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7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음운의 변동

한눈에 개념 익히기

핵심 개념 찾으며 공부하기

□ ‘교체, 탈락, 첨가, 축약’의 개념


□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자음군 단순화의 차이
□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는 음성 환경
□ 음운 변동 현상의 각각의 예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1) 제작연월일 : 2021-05-13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
2) 제작자 : 교육지대㈜
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꼼꼼 개념
꼼꼼 개념 정리
정리

01 음운 변동
⦁음운 변동의 개념 ┃음운이 환경에 따라 다른 음운으로 바뀌거나 없어지는 현상
⦁음운 변동의 종류
① 음운의 교체 :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② 음운의 탈락 : 음운이 탈락되어 없어지는 현상
③ 음운의 첨가 : 없던 음운이 새로 생기는 현상
④ 음운의 축약 : 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새로운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

02 교체 ① -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의 끝소리 규칙의 개념 ┃음절의 끝소리(종성)에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일곱 개의 자음만 발음될 수
있다는 규칙 예 부엌[부억], 홑[혿], 숲[숩], 꽃[꼳]

⦁음절의 끝소리 규칙 대표음 정리

종성에 오는 자음 대표음 예

ㄱ, ㄲ, ㅋ ➔ ㄱ ➖ 밖[박]

ㄴ ➔ ㄴ ➖ 눈[눈]

ㄷ, ㅌ, ㅅ, ㅆ, ㅈ, ㅊ, ㅎ ➔ ㄷ ➖ 낮[낟], 꽃[꼳]

ㄹ ➔ ㄹ ➖ 물[물]

ㅁ ➔ ㅁ ➖ 밤[밤]

ㅂ, ㅍ ➔ ㅂ ➖ 입[입], 잎[입]

ㅇ ➔ ㅇ ➖ 용[용]

교체 ② - 비음화
⦁비음화의 개념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ㄴ, ㅁ, ㅇ)의 영향을 받아 비음으로 변하는 현상
예 국물[궁물], 밥물[밤물], 붙는[분는]

⦁비음화의 종류

파열음 + 비음 비음 + 비음 예

비음화 ㄱ, ㄷ, ㅂ(파열음) + ㄴ, ㅁ(비음) ➔ ㅇ, ㄴ, ㅁ(비음) + ㄴ, ㅁ(비음) 먹는[멍는]

비음 + ㄹ(유음) 비음 + 비음 예

ㅁ, ㅇ(비음) + ㄹ(유음) ㅁ, ㅇ(비음) + ㄴ(비음) 종로[종노]


‘ㄹ’의 비음화 ➔
ㄱ, ㅂ(파열음) + ㄹ(유음) ㅇ, ㅁ(비음) + ㄴ(비음) 협력[혐녁]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2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자료 비음화 현상 이해
‘ㅂ, ㄷ, ㄱ’은 비음 앞에서 각각 ‘ㅇ, ㄴ, ㅁ’으로 바뀐다.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 조음 방법은 변하지만 조음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교체 ③ - 유음화

⦁유음화의 개념 ┃‘ㄴ’이 유음 ‘ㄹ’ 앞이나 뒤에서 ‘ㄹ’로 변하는 현상 예 천리[철리]

⦁유음화의 이해

‘ㄴ’과 유음의 만남 유음화 예

ㄹ(유음) + ㄴ
➔ ➖ 칼날[칼랄], 별님[별림]
(순행적 유음화)
ㄹ(유음)+ㄹ(유음)
ㄴ + ㄹ(유음)
➔ ➖ 신라[실라], 권력[궐력]
(역행적 유음화)

MiNi 특강

자음동화
▹하나의 자음이 다른 자음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슷한 성질의 소리나 같은 소리로 바뀌
는 것.
▹서로 영향을 받아 주고받아 두 소리가 모두 변할 수도 있음.
▹비음화와 유음화는 자음동화임.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3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교체 ④ - 구개음화

⦁구개음화의 개념 ┃‘ㄷ, ㅌ’으로 끝나는 형태소가 ‘ㅣ’나 반모음 ‘ㅣ̌


’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
구개음인 ‘ㅈ, ㅊ’으로 변하는 현상
예 굳이[구지], 같이[가치], 해돋이[해도지]

