

9/50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한 회로해석은 DC 입력, AC 입력, 임의의 지수함수


입력 모두를 일반화하여 해석 가능

q [참고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의 관계


• 푸리에 변환(FT) : 시간함수 f (t )를 주파수 영역 함수 F (jω)로 변환
• 라플라스 변환(LT) : 시간 함수 f (t )를 복소수 s 영역 함수 F (s )로 변환

s는 s = σ + jω이므로 σ =0이면 s = jω 즉, F (s ) = F (jω) 이 된다.

• 푸리에 변환은 σ = 0일 때 라플라스 변환의 특별한 경우라 할 수 있다.

10/50

5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2방향 라플라스 변환

q 1방향 라플라스 변환

• 회로해석에서는 초기시간 t = 0 이전의 함수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1방향 라플라스 변환을 사용. 따라서 t = 0의 초기값이 중요

11/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13.2.1 기본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q 계단함수 Ku (t )

• 위 정의에 의하여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12/50

6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임펄스함수 Kδ(t )

•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에 의하여 F (s )는 다음과 같다.

13/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13.2.2 함수적 변환에 유용한 라플라스 변환


q f (t ) = e-atu (t )

• f (t )함수를 u (t )에 지수함수 e-at 를 곱한 것으로 생각하면


F (s )는 기본함수의 F (s ) 중 s 대신에 s + a를 대입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14/50

7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f (t ) = sinωt

q f (t ) = cosωt

15/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라플라스 변환 함수 표

16/50

8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13.2.3 연산 변환
q 선형연산
• 라플라스 변환은 선형변환이므로 다음과 같은 선형성을 보장받는다.

• £[ f1(t )] = F1(s ), £[ f2(t )] = F2(s )일 때


£[K1 f1(t ) + K2 f2(t )] = K1F1(s ) + K2F2(s )가 된다.

• 시간함수의 합으로 이루어진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은 각각의 시간함수를


라플라스 변환한 함수의 단순합으로 계산 가능
(즉, 중첩의 원리가 적용)

17/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예제 13-1
q 라플라스 변환의 중첩의 원리
[그림 13-6]과 같은 시간함수 f (t )가 주어졌을 때 이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함수 F (s )를 중첩의 원리에 의하여 구하라.

f (t ) = 5tu (t ) - 5(t - 2)u (t - 2) - 5(t - 6)u (t - 6) + 5(t - 8)u (t - 8)


= 5[ f1 (t ) - f 2 (t ) - f 3 (t ) + f 4 (t )]

Þ F ( s ) = 5[F1 ( s ) - F2 ( s ) - F3 ( s ) + F4 ( s )]
18/50

9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미분
• 임의의 함수 f (t )의 미분함수에 라플라스 변환을 취하면

공식: ò u ¢vdx = uv - ò uv¢dx

• 2차 미분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려고 새로운 함수 g (t )를


식 (13.10)으로 정의하면 식 (13.9)에 의해서 식 (13.11)이 된다.

19/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 식 (13.10)의 양변을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 위 식에 라플라스 변환을 취하면 식 (13.12)가 된다.

• 따라서 일반적으로 고차 미분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은 다음과 같다.

20/50

1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적분

공식: ò u ¢vdx = uv - ò uv¢dx

• 단, 부분적분 이다.

21/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시간 영역에서 변이
• 시간 영역에서 a 만큼 오른쪽으로 움직인 함수는
s 영역에서 지수함수 e-as를 곱한 것과 같다.

예제 13-2
이 주어졌을 때, 의 값을 구하라.

1
L((t - a )u (t - a )) = e - as F ( s ) = e - as
s2

22/50

11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s 영역에서 변이
• 시간함수에 지수함수 e-at를 곱한 것은
s 영역에서 F (s )가 왼쪽으로 a만큼 이동한 것과 같다.

q [참고 13-2] 시간 영역 혹은 s 영역에서 변이

23/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예제 13-3
q 시간 영역에서 변이
[그림13-6]에서 얻은 f (t ) = 5[tu (t ) - (t - 2)u (t - 2) - (t - 6)u (t - 6) +
(t - 8)u (t - 8)]의 라플라스변환을 구하라.
f (t ) = 5tu (t ) - 5(t - 2)u (t - 2) - 5(t - 6)u (t - 6) + 5(t - 8)u (t - 8)
= 5[ f1 (t ) - f 2 (t ) - f 3 (t ) + f 4 (t )]

[
Þ F ( s ) = 5 F1 ( s ) - e -2 s F1 ( s ) - e -6 s F1 ( s ) + e -8 s F1 ( s ) ]
é 1 e -2 s e -6 s e -8 s ù
\ F ( s ) = 5ê 2 - 2 - 2 + 2 ú
ës s s s û

24/50

12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크기변환

예제 13-4

로 주어졌을 때, 값을 구하라.

