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품별) 2024 정철 - 사미인곡 (01) (25문제)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2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라) 밤 서리 김의 기러기 우러 녤 제
 연분(緣分)이며 하 모 일이런가
위루(危樓)에 혼자 올나 슈졍념(水晶簾) 거든 마리
나 나 졈어 잇고 님 나 날 괴시니
동산(東山)의 이 나고, ㉢북극(北極)의 별이 뵈니
이 음 이 랑 견졸  노여 업다.
님이신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평(平生)애 원(願)요  녜쟈 얏더니,
쳥광(淸光)을 믜워 내여 봉황누(鳳凰樓)의 븟티고져
늙거야 므 일로 외오 두고 그리고
누(樓) 우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엇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廣寒殿)의 올낫더니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그 더 엇디야 하계(下界)예 려오니

올 저긔 비슨 머리 헛틀언디 삼 년(三年)일쇠
(마) 건곤(乾坤)이 폐(閉塞)야 셜(白雪)이  비친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고

음의 친 실음 텹텹(疊疊)이 혀 이셔
사은니와 새도 긋쳐 잇다
짓니 한숨이오 디니 눈믈이라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인(人生)은 유(有限) 시도 그지업다
옥루(玉樓) 고쳐(高處)야 더옥 닐너 므리
무심(無心) 셰월(歲月)은 물 흐 고야
양츈(陽春)을 부쳐 내여 님 겨신  쏘이고져
㉡염냥(炎凉)이  아라 가  고텨 오니
모쳠(茅簷) 비쵠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듯거니 보거니 늣길 일도 하도 할샤
홍샹(紅裳)을 ⓓ니믜고 슈(翠袖) 반(半)만 거더

일모슈듁(日暮脩竹)의 ⓔ헴가림도 하도 할샤
(나)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혜텨 내니
댜 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창(窓) 밧긔 심근 화(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쳥등(靑燈) 거론 겻 뎐공후(鈿箜篌) 노하두고
득 담(冷淡) 암향(暗香)은 므 일고
의나 님을 보려  밧고 비겨시니
황혼(黃昏)의 이 조차 벼마 빗최니
㉤앙금(鴦衾)도 도 샤 이 밤은 언제 샐고
늣기  반기  님이신가 아니신가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
(바) 도 열두   도 셜흔 날
님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져근덧 각 마라 이 시 닛쟈 니

의 쳐 이셔 골슈(骨髓)의 텨시니


(다)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편쟉(扁鵲)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리
ⓐ나위(羅幃) 젹막(寂寞)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쟉(孔雀)을 둘러 두니
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곳나모 가지마다 간  죡죡 안니다가
원앙금(鴛鴦錦)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텨 내여
향 므든 애로 님의 오 올므리라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
슈품(手品)은니와 졔도(制度)도 시고
- 정철, ‘사미인곡’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산(山)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쳔리만리(千里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 1 -
1. zb 1) <보기>를 참고하여 윗글을 감상한 것으로 적절하 4. zb 4 ) ⓐ~ⓔ의 의미를 잘못 이해한 것을 모두 고르면?
지 않은 것은? (정답 2개)

<보기> ⓐ : 텅 빈 주위 ⓑ : 재어서
「사미인곡」은 작가 정철이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에서 ⓒ : 대낮같이 ⓓ : 걸치고
은거할 때 지은 작품으로 충성스러운 신하가 임금을 사모 ⓔ : 햇빛 가릴 일
하는 노래다. 임금을 향한 간절한 그리움을 임에게 버림
받아 자나깨나 임을 그리워하는 여인의 목소리를 빌려 노
래하고 있다.

㉠을 언급한 것도 여성 화자의 근거로 볼 수 있다.


㉡은 예전과 다른 화자의 처지에도 불구하고 계절이 순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환하고 있는 세월의 무심함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가)
㉢은 임금의 안위를 염려하는 마음과 더불어 임금과의
재회를 확신하는 마음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은 임금의 선정이 미치기를 바라는 곳이자 화자가 거  연분(緣分)이며 하 모 일이런가
처하는 곳이라 할 수 있다.
나 나 졈어 잇고 님 나 날 괴시니
㉤은 임금에게 버림받은 신하의 처지를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음 이 랑 견졸  노여 업다.

㉡평(平生)에 원(願)요  녜쟈 얏더니,

늙기야 므 일로 외오 두고 그리고

2. zb 2) 윗글에서 계절별 소재와 관련된 화자의 심리로 엊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廣寒殿)의 올낫더니

적절하지 않은 것은? 그 더 엇디야 하계(下界)예 려오니

계절감 드러내는 올 저긔 비슨 머리 헛틀언디 삼 년(三年)일쇠


중심 소재 화자의 심리
시어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고
ⓐ 동풍 화 임에 대한 충정
음의 미친 실음 텁텁(疊疊)이 혀 이셔
ⓑ 녹음 옷 임을 향한 정성
임의 선정에의 짓니 한숨이오 디니 눈믈이라
ⓒ 서리 쳥광
기원
㉢인(人生)은 유(有限) 시도 그지업다
ⓓ 기러기 동산 임의 외로움 염려
무심(無心) 셰월(歲月)은 믈 흐 고야
임에 대한 사랑과
ⓔ 셜 양츈
염려 염냥(炎涼)이  아라 가  고텨 오니