⦁구개음화의 이해
⦁‘굳이’의 발음
ㅣ (또는 반모음 ㅣ)로 구개음화
‘ㄷ’로 끝나는 형태소 ‘ㄷ→ㅈ’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적용 후 발음
‘굳-’의 종성 ‘ㄷ’ + 형식 형태소 ‘이’의 ‘ㅣ’ ➔ [구지]

⦁‘같이’의 발음
ㅣ (또는 반모음 ㅣ)로 구개음화
‘ㅌ’로 끝나는 형태소 ‘ㅌ→ㅊ’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적용 후 발음
‘같-’의 종성 ‘ㅌ’ + 형식 형태소 ‘이’의 ‘ㅣ’ ➔ [가치]

교체 ⑤ - 된소리되기(경음화)

⦁된소리되기의 개념 ┃예사소리(ㄱ, ㄷ, ㅂ, ㅅ, ㅈ)가 앞에 오는 소리의 영향으로 된소리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


예 입술[입쑬], 입고[입꼬], 발전[발쩐], 만날 사람[만날싸람]

⦁된소리되기의 종류
⦁받침 ‘ㄱ, ㄷ, ㅂ’ + 뒤에 오는 ‘ㄱ, ㄷ, ㅂ, ㅅ, ㅈ’
종성 ‘ㄱ’ 뒤의 초성 ‘ㅂ’이 만나 된소리되기
받침(종성) ‘ㄱ’ ‘ㄱ’ 뒤의 ‘ㅂ’
된소리되기 발생 적용 후 발음
‘국’의 받침(종성) ‘ㄱ’ + ‘밥’의 초성 ‘ㅂ’ ➔ [국빱]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로 시작하는 어미


‘ㄴ’으로 끝나는 어간 받침 ‘ㄴ’과 어미 초성 된소리되기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
용언 어간 ‘ㄱ’이 만나 된소리되기 발생 적용 후 발음
‘신-’의 ‘ㄴ’ + 어미 ‘고’의 ‘ㄱ’ ➔ [신꼬]

⦁한자어 받침 ‘ㄹ’ + ‘ㄷ, ㅅ, ㅈ’로 시작하는 한자


한자 종성 ‘ㄹ’과 된소리되기
‘ㄹ’로 끝나는 한자 ‘ㄷ’로 시작하는 한자
초성 ‘ㄷ’이 만나 된소리되기 발생 적용 후 발음
‘갈’의 ‘ㄹ’ + ‘등’의 ‘ㄷ’ ➔ [갈뜽]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로 시작하는 체언


관형사형 어미 ‘-(으)ㄹ’과
된소리되기
관형사형 어미 ‘-(으)ㄹ’ ‘ㄱ’으로 시작하는 체언 뒤에 오는 체언 ‘것’의 ‘ㄱ’이
적용 후 발음
만나 된소리되기 발생

‘먹을’의 ‘-(으)ㄹ’ + ‘것’의 ‘ㄱ’ ➔ [머글껃]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4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03 탈락 ① - 자음군 단순화

⦁자음군 단순화의 개념 ┃음절의 끝(종성, 받침 자리)에 두 개의 자음이 올 때 두 자음 가운데 하나가 탈락하여


소리나는 현상 예 앉다[안따], 닭[닥]

⦁자음군 단순화의 유형

앞의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 예

닭[닥]
ㄺ, ㄻ, ㄿ ➖ ‘ㄺ’중 앞의 자음 ‘ㄹ’이
탈락하여 ‘ㄱ’으로 발음됨

뒤의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 예

값[갑]
ㄳ, ㄵ, ㄼ, ㄽ, ㄾ, ㅄ ➖ ‘ㅄ’ 중 뒤의 자음 ‘ㅅ’이
탈락하여 ‘ㅂ’으로 발음됨

MiNi 특강

‘밟다’의 발음 ‘넓죽하다’, ‘넓둥글다’의 발음


▹종성 ‘ㄼ’은 자음군 단순화에 의해 뒤의 ▹종성 ‘ㄼ’은 자음군 단순화에 의해 뒤의
자음이 탈락하여 ‘ㄹ’로 발음되어야 함. 자음이 탈락하여 ‘ㄹ’로 발음되어야 함.
▹그러나 ‘밟다’는 [밥따]로 발음됨. ▹그러나 ‘넓죽하다, ’넓둥글다‘는 ‘ㄼ’에서
▹‘밟지, 밟는’도 [밥찌], [밥는→밤는]으로 ‘ㄹ’이 탈락하여 [넙쭈카다], [넙뚱글다]로
발음됨. 발음됨.
▹‘넓적다리’도 [넙쩍다리]로 발음됨.