1 s 1 æ s /w ö s
L(cos wt ) = F ( ) = çç 2
÷÷ = 2
w w w è (s / w ) + 1 ø s + w 2

25/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q 라플라스 변환 회로에서 최종응답


• s 영역 함수를 역변환하여 시간함수로 만들어야 완전응답을 구할 수 있다.

• DC 입력전원에 의한 v (t )를 구해보자.

• 인덕터의 초기전류 iL(0+) = 0, 커패시터의 초기전압 vc(0+) = 0일 때,


KCL에 의한 v (t )에 대한 미분방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26/50

13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 여기에 라플라스 변환을 취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온다.

• 위와 같은 수식 계산도 있지만, 주어진 회로를 직접 라플라스 변환 회로로


변환한 후에 단순회로해석으로 얻을 수도 있다.

• 즉 DC 전원은 IDC/s, R은 그냥 R, L은 sL, C는 1/sC 로 대체하여 얻을 수 있다.

27/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 V(s )의 값은 다음과 같다.

• 즉, 최종응답 v (t )를 얻으려면 V(s ) 함수를 라플라스 역변환하여야 한다.

13.3.1 라플라스 역변환의 정의

28/50

14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13.3.2 부분분수확장 기법

• F (s )를 작은 단위의 부분 분수꼴로 나누어서 기본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공식에 따라 역변환을 취하는 방법
• F (s )의 분모함수를 0으로 만드는 근(pole)이 어떠한 형태를 갖느냐에 따라
계산을 달리한다.

29/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1) 실수 및 단독근
• 분모를 0으로 하는 특성방정식의 근이 모두 실근이고 단독근일 경우,
복소수의 잉여정리에 의하여 Ki 상수 값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예제 13-5

q 실수 및 단독근의 경우

의 라플라스 역변환을 부분분수확장 기법을 이용해


구하시오.

96( s + 5)( s + 12) K1 K 2 K


F (s) = = + + 3
s ( s + 8)( s + 6) s s +8 s +6

30/50

15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96( s + 5)( s + 12) K1 K 2 K


F (s) = = + + 3
s ( s + 8)( s + 6) s s +8 s +6

96( s + 5)( s + 12) 96 ´ 5 ´ 12


K1 = sF ( s ) s =0 = = = 120
( s + 8)( s + 6) s =0 8´ 6
96( s + 5)( s + 12) 96 ´ (-3) ´ 4
K 2 = ( s + 8) F ( s ) s = -8 = = = -72
s ( s + 6) s = -8
- 8 ´ (-2)
96( s + 5)( s + 12) 96 ´ (-1) ´ 6
K 3 = ( s + 6) F ( s ) s = -6 = = = 48
s ( s + 8) s = -6
- 6´ 2

K1 K 2 K 120 72 48
Þ F (s) = + + 3 = - +
s s +8 s +6 s s +8 s +6

[ ]
\ f (t ) = 120u (t ) - 72e -8t u (t ) + 48e -6t u (t ) = 120 - 72e -8t + 48e -6t u (t )

31/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2) 복소근 및 단독근
• 분모를 0으로 하는 특성방정식의 근이 복소근이고 단독근일 경우,
잉여정리에 의하여 Ki 상수 값을 구할 수 있다.
(단, 복소근의 경우에는 반드시 서로 복소켤레인 또 다른 근이 존재)

예제 13-6 x 2 + 2bx + c = 0 Þ x = -b ± b 2 - 4ac


= -3 ± - 16
q 복소근 및 단독근의 경우

의 라플라스 역변환을 구하시오. (부분분수확장)

100( s + 3) K K2 K 2*
F (s) = 2
= 1 + +
( s + 6)( s + 6 s + 25) s + 6 s + 3 - j 4 s + 3 + j 4
32/50

16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100( s + 3) K1 K2 K 2*
F (s) = = + +
( s + 6)( s 2 + 6 s + 25) s + 6 s + 3 - j 4 s + 3 + j 4

100( s + 3) - 300
K1 = ( s + 6) F ( s ) s = -6 = = = -12
( s 2 + 6 s + 25) s = -6 25
100( j 4) 50
K 2 = ( s + 3 - j 4) F ( s ) s = -3+ j 4 = = = 10Ð - 53.13o
(3 + j 4)( j8) s = -3+ j 4 3 + j 4
100(- j 4) 50
K 2* = ( s + 3 + j 4) F ( s ) s = -3- j 4 = = = 10Ð53.13o
(3 - j 4)(- j8) s = -3+ j 4 3 - j 4