ⓐ ⓑ 듯거니 보거니 늣길 일도 하도 할샤

ⓒ ⓓ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헤텨 내니
ⓔ 창(窓)밧긔 심근 화(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득 담(冷淡) 암향(暗香)은 므 일고

황혼(黃昏)의 이 조차 벼마 빗최니


3. zb 3)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늣기  반기 듯 님이신가 아니신가

공간의 이동에 따라 임과의 거리를 조절하고 있다.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


대조와 설의적 표현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 ㉣님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다.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대화의 형식을 빌려 임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내고 있다.
나위(羅幃) 적막(賊幕)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계절의 변화에 따른 풍경과 그에 대한 아름다움을 표현
하고 있다. 부용(婦容)을 거더 노코 공작(孔雀)을 둘러 두니
우리나라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 문학의 효시(嚆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矢)라고 할 수 있다.

- 2 -
원앙금(鴛鴦衾)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터 내여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나) 우리의 옛 시가 중에는 이른바 충신연주지사(忠臣


戀主之詞), 즉 충성스러운 신하가 임금을 사모하는 노래
㉤슈품(手品)은 니와 졔도(制度)도 시고
로 분류되는 작품들이 있다. 고려 때 정서가 지은 「정과
산호수(珊瑚樹) 지게 우 백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정곡」에서 비롯된 이러한 시가들은 대체로 ⓐ임에게 버림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받아 자나 깨나 임을 그리워하는 여인의 노래라는 형식을
띠었는데, 「사미인곡」도 그중 하나이다. 「사미인곡」은 정
산(山)인가 구름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철이 과열된 붕당 정치로 인해 중앙 정계에서 물러나 전
쳔리(千里) 만리(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라도 창평에 머물던 상황에 지은 것으로 후대에 김춘택의
「별사미인곡」을 비롯한 여러 작품이 이 노래를 모방하기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도 하였다. 그런데 「사미인곡」은 작품 곳곳에서 여성 화
밤 서리 김의 기러기 우러 녈 제 자의 목소리가 일관되게 드러나지 않고 작가의 목소리가
드러나기도 한다. 이는 정철이 특정 어휘를 선택하여 사
위루(危樓)에 혼자 올나 슈정념(水晶簾)을 거든 마리
용함으로써 충신으로서의 자신의 마음을 작품에 드러내고
동산(東山)의 이 나고, 북극(北極)의 별이 뵈니 자 했기 때문이다.
님이신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쳥광(淸光)을 믜여 내여 봉황누(鳳凰樓)의 븟티고져 5. zb 5 ) (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누(樓) 우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상징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과 정


성을 표현하고 있다.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자연물에 감정을 이입하여 임을 향한 화자의 원망을 직
건곤(乾坤)이 폐(閉塞)야 셜(白雪)이  비친 제 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사은니와 새도 긋처 잇다 계절감을 드러내는 시어를 활용하여 계절의 흐름에 따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화자의 과거의 삶과 현재의 삶을 대조하여 화자의 외로
옥루(玉樓) 고쳐(高處)야 더옥 닐너 므리
운 정서를 부각하고 있다.
양츈(陽春)을 부처 내여 님 겨신  쏘이고져
3·4조 또는 4·4조 4음보 연속체 운율과 대구법을 사용
모쳠(茅簷) 비쵠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하여 리듬감을 형성하고 있다.

홍샹(紅裳)을 니믜고 취슈(翠袖) 반(半)만 거더

일모슈듁(日暮脩竹)의 헴가림도 하도 할샤

댜 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6. zb 6 ) (나)를 참고하여 (가)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쳥등(靑燈) 거론 겻 뎐공후(鈿箜篌) 노하두고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에서 임
의나 님을 보려  밧고 비겨시니
금에게 충성심을 드러내고자 하는 화자의 마음을 엿볼
앙금(鴦衾)도 도 샤 이 밤은 언제 샐고 수 있군.
도 열두   도 셜흔 날 ‘산인가 구름인가’로 화자는 자신과 반대되는 세력을 제
시하며, 이로 인해 ‘쳔리(千里) 만리(萬里) 길 뉘라셔
져근덧 각 마라, 이 시 닛쟈 니
자갈고’라며 자신과 임금이 심리적 거리를 멀게 느끼
의 쳐 이셔 골슈(骨髓)의 텨시니 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군.
편쟉(扁鵲)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리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에서 신하로서
임금이 선정을 베풀기를 바라는 화자의 바람이 드러나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있군.
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옥루(玉樓) 고쳐(高處)야 더옥 닐러 므리’에서 전라
곳나모 가지마다 간  죡죡 안니다가 도 창평에서의 괴로운 상황은 말할 필요도 없다는 화자
의 심정이 드러나있군.
향 므틴 애로 님의 오 올므리라.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에서 화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
자는 임을 향한 일편단심을 노래하며 영원히 충성할 것
- 정철, 「사미인곡(思美人曲)」 을 표현하고 있군.