탈락 ② - ‘ㄹ’ 탈락

⦁‘ㄹ’ 탈락의 개념 ┃용언의 활용, 합성어/파생어 형성 과정에서 받침 어간(또는 어근)의 받침 ‘ㄹ’이 탈락하는 음운 현상
예 바늘+질→바느질, 활+살→화살
⦁‘ㄹ’ 탈락의 유형

용언이 활용되는 과정에서 ‘ㄹ’ 탈락 예

둥글-+-ㄴ
➖ 둥근
어간 ‘둥글-’의 받침 ‘ㄹ’이 활용되는 과정에서 탈락

합성어/파생어 형성 과정에서 ‘ㄹ’탈락 예

불+삽
➖ 부삽
어근 ‘불’의 받침 ‘ㄹ’이 합성어 형성 과정에서 탈락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5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탈락 ③ - ‘ㅎ’ 탈락

⦁‘ㅎ’ 탈락의 개념 ┃‘ㅎ’받침으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ㅎ’이 탈락하는 음운 현상
예 좋은[조은], 놓아[노아]

⦁‘ㅎ’ 탈락의 예

‘ㅎ’ 탈락 과정 최종 발음

싫-+-어
➖ [시러]
어간 ‘싫-’의 받침 ‘ㅀ’에서 ‘ㅎ’이 탈락하여 ‘ㄹ’만 발음

좋-+-아
➖ [조아]
어간 ‘좋-’의 받침 ‘ㅎ’이 탈락

탈락 ④ - 모음 탈락

⦁모음 탈락의 개념 ┃단모음과 단모음이 서로 충돌할 때, 하나가 탈락하는 음운 현상


예 가-+-아서→[가서], 쓰-+-어도→[써도]

⦁모음 탈락의 종류

탈락 과정 최종 발음

크-+-어서 어간 모음 ‘ㅡ’와 뒤에 오는 ‘-아/-어’로 [커서]


‘ㅡ’ 탈락 ➔
모으-+-아라 시작하는 어미가 만나 ‘ㅡ’가 탈락 [모아라]
어간 모음 ‘ㅏ/ㅓ’와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동모음 탈락 ‘건너-+어서’ ➔ 만나 [건너서]
연속되는 동일한 모음 중 하나가 탈락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6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04 첨가 ① - ‘ㄴ’ 첨가

⦁‘ㄴ’ 첨가의 개념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ㅣ’나 반모음 ‘j’로 시작하는 말이 결합할 때 ‘ㄴ’이 첨가되는 음운 현상
예 맨입[맨닙], 색연필[생년필]

⦁‘ㄴ’ 첨가의 종류

‘ㄴ’ 첨가 과정 최종 발음

합성어에서 식용+유 ➔ [시굥+ㄴ+유]→[시굥뉴] [시굥뉴]

파생어에서 홑-+이불 ➔ [혿+ㄴ+이불]→[혿니불]→[혼니불] [혼니불]

단어와
옷+입다 ➔ [옫+ㄴ+입따]→[옫닙따]→[온닙따] [온닙따]
단어에서

첨가 ② - 반모음 ‘j’ 첨가

⦁반모음 ‘j’ 첨가의 개념 ┃모음으로 끝나는 형태소 뒤에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올 때 반모음이 첨가되는 현상
예 민수+아(호격 조사) → 민수야

⦁반모음 ‘j’ 첨가의 종류

반모음 ‘j’ 첨가 과정 최종 발음

호격 조사 호격 조사에 반모음 ‘j’가 첨가되어 발음


민수+아(호격조사) ➔ [민수야]
결합 (표준 발음으로 인정)

용언 뒤에 ‘j’ 첨가는 표준 발음으로 인정


되-(용언)+-어(어미) ➔ [되어/되여]
어미 결합 (반모음이 첨가된 발음도 표준발음으로 인정)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7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05 축약 – 거센소리되기(유기음화)

⦁거센소리되기의 개념 ┃자음 ‘ㅎ’과 자음 ‘ㄱ, ㄷ, ㅂ, ㅈ’이 만나 ‘ㅋ, ㅌ, ㅍ, ㅊ’이 되는 현상


예 맏형[마텽], 놓다[노타]