- 12 10Ð - 53.13o 10Ð53.13o


Þ F (s) = + +
s+6 s + 3 - j4 s + 3 + j4

[ ]
\ f (t ) = - 12e -6t + 10e - j 53.13e - (3- j 4 )t + 10e j 53.13e - (3+ j 4 )t u (t )
= [- 12e -6t
+ 20e - 3t o
]
cos(4t - 53.13 ) u (t )

33/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3) 실수 및 중근
• 분모를 0으로 하는 특성방정식의 근이 실근이면서 중근일 경우,
복소수의 잉여정리에 의하여 Ki 상수 값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예제 13-7

q 실수 및 중근의 경우

의 라플라스 역변환을 구하라.

34/50

17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180( s + 30) K K K 3, 2 K
F (s) = 2
= 1+ 2 + 2
+ 3,1
s ( s + 5)( s + 3) s s + 5 ( s + 3) s+3

180( s + 30) 180 ´ 30


K1 = sF ( s ) s =0 = = = 120
( s + 5)( s + 3) 2 s =0
5´ 9
180( s + 30) 180 ´ 25
K 2 = ( s + 5) F ( s ) s = -5 = 2
= = -225
s ( s + 3) s = -5 - 5´ 4
180( s + 30) 180 ´ 27
K 3, 2 = ( s + 3) 2 F ( s ) = = = -810
s = -3 s ( s + 5) s = -3 - 3´ 2
d s ( s + 5) - ( s + 30)(2 s + 5) - 6 + 27
K 3,1 =
ds
[
( s + 3) 2 F ( s ) ] = 180 2
s ( s + 5) 2
= 180
9´ 4
= 105
s = -3 s = -3

120 225 810 105


Þ F (s) = - - 2
+
s s + 5 ( s + 3) s+3

[
\ f (t ) = 120 - 225e -5t - 810te -3t + 105e -3t u (t ) ]
35/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4) 복소근 및 중근
• 분모를 0으로 하는 특성방정식의 근이 복소근이면서 중근일 경우,
Ki 상수 값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복소근의 경우, 반드시 서로 복소켤레인 또 다른 근이 존재)

36/50

18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예제 13-8
q 복소근 및 중근의 경우

의 라플라스 역변환을 구하라.

768 768
F (s) = 2 2
=
( s + 6 s + 25) ( s + 3 - j 4) 2 ( s + 3 + j 4) 2
K1, 2 K1,1 K1*, 2 K1*,1
= + + +
( s + 3 - j 4) 2 s + 3 - j4 ( s + 3 + j 4) 2 s + 3 + j4

768
K1, 2 = ( s + 3 - j 4) 2 F ( s ) = = -12
s = -3+ j 4 ( j8) 2 s = -3+ j 4

768
( )
K 2,1 = K 1*, 2 = ( s + 3 + j 4) 2 F ( s )
s = -3- j 4
=
(- j8) 2
= -12
s = -3- j 4

37/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d d é 768 ù
K1,1 =
ds
[
( s + 3 - j 4) 2 F ( s ) ] = ê 2ú
ds ë ( s + 3 + j 4) û s = -3+ j 4
s = -3+ j 4

- 768 ´ 2( s + 3 + j 4) j16
= 4
= -768 4
= - j 3 = 3Ð - 90o
( s + 3 + j 4) s = -3+ j 4
( j8)

d
(
K 2,1 = K1*,1 = ) ds
[
( s + 3 + j 4) 2 F ( s ) ] = j 3 = 3Ð90o
s = -3- j 4

*
K1, 2 K 1, 2 K1,1 K1*,1
F (s) = + + +
( s + 3 - j 4) 2 ( s + 3 + j 4) 2 s + 3 - j4 s + 3 + j4
o
é - 12 - 12 ù é 3Ð - 90 3Ð90o ù
=ê 2
+ 2ú
+ ê + ú
ë ( s + 3 - j 4) ( s + 3 + j 4) û ë s + 3 - j 4 s + 3 + j 4 û

[
\ f (t ) = - 12te - (3- j 4 )t - 12te - (3+ j 4 )t + 3e - j 90 e - (3- j 4 )t + 3e j 90 e - (3+ j 4 )t u (t ) ]
= [- 12te (e + e ) + 3e (e
-3t j 4t
+e- j 4t -3t j ( 4 t -90 ) - j ( 4 t -90 )
)]u(t )
= [- 24te cos 4t + 6e cos(4t - 90 )]u (t )
-3t -3t o

38/50

19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q [참고 13-4] 복소켤레 중근의 라플라스 역변환

• 일 때 라플라스 역변환은 다음과 같다.