- 3 -
7. zb 7) ㉠~㉤을 이해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 화자는 임과 자신의 관계를 운명적인 것으로 인식 (나)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혜텨 내니


하고 있다. 창(窓) 밧긔 심근 화(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 : 화자는 임과 평생 함께 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
득 담(冷淡) 암향(暗香)은 므 일고
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 : 화자는 빠르게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인생무상을 황혼(黃昏)의 이 조차 벼마 빗최니
깨닫고 이를 통해 시름을 잊고자 하고 있다. 늣기  반기  님이신가 아니신가
㉣ : 임금이 화자를 만나며 반가워할 것이라는 화자의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
확신을 드러내고 있다.
㉡님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 : 화자는 임이 격식에 맞게 옷 입는 예절을 알고 있
다며 찬사를 보내고 있다.
(다)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나위(羅幃) 젹막(寂寞)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쟉(孔雀)을 둘러 두니
8. zb 8)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1) (가)에서 화자가 여인임을 드러내는 소재를 2개만 찾아 원앙금(鴛鴦錦)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텨 내여
쓰시오.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2) 충신연주지사의 작품들이 (나)의 ⓐ와 같은 형식을 택한
이유를 쓰시오. 슈품(手品)은 니와 졔도(制度)도 시고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산(山)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쳔리(千里) 만리(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가)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 연분(緣分)이며 하 모 일이런가 (라) 밤 서리 김의 기러기 우러 녤 제


나 나 졈어 잇고 님 나 날 괴시니 위루(危樓)에 혼자 올나 슈졍념(水晶簾) 거든 마리
이 음 이 랑 견졸  노여 업다 동산(東山)의 이 나고, 북극(北極)의 별이 뵈니
평(平生)애 원(願)요  녜쟈 얏더니 님이신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늙거야 므 일로 외오 두고 그리고 쳥광(淸光)을 믜워 내여 봉황누(鳳凰樓)의 븟티고져
엇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廣寒殿)의 올낫더니 누(樓) 우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그 더 엇디야 하계(下界)예 려오니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올 저긔 비슨 머리 헛틀언디 삼 년(三年)일쇠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고 (마) 건곤(乾坤)이 폐(閉塞)야 셜이  비친 제,


음의 친 실음 텹텹(疊疊)이 혀 이셔 사은니와 새도 긋쳐 잇다.
짓니 한숨이오 디니 눈믈이라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인(人生)은 유(有限) 시도 그지업다 옥루(玉樓) 고쳐(高處)야 더옥 닐너 므리
무심(無心) 셰월(歲月)은 물 흐 고야 ㉣양츈(陽春)을 부쳐 내여 님 겨신  쏘이고져
염냥(炎凉)이  아라 가  고텨 오니 모쳠(茅簷) 비쵠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듯거니 보거니 늣길 일도 하도 할샤 홍샹(紅裳)을 니믜고 슈(翠袖) 반(半)만 거더

- 4 -
일모슈듁(日暮脩竹)의 헴가림도 하도 할샤 10.
zb 1 0) 다음을 참고할 때, 밑줄 친 설명에 해당하는 시어

댜 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가 사용된 것은?

쳥등(靑燈) 거론 겻 뎐공후(鈿箜篌) 노하두고 (라)의 ‘기러기 우러 녈 제’에서 ‘기러기’는 객관적 상관


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객관적 상관물은 화자의 감정
의나 님을 보려  밧고 비겨시니 이나 생각을 주관적으로 바로 드러내지 않고 다른 대상이
앙금(鴦衾)도 도 샤 이 밤은 언제 샐고 나 정황에 빗대어 표현할 때, 그 대상을 가리키는 말입니
다. 객관적 상관물 중에는 감정이입이 아닌 것들이 존재
하는데요, 이는 객관적 상관물이 화자가 어떤 정서를 느
(바) 도 열두   도 셜흔 날 끼게 되는 계기를 제공해 주는 대상을 가리키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자가 느끼는 감정과 같은 감정을
져근덧 각 마라. 이 시 닛쟈 니
갖지 않더라도 그러한 감정을 불러일으킨 것이라면 객관
의 쳐 이셔 골슈(骨髓)의 텨시니 적 상관물로 볼 수 있지요.
편쟉(扁鵲) 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리 산은 길고 길고 물은 멀고 멀고 / 어버이 그리운 뜻은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많고 많고 하고 하고 / 어디서 외기러기는 울고 울고
가느니.
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샤공은 어 가고 븬 만 걸렷고 / 걍텬(江天)의 혼
곳나모 가지마다 간  죡죡 안니다가 자 셔셔 디  구버보니 / 님다히 쇼식(消息)이 더
향 므틴 애로 님의 오 올므리라 옥 아득뎌이고
방(房)안에 혓는 촉(燭)불 눌과 이별(離別)엿관, /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
것츠로 눈물 디고 속 타는 줄 모르는고. / 뎌 촉(燭)불
- 정철, 「사미인곡(思美人曲)」 - 날과 갓트여 속 타는 쥴 모로도다.
조화신공(造化神功)이 물물(物物)마다 헌사롭다. / 수풀
에 우는 새는 춘기(春氣)를 못내 겨워 / 소리마다 교태
로다. / 물아일체(物我一體)어니 흥이야 다를쏘냐.
9. zb 9)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공산리(空山裏) 저 가는 달에 혼자 우는 저 두견(杜鵑)
아 / 낙화광풍(落花狂風)에 어느 가지 의지하리 / 백조
㉠의 ‘그리고’에는 현재의 처지에 대한 불만과 임에
(百鳥)야 한(恨)하지 말아 내 곧 설워 하노라.
대한 분노가 담겨 있다.
㉡의 ‘너기실고’에는 임을 향한 시적 화자의 불확실한
마음에 대한 불안감이 담겨 있다.
㉢의 ‘자갈고’에는 임과의 만남을 성사시킬 수 있다는
시적화자의 확신이 담겨 있다.
㉣의 ‘쏘이고져’에는 임의 평안을 기원하는 시적 화자의
바람이 담겨 있다.
㉤의 ‘노라’에는 다시 임에게 사랑받기를 원하는 시적
화자의 소망이 담겨 있다.