‘ㅎ’과 예사소리의
거센소리되기 예
만남
ㅎ(후음)+ㄱ,ㄷ,ㅂ,ㅈ
➔ ➖ 놓다[노타]
(순행적 유기음화)
ㅋ, ㅌ, ㅍ, ㅊ
ㄱ,ㄷ,ㅂ,ㅈ+ㅎ(후음)
➔ ➖ 국화[구콰]
(역행적 유기음화)

⦁거센소리되기의 이해

예사소리 거센소리 예

ㄱ + ➔ ㅋ ➖ 놓고[노코]

ㄷ + ㅎ ➔ ㅌ ➖ 맏형[마텽]

ㅂ + ➔ ㅍ ➖ 법학[버팍]

ㅈ + ➔ ㅊ ➖ 젖히다[저치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8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개념 확인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음절의 끝소리 규칙

종성에 오는 자음 대표음 예시

ㄱ, ㄲ, ㅋ ➔ ㄱ ➖ 밖[박 ]

ㄴ ➔ ㄴ ➖ 눈[눈 ]

ㄷ, ㅌ, ㅅ, ㅆ, ㅈ, ㅊ, ㅎ ➔ ㄷ ➖ 낮[낟], 꽃[ 꼳]

ㄹ ➔ ㄹ ➖ 물[물 ]

ㅁ ➔ ㅁ ➖ 밤[밤 ]

ㅂ, ㅍ ➔ ㅂ ➖ 입[입], 잎[ 입]

ㅇ ➔ ㅇ ➖ 용[용 ]

⦁비음화

파열음 + 비음 비음 + 비음 예

비음화 ㄱ , ㄷ, ㅂ(파열음) + ㄴ, ㅁ(비음) ➔ ㅇ, ㄴ, ㅁ(비음) + ㄴ, ㅁ(비음) 먹는[멍는]

비음 + ㄹ(유음) 비음 + 비음 예

ㅁ , ㅇ(비음) + ㄹ(유음) ㅁ, ㅇ(비음) + ㄴ(비음) 종로[종노]


‘ㄹ’의 비음화 ➔
ㄱ , ㅂ(파열음) + ㄹ(유음) ㅇ, ㅁ(비음) + ㄴ(비음) 협력[혐녁]

⦁유음화

‘ㄴ’과 유음의 만남 유음화 예

ㄹ(유음) + ㄴ ➔ ➖ 칼날[ 칼랄], 별님[ 별림]


ㄹ(유음)+ㄹ(유음)
ㄴ + ㄹ(유음) ➔ ➖ 신라[ 실라], 권력[ 궐력]

⦁구개음화
⦁‘굳이’의 발음
ㅣ (또는 반모음 ㅣ)로 구개음화
‘ㄷ’로 끝나는 형태소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적용 후 발음
‘굳-’의 종성 ‘ ㄷ’ + 형식 형태소 ‘이’의 ‘ㅣ ’ ➔ [구지]

⦁‘같이’의 발음
ㅣ (또는 반모음 ㅣ)로 구개음화
‘ㅌ’로 끝나는 형태소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적용 후 발음
‘같-’의 종성 ‘ ㅌ’ + 형식 형태소 ‘이’의 ‘ㅣ ’ ➔ [가치]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9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된소리되기
⦁받침 ‘ㄱ, ㄷ, ㅂ’ + 뒤에 오는 ‘ㄱ, ㄷ, ㅂ, ㅅ, ㅈ’
된소리되기
받침(종성) ‘ㄱ’ ‘ㄱ’ 뒤의 ‘ㅂ’
적용 후 발음
‘국’의 받침(종성) ‘ㄱ’ + ‘밥’의 초성 ‘ㅂ’ ➔ [ 국빱]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로 시작하는 어미


‘ㄴ’으로 끝나는 된소리되기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
용언 어간 적용 후 발음
‘신-’의 ‘ㄴ’ + 어미 ‘고’의 ‘ㄱ’ ➔ [ 신꼬]

⦁한자어 받침 ‘ㄹ’ + ‘ㄷ, ㅅ, ㅈ’로 시작하는 한자


된소리되기
‘ㄹ’로 끝나는 한자 ‘ㄷ’로 시작하는 한자
적용 후 발음
‘갈’의 ‘ㄹ’ + ‘등’의 ‘ㄷ’ ➔ [ 갈뜽]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로 시작하는 체언