39/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q 라플라스 역변환 표

40/50

20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13.4.1 라플라스 변환 회로
• 회로 내의 R, L, C 소자는 모두 라플라스 변환된 임피던스 값으로 바꾸고,
전원 역시 시간함수를 라플라스 변환 함수 값으로 변환해야 한다.

q 저항
• 저항 R은 전류, 전압과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 여기서 양변에 라플라스 변환을 취하면 식 (13.24)와 같이 된다.

• 라플라스 변환 회로에 있어서 임피던스 값 ZR (s ) = R은 변하지 않는다.

41/50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q 인덕터
• 전압, 전류의 관계식이 v = L (di /dt )일 때, 양변에 라플라스 변환을 취하면

diL
vL = L Þ VL ( s ) = L(sI L ( s ) - iL (0) )
dt
VL ( s ) = sLI L ( s ) - LiL (0)
• 전압, 전류의 관계식으로 iL(t ) = iL(0+) + (1/L)∫t0 vL(τ)dτ을 생각했을 때는

diL 1 t
vL = L Þ iL (t ) = ò vL dt + iL (0)
dt L 0

VL ( s ) iL (0)
I L (s) = +
sL s

42/50

21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VL ( s ) iL (0)
VL ( s ) = sLI L ( s ) - LiL (0) I L (s) = +
sL s

• 임피던스 값 ZL (s ) = sL을 가지고 직렬연결된 LiL (0+)의 전압전원 혹은


병렬연결된 iL (0+)/s 값의 전류전원을 첨가하는 것으로 표시

43/50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q 커패시터
• 커패시터는 전압, 전류의 관계식으로 다음 두 식을 생각할 수 있다.

dvC 1 t
iC = C Þ vC (t ) = ò iC dt + vC (0)
dt C 0

• 위 두 식에 각각 라플라스 변환을 취하면,

I C ( s ) vC (0)
VC ( s ) = +
sC s
I C ( s ) = sCVC ( s ) - CvC (0)

44/50

22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I C ( s ) vC (0) I C ( s ) = sCVC ( s ) - CvC (0)


VC ( s ) = +
sC s

• 임피던스 값 Zc(s) = 1/sC을 직렬연결된 vc(0+)/s 값의 전압전원 혹은


병렬연결된 Cvc(0+) 값의 전류전원을 첨가하는 것으로 표시

45/50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q V (s)와 I (s)의 범위
• 라플라스 변환된 변수는 단순히 소자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부가된 전압전원 혹은 전류전원을 함께 포함한 것이라는 것에 유의

46/50

23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예제 13-9
q 라플라스 변환 회로
[그림 13-12] 표준 RLC 직렬회로에서 전류 i (t )를 구할 수 있는
라플라스 변환 식 I (s)를 구하라.
1 t di
vs (t ) = ò idt + vC (0) + L + Ri
C 0 dt
I ( s ) vC (0)
Vs ( s ) = + + sLI ( s ) - Li (0) + RI ( s )
sC s
vC (0)
- Li (0)
Vs ( s )
I (s) = - s
æ 1 ö æ 1 ö
ç + Ls + R ÷ ç + Ls + R ÷
è Cs ø è Cs ø
정상상태응답 과도응답
47/50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vC (0)
- Li (0)
Vs ( s ) s
I (s) = -
æ 1 ö æ 1 ö
ç + Ls + R ÷ ç + Ls + R ÷
è Cs ø è Cs ø
48/50

24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q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 라플라스 변환 회로를 그려서 분석하여 완전응답을 얻는 방법

q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의 순서
① t < 0일 때의 회로에서 t = 0일 때의 vc(0+), iL(0+)를 계산한다.
② t > 0일 때의 회로에서 라플라스 변환된 회로를 만든다.
③ 마치 저항회로와 같이 회로를 분석하여 출력응답 Y(s)를 구한다.
④ £-1을 구하여 y(t )를 구한다.