- 5 -
11.
zb 11) 다음을 바탕으로 윗글과 <보기>를 비교하여 감상 12.
zb 1 2) (가)~(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는 작품의 서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임과의 과거
<보기>는 작가가 유배되었을 때 지은 작품으로 귀양살 의 인연과 함께 이별 후 덧없이 흘러가는 시간에 대한
이의 원통함을 천상에서 하계로 추방된 처지에서 천상의 안타까움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어.
옥황에게 호소하는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연군(戀君) (나)~(마)는 작품의 본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동풍(東
의 마음을 표현한 유배 가사의 효시로 보고 이후 「사미인 風)’, ‘녹음(綠陰)’, ‘서리’, 셜(白雪)‘의 시어를 보면
곡(思美人曲)」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보기> (다)의 ‘날은 엇디 기돗던고’와 (마)의 ‘이 밤은 언제 샐


고’를 보면 임이 부재한 가운데 홀로 시간을 보내야 하
천상(天上) 백옥경(白玉京) 십이루(十二樓) 어디매오
는 시적 화자의 쓸쓸한 처지가 드러나 있어.
오색운(五色雲) 깊은 곳에 자청전(紫淸殿)이 가렸으니
(라)의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는 윗글
천문(天門) 구만 리(九萬里)를 꿈이라도 갈동 말동
의 작가를 고려해 보았을 때, 바른 정치를 통해 온 세
차라리 싀어지어 억만(億萬) 번 변화(變化)하여 상을 밝게 비춰주기를 바라는 신하로서의 바람이 담겨
남산(南山) 늦은 봄에 두견(杜鵑)의 넋이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어.
이화(梨花) 가지 위에 밤낮을 못 울거든 (라)의 ‘위루(危樓)’와 (마)의 ‘옥루(玉樓) 고쳐(高處)’는
삼청동리(三淸洞裡)*에 저문 하늘 구름 되어 임이 계신 곳으로, 시적 화자는 ‘쳥광(淸光)’과 ‘모쳠(茅

바람에 흘리 날아 자미궁(紫微宮)에 날아올라 簷) 비쵠 ’를 그곳으로 보냄으로써 임에 대한 변함없


는 마음을 보여주고 있어.
옥황(玉皇) 향안전(香案前)의 지척(咫尺)에 나아 앉아
흉중(胸中)에 쌓인 말씀 쓸커시 사뢰리라
<중략>
백옥(白玉) 같은 이 내 마음 임 위하여 지키더니
장안(長安) 어젯밤에 무서리 섞여 치니
일모수죽(日暮脩竹)에 취수(翠袖)도 냉박(冷薄)할사*
유란(幽蘭)*을 꺾어 쥐고 임 계신데 바라보니
13.
zb 1 3) (가)~(바)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약수(弱水) 가려진데 구름 길이 험하구나
<보기>
- 조위, 「만분가(萬憤歌)」 -
ㄱ. (가)와 (바)는 대구법을 활용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있
* 삼청동리 :신선이 사는 동네 안
다.
* 냉박할사 : 차디차구나
ㄴ. (가)와 (다)는 여성 화자임을 보여줄 수 있는 시어를
* 유란 : 난초, 조선시대 4군자 중의 하나
활용하여 시적 분위기를 형상화하고 있다.
윗글의 ‘구름’과 <보기>의 ‘저문 하늘 구름’은 모두 시
ㄷ. (라)와 (마)는 설의법을 활용하여 화자의 의도를 강조
적 화자와 임금 사이의 장애물을 상징하는군.
하여 드러내고 있다.
윗글의 ‘화(梅花)’, <보기>의 ‘유란(幽蘭)’은 임금에게
ㄹ. (라)와 달리, (나)는 님을 연상하는 자연물을 활용하여
전하고 싶은 자연물로 임금에 대한 충정을 상징하는군.
시적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윗글의 ‘범나븨’, <보기>의 ‘두견(杜鵑)’은 시적 화자의
ㅁ. (마)와 달리, (바)는 감탄사를 활용하여 시적 상황의
분신으로 죽어서라도 이루고 싶은 화자의 소망을 드러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냈군.
ㄱ, ㄴ ㄷ, ㄹ
윗글의 ‘광한뎐(廣寒殿)’, <보기>의 ‘천상(天上) 백옥경
ㄱ, ㄴ, ㅁ ㄷ, ㄹ, ㅁ
(白玉京)’은 임금이 계신 곳을 천상의 세계로 비유적으
로 표현했군. ㄱ, ㄴ, ㄷ, ㅁ

윗글의 ‘쳔리(千里) 만리(萬里)’, <보기>의 ‘구만 리(九


萬里)’는 시적 화자가 느끼는 임금과의 정서적 거리감을
숫자로 표현했군.