된소리되기
관형사형 어미 ‘-(으)ㄹ’ ‘ㄱ’으로 시작하는 체언
적용 후 발음
‘먹을’의 ‘-(으)ㄹ’ + ‘것’의 ‘ㄱ’ ➔ [ 머글껃]

⦁자음군 단순화

앞의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 예

ㄺ , ㄻ, ㄿ ➖ 닭[ 닥]

뒤의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 예

ㄳ , ㄵ, ㄼ, ㄽ , ㄾ, ㅄ ➖ 값[ 갑]

⦁‘ㄹ’ 탈락

용언이 활용되는 과정에서 ‘ㄹ’ 탈락 예

둥글-+-ㄴ ➖ 둥근

합성어/파생어 형성 과정에서 ‘ㄹ’탈락 예

불+삽 ➖ 부삽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0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ㅎ’ 탈락

‘ㅎ’ 탈락 과정 최종 발음

싫-+-어 ➖ [ 시러]

좋-+-아 ➖ [ 조아]

⦁모음 탈락

탈락 과정 최종 발음

크-+-어서 어간 모음 ‘ ㅡ’와 뒤에 오는 뒤에 오는 ‘-아/-어’로 [커서]


‘ ㅡ’ 탈락 ➔
모으-+-아라 [모아라]
시작하는 어미가 만나 ‘ ㅡ’가 탈락
어간 모음 ‘ ㅏ/ㅓ’와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 ㅏ/ㅓ’탈락 ‘건너-+어서’ ➔ [건너서]
만나 연속되는 동일한 모음 중 하나가 탈락

⦁‘ㄴ’ 첨가

유형 ‘ㄴ’ 첨가 최종 발음

합성어에서 식용+유 ➔ [시굥뉴 ]

파생어에서 홑-+이불 ➔ [혼니불 ]

단어와 단어 에서 옷+입다 ➔ [온닙따 ]

⦁반모음 ‘j’ 첨가

반모음 ‘j’ 첨가 과정 최종 발음

호격 조사 호격 조사에 반모음 ‘j’가 첨가되어 발음


민수+아(호격조사) ➔ [민수야]
결합 (표준 발음으로 인정)

용언 뒤에 ‘j’ 첨가는 표준 발음으로 인정


되-(용언)+-어(어미) ➔ [되어/되여 ]
어미 결합 (반모음이 첨가된 발음도 표준발음으로 인정)

⦁거센소리되기

예사소리 거센소리 예

ㄱ + ➔ ㅋ ➖ 놓고[ 노코]

ㄷ + ㅎ ➔ ㅌ ➖ 맏형[ 마텽]

ㅂ + ➔ ㅍ ➖ 법학[ 버팍]

ㅈ + ➔ ㅊ ➖ 젖히다[저치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1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2 다음을 읽고 알맞은 말을 쓰시오.

(1) <보기>는 모두 음운의 변동의 ‘교체’에 해당하는 음운 현상이 일어나는 예들이다. 각각의 최종 발음을 쓰고,
교체현상 중 어떤 현상이 나타났는지 밝히시오.
<보기>
가. 앞날[ ]
나. 숲[ ]
다. 백로[ ]
라. 칼날[ ]

<조건>
- ‘[ ]’에는 최종 발음을 쓰시오.
- 2가지 음운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2가지 모두 쓰시오.

<작성 예시>
A. 국밥[국빱]-된소리되기

(2) ㉠, ㉡의 각각의 발음을 쓰고, ㉠과 ㉡의 음운 현상의 차이에 대해서 간단히 서술하시오.


<보기>
㉠닻
㉡닭

3 다음의 평가지에서 그 답이 잘못된 문항을 고르시오.

문항 O X

① ‘쌓지’가 [싸치]로 발음되는 것은 ‘탈락’에 해당된다. √

② ‘색연필’ 발음 시에는 ‘첨가’와 ‘교체’가 모두 일어난다. √

③ ‘삶’, ‘넋’을 발음 할 때에는 ‘교체’가 일어난다. √

④ 한자어에서는 ‘된소리되기’가 일어날 수 없다. √

⑤ ‘김치를 담갔다’의 ‘담갔다’에서는 ‘탈락’이 일어난다. √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2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1 다음 빈 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음절의 끝소리 규칙

종성에 오는 자음 대표음 예

ㄱ, ㄲ, ㅋ ➔ ㄱ ➖ 밖[박]