49/50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예제 13-10
q 표준 RLC 회로의 해석
[그림 13-14] 표준 RLC 병렬회로에서 인덕터에 흐르는 iL(t )의 완전응답을
찾아라. 모든 초깃값은 0으로 가정하고 R = 625Ω, L = 25mH, C = 25 nF, is
= Imcosωt 이다. (단, Im = 24mA, ω = 40000)

is (t ) = I m cos wt
sI m
Þ I (s) =
s +w2
2

50/50

25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sI m 1
Vs ( s ) = 22
´
s +w 1 1
+ + sC
R sL
sI 1
= 2 m 2´
s +w Cæ 2 1 1 ö
çs + s+ ÷
Im sè RC LC ø
s 384 ´105 s
V (s) LC
\ I L (s) = = = 2
1 ö (s + 16 ´10 )(s + 64000s + 16 ´10 )
8 2 8
sL æ 1
(
s2 + w 2 ç s2 +
RC
s+ ) ÷
LC ø
è
*
K1 K1 K2 K 2*
= + + +
s - j 40000 s + j 40000 s + 32000 - j 24000 s + 32000 + j 24000
부분분수확장 Þ K1 = 7.5Ð - 90o , K 2 = 12.5Ð90o

( ) ( )
f (t ) = [7.5 e j ( 4000t -90 ) + e - j ( 4000t -90 ) + 12.5e -32000t e j ( 24000t +90 ) + e - j ( 24000t +90 ) ]u (t )

= [15 cos(4000t - 90) + 25e -32000t cos(24000t + 90)]u (t )


= [15 sin 4000t - 25e -32000t sin 24000t ]u (t )
51/50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예제 13-11
q 복잡한 형태의 RL 회로해석
[그림 13-16] 회로에서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으로 i2(t )의 완전응답을
구하라.

t<0 t>0

52/50

26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 t>0일 때 등가회로는 다음과 같다. 이때 인덕터 전류 iL(0)는 DC 성분이며,


정상상태에서는 인덕터를 단락회로로 볼 수 있다.

3 // 6 2
V = 36 ´ = 36 ´ = 24[V]
1 + 3 // 6 1+ 2

V V
iL (0) = = 8[A] , i2 (0) = = 4[A]
3 6

• t>0일 때 초기값을 이용해 회로를 라플라스 변환하고 KVL을 적용

12
= 2 I1 + 3(I1 - I 2 )
s
- 16 = 3(I 2 - I1 ) + 2 sI 2 + 6 I 2

53/50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12 3 12
= 2 I1 + 3(I1 - I 2 ) Þ I 2 + = I1
s 5 5s
9 36
- 16 = 3(I 2 - I1 ) + 2 sI 2 + 6 I 2 = 9 I 2 + 2 sI 2 - I 2 -
5 5s
- 80 s + 36 = 36 sI 2 + 10 s 2 I 2 = 10 s ( s + 3.6) I 2

- 8s + 3.6 K1 K2 1 9
I2 = = + = -
s ( s + 3.6) s s + 3.6 s s + 3.6

- 8s + 3.6 28.8 + 3.6


K2 = = = -9
s s = -3.6 - 3.6

\ i2 (t ) = u (t ) - 9e -3.6t u (t )
정상상태응답 과도응답
54/50

27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예제 13-12
q 결합 인덕터회로의 라플라스 변환 해석
[그림 13-20] 회로에서 라플라스 변환 해석으로 출력 i2(t )의 완전응답을
구하라. 단, 인덕터의 초깃값은 0이다.

55/50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1
I1 + 2 sI1 - sI 2 =
s
3sI 2 + I 2 - sI1 = 0

é(1 + 2 s ) - s ù é I1 ù é1 s ù
=
ê -s
ë (1 + 3s )úû êë I 2 úû êë 0 úû
(1 + 2 s ) 1 / s
-s 0 1 1 K1 K1
I2 = = 2
= 2 = +
(1 + 2 s ) -s 5s + 5s + 1 s + s + 0.2 s + 0.73 s + 0.27
-s (1 + 3s )
- 0.435 0.435
I2 = +
s + 0.73 s + 0.27
K1 = (s + 0.73)I 2 s = -0.73
= -0.435
K 2 = (s + 0.27 )I 2 s = -0.27
= 0.435 \ i (t ) = [-0.435e -0.73t + 0.435e -0.27 t ]u (t )
2

56/50

28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q [참고 13-5] 초깃값이 있는 결합 인덕터 회로의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


• 초깃값이 있는 결합 인덕터의 경우는
sM 대신 sM - Mi2(0+)(혹은 Mi1(0+))을 대입하고,
sL1 대신 sL1 - L1i1(0+)을, sL2 대신 sL2 - L2i2(0+)을 대입하여 계산한다.
• [예제13-11]에서 초기값을 대입한 라플라스 변환 회로는 다음과 같다.

57/50

58/50

29
13장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

3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