- 6 -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위루(危樓)에 혼자 올나 슈정념(水晶簾)을 거든 마리,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동산(東山)의 이 나고 북극(北極)의 별이 뵈니,
 연분(緣分)이며 하 모 일이런가.
님이신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나 나 졈어 잇고 님 나 날 괴시니,
쳥광(淸光)을 믜여 내여 봉황누(鳳凰樓)의 븟티고져.
이 음 이 랑 견졸  노여 업다.
누(樓) 우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평(平生)에 원(願)요  녜쟈 얏더니,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늙기야 므 일로 외오 두고 그리고
건곤(乾坤)이 폐(閉塞)야 셜(白雪)이 비친 제,
엊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廣寒殿)의 올낫더니,
사은니와 새도 긋처 잇다.
그 더 엇디야 하계(下界)예 려오니,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올 저긔 비슨 머리 허틀언디 삼 년(三年)일.
옥루(玉樓) 고쳐(高處)야 더옥 닐너 므리.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고.
양츈(陽春)을 부처 내여 님 겨신  쏘이고져.
음의 미친 실음 텁텁(疊疊)이 혀 이셔,
모쳠(茅簷) 비쵠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짓니 한숨이오 디니 눈믈이라.
홍샹(紅裳)을 니믜고 취슈(翠袖) 반(半)만 거더
인(人生)은 유(有限) 시도 그지업다.
일모슈듁(日暮脩竹)의 혬가림도 하도 할샤.
무심(無心) 셰월(歲月)은 믈 흐 고야.
댜 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염냥(炎涼)이  아라 가  고텨 오니.
쳥등(靑燈) 거론 겻 뎐공후(鈿箜篌) 노하두고
듯거니 보거니 늣길 일도 하도 할샤.
의나 님을 보려  밧고 비겨시니,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헤텨 내니,
앙금(鴦衾)도 도 샤 이 밤은 언제 샐고.
창(窓)밧긔 심근 화(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도 열두   도 셜흔 날
득 담(冷淡) 암향(暗香)은 므 일고.
져근덧 각 마라, 이 시 닛쟈 니,
황혼(黃昏)의 이 조차 벼마 빗최니,
의 쳐 이셔 골슈(骨髓)의 텨시니,
늣기  반기 듯 님이신가 아니신가.
편쟉(扁鵲)이 열히 오다 이병을 엇디리.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님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곳나모 가지마다 간  죡죡 안니다가
나위(羅幃) 적막(賊幕)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향 므틴 애로 님의 오 올므리라.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작(孔雀)을 둘러 두니,
( ㉠ )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 정철, 「사미인곡」
원앙금(鴛鴦衾)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터내여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14. zb 1 4) ㉠의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수품(手品)은 니와 제도(制度)도 시고. 아마도 이 님의 지위로 살동말동 여라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백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


그 밧긔 남은 일이야 삼긴 로 살렷노라.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아모타, 백년행락(百年行樂)이 이만 엇지리.
산(山)인가 구름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이 몸이 이렁 굼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
천리만리(千里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밤 서리 김의 기러기 우러 녈 제,

- 7 -
15.
zb 15) 밑줄 친 ⓐ~ⓓ 행을 현대어로 풀이하시오. 득 담(冷淡) 암향(暗香)은 므 일고

황혼(黃昏)의 이 조차 벼마 빗최니

늣기  반기 듯 님이신가 아니신가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

16.
zb 16) <보기>를 참고하여 위 시를 감상한 것으로 적절 님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하지 않은 것은?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보기>
나위(羅幃) 적막(賊幕)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사대부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한 삶은 임금을 도와 태평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작(孔雀)을 둘러 두니
성대를 구현하는 것이었다. 정철도 이와 같은 삶을 실천
하기 위해 노력하다가 탄핵을 받고 낙향을 했지만 자신의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직분에 대한 꿈을 포기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이 작품이
원앙금(鴛鴦衾)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터 내여
이별의 슬픔을 담으면서도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내
고 있는 것은 임금에게 자신의 충정이 전달되어 이상을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실현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수품(手品)은 니와 제도(制度)도 시고
자신이 임과 ‘ 연분’ 임을 강조한 것은 임금 곁에서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백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직분을 다하고 싶은 마음을 드러낸 것이 아닐까?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임에 대한 자신의 마음이 ‘견졸  노여 업다’고 말한
것은 자신의 충정이 변함없음을 임금에게 전달하고 싶 ㉢산(山)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기 때문이겠군. 쳔리만리(千里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자신의 시름이 ‘골수의 텨’ 있다고 한 것은 임금 곁을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떠난 후의 괴로움이 크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겠
군. 밤 서리 김의 기러기 우러 녤 제
자신이 죽어서 ‘범나븨 되오리라’라고 한 것은 죽어서도 위루(危樓)에 혼자 올나 슈정념(水晶簾)을 거든마리
님에 대한 사랑은 변함이 없을 것이라는 다짐의 표현이
동산(東山)의 이 나고 북극(北極)의 별이 뵈니
라 할 수 있겠군.
머리가 ‘허틀언디 삼년’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임과 이 님인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별한 지 오래 되었으며 이제는 돌아가도 자신의 직분을 쳥광(淸光)을 픠워 내여 봉황누(鳳凰樓)의 븟티고져
다하기 어렵다는 체념적 정서를 간접적으로 표현한 것
누(樓) 우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이겠군.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건곤(乾坤)이 폐(閉塞)야 셜이  비친 제