ㄴ ➔ ㄴ ➖ 눈[눈]

ㄷ, ㅌ, ㅅ, ㅆ, ㅈ, ㅊ, ㅎ ➔ ㄷ ➖ 낮[낟], 꽃[꼳]

ㄹ ➔ ㄹ ➖ 물[물]

ㅁ ➔ ㅁ ➖ 밤[밤]

ㅂ, ㅍ ➔ ㅂ ➖ 입[입], 잎[입]

ㅇ ➔ ㅇ ➖ 용[용]

⦁비음화

파열음 + 비음 비음 + 비음 예

비음화 ㄱ, ㄷ, ㅂ(파열음) + ㄴ, ㅁ(비음) ➔ ㅇ, ㄴ, ㅁ(비음) + ㄴ, ㅁ(비음) 먹는[멍는]

비음 + ㄹ(유음) 비음 + 비음 예

ㅁ, ㅇ(비음) + ㄹ(유음) ㅁ, ㅇ(비음) + ㄴ(비음) 종로[종노]


‘ㄹ’의 비음화 ➔
ㄱ, ㅂ(파열음) + ㄹ(유음) ㅇ, ㅁ(비음) + ㄴ(비음) 협력[혐녁]

⦁유음화

‘ㄴ’과 유음의 만남 유음화 예

ㄹ(유음) + ㄴ ➔ ➖ 칼날[칼랄], 별님[별림]


ㄹ(유음)+ㄹ(유음)
ㄴ + ㄹ(유음) ➔ ➖ 신라[실라], 권력[궐력]

⦁구개음화
⦁‘굳이’의 발음
ㅣ (또는 반모음 ㅣ)로 구개음화
‘ㄷ’로 끝나는 형태소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적용 후 발음
‘굳-’의 종성 ‘ㄷ’ + 형식 형태소 ‘이’의 ‘ㅣ’ ➔ [구지]

⦁‘같이’의 발음
ㅣ (또는 반모음 ㅣ)로 구개음화
‘ㅌ’로 끝나는 형태소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적용 후 발음
‘같-’의 종성 ‘ㅌ’ + 형식 형태소 ‘이’의 ‘ㅣ’ ➔ [가치]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3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된소리되기
⦁받침 ‘ㄱ, ㄷ, ㅂ’ + 뒤에 오는 ‘ㄱ, ㄷ, ㅂ, ㅅ, ㅈ’
된소리되기
받침(종성) ‘ㄱ’ ‘ㄱ’ 뒤의 ‘ㅂ’
적용 후 발음
‘국’의 받침(종성) ‘ㄱ’ + ‘밥’의 초성 ‘ㅂ’ ➔ [국빱]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로 시작하는 어미


‘ㄴ’으로 끝나는 된소리되기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
용언 어간 적용 후 발음
‘신-’의 ‘ㄴ’ + 어미 ‘고’의 ‘ㄱ’ ➔ [신꼬]

⦁한자어 받침 ‘ㄹ’ + ‘ㄷ, ㅅ, ㅈ’로 시작하는 한자


된소리되기
‘ㄹ’로 끝나는 한자 ‘ㄷ’로 시작하는 한자
적용 후 발음
‘갈’의 ‘ㄹ’ + ‘등’의 ‘ㄷ’ ➔ [갈뜽]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로 시작하는 체언


된소리되기
관형사형 어미 ‘-(으)ㄹ’ ‘ㄱ’으로 시작하는 체언
적용 후 발음
‘먹을’의 ‘-(으)ㄹ’ + ‘것’의 ‘ㄱ’ ➔ [머글껃]

⦁자음군 단순화

앞의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 예

ㄺ, ㄻ, ㄿ ➖ 닭[닥]

뒤의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 예

ㄳ, ㄵ, ㄼ, ㄽ, ㄾ, ㅄ ➖ 값[갑]

⦁‘ㄹ’ 탈락

용언이 활용되는 과정에서 ‘ㄹ’ 탈락 예

둥글-+-ㄴ ➖ 둥근

합성어/파생어 형성 과정에서 ‘ㄹ’탈락 예

불+삽 ➖ 부삽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4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ㅎ’ 탈락

‘ㅎ’ 탈락 과정 최종 발음

싫-+-어 ➖ [시러]

좋-+-아 ➖ [조아]