사은 니와 새도 긋처 잇다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옥누고쳐(玉樓高處)야 더옥 닐너 므리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고 양츈(陽春)을 부처 내여 님 겨신  쏘이고져

㉠음의 친 실음 텹텹(疊疊)이 혀 이셔 모쳠(茅簷) 비쵠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짓니 한숨이오 디니 눈물이라 홍샹(紅裳)을 니믜고 취슈(翠袖) 반(半)만 거더

인(人生)은 유(有限) 시도 그지업다 일모슈듁(日暮脩竹)의 혬가림도 하도 할샤

무심(無心) 셰월(歲月)은 믈 흐 고야 댜 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염냥(炎涼)이  아라 가  고텨 오니 쳥등(靑燈) 거론 겻 뎐공후(鈿箜篌) 노하 두고

듯거니 보거니 늣길 일도 하도 할샤 의나 님을 보려  밧고 비겨시니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헤텨 내니 앙금(鴦衾)도 도 샤 이 밤은 언제 샐고

창(窓)밧긔 심근 화(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 8 -
17.
zb 17) 위 작품 전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산(山)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공간의 이동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고 있다. 쳔리만리(千里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 문학의 전통을 계승하였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다.
밤 ㉤서리 김의 기러기 우러 녤 제
3·4(4·4)조의 4음보 연속체의 형식을 취하는 갈래에 속
한다. 위루(危樓)에 혼자 올나 슈졍념(水晶簾) 거든마리

유교, 불교, 도교를 사상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동산(東山)의 이 나고 ㉥북극(北極)의 별이 뵈니


우리나라 사람의 생각이나 정서를 우리말로 아름답게 님인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표현하여 문학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인 작품이라고
ⓒ쳥광(淸光)을 픠워 내여 봉황누(鳳凰樓)의 븟티고져
할 수 있다.
누(樓) 우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건곤(乾坤)이 ⓓ폐(閉塞)야 셜이  비친 제

18.
zb 18) ㉠~㉤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사은 니와 새도 긋쳐 잇다

㉠ - 추상적 관념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 - 시적 화자가 자화자찬(自畵自讚)하고 있다. 옥누고쳐(玉樓高處)야 더옥 닐너 므리


㉢ - 간신들 사이에 둘러싸여 있는 임금을 걱정하고 있 ⓔ양츈(陽春)을 부쳐 내여 님 겨신  쏘이고져
다.
모쳠(茅簷) 비쵠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 - 임금이 선정(善政)을 베풀어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홍샹(紅裳)을 니믜고 슈(翠袖) 반(半)만 거더

㉤ - 대조적인 의미의 시어를 활용하여 화자의 외로움 일모슈듁(日暮脩竹)의 헴가림도 하도 할샤


을 부각하고 있다.
댜 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쳥등(靑燈) 거론 겻 뎐공후(鈿箜篌) 노하 두고

의나 님을 보려  밧고 비겨시니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앙금(鴦衾)도 도 샤 이 밤은 언제 샐고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혜텨 내니

창(窓) 밧긔 심근 화(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도 열두   도 셜흔 날

득 담(冷淡) 암향(暗香)은 므 일고 져근덧 각 마라 이 시 닛쟈 니

황혼(黃昏)의 이 조차 벼마 빗최니 의 쳐 이셔 골슈(骨髓)의 텨시니

늣기  반기  님이신가 아니신가 편쟉(扁鵲)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리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 ㉰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님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곳나모 가지마다 간  죡죡 안니다가

나위(羅幃) 젹막(寂寞)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향 므틴 애로 님의 오 올므리라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쟉(孔雀)을 둘러 두니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


- 정철, <사미인곡(思美人曲)>에서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원앙금(鴛鴦錦)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텨 내여
19.
zb 1 9) 위의 글에 밑줄 친 ㉥은 문맥상 누구를 의미하는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지 서술하시오.
㉮슈품(手品)은 니와 졔도(制度)도 시고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 9 -
20.
zb 20) 위의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4.
zb 2 4) ㉠~㉤ 중 계절적 배경을 의미하는 시어로 적절하
지 않은 것은?
뛰어난 우리말 구사를 통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보여
주는군. ㉠ ㉡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정 ㉢ ㉣
서의 ‘정과정곡’에도 영향을 주었겠군. ㉤
작품의 마지막 행 첫 음보가 3음절인 것을 보니 정격
가사에 해당하는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임에 대한 시적 화자의 정서를 드
러내고 있군.
시적 화자를 여성으로 설정하여 대상에 대한 애틋하고 25.
zb 2 5) ㉰는 결사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다음 설명 중 적
적절한 감정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군. 절하지 않은 것은?

도 열두   도 셜흔 날 : 화자의 시름의 깊이


를 강조함.
편쟉(扁鵲)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리 : 유명한 의
사가 10명이 와야 병이 고쳐짐을 강조함.
범나븨 : 화자의 분신을 의미함.
21.
zb 21) ⓐ~ⓔ 중 시적 화자의 분신이자 임에 대한 화자
향 므틴 애로 님의 오 올므리라 : 임에 대한 충성
의 사랑을 나타내는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심과 사랑을 의미함.
ⓐ ⓑ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 : 님을
ⓒ ⓓ 향한 일편단심을 의미함.

22.
zb 22) 밑줄 친 ㉮의 표현과 가장 관련 깊은 한자 성어
를 고르면?

자화자찬(自畵自讚) 상전벽해(桑田碧海)
호연지기(浩然之氣) 만시지탄(晩時之歎)
우국지정(憂國之情)

23.
zb 23) 다음 <보기>를 참고하여 밑줄 친 ㉯에 담긴 의미
를 서술하시오.

<보기>
이 작품은 작가가 벼슬을 잃고 고향으로 내려온 뒤에 창
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이 창작의 큰 배경이 된다.

- 10 -
[정답 및 해설] 자를 향한 임의 마음을 확신할 수 없는 불안감이
담겨 있다. 임과의 만남을 성사시킬 수 없다는
1) [정답] 의미이다. 임이 자신을 사랑하지 않더라도 자
[해설] ‘북극의 별’은 임금을 상징하는 것으로, 화자는 신은 임을 따르겠다는 화자의 의지가 드러난다.
별을 보고 임금을 떠올리며 그리워하고 있다. 임
금과의 재회를 확신하는 마음은 드러나지 않는다. 10) [정답]
[해설] ‘빈 ’는 사공 없이 혼자 걸려 있는 대상으로
2) [정답] 임과 헤어진 화자의 처지를 강조하는 객관적 상
[해설] ‘기러기’는 계절을 드러내는 소재가 아니라 화 관물이다. 의 ‘외기러기는 울고 울고’, 의 ‘촉
자의 슬픈 정서가 이입된 자연물로, 감정 이입의 불/ 눈물 디고 속 타는 줄’, 의 ‘수풀에 우는
대상이다. 새는’, 의 ‘백조야 한하지 말아’에는 감정 이입
이 드러난다.
3) [정답]
[해설] 임과의 거리는 달라지지 않는다. 독백체 11) [정답]
이다. 계절의 흐름에 따라 임에 대한 그리움과 [해설] 윗글의 ‘구름’은 화자와 임을 만나지 못하게
정성을 드러낸다. ‘충신연주지사’ 문학의 효시 하는 장애물이지만, <보기>의 ‘구름’은 화자의 마
는 ‘정과정곡’이다. 음을 임에게 전해줄 수 있는 화자의 분신이다.

4) [정답] , 12) [정답]


[해설] ‘나위’는 ‘여인의 방에 둘러친 비단 휘장’이 [해설] 화자가 ‘위루에 혼자 올나’ 달과 별을 보며 임
라는 뜻이다. ‘헴가림’은 ‘여러 가지 생각’이라 을 그리워하는 장면이므로 (라)의 ‘위루’는 화자가
는 뜻이다. 임과 헤어져 머물고 있는 곳이다.

5) [정답] 13) [정답]


[해설] ‘기러기 우러 녈 제’에 드러나는 감정 이입은 [해설] ㄷ. (마)는 ‘더올 닐러 므리’, ‘이 밤은 언
임을 향한 화자의 그리움을 나타내기 위한 표현 제 샐고’에서 설의적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만
으로, 화자는 임에 대한 원망을 드러내지는 않는 (라)에는 설의법이 사용되지 않았다. ㄹ. (나)의
다. ‘황혼의 ’, (라)의 ‘동산의 ’, ‘북극의 별’은 임
을 연상하는 자연물이다.
6) [정답]
[해설] ‘옥루 고쳐’는 임금이 계신 곳으로, 화자는 자 14) [정답]
신이 있는 남쪽도 이렇게 추운데 임이 계시는 곳 [해설] 화자는 살아서 임과 함께 할 수 없다면 차라리
은 말해 무엇하겠느냐고 말하며, 추운 겨울에 임 죽어서 ‘범나비’가 되어 임의 곁으로 가고자 하는
금의 안부를 걱정하고 있다. 소망을 드러낸다. 따라서 임은 화자를 알지 못해
도 화자는 변함없이 임을 따를 것이라는 내용이
7) [정답]
적절하다.
[해설] 화자는 자신의 소원이 임과 함께 있는 것이
었다고 말하고 있다. 화자는 빠르게 흘러가는 15) [정답] ⓐ 평생에 원하되 임과 함께 살아가려 하
시간 속에서 임을 향한 걱정이 그치지 않음을 드 였더니 ⓑ 연지와 분이 있지마는 누구를 위하여
러내고 있다. 임금이 화자를 반가워할지 확신 곱게 단장할까? ⓒ 솜씨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하지 못하는 마음이 드러난다. 임의 옷을 지은 격식도 갖추었구나. ⓓ 깊은 산골을 대낮같이 환
자신의 솜씨와 격식을 자찬하고 있다. 하게 비추소서.
[해설] ⓐ 임과 함께 있고 싶은 소망을 드러낸다. ⓑ
8) [정답] (1) 연지분, 홍샹 (2) 여인이 헤어진 임을
‘연지분’을 통해 화자가 여성임을 알 수 있다. ⓒ
그리워하는 형식을 통해, 신하가 임금을 그리워하
임에 대한 정성과 자신의 재주를 드러내고 있다.
는 마음과 변함없는 충정을 더 간절하고 효과적
ⓓ 임금이 선정을 베풀기를 바라는 신하의 충정
으로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을 드러낸다.
[해설] (1) ‘연지분’은 ‘얼굴을 단장하는 물건’, ‘홍샹’
은 ‘붉은 치마’로 화자가 여성임을 알 수 있게 하 16) [정답]
는 소재이다. (2) 신하가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 [해설] 임과 이별한 지 삼 년이 되었다는 의미로, 임
을 여인이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드러낸 것 에 대한 화자의 그리움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화
이다. 자는 임에 대한 변함 없는 사랑과 그리움을 드러
내고 있으며, 체념적 정서를 보이지는 않는다.
9) [정답]
[해설] 임에 대한 그리움이 드러난다. 시적 화 17) [정답]