⦁모음 탈락

탈락 과정 최종 발음
어간 모음 ‘ㅡ’와 뒤에 오는 뒤에 오는
크-+-어서 [커서]
‘ㅡ’ 탈락 ➔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만나
모으-+-아라 [모아라]
‘ㅡ’가 탈락
어간 모음 ‘ㅏ/ㅓ’와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ㅏ/ㅓ’탈락 ‘건너-+어서’ ➔ 만나 연속되는 동일한 모음 중 [건너서]
하나가 탈락

⦁‘ㄴ’ 첨가

유형 ‘ㄴ’ 첨가 최종 발음

합성어에서 식용+유 ➔ [시굥뉴]

파생어에서 홑-+이불 ➔ [혼니불]

단어와 단어에서 옷+입다 ➔ [온닙따]

⦁반모음 ‘j’ 첨가

반모음 ‘j’ 첨가 과정 최종 발음

호격 조사 호격 조사에 반모음 ‘j’가 첨가되어 발음


민수+아(호격조사) ➔ [민수야]
결합 (표준 발음으로 인정)

용언 뒤에 ‘j’ 첨가는 표준 발음으로 인정


되-(용언)+-어(어미) ➔ [되어/되여]
어미 결합 (반모음이 첨가된 발음도 표준발음으로 인정)

⦁거센소리되기

예사소리 거센소리 예

ㄱ + ➔ ㅋ ➖ 놓고[노코]

ㄷ + ㅎ ➔ ㅌ ➖ 맏형[마텽]

ㅂ + ➔ ㅍ ➖ 법학[버팍]

ㅈ + ➔ ㅊ ➖ 젖히다[저치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5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2 다음을 읽고 알맞은 말을 쓰시오.

(1) <보기>는 모두 음운의 변동의 ‘교체’에 해당하는 음운 현상이 일어나는 예들이다. 각각의 최종 발음을 쓰고,
교체현상 중 어떤 현상이 나타났는지 밝히시오.
<보기>
가. 앞날[ ]
나. 숲[ ]
다. 백로[ ]
라. 칼날[ ]

<조건>
- ‘[ ]’에는 최종 발음을 쓰시오.
- 2가지 음운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2가지 모두 쓰시오.

<작성 예시>
A. 국밥[국빱]-된소리되기

가. 앞날[암날]-자음군 단순화, 비음화


나. 숲[숩]-자음군 단순화
다. 백로[뱅노]-비음화
라. 칼날[칼랄]-유음화

(2) ㉠, ㉡의 각각의 발음을 쓰고, ㉠과 ㉡의 음운 현상의 차이에 대해서 간단히 서술하시오.


<보기>
㉠닻
㉡닭

㉠은 [닫]으로, ㉡은 [닥]으로 발음된다. 그러나 ㉠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으로 ‘교체 현상’에 해당되고,
㉡은 자음군 단순화로 ‘탈락 현상’에 해당된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6 -
[개념노트] 음운_(2)음운의 변동

3 다음의 평가지에서 답이 잘못된 문항을 고르시오.

문항 O X

① ‘쌓지’가 [싸치]로 발음되는 것은 ‘탈락’에 해당된다. √

② ‘색연필’ 발음 시에는 ‘첨가’와 ‘교체’가 모두 일어난다. √

③ ‘삶’, ‘넋’을 발음 할 때에는 ‘교체’가 일어난다. √

④ 한자어에서는 ‘된소리되기’가 일어날 수 없다. √

⑤ ‘김치를 담갔다’의 ‘담갔다’에서는 ‘탈락’이 일어난다. √


종성의 ‘ㄻ, ㄳ’이 각각 [ㅁ], [ㄱ]으로 발음되는 것은 ‘교체’가 아닌 ‘탈락’과 관련있다. ① ‘쌓지’가 [싸치]로 발음되
는 것은 거센소리되기와 관련된 것으로 ‘축약’에 해당된다. ② ‘색연필’은 [색년필(‘ㄴ’첨가)→생년필(비음화)]의 과정을
거쳐 발음되므로 ‘첨가’와 ‘교체’가 모두 일어난다. ④ 한자어 ‘갈등(葛藤)’은 발음될 때에 [갈뜽]으로 된소리되기가 적
용된다. 그러므로 한자어에서도 된소리되기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⑤ ‘담갔다’의 형태소는 ‘담그-+-았-+-다’
로 [담갇따]로 발음되며, 어간 ‘담그-’의 ‘ㅡ’가 탈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7 -

You might also like