- 11 -
[해설] 이 글은 공간의 이동이 아니라 계절의 흐름에 놓쳤음을 안타까워하는 탄식 나라를 걱정하는
따라 시상을 전개한다. 임금을 향한 신하의 충 마음
정을 임을 그리워하는 여성 화자의 목소리를 통
23) [정답] 간신에 둘러싸인 임금을 걱정하는 마음을
해 담아냈다. 이 작품의 갈래는 가사로, ‘연지
분/ 잇마/ 눌 위야/ 고이 고’와 같은 드러내고 있다.
[해설] 시적 화자는 ‘님 계신 곳’이 산과 구름에 가로
3·4조 또는 4·4조의 음수율과 4음보율을 보인다.
막혀 험하다고 말하고 있다. ‘산’과 ‘구름’이 ‘임’
유교: 임금에 대한 충성심, 불교: 죽어서 ‘범나
븨’가 되어 임 곁에 머물려고 하는 것, 도교: 적 과 시적 화자 사이의 장애물을 의미한다. <보기>
에서 작가가 벼슬을 하다가 임금과 떨어져 지냈
강 모티프(화자가 선녀, 임이 옥황상제) 뛰어
음을 고려할 때, 작가는 간신에 둘러싸여 있는
난 우리말 구사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보여 준
다. 임금을 걱정하고 있다

24) [정답]
18) [정답]
[해설] ㉣은 원앙을 수놓은 비단이라는 뜻이므로 계절
[해설] ㉤은 화자가 있는 ‘쇼샹남반’(소상강 남쪽)도
추우니, 임이 계신 ‘옥누고쳐’도 추울 것이라며 적 배경과 관련이 없다. , 동풍이 문득 불어
싸인 눈을 헤쳐 낸다는 문맥상의 의미로 볼 때,
임에 대한 걱정을 드러낸다. 추상적인 대상인
봄이라는 계절적 배경을 드러내고 있다. 여름
시름을 쌓여있다며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시적 화자가 자신의 솜씨를 과시하는 부분이다. 이라는 계절적 배경을 드러내고 있다. 가을이
라는 계절적 배경을 드러내고 있다.
‘산, 구롬’은 간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임금의 선정이 온 세상에 미치기를 바라 25) [정답]
는 마음이 드러나고 있다.
[해설] ‘편작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리’는 편작
과 같은 명의가 열 명이나 온다 한들 자신의 병
19) [정답] 임(임금)을 뜻한다.
을 고칠 수 없다는 뜻으로, 화자의 임에 대한 그
[해설] 화자는 동산에 뜬 달과 북극에 보이는 별을 보
고 임을 떠올리며 그리움의 감정을 드러내고 있 리움이 크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다. ‘’과 ‘별’을 ‘님인가’ 여기고 있는 화자의 모
습과 높은 곳에 떠 있어 흔히 ‘’과 ‘별’이 높은
존재를 상징하는 소재로 쓰이는 것을 종합해 볼
때, ‘동산의 ’과 ‘북극의 별’은 모두 화자가 그
리워하는 임(임금)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0) [정답]
[해설] 이 글은 충신연주지사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정서의 정과정곡에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마
지막 행 첫 음보가 ‘님이야’로 3음보이고, 첫 음
보가 둘째 음보보다 짧은 것은 시조의 형식과 유
사하다. 계절의 변화와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
과 그리움을 드러내고 있다. 충신연주지사는
신하인 화자를 여성으로 설정하여 감정을 효과적
으로 나타내고 있다. ‘오션, 금자, 홍샹’을 통해
여성 화자임을 추측할 수 있다.

21) [정답]
[해설] ⓓ는 생기가 막혔다는 의미로, ‘건곤이 폐’하
였다는 것은 천지가 얼어붙었다는 의미이다. 이를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모두 화자가 임에게 보내고 싶
은 것으로,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을 나타낸다.

22) [정답]
[해설] ㉮는 솜씨는 물론이고 격식도 갖추었다고 하면
서 자신의 솜씨를 스스로 칭찬하는 것이므로 ‘자
화자찬’이 적절하다.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
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시기에 늦어 기회를

- 1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